You are on page 1of 144

재외동포를 위한

6-2
교사용
지도서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 2015-12-11 오후 7:36:32


일러두기

1. 『한국어 6-2』 소개
『한국어 6-2』는 한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청소년 학습자를 위한 교재이다. 본 교재는 해외에서
거주하는 청소년 학습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 소재를 바탕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이
균형 있게 향상되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청소년 학습자에게 필요한 수학, 사회 등의 다른 교과목과 연계해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2. 『한국어 6-2』의 대상과 학습 시간


본 교재는 한글학교 교육과정에 맞추어 개발되었으며 특히 청소년 학습자들의 인지·언어 발달에 적합한
내용과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한글학교의 학사 운영에 따라 총 16개 단원으로 개발하였으며 한 단원은 4시간
수업의 분량에 맞게 개발하였다. 학교별 한국어 수업 시간에 따라 한 학기 또는 두 학기에 걸쳐 한 권의 교재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 교재의 전체 구성
교재는 모두 16개의 단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12개는 학습 단원, 3개는 복습 단원, 1개는 종합 과제
단원이다. 4개의 학습 단원이 하나의 대주제로 구성되어 있어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4개의 학습 단원마다 복습 단원을 배치함으로써 배운 내용을 점검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 단원인 16과는 종합 과제 단원으로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가정이나
현지 지역 사회에서 수행할 수 있는 실제적인 과제를 제시하였다.

4. 단원의 구성
1) 학습 단원의 구성

도입
1과
단원의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학습 목표
손으로,
㉧Ⳮ⵱⻔㉔⾩㔪⽃ョⱠ㓱ㄋ㉣ⷾ
㇘⻮⵱⻔㉔⾩㔪⽃おⲾ㓱ㄋ㉣ⷾ
숟가락으로, 학습을 통해 성취해야 할 목표와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학습 내용
⾩⿸_ㇼⲧおⲾ㓮⾆ㇼⲧⷧ⸐㊡㊈㉅⼍
ㆿ㕓_⾩㔪㍀㉙⾩㔪Ⳓⲩ⼂㓄㔕 포크로 하였다. 또한 주제와 관련된 사진 자료나 그림을
제시함으로써 단원의 주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하였으며 도입 질문을 통해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གྷ઀ኊ
ඪ້஑
1. 어느 나라의 전통 의복인지 알고 있어요?
2. 의복 이외에 나라마다 다른 문화로 뭐가 있을까요?

어휘 ㆺ㕎

나라마다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 다른 것을 찾을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보세요.

단원의 주제와 관련된 기초 언어 지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의생활(전통 의복)

생각/사고방식
식생활(음식, 요리법, 식사법)

생활 예절
주생활(가옥, 주거 생활)

언어

구성하였다. 어휘와 표현을 의미 범주별로 제시함으로써


몸짓 언어

효율적인 어휘 학습을 도모하였고 특히 학습자의 기존


지식과 연계함으로써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나라마다 다른 문화를 보이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지역마다 다른 문화를 만드는 데 영향

구성하였다.
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십시오.

지역 세대 자연환경

기후 종교 인종

12 한국어 6-2

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 2015-12-11 오후 7:36:52


⸋㔥
대화
실제적인 한국어 대화문을 통해 학습 목표를 노출함으로써
귀납적인 학습을 유도하였다. 단원의 주제에 따라 대화, 발표
등 전형적인 담화 형식으로 제시하였으며 대화 듣기, 대화 내용
01
파악하기, 대화 읽기 등의 활동을 통해 통합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강사: ⷾ㉊㉅⼍㓰Ⳅㄷオ㍀⽏㉈】ⲇㄳⷴⷾ㔪⾆㉈】パ㈓
㊑㉙ ㇼ㉙⻷ⲁ⿘㍂㉙⽖㆗㈓"㉙⻱⺈ⷧㆿⷥⱺ〧㐰⽱ㆿㆰ⹈㈓"
ⱚゞ ⶞㓰Ⳅㄷオ㍀⽏㉇ヂㆸⲧⷧ⸐㊡㊈㉅⼍⾍⹪㉊ㄷ㉈㓰ⴑ⿳㇐㍀⽋ⷧⱺ㉙㑰㋪
㉡ⷴⷾヂㆸ㇐ヂⷧㄷゞ⽃㓱⺈ㄷゞ㊉㈓⽋〧㐰㓮⵱㓮⵱ㄍヂ⸐⼍⽱ⷧ⸨㓰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Ⳅ㇐ヂⷧ⾍⹪㉊ㄷ㉈オ㈴㇐ⷾㇲ⼀ⶼⲚ⹂ㄶ㇐⽱ㄳⷴⷾⳢ⻠ヂㄷゞ㓮ⷧㄶⱐ
⸸ヂㆸ㉊ㄷ㉈⽱㉈⺈】ⷾⷧ㕋㆑じ⽋⵨⵱㋡㈓
㊑㉙ Ⳣ⻠ヂ㓰Ⳅゞ⻘⹬㉙⸐〧〩ㄷゞ⽃じ⽋㓮⵱〚㈓Ⳣ⻰⸨ㄎⱎ⻕⾍ㆸ㉙㉜〔㉙
⻜㉇㊦ⷾ⽂ⱺⱝ⶞㈓
ⱚゞ ⶞㉬】メㆿ㈓㊉㍣㊈㉅⼍⹂㆗ㄶ㆗⵱⻔㇐ヂ⿟㉈㋁ㄷ㉅⼍⽱ⷧⱺ㉇おㄴ㓰⸨
㈓⽱ⷧ⿡⿸㉙㊦ⷾ⽅ⷴⷾ㑰㕴㉜〔ⲧおⲾ㓮⾆㉜〔㉇㋁⼍⿟Ⳣ⽆㉈⹬Ⲛ㊎
ⱎ⻕㉈㉙㈚㓷⿟㉈⽱㋡⽕㓰Ⳅ㉇⿟Ⳣ⽆㉈オ㇐ⶼⲚㄎⱎ⻕㉅⼍⿟㉈⺑ヂ⽱ⷧ

어휘 더 배우기
ⲁ】㑎㉙㇐㈓Ⳣ⻠ヂㄎⱎ⻕⾍ㆸ⸸㊡⳨ⷾ⽂Ⱳ㇨㈓
㊑㉙ ⶞㆜ⲇㆿ㈓Ⳣ⻰⸨テゴⷹÒ⳨ⱚァ⸸ㄷ㕁ⲓÓ㉙⻔Ⲛ㓮ⷧ⸨㈛⽋⸸⽲㊇㊦⽱Ⲛ
ⲥ〧㓮⾆㆙⹌⳹㈓"

ㆺ㕎⸕⿞㈖⳨

1과_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13

주제와 관련된 어휘를 심화, 확장하여 제시함으로써 고급


문화권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의미


슬라브문화권
게르만문화권

동아시아문화권
인도
이슬람문화권 문화권 태평양 문화권
동남아시아

범주별로 제시하여 어휘의 의미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문화권
아프리카
문화권 라틴문화권
오세아니아
문화권

구성하였으며 주어진 어휘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관심, 주변적 문화의 특징

상황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여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다르다

차이가 있다
비슷하다

다양하다
독특하다

있도록 하였다. 문화권

한자 문화권, 중화권 아랍 문화권, 중동 라틴 아메리카 문화권

불교 문화권 동구권 중앙아시아 문화권

유럽 문화권 아프리카 문화권 아메리카 문화권

동아시아 문화권 동남아시아 문화권 오세아니아 문화권

14 한국어 6-2

⾤⿳
문법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예문
와/과 비교하면

실력이 늘었다고 하지만 선배들과 비교하면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단원의 의사소통 목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문법을 전형적인
이번 작품은 원작과 비교하면 그래픽 기술은 뛰어나지만 작품성이 떨어진다.

  ㊉㇐ィ⸝

  ⶩ㊉
㉙㊏⸸ⷧⳎ㊉㉙⵱ⷾ⽄㇉ㄳⷴⷾ ㋨

Ⳣ㍀㉙⽃ㄤⲁ㆜ㄋ㉣㉈ⱺ㉙ⷾ ㄋ㉡
예문과 함께 제시하였다. 먼저 문장 단위의 기초적인 완성 연습을
와/과는 대조적으로

예문 영진이는 형과는 대조적으로 문학보다 운동에 관심이 많다.


전통적인 모습의 외부와는 대조적으로 내부 인테리어는 현대적으로 꾸며져 있다.
통해 목표 문법의 의미와 기능에 익숙해지게 한 뒤 실제적인
  㓰Ⳅゞ⻘⹬㉙㏄㓦⽃㊬㆗㓮ⷧ
⽃㋜ⲉ⽓ㄸⷾ ⱺ 
㋊Ⳅゞ⻘⹬㉇㍀
의미 맥락 속에서 문법을 사용할 수 있는 말하기 연습 기회를
 ⸐㔪⽃㓱⺈オ⸐⿡㉔ⷐ㉈】ⷧ ⹂㆗ㄶ㆗㇐ヂⷧ

제공하였다.
ⷐ㉈⺩⿔⼍】ⷧⱺ㉇㇨㉔ⱎ㆗ⷴ⻔Ⲛゴⱏ㓰ⷾ ヂㆸ

ߵඋ֊#්۟
다음 지도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지 그 차이를 보기 와 같이 간단히 말해 보십시오.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リⱎ⻕⾩㔪Ⳓ
남아메리카
⵱㉙㓠͒㒸㐌⾩㔪Ⳓ
오세아니아
㊎ⱎ⻕⾩㔪Ⳓ

보기
아시아 국가들이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유럽이나 아메리카 지역은
나이프와 포크를 사용한다.

1과_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15

듣고 말하기 ⹦ⲕ⽓㓩⳨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실제적인 한국어 구어 자료를 제시하여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영진 씨가 쓴 것으로 맞는 것을 고르십시오.

Dzゞ⻜ dzㆧ Ǵ㽘


02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들은 내용은 학습자가 효과적인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Dz㓰Ⳅ㉛⹬㉇㇙ゞ⽃㆜Ⳮ㈴㓷㓰㉧⽃⿣㈝ⷾ
dz㓰Ⳅ㉔㓰㉧ⷧ㋊Ⳅ㓰㉧ㇼおⲾ㓮⾆⿚㉊㉙ⷾ⽀ⷾ
(
(
)
)

말하기 활동을 수행하는 데 참고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03

학습자들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수행할 만한 과제로  어떤 명절에 관한 내용입니까? 명절 이름을 쓰십시오.

구성하였으며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추수감사절’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고르십시오.

Dz㋡㇙⽓ⷾ⵶㋮ⱎⷾ⽀ⷾ
dz】⽄⸃㉈】Ⲛョ㈧㉈がⷾ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동을 제시하였다. Ǵㇱⱎ㊢㉙㓳ⴛ㎪⾆㊡ⲚⳭ⽃⽱ⷧⷾ

읽고 쓰기
16 한국어 6-2

㉘ⲕㅾ⳨

1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ⳇ㉈】ⲁ⹊ㆿヂ㉙⾍⸸㍅ⳭゑⷾⳢ⹂㆙㇄⽓⵱㏌㉈㋡⸸Ⳏ⳨
㓮Ⲛ
㓰Ⳅ㇐㇯Ⳮ㊉㇐㓰Ⳅㄷㄷゞ㇨㊊㉈㆜ⲚㅀⷾⲚ"⶞ⱎ㉙⻷ⲁ㓰Ⳅ⾩㔪㇐ⲩㄼ㉈ⱛ
학습한 어휘와 문법을 점검할 수 있는 주제와 관련된 실제적인
텍스트를 제시함으로써 독해 능력 함양을 도모하였다. 읽기는
Ⲛ⿣㈛⼀Ⲛ㓮ⷧⲁ㍅⸐Ⲍ㓮ⲚⳭゑⷾ
ゞㄺ㓰Ⳅ㉔ㄷゞ㇨㊊⸸ⲧⱲㇼおⲾ㓮⾆⽖㉙ⱐ⸁㓷㊞ㆿ㋊㈓㓰ⱺ㉇ㆿ⽂ⲧㄷゞ㓱
⺈㉛⸨ⶑ⸸⹬㇋ⲇ㋡⽕㓰Ⳅ㇐ヂⷧㆿ⽂㉙ㄷゞ⽃ㄶ㉨㓱⺈⳹㋡Ⳮⷾ⼀ㆰ㓷㓱㆗⿱㋡
⻜㓱⽰ⷴⱎ⹨ㄶⳭㄶ㉨㓰ⱺ㉈㔫㉛㓮Ⲛ⽱㉅⾆⹈⶞ⱎⷾ⽱㇋㉈⺈㇐⸸⽲㊇㉧⽋㇐

학습자에게 모범 글, 예시 글이 되어 글쓰기 활동의 준비 과정이


ヂ㉜ㆿヂ⾆㆙⹊Ⲛㆿ⽂⹬㉙ⷾ⹨ㄺ⺈⳹㋡Ⳮⷾ⽋ⷧⲁ㇨㉔ㆰ⺨⶞ⱎ㊬㆗㓮ⷧ㉊ㄷ
⽕⽱Ⱳ⵱⽳⽋㉣ⷧ㉊ㄷ㉈⽱㉅⼀Ⲛリ㉈はⷧⱺ⸸㇨㉔ⱎ㆗ⷴ⻔Ⲛゴⱏ㓮㋡Ⳣ⻱⺈ⷧ
Ⳣ⻲ㆿ⺜ⲁ㓮ⶋⲚ"Ⳣ⻱⺈ⷧ㉙㉙⾍㇐ⲁ㊡㈚㕴ⷐ㋩㉈㋁⾆㉙⾍ⱎⱛⷾ㋄ⲁAA
㊎ⱎ⻕㋥㉇㉬㓮ⷴ"㓰Ⳅ㉊ㄷ⽱㉅⼀⾆㊎ⱎ⻕㋥㉈㉬㓷ㆰ㓮ⷴ㓰Ⳅ㇐㇯Ⳮ㊉⳹㋡㊎

되도록 설계하였고 학습자들에게 접근성이 높은 실생활 주제를


ⱎ⻕㋥㓮ⷧ㇛ㄳ㉈㓮Ⲛ㇯⾆⸚㊬ⲇⷾ㇘Ⳮ㓰Ⳅ㇐ヂゞⷧ⶞ゞ㍳㋡オ㉙㆜㋡"㋡オ㉙
ⷧ㆗㋢⸸㊎ⱎ⻕㋥㉙ヂ㑘⽀Ⱳ⹪⶞ⱎ㇛ㄳ㉈㓮Ⲛ㇯⾆㋡オ㉙ㇼⷧ⸐㊡㊈㉅⼍⸚ㆿ⽂
ㄭ⻳ⲁ】㉜Ⱳㆰ㓱㆗⿱㋡⸸Ⳮぬ㓮ㄺⱲⲚ
Ⳣ⻲ⷾ㉊⸃㇐⽕⵶⺈⳹㋡⾓ⱴⱚ㕴㉬㋡ⶂ

 누가 누구에게 쓴 편지입니까?
ヂ㈞㇐ヂ⽔ⶂ㉙⾍ⱎ

중심으로 쓰기 과제를 개발하였다.


 다음 중 읽은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Dz㓰Ⳅ㉔ㄷゞ㇨㊊㉇ⲧⱲㇼ㊡⳨㉇ⷾ⽀ⷾ
dz㓰Ⳅ㇐ヂⷧ㊬㆗㓮ⷧ㉊ㄷ㉈⽓㋡⽔㇐⽱ⷧⷾ
Ǵ㓰Ⳅ㇐ヂⷧㆿ⽂】ⷾ⽲㊇ㄷゞ⽃⽓㍫ㆰ㓰ⷾ
ǵ㓰Ⳅㆿ⽍㉙⹬㉇】㑎㓱㆗⿱㋡㇐ⲁ㊎ⱎ⻕㋥㉈⿣㈝ⷾ

18 한국어 6-2

일러두기 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 2015-12-11 오후 7:36:54


일러두기

자기 평가
매 단원마다 자기 평가를 배치함으로써 학습자가 성취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1. 나라 간 다른 문화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까?


2. 문화 차이와 문화권을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목표를 재확인하고 자신의 학습 태도 및 방법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1과_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19

문화
⾩㔪 틀려요? 아니요. 달라요!

한국 전통 문화와 현대 문화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이해를
㓟ⲳㆿケⷖ㍉㈹〃ろ⻇ㆿⱰ⸧㉖㇊ㄜ⻢Ɒⵠ㉈ⵠⰽ㊑ⲘⲄ⹠㈷⾚ㆮ ⷖⲂ㈊
ⰽ㉒ⷭⳑ⻟⸗ⱌ㈶㋔⾘㈷㍉㈹⽄ⵣケㆧ㉊ㆿⱰ㓟ⷭ⽵゙ⷿ⿐㈶ⷻ㔞㓝Ⳝⰽㄎ
㈍Ⱪ㉈ⷭケㆧ㉊ㆿⱰⵠ㉈⼲⾙ⷖⷭⱡⵠⱽ㔑㇇〖⼲⾙ⷖⱩ㈶ⶀ⾕ろ㉷㉊㋔⾘
㉈⻃ケ ⳑ⻟ ㋔⾘㈷ 㓝ⷖ ろ⻇㈷ ⾕⻸㓝ⷭⲉ ィⰾ㓟ⷭ 㓟ⲳ㉊㈶ ゙ⷿ⿐㉃ ⵠ㉈⼲
ㆋ㆒㈷⹷ⳑろ⻇ㆿⱰⱣⶐヺ㉒ⷖㆰㆮ⼲ⱽ㉾㓠ヺ㉒ⷭ㋉ⵠ ⷭⵠ㉈ⰽ⽅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학습자에게 필요하고, 관심 ⷭ⽵ Îㆮ⹢ ⰽダ㈂"Ïⵠ Îㆮ⹢ ⰽㄬⷣ⳨"Ï⻼ ⵠ㓝ⲉ ⵠ㉈ⰽ ⱌⱡⵠ ㆮ⼺ⷭ⽵ Îㆮ⹢
ⰽ"ÏÎㆮ⹢ⰽⷣ"Ï⹠㈴⻼⽇㉈ⷲ⻃㋒ⷭ⿇⽇㈷ㅃ⸧㊛㈷ろ㉈ㆿ㊒⸅⽇㈷ㅴⷭ
⽵ろ㉈ⰽㆮ゜㓦㋔ヺ㉒ⲉ⿇ⷿ⻼㊒⸅⽇㈷ㅃ㆟㓝ⷖろ⻇ㆿⱰ⿇⽇⻼㉈㆟Ⳝ⼲
㓝⽵㏽ㄩ⻸⼲㉶㋐⼯ⷖⱩ㉈Ⳝ⹷⾘㉈ⷭ

있는 내용으로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정보를 제시하는 차원이 㓟㒝ⷭ⼱ⵠ⻃ろ⻇⹛㉃㓮⸱㊹ㆿ㓟ⲳろ⻇㉈》㈷⹷㉈㓦㓝Ⳝ㕧⹙Ⱪ⹛⸧㉒


ⷭ㇗⼲⹛ㆮⷭⱌ㉈ㄦろ⼲㓝ⲉⵠケ⸱㉸⳨㋐㉋㉋㉈ダㆮ㉖Ⳝⰽㄥ㐄㈹ㄦⱆ
㈷㋐〚㓝ⷖ⽼ㄢ㈷ ⽵㉊㉾⽟⼺ㆸⷭⷖィⰾ㉈⹛Ⳝ⸧㓠Ⱪ㉈ⷭⳑ⻟⸗ⳑ⹛ㆿ
Ɒⷖ㉈Ɒ㉊㉾⽟⼺ㆸⷖ㓮⸱

아닌 문화의 주제와 관련하여 학습자 거주국 또는 세계와 ㉈ ㆆⷣ⻃ ⰾ㉖ ⽠㈶ ㈹ㄦ ⱆ
㈷ ⰾ㉖ ㋐〚㓝ⷖ Ìⷻ㇊㓟Í 㓮
⸱㉈ⷭ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관련지어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ィⰾⲖ⾘㔙ⰽ⽅㉈ⷭ⼯㋐ㆊ㈶ⰽ"


㉈⻠⹷㈊⼺ⷖÎ⾘㔙ⰽ㑢⻯Ï⻃ⲉ㓝㋐⽇ⲉÎ⾘㔙ⰽⷲ⻃Ï⻃ⲉ㓦㆟㓟ⷭÌⷭ⼯
ⷭÍⷖÌ〹ⲭⰽ⸹ⷖ⹀゙ⷿ㉈ケ⻼ⱌ㋐ㆆⷣ㓝ⷭÍ⻃ⷖ⺶㉈ⲉÌ㑢⼺ⷭÍⷖÌツ㉈ⵠろ
ㄩ⹭㈣ⰽⳑ⼯Ɒ⸹ⱡⵠㆮⳙⵠⷭÍ⻃ⷖ⺶㉈ⷭ㈊⼺ⷖ㕓㕣Î㉶ろ⻇㈶㈊⼺㇫ⷖ
㑢⻯Ï⻃ⲉ⽇㓝㋐⽄ⳑⱣ㉛⾄⸹ⲉ㑢⼼Ⱪ㉈ㆆⷣ⻃ケ⻼ⷭ⼱Ⱪ㉋べ㉈ⷭケ⻼
ⷭ⼯ⷭⷖⱩ㈷㉊㉾㓝⽵ケ⻼㉃⾘㔙⸧㍼〘㕣⿈ㆆ⹛㉋ヺ㉒㈷Ⱪ㉈ⷭ

20 한국어 6-2

2) 복습 단원의 구성

5과 어휘와 문법
복습 1
앞 단원에서 배운 어휘와 문법을 종합적으로 연습하도록
어휘

문화 차이
세계
역사의 시대 구분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가 소개 항목
역사적 사건/문명/국가
문화의 특징
정치 제도
나라의 역사
문화권 관련 표현
세계 문제 함으로써 학습 내용이 내재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인물 분류 가정 환경 노력 업적

문법
문법 항목과 결합하는 품사를 제시할 때 동사와 형용사 모두
결합이 가능한 경우에는 동·형 으로 표기하였다. 단원의
명사 와/과 비교하면 명사 와/과는 대조적으로 동Ã형 (으)ㄴ지/ㄹ지

명사 의 영향으로 동사 자 명사 에 의해

동사 (으)ㅁ으로써 명사 이자

 ⷸ㉄う㎬㇊⹦ㆹⱌ㆖⽙㉁ⷻㆹ⼽Ⲕ⼺ㄷ㄰㇩ 대주제와 연계하여 언어 지식을 확인,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ⵠ⻃⼲  ダ㈊ⷭ ㄤ⼺㓝ⷭ  ⷸ㉄㉂㉦⹥Ⲕ⿎⼺ⱻㅿⱴ㉂Ⲕ⼺ㄷ㄰㇩
13

 ㈊⼺〖⽼ⷨ㈶㊰㈣㉃⿇ⷿ⼲ ⾕⼴ㅲⲉ⾕⼹ㄜⲉ ⱽ㔑ㄦ㈷㇡⼺バⷭⲉ㓟ⷭ

형성평가로서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ろⲉ⿐ㄦ㉈  ㏻ⷭ ⷭ⼯ⷭ

 ⼲⾹ⷭ ⾕ⲭ Ⳝ⸨ⲭ  㓟ⲳ⾶ⲳ〲⻃㋔㈶⽼⹀ ⷿ㐽⶝㉣ⷿ㐽⻷㊀ ㉈ⵠサ㍸⿐ㄦ㈶㌯㉈ⰽ㉒ⷭ

 ⻼㐔ㆮⵠⷭ ⵨ⶖ ⾕⵨⸨ⶖ  㓞ⲭⰽ㊛ㆆケ⻃Ⳝ ⷭ〖⽼ⷨ㉃ ⵎ㉏ㆸⷖⵏ㉏ㆸⷖ ㉘ブ⼺⼲㓕㓠ⲓ㉈㓘㈂㓭ㆮ㈂

 ろ㔤ㆿ  Ⳝ㇇㓝ⷭ Ⳓ、㓝ⷭ


 Ⳙプ㓟㉊Ⲳ㋏ⰽ⻼⶘㉈⸹⽵㉸ダⲄⰽ ㄦ⻜ⵣㄦ⻜⻅ ㆿㄥⷲ⼽ヺ㉒ⷭⲉ㓣ⷣⷭ
 ㇳⳁ㈷  ⱉ㔙㓝ⷭ 㔚㉡㓝ⷭ
 㓟 ⲳ㈶ 㓟㉖⾘㔙ⳁ㓟㋝⾘㔙ಠ ㆿプ㓝Ⳝ⹷⾘ㆿ㋐ⳗ⸧㇇Ⳝ㉶Ⳝㆿケ 㓟㉖㓟㋝ ⰽㅲ㉈ⲉ
 ㆿ㈣㎕㓝ⷭ ⵨⿇Ⲳ ⷭ⾘㔙
㉒ⷭ
 ㉸㉫㈷ㄤ⼺⻼  ㉈ⵐⷭ ⷻ㓝ⷭ
 ⼯ⶍ゙ㄜ⼯ⶍㄸㄜ ㄥⷿ㉃⾶ヾ㈶㊹ダ⾶ヾ㉃㔊ㄦⲖ㑢㈷⿨ㆮⵠをㆆ㉒ⷖ㉊ⰿ㉃
ㆆ⼳ⷭ㈐㈷㒳㔄㓭ⷭ
5과_복습 1 51

 ⿭㉎㊉⸃㉂㔥㉕㓱》Ⲕ㆑⻚㉎う㎬㇊ㅽ⳧㇕ㄭ㉂㓱】㄰ⷸ

맞춤법 


ഹ ೘ ༖ ਭ



발음과 표기에 차이가 있는 어휘를 중심으로 올바른 표기 

형태를 찾는 연습을 통하여 한국어의 음운 현상을 이해하고






표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5과_복습 1 53


ㆺ㕎
」ㄮ

 ⷸ㉄㉂㉗Ⲕ㋟⾣㇊⸃㓨ㄷ㄰㇩

㉙⵱⻔㉔Ⳅ㑇⾆㊈㉇⽕Ժ⼍パⲕ㇐ヂ㉜ⲣ⿳㋹⼍㐌ⷾ㉙㐌Ⳮⷧ㓰⿘⸸㉔
⿣⵹㓰⾆㊈㉔⿣㇐㓷⸌⹋ⷾ㉛ⳃⷧㆱ㇀㍜⽕⾊㉅⼍パⲕ㈴⽃㍀㋡㓮Ⲛ㉣ⷾ
㔕㉴ パⲕ㇐ヂ ㉛ⳃㄋⱎ ⱎ㉲ ⽖㉇ ⵱⻔ⷧ ㋊Ⳅ㉙㋡⽕ ⶩ㉙ ⹊⾆ ㉙ ⵱⻔ⱎ ㋊Ⳅ㉈
㎆㈨㓱ⱺ㉙⻔Ⲛ㓰ⷾ㉙ⷧ㒳Ⳡ⾊㉔ⶻ㉇㎉ァ㈿⸛〩㉙ⷾ
⶗㉇Ⳅ㑇ㇼ⽖㉇㉛ⳃ⽃ⱎ㋣㉙⵱⻔ⷧⷾㆸ㓰⾩㔪⽃㉧⻜㓮Ⲛ㉣ⷾ㈛テ㉙⵱⻔㇐ヂ
읽기와 듣기
ゞ㈚⹊Ⲛ ㉣ⷧ ⲥ㈚ㆿ⽕ 㓷⸸ 㕶⹳ㆿ ㇤ㆿ⽃ お⼓㓮㇘ ㊩㉙⵱ ⹋ⷾ ㉙ⷧ ⷾㆸ㓰 ⿉㊢
ⷾㆸ㓰 ㊩Ⲿ㉔ ㇤㔁㉛⸨ ⿉㊢㉇ ㉛⸸㆗⽋㆙ ㈋㇐⸸ ⹨⻔おⷾ㊢ ⾖Ⲛ㊢ ⹱㉙ ㉣Ⲛ ㊩Ⲿⷧ
㉛ⳃ㉔ⱎ㕶⹑Ⲿ⽃⿊Ⲛ㉣Ⲛ㉙㄰⻘ⲾⳭ⸹Ⲿㄶ㐌Ⲿ〫Ⲿㄍ㉙ⷾ
㔪㒴 ⸁㈴ⷧ ⼦㓦 5H ㉙⾄ ㄋ⸸ⷧ ⷟⸫⽋㉙ⷾ Ⳅⲓ㉔ ⹂㌓㉅⼍ⷧ ⿇ㆲ⽓È㋊ⳄÈ
⿡⳦⻔⸨ㄶヂ㌓㉇㒅㐓ㄭ㐝〨㌓㉇⶞㒉È㋊Ⳅ㉈㊍㓮Ⲛ㉣ⷾ
대주제와 관련된 한국어 실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㉙⵱⻔ⷧⶩ㈨㉜㇤Ⳅ㉅⼍〧㐰⸹⽐㓮㇣ⷧ⸨㉙⸌ㄶ⽓㓮㑯⽓ⱐ⹳ⷧお㒹⼁
㈝⹂㉈㊉Ⱡ㓮㇘㔕㉴⳹㋡⸸㈴⸐㓰㋡⸸㉧⼍㎯ヰ㉈⿙Ⲛ㉣ⷾ

학습자가 읽기와 듣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성취감과 보람을 য


যൃ
ࠂण

 ㆮ⺂ⵠ⻃ㆿⷿ㓟ブⱏ㉐ⷣ⳨"ⵠ⻃㉈⼳㈷ㅲㄬㄥ㇞
 ⷸ㉄⸊㔤㊻㊋㇊⸊㓱㎢ⲽ⹦ⲡ㉡㈶⼌ⱻ㉓ㆪ⳧⼽㓱】㄰ⷸ

 ㉌㈶⵱㈉Ⲗⱌ㈶Ⱪ㈷ⲉ⼯ㄬㄥ㇞

 ǫ㉈ⵠ⻃ⷖⶍ㑸ㆆ⻏ㆿ㈣㎕㓦㉒ⷭ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보기
가: 지금까지 생활하면서 문화가 다르다고 느낀 적이 있어?

나: 음, 문화가 다르다? 아, 있다. 지난달에 동남아시아에 부모님이랑 놀러갔거든. 그 나라


 Ǭ㉈ⵠ⻃ⷖ㉸ダⲄㆿケ㍸ゐ㈮㉈ⰽ㉡ⶪ㈶ⵠ⻃㉈ⷭ 사람들은 인사를 할 때 두 손을 모으고 이렇게 고개를 숙여 인사를 하더라. 처음에는
그게 아주 낯설었는데 며칠 지난 후에는 나도 똑같이 따라 하고 있더라고.
 ǭ㉈ⵠ⻃ⷖ㇓ⲳⲖ㉃㉸㉫ㆿケㄤ⼺㓝㇇㇓㐶⼲㔚㉡㓝㇒ⷭ
다: 맞아. 인사하는 것부터 다른 게 많지. 나도 처음 한국에 갔을 때 어른들에게 인사를
제대로 못한다고 혼난 적이 있었어.
 ㉈ⵠ⻃ㆿⷿ㓟㍵ⰽ㉾ ㉐ⷣⷭ⵱㈉㈷㔚㉊㓝ⲉ⽎㈴⽵ ⷭ⼯⽵ 㓝ㄬㄥ㇞
가: 어떻게 인사를 했길래 혼나기까지 했어?
 ǫ㉈ⵠ⻃㉃㇓㔙ゐㆷ㈶ダⲄ㍬ⷿ㉃Ⳏ⽼⼲㉖⻋㓟ⷭ㇓㔙㒳㑷⽑⻜㉈㇊ⰿㆠㆯ㉡㈴⻼
ダⲄ㈣㉈ⲉⱏ〈㒝ヺ⸧㇊ⰿ㍋㇇㒝㈴⻼ダⲄ㈣㉈⽳㉈ⷖ㈣㉊⾶ⲳ㈷㔺ㆀ㈒⸧ⷖ 다: 할머니를 오랜만에 뵀는데 너무 반가워서 여기에서처럼 이렇게 손을 흔들고 인사했
ヺ㎕㉈ⷭ  지. 고개를 숙여 인사하는 게 익숙하지 않아서. 그 다음 일은 안 봐도 알겠지?

 Ǭ㉈ⵠ⻃㉃ⷿ㒳㉷㉊Ᵽ㍶⾚㉊㓕⻃⾶⹗ⷖⲉⷿㇳ㊑㉃⾕⸑㉈ⷭ㔄㉣㇇ⱏ㉾⸧ⰽㆋ⻯
㊈㉒㈴⽳ⷿ〖〘㈶ケ㌂ろ⽃㊰⿷ㆿ㕜ㆮ㊈㉒ⷭ㉾ゕⰾ㔊⽼ㆧ㉃Ᵽ㍶Ⳝヾ㈶㋐ⳗ⸧ⶤ
⻃㈐㈷㊰ⲉ㉒ⷭ 
⵼ⱈⲍ㔁㓱『 ㈕⽅⵫⻎ⱈモ㓪
⾣㔤㌺㉓ ⾣㔤Ⳍ

54 한국어 6-2

말하기 ⵫㇊ⱻ㇞㓻㉂
⿁㎢㊣Ⲹ
㍷Ⳟ㇊⹦㉁
ニⲏⷙㄧ

앞 단원에서 다룬 주제로 나눌 수 있는 대화 주제를 카드


㇓゘㊂㈿⼇ⱈ㉬ ㇓゘㊂㈿⼇ⱈ㉬
㈮⸊㓪゘Ɱ ㆓㐕ⳳ㈗゘Ɱ

형식으로 제공하여 학습자가 직접 선택하여 대화 만들기 ⵼ⱈ㊝ⲍ㓨ⷡ


㉕⾥
⵫㇊⸊㓱
㉡ゼ㊃㉂ㅿⷸ⾀"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56 한국어 6-2

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 2015-12-11 오후 7:36:57


3) 종합 과제의 구성

16과
과제 소개하기
종합 과제
과제와 관련 있는 정보와 안내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ㆺ㕎
Ⲣ㊌モⱛ㓩⳨
과제 수행의 의의를 인식하고 학습 동기를 고취할 수 있도록
‘주제 발표’가 무엇인지 함께 알아봅시다.

설계하였다.
 Í㊻㊋⿔㒾Îⱈ⾠㇄㉛ⷮⳳ"

㋁㊑⿚㓄ⷧ㉧ㄸ㉙ⲩㄼ㉙㉣ⷧ㓰ⱎ㋡㋁㊑㇐⸐㓷㉧⼠⽃⾍㉅Ⲛ㊏⽋㓮㇘⿚㓄㓮ⷧ
ⱺ㉡ⷴⷾ⿚㓄ⷧ㉛㋁㊑⼍㋣㓿㓱ㄋ⸸㉣Ⲛa⾊㉙㓰㒁㉙⹊ㆿⳢ⼫⿚㓄⽃㓱ㄋ⸸
㉣ㄳⷴⷾ



 ㆹ⺍㊻㊋㇊⸊㓱⿔㒾㓫ⳳ㈍"㉓⿭㓩⳧㇊ⲟ〡㓪㊻㊋ㇶⲣ⻼㉝ⷡ⵼㈔㋄㇊㉡㈶⼌ⱻダ㐠㓨
ㄷ㄰㇩

Ā㇙ゞ㊈ゞⱴ㈴⸐㓰㉛⾫ョⱠ Āⲩㄼ㉙㉣ⷧパⲕ⵱⻔ョⱠ

Ā㍽ㄸパⲕ⷟ㄭョⱠ Ā㋁㈴㉔㔬ⲓ⾩㊑ㇼ㓷Ⲏ⿡⿸

과제 준비하기
Ā㈴⸐㓰⿚⾊㓏ョⱠ Ā⿇⻠ゞ㔵㇐⸐㓰㆗㉙⹳ㆿ

Āゴ㔭ヨⲧ㓯オㄷョⱠ ĀョⱠ㓮Ⲛㅀ㉇⸐㋊⽢㍣⺨ⷧ㓠⼍Ⳣ⻤

Ā㉴⿇㉣ⷧ㇁ㆿ㓄㔕 Ā


ㆺ㕎
Ⲣ㊌㊾ぅ㓩⳨

16과_종합 과제

과제를 수행하기에 앞서 스스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주제 발표의 내용에 대해 준비해 봅시다.

 ⿔㒾㓫㑻⿔㒾㓫㊻㊋⼽㊉㓱】㄰ⷸ

정리할 수 있는 개인 활동과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확대·발전시킬 수 있는 모둠 활동을 통해
 ⿔㒾㓫⵼㈔㇊⸊㓱ギⱉ㓱】㄰ⷸ

체계적으로 과제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㒾㓫⵼㈔㇊⸊㓪ⱊⷻ㓪㇕ⲽⲏ㔰ゼ⼽㉢ド㓱】㄰ⷸ

㋁㊑ョⱠ
㋁㊑⿚㓄ⲕ㔶ヂ
㋁㊑テ㐦㉙㈼
㋁㊑㇛ⳃ⿡⿸
㋁㊑
ト⾩㊡ゞㄺ㔇㔕㉲㊡ゞ㉧⼠㇛ⳃ⹱
 ㇛ⳃⶂ㈚⿒Ⲏⲧ
⾎㍀
⿚㓄㉧ Ⲏ⼏

과제 수행하기 ㊑㎉㉜ ㆜ⲁ⹋㊌⸚㆜Ⲛㅀ㉇㊌⺨ⷧⷥ⵫㊌


㍅Ⲛ⾩㔄


ㆺ㕎
Ⲣ㊌㒮ⱉ㓩⳨

150 한국어 6-2

친구의 발표를 들으면서 발표 내용을 평가해 봅시다.

 ㆹ⺍㓰⾈㉂㒭ⱈ㓫ⱴ㉕㋛ギⱉ㓱】㄰ⷸ
준비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과제를 수행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단계적으로 제시된 과정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경험을 가질 수
 㒭ⱈ㒾⼽⽏⹦ㆹ】㄰ⷸ

㒁 ㋁㊑
있도록 하였다.
⹱⳩
㓶⾎ おⲚ
オ ㋊ 㓮

㋁㊑

ⶂ㈚

ⳃ㊡

⿚㓄㉧⼠

㊉⸃⼁

⿚㓄㐥⸸

ⲩⱡ㔠㉍

154 한국어 6-2

일러두기 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 2015-12-11 오후 7:36:59


교재 구성표

대주제 단원명 소주제 기능

자기 나라의 문화 소개하기
1. 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문화
여러 나라의 문화 비교하기

자신의 국가 소개하기
2. 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세계
세계의 여러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기
세계의
역사
중요한 역사적 사건 소개하기
3. 세상을 바꾼 그날, 그 사건 사건
역사적 사건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역사 속 인물에 대해 설명하기
4. 내 인생의 멘토 역사
인물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이야기하기

5. 복습 1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이야기하기


6. 생각의 차이 하나로 발명
발명품의 효용에 대해 표현하기

환경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기
7. 미래의 재산, 환경 환경
환경 문제의 해결 방법을 설명하기
인간과
과학
기술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기
8. 타임머신을 타고 기술
미래 사회에 대해 표현하기

자신이 알고 있는 과학 상식에 대해 이야기하기


9. 과학자, 생활의 달인 과학
과학적인 이유 설명하기

10. 복습 2

단편 소설 읽고 이해하기
11. 옥상의 민들레꽃처럼 문학
소설에 나타난 상이한 상징 이해하고 주제 파악하기

즐겨 사용하는 대중 매체에 대해 이야기하기


12. 다양한 정보, 풍성한 삶 언론
보거나 들은 것 전달하기
인간과
언어
자신의 나라의 언어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하기
13. 같고도 다른 언어 언어
언어 간 차이에 대해 설명하기

여러 문제에 대해 의견 제시하기
14. 토론, 생각 나누기의 시작 토론
여러 문제에 대해 토론하기

15. 복습 3

16. 종합 과제

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 2015-12-11 오후 7:37:00


어휘 문법 문화

와/과 비교하면,
문화 차이, 문화권 관련 표현 틀려요? 아니요. 달라요!
와/과는 대조적으로

-(으)ㄴ지/ㄹ지,
국가 소개, 세계정세 관련 표현 세계 여러 나라 국가의 한국식 이름
의 영향으로

시대 구분, 역사적 사건 -자,


한국의 시: 윤동주의 ‘서시’
관련 표현 에 의해

-(으)ㅁ으로써,
생애, 업적 관련 표현 역사 속 위대한 인물들의 명언
이자

발명품, 발명과 발견, 발명품의 효용 덕분에,


한국의 10대 발명품
관련 표현 -는 데에

환경 문제, 환경 문제의 원인, 환경 -(으)면서부터,


아끼고 사랑해야 할 아름다운 강산
보호 관련 표현 같은

미래 사회, 사회의 발전, 사회의 쇠퇴 -아/어 가다,


세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현
관련 표현 -(으)ㅁ에 따라

물질, 물질의 변화, 과학적 개념 -았/었다가,


과학 상식 퀴즈
관련 표현 -기 때문이다

소설 속 표현 소설 속 문법 소설 감상

대중매체의 종류, 대중매체의 효용 -대요/래요/재요/냬요,


소문과 관련된 속담
관련 표현 -댔어요/랬어요/쟀어요/넀어요

-냐 하면,
언어의 단위, 언어의 특징 관련 표현 한국인이 즐겨 사용하는 약어
-답니다

동의를 나타내는 표현, 반대를 -다고 하더라도,


한국 사람들의 토론 문화
나타내는 표현 -는데도 불구하고

교재 구성표 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 2015-12-11 오후 7:37:01


지도서의 구성

『한국어 6-2 교사용 지도서』는 교사가 『한국어 6-2』의 교육 목표와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한 교사용 자료이다. 특히 『한국어 6-2』의 주요 학습 대상인 청소년 학습자들의
특성과 한글학교 교육 환경에 맞게 교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본 지도서에서는 먼저 각
활동마다 예상 소요 시간을 제시하여 수업을 계획하거나 진행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교과목과 관련된 주제나 개념에 대한 참고 자료와 설명을 제공하여 교사의 이해를
도운 것이 특징이다. 무엇보다 교사가 다양한 수업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있는 부가 정보와 응용 방법을 함께 담았다. 각 구성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ѹ⾎㉋ 㬛䇟9RZHOV ѹ
ュ㉀⼈ㄉⱉ⻐㉀⼈㒳㐇⼈

교육 목표 교육 목표
㉧Ⳮ⵱⻔㉔⾩㔪⽃ョⱠ㓱ㄋ㉣ⷾ
㇘⻮⵱⻔㉔⾩㔪⽃おⲾ㓱ㄋ㉣ⷾ

단원 내용

교육 목표를 제시하여 수업의 ⲧ㊑


У㓰㉧⾩㔪Ⳓ⾊㊊㇐⸐㓰ⶂ㈚⹫Ⲛ㉙㓷㓮Ⳮ
У⾩㔪㍀㉙ⲓ㔇㇐⸐㓷㉙ㆰⳭ㓮Ⳮ
⾩⿸
УㇼⲧおⲾ㓮⾆
Уㇼⲧⷧ⸐㊡㊈㉅⼍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У㓰Ⳅ㉔ㄷゞ㇨㊊㇐ⲩ㓰㒮㋡⳦㉝Ⲛ㉙㓷㓮Ⳮ
У㉧Ⳮ⵱⻔㉔⸹㑰㓰⾩㔪㇐⸐㓷ョⱠ㓮ⷧ⳦ㆃⳭ ㆿ㕓
У⾩㔪㍀㉙⾩㔪Ⳓⲩ⼂㓄㔕

수업 개요

있도록 하였다.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수업 개요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문화 차이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효율적인 한국어 수업 운영이 어려운 초보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단원 내용
문법
연습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교사들도 알기 쉽게 수업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 상황 제시하기

수업 시간과 준비물을 구체적으로 알 수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 <워크북> 활동 25분
• 문화 차이에 대한 경험 이야기하기

과제, 문법, 어휘의 교육 내용을 읽고


쓰기
읽기
• 내용 예측하기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25분

있도록 하였다.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30분

제시하여 단원의 수업 내용을 단원 마무리


• 주의해야 할 문화에 대한 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5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ⲧリ㉅⼍ㄎⱎ⻕㉅⼍㒸㐌⼍ 13

하였다.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㉜ • 이 단원에서는 나라마다 다른 문화 차이에 대해 이야기하
는 활동을 하게 될 것임을 알려 준다.
개요
예 여러분은 다른 나라 사람들을 만나 본 적이 있어요? 만났을 때 문
Ⲿ㉴㌓㉔ゞ㋣ⲧ㋥⾩㉈㉙㈚㓷㋁㊑⸸㉡㓮Ⳮ 화가 다른 것을 느낀 적이 있어요? 이번 단원에서는 나라마다 다
른 문화 차이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 거예요.
ㆿ⺓ゞ㋣㉙㉣ⷧ㋡㇐⸐㓷㉙ㆰⳭ㓮⾆ヂ⸁㈧㉔ⶂ㈚
㉈㇨㎟㓮Ⲛ㓯ㄳ㉈㋃お㓮Ⳮ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예 문화가 다른 것을 경험한 적이 있어요?

1과

도입 학습 목표
㉧Ⳮ⵱⻔㉔⾩㔪⽃ョⱠ㓱ㄋ㉣ⷾ
㇘⻮⵱⻔㉔⾩㔪⽃おⲾ㓱ㄋ㉣ⷾ
손으로,
숟가락으로, 개요
ㆺ㕎

어휘
학습 내용
⾩⿸_ㇼⲧおⲾ㓮⾆ㇼⲧⷧ⸐㊡㊈㉅⼍
ㆿ㕓_⾩㔪㍀㉙⾩㔪Ⳓⲩ⼂㓄㔕 포크로 㓯ㄳ㉧⹬㉙㆜Ⲛ㉣ⷧ⾩㔪㍀㉙㉔㊩⼸㇐⸐㓷㔫㉛
㓮Ⲛ㓯ㄳ㓮Ⳮ

도입에서는 단원의 첫 장에
㓯ㄳ㉧⹬㉙㆜Ⲛ㉣ⷧ⾩㔪㇐㇤㔁㉈⿇㎦ⷧⱺ㇐⸐
㓷㔫㉛㓮Ⲛ㓯ㄳ㓮Ⳮ

제시된 사진과 질문을 이용하여


ㆺ㕎

나라마다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 다른 것을 찾을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보세요.
교육 목표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상세한 수업
절차를 포함하였다. 교사말의 예, 교수 시 참고
࿬གྷ઀ኊ 의생활(전통 의복) 식생활(음식, 요리법, 식사법) 주생활(가옥, 주거 생활)
ඪ້஑

단원의 주제를 예측하고 학습을


생각/사고방식 생활 예절 언어
1. 어느 나라의 전통 의복인지 알고 있어요?
2. 의복 이외에 나라마다 다른 문화로 뭐가 있을까요? 몸짓 언어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들에게 교재의 사진을 보게 한다.
• 교재의 사진을 보면서 문화 차이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사항 및 유의 사항도 함께 제시하였으며 개념
 사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문화 차이에 대

어휘의 경우 참고 자료를 제시하여 교수의 편의를


해 도입한다.
1. 문화 차이의 종류를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예 사진을 보세요.  1)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문화 차이를 보이는 것에 대
많은 사람들이 있지요? 이 사람들이 입고 있는 옷을 보고 어느 나 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문화 차이 종류에 대한 어휘를 확
라 사람인지 이야기해 보세요. 인한다.

돕고자 하였다.
나라마다 입는 옷이 다른데, 옷 말고 나라마다 다른 것으로 뭐가
① 문화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들로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
있을까요?
보게 하고 제시된 어휘가 무엇을 뜻하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참고 사진 설명(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 우선 학생들로 두세 명이 그룹이 되어 자신이 알고 있는
• 한국(한복), 중국(치파오), 베트남(아오자이), 인도(사리) 어휘를 다른 학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스코틀랜드(킬트), 러시아 (루바슈카), 이누이트족 전통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의상, 중동 전통의상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하면 사진 자료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14 Ⲿゞ㈚㋡⸸ヂB㓰Ⳅㆿ

 문화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예를 알고 있는지 질문한다.

예 우리나라와 몸짓언어가 다른 예를 알고 있어요? ⸋㔥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본문
나라마다 다른 문화를 보이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지역마다 다른 문화를 만드는 데 영향
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십시오.

지역 세대 자연환경

기후 종교 인종

2. 문화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 원인이 되는 어휘를 학습한다. 01

강사: ⷾ㉊㉅⼍㓰Ⳅㄷオ㍀⽏㉈】ⲇㄳⷴⷾ㔪⾆㉈】パ㈓

교육 목표와 수업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2)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문화 차이는 무엇 때문에 나 ㊑㉙ ㇼ㉙⻷ⲁ⿘㍂㉙⽖㆗㈓"㉙⻱⺈ⷧㆿⷥⱺ〧㐰⽱ㆿㆰ⹈㈓"
ⱚゞ ⶞㓰Ⳅㄷオ㍀⽏㉇ヂㆸⲧⷧ⸐㊡㊈㉅⼍⾍⹪㉊ㄷ㉈㓰ⴑ⿳㇐㍀⽋ⷧⱺ㉙㑰㋪
타나는지를 설명하는 어휘를 확인한다. ㉡ⷴⷾヂㆸ㇐ヂⷧㄷゞ⽃㓱⺈ㄷゞ㊉㈓⽋〧㐰㓮⵱㓮⵱ㄍヂ⸐⼍⽱ⷧ⸨㓰

① 다른 문화가 생기는 원인으로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 보고 Ⳅ㇐ヂⷧ⾍⹪㉊ㄷ㉈オ㈴㇐ⷾㇲ⼀ⶼⲚ⹂ㄶ㇐⽱ㄳⷴⷾⳢ⻠ヂㄷゞ㓮ⷧㄶⱐ


⸸ヂㆸ㉊ㄷ㉈⽱㉈⺈】ⷾⷧ㕋㆑じ⽋⵨⵱㋡㈓
제시된 어휘 중 아는 것이 있는지 확인해 보게 한다. ㊑㉙ Ⳣ⻠ヂ㓰Ⳅゞ⻘⹬㉙⸐〧〩ㄷゞ⽃じ⽋㓮⵱〚㈓Ⳣ⻰⸨ㄎⱎ⻕⾍ㆸ㉙㉜〔㉙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ⱺⱝ⶞㈓


ⱚゞ ⶞㉬】メㆿ㈓㊉㍣㊈㉅⼍⹂㆗ㄶ㆗⵱⻔㇐ヂ⿟㉈㋁ㄷ㉅⼍⽱ⷧⱺ㉇おㄴ㓰⸨

수업 절차는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㉙㊦ⷾ⽅ⷴⷾ㑰㕴㉜〔ⲧおⲾ㓮⾆㉜〔㉇㋁⼍⿟Ⳣ⽆㉈⹬Ⲛ㊎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ⱎ⻕㉈㉙㈚㓷⿟㉈⽱㋡⽕㓰Ⳅ㉇⿟Ⳣ⽆㉈オ㇐ⶼⲚㄎⱎ⻕㉅⼍⿟㉈⺑ヂ⽱ⷧ
ⲁ】㑎㉙㇐㈓Ⳣ⻠ヂㄎⱎ⻕⾍ㆸ⸸㊡⳨ⷾ⽂Ⱳ㇨㈓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㉙ ⶞㆜ⲇㆿ㈓Ⳣ⻰⸨テゴⷹÒ⳨ⱚァ⸸ㄷ㕁ⲓÓ㉙⻔Ⲛ㓮ⷧ⸨㈛⽋⸸⽲㊇㊦⽱Ⲛ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ⲥ〧㓮⾆㆙⹌⳹㈓"

하면 예나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내용 확인하기 → 대화 연습하기’의 순서로


 문화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1과_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13

예 사람들이 사는 집의 구조나 모양이 다른 것은 무엇의 영향일까요?


기후나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문화 차이의 종류로는 또  문화 차이를 설명하는 강의를 듣는 상황을 생각하도록 유도
무엇이 있을까요? 하여 대화 내용을 도입한다.

제시하였다. 제시한 절차에 따라 수업 진행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예 교사: 문화 차이가 다른 것을 설명하는 강의를 들어 본 적이 있어요?
학생: 아직 없어요.
교사: 문화 차이를 설명하는 강의라면 말로만 설명할까요? 아마
사진이나 다른 자료도 같이 보여 줄 거예요.

개요
』⾤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방법과 교육 활동을 안내하였다. 또한 교수
예 교사: 여기 그림을 보세요. 한 명의 강사가 문화 차이에 대해 사진

상황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응용’ 방법을


을 보여 주며 설명하고 있어요. 어떤 문화 차이에 대해 말하
⾎㓄㓰Ⳅ㉔ オ㍀⽏㉈ ⷾ⽂ ⵱⻔ㇼ おⲾ㓮ⷧ ⱚ㉔⽃ 는 것 같아요?
⹬㉅⾄⸐㔪㓮Ⳮ 학생: 밥 먹는 것에 대해 설명하는 것 같아요.
교사: 맞아요. 한국의 밥 먹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거예요. 어떤 나
㊊㍀⸐㔪⸸㉡㓮ⳭĊ⸐㔪⹫ⳭĊⶂ㈚㔫㉛㓮ⳭĊ 라와 비교하며 설명하는지 잘 들어 보세요.

제시하여 교수 내용을 심화, 확장할 수 있도록


⸐㔪㇛ㄳ㓮Ⳮ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의 ②에서 교사가 이

하였다.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ⲧリ㉅⼍ㄎⱎ⻕㉅⼍㒸㐌⼍ 15

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 2015-12-11 오후 7:37:01


예 강사가 한국의 상차림에 대해 설명한다고 말했어요. 상차림은 무 ㆺ㕎⸕⿞㈖⳨
엇을 말하는 거예요?
상차림이 어떻다고 했어요? 개요
어떤 나라와 비교하며 설명했어요?

어휘 더 배우기 • 대화 듣기에서는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한 도입으로 대화


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파
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한다.
ㆿ㕓⸸㉡㓮ⳭĊ㆜Ⲛ㉣ⷧㆿ㕓㓄ㄶ㓮ⳭĊㆿ㕓㉔㉔
⿇㍊㆗】ⳭĊㆿ㕓㉔㉔⿇ㇼ㓄㔕ト⾊㓮ⳭĊ㓩㈓㓰
㓄㔕㉈㍊㆗ヂㅔ】Ⳮ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ㆺ㕎⸕⿞㈖⳨

수업의 절차를 ‘어휘 도입하기→알고 있는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문화권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본다.

응용 슬라브문화권
게르만문화권

어휘 표시하기→어휘의 의미 찾아보기
동아시아문화권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 볼 이슬람문화권
인도
문화권 태평양 문화권

수 있다. 동남아시아
문화권
아프리카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문화권 라틴문화권
오세아니아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문화권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필요한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문화의 특징

다르다 비슷하다 독특하다

차이가 있다 다양하다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로 안내하고 있으며


문화권

한자 문화권, 중화권 아랍 문화권, 중동 라틴 아메리카 문화권

불교 문화권 동구권 중앙아시아 문화권

유럽 문화권 아프리카 문화권 아메리카 문화권

동아시아 문화권 동남아시아 문화권 오세아니아 문화권

어휘 범주별로 각각의 수업 절차를 상세히 어휘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사가 어휘를 설명할 예


• 강의에서 한국과 일본을 서로 비교하며 설명했는데 이 나
라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교사: 강사가 한국과 일본은 식사 습관 중 무엇이 비슷하다고 했


어요?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나 정보를 함께


학생: 밥을 주식으로 먹는 것이 비슷하다고 했어요.
교사: 맞아요. 그리고 무엇이 다르다고 했어요?
학생: 밥 먹는 방법이 다르다고 했어요.

② 교사는 ‘다르다’, ‘비슷하다’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제공하고 있다.
후 문화적 특징을 설명하는 어휘에 대해 더 배워 보자고
한다.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16 Ⲿゞ㈚㋡⸸ヂB㓰Ⳅㆿ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준비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 문법 설명 와/과 비교하면
① 문화 차이를 통해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도입한다.
준다. 의미: ‘와/과 비교하면’은 어떤 두 대상을 비교하며 설명할 때 • 대화를 통해서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이용하는 자연스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어휘가 사용된 개요 쓰인다. 비교하는 두 대상 A와 B가 있을 때 ‘A와 비교 러운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문장을 예를 들면서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하면 B는 ……’ 또는 ‘B는 A와 비교하면 ……’ 식으로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ÒㇼⲧおⲾ㓮⾆Ó㉔㉔⿇ㇼⳭⷮ㉈㉙㓷㓮Ⲛゞ㈚㓮Ⳮ 사용한다. 예 교사: 조금 전 대화에서 한국의 상차림을 설명할 때 강사는 한국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은 모든 음식을 한꺼번에 다 상에 올려놓고 먹는다고 했어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Òㇼⲧⷧ ⸐㊡㊈㉅⼍Ó㉔ ㉔⿇ㇼ Ⳮⷮ㉈ ㉙㓷㓮Ⲛ ゞ 요. 서양에서도 같았어요?
교사는 다음과 같이 ‘와/과 비교하면’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
2. 어휘 2 ㈚㓮Ⳮ 해 줄 수 있다. 학생: 아니요. 서양은 음식을 하나씩 순서대로 먹어요.
예 일본과 한국은 비슷한 점이 많아서, 두 나라를 비교해서 이야 교사: 맞아요. 그래서 강사는 ‘서양과는 대조적으로’라고 했어요.
 준비 기하면 공통점과 차이점을 잘 알 수 있어요. 그래서 ‘한국은
1. 문법1 와/과 비교하면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와/과는 대조적으로’가 어떤 의미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일본과 비교하면 이런 점이 같고, 이런 점이 다르다’ 식으로
• 강의에서 한국과 일본을 한꺼번에 묶어 어떻게 설명했는 일지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이야기할 수 있어요.
지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  설명
형태: 명사에 붙어 사용하며 명사가 자음으로 끝나면 ‘과비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것이 비교
예 교사: 강사가 한국과 일본은 모두 밥을 주식으로 먹는다고 하면서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교하면’을 명사가 모음으로 끝나면 ‘와 비교하면’을 사 하는 것과 다름을 표현할 때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사용
이 나라들을 어떻게 설명했어요? 와/과 비교하면 용한다. 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문법
학생: 동아시아라고 했어요. 예문 실력이 늘었다고 하지만 선배들과 비교하면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된다. ② ‘와/과는 대조적으로’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교사: 맞아요. 그럼 동아시아는 어디를 말해요? 이번 작품은 원작과 비교하면 그래픽 기술은 뛰어나지만 작품성이 떨어진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와/과는 대조적으로’가 어떤 의미인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지 생각해 보게 한다.
② 교사는 ‘동아시아 문화권’을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문화적으로 비슷한 지역에 대해 더 배워 보자고 한다.  준비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① 나라별 비교를 통해 ‘와/과 비교하면’을 도입한다. 영진이는 형과는 대조적으로 문학보다 운동에 관심
 설명  연습
• 대화를 통해서 ‘와/과 비교하면’을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이 많다.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에 를 하게 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문법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고 교재에 실린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전통적인 모습의 외부와는 대조적으로 내부 인테리어
예 교사: 조금 전 대화에서 한국의 상차림을 설명했지요? 이때 강사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는 현대적으로 꾸며져 있다.
는 한국에서 밥 먹는 것과 일본의 밥 먹는 것을 비교했어요.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기억나요?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 <연습>의 정답
학생: 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와/과는 대조적으로’의 의미,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교사: 한국의 밥 먹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잘 알고 있는 나라 일

문법을 학습자에게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1) 집과 비교하면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관련 지도를 제
본과 비교를 하면서 설명했지요? 이때 강사는 ‘일본과 비교 2) 수입과 비교하면
시하고 지도에 문화권을 표시해 보면서 의미를 제시할 수
하면’이라고 했어요.
있다.
문법 설명 와/과는 대조적으로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응용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와/과 비교하면’이 어떤 의미일지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의미: ‘와/과는 대조적으로’는 어떤 사실이 비교하는 것과 다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입, 제시, 연습,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름을 표현할 때 쓰인다.
 설명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두 대상의 교사는 다음과 같이 ‘와/과는 대조적으로’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응용 같은 점, 다른 점을 비교해서 말할 때 ‘와/과 비교하면’을 2. 문법2 와/과는 대조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다.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㊉
 ㇐ィ⸝ ㉙㊏⸸ⷧⳎ㊉㉙⵱ⷾ⽄㇉ㄳⷴⷾ ㋨
예 ‘와/과는 대조적으로’는 A의 특징을 B와 비교해서 다르고 반
② ‘와/과 비교하면’이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활용 단계로 수업 절차를 안내하였으며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ⶩ㊉ Ⳣ㍀㉙⽃ㄤⲁ㆜ㄋ㉣㉈ⱺ㉙ⷾ ㄋ㉡
대될 때 쓰이는 표현이에요. 전에 배웠던 ‘와/과는 달리’, ‘와/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와/과 비교하면’가 어떤 의미인지
와/과는 대조적으로 과는 다르게’와 의미는 같아요. 그런데 전문적이고 격식적인
생각해 보게 한다.
예문 영진이는 형과는 대조적으로 문학보다 운동에 관심이 많다. 상황에서 표현할 때는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사용하면 좋아
전통적인 모습의 외부와는 대조적으로 내부 인테리어는 현대적으로 꾸며져 있다.
요.‘와/과 대조적으로’라고 해도 되는데 좀 더 차이를 강조하
실력이 늘었다고 하지만 선배들과 비교하면 아직도 많 㓰
 Ⳅゞ⻘⹬㉙㏄㓦⽃㊬㆗㓮ⷧ ㋊Ⳅゞ⻘⹬㉇㍀ 고 싶을 때는 ‘는’을 붙여 ‘와/과는 대조적으로’라고 씁니다.

문법의 형태, 기능, 화용적 정보를 풍부하게


⽃㋜ⲉ⽓ㄸⷾ ⱺ 
이 부족하다.  ⸐㔪⽃㓱⺈オ⸐⿡㉔ⷐ㉈】ⷧ ⹂㆗ㄶ㆗㇐ヂⷧ
ⷐ㉈⺩⿔⼍】ⷧⱺ㉇㇨㉔ⱎ㆗ⷴ⻔Ⲛゴⱏ㓰ⷾ ヂㆸ
형태: 명사에 붙어 사용하며 명사가 자음으로 끝나면 ‘과는
대조적으로’를 명사가 모음으로 끝나면 ‘와는 대조적으
이번 작품은 원작과 비교하면 그래픽 기술은 뛰어나지
ߵඋ֊#්۟ 로’를 사용한다.
만 작품성이 떨어진다. 다음 지도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지 그 차이를 보기 와 같이 간단히 말해 보십시오.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되고 발표와 같은 격식적인
상황에서 주로 사용한다.

제공하여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와/과 비교하면’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보기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リⱎ⻕⾩㔪Ⳓ
⵱㉙㓠͒㒸㐌⾩㔪Ⳓ
㊎ⱎ⻕⾩㔪Ⳓ

아시아 국가들이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유럽이나 아메리카 지역은


나이프와 포크를 사용한다.

㊑ⲧリ㉅⼍ㄎⱎ⻕㉅⼍㒸㐌⼍ 17 18 Ⲿゞ㈚㋡⸸ヂB㓰Ⳅㆿ

참고 ⹦ⲕ⽓㓩⳨
사용되는 상황이 격식적이면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비격식적이고
일상적인 상황이면 ‘와/과는 달리’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개요
• 와/과는 달리
예 어제와는 달리 오늘은 깔끔하게 입었네요. ⹫Ⳮ㓰㉧⾩㔪Ⳓ㇐⸐㓰⸐㔪⹫Ⳮ⾊㊊㉔㍀㉙㇐⸐
• 와/과는 대조적으로 㓰⸐㔪⹫Ⳮ
예 1차 조사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반대하는 사람이 찬성하는 사

람보다 많았다. ⽘㓮Ⳮ⾩㔪㍀㉙ⲓ㔇㇐⸐㓷⽘㓮Ⳮ

참고

명사가 아니라 동사나 형용사가 사용된 문장을 비교할 때는 ‘-는/은 ⹦ⲕ⽓㓩⳨


것’으로 바꾼 후 사용함.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 커피를 좋아하다 02
 영진 씨가 쓴 것으로 맞는 것을 고르십시오.
예 커피를 좋아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Dzゞ⻜ dzㆧ Ǵ㽘
• 키가 작다
예 키가 작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Dz㓰Ⳅ㉛⹬㉇㇙ゞ⽃㆜Ⳮ㈴㓷㓰㉧⽃⿣㈝ⷾ ( )
dz㓰Ⳅ㉔㓰㉧ⷧ㋊Ⳅ㓰㉧ㇼおⲾ㓮⾆⿚㉊㉙ⷾ⽀ⷾ ( )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1. ‘한자 문화권’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03
연습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듣고 말하기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시디를 들려준다.
⇨ <연습>의 정답 • 한자 문화권에 속한 한국과 중국에 대해 비교 설명하는
대화이다. 특히 한자의 사용이 예전과 비교하면 어떻게
1) 것과는 대조적으로
달라졌는지에 집중하여 듣게 한다.
2) 서양과는 대조적으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응용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듣기’와 ‘말하기’ 과제의 기능을 소개하고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말하기 연습
예 교사: 남자가 뭔가 글씨를 쓴 것 같은데, 무엇을 썼어요?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학생: 한자를 썼어요.

‘듣기 전, 듣기, 듣기 후’, ‘말하기 전,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문법을 사용하여 각
교사: 그 한자의 발음은 어떻게 한다고 했어요?
지역의 특징에 대해 비교하는 말하기 연습임을 설명한다.
학생: ‘애’라고 했어요.
• 제시된 지도를 보고 지도의 색깔이 다르게 표시된 부분이
교사: 그 발음은 중국에서도 같아요?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학생: 그건 잘 모르겠어요. 중국하고 발음이 좀 다르다고는 했어요.
• 다른 색깔로 표시된 지역들을 서로 비교하며 특징을 설명
교사: 맞아요. 중국은 같은 한자를 ‘아이’라고 읽는다고 해요. 예

말하기, 말하기 후’ 단계에 따라 수업의


하게 한다.
전에는 발음이 같았을 텐데 두 나라가 거리상 떨어져 있으
니 발음이 점점 달라져서 지금은 서로 많이 다른 발음이 많
지요.

절차를 상세히 안내하였다.


⇨  의 정답
1) ❸
2) ❶ × ❷ ○

㊑ⲧリ㉅⼍ㄎⱎ⻕㉅⼍㒸㐌⼍ 19

지도서의 구성 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 2015-12-11 오후 7:37:06


지도서의 구성

02

읽고 쓰기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어떤 명절에 관한 내용입니까? 명절 이름을 쓰십시오.


03

3 여러분은 지금까지 영화를 보거나 여행을 했을 때, 다른 문화권의 사람을 만났을 때 문화 차


㉘ⲕㅾ⳨

1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 ‘문제 2’의 정답: ❶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이를 경험해 본 적이 있습니까? 어떤 점이 달랐습니까? 아니면 문화가 많이 다를 거라고 생 준다.
 ‘추수감사절’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고르십시오. 각했는데 비슷했던 적도 있습니까? 그때의 경험을 이야기해 보십시오. ⿉㋃㆗㇯⻢⽕㇐⶞㇄ⳇ㉈】ⲁ⹊ㆿヂ㉙⾍⸸㍅ⳭゑⷾⳢ⹂㆙㇄⽓⵱㏌㉈㋡⸸Ⳏ⳨

Dz㋡㇙⽓ⷾ⵶㋮ⱎⷾ⽀ⷾ
㓮Ⲛ
㓰Ⳅ㇐㇯Ⳮ㊉㇐㓰Ⳅㄷㄷゞ㇨㊊㉈㆜ⲚㅀⷾⲚ"⶞ⱎ㉙⻷ⲁ㓰Ⳅ⾩㔪㇐ⲩㄼ㉈ⱛ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㔪ⱎ⸃⻛⸝ⲓ㔇
dz】⽄⸃㉈】Ⲛョ㈧㉈がⷾ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개요’를 통해 ‘읽기’와 ‘쓰기’


Ⲛ⿣㈛⼀Ⲛ㓮ⷧⲁ㍅⸐Ⲍ㓮ⲚⳭゑⷾ
Ǵㇱⱎ㊢㉙㓳ⴛ㎪⾆㊡ⲚⳭ⽃⽱ⷧⷾ Āㆿ⺓⵱⻔ㆿⷥ⾩㔪㇐⸐㓰ⲓ㔇㉡ⷴ⳹" ゞㄺ㓰Ⳅ㉔ㄷゞ㇨㊊⸸ⲧⱲㇼおⲾ㓮⾆⽖㉙ⱐ⸁㓷㊞ㆿ㋊㈓㓰ⱺ㉇ㆿ⽂ⲧㄷゞ㓱

Āㆿ⺓㊌㉙⸃⻛ㄳⷴ⳹" ⺈㉛⸨ⶑ⸸⹬㇋ⲇ㋡⽕㓰Ⳅ㇐ヂⷧㆿ⽂㉙ㄷゞ⽃ㄶ㉨㓱⺈⳹㋡Ⳮⷾ⼀ㆰ㓷㓱㆗⿱㋡
휘를 다룰 때는 ‘어른, 예절’과 같이 내용 이해에 핵심적인
2. ‘추석’에 대한 대화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㓱⽰ⷴⱎ⹨ㄶⳭㄶ㉨㓰ⱺ㉈㔫㉛㓮Ⲛ⽱㉅⾆⹈⶞ⱎⷾ⽱㇋㉈⺈㇐⸸⽲㊇㉧⽋㇐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해에 핵
ヂ㉜ㆿヂ⾆㆙⹊Ⲛㆿ⽂⹬㉙ⷾ⹨ㄺ⺈⳹㋡Ⳮⷾ⽋ⷧⲁ㇨㉔ㆰ⺨⶞ⱎ㊬㆗㓮ⷧ㉊ㄷ

⾩㔪ⱎおㄴ㓾⸝ⲓ㔇 ⽕⽱Ⱳ⵱⽳⽋㉣ⷧ㉊ㄷ㉈⽱㉅⼀Ⲛリ㉈はⷧⱺ⸸㇨㉔ⱎ㆗ⷴ⻔Ⲛゴⱏ㓮㋡Ⳣ⻱⺈ⷧ 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지나치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Āㆿ⺓⵱⻔ㆿⷥ⾩㔪㇐⸐㓰ⲓ㔇㉡ⷴ⳹"
Ⳣ⻲ㆿ⺜ⲁ㓮ⶋⲚ"Ⳣ⻱⺈ⷧ㉙㉙⾍㇐ⲁ㊡㈚㕴ⷐ㋩㉈㋁⾆㉙⾍ⱎⱛⷾ㋄ⲁAA
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음 기회
㊎ⱎ⻕㋥㉇㉬㓮ⷴ"㓰Ⳅ㉊ㄷ⽱㉅⼀⾆㊎ⱎ⻕㋥㉈㉬㓷ㆰ㓮ⷴ㓰Ⳅ㇐㇯Ⳮ㊉⳹㋡㊎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Āㆿ⺓㊌㉙おㄴ㓾ㄳⷴ⳹" ⱎ⻕㋥㓮ⷧ㇛ㄳ㉈㓮Ⲛ㇯⾆⸚㊬ⲇⷾ㇘Ⳮ㓰Ⳅ㇐ヂゞⷧ⶞ゞ㍳㋡オ㉙㆜㋡"㋡オ㉙ 로 넘긴다.

과제의 기능을 소개하고 ‘읽기


ⷧ㆗㋢⸸㊎ⱎ⻕㋥㉙ヂ㑘⽀Ⱳ⹪⶞ⱎ㇛ㄳ㉈㓮Ⲛ㇯⾆㋡オ㉙ㇼⷧ⸐㊡㊈㉅⼍⸚ㆿ⽂
ㄭ⻳ⲁ】㉜Ⱳㆰ㓱㆗⿱㋡⸸Ⳮぬ㓮ㄺⱲⲚ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Ⳣ⻲ⷾ㉊⸃㇐⽕⵶⺈⳹㋡⾓ⱴⱚ㕴㉬㋡ⶂ
ヂ㈞㇐ヂ⽔ⶂ㉙⾍ⱎ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두 사람은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3. 지금까지 살면서 경험한 문화 차이 경험에 대한 말하기 활동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을 한다.
 누가 누구에게 쓴 편지입니까?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시디를 들려준다. 좋다.
 먼저, 자기 나라와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을 만나거나 본 적

전, 읽기, 읽기 후’, ‘쓰기 전,


 다음 중 읽은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 한국의 명절 추석에 대한 대화이다. 특히 추수감사절과 이 있는지 질문하면서 말하기 활동을 도입한다. Dz㓰Ⳅ㉔ㄷゞ㇨㊊㉇ⲧⱲㇼ㊡⳨㉇ⷾ⽀ⷾ

비교하여 어떤 차이와 공통점이 있는지에 집중하여 듣게 dz㓰Ⳅ㇐ヂⷧ㊬㆗㓮ⷧ㉊ㄷ㉈⽓㋡⽔㇐⽱ⷧⷾ

 문화 차이 경험에 대해 생각하고 메모해 보게 한다. Ǵ㓰Ⳅ㇐ヂⷧㆿ⽂】ⷾ⽲㊇ㄷゞ⽃⽓㍫ㆰ㓰ⷾ

한다. ǵ㓰Ⳅㆿ⽍㉙⹬㉇】㑎㓱㆗⿱㋡㇐ⲁ㊎ⱎ⻕㋥㉈⿣㈝ⷾ

• 교사는 직접 경험한 적이 없다면 TV 프로그램이나 영화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2 여러분이 다른 문화권 친구에게 알려 주고 싶은 여러분 나라의 독특한 문화가 있습니까? 여
등에서 발견한 간접 경험도 가능함을 알려 준다. 1. 글의 구조를 보면서 어떤 글인지 생각해 보게 하면서 내용을 러분 나라의 문화를 소개하는 편지를 써 봅시다.

쓰기, 쓰기 후’ 단계에 따라 수업의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도입한다.  다음 항목에 대해 간단하게 메모해 보십시오.
문화권이 달라서 다른 문화를 예상했는데 비슷했던 경험도
Āⷎⳃ㇐ⲁㆆⱹⷴ⳹"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생각하고 메모해 보게 한다. • 글의 구조를 보고 글의 종류를 생각해 보게 한다.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3~4명이 그룹을 지어 서로의 경험을 이야기해 보게 한다. 예 글의 제일 위와 아래를 보세요. 어떤 글인 것 같아요? Āㆿ⺓⾩㔪㉡ⷴ⳹"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교사는  ,  활동을 학생들이 메모할 때 비슷한 문화

절차를 상세히 안내하였다. 경험이 있는지를 살펴 서로 다른 경험을 한 사람끼리 그룹 ĀⳢ⾩㔪ⷧ㎨ⳃ⵱⻔㉔⾩㔪ㇼおㄴ㓴ⷴ⳹ⷾ⽅ⷴ⳹"


예 교사: 어떤 명절에 대한 이야기예요? 2. 편지글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학생: 추석이에요. 을 지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교사: 추석하고 어떤 명절을 비교하며 설명했어요? • 학생들이 이야기하는 동안 교사는 돌아다니면서 대화 진  지시문을 읽고 글의 내용을 추측해 보게 한다.
 위의 내용을 이용해서 ‘여러분 나라에서 주의해야 할 문화’에 대해 친구에게 알려 주는 편지글을
학생: 추수 감사절하고 비교했어요. 행을 확인한다. • 1)의 지시문을 읽고 누가 누구에게 쓴 것인지, 글 쓴 사람 작성해 봅시다.

교사: 두 명절의 공통점은 뭐예요? • 이야기 활동이 끝나면 반 전체적으로 특별한 경험에 대해 과 받는 사람을 찾는 활동을 통해 편지글의 구조를 다시
학생: 1년간 노력한 결과를 얻은 것에 대해 감사하는 게 비슷해요. 소개해 보게 하면서 활동을 정리한다. 확인한다.
교사: 그럼 다른 점은 뭐예요? • 2)의 지시문을 읽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예측해 보게 할
학생: 날짜도 다르고요. 그날 하는 풍습도 좀 달라요. 응용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어떤 내용
워크북 <활동>에서 ‘나도 한국 문화 홍보 대사’ 활동을 해 본다. 에 집중하여 글을 읽어야 할지 알게 된다.

⇨  의 정답  글을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록 한다.
1) 추석
2) ❸ • 글을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㉘ⲕㅾ⳨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개요 2. 자기 나라의 독특한 문화를 소개하는 편지글을 쓰는 활동을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한다.
응용 ㉝Ⳮ㓰Ⳅ㉔ㄷゞ⾩㔪㇐ⲩ㓰㒮㋡⳦㉝Ⳮ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지시문을 함께 읽고 글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1. 추석을 지낸 경험이 있는지 이야기해 본다.
ㆃⳭ㉧Ⳮ⵱⻔㉔⸹㑰㓰⾩㔪㇐⸐㓷ㆃⳭ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2. 한국의 추석과 비슷한 명절이 있는지 소개해 보게 한다.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예 교사: 누가 누구에게 쓴 편지예요?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 이모가 조카에게 썼어요.
• 특히, 자기가 아는 사람 중에 자기 나라의 문화를 잘 모르
교사: 막내 이모라고 했는데, 막내가 뭐예요?
는 사람을 떠올리며 그 사람에게 문화를 소개해 볼 수 있도
학생: 마지막 이모? 제일 나이가 어린 이모예요.
록 유도한다. 반드시 친구가 아니어도 가능함을 알려 준다.
교사: 맞아요. 이 막내 이모가 조카에게 어떤 것을 알려 줬어요?
학생: 식사하는 방법이요.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편의 글을 쓰게 한다.
교사: 읽은 내용 중에 새로 알게 된 것을 이야기해 보세요.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 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는지 확인하게 한다.

20 Ⲿゞ㈚㋡⸸ヂB㓰Ⳅㆿ ㊑ⲧリ㉅⼍ㄎⱎ⻕㉅⼍㒸㐌⼍ 21


• 편지를 받는 사람에 따라 적절한 높임법을 바로 썼는지
주의해서 다시 확인하게 한다.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어 보게 한다.

편지를 받을 사람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보도록 한다.


개요
⾤㔥
문화
⵱⻔⽓ⷾ ⷾ⽂ ⾩㔪ⱎ ⵱㐛⵱ⷧ ⿣ⲓ㇐ ⸐㓷 ゴⱏ㓷
】Ⳮ

단원의 마무리 ⷼ㈢⽎⾡⽆


개요
Òⷾ⽀ⷾÓÒ㑳⽋ⷾÓⷧ⸁ㆿ⽃㑎㓷⾩㔪㍀㉙⽃⿙㆗⹬㉙
ⷧ㐥⸸㇐⸐㓷ゴⱏ㓷】Ⳮ 문화 주제와 내용을 통해 수행해야 할
⾩㔪㍀㉙㇐⸐㓰ⶂ㈚㉈⹫Ⲛ⽘㓮Ⲛ㉝Ⲛㆃⷧ㔭⹂ ⾩㔪 틀려요? 아니요. 달라요!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하였으며 수업의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켜 배운
㉈㓾㉊㉈オⳭㄶ㐓Ⳮ

㓯ㄳハ㎒㊏⸸㔫㉛㓮Ⳮ

절차를 안내하였다. 또한 교사가 참고할


㓟ⲳㆿケⷖ㍉㈹〃ろ⻇ㆿⱰ⸧㉖㇊ㄜ⻢Ɒⵠ㉈ⵠⰽ㊑ⲘⲄ⹠㈷⾚ㆮ ⷖⲂ㈊
ⰽ㉒ⷭⳑ⻟⸗ⱌ㈶㋔⾘㈷㍉㈹⽄ⵣケㆧ㉊ㆿⱰ㓟ⷭ⽵゙ⷿ⿐㈶ⷻ㔞㓝Ⳝⰽㄎ
㈍Ⱪ㉈ⷭケㆧ㉊ㆿⱰⵠ㉈⼲⾙ⷖⷭⱡⵠⱽ㔑㇇〖⼲⾙ⷖⱩ㈶ⶀ⾕ろ㉷㉊㋔⾘
㉈⻃ケ ⳑ⻟ ㋔⾘㈷ 㓝ⷖ ろ⻇㈷ ⾕⻸㓝ⷭⲉ ィⰾ㓟ⷭ 㓟ⲳ㉊㈶ ゙ⷿ⿐㉃ ⵠ㉈⼲

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리할 수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ㆋ㆒㈷⹷ⳑろ⻇ㆿⱰⱣⶐヺ㉒ⷖㆰㆮ⼲ⱽ㉾㓠ヺ㉒ⷭ㋉ⵠ ⷭⵠ㉈ⰽ⽅
ⷭ⽵ Îㆮ⹢ ⰽダ㈂"Ïⵠ Îㆮ⹢ ⰽㄬⷣ⳨"Ï⻼ ⵠ㓝ⲉ ⵠ㉈ⰽ ⱌⱡⵠ ㆮ⼺ⷭ⽵ Îㆮ⹢
1. 국가를 소개하고 세계의 문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까? ⰽ"ÏÎㆮ⹢ⰽⷣ"Ï⹠㈴⻼⽇㉈ⷲ⻃㋒ⷭ⿇⽇㈷ㅃ⸧㊛㈷ろ㉈ㆿ㊒⸅⽇㈷ㅴⷭ
⽵ろ㉈ⰽㆮ゜㓦㋔ヺ㉒ⲉ⿇ⷿ⻼㊒⸅⽇㈷ㅃ㆟㓝ⷖろ⻇ㆿⱰ⿇⽇⻼㉈㆟Ⳝ⼲

수 있는 정보와 자료를 수록하였다.


2. 국가를 소개하고 세계정세를 설명하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㓝⽵㏽ㄩ⻸⼲㉶㋐⼯ⷖⱩ㉈Ⳝ⹷⾘㉈ⷭ
㓟㒝ⷭ⼱ⵠ⻃ろ⻇⹛㉃㓮⸱㊹ㆿ㓟ⲳろ⻇㉈》㈷⹷㉈㓦㓝Ⳝ㕧⹙Ⱪ⹛⸧㉒
ⷭ㇗⼲⹛ㆮⷭⱌ㉈ㄦろ⼲㓝ⲉⵠケ⸱㉸⳨㋐㉋㉋㉈ダㆮ㉖Ⳝⰽㄥ㐄㈹ㄦⱆ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㓝ⷖ⽼ㄢ㈷ ⽵㉊㉾⽟⼺ㆸⷭⷖィⰾ㉈⹛Ⳝ⸧㓠Ⱪ㉈ⷭⳑ⻟⸗ⳑ⹛ㆿ

있도록 안내하였다.
지 확인해 보게 한다. Ɒⷖ㉈Ɒ㉊㉾⽟⼺ㆸⷖ㓮⸱
㉈ ㆆⷣ⻃ ⰾ㉖ ⽠㈶ ㈹ㄦ ⱆ 나이가 어떻게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 ⰾ㉖ ㋐〚㓝ⷖ Ìⷻ㇊㓟Í 㓮 되세요?
⸱㉈ⷭ

예 이번 단원에서는 나라마다 다른 문화 차이에 대해 공부했어요. 문


화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예들은 무엇인지, 이러한 문화 차이가 ㉾⽇ィⰾⲖ⾘㔙ⰽ⽅㉈ⷭ⼯㋐ㆊ㈶ⰽ"

나타나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 배웠어요. 문화권에 따라 다른 문화 ㉈⻠⹷㈊⼺ⷖÎ⾘㔙ⰽ㑢⻯Ï⻃ⲉ㓝㋐⽇ⲉÎ⾘㔙ⰽⷲ⻃Ï⻃ⲉ㓦㆟㓟ⷭÌⷭ⼯


ⷭÍⷖÌ〹ⲭⰽ⸹ⷖ⹀゙ⷿ㉈ケ⻼ⱌ㋐ㆆⷣ㓝ⷭÍ⻃ⷖ⺶㉈ⲉÌ㑢⼺ⷭÍⷖÌツ㉈ⵠろ
차이도 공부했고, 자신이 경험한 문화 차이에 대해 소개하고 자기
나라의 독특한 문화 차이를 소개하는 글도 써 보았어요.  먼저, 문화의 제목을 읽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생각해 보게
한다.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한국의 문화와 다른 나라의 문화가 무엇이 있는지 왜 그런 문
화가 나타났는지 위의 두 문단을 함께 읽어 본다.
예 여러분은 문화 차이 경험과 문화 차이가 있는 문화권에 대해 설명 • 이때 교사는 이런 문화를 경험해 본 적이 있는지 그때 어
할 수 있어요? 떤 느낌이 들었는지 자유롭게 이야기해 볼 수 있게 한다.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 내용을 읽고 이런 문화 차이가 나타난 것을 이해할 수 있
는지, 자기 나라와 다른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질문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하고 생각해 보게 한다.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마지막 문단을 읽으며 문화 차이를 받아들이는 자세에 대해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생각해 보게 한다.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 내용을 읽고 자신은 다른 문화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고 있는지 생각해 보고 친구와 생각을 나누게 한다.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 문화 차이를 인정하고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방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어 보게 한다.
권한다.
 응용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1. ‘다르다’와 ‘틀리다’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들어 보게 할 수 있다.

22 Ⲿゞ㈚㋡⸸ヂB㓰Ⳅㆿ

1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 2015-12-11 오후 7:37:09


목차

일러두기 ............................................................................................................................................. 2
교재 구성표........................................................................................................................................ 6
지도서의 구성 ................................................................................................................................... 8

1과 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 13


2과 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23
3과 세상을 바꾼 그날, 그 사건 .............................................................................................. 33
4과 내 인생의 멘토.................................................................................................................... 43
5과 복습 1..................................................................................................................................... 53
6과 생각의 차이 하나로 ........................................................................................................... 57
7과 미래의 재산, 환경 .............................................................................................................. 67
8과 타임머신을 타고 ................................................................................................................. 77
9과 과학자, 생활의 달인 .......................................................................................................... 87
10과 복습 2 .................................................................................................................................... 97
11과 옥상의 민들레꽃처럼...................................................................................................... 101
12과 다양한 정보, 풍성한 삶 ................................................................................................. 105
13과 같고도 다른 언어 ............................................................................................................ 115
14과 토론, 생각 나누기의 시작 ............................................................................................. 125
15과 복습 3 ................................................................................................................................. 135
16과 종합 과제 ........................................................................................................................... 139

부록(문법과 표현) ....................................................................................................................... 142

목차 1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 2015-12-11 오후 7:37:1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1.indd 152 2015-12-11 오후 6:56:44
┃모음(母音, Vowels)┃
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교육 목표
자기 나라의 문화를 소개할 수 있다.
여러 나라의 문화를 비교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한자 문화권, 명절에 대한 내용 듣고 이해하기 • 와/과 비교하면
• 문화 차이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기 • 와/과는 대조적으로
• 한국의 식사 예절에 관한 편지글 읽고 이해하기
• 자기 나라의 독특한 문화에 대해 소개하는 글 쓰기 3. 어휘
• 문화 차이, 문화권 관련 표현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문화 차이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 <워크북> 활동 25분
• 문화 차이에 대한 경험 이야기하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30분
• 주의해야 할 문화에 대한 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1과 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1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 2015-12-11 오후 7:37:12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도입 • 이 단원에서는 나라마다 다른 문화 차이에 대해 이야기하
는 활동을 하게 될 것임을 알려 준다.
개요
예 여러분은 다른 나라 사람들을 만나 본 적이 있어요? 만났을 때 문
1. 교재 11쪽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화가 다른 것을 느낀 적이 있어요? 이번 단원에서는 나라마다 다
른 문화 차이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 거예요.
2. 어떤 사진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예 문화가 다른 것을 경험한 적이 있어요?

1과

학습 목표
손으로, 어휘
㉧Ⳮ⵱⻔㉔⾩㔪⽃ョⱠ㓱ㄋ㉣ⷾ
㇘⻮⵱⻔㉔⾩㔪⽃おⲾ㓱ㄋ㉣ⷾ
숟가락으로, 개요
학습 내용
⾩⿸_ㇼⲧおⲾ㓮⾆ㇼⲧⷧ⸐㊡㊈㉅⼍
ㆿ㕓_⾩㔪㍀㉙⾩㔪Ⳓⲩ⼂㓄㔕 포크로 1.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문화 차이의 종류에 대해 확인
하고 학습하기

2.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


해 확인하고 학습하기

ㆺ㕎

나라마다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 다른 것을 찾을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보세요.

࿬གྷ઀ኊ 의생활(전통 의복) 식생활(음식, 요리법, 식사법) 주생활(가옥, 주거 생활)


ඪ້஑
생각/사고방식 생활 예절 언어
1. 어느 나라의 전통 의복인지 알고 있어요?
2. 의복 이외에 나라마다 다른 문화로 뭐가 있을까요? 몸짓 언어

1 학생들에게 교재의 사진을 보게 한다.


• 교재의 사진을 보면서 문화 차이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2 사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문화 차이에 대
해 도입한다.
1. 문화 차이의 종류를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예 사진을 보세요. 1 1)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문화 차이를 보이는 것에 대
많은 사람들이 있지요? 이 사람들이 입고 있는 옷을 보고 어느 나 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문화 차이 종류에 대한 어휘를 확
라 사람인지 이야기해 보세요. 인한다.
나라마다 입는 옷이 다른데, 옷 말고 나라마다 다른 것으로 뭐가
① 문화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들로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
있을까요?
보게 하고 제시된 어휘가 무엇을 뜻하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참고 사진 설명(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 우선 학생들로 두세 명이 그룹이 되어 자신이 알고 있는
• 한국(한복), 중국(치파오), 베트남(아오자이), 인도(사리) 어휘를 다른 학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스코틀랜드(킬트), 러시아 (루바슈카), 이누이트족 전통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의상, 중동 전통의상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하면 사진 자료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1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4 2015-12-11 오후 7:37:12


2 문화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예를 알고 있는지 질문한다.

예 우리나라와 몸짓언어가 다른 예를 알고 있어요? ⸋㔥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나라마다 다른 문화를 보이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지역마다 다른 문화를 만드는 데 영향


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십시오.

지역 세대 자연환경

기후 종교 인종

2. 문화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 원인이 되는 어휘를 학습한다. 01

강사: ⷾ㉊㉅⼍㓰Ⳅㄷオ㍀⽏㉈】ⲇㄳⷴⷾ㔪⾆㉈】パ㈓

1 2)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문화 차이는 무엇 때문에 나 ㊑㉙ ㇼ㉙⻷ⲁ⿘㍂㉙⽖㆗㈓"㉙⻱⺈ⷧㆿⷥⱺ〧㐰⽱ㆿㆰ⹈㈓"


ⱚゞ ⶞㓰Ⳅㄷオ㍀⽏㉇ヂㆸⲧⷧ⸐㊡㊈㉅⼍⾍⹪㉊ㄷ㉈㓰ⴑ⿳㇐㍀⽋ⷧⱺ㉙㑰㋪
타나는지를 설명하는 어휘를 확인한다. ㉡ⷴⷾヂㆸ㇐ヂⷧㄷゞ⽃㓱⺈ㄷゞ㊉㈓⽋〧㐰㓮⵱㓮⵱ㄍヂ⸐⼍⽱ⷧ⸨㓰

① 다른 문화가 생기는 원인으로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 보고 Ⳅ㇐ヂⷧ⾍⹪㉊ㄷ㉈オ㈴㇐ⷾㇲ⼀ⶼⲚ⹂ㄶ㇐⽱ㄳⷴⷾⳢ⻠ヂㄷゞ㓮ⷧㄶⱐ


⸸ヂㆸ㉊ㄷ㉈⽱㉈⺈】ⷾⷧ㕋㆑じ⽋⵨⵱㋡㈓
제시된 어휘 중 아는 것이 있는지 확인해 보게 한다. ㊑㉙ Ⳣ⻠ヂ㓰Ⳅゞ⻘⹬㉙⸐〧〩ㄷゞ⽃じ⽋㓮⵱〚㈓Ⳣ⻰⸨ㄎⱎ⻕⾍ㆸ㉙㉜〔㉙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ⱺⱝ⶞㈓


ⱚゞ ⶞㉬】メㆿ㈓㊉㍣㊈㉅⼍⹂㆗ㄶ㆗⵱⻔㇐ヂ⿟㉈㋁ㄷ㉅⼍⽱ⷧⱺ㉇おㄴ㓰⸨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㉙㊦ⷾ⽅ⷴⷾ㑰㕴㉜〔ⲧおⲾ㓮⾆㉜〔㉇㋁⼍⿟Ⳣ⽆㉈⹬Ⲛ㊎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ⱎ⻕㉈㉙㈚㓷⿟㉈⽱㋡⽕㓰Ⳅ㉇⿟Ⳣ⽆㉈オ㇐ⶼⲚㄎⱎ⻕㉅⼍⿟㉈⺑ヂ⽱ⷧ
ⲁ】㑎㉙㇐㈓Ⳣ⻠ヂㄎⱎ⻕⾍ㆸ⸸㊡⳨ⷾ⽂Ⱳ㇨㈓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㉙ ⶞㆜ⲇㆿ㈓Ⳣ⻰⸨テゴⷹÒ⳨ⱚァ⸸ㄷ㕁ⲓÓ㉙⻔Ⲛ㓮ⷧ⸨㈛⽋⸸⽲㊇㊦⽱Ⲛ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ⲥ〧㓮⾆㆙⹌⳹㈓"

하면 예나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2 문화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1과_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13

예 사람들이 사는 집의 구조나 모양이 다른 것은 무엇의 영향일까요?


기후나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문화 차이의 종류로는 또 1 문화 차이를 설명하는 강의를 듣는 상황을 생각하도록 유도
무엇이 있을까요? 하여 대화 내용을 도입한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예 교사: 문화 차이가 다른 것을 설명하는 강의를 들어 본 적이 있어요?
학생: 아직 없어요.
교사: 문화 차이를 설명하는 강의라면 말로만 설명할까요? 아마
사진이나 다른 자료도 같이 보여 줄 거예요.

본문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개요 예 교사: 여기 그림을 보세요. 한 명의 강사가 문화 차이에 대해 사진
을 보여 주며 설명하고 있어요. 어떤 문화 차이에 대해 말하
1. 목표: 한국의 상차림을 다른 나라와 비교하는 강의를 는 것 같아요?
들으며 대화하기 학생: 밥 먹는 것에 대해 설명하는 것 같아요.
교사: 맞아요. 한국의 밥 먹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거예요. 어떤 나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라와 비교하며 설명하는지 잘 들어 보세요.
대화 연습하기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3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제1과 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1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5 2015-12-11 오후 7:37:15


예 강사가 한국의 상차림에 대해 설명한다고 말했어요. 상차림은 무 어휘 더 배우기
엇을 말하는 거예요?
상차림이 어떻다고 했어요? 개요
어떤 나라와 비교하며 설명했어요?

• 대화 듣기에서는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한 도입으로 대화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파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한다.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ㆺ㕎⸕⿞㈖⳨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문화권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본다.

응용 슬라브문화권
게르만문화권

동아시아문화권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 볼 이슬람문화권
인도
문화권 태평양 문화권

수 있다. 동남아시아
문화권
아프리카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문화권 라틴문화권
오세아니아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문화권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문화의 특징

다르다 비슷하다 독특하다

차이가 있다 다양하다

문화권

한자 문화권, 중화권 아랍 문화권, 중동 라틴 아메리카 문화권

불교 문화권 동구권 중앙아시아 문화권

유럽 문화권 아프리카 문화권 아메리카 문화권

동아시아 문화권 동남아시아 문화권 오세아니아 문화권

어휘 1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 강의에서 한국과 일본을 서로 비교하며 설명했는데 이 나
라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예 교사: 강사가 한국과 일본은 식사 습관 중 무엇이 비슷하다고 했


어요?
학생: 밥을 주식으로 먹는 것이 비슷하다고 했어요.
교사: 맞아요. 그리고 무엇이 다르다고 했어요?
학생: 밥 먹는 방법이 다르다고 했어요.

② 교사는 ‘다르다’, ‘비슷하다’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문화적 특징을 설명하는 어휘에 대해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1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6 2015-12-11 오후 7:37:17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문법
준다.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어휘가 사용된 개요
문장을 예를 들면서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1. ‘와/과 비교하면’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2. ‘와/과는 대조적으로’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
2. 어휘 2 용하기

1 준비
1. 문법1 와/과 비교하면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 강의에서 한국과 일본을 한꺼번에 묶어 어떻게 설명했는
지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

예 교사: 강사가 한국과 일본은 모두 밥을 주식으로 먹는다고 하면서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이 나라들을 어떻게 설명했어요? 와/과 비교하면

학생: 동아시아라고 했어요. 예문 실력이 늘었다고 하지만 선배들과 비교하면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교사: 맞아요. 그럼 동아시아는 어디를 말해요? 이번 작품은 원작과 비교하면 그래픽 기술은 뛰어나지만 작품성이 떨어진다.

② 교사는 ‘동아시아 문화권’을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문화적으로 비슷한 지역에 대해 더 배워 보자고 한다. 1 준비
2 설명 ① 나라별 비교를 통해 ‘와/과 비교하면’을 도입한다.
• 대화를 통해서 ‘와/과 비교하면’을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예 교사: 조금 전 대화에서 한국의 상차림을 설명했지요? 이때 강사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는 한국에서 밥 먹는 것과 일본의 밥 먹는 것을 비교했어요.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기억나요?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학생: 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교사: 한국의 밥 먹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잘 알고 있는 나라 일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관련 지도를 제
본과 비교를 하면서 설명했지요? 이때 강사는 ‘일본과 비교
시하고 지도에 문화권을 표시해 보면서 의미를 제시할 수
하면’이라고 했어요.
있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와/과 비교하면’이 어떤 의미일지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2 설명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두 대상의
응용 같은 점, 다른 점을 비교해서 말할 때 ‘와/과 비교하면’을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② ‘와/과 비교하면’이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와/과 비교하면’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실력이 늘었다고 하지만 선배들과 비교하면 아직도 많


이 부족하다.

이번 작품은 원작과 비교하면 그래픽 기술은 뛰어나지


만 작품성이 떨어진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와/과 비교하면’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제1과 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1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7 2015-12-11 오후 7:37:17


1 준비
문법 설명 와/과 비교하면
① 문화 차이를 통해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도입한다.
의미: ‘와/과 비교하면’은 어떤 두 대상을 비교하며 설명할 때 • 대화를 통해서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이용하는 자연스
쓰인다. 비교하는 두 대상 A와 B가 있을 때 ‘A와 비교 러운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하면 B는 ……’ 또는 ‘B는 A와 비교하면 ……’ 식으로
사용한다. 예 교사: 조금 전 대화에서 한국의 상차림을 설명할 때 강사는 한국
은 모든 음식을 한꺼번에 다 상에 올려놓고 먹는다고 했어
교사는 다음과 같이 ‘와/과 비교하면’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 요. 서양에서도 같았어요?
해 줄 수 있다. 학생: 아니요. 서양은 음식을 하나씩 순서대로 먹어요.
예 일본과 한국은 비슷한 점이 많아서, 두 나라를 비교해서 이야 교사: 맞아요. 그래서 강사는 ‘서양과는 대조적으로’라고 했어요.
기하면 공통점과 차이점을 잘 알 수 있어요. 그래서 ‘한국은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와/과는 대조적으로’가 어떤 의미
일본과 비교하면 이런 점이 같고, 이런 점이 다르다’ 식으로
일지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이야기할 수 있어요.
2 설명
형태: 명사에 붙어 사용하며 명사가 자음으로 끝나면 ‘과비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것이 비교
교하면’을 명사가 모음으로 끝나면 ‘와 비교하면’을 사 하는 것과 다름을 표현할 때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사용
용한다. 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된다. ② ‘와/과는 대조적으로’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와/과는 대조적으로’가 어떤 의미인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지 생각해 보게 한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영진이는 형과는 대조적으로 문학보다 운동에 관심
3 연습
이 많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전통적인 모습의 외부와는 대조적으로 내부 인테리어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는 현대적으로 꾸며져 있다.

⇨ <연습>의 정답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와/과는 대조적으로’의 의미,
1) 집과 비교하면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2) 수입과 비교하면

문법 설명 와/과는 대조적으로
응용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의미: ‘와/과는 대조적으로’는 어떤 사실이 비교하는 것과 다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름을 표현할 때 쓰인다.

교사는 다음과 같이 ‘와/과는 대조적으로’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2. 문법2 와/과는 대조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다.
  ㊉㇐ィ⸝ ㉙㊏⸸ⷧⳎ㊉㉙⵱ⷾ⽄㇉ㄳⷴⷾ ㋨
예 ‘와/과는 대조적으로’는 A의 특징을 B와 비교해서 다르고 반
  ⶩ㊉ Ⳣ㍀㉙⽃ㄤⲁ㆜ㄋ㉣㉈ⱺ㉙ⷾ ㄋ㉡
대될 때 쓰이는 표현이에요. 전에 배웠던 ‘와/과는 달리’, ‘와/
와/과는 대조적으로 과는 다르게’와 의미는 같아요. 그런데 전문적이고 격식적인
예문 영진이는 형과는 대조적으로 문학보다 운동에 관심이 많다. 상황에서 표현할 때는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사용하면 좋아
전통적인 모습의 외부와는 대조적으로 내부 인테리어는 현대적으로 꾸며져 있다.
요.‘와/과 대조적으로’라고 해도 되는데 좀 더 차이를 강조하
  㓰Ⳅゞ⻘⹬㉙㏄㓦⽃㊬㆗㓮ⷧ ㋊Ⳅゞ⻘⹬㉇㍀ 고 싶을 때는 ‘는’을 붙여 ‘와/과는 대조적으로’라고 씁니다.
⽃㋜ⲉ⽓ㄸⷾ ⱺ 

 ⸐㔪⽃㓱⺈オ⸐⿡㉔ⷐ㉈】ⷧ ⹂㆗ㄶ㆗㇐ヂⷧ
ⷐ㉈⺩⿔⼍】ⷧⱺ㉇㇨㉔ⱎ㆗ⷴ⻔Ⲛゴⱏ㓰ⷾ ヂㆸ
형태: 명사에 붙어 사용하며 명사가 자음으로 끝나면 ‘과는
대조적으로’를 명사가 모음으로 끝나면 ‘와는 대조적으
ߵඋ֊#්۟ 로’를 사용한다.
다음 지도는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지 그 차이를 보기 와 같이 간단히 말해 보십시오.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되고 발표와 같은 격식적인
상황에서 주로 사용한다.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リⱎ⻕⾩㔪Ⳓ
남아메리카
⵱㉙㓠͒㒸㐌⾩㔪Ⳓ
오세아니아
㊎ⱎ⻕⾩㔪Ⳓ

보기
아시아 국가들이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유럽이나 아메리카 지역은
나이프와 포크를 사용한다.

1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8 2015-12-11 오후 7:37:19


참고 듣고 말하기
사용되는 상황이 격식적이면 ‘와/과는 대조적으로’를 비격식적이고
일상적인 상황이면 ‘와/과는 달리’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개요
• 와/과는 달리
예 어제와는 달리 오늘은 깔끔하게 입었네요. 1. 듣기: 한자 문화권에 대한 대화 듣기, 명절의 차이에 대
• 와/과는 대조적으로 한 대화 듣기
예 1차 조사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반대하는 사람이 찬성하는 사

람보다 많았다. 2. 말하기: 문화 차이 경험에 대해 말하기

참고

명사가 아니라 동사나 형용사가 사용된 문장을 비교할 때는 ‘-는/은 ⹦ⲕ⽓㓩⳨


것’으로 바꾼 후 사용함.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 커피를 좋아하다 02
 영진 씨가 쓴 것으로 맞는 것을 고르십시오.
예 커피를 좋아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Dzゞ⻜ dzㆧ Ǵ㽘
• 키가 작다
예 키가 작은 것과는 대조적으로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Dz㓰Ⳅ㉛⹬㉇㇙ゞ⽃㆜Ⳮ㈴㓷㓰㉧⽃⿣㈝ⷾ ( )
dz㓰Ⳅ㉔㓰㉧ⷧ㋊Ⳅ㓰㉧ㇼおⲾ㓮⾆⿚㉊㉙ⷾ⽀ⷾ ( )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1. ‘한자 문화권’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3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03
연습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2 시디를 들려준다.
⇨ <연습>의 정답 • 한자 문화권에 속한 한국과 중국에 대해 비교 설명하는
대화이다. 특히 한자의 사용이 예전과 비교하면 어떻게
1) 것과는 대조적으로
달라졌는지에 집중하여 듣게 한다.
2) 서양과는 대조적으로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응용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4 말하기 연습
예 교사: 남자가 뭔가 글씨를 쓴 것 같은데, 무엇을 썼어요?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학생: 한자를 썼어요.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문법을 사용하여 각
교사: 그 한자의 발음은 어떻게 한다고 했어요?
지역의 특징에 대해 비교하는 말하기 연습임을 설명한다.
학생: ‘애’라고 했어요.
• 제시된 지도를 보고 지도의 색깔이 다르게 표시된 부분이
교사: 그 발음은 중국에서도 같아요?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학생: 그건 잘 모르겠어요. 중국하고 발음이 좀 다르다고는 했어요.
• 다른 색깔로 표시된 지역들을 서로 비교하며 특징을 설명
교사: 맞아요. 중국은 같은 한자를 ‘아이’라고 읽는다고 해요. 예
하게 한다.
전에는 발음이 같았을 텐데 두 나라가 거리상 떨어져 있으
니 발음이 점점 달라져서 지금은 서로 많이 다른 발음이 많
지요.

⇨ 1 의 정답
1) ❸
2) ❶ × ❷ ○

제1과 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1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9 2015-12-11 오후 7:37:20


02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03

 어떤 명절에 관한 내용입니까? 명절 이름을 쓰십시오.

3 여러분은 지금까지 영화를 보거나 여행을 했을 때, 다른 문화권의 사람을 만났을 때 문화 차


이를 경험해 본 적이 있습니까? 어떤 점이 달랐습니까? 아니면 문화가 많이 다를 거라고 생
 ‘추수감사절’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고르십시오. 각했는데 비슷했던 적도 있습니까? 그때의 경험을 이야기해 보십시오.
Dz㋡㇙⽓ⷾ⵶㋮ⱎⷾ⽀ⷾ
⾩㔪ⱎ⸃⻛⸝ⲓ㔇
dz】⽄⸃㉈】Ⲛョ㈧㉈がⷾ
Ǵㇱⱎ㊢㉙㓳ⴛ㎪⾆㊡ⲚⳭ⽃⽱ⷧⷾ Āㆿ⺓⵱⻔ㆿⷥ⾩㔪㇐⸐㓰ⲓ㔇㉡ⷴ⳹"

Āㆿ⺓㊌㉙⸃⻛ㄳⷴ⳹"

2. ‘추석’에 대한 대화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㔪ⱎおㄴ㓾⸝ⲓ㔇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Āㆿ⺓⵱⻔ㆿⷥ⾩㔪㇐⸐㓰ⲓ㔇㉡ⷴ⳹"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Āㆿ⺓㊌㉙おㄴ㓾ㄳⷴ⳹"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두 사람은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3. 지금까지 살면서 경험한 문화 차이 경험에 대한 말하기 활동
을 한다.
2 시디를 들려준다. 1 먼저, 자기 나라와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을 만나거나 본 적
• 한국의 명절 추석에 대한 대화이다. 특히 추수감사절과 이 있는지 질문하면서 말하기 활동을 도입한다.
비교하여 어떤 차이와 공통점이 있는지에 집중하여 듣게
2 문화 차이 경험에 대해 생각하고 메모해 보게 한다.
한다.
• 교사는 직접 경험한 적이 없다면 TV 프로그램이나 영화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등에서 발견한 간접 경험도 가능함을 알려 준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3 문화권이 달라서 다른 문화를 예상했는데 비슷했던 경험도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생각하고 메모해 보게 한다.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4 3~4명이 그룹을 지어 서로의 경험을 이야기해 보게 한다.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교사는 2 , 3 활동을 학생들이 메모할 때 비슷한 문화
예 교사: 어떤 명절에 대한 이야기예요? 경험이 있는지를 살펴 서로 다른 경험을 한 사람끼리 그룹
학생: 추석이에요. 을 지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교사: 추석하고 어떤 명절을 비교하며 설명했어요? • 학생들이 이야기하는 동안 교사는 돌아다니면서 대화 진
학생: 추수 감사절하고 비교했어요. 행을 확인한다.
교사: 두 명절의 공통점은 뭐예요? • 이야기 활동이 끝나면 반 전체적으로 특별한 경험에 대해
학생: 1년간 노력한 결과를 얻은 것에 대해 감사하는 게 비슷해요. 소개해 보게 하면서 활동을 정리한다.
교사: 그럼 다른 점은 뭐예요?
학생: 날짜도 다르고요. 그날 하는 풍습도 좀 달라요. 응용
워크북 <활동>에서 ‘나도 한국 문화 홍보 대사’ 활동을 해 본다.

⇨ 2 의 정답
1) 추석
2) ❸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읽고 쓰기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개요

응용 1. 읽기: 한국의 식사 문화에 관한 편지글 읽기


1. 추석을 지낸 경험이 있는지 이야기해 본다.
2. 쓰기: 자기 나라의 독특한 문화에 대해 쓰기
2. 한국의 추석과 비슷한 명절이 있는지 소개해 보게 한다.

2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0 2015-12-11 오후 7:37:21


⇨ ‘문제 2’의 정답: ❶
㉘ⲕㅾ⳨

1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ⳇ㉈】ⲁ⹊ㆿヂ㉙⾍⸸㍅ⳭゑⷾⳢ⹂㆙㇄⽓⵱㏌㉈㋡⸸Ⳏ⳨
준다.
㓮Ⲛ
㓰Ⳅ㇐㇯Ⳮ㊉㇐㓰Ⳅㄷㄷゞ㇨㊊㉈㆜ⲚㅀⷾⲚ"⶞ⱎ㉙⻷ⲁ㓰Ⳅ⾩㔪㇐ⲩㄼ㉈ⱛ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Ⲛ⿣㈛⼀Ⲛ㓮ⷧⲁ㍅⸐Ⲍ㓮ⲚⳭゑⷾ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ゞㄺ㓰Ⳅ㉔ㄷゞ㇨㊊⸸ⲧⱲㇼおⲾ㓮⾆⽖㉙ⱐ⸁㓷㊞ㆿ㋊㈓㓰ⱺ㉇ㆿ⽂ⲧㄷゞ㓱
⺈㉛⸨ⶑ⸸⹬㇋ⲇ㋡⽕㓰Ⳅ㇐ヂⷧㆿ⽂㉙ㄷゞ⽃ㄶ㉨㓱⺈⳹㋡Ⳮⷾ⼀ㆰ㓷㓱㆗⿱㋡
휘를 다룰 때는 ‘어른, 예절’과 같이 내용 이해에 핵심적인
⻜㓱⽰ⷴⱎ⹨ㄶⳭㄶ㉨㓰ⱺ㉈㔫㉛㓮Ⲛ⽱㉅⾆⹈⶞ⱎⷾ⽱㇋㉈⺈㇐⸸⽲㊇㉧⽋㇐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해에 핵
ヂ㉜ㆿヂ⾆㆙⹊Ⲛㆿ⽂⹬㉙ⷾ⹨ㄺ⺈⳹㋡Ⳮⷾ⽋ⷧⲁ㇨㉔ㆰ⺨⶞ⱎ㊬㆗㓮ⷧ㉊ㄷ
⽕⽱Ⱳ⵱⽳⽋㉣ⷧ㉊ㄷ㉈⽱㉅⼀Ⲛリ㉈はⷧⱺ⸸㇨㉔ⱎ㆗ⷴ⻔Ⲛゴⱏ㓮㋡Ⳣ⻱⺈ⷧ 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지나치
Ⳣ⻲ㆿ⺜ⲁ㓮ⶋⲚ"Ⳣ⻱⺈ⷧ㉙㉙⾍㇐ⲁ㊡㈚㕴ⷐ㋩㉈㋁⾆㉙⾍ⱎⱛⷾ㋄ⲁAA
㊎ⱎ⻕㋥㉇㉬㓮ⷴ"㓰Ⳅ㉊ㄷ⽱㉅⼀⾆㊎ⱎ⻕㋥㉈㉬㓷ㆰ㓮ⷴ㓰Ⳅ㇐㇯Ⳮ㊉⳹㋡㊎
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음 기회
ⱎ⻕㋥㓮ⷧ㇛ㄳ㉈㓮Ⲛ㇯⾆⸚㊬ⲇⷾ㇘Ⳮ㓰Ⳅ㇐ヂゞⷧ⶞ゞ㍳㋡オ㉙㆜㋡"㋡オ㉙ 로 넘긴다.
ⷧ㆗㋢⸸㊎ⱎ⻕㋥㉙ヂ㑘⽀Ⱳ⹪⶞ⱎ㇛ㄳ㉈㓮Ⲛ㇯⾆㋡オ㉙ㇼⷧ⸐㊡㊈㉅⼍⸚ㆿ⽂
ㄭ⻳ⲁ】㉜Ⱳㆰ㓱㆗⿱㋡⸸Ⳮぬ㓮ㄺⱲⲚ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Ⳣ⻲ⷾ㉊⸃㇐⽕⵶⺈⳹㋡⾓ⱴⱚ㕴㉬㋡ⶂ
ヂ㈞㇐ヂ⽔ⶂ㉙⾍ⱎ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누가 누구에게 쓴 편지입니까?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좋다.
 다음 중 읽은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Dz㓰Ⳅ㉔ㄷゞ㇨㊊㉇ⲧⱲㇼ㊡⳨㉇ⷾ⽀ⷾ
dz㓰Ⳅ㇐ヂⷧ㊬㆗㓮ⷧ㉊ㄷ㉈⽓㋡⽔㇐⽱ⷧⷾ
Ǵ㓰Ⳅ㇐ヂⷧㆿ⽂】ⷾ⽲㊇ㄷゞ⽃⽓㍫ㆰ㓰ⷾ
ǵ㓰Ⳅㆿ⽍㉙⹬㉇】㑎㓱㆗⿱㋡㇐ⲁ㊎ⱎ⻕㋥㉈⿣㈝ⷾ

2 여러분이 다른 문화권 친구에게 알려 주고 싶은 여러분 나라의 독특한 문화가 있습니까? 여


1. 글의 구조를 보면서 어떤 글인지 생각해 보게 하면서 내용을 러분 나라의 문화를 소개하는 편지를 써 봅시다.

도입한다.  다음 항목에 대해 간단하게 메모해 보십시오.

Āⷎⳃ㇐ⲁㆆⱹⷴ⳹"
• 글의 구조를 보고 글의 종류를 생각해 보게 한다.

예 글의 제일 위와 아래를 보세요. 어떤 글인 것 같아요? Āㆿ⺓⾩㔪㉡ⷴ⳹"

ĀⳢ⾩㔪ⷧ㎨ⳃ⵱⻔㉔⾩㔪ㇼおㄴ㓴ⷴ⳹ⷾ⽅ⷴ⳹"
2. 편지글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1 지시문을 읽고 글의 내용을 추측해 보게 한다.


 위의 내용을 이용해서 ‘여러분 나라에서 주의해야 할 문화’에 대해 친구에게 알려 주는 편지글을
• 1)의 지시문을 읽고 누가 누구에게 쓴 것인지, 글 쓴 사람 작성해 봅시다.

과 받는 사람을 찾는 활동을 통해 편지글의 구조를 다시


확인한다.
• 2)의 지시문을 읽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예측해 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어떤 내용
에 집중하여 글을 읽어야 할지 알게 된다.
2 글을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록 한다.
• 글을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2. 자기 나라의 독특한 문화를 소개하는 편지글을 쓰는 활동을
3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1 지시문을 함께 읽고 글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2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예 교사: 누가 누구에게 쓴 편지예요?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 이모가 조카에게 썼어요.
• 특히, 자기가 아는 사람 중에 자기 나라의 문화를 잘 모르
교사: 막내 이모라고 했는데, 막내가 뭐예요?
는 사람을 떠올리며 그 사람에게 문화를 소개해 볼 수 있도
학생: 마지막 이모? 제일 나이가 어린 이모예요.
록 유도한다. 반드시 친구가 아니어도 가능함을 알려 준다.
교사: 맞아요. 이 막내 이모가 조카에게 어떤 것을 알려 줬어요?
학생: 식사하는 방법이요. 3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편의 글을 쓰게 한다.
교사: 읽은 내용 중에 새로 알게 된 것을 이야기해 보세요.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 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는지 확인하게 한다.

제1과 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2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1 2015-12-11 오후 7:37:23


• 편지를 받는 사람에 따라 적절한 높임법을 바로 썼는지
주의해서 다시 확인하게 한다. 문화
4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어 보게 한다.
개요
5 편지를 받을 사람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보도록 한다.
1. 나라마다 다른 문화가 나타나는 배경에 대해 생각해
보기

2. ‘다르다’, ‘틀리다’는 단어를 통해 문화 차이를 받아들이


단원 마무리 는 태도에 대해 생각해 보기

개요

1. 문화 차이에 대한 내용을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 ⾩㔪 틀려요? 아니요. 달라요!

을 했음을 상기시키기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㓟ⲳㆿケⷖ㍉㈹〃ろ⻇ㆿⱰ⸧㉖㇊ㄜ⻢Ɒⵠ㉈ⵠⰽ㊑ⲘⲄ⹠㈷⾚ㆮ ⷖⲂ㈊
ⰽ㉒ⷭⳑ⻟⸗ⱌ㈶㋔⾘㈷㍉㈹⽄ⵣケㆧ㉊ㆿⱰ㓟ⷭ⽵゙ⷿ⿐㈶ⷻ㔞㓝Ⳝⰽㄎ
㈍Ⱪ㉈ⷭケㆧ㉊ㆿⱰⵠ㉈⼲⾙ⷖⷭⱡⵠⱽ㔑㇇〖⼲⾙ⷖⱩ㈶ⶀ⾕ろ㉷㉊㋔⾘
㉈⻃ケ ⳑ⻟ ㋔⾘㈷ 㓝ⷖ ろ⻇㈷ ⾕⻸㓝ⷭⲉ ィⰾ㓟ⷭ 㓟ⲳ㉊㈶ ゙ⷿ⿐㉃ ⵠ㉈⼲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ㆋ㆒㈷⹷ⳑろ⻇ㆿⱰⱣⶐヺ㉒ⷖㆰㆮ⼲ⱽ㉾㓠ヺ㉒ⷭ㋉ⵠ ⷭⵠ㉈ⰽ⽅


ⷭ⽵ Îㆮ⹢ ⰽダ㈂"Ïⵠ Îㆮ⹢ ⰽㄬⷣ⳨"Ï⻼ ⵠ㓝ⲉ ⵠ㉈ⰽ ⱌⱡⵠ ㆮ⼺ⷭ⽵ Îㆮ⹢
1. 국가를 소개하고 세계의 문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까? ⰽ"ÏÎㆮ⹢ⰽⷣ"Ï⹠㈴⻼⽇㉈ⷲ⻃㋒ⷭ⿇⽇㈷ㅃ⸧㊛㈷ろ㉈ㆿ㊒⸅⽇㈷ㅴⷭ
2. 국가를 소개하고 세계정세를 설명하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ろ㉈ⰽㆮ゜㓦㋔ヺ㉒ⲉ⿇ⷿ⻼㊒⸅⽇㈷ㅃ㆟㓝ⷖろ⻇ㆿⱰ⿇⽇⻼㉈㆟Ⳝ⼲
㓝⽵㏽ㄩ⻸⼲㉶㋐⼯ⷖⱩ㉈Ⳝ⹷⾘㉈ⷭ
㓟㒝ⷭ⼱ⵠ⻃ろ⻇⹛㉃㓮⸱㊹ㆿ㓟ⲳろ⻇㉈》㈷⹷㉈㓦㓝Ⳝ㕧⹙Ⱪ⹛⸧㉒
ⷭ㇗⼲⹛ㆮⷭⱌ㉈ㄦろ⼲㓝ⲉⵠケ⸱㉸⳨㋐㉋㉋㉈ダㆮ㉖Ⳝⰽㄥ㐄㈹ㄦⱆ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㓝ⷖ⽼ㄢ㈷ ⽵㉊㉾⽟⼺ㆸⷭⷖィⰾ㉈⹛Ⳝ⸧㓠Ⱪ㉈ⷭⳑ⻟⸗ⳑ⹛ㆿ

지 확인해 보게 한다. Ɒⷖ㉈Ɒ㉊㉾⽟⼺ㆸⷖ㓮⸱


㉈ ㆆⷣ⻃ ⰾ㉖ ⽠㈶ ㈹ㄦ ⱆ 나이가 어떻게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 ⰾ㉖ ㋐〚㓝ⷖ Ìⷻ㇊㓟Í 㓮 되세요?
⸱㉈ⷭ

예 이번 단원에서는 나라마다 다른 문화 차이에 대해 공부했어요. 문


화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예들은 무엇인지, 이러한 문화 차이가 ㉾⽇ィⰾⲖ⾘㔙ⰽ⽅㉈ⷭ⼯㋐ㆊ㈶ⰽ"

나타나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 배웠어요. 문화권에 따라 다른 문화 ㉈⻠⹷㈊⼺ⷖÎ⾘㔙ⰽ㑢⻯Ï⻃ⲉ㓝㋐⽇ⲉÎ⾘㔙ⰽⷲ⻃Ï⻃ⲉ㓦㆟㓟ⷭÌⷭ⼯


ⷭÍⷖÌ〹ⲭⰽ⸹ⷖ⹀゙ⷿ㉈ケ⻼ⱌ㋐ㆆⷣ㓝ⷭÍ⻃ⷖ⺶㉈ⲉÌ㑢⼺ⷭÍⷖÌツ㉈ⵠろ
차이도 공부했고, 자신이 경험한 문화 차이에 대해 소개하고 자기
나라의 독특한 문화 차이를 소개하는 글도 써 보았어요. 1 먼저, 문화의 제목을 읽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생각해 보게
한다.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2 한국의 문화와 다른 나라의 문화가 무엇이 있는지 왜 그런 문
화가 나타났는지 위의 두 문단을 함께 읽어 본다.
예 여러분은 문화 차이 경험과 문화 차이가 있는 문화권에 대해 설명 • 이때 교사는 이런 문화를 경험해 본 적이 있는지 그때 어
할 수 있어요? 떤 느낌이 들었는지 자유롭게 이야기해 볼 수 있게 한다.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 내용을 읽고 이런 문화 차이가 나타난 것을 이해할 수 있
는지, 자기 나라와 다른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질문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하고 생각해 보게 한다.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3 마지막 문단을 읽으며 문화 차이를 받아들이는 자세에 대해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생각해 보게 한다.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 내용을 읽고 자신은 다른 문화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고 있는지 생각해 보고 친구와 생각을 나누게 한다.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 문화 차이를 인정하고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방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어 보게 한다.
권한다.
3 응용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1. ‘다르다’와 ‘틀리다’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들어 보게 할 수 있다.

2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2 2015-12-11 오후 7:37:24


┃모음(母音, Vowels)┃
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교육 목표
자신의 국가를 소개할 수 있다.
세계의 여러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국경 없는 의사회’와 나라 소개 듣고 이해하기 • -(으)ㄴ지/ㄹ지
• 나라 소개하는 질문 만들고 맞히기 • 의 영향으로
• 나라를 소개하는 표 읽고 이해하기
• 세계 뉴스를 소개하는 글쓰기 3. 어휘
• 국가 소개, 세계정세 관련 표현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네팔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25분
• 나라를 소개하는 문제 만들고 맞히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 <워크북> 활동 30분
• 세계 뉴스를 소개하는 글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2과 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2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3 2015-12-11 오후 7:37:25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도입 • 이 단원에서는 국가를 소개하고 세계의 여러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활동을 하게 될 것임을 알려 준다.
개요
예 여러분은 세계 문제에 관심이 있어요? 이번 단원에서는 세계의 다
1. 교재 21쪽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른 나라들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고 세계 다른 나라들은 어떤 문
제가 있는지 이야기해 볼 거예요.
2. 어떤 사진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예 요즘 세계적으로 가장 큰 사건은 뭐예요? 어느 나라에서 일어난


거예요?

2과

학습 목표
㉧ㄸ㉔Ⳅⱎ⽃ョⱠ㓱ㄋ㉣ⷾ
パⲕ㉔㇘⻮⾩㊑㇐⸐㓷㉙ㆰⳭ㓱ㄋ㉣ⷾ
지금도 세계는 어휘
학습 내용
⾩⿸_ ㉅ ˹㋡˾㋡㉔㇤㔁㉅⼍
꿈틀꿈틀 개요
ㆿ㕓_ⳄⱎョⱠパⲕ㊏パⲩ⼂㓄㔕

1.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세계를 설명하는 표현에 대해 확


인하고 학습하기

2.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국가를 소개하는 표현에 대해


확인하고 학습하기

ㆺ㕎

세계를 설명하는 표현입니다. 아는 것에 표를 해 보십시오.


࿬གྷ઀ኊ
ඪ້஑ 남반구 북반구 동양 서양
1. 위 사진은 어느 지역에서 일어난 일입니까? 지구촌 세계화 다문화
2. 어떤 사건인지 아는 대로 이야기해 봅시다.

࿝૵ౘ୫པྸᄪቻ
࿧࿉ഈ࿟ੇ୫ჼຏ஼୫
്ဦ࿋

1 학생들에게 교재의 사진을 보게 한다.


• 교재의 사진을 보면서 세계의 여러 나라와 사건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2 사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세계정세에 대
해 도입한다.
1. 세계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어휘를 학습한다.
예 사진을 보세요.
무슨 사진이에요? 1 1)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세계에 대한 배경지식을 활
어떤 나라의 어떤 사건에 관한 사진인지 알아요? 성화하고 세계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어휘를 확인한다.
① 알고 있는 어휘가 무엇인지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참고 사진 설명(위 왼쪽부터 시계 방향)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 미국 911테러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266대 교황(프란치스코, 아르헨티나 출신)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 중국 70주년 전승절 기념 열병식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 시리아 내전 하면 지도를 활용할 수도 있다.
2 세계의 모습을 설명하는 표현을 알고 있는지 질문한다.

2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4 2015-12-11 오후 7:37:25


예 예전과 다르게 요즘에는 세계가 많이 가까워졌어요. 이렇게 가까 본문
워진 세계를 표현하는 말로 뭐가 있을까요?
개요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1. 목표: 네팔에 대해 대화하기
※ 주의사항
여기에서는 내용적 접근이나 정보를 주는 것보다는 어휘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의 개념,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대화 연습하기
참고 어휘 설명
• 지구촌: 지구 전체를 한 마을처럼 여겨 이르는 말
예 우리나라 기업들이 지구촌 곳곳에 진출하여 한국을 세계에 알
⸋㔥
리고 있다.
• 세계화: 세계 여러 나라를 이해하고 받아들임. 또는 그렇게 되게 함.
예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한국 사람들부터 한식에 대해서 제

대로, 올바르게 알아야 한다.


• 다문화: 한 사회 안에 여러 민족이나 여러 국가의 문화가 혼재하는
것을 이르는 말
예 한국도 이제는 다양한 민족이 함께 사는 다문화 사회가 되었다.

국가를 소개할 때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아래 표현을 확인해 보십시오.

04
위치 면적 인구 수도
여자: ウ㍳㇘㓿ⷾ⶧㇯メⷾⲚ⹬㇋ⷧ⸨ㆿ⹳㇐ⱙⷾ㇯ㄸⱲ㇨㈓"
인종 민족 언어 종교
⵹㉧ ㉍⶞㒉㇐ⱙⷾ㈃ㆿ㔜⵱ⷧ⶞㒉㇐ⱎ〔㊈㉣ⷴ"
정부 형태 역사 ㇘㉧ ⶞㒉㈓"㆗㋢ⱎ】㋡⾕㓾ㆿ㈓Ⳣ⻠⸸㓰⿳⴩ⱎ】Ⲛㅀ㇋⸝⵱⻔㇨㈓ⱲⳭ㇐
㇐⿼⻸ㄭ㑯ァ㉙㉣ⷧⱺ⽟㋡㈓"
⵹㉧ ⽟㆗㕴⽘⻔ㆰ⻔Ⲛパⲕ㇐ヂⱎ㉲㐎ァ⽣㉙㉣ⷧ⵱⻔㋡Ⳣ⻠ヂ㊉パⲕ⹱ァⱡ⹬
⸸⽖㉙㍊ⷧⲤ㉙ㆰ
㇘㉧ ウ㍳㉇㉙⿳㇐⶞㒉㇐㍚㉊ⱎㄸⱲ㇨㈓"
2. 국가를 소개할 때 사용하는 어휘를 학습한다. ⵹㉧ ㆗ⷴウ㍳㉙⶞㒉㉙⻔ⷧ⵱⻔⽃㍅㊬㆗㓮Ⱳ⹪Ⳣ⻠ヂ㇘⻮⿳ⱙ㇋ㆿⶑ⶞㒉㇐
㐎㋡㋣㉙⵼⸝ⱺ㉇㆗ⷴ"
1 2)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국가 소개에 대한 배경지식 ㇘㉧ ㆗⶞⹬㉇㊈㉣ㆿ㈓㋡⳨㉇ⲱ㍃㆗㈓"
⵹㉧ ㉍⽖㉙㔵〒⹊⳯㓾ⷧ⸨㆗⽄ⷾ㈝⾩㔪㈼ァ㉙㋡㋣⺈⾩㇐⾦ⶑ㋣ⱺ㉈】ⷴ㇄⽓
을 활성화하고 국가를 소개할 때 사용하는 어휘를 확인한다. ⵱⽓㉊㉙㆗㓡㋡⾍⽀ⲇ⸚⻔

① 알고 있는 어휘가 무엇인지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 7 9㇐ヂ〔㊈㉙㉣ⷧ⸨ⳢⲤゞ⻘⹬㉇㕶⹑Ⲿ⽃⿊ⷧⷾ⾆ヂ㈓"Ⳣ⻠ヂ⾩㔪㈼ァ⸸


⸐〧〩㊩Ⲿㇼⲩ⼂⹋Ⱳ⻔Ⲛ㓮⸝⸨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Ⲿ㉔㇤㔁㉅⼍Ⳣ⻷ⲁㄍㄋ㓮ⲁゞⷧⱴ㋡⸸⾍⽀ⲇⷾ㉙⿳㇐ⱙ㉈⺈⸸㐎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ゞⲚ⽃ⲋⲚ⸸㇁㊑⵱㈣㉊㉈㉟㋡㆛Ⲛゞⷧ⾍ㄳ㇐ⷾㄶ㓰⿳ⱕ⹂㉈⿙ㆣㆿ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23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2과_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다.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하면 학습자의 국가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도 있다. 1 네팔이란 나라에 대해 알고 있는지 질문하며 대화 내용을 도
입한다.
2 학습자의 나라를 소개할 때 무엇에 대해 소개할지 질문한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예 여러분 나라를 소개한다면 무엇에 대해 말할 거예요?
예 교사: 네팔이라는 나라에 대해 알고 있어요? 아는 대로 이야기해
OO(학습자 나라 이름)은 어디에 위치해 있어요?
보세요.
학생: 히말라야가 있는 곳이에요.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예 지금부터 두 사람의 대화를 들을 거예요. 삼촌과 조카의 대화예


요. 삼촌이 네팔이라는 곳을 갔다 왔는데 이곳은 어떤 특징이 있
는지 잘 들어 보세요.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제2과 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2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5 2015-12-11 오후 7:37:26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어휘 더 배우기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3 개요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예 삼촌은 네팔에 왜 갔어요?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네팔에 처음 갔어요?
네팔은 어떤 곳이에요? 들은 것을 이야기해 보세요.

• 대화 듣기에서는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한 도입으로 대화


ㆺ㕎⸕⿞㈖⳨
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파
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국가를 소개할 때 필요한 정치 제도와 종교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정치 제도
한다.
민주주의 대통령제 왕정, 군주제 의원내각제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독재 자본주의 공산주의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종교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 천주교(가톨릭교)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유대교 힌두교 무교
본다.

응용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볼 수
있다.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세계의 나라들은 크고 작은 분쟁을 겪고 있습니다. 주로 무엇 때문에 분쟁이 일어날까요?
아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 보십시오.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세계 문제

전쟁 분쟁 내전 냉전, 휴전
참고 네팔(Nepal)
자연재해 경제난, 식량난 빈부 격차 인권 문제
• 언어: 네팔어 문맹 질병 핵 문제 난민

면적: 147,181㎢ 세계94위


인구: 약 30,986,975명 세계41위
GDP: 217억$ 세계103위 어휘 1
수도: 카트만두
종교: 힌두교 87%, 불교 8%, 이슬람교 4% 1 준비
• 참고: 두산백과_네팔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6465&cid=4 • 네팔의 종교에 대해 질문하면서 종교를 나타내는 말에 집
0942&categoryId=34034) 중하도록 유도한다.

예 교사: 삼촌이 네팔 사람들은 언제나 웃는 얼굴이라고 하면서 종교


의 영향이라고 했어요. 어떤 종교인지 들었어요?
학생: 힌두교?
교사: 네, 맞아요. 네팔은 힌두교의 영향이 큰 나라예요.

② 교사는 ‘힌두교’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나라의 특


징을 설명하는 표현을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2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6 2015-12-11 오후 7:37:28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관련 사진 자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료, 또는 대표적인 나라의 예를 들면서 의미를 제시할 수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있다.
④ 각 표현을 대표하는 나라의 예를 들어 보게 한다. 참고 어휘 설명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각 표현에 맞는 나라 • 전쟁(戰爭): 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交戰)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
의 예는 무엇인지 생각하고 서로 소개하게 한다. 용하여 싸움
• 제시된 그림을 보고 어느 종교를 나타내는 그림인지 이야 국가 단체가 아닌 국내에서의 싸움이나 전쟁보다 작은 규모의 싸
기해 보게 한다. 움은 분쟁이라고 부른다.
• 문맹(文盲): 배우지 못하여 글을 읽거나 쓸 줄을 모름. 또는 그런
참고 어휘 설명 사람.
• [정치] 민주주의(民主主義):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 • 난민(refugee, 難民): 인종, 종교 또는 정치적, 사상적 차이로 인한
로 행사하는 제도 또는 그런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 기본적 인권, 박해를 피해 외국이나 다른 지방으로 탈출하는 사람들.
자유권, 평등권, 다수결의 원리, 법치주의 따위를 그 기본 원리로
한다.
• [정치] 독재정치(獨裁政治): 민주적인 절차를 부정하고 통치자의 응용
독단으로 행하는 정치.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 [사회, 경제] 자본주의(資本主義): 생산 수단을 자본으로서 소유한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자본가가 이윤 획득을 위하여 생산 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
• [사회, 경제] 공산주의(共産主義): 마르크스와 레닌에 의하여 체계
화된 프롤레타리아 혁명 이론에 입각한 사상. 재산의 공동 소유가
옳다고 주장하며 생산 수단의 사회화와 무계급 사회를 지향한다.
• 군주제: 왕이 있는 국가는 군주제라고 하는데 왕이 실제로 권력을 문법
가지고 그 나라를 다스릴 경우를 절대군주제라고 하고, 권력은 없
고 상징적인 존재인 경우를 입헌군주제라고 한다.
개요
• 공화제: 왕이 아니라 국민의 뜻에 따라 뽑힌 여러 명의 대표가 정
치를 하는 나라를 공화제라고 한다. 공화제는 정부 형태에 따라
대통령제, 의원내각제로 나눌 수 있다.
1. ‘-(으)ㄴ지/ㄹ지’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 대통령제: 우리나라나 미국처럼 대통령이 정부의 대표가 되는 2. ‘의 영향으로’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제도
- 의원내각제: 국회의 다수당이 정권을 잡는 것인데 영국이 대표적
1. 문법1 -(으)ㄴ지/ㄹ지
2. 어휘 2
⾤⿳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 대화에서 네팔이 최근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지 질문하면 -(으)ㄴ지/ㄹ지

서 세계 국가가 겪는 문제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예문 이 사건의 원인이 무엇인지 조사해서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 시간이나 기다렸는데 앞으로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예 교사: 대화에서 네팔은 최근 어떤 문제가 있었다고 했어요?


학생: 지진이 발생해서 문화유산이 무너졌다고 했어요.
교사: 그래요. 지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이 일으킨 문제를 뭐라 1 준비
고 하지요? ① 세계의 여러 문제를 통해 ‘-(으)ㄴ지/ㄹ지’를 도입한다.
학생: 자연재해라고 해요. • 대화를 통해서 ‘-(으)ㄴ지/ㄹ지’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② 교사는 ‘자연재해’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세계 문
제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예 교사: 대화에서 삼촌은 지진 때문에 무너진 네팔의 모습을 보고
2 설명 어떻다고 했어요?
학생: 마음이 많이 아프다고 했어요.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교사: 네, ‘얼마나 마음이 아픈지 모르겠다’고 했지요.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으)ㄴ지/ㄹ지’가 어떤 의미일지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2 설명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정확하지는 않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관련 사진 자료 지만 막연한 의문을 말할 때 ‘-(으)ㄴ지/ㄹ지’를 사용할 수
를 제시하면서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제2과 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2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7 2015-12-11 오후 7:37:30


있음을 설명한다.
② ‘-(으)ㄴ지/ㄹ지’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3) 막연한 이유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으)ㄴ지/ㄹ지’가 어떤 의미인지 생 - 뒤의 내용에 대한 막연한 이유나 상황을 나타낼 때 쓰인다.
예 감기 때문인지 계속 잠이 온다.
각해 보게 한다.
얼마나 많은 비가 올지 하늘이 흐리다.

이 사건의 원인이 무엇인지 조사해서 알려 드리도록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하겠습니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한 시간이나 기다렸는데 앞으로 얼마나 더 기다려야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할지 모르겠습니다. 3 연습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으)ㄴ/ㄹ지’의 의미, 형태, 화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용을 설명한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문법 설명 -(으)ㄴ지/ㄹ지
⇨ <연습>의 정답
의미: ‘-(으)ㄴ지/ㄹ지’는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1) 시작했는지 2) 어떻게 되는지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인다.

교사는 다음과 같이 ‘-(으)ㄴ지/ㄹ지’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 응용


해 줄 수 있다.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예 두 번째 문장을 보세요. 이 사람은 지금 많이 기다렸어요. 한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시간이나 기다렸어요. 그런데 ‘언제까지 기다려야 해요.’를 알
아요? 잘 몰라요. 이처럼 막연한 의문(정확하지 않은 질문, 의
문 등)을 말할 때 ‘-(으)ㄴ지/ㄹ지’를 사용해요. 2. 문법2 의 영향으로

의미를 세분화(아래 ‘참고’의 설명)하여 설명하면 학생들이 혼란   ㇁㊑〧㐰㉙㊩Ⲿ⽃⿊Ⳮ ト⾊㓮ⲇㄳⷴⷾ ㄶ㉨㓮ⷾ


스러울 수 있으니 단순화한 설명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Ⳣ⵱⻔㉔⾆㊈㉙ ㊡ゞ㓷㇯パ㈓ ㆿ⺜ⲁ⹊ⷾ

예 “우리 수업이 언제 끝나요?” “알아요?” 이 두 문장을 한 문장


의 영향으로
으로 연결해 말하고 싶어요. 그럴 때 “수업이 언제 끝나는지
알아요?”처럼 ‘-(으)ㄴ지/ㄹ지’를 사용해요. 예문 이웃 나라의 영향으로 이 나라도 여성의 자유가 많아지고 있다.
우리는 지방 출신인 부모님의 영향으로 표준어보다 사투리가 익숙하다.

형태: 동사, 형용사, 명사와 결합하여 사용하며 앞 문장의   ㆿ⽍ㄶ㊊〧㐰⿙㉇ ㄶⱐ㉙⵶⺈ⷾ⽓㍌㉝ⷧ


ㄳⲩ㉙ゴⲒⷾ Ⲿ㈽
시제에 따라 결합 형태가 달라진다.
 Ⳣ
 ⵱⻔㇐ヂⷧ ㇯⻠㊉〧㐰ョⲚⳭ⽃⽱㋡㆛Ⲛ
현재형: 동사+-는지, 형용사+-(으)ㄴ지, 명사+(이) ㉣ㄳⷴⷾ ㊩Ⲿ

ㄴ지
과거형: 동사, 형용사+-았/었는지, 명사+이었는지/였
ߵඋ֊#්۟
는지 다음 나라 중 하나를 선택해 보기 와 같이 간단히 말해 보십시오.
미래, 추측형: 동사+-(으)ㄹ지, 형용사+-(으)ㄹ지, 명
사+(이)ㄹ지 ㎪⻸ ㇁ㆿㄭ㒥㉛ㆿ ㊩Ⲿⱎ㑊⽌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된다.


Ⳮ㕁Ⲛㇱⷾㄳ
㎴】⹳㆗ ㊩Ⲿ〫Ⲿ
㇜⸐⾐ㄍⳭ㕁

참고 ‘-(으)ㄴ지/ㄹ지’
• ‘-(으)ㄴ지/ㄹ지’의 용법을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1 준비
(1) 막연한 의문 ① 국가를 소개하며 ‘의 영향으로’를 도입한다.
- 의문이 나는 사항에 ‘-(으)ㄴ지/ㄹ지’를 사용한다. • 대화를 통해서 ‘의 영향으로’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
- ‘알다, 모르다, 말하다, 알아보다, 물어보다, 조사하다, 확인하다’ 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류의 단어가 뒤에 자주 사용된다.
- 의문사와 함께 쓰이거나, A인지 아닌지, A인지 B인지 형태로 주로 예 교사: 대화에서 네팔 사람들은 어려운 일을 겪었어도 웃음을 잃지
쓰인다. 않고 순수하게 산다고 했어요. 그렇게 살 수 있는 것은 무엇
예 그런 일이 왜 일어났는지 조사해 봐야겠다. 때문이라고 했어요?
저 여자가 한국 사람일지 아닐지 어떻게 알아요? 학생: 종교, 힌두교 때문이라고 했어요.
아침에 먹는 게 좋은지 점심에 먹는 게 좋은지 약사에게 물어 교사: 그래요. 힌두교의 영향으로 순수한 것 같다고 했어요.
보세요.
(2) 강조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의 영향으로’가 어떤 의미일지 질
- ‘얼마나’와 함께 쓰여 앞선 상황이 상당함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예 얼마나 고마운지 말로 표현이 안 된다.

2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8 2015-12-11 오후 7:37:31


2 설명 를 골라 문법을 사용하여 나라를 소개하는 연습임을 설명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일의 효과 한다.
나 작용이 미치는 것을 말할 때 ‘의 영향으로’를 사용할 수 • 짝활동으로 내용을 만들어 말해 보도록 한다.
있음을 설명한다.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② ‘의 영향으로’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의 영향으로’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
해 보게 한다.

이웃 나라의 영향으로 이 나라도 여성의 자유가 많아 듣고 말하기


지고 있다.
개요
우리는 지방 출신인 부모님의 영향으로 표준어보다 사
투리가 익숙하다.
1. 듣기: ‘국경 없는 의사회’에 대한 대화 듣기, 나라를 소
개하는 스무고개 듣기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의 영향으로’의 의미, 형태, 화
용을 설명한다. 2. 말하기: 나라 소개하는 질문 만들고 맞히기

문법 설명 의 영향으로 ⹦ⲕ⽓㓩⳨

의미: ‘의 영향으로’는 앞 명사의 효과나 작용이 뒤의 상황에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05
 어떤 단체에 대한 이야기입니까? 단체 이름을 써 보십시오.
영향을 주었음을 말할 때 쓰인다.

교사는 다음과 같이 ‘의 영향으로’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해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줄 수 있다. Dz㉙⸁㍣ⷧⶩ㇐パ㈥㊞ⷾ ( )
dz㉙⸁㍣ⷧ㊏㎦㊈㉙㋡㆛㉇㉧㇛㉴㓷㓦㓷⽕㉈⹀Ⲛ㉣ⷾ ( )
예 김 선생님의 한국어는 사투리가 있어요. 한국의 부산 사투리
인데 김 선생님은 한국 부산이 아니라 이 나라에서 태어나고
1. ‘국경 없는 의사회’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자랐는데 부산 사투리를 써요. 왜 그럴까요? 부산이 고향인
부모님 때문이지요. 이럴 때 부모님의 영향으로라고 할 수 있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06

어요. 이렇게 어떤 상황이 다른 것의 영향을 받아 나타났음을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말할 때 ‘의 영향으로’를 사용해요.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형태: 명사에 붙어 사용한다. 어떤 단체에 대한 이야기일까요?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되고 개인적이고 사적인 내
용보다는 공적이고 격식적인 내용을 말할 때 주로 사
2 시디를 들려준다.
용한다.
• ‘국경 없는 의사회’의 후원금 모집을 하며 단체를 소개하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는 대화이다. 단체의 이름과 단체의 성격에 집중하여 듣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게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3 연습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예 교사: 단체 이름을 들었어요?
⇨ <연습>의 정답 학생: 네. 들었는데. 무슨 의사회라고 했어요.
1) 교육의 영향으로 2) 종교의 영향으로 교사: 네, 정확한 이름은 국경 없는 의사회예요. 이 단체에 대해
알고 있어요? 어떤 일을 한다고 했어요?
학생: 의료 활동을 한다고 했어요.
응용
교사: 지진이나 홍수 같은 자연재해 피해 지역에서만 구호 활동을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한다고 했어요?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학생: 아니에요. 전쟁을 겪은 곳도 간다고 했어요.
교사: 네, 전쟁, 질병, 자연재해 등 의료 지원이 필요한 곳은 어디
4 말하기 연습 든지 간다고 했어요. 그런데 1999년에 세워졌다고 했어요?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학생: 아니요. 1999년에는 노벨상을 받았다고 했어요.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제시된 나라 중 하나

제2과 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2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29 2015-12-11 오후 7:37:32


05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 1 의 정답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1) 국경 없는 의사회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2) ❶ × ❷ ×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06

 정답은 무엇입니까?
3 여러분이 알고 있는 나라에 대해 문제를 내 봅시다. 스무고개 형식으로 질문을 만들고 친구
와 게임을 해 보십시오.

 어떤 나라에 대해 문제를 만들지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그 나라에 대한 정보를 모아 보십시오.

 다시 들으면서 이 나라에 대해 알게 된 정보를 메모해 보십시오. Ⳅⱎ⾊

2. 다른 나라를 소개하는 스무고개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


다.
 모은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순서로 질문을 할지 생각해 보십시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3. 다른 나라에 대해 묻고 답하는 말하기 활동을 한다.
예 여러분 ‘스무고개’라는 게임에 대해 알아요? 어떤 것에 대해 질문 1 듣기 2처럼 세계의 다른 나라에 대해 스무고개를 진행해 보
을 하는데 한 번에 하나의 정보만 알려 주는 거예요. 처음에는 좀 자고 하면서 말하기 활동을 도입한다.
어려운 내용을, 점점 쉬운 내용을 알려 주는데 보통 질문이 20개
정도여서 스무고개라고 해요. 2 각자 한 나라씩을 선택해 질문을 만들게 한다.
• 먼저 나라를 정하고, 그 나라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게 한
2 시디를 들려준다. 다. 학습자 수준에 따라 두세 명이 한 팀이 되어 팀별로 준
• 어떤 나라에 대한 스무고개를 하는 듣기이다. 어떤 나라인 비를 하게 할 수도 있다.
지 나라에 대한 정보에 집중하여 듣게 한다. • 많은 정보 중 20개를 선택해 문장으로 만든다. 만든 문장
• 들려줄 때 질문마다 끊어서 들려주고 생각한 시간을 준 은 질문 형태로 고쳐 보게 한다. 교사는 이때 학생들이 질
뒤 다음 질문을 들려줄 수 있다. 문 형태를 잘 만들도록 도와준다. 서로 옆 사람의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를 준다.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 어려운 것부터 쉬운 것 순서로 질문의 순서를 배열해 보게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3 한 사람씩 돌아가며 스무고개를 출제하고 다른 학생들은 답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을 맞히도록 한다.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교사는 이때 질문이나 대답이 게임을 진행하는 데 문제가
없도록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다.
예 교사: 나라 이름을 알았어요?
4 활동이 끝나면 질문을 다시 확인하면서 놓친 부분이 없도록
학생: 네, 알았어요. 시리아예요.
교사: 언제 알았어요? 정리해 준다.
학생: 중동의 다른 나라 이름들을 듣고 알았어요.
교사: 네, 요즘 중동에서 가장 뉴스에 많이 나오는 나라이지요. 수
도가 어디라고 했어요?
학생: 다마스쿠스라고 했어요.
교사: 또 들은 게 뭐가 있어요? 읽고 쓰기
학생: 이슬람교이고 아랍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한다고 했어요.
개요
⇨ 2 의 정답
1. 읽기: 나라를 소개하는 표 읽기
1) 시리아
2) 중동에 위치, 공용어는 아랍어, 프랑스어도 사용, 민족 구성 2. 쓰기: 세계의 뉴스를 소개하는 글쓰기
은 아랍인이 90%, 쿠르드 족 등 기타 민족이 약 10%. 면적은
185,180 km2, 한반도보다 조금 작음. 주변 국가로는 터키, 이
라크, 요르단 등, 기후는 아열대성 사막 기후, 겨울에 비가 많이
옴. 종교는 이슬람교, 유프라데스 강이 있음. 고대 문명 발상지,
수도는 다마스쿠스

3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0 2015-12-11 오후 7:37:34


⇨ ‘문제 2’의 정답:
㉘ⲕㅾ⳨
1) A 싱가포르, B 캐나다
1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2) ❶ × ❷○ ❸○
$ Ⳅ⾊ %

⹂⵹㆗㊈⸸ⳤ㍚ ㈴㎦ ⿇㋁⸐⼹〨〧

ㆱNP ヂ㈞ㄶ㉔⿣ ⾆㊈ NP ⵹㓰⾆㊈㉔⿣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ハ Ⳮ㕁 ㇱ⸐⸐⼹ハ㓷ㆸハ㓰⸐ハ
준다.
ㄿⱎ㒸⽀ ㄋ⸸ ㇯㐛ㇼ

⾊ ㉛ⳃ ⽕⾊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Ⳅⲕ  ⽘⻸㉙ⲕ  
⿉㊢
㇤Ⳅⲕ  㓠⻜ㄭⲕ  Ⳮ㐛㈼⻳
Ⳅⱎ  ㈧㋁⿉  Ⳮ㐛㆗ㄶ㆙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㉛⸸ⲕ  Ⳮ㐛 
㕣㉛㆗⻙ⲕ  Ⳮ㐛㔢㔖 
휘를 다룰 때는 ‘불어, 독립’과 같이 내용 이해에 핵심적인
㇤ㆿ㋊Ⳅㆿ⽘⻸㉙ㆿ㐛⿋ㆿ⹱ ⲥ㈚ㆿ ㇤ㆿ⿒〫ㆿ 
Ⱡⲥ㈚ㆿ
㇁ㆿ
Ⳮ㐛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해에 핵
〫Ⲿ  Ⳮ⸹Ⲿ  ㉙㄰⻘Ⲿ
 ⸸Ⲿ  㕶⹑Ⲿ   ㊩Ⲿ
ⱎ㑊⽌  Ⳮ⸹Ⲿ  ㉙㄰⻘Ⲿ
 Ⳣ⽋ㄭ㊏Ⲿ  ㈼⸐Ⲿ  
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지나치
Ⳮ㐛  ⾦Ⲿ  Ⳮ㐛  ⾦Ⲿ  
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음 기회
ⶂⱏ㍌㉠㊑ ㊏〧㔛㐥 ⶂⱏ㍌㉠㊑

ⶩ㈨㉜ ⽘⻸㉙ㄶ㆗㇛⿡㇐ヂ
ⱴⳄ ⸹⽐ ㉜ ⶩ㈨㉜ ㇤Ⳅ㉅⼍〧㐰⸹⽐
로 넘긴다.
〩⽋⸹⽐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A와 B에 들어갈 국가 이름을 넣어 보십시오.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Dz $ ⵱⻔ⷧ⸐㑎⼈㉙㍽Ⲛ㍌㉠㉧㉙ⷾ ( )
좋다.
dz $ ㇼ % ⵱⻔⾍⹑㇤ㆿ⽃ゞ㈚㓰ⷾ ( )

1. 글의 형식을 보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물으면서 도입한다.


• 글의 형식을 보고 글의 내용을 추측해 볼 수 있게 한다.
2 세계의 여러 뉴스 중 하나를 선택해 이를 소개하는 글을 써 봅시다.

예 여러분 28쪽을 보세요. 정보가 많은데 무엇에 대한 것 같아요? 맞  어떤 뉴스에 대해 소개할지 생각해 봅시다.

아요. 나라를 소개하는 표예요. 제일 위를 보세요. 국명이라고 나  선택한 뉴스에 대해 간단하게 메모해 보십시오.

와 있지요? 국명은 나라 이름을 말해요. Āㆿⷥ⵱⻔㇐⸐㓰⷟ㄭ㉡ⷴ⳹"

2. 표를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Ā⾦ㄯ㉜㉙㉣㇋ㄳⷴ⳹"

1 지문을 읽고 무엇에 집중하여 글을 읽을지 생각해 보게 한다. ĀⲎⲧⱎㆿ⺜ⲁ⹊㇋ㄳⷴ⳹"

• 지문을 먼저 읽고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


다.  위의 내용을 포함해서 뉴스를 소개하는 간단한 글을 써 봅시다.

• 필요한 정보를 빨리 찾는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읽도록


알려 준다.
2 표를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록 한다.
• 표를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O표를 하게 한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2. 세계의 여러 뉴스 중 하나를 선택해 소개하는 글을 쓰는 활동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을 한다.
• 이 활동은 사전이나 인터넷으로 확인하지 말고 추측하면
서 읽어 보게 한다. 1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건에 대해 소개하는 글을 쓴다는
3 것을 알려 준다.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2 지시문을 함께 읽고 글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3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예 교사: A와 B는 어느 나라예요?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 A는 싱가포르가 확실해요. 수도가 싱가포르라고 나왔어요.
4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편의 글을 쓰게 한다.
교사: 그래요. 싱가포르는 도시 국가로 수도 이름도 싱가포르예
요. 그럼 B는 어느 나라 같아요?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 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학생: 미국 아니면 캐나다 같아요. 는지 확인하게 한다.
교사: 미국은 정부 형태가 어떻게 돼요? 5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거나 발표하게 한다.
학생: 대통령제예요. 아, 그럼 캐나다가 맞네요.
• 글에 그림이나 사진을 붙여서 교실 벽이나 게시판에 게시
해 줄 수 있다.
6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제2과 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3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1 2015-12-11 오후 7:37:36


• 먼저 글의 내용, 텍스트의 형식적 특성에 맞는 글의 구성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에 집중해 피드백을 해 준다.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 그 다음에 맞춤법이나 잘못 쓴 어휘나 문법에 대한 피드백 권한다.
을 해 주도록 한다. 3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응용
1. 워크북 <활동>에서 ‘내가 바라는 세계의 희망 뉴스’에 관한 활동을
해 본다.
2. 세계의 여러 문제 중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생각
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생각하고 간단히 메모한다. 문화
3. 같은 문제에 대해 친구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의견을 교환할 수
도 있다. 개요
4. 해결 방안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문제가 사라진 순간을 뉴스화하
는 글을 써 본다. 1. 세계 여러 나라의 한국식 이름에 대해서 알기
5. 뉴스 또는 신문 기사 형식을 갖추도록 수정한다.
6. 쓴 내용을 바탕으로 뉴스를 전하는 활동을 덧붙일 수 있다. 2. 신문 기사 제목을 보고 어느 나라에 대한 기사인지 이
야기해보기

단원 마무리 ⾩㔪 세계 여러 나라 국가의 한국식 이름

개요 ㇇⻝〘ⵠ⻃㉃㉈⼳㈷㓟ⲳㄦ㈴⻼㒳㔄㓝⽵ㆮ⺋Ɒ⸻⳨"ㄧ⾘㉈ⵠⷎㄜㆿケㆆ⻏㇫ⱌ㈶ⵠ⻃
㉈⼳㒳Ⳝ⼲〄ヺ㉒ⷭ㒢ブㆿ⽅㉈ろ㈉㓝㋐ㆊ㋐⽄ㆋㆆ⹀⽵㕛⾶⻼㈌㒳㔄㉈⽅㉈㉒ⷭ

1. 세계와 관련된 내용을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1 다음 신문 기사 제목을 보고 어느 나라에 대한 기사인지 이야기해 봅시다.

했음을 상기시키기 ㊹⻝⾶㉋⽎ケ⸱㓦ケⷿⳎ⽼㓣⸱㔲⻱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䇫㊜㍠㈫⻇サケ㓟㉊〖〖Ⲳ㊐

䀸㈦⼺ㆶㇳダベ㒢⾸⾶⹛㐡Ⲗⱽ㔑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2 다음 이름을 읽고 어느 나라인지 이야기해 보십시오.

1. 국가를 소개하고 세계의 문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까? 䛸㞁 㓰Ⳅ 㭳㞁 ⿇Ⳅ 䐖㞁 ㋊Ⳅ  䉄㱙 ㉜〔 


2. 국가를 소개하고 세계정세를 설명하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㲖䛸 〨㓰 䁉㞁 ㇤Ⳅ 㥃䉆 ⸹㉜ 㲫㦚㶓 〫⻖ヂ㓠⻜ㄭ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䇼 ㉙㐞⽋㆗ 䈫 ㉛⸸ 䘢 㐥Ⳅ 

지 확인해 보게 한다.
⵹㆗ⲥ ゞ㈛⹳ ㎰㉧㕢 ㆗㓠ⱐ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예 이번 단원에서는 나라 소개와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 문제에 대 1 문화의 제목을 읽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생각해 보게 한다.
해 공부했어요. 나라를 소개하는 스무고개 게임을 듣고 직접 게임
도 해 보았어요. 그리고 세계적인 뉴스를 정리해서 써 보는 활동도 2 한국에서는 한자 문화권이기 때문에 나라 이름을 한자식 표
했어요. 현으로 쓰기도 함을 설명하고 어떻게 표현되는지 알아보자고
한다.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 먼저, 신문기사 제목을 읽고 어떤 나라에 관한 것인지 이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야기해 보게 한다.
• 1. 중국과 러시아, 미국, 일본, 2. 이탈리아, 3. 영국
예 여러분은 세계의 여러 나라에 대해 소개하고 세계적인 사건에 대
해 말할 수 있어요? 3 나라 이름 표기 형태를 보고 어떤 나라인지 알아보자고 한다.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 먼저 친구와 함께 나라 이름을 하나씩 읽어 보고 아는 나
라가 있으면 설명해 보게 한다.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 짝활동이 끝나면 교사가 하나씩 설명해 준다.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 일상생활에서는 자주 사용하지 않고 뉴스나 신문기사와
2 같은 곳에서만 주로 사용됨을 알려 준다.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 한자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이 있다면 몇 개의 나라 이름
을 직접 써 보게 할 수도 있다.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3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2 2015-12-11 오후 8:10:46


┃모음(母音, Vowels)┃
세상을 바꾼 그날, 그 사건

교육 목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소개할 수 있다.
역사적 사건의 흐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제국에 대한 내용 듣고 이해하기 • -자
• 중요한 역사적 사건 설명하기 • 에 의해
• 연대표 읽고 이해하기
• 자신의 나라의 연대표 만들기 3. 어휘
• 시대 구분, 역사적 사건 관련 표현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8.15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25분
• 중요한 역사적 사건 설명하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 <워크북> 활동 30분
• 자신의 나라의 연대표 만들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3과 세상을 바꾼 그날, 그 사건 3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3 2015-12-11 오후 7:37:38


도입 예 여러분, 세계는 지금까지 많은 역사적 사건을 겪었어요. 세상을
좋은 쪽으로 바꾼 사건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건도 있지요. 이번
개요 단원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사건에 대해 이야기해 볼 거예요.

1. 교재 31쪽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2. 어떤 사진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예 여러분이 생각하는 세상을 바꾼 역사적 사건은 뭐라고 생각해요?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어휘
3과
개요
학습 목표
㋊㈓㓰㇙ゞ㊈ゞⱴ㉈ョⱠ㓱ㄋ㉣ⷾ
세상을 바꾼 1.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시대 구분 표현에 대해 확인하
㇙ゞ㊈ゞⱴ㉔㕢⽄㇐⸐㓷ト⾊㓱ㄋ㉣ⷾ

학습 내용
그날, 그 사건 고 학습하기
⾩⿸_㉧㇐㉔㓷
ㆿ㕓_ㄶ⸐ⳃ〩㇙ゞ㊈ゞⱴⲩ⼂㓄㔕 2.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고대 국가 및 문명, 역사적 사건
에 대해 확인하고 학습하기

ㆺ㕎

역사의 시대 구분에 대한 표현을 배워 봅시다.

기원전 (기원후/서기)

선사 시대 역사 시대 고대 시대 중세 시대

○○ 왕조 ○○ 세기 ○○○○ 년대

࿬གྷ઀ኊ
ඪ້஑ 중국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1. 어떤 사건을 나타내는 사진일까요?
2. 역사적으로 유명한 사건에 대해 이야기해 보세요. 이집트 문명

인더스 문명

1 학생들에게 교재의 사진을 보게 한다.


1. 시대 구분을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 교재의 사진을 보면서 중요한 역사적 사건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1 1)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역사에 대한 배경지식을 활
2 사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역사적 사건에 성화하고 시대 구분에 대한 어휘를 확인한다.
대해 도입한다. ① 알고 있는 시대 구분에 대한 어휘가 무엇인지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예 사진을 보세요.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어떤 사진인지 알아요? 맞아요. 처음 사진은 프랑스 혁명이에요.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두 번째 사진은 아폴로 13호의 달 착륙 사진이고요. 세 번째 사진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은 일본의 원자폭탄 투하 사진이에요.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하면 사진, 지도 등의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2 각 시대에 대해 질문한다.
• 이 단원에서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활
동을 하게 될 것임을 알려 준다.
예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는 어떻게 나누어요?
지금은 어느 시대예요?
세기 구분은 어떻게 해요?

3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4 2015-12-11 오후 7:37:38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본문
※ 주의사항
여기에서는 내용적 접근이나 정보를 주는 것보다는 어휘 개요
의 개념,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1. 목표: 8.15.와 한국의 역사에 대해 대화하기
참고 어휘 설명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 기원전, 후: 예수 그리스도 탄생 전, 후. 기원전은 연도를 밝힐 때
반드시 언급하지만 기원후는 보통 언급하지 않고 연도만 이야기하 대화 연습하기
는 게 일반적이다.
예 기원전 4세기부터 10세기까지의 일이다.

• 선사 시대: 문헌이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시대. 석기, 청동기 시


대를 이름, ⸋㔥

• 역사 시대: 역사가 기록으로 남아 있는 시대.


• 세기: 백 년을 단위로 하는 기간.
예 1세기: 1년부터 100년까지

21세기: 2001. 1. 1. ~ 2100. 12. 31.

역사적으로 위대한 나라는 어디라고 생각합니까?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아래에 대해 아는 대로 이야기해 봅시다.

메소포타미아 문명 인도 문명 이집트 문명 중국 문명
07

진나라 로마 제국 몽골 제국 고려 제이: ㈨㉜㉇㓰Ⳅ㇐ヂⷧⲯ〒㊊㉙⻔Ⲛ㓮㉪㆗㈓Ⳣ⻰⸨㊩㊉Ⳮⶫ㉜㉙⻔Ⲛ〧⽀ⷧ

르네상스 산업 혁명 1차/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 ⵱⻔⸸㉣⸝⸨㈓


パ㇤ ⽟ⷧ⽘㉙㇐㈓㓰Ⳅ㉡㉲㇐ヂⷧ㉜〔㉅⼍〧㐰⸹⽐㓰⵶㉙Ⳮ⺈⾩㇐ⲯ〒㊊㉙⻔Ⲛ
㓮ⷧ⸨パⲕ㊈㉅⼍ⷧ㍀パⲕ⸐㊉㉙⵨⵴⵶㉙ⷴ㊩㊉Ⳮⶫ㉜㉙⻔Ⲛ㓱ㄋ㉣㋡
㈓
제이 ㆗Ⳣ⻰Ⱳ㇣ㆿ㈓"

2. 고대 국가 및 문명, 역사적 사건을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パ㇤ ⶞㍀パⲕ⸐㊉㉙㈼⻳㇐ヂⷧ⸹㉜ⲧ㉙㐞⽋㆗ⱎ㆗ㄶ㆗㇐ヂⷧ㉜〔㉙㉜㉅㐕Ⱳ


⻔㓱ㄋ㉣㉪㆗㈓⸹㉜ⲧ㉙㐞⽋㆗ⷧ㇛㓴ⳅ㇐㉔㓷㓶〒㓮ⲁ⹊㇋Ⲛ㉜〔㉇⿇Ⳅ
㉙㕴⼍ㄶ⽓ㇼ⵱ⱎゞ㐓㇐㈧㉧㒹㐝㉈⺔ㆿ⻀⽋㉧⾦㊡ⱴ㓶〒㉈テ㇁㓰Ⱳ㋡㈓
1 2)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역사적 사건에 대한 배경지 제이 Ⳣ⻰⸨㓰Ⳅ㉇⸹⽐㓰㉙㕁㈅ⷾㄶ⵹㓰ⲧ〨㓰㉅⼍⵱ⷎㆿ㋡ⲁ⹋Ⱳ㇨㈓"

식을 활성화하고 고대 국가 및 문명, 역사적 사건에 대한 어 パ㇤ ⸁㉜Ⳅⱎ⽃㕮⽞㓮ⷧゞ⻘㉙⽖ㆣ㋡⽕⸌ㄶ㇐㉙ⶫ⾩㊑ⱎ㉣㇋Ⲛ㈓⾦㇊】ⷾ㋁


〈ⱚ⸐Ⳅ㇐㉔㓷⵹㓰ⲧ〨㓰㉅⼍⵱⻔ⱎ〩⸁⹋Ⱳ㇨㈓
휘를 확인한다. ⵹ Ⳣ⻷ⲁㄶ㉨㓰〩⸁オ㔯㉙ⶩ⸸⶘ⲁⲕヨ⹋ⷾⷧⲁ㆙㐛ⴀ⶞㈓

① 알고 있는 고대 국가 및 문명, 역사적 사건에 대한 어휘가


무엇인지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1 그림을 보며 어떤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이야기인지 질문하며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대화 내용을 도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하면 사진 자료, 지도, 연대표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 교사: 그림을 보세요. 어떤 사건에 대한 거예요?
학생: 8.15. 한국 광복절에 대한 것 같아요.
2 각 사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로 한다.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예 지도를 보세요. 각 문명은 어디에서 발생했는지 이야기해 보세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나라 이름들이 있어요. 어떤 지역에서 발생한 나라이고 어떤 특징
이 있는지 설명해 보세요. 예 네. 한국은 1945년 8월 15일에 일본으로부터 독립했어요. 그날을
기념하기 위해 광복절을 만들었지요. 이 광복절에 대해 두 사람이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이야기할 거예요. 광복절의 다른 의미가 있는지 잘 들어 보세요.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 역사를 공부하는 것보다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이해에 초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점을 맞추도록 하고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3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제3과 세상을 바꾼 그날, 그 사건 3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5 2015-12-11 오후 7:37:39


어휘 1
예 광복절이 다른 의미도 있어요? 맞아요. 종전 기념일이라고도 하지
요. 종전, 전쟁이 끝났다는 뜻이에요.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 대화 듣기에서는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한 도입으로 대화
• 대화에서 설명한 한국의 분단에 대해 질문하면서 나라의
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파
역사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표현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예 교사: 대화에서 한국은 남한과 북한으로 나누어졌다고 했어요. 이
한다.
것을 다른 말로 뭐라고 했어요?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학생: 분단 상황이라고 했어요.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교사: 맞아요. 하나의 나라가 둘로 나뉘는 것을 분단이라고 해요.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② 교사는 ‘나라가 분단되다’, ‘나라에서 독립하다’를 판서하고
본다. 그 의미를 설명한 후 나라의 역사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응용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 볼 에 를 하게 한다.
수 있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준다.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어휘가 사용된
문장을 예를 들면서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어휘 더 배우기
응용
개요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ㆺ㕎⸕⿞㈖⳨

한 나라의 역사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나라의 역사

나라를 세우다 제국이 멸망하다

나라가 둘로 분열되다/분단되다 나라를 하나로 통일하다

정책을 실시하다 제도를 시행하다

왕권을 강화하다 영토를 확장하다

전쟁이 발발하다 전쟁을 끝내다

전쟁에서 승리하다 전쟁에서 패하다

나라를 침략하다/정복하다 나라에서 독립하다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다 독창적 문화를 창조하다

Ⲛⳃ⼀ ⿚㓷
〨㓰

ㄸ⻔ ⸐㓰⿉Ⳅ
⿤㊑
㊑ ㄸ⻔
ⱎㆰ

㐠⻔

3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6 2015-12-11 오후 7:37:40


문법 문법 설명 -자

의미: ‘-자’는 앞의 상황이 뒤 상황의 원인이나 동기가 됨을


개요 말할 때 쓰인다.

1. ‘-자’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교사는 다음과 같이 ‘-자’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해 줄 수 있
다.
2. ‘에 의해’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예 두 번째 문장을 보세요. 학생들이 갑자기 교실에서 운동장으

로 뛰어나왔어요. 왜 그렇게 됐어요? 눈이 내려서, 눈을 맞으


1. 문법1 -자 러, 눈싸움을 하러 운동장으로 나오게 된 거예요. 학생들이
운동장으로 뛰어나오게 된 원인은 눈이 내렸기 때문이에요.
이처럼 어떤 상황의 원인이나 동기가 되는 상황을 설명할 때
⾤⿳ ‘-자’를 사용해요.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형태: 동사에 붙어 사용하며 받침이 있는 동사, 없는 동사 모
-자
두 ‘-자’가 붙는다.
예문 왕이 죽자 제국도 곧 멸망하게 되었다.
눈이 내리자 교실에 있던 학생들이 모두 운동장으로 뛰어나왔다.
화용: 문어에서 주로 사용되고 구어에서는 서사적인 내용의
이야기를 전할 때 사용하는 게 자연스럽다. 옛날이야
기나 동화 등을 말할 때 자주 나타난다.
1 준비
① 역사적 사건을 통해 ‘-자’를 도입한다. 참고 ‘-자’
• 대화를 통해서 ‘-자’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예문 • ‘-자’는 동일한 형태의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이 단원에서는 ‘-자2’
을 이끌어 낸다. 의 의미이나 ‘-자1’의 쓰임과 비교해 보자.
- 자1: 앞의 행위가 끝난 후 곧 뒤의 행위가 시작됨을 나타낸다.
예 교사: 대화에서 2차 세계대전이 어떻게 끝나게 되었는지 이야기 ‘-자마자’와 대치해 사용할 수 있다.
가 나왔어요? 기억이 나요? 예 집을 막 나오자 비가 오기 시작했다.
학생: 네. 지난번에 네가 노래를 부르자 사람들이 다 밖으로 나간 것 기
교사: 일본은 어떻게 항복하게 되었어요? 억나지?
학생: 원자폭탄을 떨어뜨려서 항복하게 되었어요.
교사: 맞아요. 일본이 항복하게 된 원인은 원자폭탄 투하였어요.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가 어떤 의미일지 질문해서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생각해 보게 한다.
3 연습
2 설명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앞의 상황이 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상황의 원인이나 동기임을 나타낼 때 ‘-자’를 사용할 수 있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음을 설명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② ‘-자’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자’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 <연습>의 정답
1) 늘어나자
2) 활발해지자
왕이 죽자 제국도 곧 멸망하게 되었다.
눈이 내리자 교실에 있던 학생들이 모두 운동장으로
응용
뛰어나왔다.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자’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
명한다.

제3과 세상을 바꾼 그날, 그 사건 3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7 2015-12-11 오후 7:37:41


2. 문법2 에 의해
문법 설명 ‘에 의해’
  ㉴ァ㉈ⱎ㋡ⲁ⹋㒳⿉㉙ ㊏㎦㍅㇘㈓ⳃ⸸㏄㊞ⷾ ⷨㆿ⵱ⷾ
의미: ‘에 의해’는 앞의 명사가 뒤의 상황이 이루어지게 하
  ㇁ㆿㇼ㔪㒴⽃㑎㉜㓮㇘㋡㇙ⱐⲾ⼸ⱎ ⲓ㊑ⱎ⿚㊉㓮㇣ⷾ
㔭⿚㓷㋡ⷾ 는 방법이나 수단, 경로 혹은 상황이나 기준임을 나타
낼 때 쓰인다.
에 의해

예문 대한민국 대통령은 국민의 투표에 의해 선출된다.


교사는 다음과 같이 ‘에 의해’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해 줄
인기가 높았던 이 프로그램은 시청자의 요구에 의해 재방송되고 있다.
수 있다.
  ⿤㊑ⷧ ⾇⽞㓾ⷾ ㄸ⻔ 
예 대한민국은 대통령제이에요. 대통령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
  ㇘⻮㔁ㄸ⼠ⷧ⹂ⲧヂ⽃㇯ⱎ⸝ パⲕⱏ㋡⼍㒜㊙⵱ⱙⷾ オ㉛ 
요? 맞아요. 선거를 통해 대통령이 되는데, 한국의 대통령은
국민 투표의 방법으로 선출돼요. 그래서 대통령으로 선출되
는 방법이 국민의 투표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국민 투표
ߵඋ֊#්۟ 에 의해’라고 사용했어요. 이처럼 앞의 명사가 뒤의 상황이 나
다음 역사적 국가 중 하나를 선택해 보기 와 같이 간단히 말해 보십시오.
타나는 수단이나 방법, 기준임을 나타낼 때 사용해요.
⼍⽓㊑Ⳅ ⾖Ⲟ㊑Ⳅ ㊡テ

형태: 명사에 붙어 사용한다.


보기
로마 제국은 395년 동・서 로마로 분리되었고, 서로마 제국은 게르만 족에 의해 멸망했다.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된다. ‘의해’는 ‘의하여’의
준말이며 ‘의해서’로 쓰기도 한다.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1 준비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① 역사적 사건을 통해 ‘에 의해’를 도입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 대화를 통해서 ‘에 의해’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3 연습
예문을 이끌어 낸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예 교사: 앞의 대화에서 독일과 이탈리아가 전쟁에서 지고 항복을 하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게 되는데, 어떻게 하게 된 거라고 했어요? 독일, 이탈리아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스스로 항복한 거예요?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학생: 아니요. 연합군에게 졌어요.
교사: 맞아요. 독일과 이탈리아가 항복하도록 만든 것은 연합군 덕 ⇨ <연습>의 정답
분이었어요. 그래서 연합군에 의해라고 했어요.
1) 신라에 의해
2) 상인에 의해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에 의해’가 어떤 의미일지 질문해
서 생각해 보게 한다.
2 설명 응용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뒤의 상황이 나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타나게 된 원인, 상황의 방법, 수단, 기준을 설명할 때 ‘에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의해’를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② ‘에 의해’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4 말하기 연습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에 의해’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보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게 한다.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제시된 항목 중 하나
를 골라 문법을 사용하여 이 나라가 성립하고 멸망한 과
정을 설명하는 연습임을 설명한다.
대한민국 대통령은 국민의 투표에 의해 선출된다.
• 짝활동으로 내용을 만들어 말해 보도록 한다.
인기가 높았던 이 프로그램은 시청자의 요구에 의해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재방송되고 있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에 의해’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3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8 2015-12-11 오후 7:37:42


08

듣고 말하기 ⇨ 1 의 정답
1) ❸
개요 2) ❷

1. 듣기: ‘위대한 제국’에 대한 대화 듣기, ‘잉카 제국’에 대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09

한 설명 듣기  어떤 나라에 대한 이야기입니까? 나라 이름을 쓰십시오.

2. 말하기: 중요한 역사적 사건 설명하기


 다음 중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Dz㉙⵱⻔ⷧㄋ⸸⽃㏲ㄭ㏟㇐⹑㇋ⷾ
dz㉙⵱⻔ⷧㄭ㒥㉛ⳅ⸐㇐㉔㓷⾇⽞㓾ⷾ
Ǵ㋡⳨⸸⽓㎆㓧㎆㇐ⷧ㔯⳨ⱴ⾫㉙⵹㆗㉣ⷾ

⹦ⲕ⽓㓩⳨
2. ‘잉카 제국’에 대한 대화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08
 다음 지도는 어떤 나라의 지도입니까? 맞는 것을 고르십시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헝가리
러시아
•카라코람

몽골 베이징•
시리아

•바그다드
•사마르칸트

중국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아라비아

델리 어떤 나라에 대한 이야기 같아요?
인도

2 시디를 들려준다.
Dz㆜⻹ァ⹨⼍ㄭ㊑Ⳅ dz⼍⽓㊑Ⳅ Ǵ⾖Ⲟ㊑Ⳅ

• 잉카 제국의 성립과 멸망 과정에 관한 다큐멘터리 듣기이


 다음 중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다. 잉카 제국은 어디에 수도를 두었고 어떻게 멸망하게
Dz⾖Ⲟ㊑Ⳅ㉇⽘㉈㉙㈚㓮ⷧ㇙㍅㊑⸸⽃⽕⹬㇋ⷾ
dz㆜⻹ァ⹨⼍ㄭ⸐㈄㉔㊏〒㉇㈼⾎⿉㉙㇋Ⳮ⺈⾩㇐ⱎⷮ㓾ⷾ
되었는지에 집중하여 듣게 한다.
Ǵ㆜⻹ァ⹨⼍ㄭ⸐㈄㉇㊏〒㋡㇐⸸ㄶ⽃ⱴト㓮Ⲛ⾩㔪⽃㊉㒅㓾ⷾ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1. ‘위대한 제국’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09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예 교사: 어느 나라에 관한 거예요?
학생: 잉카...요?
2 시디를 들려준다. 교사: 네, 맞아요. 한국어로 한번 써 보세요.
• 거대 제국들의 성립과 멸망에 대해 설명하는 듣기이다. 어 학생: 잉카 제국.
떤 나라들에 대한 이야기인지 집중하여 듣게 한다. 교사: 잉카 제국은 어떤 특징이 있었어요?
3
학생: 안데스 산지에 만든 제국이에요. 15세기에는 가장 큰 제국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이었어요.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교사: 맞아요. 그런데 이 제국이 왜 멸망하게 된 거예요? 누구 때
문이에요?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학생: 에스파냐?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교사: 맞아요. 에스파냐 사람, 다시 말해 스페인 사람에 의해 멸망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했어요.
예 교사: 지도를 보세요. 이 나라의 영토는 어디부터 어디까지였어
요?
⇨ 2 의 정답
학생: 여기 한국도 포함되고, 중국, 러시아, 유럽까지네요.
교사: 그럼 어떤 제국의 지도인지 알겠어요? 1) 잉카 제국
학생: 몽골 제국 같아요. 2) ❸
교사: 맞아요. 몽골제국의 영토예요. 정말 거대하지요? 이렇게 큰
영토를 확장할 수 있었던 방법이 뭐라고 했어요?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학생: 역을 만들었다고 했어요.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교사: 맞아요. 잘 들었어요. 40Km마다 역을 만들어서 쉬었다가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다시 가고 하는 방법을 썼지요. 이렇게 먼 거리를 갈 수 있었
던 것도 몽골인들이 말을 잘 탔기 때문이지요. 한곳에 정착 응용
하지 않고 옮겨다니는 민족을 뭐라고 하는지 들었어요?
몽골 제국, 잉카 제국 등과 같은 역사적 제국에 관한 다큐멘터리가 있
학생: 잘 못 들었어요.
으면 보고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게 한다.
교사: 그럼 한번 더 들어 보세요.

제3과 세상을 바꾼 그날, 그 사건 3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39 2015-12-11 오후 7:37:44


읽고 쓰기

3 여러분이 가장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어떤 사건인지 간단히 개요


설명해 보십시오.

㇙ゞ㊈ゞⱴ 1. 읽기: 세계 역사 연대표 읽기


Ā㇁㊑㉣㇋⸝㉜㉙㇐㈓"

Āㆿⷥ⵱⻔㇐ヂ㉣㇋⸝㉜㉙㇐㈓" 2. 쓰기: 자신의 나라의 연대표 만들기


Āゞⱴ㉔ㄶ㉨ⲧ⵨㉇ㆿ⺜ⲁ⹊㇋ㆿ㈓"

Ā㉙ゞⱴ㉅⼍ㆿ⺓ⲎⲧⱎゴⲒㆿ㈓"

㉘ⲕㅾ⳨

3.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는 말하기 활동을 한다. 1 다음 연대표를 보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ⶩ ㏢⻲⿱ㄭㄸ⸐⼹⿚Ⲍ
1 세계의 긴 역사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사적 사건은 뭐라고 생 ⶩ ⼦㐰㊩ⲾⱠ㔔
ⶩ ⸸㈓㑇⿇㕴⸨㈓ㄶ㉜〔㑎㉜
각하는지 이야기를 하면서 말하기 활동을 도입한다. ⶩ ㉛⸸㐛㋡⽓㓱ㇾハ
ⶩ ⿇Ⳅ⸹⽐テ㇁

2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을 선택하여 소개하는 활동을 진행 ⶩ ㊑㔵ㇲ⽏㓧Ⱡ㍽


ⶩ ㊑㍀パⲕ⸐㊉⿚⿚

한다. ⶩ ⻮ㄶ㆗ゞ㔵㋁㉔㔔⾊


ⶩ ㊑㍀パⲕ⸐㊉⿚⿚

• 혼자 준비할 수도 있고 2~3명씩 팀을 짜서 진행할 수도 ⶩ ⸹㉜㉜〔㓶〒


ⶩ ㋊㔪㉛⿉ⲥ㔪Ⳅハ⽐
있다. ⶩ 㓰Ⳅ㊉㉼⿚⿚
ⶩ ㆗㓠⽋㎰ⱠⳄ⸹⽐
• 역사적 사건에 대해 간단히 메모한다. ⶩ ⿼㑯⵹㊉㉼⿚⿚

• 정확한 내용을 위해 인터넷, 책 등을 참고하도록 하는데 ⶩ


ⶩ
㆗㒻⼍㔠⸃㍁⼹
⿼㑯⵹㊉㉼㊩Ⲏ

중요한 핵심 정보만을 정리하도록 안내한다. ⶩ ⸹㉜㑎㉜


ⶩ ョお㇐㑯㇛⿡ ョ⼂ 㓷㍣

3 메모한 내용을 바탕으로 역사적 사건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ⶩ ㈼⻳ⱠⳄ㈼⼍㔪㍋㐦


ⶩ ㉙⻔㐌㊉㉼⿚⿚

한다. ⶩ ㇯⿔⽓⿇Ⳅ⸐㑎⼈㎒㉠

• 교사는 이때 학생들이 역사적 사건의 이해에 도움을 줄  연대표를 보면서 모든 전쟁을 찾아 ○표를 해 보십시오.

수 있는 사진이나 기타 자료가 있다면 함께 준비하도록 안  다음 중 읽은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내한다. Dz⿇Ⳅ㉙⸹⽐㓰ⱺ㉇パⳭ㉙ⷾ
dz⿼㑯⵹㊉㉼】ⷾ㓰Ⳅ㊉㉼㉙⽲㊇㉜ㆿ⵼ⷾ

4 실제 반 친구들 앞에서 역사적 사건에 대해 발표해 보고 다른 Ǵ 㔵 ㇲ⽏㓧 ⲓⳭⷧ パⲕ ⸐㊉ ㋊㇐ ㋣㓿⹊㇋ⷾ

친구들의 발표를 보고 느낀 점과 배울 점을 이야기해 보게 하 1. 글의 형식을 보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물으면서 도입한다.


면서 활동을 정리한다.
• 글의 형식을 보고 글의 내용을 추측해 볼 수 있게 한다.

응용 예 여러분 38쪽을 보세요. 연도가 많이 나오고 그 해의 중요 사건이


세계적인 사건이 아닌 자기 나라의 역사적 사건으로 제한해 조사하고 나와 있어요. 이렇게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 중심으로 표로 정리
발표하기 활동을 해 본다. 한 것을 뭐라고 하는지 알아요? 맞아요. 연대표라고 해요.

2. 연대표를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1 지문을 읽고 무엇에 집중하여 글을 읽을지 생각해 보게 한다.


• 지문을 먼저 읽고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
다.
• 필요한 정보를 빨리 찾는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읽도록
알려 준다.
2 연대표를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 연대표를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O표를 하게 한
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3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4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0 2015-12-11 오후 7:37:46


2. 자신의 나라의 연대표를 만드는 활동을 한다.
예 교사: 세계 연대표예요. 언제부터 언제까지 나와 있어요?
학생: 1492년부터 2008년까지예요. 1 앞의 읽기에서 본 것처럼 연대표를 만드는 활동을 함을 알려
교사: 그럼 몇 세기부터 몇 세기까지예요? 준다.
학생: 15세기부터 21세기까지요.
2 지시문을 함께 읽고 글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교사: 그럼, 미국이 독립한 것은 몇 세기예요?
학생: 1776년이니까 18세기예요. 3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교사: 맞아요. 그리고 전쟁의 기록이 많은데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중 어떤 게 먼저 일어났어요?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학생: 한국 전쟁이요.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4 각자 정리한 내용을 그룹을 지어 이야기한 후 내용을 정리하
도록 한다.
⇨ ‘문제 2’의 정답:
• 각자 선택한 10개의 사건을 소개하고 우리반의 공통된 역
1)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이라
사적 사건 10개를 정리해 보자고 한다.
크 전쟁
• 정리된 사건을 중심으로 연도와 사건으로 기술하게 한다.
2) ❷
특히, 연대표의 사건 기술은 간단한 개조식으로 정리하고
명사형으로 끝나도록 한다.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5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준다.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 맞춤법이나 잘못 쓴 표현에 대해 피드백을 해 준다.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6 수정된 내용을 바탕으로 연대표를 완성한다.
휘를 다룰 때는 ‘착륙, 해체, 취임’과 같이 내용 이해에 핵
• 교실에 게시할 정도로 크게 정리하도록 한다.
심적인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
• 연대표 주위에 사진이나 그림을 덧붙이게 할 수도 있다.
해에 핵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 완성된 내용은 교실 벽이나 게시판에 게시해 줄 수 있다.
지나치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
음 기회로 넘긴다. 응용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워크북 <활동>에서 ‘한국의 역사 연대표’ 만들기 활동을 해 본다.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좋다.

2 여러분 나라의 역사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까? 최근 100년간 중요한 10개의 역사적 사건을 단원 마무리
연대표로 정리해 봅시다.

 다음 항목에 대해 간단하게 메모해 보십시오.

Ā㊏㎦㊈㉅⼍㋊㈓㓰ゞⱴⲧ㇛⸸
개요

1.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내용을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했음을 상기시키기
Āゞ㔵⾩㔪㊈㉅⼍㋊㈓㓰ゞⱴⲧ㇛⸸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친구와 함께 메모한 내용을 비교하며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그리고 연대표 형식에 맞게 작성해
봅시다. 1. 역사적 사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까?
2. 시대 구분과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 ゞⱴ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지 확인해 보게 한다.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예 이번 단원에서는 역사적으로 유명한 사건에 대해 공부했어요. 역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사적으로 위대한 나라의 성립과 발전, 멸망 과정에 대해 배우고 들
어 보았어요. 그리고 역사적 주요 사건 중심으로 정리한 연대표를
1. 역사적 사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까?
2. 시대 구분과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읽고 연대표를 만드는 활동도 했어요.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제3과 세상을 바꾼 그날, 그 사건 4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1 2015-12-11 오후 7:37:47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문화
예 여러분은 역사적 사건에 대해 소개할 수 있어요?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개요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1. 한국의 대표적인 시 ‘서시’ 감상하기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㔪 한국의 시: 윤동주의 ‘서시’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한국인이 사랑하는 시인 윤동주의 대표작 서시를 감상해 봅시다.
권한다.
3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ケㄥ 㵭㻄
㈾⹂㋁

㊱ⷖⵥ⳨㋐㓝⷗㈷㈊⻝⻝
㓟㉻〖ⵌ⻡㉈ㆸⳜ⼲
㉕゛ㆿ㉈ⷖ⿃⻇ㆿ⸧

楌嗀 彌ࢽ棸囬 忬ࢽ檜 弼ࢽ媴棸 旌ࢽ熀槜嘌

侠棜伨梤俈嘌 ࣋
儠峔倈 叀ࢽ碄瑴 氤ࢽ棜泬 兠ࢽ橬
巐堈 氥ࢽ棜伨喼 侫ࢽ橬 揔ࢽ媹碜梤注 ࣋
忬橬 咠ࢽ嫀碀喼 峰ࢽ橴橤宄
叀喼 停ࢽ宄槴碰嘌 ࣋
檶揰棸 檜ࢽ喼 弼ࢽ媴棸囬
碄 欸ࢽ 您ࢽ卬嬤檜 森ࢽ兘岤 ࣋
氥喼 又ࢽ兴注 碀ࢽ嗀橬 様


ⵠⷖⲥ⻼㈔㓭ⷭ

㵭 
⿸㈷ⶡ⻏㓝ⷖ⽂㈹㈴⻼


⽼⹙㊱ㆮⰽⷖⱩ㈷ろ⻋㓦㆟㋐

ࢽ嬔嬔

 㝍㳿䉀͒䉀䉀͒䇺 н !
ⳑ⼺ⲉⵠ㓟㐩㊰ㆮ㋒Ⳡ㈷
ⱥㆮⰽ㆟ⱶⷭ


㇞⷗⿍ㆿ⸧⿸㉈⿃⻇ㆿㄜ㎕㈌ⷭ

㓮ⷨⲧ⿔⻘ⲧ〉ⲧㄶ! 

ㄶ㋨
ㄶ㋨
㋨ Đ
Đ㓮ⷨⲧ
Đ㓮ⷨ
Đ㓮
㓮ⷨⲧ
ⷨⲧ
ⷨⲧ
ⲧ ⿔
⿔⻘ⲧ 〉ⲧ ㄶđ㉔ ヂㄶ㉛
⿔⻘
㉙ ㉨
㉨㓏㉇
㉨㓏
㓏㉇
㓏㉇㉇ ㄶ
㉇ ㄶ㋨
㋨㉔
㋨㉔㊉
㉔ ㊉㍣㊈㉛ⶂ㈚㉈Ⱡ⻪㊈

㉅⼍
㉅⼍
⼍ㆠ
ㆠ
ㆠㄶ
ㆠㄶ㓮
ㄶ㓮Ⲛ
㓮Ⲛ
Ⲛ㉣
Ⲛ ㉣ⷧ
㉣ⷧ ㄶ
ㄶ㉙⾄㊣㉴⼏㊈Ⲛⷁ
⽃ 㑘
㑘⾊
⾊㓰
⾊㓰 ヂ
㓰 ヂ㊏
㊏㉅
㊏㉅⼍
㉅ ⼍ ㉙
㉙ⵡ
ⵡㆿ ㇲ⽏㉅⼍ㅔ ⲯ

〒 㕁 㔢
㔢⻖
⻖㓰
⻖㓰 ㄶ
㓰 ㄶ⸐
⸐㇐
⸐㇐
㇐ ⿡
⿡㔯
㔯㓮ⷧ ㉙ ⺆㉔ ⽖

㉇ ㊋㉇
㉇㉙
㉇ ㉙⹬
㉙⹬
⹬㇐㇐ⲁ
㇐ⲁ ⹾
⹾⻇⻇㓰 ㈴
⻇㓰 ㈴㆙ⲧ ㆗⽄ⷾ㈝
ⱕ⹂㉈〫
〫⻮
〫⻮㉜㉅
⻮㉜
㉜㉅
㉅㐕
㐕㉨
㐕
㐕 ㉨㓏
㉨㓏
㓏㉙
㉙⻔
㉙⻔㓱
⻔ 㓱ㄋ㉣ⷾ

40 한국어 6-2

1 먼저, 문화의 제목을 읽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생각해 보게


한다.

2 한국의 시인 윤동주에 대해 설명하고 윤동주의 대표시인 서


시를 함께 읽어 본다.
• 이때 교사는 학생들이 윤동주에 대해 알고 있는지 자유롭
게 이야기해 볼 수 있게 한다.
• 윤동주와 관련된 자료가 있으면 함께 활용할 수 있다.
• 시를 함께 읽으면서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부분
에 대해 다시 한 번 설명해 준다.
3 시에 관한 설명 부분을 읽고 어려워하는 부분에 대해 설명한
다.
• 학생의 수준보다 어려운 표현이 많으므로 한 문장, 한 문
장 읽기보다는 교사가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전달해
준다. 이때 시의 배경이 된 일제 강점기와 독립 운동 등에
대해서 추가 설명을 할 수도 있다.
• 그러나 시의 배경 이해보다는 시 자체의 감상에 목표를 둔
다.

4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2 2015-12-11 오후 7:37:48


┃모음(母音, Vowels)┃
내 인생의 멘토

교육 목표
역사 속 인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인물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 대한 설명 듣고 이해하기 • -(으)ㅁ으로써
•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 대해 발표하기 • 이자
• 역사 속 위대한 인물을 소개하는 글 읽고 이해하기
•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게 편지 쓰기 3. 어휘
• 생애, 업적과 관련된 표현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스티브 잡스’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 <워크북> 활동 25분
•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 대해 발표하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30분
•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게 편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4과 내 인생의 멘토 4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3 2015-12-11 오후 7:37:51


이야기하는 활동을 하게 될 것임을 알려 준다.
도입
예 멘토가 무엇인지 알고 있어요? 멘토는 경험과 지식이 많아 믿을
개요 수 있는 상담자, 지도자, 스승, 선생이라는 의미예요. 이번 단원에
서는 위 사진 속 인물들처럼 위대한 인물들, 그래서 인생의 멘토
1. 교재 41쪽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로 삼을 만한 인물에 대해 이야기해 볼 거예요.

2. 어떤 사진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예 여러분이 인생의 멘토로 삼고 싶은 위대한 인물은 누구예요?

4과
어휘
학습 목표
㇙ゞヨ㉛⾫㇐⸐㓷ト⾊㓱ㄋ㉣ⷾ
㉛⾫㉔ゴㆧㇼ㇈㊈㇐⸐㓷㉙ㆰⳭ㓱ㄋ㉣ⷾ
내 인생의 개요
학습 내용
⾩⿸_ ㉅ ̆㉅⼍ㅔ㉙㉧
멘토 1.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인물의 직업군에 대해 확인하
ㆿ㕓_ゴㆧ㇈㊈ⲩ⼂㓄㔕
고 학습하기

2.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가정환경 표현에 대해 확인하


고 학습하기

ㆺ㕎

앞의 인물들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관계있는 것에 표를 해 보십시오.

왕/황제/여왕/대통령 정치가 수상/총리 군인/장군

학자 발명가 사상가 사업가


࿬གྷ઀ኊ 예술가 시인 화가 과학자
ඪ້஑
1. 이 사람들 중 알고 있는 사람이 있어요?
2. 이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아는 대로 이야기해 보세요.

그는 기원전 .... 태어났다.


2남 3녀 중 장남으로
......

1 학생들에게 교재의 사진을 보게 한다.


• 교재의 사진을 보면서 위대한 인물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이 인물들은 어떤 가정 환경에서 자랐는지 알고 있습니까? 관계있는 것에 표를 해 보십시오.
2 사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발명품에 대해
도입한다.
1. 위대한 인물들의 지위 및 직업을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예 사진을 보세요.
이 사람들이 누구인지 알고 있어요? 1 1)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위대한 인물에 대한 배경지
이 사람들은 무엇으로 유명해요? 식을 활성화하고 지위 및 직업에 대한 어휘를 확인한다.
① 알고 있는 지위 및 직업에 대한 어휘가 무엇인지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참고 사진 설명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스티브 잡스, 베토벤, 잔 다르크, 간디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 단원의 제목에 나온 ‘멘토(Mentor)’에 대해 간단히 설명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한 뒤 이 단원에서는 위대한 인물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하면 사진 자료를 활용하거나 대표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4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4 2015-12-11 오후 7:37:51


수도 있다.
2
본문
각 직업군의 대표적인 인물은 누구인지 질문한다.
개요
예 위대한 과학자는 누가 있어요?
여러분 나라의 위대한 정치가는 누구예요?
1. 목표: ‘스티브 잡스’에 대해 발표하기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대화 연습하기

이 인물들은 어떤 가정 환경에서 자랐는지 알고 있습니까? 관계있는 것에 표를 해 보십시오.

1남 2녀 무남독녀 장남/장녀

차남/차녀 첫째/둘째/셋째/막내 독자/외동딸


⸋㔥

고아 입양아

2. 가정 환경을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1 2)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위대한 인물의 가정환경에


대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가정환경에 대한 어휘를 확인한
다.
① 알고 있는 형제 관계에 대한 어휘가 무엇인지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10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남자: ㇘⻮〩㉙㆜Ⲛ㉣ⷧパⲕ㇐ヂⱎ㉲㈼⾊㓰ゞⲧⷧㆿ⺓ゞⲧ㉡ⷴ⳹"パⳭ㊉⳹㋡⽕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㓷⸸Ò㆗⸈㉔ゞⲧÓÒ⷟㐲㉔ゞⲧÓ⽃⺑ㇲ⽋ⷧ〩㉙⽖ㆣⲇ㋡⽕パⳭ⽃ゞⷧ㈛⽋㇐


ⲁⱎ㉲㎨ㄌ㓰ゞⲧⷧ⿔⼍ㄭ㑽ぃ㉯ㄭ㉔㓰㉡⿼ㆿ⾩ゞⲧ㉜ⱺ㉡ⷴⷾ,7㇈ⲕ㉔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ㆿ⵴ゞ㇈ⱎ㉙㉧㇀⽕㉲㉧⼍㆜⼀㊙㉣ⷧㄭ㑽ぃ㉯ㄭⷧㆿ⽍ㄶ㊊ㆸ〧⾍㇐ⲁ㉡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ㆸ⹊㇋Ⲛ⸐㓯⸸㋊㑓㓰⵲㇯㉧㇣ㄳⷴⷾⳢ⻮⵱Ⳣⷧ㓰ㄍⱐ㉔ㄺ㒑⽃⹑⼀㈥㓮㋡

다. ㆛㉅⾄㉧㈼⼒Ⲛ㍉㉔㊈㉛⸸㊉㊏ㄸ㉈㋡ⷶゞ⻘㉙㇋ㄳⷴⷾ㉧ㄸ㉙㍉㇈㓰㔵ゞ㇐
ヂ㓷Ⲛ⽃⸌㓮Ⲛⷾㄶⶩ⽕㇐〒Ⳙ㓮⾆ヂⳢⱎ㈓ⳃ㓰㇛〙㉇⸁⸺⸃⻮㇣ㄳⷴ

2 학생들 자신이 해당하는 표현은 무엇인지 질문한다. ⷾ⽞㓮Ⳮ㉜】㋢㊉㉛ⳢⲤ㉅⼍㈅ⷾㄶ⸼㆗ⱎⷥⶋⷧ㋥⾩㇐ⳢⷧÔ⸚㉙オ㉟㉈


ⲁ㇉㉅ⷴⱎㄲ㉙ㄶ㐓ⷧ⸐⼍㓮㋡㆛㉈㉙㈼ⱎ㇉ⷾÕ⻔Ⲛ⸐⸉㓾ⷾⲚ㓴ⷴⷾ⾦
⾍㓱㊏⸸⼍ⵇ㉈㔁㓷ⱎⷧ⾍ㄳ㉈】㇘㋇㉅⼍ㅔ㋡⳨⸸⽖㉇㊋㉇㉙㇐ⲁⳘⱕ㉙
⹊Ⲛ㉣ㄳⷴⷾ
예 여러분 자신을 설명한다면 어떻게 말할 수 있어요?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4과_내 인생의 멘토 43

1 위대한 인물에 대해 발표하는 상황을 생각하도록 유도하여


대화 내용을 도입한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
다.

예 교사: 사진 속 인물이 누구인지 알아요?


학생: 스티브 잡스예요.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예 지금부터 이 사람은 스티브 잡스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소개할 거


예요. 스티브 잡스는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잘 들어 보세요.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제4과 내 인생의 멘토 4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5 2015-12-11 오후 7:37:52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어휘 더 배우기
3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개요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예 스티브 잡스의 가정 환경은 어땠어요?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부모님의 사랑을 많이 받았어요?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인생은 평탄하게 늘 행복했어요?

• 대화 듣기에서는 발표 상황에서의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


한 도입으로 대화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
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ㆺ㕎⸕⿞㈖⳨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인물 소개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한다.
노력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사상 최초로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시련과 고난을 극복하고 역경을 무릅쓰고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사람들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계속된 실패에도 불구하고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도전 정신으로 끊임없는 노력으로

본다.

응용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볼 수
있다.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업적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발견하다 발명하다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다른 사람을 위해 헌신하다 사회에 기여하다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새로운 규범/제도를 만들다 작품을 남기다

전쟁을 승리로 이끌다 사회의 귀감이 되다

어휘 1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 스티브 잡스가 실패를 경험했을 때 어떻게 했는지에 대해
질문하면서 위대한 인물들의 훌륭한 태도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예 교사: 스티브 잡스는 어릴 때부터 늘 성공하는 삶을 살았어요?


학생: 아니에요. 대학도 그만두었고 실패한 적도 있어요.
교사: 실패를 경험했을 때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했어요? 포기했
어요?
학생: 아니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계속 도전했어요.

② 교사는 ‘도전 정신으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를 판서


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위대한 인물들의 노력을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4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6 2015-12-11 오후 7:37:53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 교사가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학생들 문법
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할 수 있다. 개요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1. ‘-(으)ㅁ으로써’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2. ‘이자’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2. 연습 2

1 준비 1. 문법1 -(으)ㅁ으로써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 스티브 잡스를 소개한 발표 내용에 대해 질문하면서 인물
의 업적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예 교사: 스티브 잡스의 모습은 지금도 젊은이들의 귀감이 된다고 했
어요. ‘귀감이 된다’는 무슨 뜻일까요? -(으)ㅁ으로써

학생: 본보기가 된다는 말이에요? 예문 새로운 신약을 발명함으로써 죽어 가는 많은 사람을 구할 수 있었다.


두 사람의 갈등은 남자가 먼저 사과를 함으로써 해결되었다.
교사: 맞아요. 거울로 삼아 본받을 만하다는 뜻이에요.

② 교사는 ‘귀감이 되다’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위대


한 인물들의 업적을 더 배워 보자고 한다.
1 준비
① 위대한 인물의 업적을 통해 ‘-(으)ㅁ으로써’를 도입한다.
2 설명 • 대화를 통해서 ‘-(으)ㅁ으로써’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예 교사: 대화에서 스티브 잡스는 젊은 사람들의 귀감이 되었다고 했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어요. 그런데 어떤 방법으로 귀감이 되었다고 했어요?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학생: 젊은 사람에게 꿈을 향해 가는 모습을 보여 주어서 귀감이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되었다고 했어요.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교사: 맞아요. 자신이 직접 보여 주었어요. 그 방법으로 모범이 된
다. 거예요.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표현을 대표하
는 인물들을 소개하면서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으)ㅁ으로써’가 어떤 의미일지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2 설명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행위의 도
응용 구나 수단, 방법을 나타낼 때 ‘-(으)ㅁ으로써’를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② ‘-(으)ㅁ으로써’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으)ㅁ으로써’가 어떤 의미인지 생
각해 보게 한다.

새로운 신약을 발명함으로써 죽어 가는 많은 사람을


구할 수 있었다.
두 사람의 갈등은 남자가 먼저 사과를 함으로써 해결
되었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으)ㅁ으로써’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제4과 내 인생의 멘토 4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7 2015-12-11 오후 7:37:54


2. 문법2 이자
문법 설명 (으)ㅁ으로써
 ㉙⿳ゞⱴ㉇㔵㉲㉙⾍⹪㍌㉠㉈㋡Ⲛ ㉮㉮㓷㊞ⷾ ⾫⻮⵱ⷾ
의미: ‘-(으)ㅁ으로써’는 어떤 행위의 도구, 수단, 방법이 됨  ⷾㆸ㓰㉨㓏㉈ 㔕⸐㇤Ⳅ⾩㓯㉔㑳㉈㉯ⷧ⸨Ⳮ㇘㓾ⷾ
을 말할 때 쓰인다. 동사에 ‘-(으)ㅁ’을 붙여 명사형을 ⵹Ⳮⷾ 

만들고 뒤에 조사 ‘으로써’를 붙여 사용한다.


이자

예문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교는 다음과 같이 ‘-(으)ㅁ으로써’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해 나이를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마을의 상징이자 수호신이었다.
줄 수 있다.
 ⶩ㊉㉔Ⳣⷧ⾍⹪ゞ⻘㉙ゞ⻜㓮ⷧ ㇱⳄ⿉㉔㇤㈤㉙㇋ⷾ
예 병에 걸려 죽어 가는 사람이 많았는데 이 사람을 살릴 수 있게
ㄭ㒸㎞テㄋ
되었어요. 어떤 방법으로 살리게 된 거예요? 새로운 신약을  ㉙㐞⽋㆗⽃⸐㓄㓮ⷧ㍜㉴㊈㉛ Ⳮㄏ㉧㉛⻸㇯⵱⽀⸸ⷾが㎦ⷧ
발명해서 그것이 병을 낫게 하는 방법, 수단이 된 거예요. 이 ⷾㆸ㓰⿡⾆㇐ヂ㔭ㆱ㓾ⷾ ⿇ㄏⱎ

처럼 어떤 결과를 이끄는 수단, 방법, 도구가 됨을 설명할 때


‘-(으)ㅁ으로써’를 사용해요. ߵඋ֊#්۟
다음 인물 중 하나를 선택해 보기 와 같이 간단히 말해 보십시오.

형태: 1) -(으)ㅁ: 동사 뒤에 붙어 명사형을 만든다. 받침이


있는 동사에는 ‘-음’이 붙고, 받침이 없는 동사에는
?
‘-ㅁ’이 붙는다.
2) 으로써: ‘-(으)ㅁ’과 결합하여 쓰인다.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된다. ‘으로써는’는 ‘으로’ 보기
김연아는 2010년 밴쿠버 올림픽에서 빛나는 연기를 선보임으로써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로 바꿔 쓸 수 있으나 ‘으로’보다 뜻이 분명하다.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1 준비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① 위대한 인물을 통해 ‘이자’를 도입한다.
• 대화를 통해서 ‘이자’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예
3 연습 문을 이끌어 낸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예 교사: 앞의 스티브 잡스 소개에서 스티브 잡스는 뛰어난 사업가라
다. 고 했어요. 그리고 또 뭐라고 했어요?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학생: 억만장자라고 했어요.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교사: 맞아요. 스티브 잡스는 사업가이면서 억만장자였어요. 스티
브 잡스는 두 가지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는 말이에요.
⇨ <연습>의 정답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이자’가 어떤 의미일지 질문해서
1) 물러남으로써
생각해 보게 한다.
2) 남김으로써
2 설명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대상이 두
응용
가지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말할 때 ‘이자’를 사용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② ‘이자’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이자’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나이를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마을의 상징이자 수호
신이었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이자’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


명한다.

4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8 2015-12-11 오후 7:37:56


문법 설명 이자 듣고 말하기
의미: ‘이자’는 어떤 대상이 두 가지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쓰인다. 개요

교사는 다음과 같이 ‘이자’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해 줄 수 있 1. 듣기: ‘신사임당’에 대한 설명 듣기, ‘체 게바라’에 대한
다. 설명 듣기
예 ‘이자’는 명사 뒤에 붙어 일정한 자격과 함께 다른 자격이 있
음을 나타낼 때 사용해요. 2. 말하기: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 대해 발표하기

형태: 명사+이다에 붙어 사용한다.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되나 격식적인 느낌이 있
다. ⹦ⲕ⽓㓩⳨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이 발표에서 소개하는 사람을 고르십시오.
11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Dz dz Ǵ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3 연습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1. ‘신사임당’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예 ❶번의 문제와 사진을 보세요.
⇨ <연습>의 정답 사진 속 인물이 누구인지 알아요? 12

1) 스포츠 선수이자
2) 미술가이자 2 시디를 들려준다.
• 사진 속 인물들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이 인물들 중 누
응용 구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지 듣게 한다.
• 다시 들으면서 이 사람은 왜 이 인물에 대해 소개하고 있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는지에 집중하여 듣게 한다.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4 말하기 연습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제시된 사람 중 하나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를 골라 문법을 사용하여 인물의 특징과 업적에 대해 말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하는 연습임을 설명한다.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사진: 버락 오바마(미국 대통령), 김연아(한국의 피겨 스
예 교사: 누구에 대해 소개하고 있어요?
케이팅 선수)
학생: 신사임당에 대해 소개했어요.
• 짝활동으로 내용을 만들어 말해 보도록 한다.
교사: 이 사람이 신사임당을 소개하는 이유는 뭐예요?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학생: 그동안 신사임당의 업적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고 생각했
어요.
교사: 맞아요. 그동안 신사임당을 이이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뛰어난 예술가임을 알리고 싶었던 것 같아요.

⇨ 1 의 정답
1) ❷
2) ❸

제4과 내 인생의 멘토 4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49 2015-12-11 오후 7:37:57


11

 이 사람이 이 발표를 한 이유로 맞는 것을 고르십시오.

Dzゞ㉠⸌㉔⾩㓯㉨㓏㉔ⱎ㎦⽃㆜⽋Ⳮ㈴㓮㇘
dz㓰Ⳅ㋡㒴㇐⵱㇯ⷧ㉛⾫㉈ョⱠ㓮Ⳮ㈴㓮㇘
Ǵゞ㉠⸌㇐⸐㓰ガ⼍㈝㒳ⱎⱎ㓩㈓㓳㉈㆜⽋Ⳮ㈴㓮㇘
3 역사 속 많은 인물 중 한 명을 선택하여 이에 대해 발표해 봅시다.

 다음 분야를 대표하는 인물로는 누가 있는지 친구하고 이야기해 봅시다.

⵱⻔㋡㇙ ㇛⸐ 〩ㆰ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 Ⳮ㈧㊉ ㊏㎦ⱎ


12
 이 내용을 듣고 알 수 없는 것을 고르십시오.
㆗ㄶ㆗ Ⲛ⸐ ㇨ㄏⱎ
Dz㎉ゴ㋡
⿇㋁ ㋊パ 㓯㉧

⵹⿇ aパⳭ ゞ㔵ゞ㇈
2. ‘체 게바라’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㓠⽋㎰ aパⳭ Ⳮ㐛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이야기에 나왔던 사람 중 자기가 소개하고 싶은 사람을 한 명 선정하여 그 사람에 대해 소개해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봅시다.

ゴㆧ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㊈

어떤 사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같아요? 㑰㋪

2 시디를 들려준다.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친구들 앞에서 발표해 봅시다.

• ‘체 게바라’의 생애와 업적에 관해 소개하는 발표의 일부


이다. 체 게바라의 생애와 업적에 집중하여 듣게 한다. 3. 역사 속 위대한 인물을 소개하는 말하기 활동을 한다.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1 역사 속 위대한 인물하면 누가 생각나는지 이야기를 하면서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말하기 활동을 도입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2 3~4명씩 팀을 짜서 각 항목의 대표 인물은 누구인지 서로 이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야기한 후 정하게 한다.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면 인터넷이나 사전을 이용하게 할
예 교사: 누구에 대해 소개하고 있어요? 수도 있고, 미리 과제를 주어 조사해 오게 할 수도 있다.
학생: 체 게바라요. 3 팀별로 조사한 사람을 소개해 본다.
교사: 체 게바라에 대해 무엇 무엇을 소개하고 있어요? 가정 환경 • 각 팀별로 조사한 사람에 대해 소개하고 서로의 결과를
에 대해 소개했어요? 비교해 본다.
학생: 네, 했어요. 백인 가정에서 태어났어요.
교사: 집안 형편은 어땠어요? 부자였어요? 4 조사에서 소개된 사람 중 가장 위대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학생: 네. 아마 그런 것 같아요. 중상류층이라고 했어요. 한 명 선택해 그 사람에 대해 소개하는 활동을 한다.
• 친구들의 소개에서 나오는 인물 중 본인의 멘토로 삼고
싶은 인물을 한 명 선정한다.
⇨ 2 의 정답 • 그 인물의 생애와 업적, 특징을 조사한다.
1) ❷ •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물에 대해 소개하는 연습을 한다.
2) ❸ 5 실제 반 친구들 앞에서 위대한 인물에 대해 발표해 보고 다른
친구들의 발표를 보고 느낀 점과 배울 점을 이야기해 보게 하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면서 활동을 정리한다.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응용

응용 워크북 <활동>에서 ‘위대한 인물을 직접 만난다면’ 활동을 해 본다.

신사임당과 체 게바라에 대해 조사해서 친구와 이야기해 본다.

읽고 쓰기

개요

1. 읽기: ‘유리 가가린’에 대한 설명 읽기

2. 쓰기: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게 편지 쓰기

5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0 2015-12-11 오후 7:37:58


⇨ ‘문제 2’의 정답: ❷
㉘ⲕㅾ⳨

1 다음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ⶩ ㈨ ㉜㉇ ョ⼂㉔ ㈼⽋ ⱎⱎ⽍㉙ ㉛⼸ ㇙ゞオ ㍚㉊㉅⼍
㈛㋁ お㓿㇐ ハⲥ㓰 ⵶㉙ⷾ ⸌ㄶ ィ㉙㇋⸝ ⱎⱎ⽍㉇ パⲕ㊈㉛
㇤㈤㉙⹊㇋㉅⾄㉙ゞⱴ㉅⼍㉛㓷ョ⼂ⲧ⿇Ⳅ⹑⵱⻔ⷧ〔Ⲋ㊈
준다.
㉛㈛㋁ⲓ㉼㉈ㄶ㉨㓮ⲁ⹋ⷾ
ⱎⱎ⽍㉇ⶩ㈨㉜⻮ㄶ㆗ヂ〧㉔㉨㉇ㄶⲞ⽓㉈㇐ヂ㐥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ㆿ⵱ ⲥ㇈㋊⹱Ⳮㄏ㓯Ⲿ ㉴㓯 ㋊㇐ お㓿 Ⳮㄏ㉈ ㉚㔚Ⲛ 㓶ⲥ 㓯Ⲿ
⽃㊤㇈㓰⹝ⲥⳅ㇐㉡⸐㓮㇣ⷾ
ィ⺈㉛ⶩ㇐Ⲏ㔢㉈㓮Ⲛⶩ⹝㈛㋁お㓿ゞ㕁】㇐テ⿚⹈㈛㋁㉛㕃⼂㓠⼍Ⳣ⻤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㓮ⲁ⹋ⷾ⸌ㄶョ⼂㉇ⱎⱎ⽍㉔㍽㍱㈛㋁お㓿ハⲥ㔫⼻㉈⼍〜ⷾⳢ㉔ゞ
⽞㇐⸐お㓰Ⳮゞ⽃⿇⽋㋃お㓷⹚㉈㊏⸸㇣ⷾⳢ⻮⵱ⱎⱎ⽍㉇】ㄭ㑇㐌㔠⽃㐛Ⲛㄶ
휘를 다룰 때는 ‘소련, 상공, 일주’와 같이 내용 이해에 핵
ⱐ〩⽕㇐㋡ⳃ㉔オⲥ㉈㉜㋁㓳㉅⼍ㅔ㉛⼸㍽㍱㉔㈛㋁お㓿㇐ハⲥ㓮㇣ⷾ㈛㋁㇐ヂ
㋡ⳃ⽃】⾄Ô㓮ⷨ㉇ⱸⲚ㋡ⳃⷧ㓉⽀ⷾÕ⻔Ⲛ㓰⽘㉇㈼⾊㓮ⷾ
심적인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
㍠㈛㋁お㓿㉔ハⲥ㉇⾎ㄋ㉔㆗⹬㉙㉧FP㉔⸁ㄸ㉛ⱎⱎ⽍㇐ⲁパⲕ㊈⾊ハ㉈㆙ⲉ
㋌ⷾÒⳄⱎ㇤㈤Ó㉙⻔ⷧ㎯㔠⽃⿙㉅⾄ョ⼂Ⳅ⿉㉔ゞ⻜㉈⿙ㆣ⸝ⱎⱎ⽍㉇ⶩ㈨
해에 핵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㉜お㓿㕃⼂㋊㎆⻕ゞⲚ⼍ㄐ㊞ⷾ
지나치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
 이 사람의 생애를 아래 연대표에 정리해 보십시오.
음 기회로 넘긴다.
ⶩ Ā ⻮ㄶ㆗ヂ〧㉨㉇⽓㉈㇐ヂ㎉ゴ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Ā ⲥ㇈㊉⾩Ⳮㄏ㓯Ⲿ㊤㇈

ⶩ Ā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좋다.
1. 글의 사진을 보고 누구에 대한 이야기인지 생각하면서 도입한
다.
• 글의 사진과 인물의 이름을 읽고 누구에 대한 내용인지  다시 읽으면서 읽은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추측해 볼 수 있게 한다. Dzお㓿ゞⱎ⹊Ⳮ㊉ⱎⱎ⽍㉔㋢㇈㉇⾎ㄋ㇣ⷾ


dzⱎⱎ⽍㉙㈛㋁お㓿㇐ハⲥ㓾㉈⺈ⷧ⸐㇣ⷾ
Ǵ㆗㋢⸸ⱎⱎ⽍㉔㈛㋁お㓿ハⲥ㉈⿊㋡㆛ⷧゞ⻘㉙⽖ⷾ

예 여러분 이 사진을 보세요. 누구인지 알아요? 이 사람의 직업은 무 2 역사 속 인물에게 편지를 써 봅시다.

엇이었을 것 같아요? 그럼 글에서 이 사람의 이름을 한번 찾아봅  누구에게 쓸지 생각해 보십시오.

시다.  그 사람은 어떤 사람이며 어떤 인생을 보냈는지 정리해 보십시오.

ゴㆧ
네, 유리 가가린이에요. 이 사람이 누구인지 알고 있는 게 있어요? ㇈㊈

어떤 사람인지 한번 읽어 봅시다. 㑰㋪

 그 사람에게 편지를 쓰는 이유와 하고 싶은 말을 정리해 보십시오.

㉙㈼

2. 글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ⳭョⱠ

㓮Ⲛㅀ㉇⽘

1 이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학생들에게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편지를 써 보십시오.

질문한다.
• 첫 문단을 먼저 읽고 이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확인한다.
• 1)번 지시문을 읽고 이 사람의 생애를 정리하는 활동을
해 본다. 하나 하나 꼼꼼히 읽기보다는 숫자나 나이에 집 2.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게 편지를 쓰는 활동을 한다.
중하여 찾아 읽기 활동으로 진행해 보게 한다.
1 ‘듣고 말하기’의 말하기 활동에서 나왔던 인물들에 대해 다시
2 글을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생각해 보게 한 후 존경하는 인물, 위대한 인물, 관심이 가는
록 한다. 인물에 대해 편지를 써 보는 활동을 함을 알려 준다.
• 글을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2 지시문을 함께 읽고 글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3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3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4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편지글을 쓰게 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는지 확인하게 한다.
5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거나 발표하게 한다.
예 교사: 가가린의 직업이 목수였어요?
• 글에 그림이나 사진을 붙여서 교실 벽이나 게시판에 게시
학생: 아니요. 목수의 아들이라고 했으니까 가가린의 아버지나 어
해 줄 수 있다.
머니의 직업이 목수였어요.
교사: 맞아요. 가가린은 우주 비행에 성공한 최초의 사람인데 그 6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것을 믿지 않는 사람들이 지금도 많아요? • 먼저 글의 내용, 텍스트의 형식적 특성에 맞는 글의 구성
학생: 아니요. 우주 비행을 시작했을 때는 성공을 의심하는 사람 에 집중해 피드백을 해 준다.
들이 많았지만 지금은 모두 믿고 있어요. • 그 다음에 맞춤법이나 잘못 쓴 어휘나 문법에 대한 피드백
을 해 주도록 한다.

제4과 내 인생의 멘토 5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1 2015-12-11 오후 7:38:00


단원 마무리
⾩㔪 역사 속 위대한 인물들의 명언
개요
㇈ろプ㈣ⷿ㓟㉊⾚⹛㉈⵨Ⳟ㈫⽹㓟⽇⹛㉈㉒ⷭ㓟ⲳㆮ⻼ㆮ⺋Ɒ㒳㔄⸹ⷖ㋐㔚㉊㓝ⲉ㈣
1. 역사 속 위대한 인물과 관련된 내용을 듣고 말하고 읽 ⷿ㓟㉊⾚㈷ブⱏ㓠⹷⺗ⷖ㇇⻝〘⸧〹ㄣ㓟゙㔞ㆿ㍉㓭㈷⹷㉖㇊ㄜ⻢Ɒろ㈉㓦 ㉖

고 쓰는 활동을 했음을 상기시키기


내 사전에 불가능은 없다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ⵠ㒪⻧㇩㉃Ⲵⷿⰽ㉷Ⲗ㄰㈍⹷ⵠ㒪⻧㇩㈶ⶪ㈶ⲉ㋐ㆿⷿ㒧
⼲ ⵐㆮ㇡⻯ ㉷㈷ Ⲕⱹ㓦㆟ⱶⷭⲉ ⽂㈹⽠ㆺⷭ ⳑ⻟⸗ 〖㓝 ㉡
Ⲵ⹛㈶ ⹵㉈ 㓶㓝ⲉ ⾶ⵌ⻝㈔ ⸧㉶㕣 ⷿ㒧⼲ ⲉ㋐⻼ ⵐㆮ㇡⼽
ヺㆸⷭⲉ㓝ブ㇊㓭ⷭⳑ⻝㉖ⵠ㒪⻧㇩㉈㉈⻦Ɒブ⼺㍜ⷭÎ⵱
ろ㉸ㆿ〚ⰽⷝ㉈⻅ㆸⷭÏⱽⲳⵠ㒪⻧㇩㈶ⲉ㋐ㆿケⷿ㒧⼲ㅐ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ㆆ㉸㑇⼲ㄤ⼺⻼㉈ⵐㆺⷭ㓦⵱ⲉ㆟⽇ⱶⷭⷖⲵ㈶㉃㋐ⰽ㉒
ⷭ⽵㓦⵱㋐⾄㓠㉋㈶ㆸ㈷Ⱪ㉈ⷭ
1.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까?
2. 위대한 인물의 생애와 업적을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너 자신을 알라
4과 내 인생의 멘토 49

ブ㏻⻃㐩ㄜⰽ 㓟 ⽇⻼ ㈫⽹㓝㋐⽄ ㄩ㈶ ⲉⷿ ⳑ⼺ㄜ ⸚㒧㉈㉃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ㆆ㒪⻾ㄧ㉸Ⳝ⹇ㆿ゛ⱸ㊈㉒ㆺⷭⷖ㈫⽹㓟⽇㉈ⷭろ⻇⹛㈶

지 확인해 보게 한다. ㉖ㄧ㉈ㆆⷖⱩ㉈㋒⼺⻃ⲉㄓⱰ⾹Ⳝ⽂⻱㉈㋐⽄Ⲗ㇊ⳑ⾹㈹


㉈㋒ㄩ㉋⳨"㉈⽇㈶ⱽⲳ㉖ㄧ㉈⽼⼱ⷭⷖⱩ㈷ㆆⷖ⳴ⷲ㈹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ㆲ㈴⻃ⷖ㉃⾶㉈ⷭ㉖ㄧ㉈㋒⼺⼲ㆋ㋐⾄㓟ⷭⷖⱩ㈷⳴ⷱ
Ɒ⸻⹷㌴⸺㋒⼺⼲㌹㈷ヺ㉒Ⳝ⹷⾘㉈ⷭ

예 이번 단원에서는 역사 속 위대한 인물에 대해 공부했어요. 한국과


세계적으로 위대한 인물들은 어떻게 살았는지, 어떤 업적을 남겼
ⳑ⻡ⷭ㈹㉃⽹ㆰ㈶ⶽⰽㆰ㊀㓟⽇㉋⳨"
는지 알아보았고, 시대적으로 지역적으로 위대한 인물을 찾아보
고 이 사람을 소개하는 말하기 활동도 해 보았어요. 그리고 인생 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말라
의 멘토가 될 만한 인물에게 편지를 써 보는 활동도 했어요.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한국어 6-2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1 먼저, 문화의 제목을 읽고 어떤 내용이 나올지 생각해 보게


예 여러분은 역사 속 위대한 인물의 생애와 업적을 소개할 수 있어
요? 한다.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2 ‘명언’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사진 자료와 함께 문장을 함께
읽어 본다.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 이때 교사는 학생들이 이 문장을 들어본 적이 있는지, 사
진 속 인물이 누구인지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 볼 수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있게 한다.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 본문의 내용을 함께 읽으면서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하는 부분에 대해 다시 한번 설명해 준다.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 같은 명언이 학생의 나라에서도 사용되고 있는지, 어떻게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번역할 수 있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권한다. 3 마지막에 나오는 명언을 읽고 누가 한 명언인지 조사해 보도
3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록 과제를 제시한다.

참고 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말라


• 1598년 11월, 이순신 장군은 퇴각하는 왜군을 격파하기 위해 일
본군 전함 300척과 노량에서 최후의 해전을 벌였다. 안타깝게도
문화 이 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은 적의 총을 맞아 사망한다. 그런데 이순
신 장군은 죽는 순간까지도 “싸움이 위급하니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고 하였다.
개요

1. 역사 속 위대한 인물의 명언에 대해 알기 응용


2. 한국의 위대한 인물의 명언에 대해 알기 학생들이 알고 있는 또 다른 명언으로 무엇이 있는지 소개해 보게 할
수 있다.

5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2 2015-12-11 오후 7:38:01


┃모음(母音, Vowels)┃
복습 1

학습 목표
1과~4과에서 배운 문화권, 세계정세, 역사적 사건, 인물 관련 표현을 확인할 수 있다.
1과~4과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문법
• 명사 와/과 비교하면 • 명사 와/과는 대조적으로
• 동·형 -(으)ㄴ지/ㄹ지 • 명사 의 영향으로
• 동사 -자 • 명사 에 의해
• 동사 -(으)ㅁ으로써 • 명사 이자

2. 어휘
• 문화권 관련 표현
• 세계정세 관련 표현
• 역사적 사건 관련 표현
• 업적 관련 표현

3. 과제
• 나라를 소개하는 글 읽기
• 역사적 인물을 소개하는 듣기와 쓰기
• 문화권, 세계정세, 역사적 사건, 위대한 인물을 주제로 한 말하기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어휘 및 문법 항목
도입 • 배운 어휘와 문법 항목 확인 및 정리하기 10분
확인하기
어휘 어휘 확인하기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 고르기 10분
문법 문법 확인하기 • 알맞은 문법을 골라 문장 완성하기 15분
맞춤법 맞춤법 확인하기 • 맞춤법에 맞는 표기 고르기 • 시디(CD) 15분
읽기 읽고 이해하기 • 내용을 읽고 질문에 답하기 30분
듣기 듣고 이해하기 • 내용을 듣고 질문에 답하기 • 시디(CD) 20분
쓰기 요약하기 • 들은 내용을 요약하기 15분
말하기 대화하기 • 주제에 대해 친구들과 대화하기 15분

제5과 복습 1 5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3 2015-12-11 오후 7:38:02


┃1교시┃

•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


도입 로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2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개요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정답을 모두 맞힌 후 다시 한번 교사를 따라 읽어 보게 한
1. 1~4과에서 배운 어휘 범주 확인하기
다.
2. 1~4과에서 배운 문법 항목 확인하기
⇨ 정답:
1) 세우다 2) 다르다
3) 기독교 4) 무남독녀
5과 5) 기여하다 6) 강화하다
복습 1 7) 남반구 8) 이끌다

어휘

문화 차이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화의 특징 문화권 관련 표현


세계 국가 소개 항목 정치 제도 세계 문제
역사의 시대 구분
인물 분류
역사적 사건/문명/국가
가정 환경
나라의 역사
노력 업적
문법

문법
개요
명사 와/과 비교하면 명사 와/과는 대조적으로 동Ã형 (으)ㄴ지/ㄹ지

명사 의 영향으로 동사 자 명사 에 의해 1. 문법의 의미를 파악하여 문장 완성하기


동사 (으)ㅁ으로써 명사 이자

2. 정답 확인하기

1 학생들에게 1~4과에서 배운 어휘 중 기억나는 어휘를 이야


기해 보도록 한다. ㆺ
ㆺ㕎
」ㄮ

2 학생들에게 1~4과에서 배운 문법 중 기억나는 문법을 이야


기해 보도록 한다.  ㆖⽙㉁⾣⿲㉂Ⲙ⻎⾣㉬㉂ㇸド㓱》ㄷ㄰㇩

ㇼⲧおⲾ㓮⾆ ㇼⲧⷧ⸐㊡㊈㉅⼍  ㉅ ˹㋡˾㋡


㉔㇤㔁㉅⼍ ㉧ ㇐㉔㓷
 ㉅ ̆㉅⼍ㅔ ㉙㉧

 㓟 ⲳ㈷⺀ⵠⳜ㉸⳨㋐ⷖㇺⲳィ㔜㉈ㆳ⽂ⵠ ጋ௿ၴ ゙゙⸧⾄㓭ⷭ 㕧⹛ⷭ

어휘  ㇞⻑⽄ㆿ〹ⰽ ⳑ⸱ㆈ⽇⻃㉒⸌ⵠ⾟㉕㉈ィⳜ⼲⺼ㆺⷭ ⵱⼺ⷭ

 㓞ⲭ㊰⿷㉃ㄅ㔏ヺⳑ⼺ⲉ⸱⾚⹛㈶㈊⼺㉃ ㉡ⵣⱄ㉈ㆺⷭ

개요 ⲭⲖケ 

 ㈹ㆇ㈷ろ⻋㓝ⷖ ⳑ㓞ⲭㆿケⷖㆰ㊀ⵠ㈹ㆇ㉈㕖⻝ⵠㇲⷭ
ⲭ㉡サィⷨ
1.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여 어휘 완성하기
 ⺩ㆮⵣ㓕ㆆⷣㄜ㑞㉊ⳑⷖ〖⽼ⷨ㉃ 㓕ㆆⶡ⼲ㄥ㉗㓭ⷭⲉ㓟ⷭ

2. 정답 확인하기 ⱉ㈂

 ⳑブⶖⷖ㕛ⱿⱰ⺩ⶡⷖ 㔒⻼⿭㎕ㆿㆉㆆ㌻㈷㉌ⲉ㉒ㆺⷭ
⿇ㆆ㉈⹛

 ⷸ㉄う㎬㇊⹦ㆹⱌ㆖⽙㉁ⷻㆹ⼽Ⲕ⼺ㄷ㄰㇩  ㉝⹛Ⳝ㉸ㆿ㉋Ⳝ⼲ㅲⷖㄢⲘ㈷ ㉖ㄧ㉃ィ㔜㈷⸫ㆆ Ɒ㓝㇒ⷭ


⹛㉈ⷭ 
 ⵠ⻃⼲  ダ㈊ⷭ ㄤ⼺㓝ⷭ

 ろⲉ⿐ㄦ㉈  ㏻ⷭ ⷭ⼯ⷭ  ㉈⽄㔙㉃㊰㉊Ⲕ㈶ⷭ⼱⽄㔙プ ㊀ⷿ⻼㓠ヺ㉒ⷖⱰⱡ㉃


ㆸ 㓟 ㉊ ㉈ⷭ ㇓㈓
 ⼲⾹ⷭ ⾕ⲭ Ⳝ⸨ⲭ

 ⻼㐔ㆮⵠⷭ ⵨ⶖ ⾕⵨⸨ⶖ


1 학생들에게 교재의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ろ㔤ㆿ  Ⳝ㇇㓝ⷭ Ⳓ、㓝ⷭ
• 10분 정도 시간을 주고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ㇳⳁ㈷  ⱉ㔙㓝ⷭ 㔚㉡㓝ⷭ
•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
 ㆿ㈣㎕㓝ⷭ ⵨⿇Ⲳ ⷭ⾘㔙
로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ㄤ⼺⻼  ㉈ⵐⷭ ⷻ㓝ⷭ

2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1 학생들에게 교재의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 학생들이 형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교사는 칠판
• 5분 정도 시간을 주고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에 정답을 판서한다.

5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4 2015-12-11 오후 7:38:02


┃1교시┃

1 올바른 표기대로 쓰기 연습을 하게 한다.


⇨ 정답:
• 맞춤법, 띄어쓰기에 주의하여 쓰도록 한다.
1) 힘들지 • 교사는 학생들이 쓰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지도
2) 내리자 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3) 교과서이자
4) 교장 선생님의 영향으로
⇨ 정답:
5) 강요에 의해
6) 반 아이들과는 대조적으로 1) 무 릅 쓰 고
7) 들임으로써
2) 대 통 령 제
8) 영웅과 비교하면
3) 끊 임 없 는
4) 식 량 난
5) 한 자

맞춤법 6) 르 네 상 스

개요

1. 한국어 맞춤법에 맞는 표기 고르기

2. 정답 확인하기 읽기
개요
 ⷸ㉄㉂㉦⹥Ⲕ⿎⼺ⱻㅿⱴ㉂Ⲕ⼺ㄷ㄰㇩
13

 ㈊⼺〖⽼ⷨ㈶㊰㈣㉃⿇ⷿ⼲ ⾕⼴ㅲⲉ⾕⼹ㄜⲉ ⱽ㔑ㄦ㈷㇡⼺バⷭⲉ㓟ⷭ

 㓟ⲳ⾶ⲳ〲⻃㋔㈶⽼⹀ ⷿ㐽⶝㉣ⷿ㐽⻷㊀ ㉈ⵠサ㍸⿐ㄦ㈶㌯㉈ⰽ㉒ⷭ


1. 읽고 내용 이해하기
 㓞ⲭⰽ㊛ㆆケ⻃Ⳝ ⷭ〖⽼ⷨ㉃ ⵎ㉏ㆸⷖⵏ㉏ㆸⷖ ㉘ブ⼺⼲㓕㓠ⲓ㉈㓘㈂㓭ㆮ㈂

 Ⳙプ㓟㉊Ⲳ㋏ⰽ⻼⶘㉈⸹⽵㉸ダⲄⰽ ㄦ⻜ⵣㄦ⻜⻅ ㆿㄥⷲ⼽ヺ㉒ⷭⲉ㓣ⷣⷭ

 㓟 ⲳ㈶ 㓟㉖⾘㔙ⳁ㓟㋝⾘㔙ಠ ㆿプ㓝Ⳝ⹷⾘ㆿ㋐ⳗ⸧㇇Ⳝ㉶Ⳝㆿケ 㓟㉖㓟㋝ ⰽㅲ㉈ⲉ



ㆺ㕎
」ㄮ
㉒ⷭ

 ⼯ⶍ゙ㄜ⼯ⶍㄸㄜ ㄥⷿ㉃⾶ヾ㈶㊹ダ⾶ヾ㉃㔊ㄦⲖ㑢㈷⿨ㆮⵠをㆆ㉒ⷖ㉊ⰿ㉃
ㆆ⼳ⷭ㈐㈷㒳㔄㓭ⷭ  ⷸ㉄㉂㉗Ⲕ㋟⾣㇊⸃㓨ㄷ㄰㇩

㉙⵱⻔㉔Ⳅ㑇⾆㊈㉇⽕Ժ⼍パⲕ㇐ヂ㉜ⲣ⿳㋹⼍㐌ⷾ㉙㐌Ⳮⷧ㓰⿘⸸㉔
⿣⵹㓰⾆㊈㉔⿣㇐㓷⸌⹋ⷾ㉛ⳃⷧㆱ㇀㍜⽕⾊㉅⼍パⲕ㈴⽃㍀㋡㓮Ⲛ㉣ⷾ
㔕㉴ パⲕ㇐ヂ ㉛ⳃㄋⱎ ⱎ㉲ ⽖㉇ ⵱⻔ⷧ ㋊Ⳅ㉙㋡⽕ ⶩ㉙ ⹊⾆ ㉙ ⵱⻔ⱎ ㋊Ⳅ㉈
1 학생들에게 교재의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㈨㓱ⱺ㉙⻔Ⲛ㓰ⷾ㉙ⷧ㒳Ⳡ⾊㉔ⶻ㉇㎉ァ㈿⸛〩㉙ⷾ

• 5분 정도 시간을 주고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Ⳅ㑇ㇼ⽖㉇㉛ⳃ⽃ⱎ㋣㉙⵱⻔ⷧⷾㆸ㓰⾩㔪⽃㉧⻜㓮Ⲛ㉣ⷾ㈛テ㉙⵱⻔㇐ヂ


ゞ㈚⹊Ⲛ ㉣ⷧ ⲥ㈚ㆿ⽕ 㓷⸸ 㕶⹳ㆿ ㇤ㆿ⽃ お⼓㓮㇘ ㊩㉙⵱ ⹋ⷾ ㉙ⷧ ⷾㆸ㓰 ⿉㊢
•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 ⷾㆸ㓰 ㊩Ⲿ㉔ ㇤㔁㉛⸨ ⿉㊢㉇ ㉛⸸㆗⽋㆙ ㈋㇐⸸ ⹨⻔おⷾ㊢ ⾖Ⲛ㊢ ⹱㉙ ㉣Ⲛ ㊩Ⲿⷧ
㉛ⳃ㉔ⱎ㕶⹑Ⲿ⽃⿊Ⲛ㉣Ⲛ㉙㄰⻘ⲾⳭ⸹Ⲿㄶ㐌Ⲿ〫Ⲿㄍ㉙ⷾ
로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㔪㒴 ⸁㈴ⷧ ⼦㓦 5H ㉙⾄ ㄋ⸸ⷧ ⷟⸫⽋㉙ⷾ Ⳅⲓ㉔ ⹂㌓㉅⼍ⷧ ⿇ㆲ⽓È㋊ⳄÈ
⿡⳦⻔⸨ㄶヂ㌓㉇㒅㐓ㄭ㐝〨㌓㉇⶞㒉È㋊Ⳅ㉈㊍㓮Ⲛ㉣ⷾ
2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㉙⵱⻔ⷧⶩ㈨㉜㇤Ⳅ㉅⼍〧㐰⸹⽐㓮㇣ⷧ⸨㉙⸌ㄶ⽓㓮㑯⽓ⱐ⹳ⷧお㒹⼁
㈝⹂㉈㊉Ⱡ㓮㇘㔕㉴⳹㋡⸸㈴⸐㓰㋡⸸㉧⼍㎯ヰ㉈⿙Ⲛ㉣ⷾ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학생들이 형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교사는 칠판  ㆮ⺂ⵠ⻃ㆿⷿ㓟ブⱏ㉐ⷣ⳨"ⵠ⻃㉈⼳㈷ㅲㄬㄥ㇞

에 정답을 판서한다. 13

 ㉌㈶⵱㈉Ⲗⱌ㈶Ⱪ㈷ⲉ⼯ㄬㄥ㇞

 ǫ㉈ⵠ⻃ⷖⶍ㑸ㆆ⻏ㆿ㈣㎕㓦㉒ⷭ
⇨ 정답:  Ǭ㉈ⵠ⻃ⷖ㉸ダⲄㆿケ㍸ゐ㈮㉈ⰽ㉡ⶪ㈶ⵠ⻃㉈ⷭ

 ǭ㉈ⵠ⻃ⷖ㇓ⲳⲖ㉃㉸㉫ㆿケㄤ⼺㓝㇇㇓㐶⼲㔚㉡㓝㇒ⷭ
1) 무릅쓰고 2) 대통령제
3) 끊임없는 4) 식량난  ㉈ⵠ⻃ㆿⷿ㓟㍵ⰽ㉾ ㉐ⷣⷭ⵱㈉㈷㔚㉊㓝ⲉ⽎㈴⽵ ⷭ⼯⽵ 㓝ㄬㄥ㇞

5) 한자 6) 르네상스  ǫ㉈ⵠ⻃㉃㇓㔙ゐㆷ㈶ダⲄ㍬ⷿ㉃Ⳏ⽼⼲㉖⻋㓟ⷭ㇓㔙㒳㑷⽑⻜㉈㇊ⰿㆠㆯ㉡㈴⻼
ダⲄ㈣㉈ⲉⱏ〈㒝ヺ⸧㇊ⰿ㍋㇇㒝㈴⻼ダⲄ㈣㉈⽳㉈ⷖ㈣㉊⾶ⲳ㈷㔺ㆀ㈒⸧ⷖ
ヺ㎕㉈ⷭ 

 Ǭ㉈ⵠ⻃㉃ⷿ㒳㉷㉊Ᵽ㍶⾚㉊㓕⻃⾶⹗ⷖⲉⷿㇳ㊑㉃⾕⸑㉈ⷭ㔄㉣㇇ⱏ㉾⸧ⰽㆋ⻯
 ⿭㉎㊉⸃㉂㔥㉕㓱》Ⲕ㆑⻚㉎う㎬㇊ㅽ⳧㇕ㄭ㉂㓱】㄰ⷸ ㊈㉒㈴⽳ⷿ〖〘㈶ケ㌂ろ⽃㊰⿷ㆿ㕜ㆮ㊈㉒ⷭ㉾ゕⰾ㔊⽼ㆧ㉃Ᵽ㍶Ⳝヾ㈶㋐ⳗ⸧ⶤ
⻃㈐㈷㊰ⲉ㉒ⷭ 
 ഹ ೘ ༖ ਭ

 
1 글의 종류와 주제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 본다.


2 학생들에게 10분 정도의 시간을 주어 각자 읽고 문제를 풀도


 

록 한다.
 
• 글을 읽으면서 문제와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제5과 복습 1 5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5 2015-12-11 오후 7:38:03


3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4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 쓰기를 한다.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필요하면 한 번 더 들려준다.
• 5분 정도 시간을 주고 들은 내용을 요약해서 쓸 수 있도
⇨ 정답: 록 한다.
• 교사는 학생들이 쓰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지도
1) 인도
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2) ❶
3) ❶ ○ , ❷ × 5 듣기 지문을 함께 읽을 수 있다.
• 듣기 지문을 보면서 내용을 확인한다.
4 글의 세부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 볼 수 있다.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 세부 내용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을 한다.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예 • 인도는 어떤 문화권에 속할까요?


• 힌두교 문화권은 어떤 특징이 있지요?

말하기
개요

듣기 1. 주어진 주제에 대해 대화 나누기

개요
 ⷸ㉄⸊㔤㊻㊋㇊⸊㓱㎢ⲽ⹦ⲡ㉡㈶⼌ⱻ㉓ㆪ⳧⼽㓱】㄰ⷸ

보기

1. 듣고 내용 이해하기 가: 지금까지 생활하면서 문화가 다르다고 느낀 적이 있어?

나: 음, 문화가 다르다? 아, 있다. 지난달에 동남아시아에 부모님이랑 놀러갔거든. 그 나라


사람들은 인사를 할 때 두 손을 모으고 이렇게 고개를 숙여 인사를 하더라. 처음에는
그게 아주 낯설었는데 며칠 지난 후에는 나도 똑같이 따라 하고 있더라고.

다: 맞아. 인사하는 것부터 다른 게 많지. 나도 처음 한국에 갔을 때 어른들에게 인사를


 ⷸ㉄㉂㉦⹥Ⲕ㋟⾣㇊⸃㓨ㄷ㄰㇩ 제대로 못한다고 혼난 적이 있었어.
14
가: 어떻게 인사를 했길래 혼나기까지 했어?
 ⹛㈶⵱㈉㈷⽪⽼㓟㔰㎗Ⲳ㇫〹ⲭ㓦〆ㄥⷭ
다: 할머니를 오랜만에 뵀는데 너무 반가워서 여기에서처럼 이렇게 손을 흔들고 인사했
지. 고개를 숙여 인사하는 게 익숙하지 않아서. 그 다음 일은 안 봐도 알겠지?

⵼ⱈⲍ㔁㓱『 ㈕⽅⵫⻎ⱈモ㓪
⾣㔤㌺㉓ ⾣㔤Ⳍ

 ⵱㈉Ⲗⱌ㈴⽵ ⷭ⼯⽵ 㓝ㄬㄥ㇞ ⵫㇊ⱻ㇞㓻㉂ ㍷Ⳟ㇊⹦㉁


 ǫⵠ㒪⻧㇩㉃ㄩ㊀㐂ⷖFP㇒ⷭ  ⿁㎢㊣Ⲹ ニⲏⷙㄧ

 Ǭⵠ㒪⻧㇩㉈㊱㉖㓏⻋ㄜⷿ㔃⽹㉈㉋ㆮ⵫ⷭ 

 ǭⵠ㒪⻧㇩㈶㐂ⷖ㉗㋐⽄Ᵽ㉡㓟㍒ⱹ㉃ブ㈫㉖㇒ⷭ 
㇓゘㊂㈿⼇ⱈ㉬ ㇓゘㊂㈿⼇ⱈ㉬
㈮⸊㓪゘Ɱ ㆓㐕ⳳ㈗゘Ɱ

 ⹛㈶㉈㆟Ⳝ㍉⻡㇈ろ㉷㉊⾚ㆿⷿ㓦㉛⾄ㆋⲉ㉒ⷖⱰ㉒ⷭ⽵㊐ろ㓦ケ㉾⼺㓦〆ㄥⷭ

УÒ㐏⻸㇯㒅㑯⻔Óⷧⱎ㉲㆗⽄ⷾ㈝㇘㉛㉙㇋ⷾ" ⵼ⱈ㊝ⲍ㓨ⷡ ⵫㇊⸊㓱


Уパⲕ㇐ヂ㍽㍱⼍㊉㔪⽃⿚⾊㓰ゞ⻘㉇Ò Ó㉙ⷾ" ㉕⾥ ㉡ゼ㊃㉂ㅿⷸ⾀"

УÒ㇐⹳ㄯÓ㉇ⶲ オ㉈⿙ㆣⷾ"

1 <보기>의 대화를 함께 읽어 본다.

2 2~3명씩 모둠을 만들어 준다.

1 3 대화하기 활동을 진행한다.


CD를 들려주고 들은 내용을 메모하도록 한다.
• 들으면서 자유롭게 메모하도록 한다. • 수업 시간에 따라 주어진 주제 중 몇 개를 선택하여 활동
• 메모한 것을 친구와 비교하면서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할 수 있다.
수 있도록 한다. • 교사는 학생들이 활동하는 동안 돌아다니며 도움이 필요
한 학생에게 도움을 준다.
2 다시 한 번 들려주고 문제를 풀도록 한다. • 발화의 기회가 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4 친구와 나눈 대화를 발표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정답:
❶○ ❷× ❸×

5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6 2015-12-11 오후 7:38:05


┃모음(母音, Vowels)┃
생각의 차이 하나로

교육 목표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발명품의 효용에 대해 표현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발명품에 대한 대화 듣고 이해하기 • 덕분에
• 발명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물건 이야기하기 • -는 데에
• ‘바퀴’의 발명에 관한 글 읽고 이해하기
•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쓰기 3. 어휘
• 발명품, 발명과 발견, 발명품의 효용 관련 표현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발명품에 대한 인터뷰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 <워크북> 활동 25분
• 발명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물건 이야기하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30분
• 위대한 발명품에 대한 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6과 생각의 차이 하나로 5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7 2015-12-11 오후 7:38:06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도입
예 여러분은 이 중에서 가장 위대한 발명품이 무엇이라고 생각해요?
개요 여러분은 발명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물건이 있어요?

1. 교재 57쪽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2. 어떤 사진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어휘
개요

1.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확


6과
인하고 학습하기

2.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발


학습 목표
㈴⸐㓰⿚⾊㓏㇐⸐㓷㉙ㆰⳭ㓱ㄋ㉣ⷾ
생각의 차이 명품에 대해 확인하고 학습하기
⿚⾊㓏㉔㔼㈚㇐⸐㓷㓄㔕㓱ㄋ㉣ⷾ

학습 내용 하나로
⾩⿸_⸛〩㇐ⷧ⸨㇐
ㆿ㕓_⿚⾊㓏⿚⾊ⲧ⿚Ⲍ⿚⾊㓏㉔㔼㈚ⲩ⼂㓄㔕

ㆺ㕎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다음 어휘의 의미를 알아보고, 여러분이 생각


하는 가장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이야기해 보십시오.

종이 나사 도르래 페니실린 칼

도자기 시계 달력 바퀴 글자
࿬གྷ઀ኊ
ඪ້஑
1. 여러분은 가장 위대한 발명품이 무엇이라고 생각해요?
2. 여러분은 발명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물건이 있어요?
1.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을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1 1)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에 대


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의 종류에
대한 어휘를 확인한다.
1 학생들에게 교재의 사진을 보게 한다.
① 알고 있는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 에 대한 어휘가 있으면
• 교재의 사진을 보면서 발명품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2 사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발명품에 대해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도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예 사진을 보세요.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무슨 사진이에요?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어떤 물건들이 있어요? 하면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 물건들은 언제 발명되었을까요? 2 이외에도 알고 있는 위대한 발명품이 있는지 질문한다.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예 여기에 있는 것 외에도 여러분이 생각하는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
• 이 단원에서는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이야기하는 활동을 이 있어요?
하게 될 것임을 알려준다.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예 여러분은 가장 위대한 발명품이 무엇이라고 생각해요? 그 발명품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을 사용하면 무엇이 좋아요? 이번 단원에서는 위대한 발명품에 대
해서 이야기해 볼 거예요.

5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8 2015-12-11 오후 7:38:06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발명품들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다음 어휘의 의미를 알아보고,
본문
우리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발명품은 무엇인지, 왜 그런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십시오.

컴퓨터 전화 스마트폰 전기 전구
개요
비행기 자동차 볼펜 인쇄기

1. 목표: 발명품을 소개하는 대화하기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2.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발명품을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대화 연습하기
1 2)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발명
품에 대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발명품에 대한 어휘를 확
인한다.
① 알고 있는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발명품’ 에 대한 어휘가 ⸋㔥
있으면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하면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2 우리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발명품은 무엇이라고 생각 15

하는지 질문한다. 여자: ㉧㉙⿳㇐ョⱠ㓱ㄸ㊑㓏㉇㊩㉙ⶆお㉛⸨㈓㊩㉙ⶆお⽃Ⱡ⿚㓮ㄸ〩㉈⾍ㄶⲚト


⾊㉈⹬ㆿ】ⲇㄳⷴⷾ
⵹㉧ ⶞㆙ⶮ㓮ㄽⷴ⳹"㊩㉙ⶆお⽃⿚⾊㓰ⳳⳭ㔠㉡ⷴⷾ
예 우리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발명품은 무엇이라고 생각해요? ㇘㉧ ⶞㆙ⶮ㓮パ㈓"㊩㉙⼍⹊ㆿ㉣ⷧⶆお㊏⽘ㄸⳭ㓰⸨㈓Ⳣ⻰⸨㊩㉙ⶆお⽃⽕⹬
ⲁ⹋㉙㈼ⷧ⾦㇊㉡ⷴ⳹"
왜 그렇게 생각해요?
⵹㉧ ㊇ⷧ㒳ョ㇐ⱎ㊢⹬㓮Ⲛ㎼㓭㉈⽖㉙ⷾⷺⷴⷾⳢ⻠ヂㆰ㈋㇐ヂ㉊ㄷ㉈㈓⽋㓷ヂ
⽱ⷧ㉜㉙⽖ㄳⷴⷾⳢ⻰⸨⾦Ⱳ㈝ⶆお⽃ⱎ㋡Ⲛⷾⷴⷴ⳹ⶑ⾦〫㒮㓷ヂ㊦⸚㒮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㓰⿡⿸㉙㇉㉈⳹Ⲛ⿉㓾ㄳⷴⷾⳢ⻮ⷾⱎ㉙㊩㉙ⶆお⽃Ⱡ⿚㓮ⲁ⹊㇋ㄳⷴⷾ


㇘㉧ ⶞㆗⾦⻠⸸㊩㉙⼍⽕⹪ⶆお⻔ヂⱎ〆㈛ⷴ⳹ㆰ㈋㇐ヂ㈓⽋㓮ⷧ⸨㇐ゞ㈚㓮⾆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ⲇ⶞㈓Ⳣ⻰⸨㉙㊩㉙ⶆお⽃〫㈴㇐ㇲ⼀ⶼⲚ㈓⽋㓮⾆㐛㋡㆛㉈⳹㈓"
Ⳣⱺ㉙ⱎ㉲ⱳ㊏⹊ⷧ⸨㈓
⵹㉧ ⶞⿔⼍Ⳣⱺ㉙㉙㊩㉙ⶆお⽃Ⱡ⿚㓱⺈ⱎ㉲ㄸⲓㆅ〧〩㉡ⷴⷾ㉙㊩㉙ⶆおⷧ
〫㇐⸏㆗⸸㐛㋡㆛ⷧ㉴⼠⼍⹊ㆿ㉣ㄳⷴⷾㄺ㊑⼍㋡⳨㇦㇐ヂ㊩㉙ⶆお㇐⻔⾆
㉈ⵣ㉙Ⲛ㉣ⷧ⸨㈓㉧】ㄽㄶ㇯㐛㋡㆛㋡㈓"
㇘㉧ ⶞㊏⽘Ⳣ⻮⶞㈓㊏⽘ㄸⳭ㓴ⷴⷾ㉙㊩㉙ⶆお⸛〩㇐⽖㉇〩⹬㉙ㆰ㈋㇐ヂ⸸
㒮㓮ⲁ㉊ㄷ㉈㓷⽱㉈ㄋ㉣㉈ⱺⱝㄳⷴⷾ㇯ⷨョⱠⱕゞ㓴ⷴⷾ
⵹㉧ ⶞ⱕゞ㓴ⷴⷾ

6과_생각의 차이 하나로 59

1 발명품을 소개하는 상황을 생각하도록 유도하여 대화 내용


을 도입한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예 교사: 여러분은 발명품을 친구들 앞에서 소개해 본 적이 있어요?


무엇을 소개해 봤어요?
학생: 수업 시간에 제가 만든 물건을 친구들 앞에서 소개해 봤어
요.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예 지금부터 두 사람의 대화를 들을 거예요. 한 남자가 자신이 발명


한 물건을 텔레비전에 나와서 소개하는 내용이에요. 어떤 물건을
소개할까요?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제6과 생각의 차이 하나로 5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59 2015-12-11 오후 7:38:07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어휘 더 배우기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개요
3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예 남자는 어떤 물건을 소개했어요?
이 물건을 사용하면 무엇이 좋아요?
남자는 이 물건을 왜 발명했어요?

ㆺ㕎⸕⿞㈖⳨
• 대화 듣기에서는 발표 상황에서의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
한 도입으로 대화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 발명품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한다.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본다.
발명과 발견

응용 아이디어가 떠오르다 발명하다 발견하다 개발하다

연구하다 탐구하다 실험하다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볼 수
있다.
발명품의 효용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편하다 편리하다 간편하다 유용하다 빠르다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좋아지다 개선되다 변화시키다 문제를 해결하다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어휘 1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 대화문의 내용에 대해 질문하면서 발명과 발견에 대한 어
휘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예 교사: 대화문을 보세요. 남자는 종이 냄비를 발명했어요. 그런데


대화문에서 ‘발명하다’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어휘가 있어
요. 무엇이에요?
학생: ‘개발하다’요?
교사: 네. ‘개발하다’예요. ‘개발하다’는 ‘발명하다’와 어떤 의미 차
이가 있을까요?
학생: ‘발명하다’는 전혀 없던 것을 새로 만든 것을 말하는 것 같아
요. 그런데 ‘개발하다’는 있었던 것을 좀더 좋게 해서 새로운
물건을 만들었을 때 사용하는 것 같아요.

② 교사는 ‘발명하다’, ‘개발하다’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


한 후 발명과 발견에 대한 어휘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6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0 2015-12-11 오후 7:38:08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문법
• 교사가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학생들
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생들에게 설명해 개요
보게 할 수 있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1. ‘덕분에’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2. ‘-는 데에’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2. 어휘 2
1. 문법1 덕분에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 대화문에서 남자가 개발한 물건을 소개하는 내용에 대해
⾤⿳
질문하면서 발명품의 효용에 대한 어휘에 집중하도록 유
도한다.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덕분에
예 교사: 이 종이 냄비를 사용하면 무엇이 좋을까요?
예문 이 기계 덕분에 계산이 훨씬 빨라졌습니다.
학생: 가벼워서 가지고 다니기 편리해요. 끊임없이 노력하는 발명가들 덕분에 우리의 생활이 편리해지고 있습니다.

② 교사는 ‘편리하다’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발명품


의 효용에 대한 어휘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1 준비
① 발명품의 효용을 말하면서 ‘덕분에’를 도입한다.
2 설명 • 대화를 통해서 ‘덕분에’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예문을 이끌어 낸다.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예 교사: 앞에서 ‘종이 냄비’는 무엇이 좋다고 했지요?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학생: 야외에서 편하게 요리할 수 있어요.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교사: 그래요. 종이 냄비 덕분에 야외에서도 편하게 음식을 해 먹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을 수 있어요.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 교사가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학생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덕분에’가 어떤 의미일지 질문해
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생들에게 설명해 서 생각해 보게 한다.
보게 할 수 있다.
2 설명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물건의 좋은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점을 이야기할 때 ‘덕분에’를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② ‘덕분에’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3. 연습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덕분에’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보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게 한다.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록 한다. 이 기계 덕분에 계산이 훨씬 빨라졌습니다.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한다.
끊임없이 노력하는 발명가들 덕분에 우리의 생활이
• 어휘와 표현을 맞히는 활동을 한다.
• 학생들을 두 팀으로 나누어 일정한 시간 안에 더 많은 어 편리해지고 있습니다.
휘와 표현을 맞히는 팀이 이기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예 교사: 라이트 형제는 비행기를 최초로......?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덕분에’의 의미, 형태, 화용을
학생 1: 발명했다.
설명한다.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응용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제6과 생각의 차이 하나로 6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1 2015-12-11 오후 7:38:09


예문을 이끌어 낸다.
문법 설명 덕분에
예 교사: 남자가 이야기한 종이 냄비는 어디에 사용하면 좋아요?
의미: ‘덕분에’는 어떤 대상이 긍정적인 내용에 기여했다는
학생: 야외에서 요리하는 데에 사용하면 좋아요.
것을 표현할 때 쓰인다. ‘덕분에’의 앞에는 명사가 나
오며, 뒤에는 긍정적인 의미의 문장이 나오는데, ‘덕분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는 데에’가 어떤 의미일지 질문
에’ 앞에 나오는 명사가 뒤에 나오는 긍정적인 내용에
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기여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형태: 덕분에 앞에는 명사가 온다. 2 설명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된다. 이외에도 ‘현주 씨 덕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일을 하는
분에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처럼 감사의 뜻을 표현할 경우에’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 ‘–는 데에’를 사용할 수 있
때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때에는 ‘덕분에 맛있게 잘 음을 설명한다.
먹었습니다.’처럼 앞의 명사를 생략하고 말하기도 한 ② ‘-는 데에’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는 데에’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이 냄비는 야외에서 요리하는 데에 사용하면 좋습
니다.
2 연습
이 기계는 물건을 들어올리는 데에 사용합니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는 데에’의 의미, 형태, 화용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을 설명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연습>의 정답
문법 설명 –는 데에

1) 전구 덕분에 의미: ‘-는 데에’는 동사 뒤에 붙어서 ‘어떤 일을 하는 경우에’


2) 비행기 덕분에 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교사는 다음과 같이 ‘-는 데에’의 의미를 ‘어떤 일을 하는 경우


응용
에’ 또는 ‘어떤 일을 하는 것에’로 풀어서 설명할 수 있다.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예 ‘야외에서 요리하는 데에 사용하면 좋아요’라는 문장은 ‘야외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에서 요리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좋아요’라는 의미예요.

2. 문법2 –는 데에 형태: 동사 현재형 어간에 붙는다.


화용: 뒤에는 주로 ‘사용하다, 좋다, 효과가 있다, 필요하다,
 ⿞㇐⸸⿛㉇ご㆗⻠㇐ヂゴ㔭㓱ㄋ㉣ⲁ⹊㇋ㄳⷴⷾ ㊉ⳃ
(시간이) 걸리다, (비용이) 들다’가 온다.
  ⻔㉙㑯㔛㊑ⱎ⿚⾊㓰 パⲕㆿ⹳㇐⹪ⱒㄋ㉣ㄳⷴⷾ お㓿Ⳮ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는 데에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예문 이 냄비는 야외에서 요리하는 데에 사용하면 좋습니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이 기계는 물건을 들어올리는 데에 사용합니다.

3 연습
  ⽞㈧ⲓ㉇㆗㋁⽳⽋㉣ⷧゞ⾫㉈ ゞ㈚㓴ⷴⷾ 】ⷾ 

  ㉙⾫ⱴ㉇㇘Ⳮ㊇Ⳮ㕭ㆿ㊙㉣ⷧ㊩㉙⽃ ㊬ㄳⷴⷾ ⾍㆗ⶼⷾ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ߵඋ֊#්۟
다음의 물건 중 1개를 골라 위의 표현을 사용하여 그 물건을 어디에 사용하는지, 그 물건을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쓰면 좋은 점은 무엇인지를 간단히 말해 보십시오.

㉧⹂㍀
㊍㍁ㄷ⽻⾍㋡
〒ゞⳭ
⇨ <연습>의 정답
㒸ㄭ㑯㉢
1) 보는 데에
보기
자동차 덕분에 우리는 먼 곳으로 갈 수 있습니다.
2) 모아 놓는 데에

응용
1 준비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① 발명품의 효용을 이야기하면서 ‘–는 데에’를 도입한다.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 대화를 통해서 ‘–는 데에’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6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2 2015-12-11 오후 7:38:10


16

4 말하기 연습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 1 의 정답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제시된 물건 중 하나 1) 전자레인지, 음식을 요리하는 데에 사용해요.
를 골라 문법을 사용하여 어디에 사용하는지, 그 물건을 2) ❶ × ❷ ○
쓰면 좋은 점은 무엇인지를 말하는 연습임을 설명한다.
• 짝활동으로 내용을 만들어 말해 보도록 한다.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17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무엇에 대한 이야기입니까?

 다음 중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Dz⾫ⱶ⻸⼍〘㍢ョⳭⷧ⿔ⷿ㉈⸀ⷧ⸨ゞ㈚㓰ⷾ
dz⾫ⱶ⻸⼍〘㍢ョⳭ㇐ⷧ⾫㉈⸈ⷧ㑎㉙⸃⼀㉣ⷾ
Ǵ㍢ョ⽃⸐ㄸ㓷㋁ⷧ㍢ョⳭⷧ㋡⳨⳹㋡Ⱡ⿚⹊㋡㆛ㆣⷾ

듣고 말하기 ǵ⾫ⱶ⻸㍢ョⷧ㋁〧⹬㉙㕸⹬ㆿ㓮ⷧ㋨㆙㉜㋊㉔㓮⵱㉙ⷾ

2. ‘물걸레 로봇 청소기’에 대한 대화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


개요 다.

1. 듣기: ‘전자레인지 발명’에 대한 대화 듣기, ‘물걸레 로봇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청소기’에 대한 뉴스 듣기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2. 말하기: 필요한 발명품에 대해 이야기하기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을까요?

2 시디를 들려준다.
⹦ⲕ⽓㓩⳨
• 물걸레 로봇 청소기의 개발에 대한 뉴스의 일부이다. 뉴스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에서 이야기하는 물건이 무엇인지에 대해 집중하여 듣게
16
 이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발명품은 무엇입니까? 그 발명품은 어디에 사용하는 것입니까? 한다.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Dz⵶㆏ⱎ⸚㈥ヂㄭ㒧ヂ㉔㍱㏢⽑㉙ⶳㆣⷾ ( )
dzㄭ㒧ヂⱎⷾⷴ⸝ⲥ㉲㇐ヂⷧ㊉㉧㒅ⱎ⽖㉙⵱㈃ⷾ ( )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1. ‘전자레인지 발명’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17


예 교사: 2)번에서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은 뭐예요?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학생: 3번이에요.
교사: 왜 그렇게 생각했어요?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학생: 먼지를 빨아들이는 로봇 청소기는 이미 개발되어서 많이 이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을까요? 용하고 있어요.

2 시디를 들려준다.
⇨ 2 의 정답
• 전자레인지를 발명하게 된 배경에 대한 듣기이다. 이야기
1) 물걸레 로봇 청소기
하는 발명품이 무엇인지에 대해 집중하여 듣게 한다.
2) ❸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응용
예 교사: 날씨가 더워서 스펜서가 가지고 있던 초콜릿이 녹았어요? 1. 편리하게 사용하는 물건들이 어떻게 발명되었는지에 대해 알고 있
학생: 아니요. 그날은 덥지 않았어요. 전자파 때문에 녹았어요. 는 것이 있으면 이야기해 보게 한다.
교사: 그럼 무엇 때문에 초콜릿이 녹았어요? 2. 최근 발명 또는 개발되었다고 뉴스에 나온 물건이 있는지 친구와
학생: 공장 여기저기에서 나오는 전자파 때문에 녹았어요. 이야기해 본다.

제6과 생각의 차이 하나로 6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3 2015-12-11 오후 7:38:11


읽고 쓰기
3 여러분은 발명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물건이 있습니까? 그 물건은 무엇입니까? 왜 그 발명 개요
품이 필요합니까? 그것이 발명되면 무엇이 좋습니까?

⿚⾊⹊㇋㉅⾆㓮ⷧ⾫ⱴ
1. 읽기: ‘바퀴’의 발명에 관한 글 읽고 이해하기
Āㆿ⹳㇐ㆃⷧ⾫ⱴ㉡ⷴ⳹"

Ā㈅㓩㈓㓴ⷴ⳹"

Ā⾦㇊㉙㊬ㄳⷴ⳹"
2. 쓰기: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쓰기

4 3 에서 생각한 내용을 가지고 친구와 함께 이야기해 보십시오.


㉘ⲕㅾ⳨
보기
가: 저는 운동화로 변신할 수 있는 구두가 있으면 좋겠어요.
나: 운동화로 변신할 수 있는 구두요? 1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가: 네. 평소에는 구두지만 많이 걸어야 할 때 운동화로 변신시킬 수 있는 거예요.
㉛⼸㉔⾩⾊㇐ⱎ㉲㐎㇤㔁㉈⿇㎨⿚⾊㓏㉈㓮⵱⽕㊏㓮⻔Ⲛ㓮⾆⾦㇊㉈⹬ㄋ㉣㉈
⳹"⽖㉇ゞ⻘⹬㉙⿔⼍Ò⿔㐀Ó⽃⴮ⷧⷾÒ⿔㐀㇐ヂ㈛㋁テ⳹㋡Ó⻔ⷧ⽘㉙㉣㉈㊏⸸⼍⿔
㐀ⷧ㉛⼸㉔Ⲿ㑎ㄋ⸁㉔ㄶ㍱ⱎ⹊ⷧ㈴⸐㓰⿚⾊㓏㉙ⷾ
⿔㐀ⷧ ⱎ㈝⸨㇐ ㉣ⷧ ㎇㉈ ㋊ㄼ㉅⼍ ⳇ⻮ⱎⷧ ⹂Ⳣ⻖ ⾫㍣⼍ ⾫㍣㉔ ㉙⹂㉈ 㒮⽋㓮ⲁ
㓮ⷧ㉲㎦㉙ⷾ㉙⻮㓰⿔㐀㉔⿚⾊㉅⼍⽓㍀㉧⹂㍀Ⳮ㍀ㇼⱝ㉇Ⲿ㑎ㄋ⸁㉔⿚㊉㉙⳩ヨ
3. 발명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물건에 대한 말하기 활동을 한 㓮ⲁ㉙⼦ㆿ㊙㈃ⷾ

다. ⿔㐀⽃ⷎⱎ㍽㍱⼍⿚⾊㓮㇣ⷧ㋡ⷧ〩⾊㓮ⲁ⿛㔓㋡㋡㆛ㆣⷾⷾ⽕⽻ョ㒸㐛⿇㆗㈼㊈
㋊㇐㊉㍀㇐ゞ㈚⹋⵱⾦⿔㐀ⱎ⿚Ⲍ⹋ⱺ㉅⼍〕⺈Ⳮ㈧㊉ⶩ㉙㊉〧㐰⿔㐀ⱎゞ
㈚⹋ⱺ㉅⼍㎆㊏㓮Ⲛ㉣ⷾ
1 발명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물건이 있는지 이야기를 하면서 ⿔㐀ⷧ⾦Ⱳ㈝㋧⿓㇐㑎⵱⾦⽃ⶼⲚⳇ⽍ⱺ㇐ヂ〧㐰ㄶ㉨⹊㇋ⷾⲚ㆜⼀㊙㉣ⷾⳢ⻮ⷾ
ⱎⶩ㊉〧㐰ⷧ㑎⵱⾦⽃⹘⳦ⲁ㉧⽂㈧㒈㔛㐥㉔⿔㐀ⱎ⵱㐛⵼ⷾⳢ⽋Ⲛ㉙⼍〧
말하기 활동을 도입한다. 㐰ⶩ㕁㇐ⷧ⿔㐀ィ㉙ゴⳭⲁ⹊㇋ⷾ⿔㐀㉔㉴⼠ⷧ㍚㉊㇐ⷧ⵱⾦ⱎ⽖㉙ㆃ㇣㉅⵱
㉙㕁㇐ⷧ⳨ヨ㉙ゞ㈚⹊Ⲛ㔕⸐㇐ㇼヂⷧⲚ⾦ⱎㆃ㉙Ⲛ㉣ⷾ

2 두 명씩 팀을 짜서 발명되었으면 하는 물건에 대해 어디에 쓰


 이 글의 제목을 만들어 보십시오.
는 물건인지, 왜 필요한지, 그 물건이 있으면 무엇이 좋은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3 짝을 바꿔 다른 팀의 친구에게 자신이 생각한 발명품에 대해  바퀴의 발전 과정을 순서대로 고르십시오.

( Dz )→( )→( )→( )


서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Dz dz Ǵ ǵ

• 교사는 이때 학생들이 발명품의 효용에 대해 잘 설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 실제 반 친구들 앞에서 자신이 생각한 발명품에 대해 발표해
보고 가장 기발하다고 생각하는 발명품은 무엇인지, 왜 그렇
64 한국어 6-2

게 생각하는지 이야기하면서 활동을 정리한다.

응용 1. 읽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글을 읽게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1. 워크북 <활동>에서 ‘학교에 필요한 발명품’에 관한 ‘우리 학교 발명
대회, 나도 발명왕!’ 활동을 해 본다.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한 글일까요?

2. 설명문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1 글을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록 한다.
• 글을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2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6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4 2015-12-11 오후 7:38:13


4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편의 글을 쓰게 한다.
예 교사: 1번, 이 글의 제목을 만들어 볼까요? 이 글은 무엇에 대한 내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 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용이에요?
는지 확인하게 한다.
학생: 바퀴가 언제 발명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변해 왔는지 설명
하는 글이에요. 5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거나 발표하게 한다.
교사: 네. 그럼 제목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글에 위대한 발명품의 그림이나 사진을 함께 붙여 교실 벽
학생: 음...... 바퀴의 발명과 발전. 이나 게시판에 게시해 줄 수 있다.
교사: 네. ‘바퀴의 발명과 발전’. 좋아요. 다른 사람은 어때요?
6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 먼저 글의 내용, 텍스트의 형식적 특성에 맞는 글의 구성
⇨ ‘문제 2’의 정답: 에 집중해 피드백을 해 준다.
④→③→② • 그 다음에 맞춤법이나 잘못 쓴 어휘나 문법에 대한 피드백
을 해 주도록 한다.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준다.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휘를 다룰 때는 ‘문명, 교통수단’과 같이 내용 이해에 핵
심적인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
해에 핵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지나치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
음 기회로 넘긴다.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좋다.

2 여러분이 생각하는 가장 위대한 발명품은 무엇입니까?

 다음 항목에 대해 간단하게 메모해 보십시오.

Ā⿚⾊㓏

Ā⾫ⱴ㉔㈚⸸

ĀⳢ⻷ⲁゴⱏ㓮ⷧ㉙㈼

ĀⳢ⿚⾊㓏㉙⽕⹬ㆿ㋣ⲕⳭ⺨ⷧ⿚㊉ⲧ㊏

 위의 내용을 이용해서 ‘가장 위대한 발명품’에 대한 글을 작성해 봅시다.

2. 가장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쓰는 활동을 한다.

1 ‘어휘’와 ‘어휘 더 배우기’에서 제시된 표현을 다시 언급하면


서 설명하는 글을 쓴다는 것을 알려 준다.

2 지시문을 함께 읽고 글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3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제6과 생각의 차이 하나로 6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5 2015-12-11 오후 7:38:14


단원 마무리 문화
개요 개요

1. 발명품에 대해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했음을 1. 한국의 발명품에 대해서 알기


상기시키기 2. 내가 살고 있는 나라의 발명품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㔪 한국 사람의 삶을 바꾼 한국의 10대 발명품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1.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이야기하고, 발명품의 효용에 대해 표현할 수 있습니까?


2. 발명품, 발명과 발견, 발명품의 효용과 관련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ゾ㉊⵨ⶖ⽹㈷゙ⷿ㈴⻼㓟シ⾘㊐ろ⼲㐽㓦Ì㓟ⲳろ⻇㉃ゔ㈷⿃ⴳ㓟ⲳ㉃
ⷿ⿉⽹㒾Íㆿⷿ㓟㊐ろⰽ㉈⼕ㆮ㊍ⷭ

㈴
㈴ ㈴ ㈴ ㈴ ㈴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지 확인해 보게 한다.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ㄭ⽓㑯㒺 ⳳ㎦ⶊ㉲Ⲛ ㏄㓦⿈ㄭ ㆗⻠㆗㓰⳦ ㍜㋡㉛
예 이번 단원에서는 위대한 발명품에 대한 내용을 공부했어요. 우리 ㈴ ㈴ ㈴ ㈴ ㈴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물건이 어떻게 발명되었는지에 대해서


들어 보았고, 여러분이 발명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물건에 대해
서 발표도 해 보았어요. 인류의 문명에 큰 영향을 준 바퀴의 발명
에 대한 설명문을 읽고, 여러분이 생각하는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㔥㓦 㓰⳦㐛㉧Ⳮ 03㓢⻸㉙ㆿ &'0$ '⻤
설명하는 글을 쓰는 활동도 했어요.
㊐ろⱽⲖ㈣ⷖ⿃⻼ゕゾ㉸㉖㉃ⱒ⻞ㄥㄜ⽂㑞㒩㉈㌯㋐㓭ⷭダⲄㄜ⽂㑞㒩ㄥ㉡ㆿケゕゾ
㉸㉖ⱒ⻞ㄥⷖ㓟ⲳⳜヾ⻰㈷ダⲄㆿ ㇇㊰ⲉ㉒ⷭ㈣ⷖ⶘サ ㉊ⳗゾろ 㔄/*㉸㉖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Ⳣ㎕⵹㉡ⲉ 㒳 ⰽサ㉾⸸ⷭⳢ㎕⵹㉡ⲉⷖ㓟ⲳ㉃ⷿ〖〘㉃ⰽ㉾ㆿケ㓟ⷿㅿⴘⱊⲉ㉒㈷
㉾⸧⻼ィ㔜㉃㓘ヺ㒾㉈⸹ㆺⷭ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㈣ⷖ⶘⸱ケㄦ㒾㉈ⱏ⿉㓟㎳㓕⾷ㄜⰽ㌯㋐㓭ⷭ〚Ⲗ⶘㉸⽄㓦⸧゙⼧㎔㈣㊰⻼
㑷⽑⸹⸌ ㎳㓕ⰽ ⷿ㊹㔙⸺ Ⱪ㉈ ㎳㓕⾷ㄜ㉃ ⿉⽹ ⸊〘㉈⻃ⲉ 㓠 ㉾⸧⻼ ㉈ ㊀㒾㈶ ㏽ ㉊Ⳝ⼲

예 여러분은 위대한 발명품에 대해 이야기하고, 발명품의 효용에 대 ⵐㆺⷭ


ⷭ㈹㈴⻼ⷖ⶘ⱏ⿉⸺ㆆ⻏ㆆ㓟ⳕ㈔⹗㓏⻼ダケⰽ㈣ㆿ㇡⻊ⷭㆆ⻏ㆆ㓟ⳕ㈶㎸㓉㐟
해서 설명할 수 있어요? ㆿケ㓟ⳕ㈷㇭⿶㓝Ɒ㒳㔄㓝Ɒ㓢㈴⻼ㅃ㎸㓉㐟⼲㐽㓟⾘㉖ィ㔜㈷㒝⼺㓝Ɒ㓦㊰ㆺⷭ㍬㍠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ㆆ⻏ㆆ㓟ⳕ㓏⻼ⳑ⻓㉊Ìㆆ⻏ㆆ㓟ⳕÍ㈶⾘㔙㉣⻼⸧⹠⻽⸸ⷭ


ⳑㇺㆿ⸧㕊ⷿ㉸㔙㉃㓟ⳕ㉐⻰⿐ㄦ㉊㍋㋐㉊ダⲄ㍬㍠616㉊㄰㉈㈗⹗⾶ⷣ㔔㓕㓟ⳕ
㐊㉖ⳜダⲄ㍬㍠㉃03㓑⻧㉈ㆮ⹠㉈㈣ㆿケ㈣⼲㌯㋐㓭ⷭ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66 한국어 6-2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1 먼저, 학생이 알고 있는 한국의 발명품이 있는지 이야기하게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한다.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2 한국 사람의 삶을 바꾼 한국의 10대 발명품에 대해 사진 자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권한다. 료와 함께 설명한다.

3
• 이 때 교사는 책에 있는 사진을 보면서 10대 발명품이 무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엇인지 자유롭게 이야기해 볼 수 있게 한다.
• 본문의 내용을 함께 읽으면서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
하는 내용에 대해 다시 한 번 설명해 준다.
3 오늘 배운 한국 사람의 삶을 바꾼 한국의 10대 발명품에 대
해 다시 한 번 확인하고 학생들에게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의
10대 발명품에 대해 조사해 보도록 과제를 제시한다.

6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6 2015-12-11 오후 7:38:15


┃모음(母音, Vowels)┃
미래의 재산, 환경

교육 목표
환경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환경 문제의 해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분리수거와 생태계 파괴에 대한 내용 듣고 이해 • -(으)면서부터
하기 • 같은
• 환경 보호 방법에 대해 발표하기
• 자연 보호 사례에 관한 글 읽고 이해하기 3. 어휘
• 자연 보호의 성공 사례에 대한 글 쓰기
• 환경 문제, 환경 문제의 원인, 환경 보호 관련 표현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환경 문제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 <워크북> 활동 25분
• 환경 보호 방법에 대한 대화 만들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30분
• 자연 보호의 성공 사례에 대한 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7과 미래의 재산, 환경 6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7 2015-12-11 오후 7:38:15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도입
예 지구를 병들게 하는 환경 문제에는 무엇이 있어요?
개요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 교재 67쪽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2. 어떤 그림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어휘
개요

1. 환경 문제에 대한 어휘를 확인하고 학습하기


7과
2. 환경 문제의 원인에 대한 어휘를 확인하고 학습하기
학습 목표
㔬ⲓ⾩㊑㇐⸐㓷㉙ㆰⳭ㓱ㄋ㉣ⷾ
㔬ⲓ⾩㊑㉔㓷Ⲏ⿡⿸㉈ト⾊㓱ㄋ㉣ⷾ
미래의 재산,
학습 내용
⾩⿸_ ㉅ ⾆ヂ〧㐰ⱝ㉇
환경 ㆺ㕎

ㆿ㕓_㔬ⲓ⾩㊑㔬ⲓ⾩㊑㉔㈧㉛㔬ⲓ】㔠
ⲩ⼂㓄㔕 ‘환경 문제’ 하면 떠오르는 것에 표를 해 보십시오.

공기 오염 수질 오염 토양 오염

지구 온난화 사막화 생태계 파괴

기후 변화 야생 동물 멸종 오염이 심각하다

오염이/현상이 심해지다

1. 환경 문제를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1 1)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한 배경지식


을 활성화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어휘를 확인한다.
① 알고 있는 ‘환경 문제’ 에 대한 어휘가 있으면 각자 를 해
࿬གྷ઀ኊ
ඪ້஑ 보도록 한다.
1. 지구를 병들게 하는 환경 문제에는 무엇이 있어요?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2.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1 학생들에게 교재의 그림을 보게 한다.
하면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환경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
2 이밖에도 학생들이 알고 싶어 하는 환경 문제 관련 어휘가 있
다.
는지 질문한다.
2 사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발명품에 대해
도입한다. 예 교사: 더 알고 싶은 어휘가 있어요?
학생: 바다가 더러워지는 것은 뭐라고 해요?
예 그림을 보세요.
이 그림은 무엇을 말하고 있어요?
어떤 문제들이 있어요?
위의 환경 문제를 일으킨 원인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그에 해당하는 어휘에 표를 해
보십시오.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무분별한 개발 자연 훼손 공장 폐수 배출
• 이 단원에서는 환경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활동을 하게 쓰레기 배출 매연 화학 물질 배출

될 것임을 알려준다.

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환경 문제 때문에 병들어 가고 있어요.


우리는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이번 2. 환경 문제의 원인을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단원에서는 환경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 거예요.
1 2)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환경 문제의 원인에 대한 배

6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8 2015-12-11 오후 7:38:16


경지식을 활성화하고 환경 문제의 원인에 대한 어휘를 확인
한다. 본문
① 알고 있는 ‘환경 문제의 원인’ 에 대한 어휘가 있으면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개요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1. 목표: 지구 온난화에 대한 수업 듣고 의견 말하기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다. 대화 연습하기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하면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2 환경 문제를 일으킨 원인과 1)번에서 배운 환경 문제를 연결
⸋㔥
하게 한다.

예 무분별한 개발은 어떤 환경 문제를 낳았어요?


공장 폐수 배출로 인해서 어떤 문제가 생겼어요?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18

선생님: ㉧㇘⻮〩㋡⵴ㄶⱐ㇐㈛⽋ⷧ㋡ⳃㇱ⵴㔪㇐⸐㓷ヂ㉙ㆰⳭ㓾㋡㈓"㋡ⳃㇱ⵴
㔪ⱎ⾦㇊㉙⻔Ⲛ㓾㋡㈓"
㕮㋃ ㋡ⳃⱎ㊌㊌⸚㈥㋡ⷧⱺ㉙㈓
テゴⷹ ⶞⽟㆗㈓㈛⽋ⱎ㉙ァ㔪㐝ョ⽃⽖㉙⿣㎉㓮⾆ヂ〧㐰㋡ⳃ㉔ㇱ⸸ⱎ㊌㊌ㇲ⻔
ⱎⲚ㉣ⷾⲚ㓾ㆿ㈓Ⳣ⻲㇯ⷨ㉇㋡⵴ㄶⱐ㇐㉙ㆿヂ㋡ⳃㇱ⵴㔪⼍㉛㓷ヂㆿ⺓
⾩㊑ⱎゴⳭⷧ㋡㉙ㆰⳭ㓷〕ⲁ㈓㉧㇘Ⳮ⽃】パ㈓㔡ㄶ㉙⹂⾫㉔㉙⽄㉈㆜
㆗㈓"
㕮㋃ ⶞〨ⳣⲢ㈓
テゴⷹ ⶞〨ⳣⲢ㉙㇐㈓〨ⳣⲢ㉇㋡ⳃㇱ⵴㔪⼍㉛㓷ヂ㓦㓷⽃】ⷧ⸐㓄㊈㉛⹂⾫㉙
㇐㈓㉙⹂⾫㇐ⲁㆿ⺓⾩㊑ⱎゴⲒㆿ㈓"ⷎⱎト⾊㓷㋄ㄋ㉣ㆿ㈓"
㋡㉇ テゴⷹ㊑ⱎト⾊㓱ⲁ㈓
テゴⷹ ⶞㋡㉇㉙ⱎ㉙ㆰⳭ㓷㋁パ㈓
㋡㉇ ㋡ⳃⱎ⹾⻇㓷㋡ⷾ】ⷴ〨ⳣ㇐㉣ⷧげ㓮ⱎⶳⲚ㉣ㆿ㈓Ⳣ⻠ヂ〨ⳣⲢ㉙ィⲤ
㉙㊌㊌㇉ㆿ㋡Ⲛ㉣ㆿ㈓
テゴⷹ ⶞⽟㆗㈓㉬㆜Ⲛ㉣⶞㈓㉧Ⳣ⻰⸨〨ⳣⲢ㇐ⲁㆿ⺓⾩㊑ⱎゴⲒⷧ㋡㉙ⷾ㐈
⽽㐰⽋⽃】⾆⸚㉧パ㕴㆜ㄋ㉣㉈Ⱳ㇨㈓㈛⽋ⷾⱝ㉙㉙ⷾ㐈⽽㐰⽋⽃〗ㄶⷾ

7과_미래의 재산, 환경 69

1 그림을 이용하여 대화 내용을 도입한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예 교사: 그림을 보세요. 그림에서 선생님이 무엇을 하고 있어요?


학생: 텔레비전으로 북극곰을 보여주면서 설명을 하고 있어요.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예 지금부터 환경 문제에 대해서 수업하는 내용을 들을 거예요. 어떤


문제에 대한 내용일까요? 잘 들어 보세요.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제7과 미래의 재산, 환경 6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69 2015-12-11 오후 7:38:17


3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어휘 더 배우기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개요
예 무엇에 대해 수업하고 있어요?
지구 온난화가 뭐예요?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 대화 듣기에서는 발표 상황에서의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
한 도입으로 대화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한다.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ㆺ㕎⸕⿞㈖⳨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환경 보호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환경 보호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본다. 환경을 보호하다 환경을 살리다 생태계를 복원하다

오염을 줄이다 오염을 막다

대책을 마련하다 방법을 찾다 문제를 해결하다


응용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볼 수 환경 보호의 방법
있다. 에너지/전기/물/종이 절약 분리수거 재활용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자연 보호 구역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친환경 에너지 개발 태양 에너지 사용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공기 정화 폐수 정화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환경 단체 활동 환경세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어휘 1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 환경 문제 해결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환경 보호 어휘에 집
중하도록 유도한다.

예 교사: 방금 우리는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이야기를 했어요. 지구 온


난화를 막을 ‘방법을 찾아야 해요.’ 그래서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해야 해요’.

② 교사는 ‘방법을 찾다’, ‘문제를 해결하다’를 판서하고 그 의


미를 설명한 후 환경 보호에 대한 어휘를 더 배워 보자고 한
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 교사가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학생들
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할 수 있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7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0 2015-12-11 오후 7:38:18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예 학생 1: 쓰레기를 종류대로 나누어서 버리는 것이에요.
학생 2: 분리수거예요.
3 연습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록 한다.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가지고 문장을 만들어 보는 게임을 응용
한다.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가지고 돌아가면서 문장을 만들어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보게 한다.
• 두 팀으로 나누어 팀별로 문장 만들기 게임을 할 수 있다.

예 교사: ‘환경을 보호하다’.


학생 1: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학생 2: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 환경을 보호합시다.
문법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개요
어휘 2
1. ‘-(으)면서부터’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1 준비
2. ‘같은’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질문하면서
도입한다.
• 환경 보호의 방법에 대해 질문하면서 어휘를 도입한다. 1. 문법1 -(으)면서부터

예 교사: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


⾤⿳
을까요?
학생: 종이를 아껴서 써요.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교사: 네. 종이를 아껴서 쓰면 결국 숲을 보호할 수 있어요.
-(으)면서부터

예문 사람들이 자동차를 이용하면서부터 공기 오염이 심해졌습니다.


② 교사는 ‘종이 절약’ 등을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환 강에 흘러가는 폐수를 정화하면서부터 오염되었던 강이 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경 보호에 관련된 어휘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1 준비
에 를 하게 한다. ① 환경 오염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질문하면서 ‘-(으)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면서부터’를 도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 대화를 통해서 ‘-(으)면서부터’가 이용되는 자연스러운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예 교사: 공기 오염은 언제부터, 왜 시작되었을까요?
• 교사가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학생들 학생 1: 사람들이 자동차를 많이 타기 시작했을 때부터요.
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생들에게 설명해 학생 2: 공장이 많이 생기기 시작했을 때부터요.
보게 할 수 있다. 교사: 그래요. 사람들이 자동차를 이용하면서부터, 그리고 공장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이 생기면서부터 공기 오염이 시작되었어요.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으)면서부터’가 어떤 의미일지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3 연습
2 설명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일이 일어
록 한다. 났을 때부터’라는 의미로 말할 때 ‘-(으)면서부터’를 사용할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한다. 수 있음을 설명한다.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면 그에 맞는 어휘와 표현을 ② ‘-(으)면서부터’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맞히는 활동을 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으)면서부터’가 어떤 의미인지 생
• 학생들을 두 팀으로 나누어 일정한 시간 안에 더 많은 어 각해 보게 한다.
휘와 표현을 맞히는 팀이 이기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제7과 미래의 재산, 환경 7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1 2015-12-11 오후 7:38:19


응용
사람들이 자동차를 이용하면서부터 공기 오염이 심해
졌습니다.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강에 흘러가는 폐수를 정화하면서부터 오염되었던 강
이 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2. 문법2 같은
  ㋁〈㇐ ⱚ㉙㋂ㆿⱙㄳⷴⷾ ⲥ㉲㉙⽖㉙ゴⳭⷾ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으)면서부터’의 의미, 형태,   ゞ⻘⹬㉙ⲩㄼ㉈ⱛⳭㄶ㉨㓾ㄳⷴⷾ
화용을 설명한다. 㔬ⲓ⸁㍣ⱎ⾩㊑⽃㆜⽋ⷾ

문법 설명 -(으)면서부터
같은

의미: ‘-(으)면서부터’는 동사 뒤에 붙어서 ‘어떤 일이 일어 예문 지구 온난화나 사막화와 같은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다람쥐나 사슴 같은 야생 동물들이 자연 속에서 마음껏 살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났을 때부터’라는 의미로 말할 때 쓰인다.
 ㉧㈧㉈㆗ⴡㆰ㓴ⷴⷾ ⾫㊉Ⳮ㊩㉙

교사는 다음과 같이 ‘-(으)면서부터’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  ㉧㇛㇐ⶑ㋡⽃Ⱡ⿚㓷ㆰ㓰ⷾ 㐥ㆸ⿔⻘

해 줄 수 있다.
예 ‘자동차를 이용하면서부터’는 ‘자동차를 이용할 때부터’라는 ߵඋ֊#්۟
의미로, ‘폐수를 정화하면서부터’는 ‘폐수를 정화할 때부터’ 다음 중 1개를 골라 위의 표현을 사용하여 환경 문제가 왜 생겼는지,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간단히 말해 보십시오.
라는 의미로 이야기하는 것이에요.
ⲥⳭ㇯㇟ ㄖ㒅Ⲷ ⾫〧㊢

형태: ‘-(으)면서부터’의 앞에는 동사가 온다. 받침이 있는


동사는 ‘-으면서부터’, 받침이 없는 동사는 ‘-면서부 보기
이 지역에 공장이 생기면서부터 공기 오염이 심해졌습니다.

터’가 결합된다.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되며, ‘부터’가 생략되어
‘-(으)면서’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부터‘가 생략 1 준비
되는 경우는 공식적인 상황이나 문어에서 좀더 많이 ① 환경 문제를 열거해 보면서 ‘같은’을 도입한다.
나타난다. • 대화를 통해서 ‘같은’을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예
문을 이끌어 낸다.
참고 ‘-(으)면서’의 여러 용법
예 교사: 지구를 병들게 하는 환경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다고 했지
•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서 둘 이상의 행위나 상태를 동시에 겸하 요?
고 있음을 나타낸다. 학생: 공기 오염, 수질 오염, 토양 오염......
예 밥을 먹으면서 뉴스를 봅니다.
교사: 그래요. 공기 오염, 수질 오염, 토양 오염 같은 환경 문제가
• 동사 뒤에 붙어서 둘 이상의 행위나 상태가 서로 상반되는 관계에 아주 심각하지요?
있음을 나타낸다.
예 수진이는 매일 놀면서 공부는 잘 봐요.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같은’이 어떤 의미일지 질문해서
• ‘-(으)면서부터’에서 ‘부터’가 생략된 형태로, 동사 뒤에 붙어서 ‘어 생각해 보게 한다.
떤 일이 일어났을 때부터’라는 의미로 말할 때 쓰인다.
2 설명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앞에 열거한 명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사들을 범주화할 때 ‘같은’을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② ‘같은’이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같은’이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보게
2 연습 한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지구 온난화나 사막화와 같은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
다. 고 있습니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다람쥐나 사슴 같은 야생 동물들이 자연 속에서 마음
껏 살 수 있게 해야 합니다.
⇨ <연습>의 정답
1) 공장이 많이 생기면서부터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같은’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
2) 환경 단체가 문제를 알리면서부터 명한다.

7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2 2015-12-11 오후 7:38:20


문법 설명 같은 듣고 말하기
의미: ‘같은’은 앞에 열거한 명사들을 범주화하여 말할 때
쓰인다. 개요

교사는 다음과 같이 ‘같은’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해 줄 수 있 1. 듣기: ‘분리수거’에 대한 대화 듣기, ‘생태계 파괴’에 대
다. 한 뉴스 듣기
예 ‘지구 온난화와 사막화 같은 환경 문제’에서 ‘지구 온난화’,
‘사막화’는 모두 ‘환경 문제’에 포함되는 것이지요? ‘지구 온난 2. 말하기: 환경 보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화’ 같은 것, ‘사막화’ 같은 것, 그런 종류를 말하고 싶을 때 ‘지
구 온난화 같은 환경 문제, 지구 온난화나 사막화 같은 환경
문제’라고 말해요.
⹦ⲕ⽓㓩⳨

형태: 명사와 명사 사이에 사용한다. ‘같은’ 앞에 열거하는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명사는 두 가지 이상인 경우가 많지만, 한 가지일 수도  고모와 윤수는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19

있다.
예 지구 온난화나 사막화 같은 환경 문제
예 지구 온난화 같은 환경 문제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화용: 앞에 나오는 명사들은 ‘와/과’로 연결하는 경우도 있 Dz㉧㈧㉈㉴㔭㈚㓮Ⳮ㈴㓷ヂㆃ⻸Ⳮ〩⽋ㄋⱲ⽃㓰ⷾ ( )

지만, ‘-(이)나’로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dzⲚ⾍ⱎゞⷧ㆗㒅㑯㇐ヂⷧㄋ㈓㉜㇐ㆃ⻸Ⳮ⽃〩⽋ㄋⱲ㓰ⷾ ( )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1. ‘분리수거’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20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3 연습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을까요?
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2 시디를 들려준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분리수거’에 대한 대화를 하는 듣기이다. 고모와 윤수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쓰레기 분리수거를 어떻게 하는지에
⇨ <연습>의 정답 집중하여 듣게 한다.
1) 물이나 전기, 종이 같은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2) 태양이나 바람 같은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응용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예 교사: 고모가 사는 아파트에서는 무슨 요일에 분리수거한 쓰레기
4 말하기 연습 를 버려요?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학생: 수요일에 버려요. 19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제시된 문제 중 하나


를 골라 문법을 사용하여 환경 문제가 왜 생겼는지, 그 문
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말하는 연습임을 설명한 ⇨ 1 의 정답
다. 1) 쓰레기 분리수거
• 짝활동으로 내용을 생각하여 말해 보도록 한다. 2) ❶ ○ ❷ ○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20

 이 뉴스의 제목은 무엇일까요?

 다음 중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Dz⿣ㄭ⻔ⷧ⾫ⲚⳭⷧ〨㆗⽻⽋㎰㇐ヂ⹬ㆿㇱ⾫ⲚⳭ㉙ⷾ
dz㊏〧㇐ヂⷧゴ㐥ⲕ㒅Ⲷ⽃⽔㉈⿡⿸㉈⽓⼂㓮Ⲛ㉣ⷾ
Ǵⷾ⽂⾫ⲚⳭ⹬⺈⾩㇐⿣ㄭ㉔ㄒ㉧ⱎ㊌㊌㋄ㆿ⹬Ⲛ㉣ⷾ

2. ‘생태계 파괴’에 대한 뉴스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제7과 미래의 재산, 환경 7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3 2015-12-11 오후 7:38:22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3.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실천하는 방법에 대한 말하기 활동을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한다.

1 먼저, 학생들에게 환경 보호를 위해 실천하는 방법이 있는지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질문하면서 말하기 활동을 도입한다.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을까요?
2 각자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방법과 그 방법이 어떤 문제를 해
2 시디를 들려준다. 결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며 메모해 보게 한다.
• 생태계 파괴에 대한 뉴스의 일부이다. 어떤 문제가 있는지 3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방법을 짝에게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에 집중하여 듣게 한다.
• 교사는 이때 학생들이 환경 보호의 실천 방법에 대해 설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4 친구 3~4명이 함께 모여서 각자의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보게 한다.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가장 좋다고 생각하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는 방법을 뽑아 보게 한다.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응용
예 교사: 정답이 뭐예요?
1. 워크북 <활동>에서 ‘우리 학교 환경 보호 캠페인, 지구를 살립시다!’
학생: 3번이에요.
를 해 본다.
교사: 왜 그렇게 생각해요?
2. 환경 보호를 위한 방법들을 조사해서 이야기해 본다.
학생: 다른 물고기들 때문에 배스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배스
때문에 다른 물고기들이 줄어들고 있어요.

⇨ 2 의 정답 ❸
읽고 쓰기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개요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1. 읽기: 자연 보호 사례에 대해 읽기
응용
최근에 들은 환경 문제 관련 뉴스에 대해서 친구와 이야기해 본다. 2. 쓰기: 자연 보호의 성공 사례에 대해 쓰기

㉘ⲕㅾ⳨

1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3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분이 실천하고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습니까? 그 방법은 어떤 문
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까? 㓰⺈⾦〩〉㓰Ⱡ⿚⼍㉛㓷ゴ㐥ⲕⱎ㒅Ⲷ⹊㇋⸝㓮㍜㉙ㄶ⿉㉔Ⲕ㉅⼍⸼㆗㇯Ⲛ㉣ⷾゴ
㐥ⲕ〒㈧㉔⸐㓄㊈㉛ゞ⼉ⷧ⿔⼍ヂ㈞ⱚ⵹㉔ㆸ㉴㍜㉙ⷾㆸ㉴㍜㉇〔⻠ガⱎ⵶㆗⹨ⷧ
⾦㇊㉈ㄺ㍜㓮Ⲛ㉣ㆿ㈓" Ⳣⱺ㉇ㆿ⺓⾩㊑⽃㓷Ⲏ㓱ㄋ㉣ㆿ㈓"
㆗⽄ⷾ㈝㓮㍜㉙㇋ⷾⳢ⻮⵱ヂ㈞ⱚ⵹㋡㇙㉙Ⱡ⿚⹊⾆ヂㆸ㉴㍜㉇ㄼ㓮ⲁ㇯㇟⹊㇋ⷾ
⾫㉙㇯㇟⹊ㆿ⾫ⲚⳭⱎゞ⻔㋡㉧㊏〧ㇼ㋁⿉⹬㉇ⶩ〧㐰ㆸ㉴㍜ィ⽋Ⳮ㈝⹂㉈⿵
㇣ⷾ㏡㐌⽋㑯㊑⿡㉈㔂⾩⹝Ⳣ㉧⽋㇐ㄳ㋡ㄷ⾫㉈ㄼ㇋Ⲛ⸼㉈㉙㈚㓷⾫㉈㊏㔪㓮ⷧ
ㄶト㉈ト㎦㓮㇘㇯㇟⹋㓮㍜㉈Ե⳹㋡⸸㑘⾊㓮ⲁ】㉙ⷧⴅⵦ㓰㓮㍜㉅⼍⽕⹬㇋ⷾ
⾫㉙⽙㆗㋡㉧ㆸ㉴㍜㇐ⷧⷾㆸ㓰⾫ⲚⳭ⹬㉙ⷾㄶィⳭㄶ㉨㓾ⷾ⿤⼍ㄋ⸃ⲧⱝ㉇ⱏ
㊩⹂⾫⸸ⷾㄶ㍊㆗㈃ⷾⲎⳄㆸ㉴㍜㉇㈛⽋⵱⻔㇐ヂⱎ㉲ハⲥ㊈㉛㉧㇛㔛㓮㍜㉙⹊ㆿ
ゞ⻘⹬㇐ⲁ㕛ㄷⲥⱐ㉈㊑ⲥ㓮Ⲛㆿ⽍㉙⹬㇐ⲁⷧ㉧㇛㓯ㄳ㉲㉅⼍Ⳮⷮ㓮Ⲛ㉣ⷾ
㉙㍚⻲ㆸ㉴㍜㉙⹊ィ㆗⵱㉧㓮⼦㇐⽕㇘⾊㉙オ㉙ㆸ㉴㍜㇐㍊㆗ㇼ㉧㊉Ⱳ⽃㐛Ⱳ⵱
ァ㍌㉈㋜ⳭⲚ㉣ⷾㆸ㉴㍜㇐ヂⷧ⾫ⶵ㉙⸸㓮Ⲛ⾫ⲚⳭ⸸㉯㉅⾆ヂ㋜Ⱳ㈝ㄶⱐ㉈】ⶂ
ⷧ㆗㉙⹬㉔⾍ㄳ⸸㕤㕴〕ㄋ㉣ⷾ

4 3 에서 각자가 실천하고 있는 환경 보호 방법에 대해서 친구 3~4명과 함께 이야기해 보십


 위에서 묘사된 양재천의 현재 모습이 아닌 그림을 고르십시오.
시오. 친구들이 이야기한 방법 중에서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방법을 뽑아 보십시오.
Dz  dz
보기
저는 종이를 절약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어요. 그래서 저는 A4용지의 뒷면을 이용해서
연습지로 사용하고 있어요.

Ǵ

 양재천을 살리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모두 찾아 쓰십시오.

7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4 2015-12-11 오후 7:38:24


1. 글의 첫 번째 문장을 다 같이 읽어 보면서 도입한다.
• 글의 첫 번째 문장을 읽고 글의 내용을 추측해 볼 수 있게
한다.
2 1 에서 읽은 양재천의 사례와 같이 자연을 보호한 성공적인 사례가 있습니까? 자연 보호의
성공 사례를 조사해서 써 보십시오.
예 여러분, 첫 번째 문장을 읽어 봅시다. 이 글은 어떤 내용일 것 같아
 다음 항목에 대해 간단하게 메모해 보십시오.
요? ĀⳢハⲥゞ⼉ⱎ⾦㇊㉡ⷴ⳹"

2. 설명문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ĀⳢⲤ㉇ㆿ⺜ⲁ㇯㇟㉙⹊㇋ㄳⷴ⳹"

1 무엇에 대한 글인지 학생들에게 질문한다. Ā㔬ⲓ㉈ィ⽋Ⳮ㈴㓷ヂㆿ⺓ⶲ⼁㉈㓾ㄳⷴ⳹"

• 글을 읽은 후 생각나는 것들을 이야기해 보게 한다.


• 짝과 함께 읽은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 보게 함으로써 잘 ĀⲎⳄⳢⲤ㉇ㆿ⺜ⲁ〈㓾ㄳⷴ⳹"㔕㉴㉔⾍ㄳ㉇ㆿ⺜ㄳⷴ⳹"

못 이해한 것이 없는지 확인해 보게 한다.


2 글을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위의 내용을 포함해서 자연 보호 성공 사례에 대해 써 봅시다.

록 한다.
• 글을 다시 읽기 전에 책에 있는 질문을 읽어 보게 하여, 무
엇에 집중할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 글을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2. 자연 보호의 성공 사례에 대해 글을 쓰는 활동을 한다.
3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1 ‘어휘’와 ‘어휘 더 배우기’에서 제시된 표현을 다시 언급하면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서 사례를 소개하는 글을 쓴다는 것을 알려 준다.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2 지시문을 함께 읽고 글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3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예 교사: 1번, 양재천의 현재 모습이 아닌 그림은 무엇입니까?
학생: 3번이에요.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교사: 왜 그렇게 생각해요?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 양재천에서는 등산을 할 수는 없어요. 4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편의 글을 쓰게 한다.
교사: 네, 맞아요. 3번 그림에서는 등산을 하고 있는데, 양재천에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 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서는 등산을 할 수 없지요?
는지 확인하게 한다.
5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거나 발표하게 한다.
⇨ ‘문제 1’의 정답:
• 글에 그림이나 사진을 붙여서 교실 벽이나 게시판에 게시
1) ❸
해 줄 수 있다.
2) 콘크리트 제방을 허물고 습지 식물을 심었음, 돌을 이용해 물을
정화하는 시설을 설치했음. 6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 먼저 글의 내용, 텍스트의 형식적 특성에 맞는 글의 구성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에 집중해 피드백을 해 준다.
준다. • 그 다음에 맞춤법이나 잘못 쓴 어휘나 문법에 대한 피드백
을 해 주도록 한다.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휘를 다룰 때는 ‘하천, 휴식, 복원’과 같이 내용 이해에 핵
심적인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
해에 핵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지나치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
음 기회로 넘긴다.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좋다.

제7과 미래의 재산, 환경 7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5 2015-12-11 오후 7:38:25


단원 마무리 문화
개요 개요

1. 환경 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 1. 한국의 자연 유산에 대해 알기


동을 했음을 상기시키기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㔪 아끼고 사랑해야 할 아름다운 강산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ㆆ⼳ⷭ㈌㉖㇊㈶㈊⼺ㆿⱰㆰ㊀ⵠ㏽ⱄ⸱㈷㊲ⷭ㈣ⷿ㓟㉖㇊ㆿケⷔⵘⷖⱄ⸱㈶ダⲄ㉊⽼
1. 환경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환경 문제의 해결 방법을 설명할 수 있습니까? ⹀ⰽⲔ㐽㉷㈴⻼ⷔⵘⷖⱄ㉾㉋Ⱪ㉈ⷭダⲄ㉊㉈ⱄ㐌㓝ⷖㆆ⼳ⷭ㈐㈷ⰿ㋑㓟㓟ⲳ㉃㉖㇊㈫
ゐ㈷ブⱏ㓟ⷭ
2. 환경 문제, 환경 문제의 원인, 환경 보호와 관련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지 확인해 보게 한다.
ㄍ㍜⽕ ㊉⻔⵹⸸ㄍ㍜ㄶ ㈛㒸ⷰ ⲓオ⵹⸸㍉ⶮⳅ Ⱳ⾩㇯⽄ ㊑㋁ㄶ㊡㍜㉋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예 이번 단원에서는 환경 문제에 관련된 내용을 공부했어요. 분리수


거와 생태계 파괴 문제에 대해서 들어 보았고, 여러분이 환경을 보
호하기 위해서 실천하고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보았어
ト㆘ァⲥ⼥ⷮテ ⱚ㈧⸸ヨ㍱ㄶ㉛㊑ⳅ パ⻭㊑ ㊉⻔⵹⸸㔪ㄍⳅ ㈛⸸ ㊑㋁ㄶ㈛⸸⾆
요. 그리고 환경을 복원한 사례에 대한 글도 읽고, 그것에 대해 글
을 쓰는 활동도 했어요.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ⶳ㈧ ㊉⻔⵹⸸⸈ㆸⳅ ㋡⽋ァ㍜㈄〙 ⲓオ⵹⸸ァ㍢ⳅ㓳ㆸⳅ ⷾ⻨㉙⽓㉈ ⲓオ⵹⸸⵹㓷ⳅ

예 여러분은 환경 문제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어요?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76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한국어 6-2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1 먼저, 학생에게 한국에서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갖춘 곳을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알고 있는지 이야기하게 한다.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2 사진 자료를 보면서 한국의 아름다운 강산에 대해 소개한다.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 이 때 교사는 먼저 학생들이 알고 있거나 가 본 적이 있는
권한다.
자연 유산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 볼 수 있게 한다.
3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 사진을 보면서 해당 지역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곳인
지 추론하여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교사는 해당 지역에 대해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설명해
준다.
3 오늘 배운 한국의 아름다운 강산에 대해서 다시 한 번 확인하
고 학생들에게 기회가 되면 꼭 여행을 가 보라고 하면서 수업
을 마무리한다.

7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6 2015-12-11 오후 7:38:25


┃모음(母音, Vowels)┃
타임머신을 타고

교육 목표
기술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미래 사회에 대해 표현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순간 이동과 미래 교실 내용 듣고 이해하기 • -아/어 가다
• 미래의 모습에 대해 발표하기 • -(으)ㅁ에 따라
• 미래의 인간의 모습에 관한 글 읽고 이해하기
• 미래 사회에서의 하루 일과에 대한 글 쓰기 3. 어휘
• 미래 사회 사회의 발전, 사회의 쇠퇴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미래 사회의 모습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 <워크북> 활동 25분
• 미래의 모습에 대한 대화 만들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30분
• 미래 사회에서의 하루 일과에 대한 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8과 타임머신을 타고 7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7 2015-12-11 오후 7:38:26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도입
예 100년 전의 사회와 현재의 사회는 어떻게 다릅니까?
개요 100년 후의 사회는 어떻게 변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1. 교재 77쪽의 그림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2. 어떤 그림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어휘
개요

1. 미래 사회 모습에 대한 어휘를 확인하고 학습하기


8과

학습 목표
Ⳮㄏ㉔⿚㊉㇐⸐㓷㉙ㆰⳭ㓱ㄋ㉣ⷾ
⿇⻠ゞ㔵㇐⸐㓷㓄㔕㓱ㄋ㉣ⷾ
타임머신을 ㆺ㕎
학습 내용
⾩⿸_㆗ㆿⱎⷾ ㉅ ̆㇐⹾⻔
타고 ‘미래 사회’ 하면 떠오르는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다음 어휘의 의미를 알아보고, 여러분이
ㆿ㕓_⿇⻠ゞ㔵ゞ㔵㉔⿚㊉ゞ㔵㉔ヽ㑓ⲩ⼂ 생각하는 미래 사회의 모습에 대해 이야기해 보십시오.
㓄㔕

우주선 우주여행 외계인

하늘을 나는 자동차 순간 이동 타임머신

가상 교실 전자책 로봇

인공 지능 복제 인간 수명 연장

기후 변화 식량 위기 환경 파괴

1 교재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미래 사회의 모습에 대한 배


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미래 사회의 모습에 대한 어휘를 확인
한다.
① 알고 있는 ‘미래 사회의 모습’ 에 대한 어휘가 있으면 각자
࿬གྷ઀ኊ
ඪ້஑ 를 해 보도록 한다.
1. 100년 전의 사회와 현재의 사회는 어떻게 다릅니까?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2. 100년 후의 사회는 어떻게 변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1 학생들에게 교재의 그림을 보게 한다. 하면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미래 사회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
2 미래 사회의 모습 중에서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을 나누
다.
어 보는 활동을 한다.
2 그림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미래 사회에 대 • 짝과 함께 공책에 두 개의 큰 원을 만들게 한 후에 왼쪽 원
해 도입한다. 에는 긍정적인 모습을, 오른쪽 원에는 부정적인 모습을
쓰도록 한다.
예 그림을 보세요. • 활동이 끝난 후에 다른 친구들은 어떻게 했는지 확인해
무엇을 표현한 그림이에요? 그림 속에 무엇이 있어요? 보게 한다.
현재의 모습과 미래의 모습이 어떻게 달라요? • 교사와 함께 다같이 확인한다.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 이 단원에서는 미래 사회에 대해 이야기하는 활동을 하게
될 것임을 알려준다.

예 여러분은 미래에 사회가 어떻게 바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본 적이


있어요? 미래의 사회는 어떻게 변화할까요? 이번 단원에서는 미래
사회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 거예요.

7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8 2015-12-11 오후 7:38:27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본문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개요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1. 목표: 미래 사회에 대해 대화하기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3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대화 연습하기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예 누가 그 영화를 봤어요?
그 영화의 내용은 어때요?
⸋㔥
희준이는 이야기를 듣고 어떤 느낌이 들었다고 해요?

• 대화 듣기에서는 발표 상황에서의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


한 도입으로 대화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
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한다.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21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안나: 㕮㋃㆗㈛⽋㊇㇤㔪〕⳹" 본다.
㕮㋃ ㊇㇤㔪"⿇㆙㓰⸨⵱ⷧ㉙⿇〜ㆿ
안나 Ⳣ⻠"ㆿ⺈"ゞ⻘⹬㉙㉴⿇㉣ⷾⲚ㓮⸝⸨
㕮㋃ ㉊㉴⿇㉣⳯㉴⿇㉣ㆿⳢ⻰⸨⵱ⷧ㊇㇤㔪】Ⲛ㊦㄰㒣ㆿ
응용
안나 ㄰㒜"㈅"
㕮㋃ ㉍㊇㇤㔪ⷧⶩ㕁㋡ⳃ㇐ヂ㉜ㆿ⵱ⷧ㉜㉈】㇘㋁Ⲛ㉣㉪㆗Ⳣ⻰⸨㊇㇤㔪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 볼
㇐ヂⳢ⽋Ⲛ㉣ⷧ⿇⻠⾍ㄳ㉙ⶑ⾦⾦ヂ㈥ⲥⳭ㇯㇟⸸ⶑ⾦ㄼ㓮ⲚⳭ㕁〈㔪⺈ 수 있다.
⾩㇐ⶑ⾦㎆㈥㊙ヂゞ⻘⹬㉙⸚㉙オ㋡ⳃ㇐ヂィㄋⱎ㇉ⲁ⹊Ⱳ⹪
안나 ㋡ⳃⱎゞ⻘⹬㉙ィㄋⱎ㇉㉈㊏⸸⼍㒴㔂ⱎ⹋ⷾⲚ"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㕮㋃ ㉍Ⳣ⻠ヂ㋡ⳃ㇐㉣ⷧ⾍⹪ゞ⻘⹬㉙㋡ⳃ⽃⿱⽋ⲚィⳭ㊬㉇Ⲥ㉈㍊㆗ヂ㈛㋁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ⲚⲎⳄ㋡ⳃ㇐ⷧ⼍〘⹬⽕⵹㆗ヂ㋡ⳃ㉔㋁㉛㉙⹊ⷧⱲㆰ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안나 ㉛⼸ⱎ㋡ⳃ⽃⺑⵱Ⲛ⼍〘⹬⽕⵹㆗㉣ⷾⲚ"
㕮㋃ ㉍ⶑ⾦⾦ヌ㋡㆛㆗"オオヨ㉔㉜㉙㋡⽕㋡ⳃⱎ⸚㉙オゞ⻘㉙ィㄋ㇉ⷧⲤ㉅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㓷ⱐⷾⷧⱺ㉇ⶑ⾦ⵤ㌸㓰㉜㉛ⱺⱝ㆗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안나 Ⳣ⻠㊦Ⳣ⻮⶞Ⳣ⻰⸨㕮㋃㆗ⶑ⾦ⱳ㊏㓮㋡ⷧ⽓㈛⽋ⷧⶩ㕁㇐ⷧィ㆗㉣
㋡㆛㉈㐺ⷴ⳹

8과_타임머신을 타고 79

1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도입한다.


①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어떤 상황인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을지 생각해 보게 한다.

예 교사: 그림을 보세요. 여기가 어디예요?


학생: 영화관인 것 같아요.
교사: 두 사람은 뭐 하고 있어요?
학생: 영화 포스터를 보면서 이야기하고 있어요.
교사: 네. 그런데 이 영화 포스터를 보세요. 이 영화는 어떤 내용일
것 같아요?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예 지금부터 두 사람의 대화를 들을 거예요. 두 사람이 영화 포스터


를 보면서 이야기하고 있어요. 그 영화는 미래 사회에 대한 내용인
것 같은데요. 어떤 대화를 하는지 잘 들어 보세요.

제8과 타임머신을 타고 7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79 2015-12-11 오후 7:38:28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어휘 더 배우기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개요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3 연습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록 한다.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가지고 문장을 만들어 보는 게임을
한다.
•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가지고 돌아가면서 문장을 만들어
ㆺ㕎⸕⿞㈖⳨
보게 한다.
사회의 발전과 쇠퇴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 두 팀으로 나누어 팀별로 문장 만들기 게임을 할 수 있다.

예 교사: ‘좋아지다’.
학생 1: 미래에는 사람들이 살기 좋아질 것입니다.
학생 2: 옛날에 비해서 우리 동네가 많이 좋아졌습니다.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사회의 발전
2. 어휘 2
좋아지다 발전하다 성장하다
1 준비
진보하다 앞으로 나아가다 꽃피우다

속도가 빨라지다 기술이 개발되다 편리해지다 ① 앞서 배운 어휘 1과 반대의 의미를 가진 어휘를 배워 보자


편해지다 불편함이 사라지다 급속도로 고 하면서 도입한다.
• 앞서 칠판에 쓴 ‘좋아지다’와 ‘나빠지다’ 중에서 ‘나빠지
사회의 쇠퇴 다’를 주목하게 하면서 반대의 의미를 가진 어휘를 배워
나빠지다 쇠퇴하다 퇴보하다 몰락하다 보자고 한다.
위기를 맞다 폐허가 되다 사라지다

예 앞에서 우리는 사회의 발전에 대해서 표현하는 어휘를 배웠어요.


다음에는 그 반대의 의미를 가진 사회의 쇠퇴를 표현하는 어휘들
을 배워 봅시다.
어휘 1
② 교사는 ‘나빠지다’의 아래나 옆에 ‘쇠퇴하다’를 판서하고 그
1 준비 의미를 설명한 후 사회의 쇠퇴를 표현하는 어휘를 더 배워
① 교재에 있는 그림을 활용하여 도입한다. 보자고 한다.
• 교재에 있는 그림 중에서 왼쪽에 있는 모습과 오른쪽에 2 설명
있는 모습이 어떻게 다른지 질문하면서 사회의 발전을 표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현하는 어휘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예 교사: 교재 70쪽의 위쪽에 있는 그림을 보세요. 왼쪽에 있는 그림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과 오른쪽에 있는 그림은 어떤 차이가 있어요?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학생 1: 높은 건물이 있고, 사람들이 평화로워 보여요.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학생 2: 건물이 다 무너지고, 사람들이 살 수 없는 곳인 것 같아요.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교사: 네. 그렇지요? 왼쪽의 그림은 사람들이 살기 좋아 보여요. 그
다.
런데 오른쪽 그림은 살 수 없는 것처럼 보여요. 미래에는 왼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쪽처럼 사회가 좋아질까요? 아니면 오른쪽처럼 나빠질까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요?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② 교사는 ‘좋아지다’, ‘나빠지다’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 3 연습
한 후 먼저 ‘좋아지다’와 같이 사회의 발전을 표현하는 어휘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2 설명 록 한다.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가지고 문장을 만들어 보는 게임을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한다.
에 를 하게 한다.
•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가지고 돌아가면서 문장을 만들어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8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0 2015-12-11 오후 7:38:29


보게 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아/어 가다’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
• 두 팀으로 나누어 팀별로 문장 만들기 게임을 할 수 있다. 해 보게 한다.

예 교사: ‘나빠지다’.
학생 1: 공기가 아주 나빠졌어요. 점점 기술이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학생 2: 옛날에는 그 친구와 사이가 좋았는데 요즘은 사이가 나빠 세상의 변화 속도가 점점 빨라져 가고 있습니다.
졌어요. 그래서 슬퍼요.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아/어 가다’의 의미, 형태, 화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용을 설명한다.

응용 문법 설명 -아/어 가다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의미: ‘아/어 가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그렇게 되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때 쓰인다.

교사는 다음과 같이 ‘아/어 가다’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해


줄 수 있다.
예 ‘발전해 간다’는 것은 조금씩, 조금씩 발전이 이루어진다는 의
문법 미예요. 그리고 ‘빨라져 가다’ 역시 조금씩, 조금씩 속도가 빨
라지고 있다는 의미예요.
개요
형태: 동사의 어간에 붙는다. 동사의 어간이 모음 ‘ㅏ, ㅗ’로
1. ‘-아/어 가다’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끝나면 ‘-아 가다’가 붙고 그 외 모음은 ‘-어 가다’가
붙는다. ‘하다’의 경우는 ‘-해 가다’가 된다.
2. ‘-(으)ㅁ에 따라’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화용: ‘점점’, ‘조금씩’과 같은 부사와 자주 어울리며,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고 있다’와도
자주 결합된다.
1. 문법1 아/어 가다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2 연습
-아/어 가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예 점점 기술이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세상의 변화 속도가 점점 빨라져 가고 있습니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1 준비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① 사회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아/어 가다’를 도입한
다. ⇨ <연습>의 정답
• 대화를 통해서 ‘아/어 가다’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 1) 변해 가고
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2) 사라져 가고

예 교사: 여러분은 사회가 발전하는 것 같아요, 아니면 쇠퇴하는 것


응용
같아요?
학생: 발전하는 것 같아요.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교사: 그래요. 발전해 가고 있는 것 같아요.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 79쪽의 대화문에 있는 ‘변해 가다’를 보게 한 후 그 의미


를 생각해 보게 하여 도입을 할 수도 있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아/어 가다’가 어떤 의미일지 질
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2 설명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아/어 가다’는
동사 뒤에 붙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그렇게 되고 있
다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② ‘아/어 가다’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제8과 타임머신을 타고 8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1 2015-12-11 오후 7:38:29


2. 문법2 -(으)ㅁ에 따라
문법 설명 -(으)ㅁ에 따라
-아/어 가다
의미: ‘-(으)ㅁ에 따라’는 그 앞에 나오는 내용이 뒤에 나오
예 점점 기술이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세상의 변화 속도가 점점 빨라져 가고 있습니다. 는 내용의 요인이 됨을 나타낼 때 쓰인다. ‘따르다’는
‘앞선 것을 좇아가다’라는 의미이므로, ‘-(으)ㅁ에 따
  ゞ㔵ⷧ㊌㊌㉛ⱐ㉙㒮⽋㓷㋡ⷧ⿡㔁㉅⼍ ㉣ㄳⷴⷾ 〈㓮ⷾ
라’ 앞에 나온 내용을 좇아 ‘-(으)ㅁ에 따라’의 뒤에 나
  ㆗⽄ⷾ㈝ㄖ㉙㊌㊌ ㉣ㄳⷴⷾ ゞ⻔㋡ⷾ
오는 내용이 이어진다는 의미가 된다.

-(으)ㅁ에 따라
교사는 다음과 같이 ‘-(으)ㅁ에 따라’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이 점점 편해지고 있습니다.

교통과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국가 간의 교류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해 줄 수 있다.
예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이 점점 편해지고 있습
  ㉔㓯㉙ ㉛ⱐ㉔ㄋ⾊㉙㊌㊌⳱ㆿ㋡Ⲛ㉣ㄳⷴⷾ ⿚⸃㓮ⷾ
니다.’라는 문장을 보세요. 여기에서 ‘기술이 발전하’는 일에
  ゴ㔭㉙ ㉛ⱐ㉔㇘ⱎㄶⱐ⸸ⷨㆿ⵱ⲁ⹌ⱺ㉡ⷴⷾ 㒮㓷㋡ⷾ
이어서 ‘사람들의 생활이 점점 편해지’는 일이 나타난다는 의
미예요.
ߵඋ֊#්۟
다음 중 1개를 골라 위의 표현을 사용하여 미래 사회는 어떻게 변해 갈지에 대해서 간단히 말해
형태: ‘-(으)ㅁ에 따라’는 동사에 붙어 사용한다. 받침이 있
보십시오. 는 동사는 ‘-음에 따라’, 받침이 없는 동사는 ‘-ㅁ에
ⱎ㊏ 㓯Ⲿ Ⲿ㑎ㄋ⸁
따라’가 결합된다.
보기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된다. 공식적이고 객관적
로봇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정에서는 로봇이 많이 사용될 것입니다.
으로 표현할 때 좀더 많이 사용한다.

1 준비 참고 명사 + ‘에 따라’

① 미래 사회에 대한 가벼운 대화를 통해 ‘-(으)ㅁ에 따라’를 교재에는 동사 뒤에 ‘-(으)ㅁ에 따라’가 붙는 경우를 다루고 있다. 앞
도입한다. 에 명사가 올 때에는 ‘에 따라’를 사용한다.
• 대화를 통해서 ‘-(으)ㅁ에 따라’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예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이 편리해졌다.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따라 국가 간의 교류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예 교사: 여러분, 세상은 점점 발전해 가고 있지요? 그런데 무엇 때문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에 이렇게 발전해 가고 있는 것일까요?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학생: 과학이 발전해서요.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교사: 네, 그래요.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세상이 점점 발전해 가고
3 연습
있어요.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으)ㅁ에 따라’가 어떤 의미일지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2 설명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떠한 일의 요
인이 됨을 표현할 때 ‘-(으)ㅁ에 따라’를 사용할 수 있음을 ⇨ <연습>의 정답
설명한다.
1) 발달함에 따라
② ‘-(으)ㅁ에 따라’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2) 편해짐에 따라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으)ㅁ에 따라’가 어떤 의미인지 생
각해 보게 한다.
응용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이 점점 편해지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고 있습니다.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교통과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국가 간의 교류도 많아
4 말하기 연습
지고 있습니다.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제시된 상황 중 하나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으)ㅁ에 따라’의 의미, 형태, 를 골라 문법을 사용하여 미래 사회가 어떻게 변해 갈지
화용을 설명한다. 에 대해 말하는 연습을 하게 될 것임을 설명한다.
• 짝활동으로 내용을 만들어 말해 보도록 한다.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8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2 2015-12-11 오후 7:38:31


22

듣고 말하기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23

 무엇에 대한 이야기입니까?

개요
 다음 중 미래 교실에 대한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1. 듣기: ‘순간 이동’에 대한 대화 듣기, ‘미래 교실’에 대한 Dzㄭ⽓㑯㔪⾆㇐㉣ⷧⶂ㈚㉇㊇㉲㓱ㄋ㉣ⷾ
dz㓯ゴ⹬㉇㊉㉧㍌㇐㓩Ⳮ⽃㓱㓩㈓ⱎ㇉ㆿ㋣ⷾ
강연 듣기 Ǵテゴⷹ㉇ㄭ⽓㑯㔪⾆㉈㉙㈚㓷ヂㄋ㇈㉈㓰ⷾ
ǵ⿇⻠㉔Ⲿⲧヂⷧⱎ《㋡⽕㓒〧㓰㉧⼠⽃⸈ⷧⷾ
2. 말하기: 미래의 모습에 대해 설명하기
2. ‘미래 교실’에 대한 강연을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ⲕ⽓㓩⳨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두 사람이 이야기하는 ‘순간 이동’은 무엇입니까?


22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한 이야기일까요?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2 시디를 들려준다.
Dz⵹㉧ⷧㄍⱐ㉙⹂ⳭㄏⱠ⿚㉙〫ⱎⷮ㓮ⷾⲚゴⱏ㓰ⷾ ( )
• 미래의 교실 모습에 대한 설명이다. 미래의 교실에서는 무
dzⶩ㕁㇐ⷧㄍⱐ㉙⹂㉙ⱎⷮ㓱ⱺ㉙ⷾ ( )
엇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해 집중하여 듣게 한다.
 여러분은 ‘순간 이동’ 기술이 개발되면 무엇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1. ‘순간 이동‘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23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예 교사: 2)번 문제를 보세요.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은 뭐예요?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한 이야기일까요? 학생: 2번이에요.
교사: 왜 그렇게 생각해요?
2 시디를 들려준다. 학생 1: 미래의 전자책에는 필기를 잘할 수 있어요.
• 순간 이동 기술과 순간 이동 기술의 개발 가능성에 대한 학생 2: 현재에도 전자책이 있지만 필기하는 것이 불편해요. 그런
대화 듣기이다. 순간 이동 기술이 무엇인지, 그 기술의 개 데 미래에는 그것이 개선된다고 했어요.
발 가능성에 대한 두 사람의 의견은 어떤지에 대해 집중
하여 듣게 한다.
⇨ 2 의 정답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1) 미래 교실
4 2) ❷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예 교사: ‘100년 후에는 순간 이동이 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들은 내
용과 같아요, 달라요? 응용
학생: 달라요. 듣고 말하기 2에서 들은 내용 외에도 일어날 수 있는 미래 교실의 변화
교사: 왜 그렇게 생각해요? 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한 후, 친구와 이야기해 본다.
학생: 언제 개발될지는 몰라요. 그냥 ‘언젠가’ 개발될 것이라고 했
어요.

⇨ 1 의 정답
1) 원하는 곳으로 순식간에 이동하는 것
2) ❶ ○ ❷ ×

제8과 타임머신을 타고 8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3 2015-12-11 오후 7:38:32


읽고 쓰기

3 100년 후 미래의 모습은 어떨 것 같습니까? 아래에 생각나는 것을 메모해 본 후에 친구와 개요


함께 미래의 모습에 대해 이야기해 보십시오.

1. 읽기: 미래의 인간의 모습에 대해 읽기

2. 쓰기: 미래 사회에서의 하루 일과에 대해 쓰기

㉘ⲕㅾ⳨

1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4 3 에서 친구와 함께 이야기한 것을 다른 친구들 앞에서 발표해 보십시오.

보기 ㋡⳨⳹㋡㉛ⱐ㉔ㄸ㍣ⷧ㔬ⲓ㉙〈㔪㓳㇐⹾⻔Ⳣ㇐⽟ⲁ㋣㔪㓷㈃ⷾ㉙㇐⹾⻔㈧ㄶㄶ
가: 100년 후에는 우리의 생활이 아주 편리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로봇 기술이 발전 ⸐㉔㉛ⱐ㉔⾍ㄳⲧ㔕㉴㉔㉛ⱐ㉔⾍ㄳ㉇㐎㍀㉙⽃】㉙Ⲛ㉣ⷾⳢ⻷ⷾ⾆ㆦ㉅⼍㉛ⱐ㉔
함에 따라서 우리 생활에서 로봇이 많이 이용될 것 같습니다. ⾍ㄳ㉇ㆿ⺜ⲁ〈㔪㓱⳹"⽖㉇ⲧ㓯㉧⹬㇐⹾⽀⾆⽲⿇⻠㉔㉛ⱐ㉔⾍ㄳ㉇㇘⻮ⱎ㋡⾆
㇐ヂ㋡⳨ⲧⷧ㐎㍀㉙⽃】㉜ⱺ㉙⻔Ⲛ㓰ⷾⳢ⻲⿇⻠㉔㉛⼸㉔⾍ㄳ㉇ㆿ⺔㋡㓮⵱㓮⵱
ィ㒭】㉧
㈛テ⿇⻠㇐ⷧ㉛ⱐ㉔㎦㆗ⱎ㉨㆗㋥ⱺ㉙ⷾⱏ㊩㉊ㄷ⹬㉙㕸⹬㇘㆔㋡㆛㆗⸸⽱Ⳮ㊬ⲁ
ⱎⲥ⹊ㆿ㎦㆗㉔㇙㓱㉙㋄ㆿ⹬Ⳮ⺈⾩㉙ⷾ⺨⿚ⱎ⻕⸸㑓㔪㓱ⱺ㉅⼍】㉛ⷾ㉛ⱐ㉙㋢⽐
3. 미래 사회의 모습에 대한 말하기 활동을 한다. 】㓿㉈㓮ⲁ⹊⾆ヂリⱎ⻕㉇⳱ㆿ㋡Ⲛニパ㓷㋣⿘⾆⿚ⱎ⻕㉇㋳㆗㋡Ⲛ㊌㊌㑓㔪⹊ㆿ㈃
ⷾ⿇⻠㇐⸸⿚ⱎ⻕㉔㑓㔪ⱎⲕヨ㋣㓿⹊ㆿⲎⳄ⿚ⱎ⻕㉙⹑Ⱡ⽕⵹ⲁ⹌ㄋ⸸㉣ⷾ
㉛ⱐ㉙㈛㋁㇐㋣㎉㓮ⲁ⹊⾆㈛㋁㔬ⲓ㇐㊈㉍㓮Ⳮ㈴㓷〈㔪ⱎ⵱㐛⵶ㄋ⸸㉣ⷾⷁⱎ
1 먼저, 100년 전의 사진을 준비해 보여주면서 그때의 생활과 ㏄㋡⾆ヂ㉙⽓ⱎ⶗ㆿ㋥ⱺ㉙Ⲛ㋡ⳃ】ⷾご㉙㊈㉇㔬ⲓ㇐㊈㉍㓮Ⳮ㈴㓷ヂⷐ㉙㏄㋥ⱺ

지금의 생활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간단하게 이야기해 준 ㉙ⷾ⺨⿡ゞテ㉔㇤㔁⼁㉈㋄㉙Ⳮ㈴㓷㓦〧ⱎ⳹⾦㉯㉯㓷㋥ⱺ㉙ⷾ

다. 그리고 과연 100년 후에는 우리 사회와 생활이 어떻게  미래의 인간의 모습은 어떻게 변할까요? 이 글을 읽고 정리해 보십시오.

변화할지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자고 하면서 말하기 활동을 〈㔪⹌⾍ㄳ 〈㔪㉙㈼

도입한다. ㎦㆗

⿚ⱎ⻕

㉙⽓
2 먼저 책에 메모를 하며 미래의 모습에 대해 상상해 보게 한 ⷐ
다. 㓦〧

• 교사는 이때 학생들이 보다 쉽게 내용을 떠올릴 수 있도  위 글을 읽고 미래 인간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 보십시오.

록, ‘교통수단, 거리, 학교, 집’과 같이 구체적인 항목들을


제시하고 이를 생각해 보도록 도와준다.
3 짝과 함께 자신이 생각한 미래의 모습에 대해 이야기해 보게 1. 글의 첫 번째 문장을 다 같이 읽어 보면서 도입한다.
한다. • 글의 첫 번째 문장을 읽고 글의 내용을 추측해 볼 수 있게
4
한다.
실제 반 친구들 앞에서 자신이 생각한 미래의 모습에 대해서
발표해 보게 한다. 가장 흥미로운 발표는 무엇이었는지 이야
예 여러분, 첫 번째 문장을 읽어 봅시다. 이 글은 어떤 내용일 것 같아
기해 보면서 활동을 정리한다.
요? 미래에 인간의 신체는 어떻게 변화할까요?

응용
2. 설명문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워크북 <활동>에서 ‘직업을 찾아 떠나는 미래 여행’에 관한 활동을 해
본다. 1 무엇에 대한 글인지 학생들에게 질문한다.
• 글을 읽은 후 생각나는 것들을 이야기해 보게 한다.
• 짝과 함께 읽은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 보게 함으로써 잘
못 이해한 것이 없는지 확인해 보게 한다.
2 글을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록 한다.
• 글을 다시 읽기 전에 책에 있는 질문을 읽어 보게 하여, 무
엇에 집중할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 글을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3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8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4 2015-12-11 오후 7:38:34


예 교사: 치아는 어떻게 변화될까요?
학생: 작아질 거예요.
교사: 그 이유는 뭐예요? 2 여러분이 100년 후의 사회에 살고 있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여러분의 하루는 어떨 것 같습
학생: 음식을 씹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요. 니까? 100년 후 나의 하루 일과를 써 보십시오.

 다음을 바탕으로 하루 일과를 상상해 보십시오.

Ā㆗㎬㇐ⷐ㉈⺚㉈⺈

⇨ ‘문제 1’의 정답:


Ā㓯Ⲿ㇐ヂ

변화될 모습 변화 이유
각종 음식들이 힘들여 씹지 않 Ā㓯Ⲿⱎ⵨⵱Ⲛ㎨ⳃ⹬ⲧⶵ⺈
치아 작아질 것이다
아도 먹기 좋게 가공되기 때문에
직립 보행으로 인해 발가락이 Ā㋨㇐ㇼヂ

발가락 퇴화할 것이다


점점 퇴화되어 왔기 때문에
이마 넓어질 것이다 뇌가 커지기 때문에  위의 내용을 포함해서 ‘21○○년 ○○월 ○○일, 나의 하루 일과’를 써 봅시다.

우주에 진출해 지구보다 빛이


눈 커질 것이다 21○○년 ○○월 ○○일, ○○의 하루
적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오늘은 21○○년 ○○월 ○○일, 오늘도 하루가 시작되었다.

까무잡잡해질
피부 방사선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것이다

4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인간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 보


게 한다.
2. 미래 사회에서의 하루 일과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쓰는 활동
5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을 한다.
준다.
1 ‘어휘’와 ‘어휘 더 배우기’에서 제시된 표현을 다시 언급하면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서 100년 후의 나의 하루 일과를 상상하여 글을 쓴다는 것
휘를 다룰 때는 ‘신체, 진화’와 같이 내용 이해에 핵심적인 을 알려 준다.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해에 핵 2 지시문을 함께 읽고 글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지나치
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음 기회 3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로 넘긴다.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4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편의 글을 쓰게 한다.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 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좋다. 는지 확인하게 한다.
5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거나 발표하게 한다.
• 글에 그림이나 사진을 붙여서 교실 벽이나 게시판에 게시
해 줄 수 있다.
6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 먼저 글의 내용, 텍스트의 형식적 특성에 맞는 글의 구성
에 집중해 피드백을 해 준다.
• 그 다음에 맞춤법이나 잘못 쓴 어휘나 문법에 대한 피드백
을 해 주도록 한다.

제8과 타임머신을 타고 8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5 2015-12-11 오후 8:54:16


단원 마무리 문화
개요 개요

1. 미래 사회와 관련된 내용을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 1. 세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현에 대해 알기


동을 했음을 상기시키기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㔪 세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현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ⵥ㉈ⵠ㋐ⳗ㉈ⵠダ゙㈶㓥゙⿷㔙㓝ⲉ㉒ㄢⷣⷭㄥⰿ㉈⽅㉈㋐ⵠ⽵㉗㈶⿷㔙ⰽㄹ㇇㇗

1. 기술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미래 사회에 대해 표현할 수 있습니까? ㉸㉃⽼ㄢ㈷㌹ㆆ〄ヺㆸⱰ⸹Ⳝ⸧㓣ⷣⷭ㉈⻝㓟゙㔞㈷㒳㔄㓝ⷖろ㉖ゾㆮⵠプⷷ㈶⾕ㆹ㉈


㉒㈷⳨㈂"
2. 미래 사회, 사회의 발전, 사회의 쇠퇴와 관련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ᔢᱥᄞ⧕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や⵱⾦⿢㉙〈㓮㇘㓉⽂⿔ⷾⱎ⹋ⷾⷧ⻇㉅⼍パオ㉔〈㔪ⱎㄼ㓮㇘㆜㆗
〕ㄋ㇉㉈㊏⸸ⱎ⹊㇋ⷾⷧ㉔⿇
지 확인해 보게 한다.
예 ࿬਷࿚ཻလལେ਺൵࿬ཞ୺஻࿬ಊਔᆡਇാ࿬็઀஑இ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လකኊৡ఑ಠཛྷ଱ྦ

예 이번 단원에서는 미래 사회에 대한 내용을 공부했어요. 순간 이동


과 미래 교실에 대한 내용을 들어 보았고, 100년 후 미래 모습에
Ċᖙḡq
대해 상상해서 말해 보았어요. 미래 인간의 신체 변화에 대한 글
㇯⻠㋡㆛㉇⹂㆙㇐⾑⻔】ⲁ〈㓮㇘㆗㋁ⷾ⽂パオ㉙⹋ⱺⱝ㉇ⷥ⵭
을 읽고, 100년 후의 나의 하루 일과에 대해 상상해서 글을 쓰는 예 ྀଉལึர௕଱ལৡඤ༶୺஻༪୺ั౫࿬ኃഝோཛྷདྷ๕
활동도 했어요. ਝ๤ၴ২࿛୸સདྷྦ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ᝎ֥ᯕ໕vᔑࠥᄡ⦽݅
ㄶⱐ㉙㕢⽀⾆⾍⹪ⱺ㉙ⷾ〈㓰ⷾⷧ㉔⿇
예 여러분은 기술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미래 사회에 대해 표현
예 ໐଼࿬ങ৭ิோඛኃ஑஭இ࿬਷ோဢ೫೩࿬ඛኑ଱ྦ
할 수 있어요?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1 칠판에게 ‘상전벽해’, ‘격세지감’,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를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판서하고 이런 표현을 들어본 적이 있는지, 어떤 의미일 것 같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은지를 질문한다.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2 세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현에 대해 설명한다.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권한다.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3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좋다.
• 설명과 예문을 함께 읽으면서 의미를 확인한다.
3 배운 표현을 가지고 문장을 만들어 보게 한다.
4 지금 살고 있는 나라의 언어에도 세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
현이 있는지 생각해 보고, 이를 한국어 표현과 비교해 본다.

8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6 2015-12-11 오후 7:38:36


┃모음(母音, Vowels)┃
과학자, 생활의 달인

교육 목표
자신이 알고 있는 과학 상식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과학적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헬륨 풍선과 염화칼슘에 대한 내용 듣고 이해하기 • -았/었다가
•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해 이야기하기 • -기 때문이다
• 부력에 관한 글 읽고 이해하기
•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한 글 쓰기 3. 어휘
• 물질, 물질의 변화, 과학적 개념에 대한 어휘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25분
•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한 대화 만들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 <워크북> 활동 30분
•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한 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9과 과학자, 생활의 달인 8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7 2015-12-11 오후 7:38:37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도입
예 컵을 빼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개요 그 방법의 과학적인 원리는 무엇입니까?

1. 교재 87쪽의 그림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2. 그림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을 예측하고 학


습을 준비하기
어휘
개요

1. 물질에 대한 어휘를 확인하고 학습하기


9과
2. 물질의 변화에 대한 어휘를 확인하고 학습하기
학습 목표
㉧
 ㄸ㉙㆜Ⲛ㉣ⷧⲧ㓯オㄷ㇐⸐㓷㉙ㆰⳭ㓱
과학자,
ㄋ㉣ⷾ
ⲧ㓯㊈㉛㉙㈼⽃ト⾊㓱ㄋ㉣ⷾ

학습 내용
생활의 달인 ㆺ㕎
⾩⿸_ㆣ㇋ⷾⱎⳭ⺈⾩㉙ⷾ
ㆿ㕓_⾫㋥⾫㋥㉔〈㔪ⲧ㓯㊈Ⱡⶫⲩ⼂㓄㔕 물질과 물질의 변화에 대한 어휘입니다. 아는 것에 표를 해 보십시오.

물질 액체 고체 기체

물 얼음 수증기

뜨겁게 하다 차갑게 하다

열을 가하다 냉각시키다

늘어나다 줄어들다

팽창하다 수축하다
࿬གྷ઀ኊ
ඪ້஑
1. 위 그림과 같은 상황에서 컵을 빼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1. 물질에 대한 어휘를 학습한다.
2. 여러분들이 생각한 방법의 과학적인 원리는 무엇입니까?

1 1)번에 제시된 사진을 통해 물질에 대한 배경지식을 활성화


하고 물질에 대한 어휘를 확인한다.
① 사진을 보면서 무엇인지 질문하고, 각각이 어떤 특성이 있
는지를 이야기해 보게 한다.
1 학생들에게 교재의 그림을 보게 한다. ② 어휘 목록에서 알고 있는 ‘물질’ 에 대한 어휘가 있으면 각
•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어떤 상황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게 자 를 해 보도록 한다.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2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그림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생활 속 과학에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대해 도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예 그림을 보세요.
• 학습자가 어려워하면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지금 두 사람이 무엇을 하고 있어요?
컵이 어떻게 되었어요? 이럴 때 어떻게 하면 컵이 빠져요? 2 여러 물체들을 이용하여 ‘액체, 고체, 기체’를 구분할 수 있는
지 질문한다.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예 이 콜라는 액체, 고체, 기체 중에서 뭐예요?
• 이 단원에서는 생활 속 과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활동을
이 책상은 액체, 고체, 기체 중에서 뭐예요?
하게 될 것임을 알려준다.

예 여러분은 생활 속에서 과학적인 원리를 발견하거나 적용한 적이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있어요? 그러한 과학적인 원리를 한국어로 표현할 수 있어요? 이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번 단원에서는 생활 속의 과학 원리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 거예요.

8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8 2015-12-11 오후 7:38:37


뜨겁게 하다

열을 가하다
차갑게 하다

냉각시키다
본문
늘어나다 줄어들다

팽창하다 수축하다 개요
부피가 커지다 부피가 작아지다

1. 목표: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해 대화하기

2. 물질의 변화를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대화 연습하기
1 물질의 변화에 대한 질문을 통해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물
질의 변화에 대한 어휘를 확인한다.
① 액체가 고체로, 고체가 액체로, 액체가 기체로 변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질문하여 배경 지식을 활성화한다. ⸋㔥
② 어휘 목록을 보면서 알고 있는 ‘물질의 변화’ 에 대한 어휘
가 있으면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하면 학생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다.
24

2 물질의 변화에 대해서 질문한다. 세영: ㆿ㉙Ⱳ㆙さ㋡⶞ㆿ㌅㋡"


㕮㋃ ㈅"⾦ㄯ㉜㉙㉣ㆿ"⾵⸨"
세영 ㉙ⱺ㊦〚㏊⹑Ⱡ⽃㉙⻷ⲁ㒸Ⱡⶼㆣ⸚ⷴ⹑Ⱡⱎ⵩ㆿヂ㆙さ㊙
예 물을 뜨겁게 하면 어떻게 돼요? 㕮㋃ ㉙⽋㋋〚ⶂⱎ㓷〕ⲁ
세영 Ⳣ⻮ⷾⱎ㏊㉙ⴅ㋡ⲇㆿ㉙㏊㉙㊑⿱⼀ㆰ㓮⵱〚⾕ㆃⲁゴⲒㆿⶂⱎ㊬㆗㓮ⷧ
물을 냉각시키면 어떻게 돼요?
㏊㉛⸨
㕮㋃ ⿱⽋⳯㈅⿱⼀ⱳ㊏㓮㋡⽓ⷾ⿡⿸㉙㉣ㆿ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세영 ⿡⿸"⾦ㄯ⿡⿸"


㕮㋃ ㈛テ㐎Ⳣ⽆㓮Ⲛ⻀Ⱳ㈝⾫Ⳣ⽋Ⲛ㇄㉊⾫㉙㓩㈓㓷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세영 ㉍㉮⳼⽕㉧㇘Ⳮ㐎Ⳣ⽆㓮Ⲛ㇄㉊⻀Ⱳ㈝⾫㉇㋡⳨ⵣ㉜ⲁ
㕮㋃ ㉧㉙⻷ⲁ㆙㌓㇐㉣ⷧ㏊㇐㇄㉊㉈⶝Ⲛ㐎Ⳣ⽆㇐⻀Ⱳ㈝⾫㉈⸈㆗ヂ⿔ⴄ㌓㇐
㉣ⷧ㏊㉙⸏⸸⼎㓮ⷧⱲㆰ
세영 ⻀Ⱳ㈝⾫ⷾ⹉ㆿ⻀Ⱳ㈝⾫㉈㐎Ⳣ⽆㇐⸈㉈ⲁ
㕮㋃ ㉧㉙㊑㉙⻷ⲁ㓷ⶼⲚ㍱⽕Ⳮⷾ⼇ⷾⱎÊÊ㉙㊑だ〕⳹"
세영 ㆿ"ㆿ⹋ⷾさ㊞ㆿ㉙Ⱳㆿ⺜ⲁ⹋Ⱳㆰ"ㆿ⺜ⲁ㉙⻱ㄋⱎ㉣㋡"
㕮㋃ ⿔ⴄ㌓㇐㉣ⷧ㏊㉇⻀Ⱳ㈝⾫⺈⾩㇐㒙㍉㓮Ⲛ㆙㌓㇐㉣ⷧ㏊㉇㇄㉊⾫⺈⾩㇐
ㄋ㎇㓾Ⳮ⺈⾩㉙ㆰ⿔ⴄ㌓㇐㉣ⷧ㏊㉇ⷨㆿ⵱Ⲛ㆙㌓㇐㉣ⷧ㏊㉇㋄ㆿ⹨ⷴ⳹ㅷ
さ㋣Ⱳ㋡

9과_과학자, 생활의 달인 89

1 생활 속 과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상황을 생각하도록 유도하


여 대화 내용을 도입한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
다.

예 교사: 컵이 다른 컵 안에 끼어서 빠지지 않아서 빠지지 않을 때에


는 어떻게 하면 돼요?
학생: 이 그림처럼 뜨거운 물하고 차가운 물을 이용하면 돼요.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예 지금부터 두 사람의 대화를 들을 거예요. 우리가 이야기한 것처럼


컵이 다른 컵 안에 끼어서 빠지지 않는 것 같아요. 이걸 어떻게 해
결하는지 들어 볼까요? 잘 들어 보세요.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제9과 과학자, 생활의 달인 8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89 2015-12-11 오후 7:38:38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어휘 더 배우기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개요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3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예 컵을 빼내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해요?


어떻게 컵을 빼냈어요?
이 방법에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있는지 설명해 줄 수 있어요?
ㆺ㕎⸕⿞㈖⳨

• 대화 듣기에서는 과학적인 원리에 대한 말하기 활동을 하 과학적 개념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기 위한 도입으로 대화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한다.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에너지

본다. 힘 힘이 작용하다 힘을 가하다 힘이 생기다

중력 부력 관성

응용 원심력 마찰력

속도 가속도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볼 수
있다.
화학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탄소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어휘 1

1 준비
① 교재에 있는 그림을 활용하여 도입한다.
• 교재에 있는 그림에서 어떤 상황인지, 왜 사람들이 버스
의 앞쪽에 몰려 있는지를 질문하면서 에너지에 대한 어휘
를 도입한다.

예 교사: 교재 80쪽에 있는 그림을 보세요. 지금 어떤 상황이에요?


학생 1: 버스가 갑자기 정지를 했어요.
학생 2: 버스가 갑자기 서니까 사람들이 다 버스 앞쪽으로 갔어요.
교사: 네. 그렇지요?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

② 교사는 ‘힘’, ‘관성’을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에너지


에 대한 어휘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 교사가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학생들
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할 수 있다.

9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0 2015-12-11 오후 7:38:39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응용
3 연습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록 한다.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한다.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가지고 퀴즈를 내면 그에 맞는 어휘
와 표현을 맞히는 활동을 한다.
• 학생들을 두 팀으로 나누어 일정한 시간 안에 더 많은 어
휘와 표현을 맞히는 팀이 이기는 게임을 할 수 있다.
문법

예 학생 1: 배가 물 위에 뜨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개요
학생 2: 부력.
1. ‘-았/었다가’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2. ‘-기 때문이다’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2. 어휘 2
1. 문법1 -았/었다가
1 준비
① 교사는 원소의 기호를 이용하여 목표 어휘를 도입한다.
• 교사는 칠판에 ‘O₂, CO₂’를 쓰고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
지, 이것을 한국어로 뭐라고 하는지 질문하면서 화학과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자기장에 대한 어휘를 도입한다.
-았/었다가

예 교사: (칠판에 판서한 O₂, CO₂를 가리키며) 이게 뭐예요? 이것을 예문 뜨거운 물을 담고 기다렸다가 빼면 컵이 빠질 것입니다.
전원을 껐다가 켜면 다시 될 수도 있을 거야.
한국어로 어떻게 말하는지 알아요?

② 교사는 O₂ 밑에 ‘산소’, CO₂ 밑에 ‘이산화탄소’라고 쓰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화학과 자기장에 대한 어휘와 표현을 더 1 준비
배워 보자고 한다. ① 행동을 통해 ‘-았/었다가’를 도입한다.
2
• ‘-았/었다가’로 표현할 수 있는 행동을 보여주면서 자연스
설명
러운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에 를 하게 한다. 예 교사: (앉았다가 일어났다가 하면서) 선생님이 지금 무엇을 하고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있어요?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학생: 앉았어요. 그리고 일어났어요.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교사: 네. 지금 앉았다가 일어났어요. 앉았다가 일어났다가 했어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요.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왔다가 갔다가 하면서) 선생님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어요?
다. 학생: 이쪽으로 와요. 그리고 저쪽으로 가요.
• ‘자기장’ 관련 어휘는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 교사: 네. 왔다가 갔다가 하고 있어요.
식 외에 실물을 이용하여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3 연습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았/었다가’가 어떤 의미일지 질
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2 설명
록 한다.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떤 행동을 한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한다. 직후에 다른 행동을 이어서 할 때 ‘-았/었다가’를 사용할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면 그에 맞는 어휘와 표현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맞히는 활동을 한다. ② ‘-았/었다가’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 학생들을 두 팀으로 나누어 일정한 시간 안에 더 많은 어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았/었다가’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
휘와 표현을 맞히는 팀이 이기는 게임을 할 수 있다. 해 보게 한다.

예 학생 1: 공기 중에 이것이 없으면 우리는 숨을 쉴 수 없어요.


학생 2: 산소예요.

제9과 과학자, 생활의 달인 9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1 2015-12-11 오후 7:38:40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뜨거운 물을 담고 기다렸다가 빼면 컵이 빠질 것입
⇨ <연습>의 정답
니다.
1) 흔들었다가
전원을 껐다가 켜면 다시 될 수도 있을 거야. 2) 높였다가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았/었다가’의 의미, 형태, 화 응용


용을 설명한다.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문법 설명 -았/었다가

의미: ‘-았/었다가’는 어떤 행동을 한 직후에 다른 행동을 이 2. 문법2 –기 때문이다


어서 할 때 쓰인다.
  ゞ㉙ⷾ⽃ ⺲ⴚ㉈ⱖ㉧Ⳮ㇜⾆ゞ㉙ⷾⱎ⶘㍫㕢⽃ㄋ㉣ㄳⷴⷾ
㕤⹬ⷾ
교사는 다음과 같이 ‘-았/었다가’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해
 ㉧
 ⹂㍀㉔ヨ⸸⽃ ⱖ㉧Ⳮぃ⻸㉙㐌⽃㉯㉅⾆㉧⹂㍀㇐㉣⸝ゞ
줄 수 있다. ⻘㉙⵱⾫ⱴ㉇ㆦ㉅⼍㑩ⲉ㊙⵱ⱖⷴⷾ ⶻ㉙ⷾ 

예 선생님이 앉았어요. 그리고 바로 그 반대로 행동했지요? 일어


-기 때문이다
났어요. 그럴 때 ‘앉았다가 일어났다’라고 표현해요.
예문 바깥쪽에 있는 컵은 팽창하고 안쪽에 있는 컵은 수축했기 때문입니다.
이쪽으로 왔지요? 그리고 바로 그 반대로 행동했어요. 저쪽으 브레이크를 밟으면 자동차가 정지하는 이유는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로 갔지요? 그럴 때 ‘왔다가 갔어요’라고 할 수 있어요.
  ゞ㉙ⷾ㇐㉣ⷧ㉙ァ㔪㐝ョⱎⱖ㉧Ⳮ  㒹⿚㓮ⷾ

형태: 1) -았/었다가: 동사 뒤에 결합한다. ‘-았/었다가’ 뒤   ㆦ㉅⼍⸃⽋⸝㉧⹂㍀㉔ⲩハ㉙  ㉨㈚㓮ⷾ

에도 동사가 온다. 동사의 어간이 모음 ‘ㅏ, ㅗ’로 끝나


면 ‘-아 가다’가 붙고 그 외 모음은 ‘-어 가다’가 붙는
다. ‘하다’의 경우는 ‘-해 가다’가 된다. ߵඋ֊#්۟
다음과 같이 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학적인 이유를 간단히 말해
화용: ‘-았/었다가’는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으 보십시오.
나, 구어에서 더 자주 사용된다. ‘-았/었다’와 같이
ⴑ㊙ⱎ〫ⷧ㆏㇐ ㉧㊉Ⱳ⽃㐛Ⲛⱎⷾⱎ げ㒈㇐ヂ⸼ⷾⱎ
‘가’를 생략하고 표현하는 경우도 많다. ⿔⻘㉈〫ㆿ⶝㉅⾆ ⱖ㉧Ⳮ⽵㎆⾆ ⱖ㉧Ⳮ⽵㎆⾆

예 앉았다 일어났어요.
보기
또한 반대되는 행동이 반복해서 일어날 때에는 ‘동사 꺼져 가는 불씨에 바람을 불어 넣으면 불이 다시 되살아나요.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이에요.

+-았/었다가 동사 +-았/었다가 하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예 앉았다 일어났다 해요. 1 준비
① 대화문의 상황을 이용하여 ‘-기 때문이다’를 도입한다.
• 대화문을 통해서 ‘-기 때문이다’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참고 ‘-다가’와 ‘-았/었다가’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 ‘-다가’의 여러 용법 중에서도 어떤 행동을 하고 그에 반대되는 행
동을 이어서 하는 경우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때의 ‘- 예 교사: 끼인 컵을 얼음물과 뜨거운 물을 이용해서 뺄 수 있다고 했
다가’는 그 행동을 완료했느냐, 아니냐라는 점에서 ‘-았었다가’와 지요? 그 이유가 뭐예요?
차이가 있다. 학생: 밖에 있는 컵은 팽창하고 안에 있는 컵이 수축했어요.
예 친구가 불러서 집에 가다가 다시 학교에 왔어요. 교사: 네. 그래요. 밖에 있는 컵은 팽창하고 안에 있는 컵은 수축
친구가 불러서 집에 갔다가 다시 학교에 왔어요. 했기 때문이에요.
• 위의 예문에서 ‘집에 가다가 다시 학교에 왔어요.’는 그 행위를 끝
내지 않고, 그 행동을 하는 중에 다른 행동을 한다는 의미이다. 그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기 때문이다’가 어떤 의미일지
러니까 집에 가는 중에 다시 돌아왔다는 의미를 표현한다. 반면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집에 갔다가 다시 학교에 왔어요.’는 그 행위를 다 끝내고, 다른 2 설명
행동을 한다는 의미로, 집에 도착한 후에 다시 돌아왔다는 의미
이다.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유를 나타낼
때 ‘-기 때문이다’를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② ‘-기 때문이다’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기 때문이다’가 어떤 의미인지 생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각해 보게 한다.

2 연습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9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2 2015-12-11 오후 7:38:40


바깥쪽에 있는 컵은 팽창하고 안쪽에 있는 컵은 수축
듣고 말하기
했기 때문입니다.
개요
브레이크를 밟으면 자동차가 정지하는 이유는 마찰력
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1. 듣기: ‘헬륨 풍선’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2. 말하기: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해 이야기하기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기 때문이다’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ⲕ⽓㓩⳨
문법 설명 -기 때문이다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25
 이수는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의미: ‘-기 때문이다’는 이유를 나타낼 때 쓰인다.

교사는 다음과 같이 ‘-기 때문이다’의 의미를 상황을 통해 설명


 이수가 입으로 분 풍선과 놀이공원에서 파는 풍선은 무엇이 다릅니까?
해 줄 수 있다.
예 컵이 빠진 이유는 뭐예요? 그 이유는 안쪽에 있는 컵이 수축
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기 때문이다’ 앞에는 어떤 일의 이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유가 와요. Dz㉙ァ㔪㐝ョⷧⲥⳭ】ⷾ⾦ⱹⷾ ( )
dzⶵ㉙ⲥ㈧㇐ヂ㒅ⷧ㓒テ㇐ⷧ㔎⼼ⱎㄭⱎ⹬ㆿ㉣ⷾ ( )

형태: 동사나 형용사에 붙어 사용한다.


화용: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되고 이유를 객관적으로 1. ‘헬륨 풍선’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표현하고자 할 때 더 많이 사용된다.
‘-기 때문이다’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문장의 호응이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26

중요하다. 주로 ‘~ 이유는 ~하기 때문이다’ 또는 ‘~ 것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은 ~하기 때문이다’와 같이 호응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무엇에 대한 이야기일까요?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2 시디를 들려준다.
3 연습 • 풍선에 대한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한 대화 듣기이다. 풍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선에 들어가는 기체는 무엇인지, 풍선이 공기 중에 떠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르는 이유는 무엇인지를 집중하여 듣게 한다.
다.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 <연습>의 정답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1) 폭발하기 때문이다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2)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 교사: 입으로 분 풍선과 놀이공원에서 파는 풍선은 무엇이 달라
요?
응용 학생 1: 풍선 속에 들어 있는 기체가 달라요.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교사: 어떻게 다른데요?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학생 2: 입으로 분 풍선에는 이산화탄소가 들어 있고, 놀이공원에
서 파는 풍선에는 헬륨이 들어 있어요.
4 말하기 연습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 1 의 정답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제시된 상황 중 하나
를 골라 문법을 사용하여 과학적인 원리에 대해 말하는 1) 풍선을 불어서 하늘로 띄우려고 하고 있다.
연습임을 설명한다. 2) 입으로 분 풍선에는 이산화탄소가 들어 있고 놀이공원에서 파
• 짝활동으로 내용을 만들어 말해 보도록 한다. 는 풍선에는 헬륨 가스가 들어 있다.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3) ❶ ○ ❷○

제9과 과학자, 생활의 달인 9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3 2015-12-11 오후 7:38:41


25

3.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한 말하기 활동을 한다.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26

 무엇에 대한 이야기입니까?
1 먼저, ‘탈수기’와 ‘보온병’이 무엇인지 가르쳐 준 후 이 물건들
에 숨어 있는 과학 원리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자고 하면서 말
 다음 중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하기 활동을 도입한다.
Dz㇟㔪㎳ㄪ㉇㋁〈㉔ㇱ⸸⽃ⶻ㉛ⷾ
dz⾫㇐ョ⳨㉈⸚㓮⾆㇄㉊㉈⽕⹬ㄋ㉣ⷾ 2 두 명씩 팀을 짜서 ‘탈수기’와 ‘보온병’의 과학적 원리를 이야
Ǵ㇄㉊㇐ョ⳨㉈よ⽋⾆㇄㉊㉙じ⽋ⶳⷧⷾ
기해 보게 한다.
2. ‘염화칼슘’에 대한 대화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 교사는 이때 학생들이 과학적 원리를 잘 설명할 수 있도
록 도와준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 교사는 학생들에게 미리 숙제를 주어 과학 원리를 조사해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오게 할 수도 있다.
3 짝을 바꾸어 앞서 생각한 과학 원리를 이야기해 보게 한다.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한 이야기일까요? 4 친구들 앞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들에 숨어 있는 과학 원
리를 발표해 보게 한다.
2 시디를 들려준다.
• 눈이 많이 왔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 응용
한 방송의 일부이다. 눈을 녹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1. 탈수기, 보온병 외에도 우리가 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다른
를 집중하여 듣게 한다.
물건들에 대해서도 과학 원리를 생각해 보게 한다.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읽고 쓰기
예 교사: 들은 내용과 다른 것은 뭐예요? 개요
학생: 2번이에요.
교사: 왜 그렇게 생각해요?
1. 읽기: 부력에 대한 온라인 질의응답 읽기
학생: 얼음 위에 소금을 뿌리면 얼음이 빨리 녹는다고 했어요.
2. 쓰기: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해 쓰기

⇨ 2 의 정답
1) 눈을 빨리 치우는 방법
2) ❷ ㉘ⲕㅾ⳨

1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

Q 㓪ⱈ㋛ⳈⳢ㓪ⱴ㉓㉝ㆹゼⳠ㉂㇬⽊ⷮⷸ㇩⻜⽏㇊⿎⸄ⱈ㇊ⱈゼⲽⲍ㉂㓨ⷸⱈⱐ
㉡⳧Í⿝ⷡㆹ⺖ⱻ⾥㈮㇊⺋㉝㉂ⳳÎ㓨ⷡⳈⳢ㋚㉓ギⲌㄭⷮⷸ㊉⽒㐈⿝ⷡ㎁ⲽ㉬
응용 ⽏㓪㐆⳧㇊゘⻒⸲⾥Ɱ⸲⽐㉓ㄳⲔ㉝ⷡ⸢ㆹ⺖ⱻⳜ⾠ⱬ㈗⾥㍝ⱈ⾥㈮㇊⺋㉝
㉂ㄅ㉝ⷡⱮⱈ㈍"

1. 자신이 알고 있는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해서 친구와 이야기해 본다.


A ⶘㊦㉁㋟⾣ⱏ゘㓮ⷮⷸ⾠ⱬ㈗⿝ⱈ⿎ⷸ㈮㇊⺋㉝㉂ㄅ㉝ⷡ㉓㈶ⷡ
⿎⼇〡⻻⺂⾣㉛ⷮⷸ〡⻻㉁⿎⼇⾥㍝⼽㈮⼇⺺ⱻ㓨ⷡ㕲㉂⽒㓨ⷡⱴ
㉕⸢㈍⿝ⷡⳜ⾠ⱻ⺂⾣㇊⾥モ㇊ⱈ⻎㆔㈿⻺ⷡド㋟㉓㉝㋛⽏⾥㉁Ⳝ
⾥㍝⼽㈮⼇⺋㇩⼺ⱻ㓨⻺ⷡド㋟㉂ⱈ㋛Ⲕ㉝ㄭⷮⷸ⾥モ㇊ⱈ⻎㆔㈿⻺
ⷡ㕲ⲡ⺋㇩⼺ⱻ㓨⻺ⷡ㕲㋔㋄⻻ⲡ〡⻻㉓ゼ⼇Ⳛ㔕㉂㉩Ⲕ㉝⳧⺂⾣
㇊⿝ⱈ⾥㈮㇊⺋㉝㉂ㄅ㉝ⷡⱴ㉛ⷮⷸ

3 다음은 우리가 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물건들입니다. 이 물건들에 어떤 원리가 있


는지를 이야기해 봅시다.

⾫ⱴ 㐞ㄋⳭ 】ㇱ」

 질문의 제목을 만들어 보십시오.

ⲧ㓯㊈
㈧⽋
 내용과 같으면 같으면 , 다르면 하세요.

Dz⿣ⷧ⾫ヨ㇐ⱎ⻔㆚㉅⼀ⷧハ㋥㉈ⱎ㋡Ⲛ㉣ⷾ 
dz⾫㉇⾫㍣⽃㈴⼍⺑㇯⽀ⲁ㓮ⷧ〧⼁㉈ⱎ㋡Ⲛ㉣ⷾ 
Ǵ㋊⼁㉙〧⼁】ⷾⱚ㓮⾆⾫㍣ⱎⱎ⻔㆚ⷧⷾ 

4 3 에서 찾은 과학적 원리를 친구에게 이야기해 보십시오.

보기 94 한국어 6-2
가: 나는 탈수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어. 탈수기의 원리를 이해하려면 원심력에 대해서
알면 돼. 탈수기는 옷을 빨래한 후에 옷에 있는 물기를 없애는 거잖아. 물기를 없애기
위해서......

9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4 2015-12-11 오후 7:38:44


1. 글의 형식을 보고 내용을 생각하면서 도입한다.
• 글의 형식을 보고 어떤 종류의 글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예 교사: 여러분 이 글을 보세요. 여기에 누군가가 질문을 했어요. 그 2 여러분도 생활 속의 과학 원리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습니까? <듣고 말하기> 3 , 4 에서
이야기한 과학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질의응답 게시판에 답을 써 봅시다.
리고 그것에 대해서 누군가가 답을 달았네요. 이런 글은 어
디에서 볼 수 있어요?
㊑⾎㐞ㄋⳭ㉔㈧⽋ⱎⳎ⳨㓷㈓
학생: 인터넷에서요. 인터넷 질의응답이에요. Q 㐘ㄅ⳧㇊⾥㇊㕣で㊊㉁ㇳ㉂⶗Ⲕ⸶⽅⾀⾥⳧ⱈⷸ゘⻎㋛Ⲕㇳ㉓へリへリ㓱㋛㉤
㆑㈍⸲⸊㍝㐘ㄅ⳧ⷡㆹ⺖ⱻ㉓⻱ⱻㇳ㇊㉝ⷡ⾥⳧⼽げ⽅㇃ㆤㄅ㉝ⷡⱮⱈ㈍"

2. 설명문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A

1 무엇에 대한 글인지 학생들에게 질문한다.


• 교재에 있는 질문과 선택항을 함께 읽고 학생들이 알고
있는 것과 같은지 다른지 이야기해 보게 함으로써 글의
내용이 무엇인지 예측해 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ㇱ」㉔⹾⻇㓰⾫㉙ㄷ㋡㆛ⷧ㉙㈼ⷧ"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어떤 내용에 집중하여 글을 읽어야 Q ㆓ⶨ㓨ニ㈍"㈍㋗ⲃ㈘㉓⻎》㇫〇㉂゘㈔㓨ⷡ⸢㈍⺺ⱬ㈗⾥㉂Ⳝⶊ⹋⾀Ⳣ⿛ㄱㆹ

할지 알게 된다. ⿫⽅ⷡ⸢》㇫〇㇊㉝ⷡ⾥㉁ㆹ⺖ⱻ⾅㄰ⱊ㉓㋛⵫⸲ㄱ㋛㆕ⷡⱴ㉕㋛㆖Ⲕㄺㆹ㈍

• ‘질문’ 글을 읽게 하고 무엇을 질문하고 있는지 이야기해 A


보게 한다.
• 다음으로 ‘대답’ 글을 읽고 질문에 대해 어떻게 대답하고
있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2 글을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록 한다. 2.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쓰는 활동을 한다.
• 글을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1 교재의 쓰기 활동을 보면서 온라인 게시판에 올라온 질문에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대한 답글을 쓴다는 것을 알려 준다.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2 지시문을 함께 읽고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듣고 말하기의 3번에서 했던 활동을 떠올리면서 글의 내
3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용을 어떻게 쓸지 생각해 보게 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3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예 교사: 배는 물 속에 가라앉으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4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온라인 게시판에 답글을 쓰게 한다.
학생: 네. ‘배는 그 무게 때문에 물 속에 가라앉으려는 성질이 있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 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다’고 했어요.
는지 확인하게 한다.
5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게 한다.
⇨ ‘문제 1’의 정답:
• 누구의 답글이 가장 이해하기 쉽게 잘 썼는지 이야기해
1) 배가 바다에 뜨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본다.
2) ➊ ○ ➋ ○ ➌ ○
6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 먼저 글의 내용, 텍스트의 형식적 특성에 맞는 글의 구성
준다. 에 집중해 피드백을 해 준다.
• 그 다음에 맞춤법이나 잘못 쓴 어휘나 문법에 대한 피드백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을 해 주도록 한다.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휘를 다룰 때는 ‘뜨다, 가라앉다’와 같이 내용 이해에 핵
심적인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
해에 핵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지나치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
음 기회로 넘긴다.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좋다.

제9과 과학자, 생활의 달인 9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5 2015-12-11 오후 7:38:45


단원 마무리 문화
개요 개요

1.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한 내용을 듣고 말하고 읽고 쓰 1. 과학 상식에 대해 알기


는 활동을 했음을 상기시키기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㔪 과학 상식 퀴즈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Ⲗ㓞㉷㉊㈖⼺⼲ㆋ⽵㈊⼺㉃㉋゙ィ㔜ㆿケ⸧㈫㈉㓝Ɒ㔜㈉㓠ヺ㉒ㄢⷣⷭⷭ㈹㏯㋈⼲㒼

1. 자신이 알고 있는 과학 상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과학적인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까?


ㆮ ⽵ケⲖ㓞゙ㄦㆿⷿ㓦ケㆳ⽂ⵠ⽅㉈ㆋⲉ㉒ⷖ㋐㔚㉊㓦〄⳨㈂"

2. 물질, 물질의 변화, 과학적 개념에 대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습니까?

1. 번개 칠 때 가장 안전한 곳은 어디일까요?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1) 연못 주변 2) 자동차 안


3) 우산 아래 4) 나무 아래
지 확인해 보게 한다.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2. 어두운 곳에서 가장 잘 보이는 색은 무엇일까요?
1) 녹색 2) 흰색
3) 노란색 4) 보라색
예 이번 단원에서는 생활 속에서의 과학 원리에 대한 내용을 공부했
어요. 풍선이나 눈을 빨리 치우는 데에 적용되는 과학 원리에 대 3. 철의 녹는 점은 몇 도일까?

해서 들어보았고, 우리가 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물 1) 100도 2) 500도


3) 1535도 4) 1800도
건들에 적용되는 과학 원리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았어요. 온라인
게시판에서 올라온 과학적인 문제에 대한 질문과 대답을 읽고, 4. 공중에 떠 있는 기구나 비행선에 넣는 기체는?

우리가 직접 온라인 게시판의 질문에 대한 답글을 쓰는 활동도 1) 헬륨 2) 이산화탄소


3) 산소 4) 질소
했어요.
5. 유성펜으로 쓰여진 낙서를 지울 수 있는 것은?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1) 물 2) 알코올


3) 녹차 4) 소금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 5개를 모두 맞혔어요: 과학 상식이 아주 뛰어나시네요.
• 3~4개를 맞혔어요: 과학 상식을 어느 정도 갖추었네요.
예 여러분이 알고 있는 과학 상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과학적인 이유 • 1~2개를 맞혔어요: 과학에 조금 더 관심을 가져 보세요.

를 설명할 수 있어요?
정답 1. 2) / 2. 1) / 3. 3) / 4. 1) / 5. 2)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96 한국어 6-2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1 먼저, 학생들에게 과학 상식 퀴즈를 풀어 보자고 한다.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2 과학 상식 퀴즈를 풀어 본다.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 이 때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 1번부터 5번까지의 문제를 모두 푼 후에 몇 개를 맞혔는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지, 가장 많이 맞힌 사람은 누구인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진행할 수도 있다.
권한다.
• ‘도전 골든벨’처럼 1번부터 5번까지 순서대로 문제를 풀
3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되, 문제를 틀린 학생들은 탈락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
수도 있다. 마지막까지 남아서 모든 문제를 맞히는 학생이
이긴다.
3 답을 확인해 보면서 자신의 과학 상식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
해 보게 한다. 답을 확인할 때에는 왜 그런지에 대해서도 함
께 이야기해 본다.

9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6 2015-12-11 오후 7:38:46


┃모음(母音, Vowels)┃
복습 2

학습 목표
6과~9과에서 배운 발명, 환경, 미래 사회, 과학 상식 관련 표현을 확인할 수 있다.
6과~9과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문법
• 명사 덕분에 • 동사 -는 데에
• 동사 -(으)면서부터 • 명사 같은
• 동사 -아/어 가다 • 동사 -(으)ㅁ에 따라
• 동사 -았/었다가 • 동·형 -기 때문이다

2. 어휘
• 발명 관련 표현
• 환경 관련 표현
• 미래 사회 관련 표현
• 과학 상식 관련 표현

3. 과제
• 비무장지대를 주제로 한 글 읽기
• 영화에서 상상한 미래와 현재를 비교하는 이야기 듣기와 쓰기
• 발명, 환경, 미래 사회, 과학 상식을 주제로 한 말하기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어휘 및 문법 항목
도입 • 배운 어휘와 문법 항목 확인 및 정리하기 10분
확인하기
어휘 어휘 확인하기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 고르기 10분
문법 문법 확인하기 • 알맞은 문법을 골라 문장 완성하기 15분
맞춤법 맞춤법 확인하기 • 맞춤법에 맞는 표기 고르기 15분
읽기 읽고 이해하기 • 내용을 읽고 질문에 답하기 30분
듣기 듣고 이해하기 • 내용을 듣고 질문에 답하기 • 시디(CD) 20분
쓰기 요약하기 • 들은 내용을 요약하기 • 시디(CD) 15분
말하기 대화하기 • 주제에 대해 친구들과 대화하기 15분

제10과 복습 2 9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7 2015-12-11 오후 7:38:46


┃1교시┃

•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 푸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도입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2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개요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정답을 모두 맞힌 후 다시 한 번 교사를 따라 읽어 보게
1. 6~9과에서 배운 어휘 범주 확인하기
한다.
2. 6~9과에서 배운 문법 항목 확인하기
⇨ 정답:
1) 변화시키다 2) 개발하다
3) 심각하다 4) 해결하다
10과 5) 빨라지다 6) 폐허가 되다
복습 2 7) 커지다 8) 가하다

어휘

발명품 발명과 발견 발명품의 효용


환경 문제 환경 문제의 원인 환경 보호 환경 보호의 방법
미래 사회
물질
사회의 발전
에너지
사회의 쇠퇴
화학 자기장
문법

문법
개요
명사 덕분에 동사 는 데에 동사 (으)면서부터

명사 같은 동사 아/어 가다 동사 (으)ㅁ에 따라 1. 문법의 의미를 파악하여 문장 완성하기


동사 았/었다가 동Ã형 기 때문이다

2. 정답 확인하기

1 학생들에게 6~9과에서 배운 어휘 중 기억나는 어휘를 이야


기해 보도록 한다. ㆺ
ㆺ㕎
」ㄮ

2 학생들에게 6~9과에서 배운 문법 중 기억나는 문법을 이야


기해 보도록 한다.  ㆖⽙㉁⾣⿲㉂Ⲙ⻎⾣㉬㉂ㇸド㓱》ㄷ㄰㇩

⸛〩㇐ -ⷧ⸨㇐ - ㉅ ⾆ヂ〧㐰


ⱝ㉇ -㆗ㆿⱎⷾ - ㉅ ̆㇐⹾⻔
-ㆣ㇋ⷾⱎ -Ⳮ⺈⾩㉙ⷾ

 ⾶⻏ㆿⷖ ᆸཋལତၴৰ࿚ 㔛Ⲃ㈷㇞㇎ㄥ㐂㋐ㆊⷖㆿⶀ㋐ⰽⶄ⼺ろ㈉⸻Ⱪ㉈ⷭ

어휘 㐔ㆧㆿⶀ㋐

 ㉖㈫⼁Ɒ⽡ⲓ㈴⻼㉈⸱㓠ヺ㉒Ɒ⸹ㆺㄢⷣⷭ ㉖⸱㌯

개요  ㇇Ⳝ㉶ⳜㆿⲔ㉡㉈ ヺ㋔㇞㇎㉈ㄫⰾ㓦㊍ㄢⷣⷭ ィⳜⷭ 

 ㉈Ⱪ㈶㇜ⵥろ⻇⹛㉈㈹ㄦ㈷ ろ㈉㓟Ⱪ㉐ⷣⷭ ⷷⷭ

1.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여 어휘 완성하기  ⾸ヺⷖⵠ⾕ⰽ㉒ⷖⲓ⳨㋐ ⷭㄥ⺩ㆮ⸫ㆆㇲⷭ ⺩ㆮⰽⷭ

 〲⻧㉈㏻⼲⿌㈴⽵㉖⸱㌯ⰽ㉾㋐㓝ⷖ㉈㈫ⷖ〲⻧㉈㏻⻼㉊㓦⽂㌳⻰㉈
2. 정답 확인하기  ㉗㈉㓝ⷭ

 ろ㔤㉃⿷㔙プ⸧ⷖ㉻㉻  ぇ⻃㋐ⷭ 

 ⷸ㉄う㎬㇊⹦ㆹⱌ㆖⽙㉁ⷻㆹ⼽Ⲕ⼺ㄷ㄰㇩  Ⳝヾ㉈ ㇇⻝⾘㊀ⰽ㓦ⱽ⸻Ⱪ㉐ⷣⷭ ⿉㉸㓝ⷭ 

 ィ㔜㈷  ⿷㔙ㄥ㐂ⷭ 㒝⼺㓝ⷭ

  ゛⻼㈌ㆠ㈷  ⱏ⿉㓝ⷭ 㐏Ⲳ㓝ⷭ

  ㇞㇎㉈  ⿒㍸⸹ⷭ ㄫⰾ㓝ⷭ

  㔛Ⲃ⾘㊀⼲  ⽂⻱㓝ⷭ 㓦ⱽ㓝ⷭ

  ⿉㉸プ⸧ⰽ  ぇ⻃㋐ⷭ ろ⻃㋐ⷭ


1 학생들에게 교재의 문제를 풀어 보게 한다.
  ⸧ㄥⰽ  ぇ⻃㋐ⷭ 㒣㓱ⰽ⸹ⷭ • 10분 정도 시간을 주고 문제를 풀어 보게 한다.
  〖㓕ⰽ  ⵹ⰾㄥ㐂ⷭ ㎳㋐ⷭ •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 푸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㕧㈷  ⰽ㓝ⷭ ィⳜⷭ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2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1 학생들에게 교재의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 학생들이 형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교사는 칠판
• 5분 정도 시간을 주고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에 정답을 판서한다.

9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8 2015-12-11 오후 7:38:47


┃1교시┃

• 교사는 학생들이 쓰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지도


⇨ 정답: 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1) 태양에너지 같은 2) 자동차 덕분에
3) 생기면서부터 4) 담는 데에 ⇨ 정답:
5) 뛰어갔다가 6) 작용하기 때문이다
7) 빨라져 간다 8) 발전함에 따라 1) 인 쇄 기
2) 개 선 한
3) 생 태 계
4) 파 괴

맞춤법 5) 폐 허
6) 부 력
개요

1. 한국어 맞춤법에 맞는 표기 고르기

2. 정답 확인하기
읽기
 ⷸ㉄㉂㉦⹥Ⲕ⿎⼺ⱻㅿⱴ㉂Ⲕ⼺ㄷ㄰㇩ 27

  ㉊ダⳜ㉊ユⳜ ㉃⿉⽹㈴⻼ⳕ㉈ⶄ⼺㉌㕦ヺ㉒Ɒ⸹ㆺⷭ
개요
 ㉗㈶㔙⽵㈷ ⱏサ㓟Ɒサ㓟 ゛⻼㈌㊀㒾㉈ⱏ⿉⸹ㆺⷭ

 ㇞⻑ⶡ⻰㈴⻼ ィ㐔Ɒィ㐔Ⲅ ⰽ、㈖⸹ㆺⷭ 1. 읽고 내용 이해하기


 㔛Ⲃ 㑴Ⲅ㑴ⲥ ⼲⽃Ⳝ㈣㓦㉖㇊ 㔏Ⲳ㇈㈷㋐㉾㓝㇒ⷭ

 ㉸㉫㈴⻼㉊㓦⸧ㄥⰽ 㒔㓱ⰽ㒣㓱ⰽ ⸹ㆺⷭ

 ⾚㍒ⰽ⾚ㆿケ⺯ⷖ㕧㈷ 〖⻰〖㇈ ㉈⻃ⲉ㓟ⷭ



ㆺ㕎
」ㄮ

1 학생들에게 교재의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㉗Ⲕ㋟⾣㇊⸃㓨ㄷ㄰㇩

• 5분 정도 시간을 주고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お⾦㉲㋡⸐ⷧ Ⳅ㊑㊈㉛ ㆱヨ㇐ ㉔㓷ヂ ⳅゞ㊈㉛ ㄶト ト㎦ⱎ ⳨㋡⹋ ㋡㇙㉈ ⽘㓰ⷾ
•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 푸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㓰⿘⸸㇐ⷧ ⵹〨㉔ 〩⸁㉅ ⼍ ㉛㓷 お⾦㉲㋡⸐ⱎ ㊣㉴㓮Ⲛ ㉣ⷾ ㉙ お⾦㉲㋡⸐ⷧ
㕛㊉テ㉅⼍〧㐰⵹ⲧ〨㉅⼍ⱏⱏNP㆐㋚⵹〨㉅⼍NP⹂ヂ⼍NP⽃㍀㋡㓰ⷾ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お⾦㉲㋡⸐ⷧ お⼎ 㓰⿘⸸㉔ 〩⸁㉈ 】㇘㋁ⷧ ⲥⱐ㉙Ⳮⷧ 㓮㋡⽕ Ⳣ ㉧㍣ⱎ ‫⻇ ײ‬㓮㋡
㆛㉇ ㈼ァ㉙Ⳮ⸸ 㓮ⷾ 㕛㊉ 㔘㊏㉙ ㉣㇋⸝ ⶩ〧㐰 㔕㉴⳹㋡ ⶩ㉙ ⶘ⷧ ㄶⱐ ⹂㆙
2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ゞ⻘㉔リ⳱㉙⸏㋡㆛㉊㇐⹾⻔ゴ㐥ⲕⱎ㉬】㊣⹋Ⲥ㉙Ⳮ⺈⾩㉙ⷾ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ゞㄺお⾦㉲㋡⸐ⷧ㊉㉼㉅⼍㉛㓷㒴㔂ⱎ⹊㇋⸝Ⲥ㉙㇋ⷾⳢ⻮⵱ゞ⻘㉔リ⳱㉙ⵠⳭ㉧


⾇㊩ ㈴Ⳮ㇣⸝ ⹂ㄷ⾫⹬㉙ ㉧㇛ ヨ㇐ヂ ⲥ㊣㓮⾄ ィ㆗⵱Ⳮ ㄶ㉨㓾ⷾ 㔬ⲓ〧㉔ ㊡ゞ Ⲏⲧ
• 학생들이 형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교사는 칠판 ㉙㋡㇙㇐ⷧ㍸㊩㉔ㆰゴ⹂ㄷ⾫㉙ヂㄷ㋊㉛ⱺ㉅⼍㔫㉛⹊㇋㉅⾄⾇㊩㈴Ⳮ㇐㉣ⷧ

에 정답을 판서한다. 27
⹂ㄷ⾫⸸ ㇘ ㊩㉙ ヂㄷ ㋊㉛ ⱺ㉅⼍ ⵱㐛⵱ Ⳣㆰ⽘⼍ Òゴ㐥ⲕ㉔ 】⾫ ㍉ⲚÓ⻔Ⲛ 〫⽋Ⲛ
㉣ⷾ
㉙⻮㓰 お⾦㉲㋡⸐㉔ ゴ㐥ⲕⷧ Ⳅ㊑㊈㉅⼍⸸ Ⳣ ⱎ㎦⽃ ㉛㊏⿙Ⲛ ㉣ⷾ ⸚ⳅⷾ⵱ ㊉㉼㉔

⇨ 정답: ㆗㓣ヨ㇐ヂ㆗⽄ⷾ㈝ゴ㐥ⲕⱎィ㆗⵼ⷾⷧオ㋪㊈㉛㉔⿇⸸㐌ⷾㆦ㉅⼍㉙㋡㇙㉈㇄⽓⵱
㉬ⱎⵂⲚ】㊣㓷⵱ⱒⱺ㉛ⱎⷧ㈛⽋㇐ⲁ㋁ㆿ㋣㋊㈓㓰㉠⾦⻔Ⲛ㓱ㄋ㉣ⷾ
1) 인쇄기 2) 개선한
3) 생태계 4) 파괴  ㉈ⳕ㉃㊀⽽㈴⻼ⰽ㉡ㆋ⽎㈶Ⱪ㈷ⲉ⼯ㄬㄥ㇞

5) 폐허가 6) 부력  ǫ〘ⷰ㉃゙㋙〹⾕㉡㋐ⷿ

 Ǭィ㐔Ⲅ㉃ ⾚㌸ⲉ〹⾕㉡㋐ⷿ

 ǭ⵨〗Ⲕ⸱㉃ⶡ⻰㈴⻼㔛Ⲃ 㔏
 ⿭㉎㊉⸃㉂㔥㉕㓱》Ⲕ㆑⻚㉎う㎬㇊ㅽ⳧㇕ㄭ㉂㓱】㄰ⷸ
 Ǯ〹⾕㉡㋐ⷿ㉸㉫㈴⻼㉊㓟㒣㓱⼲ ㇇㊰ⷖⲓ

 ࿮ ຊ ઀

 ⵱㈉Ⲗⱌ㈴⽵ ⷭ⼯⽵ 㓝ㄬㄥ㇞



 ǫ〹⾕㉡㋐ⷿⷖ⵨〗㈴⻼NP⸱ケ⻼NP㉃⽵㉷㈷㌯㋐㓟ⷭ 


 Ǭ〹⾕㉡㋐ⷿㆿⷖ⽶㊘㈣Ⳝ⸱ㄦ⾚㇇㊘㉈をⲉ㉒ⷭ 

  〹⾕㉡㋐ⷿ⼲Ì‫⺶ץ‬㓝㋐ㆊ㈶㈫ゐÍ㉈⻃ⲉ㓝ⷖ㉈㈫ⰽ⾕ㆹ㉊㋐㉈㆟Ⳝ㓦 ㄬㄥ㇞



 1 글의 종류와 주제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 본다.


2 학생들에게 10분 정도의 시간을 주어 각자 읽고 문제를 풀도
록 한다.
1 올바른 표기대로 쓰기 연습을 하게 한다.
• 글을 읽으면서 문제와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 맞춤법, 띄어쓰기에 주의하여 쓰도록 한다.

제10과 복습 2 9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99 2015-12-11 오후 7:38:48


있다. 4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 쓰기를 한다.
3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 필요하면 한 번 더 들려준다.
• 5분 정도 시간을 주고 들은 내용을 요약해서 쓸 수 있도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록 한다.
• 교사는 학생들이 쓰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지도
⇨ 정답: 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1) ❷
5 듣기 지문을 함께 읽을 수 있다.
2) ❶ × , ❷ ○
3) 의도하지 않은 분단의 아픔으로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 듣기 지문을 보면서 내용을 확인한다.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4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글의 세부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 볼 수 있다.
• 세부 내용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을 한다.

예 • 전쟁으로 폐허가 된 곳이 어떻게 생태계의 보물 창고가 될 수


있었을까요?
• 만약 통일이 된다면 비무장지대의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어 말하기
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개요

1. 주어진 주제에 대해 대화 나누기

듣기  ⷸ㉄⸊㔤㊻㊋㇊⸊㓱㎢ⲽ⹦ⲡ㉡㈶⼌ⱻ㉓ㆪ⳧⼽㓱】㄰ⷸ

보기
가: 30년 후에는 어떤 물건이 발명되어 있을까?
나: 30년 후에는 먹으면 배가 불러지는 알약이 개발되지 않을까? 식사를 하기 곤란한 상

개요 황에서 요리도 필요 없고, 먹기에도 간편한 알약이 나올 것 같아.


다: 음, 나는 학교에 가지 않아도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교실이 발명
될 것 같아. 집에서 선생님의 강의도 들을 수 있고, 친구들과 토론도 할 수 있는 그런
교실 말이야.

1. 듣고 내용 이해하기
ⶣ㔻㉎⿁⻚ ⿔⾄⹄㇅㈿⾀㊦ⲁⷸⲔ
゘㔯㉎⿔⾄㓉 ギⱉ㓨ⷡ⾥Ɱ

ⷸ㉄㉂㉦⹥Ⲕ㋟⾣㇊⸃㓨ㄷ㄰㇩ 28

 ⹛㈶⵱㈉㈷⽪⽼㓟㔰㎗Ⲳ㇫〹ⲭ㓦〆ㄥⷭ
㔦ⲍ㇩㇙㉎ 㔦ⲍ》㔚⼽㈮㓪
゘⼃ㇶ㈡㉕ ㊦㉁⿛⿲

㇞㔤㇊ゼ『 ギ㔧モ㇊ゼ㈶㈔㓪
⿁⻚゘㔯㉎⾇ㄭ ⲡ㓩イㄱ

 ⵱㈉Ⲗⱌ㈴⽵ ⷭ⼯⽵ 㓝ㄬㄥ㇞

 ǫÌ⿓㑇⸉㓉㍉Íⷖ⶘ⷿㆿ㊀㉗⸹ㆺⷭ 

 ǬÌ⿓㑇⸉㓉㍉Íㆿケⷖ⶘ⷿ㉃⽼ㄢ㈷゙゙㓝㇇ⳑ⼺ⲉ㉒ⷭ 

 ǭÌ㓝⷗㈷ⵠⷖ㉖⸱㌯Íⷖㆆ㋑ⱏ⿉⸹㋐ㆊ㆒ⷭ  1 <보기>의 대화를 함께 읽어 본다.


 ⾕ㄞ⵱㈉㉊㋐㈂ㆠ㓦ケㅲⲉ⿉㒳㓦〆ㄥⷭ
2 2~3명씩 모둠을 만들어 준다.

3 대화하기 활동을 진행한다.


• 수업 시간에 따라 주어진 주제 중 몇 개를 선택하여 활동
할 수 있다.
• 교사는 학생들이 활동하는 동안 돌아다니며 도움이 필요
1 CD를 들려주고 들은 내용을 메모하도록 한다. 한 학생에게 도움을 준다.
• 들으면서 자유롭게 메모하도록 한다. • 발화의 기회가 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메모한 것을 친구와 비교하면서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일 4 친구와 나눈 대화를 발표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수 있도록 한다.
2 다시 한 번 들려주고 문제를 풀도록 한다.

3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정답:
❶○ ❷○ ❸×

10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0 2015-12-11 오후 7:38:50


┃모음(母音, Vowels)┃
옥상의 민들레꽃처럼

학습 목표
평이한 단편 소설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소설에 나타난 상징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단원 내용

• 소설 ‘옥상의 민들레꽃’ 읽고 이해하기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생각해 보기 소설 읽기 준비 35분
• 소설의 전체 구성 파악하기
• 주요 사건 이해하기
내용 이해
소설 읽기 • 인물들의 성격 및 가치관 파악하기 120분
상징 및 함축적 의미 파악
• 주요 상징 파악하기
• 소설의 전체 구조 이해하기
• 주인공의 심리 변화 파악하기
소설 감상하기 소설의 종합적ㆍ분석적 이해 • <워크북> 50분
• 소설의 주제 파악하기
• 소설 속의 주인공에게 편지 쓰기

제11과 옥상의 민들레꽃처럼 10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1 2015-12-11 오후 7:38:51


4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도입 • 소설을 읽고 상징을 이해하며 주제를 파악한다.
• 삶의 소중함과 인간적 가치에 대해 생각한다.
개요
작가 소개
1. 교재 103쪽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박완서(朴婉緖, 1931 ~ 2011) 소설가. 일상적 삶을 여성 특유의 섬세
하고 현실적 감각으로 그려 냈다. 6・25 전쟁과 분단 문제, 여성 억압
2. 어떤 사진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적 사회 구조에 대해 날카롭게 문제를 제기하고 인간적 입장에서 해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결책을 담은 작품들을 다수 창작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소설 ‘엄마의
말뚝’,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등
이 있다.

11과

어휘
학습 목표
㒳㉙㓰⸁㒮ョト㉈㉝Ⲛ㉙㓷㓱ㄋ㉣ⷾ
옥상의
ョ
 ト㇐⵱㐛⵴オ㋪㉈㉙㓷㓮Ⲛ㋁㊑⽃㒅㆘㓱
개요
ㄋ㉣ⷾ
민들레꽃처럼
1. 옥상의 민들레꽃 이미지 떠올리기

2. 소설의 구조 상상하기

クⱊ㓲「⳨

1 ‘옥상의 민들레꽃’이라는 제목에서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입니까? 제목을 보고 떠오르는


느낌을 이야기해 보십시오.

2 다음은 이 소설의 내용을 알 수 있는 몇 부분입니다. 이를 읽고 소설 전체의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지 상상해 보십시오.

࿬གྷ઀ኊ 우리 아파트 칠 층 베란다에서 할머니가 떨어져서 돌아가셨습니다. (중략) 우리 궁전 아파트


ඪ້஑ 는 살기가 편하고 시설이 고급이고 환경이 이름답기로 이름이 난 아파트입니다.

1. 현대인들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무엇이라고 생각해요?


2. 인간이 가장 소중하게 생각해야 할 가치는 무엇일까요?
“이 소문이 퍼져 보십시오. 제일 먼저 영향을 받는 건 우리 아파트 값일 겁니다. 아마 한 번만
더 사고가 나면 우리 아파트 값은 당장 똥값이 될걸요.”

“저의 어머니의 방 냉장고는 늘 그분이 즐기시는 음식으로 가득 채워 드렸고, 옷장엔 사시장


철 충분히 갈아입을 수 있는 비단옷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1 옥상의 민들레꽃이라는 단편소설을 감상하는 단원임을 설명


“그 분은 손자를 업어서 기르고 싶어하셨습니다.”
한다. “그건 안 되죠. 안짱다리가 되니까.”

“그 분은 바느질을 좋아해서 뭐든지 깁고 싶어하셨어요. 특히 버선을 깁고 싶어하셨죠.”


2 교재의 그림을 이용해 옥상의 민들레꽃의 이미지를 그려 보 “점점 더 어렵군요. 요새 버선이라니? 더군다나 기워서 신는 버선을 어데 가서 구하겠소?”

도록 한다.
•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옥상의 민들레꽃이 어떤 이미지인 그 때 나는 처음으로 엄마에게 내가 필요하지 않다는 걸 알았습니다. 나에겐 내 가족이 필요
한데 내 가족은 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건 나에겐 견디기 어려운 슬픔이었습니다.
지 느껴 보게 한다.
• 생각해 보기에서 다시 다룰 것이므로 가볍게 다루고 넘어 흙이랄 것도 없는 한 줌의 먼지에 허겁지겁 뿌리 내리고 눈물겹도록 노랗게 핀 민들레꽃을
간다. 보자 나는 갑자기 부끄러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살고 싶지 않아 하던 게 큰 잘못같이 생각되었

• 어린 아이의 슬픈 표정과 민들레꽃이 흙이 아닌 시멘트 습니다.

바닥에 뿌리를 내린 상황 등을 통해 옥상의 민들레꽃이


삶의 강인함, 삶의 소중함을 상징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
도록 유도함. 1. ‘옥상의 민들레꽃’이라는 제목에서 떠오르는 이미지를 이야기
3 하게 한다.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 ‘옥상의 민들레꽃’이라는 말이 주는 느낌과 교재 그림 속
에 있는 옥상의 민들레꽃의 이미지를 느껴 보게 한다.
예 현대인들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무엇이라고 생각해요?
• 어린 아이의 슬픈 표정과 민들레꽃이 흙이 아닌 시멘트
인간이 소중하게 생각해야 할 가치는 무엇일가요?
바닥에 뿌리를 내린 상황 등을 통해 옥상의 민들레꽃이

10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2 2015-12-11 오후 7:38:51


삶의 강인함, 삶의 소중함을 상징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 회의에서 어떤 내용들이 논의되었는지 파악하게 한다.
도록 유도한다. ① ‘나’의 나이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해 보게 한다.
2. 소설에서 발췌한 부분들을 읽고 소설의 전체 내용을 상상해 • 아직 엄마를 따라 다니는 어린 아이이다. 화자를 어린 아
본다. 이로 설정한 것은 물질적인 것만 중시하는 어른들의 탐욕
을 비판하고 순수하고 맑은 눈으로 세상을 보도록 하기
① 발췌한 여섯 조각의 글을 읽고 내용을 연계해 보십시오.
위해서이다.
② 여섯 조각의 글을 둘로 나눈다면 어떻게 나누면 좋을까요?
② 대책 회의에서 누가 어떤 의견을 내었는지 정리해 보게 한
그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
• 집 주인인 사장이 회의 이름을 짓자고 했다.
• 뚱뚱한 여자가 아파트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쇠창
살을 설치하자고 하였다.
• 누군가가 아파트에 쇠창살을 설치하면 집값이 떨어져 안
소설 읽기 된다고 반대하였다.
③ 이 부분에 나타난 사람들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게 한
다.
• 사장: 지위와 권위를 좋아한다.
モッ㉘⳨
• 뚱뚱한 여자: 물질 만능적이며 기회주의적이다.
4 107쪽 10행부터 108쪽 25행까지 각자 묵독하게 하고 할머
࿉຃ိජ౅೑ଋ
⿕ㇾヂ
니 두 분이 돌아가신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ㆆ㑴㑞㎙㎔⿫⻅ⷭㆿケ㓠⽟ⷣⰽ⺃ㆮ㊈ケ⸫ㆆⰽバㄢⷣⷭ ㊹⻙
① 돌아가신 할머니의 딸과 며느리는 왜 할머니의 죽음을 이
㈊⼺ⲽ㉸ㆆ㑴㑞ⷖをⳜⰽ㒝㓝ⲉㄥシ㉈ⲉⳘ㉈ⲉ㔛Ⲃ㉈㉈⼳ⷸⳜ⻼㉈⼳㉈ⵣㆆ㑴㑞㉐ⷣⷭ 해하지 못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㊹⻙ ⶽⰽⶀㆮ⹢ろ⵺"㓝ⲉ⾚ㆺ㈷⹷ⲽ㉸ㆆ㑴㑞ㆿゐⷭⲉ㓝⽵⾚㈶ろ⻇㉃ㆳⲶㆿⷷぅ〖
⻝㈔㓝ⷖぃ㉈㇈⻰㓦㋗ⷣⷭⳑ⼺ⲉ㓟ヿ㈷ㄎ⽳⽇㓣ⷣⷭ
② 할머니가 손자를 업어서 기르고 싶어한 일, 버선을 깁고 싶
Î㌴㊛ⱶⷭ㈊⼼ㆰ㊀ⳑ⻟⸗をㆆ ⶽÏ 어한 일, 흙에다 무언가 심고 거름을 주고 김을 매고 싶어한
ⳑ⻝ⷣ⳨ⲽ㉸ㆆ㑴㑞ㆿを㋐ㆊⷖろ⻇⹛㈶ⲽ㉸ㆆ㑴㑞ㆿろⷖろ⻇㉈㓮、㓝ⷭⷖⱥㆆ⾕⸧
㉃ㄫ㓝㋐ㆊⵠ〆ⷣⷭⳑ⻦Ɒ⾹ⲉ㉒ⷖろ⻇⹛㈷ㄩ⽍ㄥ㐂㋐ㆊⳜ㈣㓦ケ⸧ⲽ㉸ㆆ㑴㑞ㆿろⷖ 일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ろ⻇⹛㈶⽼⹀⽼⹀㓮、㓠ヺ⿅ㆿㆸㄢⷣⷭ
• 할머니는 물질적 풍요가 아니라 정성과 인간적 가치, 인간
ⳑ⻟⸗㉈Ɒ㈞㉋㉐ⷣ⳨⿤ㅃ⹀ろ⻇㋨ⵠをⳜⰽㄪㆮケㄜㄜ⻼⽽ヿ㈷ⵏㆺㄢⷣⷭㆳ⽂ⵠろ
ⷖⱰ㓮、㓝㋐ㆊ㈴⽵ㄜㄜ⻼⽽ヿ㈷ⵏⲉㄯㆮ㋐ⵠⲽ㉸ㆆ㑴㑞ろ⻇⹛㈶゙゙⸧㓠ヺㆸㄢⷣ 의 따스함을 느끼고 싶어했다.
ⷭⲽ㉸ㆆ㑴㑞ろ⻇㉈ㆋヺ㉒ⷖⱣ㆕㈴⻼㉈⻟㉋㉈ⷭㄥⷖ㉋ㆮⵠサㆈ⸺ⷭⷖⱨⷣⷭ㉈⻟
㉋㉈㉖ⴱ㉋ㆮⵠブ⾘㉈㒋㊈ ㄬㄥ㇞ろ⻇⹛㈶ⲽ㉸ㆆ㑴㑞ろ⻇⹛㉃㓮、㉈ⰽ㋝㉋ⱡ⻃ⲉ㉃
③ ‘나’가 베란다에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 민들레
ㄫ㓠㋐⸧⽼⼴ⷣⷭⳑ⻦Ɒ⸹⽵㏽㉋㉐ⷣⷭ ㊹⻙ 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를 말해 보게 한다.
㇇㐔ⴇⲵⱰ⾹ⲉ㉒⸌㓮、㉈㕓⹛⼺㉖ⲽ㉸ㆆ㑴㑞ろ⻇⹛㈶ⳑ〚ㆈ㈷ⱻ⹢ⷭ⾄㓦㓟㉖⼺ㆿ
⽼㇇㉃ⶣ㈷㓝Ⳝ⻼㓭ㄢⷣⷭ⽼㉈ⷖ㉡ブⷖ㎙ㄬ㒢㋝⼺⼲⹀ⱏ㐟ケㅲⷖろ㉡ⷨ⸀㈴⻼㉾㓦㊍
• 사람을 살고 싶게 만드는 것은 물질적 풍요가 아니라 인
ㄢⷣⷭ ㊹⻙ 간적 가치와 삶의 의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ㆶ⽂⸧ⳑ㊀㆟⵱ⰽ⹭⻃ⰿⱰ㌸㓕㓟㋐⶿㋘㈷㓝⽳ⵠ⼲⹠⹌⻼ヿⳜ⻯⹛ㆺㄢⷣⷭⳑ⻝ⵠⵠ
ⷖㆶ⽂⹠⹌ㆿヿ㈷ヺ㉒㈷⽄㏿㉗㈶ㆆ㉈ⰽㆆⷩⷣⷭⵠⷖⵠ㐊ⵠ㉒ⲉㄯⲉ㌴ⱻ⸧㓝ⲉㄯ
5 108쪽 26행부터 끝까지 각자 묵독하게 하고 내용을 정리해
ㆺㄢⷣⷭ⹯㉋㉈⻃⽵⽼⼲⳨㉈⿢㉋㈶⵱ⰽⴘ㌴ⱻ㈷㓦㆟㓠Ⱪⱌ㆒ㄢⷣⷭㇴ⵺㓝⽵ⵠⷖⳑ
㓠⽟ⷣⰽㇴをⲉㄯ㋐ㆊ㆒ⷖ㋐⼲ㆋⲉ㉒Ⳝ⹷⾘㉐ⷣⷭィ㉸㉃ⳑ㓠⽟ⷣ㇫ろⳉ㉷⸧〃㉷⸧ 보게 한다.
ㆸㆺ㋐⽄ⳑⱩ⽄㈶㉖ㄧ㉒Ɒㆋⲉ㉒ㆺㄢⷣⷭ
Îㆿㆿ⺗㉈⻦Ɒ㇇⻝ⳇ〻⹛㈷㓟㉖⼺ㆿ⽼ドケ㇓Ⲟ㉐ⷣⷭ㇞⷗㈶㉶㕝㋗ㆿ⽼ㄧ⽄㏿㊀ⰽ㉏ ① ‘나’에게 일어난 일을 정리해 보게 한다.
ㄥ㔤㉡㉈⸷ケ㉈㔤㉃⼲㋒㓮㓝ⱶㄢⷣⷭㆆ㌴㔤㉡㉈㉒㈴⻯⽵㔤㉈⼳⸧㉒ㆮ㆟ⱶⲴ㈂⽹㓢
ㆿ⿄㕣⻯⽵⾕ㄞ⾕ㄞ㔤㔤㉡㉈⻃ⲉ㓦㆟㋐ⳑ⵿㔤㉡㉈⻃ⲉ㓠ヺㆸ㋐ㆊㄢⷣ⳨"ㆈⳑ⻦ㄢⷣ
• 어버이날 ‘나’는 부모님이 나를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고
⳨㇇⻝〘"Ï 나아가 필요 없게 여긴다고 생각해 죽기 위해 옥상으로
Î㇥ㄢⷣⷭÏ
㇇⻝ろ⻇㉈ⷭ㌱ゾ㈷㓭ㄢⷣⷭ 올라간다.
Îケ⻼ⸯⳜ㔤ⰽㆮ⺋ⱶㄢⷣ⳨"Ï
ㆮ⺂㉺㈶ㆆ㉶ㅾⰽ⽇㓭ㄢⷣⷭ
• 옥상의 시멘트 바닥 위 한 숟가락도 되지 흙 속에 뿌리를
Îㆈ⸽ⷣⷭⳑⱣケ⻼ⸯⷭⷣ㈂"㈊⼺ⰽ⾣ⰽ〖㊑㓦ケケ⻼ⸯㄢⷣ⳨"㉈㈒ⸯⳜⷖⰽⵣ㓝ⲉ 내리고 피어난 민들레꽃을 보게 된다.
• 강인한 생명력과 소중한 삶의 가치를 보여 주는 민들레꽃
105
11과_옥상의 민들레꽃처럼
을 보고 죽으려고 한 것이 부끄러워 집으로 돌아갔다.
② ‘나’가 얻은 깨달음이 무엇인지 이야기하게 한다.
• 죽음을 막는 것은 쇠창살이 아니라 민들레꽃이라는 깨달
1 한국어 학습을 위해서가 아니라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즐거 음을 얻었다.
움을 얻기 위해 읽기 활동을 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 모르는 어휘를 다 찾아 가며 소설 전체를 꼼꼼히 이해하
지 않는다.
• 주제와 대체적인 내용 파악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 모르는
어휘를 무시하고 넘어가는 것도 좋다.
2 처음부터 105쪽 16행까지 각자 묵독하게 하고 사건 발생의
배경을 이해하게 한다.
• 궁전 아파트에 살던 할머니 두 분이 자살을 하였으며 이
에 대한 대책 회의를 하러 아파트 주민들이 한 자리에 모
였음을 파악하게 한다.
• 궁전 아파트는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고급 아파트임도 함
께 파악하게 한다.
3 105쪽 17행부터 107쪽 8행까지 각자 묵독하게 하고 대책

제11과 옥상의 민들레꽃처럼 10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3 2015-12-11 오후 7:38:52


• 궁전 아파트 사람들: 물질적 풍요가 행복의 조건이다.
소설 감상하기 4 ‘나’의 심리 변화 과정을 정리해 보게 한다.
① 부모님께 드릴 꽃을 만들었다: 부모님께 꽃을 드릴 생각에
가슴이 부풀어 오름.
モッⱐゥ㓩⳨ ② 부모님께 꽃을 드림: 형과 누나에 비해 초라하여 부끄러웠
으나 부모님의 행복을 기원함.
3 ‘할머니’와 ‘궁전 아파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에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③ 쓰레기통에 버려진 꽃을 보고 엄마의 전화 통화를 들음: 자
㓱⽰ⷴ 신의 정성이 무시 당하고, 자신이 쓸모 없는 인간이라는 생
각이 들어 슬픔에 빠짐.
Ⳏ㊉㆗㒅㑯ゞ⻘⹬
④ 옥상에서 민들레꽃을 봄: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강인한 생
명력으로 꽃을 피운 민들레꽃을 보며 자살을 생각한 것이
부끄러워짐.
4 ‘나’는 옥상에 올라갔다가 내려올 때까지 다음과 같은 과정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내가 느낀
심리를 간단히 정리해 보십시오.
5 ‘나’는 왜 민들레꽃이 자살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이
〧⾍ⷹⴛ⹨⽎ⴲ㉈⽕⹭ 〧⾍ⷹⴛⴲ㉈⹨⽎ゴⱏ㇐ⱎㄲ㉙㉩⻁〧㓍ㆿ㇯⽄ 야기해 보게 한다.
‫ג‬ • 생명을 틔울 수 없는 환경에서 피어난 민들레꽃을 보면 생
〧⾍ⷹⴛⴲ㉈⹨⽏ 명의 소중함과 가치를 느끼게 되어 자살을 막을 수 있을
‫ג‬ 거라고 생각한 것이다.
ㆃ⻸Ⳮ㑎㇐⿱⼀㋣ⴲ㉈】Ⲛ
㇇⽓㉔㑎㔪ⶂ㈚㉈⹬㉊ 6 살면서 꼭 지키고 싶은 가치가 있는지 묻고, 있다면 왜 그 가
‫ג‬ 치를 소중하게 여기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ㇰオ㇐ヂ⿉⹬⻸ⴲ㉈〖

응용

5 ‘나’는 왜 민들레꽃이 자살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까?


워크북에 있는 소설 속 인물에게 편지 쓰기 활동을 통해 소설 속 인물
과 소통할 수 있다.
6 여러분은 살면서 꼭 지키고 싶은 가치가 있습니까? 왜 그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합니까?

112 한국어 6-2

1 소설의 내용을 바탕으로 1. 1)~5)의 내용을 파악하게 한다.


① 남들이 궁전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을 행복할 거라고 생각
하는 이유는 궁전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이 부유하고 여유
가 있기 때문이다.
② 궁전 아파트 사람들은 또 다시 자살 사건이 일어나면 아파
트 값이 떨어질까 봐 걱정되어 회의를 했다.
③ 회의 발언에서 나타난 사장, 뚱뚱한 아줌마, 노교수, 할머니
의 며느리와 딸의 가치관이나 성향은 어떠한가 이야기해 보
게 한다.
• 사장: 지위와 권위를 좋아한다.
• 뚱뚱한 여자: 물질 만능적이며 기회주의적이다.
• 노교수: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나 인간미가 없다.
• 며느리와 딸: 물질 만능적이다.
2 소설 속에 등장하는 다음 사물들의 상징이 무엇인지 이야기
해 보게 한다.
• 쇠창살: 소통의 단절, 비인간적, 인간 소외
• 민들레꽃: 강인한 생령력, 삶의 소중함, 인간적 가치
• 음식, 옷, 전축, 녹음기: 인간적 가치가 배제된 물질적 풍

• 아기 업기, 바느질, 버선, 김 매기: 인간적 가치, 정성
3 할머니와 궁전 아파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의 차이
에 대해 말해 보게 한다.
• 할머니: 사랑하는 사람들과 소통하며 인간적인 정을 느끼
고 싶어한다.

10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4 2015-12-11 오후 7:38:52


┃모음(母音, Vowels)┃
다양한 정보, 풍성한 삶

교육 목표
즐겨 사용하는 대중매체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보거나 들은 것을 전달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와 라디오 듣기 캠페인에 대 • -대요/래요/재요/냬요
해 듣고 이해하기 • -댔어요/랬어요/쟀어요/넀어요
• 자주 활용하는 대중매체에 대해 이야기하기
• 인터넷에 관한 글 읽고 이해하기 3. 어휘
• 텔레비전의 활용 방안에 대한 글 쓰기
• 대중매체의 종류, 대중매체의 효용 관련 표현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생활 속 과학 원리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 <워크북> 활동 25분
• 자주 활용하는 대중매체에 대한 대화 만들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30분
• 텔레비전의 활용 방안에 대한 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12과 다양한 정보, 풍성한 삶 10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5 2015-12-11 오후 7:38:53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도입
예 여러분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대중매체는 무엇이에요?
개요 여러분은 대중매체를 이용해 주로 무엇을 해요?

1. 교재 113쪽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2. 어떤 사진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어휘
개요

1.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대중매체의 종류에 대해 확인


12과
하고 학습하기

2.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대중매체의 활용에 대해 확인


학습 목표
㋜
 ⲉゞ㈚㓮ⷧ⸐㋊⽢㍣㇐⸐㓷㉙ㆰⳭ㓱ㄋ
㉣ⷾ
다양한 정보, 하고 학습하기
】Ⱳ⵱⹬㉇ⱺ㉈㊉⸃㓱ㄋ㉣ⷾ

학습 내용
풍성한 삶
⾩⿸_⸐㈓⻠㈓㉴㈓ඁ㈓
⸗ㆿ㈓⻧ㆿ㈓㉻ㆿ㈓ඕㆿ㈓
ㆿ㕓_⸐㋊⽢㍣㉔㊩⼸
⸐㋊⽢㍣㉔㔼㈚ⲩ⼂㓄㔕 ㆺ㕎

자주 이용하는 대중매체에 표 해 보십시오.

책 잡지 만화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 SNS

࿬གྷ઀ኊ
ඪ້஑
1. 여러분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대중매체는 무엇이에요?
2. 여러분은 대중매체를 이용해 주로 무엇을 해요?

1. 대중매체의 종류를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1 1)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대중매체의 종류에 대한 배


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대중매체의 종류에 대한 어휘를 확인
1 학생들에게 교재의 사진을 보게 한다. 한다.
• 교재의 사진을 보면서 대중매체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 ① 알고 있는 어휘가 무엇인지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다.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2 사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대중매체에 대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해 도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예 사진을 보세요.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무슨 사진이에요? 어떤 대중매체들이 있어요? 하면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최근에 뭐를 이용했어요? 왜 그것을 이용했어요?
2 자주 이용하는 대중매체가 있는지 질문한다.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예 무슨 대중매체를 이용해요?가장 자주 이용하는 대중매체는 뭐예
• 이 단원에서는 즐겨 사용하는 대중매체에 대해 이야기하
요?
는 활동을 하게 될 것임을 알려준다.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예 여러분은 대중매체를 자주 이용해요? 왜 그 대중매체를 이용해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요? 이번 단원에서는 대중매체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 거예요.

10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6 2015-12-11 오후 7:38:53


여러분이 대중매체를 이용해 주로 무엇을 합니까? 자주 하는 활동에 표 하고 아래 문장과
본문
같이 이야기해 보십시오.

정보를 얻다 즐거움을 얻다 사람들과 소통하다 개요


글을 올리다 댓글을 달다 정보를 검색하다

1. 목표: 종이 신문과 인터넷 신문을 비교하는 대화하기


• 저는 인터넷을 통해 주로 필요한 정보를 얻어요 .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 저는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SNS를 해요.
대화 연습하기

2. 대중매체의 활용을 나타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㔥
1 2)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대중매체의 활용에 대한 배
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대중매체의 활용에 대한 어휘를 확인한
다.
① 알고 있는 어휘가 무엇인지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29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제이: ㈓㋝㉇ㄭ⽓㑯㒺㉈㉙㈚㓷㊏】⽃㇃㉈ㄋ㉣㉅ⷴ⳹ㄸ⾩㉙⵱㉯㋡⽃〕㉜㉙Ⱳ㉔
다. ㇉ⷧⱺⱝ㆗
パ㇤ ⽟㆗㈧㓮ⷧ⺈㇐⿔⼍⿔⼍Ⳮゞ⽃〕ㄋ⸸㉣Ⲛ㋡⵴Ⳮゞ⸸ⱸキ㓷〕ㄋ⸸㉣㉅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학습자가 어려워
ⷴ⳹㊩㉙ㄸ⾩㉇⾫⼏㉙Ⲛ㐽⻸お㊉⷟ㄭ⸸㆙】ⲁ⹊ⷧⱺⱝ㆗
하면 사진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제이 ㊉㇐ㆿⷥ㍌㇐ヂ㉝㇋ⷧ⸨ㆦ㉅⼍ⶩ㕁㇐ⷧ㊩㉙ㄸ⾩㉙㇉ㆿ㋥Ⱳ⻠ⶩ㊉
ⲧおⲾ㓮⾆⿵ㅔ㊩㉙ㄸ⾩㉈㉝ⷧゞ⻘㉔ㄋⱎ⿘㉅⼍㋄㇋㇋⸐
2 대중매체를 이용해 주로 무엇을 하는지 질문한다. パ㇤ Ⳣ⻠"Ⳣ⻰⸨㊏⽘㊩㉙ㄸ⾩㉙ゞ⻔㋥⳹"㊩㉙ㄸ⾩㉇㉛㐰ⶤㄸ⾩ⲧⷧⷾ⽂Ⳮⷮ
㉙㉣ⷾⲚゴⱏ㓮ⷧ⸨
제이 ㊩㉙ㄸ⾩ⲧ㉛㐰ⶤㄸ⾩㉔Ⳮⷮ㉙ⷾ⽀ⷾⲚ"ㆿ⺓㊌㇐ヂ"
예 왜 대중매체를 이용해요?대중매체를 이용해서 주로 무엇을 해요? パ㇤ ㉛㐰ⶤⳭゞⷧ㊏】⽃さ⽀ⲁ㊉⸃㓮ⷧⱺ㉙㋊㈓㓮㉪㆗Ⳣ⻷Ⳮ⺈⾩㇐㊏⿋㓮ⲁ㉨
ハ⹋Ⳮゞ⵱ㄼ⸸㉣ⷧ〩ッ㉙㒸㓳⹋Ⳮゞⷧ⵱㇯Ⳮㆿ⼀㈞ⱺⱝ㆗Ⳣ⻮⵱㊩㉙
ㄸ⾩㉇Ⳮゞ㉨ハ㉈㓮ⷧ⸨ㄶⱐ㊈㇘㈼ⱎ㉣㉅ⷴ⳹⳦⸸㉬ⷾ⹮ㆿ㋡Ⲛⶂ㈚⸸⸚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〩ッ㊈㉜ㄋ㉣ⲇ㋡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제이 Ⳣ⻱ㄋ㉣ⲇⷾⶂⱎ】Ⳮ㇐⸸㉛㐰ⶤⳭゞⷧ⸹㉧㉔ⲩㄼ㉈ⵡⳭ㈴㓷Ⳮゞ㊑⾎㉈


ⲧ㉲㓮Ⱳ⵱Ⳮゞⶂ㈚ⲧⷾ⽂ⶂ㈚㉅⼍〲㉙ⷧⲓ㈛⸸㉣ⷧⱺⱝ㆗㊩㉙ㄸ⾩㇐ヂ
ⷧ㉙⻰㉜㉙⹨⾩⸨⽘㉙ㆰ
パ㇤ ⽟㆗ㆦ㉅⼍㊩㉙ㄸ⾩㉈】ⷧゞ⻘㉙⸚㋄ㆿ⹬Ⳮⷧ㓮ⲇ㋡⽕Ⳣ⻷ⷾⲚ㊩㉙ㄸ⾩
㉙ゞ⻔㋥ⱺⱝ㋡ⷧ㆛㆗

1 종이 신문과 인터넷 신문을 비교해 보도록 유도하여 대화 내


용을 도입한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예 교사: 여러분은 인터넷 신문을 자주 봐요? 종이 신문을 자주 봐


요? 왜 그 대중매체로 기사를 봐요?
학생: 저는 인터넷 신문을 자주 봐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어요.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예 지금부터 두 사람의 대화를 들을 거예요. 남자와 여자는 종이 신


문과 인터넷 신문의 기능에 대해서 이야기할 거예요. 종이 신문과
인터넷 신문은 뭐가 다를까요? 잘 들어 보세요.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3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제12과 다양한 정보, 풍성한 삶 10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7 2015-12-11 오후 7:38:54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어휘 1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1 준비
예 남자와 여자는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어요? ① 대중매체의 기능에 대해 질문하며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뉴스를 볼 때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뭐가 좋아요? 도입한다.
종이 신문과 인터넷 신문의 기능은 어떻게 달라요? • 다음과 같이 질문하여 대중매체의 기능과 특징에 집중하
종이 신문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도록 유도한다.

• 대화 듣기에서는 대화 상황에서의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 예 교사: 신문이나 인터넷 같은 대중매체는 어떤 기능을 해요?
한 도입으로 대화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 학생: 정보를 전달해요.
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교사: 또 어떤 기능을 해요?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학생: 소식을 전하기도 하고 광고를 하기도 해요.
한다. 교사: 좋습니다. 이번에는 대중매체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말해 볼가요?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학생: 소식을 굉장히 빨리 전해요. 그리고 믿을 만해요.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② 교사는 ‘정보를 전달하다, 소식을 전하다, 광고하다, 소식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을 빨리 전하다, 믿을 만하다’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본다. 후 대중매체의 기능과 특징에 대한 어휘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응용
2 설명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볼 수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있다.
에 를 하게 한다.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② 학생끼리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예를 들어 가며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어휘 더 배우기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서 사용해 보게 한다.
개요 3 연습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록 한다.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한다.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 대중매체의 기능을 하나씩 더해 가며 말하는 활동을 한
다.
• 학생들을 두 팀으로 나누어 활동을 해 나가다 더 이상 활
ㆺ㕎⸕⿞㈖⳨
동을 하지 못하는 팀이 지게 되는 게임이다.
대중매체의 기능과 장점, 사용의 폐해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예 학생 1: 대중매체는 정보를 전달해요.
학생 2: 대중매체는 정보를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해요.
학생 3: 대중매체는 정보를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고 광고를 해
요.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대중매체의 기능과 특징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소식을 전하다 정보를 전달하다 여론을 형성하다

교육하다 홍보하다 광고하다

판매하다 전파력이 강하다 신뢰감이 있다


2. 어휘 2
중립적이다 편파적이다

1 준비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 ①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에 대해 질문하며 목표 어휘를 활용
(게임)에 중독되다 (게임)에 빠지다 은둔하다
하여 도입한다.
집착하다 비판력을 잃다 맹신하다

세뇌되다 폭력적 • 다음과 같이 질문하여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에 집중하도


록 유도한다.

10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8 2015-12-11 오후 7:38:56


예 교사: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로 무엇을 들 수 있어요? ‘폐해’란 일 문법
이나 행동에서 나타나는 나쁜 현상을 말해요.
학생 1: 게임에 중독돼요. 개요
교사: 또 무슨 폐해가 있을까요?
학생 2: 게임을 많이 하면 폭력적이 될 수 있어요.
1. ‘-대요/냬요/래요/재요’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
학생 3: 대중매체가 전하는 내용을 무조건 믿으면 비판력을 잃을
수 있어요. 용하기

2.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의 의미와 기능을 이


② 교사는 ‘(게임)에 중독되다, 폭력적이다, 비판력을 잃다’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에 대 해하고 사용하기
해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1. 문법1 -대요/냬요/래요/재요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끼리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대요/냬요/래요/재요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 사람이 많대요.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예문
10년 전에 비해 종이신문을 보는 사람이 얼마나 줄었냬요.
다.
•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 외에 예를 들어 가며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1 준비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① 다른 사람의 말을 전하는 상황을 활용해 ‘-대요/냬요/래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요/재요’를 도입한다.
서 사용해 보게 한다.
• 대화를 통해서 ‘-대요/냬요/래요/재요’를 이용하는 자연
3 연습 스러운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예 교사: 얼마 전에 인터넷에서 읽었는데 한국 사람들은 하루에 열
록 한다. 시간 이상 일한대요. 여러분은 요즘 인터넷에서 어떤 기사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한다. 를 읽었어요?
•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를 하나씩 더해 가며 말하는 활동을 학생: 아까 인터넷을 봤는데 제가 좋아하는 가수가 “새 노래를 발
한다. 표했어요.”라고 했어요. 빨리 들어 봐야겠어요.
• 학생들을 두 팀으로 나누어 활동을 해 나가다 더 이상 활 교사: 저는 텔레비전에서 건강 프로그램을 봤는데 “건강하게 살고
동을 하지 못하는 팀이 지게 되는 게임이다. 싶으면 하루에 삼십 분 이상 걸으세요.”라고 했어요.
교사: 좋아하는 가수가 새 노래를 발표했대요? 건강하게 살고 싶
예 학생 1: 인터넷 게임에 중독될 수 있어요. 으면 하루에 삼십 분 이상 걸으래요?
학생 2: 인터넷 게임에 중독되고 폭력적이 될 수 있어요.
학생 3: 인터넷 게임에 중독되고 폭력적이 되고 비판력을 잃을 수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대요/냬요/래요/재요’가 어떤
있어요. 의미일지 생각해 보게 한다.
2 설명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남의 말이나 전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달할 때 ‘-대요/냬요/래요/재요’를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
응용 한다.
② ‘-대요/냬요/래요/재요’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대요/냬요/래요/재요’가 어떤 의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미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 사람이 많대요.


10년 전에 비해 종이신문을 보는 사람이 얼마나 줄
었냬요.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대요/냬요/래요/재요’의 의


미,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제12과 다양한 정보, 풍성한 삶 10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09 2015-12-11 오후 7:38:56


1 준비
문법 설명 -대요/냬요/래요/재요
① 다른 사람의 말을 전하는 상황을 활용해 ‘-댔어요/넀어요/
의미: ‘-대요/냬요/래요/재요’는 다른 사람의 말을 전달해 랬어요/쟀어요’를 도입한다.
말할 때 쓰인다. • 예문을 통해서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를 이용
형태: 1) -평서문을 전달할 때는 ‘-대요’를, 의문문을 전달 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할 때는 ‘-냬요’를, 명령문을 전달할 때에는 ‘-(으)래
요’를, 청유문을 전달할 때에는 ‘-재요’를 사용한다. 예 교사: 친구에게 오늘 모임에 갈 거냐고 물었는데, 친구가 못 간댔
어요.
교사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 친구가 저에게 왜 게임을 좋아하냈어요.
고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친구가 내일부터 같이 신문을 읽쟀어요.
예 ‘해요, 합니다’를 인용할 때는 ‘-대요’를, ‘해요?, 합니까?“를 친구가 저에게 텔레비전 보는 시간을 줄이랬어요.
인용할 때에는 ’-냬요‘를, ‘하세요, 하십시오’를 전달할 때에는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
‘-(으)래요’를, ‘해요, 합시다’를 전달할 때에는 ‘-재요’를 사용
가 어떤 의미일지 생각해 보게 한다.
한다.
2 설명
2) 시제에 따라 ‘간대요, 갔대요’와 같이 구별되어 사 ① 도입에서 사용한 문장에 대해 설명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용된다. 서 들은 말을 전달해 말할 때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
화용: 비격식적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어 표현이다. 어요’를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②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가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2 연습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다음 주에 그 만화가의 새 웹툰이 나온댔어요.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가족 간에 대화를 늘리고 싶으면 텔레비전 시청 시간
다.
을 줄이랬어요.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연습>의 정답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


1) 늘었대요 요’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2) 들으래요
문법 설명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

응용 의미: ‘-대요/냬요/래요/재요’는 다른 사람의 말을 전달해


말할 때 쓰인다.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형태: 1) -평서문을 전달할 때는 ‘-댔어요’를, 의문문을 전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달할 때는 ‘-넀어요’를, 명령문을 전달할 때에는
‘-(으)랬어요’를, 청유문을 전달할 때에는 ‘-쟀어요’
2. 문법2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 를 사용한다.
  ㍽ⳤ⹬ㆿ⻔⹳㇯㍢㎒㉧ㄋⱎ⽖㉙  ⷨⷾ 
교사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
  オオ⼁㉈㐓㈛Ⲛㅀ㉅⾆㐽⻸お㊉㉈】㋡⽘Ⲛ⻔⹳㇯⽃  ⹫ⷾ
고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 예 ‘해요, 합니다’를 인용할 때는 ‘-댔어요’를, ‘해요?, 합니까?“를
예문 다음 주에 그 만화가의 새 웹툰이 나온댔어요. 인용할 때에는 ’-넀어요‘를, ‘하세요, 하십시오’를 전달할 때에
가족 간에 대화를 늘리고 싶으면 텔레비전 시청 시간을 줄이랬어요.
는 ‘-(으)랬어요’를, ‘해요, 합시다’를 전달할 때에는 ‘-쟀어요’
  ㊑㎨ⳃⷧ㓮⼦㇐⾋⿳㆐㉛㐰ⶤ㇐⳦㉈  ㇲ⽋ⷾ 
를 사용한다.
  ㄋ⿇ⱎ㊇㇐ⲁⷾ㉊㋁〧㐰㈨㈓㉜⽓ⷾⱝ㉙ㄸ⾩㉈㉝Ⲛ㑇⼏㉈ 
㓮ⷾ 
2) 시제에 따라 ‘간댔어요, 갔댔어요’와 같이 구별되어
ߵඋ֊#්۟ 사용된다.
여러분은 다음과 같은 말을 다른 사람에게서 들었습니까. 보기 와 같이 들은 내용을 또 다른 3) ‘-대요/냬요/래요/재요’로 바꿔 써도 좋다. 그러나
사람에게 전해 보십시오.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를 사용하면 이야
Ôㄸ⾩㉈】ⷧゞ⻘⹬㉙㊌㊌㋄Ⲛ㉣ㆿÕ
기를 들은 시점인 과거를 강조하는 의미가 있다.
Ô㈓㋝ゞ⻘⹬㉙⽖㉙】ⷧ㐽⻸お㊉㓠⼍Ⳣ⻤㉙⾴ㆰ"Õ
화용: 비격식적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어 표현이다.
Ô㓮⼦㇐㓰ㄶⱐ㉙オ㉛㐰ⶤ㉈㓮㋡⽓Õ

Ô㉛㐰ⶤⳭゞ⽃ⱸキ㓷ヂ㉧⼠⽃㍊㉧Õ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보기
신문을 보는 사람들이 점점 줄고 있대요/있답니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11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0 2015-12-11 오후 7:38:58


3 연습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연습>의 정답
예 교사: 여자와 남자는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어요?
1) 올린댔어요 학생: 아니요. 여자는 웹툰을 너무 많이 봐서 걱정인데 남자는 그
2) 하쟀어요 렇지 않아요.
교사: 그걸 어떻게 알았어요?
학생: 여자가 남자에게 “넌 요즘 게임을 안 하잖아. 어떻게 습관을
응용
고쳤어?”라고 물었어요.
교재에 제시된 문법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을 통 교사: 그럼 여자는 자신의 성격이 거칠어졌다고 느껴요?
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학생: 네. 폭력적인 웹툰의 영향을 받아 성격이ㅐ 거칠어졌다고 말
헸어요.
4 말하기 연습 30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제시된 문장을 전달해 말하 ⇨ 1 의 정답
는 연습을 하는 활동임을 설명한다. 1) 웹툰에 심하게 빠져 있다
• 짝활동으로 내용을 만들어 말해 보도록 한다. 2) ❶ × ❷ ○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31

 남자가 하는 캠페인의 문구는?

듣고 말하기  다음 중 들은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Dz⻔⹳㇯ㇼ㐽⻸お㊉㉇Ⲿ㈽㇐〉⸸㈡㉙⹊㋡㆛ⷧⷾ
dz⻔⹳㇯ⷧ㉛ⱐ㉔オオ⼁㉈⳱⻮㋄ㄋ㉣ⷧ⽢㍣㉙ⷾ
개요 Ǵ㐽⻸お㊉ⲧ⻔⹳㇯㉔㊏】㊑ⲥ⿡ㄷ㉇〉⼍ⷾ⽀㋡㆛ⷾ
ǵ㐽⻸お㊉㉈】⾄ㄶ㍢㉧ⷧ㉧ㄸ㉙オオ㓰ⱺ㉈㔫㉛㓱ㄋ㉣ⷾ

1. 듣기: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에 대한 대화 듣기, ‘라디오


2. ‘라디오 듣기 캠페인’에 대한 대화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
듣기 캠페인’에 대한 방송 듣기 다.
2. 말하기: 환경 보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ⲕ⽓㓩⳨
두 사람은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30
 여자는 지금 무슨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까? 2 시디를 들려준다.
• 라디오 듣기 캠패인을 소개한 방송의 일부이다. 텔레비전
시청과 라디오 청취의 특징과 차이, 라디오 듣기의 장점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에 대해 집중하여 듣게 한다.
Dz⹑ゞ⻘㉇㋡⳨ⱝ㉇⾩㊑⽃ⱎ㋡Ⲛ㉣ⷾ ( )
dz㇘㉧ⷧ㉧ㄸ㉔ハⲊ㉙Ⱳ㎪ㆿ㊞ⷾⲚⷥ⵫ⷾ ( )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1.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31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예 교사: 남자가 하는 캠페인의 문구는 뭐예요?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학생: 텔레비전을 보는 대신 라디오를 듣자예요.
교사: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교육에 별 도움이 되지 않아요?
2 시디를 들려준다. 학생: 아니요. 도움이 돼요.
• 웹툰이나 인터넷 게임 중독으로 인해 생긴 습관과 그 습 교사: 라디오는 인간의 상상력을 길러 줄 수 있는 매체예요?
관을 고치는 방법에 대한 듣기이다. 학생들이 대중매체 학생: 네. 라디오는 인간의 상상력을 길러 줄 수 있어요.
사용의 폐해에 집중하여 듣게 한다.

제12과 다양한 정보, 풍성한 삶 11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1 2015-12-11 오후 7:38:59


⇨ 2 의 정답 읽고 쓰기
1) 라디오를 들읍시다
2) ❷ 개요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1. 읽기: 인터넷에 대해 읽기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2. 쓰기: 텔레비전의 활용 방안에 대해 쓰기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㉘ⲕㅾ⳨

3 여러분은 대중매체 중 무엇을 가장 많이 활용합니까? 그 매체를 이용해 주로 무엇을 하고, 1 인터넷은 어떤 점에서 우리 생활에 도움을 주고, 어떤 점에서 우리 삶에 어떤 불편을 끼칠 수
그 매체 활용의 장점은 무엇입니까? 그 매체를 잘못 사용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까? 있을까요? 이야기해 보십시오.

 아래 표에 간단히 정리해 보십시오.


2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Āⱎ㉲⽖㉙㔭㈚㓮ⷧ⸐㋊⽢㍣

㉛㐰ⶤ⸛〩㇐㈛⽋ⷧ㍅㉅⼍㒮⽋㓰ゥ㉈ⷎ⽎ㄋ㉣ⲁ⹊㇋ⷾ㊉㇐ⷧⳄ㊑㈛㒮㉈㉙㈚
㓷㉜㋁㉜㉙オⱶ⼀ㆰ㒮㋡⽃㊉⸃㓱ㄋ㉣㇋⸝㈋Ⳅ㉔㎨ⳃ㇐ⲁョㄷ㉈㊉㓮ⷧ⸨㍱⸸
ⱶ⽋㋡㆛ⷧⷾり⽕㆗ⷴ⻔㇁㊑ㆿ⹳ヂ⹪㓩㈓㓰㊏】⽃ㄤⲁⱸキ㓷㍊㆗ⶅㄋ㉣㉅⾄
Ⳇ㉙⽢㉲㉈㍊㆗ⱎ㋡㆛Ⲛ⸸㓩㈓㓰⾫ⱴ㉈ㄤⲁⳃ㉡㓱ㄋ㉣ⷾ
Ā㋁⼍㓮ⷧ㔭⹂
㉙㍚⻲㉛㐰ⶤ㉇㈛⽋ゴ㔭㉈⽢㈛㒮㆙㓮ⲁ⿔ⵂ㇋ⷾⳢ⻮⵱㉛㐰ⶤ㉙㈛⽋㉔ゥ㉈㒮㆙
㓮ⲁ⽕⽕⹨ⷧⱺ㉇㆗ⷴⷾ㉜〧㉛㐰ⶤゞ㈚㉧⹬㉇⵹㉔㊏】⽃㔂⻕⸸㇉㉙⿣㒸㓮㇘ゞ
ゴ㔭㉈㎬㓷㓮Ⳮ⸸㓰ⷾり⽕㆗ⷴ⻔㉔⸸㊈㉅⼍Ⱳ㋩㊏】⽃㈼㒸㓮㇘Ⱡ㉛㉔⾊㇨ㇼ⾊
ハ㇐㐎㓦㓷⽃㋁Ⳮ⸸㓰ⷾ⺨⽖㉇⶞㑽㋛⹬㉙ㇱ⻔㉛ⲥⱐ㇐ヂ㉚⾊ハ㉙】㉲⹋ⷾⷧ㊌
Ā㔭㈚㉔㉲㊌
㉈㆘㈚㓷Ⳮゞ⵱ⷾ⽂ゞ⻘⹬㉔⳦㇐㔇㓰㈔ト㉙⵱㉡㇐⸈Ⳮ㕸⹪⽘⹬⼍⸖⳦㉈⸃㆗
㐛㉛㇐ⲁオ㍚⽃㋁Ⳮ⸸㓰ⷾ
㉙⻮㓰⾩㊑⽃Ⱡテ㓮Ⳮ㈴㓮㇘ⳤ⻠㇐ⷧ㉛㐰ⶤオ㇐ヂ㉔ゞゴ㔭㎬㓷⵱㆘㓢㇐⸐㓰㍚
⿵㉙ⱚ㔪⹊㇋㉅⾄⶞㑽㋛⹬ゞ㉙㇐ヂ⸸テ㓢⸃Ⳮ㈝⹂⹱㉙㊉Ⱡ⹊Ⳮ⸸㓮㇣ⷾ
Ā⿚ゴⱎⷮ㓰⾩㊑㊌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Dz㉛㐰ⶤ㉇㈛⽋㉔ゥ㉈㒮⽋㓮ⲁ⸸㓮㋡⽕〫㒮㓮ⲁ⸸㓰ⷾ ( )
dz㉛㐰ⶤ㉈㉙㈚㓷ㆿ⹳ヂ⹪リㄤⲁ⾫ⱴ㉈ⳃ㉡㓱ㄋ㉣ⷾ ( )
3. 자주 활용하는 매체에 대한 말하기 활동을 한다. Ǵ㉛㐰ⶤ㇐Ⱳ㋩㊏】⽃㈼㒸㓮⾆㍚⿵㉈⿙㉈ㄋ㉣ⷾ ( )

1 먼저, 교재에 있는 질문을 이용해 말하기 활동을 도입한다.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의미로 쓰인 말을 위의 글에서 찾으십시오.

2 각자 교재에 있는 1)번 활동을 하게 한다. 표에는 핵심어를


중심으로 간단히 메모하게 한다.

3 옆 친구와 짝활동으로 혹은 3~4인이 한 조가 되어 준비한 내 120 한국어 6-2

용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나눠 보도록 한다.


• 교사는 이때 학생들이 과거와 현재의 집의 특성에 대해 1. 도입 질문을 보고 글에 어떤 내용이 있을지 생각해 보게 한다.
설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1 의 질문을 보고 글의 내용을 추측해 보게 한다.
4 실제 반 친구들 앞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대중매체, 주로
하는 활동, 해당 매체 활용의 장점, 발생 가능한 문제점 등에
예 인터넷은 어떤 점에서 우리 생활에 도움을 주고 어떤 점에서 우리
대해 발표하게 한다. 를 불편하게 만들까요?

응용 2. 설명문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반 친구들이나 주위 사람들을 대상으로 위의 내용에 대해 설문조사를 1 문제를 읽고 읽는 목적을 설정한다.


실시해 발표해 보게 할 수도 있다. • 제시문 아래에 있는 질문을 읽고 무엇을 파악하기 위해
제시문을 읽어야 하는지 읽는 목적을 설정한다.
2 글을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록 한다.
• 글을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 첫 번째 문단의 첫 문장을 읽고 첫 문단에 무슨 내용이 있
을지 예측해 보게 하고, 두 번째 문단의 두 번째 문장까지
읽게 한 후 이 문단에 무슨 내용이 있을지 예측해 보게 한
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3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11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2 2015-12-11 오후 7:39:01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3 텔레비전의 활용 방안에 대한 글을 쓰십시오.
예 교사: 인터넷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도 하지만 불편하게도 합니  텔레비전은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대중매체입니다. 텔레비전 시청은 어떤 순기능과 역기능을

까? 가집니까? 다음 표에 정리해 보십시오.

학생: 네. ㄍⳭⷮ ㇙Ⳮⷮ

교사: 인터넷이 우리의 삶을 불편하게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학생: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개인의 명예나 명성에 피해를 입히는
것입니다. 또 다른 사람의 글에 거친 말로 댓글을 달아 남에
게 상처를 주기도 합니다.
교사: 맞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 거짓 정보를 유포하면 처벌을 받
을 수 있습니까?  텔레비전 시청의 역기능을 줄이고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생: 실제로는 그럴 것 같은데 이 글에는 그런 내용이 분명히 나  위에서 준비한 내용을 바탕으로 ‘텔레비전의 활용 방안’을 제목으로 글을 쓰십시오.

와 있지 않습니다.
교사: 정확히 이해했습니다. 그럼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의미로 쓰
인 말을 이 글에서 찾아볼까요?
학생: 악플입니다.
교사: 악플의 반대말도 이 글에 있는데 뭡니까?
학생: 선플입니다.

⇨ ‘문제 1’의 정답:


2. 텔레비전의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쓰는 활동을 한
1) ➊ ○ ➋○ ➌○
다.
⇨ ‘문제 2’의 정답:
1 ‘어휘’와 ‘어휘 더 배우기’에서 제시된 표현을 다시 언급하면
악플
서 설명하는 글을 쓴다는 것을 알려 준다.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2 지시문을 함께 읽고 글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준다. • 순기능과 역기능의 의미를 함께 확인한다.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 아이디어가 없는 학생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브레인스토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밍의 방법을 활용하여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도
휘를 다룰 때는 ‘재료, 형태’과 같이 내용 이해에 핵심적 록 한다.
인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도록 한다. 내용 이해에 3 필요한 내용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핵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학생이 질문한 경우, 지나
치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단히 설명하거나 다음 기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회로 넘긴다.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4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편의 글을 쓰게 한다.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 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는지 확인하게 한다.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좋다. 5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거나 발표하게 한다.
• ‘악플’과 ‘선플’을 ‘악+리플라이(reply)’와 ’선+리플라이 • 글에 그림이나 사진을 붙여서 교실 벽이나 게시판에 게시
‘ 결합형의 약어임을 설명해 주고, ’선‘과 ’악‘의 의미와 ’선 해 줄 수 있다.
인, 악인‘, ’선하다, 악하다‘ 등의 어휘를 가르쳐 줄 수 있
6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다.
• 먼저 글의 내용, 텍스트의 형식적 특성에 맞는 글의 구성
에 집중해 피드백을 해 준다.
• 그 다음에 맞춤법이나 잘못 쓴 어휘나 문법에 대한 피드백
을 해 주도록 한다.

제12과 다양한 정보, 풍성한 삶 11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3 2015-12-11 오후 7:39:02


단원 마무리 문화
개요 개요

1. 대중매체에 대한 내용을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 1. 소문과 관련된 속담에 대해 알기


을 했음을 상기시키기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㔪 소문과 관련된 속담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㓟ⲳ㉃プⷷ㊹ㆿⷖブ⾘ⲖⲘ⻱⸺Ⱪ⹛㉈㉒ⷖ⸗ⳑ㊹ㆆ⻏㉃Ⱪ⹛㉈ⷿ㒳㉷㉈ⷭ

1. 즐겨 사용하는 대중매체에 대해 이야기하고, 보거나 들은 내용을 전달할 수 있습니까?

2. 대중매체의 종류, 대중매체의 효용과 관련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О༫ஈఞਜ਼ేཤ཯ઁଅ౽
О଒೬࿛เৢ௿ਮ൲೬࿛ၢৢ௿୻ஒ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О൮ཝ୻೬࿭ჰ೟৤ஒ
지 확인해 보게 한다. Оఅ࿽൧࿭ན௪ஒ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예 이번 단원에서는 즐겨 사용하는 대중매체에 대해 살펴보았어요. Ìㆆⷣ⹹Ⲷ⺢ㆿ㇊Ⳝⵠ⻘Íⷖ〚㈷⹷㋐ㆊ㈶Ⲷ⺢ㆿⷖ㇊Ⳝⰽⵠ㋐ㆊⷖⷭⷖ


㉃⾶⻼ㆮ⺂ブ⾘㉈ⵣ⸗ⷖ⾤ⰽⳑ⻠⽄㓟ⳓⱡⰽ㉒Ⳝ⹷⾘㉈⻃ⷖ㉃⾶⼲㒳㔄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에 대한 내용과 라디오 듣기 캠페인을 이해
㓟ⷭ
하는 활동을 해 보았고, 즐겨 사용하는 매체 활용의 장점과 문제
Ì⵭⽇㈶゛ⰽ⹚ⲉ⿍⽇㈶㊽ⰽ⹚ⷖⷭÍⷖ⽇㈶⽇㉈⵨㉃ⳇㆿ⹛ㆮⱁヺ㉒㈴ⷣ
점에 대해 이야기도 해 보았어요. 또 인테넷 이용의 장단점에 대한
ㆆ⾕⸧ㆸⷖ⸗ケ⻃⸧⽇㊐ㄫ㈷㓝⻃ⷖ㉃⾶㉈ⷭ
글을 읽었고 텔레비전의 활용 방안에 대한 글도 써 보았어요.
Ì⿉ㆸⷖ⽇㉈㍋⼺ⰿⷭÍⷖ⽇ㆿⷖ⿉㉈ㆸ㈴ⵠブ⾘㈷㐊ⲉ㍋⼺ NP ⼲
ⰿⷭⷖ㉃⾶㉈ⷭ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Ì⹠㉘⿂㉈ㆮ⹅ⷭÍⷖ⵨⹛㈶ㆋⲉ㉒ⷖろㄩ㈷ⷻろ㉖ⵠⰽ⳨㈌ろ⻇⽄⽼⼲⹷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ㅲⷖプⷷ㉈ⷭⰽ⳨㈌ろ⻇㉈⵱㈉㈷⽼⼯ⲉ㉒ⷖⱩ㈷⹠㉘㉃⿃⻼ㆆ⻏ⰽㆮ⹀
㈔ケ㉛ㆈ ㉈ⷖⱩㆿ〹㈫㓟⽇㉈ⷭ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예 즐겨 사용하는 대중매체에 대해 이야기하고 보거나 들은 내용을


전달할 수 있습니까? 1 먼저, 소문이나 말과 관련된 한국의 속담 중 알고 있는 것이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있는지 묻는다.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2 교재에 제시된 네 개의 속담을 읽고 무슨 의미일지 생각해 보
권한다. 게 한다.
3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 먼저 각 속담의 언어적 의미를 학생들에게 설명해 준다.

예 교사: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는 불을 때지 않은 굴뚝에는 연


기가 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필요한 경우 ‘-랴’가 ‘-지 않는
다’의 의미임을 가르쳐 줄 수도 있다. 이 어미가 들어간 다른 속담
으로 ‘공든 탑이 무너지랴.’가 있다.)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에
서 ‘천 리’는 400km입니다. ‘등잔 밑이 어둡다.’에 나오는 등잔은
옛날에 전기가 없을 때 한국인들이 사용하던 조명 도구였습니다.
(사진 자료를 보여 주며) 이렇게 생긴 것인데 등잔 바로 아래에는
빛이 비치지 않아 어두웠습니다.

• 속담을 하나씩 읽어 가며 의미하는 바를 얘기해 본다. 먼


저 학생들에게 자유롭게 이야기해 보게 한 후 그 의미를
설명해 준다.
• 의미를 설명할 때는 그 속담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상황
을 이용한다.
3 오늘 배운 속담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현지 속담이 있는지
찾아보게 하고, 같은 의미를 가진 속담이 다르게 표현되는 이
유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또한 말조심을 해야 한다는 내
용의 현지 속담이 더 있는지 찾아보게 한다.

11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4 2015-12-11 오후 7:39:02


┃모음(母音, Vowels)┃
같고도 다른 언어

교육 목표
자신의 나라의 언어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언어 간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한국어의 특징 및 문법에 대한 내용 듣고 이해하기 • -냐 하면
• 한국어와 현지어의 공통점과 차이점 설명하기 • -답니다
• 한글의 과학성에 관한 글 읽고 이해하기
• 한글의 과학적 창제 원리를 설명하는 글 쓰기 3. 어휘
• 언어의 단위, 언어의 특징 관련 표현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에 대한 대화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 <워크북> 활동 25분
• 한국어와 현지어의 공통점과 차이점 설명하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30분
• 한글의 과학적 창제 원리를 설명하는 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13과 같고도 다른 언어 11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5 2015-12-11 오후 7:39:04


도입 예 여러분이 사용하는 언어는 어떤 특징이 있어요? 여러분이 사용하
는 언어와 한국어는 어떤 차이가 있어요? 이번 단원에서는 언어의
개요 특징과 차이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 거예요.

1. 교재 123쪽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2. 어떤 사진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예 여러분이 사용하는 말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그 말은 한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국어와 어떤 차이가 있어요?

13과 어휘

학습 목표
개요
㉧
 ㄸ㉔ ⵱⻔㉔ ㇁ㆿ㉔ 㑰㋪㇐ ⸐㓷 ㉙ㆰⳭ㓱
ㄋ㉣ⷾ
같고도 다른
㇁ㆿⱐ㍀㉙㇐⸐㓷ト⾊㓱ㄋ㉣ⷾ 1.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있는 문법 및 발음 현상
학습 내용
언어 확인하고 학습하기
⾩⿸_ⶋ㓮⾆⸉ⷴⷾ
ㆿ㕓_㇁ㆿ㉔⸁㈴㇁ㆿ㉔㑰㋪ⲩ⼂㓄㔕
2.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한국어의 비슷한 점과 다
른 점에 대해 확인하고 학습하기
὇⥤Ƅ
¡Hola +L
㆙ⶮ㓮パ㈓

ㆺ㕎

여러분이 사용하는 언어에 있는 것에 표 해 보십시오.

높임법 미래 시제 과거완료

조사 전치사 강세

Здравствуйте
Bonjour 억양 유성음 경음
䛣䜣䛻䛱䛿䚹

࿬གྷ઀ኊ
ඪ້஑
1. 여러분이 사용하는 말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2. 그 말은 한국어와 어떤 차이가 있어요?
1.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있는 문법 및 발음 규칙을 나타
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1 1)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문법 및 발음에 대한 어휘를 확
1 학생들에게 교재의 사진을 보게 한다. 인한다.
• 교재의 사진을 보면서 언어의 차이에 대해 생각해 보게 ①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있는 문법 및 발음이 무엇인
한다. 지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2 사진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문화 차이에 대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해 도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예 사진을 보세요.
다.
모두 어떤 의미일까요?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런데 문법적
이 중에서 여러분이 알고 있는 언어는 뭐예요? 어느 나라에서 사
개념을 나타내는 어휘들이므로 의미 중심으로 설명하면
용하는 언어일까요?
어렵다.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좋다.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예 교사: 한국어는 듣는 사람이 윗사람이냐 아랫사람이냐에 따라 표


• 이 단원에서는 언어의 특징과 언어 간 차이에 대해 이야기 현법이 다르지요? ‘뭐 해?’와 ‘뭐 해요?’ 이렇게요. 또 문장
하는 활동을 하게 될 것임을 알려준다. 의 주어가 윗사람이냐 아랫사람이냐에 따라서도 표현법이
달라집니다. ‘동생이 책을 읽어.’와 ‘아버지가 책을 읽으세
요.’와 같이 말입니다. 이렇게 듣는 사람이나 문장의 주어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는 방법을 높임법이라고 해요.

11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6 2015-12-11 오후 7:39:05


2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에 어떤 특성이 있는지 질문한다.
본문
예 여러분이 사용하는 언어에는 높임법이 있어요? 미래 시제는요?
개요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1. 목표: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에 대해 대화하기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여러분이 사용하는 언어와 한국어를 비교하면 어떻습니까? 아래 문장과 같이 이야기해 대화 연습하기
보십시오.

어순이 같다/다르다 문법이 비슷하다/다르다

비슷한 단어가 있다 발음이 비슷하다/다르다

억양이 비슷하다/다르다 어족이 같다/다르다 ⸋㔥

• 한국어와 ○○어는 어순이 달라요 .

• 한국어와 ○○어에는 비슷한 단어가 있어요 .

྽྘࿕ዉઝ྘ိᄙဲ
나는 책을 읽어요.
I’m reading
a book.

⚾䛿ᮏ䜢ㄞ䜣䛷䛔䚹
ㇸ✏寢ᷧ㜓ṍ˛

Ben bir kitap


Ich lese ein
okuyorum.
Buch.
32

교사: ㇯ⷨ㉇㇤ㆿㇼ㓰Ⳅㆿ㉔㍀㉙㇐⸐㓷ⱝ㉙㉙ㆰⳭ㓷〕⳹㈓"ⷎⱎ⽲㊇㉙ㆰⳭ㓷
】ⲇㄳⷴ⳹"
パ㇤ ㊑ⱎ⽲㊇㉙ㆰⳭ㓮ⲇㄳⷴⷾ㇤ㆿㇼ㓰Ⳅㆿ⾩⿸㉔ⱎ㉲㐎㍀㉙ⱎ⾴ⶋ㓮⾆ㆿㄍ
2.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와 한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나타 ㉙ⷾ⽀ⷾⷧⱺ㉡ⷴⷾ㇤ㆿⷧ㋁ㆿヂㄏㆿ⾎㊈ㆿㄍヂ㉛⸨㓰Ⳅㆿⷧ㋁ㆿ⾎㊈

내는 어휘를 학습한다. ㆿヂㄏㆿㄍヂ㇨㈓


Ⲿゞ Ⳣ⻷㊽"㇤ㆿㇼ㓰Ⳅㆿⷧㆿㄍ㉙ⷾ⽅ⷴⷾⳢ⿖㇐⺨⾦ㄯ㍀㉙ⱎ㉣㉈⳹㈓"
㕮㋃ ㇤ㆿⷧ㋁ㆿⱎ㉛㎯㉛㎯㉛㎯㉜ⲓ㈛㇐ヂㄏㆿⱎⷾ⽅ⷴⷾ㋁ㆿⱎ⸁ㄋ⵱〒ㄋ
1 2)번에 제시된 어휘 목록을 통해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와 ㉜⺈⸸ヂㄏㆿⱎⷾ⽀Ⲛ㈓Ⳣ⻰⸨㓰Ⳅㆿⷧ㉛㎯㉙⵱ㄋ㇐オⲩ㇉㉙ヂㄏㆿⱎ㉜
한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한다. ㊏㓴ⷴⷾ㆗Ⳣ⽋Ⲛ㓰Ⳅㆿ㇐ⷧ㊡ゞㇼㆿ⿇ⱎ㉣ⷧ⸨㇤ㆿ㇐ⷧ㇉ㄳⷴⷾ
Ⲿゞ ⾩⿸㊈㍀㉙⽃㉬㉙ㆰⳭ㓾ㄳⷴⷾ⿚㉊㇐ヂⷧㆿ⺓㍀㉙ⱎ㉣㉈⳹㈓"
①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와 한국어를 비교해 보고 공통점과 ㆙⵱ 㓰Ⳅㆿ㇐ⷧ㇤ㆿ㇐㉣ⷧ>I@ㇼ>]@>ϸ@⿚㉊㉙㇉ㄳⷴⷾⳢ⻰⸨㓰Ⳅㆿ㇐ⷧ㇤ㆿ㇐㇉

차이점에 각자 √를 해 보도록 한다. ⷧ>˷˽̋̈̎@⿚㉊㉙㉣ㄳⷴⷾⳢ⽋Ⲛ㊉㇐ⷾ⽂テゴⷹ㇐ⲁヂ⹬㇋ⷧ⸨㓰


Ⳅㆿㇼ㇤ㆿⷧ⿚㉊ⳟ㎧⸸ⷾ⽀⸉ⷴⷾ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㔍⽋ ⽟㆗㈓Ⳣ⻠ヂ㊑㉙⽄㉇+HQU\㉛⸨㓰Ⳅゞ⻘⹬㉇㊇⽃Ò㔎⽋Ó⻔Ⲛ〫⻮㈓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1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대화 내용을 도
• 한국어로 설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해를 돕기 위 입한다.
해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좋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 강세나 성조가 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강세나
성조를 교육 내용에 포함해도 좋다. 예 교사:영어와 한국어를 비교해 보면 어때요? 비슷한 점이 많아요?
2 학습자가 사용하는 언어와 한국어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 학생:아니요. 다른 점이 많아요.
이 있는지 질문한다.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예 여러분이 사용하는 언어와 한국어는 어순이 같아요? 문법이 비슷
해요?
예 지금부터 교실에서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을 들을 거예요. 영어와 한국어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잘 들어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보세요.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 현지어와 한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한두 가지 찾아보
는 것은 좋지만, 이 활동은 말하기 활동에서 할 것이니 가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벼운 활동으로 넘기는 것이 좋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제13과 같고도 다른 언어 11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7 2015-12-11 오후 7:39:06


어휘 1
예 영어와 한국어의 문법에는 어떤 차이가 있어요?
발음에는 어떤 차이가 있어요? 1 준비
① 모음, 자음, 음절 등 제시된 언어 단위의 예를 들어 목표 어
• 대화 듣기에서는 발표 상황에서의 말하기 활동을 하기 위
휘에 집중하도록 한다.
한 도입으로 대화문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대화문의 내용
• 다음과 같은 예를 사용하여 관심을 갖도록 유도한다.
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예 교사: ‘ㅏ, ㅑ, ㅓ, ㅕ’ 이런 걸 뭐라고 할까요?
한다.
‘ㄱ, ㄴ, ㄷ, ㄹ’ 이것의 이름은요?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가, 나, 강, 눌’과 ‘학생, 노래, 가다, 예쁘다’는 뭐라고 할까요?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② 교사는 ‘음절’, ‘단어’, ‘문장’을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후 언어의 단위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본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응용
에 를 하게 한다.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 볼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수 있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 도입 시 사용한 예시를 이용해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2 연습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어휘 더 배우기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록 한다.
개요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한다.
• ‘ㄱ, ㄴ, ㄷ, ㄹ’나 ‘ㅏ, ㅑ, ㅓ, ㅕ’와 같이 예를 제시하면 그에
맞는 어휘를 말해 맞히는 활동을 한다.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 학생들을 두 팀으로 나눈 후 예시를 교사가 제시하거나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양 팀의 학생들이 돌아가며 제시하게 할 수 있다.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예 교사: ‘가을, 노래, 좋다’
학생: 단어

ㆺ㕎⸕⿞㈖⳨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언어의 특징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2. 어휘 2

1 준비

언어의 단위
①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등 제시된 언어 단위의 예를 들어
모음 자음 음절
목표 어휘에 집중하도록 한다.
단어 문장 문단 • 다음과 같이 문장과 문장의 종류를 나타내는 말을 칠판에
문장의 종류
쓴 후 관계 있는 것끼리 연결하게 하여 관심을 갖도록 유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도한다.
청유문 감탄문

품사와 문법
예 책을 읽어. 평서문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뭐 해? 감탄문
부사 접속사 주어 목적어
이것 먹어. 청유문
서술어 시제 부정법 높임법

인용 사동 피동
산이 정말 높구나. 의문문
같이 가자. 명령문
한국어의 특징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 주어/목적어 생략이 가능하다

조사가/어미가 있다

높임법이 발달하다
조사 생략이 가능하다

의성어가/의태어가 발달하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11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8 2015-12-11 오후 7:39:07


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학교’나 ‘착하다’와 같이 예를 제시하면 그에 맞는 품사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를 맞히는 활동을 한다. 문장 성분과 문법 현상은 어려우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니 생략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 활동 방식은 앞의 1 과 같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 도입 시 사용한 예시를 이용해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예 교사: ‘아주, 정말, 천천히’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학생: 부사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3 연습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응용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워크북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록 한다.
② 학습한 어휘와 표현을 알아맞히는 게임을 한다.
• ‘같이 놀자.’나 ‘쉬고 싶어.’와 같이 예를 제시하면 그에 맞 4. 어휘 4
는 문장의 종류를 말해 맞히는 활동을 한다. 1 준비
• 활동 방식은 앞의 1 과 같다.
① 한국어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물어 목표 어휘에 집
예 교사: 같이 놀자.
중하도록 한다.
학생: 청유문
예 교사: 한국어의 기본 문장은 어떤 순서로 이루어져 있어요?
한국어에는 어떤 특징이 있어요?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② 교사는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3. 어휘 3 설명한 후 한국어의 특징을 더 배워 보자고 한다.
1 준비 2 설명
① 명사, 대명사, 동사 등 제시된 언어 단위의 예를 들어 목표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어휘에 집중하도록 한다. 에 를 하게 한다.
•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 관심을 갖도록 유도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예 교사: 우리가 언어를 이해하려면 문법에 관한 용어들을 알아야 하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는데여기서는 문법 용어들을 몇 개 공부할 거예요. 단어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중 ‘꽃, 나무, 강아지, 책’과 같이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을 뭐라고 해요? ‘걷다, 놀다, 이야기하다’처럼 움직임을 나 다.
타내는 것은요? • 도입 시 사용한 예시를 이용해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주어, 목적어, 서술어’는 문장을 이루는 요서로, ‘시제, 부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정법’ 등은 문법 현상으로 묶어 제시한다.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② 교사는 ‘명사, 동사’를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언어 3 연습
의 단위를 더 배워 보자고 한다.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2 설명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① 교재에 있는 어휘와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 록 한다.
에 를 하게 한다. ② 각각의 특징에 해당하는 예들을 찾아 이야기해 보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학생들에게 주어나 목적어, 조사 생략의 예 등을 들어 보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게 한다.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예 학생: 한국어에서는 ‘나는 오늘 친구를 만났어요’라는 문장을 ‘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늘 친구를 만났어요.’라고 말해도 돼요. 말하고 듣는 사람이
• 도입 시 사용한 예시를 이용해 의미를 제시할 수 있다. 알고 있을 때 주어를 생략할 수 있어요.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 교사는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있는지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3 연습 응용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워크북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록 한다.

제13과 같고도 다른 언어 11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19 2015-12-11 오후 7:39:08


문법 문법 설명 -냐 하면

의미: 질문을 던지는 데 사용하는 표현으로 뒤에는 반드시


개요 답이나 설명이 나온다.

1. ‘-냐 하면’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왜냐하면’을 이용하면 ‘-냐 하면’의 의미를 쉽게 전달할 수 있다.

2. ‘-답니다’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형태: 동사, 형용사, ‘명사-이다’ 뒤에 사용한다. ‘-냐 하면’
이 결합되는 말 앞에는 의문을 나타내는 말(누구, 무
1. 문법1 -냐 하면 엇, 언제, 어디, 왜, 어떻게)이 온다.
화용: 문어보다는 구어에서 많이 사용된다.

⾤⿳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냐 하면
2 연습
예문 일본인이 한국어를 배우기 쉬운 이유가 뭐냐 하면 일본어와 한국어의 어순이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동사가 뭐냐 하면 음직임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1 준비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① 일본인이 한국어를 배우기 쉬운 이유를 통해 ‘-냐 하면’을


⇨ <연습>의 정답
도입한다.
• 대화를 통해서 ‘-냐 하면’을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1) 생략하냐 하면
예문을 이끌어 낸다. 2) 같냐 하면

예 교사: 일본인들은 한국어를 쉽게 배우는 편이에요. 그 이유가 뭘


응용
까요?
학생: 한국어와 일본어가 비슷하기 때문에 그래요? 워크북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교사: 맞아요. 일본인이 한국어를 배우기 쉬운 이유가 뭐냐 하면
일본어와 한국어의 어순이 비슷하기 때문이에요. 2. 문법2 -답니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냐 하면’이 어떤 의미일지 질문   㓰Ⳅㆿ㇐ヂ㇁㊑㋁ㆿ⵱⾎㊈ㆿ⽃ ⽘㓮㋡㆛㆗⸸⽘㓮ⷧ


ゞ⻘ⲧ⹫ⷧゞ⻘㉙㋁ㆿ⵱⾎㊈ㆿ⽃㆜⺈㉡ⷴⷾ ゴ⻪㓮ⷾ
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ㆿㇼ⸹㉜ㆿ㉔ㆿㄍ㉙㈅ ⹑㇁ㆿⱎⱝ㉇ㆿ㊢㇐ヨ㓮Ⳮ
2 설명 ⺈⾩㉡ⷴⷾ ⱝⷾ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질문을 던지고


-답니다
뒤에서 답을 제시하고자 할 때 ‘-냐 하면’을 사용할 수 있음
예문 세계에는 약 7,000개의 언어가 있답니다.
을 설명한다. 한국어는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관계없이 서술어의 형태가 같답니다.

② ‘-냐 하면’이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㓰Ⳅㆿㇼ㉜〔ㆿⷧ⾩⿸㉇おㄴ㓮㋡⽕⿚㉊㉇㆗㋁  ⷾ⽀ⷾ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냐 하면’이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㐰㐓ㆿ⾖Ⲟㆿ㓰Ⳅㆿⷧⱝ㉇ㆿ㊢㇐  ヨ㓮ⷾ
보게 한다.

ߵඋ֊#්۟
일본인이 한국어를 배우기 쉬운 이유가 뭐냐 하면 일
다음 어휘는 무슨 의미일까요? 보기 와 같이 다음 어휘를 간단히 정의해 보십시오.
본어와 한국어의 어순이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ゞ ⾩⿸ ㆿ㊢
동사가 뭐냐 하면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보기
명사가 뭐냐 하면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냐 하면’의 의미, 형태, 화용


을 설명한다. 1 준비
① 들은 정보를 전달하는 문장을 활용해 ‘-답니다’를 도입한
다.
• 대화를 통해서 ‘-답니다’를 이용하는 자연스러운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예 교사: 세계에는 약 7천 개의 언어가 있답니다. 한국어는 사용 인구


수로 볼 때 열세번째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랍니다.

12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0 2015-12-11 오후 7:39:08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답니다’를 언제 사용할지 생각
해 보게 한다. 듣고 말하기
2 설명
개요
① 도입에서 사용한 문장에 대해 설명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서 들은 내용을 말할 때 ‘-답니다’를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
1. 듣기: ‘한국어의 특징’에 대한 대화 듣기, ‘한국어의 문
한다.
② ‘-답니다’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법’에 대한 설명 듣기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답니다’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2. 말하기: 한국어와 자신이 사는 나라의 언어의 공통점과
보게 한다.
차이점 설명하기

세계에는 약 7,000개의 언어가 있답니다.


한국어는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관계없이 서술어의 형
⹦ⲕ⽓㓩⳨
태가 같답니다.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33
 ‘발그스레하다’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답니다’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Dz㓰Ⳅㆿⷧ㉔ハㆿ⵱㉔㐥ㆿ】ⷾキ⳽㉈⵱㐛ⶂⷧ⸁ㆿⱎ⸚⿚⸃㓾ⷾ ( )
dzÒ⿚Ⳣㄭ⻸㓮ⷾÓⷧÒ〫Ⳣㄭ⻸㓮ⷾÓ㇐お㓷⸚⿛ⲚⳘ㇘㈝ⷥ⵭㉙㉣ⷾ ( )

문법 설명 -답니다

의미: ‘-다고 합니다’의 축약형으로 듣거나 알고 있는 내용 ඾ੵಋኁ ஑


ඨੵಋኁ ஑
을 전달할 때 전달할 때 쓰인다. ⿚Ⳣㄭ⽄㓮ⷾ
ᗯ‫ד‬᩿࿣
형태: 동사, 형용사, ‘명사-이다’에 붙어 사용된다. ‘명사-이 ⴳિ
ᕣ‫ד‬᩿࿣ⴳિ 〫Ⳣㄭ⽄㓮ⷾ

다’의 경우는 ‘-(이)랍니다’의 형태로 사용된다.


화용: 구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대요’보다는 정
중한 표현이다. 1. ‘한국어의 특징’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34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3 연습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2 시디를 들려준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다. • 한국어의 특징 중 하나인 색채어 발달에 대한 듣기이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색채어의 다양한 표현법과 어감 등에 집중하여 듣게 한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연습>의 정답
1) 다르답니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2) 속한답니다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응용 예 교사: 한국어는 의성어나 의태어보다 색깔을 나타내는 단어가 더


발달했어요?
워크북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학생: 아니요. 의성어와 의태어, 색깔을 나타내는 단어가 모두 발
달했어요.
4 말하기 연습
교사: 맞습니다. 그럼 ‘발그스레하다’는 무슨 의미입니까?
ⓛ 문법을 활용해 말하기 연습을 한다. 학생: 조금 붉다는 의미입니다.
• 지시문을 함께 읽은 후 ‘-냐 하면’을 이용해 문법 용어에 교사: ‘발그스레하다’는 ‘불그스레하다’에 비해 어떤 느낌이 있습
대해 정의를 하는 활동을 할 것임을 설명한다. 니까?
• 짝활동으로 내용을 만들어 말해 보도록 한다. 학생: 밝고 귀여운 느낌이 있습니다.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 1 의 정답
1) 조금 붉다. 2) ❶ × ❷ ○

제13과 같고도 다른 언어 12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1 2015-12-11 오후 7:39:10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2 한국어와 현지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함께 이야기해 본 후
34

 남자의 말에 제목을 붙인다면 무슨 제목을 붙일 수 있을까요? 각자 표에 정리해 보도록 한다.

3 2)에 제시된 <보기>를 읽고 어떤 방식으로 설명해야 하는지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확인한다.
Dzパⲕ㉔⽖㉇㇁ㆿ⹬㉙㓰Ⳅㆿㇼⳃ㊡ⱎおㄴ㓮ⷾ ( )
dz㓰Ⳅㆿⷧ⾩㉲㉔㊩⼸㇐ⲩⲕ㇉㉙ㆿㄍ㉙⹂㉜㓮ⷾ ( ) 4 한국어와 현지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
Ǵ㓰Ⳅㆿⷧ〒ㄋ⽃⵱㐛ⶂⷧ㓄㔕㉙㇉ⷾ ( )
록 한다.
2. ‘한국어의 문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 교사는 이때 학생들이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 최대한 이 단원에서 배운 어휘들을 많이 활용할 수 있도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록 유도한다.
5 실제 반 친구들 앞에서 한국어와 현지어의 공통점과 차이점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에 대해 발표해 보고 다른 친구들의 발표를 듣고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한다.
2 시디를 들려준다.
• 한국어가 배우기 어려운 언어만은 아니라는 내용이 담긴 응용
듣기 자료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이다. 질문의 내용에 집중 학생들을 몇 개의 조로 나눈 후 조별로 발음, 문법, 어휘 중 하나만을 심
하여 듣게 한다. 층 조사해 오게 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이 활동은 각 조나 개인이 한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국어와 현지어를 전체적으로 대조 분석하는 것에 비해 심층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1)번의 답으로 흥미 있는 내용을 이끌어 낸다.
읽고 쓰기
⇨ 2 의 정답
1) 알고 보면 쉬운 한국어 개요
2) ❶ ×, ❷ ○, ❸ ○
1. 읽기: 한글의 과학성에 관한 글 읽고 이해하기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2. 쓰기: 한글의 과학적 창제 원리를 설명하는 글 쓰기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㉘ⲕㅾ⳨

1 소리를 표시하는 문자인 한글은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로 높이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글이 갖는 과학성은 정보화 시대를 맞아 더욱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한글의 과학
성은 정보화 시대의 요구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3 한국어와 여러분이 사는 나라의 말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이야기해 보십시오.

 다음 표에 정리한 후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십시오.


2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㓰Ⳅㆿ 㔕㋡ㆿ
㓰⳦㉇⿚㉊Ⳮⲩ㉈〔⺑⽕⹪㓄㉊⾩㉧⼍㍉㊑㈧⽋㉔⸹㍉ハⲧ㈛ㄋハ㉇⾩㉧㇐ⲩㄼ㉙
㉣ⷧゞ⻘㉙⻔⾆㉬㆜Ⲛ㉣ⷧゞㄺ㉙ⷾⳢ⻰⸨㊏】㔪ㄶ⸐㇐㊍ㆿ⹬⾆ヂ㓰⳦㉔㈛ㄋハ
㇐⸐㓰ⶴ㉔ⱎⷾㄶ㔭⿚㓷㋡Ⲛ㉣ⷾⶂ㈚㉇㋁⼍㓰⳦㉙㏉㓚㐰ㄶ⸐㇐㉬⽟ⷧ⾩㉧⻔
ⷧⱺ㉛⸨㇘Ⳮ㇐ⷧ㐛⸌㓰ⳤⱲⱎ㉣ⷾ
⽲㊇㏉㓚㐰㉧㒈㉔⿣㎦⽃㓰⿳ゴⱏ㓷】㉧㉧㉊㉇㈍㌓⾍㉊㉇㇯⽂㌓㉅⼍〩⽋⹊ㆿ
㍀㉙㊌
㉣ⷾ㉧㉊ⲧ⾍㉊㉈⿳ⱒ㆗㎦⾆⾩㉧ⱎㇾハ⹊ⷧ⸨㉙ⱺ㉇㉧㒈㉈Ⳮ㇀㓮Ⳮㄟ㈞り⽕㆗
ⷴ⻔リⱎ⻕㉔㓦⼍⽃㊈㊊㕴〩⿣㓱ㄋ㉣ㆿヂ㉛㍣ⲥ㓯㊈㉅⼍〕⺈ゴァハ㉈㆗㋁ⶻ㉙
ⷧ㔼ⲧⱎ㉣ⷾ
⺨㓰⳦㉧ⷧ㓮⵱㉔㉊⽕㉈ⱛⷧⷾⷧⱺ⸸㉊ハ㉛ㄷ㉊ハ㓴ハ⹱㇐㈼⽋㓮ⷾⲚ㓰ⷾ
⾍㉊Ò̔Ó㉔ⲓ㈛ÒⱎÓÒ⻔Ó⹱ㆿⷥ㉧㉊ⲧ㓴㓷㊙⸸⹂㉜㓰㉊㉈ⱛ㋡㆛ⷧⱎ"⽕㉜⸁ㆿ㇐⹾
⻔ョ⽋ⱎ⸃⻔㋣ⷾ⾆㉊ハ㉛ㄷ㉙⵱㓴ハ㉙㇄⽓⵱〒㉯㓷㋡ⲇⷧⱎ"㉊ハⲧ⾩㉧ⱎ㉜㎦㓮
ⷧⱺ㉇  ⾍⹪ⳭⳭ⽃㈡㋢㉙ⲁ⹌⿇⻠ゞ㔵㇐ヂ㆗㋁㋊㈓㓰㉙㊌㉙⹌ⱺ㉙ⷾ

 한글이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문자인 근거를 모두 찾으십시오.


ⲥ㑎㊌
Dz㓰⳦㉔㍉㊑㈧⽋ⱎ⸹㍉㊈㉙⿂⼍
dz㓰⳦㉙⿚㉊Ⳮⲩ㉈〔⺑⽕⹪⳦㉧㉙⿂⼍
Ǵ㏉㓚㐰㉧㒈㉙ゴァハ㉈ⶻ㉜ㄋ㉣⸸⼎⿣㎦⹊ㆿ㉣ㆿヂ
ǵ㓰⳦㉙㉊ハⲧ⾩㉧ⱎ㉜㎦㓮ⷧ㑰㋪㉈ⱎ㋡Ⲛ㉣Ⳮ⺈⾩㇐

3. 한국어와 현지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는 말하기 활동  (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Dz⽘⼍ dzⳭⲕ⼍
을 한다. Ǵ㉛ⱐ㉙ ǵ㏉㓚㐰⼍

1 먼저, 한국어와 현지어의 차이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말하


기 활동을 도입한다.

12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2 2015-12-11 오후 7:39:12


1. 도입 문장을 읽고 글이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을지 생각
해 보게 한다.
• 한글의 독창성 및 과학성,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한글의 특징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이야기해 보게 한다. 3 한글은 과학적 창제 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문자입니다. 한글의 과학적 창제 원리를 설명하는
글을 쓰십시오.
• 읽을 글이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한글의 특징에
 한글의 과학적 창제 원리는 구체적으로 무엇일까요? 아래의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자료를 조사
대한 내용이므로 가능하면 여기에 초점을 맞춰 읽을 준비 해 보십시오. 과학적 창제 원리를 더 추가해도 좋습니다.
를 하게 한다. 한글의 과학성, 독창성에 대해서는 쓰기 활 㓰⳦㉔ⲧ㓯㊈㍉㊑㈧⽋
동에서 주로 다룬다.
У㓄㉊⾩㉧

예 한글은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라고 이야기합니다. 여러분은 У㉧㉊㉇⿚㉊Ⳮⲩ㉈オ㔛㓮㇘Ⳮ〔㉧⽃⽕⹭


한글의 어떤 점이 독창적이고 과학적인지 알고 있습니까?
УⳭ〔㉧㇐㔶㉈⸚㓮㇘ⱝ㉇㈴㎦㇐ヂ㊡㉊⹊ⷧ⳦㉧⽃⵱㐛ⶂⷧョ⽋⽃⽕⹭
또 한글은 요즘 같은 정보화 시대에 그 가치가 더욱 인정되는 문
자라고 합니다. 그 이류가 무엇일까요?
 위에서 준비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글의 과학적 창제 원리’라는 제목으로 글을 쓰십시오.

2. 설명문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1 파악해야 할 내용을 중심으로 글을 읽도록 한다.


• 핵심어나 주요 부분에 밑줄을 그어 가며 읽게 한다.
• 먼저 빠르게 읽으며 각 문단의 주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게
한 후, 질문의 내용에 초점을 맞춰 꼼꼼히 읽도록 한다.
2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2. 한글의 과학적 창제 원리를 설명하는 글을 쓰는 활동을 한다.

3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1 지시문을 함께 읽고 무슨 글을 써야 할지 인식하게 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2 1)의 질문과 제시된 내용을 읽고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한다.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 설명이 끝난 후 학생들에게 한글 자판의 배치도를 보여 3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알고 있는 정보를 나누고 필요한 내용
주며 설명할 수도 있다. 을 메모하며 정리할 수 있게 한다.
• 긴 문장으로 기술하게 하지 말고 단어 위주로 필요한 핵
예 교사: 한글이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문자인 근거는 무엇입니까? 심 내용만을 메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 1번부터 4번까지 모두 아니에요?
교사: 다시 한 번 글을 보세요. 두 번째 문단과 세 번째 문단에서 4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편의 글을 쓰게 한다.
뭐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까? • 글을 다 쓴 다음에는 다시 한 번 읽으면서 틀린 내용이 없
❶, ❷도 한글의 우수성에 해당하는 내용이지만 정보화시대 는지 확인하게 한다.
에의 적합성을 이야기할 때는 ❸과 ❹가 근거가 되겠지요.
5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거나 발표하게 한다.
• 글에 그림이나 사진을 붙여서 교실 벽이나 게시판에 게시
⇨ ‘문제 2’의 정답: 해 줄 수 있다.
1) ❸, ❹ 6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2) ❶
• 먼저 글의 내용, 텍스트의 형식적 특성에 맞는 글의 구성
에 집중해 피드백을 해 준다.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 그 다음에 맞춤법이나 잘못 쓴 어휘나 문법에 대한 피드백
준다. 을 해 주도록 한다.
• 세 번째 문단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cat, father, kate
를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a는 각기 다른 소리로 발음된
다. 그러나 ‘ㅏ’는 어떠한 경우에도 [ㅏ]로 소리난다.
• 한글과 한국어를 구분하지 못해 한국어가 과학적이고 독
창적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한국어는 한반도
에서 사용되는 말로 과학성, 독창성을 논할 수 없다.

제13과 같고도 다른 언어 12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3 2015-12-11 오후 7:39:14


단원 마무리 문화
개요 개요

1. 언어의 차이와 관련된 내용을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1. 한국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약어 알기


활동을 했음을 상기시키기 2. 약어에 반영된 사회 분위기 이해하기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㔪 한국인이 즐겨 사용하는 약어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1. 언어의 특징과 언어 간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까?


2. 언어의 단위, 언어의 특징과 관련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ゔ㉃プ⸧ⰽぇ⻃㋐ⲉ㉊㐟ⶓ㈷㉈㈉㓟㉃ろブ㐽㉈㔜⿉㓦㋐⽵ケ㈊⼺㉃ㆰㆮィ
㔜⸧⿷㔙⼲㓝㇒ⷖ⸗ⳑ㊹ⷿ㒳㉷㉊Ⱪ㉈ㆠㆮろ㈉㉃㋏ⰽ㉈ⷭㆠㆮ⻅Ⳟ⽇㈷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Ɒ㊳㉊⽇㉈ⷭ

지 확인해 보게 한다. ㆠㆮⷖⲖⱡㆿ⸧㉖㊰ろ㈉⸹ㆺⷖ⸗ⳑ⹷ⷖ㊰⻼㉈⼳㉈ⳞⳜⲘ㉈ⵠⳜⲲ⿧⻷


㉃㉈⼳㈷ㄓⱰ〖⼯Ⳝ㈣㓦ろ㈉⸹ㆺⷭⳑ⻝ⵠ㈂㋌㈶㉺㈶ろ⻇⹛㈷㊹ㄫ㈴⻼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㉋゙ィ㔜ㆿケ⸧ㆠㆮⰽ㕓㕣ろ㈉⸹ⲉ㉒㈴⽳〃⽇㉈ㆸⷖ゙㐔ㆿケㆠㆮ㔊㐔⻼
⽇㉈⽄⹛ㆮ㊈ ⶇろ⿶㋐⾄⾶⹚ ㉞⹠ ろ㈉⸹Ⳝ⸧㓟ⷭ

예 이번 단원에서는 언어의 특징과 차이와 관련된 내용을 공부했어 ⰽ㇞⷗㇞㔰ㆿ⾣㓠ⱡ㆟"


ⵠ⵱㉋ヺㆷㄥⰿㆿ㏯㋈ⰽ㉒ㆮケ㇋Ⲕ㓦㆟㓦
요. 한국어의 특징과 문법에 대해서 들어보았고, 한국어와 현지어 ⰽⳑ⻏"ⵣ㇇㎗㉈⻋㇓㔙 ⻝ⱁⱡ㆟
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발표도 해 보았어요. 한글의 과학성
⿂㊳㎗Ì㇋ⲔÍⲖÌ㇇㎗Í㈶⾕ㄞ⺶㉋⳨"Ì㇋ㄫ㕣Ⲕ〖Í㇫Ì㇇㉖㎗ⲲÍ㉃ㆠㆮ㉈ⷭⷭ
에 대한 설명문을 읽고, 한글의 과학적 창제 원리에 대해 쓰는 활 ㈹㈶㕓㕣ろ㈉⸹ⷖㆠㆮ㉈ⷭ
동도 했어요.
Й㉖ブケ ㉖Ⳝブⱏケ ㎟㐷 ㎟㎟㇞㐷 ⾶⹗ ⾶ⲳ⹗⻃⽂ ッ㎟ ッ㓏㎟⽪⻃ ㇇㎗ ㇇㉖
㎗Ⲳ ⵨㎗ ⵨㉖㎗Ⲳ ⽠⿐ ⽠㈴⽵ケ㓝ⷖ⿐ミ ㆶ㎗ㆆ ㆶ⽂㎗Ⲳㆆ⹛ ㆳ㋧ ㆳⲶ㉈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㉊ろ⻇ ⾂㋧ ⾂㉈㋧㉊ろ⻇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Йⶇろ⿶ ⶇ㈷ヺㆸⷖ㌯㈖⿶ ㋐⾄⾶ ㋐㏅㊰㋐⾄㓦⾶ㆈ㓦 ⹚ ㉞ ⹚⸧ ⸧


⾄㓟㉞Ⱪ

예 여러분은 자신의 나라의 언어의 특징과 다른 나라의 언어와의 차 ⳑ⻟⸗ろ㔤〘㈣Ⳝ⼲⿇㇓㓦㉈⹛ㆠㆮ㊹ㆿⷖㇺ⽼㋐゙㊰㉃ ㆳ㋧⾂㋧ ⵠ㔄
ⷿろ㔤㉃Ⲃ㉫㉃ㄦⲖ゙ⷿ⿐〹㓝㉃ㄦ ㆶ㎗ㆆⶇろ⿶㋐⾄⾶⹚ ㉞ ㈷⹗⻝⵱
이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어요? ⷖ㒳㔄㉈ⷭヺ㒧㓢⸹ㆮ㉒ⷭ

새로 배운 문법과 어휘를 잘 사용할 수 있어요?

• 문법과 어휘는 앞에서 학습하거나 다루었으므로 새로 가


르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132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한국어 6-2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1 먼저 한국어의 약어 중 알고 있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고, 알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고 있는 것이 있으면 친구들에게 설명하게 한다.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권한다. 2 먼저 중간에 있는 대화문을 읽고 밑줄 친 단어들의 의미가 뭔
지 추측해 보게 한다. 그 다음으로 아래에 있는 약어들을 살
3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피게 한다.

3 글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읽고 약어의 생성 배경, 약어에 반영


된 사회 분위기에 대해 파악하게 한다.

4 현지에도 비슷한 언어 현상이 있는지 비교해 보도록 한다.

12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4 2015-12-11 오후 7:39:14


┃모음(母音, Vowels)┃
토론, 생각 나누기의 시작

교육 목표
여러 문제에 대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여러 문제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2. 문법
• 기부와 청소년들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 듣고 이 • -다고 하더라도
해하기 • -는데도 불구하고
• 사형 제도에 대해 토론하기
• 스마트폰 사용의 장점과 문제점에 관한 글 읽고 3. 어휘
이해하기 • 찬성을 나타내는 표현, 반대를 나타내는 표현
• 사형 제도에 관한 자신의 생각 쓰기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주제 제시 및 • 교재의 사진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도입 5분
학습 동기 유발 • 단원의 주제 및 학습 목표 제시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어휘 • 카드 15분
• 어휘 연습하기
• 청소년 봉사 의무제에 대한 토론 도입하기
본문 본문 익히기 • 시디(CD) 15분
• 대화 듣고 내용 확인하기
• 어휘 도입 및 학습하기
어휘 • 카드
어휘 더 배우기 • 어휘 의미 설명하기 20분
더 배우기 • <워크북> 어휘
• 연습 및 확인하기
• 문법 설명하기
문법 20분
• 교재 예문 학습하기
문법 • 연습 활동의 내용 및 유형 확인하기
연습 • 대화 완성하기 및 확인하기 • <워크북> 문법 15분
• 문법을 활용하여 말하기 연습하기
• 상황 제시하기
듣기 • 시디(CD) 25분
듣고 • 듣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말하기 • 대화 주제 제시하기
말하기 • <워크북> 활동 25분
• 사형 제도에 대해 토론하기
• 내용 예측하기
읽기 25분
• 읽는 목적 파악하고 내용 확인하기
읽고
쓰기 • 쓰기 주제 제시하기
쓰기 • 쓸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기 30분
• 사형 제도에 대한 글 쓰기
• 새 어휘와 표현 확인 및 학습 내용 정리하기
단원 마무리 5분
• 학습 성취에 대해 자기 평가 수행하기

문화 • 문화에 대해서 알고 다른 문화와 비교하기 10분

제14과 토론, 생각 나누기의 시작 12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5 2015-12-11 오후 7:39:23


도입 예 여러분은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편입니까?
다른 사람이 여러분의 생각과 다른 주장을 하면 어떻게 반응합니
개요 까?

1. 교재 133쪽의 그림과 질문을 이용해 주제 도입하기

2. 어떤 그림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단원의 내용


을 예측하고 학습을 준비하기
어휘
개요

1.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토론 참여자와 토론 중 활동에


14과 대해 학습하기

2. 남의 의견에 대한 태도와 반응 표현 학습하기


학습 목표
㇘⻮⾩㊑㇐⸐㓷㉔Ⲍ㉈㊑ㄶ㓱ㄋ㉣ⷾ
토론, 생각
㇘⻮⾩㊑㇐⸐㓷㑇⼏㓱ㄋ㉣ⷾ

나누기의 시작
학습 내용
⾩⿸_ⷾⲚ㓮⸚⻔⸸ⷧ⸨⸸〫ⳃ㓮Ⲛ
ㆺ㕎
ㆿ㕓_⹂㉔⽃⵱㐛ⶂⷧ㓄㔕⿘⸐⽃⵱㐛ⶂⷧ㓄㔕

토론 참여자에는 어떤 사람들이 있을지 알아봅시다.


㑇⼏㉧

ゞ㔵㉧

㑇⼏㉧

1. 토론 참여자를 나타내는 어휘를 교육한다.


① 토론에 참여하는 사람들에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말해 보
࿬གྷ઀ኊ
ඪ້஑ 게 한다.
1. 여러분은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편입니까?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2. 다른 사람이 여러분의 생각과 다른 주장을 하면 어떻게 반응합니까?
• 평이한 어휘인 만큼 가볍게 확인하고 넘어간다.
2. 토론 중 하는 활동에 관한 어휘를 교육한다.
① 토론 중 어떤 활동들을 하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 후 알고 있
는 어휘에 √를 해 보도록 한다.
1 학생들에게 교재의 그림을 보게 한다.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교재의 그림을 보면서 토론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2 그림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토론에 대해 도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입한다. 다.
• 사회자, 토론자, 청중이 하는 활동으로 나누어 이야기해
예 그림을 보세요. 보게 할 수 있다.
이 사람들은 무엇을 하고 있어요?
토론을 할 때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들을 합니까? 예 교사: 사회자는 무엇을 합니까?
학생: 사회를 봅니다.
3 단원의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한다. 교사: 청중은요?
• 이 단원에서는 여러 문제에 대해 토론하는 활동을 하게 학생: 청중은 토론을 경청합니다.
될 것임을 알려준다.
• 교사가 질문하면 학생이 답하게 할 수도 있고, 학생들끼
예 토론을 할 때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 무엇을 갖추어야 할까요? 리 짝활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토론을 할 때 갖추어야 할 예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4 단원 주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간단하게 이야기해 본다.

12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6 2015-12-11 오후 7:39:24


토론할 때 하는 활동 중 알고 있는 것에 표 해 보십시오.
본문
주장하다 토론하다 의견을 밝히다

근거를 대다 이성적으로 말하다 감정적으로 말하다


개요
사회를 보다 경청하다

1. 목표: 청소년 봉사 의무제에 대해 토론하기

2. 절차: 대화 도입하기 → 대화 듣기 → 내용 확인하기 →


3. 다른 사람의 의견에 대한 태도와 반응을 나타내는 어휘를 교
육한다. 대화 연습하기
①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대한 태도나 반응을 나타내는 어휘
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야기해 보게 한 후, 교재에 제시된
어휘 중 알고 있는 것에 √를 해 보도록 한다. ⸋㔥
② 교재에 제시된 어휘를 설명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를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
다.
③ 어휘 아래에 제시된 문장을 이용해 어휘를 사용하는 연습
을 하게 한다. 교사나 학생이 주장이 담긴 문장을 말하면
학생들이 그 내용에 대해 자유롭게 찬성이나 반대 의사를 35

사회자: ㍢ョⶩ⹬㉔〙ゞ㔭⹂㍅㇘⽃㈼⸸㓮Ⳮ㈴㓷⽖㉇⵱⻔㇐ヂ〙ゞ㔭⹂㊌ㄋ⽃⸐
표하게 한다. 㓯㉡㓯ハ㊈㇐⿘㇤㓮Ⲛ㉣ㄳⷴⷾ㉙⻮㓰㊑⸸㇐⸐㓷㓩㈓㓮ⷾⷧ㉔Ⲍⲧㄍㄋ㓰
⹂Ⳮ㇐ヂ㉙⼦ㆿ㊙ㆰ㓱〙ゞ㔭⹂㉈㉙㉚ⲧ㇛Ⲏㄶ㐓ⷧ⿔⻘㋢㓮㋡㆛㉇㊑⸸⻔
ⷧ㉔Ⲍ㉙㉣ㄳⷴⷾ㉜㊩㉔Ò㍢ョⶩ〙ゞ㉔⾦㊑Ó㉙㊑⸸㇐⸐㓰㈛⽋㍢ョⶩ⹬㉔
예 교사: 저는 가정에서 고등학생 자녀의 귀가시간을 정하는 것이 필 ゴⱏ㉇ㆿ⺓㋡㑇⼏㓷】⸸⼎㓮ⲇㄳⷴⷾⳢ⻲ⷎⱎ⽲㊇㉙ㆰⳭ㓷】ⲇㄳⷴ⳹"

요하다고 생각합니다. 㕮㋃ ㊑ⱎ⽲㊇㉙ㆰⳭ㓮ⲇㄳⷴⷾ㊇ⷧ㍢ョⶩ〙ゞ㉔⾦㊑ⱎ⴩㓩㈓㓰㊑⸸⻔Ⲛゴⱏ


㓴ⷴⷾ㈛⽋⵱⻔ⱎィⳭ㊬㆗㊞ⷾⲚ㓮⸚⻔⸸ⱎ⵴㓮Ⱳ⵱ⱴⱚ㇐⾩㊑ⱎ㉣ㆿヂ
학생 1: 저는 선생님의 말에 동의합니다. ㆿ⼅ⲁゴ㔭㓮ⷧゞ⻘㉙㉣ㄳⷴⷾ㊇ⷧÒ㍢ョⶩ〙ゞ㉔⾦㊑Óⱎㆿ⼀㈝ゞ⻘㇐ⲁ
ⲩㄼ㉈ⱎ㋡Ⲛ㉙⹬㉈⹀ⷧ㔭⹂㉈㓮ⲁ⽕⹨ⷧ⸨Ⳮ㇘㓱ㄋ㉣ⷾⲚゴⱏ㓴ⷴⷾ
학생 2: 저는 선생님과 의견이 다릅니다. パ㇤ ㊇⸸ㆦ㇐ヂ⽘㓰㎨ⳃ㉔㉔Ⲍ㇐⹂㉔㓴ⷴⷾ㋁㈴㇐ㆿ⼀㈝ゞ⻘⹬㉙㉣ⷧ⸨⸸〫
ⳃ㓮Ⲛ㉧Ⳮ⽕㉬ィ⾆⹋ⷾⷧゴⱏ㉈㓮ⷧ㍢ョⶩ⹬㉙㉣ㄳⷴⷾ㊇ⷧ㔕⸐ゞ㔵㇐
⴩㓩㈓㓰ゞ⻘㉙⵱ⷓⲧ⿣⼀㊏ㄸ㉈ㄺ㍜㓱ㄋ㉣ⷧゞ⻘㉙⻔Ⲛゴⱏ㓴ⷴⷾⳢ
⻮⿂⼍ㆿ⽍ㄶ㊊〧㐰⵱ⷓⲧ⿣⼀⽃ㄺ㍜㓱ㄋ㉣ⷧⳭ㔵⽃ⱛ⸸⼎㓮ⷧⱺ㉙㋊
㈓㓴ⷴⷾ⸐㓯㉡㓯ハ㊈㇐〙ゞ㔭⹂㊌ㄋⱎ⿘㇤⹋ⷾ⾆⸚⽖㉇㍢ョⶩ⹬㉙〙
다른 사람의 의견과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에 표 하세요. 그리고 다음 ゞ㔭⹂㇐ⲩㄼ㉈ⱎ㋡Ⲛㄺ㍜㓱ⱺ㉡ⷴⷾ
표현을 이용해 아래 문장과 같이 이야기해 보십시오. ㆙⵱ ㊇ⷧㆦ㇐ヂ⽘㓰㎨ⳃ⹬ⲧゴⱏ㉙ⷾ⽅ⷴⷾ⾫⼏⹑㎨ⳃ㉔⽘㇐⸸㉜⽋ⱎ㉣ㄳ
ⷴⷾ㊇⸸㔕⸐ゞ㔵ⱎ㓩㈓⼍㓮ⷧ㉛ⱐ㉙⵱ⷓⲧ⿣⼀㊏ㄸ㉈ㄺ㍜㓮ⷧゞ⻘㉙
⻔ⷧ⸨⹂㉔㓴ⷴⷾⳢ⻮⵱〙ゞ㔭⹂㉈⸐㓯㉡㓯㊑⸸ㇼ㇛Ⲏㄶ㏖ⱚ㊑㊈㉅⼍
찬성하다 동의하다 지지하다
ㄺ㍜㓮ⲁ㓮ⷧ⸨ⷧ⿘⸐㓴ⷴⷾ㉙㈣㉈ゞ⻜㓮Ⲛㆿ⼀㈝ゞ⻘㉈⹀ⷧ㉜㉇ㄓⲚ
반대하다 비판하다 반박하다 㓰ⱎ㎦㇐ヂお⼓⹊ㆿㆰ㓴ⷴⷾ〙ゞ㔭⹂㉈⸐㓯㉡㓯㊑⸸ㇼ㇛Ⲏㄶ㐕ⷾ⾆⾎㊈
생각이/의견이 같다 생각이/의견이 다르다 ㉈⸃ハ㓰㕁㍢ョⶩ⹬㉇ⲧ㇛〙ゞ㔭⹂㉈ⲕヨㄋ㓿㓱⳹㈓"㍢ョⶩ⹬㇐ⲁ㉙㈣
ゞ⻜ⲧ⵱ⷓ㉔ⱎ㎦ⱎ㇄⽓⵱ョ㋊㓰ⱺ㉛㋡⽃㉜ⴅ㈥㋁Ⲛ㉧⿚㊈㉅⼍ㄺ㍜㓱ㄋ
㉣⸸⼎⽕⹨ⷧⱺ㉙⸚㋊㈓㓮ⷾⲚゴⱏ㓴ⷴⷾ
• 저는 ○○의 말에 동의합니다 .

• 저는 ○○와 의견이 다릅니다 .

1 교실에서 토론하는 상황을 생각하도록 유도하여 대화 내용


을 도입한다.
① 대화 내용을 도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예 교사: 지금부터 토론 대화를 들을 것인데 어떤 어휘들이 자주 사


용될까요?
학생 1: ‘생각합니다, 주장합니다, 찬성합니다, 반대합니다’와 같은
표현들이 많이 사용될 것 같아요.
학생 2: ‘제 생각에는’과 같은 표현도 나올 것 같습니다.

② 간단하게 이야기를 나눈 후에 대화 상황을 제시하며 대화


문을 들어 보자고 한다.

예 지금부터 청소년 봉사활동 의무제에 관해 토론을 할 거예요. 어떤


내용들이 오갈까요? 잘 들어 보세요.

2 시디(CD)를 들려주며 대화문을 제시한다.


• 대화문을 보지 않고 시디를 듣게 한다.
•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듣게 할 수도 있다. 이때는 1 의 ②에서 교사가 이
야기한 내용을 중심으로 대화문에 밑줄을 치면서 듣게 하

제14과 토론, 생각 나누기의 시작 12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7 2015-12-11 오후 7:39:24


여 학생들이 대략적인 내용 파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3
어휘 더 배우기
대화문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① 다음과 같이 간단한 질문을 통하여 대화 내용을 대략적으 개요
로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어휘 도입하기 → 알고 있는 어휘 표시하기 → 어휘의 의
예 ‘청소년 봉사활동 의무제’가 뭐예요?
찬성하는 사람이 많아요, 반대하는 사람이 많아요? 미 찾아보기 → 어휘의 의미와 표현 설명하기 →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보기
• 대화 듣기에서는 대화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지 않는다.
② 대화문을 보면서 시디를 다시 듣고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
한다.
ㆺ㕎⸕⿞㈖⳨
예 누가 찬성하고 누가 반대했어요? 그 이유는 뭐예요?
4 대화문을 보면서 대화 내용을 연습한다. 토론에 대한 표현을 더 배워 봅시다.

㉶ⷖ⾸ヺ㉃㉃ⱻㆿ
• 교사가 대화 지문을 천천히 읽으면서 학생들이 모르는 어 ㆮⷔ㌂ㆿケ⽡㉶ ⸱㉃㓣ⷣⷭ
⽇ㅸ㓝ㄥⱶㄢⷣ⳨" ㉶ⷖⳑ⻦Ɒィⰾ㓝
휘나 표현을 설명해 준다. ㋐ㆊㄢⷣⷭ

• 대화 내용을 이해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간단하게 연습해


본다.
동의를 나타내는 표현
응용
저도 ○○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수업 시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연습을 확장하여 해볼 수 저도 ○○와 같은 생각합니다.
저는 ○○의 의견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있다.
~ 근거에서 볼 때 ○○의 의견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1. CD를 듣고 학생들은 따라 읽는다.
2.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학생으로 읽는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의 억양 반대를 나타내는 표현

및 발음을 교정해 준다.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3. 대화 지문을 활용하여 그룹별로 역할극을 하게 한다. 저는 ○○와 생각이 다릅니다.


~ 이유에서 저는 ○○의 의견에 반대합니다.
4. 충분한 연습 후에 발표시켜 본다. ○○의 말에도 일리가 있지만 ~
~ 생각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의 주장에는 근거가 부족합니다.

어휘 1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 대화문에서 동의를 표하기 위해 어떤 표현을 사용했는지
찾아보게 해 교육 목표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예 교사: 대화문에서 동의를 나타낼 때 무슨 표현을 사용했어요?


학생: “저는 앞에서 말한 친구의 의견에 동의합니다.”라고 말했어
요.

② 교사는 학생이 말한 문장을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동의를 표하는 표현을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① 교재에 있는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에
를 하게 한다.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12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8 2015-12-11 오후 7:39:26


3 연습
응용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은 의미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한 후, 워크북
록 한다. 을 통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 근거를 밝히며 동의를 표하는 문장 연습에 좀 더 집중하
게 한다.
② 활용 연습은 반대를 나타내는 표현까지 교육한 후에 함께
실시한다.
2. 어휘 2 문법
1 준비
① 대화문에 나오는 목표 어휘를 활용하여 도입한다. 개요
• 대화문에서 반대를 표하기 위해 어떤 표현을 사용했는지
찾아보게 해 교육 목표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1. ‘-다고 하더라도’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2. ‘-는데도 불구하고’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


예 교사: 대화문에서 반대를 나타낼 때 무슨 표현을 사용했어요?
학생: “저는 앞에서 말한 친구들과 의견이 다릅니다.”라고 말했어 하기
요.

② 교사는 학생이 말한 문장을 판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 후 1. 문법1 -다고 하더라도


반대를 표하는 표현을 더 배워 보자고 한다.
2 설명 ⾤⿳

① 교재에 있는 표현을 다 같이 읽어 보고 알고 있는 것에 다음 문법을 배워 봅시다.


를 하게 한다.
-다고 하더라도
② 학생이 어휘의 의미를 찾아보게 한다.
예문 대부분의 사람들이 찬성하기 때문에 우리 몇 명이 반대한다고 하더라도 이 일은 진행될 것이다.
• 우선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표현을 다른 학 남들이 비판한다고 하더라도 저는 제 주장을 바꾸지 않겠습니다.

생들에게 설명해 보게 한다.


③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설명한다.
• 교사가 교재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순서대로 설명해 준다.
1 준비
④ 학생이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써 보게 한다.
• 학생들이 어휘의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필요한 어휘를 찾아 ① 토론의 상황을 활용해 자연스럽게 ‘-다고 하더라도’를 도입
서 써 볼 수 있게 한다. 한다.
• 자연스러운 상황을 통해서 ‘-다고 하더라도’가 사용되는
3 연습 예문을 제시한다.
① 제시된 어휘와 표현을 따라 읽힌다.
• 2~3번 반복하여 학생들이 어휘와 표현을 기억할 수 있도 예 교사: 우리가 진지한 토론을 거쳐 결정을 하는 것인 만큼 어느 쪽
록 한다. 으로 결정이 나더라도 반드시 결정을 따라야 합니다.
• 근거를 밝히며 반대를 표하는 문장 연습에 좀 더 집중하
게 한다.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다고 하더라도’가 어떤 의미일지
② 교사나 학생 중 한 사람이 근거를 밝히며 의견을 말하면 다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른 학생들이 근거를 밝히며 동의나 반대를 표하도록 하는 2 설명
연습을 실시한다.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앞에 나오는 상
예 교사: 청소년들이 늦은 시간에 밖에 있다 보면 위험에 노출되기 쉽 황이 뒤의 일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임을 나타낼 때 ‘-다고
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가정에서 고등학생 자녀의 귀가시간 하더라도’를 사용함을 설명한다.
을 정해 일찍 귀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② ‘-다고 하더라도’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학생 1: 저도 청소년들이 아직은 스스로 판단할 수 있을 만큼 충분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다고 하더라도’가 어떤 의미인지
히 성숙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선생님의 의견이 생각해 보게 한다.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생 2: 저는 선생님과 생각이 다릅니다. 저는 청소년들이 충분히 대부분의 사람들이 찬성하기 때문에 우리 몇 명이 반
성숙하지 않았다고 보는 데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한다고 하더라도 이 일은 진행될 것이다.
청소년들도 자기 몸을 지킬 정도의 이성은 가지고 있다고
남들이 비판한다고 하더라도 저는 제 주장을 바꾸지
봅니다.
않겠습니다.
• 교사는 게임 활동을 관찰하면서 어휘와 표현을 잘 알고
있는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정리한다.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다고 하더라도’의 의미, 형태,
화용을 설명한다.

제14과 토론, 생각 나누기의 시작 12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29 2015-12-11 오후 7:39:26


문법 설명 -다고 하더라도 예 학생: 선생님, 어제 토론회 결과가 어떻게 되었어요?
교사: 학교가 주장하는 안대로 결정되었어요.
의미: 앞에 나오는 상황이 뒤의 일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임 학생: 학생들이 끝까지 반대했는데도 불구하고 그렇게 되었네요.
을 나타낸다.
형태: 동사나 형용사 뒤에는 ‘-다고 하더라도’를, ‘명사-이 ②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는데도 불구하고’가 어떤 의미일
다’ 뒤에는 ‘-라고 하더라도’를 사용한다. 지 질문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화용: ‘-아도/어도‘나 ’-더라도‘에 비해 격식적이고 강한 느
낌을 나타낸다. 2 설명
① 도입에서 사용한 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앞에 나오는 일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이 뒤의 일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나타낼 때 ‘-는데도 불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구하고’를 사용함을 설명한다.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② ‘-는데도 불구하고’가 사용된 예문을 제시한다.
2
• 예문을 칠판에 쓴 후 ‘-는데도 불구하고’가 어떤 의미인지
연습
생각해 보게 한다.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내가 적극적으로 설명했는데도 불구하고 친구들은 내
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의견에 반대했다.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열심히 노력했는데도 불구하고 결과가 좋아지지 않
았다.
⇨ <연습>의 정답
1) 설득한다고 하더라도
2) 많지 않다고 하더라도 ③ 칠판에 쓴 예문을 이용하여 ‘-는데도 불구하고’의 의미, 형
태, 화용을 설명한다.

응용
워크북을 활용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문법 설명 –는데도 불구하고

의미: 앞에 나오는 상황이 뒤의 일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2. 문법2 –는데도 불구하고 나타낸다.
형태: 동사 뒤에 사용되는데 현재시제의 경우는 어간 뒤에
  ㈛⽋ⱎ㇜ㄼ㕴 ゞ⻘⹬㉇ゴⱏ㉈⿔ⵂ㋡㆛㉈ⱺⱝ㆗㈓
ト⹩㓮ⷾ ‘-는데도’를 사용하고, 완료를 나타낼 때는 어간에 뒤
  ㊑㉔Ⲍ㇐㍂ハ㓮ⷧ㎨ⳃⱎ ㊇ⷧ㎨ⳃ⹬㉈ト⹩㓷ヂ
에 ‘-었는데도’를 붙여 사용한다.
㉙㉜㉈⴩㓮ⲇㄳⷴⷾ ⽖㋡㆛ⷾ 화용: ‘불구하고’를 탈락시키고 ‘-는데도’만 써도 같은 의미
를 나타낸다.
-는데도 불구하고

예문 내가 적극적으로 설명했는데도 불구하고 친구들은 내 의견에 반대했다. ④ 교재의 예문을 확인한다.


열심히 노력했는데도 불구하고 결과가 좋아지지 않았다.
• 예문을 따라 읽도록 한다.
  ㊑ⱎ㎍〩㕴 ゞ⻘⹬㉇ゴⱏ㉈⿔ⵂ㋡㆛ㆣㄳⷴⷾ ト⹩㓮ⷾ  • 이 과정에서 예문을 이해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オ
 ⸐㒮㑇⼏㉧㇐ⲁ ㈧㓮ⷧ⸉㉈⹬㉈ㄋ㇉㇋ㄳⷴⷾ
㋥⾩㉈㓮ⷾ 
3 연습
ⓛ <연습>을 활용하여 문법을 간단하게 연습한다.
• 1)의 예문을 읽어 주고 문장을 완성하는 방법을 알려 준
ߵඋ֊#්۟
다음과 같이 행동했지만 예상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는데도 불구하고’를 넣어 보기 와
다.
같이 짧은 이야기를 만들어 보십시오. • 2)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 본 뒤 문제를 풀게 한다.
ⶂⱎ㇜ㄼ㕴 㓯ゴ⹬㉙⾍⹑ 㑰〉㓰ⶲ⼁㉈ •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ト⹩㓾ⷾ ⿘⸐㓾ⷾ 㓮㋡㆛ㆣⷾ

보기
내가 열심히 설득했는데도 불구하고 친구가 마음을 바꾸지 않았어요.
⇨ <연습>의 정답
1) 설득했는데도 불구하고
2) 질문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1 준비
① 상황을 활용해 ‘-는데도 불구하고’를 자연스럽게 도입한다. 응용
• 대화를 통해서 ‘-는데도 불구하고’를 이용하는 자연스러 워크북을 활용해 연습하게 할 수 있다.
운 상황과 예문을 이끌어 낸다.
4 말하기 연습
ⓛ 문법을 활용한 말하기 연습을 한다.
• 말하기 활동의 지시문을 읽어 주고 제시된 물건 중 하나

13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0 2015-12-11 오후 7:39:28


36

를 골라 문법을 사용하여 어디에 사용하는지, 그 물건을


쓰면 좋은 점은 무엇인지를 말하는 연습임을 설명한다.
2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37
• 짝활동으로 내용을 만들어 말해 보도록 한다.  남자는 누구입니까?

• 학생이 개인이나 팀별로 발표하고 교사가 확인해 준다. Dz㍢ョⶩ  dz㓯〧⾍


ǴⲚ⹱㓯ⲾⲾゞ  ǵ㍢ョⶩ⾩㊑㊉⾩ⱎ

 다음 중 남자의 중심 생각은 무엇입니까?

Dzゥ㉔⾎㓄ㇼ⿡㔁㉈㉬ト㊏㓰㍢ョⶩ⹬㉙⽖㆗⸐Ⲍ㓮ⷾ
dz㍢ョⶩㄶⳭ㇐ⷧ〩⾊㓰⾫㋥㊈⾎㓄⽃ト㊏㓮ⷧⱺ㉙㓩㈓㓮ⷾ
Ǵ㍢ョⶩㄶⳭ㇐ⷧⱎ㎦㉣ⷧゥ㇐⸐㓷㋣㋡㓮ⲁⲚ⿉㓷】㆗ㆰ㓰ⷾ
ǵ㍢ョⶩⳭⷧ㋊㈓㓰ㄶⳭ㉛⽕㐐⾦㇊㉙⹪㍽テ㉈ⷾ㓮ⷧⱺ㉙㋊㈓㓮ⷾ

듣고 말하기
2. ‘청소년들의 가치관’에 대한 대화를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
개요 다.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1. 듣기: ‘봉사활동과 기부’에 대한 대화 듣기, ‘청소년들의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가치관’에 대한 대화 듣기

2. 말하기: 사형 제도에 대해 토론하기 예 ❷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두 사람은 무엇에 대해 이야기합니까?

2 시디를 들려준다.
⹦ⲕ⽓㓩⳨ • 세부 정보를 파악하기보다는 이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 누
구이고 무슨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1 다음을 듣고 질문에 대답해 보십시오.
36 듣도록 유도한다.
 여자는 토요일에 노인회관에 가서 무엇을 할 겁니까?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들은 내용과 같으면 , 다르면 하십시오.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Dz⵹㉧ㇼ㇘㉧ⷧⳭ〧㇐⸐㓰ゴⱏ㉙ⱝㆣⷾ ( )
dz⵹㉧ⷧ㉴ⷮⳭ〧⼍Ⳮ㐛㇛㋁⽃㓮Ⲛ㉣ⷾ ( )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1. ‘봉사활동과 기부’에 대해 듣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37

1 듣기 전에 교재의 질문을 미리 읽고 어떤 내용의 대화를 듣게 예 교사: 남자가 청소년이란 것을 어떻게 알았어요?


될 것인지 예측하게 한다. 학생: 여자가 청소년 스스로 자신들에 대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고, 남자도 ‘우리 청소년’이라고 말했어요.
교사: 중심생각은 어떻게 찾았어요?
예 ❶번의 문제와 보기를 읽어 봅시다.
학생: ‘물질 추구는 수단이지 삶의 목적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마
무엇에 대해 이야기인 것 같습니까? 봉사나 기부에 관한 이야기를
지막 문장에서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위해서는 청소년
할 것 같지요?
시기에 자신의 삶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
다.’고 했습니다.
2 시디를 들려준다.
• 봉사 활동이 거창한 일이 아니고 생활 속에서 이루어져야
함에 대해 이야기하는 듣기이다. 여자의 봉사활동 내용과 ⇨ 2 의 정답
기부에 대한 두 사람의 생각 차이에 주목해서 듣게 한다. 1) ❶
3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2) ❸

4 시디를 다시 듣고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한다. 5 들은 내용을 확인한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몇 번인지, 틀렸는지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맞았는지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응용
예 교사: 여자는 노인회관에 가서 뭘 해요?
들은 내용과 관련해 학생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이야기해 보
학생: 청소도 해 드리고 할아버지, 할머니 말벗도 해 드려요.
게 할 수 있다. 이때 주장만이 아니라 근거를 가지고 의견을 펼칠 수 있
교사: 남자는 봉사활동이나 기부를 하고 있어요?
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 아니요. 남자는 나중에 돈이 많아지면 하려는 계획을 가지
고 있었어요. 그러나 이제 생각이 좀 바뀐 것 같아요.

⇨ 1 의 정답
1) 봉사 활동
2) ❶ × ❷×

제14과 토론, 생각 나누기의 시작 13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1 2015-12-11 오후 7:39:29


읽고 쓰기
3 여러분은 사형 제도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 사형 제도를 시행하는 것에 대해 어떻 개요
게 생각합니까?

 사형 제도를 존속시키거나 폐지하자는 주장에는 어떤 근거가 있을까 찾아봅시다.

ゞ㔛㊑⸸ㄶ㓿㉔ⳤⱲ 1. 읽기: 스마트폰 사용의 장점과 문제점에 관한 글 읽고


Ā
이해하기
Ā

Ā
2. 쓰기: 사형 제도에 관한 자신의 생각 쓰기
ゞ㔛㊑⸸㒴㋡㉔ⳤⱲ

Ā

Ā

Ā ㉘ⲕㅾ⳨

1 여러분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습니까? 스마트폰 사용의 장점과 문제점이 무엇인지 생각


 둘 중 하나의 입장을 선택하십시오. 그리고 같은 의견을 가진 사람들끼리 모여 반대 입장을 가진 해 보십시오.
사람들과의 토론에서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도록 논리를 준비하십시오.

2 다음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십시오.

4 3 에서 준비한 내용을 가지고 친구들과 토론해 보십시오. 상대방의 논리를 반박하고 자신의 ㈓㋝㉇ㄭ⽓㑯㒺㉈ゞ㈚㓮ⷧ㋊Ⲛ⹱㓯ゴ㉙⽖ⷾ  ㄭ⽓㑯㒺㉈㉙㈚㓮⾆616⽃㉙㈚㓷
견해를 충분히 설명하여 상대방을 설득해 보십시오. ㎨ⳃ⹬ⲧ㒮⽋㓮ⲁ㑎ㄸ㉈㓱ㄋ⸸㉣Ⲛ㉛㐰ⶤ㉈㔭㈚㓷㓩㈓㓰㊏】⸸ㄤⲁ㇃㉈ㄋ㉣ⷾ
 り⽕㆗ⷴ⻔㇁㊑ㆿ⹳ヂ⹪㋡㉊㆘㉈⹫Ⱳ⵱ⲁ㉠㉈㓱ㄋ⸸㉣Ⲛ㍽ㄸ㈲㑚㉈㋜⳱ㄋ
⸸㉣ⷾ  Ⳣ⻮ⷾ】ⷴㄭ⽓㑯㒺㇐さ㊙ⲥ〧⽃ョ㔣㕴㓮ⷧ㋊Ⲛ⹱㓯ゴ㉙ⷨⲁ⹊Ⲛ㍽
ⳤ㇐ⷧ㍢ョⶩ⹬㉔ㄭ⽓㑯㒺㋊⸹㉙⾩㊑ⱎ⹊Ⲛ㉣ⷾ  ㉮㉧⽋㇐⹬ㆿヂ⸸ㄭ⽓㑯㒺㉈
㓮ⷥ⻔ガ〇⳹㋡㉮⹬㋡⾕㓮ⷧ㓯ゴ⹬ㄋ㇈㋊㇐⸸Ⲿゞ㉔ⷐ㉈㓦㓷㉛㐰ⶤ㉈㓮Ⱳ⵱㎨
3. 사형 제도에 대해 토론하는 말하기 활동을 한다. ⳃㇼ㑎ㄸ㉈㋁Ⲛ⿙ⷥ⻔ⲥ〧㇐㋨㋊㓮㋡⾕㓮ⷧ㓯ゴ⹬㉙⽖ⷾ  ㉙⻮㓰㓿㈴ⷧ㍢ョⶩ
⹬㉔ⱴⱚ㆘㔪ㇼ㓯㇈〧㋣㉅⼍㉙ㆿ㋣ⷾ  ㉙⻮㓰㒴㓷⽃⽔Ⳮ㈴㓷㉜〧㓯Ⲿ㇐ヂⷧ
㆗㇨㓯Ⲿ㇐ㄭ⽓㑯㒺㉈ⱎ㊙㇯㋡⾕㓮⸸⼎㓮Ⱳ⵱㓯Ⲿ㇐⸸㍁㓷ヂⷧㄭ⽓㑯㒺㉈㊑㎉㓾
1 먼저, 수행하게 될 과제의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게 한다. ⷾⱎ㋨㇐ⱒ⺈㍊㆗ⱎⲁ㓮ⷧ⿡⿸㉈ゞ㈚㓮Ⲛ㉣ⷾ  Ⳣ⻮⵱㉙㇐⸐㓷㍢ョⶩ⹬㉇㉧
㈿Ⳓ㎬㓷⻔Ⲛ⿘⿚㓮Ⲛ㉣ⷾ  ㄭㄭ⼍ㄭ⽓㑯㒺ゞ㈚㉈㑎㊑㓮㇘㊈㊊㕴ゞ㈚㓱ㄋ㉣ⷾ
ⷧⱺ㉙ⷾ
2 사형 제도 존속과 폐지 주장의 근거에 대해 브레인스토밍함
으로써 양쪽 입장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이 글을 세 문단으로 나눈다면 (1) ~ (9) 중 어디에서 문단을 나누어야 할까요?

  

3 학생들이 어느 정도 견해를 가지게 되면 학생들에게 사형제  이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도 존속과 폐지 중 한쪽을 선택하게 한다. 사회자 역할을 맡 Dzㄭ⽓㑯㒺ゞ㈚㉈㉧㊑㓮ⷧ㍢ョⶩ⹬㉙ⷨⲚ㉣ⷾ


dz㍢ョⶩ㉔ㄭ⽓㑯㒺ゞ㈚㋊⸹㉙⾩㊑ⱎ⹊Ⲛ㉣ⷾ
을 사람도 정한다. Ǵ㓯Ⲿ㇐ヂㄭ⽓㑯㒺㉈ゞ㈚㓮㋡⾕㓮⸸⼎㓮ⷧ㓯Ⲿ⸸㉣ⷾ
ǵ㍢ョⶩ⹬㉇ㄭ⽓㑯㒺㉈Ⳬ㊏㊈㉅⼍⸸〧㊏㊈㉅⼍⸸ゞ㈚㓰ⷾ

4 그 후 같은 의견을 가진 사람들끼리 모여 상대방이 자신들의


의견을 반박할 때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는 논리를 개발한다.
1. 읽기 과제의 내용을 확인한다.
사회자 역할을 맡은 사람은 토론을 어떻게 진행할지 준비를
하게 한다. • 발문의 질문에 답하며 글의 내용을 추측해 볼 수 있게 한
다.
5 양쪽이 모여 토론한다. 이때 교사는 토론 예절에 대해 다시
한 번 일러 준다. 예 여러분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세요?
(사용자에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고 어떤 단점이
있어요?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게) 왜 사용하지 않아요?

2. 설명문을 읽고 이해하는 활동을 한다.

1 문제를 읽고 무엇에 집중해 읽어야 하는지 파악하게 한다.


• 첫 번째 문제는 문단 나누기를 하는 내용이다.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세부 정보에 중점을 두고 글을 읽어서
는 안 되고 글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
을 읽는 목적에 맞게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 두 번째 문제는 세부 정보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이는 글
의 전체 내용을 꼼꼼히 읽어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이다.
• 두 개의 읽기 문제가 서로 다른 읽기 전략을 필요로 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먼저 글의 전체 흐름 파악에 집중해 빠
른 속도로 읽으며 내용의 전환점을 파악해 보게 한 후, 두
번째 읽기에서 세부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
이 필요하다.
2 글을 읽으면서 답을 찾게 한 후, 짝과 함께 답을 확인해 보도

13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2 2015-12-11 오후 7:39:32


록 한다.
• 글을 읽으면서 질문과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 학생들끼리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해 보도록 한다. 자신의 3 앞의 토론 활동을 통해 여러분은 사형 제도에 관해 어떠한 입장을 가지게 되었습니까? 자신
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을 써 봅시다.
생각과 짝의 생각이 서로 다르다면, 각자 왜 그렇게 생각
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3 교사와 함께 답을 확인하고 읽은 내용을 정리해 준다.
• 교사와 답을 확인할 때, 교사는 답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만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왜 그 답이 맞는지, 어떤 점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지도 알려 준다.

예 교사: 이 글을 세 부분으로 나눈다면 어디서 구분해야 할까요?


학생: (3)과 (6)에서 구분해야 합니다.
교사: 왜 그렇게 구분했습니까?
학생: (3)의 앞부분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의 이점을 말하고 있고,
(3)의 뒷부분부터 (6)의 앞부분까지는 스마트폰 사용의 폐
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6)의 뒷부분은 스마트폰
사용의 폐해와 관련된 대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요.
교사: 아주 잘 파악했습니다. 2. 사형 제도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쓰는 활동을 한다.

1 ‘어휘’와 ‘어휘 더 배우기’에서 제시된 표현을 다시 언급하면


⇨ ‘문제 2’의 정답: 서 설명하는 글을 쓴다는 것을 알려 준다.
1) (3), (6)
2) ❶ 2 토론을 위해 준비한 내용과 토론 과정에서 정리된 생각을 바
탕으로 사형 제도 존폐에 관한 글을 쓰도록 한다.
4 읽은 내용 중 어려웠던 어휘나 문법에 대해 질문을 받고 알려 • 초고를 쓸 때는 정확성에 신경 쓰기보다는 내용의 흐름에
준다. 집중하며 글을 써 나가도록 지도한다.
• 자신의 주장이 논리적으로 전개되는지에 신경을 쓰며 글
• 비교적 평이한 글이라 수업 중 반드시 읽을 필요는 없다. 을 쓰도록 지도한다.
• 글에는 학생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어휘들이 있지만 모든
어휘를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새 어 3 초고를 완성한 다음에는 글의 내용 구성과 논리적 흐름, 형태
휘를 다룰 때는 ‘자율권 침해, 학업 부진, 악화, 아예’와 적 정확성 등이 잘 갖추어졌는지 검토하고 고쳐 쓰는 과정을
같이 내용 이해에 핵심적인 어휘나 표현을 중심으로 다루 거치게 한다.
도록 한다. 내용 이해에 핵심적이지 않은 어휘나 표현을 • 문법적 오류나 맞춤법을 고치기에 앞서 본인이 쓰고자 했
학생이 질문한 경우, 지나치게 시간을 할애하기보다는 간 던 내용이 충분히 포함되었는지, 논리적 일관성을 갖추고
단히 설명하거나 다음 기회로 넘긴다. 있는지 등을 검토하게 한다.
• 이때 교사가 일방적으로 어휘와 표현의 의미를 설명해 주
4 완성된 글은 친구들과 바꾸어 읽거나 발표하게 한다.
는 것보다는 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추
측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 의미를 알고 있는 학 • 글에 그림이나 사진을 붙여서 교실 벽이나 게시판에 게시
생으로 하여금 다른 학생에게 설명해 보게 하는 방법도 해 줄 수 있다.
좋다. 5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해 준다.
• 먼저 글의 내용, 텍스트의 형식적 특성에 맞는 글의 구성
에 집중해 피드백을 해 준다.
• 그 다음에 맞춤법이나 잘못 쓴 어휘나 문법에 대한 피드백
을 해 주도록 한다.

제14과 토론, 생각 나누기의 시작 13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3 2015-12-11 오후 7:39:33


단원 마무리 문화
개요 개요

1. 여러 문제에 대해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했음 1. 한국 사람들의 토론 문화에 대해서 알기


을 상기시키기

2. 학습 성취 정도 확인하기

⾩㔪 한국 사람들의 토론 문화

자기 평가 잘 읽고 또는 , 에 표시하세요.
㓟ⲳろ⻇⹛㈶㓝ⲉㄯ㈶⽇㈷㋑㉼㉷㈴⻼㒳㔄㓝㋐ㆊⲉ⸫⻯ケⰿ㉼㉷㈴⻼㒳㔄㓝Ⳝ⸧㓟

1.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거나 토론할 수 있습니까? ⷭ㇗⼲⹛ㆮÎ⾘㈷㇋ㆮ⻃Ï⻃ⷖ⽇㈷㓠⹷⸧㋑㉼㉷㈴⻼⽹⻷㈷㓝Ⳝ ⷭⷖÎ⾘㈷㇋ㆮ㊺Ï


ⵠÎ⾘㈷㇋ㆮ㊳⻏"Ï㇫ⱌ㉈〖㐋㈷㓝ⱡⵠ゙ⷿ⿐㉃ィⰾ㈷⾙ⷖ㒳㔄⿐⿧㈷ろ㈉㓟ⷭ
2. 동의를 나타내는 표현과 반대를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ⳑ⻝⽵ろ⻇⹛㈶ㇴⰿ㉼㉷㈴⻼㒳㔄㓝ⷖⱩ㉋⳨" 㐽゙ⷿ⿐Ⲗ㉃ⲘⲄ⼲〖⹗⻢Ɒ㓝ⲉ⾘
㊀ⵠⱁ⹠㈷㓕㓝Ⳝ㈣㓦ケ⸫⻯⽇㓟ⷭ㉈⻝㓟ⰿ㉼㒳㔄⿐⿧㈶㉖Ⳝ ⷭⵠ㉈ⰽ⽅ⱡⵠ㎗
1 교사는 단원의 목표를 상기시키면서 그 목표를 잘 이루었는 㓝㋐ㆊ㈶ろ㉈ㆿケ⽅㉈ろ㈉㓝ⷖ⸗㋑㉼㉷㉊㒳㔄 ⷭ〖⹗⻢ⲉⲔベ㓟ⷔⵜ㈷㊰⽳゙ⷿ⿐
㉃㍒⽵㈷㈫㋐ㄥ㏅㊰ⷖ㇈㓠㈷㓟ⷭ
지 확인해 보게 한다.
㐶⻾㈷㓠⹷⸧ⰿ㉼㉷㉊㒳㔄㉃ろ㈉㈶゙ⷿ㉃㉃ⱻ㈷㊒㊹㓝⽳㐶⻾㈷㋒㓮㓝ⲉ㉒㈹㈷
• 이번 단원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정리해 준다. ㇇㊰ⷖ⸗㊹㈂㓟㇈㓠㈷㓟ⷭ㋉ⷭ⼱ろ⻇㉃㉃ⱻㆿ⸱㉃㓝Ⳝ㕧⹛⹷ⵠ゙ⷿ⿐㉃㉃ⱻⲖ
゙⿇⸹ⷖ㉃ⱻ㈷ⰽ㋐ⲉ㉒㈷⹷⸧Îгг㉃⽇ㆿ⸧㉋⼺ⰽ㉒ⷭÏⱡⵠÎгг㉃⽇ㆿ〖〘㉷㈴⻼
⸱㉃㓟ⷭÏ㇫ⱌ㈶㒳㔄㈷㓟㔰㉖ㄧ㉃ⱻ㓦⼲⿊㕣ⷖⱩ㉈㐶⻾㇗㉹㈷ⱊ㍵ⲉ゙ⷿ⿐㈷㊒㊹
예 이번 단원에서는 우리 주변의 문제에 대해 근거를 바탕으로 의견
㓝ⷖ⿐⿧㉈ⷭ
을 제시하고 토론하거나 주장하는 글을 쓰는 활동을 했습니다. 또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의 토론 대화도 들었고, 주관이 분
명하게 드러난 듣기 자료와 읽기 자료도 이해하는 활동을 했어요.
ùù㉃⽇ㆿ⸧㉋⼺ⰽ
㉒ㆮ㈂ⳑ⻝ⵠÄÄ
•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여 그 목표를 잘 이루
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ㆈ⸹ⷖブ⼺⼲
㓝ⲉ㉒ㆮ

예 여러분은 이제 자신의 의견을 군거와 함께 분명하게 밝힐 수 있어


요?
또 예의를 지키며 토론에 필요한 표현을 다양하게 활용해 토론에
참여할 수 있어요?

2 교재에 있는 ‘자기 평가’를 이용해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했는 142 한국어 6-2

지 다 같이 확인해 본다.
• 학생들이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잘 대답할 수 있는지 스스
로 생각해 보도록 하여 ‘○, △, ×’에 표시해 보도록 한다.
1 한국 사람들이 자기 의사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편인지 그
• 교사는 부족한 부분이 있는 학생들에게 복습을 할 것을 렇게 하지 못하는 편인지 생각해 보게 한다. 그리고 왜 그렇
권한다. 게 생각하는지 묻는다.

3 교사는 학생들을 격려해 주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2 한국 사람들은 하고자 하는 말을 간접적으로 돌려 표현하는


경우가 많음을 설명하고 교재의 자료를 함께 읽어 본다.
• 교재를 읽은 후 한국인들이 왜 간접적인 표현을 하는지
확인한다.
• 이에 추가하여 한국 사람들이 윗사람에게 명령이나 청
유를 직접적으로 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을 설명한다. 예
를 들어 ‘이쪽으로 오십시오.’보다 ‘이쪽으로 오시지요.’나
‘이쪽으로 오시겠어요?’를 선호하는 것이 그 예이다.
3 한국인의 토론 문화에 대해 다시 한 번 확인하고 현지의 문화
와 비교해 보도록 한다.

134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4 2015-12-11 오후 7:39:33


┃모음(母音, Vowels)┃
복습 3

학습 목표
11과~14과에서 배운 대중매체, 언어의 특징, 토론 관련 표현을 확인할 수 있다.
11과~14과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문법
• 동·형 -대요/냬요/래요/쟤요 • 동·형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
• 동·형 -냐 하면 • 동·형 -답니다
• 동·형 -다고 하더라도 • 동·형 -는데도 불구하고

2. 어휘
• 대중매체 관련 표현
• 언어의 특징 관련 표현
• 토론 관련 표현

3. 과제
• 소설 ‘옥상의 민들레꽃’ 읽기
• 텔레비전 시청과 관련된 뉴스 듣기와 쓰기
• 소설, 대중매체, 한국어, 토론을 주제로 한 말하기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어휘 및 문법 항목
도입 • 배운 어휘와 문법 항목 확인 및 정리하기 10분
확인하기
어휘 어휘 확인하기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 고르기 10분
문법 문법 확인하기 • 알맞은 문법을 골라 문장 완성하기 15분
맞춤법 맞춤법 확인하기 • 맞춤법에 맞는 표기 고르기 15분
읽기 읽고 이해하기 • 내용을 읽고 질문에 답하기 30분
듣기 듣고 이해하기 • 내용을 듣고 질문에 답하기 • 시디(CD) 20분
쓰기 요약하기 • 들은 내용을 요약하기 • 시디(CD) 15분
말하기 대화하기 • 주제에 대해 친구들과 대화하기 15분

제15과 복습 3 135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5 2015-12-11 오후 7:39:34


┃1교시┃

•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 푸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도입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2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개요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정답을 모두 맞힌 후 다시 한 번 교사를 따라 읽어 보게
1. 11~14과에서 배운 어휘 범주 확인하기
한다.
2. 11~14과에서 배운 문법 항목 확인하기
⇨ 정답:
1) 얻다 2) 소통하다
3) 달다 4) 비슷하다
15과 5) 다르다 6) 대다
복습 3 7) 동의하다 8) 있다

어휘

대중매체의 종류 대중매체의 효용
대중매체의 기능과 특징 대중매체 사용의 폐해
언어의 단위
품사와 문법
언어의 특징
한국어의 특징
문장의 종류
문법
동의 반대

개요
문법

동Ã형 대요/냬요/래요/쟤요 동Ã형 댔어요/넀어요/랬어요/쟀어요 동Ã형 냐 하면 1. 문법의 의미를 파악하여 문장 완성하기


동Ã형 답니다 동Ã형 다고 하더라도 동Ã형 는데도 불구하고

2. 정답 확인하기

1 학생들에게 11~14과에서 배운 어휘 중 기억나는 어휘를 이


야기해 보도록 한다.

ㆺ㕎
」ㄮ

2 학생들에게 11~14과에서 배운 문법 중 기억나는 문법을 이


야기해 보도록 한다.  ㆖⽙㉁⾣⿲㉂Ⲙ⻎⾣㉬㉂ㇸド㓱》ㄷ㄰㇩

⸐㈓ඁ㈓⻠㈓㊄㈓  ⸗ㆿ㈓ඕㆿ㈓⻧ㆿ㈓㉻ㆿ㈓
ⶋ㓮⾆  ⸉ⷴⷾ
ⷾⲚ㓮⸚⻔⸸  ⷧ⸨⸸〫ⳃ㓮Ⲛ

 ㄧ⾘㈷ ⷣ⳨㈂㋌ⷿ㓞ィ⹛㈶⸨ケ ⷭ㉊㐟ⶓ㈷⸉⽅㉈ ኃணྦ  㓝ⷭ

어휘  ㌱ゾ㓝ⷖ〘⹛㉈㓟⹀〘
ㆸㄢⷣⷭ ㉒ⷭ
㉶ⷖⳑ㉃ⱻ㈷⸧㉶㕣⿈ㆆ⹛㉋ヺⰽ

 ㆮ㊀㉊㐟ⶓㆿケ》ⷖ⸗㉊Ⳝ㈡㑉㉈⹗⻃⽂⻼⽄⹛ㆮ㊈ケろ⻇⹛㉃Ⲙㄫ㈷
개요  ⵐⷭ

 㓟ⲳㆮⷖ⽼⹙⾘㉡㉃ㆮー㉈  ⸱㉋㓝ⷭ
1.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여 어휘 완성하기
 㓟 ⲳㆮ㉃㑟㋙㊹㓝ⵠⰽ ㊐ろ㇫ㆮ⾶ⰽ㉒ⷭⷖⱩ㉐ⷣⷭ
⾕ㆹ㉈ⷭ 
2. 정답 확인하기
 サィⷨⴊケ㈊⼺⸧㋐ⳗ〖㐟サ㓑ⷲⳜ㈌⸱ㆿ  ⸱㌴㓝ⷭ

 ⿇ⷿ㇇⻾㉈ ㉾〖ⷖⳑ㉾㌻㈷㍵㋒㓭ⷭ ⹛ⵒⷭ


ⷸ㉄う㎬㇊⹦ㆹⱌ㆖⽙㉁ⷻㆹ⼽Ⲕ⼺ㄷ㄰㇩
 ㆮ㊀㎗Ⲳⰽ616ㆿ㉖Ⳝろ㋒㈷㇡⼺㋐  ⽇ⷭ
 ㉾ ⼲  ⵐⷭ ㆲⷭ

 ろ⻇⹛Ⲗ  ブ㐽㓝ⷭ ㇡⼺ⷭ

 ⸅ⳕ㈷  ⷲⷭ ⶽ⼺ⷭ

 ㆯㆧ㉈  い⼯ⷭ 〹ㄣ㓝ⷭ


1 학생들에게 교재의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ㆮ㊑㉈  ⷭ⼯ⷭ ⿉ⷲ㓝ⷭ

 ⳓⱡ⼲  ㌱ゾ㓝ⷭ ⷿⷭ


• 10분 정도 시간을 주고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ⱻㆿ  ⸱㉃㓝ⷭ 㑢⼺ⷭ
•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 푸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㉋⼺ⰽ  ㉒ⷭ ㏻ⷭ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2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1 학생들에게 교재의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 학생들이 형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교사는 칠판
• 5분 정도 시간을 주고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에 정답을 판서한다.

136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6 2015-12-11 오후 7:39:34


┃1교시┃

1 올바른 표기대로 쓰기 연습을 하게 한다.


⇨ 정답:
• 맞춤법, 띄어쓰기에 주의하여 쓰도록 한다.
1) 한대요 • 교사는 학생들이 쓰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지도
2) 있다고 하더라도 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3) 끌고 있대요
4) 동일하답니다
⇨ 정답:
5) 무엇이냐 하면
6) 하래요 1) 영 향 을
7) 높은데도 불구하고
2) 폭 력 적 인
8) 말랬어요
3) 비 판 력 을
4) 굳 이
5) 생 략

맞춤법 6) 동 의

개요

1. 한국어 맞춤법에 맞는 표기 고르기

2. 정답 확인하기 읽기
개요
 ⷸ㉄㉂㉦⹥Ⲕ⿎⼺ⱻㅿⱴ㉂Ⲕ⼺ㄷ㄰㇩ 38

 ㉈ブ⾘㉈㒋㋐⽵㊀㉋⽡㉶ ㇓㓰㈷㇓ㆧ㈷ ⿈ⷖⱣ㈊⼺ㆆ㑴㑞ⱆ㉈ㆿ㈂

 ㍑ブ⶘⹛㉈ⷿ㊹⽑㍒⻼㉊㓦 㒨⻰㉷㉊㒮⶗㉷㉊ Ⱪ⹛ㆿ⽅㉈ⶡ㍸⸹ⲉ㉒ㄢⷣⷭ


1. 읽고 내용 이해하기
  〹㑷⻰㈷〹㑷⶗㈷ 㐂㈊Ⳝ㈣㓦ケⷖㄧ⾘㈷⽅㉈㉌ㆮ㆟㓣ⷣⷭ

 ㉊㐟ⶓ㈷㐽㓦 ⲵ㉈Ⲳ㋐ ⽑㉡㈷㌹ㆆⰽ㋐ㆊⲉ⸧㓘㈂㓟⾚Ᵽ㈷をヺ㉒ㄢⷣⷭ

 㓟ⲳㆮㆿケⷖ⽇㓠⹷㊰ㆮⵠ⽽㉷ㆮ⼲ ィ⻙ィ⵻ 㓝Ⳝ⸧㓣ⷣⷭ ㆺ


ㆺ㕎
」ㄮ

 ㉶⸧ⲭㄩㆿ&&79⼲シ㎕㓦㆟㓟ⷭⷖ㉃ⱻㆿ ⸱㉃⸱㉈ 㓣ⷣⷭ


 ⷸ㉄㉂㉗Ⲕ㋟⾣㇊⸃㓨ㄷ㄰㇩

ㆿ⿱㉙⵶ ㆗㎬㉙ ⹉ㄳⷴⷾ ㆗㎬オ㇐ヂ ⷎ⵱ⱎ ⽲㊇ テ⾫ⲧ ⴲ㉈ ㆗さ ㆦ㇐ ⶂⶼㆣㄳⷴⷾ

1 학생들에게 교재의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さⷧ ⷎ⵱㇐ⲁ まま㓮Ⲛ テ⾫㉈ ⵡ⻵ㄳⷴⷾ ⶟㐛㉙㓨㉙ ⵱㈃ㄳⷴⷾ ㆗さⷧ ㉡㉙ Ⳙ⳹㋡ ⱎ
⸏ⲁ㐌ⲁ㈣㉅ㄶ⾆ヂⳢ㉧⽋㇐ヂ⶟㐛㉙㓨㉈⶟㐛㉙㇐ⴱⲚⴲ㉇ㆸ〒⳵㇐⸃ㆣㄳⷴⷾ ㋊⻪
ⷾ㉊㇒ 㔛㉙ ⴲⲧ テ⾫㉈ ㇇⽓㓰㐺 ⹨⼇ㄳⷴⷾ ㇇⽓ⱎ 㔛㓰㐺 まま㓮Ⲛ テ⾫㉈ ⵡ⻵ㄳⷴⷾ
• 5분 정도 시간을 주고 문제를 풀어보게 한다. ㇯キ㍂⻖㓰 ぃ⼍㎦ⱎ ⵱㈃ㄳⷴⷾ ㇇⽓ⷧ ⴎ㆘ ョ⽋⽃ ⶂ⾆ヂ ㊬㆗㓮ㄶ⸚ⷴ ぃ⼍㎦⽃ ⸌㉲

•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 푸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う⻔㈛ㄭ㇐⸃Ⲛⴲ㉇⸁㎆ⳃ⽸㇐⵩㈛メㄳⷴⷾ


ⷾ㉊㉇ⶂⴲ㉈⹨⽎㍀⼉㉡ⷴⷾⳢ⻮⵱㔛ⲧⷎ⵱ⷧⶂ㍀⼉ⷧ㋁㋡⸸㆛Ⲛㆿ⿱㉙⵶ⶲ⻠⽃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〧⽀Ⳮㄶ㉨㓾ㄳⷴⷾ ㋊⻪
㔛ⲧⷎ⵱㉔ⶲ⻠⽃⹬㉅⾄〧ⵝ⻮㈥㓮Ⲛ㊬㆗㓮ㄶⷧ㇇⽓㆗さⱎ㆗⾦㌒⼎㇯⻠㇯⻠㆗⽄⸉Ⲛ
㊋Ⳮ⽃ ⽓㉊ヨ㉅⼍〧㐰 ⿔⻛ㄳⷴⷾ Ⳣ⻰ ⽓㉊ヨ㉔ ⿔⻘㉈ ㊉㓮ⷧ ⽓㉊㉅⼍ ㊌㉪Ⲛ ㊡㈚㕴 ⶂ
2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ⴲ㉈㇇⽓ㇼ㆗さゞ㉙㇐ⶼㆣㄳⷴⷾⴲ㉈⹑ヰ㉙㋃お㓱ⱶ㓮Ⲛ㕁㔵⸸㓾ㄳⷴⷾ⽕ㆿⷥ〩㉙
ⱎ㊙⸸オⲩ㇉ⷾⲚゴⱏ㓾ㄳⷴⷾ⹑〩㉙㓳ⴛㆃⷧ⾫ⱴ㉙㓰⹑ⱎ㋡ⱎ㆗ⷴⳭ⺈⾩㉡ⷴⷾ⹑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〩ⴛ ⴲ㉈ ⹨⽋Ⲛ ⵱㉧ ⵱ⷧ もⶂⲚ ㅀ㉇ ⽓㉊】ⷾⷧ 〧ⵝ⻮㈝ ⽓㉊㉙ ⸚㓷ヂ ⲚⱠ⽃ ㄌ㉙Ⲛ
㆗㎬⸸⽱ⷧ⹘⽓ⷧ⹘㓾ㄳⷴⷾ ㋊⻪
• 학생들이 형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교사는 칠판 Ⳣ⺈ ㇇⽓ⷧ Ⱳㄺ㇐ヂ ㊉㔪⽃ ⱶⲚ ㉣㇋ㄳⷴⷾ ㇯⻠ⱐ⽕㇐ ョㄷ㉈ ㆜ⲁ ⹋ ㎨ⳃ⼍〧㐰

에 정답을 판서한다. 38
ㇱ ㊉㔪㉛ⱎ 〗ⷴⷾ ㆗㉙ⷧ ⾋㉙⵱ ⹊⵱ ㎨ⳃⱎ ⾫ㆿ 〔 ⾍ㆸ㉡ⷴⷾ ㇇⽓ⷧ 㓰ㄐ㉈ ㄟ⾆ヂ
⸐⸉㓾ㄳⷴⷾ
Ô⳦ㅝ プ㉙⻖ⷾ ㍉㓦㓷 ㋂ⲇ㋡ ⾴ⷴ ㈛⽋ ⹂㍉㉙⵱ ㈛⽋ ㆗㒅㑯㇐ ゞⷧ ゞ⻘⹬㉈ ㆗⾦⽋
ィ㒭〚⸸㓮⵱㆗ⷴ⾆⹔㉙㋡プ㆐ⶁ㉇ゞ⻘㉇㓮⵱⸸㇉⸚ⳃ⵱㍉㓦㓷ⲚⱠ⽃⹬Ⲛⷾⷷㄋⱎ

⇨ 정답: ㇉⸁ⷾㆿ㌅ⷾⳅ⸚⸚Ⳮ⼍⽔ⶂ⽃㓮⵱⸚ⶁ㆗ⱎ㋡Ⲛ㉙Ⲛゴ㉛㋡⽔ⶂ⽕㆗ⷴ⾆ⶂⱎ㋡⳨㌴
㇄⽓⵱㔣ⱎ〩㓮ⲇⷴ"⽔ⶂ⽕㆗ⷴ⾆ⶂⱎ⵹〧⻮㈞ⲁ⾴ⱎ㉣ⷴ"Õ ㋊⻪

1) 영향을 2) 폭력적인 ㇇⽓ⷧⷨ⵱⽃⽔ⶂ㈛⽋Ⳙ㇘㈝⽔ⶂ㓮⾆ヂ⵩Ⲛ⸼ㆣⳭ⺈⾩㇐⵱ⷧ㓰⿳⸸㇇⽓ⱎ⵱⽃


ゞ⻜㓰ⷾⷧ ⱶ ㉔ㄼ㓷 〔 ㊈㉙ ㇉㇋ㄳⷴⷾ Ⳣ⻮⵱ ㇇⽓㉔ ゞ⻜㉇ Ⱳ㋩㉙㇋ㄳⷴⷾ ⵱ⷧ ㇇⽓⽃
3) 비판력을 4) 굳이 ㋣㋮⼍ゞ⻜㓾ⷧ⸨㇇⽓ⷧ⵱⽃Ⱳ㋩㉅⼍ゞ⻜㓾⸝ⱺ㉡ⷴⷾ

5) 생략 6) 동의
 ブシプㆿ⹠㉡㓝ⷖⷭ㈹ろ⾚⹛㈶⾕ㆹ㈷゙㋙㓣ⷣ⳨"


 ⿭㉎㊉⸃㉂㔥㉕㓱》Ⲕ㆑⻚㉎う㎬㇊ㅽ⳧㇕ㄭ㉂㓱】㄰ⷸ

 ཷ ኔ ࿛



1 글의 종류와 주제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해 본다.




 2 학생들에게 10분 정도의 시간을 주어 각자 읽고 문제를 풀도



록 한다.
• 글을 읽으면서 문제와 관련된 내용에 밑줄을 긋게 할 수

있다.

제15과 복습 3 137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7 2015-12-11 오후 7:39:36


3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 교사는 학생들이 쓰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적으로 지도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5 듣기 지문을 함께 읽을 수 있다.
⇨ 정답: • 듣기 지문을 보면서 내용을 확인한다.
1) 물질 만능주의, 마음 • 시디를 들으면서 한 문장씩 따라 읽게 하거나 교사 혹은
2) ❶ × , ❷ × , ❸ ○ 친구들과 나누어 읽게 한다.

4 글의 세부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 볼 수 있다.


• 세부 내용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을 한다.

예 • 어버이날 주인공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말하기


• 엄마의 통화를 들었을 때 주인공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개요

1. 주어진 주제에 대해 대화 나누기

듣기  ⷸ㉄⸊㔤㊻㊋㇊⸊㓱㎢ⲽ⹦ⲡ㉡㈶⼌ⱻ㉓ㆪ⳧⼽㓱】㄰ⷸ

보기
가: ‘옥상의 민들레꽃’을 읽고 어떤 생각을 했어?
나: 나는 ‘옥상의 민들레꽃’을 읽고 역시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성공이나 돈이 아니라 사
람과 사람 간의 사랑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았어. 그런데 요즘은 어떤 일이든지
개요 물질적으로 해결하려고 하고 그것이 가장 중요한 가치가 된 것 같아 안타까워.
다: 맞아. 예전보다 더 풍족해지고 살기 좋아졌지만 사람들의 마음은 더 가난해지고 있
는 것 같아.

1. 듣고 내용 이해하기
Í㇪イ㉎⿃⹦⻲⴬Î㉂㉗Ⲕ⷟ⵥ㊆ ⱈ㉬⳧ㆺ㇊⵳ⷡメヂ

 ⷸ㉄㉂㉦⹥Ⲕ㋟⾣㇊⸃㓨ㄷ㄰㇩
39

 ⹛㈶⵱㈉㈷⽪⽼㓟㔰㎗Ⲳ㇫〹ⲭ㓦〆ㄥⷭ
㎢ⲽ㇊ⱻ㎀㍖㓨Ⲕㄺ㉁㇞㔤⺢ⷡ
㉕㐪⶞㉎ⱬ㋣㊉》
㐷⻲い㊃㓚⼇Ⳝ⻞

㓪Ⲿㆹ⼽⿝㈕⾀ゼ
ⱈ㉬㉮⿁㉝㇅⸗㓪Ⲿㆹ㒾㔏
ⱈ㉬ㆹ⻺㈥⸗㊆

 ⵱㈉Ⲗⱌ㈴⽵ ⷭ⼯⽵ 㓝ㄬㄥ㇞


㉕⼲㉎⿔㊃㉂㈮㓱⸼⾥ㄴ㔁㉂ ㏜⻎⵫㒋ㄧ㑩㓃⹢⹫ⲡⱗ㉁
 ǫㄥⰿ⵬〹⻃ⷖ㉊ㄦ㈴⻼㉊㓦㐬⻧〹㉸ろ㈉㉈㊳ㆮ⹛ⲉ㉒ⷭ ( )
ㄴ㄰㓨ⷡⱴ ㉄ㄱ㇊い⽏ニ⼽〬㉓ⷡⱴ
 Ǭ⹗⻃⽂ㄥ㍑㈶ⷭ⼱ろ⻇㉃ⱄ㉾㈷㑴ㆇ㓝ⷖⱩㆿ⸧㈐㉈⸺ⷭ ( )

 ǭ⹗⻃⽂ⷖ⹠㉡㉊⾚㉃ⱄ㉾㉈ⳑⷿ⻼ⵠ㐊ⵠㄥ㍑㉖㉃㌸㉃㉷㉊㓦ゲ㈷⽃ⷖⷭ ( )

 ⾕ㄞ⵱㈉㉊㋐㈂ㆠ㓦ケㅲⲉ⿉㒳㓦〆ㄥⷭ
1 <보기>의 대화를 함께 읽어 본다.

2 2~3명씩 모둠을 만들어 준다.

3 대화하기 활동을 진행한다.


1 CD를 들려주고 들은 내용을 메모하도록 한다. • 수업 시간에 따라 주어진 주제 중 몇 개를 선택하여 활동
할 수 있다.
• 들으면서 자유롭게 메모하도록 한다.
• 교사는 학생들이 활동하는 동안 돌아다니며 도움이 필요
• 메모한 것을 친구와 비교하면서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한 학생에게 도움을 준다.
수 있도록 한다.
• 발화의 기회가 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다시 한 번 들려주고 문제를 풀도록 한다. 4 친구와 나눈 대화를 발표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3 학생들과 정답을 확인한다.
• 한 명씩 정답을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정답:
❶× ❷○ ❸×

4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 쓰기를 한다.


• 필요하면 한 번 더 들려준다.
• 5분 정도 시간을 주고 들은 내용을 요약해서 쓸 수 있도
록 한다.

138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8 2015-12-11 오후 7:39:38


┃모음(母音, Vowels)┃
종합 과제

학습 목표
6-2권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단원 내용

1. 과제
• 발표 주제 정하기
• 발표할 내용에 대한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 발표할 내용 PPT 만들기
• 발표 리허설하기
• 주제 발표하기
• 발표 평가하기

수업 개요
구분 내용 교육 활동 준비물 소요 시간
• 주제 발표가 무엇인지 소개하기
과제 소개하기 주제 발표 15분
• 이번 학기에 공부한 내용과 관련 있는 주제 찾기
• 발표할 팀과 주제 정하기
발표 준비하기 15분
과제 준비하기 • 발표할 내용에 대해 생각해보기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 발표할 내용에 대한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20분
• 리허설을 통해 발표 점검하고 보완하기
발표하기 리허설하고 발표하기 40분
• 발표하기
• 평가 항목 선정하기
과제 평가하기 발표 내용 평가하기 10분
• 평가표 만들기

제16과 종합 과제 139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39 2015-12-11 오후 7:39:39


┃1교시┃

과제 소개하기

ㆺ㕎
Ⲣ㊌㊾ぅ㓩⳨

개요
주제 발표의 내용에 대해 준비해 봅시다.

 ⿔㒾㓫㑻⿔㒾㓫㊻㊋⼽㊉㓱】㄰ⷸ
1. 주제 발표 소개하기

2. 이번 학기에 공부한 내용과 관련 있는 주제 찾기

 ⿔㒾㓫⵼㈔㇊⸊㓱ギⱉ㓱】㄰ⷸ

16과
종합 과제

 ⿔㒾㓫⵼㈔㇊⸊㓪ⱊⷻ㓪㇕ⲽⲏ㔰ゼ⼽㉢ド㓱】㄰ⷸ


ㆺ㕎
Ⲣ㊌モⱛ㓩⳨
㋁㊑ョⱠ
㋁㊑⿚㓄ⲕ㔶ヂ
㋁㊑テ㐦㉙㈼
‘주제 발표’가 무엇인지 함께 알아봅시다. ㋁㊑㇛ⳃ⿡⿸
㋁㊑
ト⾩㊡ゞㄺ㔇㔕㉲㊡ゞ㉧⼠㇛ⳃ⹱
 Í㊻㊋⿔㒾Îⱈ⾠㇄㉛ⷮⳳ"
 ㇛ⳃⶂ㈚⿒Ⲏⲧ
⾎㍀
㋁㊑⿚㓄ⷧ㉧ㄸ㉙ⲩㄼ㉙㉣ⷧ㓰ⱎ㋡㋁㊑㇐⸐㓷㉧⼠⽃⾍㉅Ⲛ㊏⽋㓮㇘⿚㓄㓮ⷧ
⿚㓄㉧ Ⲏ⼏
ⱺ㉡ⷴⷾ⿚㓄ⷧ㉛㋁㊑⼍㋣㓿㓱ㄋ⸸㉣Ⲛa⾊㉙㓰㒁㉙⹊ㆿⳢ⼫⿚㓄⽃㓱ㄋ⸸ ㆜ⲁ⹋㊌⸚㆜Ⲛㅀ㉇㊌⺨ⷧⷥ⵫㊌
㊑㎉㉜
㉣ㄳⷴⷾ ㍅Ⲛ⾩㔄


1 발표할 팀과 주제를 정하도록 한다.
• 발표할 팀을 정하고 발표 주제를 함께 선정하도록 한다.
• 발표할 내용을 함께 생각해보고 메모해 보도록 한다.
 ㆹ⺍㊻㊋㇊⸊㓱⿔㒾㓫ⳳ㈍"㉓⿭㓩⳧㇊ⲟ〡㓪㊻㊋ㇶⲣ⻼㉝ⷡ⵼㈔㋄㇊㉡㈶⼌ⱻダ㐠㓨 • 표를 참고하여 발표할 내용에 대한 간단한 연구계획서를
ㄷ㄰㇩
작성해 보도록 한다.
Ā㇙ゞ㊈ゞⱴ㈴⸐㓰㉛⾫ョⱠ Āⲩㄼ㉙㉣ⷧパⲕ⵱⻔ョⱠ • 교사는 학생들이 메모를 작성하는 동안 돌아다니며 개인
Ā㍽ㄸパⲕ⷟ㄭョⱠ Ā㋁㈴㉔㔬ⲓ⾩㊑ㇼ㓷Ⲏ⿡⿸

Ā㈴⸐㓰⿚⾊㓏ョⱠ Ā⿇⻠ゞ㔵㇐⸐㓰㆗㉙⹳ㆿ
적으로 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도한다.
Āゴ㔭ヨⲧ㓯オㄷョⱠ ĀョⱠ㓮Ⲛㅀ㉇⸐㋊⽢㍣⺨ⷧ㓠⼍Ⳣ⻤

Ā㉴⿇㉣ⷧ㇁ㆿ㓄㔕 Ā

Ⲣ㊌㊾ぅ㓩⳨

1 학생들과 함께 주제 발표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본다.


주제 발표의 방법에 대해 준비해 봅시다.
• 주제 발표를 해 본 적이 있는지 질문한다.
 ⿔㒾⵼㈔㉂㔶ⲡ㊂㈿⼇㊃ⷽ㓫ㄅ㉝⸲⼈㆑⻚㉎㒾⼽㌿Ⲕ㓨㇒㊉⽅㓱】㄰ⷸ
• 관련 사진을 보며 이야기해 본다.
 ㄋ㋨
2 학생들과 함께 발표 주제를 생각해 본다. Ѯ ㍠㋹

• 이번 학기에 공부한 주제와 관련 있는 내용 중에 관심 있 Ѳ ⹔㋹

ѱ プ㋹
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 이번 학기에 공부한 주제와 관련 있는 내용 중에 자유롭
 ㍀㉙㊌ⲥ㑎㊌
게 주제를 선택하도록 한다.

 Ⲏⲧ㈧㉛

Ⲏⲧ ㈧㉛

과제 준비하기 ㈧㉛

㈧㉛ ㈧㉛
㈧㉛

㈧㉛
ࢣ Ⲏⲧ

개요
 ㄶⱐ㊈ㄍヂⲧ㊏

ࢣ ࢣ ࢣ
1. 발표할 내용에 대한 연구계획서 작성하기

2. 발표할 내용 PPT 만들기

140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40 2015-12-11 오후 7:39:39


┃1교시┃

2 주제 발표의 방법에 대해 준비하도록 한다. 1 발표 전에 리허설을 해 보게 한다.


• 표를 참고하여 발표 방법을 정하고 내용을 효과적으로 정 • 발표문과 발표 자료가 잘 준비되어 있는지, 발표 시간이
리하도록 한다. 적당한지 함께 점검해 보도록 한다.
• 발표 내용이 잘 전달되는지, 발음이 정확한지 함께 점검해
보도록 한다.


ㆺ㕎
Ⲣ㊌㊾ぅ㓩⳨ 2 리허설 점검 사항을 중심으로 발표 내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㒾⵼㈔㉂337⼇⽏⹦ㆹ】㄰ⷸ • 학생이 모둠 활동을 하는 동안 돌아다니며 도움이 필요한
모둠을 지도한다.
• 모둠 활동이 끝나고 난후 발표문을 보완하도록 한다.


3 주제 발표를 실시한다.
• 준비한 내용을 바탕으로 팀별로 주제 발표를 실시하도록
한다.


과제 평가하기


개요

1. 평가 항목 선정하기

2. 평가표 만들기

3 발표 내용을 PPT로 만들어 보도록 한다. ㆺ


ㆺ㕎
Ⲣ㊌㒮ⱉ㓩⳨

• 발표 내용 가운데 중요한 내용을 선정해 PPT를 만들어


친구의 발표를 들으면서 발표 내용을 평가해 봅시다.
보도록 한다.
 ㆹ⺍㓰⾈㉂㒭ⱈ㓫ⱴ㉕㋛ギⱉ㓱】㄰ⷸ

과제 발표하기
개요  㒭ⱈ㒾⼽⽏⹦ㆹ】㄰ⷸ

㒁 ㋁㊑
1. 발표 리허설하기

2. 발표하기 ⹱⳩
㓶⾎ おⲚ
オ ㋊ 㓮

㋁㊑

ⶂ㈚
Ⲣ㊌⿕㒿㓩⳨
ⳃ㊡

⿚㓄㉧⼠
본 발표 전에 발표 리허설을 해 봅시다.
㊉⸃⼁

 ⷸ㉄゘㓰㉓㉦㊽い⹄ㆹ㉝ⷡ㋛㊆Ⱳ㓱】㄰ⷸ ⿚㓄㐥⸸

ⲩⱡ㔠㉍
Ā⿚㓄⾩⿚㓄㉧⼠

Ā⿚㓄ㄶⱐ

Ā㊉⸃⼁

 ⽅㓼ヂ㊆Ⱳ゘㓰㉂㋄ㄶ㈿⼇⿔㒾⼽》ㇸ㓱】㄰ⷸ 1 평가 항목을 선정한다.


• 좋은 발표는 어떤 발표인지 함께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 어떤 항목을 평가할 것인지 생각해 보고 메모하도록 한다.

준비한 내용을 바탕으로 발표를 해 봅시다.


2 다른 친구의 발표 내용을 평가해 보도록 한다.
• 평가표를 바탕으로 친구들의 발표를 평가해 보도록 한다.

제16과 종합 과제 141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41 2015-12-11 오후 7:39:40


부록(문법과 표현)

1과_ 손으로, 숟가락으로, 포크로 6과_ 생각의 차이 하나로

• 와/과 비교하면 • 덕분에


어떤 두 대상을 비교하며 설명할 때 쓰인다. 명사에 붙어 사용 어떤 대상이 긍정적인 내용에 기여했다는 것을 표현할 때 쓰인
하며 명사가 자음으로 끝나면 ‘과 비교하면’을 명사가 모음으 다. 덕분에 앞에는 명사가 온다.
로 끝나면 ‘와 비교하면’을 사용한다.
• -는 데에
• 와/과는 대조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경우에’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동사의 현재형
어떤 사실이 비교하는 것과 다름을 표현할 때 쓰인다. 명사에 뒤에 결합된다.
붙어 사용하며 명사가 자음으로 끝나면 ‘과는 대조적으로’를
명사가 모음으로 끝나면 ‘와는 대조적으로’를 사용한다.
7과_ 미래의 재산, 환경

2과_ 지금도 세계는 꿈틀꿈틀 • -(으)면서부터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부터’라는 의미로 말할 때 쓰인다. ‘-(으)
• -(으)ㄴ지/ㄹ지 면서부터’의 앞에는 동사가 온다. 받침이 있는 동사는 ‘-으면서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 부터’, 받침이 없는 동사는 ‘-면서부터’가 결합된다.
련시키는 데 쓰인다. 동사, 형용사, 명사와 결합하여 사용하며
앞 문장의 시제에 따라 결합 형태가 달라진다. • 같은
현재형: 동사+-는지, 형용사+-(으)ㄴ지, 명사+(이)ㄴ지 열거한 명사들을 범주화하여 말할 때 쓰인다. 명사와 명사 사
과거형: 동사, 형용사+-았/었는지, 명사+이었는지/였는지 이에 사용한다.
미래, 추측형: 동사+-(으)ㄹ지, 형용사 + -(으)ㄹ지, 명사 +(이)
ㄹ지
8과_ 타임머신을 타고
• 의 영향으로
• -아/어 가다
앞 명사의 효과나 작용이 뒤의 상황에 영향을 주었음을 말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그렇게 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때 쓰인다. 명사에 붙어 사용한다.
때 쓰인다. 동사에 결합되는데, 동사의 어간이 모음 ‘ㅏ, ㅗ’로 끝
나면 ‘-아 가다’가 결합되고, 그 외 모음은 ‘-어 가다’가 결합된
3과_ 세상을 바꾼 그날, 그 사건 다. ‘하다’의 경우는 ‘-해 가다’가 결합된다.

• -자 • -(으)ㅁ에 따라
앞의 상황이 뒤 상황의 원인이나 동기가 됨을 말할 때 쓰인다. 앞에 나오는 내용이 뒤에 나오는 내용의 어떠한 일의 요인이
동사에 붙어 사용한다. 됨을 나타낼 때 쓰인다. 동사에 결합되는데, 받침이 있는 동사
는 ‘-음에 따라’, 받침이 없는 동사는 ‘-ㅁ에 따라’가 결합된다.
• 에 의해
앞의 명사가 뒤의 상황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나 수단, 경
로 혹은 상황이나 기준임을 나타낼 때 쓰인다. 명사에 붙어 사 9과_ 과학자, 생활의 달인
용한다.
• -았/었다가
어떤 행동을 한 직후에 다른 행동을 이어서 할 때 쓰인다. 동사
4과_내 인생의 멘토 에 결합되는데, 동사의 어간이 모음 ‘ㅏ, ㅗ’로 끝나면 ‘-았다가’
가 결합되고, 그 외 모음은 ‘-었다가’가 결합된다. ‘하다’의 경우
• -(으)ㅁ으로써 는 ‘-했다가’가 결합된다.
어떤 행위의 도구, 수단, 방법이 됨을 말할 때 쓰인다. 동사에
‘-(으)ㅁ‘을 붙여 명사형을 만들고 뒤에 조사 ‘으로써’를 붙여 • -기 때문이다
사용한다. 받침이 있는 동사에는 ‘-음’이 붙고, 받침이 없는 동 이유를 나타낼 때 쓰인다. 동사 어간에 결합된다.
사에는 ‘-ㅁ’이 붙는다.

• 이자 12과_ 다양한 정보, 풍성한 삶


어떤 대상이 두 가지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 -대요/래요/재요/냬요
쓰인다. ‘명사+이다’에 붙어 사용한다.
남의 말을 전달할 때 사용한다. 평서문을 전달할 때는 ‘-대요’
를, 명령문을 전달할 때는 ‘-래요’, 청유문을 전달할 때는 ‘-재
요’, 의문문을 전달할 때는 ‘-냬요’를 쓴다.

142 교사용 지도서_한국어 6-2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42 2015-12-11 오후 7:39:41


• -댔어요/랬어요/쟀어요/넀어요
남의 말을 전달할 때 사용한다. 그 말을 들은 시점이 과거임을
강조하는 의미가 있다. 평서문을 전달할 때는 ‘-댔어요’를, 명령
문을 전달할 때는 ‘-랬어요’, 청유문을 전달할 때는 ‘-쟀어요’,
의문문을 전달할 때는 ‘-넀어요’를 쓴다.

13과_ 같고도 다른 언어

• -냐 하면
질문을 던지는 데 사용하는 표현으로 뒤에는 반드시 답이나
설명이 나온다. 동사, 형용사, ‘명사-이다’ 뒤에 사용한다.

• -답니다
남의 말이나 사실을 전달할 때 사용한다. 평서문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14과_ 토론, 생각 나누기의 시작

• -다고 하더라도
앞에 나오는 상황이 뒤의 일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임을 나타
낸다. 동사나 형용사 뒤에는 ‘-다고 하더라도’를, ‘명사-이다’ 뒤
에는 ‘-라고 하더라도’를 사용한다.

• -는데도 불구하고
앞에 나오는 상황이 뒤의 일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나타낸
다.

부록 143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43 2015-12-11 오후 7:39:41


한국어 6-2

집필진 김중섭(경희대학교)
김정숙(고려대학교)
최은지(원광디지털대학교)
송금숙(고려대학교)

감수 황보양선(미국 워싱턴 열린문 한글학교)


서정삼(일본 후쿠오카 한글학교)
김정아(호주 새순 한글학교)

집필 보조 김민경(고려대학교)
임형옥(고려대학교)

디자인 ㈜도서출판 하우

심의 이용학(교육부 재외동포교육담당관)
이애경(교육부 재외동포교육사무관)
김창은(국립국제교육원 글로벌인재양성부장)
허윤석(국립국제교육원 재외동포팀장)
조정길(국립국제교육원 교육연구사)

발행 2015년 12월 18일

저작권자 교육부

발행인 국립국제교육원

본 교재의 저작권 및 판권은 교육부의 소유이며


허가 없이 복사 또는 전재할 수 없습니다.

범용 교재 교사용 지도서_6-2.indd 144 2015-12-11 오후 7:39:4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