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7

11주차.

읽기 수업

Lecture 1
읽기 기능
학 01
제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를
습 이해한다.

목 02
표 문자 언어의 유형/ 문자 언어의
특징을 이해한다.
학 01
습 제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내 02
용 문자 언어의 유형/ 문자 언어의 특징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Psycholinguistic guessing game
(Bottom-up(data-driven processing))
: 추측 게임(상향식 + 하향식)
Goodman(1970)의 연구
: 상향식 과정과 하향식 과정은 읽기 방법론의 초석

상향식 과정에서 따르면, 독자는 먼저 언어학적 신호(글자,


형태소, 음절, 단어, 어구, 문법적 암시, 담화 표시
장치)들을 인식해야 하고, 그것들을 언어학적으로
처리하는 장치를 통해 인식한 신호들에 순서를 부과한다.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Psycholinguistic guessing game
(Bottom-up(data-driven processing))
: 추측 게임(상향식 + 하향식)
Goodman(1970)의 연구
: 상향식 과정과 하향식 과정은 읽기 방법론의 초석

이렇게 자료에 의거하여(data-driven) 처리하는 운영


방법들은 독자로 하여금 언어 자체에 대한 정교한 지식을
요구하며, 인식한 모든 자료들로부터 독자는 이치에 맞고
논리 정연하며 무엇을 “의미하는” 신호들을 선택하게 된다.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Psycholinguistic guessing game
(Bottom-up(data-driven processing))
: 추측 게임(상향식 + 하향식)
Goodman(1970)의 연구
: 상향식 과정과 하향식 과정은 읽기 방법론의 초석
모든 읽기 과정에는 위험요소 즉, Goodman의 말로
표현하면 추측 게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우리는
하향식 또는 개념에 의거하여(conceptually driven)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서를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지성과
경험을 끌어낸다는 것이다.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Nuttall
돋보기를 가지고 있거나 어떤 현상의
상향식 과정 모든 세부적인 것들을 조사하는
현미경을 가진 과학자의 이미지와 비교

마치 아래에 있는 경치를 내려다보는


하향식 과정 독수리 눈의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고 봄

Image Source https://www.wikihow.com/


https://www.fws.gov/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이는 각각 장 독립성과 장 의존성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연구 결과, 하향식 과정과 상향식 과정의 혼합


또는 상호작용적 읽기라고 불리는 것이 거의 항상
성공적인 교수 방법에서 주요 요소가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Nuttall에 따르면 독자는 하향식
접근방식을 채택하고 이를 점검하기 위해 상향식
접근방법으로 옮긴다고 보았다.

Image Source http://jinzzabegi.com/?p=2407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Schema theory and background knowledge
: 스키마 이론과 배경 지식
• Top-down(conceptually driven)
• 스키마의 두 가지 범주

내용 스키마 형식 스키마
우리가 사람들, 세계, 대화 구조에 대하여
문화 및 우주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알고 있는 것이 포함 것으로 구성

Image Source https://wehavekids.com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내용 스키마 : 유머를 이해하는 데 필요조건이 됨

A fifteen-year-old boy got up the nerve one day to try out for the
school chorus, despite the potential ridicule from his classmates.
His audition time made him a good fifteen minutes late to the
next class. His hall permit clutched nervously in hand, he
nevertheless tried surreptitiously to slip into his seat, but his
entrance didn’t go unnoticed. “And where were you?” bellowed
the teacher. Caught off guard by the sudden attention, a red-
faced Harold replied meekly, “Oh, ur, er, somewhere between
tenor and bass, sir.”
15살 된 소년들은 합창단에서 노래하는 것에
대해 창피해할지도 모른다.
강당 출입 허가증이 있으면 학생들은
수업시간 중에 교실 밖에 있어도 된다.
10대들은 종종 학급에서 선발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다.
음역에 대한 것
15세 청소년들의 목소리는 보통 “사발 깨지는”
목소리이다.

Image Source https://www.thesun.co.uk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형식 스키마 : 몇 가지 함축적인 연관성들을 드러냄

• 합창단 오디션은 놀림감이 될만한 원인을 제공했다.
• 오디션이 수업 시간 직전에 있었다.
• 허가증을 계속해서 “꼭 움켜쥐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Harold는 선생님께 허가증을 제출하지 않았다.
• 선생님은 확실히 그가 들어오는 것을 눈치채셨다.
• 선생님의 질문은 음역에 대한 것이 아니라 장소에 대한 것이었다.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세 가지의 schema가 이용
1. linguistic schema : knowledge of the target
language code
2. content(내용) schema : one's store of
concepts and expectations based on prior
experience
3. formal(형식) schema : understanding of how
various kinds or types of discourse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Teaching Strategic reading : 전략적 읽기 지도
읽기의 전략중심수업은 학습자가 계획, 모니터링,
평가하는 초인지 전략 포함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The power of extensive reading : 확장형 읽기의 위력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확장형 읽기가 학생의 읽기 능력,
언어학적 능력, 어휘, 철자 및 쓰기 등에서 이득을
준다고 보았다.
재미로 읽는 것과 모르는 단어들을 찾아보지 않고
읽는 것 둘 다 전체적인 언어 능숙도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읽기 교수 프로그램이 확장형 독서 지도에 깊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Reading rate, fluency and automaticity
: 읽기 속도, 유창성과 자동화
Skimming, scanning, predicting, 주제 찾기 등이
유창성 관련 활동

Focus on vocabulary
어휘지식에 대한 관심 증가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The role of affect and culture : 정서와 문화의 역할
언어 자아, 자존심, 감정이입 및 동기부여 등이 구어체
담화의 습득을 강화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읽기는
정의적인 영역 내의 변이성을 필요로 한다.
문화는 문자해독 능력에 대해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보상해주는 데 있어서 활발한 역할을 수행한다.
단순히 인지 요인만이 제 2 언어로 읽는
사람들의 성공을 설명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없다.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Second language literacy : 제2언어 문자 해독력

skill-based = bottom-up strategy-based = top-down


연구원들과 교사들이 노력하는 한 가지 어려운 초점은
성인들에 대한 문자해득 능력 수준의 지도였다.
미국의 상당 수 많은 이민자들이 자신의 모국어를 읽고
쓰지 못하기 때문에 영어를 가르치는 데 특별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능 중심(상향식) 접근법과 전략 중심(하향식) 접근법
모두 성인의 문자 해독 능력 훈련에 사용될 수 있다.
1 제 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 70년대 이후
Reading
기타 이슈
연구되는 주제들
• 읽기에서의 인지의 역할
• 단어 인지에서의 자동성 역할
• 사회문화적 연습으로서의 읽기
• 스키마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기술
• 쓰기에 대한 읽기의 관계 등
2 문자 언어의 유형 READING GENRES

우리 사회에는 수백 가지 다른 유형의 글로 표현된 문서들이


있으며, 이것은 말로 표현된 문서보다 훨씬 더 다양하다.
글로 표현된 언어의 예나 장르
사실적인 것 : 보고서, 사설, 수필, 신문기사, 참고서적(사전, 백과사전)
허구적인 것 : 소설, 단편소설, 농담, 드라마, 시 서신 : 개인 서신, 상업용 서신
연하장 읽기, 일지 메모(사무실 내의 메모) 메시지(전화 메시지) 발표문
신문 특유의 “틀에 박힌 표현”
학술적인 글 : 시험에 대한 짧은 답, 보고서, 수필과 논문, 학위논문 및 서적
양식, 지원서 질문지 사용법 상표 표지판 요리법 청구서(기타 금융 명세서)
일정표(교통기관 운행 시간 광고: 상업 광고, 개인 광고(구인
지도 사용 설명서 식단표
표) 광고)
초대장 주소록(전화 번호부, 업종별 기업 안내) 연재만화, 만화
2 문자 언어의 유형
교사의 역할
학생들이 글로 표현된 언어의 예나 장르들의
특징에 관해서 알도록 일깨워줌

각각의 장르들로부터 필요한 의미를


추출하는 데 필요한 전략들을 개발하도록
도와줌

Image Source https://slideplayer.com


3 문자 언어의 특징
구어와 문어 간에는 상당히 많은 수의 문제가 되는
차이점이 있다.
구어와 문어 간 차이를 통해 교사가 가능한 일

1 문어의 특성에서 나오는 읽기의 특정한


어려움을 진단
2 특수한 목적을 지향하는 교사 자신의 기술을
밝히는 것
3 학생들에게 구어와 대조되는 문어의 장점들
몇 가지를 상기시켜 주는 것

Image Source https://prezi.com


3 문자 언어의 특징
문어의 특징
1 Permanence(영속성) : 문어는 구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구적. 반복해서 읽을 수 있다.
2 Processing time(처리시간) : 읽기 환경에서
읽는 사람 스스로 처리시간을 가질 수 있다.
3 Distance(거리) : 문어는 메시지와의 사이에
물리적 거리와 시간적 거리가 있다.
독자는 다른 장소, 다른 시간에 있었던 일을
문맥이 주는 단서를 통해 해석
탈맥락화된 글이나, 글의 전후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것은 읽기를 어렵게 하는 이유
3 문자 언어의 특징
문어의 특징
4 Orthography(정서법) : 구어의 음소(phoneme)처럼
문어에도 문자소(grapheme)가 있다.
구어에서는 음소들이 의미파악을 도와주지만,
문어는 의미 파악에 애매함을 많이 가지므로
행간 읽기(read between the lines)가 중요
영어의 철자 체계는 불규칙하기로 명성이 나 있지만,
불규칙성 대부분은 아주 빈번히 쓰이는
단어들(of, to, have, do, done, was 등)에서 나타나기에
이러한 단어들을 제외하고 문자소를 익히면 독해에
도움이 된다.

Image Source https://post.naver.com


3 문자 언어의 특징
문어의 특징
5 Complexity(복잡성) : 구어는 등위접속사로 연결하고
좀 더 짧은 절들이 있는 경향, 문어는 종속접속사로
연결되어 있어서 복잡하다.
구어에 숙달된 제2 언어 독자는 글에서 의미를
추출하기 위해 인지를 받아들이는 기관들을
재조직해야 하는 것이 또 다른 어려움으로 여겨짐
3 문자 언어의 특징
문어의 특징
6 Vocabulary(어휘) : 글은 작가에게 더 많은
처리 시간을 허용하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떨어지는 단어들이 종종 등장하는 등 문어의 경우
어휘가 복잡하다.
대부분의 단어 의미는 문맥을 통해 예상할 수 있으나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중 언어 사전 사용을 통해
단어를 이해해야 함
3 문자 언어의 특징
문어의 특징
7 Formality(형식성) : 다양한 rhetorical
수사학적 / organizational 조직적 형식이 있다.
글은 말보다 더 형식적으로 규정된 형식이 있는데
이러한 형식은 어떤 글로 쓴 메시지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임
독자가 글로 쓰여진 본문의 형식적인 특징들에
익숙해질 때까지 해석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뒤따를 수 있음
정리하기
제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문자 언어의 유형 / 문자 언어의 특징
연습 문제
1l 다음 밑줄 친 It이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지 고르시오.

It, in spite of its reputation for being "irregular," is highly predictable from its
spoken counterpart, especially when one considers morphological
information as well. For literate learners of English, our spelling system
presents only minor difficulties, even for those whose native languages have
quite different systems. Actually, most of the irregularity in English
manifests itself in high-frequency words(of, to, have, do, done, was, etc.),
and once those words are in place, the rest of the system can usually be
mastered without special instruction.

a English orthography b Complexity

c Vocabulary d Formality
연습 문제
1l 다음 밑줄 친 It이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지 고르시오.

It, in spite of its reputation for being "irregular," is highly predictable from its
spoken counterpart, especially when one considers morphological
information as well. For literate learners of English, our spelling system
presents only minor difficulties, even for those whose native languages have
quite different systems. Actually, most of the irregularity in English
manifests itself in high-frequency words(of, to, have, do, done, was, etc.),
and once those words are in place, the rest of the system can usually be
mastered without special instruction.

a English orthography b Complexity

c Vocabulary d Formality
정답
a
11주차. 읽기 수업

Lecture 2

읽기 기술
학 01
읽기 이해를 위한 거시적,
습 미시적 기술을 파악한다.
목 02
표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의 특징을 이해한다.
학 01
습 읽기 이해를 위한 미시적/거시적 기술
내 02
용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1 읽기 이해를 위한 미시적 기술(1-6번)과
거시적 기술(7-14번)
1 영어의 뚜렷한 문자소와 정서법 패턴들을 구별한다.

2 단기기억에 여러 길이로 된 상당히 많은 언어를 보유한다.

3 목적에 부합하도록 능률적인 속도로 쓰여진 글을 이해한다.

4 단어의 핵심을 인식하고, 단어 순서의 패턴과 중요성을


해석한다.
5 문법적인 단어 종류들, 체제, 패턴, 규칙과 생략 유형들을
인식한다.
6 특정한 의미는 다른 문법적인 형태들로 표현될 수 있는지를
인식한다.
Image Source https://www.grammar.com
1 읽기 이해를 위한 미시적 기술(1-6번)과
거시적 기술(7-14번)
7 글로 쓴 대화에서 결합 장치들과 절과 절 사이의
관계에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인식한다.
8 글로 나타낸 대화의 수사학적인 형태들과 해석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9 형태와 목적에 따라서 글로 표현한 본문의
의사전달적인 기능들을 인식한다.
10 배경 지식을 사용해서 명확하지 않은 문맥을 추론한다.
1 읽기 이해를 위한 미시적 기술(1-6번)과
거시적 기술(7-14번)
11 사건과 생각 사이의 연결과 관계를 추론하고 원인과
결과를 추정하며 그러한 관계들을 주요 생각, 뒷받침하는
생각, 새로운 정보, 주어진 정보, 일반화 및 예시화 등으로
알아낸다.
12 글자로 드러난 의미와 내포된 의미를 구별한다.
13 문화적으로 특수한 참고사항들을 알아내고 그러한 것들을
적절하게 문화적인 스키마의 문맥으로 해석한다.
14 자세히 읽기와 대충 훑어 읽기, 담화 표시장치(in fact, well
등) 찾아내기, 문맥을 통해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기 및
본문을 해석하기 위해 스키마를 활성화시키기 등과 같은
일련의 읽기 전략을 개발하고 사용한다.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1 글의 목적 파악

왜 글을 읽는지를 질문
명시화를 통해 교사가 추구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고
산만한 정보들을 제거할 수 있음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2 상향식 방법으로 암호를 해독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문자소 규칙과 패턴들을 사용(특히 초급 단계 학습자들의 경우)

학습자들은 구어에는 익숙하지만 영어 철자에는 어려움을 느끼므로 영어


철자의 힌트나 설명을 주는 방법으로 규칙과 특수 사항을 이해하게 한다.
문자소와 음소의 일대일 대응은 쉽게 습득될 수 있으나 다른 관계의 설명은
어려울 수 있다.
예 • VC 패턴에 있는 “단” 모음 소리(bat, him, leg, wish 등)
• VV 패턴의 “장” 모음 소리(seat, coat 등)

음성학의 접근 방법은 어린이와 문맹의 성인 등 초급 단계의 학습자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3 비교적 빠른 이해력을 기르기 위한 능률적인 정독 기술 사용


(중급에서 고급 단계)

효과적인 묵독을 위한 방법
모든 단어를 발음할 필요는 없음
한 번에 한 단어 이상, 단락들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려고 노력
단어가 전체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냥 넘기고 문맥 내에서 추론
읽기 속도는 거의 대부분의 고급 단계 학습자들에게
큰 문제가 되지는 않으므로, 학생들이 1분에 250에서
300개의 단어를 읽을 수 있다면
속도에 대한 관심은 줄여도 됨 Image Source
https://tudungceklat.wordpress.com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4 Skimming : 중심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본문을 대충 훑어 읽기

대충 훑어 읽는 것은 본문을 요약하기 위해서


본문 전체를 눈으로 빨리 굴리는 일로 구성되어 있다.
독자는 글의 목적, 주제, 보충하고 확대될 수 있는
내용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mage Source https://www.open.edu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5 Scanning : 특수한 정보를 얻기 위해


본문을 꼼꼼히 읽기

꼼꼼히 읽기의 목적은 본문 전체를 통독하지 않고


특수한 정보를 인용하는 것이다.
학술적인 읽기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직업적이거나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일정표, 사용설명서,
양식 등을 읽는 데 필요하다.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6 Semantic-mapping or clustering
: 의미론적인 지도 그리기나 무리짓기 이용

독자가 무질서에 대해 어떤 질서를 제공하도록


도움을 준다.
개인적으로도 가능하지만, 학생들이 공동으로
어떤 글에 질서와 단계를 유도할 때도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mage Source http://mavoigt.weebly.com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7 Guessing : 확실하지 않을 때 추측

추측을 통해 학습자는 단어의 의미, 문법관계,


대화관계, 함축된 의미, 문화적 지시어,
내용 메시지 등을 추측 가능하다.
언어적인 단서는 단어 분석, 단어 연상,
본문의 구조 등이 있으며, 비언어적인 단서는
문맥, 상황, 다른 스키마(개요, 도식) 등이 있다.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8 Vocabulary analysis

학습자들이 모르는 단어가 나왔을 때 추측할 수 있게끔


그들이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게 하는 것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접두어(co-, inter-, un- 등 ) 찾기
말의 어떤 부분을 나타낼 수 있는 접미어(-tion, -tive, -ally 등) 찾기
유사한 어근 찾기
정보를 표시하는 문법적 문맥 찾기
실마리를 얻기 위해 의미론적 문맥(주제) 찾기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9 문자적 의미와 내포된 의미의 구별

정교한 하향식 과정 기술의 적용이 필요


문자적, 표면상으로 해석되지 않는 사실을
독자로 하여금 화용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내용을 통해
찾을 수 있도록 함
2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10 관계 처리를 위해 담화 표시장치를 이용

영어의 담화 표시장치는 단락, 절 및 문장들을


통해서 표현된 생각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장치를 분명히 이해하면 학습자들의
읽기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Image Source https://www.test-english.com


정리하기
읽기 이해를 위한 미시적/거시적 기술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연습 문제
1l 다음 밑줄 친 this 활동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을 고르시오.
Readers can easily be overwhelmed by a long string of ideas or events. The strategy of
this, or grouping ideas into meaningful clusters, helps the reader to provide some
order to the chaos. Making such this can be done individually, but they make for a
productive group work technique as students collectively induce order and hierarchy
to a passage.

a analyze vocabulary
b semantic mapping
c san the text for specific information
d skim the text for main idea
연습 문제
1l 다음 밑줄 친 this 활동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을 고르시오.
Readers can easily be overwhelmed by a long string of ideas or events. The strategy of
this, or grouping ideas into meaningful clusters, helps the reader to provide some
order to the chaos. Making such this can be done individually, but they make for a
productive group work technique as students collectively induce order and hierarchy
to a passage.

a analyze vocabulary
b semantic mapping
c san the text for specific information
d skim the text for main idea
정답
b
연습 문제
2l 다음의 a-c의 예들은 문자적인 것과 암시적인 것을 구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문을 토대로 빈 칸에 가장 적절한 단어를 고르시오.
This requires the application of sophisticated top-down processing skills. The fact that not all
language can be interpreted appropriately by attending to its literal, syntactic surface structure
makes special demands on readers.(a) usually has to be derived from processing
(b) information, as in the following examples:
a. Bill walked into the frigid classroom and immediately noticed Bob, sitting by the open window.
"Brrr!" he exclaimed, simultaneously eyeing Bob and the open windows, "It's sure cold in here, Bob."
Bob glanced up from his book and growled, "oh, all right, I'll close the window."
b. The policeman held up his hand and stopped the car.
c. Mary heard the ice cream man coming down the street. She remembered her birthday money and
rushed into the house...

a (a) discourse(b) accuracy b (a) accuracy(b) discourse


c (a) Implied meaning(b) pragmatic d (a) pragmatic(b) Implied meaning
연습 문제
2l 다음의 a-c의 예들은 문자적인 것과 암시적인 것을 구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문을 토대로 빈 칸에 가장 적절한 단어를 고르시오.
This requires the application of sophisticated top-down processing skills. The fact that not all
language can be interpreted appropriately by attending to its literal, syntactic surface structure
makes special demands on readers.(a) usually has to be derived from processing
(b) information, as in the following examples:
a. Bill walked into the frigid classroom and immediately noticed Bob, sitting by the open window.
"Brrr!" he exclaimed, simultaneously eyeing Bob and the open windows, "It's sure cold in here, Bob."
Bob glanced up from his book and growled, "oh, all right, I'll close the window."
b. The policeman held up his hand and stopped the car.
c. Mary heard the ice cream man coming down the street. She remembered her birthday money and
rushed into the house...

a (a) discourse (b) accuracy b (a) accuracy (b) discourse


c (a) Implied meaning (b) pragmatic d (a) pragmatic (b) Implied meaning
정답
c
11주차. 읽기 수업

Lecture 3

읽기 활동
01
학 교실내 읽기 활동의 종류를 파악한다.

습 02
목 상호적인 읽기 기술의 고안 원리를 이해한다.

표 03
읽기 평가 방법에 대하여 파악한다.
01
학 교실내 읽기 활동의 종류

습 02
내 상호적인 읽기 기술의 고안 원리
용 03
읽기 평가 방법
1 교실내 읽기 활동의 종류
oral : 소리내어 읽기

초급 - 발음점검, 타 학생 참여

고급 - 문제발생(주의력 저하)

묵독(silent reading)
1 교실내 읽기 활동의 종류
Intensive vs extensive reading
intensive reading
• 글의 언어학적이거나 의미론적인 세부사항에
초점을 둔 교실 학습상황 중심의 활동
• 글자 그대로의 의미, 함축된 것, 수사학적인
관계와 같은 것들을 이해할 목적으로 문법 형태,
대화 표시장치 및 기타 표면적 구조
세부사항들에 주의 집중
1 교실내 읽기 활동의 종류
Intensive vs extensive reading
extensive reading
글의 요지나 특정 정보를 얻기 위한
skimming 이나 scanning 활용
• 다소 긴 본문(책, 긴 신문기사나 논설 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하는 것
• 수업시간 이외에 이루어지며, 재미로 하는 읽기
• 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skimming이나 scanning 활용

Image Source https://www.iwillteachyoualanguage.com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1 통합적 교과과정에서 읽기 기술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도록 한다.

읽기에 대한 guideline을 어떻게 만드는 지가 중요


학생들에게 확장형 읽기를 할 시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정독을 지속하면 유창성 감각이 발달하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2 내적 동기 유발케 하라.
(흥미 있는 주제)

학생들에게 재미있고 관련성 있는 읽기를 하도록 지도하기 위해


실제 생활과 관련된 원문들을 사용하고, 학생들의 목표와 관련 있는
읽기 재료를 선택한다.
내적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언어 경험 접근법(Language Experience Approach: LEA)을
이용하여 학생들 자신이 읽기 재료를 제작하도록 한다.
정기적으로 교사가 주도하고 스스로 평가하는 방법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신의 읽기 과정을 평가할 기회를 부여하면서 동기를 유발한다.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3 본문을 선택할 때는 진정성과 가독성의


균형을 맞춘다.

간단한 본문과 단순화된 본문을 구별하고 읽기 재료의


복잡한 근본 원인의 이해
• 실제 세계에서 제작할 수 있거나
simple
존재할 수 잇는 것
text(간단한
• 광고, 상표, 보고서 등 일상생활에서
본문)
찾을 수 있는 실제의 것

• 원래의 글을 단순화시킨 것
simplified
(원문의 자연스러움이나 유머 등은
text
소실 가능 있음)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3 본문을 선택할 때는 진정성과 가독성의


균형을 맞춘다.

Nuttall은 읽기 본문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안
1 내용의 적합성(suitability) : 학생들이 영어를
배울 때 자신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미있고,
즐겁고, 해볼 만하며, 적합하다고 생각할 만한 읽기 자료
2 활용 가능성(exploitability) : 어떤 언어와 내용 목표의
달성을 촉진하는 본문으로서 지도 업무와 기술을 위해
이용 가능한 것이며 다른 기술들(듣기, 말하기, 쓰기)과
통합 가능한 것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3 가독성(readability) : 어휘와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는
본문으로 학습자를 너무 당황하게 하지는 않고
학생들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

Image Source http://www.liberaldictionary.com, https://readable.com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4 읽기 기술 발달을 고무시킬 것

앞에서 다룬 읽기 전략 중에서 어느 정도까지


학생들이 전략을 사용하게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5 bottom-up / top-down 기술을 모두 포함

의사전달적이고 신뢰성 있는 언어 활동을 하는


동시(하향식)에 원칙의 공부(상향식)를 통해
혜택을 입을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6 SQ3R 순서를 따른다.

조사(Survey)

질문(Question)

SQ3R 읽는다(Read)

암송한다(Recite)

검토한다(Review)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SQ3R
조사(Survey) 중심 생각을 개관하기 위해 본문을 대충 훑어본다.

질문(Question) 독자는 자신이 본문에서 얻고자 하는 것에 대해 질문한다.

미리 형식을 만들어 둔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는 동안 본문을


읽는다(Read)
읽는다.

암송한다(Recite) 구두 언어나 문어를 통해서 본문의 두드러진 요점들을 재생한다.

방금 읽은 것의 중요성을 평가하고 그것을 장기간의 연상에


검토한다(Review)
통합시킨다.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7 pre-reading / during-reading / after-reading 단계에서


technique을 세분화

• 주제에 관한 소개
pre- • schema 활성화를 위해 예측과정이 필요(guessing game)
reading • 읽을 자료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도록 하여 읽기의 동기 부여
• 새로운 어휘나 구문의 제시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7 pre-reading / during-reading / after-reading 단계에서


technique을 세분화

• 주어진 전체의 대의 추론, 글의 요지(main idea) 추출,


during-
특정 정보 파악, 수사학적 기법을 알고 있어야 함
reading • 읽기 중 활동에 대한 피드백은 즉각적으로 주는 것이 바람직함

after- • 이해 질문, 저자의 의도파악, 저자의 논리전개에 대한 토론,


reading 글의 요약, 작문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8 읽기 기술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해도를 나타내는 응답들


a 행동하기- 독자는 명령에 대해 물리적으로 응답한다.

b 선택하기- 독자는 말이나 글로 표현된 대안들로부터


선택한다.
c 옮기기- 독자는 읽은 것을 구두로 요약한다.

d 대답하기- 독자는 글에 대한 것을 묻는 질문에 대답한다.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8 읽기 기술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해도를 나타내는 응답들


e 압축하기- 독자는 글에 대한 스키마를
작성하거나 메모한다.
f 확장시키기- 독자가 이야기에 결말을 제공한다.
g 복사하기- 독자는 메시지를 모국어로
번역하거나 복사한다(초급 단계).
2 Reading Techniques 고안 원리

8 읽기 기술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해도를 나타내는 응답들


h 모형 만들기- 조립에 대한 지시사항을 읽은 후에
독자가 장난감을 조립한다.
i 대화 나누기- 독자는 적절한 정보처리를
나타내는 대화에 참여한다.
3 읽기 평가 방법
읽기 평가
지각(perceptive)형(기호, 문자, 낱말의 인식)

선택(selective)형(어형, 문법, 어휘)

상호작용(interactive)형

확장(extensive)형

Image Source http://clipart-library.com


3 읽기 평가 방법
읽기 평가
지각(perceptive)형(기호, 문자, 낱말의 인식)
크게 읽기(reading aloud)
글로 쓰기(written response)
다지선다형(multiple-choice)
그림에 따른 항목 찾기(picture-cued items)
3 읽기 평가 방법
읽기 평가
선택(selective)형(어형, 문법, 어휘)
선다형(Multiple-Choice for Form-Focused Criteria)
짝짓기(Matching Tasks)
교정보기(Editing Tasks)
그림 사용 과제 수행(Picture-Cued Tasks)
빈칸 메우기(Gap-Filling Tasks)
3 읽기 평가 방법
읽기 평가
상호작용(interactive)형
규칙 빈칸 채우기(Cloze Tasks)
본문 읽고 질문 대답하기(Impromptu Reading
Plus Comprehension Questions)
단답하기(Short-Answer Tasks)
편집 시험(Editing Longer Texts)
스캐닝(Scanning)
순서 맞추기(Ordering Tasks)
시각자료에 반응하기(Responding to charts,
maps, graphs, diagrams)
3 읽기 평가 방법
읽기 평가
확장(extensive)형
Skimming tasks(훑어보기 작업)
Summarizing and Responding(요약하고 반응하기)
Note-Taking and Outlining(노트필기와 개요잡기)
정리하기
교실내 읽기 활동의 종류
상호적인 읽기 기술의 고안 원리
읽기 평가 방법
연습 문제
1l 다음 빈 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를 보기에서 찾아 쓴 것을 고르시오.
Christine Nuttall offered three criteria for choosing reading texts for students
: (a) of content: material that students will find interesting, enjoyable, challenging,
and appropriate for their goals in learning English; (b) : a text that facilitates the
achievement of certain language and content goals, that is exploitable for instructional tasks
and techniques, and that is integratable with other skills(listening, speaking, writing);
(c) : a text with lexical and structural difficulty that will challenge students without
overwhelming them.

<보기> readability suitability exploitability


a (a) suitability - (b) exploitability - (c) readability
b (a) exploitability - (b) suitability - (c) readability
c (a) exploitability - (b) readability - (c) suitability
d (a) suitability - (b) readability -(c) exploitability
연습 문제
1l 다음 빈 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단어를 보기에서 찾아 쓴 것을 고르시오.
Christine Nuttall offered three criteria for choosing reading texts for students
: (a) of content: material that students will find interesting, enjoyable, challenging,
and appropriate for their goals in learning English; (b) : a text that facilitates the
achievement of certain language and content goals, that is exploitable for instructional tasks
and techniques, and that is integratable with other skills(listening, speaking, writing);
(c) : a text with lexical and structural difficulty that will challenge students without
overwhelming them.

<보기> readability suitability exploitability


a (a) suitability - (b) exploitability - (c) readability
b (a) exploitability - (b) suitability - (c) readability
c (a) exploitability - (b) readability - (c) suitability
d (a) suitability - (b) readability -(c) exploitability
정답
a
11주차. 읽기 수업

Lecture 4

교수법 읽기
Cooperative Learning
The cooperative learning classroom today is
characterized by working together to accomplish
shared goals. Within cooperative activities,
individuals seek outcomes that are beneficial to
themselves and all other group members – which
maximizes learning for everyone.

The objectives of cooperative learning are to:


1. Promote student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2. Increase student retention.
Cooperative Learning
3. Enhance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ir learning
experience.
4. Help students develop skills in oral
communication.
5. Develop students' social skills and competence.
6. Improve student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
esteem.
7. Help foster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Kagan, 1994)
Cooperative Learning
1. Making members of the group responsible for
each other's learning, which can place too great a
burden on some students. In mixed-ability
groups, the result is often that stronger students
are left to teach weaker students and do most of
the work.
2. Encouraging only lower-level thinking and
ignoring the strategies necessary for the
inclusion of critical or higher-level thought. In
small groups, there is sometimes only enough
time to focus on the task at its most basic level
Cooperative Learning
3. Overusing cooperative groups to the detriment
of students who benefit more from learning
alone.
4. Not negotiating more with students to determine
how they learn best and apply these ideas to the
way we structure classes.
Closing
제2언어 읽기에 관한 연구 결과
문자 언어의 유형/ 문자 언어의 특징
읽기 이해를 위한 미시적 기술
읽기 이해를 위한 전략
교실내 읽기 활동의 종류
상호적인 읽기 기술의 고안 원리 / 읽기 평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