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6

12주차.

쓰기 수업 / 문법 어휘 수업

Lecture 1
쓰기 기능
01
제2언어 쓰기에 관한 연구 결과를
학 이해한다.

습 02
목 문자 언어의 유형 / 문자 언어의 특징을
이해한다.
표 03
쓰기 위한 학습자의 거시적,
미시적 기술을 파악한다.
01
학 제2언어 쓰기에 관한 연구 결과

습 02
문자 언어의 유형/ 문자 언어의 특징

용 03
쓰기 위한 학습자의 거시적, 미시적 기술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제2 언어 학습자들에게 글쓰기를 지도하는 것에
대한 연구에서 많은 이슈들이 도출되었는데
여기서는 그러한 이슈들의 일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1 글쓰기 과정(composing process of writing)

독특한 수사학적인 규약들과 연관되어 있고 글의


영속성과 거리 때문에 말하기와 다르다.

Image Source https://www.seedsofliteracy.org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1 글쓰기 과정(composing process of writing)

글쓰기 : 글로 표현된 산출물은 생각과 설계 및


특별한 기술을 요하는 과정을 수정한 결과이다.

PREWRITING

COMPOSING / DRAFTING
REVISING

EDTING

PUBLISHING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1 글쓰기 과정(composing process of writing)

글쓰기 교육학
쓰여진 본문에 그 생각들을 결합력 있게 집어넣기 위해
생각을 만들어내는 방법
생각들을 일관성 있게 조직하는 방법
담화 표시 장치와 수사학 규약들을
사용하는 방법과 좀 더 명확한 의미를 위해 본문을 수정하는 방법

적절한 문법에 맞는 본문을 편집하는 방법 및 최종 상품을 생산하는 방법

학생들이 관심을 집중시키게 하는 학문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2 Process vs Product

과정중심 접근방법의 특징
Diagram of Process Writing
최종적으로 쓰여진 결과물을 만들어 낼
글쓰기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Drafting

글 쓰는 학생이 자기 자신의 작문 과정을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Structuring Re-viewing Focusing
학생들이 미리 쓰기, 초안잡기 및 다시 쓰기를
위한 다양한 책략들을 구성하도록 돕는다.
학생들에게 글을 쓰고 다시 쓸 시간을 준다. Generating Ideas Evaluating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2 Process vs Product

과정중심 접근방법의 특징
Diagram of Process Writing
수정 과정에 중요성을 부여한다.
학생들이 자신이 글을 쓸 때 말하고 Drafting

싶어하는 것을 발견하게 한다.


학생들이 의도에 점점 더 가까운 표현을 Structuring Re-viewing Focusing
끌어내려고 시도할 때 작문 과정 전반에 걸쳐
돌이켜 수정할 기회를 부여한다.
교사와 동료들 모두가 피드백 과정을 Generating Ideas Evaluating
거치도록 격려한다.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2 Process vs Product

과정중심 접근방법의 특징
작문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발생하는
개인적인 논의들을 포함시킨다.

글쓰기에 있어 과정을 강조하고 있는 동시에 과정과


생산품 사이의 균형을 유지
최종 생산품의 중요성이 줄어들 정도로 과정을
강조하는 것은 지양해야 함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대조 수사학
3 -contrastive(intercultural) rhetoric
대조 수사학에 따르면 언어들마다 글로 된 대화의
다른 패턴들이 존재한다.

English Semitic Oriental Romance Russian

직선으로 진행

지그재그 형식 나선형 진행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3 대조 수사학-contrastive(intercultural) rhetoric
글 쓰는 방법에는 문화마다 어떤 경향이 있으며 그 경향은 모국어에서
온다는 것이다.

이러한 도식과 결론은 실제 영어로 글을 쓰는 것으로부터 자료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문체 사용 설명에 기초를 두었기에 지나치게 단순하고, 영어로 글을 쓰는 사람들이 어떤
논제에 대하여 일관되게 직선적으로 진행한다는 어떤 일반화된 규칙도 성립시킬 수 없기
때문에 지나치게 일반화된 것이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고향의 문화, 경향이 주는 효과를 부인할 수 없기에


대조 수사학을 무시할 수 없다.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4 L1과 L2 글쓰기의 차이점


1970년대 초기에는 제2 언어로 글 쓰는 것이
모국어 글쓰기에 많은 영향을 받았음
L2 글 쓰는 사람들이 덜 계획적이고, 덜 유창하고,
덜 정확하고, 자료 조직에도 덜 효과적이며, 문법적,
수사적으로 적절한 규약과 다양한 어휘를
사용하는 데도 차이점이 있음이 발견됨
L1과 다른 환경에 있는 L2 단계의 글 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육의 적절한 접근법이
중요함을 고려해야 한다.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5 Authenticity : 얼마나 사실적인 글쓰기를


하는가?

Real writing 독자가 그 글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실용 작문) 것(중요)

Display writing 학술, 학교상황에서 많이 이뤄짐,


(전시작문) 교사 대상(차후에 도움이 되기도 함)

Image Source https://chroniclevitae.com


https://www.pinterest.co.kr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6 내용과 장르에 근거한 교수

내용이 중요
Content
예 specific purposes의 경우

다른 장르의 존재(formal academic


Genre-based
research writing vs informal news
writing
reports)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7 학생의 글에 반응하기

CLT 중심에서는 글쓰기를 사고하고 작문하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교사는 권위적인 지시자, 중재자가 아니라 촉진자,
코치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촉진자로서 교사는 작문의 사고 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하도록 도움을 주는데 학생들에게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교사는 자신의 생각을
학생의 글에 부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Image Source https://www.writingcity.com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8 형식초점 피드백
(form-focused feedback)

적절한 정도로 학습자가


주목(notice)하도록 오류 수정이 필요함

Image Source https://www.sciencedirect.com


1 Writing skill 교수분야 연구결과

9 의견과 정체성

학습자들에 자신들이 속한 사회정치적 맥락 속에


의미있는 목적을 위하여 글쓰도록 함
2 문자 언어의 유형
문자 언어 형태는 다양하다.
이 중 학생들에게 필요로 할 유형들이 학급에서
실제로 글을 쓰는 일의 주요 초점이 되어야 한다.
2 문자 언어의 유형 READING GENRES

우리 사회에는 수백 가지 다른 유형의 글로 표현된 문서들이


있으며, 이것은 말로 표현된 문서보다 훨씬 더 다양하다.
글로 표현된 언어의 예나 장르
사실적인 것 : 보고서, 사설, 수필, 신문기사, 참고서적(사전, 백과사전)
허구적인 것 : 소설, 단편소설, 농담, 드라마, 시 서신 : 개인 서신, 상업용 서신
연하장 읽기, 일지 메모(사무실 내의 메모) 메시지(전화 메시지) 발표문
신문 특유의 “틀에 박힌 표현”
학술적인 글 : 시험에 대한 짧은 답, 보고서, 수필과 논문, 학위논문 및 서적
양식, 지원서 질문지 사용법 상표 표지판 요리법 청구서(기타 금융 명세서)
일정표(교통기관 운행 시간 광고: 상업 광고, 개인 광고(구인
지도 사용 설명서 식단표
표) 광고)
초대장 주소록(전화 번호부, 업종별 기업 안내) 연재만화, 만화
3 문자 언어의 특징 – 글쓰는 사람의 관점

1 Permanence(영속성)

글을 제출하고 나면 첨삭, 수정 등이 불가능함


제출하기 전에 자신들의 글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수정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하도록 지도

Writing has the power of


permanence.
3 문자 언어의 특징 – 글쓰는 사람의 관점

2 Production time(처리 시간)

작문은 시간이 많이 주어지면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여지가 많지만 교실 상황에서는 제한된 시간 내에
글을 써야 함
학습자들이 제한된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도

Image Source https://booksaroundthetable.wordpress.com


3 문자 언어의 특징 – 글쓰는 사람의 관점

3 Distance(거리)

자신이 선택한 언어가 독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예측

4 Orthography(정서법)

학습자의 언어 철자체계와 영어의 철자체계가


다른 경우 주의

Image Source https://crackingtheabccode.com


3 문자 언어의 특징 – 글쓰는 사람의 관점

5 Complexity(복잡성)

문어는 구어보다 규칙이 복잡함


잉여요소 제거, 문장결합, 지시어, 통사적,
어휘적 변이형을 창출하는 법 등을 학습

6 Vocabulary(어휘)

풍부한 어휘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함


3 문자 언어의 특징 – 글쓰는 사람의 관점

7 Formality(형식성)

각 글의 형식이 요구하는 관습에 맞추어 써야 함


학습자들은 기술, 설명, 비교, 대조 등이 요구되는
학술적 글을 쓰는데 어려움을 느낌

Image Source https://proofreadingpal.com


4 글쓰기를 위한 미시적 기술(1-5번)과 거시적 기술(6-12번)
1 영어의 문자소와 정자법 패턴들을 제작한다.
2 목적에 적합하도록 효율적인 속도로 글쓰기를
제작한다.
3 받아들일 수 있는 핵심 단어를 제작하고
적절한 단어 순서 패턴을 사용한다.
4 받아들일 수 있는 문법 체제(시제, 일치,
복수형 만들기), 패턴, 규칙들을 사용한다.
5 다른 문법 형태로 특정한 의미를 표현한다.
4 글쓰기를 위한 미시적 기술(1-5번)과 거시적 기술(6-12번)
6 글로 쓰여진 대화에서 결합장치를 사용한다.
7 글로 쓰여진 대화의 수사학적인 형태들과
규약들을 사용한다.
8 형태와 목적에 따라 글로 쓰여진 본문의
의사전달 기능을 적절히 성취한다.
9 사건들 간의 연결 고리를 전달하고 중심 생각,
보조 생각, 새로운 정보, 주어진 정보, 일반화 및
예시 등과 같은 관계들을 전달한다.
4 글쓰기를 위한 미시적 기술(1-5번)과 거시적 기술(6-12번)
10 글을 쓰고 있을 때 글자 그대로의 의미와
함축적인 의미를 구별한다.
11 글로 된 본문의 문맥에서 문화적으로 특수한
참고사항들을 올바르게 전한다.
12 청중의 해석을 정확히 판단하기, 미리 쓰기
장치를 이용하기, 첫 번째 초안에서 유창하게
쓰는 것, 상세히 바꿔 쓰고 동의어를 사용하고
또래와 교사의 피드백을 유인하기 및
수정하기와 편집하기를 위한 피드백을 사용하기
등 글쓰기 책략들을 개발하여 사용한다.
정리하기
제2언어 쓰기에 관한 연구 결과
문자 언어의 유형 / 문자 언어의 특징
쓰기 위한 학습자의 거시적, 미시적 기술
연습 문제
1l 다음은 쓰기 지도에 있어 process와 product를 설명한 것이다.
a)-e)까지의 사항들을 보고 process에 해당하는 것 2개를 고르시오.
Compositions were supposed to
a) be organized in conformity with what the audience would consider to be conventional
b) give students time to write and rewrite
c) meet certain standards of prescribed English rhetorical style
d) reflect accurate grammar
e) help them to build repertories of strategies for prewriting, drafting, and rewriting

a a), e) b a), c) c b), d) d b), e)


연습 문제
1l 다음은 쓰기 지도에 있어 process와 product를 설명한 것이다.
a)-e)까지의 사항들을 보고 process에 해당하는 것 2개를 고르시오.
Compositions were supposed to
a) be organized in conformity with what the audience would consider to be conventional
b) give students time to write and rewrite
c) meet certain standards of prescribed English rhetorical style
d) reflect accurate grammar
e) help them to build repertories of strategies for prewriting, drafting, and rewriting

a a), e) b a), c) c b), d) d b), e)


정답
d
12주차. 쓰기 수업 / 문법 어휘 수업

Lecture 2

쓰기 지도
01
학 교실 내 쓰기 활동의 종류를 파악한다.
습 02
목 글쓰기 지도 설계 원리를 이해한다.

표 03
쓰기 평가 방법에 대하여 파악한다.
01
학 교실내 쓰기 활동의 종류
습 02
내 글쓰기 지도 설계의 원리
용 03
쓰기 평가 방법
1 교실내 글쓰기 활동의 유형

1 모방하기 또는 기계적 쓰기
(imitative or mechanical writing)

초급수준(정자법 배우려고)에서 글자, 단어, 문장 등을


그대로 써보는 것
철자 인식 기법(recognition techniques)
복사 하기(copying)
음성 문자 연계 연습
(sound-spelling practice)
받아쓰기(dictation)

Image Source https://en.wikisource.org


1 교실내 글쓰기 활동의 유형

1 모방하기 또는 기계적 쓰기
(imitative or mechanical writing)

받아쓰기의 절차

교사가 보통 속도로 짧은 휴지를 두어 짧은 휴지를 둘 때 학습자들이


문단을 한 두번 읽기 구 단위로 끊어 읽어 줌 그대로 받아 적음

평가 시 철자법, 구두점, 문법적 실수 등을 교사가 보통 속도로 읽어 주고


지적해 주면 효과적 학습자들은 자신이 쓴 것을 확인
1 교실내 글쓰기 활동의 유형

2 집중형이거나 통제된 글쓰기


(Intensive or controlled writing)

통제된 글쓰기의 일반적 형태는 학생들에게 단락을 제시하는 것으로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주어진 구조를 바꿔야 한다.
통제된 글쓰기의 또 다른 형태는 받아적기식 작문(dicto-comp)
단락을 정상 속도로 보통 두세 번 읽은 후 교사는 학생들에게 읽은 것을 최대한
회상하여 그 단락을 다시 쓰도록 함
받아적기식 기술의 변이 중 하나로 교사는 글을 다 읽고 난 후에 그 단락으로부터
주요 단어들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실마리로서 칠판에 적을 수 있음
1 교실내 글쓰기 활동의 유형

3 스스로 글쓰기(Self-writing)

청중으로서 마음속에 자기 자신만을 담고 글을 쓰는 일에 전념하는 것


예 수업 중 필기하는 것, 일기나 일지 쓰기 등

대화 일지(dialogue journal) : 학생은 생각과


기분 및 반응을 기록하고 교사는 그것을 읽고
응답한다는 점에서
청중이 두 명임

Image Source https://kr.123rf.com


1 교실내 글쓰기 활동의 유형

4 전시적인 글쓰기(Display writing)

논술, 연구보고서 등 보여주기식 작문

5 실제적인 글쓰기(Real writing)

정보 교환 가능한 작문
1 교실내 글쓰기 활동의 유형

5 실제적인 글쓰기(Real writing)

정보 교환 가능한 작문

내용중심 교수에서는 유용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게 하는데 시사적, 개인적 이슈와
관련된 집단문제 해결과제를 통해서 정보를
Academic
추구하고 전달하면서 작문을 할 수 있고
동료편집(peer-editing)을 통해 실용적인
작문의 기회를 부여
1 교실내 글쓰기 활동의 유형

5 실제적인 글쓰기(Real writing)

정보 교환 가능한 작문

직업생활에서의 진보를 통해 영어를 공부하는


Vocational
학습자들일 경우 편지쓰기, 모임의 지침사항
/ technical
등 많은 종류의 실용적인 작문 가능

일기, 편지, 엽서쓰기 등 다양한 사적,


Personal
비형식적 작문을 통해 정보를 교환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1 글을 잘 쓰는 사람들의 습관들을 통합한다.

글의 목표와 중심 생각에 초점을 맞춘다.


청중을 통찰력 있게 평가한다.
글쓰기를 계획하는 데 약간의 시간을 소비한다.
자신의 처음 생각을 쉽게 종이에 옮기게 한다.
일반적으로 조직적인 계획안을 따른다.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1 글을 잘 쓰는 사람들의 습관들을 통합한다.

피드백을 부탁하고 자신의 글에 피드백을 이용한다.


특정한 표면 구조와 결합되어 있지는 않다.
기꺼이 능률적으로 자신의 작품을 수정한다.
필요한 만큼 참을성 있게 수정한다.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2 과정과 결과의 균형을 맞춰라.

여러 번 초안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작문 과정에서 적절한 단계를 통해 주의 깊은 지도가 필요하다.
교사의 안내자, 응답자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
최종 결과물에 이르기까지 단계들에 지나치게
몰두해서는 안되나, 최종 단계에 이르는 모든 것이
노력을 기울일만한 가치가 있음을 이해하게 해야 한다.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3 문화적이고 문학적인 배경을 설명한다.

모국어의 전통과 가르치는 것 사이에 대조되는 것이


있다면 익숙한 전통을 이해하고 영어 수사학을
점차 받아들일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4 읽기와 쓰기를 연결하라.

쓰여진 단어를 관찰하거나 읽는 방법을 통해 쓰기를


배우게 되므로 본문과 관계된 다양한 유형들을 읽고
공부함으로써 주된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해준다.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5 진정성 있는 글을 될 수록 많이 제공한다.

글을 쓰는 목적이 학생들에게 분명하고, 청중이


명백히 지정되어 있으며,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의도가 있다면 진정성이 있다.
학급에서 다른 학생들과 함께 글쓰기를 하는 것도
진정성이 있다.
학급 신문을 만들거나 편지를 쓰거나 촌극,
드라마 대본, 이력서, 광고 문구를 쓰게 함으로써
진정성을 높일 수 있다.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6 글쓰기 준비, 초안 작성하기, 수정하기의


단계에서 자신의 기법을 구성한다.

광범위하게 글 읽기, 대충 훑어 읽기,


꼼꼼히 읽기, 약간의 외부 조사 실시,
pre-writing
브레인스토밍, 목록에 기록하기, 무리짓기,
stage
화제나 문제 토론, 교사가 주도한 문제와
조사하기, 자유 작문

Image Source https://churchleaders.com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6 글쓰기 준비, 초안 작성하기, 수정하기의


단계에서 자신의 기법을 구성한다.

• 과정 글쓰기의 핵심, 일단 떠오른 생각을


적어보는 것이 중요
• 문법 등에 너무 신경 쓰지 말고 자신의 글을
drafting /
모니터, 교사의 피드백 이용
revising
• peer-editing(쓴 글을 다른 사람과
stage
공유하면서 의도했던 의미를 제대로
전달했는지를 파악하고 그들의 피드백을
적절히 활용)

Image Source http://www.gilljameswriter.eu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가능하면 상호작용적인 기법을 제공하려고
7 노력한다.
소집단별 공동 작업, 브레인스토밍, 비판하기 등

Image Source https://fah.um.edu.mo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학생들의 글에 반응하고 교정해 주는
8 방법을 민감하게 적용하라.
학습자들이 작문하는 과정에서 촉진자, 지원자로서의 역할

• 사소한 문법적 실수는 그냥 두고 총체적인


오류는 지적
• 학생의 문장을 다시 쓰려고 하지 말 것
first
• 글의 전체적인 구조나 주제의 명확성 등
draft를
전반적인 논평, 도입 단락에 관한 논평,
다룰 때
화제와 관계없는 특징에 대한 논평, 화제와
관련된 내용의 경우 부적절한 단어 선택과
어색한 표현에 대한 지적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학생들의 글에 반응하고 교정해 주는
8 방법을 민감하게 적용하라.
학습자들이 작문하는 과정에서 촉진자, 지원자로서의 역할
사소한 문법적 실수, 철자법, 구두법 등의
실수도 지적, 주요 아이디어의 특수한
명확성과 힘, 주장, 논리에 관한 논평,
어색하지는 않으나 명확하지 않고 직접적이지
수정안을
않은 단어 선택과 표현들에 관한 논평, 단락들
다룰 때
내부와 단락들 간 응집력 있는 장치 검토,
학술적인 글에서는 문서작성, 출처 언급,
증거자료 및 기타 보조물에 관하여 논평,
결론의 적합성과 힘에 관하여 논평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글의 수사학적이고 형식적인 규약들에
9 대하여 학생들을 명확히 지도한다.
글의 각 유형에 있는 형식적인 특성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술적인 글에서 수사학적 특징
논제나 화제 또는 목적에 대해 명백히 진술하기
논제를 발전시키거나 명료하게 하기 위해 중심 생각 사용하기
뒷받침하는 생각 사용하기
2 글쓰기 지도를 설계하는 원리
글의 수사학적이고 형식적인 규약들에
9 대하여 학생들을 명확히 지도한다.
학술적인 글에서 수사학적 특징
말하기, 묘사하기로 뒷받침하기
보여주기, 증거, 사실, 통계 등을 부여하기로 뒷받침하기
원인과 결과를 연결함으로써 뒷받침하기
비교/ 대조를 사용하여 뒷받침하기
3 학생 글 평가하기 – 6개의 평가 영역
내용
논제 진술, 관련된 생각, 개인적인 경험, 예시,
사실, 견해 등을 통한 생각의 발전, 묘사, 원인과
결과, 비교와 대조 등의 사용, 일관되는 초점

구성
도입의 효율성, 생각의 논리적 연속성, 결론,
적절한 길이

Image Source https://www.missbsresources.com


3 학생 글 평가하기 – 6개의 평가 영역
담화

주제문, 단락의 통일성, 전환, 담화 표시장치,


응집력, 수사학적 규약, 지칭, 유창성, 경제성, 변화

통사론
어휘
3 학생 글 평가하기 – 6개의 평가 영역
기계적인 부분

철자, 구두점, 참고사항 인용, 깔끔함과 외양 등

Image Source https://www.amazon.com


3 학생 글 평가하기
쓰기 평가
모방적인 글쓰기(Imitative writing) 평가
통제 작문 평가(Intensive(controlled) writing)
반응형(Responsive) 평가
확장형(Extensive) 평가

Image Source http://news.imaeil.com


3 학생 글 평가하기
모방적인 글쓰기(Imitative writing) 평가
• Tasks in [Hand] writing, words, and punctuation
(철자, 단어 및 문장부호 쓰기)
• Typing exercise(키보드 타이핑)
• Copying(베끼기)
• Listening cloze selection tasks(듣고 빈 칸 채우기)
• Picture-cued tasks(주어진 그림에 관한 글쓰기)
• Form completion tasks(양식 완성하기)
• Converting numbers and abbreviation to
words(숫자나 약어 단어로 전환하기)
• Spelling tasks(철자 시험)
• One-word dictation task(한 단어 받아쓰기)
3 학생 글 평가하기
통제 작문 평가(Intensive(controlled) writing)
• 받아쓰기(Dictation) 와 듣고 풀어쓰기(Dicto-comp)
• 문법 전환식(grammatical transformation task)
• 그림 보고 풀어쓰기(picture-cued tasks)
• 어휘 쓰기 평가 과제(vocabulary assessment tasks)
• 순서 매기기(ordering tasks)
• 단답형 문장 만들기(short-answer and sentence
completion tasks)
3 학생 글 평가하기
반응형(Responsive) 평가
• 문장 풀어쓰기: Paraphrasing
• 안내된 질문과 대답하기: Guided Question and Answer
• 문단 구성 시험: Paragraph Construction Tasks
• 응답문: Responses to Reading or Lecture

확장형(Extensive) 평가
• 에세이 쓰기: Essay writing tasks
• 글 유형 쓰기: Tasks in types of writing(narrative,
description, argument etc)
• 장르 쓰기: Tasks in genres of writing(lab report,
opinion essay, research paper)
정리하기
교실내 쓰기 활동의 종류
글쓰기 지도 설계의 원리
쓰기 평가 방법
연습 문제
1l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문단을 교사가 2-3번 정상속도로 읽어 준다. 그리고 교사는 학습자에게 생각나는 대로 다시 문단을 쓰라고 한다.
이때 키워드나 큐가 되는 문장을 자료로 나누어 줄 수도 있다.

a Paragraph Construction Task


b Paraphrasing
c Dicto-comp
d Response to Reading
연습 문제
1l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문단을 교사가 2-3번 정상속도로 읽어 준다. 그리고 교사는 학습자에게 생각나는 대로 다시 문단을 쓰라고 한다.
이때 키워드나 큐가 되는 문장을 자료로 나누어 줄 수도 있다.

a Paragraph Construction Task


b Paraphrasing
c Dicto-comp
d Response to Reading

정답
c
12주차. 쓰기 수업 / 문법 어휘 수업

Lecture 3

문법 어휘 수업
학 01
습 형태 중심의 교수법에 대하여 안다.

목 02
표 어휘 지도 기법에 대하여 안다.
01
학 영어 문법 교육에 대한
현대적 영어교육의 흐름 파악

내 02
다양한 문법 교육 활동

03
어휘 교수 기법
1 Form-focused instruction
(형태중심지도) 관련 교수법
Grammar – 문법은?

Form - 형식
Meaning - 의미
Use - 사용

Image Source https://www.strategiesinlanguagelearning.com


1 Form-focused instruction
(형태중심지도) 관련 교수법

1 GTM, Cognitive code learning

formal aspect of language

2 DM, NA

focus on form은 거의 금지
1 Form-focused instruction
(형태중심지도) 관련 교수법

3 CLT

간접접근법-형식에 대한 한 때의 관심만을 옹호
형식에 초점을 맞춘 기술들의 건강한 복용량을
의사소통적 교육과정에 주입
1 Form-focused instruction
(형태중심지도) 관련 교수법

4 오늘날

zero option of no form-focused instruction


제로선택 (Krashen의 input hypothesis가 대표이다)
noticing(인식) 및 consciousness-raising(의식 고양)
techniques, 이들은 the importance of some
form-focused instruction within
the communicative framework

Image Source http://www.vikasjoshi.com


2 Grammar와 Discourse

1 Grammar

sentence 내 단어들 간의 규칙

2 Discourse rules(담화규칙)

sentences간 관계에 대한 규칙
2 Grammar와 Discourse

3 Grammar와 관련된

Semantics 의미론적 : 단어의 의미와 일련의


단어들에 관한 어떤 것을 말하여 준다.
Pragmatics 화용론 : 발언이나 글로 된 본문의
문맥이 주어졌을 때 여러 가지 의미 중 어떤 것을
부여할 지에 대하여 말하여 준다.
※ 세가지 차원은 상호 연결
3 Emergent Grammar(나타나는 문법)
문법은 의사소통의 부산물(byproduct) 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면 규칙이 된다.
grammaring: 지식으로서의 문법을 배우는 것보다
문법을 실생활에서(정확하고, 의미 있으며,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Image Source https://www.shutterstock.com


4 To teach or not to teach Grammar
적절한 문법교수 기법

• 의사소통적 문맥 내
• 의사소통 목적에 긍정적 기여
• 유창한 의사소통에서 정확성조장
• 문법용어 과다사용 금지
• 내적 동기 부여

**Focus on forms(FonFs 문법 분리 지도) 와


focus on form(FonF 의사소통활동에 통합)은 다르다
4 To teach or not to teach Grammar
문법관련 변수들
• 연령 : 어릴수록 단순한 문법 사용
• 유창도 : 초급 단계에서의 지나친 문법적
관심은 fluency를 저해
• 교육적 배경 : 문맹자는 문법용어의 이해가
어려움.
• 언어 skill : 문어에 있어서 중요
• Register 언어사용역 : informal
context에서는 문법적 정확성이 덜 요구됨
• Needs and goals 욕구와 목표 : 전문적 목적을
위해서는 문법적 정확성이 중요
4 To teach or not to teach Grammar
Less important <--- Focus on Form ---> More important

Learner Variables
Age children Adolescents Adults
Proficiency level Beginning Intermediate Advanced
Education background Preliterate Semiliterate Literate
No formal education Some formal education Well-educated
Instructional Variables
Skill Listening, reading Speaking Writing
Register Informal Consultative Formal
Need/Use Survival Vocational Professional
5 How to teach Grammar 관련 issues
Explicit – noticing, input enhancement – Implicit
• 연역적(deductive) explicit presentation
: 수업 시작하며 규칙을 먼저 제시
• 귀납적(inductive) explicit presentation: input enhancement
혹은 consciousness-raising 기법을 통하여 규칙에 대하여 다양한 용례를
제시하고 규칙 설명
• noticing: 학습 중 주목한 특정 입력에 대하여 집중하는 과정
• Abductive learning(귀추법 by C. Peirce): 가장 잘 설명할 것 같은 문법적
규칙을 가정하는 방법, 즉 주어진 예시문들에 근거하여 가장 그럴듯한 혹은
최선의 설명을 하여주는 문법 규칙을 가정하고 학습 후 확인 함
5 How to teach Grammar 관련 issues
문법설명, 문법용어 사용
• 설명은 간략, 단순
• chart, visuals 사용
• 명확한 예
• 학생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인지주의적 문체(문법)
설명 노력 차이 반영(e.g. 문법적 설명 선택 시
analytical learners가 holistic learners보다 수월)
• 예외규칙에 안 질리게
• 교사가 모를 경우 거짓 정보를 제공 피한다(다음 날 다시
알려주겠다고 하는 것이 낫다)
5 How to teach Grammar 관련 issues
특정 ‘문법시간’에 문법을 가르쳐야 하는가?
• 일반적 언어과정에 포함시켜
가르치는 것이 효과
• 따로 떼어도 효과 있는 경우 있음
(중급 마지막 단계 ~ 고급 학습자들)
5 How to teach Grammar 관련 issues
문법적 errors를 수정해야 하는가?

• 의사소통 흐름 유지, 학생의 자기 수정 최대화,


학습자가 처해 있는 감정적, 언어학적 위치를
민감하게 고려하는 원칙들을 고수하는 한 - OK
• process writing에서 local 오류들에 대한
관심은 학습자들이 한 두개의 초고를 완성했을
때까지 지연되는 것이 보통, 의미 방해하는
global 오류는 물론 과정에서 더 일찍 관심을
기울게끔 되어야 한다.
• 문법적 실수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관심은
효과적
5 How to teach Grammar 관련 issues
Lexicogrammatical Approach(by M. Halliday)
• 어휘와 문법은 연계되어 있다고 보는
접근법으로
• 말뭉치(corpus)자료를 중요하게 여김
6 Grammar Techniques
Using chart - 문법적 관계를 명확히 해 줌
Using object - 수업을 활기차게 해 줌
근감각 제공
Using map & drawings
jigsaw, information-gap, 기타 상호작용적 기법들에
유용, 특정 문법 구조 설명 시 도움
(전치사 구조, 의문형, 명령형 등의 사용 자극)

Using dialogues and conversations


- 문법사항 소개, 연습시킴
6 Grammar Techniques
Input enhancement(입력 고양) - 특정 문법 요소를 지문에서
볼드체(수업시 교사의 손짓 등)로 표시함
Input Flood – 특정 문법 요소를 읽기 지문에서 다수 반복 소개 함
Input Processing – 보다 명료하게 특정 요소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맥락에서 연습하게 함(예, 교실 상황을 서술하고 과거와
현재형으로 묘사하게 함)
Dictogloss – Dictocomp의 일종으로 작문 후 특정 문법 요소에
대하여 인식하게 함
7 Vocabulary teaching – 역사적 고찰
20세기 후반 Michael Lewis’의
Lexical approach가 어휘에 강조를 하는 교수법
의사소통과정에서 어휘를 학습하는 ‘incidental learning’과
‘intentional learning’ 모두 효과적임
말뭉치 언어학(corpus linguistics)의 발달로
연어(collocation)의 활용이 주목받음
Concordancing(단어의 용례가
문장속에 제시되는)의 활용도 주목받음

Image Source https://sisaljournal.org


8 Vocabulary teaching – 어휘 지도 전략
1 어휘학습 위해 특정 수업시간 할당

2 문맥 내 어휘 학습

3 “Unplanned vocabulary" teaching에 참여

예를 몇 개 주고 혹은 학생들에게 다른 문장에서
그 단어를 사용하도록 고무, but 지겨운
계속적 진행으로 활동의 중심 초점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Image Source https://starteachertraining.com


8 Vocabulary teaching – 어휘 지도 전략
e.g.) "clumsy"

T: Okay, "clumsy." Does anyone know what that means?


[writes the word on the board]
Ss: [silence]
T: No one? Okay, well, take a look at the sentence it's in. "His clumsy efforts
to imitate a dancer were almost amusing." Now, was Nernard a good
dancer? [Mona raises her hand.] Okay, Mona?
S1: Well, no. He was a very bad dancer, as we see in the next sentence.
T: Excellent! so, what do you think "clumsy" might mean?
S2 : Not graceful
S2 : Good, what else? Anyone?
S3: Uncoordinated?
T: Great! Okay, so "clumsy" means awkward, ungraceful, uncoordinated.
[writes synonyms on the board] Is that clear now?
Ss: [most Ss nod in agreement]
8 Vocabulary teaching – 어휘 지도 전략
4 단어 의미 파악 위한 strategy 발달 조장

어휘 발달을 위한 다양한 전략으로


단어구성(word building: 접미어, 접두어, 어근)
정의내리는 단서(definition clues: 괄호 속 설명, 유의어, 반의어, 분류)
추론 단서(inference clues: 실례, 재서술, 맥락)
단어 연상(word associations: 의미 합성, 연어) 등이 있다.

Image Source https://www.teachhub.com


정리하기
영어 문법 교육에 대한
현대적 영어교육의 흐름 파악
다양한 문법 교육 활동
어휘 교수 기법
연습 문제
1l 다음 보기에서 빈 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순서대로 넣은 것을 고르시오.
Today only a handful of language-teaching experts advocates no focus on form( (a) ) at all, a
prime advocate of which is Stephen Krashen with his (b) . Current views of second language
classroom methodology are almost universally agreed on the importance of some (c)
instruction within the communicative framework, ranging from explicit treatment of rules to
noticing and (d) techniques for structuring input to learners. This of course still leaves open
a wide range of options from which you must choose, depending on your students, their
purposes, and the context.

a a) input hypothesis -(b) zero option -(c) form-focused -(d) consciousness-raising


b a) input hypothesis -(b) zero option -(c) consciousness-raising -(d) form-focused
c a) zero option -(b) input hypothesis -(c) form-focused -(d) consciousness-raising
d a) zero option -(b) input hypothesis -(c) consciousness-raising -(d) form-focused
연습 문제
1l 다음 보기에서 빈 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순서대로 넣은 것을 고르시오.
Today only a handful of language-teaching experts advocates no focus on form( (a) ) at all, a
prime advocate of which is Stephen Krashen with his (b) . Current views of second language
classroom methodology are almost universally agreed on the importance of some (c)
instruction within the communicative framework, ranging from explicit treatment of rules to
noticing and (d) techniques for structuring input to learners. This of course still leaves open
a wide range of options from which you must choose, depending on your students, their
purposes, and the context.

a a) input hypothesis -(b) zero option -(c) form-focused -(d) consciousness-raising


b a) input hypothesis -(b) zero option -(c) consciousness-raising -(d) form-focused
c a) zero option -(b) input hypothesis -(c) form-focused -(d) consciousness-raising
d a) zero option -(b) input hypothesis -(c) consciousness-raising -(d) form-focused

정답
c
연습 문제
2l 다음은 무엇에 관한 것인지 고르시오.
Informal contexts often make fewer demands on a learner’ grammatical accuracy.
In casual conversation among peers, for example, minor error are acceptable,
while more formal contexts usually require greater grammatical accuracy.
Similarly, in writing, tolerance for error is higher in, say, a quick e-mailed message
than in a formal essay.

a proficiency level
b educational background
c language skills
d style(register)
연습 문제
2l 다음은 무엇에 관한 것인지 고르시오.
Informal contexts often make fewer demands on a learner’ grammatical accuracy.
In casual conversation among peers, for example, minor error are acceptable,
while more formal contexts usually require greater grammatical accuracy.
Similarly, in writing, tolerance for error is higher in, say, a quick e-mailed message
than in a formal essay.

a proficiency level
b educational background
c language skills
d style(register)
정답
d
연습 문제
3l 밑줄 친 It이 가리키는 것으로 적절한 것은?
It can stimulate learners' use of
․ prepositional phrases(up the street, on the left, over the hill, etc.),
․ question forms(where, how do I get to, can you tell me, is this, etc.),
․ imperatives(go, walk, look out for, etc.),
․ appropriate discourse for getting someone's attention, asking for directions,
receiving and clarifying given information, and terminating the conversation.

a chart
b object
c maps
d dialogue
연습 문제
3l 밑줄 친 It이 가리키는 것으로 적절한 것은?
It can stimulate learners' use of
․ prepositional phrases(up the street, on the left, over the hill, etc.),
․ question forms(where, how do I get to, can you tell me, is this, etc.),
․ imperatives(go, walk, look out for, etc.),
․ appropriate discourse for getting someone's attention, asking for directions,
receiving and clarifying given information, and terminating the conversation.

a chart
b object
c maps
d dialogue
정답
c
연습 문제
4l 다음 빈 칸에 가장 적합한 단어를 고르시오.

One of the hot topics of the last decade in vocabulary teaching is whether
learners are better served in the long run with _____(a)______ exposure to lexical
items(that is, as a by-product of communicative activities), or with
______(b)_________ explicit focus on vocabulary.

a a) incidental - (b) intentional


b a) intentional - (b) incidental
c a) collocations - (b) concordancing
d a) concordancing - (b) collocations
연습 문제
4l 다음 빈 칸에 가장 적합한 단어를 고르시오.

One of the hot topics of the last decade in vocabulary teaching is whether
learners are better served in the long run with _____(a)______ exposure to lexical
items(that is, as a by-product of communicative activities), or with
______(b)_________ explicit focus on vocabulary.

a a) incidental - (b) intentional


b a) intentional - (b) incidental
c a) collocations - (b) concordancing
d a) concordancing - (b) collocations
정답
a
연습 문제
5l 다음 사항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Most students have studied and enjoy learning words with similar and opposite
meanings, The task is to get the to recognize the definitional role these often
play.
․ X is Y; X, that is Y;

a definition
b synonyms and antonyms
c inference clues
d suffixes and prefixes recognition
연습 문제
5l 다음 사항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Most students have studied and enjoy learning words with similar and opposite
meanings, The task is to get the to recognize the definitional role these often
play.
․ X is Y; X, that is Y;

a definition
b synonyms and antonyms
c inference clues
d suffixes and prefixes recognition
정답
b
12주차. 쓰기 수업 / 문법 어휘 수업

Lecture 4

교수법 읽기
Multiple Intelligences
Gardner originally identified seven intelligences and
then in 1999 he identified an eighth. The eight
intelligences are:

1. Musical Intelligence
2.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3.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4. Linguistic Intelligence
5. Spatial Intelligence
6. Interpersonal Intelligence
7. Intrapersonal Intelligence
8. Naturalist Intelligence
Image Source http://etec.ctlt.ubc.ca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is not a method,
so there isn’t any direct principle to guide your
teaching; however, one can infer the following:
Help learners discover their abilities and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Provide unforgettable learning experiences by
providing learners with a variety of activities and
task. Variety, after all, is the spice of life. Since
every learner has multiple spheres of mental
activity, teachers we should use a wide variety of
task and activity types that engage the whole
spectrum of intelligences.
Multiple Intelligences
The main criticism of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as it applies to education is that it is
hard to assess all seven or eight intelligences. For
example, Gardner sees each intelligence as acting
within a specific cultural domain, so to assess body-
kinesthetic intelligence one would need to know the
cultural products that are fashioned or problems
that are solved using that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s
Most criticism of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has more to do with concepts of the mind,
philosophy, and psychology and are not relevant for
language teachers.

Image Source https://childfirst.com.sg


Closing
제2언어 쓰기에 관한 연구 결과
문자 언어의 유형/ 문자 언어의 특징
쓰기 위한 학습자의 거시적, 미시적 기술
교실내 쓰기 활동의 종류
글쓰기 지도 설계의 원리
쓰기 평가 방법
영어 문법 교육에 대한 현대적 영어교육의
흐름 파악
다양한 문법 교육 활동
어휘 교수 기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