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

5주차 수업계획

1.영화 <여인의 향기>


2.에리히 프롬
3.사랑의 기술
4.사랑의 기술이 제기하는 질문
5.사랑의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
6.사랑에 대한 조언

2
여러분은 사랑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것이 떠오릅니까?

3
여러분은 어떤 사랑을 하고 있습니까?

https://www.youtube.com/watch?v=Xoe28q8Qrug 4
1. 영화 <여인의 향기>

1) 줄거리

1992년 개봉된 영화 <여인의 향


기>는 지오바니 아르피노의 원
작 소설 <Il buio e il miele>(어
둠과 꿀)를 바탕으로 한 이탈리
아의 영화를 다시 각색해서 제
작한 할리우드 영화이다. 시각
장애인인 퇴역 장교와 고등학
생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3uz9d9oHKk
https://www.youtube.com/watch?v=lyrjexTbfWk

5
사랑은 ‘감정’인가?

A feeling or disposition of deep affection or fondness


for someone, typically arising from a recognition of
attractive qualities, from natural affinity, or from
sympathy and manifesting itself in concern for the
other's welfare and pleasure in his or her presence
(from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youtube.com/watch?v=1hZa60t8wSE

6
사랑 표현하기

https://www.youtube.com/shorts/ivpoQwYdI8w 7
사랑이란?

8
2. 에리히 프롬

Erich Fromm(1900-1980)
정신분석학과 사회학을 결합하여 사회심리학이라
는 분과를 세운 비판적 좌파 지식인. 1930년대 독일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일원으로 활동.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부정(Negation)의 정신을 공유하던 비판이
론가 집단.

사회심리학(社會心理學, 영어: social psychology)은 사회


적 상황 요인이 개인의 행동·생각·느낌에 어떤 영향을 미
치는지, 그리고 개인과 공동체 간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이
루어지는지를 심리적 측면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위키
백과)
9
3. 사랑의 기술

10
3. 사랑의 기술

ART
-스킬이나 테크닉은 물론 품성이나 태도를 포함
-사랑은 추상적인 관념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을 다루는 기술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실천적인 기술

Loving
-사랑은 목적이 아니라 끊임없는 삶의 과정
-사랑은 받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사랑하는 기술)
-이성에게 반하는 황홀한 수동적 감정이 아니라, 이성적이며 능동적 행위

11
4. 사랑의 기술이 제기하는 질문들

사랑함(Loving)은 감정이 아니라 부단히 노력해서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그렇다면 그런 사랑의 기술
은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어떻게 그 기술을 배울 수
있는가?

1)우리는 왜 사랑을 배우려 하지 않는가?


2)우리는 왜 사랑하려고 하는가?
3)사랑이란 무엇인가?
4)사랑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5)우리가 진정한 사랑에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6)사랑의 기술은 어떻게 습득하는가?

12
4. 사랑의 기술이 제기하는 질문들
우리는 왜 사랑을 배우려 하지 않는가?

1)사랑은 주는 것이 아니라 받는 것이라는 생각


사람들은 사랑을 받기 위해서 사랑 받을 만한 매력
을 갖추려고 한다. 그래서 재산과 권력, 외모를 갖
추는데 몰두한다. 여기에 유쾌한 태도, 재미있는 대
화술, 유능하고 겸손하고 유연한 처세술까지 갖추
면 최상이다. 하지만 이것은 사랑스러워지는 법이
지 사랑하는 법이 아니다. 이런 사람은 사랑을 획
득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사랑을 지속할 수는 없
다.

13
4. 사랑의 기술이 제기하는 질문들

2)사랑은 물물교환과 같은 거래라는 생각


사람들은 사랑을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조건의
거래하는 관념을 가지고 있다. 스스로 인간 시장
에서 잘 팔리는 상품이 되고자 스스로를 포장한
다. 이러한 경제학적 사고에서 사랑은 다만 조건
에 맞는 최상의 상대를 찾고 그와 거래하면 그만
이다.

14
4. 사랑의 기술이 제기하는 질문들

3)사랑은 첫눈에 반하는 감정이라는 생각


사랑은 감정이 아니다. 사랑을 배우는 이유는
그 사랑을 유지시켜 나가기 위해서이다. 감정으
로 이루어지는 사랑은 오래 유지되지 않는다.
그런 감정은 그들이 만나기 전에 얼마나 외로웠
는지를 입증할 뿐이다.

15
4. 사랑의 기술이 제기하는 질문들

우리는 왜 사랑하려고 하는가?

1)분리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서


인간의 실존적 문제: 죽음과 분리
정상적인 극복법: 사랑(타인과의 화해, 융합)
비정상적 극복법:
도 취: 알코올 중독, 마약중독(일시적 합일)
표준화: 사회의 표준에 부합(사이비 합일)
창 조: 외부세계와의 결합(비인간적 합일)

16
4. 사랑의 기술이 제기하는 질문들
공서적 합일(Symbiotic Unity): 의존적인
사랑은 지배와 예속의 관계일 뿐, 주체적
인 사랑이 아니다. (외로워서 만나는 사랑
은 진정한 사랑이 아니다.)

독립적인 합일(사랑): 개체성이 보존되는


통합

사이비 사랑
1) 숭배적 사랑
2) 감상적 사랑
3) 투사적 사랑 17
5. 사랑의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

사랑의 기술은 어떻게 습득하는가?

훈련
-전 생애를 통한 훈련(지속적인 사랑의 유지)
-자신의 의지가 들어난 훈련(외부적 훈련이 아님)
-즐거움이 수반되는 훈련

집중
-정신집중(홀로 있을 수 있는 능력)
-자립적 관계
-홀로 있을 수 있는 사람만이 진정한 사랑을 할 수 있
다. 18
5. 사랑의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

인내
-빠른 결과만을 바래서는 안됨
-걸음마를 배우는 어린아이
-실패를 통해 인간은 성숙해 짐

관심
-자신에 대한 관심
-내면의 소리를 경청
-자신의 부족함에 대한 각성

19
6. 사랑에 대한 조언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라!

사랑의 능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아도취를 극


복하는 것이다. 자아도취의 반대는 객관성이다. 모
든 정신병은 객관성을 상실한 무능의 상태다. 어린
시절의 꿈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자신을 무능하
고 우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객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은 이성이다. 이성
의 배후의 정서적 태도는 겸손이다. 사랑은 자아도
취의 상대적 결여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사랑은 겸
손, 객관성, 이성의 발달을 요구한다.

20
6. 사랑에 대한 조언

사랑에 대한 믿음을 잃지 말라!

사랑한다는 것은 아무런 보증없이 자신을


맡기고 상대도 나를 사랑해 주리라는 희망
을 거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사랑은 믿음
의 작용이다. 나의 노력 속에서 상대의 변
화를 바라는 것이 사랑이다. 우리는 쉽게
사랑하고 쉽게 헤어진다. 헤어짐은 아픔이
지만, 다른 사랑으로 잊을 수 있다고 생각
한다. 하지만 성숙한 사랑은 사랑에 대한
믿음을 통해 상대방을 신뢰하는 것이다.

21
-사랑은 감정인가? 기술인가?

-사랑을 배우려고 노력해 본 적이 있는가?

-당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사랑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실존적인 문제(죽음과 분리)를 어떻게 해결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22
과제
 보고서 분량은 자유이나 완결된 한편의 글을 작
성할 것

 서론/본론/결론 등의 구성을 갖출 것

 권장사항: 휴먼명조, 글자크기 10, 줄간격 160

 제출일 준수(총 2회: 중간고사 전/기말고사 전)

23
2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