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제 2 장 호모 에로티쿠스

3 주차 2 강 ( 목 )
2-1. 에로스의 기원과 성질 2

플라톤
『향연』
소크라테스
플라톤의 사랑 : 사랑과 지식 , 그리고 세계
철학자의 사랑

소크라테스에게 한 수 가르친 디오티마 (Diotima)

사랑의 품격 / 최상의 것 / 완전한 것 / 인간의 본성 / 인간의 품질


세계와 이데아계 : 현상과 본질

형이상학 (metaphysics) 적 질문 : 이 세계는 무엇인가 (Form, Shape, Idea)


세계 : 현상계 (The World of Phenomena), 변하는 것들의 총집합 , 그림자
이데아계 : 본질계 (The World of Essence), 변하지 않는 것들의 총집합 , 원본 , 근원

동굴의 우화 ( 공화국 7 권 )
소크라테스의 사랑론

1. 사랑은 무엇인가

2. 사랑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3. 사랑은 무엇을 주는가


1. 사랑의 정체

1. 욕망 (desire)

아름다움의 부족 (want) 혹은 결핍 (lack) 을 메우려는 (fulfill) 힘이다 .

2. 다이몬 (daimon; 신과 인간의 중간자 / 매개 )

아름답지도 추하지도 않다 .

3. 부와 결핍의 자식

언제나 결핍을 느끼며 또 그 결핍을 메우려는 꾀가 많다 .


2. 사랑의 진행과정

1. 아름다운 사람 : 매력적인 여성 혹은 남성

2. 육체적 자식보다는 영혼의 자식 선호 ( 영원성의 면에서 )

3. 아름다운 사람 하나에서 다수로

4. 사람의 아름다움보다는 아름다움 그 자체

5. 아름다움을 있게 하는 아름다움의 이데아


3. 사랑의 목적

1. 이데아의 세계에 대한 지식 추구

2. 이 세계의 근원에 대한 지식 추구 ( 철학 )
사랑의 힘 ( 진 , 선 , 미 )

욕망과 아름다움 / 아름다움과 지식


사랑과 진리
사랑과 철학
사랑의 행보 : 디오티마의 사다리

사람 - 자손 - 영혼 - 개념 - 이데아

초월
완성
본질
귀향
소외극복

디오티마의 사다리
그래서 , 사랑이란 무엇인가 ?

1. 사랑은 무엇을 주나 ?

완전성 (Perfection): 진리 (Truth)


자기실현 (Self-realization): 선 (Virtue)
더 좋은 것에 대한 지향 (Desire for Better Things): 미 (Beauty)
초월 (Transcendence)
보편성 (Universality)
전체성 (Totality)

2. 인간은 왜 사랑하는가 ?

인간 실존의 조건을 통제 , 극복 , 초월하기 위해

3.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

1. 의 항목 모두를 결여한 , 그래서 이들에 대한 욕망을 품고 , 그 욕망을 충족 , 해소하려는 존재


다음 강의 (4 주차 ) 소개

1 . 필리아 : 우애에 대하여

탁월성이 무엇인지 이해한다 .


육체적 결합을 배제한 사랑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

2. 사랑의 기술

사랑을 본능이 아닌 기술로 정의하는 이유를 이해한다 .

3. 에밀리에게 바치는 장미

다양한 ( 부정적인 ) 사랑의 경우를 알아본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