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리만적분 연습문제

리만적분 연습문제 모음
1.리만합,상합,하합

구간  의 분할(partition)이란 를 포함한  의 유한개의 점의 집합     ⋯  을


뜻한다. 구간의 분할에 속하는 점을 크기 순서      ⋯    로 늘어놓을 수 있고 이 때
구간    는 소구간      (    ⋯  )으로 나누어진다.

   의 분할     ⋯  에 대하여


  sup     ≤  ≤  ,   inf      ≤  ≤  라 할 때 분할  에 대한  의 상합
(upper sum)     과 하합(lower sum)    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분할  에 대한 리만 합(Riemann sum)은, ∈      가 임의의 값일 때



         

   이다. 각각의     에서  ≤    ≤  이므로 상합, 하합이 존재하

는 임의의 함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이다. 당연히, 함수  가 (아래로 위로 모두)


유계이면  의 상합,하합이 존재한다.

1.    에서 함수  에 상합     가 존재하면  는    에서 위로 유계이고, 하합     가 존재하


면  는    에서 아래로 유계임을 증명하여라.

증명)          

   일 때   max ⋯  이라 하면  은  의 상계이고


         

   일 때   min   ⋯  이라 하면 은  의 상계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상합과 하합은 모두 유계인 함수에서만 다룬다. 예를 들어  에서 함수    은 유

계가 아니므로 상합이 존재하지 않는다.

- 1 -
리만적분 연습문제

2.상합과 하합의 성질

구간    의 두 분할   가 주어졌을 때  ⊂  이면  는  의 세분(refinement)이라 한다.


이 떄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1)(교과서 5.2장 정리 2.3)함수  가 구간  에서 유계라 하고     ⋯  을  의 분
할,  를  의 세분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이다.
(2)(교과서 5.2장 정리 2.4)함수  가    에서 유계라 하고   를    의 분할이라 하자. 그러
면   ≤   이다.

증명)(1)   ∪ (∈ )인 경우에 증명되면 증명 끝.        라 하자. 소구간      를 제외


한 나머지 소구간에서는  와  에 대한 상합과 하합이 모두 같다.     ≤     임을 증명하자.

소구간      에서  에 대한 하합은        이다. 또,


  inf      ≤  ≤  ,   inf    ≤  ≤  이라 하면, 소구간      에서  에 대한 하합
은       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찬가지로   ≤   이고, 상합과 하합의 정의에 의하여   ≤   이므로 증명 끝.
(2) 의 분할   ∪ 는   의 세분이므로, (1)에 의하여   ≤   ≤   ≤  
이므로 당연.

3.리만적분(교과서 5.2절)

   에서 정의되는 유계인 함수  에 대하여, 임의의 상합     은 임의의 하합     보다 크므


로 상합의 집합     는 아래로 유계, 하합의 집합     는 위로 유계이다. 따라서
  
  inf     ,


  sup    가 존재한다. 이 때

 을  의 하적분(lower 
 
    
integral),  
 을  의 상적분(upper integral)이라 한다. 그러면  
≤  이고,



  인

 
 
경우 이 값을  의 정적분이라 하고    

또는   로 나타내며,

를 정적분의 아래끝, 를

정적분의 위끝이라 한다. 이 때 함수  는 리만적분가능(Riemann integrable)이라 한다.


예를 들어,  에서 함수    은 유계가 아니므로 상합이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리만적분가능이 아

니다.

- 2 -
리만적분 연습문제

2. 함수  가    에서 리만적분가능일 때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일 때   


가 리만적분가능임을 보여라.

Sol) 의 분할     ⋯  에 대하여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x  이고 ′ ″  ⊂      s.t.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찬가지로      

    인 분할  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3. 함수 가  에서 리만적분가능이고 함수 가  에서 리만적분가능일 때


    ≤  ≤ 
       ≤ 
가 리만적분임을 보여라.

Sol) 의 분할     ⋯  ,     의 분할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max   sup ≤  ≤   inf  ≤  ≤    이고


∈    s.t.      이면

   의 분할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찬가지로             인 분할  가 존재.
 

 
4. 함수   가    에서 리만적분가능이고  ≤  이면    ≤     임을 보여라.
 

Sol) ≤  이므로    의 임의의 분할  에 대하여     ≤     이므로     의 임의의 하계는
  의 하계가 되므로 inf     ≤ inf     이고,  는 리만적분가능이므로

- 3 -
리만적분 연습문제

   
inf          , inf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5. (디리클렛 함수)구간    에서      는 무리수


는 유리수
는 리만적분불가능함을 증명하여라.

임의의 [0,1]의 분할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교과서 연습문제 5-2,2번)       ⋯    를 구간    의 임의의 분할이라고 할 때


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    와     를 구하여라.



(2)(1)을 이용하여     를 구하여라.

Sol)(1)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리만적분 연습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에 의하여, 임의의 분할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분할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구간    를 같

은 간격의 구간 개로 나누는 분할)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이고, lim             이므로 임의의    에 대
 →∞

하여                 인  이 존재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마찬가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교과서 연습문제 5-3,5번) 구간    에서 함수    가 적분가능하고    ≥  이면    ≥ 

임을 증명하여라.

Sol) 는  에서 적분가능이므로     ≤     인   가 존재하고 임의의  ≥  이므

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함수  가    에서 리만적분가능일 필요충분조건은 임의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인


   의 분할  가 존재하는 것임을 증명하여라.

Sol)증명: 의 분할  이        을 만족한다고 하고,   ∪∪ ⋯ ∪ 이라

하자. 그러면  ⊂  이고  ⊂  ⊂⋯⊂  이므로, 정리 3.5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   ≤       ≤       ≤     ....1)

- 5 -
리만적분 연습문제

1)에 의하여     는 위로 유계이고 단조증가,     는 아래로 유계이고 단조감소이므로



  lim     ,   lim    이 존재. 이 때    이면,      인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모순. ∴ ≥  .

 
이 때 상적분, 하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는    에서 리만 적분 가능.

9. (교과서 연습문제 5-2,4번)       이고 함수  가 구간    에서 적분가능하면  는 구간   


에서도 적분가능함을 보여라.

Sol) 가    에서 리만적분가능이면, 임의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인

    의 분할

 ′  ″ 이 존재한다. 이 때     ′∪ ″∪  라 하면,   는


 ′  ″ 의 세분이므로 정리 3.5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   ∩     를     의 분할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은 임
의의 양수이므로 위 문제에 의하여  는    에서 리만적분가능.

10. (교과서 연습문제 5-3, 4번) 가 적분가능이고 가 임의의 실수일 때      도 적분가능임
을 증명하여라.

증명) 7번 문제를 이용하자.


1)   는 리만적분가능:   각각이 리만적분가능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인    의 분할   존재.   ∪ 라 하면 2.상합과 하합의 성질에 의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 ⋯  이라 하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sup∈      ,   sup∈      이므로, sup∈         ≤    이고, 따라서

 
       su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찬가지로       ≥         

- 6 -
리만적분 연습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리만적분가능.

2) 가 리만적분가능이고 ∈ 이면  도 리만적분가능.

i)   :   이므로 당연.


ii)   :임의의    에 대하여,  가 리만적분가능이므로            인    의 분할  가 존

재.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문제 8에 의하여  는 리만적분가능.


iii)   :임의의    에 대하여  는 리만적분가능이므로            인    의 분할  가

존재.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문제 8에 의하여  는 리만적분가능.

3) 가 리만적분가능.

먼저 다음을 증명하자:  가 리만적분가능이면    도 리만적분가능. (*)

증명:  가 리만적분가능이고  ≥  이면    이 리만적분임을 우선 증명하자.  가 리만적분가능이므


로 상합            이 존재하고   sup∈      이므로, 임의의 ∈    에 대하
여    ≤ max  ⋯   이다. 따라서    에서    ≤  인    이 존재한다.


 가 리만적분가능이므로 임의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인    의 분할  가 존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제 8에 의하여    은 리만적분가능.


이제 임의의 리만적분가능인  에 대하여    이 리만적분가능임을 보이자.    가 리만적분가능이므



로 하합          

   가 존재하고   min  ≤  ≤  에 대하여 임의의 ∈    에 대하여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고,      은 리만적분가능이므로      


          은 리만적분가능이다. 그러면 1),2)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은 리만적분가능.

이제   가 리만적분가능이면 1)에 의하여  도 리만적분가능이고, 1),2),(*)에 의하여

- 7 -
리만적분 연습문제


           도 리만적분가능.

11. 함수     → 가    위에서 유계라 하자. 다음 물음에 각각 답하여라.


(1) 의 임의의 분할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여라:
     ≤         
(2)(1)을 이용하여  가    에서 리만적분가능이면  도    에서 리만적분가능임을 보이고 다음을 증

 
 
명하여라:

 ≤  

 
Sol)(1)분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각각의      에서, 삼각부등식에 의해 임의의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max∈      ,   min ∈       일 때
   ≤    이고,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임의의    에 대하여,  가 리만적분가능이므로            인 분할  가 존재하고 (1)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이므로  는 리만적분가능이다. 문제 10에 의하여
  
  도 리만적분가능이고   ≤  ≤  이므로 문제 4에 의하여  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 ≤   .

12. 함수     → 가 리만적분가능이라 하자. 모든 ∈    에 대하여    ≥  를 만족하는    이



존재하면  는    에서 리만적분가능임을 증명하여라.

 
Sol)모든 ∈    에 대하여  ≤    ⇔  ≤  이고, 임의의 분할  와 상합, 하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임의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인 분할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는 리만적분가능.

- 8 -
리만적분 연습문제

13. 함수      → 가 리만적분가능이면 max  와 min   도 리만적분가능임을 보여라.


 
Sol)max         , min           이므로 위 문제들로부터 적분가능.
 

14. 1)함수     → 에 대하여,    의 수열  ,  이 존재하여 lim    lim    를
→∞ →∞

만족하면  는 리만적분가능이고     lim     lim    
 →∞

→∞
 임을 증명하여라.

(2)함수     → 에 대하여,    의 수열  이 존재하여 lim    lim    를 만족하면
→∞ →∞

 는 리만적분가능이고   lim     lim    
 →∞

→∞
 임을 증명하여라.

   
Sol)(1) lim   ≤ sup   
→∞
 
 ≤  
  inf    ≤ lim   
→∞
⇒ 
 

 
(2) (1)에 의하여 당연

15. (교과서 연습문제 5-2, 3번)다음 함수가 구간    에서 적분가능한지를 조사하여라.

(1)       는 유리수


는 무리수 


Sol)임의의 분할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이면,


sup∈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임의의 구간     에서      인 가 존재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분불가능.

    
(2)    otherwise
   ∈ 


Sol)임의의 구간      에서      인 점 (∈ )와      인 점 (   
 , ∈ , ∈ )이 반

드시 존재하므로, 임의의 분할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분 불가능



 
   ≤
(3)     



   또는    ≤ 

- 9 -
리만적분 연습문제

 

    
Sol)분할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분할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적분가능. 적분값   

 

(4)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 
Sol) 는      (     ⋯ )에서 적분가능. 적분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lim    lim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각각의      에서        ,
     ⋅

- 10 -
리만적분 연습문제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분할  이 존재한다. 이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분할   ∪∪  ∪ ⋯ ∪ 을 생
        
각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는 적분가능, 적분값=1

16. 구간    의 분할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max ≤  ≤        을  의 노름


(norm)이라 한다. lim           , 즉 임의의 양수  에 대하여 이에 대응하는 적당한
 →

   가 존재하여     일 때            이면 함수  가    에서 리만적분가능임을 증


명하여라.
Sol)문제 8에 의하여 당연.

17. (2010년 2학기 기말)함수    가 구간    에서 정의된다고 하자.


구간     의 분할 를     ⋯       이라 하고 이 분할  에 대한    의 상합
 



       을    ,    의 하합   

       을    라 하자. 임의의 양수  에 대

- 11 -
리만적분 연습문제

하여 이에 대응하는 적당한   가 존재하여     일 때          이 성립하면, 즉


lim         이 성립하면    가 구간    에서 적분가능하다고 할 때, 다음을 증명하여라.
 →

(단,   는 분할  의 노름이고        는 각각 구간       에서 함수    의 최댓값과 최솟


값이다.)
(1)    가 구간    에서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    가 구간    에서 적분가능함을 보여라.

   일 때    ≤    (단,   ∈ )


Sol) 의 임의의 분할         ⋯    에 대하여, 각각의         (     )에서,
min ∈      , max∈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       : ∀   ,    라 하자.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ii)        : 함수는 상수함수      가 되므로,              .


따라서 lim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2)    가 구간    에서 연속이면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고 할 때, 구간    에서 연속인 함수   


가    에서 적분가능함을 보여라.

임의의 양수  에 대하여 이에 대응하는 적당한    가 존재하여      일 때



       가 성립한다. (단,   ∈    ) <평등연속>

 
So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이면 각각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참고: 닫힌 구간    에서 연속인 함수  는    에서 평등연속이다.(증명은 대학 해석학) 따라서   


에서 연속인 임의의 함수  는 리만적분가능이다.

- 12 -
리만적분 연습문제

위의 문제 3과 연속함수의 리만적분가능성으로부터, 조각적 연속(piecewise continuous)인 함수는 리만


적분가능임을 알 수 있다.(교과서 6.1절)
4.미적분의 기본정리(교과서 5.3절)

함수    가 닫힌 구간    (   )에서 연속일 때      라 할 때

(1)함수   는 미분가능하고  ′   (2)   는 유일하게 결정된다.

증명)(2)는      이고  ′   를 만족하는 함수  의 유일성으로부터 증명된다. (평균값 정리 이용)


(1)의 증명은 다음과 같은 좀더 일반적인 명제로부터 나온다(증명은 교과서 5.3절의 정리 3.3에):
함수    는 닫힌 구간    (   )에서 연속이라고 하고 임의의   ( ≤  ≤  ≤  )에 대하여 다음
(조건 1)과 (조건 2)를 만족하는   에 대하여,       라 하면 함수   는 미분가능하고
′  
(조건 1)닫힌 구간    의 모든 점 에 대하여  ≤    ≤  이면      ≤   ≤     
(조건 2)        


이 때     로 놓으면 증명 끝. (단 이 정리는    가 연속일 때 리만적분가능인지는 알려


주지 않으므로 의 함수     가

실제로 존재하는지도 알려주지 않는다. 리만적분가능성에 대한

증명은 위의 문제 12와 같이 해야 한다.)

5.미적분의 기본정리


 ′          .

(이 식에는  가 미분가능, ′ 이 적분가능이라는 암묵적인 가정이 깔려 있음에 주의.)


증명)       ⋯   가 임의의 분할일 때 각각의       에 대해,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       가 존재한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적분가능일 때, 임의의    에 대하여          ....1) 인    가 존재하고
   ≤ ′   ≤   
  ⇒    ≤    ≤    ....2) 이므로,
1),2) ⇒                   
1),2) ⇒                   
이 때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lim    lim           이고,    
 →  →
 ′ 이다. ■

- 13 -
리만적분 연습문제


18. (교과서 연습문제 5-3,2번)다음 함수    에 대하여         라고

하자.  ′       가

성립하는 실수 의 집합을 구하여라.

(1)     ≤



Sol) 는 임의의      (   ,   )에서 적분가능이므로 임의의    에서 적분가능이고, 따라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임의의 에 대하여      
   
const

 

   ⋅            
이 때     

이므로  ′    정의되지 않음    

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Sol)(1)과 마찬가지로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정의되지 않음     ∴ ≠  일 때  ′      
    

(3)     ≤



Sol)(1)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때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 되어 모든 에서  ′  


 

⋅   ≤  
 ≤  

(사실,    는 연속함수이므로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의하여 항상  ′       .)


 
     ∈
(4)     
 otherwise
 
Sol)임의의    에 대하여       임을 보이자. 그러면 임의의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는  ≠  ∈  이다.



i) ∉    ,    가  을 포함하지 않음: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ii) ∉    ,    가  을 포함: ∈    이므로    에 포함된  꼴의 원소는 유한개이다. 이들을
 
     
    ⋯  (   )이라 하자. 이 때    의 분할  을         일 때

    
   

- 14 -
리만적분 연습문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즉, 구간    의 끝점과 중점이     ⋯  이고 폭이  인 구
   
간들의 끝점 중     에 속하는 것들의 합집합. 이 때 는
   
   ⋯  사이의 간격     개 중 가장 작은 값의  . 따라
    
   
서 각각의 구간          는 서로 만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

또,      

∴ lim     lim     
→∞ →∞
이므로,     

  
iii)∈ :  에 포함된  꼴의 원소들을    ⋯ 이라 하자. 이 때  의 분할  을,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즉, 구간     의 끝점과  의 끝점, 그리고 중점이
  
   
  ⋯  이고 폭이  인 구간들의 끝점 중    에 속하는 것들
   
   
의 합집합. 이 때 는    ⋯  사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의  . 따
   
      
라서 각각의 구간    ,          는 서로 만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 이하

      

∴ lim     lim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참고:      

 
otherwise
의 경우에도, 임의의    에 대하여      임을 보이면, (4)와


같이      일 때  ≠  일 때  ′   가 된다.

 
와 (4)의  에 대하여  ≤  ≤  이므로 문제 4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것은 당연.


또는 다음과 같이, 상합을 직접 구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임의의  에 대하여       임을 보

- 15 -
리만적분 연습문제


이자. 그러면 임의의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는


 ≠  ∈  이다.



i) ∉    ,    가  을 포함하지 않음:    에서      이므로
     

 
ii) ∉    ,    가  을 포함: ∈    이므로    에 포함된  꼴의 원소는 유한개이다. 이들을
 
     
   ⋯  (   )이라 하자. 이 때    의 분할  을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즉, 구간    의 끝점과 중점이     ⋯  이고 폭이  인 구간
   
들의 끝점 중     에 속하는 것들의 합집합. 이 때 는
   
   ⋯  사이의 간격 중 가장 작은 값의  . 따라서 각각의 구
    
   
간          는 서로 만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이므로,     

  
iii)∈ :  에 포함된  꼴의 원소들을     ⋯ 이라 하자. 이 때  의 분할  을,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즉, 구간     의 끝점과  의 끝점, 그리고 중점이
  
   
  ⋯  이고 폭이  인 구간들의 끝점 중    에 속하는
   
  
것들의 합집합. 이 때 는    ⋯  사이 간격 중 가장 작은 값
  
       
의  . 따라서 각각의 구간    ,          는 서로 만
         
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
리만적분 연습문제

      

∴ lim   lim   
→∞ →∞
이므로,      .)

 ∉
(5)      
   gcd      
 

Sol)(4)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   에서      임을

보이면 임의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이므로, 가 무리수일 때  ′       이다.

   
임의의 ∈ 에 대하여,   일 때    인 는  꼴이고,  ∈ 인  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      이하이다. 따라서      인 ∈    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하이고, 나머지 모든 ∈    에 대하여  ≤  이

다.

이제      인

모든 ∈    의 집합을   ⋯  (   ⋯  )이라 하고,

    
  min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이다. 이 때    의 분할  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즉, 구간    와 중점이  이고 폭이  인 구간들의 끝점 중    에 속하는 것들의 집합. 이 때 구

 
간         들은 의 정의에 의하여 서로 만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   . 따라서 lim  lim   이므로
→∞ →∞
     .

- 17 -
리만적분 연습문제

19. (리만 정리)함수      →  가 연속인 도함수를 가지면 자연수 에 대하여



lim
→∞
   cos  임을 증명하여라.

Sol)′ 이 연속이므로 유계이고, 따라서    에서  ≤  , ′ ≤  인     가 존재한다. 그러


면 부분적분에 의하여
   
 
  cos    sin 
    ′sin


 
  sin   sin 
    ′sin

 
이다. 그러면     sin    sin≤ 

이고

 cos≤ lim        


    
lim
→∞  
→∞ 
이므로, lim
→∞
   cos  이다.

6.함수의 평균값(교과서 5.2절)




1) 정의:  가    에서 적분가능일 때,  의    에서의 평균값은 
     와 같다.

2) 적분의 평균값 정리:




 가    에서 연속이면,     
     을 만족하는 ∈    가 존재한다.



따름정리:  가 의 어떤 근방에서 연속이면, 
       


1)의 발상)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가    의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분할일 때, 평균은 다음과 같이 간주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때 → 이면 이 값은 
   이

 
된다.

2)의 증명)   min ∈ ,    max∈ 이라


하자. (최대-최소 정리에 의하여 이와 같은  ,  는 반드시 존
재)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중간값 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을 만족하는

가  ,  사이에 존재한다.

- 18 -
리만적분 연습문제

따름정리의 증명)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lim      lim   (  ≤  ≤  )




→   →

  .

20.  가   
   와 같이 주어진 반원이고 점  가  로부터 임의로 선
택된다고 하자. 길이가 같은 호 위의 점이 선택된 확률은 같다고 가정
한다.  의 축으로부터의 거리의 평균값을 구하여라.
 

Sol) 평균= 
     sin  cos
 





.

21. 함수     → 가 연속이면 다음 식을 만족하는 ∈    가 존재함을 보여라:



           

Sol) 는 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가 최댓값이고      가 최솟값인  ∈    가 존재. 그러면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중간값 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인 ∈ 가 존재한다.

- 19 -
리만적분 연습문제

<부록:      ⋯  의 증명>(바젤(Basel) 문제)




   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Basel_problem

임의의      에 대하여, 드 무아브르 정리에 의하여

cos   sin cos   sin  cos   sin
 
      cot   
sin sin sin
sin
⇒   Im cot     cot    cot   ⋯
sin 

이 때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sin
   cot    cot   ⋯   cot  이고, 따라서 cot ⋯ cot 은 차방정식
sin 
     의 해이므로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 의하여
       
cot ⋯ cot    

    
    
그러면 cot ⋯ cot  csc    ⋯ csc     

     
⇒ csc ⋯ csc      
 
  
한편, cot    csc 이므로 cot ⋯ cot   ⋯   csc ⋯ cs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면 샌드위치 정리에 의하여    ⋯ lim   ⋯   
  →∞   

- 2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