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미적분학1 05.

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값은    위의 두 점 P   Q  를 지나는 직선의 기

§1. 미분계수 울기와 같다.


일반적으로 함수   에서 의 값이 부터  까지 변
할 때의 평균변화율
기본정석
   
 
1 평균변화율   
함수   에서 와 같이 정의한다. 또     로 놓으면     이므로
        이 식을
 
       
 
를 의 값이 부터   까지 변할    
때, 의 평균변화율이라고 한다. 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 평균변화율은 오른쪽 그림에서 두  는 그리스 문자로 ‘델타’라고 읽는다. 의 증분
점 P Q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뜻
이라는 의미를 살리기 위해 를 쓰지만 혼동될 염려가 없으
한다.
면 대신 ,  등의 문자를 써도 좋다.
 함수     에서 의 증분을   또는 로 나타내기
2 미분계수
도 한다.
함수     에서 의 값이 부터   까지 변할 때의 평
균변화율의 극한 곧,
보 기 1 다음 각 함수의 주어진 구간에서의 평균변화율을 구
       
lim   lim  하여라.
→  → 
(1)             (2)         
가 존재하면 함수   의   에서
연 구 (1)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이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이때 이 극한을
함수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 고,
     
또는 순간변화율이라 하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나타낸다.  

또, 미분계수는 위의 그림에서 점 P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뜻 (2)      으로 놓으면

한다.           
3 함수의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      

(ⅰ) 함수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는   에서 연속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ⅱ) 함수   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면  는 이 구간  
에서 연속이다. 미분계수

이를테면 함수    에서 값이 부터


평균변화율  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이를테면    에서 (오른쪽 그림 참조)      
    ⋯⋯①
의 값이 부터 까지 변하면 이에 따라      

의 값은 부터 까지 변한다. 이다.

이때 의 변화량 를 의 증분이라 하 이제 의 증분 가 를 아주 작

고, 로 나타낸다. 게 할 때 평균변화율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또, 의 변화량 을 에 대한 의 증 이를테면   일 때 의 평균변화율은 ①에서  대

분이라 하고,  로 나타낸다. 신 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다.



이때 의 증분 를 의 증분 로 나눈           

  
   이제 를 무한히 작게 할 때 곧,  → 일 때 의 평균
   
를 구간    에서의 의 평균변화율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변화율을 생각하면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
lim   lim   
→ →
이를테면 포물선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은 이 점
이다.
을 지나고 포물선과 이 점에서만 만나는 직선(수학Ⅰ 실력편
이때, 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 또는 순간변화율은 라
p  )이라고 하였다.
하고  ′     로 나타낸다. 또,    대신      으로 주
그러나 일반적인 곡선에서는 한 점에서 만난다는 의미가 모
어질 때에는  ′    로 나타낸다.
호할 때가 많다. 따라서 오른쪽 그림
일반적으로 함수 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는
과 같이 점 Q 가 곡선을 따라 점 P
  
정 의  ′   lim 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직선 PQ가
→ 
어떤 정직선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와 같이 정의한다.
이 정직선을 점 P에서의 접선이라
한편     라 하여 미분계수
고 정의한다.
 ′ 를
이것은  → 일 때 평균변화율
    
정 의 ′   lim  (직선 PQ의 기울기)의 극한값 곧,   에서의 미분계수는 접선
→  
의 기울기임을 뜻한다.
와 같이 정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기 2 의 (1)에서 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가
이므로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보 기 2 다음 각 함수의   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여라.
       ⇦ 기울기가 , 점  를 지난다.
(1)    (2)     
곧,     
연 구
이다. 이에 관해서는 다음 단원p  에서 자세히 공부한다.
    ×
(1)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2)  ′     lim 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 
 lim        함수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     
lim    ′ 
보 기 3 다음 각 함수의   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여라. → 
 이므로
(1)    (2)   


연 구 유리함수나 무리함수에서도 미분계수를 구할 수 있다.

 lim 
   → →

      
lim         lim  
× 
정 의   에서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곧 lim      
 
(1)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  는   에서 연속이다.

    
 정 석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 에서 연속
(2)  ′     lim 
→  그러나 이 정리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보기 4
  
 lim 
 
→       보 기 4 함수        의    에서의 연속성과 미분가능성
  을 조사하여라.
 lim   
 
→       연 구 함수   의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은 다음 정의에 따라
조사한다.
 
 ′     lim  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정 의    lim
→
  ⇨    에서 연속
→  
      
테면  은 ′   lim  가 존재 ⇨    에서 미분가능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ⅰ)      lim
→
   lim     이므로
→

   lim   
→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따라서    에서 연속이다. 필수 예제 5-1
              
(ⅱ) lim   lim 
 
→ → 1.함수
        에 대하여 다음에 답하여라.

 lim  (1) 구간  에서 평균변화율을 구하여라.
→ 
(2)    <<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여라.
여기에서
(3)  의 평균변화율과 (2)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 를
 
lim   lim   
  로 나타내어라.
→    →   

 
lim   lim    정석연구 평균변화율과 미분계수의 정의를 명확히 이해하고
→    → 
그 정의에 따라 계산하면 된다.
이므로 극한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 석 함수     에서
따라서 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       
이와 같이 극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함수   는    에서 평균변화율 :    ,   
   
미분가능하지 않다 또는 미분불가능하다고 한다.
       
함수의 그래프가        의 그래프와 같이 변 화 율 :  ′   lim 
→ 
  에서 꺾인 모양이면 함수     는    에서 모법답안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유제 5-1 2.함수        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    을 잇는 선분의 기울기와 좌표가 인 점에서
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을 때, 의 값을 구하여라.

유제 5-2 3.구간     에서의 함수      의 평균변


화율과    << 에서의   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의
값을 구하여라.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필수 예제 5-2 필수 예제 5-3

4.  ′    인 함수   에 대하여 다음 각 극한값을 6.       ′    인 함수  에 대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단,   은 상수이다.) 각각 구하여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1) lim  (2) lim  (1) lim  (2)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lim  (3) lim  (4) lim 
→  →  →  

        


정석연구 lim  의 꼴로 만든 다음 미분계수 정석연구 lim  의 꼴로 만든 다음 미분계수의 정
→ →  
의 정의 의
        
정 석 lim    ′  lim    ′ 
→  → 
를 이용한다. 를 이용한다.
(1) 를 로 생각하면 분모가 가 되어야 한다. 모법답안
 
(2)  를 로 생각하면 분모가  가 되어야 한다.
(3) 분자에  를 적당히 더하고 빼 본다.
모법답안

유제 5-4 7.함수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다음


각 극한값을     ′ 를 써서 나타내어라.
           
(1) lim  (2) lim 
→  →  
            
(3) lim  (4) lim 
→   →  

유제 5-3 5.함수   가   에 미분가능할 때, 다음 극


한값을  와  ′ 를 써서 나타내어라.
       
(1) lim 
→ 
      
(2) lim 
→ 
         
(3) lim 
→ 
         
(4) lim 
→ 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필수 예제 5-4

8.  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이다.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가 성립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  을 구하여라.
(2)  ′    일 때,  ′ 를 구하여라.

정석연구 (1) 조건식              는


모든 실수  ,  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에 어떤 특정한 값을 대입해도 성립해야 한다. 곧,
  ,   ,   ,   ,   ,   
등을 대입해도 성립해야 한다. 그런데 의 값을 구하고자 하
므로
 을 포함한 식을 얻을 수 있는 ,  의 값
을 대입하면 된다.
      
(2)  ′   lim  이므로     를 풀어 쓰
→ 
려면 조건식에서  대신 를,  대신 를 각각 대입하여
      
를 이용하면 된다.
모법답안

유제 5-5 9.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     가 성립할 때,
(1)   을 구하여라.
(2)  ′    일 때,  ′ 를 구하여라.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2. 도함수 


   

 
  lim    
 lim  →      
→ 
기본정석        
    

(4)  ′   lim   lim 
도함수의 정의 →  → 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   
 lim 
    에서 →     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를 에 관한 의 도함수라 하고 도함수  와 미분계수  
    이를테면 함수      에서 미분계수  ′,  ′,  ′을
′ ′      
  
구할 때, 미분계수의 정의를 써서 일일이 구하는 것보다는 먼저
등의 기호를 써서 나타낸다.
도함수 ′    을 구하고 여기에   , , 을 대입하여
또, 함수  의 도함수 ′  를 구하는 것을 함수   를 
에 관하여 미분한다고 하고, 그 계산법을 미분법이라고 한다.  ′   ×  ,  ′   ×  ,  ′   ×  
과 같이 계산하는 것이 능률적이다.
정 석 도함수 ′  에서    를 대입 ⇨ 미분계수 ′ 
도함수의 정의

이를테면 함수   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는


지금까지 공부한 평균변화율, 미분계수, 도함수
    
′   lim   lim     의 정의와 그 그래프 위에서의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함수      에서
이다. ′   의 에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① 평균변화율 ⇨   
 
이고, 이것은 의 값이 하나 정해지면 이에 대응하여 미분계수
곡선   위의   인 점과     인 점을 지나는 직
의 값이 정해지는 것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대응 관계는
선의 기울기
′   → 
   
인 함수이다. 여기에서 를 변수 로 바꾸어 놓은 ② 미분계수 ⇨ ′   lim   lim 
→  → 
′   →  곧 ′    
곡선    위의   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를 함수 의 도함수라고 한다.      
일반적으로 도함수를 구할 때에는 ③ 도 함 수 ⇨ ′    lim   lim 
→  → 
     곡선    위의 임의의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정 의   의 도함수 ⇨ ′    lim 
→ 
를 이용하여 구하면 된다.
이를테면      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보 기 1 다음 각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1)      (2)    

(3)      (4)    


연 구
           
(1)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2)  ′    lim   lim 
→  → 
 lim  ⋅   
→

      
(3)  ′    lim 
→ 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필수 예제 5-5

10.   가 미분가능한 함수일 때, 도함수의 정의에 따라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1)      (2)   
 (단,    ≠)

정석연구 다음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해 보아라.


        
정 의     의 도함수 ⇨  ′  lim 
→ 
모법답안

유제 5-6 11. 도함수의 정의에 따라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


라.
(1)        (2)         
(3)       (4)    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3. 미분법의 공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lim 
→ 
기본정석        
 lim     ′
1 미분법의 기본 공식 → 
두 함수의     의 도함수가 존재할 때      ±       ±  
(4)  ′  lim 
(1)    상수이면 ⇨    → 
(2)    은 실수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3)     는 상수이면⇨ ′  ′
(4)      ± 이면
(5)       이면
⇨ ′  ′   ±′   복부호동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5)       
2 합성함수의 미분법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의 도함수가 존재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미분법의 기본 공식
       
  × 
 
  ′  ′
  
이를테면                ⋯의 도함수를
        보 기 1
  ⇨′  lim 
→ 
다음 각 함수를 미분하여라.
에 의하여 일일이 구하면
(1)    (2)    (3)    (4)   
 
   ⇨   × ,    ⇨   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 구 (1)  ′  
이다. 이때, 원래 함수와 도함수의 계수와 지수를 각각 비교해
(2)  ′   ×    
보면
  
(3)        
   ⇨   
(4)  ′      ×    
인 관계가 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5)                  
앞으로 이 식을 공식으로 기억해 두고 이용한다면 도함수의
정의에 따라 구하는 것보다 훨씬 능률적으로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보 기 2 함수            의 도함수와   을

우선 위에 정리해 놓은 미분법의 기본 공식을 유도한 후, 다 구하여라.


음 면의 보기에서 공식의 활용법을 공부해 보자. 연 구                     
(1)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일반적으로 함수  에서 미분계수  ′ 를 구할
(2)    으로 놓으면
때, 미분계수의 정의를 쓰는 것보다는 미분법을 써서  ′  를
            
   lim   lim  구하고 여기에   를 대입하는 것이 간편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합성합수의 미분법
→ 
 lim              ⋯      이를 테면 함수       의 도함수는 우변을 전개하여 다
→
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그런데 함수     이 두 함수    ,     의 합       의 미분
성함수라는 것에 착안하면 좀 더 간단히 미분할 수 있다.
   ,    라고 할 때,  가 미분가능하면
일반적으로   ,   가 미분가능할 때,
 
합성함수     의 도함수를 먼저 생각해 보자.         ′ 
 
의 증분 에 대하여    의 증분을 라 하고,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증분을 라고 하면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것을 공식으로 기억해 두면 보 기 3을 다음과 같이 풀 수
∴   ×    × 
     있다.
여기에서   는 연속함수이므로 →일 때 →이고 (1)       에서 (2)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
→

이므로 lim    ′  ′ 이다. 따라서 보 기 4      의 양변을 에 관하여 미분하여라. 단,
→ 

       ≠이다.
        곧,    × 
      연 구 합성합수의 미분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 따라       의 도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가 의 함수일 때 ⇨          
    로 놓으면    이고 는 에 관하여 미분가능한   
함수이므로 이를테면 가 에 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이면  을 에 관하
   여 미분한 것은  을 에 관하여 미분한 식과 를 에 관하여
   에서    ,     에서   
  미분한 식의 곱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것은       의 우변을 전개하여 미분한 결과인 ①과 같   
      ∴     ≠ 
다.   
이와 같은 미분법을 합성함수의 미분법이라고 한다.
이 미분법은 미적분Ⅱ과정에서 다루도록 되어 있으나 미리 알
아 두고 활용하면 능률적으로 계산할 수 있기에 여기에 소개
하였다.
      ⇨  ′   ′    ′  

보 기 3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1)       (2)       
 
연 구 (1)  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필수 예제 5-6 필수 예제 5-7

12.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14.함수


           가 두 조건
(1)                     
lim    lim  
(2)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  의 값을 구하여라.


(3)   
    
정석연구 미분계수의 정의
    

(4)        
   lim    ′
→  
정석연구 를 이용하여 첫 번째 조건식에서  ′의 값을, 두 번째 조건식
(1) 전개 후 미분할 수도 있고, 곱의 미분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에서  ′ 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한편  에서     의 값을 구할 때에는 먼저 도함수
   ⇨      
 를 구한 다음    를 대입한다.
(2)   가 미분가능한 함수일 때,   의 도함수는 다음
모법답안
과 같다.
     에서
 ′  ′   ′   ′   ′   ′ 곧
   ⇨  ′   ′   ′  ′
(3), (4) 전개한 다음 미분하는 것보다 앞에서 공부한
  
     ⇨       ′  

를 활용하는 것이 능률적이다.
모법답안

유제 5-8 15.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을 만족할 때 ,   의 값을 구하여라.

유제 5-7 13.다음 각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1)         
(2)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5)   
   유제 5-9 16.함수            가 두 조건
         
(6)          lim  
   →
   
을 만족할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여라.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필수 예제 5-8 필수 예제 5-9

17.다음 각 물음에 답하여라. 20.  ,  는 의 다항식이고, 모든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1)   lim  일 때,
→   이 성립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   (1) 는 몇 차식인가? (2) 를 구하여라.
lim  의 값을 구하여라.
→ 
정석연구   가 차식( ≥ )이면 ′  는    차식이다.
    
(2) lim  (단,  은 자연수)의 값을 구하여라.

→        가 차식이면 ⇒    는     차식

정석연구 (1) 먼저 를 로 나타낸 다음 모법답안

      
lim    ′
→ 
를 이용하여 구하는 극한을  ′로 나타내어 본다.
(2)       로 놓으면     이므로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   
lim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의 꼴의 극한은 ⇨ 미분계수로 나타내어 본다.
 유제 5-12 21.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이차함수  를 구
모법답안 하여라.
   ,  ′     

유제 22.다항식  가
5-13
유제 5-10 18.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를 만족할 때,
     를 구하여라.
lim  를 구하여라.
→ 

유제 23. 는
5-14 의 다항식이고, 모든 에 대하여
 
   
유제 5-11 19.lim   일 때, 자연수  의 값 ′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할 때, 의 값을 구하여라.
을 구하여라.
미적분학1 05.함수의 미분 실력정석
필수 예제 5-10 필수 예제 5-11

24.다음 각 물음에 답하여라.


(1) 이차 이상의 다항식   를    으로 나눈 나머지를
27.   
      ≤  
       
와 같이 정의된 함수  

 , ′ 로 나타내어라. 가    에서 미분 가능할 때, 상수    의 값을 구하여라.


(2) 이차 이상의 다항식   가    으로 나누어 떨어질 정석연구 다항함수  와  에 대하여
조건은    ′    임을 증명하여라.
  
(3)     가     으로 나누어 떨어지도록 상수 ,
    
   ≤ 
     
와 같이 정의된 함수   가   에서

의 값을 정하여라. 미분가능하다고 하자.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   ⇦
모법답안
   lim 
→ 

또  와  는   에서 미분가능 하므로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곧,

→   → 

       ≤ 
    
가    에서 미분가능하면

(ⅰ)      (ⅱ)       


모법답안

유제 5-15 25.다항식     를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구하여라.

유제 5-17 28.
오른쪽 그림은
함수   과 함수   의
유제 5-16 26.다항식     가    으로 나누어떨
그래프의 일부이다. 두 점
어지도록 상수 , 의 값을 정하여라.
A B사이를 삼차함수    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연결하였다.
이렇게 연결된 그래프 전체를
나타내는 함수가 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를
구하여라.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29.      ′    일 때, 다음 극한값을 각각 32.다음 함수의   에서의 연속성과


5-1 5-4
구하여라.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여라.
 
           (1)     
(1) lim  (2) lim 
→   →    (2)        

5-5 33.미분가능한 함수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5-2 30.다항함수   와  가 답하여라.
    (1) 기함수 의 도함수는 우함수임을 보여라.
lim    lim   
→   → (2)   가 기함수이고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여
를 만족할 때, 함수      의   에서의 미분계수를 라.
구하여라. (3)   가 우함수이고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 ′  의 값을
구하여라.

5-6 34.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 가 임


31.다항함수 에 대하여 다음 각 물음에
5-3 의의 서로 다른 두 실수  에 대하여 부등식
답하여라. 
       ≤     을 만족할 때,  ′  를 구하여라.


  

(1)  ′     일 때, lim     의 값을 구하여라.
 →∞ 

 일 때, lim      
     의 값

(2) ′    
→∞

을 구하여라.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35.다항식 P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38.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차 다항함수  


5-7 5-10
PP   P    P    을 만족할 때, P 의 가 있다.
값을 구하여라.              
(1)   의 차수 을 구하여라.
(2)   를 구하여라.

 39.   에서
  5-11 정의된 함수
5-8 36.    
    
   일 때, lim  를 구하여

→
      
  lim  (단, 은 자연수)
라. →∞   
가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 의 값을 구하여라.

40. 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가


5-12
37.삼차함수  가 서로 다른 세 실수   에
5-9
       ≤  ≤ 
대하여
을 만족할 때,      의 값을 구하여라.
             
을 만족한다. 이 때, 를 와 로 나타내어라.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5-13 41.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 아닌 다항함수 가 5-16 44.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  의 값을 구하여라. (1)  을     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여라.
         (2)       가        으로 나누어떨어지도
lim 

  lim   
→∞ 
    → 록 상수   의 값을 정하여라.

5-17 45.를 삼차 이상의 다항식이라고 한다. 


를   로 나눈 나머지가  ,  ′를   ,  로 나눈
나머지가 각각 , 일 때,   를     으로 나눈 나머지를

42.다항식 구하여라.
5-14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등식

   ′  


를 만족하고     일 때, 자연수 의 값과  를 구하여라.

5-18 46.삼차함수         에 대하여 함수


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정의한다. 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 하
도록 상수  와  의 값을 정하여라.

5-15 43.함수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


에 답하여라.
()  ∘   를 만족하는 다항함수  를 모두 구하여라.
()  ∘   를 만족하는 연속함수 는 모두 미분가능한가?

5-19 47.이 자연수 일 때, 다음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 
     
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       
 lim 
→ 
   
 lim 
 
필수 예제5-1. 정답 (1)      (2)    (3)    →

 lim       
[풀이]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1)   
  
         
 필수 예제5-2. 정답 (1)  (2)  (3)   
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1) 준식  lim  ×
→

   
 
(2)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2) 준식 lim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3) 준식 lim 
→ → 
 
(3) (1), (2)에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
 lim   
→   
 lim ⋅   ⋅
평균변화율과 미분계수가 같을 때              
→  
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포물선의 현 AB와
접선 T가 평행할 때이고, 이때 접선의 접점   ′ ⋅  ′ ⋅  ⋅ ⋅   

의 좌표는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이다.


유제 5-3. 정답 (1)  (2)   ′ (3)  ′ (4)  ′
[풀이]
유제 5-1. 정답   
[풀이]
(1) 준식  lim 
→

       
 
×   ′  ×  

 
두 점을 잇는 선분의 기울기는   
 
   
(2) 준식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준식 lim 
→ 
    
이므로   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 lim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  에서 연속이므로
lim           
→

유제 5-2. 정답 
         
또, lim 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  
   ′    ′     ′        
(4) 준식 lim 
   →  
따라서

준식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필수 예제5-3. 정답 (1)  (2)  (3)  (4) 

필수 예제5-4. 정답 (1)  (2)   
[풀이]
[풀이]

→
 
  
      

 



(1) 준식 lim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는 모든 실수   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    을 대입하면
(2) 준식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2)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lim  에서


  

→
(3) 준식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4) 준식 lim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유제 5-5. 정답 (1)  (2)  ′   
     ′   ×  ×   ×   [풀이]
(1)            의 양변에  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유제 5-4. 정답 (1)  ′   (2)    ′
   
(3)      ′  (4)    ′  (2)  ′    lim   lim   
→  → 
[풀이]
그런데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1) 준식  lim     
→    ′   lim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2) 준식 lim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필수 예제5-5. 정답 (1)    ′   (2) 
   
[풀이]
     
 lim       × 
→   (1)          으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3) 준식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으로 놓으면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        필수 예제5-6. 정답
 lim   
→          [풀이]

→

        
 lim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다음에 공부할 미분법의 공식 p 을 이용하
        ′               ′
면 여러 가지 함수의 도함수를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위와 같이
                    ⋅
도함수의 정의에 따라 미분하는 방법도 익히고 있어야 한다.
       
미적분Ⅰ과정에서는 다항함수의 미분만 다룬다. 그러나
   와 같은 꼴도 도함수의 정의만으로 구할 수 있어 여기에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서 다루었다.
        

  
유제 5-6. 정답 (1)  ′     (2)  ′      
    
  
(3)  ′      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4)  ′  
   
    로 놓는다.
         ⋅
(1)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
유제 5-7. 정답 (1)           (2)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3)    (4)      (5)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6)  
           
 ′   lim 
→ 
[풀이]
 lim        (1)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이므로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5)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필수 예제5-7. 정답   lim 
→ 
[풀이]
첫 번째 조건식에서  ′     … ① →

             
 lim   
  
두 번째 조건식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이므로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제 5-10. 정답 
①, ②에서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립하여 풀면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유제 5-8. 정답 
[풀이]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주어진 조건식에서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준식   ′   
        
∴         유제 5-11. 정답 

∴        [풀이]
∴              로 놓으면 이므로
 
(좌변)  lim    ′  
→  
유제 5-9. 정답      
[풀이] 그런데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①

lim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필수 예제5-9. 정답 (1) 이차식 (2)         
[풀이]
이므로     
(1) ′   ′      ⋯⋯①

한편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②
         
  가 차식이라고 하면 ′ 는    차식이므로 ②의
∴     ⋯ ②
좌변은  차식이다. 한편 ②의 우변은 삼차식이므로
① ②에서      
        ∴  
(2)       ≠  로 놓으면 ′      이므로
 ①은
필수 예제5-8. 정답 (1)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풀이]
∴         
      
(1)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①을 변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②식의 특징을 살려 다음 방법으로  를 구할 ∴′             
수도 있다.   가 이차식이므로 좌변은 일차식  × 이차식의 꼴이다.
    ′        따라서 가능한 ′   ,    의 쌍은
에서 좌변은 이차식 ×이차식이므로 이에 맞게 우변을 변형 ′       ,        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중 적합한 것은       ,  ′   이다. 유제 5-14. 정답 
[풀이]

유제 5-12. 정답         
′      ⋯⋯①

[풀이]      ′         ⋯⋯②


       ≠ 로 놓으면      에서 ①, ②에서
   ⋯⋯①    ′           ⋯⋯③
또,  , ′     를 두 번째 조건식에 대입하면  가 차식이라고 하면 ③의 좌변은 차식이고,
            ③의 우변은 삼차식이므로   이다.

∴            따라서

항등식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② 로 놓으면 ′       이므로
①, ②에서        ③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제 5-13. 정답         
[풀이]        
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항등식이므로 계수를 비교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 를 차식이라고 하면 ′  는   차식이므로 ①의 ∴        ∴    


좌변은
     차식이고, ①의 우변은 삼차식이므로 필수 예제5-10. 정답 (1) ′      ′  (2) 풀이참조
     ∴    
 (3)    ,   
따라서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이므로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풀이]
         (1) 다항식 를 이차식    으로 나누면 나머지는 일차
              이하의 식이다. 몫을   , 나머지를   이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은 상수) ⋯⋯①

                 를 대입하면       ⋯⋯②

항등식이므로 계수를 비교하면 또, ①을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에 대입하면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      ′ 
      
(2) (1)의 결과에서   가    으로 나누어 떨어지기 위한
∴  ,   ,   
조건은 모든 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하는 것이다.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      ′    ⅱ    에서    의 미분계수가 존재하므
∴′  ,   ′   ∴  ′   로
 ′    ′  ∴     
(3)          로 놓고 위의 (2)를 활용하면
곧,      ⋯ ②
           
①  ② 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의 다항식   가    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는 것과 방정식     이   를 중근으로 가진다는 것은 동 유제 5-17. 답       
치이다. 따라서 [풀이]
정 석 다항방정식   이   를 중근으로 가진다  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점            을 지나므로
     ⋯ ①
유제 5-15. 정답   
             ⋯ ②
[풀이] 또, 점  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다항식      를   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  ′       ⋯ ③
나머지를   라고 하면  ′     ⋯ ④
     ①  ②  ③  ④ 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을 대입하면     ⋯⋯②
또, ①의 양변을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③
 연습문제 5-1. 29. 정답 (1)   (2) 2
[풀이]
③에   을 대입하면   
(1) (준 식)
②에 대입하면   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  

      
 lim   
→   
유제 5-16. 정답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풀이]          ×   ×  
 
    를    으로 나눈 몫을  라고 하면 (2) 준식
 
             ⋯⋯①
  을 ①에 대입하면


 lim  × 
→   
   
 
     
또, ①의 양변을 미분하면
∴     ⋯⋯② 
 lim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③에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값을 ②에 대입하면   

연습문제 5-2. 정답 
필수 예제5-11. 정답       
30.

[풀이]
[풀이]
 
lim   에서 →일 때, (분모)→이므로 (분자)→
       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ⅰ    에서    는 연속이므로
  는 다항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조건식은
곧,      ⋯ ①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      연습문제 5-5. 33. 정답
lim   ∴    
→   [풀이]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면 (1)   가 기함수이면


   이므로
  
lim    에서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따라서 ′  는 우함수이다.
Note  가 우함수이면
     이므로
연습문제 5-3. 31 . 정답 , 
                  
[풀이]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1)   로 놓으면    이고 →∞일 때 → 이다.  lim  ×      ′  
  → 
 
따라서 ′  는 기함수이다.

∴ 준식  lim      lim 
→    →  
 
   (2) (1)에서  ′는 우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lim   lim 
    
→  → 

(2)   로 놓으면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준식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연습문제 5-6. 34. 정답  ′   
 ′   ′   ′  
 [풀이]

→
     
lim 
≤ lim      
→
연습문제 5-4. 32 . 정답 (1) 미분가능 (2) 미분불가능     
[풀이] ∴ ′  lim   
→  
(1) (ⅰ)      lim    lim  ∴ ′  
→ →

∴    lim   ∴연속
→
연습문제 5-7. 정답 
35.

         [풀이]
(ⅱ) lim   lim   lim 
→  →  →
P    로 놓으면
(2) (ⅰ)      lim     P     이므로
→

∴    lim   ∴연속
P     ∴P   
→

               
(ⅱ) lim   lim  
→  →  연습문제 5-8. 정답    

36.

→

 lim   
   [풀이]
   
그런데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lim         ⋯ 
→  → 

이므로 극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미분불가능    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        
연습문제 5-9. 정답       lim 
  
37 .

→
[풀이] 그런데        ≥  에서
      이므로      을 인수로 가진다. (필
  ≥   이므로
수 예제 5-10참조)
        
또,   이므로 는   도 인수로 가진다.   일 때,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는 이 아닌 실수 라고 하면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lim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   ≤  에서
 ≠이므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lim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정답 (1)  (2)                lim       
연습문제 5-10. 38.

lim  ≥ lim   →


[풀이] →    →    

(1) 의 최고차항을   ≠이라고 하면 의 최고차 ∴    

항은  이고,     의 최고차항은  이므로   


 ≠이므로    연습문제 5-13. 정답 
(2)           ≠ 로 놓으면 [풀이]
    에서       
lim 

 에서 좌변의 분자와 분모의 차수가 같
이 때,      는 →∞   

            아야 한다. 따라서  의 최고차항을  이라고 하면

         ≠ ≠이므로 분자의 최고차항은    이고, 분모의
에 관한 항등식이므로 최고차항은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또, 최고차항의 계수를 비교하여 극한을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라고 하면
연습문제 5-11. 정답       
  
39.

      lim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ⅰ)    에서 연속이므로 →일 때, (분모)→이므로 (분자)→이어야 한다. ∴  
   
     ⋯⋯ ① 이 때,

(ⅱ)  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곧,      이므로
에서            
①, ②에서      


연습문제 5-12. 정답     ,      연습문제 5-14. 정답      
40.


[풀이] [풀이]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   ′   ⋯① (모든 에 대하여     ) 또는 (모든 에 대하여
  의 차수를 이라고 하면  ′  의 차수는   이므로 ①    )
에서 를 뜻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여라.
        ∴  곧, 가 다항함수라는 조건이 없으면 각각의 에 대하여
이 때  의 최고차항을  (≠)  가 또는   의 값을 가지면 되므로
이라고 하면 ①의 좌변의 최고차항은     는 유리수
는 무리수
도  ∘  를 만족한다.
⋅    max
①의 우변의 최고차항은  이므로
   ∴     연습문제 5-16. 정답 (1)      (2)
        
 ≠이므로   이고 이 때
[풀이]
      로 놓을 수 있다.
(1)              ⋯ ①
따라서 ①은      
이 식에   을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②

  이므로    ∴   ①의 양변을 에 관하여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이 식에   을 대입하면
     ⋯ ④
연습문제 5-15. 43. 정답 ③의 양변을 다시 에 관하여 미분하면
[풀이] ×                
⋯⋯*
이 식에   을 대압하면
×   ⋯⋯ ⑤
②, ④, ⑤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에서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는 다항함수 이므로 미분가능하다. *에서
는 다항식이므로 를 의 차식이라고 하면  는  의 도함수를 뜻한다.
①의 좌변은  차식이고, 우변은 이차식이므로 (2)            ⋯ ①
   ∴  
이 식에      을 대입하면
따라서      라고 하면 ①에서
         ⋯⋯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에 관한 항등식이므로 ①의 양변을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이 식에   을 대입하면
() 위의 그림에서  ∘  를 만족하는 연속함수 는        ⋯⋯ ④

  
      
   ②, ③, ④를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도 있으며, 이 함수는   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          로 놓고

①에서               
임을 이용할 수도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② 연습문제 5-17. 정답   
이때, ②식은 [풀이]
미적분학1 연습 문제 실력정석
  를   로 나눈 몫을  라고 하면 (ⅰ), (ⅱ) 로부터 모든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를   ,   로 나눈 나머지가 각각  이므로
 ′    , ′     
따라서  를    으로 나눈 몫을   , 나머지를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나머지는   

연습문제 5-18. 정답   ,   


[풀이]
함수             는 미분가능한 함수이므로   가 모
든 실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려면       에서 연속이고 미분가
능해야 한다.
  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려면
      
′  ′  ⋯⋯ ①

  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려면


         
  ′   ′  ⋯⋯ ②

①, ②에서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또, ①, ②에서
       
             

연습문제 5-19. 정답
[풀이]
(ⅰ)    일 때
   ∆  
(좌변)     lim   lim    ,
 ∆→ ∆ ∆→
 
(우변)  ⋅ 
따라서 성립한다.
(ⅱ)   (  ≥ 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이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일 때에도 성립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