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Chapter 1.

논리학의 기초
1.1 명제

논리학은 추론 또는 논증을 하는 데 있어서 타당한 논증과 타당치 아니한 논증

을 구별 하는 방법과 원리의 연구이다. 이 장의 목적은 어떤 정리의 증명 과

정의 각 단계에서 쓰이는 원리나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논리학의 출발은 명제 이다. 명제란 참(true) 과 거짓(false)을 구별할 수

있는 문장을 의미한다.

Example 다음의 문장이 명제인지 아닌지를 말하여라.

1.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다.

2. 2 + 1 = 5


3. 3의 소수점 이하 105번째 수는 7이다.

4. 송강호는 잘생겼다.

5. 비가온다.

위 문장 중 1, 2 가 명제인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3의 경우는 참, 거짓 판



정이 쉽지는 않지만 3이 무리수인 것을 알면 명제임을 알 수 는 있다. 4의

경우는 참여자의 개인적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명제로 볼 수는 없다.

마지막 문장은 때에 따라 참, 거짓이 나뉘어진다. 즉, 상황이 주어진다면 참,

거짓을 구별할 수 있으므로 명제이다.


1
위의 예에서 본 예들은 모두 단순명제(simple statement) 이다. 두개 이상

의 명제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결합명제(compound statement)라 한다.

Example 다음은 모두 결합명제이다.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말하여라.

1.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고 2 + 1 = 5.

2.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 또는 2 + 1 = 5.

3.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가 아니다.

4.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 이면 2 + 1 = 5.

일반적으로 위 명제의 참, 거짓을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다. 명제들을 결합하

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위의 예에서 나오는 4가지가 가장 기본적이다.

이들 결합명제의 참, 거짓은 구성요소인 단순명제의 참, 거짓에 따라 결정된

다. 다음 절에서 이들 명제들 사이의 연산에 대하여 공부할 것이다.

Notation 단순명제 또는 복합명제를 문자 p, q, r, · · · 등을 사용하여 나타

내기로 한다. 예를 들어, p: 2 + 1 = 5 는 p는 2 + 1 = 5라는 명제를 의미

한다. 또한, “명제 p가 T ” 는 명제 p는 참이다의 의미이고, “명제 p는 F ”

는 명제 p는 거짓이다 를 나타낸다. 이 때, 참, 거짓을 나타내는 T 와 F 를 진

리값이라 부른다.
2
1.2 명제의 연산

이 절에서는 주어진 하나 이상의 명제를 결합하는 기본적인 4개의 연산을 정

의 하고 그 들의 진리값에 대하여 공부한다.

• 부정(Negation)

주어진 명제 p에 대하여 명제 p의 부정은 ∼ p라고 쓰고 p가 아니다 라고 읽

는다. 명제 p가 참이면 ∼ p는 거짓이고, p가 거짓이면 ∼ p는 참이다. p 와

∼ p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진리표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p vp
T F
F T

• “이고” “그리고” (Conjunction)

두 명제 p, q에 대하여, 두 명제의 conjunction 은 p ∧ q 라고 쓰고, “ p이고

q” 라고 읽는다. p ∧ q의 진리표는 다음과 같다.

p q p∧q
T T T
T F F
F T F
F F F

3
• “또는” (Disjunction)

두 명제 p, q에 대하여, 두 명제의 disjunction 은 p ∨ q 라고 쓰고, “ p또는

q” 라고 읽는다. p ∨ q의 진리표는 다음과 같다.

p q p∨q
T T T
T F T
F T T
F F F

• “이면” (Implication)

두 명제 p, q에 대하여, 두 명제의 implication 은 p =⇒ q 라고 쓰고, “ p이

면 q” 라고 읽는다. p =⇒ q의 진리표는 다음과 같다.

p q p =⇒ q
T T T
T F F
F T T
F F T

Example 다음 결합명제의 진리표를 구하여라.

∼ [(∼ p) ∧ (∼ q)]

4
Example 임의의 명제 p에 대하여, 다음 명제의 진리값을 모두 구하여라.

1. p∨ ∼ p

2. ∼ (p∨ ∼ p)

3. p =⇒ p

4. p ∧ q =⇒ q ∧ p

5. p =⇒ p ∧ p

6. p ∧ q =⇒ q

위의 예의 1,3,4,5,6의 명제의 진리값은 언제나 참(T)이다. 반면에 2의 명

제는 모두 거짓(F)이다.

Definition 논리식 혹은 합성명제에 있어 각 명제의 참·거짓의 모든 조합에

대하여 항상 참인 것을 항진명제(tautology)라고 한다. 또 각 명제의 참

·거짓에 관계없이 결과가 항상 거짓인 것을 모순명제(contradictory)라고

하며, 일부가 참, 거짓인 명제는 일부진명제(contingent)라고 한다

5
Theorem 1.1 모든 명제 p와 q에 대하여, 다음의 명제는 항진명제이다.

(1) p =⇒ p ∨ q (1’) q =⇒ p ∨ q

(2) p ∧ q =⇒ P (2’) p ∧ q =⇒ q

(3) (p ∨ q)∧ ∼ p =⇒ q

Theorem 1.2 모든 명제 p, q, r 에 대하여, 다음 명제는 항상 참이다.

(p =⇒ q) ∧ (q =⇒ r)] =⇒ (p =⇒ r)

Theorem 1.3 모든 명제 p, q, r 에 대하여, 명제 q =⇒ r이 참이라 하면,

다음의 명제 도 참이다.

(1) p ∨ q =⇒ p ∨ r

(2) p ∧ q =⇒ p ∧ r

6
Definition 두 명제 p와 q 가 모든 가능한 논리적 가능성에 대하여 그 진

리값이 같을 경우 두 명제는 논리적 동치(logically equivalent) 라 하고

p ≡ q 로 나타낸다.

Definition 명제 p ⇐⇒ q 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p ⇐⇒ q) ≡ (p =⇒ q) ∧ (q =⇒ p)

p이면 q이고 q이면 p이다. p if and only if q. 라고 읽는다.

Theorem 1.4 모든 명제 p, q, r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교환법칙) (1) p ∨ q ⇐⇒ q ∨ p (2) p ∧ q ⇐⇒ q ∧ p

(결합법칙) (1) p ∨ (q ∨ r) ⇐⇒ (p ∨ q) ∨ r

(2) p ∧ (q ∧ r) ⇐⇒ (p ∧ q) ∧ r

(배분법칙) (1) p ∧ (q ∨ r) ⇐⇒ (p ∧ q) ∨ (p ∧ r)

(2) p ∨ (q ∧ r) ⇐⇒ (p ∨ q) ∧ (p ∨ r)

7
EXERCISES

1. 모든 명제 p, q에 대하여 다음을 증명하여라.

(1) ∼ (p ∨ q) ⇐⇒∼ p∧ ∼ q

(2) ∼ (p ∧ q) ⇐⇒∼ p∨ ∼ q

2. 모든 명제 p에 대하여 다음을 증명하여라.

∼ (∼ p) ⇐⇒ p

3. 모든 명제 p, q에 대하여 다음을 증명하여라.

(1) (p =⇒ q) ⇐⇒ (∼ q =⇒∼ p)

(2) (p =⇒ q) ⇐⇒ (∼ p ∨ q)

(3) (p =⇒ q) ⇐⇒∼ (p∧ ∼ q)

(4) [p ∧ (p =⇒ q)] =⇒ q

(5) [(p ∨ q)∧ ∼ p] =⇒ q

4. 모든 명제 p, q, r에 대하여 다음을 증명하여라.

(1) (p =⇒ q) ∧ (q =⇒ r)] =⇒ (p =⇒ r)

(2) (p =⇒ q) ∧ (r =⇒ q)] ⇐⇒ [(p ∨ r) =⇒ q]

(3) (p =⇒ q) ∧ (p =⇒ r)] ⇐⇒ [p =⇒ (q ∧ r)]

8
1.3 연역적 추론

이 절에서는 앞의 정리와 정의를 이용하여 논리적 동치를 증명할 것이다. 앞

절의 진리표를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이미 증명된 법칙이나 정의를 써서 연역

적으로 다룰 것이다.

Proposition 1. 진리표를 이용하여

p =⇒ q ≡∼ (p∧ ∼ q)

임을 증명하여라.

Example p =⇒ q ≡∼ q =⇒∼ p 를 증명하여라.

증명.

p =⇒ q ≡∼ (p∧ ∼ q) Proposition 1

≡∼ (∼ q ∧ p) 교환법칙

≡∼ [∼ q∧ ∼ (∼ p)] 이중부정

≡∼ q =⇒∼ p Proposition 1

따라서 ≡에 관한 추이율(삼단논법)에 따라 p =⇒ q ≡∼ q =⇒∼ p. 

9
위의 예의 증명의 방법은 진리표에 따른 증명법과 다른 이른바 연역적 추론

또는 연역적방법이다.

Example 다음을 연역적방법으로 증명하여라.

p ∧ q =⇒ r ≡ p =⇒ (q =⇒ r)

증명.

p ∧ q =⇒ r ≡∼ [(p ∧ q)∧ ∼ r] Proposition 1

≡∼ [p ∧ (q∧ ∼ r)] 결합법칙

≡∼ [p∧ ∼ (∼ (q∧ ∼ r))] 이중부정

≡∼ [p∧ ∼ (q =⇒ r)] Proposition 1

≡ p =⇒ (q =⇒ r) Proposition 1

Exercise 다음을 연역적방법으로 증명하여라.

(p =⇒ r) ∨ (q =⇒ s) ≡ (p ∧ q =⇒ r ∨ s)

10
EXERCISES

1. 조건문 p =⇒ q에 대하여 명제 q =⇒ p 를 p =⇒ q의 역이라 하고,

∼ p =⇒∼ q는 이 라한다. 또한 명제 ∼ q =⇒∼ p는 대우라 한다. 명

제 p =⇒ q가 참일 때 역, 이, 대우 중 참인 것을 말하고 거짓인 것은

반례를 들어라.

2. 임의의 실수 a, b에 대하여, 명제

a = b =⇒ a2 = b2

의 역, 이 대우 명제를 각각 말하고 참, 거짓을 논하여라. 즉, 참인 것

은 증명을 하고 거짓인 것은 반례를 들어라.

11
1.4 한정규칙(Quantification Rules)

이 절에서는 논리의 기본 언어 중 “모든” 과 “어떤” 으로 대표되는 전칭한정

과 특정한정에 관하여 알아본다. 다음의 복합명제를 생각해보자.

2 · 0 = 0 + 0 ∧ 2 · 1 = 1 + 1 ∧ 2 · 2 = 2 + 2 ∧ ···

위의 명제는 같은 규칙으로 계속 ∧ 로 연결되어있다. 뒤의 · · · 는 논리의 언

어는 아니고 단순히 같은 규칙이 반복됨을 나타낸 것이다. ∧로 연결된 각각

의 명제가 모두 참이므로 ∧의 성질에 의하여 위의 명제는 참이다. 위 명제를

전칭한정용어 “모든”을 사용하면 하나의 명제로 표시할 수있다.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2 · n = n + n

같은 방법으로 다음 명제를 생각 해보자.

2 · 0 > 2 + 0 ∧ 2 · 1 > 2 + 1 ∧ 2 · 2 > 2 + 2 ∧ ···

이 명제는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2 · n > n + n

로 표시되고, ∧로 연결된 명제 중 거짓인 명제가 있으므로 거짓인 명제이다.

12
위의 명제에서 명제간의 연산을 ∧에서 ∨로 모두 바꾸면 다음과 같은 명제이

다.

2 · 0 > 2 + 0 ∨ 2 · 1 > 2 + 1 ∨ 2 · 2 > 2 + 2 ∨ ···

∨로 연결된 명제중 참인 명제가 있으므로 위명제는 참이다. 위 명제를 특정

한정용어 “어떤”을 사용하면 하나의 명제로 표시할 수있다.

어떤 자연수 n에 대하여, 2 · n > 2 + n

위 명제의 부등식은 n = 1이면 거짓이고 n이 2 이상이면 참이다. 이와같이

모든 n은 아니지만 부등식을 만족하는 n이 존재하기만 하면 명제는 참이다.

따라서 어떤을 포함하는 위와같은 명제는 다음과 같이 써도 무방하다.

적당한 x에 대하여, 2 · n > 2 + n

또는

2 · n > 2 + n을 만족하는 자연수 n이 존재한다.

전칭한정용어 “모든”은 “임의의”, “각” 등으로 도 쓴다. 예를 들면, “모든

x에 대하여”, “각 x에 대하여”, “임의의 x에 대하여” 는 모두 같은 의미이

다. 한편, “어떤 x에 대하여”, “적당한 x에 대하여”, “· · · 하는 x가 존재”

도 모두 같은 뜻으로 사용할 수 있다.

13
한정기호

어떠한 명제가 x를 포함하는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그러한 명제를

p(x)로 나타낸다. 이러한 명제의 참, 거짓은 x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

면, 앞의 명제의 예에서 2 · n = n + n은 자연수 n에 따라 명제가 변하므로

p(n)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명제를 명제함수라 하기도 한다.

여기서 표현 “모든 x에 대하여”는 ∀x 로 나타낸다. 따라서 명제 “모든 n에

대하여 2 · n = n + n”는 “∀np(n)”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어떤 x에 대하여”는 ∃x 로 나타낸다. 따라서 명제 “어떤

n에 때하여 2 · n > 2 + n” 는 “∃np(n)”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정기호의 부정규칙 DeMorgan의 법칙을 응용하여 다음의 한정기호의 부정

규칙을 얻는다.

∼ ∀xp(x) ≡ ∃x ∼ p(x)

∼ ∃xp(x) ≡ ∀x ∼ p(x)

14
EXERCISES

1. 다음 중 어느 것이 명제 “모든 뱀은 독을 지닌다.” 의 부정과 동치인

명제?

(1) 모든 뱀은 독을 지니지 않는다.

(2) 독을 지닌 뱀이 존재한다.

(3) 독을 지니지 않은 뱀이 존재한다.

2.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정하고 부정을 말하여라.

(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 + 1)(x − 1) = x2 − 1

(2)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 + 1)(x − 1) = x2 − 1

(3) (x + 1)(x − 1) = x2 − 1 을 만족하는 실수 x가 존재한다.

(4) 이차방정식 x2 − 3x + 2 = 0의 해가 존재한다.

(5) 모든 뱀은 파충류이다.

(6) 말 중에는 백마도 있다.

(7) 모든 여자의 머리는 검거나 갈색이다.

1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