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

교사용

특별부록

중단원 테스트 2
정답과 풀이 18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 2017-12-29 오전 4:01:30


Ⅰ. 기본 도형 - 1. 기본 도형

중단원 테스트
학년 반 점수

이름 /100점

객관식 | 1~10번 각 6점, 11, 12번 각 7점 05 오른쪽 그림에서


∠x:∠y:∠z=2:3:4 Z
01 오른쪽 그림과 같은 오각기둥에서 교 일 때, ∠x의 크기는? Y [

점의 개수를 a개, 교선의 개수를 b개


① 30ù ② 40ù ③ 50ù
라 할 때, b-a의 값은?
④ 55ù ⑤ 60ù
①5 ②8
③ 10 ④ 12
⑤ 15

06 한 평면 위의 3개의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맞


02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꼭지각은 몇 쌍이 생기는가?
① 한 점을 지나는 직선은 2개이다.
① 3쌍 ② 6쌍 ③ 9쌍
② 서로 다른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은 1개이다.
④ 12쌍 ⑤ 15쌍
③ 시작점이 같은 두 반직선은 같다.
④ 뻗어 나가는 방향이 같은 두 반직선은 같다.
⑤ 직선의 길이는 반직선의 길이의 2배이다.

03 다음 그림과 같이 직선 l 위에 네 점 A, B, C, D
07 오른쪽 그림에서 x-y의
값은? ± Z±±
가 있을 때, 옳지 않은 것은?
Y± ±
① 10 ② 20
M
" # $ % ③ 30 ④ 40
① ABê=CDê ② AC³=AD³ ⑤ 50
③ BCÓ=CBÓ ④ AC ê=BDê
⑤ BC³=CB³

04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사 "


ADN % 08 오른쪽 그림에서
" #
다리꼴 ABCD에 대한 ADN OA³⊥OC³, OB³⊥OD³,
ADN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AOB+∠COD=50ù  $
# $
ADN 일 때, ∠BOC의 크기는?
것은?
0 %
① ADÓ
‌ 의 수선은 ABÓ이다. ① 50ù ② 55ù
② ABÓ에 수직인 선분은 BCÓ와 ADÓ이다. ③ 60ù ④ 65ù
③ 점 C에서 ABÓ까지의 거리는 8`cm이다. ⑤ 70ù
④ 점 D에서 BCÓ까지의 거리는 5`cm이다.
⑤ 점 A에서 BCÓ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B이다.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 2017-12-29 오전 4:01:31


정답과 풀이 p.18

09 오른쪽 그림에서 
#
$ % 주관식 | 13, 14번 각 6점, 15, 16번 각 7점
∠AOB=60ù, &
∠BOC=∠COD,  ±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원 "

∠DOE=∠EOF " 0 ' 위에 5개의 점 A, B, C, &

일 때, ∠COE의 크기는? D, E가 있을 때, 이 중 
# %
두 점을 이어서 만들 수 $
① 50ù ② 53ù ③ 55ù
있는 직선의 개수를 구하시오.
④ 58ù ⑤ 60ù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l 4
M

위에 네 점 P, Q, R, S가 3
2
있다. 두 점을 이어서 만들
수 있는 직선의 개수를 a개,
1
14 세 점 A, B, C가 차례로 일직선 위에 있고, 두 점
M, N이 각각 ABÓ, BCÓ의 중점이다.
반직선의 개수를 b개, 선분
ABÓ=10`cm, BCÓ=8`cm일 때, MNÓ의 길이를
의 개수를 c개라 할 때, a+b-c의 값은?
구하시오.
①0 ②1 ③ 2
④3 ⑤5

11 오른쪽 그림에서 두 점 "


. /
#
M, N이 각각 ABÓ, MBÓ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4개의 Y± ± Y±±
의 중점일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Y±±
3 x+y의 값을 구하시오. Z±
① AÕNÓ= AÕMÓ
2
Y±±
② AÕNÓ=3 NBÓ
③ ABÓ=;4#; AÕNÓ
④ MÕNÓ=3`cm일 때, ABÓ=12`cm이다.
⑤ AÕNÓ=9`cm일 때, MÕBÓ=6`cm이다.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시계가


12

오른쪽 그림에서 AEÓ⊥BOÓ # $ 4시 45분을 가리킬 때, 시침
 
 
%
이고 ∠AOC=6∠BOC, 과 분침이 이루는 각 중에서  

∠DOE=3∠COD일 때, 작은 쪽의 각의 크기를 구하  
 

∠BOD의 크기는? 시오.
" 0 &
① 30ù ② 32ù
③ 36ù ④ 40ù
⑤ 42ù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3 2017-12-29 오전 4:01:33


Ⅰ. 기본 도형 - 2. 위치 관계

중단원 테스트
학년 반 점수

이름 /100점

객관식 | 1~10번 각 6점, 11, 12번 각 7점 05 다음 중 두 직선 l, m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것


은?
01 오른쪽 그림에서 ∠a의 엇
① ② ±
각을 모두 고른 것은? B M M
±
H ± ±
C D G N N
① ∠b, ∠g
F E J I
② ∠b, ∠i ±
③ M
④ M
③ ∠c, ∠h ±
④ ∠c, ∠g N N

⑤ ∠d, ∠f ±
⑤ M

02 다음 중 평면을 하나로 결정하지 않는 것을 모두 ±


N

고르면? (정답 2개)

① 일치하는 두 직선
06 오른쪽 그림의 정육각기둥에서 " '
② 서로 평행한 두 직선 모서리 BC와 위치 관계가 다른 # &
③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 하나는? $ %
④ 한 직선과 그 직선 밖에 있는 한 점 ( -
① AGÓ ② DJÓ
⑤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 ,
③ IJÕ ④ KLÓ
* +
⑤ FLÓ
03 다음 중 공간에서 두 평면의 위치 관계가 될 수 없
는 것은?

① 한 직선에서 만난다. 07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면 %

P 위에 있고 어느 세 점도 "
② 일치한다.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③ 평행하다. # $
세 점 A, B, C와 평면 P 1
④ 수직으로 만난다.
밖에 있는 한 점 D 중 세
⑤ 꼬인 위치에 있다.
점으로 결정되는 서로 다른 평면의 개수는?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⑤ 6개
04 오른쪽 그림의 직육면체에 A D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 B C
은 것을 모두 고르면? 
E
08 오른쪽 그림은 직육면체 "
*
%

 (정답 2개) H 를 BIÓ = FJÓ 가 되도록 # $


F
G 자른 것이다. 모서리 ID &
① BCÓ
‌ 와 수직인 모서리는 4 )
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 '
개이다. + (
서리의 개수를 a개, 면
② BFÓ와 DHÓ는 평행하다.
BFJI와 평행한 모서리의 개수를 b개라 할 때,
③ AE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5개이다.
a-b의 값은?
④ 모서리 CG는 면 ABCD와 수직이다.
⑤ 면 BFGC는 모서리 AE와 꼬인 위치에 있다. ①1 ②2 ③3 ④4 ⑤5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4 2017-12-29 오전 4:01:35


정답과 풀이 p.19

09 오른쪽 그림에서 lm일 B M 주관식 | 13, 14번 각 6점, 15, 16번 각 7점


때, ∠a+∠b+∠c+∠d C

의 크기는? D
N
13 오른쪽 그림에서 lm일 Y±±
M
E 때, x의 값을 구하시오. Y±±
① 90ù ② 120ù
Y± ±
③ 150ù ④ 180ù ⑤ 240ù Y±
N

10 오른쪽 그림은 평면 P
"
#
$
위에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를 반으로 접어서
% & '
올려 놓은 것이다. 이때 1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사
B
"
Y
&
M
평면 P와 BEÓ가 수직임 각형 ABCD가 평행한 두 %
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을 모두 고르면? 직선 l, m과 각각 두 점
#
A, C에서 만날 때, BD³와 C
 (정답 2개) $
N

직선 l과의 교점을 E라
① DEÓ⊥EFÓ ② DEÓ⊥BEÓ ③ EFÓBCÓ
하자. ∠a=5∠b일 때, ∠x의 크기를 구하시오.
④ ABÓ⊥BCÓ ⑤ EFÓ⊥BEÓ

11 공간에 있는 서로 다른 세 직선 l, m, n과 서로
다른 두 평면 P, Q에 대하여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정답 2개) 15 오른쪽 그림의 삼각기둥에서 면 "

ADFC와 수직인 면을 모두 구
① l⊥m, ln이면 m⊥n이다. # $
하시오.
② lm, ln이면 mn이다.
%
③ l⊥m, l⊥n이면 mn이다.
④ l⊥P, l⊥Q이면 PQ이다. & '

⑤ l⊥P, PQ이면 lQ이다.

12 오른쪽 전개도로 만든 삼
" +
*
) (
각기둥에 대한 다음 설명
16 오른쪽 정육면체에서  " %
중 옳지 않은 것은? 면 AGD와 평행한 모서리 # $

① ABÓ
‌ 와 평행한 모서리 의 개수를 a개, AGÓ와 꼬인
& )
는 JCÓ, HEÓ이다. # $ & ' 위치에 있는 모서리의 개수
% 를 b개, EHÓ와 수직인 평면 ' (
② GFÓ
‌ 와 꼬인 위치에 있
는 모서리는 CEÓ, JHÓ이다. 의 개수를 c개라 할 때,
③ 면 ㉮와 평행한 모서리는 JCÓ이다. a+b-c의 값을 구하시오.
④ 면 CDE와 평행한 모서리는 4개이다.
⑤ CDÓ와 JHÓ는 꼬인 위치에 있다.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5 2017-12-29 오전 4:01:37


Ⅰ. 기본 도형 - 3. 작도와 합동

중단원 테스트
학년 반 점수

이름 /100점

객관식 | 1~10번 각 6점, 11, 12번 각 7점 05 다음 보기 중 서로 합동인 것끼리 짝지은 것은?


보기
01 작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ㄱ. ㄴ.
ADN
ADN
ADN
ADN
ADN
±
±
ㄷ. ±
±
±±
± ± ADN ±
±
±
ADN
±
±
±
± ±
①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
±
ADN ±
±±
± ADN ±
±
±
ADN
ADN ADN
ADN ADN
ADN
ADN
ADN ADN
ADN
ADN
그리는 것을 작도라 한다.
ADN
ADN
② 선분의 길이를 옮길 때에는 자를 사용한다. ㄹ. ㅁ. ADN
ADN
ADN
± ±
±
± ±
±
±
±
ADN ±
±
±±
③ 원을 그릴 때에는 컴퍼스를 사용한다. ADN
ADN ±
±
±
ADN
ADN
④ ‌두 선분의 길이를 비교할 때에는 컴퍼스를 사
용한다. ① ㄱ, ㄷ ② ㄱ, ㅁ ③ ㄴ, ㄷ
⑤ 선분을 연결할 때에는 눈금 없는 자를 사용한다. ④ ㄴ, ㄹ ⑤ ㄷ, ㄹ

06 다음 그림과 같이 ABÓ, BCÓ의 길이와 ∠B의 크기


02 삼각형의 합동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모 가 주어졌을 때, △ABC의 작도 순서 중 가장 마
두 고르면? (정답 2개) 지막에 해당하는 것은?
① 세 변의 길이가 각각 같은 두 삼각형은 합동이다.
② ‌넓이가 같은 두 삼각형은 합동이다. " #

③ 합동인 두 삼각형은 넓이가 같다.


# $ #
④ 세 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두 삼각형은 합동이다.
⑤ 정삼각형은 모두 합동이다.
① ABÓ를 그린다. ② ACÓ를 그린다.
③ BCÓ를 그린다. ④ ∠A를 작도한다.

03 다음 그림에서 △ABC≡△DEF일 때, EFÓ의 길 ⑤ ∠B를 작도한다.


이와 ∠F의 크기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 07 다음 중 △ABCª△DEF라 할 수 없는 것은?

± ① ABÓ=DEÓ, ∠A=∠D, ∠B=∠E


ADN &
± ② ABÓ=DEÓ, ACÓ=DFÓ, ∠A=∠D
#
ADN $ ' ③ ABÓ=DEÓ, BCÓ=EFÓ, ACÓ=DFÓ
④ BCÓ=EFÓ, ACÓ=DFÓ, ∠A=∠D
① 5`cm, 50ù ② 5`cm, 70ù ③ 6`cm, 50ù
⑤ BCÓ=EFÓ, ACÓ=DFÓ, ∠C=∠F
④ 6`cm, 60ù ⑤ 6`cm, 70ù

08 다음 중 △ABC가 하나로 정해지는 것을 모두 고

04 세 변의 길이가 각각 다음과 같을 때, 삼각형을 작 르면? (정답 2개)


도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르면? (정답 2개) ① ABÓ=7`cm, BCÓ=3`cm, CAÓ=10`cm
① 3`cm, 4`cm, 8`cm ② 5`cm, 6`cm, 3`cm ② ∠A=20ù, ∠B=70ù, ∠C=90ù
③ 6`cm, 3`cm, 9`cm ④ 7`cm, 9`cm, 2`cm ③ ABÓ=8`cm, BCÓ=8`cm, ∠B=70ù
⑤ 8`cm, 8`cm, 4`cm ④ ABÓ=7`cm, ∠A=50ù, ∠B=130ù
⑤ ABÓ=5`cm, ∠B=60ù, ∠C=45ù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6 2017-12-29 오전 4:01:38


정답과 풀이 p.20

09 ABÓ=6`cm, BCÓ=8`cm로 주어질 때, 삼각형 주관식 | 13, 14번 각 6점, 15, 16번 각 7점
ABC가 하나로 정해지기 위하여 더 필요한 조건
을 모두 고르면? (정답 2개) 13 다음은 오른쪽 그림과 같은 " %

평행사변형 ABCD에서
① CAÓ=2`cm ② CAÓ=9`cm
점 E가 BCÓ 의 중점이고
③ ∠A=40ù ④ ∠B=50ù # $
&
AEÓ의 연장선과 CDÓ의 연
⑤ ∠C=100ù
장선의 교점을 F라 할 때,
'
△ABEª△FCE임을 보
이는 과정이다. ㈎ ~ ㈐에 알맞은 것을 구하시오.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ABE와 △FCE에서
∠A=90ù인 직각삼
Y BEÓ=CEÓ, ∠AEB= ㈎ (맞꼭지각)
각형 ABC에서 ∠B
# $ ∠ABE= ㈏ (엇각)
의 이등분선과 BCÓ .

의 수직이등분선이 ACÓ 위의 점 D에서 만날 때, ∴ △ABEª△FCE( ㈐ `합동)


∠x의 크기는?

① 45ù ② 50ù ③ 55ù


④ 60ù ⑤ 65ù
14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각각 5`cm, 9`cm, 
x`cm일 때,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1 오른쪽 그림에서 △ABC는 "

정삼각형이고 %

ADÓ=BEÓ=CFÓ일 때, 다음 '
15 다음 그림과 같이 ABÓ=ACÓ인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의 꼭짓점 B, C에서 점 A를 지나는 직선 l
중 옳지 않은 것은? # $
& 위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라 하자.
① ∠EDB=∠DFA DEÓ=17`cm, ECÓ=5`cm일 때, BDÓ의 길이를 구
② AFÓ=CEÓ ③ ∠DAF=∠EDB 하시오.
④ EFÓ=DEÓ ⑤ ∠AFD=∠CEF M %
"
&

# $

12 오른쪽 그림에서 점 C
"
&

는 BDÓ 위의 점이고, 
Y
△ABC와 △ECD는
정삼각형이다. 이때 #
$
%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 %
)
정사각형 ABCD와 & 2
∠x의 크기는? ADN
EFGH가 겹쳐져 있을
① 100ù ② 110ù ③ 115ù 때, △ECQ의 넓이를 구 #
1 $ (
ADN
④ 120ù ⑤ 125ù 하시오. '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7 2017-12-29 오전 4:01:39


Ⅱ. 평면도형 - 1. 다각형

중단원 테스트
학년 반 점수

이름 /100점

객관식 | 1~10번 각 6점, 11, 12번 각 7점 05 한 외각의 크기가 30ù인 정다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01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54개 ② 57개 ③ 60개
① ‌육각형의 내부의 한 점에서 각 꼭짓점에 선분 ④ 65개 ⑤ 71개
을 그었을 때 생기는 삼각형의 개수는 6개이
다.
② 십이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900ù이다.
③ 정다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모두 같다.
④ ‌어떤 다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이 만드는 내각 06 오른쪽 그림에서 ∠x의 크
±
과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ù이다. 기는? ±
⑤ ‌십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 ±
① 65ù ② 70ù
의 개수는 6개이다.
③ 75ù ④ 80ù ± Y
⑤ 85ù ±

02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가 6개


인 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① 1080ù ② 1260ù ③ 1440ù 07 오른쪽 그림의 △ABC에서  "

④ 1620ù ⑤ 1800ù ADÓ=BDÓ=BCÓ이고 Y


∠DBC=40ù일 때, ∠x의 크
%
기는?

① 20ù ② 25ù ±


# $
03 한 내각의 크기와 한 외각의 크기의 비가 3:2인 ③ 30ù ④ 35ù
정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⑤ 40ù
① 60ù ② 90ù ③ 108ù
④ 120ù ⑤ 135ù

08 오른쪽 그림에서
"
±
∠BAD=∠CAD일 때, 
04 오른쪽 그림에서 ∠x의 크
± ∠x의 크기는?
기는? ± Y
± ① 65ù ② 70ù # % $
① 90ù ② 95ù ± Y
③ 75ù ④ 80ù
③ 100ù ④ 105ù
⑤ 85ù
⑤ 110ù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8 2017-12-29 오전 4:01:41


정답과 풀이 p.22

09 오른쪽 그림과 같은


"
주관식 | 13, 14번 각 6점, 15, 16번 각 7점
△ABC에서 ADÓ, CDÓ는  %

각각 ∠A, ∠C의 외각의 13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다각형을 구하시오.


이등분선이다. ∠B=64ù일 ±
#
$
때, ∠ADC의 크기는? ㈎ 대각선의 총 개수가 35개이다.
㈏ ‌모든 변의 길이와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각각
① 50ù ② 54ù ③ 56ù
같다.
④ 58ù ⑤ 60ù

10 오른쪽 그림에서 ∠x의 크 "

기는? Y

① 40ù ② 60ù
*
14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비가 2:3:4일 때, 
③ 75ù ④ 80ù 가장 작은 각의 크기를 구하시오.
±
⑤ 90ù # $

11 오른쪽 그림에서 # "

∠A+∠B+∠C+∠D 15 오른쪽 그림에서 ∠x의 크기


±
+∠E+∠F의 크기는? 를 구하시오.
$ ' ±
① 180ù ② 360ù % & ± ±
Y
③ 540ù ④ 720ù
⑤ 900ù

12 오른쪽 그림에서 두
"
' (

다각형 ABCDE와 &


) 16 오른쪽 그림에서 lm이고
#
"
±
M
DEFGHIJK가 각 #
정오각형 ABCDE의 꼭짓
%
* &
각 정오각형과 정팔 $ Y 점 A, D가 각각 직선 l, m
, + $ Y
각형일 때, ∠x의 크 위에 있을 때, ∠x의 크기 N
%
기는? 를 구하시오.
① 124ù ② 125ù ③ 126ù
④ 127ù ⑤ 128ù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9 2017-12-29 오전 4:01:42


Ⅱ. 평면도형 - 2. 원과 부채꼴

중단원 테스트
학년 반 점수

이름 /100점

객관식 | 1~10번 각 6점, 11, 12번 각 7점 05 오른쪽 그림에서


ADÓ=12`cm이고
$
01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면? (정답 2개) ABÓ=BCÓ=CDÓ일 때, "
#
%

① 한 원에서 길이가 가장 긴 현은 지름이다. 어두운 부분의 넓이는?


② ‌한 원 위의 두 점을 이은 현과 호로 둘러싸인 ① 8p`cmÛ` ② 10p`cmÛ`
부분을 활꼴이라 한다. ③ 12p`cmÛ` ④ 15p`cmÛ`
③ ‌한 원에서 부채꼴과 활꼴이 같아지는 경우는 ⑤ 18p`cmÛ`
반원일 때이다.
④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한다.
⑤ ‌한 원에서 현의 길이가 2배이면 부채꼴의 넓이 0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각 "

도 2배가 된다. 의 크기가 45ù인 부채꼴 ADN


%
AOB에서 OAÓ=10`cm, 
±
OCÓ=4`cm일 때, 어두운 부 0 ADN $ #

분의 둘레의 길이는?
02 오른쪽 그림의 원 O에
5
서 x의 값은? 0 ± ① { p+12} cm ② (3p+12) cm
2
± ADN
YADN 7
③ { p+12} cm
①8 ② 10
④ (4p+12) cm
③ 11 ④ 12 2
9
⑤ 14 ⑤ { p+12} cm
2

07 오른쪽 그림에서 어두운 ADN


03 오른쪽 그림의 원 O에 대하 &
%
부분의 넓이는?
여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100`cmÛ` ADN
" #
① AEÓ=BEÓ 0
② 150`cmÛ`
② BCÓ=CDÓ
③ 200`cmÛ`
③ AEÓ=3BCÓ
④ 100p`cmÛ`
④ µ CD=;3!;µ AE ⑤ 200p`cmÛ`
⑤ µ CE=µ  BD

08 오른쪽 그림에서 어두운 부 ADN

분의 넓이는?
04 반지름의 길이가 7`cm이고, 넓이가 35p`cmÛ`인 ① (16p-48)cmÛ` ADN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② (16p-32)cmÛ`
① 8p`cm ② 10p`cm ③ 12p`cm ③ (16p-16)cmÛ`
④ 14p`cm ⑤ 16p`cm ④ (16p+16)cmÛ`
⑤ (16p+32)cmÛ`

10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0 2017-12-29 오전 4:01:44


정답과 풀이 p.24

09 오른쪽 그림에서 어두운 주관식 | 13, 14번 각 6점, 15, 16번 각 7점


부분의 넓이는?

① 24`cmÛ` ADN
ADN
13 오른쪽 그림에서 부채꼴 $ "
ADN
AOB의 넓이가 4`cmÛ`
ADN #
② 36`cmÛ` ADN 0
일 때, 부채꼴 COD의
③ 48`cmÛ` % ADN™A
넓이를 구하시오.
④ 24p`cmÛ`
⑤ 48p`cmÛ`

10 오른쪽 그림에서 ABÓ는 %


$
14 오른쪽 그림의 반원 ADN
원 O의 지름이고, ADN $
# ± O에서 µAC=8`cm, 
BDÓ OCÓ이다. 0 " ADN
µ`BC=2`cm일 때,
µAC=7`cm, " 0 #
∠AOC의 크기를
∠AOC=30ù일 때, µ BD의 길이는?
구하시오.
① 14`cm ② 21`cm ③ 28`cm
④ 35`cm ⑤ 42`cm

11 오른쪽 그림에서 어두운 부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 &

분의 둘레의 길이는? 각삼각형 ABC를 직 $ ADN


ADN
① 4p`cm 선 l 위에서 점 B를 중
±
심으로 점 A가 점 E에 M
② 6p`cm " ADN # %
ADN 오도록 회전하였다.
③ 8p`cm
④ 10p`cm BCÓ=5`cm, ABÓ=10`cm, ∠A=30ù일 때, 점

⑤ 12p`cm A가 움직인 거리를 구하시오.

12 오른쪽 그림에서 지름의 "

길이가 10`cm인 반원과


부채꼴 ABC의 넓이가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의 지
같을 때, 어두운 부분의 넓 0
름의 길이가 6`cm인 원기둥
# $
이는? ADN 모양의 캔 3개를 끈으로 묶으
려고 할 때, 필요한 끈의 최소
25
① { p-:ª2°:} cmÛ` ② {:ª2°:p-25} cmÛ` 길이를 구하시오. (단, 끈의 매
2
25 듭의 길이는 생각하지 않는다.)
③ {25p- } cmÛ` ④ (25p-25)cmÛ`
2
⑤ (25p-50)cmÛ`

11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1 2017-12-29 오전 4:01:45


Ⅲ. 입체도형 - 1. 다면체와 회전체

중단원 테스트
학년 반 점수

이름 /100점

객관식 | 1~10번 각 6점, 11, 12번 각 7점 05 꼭짓점의 개수가 16개인 각기둥의 밑면의 모양은?

① 육각형 ② 칠각형 ③ 팔각형


01 다음 중 다면체인 것을 모두 고르면? (정답 2개)
④ 구각형 ⑤ 십각형
① ② ③

④ ⑤ 06 다음 중 회전체와 그 회전체를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모양을 짝지은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 - 원 ② 원뿔 - 이등변삼각형
③ 반구 - 반원 ④ 원기둥 - 직사각형
02 다음 중 면의 개수가 가장 많은 다면체는? ⑤ 원뿔대 - 마름모
① 오각기둥 ② 오각뿔 ③ 육각뿔대
④ 사각뿔대 ⑤ 칠각기둥

07 다음 중 원뿔을 한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


03 정다면체에 대한 다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의 모양이 될 수 없는 것은?
모두 고른 것은?
① ② ③
보기

ㄱ. 정다면체는 5가지뿐이다.
ㄴ.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이다.
④ ⑤
ㄷ. ‌한 꼭짓점에 모이는 각의 크기의 합은 
180ù보다 작아야 한다.
ㄹ. 면의 모양이 정육각형인 정다면체는 1개이다.
ㅁ. 각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다.

① ㄱ, ㄹ ② ㄴ, ㅁ ③ ㄱ, ㄴ, ㅁ 08 오른쪽 회전체는 다음 중 어느 평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ㅁ 면도형을 회전시킨 것인가?

① ②

04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입체도형은?

㈎ 두 밑면이 평행하다.
㈏ 꼭짓점의 개수는 12개이다. ③ ④ ⑤
㈐ 옆면은 모두 사다리꼴이다.

① 사각기둥 ② 사각뿔대 ③ 오각기둥


④ 육각뿔대 ⑤ 팔각기둥

12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2 2017-12-29 오전 4:01:46


정답과 풀이 p.26

09 정십이면체의 각 면의 중심을 연결하여 만들어지 주관식 | 13, 14번 각 6점, 15, 16번 각 7점
는 입체도형은?

① 정사면체 ② 정육면체 ③ 정팔면체


13 모서리의 개수가 24개인 각기둥은 몇 면체인지 말
하시오.
④ 정십이면체 ⑤ 정이십면체

10 오른쪽 전개도로 만들
어지는 입체도형에 대
한 다음 설명 중 옳지 14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전개 " ' &

않은 것은? 도로 정사면체를 만들 때,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 # $ %
① 정십이면체이다.
에 있는 모서리를 구하시
② 꼭짓점의 개수는 20개이다.
오.
③ 모서리의 개수는 30개이다.
④ 면의 개수는 12개이다.
⑤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는 4개이다.

11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면도형을 직선 l M


15 오른쪽 입체도형은 모든 면이 정
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 다각형인 다면체이다. 이 입체도
는 입체도형을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 형이 정다면체가 아닌 이유를 설
로 자른 단면은? 명하시오.
① ② ③

④ ⑤

16 오른쪽 그림과 같은 이등변삼 "

각형을 변 AC를 회전축으로


ADN )
하여 1회전 시켰다. 이 회전
12 오른쪽 전개도로 만들 ) ADN ADN

어지는 입체도형에서 체를 변 AC를 포함하는 평


" + * # $
( ADN
BCÓ 와 겹쳐지는 모서 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
리는? #
% & '
의 넓이를 구하시오.

① AJÓ ② DEÓ $

③ EFÓ ④ GFÓ
⑤ HIÓ

13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3 2017-12-29 오전 4:01:48


Ⅲ. 입체도형 - 2.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중단원 테스트
학년 반 점수

이름 /100점

객관식 | 1~10번 각 6점, 11, 12번 각 7점 05 지름의 길이가 4`cm인 구 모양의 쇠공을 녹여서
지름의 길이가 1`cm인 구 모양의 쇠공을 몇 개 만
01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삼 ADN
ADN
들 수 있는가?
각기둥의 부피는?
① 27개 ② 36개 ③ 64개
ADN
① 70`cmÜ` ④ 81개 ⑤ 216개
② 140`cmÜ`
③ 210`cmÜ`
④ 350`cmÜ` 06 오른쪽 전개도로 만들어지 4`cm

⑤ 420`cmÜ` 는 원기둥의 겉넓이가


88p`cmÛ`일 때, 이 원기둥의
부피는?

① 110p`cmÜ`
02 오른쪽 그림과 같은 각기 ADN
ADN
② 112p`cmÜ`
둥의 겉넓이는? ADN ③ 116p`cmÜ`
ADN
① 90`cmÛ` ④ 118p`cmÜ`
② 111`cmÛ` ADN ⑤ 120p`cmÜ`
ADN
③ 132`cmÛ`
④ 158`cmÛ`
⑤ 222`cmÛ` 07 다음 그림과 같은 반구와 원뿔 모양의 유리잔에
주스가 가득 들어 있다. 들어 있는 주스의 양이 서
로 같을 때, x의 값은?
ADN ADN

03 어떤 정육면체의 겉넓이가 216`cmÛ`일 때, 이 정


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YADN
① 4`cm ② 6`cm ③ 9`cm
④ 12`cm ⑤ 20`cm
①5 ② 6 ③7
④8 ⑤ 10

04 한 모서리의 길이가
08 오른쪽 그림과 같은 입체도형
4`cm인 정육면체를 오른 ADN
의 겉넓이는? ±
쪽 그림과 같이 4등분 할 ADN
① (30+13p)cmÛ`
때, 늘어난 겉넓이는?
② (30+15p)cmÛ`
① 48`cmÛ` ② 54`cmÛ` ③ 63`cmÛ` ③ (30+16p)cmÛ` ADN

④ 72`cmÛ` ⑤ 96`cmÛ` ④ (30+18p)cmÛ`


⑤ (30+20p)cmÛ`

14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4 2017-12-29 오전 4:01:49


정답과 풀이 p.27

09 오른쪽 그림과 같은 평면도형을


ADN
M 주관식 | 13, 14번 각 6점, 15, 16번 각 7점
직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킬 때 생기는 입체도형의 겉넓
ADN
13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사각형을
ADN
이는? 밑면으로 하는 사각기둥이 있
ADN
ADN
다. 이 사각기둥의 높이가
① 100p`cmÛ` ② 120p`cmÛ` ADN 10`cm일 때, 이 사각기둥의
③ 180p`cmÛ` ④ 200p`cmÛ`
부피를 구하시오.
⑤ 224p`cmÛ`

10 오른쪽 그림은 원뿔과 반구를


붙여 놓은 것이다. 이 입체도형 ADN
ADN 14 오른쪽 그림과 같은 도형을 직 M

선 l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
의 겉넓이는?
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 ADN
ADN
① 27p`cmÛ` ② 30p`cmÛ` 를 구하시오.
③ 33p`cmÛ` ④ 36p`cmÛ` ADN
⑤ 39p`cmÛ`

11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직육면체 모양의 그릇 A, B


15 오른쪽 그림에서 사각형 " / %
에 들어 있는 물의 양이 같을 때, x의 값은? ABCD는 한 변의 길이가
.
ADN 6`cm인 정사각형이고, 점 M,
ADN ADN ADN
N은 각각 ABÓ, ADÓ의 중점이 # $
ADN
ADN ADN
다. 점선을 따라 접어서 만든
YADN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하시오.

" #

4
①1 ② ③ ;3%;
3

④2 ⑤
7 16 다음 그림과 같이 큰 원기둥, 원뿔대, 작은 원기둥
3 모양으로 이루어진 통이 있다. 이 통의 겉넓이를 구
하시오.
ADN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기둥 안에 ADN


ADN
꼭 맞는 구와 원뿔이 있다. 원기둥 ADN
과 원뿔과 구의 부피의 비는?
ADN
① 1:2:3 ② 2:1:3 ADN
③ 3:1:2 ④ 3:2:1
⑤ 4:2:3

15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5 2017-12-29 오전 4:01:51


Ⅳ. 통계 - 1. 자료의 정리와 해석

중단원 테스트
학년 반 점수

이름 /100점

객관식
객관식
| 1~10번
| 1~8번
각각6점,
7점,
11, 9번
12번8점
각 7점 [03~ 04] 오른쪽 그림은 주희 (명)

네 반 학생들이 하루 동안 운동

01 아래는 어느 중학교 1학년 1반과 2반 학생들의 제 한 시간을 조사하여 나타낸 히

자리멀리뛰기 기록을 조사하여 나타낸 줄기와 잎 스토그램이다. 다음 물음에 답

하시오.
그림이다. 다음 보기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기록 03 운동 시간이 50분 이 
      (분)
( 16|1은 161`cm ) 상 60분 미만인 학생 수는?
잎 (1반) 줄기 잎 (2반)
① 6명 ② 7명 ③ 8명
7 4 16 1 3
④ 9명 ⑤ 10명
8 5 2 17 0 1 5 6
9 6 6 2 1 18 4 4 5 7 8
6 4 3 1 19 4 8
6 20 0 3 5 04 20분 이상 30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이
는 40분 이상 50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
보기
이의 몇 배인가?
ㄱ. 1반과 2반의 학생 수는 같다.
1
ㄴ. 가장 멀리 뛴 학생은 1반 학생이다. ① 배 ② ;1£0;배 ③ ;5@;배
5
ㄷ. 170`cm
‌ 이상 180`cm 미만인 학생 수는
1
2반이 더 많다. ④ 배 ⑤ ;5#;배
2
ㄹ. 1반과
‌ 2반 전체 학생 중 기록이 9번째로
높은 학생의 기록은 194`cm이다.
[05~ 06] 다음 표는 경승이네 반 학생들의 시력을 조사하여 나타
낸 상대도수의 분포표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ㄴ, ㄷ, ㄹ 시력 도수 (명) 상대도수
0이상`~` 0.4미만 3 0.15
0.4 `~` 0.8 5 A
02 오른쪽 표는 어느 해 1월 적설량 (mm) 날수 (일) 0.8 `~` 1.2 6 0.3
한 도시의 적설량을 조사 0이상 ~ 5미만 6 1.2 `~` 1.6 B 0.2
하여 나타낸 도수분포표 5 ~ 10 9 1.6 `~`  2 2 0.1
10 ~ 15 12
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합계
15 ~ 20
것은?
합계 31 05 경승이네 반 전체 학생 수는?
① ‌계급의 개수는 4개이다.
① 18명 ② 19명 ③ 20명
② ‌도수가 9일인 계급은 5`mm 이상 10`mm 미
④ 21명 ⑤ 22명
만이다.
③ ‌적설량이 15`mm 이상 20`mm 미만인 날수는
4일이다.
④ 적설량이 10`mm 이상인 날수는 16일이다.
06 A+B의 값은?

① 5.2 ② 4.25 ③ 3.3


⑤ ‌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은 0`mm 이상 5`mm 
④ 2.35 ⑤ 1.4
미만이다.

16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6 2017-12-29 오전 4:01:52


정답과 풀이 p.29

[07~ 08] 다음은 어느 중학교 1학년 A반과 B반 학생들의 지난 주관식 | 10, 11번 각 8점, 12, 13번 각 10점
해 독서량을 조사하여 나타낸 도수분포표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10~ 11] 오른쪽 그림은 원주 친 (명)
학생 수 (명) 
독서량 (권) 구들의 일주일 동안의 인터넷 사
A반 B반 용 시간을 조사하여 나타낸 도수 
10이상`~`20미만 ㉠ 2 분포다각형의 일부분이다. 다음 물 
20 `~`30 7 ㉡ 음에 답하시오. 
30 `~`40 10 5

40 `~`50 8
50 `~`60 1 3 
     (시간)
합계 30
10 인터넷 사용 시간이 12시간 미만인 학생이 전체의
07 ㉠과 ㉡의 비가 1:2일 때, ㉠+㉡의 값은? 80`%일 때, 인터넷 사용 시간이 12시간 이상인
① 12 ② 13 ③ 14 ④ 15 ⑤ 16 학생 수를 구하시오.

08 B반에서 독서량이 30권 이상 40권 미만인 학생이


B반 전체의 25`%일 때, B반 전체 학생 수는?
11 인터넷 사용 시간이 6시간 이상 11시간 미만인 학
① 18명 ② 20명 ③ 22명 생이 16명이라 한다. 인터넷 사용 시간이 11시간
④ 24명 ⑤ 26명 이상 12시간 미만인 학생 수를 구하시오.

09 다음 그림은 어느 중학교 1학년 남학생과 여학생


의 100`m 달리기 기록을 조사하여 나타낸 상대도
수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옳은 것을 모두 12 A, B 두 학교 학생 수의 비는 5:4이다. 두 학교

고르면? (정답 2개) 학생들의 시력을 조사하여 나타낸 도수분포표에서


도수의 비가 2:3인 계급의 상대도수의 비를 가장
상(대도수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내시오.
 남학생 여학생
)






13 오른쪽 그림은 주현이 학생들의 키
( 12|4는 124`cm )
 네 반 학생들의 키를
        (초)
줄기 잎
조사하여 나타낸 줄기
① 계급의 크기는 모두 2초이다. 12 4 5 8
와 잎 그림이다. 주현
② 남학생 수와 여학생 수는 같다. 13 1 2 7 9
이의 키가 잎이 가장
③ ‌각각의 그래프와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14 3 4 5 7 8
많은 줄기에 속할 때, 15 2 5
넓이는 서로 같다.
주현이보다 키가 작은 16 1
④ ‌여학생의 기록 중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16초
학생은 적어도 몇 명인
이상 17초 미만이다.
지 구하시오.
⑤ 15초
‌ 이상 16초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남학생
이 여학생보다 크다.

17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7 2017-12-29 오전 4:01:53


중단원 테스트 정답과 풀이

I. 기본 도형 08 ∠AOB+∠BOC=90ù,
∠BOC+∠COD=90ù이므로

1. 기본 도형 ∠AOB+∠COD+2∠BOC=180ù
그런데 ∠AOB+∠COD=50ù이므로
p. 2~3
2∠BOC=130ù
01 ① 02 ② 03 ⑤ 04 ④ 05 ② ∴ ∠BOC=65ù
06 ② 07 ③ 08 ④ 09 ⑤ 10 ②
11 ③ 12 ③ 13 8개 14 9`cm
15 100 16 127.5ù
09 ∠BOC=∠x, ∠DOE=∠y라 하면
∠BOD=2∠x, ∠DOF=2∠y
평각의 크기는 180ù이므로
01 a=10, b=15이므로 b-a=5
60ù+2∠x+2∠y=180ù
∴ ∠x+∠y=60ù
02 ① 한 점을 지나는 직선은 무수히 많다.
∴ ∠COE=∠x+∠y=60ù
③ ‌시작점은 같지만 뻗어 나가는 방향이 다르면 서로 다른
반직선이다.
④ ‌뻗어 나가는 방향은 같지만 시작점이 다르면 서로 다른 10 직선은 직선 l의 1개이므로 a=1
반직선이다. 반직선은 PQ³, QR³, RS³, SR³, RQ³, QP³의 6개이므로
⑤ 직선과 반직선은 길이는 구할 수 없다. b=6
선분은 PQÓ, PRÓ, PSÓ, QRÓ, QSÓ, RSÓ의 6개이므로
03 ⑤ ‌시작점이 같고 뻗어 나가는 방향이 같을 때 같은 반직 c=6
선이라 한다. ∴ a+b-c=1+6-6=1

04 ④ 점 D에서 BCÓ까지의 거리는 4`cm이다.


11 ③ ABÓ=;3$;`ANÓ

2
05 ∠x‌=
2+3+4
_180ù
12 ∠BOC=∠x라 하면 ∠AOC=6∠x이므로
= 2 _180ù=40ù ∠AOC=90ù+∠x=6∠x  
9
∴ ∠x=18ù
또, ∠COD=∠y라 하면 ∠DOE=3∠y이므로
06 3개의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맞꼭지각의 쌍의
∠BOE‌=∠x+∠y+3∠y
개수는
=∠x+4∠y
3_(3-1)=6(쌍)
=18ù+4∠y=90ù
∴ ∠y=18ù
07 x+30=90+40이므로
∴ ∠BOD‌=∠x+∠y
x+30=130
=18ù+18ù=36ù
∴ x=100
y-20=180-(90+40)이므로
y-20=50 13 주어진 5개의 점으로 만들 수 있는 직선은
∴ y=70 AB ê, AC ê, AD ê, AE ê, BC ê, BE ê, CE ê, DE ê
∴ x-y=100-70=30 로 8개이다.

18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8 2017-12-29 오전 4:01:54


14 10`cm 8`cm 03 ⑤ ‌공간에서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은 두 직선을 꼬
A M B N C 인 위치에 있다고 한다.

위의 그림에서 MBÓ=5`cm, BNÓ=4`cm이므로


MNÓ=9`cm이다. 04 ③ AEÓ
‌ 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BCÓ , CDÓ , FGÓ ,
GHÓ의 4개이다.
⑤ 면 BFGC는 모서리 AE와 평행하다.
15 (2x-30)+(x+10)+(x-5)+(x-20)=180
이므로
5x-45=180, 5x=225   05 ③ ‌동위각의 크기가 각각 78ù, 80ù로 서로 같지 않으므로
∴ x=45 두 직선 l, m은 서로 평행하지 않다.
이때 y=x+10이므로
y=45+10=55
∴ x+y=45+55=100
06 ①, ②, ③, ⑤ 꼬인 위치에 있다.
④ 평행하다.

16 시침은 1분에 0.5ù씩 움직이고, 분침은 1분에 6ù씩 움직


인다.
07 서로 다른 평면은
면 ABC, 면 ABD, 면 ACD, 면 BCD
시침이 시계의 12시를 가리킬 때부터 4시 45분이 될 때
의 4개이다.
까지 움직인 각도는
30ù_4+0.5ù_45=142.5ù
또, 분침이 움직인 각도는 08 모서리 ID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AEÓ, BFÓ, HEÓ,
6ù_45=270ù EFÓ, FJÓ의 5개이므로

따라서 시계가 4시 45분을 가리킬 때 시침과 분침이 이루 a=5

는 작은 각의 크기는 면 BFJI와 평행한 모서리는 ADÓ, AEÓ, EHÓ, DHÓ의 4개


270ù-142.5ù=127.5ù 이므로
b=4
∴ a-b=5-4=1

09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l, B M
Q
m에 평행한 직선 p, q를 그으 B
C
2. 위치 관계 면 동위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R
B C D
p. 4~5 ∠a+∠b+∠c+∠d=180ù N
B C D E

01 ① 02 ①,③ 03 ⑤ 04 ③, ⑤ 05 ③
06 ④ 07 ③ 08 ① 09 ④ 10 BEÓ가 평면 P와 수직임을 알아보려면 BEÓ와 평면 P의
10 ②, ⑤ 11 ②, ④ 12 ④ 13 46 교점 E를 지나는 평면 P 위의 서로 다른 두 직선이 BEÓ
와 수직인지를 알아보면 된다.
14 30ù 15 면 ABC, 면 DEF, 면 ABED 16 6

01 ∠a와 엇갈린 위치에 있는 각은 ∠b, ∠g이다. 11 ① ‌l⊥m, ln이면 두 직선 m, n은 m⊥n이거나 꼬인


위치에 있다.
02 ① ‌두 직선이 일치하는 경우는 한 직선으로 본다. 한 직선 ③ l⊥m,
‌ l⊥n이면 두 직선 m, n은 mn이거나 꼬인
을 포함하는 평면은 무수히 많다. 위치에 있다.
③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은 한 평면 위에 있지 않다. ⑤ l⊥P, P Q이면 l⊥Q이다.

19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19 2017-12-29 오전 4:01:55


c=2
12 전개도를 접어서 삼각기둥을 + )
만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a+b-c=2+6-2=6
④ ‌면 CDE와 평행한 모서리는 * " (

JIÕ, IHÕ, HJÕ의 3개이다. $ &

% # '

3. 작도와 합동
13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직선 l, m에 평행한 직선 p, q를 그
으면 엇각의 크기가 같고, 평각의 크기가 180ù이므로 p. 6~7

Y±± 01 ② 02 ①, ③ 03 ③ 04 ②, ⑤ 05 ②
M
Y±± 06 ② 07 ④ 08 ③, ⑤ 09 ②, ④ 10 ④
Y±± Q
R 11 ③ 12 ④
± Y± ±

N 13 ㈎ ∠ FEC, ㈏ ∠FCE, ㈐ ASA
14 4<x<14 15 12`cm 16 12`cmÛ`
(3x-25)+(2x-25)=180
5x=230 ∴ x=46
01 ② 선분의 길이를 옮길 때에는 컴퍼스를 사용한다.

14 다음 그림과 같이 점 B에서 두 직선 l, m에 평행한 직선


02 ② ‌다음 그림과 같은 두 삼각형은 넓이가 같지만 합동이
p를 그으면 동위각, 엇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아니다.
" &
Y M
B
% 3`cm
B 2`cm
# Y Q
C C
N 2`cm 3`cm
$

∠a+∠b=90ù, ∠a=5∠b이므로 ④ ‌다음 그림과 같은 두 삼각형은 세 각의 크기가 각각 같


5∠b+∠b=90ù   ∴ ∠b=15ù 지만 합동이 아니다.
∠x=45ù-∠b이므로 2`cm 80ù
1`cm 80ù
∠x=45ù-15ù=30ù 40ù 60ù
40ù 60ù

15 모서리 AB, DE가 각각 면 ADFC와 수직이다. ⑤ ‌다음 그림과 같은 두 삼각형은 정삼각형이지만 합동이
따라서 면 ADFC와 수직인 면은 모서리 AB, DE를 포 아니다.
함하는 면 ABC, 면 ABED, 면 DEF이다.
60ù
2`cm
1`cm 60ù
60ù 60ù
16 면 AGD와 평행한 모서리는 BCÓ, EHÓ의 2개이므로
60ù
a=2
AGÓ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BCÓ, CDÓ, DHÓ, EHÓ, EFÓ, BFÓ 03 EFÓ의 대응변은 BCÓ이므로 EFÓ=6`cm
의 6개이므로 ∠F의 대응각은 ∠C이므로
b=6 ∠F‌=∠C=180ù-∠A-∠B
EHÓ와 수직인 평면은 면 ABFE, 면 DCGH의 2개이므 =180ù-70ù-60ù
로 =50ù

20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0 2017-12-29 오전 4:01:57


따라서 ∠BDA=∠BDM=∠CDM=∠x이므로
04 ① 3+4<8이므로 삼각형을 작도할 수 없다.
③ 6+3=9이므로 삼각형을 작도할 수 없다. ∠x+∠x+∠x=180ù
④ 7+2=9이므로 삼각형을 작도할 수 없다. 3∠x=180ù   ∴ ∠x=60ù

05 ㅁ. 180ù-(60+80ù)=40ù
‌ 11 △ADF≡△BED≡△CFE(SAS 합동)
따라서 60ù와 40ù를 양 끝 각으로 하는 변의 길이가 ③ ∠DAF=∠EBD
6`cm이므로 ㄱ과 합동이다.
12△ACD와 △BCE에서 &
△ABC와 △ECD는 정삼각 " 0
06 △ABC의 작도 순서는
③Ú⑤Ú①Ú② 형이므로 Y
# %
또는 ① Ú ⑤ Ú ③ Ú ② ACÓ=BCÓ $

또는 ⑤ Ú ① Ú ③ Ú ② CDÓ=CEÓ

또는 ⑤ Ú ③ Ú ① Ú ②이다. ∠ACD=∠BCE=120ù
∴ △ACD≡△BCE(SAS 합동)
∠ACD=120ù이므로
07 ① ASA 합동
∠CAD+∠ADC‌=180ù-120ù
② SAS 합동
=60ù
③ SSS 합동
따라서 △OBD에서
⑤ SAS 합동
=180ù-(∠CBE+∠ADC)
∠x
=180ù-(∠CAD+∠ADC)
08 ① 7+3=10이므로 삼각형을 작도할 수 없다.
=180ù-60ù
② ‌세 각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 모양이 같고 크기가 다른
=120ù
삼각형이 무수히 많이 그려진다.
④ ‌양 끝 각의 합이 50ù+130ù=180ù이므로 삼각형을 작
도할 수 없다. 13 △ABE와 △FCE에서
BEÓ=CEÓ,
∠AEB= ∠FEC (맞꼭지각)
09 ABÓ, BCÓ의 길이가 주어졌으므로 나머지 한 변 CA의 길
∠ABE= ∠FCE (엇각)
이가 2`cm보다 크고 14`cm보다 작게 주어지거나 ABÓ,
BCÓ의 끼인각인 ∠B의 크기가 주어지면 된다. ∴ △ABEª△FCE( ASA 합동)

10 △DBM과 △DCM에서 BMÓ=CMÓ 14Ú 가장 긴 변의 길이가 x`cm일 때


∠DMB+∠DMC=180ù이고 ∠DMC=90ù이므로 5+9>x  

∠DMB=90ù ∴ x<14

∴ ∠DMB=∠DMC Û 가장 긴 변의 길이가 9`cm일 때

DMÓ은 공통 5+x>9  

∴ △DBMª△DCM(SAS 합동) ∴ x>4

또 △ABD와 △MBD에서 ∠ABD=∠MBD Ú, Û에서 4<x<14

∠ADB‌=180ù-(∠ABD+90ù)
=180ù-(∠MBD+90ù)=∠MDB 15 △ABD와 △CAE에서
BDÓ는 공통 ABÓ=CAÓ yy ㉠
∴ △ABD=△MBD(ASA 합동) ∠ADB=∠CEA=90ù yy ㉡

21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1 2017-12-29 오전 4:01:58


II. 평면도형
∠DAB+∠DBA=90ù
∠DAB+∠EAC=90ù이므로
∠DBA=∠EAC yy ㉢
1. 다각형
㉠, ㉡, ㉢에서
p. 8~9
△ABD≡△CAE(ASA 합동)
BDÓ=AEÓ, ADÓ=CEÓ 01 ① 02 ② 03 ③ 04 ② 05 ①
∴ BDÓ=AEÓ=DEÓ-ADÓ 06 ② 07 ④ 08 ⑤ 09 ④ 10 ①
=DEÓ- CEÓ 11 ② 12 ③ 13 정십각형 14 40ù
=17-5 15 34ù 16 20ù
=12(cm)

01 ② 십이각형의
‌ 내각의 크기의 합은
16 △EBP와 △ECQ에서 180ù_(12-2)=1800ù이다.
∠BEP=90°-∠PEC, ③ 정다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모두 같지 않다.
∠CEQ=90ù-∠PEC ④ ‌어떤 다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이 만드는 내각과 외각의
이므로 ∠BEP=∠CEQ 크기의 합은 항상 180ù이다.
또, EBÓ=ECÓ, ⑤ ‌십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EBP=∠ECQ=45ù이므로 10-3=7(개)이다.
△EBP≡△ECQ(ASA 합동)
∴ CQÓ=BPÓ=6`cm 02 주어진 다각형을 n각형이라 하면
CQÓ를 밑변으로 할 때 △ECQ의 높이는 n-3=6   ∴ n=9

;2!; _8=4(cm) 따라서 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_(9-2)=1260ù
∴ △ECQ=;2!;_6_4=12(cmÛ`)

03 정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와 한 외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한 내각의 크기는
3
_180ù=108ù
3+2

04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540ù이므로


110ù+120ù+135ù+(180ù-∠x)+90ù=540ù
∴ ∠x=95ù

05 주어진 정다각형을 정 n각형이라 하면


360ù
=30ù   ∴ n=12
n
따라서 정십이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12_(12-3)
=54(개)
2

06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360ù이므로


60ù+55ù+40ù+70ù+65ù+∠x=360ù
∴ ∠x=70ù

22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2 2017-12-29 오전 4:01:58


∠PAB+∠PBA=∠PCF+∠PFC
07 △ABD에서
∠DBA=∠DAB=∠x, ∴ ∠A+∠B+∠C+∠D+∠E+∠F=360ù
∠BCD=∠BDC=2∠x이므로 다른풀이

△DBC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선분 BD와 CF의 교점을 G, 선분 AE


2∠x+2∠x+40ù=180ù 와 CF의 교점을 H라 하면
4∠x=140ù B A

∴ ∠x=35ù

G H
C F

D E

08 ∠BAD=;2!;∠BAC=;2!;(180ù-110ù)=35ù △ACH에서
∠ABD=180ù-130ù=50ù ∠A+∠C=∠EHG
△ABD에서 △BFG에서
∠x=35ù+50ù=85ù ∠B+∠F=∠DGH
∴ ∠A+∠B+∠C+∠D+∠E+∠F=360ù

09 ∠BAC+∠BCA=180ù-64ù=116ù yy ㉠
∠DAC=;2!;(180ù-∠BAC), 12 다음 그림에서 ∠c의 크기는 정오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
와 정팔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DCA=;2!;(180ù-∠BCA) ' (
"
&
이고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
#
∠ADC‌=180ù-(∠DAC+∠DCA) % *
1 $ BY D C
= (∠BAC+∠BCA) , +
2
1 360ù 360ù
= _116ù ∠c‌= +
2 5 8
=58ù`(∵ ㉠) =72ù+45ù=117ù
360ù 360ù
또, ∠a= =72ù, ∠b= =45ù이므로
5 8
∠x=360ù-(∠a+∠b+∠c)
10 ∠IBC+∠ICB=180ù-110ù=70ù =360ù-(72ù+45ù+117ù)
=180ù-2(∠IBC+∠ICB)
∴ ∠x
=126ù
=180ù-2_70ù
=40ù

13 주어진 다각형을 n각형이라 하면 ㈎에서 대각선의 총 개


수가 35개이므로
11 다음 그림과 같이 선분 AB를 그으면 n(n-3)
=35
# " 2
n(n-3)=70=10_7
1 ∴ n=10
$ ' ㈏에서 모든 변의 길이와 모든 내각의 크기가 각각 같은
% & 다각형은 정다각형이다.

23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3 2017-12-29 오전 4:02:00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다각형은 정십각 2. 원과 부채꼴
형이다.
p. 10~11

01 ④, ⑤ 02 ④ 03 ③ 04 ② 05 ③
06 ③ 07 ③ 08 ② 09 ① 10 ③
14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가장 작은
11 ② 12 ② 13 12`cmÛ` 14 144ù
각의 크기는
2 15 :ª3¼:p`cm 16 (6p+18)cm
_180ù=40ù
2+3+4

01 ④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는다.


⑤ ‌한 원에서 중심각의 크기가 2배이면 부채꼴의 넓이도
15 다음 그림과 같이 보조선을 그으면 2배가 된다.
65ù

26ù 02 한 원 또는 합동인 두 원에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


30ù 25ù 에 정비례하므로
x
a b x:2=120ù:20ù  
∴ x=12
∠a+∠b‌=25ù+26ù
=51ù
그런데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03 ③ ‌원 또는 합동인 두 원에서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
에 정비례하지 않는다.
65ù+30ù+∠a+∠b+∠x=180ù
65ù+30ù+51ù+∠x=180ù
∴ ∠x=34ù 04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l`cm이라 하면
;2!;_7_l=35p   ∴ l=10p

따라서 호의 길이는 10p`cm이다.

16 다음 그림과 같이 점 E를 지나면서 두 직선 l, m에 평행


한 직선 p를 그으면 05 (어두운 부분의 넓이)
" =(ACÓ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
M
# ±
-(ABÓ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
± Q =p_4Û`-p_2Û`
' ± &
$ ± =12p(cmÛ`)
Y N
% (
45
∠AEF=56ù(엇각) 06 µAB‌=2p_10_
360
 "

이때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5 ADN


= p(cm) %
180ù_(5-2) 2
=108ù ±
5
µ CD=2p_4_;3¢6°0;=p(cm) 0
ADN $ ADN
#
이므로
∴ (어두운 부분의 둘레의 길이)
∠FED=108ù-56ù=52ù
∠EDG=∠FED=52ù(엇각)이고 평각의 크기는 180ù =µAB+µ CD+ADÓ+BCÓ
이므로 =;2%;p+p+6+6
∠x‌=180ù-(108ù+52ù)
=20ù =;2&;p+12(cm)

24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4 2017-12-29 오전 4:02:01


한편, 한 원 또는 합동인 두 원에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07 다음 그림에서
ADN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µAC:µ BD=∠AOC:∠BOD
7:µ BD=30ù:120ù  
ADN
∴ µ BD=28(cm)

(어두운 부분의 넓이) 11 다음 그림에서 ∠BAC=30ù이므로


=10_10_2
#
=200(cmÛ`) ADN $
±

"
08 다음 그림에서 ADN
ADN
30
µ BC‌=2p_9_
360
ADN 3
= p(cm)
2
∴ (어두운 부분의 둘레의 길이)‌=4µ BC
3
(어두운 부분의 넓이) =4_ p
2
=p_8Û`_;4!;-;2!;_8_8 =6p(cm)

=16p-32(cmÛ`)

12 반원의 넓이와 부채꼴 ABC의 넓이가 같으므로


∠ABC=xù라 하면
09 (어두운 부분의 넓이) 1
p_5Û`_ =p_10Û`_
x
=(반지름의 길이가 3`cm인 반원의 넓이) 2 360
+(반지름의 길이가 4`cm인 반원의 넓이) ∴ x=45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각각 6`cm, 8`cm인 직각삼 이때 오른쪽 그림에서 "

(㉠의 넓이)=(㉡의 넓이) ㉡


각형의 넓이)
이므로 ㉠ ±
-(반지름의 길이가 5`cm인 반원의 넓이)
±
=p_3Û`_;2!;+p_4Û`_;2!;+;2!;_6_8-p_5Û`_;2!;
(어두운 부분의 넓이) # $
ADN
=2_(㉠의 넓이)
=;2(;p+8p+24-:ª2°:p
=2_{p_5Û`_;4!;-;2!;_5_5}
=24(cmÛ`)
=2_{:ª4°:p-:ª2°:}

=:ª2°:p-25(cmÛ`)
10 ∠OBD=∠AOC=30ù(동위각)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선분 OD를 그 $
±
으면 OBÓ=ODÓ이므로 △OBD는 #
0 ±
" 13 부채꼴 COD의 넓이를 x`cmÛ`라 하면 한 원 또는 합동인
이등변삼각형이다. 두 원에서 부채꼴의 넓이는 호의 길이에 정비례하므로
∴ ∠ODB=∠OBD=30ù 2:6=4:x  
∴ ∠BOD=180ù-(30ù+30ù) ∴ x=12
=120ù 따라서 부채꼴 COD의 넓이는 12`cmÛ`이다.

25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5 2017-12-29 오전 4:02:02


14 한 원 또는 합동인 두 원에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
에 정비례하므로 III. 입체도형
∠AOC:∠BOC=8:2=4:1 1. 다면체와 회전체
4
∴ ∠AOC= _180ù=144ù
4+1 p. 12~13

01 ②, ⑤ 02 ⑤ 03 ③ 04 ④ 05 ③
15 다음 그림과 같이 점 A가 움직인 거리는 중심각의 크기가 06 ⑤ 07 ⑤ 08 ④ 09 ⑤ 10 ⑤
120ù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ABÓ=10`cm인 부채꼴의 호 11 ⑤ 12 ③ 13 십면체 14 모서리 CF
의 길이와 같다.
15 풀이 참조 16 24`cmÛ`
&

$ ADN 01 다면체는 다각형인 면으로만 둘러싸인 입체도형이다.

± ±
" ADN # % 02 주어진 다면체의 면의 개수를 구하면
① 7개 ② 6개 ③ 8개
따라서 구하는 거리는 ④ 6개 ⑤ 9개
2p_10_;3!6@0);=;;ª3¼;;p(cm)
03 ㄷ. ‌한 꼭짓점에 모이는 각의 크기의 합은 360ù보다 작아
야 한다.
16 다음 그림과 같이 필요한 끈의 최소 길이는 직선 부분의
ㄹ.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20ù이므로 한 꼭짓점
길이와 곡선 부분의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에 3개의 각이 모이면 그 크기의 합은 360ù로 평면이
± ± 되어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면의 모양이 정육각형인 정다면체는 없다.

±
04 두 밑면이 평행하고 옆면이 모두 사다리꼴인 입체도형은
각뿔대이다.
(구하는 길이)
주어진 입체도형을 n각뿔대라 하면 2n=12이므로
=(한 변의 길이가 6`cm인 정삼각형의 둘레의 길이)
n=6
+(반지름의 길이가 3`cm인 원의 둘레의 길이)
따라서 주어진 입체도형은 육각뿔대이다.
=6_3+2p_3
=6p+18(cm)
05 구하는 각기둥을 n각기둥이라 하면
2n=16   ∴ n=8
따라서 팔각기둥의 밑면의 모양은 팔각형이다.

06 ⑤ 원뿔대-사다리꼴

07 ②


26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6 2017-12-29 오전 4:02:03


⑤ 원뿔대를 자른 단면이다. 주어진 입체도형은 각 면이 모두 개

합동인 정삼각형이지만 각 꼭짓점


개 개
에 모이는 면의 개수는 각각 3개,
09 구하는 입체도형은 꼭짓점의 개수가 12개인 정다면체이
4개, 4개, 4개, 3개로 서로 다르므 개
므로 정이십면체이다.
로 정다면체가 아니다. 개

10 ⑤ ‌정십이면체의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는 3개이


16 이등변삼각형 ABC를 ACÓ를 회 "
다. ADN
전축으로 하여 1회전 시킨 다음
)
ACÓ를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르 #
ADN
ADN %

11 평면도형이 회전축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가 면 그 단면은 오른쪽 그림과 같


은 마름모이므로 $
운데가 빈 회전체가 만들어진다.
M BDÓ=2BHÓ=8(cm)

∴ (단면의 넓이)=;2!;_8_6=24(cmÛ`)

따라서 이 입체도형을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


면은 ⑤이다.
2.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12 전개도로 만들어지는 입체도 " ( p. 14~15

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 * 01 ③ 02 ③ 03 ② 04 ⑤ 05 ③
팔면체이다. # '
+ ) 06 ② 07 ④ 08 ③ 09 ⑤ 10 ③
따라서 BCÓ와 겹쳐지는 모서 % 11 ③ 12 ③ 13 280`cmÜ` 14 864p``cmÜ`
리는 EFÓ이다.
$ & 15 9`cmÜ` 16 210p`cmÛ`

01 (부피)‌=(밑넓이)_(높이)
13 구하는 각기둥을 n각기둥이라 하면
1
3n=24   ={ _5_12}_7
2
∴ n=8 =210(cmÜ`)
따라서 팔각기둥의 면의 개수는 8+2=10(개)이므로
팔각기둥은 십면체이다.
02 (겉넓이)‌=(밑넓이)_2+(옆넓이)
1
={3_5+ _3_4}_2
2
14 정사면체를 만들면 오른쪽 그림 # %
+(5+3+4+3+3)_5
과 같으므로 모서리 AB와 꼬
=42+90
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CFÓ이
=132(cmÛ`)
다. " & '

$ 03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cm라 하면


6aÛ`=216
15 정다면체는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이고, 각 꼭짓점 aÛ`=36   ∴ a=6
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이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6`cm이다.

27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7 2017-12-29 오전 4:02:04


04 늘어난 면은 한 변의 길이가 4`cm인 정사각형 6개이다. 10 (겉넓이)
따라서 늘어난 겉넓이는 =(원뿔의 옆넓이)+(구의 겉넓이)_;2!;
(4_4)_6=96(cmÛ`)
=p_3_5+(4p_3Û`)_;2!;

=15p+18p
05 지름의 길이가 4`cm인 쇠공의 부피는
=33p(cmÛ`)
;3$;p_2Ü`=:£3ª:p(cmÜ`)

지름의 길이가 1`cm인 쇠공의 부피는


11 그릇 A에 들어 있는 물의 양은
;3$;p_{;2!;}Ü`=;6!;p(cmÜ`)
;3!;_{;2!;_3_4}_5=10(cmÜ`)
∴ :£3ª:pÖ;6!;p=64(개) 그릇 B에 들어 있는 물의 양은

{;2!;_4_x}_3=6x(cmÜ`)

06 원기둥의 높이를 h`cm라 하면 따라서 6x=10이므로

x=;3%;
(겉넓이)‌=p_4Û`_2+2p_4_h
=88p
∴ h=7(cm)
따라서 원기둥의 부피는 12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p_4Û`_7=112p(cmÜ`) (원기둥의 부피)‌=prÛ`_2r
=2prÜ`
1
1 (원뿔의 부피)‌= prÛ`_2r
07 (반구의 부피)‌= _{;3$;p_4Ü`} 3
2
2
128 = prÜ`
= p(cmÜ`) 3
3
4
1 (구의 부피)= prÜ`
(원뿔의 부피)‌= _p_4Û`_x 3
3
∴ (원기둥의 부피):(원뿔의 부피):(구의 부피)
16
= px(cmÜ`)
3 =2prÜ`:;3@;prÜ`:;3$;prÜ`=3:1:2
따라서 ;;Á;3@;¥;;p=;;Á3¤;;px에서

(밑면의 넓이)‌= _8_4+;2!;_8_3


x=8 1
13 2
=28(cmÛ`)
120
08 (밑넓이)‌=p_3Û`_
360 ∴ (부피)=28_10=280(cmÜ`)
=3p(cmÛ`)

(옆넓이)={2p_3_;3!6@0);}_5+(3_5)_2 14 (회전체의 부피)


=(큰 반구의 부피) ADN
=10p+30(cmÛ`)
-(작은 구의 부피)
∴ (겉넓이)‌=3p_2+10p+30 ADN
=30+16p(cmÛ`) =;2!;_{;3$;p_12Ü`}-;3$;p_6Ü`

=1152p-288p
=864p(cmÜ` )
09 (겉넓이)
=(p_6Û`-p_2Û`)_2+10_(2p_6+2p_2)
=224p(cmÛ`) 15 점선을 따라 접어서 만든 입체도형은 밑면이 △AMN이

28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8 2017-12-29 오전 4:02:05


IV. 통계
고, 높이가 6`cm인 삼각뿔이다.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3!;_{;2!;_3_3}_6=9(cmÜ`) 1. 자료의 정리와 해석

p. 16~17

16 (작은 원기둥의 밑넓이)‌=p_3Û` 01 ③ 02 ⑤ 03 ② 04 ② 05 ③


=9p(cmÛ`)
06 ② 07 ① 08 ② 09 ③, ④
(큰 원기둥의 밑넓이)‌=p_6Û`
10 6명 11 2명 12 8:15 13 7명
=36p(cmÛ`)
(작은 원기둥의 옆넓이)‌=2p_3_4
01 ㄱ. 1반의 학생 수는 15명, 2반의 학생 수는 16명이다.
=24p(cmÛ`) ㄴ. 가장 멀리 뛴 학생은 206`cm를 뛴 1반 학생이다.
(원뿔대의 옆넓이)=p_6_10-p_3_5 ㄷ. 170`cm
‌ 이상 180`cm 미만인 학생 수는 1반은 3명,
=45p(cmÛ`) 2반은 4명이다.
(큰 원기둥의 옆넓이)‌=2p_6_8 ㄹ. 1반과
‌ 2반의 전체 학생을 기록이 높은 순으로 나열하
=96p(cmÛ`) 면 206`cm, 205`cm, 203`cm, 200`cm, 198`cm,
따라서 구하는 통의 겉넓이는 196`cm, 194`cm, 194`cm, 193`cm, y이므로 9번
9p+36p+24p+45p+96p=210p(cmÛ`) 째로 높은 학생의 기록은 193`cm이다.

02 ③ 31-(6+9+12)=4(일)
④ 적설량이 10`mm 이상인 날수는 12+4=16(일)이다.
⑤ ‌도수가 가장 작은 계급은 15`mm 이상 20`mm 미만
이다.

04 20분 이상 30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10_3=30
40분 이상 50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10_10=100
따라서 20분 이상 30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3
40분 이상 50분 미만인 계급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배
10
이다.

05 시력이 0 이상 0.4 미만인 학생 수가 3명이고 상대도수가


0.15이므로
3
=0.15  
(전체 학생 수)
∴ (전체 학생 수)=20(명)

06 경승이네 반 전체 학생 수는 20명이므로
3+5+6+B+2=20  
∴ B=4

29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29 2017-12-29 오전 4:02:06


상대도수의 총합은 1이므로 30-24=6(명)
0.15+A+0.3+0.2+0.1=1  
∴ A=0.25
11 인터넷 사용 시간이 6시간 이상 12시간 미만인 학생 수가
∴ A+B=0.25+4=4.25 8+10=18(명)
따라서 인터넷 사용 시간이 11시간 이상 12시간 미만인

07 A반의 전체 학생 수는 30명이므로 학생 수는
㉠+7+10+8+1=30   18-16=2(명)
∴ ㉠=4
㉠:㉡=4:㉡=1:2이므로 12 A, B 두 학교 학생 수의 비가 5:4이므로 전체 도수를 각
㉡=8 각 5a명, 4a명이라 하고, 도수의 비가 2:3인 계급의 도
∴ ㉠+㉡=12 수를 각각 2b명, 3b명이라 하면 상대도수의 비는
2b 3b
: =8:15
5a 4a
08 B반에서 독서량이 30권 이상 40권 미만인 학생 수는 5명
이고, B반 전체의 25`%이므로
5 13 잎이 가장 많은 줄기는 140`cm 이상 150`cm 미만이므
_100=25   로, 키가 140`cm 미만인 학생은 반드시 주현이보다 키가
(B반 전체 학생 수)
∴ (B반 전체 학생 수)=20(명) 작다.
따라서 주현이보다 키가 작은 학생은 적어도
3+4=7(명)이다.
09 ① 계급의 크기는 모두 1초이다.
② ‌상대도수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에서는 남학생, 여학
생 각각의 전체 학생 수를 알 수 없다.
③ ‌계급의 크기가 같고, 상대도수의 총합도 1로 같으므로
각각의 그래프와 가로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다.
④ ‌여학생의 기록 중 상대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16초이
상 17초 미만이다.
따라서 도수가 가장 큰 계급도 16초 이상 17초 미만이
다.
⑤ 15초
‌ 이상 16초 미만인 계급에서 남학생의 상대도수가
여학생의 상대도수보다 크지만 남학생, 여학생 각각의
전체 학생 수를 알 수 없으므로 15초 이상 16초 미만
인 계급의 도수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없다.

10 인터넷 사용 시간이 12시간 미만인 학생 수는


6+8+10=24(명)
이므로
24
_100=80  
(전체 학생 수)
∴ (전체 학생 수)=30(명)
따라서 인터넷 사용 시간이 12시간 이상인 학생 수는

30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30 2017-12-29 오전 4:02:07


memo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31 2017-12-29 오전 4:02:07


memo

기본서(중1-2)_교사용부록(01~32)_ok.indd 32 2017-12-29 오전 4:02:0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