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6

531 Project Hyper

정답과 풀이

수학<하>

I 집합과 명제 04

II 함수 14

III 경우의 수 35
Speed Check •빠른 정답 체크•

I 집합과 명제

01 집합의 뜻과 표현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08 ~ 09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10 ~ 11쪽

01 10 02 ③ 03 ③ 04 ⑤ 05 8 06 ④ 01 13 02 24 03 210 04 41 05 57 06 38

07 ⑤ 08 31 09 76

02 집합의 연산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12 ~ 13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14 ~ 15쪽

01 ③ 02 ④ 03 369 04 ⑤ 05 28 06 74 01 ③ 02 39 03 ① 04 67 05 50 06 35

07 ③ 08 18 09 14

03 명제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16 ~ 17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18 ~ 19쪽

01 ④ 02 ⑤ 03 ③ 04 ③ 05 ③ 06 ② 01 ⑤ 02 ③ 03 32 04 9 05 ① 06 ②

07 ④ 08 ④ 09 ③

II 함수

01 함수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22 ~ 23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24 ~ 25쪽

01 ④ 02 ② 03 ③ 04 ① 05 ④ 06 ⑤ 01 20 02 ② 03 20 04 243 05 31 06 6

07 ④ 08 ② 09 ③

02 합성함수와 역함수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26 ~ 27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28 ~ 29쪽

01 54 02 24 03 ② 04 ④ 05 ① 06 ② 01 13 02 8 03 65 04 ② 05 8 06 8

07 ① 08 ② 09 ②

02 Speed check
03 유리식과 유리함수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30 ~ 31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32 ~ 33쪽

01 ④ 02 ① 03 ④ 04 ③ 05 ⑤ 06 ③ 01 4 02 11 03 13 04 6 05 8 06 24

07 ③ 08 ④ 09 ②

04 무리식과 무리함수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34 ~ 35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36 ~ 37쪽

01 ① 02 ④ 03 ② 04 ③ 05 ② 06 ⑤ 01 22 02 147 03 16 04 4 05 10 06 152

07 ① 08 ② 09 9

III 경우의 수

01 경우의 수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40 ~ 41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42쪽

01 ④ 02 ① 03 ① 04 ① 05 ④ 06 ④ 01 8 02 ① 03 ③

07 ① 08 ④ 09 4

02 순열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43 ~ 44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45 ~ 46쪽

01 ③ 02 ⑤ 03 3360 04 176 05 ⑤ 06 ③ 01 ③ 02 ① 03 ④ 04 2352 05 336 06 ①

07 8 08 ④ 09 ④

03 조합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47 ~ 48쪽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49 ~ 50쪽

01 ② 02 ② 03 ④ 04 14 05 5760 06 12096 01 ④ 02 ① 03 ① 04 ④ 05 ② 06 169

07 ③ 08 ⑤ 09 ②

Speed check 03
정답과 풀이

Ⅰ. 집합과 명제 Ú n(S)=1일 때, {1}, {2}, {3}, {4}, {5}  5개

01 집합의 뜻과 표현 Û n(S)=2일 때, {1, 2}, {2, 3}, {3, 4}, {4, 5}  4개


Ü n(S)=3일 때, {1, 2, 3}, {2, 3, 4}, {3, 4, 5}  3개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08 ~ 09쪽 Ý n(S)=4일 때, {1, 2, 3, 4}, {2, 3, 4, 5}  2개
Þ n(S)=5일 때, {1, 2, 3, 4, 5}  1개
01 10 02 ③ 03 ③ 04 ⑤ 05 8 06 ④ Ú ~ Þ에서 구하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07 ⑤ 08 31 09 76 5+4+3+2+1=15 ⑤

05
01
Ú a=0이면 5º`É100에서 bÉ2이므로 b=0, 1, 2 집합 A의 두 원소 a, b에 대하여 a_b의 값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
∴ x=1, 5, 25 과 같다.
Û a=1이면 3_5º`É100에서 bÉ2이므로 b=0, 1, 2 b 1 2 4 k
a
∴ x=3, 15, 75
1 1 2 4 k
Ü a=2이면 3Û`_5º`É100에서 bÉ1이므로 b=0, 1
2 2 4 8 2k
∴ x=9, 45
4 4 8 16 4k
Ý a=3이면 3Ü`_5º`É100에서 b=0   ∴ x=27
Þ a=4이면 3Ý`_5º`É100에서 b=0   ∴ x=81 k k 2k 4k kÛ`
Ú ~ Þ에서 B={1, 3, 5, 9, 15, 25, 27, 45, 75, 81} 위의 표에서 a_b의 값을 나열하면 1, 2, 4, 8, 16, k, 2k, 4k, kÛ`
따라서 집합 B의 원소의 개수는 10이다.  10 의 9개이고, n(B)=7이므로 같은 값을 가지는 2개의 수가 존재
한다.
이때, k<2k<kÛ`, k<2k<4k에서 같은 값이 될 수 있는 2개의
02
수는 kÛ`과 4k뿐이므로 k는 1, 2, 4, 8, 16 중에서 하나가 되어야
집합 P(A)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을 원소로 하는 집합이다.
한다.
∴ P(A)={ , {1}, {2}, {{1, 2}}, {1, 2}, {1, {1, 2}},
이때, k+1, 2, 4이므로
 {2, {1, 2}}, {1, 2, {1, 2}}}
k=8 또는 k=16
따라서 , { }, {{1, 2}}, {{{1, 2}}}는 모두 P(A)의 부분집
Ú k=8일 때, B={1, 2, 4, 8, 16, 32, 64}이므로
합이다.
n(B)=7
한편, 1²P(A), 2²P(A)이므로 {1, 2}øP(A) ③
Û k=16일 때, B={1, 2, 4, 8, 16, 32, 64, 256}이므로
n(B)=8
03 Ú, Û에서 k=8 8
A={a, b, c, d}(a<b<c<d)라 하고, 집합 A의 서로 다른 두
원소의 합을 구하면
06
a+b, a+c, a+d, b+c, b+d, c+d
B={x||x|Én}={x|-nÉxÉn}이므로 A,B,C이려면
이 중에서 가장 작은 두 수는 a+b, a+c이고 가장 큰 두 수는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b+d, c+d이므로
C
a+b=4, a+c=8, b+d=12, c+d=16 B
∴ a+d=b+c=10 (∵ n(B)=5) A

a+b=4, a+c=8을 변끼리 더하면 -8 -n -2 1 n 7 x

2a+b+c=12, 2a+10=12 (∵ b+c=10) 따라서 -8É-nÉ-2, 1Én<7이므로


∴ a=1, b=3, c=7, d=9 2ÉnÉ8, 1Én<7
따라서 5는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다. 위의 두 부등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n의 값의 범위는 2Én<7이
/ 보충 설명 / 므로 구하는 자연수 n은 2, 3, 4, 5, 6의 5개이다. ④
집합을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때, 같은 원소는 중복하여 쓰지 않
으므로 a<b<c<d이면 두 원소끼리의 합의 대소는
07
a+b<a+c<y<b+d<c+d이다. ③
ㄱ. [반례] x=1, y=i이면 x<C이고 y<C이지만
1+i에서 aÛ`+bÛ`=2+1이므로 1+i²C
04 ∴ x+y²C이다. (거짓)
구하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집합 {1, 2, 3, 4, 5}의 부분집합 ㄴ. x=a+bi (aÛ`+bÛ`=1, a, b는 실수)라 하면 x<C이고,
중에서 연속하는 정수로 이루어진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다. xÛ`=(a+bi)Û`=(aÛ`-bÛ`)+(2ab)i

04 정답과 풀이
이때,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10 ~ 11쪽
(aÛ`-bÛ`)Û`+(2ab)Û`‌=aÝ`-2aÛ`bÛ`+bÝ`+4aÛ`bÛ`
=aÝ`+2aÛ`bÛ`+bÝ` 01 13 02 24 03 210 04 41 05 57 06 38
=(aÛ`+bÛ`)Û`=1
이므로 xÛ`<C (참) 01
ㄷ. x=a+bi (aÛ`+bÛ`=1, a, b는 실수)라 하면 x<C이고, 원소 1, 2는 연속하는 자연수이므로 원소 1을 반드시 포함할 때,
1 1 a-bi 원소 2는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즉, 집합 {3, 4, 5, 6, 7}에서 연
‌= =
x a+bi (a+bi)(a-bi)
속하는 두 자연수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을 구한 후, 그 집합에
a-bi a -b
= = + i 원소 1을 포함시키면 구하는 부분집합이다.
aÛ`+bÛ` aÛ`+bÛ` aÛ`+bÛ`
=a+(-b)i 집합 {3, 4, 5, 6, 7} 중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집합을 구
이때, 해 보자.
aÛ`+(-b)Û`=1 Ú 원소가 없는 경우: 의 1개
1 Û 원소가 1개인 경우:{3}, {4}, {5}, {6}, {7}의 5개
이므로 <C (참)
x Ü 원소가 2개인 경우:‌{3, 5}, {3, 6}, {3, 7}, {4, 6}, {4, 7},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5, 7}의 6개
Ý 원소가 3개인 경우:{3, 5, 7}의 1개
Þ 원소가
‌ 4개 이상인 경우는 연속하는 두 자연수를 반드시 포함
08
하게 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집합은 없다.
조건 ㈎, ㈐에 의하여 집합 A는 자연수를 원소로 가지므로 a가 자
Ú ~ Þ에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100
연수일 때, 도 자연수이다. 1+5+6+1=13  13
a
즉, 집합 A의 원소는 100의 양의 약수 1, 2, 4, 5, 10, 20, 25,
50, 100으로 이루어져 있다. 02
또한 조건 ㈐에 의하여 (1, 100), (2, 50), (4, 25), (5, 20), 조건 ㈏에서 집합 X의 모든 원소의 곱은 3의 배수이므로 두 수 3,
(10)이 같이 원소로 포함되어야 하므로 이 순서쌍 하나를 하나의 6 중 적어도 하나는 X의 원소이다.
원소로 생각하면 집합 A의 개수는 Ú 3<X이고 6²X인 경우
집합 {(1, 100), (2, 50), (4, 25), (5, 20), (10)}의 공집합이 ‌조건 ㈎에서 집합 X의 모든 원소의 합은 짝수이므로 집합 X
아닌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다. 의 원소 중 3을 제외한 나머지 원소의 합이 홀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 A의 개수는 ‌즉, 집합 X의 개수는 집합 {2, 4}의 부분집합에 두 원소 1, 5
2Þ`-1=31  31 중 하나만을 포함시키는 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2Û`_2=8
Û 3²X이고 6<X인 경우
09
‌조건 ㈎에서 집합 X의 모든 원소의 합은 짝수이므로 집합 X
집합 U의 부분집합 AÔ를
의 원소 중 6을 제외한 나머지 원소의 합이 짝수이어야 한다.
AÔ={x|x는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i인 자연수}
‌즉, 집합 X의 개수는 집합 {2, 4}의 부분집합에 두 원소 1, 5
라 하면
를 동시에 포함시키거나 포함시키지 않는 집합의 개수와 같으
A¼={3, 6, 9, 12}, AÁ={1, 4, 7, 10}, Aª={2, 5, 8, 11}
므로
이때, 집합 X의 세 원소의 합이 3의 배수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2Û`_2=8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Ü 3<X이고 6<X인 경우
Ú X,AÔ (i=0, 1, 2)인 경우
Ú과 같은 방법으로 집합 X의 개수는
i=0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X는
2Û`_2=8
{3, 6, 9}, {3, 6, 12}, {3, 9, 12}, {6, 9, 12}의 4개이다.
Ú ~ Ü에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마찬가지로 i=1, 2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X는 각각 4
8+8+8=24  24
개이므로
3_4=12
Û X={a, b, c}에 대하여 a<A¼, b<AÁ, c<Aª인 경우 03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X는 집합 A={1, 2, 3, 4, 5, 6}에 대하여 1을 반드시 원소로 갖고, 원
{3, 1, 2}, {3, 1, 5}, y, {12, 10, 11} 소의 개수가 3인 집합 A의 부분집합은 집합 {2, 3, 4, 5, 6}의 원
의 4_4_4=64(개)이다. 소의 개수가 2인 부분집합에 원소 1을 포함시킨 것과 같다.
Ú, Û에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이때, 집합 {2, 3, 4, 5, 6}의 부분집합 중에서 2개의 원소로 이루
12+64=76  76 어진 부분집합은

Ⅰ. 집합과 명제 05
정답과 풀이

{2, 3}, {2, 4}, {2, 5}, {2, 6}, {3, 4}, {3, 5}, {3, 6}, / 보충 설명 /

{4, 5}, {4, 6}, {5, 6} 위에서 구한 부분집합의 총 개수는


의 10개이므로 1을 반드시 원소로 가지면서 원소의 개수가 3인 집 2Ý`+2Ü`+2Û`+2Ú`+1=16+8+4+2+1=31이므로 주어진 집합
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도 10이다. A의 부분집합은 모두 빠짐없이 센 것임을 알 수 있다.  57
즉, 20개의 부분집합 중에는 원소 1을 포함하는 집합이 10개, 원
소 1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10개이다. 06
같은 방법으로 2, 3, 4, 5, 6을 반드시 원소로 가지는 부분집합의 조건 ㈏에서 집합 A의 임의의 원소 a에 대하여
개수도 각각 10이다. a+a
=a<B이므로 집합 A의 원소는 모두 집합 B의 원소에 포
∴ SÁ+Sª+y+Sª¼‌=10_(1+2+3+4+5+6) 2
=210  210 함된다. 즉, A,B이다.
3²B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a+b+6, a+b+1+6
이때, a+b=6이 되는 순서쌍 (a, b)는
04 (1, 5), (2, 4) yy`㉠
집합 U의 부분집합 AÔ를 a+b+1=6, 즉 a+b=5가 되는 순서쌍 (a, b)는
AÔ={x|x는 5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i인 자연수} (1, 4) yy`㉡
라 하면 ㉠, ㉡에서
A¼={5, 10, 15, y, 100} Ú 1<A이면 4²A, 5²A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AÁ={1, 6, 11, y, 96} A={1, 2, 6, 7}
Aª={2, 7, 12, y, 97} 이때, 집합 A는 조건 ㈏를 만족시킨다.
A£={3, 8, 13, y, 98}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A¢={4, 9, 14, y, 99} 1+2+6+7=16
이때, 조건 ㈏에서 집합 X의 어느 두 원소의 합도 5의 배수가 아 Û 2<A이면
‌ 4²A이고 두 원소 1, 5는 동시에 A의 원소가 될
니어야 하므로 집합 X는 두 집합 AÁ, A¢의 원소를 동시에 포함할 수 없으므로 조건 ㈎에 의하여
수 없고, 두 집합 Aª, A£의 원소도 동시에 포함할 수 없다. A={1, 2, 6, 7} 또는 A={2, 5, 6, 7}
또한 집합 A¼의 원소는 2개 이상 포함할 수 없다. 이때, A={1, 2, 6, 7}은 Ú과 같은 집합이고,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원소의 개수가 최대인 집합 X는 집합 A¼ A={2, 5, 6, 7}은 조건 ㈏를 만족시킨다.
의 원소 중에서 1개를 포함하고, 두 집합 AÁ, A¢ 중에서 어느 한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집합의 원소 20개를 모두 포함하고, 두 집합 Aª, A£ 중에서 어느 1+2+6+7=16 또는 2+5+6+7=20
한 집합의 원소 20개를 모두 포함하면 되므로 총 41개의 원소로 Ü 4<A이면 1²A, 2²A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이루어진 집합이다. A={4, 5, 6, 7}
/ 보충 설명 /
이때, 집합 A는 조건 ㈏를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X={1, 2, 5, 6, 7, y, 96, 97}, 즉 집합 X가 집합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A¼의 원소 중에서 원소 5를 포함하고, 두 집합 AÁ, Aª의 원소를
4+5+6+7=22
모두 포함한 집합일 때 집합 X는 집합 S의 부분집합이고 임의의
Ý 5<A이면
‌ 1²A이고 두 원소 2, 4는 동시에 A의 원소가 될
두 원소의 합이 5의 배수가 아니므로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다.
수 없으므로 조건 ㈎에 의하여
  41
A={2, 5, 6, 7} 또는 A={4, 5, 6, 7}
‌이때, A={2, 5, 6, 7}은 Û, A={4, 5, 6, 7}은 Ü의 집합
과 같으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05 2+5+6+7=20 또는 4+5+6+7=22
1이 가장 작은 원소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집합 {1, 2, 3, 4, 5}의 부 Ú ~ Ý에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댓값은 22이므로
분집합 중 1을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이므로 2Ý`이고, M=22, 합의 최솟값은 16이므로 m=16
2가 가장 작은 원소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집합 {2, 3, 4, 5}의 부분 ∴ M+m=22+16=38  38
집합 중 2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이므로 2Ü`이다.
같은 방법으로 3이 가장 작은 원소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2Û`, 4가
가장 작은 원소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2Ú`, 5가 가장 작은 원소인 부
분집합의 개수는 1이다.
∴ ‌m(AÁ)+m(Aª)+m(A£)+y+m(A£Á)
=1_2Ý`+2_2Ü`+3_2Û`+4_2Ú`+5_1
=16+16+12+8+5=57

06 정답과 풀이
02 집합의 연산 04
(A;B)'C=A;(B'C)에서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우변이
본문 12 ~ 13쪽
A;(B'C)=(A;B)'(A;C)
01 ③ 02 ④ 03 369 04 ⑤ 05 28 06 74 이므로
(A;B)'C=(A;B)'(A;C)
07 ③ 08 18 09 14
따라서 등식이 성립하려면 C=A;C이어야 하므로
C,A
01 / 다른 풀이 /
조건 ㈎에서 2²S, 3²S, 5∈S, 7∈S 두 집합 (A;B)'C, A;(B'C)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
조건 ㈏에서 S,{2, 3, 5, 7, 11}이므로 11∈S 면 다음 그림과 같다.
따라서 S={5, 7, 11}이므로 S의 모든 원소의 합은 A A

5+7+11=23
/ 보충 설명 /
두 집합 A, B에 대하여 S;A=B이면
B,S, S;(A-B)= B C B C
두 집합 C, D에 대하여 S'C=D이면 {AÖB}ÕC AÖ{BÕC}
S,D, (D-C),S ③ 이때, (A;B)'C=A;(B'C)가 성립하려면
C-A= 이어야 하므로 C,A ⑤

02
A;B={1, 4}에서 4<A이므로 A={1, 2, 4} 05
즉, aÜ`-2aÛ`-a+6=4에서 aÜ`-2aÛ`-a+2=0 다음 그림과 같이 벤다이어그램의 각 영역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
aÛ`(a-2)-(a-2)=0 에 번호를 붙여 보면
(a-2)(aÛ`-1)=0 A
(a+1)(a-1)(a-2)=0 ①

∴ a=-1 또는 a=1 또는 a=2 ② ③



Ú a=-1일 때 ⑤ ⑥ ⑦
B C
B={-2, 1, 2, 4}이고, A;B={1, 2, 4}
Û a=1일 때 n(A△B)=①+③+⑤+⑥
B={-3, -2, 0, 4}이고, A;B={4} n(B△C)=②+⑤+③+⑦
Ü a=2일 때 n(C△A)=⑥+⑦+①+②
B={-2, 1, 4, 5}이고, A;B={1, 4} ∴ ‌n(A△B)+n(B△C)+n(C△A)
Ú ~ Ü에서 구하는 상수 a의 값은 2이다. ④ =2(①+②+③+⑤+⑥+⑦)
=2{n(A'B'C)-n(A;B;C)}
즉, 12+22+16=2_n(A'B'C)-2_3이므로
03 50=2_n(A'B'C)-6
a<b, c<d라 해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 n(A'B'C)=28  28
집합 B의 네 원소 'a, 'b, 'c, "Åd는 모두 자연수이므로 a, b, c,
d는 모두 제곱수이다.
이때, A-B={c, d}이므로 A;B={a, b} 06
a+b=25에서 a=9, b=16 n(Aª)=50, n(A£)=33, n(A°)=20,
즉, A={9, 16, c, d}, B={3, 4, 'c, "Åd}이고, n(Aª;A£)=n(A¤)=16, n(A£;A°)=n(AÁ°)=6,
A;B={9, 16}이므로 n(A°;Aª)=n(AÁ¼)=10, n(Aª;A£;A°)=n(A£¼)=3
'c=9, "Åd=16 이므로
∴ c=81, d=256 n(Aª'A£'A°)
즉, A={9, 16, 81, 256}, B={3, 4, 9, 16}이므로 =n(Aª)‌+n(A£)+n(A°)
A'B={3, 4, 9, 16, 81, 256} -n(Aª;A£)-n(A£;A°)-n(A°;Aª)
따라서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합은  +n(Aª;A£;A°)
3+4+9+16+81+256=369  369 =50+33+20-16-6-10+3=74  74

Ⅰ. 집합과 명제 07
정답과 풀이

07 2x+y+1=22 yy`㉠
분배법칙과 드모르간의 법칙에 의하여 n(U)=35이므로
(A'B);(A'C)‌=A'(B;C) 3x+2y+1=35 yy`㉡
={1, 2, 3, 5, 7, 9} ㉠, ㉡을 연립하여 풀면
(A;BC)'(A;CC)‌=A;(BC'CC) x=8, y=5
=A;(B;C)C ∴ n(B)=x+(y+1)=14
=A-(B;C) 따라서 B 영화를 관람한 학생 수는 14이다.  14
={2, 3, 5, 7}
이때, 두 집합 A'(B;C), A-(B;C)를 각각 벤다이어그램
으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A A

B C B C

AÕ{BÖC} A-{BÖC}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14 ~ 15쪽
∴ B;C‌={1, 2, 3, 5, 7, 9}-{2, 3, 5, 7}
={1, 9} 01 ③ 02 39 03 ① 04 67 05 50 06 35
따라서 집합 B;C의 모든 원소의 합은 10이다. ③

01
08 AC'B={1, 2, 3, 4, 5}이므로
전체 학생의 집합을 U, 사과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A, 배를 (AC'B)C‌=(AC)C;BC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A;BC
n(U)=30, n(A)=20, n(B)=14 =A-B={6} yy`㉠
n(A;B)가 최소가 되는 것은 A'B=U일 때이므로 A ;B ={2, 4}이므로
C C

n(A;B)‌=n(A)+n(B)-n(A'B) (AC;BC)C‌=(AC)C'(BC)C
=20+14-30=4 =A'B={1, 3, 5, 6} yy`㉡
또한 (A;B),B이므로 n(A;B)Én(B)=14 ㉠, ㉡에서 B=(A'B)-(A-B)={1, 3, 5} yy`㉢
따라서 4Én(A;B)É14이므로 (A'B);(AC'BC)‌=(A'B);(A;B)C
a=4, b=14 =(A'B)-(A;B)
∴ a+b=4+14=18  18 ={1, 5, 6} yy`㉣
㉡, ㉣에서 A;B={3} yy`㉤
㉠, ㉤에서 A=(A-B)'(A;B)={3, 6}
09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1학년 학생 35명의 집합을 U, 두 개의 영화 A, B를 관람한 학생
3+6=9 ③
들의 집합을 각각 A, B라 하면
n(U)=35
02
조건 ㈎에서 n(A)=22
조건 ㈏에서 n(A-B)=2_n(B-A) A,(B'C)이고 a-1<a<b<c<c+1이므로 네 원소 a+1,
조건 ㈐에서 n(A;B)=n(AC;BC)+1 b-1, b+1, c-1 중에 a, b, c와 같은 자연수가 존재해야 한다.
이때, b¾a+1, c¾a+2이고, a=b-1, c=b+1
이때, n(B-A)=x, n(AC;BC)=y라 하면
∴ b=a+1, c=a+2
n(A-B)=2x, n(A;B)=y+1이므로 벤다이어그램에 각 영
즉, 세 집합 A, B, C를 a로 나타내면
역의 원소의 개수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U A={a, a+1, a+2}, B={a-1, a, a+1},
A B
y C={a+1, a+2, a+3}이므로
AC;(B'C)=(B'C)-A={a-1, a+3}
2x y+1 x 이때, 집합 AC;(B'C)의 모든 원소의 합이 26이므로
(a-1)+(a+3)=26, 2a+2=26
∴ a=12
n(A)=22이므로 ∴ a+b+c=a+(a+1)+(a+2)=39  39

08 정답과 풀이
03 합은 100_2=200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ㄱ. (A-B) =(A;B ) =A 'B이므로
C C C C
그러나 83+67+60=210이므로 세 종목을 모두 좋아하는 학생이
A;(A-B)C‌=A;(AC'B) 적어도 10명이 있다.
=(A;AC)'(A;B)=A;B (참)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 m의 값은 10이다.
ㄴ. [반례] A-(B;C)‌=A;(B;C)C=A;(BC'CC) ∴ M-m=60-10=50
=(A;BC)'(A;CC) / 보충 설명 /

=(A-B)'(A-C) (거짓) n(A;B;C)의 값이 최대가 되는 때는 야구를 좋아하는 학생이


ㄷ. [반례] A={1, 2, 3}, B={1, 2}, C={2, 3, 4}일 때, 축구와 농구를 모두 좋아할 경우이다.  50
‌A'C=B'C={1, 2, 3, 4}이므로 (A'C),(B'C)
B;C={2}, A;C={2, 3}이므로 (B;C),(A;C) 06
이때, A+B이다. (거짓) 전체 학생 수를 100명이라 하고 풀어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전체 학생들의 집합을 U, 네 과목 A, B, C, D에서 60점 이상 받
/ 다른 풀이 / 은 학생들의 집합을 각각 A, B, C, D라 하면
ㄷ. 벤다이어그램을 이용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거짓) n(U)=100, n(A)=80, n(B)=75, n(C)=88, n(D)=92
B
C n(A;B)=n(A)+n(B)-n(A'B)에서
A
n(A'B)Én(U)이므로
n(A;B)‌=n(A)+n(B)-n(A'B)
¾n(A)+n(B)-n(U)
 ① ¾80+75-100
∴ n(A;B)¾55 yy`㉠
04
n(C;D)=n(C)+n(D)-n(C'D)에서
10=2_5, 15=3_5이므로 100 이하의 자연수의 집합을 U, 2의 n(C'D)Én(U)이므로
배수의 집합을 A, 3의 배수의 집합을 B, 5의 배수의 집합을 C라 n(C;D)‌=n(C)+n(D)-n(C'D)
하자. ¾n(C)+n(D)-n(U)
10과 서로소인 자연수의 집합은 AC;CC이고, 15와 서로소인 자 ¾88+92-100
연수의 집합은 BC;CC이므로 10과 서로소이거나 15와 서로소인 ∴ n(C;D)¾80 yy`㉡
자연수의 집합은 이때, A;B=X, C;D=Y라 하면
(AC;CC)'(BC;CC)‌=(AC'BC);CC A;B;C;D=X;Y이고
=(A;B)C;CC n(X;Y)=n(X)+n(Y)-n(X'Y)에서
={(A;B)'C}C n(X'Y)Én(U)
이때, 집합 A;B는 6의 배수의 집합이므로 집합 (A;B)'C는 이므로
6의 배수 또는 5의 배수의 집합이다. n(X;Y)¾n(X)+n(Y)-n(U)
즉, n(A;B)=16, n(C)=20, n(A;B;C)=3이므로 ㉠, ㉡에서
n((A;B)'C)‌=n(A;B)+n(C)-n(A;B;C) n(X;Y)¾55+80-100=35
=16+20-3=33 따라서 n(A;B;C;D)¾35이므로 네 과목 모두 60점 이상을
∴ n({(A;B)'C}C)‌=n(U)-n((A;B)'C) 받은 학생은 전체 학생 수의 35`% 이상이다.
=100-33=67 따라서 구하는 x의 최솟값은 35이다.  35

따라서 10과 서로소이거나 15와 서로소인 자연수의 개수는 67이다.


  67

05
이 고등학교 전체 학생의 집합을 U, 축구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
을 A, 농구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B, 야구를 좋아하는 학생
의 집합을 C라 하면
n(U)=100, n(A)=83, n(B)=67, n(C)=60
(A;B;C),C이므로 n(A;B;C)는 60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 M의 값은 60이다.
한편, 만약 모든 학생이 두 종목의 경기만을 좋아한다고 하면 100
명이 모두 두 종목씩 답한 것이므로 각각의 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Ⅰ. 집합과 명제 09
정답과 풀이

03 명제 다.’이다.
‌xy+1>x+y에서 xy-x-y+1=(x-1)(y-1)>0이므로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x>1이고 y>1’ 또는 ‘x<1이고 y<1’이다.
본문 16 ~ 17쪽
또한 x+y>2이므로 ‘x>1이고 y>1’ (참)
01 ④ 02 ⑤ 03 ③ 04 ③ 05 ③ 06 ② 따라서 역이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③

07 ④ 08 ④ 09 ③

04
01 조건 p를 만족시키려면 x, y, z 중 적어도 두 개는 0이어야 한다.
명제를 부정할 때에는 전제는 그대로 두고 결론을 부정한다. 조건 q를 만족시키려면 x, y, z 중 적어도 한 개는 0이어야 한다.
주어진 명제 ‘x>3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¾4이다.’에서 전제 따라서 명제 p 1Ú q는 참이다.
는 ‘x>3인 실수’이고 결론은 ‘모든 x에 대하여 xÛ`¾4이다.’이므로 한편, 조건 r를 만족시키려면 x=y 또는 y=z 또는 z=x이므로
결론을 부정하면 ‘어떤 x에 대하여 xÛ`<4이다.’이다. 세 개 중 적어도 두 개는 같아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x>3인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조건 s를 만족시키려면 x=y=z이어야 한다.
xÛ`<4이다.’이다. 따라서 명제 s 1Ú r는 참이고, 명제 r 1Ú s는 거짓이다.
/ 보충 설명 / 또한 조건 p에서 적어도 두 개가 0이면 적어도 이들 두 개는 같으
참인 명제를 부정하면 거짓인 명제가 되고, 거짓인 명제를 부정하 므로 명제 p 1Ú r도 참이다.
면 참인 명제가 된다. ④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③

02 05
Ú 조건 q가 해를 갖지 않는 경우 명제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Û`-ax+1<0이다.’는 거짓이므로 이
‌명제 q 1Ú p는 반드시 참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4=0 명제의 부정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ax+1¾0이다.’는 참이다.
의 판별식 D에 대하여 D<0이어야 한다. 즉, 즉, 이차방정식 xÛ`-ax+1=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DÁÉ0이
D=aÛ`-16<0 어야 하므로
∴ -4<a<4 DÁ=aÛ`-4É0   ∴ -2ÉaÉ2 yy`㉠
Û 조건 q가 해를 갖는 경우 또한 명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ax+2a>0이다.’는 참이므로
조건 p에서 (k+2)-(k-2)=4이므로 조건 q의 방정식 이차방정식 xÛ`-ax+2a=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Dª<0이어야
‌xÛ`-ax+4=0의 두 실근의 차가 4 이하일 때, 하므로
명제 q 1Ú p가 참이 되기 위한 실수 k가 존재한다. Dª=aÛ`-8a<0   ∴ 0<a<8 yy`㉡
‌xÛ`-ax+4=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 ㉡에서 0<aÉ2이므로 정수 a는 1, 2이고 그 합은
의하여 a+b=a, ab=4 1+2=3 ③
∴ (b-a)Û`=(a+b)Û`-4ab=aÛ`-16É4Û`, 즉 aÛ`É32
또한 D=aÛ`-16¾0에서
aÛ`¾16 06
∴ 16ÉaÛ`É32, 즉 -4'2ÉaÉ-4 또는 4ÉaÉ4'2 명제 ~ r 1Ú q가 참이므로 그 대우 ~ q 1Ú r도 참이다.
Ú, Û에서 -4'2ÉaÉ4'2이므로 구하는 실수 a의 최댓값은 두 명제 ~ s 1Ú p, ~ q 1Ú r가 참이므로 명제 ~ s 1Ú r
4'2이다. ⑤ 가 참이 되려면 명제 ~ s 1Ú ~ q 또는 p 1Ú ~ q 또는
p 1Ú r가 참이어야 한다.
이때, 명제 ~ s 1Ú ~ q, p 1Ú ~ q, p 1Ú r가 참이면 그 대
03 우 q 1Ú s, q 1Ú ~ p, ~ r 1Ú ~p도 각각 참이다.
ㄱ. 주어진 명제의 역은 ‘|xy|>1이면 xÛ`+yÛ`>2이다.’이다. 따라서 명제 ~ s 1Ú r가 참임을 보이기 위하여 필요한 참인 명
x, y가 실수일 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제는 ② q 1Ú ~ p이다. ②
xÛ`+yÛ`¾2|xy|이므로 |xy|>1이면
xÛ`+yÛ`¾2|xy|>2가 성립한다. (참)
ㄴ. ‌주어진 명제의 역은 ‘xy>x+y>4이면 x>2이고 y>2이다.’ 07

이다. ㄱ. (jjK) a-b<0이고 |a-b|>0이므로 p jjK q


‌(Hjj) 명제 q 1Ú p의 대우는 ‘a¾b이면 |a-b|Éa-b이
3 15
[반례] ‌x=6, y= 이면 xy=9, x+y= 이므로
2 2 다.’에서 a-b¾0이면 |a-b|=a-b이므로 |a-b|Éa-b
xy>x+y>4이지만 y<2이다. (거짓) ∴ q jjK p
ㄷ. ‌주어진 명제의 역은 ‘xy+1>x+y>2이면 x>1이고 y>1이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10 정답과 풀이
ㄴ. (jjK) a<b, c<d이면 2c 4b
OBÓ+OCÓ¾6+2®É _ =6+4'2
ac+bd-ad-bc‌=a(c-d)-b(c-d) b c
2c 4b
=(a-b)(c-d)>0  {단, 등호는 = 일 때, 즉 c='2 b일 때 성립한다.}
b c
이므로 p jjK q
따라서 OBÓ+OCÓ의 최솟값은 6+4'2이다.
(Hjj) [반례] ‌a>b, c>d이면 명제 q 1Ú p는 거짓이므로 / 다른 풀이 /
q jj/jK p 점 A(2, 4)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다. y=a(x-2)+4=ax-2a+4 (a<0)
ㄷ. (jjK) |a|+|b|¾|a+b|이고 등호는 ab¾0일 때 성립한다. 4
B{2- , 0}, C(0, 4-2a)이므로
마찬가지로 a
|a|+|b|+|c|¾|a+b|+|c|¾|a+b+c|이고 등호는 ‌ 2- 4 +4-2a
OBÓ+OCÓ=
a
ab¾0, bc¾0, ca¾0일 때 성립한다.
4 4
‌즉, |a+b+c|=|a|+|b|+|c|이면 ab¾0, bc¾0, ca¾0 =6-2a- ¾6+2®É(-2a)_{- } 
a a
이므로 ab+bc+ca¾0이 성립한다.
=6+4'2
∴ p jjK q
4
(Hjj) [반례] ‌a=2, b=3, c=-1이면 명제 q 1Ú p는 거짓  {단, 등호는 -2a=- 일 때, 즉 a=-'2일 때 성립한다.}
a
이므로 q jj/jK p  ③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다.
따라서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이 아닌 것은 ㄴ,
ㄷ이다. ④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18 ~ 19쪽

01 ⑤ 02 ③ 03 32 04 9 05 ① 06 ②
08
1 2 4
A‌=(a+b+c){ + + } 01
a b c
b c 2a 2c 4a 4b ㄱ. A,B이고 A,C이면 A,(B'C)
즉, p jjK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참)
=1+2+4+ + + + + +
a a b b c c
b 2a 2c 4b c 4a ㄴ. (B;C),(B'C)이므로 A,(B;C)이면
=7+{ + }+{ + }+{ + }
a b b c a c A,(B;C),(B'C)
이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 A,(B'C)
b 2a 2c 4b
A‌¾7+2®É _ +2®É _ +2®É _
c 4a 즉, r jjK q이므로 q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참)
a b b c a c
ㄷ. A,B이고 A,C이면 A,(B;C)
=7+2'2+4'2+4
또한 A,(B;C)이면 A,B이고 A,C
=11+6'2
즉, p HjjK r이므로 r는 p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참)
b 2a 2c 4b c 4a
 {단, 등호는 = , = , = 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⑤
a b b c a c
따라서 A의 최솟값은 11+6'2이다. ④
02
ㄱ. ('a+'b)Û`-1Û`‌=(a+2'a'b+b)-1
09 =2'¶ab>0 (∵ a+b=1, a>0, b>0)
점 A가 제 1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점 B의 x좌표를 b, 점 C의 y좌 ∴ ('a+'b)Û`>1
표를 c라 하면 b>0, c>0이고 직선 BC의 방정식은 ∴ 'a+'b>1 (참)
x y ㄴ.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 =1
b c
a+b
직선 BC가 점 A(2, 4)를 지나므로 위의 식에 x=2, y=4를 대입 ¾'¶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2
하면 1
이때, a+b=1이므로 ¾'¶ab (거짓)
2 4 2
+ =1 yy`㉠
b c 1 1 1 1
ㄷ. + ‌={ + }_1
∴ OBÓ+OCÓ‌=b+c=(b+c)_1 a b a b
2 4 1 1
=(b+c)_{ + }`(∵ ㉠) ={ + }(a+b)
b c a b
2c 4b b a
=6+ + =2+ +
b c a b
이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이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Ⅰ. 집합과 명제 11
정답과 풀이

1 1 b a 05
+ ¾2+2®É _ =4
a b a b p(1)이 참이면 p(2), p(5)도 참이다.
1 1
∴ + ¾4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참) p(2)가 참이면 p(2Û`), p(2_5)도 참이다.
a b
p(5)가 참이면 p(2_5), p(5Û`)도 참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y
이와 같은 과정이 계속되므로 조건 p(2û`_5Â`)은 반드시 참임을 알
03
수 있다. (단, k, l은 음이 아닌 정수이다.)
다음 그림과 같이 BPÓ=x, CDÓ=y라 하면
즉, n의 개수는 100 이하의 자연수 중 2û`_5Â` 꼴의 자연수의 개수
CPÓ=4-x
4
와 같다.
l A B
x Ú l=0일 때, n=2û`
P
4 ‌1É2û`É100에서 k=0, 1, 2, 3, 4, 5, 6이므로 n은 1, 2, 4, 8,
4-x
16, 32, 64의 7개이다.
m
C y D Û l=1일 때, n=2û`_5
두 삼각형 APB, DPC가 닮음이므로 ‌1É2û`_5É100, 즉 1É2û`É20에서 k=0, 1, 2, 3, 4이므로 n
4:y=x:(4-x) 은 5, 10, 20, 40, 80의 5개이다.
∴ xy=4(4-x) yy`㉠ Ü l=2일 때, n=2û`_5Û`
두 삼각형 APB, DPC의 넓이의 합을 S라 하면 ‌1É2û`_5Û`É100, 즉 1É2û`É4에서 k=0, 1, 2이므로 n은 25,
1 1 50, 100의 3개이다.
S‌= _4_x+ _(4-x)_y
2 2 Ú     Ü에서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
1 7+5+3=15 ①
=2x+2y- xy
2
16
㉠에서 xy=4(4-x), 즉 y= -4이므로 06
x
16 1 결론을 부정하여 세 실수 a, b, c 중 하나 이상이 0 이하라 하자.
S‌=2x+2{ -4}- _4(4-x)
x 2 일반성을 잃지 않고 a¾b¾c라 하고, 다음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32 보자.
=2x+ -8-8+2x
x
Ú세
‌ 실수 모두 0 이하, 즉 0¾a¾b¾c 이면 a+b+cÉ0이 되
32
=4x+ -16 어 a+b+c>0에 모순이다.
x
32 Û` 하나만 0 이하, 즉 a¾b¾0¾c 이면 abcÉ0이 되어
이때, 4x>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 abc>0에 모순이다.
32 32 Ü 두 실수가 0 이하, 즉 a¾0¾b¾c 이면 a+b+c>0에서
S=4x+ -16¾2®É4x_ -16=16'2-16
x x
a+b>-c
32
 {단, 등호는 4x= , 즉 x=2'2일 때 성립한다.} 양변에 cÉ0인 실수 c를 곱하면 ca+bcÉ-cÛ`É0
x
따라서 두 삼각형 APB, DPC의 넓이의 합의 최솟값은 또한 abÉ0이므로 ab+bc+caÉ0이 되어 ab+bc+ca>0
16'2-16이므로 에 모순이다.
p=16, q=16 Ú ~ Ü에서 a>0, b>0, c>0이다. ②
∴ p+q=32  32

04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 의하여 개념 확장 & 수리논술·창의사고력 문제 본문 20쪽
(1Û`+1Û`)(aÛ`+bÛ`)¾(a+b)Û`
∴ 2(aÛ`+bÛ`)¾(a+b)Û`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자연수 k에 대하여 k<A이면
이때, a+b=5-c, aÛ`+bÛ`=11-cÛ`이므로 위의 식에 대입하면
k=4m+11n`(m, n은 음이 아닌 정수)
2(11-cÛ`)¾(5-c)Û`, 22-2cÛ`¾25-10c+cÛ`
이라 할 수 있다.
3cÛ`-10c+3É0, (3c-1)(c-3)É0
이때, k+4=(4m+11n)+4=4(m+1)+11n이므로
1
∴ ÉcÉ3 k+4<A
3
1 즉, k+1, k+2, k+3이 집합 A의 원소가 되는 자연수 k
따라서 c의 최댓값은 M=3, 최솟값은 m= 이므로 의 최솟값을 구하면 되므로 집합 A의 원소를 4로 나누었을
3
M 때의 나머지에 따라 집합을 분류해 볼 수 있다.
=9 9
m

12 정답과 풀이
집합 A={4m+11n|m, n은 음이 아닌 정수}의 원소를
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0, 1, 2, 3인 원소의 집합을
각각 A¼, AÁ, Aª, A£이라 하면 A¼'AÁ'Aª'A£=A이
고, 네 집합은 모두 서로소이다.
n=0, 1, 2, 3일 때, 집합 A를 각각 확인해 보자.
Ú n=0일 때,
{4m|m=0, 1, 2, y}={0, 4, 8, 12, y}=A¼
Û n=1일 때,
{4m+11|m=0, 1, 2, y}
={11, 15, 19, 23, y}
={4m+3|m=2, 3, 4, y}
=A£
이때, 집합 A£의 가장 작은 원소는 11이다.
Ü n=2일 때,
{4m+22|m=0, 1, 2, y}
={22, 26, 30, 34, y}
={4m+2|m=5, 6, 7, y}
=Aª
이때, 집합 Aª의 가장 작은 원소는 22이다.
Ý n=3일 때,
{4m+33|m=0, 1, 2, y}
={33, 37, 41, 45, y}
={4m+1|m=8, 9, 10, y}
=AÁ
이때, 집합 AÁ의 가장 작은 원소는 33이다.
그런데
32=4_8<A¼, 31=4_7+3<A£, 30=4_7+2<Aª,
29=4_7+1²AÁ
즉, 29²A이고 30<A, 31<A, 32<A, 33<A이므로
k가 30 이상인 자연수이면
{k, k+1, k+2, k+3, y},A
가 성립한다.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30이다.  30

Ⅰ. 집합과 명제 13
정답과 풀이

Ⅱ. 함수 f(x)=axÛ`+bx+c`(a, b, c는 상수, a+0)

01 함수 라 하면 f(-x)=axÛ`-bx+c이다.
이를 f(x)+2f(-x)=xÛ`+x에 대입하면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22 ~ 23쪽 axÛ`+bx+c+2(axÛ`-bx+c)=xÛ`+x
좌변을 정리하면
01 ④ 02 ② 03 ③ 04 ① 05 ④ 06 ⑤ 3axÛ`-bx+3c=xÛ`+x
07 ④ 08 ② 09 ③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
3a=1, -b=1, 3c=0   ∴ a= , b=-1, c=0
3
∴ f(x)= xÛ`-x= {x- }2`-
01 1 1 3 3
f(x)¾x를 만족시키는 함수 f에 대하여 f(a)=b라 하면 3 3 2 4
a=1일 때, b가 될 수 있는 집합 A의 원소는 1, 2, 3, 4, 5의 5개 3 3
따라서 x= 일 때 f(x)의 최솟값은 - 이다. ③
2 4
a=2일 때, b가 될 수 있는 집합 A의 원소는 2, 3, 4, 5의 4개
y

04
a=5일 때, b가 될 수 있는 집합 A의 원소는 5의 1개
-aÉxÉa에서 x=0은 정의역의 원소이므 y y=f{x}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A`1Ú`A의 개수는
로 x=0일 때의 f(x)=xÛ`+b의 함숫값 a
m=5_4_3_2_1=120
f(0)=b가 최솟값이다.
한편, x+g(x)의 계산 결과가 홀수인 함수 g에 대하여 g(a)=b -a a
함수 f(x)의 치역도 집합 A와 같으므로 O x
라 할 때,
b=-a yy`㉠ -a
a가 홀수이면 b는 짝수, a가 짝수이면 b는 홀수이어야 한다.
또한 x=a일 때의 함숫값 f(a)=aÛ`+b가 최
즉, a가 1, 3, 5 중 하나이면 b는 2, 4 중 하나이고 a가 2, 4 중 하
댓값이므로
나이면 b는 1, 3, 5 중 하나이다.
aÛ`+b=a, aÛ`-a=a (∵ ㉠)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g`:`A`1Ú`A의 개수는
a(a-2)=0
n=2_3_2_3_2=72
이때, a+0이므로 a=2, b=-2 (∵ ㉠)
∴ m+n=120+72=192 ④
∴ a+10b=2+10_(-2)=-18 ①

05
02
집합 X={x|x¾a}에서 X로의 함수 y
f(x+2)=2 f(x)+2에 x=-1을 대입하면
f(x)=(x-2)Û`이 일대일대응이 되려
f(1)=2 f(-1)+2 yy`㉠
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y=f{x}
f(-x)=f(x)에 x=-1을 대입하면 a
a¾2이고 f(a)=a가 성립해야 한다.
f(1)=f(-1) yy`㉡
f(a)=a에서
㉠, ㉡에서 f(1)=2 f(1)+2이므로
(a-2)Û`=a, aÛ`-5a+4=0 O 2 a x
f(1)=-2
(a-1)(a-4)=0
따라서 f(3)=2 f(1)+2=2_(-2)+2=-2이므로
∴ a=1 또는 a=4
f(5)=2 f(3)+2=2_(-2)+2=-2 ②
이때, a¾2이어야 하므로 a=4이다. ④

03 06
f(x)+2 f(-x)=xÛ`+x yy`㉠ 이차함수 f(x)의 정의역이 X={x|0ÉxÉ2}일 때, 이 구간에서
㉠에 x 대신 -x를 대입하면 f(x)가 일대일함수가 되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f(-x)+2 f(x)=xÛ`-x yy`㉡ x좌표는 정의역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이때,

f(x)=xÛ`+ax+a={x+ }2`+a-
㉠-2_㉡을 하면 a aÛ`
2 4
-3f(x)=-xÛ`+3x
a
1 1 9 1 9 이므로 y=f(x)의 그래프의 축은 x=-
∴ f(x)‌= xÛ`-x= {xÛ`-3x+ }- _ 2
3 3 4 3 4

= {x- }2`-
y y y y
y=f{x} y=f{x} y=f{x} y=f{x}
1 3 3
3 2 4
3 3
따라서 x= 일 때 f(x)의 최솟값은 - 이다.
2 4
/ 다른 풀이 /
a a a a
x=2 x=- x=- x=2 x=2 x=- x=- x=2
f(x)가 이차함수이므로 함수의 식을 2 2 2 2

14 정답과 풀이
a a f(3)=4f(1)=4_4f(0)=16f(0) (거짓)
즉, - ¾2 또는 - É0이어야 하므로
2 2 ㄷ. ‌곡선 y=f(x)가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 되기 위해서는
aÉ-4 또는 a¾0  ⑤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등식 f(-1-k)=f(-1+k)가 성립하
여야 한다.
㉠에 x=-1, y=k를 대입하면
07
f(-1+k)+f(-1-k)=2 f(-1)+2 f(k-1)
조건 ㈏에서 x+f(x)의 값이 짝수이려면 x가 홀수일 때 f(x)도
∴ f(-1-k)=f(-1+k) (∵ ㄱ)
홀수이고, x가 짝수일 때 f(x)도 짝수이어야 한다.
즉, 곡선 y=f(x)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다. (참)
따라서 모든 x<X에 대하여 두 조건 ㈎, ㈏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x=1일 때, f(x)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3, 5의 3가지
x=2일 때, f(x)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4, 6의 3가지
x=3일 때, f(x)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 5의 2가지
x=4일 때, f(x)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4, 6의 2가지
x=5일 때, f(x)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5의 1가지
x=6일 때, f(x)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6의 1가지
따라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3_3_2_2_1_1=36 ④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24 ~ 25쪽
08
f(x)‌=2x+k|x-1| 01 20 02 ② 03 20 04 243 05 31 06 6
2x+k(x-1) (x¾1)
=[`
2x-k(x-1) (x<1)
01
(2+k)x-k (x¾1)
=[` 방정식 f(x-k)=g(x)의 해가 x=10이므로
(2-k)x+k (x<1)
f(10-k)=g(10) yy`㉠
이때, k=2이면 x<1인 구간에서 f(x)=2로 상수함수가 되므로
두 조건 ㈎, ㈏에서 f(10)+g(10)=2, f(10)g(10)=-99이므
f(x)는 일대일대응이 될 수 없다. 또한 k=-2이면 x¾1인 구간
로 f(10), g(10)은 이차방정식 tÛ`-2t-99=0의 근이다.
에서 f(x)=2로 상수함수가 되므로 역시 일대일대응이 될 수 없다.
(t+9)(t-11)=0   ∴ t=-9 또는 t=11
∴ k+2, k+-2
이때, 조건 ㈐에서 x>1이면 f(x)>g(x)이므로
즉, x¾1인 범위에서 직선 y=(2+k)x-k의 기울기는 2+k이
f(10)=11, g(10)=-9 yy`㉡
고 x<1인 범위에서 직선 y=(2-k)x+k의 기울기는 2-k이므
한편, 조건 ㈎에서 f(10-k)+g(10-k)=2이므로
로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려면
g(10-k)‌=2-f(10-k)=2-g(10)
2+k>0 2+k<0
[` 또는 [` 이어야 한다. =11 (∵ ㉠)
2-k>0 2-k<0
또한 조건 ㈏에서 f(10-k)g(10-k)=1-(10-k)Û`이므로
(2+k)(2-k)>0에서 (k+2)(k-2)<0
g(10)g(10-k)=1-(10-k)Û` (∵ ㉠)
∴ -2<k<2
(-9)_11=-kÛ`+20k-99, k(k-20)=0
따라서 정수 k의 값은 -1, 0, 1의 3개이다. ②
∴ k=0 또는 k=20
이때, k=0이면 ㉠에서 f(10)=g(10)이 되어 ㉡에 모순이므로
k=20
09
/ 다른 풀이 /
f(x+y)+f(x-y)=2f(x)+2f(y-1) yy`㉠
조건 ㈎에서 f(x)+g(x)=(1+x)+(1-x)
ㄱ. x=0, y=0을 ㉠에 대입하면
조건 ㈏에서 f(x)g(x)=(1+x)(1-x)
f(0)+f(0)=2 f(0)+2 f(-1)
이때, 두 직선 y=1+x, y=1-x는 다음 그림과 같다.
∴ f(-1)=0 (참) y
y=1-x y=1+x
ㄴ. x=1, y=2를 ㉠에 대입하면
f(3)+f(-1)=2 f(1)+2 f(1)
∴ f(3)=4f(1) (∵ ㄱ) yy`㉡
x=0, y=1을 ㉠에 대입하면 1

f(1)+f(-1)=2 f(0)+2 f(0)


-1 O 1 x
∴ f(1)=4f(0) (∵ ㄱ) yy`㉢
㉢을 ㉡에 대입하면 x=1

Ⅱ. 함수 15
정답과 풀이

즉, 조건 ㈐에 의하여 Ú, Û에서 함수 y=g(t)의 그래 y

Ú x>1일 때, 1+x>1-x이므로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f(x)=1+x, g(x)=1-x 즉, 함수 y=g(t)의 그래프는 함


Û 0<xÉ1일 때, 1+x>1-x이므로 수 y=f(t)의 그래프를 t축의 방 -1 1
1 O 1
f(x)=1-x, g(x)=1+x 1 - t
향으로 - 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2
Ü xÉ0일 때, 1-x¾1+x이므로 2 y=f{t}
y=g{t}
f(x)=1+x, g(x)=1-x 1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2
Ú`~`Ü에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는 각각 다음
1 1
그림과 같다. g(t)=f {t+ }- 이다. ②
2 2
y y=f{x} y=g{x} y

1 1
03
-1 O 1 x -1 O 1 x
f(x)‌=xÛ`-|axÛ`-ax+b|
xÛ`-(axÛ`-ax+b) (axÛ`-ax+b¾0)
=[`
방정식 f(x-k)=g(x)의 해가 x=10이므로 두 함수 xÛ`+(axÛ`-ax+b) (axÛ`-ax+b<0)
y=f(x-k)와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10이다. (1-a)xÛ`+ax-b (axÛ`-ax+b¾0)
=[`
이때, 함수 y=f(x-k)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x (1+a)xÛ`-ax+b (axÛ`-ax+b<0)
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이때, g(x)=axÛ`-ax+b라 하고 a의 값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y=f{x-k}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Ú a=1일 때, g(x)=xÛ`-x+b
이차방정식 g(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Û`-4b=1-4b
1
-1+k ㉠ DÉ0일 때, 1-4bÉ0에서 b¾
4
1+k x
이 경우,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¾0이므로
f(x)=(1-a)xÛ`+ax-b=x-b
즉, x>1에서의 두 직선 y=1-x와 y=x-k+1의 교점의 x좌 ‌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는 일대일대응이고, a, b의
표가 10이므로 순서쌍 (a, b)는 (1, 1), (1, 2), (1, 3), y, (1, 10)의
1-10=10-k+1   ∴ k=20 10개이다.
/ 보충 설명 / 1
( 1+x (xÉ0) ( 1-x (xÉ0)
㉡ D>0일 때, 1-4b>0에서 b<
4
f(x)={`1-x (0<xÉ1), g(x)={`1+x (0<xÉ1) 이차방정식 g(x)=0에서 xÛ`-x+b=0
9 1+x (x>1) 9 1-x (x>1) 1Ñ'Ä1-4b
근의 공식에 의하여 x=
  20 2
1-'Ä1-4b 1+'Ä1-4b
‌ ‌즉, g(x)<0의 해는 <x<
2 2
02 x-b (g(x)¾0)
또한 f(x)=[` 에서
f(x)‌=1-|x| y 2xÛ`-x+b (g(x)<0)

2xÛ`-x+b=2{x- }2`+b-
1-x (x¾0) 1 1
=[` 1
y=f{x} 4 8
1+x (x<0)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이때, b=0, -1, -2, y이므로 g(x)<0인 구간에 이차
-1 1
그림과 같다. -
1 O 1 x 함수 y=2xÛ`-x+b의 꼭짓점이 존재한다. 즉, 이 구간에서
2 2
1 f(x)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Ú tÉ- 일 때
2 ‌㉠, ㉡에서 a=1일 때 f(x)가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하는 순서
tÉxÉt+1의 범위에서 f(x)의 최솟값은 f(t)이므로 쌍 (a, b)의 개수는 10이다.
g(t)=f(t) Û a=-1일 때, g(x)=-xÛ`+x+b
1 이차방정식 g(x)=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Û t>- 일 때
2 DÁ=1Û`-4_(-1)_b=1+4b
tÉxÉt+1의 범위에서 f(x)의 최솟값은 f(t+1)이므로 1
㉢ DÁ<0일 때, 1+4b<0에서 b<-
g(t)=f(t+1) 4

16 정답과 풀이
이 경우,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0이므로 ∴ (2x+y)Û`-2xy=12
f(x)=(1+a)xÛ`-ax+b=x+b 2x+y=u, 2xy=v로 놓으면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는 일대일대응이고, 순서쌍 uÛ`-v=12   ∴ v=uÛ`-12 yy`㉠
(a, b)는 (-1, -1), (-1, -2), (-1, -3), y, u, v, ㉠을 2xy+2x+y에 대입하면
(-1, -10)의 10개이다. 2xy+2x+y‌=u+v
1 =uÛ`+u-12
㉣ DÁ¾0일 때, 1+4b¾0에서 b¾-
4 이때, 2x+y=u, 2xy=v를 만족시키는 실수 x, y가 존재해야 하
이차방정식 g(x)=0에서 므로 2x, y를 두 근으로 하는 t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x+b=0   ∴ xÛ`-x-b=0 tÛ`-ut+v=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uÛ`-4v¾0이어야 한다.
1Ñ'Ä1+4b
근의 공식에 의하여 x= 즉,
2
uÛ`-4uÛ`+48¾0 (∵ ㉠)
이때, g(x)¾0에서 -g(x)É0의 해는
-3uÛ`+48¾0, uÛ`-16É0
1-'Ä1+4b 1+'Ä1+4b
ÉxÉ ∴ -4ÉuÉ4
2 2
따라서 f(u)=uÛ`+u-12로 놓으면

f(u)=uÛ`+u-12={u+ }2`-
2xÛ`-x-b (g(x)¾0)
또한 f(x)=[` 에서 1 49
x+b (g(x)<0)

2xÛ`-x-b=2{x- }2`-b-
2 4
1 1
1 49
4 8 이때, f(u)는 u=- 에서 최솟값 m=- , u=4에서 최댓값
2 4
‌이때, b=0, 1, 2, y이므로 g(x)¾0인 구간에 이차함수
M=4Û`+4-12=8을 가진다.
y=2xÛ`-x-b의 꼭짓점이 존재한다. 즉, 이 구간에서 f(x)
49
∴ 12(M-m)‌=12{8+ }
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4
‌㉢, ㉣에서 a=-1일 때 f(x)가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하는 순 =243  243
서쌍 (a, b)의 개수는 10이다.
Ü a+1, a+-1일 때, g(x)=axÛ`-ax+b
이차방정식 g(x)=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05
Dª=(-a)Û`-4ab=aÛ`-4ab f(a-2)-f(4-aÛ`)<0에서 조건 ㈎에 의하여
㉤ DªÉ0일 때, f(a-2)<f(aÛ`-4)
a>0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¾0이므로 Ú a-2와 aÛ`-4가 모두 집합 B의 원소인 경우
f(x)=(1-a)xÛ`+ax-b 0<a-2<1에서 2<a<3 yy`㉠
‌이때, a+1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는 이차함수 0<aÛ`-4<1에서 4<aÛ`<5이므로
이고,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5<a<-2 또는 2<a<'5 yy`㉡
a<0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É0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a-2<aÛ`-4이므로
f(x)=(1+a)xÛ`-ax+b aÛ`-a-2>0, (a+1)(a-2)>0
‌이때, a+-1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는 이차함 ∴ a<-1 또는 a>2 yy`㉢
수이고,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 ㉡, ㉢에서 공통 범위는
xÛ`-b (b¾0) 2<a<'5
a=0이면
‌ f(x)=[` 이므로 b의 값에 관계없
‌xÛ`+b (b<0) Û a-2와 aÛ`-4가 모두 집합 A-B의 원소인 경우
이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1<a-2É0에서 1<aÉ2 yy`㉣
㉥ Dª>0일 때, -1<aÛ`-4É0에서 3<aÛ`É4이므로
a>0일
‌ 때는 ㉡, a<0일 때는 ㉣과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면 -2Éa<-'3 또는 '3<aÉ2 yy`㉤
두 경우 모두 f(x)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 ㉤에서 공통 범위는
‌㉤, ㉥에서 a+1, a+-1일 때 f(x)가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3<a<2
하는 순서쌍 (a, b)는 존재하지 않는다. Ü (a-2)<A-B이고 (aÛ`-4)<B인 경우
Ú`~`Ü에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1<a-2É0에서 1<aÉ2 yy`㉥
10+10=20  20 0<aÛ`-4<1에서 4<aÛ`<5이므로
-'5<a<-2 또는 2<a<'5 yy`㉦
㉥, ㉦에서 공통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다.
Ý (a-2)<B이고 (aÛ`-4)<A-B인 경우
04 0<a-2<1에서 2<a<3 yy`㉧
4xÛ`+2xy+yÛ`=12에서 -1<aÛ`-4É0에서 3<aÛ`É4이므로
4xÛ`+4xy+yÛ`-2xy=12 -2Éa<-'3 또는 '3<aÉ2 yy`㉨

Ⅱ. 함수 17
정답과 풀이

25 26
정의역이 [x| ÉxÉ ]일 때, 함수 f(x)는
㉧, ㉨에서 공통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다.
Ú ~ Ý에서 a의 값의 범위는 3Ü` 3Ü`
'3<a<2 또는 2<a<'5 f(x)=1-
1
2Ü`
∴ (mq)Û`+(np)Û`=('1Œ5)Û`+4Û`=31  31
   `

y
따라서 [그림 1]과 같이 x의 값의 범위를 쪼개어 위와 같은 방법으
로 f(x)를 구하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2]와 같다.
0 1
06
1
조건 ㈎의 f { }= f(x)에 x=0을 대입하면
x 1 2
3 2 0 3 3 1
1
f(0)= f(0)이므로 f(0)=0 1 2 3 6 7 8
2
0 3@ 3@ 3@ 3@ 3@ 3@ 1
조건 ㈏의 f(1-x)=1-f(x)에 x=0을 대입하면 2 7 9 19 21 25
f(1)=1-f(0)이므로 f(1)=1 1 3# 3 6 3# 8 3# 18 3# 20 3# 24 3# 26
0 3# 3# 3# 3# 3# 3# 3# 3# 1
정의역에 대하여 다음 경우로 나누어 함수를 생각해 보자.


Ú f(1)=1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그림 1]
1 1 1 y
f { }= f(1)= 1
y=f{x}
3 2 2
또한 조건 ㈏에 의하여 3
4
2 1 1
f { }=1-f { }= 1
3 3 2
2
1 2
‌따라서 조건 ㈐에 의하여 정의역이 [x| ÉxÉ ]일 때, 함수 1
3 3 4
f(x)는
1 O 1 2 1 2 7 8 1 x
f(x)= 9 9 3 3 9 9
2
[그림 2]
1 1
Û f { }= 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1 2
3 2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및 두 직선 x= , x= 로
9 9
1 1 1 1
f { }= f { }=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A는
3Û` 2 3 2Û`
1 2 1 1
2 1
또한 f { }= 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A= _{ - }=
3 2 4 9 9 36
2 1 2 1 1 2
f { }= f { }= 이고,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및 두 직선 x= , x= 로
3 3
3Û` 2 3 2Û`
1 2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B는
‌따라서 조건 ㈐에 의하여 정의역이 [x| ÉxÉ ]일 때, 함
3Û` 3Û` 1 2 1 1
B= _{ - }=
수 f(x)는 2 3 3 6
1 따라서 B=6A이므로 k의 값은 6이다. 6
f(x)=
2Û`
7 8
‌이때, 조건 ㈏에 의하여 정의역이 [x| ÉxÉ ]일 때, 함수
3Û` 3Û`
f(x)는
1 2
f(x)=1- =
2Û` 2Û`
1 2
Ü 같은 방법으로 정의역이 [x| ÉxÉ ]일 때, 함수 f(x)는
3Ü` 3Ü`
1
f(x)=
2Ü`
7 8
정의역이 [x| ÉxÉ ]일 때, 함수 f(x)는
3Ü` 3Ü`
1 3 3
f(x)= _ =
2 2Û` 2Ü`
19 20
정의역이 [x| ÉxÉ ]일 때, 함수 f(x)는
3Ü` 3Ü`
3 5
f(x)=1- =
2Ü` 2Ü`

18 정답과 풀이
02 합성함수와 역함수 ∴ g(2)=2 또는 g(2)=5
이때, 조건 ㈎에서 g(x)는 일대일함수이고, 조건 ㈏에서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g(3)=5이므로 g(2)+5이다.
본문 26 ~ 27쪽
∴ g(2)=2
01 54 02 24 03 ② 04 ④ 05 ① 06 ② 또한 g(x)가 일대일함수이고 g(2)=2, g(3)=5이므로
07 ① 08 ② 09 ② g(5)=3 또는 g(5)=4
Ú g(5)=3일 때,
조건 ㈏의 f(g(5))=5에서 f(3)=5
01 그런데 조건 ㈏에서 f(3)=2이므로 모순이다.
x+6 (x<0) Û g(5)=4일 때,
주어진 그래프에서 f(x)=[` 이므로
6 (x¾0) 조건 ㈏의 f(g(5))=5에서 f(4)=5
f(x)+6 ( f(x)<0) Ú, Û에서 f(4)=5, g(5)=4, g(4)=3
f( f(x))=[`
6 ( f(x)¾0) ∴ f(4)+g(4)+g(5)=5+3+4=12 ②
그런데
f(x)<0이면 x<-6
f(x)¾0이면 x¾-6
이므로 04
f(x)+6 (x<-6) ( f½f½f)(51)=f( f( f(51)) yy`㉠
f( f(x))‌=[` 51을 소인수분해하면
6 (x¾-6)
(x+6)+6 (x<-6) 51=3_17
=[`  조건 ㈎에 의하여 x가 소수일 때, f(x)=1이므로
6 (x¾-6)
y
x+12 (x<-6) f(51)‌=f(3_17)=17 f(3)+3 f(17) (∵ 조건 ㈏)
=[` y={`f`©`f`}{x} 6 =17+3=20
6 (x¾-6)
따라서 함수 y=( f½f)(x)의 그래프는 즉, ㉠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그래프와 x축 및 -12 -6 O x ( f½f½f)(51)=f( f(20)) yy`㉡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f(20)‌=f(4_5)=5 f(4)+4 f(5) (∵ 조건 ㈏)
1 =5 f(2_2)+4 f(5)
_(6+12)_6=54  54
2 =5{2 f(2)+2 f(2)}+4
=5_(2+2)+4=24
02 즉, ㉡에서
함수 y=( f½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방 ( f½f½f)(51)‌=f(6_4)=4 f(6)+6 f(4) (∵ 조건 ㈏)
정식 f( f(x))=x의 실근과 같으므로 =4 f(2_3)+6 f(2_2)
f( f(a))=a (단, a는 실수) yy`㉠ =4{3 f(2)+2 f(3)}+6{2 f(2)+2 f(2)}
이때, f(a)=b라 하면 ㉠에서 f(b)=a이므로 두 점 (a, b), =4(3+2)+6(2+2)=44
(b, a)는 곡선 y=f(x) 위의 점이다. 즉, / 보충 설명 /
세 소수 l, m, n에 대하여 조건 ㈎에서
aÜ`+a+1=b yy`㉡
f(l)=f(m)=f(n)=1
bÜ`+b+1=a yy`㉢
즉, 조건 ㈏에서
㉡-㉢ 을 하면
f(lm_n)‌=nf(lm)+lmf(n)
aÜ`-bÜ`+2a-2b=0
=n{mf(l)+lf(m)}+lmf(n)
(a-b)(aÛ`+ab+bÛ`)+2(a-b)=0
=n(m+l)+lm=lm+mn+nl yy`㉠
(a-b)(aÛ`+ab+bÛ`+2)=0
∴ a=b (∵ aÛ`+ab+bÛ`+2>0) f(l_mn)‌=mnf(l)+lf(mn)
이것을 ㉡에 대입하면 =mnf(l)+l{nf(m)+mf(n)}
=mn+l(n+m)=lm+mn+nl yy`㉡
aÜ`+a+1=a, aÜ`+1=0
㉠=㉡이므로 f(lmn)의 값은 항상 일정함을 알 수 있다.  ④
(a+1)(aÛ`-a+1)=0   ∴ a=-1 (∵ a는 실수)
∴ -24a=24  24

03 05
조건 ㈐에서 { g(2)}Û`-7g(2)+10=0이므로 함수 f(x)의 역함수가 g(x)이므로
{ g(2)-2}{ g(2)-5}=0 y=f(2x-1) HjK g(y)=2x-1

Ⅱ. 함수 19
정답과 풀이

1 1 =f`-1(g -1(2)) yy`㉢


g(y)=2x-1을 x에 대하여 풀면 x= g(y)+
2 2 -1
g (2)=k라 하면 g(k)=2이므로
1 1 k-1=2   ∴ k=3   ∴ g -1(2)=3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g(x)+
2 2
즉, ㉢에서 ( f`-1½g -1½f)(1)=f`-1(3) yy`㉣
1 1
따라서 함수 f(2x-1)의 역함수는 g(x)+ 이다. f`-1(3)=l이라 하면 f(l)=3
2 2
/ 다른 풀이 / 이때, x<1에서 f(x)=x+1<2이므로 l¾1
f(x)는 일차함수이므로 f(x)=ax+b`(a, b는 상수, a+0)라 하자. 즉, f(l)=lÛ`-2l+3=3에서
y b lÛ`-2l=0, l(l-2)=0   ∴ l=2 (∵ l¾1)
y=ax+b에서 x= -
a a 따라서 ㉣에서 ( f`-1½g -1½f)(1)=2이므로
x b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 a+( f`-1½g -1½f)(1)=(-1)+2=1
a a
/ 다른 풀이 /
x b
즉, f(x)의 역함수 g(x)는 g(x)= - ( f`-1½g½f)(2)=1에서 (g½f)(2)=f(1)=2이므로
a a
한편, f(2x-1)=a(2x-1)+b=2ax-a+b이므로 (g½f)-1(2)=2
y 1 b ∴ ( f`-1½g -1½f)(1)‌=f`-1(g -1( f(1)))
y=2ax-a+b에서 x= + -
2a 2 2a =f`-1(g -1(2))
x 1 b =( f`-1½g -1)(2)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 -
2a 2 2a =(g½f)-1(2)=2 ①
따라서 함수 f(2x-1)의 역함수는
1 1 x b 1 1 1
y= + - = { - }+ = g(x)+ 
x b
①
2a 2 2a 2 a a 2 2 2 08
{ f(1), f `Û (1), f `Ü (1), y , f `ß (1)}=X={1, 2, 3, 4, 5, 6}이므
06 로 f(1)=p, f Û`(1)=q, f Ü`(1)=r, f Ý`(1)=s, f Þ`(1)=t,
( f½f )(x)=x에서 f`-1=f이므로 f(a)=b이면 f(b)=a이다. f ß`(1)=u라 하면
즉, 다음 세 가지 경우가 있다. f Û`(1)=f( f(1))=f(p)   ∴ f(p)=q
Ú f(x)=x인 경우 f Ü`(1)=f( f Û`(1))=f(q)   ∴ f(q)=r
f(1)=1, f(2)=2, f(3)=3, f(4)=4의 1개 f Ý`(1)=f( f Ü`(1))=f(r)   ∴ f(r)=s
Û f(a)=b,
‌ f(b)=a이고 나머지 두 원소의 함숫값은 자기 자신 f Þ`(1)=f( f Ý`(1))=f(s)   ∴ f(s)=t
인 경우 f ß`(1)=f( f Þ`(1))=f(t)   ∴ f(t)=u
‌집합 A의 네 원소의 함숫값 f(1), f(2), f(3), f(4)의 순서쌍 이때, 5개의 자연수 p, q, r, s, t 중 하나가 1이면 자연수 n에 대
( f(1), f(2), f(3), f(4))는 (2, 1, 3, 4), (3, 2, 1, 4), 하여 f Ç`(1)=1에서 f n+1(1)=p가 되어 서로 다른 6개의 자연수
(4, 2, 3, 1), (1, 3, 2, 4), (1, 4, 3, 2), (1, 2, 4, 3) 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의 6개 즉, u=1이고 f는 일대일대응이다.
Ü f(a)=b, f(b)=a, f(c)=d, f(d)=c인 경우 한편, 함수 g는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일대일대응이고
‌집합 A의 네 원소의 함숫값 f(1), f(2), f(3), f(4)의 순서쌍 g½f½g-1=f에서 g½f=f½g
( f(1), f(2), f(3), f(4))는 (2, 1, 4, 3), (3, 4, 1, 2), g(1)=k라 하면
(4, 3, 2, 1)의 3개 g( f(1))=f(g(1))=f(k)
Ú ~ Ü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g( f `Û (1))=f `Û (g(1))=f `Û (k)
1+6+3=10 ②     ⋮
g( f `ß (1))=f `ß (g(1))=f `ß (k)
이때, 함수 f가 일대일대응이므로 g(1)=k에서 k의 값이 결정되
07
면 함수 g가 결정된다.
( f`-1½g½f)(2)=1에서 (g½f)(2)=f(1)
따라서 함수 g의 개수는 6이다. ②
이때,
f(1)=1Û`-2_1+3=2 yy`㉠
또한 f(2)=2Û`-2_2+3=3에서 09
(g½f)(2)=g(3)=3+a yy`㉡ 함수 y=f(x)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
㉠과 ㉡이 같으므로 하여 대칭이다.
3+a=2   ∴ a=-1 따라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가 2
∴ g(x)=x-1 가 되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함수 y=(x-1)Û`+k`(x¾1)의 그래
한편, 프가 직선 y=x에 접하거나 함수 y=-(x-1)Û`+k`(x<1)의 그
( f`-1½g -1½f)(1)‌=f`-1(g -1( f(1))) 래프가 직선 y=x에 접해야 한다.

20 정답과 풀이
y y y=f{x} y=x D
y=x =aÛ`-(2aÛ`+a-6)¾0
y=f{x} 4
A y=g{x} -aÛ`-a+6¾0, aÛ`+a-6É0, (a+3)(a-2)É0
A y=g{x} ∴ -3ÉaÉ2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M=2, 최솟값은 m=-3이므로
B B
MÛ`+mÛ`=2Û`+(-3)Û`=13  13
O x O x

Ú 함수
‌ y=(x-1)Û`+k (x¾1)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접하는 02
3
경우 f(x)‌=-axÛ`+ax- a
16

=-a{x- }2`+
(x-1)Û`+k=x에서 xÛ`-3x+1+k=0 yy`㉠
1 a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 16
5 1
이때, a는 양의 실수이므로 함수 f(x)는 최댓값 f { }= 를 갖
D=9-4(1+k)=0   ∴ k= a
4 2 16
9 는다. 즉, f(x)=X라 하면
이를 ㉠에 대입하면 xÛ`-3x+ =0에서
4

{x- }2`=0   ∴ x=
a
3 3 XÉ
16
2 2
1
5 그런데 g(x)=f( f(x))=f(X)이므로 함수 g(x)가 x= 에서
또한 -(x-1)Û`+k=x에서 -(x-1)Û`+ =x 2
4
a
1 1Ñ'2 최댓값을 갖는다는 것은 함수 f(X)가 X= 에서 최댓값을 갖
xÛ`-x- =0   ∴ x= 16
4 2
는다는 것과 같다.
1-'2
x<1이므로 x= 함수 f(X)는
2
1
f(X)=-a{X- }2`+ `{XÉ }
3 1-'2 a a
‌따라서 두 교점의 x좌표가 ,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 2 16 16
2 2
리는 a
이고 f(X)가 X= 에서 최댓값을 가 y
16
3 1-'2
{ - }_'2='2+1 a y=f{X}
2 2 져야 하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16
Û ‌함수 y=-(x-1)Û`+k (x<1)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접 오른쪽 그림과 같다.
a 1 a 1
하는 경우 따라서 É 에서 0<aÉ8이므로 자 O X
16 2 16 2
Ú과 같은 방법으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2+1
연수 a의 개수는 8이다.
Ú, Û에서 구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8
'2+1  ②

03
f(x)=(x-1)(ax+2)(a+0)이므로 이차방정식 f(x)=0에서
2
x=1 또는 x=-
a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28 ~ 29쪽
즉, 사차방정식 f( f(x))=0에서
2
01 13 02 8 03 65 04 ② 05 8 06 8 f(x)=1 또는 f(x)=-
a
따라서 f( f(x))=0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려면 두 이차방정
01 2
식 f(x)=1, f(x)=- 가 각각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
a
f(x)‌=xÛ`-2ax+2aÛ`+2a-6
므로 a+-2이다.
=(x-a)Û`+aÛ`+2a-6
이때,
즉, 함수 f(x)는 x=a일 때 최솟값 aÛ`+2a-6을 가진다.
f(x)‌=(x-1)(ax+2)=axÛ`-(a-2)x-2

}2`-
이때,
a-2 (a-2)Û`
f( f(x))={ f(x)-a}Û`+aÛ`+2a-6 =a{x- -2
2a 4a
이므로 함수 f( f(x))의 최솟값이 aÛ`+2a-6이 되려면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f(x)-a=0인 실수 x가 존재해야 한다. (a-2)Û`
{
a-2
,- -2}이다.
이차방정식 f(x)-a=0, 즉 xÛ`-2ax+2aÛ`+a-6=0의 판별식 2a 4a
을 D라 하면 Ú a>0일 때

Ⅱ. 함수 21
정답과 풀이

2 04
‌- <1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 y y=f{x}
a f(x+2)+2=A라 하면 조건 ㈏에서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y=1
f( f(A))=x   ∴ f( f( f(A)))=f(x) yy`㉠
2 이때, 조건 ㈎에서 f( f( f(A)))=A이므로 ㉠에 의하여
‌이때, f(x)=- 가 서로 다른 두 실
a -
2 O 1 x
a f(x)=A   ∴ f(x+2)+2=f(x) yy`㉡
근을 가지면 방정식 f(x)=1은 반드 2
y=- a ㉡에 x=0을 대입하면 f(2)+2=f(0)
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에 x=1을 대입하면 f(3)+2=f(1)
(a-2)Û` 2
‌즉, - -2<- 이어야 하 ㉡에 x=2를 대입하면 f(4)+2=f(2)
4a a
므로 ⋮
(a-2)Û`+8a>8 ㉡에 x=n-1을 대입하면 f(n+1)+2=f(n-1)
∴ aÛ`+4a-4>0 ㉡에 x=n을 대입하면 f(n+2)+2=f(n)
‌a에 대한 이차방정식 aÛ`+4a-4=0의 두 근이 a=-2Ñ2'2 위의 식들을 변끼리 더하면
이므로 f(n+2)+f(n+1)+2(n+1)=f(0)+f(1)
aÛ`+4a-4>0의 해는 이 식에 n=2018을 대입하면
a<-2-2'2 또는 a>-2+2'2 f(2020)+f(2019)+2_2019=f(0)+f(1)
그런데 a>0이므로 a>-2+2'2 ∴ f(2020)+f(2019)‌=f(0)+f(1)-2_2019
Û a<0일 때 =2019+2018-4038 (∵ 조건 ㈐)
2 =-1
㉠ ‌- >1, 즉 -2<a<0일 때, 함 y 2
a y=- a / 다른 풀이 /
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두 조건 ㈎, ㈏에 의하여
y=1
림과 같아야 한다. f(x+2)+2=f(x)   ∴ f(x+2)=f(x)-2
2 이때, f(0)=2019이므로
이때, f(x)=- 가 서로 다른 두
a O 1
-
2 x f(2)=f(0)-2=2019-2=2017
a
실근을 가지면 f(x)=1은 반드시 y=f{x} f(4)=f(2)-2=2017-2=2015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f(6)=f(4)-2=2015-2=2013
(a-2)Û` 2 ⋮
즉, - -2>- 이어야 하므로
4a a
따라서 짝수 n에 대하여 f(n)=m이라 하면 n+m=2019를 만
aÛ`+4a-4>0 (∵ a<0)
족시킨다.
∴ a<-2-2'2 또는 a>-2+2'2
∴ f(2020)=2019-2020=-1
그런데 -2<a<0이므로 실수 a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f(1)=2018이므로
2
㉡ ‌- <1, 즉 a<-2일 때, 함수 y f(3)=f(1)-2=2018-2=2016
a
y=1 f(5)=f(3)-2=2016-2=2014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2
y=- a ⋮
과 같아야 한다.
이때, f(x)=1이 서로 다른 두 실 따라서 홀수 n에 대하여 f(n)=m이라 하면 n+m=2019를 만
O 2 1 x 족시킨다.
2 -
a
근을 가지면 f(x)=- 는 반드시
a y=f{x}
∴ f(2019)=2019-2019=0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진다. ∴ f(2020)+f(2019)=(-1)+0=-1 ②
(a-2)Û`
즉, - -2>1이어야 하므로
4a
(a-2)Û`+12a>0, aÛ`+8a+4>0
05
a에 대한 이차방정식 aÛ`+8a+4=0의 두 근이
Ú xÉ-2일 때,
a=-4Ñ2'3이므로 aÛ`+8a+4>0의 해는
f(x)=a(xÛ`+2x)+4=a(x+1)Û`+4-a
a<-4-2'3 또는 a>-4+2'3
즉, 함수 y=f(x)의 그래프의 대칭축이 직선 x=-1이므로
그런데 a<-2이므로 a<-4-2'3
xÉ-2인 범위에서
Ú, Û에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0이면 f(x)는 감소하는 함수이고
a<-4-2'3 또는 a>-2+2'2
a<0이면 f(x)는 증가하는 함수이다.
즉, a<-7.___ 또는 a>0.___이므로
a=0이면 f(x)=4이므로 f(x)는 역함수를 가질 수 없다.
양의 정수 a의 최솟값은 u=1,
Û x>-2일 때,
음의 정수 a의 최댓값은 v=-8
f(x)=a(x+2)-2x=(a-2)x+2a
∴ uÛ`+vÛ`=1Û`+(-8)Û`=65  65
즉, a+2이면 직선 y=(a-2)x+2a의 기울기는 a-2이다.

22 정답과 풀이
a=2이면 f(x)=4이므로 f(x)는 역함수를 가질 수 없다. 따라서 ( f½h)(x)=cx+1-a에서
Ú, Û에서 함수 f(x)가 역함수를 가지려면 0<a<2이므로 정수 c=1, a+1 yy`㉡
a의 값은 1이다. ㉠, ㉡에서 가능한 e의 값은 3, 4, 5, , y, 10의 8개이므로 d, e의
xÛ`+2x+4 (xÉ-2) 순서쌍 (d, e)는
따라서 f(x)=[` 이므로 함수 y=f(x)의 그
-x+2 (x>-2) (2, 3), (2, 4), y, (2, 10)
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의 8개이다.
y / 다른 풀이 /
함수 f(x)=x-a에서 y=x-a로 놓으면
x=y+a
x와 y를 서로 바꾸면 y=x+a
4
∴ f`-1(x)=x+a
2
y=f{x} 함수 h(x)=cx+1에서 y=cx+1로 놓으면
1
-2 O 2 x x= (y-1)
c
조건 ㈏에서 f -1(k)-f -1(-k)=-12이므로 1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1)
f -1(k)=p, f -1(-k)=q로 놓으면 c
1
f(p)=k, f(q)=-k이고, p-q=-12이다. ∴ h-1(x)= (x-1)
c
∴ ( f`-1½g½h-1)(x)‌=b[ (x-1)]2`+a
이때, p=q-12에서 p<q이므로 f(p)>f(q)이다.
1
즉, k>-k에서 k>0 c
또한 f(q)<0이므로 q>2 b 2b b
= xÛ`- x+ +a
Ü pÉ-2이면 cÛ` cÛ` cÛ`
f(p)=pÛ`+2p+4=k, f(q)=-q+2=-k yy`㉠ 이때, i(x)=xÛ`-dx+e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의 두 식에서 k를 소거하면 b 2b b
=1, - =-d, +a=e
cÛ` cÛ` cÛ`
pÛ`+2p+4=q-2
∴ b=cÛ`, d=2, e=1+a 8
pÛ`+2p+4=(p+12)-2 (∵ p-q=-12)
pÛ`+p-6=0, (p+3)(p-2)=0
이때, pÉ-2이므로 p=-3
또한 p=-3일 때, q=9, k=7
Ý -2<p<2이면
f(p)=-p+2=k, f(q)=-q+2=-k yy`㉡
㉡의 두 식에서 k를 소거하면
-p+2=q-2
-p+2=(p+12)-2 (∵ p-q=-12)
∴ p=-4
이는 -2<p<2에 모순이다.
Ü, Ý에서 k=7이므로
a+k=1+7=8 8

06
조건 ㈎의 i(x)=( f`-1½g½h-1)(x)에서
g(x)‌=( f½i½h)(x)={(cx+1)Û`-d(cx+1)+e}-a
=cÛ`xÛ`+(2c-cd)x-a-d+e+1
=bxÛ`
즉, cÛ`=b, 2c-cd=0, -a-d+e+1=0에서
cÛ`=b, d=2, e=a+1 yy`㉠
한편, (h ½f` )(x)=( f½h) (x)이고, 조건 ㈏에 의하여 방
-1 -1 -1

정식 ( f½h)(x)=( f½h)-1(x)의 해가 없으므로 직선


y=( f½h)(x)와 직선 y=x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직선 y=( f½h)(x)가 직선 y=x와 평행하므로 직선
y=( f½h)(x)의 기울기는 1이고 y절편이 0이 아니다.

Ⅱ. 함수 23
정답과 풀이

03 유리식과 유리함수 양변을 제곱하면


aÛ`+10a+25=26   ∴ aÛ`+10a=1
10 10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30 ~ 31쪽 ∴ f(-5+'2Œ6)=f(a)= = =10 ④
aÛ`+10a 1
01 ④ 02 ① 03 ④ 04 ③ 05 ⑤ 06 ③

07 ③ 08 ④ 09 ②
04
cx+d
y= (a+0, ad-bc+0)라 하면
01
ax+b
1 1 1 b+a 1 axy+by=cx+d
+ = 에서 =
a b a-b ab a-b -by+d
(ay-c)x=-by+d   ∴ x=
(a-b)(a+b)=ab   ∴ aÛ`-ab-bÛ`=0 ay-c
양변을 각각 bÛ`으로 나누면 -bx+d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 }2`- -1=0
ax-c
a a
b b -bx+d
∴ f -1(x)=
ax-c
a 1+'5
∴ = (∵ ab>0) cx+d -bx+d
b 2 Ú f(x)=f -1(x)이면 =
ax+b ax-c
b 2 2('5-1) '5-1
즉, = = = 이므로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고 a+0이므로 b=-c
a 1+'5 5-1 2
a b ∴ b+c=0
+ ='5 ④
b a Û b+c=0이면 f(x)=f -1(x)가 성립한다.
Ú, Û에서 f(x)=f -1(x)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③ b+c=0이다.
02
/ 다른 풀이 /
x+1, x+2, x+3이므로 cx+d
f(x) 함수 f(x)= (a+0, ad-bc+0)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a b c ax+b
= + + 의 양변에
(x-1)(x-2)(x-3) x-1 x-2 x-3 방정식은
(x-1)(x-2)(x-3)을 곱하면 b c
x=- , y=
f(x)=a(x-2)(x-3)+b(x-1)(x-3)+c(x-1)(x-2) a a
양변에 x=1, x=2, x=3을 각각 대입하면 두 함수 y=f(x)와 y=f -1(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f(1)=2a=2   ∴ a=1 서로 대칭이므로 f(x)=f -1(x), 즉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일
f(2)=-b=3   ∴ b=-3 치하려면 두 점근선의 교점이 직선 y=x 위에 있어야 한다.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가 {- , }이므로


f(3)=2c=6   ∴ c=3 b c
∴ f(x)=(x-2)(x-3)-3(x-1)(x-3)+3(x-1)(x-2) a a
∴ f(6)=12-3_15+3_20=27 b c
① - =    ∴ b+c=0 (∵ a+0) ③
a a

03
1 1 1 1
= { - }이므로 05
(x+a)(x+b) b-a x+a x+b 4x-16
f(x)= 이므로
1 1 2 1 1 3x-8
f(x)‌={ - }+ { - }
x x+1 2 x+1 x+3 4x-16
4_ -16
3 1 1 4 1 1 4f(x)-16 3x-8
 + { - }+ { - } f `Û (x)= =
3 x+3 x+6 4 x+6 x+10 3f(x)-8 4x-16
3_ -8
1 1 (x+10)-x 10 3x-8
= - = =
x x+10 x(x+10) x(x+10) 16x-64-16(3x-8)
10 3x-8 -32x+64
∴ f(-5+'2Œ6)‌= = =
(-5+'2Œ6)(5+'2Œ6) 12x-48-8(3x-8) -12x+16
10 3x-8
= =10
-25+26
8x-16
/ 다른 풀이 / =
3x-4
10 10 4x-16
f(x)= = 8_ -16
x(x+10) xÛ`+10x 8f(x)-16 3x-8
a=-5+'2Œ6으로 놓으면 f `Ü (x)=f `Û ( f(x))= =
3f(x)-4 4x-16
3_ -4
a+5='2Œ6 3x-8

24 정답과 풀이
32x-128-16(3x-8) 7
3x-8 -2
2 1
= (m의 최댓값)= =
12x-48-4(3x-8) 3-0 2
3x-8 Û n의 최솟값
-16x ‌직선 y=nx+2가 점 (2, 5)를 지날 때 n의 값은 최소이고 최
= =x
-16
솟값은 두 점 (2, 5), (0, 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으
f `Ý (x)=f `Ü ( f(x))=f(x)
므로
y

5-2 3
이때, 2019=3_673이므로 (n의 최솟값)= =
2-0 2
f 2019(40)‌=f 3_673(40)=f `Ü (40)=40 Ú, Û에서 m의 최댓값과 n의 최솟값의 합은
/ 다른 풀이 /
1 3
4x-16 + =2 ③
f(x)= 이므로 2 2
3x-8
4_40-16 144 9
f(40)= = =
3_40-8 112 7 07
9
f `Û (40)‌=f( f(40))=f { } y=
4x
=
4(x-1)+4
=
4
+4
7 x-1 x-1 x-1
9 36-16_7 4x
4_ -16 즉, 함수 y=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7 7 -76 76 x-1
= = = =
9 27-8_7 -29 29
3_ -8 x=1, y=4
7 7
4
76
f `Ü (40)‌=f `Û ( f(40))=f( f `Û (40))=f { } 점 A의 좌표를 {t, +4} y
29 t-1
A{ t, +4}
(t>1)라 할 때, 점 A에서 두 4 4
76 +4 B t-1
4_ -16 t-1 4x
29 -160 점근선 x=1, y=4에 내린 수 y=
= = =40 x-1
76 -4 선의 발을 각각 B, C라 해도 4 C
3_ -8
29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9 x
f `Ý (40)=f `Ü ( f(40))=f( f `Ü (40))=f(40)= 4 O 1 t
7 이때, B{1, +4},
t-1
y

C(t, 4)이므로
∴ f 2019(40)=f `Ü (40)=40 ⑤
4
ABÓ+ACÓ=t-1+  yy`㉠
t-1
t-1>0이므로 ㉠에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06
4
2x+1 2(x-1)+3 3 ABÓ+ACÓ‌=t-1+
y= = = +2 t-1
x-1 x-1 x-1
4
3 ¾2®É(t-1)_ =4
즉, 함수 y= +2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두 직선 x=1, y=2 t-1
x-1
4
이고, 직선 y=mx+2와 직선 y=nx+2는 m, n의 값에 관계없  {단, 등호는 t-1= 일 때 성립한다.}
t-1
이 항상 점 (0, 2)를 지난다. 따라서 ABÓ+ACÓ의 최솟값은 4이다. ③
2x+1
2ÉxÉ3에서 부등식 mx+2É Énx+2가 항상 성립하려
x-1
면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08
1
y y=nx+2 곡선 y=g(x)는 곡선 y= 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
x
y=mx+2
향으로 9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2 1
g(x)= +9
y=
3
+2
x-4
x-1
O 12 3 x 즉, 곡선 y=g(x)는 다음 그림과 같다.
-1
y 1
y= +9
x-4
Ú m의 최댓값 P
R
7
‌직선 y=mx+2가 점 {3, }을 지날 때 m의 값은 최대이고 9
2
7
최댓값은 두 점 {3, }, (0, 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
2
으므로 O 4 Q x

Ⅱ. 함수 25
정답과 풀이

1 1
이때, P{a, +9}(a>4)라 하고 직사각형 ROQP의 넓이를 △OQP= _10_10-10a=20   ∴ a=3, P(3, 7)
a-4 2
S라 하면 k
즉, f(3)= +1=7이므로 k=12
1 a 3-1
S‌=a{ +9}= +9a
a-4 a-4 12 12 7
따라서 f(x)= +1이므로 f(10)= +1=  ②
4 x-1 10-1 3
=37+9(a-4)+  yy`㉠
a-4
a>4에서 a-4>0이므로
㉠에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4
S‌¾37+2®É9(a-4)_
a-4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32 ~ 33쪽
14
=37+2'3Œ6=49 {단, 등호는 a= 일 때 성립한다.}
3 01 4 02 11 03 13 04 6 05 8 06 24
따라서 직사각형 ROQP의 넓이의 최솟값은 49이다. ④

01
09 1 xÛ`+1
a=x+ = 이므로
두 점 P, Q의 좌표를 각각 (xÁ, yÁ), (xª, yª)라 하면 x x
yÁ=-xÁ+10, yª=-xª+10에서 (xÛ`+1)Û` 1 xÛ`
aÛ`=    ∴ =  yy`㉠
yª-yÁ=xÁ-xª yy`㉠ xÛ` aÛ` (xÛ`+1)Û`
x+1 x-1 (x+1)Û`+(x-1)Û` 2(xÛ`+1)
또한 두 점 P, Q는 곡선 y=
k b= + = = 이므로
+1 위의 점이므로 x-1 x+1 (x-1)(x+1) xÛ`-1
x-1
4(xÛ`+1)Û` 1 (xÛ`-1)Û`
k k bÛ`=    ∴ =  yy`㉡
yÁ= +1, yª= +1에서 (xÛ`-1)Û` bÛ` 4(xÛ`+1)Û`
xÁ-1 xª-1
㉠+㉡을 하면
k k
yª-yÁ‌= - 1 1 xÛ` (xÛ`-1)Û`
xª-1 xÁ-1 + ‌= +
k(xÁ-xª) aÛ` bÛ` (xÛ`+1)Û` 4(xÛ`+1)Û`
=  yy`㉡ 4xÛ`+(xÛ`-1)Û` 4xÛ`+xÝ`-2xÛ`+1
(xª-1)(xÁ-1) = =
k(xÁ-xª) 4(xÛ`+1)Û` 4(xÛ`+1)Û`
즉, ㉠=㉡에서 xÁ-xª= 이므로 xÝ`+2xÛ`+1 (xÛ ` +1)Û ` 1
(xª-1)(xÁ-1) = = =
k=(xª-1)(xÁ-1) 4(xÛ`+1)Û` 4(xÛ`+1)Û` 4
1
한편, 원점에서 직선 y=-x+10까지의 거리는 ∴ =4
1 1
|-10| +
=5'2이므로 삼각형 OQP의 넓이는 aÛ` bÛ`
'Ä1+1 / 다른 풀이 /
1 1 x+1 x-1
_5'2_'2|xª-xÁ|=20, 5|xª-xÁ|=20 a=x+ , b= + 에서 x를 소거하여 a, b 사이의 관
2 x x-1 x+1
∴ |xª-xÁ|=4 yy`㉢ 계식을 구할 수도 있다.
또한 곡선 y=f(x)와 직선 y=-x+10이 각각 직선 y=x에 대 x+1 x-1 (x+1)Û`+(x-1)Û` 2xÛ`+2
b= + = = 에서
하여 대칭이므로 두 점 P, Q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x-1 x+1 xÛ`-1 xÛ`-1
즉, yÁ=xª, yª=xÁ에서 b(xÛ`-1)=2(xÛ`+1)
xÁ+xª=10 yy`㉣ 양변을 각각 x로 나누면
1 1 1
㉣Û`-㉢Û`을 하면 4xÁ xª=84   ∴ xÁ xª=21 b{x- }‌=2{x+ }=2a {∵ a=x+ }
따라서 k=(xª-1)(xÁ-1)=xÁxª-(xÁ+xª)+1=12이므로 x x x
1 2a
f(x)=
12
+1
∴ x- =  yy`㉠
x-1 x b
12 7 1
㉠과 x+ =a를 변끼리 더하면
∴ f(10)= +1= x
10-1 3
2a
/ 다른 풀이 / 2x=a+  yy`㉡
b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10 y y=f{x}
1
이 각각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과 x+ =a를 변끼리 빼면
10
P{a,`b}
x
점 P, Q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2 2a
즉, P(a, b)라 하면 Q(b, a) =a-  yy`㉢
x b
Q{b,`a}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10 ㉡과 ㉢을 변끼리 곱하면
O x
1 y=-x+10 4aÛ` 4aÛ` 4aÛ`
2_{ _10_a}=10a이므로 4=aÛ`- , =aÛ`-4   ∴ bÛ`=
2 bÛ` bÛ` aÛ`-4

26 정답과 풀이
1 1 1
∴ = 점 BÁ¼과 점 AÁÁ의 x좌표는 같고 f(4)=- 이므로
1 1 1 aÛ`-4 3
+ +
aÛ` bÛ` aÛ` 4aÛ` 1
AÁÁ{4, - }
1 1 3
= =
4+aÛ`-4 1 두 점 AÁÁ, BÁÁ의 y좌표는 같고 점 BÁÁ은 직선 y=x 위의 점이므로
4aÛ` 4
1 1
=4 4 BÁÁ{- , - }
3 3
같은 방법으로 계속 하면
1 3 3 3 3
02 AÁª{- , }, BÁª{ , }, AÁ£{ , 4}, BÁ£(4, 4)
3 4 4 4 4
1
점 AÁ의 좌표를 {a, } (0<a<1)이라 하면 두 점 AÁ, BÁ의 따라서 점 Aª¼과 점 AÁÁ은 일치하므로
1-a
1
y좌표는 같고 점 BÁ은 직선 y=x 위의 점이므로 Aª¼{4, - }  11
3
1 1
BÁ{ , }
1-a 1-a
두 점 Aª, BÁ의 x좌표는 같고
03
1 1 1-a
f{ }=
a-1
= = 이므로 조건 ㈎에서 f(13)=13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1-a 1 (1-a)-1 a
1-
1-a `f(13)-1 13-1 6
f(13+3)= = =
1 `f(13)+1 13+1 7
}, Bª{ }
a-1 a-1 a-1
Aª{ , ,
1-a a a a 6
∴ f(16)=
또한 두 점 A£, Bª의 x좌표는 같고 7
1 같은 방법으로
f{ }=
a-1 a
= =a이므로
a
1-
a-1 a-(a-1) 6
`f(16)-1 -1
a 7 1
f(19)= = =-
`f(16)+1 6 13
A£{
a-1
, a}, B£(a, a) +1
a 7
1
`f(19)-1 - 13 -1
y 1
y= y=x 7
1-x f(22)= = =-
`f(19)+1 - 1 +1 6
13

B¡ 7
`f(22)-1 - 6 -1
f(25)= = =13
`f(22)+1 - 7 +1

x
6

B™ O `f(25)-1 13-1 6
f(28)= = =
A™ `f(25)+1 13+1 7
y

즉, 음이 아닌 정수 k에 대하여
f(13+12k)=13,
따라서 두 점 AÁ, B£의 x좌표가 같으므로 자연수 n에 대하여 6
f(13+12k+3)= ,
1 7
AÁ, A¢, A¦, y, A3n-2, y의 좌표는 {a, }
1-a 1
f(13+12k+6)=- ,
1 13
Aª, A°, A¥, y, A3n-1, y의 좌표는 { }
a-1
,
1-a a 7
f(13+12k+9)=-
6
A£, A¤, A», y, A3n, y의 좌표는 {
a-1
, a}
a 이때, 2020=13+12_167+3이므로
3 3
이때, 점 AÁ¼의 좌표가 { , 4}이므로 a= f(2020)=
6
4 4 7
1 1
따라서 점 Aª¼의 좌표는 { }, 즉 {4, - }이다.
a-1 따라서 m=6, n=7이므로
,
1-a a 3
m+n=13  13
1
즉, p=4, q=- 이므로
3
3(p+q)=11
/ 다른 풀이 / 04
3 3
AÁ¼{ , 4}와 BÁ¼의 y좌표는 같고 점 BÁ¼은 직선 y=x 위의 점이 a>'3이므로 좌표평면 위에 함수 y= 의 그래프와 세 점 A, B,
4 x
므로 BÁ¼(4, 4) C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Ⅱ. 함수 27
정답과 풀이

y 3 1 2 2
y= 한편, 다음 그림과 같이 곡선 y= 과 직선 y=- (x-k)+
x x kÛ` k
B
가 만나는 두 점의 x좌표를 각각 a, b`(a<b)라 하자.
y 2
y=
x
A 1
y=
x
A
O x
C
{
P k,
2
k }
S{k} B

O = > x

3 3 3 1 2 2
이때, A{a, }이므로 B{ , a}, C{-a, - }이고 이때, 곡선 y= 과 직선 y=- (x-k)+ 의 교점의 x좌표는
x kÛ` k
a a a
OAÓ=OBÓ=OCÓ이므로 ∠ABC=90ù이다. 2 2 1
- (x-k)+ = , -2(x-k)x+2kx=kÛ`
ABÓ‌=®É{a- }2`+{ -a}2`
kÛ` k x
3 3
a a ∴ 2xÛ`-4kx+kÛ`=0
3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a- } (∵ a>'3)
a kÛ`

BCÓ‌=®É{ +a}2`+{a+ }2`


a+b=2k, ab=
3 3 2
a a ∴ b-a‌ ="Ã(a+b)Û`-4ab
3 ="Ã4kÛ`-2kÛ`='2k (∵ k>0)
='2 {a+ }
a 삼각형 OAB의 넓이 S(k)는
즉,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1 1 1 1 1 1 1
S(k)‌= _a_ + (b-a){ + }- _b_
1 2 a 2 a b 2 b
S‌= _ABÓ_BCÓ
2 (b+a)(b-a)
=
1 3 3 2ab
= _'2 {a- }_'2 {a+ } 
2 a a 2k_'2k
=
9 kÛ`
=aÛ`-
aÛ` =2'2
9 9 1 1
aÛ`- = 에서 2aÝ`-9aÛ`-18=0
aÛ` 2 ∴ S{ }_S{ }=2'2_2'2=8 8
2 3
(2aÛ`+3)(aÛ`-6)=0
∴ aÛ`=6 (∵ aÛ`>0) 6
06
1
함수 y= |4x|-1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
|4x-1| 2
05 동하면
2 2
곡선 y= 위의 점 P{k, }(k>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a라 1
|4{x+ }|-1
x k 2
y=
1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4{x+ }-1|
2
2
y=a(x-k)+ |4x+2|-1
k ∴ g(x)=
|4x+1|
2 2
이때, 곡선 y= 와 직선 y=a(x-k)+ 의 교점의 x좌표는 1
x k Ú x>- 일 때, 4x+1>0, 4x+2>0이므로
4
2 2
a(x-k)+ = , ak(x-k)x+2x=2k 4x+2-1
k x g(x)= =1
4x+1
∴ akxÛ`+(-akÛ`+2)x-2k=0
1 1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Û - Éx<- 일 때, 4x+1<0, 4x+2¾0이므로
2 4
D=(-akÛ`+2)Û`+8akÛ`=0 4x+2-1
g(x)= =-1
aÛ`kÝ`-4akÛ`+4+8akÛ`=0 -(4x+1)
(akÛ`+2)Û`=0, akÛ`+2=0 1
Ü x<- 일 때, 4x+1<0, 4x+2<0이므로
2 2
∴ a=- -(4x+2)-1 4x+3
kÛ` 2
g(x)= = = +1
2 2 -(4x+1) 4x+1 4x+1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 (x-k)+ 이다. 즉,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kÛ` k

28 정답과 풀이
04 무리식과 무리함수
Πy

1
 A -1 B
2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34 ~ 35쪽
O
1 x 01 ① 02 ④ 03 ② 04 ③ 05 ② 06 ⑤
-
4
y=g{x} -1 07 ① 08 ② 09 9

y=mx
함수 y=g(x)의 그래프와 직선 y=mx가 접할 때의 접점을 A라 01
1
하고 B{- , 1}이라 하면 직선 y=mx가 함수 y=g(x)의 그래 '¶225<'¶240<'¶256에서 15<'¶240<16
4 즉, A의 소수 부분은
프와 만나지 않기 위해서는 직선 y=mx가 그림의 Ú과 Û 사이
x=17+'¶240-32='¶240-15
에 있거나 Ú이 되어야 한다.
x+15='¶240에서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1
Ú 직선 y=mx가 점 B{- , 1}을 지날 때 xÛ`+30x+225=240
4
∴ xÛ`+30x=15
1
1=- m   ∴ m=-4
4 x+15+"Ã30x+xÛ` '¶240+'1Œ5
∴ ‌=
4x+3 x+15-"Ã30x+xÛ` '¶240-'1Œ5
Û 점 A의 x좌표는 =mx에서
4x+1 ('¶240+'1Œ5)Û`
=
4mxÛ`+mx=4x+3 ('¶240-'1Œ5)('¶240+'1Œ5)
4mxÛ`+(m-4)x-3=0 255+2'1Œ5'¶240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25
D=(m-4)Û`+48m=0 375 5
= =  ①
225 3
mÛ`+40m+16=0   ∴ m=-20+'¶384`(∵ m>-4)
Ú, Û에서 직선 y=mx와 함수 y=g(x)의 그래프가 만나지 않
도록 하는 m의 값의 범위는
-4Ém<-20+'¶384
이때, 19Û`=361이므로 -1<-20+'¶384<0
따라서 정수 m의 값은 -4, -3, -2, -1이므로 그 곱은 02
(-4)_(-3)_(-2)_(-1)=24  24 f(x)="Ãax+b에서 f(2)=3이므로
"Ã2a+b=3   ∴ 2a+b=9  yy`㉠
g(x)는 f(x)의 역함수이므로 g(2)=3이면 f(3)=2이다. 즉,
"Ã3a+b=2   ∴ 3a+b=4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5, b=19
∴ a+b=(-5)+19=14 ④

03
곡선 y=2'Äx+5-2는 곡선 y=2'x를 x축의 방향으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곡선 y='Äa-2x+3,
즉 y=®É-2 {x- }+3은 곡선 y='Ä-2x 를 x축의 방향으로
a
2
a
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
이때, 두 곡선이 만나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곡선 y='Äa-2x+3
5
의 점 { , 3}이 곡선 y=2'Äx+5-2 위의 점 { , 3}과 일치하거
a
2 4
5
나 점 { , 3}보다 오른쪽에 있어야 한다.
4

Ⅱ. 함수 29
정답과 풀이

y 05
y=Âa-˛2x˛+3 함수 f(x)='Äx-2+1에서 y='Äx-2+1로 놓으면
y=2Âx+˛5˛-2 y-1='Äx-2, yÛ`-2y+1=x-2
x=yÛ`-2y+3   ∴ x=(y-1)Û`+2
3
x와 y를 서로 바꾸면 y=(x-1)Û`+2
-5 ∴ f -1(x)=(x-1)Û`+2 (x¾1)
O 5 a x
4 2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y=f -1(x)의 그래프를 x축의 방
-2
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곡선이므로
a 5 5 g(x)=(x-2)Û`+1 (x¾2)
즉, ¾ 이므로 a¾
2 4 2
이때, 두 점 P, Q의 x좌표는 방정식 'Äx-2+1=(x-2)Û`+1의
5
따라서 a의 최솟값은 이다. 두 실근이므로
2
/ 보충 설명 / x-2=(x-2)Ý`
y=2'Äx+5-2에 y=3을 대입하면 (x-2){(x-2)Ü`-1}=0
5 (x-2)(x-3){(x-2)Û`+(x-2)+1}=0
2'Äx+5-2=3, 'Äx+5 =
2 (x-2)(x-3)(xÛ`-3x+3)=0
25 5 ∴ x=2 또는 x=3 (∵ x는 실수)
양변을 제곱하면 x+5=    ∴ x=  ②
4 4
따라서 두 점 P, Q는 (2, 1), (3, 2)이므로
PQÓ="Ã(3-2)Û`+(2-1)Û`='2
/ 보충 설명 /
04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을 평행이동하는 방법으로 해
ㄱ. ‌함수 y=f(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으므로 함수 f(x)는
결할 수 없음에 주의한다. ②
일대일대응이다. (참)
y y=f{x}

O a x 06
4
n
ㄴ. a=4일 때, =m으로 놓으면 직선 y=mx+5는 m의 값에 관계없이 점
12
f(x)='Ä4x-4+2="Ã4(x-1)+2 (0, 5)를 지나는 직선이다.
f(x)=t로 놓으면 t¾2이고 직선 y=mx+5와 곡선 y='Ä3x+9="Ã3(x+3)을 좌표평면 위
( f½f)(x)=f(t)='Ä4t-4+2 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즉, ( f½f)(x)는 t=2일 때 최솟값을 갖고 최솟값은 4이다. y y=mx+5
 (참)
y=Â3xÊ+˛9˛
ㄷ. 방정식 f(x)=f -1(x)의 실근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 5

선 y=x의 교점의 x좌표이다.


f(x)=x에서 'Ä4x-a+2=x
3
-3
4x-a=(x-2)Û`
O x
∴ xÛ`-8x+4+a=0
즉, 이 이차방정식의 근이 방정식 f(x)=f -1(x)의 근이고 이 그런데 A;B= 이므로 두 도형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즉, 방정식 'Ä3x+9=mx+5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므로 'Ä3x+9=mx+5에서 3x+9=(mx+5)Û`
D mÛ`xÛ`+10mx+25-3x-9=0
=(-4)Û`-(4+a)>0   ∴ a<12 mÛ`xÛ`+(10m-3)x+16=0
4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또한 점 { , 2}가 직선 y=x의 아래쪽에 있어야 하므로
a
4 D=(10m-3)Û`-64mÛ`<0
a 12mÛ`-20m+3<0, (6m-1)(2m-3)<0
¾2에서 a¾8
4
1 3
∴ 8Éa<12 ∴ <m<
6 2
‌따라서 방정식 f(x)=f -1(x)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도록 1 n 3
즉, < < 이므로 2<n<18
하는 정수 a는 8, 9, 10, 11의 4개이다. (거짓) 6 12 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따라서 정수 n은 3, 4, 5, y, 17의 15개이다. ⑤

30 정답과 풀이
07 1 1
y='¶2x=®É2_ =1   ∴ P{ , 1}
1 1 2 2
함수 f(x)= xÛ`+k에서 y= xÛ`+k로 놓으면
4 4 점 P와 직선 OA, 즉 직선 x-y=0 사이의 거리는
xÛ`=4y-4k   ∴ x=2'Äy-k 1
| -1| '2
x와 y를 서로 바꾸면 y=2'Äx-k 2
=
∴ f -1(x)=2'Äx-k (x¾k) "Ã1Û`+(-1)Û` 4

x¾k일 때, y=(g½h)(x)=2'Äx-k이므로 두 함수 f(x)와 따라서 삼각형 OAP의 넓이의 최댓값은


( g½h)(x)는 서로 역함수의 관계에 있다. 1 '2 1
_2'2_ =
2 4 2
함수 f(x)의 정의역은 {x|x¾0}이므로 곡선 y=f(x)와 곡선
/ 다른 풀이 /
y=(g½h)(x)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곡선
함수 y='¶2x의 그래프 위의 점 P의 좌표를 (a, '¶2a)`(0<a<2)
y=f(x)와 직선 y=x가 x¾0인 범위에서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로 놓으면 삼각형 OAP의 높이는
만나야 한다.
|'¶2a-a|
1
f(x)=x에서 xÛ`+k=x   ∴ xÛ`-4x+4k=0 '2
4
즉, 삼각형의 넓이를 S라 하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 |'¶2a-a|
S= _2'2_ =|'¶2a-a|
D
=(-2)Û`-4k>0   ∴ k<1 yy`㉠ 2 '2
4
이때, 'a=t로 놓으면 0<a<2에서 0<t<'2이고 '¶2a-a>0
두 근이 모두 음수가 아니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이므로

S='2t-tÛ`=-{t- }2`+
'2
관계에 의하여
1
4k¾0   ∴ k¾0 yy`㉡ 2 2
㉠, ㉡에서 0Ék<1이므로 a=0, b=1 '2 1
따라서 t= 일 때, 즉 a= 일 때, 삼각형 OAP의 넓이의 최댓
∴ a+b=1 ① 2 2
1
값은 이다. ②
2
08
점 A(2, 2)에 대하여 삼각형 OAP의 밑변을 OAÓ로 정하면 OAÓ
의 길이는 2'2 이고, 높이는 점 P에서 직선 OA까지의 거리와 같 09
다. 삼각형 OAP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점 P는 직선 OA로부터 y‌=2"Ãx+|x-a|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2"Ãx+(x-a) (x¾a)
=[`
y 2"Ãx-(x-a) (x<a)
y=Â2xÊ 2'Ä2x-a (x¾a)
A =[`
2 2'a (x<a)
P
이때, 함수 y=2"Ãx+|x-a| (a>0)의 그래프와 직선
x 1
O 2 y= x+3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2
즉, 직선 OA와 평행하고 곡선 y='¶2x에 접하는 직선이 곡선과 1
y= x+3
y 2
만나는 점이 P가 되어야 한다.
이때, 직선 OA의 기울기가 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을
y=x+m`(m은 상수)이라 하면 곡선 y='¶2x와 직선 y=x+m
의 접점의 x좌표는 방정식 '¶2x=x+m의 실근이다. y=2´x+¨ù|¨x¨+¨a¨|¨
'¶2x=x+m에서 2x=xÛ`+2mx+mÛ`
O a = > x
∴ xÛ`+2(m-1)x+mÛ`=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
Ú 직선 y=2'a와 직선 y= x+3의 교점의 x좌표는
D 2
=(m-1)Û`-mÛ`=0
4 1
2'a= x+3에서 x=4'a-6
1 2
-2m+1=0   ∴ m=
2 1
Û ‌곡선 y=2'Ä2x-a와 직선 y= x+3의 두 교점의 x좌표를 a,
1 2
방정식 xÛ`+2(m-1)x+mÛ`=0, 즉 xÛ`-x+ =0에서
4 1

{x- }2`=0   ∴ x=
b라 하면 a, b는 방정식 2'Ä2x-a= x+3의 두 근이다.
1 1 2
2 2 1
양변을 제곱하면 4(2x-a)= xÛ`+3x+9
1 4
즉, 접점의 x좌표가 이므로 y좌표는
2 16(2x-a)=xÛ`+12x+36

Ⅱ. 함수 31
정답과 풀이

∴ xÛ`-20x+36+16a=0 a+"ÃaÛ`-xÛ`
=  yy`㉡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
a+b=20 이때, x=2'Äa-1의 양변을 제곱하면
Ú, Û에서 세 교점의 x좌표의 합이 20이므로 xÛ`=4(a-1), xÛ`=4a-4
3 9 ∴ aÛ`-xÛ`=aÛ`-4a+4=(a-2)Û`
20+(4'a-6)=20, 'a=    ∴ a=
2 4 이를 ㉡에 대입하면
∴ 4a=9 9 a+"ÃaÛ`-xÛ` a+|a-2|
=
x 2'Äa-1
Úa ¾2일 때,
a+|a-2| a-1
‌= ='Äa-1
2'Äa-1 'Äa-1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36 ~ 37쪽 x
= (∵ x=2'Äa-1)
2
01 22 02 147 03 16 04 4 05 10 06 152 x 1
즉, ㉠에서 =x- 이므로
2 x
x 1
- =0, xÛ`-2=0   ∴ x=Ñ'2
01 2 x
(a+2'n)Ü`‌=aÜ`+6aÛ`'n+12na+8n'n 이때, x=2'Äa-1이고 a¾2이므로 x¾2이다.
=(aÜ`+12na)+(6aÛ`+8n)'n 따라서 x=Ñ'2는 실근 k가 될 수 없다.
=b+206'n Û 1<a<2일 때,
이때, n이 소수이므로 'n은 무리수이다. a+|a-2| 1
‌=
즉,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2'Äa-1 'Äa-1
b=aÜ`+12na, 6aÛ`+8n=206 2
= (∵ x=2'Äa-1)
x
6aÛ`+8n=206에서 3aÛ`=103-4n
2 1
자연수 a에 대하여 3aÛ`>0 즉, ㉠에서 =x- 이므로
x x
103 3
즉, 103-4n>0에서 n< =25.75 x- =0, xÛ`-3=0   ∴ x=Ñ'3
4 x
n은 소수이므로 이때, x=2'Äa-1이고 1<a<2이므로 0<x<2이다.
n=2, 3, 5, 7, 11, 13, 17, 19, 23 ∴ x='3
그런데 103-4n은 3의 배수이어야 하고, 103=3_34+1은 3으 Ú, Û에서 ㉠의 실근은 x='3이므로
로 나눈 나머지가 1인 수이므로 4n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인 수 k='3
이어야 한다. 또한 x=2'Äa-1에서 '3=2'Äa-1
즉, n의 값은 7, 13, 19 중 하나이다. 7
3=4(a-1)   ∴ a=
Ú n=7일 때, 4
∴ (4ak)Û`={4_ _'3}2`=(7'3)Û`=147
3aÛ`=103-28=75에서 aÛ`=25이므로 a=5 7
 147
4
b=5Ü`+12_7_5=545   ∴ a+b=550
Û n=13일 때,
3aÛ`=103-52=51에서 aÛ`=17이므로 a는 자연수가 아니다.
Ü n=19일 때, 03
3aÛ`=103-76=27에서 aÛ`=9이므로 a=3 함수 f(x)='Äx-1+'Ä5-x에 대하여 f(x)가 정의되기 위해서는
b=3Ü`+12_19_3=711   ∴ a+b=714 1ÉxÉ5이어야 한다.
Ú`~`Ü에서 a+b의 값은 a=3, n=19일 때 최대이므로 함수 f(x)에 대하여 f(x)¾0이므로
a+n=22  22 { f(x)}Û`‌=x-1+2'Äx-1'Ä5-x+5-x
=4+2"Ã-xÛ`+6x-5 yy`㉠
이때, g(x)=-xÛ`+6x-5라 하면
02
'Äa+x+'Äa-x g(x)=-(x-3)Û`+4
1
=x-  yy`㉠
'Äa+x-'Äa-x x 1ÉxÉ5에서 g(x)의 최댓값은 g(3)=4, 최솟값은
㉠의 좌변에서 g(1)=g(5)=0이므로
'Äa+x+'Äa-x ('Äa+x+'Äa-x)Û` 0Ég(x)É4, 0É"Ãg(x)É2, 0É2"Ãg(x)É4
‌=
'Äa+x-'Äa-x ('Äa+x-'Äa-x)('Äa+x+'Äa-x) ∴ 4É4+2"Ãg(x)É8
a+x+2'Äa+x'Äa-x+a-x 즉, ㉠에서 4É{ f(x)}Û`É8이므로
=
(a+x)-(a-x) 2Éf(x)É2'2 (∵ f(x)¾0)

32 정답과 풀이
따라서 M=2'2, m=2이므로 y 1
y=´2{¨x¨-¨a¨}¨+ a
l 2
1
MÛ`m=(2'2)Û`_2=16  16 y= x
2
1
A y=´2{¨x¨+¨a¨}¨- a
2

04 B
'§a 1 { a, a2 }
직선 OA의 기울기는 = 이므로 직선 OA의 방정식은
a '§a O x

1
y= x
'§a
{-a, - a2 }
1
두 점 {a, }, {-a, - }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는
a a
곡선 y=2'§x와 직선 y= x의 교점의 x좌표는
'§a 2 2
1
-{- }
a a
2'§x= x, x=2'¶ax, xÛ`-4ax=0
'§a 2 2
= =
a 1
x(x-4a)=0   ∴ x=0 또는 x=4a a-(-a) 2a 2
∴ B(4a, 4'§a ) 1
즉, 직선 l의 방정식을 y= x+k (k는 상수)로 놓을 수 있고 직
2
직선 OA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a이므로 직선 AD의 방
선 l은 곡선 y='¶2x에도 동시에 접한다.
정식은
이때, 직선 l과 곡선 y='¶2x의 접점의 x좌표는 방정식
y=-'a(x-a)+'§a
1
y=0일 때, x=a+1이므로 D(a+1, 0) '¶2x= x+k의 실근이다.
2
또한 직선 BC의 방정식은
1
y=-'§a(x-4a)+4'§a '¶2x= x+k에서
2
y=0일 때, x=4a+4이므로 C(4a+4, 0) 1
2x= xÛ`+kx+kÛ`, 8x=xÛ`+4kx+4kÛ`
따라서 사다리꼴 ADCB의 넓이 S(a)는 4
S(a)‌=△OCB-△ODA ∴ xÛ`+4(k-2)x+4kÛ`=0
1 1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중근을 가지므로
= _(4a+4)_4'§a- _(a+1)_'§a
2 2 D
=4(k-2)Û`-4kÛ`=0, -16k+16=0   ∴ k=1
1 4
=8(a+1)'§a- (a+1)'§a
2 1
따라서 직선 l의 방정식은 y= x+1이다.
15 2
= (a+1)'§a
2 원점 O에서 직선 l, 즉 x-2y+2=0까지의 거리를 d라 하면
15 |2| 2
즉, S(2a)= (2a+1)'¶2a이므로 d= =
2 "Ã1Û`+(-2)Û` '5
9'2
또한 두 접점 A, B 사이의 거리는 두 점 {a, }, {-a, - } 사
S(2a)= S(a)에서 a a
5 2 2
15 9'2 15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2a+1)'¶2a= _ (a+1)'§a
2 5 2
ABÓ="Ã(2a)Û`+aÛ`='5 a
9
2a+1= (a+1), 10a+5=9a+9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 S(a)는
5
4
1 2
∴ a=4 S(a)= _'5 a_ =a
2 '5
이때, S(2a)=S(a)+10에서
2a=a+10   ∴ a=10
05 / 보충 설명 /
1 점 B는 점 A를 x축의 방향으로 -2a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
곡선 y="Ã2(x-a)+ a는 곡선 y='¶2x 를 x축의 방향으로 a만
2 큼 평행이동한 점이다.  10
1
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
1
또한 곡선 y="Ã2(x+a)- a는 곡선 y='¶2x 를 x축의 방향으로 06
2
1 ABÓ=8, BCÓ=6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 CAÓ=10
따라서 주어진 두 곡선 및 곡선 y='¶2x는 모두 평행이동에 의하여 즉, 직각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가 6, 8, 10이므로 내접원의 반지름

서로 겹칠 수 있으므로 직선 l은 두 점 {a, }, {-a, - }를 잇


a a 의 길이를 r라 하면
2 2 1 1
(6+8+10)r= _6_8
는 직선과 평행하다. 2 2

Ⅱ. 함수 33
정답과 풀이

∴ r=2 개념 확장 & 수리논술·창의사고력 문제 본문 38쪽


점 B를 원점으로 하고 두 직선 BC, BA를 각각 x축, y축의 양의
방향으로 하는 좌표평면에 삼각형 ABC를 놓으면
곡선 y='Äx-a+'a는 곡선 y='x를 x축의 방향으로 a만
A(0, 8), C(6, 0)
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때, a가
내접원의 중심의 좌표는 (2, 2)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a¾0인 실수이고, 점 A(a, 'a)가 함수 y='x의 그래프
(x-2)Û`+(y-2)Û`=4
위의 점이므로 곡선 y='Äx-a+'a는 다음 그림과 같다.
원 위의 점 P(x, y)에 대하여 y
(y-2)Û`=4-(x-2)Û`, y-2="Ã4-(x-2)Û``(∵ y¾2) y=Âx-˛a˛+Âa°

∴ y=2+"Ã4-(x-2)Û`
즉, 점 P의 좌표가 (x, 2+"Ã4x-xÛ`)이므로
y=Âx°
PAÓ Û`=xÛ`+(2+"Ã4x-xÛ`-8)Û` M{k}
Âa°
PBÓ Û`=xÛ`+(2+"Ã4x-xÛ`)Û`
Û
PCÓ `=(x-6)Û `+(2+"Ã4x-xÛ`)Û`
O a k x
∴ f(x)‌=xÛ`+("Ã4x-xÛ`-6)Û`+xÛ`+(2+"Ã4x-xÛ`)Û`
즉, a¾0인 a에 대하여 곡선 y='Äx-a+'a가 그려지고
 +(x-6)Û`+(2+"Ã4x-xÛ`)Û`
각 곡선에 대하여 x=k일 때의 y의 값이 존재한다.
=-4"Ã4x-xÛ`+80 yy`㉠
그런데 각 곡선은 모두 곡선 y='x와 같은 모양이므로
한편, f(x)가 정의되어야 하므로
x=k일 때의 y의 값은 a=k인 경우에 최소이고, 그 최솟
4x-xÛ`¾0에서 0ÉxÉ4
값은 'k이다. 또한 x=k일 때의 y의 최댓값은 M(k)이다.
g(x)=4x-xÛ`이라 하면
이때, M(k)의 값이 존재하려면 y='Äk-a+'a를 만족시
g(x)=4x-xÛ`=-(x-2)Û`+4
키는 a¾0인 a가 존재해야 한다.
즉, 0ÉxÉ4에서 g(x)의 최댓값은 g(2)=4이고 최솟값은
y='Äk-a+'a에서 y-'a='Äk-a
g(0)=g(4)=0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yÛ`-2y'a+a=k-a
0Ég(x)É4
2a-2y'a+yÛ`-k=0 yy`㉠
0É"Ãg(x)É2, -8É-4"Ãg(x)É0
a¾0이므로 'a¾0이다. 즉, 'a에 대한 방정식 ㉠의 양의
∴ 72É-4"Ãg(x)+80É80
실근이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에서 72Éf(x)É80이므로 함수 f(x)의 치역은
'a=t라 하면 t¾0이고 ㉠은
{y|72ÉyÉ80}
2tÛ`-2yt+yÛ`-k=0 yy`㉡
∴ a+b=72+80=152
/ 다른 풀이 / t에 대한 이 이차방정식이 양의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점 B를 원점으로 하고 직선 BC, 직선 BA를 각각 x축, y축의 양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의 방향으로 하는 좌표평면에 주어진 도형을 놓으면 D
=yÛ`-2(yÛ`-k)¾0
4
A(0, 8), B(0, 0), C(6, 0)
yÛ`É2k   ∴ yÉ'¶2k
또한 직각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 중심
또한 ㉡의 두 근의 합이 y¾0이므로 yÉ'¶2k이면 ㉡은 반
의 좌표는 (2, 2)이므로 원의 방정식은
드시 양의 실근을 갖는다.
(x-2)Û`+(y-2)Û`=4  yy`㉠
따라서 x=k일 때의 y의 최댓값은 '¶2k이므로
이때, 원 위의 점 P가 x축에 평행한 지름의 위쪽 반원 위를 움직이
M(k)='¶2k
므로 P(x, y)에 대하여
이상에서 M(k)=10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은
0ÉxÉ4, 2ÉyÉ4
'¶2k=10   ∴ k=50
∴ f(x)‌=PAÓ Û`+PBÓ Û`+PCÓ Û`
={xÛ`+(y-8)Û`}+(xÛ`+yÛ`)+{(x-6)Û`+yÛ`}
=3xÛ`-12x+3yÛ`-16y+100
=3(x-2)Û`+3yÛ`-16y+88
=3{4-(y-2)Û`}+3yÛ`-16y+88 (∵ ㉠)
=-3yÛ`+12y+3yÛ`-16y+88
=-4y+88
그런데 2ÉyÉ4이므로 -16É-4yÉ-8
즉, 72É-4y+88É80이므로
72Éf(x)É80  152

34 정답과 풀이
Ⅲ. 경우의 수 / 다른 풀이 /
N의 약수의 개수는
01 경우의 수 (a+1)(b+1)(c+1)=36=2Û`_3Û` yy`㉠
이때, a+1=A, b+1=B, c+1=C라 하면 A, B, C는 2 이상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40 ~ 41쪽
의 자연수이고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 b, c의 순서쌍의 개수는
01 ④ 02 ① 03 ① 04 ① 05 ④ 06 ④ A, B, C의 순서쌍의 개수와 같다.
Ú 2Û`_3Û`=2_2_9일 때,
07 ① 08 ④ 09 4
(A, B, C)=(2, 2, 9), (2, 9, 2), (9, 2, 2)
Û 2Û`_3Û`=2_3_6일 때,
01 (A, B, C)=‌(2, 3, 6), (2, 6, 3), (3, 2, 6), (3, 6, 2),
여섯 개의 숫자 1, 2, 3, 4, 5, 6을 중복 사용하여 네 자리 자연수 (6, 2, 3), (6, 3, 2)
의 앞의 세 자리 aÁ aª a£을 만든 후 aÁ aª a£ a¢가 3의 배수가 되도록 Ü 2Û`_3Û`=3_3_4일 때,
a¢의 숫자를 결정하면 된다. (A, B, C)=(3, 3, 4), (3, 4, 3), (4, 3, 3)
네 자리 자연수의 앞의 세 자리 aÁaªa£을 만드는 경우의 수는 Ú ~ Ü에서 A, B, C의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6_6_6=216 3+6+3=12이므로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12이다.
Ú aÁ+aª+a£=3k`(k는 자연수)이면  ①
a¢=3 또는 6
Û aÁ+aª+a£=3k+1`(k는 자연수)이면 03
a¢=2 또는 5 (a+b)c의 값이 짝수가 되려면 a+b와 c 중 적어도 하나가 짝수
Ü aÁ+aª+a£=3k+2`(k는 자연수)이면 이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모든 경우의 수에서
a¢=1 또는 4 a+b, c가 모두 홀수인 경우의 수를 뺀 것과 같다.
Ú ~ Ü에서 216가지의 aÁ aª a£에 대하여 a¢는 각각 2가지씩 있으 세 번의 시행을 통하여 만들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므로 구하는 네 자리 3의 배수의 개수는 7_7_7=343
216_2=432 ④ (a+b)c가 홀수인 경우의 수는
Ú a가 짝수, b가 홀수, c가 홀수일 때, 3_4_4=48
02 Û a가 홀수, b가 짝수, c가 홀수일 때, 4_3_4=48
N=2Œ`_3º`_5`의 약수의 개수가 36이므로 Ú, Û에서 48+48=96
(a+1)(b+1)(c+1)=36 따라서 (a+b)c의 값이 짝수인 경우의 수는
a+1=A, b+1=B, c+1=C라 하면 A, B, C는 2 이상의 자 343-96=247 ①
연수이다.
먼저 A가 될 수 있는 수는 2 이상인 36의 약수이므로 04
A=2, 3, 4, 6, 9, 12, 18, 36 조건 ㈎에서 함수 f는 역함수를 가지므로 일대일대응이다.
A=2일 때, BC=18이므로 순서쌍 (B, C)의 개수는 18의 약수 또한 조건 ㈏에서 임의의 x에 대하여 f( f(x))+x이므로
의 개수에서 B와 C가 각각 1인 경우를 제외한다. f(a)=a를 만족시키는 경우와 f(a)=b, f(b)=a를 동시에 만족
18=2_3Û`이므로 순서쌍 (B, C)의 개수는 시키는 경우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1+1)_(2+1)-2=4 Ú f(1)=1인 경우,
이와 같은 방법으로 A의 값에 따라 순서쌍 (B, C)의 개수를 구해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없다.
보면 다음 표와 같다. Û f(1)=2인 경우,
x : 1 2 3 4
A의 값 BC의 값 (B, C)의 개수
3 - 4 - 1
2 18 4 f(x) : 2
4 - 1 - 3
3 12 4
Ü f(1)=3인 경우,
4 9 1
x : 1 2 3 4
6 6 2
1 - 4 - 2
9 4 1 f(x) : 3
4 - 2 - 1
12 3 0 Ý f(1)=4인 경우,
18 2 0 x : 1 2 3 4
36 1 0 1 - 2 - 3
f(x) : 4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3 - 1 - 2
4+4+1+2+1=12이므로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12이다. Ú ~ Ý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6이다.

Ⅲ. 경우의 수 35
정답과 풀이

/ 보충 설명 / a의 값을 ㉠에 대입하면 1ÉbÉ1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f(x))=x이면 함수 f와 그 역함수 f`-1가 즉, ㉡을 만족시키는 b는 없다.
일치해야 한다. Û a=2일 때,
즉, f(a)=a이거나 f(a)=b, f`-1(a)=b에서 f(a)=b, a의 값을 ㉠에 대입하면 b<4
f(b)=a이어야 한다. ① ∴ b=1, 2, 3
즉,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3이다.
05 Ü a=3일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1열의 각 줄의 자리에 앉는 학 1열 2열 a의 값을 ㉠에 대입하면 b<9
생을 차례로 aÁ, aª, a£이라 하고 2열의 각 줄의 자 a£ b£ ∴ b=1, 2, y, 8
리에 앉는 학생을 차례로 bÁ, bª, b£이라 하자. a™ b™ 즉,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8이다.
Ú 같은
‌ 줄에 있는 ai, bi가 함께 같은 줄로 옮기는 a¡ b¡ Ý a=4, 5, y, 10일 때,
경우, b=1, 2, y, 10
‌aÁ, bÁ이 두 번째 줄로 옮기면 aª, bª는 세 번째 줄, a£, b£은 첫 즉,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7_10=70
번째 줄로 옮겨야 한다. Ú ~ Ý에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또한 aÁ, bÁ이 세 번째 줄로 옮기면 aª, bª는 첫 번째 줄, a£, b£ 3+8+70=81 ④
은 두 번째 줄로 옮겨야 한다.
‌각 경우마다 ai, bi가 각각 1열과 2열의 자리를 바꿀 수 있으므
로 같은 줄에 앉아 있는 학생 2명이 함께 같은 줄로 옮기는 경 07
우의 수는 xÜ`+yÜ`+zÜ`-3xyz-27=0에서
2_2_2_2=16 xÜ`+yÜ`+zÜ`-3xyz=27
Û 같은 줄에 있는 ai, bi가 서로 다른 줄로 옮기는 경우, (x+y+z)(xÛ`+yÛ`+zÛ`-xy-yz-zx)=27
‌aÁ, bÁ은 첫 번째 줄에 있을 수 없으므로 두 번째 줄과 세 번째 1
(x+y+z)_ {(x-y)Û`+(y-z)Û`+(z-x)Û`}=27
2
줄로 흩어져야 한다.
∴ (x+y+z){(x-y)Û`+(y-z)Û`+(z-x)Û`}=54
‌우선, 여섯 명의 학생이 모두 앉아 있던 열 안 1열 2열
x, y, z가 자연수이므로 x+y+z¾3
에서 줄만 옮기는 경우에 대해 생각해 보자. a¡ b™ 따라서 x+y+z와 (x-y)Û`+(y-z)Û`+(z-x)Û`의 값으로 가능
aÁ, bÁ이 해당 열 안에서 줄을 옮겨 aÁ이 1열의 a£ b¡ 한 경우를 다음 표와 같이 나눌 수 있다.
세 번째 줄, bÁ이 2열의 두 번째 줄로 옮기는 경 a™ b£
우를 생각하면 aª, bª, a£, b£의 자리는 오른쪽 x+y+z (x-y)Û`+(y-z)Û`+(z-x)Û`
그림과 같이 오직 한 가지로 결정된다. 3 18 Ú
‌이때, 자리를 열까지 바꿀 수 있다고 하면 aÁ이 옮길 수 있는 자 6 9 Û
리는 4가지이고 그 각각에 대하여 bÁ은 aÁ과 줄이 다른 자리로
9 6 Ü
옮기면 되므로 aÁ, bÁ의 자리를 정하는 방법의 수는
18 3 Ý
4_2=8
27 2 Þ
‌이 각각에 대하여 aª, bª끼리, a£, b£끼리 자리를 바꿀 수 있으
54 1 ß
므로 같은 줄에 앉아 있는 학생 2명이 서로 다른 줄로 옮기는
경우의 수는 세 자연수 x, y, z의 크기 순서를 x¾y¾z라 놓고 풀어도 일반성
8_2_2=32 을 잃지 않는다.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또한 x+y+z, (x-y)Û`+(y-z)Û`+(z-x)Û`의 값 중 더 작은 값
16+32=48 ④ 을 이용하여 x, y, z의 값을 찾는다.
Ú x+y+z=3을 만족시키는 x, y, z의 순서쌍 (x, y, z)는
06 (1, 1, 1)뿐이다. (∵ x, y, z는 자연수)
방정식 xÛ`-2ax+b=0이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가져야 하므 ∴ (x-y)Û`+(y-z)Û`+(z-x)Û`=0
로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x+y+z=3, (x-y)Û`+(y-z)Û`+(z-x)Û`=18을 동시
D 에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
=aÛ`-b>0   ∴ aÛ`>b yy`㉠
4 Û x+y+z=6을 만족시키는 x, y, z의 순서쌍 (x, y, z)는
a, b는 10 이하의 두 자연수이므로 방정식 xÛ`-2ax+b=0의 (4, 1, 1), (3, 2, 1), (2, 2, 2)
(두 근의 합)>0, (두 근의 곱)>0 ∴ (x-y)Û`+(y-z)Û`+(z-x)Û`=18 또는 6 또는 0
즉, ㉠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즉, x+y+z=6, (x-y)Û`+(y-z)Û`+(z-x)Û`=9를 동시에
1ÉaÉ10, 1ÉbÉ10 yy`㉡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
Ú a=1일 때, Ü (x-y)Û`+(y-z)Û`+(z-x)Û`=6이면

36 정답과 풀이
x-y=1, y-z=1, z-x=-2 칠하면 되므로 B와 C에 칠한 색이 각각 G, H와 E, F에 인접
이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x, y, z는 존재하고 하지 않도록 칠하면 된다.
x+y+z=9이므로 즉, 같은 색을 칠하는 영역끼리 묶으면
x=4, y=3, z=2 (B, G), (C, E), (H, F) 또는 (B, H), (C, F), (E, G)
‌x, y, z의 크기 순서를 바꿀 수 있으므로 순서쌍 (x, y, z)의 의 2가지이다.
개수는 3_2_1=6
E E
Ý (x-y)Û`+(y-z)Û`+(z-x)Û`=3이면
A B A B
x-y=1, y-z=1, z-x=-1 H F H F
이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 C D C D

Þ (x-y)Û`+(y-z)Û`+(z-x)Û`=2이면 G G
x-y=1, y-z=0, z-x=-1
(B, C)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2가지이다.
‌이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x, y, z는 존재하고 x+y+z=27이
∴ 48_2=96
29 26 26
므로 x= , y= , z= Ü A, B, C, D를 2가지 색을 사용하여 칠하는 경우,
3 3 3
‌즉, x+y+z=27, (x-y)Û`+(y-z)Û`+(z-x)Û`=2를 동시 ‌(A, D), (B, C)가 되도록 칠해야 하므로 색을 정하는 방법의
에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 수는
ß (x-y)Û`+(y-z)Û`+(z-x)Û`=1이면 4_3=12
x-y=0, y-z=0, z-x=-1 ‌각 경우에 대하여 남은 두 색깔이 인접하지 않도록 E, F, G,
이를 만족시키는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 H를 칠하면 된다.
Ú ~ ß에서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 z)의 개 E E
수는 6이다.
A B A B
/ 보충 설명 /
H F H F
x-y, y-z, z-x의 값에 대하여 만족시키는 x, y, z의 값의 존 C D C D
재 여부는 세 식을 변끼리 더하여 0이 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판 G G
단할 수 있다. ①
‌ (E, G), ( H, F)가 되도록 칠해야 하므로 색을 정하는 방
즉,
법의 수는
08 2_1=2
색이 같은 두 개의 영역을 순서쌍으로 표시하고 다음과 같이 경우 ∴ 12_2=24
를 나누어 생각하자. Ú ~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Ú A, B, C, D를 4가지 색을 사용하여 칠하는 경우, 48+96+24=168 ④
A, B, C, D를 색칠하는 방법의 수는
4_3_2_1=24 09
‌E, F, G, H 중에서 A와 같은 색을 칠할 수 있는 영역은 G, F APÓ=m의 값의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경우를 나누어 생각할
뿐이므로 같은 색을 칠하는 영역끼리 묶으면 수 있다.
(A, F)일 때, (B, G), (C, E), (D, H) Ú 0Ém<1인 경우, A
D
(A, G)일 때, (B, H), (C, F), (D, E) ‌선분 PM 또는 선분 PO를 반드시 1
P
1
거치는 경로가 최단 경로이다. B C O
E E
‌점 A에서 각 교차점까지 가는 최단
E 1
A B A B H
H F H F
경로의 수를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M 1 N2
C D C D 같다.
F1 4
‌즉, 점 A에서 점 G까지 가는 최단 G
G G
경로의 수는 4이므로
‌ A, B, C, D를 칠하는 각 경우에 대하여 E, F, G, H를 색
즉,
f(m)=4
칠하는 방법의 수는 2가지이다.
Û m=1인 경우, A
D
∴ 24_2=48 1
‌점 A에서 각 교차점까지 가는 최단
Û A, B, C, D를 3가지 색을 사용하여 칠하는 경우, 1 1 C
경로의 수를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B 2 O
‌A, B, C, D를 색칠하는 방법의 수는 A와 D가 같은 색인 경 P 2
같다.
우와 B와 C가 같은 색인 경우가 있으므로 2
E1 6 3
H
‌즉, 점 A에서 점 G까지 가는 최단 M N
(4_3_2)_2=48
경로의 수는 12이므로
‌(A, D)인 경우,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색은 인접하지만 않게 F3
G12

Ⅲ. 경우의 수 37
정답과 풀이

f(m)=12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Ü 1<mÉ2인 경우, A 1
D (x-90)(y-91)=2Û`_7_13_23 yy`㉠
‌선분 PM 또는 선분 PO를 거치는 이때, x, y는 양의 정수이므로
1 C
경로는 최단 경로가 될 수 없다. B 2
1
O x-90>-90, y-91>-91  yy`㉡
P
‌점 A에서 각 교차점까지 가는 최단 또한 ㉠에서 x-90, y-91은 2Û`_7_13_23의 약수이고
E1 2
H
경로의 수를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M 1 N 4 2Û`_7_13_23‌=(-1)_(-2Û`_7_13_23)
같다. =(-2)_(-2_7_13_23)
F2 8
‌즉, 점 A에서 점 G까지 가는 최단 G =(-4)_(-7_13_23)
경로의 수는 8이므로

y
f(m)=8 =(-91)_(-92)
Ú ~ Ü에서 구하는 f(m)의 최솟값은 4이다.

y
/ 보충 설명 / 이므로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음의 정수 x-90, y-91은 존
Ú, Ü에서 최단 경로가 되도록 지나갈 수 있는 선과 교차점만 남 재하지 않는다.
기면 다음 그림과 같다. 즉, 두 정수 x-90, y-91은 2Û`_7_13_23의 양의 약수이다.
Ú A Ü A
D 이때, 2Û`_7_13_23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P
(2+1)_(1+1)_(1+1)_(1+1)=24
O B C O
C 따라서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의 개수는 24이다.  ①
P

M E H M E H
N N
03
F F 함수 g½f, 즉 g( f(x))가 정의되려면 f(x)의 치역은
G G
 4 X={1, 2, 3}의 부분집합이어야 한다.
이때, g(x)가 일차함수로 일대일대응이므로 g( f(x))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2가 되려면 f(x)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2이어야
한다.
그런데 a=0이면 f(x)가 일차함수 또는 상수함수가 되어 f(x)의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42쪽
치역의 원소의 개수는 3 또는 1이다.
01 8 02 ① 03 ③ 따라서 f(x)는 반드시 이차함수이어야 한다.
Ú f(1)=f(2)+f(3)일 때, y y=f{x}
‌예를 들어, f(1)=f(2)=1, f(3)=2이
01 면 세 점 (1, 1), (2, 1), (3, 2)를 지나 2
가장 짧은 변을 기준으로 합동이 아닌 삼각 A 1
B J 는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유일
형을 찾으면 다음과 같다. 하게 결정되므로 a, b, c의 값도 유일하 O 1 2 3 x
Ú ‌ABÓ가 가장 짧은 한 변일 때, C I
게 결정된다.
나머지 한 꼭짓점은 C, D, E, F로 4가지 H 즉, f(1), f(3)의 값이 결정되면 a, b, c의 값이 오직 하나 결
D
Û ‌ACÓ가 가장 짧은 한 변일 때, 정되므로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f(1), f(3)의 값을 정하
E G
나머지 한 꼭짓점은 E, F, G로 3가지 F 는 방법의 수와 같다.
Ü ADÓ가 가장 짧은 한 변일 때, ∴ 3_2=6
나머지 한 꼭짓점은 G로 1가지 Û f(1)=f(3)+f(2)일 때,
Ú ~ Ü에서 구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Ú과 같은 방법으로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4+3+1=8 8
3_2=6
Ü f(2)=f(3)+f(1)일 때,
02 Ú과 같은 방법으로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1 1 1 1 3_2=6
+ + = 에서
x+1 y (x+1)y 91
Ú ~ Ü에서 함수 g½f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2가 되도록 하는
91y+91(x+1)+91=(x+1)y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xy-91x-90y=182
6+6+6=18 ③
(x-90)(y-91)-8190=182
∴ (x-90)(y-91)=8372
이때, 8372를 소인수분해하면
8372=2Û`_7_13_23

38 정답과 풀이
02 순열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16+36=252 ⑤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43 ~ 44쪽

01 ③ 02 ⑤ 03 3360 04 176 05 ⑤ 06 ③ 03
07 8 08 ④ 09 ④ 주어진 문자에서 모음과 자음은 각각 4개씩 있다.
X는 5개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이므로 홀수 번째 자리는
1번째, 3번째, 5번째 자리로 3개가 있다.
01 f(X)¾2인 경우, 즉 홀수 번째 자리에 모음이 2개 이상인 경우는
Ú첫 ‌ 번째 자리의 알파벳을 정했을 때, 나머지 4개의 알파벳을 일 f(X)=2 또는 f(X)=3인 경우이다.
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즉, 구하는 경우의 수는 8개의 알파벳 중에서 5개를 택해 일렬로
4!=24 나열하여 문자열을 만들 때, 홀수 번째 자리에 모음이 2개 또는 3
이때, 24+24+24=72이고, sgb  y는 79번째 문자열이므로 개 나열된 문자열의 개수와 같다.
s는 주어진 알파벳 중에서 4번째 알파벳이다. Ú f(X)=2인 경우,
따라서  는 s보다 알파벳 순서가 빠르다. ‌모음이 1번째, 3번째 자리 또는 1번째, 5번째 자리 또는 3번째,
Û첫 ‌ 번째와 두 번째 자리의 알파벳을 정했을 때, 나머지 3개의 5번째 자리에 들어가는 경우이다.
알파벳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1번째, 3번째 자리에 모음이 들어가는 경우의 수는 ¢Pª=12
3!=6 5번째 자리에 자음이 들어가는 경우의 수는 ¢PÁ=4
‌이때, b는 g보다 알파벳 순서가 빠르고 sb로 시작하는 마지막 ‌나머지 두 자리에 남은 5개의 알파벳 중에서 2개를 택하여 나
문자열의 순서는 72+6=78(번째)이므로 sgb  y는 sg로 시 열하는 경우의 수는 °Pª=20
작하는 첫 번째 문자열이다. ‌1번째, 5번째 자리 또는 3번째, 5번째 자리에 모음이 들어가는
‌따라서 주어진 5개의 알파벳 중에서 g는 2번째 알파벳이고 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f(X)=2인 경우의 수는
는 g보다 알파벳 순서가 뒤에 있다. (12_4_20)_3=2880
Ú, Û에서  는 주어진 5개의 알파벳 중 3번째 알파벳이다. Û f(X)=3인 경우,
즉,  는 g와 s 사이에 있는 알파벳이므로 가능한 알파벳은 모음이 1번째, 3번째, 5번째 자리에 들어가는 경우이다.
h, i, j, k, l, m, n, o, p, q, r의 11개이다. ③ 1번째, 3번째, 5번째 자리에 모음이 들어가는 경우의 수는
¢P£=24
02 ‌나머지 두 자리에 남은 5개의 알파벳 중에서 2개를 택하여 나
여섯 개의 숫자 중 5개를 선택하면 짝수는 2개 또는 3개가 선택된 열하는 경우의 수는 °Pª=20
다. 즉, f(X)=3인 경우의 수는
Ú 짝수를 2개 선택한 경우, 24_20=480
‌2개의 짝수가 서로 이웃하지 않도록 배열하려면 3개의 홀수를 Ú, Û에서 f(X)¾2인 경우의 수는
일렬로 나열한 후, 3개의 짝수 중 2개를 선택하여 홀수의 사이 2880+480=3360  3360
사이와 양 끝의 4자리 중 2자리를 택하여 나열하면 된다.
3개의 홀수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3!=6
2개의 짝수를 선택하는 경우는 04
2와 4, 4와 6, 2와 6의 3가지 자녀 중 한 명이 부모 두 명과 같이 앉으면 남은 자녀 한 명은 부모
‌홀수의 사이사이와 양 끝의 4자리 중 2자리를 택하여 뽑은 짝 와 이웃하여 앉을 수 없다. 즉, 부모 한 명이 자녀 한 명씩과 이웃
수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Pª=12 하여 앉거나 부모 중 한 명이 자녀 두 명과 모두 이웃하여 앉아야
따라서 2개의 짝수가 서로 이웃하지 않는 경우의 수는 한다.
6_3_12=216 Ú 부모 한 명이 자녀 한 명씩과 이웃하여 앉는 경우,
Û 짝수를 3개 선택한 경우, ‌부모와 자녀가 짝을 짓는 경우는 아버지와 아들, 어머니와 딸
‌3개의 짝수가 이웃하지 않도록 배열하려면 3개의 짝수를 일렬 또는 아버지와 딸, 어머니와 아들의 2가지가 가능하다.
로 나열한 후, 그 사이사이에 3개의 홀수 중 2개를 선택하여 나 ‌부모와 자녀가 한 명씩 짝지어 앉을 때, 이웃하여 앉을 수 있는
열하면 된다. 경우는 다음 그림과 같이 4가지가 존재한다.
3개의 짝수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3!=6 2열 2명
‌그 사이사이에 3개의 홀수 중 2개를 선택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1열 1열
수는 £Pª=6
따라서 3개의 짝수가 이웃하지 않는 경우의 수는 2열 2명

6_6=36 1열 1열

Ⅲ. 경우의 수 39
정답과 풀이

‌
어느 한 쌍이 이 중 하나로 앉을 때, 나머지 한 쌍은 열이 다른 자리는 7번 자리로 결정되고 남은 학생들은
경우 두 가지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여 남 여 남 여 남
‌즉,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두 쌍이 앉을 위치를 고르는 경우 순으로 교대로 앉으면 되므로
의 수는 3!_3!=36
4_2=8 ㉢ ‌A조 남학생이 2번, 3번, 4번, 5번, 6번, 7번 자리 중 하나에
각 경우에 대하여 부모와 자녀의 자리를 서로 바꾸는 경우의 수는 앉는 경우:A조 여학생이 A조 남학생의 좌우에 앉을 수 있
2!_2!=4 으므로 A조 여학생의 자리를 정하는 경우가 2가지씩이고,
‌즉, 부모 한 명이 자녀 한 명씩과 이웃하여 앉을 때, 이들 네 명 남은 학생들은 남녀 교대로 앉으면 되므로
이 자리를 잡는 경우의 수는 6_2_3!_3!=432
2_8_4=64 ㉠ ~ ㉢에서 A조 남학생과 여학생이 이웃하는 경우의 수는
‌남은 두 자리에 이들 가족이 아닌 승객 2명이 앉으면 되므로 이 36+36+432=504
경우의 수는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4_2!=128 1152-504=648 ⑤
Û 부모 중 한 명이 자녀 두 명과 모두 이웃하여 앉는 경우,
‌아버지와 아들과 딸 또는 어머니와 아들과 딸이 함께 앉는 2가
지가 가능하다.
이때, 이들 3명이 앉을 열을 정하는 방법의 수는 2 06
‌정한 열에서 부모 중 한 명의 자리는 두 자녀의 가운데로 고정 오른쪽 그림과 같이 1회전의 두 경기를 우승
되므로 아들과 딸이 자리를 바꾸는 방법의 수는 각각 ㉠, ㉡이라 하자.
2!=2 Ú ㉠,
‌ ㉡ 모두 같은 소속팀 선수의 경기
‌즉, 부모 중 한 명이 자녀 두 명과 이웃하여 앉을 때, 이들 세 일 때,
명이 자리를 잡는 경우의 수는 ‌A, B, C 세 팀 중 두 팀을 ㉠, ㉡에
1 2 3 4 5 6
2_2_2=8 한 팀씩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 ㉡
‌남은 열에 부모 중 한 명과 이들 가족이 아닌 승객 2명이 앉으 £Pª=6
면 되므로 이 경우의 수는 ‌㉠에 배정된 선수들끼리, ㉡에 배정된 선수들끼리 자리를 바꾸
8_3!=48 는 경우의 수는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_2!=4
128+48=176  176 남은 두 자리에 나머지 한 팀의 두 선수를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2!=2
즉, ㉠, ㉡ 모두 같은 소속팀 선수의 경기인 경우의 수는
6_4_2=48
05 Û ㉠, ㉡ 중 하나만 같은 소속팀 선수의 경기일 때,
구하는 경우의 수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교대로 앉는 경우의 수에서 ‌㉠이 같은 소속팀 선수의 경기일 때, A, B, C 세 팀 중 한 팀
A조 남학생과 여학생이 이웃하는 경우의 수를 빼면 된다. 을 ㉠에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PÁ=3
8명의 학생이 앉는 자리를 1번 ~ 8번이라 하자. ㉠에 배정된 선수들끼리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1 2 3 4 5 6 7 8 2!=2
남은 네 자리에 나머지 네 명의 선수를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Ú 남학생과 여학생이 교대로 앉는 경우, 4!=24
‌남학생들이 1번, 3번, 5번, 7번 자리에 앉고 여학생들이 2번, 4 ‌이때, Ú의 경우가 함께 세어졌으므로 ㉠만 같은 소속팀 선수
번, 6번, 8번 자리에 앉거나, 남학생들이 2번, 4번, 6번, 8번 의 경기인 경우의 수는
자리에 앉고 여학생들이 1번, 3번, 5번, 7번 자리에 앉으면 되 3_2_24-48=96
므로 이 경우의 수는 ‌㉡만 같은 소속팀 선수의 경기인 경우의 수도 이와 같으므로 96
2_(4!_4!)=1152 즉, ㉠, ㉡ 중 하나만 같은 소속팀 선수의 경기인 경우의 수는
Û A조 남학생과 여학생이 이웃하는 경우, 96+96=192
㉠ ‌A조 남학생이 1번 자리에 앉는 경우:A조 여학생이 앉는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자리는 2번 자리로 결정되고 남은 학생들은 48+192=240
   남 여 남 여 남 여 / 다른 풀이 1 /
순으로 교대로 앉으면 되므로 모든 경우의 수에서 1회전에서 모두 서로 다른 팀의 선수들끼리 경
3!_3!=36 기하는 경우를 제외하여 구할 수도 있다.
㉡ ‌A조 남학생이 8번 자리에 앉는 경우:A조 여학생이 앉는 6명의 선수를 배정하는 모든 경우의 수는

40 정답과 풀이
6!=720 07
Ú ㉠그룹과
‌ ㉡그룹에 각각 서로 다른 세 우승 함수 f `:`X`1Ú`X가 조건 ㈎를 만족시키므로 f 는 일대일대응이
팀의 선수가 한 명씩 배정되어 서로 다.
다른 팀의 선수와 경기하는 경우, 이때, 조건 ㈏에서 a+b+c=12가 되는 a, b, c의 경우는
‌각 팀에서 ㉠그룹으로 경기할 선수를 (1, 3, 8), (2, 4, 6), (1, 2, 9)이므로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A={1, 3, 8}, B={2, 4, 6}, C={1, 2, 9}라 할 때,
1 2 3 4 5 6
2_2_2=8 조건 ㈏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집합 A, B, C를 함수 f에 의하여
㉠ ㉡
‌㉠그룹에 선수를 배정하면 ㉡그룹에 집합 A, B, C로 대응시켜야 한다.
배정할 선수는 자동으로 결정된다. Ú 집합 C를 집합 A와 대응시키는 경우
㉠그룹과 ㉡그룹의 세 자리에 선수를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집합 C에 원소 1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3!_3!=36 ‌집합 A가 집합 A로 가는 경우와 집합 A가 집합 C로 가는 경
‌따라서 ㉠그룹과 ㉡그룹에 각각 서로 다른 세 팀의 선수가 한 우로 나눌 수 있다.
명씩 배정되어 서로 다른 팀의 선수와 경기하는 경우의 수는 ① ‌집합 A와 집합 A를 대응시키는 경우
8_36=288 집합 C가 이미 집합 A와 대응되어 있으므로
Û ㉠그룹과
‌ ㉡그룹에 각각 2팀이 배정되어 서로 다른 팀의 선수 함수 f가 일대일대응임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와 경기하는 경우, ② ‌집합 A와 집합 C를 대응시키는 경우
‌㉠그룹에 두 선수 모두 배정된 한 팀을 택하고, 남은 4명 중 한 집합 C에 원소 2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집합 B가 집합 A와
명을 택하여 ㉠그룹에 배정하면 나머지 3명은 자동으로 ㉡그룹 대응이 되어야 하고 집합 C가 이미 집합 A와 대응되어 있
에 배정되게 된다. 으므로 함수 f가 일대일대응임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그룹에 두 선수 모두 배정된 한 팀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3 Û 집합 C를 집합 B와 대응시키는 경우
‌이 팀의 선수 2명을 1, 2 또는 1, 3 자리에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위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가 존재하지
2_2=4 않는다.
남은 선수 4명 중 1명을 ㉠그룹에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4 Ü 집합 C를 집합 C와 대응시키는 경우
‌㉠그룹에 1명이 배정된 팀의 다른 1명을 4번 또는 5번에 배정 ① ‌f(9)=1 또는 2인 경우
하는 경우의 수는 2 f(9)=1 또는 2이므로 f(1)=9 또는 f(2)=9이다.
‌나머지 한 팀을 ㉡그룹의 남은 자리에 배정하되 서로 자리를 바 f(1)=9인 경우에는 집합 A, B를 다시 집합 A, B로 보내
꿀 수 있으므로 경우의 수는 는 조건도 만족시켜야 하므로 f(1)+f(3)+f(8)=12를 만
2!=2 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그룹과 ㉡그룹에 각각 2팀이 배정되어 서로 다른 팀 f(2)=9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의 선수와 경기하는 경우의 수는 즉, f(9)=9를 만족시켜야 한다.
3_4_4_2_2=192 ② ‌f(9)=9인 경우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 2를 1, 2로 일대일대응시키는 경우는 다음의 두 가지가
720-288-192=240 있다.
/ 다른 풀이 2 / ㉠ ‌f(1)=1, f(2)=2인 경우
Ú세 ‌ 팀 중 한 팀을 택하여 ㉠그룹의 2, 3에 배정하고 남은 자리 1, 3, 8에서 f(1)=1이므로 3, 8을 집합 A에서 3, 8로
에 나머지 4명을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일대일대응시키고, 2, 4, 6에서 f(2)=2이므로 4, 6을
3_4!=72 집합 B에서 4, 6으로 일대일대응시키면 된다.
2, 3의 자리를 바꿀 수 있으므로 이 경우의 수는 ∴ 2_2=4
72_2=144 ㉡ ‌f(1)=2, f(2)=1인 경우
Û ‌세 팀 중 한 팀을 택하여 ㉡그룹의 4, 5에 배정하고 남은 자리 1, 3, 8에서 f(1)=2이므로 3, 8을 집합 B에서 4, 6으로
에 나머지 4명을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일대일대응시키고, 2, 4, 6에서 f(2)=1이므로 4, 6을
3_4!=72 집합 A에서 3, 8로 일대일대응시키면 된다.
4, 5의 자리를 바꿀 수 있으므로 이 경우의 수는 ∴ 2_2=4
72_2=144 Ú ~ Ü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4+4=8 8
Ü ‌세 팀 중 두 팀을 택하여 ㉠그룹의 2, 3, ㉡그룹의 4, 5에 배정
한 후, 각 팀 선수끼리 자리를 바꾸는 경우를 생각하면
£Pª_2!_2!_2!=48 08
Ú, Û의 경우에서 중복되는 Ü의 경우를 빼면 되므로 구하는 경 f( f(x))가 9의 배수이면 f(x)의 각 자릿수의 합이 9의 배수이므
우의 수는 로 f(x)도 9의 배수이다. 즉, 각 자릿수의 합이 9의 배수가 되는
144+144-48=240 ③ 자연수 x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Ⅲ. 경우의 수 41
정답과 풀이

이때, 일곱 개의 수가 0, 1, 2, 3, 4, 5, 6이므로 각 자릿수의 합의 ab, ab, c를 일렬로 나열하여 만든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다.
최댓값은 3+4+5+6=18이다. 그런데 a, b를 구분하여 aÁ, aª, bÁ, bª, c로 생각하면
따라서 각 자릿수의 합이 9의 배수가 되는 경우는 9 또는 18인 경 aÁbÁ, aª, bª, c로 만든 문자열 aÁbÁaªbªc와 문자열 aªbªaÁbÁc는
우이다. 같은 것이다.
Ú 각 자릿수의 합이 9인 경우, ab, ab, c를 일렬로 나열하여 만든 문자열에는 위와 같은 경우가
0, 1, 2, 3, 4, 5, 6에서 4개의 숫자의 합이 9인 경우는 중복되어 세어졌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ab, a, b, c를 일렬로
(0, 1, 2, 6), (0, 1, 3, 5), (0, 2, 3, 4) 나열하여 만든 문자열의 개수에서 ab, ab, c를 일렬로 나열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만들 수 있는 자연수 x의 개수는 만든 문자열의 개수를 한 번 뺀 것과 같다.
4!=24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각 자릿수의 합이 9인 자연수 x의 개수는 4!-3=24-3=21 ④
3_24=72
Û 각 자릿수의 합이 18인 경우,
0, 1, 2, 3, 4, 5, 6에서 4개의 숫자의 합이 18인 경우는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45 ~ 46쪽
(3, 4, 5, 6)
따라서 각 자릿수의 합이 18인 자연수 x의 개수는 01 ③ 02 ① 03 ④ 04 2352 05 336 06 ①
4!=24
Ú, Û에서 f( f(x))가 9의 배수가 되는 자연수 x의 개수는
01
72+24=96 ④
두 밑면을 1, 8, 옆면을 2, 3, 4, 5, 6, 7이라 하고, 4가지 색을 A,
B, C, D라 하자.
09
Ú 1과 8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하는 경우,
a와 b가 각각 2개씩 있으므로 ab가 1번 나타나는 경우와 2번 나
‌1과 8을 4가지 색 중에서 2가지 색으로 칠하는 경우의 수는
타나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하자.
¢Pª=12
Ú ab가 1번만 나타나는 경우,
2 ~ 7을 남은 2가지 색으로 칠하는 경우의 수는 2
‌ab를 한 묶음으로 생각하고 더 이상 a와 b가 이웃하지 않도록
따라서 두 밑면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하는 경우의 수는
나열한다.
12_2=24
㉠ a b` ` `
Û 1과 8을 같은 색으로 칠하는 경우,
㉡ `a b` `
‌1과 8을 A색으로, 2를 B색으로, 3을 C색으로 칠했을 때, 7은
㉢ ` `a b`
B색으로 칠할 수 없으므로 4 ~ 7을 칠하는 경우는 다음 수형도
㉣ ` ` `a b`
와 같다.
‌㉠, ㉣의 경우, 나머지 3칸에서 a와 b가 이웃하지 않도록 나열
1 2 3 4 5 6 7 8
하는 경우의 수는 a, b, c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에서
C)
ab, c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를 뺀 것과 같으므로 B
C D|
3!-2!=4
D-C |
‌㉡, ㉢의 경우, 나머지 3칸에서 a와 b가 이웃하지 않도록 나열 B C|
하는 경우의 수는 a, b, c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에서 연 B
D
속된 두 칸에 ab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를 뺀 것과 같으므로 D |
C-D
3!-1=5
A - B- C }A
C -D |
따라서 ab가 1번만 나타나는 경우는
4_2+5_2=18 B
D-C |
Û ab가 2번 나타나는 경우,
ab, ab, c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는
D C|
D|
B 
ababc, abcab, cabab C
의 3가지이다. D-C0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즉, 4~7을 칠하는 경우의 수는 11이다.
18+3=21 ‌1, 2, 3번을 4가지 색 중에서 3가지 색으로 칠하는 경우의 수는
/ 다른 풀이 / ¢P£=24
a, a, b, b, c를 일렬로 나열하여 만든 문자열 중 ab가 적어도 1 따라서 두 밑면을 같은 색으로 칠하는 경우의 수는
번 나타나는 경우의 수는 ab, a, b, c를 일렬로 나열하여 만든 문 11_24=264
자열의 개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Ú, Û에서 육각기둥에 색칠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또한 ab, a, b, c를 일렬로 나열하여 만든 문자열에는 24+264=288 ③

42 정답과 풀이
02 을 채우는 방법의 수는
Ú 세로 첫 번째 줄에 1, 2, 3, 4를 하나씩 써넣는 방법의 수는 £Pª=6
4!=24 Ü ‌세로 첫 번째 줄과 가로 첫 번째 줄에 오른 1 4 3 2
Û ‌Ú에서 세로의 첫 번째 칸이 채워져 있으므로 가로 첫 번째 줄 쪽 그림과 같이 숫자를 채웠다고 할 때, 나
4
에 나머지 세 숫자를 써넣는 방법의 수는 머지 6칸 중에서 가로 두 번째 줄에 1을 채
3
3!=6 우는 방법은 다음 그림과 같이 칸에
Ü ‌세로 첫 번째 줄과 가로 첫 번째 줄에 오른
1 4 3 2 넣는 3가지 방법이 있다.
쪽 그림과 같이 숫자를 채웠다고 할 때, 나
2 1 4 3 2
머지 9칸에서 가로줄과 세로줄의 숫자가 1 4 3 2 1 4 3 2 1 4 3 2
4 2
같은 칸이 각 줄에 하나씩 있다. 4 1 2 3 4 2 1 3 4 3 2 1
3 4
3 3 1 3 1
이때, 다음 그림과 같이 세로 두 번째 줄의 3
1 4 3 2 [그림 1] [그림 2] [그림 3]
칸에 숫자를 넣을 수 있는 방법의 수는 3이고 세로 두 번
2 ‌[그림 1]의 경우, 가로 두 번째 줄의 나머지 빈칸이 자동으로 결
째 줄의 나머지 두 칸은 자동으로 결정된다. 정되고, 가로 세 번째 줄에 1을 넣는 방법의 수는 2이다.
1 44 3 2
1 4 3 2 1 4 3 2 1 4 3 2 ‌[그림 2]의 경우에도 가로 두 번째 줄의 나머지 빈칸이 자동으
2 3
2 3 2 3 2 1 로 결정되고, 가로 세 번째 줄에 1을 넣는 방법의 수는 칸
4
4 1 4 2 4 3
에 넣는 1가지밖에 없다.
3 1 4 3 2 1 4
3 2 3 1 3 2 ‌[그림 3]의 경우에도 가로 두 번째 줄의 나머지 빈칸이 자동으
4 1 2 3 4 2
[그림 1] [그림 2] [그림 3] 로 결정되고, 가로 세 번째 줄에 1을 넣는 방법의 수는 칸
3 3 1
Ý ‌[그림 1]에서 2와 3은 이미 3번씩 사용했 1 4 3 2 1 4 2 1가지밖에
에3 넣는 1 4 없다.
3 2
으므로 2와 3이 들어갈 수 있는 자리는 1 4 3 2 1 4
2 3 2 Ú
3 ~ Ü에서 규칙에
2 1맞게 숫자를
3 채워 넣을 수 있는 경우의 수는
[그림 4]와 같이 유일하게 결정된다. 4 1 2 3 4 2
4 1 2 3 4 24_6_(2+1+1)=576
2 3 4 3 2 ①
이때, 두 개의 가로줄에 각각 2칸씩 남아 3 3 1
있으므로 빈칸에 1과 4를 넣는 방법의 수 3 2 3 1 2 3 2

는 2이다. [그림 4] 03
‌[그림 2]와 [그림 3]에서도 2와 3을 넣는 방법은 각각 [그림 5]와 조건 ㈏에서
[그림 6]과 같이 유일하게 결정된다. { f(2)}Û`-2 f(2)_f(4)-{ f(6)}Û`+2 f(4)_f(6)=0
이때, 두 개의 가로줄이 3칸씩 채워져 있으므로 빈칸을 채우는 { f(2)-f(6)}{ f(2)+f(6)-2 f(4)}=0
방법은 각각 유일하게 결정된다. ∴ f(2)=f(6) 또는 f(2)+f(6)=2 f(4)
이때,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는 일대일대응이므로
1 14 43 32 2 1 14 43 32 2 1 14 43 32 2
f(2)+f(6)
2 23 3 2 23 3 2 21 1 3 3
   ∴ f(2)+f(6)=2 f(4) yy`㉠
4 41 12 23 3 4 42 2 3 3 4 43 32 2
㉠을 만족시키는 함수 f의 정의역이 {2, 4, 6}일 때, 치역은
3 32 2 3 31 12 2 3 32 2 {1, 2, 3}, {2, 3, 4}, {3, 4, 5}, {4, 5, 6}, {5, 6, 7},
[그림 5] [그림 6] {1, 3, 5}, {2, 4, 6}, {3, 5, 7}, {1, 4, 7}
Ú ~ Ý에서 규칙에 맞게 숫자를 채워 넣을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중 하나가 되어야 하고, f(4)의 값은 치역의 세 원소 중에서 작은
24_6_(2+1+1)=576 것부터 크기 순으로 나열했을 때 두 번째로 작은 값을 가져야 한다.
/ 다른 풀이 / 즉, 주어진 정의역 X의 원소 중 2, 4, 6을 각 함숫값에 대응시키
주어진 그림의 가로줄에 1, 2, 3, 4를 한 번씩 넣되 세로줄에 같은 는 경우의 수는
숫자가 들어가지 않도록 숫자를 채워 넣을 때, 가로 3줄을 채우면 9_2!=18
가로의 나머지 한 줄은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정의역의 나머지 원소 1, 3, 5, 7을 각 함숫값에 대응시키는 경우
즉, 구하는 방법의 수는 오른쪽 그림의 가로줄 의 수는
에 1, 2, 3, 4를 한 번씩 넣되 세로줄에 같은 4!=24
숫자가 들어가지 않도록 채우는 방법의 수와 따라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같다. 18_24=432 ④
Ú 가로 첫 번째 줄에 1, 2, 3, 4를 채우는 방법의 수는
4!=24
04
Û ‌Ú에서 가로의 첫 번째 칸이 채워져 있으므로 세로 첫 번째 줄
7명의 학생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에서 한 학년이라도 이웃한

Ⅲ. 경우의 수 43
정답과 풀이

경우의 수를 제외한다. 05
7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장기를 기증받을 수 있는 환자의 수가 최대가 되어야 하므로 환자
7!=5040 yy`㉠ 와 기증자가 적합한 경우가 유일한 I는 f, H는 i에게 기증해야 한
Ú 하나의 학년을 먼저 이웃하여 줄 세우는 경우, 다.
① ‌1학년 학생을 먼저 이웃하여 줄 세우는 경우의 수 남은 환자 a, b, c, d, e, g, h는 장기 조직 적합도 관계에 의하여 b,
1학년 학생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5명을 일렬로 세우는 e, g와 a, c, d, h의 2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경우의 수는 Ú a, c, d, h가 B, D, G에게서 장기를 기증 받는 경우,
5!=120 ‌B, D, G가 a, c, d, h 중 어느 환자에게라도 줄 수 있으므로
1학년 학생끼리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경우의 수는
3!=6 ¢P£=24
즉, 경우의 수는 Û b, e, g가 A, C, E, F에게 장기를 기증 받는 경우,
120_6=720 ① ‌A, C, E가 기증하는 경우
② ‌2학년 학생을 먼저 이웃하여 줄 세우는 경우의 수 A, E는 b, e, g에게 줄 수 있지만 C가 b 또는 e에게만 기증
같은 방법으로 할 수 있으므로
6!_2!=1440 2_2!=4
③ ‌3학년 학생을 먼저 이웃하여 줄 세우는 경우의 수 ② ‌A, E, F가 기증하는 경우
같은 방법으로 A, E는 b, e, g에게 줄 수 있지만 F가 e 또는 g에게만 기증
6!_2!=1440 할 수 있으므로
① ~ ③에서 경우의 수는 2_2!=4
720+1440+1440=3600 ③ ‌A, C, F가 기증하는 경우는
A C F
Û 두 개의 학년만 먼저 서로 이웃하도록 줄 세우는 경우, 오른쪽 표와 같으므로 경우의
④ ‌1학년, 2학년 학생을 먼저 이웃하여 줄 세우는 경우의 수 수는 3이다. b e g
1학년, 2학년 학생들을 각각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4명을 e b g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g b e
4!=24 ④ ‌C, E, F가 기증하는 경우는
1학년, 2학년 학생이 각각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C E F
오른쪽 표와 같으므로 경우의
3!_2!=12 수는 3이다. e b g
즉, 경우의 수는 b e g
24_12=288 b g e
⑤ ‌2학년, 3학년 학생을 먼저 이웃하여 줄 세우는 경우의 수
① ~ ④에서 경우의 수는
같은 방법으로
4+4+3+3=14
5!_2!_2!=480
Ú, Û에서 장기 기증자와 환자를 연결시키는 경우의 수는
⑥ ‌1학년, 3학년 학생을 먼저 이웃하여 줄 세우는 경우의 수
24_14=336  336
같은 방법으로
4!_3!_2!=288
④ ~ ⑥에서 경우의 수는
288+480+288=1056 06
Ü 세 개의 학년 각각 모두 서로 이웃하도록 줄 세우는 경우, 직선의 방정식을 만드는 방법의 수는 7개의 숫자 중에서 3개의 숫
‌1학년, 2학년, 3학년 학생들을 각각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3명 자를 택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다.
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이때, 직선 l은 x축, y축과 평행하지 않으므로
3!=6 a+0, b+0
1학년, 2학년, 3학년 학생들이 각각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Ú c+0인 경우,
3!_2!_2!=24 1, 2, 3, 4, 5, 6 중에서 3개를 택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즉, 이 경우의 수는 ¤P£=120
6_24=144 ‌이때, 두 직선 x+2y+3=0, 2x+4y+6=0은 같은 직선이므
Ú ~ Ü에서 같은 학년 학생이 한 학년이라도 모두 이웃하는 경우 로 순서쌍 (a, b, c)가 (1, 2, 3), (2, 4, 6)일 때는 같은 직선
의 수는 으로 나타난다.
3600-1056+144=2688 yy`㉡ ‌이와 같이 중복되는 직선의 개수, 즉 1, 2, 3의 3개의 숫자를
㉠, ㉡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5040-2688=2352  2352 3!=6

44 정답과 풀이
따라서 c+0인 서로 다른 직선의 개수는
120-6=114
03 조합
Û c=0인 경우, 개념 & 대표 유형 짚어보기 본문 47 ~ 48쪽
1, 2, 3, 4, 5, 6 중에서 2개를 택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Pª=30 01 ② 02 ② 03 ④ 04 14 05 5760
‌이때, 세 직선 x+2y=0, 2x+4y=0, 3x+6y=0은 같은 직 06 12096 07 ③ 08 ⑤ 09 ②
선이므로 순서쌍 (a, b)가 (1, 2), (2, 4), (3, 6)일 때는 같
은 직선으로 나타난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2, 3), (4, 6)과
(1, 3), (2, 6)도 각각 서로 같은 직선으로 나타난다. 01
즉, c=0인 서로 다른 직선의 개수는 7권의 책을 3개의 묶음으로 나누는 경우는 다음 [그림 1]과 같이
30-2_2-2-2=22 책과 책 사이에 2개의 칸막이를 하는 것과 같다.
Ú, Û에서 구하는 직선의 개수는
114+22=136 ① 책 책 책 책 책 책 책
1 2 3 4 5 6 7

[그림 1]
즉, 다음 [그림 2]와 같이 7권의 책 사이사이의 6개의 공간 중에서
2개의 공간을 선택하여 칸막이를 하면 7권의 책을 3개의 묶음으로
나눌 수 있다.

책 책 책 책 책 책 책
1 2 3 4 5 6 7

[그림 2]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Cª=15 ②

02
한 팀의 학생 수를 [여학생 수, 남학생 수]로 나타내자.
조건 ㈎에서 각 팀의 여학생은 2명 이상이므로 여학생을
2명, 5명 또는 3명, 4명
으로 나누어 두 팀을 구성해야 한다.
Ú 여학생을 2명, 5명으로 나누는 경우,
조건 ㈏에서 각 팀의 최소 인원수가 4명이므로 두 팀을
[2, 2], [5, 1] 또는 [2, 3], [5, 0]
으로 구성해야 한다.
‌두 팀을 [2, 2], [5, 1]로 구성하려면 여학생을 2명, 5명으로 나
누고, 남학생을 2명, 1명으로 나누어 각각 짝지은 후 A, B 두
팀에 배정하면 되므로
(¦Cª_°C°)_(£Cª_ÁCÁ)_2!=126
‌같은 방법으로 두 팀을 [2, 3], [5, 0]으로 구성하여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Cª_°C°)_£C£_2!=42
‌따라서 여학생을 2명, 5명으로 나누어 팀을 나누는 경우의 수
는 126+42=168
Û 여학생을 3명, 4명으로 나누는 경우,
조건 ㈏에서 각 팀의 최소 인원수가 4명이므로 두 팀을
[3, 1], [4, 2] 또는 [3, 2], [4, 1] 또는 [3, 3], [4, 0]
으로 구성해야 한다.

Ⅲ. 경우의 수 45
정답과 풀이

‌Ú과 같은 방법으로 두 팀을 [3, 1], [4, 2]로 구성하여 배정하 4_5=20


는 경우의 수는 ㉢ ‌㉠, ㉡에서 중복되는 경우
(¦C£_¢C¢)_(£CÁ_ªCª)_2!=210 △AFI, △BFI는 삼각형이 만들어질 때, 7개의 점이 사용
두 팀을 [3, 2], [4, 1]로 구성하여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되므로 4번씩 중복된다.
(¦C£_¢C¢)_(£Cª_ÁCÁ)_2!=210 △AFH, △BGI, △AGI, △BFH, △AFB, △BIA는 삼
두 팀을 [3, 3], [4, 0]으로 구성하여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각형이 만들어질 때, 5개의 점이 사용되므로 2번씩 중복된
(¦C£_¢C¢)_£C£_2!=70 다.
‌따라서 여학생을 3명, 4명으로 나누어 팀을 나누는 경우의 수 ㉠ ~ ㉢에서 3개의 점이 일직선 위에 있는 경우의 수는
는 210+210+70=490 ‌30+20-2_3-6_1=38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Ú, Û에서 사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의 수는
168+490=658 ② 1+38=39
따라서 만들 수 있는 사각형의 개수는
03 126-39=87 ④
9개의 점 중에서 4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에서 사각형을 만들
수 없는 경우의 수를 제외해야 한다.
04
9개의 점 중에서 4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검은색 의자와 검은색 의자 사이에 있는 흰색 의자의 개수가 모두
9_8_7_6
»C¢= =126 홀수가 되려면 3개의 검은색 의자들이 모두 홀수 번째에 위치하거
4_3_2_1
나 모두 짝수 번째에 위치해야 한다.
선택한 4개의 점 중 3개 이상이 일직선 위에 있는 경우에는 사각형
[홀수 번째 위치]
을 만들 수 없다.
Ú 4개의 점이 일직선 위에 있는 경우, [짝수 번째 위치]
선분 FI 위의 4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이므로 검은색 의자가 모두 홀수 번째가 되도록 색칠하는 경우의 수는
¢C¢=1 °C£=10
Û 3개의 점이 일직선 위에 있는 경우, 검은색 의자가 모두 짝수 번째가 되도록 색칠하는 경우의 수는
㉠ ‌점 A, C, F와 점 B, E, I, 점 C, D, E는 각각 일직선 위에 ¢C£=4
있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또한 ACÓ=CFÓ에서 CFÓ:AFÓ=1:2이고 10+4=14  14
CDÓ=DEÓ에서 CDÓ:CEÓ=1:2이므로
CDÓ:ABÓ=1:2이다.
즉, 점 B, D, F는 일직선 위에 있다. 05
A B 남학생의 자리를 ○, 여학생의 자리를 ●이라 하자.
같은 방법으로 점 A, D, I도 일직선
D Ú 남학생이 이웃하여 앉는 경우,
위에 있다. C E
즉, 4개의 점을 택할 때, 일직선 위에 G H
‌남학생이 이웃하여 앉고 남학생의 한 쪽에만 여학생이 앉는 경
F I
있는 3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우는 다음과 같이 3가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5이다.
각 경우에 대하여 남은 6개의 점 중에서 하나를 택하는 경우
의 수는
¤CÁ=6 ‌
위의 각 경우에 대하여 4명의 남학생 중에서 2명, 4명의 여학
즉, 3개의 점만이 일직선 위에 있어 사각형이 만들어지지 않 생 중에서 2명을 택하여 해당 자리에 앉히는 경우의 수는
는 경우의 수는 ¢Cª_¢Cª_2!_2!=6_6_2_2=144
5_6=30 ‌남은 2명의 여학생 중에서 1명을 택하여 남은 2자리 중 하나에
㉡ ‌일직선 위의 네 점 F, G, H, I 중에서 3개만 고르는 경우도 앉히는 경우의 수는
3개의 점이 일직선 위에 있다. ªCÁ_2!=4
네 점 F, G, H, I 중에서 3개를 고르는 경우의 수는 ‌즉, 남학생이 이웃하여 앉고 남학생의 한 쪽에만 여학생이 앉는
¢C£=4 경우의 수는
각 경우에 대하여 점 F, G, H, I 이외의 5개의 점 중에서 1 3_144_4=1728
개를 고르는 경우의 수는 Û 남학생이 이웃하여 앉지 않는 경우,
°CÁ=5 ‌남학생이 이웃하여 앉지 않고 남학생의 한 쪽에만 여학생이 앉
즉, 네 점 F, G, H, I 중에서 3개의 점만 택하여 사각형이 는 경우는 좌우 대칭이 되는 형태를 같은 것으로 볼 때, 다음과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의 수는 같이 7가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46 정답과 풀이
시하자.
A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최단거리가 6이고 예서가 이동한 거리는
8이므로 ↓와 ↑가 한 번씩 더 있었거나 ← 와  → 가 한 번씩 더 있
었다.
이때, 같은 도로를 중복하여 지나지 않으므로 B
R U
오른쪽 그림에서 ㉠의 세로선에서는 ↓로 이
Q T
동할 수 없다.
‌위의 각 경우에 대하여 4명의 남학생 중에서 2명, 4명의 여학 ㉡의 세로선에서 P S

생 중에서 3명을 택하여 해당 자리에 앉히는 경우의 수는 Ú P지점에서 ↓로 이동하는 경우, A


㉠ ㉡ ㉢ ㉣
¢Cª_¢C£_2!_3!=6_4_2_6=288 A
‌ 지점에서부터 ↑→↓→로 이동한 후,
‌이때, 모든 경우가 좌우 대칭이 가능하므로 남학생이 이웃하여 ↑3번, → 1번을 이동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앉지 않고 남학생의 한 쪽에만 여학생이 앉는 경우의 수는 ¢CÁ=4
7_288_2=4032 Û Q지점에서 ↓로 이동하는 경우,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A‌ 지점에서부터 ↑↑→↓→로 이동한 후, ↑2번, → 1번을 이
1728+4032=5760  5760 동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CÁ=3
Ü R지점에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06
A ‌ 지점에서부터 ↑↑↑→↓→로 이동한 후, ↑1번, → 1번을
집합 A, B, C는 각각 함숫값이 1, 2, 3인 정의역 X의 원소의 집
이동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합이다.
ªCÁ=2
집합 X={1, 2, y, 9}의 원소의 개수가 9이므로
㉢의 세로선에서
n(A)+n(B)+n(C)=9
Ú S지점에서 ↓로 이동하는 경우,
이어야 하고, n(A), n(B), n(C)는 자연수이므로 A, B, C는
‌A지점에서부터 P지점까지는 ↑1번, → 1번을 이동한 후 P지
공집합이 될 수 없다. 즉, f의 치역과 공역이 같아야 한다.
점에서부터 →↓→↑↑↑로 이동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세 자연수의 합이 9인 경우는
ªCÁ=2
1, 2, 6 또는 1, 3, 5 또는 2, 3, 4
Û T지점에서 ↓로 이동하는 경우,
의 3가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A지점에서부터 Q지점까지는 ↑2번, → 1번을 이동한 후 Q지
Ú n(A),
‌ n(B), n(C)가 1, 2, 6 중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점에서부터 →↓→↑↑로 이동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함수 f의 개수
£CÁ=3
‌X의 9개의 원소를 1개, 2개, 6개의 세 묶음으로 나누고, 각 묶
Ü U지점에서 ↓로 이동하는 경우,
음의 원소가 집합 A, B, C의 원소가 되도록 대응시키는 경우
‌A지점에서부터 R지점까지는 ↑3번, → 1번을 이동한 후 R지
의 수와 같으므로
점에서부터 →↓→↑로 이동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CÁ_¥Cª_¤C¤)_3!=1512
¢CÁ=4
Û n(A),
‌ n(B), n(C)가 1, 3, 5 중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의 세로선에서는↓로 이동할 수 없다.
함수 f의 개수
따라서 ↓와 ↑를 한 번씩 더 이동하여 B지점에 도착하는 경우의
‌X의 9개의 원소를 1개, 3개, 5개의 세 묶음으로 나누고, 각 묶
수는 4+3+2+2+3+4=18
음의 원소가 집합 A, B, C의 원소가 되도록 대응시키는 경우
← 와  → 를 한 번씩 더 이동하여 B지점에 도착하는 경우의 수도 마
의 수와 같으므로
찬가지이므로 18이다.
(»CÁ_¥C£_°C°)_3!=3024
따라서 A지점에서 B지점까지 이동거리가 8인 경우의 수는
Ü ‌n(A), n(B), n(C)가 2, 3, 4 중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갖는
18+18=36 ③
함수 f의 개수
‌X의 9개의 원소를 2개, 3개, 4개의 세 묶음으로 나누고, 각 묶
음의 원소가 집합 A, B, C의 원소가 되도록 대응시키는 경우 08
의 수와 같으므로 0이 3개, 1이 1개, 2가 1개, 4가 2개이므로 만들 수 있는 짝수의
(»Cª_¦C£_¢C¢)_3!=7560 개수는 만들 수 있는 모든 자연수의 개수에서 만들 수 있는 홀수의
Ú ~ Ü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개수를 빼어 구할 수 있다.
1512+3024+7560=12096  12096 Ú 7개의 숫자로 만들 수 있는 모든 7자리 자연수의 개수
㉠ ‌첫 자리 수가 1인 자연수의 개수
1
07
이동한 방향에 따라 한 칸 움직이는 것을 각각 →, ←, ↑, ↓로 표 6자리 중에서 2가 들어갈 자리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6이

Ⅲ. 경우의 수 47
정답과 풀이

고, 남은 5자리 중에서 2개의 4가 들어갈 자리를 정하는 경 만들려면 a, b, c, d는 각각 다음을 만족시켜야 한다.
우의 수는 °Cª=10, 나머지 3자리에는 3개의 0을 넣으면 되
a b c d
므로 첫 자리 수가 1인 자연수의 개수는
6_10=60 Ú 4 2 2 0
㉡ ‌첫 자리 수가 2인 자연수의 개수 Û 3 3 1 1
2 Ü 2 4 0 2

㉠과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면 첫 자리 수가 2인 자연수의 개 Ú 순서쌍 (a, b, c, d)가 (4, 2, 2, 0)인 경우의 수는


수도 60이다. ¥C¢_¢Cª_ªCª=420
㉢ ‌첫 자리 수가 4인 자연수의 개수 Û 순서쌍 (a, b, c, d)가 (3, 3, 1, 1)인 경우의 수는
4 ¥C£_°C£_ªCÁ_ÁCÁ=1120
Ü 순서쌍 (a, b, c, d)가 (2, 4, 0, 2)인 경우의 수는
6자리 중에서 1, 2, 4가 들어갈 자리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Cª_¤C¢_ªCª=420
¤P£=120이고, 나머지 3자리에는 3개의 0을 넣으면 되므로
Ú ~ Ü에서 xÛ`yÛ`의 계수는
첫 자리 수가 4인 자연수의 개수는 120이다.
420+1120+420=1960
㉠, ㉡, ㉢에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자연수의 개수는
/ 보충 설명 /
60+60+120=240 1 1 1 1
8개의 {x+y+ + } 중에서 x, y, , 을 택하는 것이 각각
Û 7개의 숫자로 만들 수 있는 7자리 홀수의 개수 x y x y
㉣ ‌첫 자리 수가 2이고 끝 자리 수가 1인 홀수의 개수 a개, b개, c개, d개이므로
2 1 a+b+c+d=8 yy`㉠
1
5자리 중에서 2개의 4가 들어갈 자리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이때, xÛ`을 만들려면 x를 보다 2개 더 많이 택해야 하므로
x
°Cª=10이고, 나머지 3자리에는 3개의 0을 넣으면 되므로
a=c+2 yy`㉡
첫 자리 수가 2이고 끝 자리 수가 1인 홀수의 개수는 10이
같은 방법으로 yÛ`을 만들어야 하므로
다.
b=d+2 yy`㉢
㉤ ‌첫 자리 수가 4이고 끝 자리 수가 1인 홀수의 개수
㉡, ㉢을 ㉠에 대입하면
4 1 (c+2)+(d+2)+c+d=8   ∴ c+d=2 yy`㉣
5자리 중에서 2, 4가 들어갈 자리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이때, a, b, c, d는 0, 1, 2, y, 8 중 하나이므로 ㉣을 만족시키는
°Pª=20이고, 나머지 3자리에는 3개의 0을 넣으면 되므로 순서쌍 (c, d)는 (2, 0), (1, 1), (0, 2)의 3가지이다.
첫 자리 수가 4이고 끝 자리 수가 1인 홀수의 개수는 20이 각 경우에 a, b의 값은 하나로 결정되므로 풀이의 표와 같은 결과
다. 를 얻을 수 있다. ②
㉣, ㉤에서 만들 수 있는 홀수의 개수는
10+20=30
Ú, Û에서 구하는 짝수의 개수는
240-30=210 ⑤ 심화 유형 도전하기 본문 49 ~ 50쪽

01 ④ 02 ① 03 ① 04 ④ 05 ② 06 169

01
09 조건 ㈎에 의하여

{x+y+ + }8`은 {x+y+ + }을 8번 곱한 것이고, 이를


1 1 1 1
x y x y n m f(n)>f(m)
1 1 1 1 2 1
전개한다는 것은 8개의 {x+y+ + }의 x, y, , 중에 1개
f(2)>f(1)
x y x y
4 2 f(4)>f(2)
씩 택하여 곱한 것을 모두 더한다는 뜻이다.
6 3 f(6)>f(3)
1 1 1
이때, x, 을 각각 1개씩 택하는 경우에는 x_ =1이고, y,
x x y 조건 ㈏에 의하여
1
을 각각 1개씩 택하는 경우에는 y_ =1이므로 8개의 n m f(n)>f(m)
y
1 1
{x+y+ + } 중에서 x를 택하는 것이 a개, y를 택하는 것이 3 1 f(3)>f(1)
x y
5 2 f(5)>f(2)
1 1
b개, 을 택하는 것이 c개, 을 택하는 것이 d개일 때, xÛ`yÛ` 항을
x y ∴ ‌f(1)<f(2)<f(4)

48 정답과 풀이
f(1)<f(2)<f(5)=5 02
f(1)<f(3)<f(6) 25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에서 삼각형이 만들어지
모든 함숫값이 f(1)보다 크고, 각 부등식에서 f(1)의 값보다 큰 지 않는 경우의 수를 빼면 된다.
항이 2개씩 있으므로 f(1)의 값으로 가능한 것은 1 또는 2 또는 3 25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또는 4이다. 25_24_23
ª°C£= =2300
Ú f(1)=1인 함수 f의 개수 3_2_1
‌f(1)<f(3)<f(6)에서 f(3), f(6)의 값은 2, 3, 4, 5, 6 중에 선택한 3개의 점이 일직선 위에 있는 경우에는 삼각형을 만들 수
서 2개를 택하여 크기순으로 대응시키면 되므로 f(3), f(6)의 없다.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Ú ‌[그림 1]과 같이 일직선 위에 있는 5개의 점
°Cª=10 중에서 3개를 택하는 경우,
f(1)<f(2)<f(5)에서 1<f(2)<5 ‌5개의 점이 일직선 위에 있는 선분은 가로변
∴ f(2)=2 또는 3 또는 4 5개와 세로변 5개, 대각선 2개로 총 12개 존
f(2)<f(4)이므로 재한다.
[그림 1]
f(2)=2이면 f(4)의 값은 3, 4, 5, 6 중 하나이고, 한 직선 위의 5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f(2)=3이면 f(4)의 값은 4, 5, 6 중 하나이며, 경우의 수는
f(2)=4이면 f(4)의 값은 5, 6 중 하나이므로 °C£=10
f(2), f(4)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즉, 일직선 위에 있는 5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4+3+2=9 12_10=120
즉, f(1)=1인 함수 f의 개수는 Û [그림
‌ 2]와 같이 일직선 위에 있는 4개의 점
10_9=90 중에서 3개를 택하는 경우,
Û f(1)=2인 함수 f의 개수 ‌4개의 점이 일직선 위에 있는 선분은 그림과
‌f(1)<f(3)<f(6)에서 f(3), f(6)의 값은 3, 4, 5, 6 중에서 같이 4개 존재한다.
2개를 택하여 크기순으로 대응시키면 되므로 한 직선 위의 4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그림 2]
f(3), f(6)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경우의 수는
¢Cª=6 ¢C£=4
f(1)<f(2)<f(5)에서 2<f(2)<5 즉, 일직선 위에 있는 4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 f(2)=3 또는 4 4_4=16
f(2)<f(4)이므로 Ü 일직선
‌ 위에 있는 3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
f(2)=3이면 f(4)의 값은 4, 5, 6 중 하나이고 하는 경우,
f(2)=4이면 f(4)의 값은 5, 6 중 하나이므로 ‌3개의 점이 일직선 위에 있는 선분은 [그림 3]
f(2), f(4)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과 같은 선분 4개, [그림 4]와 같은 선분 12개
3+2=5 로 총 16개 존재한다.
[그림 3]
즉, f(1)=2인 함수 f의 개수는 한 직선 위의 3개의 점 중에서 3개를 택하는
6_5=30 경우의 수는
Ü f(1)=3인 함수 f의 개수 £C£=1
‌f(1)<f(3)<f(6)에서 f(3), f(6)의 값은 4, 5, 6 중에서 2개 즉, 일직선 위에 있는 3개의 점 중에서 3개를
를 택하여 크기순으로 대응시키면 되므로 택하는 경우의 수는
f(3), f(6)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16_1=16
[그림 4]
£Cª=3 Ú ~ Ü에서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의
f(1)<f(2)<f(5)에서 3<f(2)<5 수는
∴ f(2)=4 120+16+16=152
f(2)<f(4)에서 f(4)의 값은 5, 6 중 하나이므로 따라서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f(2), f(4)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2이다. 2300-152=2148 ①
즉, f(1)=3인 함수 f의 개수는
3_2=6 03
Ý f(1)=4인 함수 f의 개수 5개의 흰 바둑돌 중 3개의 흰 바둑돌만 그 오른쪽 옆에 검은 바둑
f(1)<f(2)<f(5)에서 4<f(2)<5 돌을 놓고 이들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면 3개의 과 2개의 , 7
즉, f(2)의 값을 정할 수 없으므로 f는 없다. 개의 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로 생각할 수 있다.
Ú ~ Ý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즉, 다음 그림과 같이 7개의 을 먼저 배열한 후, 의 사이사이
90+30+6=126 ④ 와 양 끝의  자리에 나머지 돌을 배열하되, 2개의 을 의

Ⅲ. 경우의 수 49
정답과 풀이

한 묶음으로 배열하는 경우와 과 을 따로 배열하는 경우로 나 2를 3개, 1을 3개 사용하여 만든 여섯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누어 생각할 수 있다. 자리 6개 중에서 2가 들어갈 자리 3개를 고르는 조합의 수
 와 같으므로
이때, 3개의 을 8개의 에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C£=20
¥C£=56 yy`㉠ ‌㉠ ~ ㉢에서 각 자릿수의 합이 9인 자연수의 개수는
Ú 을 오른쪽에 이 오지 않도록 배열하는 경우, 6+10+20=36
‌1개의 은 배열된 의 왼쪽에 들어가거나 가장 끝의  Û 각 자릿수의 합이 18인 경우,
의 오른쪽에 들어갈 수 있으므로 이 들어갈 수 있는 곳은 ㉠ ‌a+5b=18일 때,
모두 4군데이다. 즉, 1개의 을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이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두 수 a, b는 없다.
¢CÁ=4 ㉡ ‌2a+4b=18일 때, a=1, b=4 또는 a=5, b=2
따라서 이와 같이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에 의하여 1을 2개, 4를 4개 사용하여 만든 여섯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56_4=224 자리 6개 중에서 1이 들어갈 자리 2개를 고르는 조합의 수
Û 2개의
‌ 을 오른쪽에 이 오지 않도록 배열하는 경우, 와 같으므로
‌2개의 은 배열된 의 왼쪽에 들어가거나 가장 끝의 의 ¤Cª=15
오른쪽에 들어갈 수 있으므로 이 들어갈 수 있는 곳은 모두 a=5, b=2인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4군데이다. 즉, 2개의 을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Cª=15
¢Cª=6 ㉢ ‌3a+3b=18일 때,
따라서 이와 같이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에 의하여 a=6, b=0 또는 a=5, b=1 또는 a=4, b=2
56_6=336  (또는 a=0, b=6 또는 a=1, b=5 또는 a=2, b=4)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각 자리의 숫자로 0을 사용하는 경우, 가장 높은 자리에 0을
224+336=560 ① 쓸 수 없다. 즉, 6을 3개, 0을 3개 사용하여 만든 여섯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가장 높은 자리에 6을 쓴 다음, 남은 자리
5개 중에서 6이 들어갈 자리 2개를 고르는 조합의 수와 같
04 으므로
조건 ㈎에서 구하는 여섯 자리 자연수의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은 9 °Cª=10
의 배수가 되어야 한다. 5를 3개, 1을 3개 사용하여 만든 여섯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그런데 조건 ㈏에서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가장 큰 여섯 자리 자 자리 6개 중에서 5가 들어갈 자리 3개를 고르는 조합의 수
연수는 666665이고 이 자연수의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은 와 같으므로
6+6+6+6+6+5=35이므로 구하는 자연수의 각 자리의 숫자 ¤C£=20
의 합으로 가능한 것은 9 또는 18 또는 27이다. a=4, b=2인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사용된 서로 다른 두 개의 숫자를 각각 a, b라 하면 a, b는 각각 0, ¤C£=20
1, 2, y, 6 중 서로 다른 2개의 수이다. ‌㉠ ~ ㉢에서 각 자릿수의 합이 18인 자연수의 개수는
Ú 각 자릿수의 합이 9인 경우, 15+15+10+20+20=80
㉠ ‌a가 1개, b가 5개일 때, a+5b=9 Ü 각 자릿수의 합이 27인 경우,
∴ a=4, b=1 ㉠ ‌a+5b=27일 때, a=2, b=5
4를 1개, 1을 5개 사용하여 만든 여섯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2를 1개, 5를 5개 사용하여 만든 여섯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자리 6개 중에서 4가 들어갈 자리 1개를 고르는 조합의 수 자리 6개 중에서 2가 들어갈 자리 1개를 고르는 조합의 수
와 같으므로 와 같으므로
¤CÁ=6 ¤CÁ=6
㉡ ‌a가 2개, b가 4개일 때, 2a+4b=9 ㉡ ‌2a+4b=27일 때,
이를 만족시키는 a, b는 없다. 이를 만족시키는 a, b는 없다.
㉢ ‌a가 3개, b가 3개일 때, 3a+3b=9 ㉢ ‌3a+3b=27일 때,
∴ a=3,‌ b=0 또는 a=2, b=1 a=5, b=4 또는 a=6, b=3
 (또는 a=0, b=3 또는 a=1, b=2) (또는 a=4, b=5 또는 a=3, b=6)
‌각 자리의 숫자로 0을 사용하는 경우, 가장 높은 자리에 0을 5를 3개, 4를 3개 사용하여 만든 여섯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쓸 수 없다. 즉, 3을 3개, 0을 3개 사용하여 만든 여섯 자리 자리 6개 중에서 5가 들어갈 자리 3개를 고르는 조합의 수
자연수의 개수는 가장 높은 자리에 3을 쓴 다음, 남은 자리 와 같으므로
5개 중에서 3이 들어갈 자리 2개를 고르는 조합의 수와 같 ¤C£=20
으므로 a=6, b=3인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Cª=10 ¤C£=20

50 정답과 풀이
‌㉠ ~ ㉢에서 각 자릿수의 합이 27인 자연수의 개수는 Ú n의 최솟값
6+20+20=46 ‌f(Ak) (k=1, 2, y, n)의 값이 큰 것부터 더하여 그 합이
Ú ~ Ü에서 구하는 여섯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306이 되는 n을 찾아야 한다.
36+80+46=162 ④ ‌f(A)=7, f(A)=6, f(A)=5, f(A)=4인 경우의 f(Ak)를
모두 더하면
7_1+6_7+5_21+4_35=294
‌이때, 306=294+3_4이므로 ㉠에서 f(Ak)의 합이 306이 되
05
려면 f(A)=3인 A가 4개 필요하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위의 점 13개 중에서
A B 이상에서 f(A)=7인 A가 1개, f(A)=6인 A가 7개,
임의로 4개를 선택하여 A, B, C, D라 하고 P ‌f(A)=5인 A가 21개, f(A)=4인 A가 35개, f(A)=3인 A
ACÓ와 BDÓ의 교점을 P라 하자.
가 4개 있을 때, ㉠을 만족시키는 n은 최소이고 n의 최솟값은
어느 세 현도 원 내부의 한 점에서 만나지 않으 D C
m=1+7+21+35+4=68
므로 네 점 A, B, C, D에 의해서 생기는 교점
Û n의 최댓값
P는 유일하다.
‌f(Ak) (k=1, 2, y, n)의 값이 작은 것부터 더하여 그 합이
즉, 어떤 두 현의 교점이 있을 때, 그 교점을 만들어 내는 4개의 점
306이 되는 n을 찾아야 한다.
은 유일하다.
‌f(A)=0, f(A)=1, f(A)=2, f(A)=3, f(A)=4인 경우
사각형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4개의 꼭짓점이 필요하고, 이 4개
의 f(Ak)를 모두 더하면
의 꼭짓점은 각각 원 위의 4개의 점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유일한
0_1+1_7+2_21+3_35+4_35=294
꼭짓점이다. 그런데 4개의 꼭짓점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서로 다
이때,
른 현 4개, 즉 원 위의 서로 다른 8개의 점이 필요하다.
306‌=294+12=(294-3)+(3+12)
따라서 구하는 사각형의 개수는 원 위의 13개의 점 중에서 8개의
=(294-3)+3_5
점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즉, ㉠에서 f(Ak)의 합이 306이 되면서 Ak가 최대한 많이 사
13_12_11_10_9
Á£C¥=Á£C°= =1287 ② 용되게 하려면 f(A)=3인 A를 하나 빼고 f(A)=5인 A를 3
5_4_3_2_1
개 더 사용해야 한다.
이상에서 f(A)=0인 A가 1개, f(A)=1인 A가 7개,
f(A)=2인 A가 21개, f(A)=3인 A가 35-1=34(개),
06 ‌f(A)=4인 A가 35개, f(A)=5인 A가 3개 있을 때, ㉠을 만
f(A)=7인 경우는 A의 숫자열의 일곱 자리의 숫자가 모두 1일 때 족시키는 n은 최대이고 n의 최댓값은
이다. 즉, f(A)=7을 만족시키는 A는 A=1111111의 1개이다. M=1+7+21+34+35+3=101
f(A)=6인 경우는 A의 숫자열의 일곱 자리의 숫자 중에서 여섯 Ú, Û에서
개가 1일 때이다. 즉, f(A)=6을 만족시키는 A의 개수는 자리 7 M+m=101+68=169
개 중에서 1이 들어갈 자리 6개를 고르는 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 보충 설명 /
¦C¤=7 Û에서 f(A)=5인 코드 1개를 늘리고 f(A)=3인 코드 1개를 줄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면 이는 대신에 f(A)=6인 코드를 1개 늘리고 f(A)=4인 코드 1개
f(A)=5인 A의 개수는 를 줄여도 결과는 같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큰 값을 늘리고 작
¦C°=21 은 값을 줄이는 것은 +1, -1의 효과이므로 최댓값에 영향을 주
f(A)=4인 A의 개수는 지 않는다.
¦C¢=35 그러나 f(A)=3인 A를 하나 빼는 대신 f(A)=1인 A를 3개 빼
f(A)=3인 A의 개수는 면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사용된 코드의 개수, 즉 n의 값이
¦C£=35 줄어들기 때문에 최댓값을 구할 수 없음에 주의한다.  169
f(A)=2인 A의 개수는
¦Cª=21
f(A)=1인 A의 개수는
¦CÁ=7
또한 f(A)=0인 A는 A=0000000의 1개이다. 개념 확장 & 수리논술·창의사고력 문제 본문 51쪽
이때,
f(AÁ)+f(Aª)+f(A£)+y+f(An)=306 yy`㉠ 1과 2로 이루어진 자연수의 합이 10이므로
을 만족시키는 n에 대하여 각 f(Ak) (k=1, 2, y, n)의 값이 클 순서쌍 (1의 개수, 2의 개수)가
수록 n의 값은 작아지고 각 f(Ak)의 값이 작을수록 n의 값은 커 (10, 0), (8, 1), (6, 2), (4, 3), (2, 4), (0, 5)
진다.

Ⅲ. 경우의 수 51
정답과 풀이

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즉, (2, 4)인 경우, 구하는 순서쌍의 개수는
이때, 0+3+3=6
f(m)=aÁ+aª+y+am-1+am=7, Ú ~ Ý에서 순서쌍 (aÁ, aª, y, aÇ)의 개수는
f(m-1)=aÁ+aª+y+am-1+6 1+6+11+6=24  24
이므로 am=2이고
f(m-1)=aÁ+aª+y+am-1=5이다.
이때, (10, 0)인 경우와 (0, 5)인 경우는
f(m-1)=5, f(m)=7
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으므로 이 두 경우는 제외하고 생
각한다.
또한
10‌=aÁ+aª+y+an
=f(m)+am+1+y+an
=f(m-1)+am+am+1+y+an
=f(m-1)+2+am+1+y+an
이때, am+1+y+an=3이므로
am+1+y+an으로 가능한 것은
1+1+1 또는 1+2 또는 2+1이다.
Ú (8, 1), 즉 1이 8개, 2가 1개인 경우,
‌am=2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1이어야 하므로 순서
쌍 (aÁ, aª, y, aÇ)의 개수는 1
Û (6, 2), 즉 1이 6개, 2가 2개인 경우,
10=f(m-1)+2+1+1+1일 때,
f(m-1)에서 1이 3개, 2가 1개이므로
‌순서쌍 (aÁ, aª, y, an)의 개수는 ¢C£=4
10=f(m-1)+2+1+2일 때,
f(m-1)에서 1이 5개, 2가 0개이므로
순서쌍 (aÁ, aª, y, an)의 개수는 1
10=f(m-1)+2+2+1일 때도 위와 같으므로 1
즉, (6, 2)인 경우, 구하는 순서쌍의 개수는
4+1+1=6
Ü (4, 3), 즉 1이 4개, 2가 3개인 경우,
10=f(m-1)+2+1+1+1일 때,
f(m-1)에서 1이 1개, 2가 2개이므로
순서쌍 (aÁ, aª, y, an)의 개수는
£CÁ=3
10=f(m-1)+2+1+2일 때,
f(m-1)에서 1이 3개, 2가 1개이므로
순서쌍 (aÁ, aª, y, an)의 개수는 ¢C£=4
10=f(m-1)+2+2+1일 때도 위와 같으므로 4
즉, (4, 3)인 경우, 구하는 순서쌍의 개수는
3+4+4=11
Ý (2, 4), 즉 1이 2개, 2가 4개인 경우,
10=f(m-1)+2+1+1+1인 경우는 없다.
10=f(m-1)+2+1+2일 때,
f(m-1)에서 1이 1개, 2가 2개이므로
순서쌍 (aÁ, aª, y, an)의 개수는 £CÁ=3
10=f(m-1)+2+2+1일 때도 위와 같으므로 3

52 정답과 풀이
Memo
Memo
Memo
Mem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