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부록

중학교 도형 총정리
新수학의 바이블만의 부록

중학교 도형 총정리

30

중학교 도형의 중요성과 학습 대책

고등학교 수학에서도 도형 문제가 출제됩니다.

중학교 도형의 성질은 그때그때 정리해야 합니다.

다양한 도형과 그 성질을 30개의 테마로 나눠 완벽 수록하였습니다.


30

30
중학교 도형 총정리

찾아보기

평행선의 성질 16 519
17 520
01 504 18 521
02 505

사각형의 성질
삼각형의 합동조건

19 522
03 506
20 523
04 507

평면도형과 입체도형 피타고라스 정리

05 508
21 524
06 509
22 525
23 526
24 527
삼각형의 성질 25 528

07 510
08 511
09 512 원의 성질
10 513
11 514 26 529
12 515 27 530
13 516 28 531
14 517 29 532
15 518 30 533
평행선의 성질

1 ① 평행한 두 직선이 다른 한 직선과 만날 때, 동위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a
l
b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l∥m HjK ∠a=∠c m
c

② 평행한 두 직선이 다른 한 직선과 만날 때, 엇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l∥m HjK ∠b=∠c

보충 ⑴ l∥m HjK ∠a+∠b=∠x ⑵ l∥m HjK ∠a+∠b=∠x+∠y


l a l a

x x
b

b y
m m

증명 ⑴ 직선 l 에 평행한 직선 h를 점 B 를 지나도록 그으면 l


A
a
∠a=∠ABC, ∠b=∠CBD
x
∴ ∠x=∠ABC+∠CBD h
B C
∴ ∠x=∠a+∠b
b
m
D

⑵ 직선 l 에 평행한 직선 h, i를 점 B, C를 지나도록 그으면 l


A
a
∠a=∠ABD, ∠ABD=∠x+∠CBD i C
x b
∠CBD=∠a-∠x, ∠CDE=∠y h
D
B E
(∠a-∠x)+∠b=∠y y
∴ ∠a+∠b=∠x+∠y i

예 제 다음 그림에서 l∥m 일 때, ∠x 의 크기를 구하여라.

⑴ ⑵
l
3x+10˘ l
2x-20˘

115˘ x
120˘
2x+5˘ 130˘
m
m

(3x+10˘)+(2x+5˘)=115˘ (2x-20˘)+120˘=x+130˘
5x+15˘=115˘ 2x+100˘=x+130˘
5x=100˘ ∴ x=30˘
∴ x=20˘

504
평행선과 선분의 길이의 비

2 △ABC 에서 변 BC 에 평행한 직선이 두 직선 AB, AC 와 만나는 점을 각각 D, E 라고 하면


AD”:AB”=AE”:AC”=DE”:BC”
A
A E D

A
D E B C

B C D E B C

보충 삼각형에서 다음과 같이 선분의 길이의 비가 성립한다.


⑴ ⑵

a e
c

b f a b
d

c d

a:b=c:d=e:f a:b=c:d

증명 ⑴ ∠BAG는 공통, ∠ABG=∠ACD (평행선의 동위각) A

`∴ △ABG와 △ACD는 닮음이다. ∴ a:b=c:d a e


c
`∠FAG는 공통, ∠AFG=∠AED (평행선의 동위각)
B G F
`∴ △AGF와 △ADE 는 닮음이다. ∴ c:d=e:f b f
d
` ∴ a:b=c:d=e:f
C E
D

⑵ ∠BAG는 공통, ∠ABG=∠ACD (평행선의 동위각) A

`∴ △ABG와 △ACD는 닮음이다. ∴ a:c=e:(e+f) e


a b
`∠FAG는 공통, ∠AFG=∠AED (평행선의 동위각) B F
G
f
`∴ △AGF와 △ADE 는 닮음이다. ∴ b:d=e:(e+f)
C E
` ∴ a:c=b:d c D d

` ∴ a:b=c:d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BC”∥DE” 일 때, x 의 값을 구하여라. E D


3 cm
_ AD”:AB”=AE”:AC” 이므로 4 cm

4:5=3:(x-3) 5 cm A
x cm
15=4x-12
4x=27 B C

∴ x=:™4¶:

505
삼각형의 합동조건

3 두 삼각형은 다음의 각 경우에 서로 합동이다.


① 대응하는 세 변의 길이가 각각 같을 때(SSS합동)
②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각각 같고, 그 끼인 각의 크기가 같을 때(SAS합동)
③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각의 크기가 각각 같을 때(ASA합동)

보충 다음 그림과 같이 △ABC와 △CDE 가 모두 정삼각형이면


⑴ △ACD™△BCE
⑵ 두 직선 AD 와 BE 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60˘이다.
! A
@ A 60˘
60˘ E
E

B D B C
C

증명 ⑴ ⁄, ¤ 모두 같은 방법으로 증명
△ACD와 △BCE에서
AC”=BC” (∵ AC” 와 BC” 는 정삼각형 ABC의 한 변)
CD”=CE” (∵ CD” 와 CE” 는 정삼각형 CDE의 한 변)
∠ACD=∠BCE (∵ ∠ACE 공통, ∠ECD=∠BCA=60˘)
∴ △ACD™△BCE (SAS합동)
⑵ ∠BAC=a, ∠ABE=b, ∠EBC=c 라고 하자.
⁄의 증명 A
60˘
AD” 와 BE” 가 만나는 점을 H라고 하면 a r E
H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a=b+c=60˘
b
△ACD™△BCE이므로 ∠CAD=∠CBE=c r
B D
C
따라서 △ABH에서 a+b+c+∠AHB=180˘
∴ ∠AHB=60˘
¤의 증명 A 60˘
a r E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a=b+c=60˘
△ACD™△BCE이므로 ∠CAD=∠CBE=c D
b
△ABE에서 a+b+c+∠AEB=180˘ B
r
C
∴ ∠AEB=60˘

506
직각삼각형의 합동조건

4 두 직각삼각형은 다음의 각 경우에 서로 합동이다.


①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각각 같을 때(RHA 합동)
②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각각 같을 때(RHS 합동)

보충 ∠A=90˘인 직각이등변삼각형 ABC 의 두 꼭짓점 B, C 에서 꼭짓점 A를 지나는 직선 l 위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 라고 하면 △ABD과 △CAE가 합동이다.
⑴ C ⑵
C E
B
D B

l
E A D
A
l

증명 ⑴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AC”=AB” 이고


사각형 BCED에서 ∠B+∠C=180˘ ∴ ∠DBA+∠ACE=90˘
△ABD 에서 ∠DBA+∠BAD=90˘ ∴ ∠ACE=∠BAD
∴ △ABD™△CAE (RHA 합동)
⑵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AC”=AB” 이고,
∠ECH=a, ∠EAC=b라고 하면 C a E
45˘
(45˘-a)+(90˘-b)=(45˘+a)+b H
D a
135˘-a-b=45˘+a+b, 2a+2b=90˘ B
b
a+b=45˘ ∴ a=45˘-b 45˘-a
A
∠DBA=45˘-a=45˘-(45˘-b)=b
∴ ∠DBA=∠EAC
∴ △ABD™△CAE (RHA 합동)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ABD 와 △CAE 가 합동이면


C E
|BD”-CE”|=DE”
가 성립함을 보여라. D B

_ △ABD™△CAE이므로 BD”=AE”, AD”=CE”


A
∴ |BD”-CE”|=|AE”-AD”|=DE”
l

507
다각형

5 ①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


②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
과 같다.
③ n 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삼각형의 개수는
(n-2)개이다.
④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n-2)_180˘이다.
⑤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이다.
⑥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n-3)개이다.

⑦ n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11113 개이다.


n(n-3)
2

⑧ 정n 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111112 , 한 외각의 크기는 113 이다.


(n-2)_180˘ 360˘
n n

보충 ⑴ 다음 그림에서 표시된 5 개의 각 a, b, c, d, e 의 크기의 합은 모두 180˘이다.


⁄ ¤ ‹ C
a e a e
a A e
A A
B
c c
b d b d
C C b d
B B
c

⑵ Mention의 문제 A

오른쪽 그림에서 ∠BAD=∠CAD, AH”⊥BC” 이면 a a

∠DAH=;2!;|∠B-∠C|
B C
DH
증명 ⑴ ⁄과 ¤는 같은 방법으로 증명이 가능하다.
∠b+∠e=∠ABC, ∠a+∠c=∠CAB ∴ ∠ABC+∠CAB+∠d=180˘
‹ ∠b+∠d=∠CAB, ∠a+∠c=∠CBA ∴ ∠CAB+∠CBA+∠e=180˘
⑵ ∠BAD=a, ∠ABD=b라고 하면 ∠ACB=180˘-(2a+b) A
∠ACB-∠ABC=180˘-2(a+b)
a a
∠DAH=90˘-(a+b)
a+b
∴ ∠DAH=;2!;(∠C-∠B)=;2!;|∠B-∠C| b
B C
DH

예 제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면?

① 정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540˘이다. ②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20˘이다.


③ 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육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보다 더 크다.
④ 팔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20 개이다.
⑤ 육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삼각형의 개수는 4 개이다.

_ ③ 오각형과 육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모두 360˘로 같다.

508
입체도형의 부피와 겉넓이

6 ① 밑넓이가 S, 높이가 h 인 입체도형에서

기둥의 부피:V=Sh 뿔의 부피: V=;3!;Sh

h
h

S S

②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r, 높이가 h인 원기둥에서


부피:V=pr¤ h
겉넓이:S=2pr¤ +2prh
h

③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r, 높이가 h, 모선의 길이가 l 인 원뿔에서

부피:V=;3!;pr¤ h
h l
겉넓이:S=pr¤ +prl

④ 반지름의 길이가 r 인 구에서

부피:V=;3$;pr‹ r

겉넓이:S=4pr¤

예 제 다음 입체도형의 부피와 겉넓이를 구하여라.

⑴ ⑵
3 cm

4 cm 8 cm
5 cm

3 cm

_ 부피:;3!;_p_3¤ _4=12p(cm‹ ) 부피:p_3¤ _8=72p(cm‹ )


겉넓이:2p_3¤ +2p_3_8=66p(cm¤ )
겉넓이:p_3¤ +p_3_5=24p(cm¤ )

509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7 ① 이등변삼각형의 두 밑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또한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다.
②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또한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의 수직이등분선은 꼭지각을 이등분한다.

증명 ∠A의 이등분선과 밑변 BC 와의 교점을 D라고 하면 A

△ABD와 △ACD 에서
AB”=AC” (∵ 이등변삼각형의 길이가 같은 두 변)
∠BAD=∠CAD
AD” 는 공통 B C
D
이므로 △ABD™△ACD(SAS합동)
∴ ∠B=∠C
∠A 의 이등분선과 밑변 BC 와의 교점을 D라고 하면
△ABD™△ACD이므로
BD”=CD”
또한 ∠ADB=∠ADC, ∠ADB+∠ADC=180˘이므로 AD”⊥BC”
따라서 AD” 는 BC” 를 수직이등분한다.

예 제 다음 그림에서 △AB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x 의 값을 구하여라.

⑴ A ⑵
A

40˘
B C
5 cm
B C
D
x cm

_ x=5_2=10 2x=180-(40_2)=100
∴ x=50

510
삼각형에서 수선의 길이의 합

8 ① 정삼각형의 내부의 한 점 P 에서 세 변에 각각 그은 세 수선의 A

길이의 합은 점 P 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PL”+P’M”+PN”=h (일정) L N h
P
즉, 정삼각형 ABC 의 내부의 한 점 P 에서 세 변까지의 거리
의 합은 점 P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그 값은 △ABC B C
M
의 높이와 같다.
② 이등변삼각형의 밑변 위의 한 점 P 에서 나머지 두 변에 각각 그 A

은 두 수선의 길이의 합은 점 P 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PL”+P’M”=k (일정)

M
L
B P C

증명 (△ABC의 넓이)=;2!;_BC”_h이고, 또한 A

(△ABC의 넓이)=;2!; AB”_PL”+;2!; BC”_P’M”+;2!; CA”_PN” L N


P h

(△ABC의 넓이)=;2!; BC”_PL”+;2!; BC”_P’M”+;2!; BC”_PN”


B C
M
(△ABC의 넓이)=;2!; BC”(PL”+P’M”+PN”)

∴ h=PL”+P’M”+PN”
(△ABC의 넓이)=(△ABP의 넓이)+(△APC의 넓이) A

(△ABC의 넓이)=;2!; AB”_PL”+;2!; AC”_P’M”

(△ABC의 넓이)=;2!; AB”_PL”+;2!; AB”_P’M”


M
L
(△ABC의 넓이)=;2!; AB”(PL”+P’M”) B C
P
△ABC의 넓이는 항상 일정하고 AB” 의 길이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PL”+P’M” 의 길이도
일정하다.

예 제 AB”=BC”=1, ∠B=90˘인 직각삼각형 ABC 의 내부의 한 점 P 에서 세 변 A


AB, BC, CA 까지의 거리를 각각 x, y, z 라고 할 때, x, y, z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여라.

_ AC” ¤ =AB” ” ¤ +BC” ” ¤ =1¤ +1¤ =2 ∴ AC”='2 x z


P
;2!;_1_x+;2!;_1_y+;2!;_'2_z=;2!; y
B C
;2!;x+;2!;y+ 144 z=;2!;
'2
2
∴ x+y+'2z=1

511
삼각형의 닮음 조건

9 두 삼각형은 다음의 각 경우에 닮음이다.


① 세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을 때(SSS닮음)
② 두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고, 그 끼인 각의 크기가 같을 때(SAS 닮음)
③ 두 쌍의 대응하는 각의 크기가 각각 같을 때(AA닮음)

보충 세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을 때 A'

a:a'=b:b'=c:c' A
c' b'
또는 15 = 15 = 15
a b c c b
a' b' c'
B C B' C'
a a'

두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고, 그 끼 A'


인 각의 크기가 같을 때 A
c' b'
b:b'=c:c'이고 ∠A=∠A' b
c

또는 15 = 15 이고 ∠A=∠A'
b c
b' c' B C B' C'

두 쌍의 대응하는 각의 크기가 각각 같을 때 A'

∠B=∠B', ∠C=∠C' A

B C B' C'

예 제 다음 그림에서 x 의 값을 구하여라.

⑴ ⑵ 4 cm
2'3 cm 8 cm x cm
x cm 2 cm

3 cm
1 cm
_ 2'3:2=x:1 8:4=(4+x):11
2x=2'3 16+4x=88

∴ x='3 4x=72
∴ x=18

512
직각삼각형의 닮음

10 ∠A 가 직각인 직각삼각형 ABC 의 꼭짓점 A 에서 BC” 에 A


수직으로 내린 선분을 AH”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① AB”” ¤ =BH”_BC”
② AC”” ¤ =CH”_CB” B C
H
③ AH”” ¤ =BH”_CH”
④ BH”:CH”=AB”” ¤ :AC”” ¤

증명 ∠B=∠HAC, ∠C=∠BAH A

① △ABCª△HBA이므로 AB”:HB”=BC”:BA”
∴ AB” ¤ =BH”_BC”
B C
② △ABCª△HAC이므로 AC”:HC”=BC”:AC” H

∴ AC” ¤ =CH”_CB”
③ △HBAª△HAC이므로 H’A”:HC”=HB”:H’A”
∴ AH” ¤ =BH”_CH”
④ ①, ②에서 AB” ¤ :AC” ¤ =BH”_BC”:CH”_CB” 이므로
AB” ¤ :AC” ¤ =BH”:CH”

예 제 다음 그림에서 x 의 값을 구하여라.

⑴ A ⑵ C
4 cm
H
4 cm
9 cm

B C x cm
2 cm H x cm
A B

4¤ =2_(2+x) x¤ =4_9
∴ x=6 ∴ x=6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ABD 의 둘레의 길이가 10, △ACD 의 둘레의 길이가 A


20 일 때, △ABC 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여라.

_ △ABD 와 △CAD는 닮은 도형이고, 둘레의 길이가 각각 10, 20이므로 두 삼


B C
D
각형의 닮음비는 1:2 이다.
따라서 AB”=a, BD””=b라고 하면
A
AB”:CA”=BD”:AD”=AD”:CD”=1:2
가 성립하므로 CA”=2a, AD”=2b, CD”=4b a 2a

△ABD의 둘레의 길이가 10에서 a+3b=10 yy ㉠ 2b


B C
직각삼각형의 닮음에서 AB” ¤ =BD”_BC” 이므로 b D 4b
a¤ =b_(b+4b) ∴ a¤ =5b¤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b= 11112 (∵ a>0)


5(3-'5 )
2
따라서 △ABC의 둘레의 길이 l은

l=3a+5b=3(10-3b)+5b=30-4b=30-4_ 11112 =10'5


5(3-'5)
2

513
각의 이등분선

11 삼각형 ABC의 ∠A의 내각(외각)의 이등분선이 변 BC(BC” 의 연장선)와 만나는 점을 D라고


하면
① A ②
A

B C
D
B D
C

AB”:AC”=BD”:CD” AB”:AC”=BD”:CD”

증명 BA” 의 연장선을 긋고 점 C 를 지나며 DA” 에 평행한 직선을 E

그어 그 교점을 E라고 하면 A

∠BAD=∠AEC (동위각)
∠DAC=∠ACE (엇각) B D C

∴ ∠AEC=∠ACE
∴ AE”=AC”
AD”∥EC” 이므로 평행선의 성질에 의하여
BA”:AE”=BD”:DC”
∴ AB”:AC”=BD”:CD”

예 제 오른쪽 그림의 직각삼각형 ABC 에서 AD” 가 ∠A 의 이등분선일 때, 빗변 AC 의 A


길이를 구하여라.

A’C Ú=x cm, A’BÚ=y cm라고 하면


y:x=2:3, 2x=3y
∴ y=;3@;x B C
2 cm D 3 cm
△ABC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하면 A

{;3@;x}2 +5¤ =x¤ x cm


y cm
;9$;x¤ +25=x¤
x¤ =45 ∴ x=3'5 B C
2 cm D 3 cm
∴ A’C Ú=3'5(cm)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BAD=∠CAD 이고 AD”∥CE” 일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E

① AC”=13.5 cm 13.5 cm
② CD”=9 cm
A
③ AB”:AE”=AD”:CE”
9 cm
④ BD”:CD”=2:3
⑤ AB”:AC”=2:3 B 6 cm D C

_ ③ AB”:BE”=AD”:CE”

514
폭이 일정한 종이접기

12 ① △ABC 는 BA”=BC”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A D ∠DAC=∠BAC (종이가 접혀진 각)
∠DAC=∠BCA (엇각)
B
C
∴ ∠BAC=∠BCA
∴ △ABC는 BA”=BC”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② △EBD 는 EB”=ED”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C' AB”=CD” 이므로 AB”=C’'D”
E ∠EAB=∠EC'D=90˘
A D
∠AEB=∠C'ED (맞꼭지각)
∴ ∠ABE=∠C'DE
∴ △ABE™△C'DE (ASA합동)
B C ∴ △EBD 는 EB”=ED”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③ △ABC'ª△DC'E
A C' D 오른쪽 그림에서 A C' D
b c
c+d=90˘이므로 d=90˘-c d
E
E b+c=90˘에서 b=90˘-c=d
∴ b=d a

또한 ∠C'AB=∠EDC'=90˘ B C
B C
∴ △ABC'과 △DC'E는 닮음이다. (AA닮음)

예 제 다음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ABCD 를 접을 때, DE” 의 길이를 구하여라.

A C' D

E
8 cm

B C
10 cm

_ AC”'’=y cm라고 하면 (8-x) cm


y cm C'
A D
△ABC'은 직각삼각형이므로 AB” ¤ +A’C'” ¤ =BC”'’ ¤
x cm
8¤ +y¤ =10¤ , y¤ =36 ∴ y=6 10 cm E
8 cm
AC”'’=6(cm)이므로 C’'D”=4(cm)
(8-x) cm
DE”=x cm라고 하면
C’'E”=CE”=(8-x)cm B C
10 cm
△C'DE에서 4¤ +x¤ =(8-x)¤
16+x¤ =64-16x+x¤
16x=48, x=3
∴ DE”=3(cm)

515
삼각형의 넓이의 비

13 ① 오른쪽 그림에서 △ABD와 △ADC 는 높이가 서로 같으므로 A

S¡:S™=;2!; mh:;2!; nh
h
S¡ S™
∴ S¡:S™=m:n
B C
m D n
② 오른쪽 그림의 삼각형 ABC에서
A
△ABE, △EBD, △EDC, △AEC
의 넓이를 각각 S¡, S™, S£, S¢ 라고 하면
S¡ E S¢
⁄ AE”:ED”=S¡:S™=S¢:S£, 즉 S¡S£=S™S¢
S™ S£
¤ BD”:DC”=S¡:S¢=S™:S£=S¡+S™:S£+S¢ B C
D

보충 다음 그림에서도 등식 S¡S£=S™S¢가 성립한다.


⑴ ⑵

S£ S¡ S¢

S™ S™ S£

⑴ BG”:DG”=m:n, △ABD 의 높이를 h, △CDB 의 높이를 D


A
k라 하고, 각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S¢ n S£
h
S¡ G k
S¡=;2!; mh, S¢=;2!; nh, m S™

S™=;2!;mk, S£=;2!; nk B C

∴ S¡_S£=;2!; mh_;2!; nk=;2!; mk_;2!; nh=S™_S¢

∴ S¡S£=S™S¢
⑵ △ADE의 높이를 h¡, 사다리꼴 DBCE 의 높이를 h™ 라 하고 A

각각의 넓이를 구하면 m h¡


n S¡ S¢
S¡=;2!; mah¡, S¢=;2!; mbh¡,
D E
ma mb
S™=;2!;(ma+na)h™, S£=;2!;(mb+nb)h™ S™ S£ h™

B na nb C
S¡_S£=;2!; mah¡_;2!;(mb+nb)h™

S¡_S£=;2!;(ma+na)h™_;2!;mbh¡=S™_S¢

∴ S¡S£=S™S¢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DE”∥BC” 이다. △ADG, △AGE, DBFG 의 넓이가 각각 3, A
4, 6 일 때, GFCE 의 넓이를 구하여라.
D E
_ △ADG의 넓이를 S¡, DBFG의 넓이를 S™, GFCE 의 넓이를 S£, △AGE 의 넓이 G
를 S¢라고 하면 S¡_S£=S™_S¢가 성립한다.
B C
3_S£=6_4 ∴ S£=8 F
∴ GFCE 의 넓이는 8

516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

14 ①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은 나머지 한 변과 평행하고, 그 길이는 나머지 한 변

의 길이의 ;2!;이다.

② 삼각형의 한 변의 중점을 지나고 다른 한 변에 평행한 직선은 나머지 한 변의 중점을 지난다.

A
증명 ① A’M”=B’M”, AN”=CN” 이면 MÚN”∥BC”, MÚN”=;2!; BC”
M N
② A’M”=B’M”, MÚN”∥BC” 이면 AN”=CN”

B C
보충 사다리꼴에서의 선분의 길이

⑴ x= 1111 ⑵ x= 112
mb+na a 2ab a
m+n m a+b x
x

n
b b

⑴ CD” 에 평행한 직선 AH를 그으면 AE”:AB”=EG”:BH” A a D


m:(m+n)=EG”:(b-a), (m+n)EG”=m(b-a) m

∴ EG”= 11112
m(b-a) G
E F
m+n
n
AHCD 는 평행사변형이므로 GF”=a
b-a H a
C
∴ x=EF”=EG”+GF”= 1111
mb+na B
b
m+n
⑵ ∠AGD=∠BGC(맞꼭지각), ∠ADB=∠DBC(엇각) A a D
am
∴ △AGD ª△CGB (AA 닮음) an
E F
∴ EG”= 112
ab G
BG”:BD”=EG”:AD”, bm:(a+b)m=EG”:a
a+b
bm bn
∴ GF”= 112
ab
CG”:CA”=GF”:AD”, bn:(a+b)n=GF”:a
a+b B C
b
∴ x=EG”+GF”= 112 + 112 = 112
ab ab 2ab
a+b a+b a+b

예 제 다음 그림에서 AD”∥EF”∥BC” 일 때, x 의 값을 구하여라.

⑴ A 4 cmD ⑵ A 6 cm D
x cm
E F
G
9 cm
E F

B x cm C (단, AE”:EB”=3:2) B C
14 cm

_ ⑴ EF”= 111 =9, 3x+8=45, 3x=37


3x+8
∴ x=:£3¶:
5

⑵ x= 11112 = 11112 =:¢5™:


2_6_14 2_6_14
6+14 20

517
닮은 도형의 넓이의 비와 부피의 비

15 ① 닮은 두 평면도형의 닮음비가 m:n 이면 그 넓이의 비는 m¤ :n¤ 이다.


② 닮은 두 입체도형의 닮음비가 m:n 이면 그 부피의 비는 m‹ :n‹ 이다.
③ 높이가 같은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밑변의 길이의 비와 같다.

보충 다음에서 넓이의 비 S:T 와 부피의 비 U:V를 구하여라.


① ②
m m
S U

n T n V

증명 AD”:DB”=m:n이면 AD”:AB”=m:(m+n), DE”:BC”=m:(m+n)


A
DE”=ma, BC”=(m+n)a 라 하고 AG”:GH”=m:n 이므로
m
AG”=mb, GH”=nb라고 하면
mb
D G E
S=;2!;_ma_mb, T=;2!;(ma+ma+na)nb ma
n
nb
S:T=;2!;ma_mb:;2!;(2m+n)a_nb
B H C
∴ S:T=m¤ :2mn+n¤ (m+n)a

AD”:DB”=m:n 이면 AD”:AB”=m:(m+n), DE”:BC”=m:(m+n)


DE”=ma, BC”=(m+n)a 라 하고 AG”:AH”=m:(m+n) A

이므로 AG”=mb, AH”=(m+n)b 라고 하면 m

D G E
U=;3!;p{;2!; ma}2 _mb,
n

V=;3!;p[;2!;(m+n)a]2 _(m+n)b-;3!;p{;2!; ma}2 _mb


B C
H
U:V=;3!;p_;4!;a¤ bm‹ :;3!;p_;4!;a¤ b{(m+n)‹ -m‹ }

∴ U:V=m‹ :3m¤ n+3mn¤ +n‹

예 제 오른쪽 그림의 사다리꼴 ABCD 에서 AD”∥BC” 이고 △AOD 의 넓이는 4, A D


△OBC 의 넓이는 9 일 때, 이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여라.
O
_ △AOD 와 △COB는 닮은 도형이고 그 넓이의 비가 4:9이므로 닮음비는 2:3이
다. 즉, AO”:CO”=DO”:BO”=2:3 B C
△AOD:△DOC=2:3 ∴ △DOC=6
△AOD:△ABO=2:3 ∴ △ABO=6
따라서 사다리꼴 ABCD의 넓이는
4+6+6+9=25

518
삼각형의 무게중심

16 ① 삼각형의 세 중선은 한 점(무게중심)에서 만나고 삼각형의 A

무게중심은 세 중선의 길이를 각 꼭짓점으로부터 각각 2:1


로 나눈다. 2
② △ABC 의 무게중심을 G라고 하면
△GAB=△GBC=△GCA 1
G

B C

③ △ABC 의 세 중선을 AD”, BE”, CF” 라고 하면


△GAF=△GBF=△GBD
F E
=△GCD=△GCE=△GAE
G

B C
D

증명 중선 BE와 CF 의 교점을 G 라고 하자. A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EF”∥BC”, EF”=;2!; BC” F E

G
∴ △GBC ª△GEF
B C
∴ BG”:EG”=CG”:FG”=BC”:EF”=2:1 D

△ABG=;3@;△ABD=;3@; {;2!;△ABC}=;3!;△ABC이고

△BCG 와 △CAG 의 넓이도 모두 ;3!;△ABC이므로

△ABG=△BCG=△CAG

예 제 △ABC 의 무게중심 G 를 지나고 변 BC 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두 변 AB, AC A


와의 교점을 각각 D, E 라고 하자. △ABC 의 넓이가 36 일 때, △ADE 의 넓
이를 구하여라.

D E
G

B C

_ △CHF에서 CG”:GF”=2:1이므로 CE”:EH”=2:1 A


△CGH에서 △CEG:△EGH=2:1

△CGH=;6!;△ABC=6 이므로 △EGH=6_;3!;=2


F H
같은 방법으로 하면 △DGF=2 D E
∴ △ADE=△AFG+△AHG+△EGH+△DGF G

=6+6+2+2=16 B C

519
삼각형의 외심

17 ①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 O(외심)에서 만난다. A

② 삼각형의 외심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③ ∠BOC=2∠A
O
④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과 일치한다.
⑤ ∠ACB=90˘인 △ABC의 변 AB의 중점을 D 라고 할 때,
B C
AD”=BD”=CD” 이면 점 D는 △ABC의 외심이다.

보충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의 성질 P

⁄ 점 P 가 AB” 의 수직이등분선 위에 있으면 PA”=PB” 이다.


¤ PA”=PB” 이면 점 P 는 AB” 의 수직이등분선 위에 있다.
A B

증명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두 변 AB, BC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을 O 라고 하면
OA”=OB”, OB”=OC” 이므로 OA”=OC” 이다.
OA”=OC” 이므로 점 O는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 위에 있다.
따라서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 O에서 만난다.
∠BOC=∠BOD+∠COD A

∠BOC=(∠OAB+∠ABO)+(∠CAO+∠ACO)
∠BOC=2(∠OAB+∠CAO) O
∠BOC=2∠A
B D C
△BD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BC” 에 수직이면서 점 D를 지나는 직선을 DE라고 하면
A
BD”=CD”, ∠DBC=∠DCB
이므로 △DBE와 △DCE 는 합동이다.
그러므로 DE” 는 BC” 의 수직이등분선이다. yy ㉠ D
F
또, △AD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AC” 에 수직이면서 점 D를 지나는 직선을 DF라고 하면
B E C
AD”=CD”, ∠DCA=∠DAC
이므로 △DCF와 △DAF 는 합동이다.
그러므로 DF” 는 AC” 의 수직이등분선이다. yy ㉡
㉠, ㉡에서 점 D는 BC”의 수직이등분선과 AC” 의 수직이등분선이 만나는 점이므로 △ABC
의 외심이다.

520
삼각형의 내심

18 ① 삼각형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은 한 점 I(내심)에서 만난다. A

② 삼각형의 내심에서 세 변까지의 거리는 같다.

③ ∠BIC=90˘+;2!;∠A c F Eb
I
④ △ABC의 세 변의 길이를 각각 a, b, c라 하고, 넓이를 S, 내
r
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라고 하면 B C
D
S=;2!;r(a+b+c), r= 1111
2S a
a+b+c
⑤ 삼각형의 세 꼭짓점에서 접점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AE”=AF”= 1111 , BD”=BF”= 1111 , CD”=CE”= 1111


b+c-a a+c-b a+b-c
2 2 2
⑥ △ABC 의 내심 I 는 세 접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DEF 의 외심이다.

보충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
⁄ 점 P 가 ∠AOB의 이등분선 위에 있으면 점 P에서 두 변 OA, B
OB까지의 거리는 서로 같다. P
¤ 점 P 에서 각의 두 변 OA, OB까지의 거리가 서로 같으면 점 P
는 ∠AOB의 이등분선 위에 있다. O A

증명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두 각 B, C의 이등분선의 교점을 I라 하고
점 I에서 세 변 BC, CA,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 F 라고 하면 IFÚ=IÆDÚ ,
IÆDÚ=IÆEÚ 이므로 IFÚ=IÆEÚ 이다. IFÚ=IÆEÚ 이므로 점 I는 ∠A 의 이등분선 위에 있다.
따라서 세 내각의 이등분선은 한 점 I에서 만난다.
∠FBI=∠IBD=a, ∠ECI=∠ICD=b 라고 하면 A

∠A+2a+2b=180˘, a+b=90˘-;2!;∠A c
F b
△BIC 에서 ∠BIC+a+b=180˘이므로 I E

a r b
∠BIC=180˘-(a+b)=180-{90˘-;2!;∠A} a b
B C
D
a
∠BIC=90˘+;2!;∠A

IFÚ=IÆEÚ=IÆDÚ=r 이므로 △ABC의 넓이 S 는

∴ r= 1111 ⑥
2S
S=;2!;ar+;2!;br+;2!;cr=;2!;r(a+b+c)
a+b+c
△ABC의 둘레의 길이는 A

a+b+c=(AF”+AE”)+(BF”+BD”)+(CD”+CE”)
a+b+c=2(AE”+BD”+CD”)=2(AE”+a) F E
I
∴ AE”= 1111
b+c-a
2
B C
BD”, CD” 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생각하면 된다. D

521
평행사변형의 성질

19 ①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A D

②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다.


③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B C

참고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다음의 어느 한 조건을 만족하는 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 된다.
①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다. (정의)
②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성질)
③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다. (성질)
④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성질)
⑤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다.
보충 ⑴ 콤파그논의 문제 A D

ABCD가 평행사변형이면
B M C
B’M”_D’N”=AB”_AD” (일정)
N
⑵ 바리뇽의 문제
ABCD가 평행사변형이면 D

AA”'’+CC”'’=BB”'’+DD”'’ A C
B

A' B' D' C'

증명 ⑴ 콤파그논의 문제
∠MNC는 공통, ∠CMN=∠DAN(동위각)이므로 A (m+n)a D
△CMN과 △DAN 은 닮음이다.
ma n
CN”=m, CD”=n 이라고 하면 CN”:DN”=C’M”:D’A” 이므로 B M C
C’M”=ma, D’A”=(m+n)a 로 놓을 수 있다. m

B’M”_D’N”={(m+n)a-ma}_(m+n)=na_(m+n) N

B’M”_D’N”=n_(m+n)a=AB”_AD”
∴ B’M”_D’N”=AB”_AD”
⑵ 바리뇽의 문제
AD”=BC”(평행사변형), ∠DAG=∠CBH(동위각)이므로 D

△AGD 와 △BHC는 합동이다.(RHA합동)


C
∴ AG”=BH”=A’'D'”=B’'C'” G
A

BC” =B’'C'”’ ¤ +(C’C'”-BB”'’ )¤ , AD” ¤ =A’'D'” ¤ +(DD”'’-A’A'” )¤


¤ H
B
∴ B’'C'” ¤ +(CC”'’-BB”'’ )¤ =A’'D'” ¤ +(DD”'’-A’A'” )¤
|CC”'’-BB”'’|=|D’D”'’-AA”'’|이므로 A' B' D' C'

CC”'’-BB”'’=DD”'-
’ AA”'’ (∵ CC”'’-BB”'’>0, DD”'’-AA”'’>0)
∴ AA”'+
’ CC”'’=BB”'’+DD”'’

522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20 ① 직사각형, 마름모, 정사각형은 모두 평행사변형이다.


②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③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④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보충 A D

B C
D
A
A= 90˘ AC BD
AC = BD AB = AD

B C
A D A D
AD BC
AD BC
AB DC
B C
A D B C

AB = AD A= 90˘
B C AC BD
AC = BD

B D

예 제 △ABC 의 각 변을 각각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 ABD, ACF, BCE 를 그 E


려서 생기는 사각형 EDAF 가 평행사변형임을 보여라. D
F
A
_ △ABC 와 △FEC에서
BC”=EC”, AC”=FC”, ∠BCA=∠ECF
∴ △ABC™△FEC (SAS 합동) B C

△ABC와 △DBE에서
BC”=BE”, AB”=DB”, ∠ABC=∠DBE
∴ △ABC™△DBE (SAS합동)
따라서 △ABC™△FEC™△DBE이고 AD”=FE”, AF”=DE” 이므로
사각형 EDAF는 평행사변형이다.

523
피타고라스 정리

21 ⑴ 직각삼각형 ABC 에서 C

∠A=90˘이면 AB”¤ +AC”¤ =BC”¤


⑵ △ABC의 세 변 중 가장 긴 변의 길이가 a일 때, ∠A 가 가 B A
장 큰 각이 된다.
A
따라서 다음과 같이 삼각형 ABC의 모양을 판단한다.
a¤ <b¤ +c¤ 이면 △ABC 는 예각삼각형 c b
a¤ =b¤ +c¤ 이면 △ABC 는 직각삼각형
a¤ >b¤ +c¤ 이면 △ABC 는 둔각삼각형
B C
a

보충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넓이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 ¤ A
A P
P R
R

B C B C
Q
Q

P+R=Q P+R=Q
‹ ›
A
P R
P A

R B C
Q Q
B C

P+R=Q P+R=Q

예 제 오른쪽 그림의 직각삼각형 ABC 에서 세 변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을 그릴 때, 어


A S'
두운 부분의 넓이의 합을 구하여라.
S
6 cm 8 cm
A R A B C
P
Q
B C
B C

_ 위의 그림에서 P+R=Q 이므로

S+S'=(△ABC의 넓이)=;2!;_6_8=24(cm¤ )

다른 풀이 | BC”="√6¤ +≈8Ω¤ =10(cm)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다른 풀이 | [{6_8_;2!;}+(p_3¤ )+(p_4¤ )]-(p_5¤ )

다른 풀이 | =(24+25p)-25p=24(cm¤ )

524
피타고라스 정리의 여러 가지 증명

22 ① 유클리드의 증명법 D
I
△ABF™△EBC이므로 △ABF=△EBC
E A
BF”∥A’M” 이므로 △ABF=△LBF
H
EB”∥DC” 이므로 △EBC=△EBA
B C
따라서 LBFM= ADEB L

마찬가지 방법으로 LMGC= ACHI이다.


그러므로 BFGC= ADEB+ ACHI 이다.
즉, B’CÚ ¤ =A’BÚ ¤ +A’CÚ ¤ Ú F M G

② 피타고라스의 증명법 F b H c E
ADEF 가 정사각형일 때 c
a b
ADEF= BGHC+4△ABC이므로 C

b G
a
(b+c)¤ =a¤ +4_;2!; bc c

∴ b¤ +c¤ =a¤ A c B b D

c
③ 바스카라의 증명법
B A a-b
c¤ ={;2!; ab}_4+(a-b)¤ a-b b
a
=2ab+(a-b)¤ C
c
∴ c¤ =a¤ +b¤ B A

a b
C
④ 직각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한 증명법 A

직각삼각형 ABC의 꼭짓점 A 에서 빗변 BC 에 내린 수선 b


c
의 발을 H라고 하면 직각삼각형의 닮음에 의하여 y
x
△ABCª△HBA B C
H
a
△ABCª△HAC

따라서 ;aC;=;c{; 에서 c¤ =ax yy ㉠

;bA;=;]B; 에서 b¤ =ay yy ㉡

㉠+㉡을 하면
b¤ +c¤ =ay+ax=a(x+y)=a¤
∴ b¤ +c¤ =a¤

525
평면도형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의 활용

23 ① a¤ +c¤ =b¤ +d¤ ② a¤ -b¤ =d¤ -c¤


A A
a d
p a
d
O
B r D
t
s B C
b c b H c
C

③ 다음의 각 경우에 ABCD가 직사각형이면 a¤ +c¤ =b¤ +d¤ 이 성립한다.


! A D @ A D

a d
c a d
b
B C B b c C

# A D $ A D
a d
a d
b c
B C B C
b c

④ B’EÚ ¤ +C’DÚ ¤ =D’EÚ ¤ +B’CÚ ¤ C

A B
D

증명 ! A’M”=p, MÚB”=r, C’N”=r, ND”=p, MÚG”=u, GN”=v라고 A D

하면 a d
p p
△AMG 에서 p¤ +u¤ =a¤ , △GMB 에서 u¤ +r¤ =b¤ , u v
M N
△CNG 에서 v¤ +r¤ =c¤ , △GND 에서 v¤ +p¤ =d¤ r b G r
c
a¤ +c¤ =(p¤ +u¤ )+(v¤ +r¤ )=(u¤ +r¤ )+(v¤ +p¤ )=b¤ +d¤ B C

∴ a¤ +c¤ =b¤ +d¤


¤~›도 같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예 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ABCD 의 내부에 한 점 P 가 있다. A D


AP”=6 cm, BP”=5 cm, CP”=4 cm 일 때, DP” 의 길이를 구하여라. 6 cm

_ AP” ¤ +CP” ¤ =BP” ¤ +DP” ¤ 이므로 36+16=25+DP” ¤ 5 cm 4 cm


P
DP” ¤ =27 ∴ DP”=3'3(cm)
B C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A=90˘, DE”=3 cm, BE”=4 cm, CD”=5 cm 일 때, A


BC” 의 길이를 구하여라.
D 3 cm
E
_ DE” ¤ +BC” ¤ =BE” ¤ +CD” ¤ 이므로 9+BC” ¤ =16+25 4 cm
B
BC” ¤ =32 ∴ BC”=4'2(cm) 5 cm

526
입체도형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의 활용

24 ① 세 모서리의 길이가 x, y, z인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A D


"√x¤ √+√y¤ +≈zΩ¤ 이다.
B C z
② 세 면의 대각선의 길이를 DB”=a, BG”=b, GD”=c라고 할 때,
H
이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l=æ≠1≠1≠11±2—5 이다.
a¤ +b¤ +c¤ E
y
2
F x G
③ 세 면 ABCD, BFGC, CGHD 의 넓이를 각각 S¡, S™, S£이
라고 할 때, 이 직육면체의 부피는 V="√S¡_√S™_çS£ 이다.

④ 한 모서리의 길이가 a인 정사면체의 높이는 h= 12 a 이고,


'6
3

부피는 V= 125 a‹ 이다.


'2
12

증명 △FGH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FH”¤ =x¤ +y¤ ∴ FH”="√x¤ +≈yΩ¤ A D

△DFH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FD”¤ =("√x¤ +≈yΩ¤ )¤ +z¤ B z


C
∴ FD”="√x¤ +√y¤ +≈zΩ¤ E
H
DF”’ ¤ =FH” ¤ +DH” ¤ =a¤ +D’H” ¤ 이고 y
F
DH” ¤ =DG” ¤ -GH” ¤ =c¤ -GH” ¤ 이므로 x G

DF” ¤ =a¤ +c¤ -GH” ¤ yy ㉠


또한 BH” ¤ =BG” ¤ +GH” ¤ =b¤ +GH” ¤ yy ㉡
DF” ¤ =BH” ¤ 이므로 ㉠+㉡을 하면

2DF” ¤ =a¤ +b¤ +c¤ , l¤ =DF” ¤ = 111125 ∴ l= æ≠1≠1≠11±2—5


a¤ +b¤ +c¤ a¤ +b¤ +c¤
2 2
FG”=x, GH”=y, HD”=z 이므로 S¡=xy, S™=xz, S£=yz가 된다.
∴ (부피 V)=xyz="√x¤ y¤ ≈zΩ¤ ='ƒxy_xz_yz="√S¡_S™_S£

△ABH에서 a¤ =AH” ¤ +{;2A;}2 , AH” ¤ = 124 ∴ AH”= 12 a


3a¤ '3 A
4 2
'6
h= ;;;;;:; a
3

점 G는 △BCD 의 무게중심이므로 GH”=;3!; _ 12 a= 12 a


'3 '3 a
2 6

△AHG에서 { 12 a}2 =AG” ¤ +{ 12 a}2 ∴ AG”= 12 a


'3 '3 '6 B D
G
2 6 3 H
C
∴ (부피 V)=;3!; _(밑넓이)_(높이)

∴ (부피 V)=;3!; _{;2!; _a_ 12 a}_ 12 a= 12 a‹


'3 '6 '2
2 3 12

예 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모서리의 길이가 6 인 정육면체에서 △BED 의 넓이를 구하여라. A D


B
_ △BED는 한 변의 길이가 6'2 인 정삼각형이다. C

∴ (△BED 의 넓이)=;2!;_6'2_3'6=18'3 H
E
F G

527
삼각비

25 ∠B=90˘ 직각삼각형 ABC 에서 C


b
sin A= 122 = 1124 =;bA;
BC” (대변) a
AC” (빗변)
A B
cos A= 122 = 1142 =;bC;
AB” (밑변) c
AC” (빗변)

tan A= 122 = 1142 =;cA;


BC” (대변)
AB” (밑변)

보충 ⑴ 특수한 각의 삼각비

'2 45˘
1

삼각비 각 0˘ 30˘ 45˘ 60˘ 90˘


45˘

1 12 12
1 1 '2 '3
sin 0 1
2 2 2

12 12 1
'3 '2 1
30˘ cos 1 0
2 2 2
2
12
'3
'3 tan 0 1 '3 없다
3

60˘
1

⑵ 삼각비의 활용
직각삼각형의 변의 길이
B
c="√a¤ +≈bΩ¤ c
a
a=c sin A=c cos B=b tan A
A C
b=c sin B=c cos A=a tan B b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ABC=30˘, ∠ADC=60˘, ∠ACD=90˘, BD”=10 cm A


일 때, △ABC 의 넓이를 구하여라.

_ △ABD에서 ∠BDA=120˘이므로 ∠BAD=30˘


30˘ 60˘
∴ △ABD 는 이등변삼각형 B C
10 cm D
AD”=10 (cm)이므로 sin 60˘= 12 = 11 = 11
'3 AC” AC”
∴ AC”=5'3 (cm)
2 AD” 10

AD”=10 (cm)이므로 cos 60˘=;2!;= 11 = 11


DC” DC”
∴ DC”=5 (cm)
AD” 10

∴ (△ABC 의 넓이)=;2!;_BC”_AC”=;2!;_15_5'3= 112 (cm¤ )


75'3
2

528
원의 호와 현

26 한 원 또는 합동인 두 원에서
① 크기가 같은 두 중심각에 대한 호의 길이는 서로 같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O

② 길이가같은두호에대한현의길이는서로같다. 또한 그역도성립한다.

③ 원의 중심에서 현에 내린 수선은 그 현을 이등분한다. 또한 원에서 현


의 수직이등분선은 그 원의 중심을 지난다.
O

④ 중심에서같은거리에있는현의길이는서로같다. 또한그역도성립한다.

O
⑤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한다. 또한 부채꼴의 넓이도 중심각
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러나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하지
않는다.

보충 원 O의 임의의 현 AB를 연장하여 BC”=OB” 가 되도록 점 C를 A

정하고 CO” 및 그 연장선이 원과 만나는 점을 각각 E, D 라고 B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D C
O E
∠EOB=;3!;∠AOD, μ BE=;3!;μAD

증명 ∠BCO=x 라고 하면 A

∠BOC=∠BCO=x 이므로 ∠ABO=2x 2x


B
y 2x
∴ ∠BAO=∠ABO=2x D C
O x E
∠AOB=y 라고 하면
4x+y=180˘ ∴ y=180˘-4x
∠AOD+y+x=180˘이므로
∠AOD=3x

∴ ∠EOB=x=;3!;∠AOD

또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μ BE=;3!;μAD

529
원의 접선

27 ① 원의 접선은 그 접점을 지나는 반지름에 수직이다.


② 원 위의 한 점을 지나고, 그 점을 지나는 반지름에 수직인 직선은 이 원의 접선이다.
③ 원 밖의 한 점에서 그 원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는 서로 같다.

보충 ⑴ 피로의 문제
ABCD가 원 O 에 외접할 때 AB”+CD”=AD”+BC”
⑵ 아르키메데스의 문제 D

CD”⊥AB” 이면 세 호 AB, AC, BC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CD”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와 같다. A B
C
(단, AB” 는 큰 원의 지름이다.)

증명 ⑴ 피로의 문제
H D
원의 중심에서 AB”, BC”, CD”, D’A” 에 반지름을 그어 만나는 A
점을 각각 E, F, G, H라고 하면 G
E O
AE”=AH”, BE”=BF”, CG”=CF”, DG”=DH” (∵ ③의 성질)
∴ AB”+CD”=(AE”+BE”)+(CG”+DG”)
B F C
=(AH”+BF”)+(CF”+DH”)
=(AH”+DH”)+(BF”+CF”)=AD”+BC”
∴ AB”+CD”=AD”+BC”
⑵ 아르키메데스의 문제
(세 호 AB, AC, BC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D

=;2!;p(a+b)¤ -;2!;pa¤ -;2!;pb¤ =abp

CD”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를 구하려면 CD” 의 길이를 먼저 A B


a a Cb b
구해야 한다.
AD” ¤ =4a¤ +CD” ¤ , BD” ¤ =4b¤ +CD” ¤ 이므로
AD” ¤ -BD” ¤ =4a¤ -4b¤ yy ㉠
또한 AD” ¤ +BD” ¤ =(2a+2b)¤ yy ㉡
㉠, ㉡을 연립하면 AD” ¤ =4a¤ +4ab ∴ CD” =AD” ¤ -4a¤ =4ab
¤ ∴ CD”=2'∂ab
따라서 CD”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는 p('∂ab )¤ =abp

예 제 오른쪽 그림의 반원에서 세 직선 AQ, BR, QR 는 세 점 A, B, P 에서의 접선


Q
이다. AB”=2, AQ”=x, BR”=y 일 때, x 와 y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여라.
P
x R
_ (x+y)¤ =2¤ +(x-y)¤ Q x
P y y
x¤ +2xy+y¤ =4+x¤ -2xy+y¤ x-y
x 2 R A B
4xy=4 ∴ xy=1 O
y
2
A O B

530
원주각

28 ① 한 원에서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그 호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

의 ;2!;이다. O

② 한 원에서 반원(또는 지름)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90˘이다.

③ 한 원에서 길이가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O

④ 원의 접선과 그 접점을 지나는 현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그 각의 내부


에 있는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와 같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O

보충 ⑴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한 쌍의 대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x 2y 2x y
2x+2y=360˘
∴ x+y=180˘

⑵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 내대각의 크기와 같다.


x
즉, ∠x=∠y
O
y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PA”, PB” 가 원 O 의 접선이고 점 A, B 는 접점이다.


A
∠APB=40˘일 때, ∠ACB의 크기를 구하여라.
P 40˘ C
_ 선분 OA, OB 는 각각 직선 PA, PB와 수직으로 만난다. O
∠APB+∠AOB=180˘이므로 ∠AOB=140˘
B
∠ACB 는 ∠AOB의 원주각이므로 A

∠ACB=;2!;∠AOB=70˘ 40˘ 140˘ O C


P
70˘
B

531
네 점이 한 원 위에 있을 조건

29 다음의 각 경우에 네 점 A, B, C, D 는 한 원 위에 있다.


① ∠ACB=∠ADB일 때 ② ∠A+∠C=180˘일 때
C C
D
D

A B
A B

③ ∠D=∠CBE일 때 ④ PA”_PB”=PC”_PD” 일 때
C D B
D

C C
P
A E P
B A B A D

예 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CD 가 원에 내접할 때, ∠BCD 의 크기를 구하여라.

_ ∠BOD 는 μ BD의 중심각이고, ∠BAD는 μ BD 의 원주각이다. O


A
20˘
∠BOD=2a, ∠BAD=a 라고 하면
60˘
a+60˘=2a+20˘ D
B C
∴ a=40˘, 즉 ∠BAD=40˘
ABCD는 원에 내접하므로 ∠BAD+∠BCD=180˘
∴ ∠BCD=180˘-40˘=140˘

예 제 다음 <보기>에서 원에 항상 내접하는 사각형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ㄱ. 정사각형 ㄴ. 직사각형 ㄷ. 마름모
ㄹ. 평행사변형 ㅁ. 사다리꼴 ㅂ. 등변사다리꼴

_ 원에 항상 내접하는 사각형은 ㄱ, ㄴ, ㅂ이다.

532
원주각의 활용

30 ① 한 원에서 두 현 AB, CD 또는 이들의 연 D B

장선의 교점을 P 라고 하면
C C P
PA”_PB”=PC”_PD”
P A D
A B

② 원 밖의 한 점 P에서 그 원에 그은 접선과 할선이 원과 만나 B

는 점을 각각 T, A, B라고 하면
A
PA”_PB”=PT”’ ¤ O

P
T

③ 이등변삼각형 ABC에서 점 A 를 지나는 직선이 변 BC 와 만나는 A

점을 D,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E 라고 하면
AB”’ ¤ =AD”_AE”
④ 삼각형 ABC에서 ∠A의 이등분선이 변 BC 와 만나는 점을 D, B
D C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E 라고 하면
E
AB”_AC”=AD”_AE”

증명 D B

C A O
P B
A P
T

① △PACª△PDB이므로 ② ∠PTA=∠PBT이므로
PA”:PC”=PD”:PB” △PATª△PTB
∴ PA”_PB”=PC”_PD” ∴ PA”:PT”=PT”:PB”
∴ PA”_PB”=PT” ¤
③ △ABE와 △ADB 에서 ∠A는 공통 A

∠AEB=∠ACB (∵ 호 AB의 원주각)


=∠ABC(∵ AB”=AC”)
이므로 △ABEª△ADB B D C

∴ AB”:AD”=AE”:AB” E
∴ AB” ¤ =AD”_AE”
④ △ABE와 △ADC 에서 A

∠AEB=∠ACD (∵ 호 AB의 원주각)


∠BAE=∠DAC
B D C
이므로 △ABEª△ADC
∴ AB”:AD”=AE”:AC” E
∴ AB”_AC”=AD”_AE”

53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