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03 강

이차함수 Ⅰ. 수학 Ⅰ, 수학 Ⅱ에 꼭 필요한 중학 도형과 고1 개념

MATH DIARY 나만의 DIY 개념 노트 만들기

1. 이차함수의 그래프

⑴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 축의 교점

  

FEaTB 을
αtβ

>
그래프
>
α B
a
β

함수식 fx=o 5 IBFO fu=alx- a] (- β) ( K β)

=
β
aH 대칭
대칭성 ≡

⑵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대칭축

  

Lmin ]

그래프
(

m,m )

함수식 fx)= alx-mFn

대칭성 갸게 대칭

03강 이차함수 031


03 강
이차함수

MATH DIARY 나만의 DIY 개념 노트 만들기

2. 이차함수          과  축의 교점의 개수

: 이차함수        과 축 의 교 점의 개수는

이차방정식        의 실근 의 개수와 같다.

판별식        

그래프

근의 판별

        의
그래프와
 축의 위치 관계
(단,  ≠  )

032 이하영의 전지적 출제자 시점 수학Ⅰ,Ⅱ


Ⅰ. 수학 Ⅰ, 수학 Ⅱ에 꼭 필요한 중학 도형과 고1 개념

MATH DIARY

3.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⑴ 정의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일 때, 이차함수의 최대값과 최솟값


        을          (단,  ≠  )의 꼴로 고친 후,

 

그래프

최댓값

최솟값

⑵ 닫힌구간에서 이차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 ≤  ≤  에서 이차함수     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
①    가  ≤  ≤  에 속하는 경우

②    가  ≤  ≤  에 속하지 않는 경우

03강 이차함수 03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