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수학

2 2 3 3
(a−b)(a + a b+b )=a −b

Def ) 다항식 나눗셈


Ⅰ 다항식 일반적으로 다항식 A 를 다항식 B ( B≠ 0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 , 나머지를 R 라 하면
1 다항식의 연산
A = B Q + R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
이때 R 의 차수는 B 의 차수보다 낮다.

특히 R = 0 , 즉 , A = B Q 일 때 ,
Thm) 다항식의 덧셈에 대한 성질
‘ A 는 B 로 나누어 떨어진다. ‘ 고 한다.
세 다항식 A , B , C 에 대하여

① 교환 법칙 A + B = B + A
Thm ) 다항식의 나눗셈 방법
② 결합 법칙 ( A + B ) + C = A + ( B + C )
다항식의 나눗셈은 각 다항식을 내림차순으로 정리한
다음 자연수의 나눗셈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다.

2 다항식의 곱셈과 나눗셈


2
ex ) (2 x −3 x+1)÷ (2 x +1)

Thm ) 다항식의 곱셈에 대한 성질

세 다항식 A , B , C 에 대하여

① 교환 법칙 A B = B A

② 결합 법칙 ( A B ) C = A ( B C )

③ 분배 법칙 A ( B + C ) = A B + A C ,

(A+B)C=AC+BC 따라서 2 x 2−3 x +1 을 2 x+1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x−2 이고 나머지는 3 이다.


Thm ) 곱셈공식 ( 1 ) ( 중 3 - 2 단원 이차방정식 )
2 2 2 2 2 2
① (a+ b) =a +2 a b+ b ,(a−b) =a −2 a b+b
2 2
② (a+ b)(a−b)=a −b

2 나머지정리와 인수분해
2
③ (x +a)(x +b)=x +(a+b) x+ a b
2
④ (a x +b)( c x+ d)=a c x +(a d +b c )x +b d
1 항등식

Def ) 항등식 ( 중 1 - 2 단원 문자와 식 )


Thm ) 곱셈 공식 ( 2 )
모든 x 의 값에 대하여 항상 참이 되는 등식을 x 에 대한
2 2 2 2
⑤ (a+ b+c ) =a +b + c + 2a b+2 b c+ 2 c a 항등식이라고 한다.

3 3 2 2 3
⑥ (a+ b) =a +3 a b +3 a b +b
3 3 2 2 3 Thm ) 항등식의 성질
(a−b) =a −3 a b+ 3 a b −b
2 2 3 3
① a x 2 +b x +c=0 이 x 에 대한 항등식이면
⑦ (a+ b)(a −a b+b )=a +b
a = b = c = 0 이다. ① f ( a ) = 0 이면

② a x 2 +b x +c=a ' x 2 +b ' x +c ' 이 x 에 대한 f ( x )는 일차식 x – a 로 나누어 떨어진다.


항등식이면 a = a ‘ , b = b’ , c = c’ 이다.
② f ( x )가 일차식 x – a 로 나누어 떨어지면

f ( a ) = 0 이다.
Def ) 미정 계수법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등식에서 정해져


Pf ) 인수 정리
있지 않은 계수를 정하는 방법을 미정 계수법이라고
한다. 나머지 정리에 의하여 다항식 f ( x )를 일차식 x – a 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 ( a )이다.
미정 계수법에는
이 때 f ( a ) = 0 이면 f ( x )는 x – a 로 나누어 떨어지고
① 양변에서 동류항의 계수를 비교하여 계수를 정하는
, f ( x )가 x – a 로 나누어 떨어지면 f ( a ) = 0 이다.
방법과

② 문자에 적당한 수를 대입하여 계수를 정하는 방법이


있다.

Thm ) 조립 제법

다항식을 일차식으로 나눌 때 , 이와 같이 계수만을


사용하여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방법을 조립제법이라고
한다.

3 2
Ex ) (3 x −4 x +2 x−5)÷ ( x−2)

2 나머지 정리

Thm ) 나머지 정리

다항식 f ( x )를 일차식 x – a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R


라 하면

R=f(a)

Pf ) 나머지 정리

다항식 f ( x )를 일차식 x – a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


나머지를 R 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3 인수분해
f(x)=(x–a)Q(x)+R

이 등식은 x 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 = a 를 Thm ) 인수분해 공식


대입하면 R = f ( a ) 이다.
2 2 2 2 2 2
① a +2 a b +b =(a+ b) , a −2 a b+b =( a−b)
2 2
② a −b =(a+ b)(a−b)
Thm ) 인수 정리
2
③ x +( a+b) x +a b=( x+ a)( x+ b)
다항식 f ( x )에 대하여
2
④ a c x +(a d +b c) x+ b d=(a x+ b)(c x +d )
2 2 2 2
⑤ a + b +c + 2 a b+2 b c +2 c a=(a+b+ c)
3 2 2 3 3
⑥ a +3 a b +3 a b +b =(a+b)
3 2 2 3 3
a −3 a b+3 a b −b =(a−b)

⑦ a 3+ b3=( a+b ) ( a 2−ab+ b2 )


3 3 2 2
a −b =( a−b)(a +a b+ b )

Thm ) 인수정리를 이용한 인수분해

① 다항식 f ( x )의 계수가 정수인 두 다항식의 곱으로


인수분해 된다고 가정하자

f(x)=(x–a)g(x)

② f ( a ) = 0 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x – a 는 f( x )의


인수이다.

③ 따라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 ( x )를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 할 수 있다.

Ex ) f ( x ) = x 3−4 x 2+ x +6 인수분해
3 2
다항식 f ( x ) = x −4 x + x +6 이 계수가 정수인 두
다항식의 곱으로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 된다고 하자
3 2 2
x −4 x + x +6=(x −a)( x + b x+ c)
이 등식은 x 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우변을 전개하여
양변의 상수항을 비교하면 6 = - a c , 즉 a c = - 6 이다.

따라서 정수 a 는 ± 1 ,± 2 ,± 3 , ± 6중의 하나이다.

이때 f ( -1 ) = 0 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x+1 은 f(x)


의 인수이다. 따라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3 2
f ( x ) = x −4 x + x +6

= ( x + 1 ) ( x 2−5 x+ 6 )

=(x+1)(x–2)(x–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