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1

1주차 강의자료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함수의 극한

HBK f (x ) = b
x →a
혹은
x → a일 때 f (x ) → b

: x 가 (a 와 다른 값을 가지면서) a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 (x )


의 값이 b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 x −1

⎨ 2 , x≠ 1
x −1
g (x ) =


2 , x =1
예(헤비사이드 함수, Heaviside function)
%
0 , x <0
H (x ) =
1 , x ≥0

헤비사이드 함수 H (x ) 는 극한값 HBK H (x ) 가 존재하지 않는다.


x →0
좌/우극한

HBK f (x ) = b (좌극한)
x →a −

: x 가 a 보다 작은 쪽에서 a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 (x ) 의 값이


b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HBK f (x ) = b (우극한)
x →a +

: x 가 a 보다 큰 쪽에서 a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 (x ) 의 값이 b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 극한의 동치 조건

HBK f (x ) = b ⇐⇒ HBK f (x ) = HBK f (x ) = b


x →a x →a + x →a −
극한의 성질
HBK f (x ) = α, HBK g (x ) = β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x →a x →a

(가) HBK {f (x ) ± g (x )} = α ± β (복호동순)


x →a

(나) HBK f (x )g (x ) = αβ
x →a

f (x ) α
(다) HBK = (g (x ) ̸= 0, β ̸= 0)
x →a g (x ) β
(라) HBK c f (x ) = c α (실수 c 는 상수)
x →a

(마) f (x ) ≤ g (x ) 이면 α ≤ β

(바) HBK |f (x )| = 0 이면 HBK f (x ) = 0


x →a x →a

x3 − 1
HBK
x →1 x − 1


x +1−1
HBK
x →0 x
함수의 연속

함수 y = f (x ) 가 x = a 에서 연속이다.

: HBK f (x ) 가 존재하고 HBK f (x ) = f (a ) 를 만족할 때.


x →a x →a

함수 f (x ) 가 정의역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면,


f (x ) 를 연속함수 라 한다.
연속의 성질
두 함수 f (x ) 와 g (x ) 가 모두 x = a 에서 연속이면,
f (x ) ± g (x ), f (x )g (x ), c f (x ) 도 x = a 에서 연속이다.
(단, 실수 c 는 상수)
f (x )
또한, g ̸= 0 이면 도 x = a 에서 연속이다.
g (x )

! 합성함수의 연속성
함수 g 가 a 에서 연속이고
함수 f 가 g (a ) 에서 연속이면,
4⇒ 합성함수 f ◦ g 는 a 에서 연속이다.
사이값 정리(중간값 정리)
함수 f (x ) 가
1. 닫힌구간 [a , b ] 에서 연속이고,
2. f (a ) ̸= f (b ) 이면,
4⇒ f (a ) 와 f (b) 사이의 임의의 값 k 에 대하여
f (c ) = k 인 점 c 가 열린구간 (a , b) 안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름정리) 연속함수 f (x ) 가 f (a ) · f (b ) < 0 를 만족하면


방정식 f (x ) = 0 의 해가 a 와 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방정식 x 3 + 2x − 1 = 0 의 근이 열린구간 (0, 1) 안에 있음을
보이시오.
1주차 강의자료

다항함수의 도함수
평균변화율

함수 y = f (x ) 에 대하여

∆y f (a + ∆ x ) − f (a ) f (a + h ) − f (a )
= =
∆x ∆x h
를 x 가 a 부터 a + h 까지 변할 때 y 의 평균변화율이라 한다.
미분계수(순간변화율)

함수 y = f (x ) 에 대하여
f (a + h ) − f (a ) f (x ) − f (a )
f ′ (a ) = HBK = HBK
h →0 h x →a x −a
를 x = a 에서의 미분계수(순간변화율)라 한다.
x = a 에서 f (x ) 의 미분계수가 존재하면, f (x ) 는 x = a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좌/우미분계수

! 좌미분계수
f (a + h ) − f (a )
f−′ (a ) = HBK
h →0− h

! 우미분계수
f (a + h ) − f (a )
f+′ (a ) = HBK
h →0+ h

x = a 에서 미분가능 ⇐⇒ f−′ (a ) 과 f+′ (a ) 이 모두 존재


& f−′ (a ) = f+′ (a )

함수 f (x ) = x 는 x = 0 에서 미분가능함을 확인하시오.

점 x = 0 에서 함수 y = f (x ) = |x | 의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시오.
미분가능과 연속의 관계
함수 f (x ) 가 x = a 에서 미분가능하면 f (x ) 는 x = a 에서
연속이다.

증명)
도함수

f (x + h ) − f (x )
f ′ (x ) = HBK
h →0 h

* 표기법
df dy
도함수: f ′ (x ), y ′ , ,
dx dx
&
dy dy &
미분계수: f ′ (a ), [y ′ ] x =a , (a ), &
dx dx x =a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f (x ) = x (x > 0)
다항함수의 도함수
n 이 0 이상의 정수일 때, f (x ) = x n 의 도함수는 f ′ (x ) = nx n −1
이다.

증명)
미분 법칙
두 함수 f (x ), g (x ) 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면, 그 구간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가), (나) {f (x ) ± g (x )}′ = f ′ (x ) ± g ′ (x ) (복호동순)

(다) {f (x )g (x )}′ = f ′ (x )g (x ) + f (x )g ′ (x )

(라) {c f (x )}′ = c f ′ (x ) (실수 c 는 상수)


' f (x ) (′ f ′ (x )g (x ) − f (x )g ′ (x )
(마) = (g (x ) ̸= 0)
g (x ) {g (x )}2
' 1 (′ g ′ (x )
(바) =− (g (x ) ̸= 0)
g (x ) {g (x )}2

함수 y = (x 2 − 1)(x 3 + 2x − 1) 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x −4
함수 y = 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x2 − 2x + 3
이계도함수
: 도함수의 도함수

f ′ (x + h ) − f ′ (x )
f ′′ (x ) = HBK
h →0 h

f ′′ (a ): x = a 에서 f (x ) 의 이계미분계수

d 2f d 2y
* 표기법: f ′′ (x ), y ′′ , ,
dx 2 dx 2
역함수
함수 f (x ) 에 대하여
f (g (y )) = y , g (f (x )) = x
를 만족시키는 함수 x = g (y ) 를 함수 y = f (x ) 의 역함수라
한다.

* 표기법: g = f −1

! 역함수 정리(역함수의 도함수)

함수 f 가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f ′ (x ) = 0 인 점이 없으면


f 의 역함수 g 가 존재하고 미분가능하며
1
g ′ (y ) =
f ′ (g (y ))
이 성립한다.

함수 y = f (x ) = x 3 + 2x 의 역함수를 x = g (y ) 라 할 때 g ′ (3)
을 구하시오.
1주차 강의자료

삼각함수
삼각함수의 그래프
y = bBM x 의 그래프

y = +Qb x 의 그래프
단위원의 매개화
삼각함수는 단위원
x 2 + y2 = 1
위의 점을 매개화 하는데 쓰인다.

x = +Qb θ, y = bBM θ
탄젠트함수의 정의와 그래프
bBM θ π
iM θ := (단, θ ̸= + n π 인 실수)
+Qb θ 2

y = iM x 의 그래프
삼각함수의 성질

+Qb2 θ + bBM2 θ = 1
+Qb(θ + 2k π) = +Qb θ, bBM(θ + 2k π) = bBM θ

+Qb(−θ) = +Qb θ, bBM(−θ) = − bBM θ, iM(−θ) = − iM θ


+Qb(π−θ) = − +Qb θ, bBM(π−θ) = bBM θ, iM(π−θ) = − iM θ
+Qb(π+θ) = − +Qb θ, bBM(π+θ) = − bBM θ, iM(π+θ) = iM θ

)π * )π * )π *
+Qb −θ = bBM θ, bBM −θ = +Qb θ, iM −θ = +Qi θ
2 2 2
)π * )π * )π *
+Qb +θ = − bBM θ, bBM +θ = +Qb θ, iM +θ = − +Qi θ
2 2 2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배각 공식 / 반각 공식

bBM(α + β) = bBM α +Qb β + +Qb α bBM β

+Qb(α + β) = +Qb α +Qb β − bBM α bBM β

iM α + iM β
iM(α + β) =
1 − iM α iM β
삼각함수의 역수
1 1 1
+b+ θ := , b2+ θ := , +Qi θ :=
bBM θ +Qb θ iM θ

1 + iM2 θ = b2+2 θ

1 + +Qi2 θ = +b+2 θ
삼각함수의 극한
bBM x
HBK =1 교재 3장 3절 참고
x →0 x

+Qb x − 1
HBK =0
x →0 x
bBM의 도함수

f (x ) = bBM x 일 때, f ′ (x ) =?
삼각함수의 도함수

d+ , d+ ,
bBM x = +Qb x +b+ x = − +b+ x +Qi x
dx dx

d+ , d+ ,
+Qb x = − bBM x b2+ x = b2+ x iM x
dx dx

d+ , d+ ,
iM x = b2+2 x +Qi x = − +b+2 x
dx dx

y = x 2 bBM x 를 미분하시오.

+Qb x 의 27 계도함수를 구하시오.



bBM 7x
HBK
x →0 4x

HBK x +Qi x
x →0
1주차 강의자료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지수/로그함수의 그래프

y = ax y = HQ;a x
자연로그의 밑과 극한
) 1
*n
e = HBK (1 + h ) = HBK
1
h 1+
h →0 n →∞ n

e = 2.718281828459045 . . .

) h *h
1

HBK 1 +
h →0 2

3h − 1
HBK
h →0 h
지수/로그함수의 도함수

d + x, d + x,
e = ex a = a x HM a
dx dx

d+ , 1 d+ , 1
HM x = HM |x | =
dx x dx x

d+ , 1 d+ , 1
HQ;a x = HQ;a |x | =
dx x HM a dx x HM a
기타 지수/로그 법칙

ax
a x +y = a x a y a x −y =
ay

(a x )y = a xy (ab)x = a x bx

HM x
HM x r = r HM x HQ;a x =
HM a
1주차 강의자료

타원과 쌍곡선
타원

: 평면의 두 점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

F1 P + F2 P = 일정
타원의 방정식 유도

- -
(x + c )2 + y 2 + (x − c )2 + y 2 = 2 a

x 2 y2
+ =1 (b 2 = a 2 − c 2 )
a 2 b2

타원의 방정식이 16x 2 + 25y 2 − 96x − 100y − 156 = 0 으로
주어질 때, 이 타원의 두 초점과 장축의 길이를 구하시오.
쌍곡선
: 평면의 두 점으로부터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

|F1 P − F2 P | = 일정
쌍곡선의 방정식 유도

- -
(x + c )2 + y 2 − (x − c )2 + y 2 = ±2a

b
점근선: y = ± x
a
x 2 y2
− =1 (b 2 = c 2 − a 2 )
a 2 b2

쌍곡선 4x 2 − 9y 2 − 32x + 36y − 8 = 0 의 초점과 점근선을
구하시오.
원뿔곡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