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1

CONTENTS(1권)

PART Ⅰ

01 산술기하평균 010

02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보조선 긋기 022

03 최단거리 060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CONTENTS(1권)

PART Ⅱ

04 지수•로그방부등식과 좌표 연산의 해석
076

05 주기함수 094

06 삼각함수의 최대•최소 104

07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108

08 등차•등비수열의 합과 그 그래프의 규칙성


128

09 규칙성과 최후 생존수 143

10 수학적 귀납법 148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CONTENTS(1권)

PART Ⅲ

11 수열의 극한과 급수 174

12 수열의 수렴성 및 활용 199

13 실근의 개수•합성함수 및 곱함수의 연속성


210

14 곱샘공식과 배각공식의 활용 235

15 주제탐구:미적분학의 본질 238

16 미분가능성 247

17 평균값 정리 249

18 치환적분과 부분적분 264

19 그래프 개형과 정적분 266

20 역함수 268

21 정적분과 부등식1 293

22 정적분과 부등식2 297

23 정적분과 부등식3 306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CONTENTS(2권)

PART Ⅳ

24 원순열과 다각형 배열•입체도형 010

25 중복조합과 함수의 개수 018

26 확률 그리고 용어•근원사건의 동등성 025

27 조건부확률의 뜻과 그 성질
•확률의 곱셈정리 037

28 이산확률분포와 연속확률분포 048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CONTENTS(2권)

PART Ⅴ

29 이차곡선의 정의와 성질 068

30 도형이 이루는 각•정사영 087

31 벡터개요•합벡터의 크기 099

32 벡터의 내적 107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자기주도형 수리논술 학습 프로젝트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수수깨기 전략키워드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PART Ⅰ

STRATEGY KEYWORD

01 산술기하평균 010

02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보조선 긋기 022

03 최단거리 060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01
0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산술기하평균


1. 산술평균(등차중항) VS 기하평균(등비중항)

(예시) 양수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    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 


2.  
의 최댓값 (단,    )
  

  
(예시) 함수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   

1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1 산



3.       의 범위

(예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     에 대하여


 

함수  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 연습 문제1
그림과 같이  AB  
AC     인 삼각형 C
N
ABC 의 변 
BC 위의 점 P 에서 두 직선 AB AC 
위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M N 이라 하자. P

AB  AC 
   의 최솟값이  일 때,    의 값을 

PM 
PN 
A  BM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1





0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연습 문제2
평 
그림과 같이 두 점 A  B 을 이은
균 선분 위의 임의의 점 P를 지나 축에 평행한
    

직선이 곡선   log  과 만나는 점을 H


K
축에 평행한 직선이 곡선     과 만나
  log  
는 점을 K 라 한다. 이때 
PH 
PK 의 최솟값을 A 
구하시오. P H
B 
O 

■ 연습 문제3
그림과 같이  축 위의 두 점 A  B  
와 양의 축 위의 점 P 에 대하여
P
∠APB  라고 할 때, tan 의 값이 최대가 되는

점 P의  좌표를 구하시오.

O A B 

1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4(2018학년도 3월 전국연합)

그림과 같이 제  사분면에 있는 점 P  에서 

 균
곡선     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을 각각 A P 

  
B 라 할 때, 
PA  
PB  
AB 의 최솟값을 구하 A
시오. 
O

  

HIMCHAN MATH ESSAY •13





0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1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    일 때,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                의 최솟값을  라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1] 함수  를 구하시오.

   
[1-2]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           가 항상 성
립하도록 하는 실수  의 범위를 구하시오.

1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2(2021학년도 성균관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중심이 점 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나] 원점   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 인 원의 방정식을 원  라 한다.

[다] 좌표평면에서  축 위의 점 P  을 지나는 직선을 직선  이라 하자. 직선 


이 원  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고 할 때, 이 두 점을 각각 P P 라
한다.

[2-1] 두 선분의 길이의 곱 


P P × 
P P 가 직선 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일정함을 보이
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 
[2-2] 
PP  
PP 의 최솟값을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  
[2-3] PP

PP 의 최댓값을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5





0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3(2019학년도 중앙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과  사이의 각  와  에 대하여 다음 식이 성립한다.
tan  tan
tan  
  tantan
 
(단,  ≠    ≠   tantan ≠ )
 

좌표평면 위의 세 점 A      B      C   이 주어져 있다. 세 점


사이의 각 ∠ACB 가 최대가 될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실전 논제4(2021학년도 성균관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
[가] 유리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임의의 한 점 P  로부터 원점까지 이르
 
는 거리를  이라 하자.
[나] 실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4-1] 제시문 [가]의   에 대해    일 때,    의 최솟값과    일 때,


   의 최댓값을 각각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1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4-2] 제시문 [가]의    에 대해    일 때,    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

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4-3] 제시문 [가]의   점 P 그리고 점 Q   에 대해    일 때, 선분


PQ 의 길이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4-4] 제시문 [가]의  와  에 대해    일 때,  를 한 근으로 갖는 이차방정식을


      이라고 하자. 이떄,   의 값을  에 대한 식으로 표시하고, 그 이
유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7





0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하 ■ 실전 논제5(2022학년도 인하대 수시)


평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균 [가] 두 함수 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  
   및 두 직선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는

   

이다.

[나]       일 때,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 
 ≥ 


여기서 등호는    일 때 성립한다.

함수        과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곡선    와  축 및 직선


  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  라 하자.

 
[5-1] lim  
값을 구하시오.
 → ∞  

 
[5-2]    일 때, 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

1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1 산



 
  
[5-3]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가    평
에서 최댓값을 가질 때,  와  값을 구하시오. 균

■ 실전 논제6(2022학년도 한국항공대 이학계열 수시)


좌표평면 위의 네 점 A  B  C   D   에 대하여 도형 
는 그림과 같아 삼각형 OAB 삼각형 OCD 중심각의 크기가 인 부채꼴 OBC 로
이루어진 도형이다. 
     일 때,
도형  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단,       O 는 원점) C  
B 

D   O A  

HIMCHAN MATH ESSAY •19





0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7(2020학년도 건국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평면 위에서 두 정점 F 와 F′ 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을 타원
이라고 한다. 이때 두 정점 F 와 F′ 을 타원의 초점이라고 한다.
두 초점 F  F′   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 인 타원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단,           )

[나] 평면 위에 두 점 A  B  에 대하여 선분 AB 의 중점 M 의 좌표는


     

M  
  
이다.
[다] 그림은 정점 F 와 F′ 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을 나타낸 것이다. 점 A 와 B 는
타원 위의 점이고, 두 점을 연결한 직선은 점 F′ 을 지난다.

F F′
B

  
[7-1] 그림의 타원의 방정식이      이라고 하자. ∠FAB   가 되는 삼각형
  
FAB 의 넓이를  라 하자.  의 값을 모두 구하고 풀이과정을 쓰시오. (단, A 의  좌
표는 양수)

2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7-2] 그림의 타원의 방정식이      이라고 하자. 선분 AB 의 중점을 M 이라


할 때, 직선 FM 의 기울기의 최댓값을 구하고 풀이과정을 쓰시오. 균

HIMCHAN MATH ESSAY •21


02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1.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







선 (참고) 원과 곡선 사이의 거리

    
  
(예시1)     과 원       A
위를 움직이는 두 점 A B에 대
하여, 
AB 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       

하시오. B
O  

2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2 원


(예시2) 2022학년도 세종대 수시 선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를   
 
   라 정의하자. 곡선 의
   위의 점 중 원점 O 와 가장 가까운 점을 P 변곡점을 Q 라 할


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  )
 치
(1) 점 Q 의  좌표를 구하시오. 관

(2) 원점 O 와 점 P 사이의 거리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


(3) ∠OPS   를 만족하는  축 위의 점 S  에 대하여  이 최소일


때, 점 P 의  좌표를 구하시오. 선

HIMCHAN MATH ESSAY •23



과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보조선 긋기










(예시1) 2014학년도 6월 평가원 21
기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 ′
인 두 원   ′ 이 외접하고 있다.
원  위의 점 A 에서 원  ′ 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을 각각 P Q 라 하
자. ∠AOO′   라 할 때,

PQ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


(단,      이고 두 원   ′ 의 중심은 각각 O O′ 이다.)

2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예시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 선
사각형 안에 한 개의 큰 원과 네 개의 작은 의
원이 내접해 있다고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 위




(1) 큰 원의 반지름을  작은 원의 반지름을  라 할 때,  와 의 관계식을
구하시오.


(2) 정사각형 내에 접해있는 모든 원의 넓이의 합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선

■ 좌표의 나눗셈과 직선의 기울기

1. 좌표의 나눗셈 연산을 대하는 태도

(참고) 색칠한 영역 내의 임의의 한 점   에 


대하여

 의 최댓값과 최솟값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 ⇒

 O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 ⇒


HIMCHAN MATH ESSAY •25



과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2. 기울기의 수학적 정의





• 
(참고1) 탄젠트함수의 덧셈정리의 기하학적 해석 (단,      )

보   tan
조 ⇒ 
   tan



    tan
⇒ 
   tan

(예시1) 2021학년도 서울과기대 수시



  tan 
  
 ≤    일 때, 두 직선   tan   와      sec   의 교
  
  tan 

점을 P 라 하자. 원점 O 와 점 Qsec  에 대하여 삼각형 OPQ 의 외접
원의 지름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2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참고2) 두 직선이 기울기의 곱이   일 때 VS 두 직선이 기울기의 곱이  일 때 선
⇒ 의




(예시2) 두 직선   
   와       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고 음의 기 •
울기를 갖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 연습 문제1(2022학년도 서울시립대 모의)


     에 대하여 곡선       과 직선   tan 및  축의 양의 부분으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라 하고, 곡선      과   tan 및  축
의 양의 부분으로 둘러싸인 도형이 넓이를   라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1-1] 곡선       과 직선   tan 의 교점 중 제 사분면에 있는 점의 


좌표를  라 할 때, 극한값 lim  를 구하시오.
 →

 
[1-2] 극한값 lim  를 구하시오.
 →    

HIMCHAN MATH ESSAY •27



과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연습 문제2(2017학년도 3월 전국연합 18)
의 좌표평면에 중심이 원점 O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

 인 원   과 중심이 점 A  이고 반지름의
위 길이가  인 원   가 있다. 그림과 같이 기울기 
치 가 양수인 직선  이 선분 OA 와 만나고, 두 원 A
관    에 각각 접할 때, 다음은 직선  의 기울
계 기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는 과정이다. (단, 
•   )
보 O 



긋 직선 OA 가 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 점 O 를 지
기 나고 직선  에 평행한 직선  이 직선 OA 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 라 하면

tan    tan  (가)

이다.
직선  이 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 라 하면
   
이므로
tan  (나)

이다. 따라서 직선  의 기울기는 (나) 이다.

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라 할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

2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3(2015학년도 성균관대 수시) 선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의
[가] 원  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 인 원이다. 위

[나] 직선    는 점   을 지나고 서로 수직이다.


[다] 직선  과 원  가 만나는 두 점을 A B 라 하고, 직선  와 원  가 만나는

두 점을 C D 라 한다.


[3-1] 선분 AB 의 길이와 선분 CD 의 길이의 곱이 최대가 되는 직선    를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9



과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의 [가] 아래 그림과 같이 중심이   이고 반지름이  인 원과 중심이   이고

위 반지름이 역시  인 원을 각각   라고 한다. 그리고   와  축에

치 동시에 접하는 원을  이라고 한다. 이런 방법으로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관 원  과 원    그리고  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을    라고 한다.
계 (단,  ≠    이다.)
• 



 
긋    

O   

[나] 원  의 반지름을  이라고 한다.

  
[3-2] 극한 lim  의 값을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 → ∞ 

3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4(2018학년도 서울시립대 모의) 선
좌표평면에서 점 A   을 지나는 직선이 원        과 제1사분면의 서로 의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두 점 중에서 점 A 에 가까운 점을 P 라 하자. ∠PAO   라

AP 

할 때, lim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O 는 원점이다.) 치







HIMCHAN MATH ESSAY •31



과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연습 문제5(2015학년도 이화여대 모의)
의   tan 
그림과 같이 두 직선       와
 
  tan 
위   tan  
      에 동시에 접하는 원  이 있
치  tan 

관 다. 두 직선   와 원  에 접하는 더 작은 원

계 을  라 하고, 같은 방법으로  번째 원  과 두 
• 직선   에 접하는  보다 작은 원을    이

보 라고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

O
조 
(단,      )


긋 [5-1] 원  의 반지름을  이라 할 때, 원의 중심의 좌표   을 반지름  으로

기 나타내시오.

  
[5-2] 서로 이웃하는 두 원     에 대하여 반지름의 비율  을 상수  의

관계식으로 나타내시오.

3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5-3] 원  의 반지름의 길이가  라고 할 때 원  들의 둘레의 길이의 합을 구하시오. 선







[5-4] 원  의 반지름의 길이가  일 때, 다음 값을 구하시오.


  선
∞   
lim   
→      
 




과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연습 문제6(2015학년도 중앙대 수시)
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 [가]    의 그래프에 중심이    이고 반지름이 


 



인 원이 아래의 그림
치 과 같이 접하고 있다. 두 접점을 각각       이라 하자.
관 단.  은 양의 정수이다.

계 


보 
  


      

O 


[나] 점    와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다] 수렴하는 두 수열   에 대하여 lim  ±   lim ± lim  이 성
→∞ → ∞ → ∞
립한다.

[6-1] 제시문 [가]에 주어진  과  의 값을 각각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6-2] 제시문 [가]의 그림과 같이      와 원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


이라 할 때, lim  을 구하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시오.
→∞

3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7(2022학년도 숭실대 수시) 선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의
미분가능한 함수  에 대하여  ′   이고    의 좌우에서

(a)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 는    에서 극대이다.
(b)  ′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 는    에서 극소이다.



원     위의 점 Pcos sin 에서의 접선을  이라 하고, 점 A   에서 직 •
선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라 하자. (단,     )

[7-1] 점 H 의 좌표를  를 이용하여 나타내시오.



[7-2] 삼각형 APH 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35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연습 문제8(2022학년도 세종대 수시)
의 시각    에서 함수  를 모든 실수  에 대 
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위            
치 점 Q  에서 곡선    에 접하는 직선을 
관 이라 하자. 중심 Z 가 제 사분면에 있는 원  는
계  축에 접하며 점 Q 에서 직선  에도 접한다.


보 [8-1] 시각  에서 곡선    와 직선  및  축 O P Q

조 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에 대한 식으로 나


Z
타내시오. 
선 



[8-2] 시각  에서 원  의 중심 Z 의 좌표를   라 할 때, lim  구하시
→∞ 
오.

[8-3] 시각  에서 원  가  축과 만나는 점 중에서 Q 가 아닌 점을 P 라 하고,


∠PZQ 를  라 하자. 시각        에서 sin 의 값이 같고, 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3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2 원


■ 실전 논제1(2023학년도 이화여대 수시) 선
다음 함수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의
실수  에 대하여, 좌표평면의 집합 위
      ≥      와 원          이 치
한 점 또는 두 점에서 만나는 반지름    이 있다. 이때 함숫값 관
는  이다. 계


 
 

[1-1]    일 때, 좌표평면의 점   에서 직선       에 내린 수선의
  조
발을  로 나타내시오. 선

[1-2] 실수  에 대하여 원          이 집합  와 두 점에서 만나는 반지


름  이 있을 때, 실수  를 모두 구하시오.

[1-3]    일 때, 함수  를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37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실전 논제2(2022학년도 성신여대 수시)
의 중심이 A  이고 원점 O  을 지나는 원 
 위에 ∠OAP  ∠OAP   인 두 점 P P
위 가 그림과 같이 놓여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
  
치 

관 오. (단,      )
 A 
계  
• P P

보 O 



[2-1] 원  와        의 그래프가 두 점 P P 에서 만나고, 점 P P 에


서 원  의 접선과 곡선    의 접선이 일치한다.    일 때, 점 P 에서 원 

의 접선의 방정식과 함수  를 구하시오.

3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2]    일 때, 원  와 곡선    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구하시오.











[2-3] 원  와  축 위의 한 점에서 만나고, 원  위의 점 P 과 P 에서 두 접선에

 기
모두 접하는 원 중 작은 원의 반지름을  큰 원의 반지름을  라 하자.    일

때, cos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39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실전 논제3(2021학년도 건국대 수시)
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 [가] 수열  에서  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 의 값이 일정한 값  에 한없이


치 가까워지면, 수열  은  에 수렴한다고 한다. 이때  를 수열  의 극한

관 값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    또는 →∞ 일 때  → 와 같이 나


→ ∞

계 타낸다. 

보 [나] 그림에서 곡선          은 직선

조  와 점 P P 에서 만나고, 직선 P P

선     와 점 P P 에서 만난다. 네 점  Q
P P P P 를 모두 지나는 원이  이 O 
긋 다. 제 사분면의 점 P 에서 원  에 접하
기 는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이 Q이다.
P P

∠PQO 의 크기는  이다.

[3-1] 제시문 [나]에서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일 때, 사각형 PPPP 의 넓이 


이라 하고, 원  의 넓이  이라 하자. 다음 극한값을 구하고 풀이과정을 쓰시오.

lim 

→∞ 


[3-2] 제시문 [나]에서 sin   일 때,  값을 구하고 풀이과정을 쓰시오.

4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4(2021학년도 카이스트 수시) 선
그림과 같이 원점 O 를 중심으로 하고 반  의
지름이  인 원이 있다.  축과 각도  를
이루는 직선이 원과  사분면에서 만나는
A 위
점을 P 라고 하자. 치
선분 BE 는 이 원과 P 에서의 접선이고, 관
C    D    일 때, 선분 CP 를
B

연장하여  축과 만나는 점이 F 선분 •
DP 를 연장하여  축과 만나는 점이 A 이 C

다. 삼각형 ABP 의 넓이를  삼각형 P

EFP 의 넓이를  라 하자.


O D E F 

[4-1] 점 A 의  좌표와 점 F 의  좌표를 각각 구하시오.

 ×
[4-2] 극한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 

HIMCHAN MATH ESSAY •41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실전 논제5(2021학년도 경희대 수시)
의 그림과 같이 점 O에서 시작하는 세 반직선    이 있다. 두 반직선  과  이 이
루는 각의 크기는  두 반직선  과  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 두 반직선  과 
위 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 이다. 원  은 반직선  과 점 P 에서 접하고 반직선  과
치 점 Q 에서 접한다. 선분 OP 의 길이는
관  이며 원  의 중심 O 과 점 Q 를

계 지나는 직선은 반직선  과 점 R 에서 R 


• 만난다. 삼각형 OPR 의 넓이를   Q
보 


조 라 할 때,  


  의 값을 구하 
O




고, 그 과정을 논하시오. O P

긋 단      

4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6(2021학년도 한양대 수시) 선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의
평면 위에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 와  가 서로 접하고 있다. 원  와  는 각각

직선  과 서로 다른 점에서 접한다. 원   직선  에 둘러싸인 영역을  라고 하자.


직선  에 접하면서 영역  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큰 원을  이라 하자. 영역  에 계
서 원  ⋯   의 내부를 제외한 영역에 들어가고, 그 중심이 원  ⋯   의 •
중심과 다르며, 직선  에 접하는 가장 큰 원 하나를 택하여    이라 하자. 원  보
의 반지름을 구하시오. 조


HIMCHAN MATH ESSAY •43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실전 논제7(2021학년도 경희대 의학계 수시)
의 각 원의 중심은 다른 원이 내부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치  
관  
계 



• 

보 X Y Z O   

조 [그림 1] [그림 2]


[7-1] [그림 1]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와  인 원  과 원  가 서로 한 점
긋 에서 만나고, 동시에 직선  에 점 X 와 점 Y 에서 각각 접한다. 반지름의 길이가  인
기 원  가 원  과 원  에 각각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에 점 Z 에서 직선  에 접한
다. 이때 선분 YZ 의 길이와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를  와 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
고, 그 근거를 논하시오. (단,      )

[7-2] 좌표평면에서 원  은 반지름의 길이가  이고 원점 O 에서  축에 접한다. [그



  
림 2]와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 는 원  과 한 점에서 만나고 동

시에  축에 접한다. 원  는 원  원  와 각각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에  축에
접한다. 원  는 원  원  와 각각 한 점에서 만나고 동시에  축에 접한다. 이
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 번째로 얻은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를  중심의  좌표
를  이라 하자. 이때  과 lim  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하시오.
→∞
(단,  ≥  이고       ⋯    ⋯ )

4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8(2022학년도 건국대 수시) 선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의
[가] 함수  에서  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 의 값이 일정한 값  에 한없이 가

까워지면 함수  는  에 수렴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    과 같
 →∞ 치
이 나타낸다. 관

[나]  이 자연수일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C   C     C    ⋯   C    ⋯   C


[다] [그림 1]은 반지름이 같은 원  과  를 나타낸 것이다. 평행한 직선  과  는

각각 A A 에서 원  과  에 접한다.

 

A

C C
A

[그림 1]

[라]    을 전개했을 때  의 계수를  라 하자. 즉,


         ⋯    ⋯  

[8-1] 제시문 [다]에서 직선  과  사이의 거리는  로 일정하며, 두 원의 반지름은



AA

 이고    이다. 극한값 lim 
C C  를 구하고 풀이과정을 쓰시오.

→∞ CC

(단, 점 C C 는 각각 원   의 중심이다.)

HIMCHAN MATH ESSAY •45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8-2] 제시문의 [라]에서 계수   ≤  ≤  중 가장 큰 것을  두 번째로 큰 것
의 을  라 하자.  와  를 구하고 풀이과정을 쓰시오.










4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선
[가] 점   을 지나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이다. 의

[나] 다음 그림에서 동경 OP 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를  라 할 때,



  

sin    cos    tan    ≠ 
   관
이다. 계
 •

P
 조
 선
 O 

[다] [그림 2]는 곡선    과 점    을 지나는 직선  을 나타낸 것이다. 곡선


   과 직선  은 점 A 와 B 에서 만난다. 점 O 는 원점이다.

[라] [그림 3]은 반지름이  인 원과 그 안에 내접하는 사각형 CDEF 를 나타낸 것이다.


대각선 CE 와 DF 의 교점이 P 이다.
 F
  
 P E
B C

A

O  D

[그림 2] [그림 3]

HIMCHAN MATH ESSAY •47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8-3] 제시문 [다]에서 직선  의 기울기가  일 때, ∠AOB 의 크기를  라 하자. 미분
의 계수  ′ 의 값을 구하고 풀이과정을 쓰시오.










기 
[8-4] 제시문 [라]에서 ∠CPD   일 때, 
CD 
EF 의 최댓값을 구하고 풀이과정을 쓰

시오.

4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2 원


■ 실전 논제9(2022학년도 KAIST 수시) 선
[9-1] 반지름의 길이가 이며 중심이 A 와 B 인 두 원이 있고 선분 AB 의 길이는  의
라고 하자. 직선 AB 와 점 A 를 중심으로 하는 원이 만나는 두 점 중 점 B 와의 거리
가 더 먼 점을 P 라고 하자. 점 Q 는 점 A 가 중심인 원 위, 점 R 은 점 B 가 중심인

원 위에 있을 때 삼각형 PQR 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치

R 계
P A B •

Q 조


[9-2] 그림과 같이 점 O 가 중심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 와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 가 있다. 원  위에서 세 점 X X X 을 임의로 선택하여 중심 O 가
X X X 을 꼭짓점으로 가지는 삼각형의 내부 Y
Z
또는 변에 있도록 한다. 이 세 점 중 두 점을 지
나는 세 직선을 그어, 그 선들과 원  의 교점을 X
위와 같이 Y Y Y Z Z Z 이라 한다.
O
Z
(1) 각 ∠XOX 과 선분 YZ 의 길이 사이의 관계 X
를 구하시오.
Y X
(2) 세 선분 YZ YZ YZ 의 길이의 제곱의 Y

합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Z

HIMCHAN MATH ESSAY •49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실전 논제10(2021학년도 건국대 수시)
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 [가] 다음은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이다.


sin   sincos  cossin sin    sincos  cossin
치 cos    coscos  sinsin cos    coscos  sinsin
관 tan  tan tan  tan
계 tan    
  tantan
tan    
  tantan

보 [나] [그림 1]은 원      점 A  에서 원     에 그은 접선  그리

조 고 점 B 
 에서 원      에 그은 접선  를 나타낸 것이다.

[다] [그림 2]는 곡선    에 접하고 양의 축과 만나서 생기는 예각의 크기가  인
긋 직선  을 나타낸 것이다. 점 P 은 직선  과  축의 교점이다.
기  
B

A

O  
 O P  



[그림 1] [그림 2]

[10-1] [그림 1]에서 직선  과  축이 만나서 생기는 예각의 크기가  이고, 직선 


와  축이 만나서 생기는 예각의 크기가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도
함께 쓰시오.

5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10-2] [그림 2]에서    일 때    이고,    일 때    이다.    에서 



를 구하시오. 풀이 과정도 함께 쓰시오.









HIMCHAN MATH ESSAY •51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실전 논제11(2023학년도 세종대 모의)
의 좌표평면에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  로 
O D
주어지는 곡선  가 있다.
위              ≥  곡
A 

치 선  위의 점 P 와   사이의 곡선 P
관  의 길이는  이다.
계 Q

• [11-1] 곡선  위의 점 중에서  좌표 B

보 가 최소인 점을 Q 라 할 때, Q 의 좌표 

조 를 구하시오.



[11-2] 점 P 에서 곡선  에 접하는 직선을  이라 할 때,  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11-3] 직선  과  축의 교점을 A 라 하고, 점 Q 를 지나는 직선  에 대하여  과  의


교점을 B  와  축의 교점을 D 라 하자. 선분 AB 의 길이와 선분 AD 의 길이가 같을
때, 점 D 의 좌표를 구하시오.

5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12(2014학년도 고려대 수시) 선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의
그림과 같이 부등식  ≤  의 영역에서 원      과 내접하고    과 한 위
점에서 만나는 원의 중심을 D 라 하자. 치
 관

   계

D 보
 O   조




점 D 의 좌표를   라 할 때,   가 만족시키는 방정식을 구하시오.

■ 실전 논제13(2020학년도 인하대 모의)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 의 좌표가 매개변수  의 함수
  cos   sin
로 주어졌다. 점 A 
OP  와 P 를 지나는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B  라 하고
삼각형 OAB 의 무게중심을 G 라 할 때, G 가 나타내는 곡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단,  ≤    , O 는 원점)

HIMCHAN MATH ESSAY •53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실전 논제14(2020학년도 연세대 수시)
의 좌표평면 위에 원          이 있다. 원점 O 에서 원  에 그은 두 접선이
원과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을 각각 P Q 라 하자. 원점 O 를 지나는 임의의 직선이
위 원  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이 두 점의 중점을 M 이라 하자. 두 점 P Q
치 를 포함하여 점 M 이 나타내는 도형을 곡선  이라 하자. ∠POQ   일 때, 곡선  의
관 길이  을  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인 실수이다.)
계  →






기 ■ 실전 논제15(2023학년도 연세대 수시)
원점을 지나고 기울기가 과  인 
(단,  ≥ ) 직선을 각각  과  라 하자.
 P 
이때 각각의 직선  위의 점 P  와
직선  위의 점 Q  가 조건 (가)

 ≥   ≥  과 
PQ  을 만족하며 움 
    
직일 때, 물음에 답하시오. 

Q 

[15-1] 두 점 P Q 의 중점 M  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5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5-2] 점 Q 가 원점을 출발하여 일정한 속도    으로 직선  위를 움직인다. 선
 
OQ  일 때, 점 P의 속도를 구하시오.












[15-3]     


OQ  일 때, 삼각형 POQ 에 내접하는 원을  이라 한다.  이


 축과 만나는 두 점 중  좌표가 작은 점을 지나고  축에 평행한 직선을  라 하자. 기
   에 동시에 내접하는 원을  라 할 때, 원  의 중심과 원  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55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실전 논제16(2022학년도 한양대 수시)
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 [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위의 두 P


점 P Q 를 잇는 한 호 PQ 의 길이를  라고 할 때, 현
치 PQ 의 길이를  현 PQ 와 길이가  인 호 PQ 로 둘  
관 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라 하자. 

• Q



선 [나]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위에 서로 다른  개의 점 P
P  P  ⋯  P   이 순서대로 놓여 있고,
P
긋 
PP  
PP  ⋯  
P  P    
P  P
P

기 을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은    인 경우이다.
P P

P


[16-1] 제시문 [가]에서 주어진 식   에 대하여 극한값 lim  를 구하시오.
 →   

5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6-2] 제시문 [나]에서 주어진  개의 점 P P ⋯  P   에 대하여 극한값 선

PP  
PP  ⋯  
PP   의
lim  
을 구하시오.
→∞









[16-3] 제시문 [나]에서 주어진  개의 점 P  P  ⋯  P   에 대하여 호 PP 과 현

PP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호 PP 와 현 PP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  호 PP   과 현 PP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 이라 하자. 극한값
    ⋯    
lim 

→∞

을 구하시오. (단,     ⋯     이 되도록 호를 선택한다.)

HIMCHAN MATH ESSAY •57




0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선 ■ 실전 논제17(2022학년도 중앙대 모의)
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 [가] 다음과 같이 두 종류의 정다면체 주사위를 고려한다. 즉, 정사면체 주사위는


각 면에  부터  까지의 자연수가 중복되지 않게 한 번씩 적혀있고, 정팔면체
치 주사위는 각 면에  부터  까지의 자연수가 같은 방식으로 적혀있다. 이때 각
관 주사위를 던졌을 때 밑면에 적혀있는 수를 그 주사위의 눈의 수라고 정의한다.






기 정사면체 주사위 정팔면체 주사위

[나] 두 가지 정다면체 주사위를 각각 한 번씩 던지는 실험을 시행할 때, 정다면체


주사위를 던져서 나오는 눈의 수를 라고 하고 정팔면체 주사위를 던져서 나
오는 눈의 수를  라고 한다.
[다] 이때 원      과 직선      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두
점 사이의 선분의 길이를 이라고 한다.


 ≤  ≤ 
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 를 모두 구하시오.

5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18(2022학년도 서울대 수시) 선
주어진 자연수  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의 점   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 의
가 
 인 원을  이라 하자. 또한, 주어진 자연수  에 대하여 점    을 지나
고 기울기가  인 직선을  이라고 하자.


[18-1] 주어진 자연수  에 대하여 직선  이 원  과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기 위한 관
 의 범위를  과  을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18-2] 직선  이 원   ⋯ 중 정확히 하나의 원과 만나기 위한  의 범위를 
을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HIMCHAN MATH ESSAY •59


03
0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최단거리

1. 최단거리를 대하는 태도

2. 평면좌표( 
AP 
PB 의 최솟값)

A A

B B

▶ P P′
P
 

B′

(예시)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 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 R


A B
인 부채꼴 OAB 에서 
AB 위의 점을 R 반지름 OA OB 위
의 점을 각각 P Q 라 할 때, 
PQ 
QR 
RP 의 최솟값을 구하 P
시오.
Q



6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3 최



3. 공간좌표( 
AP 
PB 의 최솟값)
① 동점 P 가 평면 위에 있는 경우

A A

B B


P P′
P

B′

(예시) 그림과 같이 좌표공간에서 한 모서리의 길이가 


 D C
 인 정육면체를 한 모서리의 길이가  인  개
Q
의 정육면체로 나누었다. 이때 두 점 P Q 와
A B
평면 BFGC 위를 움직이는 점 R 에 대하여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PR QR H 
P G 

E A F

HIMCHAN MATH ESSAY •61





0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리 ② 동점 P 가 좌표축 위에 있는 경우

 

B′
B B
O P O P
P′

A A

   
A′

(예시) 좌표공간에서 두 점 A    B   과  축 위의 동점 P 에 대하여



AP  
PB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연습 문제1
정점 A   B   C   와   평면 위에 각각 동점 P Q 가 있다.
이때 
AP   
PB BQ QC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6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2

좌표공간에 평행한 두 평면                  위에 각각 점
A   B   이 있다. 평면  위의 점 P 와 평면  위의 점 Q 에 대하여

AQ QP PB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연습 문제3
좌표공간 위의 두 점 A   B   에 대하여  축 위의 점을 P 라 할 때,
 BP 의 최솟값은 
AP     이다. 이때 두 자연수   에 대하여   의 값을
구하시오.

4. 입체도형 위의 두 정점 A B 사이의 최단거리

(예시) 그림과 같이 중심축이  축이고  평면에 놓여 있으 


며 밑면의 반지름이  인 원기둥이 있다. 이 원기둥
의 옆면을 따라 점 P   으로부터 Q   
점 Q    에 이르는 최단거리를 구하시오.

O

P  

HIMCHAN MATH ESSAY •63





0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연습 문제4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면체 ABCD 에서 A
모서리 BC CD AD 위의 점을 각각 P Q R 라 할 때,
 PQ
AP  
QR RB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R

D
B
Q
P
C

■ 연습 문제5
그림과 같은 직원뿔 모양의 산이 있다. A 지점을 출발하여 산을 한
바퀴 돌아 B 지점으로 가는 관광 열차의 궤도를 최단거리로 놓으면,
이 궤도는 처음에는 오르막길이지만 나중에는 내리막길이 된다. 이
내리막길의 길이를 구하시오. 

B
 
A

6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3 최



■ 연습 문제6
밑면의 지름의 길이가  이고 높이가  인 원기둥이 있다. 그림 
D C
과 같이 평행한 두 선분 AB 와 DC 는 서로 다른 두 밑면의 지
름이고, 두 선분 DA 와 AB 는 수직이다.
점 P 가 매초  의 일정한 속력으로 원기둥의 옆면을 따라 점
A 에서 출발하여 선분 CB 위의 점을 지나 점 D 까지 최단거리로 
움직인다. 점 P 에서 선분 AB 를 포함하는 밑면에 내린 수선의 P
발을 H 라 하고, 삼각형 PAH 의 넓이를  라 하자.
점 P 가 점 A 에서 출발한 지  초가 되는 순간, 넓이  의 시간
A B
 H
(초)에 대한 변화율은   이다.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 연습 문제7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 모선의 길이가  이고 꼭 O
짓점이 O 인 직원뿔이 있다. 밑면의 둘레 위의 한 점 A
에서 출발하여 원뿔의 옆면을 한 바퀴 돌아 점 A 로 되
돌아오는 최단경로를  이라 하자.  위를 움직이는 점
P 에 대하여 점 B 가

  
AB  
AO AP

 

P
를 만족시킬 때, 점 B 의 자취의 길이를 구하시오.

A 

HIMCHAN MATH ESSAY •65





0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리 ■ 다각형 내부의 점

1. 사각형 내부의 점 P 로부터 각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의 합 C


 
PA PB  
PC  
PD 가 최소인 점
D

P
A B

(예시) 좌표평면 위에 네 점 A  B  C  D  이 있다.

PA 
PB 
PC 
PD 의 값을 최소가 되게 하는 점 P 의 좌표를 구하시오.

6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 직사각형과 한 변을 공유하며 내접하는 삼각형 둘레의 길이의 최대ㆍ최소

D M P C

A B

HIMCHAN MATH ESSAY •67





0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1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직원뿔의 꼭짓점 O 에서 밑면의 둘레 위의 한 점 A 를 잇는 모선의 중점을 B 라
하자. 그림과 같이 B 를 지나고 밑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원뿔을 잘라 윗면의 반지름
이  밑면의 반지름이  선분 AB 의 길이가  인 직원뿔대를 얻었다. 한 점 P 가
점 A 에서 출발하여 직원뿔대의 옆면을 한 바퀴 돌아 점 B 에 도달할 때, 그 경로
가 최단거리를 가지게 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단, 경로는 윗면의 경계 또는 밑
면의 경계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O

B 


P

[1-1]    일 때 경로의 최단거리를 구하시오.

[1-2] 경로의 최단거리를  의 함수  로 나타내시오.

6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3] 논제 [1-2]에서 구한 함수  에서    에서의 연속성에 대하여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69





0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2(2022학년도 서강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삼각형 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삼각형 ABC 의 넓이를  라고 하

A
  
      
sin sin sin

       cos 
O
      cos 
       cos B C

  
    sin    sin    sin
  

[나]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


     ⋯  

을 기호  를 사용하여 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


     ⋯    


이다.

[다] 그림과 같이 모선의 길이가  이고 밑면의 지름의 길이가  인 직원뿔 모양의


산이 있다. 원뿔의 한 모선이 밑면과 만나는 점을 출발점 A  P 이 모선 위
에서 정상으로부터  만큼 떨어진 점을 도착점 O
B 라고 하자. 선분 AB 를  등분한 점에  개의 
B  P
전망대 P ⋯  P  B 가 있다(단,  은  보다
큰 자연수). 
또한, A 를 출발하여 전망대 P ⋯  P   을
차례로 거쳐 B 에 도착하는 경로가 있다. 이때 P

두 지점 P   과 P (   ⋯   ) 사이의 경
A  P
로는 산 주위를 한 바퀴 회전하면서 두 지점을 

최단 거리로 잇는다.

7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3 최


[2-1]  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 에 대하여 P   과 P 를 잇는 경로의 길이를  라


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 

 
[2-2] 논제 [2-1]에서 정의한  에 대하여, 극한값 lim 

을 구하시오.
 → ∞  

[2-3] 두 점 P 와 P 을 잇는 경로 위의 점 중에서 밑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최대인 점을


Q 이라고 하고, 점 Q 의 밑면으로부터의 높이를  이라고 하자.  을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극한값 lim  을 구하시오.
→∞

[2-4] 원뿔의 꼭짓점을 O 라고 하고 논제 [2-3]에서 정의한 점 Q 과 높이  에 대하여

  
OQ × 이라고 할 때,  ≥  인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임을 보이시오.

HIMCHAN MATH ESSAY •71





0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3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각형 ABCD 의 내부 또는 경계에 있는 점 P 에서 정사각


형의 네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를 각각     라 하자.

A D


P

 

B C

[3-1]       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시오.

[3-2]          를 만족하는 점 P 로 이루어진 도형을 정사각형 ABCD 안


에 그리시오.

7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3-3] 선분 AD 의 중점을 M 이라 할 때, 세 점 M B C 를 지나는 포물선의 아래 영

역과 논제 [2-2]에서 구한 도형의 내부와의 공통부분의 넓이를 구하시오.

[3-4]   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73


0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수깨기 전략키워드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7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PART Ⅱ

STRATEGY KEYWORD

04 지수•로그방부등식과 좌표 연산의 해석
076

05 주기함수 094

06 삼각함수의 최대•최소 104

07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108

08 등차•등비수열의 합과 그 그래프의 규칙성


128

09 규칙성과 최후 생존수 143

10 수학적 귀납법 148

HIMCHAN MATH ESSAY •75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04
0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좌표 연산의 기하학적 해석



등  


 

 
과 A     

   

표  


연 C 
B     
  
산 •   
의 O  •   



(예시) 평가원
다항함수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세 수    ′   

   의 대소를 비교하시오.

(가)   
(나)       인 모든  에 대하여
    

7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4 지



1.       와     ,   log   와의 교점을 각각        ,        라 할 때
(1)      와      의 대소 비교

(2)   과   의 대소 비교

 

(3)  과  의 대소 비교
 

(4)     와     의 대소 비교







2. (1)        일 때   와   의 대소 비교
(2)        일 때     와     의 대소 비교 해
(3)      일 때   와   의 대소 비교 석
(4)      일 때     와     의 대소 비교

■ 연습 문제1(2017학년도 서울시립대 모의)



     에서 부등식   sin  cos    cos  sin 를 만족하는  의 범위를 구

하시오.

HIMCHAN MATH ESSAY •77





0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3.       와     ,   log   와의 교점을 각각              
그 

방     와   log   와의 교점을       라 할 때
부 

등 (1)   과  의 대소 비교

식 
(2)   와  의 대소 비교
과 

(3)   과  의 대소 비교 (단,     )
좌 





석 (참고)     와   lo g   위의 점 사이의 위치(대응) 관계

(예시) 평가원
함수    의 그래프 위의  좌표가 양수인 점 A 와 함수    ln 의 그래프
위의 점 B 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가) 
OA 
OB
(나) ∠AOB  

직선 OA 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7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4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2

[2-1] 
   임을 보이시오.





[2-2]   
  과 역함수의 교점의 개수를 구하시오.







■ 연습 문제3(2016학년도 서울과기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의 증감)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 ′   이면  는   에서 증가한다.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 ′   이면  는   에서 감소한다.

[나] (함수의 극대, 극소)


함수  가 미분가능하고,  ′  일 때,    의 좌우에서 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함숫값  는 극댓값이다.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함숫값  는 극솟값이다.

[3-1] 함수      ln  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79





0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3-2] 논제 [3-1]의 결과를 이용하여  과  의 대소 관계를 밝히시오.





과 [3-3]     일 때, 논제 [3-1], [3-2]를 참조하여 적당한 함수  를 만들고 이를
좌 이용하여  과  의 대소 관계를 밝히시오.




해 ■ 연습 문제4(2022학년도 한양대 수시)
석 ln
함수    를 이용하여    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양의 정수   의 순서

쌍   를 모두 구하시오.

■ 연습 문제5(2022학년도 서울시립대 모의)


자연수 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 

8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4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참고) 상용로그


1. 상용로그를 대하는 태도






2. 일반적인 접근(진수가 양의 실수일 때)




3. 가우스 함수

4. 진수가 자연수일 때

HIMCHAN MATH ESSAY •81





0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로 (예시1) log     는 정수,  ≤   이고,  가 자연수일 때


그   ≤ 
방 


  ≥ 
부 을 만족하는  를 모두 구하시오.





연 (예시2)  ≤  ≤  인 자연수  에 대하여
 log    log   
산 를 만족하는  를 모두 구하시오.


■ 연습 문제6(2022학년도 성신여대 모의)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6-1]   log   log 이고 ∈   ≤  ≤  인 자연수에 대하여 집합


 을
      ≤  ≤  인 정수 
라고 할 때, ∪∪ ⋯ ∪ 의 원소 개수를 구하시오.

8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4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6-2]  를  log 가 자연수가 되는  보다 크거나 같은 자연수 의 개수라 할 때,

 ≤  ≤ 인 각각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를 구하시오.










[6-3] 논제 [6-2]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연



HIMCHAN MATH ESSAY •83





0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1(2021학년도 서울과기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부 [가]      일 때, 다음 성질이 성립한다.

등 ln  ln ⇔   

식 [나] 수렴하는 두 수열  과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이면 다음


과 성질이 성립한다.
lim  lim 
좌 →∞ →∞

(다)    이고,    일 때,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표    ⋯       ⋯  

산 [1-1]  ≥  일 때, 방정식    을 만족하는 자연수 해를 하나 구하시오.


[1-2] 제시문 [가]를 이용하여,  ≥  일 때,    의 해의 개수를 구하시오. (필요하


면 ln   로 계산한다.)

8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4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1-3] lim 
→∞   
의 극한값이 존재하고  이 아닐 때, 자연수  과  의 관계식과 그
극한값을 구하시오.







[1-4]  과  가 논제 [1-3]에서 구한 관계식을 만족시킬 때,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연
    ⋯        ⋯  산
을 만족하는  보다 크거나 같은 자연수  의 개수를 구하시오. 의

HIMCHAN MATH ESSAY •85





0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2(2014학년도 한양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부 실수   가  보다 클 때,  과  의 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 값을 고정하

등 고  값을 변화시킬 때,  과  의 대소 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가령    으로 하고  값을 변화시켜 보자.      이면, 다음이 성립함을 쉽게
식 알 수 있다.
과         
좌 그렇다면      또는      인 경우는 어떠할까?  가 자연수가 아닐 때 
표 과  의 크기를 어떻게 비교할 수 있을까?





[2-1]    일 때 함수     의 증감을 논하시오.


[2-2] 논제 [2-1]의 결과를 이용하여  과  의 크기를 비교하시오.

[2-3]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   을 만족하고  ≠  인 양의 실수  는 몇 개인지


ln 
논하시오. (단, lim   )
→∞ 

8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4 지



■ 실전 논제3(2020학년도 이화여대 자연계열Ⅱ 수시)
  


[3-1]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방






 
[3-2] 임의의 두 자연수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 연
 산
 
오. (단, lim   
→∞    ) 의



[3-3]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HIMCHAN MATH ESSAY •87





0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4(2022학년도 서강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부 [가]  이 자연수일 때, 다항식   을 전개하면 다음과 같은 전개식을 얻을 수

등 있고, 이것을 이항정리라고 한다.


   C   C     C     ⋯  C     ⋯  C 

과 [나] 함수  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 에 대하여
좌 (a)  ′  이면 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표 (b)  ′  이면  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연 [다] (a) 세 수열       과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이고


산 lim   lim    이면 lim    이다.
의 → ∞ →∞ →∞

(b) 세 함수    와  에 가까운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해  ≤  ≤  이고, lim lim  이면 lim  이다.
→  → →
석 또한, 이와 같은 함수의 극한 관계는 →  →  →∞  → ∞ 일 때
도 성립한다.

[라] 함수 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때에는 다음을 고려한다.


(a)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b) 좌표축과의 교점
(c)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곡선의 오목과 볼록, 변곡점
(d) 점근선

[4-1] 제시문 [가]를 이용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단,  은  보다 큰 자연수)

8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4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4-2] 제시문 [나]를 이용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ln      (단,  는 양의 실수)
 
   방







집합       을 정의역으로 갖는 함수    
   에 대하여 논제 [4-3]~[4-5] 표
에 답하시오.

[4-3] 함수  가 열린구간  ∞ 에서 증가함을 보이시오. 산



[4-4] 함수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 단
  
은  의 정수 부분
   
    
임의의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  임을 보이시오.

[4-5] 논제 [4-1]~[4-4]를 이용하여 함수   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시오.

HIMCHAN MATH ESSAY •89





0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5(2022학년도 부산대 의•약학계열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부 [가] 함수  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 에서
(a)  ′   이면 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등 (b)  ′   이면  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과 [나]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 일 때,  와  사
이의 임의의 값  에 대하여    인  가 열린구간   에 적어도 하나 존
좌 재한다.

연 [다] 함수  가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산 이 구간에 속하는  에 대하여  ′   이고    의 좌우에서  ′ 의 부호


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 는   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 이다.

해 



열린구간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 는 실수)

[5-1] 음이 아닌 실수  에 대하여 ln   ≤ 


 가 성립함을 보이고, 이를 이용하여


lim  ln   
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5-2]  ≤  일 때, 함수  는 열린구간   ∞ 에서 증가함을 보이고,  ≥  일 때,

함수  는 열린구간  ∞ 에서 감소함을 보이시오.

9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4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5-3]      일 때, 열린구간  ∞ 에서 함수  가 극소가 되는  의 개수가 
 그
임을 보이시오. 방










HIMCHAN MATH ESSAY •91





0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6(2022학년도 연세대 수시)
그 
그림과 같이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방 에 대하여
부 
등 쌍곡선 
      ≥   과 함
  
  ln 

식 수   ln  가 한 점에서 만난다. 만


과 나는 점의  좌표를  이라고 할 때, 제

좌 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O     


산 

   
의    
 


석 [가]   인 실수 에 대해 ln   가 성립한다.
 

[나] 자연수 에 대해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6-1] 수열 에 대해
 
   ≤ 
   
이 성립할 때,        임을 보이시오.

9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4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6-2]   

 
 



일 때 lim
 ln  을 구하시오. 그
 
 →∞











HIMCHAN MATH ESSAY •93


05
0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주기가  인 함수   
   가 정의역의 모든  에 대하여          를 만족하는 최소의 양수  가
존재할 때,    는 주기가  인 주기함수라 한다.
(성질)

(참고)
•  A    B  형태 :
☛  A  B  가 일정 ⇒

예)            ⇒

☛  A  B  가 일정 ⇒

예)            ⇒

•  A   B   C 형태 :
☛  A  B  와 C 가 일정 ⇒

예)              ⇒

9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5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          일 때


•    sin  •    sin  •    sin 

•    tan  •    tan 

  
2.     sin    cos    tan  
  
•   의 주기 

•    


3. 주기  인 함수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HIMCHAN MATH ESSAY •95





0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연습 문제1(2020학년도 경북대 자연계열Ⅱ 모의)
[1-1] 함수    sin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함수  는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임을 보이시오. (단,  는 정수)

[1-2] 연속함수 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를 만족시킬 때, 함수      
 가 상수함수임을 증명하시오.

9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5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2(2017학년도 울산대 의예과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   가 나타내는 도형을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 축 방향으로  만
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  이다.

[나]    가 나타내는 도형을 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 축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   이다.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    를 만족하는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97





0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1(2021학년도 부산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  의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 에 대하여
    
를 만족하는  이 아닌 상수  가 존재할 때, 함수  를 주기함수라 한다.

[나] 두 각  와  에 대하여
sin     sincos  cossin
cos    coscos   sinsin

[다]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 

     (단,      )

[라] 함수  가    에서 극값을 갖고  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


하면
 ′  

두 상수   에 대하여 함수
      
가 있다. 함수     cos 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  


가    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고 하자.

[1-1] 함수  는 주기함수임을 보이시오.

9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5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2]    을 만족하는 두 근을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99





0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2(2016학년도 경북대 자연계열Ⅰ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       →  가 임의의 두 수   에 대하여
   이면   일 때, 함수  는     에서 감소한다고 한다. 만
약 함수   가 구간     에서 감소하면 함수     도
    에서 감소한다.

[나] 함수  가 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함수    이면   인 


가   에 존재한다.
더욱이 함수  가 구간     에서 감소하면   인  는   에서
유일하다.

[다] 함수    →  에 대하여
     
를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만족하는 이 아닌 상수  가 존재할 때  를 주
기함수라 하고, 상수  중 가장 작은 양수를  를 주기라 한다. 함수 
가 주기가  인 함수이면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함수    는 주기가

 인 주기함수이다. 예를 들어   sin 는 주기가  인 함수이므로   sin


는 주기가  인 함수이다.

[2-1]       인 실수   에 대하여 방정식


      
이 구간     에서 해를 유일하게 갖도록 하는  의 최댓값을  최솟값을  이라 하
자.
 
(1)    이고    일 때,  과  을 구하시오.
 

(2)      일 때,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0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5 주


[2-2] 방정식 수
        
의 해의 합을  라 하면    임을 증명하시오.

[2-3]  이 자연수일 때 방정식


     ⋯       sin
에 대하여

 
(1) 구간     에서 방정식의 해의 개수를  이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2) 구간     에서 방정식의 가장 작은 두 해를   라 할 때,      임을 보

이시오.
  
(3) 구간     에서 방정식의 모든 해의 합을  이라 할 때,    임을 보이

시오.

HIMCHAN MATH ESSAY •101





0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3(2017학년도 한양대 모의)
 
함수      에 대하여      를 만족하는  의 최솟값을
sin
   cos
구하시오.

10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5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4(2019학년도 연세대 수시)
 이 임의의 자연수일 때, 함수   sincos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 
[4-1] (1) 

 와 (2) 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  
[4-2]   
 라 할 때, lim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03


06
06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삼각함수의 최대•최소


대  

1.    sin      의 최대•최소



2.   sin     sin    의 최대•최소

(참고)   cos     sin    의 최대•최소

 cos   
3.    의 최대•최소
cos   

  cos    
(참고)    의 최대•최소
 cos    

10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6 삼


 sin   

4.    의 최대•최소
cos    의





5.    sin    cos      ≤  ≤   의 최대•최소

(참고)    cos  sin  co s   sin    ≤  ≤   의 최대•최소

HIMCHAN MATH ESSAY •105





06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1(2021학년도 건국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최 중심이 원점 O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반원과 점 S      을 나타낸 것이다.
대 점 P 는 반원 위에 있다. 선분 PQ 는  축과 평행하고 점 Q 의  좌표는 점 P 의 
• 좌표보다 만큼 크다.
최 
소 Q

S
O   

∠PSQ 의 크기가 최소일 때 점 P 의 좌표를 구하고 풀이 과정을 논하시오.

10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6 삼



■ 실전 논제2(2022학년도 경희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다항식의 곱으로 나타내는 인수분해는 다항식의 최
전개과정을 거꾸로 생각한 것이다. 대
(1)         •
(2)         최
(3)         소
(4)            
(5)             

[나]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 sin  sincos  cossin sin   sincos  cossin
(2) cos   coscos  sinsin cos   coscos sinsin
tan  tan tan  tan
(3) tan     tan   
  tantan   tantan

     을 만족하는 실수   에 대하여    의 최댓값을 구하고, 그 근


거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07


07
06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사인법칙

코 1. 유도



(참고) sin   sin   sin        일 때, cos  의 값

∠ A  ∠ B  ∠ C       일 때, cos  의 값

2. 활용

10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코사인법칙

1. 유도 코



(참고)           일 때

2. 활용

(참고)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HIMCHAN MATH ESSAY •109





0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연습 문제1(2021학년도 4월 전국연합 19)


그림과 같이 원  에 내접하고 
AB  ∠BAC   인 삼
코  C

사 
각형 ABC가 있다. 원  의 넓이가   일 때, 원  위의

인 점 P 에 대하여 삼각형 PAC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법 (단, 점 P 는 점 A 도 아니고 점 C도 아니다.)

A B

■ 연습 문제2(2016학년도 9월 평가원 28)


그림과 같이 원에 내접하고 한 변의 길이가
A

 인 정삼각형 ABC 가 있다. 점 B 를 포함하 P
지 않는 호 AC 위의 점 P 에 대하여 ∠PBC  
라 하고, 선분 PC 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

에 내접하는 원의 넓이를   라 하자.
 
lim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 
B C

11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7 사



■ 연습 문제3(2021학년도 3월 전국연합 29)

그림과 같이 예각삼각형 ABC 가 한 원에 내접하고 있
다. 
AB  이고, ∠ABC   라 할 때 A 코

cos    이다. 점 A 를 지나지 않는 호 BC 위의 점 



D 에 대하여  CD  이다.


두 삼각형 ABD CBD 의 넓이를 각각   라 할 때, B

       이다. 삼각형 ADC 의 넓이를  라 할
D  C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11





0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칙 ■ 연습 문제4(2022학년도 서울과기대 수시)


과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코 실수        에 대하여 직선    가 원     원     와 제
사 사분면에서 만나는 점을 각각 A B 라고 하자.
인 

칙 A B
 

O   

[4-1] 
OA 
AB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4-2] 논제 [4-1]에서 구한  에 대하여   ∠OAB   ∠ABO 라 할 때,


cos     의 값을 구하시오.

[4-3] 논제 [4-1]에서 구한  에 대하여 삼각형 AOB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


하시오.

11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7 사



■ 연습 문제5(2022학년도 숭실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삼각형 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 하면 코
  
      A 사

sin sin sin


 법
 O 칙
B  C


[5-1]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에 삼각형 ABC 가 내접한다. 삼각형 ABC 의 넓이


는 
 이고 cos   이다. 이때 삼각형 ABC 의 세 변의 길이를 모두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13





0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칙 함수  가 구간      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과       ≤  ≤ 

코   

       ≤ 
사 곡선    위에 오각형 ABCDE 의 모든 꼭짓점이 놓여 있다. 점 A 의 좌표는
인    점 E 의 좌표는    이고 두 점 B C 의  좌표는 모두 양수이며
법 ∠ABC  이다.

[5-2] 삼각형 ACE 의 넓이를 구하시오.

[5-3] 오각형 ABCDE 의 넓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꼭짓점 B C D 의 좌표를 구하


시오.

11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1(2021학년도 가톨릭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삼각형 ABC 에서 세 각 ∠A ∠B ∠C 의 크기를 각각    라 하고 이들의 코
대변의 길이를 각각    라 하자. 사
[가] (사인법칙)

삼각형 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라고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법
  

      
sin sin sin

[나] (코사인법칙)
삼각형 ABC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cos
       cos
       cos


[다]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삼각형 ABC 의 넓이  에 대하여  의 최댓값을 

AB
이라 하자.

sin cos  sin

[1-1] 제시문 [다]의 조건을 만족하는 삼각형 ABC 는 어떤 삼각형인지 논하시오.

[1-2] 제시문 [다]의  의 값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15





0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2(2023학년도 숙명여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코 [가] 삼각형 ABC 에서 ∠A ∠B ∠C 의 크기를 각각    라 하고 이들의 대
사 변의 길이를 각각    라 하자. 삼각형 ABC 의 A
인 넓이는 밑변이  높이가  일 때   이다. 삼각함


법 수를 이용하여 높이  를  와 sin 로 나타내면
  

칙    sin 이므로 삼각형 ABC 의 넓이는 C B


 
  sin ⋯⋯ ①

이다. 한편, sin  cos   과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sin 를    로 나
타내면 삼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   라 두면 위 식은


       ⋯⋯ ②
이다.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이 식을 헤론의 공식이라 한다.

[나]  이 자연수일 때,  개의 양수   ⋯  에 대하여 이들의 산술평균



    ⋯   

 과 기하평균  ⋯  은 부등식


    ⋯   

 ≥  ⋯ 

을 만족시키고 등호는     ⋯   일 때 성립한다.

[다] 둘레의 길이가 일정한 직사각형 중에서 넓이가 최대인 직사각형은 정사각형임
을 미분을 사용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주어진 직사각형의 둘레
의 길이를  이라 하고 한 변의 길이를  라 하면 다른 한 변의 한 변의 길이
  
는  이다. 이 직사각형의 넓이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사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보다 클 수 없고  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  이다. 따라
  
서 둘레의 길이가 일정한 직사각형 중에서 넓이가 최대인 사각형은 정사각형
이다.

11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1] 제시문 [가]에서 식 ①로부터 식 ②를 유도하는 과정을 서술하시오.







[2-2] 제시문 [가]~[다]를 이용하여 둘레의 길이가 일정한 삼각형 중에서 넓이가 최대
인 삼각형은 어떤 삼각형인지, 구하는 과정과 함께 서술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17





0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3(2021학년도 건국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코 [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와 세 각의 크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에는 사인
사 법칙과 코사인법칙이 있다. 이들 법칙을 이용하면,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가 클
인 수록 그 대변의 길이도 긴 것을 알 수 있다.

칙 [나] 좌표 평면 위에 점 A  과 B  이 있다. [그림 1]에서 점 X 는 직선
   위에서 움직이고 [그림 2]에서 점 Y 는 제1사분면 위에 있으며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이  인 원 위를 움직인다.

Y
 

O A B O A B
[그림 1] [그림 2]

[3-1] sin ∠AXB 의 값 중 가장 큰 것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도 함께 쓰시오.

[3-2] ∠AYB 의 값이 가장 클 때, 점 Y 의 좌표를 구하시오. 풀이 과정도 함께 쓰시


오.

11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07 사



■ 실전 논제4(2023학년도 서울시립대 모의)

그림과 같이 길이가  인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 Q
이 있다. 호 AB 위에 두 점 P Q 를 ∠PAB   가 되 코
도록 잡고, 두 선분 AP BQ 의 교점을 R이라 하자. 삼각
R
P

형 PQR 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 라 할 때,
A
 
B

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  이다.)


HIMCHAN MATH ESSAY •119





0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5(2013학년도 시립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코 [가] 세 변의 길이가   
AB  BC   
   CA 
 이고 외접원의 중심이
사 O 인 삼각형 ∆ABC 가 있다.
인 A
법 D

칙 



O

B 
  
 C

[나] 삼각형 ∆ABC 의 세 변    와 세 내각    에 대하여


  
(사인법칙)        (단,  은 외접원의 반지름)
sin sin sin
(코사인법칙) A
  
       cos 
  
       cos

       cos 
 O
이 성립한다.

B  C

[5-1]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시오.

12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7 사


[5-2] 세 삼각형 OAB OBC OCA 의 넓이의 비를 구하시오.







[5-3] 점 D가 그림과 같이 부채꼴 OCA의 호 CA 에서 움직일 때(단, 호의 양 끝점 제
외), 삼각형 ACD 의 무게중심의 자취의 길이를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21





0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6(2022학년도 경희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코 [가] 함수  에서 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 의 값이
사 일정한 값  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이것을 기호로
인 lim   
→ ∞
또는  →  ∞ 일 때 → 
법 과 같이 나타낸다.

[나] (사인법칙)
삼각형 ABC 에서 ∠A ∠B ∠C 로 나타내고, 이들의 대변의 길이를 각각
   로 나타내기로 할 때, 삼각형 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이
라 하면 다음 법칙이 성립한다.
  
    
sin sin sin

[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 sin   sincos cossin sin   sincos  cossin
(2) cos   coscos  sinsin cos   coscos sinsin
tan  tan tan  tan
(3) tan     tan   
  tantan   tantan

B B B B B B B B

⋯ ⋯

A A A A A A   A A A A A A  
[그림 1] [그림 2]

양의 실수  와 자연수  에 대하여, 길이가  인 선분 AA   위에 위에 합동인 이등


변삼각형  개를 [그림 1]과 같이 세워놓았다. 각각의     ⋯   에 대하여, 삼각
형 AB A   는 
AB 
A B  인 이등변삼각형이고 선분 AA   은 선분 AA   위에
있다.

12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또한, 각각의     ⋯   에 대하여, 삼각형 ABA  과 삼각형 A  B  A   는

한 점 A   에서만 만난다. 삼각형들로 둘러싸인 영역을  이라 할 때, 물음에 답하

시오. 코

[6-1]  의 넓이  을  와  에 관하여 표현하고, lim  의 값을 근거와 함께 논하
→∞

시오. 법

[6-2] [그림 2]와 같이 점 A 과 점 B 을 연결한 선분 AB 으로  을 자를 때, 선분


AB 위에 있는 삼각형들의 넓이의 합을  이라 하자.  을  와  에 관하여 표현
하고, lim  의 값을 근거와 함께 논하시오.
→ ∞

HIMCHAN MATH ESSAY •123





0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칙 ■ 실전 논제7(2020학년도 한양대 수시)



평면에 
AB 을 만족시키는 두 정점 A B 가 있다.      인 
코 에 대하여, ∠APB   를 만족시키는 점 P를 생각하자.

인 
법 [7-1]    일 때, 점 P 와 점 A B 가 이루는 곡선의 길이를 구하시오.

  의 최댓값을  이라고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7-2]    일 때, AP


[7-3] 점 P 와 점 A B 가 이루는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12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8(2022학년도 세종대 수시)

아래 그림에 있는 삼각형 ABC 는 시각 ≥  에 따라 크기가 변하며, 다음 조건을 만
족시킨다. 코

(가) 시각    에서 
BC  이다.


(나) 임의의 시각 ≥  에서 ∠B   이고 

BC  
AB   
 이다. 법
(다) 임의의 시각   에서 삼각형 ABC 의 넓이의 순간변화율은 칙

    이다.

[8-1] sin 를 구하시오. A

B C


[8-2] 시각 에서 선분 BC 의 길이를   라 할 때,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 

[8-3] 삼각형 ABC 의 외심을 Z 라 하자. 선분 BC 의 길이가  일 때, 사각형 ZBCA 의


넓이의 순간변화율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25





0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9(2022학년도 아주대 수시)

직진하던 빛이 물체에 부딪칠 때 진행 방향이 바뀌어 나아가는 현상을 빛의 반사라고
코 한다. 빛이 원에서 반사될 때, [그림 1]에서와 같이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가 같다.
사 중심이 원점 O 이고 반지름이  인 원     을 단위원이라 한다. 점 I  에서

인 
비치  축과 각  (단,      )를 이루면 단위원 내부로 발사되고 계속해서 원에서

법 반사된다고 하자. 이때 각 를 발사각이라 한다. 반사가 일어나는 원 위의 점을 반사
칙 지점이라 하고,  번째 반사가 일어나는 반사지점을  번째 반사지점이라 한다.
[그림 2]는 점 I  에서 발사된 빛이 원 위에  번 반사된 후,  축 위의 점 P 를 통
과하는 예를 보여준다. 모든 각의 단위는 라디안(radian)이다.

 

반사각
입사각
 I 
O  P O 

[그림 1] [그림 2]

[9-1] [그림 2]와 같이 단위원 위의 점 I 에서 발사각 를 이루면 발사되어 제 사분면


에서 원 위의  번째 반사지점을 지나 제 사분면에서 원 위의  번째 반사지점을 갖
게 된다고 하자.
(1) 발사각  의 범위를 구하고, 빛이 통과하는  축 위의 점 P 의  좌표를  를 이용
하여 나타내시오.
 
(2)    이고   cos  라 할 때,  번째 반사지점에서 점 P 까지 빛이 이동한 거
 
리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12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7 사


 

[9-2] [그림 3]에서 ∠IOA   이고, ∠IOB   이
 
 과

다. 호 AB 를  라 하자. 발사각    일 때, 점 I

B  코
A
에서 발사된 빛이  번째 반사지점에서  와  번째로 I  사
만난다고 하자. 이때  을 구하시오.
O  인


[그림 3]


[8-3] 점 I 에서 빛이 발사각    로 발사되었을 때, 점 I 가 반사지점이 될 수 없

음을   이 무리수라는 사실을 이용하여 증명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27


08




08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등차수열   


1. 점화식





2. 일반항





칙 3. 일반합

(예시)    ⋯    이 등차수열을 이룰 때


⇒ 공차 


⇒ 


12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8 등



(참고1) 첫째항  공차  인 등차수열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의



⇒  

(참고2) 등차수열  에 대하여       일 때


⇒ 

HIMCHAN MATH ESSAY •129





08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4.          에 대하여

(1) 등차수열    의 합일 조건





그 (참고)       인  에 대하여
⇒            일 때,    을 만족하는 




규 ⇒        일 때,    을 만족하는  

(예시) 첫째항이 자연수이고 공차가 음수인 등차수열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


킬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가)            

(나)     


13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8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        인   의 그래프


(참고)     

⇒  이 최대일 때  의 값

⇒ 집합      의 원소의 개수




     그
⇒  이 최대일 때  의 값

⇒ 집합      의 원소의 개수





    
⇒  이 최대일 때  의 값
⇒ 집합      의 원소의 개수

(예시1)        인 등차수열  에 대하여


⇒  이 최대일 때  의 값
⇒    을 만족하는  의 최댓값

HIMCHAN MATH ESSAY •131





08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등 (예시2)        인 등차수열의  에 대하여


비 
수 ⇒   이 최대일 때

 의 값





그 5. 함수 VS 일반항 VS 점화식
래 구분 함수(     ) 일반항(     ) 점화식(          )
프 정의역  : 실수  : 자연수   : 실수(정의역=치역)

의 변수의  : 독립변수  : 독립변수


  : 종속변수
  : 독립변수
성질  : 종속변수   : 종속변수 ( ≥  )
규 참고 · ·
   를 이용하여 일반항의
값을 추정한다!

성 
(참고) 함수를 활용한           을


만족하는  값의 추정     
⋮ 




   ⋯ 

13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8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등비수열   


1. 점화식





2. 일반항





3. 일반합 칙

4.        에 대하여
⇒ 등비수열    의 합일 조건
(예시1)   ⋅     이 등비수열의 합일 조건

HIMCHAN MATH ESSAY •133





08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등 (참고) 첫째항  공비  인 등비수열  에 대하여


비 ⇒   




⇒         



래 ⇒         



칙 ⇒ log

(예시2) 등차수열  에 대하여 세 항    의 관계식


등비수열  에 대하여 세 항    의 관계식


13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8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예시3)    ⋯    이 등비수열을 이룰 때

⇒ 공비 




⇒  ⋯ 





■ 점화식과 일반항 (공식 VS 나열) 프

1.           
⇒   규

2.         
⇒  

3.        
⇒  

HIMCHAN MATH ESSAY •135





08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등 (참고) 2014학년도 4월 전국연합 20


비 수열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 이라 할 때,
수    
열 

 
의                ⋯ 
 

합 이 성립할 때, 

    

  를 구하시오.





프 4.          (단,  ≠   ≠  )
의 ⇒  



5. 나열 해법

(참고)       VS     


      

13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8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예시1)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을  이라 할 때,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 에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 열
(나) 수열    은 등비수열이다. 의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과




(예시2) 2022학년도 4월 전국연합 21

첫째항이 자연수인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규
     ≥ 
 칙
    

      성
을 만족시킨다.    이 되도록 하는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연습 문제1(2023학년도 숙명여대 모의)


 이 홀수이면  짝수이면   이 되면 등비수열  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 이
홀수이면  짝수이면  이 되는 수열  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37





08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비 ■ 연습 문제2(2020학년도 수능 21)
수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의 (가)     

합 (나)       


그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연습 문제3(2022학년도 9월 평가원 13)
첫째항이   이고 공차가  인 등차수열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하는 모
든 자연수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가)     인 자연수 이 존재한다.



(나)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이다.

13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8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4(2022학년도 9월 평가원 15)

수열 은  ≤  이고,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열


       ≤  ≤  




       ≤ 

 그
을 만족시킨다.     이고,    이 되도록 하는 모든  의 값의 합을 구하시

오.
 








■ 연습 문제5(2010학년도 6월 평가원 22)   
함수    는    를 만족하고, 그 그래프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O   
   인

 수열 이 있다.  이  보다 작은
자연수일 때,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39





08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2(2020학년도 아주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열 [가] 일부가 서로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색칠된 칸과 색칠되지 않은 칸들이 있다.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각 칸마다 수를 하나씩 적으려고 한다.
의 〈조건〉
합 색칠되지 않은 칸에 적힌 수는 그 칸과 선으로 연결되어
과 이웃한 모든 칸에 적힌 수의 평균이다.

그 가령,  개의 칸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색칠된 칸에 


과  이 적혀 있다고 하자.

래  

 
의 이때    이고    이므로, 색칠되지 않은 칸에  와  를 적으면
 

규 〈조건〉을 만족한다.

칙    

[나]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색칠된 칸과 색칠되지 않은 칸이 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시문 [가]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수들이 적혀 있다고 하자.

    



가운데 칸에 적힌 수  는 〈조건〉에 의해        이다. 한편 〈조건〉


 
에 의해    이므로      이고, 같은 방법으로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는 색칠된 세 개의 칸에 적힌 수    의 평균이다.

14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08 등


[2-1]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아래의 그림과 같이 개의 칸이 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색칠된 칸에 적힌 수는 

와 이다. 제시문 [가]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색칠되지 않은 칸에 들어갈 알맞은 수 수
를 구하시오. 열

 




(2) 아래의 그림과 같이 개의 칸이 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가장 바깥쪽의 두 칸에

만 색칠되어 있다. 색칠된 칸에 적힌 수가 각각 과 이며 제시문 [가]의 〈조건〉 프
을 만족하도록 수가 적혀있다. 색칠되지 않은 칸 중 번째 칸에 적힌 수를 라 할 의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3)  이상의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아래의 그림과 같이   개의 칸이 선으로 연결


되어 있고, 가장 바깥쪽의 두 칸에만 색칠되어 있다. 색칠된 칸에 적힌 수가 각각 
과  이며 제시문 [가]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수가 적혀있다. 색칠되지 않은 칸 중 
번째 칸에 적힌 수를 ln  라 하자.         ⋯     이라 할 때 ln   
임을 보이시오.

 ln  ln  ⋯ ln    ln    

HIMCHAN MATH ESSAY •141





08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등 [2-2]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비 (1)   개의 색칠된 칸과  개의 색칠되지 않은 칸이 있다. 색칠되지 않은 칸은 색
수 칠된   개의 칸과 각각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 ≤  ≤  인 에 대하여  번째 색
열 칠된 칸에 적힌 수가      이고,   번째 색칠된 칸에 적힌 수는 이다. 이
의 때 색칠되지 않은 칸에 제시문 [가]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수  를 적으면  ≤ 

합 이다. 이러한 성질을 만족하는 가장 큰 양의 정수 을 구하시오.




래 (2) 아래의 그림과 같이 개의 색칠된 칸과  개의 색칠되지 않은 칸이 선으로 연
프 결되어 있고, 제시문 [가]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수가 적혀 있다. 이때 제시문 [나]를

의 참고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성 



142• POWERED BY LEE


09
09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최후 생존수

 (가) 1부터 숫자를 건너뛰며 지우기를 반복

 

  
(나)  번째 지워지는 수  생

   수
⋱ 

 


1.  이 홀수이면    일 때,    ?


2.  이 짝수이면    일 때,      ?

3.     이면 마지막에 지워지는 수는   ?

HIMCHAN MATH ESSAY •143





09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과 (예시) 최후 생존수?


생   

14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9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4.  부터  까지 나열한 후, 규칙에 따른 최후 생존수를    이라 하면

⇒     최



⇒       수

⇒      

⇒     

HIMCHAN MATH ESSAY •145





09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1(2019학년도 아주대 수시)
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후 [가] 자연수  에 대하여 부터  까지 번호를 갖는  개의 흰색 공이 있다. 아래

생 규칙에 따라  단계까지 공을 색칠하자.


- 1단계: 번호가 홀수인 공을 모두 빨간색으로 칠한다.
존 - 2단계: 번호가  로 나누어 나머지가 인 공을 모두 노란색으로 칠한다.
수 - 단계 ( ≤  ≤  ):  가 홀수이면 번호가  으로 나누어 나머지가    인
공을 모두 빨간색으로 칠하고,  가 짝수이면 번호가  으로 나누어 나머지
가    인 공을 모두 노란색으로 칠한다.
공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단계 Ⓡ ○ Ⓡ ○ Ⓡ ○ Ⓡ ○ Ⓡ ○ Ⓡ ○ Ⓡ ○ Ⓡ ○ Ⓡ ○ Ⓡ ○ ⋯
2단계 Ⓡ Ⓨ Ⓡ ○ Ⓡ Ⓨ Ⓡ ○ Ⓡ Ⓨ Ⓡ ○ Ⓡ Ⓨ Ⓡ ○ Ⓡ Ⓨ Ⓡ ○ ⋯
3단계 Ⓡ Ⓨ Ⓡ Ⓡ Ⓡ Ⓨ Ⓡ ○ Ⓡ Ⓨ Ⓡ Ⓡ Ⓡ Ⓨ Ⓡ ○ Ⓡ Ⓨ Ⓡ Ⓡ ⋯
4단계 Ⓡ Ⓨ Ⓡ Ⓡ Ⓡ Ⓨ Ⓡ Ⓨ Ⓡ Ⓨ Ⓡ Ⓡ Ⓡ Ⓨ Ⓡ ○ Ⓡ Ⓨ Ⓡ Ⓡ ⋯

[그림 1-1]  ≥ 일 때 4단계까지의 작업


(○은 흰색 공, Ⓡ는 빨간색 공, Ⓨ는 노란색 공)

[나] 자연수  에 대하여  부터  까지 번호를 갖는  개의 흰색 공이 있다. 아래


규칙에 따라  단계까지 공을 색칠하자.
- 1단계: 번호가  으로 나누어 나머지가  인 공을 모두 노란색으로 칠한다.
- 2단계: 번호가  으로 나누어 나머지가  또는  인 공을 모두 노란색으로
칠한다.

-  단계 ( ≤  ≤  ):  가 홀수이면 번호가  으로 나누어 나머지가   인
공을 모두 노란색으로 칠하고,  가 짝수이면 번호가  으로 나누어 나머지
 
가     또는   인 공을 모두 노란색으로 칠한다.
공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단계 Ⓨ ○ ○ Ⓨ ○ ○ Ⓨ ○ ○ Ⓨ ○ ○ Ⓨ ○ ○ Ⓨ ○ ○ Ⓨ ○ ⋯
2단계 Ⓨ Ⓨ Ⓨ Ⓨ ○ ○ Ⓨ ○ ○ Ⓨ Ⓨ Ⓨ Ⓨ ○ ○ Ⓨ ○ ○ Ⓨ Ⓨ ⋯
3단계 Ⓨ Ⓨ Ⓨ Ⓨ ○ ○ Ⓨ ○ Ⓨ Ⓨ Ⓨ Ⓨ Ⓨ ○ ○ Ⓨ ○ ○ Ⓨ Ⓨ ⋯

[그림 1-2]  ≥  일 때  단계까지의 작업 (○은 흰색 공, Ⓨ은 노란색 공)

14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09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1] 제시문 [가]와 같이  단계까지 공을 색칠했을 때 논제에 답하시오.

(1)  ≥  일 때 번호가  인 공은 몇 번째 단계에서 색칠이 되는지 구하시오. 또 최
한 빨간색인지 노란색인지 답하시오. 후
(2) 전체 공들 중에서 색칠되지 않고 남아있는 흰색 공의 개수를 구하시오.
(3)    일 때 빨간색 공의 개수와    일 때 빨간색 공의 개수를 각각 구하시 생
오. 존

[1-2] 제시문 [나]와 같이  단계까지 공을 색칠했을 때 논제에 답하시오.


(1) 전체 공들 중에서 노란색 공의 개수를  라 할 때,  를  에 관한 식으로 나타
내시오.

(2) (1)의 결과를 이용하여, 극한 lim  
가 존재하면 그 값을 구하시오.
 →∞ 

HIMCHAN MATH ESSAY •147


10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 수학적 귀납법

법 1. 증명과정

14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예시1) 2021학년도 10월 전국연합 18 귀
 이상의 자연수  에 대하여 집합 납
       이고   는  이하의 자연수}
이다. 집합  의 모든 원소   에 대하여  의 값의 평균을  이라 하

 
자. 다음은  이상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임을 수학적 귀납법

을 이용하여 증명한 것이다.

(ⅰ)    일 때,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고    이다.
   
 
그러므로    가 성립한다.

 
(ⅱ)     ≥  일 때,    가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     일 때,
    ∪      ⋯   
이고 집합  의 원소의 개수는 가 이므로
 
가 ×   나

    
   C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일 때도    가 성립한다.

 
(ⅰ), (ⅱ)에 의하여  이상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이다.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49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예시2) 2021학년도 10월 전국연합 19


납 다음은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C
법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한 것이다.

(ⅰ)    일 때 (좌변)   (우변)   이므로 (*)이 성립한다.


(ⅱ) 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C 
  
 
  
 
 
 
이다.     일 때,
      
  C

 
      C
 
 
 
 가

     C  C  


 
 
 
 가

 

        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위의 (가), (나), (다)에 알맞은 식을 각각    이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

15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10 수


■ 연습 문제1(2019학년도 숙명여대 모의) 귀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납
자연수로 이루어진 수열의 임의의 두 항이 서로소인 경우(즉, 두 항의 최대공약수 법
가  인 경우), 이 수열을 서로소 수열이라 하자. 예를 들어
      ⋯
과 같이 수열의  번째 항을  번째 소수로 두면 임의의 두 소수는 서로소 이므로
이 수열은 서로소 수열이다. 하지만 홀수들의 수열
      ⋯
를 생각하면  과  가 서로소가 아니므로 이 수열은 서로소 수열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다음과 같이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  을 생각하자.
                 ⋯ ⋯⋯ ①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면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은 홀수임을 보일 수 있
다. 식 ①을 변형하면
             ⋯⋯ ②
를 얻는다. 따라서 임의의 두 자연수  과     에 대하여 식 ②를 반복하여
적용하면
         ⋯    
이다. 이제  과  의 공약수를  라 하면,        ⋯     에서 
가 좌변의 약수이므로  는  의 약수이어야 한다. 그러나  은 항상 홀수이므로
≠  이고 따라서  는  이다. 즉,  과  은 서로소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이 정
의된 수열  은 서로소 수열이다.

아래와 같이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           ⋯

[1-1]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이  의 배수가 아님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51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1-2] 수열  은 서로소 수열임을 증명하시오.



15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2(2020학년도 이화여대 자연계열Ⅰ 모의) 귀
[2-1]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 이 자연수이고  가   보다 크거나 같은 실수이면 납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법
  ≥   

[2-2]  이  보다 큰 홀수이고  ≥   이면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2-3]    이면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이면    ≤   
   또는    이면   ≥   

HIMCHAN MATH ESSAY •153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 실전 논제1(2023학년도 성균관대 모의)


납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법 [가] 자연수  에 대한 명제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를 보인면 된다.
(a)    일 때, 명제  이 성립한다.
(b)    일 때, 명제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일 때에도  이
성립한다.

[나] 두 사건   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때, 사건  와 사건  가 일어나는 경


우의 수를 각각   이라고 하면 사건  또는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 이다.

[다] 두 정수  와  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을  와  라 할


때(단,  ≤  ),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정의하자.

[1-1] 제시문 [다]에서 정의된 수열  에 대하여


       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성립함을 보이시오.

15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2] 제시문 [가]의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제시문 [다]에서 정의된 수열  의 귀
모든 항이 정수임을 보이시오. 납

[1-3] 동전  번을 던져 앞면이  번 나오고 뒷면이  번 나왔다고 할 때, 절댓값  


의 값이  보다 클 경우의 수를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55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 실전 논제2(2023학년도 이화여대 모의)


납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는    위의 점   에서 접선과 직선    의
법 교점의  좌표로 주어진다. 모든 항이 양수인 두 수열 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물음에 답하시오.

[2-1]  이 양의 실수일 때,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2-2]  ≥ 
 일 때,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
을 이용하여 보이시오.

15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3]  ≥ 
 일 때,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귀

[2-4]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HIMCHAN MATH ESSAY •157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 실전 논제3(2021학년도 이화여대 수시)


납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법 모든 항이 양수인 두 수열     이       이고, 모든 자연수 에 대
하여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3-1] 부등식   ≤    의 해가  ≤  ≤  일 때   를 구하고, 닫힌구간     



에서 함수         의 최댓값이  임을 보이시오.


[3-2]  가 논제 [3-1]에서 정해질 때,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두 부등식   ≥  와


 ≤  가 각각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보이시오.

15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3-3]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두 부등식  ≥    과  ≤    이 각각 성립함을 귀
보이시오. 납

■ 실전 논제4(2022학년도 서울시립대 수시)


수열  의 귀납적 정의가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    ⋯ 

HIMCHAN MATH ESSAY •159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 실전 논제5(2021학년도 서울대 수시)



다항식         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5-1]  을  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시오.


[5-2]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이라 하자.   를  로 나눈 나머
지를
           (단,     은 정수)
라고 쓰자. 모든  ≥  에 대하여       임을 보이시오.

16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0 수


[5-3] 모든  ≥  에 대하여     의 값을 구하시오. 귀

HIMCHAN MATH ESSAY •161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 실전 논제6(2019학년도 경희대 모의)


납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법 [가] 실수   과 양의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유리수     과 무리수   에 대하여       
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     이다.

[나] (쌍곡선의 방정식)


(a) 두 초점 F  F′   으로부터 거리의 차가       인 쌍곡선의
 
방정식은          
 
(b) 두 초점 F  F′   으로부터 거리의 차가       인 쌍곡선의
 
방정식은  
 
       
 

(a), (b)의 경우 점근선의 방정식은   ±   이다.

[다] 함수    →  에서 정의역  의 임의의 두 원소   에 대하여  ≠ 


이면  ≠  일 때, 함수  를 일대일함수라 한다. 특히 함수
   →  에서 (a) 치역과 공역이 같고 (b) 함수  가 일대일함수일 때, 이
함수  를 일대일대응이라 한다.

[라] 처음 몇 개의 항과 이웃하는 여러 항 사이의 관계식으로 수열을 정의하는 것을


수열의 귀납적 정의라 한다.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명제  이 성립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를 증명하면 된다.
(a)    일 때, 명제  이 성립한다.
(b)    일 때, 명제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일 때도 명제 
이 성립한다.

[마]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


수열   이 모두 수렴하고 lim    lim    일 때
→∞ →∞
(a) lim    lim    ( 는 상수)
→∞ →∞
(b) lim   lim   lim     
→∞ →∞ →∞
(c) lim    lim   lim     
→∞ →∞ →∞
(d) lim   lim  lim   
→∞ → ∞ →∞

 lim 
→∞ 
(e) lim       ≠   ≠ 

→∞  lim  
→∞

16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6-1] 실수의 부분집합   {    
    는 정수}에 포함되는 임의의 원소 귀
  에 대하여   와  도  에 포함되며  의 각 원소     에 대하여 납
 이라 정의하면  도  에 포함된다.  의 임의의 원소  와     
     법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임을 논하시오.

[6-2] 쌍곡선      의 그래프 위의 점들 중 정수좌표를 가지는 점들의 집합을


            는 정수}라 하고, 논제 [6-1]에서 정의한 집합  의 원
소  중    를 만족하는 원소들로 이루어진  의 부분집합을
  {  ∈ 
  }라 하자.
(1)   =   
 으로 정의된 함수    →  가  과  사이에 일대일대응임
을 논하시오.
(2)  의 임의의 원소    
 와     
 에 대하여   도  의 원소임을
보이시오. 또한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도  의 원소임을 논하시오.
(3)   
 은 집합  에 포함되고 논제 (2)에 의하면,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도 집합  에 포함된다. 따라서   

    
  이라 정의하면

  은 쌍곡선      의 그래프 위의 제 사분면에 위치한 자연수 좌표점이



다. 각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이라 정의한 수열  이 수렴할 때, 수렴값

lim    를 구하고 이를 쌍곡선의 점근선과 관련지어 논하시오.
→∞

HIMCHAN MATH ESSAY •163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 실전 논제7(2019학년도 서울과기대 모의)


납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법 어떤 모임의 학생들이 두 명씩 팀을 이루어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수학문제 풀이
를 한다.
(가)  ≥  번째 날에는   명의 학생이 참가한다.
(나) 모임에 참가한 모든 학생과 한 번씩 팀을 이룬다.
(다) 한 팀당  문제씩 푼다.
(라) 모든 문제는 서로 다르다.
(마)  번째 날까지 풀이한 문제의 수의 합을  이라 하자.

[7-1]  과  의 값을 구하시오.

[7-2]  번째 날까지 풀이한 문제의 수의 합  을 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16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귀
[7-3] 급수 


이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하시오.
 납


[7-4] 모든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임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65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 실전 논제8(2022학년도 아주대 수시)


납 짧은 신호(S)와 긴 신호(L)만으로 구성된 전신부호를 모스부호라 한다. 모스부호에 들
법 어 있는 신호의 총 개수를 그 모스부호의 길이라 한다. 예를 들어, SSL은 길이가 
인 모스부호이고, LSLLS는 길이가  인 모스부호이다. 길이가  인 모든 모스부호의
개수가  인 것은 자명하다. 아래 조건을 만족하며 길이가  인 모스부호의 개수를
 이라 하자.

긴 신호(L)가  개 이상 연속해서 나타나지 않는다.

조건을 만족하는 모스부호 중에서 길이가  인 것은 S, L이므로    길이가  인


것은 SS, SL, LS이므로    길이가  인 것은 SSS, SSL, SLS, LSS, LSL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이 성립한다. 그리고 수열  
  

이 수렴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8-1]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


명하시오.

  ≤ ≤


 

  
[8-2]   lim  이라 하자.  값을 구하시오.
 → ∞ 

16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9(2020학년도 연세대 모의) 귀


 
자연수 1부터  까지의 합은  
 
이다. 법


[9-1]    을 위와 같이 가장 간단한 모양으로 나타내시오.



[9-2]     ⋯   의 가장 간단한 모양을 추론하고 이를 증명하시오.


(단,  은 자연수이다.)

HIMCHAN MATH ESSAY •167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 실전 논제10(2021학년도 인하대 수시•의예과 모의)


납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법 (수학적 귀납법)
자연수  에 대한 명제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를 보이면 된다.
(a)    일 때 명제  이 성립한다.
(b)    ( ≥  )일 때 명제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일 때에도 명제
 이 성립한다.

(*) 자연수  에 대하여 (   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


      ⋯       ⋯    
의 어떤 부분집합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의 어떠한 원소    에 대하여도      ≠  이다. 단,    가


서로 다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 은  의 원소가 될 수 없다. 왜냐하면        이기 때문이다.

[10-1]
(1)  ∈ 인 경우,  ∈  ⋯   에 대하여  와   중 하나는  의 원소
가 될 수 없음을 보이시오.
(2)  ∈ 이고 ∈ 인 경우, ≤  임을 보이시오.

16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0-2]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  임을 증명하시오. 귀

[10-3] 각 자연수  에 대하여, 위의 조건을 만족하고   이고  ∉ 


∉  인 집합  를 하나 찾으시오.

HIMCHAN MATH ESSAY •169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귀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납 [가] 다음과 같이 어떤 명제가 참임을 증명하는 방법을 ‘수학적 귀납법’이라 한다.
법 모든      ⋯   에 대하여 명제  가 성립함을 증명할 때, 다음
두 가지를 보이면 된다.
(a) 명제  이 성립한다.
(b)    에 대하여 명제 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명제  가 성립한
다.

[나] 수열    ⋯ 과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과 같이 연


속된  개의 항을 ‘ -토막’이라고 부르고, 이  -토막의 항의 합을 기호
               ⋯   
으로 나타내자. 이때    는 이  -토막의  번째 항이다.

수열  의 첫   개의 항   ⋯   



  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
킨다. (단,   )

(ⅰ) 모든  ≤  ≤    에 대하여    또는  이다.


(ⅱ) 모든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이다

[10-4]  ≤  ≤  일 때,       임을 보이시오.

17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0-5] 이제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다음 명제를 증명하고자 한다. 귀
[명제]   ⋯           이 다음과 같은   개의 -

토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 개 개
개 
 ⋯   

⋯⋯(*)
개

(*)에서와 같이 수열   ⋯          을  개의  -토막으로 나타내


었을 때, 왼쪽부터 오른쪽까지 차례로  번째,  번째, ⋯ ,  번째  -토막이라 부르
자. 위 명제를 증명하려면 다음 명제  가  ≤  ≤  인 모든  에 대하여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

[명제 ]  번째 ( ≤  ≤ )  -토막


      ⋯     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이것이    일 때 성립함을 보인 후,   번째  -토막에 대하여 성립한다고 가정


하고,  번째  -토막에 대해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

(1) 명제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 번째  -토막에서 처음  이 나오는 것이


 번째 항이라 가정하자.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의 값
을 구하시오.
(2) 명제  가 모든     ⋯   에 대하여 성립함을 보이시오.
(단, 이 명제가 주어진 조건에 대한 충분조건임을 보일 필요는 없다.)

HIMCHAN MATH ESSAY •171


1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자기주도형 수리논술 학습 프로젝트

172• POWERED BY LEE 힘찬수리논술 연구소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PART Ⅲ

STRATEGY KEYWORD

11 수열의 극한과 급수 174

12 수열의 수렴성 및 활용 199

13 실근의 개수•합성함수 및 곱함수의 연속성


210

14 곱샘공식과 배각공식의 활용 235

15 주제탐구:미적분학의 본질 238

16 미분가능성 247

17 평균값 정리 249

18 치환적분과 부분적분 264

19 그래프 개형과 정적분 266

20 역함수 268

21 정적분과 부등식1 293

22 정적분과 부등식2 297

23 정적분과 부등식3 306

ESSAY •173
HIMCHAN MATH힘찬수리논술 연구소
11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수열의 극한

과 1. 수열의 극한을 대하는 태도


(예시1) 2022학년도 3월 전국연합 30


자연수  에 대하여 삼차함수        이 극대가 되는  를
 이라 하자.  에 대한 방정식     의 근 중에서   이 아닌 근을
   
  이라 할 때, lim  
  이다.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 는
→∞  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17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예시2) 2022학년도 3월 전국연합 26 극
수열 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한
          과
를 만족시킨다. 수열   의 첫째항부터 제  항까지의 합을   이라 할


때,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수

HIMCHAN MATH ESSAY •175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연습 문제1(2021학년도 이화여대 모의)


한 [1-1]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가 성립함을 보이시오.


 

[1-2] 함수   ln    이 구간  ∞에서 증가함을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보

이시오.

[1-3] 수열  이 아래 조건 (가), (나)를 만족하면 수렴한다.

(가)  ≤    (단,      ⋯ )
(나) 어떤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 ≤  (단,      ⋯ )



수열  의 일반항이     
       ⋯  일 때, 수열  이 위의 조건

(가), (나)를 만족함을 보임으로써 수렴함을 보이시오.

17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급수 극

1. 급수를 대하는 태도 과

(참고1) 2022학년도 수능 25
등비수열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참고2) 조임정리를 이용하여 lim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    

HIMCHAN MATH ESSAY •177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예시1) 2016학년도 6월 평가원 26


한 ∞    


수열 에 대하여 급수   이 수렴할 때,

lim 
→∞ 
의 값을 구하시

오.

(예시2) 1999학년도 경찰대




급수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17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1 수


■ 연습 문제1(2016학년도 4월 전국연합 28) 극

그림과 같이 중심각의 크기가  이고, 반지름 P 

 B 과
의 길이가  인 부채꼴 OAB 가 있다.  이상의
자연수  에 대하여 호 AB 를  등분한 각 분점 급
을 점 A 에서 가까운 것부터 차례로 P P 수
P ⋯ , P    이라 하자.  ≤  ≤   인 자연
수  에 대하여 점 B 에서 선분 OP 에 내린 수
P
선의 발을 Q 라 하고, 삼각형 OQ B 의 넓이를
P
   P
 라 하자. lim 
→∞  

   일 때,  의 값을

Q P
O A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79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연습 문제2(2018학년도 가톨릭대 모의)


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과 [가] 등비수열  의 수렴, 발산은 다음과 같다.
(a)    일 때, lim   ∞
급 →∞

수 (b)    일 때, lim   
→∞

(c)       일 때, lim   
→ ∞

(d)    일 때, lim  은 진동하면서 발산한다.


→∞

[나]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


수렴하는 두 수열   에 대하여, lim    lim    (  는 실
→∞ →∞

수)일 때,
(a) lim      lim   lim    
→∞ →∞ → ∞

(b) lim    lim    (단,  는 실수)


→∞ →∞

(c) lim   lim ⋅ lim   


→∞ → ∞ →∞

 lim 
→∞ 
(d) lim      (단,  ≠   ≠ )
 → ∞  lim  
→∞

[다] 두 양수  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점   로 이루어진 영역을  라고


하자.

          
lim   
→∞   

[라] 제시문 [다]의 영역  에 속하는 점   에 대하여    의 최댓값을  이라


하자.

18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1] 제시문 [다]의 영역  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고 그 근거를 논하시오. 극



[2-2] 제시문 [라]에서 정의된  의 값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81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연습 문제3(2018학년도 인하대 수시)


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과 [가] 피보나치수열         ⋯ 다음과 같이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
열이다.
급                     ⋯ 
수   
피보나치수열에서 이웃하는 두 항 사이의 비  의 값을 차례로 구해보면,

     

 이 한없이 커질 때,  의 값은 황금비    에 수렴함이 알려져
 
있다.



[나] 1350년 경 프랑스의 수학자 오렘은 다음과 같이 급수   을

 개.  개, 

개,  개, ⋯ 씩 괄호 ( )로 묶어서 부등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보이고, 이를 이용하여 급수   이 발산함을 증명하였다.


∞ ∞
[다] 급수 

 이 수렴하면 lim    이다. 즉, lim  ≠  이면 급수
→∞ →∞


 은 발

산한다.

[라]  과  은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이다.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이고 급수 

 이 발산하면 급수   도 발산한다.


[마] (입체도형의 부피)


닫힌구간     의 임의의 점  를 지나 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이가   인 입체의 부피는

    (단,   는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

18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1 수



 극
[3-1] 다음은 급수   을 피보나치수열에 나타난 수만큼의 항으로 괄호 ( )로 묶어
 한
서 나타낸 것이다. 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급
이를 이용하여 급수


  이 발산함을 보이시오. 수


[3-2] 그림과 같이 선분 AB 가 지름인 원을 밑면으로 F


 
하는 원뿔 ABF 가 있다. 여기서 OA  이
OB OE
고 선분 OE 의 중점 Q 는 
AQ 
FQ 를 만족한다. (단, D
E
C
O 는 원뿔 ABF 의 밑면인 원의 중심이다.)

 

(1) ∠ABF        라 하자 tan 의 값을  로

Q

표현하고 그 값을 구하시오. O 
A B
(2) 제시문 [마]를 이용하여 원뿔대 ABCD 의 부피를 구
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83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연습 문제4(2023학년도 숙명여대 모의)


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과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  일 때, 곡선    와  축
및 두 직선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급 를  라 하자. 닫힌구간     를  등분하여 양
수 끝점과 각 분점의  좌표를 차례대로
  

     ⋯       


라 하고, 각 소구간의 길이를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이다. 이때 색칠한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  은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이 한없이 커질 때  이  로 수렴함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정적분



의 정의에 의하여     이다.

따라서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에는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


  lim    (단,
 → ∞  
        )


[4-1] 급수의 합 표현을 이용하여 정적분    의 값을 구하시오.

18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4-2] 아래 식을 급수의 합 표현으로 바꾸고,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를 이 극
용하여 그 값을 구하시오. 한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ln 
  ln   ⋯  ln  

 → ∞    

■ 연습 문제5(2022학년도 한양대 수시)


[5-1]  ≥  인 자연수  에 대하여 둘레의 길이가  인 정 각형의 넓이를  이라
하자.  의 값을 구하고,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

HIMCHAN MATH ESSAY •185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한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원 위에 서로 다른  개의 점 P P ⋯  P   이 순서대
과 로 놓여 있고,

P P 
PP 
P P 
P P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수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은    인 경우이다.
P

P P

P P

P

[5-2] 제시문에서 주어진  개의 점 P P ⋯  P   에 대하여 호 PP 과 현 PP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호 PP 와 현 PP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 호 PP   과 현 PP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 이라 하자. 극한값

    ⋯    
lim 

→∞

을 구하시오. (단,     ⋯     이 되도록 호를 선택한다.)

18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1(2022학년도 이화여대 모의) 극
수열  이 아래 조건 (가), (나)를 만족하면 수렴한다. 한
(가)  ≥  (단,      ⋯ )

(나)  ≥    (단,      ⋯ ) 급

수열  이 다음 규칙에 따라 정해질 때, 위의 조건 (가), (나)를 만족함을 보임으로
써 수열  이 수렴함을 보이시오.

(a)   

(b) 곡선    위의 점    에서의



접선이 직선    과 만나
는 점의  좌표가    이다. (단,      ⋯ )

■ 실전 논제2(2020학년도 한양대 모의)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  에 대하여 극한값 lim  을 구하시오.
→∞

(가)      
    
(나)       ≥ 

HIMCHAN MATH ESSAY •187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실전 논제3(2020학년도 서울시립대 모의)


한  


 ≤  ≤  인 두 자연수   과 양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라

 할


급 때, lim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18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4(2023학년도 중앙대 모의) 극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한
[가] 양수   에 대하여 ln  ln ln 이 성립한다. 과
[나] 첫째항이  이고 공차가  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은

  

 이다.



[다] 등비급수  


≠  은   일 때 수렴하고 그 합은  이다.

 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 첫째항부터 제 항까지의 합이  인 등차수열


 에 대하여 다음 급수의 합을 구하시오.

 



 
 

ln 
  

HIMCHAN MATH ESSAY •189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실전 논제5(2021학년도 성균관대 자연계열Ⅰ 수시)


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과 [가] 초점이   준선이     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급 (단,  ≠ )

수 [나] 포물선    위의 원점이 아닌 점 C 를 지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D 라 한다. 또한, 점 C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
을 E 라 한다.

[다] 자연수 에 대하여, 포물선    위의 원점이 아닌 점 C 을 지나고 이 점


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D 이라 한다. 또한, 점 C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이라 한다. 이때 선분 DEn 의 길이를  이라
한다.


[라] 포물선    위의 원점이 아닌 점  
   (단,   )을 지나고 이 점에

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을  라 한다. 직선  가 포물선    와 만나는


두 점의  좌표의 값을 각각   라 하고,  가  축과 만나는 점의  좌
표의 값을  라 한다.

[5-1] 제시문 [나]의 점 D 와 점 E 사이의 거리는 점 C 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포


물선    의 초점과 준선 사이의 거리와 같음을 보이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19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1 수


∞ 극
[5-2] 제시문 [다]에서 정의된 수열  에 대해서, 급수  

   의 값을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과


[5-3] 제시문 [라]에서 정의된    에 대해서, 극한 lim  의 값은
 → ∞ 

 에 관계없이 일정함을 보이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91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실전 논제6(2020학년도 성균관대 자연계열Ⅱ 수시)


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과 [가] 함수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급 


수 
      

[나] 양의 정수  과 제시문 [가]에 정의된 함수  에 대하여, 두 곡선   


     과 두 직선  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 이라 하
자.

[다] 양의 정수  과 제시문 [가]에 정의된 함수  에 대하여, 함수  를


        
으로 정의하자. 이때 곡선    와  축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 이
라 하자.

[6-1] 제시문 [나]에 주어진 수열  의 일반항을  에 대한 식으로 표현한 후,


lim 
  이 되도록 하는 양의 정수  의 값을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

19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6-2] 제시문 [다]에 정의된 함수  가 증가하는 구간과 감소하는 구간을 표로 나타 극
낸 후 함수  의 최솟값을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한


[6-3] 제시문 [다]에 주어진 수열  의 일반항을  에 대한 식으로 표현한 후, 수열

 

 이 수렴하기 위한 실수  의 값의 범위와 그때의 극한값을 구하고 그 이유를 논

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93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실전 논제7(2021학년도 경북대 자연계열Ⅱ 모의)


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과 [가] 두 함수 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 
급 (a)  
    

(단,  는 상수)
수   
(b)   ±      ±  
  
 
(c)      
 

(d) 실수  가 닫힌구간     에 포함될 때,


  
       
  

이다.

[나]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  
lim   ∆ 
 → ∞  
 

(단, ∆       ∆ )

 ′
[다] ( 

 꼴의 부정적분)

 ′
 
  ln      (단,  는 적분상수)

[라]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두 수열    이 각각 수렴하고 lim     lim    일 때,
→∞ →∞

(a)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이면  ≤  이다.


(b) 수열 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이고    이면
lim    이다.
→∞

sin  cos 
두 함수        에 대하여    를 만족시키는 모든 양의
 
실수  의 값을 작은 수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   ⋯ 이라 하자. 다음 물
음에 답하시오.

19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7-1]    의 값을 구하시오. 극



  
[7-2]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ln     

[7-3]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라 할 때, lim  
 → ∞ ln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195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실전 논제8(2020학년도 연세대 수시)


한 [8-1] 그림과 같이       이고
AC  BC A P
과 
∠BCA   인 삼각형 ABC 가 있다. 자연수  에 대하여
P  

급 선분 CA 를  등분한 각 분점을 점 C 에서 가까운 것부터 ⋮
수 차례로 P C P P P ⋯  P   P A 이라 하
Q P
자.  ≤  ≤  인 자연수  에 대하여 점 C 에서 선분 BP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라 하고, 선분 CQ 의 길이를  P
 P
라 하자.  의 평균을  이라 할 때, lim  을 구하시 P
→∞ B C P

오.

[8-2] 급수   ×    ×    ×  ⋯ 에서 첫째항부터 제 번째 항까



지의 부분합을  이라 할 때, lim  
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 의 형태를
→ ∞ 

나타내시오.

19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9(2022학년도 서강대 모의) 극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한
[가] 수열   이 수렴하고 lim  lim   일 때, 수열  이 모든 과
→∞ →∞

자연수 급
 에 대하여  ≤  ≤  을 만족하면 lim    이다.
→∞

[나] 함수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 
lim 
→∞   
   

(단,    ,     )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이고, lim   일 때


→∞
 

 
극한값 lim     을 구하시오.
→∞   

HIMCHAN MATH ESSAY •197





1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극 ■ 실전 논제10(2023학년도 한양대 모의)


한   

[10-1]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일 때, 극한값 lim  을 구하시오.
→∞


[10-2]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 인 반원의 호 위에



AP  
PP
PP ⋯  P P PB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개의 점 P P ⋯  P 이 순서대로 놓 P


여 있다. 자연수  ≤  ≤  에 대하여 삼각형 APB 의 넓 P P

    ⋯  


이를  라 할 때, 극한값 lim  을 구
→∞ 
A B
하시오. (오른쪽 그림은    인 경우이다.) 

198• POWERED BY LEE


12
12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수열의 수렴성 및 극한값 수

1. 점화식          을 만족하는 수열    이 수렴할 때 성


(예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


 
두 직선      과   의 그래    
  
프를 그려서 직선    위에 점 P
P
P P P ⋯ P 을 정하고 그 점 
P
들의 좌표를 각각
   ⋯   ⋯이라 하자.
 O    

이때 수열 에서    일 때, 

lim 의 값을 구하시오. (단, 점선은 모두  축 또는  축에 평행하다.)


→∞

2.          을 만족하는 수열    의 수렴성

(참고)              VS              

HIMCHAN MATH ESSAY •199





1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 ■ 연습 문제1(2009학년도 서울대 정시)


렴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성 함수   를 이용하여 정의한 점화식
     

을 살펴보자. 초기값  이 [예시그림 1]에 표시된 바와 같다고 하자. 다음 값  은
활     이 되는데 이 값이 [예시그림 1]
용 의 축에 표시되어 있다. 이 점으로부터 수
평선을 직선   와 만날 때까지 그으면
그 교점의  좌표는 당연히  이 되며, 이
값이  축에 표시되어 있다. 이  을 새로
운 초기값으로 점화식을 다시 적용하면 다
음 값  는     이 되며 이 값이 
축에  로 표시되어 있다. 이 과정을 반복
해서 [예시그림 1]에서와 같이 굵게 표시한
화살표들을 그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그림 1]    ⋯ 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화
살표들로 그린 것을  에서 시작하는 거미줄그림이라 부른다.

만약  가    를 만족하면 이  를 점화식       의 부동점이라 부


른다. [예시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 는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가 만
나는 점의  좌표이다.  가 점화식       의 부동점일 때,  를 포함하는
적절한 열린구간을 잡아서 그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에 대하여
         으로 정의된 수열  이  로 수렴하도록 할 수 있으면, 
를 안정성을 가진 부동점 또는 줄여서 안정부동점이라 부른다. [예시그림 1]의 경우
 는 안정부동점이다. 안정부동점이 아닌 부동점을 불안정부동점이라 부른다.

아래(다음 페이지 참조)에 주어진 [그림 1], [그림 2], [그림 3]에서 함수     의
그래프는 굵은 선으로,    의 그래프는 가는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림 1~3]의
경우에 각 그림에 표시된  에서 시작하는 거미줄그림의 개형을 답안지에 그리시오.
이를 기반으로 부동점의 안정성 여부를 일반적인 경우에 대하여 곡선     의 기
울기와 관련해서 논하시오. (단, 함수   가 미분가능하고 도함수가 연속이며, 부동
점  에서 곡선     의 기울기는 ± 이 아니라고 가정한다.)

20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그림 1] [그림 2]

[그림 3]

HIMCHAN MATH ESSAY •201





1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 ■ 수열의 극한값 구하기(Picard 반복법)




수열  에 대하여
및             
활 이면

용 lim   
→∞

이다.

1.      
        일 때, 수열    의 수렴성 증명 및 극한값 구하기

20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                  일 때, 수열    의 수렴성 증명 및 극한값 구하기






HIMCHAN MATH ESSAY •203





1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 ■ 연습 문제1

성  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수열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및 
[1-1]  ≥  임을 보이시오.





  

[1-2] 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1-3] lim    임을 보이시오.
→∞ 

20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2 수
수열  이 다음과 같이 정의될 때, 물음에 답하시오. 렴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및


  
[2-1]           ⋯ 임을 추정하시오.

  

[2-2]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2-3] lim  을 구하시오.


→∞

HIMCHAN MATH ESSAY •205





1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 ■ 실전 논제1
렴  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수열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   
및 [1-1]      임을 보이시오.
     

활 

     

[1-2]    이라 할 때,   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
 
오.

     
  
  

  
[1-3] lim  을 구하시오.
 → ∞ 

20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2 수


■ 실전 논제2(2016학년도 이화여대 모의) 수
두 수열   이 다음의 부등식과 점화식으로 정의되어 있다. 렴
   성
         
             ⋯


[2-1]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과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2-2]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2-3] 두 수열 중 하나가 수렴하면 다른 하나도 수렴함을 보이고, 이 경우 두 수열의


극한값이 같음을 보이시오.

HIMCHAN MATH ESSAY •207





1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 ■ 실전 논제3(2022학년도 숙명여대 모의)


렴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성 [가] 함수  가 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곡선    위의 점   에서
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활 [나] 함수  가 유리함수일 때,  의 범위에 따른 함숫값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용   
어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닫힌구간       에서    의 범위를

알아보자.
  ≤  ≤  일 때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을 얻는다. 따라서   ≤  ≤  일 때  ≤  임을 알 수 있다.

자연수  에 대하여, 수열 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가)   
(나)        에 대하여, 곡선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을  이라 할 때,  의  절편을    이라 하자.

[3-1]    을  으로 나타내시오.

20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3-2]  ≤  ≤  일 때,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 




■ 실전 논제4(2022학년도 서울시립대 수시)


수열  의 귀납적 정의가
 
          
 

일 때,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HIMCHAN MATH ESSAY •209


13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실근의 개수

• 1. 개수함수의 불연속점
합     

함       

수     

           







(예시) 2018학년도 수능

함수      sin  에 대하여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시오.

(1)  
  
(2)  ′   을 만족하는  가 열린구간  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3)  ′   을 만족하는  가 열린구간  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21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 합성함수의 그래프 개
(참고) 극값의 정의 수










(1) 합성함수의 극대와 극소 연

(예시) 함수      에 대하여


(1)    ∘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2)    ∘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HIMCHAN MATH ESSAY •211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2) 최대•최소 및 실근






및 (예시) 함수     에 대하여 함수  를
곱    ∘

함 라 하자. 실수  에 대하여    의 실근의 개수를  라 할 때, 다음

수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시오.



의 (1)  의 극댓값은 

이다.

연 (2) 집합       ′    는 실수 의 원소의 개수는  이다.

속 (3)  의 최댓값은  이다.

21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3. 곱함수와 합성함수의 연속성 개
주어진 함수      와 삼차함수      에 대하여 수

   






 O   수

(1)        가 모든 실수  에 대해 연속일 때 곱





(2)    ∘    가 모든 실수  에 대해 연속일 때

HIMCHAN MATH ESSAY •213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연습 문제1(2022학년도 3월 전국연합 20)


수 실수  에 대하여 직선    와 함수
•           
합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 이라 하자.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이차함수  에

성 대하여 함수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 연습 문제2(2021학년도 수능 30)
연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함수  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속   sin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  
 일 때,   의 값을 구
성 하시오. (단,  와  는 유리수이다.)

(가)      에서 함수  가 극대가 되는  의 개수가  이고, 이때


극댓값이 모두 동일하다.

(나) 함수  의 최댓값은  이고 최솟값은  이다.

21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13 실


■ 연습 문제3 개

최고차항의 계수과  이고 최솟값이  인 사차함수  와 함수     에 대

 •
하여 합성함수 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방정식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이다. 성
(나) 함수  는    에서 극소이다. 함
(다) 방정식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이다. 수

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15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연습 문제4(2023학년도 광운대 모의)


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등차수열)
합 첫째항부터 차례로 일정한 수를 더하여 얻는 수열을 등차수열이라 하며, 그 일
정한 수를 공차라 한다.

함 [나] (등비수열)
수 첫째항부터 차례로 일정한 수를 곱하여 얻는 수열을 등비수열이라 하며, 그 일
정한 수를 공비라 한다.
및 [나] (켤레복소수)
복수수   (  는 실수)에 대하여 허수부분의 부호를 바꾼 복소수    를
곱   의 켤레복소수라 한다.

수 [다] (함수의 연속)
함수  가 실수  에 대하여
의 (a) 함수  가    에서 정의되고
(b) 극한값 lim 가 존재하며
연  →

속 (c) lim  


 →

성 일 때, 함수  는    에서 연속이라 한다. 한편, 함수  가    에서


연속이 아닐 때, 함수  는    에서 불연속이라 한다. 즉, 함수  가
위의 세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않으면  는    에서 불연속
이다.

[4-1] 실수  에 대하여 세 수가 아래와 같이 주어졌을 때, 다음을 구하시오.


(단,  ≤   )

coscos  sincos  coscos

(1) 세 수가 순서대로 등차수열이 되게 하는 실수  의 개수와 공차 


(2) 세 수가 순서대로 등비수열이 되게 하는 실수  의 개수와 공비 

21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3 실


[4-2]    인 실수  와 실수  에 대하여 복소수     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 개
시킬 때, 점 P  가 좌표평면에 나타내는 곡선을 구하시오. 수
  

(가)     
 

(단, 복소수  는  의 켤레복소수) 합
 성
(나)  ≤    ≤ 
 함








[4-3] 함수    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1)  
 일 때,   
의 값


(2)        을 만족시키는 이차함수 

HIMCHAN MATH ESSAY •217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4-4] 다음 두 곡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고 할 때, 실수  의 범위를 구하시오.



  
•        









의 [4-5] 다음 두 함수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연 
 lim    
속  → ∞ sin 
 


(1) 함수  의 연속성을 조사하시오.
(2) 곡선    를  축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곡선과 곡선    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날 때, 실수  의 범위를 구하시오.

21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1(2023학년도 성균관대 모의) 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수
[가] 실수  의 절댓값  는 수직선 위에서 실수  를 나타내는 점과 원점 사이의 •
거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  이면    또는     이다. 합
[나] 함수  에서    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 에 대하여

 ≤  일 때, 함수  는    에서 극대라 하며,  를 극댓값이라 함
한다. 또한,    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 에 대하여
 ≥  일 때,  는    에서 극소라 하며,  를 극솟값이라 한다.

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극값이라 한다.

[다] 제시문 [가]를 이용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되는 두 함수  와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        함

     

그리고, 이 두 함수의 합성함수를    ∘   라 하자. 의

[1-1] 제시문 [다]에서 함수  가    에서 극대일 때, 가능한  값을 모두 구하고 속
그 이유를 논하시오.

[1-2] 제시문 [다]에서 정의된 함수  가    에서 극대이기 위한  의 절댓값의


합과    에서 극소이기 위한 절댓값의 합을 각각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1-3] 제시문 [다]에서 정의된 함수  에 대하여 정적분   의 값을 구하고,

그 이유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19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실전 논제2(2022학년도 세종대 수시)


수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함수  에 대하여    라 정의할 때, 함수
•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이다.
함 

(나) 함수  는    에서 극솟값  을 갖는다.



및 [2-1]    임을 보이시오.






[2-2]  를 구하고 도함수와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여 곡선    의 개형을 좌표
속 평면에 그리시오. 또한 극대, 극소, 변곡점이 되는  값을 모두 구하시오.

   


[2-3] 실수  에 대하여 방정식  ′   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실수
 
 의 개수를  라 정의하자. 구간     에 속하는  중에서    를 만족시키는
 의 개수를 구하시오.

22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3(2022학년도 성신여대 수시) 개
다항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수


(가) lim 
 
   합

→∞

 
(나) lim   
 →   함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및
[3-1]  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3-2] 함수    의 그래프 개형을 그리고, 그래프 위에 극대 및 극소를 나타내는 속
점의 좌표와 변곡점의 좌표를 표시하시오. 또한, 곡선    의 변곡점을 성
P  라 할 때,       가 성립함을 설명하시오.





   

[3-3]             라 하고,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를 집

합 {      는 실수}의 원소의 개수라 정의하자. 함수  를 구하고,
이 함수가 불연속이 되게 하는  값을 모두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21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실전 논제4
수 함수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 
합 
  
성        
 
 ≥ 


수 [4-1] 방정식    의 실근의 개수를   라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1) 집합 {  함수   는    에서 불연속}의 모든 원소의 곱을 구하시오.
및 (2) 집합 {   함수   는    에서 불연속}의 모든 원소의 곱을 구하시오.

곱 (3) 집합 {  lim    lim  }의 모든 원소의 곱을 구하시오.


 →  →





[4-2] 방정식    의 실근의 개수를   라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1) 집합 {  함수   는    에서 불연속}의 모든 원소의 곱을 구하시오.
(2) 집합 {  lim  ≠ lim  }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시오.
 →  → 

22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4-3] 방정식    의 실근의 개수를   라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개
(1) 집합 {  함수   는    에서 불연속}의 모든 원소의 곱을 구하시오. 수
(2)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이고,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  가 연속이 되도록 하 •
는 삼차함수  를 구하시오. 합
(3)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이고,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 가 연속이 되도록 하는 성
삼차함수  에 대하여   의 값을 구하시오. 함






 연
[4-4] 방정식     의 실근의 개수를   라 할 때, 물음에 답하시오.
 속
(1) 집합 {     이고, 함수   는    에서 불연속}의 모든 원소의 곱을 구하시 성
오.
(2)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이고,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 가 연속이 되도록
하는 삼차함수  에 대하여 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23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실전 논제5(2021학년도 부산대 수시)


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면  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
합 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함 [나] 함수  가 실수 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 는

수    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및 (a) 함수  가    에서 정의되어 있다.


(b) 극한값 lim 가 존재한다.
곱  →

(c) lim  


함 →


의 한편, 함수  가    에서 연속이 아닐 때,  는    에서 불연속이라
고 한다.

속 양수 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의 최댓값을
성  라 하자.

[5-1] 닫힌구간     에서 함수  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5-2] 함수  를 구하시오.

22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5-3] 실수  에 대하여 직선    와 함수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개수를 개
 라 하자. 함수  가    에서 불연속인 모든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수












HIMCHAN MATH ESSAY •225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실전 논제6(2021학년도 인하대 모의•수시)


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계수가 실수인 삼차다항식        가 실수    에 대하여
합        로 인수분해되는 경우, 삼차방정식          은 세
성 실근    를 갖는다고 한다. (단,    의 값이 서로 다를 필요는 없다.)

수 [나] 계수가 실수인 삼차방정식          이 세 실근    를 가지면,
등식
및               

곱                   

함 가 성립하므로 근과 계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의 [다]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  이면  와  사이의

연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  인  가 열린구간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

속 다.


[6-1] 삼차방정식       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6-2] 삼차방정식        이 세 실근    ( ≤  ≤ )를 갖는다.


(1) 실근 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2) 곡선        와 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를  로 나타내고,  의 최
솟값을 구하시오.

22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6-3]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곡선    sin 와 직선      의 교점이  개 개
가 되도록 하는 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6-4] 양수  에 대하여 함수  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가)  는 구간     에서 연속이다. 함
(나)  ≤    인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수
 sin    의
이다.


(1)    일 때,  ≤     을 만족하는 정수  의 값을 구하시오. 성
(2) 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 가 존재하도록 하는  의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27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실전 논제7(2022학년도 인하대 수시)


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함수    의 그래프를  축 방향으로  만큼,  축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
합 동한 것은 함수      의 그래프와 같다.

함 [나]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임의의 삼차함수    의 그래프는 어떤 상수  에

수 대하여 함수      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것과 같다.


[7-1] 함수        의 그래프가 함수      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곱 것일 때, 상수  값을 구하시오.





[7-2] 두 직선     와       가 곡선        에 접할 때, 상수  
의 값을 구하시오.

22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13 실


[7-3] 네 직선                     를 각각     라 개
하자.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순서쌍     의 집합을  라 하자. 수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삼차함수  가 존재하여,

모든       에 대하여 곡선    와 직선  의 교점의 개수

가  이다.


(1)    ∈ 가 되도록  값을 구하시오.

(2)    ∈ 일 때  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29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실전 논제8(2020학년도 인하대 수시)


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사잇값의 정리) 함수  가 구간   에서 연속이고 ≠  이면  와
합  사이의 임의의 값  에 대하여
성   (    )
함 인 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나] 미분가능한 두 함수  ,  의 합성함수  의 도함수는
및 
  ′ ′


곱 이다.

수 상수     와 함수     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
의 수  가  ′   이고,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연    

속 을 만족한다.


[8-1] 함수     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시오. (단, 극대와 극소는 표시하
되, 그래프의 오목과 볼록은 고려하지 않는다.)

23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8-2]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개









[8-3]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31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 실전 논제9(2021학년도 성균관대 수시)


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두 함수  와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합      

 ≤ 

성    
    
이고,    
함 

수 [나] 두 함수    와    의 그래프를 좌표평면에 그렸을 때 나타나는 세 교점


을 왼쪽부터 차례대로 Q  Q Q 이라고 하자.

    
곱 [다] 함수  를   

로 정의하자. 이때      인 실수 

   ≥ 


에 대하여 직선     과 곡선    의 교점의 개수를  에 대한 함수
수  라 하자.

연 [9-1] 제시문을 참고하여 세 교점 Q  Q Q 의 좌표를 모두 구하고, 그 이유를 논하
속 시오.

[9-2] 제시문을 참고하여 함수   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고,      인 실수


 의 범위에 따른 함수  의 값을 표로 나타내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23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3 실


■ 실전 논제10(2023학년도 연세대 수시) 개
구간              의 길이를 모두    로 정의한다. 집합  가 구간 수
    의 부분집합이고 서로 겹치지 않는 구간들의 합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 집 •
합  의 길이는 각 구간의 길이의 합으로 정의한다. 또한, 공집합의 길이는  이라 하 합
자. 예를 들어,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집합  의 길이는 수
           및
이다. 아래 문제에서 주어진 함수  와 실수 에 대하여 집합

       ≤     의 길이를  라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min  는 두 실수   중 작거나 같은 수로 정의한다.)


[10-1]          일 때,  을 구하시오.



[10-2]          일 때,    을 만족하는 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33





1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개 [10-3]  min      는 상수이고       일 때,  를 구하고


수 그래프를 그리시오.









수 [10-4]       (                  인 상수)와 같이
의 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정적분   의 값을 구하시오.
연 


234• POWERED BY LEE


14
14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곱셈공식과 배각공식의 활용(도미노식)

1.                의 활용 배
                     ⋯ 

 

 각
(변형) 공



2. sin    sin  cos  의 활용

          ⋯ cos  
  cos  cos  cos  cos 
  

(변형)

3. sin    sin  cos  sin    cos     의 활용


 
 
 
 cos     cos  
 
(변형)

HIMCHAN MATH ESSAY •235





14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1(2018학년도 이화여대 수시)

첫째항이  인 수열  이 있다.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각 
    cos 




공 일 때, 물음에 답하시오.



의 [1-1]    임을 보이시오.

sin 



[1-2] 모든 자연수  에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보이

  sin 

시오.

[1-3] lim  의 값을 구하시오.


→∞

23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4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2(2021학년도 가톨릭대 의예과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 배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는 다음과 같다.
  각


    tan sec   




[나] 제시문 [가]의 함수  에 대하여 수열   의 일반항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다] 제시문 [나]의 수열   에 대하여  는 다음과 같다.


 


[라] (사인함수의 덧셈정리)

sin    sin cos  cos sin 


   일 때, sin    sin  cos 

제시문 [다]의  의 값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37


15
1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도함수의 역설
:

미 1. 자동차는 출발지점(   )에서 움직이고 있는가?







23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미적분학의 시각화

:

1.      





HIMCHAN MATH ESSAY •239





1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2.      
:







24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3.      

:






HIMCHAN MATH ESSAY •241





1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구 
:

4.     
미 






24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5.      

:



넓이=  학


HIMCHAN MATH ESSAY •243





1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구 6.     sin 
:







24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5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7. 합성합수의 미분(    sin     )

:






8. 곱의 미분(         )


   
(참고)   
    

HIMCHAN MATH ESSAY •245





15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9. 합성함수의 미분(    sin   )
:







246• POWERED BY LEE


16
16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HIMCHAN MATH ESSAY •247





16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248• POWERED BY LEE


17
17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평균값 정리 정
함수    가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B
       A
   ′   << 

인 점 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O     

1. 닫힌구간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     이 있다.     에 속하는 서

       
로 다른 임의의 두 수      에 대한 변화율  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
  

(예시) 함수   ln와 상수   (    )에 대하여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


별하시오.
 
(1)   
 
  
(2)   
 
  
(3) 
    
 

HIMCHAN MATH ESSAY •249





1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정    sin       tan  
2.  ′      ′     일 때, lim  의 값
리 → tan   sin 

(예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lim  ′   일 때,


 →∞

lim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3.  이 아닌 상수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방정식


    cos      sin 
에 대하여 실근의 개수가 각각   이고,        일 때,    의 최댓값

25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예시) 오른쪽 그림은 직선    와 다항함수     정
의 그래프의 일부이다.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리

 ′ ≥  이고         일 때,  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시오.
   


O  


(1)  ′   인  가 열린구간   에 존재한다.

 
(2)     




  

(3)    ∘ 일 때,  ′   인  가 열린구간   에 존재한다.

HIMCHAN MATH ESSAY •251





1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정 ■ 연습 문제1(2018학년도 수능)
리 
함수      sin  에 대하여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시오.

(1)  
  
(2)  ′   을 만족하는  가 열린구간  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3)  ′   을 만족하는  가 열린구간  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연습 문제2(2015학년도 수능)
함수  ln   에 대하여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시오.
(1)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이다.
(2)  의 도함수  ′ 의 최댓값은 
 이다.
(3) 임의의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 ≤ 
      이다.

25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3(2014학년도 서강대 수시) 정

평균값 정리를 사용하여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 

■ 연습 문제4(2015학년도 한양대 ERICA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  ′ (단,     )

인 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함수      라 하고 수열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 
  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HIMCHAN MATH ESSAY •253





1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정 ■ 실전 논제6(2021학년도 이화여대 수시)


리 [6-1]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가 성립함을 보이시오.

 

[6-2] 함수   ln    이 구간  ∞에서 증가함을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보이시오.

[6-3] 수열  이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수렴한다.

(가)  ≤    (단,      ⋯ )
(나) 어떤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 ≤  (단,      ⋯ )


수열 
 의 일반항이     


      ⋯ 일 때, 수열  이 위의 조건

(가), (나)를 만족함을 보임으로써 수렴함을 보이시오.

25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1(2023학년도 인하대 의예과 모의) 정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리
[가] (평균값 정리)
함수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 
   ′

인 가 열린구간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나] 함수  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임의의 두 수   에 대하여    일 때


  이면 함수 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한다. 또한,    일
때   이면 함수  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  의 모든  에 대하여  ′   이면  는     에서 증가한다.

함수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1-1] 다음 명제가 참이 되도록 하는 실수  값의 집합을 구하시오.

   인 어떤 실수  에 대하여    가 성립한다.

HIMCHAN MATH ESSAY •255





1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정 [1-2]
리 (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 함수 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시오.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lim  ′ 이다.


→

(2) 다음 명제는 거짓이다. 이 명제가 성립하지 않는   의 예를 찾으시오.

 
두 실수      에 대하여   lim  ′ 이고
  →

     인 실수  가 존재한다.

[1-3] 다음 명제가 참이 되도록 하는 상수 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
     인 임의의 두 실수   에 대하여   lim  ′
 →

이고      인 실수  가 존재한다.

25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1(2020학년도 서울과기대 수시) 정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리
[가] (롤의 정리)
함수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  이면  ′  인 가 와 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나] 함수   와 실수  에 대하여   이면, 방정식   과


  의 실근은 같다.

[다] 함수  가 미분가능하고  ′ 도 미분가능하면, 함수 는 두 번 미분가능


하다고 한다.

[1-1] 함수  가 두 번 미분가능하고 방정식   의 서로 다른 실근이


  ≥  개이면, 방정식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은 적어도   개임을 보이시
오.

[1-2] 삼차함수  에 대하여 방정식   의 서로 다른 실근이 세 개라고 하자.


  로 놓았을 때,  ″  ″  이면,  이 방정식    의 근이 될 수
있는지, 없는지 설명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57





1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정 [1-3] 함수 가 두 번 미분가능하고 방정식  의 서로 다른 실근이 세 개이


리 면, 다음 방정식의 실근이 있음을 보이시오.
  ′  ″ 

25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7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2(2020학년도 서울과기대 수시) 정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리
[가] (정적분과 부등식)
두 함수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일 때
 
 ≥  이면   ≥  
 

[나] 함수  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
(a)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다.
 

 
(b)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하다.

 
(c) 닫힌구간    에서  ′ 의 최댓값은  이고, 최솟값은  이다.
 
 
 
(d) 


sin   

cos

[2-1]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sin  






sin    
 

HIMCHAN MATH ESSAY •259





1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정 [2-2] 다음 등식에서 ① 와 ② 에 들어갈 식을 각각 구하시오.


리  





 
sin     
   


 ①   ② sin

[2-3]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sin ≤    
 

26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7 평


■ 실전 논제3(2016학년도 고려대 수시) 정
함수  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리
(가)   
 
(나)  ≤  ′ ≤ 
 

이때 부등식   ≤    ≤   ≥   ≥  이 나타내는 영역을  라 한다.

영역  가 가질 수 있는 넓이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시오.

■ 실전 논제4(2020학년도 연세대 수시)


 
   
미분가능한 함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단,  와  는 실

수이고,     )라 하자.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의 도함수가  ′≤  을 만족


시킬 때,  와  의 값에 관계없이  ≤  임을 보이시오.

HIMCHAN MATH ESSAY •261





17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정 ■ 실전 논제5(2022학년도 서강대 모의)


리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함수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하면


 
   ′ 인  가 열린구간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5-1] 함수   
   에 제시문을 적용하여       일 때,

부등식 
       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5-2]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가 모


   ′
든 ∈  에 대하여    을 만족시킬 때,      인  가 열린구
     
간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보이시오.

26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17 평


■ 실전 논제7(2022학년도 한양대 수시) 정
[7-1] 함수   lnln   와 양의 실수   에 대하여 부등식 리
    
가 항상 성립함을 보이시오.

[7-2]  ≤  ≤  ≤  인 실수  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cos ≤  sin  sin ≤     cos

HIMCHAN MATH ESSAY •263


18
18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26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8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략 분





HIMCHAN MATH ESSAY •265


19
19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26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19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전 형







HIMCHAN MATH ESSAY •267


20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역함수의 정의

(예시1) 그림은 두 함수    →     →  를 나타낸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와    은 각각  와  의 역함수이다.)

26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예시2) 2017학년도 3월 전국연합 13
자연수  에 대하여 좌표가    인 점
을 P  함수      ≥  이라 하자. 점
P  을 지나고  축과 평행한 직선이 곡선
   와 만나는 점을 Q  이라 하자.
점 Q  의  좌표를   이라 할 때,
 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예시3) 수능특강
 ≤  ≤  에서 함수   cos  의 역함수를     라 할 때,


 



방정식 cos    의 해를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69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연습 문제1(2022학년도 숙명여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세 집합    에 대하여, 두 함수    →     →  의 합성함수는
 ∘   →  이고,  ∘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나] 세 함수    에 대하여, ∘  ∘  ∘∘  이다. 즉, 함수의 합성에서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다] 함수    →  가 일대일대응일 때, 집합  의 각 원소  에 대하여


   인 집합  의 원소  가 오직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 의 각 원소 
에    인 집합  의 원소  를 대응시키면  를 정의역,  를 공역으로
하는 새로운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 함수를  의 역함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   와 같이 나타낸다. 즉,      →       이다.
또한 이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합성함수    ∘ 는 집합  에서의 항등함수이고, 합성함수  ∘   는 집
합  에서의 항등함수이다.

[1-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 의 역함수가 존재하고,


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1-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두 함수   에 대하여    
라 하자. 함수  의 역함수가 존재하고,
 ∘   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27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2(2021학년도 서강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  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임의의 두 실수   에 대하여
(a)    일 때      이면 함수 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한다.
(b)    일 때      이면 함수  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고 한다.

[나] 함수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할


때,
(a) 열린구간   의 모든  에 대하여  ′   이면 함수  가 닫힌구간
  에서 증가한다.
(b) 열린구간   의 모든  에 대하여  ′   이면 함수  가 닫힌구간
  에서 감소한다.

[다] 함수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 이면  와  사이


에 있는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   인  가 열린구간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함수     sin 에 대하여 제시문 [가], [나], [다]를 참고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2-1] 함수  가 닫힌구간    에서 증가함을 보이시오.

[2-2] 열린구간    의 각 실수  에 대하여    인 열린구간    의 실


수  가 오직 하나씩 존재함을 보이시오.

HIMCHAN MATH ESSAY •271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논제 [2-2]에 의하여 열린구간    의 각 원소  에    인 열린구간


   의 원소  를 대응시키는 함수      →    를 정의할 수 있다.
논제 [2-3]과 논제 [2-4]에 답하시오.

[2-3]       일 때,      임을 보이시오.

[2-4]       일 때,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27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역함수와 미분

   

(예시) 함수  의 역함수  에 대하여       가 성립할 때,
 
 ′ 의 값을 구하시오.

■ 연습 문제3(2020학년도 수능 26)

함수       에 대하여 함수 가 미분가능하고

 

 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73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역함수와 적분


  



 
     
O   

(예시1) 정의역이    ≤  ≤ 이고 공역이    ≤  ≤ 인 연속함수   


가 일대일대응이라 하자.
 
    일

때 역함수의 적분값 


 에 대하여 간단히 설

명하시오.

27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예시2) 수능
그림은 연속함수      의 그래프이다. 
  
구간   에서 함수    의 역함수    가

존재하고 연속일 때, 극한값

→∞   
         
lim       
  
와 같은 값을 갖는 식을 함수    의 정적분을 O  

이용하여 간단히 표현하시오.

■ 연습 문제4(2022학년도 수능 30)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고 미분가능한 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 

(나) 함수  의 역함수를  라 할 때,


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이다.


  ′   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와  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HIMCHAN MATH ESSAY •275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연습 문제5(2021학년도 서울과기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  가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에 속하는 모든 실수  에 대
하여  ′   이면, 함수 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나] 함수    →  가 일대일대응일 때, 역함수      →  가 존재한다.
[다] 함수    의 그래프와 역함수       의 그래프는    에 대칭이다.

[5-1] 양수  에 대하여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  

 



[5-2] 집합      ≤  ≤   일 때 함수    →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


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하며 다음을 만족시킨다.

(가)      인 모든 실수에 대하여,  ′  


 

(나)           
 


곡선    와  축 및 두 직선 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곡선


      와  축 및 두 직선 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라 하자.


   를  로 나타내시오. (단,  와  는 서로소인 자연수)

27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5-3] 음이 아닌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과 공역으로 하는 함수      에
대하여, 곡선       와  축 및 두 직선       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이를 구하시오.

■ 실전 논제1(2020학년도 광운대 모의)


실수 전체의 집합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 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   → 
가 일대일대응일 때, 물음에 답하시오.

[1-1] 함수  의 역함수      →  는 일대일함수임을 증명하시오.

[1-2] 함수    →     과 함수    →  에 대하여  ∘   ∘ 일 때


 를 구하시오.

[1-3] 함수  에 대한 다음 명제의 참 또는 거짓을 판정하고 대우를 이용하여 증명하


시오.

 ∘≠  인 ∈ 가 존재하면    ∘   ≠  인 ∈ 가 존재한다.

HIMCHAN MATH ESSAY •277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2(2020학년도 서강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    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      의 그래프는 직선    에 대


하여 대칭이다.
[나] 미분가능한 함수  의 역함수     가 존재하고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
한다.

  ′   (단,  ′   ≠ )
 ′   
[다] 일반적으로 함수  가 실수  에 대하여 다음을 모두 만족시킬 때, 함수
 는    에서 연속이다.
(a) 함수  는    에서 정의되어 있다.
(b) 극한값 lim 가 존재한다.
 →

(c) lim  


→

구간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2-1] 함수  의 역함수    가 존재하기 위한 실수  의 범위를 구하시오.

27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2, 2-3, 2-4] 논제 [2-1]의 결과를 이용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2-2] 함수     의    에서의 미분계수    ′ 을  에 대한 식으로 나타
내시오.


[2-3] 정적분 

    를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시오.

         
[2-4] 함수   lim  로 정의한다.
 →   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  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
이 되도록 실수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79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3(2021학년도 건국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미분법은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 또는 곡선의 특징과 변화를 분석하는 중요한
수학적 도구로 오늘날 미분법은 영화 속 특수 효과, 소리의 파동, 교통의 흐름,
열전도율 등과 같이 변화하는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활용된
다.

[나] 밑이  인 로그 log  를  의 자연로그라 하고, 이것을 간단히 ln 와 같이 나


타낸다.

[다] [그림 2]는 곡선      , 곡선     ln  , 기울기가   인 직선  을



나타낸 것이다. 점 A 는 직선  과 곡선       의 교점이고, 점 B 는 직선
 과 곡선     ln   의 교점이다.


 

[라] [그림 3]은 직선       (  ) 곡선     곡선      을 나타
낸 것이다. 점 C 는 직선       와 곡선     의 교점이고, 점 D 는 직


선       와 곡선       의 교점이다. 점 E 는 점 C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이고, 점 F 는 점 D 에서 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빗금친 영역은


정사각형 OFGE 의 안쪽에 있고 곡선      의 아래쪽, 곡선       의
위쪽에 놓인 영역이다.

 

E G
A A C
D
B
O  O F 

[그림 2] [그림 3]

28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3-1] 제시문 [다]에서 
AB 가 가질 수 있는 값 중 가장 작은 것을 구하고 풀이 과정
을 쓰시오.

[3-2] [라]에서 빗금친 영역의 넓이를  라 하자. 미분계수  ′ 의 값을 구하고 풀
이 과정을 쓰시오.

HIMCHAN MATH ESSAY •281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4(2022학년도 세종대 수시)


닫힌구간  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 에서 이계도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 인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cos  이다.



(나)   

 ≤  ≤  일 때 함수   cos 라 정의하자.

[4-1]  ≤  ≤  일 때  를 구하시오.

[4-2]  ≤  ≤  일 때 함수  를 구하고,  ≤  ≤  일 때 곡선    의 그래


프 개형을 그리시오. 또한 이 곡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의  좌표와 변곡점의  좌표를
모두 구하고, 함수  의 최솟값을  최댓값을  이라 할 때 상수  과  을 각
각 구하시오.

28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4-3] 논제 [4-2]에서 구한 상수  과  에 대하여 열린구간    을  라 하자.
실수 ∈ 에 대하여 직선    가 곡선    와 만나서 생긱는 두 점 사이의 거리
를  라 정의하자. 미분가능한 함수  에 대하여    일 때 상수  와 ′
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4-4]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


오.

(1) 함수  의 역함수    가 존재함을 보이시오.

(2) 함수     


 는    에서 극솟값을 가짐을 보이시오.

(3)   의 값을 구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83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5(2019학년도 단국대 모의)



함수       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 sin

[5-1] 함수  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갖도록 하는 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이 경우 


가    에서 극대이고    에서 극소일 때, sin sin 를 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
시오. (단,       )

[5-2] 양수  에 대하여 점 A  와 점 B  을 양 끝점으로 하는 선분 위에


점 C 가 있다. 원점 O 와 점 C 를 잇는 선분 OC 가 삼각형 OAB 의 넓이를 이등분할

때, 점 C 가 나타내는 곡선의 방정식을    라 하자. 함수      에 대

하여
 
  


sin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이고     는  의 역함수이다.)


28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20 역


■ 실전 논제6(2020학년도 한양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    는        을 만족시킨다.

[나]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  는    ≥  에서 정의되고 함수


    
를 만족시킨다.

[다] 곡선    가  축과 만나는 점을 P 곡선    위의  좌표가   인


점을 Q 곡선    의 점 Q 에서의 접선이  축과 만나는 점을 R 이라 하
자.

[6-1] 함수    는 일대일함수임을 설명하시오.

[6-2] 함수    의 그래프와    의 역함수의 그래프가 만날 때, 실수  의


최솟값의 소수점 아래 첫째자리 수를 구하시오.

[6-3] 제시문 [다]의 점 P 의 좌표를   라 할 때, 선분 PR 및 선분 QR 그리고


곡선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에 대한 이차식으로 나타내시오.

HIMCHAN MATH ESSAY •285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7(2020학년도 단국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  가 열린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에 속하는 임의의  에
대하여
(a)  ′   이면 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
(b)  ′   이면  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

[나] 함수  의 역함수를  라 할 때


 ∘    

[다] 미분가능한 함수  에 대하여    로 놓으면


   ′
[라] 두 함수  가 미분가능할 때,
 ′    ′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와  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 ′ ≥ 


(나)  ≥  인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다)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7-1] 구간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

에 대하여 아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 의 최댓값이     와 같음을 설명하시오.

함수  는 구간   에서 증가한다.

28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0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7-2] 함수 가

′    
  
를 만족시킬 때,  의 역함수  에 대하여

   ∘  

  
 ln   

를 구하시오. (단,      ln)

HIMCHAN MATH ESSAY •287





20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8(2022학년도 중앙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   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 에서 ′  이면
 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나] 두 함수    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  


   및 두 직선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 

이다.

 
[다] 이차방정식       의 두 근을   라 하면          
 
이다.

    
[라] 점   과 직선        사이의 거리는  이다.
  

[8-1] 좌표평면 위의 영역  은 다음의 조건 ①이 조건 ②의 필요충분조건이 되도록


정의되어 있다.
① 점   는  의 원소이다.
② 두 함수        과         이 모두 실수 전체
의 집합에서 역함수를 갖는다.
영역  의 넓이를 구하시오.


[8-2]    인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점        에서 포물선    에 그

은 두 접선과 이 포물선이 둘러싸는 영역의 넓이를  라 할 때,     을
만족하는  의 범위를 구하시오.

28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9(2022학년도 고려대 세종 자연계열Ⅱ-약학과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양의 실수에서 정의되고 연속인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  에 대하여
 ′′   이고, [그림 1]과 같이 곡선    위의 두 점 A  와
A  에서 접선을 그었을 때, 두 접선  과  이 점 C 에서 만난다. 접선 
의  절편을  그리고 접선  의  절편을  라 하자.

[나] [그림 2]와 같이 직선 ′ 의  절편과  절편을 각각  와  라 하자. 이때  와 


는 다음을 만족한다.
             

[다] 어떤 구간에서 정의된 연속함수가 감소(또는 증가)하면 역함수가 존재하고 그


역함수도 연속함수이다.
 
  

 

′
A

 
C B

O      O   

[그림 1] [그림 2]

[9-1] 제시문 [가]에서 주어진 함수  의 연속성, 미분가능성, 도함수의 성질에 관하


여 논하고, 이를 이용하여 함수  의 역함수   의 존재성과 극한값 lim 
 → 

에 관하여 논하시오.

HIMCHAN MATH ESSAY •289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9-2] 두 실수   (단,       )에 대하여 제시문 [나]의 직선과 같은 성질을 갖


고  절편이 각각  와  인 두 직선의 방정식과 그 교점을 구하시오.

[9-3] 함수    가  과  사이에서 연속인 이계도함수를 갖고  ′′   을 만족


한다. 곡선         위의 모든 점에서의 접선이 제시문 [나]의 직선과 같
은 성질을 가질 때, 함수         를 구하시오.

[9-4] 논제 [9-3]의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   과    에서


의 함숫값을 찾고 두 곡선       과 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
하시오.

29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1 역

■ 실전 논제10(2022학년도 고려대 세종 자연계열Ⅱ-약학과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미분가능한 함수  의 역함수     가 존재하고, 이 역함수가 미분가능할 때,


이 역함수가 함수       의 도함수를 구해보자.

역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    이므로 이 식의 양변을  에 대해 미분하면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이다.



(실제 적용)
그림은 함수   의 그래프와 그 역 
 
함수    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   
 
다. 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함수 
 
   의 도함수를 구해보자.
 
   에서    이고,    의 양변

을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이므로

  
  
함수     의 도함수는

   
      (단,  ≠  )
     
 O   


이다.

 

[10-1]   tan  ≤    일 경우, 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      ≥  의 도함수  ′  임을 논하시오.
 

HIMCHAN MATH ESSAY •29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10-2] 논제 [10-1]의 결과로부터 다음의 부정적분 공식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

  C (단, C는 적분상수)

위의 공식과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여 다음 적분값을 계산하고 그 과정을 서술하시오.


       ln (단, C는 적분상수)






[10-3] tan   ln 임을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그 과정을 자세히 서
 
술하시오.


[10-4]  tan    의 그래를 그리고, 논제 [10-3]의 계산 결과와 역함
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논제 [10-2]의 계산 결과가 참임을 논하시오.

292• POWERED BY LEE


21
21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  VS    부

   
 식
 


 ≤  ≤
 



   ≥  
1

1. (2018학년도 아주대 수시)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부등식 ln        ln 임을 보이시오.


2. (2018학년도 한양대 수시)


   

자연수  에 대해    
 
일 때, 극한값 lim   을 구하시오.
 → ∞     

HIMCHAN MATH ESSAY •293





2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과 3. (2017학년도 서울과기대 모의)


부 (1)   tan 로 놓고,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등 




  
식 

(2)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1 


 

  

4. (2011학년도 서강대 수시)



수열  의 각 항이 음수가 아닐 때, 모든 에 대하여 
 
 ≤  을 만족하고


수열  이 수렴하면, 급수 

 도 적당한 실수에 수렴한다는 성질과

 ∞
 
  


 
ln
 을 이용하여 급수 
 ln 
이 수렴함을 보이시오.

29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1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1(2021학년도 경북대 자연계열Ⅱ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부
[가] 두 함수   가 닫힌 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등
  식
(a) 
    

(단,  는 상수)
1
  
(b)   ±      ±  
  
 
(c)      
 

(d) 실수  가 닫힌 구간     에 포함될 때,
  
       
  

이다.

[나]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함수  가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일 때,
  
lim   ∆ 
 → ∞  
 

(단, ∆       ∆ )

 ′
[다] ( 

 꼴의 부정적분)

 ′
 
  ln      (단,  는 적분상수)

[라]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두 수열     이 각각 수렴하고 lim    lim   일 때,
→∞ →∞

(a)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이면  ≤  이다.


(b) 수열 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이고    이면
lim    이다.
→∞

HIMCHAN MATH ESSAY •295





21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과 sin cos
두 함수        에 대하여    를 만족시키는 모든 양의
부  
실수  의 값을 작은 수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   ⋯ 이라 하자.

식 [1-1]    의 값을 구하시오.
1

  
[1-2]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 → ∞ ln     

[1-3]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라 할 때, lim  
 → ∞ ln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296• POWERED BY LEE


22
22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함수    가 증가함수일 때

1.   VS   등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함수    함수  
 에 대한 증가함수  에 대한 감소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lim   
 → ∞

※    가 감소함수일 경우 부등호 방향은 반대가 된다!

HIMCHAN MATH ESSAY •297





2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연습 문제1
부  축 위의 구간   을  등분한 각 분점과 양 끝점을
등  ( )   ⋯   ( )
식 이라 하고 함수    에 대하여 함수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2 

(가)     ⋅
 



(나)     ⋅


주어진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시오.


(1) 자연수 에 대하여   이다.

(2)    

(3) lim   lim 


→∞ →∞

29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2 정


2. 정수 과 연속인 증가함수    에 대하여

 부
   

        

   식
 
     

    

   
2

■ 실전 논제1(2021학년도 가톨릭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함수  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 ≥  일 때, 곡선    와 
축 및 두 직선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는 다음과 같다.

  

[나]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ln

[다] 명제  는 다음과 같다.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이다.
[라] 자연수  에 대하여 다음 집합  의 원소 중 가장 큰 수를  이라고 하자.

 
    는 방정식             의 실근 ∪ 


  

HIMCHAN MATH ESSAY •299





2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과 [1-1] 제시문 [가], [나]를 이용하여 제시문 [다]의 명제  의 참, 거짓을 판별하고 그


부 근거를 논하시오.



2

[1-2] 제시문 [라]의 수열  에 대하여 극한값 lim  을 구하고 그 근거를 논하시
→∞

오.

30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2(2021학년도 서강대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부
[가] 함수  가 세 실수    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연속일 때, 등
   식

  

   
 2
[나] 수열   이 수렴하고 lim  lim   일 때, 수열  이 모든 자연
→∞ →∞

수  에 대하여  ≤  ≤  을 만족하면 lim   이다.


→∞

[2-1] 함수  가 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증가할 때,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  


[2-2]  가 자연수일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 
lim  
→∞  

HIMCHAN MATH ESSAY •301





2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과 [2-3]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부  

lim  
등 →∞      


2

302•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3(2022학년도 한양대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부
[가] (함수와 극한의 대소관계) 등
lim    lim   (    은 실수)일 때, 가 아니면서 에 가까운 식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2
(a)  ≤ 이면  ≤ 
(b)  ≤  ≤ 이고    이면, lim  
→

[나]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함수 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일 때,

  단    
 
lim     
     
→∞   

[다] 연속함수  는 다음 식을 만족시킨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극한값 lim     을 구하시오.
 → ∞     

HIMCHAN MATH ESSAY •303





22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과       
부 [3-2] 극한값 lim  
→∞   
 

 

 


 


  
  와 lim         을
→∞   


 

     
등 구하시오.

2

     
[3-3] 극한값 lim    
 → ∞   
   을 구하시오.

304•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2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실전 논제4(2023학년도 인하대 의예과 모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부
[가] 함수  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할 때, 그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 등
에 대하여  ′ 는 그 열린구간에서 증가하고,  ′  이면  는 그 열린구 식
간에서 감소한다. 2
[나] 닫힌구간     를 포함하는 열린구간에서 두 함수   가 각각 연속인
도함수를 가질 때

  

′    
    ′

[다] 닫힌구간     에서 연속인 두 함수가 ≤  를 만족하면


 

 ≤  


[4-1] 두 양수   에 대하여  ln  ≤    임을 보이시오.


[4-2]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sinln   ≤  임을 보이시오.


[4-3] 자연수  에 대하여    sin  일 때,  ln ≥ ln   임

을 보이시오.

HIMCHAN MATH ESSAY •305


23
2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과 ■ 그래프 개형(아래로 볼록•위로 볼록)과 정적분

등    가 아래로 볼록할 때 (단,      )

3   
C

B
A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 )
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접선의 방정식을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6•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23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 연습 문제1(평가원)
다항함수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부
세 수    ′      

  의 대소를 비교하시오. 등


(가)   
3
(나)       인 모든   에 대하여
    

■ 연습 문제2(평가원)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가)      


(나)  ′    ″   (단,      )

주어진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시오.


(1) 함수    의 그래프는 구간   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2)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HIMCHAN MATH ESSAY •307





2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 실전 논제1(2019학년도 서울시립대 모의)
부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등 ⋅ 

식   
≤ 



308•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23 정


■ 실전 논제2(2021학년도 경북대 자연계열Ⅱ 수시)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부
 ≥  에서 연속인 함수  가    에서 미분가능하고, 음이 아닌 모든 실수  등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   ≥      인 모든 실수   에 식
대하여 3
 
  ≤
  

 

[2-1]  ≤  ≤  ≤  일 때
 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단,    )

[2-2] 양의 상수  에 대하여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임을 보이시오.

HIMCHAN MATH ESSAY •309





23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과 
   

[2-3] 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의 값을 구하시오.
 



3

[2-4] 두 양수    에 대하여 수열  의 일반항이



     
  
  

  


라 하자.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임을 보이시오.  단,  ≥  

310• POWERED BY LEE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자기주도형 수리논술 학습 프로젝트

ESSAY •311
HIMCHAN MATH힘찬수리논술 연구소
수능&
능&수리논술 몽땅깨기!
깨기! 선택형 수능 맞춤 통합형 학습 시리즈

수수깨기 전략키워드

힘찬수리논술
312•연구소
POWERED BY LE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