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2

Contents

이 책의 차례

과목 단원 쪽수

01 집합 6

02 명제 16

03 함수 26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36
수학Ⅱ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46

06 수열의 합 58

07 수학적 귀납법 68

08 지수 78

09 로그 88

01 수열의 극한 100

02 급수 112

03 함수의 극한 122

04 함수의 연속 134
미적분Ⅰ
05 미분계수와 도함수 144

06 도함수의 활용 154

07 부정적분과 정적분 170

08 정적분의 활용 180

■ EBSi(http://www.ebsi.co.kr)로 들어오셔서 회원으로 등록하세요.


■본 교재는 EBS 인터넷 방송을 통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VOD 무료 서비스 실시)
■ 교재 및 강의 내용에 관한 문의는 EBSi(http://www.ebsi.co.kr)의 학습 Q&A 서비스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이 책의 구성과 특징 Structure

01
수학영역

집합

1. 집합과 원소
⑴ 집합:어떤 기준에 의하여 그 대상을 분명히 알 수 있는 것들의 모임을 집합이라고 한다.
⑵ 원소:집합을 이루는 대상 하나하나를 그 집합의 원소라고 한다.
⑶ 집합과 원소의 관계
개념 정리
① a가 집합 A의 원소일 때, a는 집합 A에 속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a<A와 같이 나타낸다.
② a가 집합 A의 원소가 아닐 때, a는 집합 A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a²A와 같이 나타낸다.
참고 일반적으로 집합은 A, B, C, y로 나타내고, 원소는 a, b, c, y로 나타낸다.
교과서의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2. 집합을 나타내는 방법
⑴ 원소를 나열하는 방법:집합에 속하는 모든 원소를 기호 { } 안에 나열한다.
⑵ 조건을 제시하는 방법:집합에 속하는 원소의 공통된 성질을 조건으로 제시한다.
⑶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방법:집합을 아래의 예 의 그림과 같이 나타낸다.
예 ‘4 이하의 자연수의 모임’은 그 대상이 1, 2, 3, 4로 분명하므로 집합이다. "
이 집합을 A라 하면  
A={1, 2, 3, 4} 또는 A={x|x는 4 이하의 자연수}  
또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다.
참고 집합을 나타낼 때는 같은 원소를 중복하여 쓰지 않고, 나열 순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3. 집합의 원소의 개수
예제 1 집합을 나타내는 방법과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⑴ 원소가 유한개인 집합 A의 원소의 개수를 기호로 n(A)와 같이 나타낸다.
⑵ 원소를 하나도 갖지 않는 집합을 공집합이라 하고, 기호로 ∅과 같이 나타낸다.
예제 & 유제 실수 전체의 집합의 두 부분집합
이때 n(∅)=0이다.
A={x|xÛ`-x-6=0}, B={x||x-1|Ék}
에 대하여 A,B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예제는 개념을 적용한 대표 문항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주요 개념을 풀이 전략으로 제
4.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①1 ②2 ③3 ④4 ⑤5

⑴ 부분집합: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에 속할 때, 집합 A를 집합 B의 부분집합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시하여 풀이 과정의 이해를 돕도록 하였고, 유제는 예제와 유사한 내용의 문제나 일반화된 문제를
A,B와 같이 나타낸다. 집합 A가 집합 B의 부분집합이 아닐 때, 이것을 기호로 AøB와 같이 나타낸다.
⑵ 서로 같은 집합:두 집합 A, B에 대하여 A,B이고 B,A일 때, 두 집합 A, B는 서로 같다고 하고, 이것
풀이 전략 조건이 제시된 집합의 원소를 구한 후 A,B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을 구한다.

풀이 xÛ`-x-6=(x+2)(x-3)=0에서 x=-2 또는 x=3이므로


을 기호로 A=B와 같이 나타낸다. 두 집합 A, B가 서로 같지 않을 때, 이것을 기호로 A+B와 같이 나타

제시하여 학습 내용과 문제에 대한 연관성을 익히도록 구성하였다.


낸다.
⑶ 진부분집합:두 집합 A, B에 대하여 A,B이고 A+B일 때, 집합 A를 집합 B의 진부분집합이라고 한다.
A={-2, 3}
A,B를 만족시키려면 -2<B이고 3<B
-2<B에서 |-2-1|Ék, 즉 k¾3 yy`㉠
⑷ 부분집합의 성질:세 집합 A, B, C에 대하여 3<B에서 |3-1|Ék, 즉 k¾2 yy`㉡
① ∅,A, A,A ② A,B이고 B,C이면 A,C ㉠, ㉡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므로 k¾3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3이다.

다른 풀이 xÛ`-x-6=(x+2)(x-3)=0에서 x=-2 또는 x=3이므로
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A={-2, 3}
|x-1|Ék에서 -kÉx-1Ék, 즉 -k+1ÉxÉk+1이므로
B={x|-k+1ÉxÉk+1}
Level 1
Level 1-Level 2-Level 3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1쪽 이때 A,B를 만족시키려면
-k+1É-2이고 k+1¾3
k¾3이고 k¾2, 즉 k¾3 L    L  Y
[9007-0007 ]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3이다.
1 두 집합 A={2, 4, 6, 8, 10}, B={4, 8, 12}에 대하여 n(A;B)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Level 1 기초 연습은 기초 개념의 인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문항을 제시하였으며, Level 2 [9007-0001 ]
정답과 풀이 1쪽

1 유제 실수 전체의 집합의 두 부분집합

[9007-0008 ]
기본 연습은 기본 응용 문항을, 그리고 Level 3 실력 완성은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A={a, a+1}, B={x+y|x<A, y<A}
에 대하여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이 12일 때,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2 자연수 전체의 집합의 두 부분집합 A={a, a+2}, B={b, 2}가 서로 같을 때, ab의 값은? ①0 ②2 ③4 ④6 ⑤8

①2 ②4 ③6 ④8 ⑤ 10 함양할 수 있는 문항을 제시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9007-0002 ]

유제 2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의 두 부분집합


A={a}, B={x|xÛ`+bx+b+3É0}
이 있다. A=B일 때, a+b의 값은? (단, b는 상수이다.)

[9007-0009 ] ① -2 ② -1 ③0 ④1 ⑤2

3 전체집합 U={1, 2, 3, 4, 5, 6}의 두 부분집합


A={1, 3, 5}, B={x|x는 6의 약수}
01 집합 7
에 대하여 집합 A-B‚` 의 모든 원소의 합은?

①3 ②4 ③5 ④6 ⑤7

대표 기출 문제

대표 기출 문제
[9007-0010 ] 집합의 연산을 이용하여 집합의 원소를 구하는 문제가 출제되고,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집합의 원소의 개수 또는 모

4
출제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n(U)=10, n(A)=5, n(A'B)=8일 때, n(A'B‚` )의 값 경향
든 원소의 합을 구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또한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를 파악하여 부분집합의 개수 등을 구하는 문제가 출
제된다.
을 구하시오.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모의평가 기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기존 출제 유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전체집합 U={1, 2, 3, 4, 5, 6, 7, 8}의 두 부분집합
A={1, 2, 3}, B={2, 4, 6, 8}
[9007-0011 ] 에 대하여 n(A'B‚`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출제5 경향과 출제 의도를 제시하였다.


자연수 전체의 집합의 세 부분집합 A, B, X에 대하여
A={1, 2, 3, 4, 5}, B={x|xÛ`-3x+2=0}
집합의 연산을 이해하고,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2018학년도 대수능

일 때, X-(A-B)=∅을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를 구하시오.

풀이 U={1, 2, 3, 4, 5, 6, 7, 8}, B={2, 4, 6, 8}이므로


B‚` ={1, 3, 5, 7}
A={1, 2, 3}, B‚` ={1, 3, 5, 7}이므로
A'B‚` ={1, 2, 3, 5, 7}
따라서 n(A'B‚` )=5
1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5

다른 풀이 A'B‚` =(A‚` ;B)‚` =(B-A)‚` 이고,


B-A={4, 6, 8}에서 n(B-A)=3이므로
n(A'B‚` )=n((B-A)‚` )
=n(U)-n(B-A)

EBS 스마트북 활용안내


=8-3
=5

EBS 스마트북은 스마트폰으로 바로 찍어 해설영상을 수강할 수 있고, 교재 문제를 파일(한글, 이미지)로 다운로드하여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학생 모르는 문제, 찍어서 해설강의 수강 교사 교재문항을 한글(HWP)문서로 저장


[ 9007-0001 ] [ 9007-0001 ]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스마트폰 문제 촬영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교재문항을 한글(HWP)파일로
# 문항코드 입력도 가능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100 100 01 집합 15
80 # 해설강의 수강 80
[ 9007-0001 ]
60 60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0 40
20 100 20
0 80 0
60
40

1 20
0
1
2 찰칵! 2
3
1
2 3 다운로드
3
4 4
4

※ EBS 수능강의 앱 설치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기존과 같이 문항코드 입력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교사지원센터(http://teacher.ebsi.co.kr) 접속 후 ‘교사인증’을 통해 이용 가능
수능특강 수학영역

수학Ⅱ
01 집합
02 명제
03 함수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06 수열의 합
07 수학적 귀납법
08 지수
09 로그
01
수학영역

집합

1. 집합과 원소
⑴ 집합:어떤 기준에 의하여 그 대상을 분명히 알 수 있는 것들의 모임을 집합이라고 한다.
⑵ 원소:집합을 이루는 대상 하나하나를 그 집합의 원소라고 한다.
⑶ 집합과 원소의 관계
① a가 집합 A의 원소일 때, a는 집합 A에 속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a<A와 같이 나타낸다.
② a가 집합 A의 원소가 아닐 때, a는 집합 A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a²A와 같이 나타낸다.
참고 일반적으로 집합은 A, B, C, y로 나타내고, 원소는 a, b, c, y로 나타낸다.

2. 집합을 나타내는 방법
⑴ 원소를 나열하는 방법:집합에 속하는 모든 원소를 기호 { } 안에 나열한다.
⑵ 조건을 제시하는 방법:집합에 속하는 원소의 공통된 성질을 조건으로 제시한다.
⑶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는 방법:집합을 아래의 예 의 그림과 같이 나타낸다.
예 ‘4 이하의 자연수의 모임’은 그 대상이 1, 2, 3, 4로 분명하므로 집합이다. "
이 집합을 A라 하면   
   A={1, 2, 3, 4} 또는 A={x|x는 4 이하의 자연수}  
또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다.
참고 집합을 나타낼 때는 같은 원소를 중복하여 쓰지 않고, 나열 순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3. 집합의 원소의 개수
⑴ 원소가 유한개인 집합 A의 원소의 개수를 기호로 n(A)와 같이 나타낸다.
⑵ 원소를 하나도 갖지 않는 집합을 공집합이라 하고, 기호로 ∅과 같이 나타낸다.
이때 n(∅)=0이다.

4.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⑴ 부분집합: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에 속할 때, 집합 A를 집합 B의 부분집합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A,B와 같이 나타낸다. 집합 A가 집합 B의 부분집합이 아닐 때, 이것을 기호로 AøB와 같이 나타낸다.
⑵ 서로 같은 집합:두 집합 A, B에 대하여 A,B이고 B,A일 때, 두 집합 A, B는 서로 같다고 하고, 이것
을 기호로 A=B와 같이 나타낸다. 두 집합 A, B가 서로 같지 않을 때, 이것을 기호로 A+B와 같이 나타
낸다.
⑶ 진부분집합:두 집합 A, B에 대하여 A,B이고 A+B일 때, 집합 A를 집합 B의 진부분집합이라고 한다.
⑷ 부분집합의 성질:세 집합 A, B, C에 대하여
① ∅,A, A,A ② A,B이고 B,C이면 A,C

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1 집합을 나타내는 방법과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실수 전체의 집합의 두 부분집합


   A={x|xÛ`-x-6=0}, B={x||x-1|Ék}
에 대하여 A,B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풀이 전략 조건이 제시된 집합의 원소를 구한 후 A,B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을 구한다.

풀이 xÛ`-x-6=(x+2)(x-3)=0에서 x=-2 또는 x=3이므로


   A={-2, 3}
A,B를 만족시키려면 -2<B이고 3<B
-2<B에서 |-2-1|Ék, 즉 k¾3   yy`㉠
3<B에서 |3-1|Ék, 즉 k¾2 yy`㉡
㉠, ㉡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므로 k¾3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3이다.
 ③
다른 풀이 xÛ`-x-6=(x+2)(x-3)=0에서 x=-2 또는 x=3이므로
   A={-2, 3}
|x-1|Ék에서 -kÉx-1Ék, 즉 -k+1ÉxÉk+1이므로
   B={x|-k+1ÉxÉk+1}
이때 A,B를 만족시키려면
-k+1É-2이고 k+1¾3
k¾3이고 k¾2, 즉 k¾3 L    L  Y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3이다.

정답과 풀이 1쪽

[9007-0001 ]

유제 1 실수 전체의 집합의 두 부분집합


   A={a, a+1}, B={x+y|x<A, y<A}
에 대하여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이 12일 때,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①0 ②2 ③4 ④6 ⑤8

[9007-0002 ]

유제 2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의 두 부분집합


   A={a}, B={x|xÛ`+bx+b+3É0}
이 있다. A=B일 때, a+b의 값은? (단, b는 상수이다.)

① -2 ② -1 ③0 ④1 ⑤2

01 집합 7
01
수학영역

집합

5. 부분집합의 개수
집합 A={aÁ, aª, a£, y, an}에 대하여
⑴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2n
⑵ 집합 A의 진부분집합의 개수:2n-1
⑶ k개의 특정한 원소를 포함하는(포함하지 않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2n-k (단, 1ÉkÉn)
⑷ k개의 특정한 원소 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하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2n-2n-k (단, 1ÉkÉn)

6. 집합의 연산
⑴ 합집합:A'B={x|x<A 또는 x<B}
⑵ 교집합:A;B={x|x<A 그리고 x<B}
특히 A;B=∅일 때, 두 집합 A와 B는 서로소라고 한다.
⑶ 차집합:A-B={x|x<A 그리고 x²B}
⑷ 여집합:A‚` ={x|x<U 그리고 x²A} (단, U는 전체집합)

" # " # " # 6


"

"P# "P# "P# "a

참고 어떤 주어진 집합에 대하여 그 부분집합을 생각할 때, 처음에 주어진 집합을 전체집합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U와 같
이 나타낸다.
예 전체집합 U={1, 2, 3, 4, 5}의 두 부분집합 A={1, 2, 3}, B={1, 3, 5}에 대하여
   A'B={1, 2, 3, 5}, A;B={1, 3}, A-B={2}, A‚` ={4, 5}

7. 집합의 연산에 대한 성질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⑴ A'A=A, A;A=A
⑵ A'∅=A, A;∅=∅
⑶ A'U=U, A;U=A
⑷ A‚` =U-A
⑸ U‚` =∅, ∅‚` =U
⑹ A'A‚` =U, A;A‚` =∅
⑺ (A‚` )‚` =A
⑻ A-B=A;B‚` =A-(A;B)=(A'B)-B
참고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B일 때
① A'B=B      ② A;B=A      ③ A-B=∅      ④ B‚` ,A‚`

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2 집합의 연산

실수 전체의 집합의 두 부분집합


   A={1, a+1, 2a}, B={x|xÛ`-(a+3)x+a+2=0}
에 대하여 4<A-B일 때,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합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이다.)

풀이 전략 집합의 연산의 정의를 이해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을 구한다.


⑴ A-B={x|x<A 그리고 x²B}
⑵ A'B={x|x<A 또는 x<B}

풀이 집합 B에서
   xÛ`-(a+3)x+a+2=0
   (x-1){x-(a+2)}=0
   x=1 또는 x=a+2
그런데 a+2=1, 즉 a=-1이면 A={-2, 0, 1}, B={1}이 되어 4<A-B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a+-1이므로 B={1, a+2}
4<A-B이므로 4<A이고 4²B이다.
Ú a+1=4이고 a+2+4일 때, a=3
Û 2a=4이고 a+2+4를 만족시키는 a의 값은 없다.
그러므로 실수 a의 값은 3이다.
따라서 A={1, 4, 6}, B={1, 5}에서 A'B={1, 4, 5, 6}이므로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합은
   1+4+5+6=16
 16

정답과 풀이 1쪽

[9007-0003 ]

유제 3 전체집합 U={1, 2, 3, 4, 5, 6}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 ={2, 6}, A;B={1, 5}
일 때,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합은?

①4 ②5 ③6 ④7 ⑤8

[9007-0004 ]

유제 4 전체집합 U={x|x는 10 이하의 자연수}의 두 부분집합 A={x|x는 8의 약수}, B에 대하여


   A'B=U, A-B+∅
을 만족시키는 집합 B의 개수를 구하시오.

01 집합 9
01
수학영역

집합

8. 집합의 연산법칙
세 집합 A, B, C에 대하여
⑴ 교환법칙:A'B=B'A, A;B=B;A
⑵ 결합법칙:(A'B)'C=A'(B'C), (A;B);C=A;(B;C)
⑶ 분배법칙:A'(B;C)=(A'B);(A'C), A;(B'C)=(A;B)'(A;C)
설명 세 집합 A, B, C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A (B'C)=(A B)'(A;C)가 성립한다.


' '

9. 드모르간의 법칙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⑴ (A'B)‚` =A‚` ;B‚` ⑵ (A;B)‚` =A‚` 'B‚`
설명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6 6 6 6 6
" # " # " # " # " #

"P# "P# a "PaA P #a  "a.P #a

따라서 (A'B)‚` =A‚` ;B‚` 이 성립한다.

10.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


원소가 유한개인 두 집합 A, B에 대하여
   n(A'B)=n(A)+n(B)-n(A;B)
특히 두 집합 A, B가 서로소이면 n(A;B)=0이므로 n(A'B)=n(A)+n(B)

1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3 집합의 연산법칙과 집합의 원소의 개수

전체집합 U={x|x는 50 이하의 자연수}의 두 부분집합


   A={x|x는 5의 배수}, B={x|x는 3과 서로소인 자연수}
에 대하여 n(A‚` ;B)의 값은?

① 23 ② 24 ③ 25 ④ 26 ⑤ 27

풀이 전략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⑴ A‚` ;B‚` =(A'B)‚` ⑵ n(A‚` )=n(U)-n(A)

풀이 50 이하의 자연수 중 3의 배수의 집합을 X라 하면 B=X‚`


   A‚` B=A‚` ;X‚` =(A'X)‚`
'

n(A)=10, n(X)=16, n(A;X)=3이므로


   n(A'X)=n(A)+n(X)-n(A;X)
=10+16-3=23
따라서
   n(A‚` ;B)=n((A'X)‚` )=n(U)-n(A'X)
=50-23=27
 ⑤

다른 풀이 50 이하의 자연수 중 3의 배수의 개수는 16이므로 n(B)=50-16=34


집합 A;B는 50 이하의 자연수 중 5의 배수이면서 3과 서로소인 자연수의 집합이므로
   A;B={5, 10, 20, 25, 35, 40, 50}
따라서 n(A‚` ;B)=n(B)-n(A B)=34-7=27
'

정답과 풀이 1쪽

[9007-0005 ]

유제 5 전체집합 U={x|x는 10 이하의 자연수}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n(A)=5, n(B)=6,


n(A'B)=8일 때, n(A‚` 'B‚` )의 값은?

①5 ②6 ③7 ④8 ⑤9

[9007-0006 ]

유제 6 전체집합 U={1, 2, 3, 4, 5, 6}의 두 부분집합 A={3, 6}, B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


합 B의 개수를 구하시오.

(가) n(B)=2 (나) (A'B);B‚` =A

01 집합 11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1쪽

[9007-0007 ]

1 두 집합 A={2, 4, 6, 8, 10}, B={4, 8, 12}에 대하여 n(A;B)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008 ]

2 자연수 전체의 집합의 두 부분집합 A={a, a+2}, B={b, 2}가 서로 같을 때, ab의 값은?

①2 ②4 ③6 ④8 ⑤ 10

[9007-0009 ]

3 전체집합 U={1, 2, 3, 4, 5, 6}의 두 부분집합


   A={1, 3, 5}, B={x|x는 6의 약수}
에 대하여 집합 A-B‚` 의 모든 원소의 합은?

①3 ②4 ③5 ④6 ⑤7

[9007-0010 ]

4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n(U)=10, n(A)=5, n(A'B)=8일 때, n(A'B‚` )의 값


을 구하시오.

[9007-0011 ]

5 자연수 전체의 집합의 세 부분집합 A, B, X에 대하여


   A={1, 2, 3, 4, 5}, B={x|xÛ`-3x+2=0}
일 때, X-(A-B)=∅을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를 구하시오.

1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2쪽

[9007-0012 ]

1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B={1, 2, 3, 5}, (A;B)‚` ={2, 4, 5, 6}
이다. 집합 U의 부분집합 T를 T=(A'B)-(A;B)라 할 때, 집합 T‚` 의 모든 원소의 합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⑤ 14

[9007-0013 ]

2 그림은 전체집합 U의 세 부분집합 A, B, C 사이의 관계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6


"
것이다. 색칠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과 항상 같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보기 # $
ㄱ. (A;B)'(A-C) ㄴ. A (B'C)‚` ㄷ. A-(C-B)
'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9007-0014 ]

3 전체집합 U={x|x는 10 이하의 자연수}의 세 부분집합


   A={1, 2, 3, 4}, B={2, 3, 5, 7}, C={a, a+2}
에 대하여 집합 X를 X=A'C라 할 때, n(X;B)=3을 만족시키는 모든 a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9007-0015 ]

4 전체집합 U={x|x는 10 이하의 자연수}의 두 부분집합 A, B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집합 A-B의 모


든 원소의 곱을 구하시오.

(가) 세 집합 A, B, A;B의 모든 원소의 합은 각각 27, 30, 12이다.


(나) n(A'B)=6

01 집합 13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3쪽

[9007-0016 ]

1 어느 상자에 들어 있는 20개의 공에는 각각 빨간색과 파란색 중 한 가지 색이 칠해져 있고 서로 다른 자연수가


하나씩 적혀 있다. 파란색 공은 7개이고, 짝수가 적혀 있는 파란색 공은 3개이다. 이 상자에 들어 있는 20개의
공의 집합을 전체집합, 빨간색 공의 집합을 A, 홀수가 적혀 있는 공의 집합을 B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
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n(A'B)=15
ㄴ. n(A)=n(B)이면 n(A;B)=9이다.
ㄷ. n(B)¾n(B‚` )이 되도록 하는 n(A;B)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합은 19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9007-0017 ]

2 전체집합 U={x|x는 20 이하의 자연수}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A에 대하여 집합 B는


   B={b|b는 aÛ`+a를 3으로 나눈 나머지, a<A}
이다. n(B)=1이 되도록 하는 집합 A 중에서 원소의 개수가 가장 큰 집합을 X라 할 때, n(X)의 값은?

① 11 ② 12 ③ 13 ④ 14 ⑤ 15

[9007-0018 ]

3 전체집합 U={x|x는 72 이하의 자연수}의 두 부분집합 A, B가


   A={x|x는 k의 배수}, B={x|x는 72의 약수}
일 때, n(A‚` ;B)=8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k의 값의 합은?

① 20 ② 21 ③ 22 ④ 23 ⑤ 24

[9007-0019 ]

4 전체집합 U의 세 부분집합 A, B, X={1, 3, 5, 7}에 대하여


   X'A‚` =X;B, n(B-A)=1
을 만족시키는 두 집합 A, B의 모든 순서쌍 (A, B)의 개수가 128일 때, n(U)의 값은?
 (단, 전체집합 U는 유한개의 원소를 갖는다.)

①6 ②7 ③8 ④9 ⑤ 10

1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대표 기출 문제
집합의 연산을 이용하여 집합의 원소를 구하는 문제가 출제되고,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집합의 원소의 개수 또는 모
출제 든 원소의 합을 구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또한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를 파악하여 부분집합의 개수 등을 구하는 문제가 출
경향
제된다.

전체집합 U={1, 2, 3, 4, 5, 6, 7, 8}의 두 부분집합


   A={1, 2, 3}, B={2, 4, 6, 8}
에 대하여 n(A'B‚`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2018학년도 대수능

집합의 연산을 이해하고,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U={1, 2, 3, 4, 5, 6, 7, 8}, B={2, 4, 6, 8}이므로


   B‚` ={1, 3, 5, 7}
A={1, 2, 3}, B‚` ={1, 3, 5, 7}이므로
   A'B‚` ={1, 2, 3, 5, 7}
따라서 n(A'B‚` )=5
 5

다른 풀이 A'B‚` =(A‚` ;B)‚` =(B-A)‚` 이고,


B-A={4, 6, 8}에서 n(B-A)=3이므로
   n(A'B‚` )=n((B-A)‚` )
=n(U)-n(B-A)
=8-3
=5

01 집합 15
02
수학영역

명제

1. 명제와 조건
⑴ 명제:참, 거짓을 분명하게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식을 명제라고 한다.
⑵ 조건:미지수를 포함하는 문장이나 식이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결정될 때, 그 문장이나 식을 조건이
라 하고 흔히 p, q, r, y로 나타낸다.
⑶ 진리집합:전체집합 U의 원소 중에서 조건 p를 참이 되게 하는 모든 원소의 집합을 조건 p의 진리집합이라
하고 흔히 P로 나타낸다.

2. 명제와 조건의 부정
⑴ 명제나 조건 p에 대하여 ‘p가 아니다.’를 명제나 조건 p의 부정이라 하고, 기호로 ~p와 같이 나타낸다.
⑵ ~p의 부정 ~(~p)는 p이다.
⑶ 명제 p가 참이면 ~p는 거짓이고, 명제 p가 거짓이면 ~p는 참이다.
⑷ 전체집합 U에 대하여 조건 p의 진리집합이 P이면 조건 ~p의 진리집합은 P‚` 이다.
참고 두 조건 p, q에 대하여
① 조건 ‘p이고 q’의 부정은 ‘~p 또는 ~q’이다.
② 조건 ‘p 또는 q’의 부정은 ‘~p이고 ~q’이다.

3. 정의, 증명, 정리
⑴ 정의:용어의 뜻을 명확하게 정한 문장을 그 용어의 정의라고 한다.
⑵ 증명:이미 알려진 사실이나 성질을 이용하여 어떤 명제가 참임을 논리적으로 밝히는 과정을 증명이라고 한다.
⑶ 정리:참임이 증명된 명제 중에서 기본이 되는 것이나 다른 명제를 증명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정리라고
한다.

4. 명제 p`2Ú q의 참, 거짓
⑴ 두 조건 p, q에 대하여 ‘p이면 q이다.’의 꼴로 되어 있는 명제를 기호로 p 2Ú q와 같이
가정
p 2Ú q
나타낸다. 이때 조건 p를 가정, 조건 q를 결론이라고 한다.
⑵ 명제 p 2Ú q에 대하여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결론
① 명제 p 2Ú q가 참이면 P,Q
역으로 P,Q이면 명제 p 2Ú q가 참이다.
② 명제 p 2Ú q가 거짓이면 PøQ
역으로 PøQ이면 명제 p 2Ú q가 거짓이다.
참고 명제가 거짓임을 보이는 예를 반례라고 한다.

1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1 명제의 참, 거짓

실수 x에 대한 두 조건 p, q가 다음과 같다.
   p`:`aÉxÉ2a+5, q`:`xÛ`-3x+2>0
명제 ~q 2Ú p가 참이 되도록 하는 정수 a의 개수는?

①1 ②2 ③3 ④4 ⑤5

풀이 전략 ⑴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명제 p 2Ú q가 참이 되려면 P,Q이어야 한다.


⑵ 전체집합 U에 대하여 조건 p의 진리집합이 P이면 조건 ~p의 진리집합은 P‚` 이다.

풀이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자.
   P={x|aÉxÉ2a+5}
~q`: xÛ`-3x+2É0이고
xÛ`-3x+2=(x-1)(x-2)É0에서 1ÉxÉ2이므로
~q의 진리집합은
   Q‚` ={x|1ÉxÉ2}
명제 ~q 2Ú p가 참이려면 Q‚` ,P이어야 하므로 1
2a
   aÉ1이고 2a+5¾2
B   B  Y
   -;2#;ÉaÉ1

따라서 정수 a는 -1, 0, 1이므로 그 개수는 3이다.


 ③

정답과 풀이 4쪽

[9007-0020 ]

유제 1 실수 x에 대한 두 조건 p, q가 다음과 같다.
   p`:`-3<x<k-1, q`:`|2x-2|<k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4<P;Q‚` 이 되도록 하는 자연수 k의 값은?

①3 ②4 ③5 ④6 ⑤7

[9007-0021 ]

유제 2 두 실수 x, y에 대한 세 조건 p, q, r가 다음과 같을 때, 다음 중 참인 명제는?

p`:`y¾xÛ`     q`:`yÉx-1     r`:`xÛ`+yÛ`É1

① p 2Ú q ② q 2Ú p ③ p 2Ú ~q ④ p 2Ú r ⑤ ~r 2Ú q

02 명제 17
02
수학영역

명제

5. ‘모든’ 또는 ‘어떤’이 들어 있는 명제
⑴ 전체집합 U에 대하여 조건 p의 진리집합을 P라 할 때
① P=U이면 명제 ‘모든 x에 대하여 p이다.’는 참이고, P+U이면 명제 ‘모든 x에 대하여 p이다.’는 거짓이다.
② P+∅이면 명제 ‘어떤 x에 대하여 p이다.’는 참이고, P=∅이면 명제 ‘어떤 x에 대하여 p이다.’는 거짓이다.
⑵ 조건 p에 대하여
① 명제 ‘모든 x에 대하여 p이다.’의 부정은 ‘어떤 x에 대하여 ~p이다.’
② 명제 ‘어떤 x에 대하여 p이다.’의 부정은 ‘모든 x에 대하여 ~p이다.’

6. 명제의 역과 대우
⑴ 역:명제 p 2Ú q에서 가정과 결론을 서로 바꾸어 놓은 명제 Q R 역 R Q
q 2Ú p를 명제 p 2Ú q의 역이라고 한다.
대우
⑵ 대우:명제 p 2Ú q에서 가정과 결론을 각각 부정하여 서로 바
꾸어 놓은 명제 ~q 2Ú ~p를 명제 p 2Ú q의 대우라고 한다.
_Q _R 역 _R _Q

⑶ 명제와 그 대우의 참, 거짓
① 명제 p 2Ú q가 참이면 그 대우 ~q 2Ú ~p도 참이다.
② 명제 p 2Ú q가 거짓이면 그 대우 ~q 2Ú ~p도 거짓이다.

7. 명제의 증명
⑴ 대우를 이용한 증명:명제 p 2Ú q가 참임을 보일 때, 그 대우 ~q 2Ú ~p가 참임을 보이면 된다.
⑵ 귀류법:어떤 명제가 참임을 증명할 때, 명제의 결론을 부정하면 참이라고 인정되고 있는 사실이나 그 명제가
가정하고 있는 것에 모순이 됨을 보여서 원래 명제가 참임을 증명하는 방법을 귀류법이라고 한다.
예 명제 ‘'2가 무리수이다.’를 증명해 보자.

'2를 유리수라고 가정하면 '2=


n
`(m과 n은 서로소인 자연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2mÛ`=nÛ`   yy`㉠
이때 nÛ`은 2의 배수이므로 n도 2의 배수이다.
따라서 n=2k`(k는 자연수)로 놓고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mÛ`=2kÛ`
여기서 mÛ`이 2의 배수이므로 m도 2의 배수가 되어 m과 n이 서로소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2는 유리수가 아니고 무리수이다.
⑶ 삼단논법:세 조건 p, q, r에 대하여 명제 p 2Ú q가 참이고 명제 q 2Ú r가 참이면 명제 p 2Ú r는 참이다.

1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2 ‘모든’ 또는 ‘어떤’이 들어 있는 명제

전체집합 U={1, 2, 3, 4, 5, 6}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X에 대하여 명제


   ‘집합 X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xÛ`-3x+2=0이다.’
의 부정이 참이 되도록 하는 집합 X의 개수를 구하시오.

풀이 전략 ⑴ 명제 ‘모든 x에 대하여 p이다.’의 부정은 ‘어떤 x에 대하여 ~p이다.’


⑵ 전체집합 U에 대하여 조건 p의 진리집합을 P라 할 때, P+∅이면 명제 ‘어떤 x에 대하여 p이다.’는 참이다.

풀이 조건 xÛ`-3x+2=(x-1)(x-2)=0의 진리집합은 {1, 2}이다.


명제 ‘집합 X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xÛ`-3x+2=0이다.’의 부정
   ‘집합 X의 어떤 원소 x에 대하여 xÛ`-3x+2+0이다.’
가 참이려면 집합 X는 3, 4, 5, 6 중 적어도 하나를 원소로 갖는 집합이다.
따라서 전체집합 U의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는 2ß`이고, U의 부분집합 중 3, 4, 5, 6을 모두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
합의 개수는 2Û`이므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2ß`-2Û`=60
 60

참고 주어진 명제의 부정이 참이면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따라서 Xø{1, 2}이면 된다.

정답과 풀이 4쪽

[9007-0022 ]

유제 3 세 조건 p, q, r에 대하여 명제 p 2Ú q와 명제 r 2Ú ~q가 모두 참일 때, 보기에서 항상 참인 명제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q 2Ú p ㄴ. q 2Ú ~r ㄷ. r 2Ú ~p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9007-0023 ]

유제 4 명제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xÛ`+2x-k+8>0이다.’
가 참이 되도록 하는 자연수 k의 개수는?

①5 ②6 ③7 ④8 ⑤9

02 명제 19
02
수학영역

명제

8.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⑴ 명제 p 2Ú q가 참일 때, 이것을 기호로
   p`jjK`q
와 같이 나타내고,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한다.
⑵ 명제 p 2Ú q에 대하여 p`jjK`q이고 q`jjK`p일 때, 이것을 기호로
   p`HjK`q
와 같이 나타내고,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q는 p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한다.
참고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① P,Q: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
② P=Q: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q는 p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9. 절대부등식
⑴ 절대부등식
문자를 포함한 부등식에서 그 문자가 가질 수 있는 어떠한 실수 값을 대입해도 항상 성립하는 부등식을 절대
부등식이라고 한다.
⑵ 실수의 성질
a, b가 실수일 때
① a>b`HjK`a-b>0 ② aÛ`¾0, aÛ`+bÛ`¾0
③ aÛ`+bÛ`=0`HjK`a=b=0 ④ |a|Û`=aÛ`, |ab|=|a||b|
⑤ a>0, b>0일 때, a>b`HjK`aÛ`>bÛ`
⑶ 여러 가지 절대부등식
a+b
① a>0, b>0일 때, ¾'aŒ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2
설명 a>0, b>0이므로 'aŒb='a'b
a+b a+b-2'aŒb` ('a)Û`-2'a'b+('b)Û` ('a-'b)Û`
   -'aŒb= = = ¾0
2 2 2 2

¾'aŒb이다. 여기서 등호는 'a-'b=0, 즉 a=b일 때 성립한다.


a+b
따라서
2

, 'aŒb 를 각각 a와 b의 산술평균, 기하평균이라고 하며 (산술평균)¾(기하평균)이 성


a+b
참고 a>0, b>0일 때,
2
립한다.
②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b|¾|a+b| (단, 등호는 ab¾0일 때 성립한다.)
설명 (|a|+|b|)Û`-|a+b|Û`=|a|Û`+2|a||b|+|b|Û`-(a+b)Û`
=aÛ`+2|ab|+bÛ`-(aÛ`+2ab+bÛ`)=2(|ab|-ab)
이때 |ab|¾ab이므로 (|a|+|b|)Û`-|a+b|Û`=2(|ab|-ab)¾0
따라서 (|a|+|b|)Û`¾|a+b|Û`이고 |a|+|b|¾0, |a+b|¾0이므로 |a|+|b|¾|a+b|
여기서 등호는 |ab|=ab, 즉 ab¾0일 때 성립한다.

2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3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실수 x에 대한 두 조건 p, q가 다음과 같다.
   p`:`(x-a)(x-b)+0, q`:`xÛ`-6x+5É0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도록 하는 두 정수 a, b에 대하여 b-a의 최댓값은? (단, a<b)

①1 ②2 ③3 ④4 ⑤5

풀이 전략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면 Q,P

풀이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자.
a<b이므로 조건 p의 진리집합은
   P={x|x+a이고 x+b}={x|x<a 또는 a<x<b 또는 x>b}
q`:`xÛ`-6x+5É0에서 ~q`:`xÛ`-6x+5>0
xÛ`-6x+5>0에서 (x-1)(x-5)>0, 즉 x<1 또는 x>5
그러므로 조건 ~q의 진리집합은
   Q‚` ={x|x<1 또는 x>5}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려면 Q‚` ,P이어야 하므로 1
2a 2a
   1Éa<bÉ5
 B C  Y
따라서 b-a의 값은 b=5, a=1일 때 최대이고, 최댓값은 5-1=4
 ④

다른 풀이 두 조건 p, q에 대하여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면 ~q jjK p


명제가 참이면 그 대우도 참이므로 ~p jjK q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 ={a, b}, Q={x|1ÉxÉ5}
이때 ~p jjK q, 즉 P‚` ,Q이려면 1Éa<bÉ5이어야 하므로 b-a의 최댓값은 4이다.

정답과 풀이 5쪽

[9007-0024 ]

유제 5 실수 x에 대한 두 조건
   p`:`x=a, q`:`xÛ`+ax-8=0
에 대하여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도록 하는 양의 상수 a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025 ]
x+k 'x+2
유제 6 모든 양수 x에 대하여 부등식 ¾¨
2
¾
2
가 성립하도록 하는 양수 k의 최솟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02 명제 21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5쪽

[9007-0026 ]

1 정수 x에 대한 조건 p가
   p`:`x<-3 또는 x>2
일 때, 조건 ~p의 진리집합의 모든 원소의 합은?

① -3 ② -2 ③ -1 ④0 ⑤1

[9007-0027 ]

2 명제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Û`=5-a이다.’
가 참이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댓값은?

① -1 ②1 ③3 ④5 ⑤7

[9007-0028 ]

3 실수 x에 대한 세 조건 p, q, r가
   p`:`x=3, q`:`|x|=3, r`:`0ÉxÉ3
일 때, 다음 중 그 역이 참인 명제는?

① p 2Ú q ② p 2Ú r ③ q 2Ú ~r ④ ~r 2Ú q ⑤ ~p 2Ú ~q

[9007-0029 ]

4 실수 x에 대한 두 조건
   p`:`x>a, q`:`x¾4
에 대하여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도록 하는 자연수 a의 최댓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030 ]

5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부등식 xÛ`+axy+yÛ`¾0이 성립하도록 하는 정수 a의 개수는?

①1 ②2 ③3 ④4 ⑤5

2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5쪽

[9007-0031 ]

1 실수 x에 대한 세 조건 p, q, r가
   p`:`xÉ-1, q`:`xÛ`>0, r`:`|x|<2
일 때, 다음 중 참인 명제는?

① q 2Ú p ② p 2Ú r ③ ~q 2Ú p ④ ~r 2Ú q ⑤ ~r 2Ú p

[9007-0032 ]

2 자연수 x에 대한 두 조건 p, q가 다음과 같다.


   p`:`xÛ`-2x>0, q`:`xÛ`+ax+b=0
~p가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되도록 하는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① -2 ② -4 ③ -6 ④ -8 ⑤ -10

[9007-0033 ]

3 전체집합 U에서 정의된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 하자.


   P;Q=P, Q‚` 'R=Q‚`
일 때, 보기에서 항상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ㄴ. q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ㄷ. r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9007-0034 ]

4 명제
   ‘kÉxÉkÛ`+1인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0<x<7이다.’
가 참이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① 0<k<'6 ② 0<k<7 ③ k<7 ④ kÉ'6 ⑤ kÉ6

02 명제 23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6쪽

[9007-0035 ]

1 전체집합 U={x|x는 100 이하의 자연수}의 원소 x에 대한 두 조건 p, q가 다음과 같다.

   p`:`;[^;은 자연수이다., q`:`x는 자연수 k와 서로소이다.

조건 p가 조건 ‘~p 또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도록 하는 두 자리의 자연수 k의 개수는?

① 28 ② 29 ③ 30 ④ 31 ⑤ 32

[9007-0036 ]

2 정수 전체의 집합의 부분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2인 집합 X에 대한 다음 두 명제가 모두 참이 되도록 하는 집


합 X의 개수는?

(가) 집합 X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xÛ`-7x+6<0이다.


(나) 집합 X의 어떤 원소 x에 대하여 xÛ`-4x¾0이다.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037 ]

3 점 A(-1, 0)과 함수 f(x)=xÛ`+x+4`(x¾0)이 있다. 함수 y=f(x)의 그래프 Z


ZG Y
위의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모든 점 P에 대하여 부등식
PHÓ 1
¾m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m의 최댓값은?
AHÓ
①2 ② ;4(; ③ ;2%; ④ :Á4Á: ⑤3

"
0 ) Y

[9007-0038 ]

4 실수 x에 대한 두 조건
   p`:`xÜ`-(a-3)xÛ`+ax-4=0,
   q`:`|2x-3|=b
에 대하여 명제 p 2Ú q가 참이 되도록 하는 정수 a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하자. M-m의 값을 구
하시오. (단, b는 상수이다.)

2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대표 기출 문제

출제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할 때 진리집합을 이용하는 문제, 조건의 진리집합을 구하는 문제, 명제의 부정, 역, 대우에 관련된
경향 문제가 출제된다. 또한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에 관한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다.

실수 x에 대한 두 조건 p, q가 다음과 같다.
   p`:`xÛ`-4x+3>0,
   q`:`xÉa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솟값은? [3점]

①5 ②4 ③3 ④2 ⑤1

2019학년도 대수능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일 때,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를 이해하여 주어진 실수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조건 ~p의 진리집합은 P‚` 이므로
   P‚` ={x|xÛ`-4x+3É0}
={x|1ÉxÉ3}
   Q={x|xÉa}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려면 P‚` ,Q이어야 하므로 2
1a
   a¾3
  B Y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3이다.
 ③

02 명제 25
03
수학영역

함수

1. 함수
⑴ 대응: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X, Y에 대하여 집합 X의 원소에 집합 Y의 원소를 짝지어 주는 것을 집합 X
에서 집합 Y로의 대응이라고 한다.
⑵ 함수: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X, Y에 대하여 집합 X의 각 원소에 집합 Y의 원소가 9
G
:
하나씩만 대응할 때, 이 대응을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함수라 하고, 기호로 정의역 공역

   f`:`X`2Ú`Y 치역
와 같이 나타낸다. 여기서 Y G Y

① 집합 X를 함수 f 의 정의역, 집합 Y를 함수 f 의 공역이라고 한다.


② 정의역 X의 원소 x에 공역 Y의 원소 y가 대응할 때, 이것을 기호로 y=f(x)와 같이 나타내고, f(x)를
함수 f 에 의한 x의 함숫값이라고 한다.
③ 함수 f 의 함숫값 전체의 집합 { f(x)|x<X}를 함수 f 의 치역이라고 한다.
참고 함수의 정의역이나 공역이 주어져 있지 않은 경우, 정의역은 함숫값이 정의되는 실수 전체의 집합, 공역은 실수 전
체의 집합으로 생각한다.

2. 함수의 그래프
함수 f`:`X`2Ú Y에서 정의역 X의 원소 x와 이에 대응하는 함숫값 f(x)의 순서쌍 전체의 집합
{(x, f(x))|x<X}를 함수 f 의 그래프라고 한다.
예 [그림 1]의 대응은 함수이고, 함수 f`:`X 2Ú Y에서 정의역은 X={1, 2, 3}, 공역은 Y={1, 2, 3, 4}, 치역은
{1, 2}이다. 또 f(1)=1, f(2)=2, f(3)=2이므로 함수 f 의 그래프는 {(1, 1), (2, 2), (3, 2)}이고, 이를 좌표평
면 위에 나타내면 [그림 2]와 같다.
Z
G 
9 :
  
ZG Y
 

 
 
0    Y

[그림 1] [그림 2]

참고 두 집합 X, Y가 실수 전체의 집합의 부분집합일 때, 함수 f`:`X 2Ú Y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함수의


그래프는 정의역의 각 원소 a에 대하여 직선 x=a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3. 서로 같은 함수
두 함수 f, g가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두 함수 f, g는 서로 같다고 하고, 기호로 f=g와 같이 나타낸다.
⑴ 정의역과 공역이 각각 서로 같다.
⑵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x)=g(x)이다.

2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1 함수

집합 X={-1, 1, a}에서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의 함수 f(x)=bxÛ`-2bx+3의 치역이 {-3, 5}일 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단, a+-1, a+1)

① -2 ② -1 ③0 ④1 ⑤2

풀이 전략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2이므로 f(-1), f(1), f(a) 중 어느 두 개의 값은 서로 같다.

풀이 b=0이면 f(x)=3이고 치역이 {3}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b+0


함수 f(x)=bxÛ`-2bx+3=b(x-1)Û`+3-b`(b+0)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2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두 점 (a, f(a)), (-1, f(-1))은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어야 한다.
따라서 a=3이고 f(a)=f(-1)이다.
이때 치역은 { f(-1), f(1)}={-3, 5}이다.
f(-1)=b+2b+3=3b+3, f(1)=b-2b+3=-b+3에서
Ú b>0일 때, f(-1)>f(1)이므로
   f(-1)=5, f(1)=-3
즉, 3b+3=5, -b+3=-3
위의 두 등식을 모두 만족시키는 b는 존재하지 않는다.
Û b<0일 때, f(-1)<f(1)이므로
   f(-1)=-3, f(1)=5
즉, 3b+3=-3, -b+3=5
그러므로 b=-2이다.
따라서 a+b=3+(-2)=1
 ④

정답과 풀이 8쪽

[9007-0039 ]

유제 1 집합 X={x|-1ÉxÉa}에서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의 함수 f(x)=x+b의 치역이 {y|2ÉyÉ5}


일 때, ab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①4 ②5 ③6 ④7 ⑤8

[9007-0040 ]

유제 2 집합 X={0, 2}에서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의 두 함수 f(x)=axÛ`+1, g(x)=-2x+aÛ`이 서로 같


을 때, 상수 a의 값은?

① -2 ② -1 ③0 ④1 ⑤2

03 함수 27
03
수학영역

함수

4. 여러 가지 함수
⑴ 일대일함수:함수 f`:`X`2Ú Y에서 정의역 X의 임의의 두 원소 xÁ, xª에 대하여 xÁ+xª이면 f(xÁ)+f(xª)
일 때, 함수 f 를 일대일함수라고 한다.
⑵ 일대일 대응:함수 f`:`X`2Ú Y가 일대일함수이고 치역과 공역이 서로 같을 때, 함수 f 를 일대일 대응이라
고 한다.
⑶ 항등함수:함수 f`:`X`2Ú X에서 정의역 X의 각 원소 x에 자기 자신인 x가 대응될 때, 즉 f(x)=x인 함
수 f 를 항등함수라고 한다.
⑷ 상수함수:함수 f`:`X`2Ú Y에서 정의역 X의 모든 원소 x에 공역 Y의 단 하나의 원소 c가 대응될 때, 즉
f(x)=c인 함수 f 를 상수함수라고 한다.

5. 합성함수
⑴ 합성함수
두 함수 f`:`X`2Ú Y, g`:`Y`2Ú Z에 대하여 집합 X의 임의의 원소 x HxG
G H
에 집합 Z의 원소 g( f(x))를 대응시키면 X를 정의역, Z를 공역으로 9 : ;
하는 새로운 함수를 얻는다. 이 함수를 함수 f 와 g의 합성함수라 하고,
기호로 g ç f 와 같이 나타낸다. 즉, Y G Y H G Y
   g ç f`:`X`2Ú Z, (g ç f)(x)=g( f(x))
예 두 함수 f(x)=x+1, g(x)=2x에 대하여
(g ç f)(x)=g( f(x))=g(x+1)=2(x+1)=2x+2
( f ç g)(x)=f(g(x))=f(2x)=2x+1
참고 함수 f 의 치역이 함수 g의 정의역의 부분집합일 때, 합성함수 g½f 를 정의할 수 있다.
⑵ 합성함수의 성질
세 함수 f, g, h에 대하여
① 일반적으로 함수의 합성에 대하여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g ç f+f ç g
② 함수의 합성에 대하여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hç(g ç f )=(h ç g)ç f
설명 ① ⑴의 예 와 같이 f(x)=x+1, g(x)=2x이면 g ç f+f ç g이다.
② (hç(g ç f ))(x)=h((g ç f )(x))=h(g( f(x)))
((h ç g)ç f )(x)=(h ç g)( f(x))=h(g( f(x)))
따라서 hç(g ç f )=(h ç g)ç f 이다.
참고 함수의 합성에서 g ç f=f ç g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f(x)=2x, g(x)=3x에서 (g ç f)(x)=( f ç g)(x)=6x이다.

2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2 합성함수

두 함수 f(x)=xÛ`, g(x)=2x+1에 대하여 등식


   ( f ç g)(a)=(g ç f )(a)
를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① -1 ② -2 ③ -3 ④ -4 ⑤ -5

풀이 전략 ( f ç g)(a)=f(g(a))이므로 g(a)의 값을 구한 후 f(g(a))의 값을 구한다.

풀이 g(a)=2a+1이므로
   ( f ç g)(a)=f(g(a))=f(2a+1)=(2a+1)Û`
f(a)=aÛ`이므로
   (g ç f)(a)=g( f(a))=g(aÛ`)=2aÛ`+1
( f ç g)(a)=(g ç f)(a)에서
   (2a+1)Û`=2aÛ`+1
   2aÛ`+4a=0
   2a(a+2)=0
   a=0 또는 a=-2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0+(-2)=-2
 ②

정답과 풀이 8쪽

[9007-0041 ]

유제 3 두 함수 f(x)=-3x+5, g(x)=4x+2가 있다. 함수 h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 ç f)(x)=g(x)를 만족시킬 때, h(-1)의 값은?

①6 ②7 ③8 ④9 ⑤ 10

[9007-0042 ]

유제 4 집합 X={1, 2, 3, 4}에서 X로의 세 함수 f, g, h가 있다. 함수 f 는 그림과 같 9


G
9
고, 두 함수 g, h는 각각 항등함수, 상수함수이다. f(4)=g(1)+h(1)일 때,  
 
( f ç h)(4)+g(2)의 값은?
 
 
①3 ②4 ③5 ④6 ⑤7

03 함수 29
03
수학영역

함수

6. 역함수
⑴ 역함수
함수 f`:`X`2Ú Y가 일대일 대응일 때, 집합 Y의 임의의 원소 y에 f(x)=y인 집 G ‘˜
G
합 X의 원소 x를 대응시키면 집합 Y를 정의역, 집합 X를 공역으로 하는 새로운 9 :

함수를 얻는다. 이 함수를 f 의 역함수라 하고, 기호로 f ÑÚ`와 같이 나타낸다. 즉,


Y Z
   f ÑÚ``:`Y`2Ú X, x=f ÑÚ`(y) YG ‘˜ Z ZG Y
참고 함수 f 의 역함수 f -1가 존재 HjK f 가 일대일 대응

예 [그림 1]과 같은 함수 f`:`X`2Ú Y에 대하여 역함수 G G ‘˜


9 : : 9
f ÑÚ``:`Y`2Ú X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1] [그림 2]
⑵ 역함수의 성질
두 함수 f`:`X`2Ú Y, g`:`Y`2Ú Z가 일대일 대응일 때
① y=f(x) HjK x=f ÑÚ`(y)
② ( f ÑÚ` ç f)(x)=x (x<X), ( f ç f ÑÚ`)(y)=y (y<Y)
③ ( f ÑÚ`)ÑÚ`=f
④ ( g ç f )ÑÚ`=f ÑÚ`çg ÑÚ`
⑶ 역함수 구하는 법
일반적으로 일대일 대응인 함수 y=f(x)의 역함수 y=f ÑÚ`(x)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y=f(x) 111111Ú`x=f ÑÚ`(y) 111111Ú`y=f ÑÚ`(x)


x에 대하여 푼다. x와 y를 서로 바꾼다.

⑷ 역함수의 그래프
일대일 대응인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설명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임의의 점을 P(a, b)라 하면 Z ZG Y ZY
   b=f(a) HjK a=f ÑÚ`(b) 1 B C

이므로 점 Q(b, a)는 함수 y=f ÑÚ`(x)의 그래프 위의 점이다. ZG ‘˜ Y


이때 두 점 P(a, b), Q(b, a)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함수 y=f(x),
y=f -1(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2 C B

0 Y

3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3 역함수

x+4 (x<2)
함수 f(x)=[ 에 대하여 f(3)+f -1(3)의 값은?
xÛ`-2x+6 (x¾2)
①7 ②8 ③9 ④ 10 ⑤ 11

풀이 전략 ⑴ 함수 f`:`X`2Ú Y가 일대일 대응일 때, f 의 역함수 f ÑÚ`가 존재하고 f -1`:`Y`2Ú X이다.


⑵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할 때, y=f(x) HjK x=f -1(y)

풀이 f(3)=3Û`-2_3+6=9 Z ZG Y
f -1(3)=a라 하면 f(a)=3 
x<2일 때, f(x)=x+4<6이고, x¾2일 때, f(x)=(x-1)Û`+5¾6이므로

f(a)=3이려면 a<2이어야 한다. 
즉, f(a)=a+4=3이므로 
   a=-1 
 0   Y
따라서 f -1(3)=-1이므로
   f(3)+f -1(3)=9+(-1)=8
 ②

정답과 풀이 8쪽

[9007-0043 ]

유제 5 두 함수 f(x)=2x+a, g(x)=xÜ`에 대하여 ( f -1 ç g)(-1)=3을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은?

① -1 ② -3 ③ -5 ④ -7 ⑤ -9

[9007-0044 ]

유제 6 집합 X={1, 2, 3, 4, 5}에서 X로의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하고,


   f(5)-f(3)=4, ( f -1 ç f -1)(3)=2
일 때, f(1)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03 함수 31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8쪽

[9007-0045 ]

1 그림은 함수 f`:`X 2Ú X를 나타낸 것이다. f(3)+( f ç f )(3)의 값은? 9


G
9

①3 ②4 ③5 ④6 ⑤7  
 
 
 

[9007-0046 ]

2 집합 X={2, a}에서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의 두 함수 f, g가


   f(x)=xÛ`, g(x)=x+b
이다. 두 함수 f, g가 서로 같도록 하는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단, a+2)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047 ]

3 집합 X={2, 4, 6}에서 X로의 세 함수 f, g, h가 각각 일대일 대응, 항등함수, 상수함수이다.


f(2)=g(2)=h(2), f(4)=g(4)+h(4)일 때, f(6)+g(6)+h(6)의 값을 구하시오.

[9007-0048 ]

4 함수 f(x)=ax+b에 대하여 f(-1)=5, f -1(1)=3일 때, 두 상수 a, b의 합 a+b의 값은? (단, a+0)

①2 ② ;2%; ③3 ④ ;2&; ⑤4

[9007-0049 ]

5 두 함수 f(x)=3x-1, g(x)=xÜ`에 대하여 (g ç( f ç g)-1ç g)(2)의 값은?

① -1 ②0 ③1 ④2 ⑤3

3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9쪽

[9007-0050 ]

1 그림과 같은 함수 f`:`X`2Ú X에 대하여 함수 f ç g가 상수함수가 되도록 하는 함수 9


G
9
g`:`X`2Ú X의 개수는?  
 
①3 ②5 ③7 ④9 ⑤ 11
 

[9007-0051 ]

2 두 함수 f, g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의 일대일 대응이고,


   g(2)=3, ( f -1 ç g)(x)=4x+11
을 만족시킬 때, (g-1 ç( f ç g))(2)의 값은?

① -4 ② -2 ③0 ④2 ⑤4

[9007-0052 ]

3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f(-1)=0, f(3)=0이다. 방정식 Z ZG Y

( f ç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3이고 이 세 실근을 a, b, c라 할 때,


abc의 값은?
  Y
① -11 ② -12 ③ -13 ④ -14 ⑤ -15
0

[9007-0053 ]
-x (x<0)
4 함수 f(x)=[ 에 대하여 방정식 f(x)_f -1(x)=8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은?
-;2!;x (x¾0)

① -2 ② -1 ③0 ④1 ⑤2

[9007-0054 ]

5 그림과 같이 집합 X={x|0ÉxÉ5}에서 X로의 함수 y=f(x)의 그래프는 점 Z


ZG Y
(0, 5), (1, 2), (4, 1), (5, 0)을 이 순서대로 선분으로 연결한 것과 같다. 

f(x)-f -1(x)의 값이 정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x의 개수는?

①3 ②4 ③5 ④6 ⑤7 


0      Y

03 함수 33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10쪽

[9007-0055 ]

1 두 함수 f, g가
-x-1 (x<0)
   f(x)=[ , g(x)=axÛ`+ax-2
2x-1 (x¾0)
일 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f ç g)(x)¾0이 되도록 하는 정수 a의 개수는?

①3 ②4 ③5 ④6 ⑤7

[9007-0056 ]

2 그림과 같이 집합 X={x|0ÉxÉ5}에서 X로의 함수 y=f(x)의 그래프는 Z


ZG Y
점 (0, 0), (1, 5), (2, 0), (3, 2), (4, 2), (5, 0)을 이 순서대로 선분으로 연결 

한 것과 같다. 방정식 f(x)+( f ç f)(x)=5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을 구하

시오. 


0      Y

[9007-0057 ]

3 그림과 같이 일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y=x와 점 A에서 만나고 Z ZH Y 


ZY
두 직선 y=f(x), y=x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30ù이다. 함수 f의 역함수 #
를 g라 할 때, 함수 y=g(x-3)+3의 그래프는 직선 y=x와 점 B에서 만
ZG Y
난다. 두 함수 y=f(x), y=g(x-3)+3의 그래프의 교점을 P라 할 때, ±
" 1
삼각형 APB의 넓이는?

3'3 0 Y
① '3 ② ③ 2'3
2
5'3
④ ⑤ 3'3
2

3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대표 기출 문제

출제 함수의 대응 관계 또는 함수식이 주어진 경우에 함숫값, 합성함수나 역함수의 함숫값을 구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었다. 최
경향 근에는 함수의 그래프나 역함수의 그래프를 활용하는 난이도 높은 문제가 출제되기도 하였다.

그림은 함수 f`:`X`2Ú X를 나타낸 것이다.


G
9 9
 
 
 
 

f(4)+( f ç f )(2)의 값은? [3점]

①3 ②4 ③5 ④6 ⑤7

2019학년도 대수능

함수의 대응 관계가 주어진 경우에 함숫값과 합성함수의 함숫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주어진 그림에서
   f(4)=1
또 f(2)=3이므로
   ( f ç f)(2)=f( f(2))
=f(3)=4
따라서 f(4)+( f ç f)(2)=1+4=5 ③

03 함수 35
04
수학영역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1. 유리식
A
⑴ 두 다항식 A, B`(B+0)에 대하여 의 꼴로 나타내어지는 식을 유리식이라고 한다. 특히 B가 0이 아닌
B
A
상수이면 는 다항식이므로 다항식도 유리식이다.
B
x xÛ`+1 xÛ`+1
예 , ;[!;, 은 모두 유리식이다. 특히 은 다항식이다.
x-1 2 2
⑵ 유리식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유리수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다.
x xÛ` x-1 xÛ`+(x-1) xÛ`+x-1
예 +;[!;= + = =
x-1 x(x-1) x(x-1) x(x-1) x(x-1)
x xÛ` x-1 xÛ`-(x-1) xÛ`-x+1
-;[!;= - = =
x-1 x(x-1) x(x-1) x(x-1) x(x-1)
x x 1 x x xÛ`
_;[!;= = , Ö;[!;= _x=
x-1 x(x-1) x-1 x-1 x-1 x-1

2. 유리함수의 뜻
함수 y=f(x)에서 f(x)가 x에 대한 유리식일 때, 이 함수를 유리함수라고 한다. 특히 f(x)가 x에 대한 다항식
일 때, 이 함수를 다항함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유리함수 y=f(x)의 정의역이 주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분모
가 0이 되지 않도록 하는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한다.
x xÛ`+1 xÛ`+1
예 함수 y= , y=;[!;, y= 은 모두 유리함수이다. 특히 함수 y= 은 다항함수이다. 함수 y=;[!;의 정
x-1 2 2
x
의역은 {x|x+0인 실수}이고, 함수 y= 의 정의역은 {x|x+1인 실수}이다.
x-1

3. 유리함수 y=;[K;`(k+0)의 그래프

⑴ 정의역과 치역은 모두 0이 아닌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Z Z:* Z:* Z


L L
⑵ k>0이면 그래프는 제1사분면, 제3사분면에 있고 L L
L L
k<0이면 그래프는 제2사분면, 제4사분면에 있다. LÅ
LÅ
⑶ 원점과 두 직선 y=x,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Y
0 Y 0
⑷ |k|의 값이 커질수록 그래프는 원점에서 멀어진다.
L 점근선 점근선 L
L
⑸ 점근선은 x축(직선 y=0), y축(직선 x=0)이다. L
LÅ LÅ
참고 곡선 위의 점이 어떤 직선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이 직선을
그 곡선의 점근선이라고 한다.

3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1 유리함수 y=;[K;`(k+0)의 그래프

좌표평면 위의 네 점 A(10, 10), B(-10, 10), C(-10, -10), D(10, -10)을 꼭짓점으로 하는 정사각형

ABCD가 있다. 함수 y=;[K;`(k+0)의 그래프가 정사각형 ABCD와 네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정수 k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M,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전략 함수 y=;[K;`(k+0)의 그래프는 |k|의 값이 커질수록 원점에서 멀어진다.

풀이 Ú k>0인 경우  Z 


Z:
Z:
함수 y=;[K;의 그래프가 정사각형 ABCD의 꼭짓점 A(10, 10),  "
# Z:Å
C(-10, -10)을 지나면 k=xy=10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의 정수 k의 값은 0  Y

   k=1, 2, 3, y, 99 $ %


Û k<0인 경우 


Z:
Z 
Z:
함수 y=;[K;의 그래프가 정사각형 ABCD의 꼭짓점 B(-10, 10), 
Z:Å
# "
D(10, -10)을 지나면 k=xy=-10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음의 정수 k의 값은  0 Y
   k=-99, -98, -97, y, -1 $  %
Ú, Û에서 정수 k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각 99, -99이다.
즉, M=99, m=-99이므로
   M-m=99-(-99)=198
 198

정답과 풀이 12쪽

[9007-0058 ]

유제 1 함수 y=
kÛ`-3k+4
x
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곡선이 함수 y=-;[@;의 그래프와 일치하

도록 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9007-0059 ]

유제 2 두 함수 y=;[#;, y=-;[#;의 그래프가 직선 x=1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C라 하고 직선 y=1과 만나

는 점을 각각 B, D라 할 때, 사각형 ADCB의 넓이는?

① 12 ② 14 ③ 16 ④ 18 ⑤ 20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37
04
수학영역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k
4. 유리함수 y= x-p +q`(k+0)의 그래프

⑴ 함수 y=;[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 L
Z L
Z R
YQ
동한 것이다. ZR R

⑵ 정의역은 {x|x+p인 실수}이고, 치역은 {y|y+q인 실수}이다. Z:*


⑶ 두 점근선은 x=p, y=q이다. 0 Q Y

참고 함수 y=;[K;의 그래프가 원점과 두 직선 y=x,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를 YQ


k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한 함수 y= +q의 그
x-p
래프는 점 (p, q)와 두 직선 y=(x-p)+q, y=-(x-p)+q에 대하여 대칭이다.

ax+b
5. 유리함수 y= cx+d `(c+0, ad-bc+0)의 그래프

ax+b ax+b k
함수 y= 의 그래프는 y= 를 y= +q의 꼴로 변형하여 그릴 수 있다.
cx+d cx+d x-p
x-1 x-1 (x-2)+1 1 x-1
예 함수 y= 에서 = = +1이므로 함수 y= 의 그래 Z Y
x-2 x-2 x-2 x-2 x-2 Z
Y
프는 함수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
Å
x-1 Z 
한 것이다. 따라서 함수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두 점근선은 x=2, y=1
x-2
이다. 0   Y
Y

6. 무리식
⑴ 근호 안에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식 중에서 유리식으로 나타낼 수 없는 식을 무리식이라고 한다.
'x, 'Äx-1,
1
은 모두 무리식이다.
'x-1

⑵ 무리식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무리수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다.


'x 1 'x('x-1)+('x+1) (x-'x)+('x+1) x+1
+ = = =
'x+1 'x-1

('x+1)('x-1) x-1 x-1

7. 무리함수
함수 y=f(x)에서 f(x)가 x에 대한 무리식일 때, 이 함수를 무리함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무리함수 y=f(x)
의 정의역이 주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근호 안의 식의 값이 0 이상이 되도록 하는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
로 한다.
예 함수 y='Äx-1, y="Ã1-xÛ`은 모두 무리함수이고 각 함수의 정의역은 {x|x¾1}, {x|-1ÉxÉ1}이다.

3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2 유리함수 y= k
x-p
+q`(k+0)의 그래프

3x+7
함수 y= 의 그래프가 직선 y=x+p에 대하여 대칭일 때, 상수 p의 값은?
x+2

① ;2&; ②4 ③ ;2(; ④5 ⑤ :Á2Á:

유리함수 y= k
풀이 전략 +q`(k+0)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은 x=p, y=q이고, 이 함수의 그래프는 점 (p, q)와 두 직선
x-p
y=(x-p)+q, y=-(x-p)+q에 대하여 대칭이다.

3x+7 3x+7 3(x+2)+1 1 Z


풀이 함수 y= 에서 = = +3이므로 Y ZY Q
x+2 x+2 x+2 x+2
3x+7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x+2 Z
Y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Z

3x+7
이때 함수 y=;[!;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y= 의
x+2 0 Y
그래프는 직선 y=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 

한 직선 y-3=x+2, 즉 y=x+5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p=5이다.
 ④

3x+7
참고 함수 y= 의 그래프는 직선 y=-x+1에 대해서도 대칭이다.
x+2

정답과 풀이 12쪽

[9007-0060 ]

유제 3 함수 y=
4x-11
x-3
의 역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과 함수 y=
ax+3
x+b
`(ab+3)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

이 서로 일치할 때, a+b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① -2 ② -1 ③0 ④1 ⑤2

[9007-0061 ]

유제 4 함수 y=
ax
x+b
`(ab+0)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이 x=-2, y=c이고, 이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3에 대하여 대칭이다. a+b+c의 값은? (단, a, b, c는 상수이다.)

①1 ②2 ③3 ④4 ⑤5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39
04
수학영역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8. 무리함수 y='¶ax, y=-'¶ax`(a+0)의 그래프


⑴ 함수 y='¶ax의 그래프
① a>0일 때, 정의역은 {x|x¾0}, 치역은 {y|y¾0}이므로 ZBY B Z ZBY B
B    B
원점과 제1사분면을 지난다. B B
② a<0일 때, 정의역은 {x|xÉ0}, 치역은 {y|y¾0}이므로 B B

원점과 제2사분면을 지난다.  


 0 Y
⑵ 함수 y=-'¶ax의 그래프
B B
① a>0일 때, 정의역은 {x|x¾0}, 치역은 {y|yÉ0}이므로 B B

B  B
원점과 제4사분면을 지난다.
ZBY B ZBY B
② a<0일 때, 정의역은 {x|xÉ0}, 치역은 {y|yÉ0}이므로
원점과 제3사분면을 지난다.
⑶ 함수 y='x는 정의역 {x|x¾0}에서 공역 {y|y¾0}으로의 일대일 대응이므로 역 Z ZY™A Yy
ZY
함수가 존재한다. 함수 y='x 를 x에 대하여 풀면 x=yÛ``(y¾0)이고,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xÛ``(x¾0)이다. 이때 두 함수 y='x, y=xÛ``(x¾0)은
 ZY
서로 역함수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참고 무리함수 y='aŒx, y=-'aŒx의 그래프는 |a|의 값이 커질수록 x축에서 멀어진다. Y
0 

9. 무리함수 y="Ãa(x-p)+q`(a+0), y=-"Ãa(x-p)+q`(a+0)의 그래프


⑴ 함수 y="Ãa(x-p)+q의 그래프
① 함수 y='¶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B
Z
B
Z
ZÃBÂ ÂYÂÁÄÂQ R ZÃBÂ ÂYÂÁÄÂQ R
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
동한 것이다. R ZBY R
ZBY
② 정의역은 {x|a(x-p)¾0}, 0 Q Y 0 Q Y
치역은 {y|y¾q}이다.
⑵ 함수 y=-"Ãa(x-p)+q의 그래프
① 함수 y=-'¶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② 정의역은 {x|a(x-p)¾0}, 치역은 {y|yÉq}이다.
예 함수 y='Ä2x-4+1에서 'Ä2x-4+1="Ã2(x-2)+1이므로 함수 y='Ä2x-4+1의 그래 Z
프는 함수 y='2Œ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 ZY 

이다. 따라서 함수 y='Ä2x-4+1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ZY




0  Y

4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3 무리함수 y="Ãa(x-p)+q`(a+0)의 그래프

정의역이 {x|x<a}인 함수 y='Ä2a-2x-aÛ`-a+2의 그래프가 오직 하나의 사분면만을 지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댓값, 최솟값을 각각 M, m이라 하자. M+m의 값은?

① -2 ② -1 ③0 ④1 ⑤2

풀이 전략 무리함수 y='Ä-2x 의 그래프는 원점과 제2사분면을 지난다.

풀이 함수 y='Ä-2x`(x<0)의 그래프는 제2사분면을 지나고 함수 y="Ã-2(x-a)-aÛ`-a+2`(x<a)의 그래프는


함수 y='Ä-2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aÛ`-a+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함수 y='Ä2a-2x-aÛ`-a+2`(x<a)의 그래프가 오직 하나의 사분면만을 지나기 위해서는 점 (a, -aÛ`-a+2)
가 제2사분면 또는 x축의 xÉ0인 부분 또는 y축의 y¾0인 부분 위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실수 a는 연립부등식 Z
ZBYB™ B  YB
aÉ0 yy`㉠
   [
-aÛ`-a+2¾0 yy`㉡
B™ B 
을 만족시켜야 한다. ZY Y
㉡에서 aÛ`+a-2É0, (a+2)(a-1)É0
B 0 Y
   -2ÉaÉ1   yy`㉢
㉠, ㉢에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2ÉaÉ0
이므로 최댓값 M=0, 최솟값 m=-2이다.
따라서 M+m=0+(-2)=-2
 ①

정답과 풀이 13쪽

[9007-0062 ]

유제 5 함수 f(x)=5-'Ä3x-6의 정의역이 {x|x¾a}, 치역이 {y|yÉb}일 때,


함수 g(x)=3-'Ä6-x`(aÉxÉb)의 최댓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① -1 ②0 ③1 ④2 ⑤3

[9007-0063 ]

유제 6 함수 y='Ä4-2x+2의 역함수의 그래프와 직선 y=-2x+k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자연수


k의 개수는?

①2 ②4 ③6 ④8 ⑤ 10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41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14쪽

[9007-0064 ]

1 함수 y=;[*;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만나는 두 점을 A, C라 하고, 함수 y=-;[$;의 그래프와 직선 y=-x

가 만나는 두 점을 B, D라 할 때, 사각형 ABCD의 넓이는? (단, 두 점 A, D의 x좌표는 모두 양수이다.)

① 4'2 ②8 ③ 8'2 ④ 16 ⑤ 16'2

[9007-0065 ]

2 함수 y=;[!;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일치시킬 수 있는 그래프를 나타내는 함수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2x+3 2x 2x+3
ㄱ. y= ㄴ. y= ㄷ. y=
x-1 2x-3 x+1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9007-0066 ]

3
b
두 점근선이 x=2, y=-1인 함수 y= +c의 그래프가 점 (0, -2)를 지날 때, a+b+c의 값은?
x-a
 (단, a, b, c는 상수, b+0)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067 ]

4 좌표평면에서 함수 y=-'2Œx의 그래프는 원점과 제m사분면을 지나고, 그 역함수의 그래프는 원점과 제n사
분면을 지난다. 10m+n의 값은?

① 22 ② 24 ③ 33 ④ 42 ⑤ 44

[9007-0068 ]

5 좌표평면에서 함수 y=1-a'Ä2-2x의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의 개수가 2가 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은?


 (단, a>0)

'2 '3
① ② ③1 ④ '2 ⑤ '3
2 2

4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15쪽

[9007-0069 ]

1
2
두 함수 y=;[@;, y= 의 그래프와 두 직선 y=;5@;, y=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x-2

① :Á5ª: ② :Á5¢: ③ :Á5¤: ④ :Á5¥: ⑤4

[9007-0070 ]

2
3x-1
함수 y= 의 그래프가 두 직선 y=x+a, y=-x+b에 대하여 대칭일 때, a+b의 값은?
x-1
 (단, a, b는 상수이다.)

① -2 ②0 ③2 ④4 ⑤6

[9007-0071 ]

3 함수 y=
-3x+5
x-2
의 그래프는 함수 y=;[A;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것이고, 점근선은 x=b, y=c이다. 함수

f(x)='Äax+b+c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b, c는 상수, a+0)


보기

ㄱ.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x 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일치시킬 수 있다.


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제3사분면을 지난다.
ㄷ.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f -1(x)의 그래프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①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9007-0072 ]

4 함수 f(x)=;4!;(x+1)Û`-1`(x¾-1)의 역함수가 f ÑÚ`(x)=a'Äx+1+b`(x¾-1)일 때, f ÑÚ`(2a+b)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①1 ②3 ③5 ④7 ⑤9

[9007-0073 ]

5 함수 y=3-'Äx+2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최댓값은?

'2
① ;2!; ② ③1 ④ '2 ⑤2
2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43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16쪽

[9007-0074 ]

1 함수 y=
-4x+kÛ`+k-6
x+1
의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도록 하는 10 이하의 자연수 k의 개수는?

①5 ②6 ③7 ④8 ⑤9

[9007-0075 ]

2 함수 f(x)=a'Äx-b+c에 대하여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이 두 점 Z

(b, c), (2, 0)을 지나고, D

   f ÑÚ`(x)=;4!;(x-2)Û`+b (xÉ2)
0 C  Y
bx-c
이다. 함수 g(x)=-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
x-a ZG Y

은? (단, a, b, c는 상수, a+0, b<2)


보기
ㄱ. 함수 y=g(x)의 그래프는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ㄴ. 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3에 대하여 대칭이다.
ㄷ. 점 (-2, -1)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나는 직선을 그을 수 있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9007-0076 ]

3 함수 y=
3x-4
x
의 그래프와 함수 y='Ä2a-x+a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실수 a의 최댓값

을 M, 최솟값을 m이라 하자. M+m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077 ]

4 함수 y=xÛ`+1`(x¾0)의 그래프에 접하는 직선 lÁ과 함수 y='Äx-1의 그래프에 접하는 직선 lª가 다음 조건


을 만족시킨다.

(가) 두 직선 lÁ, lª는 점 (2, 2)를 지난다.


(나) 두 직선 lÁ, lª의 기울기는 모두 1보다 크다.

두 직선 lÁ, lª의 기울기의 곱이 a+b'3일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유리수이다.)

4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대표 기출 문제
유리함수와 무리함수의 그래프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는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출제
점근선의 방정식, 대칭인 직선의 방정식을 찾는 문제, 무리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에 따른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고 이를 이용
경향
하여 해결하는 문제 등이 출제되고 있다.

1
좌표평면에서 곡선 y= +3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내부에 포함되고 x좌표와 y좌표가 모
2x-8
두 자연수인 점의 개수는? [3점]

①3 ②4 ③5 ④6 ⑤7

2018학년도 대수능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함수식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1 1 1
풀이 함수 y= +3에서 +3= +3이므로
2x-8 2x-8 2(x-4)
1 1
함수 y= +3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
2x-8 2x
이동한 것이다.
1 Z
이때 f(x)= +3이라 하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ZG Y
2x-8
같고,

Z
   f(1)=3-;6!;, f(2)=3-;4!;, f(3)=3-;2!; 
이므로 

   2<f(n)<3 (단, n=1, 2, 3) 0    Y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좌표는 Y

   (1, 1), (1, 2), (2, 1), (2, 2), (3, 1), (3, 2)
이고, 구하는 점의 개수는 6이다.
 ④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45
05
수학영역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1. 수열의 뜻과 일반항
⑴ 수열의 뜻:차례로 늘어놓은 수의 열을 수열이라 하고, 수열을 이루고 있는 각 수를 그 수열의 항이라고 한다.
이때 각 항을 앞에서부터 차례로 첫째항, 둘째항, 셋째항, y, n째항, y 또는 제1항, 제2항, 제3항, y, 제n
항, y이라고 한다.
⑵ 수열의 일반항:수열을 나타낼 때는 각 항에 번호를 붙여
   aÁ, aª, a£, y, an, y
과 같이 나타내고, 제n항 an을 이 수열의 일반항이라고 한다. 또 일반항이 an인 수열을 간단히 {an}으로 나타
낸다.
설명 수열의 제n항 an이 n에 대한 식으로 주어지면 n에 1, 2, 3, y을 대입하여 수열의 모든 항을 구할 수 있다.

2. 등차수열의 뜻과 일반항
⑴ 등차수열의 뜻:첫째항부터 차례로 일정한 수를 더하여 얻어지는 수열을 등차수열이라 하고, 더하는 일정한
수를 공차라고 한다.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n}에서
   an+1=an+d, 즉 an+1-an=d (n=1, 2, 3, y)
⑵ 등차수열의 일반항: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n}의 일반항 an은
   an=a+(n-1)d (n=1, 2, 3, y)
설명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n}의 각 항은 다음과 같다.
   aÁ=a
   aª=aÁ+d=a+d
   a£=aª+d=(a+d)+d=a+2d
   a¢=a£+d=(a+2d)+d=a+3d
   ⋮
따라서 일반항 an은 an=a+(n-1)d (n=1, 2, 3, y)
예 첫째항이 2, 공차가 3인 등차수열 {an}의 일반항 an은
   an=2+(n-1)_3=3n-1 (n=1, 2, 3, y)

3. 등차중항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b를 a와 c의 등차중항이라고 한다.
이때 b-a=c-b이므로
a+c
   2b=a+c, 즉 b=
2
가 성립한다.
a+c
역으로 b= 이면 b-a=c-b이므로 b는 a와 c의 등차중항이다.
2
2+8
예 세 수 2, x, 8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면 x는 2와 8의 등차중항이므로 x= =5이다.
2

4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1 등차수열의 일반항

등차수열 {an}에 대하여


   aª=5, a¢+a°=25
일 때, aÁ¼의 값은?

① 27 ② 28 ③ 29 ④ 30 ⑤ 31

풀이 전략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n}의 일반항이 an=a+(n-1)d임을 이용한다.

풀이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ª=aÁ+d=5   yy`㉠
   a¢+a°=(aÁ+3d)+(aÁ+4d)=2aÁ+7d=25   yy`㉡
㉠_2-㉡을 하면
   -5d=-15, d=3
d=3을 ㉠에 대입하면
   aÁ+3=5, aÁ=2
따라서 aÁ¼=aÁ+9d=2+9_3=29
 ③

다른 풀이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a°=(aª+2d)+(aª+3d)=2aª+5d=25
에서 aª=5이므로 2_5+5d=25, d=3
따라서 aÁ¼=aª+8d=5+8_3=29

정답과 풀이 19쪽

[9007-0078 ]

유제 1 등차수열 {an}에 대하여


   a¢-aª=4, aÁ+a£+a°=27
일 때, a¥의 값은?

① 18 ② 19 ③ 20 ④ 21 ⑤ 22

[9007-0079 ]

유제 2 수열 {an}에 대하여
   an=nÛ`+n (n=1, 2, 3, y)
이고 세 수 aÁ, ak, aÁ¼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자연수 k의 값을 구하시오.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47
05
수학영역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4. 등차수열의 합
⑴ 첫째항이 a, 제n항이 l인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Ç은
n(a+l)
   SÇ=
2
⑵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Ç은
n{2a+(n-1)d}
   SÇ=
2
설명 ⑴ 첫째항이 a, 공차가 d, 제n항이 l인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Ç이라 하면
   SÇ=a+(a+d)+(a+2d)+y+(l-2d)+(l-d)+l   yy`㉠ B M
㉠의 우변의 항을 역순으로 나타내면 B E ME
B E ME
   SÇ=l+(l-d)+(l-2d)+y+(a+2d)+(a+d)+a   yy`㉡ O개

U
㉠+㉡에서 ME B E
ME B E
   2SÇ=(a+l)+(a+l)+(a+l)+y+(a+l)+(a+l)+(a+l) M B
(
|
|
|
|
|
{
|
|
|
|
|
9
n개 B M
   =n(a+l)
n(a+l)
따라서 SÇ=
2
⑵ ⑴에서
   l=a+(n-1)d
이므로
n(a+l) n{a+a+(n-1)d} n{2a+(n-1)d}
   SÇ= = =
2 2 2
예 ⑴ 첫째항이 5이고 제20항이 32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20항까지의 합 Sª¼은
20(5+32)
   Sª¼= =370
2
⑵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6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 SÁ¼은
10{2_1+(10-1)_6}
   SÁ¼= =280
2
참고 수열의 일반항과 합 사이의 관계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자.
Ú n=1일 때,
   SÁ=aÁ
Û n¾2일 때,
   Sn-1=aÁ+aª+a£+y+an-1,
   Sn =aÁ+aª+a£+y+an-1+an
이므로
   Sn-Sn-1=an
aÁ=SÁ
따라서 [
an=Sn-Sn-1 (n¾2)

4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2 등차수열의 합

등차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자. aÁ=2, a°=8일 때, SÁª의 값은?

① 121 ② 122 ③ 123 ④ 124 ⑤ 125

풀이 전략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면


n{2a+(n-1)d}
Sn= 이다.
2

풀이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aÁ+4d=2+4d=8이므로 d=;2#;

12{2_2+11_;2#;}
따라서 SÁª= =123
2
 ③

다른 풀이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aÁ+4d=2+4d=8이므로 d=;2#;

이때 aÁª=2+11_;2#;=:£2¦:이므로

12{2+:£2¦:}
12(aÁ+aÁª)
   SÁª= = =123
2 2

정답과 풀이 19쪽

[9007-0080 ]

유제 3 등차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자. aª=5, S°=45일 때, SÁ¼의 값은?

① 160 ② 170 ③ 180 ④ 190 ⑤ 200

[9007-0081 ]

유제 4 등차수열 {an}에 대하여


   a£+a»=54
이다.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할 때, SÁÁ의 값을 구하시오.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49
05
수학영역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5. 등비수열의 뜻과 일반항
⑴ 등비수열의 뜻:첫째항부터 차례로 일정한 수를 곱하여 얻어지는 수열을 등비수열이라 하고, 곱하는 일정한
수를 공비라고 한다.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Ç}에서
   aÇ*Á=aÇ_r (n=1, 2, 3, y)
⑵ 등비수열의 일반항: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n}의 일반항 aÇ은
   aÁ=a, aÇ=arÇ` ÑÚ` (n=2, 3, 4, y)
설명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Ç}의 각 항은 다음과 같다.
   aÁ=a
   aª=aÁr=ar
   a£=aªr=(ar)r=arÛ`
   a¢=a£r=(arÛ`)r=arÜ`
   ⋮
따라서 일반항 aÇ은
   aÁ=a, aÇ=arÇ` ÑÚ``(n=2, 3, 4, y)
예 ① 첫째항이 5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 {aÇ}의 일반항 aÇ은
   aÁ=5, aÇ=5_2Ç` ÑÚ` (n=2, 3, 4, y)
② 등비수열 {an}이

   1, -;3!;, ;9!;, -;2Á7;, y

일 때, 첫째항이 1, 공비가 -;3!;이므로 등비수열 {aÇ}의 일반항 aÇ은

   aÁ=1, an={-;3!;}
n-1
(n=2, 3, 4, y)

6. 등비중항

0이 아닌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룰 때, b를 a와 c의 등비중항이라고 한다. 이때 ;aB;=;bC;이므로

   bÛ`=ac
가 성립한다.

역으로 bÛ`=ac이면 ;aB;=;bC;이므로 b는 a와 c의 등비중항이다.


예 세 수 3, x, 12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면 x는 3과 12의 등비중항이므로
   xÛ`=3_12=36
즉, x=-6 또는 x=6

5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3 등비수열의 일반항

모든 항이 양수인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aÁ+a£=15, a°-a£=6aª
일 때, a¤의 값은?

① 80 ② 84 ③ 88 ④ 92 ⑤ 96

풀이 전략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Á=a, an=arn-1`(n=2, 3, 4, y)이다.

풀이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자.


aÁ+a£=15에서
   aÁ+aÁrÛ`=15, aÁ(1+rÛ`)=15   yy`㉠
또 a°-a£=6aª에서
   aÁrÝ`-aÁrÛ`=6aÁr
   aÁr(rÜ`-r-6)=0, aÁr(r-2)(rÛ`+2r+3)=0
이때 등비수열 {an}의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aÁ>0, r>0이다.
따라서 r=2   yy`㉡
㉡을 ㉠에 대입하면
   aÁ_5=15, aÁ=3
따라서 a¤=3_2Þ`=96
 ⑤

정답과 풀이 19쪽

[9007-0082 ]

유제 5 첫째항이 2이고 공비가 양수인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aªa£=a¤일 때, a¥의 값은?

① 4'2 ② 8'2 ③ 12'2 ④ 16'2 ⑤ 20'2

[9007-0083 ]

유제 6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kx+k-1=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라 할 때, 세 수 a, 2, b는 이 순


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룬다. aÛ`+bÛ`의 값을 구하시오. (단, k는 상수이다.)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51
05
수학영역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7. 등비수열의 합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Ç은
⑴ r=1일 때, SÇ=na
a(1-rÇ`) a(rÇ`-1)
⑵ r+1일 때, SÇ= =
1-r r-1
설명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Ç이라 하면
   SÇ=a+ar+arÛ`+y+arÇ` ÑÚ` yy`㉠
㉠의 양변에 r를 곱하면
   rSÇ=ar+arÛ`+arÜ`+y+arÇ` yy`㉡
㉠-㉡을 하면
SÇ=a+ar+arÛ`+y+arÇ` ÑÚ`
   ->³ rSÇ= ar+arÛ`+y+arÇ` ÑÚ`+arÇ`
(1-r)SÇ=a -arÇ`
(1-r)SÇ=a(1-rÇ`)
따라서
a(1-rÇ`)
r+1일 때 SÇ= 이고,
1-r
r=1일 때 ㉠에서 SÇ=a+a+a+y+a=na
(
|
{
|
9

n개
예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 SÁ¼은
1_(2Ú`â`-1)
   SÁ¼= =1023
2-1
참고 매년 초에 a원씩 연이율 r`(r+0), 1년마다의 복리로 n회 적립하였을 때, n년 말의 적립금의 원리합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년 초 년 초  O 년 초 O년 초 O년 말

O년 간
B B  S Š
O 년 간
B B  S Š‘˜
 



년 간
B B  S ™
년 간
B B  S

따라서 구하는 원리합계를 S(원)이라 하면


   S=a(1+r)+a(1+r)Û`+y+a(1+r)Ç`
a(1+r){(1+r)Ç`-1}
   =
(1+r)-1
a(1+r){(1+r)Ç`-1}
   =
r

5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4 등비수열의 합

등비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자.



   aª=;3@;, =2

일 때, SÁ¼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전략 Ú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r이다.

Û 공비가 r`(r+1)인 등비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면
aÁ(rÇ`-1) aÁ(1-rÇ`)
   Sn= =
r-1 1-r

풀이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r=2

이때 aª=aÁ_r=aÁ_2=;3@;이므로

   aÁ=;3!;

;3!;_(2Ú`â`-1)
따라서 SÁ¼= =;3!;_1023=341
2-1
 341

정답과 풀이 19쪽

[9007-0084 ]

유제 7 공비가 0이 아닌 등비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자.

   aÁ=;2!;, S¢-Sª=aªÛ`

일 때, S°=;pQ;이다. p+q의 값을 구하시오. (단, p와 q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9007-0085 ]

유제 8 모든 항이 양수인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aÁ+aª=24, a£+a¢=6
이다.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할 때, S¦의 값은?

127 131 135 139 143


① ② ③ ④ ⑤
4 4 4 4 4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53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20쪽

[9007-0086 ]

1 등차수열 {an}에 대하여


   aÁ=1, a°=29
일 때, a¥의 값은?

① 44 ② 46 ③ 48 ④ 50 ⑤ 52

[9007-0087 ]

2 2와 20 사이에 n개의 수를 넣어 만든 등차수열


   2, aÁ, aª, a£, y, an, 20
의 모든 항의 합이 165일 때, a¦의 값은?

①9 ② 10 ③ 11 ④ 12 ⑤ 13

[9007-0088 ]

3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aÁ+a£=7, a¢+a¤=35

일 때, 의 값은?

①4 ②9 ③ 16 ④ 25 ⑤ 36

[9007-0089 ]

4 두 양수 a, b에 대하여 세 수 2, a, bÛ`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고, 세 수 b, 12, ab가 이 순서대로 등비


수열을 이룰 때, a+b의 값은?

① 13 ② 14 ③ 15 ④ 16 ⑤ 17

[9007-0090 ]

5 모든 항이 양수인 등비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n에 대하여


S¢ 5a¢
   =
Sª aª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5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21쪽

[9007-0091 ]

1 등차수열 {an}에 대하여


   aÁ=aª+3, a¢+2aÁÁ=0
일 때, ak>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댓값은?

①7 ②8 ③9 ④ 10 ⑤ 11

[9007-0092 ]

2 첫째항과 공비가 양수인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aÁa°=16, a£+a°=12
일 때, a»의 값은?

①8 ② 16 ③ 32 ④ 64 ⑤ 128

[9007-0093 ]

3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 {an}에 대하여


   Sn=aÁ+aª+a£+y+an,
   Tn=aÁ-aª+a£-a¢+y+(-1)n+1an+y+a2n-1-a2n
이라 하자. Sk+Tk=63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값은?

①6 ②7 ③8 ④9 ⑤ 10

[9007-0094 ]

4 양수 k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직선 x=k가 x축, 곡선 y=3'x 및 직선 Z YL ZY 

y=x+5와 만나는 점을 각각 A, B, C라 하자. OAÓ, ABÓ, ACÓ가 이 순서대 ZY


$
로 등비수열을 이룰 때, k의 값을 구하시오. (단, O는 원점이다.)
#

0 " Y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55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21쪽

[9007-0095 ]

1 첫째항이 모두 1이고 공차와 공비가 모두 양수인 등차수열 {an}과 등비수열 {bn}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a¦+b¢의 값은?

(가) a£=1+bª (나) b£=2+a°

① 37 ② 39 ③ 41 ④ 43 ⑤ 45

[9007-0096 ]

2 등차수열 {an}에 대하여


   aÁ=a£+4, aª=28
일 때, 두 수열 {An}, {Bn}의 일반항을
   An=aÁ+a£+a°+y+a2n-1,
   Bn=aª+a¢+a¤+y+a2n
이라 하자. AkBk=4ckÛ`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개수가 2가 되도록 하는 상수 c의 개수는?

① 13 ② 14 ③ 15 ④ 16 ⑤ 17

[9007-0097 ]

3 자연수 n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직선 x=2n과 두 직선 y=cx, y=;c!;x가 만나는 Z


ZDY

점을 각각 Pn, Qn이라 하고, 수열 {an}의 일반항을 an=PnQnÓ, 첫째항부터 제n항 1‰

까지의 합을 Sn이라 하자. a¢=a£+12일 때, Sk>297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ZBÅY
최솟값을 구하시오. (단, c>1)

0 Y
YŠ

5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대표 기출 문제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에서 두 항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공차나 공비를 구한 후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하는 문제가 자주 출
출제 제되고 있다. 또한 등차중항과 등비중항의 성질을 이용하는 문제,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합을 구하는 문제 등이 출제되고
경향
있다.

첫째항이 7인 등비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자.


S»-S°
   =3
S¤-Sª
일 때, a¦의 값을 구하시오. [3점]

2019학년도 대수능

등비수열의 합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등비수열의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자.


   S»-S°=a¤+a¦+a¥+a»
=7rÞ`+7rß`+7rà`+7r¡`
=7rÞ`(1+r+rÛ`+rÜ`)
   S¤-Sª=a£+a¢+a°+a¤
=7rÛ`+7rÜ`+7rÝ`+7rÞ`
=7rÛ`(1+r+rÛ`+rÜ`)
이때
S»-S° 7rÞ`(1+r+rÛ`+rÜ`)
   = =rÜ`
S¤-Sª 7rÛ`(1+r+rÛ`+rÜ`)
이므로
   rÜ`=3
따라서
   a¦=7rß`=7_(rÜ`)Û`=7_3Û`=63
 63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57
06
수학영역

수열의 합

1. 합의 기호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aÁ+aª+a£+y+an을 합의 기호 Á를 사용하여

   aÁ+aª+a£+y+aÇ= Á aû
n

k=1

와 같이 나타낸다.
Á aû는 수열의 일반항 aû의 k에 1, 2, 3, y, n을 차례로 대입하여 얻은 n개의 항 aÁ, aª, a£, y, aÇ의 합을 뜻한다.
n
설명

이때 Á aû에서 k 대신에 i 또는 j 등 다른 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즉,


k=1

   Á aû= Á aÔ= Á aÆ
k=1
n n n

① Á (2k-1)은 (2k-1)의 k에 1, 2, 3, y, 10을 차례로 대입하여 얻은 10개의 항의 합을 나타낸 것이므로


k=1 i=1 j=1
10

   Á (2k-1)=1+3+5+y+19
k=1
10

② 1+2+4+8+16+32를 합의 기호 Á를 사용하여 나타내어 보자.


k=1

수열 {an}의 일반항을 an=2n-1이라 하면 aÁ=1, aª=2, a£=4, a¢=8, a°=16, a¤=32이므로

   1+2+4+8+16+32= Á ak= Á 2k-1


6 6

k=1 k=1

수열 {an}의 제m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am+am+1+am+2+y+an`(mÉn)은 합의 기호 Á를 사용하여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참고

   am+am+1+am+2+y+an= Á ak
n

k=m

와 같이 나타낸다. 이것은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에서 첫째항부터 제(m-1)항까지의 합을 뺀 것과


같다. 즉,

   Á ak= Á ak- Á ak (단, 2ÉmÉn)


n n m-1

k=m k=1 k=1

2. 합의 기호 Á의 성질

⑴ Á (aû+bû)= Á aû+ Á bû ⑵ Á (aû-bû)= Á aû- Á bû


n n n n n n

⑶ Á caû=c Á aû (단, c는 상수) ⑷ Á c=c+c+c+y+c=cn (단, c는 상수)


k=1 k=1 k=1 k=1 k=1 k=1
n n n

⑴ Á (aû+bû)=(aÁ+bÁ)+(aª+bª)+(a£+b£)+y+(aÇ+bÇ)
k=1 k=1 k=1
(
|
{
|
9

n개
n
설명
k=1

=(aÁ+aª+a£+y+aÇ)+(bÁ+bª+b£+y+bÇ)

= Á aû+ Á bû
n n

k=1 k=1

5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1 합의 기호 Á의 성질

두 수열 {an}, {bn}에 대하여

   Á (ak+2)=46, Á (2ak-bk)=28
15 15

일 때, Á (ak+2bk)의 값을 구하시오.
k=1 k=1
15

k=1

풀이 전략 합의 기호 Á의 성질을 이용한다.

① Á (ak+bk)= Á ak+ Á bk ② Á (ak-bk)= Á ak- Á bk


n n n n n n

③ Á cak=c Á ak (단, c는 상수) ④ Á c=cn (단, c는 상수)


k=1 k=1 k=1 k=1 k=1 k=1
n n n

k=1 k=1 k=1

Á (ak+2)= Á ak+ Á 2= Á ak+2_15= Á ak+30이므로


15 15 15 15 15
풀이

   Á ak+30=46, 즉 Á ak=16
k=1 k=1 k=1 k=1 k=1
15 15

또 Á (2ak-bk)=2 Á ak- Á bk=2_16- Á bk=32- Á bk이므로


k=1 k=1
15 15 15 15 15

   32- Á bk=28, 즉 Á bk=4


k=1 k=1 k=1 k=1 k=1
15 15

k=1 k=1

따라서

   Á (ak+2bk)= Á ak+2 Á bk=16+2_4=24


15 15 15

k=1 k=1 k=1

 24

정답과 풀이 23쪽

두 수열 {an}, {bn}에 대하여 Á ak=15, Á bk=12일 때, Á (3ak-2bk+1)의 값은?


[9007-0098 ]

1
10 10 10
유제
k=1 k=1 k=1

① 31 ② 32 ③ 33 ④ 34 ⑤ 35

수열 {an}에 대하여 Á (ak+1)=20일 때, Á (5ak+p)=112를 만족시키는 상수 p의 값은?


[9007-0099 ]

2
12 12
유제
k=1 k=1

①3 ②4 ③5 ④6 ⑤7

06 수열의 합 59
06
수학영역

수열의 합

3.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⑴ Á k=1+2+3+y+n=
n n(n+1)
2

⑵ Á kÛ`=1Û`+2Û`+3Û`+y+nÛ`=
k=1

n n(n+1)(2n+1)
6

⑶ Á kÜ`=1Ü`+2Ü`+3Ü`+y+nÜ`=[
k=1

n(n+1) Û
]`
n

k=1 2
설명 ⑴ 1부터 n까지의 자연수의 합은 첫째항이 1, 제n항이 n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므로

   Á k=1+2+3+y+n=
n n(n+1)
k=1 2
⑵ 항등식 (k+1)Ü`-kÜ`=3kÛ`+3k+1의 k에 1, 2, 3, y, n을 차례로 대입하면
k=1일 때, 2Ü`-1Ü`=3_1Û`+3_1+1
k=2일 때, 3Ü`-2Ü`=3_2Û`+3_2+1
k=3일 때, 4Ü`-3Ü`=3_3Û`+3_3+1

k=n일 때, (n+1)Ü`-nÜ`=3_nÛ`+3_n+1
이 n개의 등식을 변끼리 더하여 정리하면
   (n+1)Ü`-1Ü`=3_(1Û`+2Û`+3Û`+y+nÛ`)+3_(1+2+3+y+n)+1_n

=3 Á kÛ`+3_
n n(n+1)
   +n
k=1 2
이므로

   3 Á kÛ`=(n+1)Ü`-
n 3n(n+1) n(n+1)(2n+1)
-(n+1)=
k=1 2 2
따라서

   Á kÛ`=
n n(n+1)(2n+1)
k=1 6
⑶ ⑵와 같은 방법으로 항등식 (k+1)Ý`-kÝ`=4kÜ`+6kÛ`+4k+1을 이용하여 등식 ⑶이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⑴ Á 2k=2 Á k=2_
10 10 10_11
예 =110
2

⑵ Á kÛ`=
k=1 k=1
8 8_9_17
=204
6

⑶ Á kÜ`={
k=1

5_6 Û
}`=15Û`=225
5

⑴ Á (2k-1)=2 Á k- Á 1=2_
k=1
n n n(n+1) n
참고 -1_n=nÛ`
2

⑵ Á k(k+1)= Á kÛ`+ Á k=
k=1 k=1 k=1
n n n n(n+1)(2n+1) n(n+1) n(n+1)(n+2)
+ =
k=1 k=1 k=1 6 2 3

6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2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Á k(k+3)- Á (kÛ`+2)의 값은?


10 10

k=1 k=1

① 130 ② 135 ③ 140 ④ 145 ⑤ 150

풀이 전략 합의 기호 Á의 성질과 자연수의 합, 즉

   Á k=1+2+3+y+n=
n n(n+1)
k=1 2
임을 이용한다.

Á k(k+3)- Á (kÛ`+2)= Á {(kÛ`+3k)-(kÛ`+2)}


10 10 10
풀이

=3 Á k- Á 2
k=1 k=1 k=1
10 10

k=1 k=1

10_11
=3_ -2_10
2
=165-20
=145
 ④

정답과 풀이 23쪽

Á (k-2)Û`의 값은?
[9007-0100 ]

3
10
유제
k=1

① 185 ② 195 ③ 205 ④ 215 ⑤ 225

Á +Á
[9007-0101 ]

4 kÜ` 1
15 15
유제 의 값은?
k=1 5k+5 k=1 5k+5

① 215 ② 218 ③ 221 ④ 224 ⑤ 227

06 수열의 합 61
06
수학영역

수열의 합

4. 여러 가지 수열의 합
⑴ 수열의 일반항이 분수 꼴이고 분모가 서로 다른 두 일차식의 곱인 경우의 수열의 합은

{ - } (A+B)
1 1 1 1
   =
AB B-A A B
임을 이용하여 구한다.

①Á = Á {;k!;-
1 1
}
n n

k=1 k(k+1) k=1 k+1
1
={1-;2!;}+{;2!;-;3!;}+{;3!;-;4!;}+y+{;n!;- }
n+1
1
=1-
n+1
n
=
n+1

②Á = Á ;2!;{;k!;-
1 1
}
10 10

k=1 k(k+2) k=1 k+2

=;2!;[{1-;3!;}+{;2!;-;4!;}+{;3!;-;5!;}+y+{;9!;-;1Á1;}+{;1Á0;-;1Á2;}]

=;2!;{1+;2!;-;1Á1;-;1Á2;}

=;2!6&4%;

⑵ 수열의 일반항이 분수 꼴이고 분모가 서로 다른 두 무리식의 합인 경우의 수열의 합은 분모를 유리화하여 구


한다.

①Á =Á
n 1 n 'Äk+2-'k
'Äk+2+'k k=1 ('Äk+2+'k)('Äk+2-'k)

=;2!; Á ('Äk+2-'k)
k=1

k=1

=;2!;{('3-'1)+('4-'2)+('5-'3)+y+('Än+1-'Än-1)+('Än+2-'n)}

=;2!;(-1-'2+'Än+1+'Än+2)

②Á =Á
15 1 15 'Äk+1-'k
'Äk+1+'k k=1 ('Äk+1+'k)('Äk+1-'k)

= Á ('Äk+1-'k)
k=1

15

k=1

=('2-'1)+('3-'2)+('4-'3)+y+('1Œ6-'1Œ5)
=-1+'1Œ6
=3

6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3 여러 가지 수열의 합

Á
n
5
=:Á5ª:일 때, n의 값은?
k=1 2k(k+1)
① 21 ② 22 ③ 23 ④ 24 ⑤ 25

=;2%;{;k!;- }로 변형하여 수열의 합에서 소거되고 남는 항을 파악한다.


5 1
풀이 전략 k+1
2k(k+1)

Á =;2%; Á {;k!;- }
n 5 n 1
풀이
k=1 2k(k+1) k=1 k+1

=;2%;[{1-;2!;}+{;2!;-;3!;}+y+{ }]
1 1
-
n n+1

=;2%;{1- }
1
n+1
5n
=
2(n+1)
5n
이므로 =:Á5ª:에서
2(n+1)
   25n=24n+24
따라서 n=24
 ④

정답과 풀이 23쪽

Á
[9007-0102 ]

5
20
6
'Ä3n+1+'Ä3n+4
유제 의 값은?
n=1

① 10 ② 12 ③ 14 ④ 16 ⑤ 18

첫째항과 공차가 모두 4인 등차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할 때, Á


[9007-0103 ]

6 1
20
유제 의값
n=1 SÇ
은?

① ;7#; ② ;2!1); ③ ;2!1!; ④ ;7$; ⑤ ;2!1#;

06 수열의 합 63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24쪽

수열 {an}에 대하여 Á ak=5, Á akÛ`=9일 때, Á (2ak-1)Û`의 값은?


[9007-0104 ]

1
10 10 10

k=1 k=1 k=1

① 20 ② 22 ③ 24 ④ 26 ⑤ 28

Á (k+1)Û`- Á (k-1)Û`의 값은?


[9007-0105 ]

2
10 9

k=2 k=1

① 285 ② 288 ③ 291 ④ 294 ⑤ 297

Á (2k+3k-7)의 값은?
[9007-0106 ]

3
6

k=1

① 147 ② 148 ③ 149 ④ 150 ⑤ 151

Á
[9007-0107 ]

4 1
8
의 값은?
k=1 kÛ`+2k

① ;5#; ② ;4@5*; ③ ;4@5(; ④ ;3@; ⑤ ;4#5!;

Á
[9007-0108 ]

5 1
40
의 값은?
k=1 'Ä2k+1+'Ä2k-1
①2 ②4 ③6 ④8 ⑤ 10

6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24쪽

[9007-0109 ]

1 등차수열 {an}에 대하여


   aÁ=2, a°-a£=8

일 때, Á ak의 값은?
15

k=8

① 328 ② 334 ③ 340 ④ 346 ⑤ 352

[9007-0110 ]

2 공비가 0이 아닌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aÁ=1, a¢-2a£=0

일 때, Á
6 aû*Á-aû
=;pQ;이다. p+q의 값을 구하시오. (단, p와 q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k=1 aû aû*Á

자연수 n에 대하여 다항식 f(x)=;5!;xÛ`-x를 x-n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an이라 할 때, Á ak의 값


[9007-0111 ]

3
10

k=1

은?

① 21 ② 22 ③ 23 ④ 24 ⑤ 25

[9007-0112 ]

4 자연수 n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xÛ`+(2n+1)x-nÝ`-2nÜ`-nÛ`=0의 두 근을 an, bn이라 할 때,

Á{ + }의 값은?
10
1 1
k=1 aû bû

① ;1!2!1$; ② ;1!2!1^; ③ ;1!2!1*; ④ ;1!2@1); ⑤ ;1!2@1@;

06 수열의 합 65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25쪽

[9007-0113 ]

1 자연수 n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n(n, 2'n), Bn(2n, 'n)과 원점 O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nOBn의 무게중심을 Gn, 선분 OGn의 길이를 an이라 하자. mÉan<m+1을 만족시키는 정수 m에 대하여

수열 {bn}의 일반항을 bn=an-m이라 하자. Á


120 bû
'k
의 값은?
k=1

①6 ②7 ③8 ④9 ⑤ 10

[9007-0114 ]

2 자연수 n에 대하여 곡선 y=;[!;이 직선 x=n과 만나는 점을 An이 Z


Z:Å

라 하고, 두 점 An, An+1을 지나는 직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 2‰

을 각각 Pn, Qn이라 하자. Á


11
OQûÓ "‰
=;pQ;일 때, p+q의 값을 구하
k=1 OPûÓ
"‰ „
시오. (단, O는 원점이고, p와 q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0 1‰ Y
YO YO 

[9007-0115 ]

3 자연수 n에 대하여 이차함수 y=;4!;xÛ`의 그래프 위의 점 An{n, ;4!;nÛ`}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n인

원을 Cn이라 하자. 원 Cn이 x축 및 y축과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를 an이라 할 때, Á ak의 값은?


10

k=1

① 14 ② 15 ③ 16 ④ 17 ⑤ 18

6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대표 기출 문제

출제 합의 기호 Á의 성질이나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이용하여 수열의 합을 구하는 문제, 수열의 일반항이 분수 꼴이고 분
경향 모가 두 일차식의 곱인 경우의 수열의 합을 구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고 있다.

수열 {an}에 대하여

   Á (ak+1)Û`=28, Á ak(ak+1)=16
10 10

일 때, Á (ak)Û`의 값을 구하시오. [4점]


k=1 k=1
10

k=1

2018학년도 대수능

합의 기호 Á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Á (ak+1)Û`=28에서
10
풀이

Á (ak+1)Û`= Á {(ak)Û`+2ak+1}= Á (ak)Û`+2 Á ak+10이므로


k=1
10 10 10 10

   Á (ak)Û`+2 Á ak+10=28
k=1 k=1 k=1 k=1
10 10

   Á (ak)Û`+2 Á ak=18   yy`㉠


k=1 k=1
10 10

또 Á ak(ak+1)=16에서
k=1 k=1
10

Á ak(ak+1)= Á {(ak)Û`+ak}= Á (ak)Û`+ Á ak이므로


k=1
10 10 10 10

   Á (ak)Û`+ Á ak=16  
k=1 k=1 k=1 k=1
10 10
yy`㉡
k=1 k=1

㉡_2-㉠을 하면

   Á (ak)Û`=14
10

k=1

 14

06 수열의 합 67
07
수학영역

수학적 귀납법

1. 수열의 귀납적 정의
수열 {an}을 처음 몇 개의 항의 값과 이웃하는 항들 사이의 관계식으로 정의하는 것을 수열의 귀납적 정의라고
한다.
예 aÁ=1, an+1=2an+1`(n=1, 2, 3, y)과 같이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 {an}에서 제4항까지 구하면
   aª=2aÁ+1=2_1+1=3
   a£=2aª+1=2_3+1=7
   a¢=2a£+1=2_7+1=15

2. 등차수열의 귀납적 정의
⑴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Ç}의 귀납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aÁ=a, aÇ*Á=aÇ+d (n=1, 2, 3, y)
⑵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2aÇ*Á=aÇ+aÇ*ª를 만족시키는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다.
예 aÁ=3, an+1=an+4`(n=1, 2, 3, y)으로 정의된 수열 {an}의 일반항 an과 제10항의 값을 구해 보자.
an+1=an+4이므로 수열 {an}은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다.
이때 첫째항이 3이므로 수열 {an}의 일반항 an은
   an=3+(n-1)_4=4n-1
이다. 또한 수열 {an}의 제10항은
   aÁ¼=4_10-1=39
이다.

3. 등비수열의 귀납적 정의
⑴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Ç}의 귀납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aÁ=a, aÇ*Á=raÇ (n=1, 2, 3, y)
⑵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Ç*ÁÛ`=aÇ aÇ*ª를 만족시키는 수열 {aÇ}은 등비수열이다.
예 aÁ=1, an+1=;2!;an`(n=1, 2, 3, y)으로 정의된 수열 {an}의 일반항 an과 제6항의 값을 구해 보자.

an+1=;2!;an이므로 수열 {an}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다.

이때 첫째항이 1이므로 수열 {an}의 일반항은

   aÁ=1, an={;2!;}
n-1
(n=2, 3, 4, y)

이다. 또한 수열 {an}의 제6항은

   a¤={;2!;}Þ`=;3Á2;

이다.

6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1 귀납적으로 정의된 등차수열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3
을 만족시킨다. 2aª+aÁ¼=0일 때, a£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풀이 전략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d`(d는 상수)를 만족시키면 수열 {an}은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이다.

풀이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3
을 만족시키므로 수열 {an}은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다.
이때 2aª+aÁ¼=0에서
   2{aÁ+(-3)}+{aÁ+9_(-3)}=0
   3aÁ=33
   aÁ=11
따라서 a£=11+2_(-3)=5
 ⑤

정답과 풀이 27쪽

[9007-0116 ]

유제 1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2an
을 만족시킨다. aª+a£=8일 때, a°의 값을 구하시오.

[9007-0117 ]

유제 2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2-an+1=an+1-an
을 만족시킨다. aÁ=1, a¦=5aª일 때, aÁ¼의 값은?

① 34 ② 35 ③ 36 ④ 37 ⑤ 38

07 수학적 귀납법 69
07
수학영역

수학적 귀납법

4. 귀납적으로 정의된 여러 가지 수열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 {aÇ}에서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할 때는 n에 1, 2, 3, y을 차례로 대입하여 항의 값을 구
한다.
예 aÁ=5, aÇ*Á=aÇ+2n`(n=1, 2, 3, y)과 같이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 {aÇ}에서 제5항을 구해 보자.
관계식 aÇ*Á=aÇ+2n에 n=1, 2, 3, 4를 차례로 대입하면
  aª=aÁ+2_1=5+2_1=7
   a£=aª+2_2=7+2_2=11
   a¢=a£+2_3=11+2_3=17
   a°=a¢+2_4=17+2_4=25

5. 수학적 귀납법
자연수 n에 대한 명제 p(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가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
Ú n=1일 때, 명제 p(n)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명제 p(n)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n=k+1일 때도 명제 p(n)이 성립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자연수 n에 대한 어떤 명제 p(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는 것을 수학적
귀납법이라고 한다.
예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 등식
   2+4+6+y+2n=nÛ`+n   yy`㉠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해 보자.
Ú n=1일 때, (좌변)=2, (우변)=1Û`+1=2이므로 ㉠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2+4+6+y+2k=kÛ`+k   yy`㉡
㉡의 양변에 2(k+1)을 더하면
   2+4+6+y+2k+2(k+1)=kÛ`+k+2(k+1)
=(kÛ`+2k+1)+(k+1)
=(k+1)Û`+(k+1)
이므로 n=k+1일 때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참고 자연수 n에 대한 명제 p(n)이 n¾m`(m은 자연수)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가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
Ú n=m일 때, 명제 p(n)이 성립한다.
Û n=k`(k¾m)일 때, 명제 p(n)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n=k+1일 때도 명제 p(n)이 성립한다.

7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2 수열의 귀납적 정의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2an+1-an=0
을 만족시킨다. aÁ=2일 때, a°의 값은?

① ;1Á5; ② ;1Á7; ③ ;1Á9; ④ ;2Á1; ⑤ ;2Á3;


풀이 전략 an+1= 과 같이 나타낸 후 n에 1, 2, 3, 4를 차례로 대입하여 항의 값을 구한다.
aÇ+2

풀이 an+1an+2an+1-an=0에서 (an+2)an+1=an

이때 an>0이므로 an+1=
aÇ+2
위 등식의 n에 1, 2, 3, 4를 차례로 대입하면

;2!;
aÁ 2 aª
   aª= = =;2!;, a£= = =;5!;
aÁ+2 2+2 aª+2
;2!;+2

;5!; ;1Á1;
a£ a¢
   a¢= = =;1Á1;, a°= = =;2Á3;
a£+2 a¢+2
;5!;+2 ;1Á1;+2

 ⑤

정답과 풀이 27쪽

[9007-0118 ]

유제 3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2n-1)an+1=nan
을 만족시킨다. aÁ=3일 때, a°의 값은?

① ;3@5$; ② ;7%; ③ ;3@5^; ④ ;3@5&; ⑤ ;5$;

[9007-0119 ]

유제 4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an+1+an+2=8n
을 만족시킨다. aÁ=3일 때, a¦의 값을 구하시오.

07 수학적 귀납법 71
07
수학영역

수학적 귀납법

예제 3 수학적 귀납법

다음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n(n+1)(2n+1)
   1_n+3_(n-1)+5_(n-2)+y+(2n-1)_1=    ……(C)
6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한 것이다.

Ú n=1일 때, (좌변)=1, (우변)=1이므로 (C)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k(k+1)(2k+1)
   1_k+3_(k-1)+5_(k-2)+y+(2k-1)_1=
6
이다. n=k+1일 때, (C)이 성립함을 보이자.
   1_(k+1)+3_k+5_(k-1)+y+(2k-1)_2+(2k+1)_1
   =1_k+3_(k-1)+5_(k-2)+y+(2k-1)_1+{1+3+5+y+(2k-1)}+ (가)
k(k+1)(2k+1) (k+1)(k+2)( (다) )
   = +( (나) )Û`=
6 6
따라서 n=k+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C)이 성립한다.

위의 (가), (나), (다)에 알맞은 식을 각각 f(k), g(k), h(k)라 할 때, f(10)+g(15)+h(20)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전략 자연수 n에 대한 명제 p(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려면 다음 두 가지가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
Ú n=1일 때, 명제 p(n)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명제 p(n)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n=k+1일 때도 명제 p(n)이 성립한다.

풀이 Ú n=1일 때, (좌변)=1, (우변)=1이므로 (C)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k(k+1)(2k+1)
   1_k+3_(k-1)+5_(k-2)+y+(2k-1)_1=
6
이다. n=k+1일 때, (C)이 성립함을 보이자.
   1_(k+1)+3_k+5_(k-1)+y+(2k-1)_2+(2k+1)_1
   =1_k+3_(k-1)+5_(k-2)+y+(2k-1)_1+{1+3+5+y+(2k-1)}+ 2k+1
k(k+1)(2k+1) (k+1)(k+2)( 2k+3 )
   = +( k+1 )Û`= 6
6
따라서 n=k+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C)이 성립한다.
이상에서 f(k)=2k+1, g(k)=k+1, h(k)=2k+3이므로
   f(10)+g(15)+h(20)=21+16+43=80 80

7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28쪽

[9007-0120 ]

1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Û`=anan+2

를 만족시킨다. aÁ=;4!;, a£=2aª일 때, a¥의 값은?

①4 ②8 ③ 16 ④ 32 ⑤ 64

[9007-0121 ]

2 첫째항이 5인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3
을 만족시킨다. ak=35일 때, k의 값은?

①7 ②8 ③9 ④ 10 ⑤ 11

[9007-0122 ]

3 첫째항이 1인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2n-1
을 만족시킬 때, a¤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123 ]

4 첫째항이 2인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1+ Á ak
n

k=1

를 만족시킬 때, a¢의 값을 구하시오.

[9007-0124 ]

5 첫째항이 ;5!;인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
   an+1=an+
n(n+1)
을 만족시킬 때, a°의 값은?

① ;5#; ② ;5$; ③1 ④ ;5^; ⑤ ;5&;

07 수학적 귀납법 73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28쪽

첫째항이 양수인 수열 {an}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Á ak의 값은?


[9007-0125 ]

1
10

k=1

(가) an+1=an+6 (n=1, 2, 3, y) (나) aªÛ`=2+aÁÁ

① 290 ② 296 ③ 302 ④ 308 ⑤ 314

[9007-0126 ]

2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an+2=an+1을 만족시킨다. aÁ=2, aª=8일 때,


aÁ¼¼+aÁ¼Á의 값은?

① ;8#; ② ;8%; ③ ;8&; ④ ;8(; ⑤ :Á8Á:

[9007-0127 ]

3 다음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1!+2!+3!+y+n!<2_n!   yy`(C)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한 것이다. (단, n!=1_2_3_y_n)

Ú n=1일 때, (좌변)=1!=1, (우변)=2_1!=2이므로 (C)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2!+3!+y+k!<2_k!
이므로
   1!+2!+3!+y+k!+(k+1)!<2_k!+(k+1)!=( (가) )_k!
이다. 이때 자연수 k에 대하여
   2(k+1)-( (가) )= (나) ¾0
이므로
   1!+2!+3!+y+k!+(k+1)!<2_(k+1)!
이다. 따라서 n=k+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C)이 성립한다.

위의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f(k), g(k)라 할 때, f(7)+g(10)의 값은?

① 16 ② 17 ③ 18 ④ 19 ⑤ 20

7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29쪽

[9007-0128 ]

1 첫째항이 1인 수열 {an}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an+2=;2!;an (n=1, 2, 3, y)

(나) 세 수 a£, aÁ, a¢는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Á ak의 값은?
11

k=1

241 243 245 247 249


① ② ③ ④ ⑤
32 32 32 32 32

[9007-0129 ]

2 첫째항이 5인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an+1 (an의 값이 홀수인 경우)
   an+1={ aÇ
9 2  (an의 값이 짝수인 경우)

를 만족시킨다. Á ak의 값을 구하시오.


20

k=1

[9007-0130 ]

3 첫째항이 같은 두 수열 {an}, {b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2, bn+1=bn+4

를 만족시키고, 4a£=b£이다. Á |akbk|의 값은?


7

k=1

① 412 ② 416 ③ 420 ④ 424 ⑤ 428

[9007-0131 ]

4 좌표평면 위에 두 점 PÁ(3, 3), Pª(6, 5)가 있다. 자연수 n에 대하여 선분 PnPn+1을 2`:`1로 외분하는 점을
Pn+2라 하고, 삼각형 OPnPn+1의 무게중심을 Gn이라 하자. 100개의 점 GÁ, Gª, y, GÁ¼¼ 중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단, O는 원점이다.)

① 33 ② 34 ③ 35 ④ 36 ⑤ 37

07 수학적 귀납법 75
대표 기출 문제

출제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규칙을 찾아 수열의 합을 구하거나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하는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경향

수열 {an}은 aÁ=2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aÇ  (n이 홀수인 경우)
   an+1={` 2-3aÇ
9 1+an (n이 짝수인 경우)

를 만족시킨다. Á an의 값은? [3점]


40

n=1

① 30 ② 35 ③ 40 ④ 45 ⑤ 50

2019학년도 대수능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에서 특정한 항의 값과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aÁ=2이므로
aÁ 2
   aª= = =-;2!;
2-3aÁ 2-3_2

   a£=1+aª=1+{-;2!;}=;2!;

;2!;

   a¢= = =1
2-3a£
2-3_;2!;

   a°=1+a¢=1+1=2
이때 aÁ=a°이고 1, 5가 모두 홀수이므로 aª=a¤, a£=a¦, a¢=a¥, y, 즉 an=an+4`(n은 자연수)가 성립한다.
따라서
   aÁ+aª+a£+a¢=a°+a¤+a¦+a¥=y=a£¦+a£¥+a£»+a¢¼
이므로

   Á an=(aÁ+aª+a£+a¢)_10
40

n=1

=[2+{-;2!;}+;2!;+1]_10

=3_10=30
 ①

7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대표 기출 문제

출제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규칙을 이용하여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하는 문제, 어떤 명제를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
경향 는 문제 등이 출제되고 있다.

공차가 0이 아닌 등차수열 {an}이 있다. 수열 {bn}은


   bÁ=aÁ
이고,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bn-1+an (n이 3의 배수가 아닌 경우)
   bn=[
bn-1-an (n이 3의 배수인 경우)

이다. bÁ¼=aÁ¼일 때, =;pQ;이다. p+q의 값을 구하시오. (단, p와 q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4점]
bÁ¼

2018학년도 대수능 6월 모의평가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에서 n에 1, 2, 3, y을 차례로 대입하여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d+0),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자.


   bÁ=aÁ=SÁ
   bª=bÁ+aª=Sª
   b£=bª-a£=S£-2a£
   b¢=b£+a¢=S¢-2a£
   b°=b¢+a°=S°-2a£
   b¤=b°-a¤=S¤-2(a£+a¤)
   b¦=b¤+a¦=S¦-2(a£+a¤)
   b¥=b¦+a¥=S¥-2(a£+a¤)
   b»=b¥-a»=S»-2(a£+a¤+a»)   yy`㉠
한편 bÁ¼=b»+aÁ¼이고 bÁ¼=aÁ¼이므로
   b»=0   yy`㉡
㉠, ㉡에서
0=S»-2(a£+a¤+a»), 즉 S»=2(a£+a¤+a»)이므로
9(2aÁ+8d)
   =2(3aÁ+15d), 3(aÁ+4d)=2(aÁ+5d)
2
   aÁ=-2d
또한 b»=b¥-a»이므로 b¥=a»이다.
따라서
b¥ a» aÁ+8d -2d+8d
   = = = =;7^;
bÁ¼ aÁ¼ aÁ+9d -2d+9d
이므로 p=7, q=6이고
   p+q=7+6=13
 13

07 수학적 귀납법 77
08
수학영역

지수

1. 거듭제곱근
⑴ 실수 a와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제곱하여 a가 되는 수, 즉 방정식 xn=a를 만족하는 수 x를 a의 n제
곱근이라고 한다. 이때 a의 제곱근, a의 세제곱근, a의 네제곱근, y을 통틀어 a의 거듭제곱근이라고 한다.
⑵ 실수 a의 n제곱근 중 실수인 것을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a>0 a=0 a<0

n이 홀수 Ç 'a 0 Ç 'a
n이 짝수 Ç 'a, -Ç 'a 0 없다.

설명 a의 n제곱근 중 실수 HjK
 방정식 xn=a의 실근
HjK 함수 y=xn의 그래프와 직선 y=a의 교점의 x좌표
① n이 홀수인 경우 ② n이 짝수인 경우
Z ZYŠ
Z
ZYŠ
B ZB B B ZB B
Š B 0
Š B Y Y
Š B 0 Š B
ZB B
B
B ZB B

예 ① 27의 세제곱근 중 실수는 1개이고, 3Ü`=27이므로 Ü'2Œ7=3이다.


② -27의 세제곱근 중 실수는 1개이고, (-3)Ü`=-27이므로 Ü'Ä-27=-3이다.
③ 16의 네제곱근 중 실수는 2개이고, 2Ý`=16, (-2)Ý`=16이므로 Ý'1Œ6=2, -Ý'1Œ6=-2이다.

2. 거듭제곱근의 성질
a>0, b>0이고 m, n이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Ç 'a
⑴ (Ç 'a)Ç`=a ⑵ Ç 'a Ç 'b=Ç 'aŒb =Ç®;bA;
Ç 'b

⑷ (Ç 'a)µ``=Ç "aµ`` ⑸ µ`"Ç 'a=µ``Ç 'a ⑹ Ç` ¹"aµ``¹`=Ç "aµ`` (단, p는 자연수)


설명 ⑵ n이 2 이상의 자연수이므로 중학교에서 배운 지수법칙과 ⑴에 의하여
   (Ç 'a  Ç'b)Ç`=(Ç 'a)Ç`(Ç 'b)Ç`=ab   yy`㉠
a>0, b>0에서 Ç 'a>0, Ç 'b>0이므로
   Ç 'a  Ç'b>0   yy`㉡
㉠, ㉡에서 Ç 'a  Ç'b는 ab의 양의 n제곱근이다. 따라서
   Ç 'a  Ç'b=Ç 'aŒb
Þ'1Œ6
⑴ (Ü'2)Ü`=2 ⑵ Ý'3  Ý'5=Ý'¶3_5=Ý'1Œ5 ⑶ =Þ®Â:Á4¤:=Þ'4
Þ'4

⑷ (Ü'2)Ý`=Ü"½2Ý`=Ü'1Œ6 ⑸ Ü"Ý'5=3_4'5=Ú`Û'5 ⑹ ß'2Œ5=ß"Å5Û`=3_2"Ã51_2=Ü'5

7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1 거듭제곱근의 성질

'2_(Ý'2)Ü`ÖÜ"Ý'8의 값은?

①1 ② Ý'2 ③ Ü'2 ④ '2 ⑤2

풀이 전략 a>0, b>0이고 m, n이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Ç 'a
⑴ (Ç 'a)Ç`=a ⑵ Ç 'a  Ç'b=Ç 'aŒb ⑶ =Ç®;bA;
Ç 'b
⑷ (Ç 'a)µ``=Ç "aµ`` ⑸ µ`"Ç 'a=µ``Ç 'a=Ç "µ`'a ⑹ Ç` ¹"aµ``¹`=Ç "aµ`` (단, p는 자연수)

풀이 Ü"Ý'8=Ý"Ü'8=Ý¿·Ü"Å2Ü`=Ý"Ã(Ü'2)Ü`=Ý'2 이므로
   '2_(Ý'2)Ü`ÖÜ"Ý'8='2_(Ý'2)Ü`ÖÝ'2

   ='2_[(Ý'2)Ü`_ ]='2_(Ý'2)Û`
1
Ý'2
   ='2_Ý"Å2Û`='2_2_2"Ã21_2
   ='2_'2=2
 ⑤

정답과 풀이 31쪽

[9007-0132 ]

유제 1 Þ'4_Þ'8+(Þ'3)10의 값은?

① 11 ② 13 ③ 15 ④ 17 ⑤ 19

[9007-0133 ]

유제 2 실수 a의 세제곱근 중에서 실수인 것은 -4이고, 실수 b의 네제곱근 중에서 양수인 것은 3일 때, a+b


의 값은?

① 11 ② 13 ③ 15 ④ 17 ⑤ 19

08 지수 79
08
수학영역

지수

3. 0 또는 음의 정수인 지수
a+0이고 n이 양의 정수일 때
1
⑴ aâ`=1 ⑵ aÑÇ`=
aÇ`
설명 a+0이고 m, n이 양의 정수일 때, 지수법칙
   aman=am+n   yy`㉠
이 성립한다.
㉠이 m=0인 경우에도 성립한다고 하면 a0an=a0+n=an이 되고, an+0이므로
   aâ`=1
로 정의할 수 있다.
또 ㉠이 m=-n인 경우에도 성립한다고 하면 a-nan=a-n+n=a0=1이 되므로
1
   a-n=
aÇ`
로 정의할 수 있다.
예 ⑴ 2â`=1, (-3)â`=1

=;9!;, {;3@;} =
1 -3
1
⑵ 3-2= =:ª8¦:
3Û`
{;3@;}Ü`

4. 지수가 정수인 지수법칙


a+0, b+0이고 m, n이 정수일 때
⑴ aµ``aÇ`=aµ``±Ç` ⑵ aµ``ÖaÇ`=aµ``ÑÇ`
⑶ (aµ``)Ç`=aµ``Ç` ⑷ (ab)Ç`=aÇ` bÇ`
설명 ⑴ m, n이 음의 정수인 경우
m=-p, n=-q`(p, q는 양의 정수)로 놓으면 음의 정수인 지수의 정의와 중학교에서 배운 지수법칙에 의하여
1 1
   aman=a-pa-q= _
a¹` aÏ`
1 1
   = = =a-(p+q)=a(-p)+(-q)=am+n
a¹`aÏ` ap+q`
같은 방법으로 두 정수 m, n 중 하나만 음의 정수인 경우에도 위 식이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m, n이 정수일 때, aman=am+n이 성립한다.
예 ⑴ 2Ñ2_23=2-2+3=2
1
⑵ 2Ñ2Ö23=2-2-3=2-5= =;3Á2;
2Þ`
1
⑶ (2-2)3=2(-2)_3=2-6= =;6Á4;
2ß`
1 1
⑷ (2_3)-2=2-2_3-2= _ =;4!;_;9!;=;3Á6;
2Û` 3Û`

8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2 지수가 정수인 지수법칙

a+b=2'3, ab=2일 때, a-4+b-4의 값은?

① ;2&; ②4 ③ ;2(; ④5 ⑤ :Á2Á:

풀이 전략 ⑴ a+0이고 n이 양의 정수일 때, aÑÇ`= 1


aÇ`
⑵ aÝ`+bÝ`=(aÛ`+bÛ`)Û`-2aÛ`bÛ`

1 1 bÝ`+aÝ` aÝ`+bÝ`
풀이 a-4+b-4= + = =
aÝ` bÝ` aÝ`bÝ` (ab)Ý`
이때 aÛ`+bÛ`=(a+b)Û`-2ab=(2'3)Û`-2_2=8이므로
   aÝ`+bÝ`=(aÛ`+bÛ`)Û`-2aÛ`bÛ`=(aÛ`+bÛ`)Û`-2(ab)Û`=8Û`-2_2Û`=56
   (ab)Ý`=2Ý`=16
aÝ`+bÝ`
따라서 a-4+b-4= =;1%6^;=;2&;
(ab)Ý`
 ①

정답과 풀이 31쪽

[9007-0134 ]

유제 3 125ß`Ö25ß`_5Ñß`의 값은?

① ;2Á5; ② ;5!; ③1 ④5 ⑤ 25

[9007-0135 ]

유제 4 이차방정식 xÛ`-3x+1=0의 한 근을 a라 할 때, aÛ`-aÑÛ`의 값은? (단, a>1)

①6 ② 3'5 ③ 3'6 ④ 3'7 ⑤ 6'2

08 지수 81
08
수학영역

지수

5. 유리수인 지수
a>0이고 m은 정수, n은 2 이상의 정수일 때
⑴ a n =Ç "aµ`` ⑵ a;n!;=Ç 'a
m

설명 ⑴ a>0이고 m, n이 정수일 때, 지수법칙


   (am)n=amn   yy`㉠
이 성립한다.
m
㉠이 지수가 유리수일 때도 성립한다고 하면 유리수 `(m은 정수, n은 2 이상의 정수)에 대하여
n
m m
   (a n )Ç`=a n _n=aµ``
m m
이 된다. 이때 a n >0이므로 a n 은 aµ``의 양의 n제곱근이다. 즉,
   a n =Ç "aµ``
m

으로 정의할 수 있다.

① 2;3@;=Ü"Å2Û`=Ü'4 ② 3;4!;=Ý'3` ③ 2-;4#;=Ý"2ÑÜ`=ݮ =Ý®;8!;


1

2Ü`

6. 지수가 유리수인 지수법칙


a>0, b>0이고 r, s가 유리수일 때
⑴ aras=ar+s ⑵ arÖas=ar-s
⑶ (ar)s=ars ⑷ (ab)r=arbr
m
설명 ⑴ r= , s=;qP;`(m, p는 정수, n, q는 2 이상의 정수)라 하면
n

   aras=a n a q =a nq a nq =nq"amq`nq"anp=nq"Ãamq+np=a
m p mq np mq+np mq np m p
nq =a nq + nq =a n + q =ar+s
따라서 r, s가 유리수일 때, aras=ar+s이 성립한다.

예 ⑴ 2;2!;_2;3!;=2;2!;+;3!;=2;6%; ⑵ 2;2!;Ö2;3!;=2;2!;-;3!;=2;6!;
⑶ (2;3@;);4#;=2;3@;_;4#;=2;2!;='2 ⑷ (2;2!;_3;3!;)ß`=(2;2!;)ß`_(3;3!;)ß`=2;2!;_6_3;3!;_6=2Ü`_3Û`=72

7. 지수가 실수인 지수법칙


a>0, b>0이고 x, y가 실수일 때
⑴ axay=ax+y ⑵ axÖay=ax-y
⑶ (ax)y=axy ⑷ (ab)x=axbx
참고 무리수 '2=1.414y에 대하여 '2에 가까워지는 유리수 1, 1.4, 1.41, 1.414, y를 지수로 갖는
   21, 21.4, 21.41, 21.414, y
의 값들은 일정한 수에 가까워진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 일정한 수를 2'2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a>0일 때,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ax을 정의한다.

8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3 지수가 유리수인 지수법칙

양의 실수 a에 대하여 a+a-1=7일 때, a;2#;+a-;2#;의 값은?

① 17 ② 18 ③ 19 ④ 20 ⑤ 21

풀이 전략 ⑴ a>0이면 a;2!;>0, a-;2!;>0


⑵ aÜ`+bÜ`=(a+b)Ü`-3ab(a+b)

풀이 (a;2!;+a-;2!;)Û`=(a;2!;)Û`+(a-;2!;)Û`+2_a;2!;_a-;2!;=a+a-1+2=7+2=9
이때 a;2!;+a-;2!;>0이므로 a;2!;+a-;2!;=3
따라서
   a;2#;+a-;2#;=(a;2!;)Ü`+(a-;2!;)Ü`=(a;2!;+a-;2!;)Ü`-3_a;2!;_a-;2!;_(a;2!;+a-;2!;)


=3Ü`-3_3=18
 ②

정답과 풀이 31쪽

[9007-0136 ]
;3!;
유제 5 (Ü'2);5^;_(2'2);5@;Ö{;8!;} 의 값은?

①1 ②2 ③4 ④8 ⑤ 16

[9007-0137 ]

유제 6 두 실수 x, y가 12x=22'2, 32y=12'2을 만족시킬 때, 12x+;]@;의 값은?

①6 ② 6'2 ③ 6'3 ④ 36 ⑤ 62'2

08 지수 83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32쪽

[9007-0138 ]

1 다음은 Ü'¶-2=-Ü'2 를 증명한 것이다.

-2의 세제곱근 중 실수 Ü'¶-2 는 거듭제곱근의 정의에 의하여 x에 대한 방정식 (가) =-2의 실근이고, 이
는 함수 y= (가) 의 그래프와 직선 y=-2의 교점의 x좌표이므로 오직 하나 존재한다.
한편 거듭제곱근의 성질에 의하여
   (-Ü'2)Ü`= (나)
따라서 Ü'¶-2=-Ü'2

위의 (가)에 알맞은 식을 f(x)라 하고, (나)에 알맞은 수를 a라 하자. f(a)의 값은?

① -16 ② -8 ③ -4 ④ -2 ⑤ -1

[9007-0139 ]

2 ('2-1)-2+('2+1)-2의 값을 구하시오.

[9007-0140 ]

3 등식

   (aÛ`)Ü`_{;a!;} ÖaÝ`=16
-3

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은? (단, a+0)

① Þ'2 ② Þ'4 ③ Þ'8 ④ Þ'1Œ6 ⑤2

[9007-0141 ]

4 -;2Á7;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을 a, 16의 네제곱근 중 양수인 것을 b라 할 때, ba의 값은?

Ü'4 Ü'2 Ü'4


① ② ③ ④ Ü'2 ⑤ Ü'4
4 2 2

[9007-0142 ]

5 ܾ¨
2
2'3
_21+'3 의 값은?

① 2;3!; ② 2;3@; ③2 ④ 2;3$; ⑤ 2;3%;

8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32쪽

[9007-0143 ]

1 세 수 a=Þ'6, b='2, c=Ü'3의 대소 관계로 옳은 것은?

① a<b<c ② a<c<b ③ b<a<c


④ b<c<a ⑤ c<a<b

[9007-0144 ]

2 [1+ ] 의 값은?
1 16

(¡'2+1)(Ý'2+1)('2+1)

①2 ②4 ③8 ④ 16 ⑤ 32

[9007-0145 ]

3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2n)nÖ16-n_8
일 때, aÁ_aª_a£_y_aÁ¼의 값은?

① 2631 ② 2632 ③ 2633 ④ 2634 ⑤ 2635

[9007-0146 ]

4 좌표평면에서 자연수 n에 대하여 원 xÛ`+yÛ`=4;n!;과 직선 x=2;n!;-1으로 둘러싸인 두 부분 중 넓이가 작은



쪽의 넓이를 Sn이라 할 때, 의 값은?

① 2-;1Á6; ② 2-;8!; ③ 2-;4!; ④ 2-;2!; ⑤ 2-1

[9007-0147 ]

5 2_3
'2_3_4'2_4_5'2_y_31_32'2의 값은?

① Ü`Û"2Ú`Ú` ② Ü`Û"2Ú`Ü` ③ Ü`Û"2Ú`Þ` ④ Ü`Û"2Ú`à` ⑤ Ü`Û"2Ú`á`

08 지수 85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34쪽

[9007-0148 ]

1 Ü®;2N;, Ý®;3N;이 모두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이 2a_3b일 때, a+b의 값은?

 (단, a, b는 자연수이다.)

① 11 ② 13 ③ 15 ④ 17 ⑤ 19

[9007-0149 ]

2 (Ü'4+Ü'2+1)-3+27(Ü'4-Ü'2+1)-3의 값은?

① 2+3 Ü'2 ② 4+3 Ü'2 ③ 4+6 Ü'2


④ 6+6 Ü'2 ⑤ 6+9 Ü'2

[9007-0150 ]

3 등식
2ÑÚ`-2ÑÛ`+2ÑÜ`-y+(-1)n-1_2-n
   3_ =2-13
2+2Û`+2Ü`+y+2Ç`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을 구하시오.

[9007-0151 ]

4 3x=144y=36을 만족시키는 두 실수 x, y에 대하여


1 1
   36 xÛ` =k_6 2yÛ`
일 때, 상수 k의 값은?

① ;6!; ② ;5!; ③ ;4!; ④ ;3!; ⑤ ;2!;

8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대표 기출 문제

출제 거듭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을 간단히 하거나 대소를 비교하는 문제, 정수 또는 유리수로 확장된 지수법칙을 이용하
경향 여 식의 값을 구하거나 식을 간단히 하는 문제 등이 출제되고 있다.

2Én≤100인 자연수 n에 대하여 (Ü"Å3Þ` );2!;이 어떤 자연수의 n제곱근이 되도록 하는 n의 개수를 구하시
오. [4점]

2013학년도 대수능

거듭제곱근의 성질과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자연수 n의 개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Ü"Å3Þ` );2!;=(3;3%;);2!;=3;6%;
이므로 3;6%;이 어떤 자연수의 n제곱근이 되려면
5n
   (3;6%;)n=3 6

이 자연수이어야 한다.
5n
즉, 이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자연수 n은 6의 배수이어야 한다.
6
이때 2ÉnÉ100이므로 n은 6, 12, 18, y, 96이고, 그 개수는 16이다.
 16

08 지수 87
09
수학영역

로그

1. 로그의 정의
 >0, a+1일 때, 양수 N에 대하여 aÅ`=N을 만족시키는 실수 x는 오직 하나 존재한다. 이 실수 x를 a를
⑴ a
밑으로 하는 N의 로그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logŒ`N
과 같이 나타낸다. 즉,
   aÅ`=N HjK x=logŒ`N
예 2Ü`=8 HjK 3=logª`8, 3ÑÛ`=;9!; HjK -2=log£`;9!;

⑵ logŒ`N에서 a를 logŒ`N의 밑이라 하고, N을 logŒ`N의 진수라고 한다.

2. 로그의 밑과 진수의 조건
logŒ`N이 정의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⑴ logŒ`N의 밑:a>0, a+1
⑵ logŒ`N의 진수:N>0

3. 로그의 성질
a>0, a+1이고, M>0, N>0일 때
⑴ logŒ`1=0, logŒ`a=1
⑵ logŒ`MN=logŒ`M+logŒ`N
M
⑶ logŒ` =logŒ`M-logŒ`N
N
⑷ logŒ`Mr=r`logŒ`M`(단, r는 실수)
설명 ⑴ aâ`=1 HjK loga`1=0, aÚ`=a HjK loga`a=1
⑵, ⑶, ⑷ loga`M=x, loga`N=y라 하면
   loga`M=x HjK ax=M, loga`N=y HjK ay=N
이므로
   MN=ax_ay=ax+y HjK loga`MN=x+y=loga`M+loga`N

= =ax-y HjK loga`


M aÅ` M
   =x-y=loga`M-loga`N
N a´` N
   Mr=(ax)r=arx HjK loga`Mr=rx=r`loga`M
예 ⑴ logª`1=0, log£`3=1
⑵ logª`6=logª (2_3)=logª`2+logª`3=1+logª`3

⑶ log£`;3%;=log£`5-log£`3=log£`5-1

⑷ log£`27=log£`3Ü`=3`log£`3=3

8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1 로그의 성질

logx (3-x)의 값이 정의되도록 하는 정수 x의 값을 a라 할 때, logª (aÝ`+8)-a`logª`'3의 값은? ①



①2 ② ;2%; ③3 ④ ;2&; ⑤4

풀이 전략 ⑴ loga`N의 밑 a는 1이 아닌 양수이고, 진수 N은 양수이다.


⑵ a>0, a+1이고, M>0, N>0일 때
① loga`1=0, loga`a=1 ② loga`MN=loga`M+loga`N

③ loga` M =loga`M-loga`N ④ loga`Mr=r`loga`M (단, r는 실수)


N

풀이 logx (3-x)의 밑 x와 진수 3-x에 대하여


   x>0, x+1   yy`㉠
3-x>0이므로 x<3   yy`㉡
㉠, ㉡에서
   0<x<3, x+1   yy`㉢
이때 ㉢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2이므로 a=2
따라서
   logª (aÝ`+8)-a`logª`'3=logª (2Ý`+8)-2`logª`'3
=logª`24-logª ('3 )Û`=logª`24-logª`3

=logª`:ª3¢:=logª`8=logª`2Ü`=3`logª`2=3

 ③

정답과 풀이 35쪽

[9007-0152 ]

유제 1 두 실수 x, y가 log¢`x=;2!;, logy`8=3을 만족시킬 때, x+y의 값은?

①2 ②4 ③6 ④8 ⑤ 10

[9007-0153 ]

유제 2 x=(logª`6)Û`-(logª`3)Û`일 때, 2x의 값은?

① 18 ② 19 ③ 20 ④ 21 ⑤ 22

09 로그 89
09
수학영역

로그

4. 로그의 밑의 변환
a>0, a+1, b>0, c>0, c+1일 때
log`b
   logŒ`b=
log`a
설명 loga`b=x, logc`a=y라 하면
   loga`b=x HjK ax=b, logc`a=y HjK cy=a
이므로 지수법칙에 의하여
   b=ax=(cy)x=cxy, 즉 cxy=b
이다. 이때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xy=logc`b, loga`b_logc`a=logc`b   yy`㉠
a+1에서 logc`a+0이므로 ㉠의 양변을 logc`a로 나누면
log`b
   loga`b=
log`a
logª`8 logª`2Ü` 3`logª`2
예 log¢`8= = = =;2#;
logª`4 logª`2Û` 2`logª`2

5. 로그의 밑의 변환의 활용
a>0, a+1, b>0일 때
1
⑴ logŒ`b= , 즉 logŒ`b_logº`a=1 (단, b+1)
logº`a
⑵ logŒ`b_logº`c=logŒ`c (단, b+1, c>0)
⑶ alog`b=blog`a (단, c>0, c+1)
n
⑷ logaµ```bn= `logŒ`b (단, m, n은 실수이고, m+0)
m
logº`b 1
설명 ⑴ logŒ`b= = , 즉 logŒ`b_logº`a=1
logº`a logº`a
logŒ`c
⑵ logŒ`b_logº`c=logŒ`b_ =logŒ`c
logŒ`b
⑶ alog`b=blog`a yy`㉠
Ú b=1인 경우 (좌변)=(우변)=1이므로 ㉠이 성립한다.
Û b+1인 경우 alog`b=x라 하면
logº`x
   log`b=logŒ`x= , logº`x=log`b_logº`a=log`a
logº`a
즉, x=blog`a이므로 ㉠이 성립한다.

Ú, Û에서 alog`b=blog`a
logŒ`bÇ` n`logŒ`b n
⑷ logaµ```bÇ`= = = `logŒ`b
logŒ`aµ`` m`logŒ`a m

9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2 로그의 밑의 변환

logª`3=a, log£`10=b일 때, 다음 중 logª`30을 a, b로 나타낸 것은?

① ab-a ② ab-b ③ ab ④ ab+a ⑤ ab+b

풀이 전략 세 양수 a(a+1), b, c에 대하여

⑴ loga`bc=loga`b+loga`c , loga`;cB;=loga`b-loga`c

log`b
⑵ loga`b= (단, c+1)
log`a

log£`30 log£`(3_10)
풀이 logª`30= =
log£`2 log£`2
=(log£`3+log£`10)_logª`3
=(1+b)_a=ab+a

 ④

log£`10
다른 풀이 logª`30=logª`3+logª`10=logª`3+
log£`2
=logª`3+logª`3_log£`10
=a+ab

정답과 풀이 35쪽

[9007-0154 ]

유제 3 log¢`144-log;2!;`18+3`logª`;3!;의 값은?

① -3 ② -1 ③1 ④3 ⑤5

(logª`3) Á [;2!;`log'3`(k+1)-2`log»`k]의 값은?


[9007-0155 ]

4
15
유제
k=1

①1 ②2 ③3 ④4 ⑤5

09 로그 91
09
수학영역

로그

6. 상용로그
양수 N에 대하여 10을 밑으로 하는 로그, 즉 logÁ¼`N을 상용로그라 하고 보통 밑을 생략하여 log`N과 같이 나
타낸다.
예 ① log`2=logÁ¼`2
② log`1=logÁ¼`1=0, log`10=logÁ¼`10=1

③ log`'1Œ0=logÁ¼`10;2!;=;2!;`logÁ¼`10=;2!;

7. 상용로그표
⑴ 상용로그표는 0.01 간격으로 1.00부터 9.99까지의 수에 대한 상용로그의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아래 넷째
자리까지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log`2.34의 값은 상용로그표에서 2.3의 가로줄과 4의 세로줄이 만나는 곳
에 있는 수 0.3692이다.
즉, log`2.34=0.3692

수 0 y 4 y 9
ÆÆÆð

⋮ 세로줄
2.3 ÆÆÆÆÆÆÆÆÆÆÆÆÆð .3692
가로줄

⑵ 상용로그표와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면 다양한 양수의 상용로그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예 190쪽 상용로그표에서 log`3.45=0.5378이므로
① log`345=log`(3.45_10Û`)=log`3.45+log`10Û`
=log`3.45+2`log`10=0.5378+2=2.5378
② log`0.345=log`(3.45_10-1)=log`3.45+log`10-1
=log`3.45-log`10=0.5378-1=-0.4622
30
참고 2 의 값을 다음과 같이 근사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190쪽 상용로그표에서 log`2=0.3010이므로
   log`230=30`log`2=30_0.3010=9.03=0.03+9
상용로그표를 이용하여 log`1.07=0.03으로 계산하면
   log`230=log1.07+9
상용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230=10log`1.07+9=10log`1.07_109=1.07_109
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9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예제 3 상용로그

log`5=a, log`9=b일 때, 다음 중 logª¼`75를 a, b로 나타낸 것은?

2a+b 4a+b 2a+b 3a+b 4a+b


① ② ③ ④ ⑤
4-a 4-a 4-2a 4-2a 4-2a

풀이 전략 로그의 밑의 변환을 이용하여 logª¼`75를 상용로그로 나타낸다.

log`75 log`(3_5Û`) log`3+2`log`5


풀이 logª¼`75= = =
log`20 log`(2Û`_5) 2`log`2+log`5
log`5=a이므로

   log`2=log`:Á5¼:=log`10-log`5=1-a

log`9=b이므로

   log`3=log`9;2!;=;2!;`log`9=;2B;

log`3+2`log`5 ;2B;+2a
4a+b
따라서 logª¼`75= = =
2`log`2+log`5 2(1-a)+a 4-2a
 ⑤

정답과 풀이 36쪽

[9007-0156 ]

유제 5 두 양수 K, L과 직선 y=-;2!;x+1 위의 점 (p, q)에 대하여

   log`K=5+p, log`L=3+q
일 때, KLÛ`의 값은?

① 10á ② 10Ú`â` ③ 10Ú`Ú` ④ 10Ú`Û` ⑤ 10Ú`Ü`

[9007-0157 ]

유제 6 50 이하의 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2`log100`a-;2!;`log'1Œ0`b=1

이 성립할 때, a+b의 최댓값은?

① 53 ② 55 ③ 57 ④ 59 ⑤ 61

09 로그 93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36쪽

[9007-0158 ]

1 logª`16+log;3!;`9의 값은?

① -2 ② -1 ③0 ④1 ⑤2

[9007-0159 ]

2 logª`6-logª`;4#;+log£`
1
'2Œ7
의 값은?

① ;2!; ②1 ③ ;2#; ④2 ⑤ ;2%;

[9007-0160 ]
log°`3
3 a=1+
log°`2
일 때, 4a의 값은?

① 24 ② 28 ③ 32 ④ 36 ⑤ 40

[9007-0161 ]

4 2x='3, y=log£`2'5일 때, xy의 값은?

① ;4!;+;4!;`logª`5 ② ;2!;+;4!;`logª`5 ③ ;4!;+;2!;`logª`5

④ ;2!;+;2!;`logª`5 ⑤ ;4#;+;2!;`logª`5

[9007-0162 ]
2`log`2
5 1-log`2
_log¢`25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37쪽

[9007-0163 ]

1 abc=2Þ`을 만족시키는 세 양수 a, b, c에 대하여


   ax=b2y=c3z=2ß`

이 성립할 때, ;[^;+;]#;+;z@;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164 ]

2 p=1+log'2`3, q=2-log»`4일 때, 2p_3q의 값은?

① 54 ② 63 ③ 72 ④ 81 ⑤ 90

[9007-0165 ]

3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n_n

일 때, Á log (p_10aû)=7을 만족시키는 양수 p의 값은?


10

k=1

① ß'1Œ0 ② Þ'1Œ0 ③ Ý'1Œ0 ④ Ü'1Œ0 ⑤ '1Œ0

[9007-0166 ]

4 두 자연수 x, y에 대하여
1
   log`(x-1)-log` =1
y-2
이 성립할 때, xy의 최댓값은?

① 32 ② 33 ③ 34 ④ 35 ⑤ 36

09 로그 95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38쪽

[9007-0167 ]

1 세 양수 a, b, c에 대하여

   logª`;aB;+log;2!;`;cB;=2, logª`;bC;+log;2!;`;aC;=1

이 성립할 때, logª`b-logª`c의 값은?

① -3 ② -1 ③1 ④3 ⑤5

[9007-0168 ]

2 자연수 n에 대하여 두 점 A(n, logª (nÛ`+2n)), B(n+2, 2 logª (n+1))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an이

라 하자. m= Á ak일 때, 2m의 값은?


7

k=1

① ;1!2#; ② ;6&; ③ ;4%; ④ ;3$; ⑤ ;1!2&;

[9007-0169 ]

3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2nÛ` 1-log°`5aÇ
   -log25`an=1-
logaÇ`5 2`log¢`aÇ
을 만족시킬 때, a°_a¤의 값은? (단, an>1)

① 10;11$7; ② 10;11$9; ③ 10;12$1; ④ 10;12$3; ⑤ 10;12$5;

[9007-0170 ]

4 자연수 n에 대하여
32
   log`q=log`p+
2Ç`
를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두 자연수 p, q의 모든 순서쌍 (p, q)의 개수를 an이라 하자. Á ak의 값은?
5

k=1

①7 ②9 ③ 11 ④ 13 ⑤ 15

9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대표 기출 문제

출제 로그의 정의와 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한 식의 값을 구하는 문제, 로그의 성질을 활용하여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경향 를 묻는 문제 등이 출제된다.

1보다 큰 두 실수 a, b에 대하여
   log'3`a=log»`ab
가 성립할 때, loga`b의 값은? [4점]

①1 ②2 ③3 ④4 ⑤5

2018학년도 대수능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log'3`a=log»`ab에서

   2`log£`a=;2!;`log£`ab

   4`log£`a=log£`ab=log£`a+log£`b
   3`log£`a=log£`b   yy`㉠
이때 a>1이므로 log£`a+0
㉠의 양변을 log£`a로 나누면
log£`b
   =3
log£`a
따라서 loga`b=3
 ③

다른 풀이 log'3`a=log»`ab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9log `a=ab  
'3
yy`㉠
한편
   9log `a=alog `9=alog
'3 '3 '3 `('3)Ý`
=a4`log
'3
=aÝ`   yy`㉡
`'3

㉠, ㉡에서
   aÝ`=ab, a(aÜ`-b)=0
이고, a>1이므로
   aÜ`-b=0, b=aÜ`
따라서
   loga`b=loga`aÜ`=3`loga`a=3

09 로그 97
수능특강 수학영역

미적분Ⅰ
01 수열의 극한
02 급수
03 함수의 극한
04 함수의 연속
05 미분계수와 도함수
06 도함수의 활용
07 부정적분과 정적분
08 정적분의 활용
01
수학영역

수열의 극한

1. 수열의 수렴
수열 {aÇ}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aÇ의 값이 일정한 수 a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수열 {aÇ}은 a에 수렴한다고 하
고, 이것을 기호로
   lim aÇ=a 또는 n Ú ¦일 때 aÇ Ú a
n`Ú¦

와 같이 나타낸다. 이때 상수 a를 수열 {aÇ}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고 한다.

예 수열 [;n!;]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1, ;2!;, ;3!;, ;4!;, y이므로 n이 한없이 커질 때 ;n!;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즉, 수열 [;n!;]은 0에 수렴한다. 따라서 lim ;n!;=0이다.


n`Ú¦

참고 ① 기호 lim는 극한을 뜻하는 limit의 약자이며 ‘리미트’라고 읽는다.


② ¦(무한대)는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수가 아니다.
③ lim aÇ=a는 n이 한없이 커질 때 aÇ의 값이 a와 같거나 a에 한없이 가까워진다는 것이다.
n`Ú¦

④ 수열 {aÇ}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Ç=c`(c는 상수)일 때, 수열 {aÇ}은 c에 수렴한다.

2. 수열의 발산
수열 {aÇ}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aÇ의 값이 일정한 수에 수렴하지 않으면 수열 {aÇ}은 발산한다고 한다.
⑴ 수열 {aÇ}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aÇ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 수열 {aÇ}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 aÇ=¦ 또는 n Ú ¦일 때 aÇ Ú ¦
n`Ú¦

와 같이 나타낸다.
예 수열 {2n}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2, 4, 6, y이므로 n이 한없이 커질 때 2n의 값은 한없이 커진다. 즉, 수열
{2n}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따라서 lim 2n=¦이다.
n`Ú¦

⑵ 수열 {aÇ}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aÇ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면 수열 {aÇ}은 음의 무한


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 aÇ=-¦ 또는 n Ú ¦일 때 aÇ Ú -¦
n`Ú¦

와 같이 나타낸다.
예 수열 {-2n}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2, -4, -8, y이므로 n이 한없이 커질 때 -2n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진다. 즉, 수열 {-2n}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따라서 lim (-2n)=-¦이다.
n`Ú¦

⑶ 수열 {aÇ}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aÇ의 값이 일정한 수에 수렴하지도 않고 양의 무한대나 음의 무한대로 발


산하지도 않으면 수열 {aÇ}은 진동한다고 한다.
예 수열 {(-2)n}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2, 4, -8, 16, y이므로 n이 한없이 커질 때 (-2)n의 값은 일정한
수에 수렴하지도 않고 양의 무한대나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수열 {(-2)n}은 진동한다.
참고 수열 {an}이 양의 무한대 또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거나 진동하는 경우 수열 {an}의 극한값은 없다.

10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1 수열의 수렴과 발산

수열 {an}의 일반항이
   an=(-1)n (n=1, 2, 3, y)
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lim an=-1 ㄴ. lim a2n=1 ㄷ. lim =0
n`Ú¦ n`Ú¦ n`Ú¦ n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풀이 전략 ⑴ 수열 {an}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an의 값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일정한 수가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⑵ 상수 c에 대하여 lim c=c이다.
n`Ú¦

풀이 ㄱ. 수열 {(-1)n}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1, 1, -1, 1, y
이므로 n이 한없이 커질 때 (-1)n의 값은 일정한 수에 수렴하지도 않고 양의 무한대나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도 않는다.
따라서 수열 {(-1)n}은 발산(진동)한다. (거짓)
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2n=(-1)2n={(-1)Û`}n=1n=1
이므로 lim a2n=lim 1=1이다. (참)
n`Ú¦ n`Ú¦

(-1)Ç`
ㄷ. 수열 [ ]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n

   -;1!;, ;2!;, -;3!;, ;4!;, y

(-1)Ç`
이므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n
aÇ` (-1)Ç`
따라서 lim =lim =0이다. (참)
n`Ú¦ n n`Ú¦ n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정답과 풀이 40쪽

[9007-0171 ]

유제 1 다음 보기의 수열 {an} 중에서 수렴하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1(n<5) n(n<5) n(n은 홀수)
ㄱ. an=[ ㄴ. an=[ ㄷ. an=[
n(n¾5) 1(n¾5) 1 (n은 짝수)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01 수열의 극한 101
01
수학영역

수열의 극한

3.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
수렴하는 두 수열 {aÇ}, {bÇ}에 대하여 lim aÇ=a, lim bÇ=b`(a, b는 상수)일 때,
n`Ú¦ n`Ú¦

⑴ lim caÇ=clim aÇ=ca`(단, c는 상수)


n`Ú¦ n`Ú¦

⑵ lim (aÇ+bÇ)=lim aÇ+lim bÇ=a+b


n`Ú¦ n`Ú¦ n`Ú¦

⑶ lim (aÇ-bÇ)=lim aÇ-lim bÇ=a-b


n`Ú¦ n`Ú¦ n`Ú¦

⑷ lim aÇbÇ=lim aÇ_lim bÇ=ab


n`Ú¦ n`Ú¦ n`Ú¦

aÇ n`Ú¦ lim aÇ
a
⑸ lim = = (단, bÇ+0, b+0)
n`Ú¦ bÇ lim bÇ b
n`Ú¦

예 두 수열 {an}, {bn}에 대하여 lim aÇ=3, lim bÇ=-2일 때,


n`Ú¦ n`Ú¦

⑴ lim 2aÇ=2lim aÇ=2_3=6


n`Ú¦ n`Ú¦

⑵ lim (aÇ+bÇ)=lim aÇ+lim bÇ=3+(-2)=1


n`Ú¦ n`Ú¦ n`Ú¦

⑶ lim (aÇ-bÇ)=lim aÇ-lim bÇ=3-(-2)=5


n`Ú¦ n`Ú¦ n`Ú¦

⑷ lim aÇbÇ=lim aÇ_lim bÇ=3_(-2)=-6


n`Ú¦ n`Ú¦ n`Ú¦

aÇ lim aÇ
3
⑸ lim = n`Ú¦ = =-;2#; (단, bn+0)
n`Ú¦ bÇ lim bÇ -2
n`Ú¦

참고 위의 성질은 두 수열 {aÇ}, {bÇ}이 모두 수렴하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다.

4.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수렴하는 두 수열 {aÇ}, {bÇ}에 대하여 lim aÇ=a, lim bÇ=b`(a, b는 상수)일 때,
n`Ú¦ n`Ú¦

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ÇÉbÇ이면 aÉb이다.


⑵ 수열 {c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ÇÉcÇÉbÇ을 만족시키고 a=b이면 lim cÇ=a이다.
n`Ú¦

예 수열 {aÇ}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n!;ÉaÇÉ1+;n!; 을 만족시키면

lim {1-;n!;}=lim {1+;n!;}=1이므로 lim aÇ=1이다.


n`Ú¦ n`Ú¦ n`Ú¦

참고 ⑴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Ç<bÇ이지만 lim aÇ=lim bÇ인 경우가 있다.


n`Ú¦ n`Ú¦

예를 들어 aÇ=-;n!;, bÇ=;n!;이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Ç<bÇ이지만 lim aÇ=lim bÇ=0이다.


n`Ú¦ n`Ú¦

⑵에서 수열 {c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cn<bn을 만족시키고 a=b일 때도 lim cn=a가 성립한다.
n`Ú¦

10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2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

두 수열 {an}, {bn}에 대하여


   lim (2an-3)=5, lim (2bn-3an)=4
n`Ú¦ n`Ú¦

일 때, lim anbn의 값은?


n`Ú¦

①8 ② 16 ③ 24 ④ 32 ⑤ 40

풀이 전략 수렴하는 두 수열 {aÇ}, {bÇ}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⑴ lim can=c lim an (단, c는 상수) ⑵ lim (aÇ+bÇ)= lim aÇ+ lim bÇ
n`Ú¦ n`Ú¦ n`Ú¦ n`Ú¦ n`Ú¦

⑶ lim (aÇ-bÇ)=lim aÇ-lim bÇ ⑷ lim aÇbÇ= lim aÇ_ lim bÇ


n`Ú¦ n`Ú¦ n`Ú¦ n`Ú¦ n`Ú¦ n`Ú¦

풀이 lim (2an-3)=5이므로
n`Ú¦

   lim an=lim [;2!;(2an-3)+;2#;]


n`Ú¦ n`Ú¦

   =;2!; lim (2an-3)+lim ;2#;


n`Ú¦ n`Ú¦

   =;2!;_5+;2#;=4

lim (2bn-3an)=4이므로
n`Ú¦

   lim bn=lim [;2!;(2bn-3an)+;2#;an]


n`Ú¦ n`Ú¦

   =;2!; lim (2bn-3an)+;2#; lim an


n`Ú¦ n`Ú¦

   =;2!;_4+;2#;_4=8

따라서 lim anbn=lim an_lim bn=4_8=32


n`Ú¦ n`Ú¦ n`Ú¦

 ④

정답과 풀이 40쪽

[9007-0172 ]

유제 2 두 수열 {an}, {bn}에 대하여 lim an=2, lim


n`Ú¦ n`Ú¦
bÇ+1

=;2!;일 때, lim bn의 값은?
n`Ú¦

 (단,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0이다.)

① -2 ② -1 ③0 ④1 ⑤2

[9007-0173 ]

유제 3 두 수열 {an}, {b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Ç 1 aÇ 1
   - <2bn< +
2 n 2 n
을 만족시킨다. lim 2an=8일 때, lim bn의 값을 구하시오.
n`Ú¦ n`Ú¦

01 수열의 극한 103
01
수학영역

수열의 극한

5. 수열의 극한
¦
⑴ 꼴의 수열의 극한
¦
일반항의 분모와 분자가 각각 양의 무한대 또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다항식으로 주어진 수열의 극한은 분
모의 최고차항으로 분모, 분자를 각각 나누어 그 극한을 생각한다.
`f(n)
이때 두 다항식 f(n), g(n)에 대하여 f(n), g(n)의 차수에 따라 의 극한은 다음과 같다.
g(n)
(단, f(n), g(n)은 n에 대한 차수가 모두 1 이상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g(n)+0이다.)
`f(n) `f(n)
① ( f(n)의 차수)>(g(n)의 차수)일 때, lim =¦ 또는 lim =-¦이다.
n`Ú¦ g(n) n`Ú¦ g(n)

3nÛ`-2 3n-;n@;
예 lim =lim =¦
n`Ú¦ 2n+1
2+;n!;
n`Ú¦

-2n+;n%;
-2nÛ`+5
lim =lim =-¦
n+2
1+;n@;
n`Ú¦ n`Ú¦

`f(n) `( f(n)의 최고차항의 계수)


② ( f(n)의 차수)=(g(n)의 차수)일 때, lim = 이다.
n`Ú¦ g(n) (g(n)의 최고차항의 계수)

1+;n@; lim {1+;n@;}


n+2 1+0
=;2!;
n`Ú¦
예 lim =lim = =
n`Ú¦ 2n-1 2-0
2-;n!; lim {2-;n!;}
n`Ú¦
n`Ú¦

`f(n)
③ ( f(n)의 차수)<(g(n)의 차수)일 때, lim =0이다.
n`Ú¦ g(n)
1
lim {;n#;- }
;n#;- 1
3n-1 nÛ` n`Ú¦ nÛ ` = 0-0 =0
예 lim =lim =
1+0
lim {1+;n!;}
n`Ú¦ nÛ`+n n`Ú¦ 1
1+
n n`Ú¦

⑵ ¦-¦ 꼴의 수열의 극한
① ¦-¦ 꼴의 다항식은 최고차항으로 묶어 그 극한을 생각한다.

lim (2nÛ`-3n+2)=lim nÛ` {2-;n#;+ }=¦


2

n`Ú¦ n`Ú¦ nÛ`
② ¦-¦ 꼴의 무리식은 식을 변형한 후 그 극한을 생각한다.
("ÃnÛ`+2n-n)("ÃnÛ`+2n+n)
예 lim ("ÃnÛ`+2n-n)=lim
n`Ú¦ n`Ú¦ "ÃnÛ`+2n+n
2n
=lim
n`Ú¦ "ÃnÛ`+2n+n
2
=lim =1
®É1+;n@;+1
n`Ú¦

10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3 수열의 극한값의 계산

lim { }=1일 때, 상수 a의 값은?


4n+1 3n-2
_
n`Ú¦ 2nÛ`-1 a
①6 ②8 ③ 10 ④ 12 ⑤ 14

(다항식)
풀이 전략 꼴의 수열의 극한은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분모, 분자를 각각 나누어 구한다.
(다항식)

lim { }=lim
4n+1 3n-2 12nÛ`-5n-2
풀이 _
n`Ú¦ 2nÛ`-1 a n`Ú¦ 2anÛ`-a

lim {12- - }
5 2 5 2
12- -
n nÛ` n`Ú¦ n nÛ`
=lim a = a
lim {2a- }
n`Ú¦
2a-
nÛ` n`Ú¦ nÛ`
12-0-0
= =;a^;
2a-0

따라서 ;a^;=1이므로

   a=6
 ①

정답과 풀이 40쪽

[9007-0174 ]

유제 4 lim
n`Ú¦
3n+2
"Ã4nÛ`+1
의 값은?

① ;2!; ② ;4#; ③1 ④ ;4%; ⑤ ;2#;

[9007-0175 ]

유제 5 자연수 n에 대하여 좌표평면에서 점 (3, 4)와 점 (0, n) 사이의 거리를 an이라 할 때, lim (n-an)의
n`Ú¦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01 수열의 극한 105
01
수학영역

수열의 극한

6. 등비수열의 극한
등비수열 {rÇ` }의 수렴과 발산은 공비 r의 값의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다.
⑴ r>1일 때, lim rÇ`=¦ (발산)
n`Ú¦

⑵ r=1일 때, lim rÇ`=1 (수렴)


n`Ú¦

⑶ -1<r<1일 때, lim rÇ`=0 (수렴)


n`Ú¦

⑷ rÉ-1일 때, 수열 {rÇ` }은 진동한다. (발산)


설명 ⑴ r>1일 때,
r=1+h`(h>0)으로 놓으면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rÇ`=(1+h)Ç`¾1+nh`(n¾1)
임을 보일 수 있다.
이때 lim (1+nh)=¦이므로 lim rÇ`=¦
n`Ú¦ n`Ú¦

⑵ r=1일 때,
수열 {rn}의 모든 항이 1이므로 lim rÇ`=1
n`Ú¦

⑶ -1<r<1일 때,
r=0이면 수열 {rn}의 모든 항이 0이므로 lim rÇ`=0
n`Ú¦

=lim { }`=¦
1 1 1 Ç
r+0이면 >1이므로 ⑴에 의하여 lim
|r| n`Ú¦ |rÇ`| n`Ú¦ |r|

1
따라서 lim |rÇ`|=lim =0이므로 lim rÇ`=0
n`Ú¦ n`Ú¦ 1 n`Ú¦

|rÇ`|
⑷ rÉ-1일 때,
r=-1이면 수열 {rÇ` }은 -1, 1, -1, 1, y이므로 진동한다.
r<-1이면
 |r|>1이므로 lim |rÇ`|=¦이고, n이 한없이 커질 때 rÇ` 의 부호가 교대로 바뀌므로 수열 {rÇ` }은
n`Ú¦
진동한다.
참고 ① 수열 {rÇ` }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1<rÉ1이다.
② 수열 {arÇ` }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a=0 또는 -1<rÉ1이다.
③ rn을 포함한 수열은 일반적으로 |r|<1, r=1, r=-1, |r|>1인 경우로 나누어 그 극한을 생각한다.
예 ① 등비수열 {2Ç` }은 공비가 2이고 2>1이므로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즉, lim 2Ç`=¦
n`Ú¦

② 등비수열 [{-;2!;}Ç `]은 공비가 -;2!;이고 -1<-;2!;<1이므로 0에 수렴한다.

즉, lim {-;2!;}Ç`=0
n`Ú¦

③ 등비수열 {(-2)Ç` }은 공비가 -2이고 -2<-1이므로 발산(진동)한다.

10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4 등비수열의 극한

a_{;2!;}Ç`+6
a_2Ç`+6
등식 lim n-2 =lim 을 만족시키는 상수 a에 대하여 12a의 값을 구하시오.
{;2!;} +1
n-2
n`Ú¦ 2 +1 n`Ú¦

풀이 전략 등비수열 {rÇ` }의 수렴과 발산은 다음과 같다.


⑴ r>1일 때, lim rÇ`=¦ (발산) ⑵ r=1일 때, lim rÇ`=1 (수렴)
n`Ú¦ n`Ú¦

⑶ -1<r<1일 때, lim rÇ`=0 (수렴) ⑷ rÉ-1일 때, 수열 {rÇ` }은 진동한다. (발산)


n`Ú¦

n
풀이 lim 2 =¦이므로
n`Ú¦

6
4a+ n-2
a_2n+6 2 4a+0
   lim n-2 =lim = =4a
n`Ú¦ 2 +1 n`Ú¦ 1 1+0
1+ n-2
2

lim {;2!;} =0이므로


n

n`Ú¦

a_{;2!;} +6
n

0+6
   lim = =6
0+1
{;2!;}
n-2
n`Ú¦
+1

따라서 4a=6이므로
   12a=3_4a=3_6=18
 18

정답과 풀이 40쪽

[9007-0176 ]
(-3)n+2+2n+1
유제 6 lim n
n`Ú¦ (-3) +2
n-1 의 값은?

① -9 ② -4 ③1 ④4 ⑤9

[9007-0177 ]

유제 7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2n+1
   |an- |<{;3@;}
n
n
2 +1
을 만족시킬 때, lim an의 값은?
n`Ú¦

① ;3@; ②1 ③ ;3$; ④ ;3%; ⑤2

01 수열의 극한 107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41쪽

[9007-0178 ]

1 lim {
n`Ú¦
1 2
+ +3}의 값은?
nÛ` n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179 ]

2 100_lim n{®É4+
n`Ú¦
10
n
-®É4+ }의 값을 구하시오.
1
n

[9007-0180 ]

3 lim {
1
} 의 값은?
n

n`Ú¦ n+1

①0 ② ;4!; ③ ;2!; ④ ;4#; ⑤1

[9007-0181 ]

4 두 수열 {an}, {bn}에 대하여 lim an=¦, lim


n`Ú¦ n`Ú¦
aÇ+bÇ
2aÇ+1

=3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n`Ú¦ aÇ

 (단,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0이다.)

[9007-0182 ]
an+3+bn-2
5 두 실수 a=2;3@;, b=3;2!;에 대하여 lim
n`Ú¦ an+bn
의 값은?

① ;4!; ② ;3!; ③2 ④3 ⑤4

[9007-0183 ]

6 수열 [
xn
32n
]이 수렴하도록 하는 정수 x의 개수를 구하시오.

10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42쪽

[9007-0184 ]

1 등차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a2n=12n을 만족시킬 때, lim


n`Ú¦
aÇ*Á
n
의 값은?

①2 ②3 ③4 ④5 ⑤6

[9007-0185 ]

2 수열 {an}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1
   an=[
pÛ`+  (n은 홀수)
n
4p-4 (n은 짝수)
lim an=q일 때, p+q의 값을 구하시오. (단, p, q는 상수이다.)
n`Ú¦

[9007-0186 ]

3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5nÛ`-n|<10
aÇ+nÛ`
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은? (단,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nÛ` 이다.)
n`Ú¦ aÇ-nÛ`

① ;2!; ② ;2#; ③ ;2%; ④ ;2&; ⑤ ;2(;

[9007-0187 ]

4 자연수 n에 대하여 "ÃnÛ`-1<x<"Ã4nÛ`+4n+3 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를 an이라 할 때, lim


n`Ú¦

n
의값

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188 ]

5 수열 {an}의 일반항이
2+(-1)Ç`
   an= (n=1, 2, 3, y)
2

일 때, lim Á 의 값은?
n aû

n`Ú¦ k=1 n

① ;2!; ②1 ③ ;2#; ④2 ⑤ ;2%;

01 수열의 극한 109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43쪽

[9007-0189 ]

1 집합 {x|x는 -1이 아닌 실수}에서 정의된 함수


xn+1+2x+1
   f(x)=lim
n`Ú¦ xÇ`+1
이 있다.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mx가 만나지 않도록 하는 정수 m의 개수는?
 (단, n은 자연수이다.)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190 ]

2 모든 항이 양수인 두 수열 {an}, {bn}에서 일반항 an과 bn은 각각 n에 대한 이차식이다.



lim =1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n`Ú¦ bÇ

보기
'ÄaÇ+bÁ¼¼
ㄱ. lim =1
n`Ú¦ 'ÄbÇ+aÁ¼¼
ㄴ. 수열 {an-bn}은 수렴한다.
ㄷ. 수열 {'§an-'§bn}은 수렴한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9007-0191 ]

3 자연수 n에 대하여
   0<aÁ<aª<a£<y<a2n-1<a2n<6n+6
을 만족시키는 2n개의 홀수 aÁ, aª, a£, y, a2n-1, a2n의 총합의 최솟값을 mn, 최댓값을 Mn이라 하자.

lim 의 값은?
n`Ú¦ mÇ
①2 ②4 ③6 ④8 ⑤ 10

11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대표 기출 문제

출제 기본적인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과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경향 문제, 주어진 그래프나 도형으로부터 수열의 일반항을 구하여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 등이 출제되고 있다.

자연수 n에 대하여 직선 x=4n이 곡선 y='x 와 만나는 점을 Pn이라 하 Z

L 1‰ ƒ ZY
자. 선분 PnPn+1의 길이를 Ln이라 할 때, lim { n+1 } 의 값을 구하시오.
2

n`Ú¦ Ln 1‰
 [4점]

0 Y
YŠ YŠ t˜

2017학년도 대수능


무리함수의 그래프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한 후, 등비수열의 극한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두 점 Pn, Pn+1의 좌표가 각각


   Pn(4n, 2n), Pn+1(4n+1, 2n+1)
이므로
   (Ln)2=PÕnPÓn+1Ó Û=(4n+1-4n)2+(2n+1-2n)2
=(3_4n)2+(2n)2
=9_16n+4n
따라서
Ln+1 2 (Ln+1)Û`
   lim { } =lim
n`Ú¦ Ln n`Ú¦ (Ln)Û`

9_16n+1+4n+1
   =lim
n`Ú¦ 9_16n+4n

9_16+4_{;4!;}
n

9+{;4!;}n
   =lim
n`Ú¦

9_16+4_0
   = =16
9+0
 16

01 수열의 극한 111
02
수학영역

급수

1. 급수의 뜻
⑴ 수열 {aÇ}의 각 항을 덧셈 기호 +로 연결한 식
   aÁ+aª+a£+y+aÇ+y

을 급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 Á를 사용하여 Á aÇ과 같이 나타낸다. 즉,


¦

   aÁ+aª+a£+y+aÇ+y= Á aÇ
n=1
¦

① 2+4+6+y+2n+y= Á 2n
n=1
¦

+ +y+ +y= Á
n=1

1 1 1 ¦ 1
② 1+
2Û` 3Û` nÛ` n=1 nÛ`

③ Á 2-n=2ÑÚ`+2ÑÛ`+2ÑÜ`+y+2-n+y=;2!;+
¦ 1 1 1
+ +y+ +y
2Û` 2Ü` 2Ç`

⑵ 급수 Á aÇ에서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Ç=aÁ+aª+a£+y+aÇ= Á ak를 이 급수의 제n항까지의 부


n=1

¦ n

n=1 k=1

분합이라고 한다.

2. 급수의 수렴과 발산

급수 Á aÇ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Ç}이 일정한 값 S에 수렴하면, 즉


¦

   lim SÇ=lim Á aû=S


n=1
n

이면 급수 Á aÇ은 S에 수렴한다고 한다.


n`Ú¦ n`Ú¦ k=1

n=1

이때 S를 이 급수의 합이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aÁ+aª+a£+y+aÇ+y=S 또는 Á aÇ=S
¦

n=1

와 같이 나타낸다.

한편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Ç}이 발산할 때, 급수 Á aÇ은 발산한다고 한다.


¦

① 급수 Á {;n!;-
n=1

}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Ç이라 하면


¦ 1

n+1

   SÇ= Á {;k!;-
n=1

}={;1!;-;2!;}+{;2!;-;3!;}+{;3!;-;4!;}+y+{;n!;- }=1-
n 1 1 1

k+1 n+1 n+1

}=1이므로 Á {;n!;-
k=1

이때 lim SÇ=lim {1- }=1이다.


1 ¦ 1

n+1 n+1

② 급수 Á ('Än+1-'n)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Ç이라 하면


n`Ú¦ n`Ú¦ n=1
¦

   SÇ= Á ('Äk+1-'k)
n=1
n

k=1

   =('2-1)+('3-'2)+('4-'3)+y+('Än+1-'n)
   ='Än+1-1

이때 lim SÇ=lim ('Än+1-1)=¦이므로 급수 Á ('Än+1-'n)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

n`Ú¦ n`Ú¦ n=1

11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1 급수의 합

일 때, Á an+ Á Sn의 값은?


1 ¦ ¦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n이 Sn=
4nÛ`-1 n=1 n=1

① ;4!; ② ;2!; ③ ;4#; ④1 ⑤ ;4%;

급수 Á aÇ의 제 n항까지의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Ç}이 일정한 값 S에 수렴하면


¦
풀이 전략

lim SÇ= lim Á aû=S이다.


n=1

즉, Á aÇ=lim SÇ= lim Á aû=S


n`Ú¦ n`Ú¦ k=1

¦ n

n=1 n`Ú¦ n`Ú¦ k=1

풀이 lim (4nÛ`-1)=¦이므로 급수의 정의에 의하여

   Á an=lim Sn=lim
n`Ú¦
¦ 1
=0
n=1 n`Ú¦ n`Ú¦ 4nÛ`-1

=;2!;{ }이므로
1 1 1 1
한편 Sn= = -
4nÛ`-1 (2n-1)(2n+1) 2n-1 2n+1

   Á Sk= Á =;2!; Á { }
n n 1 n 1 1
-
k=1 k=1 4kÛ`-1 k=1 2k-1 2k+1

=;2!;[{;1!;-;3!;}+{;3!;-;5!;}+y+{ }]=;2!;{1- }
1 1 1
   -
2n-1 2n+1 2n+1
급수의 정의에 의하여

   Á Sn=lim Á Sk=lim ;2!;{1- }=;2!;(1-0)=;2!;


¦ n 1
2n+1

따라서 Á an+ Á Sn=0+;2!;=;2!;


n=1 n`Ú¦ k=1 n`Ú¦

¦ ¦

n=1 n=1

 ②

정답과 풀이 44쪽

수열 {an}에 대하여 Á ak= 일 때, Á an의 값은?


[9007-0192 ]

1 2n+1+3
n ¦
유제
k=1 2Ç`-1 n=1

①1 ②2 ③3 ④4 ⑤5

`(n=1, 2, 3, y)일 때, Á
[9007-0193 ]

2
¦ aÇ-aÇ*Á
3nÛ`
유제 수열 {an}의 일반항이 an= 의 값은?
nÛ`+1 n=1 aÇ aÇ*Á

① -;3@; ② -;3!; ③0 ④ ;3!; ⑤ ;3@;

02 급수 113
02
수학영역

급수

3. 급수와 수열의 극한 사이의 관계

⑴ 급수 Á aÇ이 수렴하면 lim aÇ=0이다.


¦

급수 Á aÇ이 S에 수렴한다고 하자.


n=1 n`Ú¦
¦
설명

급수 Á aÇ의 제 n항까지의 부분합을 SÇ이라 하면


n=1
¦

n=1

aÇ=SÇ-SÇÐÁ`(n¾2)이고.
lim SÇ=S, lim SÇÐÁ=S이므로
n`Ú¦ n`Ú¦

   lim aÇ=lim (SÇ-SÇÐÁ)=lim SÇ-lim SÇÐÁ=S-S=0

따라서 급수 Á aÇ이 수렴하면 lim aÇ=0이다.


n`Ú¦ n`Ú¦ n`Ú¦ n`Ú¦
¦

⑵ ⑴의 대우인 ‘lim aÇ+0이면 급수 Á aÇ은 발산한다.’도 참이다.


n=1 n`Ú¦

n`Ú¦ n=1

n
예 aÇ= 일 때,
2n+1
n 1
lim aÇ=lim =lim =;2!;이므로 lim aÇ+0이다.
2n+1 n`Ú¦
2+;n!;
n`Ú¦ n`Ú¦ n`Ú¦

따라서 급수 Á aÇ은 발산한다.


¦

⑶ ⑴의 역인 ‘lim aÇ=0이면 급수 Á aÇ은 수렴한다.’는 거짓이다.


n=1

즉, lim aÇ=0이지만 급수 Á aÇ이 발산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n`Ú¦ n=1
¦

n`Ú¦ n=1

1
aÇ= 일때
'Än+1+'n

1
Ú lim aÇ=lim =0
'Än+1+'n

Û 급수 Á aÇ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Ç이라 하면


n`Ú¦ n`Ú¦

   SÇ= Á =Á
n=1

n 1 n 'Äk+1-'k

k=1 'Äk+1+'k k=1 ('Äk+1+'k)('Äk+1-'k)

=Á = Á ('Äk+1-'k)
n 'Äk+1-'k n
  
k=1 (k+1)-k k=1
   =('2-1)+('3-'2)+('4-'3)+y+('Än+1-'n)
   ='Än+1-1

이때 lim SÇ=lim ('Än+1-1)=¦이므로 급수 Á aÇ은 발산한다.


¦

n`Ú¦ n`Ú¦ n=1

Ú, Û에 의하여

일 때, lim aÇ=0이지만 급수 Á aÇ은 발산한다.


1 ¦
aÇ=
'Än+1+'n n`Ú¦ n=1

11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2 급수와 수열의 극한 사이의 관계

수렴하는 두 수열 {an}, {b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lim (an+bn)=8, Á (3an-bn)=4


¦

n`Ú¦ n=1

를 만족시킨다. lim anbn의 값은?


n`Ú¦

①8 ② 10 ③ 12 ④ 14 ⑤ 16

⑴ 급수 Á aÇ이 수렴하면 lim aÇ=0이다.


¦
풀이 전략

⑵ lim aÇ+0이면 급수 Á aÇ은 발산한다.


n=1 n`Ú¦

n`Ú¦ n=1

풀이 두 수열 {an}, {bn}이 모두 수렴하므로 lim an=a, lim bn=b`(a, b는 상수)라 하면


n`Ú¦ n`Ú¦
   lim (an+bn)= lim an+lim bn
n`Ú¦ n`Ú¦ n`Ú¦

=a+b=8 yy`㉠

또 Á (3an-bn)이 수렴하므로
¦

n=1

   lim (3an-bn)=3lim an-lim bn


n`Ú¦ n`Ú¦ n`Ú¦

=3a-b=0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6
따라서 lim anbn=lim an_lim bn=ab=2_6=12
n`Ú¦ n`Ú¦ n`Ú¦

 ③

정답과 풀이 45쪽

[9007-0194 ]

유제 3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Á {ak-
"Ã4kÛ`+1
}=
n
9n+5
k=1 k 2n
를 만족시킬 때, lim an의 값은?
n`Ú¦

①1 ②2 ③3 ④4 ⑤5

수렴하는 수열 {an}이 Á an=lim (an+10)을 만족시킬 때, Á an의 값을 구하시오.


[9007-0195 ]

4
¦ ¦
유제
n=1 n`Ú¦ n=1

02 급수 115
02
수학영역

급수

4. 급수의 성질

두 급수 Á aÇ, Á bÇ이 모두 수렴하고, Á aÇ=S, Á bÇ=T라 할 때,


¦ ¦ ¦ ¦

⑴ Á caÇ=c Á aÇ=cS (단, c는 상수)


n=1 n=1 n=1 n=1
¦ ¦

⑵ Á (aÇ+bÇ)= Á aÇ+ Á bÇ=S+T


n=1 n=1
¦ ¦ ¦

⑶ Á (aÇ-bÇ)= Á aÇ- Á bÇ=S-T


n=1 n=1 n=1
¦ ¦ ¦

Á aÇ=2, Á bÇ=3일 때, Á (2aÇ-bÇ)=2 Á aÇ- Á bÇ=2_2-3=1


n=1 n=1 n=1
¦ ¦ ¦ ¦ ¦

n=1 n=1 n=1 n=1 n=1

5. 등비급수
⑴ 첫째항이 a이고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rÇ` ÑÚ`}에 대하여 급수

   Á arÇ` ÑÚ`=a+ar+arÛ`+y+arÇ` ÑÚ`+y


¦

n=1

을 첫째항이 a이고 공비가 r인 등비급수라고 한다.

⑵ 등비급수 Á arÇ` ÑÚ``(a+0)은


¦

n=1

a
① |r|<1일 때, 수렴하고 그 합은 이다.
1-r
② |r|¾1일 때, 발산한다.
a+0일 때, 등비급수 Á arÇ` ÑÚ`의 수렴과 발산을 r의 값의 범위에 따라 조사해 보자.
¦
설명

① |r|<1일 때, lim rÇ`=0이므로 Á arn-1=lim Á ark-1=lim


n=1

¦ n a(1-rÇ`) a
= 이다.
1-r 1-r

② |r|¾1일 때, lim arÇ` ÑÚ`+0이므로 등비급수 Á arÇ` ÑÚ`은 발산한다.


n`Ú¦ n=1 n`Ú¦ k=1 n`Ú¦

¦

n`Ú¦ n=1

예 ① 수열 [{;4!;}Ç` ]은 첫째항이 ;4!;,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다.

이때 |;4!;|<1이므로 이 등비급수는 수렴하고 Á {;4!;}Ç` =


¦
;4!;
=;3!;이다.
n=1
1-;4!;
② 수열 {(-3)n-1}은 첫째항이 1,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다.

이때 |-3|>1이므로 등비급수 Á (-3)n-1은 발산한다.


¦

급수 Á arÇ` ÑÚ`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a=0 또는 |r|<1이다.


n=1
¦
참고
n=1

6. 등비급수의 활용
선분의 길이나 도형의 넓이가 일정한 비율로 한없이 작아질 때, 이 모든 선분의 길이의 합 또는 모든 도형의 넓이
의 합은 등비급수로 나타내어 그 합을 구할 수 있다.

11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3 등비급수의 합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1Á6;인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넓이가 an인 정사각형의 한 대각선의 길이를 ln이라 하자.

Á ln의 값은?
¦

n=1

4'2 5'2 7'2 8'2


① ② ③ 2'2 ④ ⑤
3 3 3 3

|r|<1일 때, Á arÇ` ÑÚ`=


풀이 전략
¦ a 이다.
n=1 1-r

풀이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1Á6;이므로


n-1
   an={;1Á6;}

넓이가 an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bn이라 하면


n-1
   (bn)Û`={;1Á6;}

bn>0이므로 bn={;4!;}
n-1

이 정사각형의 한 대각선의 길이는 '2bn이므로

   ln='2_{;4!;}
n-1

따라서 수열 {ln}은 첫째항이 '2이고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므로

   Á ln=
¦ '2 4'2
=
1-;4!;
n=1 3

 ①

정답과 풀이 45쪽

급수 Á 4-n+1의 값은?
[9007-0196 ]

5
¦
유제
n=1

① ;3$; ② ;2#; ③ ;3%; ④ :Á6Á: ⑤2

첫째항과 공비가 서로 같은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Á


[9007-0197 ]
an-2n+1
6
¦
유제 =1일 때, 8a£의 값을 구하시오.
n=1 3Ç`

02 급수 117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45쪽

Á{
[9007-0198 ]

1 n+1 n+2
}의 값은?
¦
-
n=1 n n+1

① -2 ② -1 ③0 ④1 ⑤2

두 수열 {an}, {bn}에 대하여 Á ak= , Á b =5일 때, lim {an+ Á bk}의 값은?


[9007-0199 ]

2 2n+1 ¦
n n

k=1 n+3 n=1 n n`Ú¦ k=1

①5 ②6 ③7 ④8 ⑤9

수열 {an}에 대하여 Á (2an-15)=3일 때, lim (an+1+a2n)의 값을 구하시오.


[9007-0200 ]

3
¦

n=1 n`Ú¦

=2일 때, Á 의 값은?
[9007-0201 ]

4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lim


n`Ú¦

3Ç`
¦ 1

n=1 aÇ

① ;6!; ② ;5!; ③ ;4!; ④ ;3!; ⑤ ;2!;

첫째항이 4인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Á an=:Á3¤:일 때, Á 'Œan의 값을 구하시오.


[9007-0202 ]

5
¦ ¦

n=1 n=1

11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46쪽

[9007-0203 ]

1 첫째항이 5인 등비수열 {an}이

   Á an= Á an
5 ¦

n=1 n=6

을 만족시킬 때, aÁÁ=;pQ;이다. p+q의 값을 구하시오. (단, p와 q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자연수 k에 대하여 Á x-n=k를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을 ak라 할 때, Á `log£`ak의 값은?


[9007-0204 ]

2
¦ 80

n=1 k=1

①3 ②4 ③5 ④6 ⑤7

두 수열 {an}, {bn}에 대하여 Á an(bn+1)=2019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9007-0205 ]

3
¦

n=1

 (단,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bn+-1이다.)

ㄱ. Á anbn=2000이면 Á an=19이다.
보기
¦ ¦

ㄴ. Á an=1이면 Á (bn+1)=2019이다.
n=1 n=1
¦ ¦

ㄷ. Á bn=1이면 lim an=0이다.


n=1 n=1
¦

n=1 n`Ú¦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9007-0206 ]

4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 AÁBÁCÁ에 대하여 선분 BÁCÁ을 1`:`3으로 내분 "„

하는 점과 3`:`1로 내분하는 점을 각각 Bª, Cª라 하고, 삼각형 AªBªCª가 정삼


각형이 되도록 하는 점 Aª를 삼각형 AÁBÁCÁ의 내부에 정한다. 선분 BªCª를
"m
1`:`3으로 내분하는 점과 3`:`1로 내분하는 점을 각각 B£, C£이라 하고, 삼각
"f
형 A£B£C£이 정삼각형이 되도록 하는 점 A£을 삼각형 AªBªCª의 내부에 정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삼각형 AnBnCn`(n은 자연수)를 계속하여 정하고, #„ $„

두 삼각형 AnBnBn+1, AnCn+1Cn의 넓이의 합을 Sn이라 하자. Á Sn의 값은?


#m #f $f $m
¦

n=1

7'3 8'3 10'3 11'3


① ② ③ 3'3 ④ ⑤
3 3 3 3

02 급수 119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47쪽

[9007-0207 ]

1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3n+1
   Sn=an+ +c (c는 상수)
3 +2n
n-1

가 성립한다. Á an의 값은?


¦

n=1

①5 ②6 ③7 ④8 ⑤9

[9007-0208 ]

2 첫째항이 -1, 공차가 양수인 등차수열 {an}에 대하여 직선 x=an과 곡선 y=


4x+2
x-1
의 교점의 y좌표를 yn

이라 하자. Á ('Äyn+1-'§yn)의 값은? (단,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이다.)


¦

n=1

① ;5!; ② ;5@; ③ ;5#; ④ ;5$; ⑤1

[9007-0209 ]

3 자연수 n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한 대각선이 x축 위에 있는 정사각형 Rn Z


ZÅY 
을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그린다.

(가) 점 (0, 0)은 RÁ의 한 꼭짓점이고, 점 (3, 0)은 Rª의 한 꼭짓점이다.


0   Y
(나) 정사각형 Rn의 제1사분면에 있는 꼭짓점은 직선 y=-;2!;x+3 위 3f
3m
에 있다. 3„

(다) 정사각형 Rn의 한 변의 길이를 an이라 하면 수열 {an}은 공비가 1


보다 작은 등비수열이다.

두 정사각형 Rn, Rn+1의 내부의 공통부분의 넓이를 Sn이라 할 때, Á Sn의 값은?


¦

n=1

① ;3@; ② ;6%; ③1 ④ ;6&; ⑤ ;3$;

12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대표 기출 문제

출제 기본적인 급수의 합을 구하는 문제, 급수가 수렴할 때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 등비급수의 합을 이용하여 도형의 길
경향 이나 넓이의 합을 구하는 문제 등이 출제되고 있다.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 AÁBÁCÁ이 있다. 선분 AÁBÁ의 중 "„

점을 DÁ이라 하고, 선분 BÁCÁ 위의 CÁDÁÓ=CÁBªÓ인 점 Bª에 대하여 중심이


3„ %„ "m
CÁ인 부채꼴 CÁDÁBª를 그린다. 점 Bª에서 선분 CÁDÁ에 내린 수선의 발을
Aª, 선분 CÁBª의 중점을 Cª라 하자. 두 선분 BÁBª, BÁDÁ과 호 DÁBª로 둘러
#„ $„
싸인 영역과 삼각형 CÁAªCª의 내부에 색칠하여 얻은 그림을 RÁ이라 하자. #m $m

그림 RÁ에서 선분 AªBª의 중점을 Dª라 하고, 선분 BªCª 위의 CªDªÓ=CªB£Ó "„


인 점 B£에 대하여 중심이 Cª인 부채꼴 CªDªB£을 그린다. 점 B£에서 선분
CªDª에 내린 수선의 발을 A£, 선분 CªB£의 중점을 C£이라 하자. 두 선분 3m %„ "m
BªB£, BªDª와 호 DªB£으로 둘러싸인 영역과 삼각형 CªA£C£의 내부에 색 %m "f

칠하여 얻은 그림을 Rª라 하자.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n번째 얻은 그림 #„ $„


#m #f $f $m
Rn에 색칠되어 있는 부분의 넓이를 Sn이라 할 때, lim Sn의 값은? [4점]




n`Ú¦

11'3-4p 11'3-4p 15'3-6p 15'3-6p 15'3-4p


① ② ③ ④ ⑤
56 52 56 52 52

2018학년도 대수능

닮음비를 이용하여 등비급수의 공비를 구하고 등비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3 '3
풀이 ∠BÁCÁDÁ=30ù, ∠CÁDÁBÁ=90ù이므로 직각삼각형 BÁCÁDÁ에서 CÁDÁÓ=BÁCÁÓ`cos`30ù=1_ =
2 2
한편 두 선분 BÁBª, BÁDÁ과 호 DÁBª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는
'3 '3 Û '3 p 2'3-p
   ;2!;_ _;2!;-p_{ }`_;3£6¼0;= - = yy`㉠
2 2 8 16 16
또 삼각형 CÁAªCª의 넓이는
'3 '3 '3 3'3
   ;2!;_CªCÁÓ_CÁAªÓ_sin`30ù=;2!;_{;2!;_ }_{ _ }_;2!;=    yy`㉡
2 2 2 64
2'3-p 3'3 11'3-4p
따라서 ㉠과 ㉡에 의하여 SÁ= + =
16 64 64
'3 '3
한편 직각삼각형 AªBªCÁ에서 ∠BªCÁAª=30ù이므로 ∠AªBªCÁ=60ù, AªBªÓ=BªCÁÓ`sin`30ù= _;2!;=
2 4
'3
그러므로 ∠AªBªCª=60ù이고 AªBªÓ=BªCªÓ이므로 삼각형 AªBªCª는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이다.
4
'3
즉, 두 정삼각형 AÁBÁCÁ과 AªBªCª의 닮음비가 1`:` 이므로 넓이의 비는 1`:`;1£6;이다.
4

따라서 lim Sn=lim Á SÁ{;1£6;}


11'3-4p
n k-1 64 11'3-4p
= =  ②
52
1-;1£6;
n`Ú¦ n`Ú¦ k=1

02 급수 121
03
수학영역

함수의 극한

1. 함수의 수렴과 발산
⑴ 함수의 수렴
①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이 일정 Z ZG Y

한 값 a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f(x)는 a에 수렴한다고 한다. =

이때 a를 함수 f(x)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f(x)=a 또는 x Ú a일 때 f(x) Ú a 0 B Y
x`Ú a

② 함수 f(x)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지거나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a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f(x)는 a에 수렴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x)=a 또는 x Ú ¦일 때 f(x) Ú a, lim `f(x)=a 또는 x Ú -¦일 때 f(x) Ú a
x`Ú¦ x`Ú -¦

⑵ 함수의 발산
①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가 아니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
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f(x)=¦ 또는 x Ú a일 때 f(x) Ú ¦
x`Ú a

또 f(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이
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f(x)=-¦ 또는 x Ú a일 때 f(x) Ú -¦
x`Ú a

② 함수 f(x)에서 x의 값이 한없이 커지거나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이 양의 무


한대 또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면 이것을 기호로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x)=¦, lim `f(x)=-¦, lim `f(x)=¦, lim `f(x)=-¦
x`Ú¦ x`Ú¦ x`Ú-¦ x`Ú-¦

참고 ① 함수 f(x)에서 함숫값 f(a)가 정의되지 않는 경우라도 극한값 lim`f(x)는 존재할 수 있다.


x`Ú a

② 수열의 발산과 마찬가지로 함수의 발산에도 진동하는 경우가 있다.

2. 우극한과 좌극한
⑴ 함수 f(x)에서 x가 a보다 큰 값을 가지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a에 한없이 가
까워지면 a를 x=a에서 함수 f(x)의 우극한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x)=a 또는 x Ú a+일 때 f(x) Ú a
x`Ú a+

⑵ 함수 f(x)에서 x가 a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a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a를 x=a에서 함수 f(x)의 좌극한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x)=a 또는 x Ú a-일 때 f(x) Ú a
x`Ú a-

⑶ 함수 f(x)에서 lim`f(x)의 값이 존재하면 x=a에서 함수 f(x)의 우극한과 좌극한이 모두 존재하고 그 값


x`Ú a

이 같다. 또 그 역도 성립한다. 즉,
   lim`f(x)=a HjK lim `f(x)= lim `f(x)=a
x`Ú a x`Ú a+ x`Ú a-

참고 함수 f(x)의 x=a에서의 우극한, 좌극한이 모두 존재하더라도 그 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12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1 함수의 극한

0ÉxÉ4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lim `f(x)+2 lim `f(x)의 Z


x`Ú 1- x`Ú 3+ ZG Y

값은?

①0 ②1 ③2
④3 ⑤4 0    Y

풀이 전략 함수 y=f(x)의 그래프를 따라 움직이면서 함수 f(x)의 좌극한과 우극한을 구한다.

풀이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x Ú 1-일 때 f(x) Ú 1이므로
   lim `f(x)=1
x`Ú 1-

x Ú 3+일 때 f(x) Ú 1이므로


   lim `f(x)=1
x`Ú 3+

따라서
   lim `f(x)+2 lim `f(x)=1+2_1=3
x`Ú 1- x`Ú 3+

 ④

정답과 풀이 49쪽

[9007-0210 ]

유제 1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Z

 ZG Y
lim `f(x)-2
x`Ú 1+
의 값은?
lim `f(x)+1
x`Ú -1-
 0  Y
① -2 ② -1 ③0 
④1 ⑤2

[9007-0211 ]
|x-1|
2
xÛ`-4
유제 함수 f(x)= + 에 대하여 lim `f(x)+ lim `f(x)의 값은?
x-1 |x-2| x`Ú 1- x`Ú 2+

①1 ②2 ③3 ④4 ⑤5

03 함수의 극한 123
03
수학영역

함수의 극한

3.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f(x)=a, lim`g(x)=b`(a, b는 실수)일 때,
x`Ú a x`Ú a

⑴ lim cf(x)=c lim`f(x)=ca (단, c는 상수)


x`Ú a x`Ú a

⑵ lim{ f(x)+g(x)}=lim`f(x)+lim`g(x)=a+b
x`Ú a x`Ú a x`Ú a

⑶ lim{ f(x)-g(x)}=lim`f(x)-lim`g(x)=a-b
x`Ú a x`Ú a x`Ú a

⑷ lim`f(x)g(x)=lim`f(x)_lim`g(x)=ab
x`Ú a x`Ú a x`Ú a

`lim`f(x)
`f(x) a
= (단, g(x)+0, b+0)
x`Ú a
⑸ lim =
x`Ú a g(x) lim`g(x) b
x`Ú a

참고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lim`f(x)의 값 또는 lim g(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x`Ú a x`Ú a

예 ① 두 함수 f(x)=1+;[!;, g(x)=1-;[!;에 대하여

   lim{ f(x)+g(x)}=2
x`Ú 0

이지만, lim`f(x)의 값과 lim g(x)의 값이 모두 존재하지 않으므로 lim`f(x)+lim g(x)의 값이 존재하지


x`Ú 0 x`Ú 0 x`Ú 0 x`Ú 0

않는다. 따라서 성질 ⑴이 성립하지 않는다.


x-2
② 두 함수 f(x)= , g(x)=x-1에 대하여
x-1

   lim`f(x)g(x)=lim[
x-2
_(x-1)]
x`Ú 1 x`Ú 1 x-1
   =lim(x-2)=-1
x`Ú 1

이지만,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고, lim g(x)=0이므로 성질 ⑷가 성립하지 않는다.


x`Ú 1 x`Ú 1

참고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x Ú a+, x Ú a-, x Ú ¦, x Ú -¦일 때도 성립한다.


예 ① lim (2xÛ`-3)= lim 2xÛ`- lim 3
x`Ú -1+ x`Ú -1+ x`Ú -1+

=2 lim xÛ`- lim 3


x`Ú -1+ x`Ú -1+

=2_(-1)Û`-3
=-1

1+;[@; lim {1+;[@;}


1+0
=;2!;
x`Ú¦
② lim = =
2-0
2-;[!; lim {2-;[!;}
x`Ú¦

x`Ú¦

12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2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f(1)=3이면 lim`f(x)=3이다.
x`Ú 1

`f(x)
ㄴ. lim`f(x)=-¦, lim g(x)=2이면 lim =1이다.
x`Ú 1 x`Ú 1 x`Ú 1 `f(x)+g(x)
ㄷ. 두 극한값 lim{ f(x)+g(x)}, lim{ f(x)-g(x)}가 모두 존재하면 lim`f(x)g(x)의 값도 존재한다.
x`Ú 1 x`Ú 1 x`Ú 1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풀이 전략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f(x)=a, lim`g(x)=b`(a, b는 실수)일 때,


x`Ú a x`Ú a

⑴ lim cf(x)=ca (단, c는 상수) ⑵ lim{ f(x)+g(x)}=a+b


x`Ú a x`Ú a

`f(x) a
⑶ lim` f(x)g(x)=ab ⑷ lim = (단, g(x)+0, b+0)
x`Ú a x`Ú a g(x) b

x-1 (x+1)
풀이 ㄱ. (반례) f(x)=[ 로 놓으면 f(1)=3이지만 lim`f(x)=lim(x-1)=0이다. (거짓)
3 (x=1) x`Ú 1 x`Ú 1

1
ㄴ. lim`f(x)=-¦에서 lim =0이고, lim g(x)=2이므로
x`Ú 1 x`Ú 1 `f(x) x`Ú 1

`f(x) 1 1 1
   lim =lim = = =1 (참)
x`Ú 1 `f(x)+g(x) x`Ú 1 g(x) 1 1+0
1+ 1+lim g(x)_lim
`f(x) x`Ú 1 x`Ú 1 `f(x)

ㄷ. lim{ f(x)+g(x)}=a, lim{ f(x)-g(x)}=b`(a, b는 실수)로 놓으면


x`Ú 1 x`Ú 1

{ f(x)+g(x)}+{ f(x)-g(x)} a+b


   lim`f(x)=lim =
x`Ú 1 x`Ú 1 2 2
{ f(x)+g(x)}-{ f(x)-g(x)} a-b
   lim g(x)=lim =
x`Ú 1 x`Ú 1 2 2
a+b a-b aÛ`-bÛ`
이므로 lim`f(x)g(x)=lim`f(x)_lim g(x)= _ =
x`Ú 1 x`Ú 1 x`Ú 1 2 2 4
이 되어 극한값이 존재한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정답과 풀이 49쪽

[9007-0212 ]

3
{ f(x)}Û`-4
유제 lim{ f(x)-2}=0, lim g(x)=3일 때, lim 의 값은?
x`Ú 2 x`Ú 2 x`Ú 2 f(x)g(x)+f(x)-2g(x)-2
 (단,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2이다.)

①1 ②2 ③3 ④4 ⑤5

03 함수의 극한 125
03
수학영역

함수의 극한

4. 함수의 극한값의 계산
`f(x)
⑴ ;0); 꼴의 극한값:lim 의 값을 구할 때, lim`f(x)=0, lim g(x)=0인 경우
x`Ú a g(x) x`Ú a x`Ú a

① f(x), g(x)가 다항식이면 인수분해하여 공통인 인수를 약분한 후 극한값을 구한다.


② f(x) 또는 g(x)가 무리식이면 곱셈 공식 (a+b)(a-b)=aÛ`-bÛ`을 이용하여 식을 변형하고 약분한 후
극한값을 구한다.
xÛ`-2x-3 (x+1)(x-3)
예 ① lim =lim =lim(x+1)=3+1=4
x`Ú 3 x-3 x`Ú 3 x-3 x`Ú 3

x-1 (x-1)('x+1) (x-1)('x+1)


② lim =lim =lim
x`Ú 1 'x-1 x`Ú 1 ('x-1)('x+1) x`Ú 1 x-1
=lim('x+1)='1+1=2
x`Ú 1

¦ `f(x)
⑵ 꼴의 극한값:lim 의 값을 구할 때, lim `f(x)=¦, lim g(x)=¦인 경우
¦ x`Ú¦ g(x) x`Ú¦ x`Ú¦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분모, 분자를 각각 나누어 극한값을 구한다.


1
2x+
2xÜ`+1 xÛ`
예 ① lim =lim =¦
x`Ú¦ xÛ`-3 x`Ú¦ 3
1-
xÛ`
2x 2 2
② lim =lim =lim
"Ã4xÛ`+1 x`Ú¦
1+¾¨
x`Ú¦ x+"Ã4xÛ`+1 x`Ú¦ 4xÛ`+1
1+
x xÛ`
2 2
=lim = =;3@;
x`Ú¦ 1 1+'Ä4+0
1+¾¨4+
xÛ`
⑶ ¦-¦ 꼴의 극한값:lim { f(x)-g(x)}의 값을 구할 때, lim f(x)=¦, lim g(x)=¦인 경우
x`Ú¦ x`Ú¦ x`Ú¦

f(x) 또는 g(x)가 무리식이면 곱셈 공식 (a+b)(a-b)=aÛ`-bÛ`을 이용하여 분수식으로 변형한 후 극한값


을 구한다.
x('Äx+1-'x)('Äx+1+'x)
① lim {x('Äx+1-'x)}=lim
'Äx+1+'x

x`Ú¦ x`Ú¦

x(x+1-x) x 'x
=lim =lim =lim =¦
'Äx+1+'x x`Ú¦ 'Äx+1+'x
®É1+;[!;+1
x`Ú¦ x`Ú¦

("ÃxÛ`+x-x)("ÃxÛ`+x+x) x 1
② lim ("ÃxÛ`+x-x)=lim =lim =lim =;2!;
x`Ú¦ x`Ú¦ "ÃxÛ`+x+x x`Ú¦ "ÃxÛ`+x+x x`Ú¦
®É1+;[!;+1

⑷ 0_¦ 꼴의 극한값:lim`f(x)g(x)의 값을 구할 때, lim`f(x)=0, lim g(x)=¦인 경우


x`Ú a x`Ú a x`Ú a

¦
;0); 꼴 또는 꼴 등으로 변형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
{1- }=lim { }=lim =;2!;
1 2 1 x-2 1
예 lim _
x`Ú 2 x-2 x x`Ú 2 x-2 x x`Ú 2 x

12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3 함수의 극한값의 계산

xÛ`-2x-8
lim 의 값은?
x`Ú 4 "ÃxÛ`+9-5

①7 ② :Á2°: ③8 ④ :Á2¦: ⑤9

풀이 전략 ;0); 꼴의 극한값을 구할 때, 다항식은 인수분해하고 무리식은 곱셈 공식

   (a+b)(a-b)=aÛ`-bÛ`
을 이용하여 식을 변형하고 약분한 후 극한값을 구한다.

xÛ`-2x-8 (xÛ`-2x-8)("ÃxÛ`+9+5)
풀이 lim =lim
x`Ú 4 "ÃxÛ`+9-5 x`Ú 4 ("Ãx`Û +9-5)("ÃxÛ`+9+5)
(x-4)(x+2)("ÃxÛ`+9+5)
=lim
x`Ú 4 (xÛ`+9)-25
(x-4)(x+2)("ÃxÛ`+9+5)
=lim
x`Ú 4 (x-4)(x+4)
(x+2)("ÃxÛ`+9+5)
=lim
x`Ú 4 x+4
(4+2)(5+5)
=
4+4

=:Á2°:

 ②

정답과 풀이 49쪽

[9007-0213 ]

유제 4 0이 아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lim
x`Ú¦
axÛ`+x+1
2xÛ`+1
=b일 때, ;aB;의 값은?

① ;2!; ②1 ③ ;2#; ④2 ⑤ ;2%;

[9007-0214 ]

유제 5 함수 f(x)=
x
'Äa+x-'Äa-x
에 대하여 lim`f(x)='6일 때, 상수 a의 값은?
x`Ú 0

3'2
① ②3 ③ 3'2 ④ 6 ⑤ 6'2
2

03 함수의 극한 127
03
수학영역

함수의 극한

5. 미정계수의 결정
⑴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x)
lim =a`(a는 실수)이고 lim g(x)=0이면 lim`f(x)=0이다.
x`Ú a g(x) x`Ú a x`Ú a

설명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 의하여


`f(x) `f(x)
   lim`f(x)=lim[ _g(x)]=lim _lim g(x)=a_0=0
x`Ú a x`Ú a g(x) x`Ú a g(x) x`Ú a

xÛ`+ax
예 lim =1`(a는 상수)이면 lim(x-1)=0이므로 위 ⑴의 성질에 의하여
x`Ú 1 x-1 x`Ú 1

lim(xÛ`+ax)=1+a=0, 즉 a=-1이다.
x`Ú 1

⑵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x)
lim =a`(a+0)이고 lim`f(x)=0이면 lim g(x)=0이다.
x`Ú a g(x) x`Ú a x`Ú a

`f(x) g(x) 1
설명 lim =a이고 a+0이면 lim = 이다.
x`Ú a g(x) x`Ú a `f(x) a
이때 lim`f(x)=0이므로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 의하여
x`Ú a

g(x) g(x)
lim g(x)=lim[ _lim`f(x)= _0=0
1
_f(x)]=lim
x`Ú a x`Ú a `f(x) x`Ú a `f(x) x`Ú a a
xÛ`-1
예 lim =;3@;`(a는 상수)이면 ;3@;+0이고 lim(xÛ`-1)=0이므로 위 ⑵의 성질에 의하여
x`Ú 1 xÛ`+x+a x`Ú 1

lim(xÛ`+x+a)=2+a=0, 즉 a=-2이다.
x`Ú 1

`f(x)
참고 lim =a에서 a=0이면 lim`f(x)=0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lim g(x)=0이라고 할 수 없다.
x`Ú a g(x) x`Ú a x`Ú a

xÛ`-1
예를 들어 lim =0일 때, lim (xÛ`-1)=0이지만 반드시 lim (xÛ`+a)=0, 즉 a=-1
x`Ú -1 xÛ`+a x`Ú -1 x`Ú -1

xÛ`-1
이라고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a=3이어도 lim =0이 성립한다.
x`Ú -1 xÛ`+3
`f(x)
⑶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a`(a+0)이면
g(x) x`Ú¦

`( f(x)의 최고차항의 계수)


① ( f(x)의 차수)=(g(x)의 차수) ② a=
( g(x)의 최고차항의 계수)
3xÛ`-x+1
예 lim =3 (a는 0이 아닌 상수)이면 ;a#;=3에서 a=1이다.
x`Ú¦ axÛ`+2

6.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f(x)=a, lim`g(x)=b`(a, b는 실수)일 때, a에 가까운 모든 x에 대하여 다
x`Ú a x`Ú a

음이 성립한다.
⑴ f(x)Ég(x)이면 aÉb이다.
⑵ 함수 h(x)에 대하여 f(x)Éh(x)Ég(x)이고 a=b이면 lim h(x)=a이다.
x`Ú a

12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4 미정계수의 결정

다항함수 f(x)가
`f(x)-xÛ` xÛ`-4
   lim =3, lim =;4!;
x`Ú¦ x+10 x`Ú -2 (x+2)f(x)

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은?

① -5 ② -4 ③ -3 ④ -2 ⑤ -1

f(x)
풀이 전략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a`(a+0)이면
x`Ú a g(x)
( f(x)의 최고차항의 계수)
① ( f(x)의 차수)=(g(x)의 차수) ② a=
(g(x)의 최고차항의 계수)

`f(x)-xÛ`
풀이 lim =3이므로 f(x)-xÛ`은 x의 계수가 3인 일차함수이다.
x`Ú¦ x+10
즉, f(x)-xÛ`=3x+a`(a는 상수)로 놓으면
   f(x)=xÛ`+3x+a
xÛ`-4 (x+2)(x-2) x-2 -4
   lim = lim = lim = =;4!;
x`Ú -2 (x+2)f(x) x`Ú -2 (x+2)f(x) x`Ú -2 `f(x) `f(-2)
에서 f(-2)=-16
f(-2)=4-6+a=-16에서 a=-14
따라서 f(x)=xÛ`+3x-14이므로
   f(2)=4+6-14=-4
 ②

정답과 풀이 49쪽

[9007-0215 ]

유제 6 다항함수 f(x)가
3xÛ`-f(x)
   f(1)=10, lim =6
x`Ú¦ 2x+1
을 만족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9007-0216 ]

유제 7 삼차함수 f(x)가
`f(x)+1
   f(0)=3, lim =5
x`Ú 2 (x-2)Û`
를 만족시킬 때, f(3)의 값은?

①4 ②6 ③8 ④ 10 ⑤ 12

03 함수의 극한 129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50쪽

[9007-0217 ]

1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lim `f(x)+ lim `f(x)의 값은?


x`Ú 1+ x`Ú -1+
Z

ZG Y
① -2 ② -1 ③0 
④1 ⑤2 
 0 Y




[9007-0218 ]

2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f(x)=2, lim g(x)=¦
x`Ú 0 x`Ú 0

`f(x)g(x)+1
일 때, lim 의 값은?
x`Ú 0 { f(x)}Û`+f(x)g(x)+1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219 ]
'Ä2x+1-3
3 lim
x`Ú 4 x-4
의 값은?

① -;6!; ②0 ③ ;6!; ④ ;3!; ⑤ ;2!;

[9007-0220 ]

4
2xÛ`+(xÛ`+1)Û`
lim 의 값은?
x`Ú¦ 2xÝ`+xÛ`

① ;2!; ②1 ③ ;2#; ④2 ⑤ ;2%;

[9007-0221 ]

5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
   2xÛ`+1< <2xÛ`+5
xÛ`+1
`f(x)
를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은?
x`Ú ¦ xÝ`

①1 ②2 ③3 ④4 ⑤5

13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51쪽

[9007-0222 ]

1 0ÉxÉ4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 Z


ZG Y
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lim `f(x)=2
x`Ú 0+ 0    Y
ㄴ. lim `f(x)+ lim `f(x-1)=3
x`Ú 1+ x`Ú 4-

ㄷ. lim `f(x)> lim `f(x)를 만족시키는 실수 a가 적어도 2개 존재한다.


x`Ú a+ x`Ú a-

 (단, 0<a<4)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9007-0223 ]

2 lim
x`Ú 2
9
{
1
x-2 x+1
-;a!;}=b를 만족시키는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① -1 ②0 ③1 ④2 ⑤3

[9007-0224 ]

3
`f(x)-2xÝ` `f(x)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3이고 lim 의 값이 존재할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x`Ú¦ xÜ`+1 x`Ú 0 xÜ`

[9007-0225 ]

4 그림과 같이 중심이 O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에 내접하고 ABÓ=BCÓ인 "


%
이등변삼각형 ABC가 있다. 점 A를 지나고 직선 BC와 평행한 직선과 점 C를
지나고 직선 AB와 평행한 직선이 만나는 점을 D라 하자. ACÓ=t라 할 때, 0
# $
ODÓ-3
lim 의 값은?
t`Ú 0+ tÛ`

① -1 ② -;2!; ③ -;3!;

④ -;4!; ⑤ -;5!;

03 함수의 극한 131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52쪽

[9007-0226 ]

1 -1ÉxÉ3에서 정의된 함수 Z
ZG Y
( x+1

(-1Éx<0)
\ 1-x (0ÉxÉ1)
   f(x)={ 
\ 2x-1 (1<x<2)
9 3-x (2ÉxÉ3)  0    Y

에 대하여 lim { f(a+x)+f(a-x)}=4를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x`Ú 0+

합은? (단, -1<a<3)

① ;2#; ②2 ③ ;2%; ④3 ⑤ ;2&;

[9007-0227 ]

2 최고차항의 계수가 모두 1인 삼차함수 f(x)와 이차함수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f(1)=0, g(2)=0


`f(x) g(x-1)
(나) 두 극한값 lim , lim 이 모두 존재한다.
x`Ú 2 g(x) x`Ú 2 `f(x)
g(x)
(다) 극한값 lim 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3 `f(x)

f(4)+g(4)의 값을 구하시오.

[9007-0228 ]

3 2보다 큰 실수 t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곡선 y=


1
|x|
과 원 xÛ`+yÛ`=t의 네 교점을 Z

Z
]Y]
`f(t) # "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 ABCD의 넓이를 f(t)라 하자. lim 의 값은?
t`Ú¦ t $ %

'2
③ '2
0 Y
① ②1
2
Y™ Z™ U
④ '3 ⑤2

13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대표 기출 문제
함수의 극한에 대한 문제는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함수의 좌극한과 우극한을 구하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함
출제
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여 다항함수의 계수를 구하는 문제, 함수의 극한에 대한 대소 관계를 이용하는 문제 등이
경향
출제되고 있다.

함수 f(x)가 lim(x+1)f(x)=1을 만족시킬 때, lim(2xÛ`+1)f(x)=a이다. 20a의 값을 구하시오.


x`Ú 1 x`Ú 1
 [3점]

2018학년도 대수능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여 함수의 극한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lim(x+1)f(x)=1이므로
x`Ú 1

g(x)=(x+1)f(x)로 놓으면
   lim g(x)=1
x`Ú 1

g(x)
따라서 x+-1일 때, f(x)= 이므로
x+1
   lim(2xÛ`+1)f(x)
x`Ú 1

g(x)
   =lim[(2xÛ`+1)_ ]
x`Ú 1 x+1
2xÛ`+1
   =lim _lim g(x)
x`Ú 1 x+1 x`Ú 1

   =;2#;_1=;2#;

그러므로

   20a=20_;2#;=30

 30

03 함수의 극한 133
04
수학영역

함수의 연속

1.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⑴ 함수의 연속
함수 f(x)가 실수 a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① 함수 f(x)는 x=a에서 정의된다.
② 극한값 lim`f(x)가 존재한다.
x`Ú a

③ lim`f(x)=f(a)
x`Ú a

⑵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 아닐 때, 함수 f(x)는 x=a에서 불연속이라고 한다.


즉, 함수 f(x)가 위의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시키지 않으면 함수 f(x)는 x=a에서 불연속이다.
xÛ`-4
예 ① 함수 f(x)= 는 x=2에서 f(2)의 값이 정의되지 않으므로 Z ZG Y
x-2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0  Y
( |x| (x+0)
② 함수 g(x)={ x
-x
은 lim g(x)= lim = lim (-1)=-1, Z
9 1 (x=0)
x`Ú 0- x`Ú 0- x x`Ú 0-
ZH Y

lim g(x)= lim ;[{;= lim 1=1이므로 lim g(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 0+ x`Ú 0+ x`Ú 0+ x`Ú 0 Y
0
따라서 함수 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x|(x+0)
③ 함수 h(x)=[ 은 x=0에서 h(0)=1로 정의되고, Z ZI Y
1 (x=0)
lim h(x)=lim |x|=0으로 극한값 lim h(x)가 존재하지만, 
x`Ú 0 x`Ú 0 x`Ú 0

lim h(x)+h(0)이므로 함수 h(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0 Y


x`Ú 0

2. 구간
두 실수 a, b`(a<b)에 대하여
⑴ 실수의 집합 {x|aÉxÉb}, {x|a<x<b}, {x|aÉx<b}, {x|a<xÉb}를 모두 구간이라 하고, 이들을
각각 기호로 [a, b], (a, b), [a, b), (a, b]와 같이 나타낸다.
[B C] B C [B C B C]
B C B C B C B C

이때 [a, b]를 닫힌 구간, (a, b)를 열린 구간, [a, b), (a, b]를 반닫힌 구간 또는 반열린 구간이라고 한다.
⑵ 실수의 집합 {x|xÉa}, {x|x<a}, {x|x¾a}, {x|x>a}도 모두 구간이라 하고, 각각 기호로 (-¦, a],
(-¦, a), [a, ¦), (a, ¦)와 같이 나타낸다.
b B] b B [B b B b
B B B B

⑶ 실수 전체의 집합도 하나의 구간이며, 기호로 (-¦, ¦)와 같이 나타낸다.

13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1 함수의 연속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가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x-3)f(x)=x-k
를 만족시킨다. 함수 f(x)가 x=9에서 연속일 때, f(9)의 값은? (단, k는 상수이다.)

①0 ②3 ③6 ④9 ⑤ 12

풀이 전략 실수 a에 대하여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면 함수 lim`f(x)=f(a)이다.


x`Ú a

풀이 등식 ('x-3)f(x)=x-k의 양변에 x=9를 대입하면


   ('9-3)f(9)=9-k
즉, 0=9-k이므로
   k=9
따라서 x+9일 때
x-9 ('x-3)('x+3)
   f(x)= = ='x+3
'x-3 'x-3
이므로
   lim`f(x)=lim('x+3)
x`Ú 9 x`Ú 9

='9+3=3+3=6
이때 함수 f(x)가 x=9에서 연속이므로
   f(9)=lim`f(x)=6
x`Ú 9

 ③

정답과 풀이 53쪽

[9007-0229 ]
xÛ`-x+3 (x<3)
유제 1 함수 f(x)=[
2x+a (x¾3)
이 x=3에서 연속일 때, 상수 a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230 ]

유제 2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g(x)를

( `f(x)  (x+2)
   g(x)={ x-2
9 2 (x=2)
라 하자. lim g(x)=-2이고 함수 g(x)가 x=2에서 연속일 때, f(3)의 값을 구하시오.
x`Ú 1

04 함수의 연속 135
04
수학영역

함수의 연속

3. 구간에서의 연속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일 때, 함수 f(x)는 그 구간에서 연속 또는 그 구간에서
연속함수라고 한다.
⑴ 열린 구간에서의 연속
함수 f(x)가 열린 구간 (a, b)에 속하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일 때, 함수 f(x)는 열린 구간 (a, b)에서 연
속이라고 한다.
⑵ 닫힌 구간에서의 연속
함수 f(x)가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때, 함수 f(x)는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① 함수 f(x)는 열린 구간 (a, b)에서 연속이다.
② lim `f(x)=f(a), lim `f(x)=f(b)
x`Ú a+ x`Ú b-

예 함수 f(x)='Œx+1은 다음 ①, ②를 모두 만족시키므로 닫힌 구간 [0, 1]에서 연속이다.


① 열린 구간 (0, 1)에서 연속이다.
② lim `f(x)= lim ('Œx+1)=1=f(0), lim `f(x)= lim ('Œx+1)=2=f(1)
x`Ú 0+ x`Ú 0+ x`Ú 1- x`Ú 1-

4. 연속함수의 성질
두 함수 f(x), g(x)가 모두 x=a에서 연속이면 다음 함수도 x=a에서 연속이다.
⑴ cf(x) (단, c는 상수) ⑵ f(x)+g(x)
⑶ f(x)-g(x) ⑷ f(x)g(x)
`f(x)
⑸ (단, g(a)+0)
g(x)
설명 함수의 연속의 정의와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면 연속함수의 성질이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즉, 두 함수
f(x), g(x)가 모두 x=a에서 연속이면 lim`f(x)=f(a), lim`g(x)=g(a)이므로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용
x`Ú a x`Ú a
하여 다음을 보일 수 있다.
⑴ lim cf(x)=c lim`f(x)=cf(a) 이므로 함수 cf(x)는 x=a에서 연속이다.
x`Ú a x`Ú a

⑵ lim{ f(x)+g(x)}=lim`f(x)+lim g(x)=f(a)+g(a)이므로 함수 f(x)+g(x)는 x=a에서 연속이다.


x`Ú a x`Ú a x`Ú a

⑷ lim`f(x)g(x)=lim`f(x)_lim g(x)=f(a)g(a)이므로 함수 f(x)g(x)는 x=a에서 연속이다.


x`Ú a x`Ú a x`Ú a

참고 ① 일차함수 y=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수의 성질 ⑷에 의하여 함수


   y=xÛ`, y=xÜ`, y=xÝ`, y, y=xÇ` (n은 자연수)
도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상수함수 y=a¼과 위의 함수에 상수 aÁ, aª, y, an을 각각 곱하여 더한 다항함수
   f(x)=aÇxÇ`+aÇÐÁxÇ` ÑÚ`+aÇЪxÇ` ÑÛ`+y+aÁx+a¼
도 연속함수의 성질 ⑴, ⑵에 의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f(x)
②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함수 는 연속함수의 성질 ⑸에 의하여 g(x)+0인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g(x)
연속이다.

13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2 구간에서의 연속

-x-1(x<-1)
함수 f(x)=[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Z
|x-1|(x¾-1)
 ZG Y
것은?

보기

ㄱ. lim `f(-x)=0  0  Y
x`Ú 1+

ㄴ. 함수 f(-x)가 불연속인 실수 x의 개수는 2이다.


ㄷ. 함수 f(x)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풀이 전략 ⑴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일 때, 함수 f(x)는 그 구간에서 연속 또는 그 구간에서 연속함수라고 한다.
⑵ 두 함수 f(x), g(x)가 x=a에서 연속이면 함수 f(x)g(x)는 x=a에서 연속이다.

풀이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 Z


ZG Y
이동한 것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ㄱ.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x Ú 1+일 때 f(-x) Ú 0이므로 
lim `f(-x)=0 (참)
x`Ú 1+
 0  Y
ㄴ. 함수 f(-x)는 x=1에서만 불연속이다. (거짓)
ㄷ. 함수 f(x)는 x=-1에서만 불연속이고, 함수 f(-x)는 x=1에서만 불연속이므로
f(x)f(-x)는 x+-1, x+1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g(x)=f(x)f(-x)라 하면 함수 g(x)의 연속성은 x=-1과 x=1에서만 생각하면 된다.
Ú lim g(x)= lim `f(x)f(-x)=0_0=0, lim g(x)= lim `f(x)f(-x)=2_0=0,
x`Ú -1- x`Ú -1- x`Ú -1+ x`Ú -1+

   g(-1)=f(-1)f(1)=2_0=0
따라서 lim g(x)= lim g(x)=g(-1)이므로 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다.
x`Ú -1- x`Ú -1+

Û g(-x)=f(-x)f(x)=g(x)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때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도 연속이다.
Ú, Û에서 함수 f(x)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정답과 풀이 54쪽

[9007-0231 ]
( xÛ`-4  (x+a)
유제 3 함수 f(x)={ x-2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9 b (x=a)
 (단, a, b는 상수이다.)

04 함수의 연속 137
04
수학영역

함수의 연속

5. 극한으로 나타낸 함수의 연속성


xÇ``(n은 자연수)를 포함한 극한으로 나타낸 함수 f(x)의 연속성은 x의 값의 범위를
   |x|>1, |x|<1, x=1, x=-1
인 경우로 구분하여 함수 f(x)를 구한 다음, 함수 f(x)의 연속성을 파악한다.
x2n-1
예 함수 f(x)=lim 2n `(n은 자연수)의 연속성을 알아보자.
n`Ú¦ x +1

Ú |x|>1일 때, lim x2n=¦이므로


n`Ú¦
1
1- 2n
x2n-1 x
   f(x)=lim 2n `=lim =1
n`Ú¦ x +1 n`Ú¦ 1
1+ 2n
x
Û |x|<1일 때, lim x2n=0이므로 Z
n`Ú¦
2n  ZG Y
x -1
   f(x)=lim 2n =-1
n`Ú¦ x +1

Ü x=-1 또는 x=1일 때, lim x2n=1이므로  0  Y


n`Ú¦

x2n-1 
   f(x)=lim 2n =0
n`Ú¦ x +1

Ú, Û, Ü에 의하여 함수 f(x)는 x=-1, x=1에서 불연속이다.

6. 최대·최소 정리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참고 함수 f(x)가 열린 구간 (a, b)나 반열린 구간 [a, b) 또는 (a, b]에서 연속일 때에는 최댓값 또는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함수 f(x)='x 는 닫힌 구간 [1, 4]에서 연속이므로 이 구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그러나 함수
f(x)='x 는 반열린 구간 [1, 4)에서 연속이지만 이 구간에서 최솟값을 갖고 최댓값을 갖지 않는다.

7. 사이값 정리
⑴ 사이값 정리 Z
ZG Y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a)+f(b)일 때, f(a)와 G C
L
ZL
f(b) 사이의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f(c)=k인 c가 열린 구간 (a, b)에 적
G B
어도 하나 존재한다. 0 B D„ Dm Df C Y

⑵ 사이값 정리의 활용 Z
ZG Y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a)와 f(b)의 부호가 서로 G C
B Df
다르면 f(c)=0인 c가 a와 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0 D„ Dm C Y
G B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 구간 (a, b)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
다.

13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3 극한으로 나타낸 함수의 연속성

xn+2+ax
함수 f(x)=lim n 가 x=1에서 연속일 때, 상수 a의 값은? (단, n은 자연수이다.)
n`Ú¦ 2x +1

① ;2!; ② ;3@; ③1 ④ ;2#; ⑤2

풀이 전략 xn(n은 자연수)를 포함한 극한으로 나타낸 함수 f(x)의 연속성은 x의 값의 범위를


   |x|>1, |x|<1, x=1, x=-1
인 경우로 구분하여 함수 f(x)를 구한 다음, 함수 f(x)의 연속성을 파악한다.

a
xÛ`+ n-1
1 xn+2+ax x xÛ`+0 xÛ`
풀이 Ú |x|>1일 때, lim =0이므로 f(x)=lim =lim = =
n`Ú¦ xÇ`
n
n`Ú¦ 2x +1 n`Ú¦ 1 2+0 2
2+ n
x
xn+2+ax 0+ax
Û |x|<1일 때, lim xn=0이므로 f(x)=lim = =ax
n`Ú¦
n
n`Ú¦ 2x +1 0+1
xn+2+ax 1+a a+1
Ü x=1일 때, lim xn=1이므로 f(x)=lim = =
n`Ú¦ n`Ú¦ 2xn+1 2+1 3
xÛ` a+1
따라서 lim `f(x)= lim =;2!;, lim `f(x)= lim ax=a, f(1)= 이다.
x`Ú 1+ x`Ú 1+ 2 x`Ú 1- x`Ú 1- 3
이때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1), 즉
x`Ú 1+ x`Ú 1-

a+1
   ;2!;=a=
3
이 성립해야 한다.

따라서 a=;2!;

 ①

정답과 풀이 54쪽

[9007-0232 ]

유제 4 방정식 '¶2x+x-6=0은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다음 중 이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① (0, 1) ② (1, 2) ③ (2, 3) ④ (3, 4) ⑤ (4, 5)

[9007-0233 ]

유제 5 함수
(xÛ`+2x+2)n+1+ax
   f(x)=lim
n`Ú¦ (xÛ`+2x+2)n+1
가 x=-1에서 연속일 때, 상수 a의 값은? (단, n은 자연수이다.)

① -1 ② -;2!; ③0 ④ ;2!; ⑤1

04 함수의 연속 139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54쪽

[9007-0234 ]
x+3 (x<1)
1 함수 f(x)=[
a (x¾1)
이 x=1에서 연속일 때, 상수 a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235 ]

2 x=3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lim `f(x)=a-1, lim `f(x)=2a+1
x`Ú 3- x`Ú 3+

을 만족시킬 때, f(3)의 값은? (단, a는 상수이다.)

① -5 ② -4 ③ -3 ④ -2 ⑤ -1

[9007-0236 ]

3 함수 g(x)=xÜ`+xÛ`+2x와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1)f(x)=g(x)-g(-1)
을 만족시킨다.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9007-0237 ]
x+a (x<-1)
4 두 함수 f(x)=[
xÛ` (x¾-1)
과 g(x)=x-a에 대하여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이 되도록 하는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① -2 ② -1 ③0 ④1 ⑤2

[9007-0238 ]

5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f(x)에 대하여 방정식 f(x)+x=0은 오직 하나의 실근 a를 갖는다.


   f(0)=1, f(1)=4, f(2)=-1, f(3)=-4, f(4)=-5, f(5)=-8
일 때, 다음 중 실근 a가 존재하는 구간은?

① (0, 1) ② (1, 2) ③ (2, 3) ④ (3, 4) ⑤ (4, 5)

14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55쪽

[9007-0239 ]

1 함수
(` 2x+7 (x<1)
   f(x)= {` a (x=1)
9` bx+bÛ`-b (x>1)
이 x=1에서 연속이고 f(x)의 역함수가 존재할 때, a+b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①0 ②3 ③6 ④9 ⑤ 12

[9007-0240 ]

2 열린 구간 (-2, 2)에서 정의된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함수 Z


ZG Y
| f(x)-k|가 불연속인 실수 x (-2<x<2)의 개수가 1이 되도록 하는 상수 

k의 값은? 

①0 ② ;2!; ③1   0   Y

④ ;2#; ⑤2

[9007-0241 ]

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x=;3N;이면 f(x)=n+1이다.

(나)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x+;3N;이면 f(x)=:ª7ª:x이다.

자연수 k에 대하여 함수 f(x)가 x=k에서 연속일 때, lim`f(x)의 값을 구하시오.


x`Ú k

[9007-0242 ]

4 실수 t에 대하여 유리함수 y=
2x+1
x-1
의 그래프와 직선 y=t의 교점의 개수를 f(t)라 하자. 일차함수

g(x)=3x+a에 대하여 함수 f(t)g(t)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은?

① -15 ② -12 ③ -9 ④ -6 ⑤ -3

04 함수의 연속 141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57쪽

[9007-0243 ]

1 집합 A={x|3xÛ`+4x-4É0}과 함수 f(x)=
ax
x-a
에 대하여 함수 g(x)를

( f(x) (x<A)
   g(x)={ 1
9 `f(x) (x²A)
로 정의하자.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상수 a의 값은? (단, a+0)

① -3 ② -;2%; ③1 ④ ;2#; ⑤2

[9007-0244 ]

2 두 함수
-x+2 (x<0) x+a+1 (x<b)
   f(x)=[ , g(x)=[
-x+4 (x¾0) x+a (x¾b)
가 있다.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두 상수 a, b`(b>0)에 대하여 a+b의
값은?

①3 ②4 ③5 ④6 ⑤7

[9007-0245 ]

3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xÁ<xª인 모든 실수 xÁ, xª에 대하여 f(xÁ)>f(xª)이다.


(나) 방정식 f(x)=0은 열린 구간 (0, 1)에서 실근을 갖는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방정식 f(2x)=0은 열린 구간 (0, 1)에서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ㄴ. 방정식 f(1-x)=0은 열린 구간 (0, 1)에서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ㄷ. 방정식 f(xÛ`)=0은 열린 구간 (-1, 1)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①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4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대표 기출 문제

출제 함수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구간별로 정의된 함수의 미정계수를 구하는 문제,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함수의 연속성을
경향 이해하는 문제, 두 함수의 합, 차, 곱, 몫으로 이루어진 함수가 연속이 될 조건을 구하는 문제 등이 출제되고 있다.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g(x)=x(x+3)이다.


(나) g(0)=1

f(1)이 자연수일 때, g(2)의 최솟값은? [4점]

① ;1°3; ② ;1°4; ③ ;3!; ④ ;1°6; ⑤ ;1°7;

2019학년도 대수능

함수의 연속의 정의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조건 (가)의 식에 x=0을 대입하면 f(0)g(0)=0이고,


조건 (나)에서 g(0)=1이므로 f(0)=0
이때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f(x)=x(xÛ`+ax+b) (a, b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f(x)+0일 때 x+0이므로 조건 (가)의 식에서
x(x+3) x(x+3) x+3
   g(x)= = = (단, f(x)+0)
`f(x) x(xÛ`+ax+b) xÛ`+ax+b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0에서도 연속이다. 즉, lim g(x)=g(0)이 성립한다.
x`Ú 0

x+3
이때 lim g(x)=lim =;b#;이고, g(0)=1이므로
x`Ú 0 x`Ú 0 xÛ`+ax+b

;b#;=1에서 b=3

x+3
한편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함수 y=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어
xÛ`+ax+3
야 하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분모)=xÛ`+ax+3+0이어야 한다.
이차방정식 xÛ`+a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Û`-12<0이어야 하므로 -2'3<a<2'3   yy`㉠
그런데 f(1)=1_(1Û`+a+3)=a+4이고 f(1)이 자연수이므로 a의 값은 a>-4인 정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에서 가능한 정수 a의 값은 -3, -2, -1, 0, 1, 2, 3이다.
5
그러므로 g(2)= 는 a=3일 때 최솟값 ;1°3; 를 갖는다.
2a+7
 ①

04 함수의 연속 143
05
수학영역

미분계수와 도함수

1. 평균변화율
⑴ 평균변화율:함수 y=f(x)에서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 y의 값은 f(a)에서 Z ZG Y
2
f(b)까지 변한다. x의 값의 변화량 b-a를 x의 증분, y의 값의 변화량 f(b)-f(a) G C

를 y의 증분이라 하고, 기호로 각각 Dx, Dy와 같이 나타낸다. 또 x의 증분 Dx에 대 $Z


1
한 y의 증분 Dy의 비율 G B
$Y
Dy `f(b)-f(a) `f(a+Dx)-f(a) 0 B C Y
   = =
Dx b-a Dx
를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함수 y=f(x)의 평균변화율이라고 한다.
⑵ 평균변화율의 기하학적 의미:함수 y=f(x)에서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함수 y=f(x)의 평균변화
율은 곡선 y=f(x) 위의 두 점 P(a, f(a)), Q(b, f(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다.
예 함수 f(x)=xÛ`에서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함수 y=f(x)의 평균변화율은
Dy `f(3)-f(1) 9-1
   = = =4
Dx 3-1 2
이고, 이 값은 곡선 y=xÛ` 위의 두 점 (1, 1), (3, 9)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다.

2. 미분계수
⑴ 미분계수:함수 y=f(x)에서 x의 값이 a에서 a+Dx까지 변할 때의 함수 Z ZG Y
y=f(x)의 평균변화율은 G B $Y

Dy `f(a+Dx)-f(a) $Z
   =
Dx Dx G B
이다. 여기서 Dx Ú 0일 때의 평균변화율의 극한값
$Y
0 B B $Y Y
Dy `f(a+Dx)-f(a)
   lim = lim
Dx`Ú 0 Dx Dx`Ú 0 Dx
가 존재하면 이 극한값을 함수 y=f(x)의 x=a에서의 순간변화율 또는 미분계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f '(a)와 같이 나타낸다. 즉,
`f(a+Dx)-f(a) `f(a+h)-f(a)
   f '(a)= lim =lim
Dx`Ú 0 Dx h`Ú 0 h
참고 a+Dx=x라 하면 Dx Ú 0일 때, x Ú a이므로
`f(a+Dx)-f(a) `f(x)-f(a)
   f '(a)= lim =lim
Dx`Ú 0 Dx x`Ú a x-a
⑵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함수 y=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 f '(a)는 곡 Z
ZG Y
선 y=f(x) 위의 점 P(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G B $Y
예 함수 f(x)=xÛ`의 x=2에서의 미분계수는
`f(x)-f(2) xÛ`-4 1
   f '(2)=lim =lim =lim(x+2)=4 G B
x`Ú 2 x-2 x`Ú 2 x-2 x`Ú 2

이고, 이 값은 곡선 y=xÛ`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0 B B $Y Y

14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1 미분계수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1)=4일 때,


`f(1+2h)-f(1) `f(1-h)-f(1)
   lim + lim
h`Ú 0- h h`Ú 0+ 2h
의 값은?

①0 ②2 ③4 ④6 ⑤8

`f(a+h)-f(a) `f(a+h)-f(a)
풀이 전략 함수 y=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 f '(a)가 존재하면 f '(a)= lim = lim 이다.
h`Ú 0- h h`Ú 0+ h

풀이 f '(1)=4이므로
`f(1+h)-f(1) `f(1+h)-f(1)
   lim = lim =4
h`Ú 0- h h`Ú 0+ h
이다. 따라서
`f(1+2h)-f(1) `f(1+2h)-f(1) `f(1+2h)-f(1)
   lim = lim [ _2]=2_ lim
h`Ú 0- h h`Ú 0- 2h 2h`Ú 0- 2h
   =2_f '(1)=2_4=8,
`f(1-h)-f(1) `f(1-h)-f(1) `f(1-h)-f(1)
   lim = lim [ _{-;2!;}]={-;2!;}_ lim
h`Ú 0+ 2h h`Ú 0+ -h -h`Ú 0- -h

   ={-;2!;}_f '(1)={-;2!;}_4=-2

이므로 구하는 값은 8+(-2)=6


 ④

정답과 풀이 59쪽

[9007-0246 ]

유제 1 다항함수 f(x)와 두 점 A(1, 1), B(3, 2)에 대하여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
`f(x)-f(-1)
선이 직선 AB와 수직일 때, lim 의 값은?
x`Ú -1 xÜ`+1

① -;3@; ② -;2!; ③ -;3!; ④ -;6!; ⑤0

[9007-0247 ]

유제 2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2)=3일 때,


`f(2+mh)-f(2-nh)
   lim =15
h`Ú 0 h
를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m, n의 모든 순서쌍 (m, n)의 개수는?

①2 ②4 ③6 ④8 ⑤ 10

05 미분계수와 도함수 145


05
수학영역

미분계수와 도함수

3. 미분가능과 연속
⑴ 미분가능
함수 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
`f(a+Dx)-f(a) `f(x)-f(a)
   f '(a)= lim =lim
Dx`Ú 0 Dx x`Ú a x-a
가 존재하면 함수 f(x)는 x=a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⑵ 미분가능한 함수
함수 f(x)가 어떤 열린 구간에 속하는 모든 x의 값에서 미분가능하면 함수 f(x)는 그 구간에서 미분가능하
다고 한다. 또한 함수 f(x)가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x의 값에서 미분가능하면 함수 f(x)는 미분가능한 함수
라고 한다.
⑶ 미분가능과 연속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다. 그러나 그 함수
연속인 함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지만 함수 f(x)가 x=a
미분가능한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함수

설명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x=a에서의 미분계수


f(x)-f(a)
   f '(a)=lim
x`Ú a x-a
가 존재하므로
f(x)-f(a)
   lim{ f(x)-f(a)}=lim[ _(x-a)]
x`Ú a x`Ú a x-a
f(x)-f(a)
   =lim _lim(x-a)
x`Ú a x-a x`Ú a

   =f '(a)_0=0
이 성립한다. 따라서
   lim`f(x)=lim[{ f(x)-f(a)}+f(a)]=lim{ f(x)-f(a)}+f(a)=f(a)
x`Ú a x`Ú a x`Ú a

이므로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다.


예 함수 f(x)=|x-1|은 x=1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음을 보이자.
Ú lim `f(x)= lim (1-x)=0, Z
x`Ú 1- x`Ú 1-
ZG Y
lim `f(x)= lim (x-1)=0
x`Ú 1+ x`Ú 1+

이므로 lim`f(x)=0이고, f(1)=0이다.
x`Ú 1

따라서 lim`f(x)=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0  Y


x`Ú 1

`f(x)-f(1) 1-x
Û lim = lim = lim (-1)=-1,
x`Ú 1- x-1 x`Ú 1- x-1 x`Ú 1-

`f(x)-f(1) x-1
lim = lim = lim 1=1
x`Ú 1+ x-1 x`Ú 1+ x-1 x`Ú 1+

`f(x)-f(1) `f(x)-f(1)
이므로 lim + lim 이다.
x`Ú 1- x-1 x`Ú 1+ x-1
즉, f '(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14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2 미분가능과 연속

xÛ`+x+a (x<1)
함수 f(x)=[ 이 x=1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의 값은?
ax+2 (x¾1)

① -3 ② -1 ③1 ④3 ⑤5

풀이 전략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Ú f(x)는 x=a에서 연속이다. 즉, lim `f(x)= lim `f(x)=f(a)
x`Ú a- x`Ú a+

`f(x)-f(a) `f(x)-f(a)
Û f '(a)가 존재한다. 즉, lim = lim
x`Ú a- x-a x`Ú a+ x-a

풀이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f(1) `f(x)-f(1)
   lim = lim    yy`㉠
x`Ú 1- x-1 x`Ú 1+ x-1
이때
`f(x)-f(1) (xÛ`+x+a)-(a+2) (x+2)(x-1)
   lim = lim = lim
x`Ú 1- x-1 x`Ú 1- x-1 x`Ú 1- x-1
   = lim (x+2)=3,
x`Ú 1-

`f(x)-f(1) (ax+2)-(a+2) a(x-1)


   lim = lim = lim
x`Ú 1+ x-1 x`Ú 1+ x-1 x`Ú 1+ x-1
   = lim a=a
x`Ú 1+

이므로 ㉠에서 a=3


 ④

참고 lim `f(x)= lim (xÛ`+x+a)=a+2, lim `f(x)= lim (ax+2)=a+2, f(1)=a+2


x`Ú 1- x`Ú 1- x`Ú 1+ x`Ú 1+

에서 lim `f(x)=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Ú 1

정답과 풀이 59쪽

[9007-0248 ]
xÛ`+3x (x<a)
유제 3 함수 f(x)=[
2x+b (x¾a)
가 x=a에서 미분가능할 때,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① -;4#; ② -;4!; ③ ;4!; ④ ;4#; ⑤ ;4%;

[9007-0249 ]
`0 (x<1)
유제 4 함수 f(x)=[
x-1(x¾1)
과 함수 g(x)=ax+b에 대하여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

서 미분가능하다. g(-1)=-4일 때, g(3)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이다.)

05 미분계수와 도함수 147


05
수학영역

미분계수와 도함수

4. 도함수
⑴ 도함수:함수 y=f(x)가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x의 값에서 미분가능할 때, 정의역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 x
에 미분계수 f '(x)를 대응시키는 새로운 함수를 함수 y=f(x)의 도함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dy d
   f '(x), y', , `f(x)
dx dx
와 같이 나타낸다. 즉,
`f(x+Dx)-f(x)
   f '(x)= lim
Dx`Ú 0 Dx
⑵ 미분법:함수 f(x)가 미분가능할 때, 함수 f(x)의 도함수 f '(x)를 구하는 것을 함수 f(x)를 x에 대하여
미분한다고 하고, 그 계산법을 미분법이라고 한다.

5. 미분법의 공식
⑴ 함수 y=xn`(n은 양의 정수)와 상수함수의 도함수
① y=xn`(n은 양의 정수)이면 y'=nxn-1
② y=c`(c는 상수)이면 y'=0
설명 ① f(x)=xn으로 놓으면
`f(x+h)-f(x) (x+h)Ç`-xÇ`
y'=f '(x)=lim =lim
h`Ú 0 h h`Ú 0 h
(x+h-x){(x+h)n-1+(x+h)n-2x+(x+h)n-3xÛ`+y+(x+h)xn-2+xn-1}
=lim
h`Ú 0 h
=lim{(x+h)n-1+(x+h)n-2x+(x+h)n-3xÛ`+y+(x+h)xn-2+xn-1}
h`Ú 0

=xn-1+xn-1+xn-1+y+xn-1+xn-1=nxn-1
(
|
|
|
{
|
|
|
9

n개

⑵ 함수의 실수배, 합, 차, 곱의 미분법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할 때
① y=cf(x)`(c는 상수)이면 y'=cf '(x) ② y=f(x)+g(x)이면 y'=f '(x)+g'(x)
③ y=f(x)-g(x)이면 y'=f '(x)-g'(x) ④ y=f(x)g(x)이면 y'=f '(x)g(x)+f(x)g'(x)
{`f(x+h)+g(x+h)}-{`f(x)+g(x)} `f(x+h)-f(x) g(x+h)-g(x)
설명 ② y'=lim =lim[ + ]
h`Ú 0 h h`Ú 0 h h
`f(x+h)-f(x) g(x+h)-g(x)
=lim +lim =f '(x)+g'(x)
h`Ú 0 h h`Ú 0 h
`f(x+h)g(x+h)-`f(x)g(x)
④ y'=lim
h`Ú 0 h
`f(x+h)g(x+h)-`f(x)g(x+h)+f(x)g(x+h)-f(x)g(x)
=lim
h`Ú 0 h
{ f(x+h)-f(x)}g(x+h)+`f(x){ g(x+h)-g(x)}
=lim
h`Ú 0 h
`f(x+h)-f(x) g(x+h)-g(x)
=lim _lim g(x+h)+f(x)_lim =f '(x)g(x)+f(x)g'(x)
h`Ú 0 h h`Ú 0 h`Ú 0 h

14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3 미분법

`f(x)-f(3)
이차함수 f(x)가 lim =4를 만족시킨다. 함수 F(x)=f(x)f(x+2)에 대하여 F(1)=4일 때,
x`Ú 1 x-1
F'(2)의 값은? (단, f(1)>0)

① -16 ② -20 ③ -24 ④ -28 ⑤ -32

풀이 전략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x)=f(x)g(x)일 때,


   F'(x)=f '(x)g(x)+f(x)g'(x)

`f(x)-f(3)
풀이 lim =4이고,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x`Ú 1 x-1
즉, lim{ f(x)-f(3)}=0에서 f(1)=f(3)
x`Ú 1

함수 f(x)는 이차함수이므로 곡선 y=f(x)의 축은 직선 x=2이고,


f(x)=a(x-2)Û`+b`(a, b는 상수, a+0)으로 놓을 수 있다.
F(1)=f(1)f(3)={ f(1)}Û`=4이고, f(1)>0이므로 f(1)=2
즉, f(1)=a+b=2   yy`㉠
`f(x)-f(1)
또 lim =f '(1)=4이고,
x`Ú 1 x-1
f '(x)=2ax-4a이므로 f '(1)=-2a=4에서 a=-2
㉠에서 b=4이므로 f(x)=-2(x-2)Û`+4=-2xÛ`+8x-4
따라서 F(x)=(-2xÛ`+8x-4)(-2xÛ`+4)이고,
F'(x)=(-4x+8)(-2xÛ`+4)+(-2xÛ`+8x-4)(-4x)이므로
   F'(2)=0_(-4)+4_(-8)=-32
 ⑤

정답과 풀이 59쪽

[9007-0250 ]
`f(x)+xf '(x)
유제 5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가 f(0)=0이고, lim
x`Ú 0 xÛ`
=12를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9007-0251 ]
g(x)
유제 6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g(x)=(xÛ`+2x)f(x)가 lim
x`Ú 1 x-1
=-3을

만족시킬 때, g'(0)의 값은?

①3 ②4 ③5 ④6 ⑤7

05 미분계수와 도함수 149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60쪽

[9007-0252 ]
`f(2+2h)-f(2-2h)
1 다항함수 f(x)의 x=2에서의 미분계수가 3일 때, lim
h`Ú 0 4h
의 값은?

① ;4#; ② ;2#; ③ ;4(; ④3 ⑤ :Á4°:

[9007-0253 ]
`xÛ`  (x<1)
2 함수 f(x)=[
2x-1 (x¾1)
에 대하여 f '(1)의 값은?

① -2 ② -1 ③1 ④2 ⑤3

[9007-0254 ]
xÛ`+a (x<1)
3 함수 f(x)=[
-xÛ`+bx (x¾1)
이 x=1에서 미분가능할 때, f(-1)+f(2)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①1 ②3 ③5 ④7 ⑤9

[9007-0255 ]
2(a+h)Ü`-5(a+h)-2aÜ`+5a
4 lim
h`Ú 0 h
=7을 만족시키는 양수 a의 값은?

①1 ② '2 ③ '3 ④2 ⑤ '5

[9007-0256 ]

5 함수 f(x)=(xÜ`+axÛ`+1)(xÛ`-ax+3)에 대하여 f '(1)=4일 때, 상수 a의 값은? (단, a>0)

①1 ②2 ③3 ④4 ⑤5

15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61쪽

[9007-0257 ]

1 다항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f(kx)=kf(x)를 만족시킨다. f '(2)=8일 때,


`f(1+3h)-f(1)
   lim
h`Ú 0 4h
의 값은?

①2 ②4 ③6 ④8 ⑤ 10

[9007-0258 ]

2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xÛ`)-f(1) `f(1+hÛ`)-f(1) `f(3+2h)-f(3)
   lim =4, lim =lim
x`Ú 1 x-1 h`Ú 0 h h`Ú 0 h
일 때, f '(1)+f '(3)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259 ]
1 (x<2)
3 함수 f(x)=[
axÛ`+bx+9 (x¾2)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때, 두 상수 a, b에 대하여

f '(a-b)의 값은?

① 30 ② 32 ③ 34 ④ 36 ⑤ 38

[9007-0260 ]

4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f(x)
(가) lim =9
x`Ú 0 x
(나) 1과 a는 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다.

f(a)의 값은?

① -6 ② -3 ③0 ④3 ⑤6

[9007-0261 ]
x (x<3)
5 두 함수 f(x)=|x-3|, g(x)=[
x+a(x¾3)
에 대하여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

능할 때, 함수 xÛ`g(x)의 x=a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시오. (단, a는 상수이다.)

05 미분계수와 도함수 151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62쪽

[9007-0262 ]

1 함수 f(x)=xÜ`+ax+2에 대하여 함수 g(x)를


( `f(x)-f(1)
 (x<1)
   g(x)={ x-1
9 bx+3 (x¾1)
로 정의하자.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때,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①2 ②4 ③6 ④8 ⑤ 10

[9007-0263 ]
-xÛ`+ax+b (x<1)
2 함수 f(x)=[
xÛ`+cx+d (x¾1)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나) 함수 | f(x)|는 x=p`(p<1)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다) 함수 || f(x)|-f(1)|은 x=1에서 미분가능하다.

f(1)의 값이 최소일 때, f '(a-c+p)의 값은? (단, a, b, c, d는 정수이다.)

①3 ②6 ③9 ④ 12 ⑤ 15

[9007-0264 ]

3 함수 f(x)는
ZG Y
Z

`2 (x<-2)  " %


   f(x)=[
-x(x¾-2)
이고, 좌표평면 위에 네 점 A(1, 2), B(1, 0), C(3, 0), D(3, 2)가 있다. # $
 0   Y
점 P(x, f(x))와 사각형 ABCD의 변 위의 임의의 점 Q에 대하여 PQÓ Û`
의 최댓값을 g(x)라 하자. 함수 g(x)가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모
든 a의 값의 제곱의 합을 구하시오.

15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대표 기출 문제

출제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극한값을 계산하는 문제, 미분가능성과 연속성의 관계를 이용하여 미지수의 값을 구하는 문
경향 제, 미분법의 기본 공식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f(1)=0인 삼차함수 f(x)가


`f(x)
   lim =;4!;
x`Ú 2 (x-2){ f '(x)}Û`
을 만족시킬 때, f(3)의 값은? [4점]

①4 ②6 ③8 ④ 10 ⑤ 12

2018학년도 대수능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해하고 여러 가지 함수의 도함수를 이용하여 함숫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f(x)
풀이 lim =;4!;에서 x Ú 2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x`Ú 2 (x-2){ f '(x)}Û`
즉, lim`f(x)=f(2)=0
x`Ú 2

또한

=lim [ ]
`f(x) `f(x)-f(2) 1
   lim _
x`Ú 2 (x-2){ f '(x)}Û` x`Ú 2 x-2 { f '(x)}Û`
1
   =f '(2)_
{ f '(2)}Û`
1
   =
`f '(2)
1
이므로 =;4!;에서 f '(2)=4이다.
`f '(2)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f(1)=0, f(2)=0이므로
   f(x)=(x-1)(x-2)(x+a) (a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f '(x)=(x-2)(x+a)+(x-1)(x+a)+(x-1)(x-2)이므로
f '(2)=2+a=4에서
   a=2
따라서 f(x)=(x-1)(x-2)(x+2)이므로
   f(3)=2_1_5=10
 ④

05 미분계수와 도함수 153


06
수학영역

도함수의 활용

1. 접선의 방정식
⑴ 곡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할 때, Z ZG Y
   f '(a)=(곡선 y=f(x) 위의 점 P(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P(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G B 1 B G B

   y-f(a)=f '(a)(x-a)
참고 점 (xÁ, yÁ)을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0 B Y

   y-yÁ=m(x-xÁ)
⑵ 기울기가 주어진 접선의 방정식
함수 f(x)가 미분가능할 때, 기울기가 m이고 곡선 y=f(x)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① 접점의 좌표를 (a, f(a))로 놓고 방정식 f '(a)=m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을 구한다.
② 위의 ①에서 구한 실수 a의 값을 y-f(a)=m(x-a)에 대입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⑶ 곡선 위에 있지 않은 한 점에서 곡선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
함수 f(x)가 미분가능할 때, 곡선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p, q)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① 접점의 좌표를 (a, f(a))로 놓는다.
② 점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y-f(a)=f '(a)(x-a)를 구한다.
③ 점 (p, q)는 접선 위의 점이므로 위의 ②에서 구한 접선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a의 값을 구한다.
④ 위의 ③에서 구한 a의 값을 y-f(a)=f '(a)(x-a)에 대입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2. 평균값 정리
⑴ 롤의 정리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a, b)에서 Z

미분가능할 때, f(a)=f(b)이면
ZG Y
G B G C
   f '(c)=0
인 c가 a와 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0 B D„ Dm C Y

⑵ 평균값 정리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a, b)에서 Z
ZG Y
G C
미분가능할 때,
`f(b)-f(a) G B
   =f '(c)
b-a
0 B D„ Dm C Y
인 c가 a와 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5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1 접선의 방정식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g(x)가 g(x)=xf(x)를 만족시킨다. 곡선 y=g(x) 위의 점 (1, g(1))에서의 접선


의 방정식이 y=-2x+1일 때,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① -1 ②0 ③1 ④2 ⑤3

풀이 전략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f(a)=f '(a)(x-a)이다.

풀이 y=-2x+1에서 x=1일 때, y=-2+1=-1이므로 곡선 y=g(x)는 점 (1, -1)을 지난다.


즉, g(1)=-1이므로 g(x)=xf(x)에서
   g(1)=f(1)=-1   yy`㉠
곡선 y=g(x) 위의 점 (1, g(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y=-2x+1이므로
   g'(1)=-2   yy`㉡
g(x)=xf(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곱의 미분법에 의하여
   g'(x)=f(x)+xf '(x)
   g'(1)=f(1)+f '(1)
㉠, ㉡에서
   f '(1)=g'(1)-f(1)=-2-(-1)=-1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f(1)=f '(1)(x-1)에서 y-(-1)=(-1)_(x-1)
즉, y=-x이다.
따라서 이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0이다.
 ②

정답과 풀이 64쪽

[9007-0265 ]

유제 1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y=3x-1일


때, 곡선 y={`f(x)}Û` 위의 점 (-1, { f(-1)}Û`)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① -24 ② -16 ③ -8 ④0 ⑤8

[9007-0266 ]

유제 2 곡선 y=xÜ`+6x-1 위의 x=1인 점에서의 접선과 평행하고 이 곡선과 제3사분면에서 접하는 직선이


점 (0, a)를 지난다. 실수 a의 값은?

① -1 ②0 ③1 ④2 ⑤3

06 도함수의 활용 155
06
수학영역

도함수의 활용

3. 함수의 증가와 감소
⑴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임의의 증가 Z 감소 Z
ZG Y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G Ym ZG Y
G Y„
① xÁ<xª일
 때, f(xÁ)<f(xª)이면
G Y„ G Ym
f(x)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한다.
0 Y„ Ym Y 0 Y„ Ym Y
② xÁ<xª일
 때, f(xÁ)>f(xª)이면
f(x)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고 한다.
⑵ 함수의 증가와 감소의 판정:함수 f(x)가 어떤 열린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① f '(x)>0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② f '(x)<0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참고 ⑴ 일반적으로 위의 명제 ①, ②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 함수 f(x)=xÜ`은 구간 (-¦, ¦)에서 증가하지만, f '(0)=0이다.
⑵ 함수 f(x)가 상수함수가 아닌 다항함수일 때, 어떤 열린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①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HjK f '(x)¾0    ②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HjK f '(x)É0

4. 함수의 극대와 극소
⑴ 함수의 극대와 극소
① 함수 f(x)에서 x=a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 구간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Z ZG Y

f(x)Éf(a)이면 함수 f(x)는 x=a에서 극대라 하고, 그때의 함숫값 f(a) 극대


를 극댓값이라고 한다.
극대 극소
② 함수 f(x)에서 x=b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 구간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극소
f(x)¾f(b)이면 함수 f(x)는 x=b에서 극소라 하고, 그때의 함숫값 f(b)
0 B C Y
를 극솟값이라고 한다.
이때 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극값이라고 한다.
참고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고 x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 f(x)가 x=a의 좌우에서
① 증가하다가 감소하면 함수 f(x)는 x=a에서 극대이다.
② 감소하다가 증가하면 함수 f(x)는 x=a에서 극소이다.
⑵ 극값에서의 미분계수: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고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f '(a)=0이다.
참고 일반적으로 위의 명제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f '(a)=0이라고 해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갖는 것
은 아니다.
예 함수 f(x)=xÜ`에서 f '(0)=0이지만 함수 f(x)는 x=0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⑶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일 때,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①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이고, 극댓값 f(a)를 갖는다.
②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f(a)를 갖는다.

15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2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삼차함수 f(x)=xÜ`+ax+b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f(2)=0
(나) 함수 f(x)는 열린 구간 (0, 2)에서 감소한다.

실수 b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풀이 전략 함수 f(x)가 상수함수가 아닌 다항함수일 때, 어떤 열린 구간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HjK f '(x)¾0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HjK f '(x)É0

풀이 조건 (가)에서 f(2)=0이므로
   f(2)=2Ü`+2a+b=0
   2a+b=-8   yy`㉠
f(x)=xÜ`+ax+b에서 f '(x)=3xÛ`+a
조건 (나)에서 함수 f(x)는 열린 구간 (0, 2)에서 감소하므로
   f '(2)=12+aÉ0
즉, aÉ-12   yy`㉡
㉠, ㉡에서 b=-8-2a¾-8+24=16
따라서 실수 b의 최솟값은 16이다.
 16

정답과 풀이 64쪽

[9007-0267 ]

유제 3 함수 f(x)=2xÜ`+6xÛ`-12는 x=a에서 극대이고, x=b에서 극소이다. 두 점 (a, f(a)),


(b, f(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① -6 ② -5 ③ -4 ④ -3 ⑤ -2

[9007-0268 ]

유제 4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함수 f(x)는 열린 구간 (-1, 2)에서 감소한다.


(나) 함수 f(x)는 열린 구간 (-3, -1)과 열린 구간 (2, 4)에서 증가한다.

f(0)=0일 때, f(2)의 값은?

① -11 ② -10 ③ -9 ④ -8 ⑤ -7

06 도함수의 활용 157
06
수학영역

도함수의 활용

5. 함수의 그래프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때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르면 편리하다.
① 도함수 f '(x)를 구한 후 f '(x)=0인 x의 값을 구한다.
②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극값을 구한다.
③ 함수 y=f(x)의 그래프와 좌표축의 교점의 좌표를 구한 후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린다.
예 함수 f(x)=xÜ`-3xÛ`-1의 그래프를 그려 보자.
f '(x)=3xÛ`-6x=3x(x-2)이므로 f '(x)=0에서 x=0 또는 x=2
Z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G Y

x y 0 y 2 y  0 Y
f '(x) + 0 - 0 +
f(x) ↗ -1 ↘ -5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6. 함수의 최대와 최소
⑴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이 구간에서 함수 f(x)는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이때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찾는다.
① 열린 구간 (a, b)에서 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구한다.
② 구간의 양 끝점에서의 함숫값 f(a)와 f(b)를 구한다.
③ ①, ②에서 구한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이 함수 f(x)의 최댓값이고, 가장 작은 값이 함수 f(x)의 최솟값이다.
Z Z Z Z
극댓값 최댓값 ZG Y 최댓값 ZG Y 극댓값
최댓값 최댓값
G C G C 극댓값 ZG Y
극댓값 G C
G B
ZG Y
G C G B
최솟값 최솟값
최솟값 최솟값 G B 극솟값 G B 극솟값
극솟값 극솟값
0 B C Y 0 B C Y 0 B C Y 0 B C Y

참고 닫힌 구간이 아니거나 함수 f(x)가 주어진 구간에서 연속이 아니면 최댓값 또는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 함수 f(x)=xÜ`-3xÛ`-1은 열린 구간 (0, 3)에서 최솟값은 존재하지만, 최댓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⑵ 함수의 최대와 최소의 활용
도형의 길이, 넓이, 부피 등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① 주어진 조건에 따라 적당한 변수를 정하여 미지수 x로 놓고 x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② 도형의 길이, 넓이, 부피 등을 x에 대한 함수 f(x)로 나타낸다.
③ 함수 y=f(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①에서 구한 x의 값의 범위에서 함수 f(x)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한다.

15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3 함수의 최대와 최소

함수 f(x)=xÜ`+3xÛ`+ax+b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함수 f(x)는 x=1에서 극값을 갖는다.


(나) 닫힌 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25이다.

a+b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① -6 ② -5 ③ -4 ④ -3 ⑤ -2

풀이 전략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열린 구간 (a, b)에서의 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 구간의 양 끝점에서의 함숫값
f(a), f(b)를 구하면 이 중에서 가장 큰 값이 최댓값이고, 가장 작은 값이 최솟값이다.

풀이 f(x)=xÜ`+3xÛ`+ax+b에서 f '(x)=3xÛ`+6x+a
조건 (가)에서 함수 f(x)가 x=1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f '(1)=0이다.
   f '(1)=3+6+a=0, a=-9
즉, f '(x)=3xÛ`+6x-9이므로
f '(x)=0에서 3xÛ`+6x-9=0, 3(x+3)(x-1)=0, x=-3 또는 x=1
f(x)=xÜ`+3xÛ`-9x+b이므로 x -2 y 1 y 2
   f(-2)=-8+12+18+b=b+22 f '(x) - 0 +
   f(1)=1+3-9+b=b-5 f(x) b+22 ↘ b-5 ↗ b+2
   f(2)=8+12-18+b=b+2
따라서 닫힌 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b+22이다.
조건 (나)에서 b+22=25이므로 b=3
따라서 a+b=-9+3=-6
 ①

정답과 풀이 65쪽

[9007-0269 ]

유제 5 닫힌 구간 [-2, 3]에서 함수 f(x)=xÜ`-3x+a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하자.


M+m=10일 때, 상수 a의 값은?

① -5 ② -4 ③ -3 ④ -2 ⑤ -1

[9007-0270 ]

유제 6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y=xf '(x)의 그래프가 x=0, x=2인 점에서
x축과 접한다. 다음 중 닫힌 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최솟값과 같은 것은?

① f(-1) ② f(0) ③ f(1) ④ f(2) ⑤ f(3)

06 도함수의 활용 159
06
수학영역

도함수의 활용

7. 방정식에의 활용
⑴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①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함수 y=f(x)의 그래프를 그린 다음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를 구한다.
② 방정식 f(x)=k`(k는 상수)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함수 y=f(x)의 그래프를 그린 다음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교점의 개수를 구한다.
③ 방정식 f(x)=g(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방정식 f(x)-g(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①과 같은 방법으로 구하거나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를 그린 다음 두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구한다.
예 방정식 xÜ`+3xÛ`=4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해 보자.
xÜ`+3xÛ`=4에서 xÜ`+3xÛ`-4=0
f(x)=xÜ`+3xÛ`-4로 놓으면 f '(x)=3xÛ`+6x=3x(x+2)이므로
f '(x)=0에서 x=-2 또는 x=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 ZG Y
x y -2 y 0 y
f '(x) + 0 - 0 + 
0 Y
f(x) ↗ 0 ↘ -4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xÜ`+3xÛ`=4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⑵ 삼차방정식의 실근의 개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삼차함수 f(x)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때,
즉 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질 때 삼차방정식 f(x)=0의 실근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① (극댓값)_(극솟값)<0이면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
② (극댓값)_(극솟값)=0이면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③ (극댓값)_(극솟값)>0이면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1이다.

① ② ③
Y Y Y Y Y

8. 부등식에의 활용
⑴ 어떤 구간에서 부등식 f(x)¾0이 성립하는 것을 증명할 때는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을 구하
여 (최솟값)¾0임을 보이면 된다.
⑵ 어떤 구간에서 부등식 f(x)¾g(x)가 성립하는 것을 증명할 때는 h(x)=f(x)-g(x)로 놓고, 주어진 구간
에서 함수 h(x)의 최솟값을 구하여 (최솟값)¾0임을 보이면 된다.

16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4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삼차방정식 xÜ`-3xÛ`=9x+k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실근과 한 개의 음의 실근을 갖도록 하는 정수 k의 개수를


구하시오.

풀이 전략 방정식 f(x)=k`(k는 상수)의 실근은 곡선 y=f(x)와 직선 y=k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를 그린
후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풀이 xÜ`-3xÛ`=9x+k에서 xÜ`-3xÛ`-9x=k이므로 Z ZG Y


f(x)=xÜ`-3xÛ`-9x로 놓으면 

   f '(x)=3xÛ`-6x-9=3(x+1)(x-3) 0 Y

f '(x)=0에서 x=-1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3 y L ZL
f '(x) + 0 - 0 +

f(x) ↗ 5 ↘ -27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고 그 교점의 x좌표가 두 개는 양수이고 하나는 음
수일 조건은
   -27<k<0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의 개수는 26이다.
 26

정답과 풀이 65쪽

[9007-0271 ]

유제 7 곡선 y=xÜ`-3kxÛ`+x와 직선 y=x-32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272 ]

유제 8 x¾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2xÜ`-3x¾3x+a를 만족시키는 실수 a의 최댓값은?

① -5 ② -4 ③ -3 ④ -2 ⑤ -1

06 도함수의 활용 161
06
수학영역

도함수의 활용

9. 속도와 가속도
⑴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t>0)에서의 위치가 x=f(t)일 때,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dx
   v= =f '(t)
dt
설명 점 P가 수직선 위를 움직일 때, 시각 t`(t>0)에서 점 P의 위치를 그 점의 좌표 x로 나타내면 x는 t에 대한 함수이
므로 x=f(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시각이 t에서 t+Dt까지 변할 때, 함수 f(t)의 평균변화율
`Dx `f(t+Dt)-f(t)
   =
Dt Dt
를 점 P의 평균 속도라고 한다.
점 P의 평균 속도에서 Dt Ú 0일 때 평균 속도의 극한값, 즉 시각 t에서의 함수 x=f(t)의 순간변화율을 v라 하면
dx `f(t+Dt)-f(t)
   v= = lim =f '(t)
dt Dt`Ú 0 Dt
이다. 이때 v를 점 P의 시각 t에서의 순간속도 또는 속도라고 한다.
참고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속도 v=f '(t)에 대하여
① v>0인 구간에서 x=f(t)는 증가하므로 점 P는 수직선 위를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② v<0인 구간에서 x=f(t)는 감소하므로 점 P는 수직선 위를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③ v=f '(tÁ)=0이고 t=tÁ의 좌우에서 f '(t)의 부호가 바뀌면 점 P는 t=tÁ에서 움직이는 방향을 바꾼다.
예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t>0)에서의 위치 x가 x=-2tÛ`+3t일 때,
dx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v= =-4t+3이므로
dt
점 P의 시각 t=2에서의 속도는 v=-4_2+3=-5이다.
⑵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가속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속도가 v일 때, 점 P의 시각 t`(t>0)에서의 가속도 a는
dv
   a=
dt
설명 점 P의 속도 v도 시각 t에 대한 함수이므로 이 함수의 순간변화율을 생각할 수 있다.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의 순간변화율을 a라 하면
dv Dv
   a= = lim
dt Dt`Ú 0 Dt
이다. 이때 a를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라고 한다.
예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t>0)에서의 속도 v가 v=2tÜ`-tÛ`일 때,
dv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a= =6tÛ`-2t이므로
dt
점 P의 시각 t=1에서의 가속도는 a=6-2=4이다.

16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5 속도와 가속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의 시각 t`(t>0)에서의 위치는 각각


   f(t)=2tÛ`-4t, g(t)=-tÛ`+5t
이다. 두 점 P, Q가 만나는 순간의 점 P의 속도는?

①7 ②8 ③9 ④ 10 ⑤ 11

풀이 전략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f(t)일 때,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v= dx =f '(t)이다.


dt

풀이 두 점 P, Q가 시각 t=a`(a>0)에서 만난다고 하면
f(a)=g(a)에서
   2aÛ`-4a=-aÛ`+5a, 3aÛ`-9a=0
   3a(a-3)=0
a>0이므로 a=3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v=f '(t)=4t-4
이므로 시각 t=3에서의 점 P의 속도는
   f '(3)=12-4=8
 ②

정답과 풀이 66쪽

[9007-0273 ]

유제 9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t>0)에서의 위치 x가

   x=;3!;tÜ`-2tÛ`+6t+1

이다. 점 P의 속도가 2인 시각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①0 ②1 ③2 ④3 ⑤4

[9007-0274 ]

유제 10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t>0)에서의 위치 x가


   x=a(tÜ`-4tÛ`+3t)
이다. 점 P가 원점을 지날 때의 속도를 각각 vÁ, vª라 하자. vÁ+vª=24일 때, 상수 a의 값은?
 (단, a+0이고 vÁ+vª이다.)

①4 ②5 ③6 ④7 ⑤8

06 도함수의 활용 163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66쪽

[9007-0275 ]

1 곡선 y=2xÜ`-x+3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에 수직이고 점 (0,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ay+b=0
이다. aÛ`+bÛ`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① 45 ② 50 ③ 55 ④ 60 ⑤ 65

[9007-0276 ]

2 함수 f(x)=xÝ`-2axÛ`-1은 x=b, x=2-2b에서 극소이다. a+b의 값은?


 (단, a, b는 a>0, b>1인 상수이다.)

①3 ②4 ③5 ④6 ⑤7

[9007-0277 ]

3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삼차함수 f(x)와 그 도함수 f '(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f '(2)=0, f '(4)=0


(나) | f(6)-f(4)|=| f(2)-f(4)|+2

f(2)=-2일 때, 닫힌 구간 [0, 6]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① -2 ② -1 ③0 ④1 ⑤2

[9007-0278 ]

4 -1<x<1에서 부등식 xÜ`+3xÛ`+1>k가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정수 k의 최댓값은?

① -1 ②0 ③1 ④2 ⑤3

[9007-0279 ]

5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t>0)에서의 위치 x가


   x=tÜ`-2t+3
이다. 시각 t=k에서의 점 P의 가속도가 12일 때, 시각 t=k+2에서의 점 P의 위치를 구하시오.

16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67쪽

[9007-0280 ]

1 곡선 y=xÜ`-2x+3 위의 x=-1인 점에서의 접선과 평행하고 이 곡선과 제1사분면에서 접하는 접선이 y축


과 만나는 점의 y좌표는?

① -1 ②0 ③1 ④2 ⑤3

[9007-0281 ]

2 함수 f(x)=;4!;xÛ`(xÛ`-6x+12)에 대하여 곡선 y=f(x)와 직선 y=2x의 교점 중 원점이 아닌 점을 A라 하

자. 원점 O에서 점 A까지 곡선 y=f(x) 위를 움직이는 점 P(t, f(t))에 대하여 삼각형 OPA의 넓이는
t=a일 때 최대이다. a의 값은?

① ;3!; ② ;2!; ③ ;3@; ④ ;6%; ⑤1

[9007-0282 ]

3 삼차함수 f(x)=axÜ`+bxÛ`+cx`(a, b, c는 상수, a>0)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곡선 y=f '(x)는 x축과 두 점 (0, 0), (1, 0)에서 만난다.


(나) 곡선 y=f(x)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의 최솟값은 -1이다.

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① ;3!; ② ;3@; ③1 ④ ;3$; ⑤ ;3%;

[9007-0283 ]

4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f(x)
(가) lim =-2
x`Ú¦ xÜ`
(나) 함수 f(x)는 x=-2와 x=1에서 극값을 갖는다.

`f(h)-f(-h)
lim 의 값을 구하시오.
h`Ú 0 h

06 도함수의 활용 165
정답과 풀이 68쪽

[9007-0284 ]

5 삼차함수 f(x)=2xÜ`+2kxÛ`+3kx-2의 역함수가 존재하도록 하는 정수 k의 개수는?

①1 ②2 ③3 ④4 ⑤5

[9007-0285 ]

6 그림과 같이 곡선 y=-xÛ`+2x 위의 점 P(t, -tÛ`+2t)를 지나고 점 P에서의 접 Z


1
ZY™ Y
선과 수직인 직선이 x축과 만나는 점 Q의 x좌표를 f(t)라 하자. 0ÉtÉ1에서 함
수 g(t)=2 f(t)+tÛ`은 t=a일 때 최대이다. 60a의 값을 구하시오.
0 2  Y

[9007-0286 ]

7 두 함수 f(x)=2xÜ`+3xÛ`, g(x)=-xÛ`+2에 대하여 -3ÉxÉ1에서 부등식 f(x)-3g(x)¾k가 항상 성


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최댓값은?

① -6 ② -5 ③ -4 ④ -3 ⑤ -2

[9007-0287 ]

8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t>0)에서의 위치 x가


   x=-4tÜ`+12tÛ`+6
이다. 점 P의 운동 방향이 바뀌는 시각에서의 점 P의 위치를 구하시오.

16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69쪽

[9007-0288 ]

1 두 다항함수 f(x),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곡선 y=f(x) 위의 점 P(1, f(1))에서의 접선이 x축 위의 점 Q를 지난다.


(나) 곡선 y=g(x) 위의 점 R(1, g(1))에서의 접선이 점 Q를 지난다.

PHÓ `f '(1)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3$;일 때, | |의 값은?
RHÓ g'(1)

① ;3!; ② ;3@; ③1 ④ ;3$; ⑤ ;3%;

[9007-0289 ]

2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와 두 실수 a, b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f '(2)의 값은?

(가) f '(-1)=8
(나)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고, x=a와 x=b에서 극소이다.
(다) b-a='1Œ3

① -7 ② -6 ③ -5 ④ -4 ⑤ -3

[9007-0290 ]

3 그림과 같이 -1<t<2인 실수 t에 대하여 직선 x=t가 곡선 Z


"
ZYš Y

y=-xÛ`+x+2와 만나는 점을 A라 하고, 곡선 y=xÜ`-3x-2와 만나는 점


을 B라 하자. 점 C(-1, 0)에 대하여 삼각형 ACB의 넓이는 t=a일 때 최대 $ 
0 U Y
이다. a의 값은?

-1+'3Œ1 -1+4'2 -1+'3Œ3
① ② ③ ZY™ Y 
4 4 4 #
YU
-1+'3Œ4 -1+'3Œ5
④ ⑤
4 4

06 도함수의 활용 167
정답과 풀이 70쪽

[9007-0291 ]

4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f(x)-xÜ`
(가) lim =-3
x`Ú¦ 2xÛ`
(나) f '(1)=0
(다) 방정식 | f(x)|=1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5이다.

f(0)>-2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9007-0292 ]

5 삼차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방정식 f(x)=0은 음의 실근 하나와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갖는다.


(나) 방정식 f '(x)=0은 두 실근 -1, 2를 갖는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f(0)>0
ㄴ. f(-1)f(2)<0
ㄷ. f '(1)>0이면 f(1)>0이다.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ㄷ ⑤ ㄴ, ㄷ

[9007-0293 ]

6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0ÉtÉ8)에서의 위치 x가 Y

(`-t(t-4) (0ÉtÉ4)
   x={`2(t-4)(t-6) (4<tÉ6)
9`-2(t-6)(t-8) (6<tÉ8)
0    U

이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0<t<4일 때, 점 P의 가속도는 음수이다.


ㄴ. 0<t<8에서 점 P는 운동 방향을 세 번 바꾼다.
ㄷ. 1ÉkÉ2일 때, 점 P의 시각 t=k에서의 속도와 시각 t=8-k에서의 속도의 곱의 최댓값은 2이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6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대표 기출 문제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문제, 극댓값과 극솟값을 구하여 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함수의 최댓
출제 값,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 방정식의 근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를 구하는 문제가
경향
출제된다.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f '(0)=0, f '(2)=16


(나) 어떤 양수 k에 대하여 두 열린 구간 (-¦, 0), (0, k)에서 f '(x)<0이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보기

ㄱ. 방정식 f '(x)=0은 열린 구간 (0, 2)에서 한 개의 실근을 갖는다.


ㄴ. 함수 f(x)는 극댓값을 갖는다.

ㄷ. f(0)=0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3!;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018학년도 대수능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차함수의 그래프와 도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
제이다.

풀이 두 조건 (가), (나)를 만족시키는 함수 y=f(x)의 그래프와 도 ZG Y Z ZG Y


함수 y=f '(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0 L
ㄱ. 함수 y=f '(x)의 그래프에서 함수 y=f '(x)의 그래프와  Y
x축은 열린 구간 (k, 2)에서 한 점에서 만난다.
즉, 방정식 f '(x)=0은 열린 구간 (0, 2)에서 한 개의
 L 
실근을 갖는다. (참)
ㄴ.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함수 f(x)는 극솟값을 갖지만 극댓값은 갖지 않는다. (거짓)
ㄷ. f(0)=0이면 양수 a에 대하여 f(x)=xÜ`(x-a)로 놓을 수 있다. Z ZG Y
f(x)=xÝ`-axÜ`에서 f '(x)=4xÜ`-3axÛ`이고

f '(2)=32-12a=16에서 a=;3$;이므로 f(x)=xÜ`{x-;3$;} 0 Y
Å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3!; 을 가지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3!;이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06 도함수의 활용 169
07
수학영역

부정적분과 정적분

1. 부정적분
⑴ 함수 F(x)의 도함수가 f(x)일 때, 즉 F'(x)=f(x)일 때, F(x)를 f(x)의 부정적분이라 하고, 함수
f(x)의 부정적분을 구하는 것을 f(x)를 적분한다고 한다.
⑵ 함수 f(x)의 부정적분 중 하나를 F(x)라 하면 함수 f(x)의 임의의 부정적분은
   F(x)+C`(C는 상수)
부정적분

:``f(x)dx=F(x)+C
의 꼴로 나타낼 수 있고, 이것을 기호로

   : f(x)dx=F(x)+C
미분
와 같이 나타낸다. 이때 C를 적분상수라고 한다.
참고 두 함수 F(x), G(x)가 모두 함수 f(x)의 부정적분이면
F'(x)=f(x), G'(x)=f(x)이므로 {G(x)-F(x)}'=G'(x)-F'(x)=0
이때 도함수가 0인 함수는 상수함수이므로 그 상수를 C라 하면 G(x)-F(x)=C, 즉 G(x)=F(x)+C
⑶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 : f(x)dx]=f(x) ② :`[
d d
① `f(x)]dx=f(x)+C`(C는 적분상수)
dx dx
설명 ① F'(x)=f(x)라 하면 : f(x)dx=F(x)+C`(C는 적분상수)이므로

[ : f(x)dx]=
d d
   {F(x)+C}=F'(x)+0=f(x)
dx dx
d d
② f(x)의 도함수가 f '(x), 즉 `f(x)이므로 f(x)는 `f(x)의 부정적분이다. 따라서
dx dx

   : [
d
`f(x)]dx=f(x)+C (C는 적분상수)
dx

2. 함수 y=x `(n은 음이 아닌 정수)의 부정적분


n

n이 음이 아닌 정수일 때, : xÇ``dx=
1
xÇ` ±Ú`+C (C는 적분상수)
n+1
참고 n=0일 때, : 1`dx는 : dx로 나타내고, : dx=x+C`(C는 적분상수)이다.

3. 부정적분의 성질
두 함수 f(x), g(x)가 연속함수일 때,

⑴ : kf(x)dx=k: f(x)dx (단, k는 상수)

⑵ :`{ f(x)+g(x)}dx=: f(x)dx+: g(x)dx

⑶ :`{ f(x)-g(x)}dx=: f(x)dx-: g(x)dx

17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1 부정적분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3xÛ`+6x이고, 곡선 y=f(x)와 직선 y=6이 두 점 (a, 6), (b, 6)에서만 만난다.
ab<0일 때, f(2)의 값은?

① 20 ② 22 ③ 24 ④ 26 ⑤ 28

풀이 전략 ⑴ n이 음이 아닌 정수일 때, : xn dx= 1
xn+1+C (C는 적분상수)
n+1
⑵ 삼차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질 때,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은 곡선 y=f(x)와 두 점에서 만난다.

풀이 f '(x)=3xÛ`+6x이므로 Z ZG Y

   f(x)=: (3xÛ`+6x)dx=xÜ`+3xÛ`+C (C는 적분상수)

f '(x)=3x(x+2)=0에서 x=-2 또는 x=0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 x=0에서 극소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0 Y

이때 직선 y=6이 곡선 y=f(x)와 두 점 (a, 6), (b, 6)에서만 만나려면


f(-2)=6 또는 f(0)=6이어야 한다.
a<b라 할 때,
f(-2)=6이면 a=-2, b>0이므로 ab<0
f(0)=6이면 a<0, b=0이므로 ab=0
따라서 f(-2)=6이므로
f(-2)=-8+12+C=6에서 C=2
즉, f(x)=xÜ`+3xÛ`+2이므로
   f(2)=8+12+2=22
 ②

정답과 풀이 72쪽

[9007-0294 ]

유제 1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2x-4이다. 곡선 y=f(x)가 x축과 점 P에서 접하고, y축과 점 Q에


서 만날 때, 삼각형 OPQ의 넓이는? (단, O는 원점이다.)

①2 ②4 ③6 ④8 ⑤ 10

[9007-0295 ]

유제 2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xÛ`+2x+a이고, 직선 y=3x+2가 곡선 y=f(x)와 y축 위의 점 P에


서 접한다. f(3)의 값은? (단, a는 상수이다.)

① 21 ② 23 ③ 25 ④ 27 ⑤ 29

07 부정적분과 정적분 171


07
수학영역

부정적분과 정적분

4. 구분구적법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를 다음과 같이 구하는 방법을 구분구적법이라고 한다.
⑴ 주어진 도형을 넓이 또는 부피를 구할 수 있는 작은 n개의 도형으로 나눈다.
⑵ ⑴에서 구한 n개의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의 합을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⑶ ⑵에서 구한 식에 대하여 n Ú ¦일 때의 극한값을 구한다.

5. 정적분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자연수 n에 대하여 Z

, xk=a+kDx라 하면 lim Á `f(xû)Dx의 값이 항상 존재한다.


ZG Y
b-a n
Dx=
n n`Ú¦ k=1

이 극한값을 함수 f(x)의 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Ab f(x)dx와 같이 나타낸다. 즉,




0 Y Y„ Ym  Y‰ƒ Y‰ Y

   :Ab f(x)dx=lim Á `f(xû)Dx



n B C

이때 :Ab f(x)dx의 값을 구하는 것을 함수 f(x)를 a에서 b까지 정적분한다고 하고, a, b를 각각 이 정적분의 아


n`Ú¦ k=1

래끝, 위끝이라고 한다.

특히 :Aa f(x)dx=0으로 정의한다.


lim Á `f(xû)Dx=lim Á `f(xû)Dx
n n-1
참고
n`Ú¦ k=1 n`Ú¦ k=0

6.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A/ f(t)dt=f(x) (단, a<x<b)


d
  
dx

7. 미적분의 기본 정리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함수 f(x)의 부정적분 중 하나를 F(x)라 하면

:Ab f(x)dx=[F(x)]bA=F(b)-F(a)

:A/ f(t)dt=f(x)이므로 S(x)는 f(x)의 부정적분이다.


d
설명 S(x)=:A/ f(t)dt라 하면 S'(x)=
dx

따라서 S(x)=F(x)+C`(C는 적분상수)이고, S(a)=:Aa f(t)dt=0이므로 F(a)+C=0이다.

즉, C=-F(a)이므로 S(x)=:A/ f(t)dt=F(x)-F(a)

따라서 S(b)=:Ab f(t)dt=F(b)-F(a)이므로 변수 t를 x로 바꾸면 :Ab f(x)dx=F(b)-F(a)이다.

참고 a>b일 때, :Ab f(x)dx=-:Ba f(x)dx로 정의한다.

17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2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A/ 3(t+1)(t-3)dt

를 만족시킨다. 함수 f(x)의 극솟값이 0일 때, 함수 f(x)의 극댓값은? (단, a는 상수이다.)

① 28 ② 30 ③ 32 ④ 34 ⑤ 36

풀이 전략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A/ f(t)dt=f(x) (단, a<x<b)


d
  
dx

:A/ 3(t+1)(t-3)dt=3(x+1)(x-3)이므로
d
풀이 f '(x)=
dx

   f(x)=: 3(x+1)(x-3)dx=: (3xÛ`-6x-9)dx

=xÜ`-3xÛ`-9x+C (C는 적분상수)


f '(x)=0에서 x=-1 또는 x=3
함수 f(x)는 x=-1에서 극대, x=3에서 극소이고, x y -1 y 3 y
함수 f(x)의 극솟값이 0이므로 f '(x) + 0 - 0 +
f(x) ↗ f(-1) ↘ f(3) ↗
f(3)=27-27-27+C=0에서 C=27
따라서 f(x)=xÜ`-3xÛ`-9x+27이므로 함수 f(x)의 극댓값은
   f(-1)=-1-3+9+27=32
 ③

정답과 풀이 72쪽

[9007-0296 ]

유제 3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t)dt=xÜ`+axÛ`-7x+4

를 만족시킨다. f '(1)=-4일 때, f(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이다.)

[9007-0297 ]

유제 4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tÛ`+f '(t)}dt=-;3%;xÜ`+6xÛ`-8x+5

를 만족시킨다. :)2 { f(x)+f '(x)}dx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07 부정적분과 정적분 173


07
수학영역

부정적분과 정적분

8. 정적분의 성질
⑴ 두 함수 f(x), g(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① :Ab kf(x)dx=k:Ab f(x)dx (단, k는 상수)

② :Ab`{ f(x)+g(x)}dx=:Ab f(x)dx+:Ab g(x)dx

③ :Ab`{ f(x)-g(x)}dx=:Ab f(x)dx-:Ab g(x)dx

⑵ 함수 f(x)가 세 실수 a, b, c를 포함하는 닫힌 구간에서 연속일 때,

   :Ac f(x)dx+:Cb f(x)dx=:Ab f(x)dx


참고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a]에서 연속일 때, 이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① f(-x)=f(x)이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_aA f(x)dx=:_0A f(x)dx+:)a f(x)dx=2:)a f(x)dx

② f(-x)=-f(x)이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_aA f(x)dx=:_0A f(x)dx+:)a f(x)dx=0

9. 정적분으로 표시된 함수의 극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f(x)와 상수 a에 대하여

⑴ lim ;[!;:A/` Ñ` a f(t)dt=f(a)


x`Ú 0

:A/ f(t)dt=f(a)
1
⑵ lim
x`Ú a x-a
설명 함수 f(x)의 부정적분 중의 하나를 F(x)라 하면

:A/` Ñ` a f(t)dt=[F(t)]/A Ñ `a`=F(x+a)-F(a), :A/ f(t)dt=[F(t)]/A=F(x)-F(a)이므로

   lim ;[!;:A/` Ñ` a f(t)dt=lim


F(x+a)-F(a)
=F'(a)=f(a)
x`Ú 0 x`Ú 0 x

:A/ f(t)dt=lim
1 F(x)-F(a)
   lim =F'(a)=f(a)
x`Ú a x-a x`Ú a x-a

10. 정적분과 급수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lim Á `f {a+
n
b-a b-a
k} =:Ab f(x)dx
n`Ú¦ k=1 n n
참고 b-a=p로 놓으면 b=a+p이므로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a+p]에서 연속일 때,

   lim Á `f {a+ n k} n =:A


n p p a+p

n`Ú¦ k=1
`f(x)dx

17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3 정적분의 성질

두 함수 f(x)와 g(x)가
( 2 (x<0)
1 (x<2)
   f(x)={ x+2 (0Éx<2) , g(x)=[
x-1(x¾2)
9 4 (x¾2)

이다. :_a@`{ f(x)+g(x)}dx=26을 만족시키는 양수 a의 값은?

①3 ②4 ③5 ④6 ⑤7

풀이 전략 함수 f(x)가 세 실수 a, b, c를 포함하는 닫힌 구간에서 연속일 때

   :Ab f(x)dx=:Ac f(x)dx+:Cb f(x)dx

풀이 x<0일 때, f(x)+g(x)=2+1=3
0Éx<2일 때, f(x)+g(x)=(x+2)+1=x+3
x¾2일 때, f(x)+g(x)=4+(x-1)=x+3이므로
3 (x<0)
   f(x)+g(x)=[
x+3 (x¾0)
함수 f(x)+g(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_a@ { f(x)+g(x)}dx=:_0@ { f(x)+g(x)}dx+:)a { f(x)+g(x)}dx

   =:_0@ 3`dx+:)a (x+3)dx=[3x]0_@+[;2!;xÛ`+3x]a)=6+;2!;aÛ`+3a=26

에서 aÛ`+6a-40=0, (a+10)(a-4)=0
a>0이므로 a=4
 ②

정답과 풀이 72쪽

에 대하여 :_1!`x{ f(x+2)+f(x-2)}dx의 값은?


[9007-0298 ]
3x-1 (x<0)
유제 5 함수 f(x)=[
xÛ`+2x-1 (x¾0)
①6 ②7 ③8 ④9 ⑤ 10

이차함수 f(x)가 f(1)=0이고, :)1 f(x)dx=:#4 f(x)dx=2를 만족시킨다. :!4 | f(x)|dx의 값을


[9007-0299 ]

유제 6
구하시오.

07 부정적분과 정적분 175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73쪽

[9007-0300 ]

1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6xÛ`-1이고, f(1)=0일 때, f(2)의 값은?

① 11 ② 13 ③ 15 ④ 17 ⑤ 19

[9007-0301 ]

2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f(t)dt=xÛ`+ax-5

를 만족시킬 때, f(a)의 값은? (단, a는 상수이다.)

①6 ②8 ③ 10 ④ 12 ⑤ 14

:_aA (3xÛ`+5x-3)dx=4를 만족시키는 양수 a의 값은?


[9007-0302 ]

3
①1 ②2 ③3 ④4 ⑤5

:_4!`(|x|+|x-2|)dx의 값은?
[9007-0303 ]

4
①7 ②9 ③ 11 ④ 13 ⑤ 15

이차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1을 갖는다. :)4 | f '(x)|dx=16일 때, f(4)의 값은?


[9007-0304 ]

5
①6 ②7 ③8 ④9 ⑤ 10

17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74쪽

[9007-0305 ]

1 두 다항함수 f(x),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f(0)=g(0)
(나)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xf '(x)=4xÜ`+9xÛ`-8x+3이다.
(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g'(x)=8x+2이다.

g(1)의 값은?

①1 ②3 ③5 ④7 ⑤9

[9007-0306 ]

2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xÛ`f(x)-:!/ 4tf(t)dt=xÝ`-2xÜ`-3

을 만족시킬 때,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y절편은?

① -2 ② -1 ③0 ④1 ⑤2

[9007-0307 ]

3 삼차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f(t)dt=:) `f(t)dt이다.


-x

(나) f '(0)=1, f '(1)=7

:@4 f(x)dx의 값은?

① 118 ② 122 ③ 126 ④ 130 ⑤ 134

[9007-0308 ]

4 두 함수 f(x)=ax+b, g(x)=;2!;xÛ`의 그래프는 점 (2, 2)에서 만난다. 자연수 n에 대하여

2
   xk= k (k=1, 2, 3, y, n)
n
   Sn= Á { f(xk)-g(xk)}
n
2
k=1 n
라 할 때, lim Sn=:Á3¢:이다. 두 상수 a, b에 대하여 aÛ`+bÛ`의 값은?
n`Ú¦

① 11 ② 13 ③ 15 ④ 17 ⑤ 19

07 부정적분과 정적분 177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74쪽

[9007-0309 ]

1 다항함수 f(x)와 이차함수 g(x)=3xÛ`+ax+4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곡선 y=f(x) 위의 임의의 점 P(t, f(t))에서의 접선은 항상 곡선 y=g(x)와 점 (2t, g(2t))에서 만난
다.
(나) 점 P(t, f(t))`(t>0)에서 x축과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Q, R라 할 때, 사각형 OQPR의 넓이를

S(t)라 하면 :!2 S(t)dt=:Á;3!;»:이다.

f(1)+g(1)의 값은? (단, a>0이고, O는 원점이다.)

① 31 ② 33 ③ 35 ④ 37 ⑤ 39

[9007-0310 ]

2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f '(1)=7
(나)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3f(x)=xf '(x)+2x+k이다. (단, k는 상수이다.)

(다) :)2 f(x)dx=5:_1!`xf(x)dx

f(2)의 값은?

① :¢3¼: ② 15 ③ :°3¼: ④ :°3°: ⑤ 20

[9007-0311 ]

3 다항함수 f(x)가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Ab f(x)dx=


b-a
{ f(a)+f(b)}
2

(나) :_aA f(x)dx=4a

(다) f(2)=8

f(4)의 값은?

① 11 ② 12 ③ 13 ④ 14 ⑤ 15

17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대표 기출 문제

출제 미적분의 기본 정리와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적분을 계산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또한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
경향 하여 주어진 식을 정리하고, 정적분으로 나타내어진 함수의 성질을 파악하는 문제도 출제된다.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
d
`f(t)]dt=xÜ`+axÛ`-2
dt
를 만족시킬 때, f '(a)의 값은? (단, a는 상수이다.) [4점]

①1 ②2 ③3 ④4 ⑤5

2019학년도 대수능

미적분의 기본 정리를 이용하여 다항함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 [
d
풀이 `f(t)]dt=:!/ f '(t)dt
dt

=[f(t)]/!

=f(x)-f(1)
이므로
   f(x)-f(1)=xÜ`+axÛ`-2
   f(x)=xÜ`+axÛ`-2+f(1)   yy`㉠
f(1)=1+a-2+f(1)이므로
   a=1
㉠에서 f '(x)=3xÛ`+2ax=3xÛ`+2x이므로
   f '(a)=f '(1)=5
 ⑤

:!/ [
d
다른 풀이 `f(t)]dt=xÜ`+axÛ`-2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dt
   0=1+a-2, a=1

즉, :!/ f '(t)dt=xÜ`+xÛ`-2이므로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3xÛ`+2x
따라서 f '(a)=f '(1)=5

07 부정적분과 정적분 179


08
수학영역

정적분의 활용

1. 곡선과 좌표축 사이의 넓이


⑴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부분
의 넓이 S는

   S=:Ab | f(x)|dx
설명 ① 닫힌 구간 [a, b]에서 f(x)¾0일 때, Z
ZG Y
   S=:Ab f(x)dx
4
   =:Ab | f(x)|dx
0 B C Y

② 닫힌 구간 [a, b]에서 f(x)É0일 때, Z


ZG Y
곡선 y=f(x)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곡선 y=-f(x)에서 -f(x)¾0
이므로 4

   S=:Ab``{-f(x)}dx
0 B 4 C Y

ZG Y
   =:Ab | f(x)|dx

③ 닫힌 구간 [a, c]에서 f(x)¾0이고, 닫힌 구간 [c, b]에서 f(x)É0일 때, Z


ZG Y
   S=:Ac f(x)dx+:Cb { -f(x)}dx
C
=:Ac``| f(x)|dx+:Cb | f(x)|dx 0 B D Y

=:Ab | f(x)|dx

①, ②, ③에 의하여 S=:Ab | f(x)|dx


Z ZG Y
⑵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부분의 넓이가 같은 경우
그림과 같이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부분의 넓이를 각각 SÁ, Sª라 4„

할 때, B 0 D C Y

   SÁ=Sª이면 :Ab `f(x)dx=0


4m

설명 닫힌 구간 [a, c]에서 f(x)¾0이고, 닫힌 구간 [c, b]에서 f(x)É0일 때

   SÁ=:Ac f(x)dx, Sª=:Cb``{-f(x)}dx=-:Cb f(x)dx

SÁ=Sª이면 :Ac f(x)dx=-:Cb f(x)dx이므로

   :Ac f(x)dx+:Cb f(x)dx=0, 즉 :Ab f(x)dx=0

18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1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삼차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이 두 점 (-1, 0), (1, 0)을 지 Z

난다. 함수 f(x)의 극솟값이 0이고,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9 ZG  Y

일 때, 함수 f(x)의 극댓값은?
 0  Y
① :Á3¢: ② :Á3¤: ③6 ④ :ª3¼: ⑤ :ª3ª:

풀이 전략 함수 f(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S는

   S=:Ab | f(x)|dx

풀이 f '(x)=a(x+1)(x-1)`(a<0)으로 놓으면

   f(x)=: a(x+1)(x-1)dx=: (axÛ`-a)dx=;3A;xÜ`-ax+C (C는 적분상수)

f '(x)=0에서 x=-1 또는 x=1이고 a<0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고, x=1에서 극대이다. Z

따라서 f(-1)=-;3A;+a+C=0에서 C=-;3@;a이므로 ZG Y

   f(x)=;3A;xÜ`-ax-;3@;a=;3A;(xÜ`-3x-2)=;3A;(x+1)Û`(x-2)
 0   Y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_2! ;3A;(xÜ`-3x-2)dx=;3A;[;4!;xÝ`-;2#;xÛ`-2x]2_!=-;4(;a

이므로 -;4(;a=9에서 a=-4

따라서 f(x)=-;3$;(xÜ`-3x-2)이므로 함수 f(x)의 극댓값은

   f(1)=:Á3¤:

 ②

정답과 풀이 76쪽

[9007-0312 ]

유제 1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xÛ`-ax이고, 그림과 같이 곡선 Z ZG Y

y=f '(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A, 곡선 y=f '(x)(x¾a)


와 x축 및 직선 x=6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B라 할 때, A=B이
#
다. 곡선 y=f(x) 위의 세 점 P(0, f(0)), Q(a, f(a)), R(6, f(6)) 0 " B  Y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PQR의 넓이는? (단, 0<a<6)

① 20 ② 24 ③ 28 ④ 32 ⑤ 36

08 정적분의 활용 181
08
수학영역

정적분의 활용

2. 두 곡선 사이의 넓이
⑴ 두 함수 f(x), g(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y=f(x), y=g(x)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S는

   S=:Ab | f(x)-g(x)|dx
설명 ① 닫힌 구간 [a, b]에서 f(x)¾g(x)¾0일 때, Z
ZG Y
   S=:Ab f(x)dx-:Ab g(x)dx
4
ZH Y
=:Ab``{ f(x)-g(x)}dx
0 B C Y
=:Ab | f(x)-g(x)|dx

② 닫힌 구간 [a, b]에서 f(x)¾g(x)이고 f(x) 또는 g(x)가 음의 값을 가질 Z ZG Y L


때, 두 곡선 y=f(x), y=g(x)를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하여 4
ZH Y L
f(x)+k¾g(x)+k¾0이 되도록 하면 L ZG Y
0 C
   S=:Ab``[{ f(x)+k}-{ g(x)+k}] dx B 4 Y
ZH Y
=:Ab``{ f(x)-g(x)}dx

=:Ab``| f(x)-g(x)|dx

③ 닫힌 구간 [a, c]에서 f(x)¾g(x)이고 닫힌 구간 [c, b]에서 f(x)Ég(x)일 Z ZH Y


때,

   S=:Ac``{ f(x)-g(x)}dx+:Cb``{ g(x)-f(x)}dx


ZG Y

   =:Ac | f(x)-g(x)|dx+:Cb | f(x)-g(x)|dx 0 B D C Y

   =:Ab | f(x)-g(x)|dx

⑵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두 부분의 넓이가 같은 경우


그림과 같이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두 부분의 넓이를 각각 SÁ, Z
ZG Y
Sª라 할 때,

   SÁ=Sª이면 :Ab { f(x)-g(x)}dx=0


4m

ZH Y
설명 닫힌 구간 [a, c]에서 f(x)¾g(x)이고, 닫힌 구간 [c, b]에서 f(x)Ég(x)일 때, B 0 D C Y

   SÁ=:Ac``{ f(x)-g(x)}dx, Sª=:Cb``{ g(x)-f(x)}dx=-:Cb``{ f(x)-g(x)}dx

SÁ=Sª이면 :Ac``{ f(x)-g(x)}dx=-:Cb``{ f(x)-g(x)}dx이므로

   :Ac``{ f(x)-g(x)}dx+:Cb``{ f(x)-g(x)}dx=0, 즉 :Ab { f(x)-g(x)}dx=0

18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2 두 곡선 사이의 넓이

1 1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에 대하여 두 직선 y= x, y= x와 곡선 ZY™ ZMÅY
n n+1 Z

y=xÛ`으로 둘러싸인 부분(색칠된 영역)의 넓이를 Sn이라 할 때, Á Sn의 값은?


6
ZÅY
n=1 O 

① ;3°4Á3; ② ;3°4¢3; ③ ;3°4¦3; 0 Y

④ ;3¤4¼3; ⑤ ;4»9;

풀이 전략 두 함수 f(x), g(x)가 닫힌 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y=f(x), y=g(x)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이 S는

   S=:Ab |f(x)-g(x)|dx

1 1 1
풀이 곡선 y=xÛ`과 직선 y= x의 교점의 x좌표는 xÛ`= x에서 x=0 또는 x= 이므로
n n n

xÛ`-;3!;xÜ`]) -[ xÛ`-;3!;xÜ`])
1 1
;n!; ;n!;
   Sn=:) { x-xÛ`}dx-:) { x-xÛ`}dx=[
1 n+1 1 1 1 n+1
n n+1 2n 2(n+1)
=;6!;[ ]
1 1
   -
nÜ` (n+1)Ü`
따라서

   Á Sn= Á ;6!;[ ]=;6!;[{1- }+{ - }+y+{ - }]


6 1
6 1 1 1 1 1 1
-
n=1 n=1 nÜ` (n+1)Ü` 2Ü` 2Ü` 3Ü` 6Ü` 7Ü`
=;6!;{1- }=;3°4¦3;
1
7Ü`
 ③

정답과 풀이 76쪽

[9007-0313 ]

유제 2 곡선 y=xÜ`-4xÛ`+4x 위의 점 (0, 0)에서의 접선을 l이라 할 때, 직선 l과 곡선 y=xÜ`-4xÛ`+4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① :°3ª: ② :°3°: ③ :°3¥: ④ :¤3Á: ⑤ :¤3¢:

[9007-0314 ]

유제 3 두 곡선 y=4(x-1)Û`, y=(x-3)Û`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A, 두 곡선 y=4(x-1)Û`,

y=(x-3)Û``{x¾;3%;} 및 직선 x=a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B라 할 때, A=B이다. 상수 a의 값

은? {단, a>;3%;}

①2 ② ;3&; ③ ;3*; ④3 ⑤ :Á3¼:

08 정적분의 활용 183
08
수학영역

정적분의 활용

3. 속도와 거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x(t)라 하면
⑴ 시각 t에서의 점 P의 위치 x(t)는

   x(t)=x(a)+:At v(t)dt

⑵ 시각 t=a에서 t=b`(aÉb)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Ab v(t)dt

⑶ 시각 t=a에서 t=b`(aÉ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s는

   s=:Ab |v(t)|dt
d
설명 ⑴ x(t)=v(t)에서 x(t)는 v(t)의 부정적분이므로
dt

:At v(t)dt=[x(t)]tA=x(t)-x(a)

따라서 x(t)=x(a)+:At v(t) dt

⑵ 시각 t=a, t=b에서의 점 P의 위치가 각각 x(a), x(b)이므로


시각 t=a에서 t=b`(aÉb)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x(b)-x(a)=[x(a)+:Ab v(t) dt ]-x(a)

   =:Ab v(t) dt

⑶ 시각 t=a에서 t=b`(aÉ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s는


① 닫힌 구간 [a, b]에서 v(t)¾0일 때,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s=x(b)-x(a)이다. 즉, 1
Y B Y C Y
T
   s=x(b)-x(a)=:Ab v(t) dt=:Ab |v(t)| dt

② 닫힌 구간 [a, b]에서 v(t)É0일 때,


점 P는 음의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s=x(a)-x(b)이다. 즉, 1
Y C Y B Y
T
   s=x(a)-x(b)=-:Ab v(t) dt=:Ab {-v(t)}dt

   =:Ab |v(t)| dt

③ 닫힌 구간 [a, c]에서 v(t)¾0이고, 닫힌 구간 [c, b]에서 v(t)É0일 때,


   s=sÁ+sª={x(c)-x(a)}+{x(c)-x(b)} 1
Y B Y D Y

   =:Ac v(t) dt+:Cb {-v(t)}dt
1
=:Ac |v(t)|dt+:Cb |v(t)|dt=:Ab |v(t)| dt Y C Tm Y D Y

①, ②, ③에 의하여 s=:Ab |v(t)| dt

18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예제 3 속도와 거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t)가


   v(t)=at(t-a)
이다. 시각 t=0에서 t=2a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가 16일 때, 상수 a의 값은? (단, a>0)

①1 ②2 ③3 ④4 ⑤5

풀이 전략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시각 t=a에서 t=b`(aÉ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s는

   s=:Ab |v(t)|dt

풀이 시각 t=0에서 t=2a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s는

   s=:)2` a |v(t)| dt

이다. 0ÉtÉa에서 v(t)É0, aÉtÉ2a에서 v(t)¾0이므로

   s=:)a (-atÛ`+aÛ`t)dt+:A2` a (atÛ`-aÛ`t)dt

tÛ`]a)+[;3A; tÜ`- tÛ`]2Aa


aÛ` aÛ`
   =[-;3A; tÜ`+
2 2

   =;6!;aÝ`+{;3@;aÝ`+;6!;aÝ`}

   =aÝ`
따라서 aÝ`=16이고 a>0이므로 a=2
 ②

정답과 풀이 77쪽

[9007-0315 ]

유제 4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t)가


   v(t)=10-4t
이다. 시각 t=0에서의 점 P의 위치와 시각 t=a에서의 점 P의 위치가 모두 원점일 때, 양수 a의 값은?

①3 ②4 ③5 ④6 ⑤7

[9007-0316 ]

유제 5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f(t), g(t)라 할 때,


   f(t)=2t-6, g(t)=3tÛ`-2t
이다. 시각 t=0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가 모두 원점일 때,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 두 점 P,
Q의 위치는 각각 xÁ, xª이다. |xÁ-xª|의 값은?

① 15 ② 18 ③ 21 ④ 24 ⑤ 27

08 정적분의 활용 185
Level 1 기초 연습 정답과 풀이 77쪽

[9007-0317 ]

1 곡선 y=-xÛ`+a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36일 때, 양수 a의 값은?

①2 ②4 ③6 ④8 ⑤ 10

[9007-0318 ]

2 곡선 y=xÛ`-4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A, 곡선 y=xÛ`-4`(x¾2)와 x축 및 직선 x=a`(a>2)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B라 할 때, A=2B이다. 상수 a의 값은?

① '6 ② 2'2 ③ '1Œ0 ④ 2'3 ⑤ '1Œ4

[9007-0319 ]

3 두 곡선 y=xÜ`+1, y=xÛ`+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① ;3$; ② ;3%; ③2 ④ ;3&; ⑤ ;3*;

[9007-0320 ]

4 곡선 y=|xÛ`-x|와 직선 y=2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① :Á6¦: ② :Á6»: ③ ;2&; ④ :ª6£: ⑤ :ª6°:

[9007-0321 ]

5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t)가


   v(t)=tÛ`+2t+a
이다.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이 9일 때,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는? (단, a는 상수이다.)

① :£3Á: ② 11 ③ :£3°: ④ :£3¦: ⑤ 13

18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evel 2 기본 연습 정답과 풀이 78쪽

[9007-0322 ]

1 함수 f(x)가 0ÉxÉ2일 때,
-xÛ`+2x (0Éx<1)
   f(x)=[
(x-2)Û`  (1ÉxÉ2)
이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2)=f(x)를 만족시킨다. 곡선 y=f(x)`(0ÉxÉ8)과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① ;3*; ② :Á3¼: ③4 ④ :Á3¢: ⑤ :Á3¤:

[9007-0323 ]

2 그림과 같이 곡선 y=-xÛ`+4와 곡선 y=axÛ``(a>0)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Z



ZBY™

이를 SÁ, 두 곡선 y=-xÛ`+4`(x¾0), y=axÛ``(x¾0) 및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ª, 두 곡선 y=-xÛ`+4`(x¾0), y=axÛ``(x¾0) 및 직선 4„ 4f
x=2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이라 하자. SÁ+Sª-S£=6일 때, 상수 a의 4m
 0  Y
값은? ZY™ 
Y

① ;4%; ② :Á8Á: ③ ;2#;

④ :Á8£: ⑤ ;4&;

[9007-0324 ]

3 함수 f(x)=2xÜ`-3xÛ`+2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닫힌 구간 [0, 2]를 2n등분 Z ZG Y

한후두점{ , 0}, { , 0}을 연결한 선분을 밑변으로 하고 높이가


k-1 k
n n
f{ }인 직사각형의 넓이를 Sk`(k=1, 2, 3, y, 2n)이라 하자.
k
n
lim Á S2k-lim Á Sk의 값은? (단, n은 자연수이다.)
n n

n`Ú¦ k=1 n`Ú¦ k=1

①0 ② ;4!; ③ ;2!; U U
0   Y
MÅ
④ ;4#;
O  O
⑤1 M M M

[9007-0325 ]

4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vP(t), vQ(t)라 할 때, vP(t), vQ(t)는


0ÉtÉ10에서
2t (0Ét<2)
   vP(t)=[ , vQ(t)=-;5£0;tÛ`+at (0ÉtÉ10)
-;2!;t+5 (2ÉtÉ10)

을 만족시킨다. 시각 t=0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가 모두 원점이고, 시각 t=10에서 두 점 P, Q는 만난다.


상수 a에 대하여 100a의 값을 구하시오.

08 정적분의 활용 187
Level 3 실력 완성 정답과 풀이 79쪽

[9007-0326 ]

1 함수 g(x)=-3xÛ`+3x에 대하여 함수 f(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g(x) (0Éx<1)
   f(x)=[ n (단, n=1, 2, 3, y)
{-;2!;} g(x-n) (nÉx<n+1)

자연수 n에 대하여 닫힌 구간 [0, n]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n이라
할 때, lim Sn의 값은?
n`Ú¦

① ;3!; ② ;3@; ③1 ④ ;3$; ⑤ ;3%;

[9007-0327 ]

2 그림과 같이 함수 f(x)=(x+1)(x-1)Û ` 에 대하여 곡선 y=f(x)와 직선 Z


 "
Z Y

y=3(x-1)이 제1사분면 위의 점 A와 제3사분면 위의 점 B에서 만난다. 최고 ZG Y


$
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이차함수 g(x)에 대하여 곡선 y=g(x)는 두 점 A, B를
0 Y
지나고, 점 C(t, g(t))`{0ÉtÉ;2!;}에서 곡선 y=f(x)와 만난다.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두 부분의 넓이의 합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함수


g(x)를 gÁ(x), 최소가 되도록 하는 함수 g(x)를 gª(x)라 할 때, gÁ(1)+gª(1)
의 값은? #
ZH Y

①4 ② ;2(; ③5 ④ :Á2Á: ⑤6

[9007-0328 ]

3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t)가


   v(t)=tÛ`-4t+3
이고, 시각 t=0에서의 점 P의 위치는 원점이다. 임의의 양수 x에 대하여 시각 t=x에서의 점 P의 위치를
f(x)라 하고, 시각 t=0에서 t=x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g(x)라 할 때,
   h(x)=g(x)-f(x)
라 하자.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h(2)=;3$;

ㄴ. :!3 h(x)dx=:#4 h(x)dx

ㄷ. 함수 h(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8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대표 기출 문제
정적분을 이용하여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와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는
출제 문제가 출제된다. 또한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가 시각에 대한 함수 또는 그래프로 주어질 때, 점의 위치나 움직인
경향
거리를 구하는 문제도 출제된다.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는 연속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3)+4이다.

(나) :)6 f(x)dx=0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및 두 직선 x=6, x=9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4점]

①9 ② 12 ③ 15 ④ 18 ⑤ 21

2019학년도 대수능

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파악하여 함수의 그래프와 x축 사이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풀이 함수 y=f(x-3)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Ab f(x)dx=:AbÐÑ# 3 f(x-3)dx이다.

따라서 조건 (가)에 의하여

   :#6 f(x)dx=:#6 { f(x-3)+4}dx=:#6 f(x-3)dx+:#6 4`dx

=:)3 f(x)dx+[4x]6#=:)3 f(x)dx+12

이므로 조건 (나)에서

   :)6 f(x)dx=:)3 f(x)dx+:#6 f(x)dx=:)3 f(x)dx+:)3 f(x)dx+12=0

   :)3 f(x)dx=-6

한편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는 연속함수이고, 조건 (나)에 의하여 f(0)É0, f(6)¾0이므


로 x¾6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및 두 직선 x=6, x=9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9 | f(x)|dx=:^9 f(x)dx=:^9 { f(x-3)+4}dx=:^9 f(x-3)dx+[4x]9^

=:#6 f(x)dx+12=:)3 f(x)dx+12+12

=-6+12+12=18
 ④

08 정적분의 활용 189
상용로그표

수 0 1 2 3 4 5 6 7 8 9

1.0 .0000 .0043 .0086 .0128 .0170 .0212 .0253 .0294 .0334 .0374
1.1 .0414 .0453 .0492 .0531 .0569 .0607 .0645 .0682 .0719 .0755
1.2 .0792 .0828 .0864 .0899 .0934 .0969 .1004 .1038 .1072 .1106
1.3 .1139 .1173 .1206 .1239 .1271 .1303 .1335 .1367 .1399 .1430
1.4 .1461 .1492 .1523 .1553 .1584 .1614 .1644 .1673 .1703 .1732

1.5 .1761 .1790 .1818 .1847 .1875 .1903 .1931 .1959 .1987 .2014
1.6 .2041 .2068 .2095 .2122 .2148 .2175 .2201 .2227 .2253 .2279
1.7 .2304 .2330 .2355 .2380 .2405 .2430 .2455 .2480 .2504 .2529
1.8 .2553 .2577 .2601 .2625 .2648 .2672 .2695 .2718 .2742 .2765
1.9 .2788 .2810 .2833 .2856 .2878 .2900 .2923 .2945 .2967 .2989

2.0 .3010 .3032 .3054 .3075 .3096 .3118 .3139 .3160 .3181 .3201
2.1 .3222 .3243 .3263 .3284 .3304 .3324 .3345 .3365 .3385 .3404
2.2 .3424 .3444 .3464 .3483 .3502 .3522 .3541 .3560 .3579 .3598
2.3 .3617 .3636 .3655 .3674 .3692 .3711 .3729 .3747 .3766 .3784
2.4 .3802 .3820 .3838 .3856 .3874 .3892 .3909 .3927 .3945 .3962

2.5 .3979 .3997 .4014 .4031 .4048 .4065 .4082 .4099 .4116 .4133
2.6 .4150 .4166 .4183 .4200 .4216 .4232 .4249 .4265 .4281 .4298
2.7 .4314 .4330 .4346 .4362 .4378 .4393 .4409 .4425 .4440 .4456
2.8 .4472 .4487 .4502 .4518 .4533 .4548 .4564 .4579 .4594 .4609
2.9 .4624 .4639 .4654 .4669 .4683 .4698 .4713 .4728 .4742 .4757

3.0 .4771 .4786 .4800 .4814 .4829 .4843 .4857 .4871 .4886 .4900
3.1 .4914 .4928 .4942 .4955 .4969 .4983 .4997 .5011 .5024 .5038
3.2 .5051 .5065 .5079 .5092 .5105 .5119 .5132 .5145 .5159 .5172
3.3 .5185 .5198 .5211 .5224 .5237 .5250 .5263 .5276 .5289 .5302
3.4 .5315 .5328 .5340 .5353 .5366 .5378 .5391 .5403 .5416 .5428

3.5 .5441 .5453 .5465 .5478 .5490 .5502 .5514 .5527 .5539 .5551
3.6 .5563 .5575 .5587 .5599 .5611 .5623 .5635 .5647 .5658 .5670
3.7 .5682 .5694 .5705 .5717 .5729 .5740 .5752 .5763 .5775 .5786
3.8 .5798 .5809 .5821 .5832 .5843 .5855 .5866 .5877 .5888 .5899
3.9 .5911 .5922 .5933 .5944 .5955 .5966 .5977 .5988 .5999 .6010

4.0 .6021 .6031 .6042 .6053 .6064 .6075 .6085 .6096 .6107 .6117
4.1 .6128 .6138 .6149 .6160 .6170 .6180 .6191 .6201 .6212 .6222
4.2 .6232 .6243 .6253 .6263 .6274 .6284 .6294 .6304 .6314 .6325
4.3 .6335 .6345 .6355 .6365 .6375 .6385 .6395 .6405 .6415 .6425
4.4 .6435 .6444 .6454 .6464 .6474 .6484 .6493 .6503 .6513 .6522

4.5 .6532 .6542 .6551 .6561 .6571 .6580 .6590 .6599 .6609 .6618
4.6 .6628 .6637 .6646 .6656 .6665 .6675 .6684 .6693 .6702 .6712
4.7 .6721 .6730 .6739 .6749 .6758 .6767 .6776 .6785 .6794 .6803
4.8 .6812 .6821 .6830 .6839 .6848 .6857 .6866 .6875 .6884 .6893
4.9 .6902 .6911 .6920 .6928 .6937 .6946 .6955 .6964 .6972 .6981

5.0 .6990 .6998 .7007 .7016 .7024 .7033 .7042 .7050 .7059 .7067
5.1 .7076 .7084 .7093 .7101 .7110 .7118 .7126 .7135 .7143 .7152
5.2 .7160 .7168 .7177 .7185 .7193 .7202 .7210 .7218 .7226 .7235
5.3 .7243 .7251 .7259 .7267 .7275 .7284 .7292 .7300 .7308 .7316
5.4 .7324 .7332 .7340 .7348 .7356 .7364 .7372 .7380 .7388 .7396
수 0 1 2 3 4 5 6 7 8 9

5.5 .7404 .7412 .7419 .7427 .7435 .7443 .7451 .7459 .7466 .7474
5.6 .7482 .7490 .7497 .7505 .7513 .7520 .7528 .7536 .7543 .7551
5.7 .7559 .7566 .7574 .7582 .7589 .7597 .7604 .7612 .7619 .7627
5.8 .7634 .7642 .7649 .7657 .7664 .7672 .7679 .7686 .7694 .7701
5.9 .7709 .7716 .7723 .7731 .7738 .7745 .7752 .7760 .7767 .7774

6.0 .7782 .7789 .7796 .7803 .7810 .7818 .7825 .7832 .7839 .7846
6.1 .7853 .7860 .7868 .7875 .7882 .7889 .7896 .7903 .7910 .7917
6.2 .7924 .7931 .7938 .7945 .7952 .7959 .7966 .7973 .7980 .7987
6.3 .7993 .8000 .8007 .8014 .8021 .8028 .8035 .8041 .8048 .8055
6.4 .8062 .8069 .8075 .8082 .8089 .8096 .8102 .8109 .8116 .8122

6.5 .8129 .8136 .8142 .8149 .8156 .8162 .8169 .8176 .8182 .8189
6.6 .8195 .8202 .8209 .8215 .8222 .8228 .8235 .8241 .8248 .8254
6.7 .8261 .8267 .8274 .8280 .8287 .8293 .8299 .8306 .8312 .8319
6.8 .8325 .8331 .8338 .8344 .8351 .8357 .8363 .8370 .8376 .8382
6.9 .8388 .8395 .8401 .8407 .8414 .8420 .8426 .8432 .8439 .8445

7.0 .8451 .8457 .8463 .8470 .8476 .8482 .8488 .8494 .8500 .8506
7.1 .8513 .8519 .8525 .8531 .8537 .8543 .8549 .8555 .8561 .8567
7.2 .8573 .8579 .8585 .8591 .8597 .8603 .8609 .8615 .8621 .8627
7.3 .8633 .8639 .8645 .8651 .8657 .8663 .8669 .8675 .8681 .8686
7.4 .8692 .8698 .8704 .8710 .8716 .8722 .8727 .8733 .8739 .8745

7.5 .8751 .8756 .8762 .8768 .8774 .8779 .8785 .8791 .8797 .8802
7.6 .8808 .8814 .8820 .8825 .8831 .8837 .8842 .8848 .8854 .8859
7.7 .8865 .8871 .8876 .8882 .8887 .8893 .8899 .8904 .8910 .8915
7.8 .8921 .8927 .8932 .8938 .8943 .8949 .8954 .8960 .8965 .8971
7.9 .8976 .8982 .8987 .8993 .8998 .9004 .9009 .9015 .9020 .9025

8.0 .9031 .9036 .9042 .9047 .9053 .9058 .9063 .9069 .9074 .9079
8.1 .9085 .9090 .9096 .9101 .9106 .9112 .9117 .9122 .9128 .9133
8.2 .9138 .9143 .9149 .9154 .9159 .9165 .9170 .9175 .9180 .9186
8.3 .9191 .9196 .9201 .9206 .9212 .9217 .9222 .9227 .9232 .9238
8.4 .9243 .9248 .9253 .9258 .9263 .9269 .9274 .9279 .9284 .9289

8.5 .9294 .9299 .9304 .9309 .9315 .9320 .9325 .9330 .9335 .9340
8.6 .9345 .9350 .9355 .9360 .9365 .9370 .9375 .9380 .9385 .9390
8.7 .9395 .9400 .9405 .9410 .9415 .9420 .9425 .9430 .9435 .9440
8.8 .9445 .9450 .9455 .9460 .9465 .9469 .9474 .9479 .9484 .9489
8.9 .9494 .9499 .9504 .9509 .9513 .9518 .9523 .9528 .9533 .9538

9.0 .9542 .9547 .9552 .9557 .9562 .9566 .9571 .9576 .9581 .9586
9.1 .9590 .9595 .9600 .9605 .9609 .9614 .9619 .9624 .9628 .9633
9.2 .9638 .9643 .9647 .9652 .9657 .9661 .9666 .9671 .9675 .9680
9.3 .9685 .9689 .9694 .9699 .9703 .9708 .9713 .9717 .9722 .9727
9.4 .9731 .9736 .9741 .9745 .9750 .9754 .9759 .9763 .9768 .9773

9.5 .9777 .9782 .9786 .9791 .9795 .9800 .9805 .9809 .9814 .9818
9.6 .9823 .9827 .9832 .9836 .9841 .9845 .9850 .9854 .9859 .9863
9.7 .9868 .9872 .9877 .9881 .9886 .9890 .9894 .9899 .9903 .9908
9.8 .9912 .9917 .9921 .9926 .9930 .9934 .9939 .9943 .9948 .9952
9.9 .9956 .9961 .9965 .9969 .9974 .9978 .9983 .9987 .9991 .999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