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6

수학

〈하〉
Staff

S T A F F

지 은 이

발 행 인
편 집 인
기획 실장
기 획・편 집
마케팅 실장
마 케 팅
유 통 사 업
디 자 인
제작물류 실장
제 작

新 수학의 바이블 수학<하> 201702 제 5판 1쇄


펴낸곳 113-8 Tel. 1599-3225
등록 번호 2007-000035 ISBN 979-11-6123-023-8 [53410]

교과서보다 더 자세한 新수학의 바이블!!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2017. 02

바이블만의 노하우는 이것이다!!

2017. 02
1 3

1. 단계별 유형 공부

2. 수준별 문제 풀이

3. 자세한 풀이 이해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수학의 바이블의... 섬세한 개념 구성

새로운 개념에 대한 공식 및 원리의 완벽한 이해를 도와줍니다!

1 2 3
Bible Focus 설명 Bible Focus와 Plus

Example Proof

4 5 6
약점 휘어잡기 개념 확장하기 개념 콕콕
수학의 바이블의... 단계별 문제 구성

유형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2
예제 Bible

3 4 5
숫자 바꾸기 표현 바꾸기 개념 넓히기
수학의 바이블의... 수준별 문제 구성

기본에서 고난도까지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1
2 기본 다지기

2
실력 다지기

수학의 바이블의... 자세한 풀이 구성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문제에 대한 접근 및 해결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접근 방법

1
2

2 상세 풀이

3 보충 설명
Contents

Ⅰ 집합과 명제
Ⅱ 함수와 그래프

04. 함수
01. 집합 01 119
01 013 02 134
02 028 03 146
050 04 160
052 170
172
02. 명제
01 057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02 070 01 177
03 080 02 198
088 220
090 222

03. 절대부등식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01 095 01 227
02 104 02 244
112 266
114 268
Ⅲ 경우의 수

07. 경우의 수
01 272
296
298

08. 순열
01 303
326
328

09. 조합 ● 정답 362
01 333 ● 찾아보기 375
358 ● <부록> 중학교 도형 총정리
360
01
집합
01 집합의 뜻과 포함 관계 013

02 집합의 연산 028

기본 다지기 050
실력 다지기 052
01 집합의 뜻과 포함 관계 01 020

02 022

03 024

04 026

02 집합의 연산 05 038

06 040

07 042

08 044

09 046

10 048
01 | 집합

01 집합의 뜻과 포함 관계

1 집합과 원소

2 집합의 포함 관계
x<A x<B A,B A B

A B A,B A+B A B

3 부분집합의 개수
n A={a¡ a™ a£ y a«} A 2«
2« -1

02 집합의 연산

1 집합의 연산
A'B={x|x<A x<B} A;B={x|x<A x<B}
AÇ ={x|x<U x≤A} A-B={x|x<A x≤B}

2 집합의 연산법칙
A'B=B'A A;B=B;A
(A'B)'C=A'(B'C) (A;B);C=A;(B;C)
A;(B'C)=(A;B)'(A;C) A'(B;C)=(A'B);(A'C)
(A'B)Ç =AÇ ;BÇ (A;B)Ç =AÇ 'BÇ

3 집합의 원소의 개수
U A B C
n(A'B)=n(A)+n(B)-n(A;B) n(AÇ )=n(U)-n(A)
n(A-B)=n(A)-n(A;B)=n(A'B)-n(B)
n(A'B'C)
=n(A)+n(B)+n(C)-n(A;B)-n(B;C)-n(C;A)+n(A;B;C)

012 Ⅰ.
01
1 집합과 원소
01
집합

원소
A B C y a b c
y
a A a A
a<A

b A b A
b≤A

A 1 6 A={1 2 3 4 5 6}
{ }

y
B 1 10
B={1 2 3 y 10}
B={x|1…x…10 x }

f(x) {x| f(x)}

Example 10 A A
A={1 2 5 10} A={x|x 10 }

01 013
A
A={—2 —4 —6 —8 y}
0<A 0

A={x|x=2k k }

A
A={y -4 -2 0 2 4 y}

1 2

A={1 2 4 8} 4 8

벤 다이어그램

A n(A)
공집합 U

Example A={x|x 16 } A={1 2 4 8 16} n(A)=5

집합과 원소

1
2
3
a<A a A
b≤A b A
4 u u

A={a {b c}} a {b c} a<A {b c}<A n(A)=2

014 Ⅰ.
2 집합의 포함 관계
B
A B A B A
A
B 부분집합
,B
A,
01
x<A x<B A,B A,B
A B

A B A B B A

A B
¯B

Example A={2 4} B={2 4 5} A 2 4 2<B 4<B


A,B
B 5 5≤A B¯A
A={x|x=2k k } B={x|x=4k k } A 2
2≤B A¯B
B x=4k k x=2_2k 2k
x<A B,A

u A
u A
u,A
A A A,A

A B B C C
B
A A

C
A,B B,C A,C
A,B, B,C A,C

01 015
Example A=u B={x|x<3 } C={x|x 8 }
B={1 2} C={1 2 4 8}
A,B,C

A B A B B
A A,B B,A A B
A=B

A B A+B

A B A B A,B
B A=B
A B A

A,B A+B
A B 진부분집합 A,B A+B
A B
A,B A
B A B

Example A={1 4} B={1 2 4} C={x|x 4 } C


C={1 2 4}
B,C C,B B=C
A,B A,C
A B C

집합의 포함 관계

1 x<A x<B A,B A B

2 A B C
u,A A,A
A,B B,C A,C
3 A B A,B B,A A=B
4 A B A,B A+B A B

016 Ⅰ.
3 부분집합의 개수

A={0 1} u A
A
01
u {0} {1} {0 1}

A A A u {0}
{1}

Example {a b c} 3 0 1 2 3

⁄ 0 ˙k u
¤ 1 ˙k {a} {b} {c}
‹ 2 ˙k {a b} {a c} {b c}
› 3 ˙k {a b c}
A 8 7

1 2 3 y n

1 {1} u {1} 2=2⁄


2 {1 2} u {1} {2} {1 2} 4=2¤
3 {1 2 3} u {1} {2} {3} {1 2} {1 3} {2 3} {1 2 3} 8=2‹

n {1 2 3 y n} u {1} {2} {3} y {1 2 3 y n} 2«

A«={x|x n }
A« n A« 2«
X,A« X A« 2«

A« A« 2« -1

01 017
Example A={x|x 8 } A={1 2 4 8}
A 2› =16
A 2› -1=15

A={a b c}
u {a} {b} {c} {a b} {a c} {b c} {a b c}
a u {b} {c} {b c} A a
{b c} A a
2‹ —⁄ =2¤ =4
a {a} {a b} {a c} {a b c} A
a {b c} u {b} {c} {b c} a
A a 2‹ —⁄ =2¤ =4
a a

n k
2« —˚

Example {a b c d e} b c
b c {a d e}
2fi —¤ =2‹ =8

부분집합의 개수

A n
1 A 2«
2 A 2« -1
3 A k
2« —˚ k…n

n k m
2« —˚ —µ k+m…n

018 Ⅰ.
1 A={1 2 3 4} < ≤

1 A 4 A {4} A

2
01
{1 3 5 15} {2 4 6 8 y 20}
{x|x¤ -4x-5=0} {x||x-2|…3 x }

3 A={1 3 5 7} , ¯

u A {3 5} A {0} A

4 A={1 a} B={2 a-1 a+1} A,B a

5 A={a b c d e}

A a
A b
X X,A c<X d≤X X

풀이 1 1<A 4<A {4}≤A

2 {x|x는 15의 양의 약수} {x|x는 20 이하의 양의 짝수}


x¤ -4x-5=0 (x+1)(x-5)=0 x=-1 x=5
{-1, 5}
|x-2|…3 -3…x-2…3 -1…x…5
x x=1 2 3 4 5 {1, 2, 3, 4, 5}

3 u,A {3 5},A {0}¯A

4 A,B A B 1<A 1<B


a-1=1 a+1=1
⁄ a-1=1 a=2 A={1 2} B={1 2 3} A,B
¤ a+1=1 a=0 A={0 1} B={-1 1 2} A¯B
⁄ ¤ A,B a 2

5 a a {b c d e} a

2fi —⁄ =2› =16


b b {a c d e}
2fi —⁄ =2› =16
X A c d
{a b e} c X
2fi —⁄ —⁄ =2‹ =8

01 019
집합과 원소 사이의 관계

집합 A={1, 2, {3}}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01 보기
3≤A {3}<A {3},A
u¯A {1 2 {3}},A

접근 방법

< ≤

, ¯

⑴ 공집합 U는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다.


⑵ 모든 집합은 자기 자신의 부분집합이다.

상세 풀이

A={1 2 {3}}
3 A 3≤A
{3} A {3}<A
{3} A {{3}},A 3 A {3}¯A
u u,A
{1 2 {3}},A

정답

보충 설명
어떤 조건에 의하여 그 대상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들의 모임이 집합이고, 집합을 이루고 있는 대상 하나
하나가 원소입니다.
이때, 집합이 어떤 집합을 이루는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집합이 원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둡시다.
① a가 집합 A의 원소일 때, a는 집합 A에 속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 a<A
② 두 집합 A, B에서 모든 x<A에 대하여 x<B가 성립할 때,‘집합 A는 집합 B에 포함된다.’또는‘집합 B
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 A,B
는 집합 A를 포함한다.’

020 Ⅰ.
p.2

01-1 u, 1, {1}}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집합 A={u
보기
1<A {1}<A u<A
u,A {u}¯A 01

01-2 u, 1, 2, {1, 2}}에 대하여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집합 A={u

u<A u,A 1<A


{1, 2}<A {1, 2}¯A

01-3 집합 A 에 대하여 2Å ={X|X,A} 로 정의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


라라.
보기
u,2Å A<2Å {u},2Å {A},2Å

01-1 01-2 01-3

01 021
집합과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두 집합 A={1, a¤ +a}, B={2, a+2, 2a-1}에 대하여 A,B가 성립할 때, 상

02 수 a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B A B 1
B
a+2=1 2a-1=1

모든 x<A에 대하여 x<B가 성립하면 A,B이다.

상세 풀이

A,B A B
1<A 1<B
a+2=1 2a-1=1
⁄ a+2=1 a=-1
A={0 1} B={-3 1 2} A¯B
¤ 2a-1=1 a=1
A={1 2} B={1 2 3} A,B
A,B a 1

정답 1

보충 설명
집합을 나타낼 때, 1, 2, 3을 원소로 하는 집합을 {1, 2, 3}, {1, 3, 2}, {2, 1, 3}, {2, 3, 1}, {3, 1, 2}, {3, 2, 1}과 같이
어느 것으로 나타내어도 좋습니다. 즉, 집합은 원소를 나열하는 순서에는 상관없습니다.
그리고 집합의 원소를 중복하여 나타내지 않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1, 1, 1, 2, 2, 3을 원소로 가지는 집합은 원소를 한 번씩만 써서 {1, 2, 3}으로 나타냅니다.

022 Ⅰ.
p.2

02-1 두 집합 A={3, a¤ +1}, B={5, a+1, a¤ +2}에 대하여 A,B가 성립할 때, 상수 a의


값을 모두 구하여라.

01

02-2 두 집합 A={x|k…x<6}, B={x|-4<x…-3k}에 대하여 A,B가 성립할 때, 실


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2-3 두 집합 A={x|-3…x…0}, B={x|x¤ +2ax+a-4<0}에 대하여 A,B가 성립


할 때,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2-1 1 2 02-2 -4<k…-2 02-3 1<a<4

01 023
두 집합이 서로 같을 조건

두 집합 A={1, 3, a¤ +1}, B={2, a, b-1}에 대하여 A=B가 성립할 때, 상수

03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 +1=2
a=1, a=-1

두 집합 A, B의 원소가 모두 같다. 즉, A,B이고 B,A이면 A=B이다.

상세 풀이

A=B A,B B,A


B,A 2<A
a¤ +1=2 a¤ =1
a=—1
a=-1 -1<B -1≤A A+B
a=1
A={1 3 2} B={2 1 b-1} A,B 3<B
b-1=3 b=4
a+b=1+4=5

정답 5

보충 설명
두 집합 A, B의 원소가 유한개일 때에는 두 집합의 각각의 원소를 비교하여 서로 같음을 확인하면 됩니다.
하지만 두 집합 A, B의 원소가 무한히 많을 때에는 두 집합의 각각의 원소를 비교할 수 없으므로 집합 A의 모
든 원소가 집합 B에 속하고,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집합 A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여 두 집합이 서로 같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즉, A,B이고 B,A이면 A=B입니다.

024 Ⅰ.
p.3

03-1 두 집합 A={3, -2a, 1-3a}, B={4, a+4, -a+1}에 대하여 A=B가 성립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01

03-2 두 집합 A={1, a¤`-3a+4}, B={2, a¤ +a-1}에 대하여 A=B가 성립할 때, 상수 a


의 값을 구하여라.

03-3 두 집합 A={1, a¤`-a, b}, B={2, b-3, c+2}에 대하여 A,B이고 B,A가 성립
할 때, 양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여라.

03-1 -1 03-2 1 03-3 8

01 025
부분집합의 개수

집합 A={1, 2, 3, 4}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4 A
A 1
A 2 3

접근 방법

부분집합의 개수는 2«
원소의 개수가 n 인 집합의 `
진부분집합의 개수는 2« -1

상세 풀이

A 4 A 2› A

2› -1=15
1 A 1 {2 3 4}

2› —⁄ =2‹ =8
2 3 A {1 4} 2 3

2› —¤ =2¤ =4
2 3 A
{2 3} {1 2 3} {2 3 4} {1 2 3 4}

정답 ⑴ 15 ⑵ 8 ⑶ 4

보충 설명
⑵`에서 진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할 때 무조건 하나를 빼야 한다는 식으로 적용하면 안 됩니다. 즉, 원소 1을 포함
하지 않는 집합 A의 진부분집합은 집합 A가 될 수 없으므로 원소 1을 제외한 집합 {2, 3, 4}의 부분집합과 같습
니다.

026 Ⅰ.
p.3

04-1 집합 A={1, 2, 3, 4, 5}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A 1 2
01
A 3

04-2 집합 A={x|x는 10보다 작은 소수}의 부분집합 중 원소 2 또는 3을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하여라.

04-3 집합 A={1, 2, 3, 4, 5, 6}의 부분집합 X에 대하여


{1, 2},X, {3, 4}¯X
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를 구하여라.

04-1 31 8 16 04-2 12 04-3 12

01 027
02
1 집합의 연산

1. 합집합
A B A B A B

A B 합집합 'B
A'

A'B={x|x<A x<B}

Example A={2 3 5} B={3 6 7} A'B A A B


2 6
B 3
A'B={2 3 5 6 7} 5 7

A'B

2. 교집합
A B A B A B

A B 교집합
;B
A;
A;B={x|x<A x<B}

A B A B

A;B=u A B 서로소
A={2 6} B={5 7} A;B=u
A B

Example A={1 2 4 6} B={1 4 7} A;B A A B


2 1
B 7
4
6
A;B={1 4}
A;B

028 Ⅰ.
3. 여집합
전체집합
U
U A U A U

U A 여집합
A
01

AÇ ={x|x<U x≤A}

Example U={1 2 3 4 5 6} A={1 3 6} AÇ U


A
2
U A 1 3 4
6
5
AÇ ={2 4 5} AÇ

4. 차집합
A B A B A B

A B 차집합
A-B
A-B={x|x<A x≤B} =A-(A;B)

Example A={1 3 5 7 9} B={3 4 5} A-B A A B

B 1 3
4
7 9 5
A-B={1 7 9} B-A B A
B-A={4} A-B B-A

집합의 연산

U A B
1 A'B={x|x<A x<B}
2 A;B={x|x<A x<B}
3 AÇ ={x|x<U x≤A}
4 A-B={x|x<A x≤B}

01 029
2 집합의 연산에 대한 성질

1. 합집합과 교집합에 대한 성질
u A
A'u=A A;u=u A'A=A A;A=A

A B
A,B A'B=B A;B=A

B B
A A

A,B A'B=B A,B A;B=A

A B
(A;B),A (A;B),B A,(A'B) B,(A'B)

A B A B A B

(A;B),A (A;B),B A,(A'B), B,(A'B)

(A;B),A,(A'B) (A;B),B,(A'B)

2. 여집합과 차집합에 대한 성질
U A
(AÇ )Ç =A UÇ =u uÇ =U
(AÇ )Ç =A
U U U
A A A
C C C
A (A )

030 Ⅰ.
U A
A'AÇ =U A;AÇ =u

A-A=u U-A=AÇ
01
U A B
A-B=A;BÇ

U U U U
A B A B A B A B

; = =

A BÇ A;BÇ A-B

U
A B
A-B=A-(A;B)=(A'B)-B

U A B A,B U
B
A

A-B=u A;BÇ =u BÇ ,AÇ


A,B A-B=u

U A B A;B=u U
A B

A-B=A B-A=B A,BÇ B,AÇ


A;B=u A-B=A
B-A=B

Example U A B B,A U
A
B
A;B=B A'B=A B-A=u
B;AÇ =u AÇ ,BÇ

01 031
집합의 연산에 대한 성질

U A B
1
A'u=A A;u=u
A'A=A A;A=A
A,B A'B=B A;B=A
(A;B),A (A;B),B A,(A'B) B,(A'B)
2
(AÇ )Ç =A UÇ =u uÇ =U A'AÇ =U A;AÇ =u
A-B=A;BÇ =A-(A;B)=(A'B)-B
A,B A-B=A;BÇ =u BÇ ,AÇ

3 집합의 연산법칙

a b c
a+b=b+a ab=ba
(a+b)+c=a+(b+c) (ab)c=a(bc)
a(b+c)=ab+ac (a+b)c=ac+bc

A B
A'B=B'A A;B=B;A
교환법칙

A B C
(A'B)'C=A'(B'C)
A'B'C A;B;C
(A;B);C=A;(B;C)
결합법칙

A B C
A;(B'C)=(A;B)'(A;C)
A'(B;C)=(A'B);(A'C)
분배법칙

032 Ⅰ.
A;(B'C)=(A;B)'(A;C)

A A A

¡
; F
F 01
B C B C B C F
A B'C A;(B'C) F
F
A A A F
F
F
'

B C B C B C
A;B A;C (A;B)'(A;C)

A'(B;C)=(A'B);(A'C)

U A B
(A'B)Ç =AÇ ;BÇ
' ; ; '
(A;B)Ç =AÇ 'BÇ
드모르간의 법칙
(A'B)Ç =AÇ ;BÇ

U U
A B A B
¡
F
F
F
A'B (A'B)Ç
F
F
F
U U U
A B A B A B
F

;

AÇ BÇ AÇ ;BÇ

(A;B)Ç =AÇ 'BÇ

01 033
집합의 연산법칙

U A B C
1 A'B=B'A A;B=B;A
2 (A'B)'C=A'(B'C) (A;B);C=A;(B;C)
3 A;(B'C)=(A;B)'(A;C) A'(B;C)=(A'B);(A'C)
4 (A'B)Ç =AÇ ;BÇ (A;B)Ç =AÇ 'BÇ

대칭차집합

U A B U
A B
A B=(A-B)'(B-A)
A-B B-A

A B

A B=(A-B)'(B-A)=(A'B)-(A;B)
A B=(A'B);(A;B)Ç =(A'B);(AÇ 'BÇ )

A B=(A-B)'(B-A)=(B-A)'(A-B)=B A

(A B) C=A (B C)

U U U
A A A
¡
- F
=
B C B C B C F
(A B)'C (A B);C (A B) C F
F
U
A
U
A
U
A F
F
- = ™
B C B C B C
A'(B C) A;(B C) A (B C)

034 Ⅰ.
4 집합의 원소의 개수

A n(A) A B
A'B

A B 01
a b c a c b
n(A)=a+c n(B)=b+c
n(A;B)=c n(A'B)=a+b+c
A'B A B
A;B A;B
n(A)+n(B)-n(A;B)=(a+c)+(b+c)-c
=a+b+c
=n(A'B)
A'B n(A'B)
n(A'B)=n(A)+n(B)-n(A;B)

A B A;B=u n(A;B)=0
n(A'B)=n(A)+n(B)

Example A B n(A)=6 n(B)=4 n(A;B)=3


n(A'B)=n(A)+n(B)-n(A;B)
=6+4-3=7

U A
AÇ =U-A A, U

n(AÇ )=n(U)-n(A)

01 035
A B
A-B=A-(A;B) (A;B),A
A-B=(A'B)-B B,(A'B)

n(A-B)=n(A)-n(A;B)=n(A'B)-n(B)

Example U A B n(U)=8 n(A)=4 n(B)=5 n(A'B)=6

n(AÇ )=n(U)-n(A)=8-4=4
n(BÇ )=n(U)-n(B)=8-5=3
n(A-B)=n(A'B)-n(B)=6-5=1
n(B-A)=n(A'B)-n(A)=6-4=2

A B C A'B'C

a
a b c d e f g
B b f C
n(A'B'C)=a+b+c+d+e+ f+g g
c d e
n(A)=a+b+ f+g
n(B)=b+c+d+g
n(C)=d+e+ f+g
n(A;B)=b+g n(B;C)=d+g n(C;A)= f+g n(A;B;C)=g
A'B'C A B C
A;B B;C C;A
A;B B;C C;A A;B;C
A;B;C
n(A'B'C)=(a+b+f+g)+(b+c+d+g)+(d+e+f+g)
-(b+g)-(d+g)-( f+g)+g
=n(A)+n(B)+n(C)
-n(A;B)-n(B;C)-n(C;A)+n(A;B;C)

036 Ⅰ.
집합의 원소의 개수

U A B C
1 n(A'B)=n(A)+n(B)-n(A;B)
2 n(AÇ )=n(U)-n(A)
3 n(A-B)=n(A)-n(A;B)=n(A'B)-n(B) 01
4 n(A'B'C)=n(A)+n(B)+n(C)-n(A;B)-n(B;C)-n(C;A)
+n(A;B;C)

1 U={x|x 10 } A={1 2 3 4 5}
B={x|x 10 }

A'B A;B AÇ A-B

2 U A B U
B
A

A;B= A'B= A-B=

3 U={x|1<x<10 x } A B A'B={2 3 5 7 9}
A;B={3 5 7}

AÇ 'BÇ AÇ ;BÇ

4 A B n(A)=5 n(B)=4 n(A;B)=2 n(A'B)

풀이 1 U={1 2 3 4 5 6 7 8 9} A={1 2 3 4 5} B={2 3 5 7}


A'B={1, 2, 3, 4, 5, 7} A;B={2, 3, 5}
AÇ ={6, 7, 8, 9} A-B={1, 4}

2 A;B=A A'B=B A-B=u


u

3 U={2 3 4 5 6 7 8 9}
AÇ 'BÇ =(A;B)Ç ={2, 4, 6, 8, 9}
AÇ ;BÇ =(A'B)Ç ={4, 6, 8}

4 n(A'B)=n(A)+n(B)-n(A;B)
n(A'B)=5+4-2=7

01 037
집합의 연산

전체집합 U={x|x 는 10 이하의 자연수}의 세 부분집합

05 A={x|x는 홀수}, B={x|x 는 소수}, C={x|x 는 20의 약수}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여라.

A;B B'C AÇ ;C

접근 방법

U A B C

⑴ A;B={x|x<A 그리고 x<B}


⑵ A'B={x|x<A 또는 x<B}
⑶ AÇ ={x|x<U 그리고 x≤A}

상세 풀이

U={1 2 3 4 5 6 7 8 9 10}
A={x|x }={1 3 5 7 9}
B={x|x }={2 3 5 7}
C={x|x 20 }={1 2 4 5 10}
A;B={x|x<A x<B}={3 5 7}
B'C={x|x<B x<C}={1 2 3 4 5 7 10}
AÇ ={2 4 6 8 10} AÇ ;C={x|x<AÇ x<C}={2 4 10}

정답 ⑴ {3 5 7} ⑵ {1 2 3 4 5 7 10} ⑶ {2 4 10}

보충 설명
집합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그려 집합에 속하는 원소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⑴ A;B ⑵ B'C ⑶ AÇ ;C
U U U
A A A

B C B C B C

038 Ⅰ.
p.4

05-1 전체집합 U={x|x 는 12 이하의 자연수}의 세 부분집합


A={x|x 는 소수}, B={x|x 는 3의 배수}, C={x|x 는 12의 약수}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여라.

A;BÇ (A-B)'(C-B) (B'C)Ç 01

05-2 10보다 작은 자연수를 원소로 하는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Ç ;BÇ ={3, 8, 9}, A;B={5}, AÇ ;B={1, 7}
을 만족시키는 집합 A를 구하여라.

05-3 전체집합 U={x|x 는 10 미만의 자연수}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B={3, 8}, B-A={1, 4, 9}, AÇ ;BÇ ={2, 7}
을 만족시키는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을 구하여라.

05-1 {2 5 7 11} {1 2 4 5 7 11} {5 7 8 10 11}


05-2 {2 4 5 6} 05-3 22

01 039
집합의 연산과 포함 관계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B일 때, <보기>에서 항상 성립하

06 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A;B=A A'B=B
B-A=u (A-B)Ç =U

접근 방법

A,B A B
A;B=A, A'B=B

( BÇ ,AÇ
A,B HjjK {
A;B=A
A'B=B
9 A-B=u u

상세 풀이

A,B U U
B B
A;B=A A'B=B A A

A B
A-B=u (A-B)Ç =uÇ =U A;B=A A'B=B

A B B-A+u
B-A=u

정답 ㄱ, ㄴ, ㄹ

보충 설명
`집합의 포함 관계와 집합의 연산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A,B HjjK BÇ ,AÇ
A;B=A HjjK AÇ 'BÇ =AÇ
A'B=B HjjK AÇ ;BÇ =BÇ
A-B=u (A;BÇ =u) HjjK BÇ -AÇ =u (AÇ 'B=U)

040 Ⅰ.
p.5

06-1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B,A일 때, <보기>에서 항상 성립하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AÇ ;B=u AÇ 'B=B 01
AÇ 'BÇ =BÇ AÇ ;BÇ =AÇ

06-2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B=A일 때, <보기>에서 항상 성립하는 것


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A;B=u B-A=B A,BÇ

06-3 전체집합 U의 공집합이 아닌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두 집합 A, B Ç 가 서로소일


때, <보기>에서 항상 성립하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A-B=u (A;B)Ç =BÇ (AÇ 'B);A=A

06-1 06-2 06-3

01 041
집합의 연산법칙

전체집합 U의 세 부분집합 A, B, C에 대하여

07 (A-B)'(A-C)=A-(B;C)
가 성립함을 다음을 이용하여 보여라.

접근 방법

집합 사이의 관계는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거나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보인다.

상세 풀이

U U U U U U
A A A A A A

' = - =
B C B C B C B C B C B C
A-B A-C (A-B)'(A-C) A B;C A-(B;C)

(A-B)'(A-C)=A-(B;C)

(A-B)'(A-C)=(A;BÇ )'(A;CÇ )
=A;(BÇ 'CÇ )
=A;(B;C)Ç
=A-(B;C)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전체집합 U의 세 부분집합 A, B, C에 대하여
⑴ 교환법칙:A'B=B'A, A;B=B;A
⑵ 결합법칙:A'(B'C)=(A'B)'C, A;(B;C)=(A;B);C
⑶ 분배법칙:A;(B'C)=(A;B)'(A;C), A'(B;C)=(A'B);(A'C)
⑷ 드모르간의 법칙:(A'B)Ç =AÇ ;BÇ , (A;B)Ç =AÇ 'BÇ
⑸ 차집합의 성질:A-B=A;BÇ =A-(A;B)=(A'B)-B
⑹ 여집합의 성질:UÇ =u, uÇ =U, A'AÇ =U, A;AÇ =u, (AÇ )Ç =A

042 Ⅰ.
p.5

07-1 전체집합 U의 세 부분집합 A, B, C에 대하여


(A-B)-C=A-(B'C)
가 성립함을 다음을 이용하여 보여라.

01

07-2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에서 색칠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을 <보기> U


A
에서 있는 대로 골라라. (단, U는 전체집합이다.)
보기
A-(B-C)
A-(C-B) B C
(A-B)'(A;C)

07-3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보기>에서 집합 A와 같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A'(A-B)
(A'B);(AÇ 'B)
A;(A'BÇ )

07-1 p. 364 07-2 07-3

01 043
집합의 연산과 부분집합의 개수

두 집합 A={1, 2, 3, 4, 5}, B={1, 3, 5}에 대하여

08 A;X=X, (A-B)'X=X
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A;X=X X A (A-B)'X=X X
A-B={2 4}

A,X,B를 만족시키는 집합 X는 집합 B의 부분집합 중에서


집합 A의 원소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집합이다.

상세 풀이

A;X=X X,A
(A-B)'X=X (A-B),X
(A-B),X,A yy
A-B={2 4}
{2 4},X,{1 2 3 4 5}
X {1 2 3 4 5} 2 4
X
2fi —¤ =2‹ =8

정답 8

보충 설명
원소의 개수가 n인 집합 A={a¡, a™, a£, y, a«}에 대하여
① 집합 A의 부분집합으로 k개의 특정한 원소를 반드시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n-k (단, `k…n)
② 집합 A의 부분집합으로 m개의 특정한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n-m (단, `m…n)
③ 집합 A의 부분집합으로 k개의 특정한 원소를 반드시 포함하고, m개의 특정한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
합의 개수는 2n-k-m (단, `k+m…n)

044 Ⅰ.
p.6

08-1 두 부분집합 A={1, 3, 5}, B={1, 2, 3, 4, 5, 6}에 대하여


(AÇ ;B)'X=X, B;X=X
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를 구하여라.

01

08-2 두 집합 A={1, 2, 3, 6, 9}, B={1, 2, 4, 8}에 대하여


(A-B)'X=X, (A'B);X=X
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를 구하여라.

08-3 전체집합 U={1, 2, 3, 4, 5}의 부분집합 X에 대하여


{1, 5}'X={2, 5}'X
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를 구하여라.

08-1 8 08-2 16 08-3 8

01 045
집합의 원소의 개수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09 n(U)=35, n(A)=17, n(B)=13, n(A'B)=25


일 때, 다음을 구하여라.

n(A;B) n((A-B)Ç )

접근 방법

U
A B

n(A'B)=n(A)+n(B)-n(A;B)
n(A'B)=n(A)+n(B-A)
n(A'B)=n(A-B)+n(B)
n(A'B)=n(A-B)+n(B-A)+n(A;B)

⑴ n(A'B)=n(A)+n(B)-n(A;B)
⑵ n(AÇ )=n(U)-n(A)

상세 풀이

n(A'B)=n(A)+n(B)-n(A;B)
n(A;B)=n(A)+n(B)-n(A'B)
=17+13-25=5
A-B=A-(A;B)
n(A-B)=n(A)-n(A;B)=17-5=12 n(A;B)=5

(A-B),U이고 (A-B)Ç =U-(A-B)


n((A-B)Ç )=n(U)-n(A-B)=35-12=23

정답 ⑴ 5 ⑵ 23

보충 설명
A,B일 때, 다음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n(B-A)=n(B)-n(A), n(A-B)=0
n(A;B)=n(A), n(A'B)=n(B)
입니다.

046 Ⅰ.
p.6

09-1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n(U)=35, n(A)=10, n(B)=15, n(A-B)=3
일 때, 다음을 구하여라.

n(A'B) n((AÇ ;B)Ç ) 01

09-2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n(U)=50, n(A-B)=15, n(B-A)=17, n(AÇ ;BÇ )=7
일 때, n(A;B)의 값을 구하여라.

09-3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n(U)=35, n(A)=15, n(B)=25
일 때, n(A;B)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여라.

09-1 18 27 09-2 11 09-3 20

01 047
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활용

어느 고등학교 1학년 1반 34명의 학생 중 축구공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18명, 농

10 구공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17명, 축구공과 농구공을 둘 다 가지고 있지 않은 학생


이 5명이다. 농구공만 가지고 있는 학생의 수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1 1 34 U A,
B (A'B)Ç
B-A

집합을 설정하고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원소의 개수를 구한다.

상세 풀이

U A B
(A'B)Ç
n(U)=34 n(A)=18 n(B)=17 n((A'B)Ç )=5
n(A'B)=n(U)-n((A'B)Ç )=34-5=29
U
n(A;B)=n(A)+n(B)-n(A'B) A B
=18+17-29=6
n(B-A)
n(B-A)=n(B)-n(A;B)=17-6=11

정답 11명

보충 설명
위의 문제에서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과 같이 각 영역에 해당하는 원소의 개수를 U
A B
각각 a, b, c, d라고 하면
n(U)=34에서 a+b+c+d=34 a b c
n(A)=18에서 a+b=18
n(B)=17에서 b+c=17 d
n((A'B)Ç )=5에서 d=5
이므로 연립방정식을 풀면 c=11임을 알 수 있습니다.

048 Ⅰ.
p.7

10-1 어느 고등학교 1학년 2반 34명의 학생 중 축구공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8명, 농구공을 가지


고 있는 학생이 5명, 축구공과 농구공을 모두 가지고 있는 학생이 3명이다. 축구공과 농구공
을 둘 다 가지고 있지 않은 학생의 수를 구하여라.

01

10-2 100개의 정수를 원소로 가지는 집합 S가 있다. 집합 S에 속하는 정수 중 2로 나누어떨어지


는 수가 44개, 3으로 나누어떨어지는 수가 33개, 6으로 나누어떨어지는 수가 11개 있다. 집
합 S의 원소 중에서 2로도 3으로도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수의 개수를 구하여라.

10-3 어느 학급의 3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공부를 할 때 집에서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과 학원 수강을 하는 학생을 조사하였더니 둘 다 하는 학생과 어느 것도 하지 않는 학
생이 각각 6명, 7명이었다. 이 학급에는 학원 수강을 하지 않고 동영상 강의만을 수강하는
학생이 최대 몇 명까지 있다고 할 수 있는지 구하여라.

10-1 24 10-2 34 10-3 17

01 049
01- 1 A={-1 0 1} B={x+y|x<A y<A}

0<B 2≤B 3≤B


A,B n(B)=5

01- 2 A={1 5 a¤ -a-b} B={2 b-3 a¤ +4a+7}


A;B={4 5}
a¤ +b¤ a b

01- 3 A={1 2 3} B={1 2}


A_B={(a b)|a<A b<B}
A_B

01- 4 A={x|4…x<2a} B={x|a<x<12} A,B


a

01- 5 U A B C
A'(AÇ ;C)=A B;CÇ =u
A B C

A,B,C A,C,B B,C,A


C,A,B C,B,A

050 Ⅰ.
p.364 | p.8

01- 6 U={1 2 3 4 5} A B
(A'B);(AÇ 'B)={1 2}
A'BÇ =U A
01
01- 7 U A B C U
A

(A-B)-C (A-B)-(B-C)
(A-B)'(B-C) (A-B);(C-B) B C
(B-C)'(C-A)

01- 8 U
A
U
보기
(A;C);BÇ
B C
(A;C)-(A;B;C)
(A-B);(C-B)

01- 9 U A, B (A-B)Ç ,B

보기
A;B=u A'BÇ =A A'B=U

01- 10 U={x|x 100 } k A˚


A™;(A£'A¢)

28 31 33
35 38

01 051
01- 11 U={1, 2, 3, 4, 5} A={1, 3, 5} n(A;B)=2
B

01- 12 U={1, 2, 3, 4, 5} A {2, 3};A+u A

01- 13 A B

A A
' A'B ; A;B
B B

{1, 2, 3, 5}
;
' ' {2, 3, 4, 5}
{2, 5} {2, 4}

{1 2 3 5} {1 3 4 5} {2 3 4 5}
{2 3 5} {3 5}

01- 14 A B C
n(A)=14 n(B)=16 n(C)=19 n(A;B)=10 n(A;B;C)=5
n(C-(A'B))

01- 15 n
A«={x|x n }

보기
A™=A¢ A£,A§ A§=A£;A¢

052 Ⅰ.
p.364 | p.11

01- 16 X, Y U
A
X Y=(X-Y)'(Y-X)

B C
01
A (B C) A (B;C)
(A B);(A C) A;(B C)
A (B'C)

01- 17 U A B C D A,D B,D

보기
(A'B),D (A'C),D
(A;C),D (AÇ ;BÇ ),DÇ

challenge

01- 18 A s(A) A B

보기
n(A)<n(B) s(A)<s(B) A,B s(A)…s(B)
s(A'B)=s(A)+s(B)

challenge

01- 19 100

29
74
32

15

01 053
02
명제
01 명제와 진리집합 057

02 명제의 역과 대우 070

03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080

기본 다지기 088
실력 다지기 090
01 명제와 진리집합 01 064

02 066

03 068

02 명제의 역과 대우 04 074

05 076

06 078

03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07 084

08 086
02 | 명제

01 명제와 진리집합

1 명제, 조건, 진리집합의 뜻

x
U

2 명제와 조건의 부정
p p

3 명제 p ⁄ q의 참, 거짓
p ⁄q p q P Q
P,Q p ⁄q P¯Q p ⁄q

02 명제의 역과 대우

1 명제의 역과 대우
p ⁄q q ⁄p
p ⁄q
~q ⁄ ~p

2 명제와 그 대우의 참, 거짓
p ⁄q ~q ⁄ ~p
p ⁄q ~q ⁄ ~p

3 귀류법

03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1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p ⁄q p jK q
p q q p

2 필요충분조건
p ⁄q p jK q q jK p p HjK q
p q

056 Ⅰ.
01
1 명제와 정의
02

3 5 '2 1+4=6
명제

Example 2
-1

x+3<5 x

정의

02 057
명제와 정의

1
2

u { }

2 조건과 진리집합

x 3 x-5=0 x
x
x 3 x=1 x=4
x-5=0 x=5 x+5

조건 p q r y

U={x|x } p:x 3
x {1 2}
U 진리집합
p {1 2}

Example U
x 6 {1 2 3 6}
x 9 {2 4 6 8}
x‹ -1=0 {1}

조건과 진리집합

1 x
2 U

058 Ⅰ.
3 명제와 조건의 부정

3 3
p p p 부정
~p ~p not p

p ~p p ~p 02
p ~p p ~(~p)=p

p p p ~p
x 3 x 3 x 3

Example 2 6 2 6
2 6
x>4 x…4
> < x<4

p ~p
U
U p P U P PC

~p p P
~p PÇ

(or)
(or)

¤

(and)

02 059
(and)


¤

(or)

p q
p q ~p ~q
p q ~p ~q

Example x=1 x=3 x+1 x+3


xæ2 yæ2 x<2 y<2

U p q P Q
p q p q P'Q P;Q
~p ~q ~p ~q PÇ ;QÇ PÇ 'QÇ

(P'Q)Ç =PÇ ;QÇ (P;Q)Ç =PÇ 'QÇ

p q p q p q
~p ~q ~p ~q

명제와 조건의 부정

1 p p ~p

2 p q
p q p q ~p ~q ~p ~q

060 Ⅰ.
4 명제 p ⁄ q의 참, 거짓

x=2 x¤ =4 x=2 x¤ =4
p : x=2 q : x¤ =4 p q
p q p q
p ⁄q
p q
p 가정 q 결론 02
증명

p ⁄q p q

정리

p ⁄q p q P Q
P,Q p ⁄q p ⁄q P,Q

P¯Q p ⁄q p ⁄q P¯Q

Example x¤ >0 x>0 p : x¤ >0 q : x>0 p q


P Q P={x|x>0 x<0} Q={x|x>0}
P¯Q
다른 풀이 | x=-1 x¤ =(-1)¤ =1 p x=-1<0
q

명제 p ⁄ q의 참, 거짓

p ⁄q p q P Q
1 P,Q p ⁄q
2 P¯Q p ⁄q x<P x≤Q x

02 061
5 ‘모든’
이나‘어떤’
이 들어 있는 명제

x p U p
p P U
x p P+U p
x U
p P
⁄ P=U x p
¤ P+U x p

Example x x¤ æ0 p : x¤ æ0 P
P={x|x¤ æ0} U={x|x } P=U

x x¤ >0 p : x¤ >0 P
P={x|x>0 x<0} U={x|x } P+U
x=0 x x¤ =0

x p U
p p P
x p P=u U
p
p P
⁄ P+u x p
¤ P=u x p

Example x x¤ =3 p : x¤ =3 P
P={-'3 '3 } P+u
x x¤ <0 p : x¤ <0 P
P={x|x¤ <0} P=u
x¤ <0 x

x p p x
x p x ~p
P=U P+U PÇ +u
062 Ⅰ.
x p p x
x p x ~p
P+u P=u PÇ =U

Example x x¤ >0 x x¤ …0

x x¤ =2 x x¤ +2
02
‘모든’
이나‘어떤’
이 들어 있는 명제

1 U p P
P=U x p
P+u x p
2
p x p x ~p
p x p x ~p

1
1 3 6 a=0 b=0 a>-1 b…1

2 U={x|x }

x¤ -3x-4=0 x 2

3
x=5 x¤ =25 x 2 x 4

풀이 1 1은 짝수가 아니다. 3은 6의 약수가 아니다. a+0이고 b+0 a…-1 또는 b>1

2 x¤ -3x-4=0 (x+1)(x-4)=0 x=-1 x=4


{-1, 4}
U 2=1_2=(-1)_(-2) {-2, -1, 1, 2}

3 5¤ =25 참
p:x 2 q:x 4 p q P Q
P={x|x=2k k } Q={x|x=4k k } P¯Q 거짓
x=2 x 2 4

02 063
명제와 조건의 부정

<보기>에서 명제 p와 그 부정 ~p를 옳게 짝지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01 보기
p:1 ~p : 1
p:4 2 ~p : 4 2
p: 2 ~p : 2

접근 방법

p p ~p


‘~이다.’
의 부정은‘~가 아니다.’

‘크다.’
의 부정은‘작거나 같다.’

상세 풀이

1 1
4 2 4 2 4 2
2 2
2

정답 ㄱ, ㄷ

보충 설명
자연수에서 소수는 1과 그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이고, 합성수는 1과 그 자신 이외의 수를 약수로 가지는 수
이므로 자연수는 1, 소수, 합성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따라서‘1은 소수이다.’
의 부정을‘1은 합성수이다.’
와같
이 나타내지 않도록 합니다.
한편, 자연수는 홀수와 짝수로 나눌 수 있으므로 자연수에서는‘홀수가 아니다.’
는‘짝수이다.’
와 같은 표현입니다.
하지만 실수에서는 홀수와 짝수 이외에 다른 수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실수에서‘홀수가 아니다.’
는‘짝수이다.’
와 같은 표현이 될 수 없음에 유의합니다.
또한 다음의 부정 표현에 유의합시다.

‘이다.’¤1⁄‘아니다.’ ‘크다.’¤1⁄‘작거나 같다.’ ¤1⁄


부정 부정

‘또는’¤1⁄‘이고’ ‘모든’¤1⁄‘어떤’
부정 부정

064 Ⅰ.
p.15

01-1 <보기>에서 명제 p와 그 부정 ~p를 옳게 짝지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p:1 2 ~p : 1 2
p:2 4 ~p : 2 4
p: 1 3
~p : 1 3 1 2 02

01-2 실수 x, y에 대하여 다음 조건의 부정을 말하여라.

x+0 y+0 x…0 y>1

01-3 명제‘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 æ1이다.’


의 부정을 말하여라.

01-1 01-2 x=0 y=0 x>0 y…1


01-3 x x¤ <1

02 065
명제의 참, 거짓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02 x>1
x 9
xæ1
x 12
x
x

접근 방법

명제 p ⁄ q에서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할 때


⑴ P,Q이면 명제 p ⁄ q는 참이다.
⑵ P¯Q이면 명제 p ⁄ q는 거짓이다.

상세 풀이

p : x>1 q : xæ1 p q P Q

P={x|x>1} Q={x|xæ1} Q
P
P Q
P,Q 1 x

p:x 9 q:x 12 P Q

1 2
p q P Q 9 12
3
P={1 3 9} Q={1 2 3 4 6 12} 4 6

P¯Q
x=9 x 9 12

정답 ⑴ 참 ⑵ 거짓

보충 설명
명제 p ⁄ q에서 조건 p는 참이 되게 하지만 조건 q는 거짓이 되게 하는 예를 반례라고 합니다. 명제의 반례가
존재하면 그 명제는 거짓이므로 주어진 명제가 거짓임을 증명할 때에는 반례를 찾아 거짓임을 증명할 수도 있
습니다.

066 Ⅰ.
p.15

02-1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x¤ <1 x<1 x
x 12 x 16 x

02

02-2 두 조건 p, q가 각각
p : |x-2|<k, q : -3<x…8
일 때, 명제 p ⁄ q가 참이 되도록 하는 양수 k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02-3 실수 전체의 집합의 부분집합 A에 대하여 명제

‘x<A 이면 ;2!;x<A 이다.’

가 참일 때,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2<A A
x<A y<A xy<A

02-1 02-2 5 02-3

02 067
진리집합의 포함 관계

전체집합 U에 대하여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자. 명제

03 p ⁄ q는 참이고 명제 q ⁄ p는 거짓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


라라.
보기
P;Q=P P-Q=u QÇ 'PÇ =QÇ

접근 방법

p ⁄q p q q ⁄p
q p
p q P Q P,Q Q¯P

명제 p ⁄ q가 참이면 P,Q, 즉 P-Q=u


u이고,
명제 p ⁄ q가 거짓이면 P¯Q, 즉 P-Q+u
u이다.

상세 풀이

p q P Q
p ⁄q P,Q
q ⁄p Q¯P
P Q U
Q

P
P;Q=P
P-Q=u
QÇ 'PÇ =(Q;P)Ç =PÇ +QÇ

정답 ㄱ, ㄴ

보충 설명
집합의 포함 관계와 집합의 연산 사이의 관계는 집합 사이의 관계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U
B
나타내어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A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 BÇ ,AÇ
\ A;B=A
A,B ∆ {
\ A'B=B
9 A-B=u

068 Ⅰ.
p.16

03-1 전체집합 U에 대하여 두 조건 p, q 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라고 하자. 명제 p ⁄ q는 거


짓이고 명제 q ⁄ p는 참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P'Q=P PÇ ;Q=U QÇ ;PÇ =PÇ

02

03-2 전체집합 U에 대하여 세 조건 p, q, r 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 라고 할 때,


P;Q=Q, P'RÇ =RÇ
이다. 다음 중 항상 참인 명제는?

p ⁄q ~q ⁄ ~r p ⁄r
~p ⁄ r r ⁄ ~q

03-3 전체집합 U에 대하여 네 조건 p, q, r, s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 S라고 할 때,


P'Q=Q, Q;R=Q, S'QÇ =U, PÇ ,SÇ
이다. 다음 중 항상 참이라고 할 수 없는 명제는?

p ⁄r s ⁄r s ⁄q
r ⁄q p ⁄s

03-1 03-2 03-3

02 069
02
1 명제의 역과 대우

p ⁄q p q ~p ~q

ABCD ABCD
p q
p ⁄q ABCD ABCD
q ⁄p ABCD ABCD
~p ⁄ ~q ABCD ABCD
~q ⁄ ~p ABCD ABCD

p ⁄q
q ⁄p
p ⁄q 역
p ⁄q
~q ⁄ ~p
p ⁄q 대우

Example x=0 x¤ =0
x¤ =0 x=0
x¤ +0 x+0

p ⁄q

p q q p

~p ~q ~q ~p

070 Ⅰ.
명제의 역과 대우

p ⁄q
1 q ⁄p
2 ~q ⁄ ~p

~p ⁄ ~q p ⁄q

02

2 명제의 역과 대우의 참, 거짓

x=2 x¤ =4 p : x=2 q : x¤ =4
p ⁄q q ⁄p ~q ⁄ ~p

p ⁄q x=2 x¤ =4
q ⁄p x¤ =4 x=2 x=-2
~q ⁄ ~p x¤ +4 x+2

p ⁄q ~q ⁄ ~p

p ⁄q p q P Q ~p ~q
PÇ QÇ
⁄ p ⁄q P,Q QÇ ,PÇ U
Q
~q ⁄ ~p P

p ⁄q ~q ⁄ ~p
¤ p ⁄q P¯Q QÇ ¯PÇ
~q ⁄ ~p
p ⁄q ~q ⁄ ~p
⁄ ¤

p ⁄q
~q ⁄ ~p

02 071
Example x>0 x+-1 x=-1 x…0

p ⁄q q ⁄p
P Q P,Q Q,P

명제의 역과 대우의 참, 거짓

1 p ⁄q ~q ⁄ ~p
2 p ⁄q ~q ⁄ ~p

p ⁄q p q P Q P,Q Q,P

p ⁄q q ⁄p

3 귀류법

귀류법

'2

Proof '2 m n
n
'2 =
m


2= n¤ =2m¤ yy

n¤ n 2m¤ n¤

n=2k k
(2k)¤ =2m¤ 2k¤ =m¤
m¤ m 2k¤ m¤

m n '2

'2

072 Ⅰ.
p
p
p

귀류법

02

거짓과 모순
p ⁄q p q
p ⁄q p q p ~q
p ⁄q

1
x>1 x¤ >0
x=0 xy=0

2 x y
x+y>1 x>0 y>0

풀이 1 역 : x¤ >0이면 x>1이다.
x=-1 (-1)¤ =1>0 -1<1 거짓
대우 : x¤ …0이면 x…1이다.
x x¤ …0 x=0 x…1 참
역 : xy=0이면 x=0이다.
x=1 y=0 xy=0 x+0 거짓
대우 : xy+0이면 x+0이다.
x=0 xy=0_y=0

2 x…0 y…0 x+y…1


x…0 y…0 x+y…0 x+y…1

02 073
명제의 역과 대우

실수 x에 대하여 다음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고, 각각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04 x-2=0 x¤ -4=0

접근 방법

p q q p ~q
~p

역:q ⁄ p
명제 p ⁄ q 에 대하여 [
대우:~q ⁄ ~p

상세 풀이

x-2=0 x¤ -4=0 x¤ -4=0 x-2=0

x-2+0 x¤ -4+0 x¤ -4+0 x-2+0

x-2=0 x¤ -4=0 p x-2=0 q x¤ -4=0


p q P Q
P={2} Q={-2 2}
P,Q Q¯P
Q¯P q ⁄p Q¯P PÇ ¯QÇ ~p ⁄ ~q
P,Q QÇ ,PÇ ~q ⁄ ~p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명제 p ⁄ q가 참이면 그 대우 ~q ⁄ ~p도 반드시 참이고, 명제 p ⁄ q가 거짓이면 그 대우 ~q ⁄ ~p도
반드시 거짓입니다. 그러나 명제 p ⁄ q의 참, 거짓과 역 q ⁄ p의 참, 거짓 사이에는 특정한 관계가 없습니다.

074 Ⅰ.
p.16

04-1 실수 x에 대하여 다음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고, 각각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x+0 x¤ >0

02

04-2 x, y가 실수일 때, 명제‘x¤ +y¤ =0이면 x=0 또는 y=0이다.’


의 역과 대우를 말하고, 그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04-3 명제‘x¤ -(a+4)x+4a>0이면 x¤ -7x+10>0이다.’


의 역이 참일 때, 명제
‘x¤ -5ax+6a¤ <0이면 x¤ -14x+24<0이다.’
의 대우가 참이 되도록 하는 모든 정수
a의 값의 합을 구하여라.

04-1 p.364 04-2 p.364 04-3 9

02 075
대우를 이용한 명제의 증명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 명제가 참임을 대우를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05 ‘n¤ 이 홀수이면 n도 홀수이다.’

접근 방법

2
2k-1 2k k

명제와 그 명제의 대우는 참, 거짓이 일치하므로 어떤 명제가


참임을 증명할 때 그 명제의 대우가 참임을 증명해도 된다.

상세 풀이

n n¤

n
n=2k k

n¤ =(2k)¤ =4k¤ =2(2k¤ )


2(2k¤ ) n¤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명제 p ⁄ q가 참임을 증명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p가 참이라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하여 추론을 통해 q가 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여 명제 p ⁄ q가 참임을
증명하는 방법을 직접증명법이라고 합니다.
반면에 명제를 증명할 때 직접 증명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방법을 간접증명법이라고 합니다.
명제 p ⁄ q가 참임을 증명하기 위하여 그 대우 ~q ⁄ ~p가 참임을 증명하는 방법과 명제 p ⁄ q에서 ~q를
가정하면 이미 알고 있는 정리나 p에 모순이 생긴다는 것을 보이는 귀류법은 간접증명법의 일종입니다.

076 Ⅰ.
p.17

05-1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 명제가 참임을 대우를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n¤ 이 짝수이면 n도 짝수이다.’

02
05-2 다음은 자연수 n에 대하여 명제‘n¤ 이 3의 배수이면 n도 3의 배수이다.’
가 참임을 증명하
는 과정이다.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어라.
증명

n 3
n=3k-2 n=3k-1 k

⁄ n=3k-2
n¤ =
¤ n=3k-1
n¤ =
⁄ ¤ n¤ 3 1
n¤ 3

05-3 자연수 m, n에 대하여 다음 명제가 참임을 대우를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mn이 짝수이면 m 또는 n이 짝수이다.’

05-1 p.364 05-2 p.365 05-3 p.365

02 077
귀류법을 이용한 명제의 증명

다음 명제가 참임을 귀류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06 ‘'2+2는 유리수가 아니다.’

접근 방법

'2+2 '2

명제 또는 그 대우가 참임을 직접 증명하기 어려울 때, 결론을 부정하면


모순이 발생함을 보여 주어진 명제가 참임을 증명하는 귀류법을 이용한다.

상세 풀이

'2+2
a
'2+2=a

'2=a-2
a-2
'2
'2+2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어떤 명제가 참임을 증명하려고 할 때, 명제 또는 그 명제의 결론을 부정하면 정리나 가정에 모순이 생기는 것을
보임으로써 그 명제가 참임을 증명하는 방법을 귀류법이라고 합니다.

078 Ⅰ.
p.18

06-1 다음 명제가 참임을 귀류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3-3은 유리수가 아니다.’

06-2 다음은 명제‘3m¤ -n¤ =1을 만족시키는 정수 m, n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 참임을 귀류법
02
을 이용하여 증명하는 과정이다. 안에 알맞은 것을 써넣어라.
증명
m n
3m¤ -n¤ =1 3m¤ =n¤ +1 n¤ +1 3
n k
⁄ n=3k
n¤ =
¤ n=3k+1
n¤ =
‹ n=3k+2
n¤ =
⁄~‹ n¤ 3 0 1
n¤ +1 3
n¤ +1 3 3m¤ -n¤ =1 m n

3m¤ -n¤ =1 m n

06-3 자연수 m, n에 대하여 다음 명제가 참임을 귀류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이차방정식 x¤ -mx+n=0이 자연수인 해를 가지면 m, n 중 적어도 하나는 짝수이다.’

06-1 p.365 06-2 p.365 06-3 p.365

02 079
03
1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p q p ⁄q
p jK q p

p ⁄q
p q
q
p q 충분조건 q p 필요조건

x=2 x¤ =4 p : x=2 q : x¤ =4

x=2 x¤ =4 p : x=2
q : x¤ =4 p q
x¤ =4 x x=-2 x=2 x>0
x=2 q : x¤ =4 p : x=2
q p

p : x=2 q : x¤ =4 P Q
P={2} Q={-2 2}
P Q Q
P
P,Q
2 -2
P,Q p jK q p q q p

p q q p p q
P Q P,Q
p q
P,Q ∆
p jK q q p

080 Ⅰ.
Example

p q p q
P Q P,Q

r s r s
R S R,S
02

충분조건과 필요조건

1 p ⁄q p jK q
p q q p

2 p q P Q
p q
P,Q ∆
p jK q q p

p jK q p q

p ⁄q p jK
/ q

2 필요충분조건

x=0 x¤ =0 x¤ =0 x=0
p ⁄q q ⁄p p jK q q jK p
p HjK q
p q 필요충분조건
p q
p q p q p ⁄q
q ⁄p

Example a b a=0 b=0 |a|+|b|=0


p : a=0 b=0 q : |a|+|b|=0
⁄ a=0 b=0 |a|+|b|=0 p ⁄q

02 081
¤ |a|+|b|=0 |a|æ0 |b|æ0 |a|=0 |b|=0
a=0 b=0 q ⁄p
⁄ ¤ p jK q q jK p p HjK q
a=0 b=0 |a|+|b|=0

p q p q P Q
P,Q Q,P P=Q
P=Q p q

필요충분조건

1 p ⁄q p jK q q jK p p HjK q
p q

2 p q P Q
P=Q p q

삼단논법

p q r
p q r

p ⁄q
q ⁄r
p ⁄q q ⁄r
p ⁄r

p q r p jK q q jK r p jK r

082 Ⅰ.
p q r P Q R
p jK q P,Q q jK r Q,R R

p jK r
Q
P,R P

02

1
x¤ -9=0 x-3=0
4 2

2 p q p q x y

p : x<0 y>0 q : xy<0 p : x¤ +y¤ =0 q : |x|+|y|=0

3 p q r p ⁄ q ~r ⁄ ~q

보기
q ⁄r p ⁄r ~p ⁄ ~r ~q ⁄ ~p

풀이 1 p : x¤ -9=0 q : x-3=0 P Q
P={-3 3} Q={3} Q,P P¯Q q jK p
p q 필요
p:4 q:2 P Q
P={x|x=4k k } Q={x|x=2k k } P,Q Q¯P p jK q
p q 충분

2 p q P Q
P={(x y)|x<0 y>0} Q={(x y)|x<0 y>0 x>0 y<0} P,Q Q¯P p jK q
p q 충분조건
P={(x y)|x=0 y=0} Q={(x y)|x=0 y=0} P=Q p HjK q p q
필요충분조건

3 ~r ⁄ ~q q ⁄r
p ⁄q q ⁄r p ⁄r ~p ⁄ ~r

p ⁄q ~q ⁄ ~p
ㄱ, ㄴ, ㄹ

02 083
충분, 필요, 필요충분조건의 판별

두 조건 p, q가 다음과 같을 때, p 는 q 이기 위한 무슨 조건인지 말하여라.

07 p a>0 q a¤ >0
(단, a, b, c 는 실수이다.)

p ac=bc q a=b
p a+0 b+0 q a¤ +b¤ >0

접근 방법

p ⁄q q ⁄p p q

두 조건 p, q에 대하여
⑴ p jK q일 때,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
⑵ p jK q이고 q jK p일 때, 즉 p HjK q일 때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q는 p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상세 풀이

a>0 a¤ >0 p jK q
a¤ >0 a<0 a>0 q jK
/ p
a=-2 a¤ >0 a<0
p q
ac=bc (a-b)c=0 a=b c=0 p jK
/ q
a=1 b=2 c=0 ac=bc a+b
a=b ac=bc q jK p
p q
a+0 b+0 a¤ +b¤ >0 p jK q
a¤ +b¤ >0 a+0 b+0 q jK p
p q

정답 ⑴ 충분조건 ⑵ 필요조건 ⑶ 필요충분조건

보충 설명
p jK q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보았을 때 주는 쪽인 p는 충분해서 준다고 생각해 p
서 충분조건이라 기억하고, q는 필요해서 받는다고 생각해서 필요조건이라고
p q
기억해 두면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q

084 Ⅰ.
p.19

07-1 두 조건 p, q가 다음과 같을 때, p는 q이기 위한 무슨 조건인지 말하여라.


(단, x, y는 실수이다.)

p x=0 y=0 q xy=0


p x-y>0 q x>0 y<0
p x>0 q x+y¤ >0
02

07-2 x, y 가 실수일 때, 다음 안에 충분, 필요, 필요충분 중에서 알맞은 것을 써넣어라.

x>0 |x|=x
x>0 y>0 x+y>0

07-3 a, b가 실수일 때, 세 조건
p : a¤ +b¤ =0, q : a¤ -2ab+b¤ =0, r : a¤ -ab+b¤ =0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p q
q r
r p

07-1
07-2 07-3

02 085
충분, 필요조건과 진리집합의 관계

전체집합 U에 대하여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U

08 P, Q, R라고 할 때, 세 집합 P, Q, R 사이의 포함 관계
가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과 같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P
R
Q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p r
~q ~r
p q r

접근 방법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 P, Q에 대하여 P,Q이면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고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상세 풀이

R,P r jK p
p r
R,Q QÇ ,RÇ
~q jK ~r ~q ~r
R,(P;Q) r jK p q
p q r

정답 ㄱ, ㄴ

보충 설명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할 때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① P,Q이면 ∆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
② P,Q이고 Q,P, 즉 P=Q이면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086 Ⅰ.
p.20

08-1 전체집합 U에 대하여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U

P, Q, R라고 할 때, 세 집합 P, Q, R 사이의 포함 관계가 R


P
Q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과 같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p r 02
~p q
~r ~q

08-2 전체집합 U에 대하여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할 때, ~p는 q이기 위


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다. 다음 중 항상 옳은 것은?

P,Q Q,P P-Q=u


P;Q=Q PÇ ;Q=PÇ

08-3 전체집합 U에 대하여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고 할 때,


P={x|-1…x…2 또는 xæ4}, Q={x|xæa}, R={x|xæb}
이다.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고 r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일 때, 실수 a의 최댓값과
실수 b의 최솟값의 합을 구하여라.

08-1 08-2 08-3 3

02 087
02- 1

02- 2 n 12 n 8 n

1 2 4
6 8

02- 3 xæ1 2x+a…3x+2a a

02- 4 a b
보기
a b a+b
a+b a b
a+b a b

02- 5 x
보기
x¤ =4 x‹ =8
x>1 x>0
x¤ >x x>1

088 Ⅰ.
p.366 | p.20

02- 6 m n
m¤ +n¤ mn

02- 7 x y 02
x-2>0 2x+1>3
x>1 x¤ >1
|x|>0 x¤ >0
x>0 y>0 x¤ +y¤ >0

02- 8 U p q P Q
P-Q=u P'Q=U
U+u P+Q
보기
p ⁄q ~p ⁄ q q ⁄p q ⁄ ~p

02- 9
x¤ +ax-48+0 x-4+0 a
x-a+0 x¤ -5x-24+0 a

02- 10 ~q ⁄ ~p q ⁄ ~r

보기
p ⁄r r ⁄ ~p r ⁄ ~q ~p ⁄ ~r

02 089
02- 11 A B C

A-B=u A,B
(A;C),(B;C) A,B
A;C=B;C A=B

02- 12 U={-1 0 1} x<U y<U

보기
x x¤ <2
x y x+y…1
x y x¤ -y¤ >0

02- 13 x y
보기
x>1 y>1 x+y>2
xy+0 x+0 y+0
|x|=1 x¤ =1

02- 14 a b c p q

보기
p : a¤ +b¤ +0 q : a>0 b>0
p : (a-b)(b-c)=0 q : a=b=c
p : a>b b>c q : a>c

090 Ⅰ.
p.366 | p.24

02- 15
a b p q r
p : ab<0 q : a<0 b<0 r : |ab|>ab
p q q r r p

02

02- 16
a b c p q r
p a¤ +b¤ +c¤ =0 q |a|+|b|+|c|=0
r (a-b)¤ +(b-c)¤ +(c-a)¤ =0
p q p r

02- 17 A B C p q

보기
p : A=B q : A-B=u
p : A-B=u q : A'B=B
p : A,B B,A q : A=B
p : A,(B'C) q : A,B A,C

challenge

02- 18
5…x…10 xæa a
|x|…k -12<x<5 k

challenge

02- 19
a b x¤ -ax+b=0

02 091
03
절대부등식
01 부등식의 증명 095

02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104

기본 다지기 112
실력 다지기 114
01 부등식의 증명 01 100

02 102

02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03 108

04 110
03 | 절대부등식

01 부등식의 증명

1 부등식의 증명에 이용되는 실수의 성질


a b
a>b HjK a-b>0 a>0 b>0 HjK a+b>0 ab>0
a>0 b>0 a>b HjK a¤ >b¤ HjK 'a>'b
a¤ æ0 |a|æ0 a¤ +b¤ æ0 |a|+|b|æ0
a¤ +b¤ =0 HjK a=0 b=0 |a|æa |a|¤ =a¤ |ab|=|a||b|

2 두 수 또는 두 식의 대소 비교
A B

A-B>0 HjK A>B A-B<0 HjK A<B


Aæ0 Bæ0
A¤ -B¤ >0 HjK A>B A¤ -B¤ <0 HjK A<B
A>0 B>0

;bA;>1 HjK A>B ;bA;<1 HjK A<B

3 절대부등식

02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1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의 관계


a+b 2ab
a>0 b>0 æ"çabæ a=b
2 a+b

2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한 최대・최소


a b
a+b
æ"çab a=b
2

094 Ⅰ.
01
09 여러 가지 부등식 x
x

03
1 부등식의 증명에 이용되는 실수의 성질

a b
a>b HjK a-b>0
a>0 b>0 HjK a+b>0 ab>0 + = _ =

a>0 b>0 a>b HjK a¤ >b¤ HjK 'a>'b


a¤ æ0 |a|æ0 a¤ +b¤ æ0 |a|+|b|æ0
a¤ +b¤ =0 HjK a=0 b=0
|a|æa |a|¤ =a¤ |ab|=|a||b|

Example a>b>c>0 ac>bc


ac>bc (a-b)c>0 a>b a-b>0
c>0 (a-b)c>0
ac>bc

a b c
a>b b>c jK a>c a>b HjK a+c>b+c a-c>b-c

a>b c>0 jK ac>bc a>b c<0 jK ac<bc


a b a b
> <
c c c c

03 095
부등식의 증명에 이용되는 실수의 성질

a b
1 a>b HjK a-b>0 2 a>0 b>0 HjK a+b>0 ab>0
3 a>0 b>0 a>b HjK a¤ >b¤ HjK 'a>'b
4 a¤ æ0 |a|æ0 a¤ +b¤ æ0 |a|+|b|æ0
5 a¤ +b¤ =0 HjK a=0 b=0 6 |a|æa |a|¤ =a¤ |ab|=|a||b|

2 두 수 또는 두 식의 대소 비교

1. 차를 이용하는 방법:A-B의 부호를 조사


A B
A-B>0 HjK A>B A-Bæ0 HjK AæB

A-B<0 HjK A<B A-B…0 HjK A…B

A-B

Example a>1 b>2 A=ab+2 B=2a+b


A-B=ab+2-(2a+b)=ab+2-2a-b
=a(b-2)-(b-2)=(a-1)(b-2)
a-1>0 b-2>0 (a-1)(b-2)>0 A-B>0
A>B

2. 제곱의 차를 이용하는 방법:A¤ -B¤ 의 부호를 조사


A B Aæ0 Bæ0
A¤ -B¤ >0 HjK A¤ >B¤ HjK A>B A¤ -B¤ æ0 HjK AæB

A¤ -B¤ <0 HjK A¤ <B¤ HjK A<B A¤ -B¤ …0 HjK A…B

A¤ -B¤

096 Ⅰ.
Example a b A=|a|+|b| B="√a¤ +b¤
A¤ -B¤ =(|a|+|b|)¤ -("√a¤ +b¤ )¤ =|a|¤ +2|a||b|+|b|¤ -(a¤ +b¤ )
=a¤ +2|a||b|+b¤ -a¤ -b¤ =2|a||b|
2|a||b|æ0 A¤ -B¤ æ0
AæB a=0 b=0

A¤ -B¤ A B Aæ0
Bæ0
A=2 B=-3 A>B A¤ -B¤ =4-9=-5<0
Aæ0 Bæ0
A¤ <B¤
A¤ -B¤
03
A¤ -B¤ A-B A B
Aæ0 Bæ0 A¤ -B¤ A B
A B

3. 비를 이용하는 방법:;bA;와 1의 대소를 비교

A B A>0 B>0

;bA;>1 HjK A>B ;bA;æ1 HjK AæB

;bA;<1 HjK A<B ;bA;…1 HjK A…B

Example a A='ƒa+2 B=a+2


'ƒa+2 1
;bA;= =
a+2 'ƒa+2
1
a 'ƒa+2>1 <1 ;bA;<1
'ƒa+2
A<B

;bA; 1 A B A>0

B>0

A=2 B=-1 A>B ;bA;=-2<1 ;bA; 1


A>0 B>0
A B
;bA; 1 A B
A>0 B>0 ;bA; 1 A B

A B

03 097
두 수 또는 두 식의 대소 비교

A B
1
A-B>0 HjK A>B A-B<0 HjK A<B
2 Aæ0 Bæ0
A¤ -B¤ >0 HjK A>B A¤ -B¤ <0 HjK A<B
3 A>0 B>0

;bA;>1 HjK A>B ;bA;<1 HjK A<B

3 절대부등식

x+1>0 x>-1 x…-1

x¤ +1>0 (a+b)¤ æ0

절대부등식

Example |x|+2æ0 x
x¤ +2>x¤ x
x¤ +4x+5=(x+2)¤ +1>0 x

x¤ æ1 x…-1 xæ1
1<x<1

098 Ⅰ.
Example a b a¤ +5b¤ æ4ab
a¤ +5b¤ -4abæ0 ←

a¤ -4ab+5b¤ =a¤ -4ab+4b¤ +b¤ =(a-2b)¤ +b¤


(a-2b)¤ æ0 b¤ æ0
(a-2b)¤ +b¤ æ0 a¤ +5b¤ æ4ab
a-2b=0 b=0 a=b=0

절대부등식 03

a b (a-b)¤ æ0 a=b

1 a>2 b>2 ab+4 2(a+b)

2 aæ-1 1+;2A; 'ƒ1+a

3
보기
x¤ æ2x+3 x¤ +1æ2x 4x¤ >4x-2

풀이 1 ab+4-2(a+b)=ab-2a-2b+4=(a-2)(b-2)
a-2>0 b-2>0 (a-2)(b-2)>0 ab+4>2(a+b)

2 aæ-1 1+;2A;æ0 'ƒ1+aæ0

{1+;2A;}¤ -('ƒ1+a)¤ =1+a+ -(1+a)= æ0


a¤ a¤
4 4

{1+;2A;}¤ -('ƒ1+a)¤ æ0 1+;2A;æ'ƒ1+a (단, 등호는 a=0일 때 성립한다.)

3 x¤ -2x-3æ0 (x+1)(x-3)æ0 x…-1 xæ3


x¤ -2x+1æ0 (x-1)¤ æ0 x

4x¤ -4x+2>0 4{x-;2!;}¤ +1>0 x

ㄴ, ㄷ

03 099
차를 이용한 부등식의 증명

a>c, b>d일 때, 부등식

01 ab+cd>ad+bc
가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접근 방법

두 수 또는 두 식 A, B에 대하여 A-B의 부호를


조사하여 두 수 또는 두 식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⑴ A-B>0 HjK A>B, A-Bæ0 HjK AæB
⑵ A-B<0 HjK A<B, A-B…0 HjK A…B

상세 풀이

ab+cd-(ad+bc)>0
ab+cd-(ad+bc)=(ab-ad)+(cd-bc)
=a(b-d)-c(b-d)
=(a-c)(b-d)
a>c b>d a-c>0 b-d>0
(a-c)(b-d)>0
ab+cd>ad+bc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두 수 또는 두 식 A, B의 대소를 비교할 때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합니다.
⑴ 차를 이용하는 방법, 즉 A-B의 부호를 조사하여 대소를 비교하는 방법
⑵ 제곱의 차를 이용하는 방법, 즉 A¤ -B¤ 의 부호를 조사하여 대소를 비교하는 방법

⑶ 비를 이용하는 방법, 즉 ;bA;와 1의 대소를 비교하여 A, B의 대소를 비교하는 방법

100 Ⅰ.
p.28

01-1 a>b>c>d일 때, 부등식


ab+cd>ac+bd
가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03

01-2 실수 a, b, c에 대하여 부등식


a¤ +b¤ +c¤ æab+bc+ca
가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ax+by bx+ay
01-3 양수 a, b에 대하여 A=
a+b
, B=
a+b
일 때,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증명하

여라.

ABæxy A¤ +B¤ …x¤ +y¤

01-1 p.366 01-2 p.366 01-3 p.367

03 101
제곱의 차를 이용한 부등식의 증명

부등식 |a|+|b|æ|a+b|가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02
접근 방법

두 수 또는 두 식 A, B에 대하여 A¤ -B¤ 의 부호를 조사하여


두 수 또는 두 식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Aæ0, Bæ0일 때
⑴ A¤ -B¤ >0 HjK A>B, A¤ -B¤ æ0 HjK AæB
⑵ A¤ -B¤ <0 HjK A<B, A¤ -B¤ …0 HjK A…B

상세 풀이

|a|+|b|æ0 |a+b|æ0
(|a|+|b|)¤ -|a+b|¤ æ0

(|a|+|b|)¤ -|a+b|¤ =a¤ +2|a||b|+b¤ -(a¤ +2ab+b¤ ) |a|¤ =a¤

=a¤ +2|ab|+b¤ -a¤ -2ab-b¤


=2(|ab|-ab)
|ab|æab 2(|ab|-ab)æ0
(|a|+|b|)¤ -|a+b|¤ æ0
|a|+|b|æ|a+b|
|ab|=ab abæ0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두 수 또는 두 식의 대소를 비교하는 방법 중에서 제곱의 차를 이용하는 경우는 주어진 식이 절댓값 기호를 포
함하고 있거나 근호를 포함하고 있을 때입니다.
한편, 위의 증명에서
abæ0이면 |a|+|b|=|a+b|, ab<0이면 |a|+|b|>|a+b|
가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a|+|b|æ|a+b|에서 등호는 a, 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0이거나 a, b가
서로 같은 부호일 때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102 Ⅰ.
p.29

02-1 부등식 |a-b|…|a|+|b|가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03

02-2 aæ0, bæ0일 때,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a+'bæ'ƒa+b "√2(a+b)æ'a+'b

02-3 실수 a, b에 대하여 부등식

æ≠ a¤ -ab+b¤ æ a-b
3 2
가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02-1 p.367 02-2 p.367 02-3 p.368

03 103
02
1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의 관계

a b

'∂ab
a+b 2ab
2 a+b

Example 1 2 1 8
'ƒ2_8=4 2 4
1 4

Example 1 km 3 km 5 km
2ab 2_3_5
= =;;¡4∞;; (km/ )
a+b 3+5

= 1 km 2 km ;3!;+;5!;=;1•5;

=;;¡4∞;; (km/ )
2
155
8
15

a+b 2ab
a>0 b>0 æ'∂abæ a=b
2 a+b

104 Ⅰ.
a>0 b>0

a+b
⁄ æ'∂ab
2
Proof a+b a+b-2'∂ab ('a )¤ -2'a'b+('b )¤ ('a-'b)¤
-'∂ab= = = æ0
2 2 2 2
a+b a+b
-'∂abæ0 æ'∂ab
2 2
a=b
03
¤ '∂abæ
2ab
a+b
2ab (a+b)'∂ab-2ab '∂ab(a+b-2'∂ab) '∂ab('a-'b)¤
'∂ab-
Proof
= = = æ0
a+b a+b a+b a+b
2ab 2ab
'∂ab- æ0 '∂abæ
a+b a+b
a=b

a+b 2ab
⁄ ¤ æ'∂abæ a=b
2 a+b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의 관계

a+b 2ab
a>0 b>0 æ'∂abæ a=b
2 a+b

a+b
æ'∂ab
2

P O T

O T A B PA”=a PB”=b
P A B
b-a a H
AB”=b-a AO”= O
2 b
b-a a+b
P’O’=a+ =
2 2
PT” ¤ =ab PT”='∂ab
a+b 2ab
TPO PT” ¤ =PH”_P’O’ ab=PH”_ PH”=
2 a+b
TPO P’O’>PT” TPH PT”>PH”
a+b 2ab
>'∂ab>
2 a+b

03 105
2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한 최대・최소

a+b
æ'∂ab a=b
2

Proof

a
l
a b S
l=2(a+b) S=ab S b

a>0 b>0
a+b l l¤
æ'∂ab æ"S æS
2 4 16
l S a=b

a b

a b
p p¤ p¤
a+b=p p æ'∂ab æab a=b ab
2 4 4
ab=q q a+bæ2'q a=b a+b 2'q

Example x y x+y=6 xy
x>0 y>0
x+yæ2'∂xy 6æ2'∂xy x=y
xy…9
xy 9
x y xy=16 x+y
x>0 y>0
x+yæ2'∂xy x+yæ2'∂16 x=y
x+yæ8
x+y 8

106 Ⅰ.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한 최대・최소

a b
a+b
æ'∂ab a=b
2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 03
a b x y
(a¤ +b¤ )(x¤ +y¤ )æ(ax+by)¤ ay=bx

(a¤ +b¤ )(x¤ +y¤ )-(ax+by)¤


=a¤ x¤ +a¤ y¤ +b¤ x¤ +b¤ y¤ -a¤ x¤ -2abxy-b¤ y¤
=a¤ y¤ -2abxy+b¤ x¤ =(ay-bx)¤
a b x y (ay-bx)¤ æ0
(a¤ +b¤ )(x¤ +y¤ )æ(ax+by)¤
ay-bx=0 ay=bx

1 x>0 y>0 x+2y=12 xy

2 x>0 y>0 xy=12 3x+y

3 a b x y a¤ +b¤ =1 x¤ +y¤ =9 ax+by

풀이 1 x>0 y>0 x+2yæ2'ƒx_2y x=2y


12æ2'∂2xy x+2y=12 6æ'∂2xy xy…18

2 x>0 y>0 3x+yæ2'ƒ3x_y 3x=y


3x+yæ2'ƒ3_12 xy=12 3x+yæ12

3 a b x y (a¤ +b¤ )(x¤ +y¤ )æ(ax+by)¤


1_9æ(ax+by)¤ -3…ax+by…3 ay=bx

03 107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한 최대・최소

a>0일 때, 다음 식의 최솟값과 최소가 될 때의 a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03 a+;a$; {4a+;a!;}{a+;a!;}

접근 방법

a b ab a+b

a+b
a>0, b>0일 때, æ'∂ab, 즉 a+bæ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2

상세 풀이

a>0 ;a$;>0

a+;a$;æ2æ≠a_;a$; =4

a=;a$; a¤ =4 a=2 a>0

a+;a$; a=2 4

1 1
{4a+;a!;} {a+;a!;}=4a¤ + +5 4a¤ >0 >0
a¤ a¤
1 1
4a¤ + +5æ2æ≠4a¤ _ +5=2_2+5=9
a¤ a¤
1 '2
4a¤ = a› =;4!; a¤ =;2!; a= a>0
a¤ 2
'2
{4a+;a!;}{a+;a!;} a= 9
2

'2
정답 ⑴ 최솟값 : 4, a=2 ⑵ 최솟값 : 9, a=
2
보충 설명
⑵`에서 다음과 같이 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두 식 4a+;a!;, a+;a!;에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각각 이용하면

4a+;a!;æ2æ≠4a_;a!; = 4 yy ㉠, a+;a!;æ2æ≠a_;a!; = 2 yy ㉡

이므로 {4a+;a!; } {a+;a!; }æ 4_2 =8에서 최솟값은 8입니다. (_)

위의 풀이의 ㉠, ㉡`에서 각각 최소가 될 때의 a의 값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잘못된 풀이입니다.

108 Ⅰ.
p.30

03-1 a>0일 때, 다음 식의 최솟값과 최소가 될 때의 a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4a+;a(; {a+;a$;}{4a+;a!;}

03

03-2 a>0, b>0일 때, 다음 식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a+;b!;}{b+;a$;} (4a+b){;a!;+;b$;}

03-3 x>0, y>0일 때, 다음 식에서 xy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3x+y=6 x¤ +4y¤ =36

03-1 12 a=;2#; 25 a=1

03-2 9 16 03-3 3 9

03 109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의 활용

폭이 1 m인 긴 양철판을 직각으로 구부려서 오른쪽 그 2 cm

04 림과 같이 좌우 대칭인 모양의 수로를 만들어 두 줄기


의 물이 흘러가도록 하려고 한다. 수로를 통해 흐르는
4 cm
2 cm

물의 양이 최대가 되도록 할 때, 앞쪽에서 바라본 수로


의 단면인 빗금친 부분의 넓이는 몇 cm¤ 인지 구하여
라. (단, 양철판의 두께는 무시한다.)

접근 방법

x cm y cm
1 m=100 cm x y
2xy cm¤
2xy

미지수를 정하고 관계식을 세워 합 또는 곱이 일정하면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한다.

상세 풀이

4 cm
2 cm 2 cm
x cm y cm
x cm

4+2_2+4x+2y=100 2x+y=46 y cm

2xy cm¤
x>0 y>0
2x+y
æ'ƒ2x_y 2x=y
2

2x+y=46 :¢2§:æ'∂2xy 23æ'∂2xy

529æ2xy
529 cm¤

정답 529 cm¤

보충 설명
두 양수의 합이 일정하면 곱의 최댓값을, 두 양수의 곱이 일정하면 합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p p¤ p¤
⑴ a+b=p (p는 상수)이면 æ'∂ab에서 æab이므로 a=b일 때 ab의 최댓값은 입니다.
2 4 4
⑵ ab=q (q는 상수)이면 a+bæ2'q이므로 a=b일 때 a+b의 최솟값은 2'q입니다.

110 Ⅰ.
p.31

04-1 폭이 2 m인 긴 양철판을 직각으로 구부려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1cm 2 cm


좌우 대칭인 모양의 수로를 만들어 두 줄기의 물이 흘러가도록 1cm
하려고 한다. 수로를 통해 흐르는 물의 양이 최대가 되도록 할
때, 앞쪽에서 바라본 수로의 단면인 빗금친 부분의 넓이는 몇 cm¤
인지 구하여라. (단, 양철판의 두께는 무시한다.)

03

04-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윗면이 없고, 밑면의 가로의 길이는 3 m, 부피는


48 m‹ 인 직육면체 모양의 물 탱크를 만들려고 한다. 옆면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1 m¤ 당 1 만 원이고, 밑면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1 m¤ 당
2 만 원이다. 물 탱크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이 최소가 되도록 할 때, 그
비용을 구하여라.
3m

04-3 어느 공사장에서 중장비를 임대하여 100 m¤ 의 면적의 공사를 진행하려고 한다. 중장비
기사에게는 시간당 10000원의 임금을 지불해야 하며, 중장비의 작업량이 시간당 x m¤ 일
때, 중장비에 필요한 경비는 1 m¤ 당 400x원이라고 한다. 공사장에서 중장비를 사용하는
데 드는 총 비용이 최소가 되도록 할 때, x의 값을 구하여라.

04-1 2401 cm¤ 04-2 80 04-3 5

03 111
03- 1 a b

a¤ +2b¤ æ2ab a¤ +b¤ æ2(a+b-1)

03- 2 a b |a-b|æ|a|-|b|

⁄ |a|æ|b|
|a-b|¤ -(|a|-|b|)¤ =a¤ -2ab+b¤ -a¤ +2|ab|-b¤
=2(|ab|-ab) 0
|a-b| |a|-|b|
¤ |a|<|b|
|a-b|>0 |a|-|b| 0
|a-b|>|a|-|b|
⁄ ¤
|a-b|æ|a|-|b| ab 0

03- 3 b d
a
b
>
c
d
a
b
>
a+c
b+d
>
c
d

03- 4 a>0 b>0 (a‹ +b‹ )(a+b)æ(a¤ +b¤ )¤

03- 5 a>0 b>0

8 a b 1 1
2a+ + (a+b){ + }
a 3b 3a a b

112 Ⅰ.
p.368 | p.32

03- 6
a>0 {a+;a$;}{9a+;a!;}

12 3
x>0 y>0 (x+y){ x + y }

03- 7 a b {4a+;b#;}{;a#;+b} ab=k m k 03


m
k

03- 8 a>0 b>0 c>0

1 1
}
b+c c+a a+b
(a+b+c){ + + +
a b+c a b c

03- 9 a>b>0 a+b=1


보기

'a+'b>1 '∂ab >;2!;

'ƒa-b >'a-'b æ≠ a¤ +b¤ >;2!;


2

03- 10 1 P(a b) a+2b=10 y


P(a, b)
x A(2 0) 3
D
S2
B(6 0) y C(0 1) D(0 3)
PAB PDC S¡ S™ S¡S™ C 1
S1
2 6
O A B x

03 113
03- 11 x y x› +y› æx‹ y+xy‹

03- 12 a b c {a+;b!;}{b+;c$;}{c+;a(;} ab=n¡ bc=n™ ca=n£

m n¡ n™ n£ m+n¡+n™+n£

03- 13 a b

ab+a+b=24 ab

2a+b=1 ;a!;+;b@;

03- 14 A=90˘ ABC A A

BC D AB”=x AD”=y x
z
y
AC”=z
B C
D

보기
1 1 1
+ =
x¤ z¤ y¤
'2
xz=1 0<y…
2
xz=1 BCӾ'2

03- 15 O AB 12
AB P AP C1
PB C¡ C™ C2
A O P B
12

114 Ⅰ.
p.369 | p.38

03- 16 100 cm

100 cm 4 cm

4 cm

03
a cm¤ a

03- 17 '5 cm

'5 cm

l cm l

challenge

03- 18

10 km
250 40

challenge

03- 19 1 ABC P A

a b c a¤ +b¤ +c¤
c 1
P b
a
B C

03 115
04
함수
01 함수 119

02 합성함수 134

03 역함수 146

04 여러 가지 함수의 그래프 160

기본 다지기 170
실력 다지기 172
01 함수 01 128

02 130

03 132

02 합성함수 04 140

05 142

06 144

03 역함수 07 154

08 156

09 158

04 여러 가지 함수의 그래프 10 164

11 166

12 168
04 | 함수

01 함수

1 함수의 뜻
X Y X Y X
f
Y
X Y f
f : X 1⁄ Y x f(x)

X f Y f

2 여러 가지 함수
f : X 1⁄ Y X x¡ x™
x¡+x™ f(x¡)+ f(x™)
f : X 1⁄ Y
f : X 1⁄ X X x x
f(x)=x
f : X 1⁄ Y X x Y
f(x)=k k

02 합성함수
f g
f : X 1⁄ Y g : Y 1⁄ Z
X Y Z
X
x Z g( f(x)) x f(x) g(f(x))
f g
gΩf : X 1⁄ Z gÁf

(gΩf )(x)=g( f(x))(x<X)

03 역함수

1 역함수의 뜻 X
f
Y

f : X 1⁄ Y y= f(x)
f —⁄ : Y 1⁄ X
x y=f(x)

y=f(x) HjK x= f —⁄ (y) –¡


f

2 역함수의 그래프
y=f(x) y=f —⁄ (x) y=x

118 Ⅱ.
01
1 함수의 뜻
X Y

X={ }
Y={ }
X 04
Y

X Y X Y X
Y 대응
X x Y y
x 1⁄ y

X Y
X Y X Y X
Y

X Y
X Y X Y X Y
1 1 1
2 2
2
3 3
4 3 4

X Y X Y
X
f X Y 함수
f : X 1⁄ Y f g h

04 119
X f 정의역 Y f 공역 X
f
Y

f : X 1⁄ Y X x Y
y x f(x)

y= f(x)
f(x) x
{ f(x)|x<X} f 치역
f : X 1⁄ Y Y

Example R
f : R 1⁄ R f(x)=x¤
R

X Y
X Y
X Y X Y
1 1
2 2
3 3
4 4

X 3 Y
X 4 Y
X Y 2 Y

Example X Y

X Y X Y X Y
a
1 a 1 1 a
b
2 b 2 2 b
c
3 c 3 c
3 d

X 3 Y
X 3 Y a d
X Y
{1 2 3} {a b c} {b c}

120 Ⅱ.
y= f(x) f(x)
x

Example y=x+2
1
y= {x|x+0 }
x

함수

X Y
1 X Y f X Y 04
f : X 1⁄ Y
2 X f Y f
3 f
{ f(x)|x<X}
f

2 서로 같은 함수

f : X 1⁄ Y g : X 1⁄ Y X
x f(x)=g(x) f g
f=g
f g f+g

서로 같은 함수

f : X 1⁄ Y g : U 1⁄ V

f=g HjK ‡
∆ X=U Y=V
x f(x)=g(x)

f g

f(x)=x g(x)=x‹ {-1 0 1}


f(x)=x g(x)=x‹

04 121
Example {-1 0 1} f(x)=|x| g(x)=x¤

f(-1)=g(-1) f(0)=g(0) f(1)=g(1)


f g f=g
f(x)=|x| g(x)="çx¤
x (xæ0) x (xæ0)
f(x)=|x|=[ g(x)="çx¤ =[
-x (x<0) -x (x<0)
f g f=g

3 함수의 그래프

f : X 1⁄ Y X x f(x)
(x f(x))
{(x f(x))|x<X}
y= f(x)
y= f(x) (x f(x))
y= f(x)
y= f(x) x y

f y
X Y
5
0 2 4
1 3 3
2 2
4
3 5
O 1 2 3 x

y=f(x)
{(0, 2), (1, 3), (2, 4), (3, 5)}

f : X 1⁄ Y X Y y y=f(x)

y= f(x)
f(a)
a y
O a x
x=a a x=a x=a

a
a
x y=b b

122 Ⅱ.
Example
y y y
3
2
1 k
O x
-3-2-1 O1 2 3 x
-1 O x
-2

x=3
a y x=a y
b
x=a y=b y=c 2
O a x
c

a x=a
04

함수의 그래프

f : X 1⁄ Y X x f(x)
(x f(x))
{(x f(x))|x<X}
y=f(x)

y x x=k k x=k
x¤ +y¤ =r¤ r>0 x=a(-r<a<r)

4 여러 가지 함수

1. 일대일함수
f : X 1⁄ Y f(1)=b f(2)=c X
f
Y

f(3)=a f(1)+f(2) f(2)+f(3) f(3)+f(1) a


1
b
2 c

f : X 1⁄ Y
3 d
X x¡ x™
x¡+x™ f(x¡)+ f(x™) f(x¡)=f(x™) x¡=x™

f X Y 일대일함수

04 123
f(x)=x¤ -1+1 f(-1)=f(1) y y=f(x)
Example

f(x)=x¤
1
다른 풀이 | y=f(x) y=a (a>0)
f(x)=x¤ -1 O 1 x

2. 일대일대응
f : X 1⁄ Y X
f
Y
1 a

1 X x¡ x™ 2 b

1 x¡+x™ f(x¡)+ f(x™) 3 c

2
f X Y 일대일대응

X Y
X Y

3. 항등함수
f : X 1⁄ X X x
x
f(x)=x
f X 항등함수 I˛

1 y=x
f y y=x
X X
...

...

1 1
...

...

2 2 1
...

...

3 3
O 1 x
...

...

124 Ⅱ.
4. 상수함수
f : X 1⁄ Y X x Y
f(x)=k (k )
f 상수함수

Example 1 f : X 1⁄ Y X f(x)=3
2

f y
X
... Y

1 1 3 y=3

04
...

2 2
...

O x
3 3
...

1 2

여러 가지 함수

1 f : X 1⁄ Y X x¡ x™
x¡+x™ f(x¡)+ f(x™)

2 f : X 1⁄ Y
3 f : X 1⁄ X x x
f(x)=x
4 f : X 1⁄ Y X x Y
f(x)=k k

b x y=b

Example
y y y
2
1
O x
O 1 x O x

04 125
함수의 개수

X Y X Y ㄱ ㄴ ㄷ
∑ ∑ ∑
a
a b
c
a
a b b
c ★
a
c b ★
c
X={ } Y={a b c} X a
a b
Y c ★
⁄ X Y a
b b b
Y 3 c
a ★
3_3_3=3‹ =27 c b
c
¤ X Y
a
Y 3 a b ★
c
Y 2 a ★
c b b
Y 1 c
3_2_1=6 a
c b
f : X 1⁄ Y X Y c

m n

n_n_y_n=nµ
(
\
{
\
9

m<n
n_(n-1)_(n-2)_y _{n-(m-1)}
m=n
n_(n-1)_(n-2)_y _2_1

n Y

Example X={1 2 3} Y={a b c d} X Y


3 4
X Y 4_4_4=4‹ =64
X Y 4_3_2=24

126 Ⅱ.
삼차함수 y=ax‹ 의 그래프

y
y=x‹ y=x‹
8
1

x y -3 -2 -1 1 2 3 y
y y -27 -8 -1 1 8 27 y
-1 1
-2 O 2 x
2 (x y) 1
-1

y=ax‹ (a+0)
04
-8
y=ax‹
y=ax‹ y=-8x y
3
3
y=-x 3 y=8x3 y=x

y=- 14 x3 y= 14 x3
y=ax‹ (p q)
x
(-p -q) O

y=ax‹

a>0 x y
a<0 x y
a |a| y

x¤ -1
1 f(x)=x-1 g(x)=
x+1

2 A={a b c} B={1 2 3 4 5} A B

g(x)= 13422
x¤ -1
풀이 1 f(x)=x-1
x+1
{x|x+-1 }

두 함수 f와 g는 서로 같지 않다.

2 A B 3 5
A B =5_5_5=125
A B =5_4_3=60
A B =5

04 127
함수의 뜻

두 집합 X={-1, 0, 1}, Y={-2, -1, 0, 1, 2}에 대하여 X의 임의의 원소

01 x에 Y의 임의의 원소가 대응할 때, <보기>에서 각 대응이 X에서 Y로의 함수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x 1⁄ 2 x 1⁄ 2x+1
x 1⁄ x¤ +1 x 1⁄ |x|

접근 방법

X Y

⁄ X
¤ X Y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함수가 되려면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 X의 모든 원소에 Y의 원소가 대응해야 한다.
¤ X의 각 원소에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해야 한다.

상세 풀이

X Y X Y
-1 -2 -1 -2
-1 -1
0 0 0 0
1 1
1 1 2
2

X Y X Y
-1 -2 -1 -2
-1 -1
0 0 0 0
1 1
1 2 1 2

X 1 Y

정답 ㄱ, ㄷ, ㄹ
보충 설명
함수 f:X 1⁄ Y에서 함숫값 전체의 집합 { f(x)|x<X}를 함수 f의 치역이라고 합니다. 즉, 치역은 공역의
부분집합이며, 공역의 원소 중에는 정의역의 원소에 대응하지 않는 원소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128 Ⅱ.
p.43

01-1 두 집합 X={1, 2, 3}, Y={1, 2, 3, 4, 5, 6}에 대하여 X의 임의의 원소 x에 Y의 임의


의 원소가 대응할 때, <보기>에서 X에서 Y로의 함수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x 1⁄ 2x-1 x 1⁄ ;[^;

x 1⁄ 'x x 1⁄|x|

04

01-2 다음 중 함수의 그래프를 모두 고르면? (정답 3개)

y y y

O x O x O x

y y

O x O x

01-3 집합 X={x|0…x…4}에 대하여 f(x)=mx+m+1이 X에서 X로의 함수가 될 때,


실수 m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1-1 01-2 01-3 -;5!;…m…;5#;

04 129
서로 같은 함수

집합 X={a, b}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02 f(x)=x¤ -x-1, g(x)=2x-3


이 있다. f=g 일 때, 상수 a, b 에 대하여 b-a의 값을 구하여라. (단, a<b)

접근 방법

f g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f=g 일 때
⁄ 두 함수 f, g 의 정의역과 공역이 각각 서로 같다.
¤ 정의역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x)=g(x)

상세 풀이

f g f=g
f(a)=g(a) f(b)=g(b)
a b f(x)=g(x)
x¤ -x-1=2x-3
x¤ -3x+2=0, (x-1)(x-2)=0
x=1 x=2
a<b
a=1 b=2
b-a=2-1=1
정답 1

보충 설명
정의역과 공역이 각각 서로 같은 두 함수가 서로 같은지를 판단할 때에는 두 함수의 관계식, 즉 함수의 대응 규
칙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정의역의 각 원소에 대한 두 함수의 함숫값을 비교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x)=x, g(x)=x‹ 은 서로 같지 않은 함수이지만 집합
X={-1, 0, 1}을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x)=x, g(x)=x‹ 은 서로 같은 함수입니다.
즉, 관계식이 다른 두 함수도 정의역에 따라서 서로 같을 수 있습니다.

130 Ⅱ.
p.43

02-1 집합 X={-1, 2}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x)=x¤ -1, g(x)=ax+b
가 있다. f=g 일 때, 상수 a, b 에 대하여 a+b 의 값을 구하여라.

04
02-2 실수 전체의 집합의 부분집합 X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x)=2x¤ -3x+4, g(x)=x¤ +2
에 대하여 f=g 가 성립하도록 하는 집합 X의 개수는? (단, X+u
u)

1 2 3
4 5

02-3 집합 A={2, a, b}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x)=x‹ +12, g(x)=3x¤ +kx
가 있다. f=g 일 때, 상수 a, b, k에 대하여 a+b+k 의 값을 구하여라.

02-1 2 02-2 02-3 5

04 131
일대일대응

다음 중 일대일대응의 그래프인 것을 모두 고르면? (정답 2개)

03 y y y

O x O x O x

y y

O x
O x

접근 방법

b x
y=b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려면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 정의역 X의 임의의 두 원소 x¡, x™에 대하여 x¡+x™이면 f(x¡)+ f(x™)이다.
¤ 치역과 공역이 같다.

상세 풀이

b x y=b
y y y y y
b
y=b b y=b b b
y=b y=b
O x O x O a x O x
O x
x=a

y=b 2
y=b 1
a y x=a x=a 2
a

정답 ②, ④

보충 설명
일대일함수의 그래프는 치역의 각 원소 b에 대하여 x축에 평행한 직선 y=b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납니다.

132 Ⅱ.
p.44

03-1 다음 중 일대일대응의 그래프인 것은?

y y y

O x O x x
O

y y

O x O x
04

03-2 두 집합 X={x|-1…x…3}, Y={y|-4…y…4}에 대하여 함수


f : X 1⁄ Y, f(x)=ax+b
가 일대일대응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단, a<0)

03-3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함수


ax+4 (xæ1)
f(x)=[
(x-1)¤ +b (x<1)
가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하는 정수 a, b 에 대하여 a+b의 최댓값은?

1 2 3
4 5

03-1 03-2 0 03-3

04 133
02

1 합성함수

X Y Z f : X 1⁄ Y g : Y 1⁄ Z
X x f(x) Y f
g Y
f g
X Y Z
y=f(x) z=g(y)

x y z

z=g( f(x))

f X x Y y g
Y y Z z X x Z z

f g
y=f(x) yy z=g(y) yy

z=g( f(x))

f : X 1⁄ Y g : Y 1⁄ Z X x Z
g( f(x)) f g 합성함수
gΩf
gΩf : X 1⁄ Z X Z

134 Ⅱ.
gΩf
( gΩf )(x)
X x Z g( f(x))
(gΩf )(x)=g(f(x))
f g y=g ( f(x))

Example f g
f g
X Y Y Z
1 1
1 0
2 2
2
3
3
4
3
4
1 04
f {1 2 3} g {1 2 3 4} f g
gΩ f
g Áf
X Z
(gΩ f )(1)=g( f(1))=g(1)=0
(gΩ f )(2)=g( f(2))=g(2)=0 1 0
2
(gΩ f )(3)=g( f(3))=g(3)=0 3 1

gΩ f
g g Á`f
g {0 1} gΩ f {0}

gΩf f g

Example X={1 2} Y={3 4 5} f g


X R Y R
}
...
R={x|x 3 1
...

f : X 1⁄ R g : Y 1⁄ R
1 3
...

4 2
...

...

2 5
f {3 5} 5 3
...

...

g {1 2 3}
f g 1 gΩf
g f 2
fΩg
f g g f
X Y R Y X R
...

...

3 1 3 1
1 3
...

4 2 4
...

2
5
...

2
5 3 5
...

1 2

04 135
g : X 1⁄ Y f : Y 1⁄ Z fΩg X
g
Y
f
Z

fΩg : X 1⁄ Z
x g (x) f (g(x))
( fΩg)(x)=f(g(x)) (x<X)
f g z=f(g(x))

gΩf ∆ f g
fΩg ∆ g f

합성함수

f : X 1⁄ Y g : Y 1⁄ Z gΩf X
f
Y
g
Z
gΩf : X 1⁄ Z
( gΩf )(x)=g( f(x)) (x<X) x f(x) g(f(x))

g Áf

R f(x)=x g(x)=;[!; f R g
R-{0} ( gΩf )(0)=g( f(0))=g(0) ( gΩf )(0)
g f fΩg g f

2 합성함수의 성질

f g
(gΩf )(x)=g( f(x))
f x f(x) g f(x) g( f(x))

( fΩg)(x)= f(g(x))
g x g(x) f g(x) f(g(x))
f g
gΩf+ fΩg

136 Ⅱ.
Example f(x)=x¤ g(x)=x+5
(gΩf )(x)=g( f(x))=g(x¤ )=x¤ +5
( fΩg)(x)= f(g(x))= f(x+5)=(x+5)¤ =x¤ +10x+25
gΩf+fΩg
f(x)=x+2 g(x)=x-2
(gΩf)(x)=g( f(x))=g(x+2)=x
(fΩg)(x)=f(g(x))=f(x-2)=x
gΩf= fΩg

04
X Y Z W f : X 1⁄ Y g : Y 1⁄ Z h : Z 1⁄ W
gΩf : X 1⁄ Z
hΩ(gΩf ) : X 1⁄ W
hΩg : Y 1⁄ W
(hΩg)Ωf : X 1⁄ W

hΩ(gΩf ) (hΩg)Ωf X W
hÁ(g Á f)
gÁf
f g h
X Y Z W

x f(x) g(f(x)) h(g(f(x)))

h Ág
(hÁg)Áf

X x
(hΩ(gΩf ))(x)=h((gΩf )(x))=h(g( f(x)))
((hΩg)Ωf )(x)=(hΩg)( f(x))=h(g( f(x)))

f g h
hΩ(gΩf )=(hΩg)Ωf

04 137
Example f(x)=x¤ -1 g(x)=-x+2 h(x)=x-2
(gΩf )(x)=g( f(x))=g(x¤ -1)=-(x¤ -1)+2=-x¤ +3
(hΩ(g Ωf ))(x)=h((g Ωf )(x))
=h(-x¤ +3)
=(-x¤ +3)-2=-x¤ +1
(hΩg )(x)=h(g(x))=h(-x+2)=(-x+2)-2=-x
((hΩg )Ωf )(x)=(hΩg )( f(x))
=(hΩg )(x¤ -1)
=-(x¤ -1)=-x¤ +1
hΩ(gΩf )=(hΩg)Ωf

X Y f : X 1⁄ Y I˛ : X 1⁄ X
IÁ : Y 1⁄ Y X x
( fΩI˛)(x)=f(I˛(x))= f(x)
(IÁΩf )(x)=IÁ( f(x))= f(x)
IÁ( f(x))=IÁ(y)=y=f(x)

fΩI˛=f IÁΩf=f
f : X 1⁄ X X I
fΩI=IΩf=f

합성함수의 성질

f g h
1 ( fΩg)(x)=f(g(x)) (gΩf )(x)=g( f(x))
2 gΩf + fΩg
3 hΩ(gΩf )=(hΩg)Ωf
4 f : X 1⁄ Y I˛ : X 1⁄ X IÁ : Y 1⁄ Y
fΩI˛= f IÁΩf =f

Example

hΩ(gΩf )=(hΩg)Ωf = hΩg Ωf

138 Ⅱ.
1 f(x)=x+2 g(x)=2x+3

( fΩg)(3) (gΩf )(-2)


( fΩf)(-4) (gΩg )(1)

2 f g

f g
X Y Y X
1 a a 1
3 b b 3

04
5 c c 5
7 d d 7

(gΩf )(3) ( fΩg)(d) ( gΩf )(5)+( fΩg)(b)

3 f(x)=2x+1 g(x)=x¤ +3 gΩf fΩg

4 f(x)=-2x g(x)=x¤ -4 h(x)=3x-2 (fΩgΩh)(1)+(hΩfΩ g)(1)

5 f g h f(x)=-2x+1 (hΩg)(x)=3x-6 (hΩ(gΩf ))(-2)

풀이 1 ( fΩg)(3)=f(g(3))=f(9)=9+2=11
(gΩf )(-2)=g( f(-2))=g(0)=2_0+3=3
(f Ωf )(-4)=f( f(-4))=f(-2)=-2+2=0
(gΩg )(1)=g( g(1))=g(5)=2_5+3=13

2 (gΩf )(3)=g( f(3))=g(c)=5


( fΩg)(d)=f( g(d))=f(7)=a
(gΩf )(5)+( fΩg)(b)=g( f(5))+f( g(b))=g(a)+f(1)=3+d

3 ( gΩf )(x)=g( f(x))=g(2x+1)=(2x+1)¤ +3=4x¤ +4x+4


( fΩg )(x)=f(g(x))=f(x¤ +3)=2(x¤ +3)+1=2x¤ +7

4 ( fΩgΩh )(1)=f(g(h(1)))=f(g(1))=f(-3)=-2_(-3)=6
(hΩ fΩg )(1)=h( f(g(1)))=h( f(-3))=h(6)=3_6-2=16
( fΩgΩh )(1)+(hΩ fΩg )(1)=6+16=22

5 hΩ(gΩf )=(hΩg)Ωf
(hΩ(gΩf ))(-2)=((hΩg)Ωf )(-2)
=(hΩg)( f(-2))
=(hΩg)(5)=3_5-6=9

04 139
합성함수

두 함수 f(x)=2x+1, g(x)=ax-3 에 대하여 fΩg =gΩf 가 성립할 때, 다

04 음을 구하여라.

a ( fΩg)(-2)

접근 방법

fΩg =gΩf f( g(x)) g( f(x)) a


fΩg =gΩf x x

( fΩg)(x)=f( g(x)), ( gΩf)(x)=g( f(x))

상세 풀이

f(x)=2x+1 g(x)=ax-3
( fΩg)(x)= f(g(x))=2(ax-3)+1=2ax-5
( gΩf)(x)=g( f(x))=a(2x+1)-3=2ax+a-3
fΩg =gΩf
2ax-5=2ax+a-3
x
-5=a-3
a=-2
g(x)=-2x-3
( fΩg)(-2)=f(g(-2))=f(1)=3

정답 ⑴ -2 ⑵ 3

보충 설명
일반적으로 함수의 합성에서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지만 결합법칙은 성립합니다. 즉, 세 함수 `f, g, h에 대하여
⑴ gΩf+ fΩg
⑵ hΩ(gΩf )=(hΩg)Ω f
따라서 합성함수를 구할 때에는 합성하는 순서에 주의해야 합니다.

140 Ⅱ.
p.45

04-1 두 함수 f(x)=2x-1, g(x)=-3x+k 에 대하여 fΩg =gΩf 가 성립할 때, ( gΩf )(2)


의 값을 구하여라. (단, k는 상수이다.)

04-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4
f(x)=3x+4 g(x)=ax+b fΩg=gΩf
y=g(x) a
a b
f(x)=-4x+5 ( fΩfΩf )(k)=1 k

04-3 세 집합 X={1, 2, 3}, Y={a, b, c}, Z={4, 5, 6}에 대하여 일대일대응인 두 함수


f : X 1⁄ Y, g : Y 1⁄ Z 가
f(1)=c, g(b)=4, ( gΩf )(2)=6
을 만족시킬 때, f(3)의 값은?

a b c
a b a b c

04-1 -5 04-2 (-2 -2) 1 04-3

04 141
합성함수의 응용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가 f(2x-1)=-x+1 을 만족시킬 때,

05 f(3)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f(2x-1)=-x+1 f(x) 2x-1=t f t

f(x)=ax+b와 f(t)=at+b는 같은 함수를 나타낸다.

상세 풀이

f(2x-1)=-x+1
t+1
2x-1=t x=
2
t+1 -t+1
f(t)=- +1=
2 2
-3+1
f(3)= =-1
2
다른 풀이

f(2x-1)=-x+1 2x-1=3 x x=2


x=2
f(3)=-2+1=-1

정답 -1

보충 설명
⑴ f(x)=ax+b(`a, b는 상수)라고 하면 f(t)=at+b는 t에 대한 함수 f이므로 `f(x)와 `f(t)는 변수만 다를 뿐
같은 함수 f입니다.
⑵ 다른 풀이 에서와 같이 f(2x-1)=-x+1에서 2x-1=3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찾아 양변에 대입하면 `f(3)
의 값을 간단히 구할 수 있습니다.
⑵ 이때, f(2x-1)=-x+1의 우변에만 x=3을 대입하여 f(3)=-3+1=-2라고 답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142 Ⅱ.
p.46

05-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가 f(3x+1)=x-2 를 만족시킬 때, f(4)의 값을 구


하여라.

05-2 양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 가 f(2x)=


2
x+2
를 만족시킬 때, 다음 중 2f(x)의 04
식으로 알맞은 것은?

4 2 8
x+2 x+4 x+4
4 8
x+8 x+8

05-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세 함수 f, g, h에 대하여


f(x)=2x-3 , (hΩgΩf )(x)=h(x)
이고, 함수 h가 일대일대응일 때, g(1)의 값은?

0 1 2
3 4

05-1 -1 05-2 05-3

04 143
합성함수의 그래프

0…x…2 에서 정의된 두 함수 y y

06 y=f(x), y=g(x)의 그래프가 각


각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합성함수
2
y=f(x)
2
y=g(x)

y=( gΩf )(x)의 그래프를 그려라.


O 2 x O 1 2 x

접근 방법

f(x) g(x) f(x) g(x) y=(gΩf)(x)


g( f(x))

g(x) 0…x<1 1…x…2 f(x) 1


x

꺾인 형태의 그래프에서는 꺾이는 점의 x좌표를 기준으로


x의 값의 범위를 나누어 함수의 식을 생각한다.

상세 풀이

2 (0…x<1)
f(x)=-x+2 (0…x…2) g(x)=[
-2x+4 (1…x…2)
( gΩf )(x)=g( f(x)) f(x) g(x) x

2 (0…f(x)<1) y
( gΩf )(x)=[ yy y=(gΩf )(x)
2
-2 f(x)+4 (1…f(x)…2)
2 (1<x…2)
( gΩf )(x)=[
2x (0…x…1)
O 1 2 x
y=(gΩf)(x)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⑴ ㉠`에서 f(x)=-x+2이므로 0…f(x)<1에서 0…-x+2<1, -2…-x<-1 ∴ 1<x…2
마찬가지 방법으로 1…f(x)…2에서 0…x…1이므로 합성함수 (gΩf )(x)의 정의역은 {x|1<x…2},
{x|0…x…1}로 나누어집니다.
⑵ 함수 y=g(x)의 그래프와 같이 그래프가 꺾인 형태의 함수에서는 꺾이는 점의 x좌표를 기준으로 정의역의
범위를 나누어 함수의 식을 생각해야 합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꺾이는 점의 x좌표를 기준으로 합성함수
y=(gΩf )(x)의 정의역의 범위가 나누어지고, 각 범위에 따라 식도 다르게 나왔습니다.

144 Ⅱ.
p.46

06-1 두 함수 y=f(x)와 y=g(x)의 그래프가 각각 다음 그림과 같을 때, 합성함수


y=( gΩf )(x)의 그래프를 그려라.
y y
y=f(x)
3
1 y=g(x)

1
-2 -1 O 1 2 3 4 x

O 1 x

04

06-2 0…x…3에서 정의된 두 함수 y y


y=g(x)
3 y=f(x) 3
y=f(x)와 y=g(x)의 그래프가 각각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합성함수 2

y=( gΩf )(x)의 그래프를 그려라.

O 3 3 x O 1 3 x
2

06-3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각각 아래 그림과 같을 때, 다음 함수의 그래프


를 그려라.

y y
y=f(x) y=g(x)
1 1
1
O x -1 O x
-1 -1

y=( gΩf )(x) y=( fΩg)(x)

06-1 p.370 06-2 p.370 06-3 p.370

04 145
03
1 역함수의 뜻
X Y

f
f X Y
x y
f g Y X g

f(x)=y g(y)=x
x y

X Y f : X 1⁄ Y X Y

1 a

2 b
1 X x¡ x™
3 c
1 x¡+x™ f(x¡)+ f(x™)
2
f Y X Y
X f

1 2
f g h
X Y X Y X Y
1 ㄱ 1 ㄱ 1 ㄱ
2 ㄴ
ㄴ 2 2 ㄴ
3 ㄷ
4 ㄷ 3 ㄹ 3 ㄷ

Y X Y X

¤
1 f Y
2 X
1 2 2 ¤
146 Ⅱ.
2 g Y
X

h h ⁄ ¤

f
f : X 1⁄ Y y= f(x) X Y

Y y f(x)=y X x
x y
Y y f(x)=y X x
04
-1
f (y) -1 f(x)
f
Y X
f 역함수
f —⁄
f —⁄ : Y 1⁄X x= f —⁄ (y)
f f —⁄
y=f(x) HjK x=f —⁄ (y)

역함수의 뜻

f : X 1⁄ Y y= f(x)
1 f —⁄ : Y 1⁄ X
2 y=f(x) HjK x= f —⁄ (y)

f : X 1⁄ Y f —⁄ f Y f —⁄ f
X

Example f : X 1⁄ Y f f
X Y
f —⁄ 1 a
2 b
f(4)=a
3 c
f —⁄ (b)=1 4 d
( f —⁄ Ωf )(4)=f —⁄ ( f(4))=f —⁄ (a)=4
( fΩf —⁄ )(d)=f( f —⁄ (d))=f(3)=d

04 147
2 역함수의 성질

1 f : X 1⁄ Y f -1 : Y 1⁄ X
2

f f —⁄
X Y Y X
1 a a 1

2 b b 2

3 c c 3

1 2

( f )—⁄ : X 1⁄ Y
-1 -1 –¡ –¡
f X
(f )
Y

1 a

1 1⁄ a 2 1⁄ c 3 1⁄ b 2 b

3 c
( f -1)—⁄ f X

f : X 1⁄ Y f -1 : Y 1⁄ X

y=f(x) HjK x=f -1(y) HjK y=( f -1)—⁄ (x)


(f —⁄ )—⁄ =f
f f —⁄
1 2 X Y X
1 a 1

2 b 2
f —⁄ Ωf
3 c 3

1 1⁄ a 1⁄ 1 2 1⁄ c 1⁄ 2 3 1⁄ b 1⁄ 3
-1
f Áf

f —⁄ Ωf X X

f : X 1⁄ Y f -1 : Y 1⁄ X
y=f(x) HjK x= f —⁄ (y)

( f —⁄ Ωf )(x)=f —⁄ ( f(x))=f —⁄ (y)=x (x<X)


( fΩf —⁄ )(y)=f( f —⁄ (y))=f(x)=y (y<Y)
f —⁄ Ωf X fΩf —⁄ Y

148 Ⅱ.
f : X 1⁄ Y g : Y 1⁄ X
(gΩf )(x)=x ( fΩg)(y)=y (x<X y<Y)
g=f —⁄ f g f
( f —⁄ Ωf )(x)=x ( fΩf —⁄ )(y)=y ( f —⁄ )—⁄ = f
f —⁄
f f —⁄
Example f(x)=x+3
( f —⁄ )—⁄ (1)+( f —⁄ Ωf )(2)=f(1)+2=4+2=6
(f —⁄ )—⁄ =f f—⁄ Á f

f : X 1⁄ Y g : Y 1⁄ Z f —⁄ g—⁄
gΩf : X 1⁄ Z f —⁄ Ωg—⁄ : Z 1⁄ X
( f —⁄ Ωg—⁄ )Ω(gΩf )=f —⁄ Ω(g—⁄ Ωg)Ωf
04
( f —⁄ Ωg—⁄ )Ω(gΩf )=f —⁄ ΩIÁΩf IÁ Y
( f —⁄ Ωg—⁄ )Ω(gΩf )=f —⁄ Ωf=I˛ I˛ X
(gΩf )Ω( f —⁄ Ωg—⁄ )=gΩ( fΩf —⁄ )Ωg—⁄
(gΩf )Ω( f —⁄ Ωg—⁄ )=gΩIÁΩg—⁄ =gΩg—⁄ =I¸ I¸ Z
f —⁄ Ωg—⁄ gΩf
(gΩf )—⁄ =f —⁄ Ωg—⁄
( fΩg)—⁄ =g—⁄ Ωf —⁄

역함수의 성질

1 f : X 1⁄ Y f —⁄
( f —⁄ )—⁄ =f f —⁄ f

( f —⁄ Ωf )(x)= f —⁄ ( f(x))= f —⁄ (y)=x (x<X) f —⁄ Á f X

( fΩf —⁄ )(y)=f( f —⁄ (y))= f(x)=y (y<Y) f Á f —⁄ Y

2 f : X 1⁄ Y g : Y 1⁄X
(fΩg )(x)=x g=f —⁄ ( f=g—⁄ )
(gΩf )(x)=x g=f —⁄ ( f=g—⁄ )
3 f : X 1⁄ Y g : Y 1⁄ Z f —⁄ g—⁄
(gΩf )—⁄ =f —⁄ Ωg—⁄

3 3
(hΩgΩf )Ω( f —⁄ Ωg—⁄ Ωh—⁄ )=hΩgΩ( fΩf —⁄ )Ωg—⁄ Ωh—⁄ =hΩgΩIΩg—⁄ Ωh—⁄ I
=hΩ(gΩg—⁄ )Ωh—⁄ =hΩIΩh—⁄ =hΩh—⁄ =I
(hΩgΩf )—⁄ = f —⁄ Ωg—⁄ Ωh—⁄

04 149
3 역함수를 구하는 방법

x y
y=f(x) x=f —⁄ (y) x y
y=f —⁄ (x)

x y
y=f(x) x

y=f(x) y=f —⁄ (x)

y=f(x) 111111⁄ x=f —⁄ (y) 111111⁄ y=f —⁄ (x)


x x y

Example y=2x-4
y= f(x)
y=2x-4 R R
y=f(x) x x= f —⁄ (y)
y=2x-4 x y

2x=y+4 x=;2!;y+2

x y y= f —⁄ (x)

x y y=;2!;x+2

f f —⁄ f f —⁄ f
f —⁄ f f —⁄
f f —⁄

Example f(x)=2x-4
f —⁄ (x)
y=2x-4 (xæ2) yy
{ y|yæ0}
{x|xæ0}

150 Ⅱ.
y=;2!;x+2 (xæ0)

역함수를 구하는 방법

y=f(x)
1 y=f(x)
2 y=f(x) x x=f —⁄ (y)
3 x=f —⁄ (y) x y y=f —⁄ (x)
f f —⁄ f f —⁄

04

4 역함수의 그래프

y=f(x) y=f —⁄ (x)

y
y=f(x) y=f—⁄ (x) y=f(x) y=x

P(x¡, y¡)

y= f(x) P(x¡ y¡) y=f —⁄ (x)

y¡= f(x¡) Q(y¡, x¡)


f f —⁄ O x

x¡= f —⁄ (y¡)
Q(y¡ x¡) y=f —⁄ (x)
P(x¡ y¡) y= f(x) Q(y¡ x¡) y=f —⁄ (x)

P(x¡ y¡) Q(y¡ x¡) y=x


y=f(x) y=f —⁄ (x) y=x

y=2x-4 (xæ2) y y=2x-4 (xæ2)


Example
y=x

y=;2!;x+2 (xæ0) 1
y= x+2 (xæ0)
2
2
y=x
O 2 x

04 151
역함수의 그래프

y= f(x) y=f —⁄ (x) y=x

R R y=f(x) y=f —⁄ (x)


y=x y= f(x) y=x y=f(x) y=f —⁄ (x)

y= f(x) y= f —⁄ (x) y=x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12-2 보충 설명

그래프를 이용하여 역함수의 함숫값 구하기

y
y=f(x) y=x y=f(x)
x y y=x
f(b)
( f —⁄ Ωf —⁄ )(b)

y=f(x) y=f —⁄ (x) x


O 1a b c d
y=f(x) (p q)
f(p)=q HjK p= f —⁄ (q)

f(b) x b y= f(x)
y
y
y=x f(b)=c
y=f(x)
d
y=x
y y c

y b
a
f(1)=a f(a)=b f(b)=c f(c)=d
O 1a b c d x

f(a)=b f —⁄ (b)=a f(1)=a


f —⁄ (a)=1
( f —⁄ Ωf —⁄ )(b)= f —⁄ ( f —⁄ (b))= f —⁄ (a)=1

y=x
x y

152 Ⅱ.
1 f(x)=x+2 g(x)=-2x+1

f —⁄ (x) g—⁄ (x)


(gΩf )—⁄ (x) ( f —⁄ Ωg—⁄ )(x)

2 f(x)=-3x+2 f —⁄ (x)

풀이 1 f(x)=x+2 g(x)=-2x+1 R R

y=x+2 x x=y-2 04
x y y=x-2
f —⁄ (x)=x-2
y=-2x+1 x

2x=-y+1 x=-;2!;y+;2!;

x y y=-;2!;x+;2!;

g—⁄ (x)=-;2!;x+;2!;

(gΩf )(x)=g( f(x))=g(x+2)


=-2(x+2)+1=-2x-3
y=-2x-3 x

2x=-y-3 x=-;2!;y-;2#;

x y y=-;2!;x-;2#;

(gΩf )—⁄ (x)=-;2!;x-;2#;

f —⁄ (x)=x-2 g—⁄ (x)=-;2!;x+;2!;

( f —⁄ Ωg—⁄ )(x)= f —⁄ (g—⁄ (x))= f —⁄ {-;2!;x+;2!;}

( f —⁄ Ωg—⁄ )(x)={-;2!;x+;2!;}-2=-;2!;x-;2#;

다른 풀이 | ( gΩf )—⁄ (x)=( f —⁄ Ωg—⁄ )(x)

다른 풀이 | ( f —⁄ Ωg—⁄ )(x)=(gΩf)—⁄ (x)=-;2!;x-;2#; ( )

2 y=-3x+2 x x=-;3!;y+;3@; y y=x

(x) 2
y=-;3!;x+;3@;
-1
y=f
x y 3 2

f —⁄ (x)=-;3!;x+;3@; O
2 x
2 y=f(x)
3

04 153
역함수의 성질

함수 f(x)=2x-4 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7 g(2)
(gΩg)(k)=2 k

접근 방법

g(2) f(x) g(x) x=2


2x-4=2 x

함수 f`:`X 1⁄ Y가 일대일대응일 때
y=f(x) HjK x=f —⁄ (y)

상세 풀이

g(2)=a
g—⁄ (a)=2 f(a)=2 ( f —⁄ )—⁄ =f g—⁄ =f

2a-4=2
2a=6 a=3
(gΩg)(k)=2
(g—⁄ Ωg—⁄ )Ω(gΩg)(k)=(g—⁄ Ωg—⁄ )(2) (g—⁄ Ωg—⁄ )Ω(gΩg)=g—⁄ Ω(g—⁄ Ωg)Ωg
=g—⁄ ΩI˛Ωg=g—⁄ Ωg=I˛
k=(g—⁄ Ωg—⁄ )(2)=( fΩf )(2)=f( f(2))=f(0)=-4
다른 풀이

y=2x-4 x x=;2!; y+2

x y y=;2!;x+2 g(x)=;2!;x+2

g(2)=1+2=3

(gΩg)(x)=g( g(x))=g {;2!;x+2}=;2!; {;2!;x+2}+2=;4!;x+3

(gΩg)(k)=2

;4!;k+3=2 k=-4

정답 ⑴ 3 ⑵ -4
보충 설명
위의 예제와 같이 함수 f(x)의 식이 간단한 경우에는 역함수의 식을 직접 구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함수의
식이 복잡하게 주어질 수도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는 역함수의 식을 직접 구하기보다는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
하여 푸는 것이 좋습니다.

154 Ⅱ.
p.48

07-1 함수 f(x)=-3x+1 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g(4)
(gΩgΩg)(k)=1 k

04
07-2 집합 A={1, 2, 3, 4, 5}에 대하여 A에서 A로의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할 때,
f —⁄ (1)+f —⁄ (2)+f —⁄ (3)+f —⁄ (4)+f —⁄ (5)의 값은?

7 9 11
13 15

-3x+4 (x<1)
07-3 함수 f(x)=[ 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x¤ +2x (xæ1)
( gΩgΩgΩg)(k)=2
를 만족시키는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07-1 -1 -20 07-2 07-3 28

04 155
역함수와 그 그래프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고, 그 그래프를 그려라.

08 y=2x-1 y=x¤ `(xæ0)

접근 방법

y=f(x) y=f —⁄ (x) y=x

함수 y=f(x)의 역함수 y=f —⁄ (x)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1 주어진 함수 y=f(x)가 일대일대응인지 꼭 확인한다.
2 y=f(x)를 x에 대하여 푼다. 즉, x=f —⁄ (y) 꼴로 변형한다.
3 x=f —⁄ (y)에서 x와 y를 서로 바꾸어 y=f —⁄ (x)로 나타낸다.
이때, f 의 치역이 f —⁄ 의 정의역이 된다.

상세 풀이

y=2x-1 R R

y=2x-1 x x=;2!;y+;2!; y y=2x-1


y=x
x y
1 1 1
y= x+
y=;2!;x+;2!; 2 2 2

-1 O 1 x
y=2x-1 y=x 2
-1

y=x¤ (xæ0) {x|xæ0} { y|yæ0}

y=x¤ x x='y xæ0 yy y y=x2 (xæ0)


y=x
y=x¤ (xæ0) { y|yæ0}
{x|xæ0}
y='x (xæ0)
x y
y='x(xæ0) O x

y=x¤ (xæ0) y=x

정답 ⑴ y=;2!;x+;2!;, 풀이 참조 ⑵ y='x (xæ0), 풀이 참조


보충 설명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 (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은 함수 y= 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 (x)의 그래프의 교점입니다.
단, 두 함수 y=f(x), y=f —⁄ (x)의 그래프의 교점이 반드시 직선 y=x 위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156 Ⅱ.
p.48

08-1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고, 그 그래프를 그려라.

y=-x+2 y=x¤ +1 (xæ0)

04
08-2 함수 f 의 역함수를 g라고 할 때, af(x)와 f(ax)의 역함수를 차례대로 구하면? (단, a+0)

ag(x) g(ax) ag(x) ;a!; g(ax) ;a!; g(x) g{;a{;}

g {;a{;} g(ax) g{;a{;} ;a!; g(x)

08-3 함수 f(x)=;5!;(x¤ +6)`(xæ0)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두 교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여라.

08-1 y=-x+2 p.370 y='ƒx-1 (xæ1) p.370


08-2 08-3 '2

04 157
합성함수의 역함수

두 함수 f(x)=3x-1, g(x)=-2x+4 에 대하여 ( fΩ( gΩf )—⁄ Ωf)(1)의 값

09 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 fΩ( gΩf)—⁄ Ωf )(x) x=1


( gΩf )—⁄ ( fΩg)—⁄

역함수가 존재하는 두 함수 f, g에 대하여


( gΩf)—⁄ =f —⁄ Ωg—⁄ , ( fΩg)—⁄ =g—⁄ Ωf —⁄

상세 풀이

fΩ(gΩf )—⁄ Ωf=fΩ( f —⁄ Ωg—⁄ )Ωf=(fΩf —⁄ )Ω(g—⁄ Ωf )=g—⁄ Ωf


(gΩf )—⁄ =f —⁄ Ωg—⁄ (fΩf —⁄ )Ω(g—⁄ Ωf )=IΩ(g—⁄ Ωf )

( fΩ(gΩf )—⁄ Ωf )(1)=( g—⁄ Ωf )(1)=g—⁄ ( f(1))=g—⁄ (2)


g—⁄ (2)=a g(a)=2
g(a)=-2a+4=2
-2a=-2 a=1
g—⁄ (2)=1
( fΩ(gΩf )—⁄ Ωf )(1)=1

정답 1

보충 설명
일대일대응인 두 함수 f : X 1⁄ Y, g : Y 1⁄ Z에 대하여 gΩf
(gΩf )—⁄ =f —⁄ Ωg—⁄ 임을 오른쪽 그림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X Y Z
즉, 합성함수의 역함수는 각각의 역함수를 주어진 합성함수를 합성한 순서와 반 f g
대의 순서로 합성한 것과 같습니다.
f-1 g-1

f-1Ωg-1

158 Ⅱ.
p.50

09-1 두 함수 f(x)=x-2, g(x)=2x-3 에 대하여 ( gΩ( fΩg)—⁄ Ωg)(2)의 값을 구하여라.

09-2 두 함수 f(x)=ax+b, g(x)=x+2 에 대하여


( g—⁄ Ωf —⁄ )(8)=3, ( fΩg—⁄ )(4)=-1 04
일 때, 상수 a, b 에 대하여 a+b 의 값은?

-5 -4 -3
-2 -1

09-3 오른쪽 그림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를 나 y y=f(x)


타낸 것이다. ( fΩf )—⁄ (c)의 값은?
(단, 모든 점선은 x축 또는 y축에 평행하다.) e
d y=x
c
a b c b
d e a

O x

09-1 3 09-2 09-3

04 159
04
1 우함수와 기함수

1. 우함수
y ™
f(x)=x¤ y y=x
f(-k)=f(k)
x f(-x)=f(x)
f(x) f(x)
even function -k k x
O
y=f(x) y
y=a a y=bx¤ (b )

2. 기함수
y
f(x)=2x y=2x

f(k)
x f(-x)=- f(x)
-k
f(x) f(x) O k x
odd function
y=f(x) f(-k)=-f(k)

y=ax (a ) y=bx‹ (b
)

f(x) f(x) x -x
f(-x) f(x) - f(x)

Example f(x)=x¤ +24


f(-x)=(-x)¤ +24=x¤ +24= f(x)
f(x)
g(x)=x‹ -2x
g(-x)=(-x)‹ -2_(-x)=-(x‹ -2x)=-g(x)
g(x)

160 Ⅱ.
우함수와 기함수

1
x f(-x)= f(x) f(x)
y
y=k k y=ax¤ (a ) y=b|x| (b ) y
2
x f(-x)=- f(x) f(x)

y=ax (a+0) y=bx‹ (b+0) y

y=xn n 04
y=x¤ n y
even function
y=x n
odd function

2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그래프

x x [ x] [ ]
n
n…x<n+1 HjK [x]=n

Example 3…3.14<4 [ 3.14 ]=3 3+0.14

1…'2<2 [ '2 ]=1


0…0.8<1 [ 0.8 ]=0 0+0.8

-1…-;4!; <0 [-;4!; ]=-1 -1+;4#;=-1+0.75

-4…-3.14<-3 [ -3.14 ]=-4 -4+0.86

[ x] x
Example 3.14=3+0.14 3 [3.14]=3
-3.14=-3+(-0.14) -3 [-3.14]=-3
x
-3.14=-3+(-0.14)=-3+{(-1)+0.86}=-4+0.86
-4 [ -3.14]=-4

04 161
x n
n…x<n+1 HjK [x ]=n

[ x ]…x<[ x]+1 0…x-[x ]<1


x-[ x ]=a
x
x = [x ]+a (0…a<1)
x

m
[ x+m ]=[ x]+m

Proof [ x]=n (n ) x n…x<n+1


n+m…x+m<n+1+m
n+m…x+m<(n+m)+1
[ x+m ]=n+m=[x]+m

Example [ 2.71 ]=[ 1.71+1 ]=[ 1.71 ]+1=1+1=2


=[ 4.71-2 ]=[ 4.71 ]-2=4-2=2
[ -3.14 ]=[ -7.14+4 ]=[ -7.14 ]+4=(-8)+4=-4
=[ -0.14-3 ]=[ -0.14 ]-3=(-1)-3=-4

n…x<n+1 HjK [x ]=n n


x x [ x]

Example y=[ x ] (-2…x<3) x


-2…x<-1 y=[ x ]=-2
-1…x<0 y=[ x ]=-1 y y=[x] (-2…x<3)
2
0…x<1 y=[ x ]=0
1
1…x<2 y=[ x ]=1 -2 -1
2…x<3 y=[ x ]=2 O 1 2 3 x
-1
y=[ x ] (-2…x<3)
-2

162 Ⅱ.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그래프

1 x x [x] [ ]
n
n…x<n+1 HjK [x]=n
2 x x
[x]

가우스 기호와 몫과 나머지의 관계식

A B Q R 04
A=BQ+R (0…R<B)

Q=;bA;-;bR; Q=[;bA;]

1 13 2 13 2

[;;¡2£;;]=6

1 n k n k

[ ]
n
k

1
보기
f(x)=-x¤ f(x)=-x¤ +2x f(x)=-x¤ +4
f(x)=-x‹ f(x)=-x‹ +2x¤ f(x)=-x‹ +3x

f(-x)=f(x) f(-x)=-f(x)

풀이 1 f(-x)=-(-x)¤ =-x¤ f(-x)=f(x)


f(-x)=-(-x)¤ +2_(-x)=-x¤ -2x f(-x)+f(x) f(-x)+-f(x)
f(-x)=-(-x)¤ +4=-x¤ +4 f(-x)=f(x)
f(-x)=-(-x)‹ =x‹ =-(-x‹ ) f(-x)=-f(x)
f(-x)=-(-x)‹ +2_(-x)¤ =x‹ +2x¤ f(-x)+f(x) f(-x)+-f(x)
f(-x)=-(-x)‹ +3_(-x)=x‹ -3x=-(-x‹ +3x) f(-x)=-f(x)
f(-x)=f(x) ㄱ, ㄷ
f(-x)=-f(x) ㄹ, ㅂ

04 163
우함수와 기함수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f(-x)=f(x)를 만족시키는 함수를 우함수,

10 f(-x)=-f(x)를 만족시키는 함수를 기함수라고 한다. 두 함수 g(x), h(x)에


대하여 함수 g(x)는 우함수, h(x)는 기함수일 때, 다음 함수가 우함수인지 기함
수인지 판별하여라.

g(x)+h(x) g(x)h(x)

접근 방법

y=x¤ y y=x

F(x) F(-x) F(x) F(-x)=F(x)


F(-x)=-F(x)

함수 f(x)에 대하여
⑴ 우함수:함수 y=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
HjK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f(-x)=f(x)
⑵ 기함수:함수 y=f(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
HjK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f(-x)=-f(x)

상세 풀이

g(-x)= g(x) h(-x)=-h(x)


F(x)= g(x)+h(x)
F(-x)= g(-x)+h(-x)= g(x)-h(x)
F(-x)+F(x) F(-x)+-F(x) g(x)+h(x)
F(x)=g(x)h(x)
F(-x)=g(-x)h(-x)= g(x){-h(x)}=- g(x)h(x)=-F(x)
F(-x)=-F(x) g(x)h(x)

정답 ⑴ 우함수도 기함수도 아니다. ⑵ 기함수

보충 설명
다항함수 y=x« (n은 자연수)에서
⑴ 이차함수 y=x¤ 과 같이 n이 짝수인 함수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우함수를 짝함수(even function)라고도 합니다.
⑵ 일차함수 y=x와 같이 n이 홀수인 함수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기함수를 홀함수(odd function)라고도 합니다.

164 Ⅱ.
p.50

10-1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함수 f(x)는 우함수, 함수 g(x)는 기함수일 때, 다음 함수


가 우함수인지 기함수인지 판별하여라.

{ f(x)}¤ { g(x)}‹
f(x)
g(x)+0 f(x)+xg(x)
g(x)

04

10-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에 대하여 <보기>에서 우함수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f(x)+f(-x) f(x)-f(-x) f(x)f(-x)
f(x) (fΩf)(x)
f(x) (fΩf)(x)

10-3 두 함수 f(x)=2x¤ -8x-4, g(x)=2x+b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각각


f(a-x)=f(a+x), g(2-x)=-g(2+x)
를 만족시킬 때, 상수 a, b 에 대하여 a+b 의 값을 구하여라.

10-1
10-2 10-3 -2

04 165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그래프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라. (단, [ x ] 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11 y=x-[ x ] (-2…x<2) y=[ -x]

접근 방법

n…x<n+1 HjK [x]=n n


[ ] x x [ f(x)]

실수 x에 대하여
n…x<n+1 HjK [x]=n (단, n은 정수이다.)

상세 풀이

y=x-[ x] (-2…x<2) x x x
-2…x<-1 [ x]=-2 y=x+2
-1…x<0 [ x]=-1 y=x+1
y
0…x<1 [ x]=0 y=x
1 y=x-[x](-2…x<2)
1…x<2 [ x]=1 y=x-1
y=x-[ x] (-2…x<2) -2 -1 O 1 2 x

y=[-x] -x x x

-2<x…-1 1…-x<2 y=[-x]=1


-1<x…0 0…-x<1 y=[-x]=0 y=[-x] y
0<x…1 -1…-x<0 y=[-x]=-1
...

1
1 2
1<x…2 -2…-x<-1 y=[-x]=-2 -2 -1 O x
-1

y=[-x] -2
...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 x]에서 x의 값이 음수일 때, [ -2.3 ]=-2와 같이 잘못 답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2.3<-2이므로 [ -2.3 ]=-3입니다.
가우스 기호에 대한 다음의 성질도 같이 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⑴ 실수 x와 임의의 정수 n에 대하여 [ x+n]=[ x]+n ⑵ 실수 x, y에 대하여 [x ]+[ y]…[ x+y]

166 Ⅱ.
p.52

11-1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라. (단, [ x ] 는 x 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y=[;2{;] y=[x¤ ] (-2<x<2)

04

11-2 두 함수 f(x)=-x, g(x)=[ x ] 에 대하여 h(x)=( fΩgΩf )(x)라고 할 때, 0<x<3


에서 함수 y=h(x)의 그래프를 그려라. (단, [ x ] 는 x 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11-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 x ] 는 x 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f(x)=2 [x ] ¤ -3 [ x]+1

f(x)=[ x ]+[ -x]

11-1 p.370 11-2 p.370 11-3 0 {-1 0}

04 167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한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

x에 대한 방정식 |x¤ -4|=k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k의 값

12 의 범위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x |x¤ -4|=k k y=|x¤ -4| y=k


y=|x¤ -4| y=k y
4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는


x에 대한 방정식 f(x)=g(x)의 실근의 개수와 같다.

상세 풀이

x |x¤ -4|=k y=|x¤ -4| y=k


y=|x¤ -4| y=k

x¤ -4 (x…-2 xæ2)
y=|x¤ -4|=[
-x¤ +4 (-2<x<2) y ™
y=|x -4|
y=|x¤ -4| y=k 4

k
k
y=k

-2 O 2 x
0<k<4

정답 0<k<4

보충 설명
수학<상>에서 이차함수 y=ax¤ +bx+c (a, b, c는 상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ax¤ +bx+c=0의 실근과 같고, 이차함수 y=ax¤ +bx+c의 그래프와 직선 y=mx+n (m, n은 상수)의 교점
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ax¤ +bx+c=mx+n, 즉 ax¤ +(b-m)x+c-n=0의 실근과 같음을 배웠습니다.
일반적으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x에 대한 방정식 f(x)=g(x)의 실근과 같
습니다.

168 Ⅱ.
p.53

12-1 x에 대한 방정식 |x¤ -a¤ |=4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4
12-2 집합 A={x||x¤ -1|-x-k=0, x<R}에 대하여 n(A)=4 일 때, 실수 k의 값의 범위
를 구하여라. (단, R는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12-3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y


y=f(x)
방정식 ( fΩf )(x)=0 의 모든 실근의 합은?
1
-
2
① -;2%; ② -;2#; ③ -;2!; -2 O 1 x

④ 0 ⑤ 1 -2

12-1 -2<a<2 12-2 1<k<;4%; 12-3 ②

04 169
04- 1 X f(x)=2x¤ +x-2
X X+u

2 3 4
7 8

04- 2 f ( fΩfΩf )(x)= f(x)


보기
f(x)=x f(x)=x+1
f(x)=-x f(x)=-x+1

04- 3 X={1 2 3 4 5} X X f
f(1)=3 f(2)=4 ( fΩfΩf )(5)=1
f(3)

04- 4 X={1 2 3 4}
f(x)=ax g(x)=2x-1
gΩf a a+0

04- 5 X={1 2 3 4} f X 1⁄X


x+1 (x…3)
f(x)=[
1 (x=4)
g : X 1⁄X g(1)=3 fΩg=gΩf g(2)+g(4)

170 Ⅱ.
p.370 | p.55

04- 6 f(x)=2x-6 g(x)=4x-2 h(x)

( fΩh)(x)=g(x) (hΩf)(x)=g(x)

04- 7 A={2 4 6} A A f g
f(2)=6 f(4)=4 f(6)=2
g(2)=4 g(4)=6 g(6)=2
(gΩf —⁄ )(2)+( fΩg—⁄ )(2) 04

04- 8 f(x)=[
x¤ (xæ0)
x (x<0)
g(x)=x+4 ( f —⁄ Ωg)(0)

-2 -'2 1
'2 2

04- 9 f(x)=ax+b (4 -1) (3 2)


a b ab

04- 10 y=f(x) y y=f(x)

g(x)=x+1 ( fΩg)(x)æ0

-1 O 1 x

04 171
04- 11 X={x|xæa} X X f(x)=x¤ -2x-4
a

-1 0 1
2 4

04- 12 f(x) y=f(x)


( fΩf )(x)=x f(0)=1 f(-1)

-2 -1 0
1 2

04- 13 X X f g
f —⁄ (x)=x¤ , ( fΩg—⁄ )(x¤ )=x
( fΩg)(20)

2'5 4'1å0 40
200 400

04- 14 f(x)=|x-2|-5 g(x)=x¤ +6x+8 0…x…5


(gΩf )(x)

-4 -2 0
2 4

04- 15 f(x)=|x-2| ( fΩf )(x)=;5!;|x|

2 3 4
5 6

172 Ⅱ.
p.370 | p.58

04- 16 y=f(x) y=f —⁄ (x) y y=f(x)


y=x
A (2, 4) ABCD y=f -1 (x)
A
f(-4)=2 x
D
B
O x

04- 17 R R 04
f(x)=ax+|x-2|+4
f(x) a

a>0 a>1 a<-1


-1<a<1 a<-1 a>1

04- 18 y=f(x) y y=f(x)


y=x
{x|( fΩf)(x)=f(x)}

0 1 2
3 4 O
x

challenge

04- 19 f(x)=3x(1-x) (0…x…1) y=f(x) y


3 y=f(x)
( fΩf)(x) 4

O 1 1 x
2

challenge

04- 20 f(x)=x¤ -6x+12 g(x)=-2x¤ +4x+k (gΩf )(x)


10 k

04 173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01 유리식과 비례식 177

02 유리함수 198

기본 다지기 220
실력 다지기 222
01 유리식과 비례식 01 186

02 188

03 190

04 192

05 194

06 196

02 유리함수 07 206
cx+d 08 208
y=
ax+b
09 210

10 212

11 214

12 216

13 218
05 | 유리식과 유리함수

01 유리식과 비례식

1 유리식
A
A B (B+0)
B

2 유리식의 성질
A B C (B+0 C+0)
A A_C A A÷C
= =
B B_C B B÷C

3 유리식의 사칙연산
A B C D (C+0 D+0)
A B A+B A B A-B
+ = - =
C C C C C C
A B AB A B A D AD
_ = ÷ = _ = B+0
C D CD C D C B BC

02 유리함수

1 유리함수 y=;[K; (k+0)의 그래프

{x|x+0 } { y|y+0 } k<0 y k>0

k>0 1 3
k<0 2 4
O x
x y
y=x y=-x
|k|

2 유리함수 y=;[:: Kp;+q (k+0)의 그래프


-
y=;[K; x p y k>0 y
k
y= +q
q x-p

q
{x|x+p } { y|y+q }
x=p y=q
O p x

176 Ⅱ.
01
1 유리식

0
1

05

m
m n (n+0)
n
A
A B (B+0) 유리식
B

A
B 0
B

Example 1 1 -x¤ +1 1
x+1 3+ 5x+2
3x-2 x-1 2 x
-x¤ +1 1 1 1
x+1 5x+2 3+
2 3x-2 x-1 x

유리식

A
1 A B (B+0)
B

2 [

05 177
2 유리식의 성질

0
0

유리식의 성질

A B C (B+0 C+0)
A A_C A A÷C
1 B = B_C 2 B = B÷C

유리수의 성질
a b c (b+0 c+0)
a a_c a a÷c
= =
b b_c b b÷c

Example 9a‹ x¤ y 3a¤ xy_3ax 3ax


= =
3a¤ xy‹ 3a¤ xy_y¤ y¤
x¤ -2x x(x-2) x
= =
x¤ -3x+2 (x-1)(x-2) x-1

A C
1 B
D
D
AD BC
B
BD BD

178 Ⅱ.
Example 2 1
x¤ -1=(x+1)(x-1) x¤ +4x+3=(x+3)(x+1)
x¤ -1 x¤ +4x+3

2 2(x+3)
=
x¤ -1 (x+1)(x-1)(x+3)
1 x-1
=
x¤ +4x+3 (x+3)(x+1)(x-1)
x x-1
x¤ -4=(x+2)(x-2) x¤ +5x+6=(x+3)(x+2)
x¤ -4 x¤ +5x+6

x x(x+3)
=
x¤ -4 (x+2)(x-2)(x+3)
x-1 (x-1)(x-2)
=
x¤ +5x+6 (x+3)(x+2)(x-2)

05

3 유리식의 사칙연산

1.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A B C (C+0)
A B A+B A B A-B
1 C+C= C 2 C-C= C

Example x 2 x-2 x-2 1


- = = =
x¤ -4 x¤ -4 x¤ -4 (x+2)(x-2) x+2
1 2 x+3 2(x+2)
+ = +
x+2 x+3 (x+2)(x+3) (x+2)(x+3)
x+3+2(x+2) 3x+7
+ = =
(x+2)(x+3) (x+2)(x+3)

05 179
2.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A÷B=A_;b!: (B+0)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A B C D (C+0 D+0)
A B AB
1 C _ D = CD

A B A D AD
2 C ÷ D = C _ B = BC B+0

Example x+2 x+3 x+2 x+3 x+3


_ = _ =
x-1 x¤ -4 x-1 (x+2)(x-2) (x-1)(x-2)
x-2 x-3 x-2 x-3
÷ = ÷
x+1 x¤ -3x-4 x+1 (x+1)(x-4)
x-2 (x+1)(x-4) (x-2)(x-4)
÷ = _ =
x+1 x-3 x-3

4 유리식의 변형

1. (분자의 차수)æ(분모의 차수)인 경우

<
x-6 x-5-1 1
= =1-
x-5 x-5 x-5

180 Ⅱ.
Example x¤ +3x+6 x¤ -3x-6 x(x+3)+6 x(x-3)-6
- = -
x+3 x-3 x+3 x-3
6 6
- ={x+ }-{x- }
x+3 x-3
6 6 6(x-3)+6(x+3)
- = + =
x+3 x-3 (x+3)(x-3)
6x-18+6x+18 12x
- = =
(x+3)(x-3) (x+3)(x-3)

2. 네 개 이상의 유리식을 계산하는 경우

1
-
1
+
1
-
1
={
1
-
1
}+{
1
-
1
}
05
x+1 x+2 x+3 x+4 x+1 x+2 x+3 x+4
1 1
- + - = +
(x+1)(x+2) (x+3)(x+4)

3. 분모가 두 개 이상의 인수의 곱인 경우(부분분수로 변형)



{ - } (A+B)
1 1 1 1
=
AB B-A A B

{ }=
1 1 1 1 1 1
= - -
(x+1)(x+2) (x+2)-(x+1) x+1 x+2 x+1 x+2

Example 1 2
-
(x+2)(x+4) x(x+4)
1 1 1 2 1 1
= { - }- { - }
(x+4)-(x+2) x+2 x+4 (x+4)-x x x+4
1 1 1 1
=;2!; { - }-;2!; { - }
x+2 x+4 x x+4
1 1 x-(x+2) 1
=;2!; { - }=;2!; _ =-
x+2 x x(x+2) x(x+2)

05 181
4. 분자 또는 분모가 분수식인 경우(번분수식)

B
A B D B C BC
= ÷ = _ = A+0 C+0 D+0
D A C A D AD
C

112
Example x-2
x x-2 x¤ -4 x-2 x 1
= ÷ = _ =
x x x x+2
1123
x¤ -4 (x+2)(x-2)
x

번분수식에서 가운데는 분모로, 위, 아래는 분자로!

B
A BC
= (A D)
D AD (B C)
C

5 비례식

a b a:b

a:b ;bA;

1. 비례식의 뜻
10 : 15 2:3
a:b c:d

a : b=c : d ;bA;=;dC;

182 Ⅱ.
a : b=c : d HjK ad=bc
a : b = c : d ad = bc
a : b=c : d HjK ;bA;=;dC;

a : b=c : d HjK ;cA;=;dB;

Example 16 : 12=4 : 3

16 : 12=4 : 3 HjK ;1!2^;=;3$; HjK 16_3=12_4 HjK :¡4§:=;;¡3™;;

16 : 12 : 8=4 : 3 : 2

16 : 12 : 8=4 : 3 : 2 HjK :¡4§:=;;¡3™;;=;2*; 05

2. 조건이 비례식으로 주어진 유리식의 계산


k
k k

a : b=c : d ;cA;=;dB;=k (k+0 )

a=ck b=dk a : b=c : d ;bA;=;dC;=k (k+0) a=bk c=dk

a : b : c=d : e : f ;dA;=;eB;=:fC;=k (k+0)

a=dk b=ek c=fk

Example xy+y¤
x : y=3 : 1
x¤ -yx

|방법 1| ;3{;=;1};=k (k+0) x=3k y=k

xy+y¤ 3k_k+k¤ 3k¤ +k¤ 4k¤


= = = =;6$;=;3@;
x¤ -yx (3k)¤ -k_3k 9k¤ -3k¤ 6k¤
|방법 2| x=3y
xy+y¤ 3y_y+y¤ 3y¤ +y¤ 4y¤
= = = =;6$;=;3@;
x¤ -yx (3y)¤ -y_3y 9y¤ -3y¤ 6y¤

05 183
비례식

1 a:b c:d

a : b=c : d ;bA;=;dC;

2 0 k

a : b=c : d HjK ;cA;=;dB;=k HjK a=ck b=dk

a : b : c=d : e : f HjK ;dA;=;eB;=:f C;=k HjK a=dk b=ek c=f k

6 비례식의 성질

비례식의 성질

1 a : b=c : d ;bA;=;dC;

a+b c+d a-b c-d


= =
b d b d
a+b c+d
= a+b c+d
a-b c-d
2
a : b=c : d=e : f ;bA;=;dC;=:fE: a
a+c+e pa+qc+re
;bA;=;dC;=:fE:= = b+d+f+0 pb+qd+rf+0
b+d+f pb+qd+rf

12 : 4=9 : 3=6 : 2
12+9+6
:¡4™:=;3(;=;2^;= =3
4+3+2

Proof 1 ;bA;=;dC; 1 ;bA;+1=;dC;+1

a+b c+d
= yy
b d

184 Ⅱ.
;bA;=;dC; 1 ;bA;-1=;dC;-1

a-b c-d
= yy
b d
÷
a+b b c+d d
_ = _
b a-b d c-d
a+b c+d
=
a-b c-d

2 ;bA;=;dC;=:fE:=k (k+0) a=bk c=dk e= f k

a+c+e
a+c+e=bk+dk+fk=(b+d+f )k k=
b+d+ f
a+c+e
;bA;=;dC;=:fE:=
b+d+ f 05
pa+qc+re
a=bk c=dk e= f k p q r
pb+qd+r f
pa=pbk qc=qdk re=rfk

pa+qc+re
pa+qc+re=pbk+qdk+rf k=(pb+qd+rf)k k=
pb+qd+rf
pa+qc+re
;bA;=;dC;=:fE:=
pb+qd+rf

1 1
1 x+ x =3 x¤ +

x y z 2x+3y+4z
2 3
= = =
4 5 a
a

1 x¤ + x¤ ={x+ x }¤ -2=3¤ -2=7


1 1
풀이

x y z 2x+3y+4z 2x+3y+4z
2 1
3
= = =
4 5 2_3+3_4+4_5
=
38
a=38

x y z
2 = = =k (k+0) x=3k y=4k z=5k
3 4 5
2x+3y+4z
2 2x+3y+4z=2_3k+3_4k+4_5k=38k k=
38
a=38

05 185
유리식의 사칙연산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01 x
+
1
x¤ -1 x¤ -1
x
x-1
-
4
x¤ +2x-3
2x-4 x-1 x-2 x¤ -3x+2
_ ÷
x¤ -x x¤ -4 x-3 x¤ -9

접근 방법

;cA; ÷;dB; =;cA; _;bD; =;bAcD:

상세 풀이

x 1 x+1 x+1 1
+ = = =
x¤ -1 x¤ -1 x¤ -1 (x+1)(x-1) x-1
x 4 x 4 x(x+3)-4
- = - =
x-1 x¤ +2x-3 x-1 (x+3)(x-1) (x+3)(x-1)
x¤ +3x-4 (x+4)(x-1) x+4
- = = =
(x+3)(x-1) (x+3)(x-1) x+3
2x-4 x-1 2(x-2) x-1 2
_ = _ =
x¤ -x x¤ -4 x(x-1) (x+2)(x-2) x(x+2)
x-2 x¤ -3x+2 x-2 x¤ -9 x-2 (x+3)(x-3) x+3
÷ = _ = _ =
x-3 x¤ -9 x-3 x¤ -3x+2 x-3 (x-1)(x-2) x-1
1 x+4 2 x+3
정답 ⑴ ⑵ ⑶ ⑷
x-1 x+3 x(x+2) x-1

보충 설명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에서는 분모를 통분하여 계산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즉, 네 다항식 A, B, C, D (C+0, D+0)에 대하여

① ;cA;—;cB;= 111 (복부호동순) ② ;cA;—;dB;=;cAdD;— 124 = 11111 (복부호동순)


A—B BC AD—BC
C CD CD

186 Ⅱ.
p.64

01-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x-3 2x-11 2x¤ +3 x¤ +7


+ -
x+2 x¤ +x-2 x-2 x-2
x-1 x x¤ +4x+3 x+3
_ ÷
x¤ -2x x¤ +x-2 x¤ +x-2 x-1

01-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05


2ab 4a 2(a-b)
÷ _
a¤ -b¤ a+b b
x¤ +xy-xz x¤ -xy x¤ -(y-z)¤
÷ ÷
x¤ +2xy+y¤ (x-y)¤ -z¤ x¤ -y¤

01-3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x¤ -3x+3 x¤ +3x+1 1 1 2 4
+ - - -
x-1 x+1 x-1 x+1 x¤ +1 x› +1

x-4 1 x+1
01-1 x+2
x-1 (x-2)(x+2) x+2
x-y-z 2(x‹ -x+1) 8
01-2 1 01-3
x+y (x-1)(x+1) x° -1

05 187
부분분수로의 변형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02 1
+
1
+
1
x(x+1) (x+1)(x+2) (x+2)(x+3)
1 1 1
+ +
(x+1)(x+3) (x+3)(x+5) (x+5)(x+7)

접근 방법

11 = 111 { 15 - 15 } (단, A+B)


1 1 1 1
AB B-A A B
-
B- ↑
)
상세 풀이 AIFBA
-


1 1 1
+ +
x(x+1) (x+1)(x+2) (x+2)(x+3)
1 1 1 1 1 1
={ - }+{ - }+{ - }
x x+1 x+1 x+2 x+2 x+3
1 1 (x+3)-x 3
= - = =
x x+3 x(x+3) x(x+3)
1 1 1
+ +
(x+1)(x+3) (x+3)(x+5) (x+5)(x+7)
1 1 1 1 1 1 1 1 1
= { - }+ { - }+ { - }
2 x+1 x+3 2 x+3 x+5 2 x+5 x+7
1 1 1 1 1 1 1
= [{ - }+{ - }+{ - }]
2 x+1 x+3 x+3 x+5 x+5 x+7
1 1 1 1 (x+7)-(x+1) 3
= { - }= _ =
2 x+1 x+7 2 (x+1)(x+7) (x+1)(x+7)
3 3
정답 ⑴ ⑵
x(x+3) (x+1)(x+7)

보충 설명
분모가 두 개 이상의 인수의 곱으로 되어 있는 유리식에서 부분분수로의 변형은 유리식을 규칙적으로 지워지는
형태로 바꿀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식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188 Ⅱ.
p.65

02-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2 2 2
+ +
x(x+2) (x+2)(x+4) (x+4)(x+6)
1 2 3
+ +

x(x+1) (x+1)(x+3) (x+3)(x+6)

05
02-2 다음 식의 분모를 0으로 만들지 않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1 2 3 4
+ + +
x(x+1) (x+1)(x+3) (x+3)(x+6) (x+6)(x+10)
n
=
x(x+m)
이 성립할 때, m+n의 값을 구하여라. (단, m, n은 상수이다.)

02-3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서로소인 두 자연수 m, n에 대하여 m+n의 값을 구하여라.


1 1 1 1 n
+ + +y+ =
1_2 2_3 3_4 19_20 m

6 6
02-1 02-2 20
x(x+6) x(x+6)
02-3 39

05 189
번분수식의 계산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03 1-;a!;
1114 1111113
1
1
a-;a!; 1-11113
1
1-112
1-x

접근 방법

;aB;
11 =;aB;÷;cD;=;aB;_;dC;=;aBdC;
;cD;

상세 풀이

112
a-1
1-;a!; a(a-1) a(a-1)
1114 =
a 1
= = =
a+1
1123
a-;a!; a¤ -1 a(a¤ -1) a(a+1)(a-1)
a

1111113 = 111112 = 111154 =


1 1 1 1
=x
1
1 1 1-x 1
1-11113 1-1112 1+112
x
112
1 -x x
1-112
1-x 1-x

1
정답 ⑴ ⑵x
a+1

보충 설명
⑴`에서 분자와 분모에 각각 a를 곱하여 정리할 수도 있습니다.

1-;a!; {1-;a!;}_a
111 = 11111 = 1124 = 11112124 = 112
a-1 a-1 1
{a-;a!;}_a
a¤ -1 (a+1)(a-1) a+1
a-;a!;

190 Ⅱ.
p.65

03-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111154 1+ 11111
a+2 1
2 1
a-112 1-111
a+1 1
1+1
x

05
03-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112+112 112-112
1 1 x+a 2x
1-x 1+x a x+a
112-112
1 1
111
x¤ +a¤
1-x 1+x x-a

03-3 1
+
1
+
1
+ 1112 +
1 1
+
1
+
1
+
1
을 간단
14+1 14+1 14+1
1 1 1 a+1
;a!;+1 a‹ +1 afi +1 a‡ +1
a‡ afi a‹
히 하여라.

a+1 x-a
03-1 x+2 03-2 ;[!;
a-1 a(x+a)
03-3 4

05 191
유리식의 값

x¤ -x+1=0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04 x+;[!; x¤ +
1

1 1
x‹ + x› +
x‹ x›

접근 방법

x¤ -x+1=0 x=0 x+0 x

x+;[!;

x¤ + 15 ={x+;[!;}¤ -2, x‹ + 15 ={x+;[!;}‹ -3 {x+;[!;}


1 1
x¤ x‹

상세 풀이

x¤ -x+1=0 x+0 x

x-1+;[!;=0 x+;[!;=1

a¤ +b¤ =(a+b)¤ -2ab


1
x¤ + ={x+;[!;}¤ -2=1¤ -2=-1

a‹ +b‹ =(a+b)‹ -3ab(a+b)
1
x‹ + ={x+;[!;}‹ -3 {x+;[!;}=1‹ -3_1=-2
x‹
a¤ +b¤ =(a+b)¤ -2ab
1
={x¤ + }¤ -2=(-1)¤ -2=-1
1
x› +
x› x¤

정답 ⑴ 1 ⑵ -1 ⑶ -2 ⑷ -1

보충 설명
x¤ -x+1=0의 양변에 x+1을 곱하면 (x+1)(x¤ -x+1)=0이므로 x‹ +1=0 ∴ x‹ =-1
이를 이용하여 ⑶, ⑷`의 값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⑶ x‹ + 14 =-1+(-1)=-2
1
x‹

⑷ x› + 14 =-x+ 11 =-{x+;[!;}=-1
1 1
x› -x

192 Ⅱ.
p.66

04-1 x¤ -3x+1=0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1
x+;[!; x¤ +

1 1
x‹ + x› +
x‹ x›

05
04-2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x¤ -2x-1=0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1 1 1
x¤ + x¤ - x‹ -
x¤ x¤ x‹

1 1
04-3 x¤ +

=11일 때, x- 의 값을 구하여라. (단, 0<x<1 )
x

04-1 3 7 18 47 04-2 6 4'2 14


04-3 -3

05 193
비례식의 계산

x:y:z=1:2:3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05 ;[};+;]Z;+;z{;
x¤ +y¤ +z¤
xy+yz+zx

접근 방법

x y z=1 2 3 0 k x=k, y=2k, z=3k k

x:y:z=a:b:c HjK ;a{;=;b};=;cZ;=k

x:y:z=a:b:c HjK x=ak, y=bk, z=ck (단, k+0)

상세 풀이

x y z=1 2 3 ;1{;=;2};=;3Z;=k (k+0)

x=k y=2k z=3k


12+9+2
;[};+;]Z;+;z{;=:™k:+;2#kK;+;3k;=2+;2#;+;3!;= =:™6£:
6
x¤ +y¤ +z¤ k¤ +(2k)¤ +(3k)¤ 14k¤
= = =;1!1$;
xy+yz+zx k_2k+2k_3k+3k_k 11k¤

정답 ⑴ :™6£: ⑵ ;1!1$;

보충 설명
문제에서 비가 주어져 있고 변형된 비의 값을 구하는 것이므로 비를 만족시키는 어떤 특정한 상수 k에 관계없이
그 값이 일정합니다. 따라서 k=1일 때를 생각하여 x=1, y=2, z=3을 대입하여 풀어도 됩니다.

194 Ⅱ.
p.67

05-1 ;[!;:;]!;:;z!;=2:3:1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x+y)z
;[};+;]Z;+;z{;
x(y+z)

05-2
a+b
=
b+c
=
c+a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단, abc+0)
05
3 4 5

ab+bc+ca a‹ +b‹ +c‹


a¤ +b¤ +c¤ 3abc

05-3 0이 아닌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a 2b-c c 3a+2b+2c
= = =
2 3 4 n
를 만족시키는 상수 n의 값을 구하여라.

05-1 :™6∞: ;4%; 05-2 ;1!4!; 2 05-3 21

05 195
가비의 리

0이 아닌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06 b+c c+a a+b


a
=
b
=
c
=k

가 성립할 때, 상수 k의 값을 모두 구하여라.

접근 방법

b+c c+a a+b 2(a+b+c)


= = =
a b c a+b+c
0 0

a:b=c:d=e:f, 즉 ;bA;=;dC;=;fE; 일 때

;bA;=;dC;=;fE;= 11114 = 1111124


a+c+e pa+qc+re
b+d+f pb+qd+rf
(단, 분모는 0이 아니다.)

상세 풀이

⁄ a+b+c+0
b+c c+a a+b (b+c)+(c+a)+(a+b) 2(a+b+c)
= = = = =2
a b c a+b+c a+b+c
k=2
¤ a+b+c=0 b+c=-a
b+c -a
= =-1 k=-1
a a
⁄ ¤ k -1 2

정답 -1, 2

보충 설명
가비의 리를 모르더라도 비례식의 계산을 이용하여 k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112 = 112 = 112 =k 에서 b+c=ak, c+a=bk, a+b=ck


b+c c+a a+b
a b c
위의 세 식을 변끼리 더하면 2(a+b+c)=(a+b+c)k
따라서 a+b+c+0인 경우와 a+b+c=0인 경우로 나누어서 k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196 Ⅱ.
p.68

06-1 0이 아닌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3a 2b c
= = =k
2b+c c+3a 3a+2b
가 성립할 때, 상수 k의 값을 모두 구하여라.

06-2 0이 아닌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유리식 05


2b+3c 3c+a a+2b
= =
a 2b 3c
의 값은 a+2b+3c+0일 때 p이고, a+2b+3c=0일 때 q이다. 10p+q의 값을 구하여라.

06-3 0이 아닌 세 실수 a, b, c에 대하여

11111 = 1111 = 1111


-a+b+c a-b+c a+b-c
a b c

가 성립할 때, 1111111111 의 값을 모두 구하여라.


(a+b)(b+c)(c+a)
abc

06-1 -1 ;2!; 06-2 19 06-3 -1 8

05 197
02
1 유리함수

y=f(x) f(x) x 유리함수 f(x)


x 다항함수

0 x

y=;[!; 0

{x|x+0 }

x+3 x-1 5 x-1


Example y= y= y= y=x¤ +;4!; y=
x 2 x 2

y=x¤ +;4!;

x
y= {x|x+-2 }
x+2

유리함수

1 y=f(x) f(x) x
y=f(x) f(x) x
2 0 x

2 유리함수 y=;[K; (k+0)의 그래프

y=;[!;

198 Ⅱ.
y
1 x 0
y 2
1
1 2 1 1
- y=
x y -2 -1 -;2!; y ;2!; 1 2 y 2 x
-2 -1
O 11 2 x
y y -;2!; -1 -2 y 2 1 ;2!; y 2
-1 1
-
2
2 1 x y (x y) -2

y=;[!; 0

f(x)=;[!; f(-x)=-;[!; f(x)=-f(-x) 05


x>0 x y 0 x 0
y x<0 x y 0

x 0 y y=;[!; x

x x y

점근선

y=;[!; x y y=0 x=0

y=;[!; y=;[K; (k+0)

y=;[K; (k+0) k

k>0 y k<0 y
k=2
1 1
k= k=-
2 k=-2 2
1 1
-1 1 x
O 1 x -1 O
-1 -1

k=-1 k=-2
k=1
k=2

05 199
k>0 1 3 k<0
2 4 k

y=;[K; (k+0) x y

y=;[K; (k>0) y=-x y y=x

y=x y=-x

y=;[K; (k<0) O
x

y=x y=-x
x y y x x=;]K; y=;[K;

y=;[K; (k+0) y=x

유리함수 y=;[K; (k+0)의 그래프

1 {x|x+0 } { y|y+0 } k>0


y
k<0
y
2 k>0 1 3
k -k
k<0 2 4 -1 1 x
O 1 x -1 O
3 x y -k k

4 y=x y=-x

5 |k|

Example y=;2¡[; y=-;2¡[; y=;[#; y=-;[#;

y y y
y=
1
y=-
1 1 y 1
1 x y= y=-
x x 3 3 x
2
1
-1 O 2 1 x -1 1 x
1 x -1 O O 1 x -1 O
1
- 1 -3
2 - -3
2

K p;+q (k+0)의 그래프


3 유리함수 y=;[:::
-

y=;[K; (k+0)

200 Ⅱ.
K p;+q (k+0)의 그래프
1. 함수 y=;[:::
-

y=;[K; (k+0) y
y=
k
+q
x-p
k
y=
x p y q x
q

k k O p x
y-q= y= +q
x-p x-p

{x|x+0 } ˙k {x|x+ p }

} ˙k { y|y+ q
{ y|y+0 }
05

x=0 y ˙k x=p y=0 x ˙k y=q

k
y= +q (k+0)
x-p

2 y=;[K;

k y
y= (k+0) y-q=x-p
x
k
y= +q (k+0) (p q)
x-p q

O p x

k
y= y=x y=-x y-q=-(x-p)
x
k
y= x p y q
x
k
y= +q (k+0) y=x y=-x x p y
x-p

05 201
q
y-q=x-p y-q=-(x-p)

2 2 y 2
Example y= +1 y= x y= +1
x-2 x x-2

2 y 1
1
x=2 y=1
2 O 2 x
y=
x

2
y= +1 {x|x+2 }
x-2
{y|y+1 }
2
y= +1 (2 1)
x-2

y-1=x-2 y-1=-(x-2)
y=x-1 y=-x+3

cx+d
2. 함수 y= ax+b (a+0, ad-bc+0)의 그래프

cx+d
y= (a+0 ad-bc+0)
ax+b
k
y= +q (k+0)
x-p

Example 2x+3 2(x+1)+1 1 2x+3 y


2x+3
y= = = +2 y= y=
x+1 x+1 x+1 x+1 x+1

1 3
y= x -1
x 2
y 2 -1
3 O x
2x+3 --
y= 2
x+1
{x|x+-1 } { y|y+2 }

202 Ⅱ.
k
y= +q (k+0) x -p y -q
x-p
k k
y= y=- x
x x
k
y y=
x

k¡ k™
y= +q¡ (k¡+0) y= +q™ (k™+0)
x-p¡ x-p™
|k¡|=|k™|

k 05
유리함수 y= +q (k+0)의 그래프
x-p

k
1 y=
x-p
+q (k+0)

k
y= x x p y q

{x|x+p } { y|y+q }
x=p y=q

k>0 y k<0 y

q q

O p x O p x

cx+d
2 y=
ax+b
(a+0 ad-bc+0)

cx+d
y= (a+0 ad-bc+0)
ax+b
k
y= +q (k+0)
x-p

cx+d
y= a+0 ad-bc+0
ax+b

a=0 y=;bC;x+;bD;

cx+d
ad-bc=0 ad=bc a : b=c : d y= =;aC; {x+-;aB;}
ax+b

05 203
4 유리함수의 역함수

[x|x+-;aB; ]
cx+d
y= (a+0 ad-bc+0)
ax+b

[y|y+;aC; ] 04 함수

cx+d
y=
ax+b

Example x
y=-
x+2
x
x
y=- x
x+2
y(x+2)=-x (y+1)x=-2y
2y
x=-
y+1
x y
x y
2x
y=- yy
x+1

k
y= (k+0) y=x
x

유리함수의 역함수

1 y=f(x) x x=f -1(y)


2 x y y=f -1(x)

공식을 이용하여 유리함수의 역함수를 구하는 방법

f(x)= 111 ˙k f —⁄ (x)= 1111 b


cx+d -bx+d
c
ax+b ax-c

204 Ⅱ.
점근선을 이용하여 유리함수의 역함수를 빠르게 구하자`! ^^

k
y= +q (k+0)
x-p
y=x
k
x=p y=q y= +q
x-p
k
x=q y=p y= +p
x-q
y y
k>0 k>0

O q x

q p

p O x 05
k k
y= +q, x=p, y=q y= +p, x=q, y=p
x-p x-q

1
x+1 1
y= y=
x-3 x¤ -4

2
1 1
y= -2 y=- +2
x+1 x-1

풀이 1 x-3+0 x+3 {x|x+3인 실수}


x¤ -4+0 x+—2 {x|x+—2인 실수}

2 y y
1
-
2 O
-1 x 3
-1
2
-2
O 1 3 x
2

정의역 : {x|x+-1인 실수} 정의역 : {x|x+1인 실수}


치역 : {y|y+-2인 실수} 치역 : {y|y+2인 실수}

05 205
유리함수의 그래프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정의역, 치역, 점근선의 방정식을 각각 구하여라.

07 y=
1
x-1
+2 y=
2x-3
x-1

접근 방법

k
y= +q (k+0) y=;[K; x p y
x-p
cx+d
q y= (a+0 ad-bc+0)
ax+b
k
y= +q (k+0)
x-p

평행이동을 이용하여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그린다.

상세 풀이

1
y= +2 y=;[!; x 1 y y 1
x-1 y=
x-1
+2

2
2
{ x|x+1 } { y|y+2 } 1

x=1 y=2 O 1 x
1
2

2x-3 2(x-1)-1 1 2x-3


y= = =- +2 y= 2x-3 y
x-1 x-1 x-1 x-1 y=
x-1

y=-;[!; x 1 y 2 3

O 1 3 x
{ x|x+1 } { y|y+2 } 2
x=1 y=2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유리함수 y= 112 +q (k+0)의 그래프를 그릴 때에는 먼저 점근선을 그린 후 두 점근선을 좌표축과 같이 생


k
x-p

각하고 그 위에 함수 y=;[K; 의 그래프를 그립니다.

206 Ⅱ.
p.69

07-1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정의역, 치역, 점근선의 방정식을 각각 구하여라.

1 1
y= -1 y=- +2
x-2 x+1
x+3 -x-1
y= y=
x+1 x+2

05
함수 y= 112 의 그래프는 함수 y=;[K;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
x+1
07-2 x-2
로 b만큼 평행이동한 것일 때, a+b+k의 값을 구하여라. (단, k는 상수이다.)

07-3 다음 함수 중 그 그래프가 평행이동에 의하여 함수 y=;[@;의 그래프와 겹쳐질 수 있는 것은?

-x+2 2x+3 3x+4


y= y= y=
x+1 x+2 x+3
x -2x+6
y= y=
x-1 x-2

07-1 p.371 07-2 6 07-3

05 207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

ax+b
함수 y= 의 그래프가 점 (1, 0)을 지나고, 점근선의 방정식이 x=2,

08 x+c
y=-1일 때, 상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접근 방법

ax+b k
y= y= +q (k+0)
x+c x-p
k
x=p y=q y= +q (k+0)
x-p

함수 y= 1144 +q (k+0)의 그래프에서 점근선은 두 직선 x=p, y=q이다.


k
x-p

상세 풀이

x=2 y=-1
k
y= -1 (k+0) yy
x-2
(1 0)
k
0= -1 k=-1
-1
k=-1
1 -1-(x-2) -x+1
y=- -1= =
x-2 x-2 x-2
a=-1 b=1 c=-2

정답 a=-1, b=1, c=-2

보충 설명
⑴ 수학 <상>의 06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에서 이차함수 y=ax¤ +bx+c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 (p, q)가 주
어졌을 때,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y=a(x-p)¤ +q로 놓고 푸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⑵ 유리함수 y= 111 (a+0, ad-bc+0)의 그래프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cx+d
ax+b

x=-;aB; 0 x

y=;aC;

입니다.

208 Ⅱ.
p.70

함수 y= 1114 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고, 점근선의 방정식이 x=-1, y=-3


ax+b
08-1
x+c
일 때, 상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함수 y= 111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상수 a, b,


ax+b
08-2 y
x+c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여라. 05
2
1

-1 O x

두 함수 f(x)= 1114 , g(x)= 1114 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같고 f(1)=-1일 때,


2x+4 bx+5
08-3 2x+a x+c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여라.

08-1 a=-3 b=-1 c=1 08-2 4


08-3 -11

05 209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성

2x-5
함수 f(x)=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9 x-3

y=f(x) (a b) a+b
y=f(x) y=x+m y=-x+n
x m n

접근 방법

k
y= +q (k+0)
x-p

함수 y= 1k
12 +q (k+0)의 그래프는
x-p
⑴ 두 점근선의 교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다.
⑵ 두 점근선의 교점 (p, q)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 y-q=—(x-p)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상세 풀이

2x-5 2(x-3)+1 1
f(x)= = = +2
x-3 x-3 x-3
y=f(x) x=3 y=2
y=f(x) (3 2) a=3 b=2
a+b=3+2=5
y=f(x) (3 2) —1 y y=x-1

y=x+m y=-x+n (3 2)
2=3+m 2=-3+n 5

m=-1 n=5 y=x-1 y=-x+5 x 2


1 5
O -1 3 x

;2!;_4_2=4 y=-x+5

정답 ⑴5 ⑵4

보충 설명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의 기울기는 변하지 않으므로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성을 따질 때에는 두 점근선의
교점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10 Ⅱ.
p.71

09-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3x+1
y=- (a b) a+b
x+1
-x+5
y= y=mx+n m n
x-2
m+n m>0

05
09-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2x-1
y= (3 b) a+b
x-a
a

ax+3
y= y=-x+1 y=x-3
x+b
a b a+b

ax+b
09-3 함수 y=
cx+d
(c+0)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은? (단, a, b, c, d는 상수이다.)

a-d=0 a+d=0 ad=-1


ad=1 ad-bc=0

09-1 -4 -2 09-2 5 -3 09-3

05 211
유리함수의 최대, 최소

x-1
-1…x…1에서 함수 y= 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고 할 때,

10 M+m의 값을 구하여라.
x+2

접근 방법

k
y= +q (k+0)
x-p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주어진 정의역에서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다.

상세 풀이

x-1 (x+2)-3 3 x-1 y


y= = =- +1 y=
x+2 x+2 x+2 x+2
3
y=- x -2 y 1 1
x -1
-2 O 1 x

x-1 -2
-1…x…1 y=
x+2 x-1
y=
x+2
-1-1
x=-1 m= =-2
-1+2
1-1
x=1 M= =0
1+2
M+m=0+(-2)=-2

정답 -2

보충 설명
x-1
함수 y= 의 그래프는 -1…x…1에서 x의 값이 증가할수록 y의 값도 증가하므로 x=-1일 때 최솟값을
x+2
가지고, x=1일 때 최댓값을 가집니다.

212 Ⅱ.
p.72

10-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x-1
-2…x…1 y=
x+3
-2x+3
2…x…4 y=
x-1

10-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5


2x+4
0…x…a y= 3 a
x+1
6x
0…x…a y= 4 a
x+2

2x+4
10-3 0…x…2에서 함수 y=
x+a
의 최댓값이 1일 때, 최솟값은? (단, a는 양의 상수이다.)

;4!; ;3!; ;2!;

;3@; ;4#;

10-1 -3 ;3%; 10-2 1 4 10-3

05 213
유리함수의 합성함수

x
함수 f(x)= 에 대하여

11 x-1
f 1=f, `f n=fΩf n-1 (n=2, 3, 4, y)
으로 정의할 때, f 99(2)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f(x)
f n(x)=f(x) f n(x)=x
n

합성함수 f n=fΩf n-1은 f 2, f 3, f 4, y 을 직접 구하여 f n을 추정한다!

상세 풀이
x
f(x)=
x-1

114 114
x x
2 f(x) x-1 x-1
f (x)=( fΩf )(x)=f( f(x))= = = =x
114-1 114
f(x)-1 x 1
x-1 x-1
f 3(x)=( fΩf 2 )(x)=f( f 2(x))=f(x)
f 2(x)=f 4(x)=f 6(x)=y=f 2n(x)
f 99(x)=f 2_49+1(x)=f(x)
2
f 99(2)=f(2)= =2
2-1
정답 2

보충 설명
⑴ f (2), f 2(2), f 3(2), y 에서 규칙을 찾아 f n(2)의 값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 11-1 풀이를 참고하세요.)
⑵ 함수의 합성에서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지만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f 3(x)=( fΩf 2 )(x)=f( f 2(x))
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14 Ⅱ.
p.73

x-'3
11-1 함수 f(x)= 에 대하여
'3x+1
f 1=f, `f 2=fΩf, `f 3=fΩf 2, `y, `f n=fΩf n-1 (`n=2, 3, 4, y)
으로 정의할 때, f 101('3 )의 값을 구하여라.

11-2 오른쪽 그림은 유리함수 y=f(x)의 그래프이다. y


y=f(x)
1
f =f
f n=fΩf n-1 (n=2, 3, 4, y) 3 05
으로 정의할 때, f 99(2)+f 100(2)의 값을 구하여라. 2
O 2 3 x

1
11-3 함수 f(x)=
1-x
에 대하여

f1(x)=f(x), `fn+1(x)=( fΩfn)(x) (`n은 자연수)


로 정의하자. 2…x…3에서 함수 y=f10(x)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고 할 때,
M+m의 값은?

-;2%; -2 -;2#;

-1 -;2!;

11-1 -'3 11-2 2 11-3

05 215
유리함수의 역함수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여라.

12 y=
x-1
x-2
y=
1
x-1
+2

접근 방법

y=f(x)
1 y=f(x) x x= f —⁄ (y)
2 x y y= f —⁄ (x)

f(x)= 1112 의 역함수 ∆ f —⁄ (x)= 11113


cx+d -bx+d
ax+b ax-c

상세 풀이

x-1
y= x
x-2
2y-1
y(x-2)=x-1 xy-2y=x-1 (y-1)x=2y-1 x=
y-1
2x-1
x y y=
x-1
1
y= +2 x
x-1
1 1 1
y-2= x-1= x= +1
x-1 y-2 y-2
1
x y y= +1
x-2

2x-1 1
정답 ⑴ y= ⑵ y= +1
x-1 x-2

보충 설명
1 1
⑵`에서 함수 y= +2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y=2이고, 이 함수의 역함수인 y= +1
x-1 x-2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1입니다. 즉, 역함수에서 원래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이 바뀌는 것처럼
점근선의 방정식도 x와 y가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16 Ⅱ.
p.74

12-1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여라.

x+2 3
y= y=- -1
x-3 x+2

함수 f(x)= 1112 의 역함수가 f —⁄ (x)= 1113 일 때, 상수 a, b, c에 대하여


ax+b 2x+3
12-2 -x+c x+4 05
a+b+c 의 값은?

-3 -1 0
1 3

두 함수 f(x)= 1112 , g(x)= 1112 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일 때,


ax+1 bx+1
12-3 2x-6 2x+6
상수 a, b에 대하여 b-a의 값을 구하여라.

3x+2 3
12-1 y= y=- -2
x-1 x+1
12-2 12-3 12

05 217
유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x-3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kx+1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상수 k의 값을

13 구하여라.
x+1

접근 방법

x-3
y= y=kx+1
x+1
x-3
=kx+1
x+1
x

유리함수 y= 1112 의 그래프와 직선 y=mx+n의


cx+d
ax+b
위치 관계는 그래프와 판별식을 이용한다.

상세 풀이

x-3 (x+1)-4 4 x-3 4


y= = =- +1 y= y=- x
x+1 x+1 x+1 x+1 x
-1 y 1
y=kx+1 k (0 1)
⁄ k=0
x-3 y
y= y=1 y=
x-3
x+1 x+1
y=kx+1
1 y=1
¤ k+0
x-3 -1 O 3 x
y= y=kx+1
x+1
-3
x-3
=kx+1 x-3=(kx+1)(x+1)
x+1
x-3=kx¤ +(k+1)x+1
kx¤ +kx+4=0
D
D=k¤ -4_k_4=0 k(k-16)=0
k=16 ( k+0) 정답 16

보충 설명
원과 직선의 위치 관계에서는 한 점에서 만난다는 것이 접한다는 뜻이지만,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 유리함수
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에서는 한 점에서 만난다는 것이 꼭 접한다는 뜻은 아니라는 것에 주의합니다.

218 Ⅱ.
p.75

x+6
13-1 함수 y=-
x-3
의 그래프와 직선 y=kx-1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

여라.

ax+b
13-2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2!;x+2가 두 점 P, Q에서 만난다. 두 점 P, Q
05
x+1
의 x좌표가 각각 0, 2일 때, a+b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2!; 1 ;2#;

2 ;2%;

x-2
13-3 두 집합 A=[(x, y)|y= ], B={(x, y)|y=ax+1}에 대하여 A;B=U일
x
때,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13-1 4 13-2 13-3 aæ0

05 219
05- 1
1-112 112-112
1 2 a-b a+b
1- 11111 1111112
a a+1 a b
1-112 112+112
1 2 a+b a-b
a a-1 a b

1
1-14 1+;[!;
05- 2 x+;[!;=3 1115 1115
x‹ _
1-;[!;
1
1+14
x‹

05- 3 x+;]!;=1 y+;2¡z;=1 z+;2¡[;

;3!; ;2!; 1

2 3

05- 4 3x-4y-z=0 2x+y-8z=0


x¤ -y¤ -z¤
xy-yz-zx
xyz+0

05- 5 A B 70 A B
10 % 20 % 2:3
A B

220 Ⅱ.
p.371 | p.76

05- 6 y=
x+2
ax+b
(2 2) y=;2!;

a b a+b

05- 7 f(x)=
3x-2
2x+1
g(x)=
-x+4
2x-3
h=fΩ(gΩf )-1 h(2)

05
05- 8 f(x)=
ax+b
x-1
(2 -1) a

b a+b

05- 9 f(x)=
ax+b
x-2
(1 0) f=f —⁄ f(3)

a b

-4 -2 0
2 4

05- 10 f(x) g(x) f(x)=


3x+5
x+1
( fΩg)(x)=x f(x)=g(x)

-2 -1 0
1 2

05 221
05- 11 y=
2x-5
2x+3
x y (a b)

(c d) a+b+c+d

-9 -7 -5
-3 -1

05- 12 A
B A

1:1 4:3
5:4 8:7 B
15 : 14

05- 13 0 x a+b-c
a b c
a b c 2x-3 a bx+c 3x¤
+ + = + =
x-1 x x+1 x‹ -x x+1 x¤ -x+1 x‹ +1

05- 14 2…x…3 x
2x
ax+2… …bx+2
x-1
a b

05- 15 y=;[#; l m

l P m Q PQ
s s¤

222 Ⅱ.
p.371 | p.80

05- 16 +
_100 (%) ag bg

10 % ag 2b g
%

05- 17 y=f(x) f(x) y


y=f(x)
f —⁄ (x)
f(x)=f —⁄ (x)
5 y=f(x) x

05
O 2 x

05- 18 y=;[!; (x>0) A y


C
k
y=-
x

x y y=;[K; (x>0)

B C ABC
A B
50 k k>0
O 1 x
y=-
x

challenge

05- 19 y=
2x+1
x
1 P x y

A B OAPB
O

challenge

05- 20 S 7:5

8:5 4:3 ;bA; a+b

a b

05 223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01 무리식 227

02 무리함수 244

기본 다지기 266
실력 다지기 268
01 무리식 01 234

02 236

03 238

04 240

05 242

02 무리함수 06 252
y='ƒax+b+c 07 254

08 256

09 258

10 260

11 262

12 264
06 | 무리식과 무리함수

01 무리식

1 제곱근
a x¤ =a x a
a>0 b>0
'a 'a
'a'b='∂ab "ça¤ Ωb=a'b Æ
a
=Æ;bA; =
'b b¤ b

2 무리식

3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
a b c d '∂m
a+b'∂m =0 HjK a=0 b=0
a+b'∂m =c+d'∂m HjK a=c b=d

02 무리함수

1 무리함수 y=—'∂ax (a+0)의 그래프


y='∂ax (a+0) y
a<0 a>0
a>0 { x|xæ0} a<0 {x|x…0} "a
y="ax
{ y|yæ0}
-1 O 1 x

y
y=-'∂ax (a+0) -1 1
O x
a>0 { x|xæ0} a<0 {x|x…0}
y=-"ax
{ y|y…0} -" a
a<0 a>0

2 무리함수 y="√a(x-p)+q (a+0)의 그래프


y="√a(x-p)+q (a+0) y='∂ax x p
y q

y='ƒax+b +c (a+0) y=æ≠a {x+;aB;}+c

226 Ⅱ.
01
1 제곱근
m
m n (n+0)
n

1. 제곱근
06
a x¤ =a x a
aæ0 a<0

Example 3 -3 9 9 3 -3
0 0 0 0

a a 'a a
a -'a —'a
' (root)
radix r

Example 4 '4 =2 4 -'4=-2

;1ª6; Ƭ;1ª6;=;4#; ;1ª6; -Ƭ;1ª6;=-;4#;

2. 제곱수의 제곱근
a "≈a¤ =a
"≈2¤ ='4=2 "√(-2)¤ ='4=2 "≈a¤ a¤
a¤ a -a "≈a¤
a
a aæ0
"≈a¤ =‡
-a a<0

06 227
a "≈a¤ =a a -
"≈a¤ =-a a

"≈a¤ =|a|
a b
"√(a-b)¤ =|a-b|=|b-a|="√(b-a)¤

제곱근

1 a x¤ =a x a
2 a b
a (aæ0)
"≈a¤ =|a|=[
-a (a<0)
"√(a-b)¤ =|a-b|=|b-a|="√(b-a)¤

a의 제곱근과 제곱근 a의 차이
a a —'a a 'a a
a a 'a a

2 제곱근의 성질

a>0 b>0

'a'b ='∂ab

Proof 'a =A 'b=B A¤ =a B¤ =b


(AB)¤ =A¤ B¤ =ab
A>0 B>0 AB>0
AB ab AB='∂ab
'a'b=AB='∂ab

'a
=æ;bA;
'b

Proof

228 Ⅱ.
"ça¤ b =a'b

Proof a>0 b>0 "≈a¤ =a "ça¤ b="≈a¤ 'b=a'b

a 'a
Æ… =
b¤ b

Proof

제곱근의 성질

a>0 b>0
'a 'a
1 'a'b='∂ab 3 "ça¤ Ωb=a'b 4 Æ = b
a
2 =Æ;bA;
'b b¤

'a
04 복소수 a<0 b<0 'a 'b=-'∂ab a>0 b<0
06
a
=-Æ
"√b b

3 무리식

"√x¤ +y¤
x
3-'ßx 2+'ƒ1-x
'ƒ1-x
무리식

0 0
'∂A A<0 '∂A='ƒ-Ai '∂A

æ0 +0

Example '߃x -3 x x-3æ0 xæ3


x
x 2-xæ0 2-x+0 2-x>0 x<2
'ƒ2-x

06 229
무리식

1
2 0
0 0

4 분모의 유리화

Example '5 '5('6 -'5 )


=
'6+'5 ('6 +'5 )('6 -'5 ) '6-'5
'5'6 -('5 )¤ '3å0-5
= = ='∂30-5
('6 )¤ -('5 )¤ 6-5
'5 '5('6 +'5 )
=
'6-'5 ('6 -'5 )('6 +'5 ) '6+'5
'5'6 +('5 )¤ '3å0+5
= = ='∂30+5
('6 )¤ -('5 )¤ 6-5

(a+b)(a-b)=a¤ -b¤

Example 1 'ƒx+2+'ƒx+1 'ƒx+2+'ƒx+1


= =
'ƒx+2 -'ƒx+1 ('ƒx+2 -'߃x+1)('ƒx+2+'߃x+1 ) (x+2)-(x+1)
='ƒx+2 +'ƒx +1
1 'ƒx+2-'ƒx+1 'ƒx+2-'ƒx+1
= =
'ƒx+2 +'ƒx+1 ('ƒx+2 +'߃x+1)('ƒx+2-'߃x+1 ) (x+2)-(x+1)
='ƒx+2 -'ƒx+1

230 Ⅱ.
분모의 유리화

2 a>0 b>0
a a'b a'b
13 = 132423 = 133
'b 'b 'b b
c('a-'b )
112333 = 111111312133 = 111332333
c c('a-'b )
a+b
'a+'b ('a+'b )('a-'b ) a-b
c('a+'b )
112333 = 111111312133 = 111332333
c c('a+'b )
a+b
'a-'b ('a-'b )('a+'b ) a-b

5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
06

Example a+3'3=4+b'3 a b
a=4 b=3
a=4+'3 b=4
a=1+2'3 b=5-'3

a+3'3=4+b'3 a b
a=4 b=3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

a b c d '∂m
1 a+b'∂m =0 HjK a=0 b=0
2 a+b'∂m =c+d'∂m HjK a=c b=d

a b c d
a+bi=0 HjK a=0 b=0 a+bi=c+di HjK a=c b=d
a b c d

06 231
이중근호의 계산

øπ3+2'2 øπ7-'∂40

('3+'2)¤ =('3)¤ +2'3'2+('2)¤ =3+2'6 +2=5+2'6 yy


('3-'2)¤ =('3)¤ -2'3 '2+('2)¤ =3-2'6 +2=5-2'6 yy

øπ5+2'6 =øπ('3+'2)¤ ='3 +'2


øπ5-2'6 =øπ('3-'2)¤ ='3 -'2

a>0 b>0
('a+'b)¤ =(a+b)+2'∂ab
øπ(a+b)+2'∂ab ('a+'b)¤
øπ(a+b)+2'∂ab =øπ('a+'b )¤ ='a+'b a+b ab

a>b>0
('a-'b)¤ =(a+b)-2'∂ab
øπ(a+b)-2'∂ab ('a-'b)¤ øπ(a+b)-2'∂ab >0
'a-'b 'b-'a
øπ(a+b)-2'∂ab =øπ('a-'b )¤ ='a-'b a>b>0 'a-'b >0

øπp—2'q p=a+b q=ab a b


øπx+'y 2 2

Example øπ4+2'3 3+1=4 3_1=3


øπ4+2'3 =øπ(3+1)+2'ƒ3_1=øπ('3+1)¤ ='3+1
øπ7-2'∂12 4+3=7 4_3=12
øπ7-2'∂12 =øπ(4+3)-2'ƒ4_3 =øπ('4-'3)¤ ='4-'3=2-'3
øπ6+2'5 '5+1 '∂10+'2
øπ3+'5 =æ≠
6+2'5
= = =
2 '2 '2 2

232 Ⅱ.
1
4 —2 4 2
0 0 6 '6

2 x
'ƒ2-x
x+'ƒx-2
'ƒx+1

3
'5-1 '3 -'2 +1
'5+1 '3 +'2 +1
1 1
'ßx +'y 'ƒx+1 +'ßx
06
4
1 1 1 1
- +
'ßx +'y 'ßx -'y 'ƒx+1 +'ßx 'ƒx+1 -'ßx

5 (x+3)+(y-1)'3 =5+4'3 x y

풀이 1 ④ 6 —'6

2 x-2æ0 xæ2
'ƒx+1 x+1>0 x>-1 yy
'ƒ2-x 2-xæ0 x…2 yy
-1<x…2
'5 -1 ('5 -1)¤ 5-2'5+1 6-2'5 3-'5
3 '5 +1
=
('5 +1)('5 -1)
=
5 -1
=
4
=
2
'3 -'2 +1 ('3 +1-'2 )¤ 3+1+2+2'3-2'2-2'6
= =
'3 +'2 +1 {('3 +1)+'2 }{('3+1)-'2 } ('3+1)¤ -2
3+'3 -'2 -'6 (3+'3 -'2-'6)('3-1) 2('3-'2)
= = = ='3 -'2
'3 +1 ('3+1)('3-1) 3-1
1 'ßx -'y 'ßx -'y
= =
'ßx +'y ('ßx +'y )('ßx -'y ) x-y
1 'ƒx+1 -'ßx 'ƒx+1-'ßx
= = ='ƒx+1 -'ßx
'ƒx+1 +'ßx ('ƒx+1 +'ßx )('ƒx+1 -'ßx ) (x+1)-x

1 1 ('ßx -'y )-('ßx +'y) 2'y


4 'ßx +'y
-
'ßx -'y
=
('ßx +'y )('ßx -'y)
=-
x-y
1 1 ('ƒx+1 -'ßx )+('ƒx+1 +'ßx ) 2'ƒx+1
+ = = =2'ƒx+1
'ƒx+1 +'ßx 'ƒx+1 -'ßx ('ƒx+1 +'ßx )('ƒx+1 -'ßx ) (x+1)-x

5 x+3=5 y-1=4 x=2, y=5

06 233
제곱근의 성질

-1<a<1일 때,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01 øπ(a+1)¤ +øπ(a-2)¤ øπa¤ +4a+4-øπ4a¤ -12a+9

접근 방법

|A| A
0 |A|=A A (-) |A|=-A
A (Aæ0)
"çA¤ =|A|=[
-A (A<0)

a-k (aæk)
"√(a√-k≈)Ω¤ =|a-k|= [
-(a-k) (a<k)

상세 풀이

-1<a<1 a+1>0 a-2<0


"√(a√+1)¤ +"√(a√-2)¤ =|a+1|+|a-2|
=(a+1)-(a-2)=3
-1<a<1 a+2>0 2a-3<0
"√a¤ +√4a+Ω4-"√4a¤ √-1√2a+≈9 ="√(a+ç2)¤ -"√(2a√-3)¤
=|a+2|-|2a-3|
=(a+2)+(2a-3)
=3a-1

정답 ⑴ 3 ⑵ 3a-1

보충 설명
a+0일 때, "≈a¤Ω 은 a¤ 의 양의 제곱근을 말합니다. 즉, 제곱해서 a¤ 이 되는 수 중에서 양수를 뜻합니다. 그런데 제
곱해서 a¤ 이 되는 수는 a 또는 -a이므로 a 또는 -a 중에서 양수인 쪽이 "≈a¤Ω 입니다. 즉, a>0인 경우에는
"≈a¤Ω =a이고 a<0인 경우에는 "≈a¤Ω =-a입니다.
이것은 절댓값 a의 정의와 동일하므로 실수 a에 대하여
"≈a¤Ω =|a|
입니다.

234 Ⅱ.
p.84

01-1 -1<a<0 일 때,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1-ça)Ω¤ +"√(a+ç2)Ω¤ "√a¤ +√2a+Ω1-"√4a¤ √-4√a+1

01-2 2<a<3일 때, "√(a¤ √-9)Ω¤ +"√(a¤ √-4)Ω¤ 을 간단히 하면?

-5 2a¤ -13 3 06
13-2a¤ 5

01-3 a>b>c일 때, "√a¤ -√2abç+≈bΩ¤ +"√b¤ -√2bcç+≈cΩ¤ +"√c¤ -√2caç+≈aΩ¤ 을 간단히 하여라.

01-1 3 3a 01-2 01-3 2(a-c)

06 235
무리식의 계산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2 -2<x<3
x
"√x¤ +4x+4 +"√x¤ -6x+9
x
x>0 +
'ƒx+1 +1 'ƒx+1-1

접근 방법

a, b가 실수일 때, "√(a-b)¤ =|a-b|=|b-a|="√(b-a)¤

상세 풀이

-2<x<3 x+2>0 x-3<0


"√x¤ +4x+4+"√x¤ -6x+9="√(x+2)¤ +"√(x-3)¤
=|x+2|+|x-3| "çA¤ =|A|

=(x+2)-(x-3)=5

x x x('ƒx+1-1)+x('ƒx+1+1)
+ =
'ƒx+1 +1 'ƒx+1 -1 ('ƒx+1+1)('ƒx+1-1)
x'ƒx+1-x+x'ƒx+1+x
+ =
(x+1)-1
2x'ƒx+1
+ = =2'ƒx+1
x

정답 ⑴ 5 ⑵ 2'ƒx+1

보충 설명
분모의 유리화는 무리식 계산의 가장 기본이므로 충분히 연습하여 두도록 합니다.
1 'a+'b 'a +'b
⑴ = =
'a-'b ('a -'b )('a+'b) a-b
1 'a-'b 'a -'b
⑵ = =
'a+'b ('a +'b )('a-'b) a-b

236 Ⅱ.
p.84

02-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x<1 "√4x¤ -12x+9 -"√x¤ +8x+16


'ßx -'ƒx+1 'ßx +'ƒx+1
x>0 +
'ßx +'ƒx+1 'ßx -'ƒx+1

'ßx -'2 'ßx +'ß2


02-2 + 를 간단히 하면? (단, x>0)
'ßx +'ß2 'ßx -'ß2

2(x+2)
x-2
2
x-2
2(x-2)
x+2
06
2 2(x+2)

'ƒa+b-'ƒa-b 'ƒa+b+'ƒa-b
02-3 a>b>0일 때, + 를 간단히 하면?
'ƒa+b+'ƒa-b 'ƒa+b-'ƒa-b

2 0 4a
2b 2a
a b

02-1 -3x-1 -4x-2 02-2


02-3

06 237
무리식의 값

x='3일 때, 다음 무리식의 값을 구하여라.

03 1
'3+'ßx
+
1
'3-'ßx
'ƒx+1
'ƒx-1
-
'ƒx-1
'ƒx+1

접근 방법

x='3

복잡한 무리식은 먼저 간단히 정리한 후 문자의 값을 대입한다.

상세 풀이

1 1 ('3-'ßx )+('3+'ßx ) 2'3


+ = = yy
'3+'ßx '3-'ßx ('3+'ßx )('3-'ßx ) 3-x
x='3
2'3 2'3(3+'3 ) 6'3+6
= = ='3+1
3-'3 (3-'3 )(3+'3 ) 9-3
'ƒx+1 'ƒx-1 ('ƒx+1 )¤ -('ƒx-1 )¤
- =
'ƒx-1 'ƒx+1 'ƒx-1 'ƒx+1
(x+1)-(x-1) 2
- = = yy
"√x¤ -Ω1 "√x¤ -Ω1
x='3
2 2
= ='2
'ƒ3-1 '2

정답 ⑴ '3+1 ⑵ '2

보충 설명
⑵의 경우 주어진 식에 바로 x='3을 대입하면 "√'3+Ω1, "√'3-Ω1 과 같이 되어 이중근호를 풀 수 없게 되므로
식을 정리한 후 대입해야 합니다. 참고로 이중근호는 특정 형태의 꼴인 경우에만 풀린다는 것을 알아둡시다.

238 Ⅱ.
p.85

'3
03-1 x= 12 일 때, 다음 무리식의 값을 구하여라.
2

2 2 'ƒ1+x+'ƒ1-x
+
1+'ßx 1-'ßx 'ƒ1+x-'ƒ1-x

'ßx -'ßy 'ßx +'ßy


03-2 x='3 +'2, y='3 -'2 일 때, 1111 + 1111 의 값을 구하여라.
'ßx +'ßy 'ßx -'ßy

06

03-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5+2 '5-2
x= y= x¤ +y¤
'5-2 '5+2
'5+'3 '5-'3
x= y= "√x‹ +y‹ -4
'5-'3 '5+'3

03-1 16+8'3 '3 03-2 '6


03-3 322 22

06 239
무리수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

'3+1의 정수 부분을 a, 소수 부분을 b라고 할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04 ;bA;
1
a+b
-;b!;

접근 방법

1<'3 <2 2<'3+1<3

두 자연수 k, n에 대하여 k¤ … n<(k+1)¤ 일 때,


'n의 정수 부분은 k이고, 소수 부분은 'n-k이다.

상세 풀이

1<'3<2 2<'3+1<3 '3+1 2 ('3+1)-2='3-1


a=2 b='3-1
2 2('3+1) 2('3+1)
;bA;= = = ='3+1
'3-1 ('3-1)('3+1) 3-1
1 1 1 1 1 1
- = - = -
a+b b 2+'3-1 '3-1 '3+1 '3-1
('3-1)-('3+1) -2
- = = =-1
('3+1)('3-1) 3-1

정답 ⑴ '3+1 ⑵ -1

보충 설명
무리수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은 항상 함께 생각하여야 합니다. 즉, 무리수의 소수 부분을 구하려면 먼저 주어
진 무리수의 정수 부분을 구하여야 합니다.
임의의 실수 x 의 정수 부분을 a, 소수 부분을 b 라고 하면 x=a+b (a는 정수, 0…b<1)입니다.
특히, a=[x]이고, b=x-[x] (`[x] 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므로 위의 문제에서 '3 +1의 정수 부분 a
를 a=[ '3 +1] 로 놓을 수 있습니다.

240 Ⅱ.
p.86

04-1 '6+2의 정수 부분을 a, 소수 부분을 b라고 할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a 1 1
-
b a+b b

04-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1
a +1
'2-1 a
1
06
6-2'2 x y -x='a
y
a

04-3 '5+1의 소수 부분을 x라고 할 때, x› +4x‹ -4x¤ -12x+4의 값은?

1 2 3
4 5

04-1 2'6+4 -2 04-2 3 8 04-3

06 241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유리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05 a
'2 +1
+
b
'2 -1
=3-2'2
a
'3+1
+
b
'3-1
='3+3

접근 방법

a, b, c, d가 유리수이고 '∂m 이 무리수일 때


⑴ a+b'∂m =0 HjK a=0, b=0
⑵ a+b'∂m =c+d'∂m HjK a=c, b=d

상세 풀이

a b a('2-1)+b('2+1) (-a+b)+(a+b)'2
+ = =
'2+1 '2-1 ('2+1)('2-1) 2-1
+ =(-a+b)+(a+b)'2
(-a+b)+(a+b)'2=3-2'2
-a+b=3 a+b=-2

a=-;2%; b=;2!;

a b a('3-1)+b('3+1) (-a+b)+(a+b)'3
+ = =
'3+1 '3-1 ('3+1)('3-1) 3-1
-a+b a+b
+ = + '3
2 2
-a+b a+b
+ '3=3+'3
2 2
-a+b a+b
=3 =1
2 2
a=-2 b=4

정답 ⑴ a=-;2%;, b=;2!; ⑵ a=-2, b=4

보충 설명
⑴`의 (-a+b)+(a+b)'2=3-2'2 에서 a, b가 유리수라는 조건이 없을 때에는 -a+b=3, a+b=-2라
고 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a+b=3-2'2, a+b=0인 경우에도 등식이 성립하므로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하려면 a, b 가 유리수이어야 함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242 Ⅱ.
p.87

05-1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유리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a b a b
+ =1+2'3 + =3+6'2
'3+1 '3-1 3+2'2 3-2'2

4+'1å5 의 정수 부분을 a, 소수 부분을 b라고 할 때, 112 =x+y'1å5 를 만족시키는 유


a-b
05-2
a+b
리수 x, y 에 대하여 x-y 의 값을 구하여라.
06

05-3 두 유리수 a, b에 대하여


(2-'3)° (2+'3)⁄ ‚ =a+b'3
이 성립할 때, a+b의 값은?

5 7 9
11 13

05-1 a=1 b=3 a=-1 b=2 05-2 69


05-3

06 243
02
1 무리함수

y=f(x) f(x) x 무리함수


y='ßx y='ƒx-2 y='2 -x x

y=f(x) f(x)

æ0
x

Example y='ƒx-4 x-4æ0 {x|xæ4}


y='ƒ6-3x +5 6-3xæ0 {x|x…2}

무리함수

1 y=f(x) f(x) x
2 æ0

2 무리함수 y=—'∂ax (a+0)의 그래프

y='ßx {x|xæ0} { y|yæ0}


y='ßx
y='ßx (xæ0) x
x=y¤

244 Ⅱ.
y y=x¤ (xæ0) y=x
x y
y=x¤ (xæ0)
y="x
1

y='ßx y=x¤ (xæ0) y='ßx


O 1 x
y=x¤ (xæ0)
y=x

y='ßx

1. 함수 y='∂ax (a+0)의 그래프

a>0 06
0 a>0 y='∂ax
{x|xæ0} y { y|yæ0}
y='∂ax (a>0) 1
y='ßx 'a y

Example y='ßx y='∂2x y='∂4x (=2'ßx ) y


y="4x (=2"x )
4
y="2x
2"2
{x|xæ0} { y|yæ0} 2 y="x

O 4 x

Example y='∂ax (a>0) a x

a<0
0 a<0 y='∂ax
{x|x…0} y { y|yæ0}
y='∂ax (a<0) 2

06 245
a<0 -a>0 y="√(-a)x ="√a(-x) y='∂ax (a<0)
y='∂ax (a>0) y

Example y='ƒ-2x y='∂2x y


y="-2x y="2x
y y

O x

y='∂ax (a+0) |a| a


y='∂ax (a+0)

2. 함수 y=-'∂ax (a+0)의 그래프

y=-'∂ax (a+0)

a>0
0 a>0 a>0 y y= ax

y=-'∂ax {x|xæ0} y
{ y|y…0} O x

y=-'∂ax (a>0)
y=- ax
4 y='∂ax (a>0) x

a<0
0 a<0 y
a<0
y="ax
y=-'∂ax {x|x…0} y
{ y|y…0}
O x
y=-'∂ax (a<0)
y=-"ax
3 y='∂ax (a<0) x

246 Ⅱ.
y='∂ax (a+0)
y='ƒ-ax y='ƒ-ax="√a(-x) y='∂ax y

y=-'∂ax -y='∂ax y='∂ax x

y=-'ƒ-ax -y="√a(-x) y='∂ax

Example y='∂2x
y='ƒ-2x ⑴ y= -2x y y= 2x

y='ƒ-2x y='∂2x x -x '2

y='∂2x y -1 O 1 x 06
-'2
y=-'∂2x ⑶ y=- -2x ⑵ y=- 2x

y=-'∂2x y='∂2x y -y
y='∂2x x
y=-'ƒ-2x
y=-'ƒ-2x y='∂2x x -x y -y
y='∂2x

무리함수 y=—'∂ax (a+0)의 그래프


y
1 y='∂ax (a+0)
y= ax (a<0) y= ax (a>0)
a>0 { x|xæ0} { y|yæ0}
a<0 { x|x…0} { y|yæ0}
2 y=-'∂ax (a+0) O x

a>0 { x|xæ0} { y|y…0}


a<0 { x|x…0} { y|y…0} y=- ax (a<0) y=- ax (a>0)


y='∂ax (a+0) y= (xæ0) y=x
a
y=—'∂ax (a+0) |a| x

06 247
도형의 대칭이동과 함수의 대칭이동의 관계

f(x y)=0 y
f(-x y)=0 y='ßx y='∂-x y

f(x y)=0 x
f(x -y)=0 y='ßx y=-'ßx x

3 무리함수 y="√a(x-p)+q (a+0)의 그래프

y='∂ax (a+0)

1. 함수 y="√a(x-p)+q (a+0)의 그래프


y='∂ax (a+0) x p y q

y="√a(x- p )+ q
y="√a(x-p)+q
a>0 {x|xæp} a<0 {x|x…p}
{ y|yæq}

y
Example y="√3(x+1)-2 y='∂3x y= 3x

x -1 y -2 y= 3(x+1)-2
1
-1 -
3
{x|xæ-1} O
'3-2
x

{ y|yæ-2} -2

y='∂ax (a+0) a
y='∂ax (a+0) x p y q
y="√a(x-p)+q (a+0) (p q) a

248 Ⅱ.
y=a(x-p)¤ +q (p q)
y="√a(x-p)+q (p q)

2. 함수 y='ƒax+b +c (a+0)의 그래프`


y='ƒax+b+c (a+0) y="√a(x-p)+q

y='ƒax+b+c=æ≠a {x+;aB;} +c

y='ƒax+b+c y='∂ax x -;aB;

y c

Example y='ƒ2x-4 +4 y
y="2x-4+4
y='ƒ2x-4 +4="√2(x-2)+4
y='ƒ2x-4 +4 y='∂2x
4
06
y="2x
x 2 y 4

O 2 x

무리함수 y="√a(x-p)+q (a+0)의 그래프

1 y="√a(x-p)+q (a+0)
y='ßax x p y q
a>0 {x|xæp} { y|yæq}
a<0 {x|x…p} { y|yæq}

a>0 y y= a(x-p)+q y a<0


y= a(x-p)+q

y= ax
q y= ax q

O p x O p x

2 y='ƒax+b +c (a+0) y=æ≠a {x+;aB;} +c

y=a¡(x-p¡)¤ +q¡ y=a™(x-p™)¤ +q™ |a¡|=|a™|


06 249
y="√a(x-p)+q (a+0) a
y="√a(x-p)+q x -p y -q
y='∂ax y='ƒ-ax y
y='∂ax
y="√a¡(x-p¡)+q¡ (a¡+0) y="√a™(x-p™)+q™ (a™+0)
|a¡|=|a™|

y
Example y="√-2(x-2) y="√2(x+1)+1 y="-2(x-2)
y="2(x+1)+1

|-2|=|2|
2 '2+1
1

y="√2(x-1)-3 y='ƒx-1 -4 2+1 -1 O 2 x

4 무리함수의 역함수

y='ƒax+b+c (a+0)
y='ƒax+b+c (a+0) x x y

Example y='ƒx-2 +3

y='ƒx-2 +3 { y|yæ3} { x|xæ3}


x
y='ƒx-2+3
'ƒx-2=y-3 x-2=(y-3)¤
x=(y-3)¤ +2
x y
x y
y=(x-3)¤ +2 (xæ3)

250 Ⅱ.
y='ƒx-2+3 y y=(x-3)¤ +2 (xæ3)

y='ƒx-2+3 y=x y=x

y='x-2+3
y='ƒx-2 +3 (2 3) 3
2
y=(x-3)¤ +2 (3 2)
O 23 x
y='ƒx-2 +3

y=x

무리함수의 역함수

y='ƒax+b +c (a+0)
1 y='ƒax+b+c {y|yæc} {x|xæc}

2 c x ∆ x=;a!;(y-c)¤ -;aB;
06
3 x y ∆ y=;a!;(x-c)¤ -;aB; xæc

y='ƒax+b+c (a+0)
1 x y ∆ x='ƒay+b+c

2 c y ∆ y=;a!;(x-c)¤ -;aB; xæc

1
y='∂x∂+å2 y='ƒ-x∂+å3+2

2 y='ƒ4-4x +5 y='ƒ-4x x a y
b a b

풀이 1 x+2æ0 xæ-2 {x|xæ-2}


-x+3æ0 x…3 {x|x…3}

2 y='ƒ4-4x +5="√-4(x-1)+5 y='ƒ4-4x+5 y='ƒ-4x x


1 y 5
a=1, b=5

06 251
무리함수의 그래프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정의역과 치역을 각각 구하여라.

06 y='ƒx+1 -2 y=-'ƒ-x∂+åß2 +1

접근 방법

y="√a(x-p)+q (a+0) y='∂ax x p y


q
y='ƒax∂+åßb +c (a+0) y="√a(x-p)+q

x축, y축의 방향으로 각각


y='∂ax 11111111215⁄ y="√a(x-p)+q
p, q만큼 평행이동

상세 풀이

y='ƒx+1 -2 y='ßx x -1 y
y='x
y -2
x+1æ0 xæ-1 {x|xæ-1 } 'ƒx+1æ0 -1
y='x+1-2

'ƒx+1-2æ-2 3
O x
{ y|yæ-2 } -1
-2

y=-'ƒ-x∂+å2+1=-"√-(√x-≈2Ω)+1 y=-'ƒ-x∂+å2+1 y

y=-'∂-ßx x 2 y 1
O
1 y=-'-x+2+1 1 2 x
1-'2
-x+2æ0 x…2 {x|x…2}
y=-'-x
-'ƒ-x∂+å2…0 -"√-x+2 +1…1 { y|y…1}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무리함수 y=f(x)의 정의역은 함숫값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의 집합, 즉 y

(근호 안의 식의 값)æ0 1
이 되는 실수 x의 값의 집합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무리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2
O x
때에는 먼저 정의역과 치역을 구하여 그래프가 존재하는 영역을 표시하면 훨
y=-'-x+2+1
씬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 함수 y=-'ƒ-x∂+2å +1에서 정의역은 {x|x…2}, 치역은 { y|y…1}
이므로 함수 y=-'ƒ-x∂+å2+1 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같이 진하게 색칠한 부분에 존재합니다.

252 Ⅱ.
p.87

06-1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정의역과 치역을 각각 구하여라.

y='ƒ-x∂+å2-1 y='ƒ2x+å4+1
y=-'ƒ3x+å3+2 y=-'ƒ-2ƒx+4 +3

06-2 함수 y=1-'ƒ-2x+4 의 정의역이 {x|x…a}, 치역이 {y|y…b}일 때, 상수 a, b에 대


하여 a+b의 값은?
06
-3 -1 0
1 3

06-3 함수 y='ƒax∂-ßå2 +b의 정의역이 {x|x…-2}, 치역이 {y|yæ3}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06-1 p.372 06-2 06-3 -3

06 253
무리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과 대칭이동

함수 y='∂a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후 y축에 대하여

07 대칭이동한 그래프가 점 (1, 4)를 지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y="√a(x-p)+q(a+0) y='∂ax x p y
q

221111215⁄ f(x -y)=0


y -y
x
221111215⁄ f(-x y)=0
x -x
y
221111215⁄ f(-x -y)=0
f(x y)=0 x -x
y -y

221111215⁄ f(y x)=0


x y
y=x
y x

함수 y='∂ax (a+0)의 그래프를


⑴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ax 이다.
⑵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ax 이다.

상세 풀이

y='∂ax x -2
y="√a(x+2)
y
y="√a(-x+2) yy
(1 4)
4="√a(-1+2) 'a=4
a=16 정답 16

보충 설명
함수 y='∂ax (a>0)에서 양변을 제곱한 후, x에 대하여 풀면

x=
a y ™
x y=x
y=-
a (xæ0)
여기서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y= (xæ0)
a y= ax (a>0)

입니다. 따라서 두 함수 y='∂ax (a>0), y= (xæ0)은 서로 역함수 관계에
a
O x
있고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254 Ⅱ.
p.88

07-1 함수 y=-'∂k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함
수의 그래프가 점 (4, 2)를 지날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07-2 함수 y='ƒx+2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y=a'ƒx+b+c의 그래프와 일치한다. 상수 a, b, c에 대하
여 a+b+c의 값은?

-2
1
-1
2
0
06

07-3 <보기>의 함수 중 그 그래프가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에 의하여 함수 y=2'ßx 의 그래프


와 겹쳐지는 함수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y='ƒ2-x y=-2'ƒx+1
y='ƒ2x+2 y=2'ƒ2-x

07-1 2 07-2 07-3

06 255
유리함수와 무리함수의 그래프

함수 y='ƒax+b+c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y

08 때, 이차함수 y=ax¤ +bx+c의 그래프의 개형은?


(단, a, b, c 는 상수이다.)
-2
y y y O x
c

O x
-1 O x O 1 x

y y

-1 1
O x O x

접근 방법

y=ax¤ +bx+c
⁄a
¤b
‹c y

유리함수와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평행이동으로 접근한다!

상세 풀이

y='∂ax+b+c=æ≠a {≠x+–;aB±;}+c y='ßaßx x y


y='ax
-;aB; y c
y='ax+b+c
-2
O x
c
a>0 -;aB;=-2 c<0

y=ax¤ +bx+c
⁄ a>0
y
¤ x=-;2ıa;=-1

‹ c<0 y
O x
y=ax¤ +bx+c c
x=-1

정답 ④

256 Ⅱ.
p.89

08-1 함수 y=a'ƒ-x∂+ßb+c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이차 y

함수 y=ax¤ +bx+c의 그래프의 개형은?


(단, a, b, c 는 상수이다.) 3
O x
y y y -2

O x O x O x

y y

O x O x

06

08-2 함수 y=a'ƒbx∂+ßc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유리함수 y

y= 112 +c의 그래프의 개형은? (단, a, b, c 는 상수이다.)


b
x+a
O x
y y y

O x O x O x

y y

O
x
O x

08-1 08-2

06 257
무리함수의 최대, 최소

-6…x…0에서 함수 y=-'ƒ4-2x +1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고 할

09 때, M+m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y=—"√a(x-p)+q (a+0)

정의역이 주어진 무리함수의 최대, 최소


∆ 주어진 정의역에서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서 구한다.

상세 풀이

y=-'ƒ4-2x +1=-"√-2(x-2)+1 y=-'ƒ4-2x+1 y=-'ƒ-2x


x 2 y 1
-6…x…0 y=-'ƒ4-2x +1 y

1
-6
x=-6 m=-"√4-2_(-6)+1=-3 O 2x
-1
x=0 M=-'ƒ4-2_0 +1=-1 -3
y=- 4-2x+1
M+m=-1+(-3)=-4

정답 -4

보충 설명
① a>0일 때, 무리함수 y="√a(x-p)+q는 증가하는 함수이므로 y

x¡…x…x™에서 함수 y="√a(x-p)+q의 최댓값은 x=x™일 때이고, 최 a<0 a>0

솟값은 x=x¡일 때입니다.


② a<0일 때, 무리함수 y="√a(x-p)+q는 감소하는 함수이므로 q
x£…x…x¢에서 함수 y="√a(x-p)+q의 최댓값은 x=x£일 때이고, 최 x£ O x¢ p x¡ x™ x
솟값은 x=x¢일 때입니다.

258 Ⅱ.
p.90

09-1 0…x…4에서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y='∂2x-1 y=-'ƒ-x+5+3

09-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2…x…a y='∂2x-3+4 b 7 a+b


a
-6…x…0 y='∂4-ax+b 5 3 a b
06
a+b a>0

1
09-3 두 함수 f(x)=
x+1
, g(x)='ßx +1에 대하여 1…x…9에서 함수 y=( fΩg)(x)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여라.

09-1 2'2-1 -1 2 3-'5

09-2 11 3 09-3 ;1•5;

06 259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함수 y='ƒ4x∂-ß8 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실

10 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개수는 그래프를 그려서 구한다.

상세 풀이

y='ƒ4x-å8 ="√4(x-2) y='ƒ4x-å8 y='∂4x y


y=x+k
x 2 y='4x-8

⁄ y='ƒ4x-å8 y=x+k
x+k ='ƒ4x-å8 O 2 x
(i)
x¤ +2kx+k¤ =4x-8 (ii)
x¤ +2(k-2)x+k¤ +8=0
D

;;4;D;=(k-2)¤ -1_(k¤ +8)=0


-4k-4=0 k=-1
¤ y=x+k (2 0)
0=2+k k=-2
⁄ ¤ k
-2…k<-1

정답 -2…k<-1

보충 설명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는 그래프를 그리지 않고 이차방정식의 판별식만으로 풀면 틀린 답을 얻
게 됩니다. 이차방정식 x¤ +2(k-2)x+k¤ +8=0의 판별식을 D라고 할 때,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조건을 찾으면

;;4;D;=(k-2)¤ -1_(k¤ +8)=-4k-4>0 ∴ k<-1

그러나 위의 상세 풀이 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k<-2인 경우에는 한 점에서 만납니다. 따라서 무


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는 반드시 그래프를 그려서 확인해야 합니다.

260 Ⅱ.
p.91

10-1 함수 y='ƒ2x+4 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10-2 오른쪽 그림은 함수 y='ƒax∂+åb 의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가 y

직선 y=-x+k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실수 k의
2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단, a, b는 상수이다.) y= ax+b

O 2 x 06

10-3 두 집합 A={(x, y)|y=mx+1}, B={(x, y)|y='ƒ8x∂-å8 }에 대하여 A;B+u


u
가 되도록 하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mæ-2 mæ-1 m…1


-1…m…1 -2…m…1

10-1 2…k<;2%; 10-2 2…k<;2%; 10-3

06 261
무리함수의 역함수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여라.

11 y='ƒx+1 y='ƒ-2x+4-1

접근 방법

y='ƒax+b +c x x y

역함수를 구할 때에는 x는 y로, y는 x로 바꾸자!

상세 풀이

y='ƒx+1 { y|yæ0} {x|xæ0} y y=x2-1(xæ0)


y=x

y='ƒx+1 x y="x+1

x+1=y¤ x=y¤ -1
x y -1 O x
-1
y=x¤ -1 xæ0
y='ƒ-2x+4 -1 { y|yæ-1} y y=x
y="-2x+4-1
{x|xæ-1} 2

y='ƒ-2x+4 -1 x 2
-1 O x
y+1='ƒ-2x+4 (y+1)¤ =-2x+4 -1
y=-
1 2
(x+1) +2
2
x=-;2!;(y+1)¤ +2
(xæ-1)

x y

y=-;2!;(x+1)¤ +2 xæ-1

정답 ⑴ y=x¤ -1 xæ0 ⑵ y=-;2!;(x+1)¤ +2 xæ-1

보충 설명
위의 예제의 그래프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y= f —⁄ (x)의 그래프의 교점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62 Ⅱ.
p.92

11-1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여라.

y='ƒ2x+4+1 y='ƒ-x+3+2
y=-'ƒ3x+6 y=-'ƒ-x-1+2

11-2 함수 f(x)='ƒ3x-6 +9의 역함수는 g(x)=;3!; x¤ +ax+b이고, 함수 g(x)의 정의역은

{x|xæc}이다.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여라.

06

11-3 함수 f(x)='ƒax+b+c 의 역함수 y=f -1(x)의 그래프가 y


–¡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 y=f (x)
4
은?

1 3 5 O 2 4 x

7 9

11-1 y=;2!;(x-1)¤ -2 (xæ1) y=-(x-2)¤ +3 (xæ2)

07-1 y=;3!; x¤ -2 (x…0) y=-(x-2)¤ -1 (x…2)

11-2 32 11-3

06 263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의 교점

함수 f(x)='ƒ2x-2 +1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의 두 교점을 P, Q라고

12 할 때, 선분 PQ의 길이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y=f(x) y=f(x) y=f -1(x)


y=x y=f(x) y=x
-1
y=f(x) y=f (x)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상세 풀이

f(x)='ƒ2x-2 +1="√2(x-1)+1 y=f(x) y –¡ y=x


y=f (x)
-1
y=f (x)
y=f(x)
y=f(x) y=f -1(x)
f(x)='ƒ2x-2+1 y=x 1
'ƒ2x-2 +1=x 'ƒ2x-2 =x-1 O
1 x

2x-2=x¤ -2x+1 x¤ -4x+3=0


(x-1)(x-3)=0
x=1 x=3
P(1 1) Q(3 3) P(3 3) Q(1 1)
PQ”="√(3-1)¤ +(3-1)¤ =2'2

정답 2'2

보충 설명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래프의 교점이 반드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 12-2의 보충 설명 참고)

264 Ⅱ.
p.93

12-1 함수 f(x)='ƒx+1 -1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의 두 교점을 P, Q라고 할 때, 선


분 PQ의 길이를 구하여라.

12-2 함수 f(x)='ƒx+2 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가 (a, b)일
때, a+b의 값은?

3 4 5
6 7
06

12-3 함수 f(x)='ƒax+b (a>0, b>0)에 대하여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래프가 점 P(8, 8)에서 만난다. 곡선 y=f(x)와 직선 y=x 및 y축으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20일 때, 곡선 y=f -1(x)와 직선 x=8 및 x축으로 둘러싸
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단, a, b는 상수이다.)

12-1 '2 12-2 12-3 12

06 265
06- 1 aæ1 x=
2a
a¤ +1
'ƒ1-x-'ƒ1+x a

2a 2 2
- -
"√a¤ +1 "√a¤ +1 "√a¤ +1
2a 2a-2
"√a¤ +1 "√a¤ +1

06- 2
-5<a<5 "√(a+5)¤ -"√(5-a)¤

1 1
0<a<1 æ≠a¤ + +2+æ≠a¤ + -2
a¤ a¤

06- 3
1
x¤ -6x+1=0 'ßx +
'ßx
'3 +'2
x= (x¤ -10x+6)(x¤ -10x+4)
'3 -'2

06- 4 a b ('2 +1)a-('2-1)b-1+3'2=0 a¤ -b¤

06- 5 y=a'ƒx+b+c (-5 2) y

x y A y=a x+b+c B

B AOB
-9
a b c O A O x
-2

266 Ⅱ.
p.372 | p.95

06- 6 y='ƒx+4+1 x=0 y=-;4!;x A B

OAB O

6 7 8
9 10

06- 7
y='ƒ3x+9 y='∂3x y=0 y=2

y='ƒ2x+6-5 y='ƒ-2x+6+5 x=-3 x=3

06

06- 8
y='ƒa-x+b x=4 -2 a b a+b

5…x…a y='ƒ3x-6-5 1 b a+b


a

06- 9 y='ƒax+b (3 1) a b
2a+b

06- 10 {x|x>1} f(x)=


2x+1
x-1
g(x)='ƒ4x-3

( fΩ( gΩf)—⁄ Ωf)(2)

06 267
'ƒx-1
06- 11 x æ≠
x-1
x-2
=-
'ƒx-2
"√(x+1)¤ +"√(x-4)¤

-5 -3 2x-3
3-2x 5

06- 12 y='ßx y=x y y=x

k› a y='x
b

a b c
c
d e
d
e
O k x

06- 13 f(x)=;5!;x¤ +;5!;k (xæ0) g(x)='ƒ5x-k

5 7 9
11 13

06- 14 a b a¤ +b¤ =8

;a!;+;b!;

06- 15 y='ƒ2-x y

A(a b) x y B C '2
y= 2-x
OB”+OC” A(a, b)
C
A 1 O
O B2 x

268 Ⅱ.
p.372 | p.99

06- 16 y=;3@; x+a y='ßx y

P
P P x y="x

Q y=;3@; x+a x
O A Q x
2
y= x+a
A PAQ 12 3

'x (xæ0)
06- 17 f(x)=[
x¤ (x<0) A
y
4
x+3y-10=0
x+3y-10=0 A(-2 4) B(4 2) B
2
y=f(x) x+3y-10=0
-2 O
y=f(x)
4 x
06

'∂2x (xæ0)
06- 18 f(x)=[
-'ƒ-2x (x<0)
y=mx

x m

challenge

06- 19 y='ƒx+|x| y=x+k k

challenge

06- 20 x
x-1
x-2
='ƒx+a+a-1 a

06 269
07
경우의 수
01 경우의 수 272

기본 다지기 296
실력 다지기 298
01 경우의 수 01 280

02 282

03 284

04 286

05 288

06 290

07 292

08 294
07 | 경우의 수

01 경우의 수

1 사건과 경우의 수

2 합의 법칙
A B A B
m n A B
(m+n)
A A B
B A B A;B=u n(A;B)=0
A B
n(A'B)=n(A)+n(B)

3
3 곱의 법칙
A B A m
B n A B

(m_n)
A A B
B A B
n(A)_n(B)

272 Ⅲ.
07
1 사건과 경우의 수

07
500 1 100 1 500 100

Example +
2 3 4 5 6 7
7 3 4 5 6 7 8

6 4 5 6 7 8 9
5 6 7 8 9 10
5
6 7 8 9 10 11
7
7 8 9 10 11 12

07 273
2 합의 법칙

Example 3 6

a b (a b)
3 (1 2) (2 1) ∆ 2
6 (1 5) (2 4) (3 3) (4 2) (5 1) ∆ 5
3 6
2+5=7

합의 법칙

Example

3 A 3
{(1 2) (2 1)} A {(1 2) (2 1)}
A={(1 2) (2 1)}
A
6 B
B={(1 5) (2 4) (3 3) (4 2) (5 1)}

A B A B
A'B n(A'B)
n(A'B)=n(A)+n(B)-n(A;B) 3 6
A;B=u
n(A'B)=n(A)+n(B)-n(A;B)=2+5-0=7

274 Ⅲ.
Example 1 12 3 4
1 12 3
4
1 12 3 A 4 B
A={3 6 9 12} B={4 8 12}
3 A A
n(A)=4 4 B
B n(B)=3
3 4 n(A'B)
A;B={12} n(A;B)=1
n(A'B)=n(A)+n(B)-n(A;B)=4+3-1=6

Example

07
합의 법칙

A B A B m n
A B
(m+n)

A B m n A B l
A B (m+n-l)

A A B B
A B n(A) n(B) A B
A'B
n(A'B)=n(A)+n(B)-n(A;B)
n(A;B)=0
A B A;B=u
A B A B
n(A'B)=n(A)+n(B)

07 275
A B A B
(or)

A B ∆

3 곱의 법칙

a b p
a q
2 p q r
b
r l 4 l

A
B
A={a b} B={ p q r l}

A B

{(a p) (a q) (a r) (a l) (b p) (b q) (b r) (b l)}

a b 2
p q r l
4
a b
4+4=8 yy

a b 2
p q r l 4
2_4=8 yy

276 Ⅲ.
p ∆ (a p)
q ∆ (a q)
r ∆ (a r)
a

l ∆ (a l)
(tree graph)
p ∆ (b p)
8 q ∆ (b q)
r ∆ (b r)
b

l ∆ (b l)
∑ ∑ ∑
2 _ 4 = 8

곱의 법칙

곱의 법칙

A B A m B
n A B
(m_n) 07

Example

4
3
4
3

4_3=12


¤
2

07 277
⁄ 6_6=36

¤
A B

A m B n
A B A B
A={a¡ a™ y aµ} B={b¡ b™ y b«}

A a¡ a™ y aµ B b¡ b™ y b«
A B

( (a¡ b¡) (a¡ b™) y (a¡ b«)


| (a™ b¡) (a™ b™) y (a™ b«)
m {
|
9 (aµ b¡) (aµ b™) y (aµ b«)
(
|
|
|
{
|
|
|
9

A B
n(A)_n(B)

양의 약수의 개수

72 1 3 3¤
72=2‹ _3¤ 1 1_1 1_3 1_3¤
72 2 2_1 2_3 2_3¤
(2‹ )_(3¤ ) 2¤ 2¤ _1 2¤ _3 2¤ _3¤
2‹ 2‹ _1 2‹ _3 2‹ _3¤

2‹ 1 2 2¤ 2‹ 4 3¤ 1 3 3¤ 3 2‹
4 3¤
3
72 4_3=12

278 Ⅲ.
A
A=a¡ a™p™_y_a«p« (a¡ a™ y a«

p¡ p™ y p« )

a¡p¡ 1 a¡ a¡¤ y a¡p¡ (p¡+1)


a™ p™
1 a™ a™¤ y a™ p™
(p™+1)

a«p« 1 a« a«¤ y a«p« (p«+1)


A (p¡+1)_(p™+1)_y_(p«+1)

1 1 10 10

3 5 2 3

2
07
(a+b)(x+y+z)

3 3

풀이 1 1 10 3 3 6 9 3 3 3
5 5 10 2 5 2
3+2=5
1 10 2 2 4 6 8 10 5 2
5 3 3 6 9 3 3 3
6 6 5+3-1=7

2 a b x y z
2_3=6
2 4 6 8 4 1 3 5 7 9 5
4_5=20

3 3
2 3_2=6
3 3
3_3=9

07 279
합의 법칙

서로 다른 두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던질 때, 나오는 두 눈의 수의 합이 4의 배수가

01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4 4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면 ∆ 합의 법칙

상세 풀이

2 12
4 4 8 12
a b + 1 2 3 4 5 6
(a b) 1 2 3 4 5 6 7
⁄ 4 2 3 4 5 6 7 8
(1 3) (2 2) (3 1) 3 4 5 6 7 8 9
3 4 5 6 7 8 9 10
¤ 8 5 6 7 8 9 10 11
(2 6) (3 5) (4 4) (5 3) (6 2) 6 7 8 9 10 11 12
5
‹ 12
(6 6)
1
⁄~‹
3+5+1=9

정답 9

보충 설명
서로 다른 두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던져서 나온 눈의 수의 합이 각각 4인 사건, 8인 사건, 12인 사건은 어느 것
도 동시에 일어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합의 법칙을 이용하여 각각의 경우의 수를 모두 더해 줍니다. 이때, 직접
적어가며 세면 모든 경우를 빠뜨리지 않고 셀 수 있습니다.
처럼 변하는 것이 2개인 것의 개수를 셀 때에는 위의 풀이에서와 같이 표를 만들어 구
그리고‘`두 개의 주사위`’
하면 더욱 편리합니다.

280 Ⅲ.
p.104

01-1 서로 다른 두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던질 때, 다음을 구하여라.

3 7

01-2 1부터 5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8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홀수인 자연수의 개수는?

21 23 25
27 29
07

01-3 서로 다른 세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던질 때, 다음을 구하여라.

20
9

01-1 18 18 01-2 01-3 9 25

07 281
곱의 법칙

한 개의 주사위를 두 번 던질 때, 나오는 두 눈의 수의 곱이 짝수인 경우의 수를 구

02 하여라.

접근 방법

_ _

_ _ _

동시에 (연속하여) 일어나면 ∆ 곱의 법칙

상세 풀이

2 4 6 3 1 3 5 3

⁄ _
3_3=9
¤ _
3_3=9
‹ _
3_3=9
⁄~‹
9+9+9=27
다른 풀이

6_6=36
3_3=9

36-9=27

정답 27

282 Ⅲ.
p.105

02-1 두 자리 자연수 중에서 십의 자리의 수와 일의 자리의 수의 합이 짝수인 것의 개수를 구하여


라.

02-2 3개의 상자 A, B, C 안에 1부터 7까지의 자연수가 하나씩 적힌 7장의 카드가 각각 들어 있


다. 세 상자 A, B, C에서 한 장씩 꺼낸 세 장의 카드에 적힌 세 수의 곱이 홀수가 되는 경
우의 수를 구하여라.

07

02-3 서로 다른 세 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던질 때, 다음을 구하여라.

02-1 45 02-2 64 02-3 108 189

07 283
도로망에서의 경우의 수

오른쪽 그림과 같이 네 지점 A, B, C, D를 연결하는 도로 C

03 가 있을 때, 다음을 구하여라.
(단, 한 번 지나간 지점은 다시 지나지 않는다.)
A B

D
A C B
A B

접근 방법

A에서 B로 가는 방법의 수가 m, B에서 C로 가는 방법의 수가 n이면


A에서 B를 거쳐 C로 가는 방법의 수는
m_n

상세 풀이

A⁄C 2 C⁄B 2

2_2=4
A B
A⁄C⁄B A⁄D⁄B
2
⁄A⁄C⁄B
2_2=4 ( )
¤A⁄D⁄B
A⁄D 3 D⁄B 3
3_3=9
⁄ ¤
4+9=13 정답 ⑴ 4 ⑵ 13

보충 설명
⑴`에서 A지점에서 C지점을 거쳐 B지점으로 가는 경로는 이어지는 길로 이동하므로 곱의 법칙을 이용합니다.
하지만 ⑵`에서 C지점 또는 D지점을 거쳐서 가는 경로인 ⁄, ¤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합의 법칙을 이용
합니다.

284 Ⅲ.
p.106

03-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산 A, B와 편의점, 학교를 연결하는


도로가 있다. A산에서 출발하여 B산으로 가는 방법의 수를
구하여라. (단, 한 번 지나간 지점은 다시 지나지 않는다.) B
A

03-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지점 A, B, C를 연결하는 길이 있다. A지 B


점에서 출발하여 B지점과 C지점을 반드시 한 번씩 지나서 다시 A
지점으로 돌아오는 방법의 수를 구하여라. A
(단, A지점을 제외하고 한 번 지나간 지점은 다시 지나지 않는다.)
C
07

03-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네 도시 A, B, C, D를 연결하는 도로망이


있다. A도시에서 출발하여 B도시, C도시, D도시 중 두 도시를 A B C D

지나서 다시 A도시로 돌아오는 방법의 수는?


(단, A도시를 제외하고 한 번 지나간 도시는 다시 지나지 않는다.)

56 64 72
80 98

03-1 12 03-2 24 03-3

07 285
약수의 개수와 약수의 총합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4 108
108

접근 방법

2µ _3« m n 2µ 1 2⁄ 2¤ y 2µ (m+1) 3«
1 3⁄ 3¤ y 3« (n+1) 2µ _3« (m+1)(n+1)

(1_1+1_3⁄ +y+1_3« )+(2⁄ _1+2⁄ _3⁄ +y+2⁄ _3« )+(2µ _1+y+2µ _3« )
(1+2⁄ +y+2µ )(1+3⁄ +y+3« )

자연수 N이 N=apbqcr (a, b, c는 서로 다른 소수)와 같이 소인수분해될 때


⑴ 약수의 개수 : (p+1)(q+1)(r+1)
⑵ 약수의 총합 : (1+a1+y+ap)(1+b1+y+bq)(1+c1+y+cr)

상세 풀이

108=2¤ _3‹ 108 _ 1 2⁄ 2¤


2¤ _ 3‹ 1 1_1 1_2⁄ 1_2¤
2¤ 3⁄ 3⁄ _1 3⁄ _2⁄ 3⁄ _2¤
3 3‹ 3¤ 3¤ _1 3¤ _2⁄ 3¤ _2¤
4 108 3‹ 3‹ _1 3‹ _2⁄ 3‹ _2¤

3_4=12
108
(1+2+2¤ )(1+3+3¤ +3‹ )

7_40=280

정답 ⑴ 12 ⑵ 280

보충 설명
약수의 총합을 구하는 식 (1+2⁄ +2¤ )_(1+3⁄ +3¤ +3‹ )을 전개하면 108의 모든 양의 약수들의 합으로 이루어
진 다항식이 됩니다. 즉, 약수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는 모든 양의 약수들의 합으로 이루어진 다항식에서 항의 개
수를 구하는 문제와 같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286 Ⅲ.
p.107

04-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720
720

04-2 216과 360의 양의 공약수의 개수를 구하여라.

07

04-3 980의 양의 약수 중 짝수의 개수를 p, 7의 배수의 개수를 q라고 할 때, p+q의 값은?

20 22 24
26 28

04-1 30 2418 04-2 12 04-3

07 287
부정방정식의 해의 개수

방정식 3x+2y+z=1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 z의 순서쌍 (x, y, z)의 개

05 수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3x+2y+z=11 x y z x
2
x

정수 조건의 부정방정식은 계수의 절댓값이 가장


큰 미지수부터 차례대로 수를 대입해서 구한다.

상세 풀이

x y z
xæ1 yæ1 zæ1
x x
3x<11 x=1 2 3
⁄ x=1 2y+z=8 (x y z)
(1 1 6) (1 2 4) (1 3 2)
3
¤ x=2 2y+z=5 (x y z)
(2 1 3) (2 2 1)
2
‹ x=3 2y+z=2 y z
⁄~‹ (x y z)
3+2=5

정답 5

보충 설명
부정방정식 ax+by+cz=d (`a, b, c, d는 상수)의 정수인 해의 개수를 구할 때에는 x, y, z 중 계수의 절댓값이
큰 미지수부터 수를 대입합니다.
이때, 미지수 x, y, z의 조건이 양의 정수인지 음이 아닌 정수인지 구분해야 합니다. 양의 정수에는 0이 포함되지
않지만 음이 아닌 정수에는 0이 포함됩니다.

288 Ⅲ.
p.108

05-1 방정식 x+2y+3z=12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 z의 순서쌍 (x, y, z)의 개수를 구하


여라.

05-2 방정식 x+2y+2z=8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x, y, z의 순서쌍 (x, y, z)의 개수


는?

10 12 15
18 20
07

05-3 다음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의 순서쌍 (x, y)의 개수를 구하여라.

x+3y…7 2…x+y…6

05-1 7 05-2 05-3 5 15

07 289
지불 방법과 지불 금액의 수

10원짜리 동전 4개, 50원짜리 동전 2개, 100원짜리 동전 3개를 일부 또는 전부를

06 사용하여 지불하려고 할 때, 다음을 구하여라. (단, 0원을 지불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접근 방법

10 50 100
0
50 2 100 1 100
3 50 6

⑴ 지불할 수 있는 방법의 수 ∆ 지폐나 동전 각각의 개수에 주목


⑵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 ∆ 서로 다른 지폐나 동전으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이 같은 경우에 주목

상세 풀이

10 0 1 2 3 4 5
50 0 1 2 3
100 0 1 2 3 4
0
5_3_4-1=59
50 2 100 1
100 3 50 6 10 4
50 8
10 4 0 10 20 30 40 5
50 8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9
0
5_9-1=44

정답 ⑴ 59 ⑵ 44
보충 설명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수를 구할 때에는 서로 다른 화폐로 같은 금액을 지불할 수도 있음에 주의합니다. 예를
들어, 100원짜리 동전 5개와 500원짜리 동전 1개로는 지불할 수 있는 방법의 수는 6_2-1=11이지만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은 500원의 1가지입니다. 따라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단위가 큰 지폐나 동전
을 단위가 작은 지폐나 동전으로 바꾸어서 생각합니다.

290 Ⅲ.
p.110

06-1 10원짜리 동전 2개, 50원짜리 동전 3개, 100원짜리 동전 4개를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지불하려고 할 때, 다음을 구하여라. (단, 0원을 지불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06-2 1000원짜리 지폐 6장, 5000원짜리 지폐 4장, 10000원짜리 지폐 2장, 50000원짜리 지폐


1장을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지불하려고 할 때, 다음을 구하여라.
(단, 0원을 지불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07

06-3 1000원, 5000원, 10000원짜리 세 종류의 지폐를 최소한 한 장씩은 사용하여 거스름돈
없이 25000원을 지불하는 방법의 수를 구하여라.

06-1 59 35 06-2 209 93 06-3 2

07 291
색칠하는 방법의 수

오른쪽 그림의 A, B, C, D 4개의 영역을 빨강, 파랑, 노

07 랑, 초록의 4가지 색으로 칠하려고 한다. 같은 색을 여러


번 사용해도 좋으나 인접하는 영역은 서로 다른 색을 칠하
A B
C

D
여 구별하려고 할 때, 칠하는 방법의 수를 구하여라.
(단, 한 영역에는 한 가지 색만 칠한다.)

접근 방법

서로 다른 색을 칠할 때에는 먼저 기준이 되는 한 영역을 색칠하고


기준 영역을 중심으로 나머지 영역을 칠한다.

상세 풀이

B
⁄ B 4
¤ A B 3
‹ C B 3
› D B C 2
⁄~›
4_3_3_2=72

정답 72

보충 설명
영역 B부터 색을 칠하지 않고 다른 곳부터 칠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역 A부터 색을 칠한다고 하면 각 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다음과 같습니다.
A ⁄ 4가지 B ⁄ 3가지 (`A에 칠한 색 제외)
C ⁄ 3가지 (`B에 칠한 색 제외) D ⁄ 2가지 (`B, C에 칠한 색 제외)
∴ 4_3_3_2=72
이때, 07-3과 같이 그림이 대칭인 형태라면 대칭인 위치의 두 영역 A와 D 또는 두 영역 B와 C에 색
을 칠하는 경우를
⁄ 같은 색을 칠하는 경우 ¤ 다른 색을 칠하는 경우
로 나누어서 구해야 합니다.

292 Ⅲ.
p.111

07-1 어떤 사람이 서로 다른 5가지 색의 색연필을 가지고 오른쪽 그림의


A
A, B, C, D, E 5개의 영역에 색칠을 하려고 한다. 같은 색을 여러
번 사용해도 좋으나 인접하는 영역은 서로 다른 색을 칠하여 구별
B C D E
하려고 할 때, 칠하는 방법의 수를 구하여라.
(단, 한 영역에는 한 가지 색만 칠한다.)

07-2 서로 다른 4가지의 색이 있다. 이 중 4가지 이하의 색을 이용하


여 인접한 행정 구역을 구별할 수 있도록 모두 칠하고자 한다. 다
섯 개의 구역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의 수
는? (단, 행정 구역에는 한 가지 색만 칠한다.)

108 144 216 07


288 324

07-3 오른쪽 그림의 A, B, C, D 4개의 영역을 서로 다른 4가지 색으


로 칠하려고 한다. 같은 색을 여러 번 사용해도 좋으나 인접하는 A B

영역은 서로 다른 색을 칠하여 구별하려고 할 때, 칠하는 방법의


수를 구하여라. (단, 한 영역에는 한 가지 색만 칠한다.) C D

07-1 540 07-2 07-3 84

07 293
수형도를 이용하는 경우의 수

5장의 카드 1 , 2 , 3 , 4 , 5 가 각각 하나씩 붙어 있는 5개의 상자와 1부

08 터 5까지의 자연수 1, 2, 3, 4, 5가 각각 하나씩 적힌 5개의 공이 있다. 각 상자마


다 각각 1개씩의 공을 임의로 넣을 때, 단 하나의 상자에만 상자에 붙어 있는 카드
에 적힌 숫자와 같은 숫자가 적힌 공이 들어 가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1 1 4 2 3 4 5

2 2 5
5

규칙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의 수 ∆ 수형도나 표를 이용한다.

상세 풀이

5 1 2 3 4 5 5 1 2 3 4 5
5 1 1 1

1 2 3 4 5
2 5 4
3 4 5 2
5 2 4
2 5 3
1 4 2 3 9
5
3 2
2 3 4
5 2 3
4
3 2

9 2 3 4 5
9
9_5=45

정답 45

보충 설명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조사할 때, 규칙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에는 수형도나 표를 이용하면 어떤 사건도 빠뜨리
지 않고 같은 사건을 중복되지 않게 나열할 수 있습니다.

294 Ⅲ.
p.112

08-1 등번호 1, 2, 3, 4인 네 명의 육상 선수가 이어달리기를 하려고 한다. 네 명의 선수 모두 자


신의 등번호와 이어달리기 순번이 다르도록 이어달리기 순번을 결정하는 방법의 수를 구하
여라.

08-2 1, 2, 3, 4, 5를 일렬로 나열하였을 때, i번째 숫자를 ai (1…i…5)라고 하자.


(a¡-1)(a™-2)(a£-3)(a¢-4)(a∞-5)+0
이 성립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07

08-3 집합 X={1, 2, 3, 4}에 대하여 f(1)+3, f(2)+1을 만족시키는 일대일대응인 함수


f : X 1⁄ X의 개수를 구하여라.

08-1 9 08-2 44 08-3 14

07 295
07- 1 A={1 2 3 4} B={10 20 30 40 50}

C={a|a<A a<B}
D {a+b|a< b<B}

07- 2 1 100 3 5

25 27 29
31 33

07- 3 1 2 3 4 5 6
a b |a-b|…1

07- 4
(a+b+c)(p+q+r)-(a+b)(s+t)
(x+y+z¤ )(p-q)‹

07- 5 A B C D B

A D
D
A

296 Ⅲ.
p.373 | p.113

07- 6 0 1 2 3 4 5 6 3

07- 7 2250

07- 8 10 4 50 3 100 3 500 4

0
07

07- 9 A B C D E 5 4

A B C D E

07- 10 A B C D
C A

D B

07 297
07- 11 1 100 100

30 40 50
60 70

07- 12 5

12 18 24
32 36

07- 13 1 2 2 2 3 3 5 7 2

07- 14 100 500

07- 15 1 12
2
12=1_12=3_4
450

07- 16 X={1 2 3} Y={1 2 3 4} f : X 1⁄ Y

X x f(x)+x
f 6

298 Ⅲ.
p.373 | p.117

07- 17 3

07- 18 5 A B C D E5
E B

C
D

challenge

07- 19 3_3 9
1 2 3
9 07
6 5 4

7 8 9

1 9
1 2 3
2
6 5 4

3 7 8 9

challenge

07- 20
1 2 3 4

07 299
08
순열
01 순열 303

기본 다지기 326
실력 다지기 328
01 순열 01 310

02 312

03 314

04 316

05 318

06 320

07 322

08 324
08 | 순열

01 순열

1 순열
n r (0<r…n) n r
Pr
n

n Pr=n_(n-1)_(n-2)_y_(n-r+1)
1 n n n!

n!=n_(n-1)_(n-2)_y_3_2_1

n!
«P®= 0…r…n
`(n-r)!
«P«=n! «Pº=1 0!=1

A
= - A

2 이웃하거나 이웃하지 않는 순열의 수

2 1

2 1

302 Ⅲ.
01
1 순열

1. 순열의 뜻

1 2 3 4 5 3

1 2
5 1
08
3 4 5
2

4 3

3 4

5
5_4_3=60

n r (0<r…n) n r
순열
«P®
P Permutation

2. 순열의 수
«P®
n r n
(n-1)
(n-2)

08 303
r (r-1)
n-(r-1)=n-r+1

y r

n n-1 n-2 y n-r+1

n r
nP r n
«P®
r
«P®=n_(n-1)_(n-2)_y_(n-r+1) (0<r…n)
(
\
|
|
{
|
|
\
9
r

3
5 3
5
∞P£ ∞ P£ = 5 _4_3
3
∞P£=5_4_3=60

Example 6 P3=6_5_4=120
8 P2=8_7=56
6 P1=6
5 P5=5_4_3_2_1=120
n P2=n_(n-1)
n+2 P3=(n+2)_(n+1)_n

1 n n 계승
n!
n!=n_(n-1)_(n-2)_y_3_2_1 n! ! (factorial)

n n
n!
n

n Pn=n_(n-1)_y_3_2_1=n!

n n Pn
n n!

304 Ⅲ.
n Pr
0<r<n

n Pr=n_(n-1)_y_(n-r+1)
n_(n-1)_y_(n-r+1)_(n-r)_y_3_2_1
n Pr=
(n-r)_y_3_2_1
n!
n Pr= yy
(n-r)!
n! n!
0!=1 Pn=
n = =n! r=n
(n-n)! 0!
n! n!
n P0=1 n P0= = =1 r=0
(n-0)! n!

순열

1 n r (0<r…n) n r
n Pr
n Pr=n_(n-1)_(n-2)_y_(n-r+1)
2
n!
n Pr=
(n-r)!
0…r…n) n Pn=n! 0!=1 nP0=1 08

Example 1 2 3 4 4 3
4 3
4P3=4_3_2=24

3.‘적어도’
의 조건이 있는 순열의 수

U
A
A A A
AC
A
(n(U)) A (n(A))
n(AÇ )=n(U)-n(A)

08 305
Example 3 4 1 1

7 2 7P2=7_6=42
3 1 1
P2=3_2=6
3

42-6=36

2 이웃하거나 이웃하지 않는 순열의 수

Example 3 3
3
3
1 3
3!
4!
4!
3 3!

4!_3!=24_6=144

m n
=m_n

4 2

2
1 4
1

306 Ⅲ.
2 1
1 2 4 1
1 4
1

4 4!
4 2
5 2 2

5 P2

4!_5P2=24_20=480
4
2

m
n
=m_n 08

2
4 2 6!
5!_2!
6!-5!_2!=720-240=480
2 2
-

3
3
⁄3
¤2 1
‹3
3

08 307
이웃하거나 이웃하지 않는 순열의 수

2 1

2 1

-
2

중복을 허용하는 순열

1 2 3 4 5 3

1
2 3 4 5 5 1

5 2
5 3

4
5_5_5=5‹ =125
5

n r
y r n
n r
n_n_y_n=n®
(
\
{
\
9

2 A B 3 p q r
2‹ 3¤

308 Ⅲ.
f
X Y

p A
q
r B

p A B 2 q A B
2 r A B 2
2_2_2=2‹ =8

1 n

n P2=30 Pn=120
n 5 P3=5_nP2

2 2 3 08
3
2

풀이 1 n P2=n(n-1) 30=6_5 n=6


120=5_4_3_2_1 n=5
5 P3=5_4_3=60 nP2=n(n-1)
60=5n(n-1) n¤ -n-12=0 (n+3)(n-4)=0
n=4 ( næ2)

2 3 2 3 3
3! 3 3!=3_2_1=6

3!_3!=6_6=36
3 3! 2
4 P2=4_3=12

3!_4P2=6_12=72
다른 풀이 | 5! 2 4!_2!

5!-4!_2!=120-48=72

08 309
조건에 맞게 문자 나열하기

advice에 있는 6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할 때, 다음을 구하여라.

01 a e

접근 방법

a e

조건이 주어질 때 ∆ 특정한 자리를 먼저 나열한다.

상세 풀이

a e 4 d v i c
4!=4_3_2_1=24

d v c 2
£P™=3_2=6
2 4
4!=4_3_2_1=24
6_24=144
d v c 3 a i e 3 6

3 3!=3_2_1=6
3 3!=3_2_1=6
2_6_6=72

정답 ⑴ 24 ⑵ 144 ⑶ 72

보충 설명
⑴`에서는 a와 e의 위치를 맨 처음과 맨 마지막으로 고정하였지만 만약‘a와 e가 양 끝에 오는 경우의 수’
와같
이 양 끝에 대한 조건만 주어졌을 때에는 양 끝에 오는 것이 서로 자리를 바꿀 수 있으므로 이를 빠뜨리지 않도
록 주의해야 합니다.

310 Ⅲ.
p.123

01-1 worldcup에 있는 8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할 때, 다음을 구하여라.

r d

01-2 3개의 문자 a, b, c와 4개의 숫자 1, 2, 3, 4 중에서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와 서로 다른 3


개의 숫자를 뽑아 일렬로 나열할 때, 양 끝에 문자가 오는 경우의 수는?

128 132 136


140 144
08

01-3 7개의 숫자 1, 2, 3, 4, 5, 6, 7을 일렬로 나열할 때, 1과 2 사이에 3개의 숫자가 있는 경


우의 수를 구하여라.

01-1 1440 1440 21600 01-2


01-3 720

08 311
자연수의 개수에 대한 순열

다음을 구하여라.

02 5 0 1 2 3 4

5 0 1 2 3 4 3

접근 방법

n 0

자연수를 만들 때 ∆ 최고 자리에는 0이 올 수 없다.

상세 풀이

0 1 2 3 4 4 만 천 백 십 일
4 ↑ ↑ ↑ ↑ ↑
4 _4_ 3_ 2_1

¢P¢=4_3_2_1=24

4_24=96
0 1 2 3 4 4 백 십 일
4 ↑ ↑ ↑
2 4_4_3

¢P™=4_3=12

4_12=48

정답 ⑴ 96 ⑵ 48

보충 설명
⑴ 5개의 숫자를 일렬로 배열하여 만들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에서 만의 자리의 숫자가 0인 경우를 제외하여도
구할 수 있으므로
5!-4!=120-24=96
⑵ 5개의 숫자 중 3개를 택하는 순열의 수 중에서 백의 자리의 숫자가 0인 경우를 제외하여도 구할 수 있으므로
∞P£-¢P™=60-12=48

312 Ⅲ.
p.123

02-1 다음을 구하여라.

6 0 1 2 3 4 5

6 0 1 2 3 4 5 4

02-2 5개의 숫자 0, 1, 2, 3, 4 중에서 서로 다른 4개의 숫자를 택하여 네 자리 자연수를 만들


때, 다음을 구하여라.

3200
08

02-3 6개의 숫자 0, 1, 2, 3, 4, 5 중에서 서로 다른 4개의 숫자를 택하여 네 자리 자연수를 만


들 때, 4100보다 작은 짝수의 개수를 구하여라.

02-1 600 300 02-2 36 36 02-3 99

08 313
자연수의 개수에 대한 순열; 배수판정법

4개의 숫자 0, 2, 3, 4 중에서 서로 다른 3개의 숫자를 택하여 세 자리 자연수를

03 만들 때, 3의 배수의 개수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3 3

배수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은 배수판정법을 이용한다.


⑴ 2의 배수:마지막 자리의 숫자가 0, 2, 4, 6, 8 중 하나인 자연수
⑵ 3의 배수: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3의 배수인 자연수
⑶ 4의 배수:끝의 두 자리의 수가 4의 배수인 자연수
⑷ 5의 배수:마지막 자리의 숫자가 0 또는 5인 자연수
⑸ 6의 배수:2의 배수이면서 동시에 3의 배수인 자연수
⑹ 9의 배수: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9의 배수인 자연수

상세 풀이

3 3
4 0 2 3 4 3 3
(0 2 4) (2 3 4)
2
⁄ (0 2 4) 0 2
2
2_2!=4
¤ (2 3 4) 2 3 4 3

3!=3_2_1=6
⁄ ¤ 3
4+6=10 정답 10

보충 설명
세 자리 자연수 N의 백의 자리의 숫자를 x, 십의 자리의 숫자를 y, 일의 자리의 숫자를 z라고 하면
N=100x+10y+z=(99+1)x+(9+1)y+z
=99x+9y+(x+y+z)=9(11x+y)+(x+y+z)
따라서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인 x+y+z가
3의 배수이면 N도 3의 배수, 9의 배수이면 N도 9의 배수
임을 알 수 있습니다.

314 Ⅲ.
p.124

03-1 6개의 숫자 0, 1, 2, 3, 4, 5 중에서 서로 다른 3개의 숫자를 택하여 세 자리 자연수를 만들


때, 5의 배수의 개수를 구하여라.

03-2 6개의 숫자 0, 1, 2, 3, 4, 5 중에서 서로 다른 4개의 숫자를 택하여 네 자리 자연수를 만들


때, 2의 배수 또는 9의 배수의 개수는?

156 160 164


168 172

08

03-3 5개의 숫자 0, 1, 2, 3, 4 중에서 서로 다른 3개의 숫자를 택하여 세 자리 자연수를 만들


때, 다음을 구하여라.

4 6

03-1 36 03-2 03-3 15 13

08 315
이웃하는 순열의 수

남학생 4명과 여학생 3명을 일렬로 세울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4
접근 방법

4 3

이웃한다. ∆ 먼저 이웃하는 것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나열한 후,


묶음 안에서 자리를 바꾸는 경우를 생각한다.

상세 풀이

4 3
4
4 4!
4!
4!=4_3_2_1=24
4
4!=4_3_2_1=24

24_24=576
3 4
5
3!
5
5!
5!=5_4_3_2_1=120
3
3!=3_2_1=6

120_6=720
정답 ⑴ 576 ⑵ 720

보충 설명
이웃하는 것들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수를 먼저 구한 후, 묶음 안에서 자리를 바꾸어 나열하
는 경우의 수를 곱합니다.

316 Ⅲ.
p.126

04-1 농구 선수 3명과 야구 선수 5명을 일렬로 세울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4-2 1학년 학생 2명, 2학년 학생 2명, 3학년 학생 2명을 일렬로 세울 때, 같은 학년의 학생끼리
이웃하게 세우는 경우의 수는?

24 36 48
60 72

08

04-3 5개의 문자 a, b, c, d, e를 일렬로 나열할 때, a와 b가 이웃하거나 c와 d가 이웃하는 경


우의 수를 구하여라.

04-1 2880 4320 04-2 04-3 72

08 317
이웃하지 않는 순열의 수

남학생 4명과 여학생 3명을 일렬로 세울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5
접근 방법

이웃하지 않는다. ∆ 이웃해도 되는 것을 먼저 나열하라!

상세 풀이

4
4!=4_3_2_1=24
5 3
3
∞P£=5_4_3=60

24_60=1440
3
3!=3_2_1=6
4 4 4

4!=4_3_2_1=24

6_24=144
정답 ⑴ 1440 ⑵ 144

보충 설명
남학생 4 명과 여학생 2 명을 일렬로 세울 때, 여학생끼리 이웃하지 않게 세우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라면
(전체 경우의 수)-(여학생이 모두 이웃하는 경우의 수)=6!-5!_2!
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지만, 위의 문제처럼 여학생 3명을 이웃하지 않게 세우는 경우의 수는
(전체 경우의 수)-(여학생이 모두 이웃하는 경우의 수)=7!-5!_3!
과 같이 구하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여학생이 모두 이웃하는 경우만을 제외하면 남 여 여 남 여 남 남 처럼 여학
생 2 명은 이웃하고 나머지 1명은 떨어져 있는 경우는 제외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318 Ⅲ.
p.127

05-1 서로 다른 수학책 4권과 서로 다른 영어책 5권을 책꽂이에 일렬로 꽂을 때, 다음 물음에 답


하여라.

05-2 victory에 있는 7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할 때, 모음끼리 이웃하지 않도록 나열하는 경우
의 수는?

3200 3400 3600


3800 4000
08

05-3 3명의 학생이 일렬로 놓여 있는 7개의 똑같은 의자에 앉을 때, 어느 2명도 이웃하지 않게


앉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05-1 43200 2880 05-2 05-3 60

08 319
‘`적어도’
의 조건이 있는 순열의 수

superman에 있는 8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할 때, 다음을 구하여라.

06 s n 2

접근 방법

s n

‘적어도…’∆ 여집합을 생각한다.

상세 풀이

s n 6 2 s n
§P™=6_5=30
s n 5
5!=5_4_3_2_1=120
s n 2!=2

30_120_2=7200

8 8!
s p r m n 2 ∞P™
6 6!

8!-∞P™_6!=6!_(8_7-5_4)=720_36=25920

정답 ⑴ 7200 ⑵ 25920

보충 설명
‘적어도’
의 조건이 있는 경우에는 전체 경우를 분류하여, 직접 경우의 수를 구하는 것과 구하는 경우의 반대가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 빼는 것 중 어느 것이 간단한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20 Ⅲ.
p.127

06-1 fireman에 있는 7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할 때, 다음을 구하여라.

f n 2

06-2 smile에 있는 5개의 문자를 일렬로 나열할 때, 두 모음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자음이 있는
경우의 수는?

36 72 108
144 180

08

06-3 서로 다른 7개의 알파벳을 일렬로 나열할 때, 적어도 한쪽 끝에 자음이 오는 경우의 수가


4320이다. 7개의 알파벳 중에서 자음의 개수를 구하여라.

06-1 960 432 06-2 06-3 4

08 321
함수의 개수

두 집합 X={2, 4, 6}, Y={1, 3, 5}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여라.

07 X
X
Y
Y

접근 방법

X Y X Y X
Y X Y 2
X Y 2
X Y 2 4 6
Y
X Y
f : X 1⁄ Y ⁄ X x¡ x™ x¡+x™ f(x¡)+ f(x™)
¤ f X Y

함수의 개수 ∆ 정의역을 기준으로 대응 관계를 생각한다.

상세 풀이

X 2 Y 1 3 5 3 4 6
Y 3

3_3_3=27
X 2 Y 1 3 5 3 4 Y
2 Y 2 6 Y 1
X 2 4 6 Y 1 3
5
3!=3_2_1=6

정답 ⑴ 27 ⑵ 6

보충 설명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X, Y에 대하여
⑴ n(X)=l, n(Y)=m일 때, X에서 Y로의 함수의 개수는 ml
⑵ n(X)=l, n(Y)=m일 때, X에서 Y로의 일대일함수의 개수는 mPl (단, mæl)
⑶ n(X)=m, n(Y)=m일 때, X에서 Y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mPm=m!

322 Ⅲ.
p.128

07-1 두 집합 X={1, 3, 5, 7}, Y={2, 4, 6, 8}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여라.

X Y
X Y

07-2 집합 X={1, 2, 3, 4, 5}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 X 1⁄ X의 개수를


구하여라.

f(1)…2
f(2)…2
a+b f(a)+f(b) a<X b<X

08

07-3 집합 A={1, 2, 3, 4, 5, 6, 7}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A 1⁄ A의


개수를 구하여라.

f
f(1)=7
kæ2 f(k)…k

07-1 256 24 07-2 12 07-3 32

08 323
사전식 배열법을 이용하는 순열의 수

5개의 문자 a, b, c, d, e를 모두 한 번씩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문자열을 사전식

08 으로 abcde에서 edcba까지 배열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cdabe
80

접근 방법

cdabe a b ca cb
a b
80

사전식 배열법을 이용하는 순열 ∆ 맨 앞에 오는 문자에 따라 배열

상세 풀이

cdabe
⁄a 4!=4_3_2_1=24
¤b 4!=4_3_2_1=24
‹ ca 3!=3_2_1=6
› cb 3!=3_2_1=6
⁄~› 24+24+6+6+1=61 cdabe 61
⁄a 4!=4_3_2_1=24
¤b 4!=4_3_2_1=24
‹c 4!=4_3_2_1=24
› da 3!=3_2_1=6
⁄~› a da
24+24+24+6=78
80 db dbaec

정답 ⑴ 61 ⑵ dbaec

보충 설명
⑵에서 a , y, da , db 꼴인 문자열의 총 개수는
4!+4!+4!+3!+3!=24+24+24+6+6=84
이므로 80번째에 오는 문자열이 ab로 시작하는 문자열임을 추측하고, dbace부터 차례대로 배열하여 80번째에
오는 문자열을 직접 찾은 것입니다.

324 Ⅲ.
p.129

08-1 6개의 문자 a, b, c, d, e, f를 모두 한 번씩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문자열을 사전식으로


abcdef에서 fedcba까지 배열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dceabf
300

08-2 N, A, T, U, R, E의 6개의 문자를 모두 한 번씩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문자열을 사전식


으로 배열할 때, NATURE는 몇 번째에 오는 문자열인가?

254 256 258


260 262

08

08-3 1, 2, 3, 4, 5, 6을 모두 한 번씩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여섯 자리 자연수를


123456, 123465, 123546, y
과 같이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배열하여
a¡=123456, a™=123465, a£=123546, y
과 같이 정의할 때, an=412536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을 구하여라.

08-1 421 cdbfea 08-2 08-3 363

08 325
08- 1
2n P3=44_nP2 n

n Pr=n-1Pr+r_n-1Pr-1 næ2
1<r…n n Pr=(n-r+1)_nPr-1

08- 2 6 1 2 3 4 5 6 5 1 3
2

140 142 144


146 148

08- 3 2 2

2 5
1 1 2
4

08- 4 4 3

08- 5 A B C D E 5 3 3 2 2
A B

326 Ⅲ.
p.373 | p.131

08- 6 1 2 3 4 5 6
3

08- 7 3_3 2 7
2 7 1 9
2
3 1
7

08- 8 6
1 2 4 6 8 9

08

08- 9 X={1 2 3} Y={0 1 2 3 4} f : X 1⁄ Y


f(1)f(2)f(3)=0 f

08- 10 419

224 228 230


232 234

08 327
08- 11 5 a b c d e c a b
a b c

32 36 40
44 48

08- 12 5 1 5 4 7
5
( 2 3 )

512 1010 1024


1204 2048

08- 13 6 A B C D E F B

B 5 A C

( C E )
F D

08- 14
0 1 2 3 4 5

5 T I G E R T

08- 15 9
3 9

328 Ⅲ.
p.373 | p.135

08- 16 2 3
2 3
5

08- 17 9 1 9 2
1
5 2
1 5
5 5

08- 18 6
<1> <2> <3>

<1> <4> <5> 08


<2> <4> <3> <5> <6>
<6>
6

08- 19 A={1 2 3 4 5 6} f : A 1⁄ A

f
A n f(n+1)-f(n)=5

challenge

08- 20 1 999

1
0

08 329
09
조합
01 조합 333

기본 다지기 358
실력 다지기 360
1 1
1 3

01 조합 01 340

02 342

03 344

04 346

05 348

06 350

07 352

08 354

09 356
09 | 조합

01 조합

1 조합
n r(0…r…n)
«C®

«P® n!
«C®= = 0…r…n
r! r!(n-r)!
«Cº=1 «C«=1
«C®=«C«–® 0…r…n
«C®=«–¡C®+«–¡C®–¡ 1…r<n

2 도형의 개수

«C™

«C£

m n
µC™_«C™

332 Ⅲ.
01
1 조합

1. 조합의 뜻

n r (0…r…n) n
r 조합
«C®
«C® C Combination
09
«C®
4 1 2 3 4 2

1 2 1 3 1 4 2 3 2 4 3 4

6 ¢C™
2 2!

¢C™ 1 2 1 3 1 4 2 3 2 4 3 4

_2! _2! _2! _2! _2! _2!

1 2 1 3 1 4 2 3 2 4 3 4
¢P™
2 1 3 1 4 1 3 2 4 2 4 3

4 2
2 ¢C™_2!

09 333
¢P™
¢C™_2!=¢P™
¢C™
¢P™ 4_3
¢C™= = =6
2! 2_1

n r (0<r…n) «C®
r r! n r
«P®
«P®=«C®_r! = _

«P® n(n-1)(n-2)y(n-r+1)
«C®= =
r! r!
n(n-1)(n-2)y(n-r+1)(n-r)y3_2_1
«C®=
r!(n-r)y 3_2_1
n!
«C®= (0<r…n)
r!(n-r)!

r=0
«Pº
«Cº= =1 «Pº=1 0!=1
0!
«Cº=1
n! n!
«C«= = =1 n n 1
n!(n-n)! n!0!

Example 7 2
¶P™ 7_6
¶C™= = =21
2! 2_1
5

∞P™ 5_4
∞C™= = =10
2! 2_1

334 Ⅲ.
2. 조합의 수의 성질
5 1 2 3 4 5 3

1 2 3 4 5

1 2 4 3 5

1 2 5 3 4

1 3 4 2 5

3 1 3 5 2 4
2
1 3
1 4 5 2 3
4 5
2 3 4 1 5

2 3 5 1 4

2 4 5 1 3

3 4 5 1 2

C3
5 C2
5

5 3 ∞C£
09
2 ∞C™
∞C£=∞C∞–£=∞C™

0…r…n
n! n! n!
«C«–®= = = =«C®
(n-r)!{n-(n-r)}! (n-r)!r! r!(n-r)!
«C®=«C«–®

n r
n (n-r)
r (n-r)

«C® r>n-r «C® «C«–®

09 335
Example ¶P£ 7_6_5
¶C¢=¶C£= = =35
3! 3_2_1
ªP™ 9_8
ªC¶=ªC™= = =36
2! 2_1

1…r…n-1
(n-1)! (n-1)!
«–¡C®+«–¡C®–¡= +
r!{(n-1)-r}! (r-1)!{(n-1)-(r-1)}!
(n-1)! (n-1)!
«–¡C®+«–¡C®–¡= +
r!(n-1-r)! (r-1)!(n-r)!
(n-r)(n-1)! r(n-1)!
«–¡C®+«–¡C®–¡= +
r!(n-r)! r!(n-r)!
{(n-r)+r}(n-1)!
«–¡C®+«–¡C®–¡=
r!(n-r)!
n!
«–¡C®+«–¡C®–¡= =«C®
r!(n-r)!
«–¡C®+«–¡C®–¡=«C®

«C® { (n-1) (r-1)


}+{ (n-1) r }

조합

1 n r (0…r…n)
«C®
2
«P® n!
«C®= = 0…r…n
r! r!(n-r)!
«Cº=1 «C«=1
«C®=«C«–® 0…r…n
«C®=«–¡C®+«–¡C®–¡ 1…r<n

{a b c d e} 3 a b c d e 3
∞P™ 5_4
∞C£=∞C™= = =10
2! 2_1
n r n r

336 Ⅲ.
2 도형의 개수

1. 직선의 개수
1 A B C
£C™ AB” BC” CA” 3
£C™ ABÍ BCÍ CAÍ 3
2 A B C
AB” BC” AC” 3
ACÍ 1
ACÍ =BCÍ

B C A B C

1 2 09

Example 6
6 2

§P™ 6_5
§C™= = =15
2! 2_1

Œ12 1

§C™-£C™_2+1_2=15-6+2=11
ø
z12

09 337
2. 삼각형의 개수
1
¢C£=4 2

1 2

3. 평행사변형의 개수
3 4

2
2

3_2 4_3
£C™_¢C™=£C¡_¢C™= _ =3_6=18
2_1 2_1

도형의 개수

1 n
«C™
2 n
«C£
3 m n
µC™_«C™

338 Ⅲ.
1 n

«C£=56 ¶C«=¶C™«–™

2 8 5 3 3

3 3 4 2
2 a
b a+b

«P£ n(n-1)(n-2)
풀이 1 «C£=
3!
=
3_2_1
=56

n(n-1)(n-2)=56_6=8_7_6 n=8
⁄ ¶C«=¶C™«–™
¤ ¶C«=¶C¶–«
n=2n-2
¶C¶–«=¶C™«–™
n=2
7-n=2n-2 n=3
09
⁄ ¤ n=2 또는 n=3

2 8 3 •C£ 5 3 ∞C£

8_7_6 5_4
•C£_∞C£=•C£_∞C™= _ =56_10=560
3_2_1 2_1

3 2
a=£C™=£C¡=3

b=£C¡_¢C¡=3_4=12
a+b=3+12=15

4 8 2
8_7
•C™-8= -8=28-8=20
2_1
다른 풀이 |
5 5
8_5=40
2

:¢2º:=20

09 339
조합

남자 6명, 여자 4명 중에서 4명의 위원을 뽑으려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1 2 2

1 1

접근 방법

«C®= 11 = 11111 (단, 0…r …n)


«P® n!
r! r!(n-r)!

상세 풀이

6_5
6 2 §C™= =15
2_1
4_3
4 2 ¢C™= =6
2_1
15_6=90
10_9_8_7
10 4 ¡ºC¢= =210
4_3_2_1
0 4
6_5 1 3
4 §C¢=§C™= =15
2_1 2 2
210-15=195 3 1
4 0
10 4 ¡ºC¢=210
4 §C¢=§C™=15
4 ¢C¢=1
210-(15+1)=194

정답 ⑴ 90 ⑵ 195 ⑶ 194

보충 설명
⑶ ⁄ 남자 1명, 여자 3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C¡_¢C£=§C¡_¢C¡=6_4=24
¤ 남자 2명, 여자 2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C™_¢C™=15_6=90
‹ 남자 3명, 여자 1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C£_¢C¡=20_4=80
⁄~‹에서 남자 1명, 여자 1명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의 수는
24+90+80=194

340 Ⅲ.
p.140

01-1 남자 4명, 여자 5명 중에서 4명의 위원을 뽑으려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2 2

1 1

01-2 남녀 8명의 학생 중에서 2명의 위원을 뽑을 때, 여학생이 적어도 한 명은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의 수는 18이다. 8명 중 남학생은 모두 몇 명인지 구하여라.

09

01-3 증권 회사 3개, 통신 회사 3개, 건설 회사 4개가 있다. 증권, 통신, 건설 각 업종별로 적어


도 하나의 회사를 택하여 총 4개의 회사에 입사 원서를 내는 방법의 수는?

63 126 189
252 315

01-1 60 121 120 01-2 5 01-3

09 341
특정한 것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조합의 수

창희와 경도를 포함한 6명 중에서 3명을 뽑을 때, 다음을 구하여라.

02 1

접근 방법

1 4 2

서로 다른 n개에서 r(0…r…n)개를 뽑을 때
⑴ 특정한 x개를 포함하는 방법의 수 ∆ n-x Cr-x
⑵ 특정한 y개를 제외하는 방법의 수 ∆ Cr
n-y

⑶ 특정한 x개를 포함하고, 특정한 y개를 제외하는 방법의 수 ∆ n-x-yCr-x

상세 풀이

4 1
¢C¡=4
⁄ 4 2
4_3
¢C™= =6
2_1
¤ 4 2
4_3
¢C™= =6
2_1
⁄ ¤ 1 6+6=12
4 3
¢C£=¢C¡=4

정답 ⑴ 4 ⑵ 12 ⑶ 4

보충 설명
집합 A의 원소가 n개일 때
⑴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 ∆ 2n
⑵ 특정한 k개의 원소를 포함하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 ∆ 2n-k
⑶ 특정한 l개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 ∆ 2n-l

342 Ⅲ.
p.141

02-1 은지와 재욱을 포함한 10명 중에서 4명을 뽑을 때, 다음을 구하여라.

02-2 7명 중에서 특정한 2명이 모두 포함되도록 5명을 뽑아 일렬로 세울 때, 다음 물음에 답하


여라.

2
2

09

02-3 주머니에 1부터 10까지의 자연수가 각각 적혀 있는 구슬 10개가 들어 있다. 이 주머니에


서 6개의 구슬을 뽑을 때, 홀수인 소수가 적혀 있는 구슬은 모두 포함하고, 짝수인 소수가
적혀 있는 구슬은 포함하지 않도록 구슬을 뽑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02-1 28 112 70 02-2 480 720 02-3 20

09 343
경기 또는 악수하는 방법의 수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3 12 3

1275

접근 방법

(FIFA)

(league)

4
4
¢C™=6

n명(팀)이 서로 한 번씩 악수`(경기)하는 방법의 수 ∆ «C™

상세 풀이

12 12 2
12_11
¡™C™= =66
2_1
3
66_3=198
n n n 2
n(n-1)
«C™= =1275
2_1
n¤ -n-2550=0 (n+50)(n-51)=0 n=51 næ2

정답 ⑴ 198 ⑵ 51

보충 설명
4명의 친구들끼리 서로 한 번씩 가위바위보를 할 때, 비기는 경우가 없다고 가정하면 가위바위보를 한 총 횟수는
¢C™=6인데, 이 역시 리그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한편, 4명의 친구를 2명, 2명으로 나누어 가위바위보를 하고 이 중에서 이긴 사람 2명끼리 다시 가위바위보를 하
여 한 명의 승자를 뽑을 때, 비기는 경우가 없다고 가정하면 가위바위보를 한 총 횟수는 2+1=3인데, 이러한
방식을 토너먼트(tournament) 방식이라고 합니다.

344 Ⅲ.
p.142

03-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0 4

820

03-2 어떤 모임에 참석한 4쌍의 부부가 배우자를 제외한 다른 모든 사람과 서로 한 번씩 악수를


할 때, 참석한 8명이 한 악수의 총 횟수는?

12 16 20
24 28

09

03-3 어떤 회사의 두 지점 사이의 통신망은 1가지, 세 지점 사이의 통신망은 3가지, 네 지점


사이의 통신망은 6가지이다. 이 회사의 지점과 지점 사이의 통신망이 780가지일 때, 지
점의 총 개수는?

30 40 50
60 70

03-1 180 41 03-2 03-3

09 345
크기순으로 나열하는 방법의 수

6개의 숫자 1, 2, 3, 4, 5, 6 중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3개를 택하여 세 자리 자연

04 수 abc를 만들 때, a …b<c인 세 자리 자연수 abc의 개수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5 1, 2, 3, 4, 5 2 ab
∞P™=5_4=20

a<b 12 13 14 15 23 24 25 34 35 45

a>b 21 31 32 41 42 43 51 52 53 54

a<b 10 5 2
∞C™=10 5 1, 2, 3, 4, 5 2

크기순으로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 뽑는 것만 신경 쓴다.

상세 풀이

a…b a<b a=b


⁄ a<b<c
6 1 2 3 4 5 6 3
6_5_4
§C£= =20
3_2_1
¤ a=b<c
6 1 2 3 4 5 6 2
6_5
§C™= =15
2_1
⁄ ¤
20+15=35

정답 35

보충 설명
⁄에서 6개의 숫자 1, 2, 3, 4, 5, 6 중에서 2, 3, 5를 택했을 때, 이 세 수를 나열하여 만들 수 있는 세 자리
자연수 235, 253, 325, 352, 523, 532의 6개 중에서 a<b<c를 만족시키는 것은 235뿐입니다.
참고로, 중복을 허용한다는 것은 같은 숫자를 여러 번 택하여도 된다는 의미입니다.

346 Ⅲ.
p.142

04-1 7개의 숫자 0, 1, 2, 3, 4, 5, 6 중에서 3개를 택하여 세 자리 자연수 abc를 만들 때, 다음


을 구하여라. (단, 같은 숫자를 여러 번 택하여도 된다.)

a<b<c abc
a>bæc abc

04-2 1부터 6까지의 자연수 6개를 일렬로 나열하여 왼쪽부터 차례대로 a¡, a™, a£, a¢, a∞, a§이
라고 하자. a¡>a£>a∞, a™>a¢를 만족시키는 나열의 개수는?

48 52 56
60 64

09

04-3 두 집합 A={1, 2, 3, 4}, B={1, 2, 3, 4, 5, 6, 7, 8, 9}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


시키는 함수 f : A 1⁄ B의 개수를 구하여라.

a<b f(a)<f(b)
f(1)+f(2)+f(3)+f(4)

04-1 20 56 04-2 04-3 60

09 347
나머지가 같은 수를 이용한 경우의 수

1부터 15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서로 다른 두 수를 택할 때, 두 수의 합이 3의 배수

05 가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1 15 3 3 1
1+2=3 1+5=6 1+8=9 1+11=12 1+14=15
3 1 3 1 2 5 8 11 14 3
2 1 15 3
3

합 또는 곱이 n의 배수인 것은 n으로 나눈 나머지를 생각한다.

상세 풀이

1 15 3 r(r=0 1 2) A®
Aº={3 6 9 12 15} A¡={1 4 7 10 13} A™={2 5 8 11 14}
3
⁄ (Aº )+(Aº )
5_4
∞C™= =10
2_1
¤ (A¡ )+(A™ )
∞C¡_∞C¡=5_5=25
⁄ ¤
10+25=35
정답 35

보충 설명
¤에서 두 집합 A¡, A™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를 각각 p, q라고 하면
p=3△+1, q=3☆+2 (△, ☆은 0 또는 자연수)
꼴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두 수 p, q의 합은
p+q=(3△+1)+(3☆+2)=3(△+☆+1)
입니다. 즉, △+☆+1은 자연수이므로 p+q는 3의 배수입니다.

348 Ⅲ.
p.143

05-1 1부터 2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서로 다른 두 수를 택할 때, 두 수의 합이 4의 배수가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05-2 15개의 수 2⁄ , 2¤ , 2‹ , y, 2⁄ fi 이 오른쪽 표와 같이 배열


2⁄ 2¤ 2‹ 2› 2fi
되어 있다. 각 가로줄에서 한 개씩 임의로 선택한 세
2fl 2‡ 2° 2· 2⁄ ‚
수의 합이 3의 배수인 경우의 수는?
2⁄ ⁄ 2⁄ ¤ 2⁄ ‹ 2⁄ › 2⁄ fi
12 18
24 30
36

09

05-3 9개의 수 2⁄ , 2¤ , 2‹ , y, 2· 이 오른쪽 표와 같이 배열되어 있다.


2⁄ 2¤ 2‹
각 가로줄에서 한 개씩 임의로 선택한 세 수의 곱을 3으로 나눈
2› 2fi 2fl
나머지가 1이 되는 경우의 수는?
2‡ 2° 2·
10 12 14
16 18

05-1 45 05-2 05-3

09 349
집합의 개수

전체집합 U={1, 2, 3, 4, 5}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6 A,B,U
n(A;B)=2
(A B)
(A B)

접근 방법

U
A
A,U A 2fi
⁄ 1 2
¤ 2 2

fi 5 2
2_2_2_2_2=2fi

부분집합의 개수는 어느 집합에 속할 수 있는지를 생각한다!

상세 풀이

U={1 2 3 4 5} U

3 A
B

3_3_3_3_3=3fi =243
(A B) 243
n(A;B)=2 U 5 A;B
2
5_4
∞C™= =10
2_1
U 3 U
B
3 A

3_3_3=27
(A B)
10_27=270

정답 ⑴ 243 ⑵ 270

보충 설명
⑵`에서 n(A;B)=2라는 조건이 없는 경우에 A,U, B,U를 만족시키는 두 집합 A, B의 순서쌍 (A, B)의
개수는 4_4_4_4_4=1024

350 Ⅲ.
p.144

06-1 전체집합 U={1, 2, 3, 4, 5, 6}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B,U (A B)
n(A;B)=3 (A B)

06-2 전체집합 U={1, 2, 3, 4, 5, 6}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B,U n(A;B)=2 (A B)
A;B=u A'B=U (A B)
A+u B+u

09

06-3 전체집합 U={1, 2, 3, 4, 5}의 공집합이 아닌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A,B를 만


족시키는 순서쌍 (A, B)의 개수를 구하여라.

06-1 729 540 06-2 240 62 06-3 211

09 351
직선과 삼각형의 개수

오른쪽 그림과 같이 12개의 점이 같은 간격으로 놓여 있을

07 때, 다음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1
2 1
3

어느 세 점도 일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서로 다른 n개의 점 중에서


⑴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개수 ∆ «C™
⑵ 세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개수 ∆ «C£

상세 풀이

12_11
12 2 ¡™C™= =66
2_1
⁄ 3 2 £C™=£C¡=3
3 8
4_3
¤ 4 2 ¢C™= =6
2_1
4 3
⁄ ¤ 1
66-(3_8+6_3)+8+3=35
12_11_10
12 3 ¡™C£= =220
3_2_1
⁄ 3 3 £C£=1
3 8
¤ 4 3 ¢C£=¢C¡=4
4 3
⁄ ¤ 3
220-(1_8+4_3)=200
정답 ⑴ 35 ⑵ 200
보충 설명
⑴`에서 일직선 위에 있는 세 점이나 네 점에서도 한 개의 직선이 만들어지므로 세 점이 일직선 위에 있는 직선
의 개수 8과 네 점이 일직선 위에 있는 직선의 개수 3을 더해 줍니다.

352 Ⅲ.
p.145

07-1 오른쪽 그림과 같이 15개의 점이 같은 간격으로 놓여 있을 때, 다


음을 구하여라.

07-2 평면 위에 서로 다른 20개의 점이 있다. 이 중에서 두 점을 이어서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직선의 개수가 188일 때, 20개의 점 중에서 세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개수는?

1125 1130 1136


1139 1140

09

07-3 오른쪽 그림과 같이 15개의 점이 같은 간격으로 놓여 있다. 이


점 중에서 한 점을 택하여 점 A로 놓고, 나머지 14개의 점 중
에서 2개의 점을 뽑아 삼각형을 만들 때, 삼각형의 개수의 최댓
값은 a이고, 삼각형의 개수를 최대로 만들 수 있는 점 A의 위
치는 b군데이다. a+b의 값을 구하여라.

07-1 52 412 07-2 07-3 86

09 353
원주 위의 삼각형의 개수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주를 10등분한 점을 각각 P¡, P1

08
P10 P2
P™, P£, y, P¡º이라고 하자. 이 중에서 세 점을 꼭짓점
으로 하는 삼각형을 만들 때, 다음을 구하여라. P9 P3

P8 P4

P7 P5
P6

접근 방법

180˘ 90˘

원주 위의 직각(둔각)삼각형의 개수
∆ 지름을 기준으로 생각한다.

상세 풀이

10
10_9_8
¡ºC£= =120
3_2_1
P¡P§ P10
P1
P2
¢C¡+¢C¡=4+4=8 P9 P3
P’¡P§” P’™P¶” y P’∞P¡º” 5
P8 P4
8_5=40
P7 P5
P6

P¡P§ P1
P10 P2
P¡ P¡ 4 P™ P£ P¢ P∞
P9 P3
2
P8 P4
¢C™
P§ P§ 4 P¶ P• Pª P¡º 2 P7 P5
P6

¢C™
P’¡P§” P’™P¶” y P’∞P¡º” 5
(¢C™+¢C™)_5=12_5=60

정답 ⑴ 120 ⑵ 40 ⑶ 60

354 Ⅲ.
p.146

08-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주를 8등분한 점을 각각 P¡, P™, P£, y, P1


P•이라고 하자. 8개의 점 중에서 세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 P8 P2

형을 만들 때, 다음을 구하여라.
P7 P3

P6 P4
P5

08-2 다음 정다각형의 꼭짓점 중에서 3개의 점을 연결하여 만들 수 있는 정삼각형을 포함한


이등변삼각형의 개수를 구하여라.

09

08-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이 O인 반원 위에 8개의 점이 있다.


이 중에서 세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을 만들 때, 직각삼
각형을 제외한 삼각형의 개수는?
A O B
(단, 호 위의 점은 호 AB의 6등분점이다.)

36 40 43
46 49

08-1 56 24 24 8 08-2 52 40
08-3

09 355
사각형의 개수

오른쪽 그림과 같이 5개의 평행선과 6개의 평행선이

09 서로 만날 때, 이들 평행선으로 만들어지는 다음 도형
의 개수를 구하여라. (단, 평행선의 간격은 모두 같다.)

접근 방법

m개의 평행선과 n개의 평행선이 서로 만날 때


만들어지는 평행사변형의 개수 ∆ µC™_«C™

상세 풀이

2
2

5_4 6_5
∞C™_§C™= _ =10_15=150
2_1 2_1

5_4=20 4_3=12 3_2=6 2_1=2

20+12+6+2=40

정답 ⑴ 150 ⑵ 40

보충 설명
평행사변형과 마찬가지로 평행선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개수도 조합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한편, 마름모와 마찬가지로 네 변의 길이와 네 내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정사각형 역시 조합을 이용하여 구할 수
없으므로 직접 구하여야 합니다. (`∆ 09-1)

356 Ⅲ.
p.147

09-1 오른쪽 그림은 정사각형의 각 변을 4등분하여 얻은 도형이다. 이


도형의 선들로 만들어지는 다음 도형의 개수를 구하여라.

09-2 오른쪽 그림과 같이 16개의 점 P¡, P™, P£, y, P¡§이 같은 간 P¡£ P¡¢ P¡∞ P¡§
격으로 놓여 있다. 이 중에서 네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정사각형
Pª P¡º P¡¡ P¡™
의 개수는?
P∞ P§ P¶ P•
13 14 18
19 20 P¡ P™ P£ P¢

09

09-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합동인 정사각형 16개로 이루어진 도형이


있다. 이 도형의 선분들로 만들어지는 사각형의 개수는?

84 87 90
93 96

09-1 100 30 09-2 09-3

09 357
09- 1
n+2 C3=7nC4 n
n_n-1Cr-1=r_nCr 1…r…n

09- 2 9 5 3

90 120 180
240 270

09- 3 10 3
100

09- 4 8 4 2

80 120 160
180 220

09- 5 5 5 5

358 Ⅲ.
p.374 | p.149

09- 6 3 x y z x>y
x>z x y z (x y z)

09- 7 1 10

09- 8 1 9
10

60 88 100
132 144

09

09- 9 1000 9999 1000 1122

09- 10 10

09 359
09- 11 2 3 2 7 2
2 7

600 720 840


960 1080

09- 12 x¡ x™ x£ y x§ -1 1 2
x¡_x™_x£_y_x§=4

30 60 90
120 180

09- 13 U={x|1…x…6 x } X Y
X'Y=U X;Y=u
f : X 1⁄ Y

09- 14 8 A B C D E F G H

4
A B A B
A B C

09- 15 X={2 4 6 8} Y={1 2 3 4 5 6 7 8 9}


f : X 1⁄ Y

f(4)
a<X b<X a<b f(a)<f(b)

360 Ⅲ.
p.374 | p.153

09- 16 U={1 2 3 4 5} A B
(A B)

1≤(A;B)
n(A-B)=2

09- 17 9

challenge

09- 18
09

09- 19 15

challenge

09- 20 6 1열 2열 3열

2⁄ 2¤ 2‹ 2› 2fi 2fl
6 1 2 3
a¡ a™ a£ a¡<a™<a£

09 361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01 집합 14 4

- - - - - - - - - - - - - - - - - - - - - p.43
15
16
07-1
17

18
U U U
A A A
19 10
- =
B C B C B C
A-B C (A-B)-C

¤
U U U

02 명제
A A A

- =

B C B C B C - - - - - - - - - - - - - - - - - - - - - p.75
A B'C A-(B'C)
04-1
(A-B)-C=(A;BÇ );CÇ
x¤ >0 x+0
=A;(BÇ ;CÇ )
x=0 x¤ …0
=A;(B'C)Ç
x¤ …0 x=0
=A-(B'C)
- - - - - - - - - - - - - - - - - - - - - p.75
- - - - - - - - - - - - - - - - - - - - - p.50
04-2
01-1 x=0 y=0 x¤ +y¤ =0
2 73 x+0 y+0 x¤ +y¤ +0
3 64
- - - - - - - - - - - - - - - - - - - - - p.77
4 2<a<4
05-1
5
6 8
n n¤
7
8
n
9
n=2k-1 k
10

- - - - - - - - - - - - - - - - - - - - - p.52
n¤ =(2k-1)¤ =4k¤ -4k+1
01-11 12 =2(2k¤ -2k)+1
12 24 2(2k¤ -2k) 0 n¤
13

364
'3-3=a

'3=a+3
- - - - - - - - - - - - - - - - - - - - - p.77
a+3
05-2

n 3 n¤ 3 '3
'3-3

- - - - - - - - - - - - - - - - - - - - - p.79
(3k-2)¤ =9k¤ -12k+4
=3(3k¤ -4k+1)+1 06-2
(3k)¤ =9k¤ =3(3k¤ )
(3k-1)¤ =9k¤ -6k+1
=3(3k¤ -2k)+1 (3k+1)¤ =9k¤ +6k+1
=3(3k¤ +2k)+1
- - - - - - - - - - - - - - - - - - - - - p.77

05-3 (3k+2)¤ =9k¤ +12k+4


=3(3k¤ +4k+1)+1

m n mn
1 2

m n - - - - - - - - - - - - - - - - - - - - - p.79

m=2k-1 n=2l-1 k l
06-3
m n
mn=(2k-1)(2l-1)
=4kl-2k-2l+1
x¤ -mx+n=0 k
=2(2kl-k-l)+1
k¤ -mk+n=0 n=mk-k¤
2(2kl-k-l) 0 mn
⁄k
mk k¤ mk-k¤
n

- - - - - - - - - - - - - - - - - - - - - p.79
¤k
06-1 mk k¤ mk-k¤
'3-3 n
a

365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 ¤ a
x¤ -mx+n=0 b
m n

- - - - - - - - - - - - - - - - - - - - - p.88 a+b=a ab=b


a a b
02-1
2
ab= ab=b
3 -1
b
4
a b
5
x¤ -ax+b=0
6 mn m¤ +n¤

mn m¤ +n¤

7
8
9 8 8
10 03 절대부등식
- - - - - - - - - - - - - - - - - - - - p.101
- - - - - - - - - - - - - - - - - - - - - p.90

01-1
02-11
ab+cd-(ac+bd)>0
12
13
ab+cd-(ac+bd)
14
=(ab-ac)+(cd-bd)
15
=a(b-c)-d(b-c)
16
=(a-d)(b-c)
17
a>b>c>d a-d>0 b-c>0
18 5 12
(a-d)(b-c)>0
19
ab+cd>ac+bd
- - - - - - - - - - - - - - - - - - - - p.101
x¤ -ax+b=0
x¤ 1 a b 01-2
a¤ +b¤ +c¤ -ab-bc-caæ0

366
a¤ +b¤ +c¤ -(ab+bc+ca) (A¤ +B¤ )(a+b)¤ -(x¤ +y¤ )(a+b)¤
=a¤ +b¤ +c¤ -ab-bc-ca =(ax+by)¤ +(bx+ay)¤
= -(x¤ +y¤ )(a+b)¤
=;2!;(2a¤ +2b¤ +2c¤ -2ab-2bc-2ca)
=a¤ (x¤ +y¤ )+b¤ (x¤ +y¤ )+4abxy
=;2!; {(a¤ -2ab+b¤ )+(b¤ -2bc+c¤ ) -(x¤ +y¤ )(a¤ +2ab+b¤ )

+(c¤ -2ca+a¤ )} =4abxy-2ab(x¤ +y¤ )


=-2ab(x¤ +y¤ -2xy)
=;2!; {(a-b)¤ +(b-c)¤ +(c-a)¤ }æ0
=-2ab(x-y)¤ …0
(a-b)¤ æ0 (b-c)¤ æ0 (c-a)¤ æ0
a>0 b>0 (x-y)¤ æ0
a¤ +b¤ +c¤ æab+bc+ca
A¤ +B¤ …x¤ +y¤
a=b=c
x=y
- - - - - - - - - - - - - - - - - - - - p.101
- - - - - - - - - - - - - - - - - - - - p.103

01-3
02-1
AB-xyæ0
|a-b|æ0 |a|+|b|æ0
ax+by bx+ay
AB-xy= _ -xy |a-b|¤ -(|a|+|b|)¤ …0
a+b a+b

AB-xy= 111211111 -xy


(ax+by)(bx+ay)
(a+b)¤ |a-b|¤ -(|a|+|b|)¤
(ax+by)(bx+ay)-(a+b)¤ xy =(a-b)¤ -(|a|¤ +2|a||b|+|b|¤ )
AB-xy=
(a+b)¤
=(a¤ -2ab+b¤ )-(a¤ +2|ab|+b¤ )
abx¤ +aby¤ -2abxy =-2ab-2|ab|
AB-xy=
(a+b)¤
=-2(|ab|+ab)
ab(x-y)¤
AB-xy= æ0 |ab|+abæ0
(a+b)¤
a>0 b>0 (x-y)¤ æ0 -2(|ab|+ab)…0
ABæxy |a-b|¤ -(|a|+|b|)¤ …0
x=y |a-b|…|a|+|b|
A¤ +B¤ -(x¤ +y¤ )…0 |ab|+ab=0 ab…0

} +{ }
ax+by ¤ bx+ay ¤
A¤ +B¤ ={
a+b a+b
- - - - - - - - - - - - - - - - - - - - p.103
(ax+by)¤ +(bx+ay)¤
A¤ +B¤ =
(a+b)¤ 02-2
(a+b)¤ 'a+'bæ0 'ƒa+bæ0
('a+'b)¤ -('ƒa+b)¤ æ0

367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a+'b)¤ -('ƒa+b)¤ ⁄ a<b


=(a+2'a'b+b)-(a+b) a-b
a-b<0 <0
2
=2'∂ab æ0 aæ0 bæ0
'a+'b æ'ƒa+b
¤ aæb
'∂ab=0 ab=0
a-b
a-bæ0 æ0
2
"√2(a+b)æ0 'a+'b æ0

¶æ≠ • -{
{"√2(a+b)}¤ -('a+'b)¤ æ0
}
a¤ -ab+b¤ ¤ a-b ¤
3 2
{"√2(a+b)}¤ -('a+'b)¤ a¤ -ab+b¤ a¤ -2ab+b¤
= -
=2(a+b)-(a+2'a'b+b) 3 4

aæ0 bæ0 a+bæ0 4(a¤ -ab+b¤ )-3(a¤ -2ab+b¤ )


=
12
=a-2'a'b+b
a¤ +2ab+b¤
=('a-'b)¤ æ0 =
12
"√2(a+b)æ'a+'b
(a+b)¤
= æ0
'a-'b=0 a=b 12

a+b=0 a=-b

- - - - - - - - - - - - - - - - - - - - p.103 ⁄ ¤

02-3 æ≠ a¤ -ab+b¤ æ a-b


3 2
}- +b¤
b¤ b¤
a¤ -ab+b¤ ={a¤ -ab+
4 4
- - - - - - - - - - - - - - - - - - - - p.112
a¤ -ab+b¤ ={a-;2B;}¤ +
3b¤
æ0
4
03-1
{ {a-;2B;}¤ æ0
3b¤
æ0} a¤ +2b¤ -2ab
4
=(a¤ -2ab+b¤ )+b¤
=(a-b)¤ +b¤
æ≠ a¤ -ab+b¤ æ0 (a-b)¤ æ0 b¤ æ0
3
(a-b)¤ +b¤ æ0
a¤ +2b¤ æ2ab
æ≠ a¤ -ab+b¤ æ a-b yy
3 2 a-b=0 b=0
a=b=0

368
a¤ +b¤ -2(a+b-1) ab>0 (a-b)¤ æ0
=a¤ +b¤ -2a-2b+2 ab(a-b)¤ æ0
=(a¤ -2a+1)+(b¤ -2b+1) (a‹ +b‹ )(a+b)æ(a¤ +b¤ )¤
=(a-1)¤ +(b-1)¤ a-b=0 a=b
(a-1)¤ æ0 (b-1)¤ æ0
(a-1)¤ +(b-1)¤ æ0 ;3@;
5 8 4
a¤ +b¤ æ2(a+b-1)
6 49 27
a-1=0 b-1=0
7 18
a=b=1
8 4 6
2 æ < æ
9
3 10 25
;bA;>;dC; b>0 d>0
- - - - - - - - - - - - - - - - - - - - p.114
ad>bc ad-bc>0
03-11
a a+c a(b+d)-b(a+c)
⁄ - = x› +y› -(x‹ y+xy‹ )
b b+d b(b+d)
ad-bc =x‹ (x-y)-y‹ (x-y)
= >0
b(b+d) =(x-y)(x‹ -y‹ )
a a+c =(x-y)¤ (x¤ +xy+y¤ )
>
b b+d
(x-y)¤ æ0 x=y
a+c c (a+c)d-c(b+d)
¤ - =
b+d d (b+d)d

x¤ +xy+y¤ ={x+;2};}2 - 13 +y¤


ad-bc y¤
= >0 4
(b+d)d

x¤ +xy+y¤ ={x+;2};}2 + 12 æ0
a+c c 3y¤
> 4
b+d d
⁄ ¤ { x+;2};=0 y=0 x=y=0
a a+c c
b
>
b+d
>
d }

4
(a‹ +b‹ )(a+b)-(a¤ +b¤ )¤ (x-y)¤ (x¤ +xy+y¤ )æ0
=a› +a‹ b+ab‹ +b› -(a› +2a¤ b¤ +b› ) x› +y› æx‹ y+xy‹
=a‹ b-2a¤ b¤ +ab‹ x=y
=ab(a¤ -2ab+b¤ ) 12 62
=ab(a-b)¤ 13 16 8

369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14 - - - - - - - - - - - - - - - - - - - - p.167

15 9p
11-1
16 576 y x
y= 2[ [
17 20 1
-4 -2
O -12
18 25 km -2
4 x

19 ;3!;
y

y= [ x [ (-2<x<2)
3

04 함수 -2 -1 O 1 2 x
-'3 -'2 '2 '3
- - - - - - - - - - - - - - - - - - - - p.145

- - - - - - - - - - - - - - - - - - - - p.167
06-1 y

1 y=(gΩf)(x)
11-2 y
y=h(x)
3
O x
2
1
- - - - - - - - - - - - - - - - - - - - p.145 O 1 2 3 x

06-2 y
3
y=(g Áf )(x)

2
- - - - - - - - - - - - - - - - - - - - p.170

1 -
O - 3 -
5 3 x 04-1
2 2 2
2
- - - - - - - - - - - - - - - - - - - - p.145
3 5
06-3 4 1
y y
5 6
y=(g Áf)(x) y=(f Ág)(x)
1 1
6 h(x)=2x+2 h(x)=2x+10
O x O x
-1 -1 7 4
8
- - - - - - - - - - - - - - - - - - - - p.157 9 -14
08-1 10 x…-2 xæ0

y y y=x¤ +1(xæ0)
y=x
y=x
2 - - - - - - - - - - - - - - - - - - - - p.172
y=-x+2 1 y='x-1 (xæ1)
O 2 x O1 x 04-11

370
12 y
y=
x+3
x+1
13 3
14 1

15 -3 -1 O x

16 32
17 {x|x+-1 }
18 {y|y+1 }

19 [( fΩf )(x)|0…( fΩf )(x)…;4#;] x=-1, y=1


y -x-1
20 16 y=
x+2
O
-2 -1 x
-1 1
-
2

{x|x+-2 }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y|y+-1 }
- - - - - - - - - - - - - - - - - - - - p.207
x=-2, y=-1
07-1
- - - - - - - - - - - - - - - - - - - - p.220
y 1
y= -1
x-2 4a
05-1 -1
O 3 (a+1)¤
-1 2 x
2 2
-
3 3
2
4 4
{x|x+2 }
5 80
{y|y+-1 }
6 0
x=2 y=-1
7 2
1 y
y=-
x+1
+2 8 -2
2 9
1
-
1
2
10
-1 O x
- - - - - - - - - - - - - - - - - - - - p.222

{x|x+-1 } 05-11
{ y|y+2 } 12
x=-1, y=2 13 5 4

371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14 ;3$; y
3

15 24 1

16 6.9 % --
5 O 2 x
2
y=-"-2x+4+3
17 y=3
y=-"-2x
18 11
{x|x…2} {y|y…3}
19 8
20 61
- - - - - - - - - - - - - - - - - - - - p.266

06-1

2 2a ;a@;

3 2'2 15
4 -3
5 16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6
- - - - - - - - - - - - - - - - - - - - p.253
7 6 60
06-1 8 2 12
y 9 5
y="-x
10 7
y="-x+2-1 "2-1
2
O 1 x
-1
- - - - - - - - - - - - - - - - - - - - p.268

{x|x…2} { y|yæ-1}
06-11
y
y="2x+4+1 12
3
1 y="2x 13
x
14 2 '3
-2 O

{x|xæ-2} { y|yæ1}
15 ;4(;

y
2 16 -;;™3º;;
y=-"3x+3+2
17 10
-1 O x
1
-
3 18 0
y=-"3x
19 0<k<;2!;
{x|xæ-1} { y|y…2} 20 -'3…a…'3

372
07 경우의 수 n-1 Pr+r_n-1Pr-1
(n-1)! r_(n-1)!
- - - - - - - - - - - - - - - - - - - - p.296 = (n-1-r)! + (n-r)!

07-1 9 20 (n-r)_(n-1)!+r_(n-1)!
= (n-r)!
2
(n-1)!_(n-r+r)
3 16 = (n-r)!
4 13 12
n_(n-1)!
5 30 = (n-r)!
6 48 n!
= (n-r)! =nPr
7 12
8 249 n Pr=n-1Pr+r_n-1Pr-1

9 324 (n-r+1)_nPr-1

10 6 n!
=(n-r+1)_
{n-(r-1)}!
- - - - - - - - - - - - - - - - - - - - p.298
n!
=(n-r+1)_
07-11 (n-r+1)!

12 =(n-r+1)_
n!
(n-r+1)_(n-r)!
13 23
n!
14 144 = =P
(n-r)! n r
15 4
n Pr=(n-r+1)_nPr-1
16 5
2
17 30
3 160
18 420
4 432
19 40
5 36
20 11
6 48
7 432
8 72
9 61
10

08 순열 - - - - - - - - - - - - - - - - - - - - p.328

- - - - - - - - - - - - - - - - - - - - p.326 08-11

08-1 6 12

373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13 72 9 567
14 100 61 10 36 110 155
15 12 - - - - - - - - - - - - - - - - - - - - p.360

16 72
09-11
17 108
12
18 432
13 120
19 120
14 25
20 300 189
15 66
16 216
17 36
18 70
19 76
20 120

09 조합
- - - - - - - - - - - - - - - - - - - - p.358

09-1 5
n_n-1Cr-1
(n-1)!
=n_
(r-1)!(n-r)!
n!
=
(r-1)!(n-r)!
n!
=r_
r!(n-r)!
=r_nCr
2
3 6
4
5 32
6 40
7 60 110
8

374
찾아보기

182
ㄱ 014
184 181
161 015
* 161 059
061 032
061 177
032 182
273 * 184
304
277
120
014 ㅅ
028 273
032 104
072 * 104
160 082
125
028

ㄷ 277
303
198
* 308
070
119
033


029
ㅁ 070

057 147

229 160

244 013
013
177
198
ㅂ 124
061 123

375
찾아보기

ㅈ 기호
029 a<A 013
098 b≤A 013
199 u 014
061 A,B 015
057 A¯B 015
120 A=B 016
058 A+B 016
013 A;B 028
333 A'B 028
061 U 029
058 AÇ 029
016 A-B 029
013 n(A) 014
~p 059
p⁄q 061

ㅊ p jK q 080
p HjK q 081
029
f : X 1⁄ Y 119
080
gΩf 134
120
(gΩf )(x) 135
y=g( f(x)) 135
f —⁄ 147
ㅍ y=f —⁄ (x) 150
080 «P® 303
081 n! 304
«C® 333


119
* 126
* 122
134
274
028
124

37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