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52

수학Ⅰ

Staff

S T A F F

지 은 이

발 행 인
편 집 인
기획 실장
기 획・편 집
마케팅 실장
마 케 팅
유 통 사 업
디 자 인
제작물류 실장
제 작

新 수학의 바이블 수학`Ⅰ 201707 제 5판 1쇄


펴낸곳 2547 Tel. 1599-3225
등록 번호 2007-000035 ISBN 979-11-6123-288-1 [53410]

교과서보다 더 자세한 新수학의 바이블!!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2017. 07

바이블만의 노하우는 이것이다!!

2017. 07
1 3

1. 단계별 유형 공부

2. 수준별 문제 풀이

3. 자세한 풀이 이해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수학의 바이블의... 섬세한 개념 구성

새로운 개념에 대한 공식 및 원리의 완벽한 이해를 도와줍니다!

1 2 3
Bible Focus 설명 Bible Focus와 Plus

Example Proof

4 5 6
약점 휘어잡기 개념 확장하기 개념 콕콕
수학의 바이블의... 단계별 문제 구성

유형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2
예제 Bible

3 4 5
숫자 바꾸기 표현 바꾸기 개념 넓히기
수학의 바이블의... 수준별 문제 구성

기본에서 고난도까지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1
2 기본 다지기

2
실력 다지기

수학의 바이블의... 자세한 풀이 구성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문제에 대한 접근 및 해결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접근 방법

1
2 2 상세 풀이

3 보충 설명
Contents

04. 로그함수
01 149
186
188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05. 로그방정식과 로그부등식
01. 지수 01 195
01 013 02 208
02 020 224
040 226
042

02. 로그
01 047
02 062
084
086
Ⅱ 삼각함수

06. 삼각함수
03. 지수함수 01 233
01 093 02 244
02 122 03 258
140 266
142 268
10. 등비수열
01 381
07. 삼각함수의 그래프 02 390
01 273 406
02 292 408
304
306 11. 합의 기호 ; 와 여러 가지 수열
01 ; 415
08.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02 434
01 311 454
02 326 456
334
336 12. 수학적 귀납법
01 463
02 488
496
498

Ⅲ 수열

09. 등차수열
01 343
02 356 ● <부록> 중학교 도형 총정리 500
372 ● 정답 534
374 ● 찾아보기 551
01
지수
01 거듭제곱근 013
02 지수의 확장 020

기본 다지기 040
실력 다지기 042
01 거듭제곱근

02 지수의 확장 01 030

02 032

03 034

04 a≈ =b¥ 036

05 038
01 | 지수

01 거듭제곱근

1 거듭제곱근
n(næ2) a x« =a x a n

a n

n a a>0 a=0 a<0


n « 'a 0 « 'a
n « 'a -« 'a 0

2 거듭제곱근의 성질
a>0 b>0 m n 2 p
« 'a
(« 'a )« =a « 'a « 'b=« '∂ab =« Æ;bA;
« 'b
(« 'a )µ =« "çaµ « øπµ 'a =µ øπ« 'a =µ « 'a « π "çaµ π =« "çaµ

02 지수의 확장

1 지수의 확장

0 a+0 n a‚ =1 a-n= 1

a =« "çaµ a =« 'a
;;nM;; ;n!;
a>0 m n næ2

2 지수법칙
a>0 b>0 x y
x y x+y
a a =a ax÷ay=ax-y
(ax)y=axy (ab)x=axbx

3 거듭제곱 또는 거듭제곱근의 대소 비교
a>0 b>0 n an<bn HjK a<b
a>0 b>0 n 2 « 'a <« 'b HjK a<b

012 Ⅰ.
01
1 거듭제곱근
01

1.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
a n a n a n a«
a a¤ a‹ y a a« a n

a x¤ =a x a
a x‹ =a x a

n 2 n a
x« =a
x a n a
a 거듭제곱근

Example 8 x‹ =8
x‹ =8 x‹ -8=0
(x-2)(x¤ +2x+4)=0 ← a‹ -b‹ =(a-b)(a¤ +ab+b¤ )
x=2 x=-1—'3i
8 2 -1+'3 i -1-'3i

2. 실수 a의 실수인 n제곱근
a n x« =a 0
a n a
x« =a
n 2 a n x« =a
y=x« y=a x y=x«

01 013
n
y y=x‹ y=x› y y=x¤
y=xfi

1
-1
O 1 x
-1 1

-1 O 1 x

x« =a n

x« =a n
y
n x y=xn
f(-x)=-f(x) y=f(x)
(-x)« =-x« y=a (a>0)

y=x y=x‹ y=xfi y n "a


n
y=a (a=0)
O "a x
n

y=x« 1
y=a (a<0)
1 a y=x«
y=a 1 n 1
a a n 1
« 'a n a

a>0 « 'a>0 a<0 « 'a <0 a « 'a

x« =a n
y
n x y=x«
f(-x)=f(x) y=f(x)
(-x)« =x« y
y=x¤ y=x› y=xfl y n y=a (a>0)

y=x« 2 y y=a (a=0)


-n"a O n"a x
y=a (a<0)
y=x« y=a a

2
⁄ a>0
2 y=x« y=a(a>0) 2
x x« =a
1 1 n a>0 a n

014 Ⅰ.
a n

« 'a -« 'a
a n a n
¤ 'a 'a 01
¤ a=0
2 y=x« y=a 1

x« =a x 0 « '0 =0 z1 (0 0)

‹ a<0
2 y=x« y=a(a<0)
x« =a x n
a<0 a n

Example -27 x‹ =-27 x‹ +27=0 (x+3)(x¤ -3x+9)=0


3—3'3i
x=-3 x= 1 2
2
-27 -3 ‹ 'ƒ-27=-3
16 x› =16 x› -16=0 (x+2)(x-2)(x¤ +4)=0
x=—2 x=—2i 2 2

16 2 16 › 'ß16=2
16 -2 16 -› 'ß16=-2

실수 a의 실수인 n제곱근

1 n 2 a x« =a x a n
2 a n

n a a>0 a=0 a<0


n « 'a 0 « 'a
n « 'a -« 'a 0

n « "ça« =|a| n « "ça« =a


n « '∂-a=-« 'a
‹ '∂-27=‹ "√(-3)‹ =-3 -‹ '∂27=-‹ "ç3‹ =-3 ‹ '∂-27=-‹ '∂27

01 015
a의 n제곱근과 n제곱근 a는 다르다.

a n n a x« =a x
n
a n « 'a n a
8 2 -1+'3 i -1-'3 i 3 8
‹ '8=2
n 4 a<0 x« =a x
« 'a x› =-16
› '∂-16
n=2 a<0 04 복소수 i='∂-1
'∂-2 '∂-3 'a

2 거듭제곱근의 성질

a>0 b>0 m n 2 a>0 b>0


a<0 n 4 « 'a a=0

(« 'a)« =a

Proof « 'a n a
(« 'a )« =a

« 'a « 'b =« '∂ab


q2 (ab)« =a« b«

Proof (« 'a « 'b )« =(« 'a)« (« 'b )« =ab
a>0 b>0 « 'a >0 « 'b>0 « 'a « 'b>0
« 'a « 'b ab n
« 'a « 'b=« "çab

016 Ⅰ.
« 'a « a

« 'b b
Œ1 { 1 }« = 13
a a«

«f
b b«
« 'a „ (« 'a)«
Proof
{ }= a
=
« 'b (« 'b )« b
« 'a
a>0 b>0 « 'a>0 « 'b >0
« 'b
>0 01
« 'a
;bA; n
« 'b
« 'a « a

« 'b b

(« 'a)µ =« "çaµ
q2 aµ « =(a )«
µ
µ ∑ µ« « µ µ
Proof {(« 'a ) }« =(« 'a ) ={(« 'a ) } =a
a>0 « 'a >0 (« 'a )µ >0
(« 'a )µ aµ n
(« 'a)µ =« '∂aµ

ø π'a =mn'a= ømπ'a


m n n

q2 aµ « =(aµ )«
f
π
Proof (µ øπ« 'a )µ « ={(µ øπ« 'a )µ }« =(« 'a)« =a
a>0 µ øπ« 'a >0 µ « 'a>0 « øπµ 'a >0

µ øπ« 'a « øπµ 'a a mn


µ øπ« 'a =µ « 'a=« øπµ 'a

« π "çaµ π =« "çaµ p
q2 a =(a )«
µ« µ
µ «π ∑ µ «π
µ π µπ
Proof (« '∂a ) ={(« '∂a ) } =(a ) =a
a>0 « "çaµ >0

« "çaµ aµ π np

« π "çaµ π =« "çaµ

01 017
Example ‹ '2_‹ '4=‹ 'ƒ2_4=‹ "ç2‹ =2
› '∂32 › 32
=æ≠ 12 =› "ç2› =2
› '2 2
(-fl "4 )‹ =-fl "ç4‹ =-fl "ç2fl =-2
‹ "ç'∂64=3_2'∂64 =fl "ç2fl =2

거듭제곱근의 성질

a>0 b>0 m n 2
1 (« 'a)« =a 2 « "a « "b=« "çab
«
« 'a
3 123 = æ1 4 (« 'a)µ =« "√aµ
a
« 'b b
µ
5 øπ« 'a= 'a=« øπµ 'a
µ« «π µπ
6 '∂a =« "√aµ p

a>0 b>0
'3 3
'∂-3 _'∂-3+"ç(-3)_ç(-3) +æ≠
'∂-3 -3

‹ 'a ‹ 'b =‹ '∂ab 는 a, b의 부호에 상관없이 성립한다!

2 n « 'a « 'b=« '∂ab


a b a>0 b>0
n a b « 'a « 'b =« '∂ab
n a<0 b>0 m=-a m « 'ƒ-m =-« '∂m

« 'a « 'b=« "√(-m) « 'b=-« '∂m « 'b =-« '∂mb =« 'ƒ-mb =« '∂ab

a>0 b<0 a<0 b<0


n « 'a « 'b=« '∂ab a b

‹ '∂-2 _‹ '∂-4=-‹ '2_(-‹ '4)=‹ '2 _‹ '4 =‹ '8 =2


« 'ƒ-a=-« '∂a
‹ "√(-2)_(-4)=‹ '8=2
n

018 Ⅰ.
1
25 -8 81

2 01
‹ 'ƒ-125 › 'ƒ0.0016 fi '∂32 fl '∂64

3
16 2 -3fl -8 ‹ '∂-8
-81 › 'ƒ-81 27 ‹ '∂27

4
‹ '6å4
‹ '3 _‹ '9 ‹ "ç27¤ 11 "ç'∂16
‹ '8

5
"√(-2)¤ +‹ "√(-2)‹ +› "√(-2)› +fi "√(-2)fi ‹ '∂54 +‹ '∂16 -‹ '2

풀이 1 25 x¤ =25 x¤ -25=0 (x+5)(x-5)=0 x=-5 x=5


x -5 5
-8 x‹ =-8 x‹ +8=0 (x+2)(x¤ -2x+4)=0
x=-2 x=1—'3 i
x -2
81 x› =81 x› -81=0 (x¤ +9)(x¤ -9)=0 x=—3i x=—3
x -3 3

2 ‹ 'ƒ-125 =‹ "√(-5)‹ =-5 › 'ƒ0.0016 =› "√(0.2)› =0.2 fi '∂32=fi "≈2fi =2 fl '∂64=fl "≈2fl =2

3 16 x› =16 4
-3fl xfl =-3fl =-729 6
-8 ‹ '∂-8
-81 › '∂-81
27 x‹ =27 27 ‹ '∂27 2

4 ‹ '3_‹ '9=‹ 'ƒ3_9 =‹ "≈3Ω‹ =3 ‹ "ç27¤Ω =‹ "ç(3ç‹ )¤ =‹ "ç(3ç¤ )‹ =3¤ =9


‹ '6å4
115 =‹Æ:§8∆¢: =‹ "≈2Ω‹ =2 "ç'1≈å6 =2_2'1å6 =› "≈2Ω› =2
‹ '8

5 n « "√(-ç2)Ω« =|-2|=2 n « "√(-ç2)Ω« =-2


"√(√-2)Ω¤ +‹ "√(√-2)Ω‹ +› "√(√-2)Ω› +fi "√(√-2)Ωfi =2+(-2)+2+(-2)=0
‹ '∂54 +‹ '∂16 -‹ '2 =‹ "√3‹ _2 +‹ "√2‹ _2 -‹ '2=3‹ '2+2‹ '2-‹ '2=4 ‹ '2

01 019
02
1 정수 지수와 지수법칙

1. 자연수 지수와 지수법칙


a b m n

Example a¤ b_ab› =a¤ ±⁄ b⁄ ±› =a‹ bfi


(a¤ b‹ )¤ =a2_2b3_2=a› bfl
b afi
a› b‹ ÷ =a› b‹ _ =a› ±fi b‹ —⁄ =a· b¤
afi b

자연수 지수의 지수법칙

a b m n
( aµ —« (m>n)
1 (m=n)
2 a ÷a = { 1
µ « µ≠« µ «
1 a a =a a+0
112 (m<n)
9 a« —µ
µ « µ« « « «
3 (a ) =a 4 (ab) =a b
« «
a
5 {;bA;} = 12
b
« b+0

aµ +a« +aµ ±« aµ _a« +aµ « (aµ )« +aµ «


aµ ÷aµ +0 a+0

a a« n
a -2

020 Ⅰ.
2. 0 또는 음의 정수인 지수
n a« n a« n 0

a‚ =1
a+0 m n
01
aµ a« =aµ ±« yy
m=0

a‚ a« =a‚ ±« =a« a‚ = a« =1

a+0 a‚ =1
a‚ a‚ =1

1
a— « =

m=-n
1
a—« a« =a—« ±« =a‚ =1 a—« =

1
a+0 n a— « =

a— «

Example 3‚ =1 (-5)‚ =1
1 1
{-;3!;}—¤ = 11125 = 12 =9
1
2—fi = =;3¡2;
2fi
{-;3!;}2 ;9!;

0 또는 음의 정수인 지수

a+0 n

2 a = 13
–«
1
1 a‚ =1 a«

a a+0 n 0« =0
1
0¤ ÷0¤ =0‚ 0—‹ = 0‚ 0—«
0‹

01 021
3. 정수 지수의 지수법칙
0 a«
0

µ–«
(a (m>n)
1 (m=n)
aµ ÷a« = { (a+0)
112
1
9 a
«–µ (m<n)

⁄ m=n aµ ÷a« =1=a‚ =aµ —« a‚ =1

1
a—« = 13
1
¤ m<n aµ ÷a« = =a -(n-m)=aµ —«
a n-m a«

a+0 m n m n
aµ ÷a« =aµ —«

a+0 b+0 m n

aµ a« =aµ ±«

Proof ⁄ m>0 n<0


n=-q q
1
aµ a« =aµ a—œ =aµ _ =aµ ÷aœ =aµ —œ =aµ ±«

¤ m<0 n>0

‹ m<0 n<0
m=-p n=-q p q
1 1 1
aµ a« =a—π a—œ = _ = =a-(p+q)=a(-p)+(-q)=aµ ±«
aπ aœ aπ ±œ

aµ ÷a« =aµ —«

Proof ⁄ m>0 n<0

n=-q q

022 Ⅰ.
1
aµ ÷a« =aµ ÷a—œ =aµ ÷ =aµ _aœ =aµ ±œ =aµ —«

¤ m<0 n>0

m=-p p

aµ ÷a« =a—π ÷a« =


1

1
_ =

1
a𠱫
=a-(p+n)=a—π —« =aµ —« 01
‹ m<0 n<0

m=-p n=-q p q
1 1 aœ
aµ ÷a« =a—π ÷a—œ = ÷ = =aœ —π =a(-p)-(-q)=aµ —«
aπ aœ aπ

(aµ )« =aµ «

Proof ⁄ m>0 n<0

n=-q q
1 1
(aµ )« =(aµ )—œ = = =a—µ q=am(-q)=aµ «
(aµ )œ aµ œ
¤ m<0 n>0

m=-p p
1 1
(aµ )« =(a—π )« ={ }n = =a—π « =a(-p)n=aµ «
aπ aπ «
‹ m<0 n<0

m=-p n=-q p q
1 1
= 111 = 11 =aπ œ =a(-p)(-q)=aµ «
1
(aµ )« =(a—π )—œ =
(a—π )œ 1 1
{13}q 12
aπ aπ œ

(ab)« =a« b«

Proof n<0 n=-p p


1 1 1 1
(ab)« =(ab)—π = = = _ =a—π b—π =a« b«
(ab)π aπ bπ aπ bπ

Example 23_2-4=23+(-4)=2-1=;2!; 6-3÷6-5=6-3-(-5)=62=36

(3-1)-1=3—⁄ _(-1)=3 (2-2)-3=2-2_(-3)=26=64


1
_ =;3¡6;
1
(2_3)-2=2-2_3-2=
2¤ 3¤

01 023
정수 지수의 지수법칙

a+0 b+0 m n
1 a a =a 2 a ÷a =a
m n m+n m n m-n

3 (a ) =a 4 (ab) =a b
m n mn n n n

2 유리수 지수와 지수법칙

2;3@; (am)n=amn

(2;3@;)‹ =2;3@;_‹ =22 2;3@; 22 2;3@;


22

2;3@;=‹ "ç22

1. 유리수 지수
r

r= 13
m
n
m n(n>0) n r
m n
a>0 p q
(a π )œ =aπ œ yy

p= 13 q=n m n
m
næ2
n

(a:Ân: )n=a:Ân:_n=am
a>0 aµ >0 a:Ân: aµ n
:Ân:
a aµ n

a:Ân: =n"≈am

r= 13 m n
m
næ2 ar=a:Ân: =n"≈am
n

024 Ⅰ.
ar=a:Ân: n n>0 ar=a:Ân: am n

3-;5#;=—fi ø3µ3 3-;5#;=fi ø3µ-3

r a® 01

1 1 1 1
8 =‹ "ç8¤ =‹ "ç2fl =2 =4 = ;2^; =;2¡7;
Example ;3@; ;3^; -;2#;
9 = = =
9
;2#;
"≈9‹ "≈3fl 3

유리수 지수

a>0 m n(næ2)
a:Ân:=n"≈am a;n!;=n'a

a a>0
;2!; _;2!; ;2!; ;2!;
{(-3)¤ } =(-3)¤ {(-3)¤ } =(3¤ ) =3

2. 유리수 지수의 지수법칙


r a®

r= 14 s=;qP; m n p q
m
a>0 b>0 r s næ2 qæ2
n

a® aß =a® ±ß

=nq"√amq nq"≈anp
≈ =nq"√amqa≈np=nq"√amq+np
mq
Proof a ras=a:Ân:a;qP;=a 124
nq a
;nNqP;

mq+np
a ras=a 11124
nq =a:Ân:+;qP;=a r+s

01 025
a® ÷aß =a® —ß

;nMqQ;
'∂amq nq amq nq mq-np
= æ≠ np = "√a
Proof r s :Ân: ;qP; a nq

a ÷a =a ÷a = =
a
;nNqP; nq
'∂anp a
mq-np
r s 1214442 :Ân:-;qP; r-s
a ÷a =a nq =a =a

(a® )ß =a® ß

(a ) =(a ) = øπ(a )µ µ = øπ( "≈πa≈ ) = øπ "√a = "ça =a =a


:Ân: ;qP; :Ân: p q :ÂnqP; :Ân:_;qP; q q
Proof r s n m p n mp nq mp
=a
rs

(ab)® =a® b®

(ab) =(ab) = "ç(ab) = "√a b = "ça "çb =a b =a b


Proof r :Ân: n m n m m n m n m :Ân: :Ân: r r

Example ;3@; ;3@; 3_;3@;


8 =(2‹ ) =2 =2¤ =4
;2!; ;4!; ;2!; ;4!; ;2#;+;2!;-2
8 _4 _2-2=(2‹ ) _(2¤ ) _2-2=2 =2‚ =1

유리수 지수의 지수법칙

a>0 b>0 r s
1 a a =a 2 a ÷a =a
r s r+s r s r-s

3 (a ) =a 4 (ab) =a b
r s rs r r r

유리수 지수의 밑은 양수만 가능하다.

;2!; 2_;2!;
{(-1)¤ } =(-1) =(-1)⁄ =-1 yy
;2!; ;2!;
{(-1)¤ } =1 =1 yy

-1<0

'2=2 '∂-2=(-2) '∂-2


;2!; ;2!;
i
'∂-2='2i
;2!;
(-2)

026 Ⅰ.
3 실수 지수와 지수법칙

01
2'2 x 2≈
'2=1.41421356y 1 2
1.4 2.639015y
1 1.4 1.41 1.414 1.4142 1.41421 y
1.41 2.657371y
2
1.414 2.664749y
1
2 2 1.4
21.41
21.414 1.4142
2 21.41421
y 1.4142 2.665119y
1.41421 2.665137y

2'2
'2 2'2
x 2≈

a>0 x a≈

실수 지수의 지수법칙

a>0 b>0 x y
1 a a =a 2 a ÷a =a
x y x+y x y x-y

3 (a ) =a 4 (ab) =a b
x y xy x x x

Example 5'3 _52'3 =5'3+2'3 =53'3


(5'3 )'3 =5'3_'3 =5‹ =125

a>0
n m r x
a« aµ a® a≈
a+0 a>0 a>0

01 027
4 거듭제곱 또는 거듭제곱근의 대소 비교

a b a-b

a>0 b>0 n>0


a« <b« HjK a<b
« 'a<« 'b HjK a<b næ2

Example 3

03 지수함수

Example ‹ '3 › '4


|방법 1| ‹ '3 › '4

‹ '3 =3 =3 =(3› ) =81


;3!; ;1¢2; ;1¡2; ;1¡2;

› '4 =4 =4 =(4‹ ) =64


;4!; ;1£2; ;1¡2; ;1¡2;

› '4<‹ '3
;1¡2; ;1¡2;
64<81 64 <81

|방법 2| 3 4 12 ‹ '3 › '4 ⁄'


¤ å
‹ '3 = "ç3› = "ç81 › '4= "ç4‹ = "ç64
12 12 12 12

64<81 "ç64<12"ç81
12
› '4<‹ '3
|방법 3| ‹ '3 › '4 12

(‹ '3 )12=(3 )12=3› =81 (› '4)12=(4 )12=4‹ =64


;3!; ;4!;

64<81 › '4 <‹ '3

거듭제곱 또는 거듭제곱근의 대소 비교

1 a>0 b>0 n
a« <b« HjK a<b
2 a>0 b>0 n 2
« 'a <« 'b HjK a<b

028 Ⅰ.
1

{-;2!;}‚ 4—¤
01
(-3)—¤ {;5!;}—‹

2
3‹ _(3¤ )—¤ 9—› ÷(6—¤ )‹
(2—¤ )‹ _4¤ 8—‹ ÷(6¤ )—¤

3
;3!; ;6!; -;4#;
3 _3 › '2÷2

-;2!;
(2 _› "ç3‹ )›
;2!;
{;9$;}

4
'2 '8 '∂24å3 '2å7
2 _2 5 ÷5
12
1
'2 3'2 '8 '2 '2
(2 ) (3 _3 )

4-2= 13 = 13
1 1
풀이 1 1
4¤ 16
-3
{;5!;} = 13124 3 = 13444 =125
1 1
(-3)-2= 1115 =;9!;
1
(-3)¤ {;5!;} ;12!5

2 3‹ _(3¤ )—¤ =3‹ _3—› =33+(-4)=3—⁄ =;3!;

9—› ÷(6—¤ )‹ = 1152 = 12 = 1 = 1112 = 1124 = 1 =:§9¢:


9—› 9—› 6fl (2_3)fl 2fl _3fl 2fl
(6—¤ )‹ 6—fl 9› (3¤ )› 3° 3¤

(2—¤ )‹ _4¤ =2—fl _2› =2—fl ±› =2—¤ = 1 =;4!;


1

8—‹ ÷(6¤ )—¤ = 1152 = 12 = 1 = 1112 = 1124 = 1 =;3*2!;


8—‹ 8—‹ 6› (2_3)› 2› _3› 3›
(6¤ )—¤ 6—› 8‹ (2‹ )‹ 2· 2fi

› '2÷2-;4#;=2 ÷2
;3!; ;6!; ;3!;+;6!; ;2!; ;4!; -;4#; ;4!; -{-;4#;} 1
3 3 _3 =3 =3 ='3 =2 =2 =2
-;2!; 2 -;2!; -1
{;9$;} =[{;3@;} ] ={;3@;} =;2#; (2 _› "ç3‹ )› =(2 _3 ) =2 _3 =4_27=108
;2!; ;2!; ;4#; 4 2 3

4 2'2_2'8=2'2+2'2=23'2 5'∂24å3÷5'2å7=59'3-3'3=56'3
'2 3'2 '2_3'2 6
(2 ) =2 =2 =64
12 12 12
1 1 1
(3'8_3'2 ) '2 =32'2 _ '2 _3'2 _ '2 =32 _3=32+1=33=27

01 029
거듭제곱근의 계산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단, a>0, b>0, x>0)

01 [{;8!1^;} ]
;4#; -;3!;
8fi _{;1¡6;}2 ÷64

'x fl 'x
fl "√a¤ b‹ _'∂ab ÷‹ "√a¤ b‹

æ≠ 123 _æ≠ 123
› 'x ‹ 'x

접근 방법

거듭제곱근의 계산은 a>0, m, n`(næ2)이 정수일 때 « "çaµ =a;;nM;, « 'a=a;n!;임을


이용하여 유리수 지수로 나타낸 후 지수법칙을 이용한다.

상세 풀이

;4#; -;3!; ;4#;_{-;3!;} -;4!; -;4!;


[{;8!1^;} ] ={;8!1^;} ={;8!1^;} =[{;3@;}4 ] ={;3@;} =;2#;
-1

1 1 1
8fi _{;1¡6;}2 ÷64=(2‹ )fi _{ }2 ÷2fl =2⁄ fi _ _ =2
2› 2° 2fl

fl "ça¤ b‹ _'∂ab ÷‹ "ça¤ b‹ =(a¤ b‹ );6!;_(ab);2!;÷(a¤ b‹ );3!;=a;3!;b;2!;_a;2!;b;2!;÷a;3@;b

fl "ça¤ b‹ _'∂ab ÷‹ "ça¤ b‹ =a;3!;+;2!;-;3@;_b;2!;+;2!;-1

fl "ça¤ b‹ _'∂ab ÷‹ "ça¤ b‹ =a;6!;b‚ =a;6!;

‹ æ≠ 'x æ≠ fl 'x
_ =(x;2!;÷x;4!;);3!;_(x;6!;÷x;3!;);2!;
› 'x ‹ 'x
=(x;2!;-;4!;);3!;_(x;6!;-;3!;);2!;=(x;4!;);3!;_(x-;6!;);2!;

=x;1¡2_x-;1¡2;=x;1¡2+{-;1¡2;}=x‚ =1
다른 풀이

µ "√« 'a= 'a


µ«

‹ æ≠ 'x æ≠ fl 'x ‹ "ç'x "çfl 'x fl 'x ⁄ ¤ 'x


_ = _ = _ =1 ;2#; 2 a;6!; 1
› 'x ‹ 'x ‹ "ç› 'x "ç‹ 'x ⁄ ¤ 'x fl 'x
정답

보충 설명
거듭제곱근의 성질 (단, a>0, m, n은 2 이상의 정수, p는 양의 정수)
«π µπ µ«
« "çaµ = "ça , « "çµ 'a=µ "√« 'a= 'a, (« 'a)« =a

030 Ⅰ.
p.2

01-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단, a>0)

-;4#; ;3@; ;4!; -;1¡2;


[{;9$;} ] {:¡6™4∞:} _{;1§2¢5;}

'a ‹ › 'a › 'a 01


æ≠ ‹ _ æ≠ _ æ≠ ‹ "ç4¤ ÷‹ 'ß24_‹ "ç18¤
› 'a 'a ‹ 'a

01-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øπ2 ‹ "ç4 › '8 =2π p

øπøπ"ç'3 _› øπ› "ç› '3 =3π p

01-3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2)2'2=(2'2)'2 ('3)3'3=(3'3)'3 ('5)5'5=(5'5)'5

01-1 ;2#; ;4%; 1 6 01-2 ;2@4#; ;6∞4;

01-3

01 031
지수가 유리수인 식의 계산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단, a>0, b>0, a+b)

02 (a;4!;-b;4!;)(a;4!;+b;4!;)(a;2!;+b;2!;) (a-b)÷(a;3!;-b;3!;)

접근 방법

(A-B)(A+B)=A¤ -B¤ A‹ -B‹ =(A-B)(A¤ +AB+B¤ )

공통부분이 있는 식은 치환하여 계산한다.

상세 풀이

a;4!;=x, b;4!;=y a;2!;=x¤ , b;2!;=y¤

(a;4!;-b;4!;)(a;4!;+b;4!;)(a;2!;+b;2!;)=(x-y)(x+y)(x¤ +y¤ )
=(x¤ -y¤ )(x¤ +y¤ )
=x› -y›

=(a;4!;)› -(b;4!;)›
=a-b

a;3!;=x, b;3!; =y a=x‹ , b=y‹

(a-b)÷(a;3!;-b;3!;)=(x‹ -y‹ )÷(x-y)


=(x-y)(x¤ +xy+y¤ )÷(x-y)
=x¤ +xy+y¤

=(a;3!;)¤ +a;3!;b;3!;+(b;3!;)¤

=a;3@;+a;3!;b;3!;+b;3@;
정답 a-b a;3@;+a;3!;b;3!;+b;3@;

보충 설명
다음은 수학 <상>에서 배운 곱셈 공식입니다. 자주 이용되므로 꼭 기억해 둡니다.
⑴ (a+b)¤ =a¤ +2ab+b¤ , (a-b)¤ =a¤ -2ab+b¤
⑵ (a+b)(a-b)=a¤ -b¤
⑶ (a+b)‹ =a‹ +3a¤ b+3ab¤ +b‹ , (a-b)‹ =a‹ -3a¤ b+3ab¤ -b‹
⑷ (a+b)(a¤ -ab+b¤ )=a‹ +b‹ , (a-b)(a¤ +ab+b¤ )=a‹ -b‹

032 Ⅰ.
p.2

02-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단, a>0, b>0, a+b)

(a;2!;+b;2!;)(a;2!;-b;2!;) (a;3!;-b;3!;)(a;3@;+a;3!;b;3!;+b;3@;)

(a+b—⁄ )÷(a;3!;+b-;3!;)
a;2#;-ab;2!;+a;2!;b-b;2#;
1111111132 01
a;2!;-b;2!;

2 2 4 8 16
02-2 a>1일 때,
;8!;
+
;8!;
+
;4!;
+
;2!;
+
1+a
을 간단히 하여라.
1-a 1+a 1+a 1+a

02-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x>0)

x;2!;+x-;2!;=4 x;2#;+x-;2#;

x+x—⁄ =7 x;2!;+x-;2!;

02-1 a-b a-b a;3@;-a;3!;b-;3!;+b-;3@; a+b


32
02-2 1125 02-3 52 3
1-a¤

01 033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식의 값 구하기

a¤ ≈ ='2-1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단, a>0)

03 a≈ -a—≈
a≈ +a—≈
a‹ ≈ -a—≈
a≈ +a—‹ ≈

접근 방법

a¤ ≈ a¤ ≈
a≈ a¤ ≈

조건식이 주어진 경우, 값을 구하려는 식을 조건식의 꼴로 변형한다.

상세 풀이

a≈
a≈ -a—≈ a≈ (a≈ -a—≈ ) a¤ ≈ -1
= =
a≈ +a—≈ a≈ (a≈ +a—≈ ) a¤ ≈ +1
('2-1)-1 '2-2
= =
('2-1)+1 '2
2-2'2
= =1-'2
2
a≈
a≈ (a‹ ≈ -a—≈ ) (a¤ ≈ )¤ -1
= 111153
a‹ ≈ -a—≈ a› ≈ -1
= =
a¤ ≈ +12
a≈ +a—‹ ≈ a≈ (a≈ +a—‹ ≈ ) a¤ ≈ +a—¤ ≈ 1
a¤ ≈
('2-1)¤ -1 2-2'2+1-1
= 111111112 = 1111112
1 '2-1+'2+1
('2-1)+ 1123
'2-1
2-2'2 1-'2 '2-2
= 1112 = 1151 = 1151
2'2 '2 2

'2-2
정답 1-'2
2

보충 설명

⑴ a≈ =t이면 a¤ ≈ =t¤ , a—¤ ≈ = 13 , a‹ ≈ =t‹ , a—‹ ≈ = 13


1 1
t¤ t‹
⑵ a¤ ≈ +a—¤ ≈ =(a≈ +a—≈ )¤ -2=(a≈ -a—≈ )¤ +2
a‹ ≈ +a—‹ ≈ =(a≈ +a—≈ )‹ -3(a≈ +a—≈ ), a‹ ≈ -a—‹ ≈ =(a≈ -a—≈ )‹ +3(a≈ -a—≈ )

034 Ⅰ.
p.3

03-1 2¤ ≈ =3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2‹ ≈ +2—‹ ≈ 2‹ ≈ -2—‹ ≈
2≈ +2—≈ 2≈ -2—≈
01

03-2 a¤ ≈ +a—¤ ≈ =6일 때, a‹ ≈ +a—‹ ≈ 의 값은? (단, a>1)

2'2 4'2 8'2


10'2 14'2

03-3 1이 아닌 양수 a에 대하여

f(x)=;2!;(a≈ -a—≈ )

이면 f(p)=2일 때, f(2p)의 값을 구하여라.

03-1 ;3&; :¡3£: 03-2 03-3 4'5

01 035
a≈ =b¥ 의 조건이 주어진 식의 계산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4 a b c abc=4 a≈ =b¥ =cΩ =16 ;[!;+;]!;+;z!;

;[!;+;]!;=1 x y 8≈ =4¥ =k

접근 방법

a≈ =b¥ =cΩ =16 a=16;[!;, b=16;]!;, c=16;z!;

a, b가 양수일 때, a≈ =b HjK a=b


;[!;

상세 풀이

a≈ =b¥ =cΩ =16


;[!; ;]!; ;z!;
a=16 b=16 c=16

;[!; ;]!; ;z!; ;[!;+;]!;+;z!; 4{;[!;+;]!;+;z!;}


abc=16 _16 _16 =16 =2

2› {;[!;+;]!;+;z!;}
=4=2¤ 4{;[!;+;]!;+;z!;}=2

;[!;+;]!;+;z!;=;2!;

8≈ =4¥ =k
;[!; ;]!;
8=k 4=k k>0

;[!; ;]!; ;[!;+;]!;


8_4=k _k 32=k =k⁄
k=32

정답 ⑴ ;2!; ⑵ 32

보충 설명
지수를 계산하기 위해서 밑을 통일해야 합니다. 따라서 위의 예제에서
⑴ a≈ =b¥ =cΩ =16 ∆ a=16;[!;, b=16;]!;, c=16;z!; 16
⑵ 8≈ =4¥ =k ∆ 8=k , 4=k ;[!; ;]!;
k
과 같이 식을 변형하여 지수의 밑을 통일하였습니다.

036 Ⅰ.
p.4

04-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b c abc=9 a≈ =b¥ =cΩ =81 ;[!;+;]!;+;z!;

01
;[!;+;]!;=2 x y 81≈ =9¥ =k k

04-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2¥ =3Ω ;[!;+;]@;+;z#;=0 ;a!; a>0 xyz+0

3 4 6
+ = 16å =27∫ =xç x x>0
a b c

04-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a b a≈ =b¥ a¤ b=1 ;[@;+;]!;

xy+0
2 3 6
a b c + = 27å =x∫ =6ç x
a b c
x>0

04-1 ;2!; 27 04-2 108 36 04-3 0 4

01 037
거듭제곱 또는 거듭제곱근의 대소 비교

다음 중 가장 큰 수는?

05 "√5 ‹ '6 "√6 ‹ '5 "√‹ '∂5_6


‹ "√5'6 ‹ "√6'5

접근 방법

a>0, b>0 a>b HjK afl >bfl


« "çµ 'a =µ«'a fl "ç

거듭제곱근의 대소를 비교할 때에는 밑을 통일하거나


똑같이 거듭제곱하여 비교한다.

상세 풀이

("√5 ‹ '6 )fl =(5;2!;_6;6!;)fl =5‹ _6=750


("√6 ‹ '5 )fl =(6;2!;_5;6!;)fl =6‹ _5=1080
("√‹ 'ƒ5_6 )fl ={(5_6);6!;}fl =5_6=30
(‹ "√5'6)fl =(5;3!;_6;6!;)fl =5¤ _6=150
(‹ "√6'5)fl =(6;3!;_5;6!;)fl =6¤ _5=180
"√6 ‹ '5
다른 풀이

"√5 ‹ '6 =øπ‹ "√5‹ _6 =fl "√5‹ _6 "√6 ‹ '5 =øπ‹ "√6‹ _5 =fl "√6‹ _5
"√‹ 'ƒ5_6=fl 'ƒ5_6 ‹ "√5'6 =‹ øπ"√5¤ _6=fl "√5¤ _6
‹ "√6'5=‹ øπ"√6¤ _5=fl "√6¤ _5 정답 ②

보충 설명
두 실수 a, b의 대소를 비교할 때에는 a-b의 부호를 조사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거듭제곱근이나 거듭제곱 꼴의
수의 뺄셈은 계산이 쉽지 않으므로 밑이나 지수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거듭제곱근이나 거듭제곱 꼴의 수의 대소를 비교할 때에는 세 양의 실수 a, b, n에 대하여
① a« >b« HjK a>b ② « 'a >« 'b HjK a>b (단, næ2인 정수)
가 성립함을 이용합니다. 특히, 거듭제곱근 꼴로 주어진 수들은 지수를 유리수에서 정수로 고칠 수 있도록 똑같
이 거듭제곱하여 비교하면 편리합니다.

038 Ⅰ.
p.5

05-1 다음 중 가장 큰 수는?

› "√4 ‹ '5 › "√5 ‹ '4 › "√‹ '∂4_5

‹ "√4 › '5 ‹ "√5 › '4 01

05-2 세 수 3fi fi , 4› › , 5‹ ‹ 의 대소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3fi fi <4› › <5‹ ‹ 3fi fi <5‹ ‹ <4› › 4› › <3fi fi <5‹ ‹


5‹ ‹ <4› › <3fi fi 5‹ ‹ <3fi fi <4› ›

05-3 <보기>의 네 수 중 가장 작은 수와 가장 큰 수를 차례대로 나열하면?


보기
'2, ‹ '4, › '6, fl '∂12

'2, fl '∂12 '2, › '6 '2, ‹ '4


fl '∂12, › '6 fl '∂12, ‹ '4

05-1 05-2 05-3

01 039
01- 1
64 ‹ '∂64
-8
8 › '8
› "√(-3)fl (-3)fl
64 6 8

01- 2 2 x x«
n

01- 3 a b a∫ =bå b=9a a

9 ;9!; · '9

‹ '9 › '3

01- 4 a

'a ‹ 'a › 'a


2'a 3 ‹ 'a

01- 5 a b c
afl =3 bfi =7 c¤ =11
(abc)« n

040 Ⅰ.
p.536 | p.6

01- 6
2« +2« +2« +2« =8› n
3¤ ‚
3⁄ ‚ -3°
=2µ _3« m n m+n
01

01- 7
A={ « "ç2
«–¡
|n=2 4 6 12}

B=[x|x= æ≠11≠11≠11—4 n
¤ « 2⁄ ⁄ (3› +3¤ +1)
x ]
3fl -1

01- 8 1
+
1
+
1
+
1
a—‡ +1 a—fi +1 a—‹ +1 a—⁄ +1
+
1
a+1
+
1
a‹ +1
+
1
afi +1
+
1
a‡ +1
a

01- 9
øπ(øπ2'2 )'2 [øπ('2)'2 ]'2 øπ{('2)'2 } '2

('2 )
øπ('2)'2
(øπøπ2'2 )'2

01- 10 S T
T=kS≈ k x
2 2 4
3 8

01 041
a∫ (a<b)
01- 11 a b ≠ a≠b=‡
bå (aæb)
(2≠'2)≠2'2

2'2 2;2#; 22'2


2› 2°

01- 12 y= 1112
2≈ -2—≈
2≈ +2—≈
4≈ +4—≈ y

1+2y¤ 2-y¤ 1-y¤


1+y¤ 1+y¤ 1+y¤
1+y¤ 2(1+y¤ )
1-y¤ 1-y¤

01- 13 A B
A={ x|x¤ -('3 +‹ '4)x+'3 ‹ '4<0 }
B={x|x¤ -(› '6 +fl '∂20)x+› '6 fl '∂20<0}
A;B

u A B
{x|‹ '4 <x<fl '∂20 } {x|› '6<x<'3 }

01- 14 x=‹ '∂16 +‹ '4 (x‹ -12x)¤

01- 15 a b
보기
'a'b='∂ab "√(-a)¤ =-a ('∂-a)¤ =-a
‹ 'a ‹ 'b=‹ '∂ab ‹ "√(-a)‹ =-a

042 Ⅰ.
p.536 | p.10

01- 16 0<x<1 x+x—⁄ =2'2 (x;4!;+x-;4!; )(x;4!;-x-;4!; )(x;2!;+x-;2!; )

01
01- 17 (2≈ +2—≈ )(2¥ +2—¥ )=20 (2≈ -2—≈ )(2¥ -2—¥ )=10
Æ≠Ú –Æ–Ú Æ–Ú –Æ≠Ú
x y
(2 +2 )(2 +2 )

01- 18 m n
3m-3m-1=30 3n+2-3n+1=6'5
14 14
m n
9 4 +27 3

challenge

01- 19 90 90

A B C D A B

A=2å 3∫ B=2å —⁄ 3∫ ±⁄
90
C=2¤ å —⁄ 3∫ D=2å ±⁄ 3∫ ±⁄ C D
A a b

challenge

01- 20 m n p=2m3n
‹ æ≠ p
3
› æ≠ p
4
m+n

01 043
02
로그
01 로그의 뜻과 성질 047

02 상용로그 062

기본 다지기 084
실력 다지기 086
01 로그의 뜻과 성질 01 056

02 058

03 060

02 상용로그 04 072

05 074

06 076

07 078

08 080

09 1 082
02 | 로그

01 로그의 뜻과 성질

1 로그의 정의
a>0 a+1 N a≈ =N x a N
x=logå N a≈ =N HjK x=logå N
N logå N

2 로그의 밑과 진수의 조건
logå N a>0 a+1 N>0

3 로그의 성질
a>0 a+1 M>0 N>0
logå 1=0 logå a=1 logå MN=logå M+logå N
M
logå =logå M-logå N logå N˚ =k logå N k
N

4 로그의 밑의 변환 공식
logç b
a>0 a+1 b>0 c>0 c+1 logå b=
logç a

5 로그의 여러 가지 공식
a>0 a+1 b>0
n 1
log aµ b« = logå b m+0 logå b= b+1
m log∫ a
logå b_log∫ c_logç a=1 b+1 c>0 c+1
logå b
a =b alogç b=blogç a c>0 c+1

02 상용로그

1 상용로그의 뜻
10 log¡º N log N

2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
log N=¯n+¯a n 0…a<1
log N log N

046 Ⅰ.
01
1 로그의 정의

2 8 16 2 12
02
2x=12 x x

2x=12 x

a 1 N a≈ =N
x x a 밑 N 로 log a N

logå N
N logå N 진수
2‹ =8 3 2 8
3=log™ 8 2‹ =8 HjK 3=log™ 8

2≈ =12
2≈ =12 HjK x=log™ 12
2log™ 12=12

로그의 정의

a>0 a+1 N a≈ =N x
a N a≈ =N HjK x=logå N

logå N
N logå N

log logarithm
logå N a>0 a+1 N>0 logå N a
N

02 047
Example a≈ =N x=logå N x=logå N a≈ =N

2› =16 HjK 4=log™ 16 3—› =;8¡1; HjK -4=log£ ;8¡1;

3=log£ 27 HjK 3‹ =27 2=log¡º 100 HjK 10¤ =100

Example

log¢ 32
x=log¢ 32 4≈ =32
2x 2x
4≈ =(2¤ )≈ =2 32=2fi 2 =2fi

2x=5 x=;2%; log¢ 32=;2%;

log;5!; 25

x=log;5!; 25 {;5!;}≈ =25

25=5¤ ={;5!;} {;5!;}≈ ={;5!;}


-2 -2

x=-2 log;5!; 25=-2

Example N
log¶ N=2
log¶ N=2 HjK 7¤ =N N=49
log;3!; N=3

log;3!; N=3 HjK {;3!;}‹ =N N=;2¡7;

2 로그의 밑과 진수의 조건

logå N a a>0 a+1 N N>0

1. 밑의 조건 : a>0, a+1
⁄ a=0
x=logº 2
x=logº 2 HjK 0≈ =2
x

048 Ⅰ.
¤ a<0
x=log(-3) 3
x=log(-3) 3 HjK (-3)≈ =3
x
‹ a=1
x=log¡ 2
x=log¡ 2 HjK 1≈ =2
02
x
⁄ ‹ logåN a 1 a>0 a+1

2. 진수의 조건 : N>0
⁄ N=0
x=log™ 0
x=log™ 0 HjK 2≈ =0
x
¤ N<0
x=log™ (-4)
x=log™ (-4) HjK 2≈ =-4
x
⁄ ¤ logå N N>0

로그의 밑과 진수의 조건

logå N a N
1 a>0 a+1
2 N>0

01 지수 a≈ =b x a
1 1
a b 0

a≈ =b HjK x=logå b (a>0 a+1 b>0)

02 049
Example logx-1 (3-x) x
x-1>0 x-1+1 x>1 x+2 yy
3-x>0 x<3 yy
1<x<2 2<x<3

3 로그의 성질

a>0 a+1 M>0 N>0

logå 1=0 logå a=1

Proof a‚ =1 a⁄ =a
a‚ =1 HjK 0=logå 1
a⁄ =a HjK 1=logå a

logå MN=logå M+logå N

Proof logå M=x logå N=y


logå M=x HjK M=a≈ logå N=y HjK N=a¥
MN=a≈ a¥ =a≈ ±¥
logå MN=x+y=logå M+logå N

logå ;nM;=logå M-logå N

Proof logå M=x logå N=y


logå M=x HjK M=a≈ logå N=y HjK N=a¥
a≈
;nM;= =a≈ —¥

logå ;nM;=x-y=logå M-logå N

050 Ⅰ.
logå M˚ =k logå M k

Proof logå M=x


logå M=x HjK M=a≈
M˚ =(a≈ )˚ =a˚ ≈
logå M˚ =kx=k logå M

로그의 성질
02
a>0 a+1 M>0 N>0
1 logå 1=0 logå a=1 2 logå MN=logå M+logå N
M
3 logå N =logå M-logå N 4 logå M˚ =k logå M k

Example log£ 1=0 log£ 3=1


log™ 6=log™ (2_3)=log™ 2+log™ 3=1+log™ 3

log™ ;2#;=log™ 3-log™ 2=log™ 3-1

log™ 8=log™ 2‹ =3 log™ 2=3

Example 2 log¡º 5+4 log¡º '2 =log¡º 5¤ +log¡º ('2)› =log¡º (5¤ _2¤ )=log¡º 10¤ =2 log¡º 10=2
'∂45
;2!; log£ 45-log£ '5 =log£ 45;2!;-log£ '5 =log£ =log£ '9=log£ 3=1
'5

로그의 성질을 혼동하지 말자!

log¡ 1=1
]⁄ 1
log¡ 1=0
logå (M+N)=logå M+logå N
] ⁄ logå MN=logå M+logå N
(logå M)(logå N)=logå M+logå N
logå (M-N)=logå M-logå N
] ⁄ logå ;nM;=logå M-logå N
logå M
=logå M-logå N
logå N
(logå M)˚ =klogå M ⁄ logå M˚ =k logå M

02 051
4 로그의 밑의 변환 공식

4x=22x
logå b c (c+1)
logç b
a b c a+1 c+1 logå b=
logç a

Proof logå b=x logç a=y


ax=b cy=a
b=ax=(cy)x=cxy
xy=logç b
logå b_logç a=logç b yy
a+1 logç a+0 logç a
logç b
logå b=
logç a

로그의 밑의 변환 공식

a>0 a+1 b>0 c>0 c+1


logç b
logå b= 1123
logç a

log¢ 3 log¡º 7
log™ 3 = log ∞ 7 =
log¢ 2 log¡º 5

Example
log™ 8 log™ 2‹ 3 log™ 2
log¢ 8= = = =;2#;
log™ 4 log™ 2¤ 2 log™ 2
log¡º 10 1
log£ 10= =
log¡º 3 log¡º 3
log™ 2
log™ 5_log∞ 2=log™ 5_ =log™ 2=1
log™ 5
log¡º 6 log¡º 4 log¡º 7
log¢ 6_log¶ 4_log§ 7= _ _ =1
log¡º 4 log¡º 7 log¡º 6

052 Ⅰ.
Example log£ 5=a log£ 2=b a b
log£ 2 log£ 3
log∞ 2= =;aB; log™ 3= =;b!;
log£ 5 log£ 2

5 로그의 여러 가지 공식
02

a>0 a+1 b>0

logaµ b« =;mN ; logå b m+0

Proof logaµ b« a
logå b« n logå b n
logaµ b« = = = logå b
logå aµ m logå a m

1
logå b= b+1
log∫ a

Proof logå b b
log∫ b 1
logå b= =
log∫ a log∫ a

logå b_log∫ c_logç a=1 b+1 c>0 c+1

Proof log∫ c logç a a


logå c logå a 1
log∫ c= logç a= =
logå b logå c logå c
logå c 1
logå b_log∫ c_logç a=logå b_ _ =1
logå b logå c

å
alog b=b

Proof x=logå b a≈ =b
logå b
a =b

02 053
ç ç
alog b=blog a c>0 c+1

Proof a=c logç a b=c logç b


logç b
a =(clogç a)logç b
=clogç a_logç b
=clogç b_logç a
=(c logç b)logç a
=blogç a

로그의 여러 가지 공식

a>0 a+1 b>0


n
1 logaµ b« = m logå b m+0

1
2 logå b= log∫ a b+1

3 logå b_log∫ c_logç a=1 b+1 c>0 c+1


logå b
4 a =b
logç b ç
5 a =blog a c>0 c+1

2 logå b log∫ a

Example log¢ 27=log2¤ 3‹ =;2#; log™ 3

1
log™ 3_log£ 2=log2 3_ =1
log™ 3

log™ 3_logª 125_log∞ 16=log™ 3_log3¤ 5‹ _log∞ 2› =log™ 3_;2#; log£ 5_4 log∞ 2

log™ 3_logª 125_log∞ 16=6_log™ 3_log£ 5_log∞ 2=6


2 log™ 15=15
4 log™ 5=5 log™ 4=5 log™ 2¤ =5¤ =25

Example log¡º 2=a log¡º 3=b a b

log¡º ;8(;=log¡º 9-log¡º 8=log¡º 3¤ -log¡º 2‹ =2 log¡º 3-3 log¡º 2=2b-3a

log¡º '∂24 =;2!; log¡º 24=;2!; log¡º(2‹ _3)=;2!;(log¡º 2‹ +log¡º 3)

log¡º '∂40=;2!;(3 log¡º 2+log¡º 3)=;2!;(3a+b)

054 Ⅰ.
1 x

log™ (-x¤ +4x) logx-4 (-x¤ +10x-16)

2 x

log¡ººº x=;3@; logÆ 4=-2 02


3

log∞ ;4%; +2log∞ '2å0 log™ '2 +;2!; log™ 6-;4!; log™ 9

4 x

log£ 8_log™ 3=x log™¶ 2≈ =2log£ 2


2 log¡º x
10 =25 3log¡º 2=2log¡º x

풀이 1 -x¤ +4x>0 x¤ -4x<0 x(x-4)<0 0<x<4


x-4>0 x-4+1
x>4 x+5 yy
-x¤ +10x-16>0 x¤ -10x+16<0 (x-2)(x-8)<0
2<x<8 yy
4<x<5 또는 5<x<8

2 log¡ººº x=;3@; x=1000;3@;=(10‹ );3@;=10¤ =100

1
logÆ 4=-2 4=x—¤ =4 x¤ =;4!;

x=;2!; x>0

3 log∞ ;4%;+2 log∞ '2å0=log∞ ;4%;+log∞ ('2å0 )¤ =log∞ {;4%;_20}=log∞ 25=log∞ 5¤ =2

'2_'6
log™ '2+;2!; log™ 6-;4!; log™ 9=log™ '2 +log™ '6-log™ '3=log™ =log™ 2=1
'3

1
4 log£ 8_log™ 3=3 log£ 2_
log£ 2
=3 x=3

log™¶ 2≈ =log3‹ 2≈ =;3{; log£ 2

;3{; log£ 2=2 log£ 2, ;3{;=2 x=6


2 log¡º x log¡º x¤
10 =10 =x¤ =25 x=5 x>0
log¡º 2 log¡º 3 log¡º 3 log¡º x
3 =2 2 =2 x=3

02 055
로그의 계산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01 ;2!; log£ ;7(;+log£ '7 log£ 4_log¢ '3

‹ '∂10
;3!; log™ ;4%;-log™ {log™ 5+log¢ ;5!;}{log∞ 2+log™∞ ;2!;}
8

접근 방법

a>0, a+1, M>0, N>0일 때


M
⑴ logå MN=logå M+logå N ⑵ logå =logå M-logå N
N
⑶ logå M˚ =k logå M (단, k는 실수)
logç M
⑷ logå M= (단, c>0, c+1)
logç a

상세 풀이

;2!; ;2!; '9


;2!; log£ ;7(;+log£ '7=log£ {;7(;} +log£ '7=log£ [{;7(;} _'7 ]=log£ { _'7}=log£ 3=1
'7
log£ '3
log£ 4_log¢ '3=log£ 4_ =log£ '3=log£ 3;2!;=;2!;
log£ 4
‹ '∂10
;3!; log™ ;4%;-log™ =;3!; (log™ 5-log™ 2¤ )-{;3!; log™ 10-log™ 2‹ }
8

;3!; log™ ;4%;-log™ =;3!; log™ 5-;3@;-;3!; (log™ 2+log™ 5)+3=-;3@;-;3!;+3=2

{log™ 5+log¢ ;5!;}{log∞ 2+log™∞ ;2!;}=(log™ 5+log2¤ 5—⁄ )(log∞ 2+log5¤ 2—⁄ )

{log™ 5+log¢ ;5!;}{log∞ 2+log™∞ ;2!;}={log™ 5-;2!; log™ 5}{log∞ 2-;2!; log∞ 2}

1
{log™ 5+log¢ ;5!;}{log∞ 2+log™∞ ;2!;}=;2!; log™ 5_;2!; log∞ 2=;4!; log™ 5_ =;4!;
log™ 5

정답 ⑴ 1 ⑵ ;2!; ⑶ 2 ⑷ ;4!;

보충 설명
로그의 성질 logå M˚ =k logå M에서 log™ 3log™ 3=log™ 3_log™ 3=(log™ 3)¤ 과 (log™ 3)log™ 3은 서로 다르다는
것에 주의합니다.

056 Ⅰ.
p.14

01-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3 log∞ 3-2 log∞ 75 log™ 9+log™ {;3*;}‹

log£ 5_log∞ 7_log¶ 9 (log™ 3+log¢ 9)(log£ 4+logª 2)

02

01-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2log™ 1+log™ 2+log™ 3+log™ 4+log™ 5


(log™ 3)(log£ 4)(log¢ 5)y(log¡º™£ 1024)

3å +3∫
01-3 log£ 12의 정수 부분을 a, 소수 부분을 b라고 할 때,
3—å +3—∫
의 값은?

6 9 12
15 18

01-1 log∞ 3-4 9-log™ 3 2 5

01-2 120 10 01-3

02 057
로그의 성질의 활용

log∞ 2=a, log∞ 3=b라고 할 때, 다음을 a, b로 나타내어라.

02 log∞ ;2!7^; log∞


2
'6

접근 방법

log∞ 2 log∞ 3 2 3

조건에 있는 로그의 값을 이용할 수 있도록 주어진 로그의 식을 변형한다.

상세 풀이

log∞ ;2!7^;=log∞ 16-log∞ 27

=log∞ 2› -log∞ 3‹
=4 log∞ 2-3 log∞ 3 log∞ 2=a log∞ 3=b

=4a-3b
2
log∞ =log∞ 2-log∞ '6 '6=(2_3);2!;
'6
log∞ =log∞ 2-;2!; log∞ (2_3)

log∞ =log∞ 2-;2!; (log∞ 2+log∞ 3)

log∞ =;2!; log∞ 2-;2!; log∞ 3 log∞ 2=a log∞ 3=b

log∞ =;2!; a-;2!; b

log∞ =;2!; (a-b)

정답 ⑴ 4a-3b ⑵ ;2!; (a-b)

보충 설명
a>0, a+1, M>0, N>0일 때
⑴ logå M˚ =k logå M (단, k는 실수) _
⑵ logå MN=logå M+logå N +

⑶ logå ;nM;=logå M-logå N -

058 Ⅰ.
p.14

02-1 log¡º 5=a, log¡º 7=b라고 할 때, 다음을 a, b로 나타내어라.

log¡º 3.5 log¡º '∂14

02

å ∫
02-2 3 =2, 5 =3일 때, log¡™º 150을 a, b로 나타내면?

3ab+b+2 3ab+b+1 ab+b+2


ab+a+1 ab+a+2 ab+b+1
ab+b+2 ab+b+1
3ab+b+1 3ab+b+2

02-3 log™ 45=a, log™ 75=b라고 할 때, log™ ;3%; 를 a, b로 나타내면?

a-b a+b b-a


2a 2b

02-1 a+b-1 ;2!; (1-a+b) 02-2

02-3

02 059
이차방정식과 로그의 계산

이차방정식 x¤ -5x+5=0의 두 근을 a, b(a>b)라 하고 m=a-b라고 할 때,

03 logµ a+logµ b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b ab
a-b

이차방정식 ax¤ +bx+c=0의 두 근을 a, b라고 하면

a+b=-;aB;, ab=;aC;

상세 풀이

x¤ -5x+5=0
a+b=5 ab=5
m=a-b
m¤ =(a-b)¤ =(a+b)¤ -4ab=5¤ -4_5=5
m='5 a>b m=a-b>0
logµ a+logµ b=log'5 a+log'5 b
logµ a+logµ b=log'5 ab

logµ a+logµ b=log5 ; 5


;2!

1
logµ a+logµ b=2 log∞ 5 loga« x=
n
logå x

logµ a+logµ b=2

정답 2

보충 설명
이차방정식 ax¤ +bx+c=0의 두 근을 a, b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aB;, ab=;aC; 이므로 두

근의 합과 곱을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곱셈 공식의 변형 공식


(a-b)¤ =(a+b)¤ -4ab
a¤ +b¤ =(a+b)¤ -2ab
a‹ +b‹ =(a+b)‹ -3ab(a+b)
를 이용하면 이차방정식의 두 근 a, b에 대하여 a-b, a¤ +b¤ , a‹ +b‹ 등 여러 가지 식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060 Ⅰ.
p.15

03-1 이차방정식 x¤ +ax+6=0의 두 근을 a, b(a<b)라 하고 b=b-a라고 할 때,

log∫ a;3!;+log∫ b;3!;=;3@; 이다. 상수 a, b에 대하여 a¤ +b¤ 의 값을 구하여라.

02

03-2 이차방정식 x¤ -5x+3=0의 두 근을 a, b라고 할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3 3
3a_3b+log£ a+log£ b log£ {2a+ }+log£ {2b+ }
b a

03-3 이차방정식 2x¤ -mx+8=0의 두 근을 a, b라 하고 loga 2+logb 2=-;3@; 일 때, 상수

m의 값을 구하여라.

03-1 36 03-2 244 3 03-3 17

02 061
02
1 상용로그의 뜻

N log¡º N 10 상용로그

log N

2 log 2 log 2=log¡º 2

n
log 10« =log¡º 10« =n
10

Example log 10=log¡º 10=1 log 1000=log¡º 10‹ =3

log 0.01=log¡º 10—¤ =-2 log '∂10=log¡º 10;2!;=;2!;

10 N

0.01 1.00 9.99

log 3.21 0 1 2
3.2 1 1.0 .0000 .0043 .0086
1.1 .0414 .0453 .0492
.5065

.5065 0.5065 3.1 .4914 .4928 .4942
log 3.21=0.5065 3.2 .5051 .5065 .5079

log 3.21=0.5065

062 Ⅰ.
Example log 4.69 4.6 9
log 4.69=0.6712
log 9.62 9.6 2
log 9.62=0.9832

log 321 log 0.321 10 1

02
log 321=log (3.21_10¤ )=log 3.21+log 10¤ =log 3.21+2=2.5065
log 32100=log (3.21_10› )=log 3.21+log 10› =log 3.21+4=4.5065
log 0.321=log (3.21_10—⁄ )=log 3.21+log 10—⁄ =log 3.21-1
=0.5065-1=-0.4935
log 0.00321=log (3.21_10—‹ )=log 3.21+log 10—‹ =log 3.21-3
=0.5065-3=-2.4935

1.00 9.99

log 3.21

3 2 1 CALCULATOR

off

Pitch Rise Run Diag Hip/v

log Stair Arc Circ Jack

m Length Width Height %


Yds Feet Inch /

Conv

Star

Rcl

M+

Example

log 50.1
log 5.01=0.6998
log 50.1=log (5.01_10)=log 5.01+log 10=log 5.01+1
=0.6998+1=1.6998

02 063
log 0.0172
log 1.72=0.2355
log 0.0172=log (1.72_10—¤ )=log 1.72+log 10—¤ =log 1.72-2
log 0.0172=0.2355-2=-1.7645
log 73500
log 7.35=0.8663
log 73500=log(7.35_10› )=log 7.35+log 10› =log 7.35+4
=0.8663+4=4.8663
log 'ƒ6.52
log 6.52=0.8142

log 'ƒ6.52 =log (6.52);2!;=;2!; log 6.52

log 'ƒ6.52 =;2!;_0.8142=0.4071

Example x
log x=1.0492
log 1.12=0.0492
log x=1.0492=1+0.0492=log 10+log 1.12
=log (10_1.12)=log 11.2
x=11.2
log x=3.5051
log 3.20=0.5051
log x=3.5051=3+0.5051=log 10‹ +log 3.20
=log (10‹ _3.20)=log 3200
x=3200

상용로그의 뜻

1 10 log¡º N log N

2 1.00 9.99

3
1.00 9.99

064 Ⅰ.
2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

log 321 log 0.321


321=3.21_10¤ 0.321=3.21_10—⁄
N
N=a_10« 1…a<10 n
1 10 10 02

log N=log (a_10« )=log a+log 10« =n+log a

n log N log a log N


1…a<10 log N log a
0…log a<1

Example log 321=log (3.21_10¤ )=log 3.21+2=2.5065=2+0.5065 log 321


2 0.5065
log 32100=log (3.21_10› )=log 3.21+4=4.5065=4+0.5065 log 32100
4 0.5065

Example

Example log N=-3.0672


log N=-3.0672=-3-0.0672
-3 -0.0672
log N=-3.0672=-4+1-0.0672=-4+0.9328
-4 0.9328
-0.0672 0 1

02 065
0 1

log N=-3.0672=-3-0.0672=(-3-1)+(1-0.0672)
=-4+0.9328
log N=-3.0672 -4 0.9328
log 0.321=-0.4935=-1+0.5065 log 0.321 -1
0.5065
log 0.00321=-2.4935=-3+0.5065 log 0.00321 -3
0.5065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

N
log N=¯n+¯a n 0…a<1
log N log N

1 10
180=1.8_10¤ log 180=log(1.8_10¤ )=2+log 1.8 log 180 log 1.8

;2¡0;=0.05=5_10—¤ log ;2¡0;=log(5_10—¤ )=-2+log 5 log ;2¡0; log 5

Example log 5.67=0.7536


log 56700=log (5.67_10› )=log 5.67+log 10› =4+0.7536 log 56700
4 0.7536
log 0.00567=log (5.67_10—‹ )=log 5.67+log 10—‹ =-3+0.7536 log 0.00567
-3 0.7536

log '∂567 =log 567;2!;=;2!; log 567=;2!; log (5.67_10¤ )=;2!;(log 5.67+log 10¤ )

log '∂567 =;2!;(2+0.7536)=1+0.3768

log '∂567 1 0.3768


1 1
log =log(5.67)—⁄ =-log 5.67=-0.7536=-1+0.2464 log
5.67 5.67
-1 0.2464

066 Ⅰ.
상용로그를 이용한 큰 수와 작은 수의 어림값의 계산

3.1_1050 2100 3.1_1050 51


100
3 2

2100
log 2=0.3010 02
100
x=2
log x=log 2100=100 log 2=100_0.3010=30.1 yy
log x 30 0.1
log 1.25=0.0969 log 1.26=0.1004 log x 0.1

0.1=log 1.25y

log x=30.1=30+0.1=log 1030+log 1.25y


=log (1030_1.25y)

x=1.25y_1030
2100=1.25y_1030 2100 31 1

{;2!;}
100
31 0 7

06 07

3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의 성질

3.21_10n n

02 067
⁄ 1
log 3.21=log(3.21_10‚ )=0+0.5065
log 32.1=log(3.21_10⁄ )=1+log 3.21=1+0.5065
log 321=log(3.21_10¤ )=2+log 3.21=2+0.5065

¤ 0 1
log 0.321=log(3.21_10—⁄ )=-1+log 3.21=-1+0.5065
log 0.0321=log(3.21_10—¤ )=-2+log 3.21=-2+0.5065
log 0.00321=log(3.21_10—‹ )=-3+log 3.21=-3+0.5065

1.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의 성질
1 0
1

⁄ 1

log 3.21 3.21 0


log 32.1 32.1 1
log 321 321 2

log N (N>1) N n
HjK log N n-1
n n-1

¤ 0 1

log 0.321 0.321 -1


log 0.0321 0.0321 -2
log 0.00321 0.00321 -3

068 Ⅰ.
0 1
0

log N (0<N<1) N n 0
HjK log N -n 02
n 0
-n

⁄ ¤ log(3.21_10« ) n

log N y log 0.0321 log 0.321 log 3.21 log 32.1 log 321 y

log N
y -2 -1 0 1 2 y
2-1=1 3-1=2

2. 상용로그의 소수 부분의 성질
log(3.21_10« ) n 0.5065

HjK

Example 2850 log 2850 3


log 2.85=0.4548 log 2850=3.4548
0.00285 0 log 0.00285
-3
log 2.85=0.4548 log 0.00285=(-3)+0.4548=-2.5452
2850 0.00285 log 2850
log 0.00285 0.4548

02 069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의 성질

1
n n-1
n
log ( y . y)=(n-1)+0.___

n 0
-n
n

log (0.000y0 y)=(-n)+0.___


(
{
9

(n-1)

M N n
N=10« M log N=n+log M n log M
log N |n| log M log N

일정한 비율로 증가`(감소)하는 수의 계산

10 등비수열

A {1+ }
r «
A r% n
100

}
r r
1 A+A_ =A{1+
100 100

}+A{1+ }_ }
r r r r ¤
2 A{1+ =A{1+
100 100 100 100
r
A{1+ }
100
r r
}{1+ }
}
r « A{1+
n A{1+ 100 100
100

A {1- }
r «
A r% n
100

070 Ⅰ.
1 log 2=0.3010 log 3=0.4771
log 4 log 5 log 6
log 8 log 9

2 log 6.12=0.7868
02
log 612 log 0.0612

3 log 31=1.4914 x

log x=3.4914 log x=-1.5086

풀이 1 log 4=log 2¤ =2 log 2=2_0.3010=0.6020

log 5=log :¡2º:=log 10-log 2=1-0.3010=0.6990

log 6=log (2_3)=log 2+log 3=0.3010+0.4771=0.7781


log 8=log 2‹ =3 log 2=3_0.3010=0.9030
log 9=log 3¤ =2 log 3=2_0.4771=0.9542
보충 설명 |
log 2 log 3 log 7 1 10

2 612 log 612 2 6.12 0.7868

log 612=2+0.7868=2.7868
0.0612 0 log 0.0612 -2
6.12 0.7868
log 0.0612=(-2)+0.7868=-1.2132

3 log x 3 x log 31 log x


x=3100
log x=-1.5086=-2+0.4914 -2 x 0
log 31 log x
x=0.031
다른 풀이 |
log x=3.4914=2+1.4914=log 10¤ +log 31=log (31_10¤ )=log 3100
x=3100
log x=-1.5086=-1-0.5086=-2+0.4914=-3+1.4914=log 10—‹ +log 31
=log (31_10—‹ )=log 0.031
x=0.031

02 071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이 x인 자연수 전체의 개수를 f(x), 역수의 상용로그의 정수

04 부분이 y인 자연수 전체의 개수를 g (y)라고 할 때, log f(9)-log g (-3)의 값


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N>1 N n log N n-1


n-1…log N<n
0<N<1 N n 0 log N
-n
-n…log N<-n+1

(n-1)개
9
{
(
log( y . )=(n-1)+0.___, log(0.00 y 0 )=(-n)+0.___
(
{
9

n자리
소수점 아래 n째 자리

상세 풀이

9 M
9…log M<10 10· …M<10⁄ ‚
M=10· 10· +1 y 10⁄ ‚ -1 M f(9)
f(9)=10⁄ ‚ -10· =10· _(10-1)=9_10·
-3 N
1
-3…log <-2 -3…-log N<-2
N
2<log N…3 10¤ <N…10‹
N=10¤ +1 10¤ +2 y 10‹ N g(-3)
g(-3)=10‹ -10¤ =10¤ _(10-1)=9_10¤
9_10·
log f(9)-log g(-3)=log(9_10· )-log(9_10¤ )=log =log 10‡ =7
9_10¤

정답 7
보충 설명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의 성질이 혼동될 때가 있습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 생각해 봅시다.
log 10=1에서 두 자리 정수의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이 2-1=1, log 100=2에서 세 자리 정수의 상용로그의 정
수 부분이 3-1=2이므로 N의 정수 부분이 n자리인 수일 때, log N의 정수 부분은 n-1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log 0.1=-1, log 0.01=-2에서 N의 소수점 아래 n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
가 나타나면 log N의 정수 부분은 -n(n>0)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72 Ⅰ.
p.16

04-1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이 x인 자연수 전체의 개수를 f(x), 역수의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이
y인 자연수 전체의 개수를 g(y)라고 할 때, log f(10)-log g(-5)의 값을 구하여라.

02

04-2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이 2인 수 중에서 가장 큰 정수를 a,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이 -2인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b라고 할 때, ab의 값은?

0.9 0.99 1
9.99 10

04-3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이 m인 자연수 전체의 개수를 x, 역수의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이


-n인 자연수 전체의 개수를 y라고 할 때, log x-log y를 m, n에 대한 식으로 나타
내면? (단, mæ0, n>0)

m-n m+n m-n+1


m+n-1 m+2n

04-1 6 04-2 04-3

02 073
상용로그의 소수 부분

양수 x에 대하여 log x의 소수 부분을 f(x)라고 할 때,

05 f(20)+f(300)+f(5000)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log 20, log 300, log 5000 +


log x=n+a` n 0…a<1
log 1…a<log 10

log x의 정수 부분을 n, 소수 부분을 a라고 할 때, a는 0 이상 1 미만의 수이다.

상세 풀이

log 20=log(2_10)=log 10+log 2=1+log 2 f(20)=log 2


log 300=log(3_10¤ )=log 10¤ +log 3=2+log 3 f(300)=log 3
log 5000=log(5_10‹ )=log 10‹ +log 5=3+log 5 f(5000)=log 5
f(20)+f(300)+f(5000)=log 2+log 3+log 5
=log(2_3_5)
=log 30

정답 log 30

보충 설명
양수 x에 대하여 상용로그 log x=n+a`(n은 정수, 0…a<1)일 때, log x의 정수 부분 n을 보면 x(x>1)의 정
수 부분이 몇 자리 수인지 또는 소수 x(0<x<1)의 소수점 아래 몇째 자리에서 0이 아닌 숫자가 처음으로 나
타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log 20에서 20은 두 자리 수이므로 log 20의 정수 부분은 1이고
f(20)=log 20-1=log 2
임을 알 수 있습니다. '5의 정수 부분이 2이므로 '5의 소수 부분은 '5 -2가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f(300)=log 300-2=log 3
f(5000)=log 5000-3=log 5
도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074 Ⅰ.
p.16

05-1 양수 x에 대하여 log x의 소수 부분을 f(x)라고 할 때, f(40)+f(50¤ )+f(100‹ )의 값을


구하여라.

02

05-2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f(x)=log x-[ log x]
라고 할 때, 다음 중 f(x)의 값이 가장 큰 것은?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6230 476 0.71


0.082 0.00024

05-3 자연수 n에 대하여 log n의 소수 부분을 f(n)이라고 할 때, 집합


A={ f(n)|1…n…150, n은 자연수}
의 원소의 개수는?

131 133 135


137 139

05-1 1 05-2 05-3

02 075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의 성질 ⑴
£º
3 은 n자리인 자연수이고 가장 큰 자리의 숫자가 a이다. n+a의 값을 구하여라.

06 (단, log 2=0.3010, log 3=0.4771로 계산한다.)

접근 방법
£º
3 +
A
log 2=0.3010<log A<0.4771=log 3
A=2.___

자릿수는 정수 부분으로, 가장 큰 자리의 숫자는 소수 부분으로 알아낸다.

상세 풀이
£º
3
£º
log 3 =30 log 3=30_0.4771=14.313
£º £º
log 3 14 3 15
n=15
£º
log 3 0.313
log 2=0.3010<0.313<0.4771=log 3
0.313 log 2 log 3 0.313=log 2.
£º ¡¢ ¡¢
log 3 =14+0.313=log 10 +log 2. =log(2. _10 )
£º ¡¢
3 =2. _10
£º
3 2 a=2
n+a=15+2=17

정답 17

보충 설명
330=2. _1014을 자세히 살펴보면
① log 330의 정수 부분이 14라는 것은 330을 10의 거듭제곱 꼴로 나타내었을 때 a_1014 (1…a<10) 꼴이 된다
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a=2. 의 정수 부분이 한 자리이므로 330은 15자리 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② log 330의 소수 부분이 log 2. =0.313이라는 것은 330을 10의 거듭제곱 꼴로 나타내었을 때
2. _10« ( n은 자연수) 꼴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상용로그의 값이 좀 더 자세히 주어지면 가장 큰 자
리 다음 자리의 숫자도 알 수 있습니다.

076 Ⅰ.
p.18

¢º
06-1 7 은 n자리인 자연수이고 가장 큰 자리의 숫자가 a, 일의 자리의 숫자가 b이다.
n+a+b의 값을 구하여라.
(단, log 2=0.3010, log 3=0.4771, log 7=0.8451로 계산한다.)

02

«
06-2 3 이 10자리 정수가 되도록 하는 모든 정수 n의 값의 합은?
(단, log 3=0.4771로 계산한다.)

37 39 41
57 60

06-3 두 양의 정수 x, y에 대하여 xfl , y° 이 각각 12자리, 14자리 수일 때, xy는 몇 자리 정


수인지 구하여라.

06-1 41 06-2 06-3 4

02 077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의 성질 ⑵
£º
{;3!;} 은 소수점 아래 n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 a가 나타난다.
07 n+a의 값을 구하여라. (단, log 2=0.3010, log 3=0.4771로 계산한다.)

접근 방법
£º £º
log {;3!;} + log{;3!;}
£º
0 log{;3!;}
£º
{;3!;} 0

log N=- .△△=(- -1)+(1-0.△△)


정수 부분 소수 부분

상세 풀이
£º
{;3!;}
£º
log {;3!;} =30 log ;3!;=-30 log 3=(-30)_0.4771=-14.313=(-15)+0.687
£º £º
log {;3!;} -15 {;3!;} 15 0

£º
log {;3!;} 0.687

log 4=2 log 2=0.6020<0.687<0.6990=1-log 2=log 5


0.687=log 4.
£º –¡∞ –¡∞
log {;3!;} =(-15)+0.687=log 10 +log 4. =log (4. _10 )
£º –¡∞
{;3!;} =4. _10
£º
{;3!;} 15 0 4

n=15 a=4 n+a=15+4=19 정답 19

보충 설명
06은 아주 큰 수의 어림값을 구할 때, 07은 아주 작은 수의 어림값을 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자계산기가 없던 시절에 아주 큰 수와 아주 작은 수를 계산할 수 있었습니다.

078 Ⅰ.
p.18

¢º
07-1 {;7!;} 은 소수점 아래 n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 a가 나타난다. n+a의 값을 구

하여라. (단, log 2=0.3010, log 7=0.8451로 계산한다.)

02

¡º ™º
07-2 {;3!;} _{;3@;} 은 소수점 아래 n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 a가 나타난다. n+a

의 값은? (단, log 2=0.3010, log 3=0.4771로 계산한다.)

8 10 12
14 16

¡ºº ¡º
07-3 23 이 137자리 수일 때, {;2¡3;} 은 소수점 아래 a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난다. a의 값을 구하여라.

07-1 35 07-2 07-3 14

02 079
상용로그의 소수 부분이 같을 때

10…x<100일 때, log x¤ 과 log ;[!; 의 소수 부분이 같도록 하는 모든 실수 x의

08 값의 곱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log A log B log A=m+a log B=n+a (m n 0…a<1)


log A-log B=(m+a)-(n+a)=m-n log A>log B
log A-log B log A log B

log A와 log B의 소수 부분이 같다. HjK log A-log B는 정수이다.

상세 풀이

log x¤ log ;[!; log x¤ -log ;[!;= { 10…x<100 x¤ >;[!;}

2 log x+log x= 3 log x= yy


10…x<100 1…log x<2 3…3 log x<6 yy

3 log x=3 4 5 log x=1 ;3$; ;3%; x=10 10;3$; 10;3%;

x 10_10;3$;_10;3%;=101+;3$;+;3%;=10›

정답 10›

보충 설명
위의 예제를 뒤의 09처럼 상용로그의 소수 부분 a의 범위를 나누어 풀 수도 있습니다.
10…x<100에서 1…log x<2이므로 log x=1+a (0…a<1)로 놓으면
( 2+2a {0…a<;2!;}
⁄ log x¤ =2 log x=2(1+a)=2+2a= { 에서 log x¤ 의 소수 부분은
9 3+(2a-1) {;2!;…a<1}

⁄ 2a`{0…a<;2!;} 또는 2a-1 {;2!;…a<1}

-1-a=-1+0 (a=0)
¤ log ;[!;=-log x=-1-a=‡ 에서 log ;[!;의 소수 부분은
(-2)+(1-a) (0<a<1)
0`(a=0) 또는 1-a`(0<a<1)

⁄, ¤에서 log x¤ 과 log ;[!;의 소수 부분이 서로 같으므로 2a=0 또는 2a=1-a 또는 2a-1=1-a

∴ a=0 또는 a=;3!; 또는 a=;3@;

따라서 log x=1 또는 log x=;3$; 또는 log x=;3%; 이므로 위와 같은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080 Ⅰ.
p.20

08-1 10…x<100일 때, log x› 과 log ;[!; 의 소수 부분이 같도록 하는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을

구하여라.

02

08-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log x 2 log x› log x¤


x
log x 1 log x‹ log 'x
x

08-3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을 M이라고 할 때, log M의 값을 구하


여라.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log x]=5

log x¤ -[log x¤ ]=log ;[!;-[log ;[!;]

08-1 10‡ 08-2 10;2(; 10:¡5¢: 08-3 16

02 081
상용로그의 소수 부분의 합이 1일 때

10…x<100이고, log x의 소수 부분과 log x‹ 의 소수 부분의 합이 1일 때,

09 log x의 소수 부분이 될 수 있는 수의 합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10…x<100 log x 1…log x<2 log x=1+a (0…a<1) 2


log x log x‹ 1
log x=1+a (0<a<1)

log x=n+a (`n은 정수, 0…a<1)일 때, log xµ =m log x=mn+ma (m은 자연수)
의 소수 부분은 ma가 정수일 때를 기준으로 범위를 나누어서 구한다.

상세 풀이

10…x<100 1…log x<2 log x a


log x=1+a (0<a<1) log x log x‹ 1 a+0

log x‹ =3 log x=3+3a (0<3a<3)

⁄ 0<3a<1 0<a<;3!; log x‹ 3a

a+3a=1 a=;4!;

¤ 1…3a<2 ;3!;…a<;3@; log x‹ 3a-1

a+(3a-1)=1 a=;2!;

‹ 2…3a<3 ;3@;…a<1 log x‹ 3a-2

a+(3a-2)=1 a=;4#;

⁄~‹ a ;4!;+;2!;+;4#;=;4^;=;2#;

정답 ;2#;

보충 설명
log x‹ =3 log x=3+3a에서 log x‹ 의 소수 부분을 3a로 착각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예를 들어, a=;4#; 일 때 3a=;4(;=2+;4!; 에서 log x‹ =3 log x=3+3a=5+;4!;이므로 log x‹ 의 소수 부분은

3a=;4(; 가 아니라 3a-2=;4!; 입니다.

따라서 0<a<1에서 0<3a<3이므로 위와 같이 3a가 자연수가 되는 때를 기준으로 범위를 나누어서 풉니다.

082 Ⅰ.
p.21

09-1 10<x<100일 때, log x의 소수 부분과 log x¤ 의 소수 부분의 합이 1인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을 구하여라.

02

09-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log x 3 log x log 'x ;4#;

log 'x
log x 3 log x log '
‹ x 1
log ‹'x

09-3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을 M이라고 할 때, log M의 값을 구하


여라.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 log x]=2
log x¤ -[ log x¤ ]=1-log x+[log x]

09-1 1000 09-2 ;1¶2; ;4!; 09-3 5

02 083
02- 1 1 x y log'x 3=logÚ 27 logÆ 'y+logÆÚ ‹ "çx¤ y¤
xy+1

:¡6¡: ;1!2&; ;1!5&;

;2#0!; ;2#4&;

02- 2 x y z 1 w logÆ w=24 logÚ w=40 logxyz w=12


logΩ w

12 24 36
48 60

02- 3 (365)å =(0.365)∫ =10 ;a!;-;b!;

;3!; ;2!; 1

2 3

02- 4
«4
5 log n
Æ –Æ Æ –Æ
x=log™øπ1+'2 (2 +2 )(2 -2 )

02- 5 A B C

log A=log 3_log 6 log B=log 6_log 30 ;aB;

A : B : C=4 : 5 : 2 32 log£ A+log£ B-3 log£ C

084 Ⅰ.
p.536 | p.22

02- 6
log™ a log™ b log™ c
12 a+b+c

02
02- 7 A
x¤ -(log™ 5)x+k=0 2˚ ±› k

02- 8 log 243=2.3856 log 0.0541=-1.2668 24300⁄ ‚ ÷54.1 n


n

02- 9 n ;10N0;

log n 4
‹ 'n
log 0
4

02- 10 log a‹ log bfi 0 a b


;pQ;
ab 10 p+q
1<a<10 1<b<10 p q

02 085
02- 11 x logå–¢ (x¤ +ax+3a) a

2 4 6
8 10

02- 12 a b
log a+log b=log(a+b+14)
ab

16 20 24
28 32

02- 13 log x 5 log y 1 {log ;]{;}{log ;[};}

11 13 15
17 19

02- 14 a b ;aB; 10 10« _a…b<10« ±‹ _a

20 22 24
26 30

02- 15 3 a b c
a log¢ºº 2+b log¢ºº 5=c
a+b+c

086 Ⅰ.
p.536 | p.25

02- 16 a=
3-3 log 5
2 log 11-2
[a]

11¤ =121 [x] x

n 8 9 10 11 12 13 14
(1.21)« 4.595 5.560 6.727 8.140 9.850 11.918 14.421

02

02- 17 830=(a+b)_10« 1…a…9 0…b<1 a n n+a


log 2=0.3010

02- 18 x [x] x
[5¤ ‚ ÷2› ‚ ] log 2=0.3010

x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log x 0.9294 0.9345 0.9395 0.9445 0.9494 0.9542 0.9590 0.9638 0.9685 0.9731

02- 19 1<a<b<a¤ <100 a b logå b b

02- 20 1 m‹ 200 lg(1 lg=10—fl g)


t 1 m‹ x(t)
- 124
t
x(t)=20+180_3 256 (lg/m‹ )
n 1 m‹
50 lg n log 2=0.30 log 3=0.48

02 087
02- 21 100 a b(a<b) log a log b
1 (a b)

수능

02- 22 A log A n a n…2a


A 3.1<'∂10<3.2

02- 23 f(x)=log™ x-[log™ x] (x>0) 100…n…500 n


f(n)=f(1000) n
[x] x

02- 24 n [x] x

n 100
[log 2n]=1+[log n]

02- 25 A
[x] x

[log A]=[log 500]


log A-[log A]=log 21800-[log 21800]

088 Ⅰ.
p.536 | p.29

challenge

02- 26 ax¤ +(3a+1)x+a-4=0 [log A] log A-[log A] a


10a a>1 [x] x

challenge

02- 27 x log x f(x) g(x) 02


f(a)=f(b)+2 g(a)=g(b)-log 3

a b 3a+:™b∞:

challenge

02- 28 x y log xy

log x¤ y‹ =23.4
x y 2

x ;]!;

challenge

02- 29 a log a f(a) g(a)

보기
f(1004)=3
g(2)+g(6)=g(12)+1
f(ab)=f(a)+f(b) g(ab)=g(a)+g(b)

challenge

02- 30 m n A=2µ +3« f(m n)


f(50 100)= f(k 50)
k
log 2=0.3010 log 3=0.4771

02 089
03
지수함수
01 지수함수의 뜻과 그래프 093

02 지수방정식과 지수부등식 122

기본 다지기 140
실력 다지기 142
01 지수함수의 뜻과 그래프 01 108

02 110

03 112

04 114

05 116

06 118

07 120

02 지수방정식과 지수부등식 08 128

09 130

10 132

11 134

12 136

13 138
03 | 지수함수

01 지수함수의 뜻과 그래프

1 지수함수의 뜻
a>0 a+1 y=a≈ a

2 지수함수 y=a≈ `(a>0, a+1)의 그래프


y y=a≈ y=a≈ y
a>1 0<a<1

a 1
a

1 1
1 a
a
-1 O 1 x -1 O 1 x

a (0 1) x
a>1 x y
0<a<1 x y

y=a≈ y={;a!;}/ y

02 지수방정식과 지수부등식

1 지수방정식

a f(x)=a g(x) HjK f(x)=g(x) a>0 a+1


0
a f(x)
=b f(x)
HjK a=b f(x)=0 a>0 a+1 b>0 b+1
x x
a a t (t>0) t

2 지수부등식

a>1 a f(x)<a g(x) HjK f(x)<g(x)


0<a<1 a f(x)<a g(x) HjK f(x)>g(x)
ax ax t (t>0) t

092 Ⅰ.
01
1 지수함수의 뜻

1. 지수함수의 뜻
x 2≈ 03
x y -3 -2 -1 0 1 2 3 y

2≈ y ;8!; ;4!; ;2!; 1 2 4 8 y

x 2≈
y=2≈ x y
y=2≈

a 1 a>0 a+1 x a≈
y=a≈ x

y=a≈ a>0 a+1


a 지수함수

Example y=3≈ y=('5 )≈ y={;6!;}/ 3 '5 ;6!;

y=2x
(x y) y y=2≈
8

y=2x
4
y=2x
1 2
-
y=2x x 4
1
-2 O 1 2 3 x
y
y=2x (0 1) x y 0
x
y=2 x

03 093
2. 지수함수의 밑
y=a≈ y=a≈ a a>0 a+1
a>0 a+1
⁄ a=1
a=1 y=a≈ =1≈ =1 y x 1 y=a≈
1
¤ a…0
a…0 a≈ x

a…0

⁄ ¤ y=a≈ a 1
x a≈ >0 y=a≈ { y|y>0 }

지수함수의 뜻

a>0 a+1 y=a≈ a

2 지수함수 y=a≈ (`a>0, a+1)의 그래프

y=a≈ a>0 a+1


y=a≈ x=0 y=a‚ =1 y=a≈ a
(0 1)
y=a≈ a a>1
0<a<1 y=a≈

1. a>1일 때, 지수함수 y=a≈ 의 그래프


y=2≈
y=2≈ x y

094 Ⅰ.
(x y) [ 1]
y=2≈
y=3≈ y=4≈ [ 2]

y y=2≈ y
y=4≈

4 4 y=3≈
3
1 y=2≈
2
1
2
1
2
1
03
4
-2 -1 O 1 2 x O 1 x

1 2

y=a≈ a>1
y=a≈ a>1 x y

y=2≈ y=3≈ y=4≈ y=a≈ a>1


x>0 a y x<0 a x

x a≈ >0 x a≈ 0
y=a≈ x x
y=a≈ a>1 x

2. 0<a<1일 때, 지수함수 y=a≈ 의 그래프

y={;2!;}/

y=f(x) y=f(-x) y

y={;2!;}/ =(2-1)x=2-x y={;2!;}/

y=2≈ y [ 3]

y=2≈ y y={;2!;}/

03 095
[ 4] y=3≈ y=4≈ y

y={;3!;}/ y={;4!;}/

y y
y={ 1 }≈ y=2≈
y={ 1 }≈
2 4
4
4
y={ 1 }≈
3 3
1
2 2 y={ 1 }≈ 2
1 2
1 1
4
-2 -1 O 1 2 x -1 O x

3 4

y=a≈ 0<a<1
y=a≈ 0<a<1 x y

y={;2!;}/ y={;3!;}/ y={;4!;}/

y=a≈ 0<a<1 x>0 {;2!;}/ >{;3!;}/ >{;4!;}/ a

x x<0 {;2!;}/ <{;3!;}/ <{;4!;}/ a

y
x a≈ >0 x a≈ 0
y=a≈ x x
y=a≈ 0<a<1 a>1 x

y
y={;5!;}/ =(5-1)x=5-x y={;5!;}/ y={ 1 }≈
Example y=5≈
5
5
y=5x y

y={;5!;}/ 1

-1 O 1 x

Example y=ax y=bx y=cx y=dx y=c≈ y y=b≈


y=d≈ y=a≈
a b c d
y=ax y=bx
1

a>1 b>1 O x

096 Ⅰ.
y=bx y=ax x>0 y x<0 x

1<a<b yy
x x
y=c y=d
0<c<1 0<d<1
y=cx y=dx x>0 x x<0 y

0<c<d<1 yy
c<d<a<b 03

지수함수 y=a≈ (a>0, a+1)의 그래프

y=a≈ a>0 a+1 a


y y=a≈ y=a≈ y
a>1 0<a<1

1
a a

1 1
1 a
a
-1 O 1 x -1 O 1 x

y=a≈ a>0 a+1


1 a (0 1) x
x
2 a>1 y=a
x y
x>0 a y x<0 a x
x
3 0<a<1 y=a
x y
x>0 a x x<0 a y

y={;a!;}/
x

4 y=a≈ y y={;a!;} =a -x

2 3
a>1 x¡<x™ HjK ax¡<ax™
0<a<1 x¡<x™ HjK ax¡>ax™

03 097
지수함수 y=ax`(a>0, a+1)의 그래프를 쉽게 그리는 팁!!

y=a≈ y=0 x
(0 1) a>1 y=a≈
1 0<a<1 y=a≈
2

y y=a≈ y=a≈ y
a>1 0<a<1

1 1

O x O x

1 2

3 지수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과 대칭이동

y=4_2x+1
1 y=a(x-m)¤ +n y=ax¤ x
m y n
y=ax¤ +bx+c y=a(x-m)¤ +n
cx+d
y= y='ƒax+b+c
ax+b
k
y= +n y="√a(x-m)+n
x-m
k
y= y='∂ax x m y n
x

y=ax-m+n y=ax
x m y n
x
y=4_2 +1

098 Ⅰ.
y
y=4_2x+1 y=ax-m+n y=4_2≈ +1
y=2≈
y=4_2x+1=2¤ _2x+1=2x+2+1 5

y=4_2x+1 y=2x
x -2 y 1 2
1

-2 O x
x x
y=4_2 +1 y=2

{x|x } 03
y 1
{ y|y>1 }

y=0 x y=1

Example y=2x-1-1 y=2x


x 1 y -1

x=1 y=2‚ -1=0 (1 0)


y=-1
x- 1
y=2 -1

y x-1
y y=2≈ y=2x-1-1
y=2 -1

1
O O
1 x 1 x
-1 1
-1 --
2

x y
x
y=4_2 +1 x y 5 y=2x-1-1 x 1

y -;2!;

y=-2x
y=-2x

03 099
y
-y=2x
y=2≈
y=2≈ y -y
2
1
y=-2x y=2x x
y=-f(x) y=f(x) O 1 x
x -1
-2 y=-2≈
y=-2x y=2x

{ x|x }
x
{ y|y<0 }

y=0 x

Example y=-3x+1 y=3x x y


y=3
x

y 1
1
x
y=-3
O
x
x=0 y=-3‚ +1=0
-1 x
y=-3 +1
(0 0)
y=-3x+1 x
y=-3

y=ax (a>0 a+1)

x m x x-m y=ax y-n=ax-m


y n y y-n y=ax-m+n
y=ax -y=ax
x y -y
y=-ax
y=ax y=a-x
y x -x
y={;a!;}/

x -x y=ax -y=a-x

y -y y=-{;a!;}/

y=ax x m y n

100 Ⅰ.
y=ax-m+n

지수함수 y=a≈ —µ +n`(a>0, a+1)의 그래프

y y=a
x-m
+n y=a
x-m
+n
a>1 0<a<1
x
y=a

03
x
y=a
n
n n m n
m 1
O 1 x O x

y=ax y=ax-m+n
{x|x } {x|x }
{y|y>0 } {y|y>n }
x (y=0) y=n

a a‚ =1 y=ax-m+n (a>0 a+1) a


(m n+1)
x y

Example y=2x

y=2x-1+1
y=2x-1+1 y=2x x y y=2≈

1 y 1
3
2 y=2≈ —⁄ +1

y=1 1
O x

y=-4_2x-1
y=-4_2x-1=-2x+2-1 y=-4_2x-1 y
1 y=2≈
y=2x x O x
-1
x -2 y -1

y=-4_2≈ -1
-5
y=-1

03 101
지수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은 다른 함수들의 그래프의 평행이동과 다르다??

1 y=x¤ y=2x¤

y=;[!; y=;[@;

y='ßx y=2'ßx
k

y=2x
y=4_2x=2x+2 y=2x x -2

y=4_{;2!;} ={;2!;} y={;2!;}


x x-2 x
x

2
y=3_2x=3 log™ 2_2x=2 log™ 3_2x=2x+log™ 3 y=2x
x -log™ 3

y=;4!;_2x=2x-2 y=2x x 2

y=-4_2x=-2x+2 y=2x x
x -2
x
y=a k y=kax

4 지수함수의 성질

y=ax (a>0 a+1) a>1 x 0<a<1 y a>1

y 0<a<1 x y
1

⁄ a>1 x¡<x™ jjK a <a


x¡ x™
O x

¤ 0<a<1 x¡<x™ jjK a >a x¡ x™

102 Ⅰ.
y y=a≈ y=a≈ y
a>1 0<a<1

a≈ ¤ a≈ ⁄

a≈ ⁄ a≈ ¤

O x¡ x™ x x¡ x™ O x

⁄ ¤ y=ax (a>0 a+1) x¡ x™


x¡+x™ jjK a +a x¡ x™

03
ax¡=ax™ jjK x¡=x™
y=ax
y=ax (a>0 a+1)

Example '8 ‹ '∂16 fi '∂64


2

'8="ç2‹ =2;2#; ‹ '∂16=‹ "ç2› =2;3$; fi '∂64=fi "ç2fl =2;5^;

;5^;<;3$;<;2#; y=2x x y

2;5^;<2;3$;<2;2#;
fi '∂64<‹ '∂16<'8

f(x)=ax (a>0 a+1) p q


f(0)=1 f(1)=a

Proof f(0)=a‚ =1 f(1)=a⁄ =a

f(p+q)=f(p)f(q)

Proof f(p+q)=ap+q=apaq=f(p)f(q)

f(p)
f(p-q)=
f(q)

Proof aπ f(p)
f(p-q)=ap-q=apa-q= =
aœ f(q)

03 103
f(np)={ f(p)}n n

Proof f(np)=anp=(ap)n={ f(p)}n

지수함수의 성질

1 y=ax (a>0 a+1)


a>1 x¡<x™ jjK ax¡<ax™
0<a<1 x¡<x™ jjK ax¡>ax™
x¡+x™ jjK ax¡+ax™
2 f(x)=ax (a>0 a+1) p q
f(0)=1 f(1)=a f(p+q)=f(p)f(q)
f(p)
f(p-q)= f(np)={ f(p)}n n
f(q)

5 지수함수의 최대, 최소

1. y=a f(x)`(a>0, a+1) 꼴의 최대, 최소

y=a f(x)
⁄ a>1
y=a f(x) f(x) y f(x) y
f(x) y
¤ 0<a<1
y=a f(x) f(x) y f(x) y
f(x) y

Example 0…x…2 y=3-x+2


3 3>1 -x+2 y -x+2 y

0…x…2 y=3-x+2
x=0 3¤ =9
x=2 3‚ =1

104 Ⅰ.
-x+2
0…x…2 y={;3!;}

;3!; 0<;3!;<1 -x+2 y -x+2

y
-x+2
0…x…2 y={;3!;}

x=2 {;3!;}0 =1

x=0 {;3!;}2 =;9!;


03
2. ax 꼴이 반복되는 함수의 최대, 최소
y=a2x+pax+q a2x=(ax)¤ ax t t

y=ax { y|y>0} ax t t

Example y=4x-2x+2+1 y=4x-2x+2+1=(2x)¤ -4_2x+1


2x=t (t>0)
y=t¤ -4t+1=(t-2)¤ -3
t=2 x=1 -3

y=-{;4!;} +{;2!;}
x x-2
+1

y=-{;4!;} +{;2!;} +1=-[{;2!;} ]¤ +4{;2!;} +1


x x-2 x x

{;2!;} =t (t>0)
x

y=-t¤ +4t+1=-(t-2)¤ +5
t=2 x=-1 5

ax+a-x ax+a-x t
x -x
a >0 a >0
ax+a-xæ2"√axa-x =2 ax=a-x
tæ2

03 105
지수함수의 최대, 최소
f(x)
1 y=a (a>0 a+1)
⁄ a>1 f(x) y f(x) y
¤ 0<a<1 f(x) y f(x) y
x
2 a
ax t t>0 t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한 대소 비교

a>b>0 n>0 an>bn

a>b>1 a>1>b 1>a>b

⁄ a>b>1 ¤ a>1>b ‹ 1>a>b


⁄ y y=a≈ ⁄ y=b≈ y y=a≈ ⁄ y=b≈ y
y=a≈
y=b≈
an an
n
b 1 1
1 bn an
bn
n x O n x O n x
O

a>b>0 a b n

a>b>0 n<0 an<bn

a>0 b>0 2a=3b a>b


y
y=2x y=3x y=3≈
y=2≈
a b
a>0 b>0 2 =3 a>b
2å =3∫

1
a<0 b<0 2a=3b a<b 2å =3∫

ab O ba x

106 Ⅰ.
1
x-2 x+1
y={;2!;} -1 y=-{;2!;} +2

2 y=2x
보기
1
y=2x+1 y=-3_2x y= -3 y=22x
2≈
03
3
y=4x-4+1 (2…x…4) y=3-x+1 (-1…x…1)

y={;2!;} y={;2!;}
x-2 x
풀이 1 -1 x 2 y y

-1 3
y={ 1 }≈ —¤ -1
2
{y|y>-1인 실수}
1 y={ 1 }≈
2
O 2 x
-1

y=-{;2!;} y={;2!;}
x+1 x
+2 x y 3
2 2
x -1 y 2
y=-{ 1 }≈ ±⁄ +2
2
{y|y<2인 실수} 1
y={ 1 }≈
2
O x
-1 y=-{ 1 }≈
2

2 y=2x+1 y=2x y 1
log™ 3
y=-3_2 =-2 x
_2x=-2x+log™ 3 y=-3_2x y=2x x
x -log™ 3
1 1
y= -3=2-x-3 y= -3 y=2x y y
2≈ 2≈
-3
y=22x=4x y=22x y=2x
y=2x ㄱ, ㄴ, ㄷ

3 y=4x-4+1
x=4 최댓값은 40+1=2

x=2 최솟값은 4-2+1=;1!6&;


x
y=3-x+1=3_{;3!;} y=3-x+1

x=-1 최댓값은 32=9


x=1 최솟값은 30=1

03 107
지수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과 대칭이동

다음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치역을 구하여라.

01 y=2
Æ–™
-3 y=3
–Æ≠¡

접근 방법

y=ax

y=-a≈

1 }≈ y x y
y=a—≈ ={ a y=a≈ y=a≈ —µ +n
m, n

1 }≈
y=-a—≈ =-{ a

y=a 11111111111111111⁄ y=a +n


Æ x축, y축의 방향으로 각각 m, n만큼 평행이동 Æ–µ

상세 풀이
y
y=2x-2-3 y=2x x 2
y -3 1
y=2≈
2
{ y|y>-3 } O x
-11
4
-2
y=2≈ —¤ -3
-3

y=3-x+1=3-(x-1)={;3!;} y={;3!;}
x-1 x
y
y={ 1 }≈
3
3
x 1
{y|y>0 }
1 y=3—≈ ±⁄

O 1 x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때, 점근선을 먼저 그리는 것이 좀 더 편리합니다.

108 Ⅰ.
p.35

01-1 다음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치역을 구하여라.


Æ≠£ –Æ–™
y=2 +1 y=4 -2
Æ≠™ x-1
y=-2 -1 y=-{;3!;} +2

03

01-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y=3¤ ≈ x m y n
y=27_3¤ ≈ -12 mn
y=2≈ x m y n
(-1 1) (0 5) m¤ +n¤

0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2x의 그래프 위의 점 A(0, 1) y


y=2≈ y=2≈ —¤
x-2
을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함수 y=2 의 그래프와 D
C
만나는 점을 B, 점 B를 지나고 y축에 평행한 직선이 함수
y=2x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을 C, 점 C를 지나고 x축에 평
행한 직선이 함수 y=2x-2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을 D라고 1
A B
x x-2
하자. 두 함수 y=2 , y=2 의 그래프와 두 선분 AB,
O x
CD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

01-1 p.537 01-2 18 18 01-3 6

03 109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지수함수의 그래프

함수 y=2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라.

02 y=2|x| y=2-|x|

접근 방법

0 0

y=f(x) y=-f(x) x y=f(x) y=f(-x)


y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그래프는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x의 값을 경계로 범위를 나누어 그래프를 그린다.

상세 풀이
Æ
2 (xæ0)
y=2|x|=[ –Æ y
y=2|x|
2 (x<0)
y=2|x|

1
O x

( {;2!;}
x
(xæ0) y
y=2-|x|= {
9 {;2!;}
-x
(x<0)

y=2-|x| y=2-|x|
1
O x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수학 <하>에서 배운 것처럼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그릴 수 y |x|
y=2
있습니다.
① 절댓값 기호를 없앤 함수 y=f(x)의 그래프를 그립니다.
② 절댓값 기호가 없는 식을 0으로 하는, 즉 직선 x=0 (`y축)을 기준으로 xæ0인 부분
을 대칭이동합니다. 1
|x| x O x
따라서 위의 예제 ⑴`에서 함수 y=2 의 그래프는 xæ0인 부분에 그린 함수 y=2 의
그래프를 직선 x=0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됩니다.

110 Ⅰ.
p.36

02-1 함수 y=3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라.

y=3|x| y=3-|x|

y=|{;3!;}
x+1
y=|3x-1| -3|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2!;}


x-a

02-2 -b|의 그래프가 직선 y

y=3을 점근선으로 하고 점 (3, 1)을 지난다. 상수 a, b에


1 x-a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y=| { } -b|
3 2

O 3 x

함수 f(x)={;2!;}
x-5

02-3 -64에 대하여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제`1사분

면에서 만나도록 하는 자연수 k의 개수를 구하여라.


(단, 좌표축은 어느 사분면에도 속하지 않는다.)

02-1 p.537 02-2 7 02-3 31

03 111
지수함수의 성질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3 f(x)=2x+2-x
g(x)=2 -x
f(a)=5 f(-2a)
g(2a)g(b)=4 g(a-b)=2 23a+23b

접근 방법

함수 f(x)=a≈ (a>0, a+1)과 임의의 두 실수 x, y에 대하여


⑴ `f(x+y)=f(x)f(y)
f(x)
⑵ `f(x-y)=
f(y)
⑶ `f(px)={ f(x)}π (단, p는 실수)

상세 풀이

f(a)=2a+2-a=5
f(-2a)=2-2a+22a=(2a+2-a)¤ -2=5¤ -2=23
g(2a)g(b)=2-2a_2-b=2-2a-b=4
-2a-b=2 yy
g(a-b)=2-a+b=2
-a+b=1 yy

a=-1 b=0

23a+23b=2-3+20=;8!;+1=;8(;

정답 ⑴ 23 ⑵ ;8(;

보충 설명
지수함수의 함숫값을 구할 때에도 지수법칙은 자주 이용됩니다.
즉, a>0, b>0이고, m, n이 실수일 때
⑴ am_an=am+n ⑵ am÷an=am-n
m n mn
⑶ (a ) =a ⑷ (ab)n=anbn

112 Ⅰ.
p.38

03-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f(x)=;2!; (3x-3-x) f(p)=2 f(3p)

g(x)=3-x g(2a)g(a)g(2b)=27 g(a-b)=3 32a+32b

03

03-2 지수함수 f(x)=a≈ `(a>0, a+1)에 대한 설명 중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1
f(-x)= f(x)="√f(2x) f(x‹ )={ f(x)}‹
f(x)

03-3 두 함수 f(x)=2≈ +2—≈ , g(x)=2≈ -2—≈ 에 대하여 f(x)f(y)=6, g(x)g(y)=10일


때, f(x+y)의 값을 구하여라.

03-1 38 ;;¡9º;; 03-2 03-3 8

03 113
지수함수의 그래프와 도형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2≈ 의 그래프 위의 두 y y=2≈

04 점 A(a, 2å ), B(a+1, 2 a+1

선의 발을 각각 C, D,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
)에서 x축에 내린 수
F B(a+1, 2
a+1
)

각 E, F라고 하자. 사각형 ACDB와 사각형


ABFE의 넓이의 비가 2 : 5일 때, 양수 a의 값을 E a
A(a, 2 )
구하여라.

O C D x

접근 방법

x P(x¡ y¡) Q(x™ y¡)


PQ”="√(x™-x¡)¤ +√(y¡-y¡)¤ =|x™-x¡|
x y
R(x¡ y¡) S(x¡ y™) y
R’S’=|y™-y¡|

x축 (또는 y축)에 평행한 선분의 길이는 x좌표 (또는 y좌표)의 차를 이용한다.

상세 풀이

2å +2å ±⁄ 1+2
ACDB=;2!;_(2å +2å ±⁄ )_1= =2å _ =3_2å —⁄
2 2
2a+1
ABFE=;2!;_(a+a+1)_(2å ±⁄ -2å )= _2å =(2a+1)2å —⁄
2
ACDB : ABFE=2 : 5
3_2å —⁄ : (2a+1)2å —⁄ =2 : 5

3 : (2a+1)=2 : 5 4a+2=15 a=;;¡4£;;

정답 ;;¡4£;;

보충 설명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윗변의 길이가 a, 아랫변의 길이가 b, 높이가 h인 사다리꼴의 넓 a

이 S는
a+b h
S= h
2

114 Ⅰ.
p.38

04-1 y x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3≈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y=3

A(a, 3å ), B(a+1, 3å ±⁄ )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C, D,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F라고 하자. 사각형 F B(a+1, 3
a+1
)
ACDB와 사각형 ABFE의 넓이의 비가 4 : 5일 때, 양수 a a
A(a, 3 )
E
의 값을 구하여라.
O C D x

03

04-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y=k (k>1)가 y축과 만나는 점을 y y=2≈ y=a≈

B, 점 A(0, 1)을 지나는 두 함수 y=2≈ , y=a≈ 의 그래프와 B C D y=k

만나는 점을 각각 C, D라고 하자. 삼각형 ACB와 삼각형


ADC의 넓이의 비가 2 : 1일 때, 상수 a의 값은?
(단, 1<a<2) A

› '2 ‹ '2 ›'3 O x

‹ '4 › '8

04-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곡선 y=2≈ -1, y=2—≈ +;9A;의 교점 y y=2x-1

을 A라고 하자. 점 B의 좌표가 (4, 0)일 때, 삼각형 AOB


의 넓이가 16이 되도록 하는 양수 a의 값을 구하여라. a
A y=2-x+-
9
(단, O는 원점이다.)

O B x

04-1 ;4#; 04-2 04-3 71

03 115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한 대소 관계

다음 세 수의 대소를 비교하여라.

05 30.5, › '∂27, ‹ '9 '∂0.5, ‹ '∂0.25, fi 'ƒ0.125

접근 방법

y=a≈ (a>0, a+1) a>1 x y 0<a<1 x


y

a>1일 때, x¡<x™ HjK ax¡<ax™


0<a<1일 때, x¡<x™ HjK ax¡>ax™

상세 풀이

30.5=3;2!;, › '∂27=› "≈3‹ =3;4#;, ‹ '9=‹ "≈3¤ =3;3@;

y=3≈ x y ;2!;<;3@;<;4#;

3;2!;<3;3@;<3;4#; 30.5<‹ '9<› '∂27


0.5

'∂0.5=0.5 ;2!;, ‹ '∂0.25=‹ "ç0.5¤ =0.5 ;3@;, fi 'ƒ0.125=fi "ç0.5‹ =0.5 ;5#;

y=0.5≈ x y ;2!;<;5#;<;3@;

0.5 ;3@;<0.5 ;5#;<0.5 ;2!; ‹ '∂0.25<fi 'ƒ0.125<'∂0.5

정답 ⑴ 30.5<‹ '9<› '∂27 ⑵ ‹ '∂0.25<fi 'ƒ0.125<'∂0.5

보충 설명
지수의 대소 비교는 거듭제곱근의 대소 비교와 마찬가지로 밑을 통일하거나 똑같이 거듭제곱하는 방법, 지수를
통일하는 방법, 두 지수의 비를 조사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수의 형태에 따라 어떤 방법을 써야 하는지 다양하게 접근해 봅니다.

116 Ⅰ.
p.39

05-1 다음 세 수의 대소를 비교하여라.

2‚ ˘ fi , fi '4, 0.5-;4#;; {;2!;} , {;3!;} , {;5!;}


;3!; ;4!; ;6!;

2› › › , 3‹ ‹ ‹ , 5¤ ¤ ¤ ‹ '∂0.2, › '∂0.04, ⁄ fi 'ƒ0.008

03

µ « « µ
05-2 다음 중 부등식 a <a <b <b 을 만족시키는 두 양수 a, b와 두 자연수 m, n에 대하
여 옳은 것은?

a<1<b, m>n a<1<b, m<n a<b<1, m<n


1<a<b, m>n 1<a<b, m<n

05-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å £∫ ™ç
a, b, c 2 =3 =5 a, b, c

Æ Ú Ω
x, y, z 2 =3 =5 2x, 3y, 5z

;4!; ;6!; ;3!;


05-1 fi '4<20.5<0.5-;4#; {;3!;} <{;5!;} <{;2!;} 2444<5222<3333 › '∂0.04 <‹ '∂0.2 <⁄ fi 'ƒ0.008

05-2 05-3 a<b<c 3y<2x<5z

03 117
지수함수의 최대, 최소

주어진 범위에서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06 y=22x-4+5 (2…x…4) y=2x_3-x+1 (-1…x…1)

접근 방법

y=a≈ —π +q

지수함수 y=a≈ 은
a>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도 증가한다.
0<a<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상세 풀이

y=22x-4+5=22(x-2)+5=4x-2+5 y 2x-4
y=2 +5
21
4 4>1
2…x…4
x=4 44-2+5=16+5=21
6 y=5
x=2 42-2+5=1+5=6
O 24 x

y=2x_3-x+1=2x_3-x_31=2x_{;3!;} _3=3{;3@;}
x x
y
9
-
2
;3@; 0<;3@;<1
3 y=2 _3
x -x+1

-1…x…1

3_{;3@;} =3_;2#;=;2(;
-1
x=-1 -1 O 1 x

3_{;3@;} =2
1
x=1

정답 ⑴ 최댓값:21, 최솟값:6 ⑵ 최댓값:;2(;, 최솟값:2

보충 설명
최대, 최소 문제는 그래프만 그릴 수 있으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위와 같은 몇몇 함수는 굳이 그리지 않더라도 답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무
리함수 등은 계속 증가하거나 계속 감소하므로 주어진 범위의 양 끝에 있는 값을 대입해서 큰 값을 최댓값, 작은
값을 최솟값으로 구하면 됩니다.

118 Ⅰ.
p.40

06-1 주어진 범위에서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y={;2!;}
-x¤ +2x+1
y=33-2x (0…x…2) (-1…x…2)

03

06-2 -1…x…4에서 정의된 함수 f(x)=x¤ -6x-1에 대하여 g(x)=2 f(x)이라고 하면, 함수


g(x)는 x=a일 때 최댓값 b를 가진다.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Æ
06-3 두 함수 f(x)=a , g(x)=x¤ +2x+3에 대하여 함수 y=( fΩg)(x)가 최솟값 4를
가질 때, ( gΩf )(1)의 값은? (단, a>1)

7 9 11
13 15

06-1 27 ;3!; 4 ;4!;

06-2 63 06-3

03 119
치환을 이용한 지수함수의 최대, 최소
Æ Æ≠¢
1…x…4일 때, 함수 y=4 -2 +30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07
접근 방법
Æ ™ Æ Æ ™ Æ
4 =(2 ) =(2 ) 2 t t
t

a≈ 꼴이 반복되는 함수의 최대, 최소 ∆ a≈ 을 t로 치환한다.

상세 풀이

Æ Æ≠¢ ™ Æ ¢ Æ Æ ™ Æ
y=4 -2 +30=(2 ) -2 _2 +30=(2 ) -16_2 +30
Æ
2 =t 1…x…4
¡ ¢
2 …2≈ …2 2…t…16 y

30
™ ™
y=t -16t+30=(t-8) -34
2 8
2…t…16 y=(t-8)¤ -34
O 2 16 t
t=16 (16-8)¤ -34=30
y=(t-8)¤ -34
t=8 (8-8)¤ -34=-34 -34

정답 최댓값:30, 최솟값:-34

보충 설명
제한된 범위 a…x…b에서 이차함수 `f(x)=a(x-p)¤ +q (a>0)의 최대, 최소는 축 x=p가 주어진 범위에 포
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축 x=p가 범위 a…x…b에 포함될 때 ¤ 축 x=p가 범위 a…x…b에 포함되지 않을 때
a>0 ` a>0
y y

f(b) f(b)
f(a)
f(a)
f (p)=q

O a p bx O p a bx

따라서 a≈ 을 t로 치환하여 t에 대한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를 구할 때 반드시 t의 값의 범위에 축이 포함되는지


포함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20 Ⅰ.
p.41

07-1 주어진 범위에서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Æ Æ–¡
y=4 +{;2!;} (-2…x…0)
Æ≠¡ Æ≠£
y=4 -2 +1 (-1…x…2)

03

07-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Æ –Æ Æ≠™ –Æ≠™
y=4 +4 -2 -2 +2
Æ –Æ Æ –Æ
y=6(3 +3 )-(9 +9 )+2

å≠Æ å–Æ
07-3 함수 f(x)=3 +3 +2의 최솟값이 20일 때, 상수 a의 값은?

-2 -1 0
1 2

07-1 24 3 33 -3
07-2 -4 13 07-3

03 121
02
1 지수방정식

2x=8 9x-2_3x-3=0

y=ax (a>0 a+1)


p ax=p
y y=a≈ y=a≈ y
a>1 0<a<1

p p
y=p y=p

1 1
O a x a O x
a≈ =p a≈ =p

a>0 a+1 ax¡=ax™ HjK x¡=x™

ax

1. 밑을 같게 할 수 있는 경우
2x=8

2x=8 2x=2‹ x=3

a f(x)=a g(x)
a f(x)=a g(x) (a>0 a+1) HjK f(x)=g(x)

122 Ⅰ.
Example 23x+3=4x-1
4x-1=(2¤ )x-1=22x-2
23x+3=22x-2
3x+3=2x-2 x=-5

2. 지수를 같게 할 수 있는 경우

(3x-2)x-4=7x-4 {x>;3@;}

a a‚ =1 0
03
ax=bx x=0 a‚ =b‚ =1 x=0
x-4 x-4
(3x-2) =7
3x-2=7 x-4=0 x=3 x=4

0 a f(x)=b f(x)
a f(x)=b f(x) (a>0 a+1 b>0 b+1) HjK a=b f(x)=0

3. a≈ 꼴이 반복되는 경우
9x-2_3x-3=0 3x 32x 32x=(3x)2
3x t t
y=ax (a>0 a+1) ax t
t t>0

Example 9x-2_3x-3=0
9x=(3¤ )x=(3x)¤ (3x)¤ -2_3x-3=0
3x=t (t>0) t¤ -2t-3=0
(t+1)(t-3)=0 t=-1 t=3
x x
x t=3 >0 t=3 =-1 x
x
t=3 =3 x x=1

ax ax

03 123
지수방정식의 풀이

1
a f(x)=a g(x) HjK f(x)=g(x) ( a>0 a+1)
2 0
a f(x)
=b f(x)
HjK a=b f(x)=0 ( a>0 a+1 b>0 b+1)
x x
3 a a t (t>0) t

2x=5

y ax ax+a-x t
x
x t x

2 지수부등식

2x>8 4x+2x+1-8…0

y=ax (a>0 a+1) a>1 x y


0<a<1 x y
y y=a≈ y=a≈ y
a>1 0<a<1

a≈ ¤ a≈ ¤

a≈ ⁄ a≈ ⁄

O x¡ x™ x x™ x¡ O x

ax¡<ax™ HjK x¡<x™ ax¡<ax™ HjK x¡>x™


z11111C z11111C

>1 0< <1

124 Ⅰ.
a≈

1. 밑을 같게 할 수 있는 경우

a f(x)<a g(x)
⁄ a>1 a f(x)<a g(x) HjK f(x)<g(x)
¤ 0<a<1 a f(x)<a g(x) HjK f(x)>g(x) 03

Example 2x>8
2x>2‹
x>3 >1

{;2!;} <{;8!;}
2x x-2

{;2!;} <[{;2!;} ] {;2!;} <{;2!;}


2x 3 x-2 2x 3x-6

2x>3x-6 0< <1

x<6

2. a≈ 꼴이 반복되는 경우
4x+2x+1-8…0 2x 22x
2x t t t>0

Example 4x+2x+1-8…0 (2x)2+2_2x-8…0


2x=t (t>0) t¤ +2t-8…0
(t+4)(t-2)…0 -4…t…2
t>0 0<t…2
0<2 …2x
x…1

ax a2x a≈ t t
t x

03 125
지수부등식의 풀이

1
⁄ a>1 a f(x)<a g(x) HjK f(x)<g(x)
¤ 0<a<1 a f(x)<a g(x) HjK f(x)>g(x)
x
2 a ax t (t>0) t

3x>8

밑에 미지수를 포함한 지수방정식과 지수부등식의 풀이

1 1

xx+3=x2x+1 (x>0)

x+3=2x+1
x=2
x=1 1› =1‹
x=1 x=2

a f(x)=a g(x) a>0


⁄ f(x)=g(x) ¤ a=1

Example x2x+6=xx¤ +x ( x>0)


⁄ x
2x+6=x¤ +x x¤ -x-6=0
(x+2)(x-3)=0 x=3 ( x>0)
¤ 1 x=1 1° =1¤
⁄ ¤ x=1 x=3

a f(x)æa g(x) a f(x)…a g(x) a>0


⁄ a>1 ¤ a=1 ‹ 0<a<1

126 Ⅰ.
Example x2x+3<x2x¤ -1 ( x>0)
⁄ x>1 2x+3<2x¤ -1 2x¤ -2x-4>0
2(x+1)(x-2)>0 x<-1 x>2
x>1 x>2
¤ x=1 1fi <1⁄
‹ 0<x<1 2x+3>2x¤ -1 2x¤ -2x-4<0
2(x+1)(x-2)<0 -1<x<2
0<x<1 0<x<1
⁄ ‹ 0<x<1 x>2
03

1
32x+1=81 52x+1=125x

3x+{;3!;} =2
x
22x-2x-2=0

5x>;12!5; {;4#;} >;4#; {;3!;}


3x x+1
<9x

4 9x-8_3x-9<0

풀이 1 32x+1=81=3› 2x+1=4 x=;2#;


3x
x
125 =(5‹ )≈ =5 52x+1=53x 2x+1=3x x=1

2 2x=t (t>0) t¤ -t-2=0 (t+1)(t-2)=0 t=-1 t=2


t>0 t=2 2x=2 x=1

3x=t (t>0) t+:t!;=2 t¤ -2t+1=0 (t-1)¤ =0 t=1


x
3 =1 x=0

5x>;12!5; {;4#;} >;4#; x<;3!;


3x
3 5x>5-3 x>-3 3x<1

{;3!;} {;3!;} <{;3!;} x>-;3!;


x+1 x+1 -2x
<9x x+1>-2x

4 3 =t (t>0)
x
t¤ -8t-9<0 (t+1)(t-9)<0 -1<t<9
t>0 0<t<9 0<3x<9 x<2

03 127
밑이 같은 지수방정식의 풀이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08 2x¤ +4=32x (x-2)≈ —› =3≈ —› x>2

접근 방법

a f(x)=a g(x)
a f(x)=a g(x)(a>0, a+1) HjK f(x)=g(x)

a f(x)=b f(x)
a f(x)
=b f(x)
(a>0 a+1 b>0 b+1) HjK a=b f(x)=0

a f(x)=a g(x) ∆ f(x)=g(x)

상세 풀이

32x=(25)x=25x 2x¤ +4=25x


x¤ +4=5x
x¤ -5x+4=0, (x-1)(x-4)=0 x=1 x=4

⁄ x-4
x-2=3 x=5
¤ 0 x=4 2‚ =3‚
⁄ ¤ x=4 x=5

정답 ⑴ x=1 또는 x=4 ⑵ x=4 또는 x=5

보충 설명
08-3과 같이 밑이 문자로 주어진 경우에는 밑이 1인지 아닌지를 반드시 조사해야 합니다. 즉,
=a g(x) (a>0) jK f(x)=g(x) 또는 a=1
f(x)
a

128 Ⅰ.
p.42

08-1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3-x¤ +4=27x (2'2 )x¤ =4x+1


2x¤ -1=3x+1 (x-1)x-4=2x-4 x>1

03

Æ≠£
08-2 방정식 2 =49의 근을 a라고 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0<a<1 1<a<2 2<a<3


3<a<4 4<a<5

08-3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x2x-1=xx+2 x>0 (x+1)x¤ =(x+1)2x x>-1

08-1 x=-4 x=1 x=-;3@; x=2 x=-1 x=3 x=4

08-2 08-3 x=1 x=3 x=0 x=2

03 129
치환을 이용한 지수방정식의 풀이
Æ Æ≠™
방정식 4 -3_2 +32=0을 풀어라.

09
접근 방법

a≈ a≈ t t t>0

a≈ 꼴이 반복되는 지수방정식 ∆ a≈ 을 t로 치환한다.

상세 풀이

™ Æ Æ ™ Æ
(2 ) -3_2¤ _2≈ +32=0 (2 ) -12_2 +32=0
Æ ™
2 =t (t>0) t -12t+32=0
(t-4)(t-8)=0 t=4 t=8
Æ Æ
2 =4=2¤ 2 =8=2‹
x=2 x=3

정답 x=2 또는 x=3

보충 설명
위의 상세 풀이 에서 방정식 4≈ -3_2≈ ±¤ +32=0의 두 실근은 x=2 또는 x=3이고, 방정식 t¤ -12t+32=0의
두 실근은 t=4 또는 t=8입니다. 따라서 4≈ -3_2≈ ±¤ +32=0의 두 실근을 a, b라고 하면 t¤ -12t+32=0의 두
실근은 2a, 2b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a_2b=32이므로
2a+b=2fi
에서 a+b=5가 성립합니다.
일반적으로 a¤ ≈ +pa≈ +q=0의 두 근을 a, b라고 하면 a≈ 을 t (t>0)로 치환한 이차방정식 t¤ +pt+q=0의 두
근은 aa, ab이 됩니다.

130 Ⅰ.
p.43

09-1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9x-10_3x+1+81=0 4x-2x+2-2fi =0

2;2{;(2;2{;-2)=8 8x-3_4x+1+2x+5=0

03

09-2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Æ –Æ Æ –Æ
2(4 +4 )-3(2 +2 )-1=0 (3+2'2 )≈ +(3-2'2 )≈ =6

09-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4x-7_2x+12=0 a b 22a+22b
16x-12_4x+9=0 a b 2a+2b

09-1 x=1 x=3 x=3 x=4 x=2 x=3


09-2 x=-1 x=1 x=-1 x=1 09-3 25 3'2

03 131
밑이 같은 지수부등식의 풀이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10 Æ
4('2 ) >'∂128 ;8¡1;<{;3!;}2 / < 1344
1
'3

접근 방법

a f(x)<a g(x)
>1 0< <1

a>1일 때, a f(x)<a g(x) HjK f(x)<g(x)


0<a<1일 때, a f(x)<a g(x) HjK f(x)>g(x)

상세 풀이

4('2 )x=22_2;2{;=22+;2{; 'ƒ128="ç2‡ =2;2&;


22+;2{;>2;2&;
2 2>1

2+;2{;>;2&; ;2{;>;2#; x>3

1 ;2!;
;8¡1;={;3!;}4 134 =æ;3!; ={;3!;}
'3

{;3!;}4 <{;3!;}2 / <{;3!;}


;2!;

;3!; 0<;3!;<1

4>2x>;2!; ;4!;<x<2

정답 ⑴ x>3 ⑵ ;4!;<x<2

보충 설명
지수함수 y=a≈ (a>0, a+1)은
⁄ a>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도 증가합니다.
¤ 0<a<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합니다.
이 성질이 지수부등식에 적용되어 a f(x)<a g(x)에서 a>1이면 큰 쪽의 지수가 커야 하므로 f(x)<g(x)이고,
0<a<1이면 큰 쪽의 지수가 작아야 하므로 f(x)>g(x)입니다.

132 Ⅰ.
p.44

10-1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Æ–™ Æ
{;4!;} <32 ;2¡5;<5 <125

1 8x
{;2#;} …{;3@;} 4x¤ <{ 134 }
x¤ 2x-3

'2

03

10-2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Æ–™ Æ≠¢ ™ Æ–¡
x >x x>0 (x -2x+1) <1 x+1

10-3 0<a<b<1일 때, 다음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를 구하여라.


§ §–Æ Æ §
a …a b …b

10-1 x>-;2!; -2<x<3 -3…x…1 -2<x<0

10-2 0<x<1 x>3 x<0 1<x<2 10-3 7

03 133
치환을 이용한 지수부등식의 풀이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11 Æ Æ
2_4 -17_2 +8<0
Æ Æ–™ Æ≠™
9 +3 >3 +1

접근 방법

a≈ a≈ t t t>0

a≈ 꼴이 반복되는 지수부등식 ∆ a≈ 을 t로 치환한다.

상세 풀이

Æ ™ Æ
2_(2 ) -17_2 +8<0
Æ ™
2 =t (t>0) 2t -17t+8<0

(2t-1)(t-8)<0 ;2!;<t<8
Æ –¡ Æ £
;2!;<2 <8 2 <2 <2

2 2>1 -1<x<3

™ Æ Æ
(3x) +;9!;_3 >9_3 +1
Æ ™
3 =t (t>0) t +;9!;t>9t+1

9t -80t-9>0 (9t+1)(t-9)>0

t<-;9!; t>9

t>0 t>9
Æ
3 >9 3x>3¤
3 3>1 x>2

정답 ⑴ -1<x<3 ⑵ x>2

보충 설명
위의 와 같이 a f(x)을 t로 치환하면 대부분 t에 대한 이차부등식이 됩니다. 이차부등식을 풀어서 구한 해를
다시 x에 대한 해로 바꾸기 위해서 치환했던 식 a f(x)=t를 다시 대입하면 앞에서 공부한 a f(x)<a g(x) 꼴의 지
수부등식이 됩니다. 즉, 위의 문제와 같은 지수부등식을 풀려면 앞에서 나온 간단한 지수부등식부터 확실하게 풀
수 있어야 합니다.

134 Ⅰ.
p.45

11-1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Æ Æ≠™ ™Æ≠¡ Æ
9 -4_3 +243<0 2 -9_2 +4…0
™Æ≠¡ Æ Æ Æ≠¡
3 -26_3 -9æ0 {;4!;} -{;2!;} -3>0

03

11-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Æ Æ
4a -5a +1<0 0<x<2 a 0<a<1
™Æ Æ
3a -28a +9>0 x<-1 x>2 a
a>1

11-3 a>0, a+1일 때,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Æ Æ≠™ Æ–™ ™Æ–™ Æ≠¡ Æ–£
a -a -a +1<0 a -1<a -a

11-1 2<x<3 -1…x…2 xæ2 x<-1 11-2 ;2!; 3

11-3 -2<x<2 a>1 x<3 0<a<1 x>3

03 135
지수방정식과 지수부등식의 응용

x에 대한 방정식

12 Æ Æ≠™
4 -k_2 +k=0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때,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Æ Æ
2 t 2 >0 t>0 x
Æ Æ≠™
4 -k_2 +k=0 t t¤ -4kt+k=0

Æ
a 을 t로 치환할 때는 t>0이라는 것에 주의한다.

상세 풀이
Æ ™ Æ
(2 ) -4k_2 +k=0
Æ
2 =t (t>0) t¤ -4kt+k=0 yy

⁄ D

15 =(-2k)¤ -1_k>0 4k¤ -k>0


D
4

k(4k-1)>0 k<0 k>;4!;

¤ =4k>0 k>0
‹ =k>0

⁄~‹ k k>;4!;

정답 k>;4!;

보충 설명
수학 <상> 09 여러 가지 부등식에서 배운 것과 같이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실수이면 직접 두 근을
구하지 않고도 판별식과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두 실근의 부호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ax¤ +bx+c=0의 두 실근을 a, b, 판별식을 D라고 하면
① 두 근이 모두 양수일 조건 : Dæ0, a+b>0, ab>0
② 두 근이 모두 음수일 조건 : Dæ0, a+b<0, ab>0
③ 두 근이 서로 다른 부호일 조건 : ab<0

136 Ⅰ.
p.47

12-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Æ Æ
x 9 -2_3 +a=0 a

Æ Æ≠å å≠¡
x 4 -2 +2 =0 a

03

12-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Æ Æ
x 4 -4_2 +kæ0 k

Æ Æ–™
x {;4!;} +{;2!;} +k>0

Æ –Æ ¡≠Æ ¡–Æ
12-3 x에 대한 방정식 4 +4 -2 -2 +a=0이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12-1 0<a<1 aæ3 12-2 kæ4 kæ0 12-3 a…2

03 137
지수함수의 그래프와 격자점의 개수

좌표평면에서 두 곡선 y=2≈ , y=4≈ 과 직선 y=32로 둘러싸인 도형의 내부 또는

13 그 경계에 포함되는 정사각형 중에서 네 꼭짓점의 x좌표, y좌표가 모두 자연수이고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개수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x y
x y 1 x 1 2 3 4

y=2x (1 2) (2 4) (3 8) (4 16)
x
(5 32) y=4 (1 4) (2 16) (3 64)

지수함수의 그래프에서 격자점의 개수는 x좌표를 기준으로 생각하자!

상세 풀이

⁄ 1…x…2 y x
y=4 y=2
x y y=4
x
y=2
x

16 y=32
32
¤ 2…x…3
1
32-16=16( )
(2› -2‹ )_(3-2)=8
‹ 3…x…4
8 16
2 16-8=8( )
(2fi -2› )_(4-3)=16
› 4…x…5 4 8

y=2≈ 2› …y…2fi 2
1 1
O 1 2 3 4 x O 2 3 4 5 x
⁄~›
1 2
8+16=24

정답 24

보충 설명
격자점의 개수를 구할 때에는 x좌표, y좌표가 모두 자연수인지, 모두 정수인지 꼭 구별하도록 합니다. 또한 도형
의 내부, 도형의 외부는 경계를 제외한다는 점에 주의합니다.

138 Ⅰ.
p.49

13-1 좌표평면에서 두 곡선 y=3≈ , y=9≈ 과 직선 y=81로 둘러싸인 도형의 내부 또는 그 경계


에 포함되는 정사각형 중에서 네 꼭짓점의 x좌표, y좌표가 모두 자연수이고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개수를 구하여라.

03

13-2 좌표평면에서 함수 y=2|x|의 그래프와 직선 y=32로 둘러싸인 도형의 내부 또는 그 경계


에 포함되는 정사각형 중에서 네 꼭짓점의 x좌표, y좌표가 모두 정수이고 한 변의 길이가 1
인 정사각형의 개수를 구하여라.

13-1 54 13-2 196

03 139
03- 1 Æ–™
y=a +1 a (a, b) a+b
a>0

03- 2 Æ Æ
f(x)=a (a>1) g(x)=b (0<b<1)
f(x)
y= 112
g(x)

y y y

O x O x O x

y y

O x O x

03- 3 y=5 y=6 y=7 y=3x y y=3 y=3


x x-3

y=3x-3 AB” CD” EF” y=7


E F
y=6
AB CD EF C D
y=5
A B

O x

03- 4 x
x
A(a 0) y y y=2 y=2
x x-a

y=2 B B
x-a
x y=2 C B C

C y x D
ADCB 64 a D
O A(a, 0) x

5 f(x)={;2!;}
x-2

03- +3 A={ [ f(x)]|x>0 } A

[x] x

140 Ⅰ.
p.537 | p.50

03- 6 y=2 y=22x+a+b y y


10
y=f(x)
y=f(x) (-1 10) a b
y=f(x)
a+b
2
-1 O x

03

03- 7 -6…x…2 y=2|x|-1 M m Mm

03- 8 Æ Æ
y=4 -a_2 +12 x=2
Æ Æ
4 -a_2 +12=0
a b 22a+22b

Æ≠™ Ú–¡
03- 9 2 -3 =55
[ Æ–¡ Ú≠¡
2 +3 =89
x=a, y=b a+b

3 4 5
6 7

03- 10 f(x)= 1111114


13
Æ Æ≠¡ Æ≠™
3 +3 +3
6 f(x)+f(-x)=5

a b 9a+9b

03 141
03- 11 f(x) a b

f(ab)={ f(b)}å f{;2!;}+f{;3!;}+f{;6!;} f(1)=64

11 12 13
14 15

03- 12 r¡, r™, r£


r™ ™Æ r£ ¢Æ
f(x)=(1+r¡) , g(x)={1+ 13 } , h(x)={1+ 13 }
Æ
2 4
f(10)=g(10)=h(10) r¡, r™, r£

r¡<r™<r£ r¡<r£<r™ r™<r¡<r£


r™<r£<r¡ r£<r™<r¡

03- 13 y=2≈ P Q x a b
b<0<a
보기
2∫ 2å 2∫ -1 2å -1
< <
b a b a
2å -2∫
|a|=|b| <1
a-b

03- 14 f(x)=2a|x| (a>0) y y=f(x)

y=log™ f(x)

y y
1 2
O x
O x
1
O x

y y y

O x
O -1 O x
x -1
-1

142 Ⅰ.
p.537 | p.53

03- 15 Æ Æ≠™ ™
4 -a_2 +a =0 1 a

03- 16 y=2≈ y=-{;2!;}/ +k A, B AB

{0 ;4%;} k

03
수능

03- 17 f(x)=a∫ ≈ —⁄ g(x)=a⁄ —∫ ≈

y=f(x) y=g(x) x=2

f(4)+g(4)=;2%;

a b a+b 0<a<1

03- 18 y=3≈ y=9≈ y=27≈ y x


y=27 y=9 y=3
x x

AB” C B A
y=4 A B C
BC” 4 y=4

O x

03- 19 y=f(x) y=
1
2 f(x)
y

1 y=f(x)
-2
y y y O x
2 -1
2 2
1 1
1 - -
- 2 2
2
-2 O x -2 O x -2 O x

y y
2 1 2
-
1 2
-
2
-2 O x -2 O x

03 143
03- 20 x
Æ
|2 -2|=k k

03- 21 x a
Æ≠¡ 112
x+4 Æ Æ
2 -2 2 +aæ0 25 -2a_5 +9æ0

03- 22 y=a≈ ±‹ +1 (a>0 a+1) y


4
(1 3) (1 4) (-1 4) (-1 3)
3
a a
a b a° -b°

-1 O 1 x

수능

03- 23 y=k_3≈ (0<k<1) y


y=-4_3x+8
y=3—≈ y=-4_3≈ +8 -x
y=3 y=k_3x
P Q P Q
x 1:2 35k Q
P

O x

03- 24 f(x)

-2…x…0 f(x)=|x+1|-1
x f(x)+f(-x)=0
x f(2-x)=f(2+x)

y={;2!;}
x
-10…x…10 y=f(x)

144 Ⅰ.
p.537 | p.58

challenge

03- 25
x 4≈ +4—≈ +a(2≈ -2—≈ )+7=0 a
m m¤
x (4≈ +4—≈ )-2k(2≈ +2—≈ )+6=0 k

challenge
03
03- 26 2 a y=-2≈ +16 y=a≈ y
x y f(a)
f(2)+f(3)+f(4)+f(5)

수능

03- 27 a>1 a y=4≈ y=a—≈ ±› y=1


x y 20 40
a

03- 28 x x x
y
y=c
x
y=b
x

y=a y=b y=c


ABCD C B y=ax

a⁄ ¤ +b⁄ ¤ +c⁄ ¤ D
1 A
x y
O 6 12 x

03- 29 y=2
–Æ
Æ
A y=2-x y y=4x

x y=4 B
–Æ A B
B y y=2
C AB 2 BC
£ 1 C
l 4l
O x
A 2

03 145
04
로그함수
01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149

기본 다지기 186
실력 다지기 188
85 dB
pH4.7
3.4
dB pH

01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01 164

02 166

03 168

04 170

05 172

06 174

07 176

08 178

09 180

10 182

11 184
04 | 로그함수

01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1 로그함수의 뜻
a>0 a+1 y=logå x a

2 로그함수 y=logå x (a>0, a+1)의 그래프


y y=a≈ 0<a<1 y=a≈ y y=x
a>1 y=x

a
y=log x 1
1 a
å
a1 x
O1 a x O
y=log x
å

y=a≈ (a>0 a+1) y=x


a (1 0) y
a>1 x y
0<a<1 x y

3 로그함수의 성질
f(x)=logå x (a>0 a+1)
⁄ a>1 0<x¡<x™ jjK logå x¡<logå x™
¤ 0<a<1 0<x¡<x™ jjK logå x¡>logå x™
‹ x¡+x™ HjK logå x¡+logå x™

4 로그함수의 최대, 최소
y=logå f(x) a>0 a+1
⁄ a>1 f(x) y f(x) y
¤ 0<a<1 f(x) y f(x) y
logå x
logå x t t

148 Ⅰ.
01
1 로그함수의 뜻

y=a≈ (a>0 a+1)

1 a
04
y=a≈ HjK x=logå y
x=logå y x y y=a≈
y=logå x (a>0 a+1)
a 로그함수

y=logå x y=a≈
⁄ a>0 a+1
¤

로그함수의 뜻

1 a>0 a+1 y=logå x a


2 y=logå x y=a≈
y=a≈ HjK y=logå x
{ x|x } HjK { y|y }
{ y|y } HjK {x|x }

Example y=log™ x y=log;2!; x y=-log™ x y=-log;2!; x


f(x)=log™ x

f(1)=log™ 1=0 f(2)=log™ 2=1 f{;2!;}=log™ ;2!;=log™ 2—⁄ =-1


f(x)=log™ x x>0
(1 0) (2 1) {;2!; -1} f(-1) f(-2) y

04 149
2 로그함수 y=logå x (a>0, a+1)의 그래프

y=logå x (a>0 a+1)


y=f(x) y=f —⁄ (x) y=x
y=logå x y=a≈
y=logå x y=a≈ y=x

y=a≈ a y=logå x
a a>1 0<a<1
y=logå x

1. a>1일 때, 로그함수 y=logå x의 그래프


a>1 y=logå x y=a≈ (a>1) y=x
[ 1]
[ 1] y=logå x (a>1) x y

y y=ax
y=x
y
y=log™ x
a y=log£ x
1 y=loga x 1 y=log¢ x

O 1 2 3 4 x
O 1 a x

[ 1] [ 2]
y=log™ x y=log£ x y=log¢ x [ 2]
y=logå x x>1 a x
0<x<1 a y
log x log x log x
log™ x= log£ x= log¢ x=
log 2 log 3 log 4
log x log 2<log 3<log 4 a

2. 0<a<1일 때, 로그함수 y=logå x의 그래프


0<a<1 y=logå x y=a≈ (0<a<1)

150 Ⅰ.
y=x [ 3]
[ 3] y=logå x (0<a<1) x y

y=a≈ y
y=x
y

O 1 2 3 4
1 x
a -1 y=log 1 x
4
a1 x y=log 1 x
O 3
y=log 1 x
2

y=log x
å

[ 3] [ 4]
y=log;2!; x y=log;3!; x y=log;4!; x [ 4]
04
y=logå x x>1 a x
0<x<1 a y
log;a!; x=-logå x y=log;a!; x y=logå x
x a

y=a≈ (a>0 a+1) a (0 1)


x y=logå x (a>0 a+1) a
(1 0) y a>0 a+1 logå 1=0 logå a=1

y=log;a!; x=-logå x -y=logå x y=log;a!; x y=logå x


x y=f(x) -y=f(x)
x

Example

y=log∞ x y y=5≈ y=x


y=log∞ x y=5≈ 5

y=x
y=log∞ x
1
y=log∞ x
O 1 5 x

y
y=log;5!; x y={ 1 }≈ y=x
5 5
y=log;5!; x y={;5!;}/

y=x O 1
y=log;5!; x -1 1 5 x
-1 y=log 1 x
5

04 151
로그함수 y=logå x (a>0, a+1)의 그래프

y=logå x (a>0 a+1) a


y y=a≈ y
a>1 0<a<1 y=a≈ y=x
y=x

a
1 y=log x 1
å a
O1 a x a1 x
O
y=log x
å

y=logå x (a>0 a+1)


1 y=a≈ (a>0 a+1) y=x
2 a (1 0) y
3 a>1 y=logå x
x y
a x>1 x
4 0<a<1 y=logå x
x y
a x>1 x
5 y=logå x y=log;a!; x x

3 4
a>1 0<x¡<x™ HjK logå x¡<logå x™ 0<a<1 0<x¡<x™ HjK logå x¡>logå x™

3 로그함수 y=k logå x (a>0, a+1, k는 실수)의 그래프

03 지수함수 y=2≈ y={;2!;}≈

⁄ y=4_2≈ =2≈ ±¤ y=2≈ x -2

¤ y=4_{;2!;}≈ ={;2!;}≈ —¤ y={;2!;}≈ x 2

y=a≈ k y=ka≈

y=x¤ y=kx¤ k
y=logåx k (k+0 k+1) y=klogåx

152 Ⅰ.
Example y=log™ x y=2 log™ x y=3 log™ x [ 1]
y=-log™ x y=-2 log™ x y=-3 log™ x
[ 2]
y y=3log™x y
1 2
3 y=2log™x O x
2 y=log™x -1
y=-log™x
1 -2

-3 y=-2log™x
O 1 2 x
y=-3log™x

[ 1] [ 2]
y=log;2!; x y=2 log;2!; x y=3 log;2!; x [ 3]
04
y=-log;2!; x y=-2 log;2!; x y=-3 log;2!; x

[ 4]

y
1 2 y
y=-3log-1 x
2
O x
3
y=-2log-1 x
-1 2

y=log-1 x 2
-2 2 y=-log-1 x
2

y=2log-1 x 1
-3 2

y=3log-1 x O 1 2 x
2

[ 3] [ 4]

함수 y=log™ x¤ 과 y=2 log™ x의 그래프

02 로그 x>0 log™ x¤ 2 log™ x

y=log™ x¤ y=2 log™ x


y=log™ x¤ x¤ >0 {x|x+0 }
2 log™ x (x>0)
y=log™ x¤ =2 log™ |x|=[
2 log™ (-x) (x<0)
y=log™ x¤ [ 1]
y=2 log™ x x>0 {x|x>0 }
y=2 log™ x [ 2]
y=log™ x¤ y=2 log™ x

04 153
y y
y=log™ x¤ y=2 log™ x

2
2

-2-1 O 1 2 x O 1 2 x

[ 1] [ 2]

y=log™ x‹ y=3 log™ x

⁄n
y=logå x« {x|x+0 } x« >0
y=n logå x {x|x>0 } x>0
¤n
y=logå x« y=n logå x {x|x>0 }

4 로그함수의 평행이동과 대칭이동

03 지수함수 y=4_2≈ +1 y=ax-m+n

y=logå x (a>0 a+1)

x m x x-m y=logå x y-n=logå (x-m)


y n y y-n y=logå (x-m)+n
y=logå x -y=logå x
x y -y
y=-logå x
y x -x y=logå x y=logå (-x)
x -x y=logå x -y=logå (-x)
y -y y=-logå (-x)

Example y=log™ x

154 Ⅰ.
y=log™ (-x) y=log™ (-x) y y=log™ x

y=log™ (-x) y=log™ x y


-1 O 1 x

x=0

y=log™ ;[!; y y=log™ x

y=log™ ;[!;=-log™ x y=log™ x x


O 1 x

1
y=log™-
x
x=0
y=log™ (x-1)
04
y y=log™ x

y=log™ (x-1) y=log™ x x


O 1 2 x
1
x=1
y=log™ (x-1)

y=log™ 2x y y=log™ 2x

y=log™ 2x=log™ x+1 y=log™ x y


1 y=log™ x
-
1 2
O 1 x
x=0

y=log™ 4(x-2)
y=log™ 4(x-2) y=logå(x-m)+n
y=log™ 4(x-2)=log™ 4+log™ (x-2)=log™ (x-2)+2
y-2=log™(x-2)
y=log™ 4(x-2) y=log™ x x 2
y 2

y y y=log™ 4(x-2)

y=log™ 4(x-2)
2 2

O 2 3 x
O 1 2 3 x
y=log™ x

y=log™ x (1 0)
y=log™ 4(x-2) (3 2)

04 155
y=log™ 4(x-2) y=log™ x
{ y|y }
x 2
{x|x>2 }

x=0 y x 2 x=2

Example y=log;2!;(4x+16)
y=log;2!;(4x+16)=log;2!; 4(x+4)=log;2!; 4+log;2!;(x+4)
log;2!; 4=log;2!;{;2!;} =-2
—¤
y=log;2!;(x+4)-2
y=log;2!; x x -4 y
-2
x=-3 y=log;2!; 1-2=-2 (-3 -2)
x=-4
y=log;2!;(4x+16)
y y y=log-1 x
2

-3 O -3
-4 x -4 O 1 x
-2
-2

-4 -4
y=log-1 (4x+16) y=log-1 (4x+16)
2 2

x y
y=log™ 4(x-2) y x
0=log™ 4(x-2) 4(x-2)=1 logå 1=0

x=;4(;

;4(;

y=log;2!;(4x+16) 0=log;2!;(4x+16) x -;;¡4∞;; x=0

log;2!; 16=log;2!; {;2!;}—› =-4 y -4

156 Ⅰ.
y=logå x x m y n
y=logå (x-m)+n

로그함수 y=logå (x-m)+n (a>0, a+1)의 그래프

y=logå x y=logå(x-m)+n
{x|x>0 } {x|x>m }
{ y|y } { y|y }
y (x=0) x=m
04
1 a logå 1=0 y=logå (x-m)+n (a>0 a+1) a
(m+1 n)

y-n=logå(x-m) (p>0) yy
y=logå(px+q) jK [
y-n=logå{-(x-m)} (p<0) yy
y=logå x x m y n
y=logå x y x m y
n

Example y=log™ x

y=log™(2x-2)
y=log™(2x-2)=log™ 2(x-1)=log™ (x-1)+1 y
y=log™(2x-2)
y=log™(2x-2) y=log™ x
x 1 y 1
y=log™x

O 1 x
x=1 3
2
x+2
y=log™
2
x+2 y
y=log™ =log™(x+2)-log™ 2=log™ (x+2)-1
2 y=log™x

x+2 x+2
y=log™ y=log™
2 -2 O 2
1 x
y=log™ x x -2 y
-1

04 157
x=-2

5 로그함수 y=logå (x-m)+n (a>0, a+1 )의 역함수

y=logå (x-m)+n (a>0 a+1)


y=logå (x-m)+n

y=f(x) x x=f -1(y)


y=logå (x-m)+n x y
y-n=logå (x-m) x-m =ay-n
x=ay-n+m
x y y x y=f -1(x)
x y
y=ax-n+m

y=logå (x-m)+n a>0 a+1 y=ax-n+m


y=logå (x-m)+n y=ax-n+m

로그함수 y=logå (x-m)+n (a>0, a+1)의 역함수

1 y=logå (x-m)+n (a>0 a+1) y=ax-n+m


2 y=logå (x-m)+n HjK y=a x-n
+m
{ x|x>m } HjK { y|y>m }
{ y|y } HjK { x|x }

y=f(x) y=f —⁄ (x)


y=f(x-m)+n y=f —⁄ (x-n)+m

158 Ⅰ.
Example y=2≈ —⁄ +3
{x|x } { y|y>3 }
y=log™(x-3)+1
{x|x>3 } { y|y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대칭성

y=a≈ y=logå x y=x


04
y=logå(x-m)+n y=a≈ —« +m
y=x

y=a≈ y=logå x x m y n

y=a≈ —µ +n y=logå(x-m)+n
y=x x m y n

y=(x-m)+n y=x-m+n

Example y=2≈ y=log™ x x 3 y -2

y=2x-3-2 y=log™ (x-3)-2


y=(x-3)-2 y=x-5

6 로그함수의 성질

y=logå x (a>0 a+1) a>1 x y


0<a<1 x y
⁄ a>1 0<x¡<x™ jjK logå x¡<logå x™
¤ 0<a<1 0<x¡<x™ jjK logå x¡>logå x™

04 159
y y
a>1 0<a<1
y=log x
å
log x™
å 1 x¡ x™
log x¡ O x
å
log x¡
å
O 1 x¡ x™ x
log x™
å
y=log x
å

Example

log™ '2 log™ '3 log™ 2


y=log™ x x y '2<'3<2
log™ '2<log™ '3<log™ 2
log;2!; '2 log;2!; '3 log;2!; 2

y=log;2!; x x y '2<'3<2

log;2!; 2<log;2!; '3<log;2!; '2

f(x)=logå x (a>0 a+1) x>0 y>0


f(1)=0 f(a)=1

Proof f(1)=logå 1=0 f(a)=logå a=1

f(xy)=f(x)+f(y)

Proof f(xy)=logå xy=logå x+logå y=f(x)+f(y)

f {;[!;}=-f(x)

Proof f {;[!;}=logå ;[!;=logå x—⁄ =-logå x=-f(x)

f {;]{;}=f(x)-f(y)

Proof f {;]{;}=logå ;]{;=logå x-logå y=f(x)-f(y)

f(x« )=nf(x) n

Proof f(x« )=logå x« =n logå x=nf(x)

160 Ⅰ.
로그함수의 성질

1 f(x)=logå x (a>0 a+1)


⁄ a>1 0<x¡<x™ jjK logå x¡<logå x™
¤ 0<a<1 0<x¡<x™ jjK logå x¡>logå x™
‹ x¡+x™ HjK logå x¡+logå x™
2 f(x)=logå x (a>0 a+1) x>0 y>0
f(1)=0 f(a)=1 f(xy)=f(x)+f(y)

f {;[!;}=-f(x) f {;]{;}=f(x)-f(y)

f(x« )=nf(x) n

04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한 대소 비교

y
a>1 b>1 log™ a=log£ b a<b y=log™x

y=log™ x log™a=log£b y=log£x


y=log£ x a>1 b>1 O ba
1 a b x
log™ a=log£ b a<b log™a=log£b

0<a<1 0<b<1 log™ a=log£ b


a>b
log™ 1.5<log£ 2.5 log™ 2.5>log£ 3.5 x=-1 y y=log™ x
log™2.5
y=log™ x log£3.5
1 y=log£ (x+1)
y=log£ (x+1) log£2.5
log™1.5 O 1 1.5 2 2.5 x
x=1.5 x=2.5

7 로그함수의 최대, 최소

1. y=logå f(x) (a>0, a+1) 꼴의 최대, 최소

y=logå f(x)

04 161
⁄ a>1
y=logå f(x) f(x) y f(x)
y f(x) y
¤ 0<a<1
y=logå f(x) f(x) y f(x)
y f(x) y

Example 0…x…2
y=log™ (x¤ +4)
2 2>1 x¤ +4 y x¤ +4 y

0…x…2 y=log™ (x¤ +4)


x=2 log™ (4+4)=log™ 8=3
x=0 log™ (0+4)=log™ 4=2
y=log;2!; (x¤ +4)

;2!; 0<;2!;<1 x¤ +4 y x¤ +4 y

0…x…2 y=log;2!; (x¤ +4)


x=0 log;2!; (0+4)=log;2!; 4=-2
x=2 log;2!; (4+4)=log;2!; 8=-3

2. logå x 꼴이 반복되는 함수의 최대, 최소


y=(logå x)¤ +p logå x+q logå x t
t
logå x
logå x t t
ax t t>0 logå x t t

Example 1…x…8 y=(log™ x)¤ -2 log™ x


log™ x=t 1…x…8
log™ 1…log™ x…log™ 8 0…t…3

162 Ⅰ.
y
3
y=t¤ -2t=(t-1)¤ -1
0…t…3 y=(t-1)¤ -1
1
O 2 3 t
t=3 3 t=1 -1 -1
y=(t-1)¤ -1

로그함수의 최대, 최소

1 y=logå f(x) a>0 a+1


⁄ a>1 f(x) y f(x) y
¤ 0<a<1 f(x) y f(x) y
04
2 logå x
logå x t t

1 y=logx-1(2-x) x

2 y=log£ x

y=log£(-x) y=log£ 9x

풀이 1 x-1>0 x-1+1 1<x<2 x>2 yy


2-x>0 x<2 yy
x 1<x<2

2 y=log£(-x) y=log£ x y y
y=log£ (-x) y=log£ x
x=0

-1 O 1 x

y=log£ 9x=log£ x+2 y=log£ 9x y=log£ x y


y=log£ 9x
y 2
1
x=0 - y=log£ x
9
O 1 x

04 163
로그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과 대칭이동

다음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라.

01 y=log™ (x+2)+1 y=log;3!; (x-1)-3

접근 방법

y=logå x a>0 a+1 x m y n


y=logå (x-m)+n

y=logå x 1111211111⁄ y=logå (x-m)+n


x축, y축의 방향으로 각각
m, n만큼 평행이동

상세 풀이

y=log™ (x+2)+1 y=log™ x x y


2 y=log™(x+2)+1
-2 y 1

-2 O 1 x
-3
2

y=log™ x

y=log;3!; (x-1)-3 y=log;3!; x x y y=log 1 (x-1)-3


3

1 y -3
28
27
O 1 y=log 1 x x
3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때 점근선을 먼저 그리는 것이 좀 더 편리합니다. 즉, 함수 y=logå x의 그래프의 점
근선은 직선 x=0 (y축)이고,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평행이동하면 점근선도 평행이동하므로 함수
y=logå (x-m)+n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x=m이 됩니다.

164 Ⅰ.
p.64

01-1 다음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라.

y=log;2!; (x+2)-1 y=log™ (4x-8)

y=log£(1-x)-2 y=log;3!; (-9x+18)+1

04
01-2 함수 y=-log™(3-x)+4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x|x<3}
x=3
(2 4)
x y
y=-log™(-x)

0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klog;2!; (a-x)+b의 그래 y y=k log 1 (a-x)+b


2

프의 점근선이 직선 x=4이고,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2,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2일 때,
a+b+k의 값을 구하여라. (단, a, b, k는 상수이다.)
O 2 4 x
-2

01-1 p.538 01-2 01-3 8

04 165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로그함수의 그래프

함수 y=log™ 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라.

02 y=log™ |x| y=|log™ x|

접근 방법

0 0

y=f(x) y=f(-x) y y=f(x) y=-f(x)


x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그래프는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x의 값을 경계로 범위를 나누어 그래프를 그린다.

상세 풀이

log™ x (x>0) y
y=log™|x|=[ y=log2|x|
log™(-x) (x<0)
y=log™|x| -1 O 1 x

log™ x (xæ1) y
y=|log™ x|=[ y=|log2 x|
-log™ x (0<x<1)
y=|log™ x|
O 1 x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y=log™ x¤ =2 log™|x|이므로 두 함수 y=log™ x¤ , y=2 log™ x의 그래프는 서로 다르다는 것에 주의합니다.
y=|log;2!; x|=|-log™ x|=|log™ x|이므로 함수 y=|log;2!; x|의 그래프는 ⑵`와 같습니다.

166 Ⅰ.
p.65

02-1 함수 y=log£ 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라.

y=|log£ x| y=|log;3!; (-x)|

y=log£|x| y=log;3!;|x-1|

04
02-2 다음 식의 그래프를 그려라.

|y|=log™ x |y|=log;2!; x

|y|=log™|x| |y|=|log™ x|

02-3 함수 y=|log™ x¤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x
y=0 x 2
k k=|log™ x¤ | x 0

02-1 p.538 02-2 p.538 02-3

04 167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역함수⑴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여라.

03 y=2_3
Æ–™
y=log£ (x+1)+2

접근 방법

y=f(x)
1 y=f(x) x x=f -1(y)
2 x=f -1(y) x y y=f -1(x)
-1
f f f f -1

Æ
로그함수 y=logå x는 지수함수 y=a 의 역함수이다.

상세 풀이
Æ–™ y Æ–™
y=2_3 =3
2
y y
x-2=log£ x=log£ +2
2 2
x y

y=log£ ;2{;+2

y=log£ (x+1)+2 y-2=log£ (x+1)


x+1=3y-2 x=3y-2-1
x y
y=3x-2-1

정답 ⑴ y=log£ ;2{;+2 ⑵ y=3x-2-1

보충 설명
Æ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지수함수 y=a 의 치역과 로그함수 y=logå x의 정의역은 서로
Æ–π
같습니다. 마찬가지 원리로 지수함수 y=a +q의 치역과 로그함수 y=logå (x-q)+p의 정의역은 서로 같습
니다.

168 Ⅰ.
p.66

03-1 다음 함수의 역함수를 구하여라.


Æ–¡
y=10 +2 y=2-x+3-1

1
y=log¢(x+1)-3 y=log™
x+1

04
03-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y=10ax y= log x a
100

y={;2!;}
2x-1
y=a log™ x+b a b a+b

03-3 함수 f(x)=log™ x-3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다음 중 함수 f(x-1)의 역함수


는?

g(x)-1 g(x)+1 g(x-1)


g(x+1) g(x-1)-1

03-1 y=log (x-2)+1 y=log;2!; (x+1)+3 y=4≈ ±‹ -1 y=2—≈ -1


03-2 10 0 03-3

04 169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역함수⑵

( 19-;3%;x (x<12)

04 함수 f(x)= {
9 1-log™ (x-8) (xæ12)
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 gΩgΩg)(x)=-3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f(x) g(x)

f(a)=b HjK a=f (b)


–¡

역함수에 관한 문제는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한다.

상세 풀이

(gΩgΩg)(x)=-3
–¡ –¡ –¡ –¡ –¡ –¡
(g Ωg Ωg ΩgΩgΩg)(x)=(g Ωg Ωg )(-3)
–¡ –¡ –¡
x=(g Ωg Ωg )(-3)=( fΩfΩf )(-3)=f( f( f(-3)))

f(-3)=19-;3%;_(-3)=24 f(24)=1-log™ (24-8)=1-4=-3

x=f( f( f(-3)))=f( f(24))=f(-3)=24

정답 24

보충 설명
다음은 수학 <하>에서 배운 역함수에 대한 중요한 성질이므로 꼭 기억해 둡시다.
⑴ 함수 f:X 12⁄ Y가 일대일대응이고, 그 역함수가 f 일 때
–¡
–¡ –¡
① ( f ) =f
–¡ –¡ –¡
② ( f Ωf )(x)= f ( f(x))= f (y)=x (x<X)
–¡ –¡
( fΩ f )(y)=f( f (y))= f(x)=y (y<Y)
⑵ 두 함수 f:X 12⁄ Y, g:Y 12⁄ X에 대하여
–¡ –¡
( fΩg)(y)=y이면 g=f ` (또는 f=g )
–¡ –¡
(gΩf)(x)=x이면 g=f ` (또는 f=g )
⑶ 두 함수 f:X 12⁄ Y, g:Y 12⁄ Z가 일대일대응이고, 그 역함수가 각각 f , g 일 때
–¡ –¡
–¡ –¡ –¡
(gΩf) =f Ωg

170 Ⅰ.
p.68

04-1 (
:¶5¡:-;1!5(;x (x<12)
함수 f(x)= { 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9 1-2 log£ (x-9) (xæ12)
( gΩgΩgΩgΩg)(x)=-3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하여라.

04
04-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f(x)=1+3 log™ x g(x) ( gΩf )(x)=x


g(13)

f(x)=5_2x g(x) 2 g(3)+g {;3!;}

04-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가


-x+1 (x<1)
f(x)= [
-2≈ ±⁄ +4 (xæ1)
이고, 함수 g (x) 가 (gΩf)(x)=x를 만족시킨다. g(k)+g(-12)=1을 만족시키는 상
수 k의 값을 구하여라.

04-1 18 04-2 16 ;2¡5; 04-3 3

04 17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그래프

함수 y=logå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함수 y

05 -x
y=a -1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O x

y=loga x

접근 방법

y=a-x-1 y=ax y y -1
y=logå x y=x
y=ax

두 함수 y=logå x, y=a≈ 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상세 풀이

⁄ y=logå x y=x y=a≈

¤ y=a≈ y y=a—≈
‹ y=a—≈ y -1 y=a—≈ -1

⁄ y=a≈ y y=x ¤ y=a≈ y y=a—≈ ‹ y y=a—≈


y=a—≈ -1

1 1
O 1 x 1

O x
y=loga x O x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지수함수 y=a≈ 과 로그함수 y=logå x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두 함수 사이의 관계를 역함수의 성질과 관련
지어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y=a≈ y=logå x
(0 1) (1 0)
{ y|y>0} { x|x>0}
{ x|x } { y|y }

172 Ⅰ.
p.69

05-1 함수 y=logå (x+b)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y

중 함수 y={;a!;} +b의 그래프의 개형은?


x

O x
y y y

y=loga (x+b)
2
2
O x
O x O x

y y

2
04
O x
O x

05-2 오른쪽 그림은 1이 아닌 세 양수 a, b, c에 대하여 세 함수 y y=x

y=logå x, y=log∫ x, y=c≈ 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세


양수 a, b, c의 대소를 비교하여라. 1
y=c≈
O 1 x
y=logb x
y=loga x

05-3 <보기>의 함수의 그래프 중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에 의하여 함수 y=3≈ 의 그래프와 일


치할 수 있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3≈
y= y=9≈ +1
2
y=log£ x-1 y=logª x¤

05-1 05-2 a>b>c 05-3

04 173
로그함수의 그래프와 도형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서 곡선 y=logå x 위의 y y=loga x

06
C
점 A(2, logå 2)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곡선
y=log∫ x와 만나는 점을 B, 점 B를 지나고 y축에 평행 A
B
한 직선이 곡선 y=logå x와 만나는 점을 C라고 하자. y=logb x

AB”=BC”=2일 때, a¤ +b¤ 의 값을 구하여라. x


O 1 2
(단, 1<a<b)

접근 방법

x
x y y
A x 2 x AB 2 B x 4

x축에 평행한 직선 위의 점들의 y좌표는 모두 같다.

상세 풀이

AB”=2 B x 4
BC”=logå 4-log∫ 4=2 yy
A B y
logå 2=log∫ 4 yy

logå 4-logå 2=logå 2=2 a¤ =2


logå 2=log∫ 4=2 b¤ =4
a¤ +b¤ =2+4=6

정답 6

보충 설명
다음 그림과 같이 두 함수 y=f(x), y=f(x-m)의 그래프에 x축에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두 교점 A, B 사이
의 거리는 m입니다. 또한 두 함수 y=f(x), y=f(x)+n의 그래프에 y축에 평행한 직선을 그으면 두 교점 C,
D 사이의 거리는 n입니다.
x=k(k )
y=f(x) y=f(x-m) y=f(x)+n
D
A B y=f(x)
y=k(k )
C

AB”=m CD”=n

174 Ⅰ.
p.70

06-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서 곡선 y=logå x 위의 점 y y=loga x

A(3, logå 3)을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곡선 C

y=log∫ x와 만나는 점을 B, 점 B를 지나고 y축에 평행한


직선이 곡선 y=logå x와 만나는 점을 C라고 하자. A y=logb x

AB”=BC”=6일 때, afl +bfl 의 값을 구하여라. B


O 1 3 x
(단, 1<a<b)

04
06-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logå x의 그래프 위의 두 점 A, y
y=loga x
C를 이은 선분이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ABCD의 대
D C
각선이다. 선분 AB는 x축에 평행하고, 함수 y=log∫ x의 그
y=logb x
래프가 점 B를 지날 때, 상수 b의 값은? 2
A
B
(단, 1<a<b이고 점 A의 y좌표는 2이다.)
O 1 x
› '2 '2 2
2'2 4

06-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서 두 곡선 y=-2x y y=-2x+8

y=log§ (x+1),
y=log§ (x-1)-4 y=log§ (x+1)

와 두 직선 y=-2x, y=-2x+8로 둘 O x

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y=log§ (x-1)-4

06-1 12 06-2 06-3 16

04 175
역함수 관계에 있는 로그함수와 지수함수의 그래프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2≈ -1 위의 점 y y=2 -1


x

07 A(2, 3)을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이 곡선


y=log™(x+1)과 만나는 점을 B라고 하자. 두
A
y=log™ (x+1)

B
점 A,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C, D
라고 할 때, 사각형 ACDB의 넓이를 구하여라.
O C D x

접근 방법

y=ax-m+n y=logå (x-n)+m


x-m
y=a +n y=logå (x-n)+m
y=x

두 함수 y=a≈ —µ +n, y=logå(x-n)+m은 서로 역함수 관계이다.

상세 풀이
x
y=2≈ -1 y=log™(x+1) y y=2 -1

y=x y=x
A(2, 3)
y=log™ (x+1)
A(2 3) -1 y=log™(x+1)
B(3, 2)
B A(2 3) y=x

O C D x
B(3 2) ACDB

;2!;_(3+2)_1=;2%;

정답 ;2%;

보충 설명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인 두 함수 y=a≈ , y=logå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
큼 평행이동한 두 함수
y=ax-m+n, y=logå(x-m)+n
의 그래프는 직선
y-n=x-m, 즉 y=x-m+n
에 대하여 대칭입니다.
예를 들어, 두 함수 y=2x-1, y=log™ x-1의 그래프는 직선 y=x-1에 대하여 대칭입니다.

176 Ⅰ.
p.70

07-1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log£(x+3) 위의 점 y


B
A(6, 2)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이 곡선
y=3x-3과 만나는 점을 B라고 하자. 두 점 A, B y=log£ (x+3)
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C, D라고 할 1 A(6, 2)
-2
때, 사각형 ABDC의 넓이를 구하여라. x
O 1D C
-2

04

07-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2≈ 이 y축과 만나는 점을 A, 곡선 y


y=2
x

y=log™ x가 x축과 만나는 점을 B라고 하자. 또한 직선


y=-x+k가 두 곡선 y=2≈ , y=log™ x와 만나는 점을 각각 C y=log™ x
A D
C, D라고 하자. 사각형 ABDC가 정사각형일 때, 상수 k의 값
을 구하여라.
O B x
y=-x+k

07-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log™ x의 그래프와 직선 y


y=2
x

y=nx
y=mx의 두 교점을 A, B라 하고, 함수 y=2≈ 의 그래 D
프와 직선 y=nx의 두 교점을 C, D라고 하자. 사각형 y=mx
C y=log™ x
ABDC는 등변사다리꼴이고 삼각형 OBD의 넓이는 삼 B
각형 OAC의 넓이의 4배일 때, m+n의 값을 구하여라. A
O x
(단, m, n은 상수이고, O는 원점이다.)

07-1 16 07-2 3 07-3 ;2%;

04 177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한 대소 관계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8 3 log£ 2, 2, ;2!; log£ 70

0<a<b<1 logå b, log∫ a, logå ;aB;

접근 방법

y=logå x (a>0 a+1) a>1 x y 0<a<1 x


y

a>1일 때, 0<x¡<x™ HjK logå x¡<logå x™


0<a<1일 때, 0<x¡<x™ HjK logå x¡>logå x™

상세 풀이

3 log£ 2=log£ 2‹ =log£ 8 2=2 log£ 3=log£ 3¤ =log£ 9 ;2!; log£ 70=log£ 70;2!;=log£ '∂70

y=log£ x x y 8<'∂70<9

log£ 8<log£ '∂70<log£ 9 3 log£ 2<;2!; log£ 70<2

0<a<1 y=logå x x y
0<a<b<1 logå a>logå b>logå 1 0<logå b<1 yy

logå b-logå a<0 logå ;aB;<0 yy

0<b<1 y=log∫ x x y
0<a<b<1 log∫ a>log∫ b>log∫ 1 1<log∫ a yy

logå ;aB;<logå b<log∫ a

정답 ⑴ 3 log£ 2<;2!; log£ 70<2 ⑵ logå ;aB;<logå b<log∫ a

보충 설명
로그는 지수와 달리 똑같이 거듭제곱하거나 진수를 통일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밑을 통일하기
가 곤란한 경우에는 대소 비교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 즉 두 수의 차를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지수의 대소 비교와 마찬가지로 어떤 방법을 써야 하는지는 주어진 수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해 봅니다.

178 Ⅰ.
p.71

08-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2, log;2!; 3, log;2!; '∂10

0<a¤ <b<a<1 ;2!;, logå b, log∫ a, logå ;bA;, log∫ ;aB;

08-2 0<a<1<b이고 ab<1인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logå 'b, B=log'b a
04
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A<0 AB=1 A>B

08-3 n이 자연수일 때, <보기>의 부등식 중 항상 성립하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log™ (n+3)>log™ (n+2)
ㄴ. log™ (n+2)>log£ (n+2)
ㄷ. log™ (n+2)>log£ (n+3)

08-1 -2<log;2!; '∂10<log;2!; 3 logå ;bA;<log∫ ;aB;<;2!;<log∫ a<logå b

08-2 08-3

04 179
로그함수의 최대, 최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9 y=log™(3x-2)
y=log;3!; (x¤ +4x+13)
2…x…6

접근 방법

y=logå f(x)

로그함수 y=logå x는 a>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도 증가하고,


0<a<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상세 풀이
y=log™(3x-2) 2 2>1 3x-2 y 3x-2
y
2…x…6 y=log™(3x-2)
x=6 log™(3_6-2)=log™ 16=4 log™ 2=4
x=2 log™(3_2-2)=log™ 4=2 log™ 2=2

y=log;3!;(x¤ +4x+13) ;3!; 0<;3!;<1 x¤ +4x+13 y

x¤ +4x+13=(x+2)¤ +9 x=-2 x¤ +4x+13 9


y=log;3!;(x¤ +4x+13)
log;3!; 9=2 log;3!; 3=-2

정답 ⑴ 최댓값:4, 최솟값:2 ⑵ -2

보충 설명
loga x와 logx a가 서로 역수임을 이용하여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할 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도 자주 쓰이
는 편입니다. 즉, a>1이고 x>1(0<a<1이고 0<x<1)일 때, log a x>0, log x a>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
균의 관계를 이용하면
1 1
loga x+log x a=loga x+ æ2æ≠logå x_ =2
logå x logå x

180 Ⅰ.
p.72

09-1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y=log;3!;(-2x+5) -2…x…2

y=log∞(x¤ -6x+34)
y=log™(x¤ -2x+3) 0…x…3
y=log£(-x¤ -4x+23) -3…x…3

04

09-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x>0 y>0 x+y=32 log¢ 2x+log¢ 2y


log£ x+log£ y=5 3x+y

09-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5…x…8 y=log;2!; (x-a) -2 a

y=logå(x¤ -2x+5) -2 a

09-1 0 -2 2
log™ 6 1 3 log£ 2

09-2 5 54 09-3 4 ;2!;

04 181
치환을 이용한 로그함수의 최대, 최소

1…x…8일 때, 함수 y=(log™ 4x)¤ -3 log™ (8x)¤ +20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

10 각 구하여라.

접근 방법

y=(logå x)¤ +p logå x+q logå x t t

logå x 꼴이 반복되는 함수의 최대, 최소 ∆ logå x를 t로 치환한다.

상세 풀이

y=(log™ 4x)¤ -3 log™ (8x)¤ +20


=(log™ 4x)¤ -6 log™ 8x+20
=(log™ 4+log™ x)¤ -6(log™ 8+log™ x)+20
=(2+log™ x)¤ -6(3+log™ x)+20
log™ x=t 1…x…8
log™ 1…log™ x…log™ 8 0…t…3

y=(2+t)¤ -6(3+t)+20
=t¤ +4t+4-18-6t+20
=t¤ -2t+6
=(t-1)¤ +5
0…t…3 y=(t-1)¤ +5
t=3 (3-1)¤ +5=9
t=1 (1-1)¤ +5=5

정답 최댓값:9, 최솟값:5

보충 설명
치환을 하고 나서는 치환한 값의 범위를 정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범위는 x에 대한 것이므로
t에 대한 범위로 바꾼 후, 그 구간 안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합니다.

182 Ⅰ.
p.73

10-1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y=(log™ 2x)¤ -log™ x¤


y=log£ x› -(log£ x)¤ +1
27
y=(log£ x)¤ +log£ ( 1…x…81)

8
y=(log™ 2x){log™ }( 1…x…16)
x

04

1
10-2 함수 f(x)=-(log£ x)¤ -a log£

+b가 x=9에서 최댓값 6을 가질 때, f(3)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3 -1 1
3 5

10-3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f(x)=1000x4÷xlog x g(x)=(8x)5-log™ x { ;2!;…x…4}

10-1 1 5
11 2 4 -5
10-2
10-3 10‡ 2⁄ fl 2⁄ ¤

04 183
로그함수의 그래프와 격자점의 개수

오른쪽 그림은 곡선 y=log£ x와 직선 x=50 y

11
y=log£ x
및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을 직선 x=27로 나
눈 것이다. 경계선을 제외한 두 부분 A, B에 속 B
A
해 있는 점 중에서 x좌표, y좌표가 모두 정수인
O x
점의 개수를 각각 a, b라고 할 때, a+b의 값을
구하여라. x=27 x=50

접근 방법

y=log£ x x=27 x=50 (27 3) (50 log£ 50)


3=log£ 27<log£ 50<log£ 81=4 A B x y
y=1 2 3 x

로그함수의 그래프에서 격자점의 개수는 y좌표를 기준으로 생각하자!

상세 풀이
log£ 3=1 log£ 9=2 log£ 27=3 log£ 81=4 y
4
y=1 y=2 y=3 A B x y 3 y=log£ x
2 A B
1
⁄ y=1 log£ 3=1 O 3 9 x
1
A : (4 1) (5 1) y (26 1) jK 26-4+1=23 x=27 x=50

B : (28 1) (29 1) y (49 1) jK 49-28+1=22


¤ y=2 log£ 9=2
A : (10 2) (11 2) y (26 2) jK 26-10+1=17
B : (28 2) (29 2) y (49 2) jK 49-28+1=22
‹ y=3 log£ 27=3
B : (28 3) (29 3) y (49 3) jK 49-28+1=22
⁄~‹ a=23+17=40 b=22+22+22=66
a+b=40+66=106 정답 106

보충 설명
곡선 y=log£ x와 두 직선 x=27, x=50 및 x축`(y=0)으로 둘러싸인 도형에서 x좌표, y좌표 모두 정수가 되
는 점을 찾기 위해서 경우를 나누는데, x가 정수일 때 y가 정수가 되는 점을 찾는 방법과 y가 정수일 때 x가 정
수가 되는 점을 찾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의 문제에서 x가 정수인 경우를 먼저 생각해 보면
1<x<50으로 총 48개의 경우를 생각해야 합니다. 반면, y가 정수인 경우는 0<y<log£ 50<4로 y=1, 2, 3의
세 가지 경우만 생각하면 되므로 위의 풀이에서와 같이 y가 정수인 경우를 먼저 생각하여 계산합니다.

184 Ⅰ.
p.75

1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log™ x와 직선 x=30 및 x축 y


y=log™ x
으로 둘러싸인 도형에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을 서로
2
겹치지 않게 그리려고 한다. 그릴 수 있는 한 변의 길이가 1인 1 y
정사각형의 최대 개수를 구하여라.
O 1 x
(단, 정사각형의 각 변은 x축, y축에 평행하다.)

04

1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곡선 y=log™ x, y=log¢ x와 직선 y

x=n이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고 하자. 선분 AB 위에 x y=log™ x


A
좌표, y좌표가 모두 자연수인 점의 개수가 3이 되도록 하는 y=log¢ x
B
자연수 n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여라.

O 1 n x
x=n

11-1 90 11-2 143

04 185
04- 1 y=log(10-x¤ ) A y=log(log x) B A;B

04- 2 y=1+log™ x x 1 y=x


y -1 y=g(x)
g(5)

04- 3 y=log™ x y=x y y=x

logå b x y y=log™ x

b-c bc d

c-d ;bC; O c b a x

;cD;

04- 4 y=log∫ ax y

y=logå bx a>0 a+1 b>0 b+1 1


O x
y y y
1
O x y=logb ax

O 1 x O 1 x

y y
1
O x O 1 x

04- 5
y=;2!; (3x-3-x) y=log™(x+"√x¤ -1) xæ1

186 Ⅰ.
p.538 | p.76

04- 6 y=2≈ y=x y=log¢ x y y=2≈ y=x

p+q=12 pq
x y y=log¢ x

O p q x

04- 7 f(x)=log™ x A(a f(a)) B(b f(b)) AB 1:2


04
x a¤ b

04- 8 y=log£ x y=x+k (a log£ a) (b log£ b)


a
3a-b=;2!; k
b

;6!; ;3!; ;2!;

log£ 2 log™ 3

04- 9 A(1 0) y y y=2≈

y=2≈ B B x
B C
y=log™ x C ACB y=log™ x

A
O 1 x

04- 10 1…x…16 f(x)=(log;2!; x)(log™ x)+2 log™ x+a 1


b a b a+b

04 187
04- 11 { x|-1<x<1} y=log
2001+x
1-x

{ y|y>1} { y|y>2} { y|y>3}


{ y|y>4} { y|y }

04- 12 f(x) g(x) f(log™ x-1)

log™ g(x)-1 { g(x)+1}¤ { g(x)}¤ -1


g(x)-1 g(x)+1
2 2

04- 13 A=log0.2 0.3 B=log2 3 C=log20 30

A=B=C A<B<C A<C<B


B<A<C C<B<A

04- 14 f(x)={log
x
3
x
} {log }
2

-;4!; {log ;2#;}¤ -;2!; {log ;2#;}¤ -{log ;2#;}¤

;2!; {log ;2#;}¤ ;4!; {log ;2#;}¤

04- 15 y=2-x y=log™ x y=log£ x (x¡ y¡)


(x™ y™)
보기
x¡>y™ x™-x¡=y¡-y™ x¡y¡>x™ y™

188 Ⅰ.
p.539 | p.80

04- 16 (15 4) (15 1) (64 1) y=log˚ x


k

04- 17 y=log¢(x+p)+q y=log;2!;(x+p)+q f(x) g(x)


y=f(x) y=g(x) (1 4) p q
p¤ +q¤

04

04- 18 A(3 -1) B(5 -1) C(5 2) D(3 2)


ABCD y=logå (x-1)-4 ABCD
M
{ }
12
a M N
N

04- 19 y=log£ x x y

y=log£ x
A y=log£(x+a) OA x
3 y 2
a O
O A x

04- 20 2 1 y
A y=log™ x
ABCD C y=log™ x
A
O
AB y A D x

B C

04 189
04- 21 y=10≈ x k y=log x y
k
'2 k

04- 22 -1 l y=log™ x A(a b) l


y=log¢(x+2) B(c d) AB”='2 a+c
1<a<c

04- 23 y=log£ x P(a b) x y

y Q R O P(a, b)
R y=log£ x
OAPR
A(1 0) =;4%; a
AQP
b ab O A(1, 0) Q x

P 1

04- 24 y P x
P
y
Q R
y=log™ x
y=log;2!; x y=log™ x Q R
QR”=4 Q R x a b
O a1 b x
a¤ +b¤ 0<a<1<b

y=log-1 x
2

04- 25 y=log™ 4x A y
A
y=log™ 4x

B y=log™ x C AC
B y=log™ x
y ABC B
C
(p q) p¤ _2œ

O x

190 Ⅰ.
p.539 | p.84

04- 26 y=log™(log£ x) P y
y=log™ (log£ x)
-1 y=g(x) Q
PQ”='2
P
P x A
A B O B x
Q

y=g(x)

challenge

04- 27 y=log™ x A B y

C ACB G(7 2) BC
B
y=log™ x
C
04
A x B x
A G
C x O x

challenge

04- 28 f(x)=log™ x g(x)=log£ f(x) y y=h(x) y=x


Q
h(x) y=h(x) P
y=f(x)
2 C
P x y=x
Q P Q y A
1
O B D x
y=f(x) x A B C D
AB”=1 CD
P x 1

challenge

04- 29 y=log 3x y=log 7x

x y 1
x 100

y
3

2 y=log 7x
y=log 3x
1

O 1 2 3 4 5 6 7 x

04 191
05
로그방정식과 로그부등식
01 로그방정식 195

02 로그부등식 208

기본 다지기 224
실력 다지기 226
01 로그방정식 01 200

02 202

03 204

04 206

02 로그부등식 05 212

06 214

07 216

08 218

09 220

10 222
05 | 로그방정식과 로그부등식

01 로그방정식

1 로그방정식

logå f(x)=logå g(x) HjK f(x)=g(x) f(x)>0 g(x)>0


logå x
∆ logå x t t

∆

02 로그부등식

1 로그부등식

a>1 logå f(x)<logå g(x) HjK 0<f(x)<g(x)


0<a<1 logå f(x)<logå g(x) HjK f(x)>g(x)>0
logå x
∆ logå x t t

∆

194 Ⅰ.
01

1 로그방정식 05
log™ x=8 (log£ x)¤ =3 log£ x+4 log∞ x-logÆ 25=1

y=logå x (a>0 a+1)


{x|x } { y|y }
p logå x=p

y y
a>1 0<a<1
y=log x log x=p
å å
a
O x
p
y=p
y=p
p

O a x
y=log x
log x=p å
å

a>0 a+1 x>0 b>0


logå x=p HjK x=a π
logå x=logå b HjK x=b

Example log™ x=3 x=2‹ x=8


x=8 x>0

05 195
3


¤ logå x

>0 +1 >0

1. 밑을 같게 할 수 있는 경우

logå f(x)=logå g(x)


logå f(x)=logå g(x) HjK f(x)=g(x) ( f(x)>0 g(x)>0)

Example log™ x=4


log™ x=log™ 2›
x=2› =16
x=16 x>0
log™ (x¤ -3)=log™ 2x
x¤ -3=2x
x¤ -2x-3=0 (x+1)(x-3)=0
x=-1 x=3 yy
x¤ -3>0 2x>0
x>'3 yy
x=3
x=-1
log™ (-2)=log™ (-2)

196 Ⅰ.
2. logå x 꼴이 반복되는 경우
(log£ x)¤ =3 log£ x+4 log£ x
log£ x log£ x t t
logå x logå x=t t

Example (log£ x)¤ =3 log£ x+4 05


log£ x=t t¤ =3t+4
t¤ -3t-4=0 (t+1)(t-4)=0
t=-1 t=4
log£ x=-1 log£ x=4

x=3—⁄ =;3!; x=3› =81

x=;3!; x=81 x>0

a≈ t t
t>0

y=logå x (a>0 a+1) logå x t


t
t

3. 지수에 로그가 있는 경우
xlog x=100x
10 log x t

05 197
Example xlog x=100x

log xlog x=log 100x log x_log x=log 100+log x


(log x)¤ =2+log x
log x=t t¤ =2+t
t¤ -t-2=0 (t+1)(t-2)=0
t=-1 t=2
log x=-1 log x=2

x=10—⁄ =;1¡0; x=10¤ =100

x=;1¡0; x=100 x>0

a f(x)=b g(x)
a f(x)=b g(x)
log a f(x)=log b g(x) HjK f(x)log a=g(x)log b

Example 2¤ ≈ =5⁄ —¤ ≈

log 2¤ ≈ =log 5⁄ —¤ ≈ 2x log 2=(1-2x)log 5


x(2 log 2+2 log 5)=log 5 x(log 2¤ +log 5¤ )=log 5
x log 100=log 5 2x=log 5

x=;2!; log 5

로그방정식의 풀이

1
logå f(x)=logå g(x) HjK f(x)=g(x) f(x)>0 g(x)>0
2 logå x logå x t t
3

=1
logå f(x)=log∫ f(x) HjK a=b f(x)=1

198 Ⅰ.
1

log£ x=;2!; log;2!;(x-1)=-2

log x 4=-;2!; logx-2 25=2

2 log (1+x)=log (1-2x) (log3 x)¤ -log3 x-6=0

풀이 1 x>0 yy

log3 x=;2!; x=3;2!; x='3 05


x='3
x-1>0 x>1 yy

x-1={;2!;} x-1=(2—⁄ )—¤ =2¤ =4


—¤
log;2!; (x-1)=-2 x=5

x=5
x>0 x+1 yy

logx 4=-;2!; 4=x -;2!;


x =;4!;
;2!;
x=;1¡6;

x=;1¡6;

x-2>0 x-2+1
2<x<3 x>3 yy
logx-2 25=2 25=(x-2)¤ x-2=-5 x-2=5
x=-3 x=7
x=7

1+x>0 1-2x>0 -1<x<;2!; yy

2 log (1+x)=log (1-2x) log (1+x)¤ =log (1-2x)


(1+x)¤ =1-2x 1+2x+x¤ =1-2x
x¤ +4x=0 x(x+4)=0
x=0 x=-4
x=0
x>0 yy
log£ x=t t¤ -t-6=0 (t+2)(t-3)=0
t=-2 t=3
log£ x=-2 log£ x=3

x=3—¤ =;9!; 또는 x=3‹ =27

x=;9!; x=27

05 199
밑을 같게 할 수 있는 로그방정식의 풀이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01 log£ (3x-2)=log£ 2+log£ (x+2)


log 3x+log (x-2)=log (x¤ -3x+9)

접근 방법

logå f(x)=logå g(x)

logå f(x)=logå g(x) HjK f(x)=g(x) f(x)>0 g(x)>0


f(x)>0 g(x)>0

로그방정식은 밑을 같게 하고, 진수의 조건을 반드시 고려한다.

상세 풀이

3x-2>0 x+2>0 x>;3@; x>-2 x>;3@; yy

log£ (3x-2)=log£ 2(x+2)


3x-2=2(x+2) 3x-2=2x+4 x=6
x=6
3x>0 x-2>0 x¤ -3x+9>0 x>0 x>2 x>2 yy
log 3x(x-2)=log (x¤ -3x+9)
3x(x-2)=x¤ -3x+9 3x¤ -6x=x¤ -3x+9

2x¤ -3x-9=0 (2x+3)(x-3)=0 x=-;2#; x=3

x=3

정답 ⑴ x=6 ⑵ x=3

보충 설명
주어진 로그방정식을 풀어서 구한 해가 진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확인하는 것은 놓치기 쉽습니다. 그래서 위
의 ⑵`와 같은 경우에도 답을 두 개로 적는 실수를 할 수 있는데, 밑의 조건이나 진수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
면 로그 자체가 정의되지 않음을 기억합니다. 따라서 로그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문제에서는 항상 밑과 진수의 조
건을 확인해야 합니다.

200 Ⅰ.
p.89

01-1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log™ (x+2)+log™ (x-4)=4 logÆ (3x+4)=2

log£ (x¤ +6x+5)-log£ (x+3)=1 log 'ƒ5x+5=1-;2!; log (2x-1)

01-2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05


log™ (x+3)=log¢ (x+3)+1 log£ (x+3)-logª (x+7)=1

log™ (x-3)-log¢ (2y+5)=0


01-3 연립방정식 [ 의 해를 x=a, y=b라고 할 때, a+b의
x-y+12=0
값은?

30 32 34
36 38

01-1 x=6 x=4 x=1 x=3


01-2 x=1 x=9 01-3

05 201
치환을 이용한 로그방정식의 풀이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02 2 log™ x-6 logÆ 2+1=0 (log£ x)¤ +8=log£ xfl

접근 방법

logå x logå x=t t

logå x 꼴이 반복되는 로그방정식 ∆ logå x를 t로 치환한다.

상세 풀이

2 log™ x- 111 +1=0


6 1
logå x=
log™ x logÆ a

2t- 1 +1=0
6
log™ x=t
t
t

2t¤ +t-6=0 (t+2)(2t-3)=0 t=-2 t=;2#;

log™ x=-2 log™ x=;2#;

x=2—¤ =;4!;
;2#;
x=2 =2'2

x>0 x>0 x+1


(log£ x)¤ +8=6 log£ x
log£ x=t t¤ +8=6t
t¤ -6t+8=0 (t-2)(t-4)=0 t=2 t=4
log£ x=2 log£ x=4
x=3¤ =9 x=3› =81
x>0 xfl >0

정답 ⑴ x=;4!; 또는 x=2'2 ⑵ x=9 또는 x=81

보충 설명
지수함수 y=a≈ (a>0, a+1)의 치역은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a≈ =t로 치환하였을 때 t>0이지만 로그
함수 y=logå x (a>0, a+1)의 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logå x=t로 치환하였을 때 t의 값의 범위에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202 Ⅰ.
p.90

02-1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log∞ x-logÆ 25=1


log™ x› +logÆ 2-5=0
(log™ x-6)¤ +log™ x¤ -11=0
(log™ x)‹ +log™ x› =4(log™ x)¤ +log™ x

05
02-2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5 log x_x log 5-3(5 log x+x log 5)+5=0


2 log x_x log 2-3x log 2-21+log x+4=0

16 m
02-3 x에 대한 방정식 log™ x_log™
x
= 의 해가 존재하도록 실수 m의 값의 범위를 정
16
할 때, m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02-1 x=;5!; x=25 x=›'2 x=2 x=32 x=1 x=2 x=8

02-2 x=1 x=10 x=1 x=100 02-3 64

05 203
지수에 로그가 있는 방정식의 풀이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03 x log£ x=81 x log¢ x=16x

접근 방법

지수에 로그가 있는 방정식은 양변에 로그를 취한다.

상세 풀이
log£ x log£ x
x =81 3 log£ x =log£ 81
log£ x_log£ x=log£ 3› (log£ x)¤ =4
log£ x=-2 log£ x=2

x=3—¤ =;9!; x=3¤ =9


log¢ x log¢ x
x =16x 4 log¢ x =log¢ 16x
log¢ x_log¢ x=log¢ 16+log¢ x
(log¢ x)¤ -log¢ x-2=0
log¢ x=t t¤ -t-2=0
(t+1)(t-2)=0 t=-1 t=2
log¢ x=-1 log¢ x=2

x=4—⁄ =;4!; x=4¤ =16

정답 ⑴ x=;9!; 또는 x=9 ⑵ x=;4!; 또는 x=16

보충 설명
위의 예제에서 ⑴`은 지수에 밑이 3인 로그가 있으므로 양변에 밑이 3인 로그를 취하여 풀었고, ⑵`는 지수에 밑
이 4인 로그가 있으므로 양변에 밑이 4인 로그를 취하는 것이 계산이 편리합니다.

204 Ⅰ.
p.92

03-1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x‹
x log x=10000x‹ x log£ x=
9

다음 방정식을 풀어라.
03-2
05
{;[@;} - {;[#;}
log 2 log 3
2log 2x=3log 3x =0 x>0

03-3 방정식 2≈ —⁄ =5≈ ±⁄ 의 해를 a라고 할 때, 10—a의 값은?

;5@; ;5$; 1

;4%; ;2%;

03-1 x=;1¡0; x=10000 x=3 x=9

03-2 x=;6!; x=6 03-3

05 205
로그방정식과 이차방정식 사이의 관계

방정식 (log™ x)¤ +2 log™ x-1=0의 두 근을 a, b라고 할 때, 다음 식의 값을 구

04 하여라.

ab loga b+logb a

접근 방법

(log™ x)¤ log™ x t t


(log™ x)¤ +2 log™ x-1=0 a b
(log™ a)¤ +2 log™ a-1=0 (log™ b)¤ +2 log™ b-1=0

t t¤ +2t-1=0 t=log™ a t=log™ b


t¤ +2t-1=0 log™ a log™ b

(logå x)¤ +p logå x+q=0의 두 근이 a, b이면


t¤ +pt+q=0의 두 근은 logå a, logå b이다.

상세 풀이

log™ x=t t¤ +2t-1=0 log™ a log™ b

log™ a+log™ b=-2 log™ a_log™ b=-1


log™ a+log™ b=-2

log™ ab=-2=log™ 2—¤ =log™ ;4!; ab=;4!;

log™ b log™ a logç b


loga b+logb a= + logå b=
log™ a log™ b logç a

(log™ a+log™ b)¤ -2 log™ a_log™ b (-2)¤ -2_(-1)


loga b+logb a= = =-6
log™ a_log™ b -1

정답 ⑴ ;4!; ⑵ -6

보충 설명
지수방정식, 로그방정식과 이차방정식 사이의 관계는 서로 비교해서 그 차이를 꼭 알아 둡니다. 즉,
™Æ Æ
⑴ a +pa +q=0의 두 근이 a, b일 때
⑴ t¤ +pt+q=0의 두 근은 aa, ab이므로 aaa b=aa+b=q
⑵ (logå x)¤ +p logå x+q=0의 두 근이 a, b일 때
⑴ t¤ +pt+q=0의 두 근은 logå a, logå b이므로 logå a+logå b=logå ab=-p

206 Ⅰ.
p.93

04-1 방정식 (log£ x)¤ -3 log£ x-1=0의 두 근을 a, b라고 할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ab loga b+logb a

04-2 다음 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고 할 때, ab의 값을 구하여라.


05
log 2x_log 3x=1 log™ 4x_log™ x+log™ 3_log™ x-6=0

™Æ
04-3 방정식 2 -a_2≈ +8=0과 방정식 (log™ x)¤ -log™ x+b=0의 근이 같을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2 4 6
8 10

04-1 27 -11 04-2 ;6!; ;1¡2; 04-3

05 207
02
1 로그부등식

log™ xæ8 (log£ x)¤ <log£ x‹ +4 x log x<100x

y=logå x (a>0 a+1) a>1 x


y 0<a<1 x y
y y
a>1 0<a<1
y=log x
å
log x™
å 1 x™ x¡
log x¡ O x
å
log x™
å
O 1 x¡ x™ x
log x¡
å
y=log x
å

logå x¡<logå x™ HjK x¡<x™ logå x¡<logå x™ HjK x¡>x™


z14111111 C z1141111 1C

>1 0< <1

Example log™ xælog™ (3x-6) 1


xæ3x-6 2x…6
x…3 yy
x>0 3x-6>0 x>2 yy
2<x…3

3

208 Ⅰ.
¤ logå x

1. 밑을 같게 할 수 있는 경우

logå f(x)<logå g(x)


a>1 logå f(x)<logå g(x) HjK 0<f(x)<g(x)
0<a<1 logå f(x)<logå g(x) HjK f(x)>g(x)>0 05

Example log™ xæ4


log™ xælog™ 2› 1
xæ16 >1

x>0
xæ16
log0.2 xæ2
log0.2 xælog0.2 0.2¤ 1
x…0.04 0< <1

x>0
0<x…0.04

2. logå x 꼴이 반복되는 경우
(log£ x)¤ <log£ x‹ +4 log£ x
log£ x t t logå x
logå x=t t

Example (log£ x)¤ <log£ x‹ +4


(log£ x)¤ <3 log£ x+4
log£ x=t t¤ <3t+4 t¤ -3t-4<0
(t+1)(t-4)<0 -1<t<4

05 209
-1<log£ x<4 ;3!;<x<81 yy

x>0 x‹ >0 x>0 yy

;3!;<x<81

logå x t
t

3. 지수에 로그가 있는 경우
xlog x<100x
10 log x t

0< <1

Example xlog x<100x

log xlog x<log 100x log x_log x<log 100+log x


(log x)¤ <2+log x
log x=t t¤ <2+t
t¤ -t-2<0 (t+1)(t-2)<0
-1<t<2

-1<log x<2 ;1¡0;<x<100 yy

x>0 yy

;1¡0;<x<100

a f(x)>b g(x)
a f(x)>b g(x)
log a f(x)>log b g(x) HjK f(x)log a>g(x)log b

Example 2¤ ≈ >5⁄ —¤ ≈

210 Ⅰ.
log 2¤ ≈ >log 5⁄ —¤ ≈ 2x log 2>(1-2x)log 5
x(2 log 2+2 log 5)>log 5 x(log 2¤ +log 5¤ )>log 5
x log 100>log 5 2x>log 5

x>;2!; log 5

로그부등식의 풀이

1
a>1 logå f(x)<logå g(x) HjK 0<f(x)<g(x)
0<a<1 logå f(x)<logå g(x) HjK f(x)>g(x)>0
2 logå x logå x t t
3
05

log£ x>;2!; log;2!;(x-1)<-2

log;3!;(2x+1)…log;3!;(3x-2) (log x)¤ -log x‹ <0

풀이 1 x>0 yy

log3 x>;2!; 3 3>1 x>3 ;2!;


x>'3 yy

x>'3
x-1>0 x>1 yy

log;2!; (x-1)<-2 ;2!; 0<;2!;<1

x-1>{;2!;} x-1>(2—⁄ )—¤ =2¤ =4


—¤
x>5 yy

x>5

2x+1>0 3x-2>0 x>;3@; yy

log;3!; (2x+1)…log;3!; (3x-2) ;3!; 0<;3!;<1 2x+1æ3x-2 x…3 yy

;3@;<x…3

(log x)¤ -3 log x<0


log x=t t¤ -3t<0 t(t-3)<0 0<t<3
0<log x<3 1<x<1000 yy
x>0 x‹ >0 x>0 yy
1<x<1000

05 211
밑을 같게 할 수 있는 로그부등식의 풀이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05 log0.3 (5x-3)>log0.3 3+log0.3 (x+1)


log§ (x-2)+log§ (x+3)<1

접근 방법

logå f(x)>logå g(x)


>1 0< <1

a>1일 때, logå`f(x)<logå g(x) HjK 0<f(x)<g(x)


0<a<1일 때, logå`f(x)<logå g(x) HjK f(x)>g(x)>0

상세 풀이

5x-3>0 x+1>0 x>;5#; yy

log0.3 (5x-3)>log0.3 3(x+1)


0.3 0<0.3<1
5x-3<3(x+1) 2x<6 x<3 yy

;5#;<x<3

x-2>0 x+3>0 x>2 yy


log§(x-2)(x+3)<log§ 6
6 6>1
(x-2)(x+3)<6 x¤ +x-12<0
(x+4)(x-3)<0 -4<x<3 yy
2<x<3

정답 ⑴ ;5#;<x<3 ⑵ 2<x<3

보충 설명
⑴`과 ⑵`는 풀이 방법은 같지만 두 부등식의 가장 큰 차이는 로그의 밑의 범위입니다. ⑴`은 0<(밑)<1이므로 진
수의 부등호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었고, ⑵`는 (밑)>1이므로 부등호의 방향이 바뀌지 않았습니다. 지수부등식을
풀 때 거듭제곱의 밑이 중요했던 것처럼 로그부등식을 풀 때에도 로그의 밑이 중요합니다.

212 Ⅰ.
p.94

05-1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log0.5 (2x-1)>-2 0…log™ (log£ x)<1


log∞ 10-log∞ (x-4)<log∞ (x-1) 2 log;2!; (x-3)>log;2!; (5-x)

05-2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05
log™ (x-4)<log¢ (x-2) log;3!; (x-5)>log;9!; (2x+5)

05-3 다음 연립부등식을 풀어라.


Æ≠£
log£|x-3|<4 2 >4
[ [
log™ x+log™ (x-2)æ3 2 log (x+3)<log (5x+15)

05-1 ;2!;<x<;2%; 3…x<9 x>6 3<x<4

05-2 4<x<6 5<x<10 05-3 4…x<84 -1<x<2

05 213
치환을 이용한 로그부등식의 풀이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06 (log£ x)¤ +6…log£ xfi (log™ 4x)(log™ 16x)<3

접근 방법

log£ x t t
log™ x t t

logå x 꼴이 반복되는 로그부등식 ∆ logå x를 t로 치환한다.

상세 풀이

x>0 xfi >0 x>0 yy


(log£x)¤ +6…5 log£x
log£ x=t t¤ +6…5t
t¤ -5t+6…0 (t-2)(t-3)…0 2…t…3
2…log£ x…3 log£ 3¤ …log£ x…log£ 3‹
3 3>1 3¤ …x…3‹ 9…x…27 yy
9…x…27
4x>0 16x>0 x>0 yy

(log™ 4+log™ x)(log™ 16+log™ x)<3


(2+log™ x)(4+log™ x)<3
log™ x=t (2+t)(4+t)<3
t¤ +6t+5<0 (t+5)(t+1)<0 -5<t<-1
-5<log™ x<-1 log™ 2—fi <log™ x<log™ 2—⁄

2 2>1 2—fi <x<2—⁄ ;3¡2;<x<;2!; yy

;3¡2;<x<;2!;

정답 ⑴ 9…x…27 ⑵ ;3¡2;<x<;2!;

보충 설명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로그에서의 치환은 지수에서의 치환과 달리 t의 값의 범위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214 Ⅰ.
p.95

06-1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log™ x)¤ -log™ xfi +6<0 (log x)¤ <log x‹


x
{log£ }(log£ 9x)…4 log™ x(3+log;2!; x)>-4
3

05
06-2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log™ x+3 logÆ 4-7<0 3 logÆ 10+log x>4

™Æ Æ≠¡
06-3 두 집합 A={x|2 -2 -8<0}, B={x|(log™ x)¤ -a log™ x+b…0}에 대하여
A;B=u
u, A'B={x|x…16}
을 만족시킬 때, a¤ +b¤ 의 값을 구하여라. (단, a, b는 상수이다.)

06-1 4<x<8 1<x<1000 ;2¡7;…x…9 ;2!;<x<16

06-2 0<x<1 2<x<64 1<x<10 x>1000


06-3 41

05 215
지수에 로그가 있는 부등식의 풀이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07 x log£ x…3 x log x>x¤

접근 방법

03

지수에 로그가 있는 부등식은 양변에 로그를 취한다.

상세 풀이

x>0 yy
log£ x
x …3 3
log£ x
log£ x …log£ 3 (log£ x)¤ …1
log£ x=t
t¤ …1 t¤ -1…0 (t+1)(t-1)…0 -1…t…1
-1…log£ x…1
log£ 3-1…log£ x…log£ 3

;3!;…x…3 yy

;3!;…x…3

x>0 yy
log x log x
x >x¤ log x >log x¤
log x_log x>2 log x (log x)¤ -2 log x>0
log x=t t¤ -2t>0
t(t-2)>0 t<0 t>2
log x<0 log x>2 x<1 x>100 yy
0<x<1 x>100

정답 ⑴ ;3!;…x…3 ⑵ 0<x<1 또는 x>100

보충 설명
07-2처럼 밑을 같게 할 수 없는 지수부등식 역시 양변에 밑이 같은 로그를 취합니다.

216 Ⅰ.
p.97

07-1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x log™ x<4x x log£ x<27x¤

07-2 다음 부등식을 풀어라.


05
2 æ10
2x 2x-1 x
2 <3 -x+1

07-3 다음 부등식이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항상 성립할 때, 양수 a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x›
x log£ xæ axlog¢ xæx›
a

log 3
07-1 ;2!;<x<4 ;3!;<x<27 07-2 x…log™∞ 10 x<
log 2+log 3
07-3 81 256

05 217
상용로그의 실생활 활용

소리의 강도가 P(단위 : W/m¤ )일 때 소리의 크기 D (단위 : dB)는 기준 음의 강

08 도 I와 비교하여

D=10 log :i;P;

로 나타낸다. A 지역의 소리의 강도가 B 지역의 소리의 강도의 5000배일 때, A


지역과 B 지역의 소리의 크기의 차이는 몇 dB인지 구하여라.
(단, log 2=0.3으로 계산한다.)

접근 방법

A B A B
A B På P∫ Då
D∫
På P∫
Då=10 log D∫=10 log
I I
Då-D∫

공식이 주어진 실생활 문제는 주어진 조건을 공식에 잘 대입한다.

상세 풀이

A B På P∫ Då D∫
A B 5000
På=5000 P∫
På P∫
Då-D∫=10 log -10 log
I I
På I På
Då-D∫=10 log { _ }=10 log
I P∫ P∫
10000
Då-D∫=10 log 5000=10 log
2
Då-D∫=10(4-log 2)=10_3.7=37
A B 37 dB

정답 37 dB

보충 설명
관계식이 주어진 로그의 실생활 문제에서는 구하려는 값이 공식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알고 주어진 조건을 대
입해서 얻은 식을 잘 변형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218 Ⅰ.
p.98

08-1 전파가 어떤 벽을 투과하여 전파의 세기가 A에서 B로 바뀔 때, 그 벽의 전파감쇄비 F를

F=10 log ;aB; (`dB)

로 정의한다. 전파감쇄비가 -7(`dB)인 벽을 투과한 전파의 세기는 벽을 투과하기 전 전파


의 세기의 몇 배인가? (단, 10;1£0;=2로 계산한다.)

;1¡0; ;5!; ;1£0;

;2!; ;1¶0;

05
08-2 단일 재료로 만들어진 벽면의 소음차단 성능을 표시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음향투과손실을
측정하는 것이다. 어느 주파수 영역에서 벽면의 음향투과손실 L(`dB)은 벽의 단위면적당 질
량 m(kg/m¤ )과 음향의 주파수 f (`Hz)에 대하여
L=20 log mf -48
이라고 한다. 음향의 주파수가 일정할 때, 벽의 단위면적당 질량이 5배가 되면 벽면의 음향
투과손실은 a(`dB)만큼 증가한다. a의 값을 구하여라. (단, log 2=0.3으로 계산한다.)

08-3 투수계수란 지층에 물이 통과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이다. 이 투수계수 K를 구하는 식


은 다음과 같다.
2.3Q L
K= _log `(Lær)
2pLH r
(Q : 주입하는 물의 양, L : 시험구간, r : 시험 공 반경, H : 총 수두)
어느 지층의 투수계수 K를 구하는 실험에서 시험구간 L과 총 수두 H가 일정하고, 주
입하는 물의 양 Q와 시험 공 반경 r를 각각 처음의 2배, 4배로 하였을 때, 투수계수가
L
처음의 ;2!; 배가 된다. =10« 일 때, 100n의 값을 구하여라.
r
(단, log 2=0.3으로 계산한다.)

08-1 08-2 14 08-3 80

05 219
부등식을 이용한 로그함수의 활용`⑴

현재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연간 총 배출량은 10만 톤이다. 환경부는 자

09 동차 연료의 공해 물질 축소를 위하여 대기환경 보전법의 시행규칙을 개정하려고


한다. 이 시행규칙이 시행되면 매년 오염물질의 연간 총 배출량의 4.5 %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오염물질의 연간 총 배출량이 처음으로 5만 톤 이하가 되는 것은 몇 년
후인지 구하여라. (단, log 5=0.699, log 9.55=0.980으로 계산한다.)

접근 방법

4.5 % 95.5 %

1 100000_0.955
2 (100000_0.955)_0.955=100000_0.955¤

«
n 100000_0.955

감소한다는 표현이 있으면 남는 것을 생각한다.

상세 풀이
«
n 100000_0.955
n 5
« «
100000_0.955 …50000 0.955 …0.5

n log 0.955…log 0.5 n log(9.55_10—⁄ )…log(5_10—⁄ )


n(log 9.55+log 10—⁄ )…log 5+log 10—⁄
n(0.980-1)…0.699-1 -0.020n…-0.301

næ 11124 =15.05
-0.301
-0.020
16 5

정답 16년

보충 설명
실생활 활용 문제는 구하는 값을 미지수로 놓고 조건에 맞는 식을 세우는 것이 문제 해결의 포인트입니다.

220 Ⅰ.
p.99

09-1 이산화탄소(CO™)의 무분별한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현상을 막기 위하여 제정된 기후변


화협약(UNFCCC)에 가입한 우리나라의 현재 이산화탄소 연간 총 배출량은 15000만 TC
정도이다. 매년 이산화탄소 연간 총 배출량의 10 %를 줄인다고 할 때, 이산화탄소 연간 총
배출량이 처음으로 현재의 절반 이하가 되는 것은 몇 년 후인지 구하여라.
(단, TC는 가스배출량의 단위이고, log 2=0.301, log 3=0.477로 계산한다.)

09-2 바닷물 속으로 내려갈수록 빛의 세기가 줄어들어 점점 어두워진다. 빛이 바닷물 속을 지날 05


때 일정한 비율로 세기가 줄어들어 바닷물 속에서 0.6 m 내려갈 때마다 빛의 세기가 10 %
씩 감소한다고 한다. 빛의 세기가 처음으로 바다 표면에서의 빛의 세기의 10 % 이하가 되는
바닷 속 깊이는 바다 표면으로부터 몇 m 아래 지점인지를 구하여라.
(단, log 3=0.48로 계산한다.)

(금년도 매출액)-(전년도 매출액)


09-3 기업의 매출 증가율은
(전년도 매출액)
_100(%)로 계산한다. 한 기

업의 매출 증가율이 매년 50 %라고 할 때, 처음으로 매출액이 2001년 매출액의 10배가


넘는 해는 몇 년도로 예상되는가? (단, log 2=0.301, log 3=0.477로 계산한다.)

2005 2006 2007


2008 2009

09-1 7 09-2 15 m 09-3

05 221
부등식을 이용한 로그함수의 활용`⑵

매년 조사하는 어느 도시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현재 이 도시의 디지털 TV 보급대

10 수는 1가구당 0.02대 꼴인데, 이 도시의 가구 수는 매년 20 %씩 감소하고, 디지털


TV의 보급대수는 매년 20 %씩 증가한다고 한다. 이 통계자료를 근거로 하여 몇
년 후에 처음으로 이 도시의 디지털 TV의 보급대수가 1가구당 0.5대 이상이 되겠
는지 구하여라. (단, log 2=0.30, log 3=0.48로 계산한다.)

접근 방법

09 2 09
n TV 1 0.5
n TV
æ0.5
n

미지수 n을 포함한 항들은 하나로 합친다.

상세 풀이

H TV 0.02H
« «
n H(1-0.2) TV 0.02H(1+0.2)
TV 1 0.5
« «
0.02H_1.2
« æ0.5 {;2#;} æ25
H_0.8

n log ;2#;ælog 25=2 log 5

2(log 10-log 2) 1.4


næ = =7.7___
log 3-log 2 0.18
8 TV 1 0.5

정답 8년

보충 설명
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8년, 9년, 10년, … 후에 모두 디지털 TV의 보급대수가 1
지문에“처음으로 …”
가구당 0.5대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222 Ⅰ.
p.100

10-1 실질연봉은 연봉을 그해의 물가지수로 나눈 값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물가지수가 1.2인
3000
해에 3000만 원의 연봉을 받는 사람의 실질연봉은 =2500(만 원)이다. 회사원 K씨
1.2
의 연봉은 매년 10 %씩 인상되고, 물가지수는 매년 5 %씩 상승한다고 한다. 올해의 물가
지수를 1이라고 할 때, K씨의 실질연봉이 처음으로 올해 실질연봉의 2배 이상이 되는 해는
올해부터 몇 년 후인지 구하여라.
(단, log 1.05=0.0212, log 1.1=0.0414, log 2=0.3010으로 계산한다.)

10-2 총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 % 이상인 사회를‘초고령화 사회’


05
라고
한다. 2000년 어느 나라의 총 인구는 1000만 명이고 65세 이상 인구는 50만 명이었다. 총
인구는 매년 전년도보다 0.3 %씩 증가하고 65세 이상 인구는 매년 전년도보다 4 %씩 증가
한다고 가정할 때, 처음으로‘초고령화 사회’
가 예측되는 시기는?
(단, log 1.003=0.0013, log 1.04=0.0170, log 2=0.3010으로 계산한다.)

2008 ~2010 2018 ~2020 2028 ~2030


2038 ~2040 2048 ~2050

10-3 어떤 학생이 태블릿 PC를 구입하기 위하여 가격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았더니, 현재 제품


A의 가격은 24만 원, 제품 B의 가격은 16만 원이고, 3개월마다 제품 A는 10 %, 제품
B는 5 %의 가격 하락이 있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고 가정할 때, 두 제품의 가격 차가
구입 시점의 제품 B 가격의 20 % 이하가 되면 제품 A를 구입하기로 하였다. 이 학생이
제품 A를 구입할 수 있는 최초의 시기는?
(단, log 2=0.30, log 3=0.48, log 0.95=-0.02로 계산한다.)

12 15 18
21 24

10-1 15 10-2 10-3

05 223
05- 1
2x(2x+5)=24 2(9x+9-x)-(3x+3-x)-6=0
22x-1=3x+2 log™(log£ x)+3 log•(log¶ 9)=2

05- 2 (log™ x)‹ +log™ x‹ =4(log™ x)¤ +log™ x

1 2 4
8 16

05- 3 {;2!; log™ x}¤ -log™ xk+2=0 a b ab=256 k

;4!; ;2!; 1

2 4

05- 4 [
xy=16
x log™ y=8
x=a y=b |a-b|

6 12 24
36 48

log™ x+log£ y=2


05- 5 [ x=a y=b 3ab a>1)
log£ x_log¢ y=-;2#;

6 8 10
12 14

224 Ⅰ.
p.539 | p.101

05- 6
log;3!;(log™(log£ x))>0 logx-2(2x¤ -11x+14)>2
(log x)¤ <log x¤ 4_52x+3>5_25-2x

05- 7
log¡§(-2+log™ x)<;2!; a<x<b a+b

(1+log£ x)(a-log£ x)>0 ;3!;<x<9 a


05

05- 8 |a-log™ x|…1 x 24 2å

4 8 12
16 20

05- 9 x (3+log a)x¤ +2(1+log a)x+1=0 a

05- 10 y=x+1 y=3 log™ x y y=x+1

9 y=3 log2 x
x+2
2 <(x+1)‹
x 3

O 2 8 x

05 225
수능

05- 11 x
1
log∞(x-1)…log∞ { x+k}
2
x 3 k

1 2 3
4 5

05- 12 (log ax)(log a¤ x)+1>0 x a

1 9 10
99 100

05- 13 x y [
x¤ +y¤ =25
log™ x+log™ y=(log™ xy)¤

1 2 3
4 5

05- 14 x log™ x+log™(4-x)-k=0


k

1 3 5
7 9

05- 15 x
2 logx 2+4 logx 2+6 logx 2+8 logx 2+10 logx 2=n
n n

4 8 12
16 20

226 Ⅰ.
p.539 | p.106

05- 16 (cm)
t f(t)

f(t)=20{1-a—0.7(t+0.4)} (a a>1 )
16 cm loga 5=1 4

1 16 2
26 3

05- 17 log¢(6-x)=logx¤ -4x+4(6-x) 05

05- 18 A=[x|1+
1
-
1
log£ x log∞ x
<0] B={x|2å >2x(x-a+1)} A,B

05- 19 A={x|2x(x-3a)<2a(x-3a)} B={x|log£(x¤ -2x+6)<2} A,B


a

05- 20 a≈ =logb x

보기
0<a<1 b>1
a>1 0<b<1
a>1 b>1

05 227
05- 21 y=f(x) y=g(x) y
y=g(x)

log0.5 f(x)<log0.5 g(x)


-4
x¤ -ax+b<0 O 8 x

a b a+b
y=f(x)

05- 22 x
32x¤ +log£™ a>a-2x
a

05- 23 x {log™(x¤ +2)}¤ -4 log™(x¤ +2)+a=0


a

수능

05- 24
|log™ a-log™ 10|+log™ b…1
a b (a b)

05- 25 y=|log x| x y

y=|logx|

|log x|=ax+b
1:2:3
O 1 x

228 Ⅰ.
p.539 | p.110

05- 26 f(x)=[log™ x] (1…x…20) y


4
y=[log2 x]

3
2
f(x+10)=f(x)+2 1
O 12 4 8 16 20 x
x
[x] x

05- 27 log™ x¤ +log™ y¤ =log'2 (x+y+3) x y x¤ +2y¤

05
challenge

05- 28 x y
(log£ x)¤ +(log£ y)¤ =logª x¤ +logª y¤
xy M m M+m

05- 29
10 %

n 2
n
log 2=0.3010 log 3=0.4771

challenge

05- 30 Charmcontents 10 %
20 % 3:1

log 1.1=0.041 log 1.2=0.079 log 2=0.301

05 229
06
삼각함수
01 일반각과 호도법 233

02 삼각함수 244

03 삼각함수의 성질 258

기본 다지기 266
실력 다지기 268
01 일반각과 호도법 01 240

02 242

02 삼각함수 03 250

04 252

05 254

06 256

03 삼각함수의 성질 07 np—h 262

08 ;2“;—h ;2#;p—h 264


06 | 삼각함수

01 일반각과 호도법

1 일반각
OX OP a˘ OP

360˘_n+a˘ n

2 호도법
1 radian
180˘ p
1 = 1˘= p =180˘
p 180

3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r h
l S r
l
S
l=rh S=;2!; r¤ h=;2!; rl h

02 삼각함수

1 삼각함수의 뜻
OP h y
r
y y
sin h= r P(x, y)
r h
x -r x O r x
cos h= r

y -r
tan h= x (x+0)

2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sin h
tan h=
cos h
sin¤ h+cos¤ h=1

232 Ⅱ.
01
1 일반각

XOP OX OP 80 90
70 100
100 11
80 70 0 12
P
60 110 0
60 13
0
50 0 12 50 0
13

XOP O

14 0
14 0
4
0

0 30
4

15
160 30
0

0
15

160 10 0
180 170 20

20
170 180
0 10
X
OX OP O

OX

0˘ 360˘ 06
-100˘ 420˘ 720˘

OX OP XOP P

XOP OP OX
O X
O
OX 시초선 OP 동경

OP O P

+
O X

(-) -

Example XOP=60˘ OP OX P

O
60˘
60˘
O X

XOP=-300˘ OP P

OX O
-300˘
300˘
O X
XOP 60˘ -300˘ OP

06 233
OX XOP OP
OP XOP

OX 40˘ OP

P P P

40˘ 40˘ 40˘


O X O X O X

40˘ 400˘=360˘_1+40˘ -680˘=360˘_(-2)+40˘


360˘ OX OP
40˘ OP
360˘_n+40˘ n
-320˘ n=-1
OX OP a˘
OP
360˘_n+a˘ n
OP 일반각
a˘ 0˘…a˘<360˘
0˘…a˘<360˘ n OP

Example OX OP 410˘ P

410˘=360˘_1+50˘ OP
410˘ 50˘
360˘_n+50˘ n
O X

y
O P

OX x OP 1 2 2 1

3 4 OP O x
X
1 2 3 4 3 4

OP

234 Ⅱ.
Example 490˘=360˘_1+130˘ -500˘=360˘_(-2)+220˘
130˘ 2 220˘ 3
490˘ 2 -500˘ 3
y y
220˘
130˘
O
O x x
490˘
-500˘

일반각

1 OX OP XOP OP
OX O OX
OP
2 OX OP a˘
06
P

OP

360˘_n+a˘ n
O X
OP

두 동경의 위치 관계

OP OQ a b
a=360˘_n¡+a b=360˘_n™+b (n¡ n™ 0˘…a<360˘ 0˘…b<360˘)

n
y P, Q

a-b=360˘_n b
a
O x

y Q
a
b
a-b=360˘_n+180˘ O x

06 235
y Q
a
x b
a+b=360˘_n x
O

y Q
P
a
y b
a+b=360˘_n+180˘
O x

y P y=x

y=x
a+b=360˘_n+90˘ Q
a
b
O x

or

2 호도법

30˘ 120˘ ˘

360 1˘
r r B

r
AOB a˘ 1

O r A

r 2pr=a˘ 360˘

180˘
a˘=
p

180˘ 180˘
1라디안`(radian)
p p
호도법

236 Ⅱ.
1 =r 2pr
=2p
r 2pr

r 1 r

1 1 2p
y
r r r

360˘=2p p =180˘

180˘ p
1 =
p
1˘=
180 06
1
p 2p

Example p p
60˘=60_1˘=60_ =
180 3
3 3 3 180˘
p= p_1 = p_ =135˘
4 4 4 p

OX OP a˘ OP
360˘_n+a˘ (n )
OX OP h
OP
2np+h n 360˘=2p 360˘_n 2np
h 0…h<2p

Example 13p=2p_6+p 13p


2np+p n
p
-;3%;p=2p_(-1)+ -;3%;p
3
p
2np+ n
3

06 237
호도법

1 1 (radian)
180˘ p
2 1 = 1˘= p =180˘
p 180
3 OX OP h OP

2np+h n

p 180˘
= _ = _
180˘ p
(radian) (radius) (angle) 1 57˘

3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r h B

l
OAB AB l S
h
O r A

l 2pr=h 2p
l=rh yy
OAB S
S pr¤ =h 2p

S=;2!; r¤ h yy

S=;2!; r¤ h=;2!; r_rh=;2!; rl

Example p
6 6
p
6
p 6
6_ 6 =p

p
;2!;_6¤ _ 6 =3p ;2!; rl=;2!;_6_p=3p

238 Ⅱ.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r h l
S r
l
S
l=rh S=;2!; r¤ h=;2!; rl h

1
420˘ -330˘

06
135˘ -150˘ ;3$;p -;4%;p

:¡3£:p -;6&;p

4 3 ;4“:

풀이 1 420˘=360˘_1+60˘ P -330˘=360˘_(-1)+30˘ P

30˘
360˘_n+60˘ (단, n은 정수) 360˘_n+30˘ (단, n은 정수) O X
60˘ -330˘
O X
420˘

2 135˘=135_1˘=135_;18“0;=;4#;p -150˘=-150_1˘=-150_;18“0;=-;6%;p

180˘ 180˘
;3$;p=;3$;p_1 =;3$;p_ =240˘ -;4%;p=-;4%;p_1 =-;4%;p_ =-225˘
p p

3 :¡3£:p=2p_2+;3“; P -;6&;p=2p_(-1)+;6%;p P
5p
6

2np+;3“; (단, n은 정수) 13 p


3
p O
X
3
2np+;6%;p (단, n은 정수)
7
-6p
O X

4 3_;4“;=;4#;p ;2!;_3¤ _;4“;=;8(;p

06 239
사분면의 일반각

h 가 제1사분면의 각일 때, ;2Ω; 는 어느 사분면의 각인지 구하여라.


01
접근 방법

h 1 h=360˘_n+a˘ (n 0˘<a˘<90˘) ;2Ω;

동경 OP가 나타내는 한 각의 크기가 a˘˘일 때,


동경 OP가 나타내는 일반각의 크기는
360˘˘_n+a˘˘ (단, n은 정수)

상세 풀이

h 1
h=360˘_n+a˘ (n 0˘<a˘<90˘)
a˘ a˘
;2Ω;=180˘_n+ {0˘< <45˘}
2 2
⁄ n=2k k
a˘ a˘
;2Ω;=180˘_2k+ =360˘_k+
2 2

;2Ω; 1

¤ n=2k+1 k
a˘ a˘
;2Ω;=180˘_(2k+1)+ =360˘_k+{180˘+ }
2 2

;2Ω; 3

⁄ ¤ ;2Ω; 1 3

정답 제1사분면 또는 제3사분면의 각

보충 설명
⑴ h가 제`1사분면의 각이면 h=360˘_n+a˘ (단, n은 정수, 0˘<a˘<90˘)
⑵ h가 제`2사분면의 각이면 h=360˘_n+a˘ (단, n은 정수, 90˘<a˘<180˘)
⑶ h가 제`3사분면의 각이면 h=360˘_n+a˘ (단, n은 정수, 180˘<a˘<270˘)
⑷ h가 제`4사분면의 각이면 h=360˘_n+a˘ (단, n은 정수, 270˘<a˘<360˘)
참고로 h가 어느 사분면의 각도 아닐 때, 즉 좌표축 위의 각이면 h=90˘_n (단, n은 정수)입니다.

240 Ⅱ.
p.115

01-1 h가 제`2사분면의 각일 때, 다음 각이 어느 사분면의 각인지 구하여라.

;2Ω; ;3Ω;

01-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h 4h h
90˘<h<180˘
h 4h x h
90˘<h<180˘ 06

01-3 두 각 a, b 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단, n은 정수이다.)


보기
a b x a+b=2np
a b y a+b=2np
a b
a-b=(2n+1)p

01-1 1 3
1 2 4
01-2 120˘ 144˘ 01-3

06 241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2 ;3“; 2p cm

2p cm 4p cm¤

접근 방법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각의 크기가 h (라디안)인 부채꼴에서


호의 길이 l과 넓이 S 는 다음과 같다.

l=rh, S=;2!;r¤ h =;2!;rl

상세 풀이

r cm 2p cm

2p=r_;3“; r=6(cm)

;2!;_6_2p=6p(cm¤ )

r cm h 2p cm
2p=rh yy
4p cm¤

4p=;2!;r_2p=rp yy

r=4(cm) h=;2“;

정답 ⑴ 반지름의 길이:6 cm, 넓이:6p cm¤


정답 ⑵ 반지름의 길이:4 cm, 중심각의 크기:;2“;

보충 설명
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공식에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 h는 호도법으로 나타낸 각입니다. 따라서
중심각의 크기가 육십분법으로 주어지면 호도법으로 고쳐야 공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음에 유의합니다.

242 Ⅱ.
p.116

02-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3@;p, p cm

3p cm, 3p cm¤

0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부채꼴의 둘레의 길이와


넓이를 각각 구하여라. 2 06
60

02-3 부채꼴의 넓이가 S일 때, 부채꼴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과 그때의 중심각의 크기를 모두
구하여라.

02-1 ;2#; cm, ;4#;p cm¤

02-1 2 cm, ;2#;p

02-2 :¡3º:p+4, :¡3º:p

02-3 4"≈S, 2

06 243
02
1 삼각함수의 뜻

B=90˘ ABC A=h C

b
a
a c a
sin h= cos h= tan h= A
h
b b c B
c

h C
b C'
sin h cos h tan h b' a
a'
h
A B
B'
c'
c

O x y

r
OP h
P(x, y) y
h
O r
-r x O r x
P(x y)
y x y -r
(x+0)
r r x
r h
y y
h ⁄ r h ⁄ r h ⁄ x (x+0)
x

h h 사인함수 코사
인함수 탄젠트함수
y x y
sin h= cos h= tan h= (x+0)
r r x

h 삼각함수

244 Ⅱ.
Example h O y
5
P(3 4) OP”="√3¤ +4¤ =5 4 P
h
-5 O 3 5 x

sin h=;5$; cos h=;5#; tan h=;3$; -5

O y
h
17
P(-15 -8)
-15 h
OP”="√(-15)¤ +(-8)¤ =17 -17 O 17 x
-8
8 15 8 P
sin h=- cos h=- tan h= -17
17 17 15

h h h

06
삼각함수의 뜻
y
OP h r
y y
sin h= P(x, y)
r r h

cos h=;r{;
-r x O r x

y
tan h= (x+0) -r
x

h
y x y
sin h= cos h= h tan h= x=0
r r x

-;6%;p
y
Example
1

P P x H p
6
H O
p -1 1 x
OPH OP”=1 POH= -5p
6 6
'3
'3 1
P {- 2 , - 2 } -1
P {- -;2!;}
2
'3 '3
sin {-;6%;p}=-;2!; cos {-;6%;p}=- tan {-;6%;p}=
2 3

06 245
2 삼각함수의 값의 부호

h h OP O
r P(x y) OP

1 2 3 4
(x>0 y>0) (x<0 y>0) (x<0 y<0) (x>0 y<0)
y y y y
r r r r
OP y P(x, y) P(x, y) y
x x
-r O x r x -r x O r x -r O r x -r O r x
P(x, y) y y P(x, y)
-r -r -r -r

P(x y) h OP

OP 1
y y
x>0 y>0 sin h= >0 cos h=;r{;>0 tan h= x >0 sin h cos h tan h
r

OP 2
y y
x<0 y>0 sin h= >0 cos h=;r{;<0 tan h= x <0 sin h
r

OP 3
y y
x<0 y<0 sin h= <0 cos h=;r{;<0 tan h= x >0 tan h
r

OP 4
y y
x>0 y<0 sin h= <0 cos h=;r{;>0 tan h= x <0 cos h
r
h OP h OP

y y y

+ + - + - +

O x O x O x
- - - + + -

sin h cos h tan h

246 Ⅱ.
1

sin all
1
O x
(all) 2
tan cos
(sin) 3
(tan)
4 (cos)

06
각 사분면에서 삼각함수의 값의 부호

h
y
SIN( ) (-, +) ALL( )
(+, +)
sin h>0 P(x, y) sin h>0
P(x, y)
cos h<0 cos h>0
tanh <0 tan h>0

O x
TAN( ) COS( )
sin h<0 sin h<0
cos h<0 P(x, y)
P(x, y) cos h>0
tanh>0 (-, -) (+, -) tan h<0

1 2 3 4
(all ) (sin) (tan) (cos)

Example 200˘ 3
sin 200˘<0 cos 200˘<0 tan 200˘>0

;6%;p 2

sin ;6%;p>0 cos ;6%;p<0 tan ;6%;p<0

p
- 4
4
p p p
sin{- }<0 cos{- }>0 tan {- }<0
4 4 4

06 247
3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y
h 1
1 y P(x, y)
P(x y) 1
h
y
sin h= =y cos h=;1{;=x -1 O x 1 x
1
-1

y sin h
tan h= x =
cos h
P(x y)
x¤ +y¤ =1 yy
x=cos h y=sin h
(cos h)¤ +(sin h)¤ =1 yy

(sin h)¤ (cos h)¤ (tan h)¤ sin¤ h cos¤ h tan¤ h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h sin
1 tan h= cos h

2 sin¤ h+cos¤ h=1

Example h 2 sin h=;5$; cos h tan h

sin¤ h+cos¤ h=1

cos¤ h=1-sin¤ h=1-{;5$;}2 =;2ª5;

h 2

cos h<0 cos h=-;5#;

sin h
tan h= =-;3$;
cos h

248 Ⅱ.
1 h O P(-5 12)

sin h cos h tan h

2 sin ;3$;p cos ;3$;p tan ;3$;p

3 h sin h cos h tan h

-230˘ ;5&;p -;9@;p

4 h 3 sin h=-;5#; cos h tan h

풀이 1 r=OP”=øπ(-5)¤ +12¤ ='ƒ169=13


P(-5, 12)
y
13 06
y
sin h= r =;1!3@; 12
h
-5
cos h=;r{;= =-;1∞3; -13 -5 O 13 x
13
y 12
tan h= x = =-:¡5™: -13
-5

2 ;3$;p P y
1

P x P' POP'=;3“; 4p
3
P'
'3
P{-;2!; - } -1 O 1 x
2 p
3
-1
'3 '3
sin ;3$;p=- cos ;3$;p=-;2!; tan ;3$;p='3 1
P {- 2 , - 2 }
2
3 -230˘ 2
sin(-230˘)>0, cos(-230˘)<0, tan(-230˘)<0

;5&;p 3

sin ;5&;p<0, cos ;5&;p<0, tan ;5&;p>0

-;9@;p 4

sin {-;9@;p}<0, cos {-;9@;p}>0, tan {-;9@;p}<0

4 sin¤ h+cos¤ h=1 cos¤ h=1-sin¤ h=1-{-;5#;}2 =;2!5^;

h 3 cos h<0 cos h=-;5$;

sin h
tan h= =;4#;
cos h

06 249
삼각함수의 값

각 h 의 크기가 다음과 같을 때, sin h, cos h, tan h 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03 ;3“; ;3@;p ;3$;p ;3%;p

접근 방법

h=;3“; h=;3@;p ;3$;p ;3%;p

크기가 h 인 각을 나타내는 동경 OP 와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r>0)인 원의 교점을 P(x, y)라고 하면
y y
sin h= 1 1 1
x
r , cos h= r , tan h= x (x+0)

상세 풀이

'3
sin ;3“;= 12 cos ;3“;=;2!; tan ;3“;='3 y
2
"3 1 1 "3
{- 1 , } { , }
'3 2 2 2 2
sin ;3@;p= 12 cos ;3@;p=-;2!; tan ;3@;p=-'3 p
2 3
'3
-1 O 1 x
sin ;3$;p=- 12 cos ;3$;p=-;2!; tan ;3$;p='3
2 "3 "3
{- 1 , - } 1
{ , - }
2 2 -1 2 2
'3
sin ;3%;p=- 12 cos ;3%;p=;2!; tan ;3%;p=-'3
2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⑴ 다음과 같이 특수한 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3 '3
sin ;6A;p=—;2!;, cos ;6A;p=—12 , tan ;6A;p=—12 (단, 정수 a와 6은 서로소)
2 3
'2 '2
sin ;4B;p=—12 , cos ;4B;p=—12 , tan ;4B;p=—1 (단, 정수 b와 4는 서로소)
2 2
'3
sin ;3C;p=—12 , cos ;3C;p=—;2!;, tan ;3C;p=—'3 (단, 정수 c와 3은 서로소)
2
단, 부호는 주어진 각을 나타내는 동경이 놓인 사분면에 따라 + 또는 -로 정합니다.
⑵ 위의 예제에서 단위원이 아니라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어떤 원을 잡아도 삼각함수의 값은 같습니다.

250 Ⅱ.
p.117

03-1 각 h 의 크기가 다음과 같을 때, sin h, cos h, tan h 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6“; ;6%;p ;6&;p :¡6¡:p

03-2 좌표평면에서 원점 O 와 점 P(-4, 3)을 지나는 동경이 나타내는 각을 h 라고 할 때, 다음


값을 구하여라.

cos h cos¤ h+sin h sin h tan h 06

03-3 h 가 제3 사분면의 각이고 tan h=m일 때, sin h 와 cos h 의 값을 각각 m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3 '3 '3 '3


03-1 sin ;6“;=;2!;, cos ;6“;= 134 , tan ;6“;= 134 sin ;6%;p=;2!;, cos ;6%;p=- 134 , tan ;6%;p=- 134
2 3 2 3
'3 '3 '3 '3
sin ;6&;p=-;2!; cos ;6&;p=- 134 tan ;6&;p= 134 sin :¡6;¡ ;p=-;2!; cos :¡6;¡ ;p= 134 tan :¡6;¡ ;p=- 134
2 3 2 3

03-3 sin h=- 111255 , cos h=- 111255


m 1
03-2 -;5$; ;2#5!; -;2ª0;
"√1+çm¤ "√1+çm¤

06 251
삼각함수의 값의 부호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각 h 는 어느 사분면의 각인지 구하여라.

04 cos h<0, tan h>0 sin h cos h<0, sin h tan h>0

접근 방법

sin h cos h tan h


1 + + +
h 2 + - -
3 - - +
4 - + -

y
SIN( ) (-, +) ALL( )
(+, +)
sin h>0 P(x, y) sin h>0
P(x, y)
cos h<0 cos h>0
tanh <0 tan h>0

O x
TAN( ) COS( )
sin h<0 sin h<0
cos h<0 P(x, y)
P(x, y) cos h>0
tanh>0 (-, -) (+, -) tan h<0

상세 풀이

cos h<0 h 2 3
tan h>0 h 1 3
h 3
sin h>0 sin h<0
sin h cos h<0 [ [
cos h<0 cos h>0
h 2 4
sin h>0 sin h<0
sin h tan h>0 [ [
tan h>0 tan h<0
h 1 4
h 4

정답 ⑴ 제3사분면의 각 ⑵ 제4사분면의 각

보충 설명
각 조건을 만족시키는 h가 각각 어느 사분면의 각인지 조사한 후, 모든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사분면을 찾습
니다.

252 Ⅱ.
p.118

04-1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각 h 는 어느 사분면의 각인지 구하여라.

sin h>0, tan h<0 sin h cos h>0, cos h tan h<0

04-2 h 가 제2 사분면의 각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111 111
tan h sin h
sin h cos h<0 >0 >0
cos h tan h
06

04-3 등식 'ƒsin h 'ƒcos h=-'ƒsin h


ƒ ƒ cos h
ß 를 만족시키는 각 h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
을 있는 대로 골라라. (단, sin h+0, cos h+0)
보기

1124
cos h
sin h+cos h<0 >0 tan h sin h<0
sin h

04-1 2 3
04-2 04-3

06 253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⑴

sin h+cos h=;2!;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05 sin h cos h sin h-cos h sin‹ h+cos‹ h

접근 방법

sin h+cos h=;2!; sin¤ h+cos¤ h=1 sin h cos h

sin h
sin¤ h+cos¤ h=1, tan h=
cos h

상세 풀이

sin h+cos h=;2!;

sin¤ h+2 sin h cos h+cos¤ h=;4!;

1+2 sin h cos h=;4!; sin¤ h+cos¤ h=1

sin h cos h=-;8#;

(sin h-cos h)¤ =sin¤ h-2 sin h cos h+cos¤ h=1-2 sin h cos h

(sin h-cos h)¤ =1-2_{-;8#;}=;4&;

'7 '7
sin h-cos h=Æ;4&; = 12 sin h-cos h=-Æ;4&; =- 12
2 2
sin‹ h+cos‹ h=(sin h+cos h)‹ -3 sin h cos h (sin h+cos h)

sin‹ h+cos‹ h={;2!;}3 -3_{-;8#;}_;2!;=;1!6!;

'7 '7
정답 -;8#; - ;1!6!;
2 2

보충 설명

sin h+cos h=;2!; 이고, ⑴에서 sin h cos h=-;8#; 이므로 sin h, cos h는 t에 대한 이차방정식 t¤ -;2!;t-;8#;=0의

해입니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에 의하여 t= 1115이 각각 sin h, cos h의 값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1—'7
4

254 Ⅱ.
p.118

'2
05-1 sin h-cos h= 12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2

sin h cos h sin h+cos h sin‹ h-cos‹ h

05-2 h 가 제1 사분면의 각이고, sin h cos h=;4!;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sin h+cos h sin h-cos h tan h+ 1125


1
tan h
06

1125 - 1125 ='2 일 때, sin‹ h-cos‹ h 의 값을 구하여라.


1 1
05-3 sin h cos h

'6 '6
12 - 12 11
5'2
05-1 ;4!;
2 2 8

'6 '2 '2 '2


05-2 12 12 - 12 4 05-3 - 12
2 2 2 2

06 255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⑵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06 sin› h-cos› h=1-2 cos¤ h


1+sin h
1111
cos h
cos h
+ 1111
1+sin h
2
= 112
cos h

접근 방법

sin¤ h+cos¤ h=1


sin¤ h=1-cos¤ h cos¤ h=1-sin¤ h

sin¤ h+cos¤ h=1 ∆ sin¤ h=1-cos¤ h, cos¤ h=1-sin¤ h

상세 풀이

sin› h-cos› h=(sin¤ h)¤ -(cos¤ h)¤


=(sin¤ h+cos¤ h)(sin¤ h-cos¤ h)
sin› h-cos› h=sin¤ h-cos¤ h sin¤ h+cos¤ h=1
sin› h-cos› h=(1-cos¤ h)-cos¤ h
sin› h-cos› h=1-2 cos¤ h
1+sin h cos h (1+sin h)¤ +cos¤ h
1111 + 1111 = 1111111125
cos h 1+sin h cos h(1+sin h)
1+2 sin h+sin¤ h+cos¤ h
+ = 111111111113
cos h(1+sin h)
2(1+sin h)
+ = 11111115 sin¤ h+cos¤ h=1
cos h(1+sin h)
2
+ = 112
cos h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y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sin h= , cos h=;r{; 이므로 y
r r
P(x, y) y
sin¤ h+cos¤ h= 13 + 13 =1임을 알 수 있습니다.
y¤ x¤
r¤ r¤ r h
이때, r=1이면 각 h 를 나타내는 동경과 단위원의 교점 P 의 좌표가 -r x O r x
(cos h, sin h)이므로 sin¤ h+cos¤ h=1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y -r
또한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tan h= 이므로
x

;r}; y
sin h
= 13 = =tan h임을 알 수 있습니다.
cos h ;r{; x

256 Ⅱ.
p.119

06-1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1-cos h sin h 2
tan¤ h-sin¤ h=sin¤ h tan¤ h 11114 + 11114 = 112
sin h 1-cos h sin h

1-tan h tan h sin h 1


06-2 11112 =2-'3 일 때, 1111123 - 1123 의 값은?
1+tan h tan h-sin h sin h

'3 '3
12 ;2!; 12
3 2
'3 2
06

06-3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sin h 1 1
1111 + 111 = 112
1+cos h tan h cos h
1 1
1111 + 1111 =2(1+tan¤ h)
1+sin h 1-sin h
tan¤ h+cos¤ h(1-tan› h)=1

06-1 p.540 06-2 06-3

06 257
03
1 삼각함수의 성질

n h 2np+h -h p—h ;2“;—h

1. 2np+h의 삼각함수(단, n은 정수)


y
n h 2np+h
1
P

sin(2np+h)=sin h cos(2np+h)=cos h h
-1 O 1 x
tan(2np+h)=tan h 2np+h

-1

2. -h의 삼각함수
y
h -h
1
P(x y) P(x, y)

P'(x ' y ') P P' x h


-1 O -h 1 x
P'(x -y)
x '=x y '=-y -1
P'(x, -y)
x=cos h y=sin h
sin(-h)=y '=-y=-sin h
cos(-h)=x '=x=cos h
y' -y
tan(-h)= = =-tan h
x' x

'3 '2
sin {-;3“;}=-sin ;3“;=- cos {-;4“;}=cos ;4“;=
Example
2 2

tan {-;4“;}=-tan ;4“;=-1

258 Ⅱ.
3. p—h의 삼각함수
h p+h y
1
P(x, y)

p+h
P(x y) P'(x ' y ') P P' h
-1 O 1 x
P'(-x -y)
P '(-x, -y)
x '=-x y '=-y -1

x=cos h y=sin h
sin(p+h)=y '=-y=-sin h cos(p+h)=x '=-x=-cos h
y' -y y
tan(p+h)= = = =tan h
x' -x x
h -h
sin(p-h)=-sin(-h)=sin h cos(p-h)=-cos(-h)=-cos h
tan(p-h)=tan(-h)=-tan h 06

Example sin {p-;6“;}=sin ;6“;=;2!; cos {p+;3“;}=-cos ;3“;=-;2!;

tan {p-;4“;}=-tan ;4“;=-1

4. ;2“;—h의 삼각함수

h ;2“;+h y
1
P '(-y, x) P(x, y)

h
P(x y) P '(x ' y ') P '(-y x) -1 O 1 x
p +h
x '=-y y '=x 2

x=cos h y=sin h -1

sin {;2“;+h}=y '=x=cos h cos {;2“;+h}=x '=-y=-sin h

y' x 1
tan {;2“;+h}= = =-
x ' -y tan h

06 259
h -h

sin {;2“;-h}=cos(-h)=cos h cos {;2“;-h}=-sin(-h)=sin h

1 1 1
tan {;2“;-h}=- =- =
tan(-h) -tan h tan h

'2
sin {;2“;+;3“;}=cos ;3“;=;2!; cos {;2“;+;4“;}=-sin ;4“;=-
Example
2
1 1
tan {;2“;-;6“;}= = ='3
p
tan 1 124
1
6 '3

np—h (n )
sin(np—h) —sin h cos(np—h) —cos h tan(np—h) —tan h
h 1 np—h
h
1
sin(p+h) p+h np—h sin(p+h) —sin h
p+h h 1 p+h 3
sin(p+h) - sin(p+h)=-sin h

;2N;p—h (n )

sin {;2N;p—h} —cos h cos {;2N;p—h} —sin h tan {;2N;p—h}


1

tan h

h 1 ;2N;p—h

cos {;2“;+h} ;2“;+h ;2N;p—h cos {;2“;+h} —sin h

;2“;+h h 1 ;2“;+h 2

cos {;2“;+h} - cos {;2“;+h}=-sin h

260 Ⅱ.
삼각함수의 성질

1 sin(2np+h)=sin h cos(2np+h)=cos h tan(2np+h)=tan h` n


2 sin(-h)=-sin h cos(-h)=cos h tan(-h)=-tan h
3 sin(p+h)=-sin h cos(p+h)=-cos h tan(p+h)=tan h
sin(p-h)=sin h cos(p-h)=-cos h tan(p-h)=-tan h

4 sin {;2“;+h}=cos h cos {;2“;+h}=-sin h tan {;2“;+h}=- tan h


1

1
sin {;2“;-h}=cos h cos {;2“;-h}=sin h tan {;2“;-h}=
tan h

07 삼각함수의 그래프

06

sin ;3&;p cos :¡6£:p tan {- ;4&;p}

sin {-;4“;} cos {-;3“;} tan {-;6“;}

sin ;3$;p cos ;4%;p tan {- ;6%;p}

'3 '3
풀이 1 sin ;3&;p=sin {2p+;3“;}=sin ;3“;= cos :¡6£:p=cos {2p+;6“;}=cos ;6“;=
2 2

tan {-;4&;p}=tan {-2p+;4“;}=tan ;4“;=1

'2
2 sin {-;4“;}=-sin ;4“;=- cos {-;3“;}=cos ;3“;=;2!;
2
'3
tan {-;6“;}=-tan ;6“;=-
3
'3 '2
3 sin ;3$;p=sin {p+;3“;}=-sin ;3“;=- cos ;4%;p=cos {p+;4“;}=-cos ;4“;=-
2 2
'3
tan {-;6%;p}=-tan ;6%;p=-tan {p-;6“;}=tan ;6“;=
3

06 261
각 np—h의 삼각함수

h가 제`2사분면의 각이고 tan h=-;4#;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07 cos(p-h)+sin(p+h) tan(-h)+
1
tan(p+h)

접근 방법

tan h h 2 sin h, cos h


np—h n h 1

sin(p—h)=–sin h, cos(p—h)=-cos h, tan(p—h)=—tan h (복부호동순)

상세 풀이

y
h 2 tan h=-;4#; P (-4 3)
P(-4, 3)
OP 3
5
sin h=;5#; cos h=-;5$; h
-4 O x
cos(p-h)=-cos h sin(p+h)=-sin h
cos(p-h)+sin(p+h)=-cos h+(-sin h)

cos(p-h)+sin(p+h)=-{-;5$;}+{-;5#;}=;5!;

tan(-h)=-tan h tan(p+h)=tan h

tan(-h)+ 111114 =-tan h+ 111


1 1
tan(p+h) tan h

tan(-h)+ =-{-;4#;}+{-;3$;}=-;1¶2;

정답 ⑴ ;5!; ⑵ -;1¶2;

보충 설명
삼각함수의 값을 정할 때, 주어진 각이 위치하는 사분면을 직접 찾아 cos(p-h), sin(p+h), tan(-h),
tan(p+h)의 값을 구할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2p—h, -h, p—h 일 때, sin( ) ∆ —sin h, cos( ) ∆ —cos h, tan( ) ∆ —tan h
이때, 에서의 h 를 제1사분면의 각으로 취급하여 가 제 몇 사분면의 각인지에 따라 부호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cos(p-h)에서 h 를 제1사분면의 각으로 취급하면 p-h 가 제2사분면의 각이고 cos(p-h)는 음수
이므로 cos(p-h)=-cos h 로 간단히 할 수 있고, tan(-h)에서 h 를 제1사분면의 각으로 취급하면 -h 가
제4사분면의 각이고 tan(-h)는 음수이므로 tan(-h)=-tan h 로 간단히 할 수 있습니다.

262 Ⅱ.
p.121

07-1 h 가 제3 사분면의 각이고 tan h=;2!;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tan(p-h)+ 1111124
1
cos(p+h)+sin(2p-h)
tan(3p+h)

07-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cos(p-h)sin(-h)+cos(-h)sin(p+h)
sin(3p-h)sin(-h)+cos(2p-h)cos(p+h)
06

07-3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cos ;1…2;+cos ;1™2;p+cos ;1£2;p+y+cos ;1!2!;p

sin 0+sin ;1…2;+sin ;1™2;p+y+sin ;1@2#;p

11
3'5
07-1 ;2#; 07-2 0 -1 07-3 0 0
5

06 263
각 ;2“;—h, ;2#;p—h의 삼각함수

h 가 제2 사분면의 각이고 tan h=-;2!;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08 cos {;2“;-h}+sin{;2“;+h}
1
tan{;2#;p-h}+ 1111154
tan{;2“;+h}

접근 방법

tan h h 2 sin h cos h

;2N;p—h n

h 1

1
sin{;2“;—h}=cos h, cos{;2“;—h}=–sin h, tan{;2“;—h}=– (`복부호동순)
tan h
1
sin{;2#;p—h}=-cos h, cos{;2#;p—h}=—sin h, tan{;2#;p—h}=– (`복부호동순)
tan h

상세 풀이
y
h 2 tan h=-;2!; P (-2 1)
P(-2, 1)
1
OP "5
h
'5
sin h= 12 = 12 , cos h=- 12 =- 11
1 2 2'5 -2 O x
'5 5 '5 5

cos{;2“;-h}=sin h, sin{;2“;+h}=cos h

'5 '5
cos{;2“;-h}+sin{;2“;+h}=sin h+cos h= 12 +{- 11 }=- 12
2'5
5 5 5

tan {;2#;p-h}= 1125 , tan{;2“;+h}=- 1125


1 1
tan h tan h

tan{;2#;p-h}+ 111112 = 1125 -tan h=-2-{-;2!;}=-;2#;


1 1
tan h
tan {;2“;+h}

'5
정답 ⑴ - 12 ⑵ -;2#;
5

보충 설명

=;2“;—h, ;2#;p—h 일 때, sin( ) ∆ —cos h, cos( ) ∆ —sin h, tan( ) ∆ —


1
tan h
이때, 에서의 h를 제1사분면의 각으로 취급하여 가 어느 사분면의 각인지에 따라 부호를 결정합니다.

264 Ⅱ.
p.122

h 가 제3 사분면의 각이고 tan h= 125 일 때,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1
08-1
'2

1
cos {;2#;p+h}+sin {;2“;-h} tan {;2“;-h}+ 1111154
tan {;2“;+h}

08-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여라.

sin {;2“;+h} sin {;2#;p-h} sin {;2#;p+h}


11111123 + 1111154
1
11111123 + 11111123 06
1+cos {;2“;-h} tan {;2“;-h} 1+cos {;2“;+h} 1+cos {;2“;-h}

08-3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cos¤ ;8“;+cos¤ ;8@;p+cos¤ ;8#;p+y+cos¤ ;8&;p

sin¤ ;1…6;+sin¤ ;1™6;p+sin¤ ;1£6;p+y+sin¤ ;1!6%;p

-'3-'6 '2 1 2
08-1 08-2 -
3 2 cos h cos h
08-3 3 8

06 265
06- 1
h 7h h

{ 0<h<;2“; }

h 5h

h { ;2“;<h <p }

06- 2 6, ;3@;p

AOB AB AB O 2p
3
6

A B

06- 3 OA”=12 AB”=12'3


12
O

O'
A B
12"3

O'

06- 4
h 3 sin h=-;5#; 5 cos h+8 tan h

h 2 sin h cos h=-;4!; sin‹ h-cos‹ h

06- 5 h 2 sin h+cos h=a sin h-cos h a

-"√2-aΩ¤ -"√1+aΩ¤ "√1+aΩ¤


"√1-aΩ¤ "√2-aΩ¤

266 Ⅱ.
p.540 | p.124

06- 6 sin h+cos h=;3!;


cos h
1
1125 {tan h+ 111 }
1
tan¤ h

06- 7 sin h, cos h x¤ +ax+b=0 sin h+cos h=;2!; a, b

8(a+b)

06- 8 cos(p-h)
보기

sin {;2#;p-h} cos(2p-h)


06
cos {;2#;p+h} cos(p+h)

06- 9
{1+sin(-h)} {1+sin(p-h)}+cos(-h)cos(5p+h)
hsin¤ (- )
cos¤ (p+h)tan(-h)+ 111113
tan(p+h)

06- 10
cos {;2#;p+h}
11111125 +tan {;2#;p-h}
1+sin {;2“;-h}

sin¤ {;2#;p+h}
cos¤ {;2“;+h} tan {;2“;-h}+ 11111125
tan {;2#;p-h}

06 267
06- 11 h 11h x h
a, b a+b 0˘<h<180˘

06- 12 tan h=æ≠ 112


1-a
a
± (0<a<1)
sin¤ h
11115
a+cos h
sin¤ h
+ 11115
a-cos h

-2 -1 0
1 2

06- 13 x¤ +x+k=0 sin h+cos h, sin h-cos h k

-1 -;2!; 0

;2!; 1

06- 14 O AB C

C ABC
h
BOC BOC=h
A B
O

h=;2!; sin h h=;2!; cos h h=sin h

h=cos h h=2 sin h

수능

06- 15 30 N 5p N

268 Ⅱ.
p.540 | p.128

수능

06- 16 ABCD y
1
1 OA x
B
cos(p-h) A
h

{ 0<h<;4“;}
-1 O h 1 x
C
D

A x C x -1

D x B y
C y

06- 17 ;2“;<h<p |1+sin(p-h)|+"√co√s¤ (√3p√+h)-"√(co√s h√-s√in çh)Ω¤

1-2 sin h 1-2 cos h 1


1+2 sin h 1+2 cos h
06
06- 18 1 O C

AB AC BC O

;2!; CAB=h sin h


O
h
A B
;2Ω; h p-2h

p-h
112 ;2“;-h
2
challenge

06- 19 O y
P£ 1 P™
10 Pº, P¡, y, Pª P¢ P¡
Pº(1 0) PºOP¡=h P∞ Pº
h
cos h+cos 2h+cos 3h+y+cos 9h -1 O 1 x

P§ -1 Pª
P¶ P•

challenge

06- 20
sin¤ 2˘+sin¤ 4˘+sin¤ 6˘+y+sin¤ 88˘+sin¤ 90˘
cos¤ 1˘+cos¤ 2˘+cos¤ 3˘+y+cos¤ 90˘

06 269
07
삼각함수의 그래프
01 삼각함수의 그래프 273

02 삼각함수를 포함한 방정식과 부등식 292

기본 다지기 304
실력 다지기 306
01 삼각함수의 그래프 01 284

02 286

03 288

04 290

02 삼각함수를 포함한 방정식과 부등식 05 298

06 300

07 302
07 | 삼각함수의 그래프

01 삼각함수의 그래프

1 사인함수 y=sin x의 그래프


{ y|-1…y…1} y
y=sinx
1 3
p
2
O p p 2p x
2p 2
-1

sin(-x)=-sin x

2 코사인함수 y=cos x의 그래프


{ y|-1…y…1} y
1 y=cos x

p
O p 3 p 2p x
2p 2 2
-1
y
cos(-x)=cos x

3 탄젠트함수 y=tan x의 그래프


p y
np+ n y=tan x
2
-p
2 p
O p 3p 2p x
p 2 2
x=np+ n
2
p

tan(-x)=-tan x

02 삼각함수를 포함한 방정식과 부등식

1 삼각함수를 포함한 방정식

2 삼각함수를 포함한 부등식

272 Ⅱ.
01
1 사인함수의 그래프

h y
1
P(x, y)
P(x y) y

y
sin h= =y h
1 -1 O x 1 x

h P sin h
-1
P y
h P y sin h
y=sin h
y
1
y
1 y=sin h
07
3p
-p 2 2p
h 2
-1 O 1 x O h p p 2p+h h
2

-1 -1

y=sin h
{ y|-1…y…1} y=sin h
y=sin h
h sin(-h)=-sin h sin(-h)=-sin h
y=sin h
y=sin h 2p y
2p
1
O p 2p 3p
2p h
-1
h
sin(h+2np)=sin h n sin(2np+h)=sin h n

f(x) x
f(x+p)=f(x)
0 p f(x) 주기함수 p
주기
y=sin h 2p

07 273
x y=sin h y=sin x

Example y=2 sin x


-1…sin x…1 -2…2 sin x…2 { y|-2…y…2}
2 sin x=2 sin(x+2p)
2p
y=2 sin x
y
2 y=2 sinx
y=sinx

p 1 3p
-
2 2 3p
O p p 2p 5p x
-1 2 2
-2

함수 y=sin x의 그래프의 성질
y
1 y=sinx
{ y|-1…y…1} 1 3
p
2
O p p 2p x
2 2p 2
-1
sin(x+2np)=sin x n
3
sin(-x)=-sin x

2 코사인함수의 그래프

y
h
1 P(x, y)
y
P(x y)
x h
cos h= =x -1 O x 1 x
1
h P cos h
-1
P x

274 Ⅱ.
h P x cos h
y=cos h
x y
1 1 y=cos h

h
p
y 1 O -1 -p O h p 3p 2p 2p+h h
2 2 2

-1 -1

y=cos h
{ y|-1…y…1} y=cos h y
y=cos h
cos(-h)=cos h cos(-h)=cos h
y=cos h 2p h

cos(2np+h)=cos h
cos(h+2np)=cos h n
y=cos h 2p
07
p
y=cos h y=sin h h -
2
p
sin {h+ }=cos h
2
y
y=cos h y=sin h
1
p 3p
- 3p
2 2
-p O p p 2p 5p h
2 2
-1

y=cos h h x y=cos h y=cos x

Example y=cos 2x
-1…cos 2x…1 { y|-1…y…1}
cos 2x=cos(2x+2p)=cos 2(x+p)
p
y=cos 2x
y
1 y=cosx y=cos 2x
p p 3p
-
2 2 p 2
-p 3 p p 3p 5p x
- p - O
4 4 4 4 4
-1

07 275
함수 y=cos x의 그래프의 성질

1 y
y=cos x
1
{ y|-1…y…1}
p
p 3 p 2p
2 2p O
2 2
x

cos(x+2np)=cos x n -1

3 y
cos(-x)=cos x

06 삼각함수

-p y y=cos (x+p) y
2 1 y=sin x 1 y=cos x
p
p -p 2
p O x p x
-p 2 O
p -1 y=sin (x+p) -p -1 p
y=sin x+-
2 ( ) 2 y=cos x+-
2 ( )

3 탄젠트함수의 그래프

h y
P(x, y)
T(1, t)
1
P(x y) A(1 0) y

OP T(1 t) h A
-1 O x 1 x
y t
tan h= = =t (x+0)
x 1
-1
h P tan h
T y
h T y tan h
y=tan h
y y y=tan h

p 3p 5p
h 2 2 2
-1 O 1 x -p O h p p+h 2p 2p+h h
2

-1

x=1

276 Ⅱ.
p
y=tan h h ;2#;p ;2%;p y
2
p
h=np+ 2 n P(x y) x 0 tan h

p
y=tan h np+ n
2
p
h=np+ 2 n y=tan h

y=tan h tan(-h)=-tan h
y=tan h
tan (-h)=tan h
y=tan h p h

tan (np+h)=tan h
tan(h+np)=tan h n

y=tan h p
y=tan h h x y=tan h y=tan x
07
Example x x
y=tan y y=tan
2 2

x x
tan =tan{ +p}=tan ;2!; (x+2p)
2 2 -2p 3p
-p O p 2p x
2p
x
y=tan
2
x=2np+p n

함수 y=tan x의 그래프의 성질

p y y=tan x
1 np+
2
n
-p
2 p
O p 3p 2p x
2 2
p
2 x=np+
2
n

3 p
tan(x+np)=tan x n
4
tan(-x)=-tan x

07 277
4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 주기와 최대, 최소

1. y=a sin x, y=a cos x, y=a tan x의 그래프 (단, a는 상수)

y=sin x y=2 sin x y=;2!; sin x

2p
y=a sin x a y=sin x x
y a

y=sin x y=2 sin x y=;2!; sin x

y y=2 sinx y
2 2
y=sinx
p 1 1 3 1 p 3
- 2 p p
2 p 2 2p 2 p 2 2p
O p x O x
2 -1
-1 - 1
2 y= 1 sinx
-2 2 -2

y=cos x y=2 cos x y=;2!; cos x

2p
y=a cos x a y=cos x x y
a

y=cos x y=2 cos x y=;2!; cos x

y y
1 2 y=2 cos x 2
2 y=cos x
1 1 p 3
p p 3p p
- 2 p 2 2p
2 2 p 2
O x
O 2p x
-1
-1 - 1
2 y= 1 cos x -2
2
-2

278 Ⅱ.
y=tan x y=2 tan x y=;2!; tan x

y=a tan x a y=tan x x


y a

y=tan x y=2 tan x y=;2!; tan x

y y=2 tan x y
2
y=tan x
1
y= 1 tan x p 3
p
2 2 p 2 2p
-p x O x
p O p p 3p -1
-
2 2 2
-2

2. y=sin bx, y=cos bx, y=tan bx의 그래프 (단, b는 상수)

y=sin x y=sin 2x y=sin ;2{;

2p p 4p 07
y
x
y=sin x y=sin y=sin 2x
1 2
-p 5p 7p
2 2
p O p p 3p 3p 4p x
- 2p
2 2 2
-1

y=sin bx (b>0) y=sin x y x


1
b
b<0 y=sin bx=-sin(-bx) y=sin bx (b<0)
1
y=sin x y x - x
b
2p
y=sin bx
|b|

y=sin x y=sin 2x y=sin ;2{;

y
1
p p 3 5 7
-p - p p 2p p 3p p 4p
2 2 2 2 2
O x

-1

07 279
y=cos x y=cos 2x y=cos ;2{;

2p p 4p
y
x
y=cos y=cos 2x
1 2
p 3 5 7
- p p p
2 2 2 2
-p O p p 2p 3p 4p x
2
-1 y=cos x

y=cosbx y=cosx y x
1 2p
y=cos bx
|b| |b|

y=cos x y=cos 2x y=cos ;2{;

y
1
p p 3 5 7
-p - p p 2p p 3p p 4p
2 2 2 2 2
O x

-1

y=tanx y=tan2x y=tan;2{; y y=tan 2x y=tan x


x
y=tan
2

p p
y=tan bx(b>0) -
2
-
4 O
-p p p p x
y=tan x y x 4 2

1
b
b<0 y=tan bx=-tan(-bx) y=tan bx (b<0)
1
y=tan x y x - x
b
p
y=tan bx
|b|

3.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과 최대, 최소


y=a sin(bx+c)+d y=a cos(bx+c)+d
x p
y=2 cos { - }+1
2 3
x p
y=2 cos { - }+1=2 cos ;2!; {x-;3@;p}+1
2 3

280 Ⅱ.
x p
y=2 cos { - }+1
y x p
y=2 cos { - }+1
2 3 3 2 3
8p
-4p
x 3 O2 3
y=2 cos x -1 2 14 p x
2 -2 3
p x 3
y=2 cos
2
;3@;p y 1

x p
y=2 cos { - }+1 4p { y|-1…y…3}
2 3
3 -1

y=a cos(bx+c)+d

}+d
c
y=a cos(bx+c)+d=a cos b{x+
b
c
y=a cos bx x - y
b
d
07
{ y|-|a|+d… y…|a|+d}
|a|+d -|a|+d
2p
|b|

y=a sin(bx+c)+d

y=a sin(bx+c)+d=a sin b {x+ }+d


c
b
c
y=a sin bx x - y
b
d

{ y|-|a|+d…y…|a|+d }
|a|+d -|a|+d
2p
|b|

Example y=;2!; sin {x+;4“;}+1 y=;2!; sin x x

-;4“; y 1

2p
;2!;+1=;2#; -;2!;+1=;2!; =2p
|1|

07 281
y=2 cos(3x-p)=2 cos 3{x-;3“;} y=2 cos 3x x

;3“;

2p
2 -2 =;3@;p
|3|

y=a tan(bx+c)+d
y=a tan(bx+c)+d

y=a tan(bx+c)+d=a tan b {x+


c
}+d
b
c
y=a tan bx x - y
b
p
d
|b|

x p p x
y=2 tan { - }-1=2 tan ;2!; {x- }-1
Example
y=2 tan
2 6 3 2
p
x y -1
3
p
=2p
|;2!;|

삼각함수의 주기와 최대・최소

2p
y=a sin(bx+c)+d |b|
{ y|-|a|+d… y…|a|+d} |a|+d -|a|+d
2p
y=a cos(bx+c)+d |b|
{ y|-|a|+d… y…|a|+d} |a|+d -|a|+d
p
y=a tan(bx+c)+d |b|

y=a sin(bx+c)+d
y=a sin(bx+c)+d y

282 Ⅱ.
1
y=3 sin x y=-2 cos x+1
y y
3 3
2 2
1 p 3 1 p 3
2 p p 2p 2 p p 2p
2 2
O x O x
-1 -1
-2 -2
-3 -3

y=4 sin ;2{; y=cos {2x+;2“;}


y y
4 2
2 1 p p 3
p 2p 3p 4p 4 2 p p
4
x
07
O O x
-2 -1
-4 -2

3 y=a cos bx 3 p a b a>0 b>0

풀이 1 -1…sin x…1 -3…3 sin x…3 y=3 sin x y y=3 sinx


{ y|-3…y…3} 2p 3 3
p
2
Op p 2p x
2
-3
-1…cos x…1 -1…-2 cos x+1…3 y=-2 cos x+1 y y=-2 cos x+1
{ y|-1…y…3} 2p 3
p
O 3 2p
p x
-1 5p
3
x x x
2 -1…sin …1 -4…4 sin …4 y=4 sin y y=4 sin x
2 2 2 2
2p 4
{ y|-4… y…4} =4p 3p 4p
|;2!;| O p 2p x
-4

y=cos{2x+;2“;}=cos 2{x+;4“;} { y|-1… y…1} y p


1
y= cos 2x+-(2 )
2p p
=p y=cos 2x x -;4“;
|2| 4 p
O p 3 x
2 4 p
-1

2p
3 y=a cos bx 3 a=3 a>0 p =p b=2 b>0
|b|

07 283
삼각함수의 그래프

다음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최댓값, 최솟값 및 주기를 각각 구하여라.

01 y=sin 2x y=-2 cos x

접근 방법

y=sin x y x ;2!;

y=cos x x y 2 x

y=a sin bx, y=a cos bx (a+0, b+0)의


2p
주기는 , 최댓값은 |a|, 최솟값은 -|a|
|b|

상세 풀이

y=sin 2x y=sin x y
y=sin 2x y=sin x
1
y x ;2!; p 3
p
5
p
2 p 2 2
Op 2p 3p x
1 4
2p -1
-1 =p
|2|
y=-2 cos x y=cos x x y -2
y=2 cos x x y
2

1 y=-2 cos x
2 O p 2p x
-2 2p -1 y=cos x
-2 y=2 cos x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두 함수 y=sin x, y=cos x의 최댓값은 1, 최솟값은 -1이므로 두 함수 y=a sin bx, y=a cos bx (a+0, b+0)
의 최댓값은 |a|, 최솟값은 -|a|입니다. 또한 두 함수 y=sin x, y=cos x의 주기는 2p이므로 두 함수
2p
y=sin bx, y=cos bx의 주기는 가 됨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리도록 합니다.
|b|

284 Ⅱ.
p.133

01-1 다음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최댓값, 최솟값 및 주기를 각각 구하여라.

y=;2!; sin x y=cos ;3!;x

01-2 세 함수 y=3 sin 2x, y=;2!; cos 3x, y=2 tan ;2!;x의 주기를 각각 a, b, c라고 할 때, a,

b, c의 대소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a>b>c a>c>b b>a>c


b>c>a c>a>b 07

01-3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최댓값, 최솟값 및 주기를 각각 구하여라.

y=|sin x| y=cos|x| y=|tan 2x|

01-1 p.540 01-2 01-3 p.541

07 285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

다음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최댓값, 최솟값 및 주기를 각각 구하여라.

02 y=2 sin {x-;2“;}-1 y=-2 cos(2x-p)+1

접근 방법

y=2 sin {x-;2“;}-1 y=2 sin x x ;2“; y

-1 y=-2 cos(2x-p)+1=-2 cos 2 {x-;2“;}+1

y=-2 cos 2x x ;2“; y 1

y=a sin(bx+c)+d, y=a cos(bx+c)+d의 그래프는 각각


c
y=a sin bx, y=a cos b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b
y축의 방향으로 d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상세 풀이

y=2 sin {x-;2“;}-1


y
y=2 sin x y=2 sin x
2 p 3
1 p
2 2
x ;2“; y -1 O p
2p
x
-1
-2
-3
1 -3 y=2 sin {x-
p
} -1
2
2p

y=-2 cos(2x-p)+1=-2 cos 2 {x-;2“;}+1 y


y=-2 cos (2x-p)+1
3
2
y=-2 cos(2x-p)+1 y=cos 2x
1

y=-2 cos 2x x ;2“; O p 2p x


-1
y 1 -2 p 3 y=-2 cos 2x
2 p
2
3
-1 p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2p
두 함수 y=asin(bx+c)+d, y=acos(bx+c)+d의 최댓값은 |a|+d, 최솟값은 -|a|+d, 주기는 입니다.
|b|

286 Ⅱ.
p.134

02-1 다음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최댓값, 최솟값 및 주기를 각각 구하여라.

y=2 cos {;2!;x-;2“;}-1 y=tan {2x+;2“;}

02-2 다음 안에 알맞은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양수를 써넣어라.

y=3 sin(2x-p) y=3 sin 2x x

y=2 cos {;2{;-;4“;}+1 y=2 cos ;2{; x

y
07

p
02-3 함수 f(x)=3 cos {2x- }+1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3
보기
x f(x+p)=f(x)
f(x) 4 -2

y=f(x) x=;6“;

02-1 p.541 02-2 ;2“; p ;2“; 1 4p


02-3

07 287
미정계수의 결정

함수 y=a sin(bx-c)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y

03 2 y=a sin(bx-c)
과 같을 때, 상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단, a>0, b>0, 0<c<p)
O 3 7 x
p p
8 8
-2

접근 방법
c
y=a sin(bx-c) y=a sin bx x
b
y=a sin bx a b
x c

삼각함수의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최댓값, 최솟값, 주기, 평행이동을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구한다.

상세 풀이

y=a sin (bx-c) 2 -2


|a|=2 a=2 a>0
p ;8&;p-;8#;p=;2“;
2p
=p b=2 b>0
|b|
y=2 sin(2x-c) {;8#;p 0}

0=2 sin{;4#;p-c} sin {;4#;p-c}=0

c=;4#;p 0<c<p 정답 a=2, b=2, c=;4#;p

보충 설명

⑴ 주어진 그래프에서 ;8#;p에서 ;8&;p까지, 즉 ;8&;p-;8#;p=;2“;가 주기의 절반이므로 주기는 p입니다.

⑵ 주어진 삼각함수의 그래프에서 최댓값이 2, 최솟값이 -2이고, 주기가 p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2 sin 2x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함수 y=2 sin(2x-c)의 그래프와 일치함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⑶ x=;8#;p일 때 y=0이므로 0=2 sin {2_;8#;p-c}, 즉 sin {;4#;p-c}=0입니다. 일반적으로 c는 여러 가지 값

을 가질 수 있지만 문제에서 0<c<p이므로 c=;4#;p뿐입니다.

⑷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함수 y=2 sin 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C;만큼 평행이동한 것인데, 0<c<p

이므로 x축의 방향으로 ;8#;p만큼 평행이동한 것으로 생각하여 ;2C;=;8#;p와 같이 풀 수도 있습니다.

288 Ⅱ.
p.135

03-1 함수 y=a cos(bx+c)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y


4 y=a cos(bx+c)
때, 상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p
-
3 2
(단, a>0, b>0, -p<c…p) p
O 3
p x
6

-4

03-2 a>0, b>0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f(x)=a sin bx+c p 4 -2 a


b c abc

f(x)=a cos bx+c ;2“; 3 -1 a


07
b c a+b+c

03-3 함수 y=a cos(bx-c)+d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y


y=a cos(bx-c)+d
1
림과 같을 때, 상수 a, b, c, d에 대하여 abcd의 값
O p x
을 구하여라. (단, a>0, b>0, 0<c…p) 2

-3

03-1 a=4 b=2 c=-;3“; 03-2 6 7 03-3 -4p

07 289
삼각함수의 최대, 최소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04 y=cos¤ x+sin x y=4-sin¤ x+cos x

접근 방법

sin¤ x+cos¤ x=1 sin x cos x


sin x=t cos x=t -1…t…1 t

sin x=t (또는 cos x=t)로 치환하고 -1…t…1의 범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다.

상세 풀이

y=cos¤ x+sin x=(1-sin¤ x)+sin x=-sin¤ x+sin x+1


sin x=t

y=-t¤ +t+1=-{t-;2!;}¤ +;4%; yy y


(1 2 5
5 y=- t--
2
+-
4 )
-1…sin x…1 -1…t…1 4
1
-1
O 1 1 t
t=;2!; ;4%; t=-1 -1 2
-1

y=4-sin¤ x+cos x=4-(1-cos¤ x)+cos x=cos¤ x+cos x+3


cos x=t y
5
y=t¤ +t+3={t+;2!;}2 +:¡4¡: yy
3
-1…cos x…1 -1…t…1 (1 2 11
11 y= t+-
4
2
+-
4 )

t=1 5 t=-;2!; :¡4¡: -1


-
1 O 1 t
2

정답 ⑴ 최댓값:;4%;, 최솟값:-1 ⑵ 최댓값:5, 최솟값::¡4¡:

보충 설명
⑴`에서 함수 y=-sin¤ x+sin x+1은 두 함수 `f(x)=-x¤ +x+1, g(x)=sin x의 합성함수
y=(fΩg)(x)=f( g(x))이므로 g(x)=t로 놓으면 y=-t¤ +t+1 (-1…t…1)의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는 문
제와 같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

290 Ⅱ.
p.136

04-1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y=sin¤ x+2 cos x-1 y=sin¤ x-cos¤ x+2 sin x

04-2 함수 y=a sin¤ x-a cos x+b의 최댓값이 6, 최솟값이 -3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단, a>0)

07

04-3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 -(sin h)x+cos h-2=0의 두 근을 a, b라고 할 때, a¤ +b¤


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단, h는 실수이다.)

04-1 1 -3 3 -;2#;

04-2 5 04-3 2

07 291
02
1 삼각함수를 포함한 방정식

sin x=;2!; tan x=1

f(x)=a y=f(x) y=a x

1. 방정식 sin x=a (0…x<2p)의 해


sin x=a (0…x<2p) 0…x<2p y=sin x y=a
x x=a x=b sin x=a (0…x<2p)

y
y=sin x
1
a y=a
3p
p 2
O a p b 2p x
-a 2
y=-a
-1

a a b a b
p
a b x= x=;2#; p
2
p
0…a<1 a b a b x=
2
a+b p
= a+b=p
2 2
p
sinx=a(0…a<1) 0…x< x=a
2
y=sinx b=p-a x=b

-1<a<0 a b a b x=;2#; p

a+b
=;2#; p a+b=3p
2

292 Ⅱ.
sin x=a (-1<a<0) p<x<;2#; p x=a

y=sin x b=3p-a x=b

Example
sin x=;2!; (0…x<2p)

sin x=;2!; (0…x<2p)


y
y=sin x
1
1 1
y= 2
0…x<2p y=sin x 2 p
O p p 5p 3p 2p x
y=;2!; x -1
6 2 6 2

p p
sin =;2!; x x
6 6
p
p- =;6%; p
6

sin x=;2!; (0…x<2p)

p
x=;6%; p
x=
6 07
2. 방정식 cos x=a (0…x<2p)의 해
cos x=a (0…x<2p) 0…x<2p y=cos x y=a
x x=a x=b cos x=a (0…x<2p)

y
y=cos x
1

a y=a
p
O a p b 2p x
2 3
p
2
-1

a a b a b
a b x=p
-1<a<1 a b a b x=p
a+b
=p a+b=2p
2
cos x=a (-1<a<1) 0<x<p x=a
y=cos x b=2p-a x=b

07 293
Example
cos x=;2!; (0…x<2p)

y
cos x=;2!; (0…x<2p) 1 y=cos x
1 1
y=
0…x<2p y=cos x 2 p 2
O p p 5 2p x
y=;2!; x 3 2 3 3p
p
-1 2

p p
cos =;2!; x x
3 3
p
2p- =;3%; p
3

cos x=;2!; (0…x<2p)

p
x= x=;3%; p
3

3. 방정식 tan x=a (0…x<2p)의 해


y y=tan x
tan x=a (0…x<2p) 0…x<2p
y=tan x y=a x a
y=a
p 3
p
x=a x=b tan x=a (0…x<2p) 2 2
O a p b 2p x

a a b

y=tan x p a b b=p+a
tan x=a 0…x<p x=a b=p+a
x=b

Example tanx='3 (0…x<2p)


tan x='3 (0…x<2p) 0…x<2p y y=tan x

y=tan x y='3 x '3


y='3
p 3
p
tan ='3 x p 2
3 p p 4 x
O p 2p
p p 3 2 3
x p+ =;3$;p
3 3
tan x='3 (0…x<2p)
p
x= x=;3$;p
3

294 Ⅱ.
삼각함수를 포함한 방정식의 해

1 sin x=a (0…x<2p)


0…x<2p y=sin x y=a x
2

sin x=a cos x=a tan x=a

2 삼각함수를 포함한 부등식


'3
sin x> cos x<-;2!;
2

07
sin x<a (0…x<2p) y=sin x y=a
x x

Example cos x<;2!; (0…x<2p)

y=cos x (0…x<2p) y=;2!; x

p
x= x=;3%;p
3
y
y=cos x
y=cosx 1
1 1
y=
y=;2!; x 2 p 2
O p p 5 p 2p x
p 3 2 3p 3
<x<;3%;p -1 2
3

삼각부등식의 해

1 sin x<a (0…x<2p)


1 sin x=a (0…x<2p)
2 sin x<a (0…x<2p) x
2

07 295
단위원을 이용한 삼각함수를 포함한 방정식과 부등식의 풀이

P(x y) OP h
y
sin h= =y sin h=k (0… h<2p)
1
y=k P OP
h (0… h<2p)

Example sin h=-;2!; (0… h<2p)


y
y=-;2!; 1

P Q OP 7p
6
O
;6&;p OQ ;;¡6¡;;p -1 p
6
1 x

P -1 Q
y=- 1 2
2 -1 11 p
6
h=;6&;p h=;;¡6¡;;p

P(x y) OP
x
h cos h= =x
1
cos h=k (0…h<2p) x=k P
OP h (0…h<2p)

Example sin h>-;2!; (0…h<2p)


y
sin h>-;2!; (0…h<2p) h 1

P y -;2!; 7p
6
O
OP -1 1 x

P -1 Q
2
y=- 1 11 p
0…h<;6&;p ;;¡6¡;;p<h<2p 2 -1 6

296 Ⅱ.
'3
1 cos x= 0…x<2p
2

'3
2 sin xæ
2
0…x<2p

3 tan x-1<0 0…x<2p

'3
07
풀이 1 cos x= (0…x<2p) 0…x<2p y
2 1 '3
'3 '3
y=
2
y=cos x y= x p 2p
2 2
O p 11 x
p p
x= 또는 x=;;¡6¡;;p -1
6 6
6 y=cos x

'3
O x=
2
P Q y '3
1 x=
2
p p
OP OQ ;;¡6¡;;p 11 p P
6 6 6
p
x= 또는 x=;;¡6¡;;p -1 O 1x
6
Q
-1

'3 y
2 sin xæ
2
(0…x<2p) 0…x<2p
1 '3
y=
'3 '3 p
2
y=sin x y= 2
2 O p 2p 2p x
3 3
x -1
y=sin x
p
…x…;3@;p
3

3 tan x-1<0 tan x<1 (0…x<2p) 0…x<2p y y=tan x


y=tan x y=1 y=1
1
x
p p p p p 5
0…x< 또는 <x<;4%;p 또는 O
4 2 p
3
p 2p x
4 2 4 2

;2#;p<x<2p

07 297
삼각방정식의 풀이

다음 삼각방정식을 풀어라. (단, 0…x<2p)

05 2 sin¤ x-3 cos x=0 2 cos¤ x+sin x=1

접근 방법

sin¤ x+cos¤ x=1 cos x sin x


cos x sin x

sin¤ x+cos¤ x=1임을 이용하여 cos x 또는 sin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푼다.

상세 풀이

2 sin¤ x-3 cos x=0


2(1-cos¤ x)-3 cos x=0 2 cos¤ x+3 cos x-2=0
(2 cos x-1)(cos x+2)=0 y
1 1
cos x=;2!; (
2 1
-1…cos x…1) y=
2
p
O p p 3 5 2p x
p p
3 2 2 3
-1
x=;3“; x=;3%;p y=cosx

2 cos¤ x+sin x=1


2(1-sin¤ x)+sin x=1 2 sin¤ x-sin x-1=0 y
y=1
(2 sin x+1)(sin x-1)=0 1
p 7 3 11
p p p
2 6 2 6
sin x=-;2!; sin x=1 O p 2p x
1 1
- -1 y=-
2 2
y=sin x
x=;2“; x=;6&;p x=:¡6¡:p

정답 ⑴ x=;3“; 또는 x=;3%;p ⑵ x=;2“; 또는 x=;6&;p 또는 x=:¡6¡:p

보충 설명
y
⑵`에서 방정식 sin h=-;2!;의 해를 그래프를 이용하지 않고 단위원을 이용하여 구할 1

수도 있습니다. 단위원 O와 직선 y=-;2!;의 두 교점을 각각 P, Q라 하고, 두 동경 O


-1 1 x
P Q
OP, OQ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 h를 각각 구하면 h=;6&;p 또는 h=:¡6¡:p임을 알 수 1
- -1 y=-
1
2 2
있습니다.

298 Ⅱ.
p.137

05-1 다음 삼각방정식을 풀어라. (단, 0…x<2p)

2 cos¤ x+3 sin x-3=0 2 sin¤ x=cos x+1

05-2 다음 삼각방정식을 풀어라. (단, 0…x<2p)

1 4
sin x=tan x tan x+ =
tan x '3

07
05-3 다음 그림은 함수 y=sin x의 그래프와 직선 y=;5#; 을 나타낸 것이다.
y

3 1
5 y=sin x
3
y=
O p 2p 5
a p b c 5 p 3p x
2 2
-1

방정식 sinx=;5#; {0…x<;2%;p}의 서로 다른 세 실근을 a, b, c(a<b<c)라고 할 때,

sin(a+b+c)의 값을 구하여라.

05-1 x=;6“; x=;2“; x=;6%;p x=;3“; x=p x=;3%;p

05-2 x=0 x=p x=;6“; x=;3“; x=;6&;p x=;3$;p

05-3 -;5#;

07 299
삼각방정식의 실근의 개수

방정식 sin px=;3!;x의 실근의 개수를 구하여라.

06
접근 방법

sin px=;3!;x y=sin px y=;3!;x

방정식 `f(x)=g(x)의 실근의 개수


∆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상세 풀이

2p
y=sin px =2 1 -1
|p|

y=sin px y=;3!;x

y 1
y= x
1 3

-3 -2 -1 O 1 2 3 x

-1
y=sin px

7 sin px=;3!;x 7

정답 7

보충 설명
⑴ 방정식 `f(x)=g(x)의 실근은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입니다.

⑵ |sin px|…1이므로 |y|>1인 범위에서는 함수 y=sin px의 그래프와 직선 y=;3!;x의 교점이 존재하지 않습

니다.

300 Ⅱ.
p.138

1
06-1 방정식 cos 2x=
3p
x의 실근의 개수를 구하여라.

06-2 다음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를 구하여라.

3 cos px=sin ;3“;x (0…x…7) x sin x=1 (-5p…x…5p)

07

p
06-3 방정식 sin x=;1¡0;x의 실근의 개수를 a, 모든 실근의 합을 b, 모든 실근의 곱을 c라고
2
할 때, 실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여라.

06-1 13 06-2 7 12 06-3 11

07 301
삼각부등식의 풀이

다음 삼각부등식을 풀어라. (단, 0…x<2p)

07 sin x>cos x 2 sin¤ x-3 cos xæ0

접근 방법

y¡=sin x y™=cos x y¡>y™ x


sin¤ x=1-cos¤ x cos x
x

삼각부등식은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범위를 구한다.

상세 풀이

sin x>cos x y=sin x y


y=sin x
y=cos x x 1
5
p
4
O p p p 3 2p x
p
;4“;<x<;4%;p 4 2 2
-1
y=cos x

2 sin¤ x-3 cos xæ0


2(1-cos¤ x)-3 cos xæ0 2 cos¤ x+3 cos x-2…0
(cos x+2)(2 cos x-1)…0

-2…cos x…;2!;
y
1 y=cos x
-1…cos x…1 -1…cos x…;2!; 2
1
y= 1
p 2
O p 5 2p x
3 p
3
;3“;…x…;3%;p -1

정답 ⑴ ;4“;<x<;4%;p ⑵ ;3“;…x…;3%;p

보충 설명

방정식 sin x=cos x의 해가 x=;4“; 또는 x=;4%;p이므로 이 값을 경계로 하여 삼각부등식의 해를 구할 수 있고,

방정식 2 sin¤ x-3 cos x=0의 해가 x=;3“; 또는 x=;3%;p이므로 이 값을 경계로 하여 삼각부등식의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302 Ⅱ.
p.139

07-1 다음 삼각부등식을 풀어라. (단, 0…x<2p)

2 cos¤ x+5 sin x-4>0 sin¤ x+cos x-1æ0

a+b
07-2 0… x<2p에서 부등식 sin x…-;3!;의 해가 a…x…b일 때, cos 의 값을 구하여라.
4

07

07-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x¤ -2x cos h+2 cos h>0이 성립할 때, h의 값의 범


위를 구하여라. (단, 0…h<2p)

07-1 ;6“;<x<;6%;p 0…x…;2“; ;2#;p…x<2p

'2
07-2 - 07-3 0…h<;2“; ;2#;p<h<2p
2

07 303
07- 1 y=sin ax a y
y=sin ax

O
;4!; ;2!; 1 p p x
6 3
2 4

07- 2
p
y=sin {x- 2 } y=sin x x

07- 3 f(x)=a sin ;2{;+b 5 f{;3“;}=;2&; a b ab

2 3 5
6 7

07- 4 x f(x+a)=f(x) a

f(x)=cos ('2px)
f(x)=|sin 3x|

f(x)=tan {px-;2“;}

07- 5 f(x)=|tan 2x|


보기

;2“;

f(-x)=f(x)

x=np+;2“; n

304 Ⅱ.
p.541 | p.140

07- 6 y=a sin bx+c y


y=asin bx+c
a b c a+b+c 3

a>0 b>0
1

-p 3p
O p 2p 4p x

-1

07- 7 y=8 sin ;1…2;x x y


8
y=8 sin p x
12
ABCD BC”=8
A D
ABCD
O
B 8 C x

07
07- 8
'3
sin x= (0…x<2p) a b cos(a+b)
3

cos x=;4!; (0…x<2p) x h

cos ;6Ω;

07- 9
x x¤ -2'2x sin h-3 cos h=0 h
0…h<2p

x x¤ -2x sin h-;2#; cos h=0 h

0…h<2p

07- 10 x x¤ -2'2x sin h+1>0 h


0…h<2p

07 305
07- 11 y=a sin x y=;3!; cos bx y
y=a sin x
1
a b ab y= cos bx
3
x
b>0 x y
O

;3!; ;2!; 1

2 3

07- 12
y=sin x+|sin x| y=cos x-|cos x|

07- 13 0…x…;2%;p y=cos x y


y=cos x
1
y=k
k y=k
x a 4b 5b p
O a 4b 2p 5b x
a b a+b 5
p
2
0<k<1 -1

07- 14 O y
1
P(x y) OP x P(x, y)

h f(h) f(h)=4x¤ +4y


h
f(h) -1 O 1 x

-1

07- 15 f(h)=cos¤ {h+;2“;}-3 cos¤ h+4 sin(h+p)

306 Ⅱ.
p.541 | p.145

07- 16
sin 2x=-;3@; 0…x<2p

cos px=cos ap 0<a<1 0…x…10

07- 17 sin|cos x|=;2!; -2p…x…2p

07- 18
sin(p cos x)=1 x 0…x<2p 07
cos(2p sin x)=0 x 0…x<2p

challenge

07- 19
x x¤ -2x cos h+sin h+1æ0
h 0…h<2p
x cos¤ x+(a+2)sin x-(2a+1)>0
a

challenge

07- 20 x x¤ +2x cos h+sin¤ h-sin h+1=0


h 0…h…p

07 307
08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01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311

02 삼각형의 넓이 326

기본 다지기 334
실력 다지기 336
6

01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01 316

02 318

03 320

04 322

05 324

02 삼각형의 넓이 06 330

07 332
08 |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01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1 사인법칙
ABC R A

a b c c b
= = =2R
sin A sin B sin C O R
B C
a
2 코사인법칙
ABC
A

a¤ =b¤ +c¤ -2bc cos A c b

b¤ =c¤ +a¤ -2ca cos B B C


a
c¤ =a¤ +b¤ -2ab cos C

b¤ +c¤ -a¤ c¤ +a¤ -b¤ a¤ +b¤ -c¤


cos A= cos B= cos C=
2bc 2ca 2ab

02 삼각형의 넓이

1 삼각형의 넓이
ABC S

S=;2!; bc sin A=;2!; ca sin B=;2!; ab sin C

2 삼각형의 넓이의 응용
r A

ABC=;2!;r(a+b+c) c
r r b
I
r
R B C
a
abc
ABC= =2R¤ sin A sin B sin C
4R
A D
ABCD S ABC 2 x

h
S=2_ ABC=2_;2!;xy sin h=xy sin h B
y C

310 Ⅱ.
01
1 사인법칙

ABC A B C A

A B C BC CA AB c
b
a b c
A B C a b c B C
a
6

⁄ 180˘
A+B+C=180˘
¤
a+b>c b+c>a c+a>b
08

ABC O R A

A
⁄ A<90˘
b
BA' A' c
A'
2R
A=A' O

90˘ BCA'=90˘ B
a
C

BC”
sin A=sin A'= 115 = 123
a
2R A
B’A”'’
c
¤ A=90˘ b
O
sin A=sin 90˘=1 a=2R B C
a=2R

sin A=1= 123


a
2R

08 311
‹ A>90˘ A
c
BA' A' B
b
C
a
180˘
2R O
A+A'=180˘ 90˘ A'

BCA'=90˘
BC”
sin A=sin(180˘-A')=sin A'= 115 = 123
a
B’A”'’ 2R
⁄~‹ A

sin A= 123
a
2R

1123 =2R
a
sin A

1123 =2R 1123 =2R


b c
sin B sin C

사인법칙

사인법칙

ABC R A

111 = 111 = 111 =2R


a b c c b
sin A sin B sin C
O R
B C
a

ABC a=2R sin A b=2R sin B c=2R sin C


a : b : c=sin A : sin B : sin C

312 Ⅱ.
Example R ABC A=45˘ B=60˘ A

a=2'2 R b 45˘
a b
= =2R
sin A sin B
60˘
2'2 b B C
= =2R 2'2
sin 45˘ sin 60˘
'3
R=;2!;_2'2_ 123 =2 b=2_2_
1
=2'3
'2 2
12
2

2 코사인법칙

ABC A BC H C

⁄ C<90˘ A

AH”=b sin C
c b
08
BH”=a-CH”=a-b cos C
ABH H
B C
a
c¤ =BH” ¤ +AH” ¤
=(a-b cos C)¤ +(b sin C)¤
=a¤ +b¤ (sin¤ C+cos¤ C)-2ab cos C sin¤ C+cos¤ C=1

=a¤ +b¤ -2ab cos C


¤ C=90˘ A

ABC c
b
c¤ =a¤ +b¤
=a¤ +b¤ -2ab cos C cos C=cos 90˘=0 B C(H)
a

‹ C>90˘ A

AH”=b sin(180˘-C)=b sin C sin(180˘-C)=sin C


c
BH”=a+CH” b

=a+b cos(180˘-C) cos(180˘-C)=-cos C B H


a C
=a-b cos C

08 313
ABH
c¤ =BH” ¤ +AH” ¤ =(a-b cos C)¤ +(b sin C)¤
=a¤ +b¤ (sin¤ C+cos¤ C)-2ab cos C
=a¤ +b¤ -2ab cos C
⁄~‹ C
c¤ =a¤ +b¤ -2ab cos C

a¤ =b¤ +c¤ -2bc cos A b¤ =c¤ +a¤ -2ca cos B

코사인법칙

Example ABC a=4 b=3 C=60˘ c


A

c¤ =a¤ +b¤ -2ab cos C 3

=4¤ +3¤ -2_4_3 cos 60˘


60˘
B C
=16+9-12=13 4

c='1å3

ABC

a¤ =b¤ +c¤ -2bc cos A

cos A= 111123
b¤ +c¤ -a¤
2bc

cos B= 111123 cos C= 111123


c¤ +a¤ -b¤ a¤ +b¤ -c¤
2ca 2ab

314 Ⅱ.
코사인법칙

ABC A

a¤ =b¤ +c¤ -2bc cos A c b


b¤ =c¤ +a¤ -2ca cos B
B C
c¤ =a¤ +b¤ -2ab cos C a

C<90˘ B>90˘ A

BH”=bcosC-a p.313 ⁄ c¤ =a¤ +b¤ -2ab cosC b


c
ABC
H C
b¤ +c¤ -a¤ c¤ +a¤ -b¤ a¤ +b¤ -c¤ B a
cos A= cos B= cos C=
2bc 2ca 2ab

08
1 ABC

a=6 A=60˘ C=45˘ c a=8 A=120˘ B=30˘ c


a=3 c=3'2 C=135˘ sin A a=4'3 b=5 A=120˘ sin B

2 ABC

a=2'3 b=3 C=30˘ c b=3 c=2'2 A=45˘ a


a=5 b=7 c=8 cos C a=11 b=7 c=10 cos A

c 6 '3 6'2
풀이 1 sin 45˘
=
sin 60˘
c sin 60˘=6 sin 45˘
2
c=3'2 c=
'3
=2'6

c 8 '3 8 8'3
= c sin 120˘=8 sin 30˘ c=8_;2!; c= =
sin 30˘ sin 120˘ 2 '3 3
C=180˘-(30˘+120˘)=30˘
3 3'2 1 3
= 3'2 sin A=3 sin 135˘ sin A= _ =;2!;
sin A sin 135˘ 3'2 '2
4'3 5 1 '3
= 4'3 sin B=5 sin 120˘ sin B= _5_ =;8%;
sin 120˘ sin B 4'3 2

'3
2 c¤ =(2'3)¤ +3¤ -2_2'3_3 cos 30˘=12+9-2_2'3_3_
2
=3 c='3
'2
a¤ =3¤ +(2'2)¤ -2_3_2'2 cos 45˘=9+8-12'2_ =5 a='5
2
5¤ +7¤ -8¤ 7¤ +10¤ -11¤
cos C= =;7!; cos A= =;5!;
2_5_7 2_7_10

08 315
사인법칙 ⑴

삼각형 ABC에서 다음을 구하여라.

01 a=6 A=60˘ C=75˘


a=3 c=6 A=30˘ b
b
R
R

접근 방법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a b c
= = =2R
sin A sin B sin C

상세 풀이

A+B+C=180˘ B=180˘-(60˘+75˘)=45˘ A
6 b 60˘
= =2R
sin 60˘ sin 45˘
b
6 sin 45˘ 1 2
b= =6_ _ =2'6
sin 60˘ '2 '3
75˘
6 6 B C
2R= = =4'3 R=2'3 6
sin 60˘ '3
133
2
3 6
= A
sin 30˘ sin C

3 sin C=6 sin 30˘ 3 sin C=6_;2!; sin C=1 C=90˘ 30˘
6
A+B+C=180˘ B=180˘-(90˘+30˘)=60˘ b

3 b
= =2R
sin 30˘ sin 60˘
'3
B C
3 sin 60˘ 3 3 3
b= =3_ _2=3'3 2R= = =6 R=3
sin 30˘ sin 30˘
1
2 1
2

정답 ⑴ b=2'6, R=2'3 ⑵ b=3'3, R=3

보충 설명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사인법칙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R HjK ‡
a:b:c=sin A:sin B:sin C
a b c
= =
sin A sin B sin C sin A=;2;År;, sin B=;2;ır;, sin C=;2;Çr;

316 Ⅱ.
p.151

01-1 삼각형 ABC에서 다음을 구하여라.

b=4 B=45˘ C=105˘ a R


b=1 c='3 B=30˘ a R

01-2 삼각형 ABC에서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b) : (b+c) : (c+a)=5 : 7 : 8 sin A : sin B : sin C


A : B : C=1 : 1 : 2 a:b:c

08

0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4'3, A=75˘, B=45˘인 삼각형 A


ABC에서 변 BC 위를 움직이는 점 P에 대하여 75˘
4'3
CP”
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sin(∠CAP) 45˘
B C
P

01-1 a=2'2 R=2'2 a=1 a=2 R=1


01-2 3:2:5 1 : 1 : '2 01-3 4'2

08 317
사인법칙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에서 A

02 A=105˘, B=45˘, AB”='2


일 때, 변 BC의 길이를 구하여라.
'2

45˘
105˘

B C

접근 방법

a b '2
= = a sin 105˘
sin 105˘ sin 45˘ sin 30˘
b b a

삼각형 ABC의 한 꼭짓점에서 대변에 수선을 내리면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a=b cos C+c cos B, b=c cos A+a cos C, c=a cos B+b cos A

상세 풀이

BC”=a CA”=b A

A+B+C=180˘ '2 105˘ b

C=180˘-(105˘+45˘)=30˘ H
45˘ 30˘
B C
a

b '2
=
sin 45˘ sin 30˘
'2 sin 45˘
b= =2
sin 30˘
A BC H
a=BH”+HC”

a='2 cos 45˘+2 cos 30˘=1+'3

정답 1+'3

보충 설명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의 한 꼭짓점에서 대변에 수선을 내려 변의 A

길이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하면 삼각형 ABC에서 세 각의 크기와 세


c b
변의 길이 사이에 다음이 항상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c cos B
a=b cos C+c cos B b cos C
B H C
b=c cos A+a cos C a
c=a cos B+b cos A

318 Ⅱ.
p.152

02-1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에서 A

A=75˘, B=45˘, AC”=2'3 75˘


2'3
일 때, 변 BC의 길이를 구하여라.
45˘
B C

'5
02-2 삼각형 ABC에서 AB”=4이고, cos B=;2!;, cos C= 일 때, 변 BC의 길이는?
3

1+'1å0 1+'1å5 2+'1å0


2+'1å5 1+2'1å0

08

02-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에 내접하는 삼각형 A

ABC에서 A=60˘, B=45˘일 때, 변 AB의 길이를 구하여라. 60˘

45˘
B C

02-1 3+'3 02-2 02-3 '2+'6

08 319
코사인법칙

삼각형 ABC에서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3 b=2'7 c=4 B=60˘


a='6 b=2 c='3+1
a
A

접근 방법

b¤ +c¤ -a¤ c¤ +a¤ -b¤ a¤ +b¤ -c¤


cos A= , cos B= , cos C=
2bc 2ca 2ab

상세 풀이

ABC A

(2'7 )¤ =4¤ +a¤ -2_4_a_cos 60˘


4 2 '7

a¤ -4a-12=0 (a+2)(a-6)=0 60˘


B C
a=-2 a=6 a

a>0 a=6
ABC A

2¤ +('3+1)¤ -('6 )¤
cos A= '3+1
2_2_('3+1) 2

2+2'3
cos A= =;2!;
4('3+1) B C
'6
0˘<A<180˘ A=60˘

정답 ⑴ 6 ⑵ 60˘

보충 설명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삼각형 ABC에서 세 각의 크기와 세 변의 길이 사이에 다음이 성립합니다. 삼각형에서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구할 때 많이 이용하므로 꼭 기억해 두도록 합시다.
b¤ +c¤ -a¤ A
a¤ =b¤ +c¤ -2bc cos A, cos A=
2bc
c b
c¤ +a¤ -b¤
b¤ =c¤ +a¤ -2ca cos B, cos B=
2ca B C
a
a¤ +b¤ -c¤
c¤ =a¤ +b¤ -2ab cos C, cos C=
2ab

320 Ⅱ.
p.153

03-1 삼각형 ABC에서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2 c='3 B=45˘ b¤


a=4 b=5 c=6 cos A : cos B : cos C

03-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3인 정사각형 ABCD의 두 A D


변 BC, CD의 삼등분점 중 두 점 B, D에 가까운 점을 각각 E, h

F라고 하자. ∠EAF=h일 때, cos h의 값은? F


3
'3 2'2
;5@;
5 5
B E C
;5#; ;5$;

08

03-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 ABCD가 A

AB”=AD”=4, CD”=2, ∠ABC=60˘ 4 4


를 만족시킬 때, 변 BC의 길이를 구하여라. B 60˘
D
2

03-1 7-2'6 12 : 9 : 2 03-2


03-3 6

08 321
사인법칙의 활용

어느 고분에서 원판 모양인 접시의 깨어진 조각이 출 B

04 토되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 접시의 깨어지지 않


은 세 지점으로 삼각형을 만들어 각 변의 길이를 재어
4 cm

A
보았더니 길이가 각각 4 cm, 6 cm, 8 cm이었을 때, 8 cm
이 접시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여라.
6 cm

접근 방법

삼각형의 외접원의 반지름(또는 지름)의 길이는 사인법칙을 이용한다.

상세 풀이

ABC B
4 cm

A
6¤ +4¤ -8¤
cos A= =-;4!; 8 cm
2_6_4
'1å5
6 cm
sin A="√1-cos¤ A=æ≠1-{-;4!;}¤ =
4
C
ABC R
BC”
2R=
sin A
BC” 8 16 16'1å5
R= = = =
2 sin A '∂15 '1å5 15
2_114
4
16'1å5 16'1å5
cm 정답
15
cm
15

보충 설명
3'1å5
주어진 삼각형 ABC에서 cos B=;1!6!;, sin B="√1-cos¤ B=æ≠1-{;1!6!;}¤ = 이므로
16
AC” 6 16'1å5
2R= = ∴ R=
sin B 3'∂15 15
114
16

322 Ⅱ.
p.153

04-1 어느 고고학자가 원 모양으로 추정되는 깨어진 장신구를 발견하였 A


다. 이 장신구의 세 지점 A, B, C를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하여 세 3 cm

변 AB, AC, BC의 길이를 재어 보았더니 각각 7 cm, 3 cm, 5 cm 7 cm C


이었다. 이 장신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여라.

5 cm
B

04-2 원 모양의 호수의 지름의 길이를 구하기 위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호숫가의 세 지점 A, B, C를 잡아 두 지점 A, B 사이의 A
30˘
거리와 ∠CAB, ∠ABC의 크기를 측정하였더니 AB”=400 m,
A=30˘, B=105˘이었다. 이 호수의 지름의 길이를 구하여라. 400 m

105˘
B C

08

04-3 다음 그림과 같이 지표면과 15˘의 경사를 이루는 비탈길 위에 나무가 지표면에 수직으로
서 있다. 이 나무로부터 비탈길을 따라 15 m 올라간 지점에서 지표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높이가 1 m인 받침대 위에서 각도 측정기로 나무의 꼭대기를 올려다 본 각의 크기를 재었
더니 30˘이었다. 이 나무의 높이를 구하여라. (단, '6=2.45로 계산한다.)

30˘
1m

15 m
15˘

7'3
04-1 cm 04-2 400'2 m 04-3 13.25 m
3

08 323
코사인법칙의 활용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2'2, OB”=4, ∠AOB=;4“;인 O

05 삼각형 OAB가 있다. 움직이는 점 P가 점 A에서 출발하여


두 변 OB, OA 위의 두 점 X, Y를 차례대로 거쳐 점 B까 Y
p
2'2 4 4
X

지 도달할 때, 점 P가 이동한 거리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P
A B

접근 방법

OAB OA OB

꺾이는 선의 길이의 최솟값은 대칭이동에 의하여 직선으로 생각한다.

상세 풀이

OA B B' O 2'2
p
OB A A' p p 4 A'
4 4 4
OB OA X Y X
Y
AX”=A’'X” BY”=B’'Y” B'

P A B
AX”+X’Y”+BY”=A’'X”+X’Y+
” B’'Y”
B' Y X A'
AX”+X’Y”+BY”æA’'B'”
OB'A'

A’'B'” ¤ =4¤ +(2'2 )¤ -2_4_2'2_cos ;4#;p

A’'B'” ¤ =16+8+16=40
A’'B'”=2'1å0

정답 2'1å0

보충 설명
입체도형에서의 이동 거리의 최솟값(최단거리)을 생각할 때 O O
a
에는 전개도에서 직선 거리를 생각하도록 합니다. a h B
l
B
즉, 오른쪽 그림의 원뿔에서 밑면 위의 한 점 A에서 출발하 l ∆
여 원뿔의 옆면을 한 바퀴 돌아 점 B까지 가는 최단경로는 A A'

원뿔의 옆면의 전개도에서 선분 AB와 같습니다.


A r

324 Ⅱ.
p.154

05-1 오른쪽 그림과 같이 OA”=6, OB”=5인 삼각형 OAB가 있다. O

움직이는 점 P가 점 A에서 출발하여 두 변 OB, OA 위의 두 h


6
점 X, Y를 차례대로 거쳐 점 B까지 도달한다. 점 P가 이동한 Y 5
X
거리의 최솟값이 '∂91일 때, h의 크기를 구하여라.
p
{단, 0<h< } A
P
B
4

05-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6'3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A

60˘인 부채꼴 OAB에서 호 AB 위에 한 점 P를 잡고, 두 선분 P


OA, OB 위에 각각 두 점 Q, R를 잡을 때, 삼각형 PQR의 둘 Q
레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60˘
O B
R
6'3

08

05-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2 cm이고 모선의 길이 O

가 6 cm인 원뿔이 있다. 모선 OA의 중점을 B라 하고 점 A에서 점


B까지 실로 원뿔의 옆면을 한 바퀴 감을 때, 실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 6 cm
하여라. B

A
2 cm

05-1 ;9@;p 05-2 18 05-3 3'7 cm

08 325
02
1 삼각형의 넓이

ABC A BC H
AH h B

⁄ B<90˘ ¤ B=90˘ ‹ B>90˘


⁄ A ⁄ A ⁄ A

c b b
h b h=c h
c

H B(H) H C
B C C B
a a
a

⁄ B<90˘ h=c sin B


¤ B=90˘ h=c=c sin B sin B=1

‹ B>90˘ h=c sin(180˘-B)=c sin B


⁄~‹ B h=c sin B ABC S

S=;2!;ah=;2!;ac sin B

S=;2!;ab sin C S=;2!;bc sin A

Example ABC a=3 b=4 C=30˘ S A


4
S=;2!;ab sin C=;2!;_3_4_sin 30˘
30˘
S=;2!;_3_4_;2!;=3 B
3
C

326 Ⅱ.
삼각형의 넓이

ABC S

S=;2!; ab sin C=;2!; bc sin A=;2!; ca sin B

Example ABC b=2'3 c=2 B=60˘ A

S 2 2'3

60˘
C B C
2'3 2
=
sin 60˘ sin C
sin 60˘
sin C= =;2!; C=30˘
'3
A+B+C=180˘ A
A=180˘-(B+C)=180˘-(60˘+30˘)=90˘

S=;2!; bc sin A S

S=;2!;_2'3_2_sin 90˘=2'3
08

2 삼각형의 넓이의 응용

1. 내접원과 외접원에서의 삼각형의 넓이


A

r c b
r r
ABC= IBC+ ICA+ IAB I
r
B C
ABC=;2!; ra+;2!; rb+;2!; rc a

ABC=;2!;r(a+b+c)

R A

c c
=2R sin C= ABC c
sin C 2R b
R
S
B
c abc
S=;2!; ab sin C=;2!; ab = a C
2R 4R

08 327
a b
= =2R a=2R sin A b=2R sin B
sin A sin B
S=2R¤ sin A sin B sin C

2. 사각형의 넓이

Example ABCD AB”=6 BC”=5 AD”=3 A 3


D
60˘
A=60˘ CBD=30˘ S
ABD C
6
BD” ¤ =AD” ¤ +AB” ¤ -2_AD”_AB”_cos A
30˘ 5
=3¤ +6¤ -2_3_6_cos 60˘
B
=27
BD”=3'3
ABCD S ABD BCD
S= ABD+ BCD

S={;2!;_3_6_sin 60˘}+{;2!;_3'3_5_sin 30˘}

9'3 15'3 33'3


S= + =
2 4 4

Example AB”=2 AD”=5 B=60˘ A 5


D
ABCD 2
60˘
B C

AD”=BC” BC”=5
ABCD S
S=2_5_sin 60˘
'3
S=10_ =5'3
2

328 Ⅱ.
평행사변형의 넓이

ABCD S ABC 2 A D

S=2_ ABC=2_;2!; xy sin h=xy sin h x

h
B C
y

PR QS x y A P D

h PQRS S PR x h
x
Q S
Q S QS P R y
h
ABCD PQRS C
B R
y
S ABCD ;2!;

S=;2!;_ ABCD= ABC=;2!; xy sin h

1 ABC

a=2'2 c=3 B=45˘ b=4 c=3 A=150˘ a=3 b=2'3 C=60˘ 08


2 ABC 10 2 ABC

3
ABCD AB”=2 BC”=3'2 45˘ ABCD
ABCD 6 10 30˘
ABCD

'2
풀이 1 ABC=;2!;_2'2_3_sin 45˘=;2!;_2'2_3_ =3
2

ABC=;2!;_4_3_sin 150˘=;2!;_4_3_;2!;=3
'3
ABC=;2!;_3_2'3_sin 60˘=;2!;_3_2'3_ =;2(;
2

2 a+b+c=10 2 ABC=;2!;_2(a+b+c)=;2!;_2_10=10

'2
3 ABCD=2_3'2_sin 45˘=2_3'2_
2
=6

ABCD=;2!;_6_10_sin 30˘=;2!;_6_10_;2!;=15

08 329
삼각형의 넓이

삼각형 ABC에서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6 a=8 b=6 c=4 ABC S

b=2 c=2'7 C=60˘ ABC S

접근 방법

sin h="√1-cos¤ h BC

삼각형 ABC의 넓이 S는 다음과 같다.

S=;2!; ab sin C=;2!; bc sin A=;2!; ca sin B

상세 풀이

a=8 b=6 c=4 A

b¤ +c¤ -a¤ 6¤ +4¤ -8¤ 4 6


cos A= = =-;4!;
2bc 2_6_4
B C
8
sin¤ A+cos¤ A=1 sin A>0
'1å5
sin A="√1-cos¤ A=æ≠1-{-;4!;}¤ =Æ…;1!6%; =
4
'1å5
S=;2!; bc sin A=;2!;_6_4_ =3'∂15
4

(2'7 )¤ =a¤ +2¤ -2_a_2_cos 60˘ 28=a¤ +4-2a A

a¤ -2a-24=0 (a+4)(a-6)=0 a=6 ( a>0) 2'7 2


60˘
S=;2!;ab sin C=;2!;_6_2_sin 60˘=3'3 B
a
C

정답 ⑴ 3'1å5 ⑵ 3'3

보충 설명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알 때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다른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헤론의 공식이 있습니다.
a+b+c
S="√s(s-a)(s-b)(s-√c) {단, s= }
2
삼각형 ABC에서 세 변의 길이가 ⑴`과 같이 a=8, b=6, c=4로 주어진 경우 삼각형의 넓이 S를 헤론의 공식
8+6+4
을 이용하여 구해 보면 s= =9이므로
2
S="√s(s-a)(s-b)(s-√c)="√9(9-8)(9-6)(9-√4)='ƒ9_1_3_5=3'∂15

330 Ⅱ.
p.155

06-1 삼각형 ABC에서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3 b=5 c=7 ABC S


BC”=2 A=30˘ B=45˘ ABC S

06-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2 ABC A=60˘ B=30˘


ABC
ABC a : b : c=3 : 4 : 5 2
ABC

08

06-3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5, AC”=6이고 A=60˘인 삼각형 A

ABC에서 두 선분 AB, AC 위에 각각 두 점 P, Q를 잡을 60˘


6
때, 선분 PQ에 의하여 삼각형 ABC의 넓이가 이등분된다고 5
P
Q
한다. 선분 PQ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B C

15'3
06-1 1+'3 06-2 2'3 ;2(5^; 06-3 '1å5
4

08 331
삼각형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넓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변의 길이가 3, 4, 5이고 A

07 C=90˘인 직각삼각형에 반원이 내접해 있다. 이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여라. 5
3

O
B C
4

접근 방법

삼각형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할 때에는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한다.

상세 풀이

O A A

ABC ABO ACO


5
ABC= ABO+ ACO r 3

ABC=;2!;_3_4=6 r r
B C
O
4
ABO=;2%; r ACO=;2#; r

;2%; r+;2#; r=6 r=;2#;

다른 풀이

3+4+5
ABC s= =6
2
ABC="√6_(6-3)_(6-4)√_(6-5)=6

;2%; r+;2#; r=6 r=;2#; 정답 ;2#;

보충 설명
반원의 중심 O에서 변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고 하면 A
AD”=AC”=3이므로 BD”=AB”-AD”=2이고
5
∠OBD=∠ABC, ∠BDO=∠BCA=90˘ 3
D
에서 △OBDª△ABC이므로

BD” : BC”=OD” : AC”, 2 : 4=OD” : 3 ∴ OD”=;2#; B


O
C
4
이와 같이 삼각형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직각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습니다.

332 Ⅱ.
p.156

07-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변의 길이가 5, 6, 7인 삼각형에 반원이 A


내접해 있다. 이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여라.
5 6

B C
O
7

07-2 직각삼각형 ABC의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3, 1일 때, 삼각형 ABC의 넓


이를 구하여라.

08

07-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서로 외접하는 세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A
각각 6, 7, 8일 때, 세 원의 중심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6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8
의 차를 구하여라. B C
7

12'6
07-1 07-2 7 07-3 :£8£:
11

08 333
08- 1 AB”=4 BC”=6 CA”=5 ABC A

sin A
4 5
sin C

B C
6

08- 2 ABC

sin A sin B sin C


= = cos C
2 3 4

6 sin A=2'3 sin B=3 sin C cos A

08- 3 4 ABC 12
sin A+sin B+sin C

08- 4 ABCD BC CD A D

M N MAN=h cos h-sin h h

B M C

08- 5 5m
A 5m A
8m B 60˘

60˘ 8m B

334 Ⅱ.
p.542 | p.157

08- 6 AB AB””=2 µ BP=;4“; P


p
AP” ¤ 4

A B
2 2'2 1+2'2 2

2+'2 2+2'2

08- 7 3 AB p O
1
OAB OB O C
3
C OAC
A B

08- 8 ABC

BC”=4 AC”=3 3 sin (A+B)sin C=1


A=30˘ AB”=4 BC 08

08- 9
1 ABCD
2 ABCD
A D
D
60˘
A
4 6 60˘
O
O 4
30˘ B C
B C

1 2

08- 10 2 ABC 3 ABC

08 335
08- 11 2 3

2 3 4
5 6

08- 12 ABC BC D A

2'2
BD”=2 CD”=1 AD”=2'2 ADC=45˘
ABC 45˘
B 2 D 1 C

08- 13 ABC

sin A=2 sin B cos C


a cos A=b cos B

08- 14 AB”=3 AC”=2 A=60˘ ABC A

A BC D 60˘
AD 3
2

B D C

08- 15 ABCD A

ABD=50˘ ADB=40˘ CBD=70˘


BD”=8'3 AC 50˘ 40˘
B D
70˘ 8'3

336 Ⅱ.
p.542 | p.162

08- 16 ABC A B A
45˘
D
BAC= ABD=45˘ C=60˘ AB”=4
4
AD
D
45˘
60˘
B C

08- 17 ABCD AD” BC” A 4 D

AB”=3 BC”=8 CD”=4 DA”=4 3 4

BD B C
8

08- 18 ABCD
3
A

AB”=3 AD”=8 A=60˘ BC” : CD”=1 : 2 60˘


B
BC 8

C 08
D

08- 19
3 5 7 h cos h

ABC a b c a¤ +b¤ =3c¤ cos C

08- 20 ABC
보기
cos(A+B)+cos C=0
a<b<c sin A<sin B<sin C
a<b<c cos A>cos B>cos C

08 337
08- 21 D C

AB”=4 BC”=3 BF”=2 A 3


4 B
AFC H 2
G
E
F

08- 22 ABC BC C B¡

BC”=CA”¡ A¡ A
B¡ C¡ A¡B¡C¡

ABC 3 A¡B¡C¡ B C

08- 23 ABC AB”=6 AC”=4 A

A=45˘ A BC D 45˘

ABD 6
4

18'2
3'2 4'2
5
B C
D
23'2
5'2
5

08- 24 A=120˘ AB”=5 AC”=3


5
A

ABC A BC D 120˘ 3

AD B D C

08- 25 AB”=3 BC”=4 ABC<90˘ 4 F


A
D
ABC AB BC 3
H C
DBAF BEGC B 4
D E DE
HIED G
E
I

338 Ⅱ.
p.542 | p.166

08- 26 AB”=AC” ABC A


P
A=120˘ BC”=8 AC 120˘

P BP” ¤ +CP” ¤
B C
8

08- 27 OA”=OB”=OC”=8 O

AOB= BOC= COA=40˘ A R


8
Q
OB OC P Q OA P
A C
R

challenge

08- 28 A=90˘ ABC A


AB
A 08
BC D BD”=4 DC”=6
AC 4
C
B D 6

challenge

08- 29 ABC 3 1
sin A+sin B+sin C
sin A sin B sin C

challenge

08- 30 BC”=5 CA”=4 C=60˘ ABC A

P AP”+BP”+CP”
4
P
60˘
B C
5

08 339
09
등차수열
01 등차수열 343

02 등차수열의 합 356

기본 다지기 372
실력 다지기 374
01 등차수열 01 350

02 352

03 354

02 등차수열의 합 04 362
n 05 364

06 366

07 368

08 370
09 | 등차수열

01 등차수열

1 수열

n n a« a«
{a«}

2 등차수열

d {a«} n d (n+1)
a«≠¡-a«=d n=1 2 3 y
a d a«
a«=a+(n-1)d n=1 2 3 y

3 등차중항
a b c b a c
a+c
b=
2

02 등차수열의 합

1 등차수열의 합
n S«
n(a+l)
a n l S«=
2
n{2a+(n-1)d}
a d S«=
2

2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


{a«} n S«
a¡=S¡
a«=S«-S«–¡ næ2

342 Ⅲ.
01
1 수열

1. 수열의 뜻

1 3 5 7 9 y
수열

a¡ a™ a£ y a« y
y n y
1 2 3 y n y

Example 1 3 5 7 9 y 3 5 5 9
09
2. 수열의 일반항
n n a« n 1 2 3 y
n a«
a« 일반항 a«
{a«}

n
;2!; ;3@; ;4#; ;5$; ;6%; y
Example
y n n n+1
n+1

n
a«=
n+1
a« 199
199 199
a¡ªª= =
199+1 200

09 343
Example {a«} a«=10« -1 n 1 2 3 4 y
a¡=10⁄ -1=9
a™=10¤ -1=99
a£=10‹ -1=999
a¢=10› -1=9999

{a«} 1 2 3 y a¡ a™ a£ y
{a«}

N R f
N R
f : N 1⁄ R 1 a¡

2 a™

3 a£
f(1) f(2) f(3) y f(n) y
n a«

f(n)=a«

f(1)=a¡ f(2)=a™ f(3)=a£ y f(n)=a« y


a« n f(n) n 1 2 3 y
{a«}

Example 1 3 5 7 9 y N R

f : N 1⁄ R f(n)=2n-1
f(1)=2_1-1 f(2)=2_2-1
f(3)=2_3-1 y
a« a«=2n-1

a« n
a« n

2 3 5 7 11 13 17 y
n n n

344 Ⅲ.
수열

1
2
3 n n a« a«
{a«}

2 등차수열

1. 등차수열의 뜻

1µ 3µ 5µ 7µ 9µ 11 y
+2 +2 +2 +2 +2

1 2
2
등차수열
공차 1 2 09
d {a«} n a« d (n+1) a«≠¡
Common difference d

a«≠¡=a«+d a«≠¡-a«=d n=1 2 3 y


{a«}

2. 등차수열의 일반항

a d {a«}
a¡ =a+ 0 _d
a¡=a a™ =a+ 1 _d
a™=a¡+d=a+d a£=a+ 2 _d
a£=a™+d=(a+d)+d=a+2d a¢=a+ 3 _d
a¢=a£+d=(a+2d)+d=a+3d
a «=a+(n-1)_d
a«=a«–¡+d={a+(n-2)d}+d=a+(n-1)d

09 345
a d a«
a«=a+(n-1)d (n=1 2 3 y)

Example 5 2 -1 -4 y 5 -3 a«
a«=5+(n-1)_(-3)=-3n+8

등차수열

1
2
3 d {a«} n d (n+1)
a«≠¡-a«=d n=1 2 3 y
4 a d a«
a«=a+(n-1)d n=1 2 3 y

a«=-3n+8 {a«} y=-3x+8


a¡ a™ a£ y y=-3x+8 x 1 2 3 y y
d {a«} d

n에 대한 일차식이 주어지면 등차수열의 일반항을 떠올리자!

a d 0 a«
a«=a+(n-1)d=dn+(a-d) n d {a«}

n
{a«} n
a«=pn+q p q n=1 2 3 y
a¡=p_1+q=p+q
a«≠¡=p(n+1)+q=pn+p+q

a«≠¡-a«=(pn+p+q)-(pn+q)=p p

{a«} p+q p a«
n 0

346 Ⅲ.
3 등차중항

a b c b a c 등차중항
b a c b-a=c-b
a+c
b= b a c
2

a+c
a b c b= a b c
2

Example 2 x 6 x 2 6
2+6
x= =4
2

{a«} a« a«≠¡ a«≠™


a«≠¡-a«=a«≠™-a«≠¡ (n=1 2 3 y) a™-a¡=a£-a™=a¢-a£=y=d d
09

2a«≠¡=a«+a«≠™ (n=1 2 3 y)

등차중항

a b c b a c
a+c
b=
2

n n+1 n+2 n-1 n n+1 1

a a+d a+2d a-d a a+d d

09 347
수열의 각 항의 역수로 이루진 수열이 등차수열을 이룰 때 ; 조화수열

1 ;3!; ;5!; ;7!; ;9!; y

1 3 5 7 9 y
1 2

[ a« ]
1
{a«}

{a«} a«+0

HjjK [ a« ]
1
{a«}

[ a« ]
1
{a«} d

1 1
a« = a¡ +(n-1)d

Example ;2!; ;5!; ;8!; ;1¡1; y 2 5 8 11 y

1
2 3 a«
1
a« =2+(n-1)_3=3n-1
1
a«=
3n-1

0 a b c b a c
1 1 1 1 1 1
a b c b a c
2 1 1 a+c
= a + c = ac
b
2ac
b= b a c
a+c

348 Ⅲ.
1 a« 4

1
a«=4n-1 a«=3« -1 a«= a«=(-1)«

2 a«

1 4 7 10 13 y 20 18 16 14 12 y

3 a«=4n-2

4 a b

3 a 15 b 21 a b 9

5 3x+2 4 6-x¤ x

6 -;5!; -;3!; -1 1 ;3!; ;5!; y a«

풀이 1 a¡=4_1-1=3, a™=4_2-1=7, a£=4_3-1=11, a¢=4_4-1=15


a¡=3⁄ -1=2, a™=3¤ -1=8, a£=3‹ -1=26, a¢=3› -1=80

a¡= 13 =1 a™= 13 =;4!; a£= 13 =;9!; a¢= 13 =;1¡6;


1

1

1

1
4¤ 09
a¡=(-1)⁄ =-1 a™=(-1)¤ =1 a£=(-1)‹ =-1 a¢=(-1)› =1

2 1 3 a«=1+(n-1)_3=3n-2
20 -2 a«=20+(n-1)_(-2)=-2n+22

3 n a«≠¡-a«={4(n+1)-2}-(4n-2)=4
이 수열은 공차가 4인 등차수열

3+15
4 a 3 15 a=
2
=9

a+b 9+b
15 a b 15= = b=21
2 2
d 9 4
9=21+(4-1)d=21+3d 3d=-12 d=-4
a=21-4=17 b=a-4=17-4=13

5 4 3x+2 6-x¤
(3x+2)+(6-x¤ )
4= -x¤ +3x=0 -x(x-3)=0 x=3 x>0
2

6 -5 -3 -1 1 3 5 y -5 2
1 1
a« =-5+(n-1)_2=2n-7 a«=
2n-7

09 349
등차수열의 항 구하기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1 7
5
70
10
10
68
61
15

접근 방법

a d a d a d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일반항 a«은


a«=a+(n-1)d

상세 풀이

d a« a«=5+(n-1)d
a¡º=68
5+9d=68 9d=63 d=7
a«=5+(n-1)_7=7n-2
a¡∞=7_15-2=103
a d a« a«=a+(n-1)d
a¶=70 a+6d=70 yy
a¡º=61 a+9d=61 yy
a=88 d=-3
a«=88+(n-1)_(-3)=-3n+91
a«<0

-3n+91<0 -3n<-91 n>:ª3¡:=30.33y

a«<0 n 31 31

정답 ⑴ 103 ⑵ 제`31항

보충 설명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에서
⁄ a<0, d>0일 때, 처음으로 양수가 되는 항은 a«>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을 구합니다.
¤ a>0, d<0일 때,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a«<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을 구합니다.

350 Ⅲ.
p.172

01-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2 8 10 24 20
-2005 4

01-2 등차수열 {a«}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5, a¡º=-11 a«=-31 n


a£=11, a§ : a¡º=5 : 8 a™º
a¡+a¶+a¡£=12, a∞+a¡º+a¡∞=21 a¶+a¡º
a∞+a¶=12 a£+a§+aª

09

01-3 공차가 4인 등차수열 {a«}에 대하여 a™£=23일 때, |a«|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자


연수 n의 값을 구하여라.

01-1 44 503 01-2 20 62 11 18


01-3 17

09 351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가 있다. 세 수의 합이 12이고 곱이 28일 때, 이 세 수의

02 제곱의 합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 a+d, a+2d a-d, a, a+d


3a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
∆ a-d, a, a+d 또는 a, a+d, a+2d

상세 풀이

a-d a a+d
12
(a-d)+a+(a+d)=12
3a=12 a=4
28
(a-d)_a_(a+d)=28 yy
a=4 (4-d)_4_(4+d)=28
16-d¤ =7 d¤ =9
d=—3 d=3 1 4 7 d=-3 7 4 1

1 4 7
1¤ +4¤ +7¤ =1+16+49=66

정답 66

보충 설명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의 합에 대한 조건이 주어진 문제에서는 세 수를
a-d, a, a+d
라고 하는 것이 편리한 것처럼 등차수열을 이루는 네 수의 합에 대한 조건이 주어진 문제에서는 네 수를
a, a+d, a+2d, a+3d라고 하는 것보다는
a-3d, a-d, a+d, a+3d
라고 하는 것이 계산이 편리합니다.
마찬가지로 등차수열을 이루는 다섯 개의 수의 합에 대한 조건이 주어진 문제에서는 다섯 개의 수를
a, a+d, a+2d, a+3d, a+4d라고 하는 것보다는
a-2d, a-d, a, a+d, a+2d
라고 하는 것이 계산이 편리합니다.

352 Ⅲ.
p.173

02-1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가 있다. 세 수의 합이 15이고 곱이 105일 때, 이 세 수의 제곱의


합을 구하여라.

02-2 삼차방정식 x‹ -15x¤ +kx-75=0의 세 실근이 등차수열을 이룰 때, 상수 k의 값은?

61 63 65
67 69

09

02-3 등차수열을 이루는 네 수가 있다. 네 수의 합이 28이고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의 곱은


나머지 두 수의 곱보다 32만큼 작을 때, 이 네 수 중 가장 큰 수를 구하여라.

02-1 83 02-2 02-3 13

09 353
조화수열

두 수 ;1¡5;과 ;3!; 사이에 세 개의 수 a, b, c를 넣어서 만든 수열 ;1¡5;, a, b, c, ;3!;

03 이 이 순서대로 조화수열을 이룰 때, a+b+c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5 15
5 3

수열 {a«}이 조화수열 HjK 수열 [ ]이 등차수열


1

상세 풀이

;1¡5; a b c ;3!;

15 ;a!; ;b!; ;c!; 3

d 15, 5 3
15+4d=3 4d=-12 d=-3

15 ;a!; ;b!; ;c!; 3 15 -3

;a!;=12 ;b!;=9 ;c!;=6

a=;1¡2; b=;9!; c=;6!;

a+b+c=;1¡2;+;9!;+;6!;=;3!6#;

정답 ;3!6#;

보충 설명
위의 문제를 등차중항을 이용하여 풀 수도 있습니다.

주어진 수열의 역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등차수열이므로 등차수열 15, ;a!;, ;b!;, ;c!;, 3에서

∴ b=;9!;
15+3
;b!;`은 15와 3의 등차중항이므로 ;b!;= =9
2

∴ a=;1¡2;
15+9
;a!;`은 15와 9의 등차중항이므로 ;a!;= =12
2

∴ c=;6!;
9+3
;c!;`은 9와 3의 등차중항이므로 ;c!;= =6
2

354 Ⅲ.
p.173

03-1 두 수 ;1¡7;과 ;5!; 사이에 세 개의 수 x, y, z를 넣어서 만든 수열 ;1¡7;, x, y, z, ;5!; 이 이 순

서대로 조화수열을 이룰 때, x, y, z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03-2 두 수 a, b의 등차중항이 10이고 조화중항이 5일 때, a¤ +b¤ 의 값을 구하여라.

수열 {a«}에서 a¡=3, a™=2이고 114 = 1


09
a«5 + 114 (n=1, 2, 3, y)이 성립할 때,
2 1 1
03-3 a«≠¡ a«≠™
a¡¡의 값은?

;6!; ;4!; ;3!;

;2!; ;4#;

03-1 x=;1¡4; y=;1¡1; z=;8!; 03-2 300

03-3

09 355
02
1 등차수열의 합

{a«} n S«
S«=a¡+a™+a£+y+a« S« Sum

1. 첫째항과 제`n항을 알고 있을 때
1 100 1 1
100

1 100 S¡ºº
S¡ºº=1+2+3+y+98+99+100 yy

S¡ºº=100+99+98+y+3+2+1 yy

2S¡ºº=101+101+101+y+101+101+101 1+100=2+99=3+98=y=100+1=101
(
|
|
|
{
|
|
|
9

100

100_(1+100) 100_101
S¡ºº= =
2 2
S¡ºº=50_101=5050

a n l d {a«} n S«

S«=a+(a+d)+(a+2d)+y+(l-2d)+(l-d)+l yy

S«=l+(l-d)+(l-2d)+y+(a+2d)+(a+d)+a yy

356 Ⅲ.
+ S«= a +(a+d)+(a+2d)+y+(l-2d)+(l-d)+ l

+>≥ S«= l +(l-≥d)+(l-2d)+y≥+(a+2d)+(a+≥d)+ a


2S«=(a+l)+(a+l) + (a+l) +y+ (a+l) +(a+l)+(a+l)

(
|
|
|
|
|
{
|
|
|
|
|
|
9
n

( a l a+l )
| |
a+d l-d a+l
a+2d l-2d a+l
n { }n
| |
l-2d a+2d a+l
l-d a+d a+l
9 l a a+l 0
˙k

˙k

˙k
S« S« 2S«

2S«=n(a+l)
n(a+l)
S«= yy
2

{a«} a¡+a«=a™+a«–¡=a£+a«–™=y n

n(a¡+a«) n(a™+a«–¡) n(a£+a«–™)
09
S«= = = =y
2 2 2

Example -2 10 34 10 S¡º
10 (-2+34)
S¡º= =160
2

2. 첫째항과 공차를 알고 있을 때
l a d n
l=a+(n-1)d

n{a+a+(n-1)d} n{2a+(n-1)d}
S«= =
2 2

09 357
Example 11 -3 20 S™º
20 {2_11+(20-1)_(-3)}
S™º= =-350
2

등차수열의 합

n S«
n(a+l)
1 a n l S«=
2
n{2a+(n-1)d}
2 a d S«=
2

a 0 n S«
S«=a+a+a+y+a=an
n
a d(d+0) {a«} n S«
n {2a+(n-1)d} d 2a-d
S«= = n¤ +{ }n n
2 2 2

;2!; n

2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

{a«} n S«
S¡=a¡ a¡=S¡
S™=a¡+a™=S¡+a™ a™=S™-S¡
S£=a¡+a™+a£=S™+a£ a£=S£-S™
S¢=a¡+a™+a£+a¢=S£+a¢ a¢=S¢-S£

S«=a¡+a™+a£+y+a«–¡+a«=S«–¡+a« a«=S«-S«–¡ (næ2)


S« a«

a«=S«-S«–¡ n=1 a¡=S¡-Sº S«


n Sº 0 0
Sº a«=S«-S«–¡ n=1

358 Ⅲ.
S« a«=S«-S«–¡
næ2 n=1 a¡=S¡

{a«} n S«
a¡=S¡ S« n 1 a¡ S«
a«=S«-S«–¡ (næ2) a¡+a™+a£+y+a«–¡+a«
S«–¡

Example {a«} {b«} n A« B«


a« b«
A«=n¤ yy
B«=n¤ +1 yy
næ2 A«-A«–¡ B«-B«–¡

A«-A«–¡=n¤ -(n-1)¤ =2n-1 yy

B«-B«–¡=n¤ +1-{(n-1)¤ +1}=2n-1 yy

a«=A«-A«–¡=2n-1 (næ2) b«=B«-B«–¡=2n-1 (næ2)


09
{a«} A«=n¤ a¡=A¡=1¤ =1 n=1
2_1-1=1 {b«} B«=n¤ +1
b¡=B¡=1¤ +1=2 n=1 2_1-1=1
{a«} a«
a«=2n-1
{b«} b«
b¡=2 b«=2n-1 (næ2)

{a«} 1 3 5 7 9 y
{b«} 2 3 5 7 9 y

Example a« n=1
a«=S«-S«–¡ (næ2)
a« n=1 S¡

09 359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

{a«} n S« S«
a¡=S¡ a¡+a™+a£+y+a«–¡+a«
a«=S«-S«–¡ næ2 S«–¡

상수항이 없는 n에 대한 이차식이 주어지면 등차수열의 합을 떠올리자!

{a«} n S«
S«=an¤ +bn+c a b c

a«=S«-S«–¡
=an¤ +bn+c-{a(n-1)¤ +b(n-1)+c}
=2an-a+b (næ2) yy
n 2a {a«} (næ2)

S«=an¤ +bn+c a¡=S¡=a+b+c n=1


2a_1-a+b=a+b c=0
S« n S« 0 S¡ a«=S«-S«–¡ n=1
{a«} S« 0
{a«}
{a«} n S« S«=an¤ +bn+c a b c

c=0 0 {a«}
c+0 0 {a«}

Example Example A«=n¤ B«=n¤ +1 {a«} n


A« 0 {a«} {b«}
n B« 0 {b«}

{a«} n S«
S«=an¤ +bn a b
0 a+0 S« n

360 Ⅲ.
1
2+5+8+y+20 33+28+23+y+(-12)

2 15

1 3 5 7 9 y -2 -4 -6 -8 -10 y

3 {a«} n S« a«

S«=4n S«=2n¤

풀이 1 a« n S«
{a«} 2 3
a«=2+(n-1)_3=3n-1
n 20
3n-1=20 3n=21 n=7
7
7(2+20) 7_22
S¶= = =77
2 2
{a«} 33 -5
a«=33+(n-1)_(-5)=-5n+38
n -12
09
-5n+38=-12 -5n=-50 n=10
10
10 {33+(-12)} 10_21
S¡º= = =105
2 2

2 n S«
1 2
15 {2_1+(15-1)_2} 15_30
S¡∞= = =225
2 2
-2 -2
15{2_(-2)+(15-1)_(-2)} 15_(-32)
S¡∞= = =-240
2 2

3 næ2 a«=S«-S«–¡=4n-4(n-1)=4 yy
n=1 a¡=S¡=4_1=4
a¡=4 n=1 a«
a«=4
næ2 a«=S«-S«–¡=2n¤ -2(n-1)¤ =4n-2 yy
n=1 a¡=S¡=2_1¤ =2
a¡=2 n=1 a«
a«=4n-2

09 361
등차수열의 합

제`3항이 7, 제`6항이 13인 등차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20항까지의 합을 구하

04 여라.

접근 방법

a d {a«} a«=a+(n-1)d a£=7 a§=13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은

⑴ 첫째항 a와 제`n항 l이 주어질 때, S«= 11114


n(a+l)
2

⑵ 첫째항 a와 공차 d가 주어질 때, S«= 11111111


n{2a+(n-1)d}
2

상세 풀이

{a«} a d
a£=a+2d=7 yy
a§=a+5d=13 yy
-
3d=6 d=2
d=2 a=3
{a«} 3 2 20
20 {2_3+(20-1)_2}
=440
2

정답 440

보충 설명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은
n {2a+(n-1)d}
= n¤ +{a- } n
d d
S«=
2 2 2
d d
이므로 A= , B=a- 로 놓으면
2 2
S«=An¤ +Bn
꼴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d+0이면 A+0이므로 공차가 0이 아닌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은 상수항이 없는 n에
대한 이차식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62 Ⅲ.
p.174

04-1 제`4항이 14, 제`7항이 23인 등차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20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04-2 첫째항이 50, 제`n항이 -10인 등차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 420일 때,
a£º의 값은?

-31 -33 -35


-37 -39

09

04-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00 3 1

100 200 8

04-1 670 04-2 04-3 1717 1776

09 363
등차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5 {a«} n S« S«=2n¤ -3n a«

{a«} n S« S«=n¤ +n+1 a«

접근 방법

{a«} n S« a«
a¡=S¡, a«=S«-S«–¡ (næ2)
a¡=S¡ a« (næ2) n=1 a«=S«-S«–¡
a« n=1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하면


a¡=S¡, a«=S«-S«–¡ (næ2)

상세 풀이

næ2
a«=S«-S«–¡=2n¤ -3n-{2(n-1)¤ -3(n-1)}=4n-5 yy
n=1 a¡=S¡=2_1¤ -3_1=-1
n=1 4_1-5=-1

a«=4n-5
næ2
a«=S«-S«–¡=n¤ +n+1-{(n-1)¤ +(n-1)+1}=2n yy
n=1 a¡=S¡=1¤ +1+1=3
n=1 2_1=2+3

a¡=3 a«=2n (næ2)

정답 ⑴ a«=4n-5 ⑵ a¡=3, a«=2n (næ2)

보충 설명

야 합니다. 다음 단원인 10 등비수열, 11 합의 기호 ¡와 여러 가지 수열에서도 자주 이용되는 것이므로 확실하게


위의 문제를 풀 때에는 S«-S«–¡을 이용하여 찾은 일반항 a«이 n=1인 경우에도 성립하는지를 반드시 확인해

정리해 둡시다.
또한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S«=an¤ +bn+c (a, b, c는 상수)일 때
⁄ c=0이면 수열 {a«}은 첫째항부터 등차수열을 이룹니다.
¤ c+0이면 수열 {a«}은 둘째항부터 등차수열을 이룹니다.

364 Ⅲ.
p.175

05-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n S« S«=3n¤ +2n a«

{a«} n S« S«=2n¤ -n-1 a«

05-2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S«=n¤ +2n일 때, a¡+a£+a∞+y+aªª


의 값은?

4040 5050 6060


7070 8080

09

05-3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 각각


n¤ +kn, 2n¤ -3n
인 두 수열 {a«}, {b«}의 제`10항이 같을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05-1 a«=6n-1 a¡=0 a«=4n-3 (næ2)


05-2 05-3 16

09 365
등차수열의 합의 최대, 최소

첫째항이 50, 공차가 -4인 등차수열 {a«}에서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

06 이라고 할 때, S«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0 <0 S«

⑴ a˚>0, a˚≠¡<0이면 n=k일 때 최대


등차수열 {a«}의 합의 최대, 최소 ∆
⑵ a˚<0, a˚≠¡>0이면 n=k일 때 최소

상세 풀이

50 -4 a«
a«=50+(n-1)_(-4)=-4n+54
a«<0

-4n+54<0 -4n<-54 n>:∞4¢:=13.5

{a«} 13 14 13

13 {2_50+(13-1)_(-4)}
S¡£= =338
2
다른 풀이

50 -4
n{2_50+(n-1)_(-4)}
S«=
2
S«=-2n¤ +52n=-2(n-13)¤ +338
n=13 S« 338

정답 338

보충 설명
등차수열의 합의 최대, 최소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⑴ 첫째항이 양수, 공차가 음수인 등차수열에서 합의 최댓값은 첫째항부터 양수인 항까지의 합을 구합니다.
⑵ 첫째항이 음수, 공차가 양수인 등차수열에서 합의 최솟값은 첫째항부터 음수인 항까지의 합을 구합니다.
또한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을 n에 대한 이차식으로 나타낸 후, 완전제곱식 꼴로 고쳐 S«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366 Ⅲ.
p.175

06-1 첫째항이 -11, 공차가 2인 등차수열 {a«}에서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S«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06-2 제`7항이 2, 제`10항이 -7인 등차수열 {a«}에서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S«의 최댓값은?

71 73 75
77 79

09

06-3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S«=2n¤ -39n
일 때, |a¡|+|a™|+|a£|+y+|a™º|의 값을 구하여라.

06-1 -36 06-2 06-3 400

09 367
부분의 합이 주어진 등차수열의 합

등차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S¡º=10,

07 S™º=50이다. S£º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d {a«} 2
a¡+a™ a£+a¢ a∞+a§ y
a¡+a¡+d a¡+2d+a¡+3d a¡+4d+a¡+5d
=2a¡+d =2a¡+5d =2a¡+9d 4d
4d

등차수열 {a«}에서 차례대로 같은 개수만큼 합하여 만든 수열도 등차수열이다.

상세 풀이

{a«} 10 S30
S20
S10
A=a¡+a™+y+a¡º
B=a¡¡+a¡™+y+a™º
A B C
C=a™¡+a™™+y+a£º
A B C 10 40 70

S¡º=10 S™º=50
A=S¡º=10 B=S™º-S¡º=50-10=40
B-A=40-10=30 C=B+30=40+30=70
S£º=A+B+C=10+40+70=120
다른 풀이

{a«} a d
10 {2a+(10-1)d}
S¡º=10 =10 2a+9d=2 yy
2
20 {2a+(20-1)d}
S™º=50 =50 2a+19d=5 yy
2

a=-;2¶0; d=;1£0;

30[2_{-;2¶0;}+(30-1)_;1£0;]
S£º= 11111111111111 =120
2

정답 120

368 Ⅲ.
p.176

07-1 등차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S∞=140, S¡º=480이


다. S¡∞의 값을 구하여라.

07-2 등차수열 {a«}에 대하여 첫째항부터 제`5항까지의 합이 70, 제`6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이


290일 때, 제`11항부터 제`25항까지의 합은?

600 620 640


660 680

09

07-3 첫째항이 0이 아닌 등차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자


연수 k에 대하여 S£˚=9S˚가 성립한다. S∞˚는 S˚의 몇 배인지 구하여라.

07-1 1020 07-2 07-3 25

09 369
두 수 사이에 수를 넣어서 만든 등차수열

다음과 같이 1과 5 사이에 각각 10개, 20개의 수를 넣어서 만든 두 수열

08 1, a¡, a™, a£, y, a¡º, 5


1, b¡, b™, b£, y, b™º, 5

가 모두 등차수열을 이룰 때, 1111 의 값을 구하여라.


b™º-b¡¡
a¡º-a¡

접근 방법

1 5 {a«} {b«} a˚ b˚
k+1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 ∆ a«≠¡-a«=d`(n=1, 2, 3, y)

상세 풀이

1 a¡ a™ a£ y a¡º 5 p 1 12 5
4
1+(12-1)p=5 11p=4 p=
11
a¡º a¡ 11 2
4 36
a¡º-a¡=(1+10p)-(1+p)=9p=9_ =
11 11
1 b¡ b™, b£ y b™º 5 q 1 22 5
4
1+(22-1)q=5 21q=4 q=
21
b™º b¡¡ 21 12
4 12
b™º-b¡¡=(1+20q)-(1+11q)=9q=9_ =
21 7

;;¡7™;;
= 124 =
b™º-b¡¡ 11
a¡º-a¡ 21
;1#1^;

정답 ;2!1!;

보충 설명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에서 이웃하는 두 항 사이의 차가 d로 항상 일정하므로 다음이 성립합니다.
a™-a¡=a£-a™=a¢-a£=y=d
a£-a¡=a¢-a™=a∞-a£=y=2d
a¢-a¡=a∞-a™=a§-a£=y=3d

370 Ⅲ.
p.178

08-1 다음과 같이 1과 10 사이에 각각 15개, 30개의 수를 넣어서 만든 두 수열


1, a¡, a™, a£, y, a¡∞, 10
1, b¡, b™, b£, y, b£º, 10

이 모두 등차수열을 이룰 때, 1111 의 값을 구하여라.


b£º-b¡§
a¡∞-a¡

08-2 -5와 20 사이에 n개의 수 a¡, a™, a£, y, a«을 넣어서 등차수열
-5, a¡, a™, a£, y, a«, 20
을 만들었다. 이 수열의 모든 항의 합이 120일 때, n의 값을 구하여라.

09

08-3 4와 20 사이에 m개, 20과 52 사이에 n개의 수를 넣어서 등차수열


4, a¡, a™, y, aµ, 20, b¡, b™, y, b«, 52
를 만들었을 때, m, n 사이의 관계식은?

n=2m-1 n=2m+1 n=2m+3


n=3m n=3m+1

08-1 ;3!1^; 08-2 14 08-3

09 371
09- 1 {a«} {b«}
{a«} : 6 4 2 0 y {b«} : 8 7 6 5 y
a˚=3b˚ k

09- 2 d¡(d¡+0) a¡ a™ a£ a¢ y
a¡+a™ a£+a¢ a∞+a§ a¶+a• y
a¡+a™+a£ a¢+a∞+a§ a¶+a•+aª y
d™ d£

2d™=3d£ 3d™=2d£ 5d™=2d£


7d™=3d£ 9d™=4d£

09- 3

09- 4 4 109 k 4 y 109


(
\
{
\
9

k+2 k
1 k

09- 5 -2 25 n d -2 a¡ a™ y a« 25
115 d+n

372 Ⅲ.
p.542 | p.179

09- 6 7 36+37+y+42 6
a¡+a™+y+a§ a¡<a™<y<a§

09- 7 a¡ a™ a£ y a™¡ S
T S:T

11 : 10 10 : 11 21 : 20
20 : 21 11 : 21

09- 8 a¡ a™ a£ y aªª 100 a¡+a™+a£+y+aªª

09

09- 9 {a«}
a™+a¢+a§+y+a™«=2n¤ +n n=1 2 3 y
a¡+a™+a£+y+a™º

09- 10 6
3 7
6

11

09 373
09- 11 2 {a«} 114423
2a¢+2a§
2a¡+2a£
=N log¢ N

2 3 4
5 6

09- 12 {a«} {b«}


{a«} :1 5 9 13 y 149 {b«} :6 11 16 21 y 151

243 324 405


486 567

09- 13 0 a b c b c a
b c a
+ +
a b c

-:¡4∞: -;2#; 3

5 :¡2∞:

09- 14 2 100 10 S
S a¡ a™ a£ y a∞º

192 196 200


204 208

09- 15 {a«} {b«} n A« B«


A« : B«=(3n+6) : (7n+2)
a¶: b¶

9 : 17 15 : 31 17 : 9
31 : 15 49 : 50

374 Ⅲ.
p.543 | p.182

09- 16 d¡ d™ {a«} {b«} n S« T«


S«T«=n¤ (n+1)(2n+3) d¡d™

09- 17 3 {a«} n 3 (n+1)


2n

09- 18 a b c a b c b¤ c¤ a¤
a+b+c 0<a<10

09- 19 a 2 {a«} n S«
09
S∞º<10000
a a

09- 20 a d {a«} a£º

a™+a¢+a§=102
a«>100 n 14

09 375
09- 21 a¡>0 {a«} n S« S¢º=S™º
S« n

09- 22 1 d n S«
næ3 S«=94 d

09- 23 20 n‹ n‹
20 n

09- 24 1 2 3 4 5 y
100001
1 4 7 10 13 y
1 6 11 16 21 y

09- 25 1650

120

;7!;

376 Ⅲ.
p.543 | p.186

09- 26 y

y=x y=a(x-1) a>1 y=a(x-1)

y 14
3


y=x
42 14

O
x

challenge

09- 27 ABC C C

AB D
CAD CDB CAB
tan B A B
D

challenge

09- 28 A B C D y

E
AB” BC” BC” CD” CD” DE”
B
09
E A C
O x
AO OC EA
AB
O OA” OB” D

challenge

09- 29 C

AC”=15 BC”=20 C=90˘


Q3
ABC AB 25 Q2
Q23
P¡ P™ y P™¢ AB Q1 Q24
A B
AC BC Q¡ Q™ P1P2 P3 P23 P24

y Q™¢
P¡ÚQ¡”+P™ÚQ™”+P£ÚQ£”+y+P™¢”Q™¢”

09 377
10
등비수열
01 등비수열 381

02 등비수열의 합 390

기본 다지기 406
실력 다지기 408
01 등비수열 01 384

02 386

03 388

02 등비수열의 합 04 396

n 05 398

06 400

07 402

08 404
10 | 등비수열

01 등비수열

1 등비수열

r {a«} n r (n+1)

a«≠¡
a«≠¡=ra« a« =r (n=1 2 3 y)
a r a«
a«=ar n-1
(n=1 2 3 y)

2 등비중항
0 a b c b a c
b¤ =ac

02 등비수열의 합

1 등비수열의 합
a r n S«
r+1
a(1-r« ) a(r« -1)
S«= =
1-r r-1
r=1
S«=na

2 원리합계
a r n S«
S«=a(1+rn)
S«=a(1+r)«

380 Ⅲ.
01
1 등비수열

1. 등비수열의 뜻

1 2 4 8 16 32 y
_2 _2 _2 _2 _2

1 2 ;1@;=;2$;=;4*;=y

2
등비수열
공비 1 2
r {a«} n a« r ( n+1) a«≠¡
common ratio r

a«≠¡
a«≠¡=ra« a« =r ( n=1 2 3 y)

{a«} r
10
2. 등비수열의 일반항

a r {a«}
a¡=ar‚
a¡ =ar‚
a™=a¡r=ar⁄
a ™ =ar ⁄
a£=a™r=(ar)r=ar¤
a£=ar ¤
a¢=a£r=(ar¤ )r=ar‹
a¢=ar ‹

a«=a«–¡r=(ar n-2)r=ar n-1


a « =ar « —⁄
a r a«
a«=ar n-1 (n=1 2 3 y)

10 381
Example 12 6 3 ;2#; y 12 ;2!; a«

a«=12_{;2!;}
n-1

1 -2 4 -8 y 1 -2 a«
n-1
a«=1_(-2)

등비수열

1
2
3 r {a«} n r (n+1)
a«≠¡
a«≠¡=ra« a« =r n=1 2 3 y

4 a r a«
a«=ar n-1 n=1 2 3 y

a 1 a a a a y a 0
geometric sequence

2 등비중항

0 a b c b a c 등비중항

b a c ;aB;=;bC;

b¤ =ac b¤ =ac b=—'∂ac

0 a b c b¤ =ac

b='∂ac b a c a b c

Example 3 x 12 x 3 12
x¤ =3_12=36
x=-6 x=6

382 Ⅲ.
{a«} a« a«≠¡ a«≠™
a«≠¡ a«≠™ a™ a£ a¢
a« = a«≠¡ (n=1 2 3 y) a¡ = a™ = a£ =y=r r

a«≠¡¤ =a«a«≠™ (n=1 2 3 y)

등비중항

0 a b c b a c
b¤ =ac

a ar ar¤ ;rA; a ar

r a

1 a«
10
;4!; 1 4 16 y 27 -9 3 -1 y

2 a b

64 a 16 b ;2!; a b 500

풀이 1 ;4!; 4 a«=;4!;_4n-1=4n-2
n-1
27 -;3!; a«=27_{-;3!;}

2 a 64 16 a¤ =64_16=1024 a=—32
16 a b 16¤ =a_b=—32b b=—8 (복부호동순)

r 500 4 500=;2!; r‹ r‹ =1000 r=10 r

a=;2!;_10=5 b=a_10=5_10=50

10 383
등비수열의 항 구하기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1 {a«} a£=24 a§=-192

{a«} a¡+a™+a£=3 a¢+a∞+a§=18


a¢+a§
a¡+a£

접근 방법

a r a«
«–¡
a«=ar

첫째항과 공비를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식으로 나타낸다.

상세 풀이

a r
a£=24 ar¤ =24 yy
a§=-192 arfi =-192 yy
÷ r‹ =-8 r=-2 r
r=-2
4a=24 a=6
a+r=6+(-2)=4
r
a¡+a™+a£=3 a¡+a¡r+a¡r¤ =3 a¡(1+r+r¤ )=3 yy
a¢+a∞+a§=18 a¡r‹ +a¡r› +a¡rfi =18 a¡r‹ (1+r+r¤ )=18 yy
÷ r‹ =6
a¢+a§ a¡r‹ +a¡rfi a¡r‹ (1+r¤ )
= = =r‹ =6
a¡+a£ a¡+a¡r¤ a¡(1+r¤ )

정답 ⑴4 ⑵6

보충 설명
등차수열 문제에서 첫째항과 공차를 이용하여 관계식을 세웠던 것처럼 등비수열 문제 역시 첫째항과 공비를 이
용하는 것이 가장 기본입니다. 특히, 등차수열 문제에서는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얻은 등식을 변끼리 빼서 접
근했다면 등비수열 문제에서는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얻은 등식을 변끼리 나누어서 접근한다는 점을 꼭 기억
해 둡시다.

384 Ⅲ.
p.191

01-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4 -12 36 -108 y -972


{a«} a¢=54 a§=486

2 6 5 48 1536

{a«} a¡+a™+a£+a¢=4 a∞+a§+a¶+a•=32


a∞+a•
a¡+a¢

01-2 제`m항이 n, 제`n항이 m인 등비수열에서 제`(2m-n)항은? (단, m>n)

12

m¤ n m¤ -n
m

124
2m
2m-n
n

10

01-3 두 등비수열 {a«}, {b«}에 대하여 aªb¡™=10, a¡§b™º=20이 성립할 때, a™b¢의 값은?

2 2'2 4
5 4'2

01-1 6 5 10 8 01-2
01-3

10 385
등비중항

두 양수 p, q 사이에 두 양수 x, y를 넣었더니 네 개의 양수 p, x, y, q가 이 순

02 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룬다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x y p q
p=8 q=27 x y

접근 방법

0 a b c b a c

0이 아닌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면


b¤ =ac

상세 풀이

x p y x¤ =py yy
y x q y¤ =xq yy

x› =p¤ y¤ =p¤ (xq) x‹ =p¤ q x=p;3@;q;3!; yy

y= 1 x¤
1
p

y= 1 (p;3@;q;3!;)¤ =p;3!;q;3@;
1
p
p=8 q=27
x=8;3@; _27 ;3!;=(2‹ );3@;_(3‹ );3!;
x=2¤ _3=12
y=8;3!; _27 ;3@;=(2‹ );3!;_(3‹ );3@;
y=2_3¤ =18

정답 ⑴ x=p;3@;q;3!;, y=p;3!;q;3@; ⑵ x=12, y=18

보충 설명
⑴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① 등차수열을 이루면 2b=a+c b a c
② 등비수열을 이루면 b¤ =ac b a c
⑵ 수열 {a«}이
① 등차수열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2a«≠¡=a«+a«≠™ (n=1, 2, 3, y)
② 등비수열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a«≠¡¤ =a«a«≠™ (n=1, 2, 3, y)

386 Ⅲ.
p.192

02-1 두 양수 p, q 사이에 세 양수 x, y, z를 넣었더니 다섯 개의 양수 p, x, y, z, q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룬다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x y z p q
p=16 q=81 x y z

02-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x 5 1 y 5
x¤ +y¤
10 a b c 90
10 d e f 90 b+e

10

02-3 서로 다른 세 수 4, p, q에 대하여 4, p, q는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고, p, q, 4 는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룬다고 할 때, pq의 값을 구하여라.

02-1 x=p;4#; q;4!; y=p;2!; q;2!; z=p;4!; q;4#; x=24 y=36 z=54
02-2 14 80 02-3 -2

10 387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수

삼차방정식 x‹ -px¤ +156x-216=0의 세 근이 등비수열을 이룰 때, 상수 p의

03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 r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수 ∆ a, ar, ar¤

상세 풀이

a ar ar¤
a+ar+ar¤ =p yy
a_ar+ar_ar¤ +ar¤ _a=156 yy
a_ar_ar¤ =216 yy
(ar)‹ =216 ar=6 yy
ar(a+ar+ar¤ )=156
6p=156 p=26

정답 26

보충 설명
⑴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를 a-d, a, a+d라고 하면 그 합이 3a가 되어 a의 값을 쉽게 구할 수 있었던 것

처럼,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수를 ;rA;, a, ar라고 하면 그 곱이 a‹ 이 되어 a의 값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하

지만 세 수의 곱이 주어지는 문제가 많지 않으므로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수에 대한 문제는 보통 a, ar, ar¤


이라 하고 풉니다.
⑵ 삼차방정식 ax‹ +bx¤ +cx+d=0의 세 근을 a, b, c라고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c=-;aB;, ab+bc+ca=;aC;, abc=-;aD;

388 Ⅲ.
p.193

03-1 삼차방정식 x‹ -px¤ +105x-125=0의 세 근이 등비수열을 이룰 때, 상수 p의 값을 구하


여라.

03-2 두 곡선 y=x‹ +8, y=kx¤ +6x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고, 교점의 x좌표가 등비수열
을 이룰 때, 실수 k의 값은?

-3 -1 0
1 3

10

03-3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실수의 합이 7이고 곱이 8일 때, 이 세 실수의 제곱의 합을 구하


여라.

03-1 21 03-2 03-3 21

10 389
02
1 등비수열의 합

a r {a«} n S«
S«=a+ar+ar¤ +y+ar n-2
+ar n-1
yy
r
rS«=ar+ar¤ +ar‹ +y+ar n-1+ar n yy

-> rS«=a+ar+ar¤ +y+ar n-1


-> ≥ rS«=a ar≥+ar¤ ≥+y+ar n-1+ar n
(1-r)S«=a -ar n
(1-r)S«=a(1-r n)
r+1
a(1-r« )
S«= yy
1-r
r=1
S«=a+a+a+y+a=na
(
M
M
{
M
M
9

a(r« -1)
-1 S«=
r-1

a(1-r« ) a(r« -1)


r<1 S«= r>1 S«=
1-r r-1

Example 2 ;2!; 10 S¡º

2[1-{;2!;}⁄ ‚ ]
=4[1-{;2!;}⁄ ‚ ]=
1023
S¡º=
256
1-;2!;

390 Ⅲ.
4 2 5 S∞
4(2fi -1)
S∞= =124
2-1

등비수열의 합

a r {a«} n S«
a(1-r« ) a(r« -1)
1 r+1 S«=
1-r
=
r-1
2 r=1 S«=na

1000 1 1000
1000 1
2 원리합계 1% 1000 1 1000_(1+0.01)=1010
1 1010

10
10000 10 %

1 10000 10 %=1000 10000 +1000 =11000


2 10000 10 %=1000 11000 +1000 =12000
3 10000 10 %=1000 12000 +1000 =13000

1 10000 10 %=1000 10000 +1000 =11000


2 11000 10 %=1100 11000 +1100 =12100
3 12100 10 %=1210 12100 +1210 =13310

10 391
1

1. 단리법을 이용한 원리합계의 계산


a r n
n S« 1 ar 1
S¡=a+ar=a(1+r)
1 1 ar 2
S™=a+ar+ar=a+2ar=a(1+2r)

n ar n arn
n S«
S«=a+ar+ar+ar+y+ar=a+arn=a(1+rn) {S«} ar
(
M
M
{
M
M
9

Example 100 4% 10
1 2 3 10
100 ⁄ 100(1+0.04) ⁄ 100(1+0.04_2) ⁄ 100(1+0.04_3) ⁄ y ⁄ 100(1+0.04_10)
=140
10 140

2. 복리법을 이용한 원리합계의 계산


a r n

n S« 1 ar 1
S¡=a+ar=a(1+r) 1

392 Ⅲ.
2 1 a(1+r) ar(1+r)

S™=a(1+r)+ar(1+r)=a(1+r)(1+r)=a(1+r)¤

n S«
S«=a(1+r)(1+r)(1+r)y(1+r)=a(1+r)« {S«} (1+r)
(
M
M
{
M
M
9
n

Example 100 4% 10
1 2 3 10
100 ⁄ 100(1+0.04) ⁄ 100(1+0.04)¤ ⁄ 100(1+0.04)‹ ⁄ y ⁄ 100(1+0.04)10
?148
10 148
Example 8

원리합계

a r n S«
1 S«=a(1+rn)
2 S«=a(1+r)«
10

r 1 a n

1 a n a« 2
a n a«–¡
n a n a¡
n S«
S«=a¡+a™+y+a«–¡+a«

10 393
1 2 3 (n-1) n (n+1) (n )

3-1=2 (n+1)-1=n

2 n-2 n-1 n
a a(1+r) a(1+r) a(1+r) a(1+r) a(1+r) =an

a a(1+r) a(1+r)
n-3
a(1+r)
n-2
a(1+r)
n-1
=an-1

a a(1+r)
n-4
a(1+r)
n-3
a(1+r)
n-2
=an-2

2
a a(1+r) a(1+r) =a™

a a(1+r) =a¡

r 1 a n

S«=a(1+r)+a(1+r)¤ +y+a(1+r)n-1+a(1+r)n

a(1+r) 1+r n

a(1+r){(1+r)« -1} a(1+r){(1+r)« -1}
S«= =
(1+r)-1 r

1 2
a n

r 1 a n

a {(1+r)« -1}
S«= a 1+r n
r

a r n
n

394 Ⅲ.
1
64+32+16+y+1
1+3+9+y+243

2 n S«

1 -2 4 -8 16 y

3 1 ;3!; ;9!; ;2¡7; y

3 100 10 % 5
1.1fi =1.6

풀이 1 a«
n-1
{a«} 64 ;2!; a«=64_{;2!;}
n-1 n-1 6
64_{;2!;} =1 {;2!;} =;6¡4;={;2!;}
1 n n=7
10
64[1-{;2!;} ]

64+32+16+y+1= =127
1-;2!;

{a«} 1 3 a«=1_3n-1=3n-1

243 n 3n-1=243=3fi n=6


1(3fl -1)
1+3+9+y+243= =364
3-1

2 1 -2
1{1-(-2)« } 1-(-2)«
S«= =
1-(-2) 3

3 ;3!;

3[1-{;3!;} ]
«
=;2(;[1-{;3!;} ]
«
S«=
1-;3!;

3 100(1+0.1_5)=100_1.5=150(만 원)
100(1+0.1)fi =100_1.1fi =100_1.6=160(만 원)

10 395
등비수열의 합

공비가 양수인 등비수열 {a«}에 대하여 제`2항과 제`4항의 합이 10이고, 제`4항과

04 제`6항의 합이 40일 때,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은

S«= 11113 = 11113 (단, r+1)


a(1-r« ) a(r« -1)
1-r r-1

상세 풀이

{a«} a r
a™+a¢=ar+ar‹ =ar(1+r¤ )=10 yy
a¢+a§=ar‹ +arfi =ar‹ (1+r¤ )=40 yy
÷
r¤ =4 r=2 r>0
r=2 10a=10 a=1
1 2 {a«} 10

11112 =2⁄ ‚ -1=1023


1(2⁄ ‚ -1)
2-1

정답 1023

보충 설명
첫째항, 공차, 항의 개수를 이용하였던 등차수열의 합의 공식과 마찬가지로 등비수열의 합의 공식 역시
첫째항, 공비, 항의 개수
를 이용합니다.
특히, 다음 두 등비수열의 합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등비수열의 합의 공식에서 n은 끝항의 지수를 의미하는 것
이 아니라 수열의 항의 개수를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합니다.
«–¡ n-1
«–¡ ;2!;[1-{;2!;} ]
⑴ ;2!;+{;2!;}¤ +{;2!;}‹ +y+{;2!;} = 1211111
1-;2!;
« n
«–¡ 1[1-{;2!;} ]
⑵ 1+;2!;+{;2!;} +y+{;2!;} = 1211122
¤
1-;2!;

396 Ⅲ.
p.193

04-1 공비가 양수인 등비수열 {a«}에 대하여 제`2항과 제`4항의 합이 30이고, 제`4항과 제`6항의
합이 270일 때,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04-2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 S«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3 2 {a«} S«=189 n
a¡='3 -1 a™=3-'3 {a«} S•
{a«} S™=10 S¢=2570

10

04-3 등비수열 {a«}에 대하여 첫째항과 제`4항의 합이 27이고, 첫째항부터 제`4항까지의 합이


45일 때, a¡+a™의 값을 구하여라.

04-1 ;2!;(3⁄ ‚ -1) 04-2 6 80 16 04-3 9 36

10 397
부분의 합이 주어진 등비수열의 합

등비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S¡º=10,

05 S™º=30이다. S£º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09 등차수열 07
r {a«} 2

a¡r¤ +a¡r‹ =(a¡+a¡r)r¤


a¡+a™ a£+a¢ a∞+a§ y
a¡+a¡r a¡r› +a¡rfi =(a¡+a¡r)r›

등비수열 {a«}에서 차례대로 같은 개수만큼 묶어서 만든 수열도 등비수열이다.

상세 풀이

{a«} 10 S£º
S™º
S¡º
A=a¡+a™+y+a¡º
B=a¡¡+a¡™+y+a™º A B C

C=a™¡+a™™+y+a£º
10 20 40
A B C
S¡º=10 S™º=30
A=S¡º=10 B=S™º-S¡º=30-10=20

;aB;=;1@0);=2 C=20_2=40

S£º=A+B+C=10+20+40=70
다른 풀이

{a«} a r
a(1-r⁄ ‚ )
S¡º=10 =10 yy
1-r
a(1-r¤ ‚ ) a(1-r⁄ ‚ )(1+r⁄ ‚ )
S™º=30 = =30 yy
1-r 1-r
÷ 1+r⁄ ‚ =3 r⁄ ‚ =2
a(1-r‹ ‚ ) a(1-r⁄ ‚ )(1+r⁄ ‚ +r¤ ‚ )
S£º= =
1-r 1-r
a(1-r⁄ ‚ )
S£º= _(1+r⁄ ‚ +r¤ ‚ )=10(1+2+4)=70 정답 70
1-r

398 Ⅲ.
p.194

05-1 등비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S∞=5, S¡º=20이다.


S™º의 값을 구하여라.

05-2 등비수열 {a«}에 대하여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 36이고, 제`(n+1)항부터 제`2n항


까지의 합이 144일 때, 제`(2n+1)항부터 제`3n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10
05-3 첫째항이 a, 공비가 r 인 등비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하자.
자연수 k에 대하여 S™˚=4S˚가 성립할 때, S¢˚는 S˚의 몇 배인가? (단, a+0, r+1)

8 16 24
32 40

05-1 200 05-2 576 05-3

10 399
등비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06 S«=2_3« +k
일 때, 수열 {a«}이 첫째항부터 등비수열을 이루도록 하는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 n S« a«
a¡=S¡ a«=S«-S«–¡ (næ2)
a¡=S¡ a«=S«-S«–¡ n=1
a«=S«-S«–¡ a« n=1

수열 {a«}에서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하면


a¡=S¡, a«=S«-S«–¡ (næ2)

상세 풀이

næ2
«–¡
a«=S«-S«–¡=2_3« +k-(2_3 +k)
«–¡ «–¡ «–¡
=2_3« -2_3 =2_3 (3-1)=4_3 yy
n=1 a¡=S¡=2_3+k=6+k yy
{a«}
n=1
4_3‚ =4_1=4
4=6+k k=-2
정답 -2

보충 설명
첫째항이 a, 공비가 r (r+1)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은
a(r« -1) a a
S«= = _r« -
r-1 r-1 r-1
이므로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S«=Ar« -A {단, A= }
a
0
r-1
따라서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S«=Ar« +B (r+1)
꼴일 때, A+B=0이면 수열 {a«}은 첫째항부터 등비수열을 이룹니다.
하지만 자주 출제되는 유형은 아니므로 결과를 외우기보다는 위의 상세 풀이 와 같이 푸는 것이 좋습니다.

400 Ⅲ.
p.195

06-1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
S«=3 -3
일 때, 수열 {a«}이 첫째항부터 등비수열을 이루도록 하는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06-2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log(S«+1)=n
을 만족시킬 때, 수열 {a«}의 일반항은 a«=p_qn-1이다. 자연수 p, q에 대하여 p+q의
값은?

11 13 15
17 19

10

06-3 등비수열 {a«}에 대하여


n`¤ +2n
a¡a™a£ya«=2
이 성립할 때, 수열 {a«}의 첫째항과 공비의 합을 구하여라.

06-1 1 06-2 06-3 12

10 40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사이의 관계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7 1
{b«}
2 {a«} {b«} b«=2a«

1 4 {a«} {b«} b«=log™ a«


{b«}

접근 방법

{a«} {b«}

⑴ 수열 {a«}이 등차수열이면 a«=pn+q


⑵ 수열 {b«}이 등비수열이면 b«=pq«–¡

상세 풀이

{a«} 1 2
a«=1+(n-1)_2=2n-1
2
™«–¡
b«=2a«=2
«–¡
=2_22(n-1)=2_4
{b«} 2 4
{a«} 1 4
«–¡ «–¡
a«=1_4 =4
2
«–¡
b«=log™ a«=log™ 4
=(n-1)log™ 4=(n-1)_2
b«=2n-2
{b«} 0 2

정답 ⑴ 첫째항이 2, 공비가 4인 등비수열 ⑵ 첫째항이 0, 공차가 2인 등차수열

보충 설명
등차수열의 일반항은 n에 대한 일차식이고, 등비수열의 일반항은 공비의 지수가 n에 대한 일차식이므로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양수 a에 대하여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⑴ 수열 {b«}이 등차수열이면 수열 {a b«}은 등비수열이다.
⑵ 수열 {b«}이 등비수열이면 수열 {logå b«}은 등차수열이다. (단, a+1)

402 Ⅲ.
p.196

07-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2 {a«} {b«} b«=3 a«


{b«}

1 ;2!; {a«} {b«} b«=log a«

{b«}

07-2 공비가 1이 아닌 등비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보기>와


같이 정의된 세 수열 {b«}, {c«}, {d«}에서 등비수열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단, n은 자연수이다.)
보기
b«=a∞«

d«=S∞¿«≠¡Æ-S∞«
c«=a«≠¡-a«

10

07-3 첫째항이 1, 공비가 3인 등비수열 {a«}의 항 중에서 5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4가 되


는 수들을 차례대로 나열하여 만든 수열을 {b«}이라고 할 때,
log£ b¡+log£ b™+y+log£ b™º의 값을 구하여라.

07-1 3 ;9!; 0 log ;2!;

07-2 07-3 800

10 403
원리합계

월이율 1 %, 1개월마다 복리로 매월 초에 5만 원씩 적립할 때, 3년 후 월말의 적립

08 금의 원리합계를 구하여라.
(단, 1.01‹ fl =1.43으로 계산하고, 만 원 미만은 버린다.)

접근 방법

a r n
n

마지막에 적립한 금액에 이자가 붙는지 안 붙는지에 유의한다.

상세 풀이

5 3 36

1 2 3 36 36 37
3-1=2
5 5_1.01 5_1.012 5_1.0135 5_1.0136 37-1=36

34 35
5 5_1.01 5_1.01 5_1.01

5 5_1.0133 5_1.0134

5_1.01 5_1.012

5 5_1.01

36 S
S=5(1+0.01)+5(1+0.01)¤ +y+5(1+0.01)‹ fi +5(1+0.01)‹ fl
=5_1.01+5_1.01¤ +y+5_1.01‹ fi +5_1.01‹ fl
5_1.01 1.01 36
5_1.01(1.01‹ fl -1) 5_1.01(1.43-1)
S= = =217.15
1.01-1 0.01
3 217

정답 217만 원

보충 설명
복리법에 의한 원리합계는 위와 같이 그림을 그려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상용로그의 활용에서 배운 일정
한 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실생활 문제와 마찬가지로 복리로 월이율이 1 %라는 것은 매월 원금과 이자의
합계인 원리합계가 1+0.01=1.01배씩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04 Ⅲ.
p.197

08-1 2020년부터 매년 10만 원씩 연이율 5 %, 1년마다 복리로 다음과 같이 적립할 때, 2031년


말의 적립금의 원리합계를 구하여라. (단, 1.05⁄ ¤ =1.8로 계산한다.)

08-2 매월 초에 a만 원씩 월이율 1 %, 1개월마다 복리로 5년 동안 적립하여 5년 후 월말의 원리


합계가 404만 원이 되도록 하려고 할 때, a의 값을 구하여라. (단, 1.01fl ‚ =1.8로 계산한다.)

10
08-3 준이는 1010만 원짜리 자동차를 사기 위해 매월 납입금은 10만 원이고, 월이율 1 %로
1개월마다 복리로 계산되는 적금에 가입하려고 한다. 적금은 마지막 납입금을 낸 때부터
1개월 후에 지급받을 수 있을 때, 준이는 처음 납입금을 낸 때부터 몇 개월 후에 자동차를
살 수 있는지 구하여라. (단, log 2=0.3010, log 1.01=0.0043으로 계산하고, 자동차
의 가격은 변동이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08-1 168 160 08-2 5


08-3 70

10 405
10- 1 {a«}
a¡=1 a«≠¡‹ =9a«‹ (n=1 2 3 y)
a¡º

3‹ 3fl 3·
3⁄ ¤ 3⁄ fi

10- 2 1 4 4 x¡ x™ x£ x¢ 1 x¡ x™ x£ x¢ 4
x¡x™x£x¢

'2 2 4
16 64

10- 3 {a«}
a£a¢a∞=2 a•aªa¡º=4
12 a¡a™a£ya¡™

10- 4 {a«} -2 r {b«}


a¡=b£ a™=b¡ a£=b™
a∞-b∞ r+1

10- 5 1 2 {a«} {b«} b«=a™«¤ {b«}


b r b r b+r

406 Ⅲ.
p.543 | p.199

10- 6 {a«} {3a«-a«≠¡} 10 -2


{a«}

10- 7 x¤ -2x+k=0 a b
a
b
a+b ab

k ab+0

10- 8 '3 -1 3-'3 3'3 -3 y 4


x¤ -3x-k=0 k

10- 9 1 3 {a«} n S«
10
{S«+p} p

10- 10
9 99 999 y 999y9 y 10
(
{
9

n
5 55 555 y 555y5 y n
(
{
9

10 407
10- 11 {a«} 5 :£2¡: 32

1 1 1 1 1
a¡ + a™ + a£ + a¢ + a∞

:£4¡: :£8¡: ;1#2!;

;3•1; ;3¢1;

10- 12 '2 {a«} n S«


a¡º-aª S∞-S£
+ a¡+0
S¡º-S• a∞-a¢

2'2 3 4
4'2 6

10- 13 x‹ +2x¤ +ax+1 x x-1 x+2


a

-10 -8 -6
-4 -2

10- 14 x⁄ ‚ +x· +x° +y+x+1 x-1 f(x) f(x)


x-2

2⁄ ‚ -10 2⁄ ‚ -11 2⁄ ⁄ -10


2⁄ ⁄ -11 2⁄ ⁄ -12

10- 15 A=2⁄ ‚ B=3⁄ ‚ 6⁄ ‚ A B

(2A-1)(3B+1) (2A+1)(3B-1) (3A+1)(2B-1)

;2!;(2A-1)(3B-1) ;2!;(3A+1)(2B+1)

408 Ⅲ.
p.543 | p.202

10- 16 10⁄ ‚ 8 32

4(5⁄ ‚ -1) 5(5⁄ ‚ -1) 2(5⁄ ⁄ -1)


4(5⁄ ⁄ -1) 6(5⁄ ⁄ -1)

10- 17 a b c

a+b+c=;2&; abc=1

a¤ +b¤ +c¤

10- 18 {a«} 1 {b«}


a¡+a•=8 b™b¶=12 a¢=b¢ a∞=b∞

10- 19 a b c d e 1 a b
10
c d e b n n

e="çcd ;eA;=;dC; a<b

10- 20 15 20 20

A B C C
A

15 B

10 409
10- 21 {a«} a£=3 a∞=9 a«>10⁄ ‚ n
log 3=0.4771

10- 22 3 {a«}
a¡+a£+a∞+y+a™«–¡=2› ‚ -1 a£+a∞+a¶+y+a™«≠¡=242-4
n

10- 23 1 r (r+1) {a«} P(n)


P(n)=a™_a¢_a§_y_a™« (n=1 2 3 y)
P(50)
aπ=P(6)P(8) aœ= p q
P(49)
p+q

10- 24 x¤ -;2!; ax+1=0 a b (a<b) x¤ -;2!; bx+2=0

p q (p<q) a p b q a b
a¤ +b¤

challenge

10- 25 A B C A+B+C
[x] x

[log A]+[log B]+[log C]=0


A B C

410 Ⅲ.
p.543 | p.206

10- 26 A(2 0) x
y=8≈ y=a≈ y=log™ x
P Q R AP AQ AR
a› 2<a<8

10- 27 64 112
c
a b c
b

10- 28 l m 10
l

2 5 10 10π
p

challenge

10- 29 4 ABC A
D
10
r DEF E
4 H
BC GEC EG”=GH” r
G
H DG GEC AGH
B F
DEF r E C

challenge

10- 30 A B C 3å 9∫ 27ç
a b c
a b c 3å 9∫ 27ç
A B C tÅ tı tÇ
tÅ+tı+tÇ

10 411
11
합의 기호 ; 와 여러 가지 수열
01 합의 기호 ; 415

02 여러 가지 수열 434

기본 다지기 454
실력 다지기 456
¡
¡ ¡

01 합의 기호 ; 01 ¡ 426
; 02 428

03 430

04 432

02 여러 가지 수열 05 442
n 06 444

07 _ 446

08 448

09 450

10 452
11 | 합의 기호 ; 와 여러 가지 수열

01 합의 기호 ;

1 합의 기호 ; 의뜻
{a«} n a¡+a™+a£+y+a« ;

a¡+a™+a£+y+a«= ¡ a˚
n

2 ;
k=1

의 성질
{a«} {b«} c

¡ (a˚+b˚)= ¡ a˚+ ¡ b˚ ¡ (a˚-b˚)= ¡ a˚- ¡ b˚


n n n n n n

¡ ca˚=c ¡ a˚ ¡ c=cn
k=1 k=1 k=1 k=1 k=1 k=1

n n n

k=1 k=1 k=1

3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 k= ¡ k¤ = ¡ k‹ =[
n(n+1) n(n+1)(2n+1) n(n+1) ¤
]
n n n

k=1 2 k=1 6 k=1 2

02 여러 가지 수열

1 분수 꼴로 주어진 수열의 합

{ - }
1 1 1 1
=
AB B-A A B

¡ =¡{ -
1
}
n n
1 1
k=1 k(k+1) k=1 k k+1

¡ ¡{
1
}
n
1 n
1 1
= - a+b
k=1 (k+a)(k+b) b-a k=1 k+a k+b

2 분모에 근호가 포함된 수열의 합

¡ = ¡ ('ƒk+1-'k)
n 1 n

k=1 'ƒk+1+'k k=1

¡ = ¡ ('ƒk+d-'k)
n 1 1 n
d+0
k=1 'ƒk+d+'k d k=1

414 Ⅲ.
01 ;

1 합의 기호 ; 의뜻
{a«} n a¡+a™+a£+y+a« ;

a¡+a™+a£+y+a«=;Kn+! a˚ ; sum S

;Kn+! a˚
sigma

a˚ k 1 2 3 y n a¡ a™ a£ y a«

; k

¤e
q2∞ ¡ a˚ ¤
n
k
;
n

F ø
k=1
z 1
f
z22 a˚

Example 1 3 5 y 29 ; 11
{a«} 1 2

¡
a«=1+(n-1)_2=2n-1
1 29 15

1+3+5+y+29= ¡ (2k-1)
15

k=1

¡ (2k-1)=1+3+5+y+29
15

k=1

k=1 k=2 k=3 y k=15

11 ; 415
Example 2 4 8 y 1024 ;
{a«} 2 2
n-1 n

¡
a«=2_2 =2 2 1024 10

2+4+8+y+1024= ¡ 2k
10

k=1

Example ¡

¡ (3k-1)=(3_1-1)+(3_2-1)+(3_3-1)+y+(3_8-1)
8

k=1

(3k-1)=2+5+8+y+23

¡ (-1)˚ k=(-1)⁄ _1+(-1)¤ _2+(-1)‹ _3+(-1)› _4+(-1)fi _5


5

k=1

(-1)˚ k=-1+2-3+4-5

¡ a˚ ¡ a‘ ¡ aµ
n n n
k i m
k=1 i=1 m=1

¡ a˚= ¡ a‘= ¡ aµ=a¡+a™+a£+y+a«


n n n

;
k=1 i=1 m=1

{a«} m n

aµ+aµ≠¡+aµ≠™+y+a«= ¡ a˚ (m…n)
n
fie

q∞ ¡ a˚ ¤
k=m n
n

¡ a˚=aµ+aµ≠¡+aµ≠™+y+a«
F
k=m
n ø
z2 m
F
z212 a˚
a˚= ¡ a˚- ¡ a˚
k=m

n m-1

k=1 k=1

3_5+5_7+7_9+y+21_23= ¡ (2k+1)(2k+3)= ¡ (2i+1)(2i+3)


10 10
Example

3_5+5_7+7_9+y+21_23= ¡ (2k-1)(2k+1)= ¡ (2m-1)(2m+1)


k=1 i=1

11 11

;
k=2 m=2

{3n-1} 10 20

¡ (3k-1)
20

k=10

¡ (3k-1)= ¡ (3k-1)- ¡ (3k-1)


20 20 9

k=10 k=1 k=1

416 Ⅲ.
; 09 등차수열 10 등비수열
S« {a«} n S«

S«=a¡+a™+a£+y+a«= ¡ a˚
n

k=1


a¡=S¡ a«=S«-S«–¡ (næ2)

¡ a˚ ¡ a˚
n n

k=1 k=1

¡ (2k-1)
15
2n-1 15
k=1

S« {a«} n ;

¡ a˚
n
{a«} m n
k=m

a¢+a∞+a§+y+a¡•= ¡ a˚= ¡ a˚- ¡ a˚=S¡•-S£


18 18 3

;
k=4 k=1 k=1

합의 기호 ; ``의 뜻
11
{a«} n a¡+a™+a£+y+a« ;
¡ a˚
n

k=1
z2
ø

a¡+a™+a£+y+a«= ¡ a˚
n
n
¤
ø
k=1

z2

; ¡ a˚
n
m n a˚
k=m

¡ (2k-1)=1+3+5+y+19= ¡ (2k-3)= ¡ (2k-7)


10 11 13

k=1 k=2 k=4

11 ; 417
2 ; 의 성질
; ;

¡ (a˚+b˚)= ¡ a˚+ ¡ b˚
n n n

k=1 k=1 k=1

¡ (a˚+b˚)=(a¡+b¡)+(a™+b™)+(a£+b£)+y+(a«+b«)
n
Proof
k=1

(a˚+b˚)=(a¡+a™+a£+y+a«)+(b¡+b™+b£+y+b«)

(a˚+b˚)= ¡ a˚+ ¡ b˚
n n

k=1 k=1

¡ (a˚-b˚)= ¡ a˚- ¡ b˚
n n n

k=1 k=1 k=1

¡ (a˚-b˚)=(a¡-b¡)+(a™-b™)+(a£-b£)+y+(a«-b«)
n
Proof
k=1

(a˚-b˚)=(a¡+a™+a£+y+a«)-(b¡+b™+b£+y+b«)

(a˚-b˚)= ¡ a˚- ¡ b˚
n n

k=1 k=1

¡ ca˚=c ¡ a˚
n n
c
k=1 k=1

¡ ca˚=ca¡+ca™+ca£+y+ca«
n
Proof

ca˚=c(a¡+a™+a£+y+a«)=c ¡ a˚
k=1
n

k=1

¡ c=cn
n
c
k=1

¡ c=c+c+c+y+c=cn
n
Proof
k=1
(
|
{
|
9

; ``의 성질

{a«} {b«} c

¡ (a˚+b˚)= ¡ a˚+ ¡ b˚ ¡ (a˚-b˚)= ¡ a˚- ¡ b˚


n n n n n n
1 k=1 2 k=1

¡ ca˚=c ¡ a˚ ¡ c=cn
k=1 k=1 k=1 k=1

n n n
3 k=1 k=1
4 k=1

418 Ⅲ.
¡ a˚=5 ¡ b˚=2
n n
Example

¡ (3a˚-4b˚)= ¡ 3a˚- ¡ 4b˚=3 ¡ a˚-4 ¡ b˚


k=1 k=1

n n n n n

¡ (pa˚+qb˚)=p ¡ a˚+q ¡ b˚
k=1 k=1 k=1 k=1 k=1
n n n
(3a˚-4b˚)=3_5-4_2=7

¡ 2=2_10=20
k=1 k=1 k=1

10 p q
k=1

; 의 성질은 곱셈이나 나눗셈에 대해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 a˚b˚+ ¡ a˚ ¡ b˚ ¡ a˚¤ +{ ¡ a˚}¤


n n n n n

¡ a˚ ¡1
k=1 k=1 k=1 k=1 k=1

¡ ¡
n n

¡ b˚ ¡ a˚
n
a˚ n
1
+ n + n
k=1 k=1

k=1 b˚ k=1 a˚
k=1 k=1

¡ k(k+1)=1_2+2_3=8
2
Example

k(k+1)+ ¡ k ¡ (k+1)=(1+2)_(2+3)=15
k=1
2 2

¡
k=1 k=1

k
=;2!;+;3@;=;6&;
2

k=1 k+1

¡k
2

¡ (k+1)
1+2
2+3 =;5#;
k=1
+ =
2

k=1
11

3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a« n ;

{a«} a«=n‹ +2n¤ -n n


;

¡ a˚= ¡ (k‹ +2k¤ -k)= ¡ k‹ +2 ¡ k¤ - ¡ k


n n n n n

k=1 k=1 k=1 k=1 k=1

11 ; 419
¡ a˚
n

k=1

¡k ¡ k¤ ¡ k‹
n n n

k=1 k=1 k=1

¡ k=1+2+3+y+n=
n n(n+1)
k=1 2

¡ k=1+2+3+y+n
n
Proof 1 1 n
k=1

¡ k=1+2+3+y+n=
n n(n+1) n(a+l)
S«=
k=1 2 2

Example 1 2 {a«} n
1+3+5+y+(2n-1)

n {1+(2n-1)}
=n¤
2
a«=2n-1 ;

¡ a˚= ¡ (2k-1)=2 ¡ k- ¡ 1
n n n n

k=1 k=1 k=1 k=1

n(n+1)
=2_ -1_n=n¤
2
;

¡ k¤ =1¤ +2¤ +3¤ +y+n¤ =


n n(n+1)(2n+1)
k=1 6

Proof (k+1)‹ -k‹ =3k¤ +3k+1 k=1 2 3 y n

2‹ -1‹ =3_1¤ +3_1+1


3‹ -2‹ =3_2¤ +3_2+1
4‹ -3‹ =3_3¤ +3_3+1

(n+1)‹ -n‹ =3_n¤ +3_n+1

420 Ⅲ.
n

(n+1)‹ -1‹ =3 ¡ k¤ +3 ¡ k+ ¡ 1
n n n

k=1 k=1 k=1

(n+1)‹ -1‹ =3 ¡ k¤ +3_ ¡ k= ¡ 1=n


n n(n+1) n n(n+1) n
+n
k=1 2 k=1 2 k=1

3 ¡ k¤ =(n+1)‹ -1‹ -
n 3n(n+1) n(n+1)(2n+1)
-n=
k=1 2 2

¡ k¤ =
n n(n+1)(2n+1)
k=1 6

¡ k(k+1)= ¡ (k¤ +k)= ¡ k¤ + ¡ k


n n n n
Example
k=1 k=1 k=1 k=1

n(n+1)(2n+1) n(n+1) n(n+1){(2n+1)+3}


k(k+1)= + =
6 2 6
n(n+1)(2n+4) n(n+1)(n+2)
k(k+1)= =
6 3

¡ k‹ =1‹ +2‹ +3‹ +y+n‹ =[


n(n+1) ¤
]
n

k=1 2

Proof (k+1)› -k› =4k‹ +6k¤ +4k+1 k=1 2 3 y n

k=1 2› -1› =4_1‹ +6_1¤ +4_1+1


k=2 3› -2› =4_2‹ +6_2¤ +4_2+1
k=3 4› -3› =4_3‹ +6_3¤ +4_3+1
11

k=n (n+1)› -n› =4_n‹ +6_n¤ +4_n+1


n

(n+1)› -1› =4 ¡ k‹ +6 ¡ k¤ +4 ¡ k+ ¡ 1
n n n n

k=1 k=1 k=1 k=1

(n+1)› -1› =4 ¡ k‹ +6_


n n(n+1)(2n+1) n(n+1)
+4_ +n
6 2
¡ k¤ = ¡ k= ¡ 1=n
k=1
n n(n+1)(2n+1) n n(n+1) n

6 2

4 ¡ k‹ =(n+1)› -1› -n(n+1)(2n+1)-2n(n+1)-n


k=1 k=1 k=1

k=1

4 k‹ ={n(n+1)}¤

¡ k‹ =[
n(n+1) ¤
]
n

k=1 2

11 ; 421
¡ (k+k¤ +k‹ )= ¡ k+ ¡ k¤ + ¡ k‹
10 10 10 10
Example
k=1 k=1 k=1 k=1

10_11 10_11_21 10_11 ¤


(k+k¤ -k‹ )= + +{ }
2 6 2
10_11 10_11
(k+k¤ -k‹ )= {1+:™3¡:+ }
2 2
(k+k¤ -k‹ )=55_63=3465

1¤ +2¤ +3¤ +y+10¤ = ¡ k¤


10

k=1

10_11_21
1¤ +2¤ +3¤ +y+10¤ = =385
6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 k=1+2+3+y+n=
n n(n+1)
1 k=1 2

¡ k¤ =1¤ +2¤ +3¤ +y+n¤ =


n n(n+1)(2n+1)
2 k=1 6

¡ k‹ =1‹ +2‹ +3‹ +y+n‹ =[


n(n+1) ¤
]
n
3 k=1 2

¡ k= ¡ (2k-1)=n¤ ¡ k(k+1)=
n-1 n(n-1) n n n(n+1)(n+2)
k=1 2 k=1 k=1 3

1 n

1
n+
2

n+1 n
n n

¡ k¤ + ¡ k¤ + ¡ k¤ =n(n+1){n+;2!;}=
n n n n(n+1)(2n+1)
k=1 k=1 k=1 2

¡ k¤ =
n n(n+1)(2n+1)
k=1 6

422 Ⅲ.
1 n

n(n+1)
1+2+…+n=
2

¡ k‹ =[
n(n+1) ¤
]
n

k=1 2

; 의 변형

¡ a˚
n
k

;
k=1

¡ a˚= ¡ a˚- ¡ a˚ ¡ k¤ = ¡ k¤ -1¤


n n m-1 5 5
m…n
k=m k=1 k=1 k=2 k=1

¡ a˚= ¡ a˚+ ¡ a˚= ¡ a˚- ¡ a˚


n m n l l
m<n<l

¡ k¤ = ¡ k¤ + ¡ k¤ = ¡ k¤ - ¡ k¤
k=1 k=1 k=m+1 k=1 k=n+1
10 6 10 12 12

k=1 k=1 k=7 k=1 k=11 11

¡ a˚≠¡= ¡ a˚-a¡ ¡ (k+1)‹ = ¡ k‹ -1‹


n n+1 n n+1

k=1 k=1 k=1 k=1

계차수열

1 3 6 10 15 21 y

2 1

11 ; 423
1 3 6 10 15 21 y
2 3 4 5 6 y
21 21 7 28
{a«} {b«}
b«=a«≠¡-a« (n=1 2 3 y)
{b«} {a«} b« a« a«≠¡

{a«} {b«}
a™=a¡+b¡ a™-a¡=b¡

a£=a™+b™=a¡+(b¡+b™) a£-a™=b™

a¢=a£+b£=a¡+(b¡+b™+b£) a¢-a£=b£

a«=a«–¡+b«–¡=a¡+(b¡+b™+y+b«–¡) a«-a«–¡=b«–¡

{a«}

a«=a¡+ ¡ b˚ ( ¡ b˚ ¡ b˚
n-1
n=2 3 4 y)
n n-1

k=1 k=1 k=1

Example 1 {a«} {b«} 2 3 4 5 y {a«}

{b«} 2 1
b«=2+(n-1)_1=n+1
{a«}

a«=a¡+ ¡ b˚=1+ ¡ (k+1)


n-1 n-1

k=1 k=1

n(n-1) n(n+1)
a«=1+ +(n-1)=
2 2
1 {a«} {b«} 1 2 4 8 y {a«}

{b«} 1 2
n-1 n-1
b«=1_2 =2
{a«}

a«=a¡+ ¡ b˚=1+ ¡ 2k-1


n-1 n-1

k=1 k=1

2« —⁄ -1
a«=1+ =2n-1
2-1

424 Ⅲ.
¡ a˚=20 ¡ b˚=10
10 10
1 k=1 k=1

¡ (a˚+2b˚) ¡ (3a˚-b˚+3)
10 10

k=1 k=1

¡ (k¤ +1)- ¡ k¤
10 10
2 k=1 k=6

3 10

{n(n+1)} {n‹ -6n¤ }

4
6¤ +7¤ +8¤ +9¤ +10¤ 4‹ +5‹ +6‹ +y+10‹
1¤ +3¤ +5¤ +y+29¤ 2_4+4_6+6_8+y+12_14

¡ (a˚+2b˚)= ¡ a˚+2 ¡ b˚=20+2_10=40


10 10 10
풀이 1

¡ (3a˚-b˚+3)=3 ¡ a˚- ¡ b˚+ ¡ 3=3_20-10+3_10=80


k=1 k=1 k=1

10 10 10 10

¡ (k¤ +1)- ¡ k¤ = ¡ (k¤ +1)-{ ¡ k¤ - ¡ k¤ }= ¡ k¤ + ¡ 1- ¡ k¤ + ¡ k¤


k=1 k=1 k=1 k=1

10 10 10 10 5 10 10 10 5
2 k=1

k¤ = ¡ 1+ ¡ k¤ =1_10+
k=6 k=1 k=1 k=1 k=1 k=1 k=1 k=1

10 5
5_6_11
(k¤ +1)- =65
6

¡ k(k+1)= ¡ (k¤ +k)= ¡ k¤ + ¡ k=


k=1 k=1

10 10 10 10
10_11_21 10_11
3 6
+
2
=440

¡ (k‹ -6k¤ )= ¡ k‹ -6 ¡ k¤ ={
k=1 k=1 k=1 k=1

}2 -6_
10 10 10
10_11 10_11_21
=715
2 6

6¤ +7¤ +8¤ +9¤ +10¤ = ¡ k¤ - ¡ k¤ =


k=1 k=1 k=1

4
10 5
10_11_21
6
-
5_6_11
6
=330 11
4‹ +5‹ +6‹ +y+10‹ = ¡ k‹ - ¡ k‹ ={
k=1 k=1

10 3
10_11 ¤ 3_4 ¤
} -{ } =2989
k=1 k=1 2 2
a« a«=(2n-1)¤
15

1¤ +3¤ +5¤ +y+29¤ = ¡ (2k-1)¤ = ¡ (4k¤ -4k+1)


15 15

1¤ +3¤ +5¤ +y+28¤ =4 ¡ k¤ -4 ¡ k+ ¡ 1=4_


k=1 k=1

15 15 15
15_16_31 15_16
-4_ +1_15
k=1 k=1 k=1 6 2
1¤ +3¤ +5¤ +y+28¤ =4495
a« a«=2n(2n+2)
6

2_4+4_6+6_8+y+12_14= ¡ 2k(2k+2)= ¡ (4k¤ +4k)


6 6

2_4+4_6+6_8+y+12_14=4 ¡ k¤ +4 ¡ k=4_
k=1 k=1

6 6
6_7_13 6_7
+4_
k=1 k=1 6 2
2_4+4_6+6_8+y+12_14=448

11 ; 425
¡의 계산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1 ¡ (k+1)‹ - ¡ (k-1)‹
10

k=1 k=1
10

¡ a˚¤ =15 ¡ a˚=5 ¡ (2a˚+1)¤ - ¡ (a˚+2)¤


10 10 10 10

k=1 k=1 k=1 k=1

¡ ¡
접근 방법

a¡+a™+a£+y+a«= ¡ a˚
n
n

k=1

상세 풀이

¡ (k+1)‹ - ¡ (k-1)‹ = ¡ (k‹ +3k¤ +3k+1)- ¡ (k‹ -3k¤ +3k-1)


10 10 10 10

(k-1)‹ = ¡ {(k‹ +3k¤ +3k+1)-(k‹ -3k¤ +3k-1)}


k=1 k=1 k=1 k=1
10
(k+1)‹ -

(k-1)‹ = ¡ (6k¤ +2)=6 ¡ k¤ + ¡ 2


k=1
10 10 10
(k+1)‹ -
k=1 k=1 k=1

(k+1)‹ - (k-1)‹ =6_ 10_11_21 +2_10=2330


6
¡ (2a˚+1)¤ - ¡ (a˚+2)¤ = ¡ (4a˚¤ +4a˚+1)- ¡ (a˚¤ +4a˚+4)
10 10 10 10

(a˚+2)¤ = ¡ {(4a˚¤ +4a˚+1)-(a˚¤ +4a˚+4)}


k=1 k=1 k=1 k=1
10
(2a˚+1)¤ -

(a˚+2)¤ = ¡ (3a˚¤ -3)=3 ¡ a˚¤ - ¡ 3


k=1
10 10 10
(2a˚+1)¤ -
k=1 k=1 k=1

(2a˚+1)¤ - (a˚+2)¤ =3_15-3_10=15 정답 ⑴ 2330 ⑵ 15

⑵`의 경우 상세 풀이 와 같이 두 개의 ¡`기호를 하나로 합쳐서 계산하지 않고 각각의 ¡의 값을 구하여 답을 구


보충 설명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은 상세 풀이 와 같이 푸는 것이 계산 과정이 줄어 들어 더 수월합니다.

예를 들어, ⑵`에서 상세 풀이 와 같이 계산하면 ¡ a˚¤ 의 값만 필요하지만 각각의 ¡의 값을 구하는 경우에는


10

(주어진 식)=4 ¡ a˚¤ +4 ¡ a˚+ ¡ 1-{ ¡ a˚¤ +4 ¡ a˚+ ¡ 4}


k=1

10 10 10 10 10 10

k=1 k=1 k=1 k=1 k=1 k=1

(주어진 식)=4_15+4_5+1_10-(15+4_5+4_10)=15

와 같이 ¡ a˚의 값도 이용해야 합니다.


10

한편, 두 개의 ¡`기호를 하나로 합칠 때에는 ¡`의 첫째항과 끝항이 같은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k=1

426 Ⅲ.
p.212

01-1 다음 합을 구하여라.

¡ (2k-1)¤ + ¡ (2k+1)¤ ¡ (k+5)(k-2)- ¡ (k-5)(k+2)


10 10 10 10

k=1 k=1 k=1 k=1

¡ +¡ ¡ (2˚ +1)¤ - ¡ (2˚ -1)¤


10 (k+1)‹ 10 (n-1)‹ 10 10

k=1 k n=1 n k=1 k=1

01-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a˚-1)¤ =20 ¡ (a˚-1)(a˚+1)=30 ¡ a˚


10 10 10

k=1 k=1 k=1

¡ f(k+1)- ¡ f(k-1)
9 10
f(x) f(10)=50 f(1)=3
k=1 k=2

01-3 다음 합을 구하여라.
11
¡ { ¡ kl} ¡ [ ¡ (k+1)]
6 4 10 l

k=1 l=1 l=1 k=1

¡ { ¡ ij} ¡ [ ¡ (i+j)]
n j n j

j=1 i=1 j=1 i=1

01-1 3100 330 830 2⁄ ‹ -8


01-2 15 47

11111111111 11112
n(n+1)(n+2)(3n+1) n(n+1)¤
01-3 210 275
24 2

11 ; 427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이용한 수열의 합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02 1_2 3_4 5_6 7_8 y


1 1+3 1+3+5 1+3+5+7 y

¡
접근 방법

¡ k= 11113 , ¡ k¤ = 111131112 , ¡ k‹ =[ 11113 ]¤


n n(n+1) n n(n+1)(2n+1) n n(n+1)
k=1 2 k=1 6 k=1 2

상세 풀이

a« a«=(2n-1)_2n
{a«} n

¡ a˚= ¡ 2k(2k-1)= ¡ (4k¤ -2k)=4 ¡ k¤ -2 ¡ k


n n n n n

k=1 k=1 k=1 k=1 k=1

n(n+1)(2n+1) n(n+1) n(n+1)(4n-1)


a˚=4_ -2_ =
6 2 3

n {1+(2n-1)}
a«=1+3+5+y+(2n-1)= =n¤
2
{a«} n

¡ a˚= ¡ k¤ =
n n(n+1)(2n+1)
n

k=1 k=1 6

n(n+1)(4n-1) n(n+1)(2n+1)
정답 ⑴ ⑵
3 6
보충 설명
⑴에서 주어진 수열은 두 수의 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앞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은 1부터 차례대로 홀수가 나열
되어 있고, 뒤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은 2부터 차례대로 짝수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이때, 앞의 수열과 뒤의 수열
을 각각 {p«}, {q«}이라고 하면 p«=2n-1, q«=2n이므로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 a«은 a«=(2n-1)_2n입니다.
⑵에서 주어진 수열을 {a«}이라고 하면 자연수 전체의 집합에서
a¡:첫 번째 홀수인 1
a™:첫 번째 홀수인 1부터 두 번째 홀수인 3까지의 홀수의 합
a£:첫 번째 홀수인 1부터 세 번째 홀수인 5까지의 홀수의 합

a«:첫 번째 홀수인 1부터 n번째 홀수인 (2n-1)까지의 홀수의 합
n{1+(2n-1)}
∴ a«=1+3+5+y+(2n-1)= =n¤
2

428 Ⅲ.
p.213

02-1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1_3 2_5 3_7 4_9 y


1 1+2 1+2+3 1+2+3+4 y

02-2 다음을 계산하여라.

¡ {(-1)
99 «≠¡
_n¤ }
n=1

¡ k+ ¡ k+y+ ¡ k+ ¡ k
12 12 12 12

k=1 k=2 k=11 k=12

02-3 수열 x¡, x™, x£, y, x¡º이 10개의 자연수 1, 2, 3, y, 10의 순서를 바꾸어 늘어놓

은 것일 때, ¡ ( x˚-k)¤` + ¡ ( x˚+k-11)¤` 의 값은? 11


10 10

k=1 k=1

300 310 320


330 340

11111112 111111234
n(n+1)(4n+5) n(n+1)(n+2)
02-1
6 6
02-2 4950 650 02-3

11 ; 429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

수열 {a«}에 대하여

03 a¡+2a™+3a£+y+na«=n(n+1)(n+2)` (n=1, 2, 3, y)

가 성립할 때, ¡ a˚의 값을 구하여라.


20

k=1

접근 방법

{a«} n S«
a¡=S¡ a«=S«-S«–¡ næ2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하면


a¡=S¡, a«=S«-S«–¡ (næ2)

상세 풀이

a¡+2a™+3a£+y+na«=n(n+1)(n+2) yy
n=1 a¡=1_2_3=6
næ2 n n-1
a¡+2a™+3a£+y+(n-1)a«–¡=(n-1)n(n+1) yy
-
na«=3n(n+1)
a«=3(n+1) næ2 yy
a¡=6 n=1
a«=3(n+1)

¡ a˚= ¡ 3(k+1)=3 ¡ k+ ¡ 3=3_ 20_21 +3_20=690


20 20 20 20

k=1 k=1 k=1 k=1 2

정답 690

보충 설명
수열의 합에서 일반항을 구하는 문제는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에서 했던 것처럼 n 대신 n-1을 대입하여 변끼리
빼서 a«에 대한 식을 구합니다.

430 Ⅲ.
p.214

수열 {a«}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킬 때, ¡ a˚의 값을 구하여라.


20
03-1 k=1

a¡ a¡+a™ a¡+a™+a£ a¡+a™+y+a«


+ + +y+ =n¤
1 2 3 n

na¡+(n-1)a™+(n-2)a£+y+2a«–¡+a«=n(n+1)(n+2)

03-2 수열 {a«}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a˚=2n¤ ¡ a™˚
n 10

k=1 k=1

¡ na«=500 ¡ na«≠¡=200 ¡ a«
100 99 100

n=1 n=1 n=1

03-3 수열 {a«}에 대하여 11


P«=a¡_a™_a£_y_a«
n(n-1) m
이라고 하자. P«=3 일 때, a¡ºº=3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의 값은?

192 194 196


198 200

03-1 780 1260 03-2 420 300 03-3

11 ; 431
계차수열

다음 수열의 일반항 a«과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을 구하여라.

04 2 3 6 11 18 y 1 3 7 15 31 y

접근 방법

수열 {a«}의 계차수열을 {b«}이라고 하면 a«=a¡+ ¡ b˚`(næ2 )


n-1

k=1

상세 풀이

{a«} {b«} {b«}


{a«} 2 3 6 11 18 y
1 2
{b«} 1 3 5 7 y
b«=1+(n-1)_2=2n-1

a«=a¡+ ¡ b˚=2+ ¡ (2k-1)


n-1 n-1

k=1 k=1

n(n-1)
a«=2+2_ -(n-1)=n¤ -2n+3
2

S«= ¡ a˚= ¡ (k¤ -2k+3)


n n

k=1 k=1

n(n+1)(2n+1) n(n+1) n(2n¤ -3n+13)


S«= -2_ +3n=
6 2 6
{a«} {b«} {b«}
{a«} 1 3 7 15 31 y
2 2
{b«} 2 4 8 16 y
b«=2_2n-1=2«

a«=a¡+ ¡ b˚=1+ ¡ 2˚ =1+


n-1 n-1
2(2« —⁄ -1)
=2« -1
k=1 k=1 2-1

S«= ¡ a˚= ¡ (2˚ -1)=


n n
2(2n-1)
-n=2« ±⁄ -n-2
k=1 k=1 2-1

n(2n¤ -3n+13) «≠¡


정답 ⑴ a«=n¤ -2n+3, S«= ⑵ a«=2« -1, S«=2 -n-2
6

보충 설명
계차수열을 이용하여 일반항을 구할 때, a¡에 계차수열의 제n항까지의
합을 더하는 것이 아니라 제(n-1)항까지의 합을 더하는 것임에 주의 a1 a2 a3 an-1 an

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a«=a¡+ ¡ b˚ (næ2)를 이용하여 구한 일반


n-1

k=1
b1 b2 bn-1
항에 n=1을 대입하여 얻은 값은 a¡과 같으므로 n=1인 경우를 따로
확인하지 않아도 됩니다.

432 Ⅲ.
p.216

04-1 다음 수열의 일반항 a«과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을 구하여라.

1 2 4 7 11 y 2 3 5 9 17 y

04-2 수열 f(1), f(2), f(3), y이


`f(1)=1, f(n+1)-f(n)=2n ( n=1, 2, 3, y)
과 같이 정의될 때, f(1)+f(2)+f(3)+y+f(10)의 값을 구하여라.

04-3 10개의 바둑판에 다음 그림과 같은 규칙으로 차례대로 흰 돌과 검은 돌을 놓을 때, 10개


의 바둑판에 놓인 흰 돌과 검은 돌의 개수의 총합을 구하여라.

11

a«= 11112 S«= 11112


n¤ -n+2 n(n¤ +5)
04-1 a«=2« —⁄ +1 S«=2« +n-1
2 6
04-2 340 04-3 605

11 ; 433
02
1 분수 꼴로 주어진 수열의 합

{a«} n S«
1 1 1 1
y
1_2 2_3 3_4 4_5

¡
1
a«= S«
n(n+1)

S«= ¡
n
1
k=1 k(k+1)
{a«}

{a«}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 - } (A+B)
1 1 1 1
=
AB B-A A B
1
a«=
n(n+1)

{ - }= -
1 1 1 1 1 1
a«= =
n(n+1) (n+1)-n n n+1 n n+1

S«= ¡ a˚= ¡ { }
n n
1 1
-
k=1 k=1 k k+1

S«={1-;2!;}+{;2!;-;3!;}+{;3!;-;4!;}+y+{ }
1 1
-
n n+1
1 n
S«=1- =
n+1 n+1

p.435 plus

434 Ⅲ.
Example n
1 1 1 1
y
1_3 3_5 5_7 7_9

=;2!; { }
1 1 1
a«= -
(2n-1)(2n+1) 2n-1 2n+1
n

¡ a˚=;2!; ¡ { }
n n
1 1
-
k=1 k=1 2k-1 2k+1

a˚=;2!;[{1-;3!;}+{;3!;-;5!;}+{;5!;-;7!;}+y+{ }]
1 1
-
2n-1 2n+1

a˚=;2!; {1- }=
1 n
2n+1 2n+1

분수 꼴로 주어진 수열의 합

{ - }
1 1 1 1
=
AB B-A A B

¡ =¡{ - }
n
1 n
1 1
1 k=1
k(k+1) k=1 k k+1

¡ = ¡{ - }
n
1 1 n 1 1
2 k=1 d k=1 k k+d
d+0
k(k+d)

¡ ¡{ }
n
1 1 n
1 1
3 k=1 = - a+b
(k+a)(k+b) b-a k=1 k+a k+b
11

¡ { f(k)- f(k+1)}={ f(1)- f(2)}+{ f(2)- f(3)}+{ f(3)-f(4)}+y+{ f(n)-f(n+1)}


n

k=1

= f(1)- f(n+1)
¤

¡ { f(k)- f(k+2)}
n

k=1

={ f(1)-f(3)}+{ f(2)-f(4)}+{ f(3)-f(5)}+{ f(4)-f(6)}+y


+{ f(n-1)-f(n+1)}+{ f(n)-f(n+2)}

= f(1)+ f(2)- f(n+1)- f(n+2)

11 ; 435
2 분모에 근호가 포함된 수열의 합

{a«} n S«
1 1 1
y
'2+1 '3+'2 '4+'3
1
a«=
'ƒn+1 +'ƒn

1 'ƒn+1 -'ƒn
a«= = ='ƒn+1 -'ƒn
'ƒn+1 +'ƒn ('ƒn+1+'ƒn )('ƒn+1 -'ƒn )
{a«} n S« ¡

S«= ¡ a˚= ¡ ('ƒk+1 -'k)


n n

k=1 k=1

S«=('2-1)+('3-'2)+('4-'3 )+y+('ƒn+1 -'n )


S«='ƒn+1 -1

Example n
1 1 1
y
'5 +'2 '8 +'5 '∂11+'8

1
a«=
'ƒ3n+2+'ƒ3n-1
'ƒ3n+2-'ƒ3n-1
a«=
('ƒ3n+2+'ƒ3n-1 )('ƒ3n+2 -'ƒ3n-1)

a«=;3!;('ƒ3n+2 -'ƒ3n-1)

¡ a˚=;3!; ¡ ('ƒ3k+2 -'ƒ3k-1)


n n

k=1 k=1

a˚=;3!; {('5 -'2 )+('8-'5)+('∂11-'8)+y

+('ƒ3n+2-'ƒ3n-1)}

a˚=;3!;('ƒ3n+2-'2)

436 Ⅲ.
분모에 근호가 포함된 수열의 합

¡ = ¡ ('ƒk+1 -'k )
n
1 n
1 k=1
'ƒk+1 +'k k=1

¡ = ¡ ('ƒk+d -'k )
n
1 1 n
2 k=1 d+0
'ƒk+d +'k d k=1

3 (등차수열)_(등비수열) 꼴의 수열의 합

1_2 2_2¤ 3_2‹ 4_2› y n_2« yy


1 2 3 4 y n 2 2¤ 2‹ 2› y 2«

_ S S
r S-rS S
S S 2
n
S=1_2+2_2¤ +3_2‹ +y+n_2
2S

-> 2S= ≥
1_2¤ +2_2‹ ≥
+y+(n-1)_ 2≥ n+n_2n+1 11
-S=1_2+1_2¤ +1_2‹ +y+1_2n -n_2n+1

-S=1_2+1_2¤ +1_2‹ +y+1_2n-n_2n+1


-S=(2+2¤ +2‹ +y+2« )-n_2n+1
2(2« -1)
-S= -n_2n+1 a r (r+1)
2-1
a(r« -1)
n
-S=(1-n)2n+1-2 r-1

S=(n-1)2n+1+2
_

11 ; 437
Example 10
1_1 3_3 5_3¤ 7_3‹ y
1 3 5 7 y 1 3 3¤ 3‹ y
3
10 S S-3S
->-2S=1_1+3_3+5_3¤ +7_3‹ +y+19_3·

->≥-3S=1_1+1_3+3_3¤ ≥
+5_3‹ +y+17_3· +19_3⁄ ‚
->-2S=1_1+2_3+2_3¤ +2_3‹ +y+2_3· -19_3⁄ ‚
->-2S=1+2(3+3¤ +3‹ +y+3· )-19_3⁄ ‚
3(3· -1)
->-2S=1+2_ -19_3⁄ ‚
3-1
->-2S=-18_3⁄ ‚ -2
S=9_310+1

(등차수열)_(등비수열) 꼴의 수열의 합

_
1 S
2 r S-rS
3 S-rS S

4 군수열

;1!; ;2!; ;1@; ;3!; ;2@; ;1#; ;4!; ;3@; ;2#; ;1$; y

{;1!;} {;2!; ;1@;} {;3!; ;2@; ;1#;} {;4!; ;3@; ;2#; ;1$;} y

1 2 3 y

{;1!;} 1 {;2!; ;1@;} 2

438 Ⅲ.
;2@; 5 3 2

m k
Example

군수열

1
2
1

⁄ m
¤ m
‹ m k

Example ;1!; ;2!; ;1@; ;3!; ;2@; ;1#; ;4!; ;3@; ;2#; ;1$; y 100

{;1!;} {;2!; ;1@;} {;3!; ;2@; ;1#;} {;4!; ;3@; ;2#; ;1$;} y 11
m
1 1 2 2 m
m
m

3 ;3!; ;1#; 4 ;4!; ;1$;

1 m
m
m 1
m k
m k k m+1
=m-k+1
k
m k
m-k+1

11 ; 439
100
m m m
m(m+1)
1+2+3+y+m=
2
13(13+1)
13 =91 14
2
14(14+1)
=105 100 14 14 92
2
100 14 9
100 14 9

=;6(;
9
14-9+1

5 나머지로 정의된 수열

{a«} a« 3« 10 100

3 3« 10 {a«}
100
3 3 100

a¡ºº

3« 10 3« 3«

3⁄ =3 3¤ =9 3‹ =27 3› =81
3fi =243 3fl =729 3‡ =2187 3° =6561
3· =19683 y
3 9 7 1

100=25_4 4 3100 3› 3° y 3› «
{a«} 100 1

{a«} n
1

440 Ⅲ.
Example {a«} a« 2« +3« a™º™º

2⁄ =2 2¤ =4 2‹ =8 2› =16
2fi =32 2fl =64 y
2 4 8 6

3⁄ =3 3¤ =9 3‹ =27 3› =81
3fi =243 3fl =729 y
3 9 7 1
4 2« +3«
5 3 5 7

2020=505_4 a™º™º=a¢=7

나머지로 정의된 수열

1
2 {a«} n 1

1 11
1 1 1 1
+ + +y+
2_3 3_4 4_5 (n+1)(n+2)
1 1 1 1
+ + +y+
1+'2 '2+'3 '3+'4 '∂48+'∂49

1 1 1
풀이 1 k a˚ a˚=
(k+1)(k+2)
=
k+1
-
k+2

¡ a˚= ¡ { }
n n 1 1
-
k=1 k=1 k+1 k+2

a˚={;2!;-;3!;}+{;3!;-;4!;}+{;4!;-;5!;}+y+{ }=;2!;-
1 1 1 n
- =
n+1 n+2 n+2 2(n+2)
1
='ƒn+1-'ßn
'ƒn+1+'ßn
=('2-1)+('3-'2 )+('4-'3 )+y+('∂49-'∂48 )
='∂49-1=7-1=6

11 ; 441
분수 꼴로 주어진 수열의 합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05 1
1_3
1
2_4
1
3_5
1
4_6
y

1 1 1 1 y
3¤ -1 5¤ -1 7¤ -1 9¤ -1

접근 방법

11 = 111 { 13 - 13 } (단, A+B)


1 1 1 1
AB B-A A B

상세 풀이

a«= 1111 = 1 { 1 - 113 }


1 1 1 1

n(n+2) 2 n n+2

¡ a˚= 1 ¡ { 1 - 113 }
n 1 n 1 1
k=1 2 k=1 k k+2

a˚= 1 [{1- 1 }+{ 1 - 1 }+{ 1 - 1 }+y+{ 113 - 113 }+{ 1 - 113 }]


1 1 1 1 1 1 1 1 1 1
2 3 2 4 3 5 n-1 n+1 n n+2
n(3n+5)
a˚= 1 {1+ 1 - 113 - 113 }= 11111113
1 1 1 1
2 2 n+1 n+2 4(n+1)(n+2)

a«= 111115555 = 111113 = 11112 = 1 { 1 - 113 }


1 1 1 1 1 1
(2n+1)¤ -1 2n(2n+2) 4n(n+1) 4 n n+1

¡ a˚= 1 ¡ { 1 - 113 }
n 1 n 1 1
k=1 4 k=1 k k+1

a˚= 1 [{1- 1 }+{ 1 - 1 }+{ 1 - 1 }+y+{ 1 - 113 }]


1 1 1 1 1 1 1 1
4 2 2 3 3 4 n n+1

a˚= 1 {1- 113 }= 1111


1 1 n
4 n+1 4(n+1)

n(3n+5) n
정답 ⑴ ⑵
4(n+1)(n+2) 4(n+1)

보충 설명
다음과 같이 분모에 세 수 또는 세 식 이상이 곱해져 있는 분수도 두 부분분수의 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 (단, A+C)
1 1 1 1
= -
ABC C-A AB BC

442 Ⅲ.
p.217

05-1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1 1 1 1 y
2_4 4_6 6_8 8_10
1 1 1 1 y
2¤ -1 4¤ -1 6¤ -1 8¤ -1
1 1 1 1 y
1_2_3 2_3_4 3_4_5 4_5_6

1 1 1 1 y
1+2 1+2+3 1+2+3+4

05-2 수열 {a«}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a˚=n¤ +2n ¡ a˚ a˚≠¡


n n
1 n
k=1 k=1

¡ a˚= ¡ 1
n n(n+1)(n+2) n
n
k=1 3 a˚
k=1

05-3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 +4x-(2n-1)(2n+1)=0의 두 근을 a«, b«이라고 할 때,

¡ {1
10
1
3 + 13 }의 값은? (단, n은 자연수이다.)
1 11
n=1 a« b«

;2!1); ;2@1); ;;¡7º;;

;2$1); ;2%1);

1111 111 1111111 1123


n n n(n+3) 2n
05-1
4(n+1) 2n+1 4(n+1)(n+2) n+1

11112 1124
n n
05-2 05-3
3(2n+3) n+1

11 ; 443
분모에 근호가 포함된 수열의 합

다음을 계산하여라.

06 ¡
100

k=1
1
'k+'ƒk-1
¡
48

k=1
1
'ƒk+2 +'k

접근 방법

분모에 근호가 포함된 수열의 합 ∆ 분모를 유리화!

상세 풀이

'k-'ƒk-1
11111 = 111111111111 ='k-'ƒk-1
1
'k+'ƒk-1 ('k+'ƒk-1)('k-'ƒk-1)

¡ 11111 = ¡ ('k-'ƒk-1)
100 1 100

k=1 'k+'ƒk-1 k=1

=(1-0)+('2-1)+('3-'2)+y+('∂100-'ß99)
='∂100=10
'ƒk+2-'k
111113 = 111111111111 =;2!; ('ƒk+2-'k)
1
'ƒk+2+'k ('ƒk+2+'k)('ƒk+2-'k)

¡ 111113 =;2!; ¡ ('ƒk+2-'k )


48 1 48

k=1 'ƒk+2+'k k=1

=;2!; {('3-1)+('4-'2 )+('5-'3 )+y

+('∂49-'∂47)+('∂50-'∂48)}

=;2!; (-1-'2+'∂49+'∂50)=3+2'2

정답 ⑴ 10 ⑵ 3+2'2

보충 설명
주어진 식의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모를 유리화할 수 있습니다.
a a'b a'b
⑴ = =
'b 'b 'b b
c c('a-'b) c('a-'b)
⑵ = = (단, a+b)
'a+'b ('a+'b)('a-'b) a-b
c c('a+'b) c('a+'b)
⑶ = = (단, a+b)
'a-'b ('a-'b)('a+'b) a-b

444 Ⅲ.
p.219

06-1 다음을 계산하여라.

¡ 1 ¡ 1
99 40

k=2 'ƒ k+1+'ƒ k-1 k=1 'ƒ 2k+1+'ƒ 2k-1

¡ 3 ¡ 1
16 99

k=1 'ƒ 3k-1+'ƒ 3k+2 k=1 k'ƒk+1+(k+1)'k

함수 f(x)='ƒx +'ƒx+1에 대하여 ¡ 112 =6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을 구하여라.


n 1
06-2 k=1 f(k)

06-3 양의 실수로 이루어진 수열 {a«}이


a¡¤ +a™¤ +a£¤ +y+a«¤ =n¤ (n=1, 2, 3, y)

을 만족시킬 때, ¡ 11212 의 값은? 11


60
1
k=1 a˚+a˚≠¡

2 3 4
5 6

06-1 ;2!; (9-'2+3'∂11) 4 4'2 ;1ª0;

06-2 48 06-3

11 ; 445
(등차수열)_(등비수열) 꼴의 수열의 합

다음 수열의 합을 구하여라.

07 1+3x+5x¤ +y+(2n-1)xn-1

접근 방법
«–¡
1 3 5 y 2n-1 1 x x¤ y x
S
S- _S

멱급수 ∆ S-rS를 계산한다.

상세 풀이

S
S=1+3x+5x¤ +y+(2n-1)xn-1 yy
x
xS=x+3x¤ +5x‹ +y+(2n-1)x« yy
-
«–¡
x S=1+3x+5x¤ +7x‹ +y+(2n-1)x
≥ +5x‹ +y+(2n-3)x
≥ ≥
n-1 n
->≥ xS=1+3x+3x¤ +(2n-1)x
«–¡
(1-x)S=1+2x+2x¤ +2x‹ +y+2x -(2n-1)x«
⁄ x+1
«–¡
(1-x)S=1+(2x+2x¤ +2x‹ +y+2x )-(2n-1)x«
2x(1-x« —⁄ ) 1+x-2x«
(1-x)S=1+ 1125111 -(2n-1)x« = 1125113 -(2n-1)x«
1-x 1-x
(2n-1)x«
S= 1113125 - 1125114
1+x-2x«
(1-x)¤ 1-x
¤ x=1 x=1
n{1+(2n-1)}
S=1+3+5+y+(2n-1)= 1111111 =n¤
2

1+x-2x« (2n-1)x«
정답 x+1일 때 - , x=1일 때 n¤
(1-x)¤ 1-x

보충 설명
위와 같이 공비가 문자로 주어진 경우에는 공비가 1이 아닌 경우와 1인 경우로 나누어 풀어야 합니다.

446 Ⅲ.
p.220

07-1 다음 수열의 합을 구하여라.


«–¡
1+2_2+3_2¤ +4_2‹ +y+n_2
«–¡
1+2x+3x¤ +4x‹ +y+nx x+1

등식 ¡ k{;2!;} =a+b{;2!;} +cn{;2!;} 을 만족시키는 정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n k « n+1
07-2
k=1

값은?

-4 -2 0
2 4

07-3 오른쪽과 같이 수를 나열할 때, 나열된 모든


1
수의 합은?
3 3

;4!;(21_311-1) ;4!;(21_311+1) 3¤ 3¤ 3¤ 11
3‹ 3‹ 3‹ 3‹
;2!;(21_311+1) ;4!;(23_311-1)

310 310 310 y 310 310 310


;2!;(23_311+1)

1111211112
1-(1+n)x« +nx« ±⁄
07-1 (n-1)2« +1
(1-x)¤
07-2 07-3

11 ; 447
정수로 이루어진 군수열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50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08 1, 1, 2, 1, 1, 2, 3, 2, 1, 1, 2, 3, 4, 3, 2, 1, y

접근 방법

1 / 1, 2, 1 / 1, 2, 3, 2, 1 / 1, 2, 3, 4, 3, 2, 1 / y
1 1 2, 3, 4, y 1

S«= ¡ A˚
n
A¡ A™ A£ A¢ y 1 n S«
k=1

군수열의 합은 각 군의 합을 수열로 만들어 푼다.

상세 풀이

(1), (1, 2, 1), (1, 2, 3, 2, 1), (1, 2, 3, 4, 3, 2, 1), y


n (1, 2, 3, y, n-1, n, n-1, y, 3, 2, 1) n 2n-1
n A«

A«=1+2+3+y+(n-1)+n+(n-1)+y+2+1= 1111 + 1111 =n¤


n(n+1) n(n-1)
2 2
150 n
{ (n-1) }<150… n

1+3+5+y+(2n-3)<150…1+3+5+y+(2n-1)
(n-1)¤ <150…n¤ n=13 12¤ =144 13¤ =169

150 13 12 12¤ =144


150 13 6
S

S= ¡ n¤ +(1+2+3+4+5+6)= 111112 +21=671


12 12_13_25
n=1 6

정답 671

보충 설명
군수열 문제를 해결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군의 항의 개수입니다. 몇 번째 항을 구하는 문제이든 어떤 수가
몇 번째 항인지를 구하는 문제이든 항상 각 군의 항의 개수를 이용하여 몇 번째 군에 속하는지를 찾습니다.

448 Ⅲ.
p.221

08-1 다음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50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1 3 1 3 3 1 3 3 3 1 3 3 3 3 1 y

08-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2 2 2 3 3 3 3 3 4 4 4 4 4 4 4 y 500
1 2 1 2 2 1 2 2 2 1 2 2 2 2 1 y 100
2µ m

08-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점을 제외하고 x좌표와 y좌표가 모 y

두 음이 아닌 정수인 모든 점 (x, y)에 자연수를 규칙적으


로 대응시킬 때, 160에 대응되는 점의 좌표를 구하여라.
10
6 11
11
3 7 12
1 4 8 13
2 5 9 14
O x

08-1 418 08-2 23 87 08-3 (7 10)

11 ; 449
분수 형태의 군수열

다음 수열의 제`100항을 구하여라.

09 ;1!;, ;2!;, ;2@;, ;3!;, ;3@;, ;3#;, ;4!;, ;4@;, ;4#;, ;4$;, y

접근 방법

분수로 이루어진 군수열에서는 분모(또는 분자)가 같은 수끼리 묶거나


분자, 분모의 합이 같은 수끼리 묶는다.

상세 풀이

{;1!;}, {;2!;, ;2@;}, {;3!;, ;3@;, ;3#;}, {;4!;, ;4@;, ;4#;, ;4$;}, y

1 2 3 n
n { , , , y, } n
n n n n
100 n
{ (n-1) }<100… n

1+2+3+y+(n-1)<100…1+2+3+y+n

1111 <100… 1111


n(n-1) n(n+1)
2 2
13_14 14_15
n=14 2
=91
2
=105

1114 =91
13_14
100 14 13
2
100 14 9 14 14 9 9

100 ;1ª4;

정답 ;1ª4;

보충 설명
08에서와 같이 군수열의 합을 구할 때에는 각 군의 합을 항으로 하는 수열을 생각합니다.
이때, 09에서 주어진 수열의 제`n군에 속하는 항들의 합 A«은

+ + +y+ = (1+2+3+y+n)= _ 1111 = 113


1 2 3 n 1 1 n(n+1) n+1
A«=
n n n n n n 2 2

이므로 이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91항(제`1군부터 제`13군)까지의 합은 ¡ A˚= ¡ 1322 =52입니다.


13 13 k+1

k=1 k=1 2

450 Ⅲ.
p.223

09-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2!; ;2@; ;3!; ;3@; ;3#; ;4!; ;4@; ;4#; ;4$; y 250

;1!; ;1@; ;2!; ;1#; ;2@; ;3!; ;1$; ;2#; ;3@; ;4!; y 150

;1!; ;2!; ;1#; ;4!; ;2#; ;1%; ;8!; ;4#; ;2%; ;1&; y 65

09-2 아래와 같이 주어진 수열 {a«}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2!;, ;1@;, ;3!;, ;2@;, ;1#;, ;4!;, ;3@;, ;2#;, ;1$;, y

a™ºº

a«=;2!3); n

11

수열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14 , y에서 첫째항부터 제`45항


1¤ 1¤ 2¤ 1¤ 2¤ 3¤ 1¤ 2¤ 3¤ 4¤
09-3 3 5 5 7 7 7 9 9 9 9
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09-1 ;2!2(; ;1¢4; :¡2ª: 09-2 ;1!1); 506 09-3 55

11 ; 451
나머지로 정의된 수열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0 {a«} a« 7« 10 a™ººº

¡ a«
50
{a«} a« 3« +4«
n=1

접근 방법

n 1, 2, 3, y

자연수의 거듭제곱에서 일의 자리의 숫자는 반드시 반복된다.

상세 풀이

7« 10 7« n 1, 2, 3, y

a¡=7, a™=9, a£=3, a¢=1, a∞=7, a§=9, a¶=3, a•=1, y
{a«} 7, 9, 3, 1 2000=500_4+0
a™ººº=a¢=1
3« 4« b« c« 3« +4« a«

n 1 2 3 4 5 6 7 8 y
b« 3 9 7 1 3 9 7 1 y
c« 4 6 4 6 4 6 4 6 y
a« 7 5 1 7 7 5 1 7 y

{a«} 7, 5, 1, 7 50=12_4+2

¡ a«=(7+5+1+7)_12+7+5=252
50

n=1

정답 ⑴ 1 ⑵ 252

보충 설명
⑵와 같이 새로운 형태의 수열이 나오는 문제에서 합을 구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주기마다 같은 값이 반복되는
규칙성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먼저 규칙성을 찾도록 합니다.

452 Ⅲ.
p.224

10-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a« 8« 10 a¢£™¡

¡ a«
100
{a«} a« 2« +9«
n=1

10-2 자연수 n에 대하여 두 함수 f(n)과 g(n)을 각각


`f(n)=(9« 을 1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g(n)=(8« 을 1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로 정의할 때, 수열 {a«}을 a«=f(n)-g(n)이라고 하자. ¡ a«의 값을 구하여라.
2002

n=1

11
10-3 자연수 n에 대하여
n!=1_2_3_y_(n-1)_n

으로 정의할 때, n!을 1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a«이라고 하자. ¡ a«의 값을 구


1000

n=1

하여라.

10-1 8 500 10-2 -2 10-3 13

11 ; 453
11- 1 9 99 999 9999 y n

;9!;(10« ±⁄ -9n-10) ;9!;(10« ±⁄ -10n-9) ;9!;(10« ±⁄ -11)

;9!;(10« -9n-10) ;9!;(10« -11)

2 ¡ 4(k-3)=An¤ +Bn+C
n+5
11- k=5
A B C A+B+C

12 16 20
24 28

3 ¡ f(k)= ¡
n
n 10
1
11- k=1 n+1 k=1 f(k)

400 410 420


430 440

11- 4 n x¤ +2nx+1=0 a« b«

¡ (a«¤ +b«¤ )
5

n=1

11- 5
¡ a™˚=3n¤ +2n ¡ a£˚
n 10
{a«}
k=1 k=1

¡ 4n+2
10

n=1 n¤ (n+1)¤

454 Ⅲ.
p.544 | p.225

11- 6 [x] x

¡ [log£ n ] ¡ ['n]
50 100

n=1 n=1

11- 7 ;2!; ;6!; ;1¡2; ;2¡0; ;3¡0; y 50

;4$9*; ;4%9); ;5$0(;

;5%0!; ;5%1);

11- 8 ;3∞7; n a«

¡ a«
100

n=1

11- 9 2 n 2«
126 11
1 3 1 3 5 7 1 3 y
2¤ 2¤ 2‹ 2‹ 2‹ 2‹ 2› 2›

11- 10 {a«}
a¡=1, a™=12, a£=123, y, aª=123456789

¡ a˚
9

k=1

11 ; 455
11 f(x)= ¡ [x- ]¤
n
1
11- k=1 k(k+1)
x=g(n) g(10)

;1¡2; ;1¡1; ;1¡0;

;1!1); ;1!2!;

12 ¡ sin ;3K;p_ ¡ tan ;3I;p


100 100
11- k=1 i=1

'3
-;2#; - 0
2
'3
;2#;
2

11- 13 1 1 2
n

2
1
1 2 3

(n-1)_2« +1 n_2« +1 (n+1)_2« +1


«≠¡ «≠¡
(n-1)_2 +1 n_2 +1

14 1111 ¡ a«
n(n+1) 20
11- n
2
n a«
n=1

11- 15 {a«} {b«} a« n 1 b« n 2


k
k=a¡ºº-b∞º
log (3'k+1)

456 Ⅲ.
p.544 | p.230

3« ] ¡ a«
16 a«=3« -10[ 1 2
50
11- {a«}
10 n=1

[x] x

11- 17 1 225 1 2 3 y 14 15
15 15 16 17 18 y 29 30

15 31 32 33 y 44 45

y
211 212 213 y 224 225

11- 18 {a«} 3

1, 2, 4, 5, 7, 8, y

¡ a˚
30

k=1

11- 19 a¡ a™ a£ y a«
a¡º

11
a1 a2 a3 a4

11- 20 1
5
3 7
1, 3, 7, 9, 13, 17, 19, y 11 15
9 13 17
66 21 25 29
19 23 27 31
35 39 43 47
33 37 41 45 49

11 ; 457
11- 21 1 100
S S

11- 22 1 100
(1, 2, 3) (2, 3, 4) (3, 4, 5) y (98, 99, 100)
12

11- 23 101

1 7 13

2 6 8 12 14

3 5 9 11 15

4 10

11- 24 6500 a 1 4 9 16
b a+b 2 3 8 15

5 6 7 14

10 11 12 13

17

11- 25 y

(1, 0), (1, 1), (-1, 1), (-1, -1), 3


2
(2, -1), (2, 2), (-2, 2), y 1
(10, 10) -3 -2 -1 O x
1 2 3
-1
-2
-3

458 Ⅲ.
p.544 | p.235

11- 26
1 10
1 n

11- 27 {a«} a« 'k n

¡ a‘
10
k
i=1

28 ¡ (a£˚–¡+a£˚+a£˚≠¡)=(2n+1)¤ ¡ a˚
n 31
11- -1 {a«}
k=1 k=1

challenge

11- 29 1 2 9 10 25 26
4 3 8 11 24 27
4 6 14 20 32 y 5 6 7 12 23 28
{a«} a£º 16 15 14 13 22 29
17 18 19 20 21 30
36 35 34 33 32 31

challenge
11
11- 30 {a«}

1 2 3

11 12 13 21 22 23 31 32 33

111 112 113 …


{a«} : 1 2 3 11 12 13 21 22 23 31 32 33 111 112 113 121 y


{a«} 200

11 ; 459
12
수학적 귀납법
01 수열의 귀납적 정의 463

02 수학적 귀납법 488

기본 다지기 496
실력 다지기 498
a¡ a™ a£ y

01 수열의 귀납적 정의 01 472

02 an+1=an+ f(n) 474

03 an+1= f(n)_an 476

04 an+1=pan+q 478

05 pan+2+qan+1+ran=0 480

06 an+1=
ra« 482
pa«+q

07 484

08 486

02 수학적 귀납법 09 492

10 494
12 | 수학적 귀납법

01 수열의 귀납적 정의

1 수열의 귀납적 정의
{a«} a¡ a« a«≠¡

2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점화식


a«≠¡-a«=d HjK {a«} d
a«≠¡÷a«=r HjK {a«} r

3 여러 가지 점화식
a«≠¡=a«+ f(n)
n 1 2 3 y n-1

a«=a¡+ ¡ f(k)
n-1

k=1

a«≠¡= f(n)_a« (a«+0)


n 1 2 3 y n-1
a«=a¡ f(1) f(2) f(3)y f(n-1)
a«≠¡=pa«+q (p+1 q+0)
a«≠¡-a=p(a«-a) {a«-a} p
pa«≠™+qa«≠¡+ra«=0 (p+q+r=0)

a«≠™-a«≠¡=;pR; (a«≠¡-a«) {a«≠¡-a«} ;pR;

ra«
a«≠¡=
pa«+q
1
=b«

02 수학적 귀납법
p(n) n

⁄ n=1 p(n)
¤ n=k p(n) n=k+1 p(n)

462 Ⅲ.
01
1 수열의 귀납적 정의

{a«}
{a«} 1 4 7 10 13 16 19 22 25 y
a« a«=3n-2

{a«}


a¡=1
a«≠¡=a«+3 (n=1, 2, 3, y)
{a«} a¡ 1 (n+1) a«≠¡
n a« 3
{a«}

a«≠¡=a«+3 n 1 2 3 y
a¡=1
a™=a¡+3=1+3=4
a£=a™+3=4+3=7
12
a¢=a£+3=7+3=10

a«=a«–¡+3=(3n-5)+3=3n-2

{a«}


a« a«≠¡ (n=1 2 3 y)

n 1 2 3 y {a«}

12 463
귀납적
정의

Example 2 3 {a«}

2 6 18 54 162 y
a«=2_3« —⁄
a¡=2
[
a«≠¡=3a« (n=1 2 3 y)

수열의 귀납적 정의

{a«}

a« a«≠¡

n 1 2 3 y {a«}

a« a«≠¡

1 a¡ 2 a™
] a«
a« a«≠¡ a«≠™
pa«≠™+qa«≠¡+ra«=0 p+q+r=0

Example a¡=2 a«≠¡=a«+5 (n=1 2 3 y) {a«} 6


a™=a¡+5=2+5=7
a£=a™+5=7+5=12
a¢=a£+5=12+5=17
a∞=a¢+5=17+5=22
a§=a∞+5=22+5=27
a¡=2 a«≠¡=2a«+3 (n=1 2 3 y) {a«} 5
a™=2a¡+3=2_2+3=7
a£=2a™+3=2_7+3=17
a¢=2a£+3=2_17+3=37
a∞=2a¢+3=2_37+3=77

464 Ⅲ.
2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점화식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점화식

{a«} n=1 2 3 y
1 a«≠¡-a«=d {a«} d
2 a«≠¡÷a«=r {a«} r
3 2a«≠¡=a«+a«≠™ a«≠¡-a«=a«≠™-a«≠¡ {a«}
4 a«≠¡¤ =a«a«≠™ a«≠¡÷a«=a«≠™÷a«≠¡ {a«}

1 a«≠¡=a«+d a¡ d a«=a¡+(n-1)d
2 a«≠¡=ra« a¡ r a«=a¡r« —⁄
3 a¡ a™ a«=a¡+(n-1)(a™-a¡)
a™ « —⁄
4 a¡ a™ a«=a¡ { 13
a¡ }

[ 13 132
a«≠¡ = 13
a« + 132 132
a«≠¡ - 13
a« = 132
a«≠™ - 132
1 2 1 1
a« ]
1 1 1 1
a«≠™ a«≠¡

Example a¡=1 a«≠¡=a«+3 (n=1 2 3 y)


{a«} 1 a«≠¡-a«=3
a«=1+(n-1)_3=3n-2
a¡=1 a«≠¡=-2a« (n=1 2 3 y) 12
a«≠¡
{a«} 1 a« =-2
a«=1_(-2)« —⁄ =(-2)« —⁄

a¡=9 a™=7 a«≠¡=;2!; (a«+a«≠™) (n=1 2 3 y)

{a«} 9 a™-a¡=7-9=-2
a«=9+(n-1)_(-2)=-2n+11
a¡=3 a™=1 a«≠¡¤ =a«a«≠™ (n=1 2 3 y)
a™
{a«} 3 =;3!;

a«=3_{;3!;}« —⁄ ={;3!;}« —¤

12 465
2 1 1
a¡=;2!; a™=;4!; = + (n=1 2 3 y)
a«≠¡ a« a«≠™
1 1 1 1
[ ] =2 - =4-2=2
a« a¡ a™ a¡
1 1
=2+(n-1)_2=2n a«=
a« 2n

3 여러 가지 점화식

1. a«≠¡=a«+ f(n) 꼴
a«≠¡=a«+ f(n) a«≠¡-a«= f(n)
a«≠¡-a«=d d n f(n)

a«≠¡=a«+ f(n) n 1 2 3 y n-1


a™=a¡+ f(1)
a£=a™+ f(2)
a¢=a£+ f(3)

+} a«=a«–¡+ f(n-1)
a«=a¡+{ f(1)+f(2)+f(3)+y+f(n-1)}

a«=a¡+ ¡ f(k)
n-1
a«≠¡-a«= f(n) f(n) {a«}
k=1

Example a¡=1 a«≠¡=a«+4n(n=1 2 3 y) {a«}


a«≠¡=a«+4n n 1 2 3 y n-1
a«=a¡+4_1+4_2+4_3 a™=a¡+4_1
a£=a™+4_2
a«= +y+4_(n-1) a¢=a£+4_3

a«=1+ ¡ 4k=1+4_
n-1 n(n-1)
k=1 2 +)a«=a«–¡+4_(n-1)
a«=a¡+4_1+4_2+y+4_(n-1)
a«=2n¤ -2n+1

466 Ⅲ.
2. a«≠¡= f(n)_a«`(a«+0) `꼴
a«≠¡ a«≠¡
a«≠¡=f(n)_a« 11 =f(n) 11 =r
a« a«
r n f(n)

a«≠¡= f(n)_a« n 1 2 3 y n-1


a™= f(1)_a¡
a£= f(2)_a™
a¢= f(3)_a£

_} a«= f(n-1)_a«–¡
a«={ f(1) f(2) f(3)y f(n-1)}_a¡
a«=a¡ f(1) f(2) f(3)y f(n-1)

Example n+1
a¡=3 a«≠¡= a« (n=1 2 3 y) {a«}
n
n+1
a«≠¡= a« n 1 2 3 y n-1
n
n
a«=;1@;_;2#;_;3$;_y_ _a¡ a™=;1@;a¡
n-1
a«=n_3 a£=;2#;a™

a«=3n a¢=;3$;a£

_} a«=
n
a«–¡
12
n-1
n
a«=;1@;_;2#;_;3$;_y_ _a¡
n-1

3. a«≠¡=pa«+q`(p+1, q+0) 꼴
a«≠¡=pa«+q (p+1 q+0)

a«≠¡=pa«+q (p+1 q+0) a«≠¡-a=p(a«-a)


{a«} a {a«-a}

12 467
a {a«}
a«≠¡=pa«+q a«≠¡-a=p(a«-a)
a«≠¡-a=p(a«-a) a«≠¡-a=pa«-pa
a«≠¡=pa«-pa+a a«≠¡=pa«+q

q
-pa+a=q a= yy
1-p
a«≠¡-a=p(a«-a) a«-a=b«
a
b«≠¡=pb« a«-a=b« a«≠¡-a=b«≠¡

{b«} b¡=a¡-a p
b«=(a¡-a)p« —⁄ {b«} b«= _ « —⁄

{a«}
a«=(a¡-a)p« —⁄ +a a«-a=b« a«=b«+a

a=pa+q a«≠¡=pa«+q a«≠¡ a« a a


Example 3

Example a¡=3 a«≠¡=2a«-1(n=1 2 3 y) {a«}


|방법 1| a«≠¡=2a«-1
a«≠¡-a=2(a«-a) yy

a«≠¡=2a«-2a+a=2a«-a
-a=-1 a=1
a«≠¡-1=2(a«-1)
a«-1=b« b«≠¡=2b«
{b«} a¡-1=3-1=2 2
b«=2_2« —⁄ =2«
a«=b«+1=2« +1

|방법 2| {a«} 1 {a«-1}


{a«} : 3 5 9 17 33 65 y
{a«-1} : 2 4 8 16 32 64 y 2 2

{a«-1} a«-1=2_2« —⁄ =2« {a«}


a«=2« +1

468 Ⅲ.
|방법 3| a«≠¡=2a«-1 a=2a-1
a«≠¡ a« a
a=1
|방법 3| a«≠¡-1=2(a«-1) |방법 1|
{a«}

4. pa«≠™+qa«≠¡+ra«=0`(p+q+r=0) 꼴
pa«≠™+qa«≠¡+ra«=0 (p+q+r=0)

p+q+r=0 a«≠™-a«≠¡=;pR; (a«≠¡-a«)

p+q+r=0 q=-(p+r)
pa«≠™-(p+r)a«≠¡+ra«=0 p(a«≠™-a«≠¡)=r(a«≠¡-a«)

a«≠™-a«≠¡=;pR; (a«≠¡-a«)

a«≠¡-a«=b«

b«≠¡=;pR; b«
n-1
{b«} b«= _

{b«} b¡=a™-a¡ ;pR;

b«=(a™-a¡){;pR; }« —⁄ a«≠¡-a«=(a™-a¡){;pR; }« —⁄ yy

1. a«≠¡=a«+f(n) n 1 2 3 y n-1

a™-a¡=a™-a¡ 12
a£-a™=(a™-a¡){;pR; }⁄

a¢-a£=(a™-a¡){;pR; }¤

+} a«-a«–¡=(a™-a¡){;pR; }
n-2

a«-a¡=(a™-a¡)[1+{;pR; }⁄ +{;pR; }¤ +y+{;pR; } ]


n-2

a«=a¡+ ¡ (a™-a¡){;pR; }
n-1 k-1
a«≠¡-a«=b« {b«} {a«}
k=1 a«

12 469
Example a¡=1 a™=2 2a«≠™-3a«≠¡+a«=0 (n=1 2 3 y {a«}
2a«≠™-3a«≠¡+a«=0
2(a«≠™-a«≠¡)=a«≠¡-a«

a«≠™-a«≠¡=;2!; (a«≠¡-a«)

a«≠¡-a«=b« b«≠¡=;2!; b«

{b«} b¡=a™-a¡=2-1=1 ;2!;

b«=1_{;2!;}« —⁄ ={;2!;}« —⁄

a«≠¡-a«={;2!;}
n-1
yy

n 1 2 3 y n-1
a™-a¡=1
a«=a¡+1+{;2!;} +{;2!;} +y+{;2!;}
1 2 n-2

a£-a™={;2!;}

a«=1+ ¡ {;2!;}
n-1 k-1

a¢-a£={;2!;}
¤
k=1

1_[1-{;2!;}« —⁄ ]
+} a«-a«–¡={;2!;}
n-2

a«=1+ 11111112
1-;2!; n-2
a«-a¡=1+{;2!;} +{;2!;} +y+{;2!;}
⁄ ¤

a«=3-2_{;2!;}
n-1

a(1-r« )
a r n
1-r

ra«
5. a«≠¡= 꼴
pa«+q
ra«
a«≠¡= pa«+q

1


ra«
a«≠¡= pa«+q

1 pa«+q q 1 p
= = _ +
a«≠¡ ra« r a« r
1
=b«

q p
b«≠¡= b«+
r r

470 Ⅲ.
1
{b«} a«= {a«}


Example a¡=;2!; a«≠¡= (n=1 2 3 y) {a«} a«
1+2a«

a«≠¡=
1+2a«
1 1+2a« 1
= = +2
a«≠¡ a« a«
1
=b« b«≠¡=b«+2

1
{b«} b¡= =2 2

b«=2+(n-1)_2=2n
1 1
a«= =
b« 2n

여러 가지 점화식

1 a«≠¡=a«+ f(n)
n 1 2 3 y n-1

a«=a¡+ ¡ f(k)
n-1

k=1

2 a«≠¡= f(n)_a« ( a«+0)


n 1 2 3 y n-1
a«=a¡ f(1)f(2)f(3)y f(n-1)
3 a«≠¡=pa«+q (p+1 q+0) 12
a«≠¡-a=p(a«-a)
4 pa«≠™+qa«≠¡+ra«=0 (p+q+r=0)
p+q+r=0 a«≠™-a«≠¡=;pR;(a«≠¡-a«)
ra«
5 a«≠¡= pa«+q
1
=b«

1 f(n) d {a«} d
2 f(n) r {a«} r
n=1 2 3 y

12 47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점화식

수열 {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a¡º의 값을 구하여라.

01 a™=3a¡ a∞=18 a«≠™-a«≠¡=a«≠¡-a« (n=1 2 3 y)


a«≠™ a«≠¡
a™=a¡¤ a∞=32 a«≠¡ = a« (n=1 2 3 y)

접근 방법

a«≠¡ a« a«≠™

⑴ a«≠¡-a«=d (næ1) HjK 수열 {a«}은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
⑵ a« =r (næ1) HjK 수열 {a«}은 공비가 r인 등비수열

상세 풀이

a«≠™-a«≠¡=a«≠¡-a« (næ1) 2a«≠¡=a«≠™+a« (næ1) {a«}


{a«} a d
a™=3a¡ a+d=3a d=2a yy
a∞=a+4d=18 yy
a=2 d=4
a¡º=a+9d=2+9_4=38
a«≠™ a«≠¡
a«≠¡ = a« (næ1) a«≠¡¤ =a«a«≠™ (næ1) {a«}

{a«} a r
a™=a¡¤ ar=a¤ a(r-a)=0
a«≠™ a«≠¡
a=r { næ1 a«≠¡ = a« =r a¡=a+0} yy

a∞=ar› =32 yy
ar› =a_a› =afi =32
a=2 r=2
¡º–¡ ¡º–¡ ¡º
a¡º=ar =2_2 =2 =1024

정답 ⑴ 38 ⑵ 1024

보충 설명
⑴ a«≠™-a«≠¡=a«≠¡-a«=y=a™-a¡=d (일정) ∆ 등차수열
a«≠¡ a« a™
⑵ = =y= =r (일정) ∆ 등비수열
a« a«–¡ a¡

472 Ⅲ.
p.240

01-1 수열 {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a¡º의 값을 구하여라.

a™=4a¡ a∞=26 a«≠™-a«≠¡=a«≠¡-a« (n=1 2 3 y)


a«≠™ a«≠¡
a™¤ =a¡‹ a∞=8 a«≠¡ = a« (n=1 2 3 y)

01-2 a«≠™-a«≠¡=a«≠¡-a« (n=1, 2, 3, y)을 만족시키는 수열 {a«}에 대하여


a¡=1, a«≠ª-a«≠™=35
가 성립할 때, a¡ºº의 값은?

480 484 488


492 496

01-3 수열 {a«}을
a™=2a¡, a∞=16, log a«-2 log a«≠¡+log a«≠™=0`(n=1, 2, 3, y) 12
으로 정의할 때, ¡ a˚의 값을 구하여라.
10

k=1

01-1 56 32'2 01-2 01-3 1023

12 473
a«≠¡=a«+f(n) 꼴의 점화식

수열 {a«}을

02 a¡=1, a«≠¡-a«=n¤ +n+1 (n=1, 2, 3, y)


로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a«+f(n) a«≠¡-a«=f(n) f(n)


n 1 2 3 y n-1

a«≠¡=a«+ f(n) 꼴의 점화식은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한 후 같은 변끼리 더하여 일반항 a«을 구한다.

상세 풀이

a«≠¡-a«=n¤ +n+1 n 1 2 3 y n-1


a™-a¡=1¤ +1+1
a«≠¡=a«+f(n)에서
a£-a™=2¤ +2+1 a™=a¡+f(1)
a¢-a£=3¤ +3+1 a£=a™+f(2)
a¢=a£+f(3)
≥ (n-1)+1
+>≥ a«-a«–¡=(n-1)¤ + ⋮

a«-a¡= ¡ (k¤ +k+1)


+>≥ a«=a«–¡+f(n-1)
a«=a¡+ ¡ f(k)
n-1
n-1

a«=1+ ¡ (k¤ +k+1)


k=1
k=1
n-1

k=1

n(n-1)(2n-1) n(n-1)
a«=1+ 111111124 + 11113 +(n-1)
6 2
n(n¤ +2)
a«= 11113
3

n(n¤ +2)
정답 a«=
3

보충 설명
a«≠¡-a«=f(n)에서 f(n)은 수열 {a«}의 계차수열을 의미하므로

a«=a¡+ ¡ f(k)
n-1

k=1

를 이용하여 풀 수도 있습니다.
또한 f(n)이 일정한 상수 d이면 수열 {a«}은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이 됩니다.

474 Ⅲ.
p.240

02-1 수열 {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a¡=1 a«≠¡=a«+3n¤ -n (n=1 2 3 y)


a¡=1 a«≠¡=a«+3« (n=1 2 3 y)

02-2 수열 {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a¡º의 값을 구하여라.

a¡=2 a«≠¡=a«+2n-1 (n=1 2 3 y)


a¡=0 a«-a«–¡=n¤ (næ2)

02-3 수열 {a«}을
a¡=1, na«≠¡=(n+1)a«+1 (n=1, 2, 3, y)
로 정의할 때, a¡ºº의 값은?

1
199
99
1010
101
12

«
a«= 1125
3 -1
02-1 a«=n(n-1)¤ +1
2

02-2 83 384 02-3

12 475
a«≠¡=f(n)_a« 꼴의 점화식

수열 {a«}을

03 a¡=2, a«≠¡={1- 1124 } a« (n=1, 2, 3, y)


1
n+1
으로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
a«≠¡= f(n)_a« 11
a« = f(n) n n

1 2 3 y n-1

a«≠¡= f(n)_a« 꼴의 점화식은 n에 1, 2, 3, y, n-1을 대입하여


얻은 식을 같은 변끼리 곱하여 일반항 a«을 구한다.

상세 풀이

a«≠¡={1- 1134 } a«= 1134 a«


1 n
n 1, 2, 3, y, n-1
n+1 n+1

a™=;2!; a¡
a«≠¡=f(n)_a«에서
a£=;3@; a™ a™=f(1)_a¡
a£=f(2)_a™
a¢=;4#; a£ a¢=f(3)_a£

≥ «–¡
_>≥ a«=f(n-1)_a

_} a«= 1134
n-1 a«=a¡ f(1) f(2) yf(n-1)
a«–¡
n

a«={;2!;_;3@;_;4#;_y_ 1134 }_a¡


n-1
n

a«= 14 _2= 14
1 2
n n

정답 a«=;n@;

보충 설명
a«≠¡=f(n)_a« 꼴의 점화식에서 f(n)은 (n-1)개의 등식을 곱했을 때 약분할 수 있도록 곱의 꼴로 고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이 문제에서는 f(n)=1- 1135 = 1135 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1 n
n+1 n+1
또한 f(n)이 일정한 상수 r이면 수열 {a«}은 공비가 r인 등비수열이 됩니다.

476 Ⅲ.
p.242

03-1 수열 {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a¡=2 a«≠¡={1- 1134 } a« (n=1 2 3 y)


1
n+2

a¡=2 a«={1+ 14 } a«–¡ (næ2)


1
n

03-2 수열 {a«}을
«
a¡=1, a«≠¡=3 a« (n=1, 2, 3, y)
∞∞
으로 정의할 때, 3 은 제 몇 항인가?

10 11 54
55 81

03-3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12


a¡=2, 2S«=na«≠¡ (næ1)
이 성립한다. a¡ºº의 값을 구하여라.

a«= 115
4
03-1 a«=n+1 03-2 03-3 200
n+1

12 477
a«≠¡=pa«+q 꼴의 점화식

수열 {a«}을

04 a¡=2, a«≠¡=3a«+2 (næ1)


로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pa«+q (p+1 q+0)


a«≠¡-a=p(a«-a)
{a«-a} a¡-a p

a«≠¡=pa«+q 꼴의 점화식은 a«≠¡-a=p(a«-a) 꼴로 변형하자.

상세 풀이

a«≠¡=3a«+2
a«≠¡-a=3(a«-a) yy

a«≠¡=3a«-3a+a=3a«-2a
-2a=2 a=-1 a«≠¡+1=3(a«+1)
a«+1=b« b«≠¡=3b«
{b«} b¡=a¡+1=2+1=3 3
«–¡ «
b«=3_3 =3
«
a«=b«-1=3 -1
«
정답 a«=3 -1

보충 설명
a«≠¡=pa«+q (p+1)를 변형한 a«≠¡-a=p(a«-a)에서
a«≠¡=pa«-pa+a
즉, q=-pa+a에서 a=pa+q이므로 다음과 같이 a의 값을 구하면 편리합니다.

a«≠¡ =p a« +q ˙k a=pa+q ∆ a= 113


q
1-p
≈ ≈
a a

또한 a«≠¡=pa«+q 꼴의 점화식의 양변의 n에 n+1을 대입하여 얻은 식에서 원래의 점화식을 같은 변끼리 빼


서 계차수열의 일반항을 구할 수도 있지만 위의 풀이처럼 점화식을 변형하여 등비수열 {a«-a}를 만드는 방법이
더 편리합니다.

478 Ⅲ.
p.243

04-1 수열 {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a¡=1 a«≠¡=2a«+3 (næ1)

a¡=3 a«≠¡=;2!;a«+2 (næ1)

04-2 a¡=2, a«≠¡=3a«-2 (næ1)로 정의된 수열 {a«}에서 a™º=3π +q일 때, 자연수 p, q에


대하여 p+q의 값은? (단, q는 한 자리 자연수이다.)

16 18 20
22 24

04-3 넓이가 20p인 원 O¡의 사분원의 넓이보다 12p만큼 더 넓은 원 O™를 그린다. 또 원 O™의
사분원의 넓이보다 12p만큼 더 넓은 원 O£을 그린다. 이와 같이 원 O«의 사분원의 넓이
보다 12p만큼 더 넓은 원 O«≠¡을 계속하여 그려 간다. 원 O«의 넓이를 S«이라고 할 때,
수열 {S«}의 일반항 S«을 구하여라.

+12p +12p +12p

O1 O2 O3
12

a«=- 11
1
04-1 a«=2« ±⁄ -3 «–¡ +4
2
«–¡
04-2 04-3 S«=4p{;4!;} +16p

12 479
pa«≠™+qa«≠¡+ra«=0 꼴의 점화식

수열 {a«}을

05 a¡=1, a™=3, a«≠™-4a«≠¡+3a«=0 (næ1)


으로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pa«≠™+qa«≠¡+ra«=0 (p+q+r=0) a«≠™-a«≠¡=;pR; (a«≠¡-a«)

{a«≠¡-a«}

pa«≠™+qa«≠¡+ra«=0 꼴의 점화식은 p+q+r=0임을 이용하여

a«≠™-a«≠¡=;pR; (a«≠¡-a«) 꼴로 변형한다.

상세 풀이

a«≠™-4a«≠¡+3a«=0 a«≠™-a«≠¡-3a«≠¡+3a«=0
a«≠™-a«≠¡=3(a«≠¡-a«)
a«≠¡-a«=b« b«≠¡=3b«
{b«} b¡=a™-a¡=3-1=2 3
«–¡ «–¡
b«=2_3 a«≠¡-a«=2_3 yy
n 1 2 3 y n-1
a™-a¡=2
a£-a™=2_3⁄
a¢-a£=2_3¤

+>≥ a«-a«–¡=2_≥3« —¤
a«-a¡=2(1+3⁄ +3¤ +y+3« —¤ )

a«=a¡+2(1+3⁄ +3¤ +y+3n-2)=1+2 ¡ 3k-1


n-1

k=1

1_(3« —⁄ -1)
a«=1+2_ =3n-1
3-1
«–¡
정답 a«=3
보충 설명
pa«≠™+qa«≠¡+ra«=0 yy ㉠ 꼴의 점화식은 p+q+r=0일 때 p(a«≠™-a«≠¡)=r(a«≠¡-a«) yy ㉡ 꼴로
변형한다고 했습니다. ㉡에서 괄호를 풀어 정리하면 pa«≠™-(p+r)a«≠¡+ra«=0이고, 이 식이 ㉠과 같으려면
㉠, ㉡`에서 a«≠™, a«의 계수가 각각 p, r로 같고, a«≠¡의 계수가 같아야 하므로 q=-(p+r), 즉 p+q+r=0
이 성립해야 합니다. 따라서 위의 풀이는 p+q+r=0일 때에만 가능합니다.

480 Ⅲ.
p.245

05-1 수열 {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a¡=1 a™=2 a«≠™-5a«≠¡+4a«=0 (næ1)


a«+a«≠¡
a¡=2 a™=4 a«≠™= 11123
2
(næ1)

05-2 수열 {a«}을
a™=3a¡, a«≠™-3a«≠¡+2a«=0 (næ1)
으로 정의하고 a•=85일 때, a¢의 값을 구하여라.

05-3 다음 그림과 같이 수직선 위에 두 점 P¡(0), P™(90)이 있다. 선분 P¡P™의 중점을


P£(x£), 선분 P™P£의 중점을 P¢(x¢), y, 선분 P«P«≠¡의 중점을 P«≠™(x«≠™)라고 할
때, 수열 {x«}의 일반항 x«을 구하여라.

P1(0) P3(x3) P4(x4) P2(90) 12

«–¡
a«= 1112 a«=;;¡3º;;-;3$; _{-;2!;}« —⁄
4 +2
05-1
3

05-3 x«=60[1-{-;2!;} ]
« —⁄
05-2 5

12 481
ra«
a«≠¡= 11123 꼴의 점화식
pa«+q

수열 {a«}을
06 a¡=2, a«≠¡= 111 (næ1)

a«+1
으로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ra«
a«≠¡= 113423 [ 13 ]
1
pa«+q a«

ra«
a«≠¡= 꼴의 점화식은 양변의 역수를 취한다.
pa«+q

상세 풀이

a«≠¡= 1134

a«+1

113 = 1123 = 13 +1
1 a«+1 1
a«≠¡ a« a«

13 =b«
1

b«≠¡=b«+1

b¡= 13 =;2!;
1
{b«} 1

b«=b¡+(n-1)_1=;2!;+(n-1)=n-;2!;

a«= 13 = 1115 = 11233


1 1 2
b« 2n-1
n-;2!;

2
정답 a«=
2n-1

보충 설명
위의 예제에 주어진 수열 {a«}은 각 항의 역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는 조화수열입니다.
ra«
그런데 a«≠¡=
pa«+q
꼴의 점화식에서 양변의 역수를 취했을 때, 등차수열이 아닌 02의 점화식의 꼴을
적용하는 조금 까다로운 문제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분자, 분모에 모두 a«을 포함하고 있으면 역수를 취한다는 것에는 차이가 없음을 항상 명심합
니다.

482 Ⅲ.
p.247

06-1 수열 {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일반항 a«을 구하여라.

a¡=3 a«≠¡= 1123 (næ1) a¡=1 a«≠¡= 1113 (næ1)


2a« a«
2+a« 1+2a«

06-2 수열 {a«}을

a¡= 12 , a«≠¡¤ = 11125 (næ1)


1 a«¤
'2 2a«¤ +1
으로 정의할 때, a¡º의 값은? (단, a«>0)

'5 '5 '5


5 10 15
'5 '5
20 25

06-3 수열 {a«}을

a¡=;2!;, a«≠¡= 11111123 (næ1)



2(n+1)a«+1
12
으로 정의할 때, ¡ a˚의 값을 구하여라.
99

k=1

06-1 a«= 111


6 a«= 111
1
06-2 06-3 ;1ª0ª0;
3n-1 2n-1

12 483
같은 값이 반복되는 점화식

수열 {a«}을

07 a¡=1, a™=2, a«≠™= 11312 (n=1, 2, 3, y)


1+a«≠¡

로 정의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π=a« p

¡ a˚
100

k=1

접근 방법

n a«≠π=a« p {a«}
n 1 2 3 y
p

처음 보는 수열은 n=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해서 수열의 규칙성을 찾는다!

상세 풀이

1+a«≠¡
a«≠™= n 1 2 3 y

1+a™ 1+2
a¡=1 a™=2 a£= = =3
a¡ 1
1+a£ 1+3 1+a¢ 1+2
a¢= = =2 a∞= = =1
a™ 2 a£ 3
1+a∞ 1+1 1+a§ 1+1
a§= = =1 a¶= = =2 y
a¢ 2 a∞ 1
1 2 3 2 1 n a«≠π=a«
p 5

¡ a˚=(a¡+a™+a£+a¢+a∞)+y+(aª§+aª¶+aª•+aªª+a¡ºº)
100

k=1

a˚=(1+2+3+2+1)_20=180

정답 ⑴ 5 ⑵ 180

보충 설명
함수 f(x)의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f(x+p)=f(x)
가 성립하는 0이 아닌 상수 p가 존재할 때, 함수 f(x)를 주기함수라 하고, p의 값 중에서 최소의 양수를 이 함
수의 주기라고 합니다.

484 Ⅲ.
p.248

다음과 같이 정의된 수열 {a«}에 대하여 ¡ a˚의 값을 구하여라.


300
07-1 k=1

a¡=2 a™=3 a«≠™=a«≠¡-a« (n=1 2 3 y)


a¡=1 a™=5 a«≠¡a«–¡=a« (n=2 3 4 y)

07-2 수열 {a«}을
a¡=1, a™=3, a«≠™-a«=2 (n=1, 2, 3, y)
로 정의할 때, a¡ºº의 값을 구하여라.

07-3 수열 {a«}을

a¡=1, a™=2, a«≠™= 11113 (næ1)


1+a«≠¡

로 정의할 때, ¡ cos{ 234 a˚}의 값은?


102 p
2
12
k=1

-43 -41 -40


-23 -22

07-1 0 620 07-2 101 07-3

12 485
피보나치 수열

108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진 탑을 한 걸음에 한 계단 또는 두 계단 오를 수 있다고

08 한다. n개의 계단을 오르는 방법의 수를 a«이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2 3 4
1 2
1
a«≠™ a« a«≠¡

접근 방법

상세 풀이

2 1+1 2 2
3 1+1+1 1+2 2+1 3
4 1+1+1+1 1+1+2 1+2+1 2+1+1 2+2 5

1 2 3 4
1 2 3 5
1 1 2

(n+2) n
(n+1) n

(n+2) n (n+1)

a«≠™=a«≠¡+a«

정답 ⑴ 풀이 참조 ⑵ a«≠™=a«≠¡+a«

보충 설명
이 문제처럼 앞의 연속한 두 항의 합을 나열하여 얻어지는 수열
1, 1, 2, 3, 5, 8, 13, 21, 34, 55, 89, y
를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합니다.

486 Ⅲ.
p.249

08-1 일렬로 놓인 크기가 같은 n개의 정사각형 모양의 타일에 빨간색 또는 파란색을 칠하려고 한
다. 파란색끼리는 이웃하지 않게 칠하려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n a« a¡ a™ a£ a¢

a«≠™ a« a«≠¡

08-2 수열 {a«}을
a«≠™=a«≠¡+a«

으로 정의할 때, 다음 중 그 값이 ¡ a˚와 같은 것은? (단, a¡+0, a™+0)


100

k=1

a¡º¡-a¡ a¡º¡-a™ a¡º¡+a¡


a¡º™-a™ a¡º™+a™

08-3 흰 바둑돌과 검은 바둑돌이 있다. 이 바둑돌 n개를 흰 바둑돌끼리는 이웃하지 않도록 일


렬로 나열하는 방법의 수를 a«이라고 하자. 예를 들어, a¡=2, a™=3이다. a¡º의 값을 구
하여라.
12
, , ,

a1=2 a2=3

08-1 2 3 5 8 a«≠™=a«≠¡+a« 08-2


08-3 144

12 487
02

100
101

1 1000

1
k k+1

1 1 n
n(n+1)
1+2+3+y+n= yy
2
n 1 100 n=1 2 3 y 100

⁄ n=1
¤ n=k n=k+1

⁄ n=1

488 Ⅲ.
n=1 ¤ n=2
n=2 ¤ n=3

n=100 ¤ n=101

⁄ ¤ n

n=1

¤

⁄ ¤
수학적 귀납법

Example n
n(n+1)
1+2+3+y+n= yy
2
12
⁄ n=1
1_(1+1)
=1 = =1
2

¤ n=k
k(k+1)
1+2+3+y+k= yy
2
k+1
k(k+1)
1+2+3+y+k+(k+1)= +(k+1)
2
(
|
{
|
9

k(k+1)
2 k(k+1) 2(k+1)
1+2+3+y+k+(k+1)= +
2 2

12 489
k¤ +3k+2 (k+1)(k+2)
1+2+3+y+k+(k+1)= =
2 2
(k+1){(k+1)+1}
1+2+3+y+k+(k+1)=
2
¤ n=k+1
n(n+1)
⁄ ¤ n 1+2+3+y+n=
2

수학적 귀납법

n p(n) n

⁄ n=1 p(n)
¤ n=k p(n) n=k+1 p(n)

n p(n)

1 p(n) n 1
2 p(n) n k p(k)
3 p(k) p(k+1)

Example n
1+3+5+y+(2n-1)=n¤ yy

⁄ n=1
=1 =1¤ =1

¤ n=k
1+3+5+y+(2k-1)=k¤ yy
2k+1
1+3+5+y+(2k-1)+(2k+1)=k¤ +(2k+1)=(k+1)¤
n=k+1
⁄ ¤ n 1+3+5+y+(2n-1)=n¤

490 Ⅲ.
수학적 귀납법

n
næa a 2 n p(n)

næ5 n p(n)
n=1 2 3 4

⁄ n=5 p(n)
¤ n=k (kæ5) p(n) n=k+1 p(n)

p(n) næa n

⁄ n=a p(n)
¤ n=k(kæa) p(n) n=k+1 p(n)

1 n n‹ +5n 6

풀이 ⁄ n=1 1‹ +5_1=6 6 12
¤ n=k k‹ +5k 6
k‹ +5k=6m m
n=k+1
(k+1)‹ +5(k+1)=k‹ +3k¤ +3k+1+5k+5
=k‹ +5k+5+1+3k¤ +3k
=6m+6+3k(k+1)
k(k+1) 2
k(k+1)=2m' m'
(k+1)‹ +5(k+1)=6m+6+3k(k+1)
=6m+6+3_2m'
=6(m+1+m')
(k+1)‹ +5(k+1) 6 n=k+1
⁄ ¤ n n‹ +5n 6

12 491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한 등식의 증명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09 1144 + 1144 +y+ 111112313444 = 113444


1
1_3
1
3_5
1
(2n-1)(2n+1)
n
2n+1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접근 방법

n p(n) n

⁄ n=1 p(n)
¤ n=k p(n) n=k+1 p(n)

자연수에 대한 어떤 명제가 참임을 보일 때에는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한다.

상세 풀이
⁄ n=1

= 1233 =;3!; = 12313344 =;3!;


1 1
1_3 2_1+1

¤ n=k

1233 + 1233 +y+ 11111112 = 12314


1 1 1 k
yy
1_3 3_5 (2k-1)(2k+1) 2k+1

11111112
1
(2k+1)(2k+3)

1233 + 1233 +y+ 11111112 + 11111112


1 1 1 1
1_3 3_5 (2k-1)(2k+1) (2k+1)(2k+3)
k(2k+3)+1
= 111 + 11111112 = 11111112 = 11111112
k 1 2k¤ +3k+1
2k+1 (2k+1)(2k+3) (2k+1)(2k+3) (2k+1)(2k+3)
(k+1)(2k+1) k+1 k+1
= 11111112 = 111 = 1115555512
(2k+1)(2k+3) 2k+3 2(k+1)+1
n=k+1
⁄ ¤ n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수학적 귀납법으로 등식을 증명할 때에는 n=k+1일 때의 식을 미리 써 놓은 후 n=k일 때의 등식의 양변에
적당한 것을 더하거나 곱하여 n=k+1일 때의 식의 꼴을 만듭니다.
1
이 문제에서도 ㉠의 양변에 을 더하면 좌변은 n=k+1일 때의 꼴이 바로 되는 것을 알 수
(2k+1)(2k+3)
있으므로 우변을 적당히 변형하여 n=k+1일 때의 꼴을 만들도록 합니다.

492 Ⅲ.
p.250

09-1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n(4n¤ -1)
1¤ +3¤ +5¤ +y+(2n-1)¤ =
3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09-2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1_n+2_(n-1)+3_(n-2)+y+(n-1)_2+n_1
n(n+1)(n+2)
= 6
가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09-3
«≠¡
n이 자연수일 때, 3 +4
™«–¡
은 13으로 나누어떨어짐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12

09-1 p.544 09-2 p.545 09-3 p.545

12 493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한 부등식의 증명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10 1+;2!;+y+
1
n
æ2[
1
1_2
+
1
2_3
+y+
1
n(n+1)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접근 방법

n=k n=k+1

n=k+1

수학적 귀납법으로 부등식을 증명할 때에는 ★>△이고 △>☆이면 ★>☆


임을 이용한다.

상세 풀이

⁄ n=1
1
=1 =2_ =1
1_2

¤ n=k (kæ1)
1 1 1
1+;2!;+y+;k!;æ2[ + +y+ ] yy
1_2 2_3 k(k+1)
1
k+1
1 1 1 1 1
1+;2!;+y+;k!;+ æ2[ + +y+ ]+
k+1 1_2 2_3 k(k+1) k+1
1 1 1 1
1+;2!;+y+;k!;+ æ2[ + +y+ ]+
1_2 2_3 k(k+1) k+2
1 1 1 1 k+1
1+;2!;+y+;k!;+ =2[ + +y+ ]+ _
1_2 2_3 k(k+1) k+1 k+2
1 1 1 2
1+;2!;+y+;k!;+ æ2[ + +y+ ]+
1_2 2_3 k(k+1) (k+1)(k+2)
1 1 1 1
1+;2!;+y+;k!;+ =2[ + +y+ + ]
1_2 2_3 k(k+1) (k+1)(k+2)
1 1 1 1
1+;2!;+y+ æ2[ + +y+ ]
k+1 1_2 2_3 (k+1)(k+2)
n=k+1
⁄ ¤ n 정답 풀이 참조

494 Ⅲ.
p.251

10-1 næ5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n
>log™ n
2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10-2 næ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1 1 1 1
1+ + +y+ <2-
2¤ 3¤ n¤ n

(1+h)« >1+nh h>0

10-3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 ;k!;æ 12
«
2
n
+1
k=1 2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여라.

10-1 p.545 10-2 p.546 10-3 p.546

12 495
12- 1 a¡=1 a™=3 {a«} n S«
3S«≠¡-S«≠™-2S«=a« (næ1)
S™º

12- 2 {a«} (n+1) a«≠¡

¡ a˚
n
x¤ +(2-3a«)x-6a«=0 (næ1) a¡=1
k=1

;2!;(3« -1) ;2!;(3« —⁄ -1) ;2!;(3« +1)

;2!;(3« -2) ;2!;(3« +3n)

12- 3 {a«}
a¡=10 a«≠¡=a«+2_3« —⁄ -1 (næ1)
a¡º

3· 3⁄ ‚ 3· -9
3⁄ ‚ -10 3⁄ ‚ -11

12- 4 {a«}
a¡=2 a™=1 a«≠¡ a«-2a«≠™ a«+a«≠¡ a«≠™=0 (næ1)

¡ a˚
20 1
k=1

12- 5 {a«}

a¡=;7!; a«≠¡=10a«-[10a«] (næ1)

¡ a˚
600
[x] x
k=1

496 Ⅲ.
p.547 | p.253

12- 6 {a«}
a¡=1 a«≠¡+a«=n (næ1)
a£º+S£º

12- 7 {a«} {b«}


a¡=b¡ a¡º+b¡º=30 a«≠¡+a«=b«≠¡-b« (næ1)

¡ a˚
10

k=1

8 ¡ a˚
1000
12- {a«}
k=1

a¡=1
(n+1)a« 7 a«≠¡ næ1

12- 9 a¡=2 a™=4 {a«}


a«x¤ +2a«≠¡x+a«≠™=0 (n=1 2 3 y)

¡ b˚ 12
10

k=1

12- 10 1 3 {a«} {b«}


b¡+b™+b£+y+b«=na« (næ1)
b¡ºº-bªª

12 497
수능

12- 11 {a«} 6 a¡ a™ a£ a¢ a∞ a§
a«≠§=a« (næ1)
{b«} a¡ a™ a£ a¢ a∞ a§

b«=a™«≠¡ b«=a£«≠¡ b«=a¢«≠¡


b«=a∞«≠¡ b«=a§«≠¡

12- 12 {a«}
a¡=1 a«≠¡=a«+(log£ n-1)log£ n-6 (n=1 2 3 y)

a™º a™™ a™∞


a™¶ a£º

12- 13 {a«}
a«-1
a¡=;2!; a«≠¡= 111 (næ1)
a«+1
a™ººº

12- 14 {a«}
a«≠¡ a«
a¡=4 114≠¡ = 14« +2« (næ1)
2« 2
a∞-a¢

12- 15 {a«}

a¡=3 a™=5 a«≠™-a«≠¡= 11115 (næ1)


1
a«≠¡-a«

¡ (a™˚-a™˚–¡)
200

k=1

498 Ⅲ.
p.547 | p.256

12- 16 {a«}
a¡=1 3(a¡+a™+a£+y+a«)=(n+2)a« (næ1)
1 1 1 1 40
+ + +y+ = n
a¡ a™ a£ a« 21

12- 17 {a«}
a¡=10, a«=a[;2N;]+1 (næ2)

a∞º [x] x

12- 18 {a«} a¡º=4 a«+a«–¡=n¤ (næ2) a™º 10

challenge

12- 19 {a«} a¡ºº=4π -q p q p+q


q

a¡=1 a™=3 a£=7


(a«≠™-a«≠¡)¤ =(a«≠£-a«≠™)(a«≠¡-a«) (næ1)

12

challenge

12- 20 A 10 % 100 g B 5%
A 20 g B 20 g A
n A a« %

a«=p{;5$;}« —⁄ +q pq p q

12 499
부록
중학교 도형 총정리
新수학의 바이블만의 부록

중학교 도형 총정리

30

중학교 도형의 중요성과 학습 대책

고등학교 수학에서도 도형 문제가 출제됩니다.

중학교 도형의 성질은 그때그때 정리해야 합니다.

다양한 도형과 그 성질을 30개의 테마로 나눠 완벽 수록하였습니다.


30

30
중학교 도형 총정리

찾아보기

평행선의 성질 16 519
17 520
01 504 18 521
02 505

사각형의 성질
삼각형의 합동조건

19 522
03 506
20 523
04 507

평면도형과 입체도형 피타고라스 정리

05 508
21 524
06 509
22 525
23 526
24 527
삼각형의 성질 25 528

07 510
08 511
09 512 원의 성질
10 513
11 514 26 529
12 515 27 530
13 516 28 531
14 517 29 532
15 518 30 533
평행선의 성질

1 ① 평행한 두 직선이 다른 한 직선과 만날 때, 동위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a
l
b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l∥m HjK ∠a=∠c m
c

② 평행한 두 직선이 다른 한 직선과 만날 때, 엇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l∥m HjK ∠b=∠c

보충 ⑴ l∥m HjK ∠a+∠b=∠x ⑵ l∥m HjK ∠a+∠b=∠x+∠y


l a l a

x x
b

b y
m m

증명 ⑴ 직선 l 에 평행한 직선 h 를 점 B 를 지나도록 그으면 l


A
a
∠a=∠ABC, ∠b=∠CBD
x
∴ ∠x=∠ABC+∠CBD h
B C
∴ ∠x=∠a+∠b
b
m
D

⑵ 직선 l 에 평행한 직선 h, i 를 점 B, C 를 지나도록 그으면 l


A
a
∠a=∠ABD, ∠ABD=∠x+∠CBD i C
x b
∠CBD=∠a-∠x, ∠CDE=∠y h
D
B E
(∠a-∠x)+∠b=∠y y
∴ ∠a+∠b=∠x+∠y i

예 제 다음 그림에서 l∥m 일 때, ∠x 의 크기를 구하여라.

⑴ ⑵
l
3x+10˘ l
2x-20˘

115˘ x
120˘
2x+5˘ 130˘
m
m

(3x+10˘)+(2x+5˘)=115˘ (2x-20˘)+120˘=x+130˘
5x+15˘=115˘ 2x+100˘=x+130˘
5x=100˘ ∴ x=30˘
∴ x=20˘

504
평행선과 선분의 길이의 비

2 △ABC 에서 변 BC 에 평행한 직선이 두 직선 AB, AC 와 만나는 점을 각각 D, E 라고 하면


AD”:AB”=AE”:AC”=DE”:BC”
A
A E D

A
D E B C

B C D E B C

보충 삼각형에서 다음과 같이 선분의 길이의 비가 성립한다.


⑴ ⑵

a e
c

b f a b
d

c d

a:b=c:d=e:f a:b=c:d

증명 ⑴ ∠BAG는 공통, ∠ABG=∠ACD (평행선의 동위각) A

`∴ △ABG와 △ACD는 닮음이다. ∴ a:b=c:d a e


c
`∠FAG는 공통, ∠AFG=∠AED (평행선의 동위각)
B G F
`∴ △AGF와 △ADE 는 닮음이다. ∴ c:d=e:f b f
d
` ∴ a:b=c:d=e:f
C E
D

⑵ ∠BAG는 공통, ∠ABG=∠ACD (평행선의 동위각) A

`∴ △ABG와 △ACD는 닮음이다. ∴ a:c=e:(e+f) e


a b
`∠FAG는 공통, ∠AFG=∠AED (평행선의 동위각) B F
G
f
`∴ △AGF와 △ADE 는 닮음이다. ∴ b:d=e:(e+f)
C E
` ∴ a:c=b:d c D d

` ∴ a:b=c:d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BC”∥DE” 일 때, x 의 값을 구하여라. E D


3 cm
_ AD”:AB”=AE”:AC” 이므로 4 cm

4:5=3:(x-3) 5 cm A
x cm
15=4x-12
4x=27 B C

∴ x=:™4¶:

505
삼각형의 합동조건

3 두 삼각형은 다음의 각 경우에 서로 합동이다.


① 대응하는 세 변의 길이가 각각 같을 때(SSS합동)
② 대응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각각 같고, 그 끼인 각의 크기가 같을 때(SAS합동)
③ 대응하는 한 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각의 크기가 각각 같을 때(ASA합동)

보충 다음 그림과 같이 △ABC와 △CDE 가 모두 정삼각형이면


⑴ △ACD™△BCE
⑵ 두 직선 AD 와 BE 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60˘이다.
! A
@ A 60˘
60˘ E
E

B D B C
C

증명 ⑴ ⁄, ¤ 모두 같은 방법으로 증명
△ACD와 △BCE에서
AC”=BC” (∵ AC” 와 BC” 는 정삼각형 ABC의 한 변)
CD”=CE” (∵ CD” 와 CE” 는 정삼각형 CDE의 한 변)
∠ACD=∠BCE (∵ ∠ACE 공통, ∠ECD=∠BCA=60˘)
∴ △ACD™△BCE (SAS합동)
⑵ ∠BAC=a, ∠ABE=b, ∠EBC=c 라고 하자.
⁄의 증명 A
60˘
AD” 와 BE” 가 만나는 점을 H 라고 하면 a r E
H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a=b+c=60˘
b
△ACD™△BCE이므로 ∠CAD=∠CBE=c r
B D
C
따라서 △ABH에서 a+b+c+∠AHB=180˘
∴ ∠AHB=60˘
¤의 증명 A 60˘
a r E
△ABC는 정삼각형이므로 a=b+c=60˘
△ACD™△BCE이므로 ∠CAD=∠CBE=c D
b
△ABE에서 a+b+c+∠AEB=180˘ B
r
C
∴ ∠AEB=60˘

506
직각삼각형의 합동조건

4 두 직각삼각형은 다음의 각 경우에 서로 합동이다.


①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크기가 각각 같을 때(RHA 합동)
② 빗변의 길이와 다른 한 변의 길이가 각각 같을 때(RHS 합동)

보충 ∠A=90˘인 직각이등변삼각형 ABC 의 두 꼭짓점 B, C에서 꼭짓점 A를 지나는 직선 l 위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 라고 하면 △ABD과 △CAE가 합동이다.
⑴ C ⑵
C E
B
D B

l
E A D
A
l

증명 ⑴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AC”=AB” 이고


사각형 BCED에서 ∠B+∠C=180˘ ∴ ∠DBA+∠ACE=90˘
△ABD 에서 ∠DBA+∠BAD=90˘ ∴ ∠ACE=∠BAD
∴ △ABD™△CAE (RHA 합동)
⑵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AC”=AB” 이고,
∠ECH=a, ∠EAC=b 라고 하면 C a E
45˘
(45˘-a)+(90˘-b)=(45˘+a)+b H
D a
135˘-a-b=45˘+a+b, 2a+2b=90˘ B
b
a+b=45˘ ∴ a=45˘-b 45˘-a
A
∠DBA=45˘-a=45˘-(45˘-b)=b
∴ ∠DBA=∠EAC
∴ △ABD™△CAE (RHA 합동)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ABD 와 △CAE 가 합동이면


C E
|BD”-CE”|=DE”
가 성립함을 보여라. D B

_ △ABD™△CAE이므로 BD”=AE”, AD”=CE”


A
∴ |BD”-CE”|=|AE”-AD”|=DE”
l

507
다각형

5 ①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


②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
과 같다.
③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삼각형의 개수는
(n-2)개이다.
④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n-2)_180˘이다.
⑤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항상 360˘이다.
⑥ n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n-3)개이다.

⑦ n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11113 개이다.


n(n-3)
2
360˘
⑧ 정n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111112 , 한 외각의 크기는 113 이다.
(n-2)_180˘
n n

보충 ⑴ 다음 그림에서 표시된 5개의 각 a, b, c, d, e 의 크기의 합은 모두 180˘이다.


⁄ ¤ ‹ C
a e a e
a A e
A A
B
c c
b d b d
C C b d
B B
c

⑵ Mention의 문제 A

오른쪽 그림에서 ∠BAD=∠CAD, AH”⊥BC” 이면 a a

∠DAH=;2!;|∠B-∠C|
B C
DH
증명 ⑴ ⁄과 ¤는 같은 방법으로 증명이 가능하다.
∠b+∠e=∠ABC, ∠a+∠c=∠CAB ∴ ∠ABC+∠CAB+∠d=180˘
‹ ∠b+∠d=∠CAB, ∠a+∠c=∠CBA ∴ ∠CAB+∠CBA+∠e=180˘
⑵ ∠BAD=a, ∠ABD=b라고 하면 ∠ACB=180˘-(2a+b) A
∠ACB-∠ABC=180˘-2(a+b)
a a
∠DAH=90˘-(a+b)
a+b
∴ ∠DAH=;2!;(∠C-∠B)=;2!;|∠B-∠C| b
B C
DH

예 제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면?

① 정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540˘이다. ②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20˘이다.


③ 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육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보다 더 크다.
④ 팔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20개이다.
⑤ 육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그었을 때 생기는 삼각형의 개수는 4개이다.

_ ③ 오각형과 육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은 모두 360˘로 같다.

508
입체도형의 부피와 겉넓이

6 ① 밑넓이가 S, 높이가 h 인 입체도형에서

기둥의 부피:V=Sh 뿔의 부피: V=;3!;Sh

h
h

S S

②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r, 높이가 h인 원기둥에서


부피:V=pr¤ h
겉넓이:S=2pr¤ +2prh
h

③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r, 높이가 h, 모선의 길이가 l 인 원뿔에서

부피:V=;3!;pr¤ h
h l
겉넓이:S=pr¤ +prl

④ 반지름의 길이가 r 인 구에서

부피:V=;3$;pr‹ r

겉넓이:S=4pr¤

예 제 다음 입체도형의 부피와 겉넓이를 구하여라.

⑴ ⑵
3 cm

4 cm 8 cm
5 cm

3 cm

_ 부피:;3!;_p_3¤ _4=12p(cm‹ ) 부피:p_3¤ _8=72p(cm‹ )


겉넓이:2p_3¤ +2p_3_8=66p(cm¤ )
겉넓이:p_3¤ +p_3_5=24p(cm¤ )

509
이등변삼각형의 성질

7 ① 이등변삼각형의 두 밑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또한 두 내각의 크기가


같은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이다.
②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한다.
또한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의 수직이등분선은 꼭지각을 이등분한다.

증명 ∠A의 이등분선과 밑변 BC 와의 교점을 D라고 하면 A

△ABD와 △ACD 에서
AB”=AC” (∵ 이등변삼각형의 길이가 같은 두 변)
∠BAD=∠CAD
AD” 는 공통 B C
D
이므로 △ABD™△ACD(SAS합동)
∴ ∠B=∠C
∠A 의 이등분선과 밑변 BC 와의 교점을 D라고 하면
△ABD™△ACD이므로
BD”=CD”
또한 ∠ADB=∠ADC, ∠ADB+∠ADC=180˘이므로 AD”⊥BC”
따라서 AD” 는 BC” 를 수직이등분한다.

예 제 다음 그림에서 △AB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x 의 값을 구하여라.

⑴ A ⑵
A

40˘
B C
5 cm
B C
D
x cm

_ x=5_2=10 2x=180-(40_2)=100
∴ x=50

510
삼각형에서 수선의 길이의 합

8 ① 정삼각형의 내부의 한 점 P 에서 세 변에 각각 그은 세 수선의 A

길이의 합은 점 P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PL”+P’M”+PN”=h (일정) L N h
P
즉, 정삼각형 ABC 의 내부의 한 점 P 에서 세 변까지의 거리
의 합은 점 P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그 값은 △ABC B C
M
의 높이와 같다.
② 이등변삼각형의 밑변 위의 한 점 P에서 나머지 두 변에 각각 그 A

은 두 수선의 길이의 합은 점 P 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PL”+P’M”=k (일정)

M
L
B P C

증명 (△ABC의 넓이)=;2!;_BC”_h이고, 또한 A

(△ABC의 넓이)=;2!; AB”_PL”+;2!; BC”_P’M”+;2!; CA”_PN” L N


P h

(△ABC의 넓이)=;2!; BC”_PL”+;2!; BC”_P’M”+;2!; BC”_PN”


B C
M
(△ABC의 넓이)=;2!; BC”(PL”+P’M”+PN”)

∴ h=PL”+P’M”+PN”
(△ABC의 넓이)=(△ABP의 넓이)+(△APC의 넓이) A

(△ABC의 넓이)=;2!; AB”_PL”+;2!; AC”_P’M”

(△ABC의 넓이)=;2!; AB”_PL”+;2!; AB”_P’M”


M
L
(△ABC의 넓이)=;2!; AB”(PL”+P’M”) B C
P
△ABC의 넓이는 항상 일정하고 AB” 의 길이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PL”+P’M” 의 길이도
일정하다.

예 제 AB”=BC”=1, ∠B=90˘인 직각삼각형 ABC 의 내부의 한 점 P 에서 세 변 A


AB, BC, CA 까지의 거리를 각각 x, y, z 라고 할 때, x, y, z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여라.

_ AC” ¤ =AB” ” ¤ +BC” ” ¤ =1¤ +1¤ =2 ∴ AC”='2 x z


P
;2!;_1_x+;2!;_1_y+;2!;_'2_z=;2!; y
B C
'2
;2!;x+;2!;y+ 144 z=;2!;
2
∴ x+y+'2z=1

511
삼각형의 닮음 조건

9 두 삼각형은 다음의 각 경우에 닮음이다.


① 세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을 때(SSS닮음)
② 두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고, 그 끼인 각의 크기가 같을 때(SAS 닮음)
③ 두 쌍의 대응하는 각의 크기가 각각 같을 때(AA닮음)

보충 세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을 때 A'

a:a'=b:b'=c:c' A
c' b'
또는 15 = 15 = 15
a b c c b
a' b' c'
B C B' C'
a a'

두 쌍의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가 같고, 그 끼 A'


인 각의 크기가 같을 때 A
c' b'
b:b'=c:c'이고 ∠A=∠A' b
c

또는 15 = 15 이고 ∠A=∠A'
b c
b' c' B C B' C'

두 쌍의 대응하는 각의 크기가 각각 같을 때 A'

∠B=∠B', ∠C=∠C' A

B C B' C'

예 제 다음 그림에서 x 의 값을 구하여라.

⑴ ⑵ 4 cm
2'3 cm 8 cm x cm
x cm 2 cm

3 cm
1 cm
_ 2'3:2=x:1 8:4=(4+x):11
2x=2'3 16+4x=88

∴ x='3 4x=72
∴ x=18

512
직각삼각형의 닮음

10 ∠A 가 직각인 직각삼각형 ABC 의 꼭짓점 A 에서 BC” 에 A


수직으로 내린 선분을 AH”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① AB”” ¤ =BH”_BC”
② AC”” ¤ =CH”_CB” B C
H
③ AH”” ¤ =BH”_CH”
④ BH”:CH”=AB”” ¤ :AC”” ¤

증명 ∠B=∠HAC, ∠C=∠BAH A

① △ABCª△HBA이므로 AB”:HB”=BC”:BA”
∴ AB” ¤ =BH”_BC”
B C
② △ABCª△HAC이므로 AC”:HC”=BC”:AC” H

∴ AC” ¤ =CH”_CB”
③ △HBAª△HAC이므로 H’A”:HC”=HB”:H’A”
∴ AH” ¤ =BH”_CH”
④ ①, ②에서 AB” ¤ :AC” ¤ =BH”_BC”:CH”_CB” 이므로
AB” ¤ :AC” ¤ =BH”:CH”

예 제 다음 그림에서 x 의 값을 구하여라.

⑴ A ⑵ C
4 cm
H
4 cm
9 cm

B C x cm
2 cm H x cm
A B

4¤ =2_(2+x) x¤ =4_9
∴ x=6 ∴ x=6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ABD 의 둘레의 길이가 10, △ACD 의 둘레의 길이가 A


20 일 때, △ABC 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여라.

_ △ABD 와 △CAD는 닮은 도형이고, 둘레의 길이가 각각 10, 20이므로 두 삼


B C
D
각형의 닮음비는 1:2 이다.
따라서 AB”=a, BD””=b라고 하면
A
AB”:CA”=BD”:AD”=AD”:CD”=1:2
가 성립하므로 CA”=2a, AD”=2b, CD”=4b a 2a

△ABD의 둘레의 길이가 10 에서 a+3b=10 yy ㉠ 2b


B C
직각삼각형의 닮음에서 AB” ¤ =BD”_BC” 이므로 b D 4b
a¤ =b_(b+4b) ∴ a¤ =5b¤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b= 11112 (∵ a>0)


5(3-'5 )
2
따라서 △ABC의 둘레의 길이 l은

l=3a+5b=3(10-3b)+5b=30-4b=30-4_ 11112 =10'5


5(3-'5)
2

513
각의 이등분선

11 삼각형 ABC의 ∠A의 내각(외각)의 이등분선이 변 BC(BC” 의 연장선)와 만나는 점을 D라고


하면
① A ②
A

B C
D
B D
C

AB”:AC”=BD”:CD” AB”:AC”=BD”:CD”

증명 BA” 의 연장선을 긋고 점 C를 지나며 DA” 에 평행한 직선을 E

그어 그 교점을 E라고 하면 A

∠BAD=∠AEC (동위각)
∠DAC=∠ACE (엇각) B C
D
∴ ∠AEC=∠ACE
∴ AE”=AC”
AD”∥EC” 이므로 평행선의 성질에 의하여
BA”:AE”=BD”:DC”
∴ AB”:AC”=BD”:CD”

예 제 오른쪽 그림의 직각삼각형 ABC 에서 AD” 가 ∠A 의 이등분선일 때, 빗변 AC 의 A


길이를 구하여라.

A’C Ú=x cm, A’B=


Ú y cm라고 하면
y:x=2:3, 2x=3y
∴ y=;3@;x B C
2 cm D 3 cm
△ABC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하면 A

{;3@;x}2 +5¤ =x¤ x cm


y cm
;9$;x¤ +25=x¤
x¤ =45 ∴ x=3'5 B C
2 cm D 3 cm
∴ A’C Ú=3'5(cm)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BAD=∠CAD 이고 AD”∥CE” 일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E

① AC”=13.5 cm 13.5 cm
② CD”=9 cm
A
③ AB”:AE”=AD”:CE”
9 cm
④ BD”:CD”=2:3
⑤ AB”:AC”=2:3 B 6 cm D C

_ ③ AB”:BE”=AD”:CE”

514
폭이 일정한 종이접기

12 ① △ABC 는 BA”=BC”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A D ∠DAC=∠BAC (종이가 접혀진 각)
∠DAC=∠BCA (엇각)
B
C
∴ ∠BAC=∠BCA
∴ △ABC는 BA”=BC”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② △EBD 는 EB”=ED”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C' AB”=CD” 이므로 AB”=C’'D”
E ∠EAB=∠EC'D=90˘
A D
∠AEB=∠C'ED (맞꼭지각)
∴ ∠ABE=∠C'DE
∴ △ABE™△C'DE (ASA합동)
B C ∴ △EBD 는 EB”=ED”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③ △ABC'ª△DC'E
A C' D 오른쪽 그림에서 A C' D
b c
c+d=90˘이므로 d=90˘-c d
E
E b+c=90˘에서 b=90˘-c=d
∴ b=d a

또한 ∠C'AB=∠EDC'=90˘ B C
B C
∴ △ABC'과 △DC'E는 닮음이다. (AA닮음)

예 제 다음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ABCD 를 접을 때, DE” 의 길이를 구하여라.

A C' D

E
8 cm

B C
10 cm

_ AC”'’=y cm라고 하면 (8-x) cm


y cm C'
A D
△ABC'은 직각삼각형이므로 AB” ¤ +A’C'” ¤ =BC”'’ ¤
x cm
8¤ +y¤ =10¤ , y¤ =36 ∴ y=6 10 cm E
8 cm
AC”'’=6(cm)이므로 C’'D”=4(cm)
(8-x) cm
DE”=x cm라고 하면
C’'E”=CE”=(8-x)cm B C
10 cm
△C'DE에서 4¤ +x¤ =(8-x)¤
16+x¤ =64-16x+x¤
16x=48, x=3
∴ DE”=3(cm)

515
삼각형의 넓이의 비

13 ① 오른쪽 그림에서 △ABD와 △ADC 는 높이가 서로 같으므로 A

S¡:S™=;2!; mh:;2!; nh
h
S¡ S™
∴ S¡:S™=m:n
B C
m D n
② 오른쪽 그림의 삼각형 ABC에서
A
△ABE, △EBD, △EDC, △AEC
의 넓이를 각각 S¡, S™, S£, S¢ 라고 하면
S¡ E S¢
⁄ AE”:ED”=S¡:S™=S¢:S£, 즉 S¡S£=S™S¢
S™ S£
¤ BD”:DC”=S¡:S¢=S™:S£=S¡+S™:S£+S¢ B C
D

보충 다음 그림에서도 등식 S¡S£=S™S¢가 성립한다.


⑴ ⑵

S£ S¡ S¢

S™ S™ S£

⑴ BG”:DG”=m:n, △ABD 의 높이를 h, △CDB 의 높이를 D


A
k 라 하고, 각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S¢ n S£
h
G k
S¡=;2!; mh, S¢=;2!; nh,

m S™

S™=;2!;mk, S£=;2!; nk B C

∴ S¡_S£=;2!; mh_;2!; nk=;2!; mk_;2!; nh=S™_S¢

∴ S¡S£=S™S¢
⑵ △ADE의 높이를 h¡, 사다리꼴 DBCE 의 높이를 h™ 라 하고 A

각각의 넓이를 구하면 m h¡


S¡=;2!; mah¡, S¢=;2!; mbh¡,
n S¡ S¢
D E
ma mb
S™=;2!;(ma+na)h™, S£=;2!;(mb+nb)h™ S™ S£ h™

B C
S¡_S£=;2!; mah¡_;2!;(mb+nb)h™
na nb

S¡_S£=;2!;(ma+na)h™_;2!;mbh¡=S™_S¢

∴ S¡S£=S™S¢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DE”∥BC” 이다. △ADG, △AGE, DBFG 의 넓이가 각각 3, A
4, 6 일 때, GFCE 의 넓이를 구하여라.
D E
_ △ADG의 넓이를 S¡, DBFG의 넓이를 S™, GFCE 의 넓이를 S£, △AGE 의 넓이 G
를 S¢라고 하면 S¡_S£=S™_S¢가 성립한다.
B C
3_S£=6_4 ∴ S£=8 F
∴ GFCE의 넓이는 8

516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

14 ①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은 나머지 한 변과 평행하고, 그 길이는 나머지 한 변

의 길이의 ;2!;이다.

② 삼각형의 한 변의 중점을 지나고 다른 한 변에 평행한 직선은 나머지 한 변의 중점을 지난다.

A
증명 ① A’M”=B’M”, AN”=CN” 이면 MÚN”∥BC”, MÚN”=;2!; BC”
M N
② A’M”=B’M”, MÚN”∥BC” 이면 AN”=CN”

B C
보충 사다리꼴에서의 선분의 길이

⑴ x= 1111 ⑵ x= 112
mb+na a 2ab a
m+n m a+b x
x

n
b b

⑴ CD” 에 평행한 직선 AH를 그으면 AE”:AB”=EG”:BH” A a D


m:(m+n)=EG”:(b-a), (m+n)EG”=m(b-a) m

∴ EG”= 11112
m(b-a) G
E F
m+n
n
AHCD 는 평행사변형이므로 GF”=a
b-a H a
B C
∴ x=EF”=EG”+GF”= 1111
mb+na b
m+n
⑵ ∠AGD=∠BGC(맞꼭지각), ∠ADB=∠DBC(엇각) A a D

∴ △AGD ª△CGB (AA닮음) an


am
E F
∴ EG”= 112
ab G
BG”:BD”=EG”:AD”, bm:(a+b)m=EG”:a
a+b
bm bn
∴ GF”= 112
ab
CG”:CA”=GF”:AD”, bn:(a+b)n=GF”:a
a+b B C
b
∴ x=EG”+GF”= 112 + 112 = 112
ab ab 2ab
a+b a+b a+b

예 제 다음 그림에서 AD”∥EF”∥BC” 일 때, x 의 값을 구하여라.

⑴ A 4 cmD ⑵ A 6 cm D
x cm
E F
G
9 cm
E F

B x cm C (단, AE”:EB”=3:2) B C
14 cm

_ ⑴ EF”= 111 =9, 3x+8=45, 3x=37


3x+8
∴ x=:£3¶:
5

⑵ x= 11112 = 11112 =:¢5™:


2_6_14 2_6_14
6+14 20

517
닮은 도형의 넓이의 비와 부피의 비

15 ① 닮은 두 평면도형의 닮음비가 m:n 이면 그 넓이의 비는 m¤ :n¤ 이다.


② 닮은 두 입체도형의 닮음비가 m:n 이면 그 부피의 비는 m‹ :n‹ 이다.
③ 높이가 같은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밑변의 길이의 비와 같다.

보충 다음에서 넓이의 비 S:T 와 부피의 비 U:V를 구하여라.


① ②
m m
S U

n T n V

증명 AD”:DB”=m:n이면 AD”:AB”=m:(m+n), DE”:BC”=m:(m+n)


A
DE”=ma, BC”=(m+n)a 라 하고 AG”:GH”=m:n 이므로
m
AG”=mb, GH”=nb라고 하면
mb
G
S=;2!;_ma_mb, T=;2!;(ma+ma+na)nb
D E
ma
n
nb
S:T=;2!;ma_mb:;2!;(2m+n)a_nb
B H C
∴ S:T=m¤ :2mn+n¤ (m+n)a

AD”:DB”=m:n이면 AD”:AB”=m:(m+n), DE”:BC”=m:(m+n)


DE”=ma, BC”=(m+n)a 라 하고 AG”:AH”=m:(m+n) A

이므로 AG”=mb, AH”=(m+n)b 라고 하면 m

D G E
U=;3!;p{;2!; ma}2 _mb,
n

V=;3!;p[;2!;(m+n)a]2 _(m+n)b-;3!;p{;2!; ma}2 _mb


B C
H
U:V=;3!;p_;4!;a¤ bm‹ :;3!;p_;4!;a¤ b{(m+n)‹ -m‹ }

∴ U:V=m‹ :3m¤ n+3mn¤ +n‹

예 제 오른쪽 그림의 사다리꼴 ABCD 에서 AD”∥BC” 이고 △AOD 의 넓이는 4, A D


△OBC 의 넓이는 9 일 때, 이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하여라.
O
_ △AOD 와 △COB는 닮은 도형이고 그 넓이의 비가 4:9 이므로 닮음비는 2:3이
다. 즉, AO”:CO”=DO”:BO”=2:3 B C
△AOD:△DOC=2:3 ∴ △DOC=6
△AOD:△ABO=2:3 ∴ △ABO=6
따라서 사다리꼴 ABCD의 넓이는
4+6+6+9=25

518
삼각형의 무게중심

16 ① 삼각형의 세 중선은 한 점(무게중심)에서 만나고 삼각형의 A

무게중심은 세 중선의 길이를 각 꼭짓점으로부터 각각 2:1


로 나눈다. 2
② △ABC 의 무게중심을 G 라고 하면
△GAB=△GBC=△GCA 1
G

B C

③ △ABC 의 세 중선을 AD”, BE”, CF” 라고 하면


△GAF=△GBF=△GBD
F E
=△GCD=△GCE=△GAE
G

B C
D

증명 중선 BE와 CF 의 교점을 G라고 하자. A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EF”∥BC”, EF”=;2!; BC” F E

G
∴ △GBC ª△GEF
B C
∴ BG”:EG”=CG”:FG”=BC”:EF”=2:1 D

△ABG=;3@;△ABD=;3@; {;2!;△ABC}=;3!;△ABC이고

△BCG 와 △CAG 의 넓이도 모두 ;3!;△ABC이므로

△ABG=△BCG=△CAG

예 제 △ABC 의 무게중심 G 를 지나고 변 BC 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두 변 AB, AC A


와의 교점을 각각 D, E 라고 하자. △ABC 의 넓이가 36 일 때, △ADE 의 넓
이를 구하여라.

D E
G

B C

_ △CHF에서 CG”:GF”=2:1 이므로 CE”:EH”=2:1 A


△CGH에서 △CEG:△EGH=2:1

△CGH=;6!;△ABC=6 이므로 △EGH=6_;3!;=2


F H
같은 방법으로 하면 △DGF=2 D E
∴ △ADE=△AFG+△AHG+△EGH+△DGF G

=6+6+2+2=16 B C

519
삼각형의 외심

17 ① 삼각형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 O(외심)에서 만난다. A

② 삼각형의 외심에서 세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③ ∠BOC=2∠A
O
④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과 일치한다.
⑤ ∠ACB=90˘인 △ABC의 변 AB의 중점을 D라고 할 때,
B C
AD”=BD”=CD” 이면 점 D 는 △ABC의 외심이다.

보충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의 성질 P

⁄ 점 P 가 AB” 의 수직이등분선 위에 있으면 PA”=PB” 이다.


¤ PA”=PB” 이면 점 P 는 AB” 의 수직이등분선 위에 있다.
A B

증명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두 변 AB, BC의 수직이등분선의 교점을 O 라고 하면
OA”=OB”, OB”=OC” 이므로 OA”=OC” 이다.
OA”=OC” 이므로 점 O 는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 위에 있다.
따라서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 O에서 만난다.
∠BOC=∠BOD+∠COD A

∠BOC=(∠OAB+∠ABO)+(∠CAO+∠ACO)
∠BOC=2(∠OAB+∠CAO) O
∠BOC=2∠A
B D C
△BD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BC” 에 수직이면서 점 D 를 지나는 직선을 DE라고 하면
A
BD”=CD”, ∠DBC=∠DCB
이므로 △DBE와 △DCE 는 합동이다.
그러므로 DE” 는 BC” 의 수직이등분선이다. yy ㉠ D
F
또, △ADC 는 이등변삼각형이다.
AC” 에 수직이면서 점 D를 지나는 직선을 DF라고 하면
B E C
AD”=CD”, ∠DCA=∠DAC
이므로 △DCF와 △DAF 는 합동이다.
그러므로 DF” 는 AC” 의 수직이등분선이다. yy ㉡
㉠, ㉡에서 점 D는 BC”의 수직이등분선과 AC” 의 수직이등분선이 만나는 점이므로 △ABC
의 외심이다.

520
삼각형의 내심

18 ① 삼각형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은 한 점 I(내심)에서 만난다. A

② 삼각형의 내심에서 세 변까지의 거리는 같다.

③ ∠BIC=90˘+;2!;∠A c F Eb
I
④ △ABC의 세 변의 길이를 각각 a, b, c라 하고, 넓이를 S, 내
r
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라고 하면 B C
D
S=;2!;r(a+b+c), r= 1111
2S a
a+b+c
⑤ 삼각형의 세 꼭짓점에서 접점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AE”=AF”= 1111 , BD”=BF”= 1111 , CD”=CE”= 1111


b+c-a a+c-b a+b-c
2 2 2
⑥ △ABC 의 내심 I 는 세 접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DEF 의 외심이다.

보충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
⁄ 점 P 가 ∠AOB의 이등분선 위에 있으면 점 P에서 두 변 OA, B
OB까지의 거리는 서로 같다. P
¤ 점 P 에서 각의 두 변 OA, OB까지의 거리가 서로 같으면 점 P
는 ∠AOB의 이등분선 위에 있다. O A

증명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두 각 B, C 의 이등분선의 교점을 I라 하고
점 I에서 세 변 BC, CA,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 F라고 하면 IFÚ=IÆDÚ ,
IÆDÚ=IÆEÚ 이므로 IFÚ=IÆEÚ 이다. IFÚ=IÆEÚ 이므로 점 I 는 ∠A 의 이등분선 위에 있다.
따라서 세 내각의 이등분선은 한 점 I에서 만난다.
∠FBI=∠IBD=a, ∠ECI=∠ICD=b 라고 하면 A

∠A+2a+2b=180˘, a+b=90˘-;2!;∠A c
F b
△BIC 에서 ∠BIC+a+b=180˘이므로 I E

∠BIC=180˘-(a+b)=180-{90˘-;2!;∠A} a r b
a b
B C
D

∠BIC=90˘+;2!;∠A
a

IFÚ=IÆEÚ=IÆDÚ=r 이므로 △ABC의 넓이 S 는

∴ r= 1111 ⑥
2S
S=;2!;ar+;2!;br+;2!;cr=;2!;r(a+b+c)
a+b+c
△ABC의 둘레의 길이는 A

a+b+c=(AF”+AE”)+(BF”+BD”)+(CD”+CE”)
a+b+c=2(AE”+BD”+CD”)=2(AE”+a) F E
I
∴ AE”= 1111
b+c-a
2
B C
BD”, CD” 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생각하면 된다. D

521
평행사변형의 성질

19 ①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A D

②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다.


③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B C

참고 평행사변형이 되는 조건
다음의 어느 한 조건을 만족하는 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 된다.
①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하다. (정의)
② 두 쌍의 대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성질)
③ 두 쌍의 대각의 크기가 각각 같다. (성질)
④ 두 대각선이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성질)
⑤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하고 그 길이가 같다.
보충 ⑴ 콤파그논의 문제 A D

ABCD가 평행사변형이면
B M C
B’M”_D’N=
” AB”_AD” (일정)
N
⑵ 바리뇽의 문제
ABCD가 평행사변형이면 D

AA”'’+CC”'=
’ BB”'+
’ DD”'’ A C
B

A' B' D' C'

증명 ⑴ 콤파그논의 문제
∠MNC는 공통, ∠CMN=∠DAN(동위각)이므로 A (m+n)a D
△CMN과 △DAN 은 닮음이다.
ma n
CN”=m, CD”=n 이라고 하면 CN”:DN”=C’M:
” D’A” 이므로 B M C
C’M=
” ma, D’A”=(m+n)a 로 놓을 수 있다. m

B’M”_D’N=
” {(m+n)a-ma}_(m+n)=na_(m+n) N

B’M”_D’N=
” n_(m+n)a=AB”_AD”
∴ B’M”_D’N”=AB”_AD”
⑵ 바리뇽의 문제
AD”=BC”(평행사변형), ∠DAG=∠CBH(동위각)이므로 D

△AGD 와 △BHC는 합동이다.(RHA합동)


C
∴ AG”=BH”=A’'D'”=B’'C'” G
A

BC” =B’'C'”’ ¤ +(C’C'”-BB”'’ )¤ , AD” ¤ =A’'D'” ¤ +(DD”'’-A’A'” )¤


¤ H
B
∴ B’'C'” ¤ +(CC”'’-BB”'’ )¤ =A’'D'” ¤ +(DD”'’-A’A'” )¤
|CC”'’-BB”'’|=|D’D”'’-AA”'’|이므로 A' B' D' C'

CC”'-
’ BB”'’=DD”'-
’ AA”'’ (∵ CC”'’-BB”'’>0, DD”'’-AA”'’>0)
∴ AA”'+
’ CC”'’=BB”'’+DD”'’

522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

20 ① 직사각형, 마름모, 정사각형은 모두 평행사변형이다.


②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한다.
③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④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길이가 같고,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보충 A D

B C
D
A
A= 90˘ AC BD
AC = BD AB = AD

B C
A D A D
AD BC
AD BC
AB DC
B C
A D B C

AB = AD A= 90˘
B C AC BD
AC = BD

B D

예 제 △ABC 의 각 변을 각각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 ABD, ACF, BCE 를 그 E


려서 생기는 사각형 EDAF 가 평행사변형임을 보여라. D
F
A
_ △ABC 와 △FEC에서
BC”=EC”, AC”=FC”, ∠BCA=∠ECF
∴ △ABC™△FEC (SAS 합동) B C

△ABC와 △DBE에서
BC”=BE”, AB”=DB”, ∠ABC=∠DBE
∴ △ABC™△DBE (SAS합동)
따라서 △ABC™△FEC™△DBE이고 AD”=FE”, AF”=DE” 이므로
사각형 EDAF는 평행사변형이다.

523
피타고라스 정리

21 ⑴ 직각삼각형 ABC 에서 C

∠A=90˘이면 AB”¤ +AC”¤ =BC”¤


⑵ △ABC의 세 변 중 가장 긴 변의 길이가 a일 때, ∠A 가 가 B A
장 큰 각이 된다.
A
따라서 다음과 같이 삼각형 ABC의 모양을 판단한다.
a¤ <b¤ +c¤ 이면 △ABC 는 예각삼각형 c b
a¤ =b¤ +c¤ 이면 △ABC 는 직각삼각형
a¤ >b¤ +c¤ 이면 △ABC 는 둔각삼각형
B C
a

보충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넓이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 ¤ A
A P
P R
R

B C B C
Q
Q

P+R=Q P+R=Q
‹ ›
A
P R
P A

R B C
Q Q
B C

P+R=Q P+R=Q

예 제 오른쪽 그림의 직각삼각형 ABC 에서 세 변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을 그릴 때, 어


A S'
두운 부분의 넓이의 합을 구하여라.
S
6 cm 8 cm
A R A B C
P
Q
B C
B C

_ 위의 그림에서 P+R=Q 이므로

S+S'=(△ABC의 넓이)=;2!;_6_8=24(cm¤ )

다른 풀이 | BC”="√6¤ +≈8Ω¤ =10(cm)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다른 풀이 | [{6_8_;2!;}+(p_3¤ )+(p_4¤ )]-(p_5¤ )

다른 풀이 | =(24+25p)-25p=24(cm¤ )

524
피타고라스 정리의 여러 가지 증명

22 ① 유클리드의 증명법 D
I
△ABF™△EBC이므로 △ABF=△EBC
E A
BF”∥A’M” 이므로 △ABF=△LBF
H
EB”∥DC” 이므로 △EBC=△EBA
B C
따라서 LBFM= ADEB L

마찬가지 방법으로 LMGC= ACHI이다.


그러므로 BFGC= ADEB+ ACHI 이다.
즉, B’CÚ ¤ =A’BÚ ¤ +A’CÚ ¤ Ú F M G

② 피타고라스의 증명법 F b H c E
ADEF 가 정사각형일 때 c
a b
ADEF= BGHC+4△ABC이므로 C

b G
(b+c)¤ =a¤ +4_;2!; bc a
c

∴ b¤ +c¤ =a¤ A c B b D

c
③ 바스카라의 증명법
B A a-b
c¤ ={;2!; ab}_4+(a-b)¤ a-b b
a
=2ab+(a-b)¤ C
c
∴ c¤ =a¤ +b¤ B A

a b
C
④ 직각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한 증명법 A

직각삼각형 ABC의 꼭짓점 A 에서 빗변 BC 에 내린 수선 c


b

의 발을 H라고 하면 직각삼각형의 닮음에 의하여 y


x
△ABCª△HBA B C
H
a
△ABCª△HAC

따라서 ;aC;=;c{; 에서 c¤ =ax yy ㉠

;bA;=;]B; 에서 b¤ =ay yy ㉡

㉠+㉡을 하면
b¤ +c¤ =ay+ax=a(x+y)=a¤
∴ b¤ +c¤ =a¤

525
평면도형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의 활용

23 ① a¤ +c¤ =b¤ +d¤ ② a¤ -b¤ =d¤ -c¤


A A
a d
p a
d
O
B r D
t
s B C
b c b H c
C

③ 다음의 각 경우에 ABCD가 직사각형이면 a¤ +c¤ =b¤ +d¤ 이 성립한다.


! A D @ A D

a d
c a d
b
B C B b c C

# A D $ A D
a d
a d
b c
B C B C
b c

④ B’EÚ ¤ +C’DÚ ¤ =D’EÚ ¤ +B’CÚ ¤ C

A B
D

증명 ! A’M”=p, MÚB”=r, C’N”=r, ND”=p, MÚG=


” u, GN”=v라고 A D

하면 a d
p p
△AMG 에서 p¤ +u¤ =a¤ , △GMB 에서 u¤ +r¤ =b¤ , u v
M N
△CNG 에서 v¤ +r¤ =c¤ , △GND 에서 v¤ +p¤ =d¤ r b G
c r

a¤ +c¤ =(p¤ +u¤ )+(v¤ +r¤ )=(u¤ +r¤ )+(v¤ +p¤ )=b¤ +d¤ B C

∴ a¤ +c¤ =b¤ +d¤


¤~›도 같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예 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ABCD 의 내부에 한 점 P 가 있다. A D


AP”=6 cm, BP”=5 cm, CP”=4 cm 일 때, DP” 의 길이를 구하여라. 6 cm

_ AP” ¤ +CP” ¤ =BP” ¤ +DP” ¤ 이므로 36+16=25+DP” ¤ 5 cm 4 cm


P
DP” ¤ =27 ∴ DP”=3'3(cm)
B C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A=90˘, DE”=3 cm, BE”=4 cm, CD”=5 cm 일 때, A


BC” 의 길이를 구하여라.
D 3 cm
E
_ DE” ¤ +BC” ¤ =BE” ¤ +CD” ¤ 이므로 9+BC” ¤ =16+25 4 cm
B
BC” ¤ =32 ∴ BC”=4'2(cm) 5 cm

526
입체도형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의 활용

24 ① 세 모서리의 길이가 x, y, z인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A D


"√x¤ √+√y¤ +≈zΩ¤ 이다.
B C z
② 세 면의 대각선의 길이를 DB”=a, BG”=b, GD”=c라고 할 때,
H
이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l=æ≠1≠1≠11±2—5 이다.
a¤ +b¤ +c¤ E
y
2
F x G
③ 세 면 ABCD, BFGC, CGHD 의 넓이를 각각 S¡, S™, S£이
라고 할 때, 이 직육면체의 부피는 V="√S¡_√S™_çS£ 이다.
'6
④ 한 모서리의 길이가 a인 정사면체의 높이는 h= 12 a 이고,
3
'2
부피는 V= 125 a‹ 이다.
12

증명 △FGH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FH”¤ =x¤ +y¤ ∴ FH”="√x¤ +≈yΩ¤ A D

△DFH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FD”¤ =("√x¤ +≈yΩ¤ )¤ +z¤ B z


C
∴ FD”="√x¤ +√y¤ +≈zΩ¤ E
H
DF”’ ¤ =FH” ¤ +DH” ¤ =a¤ +D’H” ¤ 이고 y
F
DH” ¤ =DG” ¤ -GH” ¤ =c¤ -GH” ¤ 이므로 x G

DF” ¤ =a¤ +c¤ -GH” ¤ yy ㉠


또한 BH” ¤ =BG” ¤ +GH” ¤ =b¤ +GH” ¤ yy ㉡
DF” ¤ =BH” ¤ 이므로 ㉠+㉡을 하면

2DF” ¤ =a¤ +b¤ +c¤ , l¤ =DF” ¤ = 111125 ∴ l= æ≠1≠1≠11±2—5


a¤ +b¤ +c¤ a¤ +b¤ +c¤
2 2
FG”=x, GH”=y, HD”=z 이므로 S¡=xy, S™=xz, S£=yz가 된다.
∴ (부피 V)=xyz="√x¤ y¤ ≈zΩ¤ ='ƒxy_xz_yz="√S¡_S™_S£
'3
△ABH에서 a¤ =AH” ¤ +{;2A;}2 , AH” ¤ = 124 ∴ AH”= 12 a
3a¤
'6 A
4 2 h= ;;;;;:; a
3
'3 '3
점 G 는 △BCD 의 무게중심이므로 GH”=;3!; _ 12 a= 12 a
a
2 6

△AHG에서 { 12 a}2 =AG” ¤ +{ 12 a}2


'3 '3 '6 B D
∴ AG”= 12 a G
2 6 3 H
C
∴ (부피 V)=;3!; _(밑넓이)_(높이)

'3 '6 '2


∴ (부피 V)=;3!; _{;2!; _a_ 12 a}_ 12 a= 12 a‹
2 3 12

예 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모서리의 길이가 6 인 정육면체에서 △BED 의 넓이를 구하여라. A D


B
_ △BED는 한 변의 길이가 6'2인 정삼각형이다. C

∴ (△BED 의 넓이)=;2!;_6'2_3'6=18'3 H
E
F G

527
삼각비

25 ∠B=90˘ 직각삼각형 ABC 에서 C


BC” b
sin A= 122 = 1124 =;bA;
(대변) a
AC” (빗변)
A B
AB”
cos A= 122 = 1142 =;bC;
(밑변) c
AC” (빗변)
BC”
tan A= 122 = 1142 =;cA;
(대변)
AB” (밑변)

보충 ⑴ 특수한 각의 삼각비

'2 45˘
1
각 0˘ 30˘ 45˘ 60˘ 90˘
45˘ 삼각비
'2 '3
1 12 12
1 1
sin 0 1
2 2 2
'3 '2
12 12 1
1
30˘ cos 1 0
2 2 2
2
'3 '3
tan 0 12 1 '3 없다
3

60˘
1

⑵ 삼각비의 활용
직각삼각형의 변의 길이
B
c="√a¤ +≈bΩ¤ c
a
a=c sin A=c cos B=b tan A
A
b=c sin B=c cos A=a tan B b
C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ABC=30˘, ∠ADC=60˘, ∠ACD=90˘, BD”=10 cm A


일 때, △ABC 의 넓이를 구하여라.

_ △ABD에서 ∠BDA=120˘이므로 ∠BAD=30˘


30˘ 60˘
∴ △ABD 는 이등변삼각형 B C
10 cm D
'3 AC” AC”
AD”=10 (cm)이므로 sin 60˘= 12 = 11 = 11 ∴ AC”=5'3 (cm)
2 AD” 10
DC” DC”
AD”=10 (cm)이므로 cos 60˘=;2!;= 11 = 11 ∴ DC”=5 (cm)
AD” 10

∴ (△ABC 의 넓이)=;2!;_BC”_AC”=;2!;_15_5'3= 112 (cm¤ )


75'3
2

528
원의 호와 현

26 한 원 또는 합동인 두 원에서
① 크기가 같은 두 중심각에 대한 호의 길이는 서로 같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O

② 길이가같은두호에대한현의길이는서로같다. 또한 그역도성립한다.

③ 원의 중심에서 현에 내린 수선은 그 현을 이등분한다. 또한 원에서 현


의 수직이등분선은 그 원의 중심을 지난다.
O

④ 중심에서같은거리에있는현의길이는서로같다. 또한그역도성립한다.

O
⑤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한다. 또한 부채꼴의 넓이도 중심각
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러나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하지
않는다.

보충 원 O의 임의의 현 AB를 연장하여 BC”=OB” 가 되도록 점 C를 A

정하고 CO” 및 그 연장선이 원과 만나는 점을 각각 E, D 라고 B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D C
O E
∠EOB=;3!;∠AOD, µ BE=;3!;µAD

증명 ∠BCO=x 라고 하면 A

∠BOC=∠BCO=x 이므로 ∠ABO=2x 2x


B
y 2x
∴ ∠BAO=∠ABO=2x D C
O x E
∠AOB=y 라고 하면
4x+y=180˘ ∴ y=180˘-4x
∠AOD+y+x=180˘이므로
∠AOD=3x

∴ ∠EOB=x=;3!;∠AOD

또한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µ BE=;3!;µAD

529
원의 접선

27 ① 원의 접선은 그 접점을 지나는 반지름에 수직이다.


② 원 위의 한 점을 지나고, 그 점을 지나는 반지름에 수직인 직선은 이 원의 접선이다.
③ 원 밖의 한 점에서 그 원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는 서로 같다.

보충 ⑴ 피로의 문제
ABCD가 원 O 에 외접할 때 AB”+CD”=AD”+BC”
⑵ 아르키메데스의 문제 D

CD”⊥AB” 이면 세 호 AB, AC, BC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CD”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와 같다. A
C
B

(단, AB” 는 큰 원의 지름이다.)

증명 ⑴ 피로의 문제
H D
원의 중심에서 AB”, BC”, CD”, D’A” 에 반지름을 그어 만나는 A
점을 각각 E, F, G, H라고 하면 G
E O
AE”=AH”, BE”=BF”, CG”=CF”, DG”=DH” (∵ ③의 성질)
∴ AB”+CD”=(AE”+BE”)+(CG”+DG”)
B F C
=(AH”+BF”)+(CF”+DH”)
=(AH”+DH”)+(BF”+CF”)=AD”+BC”
∴ AB”+CD”=AD”+BC”
⑵ 아르키메데스의 문제
(세 호 AB, AC, BC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D

=;2!;p(a+b)¤ -;2!;pa¤ -;2!;pb¤ =abp

CD”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를 구하려면 CD” 의 길이를 먼저 A B


a a Cb b
구해야 한다.
AD” ¤ =4a¤ +CD” ¤ , BD” ¤ =4b¤ +CD” ¤ 이므로
AD” ¤ -BD” ¤ =4a¤ -4b¤ yy ㉠
또한 AD” ¤ +BD” ¤ =(2a+2b)¤ yy ㉡
㉠, ㉡을 연립하면 AD” ¤ =4a¤ +4ab ∴ CD” =AD” ¤ -4a¤ =4ab
¤ ∴ CD”=2'∂ab
따라서 CD” 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는 p('∂ab )¤ =abp

예 제 오른쪽 그림의 반원에서 세 직선 AQ, BR, QR 는 세 점 A, B, P 에서의 접선


Q
이다. AB”=2, AQ”=x, BR”=y 일 때, x 와 y 사이의 관계식을 구하여라.
P
x R
_ (x+y)¤ =2¤ +(x-y)¤ Q x
P y y
x¤ +2xy+y¤ =4+x¤ -2xy+y¤ x-y
x 2 R A B
4xy=4 ∴ xy=1 O
y
2
A O B

530
원주각

28 ① 한 원에서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그 호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

의 ;2!;이다. O

② 한 원에서 반원(또는 지름)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90˘이다.

③ 한 원에서 길이가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O

④ 원의 접선과 그 접점을 지나는 현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그 각의 내부


에 있는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와 같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O

보충 ⑴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한 쌍의 대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x 2y 2x y
2x+2y=360˘
∴ x+y=180˘

⑵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 내대각의 크기와 같다.


x
즉, ∠x=∠y
O
y

예 제 오른쪽 그림에서 PA”, PB” 가 원 O 의 접선이고 점 A, B 는 접점이다.


A
∠APB=40˘일 때, ∠ACB의 크기를 구하여라.
P 40˘ C
_ 선분 OA, OB 는 각각 직선 PA, PB와 수직으로 만난다. O
∠APB+∠AOB=180˘이므로 ∠AOB=140˘
B
∠ACB 는 ∠AOB의 원주각이므로 A

∠ACB=;2!;∠AOB=70˘ 40˘ 140˘ O C


P
70˘
B

531
네 점이 한 원 위에 있을 조건

29 다음의 각 경우에 네 점 A, B, C, D 는 한 원 위에 있다.


① ∠ACB=∠ADB일 때 ② ∠A+∠C=180˘일 때
C C
D
D

A B
A B

③ ∠D=∠CBE일 때 ④ PA”_PB”=PC”_PD” 일 때
C D B
D

C C
P
A E P
B A B A D

예 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CD 가 원에 내접할 때, ∠BCD 의 크기를 구하여라.

_ ∠BOD 는 µ BD의 중심각이고, ∠BAD는 µ BD 의 원주각이다. O


A
20˘
∠BOD=2a, ∠BAD=a 라고 하면
60˘
a+60˘=2a+20˘ D
B C
∴ a=40˘, 즉 ∠BAD=40˘
ABCD는 원에 내접하므로 ∠BAD+∠BCD=180˘
∴ ∠BCD=180˘-40˘=140˘

예 제 다음 <보기>에서 원에 항상 내접하는 사각형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ㄱ. 정사각형 ㄴ. 직사각형 ㄷ. 마름모
ㄹ. 평행사변형 ㅁ. 사다리꼴 ㅂ. 등변사다리꼴

_ 원에 항상 내접하는 사각형은 ㄱ, ㄴ, ㅂ이다.

532
원주각의 활용

30 ① 한 원에서 두 현 AB, CD 또는 이들의 연 D B

장선의 교점을 P라고 하면


C C P
PA”_PB”=PC”_PD”
P A D
A B

② 원 밖의 한 점 P 에서 그 원에 그은 접선과 할선이 원과 만나 B

는 점을 각각 T, A, B 라고 하면
A
PA”_PB”=PT”’ ¤ O

P
T

③ 이등변삼각형 ABC에서 점 A 를 지나는 직선이 변 BC 와 만나는 A

점을 D,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E 라고 하면
AB”’ ¤ =AD”_AE”
④ 삼각형 ABC에서 ∠A의 이등분선이 변 BC 와 만나는 점을 D, B
D C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E라고 하면
E
AB”_AC”=AD”_AE”

증명 D B

C A O
P B
A P
T

① △PACª△PDB이므로 ② ∠PTA=∠PBT이므로
PA”:PC”=PD”:PB” △PATª△PTB
∴ PA”_PB”=PC”_PD” ∴ PA”:PT”=PT”:PB”
∴ PA”_PB”=PT” ¤
③ △ABE와 △ADB 에서 ∠A는 공통 A

∠AEB=∠ACB (∵ 호 AB의 원주각)


=∠ABC(∵ AB”=AC”)
이므로 △ABEª△ADB B D C

∴ AB”:AD”=AE”:AB” E
∴ AB” ¤ =AD”_AE”
④ △ABE와 △ADC 에서 A

∠AEB=∠ACD (∵ 호 AB의 원주각)


∠BAE=∠DAC
B D C
이므로 △ABEª△ADC
∴ AB”:AD”=AE”:AC” E
∴ AB”_AC”=AD”_AE”

533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01 지수 3
4 25 2
- - - - - - - - - - - - - - - - - - - - - p.40
5 6 10
01-1 6 56
7 25
2 96 8 43
3 9 640
4 10 37
5 30
- - - - - - - - - - - - - - - - - - - - - p.86
6 10 9
02-11
7 8 22
12
8 4
13
9
14
10 4.5
15 21
- - - - - - - - - - - - - - - - - - - - - p.42
16 10
01-11 17 28
12 18 87
13 19 83
14 400 20 416
15 21 6
16 -2 22 77
17 75 23 875
18 4'5 24 55
19 648 25 218
20 10 26 16
27 100
28 10
29
02 로그 30 474
- - - - - - - - - - - - - - - - - - - - - p.84

02-1
2

536
03 지수함수
y y=|3x-1|

- - - - - - - - - - - - - - - - - - - - p.109
1 y=1

01-1 O x

y y=2≈
y=2≈ ±‹ +1 9 y
()
x+1
1
y= - -3
3
3 y=3

O x
-2 O x

{y|y>1 }
- - - - - - - - - - - - - - - - - - - - p.140
y
y={ 1 }≈
4 1
03-1 4
x
y=4—≈ —¤ -2 O
2
- 31
16
-2
3 9
4 4
{y|y>-2 }
y y=2≈
5 18
1 6 3
x
O
-1
7 16
8 40
y=-2≈ ±¤ -1
-5 9
10 13
{y|y<-1 }
y - - - - - - - - - - - - - - - - - - - - p.142
2
1
y={ 1 }≈
03-11
3
O x 12
-1
y=-{ 1 }≈ —⁄ +2
3
13
14
{y|y<2 }
15 7
- - - - - - - - - - - - - - - - - - - - p.111
16 ;2%;
02-1 17 1
y y=3
|x|
y -|x|
y=3 18 3
19
20 0<k<2
1 1
O x O x 21 aæ2 a…3

537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22 77 - - - - - - - - - - - - - - - - - - - - p.167

23 20
02-1
24 6 y
y
y=|log-1 (-x)|
25 36 k<2 y=|log£x| 3

26 60
O x -1 O x
1
27 15
28 93
y y
29 27 y=log£|x|

2
-1 O 1 x O 1 x

04 로그함수 y=log-31 |x-1|

- - - - - - - - - - - - - - - - - - - - p.165

01-1
- - - - - - - - - - - - - - - - - - - - p.167
y y=log 12 x

02-2
- 32
y |y|=log™ x y |y|=log-21 x
-2 O 1 x

-2 y=log 12 (x+2)-1
O 1 x O 1 x

y y |y|=|log™ x|
|y|=log™|x|
O 1 2 9 x
4 1
-1 O 1 x O x

y=log™ x y=log™(4x-8)

y
y=log£ x

O 1 x

- - - - - - - - - - - - - - - - - - - - p.186
-2

y=log£(1-x)-2
04-1 2

y
2 16
y=log 1 x
3
3
4
5
3 5 y=log£(x+"√x¤ +1)
O 1 2 x
2≈ +2—≈
y=log 1 (-9x+18)+1 y= (xæ0)
3 2

538
6 27 x=log£ ;2!; x=log£ 2
7 1
2 log 3+log 2
x= x=49
8 2 log 2-log 3
9 3 2
10 19 3
- - - - - - - - - - - - - - - - - - - - p.188 4
5
04-11
6 3<x<9 x>5 1<x<100
12
3 log 2-2 log 5
13 x>
2
14 7 68 2
15 8
16 63
9 ;10!0;<a<10
17 10
18 64 10 20
19 11 - - - - - - - - - - - - - - - - - - - - p.226

20 y=log™ (x+2)+1
05-11
21 ;9!;+2 log 3 12
22 13 13
23 18 14
24 18 15
25 12'3 16
26 7 17 x=0 x=4 x=5

27 2'∂37 18 ;3%;
28 9
19 -;3!;…a…1
29 79
20
21 8
22 30

05 로그방정식과 로그부등식 23 3
24 17
- - - - - - - - - - - - - - - - - - - - p.224
25 3'3
05-1 x=log™ 3 26 18

539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27 27 5
28 10 6 ;1#6(;
29 7
7 -7
30 8
8
9 0 0
1
10 2 sin h cos h
sin h
06 삼각함수 - - - - - - - - - - - - - - - - - - - - p.268

- - - - - - - - - - - - - - - - - - - - p.257
06-11 180˘
06-1 12
sin¤ h 13
tan¤ h-sin¤ h= -sin¤ h
cos¤ h
14
1
tan¤ h-sin¤ h=sin¤ h { -1} 15 30p
cos¤ h
1-cos¤ h
16
tan¤ h-sin¤ h=sin¤ h_
cos¤ h 17

tan¤ h-sin¤ h=sin¤ h_


sin¤ h 18
cos¤ h
19 -1
tan¤ h-sin¤ h=sin¤ h tan¤ h
20 23 :•2ª:
1-cos h sin h
111434 + 111434
sin h 1-cos h

= 111111213434
(1-cos h)¤ +sin¤ h
sin h(1-cos h)
1-2 cos h+cos¤ h+sin¤ h
= 11111121341124344
sin h(1-cos h)

= 11111122
2(1-cos h)
sin h(1-cos h) 07 삼각함수의 그래프
= 112
2 - - - - - - - - - - - - - - - - - - - - p.285
sin h
- - - - - - - - - - - - - - - - - - - - p.266 01-1
y
1 1 y=sin x
06-1 ;3“; ;4#;p 2

O p 2p 3p x
2 12p-9'3
-1 - 1 1
y= sin x
3 4 2 2

3'6
4 2 1342 ;2!; -;2!; 2p
8

540
y y
1 y=tan {2x+ p }
3p 9p 2
2 3p 2 5p
O p 2p 4p 6p x
p
-p 3p
-1 y=cos 1 x y=cos x 4 4 4
3 p p p x
- O
2 2
1 -1 6p

;2“;

- - - - - - - - - - - - - - - - - - - - p.285

- - - - - - - - - - - - - - - - - - - - p.304
01-3
y 07-1
1 y=|sin x|
2 ;2“; y=-cos x
-p O p 2p 3p x

-1 3

1 0 p 4 '2 ;3“; 1

-p
y
2 1 y=cos|x| 5
-p p
-2p O 2p x 6 ;2&;
-1 p 3p
- 32 p 2 2
7 32
1 -1 2p
8 -1 ;2!;
y y=»tan2x»

9 h=;3@;p h=;3$;p

-p O p
0…h…;3@;p ;3$;p…h<2p
p 3 px
4 4 2 4

0 ;2“; 10 0…h<;4“; ;4#;p<h<;4%;p

;4&;p<h<2p
- - - - - - - - - - - - - - - - - - - - p.287

02-1 - - - - - - - - - - - - - - - - - - - - p.306

y y=2 cos 1 x 07-11


2
2 y=cos 1 x 12 y
y=sin x+|sin x|
1 2p 2
p 3p4p 2
O x p
- 1 3p
-1 -2p 2 2 y=sin x
-2 3 -p O p p 2p x
-2 p
-3 -1 2
y=2 cos { 1 x- p } -1
2 2

1 -3 4p 2 0 2p

541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y
y=cos x - - - - - - - - - - - - - - - - - - - - p.336
1 p 3p 5p 7p
2 p 2 2 3p 2
O 2p 4p x
-1 08-11
-2
y=cos x-|cos x|
12 ;2%;
0 -2 2p
13 b=c
13 ;3@;p a=b C=90˘
14 5
14 13423
15 1 3'∂
21
7
16 5p 50
15 12
17 8
4'6
18 2p 8p 16 1342
3

19 0…h…p h=;2#;p a<-1 17 '∂34


18 '7
20 ;6%;p…h…p
19 -;2!; ;3@;

20
21 '∂61
22 21

08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23

24 ;;¡8∞;;
- - - - - - - - - - - - - - - - - - - - p.334

25 25+8'5
08-1 ;2#;
26 40
'3
2 -;4!; 134 27 4'7
2
28 4'5
3 ;2#; 29 6
4 ;5!; 30 '∂61

5 7m
6
3'3
7 1342
4
09 등차수열
8 2'3 2'3
- - - - - - - - - - - - - - - - - - - - p.372
9 8'3 6'3
10 24 09-1 19

542
2 10 등비수열
3 5
- - - - - - - - - - - - - - - - - - - - p.406
4 34
5 11 10- 1
6 43 2
7 3 64
8 198 4 48
9 400 5 20
10 51 6 2

- - - - - - - - - - - - - - - - - - - - p.374
7 -8
8 40
09-11
9 ;2!;
12
10 ;9!;(10⁄ ⁄ -100)
13
14 ;8∞1;(10« ±⁄ -9n-10)
15
- - - - - - - - - - - - - - - - - - - - p.408
16 8
17 6 10-11
18 3 12
19 150 13
20 216 14
21 30 15
22 15 16
23 100 21
17 4
24 6 18 18
25 46 19 5
26 315 20 81
'2
27 134
2
21 43
22 20
28 '2
23 201
29 150
24 54
25 14
26 64

543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27 56 22 24
28 5 23 303
29 3 24 143
30 27 25 380
n(n-2)(n-1)(n+1)
26 1320
8

11 합의 기호 ¡와 여러 가지 수열
27 110
28 440
29 930
- - - - - - - - - - - - - - - - - - - - p.454 30 13332
11- 1
2
3
4 210
12 수학적 귀납법
5 485 ;1@2$1);
- - - - - - - - - - - - - - - - - - - - p.493

6 114 625
09-1
7
n(4n¤ -1)
1¤ +3¤ +5¤ +y+(2n-1)¤ =
8 298 3
9 63 yy
10 0 ⁄ n=1

- - - - - - - - - - - - - - - - - - - - p.456 =1¤ =1
1_(4_1¤ -1)
11-11 =
3
=1

12
13 ¤ n=k
14 55 1¤ +3¤ +5¤ +y+(2k-1)¤
15 50 k(4k¤ -1)
= yy
16 252 3
17 1695 (2k+1)¤
18 675 1¤ +3¤ +5¤ +y+(2k-1)¤ +(2k+1)¤
19 220 k(4k¤ -1)
= +(2k+1)¤
3
20 241
= 1155515555511155 +(2k+1)¤
k(2k+1)(2k-1)
21 1300 3

544
= 1155555 {k(2k-1)+3(2k+1)} = 1155515555155151155
2k+1 (k+1)(k+2)(k+3)
3 6

= 115551555551115551555
(2k+1)(2k¤ +5k+3) n=k+1
3
⁄ ¤ n
= 115551555551115551155
(2k+1)(2k+3)(k+1)
3

= 115551555551115551
(k+1)(4k¤ +8k+3)
3 - - - - - - - - - - - - - - - - - - - - p.493

= 115551555551115551
(k+1){4(k+1)¤ -1}
3 09-3
n=k+1 f(n)=3« ±⁄ +4¤ « —⁄
⁄ ¤ n ⁄ n=1
f(1)=3¤ +4=13 f(1) 13

- - - - - - - - - - - - - - - - - - - - p.493
¤ n=k (kæ1) f(k) 13
09-2
1_n+2_(n-1)+3_(n-2)+y f(k)=13_q(k) q(k)

+(n-1)_2+n_1= 115551555515515
n(n+1)(n+2) n=k+1
6
f(k+1)=3k+2+42k+1
yy =3(k+1)+1+4(2k-1)+2
⁄ n=1 =3_3k+1+16_42k-1
=1_1=1 =3(3k+1+42k-1)+13_42k-1
=3f(k)+13_42k-1
= 1155555532 =1
1_2_3
6 =3_13_q(k)+13_42k-1
=13 {3_q(k)+42k-1}
¤ n=k f(k+1) 13
1_k+2_(k-1)+3_(k-2) ⁄ ¤ n 3n+1+42n-1
13
+y+k_1= 115551555515515
k(k+1)(k+2)
6
yy - - - - - - - - - - - - - - - - - - - - p.495

n=k+1
10-1
1_(k+1)+2_k+3_(k-1)+y
1 >log™ n
n
yy
+(k+1)_1 2
={1_k+2_(k-1)+3_(k-2)+y ⁄ n=5
=+k_1}+{1+2+3+y+k+(k+1)} - =;2%;-log™ 5
= 11555155551551 + 1155515555155555
k(k+1)(k+2) (k+1)(k+2)
6 2 - =log™ 4'2 -log™ 5>0

545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 1 1 1
1+ +y+ +
¤ n=k (kæ5) 2¤ k¤ (k+1)¤
1 1
<2- +
1 >log™ k
k
yy k (k+1)¤
2
<2- 115
1
;2!; k+1
n=k+1
112 >log™ k+ 1
k+1 1
2 2

112 >log™ '2k>log™ (k+1)


k+1 ⁄ ¤ næ2
2
n
n=k+1
(1+h)« >1+nh yy
⁄ ¤ næ5 n
⁄ n=2
=(1+h)¤ =1+2h+h¤
- - - - - - - - - - - - - - - - - - - - p.495
>1+2h= ( h¤ >0)
10-2
1 1 1 1
1+ + +y+ <2- yy ¤ n=k (kæ2)
2¤ 3¤ n¤ n
⁄ n=2
1 (1+h)˚ >1+kh yy
=1+ =;4%;
2¤ 1+h
=2-;2!;=;2#; (1+h)˚ ±⁄ >(1+kh)(1+h)
=1+kh+h+kh¤
>1+(k+1)h
¤ n=k (kæ2)
( kh¤ >0)

1 1 1 n=k+1
1+ +y+ <2- yy
2¤ k¤ k
1
⁄ ¤ næ2 n
(k+1)¤
1 1 1
1+ +y+ +
2¤ k¤ (k+1)¤
1 1 - - - - - - - - - - - - - - - - - - - - p.495
<2- + yy
k (k+1)¤
10-3

¡ ;k!;æ 1 +1
n
n
2
1 1 1 yy
[2- + ]-{2- } k=1 2
k (k+1)¤ k+1
1 ⁄ n=1
=- yy
= ¡ ;k!;=1+;2!;=;2#;
<0
k(k+1)¤ 2

k=1

546
=;2!;+1=;2#; - - - - - - - - - - - - - - - - - - - - p.496

12- 1 400
2
¤ n=m (mæ1)
3

¡ ;k!;æ
4 105
2m m
+1 yy 5 300
k=1 2
n=m+1 6 239

¡ ;k!;= ¡ ;k!;+{ µ
2m+1
2 m
1 1 7 15
+ µ
k=1 k=1 2 +1 2 +2 8 19
1
+y+ µ µ } 9 -20
2 +2

;k!;= ¡ ;k!;+ ¡ µ
2 m
2 1 m 10 6
k=1 k=1 2 +k
- - - - - - - - - - - - - - - - - - - - p.498
µ
1…k…2 k
µ µ µ µ≠¡ 12-11
2 +k…2 +2 =2
12
1 1
µ æ µ
2 +k 2 ±⁄ 13 3
14 768

¡ æ¡ µ
2m 1 2m1 15 400
µ yy
k=1 2 +k k=1 2 ±⁄
16 20

¡ ;k!;= ¡ ;k!;+ ¡ µ
17 15
2m+1 2m 1
2m

k=1 k=1 k=1 2 +k


18 9

+1+ ¡ µ
m 1m
19 51
;k!;æ
2

2 k=1 2 ±⁄ 20 20
m µ 1
;k!;= +1+2 _ µ
2 2 ±⁄
m
;k!;= +1+;2!;
2
m+1
;k!;= +1
2

¡ ;k!;æ
2
m+1
m+1
+1
k=1 2
n=m+1

⁄ ¤ n

547
상용로그표

상용로그표(1)
수 0 1 2 3 4 5 6 7 8 9
1.0 .0000 .0043 .0086 .0128 .0170 .0212 .0253 .0294 .0334 .0374
1.1 .0414 .0453 .0492 .0531 .0569 .0607 .0645 .0682 .0719 .0755
1.2 .0792 .0828 .0864 .0899 .0934 .0969 .1004 .1038 .1072 .1106
1.3 .1139 .1173 .1206 .1239 .1271 .1303 .1335 .1367 .1399 .1430
1.4 .1461 .1492 .1523 .1553 .1584 .1614 .1644 .1673 .1703 .1732
1.5 .1761 .1790 .1818 .1847 .1875 .1903 .1931 .1959 .1987 .2014
1.6 .2041 .2068 .2095 .2122 .2148 .2175 .2201 .2227 .2253 .2279
1.7 .2304 .2330 .2355 .2380 .2405 .2430 .2455 .2480 .2504 .2529
1.8 .2553 .2577 .2601 .2625 .2648 .2672 .2695 .2718 .2742 .2765
1.9 .2788 .2810 .2833 .2856 .2878 .2900 .2923 .2945 .2967 .2989
2.0 .3010 .3032 .3054 .3075 .3096 .3118 .3139 .3160 .3181 .3201
2.1 .3222 .3243 .3263 .3284 .3304 .3324 .3345 .3365 .3385 .3404
2.2 .3424 .3444 .3464 .3483 .3502 .3522 .3541 .3560 .3579 .3598
2.3 .3617 .3636 .3655 .3674 .3692 .3711 .3729 .3747 .3766 .3784
2.4 .3802 .3820 .3838 .3856 .3874 .3892 .3909 .3927 .3945 .3962
2.5 .3979 .3997 .4014 .4031 .4048 .4065 .4082 .4099 .4116 .4133
2.6 .4150 .4166 .4183 .4200 .4216 .4232 .4249 .4265 .4281 .4298
2.7 .4314 .4330 .4346 .4362 .4378 .4393 .4409 .4425 .4440 .4456
2.8 .4472 .4487 .4502 .4518 .4533 .4548 .4564 .4579 .4594 .4609
2.9 .4624 .4639 .4654 .4669 .4683 .4698 .4713 .4728 .4742 .4757
3.0 .4771 .4786 .4800 .4814 .4829 .4843 .4857 .4871 .4886 .4900
3.1 .4914 .4928 .4942 .4955 .4969 .4983 .4997 .5011 .5024 .5038
3.2 .5051 .5065 .5079 .5092 .5105 .5119 .5132 .5145 .5159 .5172
3.3 .5185 .5198 .5211 .5224 .5237 .5250 .5263 .5276 .5289 .5302
3.4 .5315 .5328 .5340 .5353 .5366 .5378 .5391 .5403 .5416 .5428
3.5 .5441 .5453 .5465 .5478 .5490 .5502 .5514 .5527 .5539 .5551
3.6 .5563 .5575 .5587 .5599 .5611 .5623 .5635 .5647 .5658 .5670
3.7 .5682 .5694 .5705 .5717 .5729 .5740 .5752 .5763 .5775 .5786
3.8 .5798 .5809 .5821 .5832 .5843 .5855 .5866 .5877 .5888 .5899
3.9 .5911 .5922 .5933 .5944 .5955 .5966 .5977 .5988 .5999 .6010
4.0 .6021 .6031 .6042 .6053 .6064 .6075 .6085 .6096 .6107 .6117
4.1 .6128 .6138 .6149 .6160 .6170 .6180 .6191 .6201 .6212 .6222
4.2 .6232 .6243 .6253 .6263 .6274 .6284 .6294 .6304 .6314 .6325
4.3 .6335 .6345 .6355 .6365 .6375 .6385 .6395 .6405 .6415 .6425
4.4 .6435 .6444 .6454 .6464 .6474 .6484 .6493 .6503 .6513 .6522
4.5 .6532 .6542 .6551 .6561 .6571 .6580 .6590 .6599 .6609 .6618
4.6 .6628 .6637 .6646 .6656 .6665 .6675 .6684 .6693 .6702 .6712
4.7 .6721 .6730 .6739 .6749 .6758 .6767 .6776 .6785 .6794 .6803
4.8 .6812 .6821 .6830 .6839 .6848 .6857 .6866 .6875 .6884 .6893
4.9 .6902 .6911 .6920 .6928 .6937 .6946 .6955 .6964 .6972 .6981
5.0 .6990 .6998 .7007 .7016 .7024 .7033 .7042 .7050 .7059 .7067
5.1 .7076 .7084 .7093 .7101 .7110 .7118 .7126 .7135 .7143 .7152
5.2 .7160 .7168 .7177 .7185 .7193 .7202 .7210 .7218 .7226 .7235
5.3 .7243 .7251 .7259 .7267 .7275 .7284 .7292 .7300 .7308 .7316
5.4 .7324 .7332 .7340 .7348 .7356 .7364 .7372 .7380 .7388 .7396

548
상용로그표(2)
수 0 1 2 3 4 5 6 7 8 9
5.5 .7404 .7412 .7419 .7427 .7435 .7443 .7451 .7459 .7466 .7474
5.6 .7482 .7490 .7497 .7505 .7513 .7520 .7528 .7536 .7543 .7551
5.7 .7559 .7566 .7574 .7582 .7589 .7597 .7604 .7612 .7619 .7627
5.8 .7634 .7642 .7649 .7657 .7664 .7672 .7679 .7686 .7694 .7701
5.9 .7709 .7716 .7723 .7731 .7738 .7745 .7752 .7760 .7767 .7774
6.0 .7782 .7789 .7796 .7803 .7810 .7818 .7825 .7832 .7839 .7846
6.1 .7853 .7860 .7868 .7875 .7882 .7889 .7896 .7903 .7910 .7917
6.2 .7924 .7931 .7938 .7945 .7952 .7959 .7966 .7973 .7980 .7987
6.3 .7993 .8000 .8007 .8014 .8021 .8028 .8035 .8041 .8048 .8055
6.4 .8062 .8069 .8075 .8082 .8089 .8096 .8102 .8109 .8116 .8122
6.5 .8129 .8136 .8142 .8149 .8156 .8162 .8169 .8176 .8182 .8189
6.6 .8195 .8202 .8209 .8215 .8222 .8228 .8235 .8241 .8248 .8254
6.7 .8261 .8267 .8274 .8280 .8287 .8293 .8299 .8306 .8312 .8319
6.8 .8325 .8331 .8338 .8344 .8351 .8357 .8363 .8370 .8376 .8382
6.9 .8388 .8395 .8401 .8407 .8414 .8420 .8426 .8432 .8439 .8445
7.0 .8451 .8457 .8463 .8470 .8476 .8482 .8488 .8494 .8500 .8506
7.1 .8513 .8519 .8525 .8531 .8537 .8543 .8549 .8555 .8561 .8567
7.2 .8573 .8579 .8585 .8591 .8597 .8603 .8609 .8615 .8621 .8627
7.3 .8633 .8639 .8645 .8651 .8657 .8663 .8669 .8675 .8681 .8686
7.4 .8692 .8698 .8704 .8710 .8716 .8722 .8727 .8733 .8739 .8745
7.5 .8751 .8756 .8762 .8768 .8774 .8779 .8785 .8791 .8797 .8802
7.6 .8808 .8814 .8820 .8825 .8831 .8837 .8842 .8848 .8854 .8859
7.7 .8865 .8871 .8876 .8882 .8887 .8893 .8899 .8904 .8910 .8915
7.8 .8921 .8927 .8932 .8938 .8943 .8949 .8954 .8960 .8965 .8971
7.9 .8976 .8982 .8987 .8993 .8998 .9004 .9009 .9015 .9020 .9025
8.0 .9031 .9036 .9042 .9047 .9053 .9058 .9063 .9069 .9074 .9079
8.1 .9085 .9090 .9096 .9101 .9106 .9112 .9117 .9122 .9128 .9133
8.2 .9138 .9143 .9149 .9154 .9159 .9165 .9170 .9175 .9180 .9186
8.3 .9191 .9196 .9201 .9206 .9212 .9217 .9222 .9227 .9232 .9238
8.4 .9243 .9248 .9253 .9258 .9263 .9269 .9274 .9279 .9284 .9289
8.5 .9294 .9299 .9304 .9309 .9315 .9320 .9325 .9330 .9335 .9340
8.6 .9345 .9350 .9355 .9360 .9365 .9370 .9375 .9380 .9385 .9390
8.7 .9395 .9400 .9405 .9410 .9415 .9420 .9425 .9430 .9435 .9440
8.8 .9445 .9450 .9455 .9460 .9465 .9469 .9474 .9479 .9484 .9489
8.9 .9494 .9499 .9504 .9509 .9513 .9518 .9523 .9528 .9533 .9538
9.0 .9542 .9547 .9552 .9557 .9562 .9566 .9571 .9576 .9581 .9586
9.1 .9590 .9595 .9600 .9605 .9609 .9614 .9619 .9624 .9628 .9633
9.2 .9638 .9643 .9647 .9652 .9657 .9661 .9666 .9671 .9675 .9680
9.3 .9685 .9689 .9694 .9699 .9703 .9708 .9713 .9717 .9722 .9727
9.4 .9731 .9736 .9741 .9745 .9750 .9754 .9759 .9763 .9768 .9773
9.5 .9777 .9782 .9786 .9791 .9795 .9800 .9805 .9809 .9814 .9818
9.6 .9823 .9827 .9832 .9836 .9841 .9845 .9850 .9854 .9859 .9863
9.7 .9868 .9872 .9877 .9881 .9886 .9890 .9894 .9899 .9903 .9908
9.8 .9912 .9917 .9921 .9926 .9930 .9934 .9939 .9943 .9948 .9952
9.9 .9956 .9961 .9965 .9969 .9974 .9978 .9983 .9987 .9991 .9996

549
삼각함수표

h)
각(h sin h cos h tan h h)
각(h sin h cos h tan h

0 0.0000 1.0000 0.0000 45 0.7071 0.7071 1.0000


1 0.0175 0.9998 0.0175 46 0.7193 0.6947 1.0355
2 0.0349 0.9994 0.0349 47 0.7314 0.6820 1.0724
3 0.0523 0.9986 0.0524 48 0.7431 0.6691 1.1106
4 0.0698 0.9976 0.0699 49 0.7547 0.6561 1.1504
5 0.0872 0.9962 0.0875 50 0.7660 0.6428 1.1918
6 0.1045 0.9945 0.1051 51 0.7771 0.6293 1.2349
7 0.1219 0.9925 0.1228 52 0.7880 0.6157 1.2799
8 0.1392 0.9903 0.1405 53 0.7986 0.6018 1.3270
9 0.1564 0.9877 0.1584 54 0.8090 0.5878 1.3764
10 0.1736 0.9848 0.1763 55 0.8192 0.5736 1.4281
11 0.1908 0.9816 0.1944 56 0.8290 0.5592 1.4826
12 0.2079 0.9781 0.2126 57 0.8387 0.5446 1.5399
13 0.2250 0.9744 0.2309 58 0.8480 0.5299 1.6003
14 0.2419 0.9703 0.2493 59 0.8572 0.5150 1.6643
15 0.2588 0.9659 0.2679 60 0.8660 0.5000 1.7321
16 0.2756 0.9613 0.2867 61 0.8746 0.4848 1.8040
17 0.2924 0.9563 0.3057 62 0.8829 0.4695 1.8807
18 0.3090 0.9511 0.3249 63 0.8910 0.4540 1.9626
19 0.3256 0.9455 0.3443 64 0.8988 0.4384 2.0503
20 0.3420 0.9397 0.3640 65 0.9063 0.4226 2.1445
21 0.3584 0.9336 0.3839 66 0.9135 0.4067 2.2460
22 0.3746 0.9272 0.4040 67 0.9205 0.3907 2.3559
23 0.3907 0.9205 0.4245 68 0.9272 0.3746 2.4751
24 0.4067 0.9135 0.4452 69 0.9336 0.3584 2.6051
25 0.4226 0.9063 0.4663 70 0.9397 0.3420 2.7475
26 0.4384 0.8988 0.4877 71 0.9455 0.3256 2.9042
27 0.4540 0.8910 0.5095 72 0.9511 0.3090 3.0777
28 0.4695 0.8829 0.5317 73 0.9563 0.2924 3.2709
29 0.4848 0.8746 0.5543 74 0.9613 0.2756 3.4874
30 0.5000 0.8660 0.5774 75 0.9659 0.2588 3.7321
31 0.5150 0.8572 0.6009 76 0.9703 0.2419 4.0108
32 0.5299 0.8480 0.6249 77 0.9744 0.2250 4.3315
33 0.5446 0.8387 0.6494 78 0.9781 0.2079 4.7046
34 0.5592 0.8290 0.6745 79 0.9816 0.1908 5.1446
35 0.5736 0.8192 0.7002 80 0.9848 0.1736 5.6713
36 0.5878 0.8090 0.7265 81 0.9877 0.1564 6.3138
37 0.6018 0.7986 0.7536 82 0.9903 0.1392 7.1154
38 0.6157 0.7880 0.7813 83 0.9925 0.1219 8.1443
39 0.6293 0.7771 0.8098 84 0.9945 0.1045 9.5144
40 0.6428 0.7660 0.8391 85 0.9962 0.0872 11.4301
41 0.6561 0.7547 0.8693 86 0.9976 0.0698 14.3007
42 0.6691 0.7431 0.9004 87 0.9986 0.0523 19.0811
43 0.6820 0.7314 0.9325 88 0.9994 0.0349 28.6363
44 0.6947 0.7193 0.9657 89 0.9998 0.0175 57.2900
45 0.7071 0.7071 1.0000 90 1.0000 0.0000

550
찾아보기

ㄱ ㅁ
013 047
013
028
016
423

* 424 238

381
345
438 ㅅ
464
311
244
244
ㄷ 244

233
* 248

235
* 246

381 292

* 381 295

* 390 273

382
* 273

345
* 274

* 345
* 276

* 356 258

347 281
062
* 065
* 065
ㄹ 343
236 * 343
047 358
* 048 489
* 052 233
195 a n 013
208
149 * 027

551
찾아보기

124
ㅇ 093
a n 013 047
n a 016
391
* 391
* 391 ㅋ
025 313
* 024 244
234
* 233
* 233
343 ㅌ
244


419 ㅎ
236
* 020
464
* 465
* 465 기호
* 465
a« 343
* an+1=a«+f(n) 466
{a«} 343

¡ ak
* an+1=f(n)_a« 467 n
415
* an+1=pa«+q 467 k=1

* pan+2+qan+1+ra«=0 469 'a


n
014
loga N 047
* an+1= 1112
ra«
pa«+q
470
log N 062
sin x 244
* 022 cos x 244
348 tan x 244
348
273
273
122

55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