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0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영역 기하

정답과 풀이

Ⅰ. 이차곡선 2

Ⅱ. 평면벡터 29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49

기하_해설.indb 1 2022-12-02 오후 7:52:04


정답과 풀이


포물선 yÛ`=12x의 준선의 방정식은 x=-3이다.
이차곡선 포물선 위의 점 P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
의 정의에 의하여 PHÓ=PFÓ=9
본문 8 ~ 31 쪽
따라서 점 P의 x좌표를 a라 하면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a-(-3)=9, a=6
①
01 ② 02 ① 03 ① 04 ③ 05 ②
06 ③ 07 ① 08 ② 09 136 10 ③
11 ③ 12 ⑤ 13 50 14 ① 15 ①
16 ①
21 ⑤
17 23
22 ③
18 90
23 ②
19 5
24 ①
20 ⑤
25 ④
03
26 12 27 ② 28 22 29 6 30 ② 포물선 yÛ`=12x=4_3_x의 초점은 F(3, 0)이고 준선 l의 방정
식은 x=-3이다.
31 14 32 11 33 ③ 34 ⑤ 35 ①
점 A의 x좌표는 4-3=1이므로 y좌표는
36 ③ 37 29 38 ② 39 105 40 ④
41 15 42 ③ 43 ③ 44 ④ 45 ⑤ yÛ`=12_1=12에서 y=2'3
46 ④ 47 ④ 48 ① 49 ② 50 ④ 즉, A(1, 2'3 )
51 ② 52 ④ 53 ③ 54 ③ 55 ② 두 점 A, F를 지나는 직선 AF의 방정식은
56 ⑤ 57 ① 58 19 59 12 60 ④
0-2'3
y-0= (x-3), 즉 y=-'3 (x-3)
61 12 62 ④ 63 ② 64 128 65 116 3-1
66 ③ 67 ⑤ 68 ④ 69 ⑤ 70 ② 이므로 포물선 yÛ`=12x와 직선 AF의 교점의 x좌표는
71 ② 72 ② 73 10 74 ④ 75 64 {-'3 (x-3)}Û`=12x에서
76 ② 77 ① 78 52 79 15 80 18
(x-3)Û`=4x
81 32 82 ⑤ 83 ② 84 ① 85 ③
86 ① 87 ① xÛ`-10x+9=0
(x-1)(x-9)=0
x=1 또는 x=9
유형 1 포물선 이때 점 A의 x좌표가 1이므로 점 B의 x좌표는 9이다.
따라서 BDÓ=9-(-3)=12

01 ①

포물선 yÛ`=8x의 준선의 방정식은 x=-2이다.


점 P와 y축 사이의 거리가 3이므로 점 P와 준선 사이의 거리는
2+3=5, 즉 PFÓ=5 04
Z ZQY
②
2 .1

02 0 ) ' Y
y Y
P yÛ`=12x
H
두 포물선 yÛ`=4px, yÛ`=-4px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9 직선 QP와 y축이 만나는 점을 M이라 하면

-3 O F x PMÓ=;2!; PÕQ=
Õ ;2!;_6=3

포물선 yÛ`=4px의 초점 F의 좌표는 (p, 0)이고, 점 P에서 x축에


x=-3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OHÓ=PMÓ=3이므로

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2 2022-12-02 오후 7:52:04



OFÓ=2 OHÓ=6
07

이차곡선
즉, p=6이므로 포물선 yÛ`=4px의 준선의 방정식은 x=-6이다.
포물선 yÛ`=4x=4_1_x의 초점은 F(1, 0)이고 준선의 방정식
따라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은 x=-1이다.
PFÓ=6+PMÓ=6+3=9
y yÛ =4x
③ A
K

F
-1 O 1 H x

05
x=-1
yÛ`-4y-ax+4=0에서 (y-2)Û`=ax이므로 주어진 포물선은
포물선 yÛ`=a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 점 A에서 준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K라 하면 포물선의
이다. 정의에 의하여 AKÓ=AFÓ=5이므로
FHÓ=3
이때 포물선 yÛ`=ax의 초점의 좌표가 {;4A;, 0}이므로
직각삼각형 AFH에서
포물선 (y-2)Û`=ax의 초점의 좌표는 {;4A;, 2}이다.
‌ ¾ ÐAFÓ Û`-FHÓ Û`
AHÓ=

따라서 ;4A;=3, 2=b에서 a=12, b=2이므로 ="Ã5Û`-3Û`


=4
a+b=12+2=14
따라서 삼각형 AFH의 넓이는
②
;2!;_FHÓ_AHÓ=;2!;_3_4=6

①

06
초점이 F{;3!;, 0}이고 준선이 x=-;3!;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08
y yÛ`=8x

yÛ`=4_;3!;x=;3$;x

이 포물선이 점 (a, 2)를 지나므로


-1 O 1 x
2Û`=;3$;_a

따라서 a=3 x=-3

③ 꼭짓점이 점 (-1, 0)이고 준선이 x=-3인 포물선의 초점은


다른 풀이 (1, 0)이므로 구하는 포물선은 yÛ`=8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점 (a, 2)가 초점이 F{;3!;, 0}이고 준선이 x=-;3!;인 포물선 위 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즉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에 있으므로 점 (a, 2)를 A라 하면 선분 AF의 길이와 점 A에서
yÛ`=8(x+1)에서 yÛ`=8x+8
직선 x=-;3!;까지의 거리가 같다. 즉,
따라서 a=8, b=8이므로 a+b=16

¾Ð{a-;3!;}2`+(2-0)Û` =|a-{-;3!;}|
②

{a-;3!;}2`+4={a+;3!;}2`

aÛ`-;3@;a+;9!;+4=aÛ`+;3@;a+;9!;
09
포물선 xÛ`=4y=4_1_y의 초점은 F(0, 1)이고 준선의 방정식
따라서 a=3 은 y=-1이다.

정답과 풀이 ● 3

기하_해설.indb 3 2022-12-02 오후 7:52:05


11
y
xÛ =4y

k A 두 점 A, C의 x좌표를 각각 xÁ, xª라 하면


ABÓ=xÁ+p
이때 ABÓ=BFÓ이므로
F x BFÓ=xÁ+p yy`㉠

O B H y=-1 한편 점 C에서 포물선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C'이라 하면


CFÓ=CC'Ó=xª+p yy`㉡
점 A에서 준선 y=-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y yÛ=4px
정의에 의하여
B A
AFÓ=AHÓ=10
점 A의 y좌표를 k라 하면
C' C
10=k+1에서 k=9
x=-p O C'' F x
이때 점 A의 x좌표는
xÛ`=4_9=36에서 이때 BCÓ+3 CFÓ=6이므로 ㉠, ㉡에서
x=6 또는 x=-6 BCÓ+3 CFÓ=BFÓ
‌ +2 CFÓ
즉, A(6, 9) 또는 A(-6, 9)이다. =(xÁ+p)+2(xª+p)

ABÓ="Ã6Û`+{9-(-1)}Û`='¶136 =xÁ+2xª+3p

따라서 a='¶136이므로 =6 yy`㉢

aÛ`=136 ABÓ=BFÓ이고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FÓ=ABÓ이므로

 136 삼각형 ABF는 정삼각형이다.


즉, ∠OFB=60ù

10 이때 BFÓ cos`60ù=2p, CFÓ cos 60ù=p-xª이므로


y A (xÁ+p)_;2!;=2p, (xª+p)_;2!;=p-xª

즉, xÁ=3p, xª=;3!;p yy ㉣
yÛ`=4x
Q ㉣을 ㉢에 대입하면 3p+;3@;p+3p=6
R
S P 따라서 ;;ª3¼;;p=6이므로 p=;1»0;

O F x ③
x=-1
x=-4

포물선 yÛ`=4x의 초점은 F(1, 0)이다. 12


점 P에서 직선 x=-4와 포물선의 준선 x=-1에 내린 수선의
포물선 yÛ`=2x의 초점은 F{;2!;, 0}이고 준선은 x=-;2!;이다.
발을 각각 R, S라 하면
PRÓ= PSÓ+ SRÓ= PSÓ+3 점 PÇ에서 직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HÇ이라 하자.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SÓ=PFÓ이므로
y yÛ`=2x
APÓ+PQÓ‌¾APÓ+PRÓ
2n

=APÓ+ PSÓ+3 PÇ

=APÓ+ PFÓ+3 2n
¾AFÓ+3
O F x
="Ã5Û`+12Û`+3
=16
따라서 APÓ+PQÓ는 최솟값은 16이다.
③ x=-;2!;

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4 2022-12-02 오후 7:52:05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ÇHÇÓ=FPÇÓ=2n에서 점 PÇ의 x좌표는 yÛ`=4k에서 y=-2'§k 또는 y=2'§k 이므로
두 점 A, B의 y좌표는 각각 -2'§k , 2'§k 이다. Ⅰ
2n-;2!;이므로

이차곡선
lÁ=AFÁÓ+ABÓ+BFÁÓ
yÛ`=2{2n-;2!;}=4n-1 =2 AFÁÓ+ABÓ

즉, 점 PÇ의 y좌표는 'Ä4n-1 =2(k+1)+4'§k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따라서 점 PÇ의 좌표는 {2n-;2!;, 'Ä4n-1}이고
CGÓ=DÕHÓ=CFªÓ=DFªÓ=k+4

OPÇÓ=¾¨{2n-;2!;}2`+('Ä4n-1)Û` 또, 두 점 C, D의 x좌표는 k이고, yÛ`=16x에 x=k를 대입하면


yÛ`=16k에서 y=-4'§k 또는 y=4'§k 이므로
=¾¨{4nÛ`-2n+;4!;}+(4n-1) 두 점 C, D의 y좌표는 각각 -4'§k , 4'§k 이다.
lª=CFªÓ+CDÓ+DFªÓ
=¾¨4nÛ`+2n-;4#; =2 CFªÓ+CDÓ

이므로 =2(k+4)+8'§k

Á OPÇÓ Û`= Á {4nÛ`+2n-;4#;}


8 8 lª-lÁ=6+4'§k =11이므로

'§k =;4%;
n=1 n=1

8_9_17 8_9
=4_ +2_ -8_;4#;
6 2
따라서 k=;1@6%;이므로
=882
⑤ 32k=32_;1@6%;=50

 50

13
포물선 PÁ은 점 FÁ(1, 0)을 초점으로 하고 꼭짓점이 원점이므로 14
포물선 xÛ`=8(y+2)에서 초점 F의 좌표는 (0, 0), 준선의 방정
PÁ의 방정식은
식은 y=-4이다.
yÛ`=4x
점 P의 좌표를 (a, b)`(a>0, b>0)이라 하면 점 P는 포물선 위
포물선 Pª는 점 Fª(4, 0)을 초점으로 하고 꼭짓점이 원점이므로
의 점이므로
Pª의 방정식은
PÕF=
Õ PHÓ
yÛ`=16x
Õ 40에서 PÕF=
PHÓ+PÕF= Õ PHÓ=20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점 A, B에서 포물선 PÁ의 준선 x=-1에
PHÓ=|b-(-4)|=20에서 b=16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F라 하고, 두 점 C, D에서 포물선 Pª
PÕFÕ="ÃaÛ`+16Û`=20에서 a=12
의 준선 x=-4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G, H라 하자.
따라서 점 P(12, 16)은 포물선 yÛ`=4px 위의 점이므로
y

16Û`=48p
D
H PÁ
p=;;Á3¤;;
B
F
①

-4 -1 O FÁ Fª x

E
A
15
포물선 CÁ`:`yÛ`=4x의 초점의 좌표는 FÁ(1, 0)이고 준선의 방정
G
C 식은 x=-1이다.
x=-4 x=-1 x=k 점 A의 x좌표를 xÁ이라 하자.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점 A에서 포물선 CÁ의 준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Á이라
AEÓ=BFÓ=AFÁÓ=BFÁÓ=k+1 하면 포물선의 성질에 의하여
또, 두 점 A, B의 x좌표는 k이고, yÛ`=4x에 x=k를 대입하면 AFÁÓ=AHÁÓ=xÁ+1  yy ㉠

정답과 풀이 ● 5

기하_해설.indb 5 2022-12-02 오후 7:52:05


포물선 Cª`:`(y-3)Û`=4p{x-f(p)}의 초점의 좌표는
Fª(p+f(p), 3)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p+f(p)이다.
16
y
P yÛ`=4px
점 A에서 포물선 Cª의 준선 x=-p+f(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Hª라 하면 포물선의 성질에 의하여
AFªÓ=AHªÓ=xÁ+p-f(p) yy ㉡ Q
H'
y Cª

O F x
x=-p

Fª 점 Q에서 포물선의 준선 x=-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
면 점 Q는 포물선 위의 점이므로 QFÓ=QH'Ó
HÁ A
Hª 조건 (가)에서 QFÓ`:`QHÓ=1`:`2이므로
QÕH'Ó QÕFÓ
O FÁ x cos (∠HFO)=cos (∠HQH')= = =;2!;
QHÓ QHÓ
x=-1 ∠HFO=60ù
x=-p+f(p) PHÓ  OFÓ이므로 ∠PHF=∠HFO=60ù
이때 AFÁÓ=AFªÓ이므로 ㉠, ㉡에서 이때 삼각형 PHF는 PFÓ=PH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xÁ+1=xÁ+p-f(p) ∠PFH=∠PHF=60ù
f(p)-p+1=0 즉, ∠FPH=180ù-(60ù+60ù)=60ù이므로 삼각형 PHF는 정
f(x)=(x+a)Û`이므로 (p+a)Û`-p+1=0 삼각형이다.
∴ pÛ`+(2a-1)p+(aÛ`+1)=0 yy ㉢ 이때 초점 F의 좌표가 (p, 0)이므로 FHÓ=4p
p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자. 조건 (가), (나)에서 삼각형 PQF의 넓이는 정삼각형 PHF의 넓이의
Ú D<0일 때, '3 8'3
;3!;이므로 ;3!;_ _(4p)Û`= 에서 pÛ`=2
4 3
㉢을 만족시키는 실수 p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p>0이므로 p='2
Û D=0일 때,
①
D=(2a-1)Û`-4(aÛ`+1)=0에서

a=-;4#;

a=-;4#;을 ㉢에 대입하면 17
포물선 yÛ`=8x의 초점은 F(2,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2
pÛ`-;2%;p+;1@6%;=0 이다.
점 P의 x좌표를 a`(0<a<2)라 하면
{p-;4%;}Û`=0  
P(a, 2'¶2a ), F'(-2, 2'¶2a )
p=;4%;¾1 포물선의 성질에 의하여 PFÓ=PF'Ó=2+a
Ü D>0일 때, 한편, 점 F'을 초점, 점 P를 꼭짓점으로 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D=(2a-1)Û`-4(aÛ`+1)>0에서 (y-2'¶2a )Û`=-4(2+a)(x-a)
이 포물선의 준선의 방정식은 x=2a+2
a<-;4#;
점 Q에서 두 직선 x=-2, x=2a+2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g(p)=pÛ`+(2a-1)p+(aÛ`+1)이라 하면
R, S라 하면 포물선의 성질에 의하여
g(1)=(a+1)Û`¾0
QFÓ=QRÓ, QF'Ó=QSÓ이므로
‌p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a<b)
QFÓ+QF'Ó=QRÓ+QSÓ=RSÓ=2a+4
라 하면 a+b=1-2a>0, ab=aÛ`+1¾1
사각형 PF'QF의 둘레의 길이가 12이므로
이때 1Éa<b이므로 p¾1인 p가 두 개 존재한다.
PFÓ+PF'Ó+QFÓ+QF'Ó=12에서
Ú ~ Ü에서 a=-;4#;
2 PF'Ó+RSÓ=12
① 2(2+a)+(2a+4)=12

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6 2022-12-02 오후 7:52:06


a=1
이때 점 P의 좌표는 (1, 2'2)이고, 점 F'을 초점, 점 P를 꼭짓점
19 Ⅰ
y

이차곡선
Cª CÁ
으로 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y-2'2)Û`=-12(x-1)

두 포물선 Q FÁ

yÛ`=8x yy ㉠ Fª
P O x
(y-2'2)Û`=-12(x-1) yy ㉡ y=-1

R
이 만나는 점 Q의 y좌표를 구해 보자. Hª

yÛ`
㉠에서 x=
8 x=-2
yÛ`
x= 을 ㉡에 대입하면 포물선 CÁ`: xÛ`=4y의 초점은 점 FÁ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8
yÛ` y=-1이다.
(y-2'2)Û`=-12{ -1}
8 중심이 CÁ 위에 있고 점 FÁ을 지나는 원을 OÁ이라 하고 그 중심을
5yÛ`-8'2y-8=0 Q라 하자.
(y-2'2)(5y+2'2)=0 원 OÁ의 중심 Q에서 직선 y=-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Á이라 하
2'2 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y=2'2 또는 y=-
5
QÕFÁÓ=QÕHÁÓ
2'2
점 Q의 y좌표는 - 이고, 점 Q에서 선분 PF'에 내린 수선의 즉, 점 HÁ은 원 OÁ 위의 점이고, 이 원 위의 점 중 y좌표가 가장 작다.
5
발을 H라 하면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b¾-1 yy`㉠
}=;;Á5ª;; '2
2'2
PF'Ó=2+1=3, QHÓ=2'2-{-
5 포물선 Cª`:`yÛ`=8x의 초점은 점 Fª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삼각형 PF'Q의 넓이는 x=-2이다.
;2!;_PF'Ó_QHÓ=;2!;_3_;;Á5ª;; '2=;;Á5¥;; '2 중심이 Cª 위에 있고 점 Fª를 지나는 원을 Oª라 하고 그 중심을 R
라 하자.
이므로 p=5, q=18에서
원 Oª의 중심 R에서 직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Hª라 하면
p+q=23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 23
RÕFªÓ=RÕHªÓ

18 즉, 점 Hª는 원 Oª 위의 점이고, 이 원 위의 점 중 x좌표가 가장 작


으므로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자.
a¾-2 yy`㉡
포물선 yÛ`=4x의 초점은 F(1, 0)이고 삼각형 AFB의 무게중심
조건 (나)에서 점 P는 제3사분면에 있는 점이므로
의 x좌표가 6이므로
a<0, b<0 yy`㉢
a+b+1
=6에서 a+b=17 ㉠, ㉡, ㉢에서 -2Éa<0, -1Éb<0이므로
3
한편, 포물선 위의 점에서 초점까지의 거리는 포물선의 준선까지 OPÓ Û`=aÛ`+bÛ`É(-2)Û`+(-1)Û`=5
의 거리와 같고, 포물선 yÛ`=4x의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므로 따라서 OPÓ Û`의 최댓값은 5이다.
AFÓ=a+1, BFÓ=b+1 5
따라서
AFÓ_BFÓ‌=(a+1)(b+1)=ab+a+b+1=ab+18 20
이때 a, b는 a+b=17을 만족시키는 1보다 큰 자연수이므로 두 점 FÁ, Fª의 좌표는 각각 FÁ(p, a), Fª(-1, 0)이고,
ab는 a=8, b=9 또는 a=9, b=8일 때 최댓값 72를 갖는다. FÁFªÓ=3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AFÓ_BFÓ의 최댓값은 (p+1)Û`+aÛ`=9   yy`㉠
72+18=90 다음 그림과 같이 점 P를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과 점 Q를 지
 90 나고 y축에 수직인 직선이 만나는 점을 R라 하자.

정답과 풀이 ● 7

기하_해설.indb 7 2022-12-02 오후 7:52:06


y ㉠에서 7Û`-a=9
(y-a)2=4px aÛ`=40, a=2'¶10

F1
따라서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 2a=4'¶10이다.
y2=-4x
P ⑤

Q R

F2 O x
22
=1에서 'Ķ36-20='¶16=4이므로 타원의 두 초
xÛ` yÛ`
타원 +
36 20
a
직선 PQ의 기울기는 직선 FÁFª의 기울기와 같은 이므로 점의 좌표는 (4, 0), (-4, 0)
p+1
직각삼각형 PQR에서 따라서 선분 FF'의 길이는 타원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이므로

PRÓ=at, QRÓ=(p+1)t`(t>0) FF'Ó=4-(-4)=8

로 놓을 수 있다. 이때 PQÓ=1이므로 ③

aÛ`tÛ`+(p+1)Û`tÛ`=1  

tÛ`=
1
aÛ`+(p+1)Û`
23
y
㉠에 의하여 tÛ`=;9!;, 즉 t=;3!; P

한편,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xÁ, xª라 하면


F' O
PFÁÓ =p+xÁ, QFªÓ =1-xª, PFÁÓ + QFªÓ=2 x
F
Q
이고, xÁ-xª=(p+1)t=;3!;(p+1)이므로

(p+xÁ)+(1-xª)=2에서
삼각형 FPQ의 둘레의 길이는 12'2이므로
p=1-(xÁ-xª)=1-;3!;(p+1)
PQÓ+QFÓ+PFÓ=12'2
즉, p=;2!; 이때 타원의 장축의 길이를 2a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2a, QFÓ+QÕF'Ó=2a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2!;+1}2`+aÛ`=9  
PQÓ+QFÓ+PFÓ‌=(PFÓ+PÕF'Ó)+(QFÓ+QÕF'Ó) ‌
=2a+2a=4a=12'2
aÛ`=;;ª4¦;; 즉, a=3'2이고 PFÓ=PF'Ó이므로
PFÓ=PÕF'Ó=a=3'2
따라서 aÛ`+pÛ`=;;ª4¦;;+;4!;=7
QÕF'Ó=k라 하면 삼각형 FPQ는 직각삼각형이므로
⑤ (k+3'2)Û`+(3'2)Û`=(6'2-k)Û`에서
18'2k=36, k='2
즉, QÕF'Ó='2이므로
PQÓ=PÕF'Ó+QÕF'Ó=3'2+'2=4'2
따라서 삼각형 FPQ의 넓이는
유형 2 타원
;2!;_PFÓ_PQÓ=;2!;_3'2_4'2=12

21 ②

xÛ` yÛ`
타원의 방정식을 + =1`(b>a>0)이라 하자.
aÛ` bÛ`
두 초점의 좌표가 (0, 3), (0, -3)이므로
24
(x-2)Û` (y-2)Û`
bÛ`-aÛ`=9   yy ㉠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6, b), (-2, b)
a 4
타원이 y축과 만나는 점 (0, 7)은 장축의 한 끝점이므로
이므로 이 타원의 중심은 { }, 즉 (2, b)
6+(-2) b+b
,
b=7 2 2

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8 2022-12-02 오후 7:52:06


(x-2)Û` (y-2)Û` xÛ` yÛ` y
한편, 타원 + =1은 타원 + =1을 x축
a 4 a 4
5-t P
xÛ yÛ
;49;+;a;=1 Ⅰ

이차곡선
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H
(x-2)Û` (y-2)Û` t
타원 + =1의 중심은 (2, 2)이다.
a 4 F' O F x

즉, b=2
(x-2)Û` (y-2)Û`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6, 2), (-2, 2)
a 4
xÛ` yÛ` HF'Ó=t`(0<t<5)라 하면 HPÓ=5-t
이므로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4, 0), (-4, 0)이다.
a 4 직각삼각형 PHF에서 HPÓ Û`+FHÓ Û`=PFÓ Û`이므로
즉, a=2Û`+4Û`=20 (5-t)Û`+(6'2)Û`=9Û`, (5-t)Û`=9
따라서 ab=20_2=40 0<t<5이므로 t=2
① 따라서 직각삼각형 FHF'에서

FÕF'Ó‌=¾Ð HÕF'Ó Û`+FHÓ Û`="Ã2Û`+(6'2)Û`=2'¶19


25 초점 F의 x좌표를 c라 하면
FÕF'Ó=2c, PFÓ=c이고 ∠FPF'=90ù이므로 직각삼각형 FPF'에서 c='¶19이고 cÛ`=49-a이므로
a=49-19=30
‌ ¾Ð FÕF'Ó Û`-PFÓ Û`=Á°(2c)Û`-cÛ`='3c
PÕF'Ó=
②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FÓ=4이므로
'3c+c=4, ('3+1)c=4
4 4('3-1)
28
따라서 c= = =2'3-2
'3+1 ('3+1)('3-1) 타원
xÛ`
+
yÛ`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를 각각
36 27
④
(c, 0), (-c, 0) (c>0)이라 하면
cÛ`=36-27=9에서 c=3이므로 F(3, 0), F'(-3, 0)
26 y
xÛ + yÛ =1
-
FPÕ=a, FÕ'PÓ=b라 하면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6이므로 타원의 정 36 -27
의에 의하여 Q
P b
a
a+b=6 yy`㉠ 2 c
또, 타원의 두 초점 F, F'의 좌표를 각각 F' O F x

(c, 0), (-c, 0) (c>0)이라 하면


cÛ`=9-4=5에서 c='5
즉, F('5, 0), F'(-'5, 0)이므로 PF'Ó=a, PQÓ=b, QFÓ=c라 하면 삼각형 PFQ의 둘레의 길이와
FÕF'Ó=2'5 삼각형 PF'F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직각삼각형 FPF'에서 (b+c+2)+(a+2+FF'Ó)=(b+c+2)+(a+2+6)
aÛ`+bÛ`=(2'5)Û`=20 yy`㉡ =a+b+c+10 yy ㉠
㉠, ㉡에서 a<b이므로 a=2, b=4
한편,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QFÓ+QF'Ó=2_6=12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QF'F의 넓이는
a+b+c=12 yy ㉡
;2!;_FQÓ_FÕ'PÓ=;2!;_6_4=12 ㉡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둘레의 길이의 합은

 12 12+10=22
 22

27
타원
xÛ` yÛ`
+ =1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29
49 a 4xÛ`+9yÛ`-18y-27=0에서 4xÛ`+9(y-1)Û`=36
FPÓ+PÕF'Ó=2_7=14이고 FPÓ=9이므로
xÛ` (y-1)Û`
+ =1
PÕF'Ó=14-9=5 9 4

정답과 풀이 ● 9

기하_해설.indb 9 2022-12-02 오후 7:52:06


이 타원은 타원
xÛ` yÛ`
+ =1을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이때 A(0, 3)이므로 OAÓ=OFÓ
9 4
y xÛ + yÛ =1
-
xÛ` yÛ` A 16 - 7
것이다.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5, 0), (-'5, 0) P
9 4
이므로 주어진 타원의 두 초점의 좌표는
('5, 1), (-'5, 1) F' O F x

따라서 pÛ`+qÛ`=5+1=6
6 B

삼각형 AOP와 삼각형 FOP에서


PAÓ=PÕFÕ, OÕA=
Ó OFÓ, PÕO는
Õ 공통이므로
30 △AOPª△FOP (SSS 합동)
y
이때 ∠AOP=∠FOP=45ù에서 점 P는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P PÕF'Ó=BÕPÕ
5p
p p -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 6
3 3
F' O F A x BÕPÕ+PAÓ=
‌ PÕF'Ó+PÕF=
Õ 2_4=8
한편, AÕF'Ó=FÕ'BÓ=3'2이므로 사각형 AF'BP의 둘레의 길이는
BÕPÕ+PAÓ+AÕF'Ó+FÕ'BÓ‌=8+3'2+3'2
=8+6'2
점 P에서의 원의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을 A라 하면 따라서 a=8, b=6이므로
∠OAP=p-;;°6ɲ;;=;6Ò; a+b=14
 14
또, 직선 OP는 접선과 수직이므로 ∠OPA=;2Ò;

즉, 삼각형 APO에서 ∠POF=p-{;2Ò;+;6Ò;}=;3Ò; 32


OPÓ=OFÓ이므로 삼각형 POF는 정삼각형이고 xÛ` yÛ`
타원 + =1의 정의에 의하여
49 33
∠PFO=;3Ò;, PFÓ=6 FÕ'QÓ+FQÓ‌=FÕ'PÓ+PQÓ+FQÓ=2_7=14
선분 F'F는 원의 지름이고 점 P는 원 위의 점이므로 이므로

∠FPF'=;2Ò; PQÓ+FQÓ=14-FÕ'PÓ
그러므로 PQÓ+FQÓ가 최대가 되려면 FÕ'PÓ가 최소가 되어야 한다.
즉, 삼각형 FPF'은 직각삼각형이고 ∠PFF'=;3Ò;이므로
y

PÕF'Ó=PFÓ_tan`;3Ò;=6'3 Q xÛ + yÛ =1
-
2 49 - 33
3
따라서 두 점 F, F'은 타원의 초점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O'
F' P
장축의 길이는 -4 O F x

PFÓ+PÕÕF'Ó=6+6'3
②

원 xÛ`+(y-3)Û`=4의 중심을 O'(0, 3)이라 하면

31 F'(-4, 0)이므로
FÕ'PÓ¾FÕ'O'Ó-2="Ã4Û`+3Û`-2=3이고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를 각각
16 7 PQÓ+FQÓ‌=14-FÕ'PÓ ‌
(c, 0), (-c, 0) (c>0)이라 하면 É14-3=11
cÛ`=16-7=9에서 c=3이므로 따라서 PQÓ+FQÓ의 최댓값은 11이다.
F(3, 0), F'(-3, 0)  11

1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10 2022-12-02 오후 7:52:07


33 pÛ`-20p+100=pÛ`+4cÛ`

p=5-;5!;cÛ` yy`㉠

이차곡선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4, 0), (-4, 0)이고 장
25 9
삼각형 BPF'의 둘레의 길이는
축의 길이는 10이므로
BPÓ+PÕF'Ó+FÕ'BÓ‌=(2a-p)+(10-p)+10=2a-2p+20
PFÓ+PF'Ó=10, FF'Ó=2_4=8 yy ㉠
삼각형 BPF'의 둘레의 길이와 삼각형 BFA의 둘레의 길이의 차
세 선분 PF, PF', FF'의 길이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가 4이므로
2PF'Ó=PFÓ+FF'Ó yy ㉡
(2a-2p+20)-(2a+10)=4
㉠, ㉡에서 PFÓ=2(10-PFÓ)-8
10-2p=4
PFÓ=4이므로 PF'Ó=6
p=3
PF'Ó<FF'Ó이므로 점 P의 x좌표를 t라 하면 0<t<4이다.
이를 ㉠에 대입하면
점 P에서 선분 FF'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3=5-;5!;cÛ`에서 cÛ`=10
HFÓ=4-t, HF'Ó=4+t
Û
PHÓ `=PF'Ó Û `-HF'Ó Û `=PFÓ Û`-HFÓ Û`에서 c='¶10

6Û`-(4+t)Û`=4Û`-(4-t)Û`   또, A(a, 0)이고 a‌="25-cÛ` ='¶15


따라서 삼각형 AFF'의 넓이는
t=;4%;
;2!;_FÕF'Ó_OAÓ=;2!;_2'¶10_'¶15=5'6
따라서 점 P의 x좌표는 ;4%;이다.
①
③

34 36
직각삼각형 AF'F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타원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고 장축이 x축 위에

F'FÓ=ADAF'Ó Û`-AFÓ Û`="Ã5Û`-3Û`=4 놓이도록 좌표축을 그리자.

이므로 두 초점 F, F'의 좌표는 y


xÛ yÛ
F(2, 0), F'(-2, 0) B aÛ
+ =1

이다. 타원의 성질에 의하여
F'
2Û`=aÛ`-5에서 aÛ`=9 A O F x
이때 a>'5이므로 a=3이다.
따라서 PFÓ+PF'Ó=2a=6이므로
삼각형 PF'F의 둘레의 길이는
이때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2a이므로 타원의 방정식을
PFÓ+PF'Ó+F'FÓ=6+4=10
xÛ` yÛ`
⑤ + =1 (b>0)라 하면 두 초점의 좌표는
aÛ` bÛ`
F'(-"ÃaÛ`-bÛ`, 0), F("ÃaÛ`-bÛ`, 0)
35 타원이 x축의 음의 부분과 만나는 점을 A, y축의 양의 부분과 만나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FÓ+AÕF'Ó=2_5=10이고 는 점을 B라 하면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AFÓ=AÕF'Ó이므로 AFÓ=AÕF'Ó=5 A(-a, 0), B(0, b)
이때 삼각형 F'AO와 삼각형 F'BF는 닮음비가 1 : 2인 닮은 도형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두 점 B, F를 지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이므로 는 1이므로
ABÓ=5, BFÓ=2AOÓ=2a ABÓ=1에서 "ÃaÛ`+bÛ`=1
그러므로 삼각형 BFA의 둘레의 길이는 bÛ`=1-aÛ` yy ㉠
BFÓ+FÕAÓ+ABÓ‌=2a+5+5=2a+10 AFÓ=1에서 "ÃaÛ`-bÛ`+a=1  yy ㉡
한편, PFÓ=p라 하면 FÕ'PÓ=10-p이므로 직각삼각형 F'PF에서 ㉠, ㉡에서 "ÃaÛ`-(1-aÛ`)=1-a
(10-p)Û`=pÛ`+(2c)Û`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정답과 풀이 ● 11

기하_해설.indb 11 2022-12-02 오후 7:52:07


2aÛ`-1=1-2a+aÛ` 따라서 p=5, q=2이므로
aÛ`+2a-2=0   pÛ`+qÛ`=5Û`+2Û`=29
a=-1Ñ'3  29
따라서 a>0이므로 a='3-1

38
③

AFÓ=p, AF'Ó=q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37 p+q=2_8=16
y y
x2 y2
+ =1
P 64 16 A
H Q F
F'
J O x
a
O x P
F' AI F
B

C
x=-a

AFÓ=2, A(a, 0)이고 삼각형 PAF가 PAÓ=PFÓ인 이등변삼각형


원 C가 두 직선 AF, AF'과 접하는 두 점을 각각 P, Q라 하고,
이므로 점 P의 x좌표는 a+1이다.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한편, 점 P에서 포물선의 준선 x=-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BPÓ=BQÓ=r
하면
이때 AFBF'=△ABF+△ABF'이므로
PAÓ‌=PHÓ=(a+1)-(-a)=2a+1
이때 이등변삼각형 PAF의 꼭짓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 ;2!;_p_r+;2!;_q_r=72
을 I라 하고 ∠PFI=a라 하면
(p+q)_r=144
;2!; AFÓ
IFÓ 1 따라서 16_r=144에서 r=9
cos`a= = = yy ㉠
PFÓ PFÓ 2a+1
②
또, 이등변삼각형 PF'F의 꼭짓점 F'에서 변 FP에 내린 수선의
발을 J라 하면 F(a+2, 0)이므로

FJÓ
;2!; PFÓ 39
cos`a= =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PÓ+FÕ'PÓ=2_5=10이므로
FF'Ó FF'Ó
FPÓ=10-FÕ'PÓ
a+;2!;
2a+1
= = yy ㉡ APÓ-FPÓ=APÓ-(10-FÕ'PÓ) ‌
2a+4 4a+8
=APÓ+FÕ'PÓ-10 yy`㉠
㉠과 ㉡이 같아야 하므로
그런데 APÓ+FÕ'PÓ¾AÕF'Ó이므로 ㉠에서
1 2a+1
=
2a+1 4a+8 APÓ-FPÓ¾AÕF'Ó-10
(2a+1)Û`=4a+8 APÓ-FPÓ의 최솟값이 1이므로
4aÛ`+4a+1=4a+8 AÕF'Ó-10=1에서 AÕF'Ó=11

aÛ`=;4&; 타원
xÛ` yÛ`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를 각각
25 9
'7 (c,``0), (-c,``0) (c>0)이라 하면
a>0이므로 a=
2
cÛ`=25-9=16에서 c=4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F(4, 0), F'(-4, 0)
PF'Ó+PFÓ=FF'Ó+PFÓ
따라서 AÕF'Ó="Ã4Û`+aÛ` =11이므로
=(2a+4)+(2a+1)=4a+5
16+aÛ`=121에서 aÛ`=105
'7
=4_ +5=5+2'7
2  105

1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12 2022-12-02 오후 7:52:07


40 점 F가 포물선의 초점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FPÓ=PQÓ Ⅰ
y

이차곡선
Q 조건 (나)의 FPÓ-F'QÓ=PQÓ-FF'Ó에서
C
F'QÓ=FF'Ó
P
h 두 직선 FF', PQ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삼각형 PQF, F'FQ에서
R
F' O F x ∠PQF=∠F'FQ
두 삼각형 PQF, F'FQ는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므로
∠QFP=∠PQF=∠F'FQ=∠F'QF
이고, 선분 FQ는 공통이므로 두 삼각형 PQF, F'FQ는 서로 합동
두 직선 F'P, QF의 교점을 R라 하면 두 직각삼각형 QF'R, PFR
이다.
가 서로 닮음이므로
즉, FPÓ=PQÓ=F'QÓ=FF'Ó
cos`(∠QRF')=cos`(∠PRF)=cos`h=;5#; 장축의 길이가 12이고 FPÓ=FF'Ó=2c이므로
PF'Ó=12-2c
sin`h="Ã1-cosÛ``h=;5$;
삼각형 PF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QRÓ=3t`(t>0)이라 할 때
(12-2c)Û`=(2c)Û`+(2c)Û`-2_2c_2c_cos`(∠F'FP)
QÕRÓ
RF'Ó= =5t 144-48c+4cÛ`=8cÛ`-8cÛ`_;8&;
cos`h
QFÓ=QF'Ó=RF'Ó sin`h=4t 3cÛ`-48c+144=0
RFÓ=QFÓ-QRÓ=4t-3t=t cÛ`-16c+48=0
RPÓ=RFÓ cos`h=;5#;t (c-4)(c-12)=0
c=4`(∵ c<6)
PFÓ=RFÓ sin`h=;5$;t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xÛ` yÛ` FPÓ=8이므로
점 P는 타원 + =1 위의 점이므로
aÛ` bÛ`
FHÓ=FPÓ_cos`(∠F'FP)=8_;8&;=7
PF'Ó+PFÓ=RF'Ó+RPÓ+PFÓ=5t+;5#;t+;5$;t=;;£5ª;;t
FHÓ=7, PQÓ=FPÓ=8에서 점 H의 x좌표는 각각
2a=;;£5ª;;t에서 a=;;Á5¤;;t 4-7=-3, -k+8이므로
점 F의 좌표를 (c, 0)`(c>0)이라 할 때 -3=-k+8, 즉 k=11
FF'Ó='2_QFÓ에서 c=2'2 t 따라서 c+k=4+11=15
 15
bÛ`=aÛ`-cÛ`=;;ª2°5¤;;tÛ`-8tÛ`=;2%5^;tÛ`

;2%5^;tÛ`
bÛ`
따라서 = =;3¦2;
aÛ` ;;ª2°5¤;;tÛ`

④
유형 3 쌍곡선

42
41 쌍곡선
xÛ`
-
yÛ`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y aÛ` 36
("ÃaÛ`+36, 0), (-"ÃaÛ`+36, 0)
P 두 초점 사이의 거리가 6'6 이므로 2"ÃaÛ`+36=6'6
Q
"ÃaÛ`+36=3'6
F' H O F x
양변을 제곱하면 aÛ`+36=54
따라서 aÛ`=18
x=-k
③

정답과 풀이 ● 13

기하_해설.indb 13 2022-12-02 오후 7:52:08


43 47
xÛ` yÛ` xÛ` yÛ`
쌍곡선 - =1의 한 초점의 좌표가 (3'2, 0)이므로 쌍곡선 - =1의 두 꼭짓점의 좌표는
aÛ` 6 aÛ` 9
aÛ`+6=18, aÛ`=12 (a, 0), (-a, 0)   yy`㉠
이때 a>0이므로 a='¶12=2'3 xÛ` yÛ`
이때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과 일치하므로
13 bÛ`
따라서 구하는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13-bÛ`=aÛ`
2a=2_2'3=4'3
따라서 aÛ`+bÛ`=13
③
④

44
쌍곡선
xÛ`
-
yÛ`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a$;x
48
aÛ` 16 xÛ` yÛ`
쌍곡선의 방정식을 - =1`(a>0, b>0)이라 하면
이때 점근선 중 하나의 기울기가 3이고, a>0이므로 aÛ` bÛ`
주축의 길이가 8이므로 2a=8에서 a=4
;a$;=3, 즉 a=;3$;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4B;x
④
이때 점근선 중 하나가 y=;4#;x이므로

45 ;4B;=;4#;에서 b=3
xÛ` yÛ`
쌍곡선 - =1의 주축의 길이가 4이므로 cÛ`=aÛ`+bÛ`에서 cÛ`=4Û`+3Û`=25
aÛ` bÛ`
2a=4, a=2 따라서 c>0이므로 c=5
xÛ` yÛ` ①
또,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y=Ñ;aB;x이므로
aÛ` bÛ`

;aB;=;2%; 49
2b=5a=5_2=10, b=5 xÛ` yÛ`
쌍곡선의 방정식을 - =1 (a>0, b>0)이라 하면
aÛ` bÛ`
따라서 aÛ`+bÛ`=2Û`+5Û`=29
⑤ 점근선의 방정식이 y=2x, y=-2x이므로 ;aB;=2

b=2a   yy ㉠

46 y

초점이 x축 위에 있고 중심이 원점이므로 쌍곡선의 방정식을


P
xÛ` yÛ` M
- =1`(a>0, b>0)이라 하자.
aÛ` bÛ` O x
F' F
조건 (가)에서 두 초점의 좌표가 (5, 0), (-5, 0)이므로
aÛ`+bÛ`=25 yy ㉠
조건 (나)에서 두 점근선이 서로 수직이고 두 점근선의 방정식이
쌍곡선의 또 다른 초점을 점 F'이라 하면 삼각형 PF'F에서
y=;aB;x, y=-;aB;x이므로
점 O는 선분 F'F의 중점이고 점 M은 선분 PF의 중점이므로
;aB;_{-;aB;}=-1 PÕF'Ó=2 OÕMÓ=2_6=12, PÕFÕ=2 MFÓ=2_3=6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bÛ`=aÛ` yy ㉡
|PF'Ó-PÕFÕ|=12-6=6=2a
㉡을 ㉠에 대입하면 2aÛ`=25
이므로 a=3
5'2
aÛ`=:ª2°:, a= a=3을 ㉠에 대입하면 b=6
2
따라서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a=5'2 따라서 OFÓ="ÃaÛ`+bÛ`='Ä9+36=3'5
④ ②

1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14 2022-12-02 오후 7:52:08


50 AFÓ+AF'Ó=14   yy`㉡
㉠, ㉡에서 AFÓ=4, AF'Ó=10이므로 삼각형 AF'F는 이등변삼각 Ⅰ

이차곡선
4xÛ`-8x-yÛ`-6y-9=0에서
형이다. 따라서 삼각형 AF'F의 넓이는
(y+3)Û`
4(x-1)Û`-(y+3)Û`=4, (x-1)Û`- =1
4 ;2!;_4_"Ã10Û`-2Û`=8'6
(y+3)Û` yÛ`
쌍곡선 (x-1)Û`- =1은 쌍곡선 xÛ`- =1을 x축의 ④
4 4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이
쌍곡선의 점근선 중 기울기가 양수인 직선의 방정식은
y-(-3)=2(x-1), y=2x-5 53
xÛ` yÛ`
직선 y=2x-5의 x절편, y절편이 각각 ;2%;, -5이다. 쌍곡선
16
- =1 위의 점 P와 두 초점 F, F'에서 쌍곡선의
9
따라서 직선 y=2x-5와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정의에 의하여
PFÕ-PF'Ó=8 yy ㉠
;2!;_;2%;_5=;;ª4°;;
원 C 위의 점 Q에 대하여 선분 FQ의 길이가 최대일 때의 점 Q의
④
위치는 다음 그림과 같을 때이다.
y

51 C xÛ yÛ
-
16 --
9 =1
Q P
xÛ` yÛ`
쌍곡선 - =1의 주축의 길이가 6이므로 2a=6
aÛ` bÛ`
F' O F x
a=3 yy ㉠
xÛ` yÛ`
쌍곡선 - =1의 점근선은
aÛ` bÛ`

y=;aB;x, y=-;aB;x FQÓ É PFÓ+PQÓ=PFÕ+PF'Ó이고 선분 FQ의 길이의 최댓값이 14


이므로
이때 a>0, b>0이므로 ;aB;=2
PFÕ+PF'Õ=14 yy ㉡
b=2a …… ㉡
㉡-㉠을 하면 2PF'Õ=6, PF'Õ=3
㉠을 ㉡에 대입하면 b=2_3=6
따라서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므로 원 C의 넓이는
xÛ` yÛ`
쌍곡선 - =1의 두 초점을 F(c, 0), F(-c, 0) (c>0)이 p_3Û`=9p
aÛ` bÛ`
라 하면 cÛ`‌=aÛ`+bÛ`=3Û`+6Û`=45 ③

c='¶45=3'5
따라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FF'Ó=2c=6'5이다.
②
54
AFÓ=k라 하면 정사각형 ABF'F의 대각선의 길이는
AÕF'Ó='2k
52 한편, 주축의 길이가 2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쌍곡선
xÛ`
-
yÛ`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를 각각 AÕF'Ó-AFÓ=2에서 '2k-k=2
9 16
2
(c, 0), (-c, 0)`(c>0)이라 하면 k= =2('2+1)
'2-1
cÛ`=9+16=25 따라서 정사각형 ABF'F의 대각선의 길이는
즉 c=5이므로 F(5, 0), F'(-5, 0) AÕF'Ó='2k=2'2('2+1)=4+2'2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③
AF'Ó-AFÓ=6 yy`㉠ 다른 풀이
삼각형 AF'F의 둘레의 길이가 24이므로 xÛ` yÛ`
주어진 쌍곡선의 방정식을 - =1 (a>0, b>0)이라 하자.
AFÓ+AF'Ó+FF'Ó=24 aÛ` bÛ`
이고, FF'Ó=10이므로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가 2이므로 2a=2에서 a=1

정답과 풀이 ● 15

기하_해설.indb 15 2022-12-02 오후 7:52:08


따라서 F("Ã1+bÛ`, 0), F'(-"Ã1+bÛ`, 0)이므로 삼각형 PF'F의 꼭짓점 F'에서 P

FÕF'Ó=2"Ã1+bÛ` 변 PF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H

이때 사각형 ABF'F는 정사각형이므로 점 A의 좌표는 FHÓ=;2!;PÕFÕ=1이므로 직각삼각형 F' F

("Ã1+bÛ`, 2"Ã1+bÛ` )
F'FH에서
정사각형 ABF'F의 대각선의 길이는
 ¾Ð FÕ'FÓ Û`-FHÓ Û`="Ã4Û`-1Û` ='¶15
FÕ'HÓ=
AÕF'Ó='2_FÕF'Ó=2'2 "Ã1+bÛ` yy`㉠
따라서 삼각형 PF'F의 넓이 a는
또,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F'Ó=AFÓ+2=2"Ã1+bÛ`+2 yy`㉡ a=;2!;_PFÓ_FÕ'HÓ=;2!;_2_'¶15='¶15
㉠, ㉡에서 2'2"Ã1+bÛ`=2"Ã1+bÛ`+2 Û PFÓ=FÕF'Ó인 경우
('2-1)"Ã1+bÛ`=1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FÓ=2이고 FÕF'Ó=4이므로

"Ã1+bÛ`=
1 PÕF'Ó=PFÓ+2=FÕF'Ó+2=6
='2+1
'2-1 P
삼각형 PF'F의 꼭짓점 F에서 변 PF'에
따라서 정사각형 ABF'F의 대각선의 길이는 ㉡에서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H
2('2+1)+2=4+2'2
F'HÓ=;2!;PÕF'ÓÕ=3이므로 직각삼각형
F' F
55 FF'H에서

원 (x-4)Û`+yÛ`=rÛ`의 중심의 좌표는 (4, 0)이고 반지름의 길이  ¾ FÕ


FHÓ= Ð F'Ó Û`-FÕ'HÓ Û`="Ã4Û`-3Û`='7

는 r이다. 따라서 삼각형 PF'F의 넓이 a는


또, 쌍곡선 xÛ`-2yÛ`=1의 꼭짓점의 좌표는 (1, 0), (-1, 0)이다. a=;2!;_PÕF'Ó_FHÓ=;2!;_6_'7=3'7
y
xÛ`-2yÛ`=1 Ú, Û에 의하여 모든 a의 값의 곱은
'1Œ5_3'7=3'¶105
⑤
-1 O 1 4 x

57
그림과 같이 원과 쌍곡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원이 쌍 x>0에서 쌍곡선의 꼭짓점과 초점의 좌표를 각각

곡선의 꼭짓점을 지나야 한다. (a, 0), (c, 0)이라 하면

원이 점 (1, 0)을 지날 때, r=4-1=3 a=;2#;, c=®É;4(;+40=:Á2£:


원이 점 (-1, 0)을 지날 때, r=4-(-1)=5
선분 QF의 길이는 원 C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따라서 r의 최댓값은 5이다.
QFÓ=c-a=:Á2£:-;2#;=5
②
직선 PQ는 원 C의 접선이므로 ∠PQF=90ù

56 직각삼각형 PFQ에서

yÛ` Õ ¾Ð PQÓ Û`+QFÓ Û`="Ã12Û`+5Û`=13


PÕF=
쌍곡선 xÛ`-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를 각각
3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c, 0), (-c, 0) (c>0)이라 하면
PFÓ-PÕF'Ó=2_;2#;=3
cÛ`=1+3=4에서 c=2이므로
따라서 PÕF'Ó=PFÓ-3=13-3=10
F(2, 0), F'(-2, 0)이고 FÕF'Ó=4
①
이때 삼각형 PF'F에서 PÕF'Ó>PFÓ이므로 이 삼각형이 이등변삼각
형인 경우는 다음 두 가지이다.
Ú PÕF'Ó=FÕF'Ó인 경우 58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FÓ=2이고 FÕF'Ó=4이므로 yÛ`
타원 xÛ`+ =1에서 a>1이므로 두 초점을 A, B라 하면
PFÓ=PÕF'Ó-2=FÕF'Ó-2=2 aÛ`

1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16 2022-12-02 오후 7:52:09


A(0, "ÃaÛ`-1), B(0, -"ÃaÛ`-1) PFÓ_QFÓ=4이므로 l(l+2)=4, lÛ`+2l-4=0
또, 쌍곡선 xÛ`-yÛ`=1의 두 초점을 C, D라 하면 l>0이므로 l=-1+'5 Ⅰ

이차곡선
C('2, 0), D(-'2, 0) Ú, Û에 의하여 사각형 PGQF의 둘레의 길이는
네 점 A, B, C, D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넓이가 12이므로 PGÓ+QGÓ+QFÓ+PFÓ=k+(k+2)+(l+2)+l
‌

2_;2!;_2'2_"ÃaÛ`-1=12
=2k+2l+4
=2_2+2(-1+'5)+4=6+2'5
"ÃaÛ`-1=3'2, aÛ`-1=18
④
따라서 aÛ`=19
 19
61
xÛ` yÛ`
59
쌍곡선의 방정식을 - =1 (a>0, b>0)이라 하면
aÛ` bÛ`
y
점근선의 방정식이 y=Ñ;aB;x이므로
P

;aB;=;3$;에서 b=;3$;a

F£ B Fª O FÁ A x y
xÛ yÛ
P ---=1
aÛ bÛ

점 P에서 타원의 두 초점 FÁ, Fª까지의 거리의 합은 장축인 선분 F' O A F x


AB의 길이와 같다.
즉, PFªÓ+PFÁÓ=6 yy`㉠
점 P에서 쌍곡선의 두 초점 FÁ, F£까지의 거리의 차는 주축인 선
조건 (가)에서 PF'Ó>PFÓ이고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분 BO의 길이와 같다.
PF'Ó-PFÓ=2a이므로 PFÓ=PF'Ó-2a=30-2a
즉 PF£Ó-PFÁÓ=3 yy`㉡
이때 16ÉPFÓÉ20이므로 16É30-2aÉ20
㉠, ㉡에서 PFªÓ+PF£Ó=9
5ÉaÉ7 yy`㉠
쌍곡선의 두 초점이 F£, FÁ이므로
점 A의 좌표는 (a, 0)이고
F£BÓ=OFÁÓ=c, BFªÓ=BOÓ-FªOÓ=3-c
즉 F£FªÓ=F£BÓ+BFªÓ=c+(3-c)=3 c="ÃaÛ`+bÛ`=¾ÐaÛ`+:Á9¤:aÛ`=;3%;a
따라서 삼각형 PF£Fª의 둘레의 길이는
PFªÓ+PF£Ó+F£FªÓ=9+3=12 이므로 점 F의 좌표는 {;3%;a, 0}

 12
AFÓ=OFÓ-OAÓ=;3%;a-a=;3@;a

조건 (나)에서 선분 AF의 길이가 자연수이므로 a는 3의 배수이어


60 야 한다. 이때 ㉠에서 a=6이다.
쌍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a=2_6=12
PGÓ=QÕG'Ó, PFÓ=QÕF'Ó
 12
Ú ‌PGÓ=k라 하면 두 초점이 G, G'인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가 2
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QGÓ-QÕG'Ó=2에서 QGÓ=QÕG'Ó+2=k+2
62
xÛ` yÛ`
PGÓ_QGÓ=8이므로 k(k+2)=8 쌍곡선 xÛ`-yÛ`=1과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
4 64
kÛ`+2k-8=0, (k+4)(k-2)=0 은 각각 y=Ñx, y=Ñ4x이다.
k>0이므로 k=2 이때 직선 y=mx가 두 쌍곡선과 모두 만나지 않으려면
Û ‌PFÓ=l이라 하면 두 초점이 F, F'인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가 2 1É|m|É4
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따라서 정수 m은 -4, -3, -2, -1, 1, 2, 3, 4의 8개이다.
QFÓ-QF'Ó=2에서 QFÓ=QÕF'Ó+2=l+2 ④

정답과 풀이 ● 17

기하_해설.indb 17 2022-12-02 오후 7:52:09


63 64
다음 그림과 같이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선분 PP' y
A
이 y축과 만나는 점을 M이라 하자.
y
M
A C B

P' P
M
F' O F x
F' O HF x

xÛ` yÛ`
그림과 같이 쌍곡선 - =1의 두 초점의 좌표를
APÓ : PP'Ó=5 : 6이고 점 M은 선분 PP'의 중점이므로 4 32
APÓ : MPÓ=5 : 3 F(6, 0), F'(-6, 0)이라 하자.

AMÓ 점 F'이 선분 AF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점이므로


이고, 직각삼각형 AMP에서 =;3$;
MPÓ 두 직각삼각형 AF'M, FF'M이 합동이다.

즉, 직선 AF의 기울기는 -;3$;이고 직선 AF'의 기울기는 ;3$;이므 즉, AF'Ó=FF'Ó=12


점 A가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로 쌍곡선 C의 두 점근선의 기울기는 Ñ;3$;이다.
AF'Ó-AFÓ=4에서 AFÓ=8
xÛ` yÛ` 점 M은 선분 AF의 중점이므로 AMÓ=4이다.
쌍곡선 C의 방정식을 - =1`(a>0, b>0)으로 놓으면
aÛ` bÛ`
직각삼각형 AF'M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B;=;3$;에서 a=3k, b=4k`(k>0)
MF'Ó="Ã12Û`-4Û`=8'2
이므로 쌍곡선 C의 방정식은 점 B가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xÛ` yÛ` BFÓ=BF'Ó-4, BMÓ=8'2-BF'Ó
- =1   yy ㉠
9kÛ` 16kÛ` 삼각형 BFM의 둘레의 길이는
이때 점 F의 x좌표는
BFÓ+FMÓ+BMÓ‌
=(BF'Ó-4)+4+(8'2-BF'Ó)=8'2
"Ã9kÛ`+16kÛ`="Ã25kÛ`=5k
따라서 k=8'2이므로 kÛ`=128이다.
이고, 직각삼각형 PHF에서 PFÓ=1이므로
 128
HFÓ=;5#;, PHÓ=;5$;

이다. 즉, 점 P의 좌표는 P{5k-;5#;, ;5$;}


65
다음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을 A, 원과 직선 PF의 접점을 R라
이고, 이 점이 쌍곡선 C 위에 있으므로 ㉠에 대입하면 하고, PF'Ó=p, PQÓ=PRÓ=q, RFÓ=r라 하자.
{5k-;5#;}2` {;5$;}2` y
- =1 C
9kÛ` 16kÛ`
Q
A
25kÛ`-6k+;2»5;-;2»5;=9kÛ`, 2k(8k-3)=0
P
R
이때 k>0이므로 k=;8#;
F' O F x
따라서 구하는 쌍곡선 C의 주축의 길이는

2a=2_3k=6k=6_;8#;=;4(;

② F'QÓ=5'2이고 FÕ'QÓ=PF'Ó+PQÓ=p+q이므로
[참고] p+q=5'2 yy ㉠
두 직각삼각형 AMP, PHF에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4'2이고
∠APM=∠PFH, ∠AMP=∠PHF=90ù이므로 PFÓ=PRÓ+RFÓ=q+r이므로
△AMP»△PHF`(AA닮음) q+r-p=4'2 yy ㉡
직각삼각형 AMP에서 APÓ : AMÓ : MPÓ=5 : 4 : 3이므로 AQÓ=ARÓ, AF'Ó=AFÓ이고 ∠AQF'=∠ARF=90ù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PHF에서 PFÓ : PHÓ : HFÓ=5 : 4 : 3이다. 직각삼각형 AQF'과 ARF는 서로 합동이다.

1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18 2022-12-02 오후 7:52:09


따라서 RFÓ=QF'Ó이므로
이고,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r=5'2 yy ㉢ Ⅰ

이차곡선
2bÛ`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2!;
aÛ`
p-q='2 yy ㉣ aÛ`=4bÛ`
㉠, ㉣을 연립하여 풀면 p=3'2, q=2'2 이것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4 1
+ =1
FPÓ Û`+F'PÓ Û`‌=(q+r)Û`+pÛ`=(7'2)Û`+(3'2)Û`=116 4bÛ` bÛ`
 116 2
=1
bÛ`
에서 bÛ`=2, aÛ`=8
xÛ` yÛ`
따라서 주어진 타원의 방정식은 + =1이다.
8 2
타원의 두 초점을 각각 F(c, 0), F(c', 0)`(c>0)이라 하면
cÛ`=8-2=6이므로 c='6
그러므로 구하는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FF'Ó=2'6
④
유형 4 이차곡선의 접선

66 69
포물선 yÛ`=4x 위의 점 A(4,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Û` yÛ`
타원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16 8
4y=2(x+4) yy ㉠
y=2xÑ"Ã16_2Û`+8, 즉 y=2xÑ6'2
이때 포물선의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므로 D(-1, 0)
따라서 두 직선의 y절편은 각각 6'2, -6'2이므로
또, ㉠에 x=-1을 대입하면 y=;2#;이므로 B{-1, ;2#;} ABÓ=6'2-(-6'2)=12'2
㉠에 y=0을 대입하면 x=-4이므로 C(-4, 0) ⑤
따라서 삼각형 BCD의 넓이는

;2!;_CDÓ_BDÓ=;2!;_3_;2#;=;4(; 70
③ xÛ`
쌍곡선 -yÛ`=1 위의 점 A(4,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8
4x
67 8
-y=1

타원
xÛ`
+ =1 위의 점 (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Û` 즉 y=;2!;x-1   yy ㉠
8 4
'2y
y
2x
+ =1 xÛ -yÛ =1
-
8 4 8
따라서 접선의 x절편은 4이다. A
1
B
⑤ O 4 x
F

68
xÛ` yÛ` ㉠에 y=0을 대입하면 0=;2!;x-1에서 x=2이므로 B(2, 0)
점 (2, 1)이 타원 + =1 위에 있으므로
aÛ` bÛ`
또, 쌍곡선의 초점 F의 좌표를 (c, 0) (c>0)이라 하면
4 1
+ =1   yy`㉠ c='Ä8+1=3
aÛ` bÛ`
xÛ` yÛ` 따라서 F(3, 0)이므로 삼각형 FAB의 넓이는
타원 + =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Û` bÛ`
;2!;_1_1=;2!;
2x y 2bÛ`
+ =1, 즉 y=- x+bÛ`
aÛ` bÛ` aÛ` ②

정답과 풀이 ● 19

기하_해설.indb 19 2022-12-02 오후 7:52:10


71 기울기가 mÁ=;2!;인 접선 lÁ의 방정식은

2
포물선 yÛ`=4x 위의 점 P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y=;2!;x+ =;2!;x+4 yy`㉠
yÁÛ`=4xÁ yy`㉠ ;2!;

점 P(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Áy=2(x+xÁ) 기울기가 mª=1인 접선 lª의 방정식은


접선이 점 (-2, 0)을 지나므로 y=x+2 yy`㉡
0=2(-2+xÁ)에서 xÁ=2 ㉠, ㉡을 연립하면 ;2!;x+4=x+2
㉠에서 yÁÛ`=4_2=8이고 yÁ>0이므로 yÁ=2'2
;2!;x=2, x=4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2, 2'2)이다.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H(2, 0)이고 따라서 lÁ과 lª의 교점의 x좌표는 4이다.
점 F는 포물선의 초점이므로 F(1, 0)이다. ④
직각삼각형 PFH에서 FHÓ=2-1=1, PHÓ=2'2이므로
PFÓ=¿¹1Û`+(2'2)Û`=3
FÕHÓ
75
따라서 cos(∠PFH)= =;3!;이므로
PFÓ yÛ`=16x=4_4_x이므로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cos (∠PFO)‌=cos (p-∠PFH)=-cos (∠PFH)=-;3!; y=;2!;x+


4
=;2!;x+8
;2!;
②
x=0일 때 y=8이므로 y절편은 8이고,

72 y=0일 때 0=;2!;x+8에서 x=-16이므로 x절편은 -16이다.

-yÛ`=1 위의 점 (2a,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Û`
쌍곡선
aÛ`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2!;_16_8=64

2ax 2 1  64
-'3y=1, 즉 y= x- 이다.
aÛ` '3a '3
이 접선과 직선 y=-'3x+1이 수직이므로
2
_(-'3)=-1  
76
'3a xÛ` yÛ`
타원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a=2 36 16
② y=;2!;xÑ®É36_;4!;+16, 즉 y=;2!;xÑ5

포물선 yÛ`=ax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73
yÛ`=20x=4_5_x이므로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4A;
y=;2!;x+ , 즉 y=;2!;x+;2A;
5 ;2!;
y=;2!;x+ =;2!;x+10
;2!;
이때 a가 양수이므로 ;2A;=5에서 a=10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y절편은 10이다.
따라서 포물선 yÛ`=ax의 초점의 x좌표는 ;4A;=;2%;
 10
②

74
두 직선 lÁ, lª의 기울기 mÁ, mª`(mÁ<mª)가 방정식 77
2xÛ`-3x+1=0의 두 근이므로 xÛ` yÛ`
쌍곡선 - =1의 점근선은 y=Ñ;aB;x이므로 한 점근선을
aÛ` bÛ`
(2x-1)(x-1)=0에서 x=;2!; 또는 x=1
y=;aB;x라 하면 이 점근선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aB;이다.
따라서 mÁ=;2!;, mª=1
xÛ` yÛ`
기울기가 ;aB;이고 타원 + =1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두 직선 lÁ, lª는 포물선 yÛ`=8x=4_2_x의 접선이므로 8aÛ` bÛ`

2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20 2022-12-02 오후 7:52:10


xÛ` yÛ`
y=;aB;xѾ¨8aÛ`_{;aB;}Û`+bÛ`=;aB;xÑ3b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은 - =1이고 점 P(4, k)는 이 쌍
4 5 Ⅰ

이차곡선
이때 원점과 직선 bx-ay+3ab=0 또는 bx-ay-3ab=0 사이 kÛ`
곡선 위의 점이므로 4- =1에서 kÛ`=15
5
|3ab|
의 거리가 1이므로 =1  15
"ÃaÛ`+bÛ`
|3ab|="ÃaÛ`+bÛ`
양변을 제곱하면 9aÛ`bÛ`=aÛ`+bÛ`
1 1
80
양변을 aÛ`bÛ`으로 나누면 9= + xÛ` yÛ`
bÛ` aÛ` 점 A(6, 4)에서 타원 + =1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
12 16
1 1
따라서 + =9 를 (xÁ, yÁ)이라 하면 접점은 타원 위의 점이므로
aÛ` bÛ`
① xÁÛ` yÁÛ`
+ =1 yy`㉠
12 16
또, 접점 (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78 xÁx
12
+
yÁy
16
=1
xÛ` yÛ`
쌍곡선 - =1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xÁ yÁ
12 8 이 접선이 점 (6, 4)를 지나므로 + =1에서
2 4
ax by
- =1   yy`㉠ yÁ=4-2xÁ yy`㉡
12 8
(x-2)Û` xÁÛ` (4-2xÁ)Û`
이 접선이 타원 +yÛ`=1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타원의 ㉡을 ㉠에 대입하면 + =1
4 12 16
중심 (2, 0)을 지난다. 점 (2, 0)을 ㉠에 대입하면 4xÁÛ`+3(4-2xÁ)Û`=48, xÁÛ`-3xÁ=0
xÁ(xÁ-3)=0
;1@2A;-0=1에서 a=6
xÁ=0 또는 xÁ=3
xÛ` yÛ` ㉡에 의하여
또, 점 (a, b)는 쌍곡선 - =1 위의 점이므로
12 8
xÁ=0일 때 yÁ=4, xÁ=3일 때 yÁ=-2
aÛ` bÛ`
- =1 이므로 두 접점의 좌표는 (0, 4), (3, -2)이다.
12 8
36 bÛ` bÛ` 이때 두 접점 (0, 4), (3, -2)를 각각 B, C라 하자.
a=6을 대입하면 - =1에서 =2, bÛ`=16
12 8 8 Z
따라서 aÛ`+bÛ`=36+16=52 #  
"  
 52

0 Y

79 $  

xÛ` yÛ`
쌍곡선 - =1의 두 초점이 F(3, 0), F'(-3, 0)이므로
aÛ` bÛ`
ABÓ=6-0=6이고, 직선 AB는 x축에 평행하므로
aÛ`+bÛ`=9 yy ㉠
점 C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4-(-2)=6
또, 쌍곡선 위의 점 P(4, k)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_6_6=18
4x ky
- =1
aÛ` bÛ`  18
이때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y=0을 대입하면
4x aÛ`
=1에서 x=
aÛ` 4
한편, 접선과 x축의 교점이 선분 F'F를 2 : 1로 내분하므로 이 점
81
xÛ` yÛ`
접점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이 점은 타원 + =1 위의
의 x좌표는 1이다. 8 2
aÛ` 점이므로
즉, =1이므로 aÛ`=4
4
xÁÛ` yÁÛ`
㉠에서 bÛ`=5 + =1 yy`㉠
8 2

정답과 풀이 ● 21

기하_해설.indb 21 2022-12-02 오후 7:52:10


타원 위의 점 (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직선 y=x+2와 타원
xÛ`
+yÛ`=1이 접하는 점이 B이고
xÁx yÁ y 3
+ =1 yy`㉡
8 2 xÛ`
직선 y=x-2와 타원 +yÛ`=1이 접하는 점이 D일 때,
3
㉡이 점 (0, 2)를 지나므로 yÁ=1
사각형 ABCD의 넓이는 최대이다.
xÁÛ`
yÁ=1을 ㉠에 대입하면 +;2!;=1 직선 y=x+2 위의 점 (0, 2)에서 직선 y=x-1, 즉
8
xÁÛ`=4, xÁ=Ñ2 x-y-1=0 사이의 거리를 dÁ이라 하면
따라서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2, 1), (2, 1)이므로 |0-2-1| 3'2
dÁ= =
PQÓ=2-(-2)=4 "Ã1Û`+(-1)Û` 2

또, 타원의 다른 한 초점을 F'이라 하면 PFÓ=QÕF'Ó이므로 직선 y=x-2 위의 점 (0, -2)에서 직선 y=x-1, 즉

PFÓ+FQÓ=QÕF'Ó+FQÓ=4'2 x-y-1=0 사이의 거리를 dª라 하면

삼각형 PFQ의 둘레의 길이는 |0-(-2)-1| '2


dª= =
"Ã1Û`+(-1)Û` 2
PFÓ+FQÓ+PQÓ=4'2+4
xÛ`
따라서 a=4, b=4이므로 aÛ`+bÛ`=32 한편, 타원 +yÛ`=1과 직선 y=x-1이 만나는 두 점 A, C의
3
 32 좌표를 구해 보자.
다른 풀이
xÛ`
+(x-1)Û`=1에서 2x(2x-3)=0
3
xÛ` yÛ`
기울기가 m이고 타원 + =1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8 2
x=0 또는 x=;2#;
y=mxÑ"Ã8mÛ`+2   yy`㉠
이때 ㉠은 점 (0, 2)를 지나므로 2=Ñ"Ã8mÛ`+2 x=0일 때 y=-1, x=;2#;일 때 y=;2!;

양변을 제곱하면 4=8mÛ`+2


두 점 A, C가 A{;2#;, ;2!;}, C(0, -1)이므로
mÛ`=;4!;, m=Ñ;2!;
ACÓ=¾Ð{0-;2#;}Û`+{-1-;2!;}Û`=
3'2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2

y=;2!;x+2 또는 y=-;2!;x+2 따라서 사각형 ABCD의 넓이는

;2!;_ACÓ_dÁ+;2!;_ACÓ_dª
{;2!;x+2}Û`
xÛ`
이므로 점 P의 x좌표는 + =1에서 3'2 3'2 3'2 '2
8 2 =;2!;_ _ +;2!;_ _ =3
2 2 2 2
xÛ`+4{;2!;x+2}Û`=8, xÛ`+4x+4=0 ⑤

(x+2)Û`=0  
x=-2
이때 두 점 P, Q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83
타원의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PQÓ=2-(-2)=4
y=mxÑ"ÃmÛ`+2
또, 타원의 다른 한 초점을 F'이라 하면 PFÓ=QÕF'Ó이므로
이 접선은 점 P(k, 2)를 지나므로
PFÓ+FQÓ=QÕF'Ó+FQÓ=4'2
2=mkÑ"ÃmÛ`+2
삼각형 PFQ의 둘레의 길이는
2-mk=Ñ"ÃmÛ`+2
PFÓ+FQÓ+PQÓ=4'2+4
양변을 제곱하면 (2-mk)Û`=mÛ`+2
따라서 a=4, b=4이므로 aÛ`+bÛ`=32
mÛ`kÛ`-4mk+4=mÛ`+2
(kÛ`-1)mÛ`-4km+2=0   yy`㉠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3!;이므로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에서


82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3!;, kÛ`-1=6
xÛ` kÛ`-1
타원 +yÛ`=1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3 따라서 kÛ`=7
y=xÑ'Ä3_1+1, 즉 y=xÑ2 ②

2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22 2022-12-02 오후 7:52:11


84 36kÛ`=aÛ`bÛ` ……`㉡
16 kÛ`

이차곡선
y ㉡을 ㉠에 대입하면 - =1
36kÛ`
:::::
P aÛ`
yÛ =4px aÛ`
p F
-
6 16 aÛ`
- =1, aÝ`+36aÛ`-576=0, (aÛ`-12)(aÛ`+48)=0
aÛ` 36
A O H x
이때 a>0이므로 aÛ`=12에서 a=2'3
F'
따라서 주어진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a=2_2'3=4'3
Q ③

점 P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포물선 yÛ`=4px 위의 점 P에서


의 접선의 방정식은 yÁy=2p(x+xÁ)이므로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xÁ, 0)이다.
86
2x 3y
타원 위의 점 P(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1
즉, A(-xÁ, 0)이므로 xÁ=k 16 12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H(k, 0) 즉, 직선 l의 방정식은 ;8{;+;4};=1
p
∠PAH= 이므로 직선 l의 x절편은 8이므로 점 S의 좌표는 (8, 0)
6
c='Ä16-12=2이므로 F(2, 0), F'(-2, 0)
k 2k 2k
FOÓ= , PHÓ= , AFÓ=FPÓ=
'3 '3 '3 ∠QF'F=∠RF'S이고 FQÓ  SRÓ이므로 두 삼각형 F'FQ, F'SR
는 서로 닮은 삼각형이다.
}, P{k, }이고 F'{0, - }이므로
k 2k k
즉, F{0,
'3 '3 '3 한편 F'FÓ=4, F'SÓ=10이므로 두 삼각형 F'FQ, F'SR의 둘레의
PF'Ó=¾ÐkÛ`+{ } =2k
3k Û` 길이의 비는 2`:`5이다.
'3
삼각형 F'FQ의 둘레의 길이는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2k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PFÓ+PF'Ó= +2k이므로 FQÓ+QF'Ó=2_4=8이므로
'3
FF'Ó+FQÓ+QF'Ó=4+8=12
2k
+2k=4'3+12에서 k=6
'3 따라서 삼각형 SRF'의 둘레의 길이를 a라 하면
점 P(6, 4'3)이 포물선 yÛ`=4px 위의 점이므로 12`:`a=2`:`5에서 a=30
(4'3)Û`=4p_6, p=2 ①
따라서 k+p‌=6+2=8
①
87
두 양수 a, b에 대하여 두 점 A, B를 초점으로 하는 쌍곡선의 방
85 정식을
xÛ`
aÛ`
yÛ`
- =1이라 하자.
bÛ`
xÛ` yÛ`
점 P(4, k)는 쌍곡선 - =1 위의 점이므로 이 쌍곡선이 점 (3, 3)을 지나고 점 (3, 3)에서 직선 y=2x-3에
aÛ` bÛ`
16 kÛ` 접할 때, PBÓ-PAÓ의 값은 최대가 된다.
- =1 …… ㉠
aÛ` bÛ` xÛ` yÛ`
쌍곡선 - =1 위의 점 (3,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x ky aÛ` bÛ`
점 P에서 쌍곡선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 =1
aÛ` bÛ` 3x 3y bÛ` bÛ`
- =1, 즉 y= x- 이다.
이므로 두 점 Q, R의 좌표는 각각 aÛ` bÛ` aÛ` 3
aÛ` 이 직선이 y=2x-3이므로
, 0}, R{0, - }
bÛ`
Q{
4 k` bÛ` bÛ`
=2, - =-3에서 aÛ`=;2(;, bÛ`=9
aÛ` aÛ` 3
_|- |=
bÛ` aÛ`bÛ`
삼각형 QOR의 넓이는 AÁ=;2!;_
4 k` 8k`
두 점 A, B가 쌍곡선의 초점이므로 cÛ`=aÛ`+bÛ`=;2(;+9=;;ª2¦;;  
삼각형 PRS의 넓이는 Aª=;2!;_PSÓ_OSÓ=;2!;_k_4=2k
3'6
따라서 c=
aÛ`bÛ` 2
이므로 AÁ`:`Aª=9`:`4에서 `:`2k=9`:`4
8k` ①

정답과 풀이 ● 23

기하_해설.indb 23 2022-12-02 오후 7:52:11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32~33 쪽
수능이 보이는 강의
01 32 02 ⑤ 03 180 04 80 05 54
삼각형의 각의 이등분선의 정리와 주어진 두 선분의 비를 이용하여
06 384
삼각형 PQF의 세 변의 길이의 비를 구해야 해.
그리고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2임을 알고, 피타고라
01  정답률 29% 스 정리를 이용하여 변의 길이를 구하면 돼.
이 문제에서는 초점과 관련된 문제인 만큼 쌍곡선의 정의를 반드시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숙지하여 적용할 수 있어야 해.

쌍곡선의 정의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F, F'에서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을 쌍곡선이라 하고, 두 점 F, F'을 쌍곡선의 초점이라 한다.
쌍곡선의 방정식
⑴ ‌두 초점 F(c, 0), F'(-c, 0)에서의 거리의 차가 2a (c>a>0)
인 쌍곡선의 방정식은
02  정답률 28.2%

xÛ` yÛ`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 =1 (단, bÛ`=cÛ`-aÛ`)
aÛ` bÛ`
타원의 방정식
⑵ ‌두 초점 F(0, c), F'(0, -c)에서의 거리의 차가 2b (c>b>0)인
⑴ ‌두 초점 F(c, 0), F'(-c, 0)에서의 거리의 합이
쌍곡선의 방정식은
2a (a>c>0)인 타원의 방정식은
xÛ` yÛ`
- =-1 (단, aÛ`=cÛ`-bÛ`) xÛ` yÛ`
aÛ` bÛ` + =1 (단, bÛ`=aÛ`-cÛ`, b>0)
aÛ` bÛ`
⑵ ‌두 초점 F(0, c), F'(0, -c)에서의 거리의 합이
풀이 전략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의 길이와 높이를 이용하여 구하므로 2b (b>c>0)인 타원의 방정식은
쌍곡선의 정의를 이용하여 밑변의 길이를 구한다. xÛ` yÛ`
+ =1 (단, aÛ`=bÛ`-cÛ`, a>0)
문제 풀이 aÛ` bÛ`
타원의 접선
[STEP 1] 삼각형 PQF의 세 변의 길이를 구한다. yÛ`
xÛ`
타원 + =1 위의 점 P(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직선 QR가 ∠FQP를 이등분하므로 aÛ` bÛ`
△ABC에서 ∠A의 이등분선이 BCÓ와 만나는 xÁx yÁ y
PQÓ`:`QFÓ=PRÓ`:`RFÓ 점을 D라 하면
+
aÛ`  bÛ`
=1

이때 4PRÓ=3 RFÓ이므로 ABÓ`:`ACÓ= BDÓ`:`CDÓ

PRÓ : RFÓ=3 : 4이므로


PQÓ`:`QFÓ=3`:`4 PQÓ : QFÓ=3 : 4
풀이 전략 PAÓ+PBÓ의 값이 일정한 점이 나타내는 도형이 타원임을
PQÓ=3k`(k>0)라 하면 QFÓ=4k이고 ∠PQF=90°이므로 이용하여 그 값이 최소일 때를 타원의 접선의 방정식의 공식을 이용하
삼각형 PQF에서 PFÓ=5k 여 구한다.
[STEP 2] 쌍곡선의 정의와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k의 값을 구한다. 문제 풀이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2이므로 [STEP 1] PAÓ+PBÓ의 값이 최대일 때의 타원의 방정식을 구한다.
PF'Ó=5k+2 PAÓ+PBÓ의 값이 일정할 때, 점 P는 두 점 A, B를 초점으로 하는
QF'Ó=PF'Ó-PQÓ=(5k+2)-3k=2k+2 타원 위의 점이다.
F('¶17, 0), F'(-'¶17, 0)이므로 두 점 A(-2, 0), B(2, 0)을 초점으로 하고 점 (0, 6)을 지나는
'Ä1+16='¶17이므로
직각삼각형 QF'F에서 F('¶17, 0), F'(-'¶17, 0)
타원의 방정식을
FF'Ó Û`=QFÓ Û`+QF'Ó Û` xÛ` yÛ`
+ =1 yy`㉠
(2'¶17)Û`=(4k)Û`+(2k+2)Û` aÛ` bÛ` 주의
xÛ` yÛ`
이라 하면 타원의 성질에 의하여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5kÛ`+2k-16=0, (5k-8)(k+2)=0 aÛ` bÛ`
aÛ`-bÛ`=4   yy`㉡ (-c, 0), (c, 0)이면
이때 k>0이므로 k=;5*; aÛ`-bÛ`=cÛ`이 성립해.
이때 ㉠이 점 (0, 6)을 지나므로
[STEP 3] 삼각형 PF'F의 넓이를 구한다. 36
=1 yy`㉢
따라서 삼각형 PF'F의 넓이는 bÛ`
㉡, ㉢에서 aÛ`=40, bÛ`=36이므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2!;_PF'Ó_QFÓ=;2!;_10_;;£5ª;;=32
xÛ` yÛ`
PF'Ó=5k+2=5_;5*;+2=10 + =1
  32 40 36
QFÓ=4k=4_;5*;=;;£5ª;;

2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24 2022-12-02 오후 7:52:12


[STEP 2] PAÓ+PBÓ의 값이 최소일 때의 타원의 방정식을 구한다. 이므로 점 (0, 6)과 직선 x+y-4=0 사이의 거리는
점 (xÁ, yÁ)과 직선 ax+by+c=0 Ⅰ
두 점 A(-2, 0), B(2, 0)을 초점으로 하고 점 {;2%;, ;2#;}을 지나
|0+6-4| 2
= ='2

이차곡선
"Ã1Û`+1Û` '2
|axÁ+byÁ+c|
사이의 거리는
¿¹aÛ`+bÛ`
는 타원의 방정식을 또, 점 (0, 6)을 지나고 직선 x+y-4=0, 즉 y=-x+4와 평행
xÛ` yÛ` 한 직선의 방정식은
+ =1 yy`㉣
cÛ` dÛ`
y=-x+6
이라 하면
xÛ` yÛ`
cÛ`-dÛ`=4 yy`㉤ y=-x+6, + =1을 연립하면
40 36

㉣이 점 {;2%;, ;2#;}을 지나므로 xÛ`


+
(-x+6)Û`
=1
cÛ`=dÛ`+4이므로 ㉥에서 40 36
25 9
+ =4
25 9 dÛ`+4 dÛ` 9xÛ`+10(-x+6)Û`=360, 19xÛ`-120x=0
+ =1 yy`㉥
4cÛ` 4dÛ` 2dÝ`-9dÛ`-18=0
(dÛ`-6)(2dÛ`+3)=0 x(19x-120)=0
㉤, ㉥에서 cÛ`=10, dÛ`=6이므로 dÛ`>0이므로 dÛ`=6 실수

xÛ` yÛ` x=0 또는 x=;;Á1ª9¼;; 방정식을 풀었을 때 x=0이 근으로 나와야 해.


+ =1
10 6
xÛ` yÛ`
[STEP 3]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한다. 따라서 직선 y=-x+6과 타원 + =1의 두 교점의 좌표는
40 36
xÛ` yÛ` xÛ` yÛ`
점 P는 타원
40
+
36
=1의 둘레 및 내부와 타원
10
+ =1
6 (0, 6), {;;Á1ª9¼;;, -;1¤9;}

의 둘레 및 외부의 공통부분에 속하는 점이다. 이고 두 점 사이의 거리는

¾¨{;;Á1ª9¼;;}2`+{-;1¤9;-6}2`=
점 (0, 6)이 직사각형의 꼭짓점이 아니면 직사각형 위의 점이면서 120'2
xÛ` yÛ` 19
타원 + =1의 외부에 속하는 점이 존재하므로 조건을 만
40 36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사각형은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족시키지 않는다. 120'2
각각 '2, 일 때, 그 넓이가 최대이므로 구하는 넓이의 최
따라서 점 (0, 6)은 직사각형의 한 꼭짓점이다. 19
120'2
한편, 점 {;2%;, ;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한 변의 연장선이 타원 댓값은 '2_ =;;ª1¢9¼;;
19
⑤
xÛ` yÛ`
+ =1의 접선이 아니면 직사각형 위의 점이면서 타원
10 6
xÛ` yÛ`
+ =1의 내부에 속하는 점이 존재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 수능이 보이는 강의
10 6 Z
PAÓ+PBÓ의 값은 점 P에서 x축 위의 두 점 A(-2, 0), B(2, 0)과
지 않는다.
의 거리의 합과 같으므로 상수 k에 대하여 PAÓ+PBÓ=k를 만족시
따라서 직사각형의 한 변은 점 {;2%;, ;2#;}에서 0 Y 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장축의 길이가 k인 타원임을 알면 해결
할 수 있어.
xÛ` yÛ` 이 문제의 경우, PAÓ+PBÓÉk를 만족시키는 점 P는 장축의 길이가
타원 + =1에 접하는 접선의 일부분이므로
10 6
k인 타원의 둘레 또는 내부에 있는 점이고, PAÓ+PBÓ¾k를 만족시
넓이가 최대인 직사각형은 그림과 같다. 키는 점 P는 장축의 길이가 k인 타원의 둘레 또는 외부에 있는 점이
Z 라는 사실을 이해하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어.

Y
03  정답률 26%
0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Y™A Z™A

Y™A Z™A

타원의 정의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F, F'에서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xÛ` yÛ` 집합을 타원이라 하고, 두 점 F, F'을 타원의 초점이라 한다.
타원 + =1 위의 점 {;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0 6
xÛ` yÛ`
;2%;x ;2#;y
타원 + =1 위의 점 (xÁ, yÁ)에서의
aÛ` bÛ`
풀이 전략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와 원주각의 성질 및 타원의 정의를
+ =1, 즉 x+y-4=0 xÁx yÁy
이용하여 장축의 길이를 구한다.
10 6 접선의 방정식은
aÛ`
+
bÛ`
=1

정답과 풀이 ● 25

기하_해설.indb 25 2022-12-02 오후 7:52:12


수능이 보이는 강의

문제 풀이
삼각형 PF'F에서 선분 OH는 두 변 F'F, PF의 중점을 연결한 선
[STEP 1]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를 이용하여 ∠FPF'=∠F'QF=90ù임 분이므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PÕF'Ó OHÓ가 성립하니
을 보인다. 까 ∠FPF'=∠FHO=90°가 돼.
y 마찬가지로 ∠F'QF=∠F'IO=90°이므로 두 삼각형 PF'F, QFF'
P 은 직각삼각형이야.
이때 빗변 F'F가 원의 지름이니까 원주각의 성질을 이용하면 두 점
H
P, Q가 원 위의 점임을 알 수 있어.
F' O F x
원과 타원의 중심이 일치할 때, 원과 타원의 교점이 장축, 단축, 중
I
Q 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 됨을 이용하면 두 직각삼각형 PF'F,
QFF'이 서로 합동임을 알 수 있어.
이 문제의 경우, 타원의 중심인 원점에서 두 선분 PF, QF'에 내린
OFÓ=OÕF'Ó이므로 원점 O는 선분 FF'의 중점이다.
수선의 발은 일반적으로 그 선분의 중점이 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따라서 두 삼각형 FPF', FQF'에서
아낸다면 이 문제의 상황이 매우 특수한 경우임을 알 수 있어.
세 점 H, O, I는 각각 세 변 PF, F'F, F'Q의 중점이므로
OHÓ∥ PF'Ó, OIÕ∥ QFÓ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이므로 ∠FPF'=∠F'QF=90ù OHÓ PÕF'Ó, OÕIÕ QFÓ

[STEP 2] PFÓ=QFÓ임을 보인다.


따라서 두 점 P, Q는 주어진 타원과 선분 FF'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교점이다.
반원의 호의 원주각의 크기는 90ù이므로 원에 내접하는 04  정답률 23%
직각삼각형의 빗변은 원의 지름이다.
이때 이 원과 주어진 타원의 교점들은 서로 x축 또는 y축 또는 원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FPF', FQF'은 서로 합동 포물선의 방정식


원과 타원의 중심이 모두 원점이므로 그 교점들은 x축 또는 y축
이다. ⑴ 초점이 F(p, 0)이고 준선이 직선 x=-p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또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yÛ`=4px (단, p+0)
이때 PFÓ=QÕF'Ó이면 PÕF'Ó=QFÓ이므로 OHÓ=OÕI가
Õ 되어 모순이다.
⑵ 초점이 F(0, p)이고 준선이 직선 y=-p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PFÓ=QFÓ
xÛ`=4py (단, p+0)
[STEP 3] 타원의 정의와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타원의 장축의 길이를 포물선의 평행이동
구한다. ⑴ ‌포물선 yÛ`=4px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PFÓ=QFÓ=p, PÕF'Ó=QÕF'Ó=q라 하면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l이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y-n)Û`=4p(x-m)
므로
⑵ ‌포물선 xÛ`=4py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p+q=l yy`㉠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직각삼각형 FPF'에서 FPÓ `+PÕF'Ó `=FÕF'Ó Û`이므로
Û Û
(x-m)Û`=4p(y-n)
pÛ`+qÛ`=10Û` yy`㉡
또, p=2_OÕI,Õ q=2_OHÓ이므로 풀이 전략 포물선의 정의와 평행이동, 직각삼각형의 변의 길이의 비를
pq‌=4_OHÓ_OÕIÕ QFÓ=2OÕI,Õ PF'Ó=2 OÕHÓ 이용하여 k의 값을 구한다.
=4_10 문제 풀이

=40 yy`㉢ [STEP 1] 직선과 포물선이 만나는 점을 지정한다.


㉠, ㉡, ㉢에서 직선 y=2x-4가 포물선 yÛ`=8x와 만나는 점 중 A가 아닌 점을

lÛ`=(p+q)Û `=pÛ`+qÛ`+2pq=100+2_40=180 E, x축과 만나는 점을 F라 하고, 점 E에서 직선 x=-2에 내린
 180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또, 두 점 A, B에서 직선 HE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I, J라 하자.
y=2x-4
수능이 보이는 강의 y

D yÛ=8x
y B
P
H C A
F' O F x QP
O
I F x
H
Q I J
x=-2 E (y-2a)Û =8(x-a)

2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26 2022-12-02 오후 7:52:13


y=2x-4에 y=0을 대입하면 x=2이므로 F(2, 0)
[STEP 2] EIÓ의 길이를 구한다. 점 F의 좌표는 (2, 0)이므로 포물선 yÛ`=8x의 초점과 일치한다.
점 F의 좌표는 (2, 0)이므로 포물선 yÛ`=8x의 초점과 일치한다. y=2x-4, yÛ`=8x를 연립하여 풀면 Ⅰ

이차곡선
yÛ`=8x=4_2x이므로
따라서 AFÓ=p, EFÓ=q라 하면 (2x-4)Û`=8x
F(2, 0)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4xÛ`-16x+16=8x, xÛ`-6x+4=0
ACÓ=p, EHÓ=q ACÓ =AFÓ=p, EHÓ=EFÓ=q x=3Ñ'5
이때 포물선의 준선의 방정식이 x=-2이므로 즉, x=3+'5일 때 y=2+2'5
두 점 A, E의 x좌표는 각각 p-2, q-2 x=3-'5일 때 y=2-2'5
선분 AI와 x축의 교점을 P, 점 E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이므로 두 점 A, E의 좌표는 각각
라 하면 FPÓ ‌=ACÓ-2_OFÓ=p-2_2=p-4 A(3+'5, 2+2'5), E(3-'5, 2-2'5)
FPÓ=p-4, FQÓ=4-q FQÓ =2_OFÓ-EHÓ=
‌ 2_2-q=4-q 포물선 (y-2a)Û`=8(x-a)는 포물선 yÛ`=8x의 그래프를 x축의
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AFP, EFQ에서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2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A(E)
p='5(p-4), q='5(4-q) ABÓ=AEÓ
즉, 따라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5 2
4'5 ACÓ+BDÓ-ABÓ=ACÓ
‌ +BDÓ-AEÓ
p= ='5('5+1)=5+'5
'5-1 =ACÓ+BDÓ-(AFÓ+EFÓ)
4'5 F P(Q)
q= ='5('5-1)=5-'5 1 =ACÓ+BDÓ-(ACÓ+EHÓ)
'5+1
=BDÓ-EHÓ
이므로 EIÓ=ACÓ-EHÓ=p-q=2'5
=EJÓ=2_EIÓ
[STEP 3] kÛ`의 값을 구한다.
=2_{(3+'5)-(3-'5)}=4'5
한편 포물선 (y-2a)Û`=8(x-a)는 포물선 yÛ`=8x의 그래프를 x
즉, k=4'5이므로 kÛ`=80
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2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
로 두 점 A, B는 각각 두 점 E, A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
의 방향으로 2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수능이 보이는 강의

따라서 ABÓ=AEÓ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포물선의 정의와 평행이동을 이용하여 직선과 포물선의 교점 사이
ACÓ+BDÓ-ABÓ‌=ACÓ+BDÓ-AEÓ 의 관계를 파악해야 해. 즉, 정의에 의하여 AFÓ=ACÓ, 평행이동에
=ACÓ+BDÓ-(AFÓ+EFÓ) 의해 ABÓ=AEÓ임을 알 수 있어.
이 문제에서는 ACÓ+BDÓ-ABÓ의 값이 EJÓ의 값과 같음을 파악하는
=ACÓ+BDÓ-(ACÓ+EHÓ)
것이 중요해.
=BDÓ-EHÓ
=EJÓ=2_EIÓ
=2_2'5=4'5
즉, k=4'5이므로 kÛ`=80
 80
05  정답률 19%
다른 풀이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직선 y=2x-4가 포물선 yÛ`=8x와 만나는 점 중 A가 아닌 점을
E, x축과 만나는 점을 F라 하고, 점 E에서 직선 x=-2에 내린 포물선의 접선
⑴ ‌포물선 yÛ`=4px 위의 점 P(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yÁ y=2p (x+xÁ)
또, 두 점 A, B에서 직선 HE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I, J라 하자.
⑵ ‌포물선 xÛ`=4py 위의 점 P(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y=2x-4 xÁx=2p (y+yÁ)

D yÛ=8x
B 풀이 전략 포물선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다음 타원의 꼭짓점이 위
치하는 점의 위치를 구한다.
C A
문제 풀이
O
F x [STEP 1] 점 P가 위치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H
I J
E (y-2a)Û =8(x-a) PFªÓ-PFÁÓ=6에서 점 P는 두 초점이 FÁ(4, 0), Fª(-6, 0)이고
두 점에서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집합은 쌍곡선이다.

정답과 풀이 ● 27

기하_해설.indb 27 2022-12-02 오후 7:52:13


주축의 길이가 6인 쌍곡선 위의 점이다. 문제 풀이

쌍곡선의 중심의 좌표는 (-1, 0)이므로 쌍곡선의 방정식은 [STEP 1] 그래프를 좌표평면 위에 위치시키고 포물선 PÁ에 대한 식을 구한다.
두 초점 F(c, 0), F'(-c, 0)에서의
(x+1)Û` yÛ` 거리의 차가 2a(c>a>0)인 yy ㉠
좌표평면에서 점 FÁ을 원점, 직선 AÁFÁ을 x축, 직선 FÁFª를 y축
- =1
9 16 xÛ` yÛ`
쌍곡선의 방정식은
aÛ`
- =1 (단, bÛ`=cÛ`-aÛ`)
b 이라 하자.
[STEP 2] 점 P의 좌표를 구한다.
포물선 PÁ의 방정식을 yÛ`=4p(x+p)`(p>0)이라 하면
점 P는 포물선 yÛ`=16x와 쌍곡선 ㉠의 교점이므로
AÁFÁÓ=p, FÁCÓ=2p에서
(x+1)Û`
AÁCÓ="ÃpÛ`+(2p)Û`=p'5
16x
- =1
9 16
조건 (가)에서 p'5=5'5이므로 p=5이다.
xÛ`-7x-8=0
[STEP 2] 사각형 AÁFÁAªFª의 대각선의 길이를 두 포물선의 준선을 이용하
(x-8)(x+1)=0
여 구한다.
x=8 또는 x=-1
두 선분 AÁAª, FÁFª의 중점은 서로 일치하므로
즉, 제1사분면 위의 점 P의 좌표는 (8, 8'2)이다.
사각형 AÁFÁAªFª는 평행사변형이다.
[STEP 3] 점 F£의 좌표를 구한다.
포물선 PÁ의 준선 lÁ의 방정식은 x=-10이고 포물선 Pª의 준선
포물선 yÛ`=16x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lª의 방정식은 x=10이다.
'2
8'2y=8(x+8), 즉 y= (x+8) yy ㉡ 점 B에서 두 직선 lÁ, lª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면
2
점 F£은 x축 위의 점이므로 ㉡에 BHÁÓ+BHªÓ=20 yy ㉠
이므로 점 F£의 좌표는 (-8, 0)이다. y=0을 대입하여 구한다.
점 B는 두 포물선이 만나는 점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STEP 4] 타원의 단축, 초점으로부터 aÛ`의 값을 구한다.
FÁBÓ=BHÁÓ, FªBÓ=BHªÓ 포물선 위의 점에서 초점과 준선에
두 점 FÁ(4, 0), F£(-8, 0)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의 꼭짓점은 이르는 거리가 같다.
조건 (나)에서
x축 또는 직선 x=-2 위에 있다.
이때 선분 PF£ 위에 있는 꼭짓점은 직선 x=-2 위에 있으므로 BHÁÓ-BHªÓ=;;¢5¥;; yy ㉡
㉡에 x=-2를 대입하면 y=3'2이다.
㉠, ㉡에서 BHÁÓ=;;¦5¢;;, BHªÓ=;;ª5¤;;
따라서 이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 6'2이고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12이므로 4-(-8)=12 점 B에서 직선 FÁFª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aÛ`=6Û`+(3'2)Û`=54 BHÓ=10-BHªÓ=;;ª5¢;;
  54 직각삼각형 BFªH에서
Û =FªBÓ Û`-BHÓ Û`
FªHÓ `‌
=(FªBÓ-BHÓ)(FªBÓ+BHÓ)

={;;ª5¤;;-;;ª5¢;;}_{;;ª5¤;;+;;ª5¢;;}=4

06  정답률 9%
이므로 FªHÓ=2
직각삼각형 FÁBH에서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Û =FÁBÓ Û`-BHÓ Û`
FÁHÓ `‌
포물선의 정의 =(FÁBÓ-BHÓ)(FÁBÓ+BHÓ)
평면 위의 한 점 F와 이 점을 지나지 않는 한 직선 l이 주어질 때, 점
F와 직선 l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점들의 집합을 포물선이라 한다.
={;;¦5¢;;-;;ª5¢;;}_{;;¦5¢;;+;;ª5¢;;}
이때 점 F를 포물선의 초점, 직선 l을 포물선의 준선이라 한다. =196
포물선 위의 임의의 점 P와 초점 F, 점 P p>0 y 이므로 FÁHÓ=14
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 H에 대하여 H
P(x, y) FÁFªÓ=FÁHÓ+FªHÓ=14+2=16
PFÓ=PHÓ
O F(p, 0) x [STEP 3] S의 값을 이용하여 10S의 값을 구한다.
그러므로 삼각형 BFªFÁ의 넓이 S는
x=-p yÛ`=4px
S=;2!;_FÁFªÓ_BHÓ=;2!;_16_;;ª5¢;;=;:!5(:@;

풀이 전략 포물선의 정의를 이용하여 식을 세운 후 사각형 AÁFÁAªFª 따라서 10S=10_;:!5(:@;=384


의 대각선의 길이를 구한다.  384

2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28 2022-12-02 오후 7:52:14



따라서 벡터 10aø의 모든 성분의 합은
평면벡터 20+10=30
 30
본문 36 ~ 47 쪽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05
aø+bø=(-1, 2)+(2, -3) Ⅱ
01 ⑤ 02 ⑤ 03 ① 04 30 05 ④

평면벡터
06 ⑤ 07 ② 08 ③ 09 ② 10 8 =(-1+2, 2+(-3))
11 ⑤ 12 ② 13 ④ 14 ④ 15 ① =(1, -1)
16 8 17 ⑤ 18 12 19 ② 20 ④ ④
21 ② 22 ④ 23 ① 24 ③ 25 ⑤
26 120 27 ② 28 ③ 29 ② 30 ①

31 ⑤ 32 50 33 7 34 ③ 35 27
06
36 19 37 ⑤ 38 ② 39 ⑤ 40 ② aø+;2!; bø‌=(3, 1)+;2!;(-2, 4)
41 ⑤ 42 52 43 9 44 ③ 45 ⑤
=(3, 1)+(-1, 2)
=(2, 3)

유형 1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따라서 벡터 aø+;2!;bø의 모든 성분의 합은

2+3=5
01 ⑤
aø+2 bø‌=(1, 0)+2(1, 1)
=(1, 0)+(2, 2) 07
=(3, 2)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따라서 벡터 aø+2 bø의 모든 성분의 합은 임의의 실수 m에 대하여 aø=mbø
3+2=5 (k+3, 3k-1)=(m, m)
⑤ k+3=m, 3k-1=m   yy ㉠
따라서 ㉠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02 k=2, m=5

aø+bø=(2, 3)+(1, 1) ②

=(3, 4)
따라서 |aø+bø|="Ã3Û`+4Û`=5 08
⑤ 두 벡터 aø+2bø, 3aø+k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3aø+kbø=l(aø+2bø)

03 를 만족하는 실수 l이 존재한다.
3aø+kbø=l(aø+2bø)에서 3aø+kbø=laø+2lbø
두 벡터 aø=(x+1, 2), bø=(1, -x)가 서로 수직이므로
따라서 3=l, k=2l이므로 k=6이다.
aø•bø=0에서
③
(x+1)_1+2_(-x)=0
-x+1=0
따라서 x=1 09
두 벡터 6aø+bø, aø-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①
(6aø+bø) º (aø-bø)=0

04 6|aø|Û`-5aø º bø-|bø|Û`=0
이때 |aø|=1, |bø|=3이므로
10aø‌=10(2, 1)
6_1Û`-5aø ºbø-3Û`=0, -5aø º bø=3
=(20, 10)

정답과 풀이 ● 29

기하_해설.indb 29 2022-12-02 오후 7:52:14


따라서 aø º bø=-;5#;
13
② AB³+AC³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ÕM³
2
10 |AB³+AC³|=2'5이므로 |AÕM³|=
2'5
2
='5
aø º bø‌=(4, 1) º (-2, k)
ADÓ=BMÓ=CMÓ이고 변 AD와 변 BC가 평행하므로
=4_(-2)+1_k
사각형 ABMD와 사각형 AMCD는 평행사변형이다.
=-8+k=0
평행사변형 AMCD에서 CDÓ=AMÓ='5
따라서 k=8
사각형 ABMD가 평행사변형이므로
8
∠MBA=∠CMD=∠DCM

11 즉 삼각형 DM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두 벡터 aø와 vø+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DMÓ=DCÓ='5

vø+bø=kaø (k는 0이 아닌 실수)라 하면 점 D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CMÓ=2이므로

vø‌=kaø-bø HMÓ=CHÓ=;2!;_CMÓ=1
=k(3, 1)-(4, -2)
직각삼각형 DMH에서
=(3k-4, k+2)
DHÓ=AD DMÓ Û`-HMÓ Û`=Á¢('5)Û`-1Û`=2
이때
BHÓ=BMÓ+HMÓ=2+1=3
‌
|vø|Û`=(3k-4)Û `+(k+2)Û`
따라서 직각삼각형 DBH에서
=10kÛ`-20k+20
|BD³|Û`=|BH³|Û`+|DH³|Û`=3Û`+2Û`=13
=10(k-1)Û`+10¾10
이므로 |BD³|='¶13
따라서 |vø|Û`은 k=1일 때 최솟값 10을 갖는다.
④
⑤

12 14
선분 AD와 선분 BE의 교점을 O라 하고, 선분 OE의 중점을 M
직각삼각형 ABH에서 ABÓ='2, ∠ABC=45ù이므로
이라 하자.
AHÓ=BHÓ=1
A F
A D
E

F
B E
O M h
B C
H J I

점 D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C D
BIÓ=3, DIÓ=1이고, △BID»△BHF이므로
BC³=AO³이므로
BIÓ`:`DIÓ=BHÓ`:`FHÓ
AE³+BC³=AE³+AO³=2 AÕM  
³ yy`㉠
즉, 3`:`1=1`:`FHÓ
삼각형 AOM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FHÓ=;3!;
AMÓÛ`=AOÓÛ`+OMÓÛ`-2_AOÓ_OMÓ_cos 120 °

=1Û`+{;2!;}Û`-2_1_;2!;_{-;2!;}=;4&; AFÓ=AHÓ-FHÓ=1-;3!;=;3@;

'7 한편 점 E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J라 하면


이때 AMÓ>0이므로 AMÓ=
2 BJÓ=CJÓ=2, BHÓ=HJÓ=1이므로
따라서
EJÓ=2 FHÓ=;3@;
'7
|AE³+BC³|‌=2|AÕM³|=2 AMÓ=2_ ='7
2 |EÕJø|
직각삼각형 JCE에서 ∠JCE=h라 하면 sin h= 이고,
② |CÕE²|

3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30 2022-12-02 오후 7:52:14


² 이루는 각의 크기는 ;2Ò;+h이다.
두 벡터 EÕJ,ø CÕE가 조건 (나)에서 XAÓ²+XC³+2 XDÓ³=k CD³이므로

따라서 AÕF²=EÕJø 이므로 (CA³-CX³)-CX³+2(CD³-CX³)=k CD³


2-k
AF³ º CÕE²=EÕJø º CÕE² CX³=;4!; CA³+ CD³
4
=|EÕJø||CÕE²|cos`{;2Ò;+h}
이때 ;4!; CA³=CG³라 하면 점 X는 점 G를 지나고 직선 CD에 평행
=|EÕJø||CÕE²|_(-sin`h)
한 직선 위를 움직인다.

평면벡터
|EÕJø|
=|EÕJø||CÕE²|_{- } 직선 GE' 위의 점 H가
|CÕE²|
E'HÓ=1, GHÓ>GE'Ó
=-|EÕJ|ø Û`
을 만족시키도록 점 H를 잡는다.
=-{;3@;}Û`=-;9$; A F

④
B A' F' E

15 B' G
E' H

PA³ º PC³=0이므로 두 벡터 PA³와 PC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90° C D


D'
이다.
점 X가 점 G일 때 |CX³|의 값은 최소이다.
|PA³|
=3에서 |PC³|=t`(t>0)라 하면 |PA³|=3t 2-k
|PC³| CG³=CG³+ CD³에서
4
두 벡터 PB³와 PC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2-k
=0, k=2
4
'2 즉, a=2
PÕB² º PÕC²‌=|PÕB²||PÕC²|cos h=- |PB³||PC³|
2
또 점 X가 점 H일 때 |CX³|의 값은 최대이다.
'2
에서 cos h=- 이므로 h=135°
|GH³|=4에서 | CD³|=4
2 2-k
4
'2
- |PB³||PC³|=-2|PC³|Û`에서 2-k 2-k
2 >0이므로 |CD³|=4에서
4 4
|PB³|=2'2|PC³|이므로 |PB³|=2'2t
2-k
_4=4, k=-2
∠APB=∠BPC=135°, ∠CPA=90°이므로 4
세 삼각형 ABP, BCP, CAP의 넓이를 각각 SÁ, Sª, S£이라 하면 즉, b=-2
'2 따라서 aÛ`+bÛ`=2Û`+(-2)Û`=8
SÁ=|PA³||PÕB²|sin 135°=3t_2'2 t_ =6tÛ`
2 8
'2
Sª=|PÕB²||PC³|sin 135°=2'2 t_t_ =2tÛ`
2
S£=|PÕC²||PA³|sin 90°=t_3t_1=3tÛ` 17
즉, SÁ`:`Sª`:`S£=6`:`2`:`3 OB³ º OC³=0에서 ∠COB=90°, ∠AOC=30°
직선 AP와 변 BC의 교점이 D이므로 OA³ º OC³=|OA³|_|OC³|_cos`30°=2'3_|OC³|
ADÓ`:`DPÓ=(SÁ+Sª+S£)`:`Sª=11`:`2 OA³ º OC³=24에서 |OC³|=4'3
따라서 AD³=;;Á2Á;; PD³이므로 k=;;Á2Á;; OP³ º PQ³‌=OP³ º (OQ³-OP³)
=OP³ º OQ³-|OP³|Û`
①
=OP³ º OQ³-16   yy ㉠

16
OP³와 OC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0°ÉhÉ90°이고
OP³ º OQ³‌=OP³ º (OC³+CQ³)
조건 (가)에서 CX³=;2!; CÕP²+CQ³이므로 선분 CA, CB, CD, CE, =OP³ º OC³+OP³ º CQ³ ‌
CF의 중점을 각각 A', B', D', E', F'이라 하면 점 X는 정육각형 =16'3`cos`h+OP³ º CQ³
A'B'CD'E'F' 위의 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h=0°이고 두 벡터 OP³, CQ³의 방향이 같을 때, OP³ º OQ³의 값이
위를 움직인다. 최대이므로

정답과 풀이 ● 31

기하_해설.indb 31 2022-12-02 오후 7:52:15


OP³ º OQ³É16'3+4 yy ㉡ 를 만족시키려면

h=90°이고 두 벡터 OP³, CQ³의 방향이 반대일 때, OP³ º OQ³의 값 ∠BAQ=∠BQA, 즉 ABÓ=BQÓ이어야 한다.

이 최소이므로 또한 2_∠BQA<;2Ò;에서 ∠BQA<;4Ò;이다.


OP³ º OQ³¾-4 yy ㉢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Q는 다음 그림과 같이 점 A를 지나
㉠, ㉡, ㉢에서 고 직선 BC에 수직인 직선이 직선 DH와 만나는 점이어야 한다.
-4-16ÉOP³ º PQ³É16'3+4-16 A D
M=16'3-12, m=-20
따라서 M+m=16'3-32
H
⑤
B C

18 P

조건 (가)의 AC³=2(AD³+BÕP²)에서
Q
2BÕP=
² AC³-2AD³=AC³+CÕB²=AB³
직각삼각형 AQD에서
이므로
ADÓ=2, AQÓ=2'3
² ;2!; AB³
BÕP=
이므로 DQÓ="Ã2Û`+(2'3)Û`='¶16=4
따라서 점 P는 선분 BA를 1 : 3으로 외분하는 점이고, 따라서

APÓ=;2#;ABÓ=;2#;_2=3 CP³ º DQ³‌=(CA³+AP³) º DQ³


=CA³ º DQ³+AP³ º DQ³
이다.
A D =|CA³||DQ³|cos`;2Ò;+|AP³||DQ³|cos`0

=0+3_4_1=12

3 2  12

다른 풀이
B C 네 점 A, B, C, D의 좌표가 각각
A(0, '3), B(-1, 0), C(3, 0), D(2, '3)
P 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다음 그림과 같다.
y
한편, ABÓ=2, BCÓ=4, ∠CBA=;3Ò;이므로
3 A D
∠BAC=;2Ò;, ACÓ=2'3

이다. 따라서 점 P에서 직선 AC에 내린 수선의 발이 A이다.


점 Q에서 직선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B C
조건 (나)에 의하여 x
-1 O 2 3
AC³ º PQ³=AC³ º AÕH³=6
이어야 하므로 점 H는 반직선 AC 위에 있고
점 P의 좌표를 P(a, b)라 하면 조건 (가)의 AC³=2(AD³+BÕP²)
AC³ º AH³=|AC³||AÕH³|cos`0=2'3_AHÓ=6
에서
즉, AHÓ='3이다.
(3, -'3)=2{(2, 0)+(a+1, b)}
따라서 점 H는 선분 AC의 중점이므로 점 Q는 선분 AC의 수직
3=2(a+3)에서 a=-;2#;
이등분선인 직선 DH 위에 있다.
이때 삼각형 ABQ에서 '3
-'3=2b에서 b=-
2
∠PBQ=∠BAQ+∠BQA '3
즉, P{-;2#;, - }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세 점 A, B, P는
이므로 조건 (다)에 의하여 2
2_∠BQA=∠PBQ 한 직선 위에 있고 BPÓ=1이다.

3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32 2022-12-02 오후 7:52:15


y 이므로 점 Q는 직선 y=2 위에 있다.
3 A D 이때 |pø-qø|의 값은 두 점 P, Q 사이의 거리이며, 다음 그림과
같이 점 M에서 직선 y=2에 내린 수선의 발을 Q'이라 하면 점 P
가 점 A에 있고, 점 Q가 점 Q'에 있을 때 두 점 P, Q 사이의 거리
-3 B C
2 가 최소가 된다.
-1 2 3 x
3 y Ⅱ
P -2 B

평면벡터
M
또, 점 Q의 좌표를 Q(x, y)라 하면 조건 (나)의 AC³ º PQ³=6에서
A
'3
(3, -'3) º {x+;2#;, y+ }=6 y=2
2 Q'

3x+;2(;-'3y-;2#;=6, y='3x-'3 O C x

즉, 점 Q는 직선 y='3x-'3 위에 있다. 따라서 A(2, 4), Q'(2, 2)이므로


y |pø-qø|=PQÓ¾AQ'Ó=2
A D
3 에서 구하는 최솟값은 2이다.
②
3
- B
2 C [참고]
-1 O 2 3 x
pø=(x, y)라 하고 A(2, 4), B(2, 8), P(x, y)라 하면
3
-
P 2 (pø-aø) º (pø-bø)=0에서
Q - 3 (x-2, y-4) º (x-2, y-8)=0
(x-2)Û`+(y-4)(y-8)=0, (x-2)Û`+(y-6)Û`=4
이때 삼각형 ABQ에서 ∠PBQ=∠BAQ+∠BQA이므로
이므로 점 P는 중심이 (2, 6)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위의
조건 (다)의 2_∠BQA=∠PBQ를 만족시키려면
점이다.
∠BAQ=∠BQA, 즉 ABÓ=BQÓ이어야 한다.

또한 2_∠BQA<;2Ò;에서 ∠BQA<;4Ò;이다.
20
따라서 점 Q의 좌표는 Q(0, -'3)이므로 조건 (가)에서 AB³=-CD³=DC³
'3
CÕP² º DQ³‌={-;2(;, - } º (-2, -2'3) 조건 (나)에서 |BA³-BÕC²|=|CA³|=6
2
사각형 ABCD는 평행사변형이면서 두 대각선 AC, BD의 길이
=9+3
가 같으므로 직사각형이다.
=12
따라서 |AD³|=ADBDÓÛ`-ABÓÛ`="Ã6Û`-2Û`=4'2
④

유형 2 평면벡터의 연산과 위치벡터의 활용 21


y xÛ +-
yÛ =1

19
-9 5
15 P
pø=(x, y), qø=(x', y')이라 하고, A(2, 4), B(2, 8), C(1, 0),
P(x, y), Q(x', y')이라 하자. F' F
-3 -2 O 2 3 x
(pø-aø) º (pø-bø)=0에서 APÓ⊥PBÓ이므로 점 P는 선분 AB를 지
름으로 하는 원 위를 움직인다.
-15
즉, 점 P는 선분 AB의 중점 { }, 즉 점 M(2, 6)을
2+2 4+8
,
2 2
원점 O는 선분 F'F의 중점이므로 PF³+PÕF'³=2PO³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위에 있다.
이때 점 P는 타원 위의 점이므로 |2PO³|=2OPÓ의 최댓값은 타원
한편, qø=;2!;aø+tcø=;2!;(2, 4)+t(1, 0)=(1+t, 2) 의 장축의 길이와 같다.

정답과 풀이 ● 33

기하_해설.indb 33 2022-12-02 오후 7:52:15


xÛ` yÛ` k=1 또는 k=-4
따라서 타원 + =1의 장축의 길이는 2_3=6이므로
9 5
이때 k>0이므로 k=1
|PF³+PÕF'³|의 최댓값은 6이다.
③
②

22 25
CA³=PA³-PC³이므로
AB³ º BC³=0이므로 AB³⊥BC³
PÕA³+PB³+PC³+PD³=PA³-PC³에서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PB³+PD³=-2PC³
|AB³+AC³|=|2AÕM³|=2|AÕM|³ =4이므로 |AÕM|³ =2
ㄱ. PB³+PD³=-2PC³=2CP³ (참)
ABÓ=1이므로 직각삼각형 ABM에서
PB³+PD³
=-PC³
BÕMÓ=ADAÕMÓ Û`-ABÓ Û`="Õ2Ã Û`-1Û`='3
ㄴ.
2
따라서 |BC³|=2|BÕM³|=2 BÕMÓ=2'3 ㄴ. ‌선분 BD의 중점을 E라 하면 PE³=-PC³
④ ㄴ. ‌다음 그림에서 점 P는 선분 EC의 중점이다.
다른 풀이 A D

AB³ º BC³=0에서 AB³ º(AC³-AB³)=0


E
AB³ º AC³-|AB³|Û`=0, AB³ º AC³=|AB³|Û`
P
이때 ABÓ=1이므로 AB³ º AC³=1
따라서 B C

|BÕC|² Û`=|AC³-AB³|Û`
ㄴ. 따라서 AP³=;4#; AC³이다. (참)
=|AC³+AB³|Û`-4AC³ º AB³ ‌
=4Û`-4_1=12 ㄷ. 삼각형 ADC의 넓이는 삼각형 ADP의 넓이의 ;3$;배이므로
이므로 |BÕC²|='1Œ2=2'3
ㄴ. 삼각형 ADC의 넓이는 3_;3$;=4

23 ㄴ. ‌따라서 사각형 ABCD의 넓이는 4_2=8 (참)


|OP³-OA³|=|AB³|에서 |AP³|=|AB³|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이때 ABÓ=¿¹(-3-1)Û`+(5-2)Û`=5이므로 ⑤
|AP³|=|AB³|=5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반 26
지름의 길이가 5인 원의 둘레의 길이이므로 A

2p_5=10p
E
① I

24 B D C

(OP³-OA³) º (OP³-OA³)=5에서 AP³ º AP³=5 위의 그림과 같이 점 I에서 변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 하면


|AP³|Û`=5, |AP³|='5 BEÓ=BDÓ=8
즉,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점 A(3, 0)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 따라서
의 길이가 '5인 원이다. BA³ º BÕI²=|BA³||BÕI|² cos`(∠EBI)`
점 P가 나타내는 도형과 직선 y=;2!;x+k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 =|BA³||BE³|=15_8=120
 120
므로 점 A(3, 0)과 직선 y=;2!;x+k, 즉 x-2y+2k=0 사이의

거리는 '5이다. 27
|3-2_0+2k| 삼각형 ABD에서 두 점 E, G는 각각 두 선분 AB, DA의 중점이
='5에서 |2k+3|=5
"Ã1Û`+(-2)Û`
2k+3=5 또는 2k+3=-5 므로 EGÓBDÓ, EGÓ=;2!; BDÓ

3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34 2022-12-02 오후 7:52:16


이때 점 H는 선분 BD의 중점이므로 EG³=;2!; BD³=BH³ 또 |qø-cø|=1이고 cø=(4, 2)이므로 qø=OQ³라 하면 점 Q는 중심
이 (4,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위의 점이다.
A G D
y

P Q

H F 2
E
P

평면벡터
O O 4 x
x=1
B C
|pø-qø|=|OP³-OQ³|=|QP³|=PQÓ
|EG³+HP³|=|BH³+HP³|=|BP³|이므로
따라서 |pø-qø|의 최솟값은 원의 중심 (4, 2)와 직선 x=1 사이
|EG³+HP³|의 최댓값은 |BP³|의 최댓값과 같다.
의 거리에서 반지름의 길이 1을 빼면 되므로 3-1=2
즉, 원 밖의 한 점 B에서 원 위의 점 P에 이르는 거리의 최댓값이다.
②
따라서 원의 중심을 O라 하면 |BP³|의 최댓값은 세 점 B, O, P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이므로
BOÓ+OPÓ=BOÓ+2="Ã6Û`+2Û`+2=2+2'¶10 30
② 포물선 y=(x-2)Û`+1의 꼭짓점을 Z(2, 1)이라 하고 점 Z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W, 점 X에서 선분 ZW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28 Z

AB³=aø, AC³=bø라 하면 :
9
BF³=AF³-AB³=;4!; bø-aø, DE³=AE³-AD³=;4#; bø-;3@;aø 
;
)
따라서 |aø|=|bø|=3, D 8
0    Y
aø º bø=|aø||bø|cos`60ù=3_3_;2!;=;2(;

이므로 OP³=OY³-OX³=XY³=XZ³+ZY³   yy`㉠

|BF³+DE³|Û`=|{;4!; bø-aø}+{;4#; bø-;3@;aø}|Û` 선분 OX가 x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ÉhÉ;2Ò;}라 하면

=|bø-;3%;aø|Û 점 X의 좌표는 (cos h, sin h)이므로


XZ³=OÕZ'인
³ 점 Z'의 좌표는 (2-cos h, 1-sin h)이다.
=|bø|Û`-:Á3¼: aø º bø+:ª9°:|aø|Û` 2-cos h=x, 1-sin h=y라 하면
cos h=2-x, sin h=1-y이므로
=3Û`-:Á3¼:_;2(;+:ª9°:_3Û`
(x-2)Û`+(y-1)Û`=1
=9-15+25=19
이때 0ÉhÉ;2Ò;이므로 1ÉxÉ2, 0ÉyÉ1
③
그러므로 점 Z'은 중심이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중
1ÉxÉ2, 0ÉyÉ1인 점이다.

29 XZ³=OÕZ'이
³ 므로 ㉠에서 OP³=OÕZ'³+ZY³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영역은 다음 그림의 어두운 부분이다.
pø º aø=aø º bø에서 aø º pø=aø º bø
Z
즉, aø º(pø-bø)=0 Z Y 

이때 aø=(3, 0), bø=(1, 2)이므로 

점 P(x, y)에 대하여 pø=OP³=(x, y)라 하면



(3, 0)º(x-1, y-2)=0
3(x-1)=0, x=1 0    Y
즉, 점 P는 직선 x=1 위의 점이다. Y 
Z  

정답과 풀이 ● 35

기하_해설.indb 35 2022-12-02 오후 7:52:17


점 P가 점 (3, 1)일 때, 선분 OP의 길이가 최대이므로 이때 두 벡터 AO³, AQ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0ù이므로
M="Ã3Û`+1Û`='¶10 AO³ º AQ³ =|AO³||AQ³|cos 0ù
또, 점 Z(2, 1)에 대하여 점 P가 선분 OZ와 =2'3_5'3 _1=30

원 (x-2)Û`+(y-1)Û`=1이 만나는 점일 때 선분 OP의 길이가 또, |AQ³|`:`|OQ³|=5`:`3에서 AQ³=;3%; OQ³ 이므로


최소이므로
OP³ º AQ³=OP³ º {;3%; OQ³ }=;3%; OP³ º OQ³
m=OZÓ-1="Ã2Û`+1Û`-1='5-1
따라서 MÛ`+mÛ`‌=('¶10)Û`+('5-1)Û`=16-2'5 =;3%;|OP³||OQ³|cos(∠POQ)
①
=;3%;|OP³|Û`

=;3%;_(2'3)Û`=20
31
ㄱ. AB³
‌ +AE³=2 AÕM³ 이므로 AB³+AE³와 AÕM³ 은 서로 평행하 따라서 ㉠에서 AP³ º AQ³ =30+20=50

다. (참)  50

ㄴ. A

B
h
E
33
AP³=k AH³ (k는 0ÉkÉ1인 실수)라 하면

AH³=;2!;(AB³+AC³ )이므로
D
C
p-h
AP³=;2!; k(AB³+AC³ )

따라서
‌AB³와 AE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B=∠E=90ù이
=;2!; k(AB³+AC³ ) º AB³ 
AP³ º AB³ ‌
므로 BC³와 ED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p-h이다.
따라서 =;2!; k AB³ º AB³+;2!;  k AC³ º AB³
AB³ º AE³=|AB³||AE³| cos h
=;2!; k|AB³|Û`+;2!;  k|AC³||AB³|cos 60ù  
BC³ º ED³=
‌ |BC³||ED³| cos(p-h)=-|BC³||ED³| cos h
이때 ABÓ=BCÓ, AEÓ=EDÓ이므로 =;2!; k_2Û`+;2!;  k_2_2_;2!;=3k
AB³ º AE³=-BC³ º ED³ (참)
또, |AP³|Û`=|k AH³|Û`=kÛ`|AH³|Û`=kÛ`_('3)Û`=3kÛ`
ㄷ. |BC³ +ED³|Û`=|BC³|Û`+2 BC³ º ED³+|ED³|Û`
이때 PA³=-AP³이고 PB³=AB³-AP³ 이므로
|BE³|Û`=|AE³-AB³|Û`=|AE³|Û`-2 AE³ º AB³+|AB³|Û`
이때 ABÓ=BCÓ, AEÓ=EDÓ이고, PA³ º PB³=
‌ -AP³ º (AB³-AP³)  ‌

ㄴ에서 AB³ º AE³=-BC³ º ED³가 성립하므로 =-AP³ º AB³+|AP³|Û` ‌


|BC³+ED³|Û`=|BE³|Û`에서 =-3k+3kÛ`
|BC³+ED³|=|BE³| (참) =3{k-;2!;}Û`-;4#;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0ÉkÉ1이므로 |PA³ º PB³|의 최댓값은 ;4#;이다.

따라서 p=4, q=3이므로 p+q=4+3=7

32 7

선분 AB의 중점을 O라 하면 점 Q가 선분 AB를 5 : 1로 외분하는


점이고, BQÓ='3이므로 34
AOÓ=OBÓ=OPÓ=2'3 OP³=-OÕP'³을 만족시키는 점을 P'이라 할 때,
따라서 |OP³+OQ³|=|OQ³-OÕP'³|=|PÕ'Q³|É5를 만족시켜야 한다.
AP³ º AQÓ=(AO³
‌ +OP³) º AQ³ 이때 점 P는 직선 x=1 위를 움직이므로 점 P'은 직선 x=-1 위
=AO³ º AQ³+OP³ º AQ³   yy`㉠ 를 움직인다.

3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36 2022-12-02 오후 7:52:17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1, -a)이다. 에서 h=0ù일 때, PC³ º OÕªQ³의 최댓값은 '¶17이므로 PC³ º PQ³의
그런데 점 Q는 호 AB 위를 움직이므로 최댓값이 5가 되는 경우 최댓값은 10+'¶17이다.
는 그림과 같이 두 가지 경우이다. 따라서 a=10, b=17이므로
Z a+b=10+17=27
 27
#
1 2 Ⅱ

평면벡터
"
36
P
 0   Y
F C
1 G Q
Y Y A B
OÁ D HE Oª
Ú a<0일
‌ 때
점 C를 지나고 직선 AB에 평행한 직선이 호 AC와 만나는 점을
‌호 AB 위의 점 Q 중 점 P'과의 거리가 가장 먼 점은 A(3, 0)
F라 하면 OÕªQ³=OÕÁG³를 만족시키는 점 G는 호 AF 위에 있다.
이므로 |PÕ'Q³|É PÕ'AÓ=5
OÕÁP³+OÕªQ³=OÕÁP³+OÕÁG³
PÕ'AÓ Û`=(3+1)Û`+(0+a)Û`=aÛ`+16=25이므로 aÛ`=9
이므로 벡터 OÕÁP³+OÕÁG³의 크기가 최소인 경우는 ∠POÁG의 크기
a<0에서 a=-3
가 최대일 때이며, 이때 점 G가 점 A와 일치하고 점 P가 점 C와
Û a¾0일 때
일치한다.
직선 P'O가 호 AB와 만나는 점을 Q'이라 하면
|PÕ'Q³|ÉPÕ'Q'Ó=5 따라서 |OÕÁP³+OÕÁG³|¾|OÕÁC³+OÕÁA³|=;2!;

OQ'Ó=3이므로 PÕ'OÓ=2
∠AOÁC=h라 하고 |OÕÁC³+OÕÁA³|=;2!;의 양변을 제곱하면
"Ã(-1)Û`+aÛ`=2, aÛ`=3
|OÕÁC³|Û`+2OÕÁC³ º OÕÁA³+|OÕÁA³|Û`=;4!;
a¾0에서 a='3
Ú, Û에 의하여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1Û`+2|OÕÁC³||OÕÁA³| cos h+1Û`=;4!;
(-3)_'3=-3'3
1+2_1_1_cos h+1=;4!;
③

2 cos h=-;4&;  

35 cos h=-;8&;
원 Cª의 중심을 Oª라 하면
점 C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PC³ º PQ³=PC³ º (PÕOª³+OÕªQ³)=PC³ º PÕOª³+PC³ º OÕªQ³
OÁHÓ=OÁCÓ cos (p-h)=1_(-cos h)Ó=1_;8&;=;8&;
y

A D 이고 OÁHÓ=HOªÓ이므로

Q ABÓ=AOÁÓ+OÁHÓ+HOªÓ+OªBÓ
2 Oª
CÁ ABÓ=1+;8&;+;8&;+1=:Á4°:

따라서 p=4, q=15이므로


P 3 4 x
p+q=4+15=19
-1 C
B
 19

그림과 같이 점 P가 원점, 선분 AB가 y축 위에 오도록 정사각형


ABCD와 두 원 CÁ, Cª를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37
Oª(3, 2), C(4, -1)이므로 조건 (가)에서 AC³ º BC³=0이므로 두 벡터 AC³, BC³는 수직이다.
PC³ º PÕOÕª³ ‌
=(4, -1) º (3, 2)=12-2=10
 그러므로 선분 AB는 원의 지름이고 |AB³|=8이므로 지름의 길
두 벡터 PC³, OÕªQ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이는 8이다.
PC³ º OÕªQ³‌
=|PC³||OÕªQ³| cos`h='¶17_1_cos`h='¶17 cos`h 원의 중심을 O라 하면 조건 (나)에서

정답과 풀이 ● 37

기하_해설.indb 37 2022-12-02 오후 7:52:18


AD³‌=;2!;AB³-2BC³=AO³+2CB³ =2 OÕÁO£³+OÕ£P³+OÕ£Q'³
이때 벡터 AP³+AQ³의 크기가 최대가 되려면 OÕÁO£³은 방향과 크
이때 AD³=AO³+OD³이므로 OD³=2 CB³
기가 일정한 벡터이므로 두 벡터 OÕ£P³, OÕ£Q'³이 OÕÁO£³과 방향이 같
점 D는 원 위의 점이므로 |OD³|=4에서
아야 한다.
2|CB³|=4, |CB³|=2
따라서 |AP³+AQ³|É3|OÕÁO£³|=3_2=6
②
$
D
" #
0

39
% ㄱ. |CB³
‌ -CP³|=|PB³|=PBÓ 이므로 선분 PB의 길이는 점 P가
점 A와 일치할 때 최소이다.
∠ABC=h라 하면 cos h=;8@;=;4!;
따라서 |CB³-CP³|의 최솟값은 ABÓ=1이다. (참)
한편, 두 벡터 OD³, CB³는 평행하므로
ㄴ. ‌삼각형 ACD에서 ADÓ='3, DCÓ=1이 E
∠AOD=p-h
므로 ∠CAD=30ù
따라서
삼각형 EAD가 정삼각형이므로 P
‌
|AD³|Û`=|OD³ -OA³|Û` 13
∠EAD=60ù A D
30ù
=(OD³-OA³) º (OD³-OA³) ∠EAC=∠PAC=90ù 1
=|OD³|Û`+|OA³|Û`-2 OD³ º OA³ 즉, CA³⊥AP³이므로 CA³ º AP³=0 B C
=|OD³|Û`+|OA³|Û`-2|OD³||OA³|cos(p-h) 따라서

=|OD³|Û`+|OA³|Û`+2|OD³||OA³|cos h CA³ º CP³=


‌ CA³ º (CA³+AP³) ‌
=CA³ º CA³+CA³ º AP³
=4Û`+4Û`+2_4_4_;4!;=40
=|CA³|Û`+0
⑤
=2Û`=4
이므로 CA³ º CP³의 값은 4로 일정하다. (참)

38 ㄷ. 점 A를 원점, 직선 AD를 x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에 주어진 도


형을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P C£
y
O£ Q' E
CÁ B

OÁ Q P
A O¢
C¢ A 13 213
Oª O D F x

Cª B G
-1 C
네 원 CÁ, Cª, C£, C¢의 중심을 각각 OÁ, Oª, O£, O¢라 하고, ADÓ=DFÓ인 x축 위의 점을 F라 하고 직사각형 DCGF를 그
‌
두 원 C£, C¢의 접점을 B라 하자. 리면 DÕA³+CÕP²=CÕB+
² CÕP²=GC³+CÕP²=GÕP이
² 므로
사각형 OÁOªO¢O£은 네 변의 길이가 모두 2인 마름모이고, |GÕP|² 의 최솟값은 점 G(2'3, -1)과 직선 AE 사이의 거리
두 점 A, B는 각각 변 OÁOª, 변 O£O¢의 중점이므로 와 같다.
AÕO£³+AÕO¢³=2AB³=2 OÕÁO£³ 직선 AE의 방정식은 y='3x, 즉 '3x-y=0이므로
한편, 벡터 OÕ¢Q³를 시점이 O£이 되도록 평행이동하였을 때, 그 종 구하는 최솟값은
점을 Q'이라 하면 |'3_2'3-(-1)|
=;2&; (참)
OÕ£P³+OÕ¢Q³=OÕ£P³+OÕ£Q'³이므로 ¿¹('3)Û`+(-1)Û`
AP³+AQ³ ‌=(AÕO£³+OÕ£P³)+(AÕO¢³+OÕ¢Q³)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AÕO£³+AÕO¢³)+(OÕ£P³+OÕ¢Q³) ⑤

3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38 2022-12-02 오후 7:52:18


x+2y=6
유형 3 평면벡터를 이용한 직선과 원의 방정식
이 직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6, 0), (0, 3)이

40 므로 a=6, b=3
따라서 a+b=6+3=9
x-3 y-5 2-y
두 직선 = , x-1= 9
4 3 3
x-3 y-5 y-2 Ⅱ
즉, = , x-1= 의 방향벡터를 각각 dÕÁ² , dÕª²라

평면벡터
4 3 -3
하면 44
점 M은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PA³+PÕB|² ='1Œ0에서
dÕÁ²=(4, 3), dÕª²=(1, -3)
2|PÕM|³ ='1Œ0  
따라서
'1Œ0
|dÁ² º dª²| |4_1+3_(-3)| |PÕM|³ =
cos`h= = 2
|dÁ²||dª²| "Ã4Û`+3Û`_"Ã1Û`+(-3)Û` '1Œ0
따라서 점 P는 중심이 M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위의
5 '¶10 2
= =
5'¶10 10 점이다.
② 이 원을 C라 하면 OB³ º OP³의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점 P, 즉
점 Q는 직선 OB에 수직인 직선이 원 C와 접하는 점 중 선분 OP
41 의 길이가 가장 클 때의 점이다.
x+1 y-5 즉, 점 Q의 위치는 다음 그림과 같다.
두 직선 =y-3, x-2= 의 방향벡터를 각각
2 3
y B(8, 6)
uÁ²=(2, 1), uª²=(1, 3)
이라 하면 Q
|uÁ² º uª²| |2_1+1_3|
cos h= = M
|uÁ²||uª²| "Ã
2 Û`+1Û` _"Ã1Û`+3Û` C
5 '2
= = x
'5_'¶10 2 O A(6, 0)

⑤ 한편, 직선 OB에 수직이고 점 Q를 지나는 직선과 직선 MQ는 수


직이므로 OBÓ MÕÕQÓ
42 Õ 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두 벡터
따라서 두 벡터 OÕA³, MÕQ
좌표평면 위의 점 (6, 3)을 지나고 벡터 uø=(2, 3)에 평행한 직선 OÕA,³ OB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h이다.
의 방정식은 OÕA³ º OB³=|OÕA|³ |OB³|cos`h에서
x-6 y-3
= (6, 0) º (8, 6)="Ã6Û`+0Û` "Ã8Û`+6Û``cos`h
2 3
48=6_10_cos`h, cos`h=;5$;
이 직선이 x축과 만나는 점 A의 x좌표는
x-6 0-3 '1Œ0
= 에서 x=4이므로 A(4, 0) 따라서 |OÕA³|=6, |MÕQ³|= 이므로
2 3 2
또, y축과 만나는 점 B의 y좌표는 OÕA³ º MÕQ³=|OÕA³||MÕQ³|cos`h
0-6 y-3 '1Œ0
= 에서 y=-6이므로 B(0, -6) =6_ _;5$;
2 3 2

따라서 ABÓ Û`=(0-4)Û`+(-6-0)Û`=52 =


12'1Œ0
5
  52
③

43
좌표평면 위의 점 (4, 1)을 지나고 벡터 nø=(1, 2)에 수직인 직선 45
의 방정식은 |OX³|É1이므로 점 X는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1_(x-4)+2_(y-1)=0 원의 경계 및 내부이다.

정답과 풀이 ● 39

기하_해설.indb 39 2022-12-02 오후 7:52:19


또, OX³ º OÕAû³¾0에서 두 벡터 OX³, OÕAû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0ùÉhÉ90ù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48~49 쪽

ㄱ. OÕ
‌ AÁ³=OÕAª³=OÕA£³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X가 나타내 01 31 02 7 03 24 04 48 05 17
는 도형 D는 다음 그림과 같이 반원의 경계 및 내부이다. 06 53 07 45 08 100

01  정답률 10.4%
AÁ(=Aª=A£)
O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평면벡터의 내적의 성질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따라서 도형 D의 넓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의 넓이의
PA³ º PB³
;2!;이므로 ;2!;_p_1Û`=;2Ò; (참) =(PÕM³+MÕA³ ) º (PÕM³+MÕB)³
=|PÕM³|Û`+PÕM³ º (MÕA+
³ MÕB³)+MÕA³ º MÕB³
ㄴ. OÕ
‌ Aª³=-OÕAÁ³이고 OÕA£³=OÕAÁ³이면 다음 그림과 같다. =|PÕM³|Û`+PÕM³ º 0ø-|MÕA|³ Û`
=|PÕM³|Û`-|MÕA|³ Û`

Aª AÁ(=A£) 풀이 전략 평면벡터의 내적의 성질을 이용하여 내적의 최댓값을 구한다.


O
문제 풀이

[STEP 1] 점 C의 좌표를 구한다.


y
이때 점 X가 나타내는 도형 D는 선분 AÁAª와 수직인 원의 지름
‌
이다. 따라서 D는 길이가 2인 선분이다. (참) C
D
ㄷ. OÕAÁ³ º OÕAª³=0이면 OÕAÁ³⊥OÕAª³
A C' B D' x
이때 두 벡터 OÕAÁ³, OÕAª³에 대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X를
나타내면 [그림 1]과 같은 사분원의 경계 및 내부이다. OÁ Oª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5, 0), (0, 0)이라 하고, 점 C에서


직선 AB, 즉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C'이라 하자.

O
점 C는 원 OÁ 위의 점이므로 ACÓ=5이고,

조건 (가)에서 cos(∠CAB)=;5#;이므로
[그림 1]
AÕC'Ó=3, CÕC'Ó=4
또, 벡터 OÕA£³에 대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X를 나타내면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2, 4)이다.
[그림 2]와 같이 반원의 경계 및 내부이다.
조건 (나)에서 AB³ º CD³=30이므로 두 벡터 AB³, CD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h<90°)라 하면

|AB³||CD³|cos h=30
O 이때 |AB³|=5이므로
5|CD³|cos h=30  

[그림 2] |CD³|cos h=6


점 D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D'이라 하면
이때 도형 D의 넓이가 ;4Ò;이기 위해서는 위의 두 도형의 공통
|CD³|cos h=|CÕ'D'³|=6
부분이 [그림 1]과 같은 사분원의 경계 및 내부이어야 한다. 이때 점 C'의 좌표가 (-2, 0)이므로 점 D'의 좌표는 (4, 0)이다.
따라서 점 A£은 호 AÁAª 위에 있어야 한다. 즉, 점 A£은 도형 [STEP 2] 점 D의 좌표를 구한다.
D에 포함되어 있다. (참) 점 D는 원 xÛ`+yÛ`=5Û` 위의 점이고, x좌표가 4이므로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4Û`+yÛ`=5Û`에서 y=Ñ3
⑤ 즉, 점 D의 좌표는 (4, -3) 또는 (4, 3)이다.

4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40 2022-12-02 오후 7:52:19


이때 조건 (나)에서 |CD³|<9이므로 실수
점 D의 좌표가 (4, -3)이면 이 성립하므로 |PÕM³|의 값이 최대일 때, PA³ º PB³의 값이 최대임
점 D의 좌표는 (4, 3)이다. CDÓ="Ã(4+2)Û`+
à (-3-4)Û`='¶85>9
을 이용하면 돼.
가 되어 |CD³|<9를 만족시키지 않아.
[STEP 3] PA³ º PB³의 최댓값을 구한다.
P
선분 CD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중심을 E, 반지름의 길이를 r라

}, 즉 E{1, ;2&;}이고
-2+4 4+3
하면 E{ , E
2 2

평면벡터
r=;2!; CDÓ
A B
M
=;2!;¿¹{4-(-2)}Û`+(3-4)Û`

'¶37
=
2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M{-;2%;, 0}이므로

PA³ º PB³ 02  정답률 10.1%

=(PÕM³+MÕA³) º (PÕM+
³ MÕB³)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³ MÕB³)+MÕA³ º MÕB³
=|PÕM³|Û`+PÕM³ º (MÕA+
벡터의 내적의 성질
=|PÕM³|Û`+PÕM³ º 0ø-|MÕA³|Û` 점 M은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⑴ aø º bø=bø º aø
MÕA³=-MÕB³

=|PÕM³|Û`-;;ª4°;; ⑵ aø º (bø+cø)=aø º bø+aø º cø


⑶ |aø Ñ bø|Û`‌=(aø Ñ bø) º (aø Ñ bø)
이때 점 P는 원 위의 점이므로 =|aø|Û` Ñ 2aø º bø+|bø|Û` (복부호 동순)
|PÕM³|É|EÕM³|+r
'¶37 풀이 전략 벡터의 내적의 성질을 이용하여 내적의 최솟값을 구한다.
=¾Ð{;2&;}Û`+{;2&;}Û`+
2 문제 풀이
7'2 '¶37 [STEP 1]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점 P의 조건을 구한다.
= +
2 2
#
따라서 PA³ º PB³의 최댓값은
'¶37 Û` #
{ } -;;ª4°;;
7'2
+‌
2 2
0 "
7'¶74
={;;¢2»;;+ +;;£4¦;;}-;;ª4°;;
2

=;;°2°;;+;2&;'¶74
점 B'이 OB³=3OÕB'³을 만족시킬 때, 조건 (가)에서
즉, a=;;°2°;;, b=;2&;이므로 3 OÕB'³ º OP³=3 OA³ º OP³
(OÕB'³-OA³) º OP³=0
a+b=;;°2°;;+;2&;=31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면
AÕB'³ º OÕP=
² 0, 즉 AÕB'³⊥OÕP² …… ㉠ aø º bø=0
 31
[STEP 2]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점 P의 조건을 구한다.
또, 조건 (나)에서 |PA³|Û`+|PB³|Û`=20이므로
수능이 보이는 강의 ‌ -PA³|Û`
|AB³|Û`=|PB³
벡터의 뺄셈
OB³-OA³=AB³

두 벡터 AB³, CD³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90°보다 작고, 두 점 C, D =|PA³|Û`+|PB³|Û`-2 PA³ º PB³


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C', D'이라 할 때, =20-2 PA³ º PB³
AB³ º CD³=|AB³||C'ÕD'³|
이 성립함을 이용하면 두 점 C, D의 위치를 구할 수 있어.
PA³ º PB³=10-;2!;|AB³|Û`
그리고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STEP 3] PA³ º PB³의 값이 최소일 때의 점 P의 조건을 구한다.
PA³ º PB³=(PÕM³+MÕA³) º (PÕM³+MÕB³)
이때 2É|AB³|É4이고 두 벡터 OA³, OB³가 서로 반대 방향일 때,
=|PÕM³|Û`+PÕM³ º (MÕA+
³ MB³)+MÕA³ º MÕB³
|AB³|는 최대이다. 실수
=|PÕM³|Û`+PÕM³ º 0ø-|MÕA|³ Û` PA³ º PÕB의
² 값이 최소인 경우는 |AB³|Û` 의
따라서 PA³ º PÕB의
² 최솟값 m은 값이 최대일 때야.
=|PÕM³|Û`-|MÕA³|Û`

정답과 풀이 ● 41

기하_해설.indb 41 2022-12-02 오후 7:52:20


m=10-;2!;_4Û`=2
03  정답률 9.4%
1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벡터의 덧셈과 뺄셈
⑴ AB³+BC³=AC³, ⑵ OA³-OB³=BA³
" # AB³+AD³=AC³ #
 0 
% $ G G
G G G B C
한편, ㉠에서 AÕB'³⊥OP³이고 두 벡터 OA³, OB³가 서로 반대 방향 G B C C
C G
이면 AB³⊥OP³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C
0 G "
|PA³|Û`+|PB³|Û`=2|OP³|Û`+|OA³|Û`+|OB³|Û` " G # B
B
20=2|OP³|Û`+1Û`+3Û` 평면벡터의 내적의 기하학적 성질
k=|OP³|='5 ‌점 Z에서 직선 OR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① 0°É∠ROZÉ90°일 때,
따라서 m+kÛ`=2+('5)Û`=7
‌ ‌OR³º OZ³=ORÓ_OHÓ
7
‌② 90°<∠ROZÉ180°일 때,
다른 풀이 ‌ ‌OR³º OÕZ=
² -ORÓ_OHÓ
[STEP 1]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점 P의 조건을 구한다.
중심이 O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과 선분 OB가 만나는 점을 풀이 전략 점 Z가 나타내는 도형을 파악한 후 벡터의 내적의 기하학
B'이라 하고, OA³=aø, OÕB'³=bø, OP³=pø라 하자. 적 성질을 이용한다.
문제 풀이
OB³=3bø이므로 조건 (가)에서
[STEP 1] 곡선 C와 점 Q가 나타내는 곡선을 구한다.
(3bø) º pø=3aø º pø
y="Ã8-xÛ`의 양변을 제곱하면 xÛ`+yÛ`=8이므로 곡선 C는 원
aø º pø=bø º pø  …… ㉠
xÛ`+yÛ`=8의 일부분이다.
[STEP 2]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점 P의 조건을 구한다.
이때 2ÉxÉ2'2, y¾0이므로
또, 조건 (나)에서 |PA³|Û`+|PB³|Û`=20이므로
두 점 A(2, 2), B(2'2, 0)에 대하여
|aø-pø|Û`+|3bø-pø|Û`=20
곡선 C는 부채꼴 AOB의 호이다.
|aø|Û`-2aø º pø+|pø|Û`+9|bø|Û`-6bø º pø+|pø|Û`=20
또, OQÓ=2에서 점 Q는 중심이 원점 O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이때 |aø|=|bø|=1이므로 원 위의 점이다.
-aø º pø-3bø º pø+|pø|Û`=5 …… ㉡
이때 ∠POQ=;4Ò;이고 점 Q는 직선 OP의 아랫부분에 있으므로
㉠을 ㉡에 대입하면 |pø|Û`-4aø º pø=5
곡선 C와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그림과 같다.
|pø|Û`=4aø º pø+5 …… ㉢
Z
PA³ º PB³=
‌ (aø-pø) º (3bø-pø) 
"
L  1
=3aø º bø-aø º pø-3bø º pø+|pø|Û` 

=3aø º bø-4aø º pø+|pø|Û` 0  # Y
2
=3aø º bø-4aø º pø+4aø º pø+5 
=3aø º bø+5
[STEP 2] 점 Y가 나타내는 도형을 구한다.
[STEP 3] PA³ º PB³의 값이 최소일 때의 점 P의 조건을 구한다.
점 X는 선분 OP 위의 점이므로 OP³+OX³=OÕP'³이라 하면
aø º bø의 값은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180°일 때 최소이
두 점 C(4, 4), D(4'2, 0)에 대하여
므로
점 P'은 선분 AC, 선분 BD, 호 AB, 호 CD로 둘러싸인 도형의
PA³ º PB³=3aø º bø+5¾-3+5=2에서 m=2
둘레 및 내부의 점이다.
한편, ㉠에서 (aø-bø) º pø=0, 즉 AB³⊥OP³이고 두 벡터 aø, bø가 이
또, 점 Y는 선분 OQ 위의 점이므로
루는 각의 크기가 180°이면 OA³⊥OP³
두 점 E(2, 0), F('2, -'2)에 대하여 점 Y는 부채꼴 EOF의
즉, aø º pø=0이므로 ㉢에서 |pø|Û`=5
둘레 및 내부의 점이다.
따라서 k=|pø|='5이므로
따라서 점 P'과 점 Y가 나타내는 도형은 그림의 어두운 부분이다.
m+kÛ`=2+('5)Û`=7

4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42 2022-12-02 오후 7:52:21


Z
$ 함을 이용하면 돼.

0°É∠ROZÉ90°일 때, OR³ º OZ³=ORÓ_OHÓ


" 1 90°<∠ROZÉ180°일 때, OR³ º OZ³=-ORÓ_OHÓ
1 이 문제의 경우, t 또는 s가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가질 때와 두 점
 9
& # % P, Q가 호의 양 끝점일 때를 이용하면 구하는 도형의 둘레를 쉽게
0 :   Y 구할 수 있어.
2




평면벡터
' 점 Z는 세 점 G(6, 4), I(3'2, -'2),
J(5'2, -'2)에 대하여 네 선분 AC,
[STEP 3] 점 Z가 나타내는 도형을 구한다. CG, BI, IJ와 두 곡선 AB, GJ로 둘러
싸인 도형의 둘레 및 내부의 점이다.
OZ³=OP³+OX³+OY³=OÕP'³+OY³
이므로 점 Z가 나타내는 도형은 그림의 어두운 부분이다.
Z 04  정답률 9%
$ (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 평면벡터의 내적과 성분

aø=(aÁ, aª), bø=(bÁ, bª)일 때, aø º bø=aÁbÁ+aªbª
 #   
두 평면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
0   Y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aø=(aÁ, aª), bø=(bª, bª)가 이루는 각의

* + 크기를 h (0ùÉhÉ180ù)라 할 때,
⑴ aø º bø¾0이면 0ùÉhÉ90ù
[STEP 4] OR³ º OÕZ의
²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다.
⑵ aø º bø<0이면 90ù<hÉ180ù
영역 D에 속하는 점 중에서 y축과의 거리가 최소인 점 R의 좌표
평면벡터의 내적과 수직, 평행
는 (2, 2)이다.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aø, bø에 대하여
0°<∠ROZ<90°이므로 점 Z에서 직선 OR에 내린 수선의 발을 ⑴ aø⊥bø HjK aø º bø=0
실수
H라 하면 두 점 (2'2, 0), (3'2, -'2)를 잇는 직선 ⑵ aøbø HjK aø º bø=Ñ|aø||bø|
은 벡터 OR³에 수직이므로 이 직선 위의 점에
OR³ º OZ³=ORÓ_OHÓ 서 직선 OR에 내린 수선의 발은 일치해.

점 Z가 두 점 (2'2, 0), (3'2, -'2)를 잇는 선분 위의 점일 때 풀이 전략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어느 경우로 나눠야 하는지, 내적이 양
선분 OH의 길이는 최소이므로 수일 때와 음수일 때의 벡터의 위치가 어떻게 되는지를 우선 파악한다.
점 Z의 좌표가 (3'2, -'2)일 때의 값을 구해도 된다.
OR³ º OZ³의 최솟값 m은 즉, (2, 2) º (3'2, -'2)=6'2-2'2=4'2
문제 풀이

m=(2, 2) º (2'2, 0)=2_2'2+2_0=4'2 [STEP 1] 조건 (가)로부터 경우를 나눈다.


점 Z의 좌표가 (6, 4)일 때 선분 OH의 길이는 최대이므로 조건 (가)에서 PQ³ º AB³=0 또는 PQ³ º AD³=0
점 Z의 좌표가 (6, 4)이면
OR³ º OZ³의 최댓값 M은 [STEP 2] PQ³ º AB³ =0인 경우의 RP³ º RQ³ 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OZH<90°
M=(2, 2) º (6, 4)=2_6+2_4=20 Ú PQ³ º AB³=0, 즉 PQÓ ⊥ ABÓ인 경우
따라서 M+m=20+4'2에서 a=20, b=4이므로 두 조건 (나), (다)에서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이
a+b=24 OB³ º OP³ ¾0, OB³ º OQ³É0 예각이면 내적이 양수,
둔각이면 내적이 음수이다.
 24 ‌이므로 점 P는 선분 AB 위의 점이고 점 Q는 선분 CD 위의
점이다.
y
수능이 보이는 강의
2B
OZ³=OP³+OX³+OY³에서
OX³=t OP³`(0ÉtÉ1), OY³=s OQ³`(0ÉsÉ1) P

로 놓으면 OZ³=(1+t)OP³+s OQ³


가 되니까 t, s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점 Z가 나타내는 도형을 추론 C A
-2 O 2 x
해야 해.
Q
OR³ º OZ³의 값은 점 Z에서 직선 OR에 내린 수선의 발에 따라 정해
지므로 직선 OR에 수직인 직선을 그려서 최대가 되는 경우와 최소
가 되는 경우를 찾아야 해. -2 D
이때 점 Z에서 직선 OR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다음이 성립

정답과 풀이 ● 43

기하_해설.indb 43 2022-12-02 오후 7:52:22


점 P의 좌표를 (a, 2-a) (0ÉaÉ2)라 하면 a¾-1 yy`㉥
점 Q는 직선 y=-x에 대한
점 Q의 좌표는 (a-2, -a) 점 P의 대칭점이다.
OB³ º OP³¾0에서 (0, 2)º(a, a+2)=2(a+2)¾0이므로
OA³ º OP³¾-2에서 (2, 0)º(a, 2-a)=2a¾-2이므로 a¾-2 yy`㉦
a¾-1 yy`㉠ OA³ º OQ³¾-2에서 (2, 0)º(a+2, a)=2(a+2)¾-2이므
OB³ º OP³¾0에서 (0, 2)º(a, 2-a)=2(2-a)¾0이므로 로
aÉ2 yy`㉡ a¾-3 yy`㉧
OA³ º OQ³¾-2에서 (2, 0)º(a-2, -a)=2(a-2)¾-2이 OB³ º OQ³É0에서 (0, 2)º(a+2, a)=2aÉ0이므로
므로 aÉ0 yy`㉨
a¾1  yy`㉢ ㉥, ㉦, ㉧, ㉨에서
OB³ º OQ³É0에서 (0, 2)º(a-2, -a)=-2aÉ0이므로 -1ÉaÉ0 yy`㉩
a¾0 yy`㉣ 한편, 점 R(4, 4)에 대하여
㉠, ㉡, ㉢, ㉣에서 RP³=OP³
‌ -OR³
1ÉaÉ2  yy`㉤ =(a, a+2)-(4, 4)
한편, 점 R(4, 4)에 대하여 =(a-4, a-2)
RP³‌=OP³-OR³ RQ³‌=OQ³-OR³
=(a, 2-a)-(4, 4) =(a+2, a)-(4, 4)
=(a-4, -a-2) =(a-2, a-4)
RQ³=
‌ OQ³-OR³ 이므로
=(a-2, -a)-(4, 4) RP³ º RQ³‌=(a-4, a-2)º(a-2, a-4)
=(a-6, -a-4) =2(a-4)(a-2)
이므로 =2(aÛ`-6a+8)
RP³ º RQ³=
‌ (a-4, -a-2)º(a-6, -a-4) =2(a-3)Û`-2
=(a-4)(a-6)+(a+2)(a+4) ㉩에서 -1ÉaÉ0이므로
=2aÛ`-4a+32=2(a-1)Û`+30 16ÉRP³ º RQ³É30
㉤에서 1ÉaÉ2이므로 [STEP 4] RP³ º RQ³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인 M+m의 값을 구한다.
30ÉRP³ º RQ³É32 Ú, Û에서 16ÉRP³ º RQ³É32
[STEP 3] PQ³ º AD³ =0인 경우의 RP³ º RQ³ 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따라서 RP³ º RQ³의
Û PQ³ º AD³=0, 즉 PQÓ⊥ADÓ인 경우 최댓값은 M=32, 최솟값은 m=16
두 조건 (나), (다)에서 OB³ º OP³¾0, OB³ º OQ³É0 이므로
이므로 점 P는 선분 BC 위의 점이고 점 Q는 선분 AD 위의 M+m=48
점이다.  48
y 다른 풀이

2B 두 점 P, Q가 지나는 영역은 다음 그림의 굵은 선분 위이다.


P y

2B
C A
-2 O 2 x
Q P
C A
-2 O 2 x
-2 D

Q
점 P의 좌표를 (a, a+2) (-2ÉaÉ0)라 하면 -2 D

점 Q의 좌표는 (a+2, a)
OA³ º OP³¾-2에서 (2, 0)º(a, a+2)=2a¾-2이므로

4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44 2022-12-02 오후 7:52:23


05
y
 정답률 9%
2B
P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두 평면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
C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ÉhÉ;2Ò;}
A
-2 O 2 x
Q 라 할 때, aø º bø=|aø||bø|cos h Ⅱ

평면벡터
평면벡터를 이용한 원의 방정식
점 A와 APÓ=r를 만족시키는 점 y
-2 D
P에 대하여 두 점 A, P의 위치
벡터를 각각 aø, pø라 할 때, 점 A
선분 PQ의 중점을 N이라 하면 조건 (가)에 의하여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 A r
P
NP³+NQ³=0, 가 r인 원의 방정식은 a
|pø-aø|=r p
NP³ º NQ³=|NP³||NQ³|cos p=-NPÓ Û` O
또는 x
이므로 (pø-aø) º (pø-aø)=rÛ`
RP³ º RQ³
=(RN³+NP³) º (RN³+NQ³) 풀이 전략 평면벡터를 이용한 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점이 나타내는
=RN³ º RN³+RN³ º NQ³+NP³ º RN³+NP³ º NQ³ 도형의 길이를 구한다.
=|RN³|Û`+RN³ º (NQ³+NP³)+NP³ º NQ³ 문제 풀이

=RNÓ Û`+0-NPÓ Û` [STEP 1] 점 X가 움직이는 경로를 파악한다.


이때 항상 PQÓ=2'2 이므로 (|AX³|-2)(|BX³|-2)=0에서 |AX³|=2 또는 |BX³|=2
PQÓ="Ã2Û`+2Û`='8=2'2
NPÓ=;2!; PQÓ='2 점 X는 점 A(-2, 2)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또는 점 B(2, 2)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위를
따라서 RP³ º RQ³=RNÓ Û`-2이므로 RP³ º RQ³의 최댓값과 최솟값
움직인다.
은 RNÓ의 최댓값과 최솟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STEP 2] |OX³|¾2를 만족시키는 점 X가 나타내는 도형을 파악한다.
RNÓ이 최대일 때의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2, 0), (0, -2)
이때 |OX³|¾2이므로 점 X가 나타내는 도형은 다음 [그림 1]과
점 N의 좌표는 { }, 즉 (1, -1)이다.
2+0 0+(-2)
이므로 N(1, -1) 2
,
2
같다.
따라서 RNÓ="Ã(4-1)Û`+(4+1)Û`='¶34이므로
y
RP³ º RQ³의 최댓값은
M=('¶34)Û`-2=32
RNÓ이 최소일 때의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0, 2), (2, 0)이므로 2
점 N의 좌표는 { }, 즉 (1, 1)이다.
0+2 2+0
N(1, 1) 2
,
2

따라서 RNÓ=¿¹(4-1)Û`+(4-1)Û` ='¶18이므로 -2 O 2 x


RP³ º RQ³의 최솟값은 [그림 1]
m=('¶18)Û`-2=16
두 벡터 OP³, u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Á, 두 벡터 OQ³, uø가 이루
그러므로 M+m=32+16=48
는 각의 크기를 hª라 하면 조건 (가)에서
(OP³ º uø)(OQ³ º uø)¾0
수능이 보이는 강의 즉, |OP³||OQ³|cos`hÁ cos`hª¾0이므로 두 점 P, Q는 [그림 1]에
PQ³ º AB³=0, 즉 PQÓ⊥ABÓ인 경우에는 OB³ º OP³¾0이면 서 ‘제1사분면 또는 x축 또는 y축’에 있거나 ‘제2사분면 또는 x축
∠BOPÉ90ù, ∠AOPÉ90ù이므로 OA³ º OP³¾-2이다. 또는 y축’에 있어야 한다.
또, OB³ º OQ³É0이면 90ùÉ∠AOQÉ180ù이고, OA³ º OQ³¾-2
Ú ‌두 점 P, Q가 [그림 1]에서 제1사분면 또는 x축 또는 y축 위에
이면 2|OQ³|cos∠AOQ¾-2, 즉 |OQ³|cos∠AOQ¾-1이다.
1 1 있을 때,
이때 |OQ³|¾'2이므로 cos∠AOQ¾- ¾- 이다.
|OQ³| '2 선분 PQ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따라서 90ùÉ∠AOQÉ135ù이다.
OY³=OP³+OQ³=2 OÕM³=2 OB³+2 BÕM³

정답과 풀이 ● 45

기하_해설.indb 45 2022-12-02 오후 7:52:23


이때 |BÕM³|=AD|BÕP²|Û`-|PÕM³|Û`="Ã2Û`-1Û`='3이므로 A

‌점 Y의 집합이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4, 4)이고 반지름의 D E

길이가 2'3, 중심각의 크기가 ;6&;p인 부채꼴의 호이다. M


F
N
G I J L
y
Y B C
H K

두 선분 AB, AC의 중점을 각각 M, N이라 하고, 세 선분 AM,


7p
AN, MN의 중점을 각각 D, E, F라 하자. 또, 두 선분 MB, NC
4 6
의 중점을 각각 G, L이라 하자. 두 벡터 ;4!;AP³, ;4!;AR³의 종점을 각각
P', R'이라 하면 벡터 AS³의 종점은 두 선
2
이때 AÕS²=;4!; AP³+;4!; AR³라 하면 분 AP', AR'을 이웃한 변으로 하는 평행
사변형의 네 번째 꼭짓점이다.

O 2 4 x 점 S는 위 그림의 평행사변형 ADFE의 내부(경계선 포함)에 있다.


[STEP 2] 벡터 AX³의 종점 X가 나타내는 도형을 구한다.
따라서 점 Y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또, 점 Q가 점 B에 있으면 ³ 만족시키는 평행사변형
AS³=MÕS'을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각의 크기가 h인 부채꼴의 MGHI의 내부의 점 S'에 대하여
7'3
2'3_;6&;p= p 호의 길이 l은 ‘l=rh’를 이용하여 구한다. AÕX³=AÕS²+AÕM이
³ 므로 점 X는 ‌ AS³+AÕM³=AÕM³+MÕS'³=AÕS'³
AX³=
3
위 그림의 평행사변형 MGHI의 내부(경계선 포함)에 있다.
Û ‌두 점 P, Q가 [그림 1]에서 제2사분면 또는 x축 또는 y축 위에
마찬가지로 점 Q가 점 C에 있으면 AS³=NÕS'³을 만족시키는 평행사변형
있을 때, NJKL의 내부의 점 S'에 대하여
AÕX³=AÕS²+AÕN이
³ 므로 AX³= Õ '³=AÕS'³
‌ AS³+AN³=AN³+NS
Ú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점 Y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점 X는 위 그림의 평행사변형 NJKL의 내부(경계선 포함)에 있다.
7'3
2'3_;6&;p= p
3 한편, AÕT³=;2!; AQ³라 하면 점 T는 선분 MN 위를 움직이므로 점
[STEP 3] 점 Y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를 구한다.
X가 나타내는 영역은 위 그림의 육각형 MGHKLN의 내부(경계
Ú, Û에서 점 Y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선 포함)이다.
7'3 14'3
2_ = p [STEP 3] 점 X가 나타내는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3 3 두 삼각형 ABC, AMN의

따라서 p=3, q=14이므로 이때 삼각형 AMN의 넓이는 ;4(;이고, 닮음비는 2`:`1이므로


넓이의 비는 4`:`1이다.
p+q=3+14=17
두 삼각형 GBH, LKC의 넓이는 각각 ;1»6;이므로
 17
두 삼각형 ABC, GBH의 닮음비는
구하는 넓이는 4`:`1이므로 넓이의 비는 16`:`1이다.

9-;4(;-2_;1»6;=:¢8°:

따라서 p=8, q=45이므로


06  정답률 8.1% p+q=8+45=53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 53
다른 풀이
벡터의 덧셈과 뺄셈
⑴ AB³+BC³=AC³, ⑵ OA³-OB³=BA³ [STEP 1] 벡터 ;2!;(AP³+AR³)의 종점이 나타내는 도형을 구한다.
AB³+AD³=AC³ #
세 변 AB, BC, CA의 중점을 각각 M, K, N이라 하자.
% $ G G
G G G B C
G B C C 또,
C G
C
0 G " AD³=;2!; (AP³+AR³)
" G # B
B
=;2!; AÕP³+;2!; AR³   yy ㉠
풀이 전략 평면벡터의 덧셈과 뺄셈의 정의를 이용하여 점 X가 나타 라 하면 AD³ 는 두 선분 AM, AN 위의 점을 각각 P ', R'이라 할 때,
내는 도형을 구한다. AD³=AÕP '³+AÕR'³
문제 풀이
이므로 ㉠이 나타내는 점 D는 [그림 1]과 같이 평행사변형
[STEP 1] 벡터 ;4!;(AP³+AR³)의 종점이 나타내는 도형을 구한다. AMKN의 내부(경계선 포함)에 있다.

4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46 2022-12-02 오후 7:52:23


07
A
 정답률 6%

M N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두 평면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ÉhÉp)
B C
K
라 할 때, aø º bø¾0이면 cos h=
aø º bø Ⅱ
[그림 1]

평면벡터
|aø||bø|
[STEP 2] 벡터 AX³의 종점 X가 나타내는 도형을 구한다.
풀이 전략 벡터의 내적의 정의를 이용하여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
³ ;4!; (AP³+AR³)+;2!; AQ³
AÕX=
기를 구하여 벡터의 크기를 구한다.
=;2!; [;2!; (AP³+AR³)]+;2!; AQ³ 문제 풀이

[STEP 1] AP³와 OC³ 가 이루는 각의 크기의 범위를 구한다.


=;2!; AÕD³+;2!; AQ³
|AP³|=1이므로 점 P는 중심이 A(-3,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AÕD³+AQ³ 1인 원 위의 점이다.
=
2
또, |BQ³|=2이므로 점 Q는 중심이 B(0, 2)이고 반지름의 길이
따라서 점 X는 선분 DQ의 중점이다.
가 2인 원 위의 점이다.
이때 점 Q가 점 B에 있는 경우 세 선분 BM, BK, MK의 중점을
'2
각각 I, J, L이라 하면 점 X가 존재하는 영역은 [그림 2]와 같다. AP³ º OC³¾ 에서 두 벡터 AP³, OC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2
'2
A
하면 |AP³||OC³|cos h¾
2
'2
M N cos h¾ , 즉 -;4ÒÒ;ÉhÉ;4ÒÒ;
2
I L
그러므로 점 P를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B C y
J K
[그림 2] 4
따라서 점 Q가 변 BC 위를 움직이므로 두 선분 CN, CK의 중점
을 각각 E, F라 하면 위의 어두운 영역 IJLM이 움직이는 영역이 2 B
A 1
점 X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그림 3]과 같다. P C
A -3 O 1 x

M N
[STEP 2] AP³ º AQ³ 의 값이 최소가 되기 위한 조건을 구한다.
I E
또, 두 벡터 AP³, AQ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이라 하면
B C
J K F AP³ º AQ³ ‌=|AP³||AQ³|cos h '=|AQ³|cos h '
[그림 3]
이때 AP³ º AQ³ 의 값이 최소이기 위해서는 점 P는 점 A를 지나고
[STEP 3] 점 X가 나타내는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기울기가 -1인 직선 위의 점이어야 하고, 점 Q는 이 직선과 수직
이때 삼각형 MKN의 넓이는 이면서 원 xÛ`+(y-2)Û`=4에 접하는 점 중 제 2사분면 위의 점이
9_;4!;=;4(; 어야 한다.

이고, 두 사각형 IJKM, KFEN의 넓이는 각각 y


4

;4(;-;4(;_;4!;=;1@6&;
2 B
이므로 점 X가 나타내는 영역의 넓이는
A 1
C
;4(;+2_;1@6&;=:¢8°: -3 O 1 x

즉, p=8, q=45이므로
p+q=8+45=53

정답과 풀이 ● 47

기하_해설.indb 47 2022-12-02 오후 7:52:24


[STEP 3] |QÕ¼X³|Û`의 최댓값을 구한 후, p+q의 값을 구한다.
③ k<0이면 벡터 aø와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k|aø|인 벡터이다.
한편, BX³ º BÕQ¼³¾1에서 두 벡터 BX³, BÕQ¼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평면벡터의 내적
h "이라 하면 |BX³||BÕQ¼³|cos h "¾1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0ùÉhÉ90ù일 때, |aø||bø|cos h를 aø와 bø의 내적이라 하고, 이것을 기
2|BX³|cos h"¾1, 즉 |BX³|cos h"¾;2!;
호로 aø º bø와 같이 나타낸다. 즉
aø º bø=|aø||bø|cos h
선분 BQ¼ 위의 점 D를 BDÓ=;2!;이 되도록 잡은 후, 점 D에서 점

A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D'이라 하 풀이 전략 조건이 의미하는 바를 시점을 통일시켜 벡터 계산을 통하
y=-(x+3)+1에서 x+y+2=0
면 점 X는 선분 AD' 위의 점이다. 여 파악한다.
y 문제 풀이

Q¼ [STEP 1] 주어진 조건이 의미하는 의미를 파악한다.


D
B
조건 (가)에 의하여 점 P는 평행사변형 OACB의 둘레 또는 내부
A 1 에 있는 점이다. 조건 (나)에서
C
-3 O 1 x OP³³ º OB³+BP³³ º BC³ 시점을 점 O로 통일시켜서 계산한다.
D' P¼
=OP³ º OB+(OP³-OB³) º OA³
=OP³ º OB³+OP³ º OA³-OB³ º OA³ 벡터의 내적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QÕ¼X³|의 최댓값은 점 X가 점 D'일 때 가지므로 |QÕ¼X³|Û` =OP³ º (OA³+OB³)-|OA³||OB³|cos(∠AOB)

의 최댓값은 =OP³ º OC³-'2_2'2_;4!;

Q¼D'Ó Û`‌=Q¼DÓ Û`+DD'Ó Û` ‌ =OP³ º OC³-1=2


점 B와 직선 x+y+2=0 사이의 거리는
이므로 OP³ º OC³=3
={;2#;}2`+(2'2)Û` |0+2+2|
=
4
'2
=2'2 이다.
¿¹1Û`+1Û`
[STEP 2] |3 OP³-OX³|의 최댓값을 구한다.
=;4(;+8=;;¢4Á;; Ú |3
‌ OP³-OX³|의 최댓값은 OP³의 크기가 최대이고, OX³가 OP³

그러므로 p+q=4+41=45 와 반대 방향일 때 가진다. 즉, OP³의 크기는 점 P가 선분 OA

 45 위에 있을 때 최대가 된다. 다음 그림과 같이 점 C에서 직선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COA=a라 하자.

수능이 보이는 강의 B C

AP³ º AQ³의 값이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AQ³를 AB³와 BQ³의 합으


로 생각해 보는 것이 좋아. 이때 점 P¼이 직선 x+y+2=0 위에 위
치할 때 AP³와 AB³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최대가 되므로 크기가
일정한 AP³와 AB³의 내적의 값이 최소가 되고, BQ³는 AP³와 반대
방향일 때 최소가 되므로 AÕP¼³ 와 BÕQ¼³ 는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a
위치함을 알 수 있어. O
A H

∠CAH=∠AOB에서

cos(∠CAH)=cos(∠AOB)=;4!;이므로

08  정답률 5% AHÓ=ACÓ
‌ _cos`(∠CAH)=OBÓ_cos`(∠CAH)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2
=2'2_;4!;=
2
벡터의 크기 한편, |OC³|Û`=|OA³
‌ +OB³|Û`
벡터 AB³에서 선분 AB의 길이를 벡터 AB³의 크기라 하고, 이것을
=|OA³|Û`+|OB³|Û`+2 OA³ º OB³
기호로 |AB³|와 같이 나타낸다.
벡터의 실수배 =('2)Û`+(2'2)Û`+2_'2_2'2_;4!;
aø+0ø일 때, 실수 k에 대하여 kaø는
=2+8+2=12
① k>0이면 벡터 aø와 방향이 같고, 크기가 k|aø|인 벡터이다.
② k=0이면 영벡터 0ø이다. 에서 |OC³|=2'3이므로

4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48 2022-12-02 오후 7:52:25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2
'2+
|OH³| |OÕA³|+|AÕH³| 2 '6
cos a= = = =
|OC³| |OC³| 2'3 4

즉, 점 P가 선분 OA 위에 있을 때 본문 52 ~ 63 쪽
'6
OP³ º OC³=|OP³||OC³|cos a=|OP³|_2'3_
4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3'2 Ⅱ
= |OP³|=3 01 ① 02 ② 03 12 04 ④ 05 ③

평면벡터
2
06 ② 07 ① 08 ③ 09 15 10 ④
이므로 |OP³|='2 실수
11 ① 12 ③ 13 48 14 162 15 47
반대 방향이라고 해서 벡터의 크기를 빼는 것이
이때 OX³가 OP³와 반대 방향이면 아니라 크기를 더해야 함에 주의한다. 16 ② 17 12 18 ③ 19 ① 20 ②
|3 OP³-OX³|=3|OP³|+|OX³| 21 ③ 22 ⑤ 23 ⑤ 24 ④ 25 ③
26 ⑤ 27 ① 28 10 29 ③ 30 ②
이므로 M=3'2+'2=4'2
[STEP 3] |3 OP³-OX³|의 최솟값을 구한다. 31 ② 32 13 33 ⑤ 34 ⑤ 35 ③
Û ‌|3 OP³-OX³|의 최솟값은 OP³의 크기가 최소이고 OX³가 OP³ 36 ② 37 ⑤ 38 ④ 39 13
와 같은 방향일 때 가진다.
즉, OP³의 크기는 점 P가 선분 OC 위에 있을 때 최소가 된다.
이때
유형 1 직선과 평면의 위치 관계 및 삼수선의 정리
OP³ º OC³‌=|OP³||OC³|
=|OP³|_2'3=3 01
P
'3
이므로 |OP³|=
2 실수
4
같은 방향이라고 해서 벡터의 크기를 더하는 것 6 6
이때 OX³가 OP³와 같은 방향이면 이 아니라 크기를 빼야 함에 주의한다. H

|3 OP³-OX³|=3 |OP³|-|OX³|
l
'3 3'3 A M B
이므로 m=3_ -'2= -'2 6
2 2 a

[STEP 4] aÛ`+bÛ`의 값을 구한다.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3'3
Ú, Û에 의하여 M_m=4'2 { -'2}=6'6-8 PAÓ=PBÓ=ABÓ=6이므로 PMÓ⊥ABÓ
2
직각삼각형 PAM에서
이므로 a=6, b=-8
따라서 aÛ`+bÛ`=6Û`+(-8)Û`=100 PMÓ‌=ÚÞPAÓ Û`-AMÓ Û`="Ã6Û`-3Û`=3'3

 100 PMÓ⊥ABÓ, PHÓ⊥  a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HMÓ⊥ABÓ
PHÓ=4이므로 직각삼각형 PMH에서
수능이 보이는 강의
HMÓ‌=ÚÞ PMÓ Û`-PHÓ Û`=Á°(3'3 )Û`-4Û` ='¶11
다음 그림과 같이
따라서 점 H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11이다.
B C
①

3OP³ 02
PHÓ⊥a, PQÓ⊥AB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Ú
O OX³ A HQÓ⊥ABÓ
-OX³ 3OP³
점 H가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고, 삼각형 ABC의 넓이가 24
이므로 삼각형 ABH의 넓이에서

;2!;_ABÓ_HQÓ=;3!;_24
Ú |3 OP³-OX³|의 최댓값은 두 벡터가 서로 반대 방향일 때이고,
Û |3 OP³-OX³|의 최솟값은 두 벡터가 서로 같은 방향일 때이다.
;2!;_8_HQÓ=8, HQÓ=2

정답과 풀이 ● 49

기하_해설.indb 49 2022-12-02 오후 7:52:25


따라서 직각삼각형 PHQ에서

PQÓ=ÚÞPHÓ Û`+HQÓ Û`="Ã4Û`+2Û`=2'5


05
D
 ②

03 A B

D l C

점 A를 지나고 두 직선 AB, BC에 수직인 직선 l은 평면 ABC에


수직이다.
C B
또, 점 C가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는 구 위의 점이므로
H ∠BCA=90ù
A
즉, ACÓ⊥BCÓ
점 D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DCÓ⊥BCÓ이므로 직각삼각형 BCD에서
DCÓ⊥(평면 ABC), DHÓ⊥ABÓ
BCÓ=AD BDÓ Û`-CDÓ Û`="Ã6Û`-4Û` =2'5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CHÓ⊥ABÓ
따라서 직각삼각형 ABC에서
한편, 삼각형 ABD의 넓이가 20이고 ABÓ=8이므로
ACÓ=AD ABÓ Û`-BCÓ Û`=Á°5Û`-(2'5 )Û` ='5
;2!;_ABÓ_DHÓ=20 ③

;2!;_8_DHÓ=20, DHÓ=5

삼각형 DCH는 직각삼각형이므로


06
‌ EDHÓ Û`-DCÓ Û`=¿¹5Û`-4Û`=3
CHÓ=A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삼각형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ABC의 넓이가 6이므로

;2!;_ABÓ_CHÓ=;2!;_8_3=12 ;2!;_AH'Ó_BCÓ=6에서 AH'Ó=4

  12 AHÓ⊥(평면 BCD), AH'Ó⊥ BCÓ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HH'Ó⊥BCÓ
04 두 직각삼각형 BH'H, BCD의 닮음비는 1`:`3이므로
D HH'Ó=1, H'CÓ=2
M C
A HCÓ="Ã1Û`+2Û`='5, AHÓ="Ã4Û`-1Û`='¶15
B
따라서 삼각형 AHC의 넓이는
H
5'3
J G
;2!;_AHÓ_HCÓ=;2!
‌ ;_'¶15_'5=
E K 2
I F ②

점 M에서 선분 EG에 내린 수선의 발을 I, 선분 EH에 내린 수선


의 발을 J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JIÓ⊥EGÓ
점 H에서 선분 EG에 내린 수선의 발을 K라 하면 점 K는 선분
07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P'이라 하면
EG의 중점이고
ADÓ⊥(평면 BCD)이고 AP'Ó⊥BCÓ이므로
IJÓ=;2!;_HKÓ=;2!;_2'2='2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DP'Ó⊥BCÓ
한편, 직각삼각형 MJI에서 MJÓ=4이므로 이때 APÓ+DPÓ¾AP'Ó+DP'Ó이므로 구하는 최소의 길이는
MIÓ=ÚÞ MJÓÛ`+IJÓÛ`='Ä16+2=3'2 AP'Ó+DP'Ó이다.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MEG의 넓이는 한편 직각삼각형 BCD에서
BCÓ=¿¹2Û`+(2'3)Û`=4이므로
;2!;_EGÓ_MIÓ‌=;2!;_4'2_3'2=12
;2!;_DBÓ_DCÓ=;2!;_BCÓ_DP'Ó
④

5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50 2022-12-02 오후 7:52:25


DBÓ_DCÓ=BCÓ_DP'Ó, 2_2'3=4_DP'Ó 앞의 그림과 같이 점 P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점 H
DP'Ó='3  yy`㉠ 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이때 직각삼각형 ADP'에서 PHÓ⊥a, HH'Ó⊥(직선 AB)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 ADÓ Û`+DP'Ó Û`=¿¹3Û`+('3)Û`


AP'Ó=AD PH'Ó⊥(직선 AB)

=2'3 yy`㉡ 한편, 점 A와 평면 b 사이의 거리가 2이고 직선 AB가 평면 b와

따라서 APÓ+DPÓ의 최솟값은 ㉠, ㉡에서 평행하므로 HH'Ó=2

AP'Ó+DP'Ó=2'3+'3=3'3 또, 점 P와 평면 a 사이의 거리가 4이므로 PHÓ=4

① 그러므로 직각삼각형 PHH'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PHÓ Û`+HH'Ó Û`="Ã4Û`+2Û`=2'5


PH'Ó=AD
따라서 삼각형 PAB의 넓이는 Ⅲ
08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2!;_ABÓ_PH'Ó=;2!;_3'5 _2'5 =15
두 점 C, D에서 두 점 A, B를 포함하는 밑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C', D'이라 하고, 두 점 C', D'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 15

발을 각각 E, F라 하자.
C 10
D 점 M에서 모서리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MIÓ⊥(평면 ABCD), MNÓ⊥LDÓ 이므로
A C'
D'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NIÓ⊥LDÓ
E
O
F 점 L은 모서리 AB를 3 : 1로 내분하는 "  %
B
/
점이고, 점 I는 모서리 CD의 중점이므로 
CC'Ó⊥(평면 ABD'C'), C'EÓ⊥ABÓ 
ALÓ=;4#; ABÓ=15, DIÕ=;2!; CDÓ=10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CEÓ⊥ABÓ *

이다. 조건 (가)에서 삼각형 ABC의 넓이가 16이므로 또, 직각삼각형 ALD에서 -

LDÓ="Ã20Û`+15Û`=25
# $
;2!;_ABÓ_CEÓ=16에서
삼각형 NDI와 삼각형 ALD는 서로 닮음이므로
;2!;_8_CEÓ=16, CEÓ=4 NIÕ`:`ADÓ=DÕIÕ`:`LDÓ, NIÕ : 20=10 : 25
직각삼각형 CC'E에서 CC'Ó=3이므로 25 NIÕ=200, NIÕ=8

C'EÓ=AD CEÓ Û`-CC'Ó Û`="Ã4Û`-3Û`='7 삼각형 MIN은 직각삼각형이므로

선분 AB의 중점을 O라 하면 직각삼각형 OC'E에서 MÕN‌=AD


Ó MIÓ Û`+NIÓ Û` ="Ã20Û`+8Û`=4'¶29

OEÓ=AD OC'Ó‌
Û`-C'EÓ Û`=¿¹4Û`-('7)Û`=3  ④

마찬가지 방법으로 OFÓ=3이다.


따라서 조건 (나)에서 두 직선 AB, CD가 서로 평행하므로 11
CDÓ‌=EFÓ=OEÓ+OFÓ 다음 그림과 같이 점 C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G, 평면
=3+3=6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③ HGÓ⊥ABÓ이다.
C

09
a
p
-hÁ H
A 2

B
H' hÁ B
b G
A a
H P
직각삼각형 AGC에서 ∠CAG=hÁ이고, sin`hÁ=;5$;이므로 양수

정답과 풀이 ● 51

기하_해설.indb 51 2022-12-02 오후 7:52:26


k에 대하여 ACÓ=5k라 하면 CGÓ=4k이고, cos`hÁ=;5#;이다.
13
또, 직각삼각형 AHC에서 ∠CAH=;2Ò;-hÁ이므로 C
A
C1
CHÓ=ACÓ_sin{;2Ò;-hÁ}=5k_cos`hÁ B
H3
G
=5k_;5#;=3k H
H1
이때 직각삼각형 CGH에서 D
F

‌ AC CGÓ Û`-CHÓÓ Û`="Ã(4k)Û`-(3k)Û` ='7k


GHÓ= H2
E
이고, ∠CGH=hª이므로
GÕHÓ '7k '7 두 점 C, H의 평면 ADEB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CÁ, HÁ이라 하면
cos`hª= = =
CGÓ 4k 4 ACÁÓ=2, AGÓ=2'3
① 이므로

GCÁÓ=¿¹2Û`+(2'3)Û`=4
12 ∠AGCÁ=30°
B 조건 (가)에서 삼각형 GHÁCÁ은 정삼각형이므로
∠CÁGHÁ=60°, GHÁ=4
F
E H
M 즉, 조건 (가)를 만족시키려면 점 HÁ은 점 G에서 선분 BE에 내린

Q 수선의 발과 일치해야 한다.


한편 점 H의 평면 DEF 위로의 정사영을 Hª라 하면 조건 (나)에
C G D
서 삼각형 CGH의 평면 DEF 위로의 정사영인 삼각형 FDHª의
위의 그림과 같이 점 H에서 세 선분 BC, BD, CD에 내린 수선의 내부와 삼각형 DEF의 내부의 공통부분의 넓이가 삼각형 DEF의
발을 각각 E, F, G라 하면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넓이의 ;2!;인 2'3이므로 직선 DHª는 선분 EF의 중점을 지난다.
HEÓ=k, HFÓ=2k, HGÓ=3k로 놓을 수 있다.
즉, 두 삼각형 DEHª, DFHª가 합동이고 ∠DEHª=90°이므로
이때 정삼각형 BCD의 넓이는 세 삼각형 BCH, DBH, CDH의
∠DFHª=90°이다.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2!;_12_(k+2k+3k)=36k
따라서 점 H의 평면 ADFC 위로의 정사영을 H£이라 하면 점 H£
이고, 한 변의 길이가 12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은 점 G에서 선분 CF에 내린 수선의 발과 일치한다.
'3 그러므로 삼각형 CGH의 평면 ADFC 위로의 정사영인 삼각형
_12Û`=36'3이므로
4
CGH£의 넓이 S는 S=;2!;_4_2'3=4'3
36k=36'3에서 k='3
한편, 점 M은 선분 BD의 중점이므로 점 M과 선분 CD 사이의 이므로 SÛ`=48
거리는 3'3이고, HGÓ=3'3이므로 HMÓCDÓ이다.  48
따라서 △CHM=△DHM이므로

;2!;_HMÓ_HGÓ=;2!;_DMÓÓ_HFÓ

;2!;_HMÓ_3'3=;2!;_6_2'3, HMÓ=4
유형 2 이면각과 정사영
한편, AHÓ⊥(평면 BCD), AQÓ⊥CM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HQÓ⊥CMÓ
이때 사각형 HQMF는 직사각형이므로 QÕMÓ=HFÓ=2'3
14
'3 `Û '6
직각삼각형 HQM에서 sin (∠ABC)=¾Ð1-{ } = 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3 3
HQÓ=AD HMÓ Û`-QMÓ Û`="Áª4° Û`-(2'3)Û` =2
;2!;_BCÓ_AQÓ‌=;2!;_12_9_sin (∠ABC)
따라서 직각삼각형 AQH에서
'6
=;2!;_12_9_ =18'6
 AD AHÓ Û`+HQÓ Û` ="Ã3Û`+2Û` ='¶13
AQÓ=
‌ 3
 ③ APÓ⊥(평면 BCD), AQÓ⊥BC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5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52 2022-12-02 오후 7:52:26


PQÓ⊥BCÓ 네 점 A, M, P, Q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A', M',
두 평면 ABC, 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P', Q'이라 하면 점 A'은 정삼각형 BCD의 무게중심, 점 M'은 선
h=∠AQP 분 A'B의 중점, 점 P'은 선분 A'C를 2`:`3으로 내분하는 점, 점
삼각형 BCP는 삼각형 ABC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이므로 Q'은 선분 A'D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다.
'3 점 B에서 선분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삼각형 BCP의 넓이 k는 k‌=18'6_cos`h=18'6_ =9'2
6
AÕ'BÓ=AÕ
‌ 'CÓ=AÕ'DÓÓ
따라서 kÛ`=(9'2)Û`=162
'3
=;3@; BHÓ=;3@;_ `BCÓ
 162 2
'3 '3
15 =
3
_1=
3
점 P가 선분 BC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이므로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3
△ABP=;3!;△ABC=;3!;_27=9 AÕ'M'Ó=;2!; AÕ'BÓ=
6
점 Q가 선분 AP를 2 : 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2'3
AÕ'P'Ó=;5@; AÕ'CÓ=
15
△ABQ=;3@;△ABP=;3@;_9=6
2'3
AÕ'Q'Ó=;3@; AÕ'DÓ=
점 Q가 선분 BH의 중점이므로 9

△ABH=2△ABQ=2_6=12 따라서 삼각형 MPQ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인 삼각형

삼각형 ABD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이 삼각형 ABH이므로 M'P'Q'의 넓이는 세 삼각형 A'M'P', A'P'Q', A'Q'M'의 넓이
의 합이므로
△ABD_cos h=△ABH에서 35_cos h=12, cos h=;3!5@;
'3 2'3 2'3 2'3 2'3 '3
;2!;_sin 120ù_{ _ + _ + _ }
따라서 p=35, q=12이므로 p+q=35+12=47 6 15 15 9 9 6
 47 '3 '3
=;2!;_ _{;1Á5;+;4¢5;+;9!;}=
2 15

16 ②

" "

#
.
1 % $
.
#
17
2 다음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평면 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
/
$ % a
[그림 1] [그림 2] A
p
- l
4 C
[그림 1]과 같이 네 점 A, B, C, D가 한 평면에 있도록 전개하면
D H b
조건을 만족하는 점 P는 선분 AC와 선분 MN이 만나는 점이다. B

사각형 ABCD는 평행사변형이므로 ABÓCDÓ


따라서 삼각형 AMP와 삼각형 CNP는 닮음이고 ABÓ=2이고 직선 AB와 평면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6Ò;이므로

AMÓ=;2!;, CNÓ=;4#;이므로 AHÓ=ABÓ sin`;6Ò;=2_;2!;=1

`:`CNÓ=;2!;`:`;4#;=2`:`3 '3
APÓ : CPÓ=AMÓ
‌ BHÓ=ABÓ cos`;6Ò;=2_ ='3
2
즉, 점 P는 선분 AC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한편, AHÓ⊥b이고 ACÓ⊥l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같은 방법으로 [그림 2]에서 점 Q는 선분 AD를 2`:`1로 내분하는
HCÓ⊥l
점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4Ò;이므로
#
. ∠ACH=;4Ò;

2 그러므로 직각삼각형 ACH에서 CHÓ=AHÓ=1, ACÓ='2


"
또, 직각삼각형 ACD에서 ADÓ='3 이므로
1
CDÓ=AD ADÓ Û`-ACÓ Û`=Á°('3 )Û`-('2 )Û` =1
$ %
)

정답과 풀이 ● 53

기하_해설.indb 53 2022-12-02 오후 7:52:27


CHÓDBÓ이므로 사각형 BHCD는 다음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이다.
l
20
1 b 좌표공간의 점 A(2, 1, 3)을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
C H
1 13 P의 좌표는
D (2, 1, -3)
H' B
점 A를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 Q의 좌표는
이때 평면 b 위의 점 H에서 선분 B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2, 1, 3)
하면 DH'Ó=1이고 HH'Ó=1이므로 직각삼각형 HH'B에서
따라서 구하는 선분 PQ의 길이는
BH'Ó=AD BHÓ Û`-HH'Ó Û`=Á°('3 )Û`-1Û` ='2 PQÓ=¿¹
‌ (2+2)Û`+(1-1)Û`+(-3-3)Û` ='¶52 =2'¶13
따라서 BDÓ=BH'Ó+H'DÓ='2 +1 ②
사면체 ABCD의 밑면이 삼각형 BCD일 때 높이는 AHÓ이므로 사

21
면체 ABCD의 부피를 V라 하면

V=;3!;_{;2!;_CDÓ_BDÓ}_AHÓ 두 점 A(1, 6, 4), B(a, 2, -4)에 대하여 선분 AB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의 x좌표가 2이므로
=;3!;_[;2!;_1_('2 +1)]_1
1_a+3_1
=2, a+3=8
=;6!;+;6!; '2 1+3
따라서 a=5
즉, a=;6!;, b=;6!;이므로 ③

36(a+b)=36 {;6!;+;6!;}=12

 12 22
점 B는 점 A(3, 0, -2)를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므
로 B(3, 0, 2)
따라서 C(0, 4, 2)이므로
유형 3 공간좌표
BCÓ=¿¹(0-3)Û`+(4-0)Û`+(2-2)Û`=5
⑤
18
선분 AB를 3`:`1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23
{ }
3_1-1_a 3_0-1_4 3_(-3)-1_(-9)
, , 1
3-1 3-1 3-1

즉, {
3-a
, -2, 0}  
2
3-a
이 점이 y축 위에 있으므로 =0 )
2
YZ㒳⾆ *
따라서 a=3 M

③ 점 P(3, 5, 4)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 H의 좌표는 (3, 5, 0)

19 이므로 PHÓ=4
점 P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세 점 A(2, 6, -3), B(-5, 7, 4), C(3, -1, 5)를 꼭짓점으로
PIÓ=4'2
하는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PHÓ⊥(xy평면), PIÓ⊥l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2+(-5)+3 6+7+(-1) (-3)+4+5
{ , , } HIÓ⊥l
3 3 3
즉, (0, 4, 2) 직각삼각형 PIH에서

따라서 a=4, b=2이므로 HIÓ=Ú ÞPIÓ Û`-PHÓ Û`=Á°(4'2)Û`-4Û` =4


a+b=4+2=6 따라서 점 H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4이다.
① ⑤

5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54 2022-12-02 오후 7:52:28


24 29
두 점 A(a, 1, -1), B(-5, b, 3)에 대하여 선분 AB의 중점의
[
a+(-5) 1+b "
좌표가 (8, 3, 1)이므로 =8, =3
2 2

따라서 a=21, b=5이므로 a+b=21+5=26 1
④ 0  $
Z
)

25 Y #
선분 AB의 중점이 xy평면 위에 있으려면 중점의 z좌표가 0이어
-2+a 삼각형 AO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Ⅲ
야 하므로 =0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2 ACÓ="Ã3Û`+4Û`=5
따라서 a=2
AOÓ⊥(xy평면), OCÓ⊥BC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③
ACÓ⊥BCÓ
평면 ABC와 xy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26 cos h=;5$;
좌표공간의 점 A(2, 2, -1)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B의
좌표는 B(2, -2, 1) 두 직각삼각형 ABC, PBH는 서로 닮음이므로

이므로 점 C(-2, 1, 1)에 대하여 선분 BC의 길이는 BHÓ`:`BCÓ=PHÓ`:`ACÓ=3`:`5


‌ ¿¹(-2-2)Û`+(1+2)Û`+(1-1)Û` ='Ä16+9=5
BCÓ= BHÓ=;5#; BCÓ=;5#; _5=3이므로
⑤
△PBH=;2!;_3_3=;2(;

27 따라서 삼각형 PBH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점 P는 선분 AB를 m`:`n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P의 좌표는 △PBH_cos h=;2(;_;5$;=;;Á5¥;;


2m-n 4m+n m-2n
{ , , } ③
m+n m+n m+n
다른 풀이
xy평면 위의 점 P의 z좌표는 0이므로
[
m-2n=0, 즉 m=2n
"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4n-n 8n+n 2n-2n 3n 9n 0
{ }, { }
1
, , , ,
2n+n 2n+n 2n+n 3n 3n 3n  $
0
Z
즉, (1, 3, 0)이므로 선분 AP의 길이는
% )
¿¹{1-(-1)}Û`+(3-1)Û`+{0-(-2)}Û`=2'3
Y #
①
점 P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 하면 삼각형 PBH의

28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DBH이다.

점 P(-3, 4, 5)를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PDÓ⊥(xy평면), PHÓ⊥BC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Q(3, 4, 5) DHÓ⊥BCÓ

선분 PQ를 2 : 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가 (a, b, c)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ABC, PBH는 서로 닮음이고

2_3+1_(-3) 2_4+1_4 ACÓ="Ã3Û`+4Û`=5이므로


a= =1, b= =4
2+1 2+1 BHÓ`:`BCÓ=PHÓ`:`ACÓ=3`:`5
2_5+1_5
c=
2+1
=5 BHÓ=;5#; BCÓ=;5#;_5=3

따라서 a+b+c=1+4+5=10 또, 두 직각삼각형 OBC, DBH는 서로 닮음이므로


 10 DHÓ`:`OCÓ=BHÓ`:`BCÓ=3`:`5

정답과 풀이 ● 55

기하_해설.indb 55 2022-12-02 오후 7:52:29


DHÓ=;5#; OCÓ=;5#;_4=;;Á5ª;; 하면 AHÁÓÉAHªÓ
즉, 점 A에서 평면 a에 이르는 거리는 평면 a와 세 점 A, B, C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인 삼각형 DBH의 넓이는
를 지나는 평면이 수직일 때 최대이다.
;2!;_BHÓ_DHÓ=;2!;_3_;;Á5ª;;=;;Á5¥;; A

30
P(0, a, 0)이라 하면 APÓ=BPÓ이므로 Hª HÁ

¿¹(2-0)Û`+(0-a)Û`+(1-0)Û` =¿¹(3-0)Û`+(2-a)Û`¹+(0-0)Û`
l
¿¹aÛ`+5=¿¹aÛ`-4a+13
마찬가지로 두 점 B와 C에서 평면 a에 이르는 거리는 평면 a
양변을 제곱하면 aÛ`+5=aÛ`-4a+13


와 세 점 A, B, C를 지나는 평면이 수직일 때 최대이다.
4a=8
‌따라서 평면 a 중에서 d(a)가 최대가 되는 평면 b는 세 점 A,
따라서 a=2
B, C를 지나는 평면과 수직이다. (참)
②
ㄴ. BCÓÉACÓ라 하자.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평면 a가 점 M을 지날 때
31 d(a)는 최대이다. 즉, 평면 b는 선분 BC의 중점을 지난다.
점 A(1, 3, 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B의 좌표는 마찬가지로 ACÓÉBCÓ일 때에는 평면 b는 선분 AC의 중점을
B(1, -3, -2) 지난다. (참)
점 A(1, 3, 2)를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C의 좌표는 ㄷ. ACÓ="Ã(2-2)Û`+(-1-3)Û`+(0-0)Û`=4
C(1, 3, -2)
BCÓ="Ã(2-0)Û`+(-1-1)Û`+(0-0)Û`=2'2
이므로 ABÓ=2'¶13, BCÓ=6, CAÓ=4
이때 BCÓÉACÓ이므로 d(b)는 점 B와 평면 b 사이의 거리와
이때 ABÓ`Û =BCÓ`Û +CAÓ`Û 이므로 삼각형 ABC는 ∠C=90ù인
같다. (참)
직각삼각형이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⑤
;2!;ABÓ=;2!;_2'¶13='¶13

② 34
점 M에서 평면 ABCD, 평면 EFGH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32 L, N이라 하자.
.
점 A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H(9, 0, 0)이므로 1
-
APÓ=Ú ÞAHÓ Û`+HPÓ Û`=Ú 5Þ Û`+HPÓ Û`
2 /
이때 HPÓ의 값은 점 P가 P'(-3, 0, 0)일 때 최대이므로 APÓ의
최댓값은 위의 그림에서 두 직각삼각형 MPL과 MQN은 닮음비가 1`:`2인
닮은 도형이다.
APÓ‌=Ú Þ5Û`+HÕP'Ó Û`
따라서 선분 PL의 길이가 최대일 때, 선분 MQ의 길이가 최대이다.
="Ã5Û`+12Û` 
두 점 B, L의 좌표가 각각 (3, 3, 3), (1, 5, 3)이고
=13
PLÓÉ
‌ BLÓ
 13
=¿¹(1-3)Û`+(5-3)Û`+(3-3)Û`=2'2
이므로
33 MQÓ=2
‌ MPÓ
ㄱ. ‌평면 a와 세 점 A, B, C를 지나는 평면의 교선을 l이라 하자. É2¿¹(2'2)Û`+3Û`=2'¶17
점 A에서 평면 a와 교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⑤

5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56 2022-12-02 오후 7:52:29


유형 4 구의 방정식 37
좌표공간의 점 A의 좌표를 (a, b, c)라 하면

35 OAÓ=7이므로
점 C는 구 S 위의 한 점이므로 삼각형 C "ÃaÛ`+bÛ`+cÛ`=7

ABC는 ∠ACB=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aÛ`+bÛ`+cÛ`=49   yy`㉠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A B 구 S의 방정식은


(x-a)Û`+(y-b)Û`+(z-c)Û`=64
;2!;_ACÓ_BCÓ
xy평면 위의 모든 점의 z좌표는 0이므로 구 S와 xy평면이 만나서
=;2!;_"Ã(-1)Û`+1Û`+2Û`_"Ã1Û`+5Û`+(-2)Û` 생기는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는 "Ã64-cÛ`이다.

원 C의 넓이가 25p이므로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2!;_'6_'¶30
64-cÛ`=25에서 cÛ`=39
=3'5 ㉠에서 aÛ`+bÛ`=49-cÛ`=10
③ 점 A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의 좌표는
(0, 0, c)이다. 즉
36 AHÓ="Ã
‌ (a-0)Û`+(b-0)Û`+(c-c)Û`
구 S의 반지름의 길이를 r, 중심의 좌표를 C(a, b, c)라 하자.
="ÃaÛ`+bÛ`
 (단, a>0, b>0, c>0)
='¶10
구 S가 x축과 y축에 접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점 B는 구 위의 점이므로 ABÓ=8
A(a, 0, 0), B(0, b, 0)이고, r=ACÓ=BCÓ이므로
직각삼각형 ABH에서
rÛ`=bÛ`+cÛ`=aÛ`+cÛ`
BHÓ=ADABÓ Û`-AHÓ Û`='¶64-10='¶54=3'6
a>0, b>0이므로 a=b
이므로
따라서 구 S의 방정식은
BCÓ=2_BHÓ=2_3'6=6'6
(x-a)Û`+(y-a)Û`+(z-c)Û`=aÛ`+cÛ` yy`㉠
⑤
으로 놓을 수 있다.
구 S가 xy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원의 방정식은

38
(x-a)Û`+(y-a)Û`+(0-c)Û`=aÛ`+cÛ`
(x-a)Û`+(y-a)Û`=aÛ`
점 P에서 접하고 두 점 Q, R를 포함한 평면이 z축과 만나는 점을
이고, 원의 넓이가 64p이므로
S라 하고, 구 S의 중심을 T(0, 0, 1)이라 하자.
aÛ`p=64p, aÛ`=64
이등변삼각형 OQR에서 선분 QR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0이므로 a=8
OSÓ⊥( xy평면), OMÓ⊥QRÓ
a=8을 ㉠에 대입하면 구 S의 방정식은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x-8)Û`+(y-8)Û`+(z-c)Û`=64+cÛ` yy`㉡
SMÓ⊥QRÓ
구 S가 z축과 만나는 점의 z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에 x=0,
y=0을 대입하면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3Ò';이므로 직각삼각형 SOM에서
64+64+(z-c)Û`=64+cÛ`
∠OMS=;3Ò';
(z-c)Û`=cÛ`-64, z=cÑ"ÃcÛ`-64
z
구 S가 z축과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가 8이므로
S
(c+"ÃcÛ`-64)-(c-"ÃcÛ`-64)=8
2
"ÃcÛ`-64=4, cÛ`-64=16 S P

cÛ`=80 T
R
따라서 구 S의 반지름의 길이는 C
O p 2 y
-
3
r="ÃaÛ`+cÛ`='Ä64+80='¶144=12 M
Q
② x

정답과 풀이 ● 57

기하_해설.indb 57 2022-12-02 오후 7:52:29


직각삼각형 STP에서 ∠TSP=;6Ò;이므로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64~66 쪽
TPÓ
sin`;6Ò;=
STÓ 01 7 02 40 03 8 04 24 05 28
1 06 127 07 23
;2!;= , STÓ=2
STÓ
직각삼각형 SOM에서
01  정답률 20%
SOÓ
tan`;3Ò';=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OMÓ
SOÓ=3이므로 정사영의 넓이
3 평면 b 위에 있는 도형의 넓이를 S, 이 도형
'3= , OMÓ='3
OMÓ 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S'이라
S b
할 때,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따라서 이등변삼각형 OQR에서
h (0ùÉhÉ90ù)라 하면 S'
QRÓ=2 QMÓ S'=S cos h h a

=2AD OQÓ Û`-OMÓ Û`


=2Á°2Û`-('3 )Û` 풀이 전략 삼수선의 정리를 이용하여 정사영의 넓이에 대한 문제를

=2 해결한다.
문제 풀이
④
[STEP 1] 직선 AD와 수직인 평면을 구한다.

39 조건 (나)에서 ∠CED=90°이므로
두 직선 BC, DE는 서로 수직이다.
지름에 대한 원주각은 90ù이다.

구 S : (x-1)Û`+(y-1)Û`+(z-1)Û`=4 yy`㉠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는 중심이 C(1, 1, 1), 반지름의 길이가 2이고
AHÓ⊥(평면 BCD), HEÓ⊥BCÓ이므로 AEÓ⊥BCÓ
구 xÛ`+yÛ`+zÛ`=16 yy`㉡
즉 직선 BC와 평면 AED는 서로 수직이므로
은 중심이 원점 O(0, 0, 0), 반지름의 길이가 4이다.
두 직선 BC, AD도 서로 수직이다. yy`㉠
이때 OCÓ="Ã1Û`+1Û`+1Û`='3 이므로 ㉠은 ㉡의 내부에 있다.
조건 (가)에서 삼각형 AEH와 삼각형 DAH는 닮음이므로

∠DAE=∠EAH+∠HAD=90°

r 즉 두 직선 AD, AE는 서로 수직이다. yy`㉡
13 2 ㉠, ㉡에서 직선 AD는 평면 ABC와 서로 수직이다.
P
O C A

D
㉠에 접하는 평면이 ㉡과 만나서 생기는 도형은 원이고 넓이가 최
4
대가 되려면 점 O와 평면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어야 한다. H
B
즉, 두 구의 중심 C, O를 지나는 직선과 구 ㉠의 교점 중에서 점
2
O에 가까운 점을 P라 하면 점 P가 구와 평면의 접점이 될 때이다.
E
이때 ㉠에 접하는 평면이 ㉡과 만나서 생기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2
를 r라 하면 C
rÛ`=4Û`-(2-'3 )Û`=9+4'3 [STEP 2] 삼각형 AHD의 넓이를 구한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의 최댓값은 정삼각형 ABC에서 AEÓ⊥BCÓ이므로
prÛ`=p(9+4'3 ) 점 E는 선분 BC의 중점이다.
즉, a=9, b=4이므로 즉 AEÓ=2'3 AEÓ=AD ABÓ Û`-BEÓ Û`="Ã4Û`-2Û`='¶12=2'3

a+b=9+4=13 직각삼각형 AED에서


 13
ADÓ=AD DEÓ Û`-AEÓ Û`=¿¹4Û`-(2'3)Û`=2

5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58 2022-12-02 오후 7:52:30


직각삼각형 AED에서 AEÓ_ADÓ=AHÓ_DEÓ이므로 PGÓ='3, QHÓ=2'3이므로 점 P를 지나고 평면 ABCD와 평행
2'3_2=AHÓ_4 한 평면이 두 선분 QC, QH와 만나는 점을 각각 MÁ, Mª라 하면
AHÓ='3 두 점은 각각 QCÓ, QHÓ의 중점이다.
직각삼각형 AHD에서 A Q

DHÓ=ADADÓ Û`-AHÓ Û`=¿¹2Û`-('3)Û`=1 P



삼각형 AHD의 넓이는 D
B G MÁ H
'3
;2!;_AHÓ_DHÓ=;2!;_'3_1=
2
C
[STEP 3] 서로소인 두 자연수 p, q의 합을 구한다.
두 평면 ABD, AHD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이때 구하는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평면 PMÁMª, PMÁQ

h=∠BAE=30°이므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3 [STEP 2] 각 조건에 맞는 선분의 길이를 구한다.
_cos 30°=;4#;
두 평면 ABD, AED(AHD)의
2 교선 ADÓ에 대하여 각 평면 위의 직선
AE와 직선 AB가 각각 수직이므로
한편 점 P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선분 AB를 지름
따라서 p=4, q=3이므로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은 ∠BAE이다. 으로 하는 원의 중심을 OÁ이라 하면
p+q=4+3=7
OÁP'Ó=4 cos 60ù=2 ∠PP'OÁ=90ù인 △POÁP'에서
7 POÁÓ=4, ∠POÁP'=60ù
P'GÓ‌=AD PP'Ó Û`-PGÓ Û` ‌

=¿¹(4 sin 60ù)Û`-('3)Û`


수능이 보이는 강의
=3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CED=90ù이고, 수선 AH로부터 선분 또, 점 Q에서 선분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선분 CD를 지름
AE는 정삼각형 ABC의 밑변 BC의 수직이등분선이 됨을 알 수 있어.
으로 하는 원의 중심을 Oª라 하면 점 Q는 반원의 호 CD를 이등분한 점이므로
또, 삼각형 ABD의 세 변의 길이가 4, 2, 2'5이므로 세 변의 길이 점 Q과 점 Oª는 일치한다.
의 비가 2`:`1`:`'5인 직각삼각형이 됨을 알 수 있어. ‌ QOªÓ Û`-QHÓ Û`
HOªÓ=AD
이와 같은 문제에서는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두 평면의 교 =¿¹4Û`-(2'3)Û`
선에 각각 수직인 각 평면 위의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음을
=2
이용하면 돼.
이때 점 MÁ의 평면 ABCD 위로의 정사영의 점을 MÁ'이라 하면
점 MÁ'은 선분 CH의 중점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A D

02  정답률 18%
OÁ H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2
G MÁ'
이면각의 크기 P' E
2
두 반평면 a, b의 교선 l 위의 한 점 O를 지나고 l에 수직인 두 반직
B C
선 OA, OB를 각각 두 반평면 a, b 위에 그릴 때, ∠AOB의 크기는 3 3 2
점 O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 일정한 각의 크기를 두 평면이
GHÓ="Ã3Û`+2Û`='¶13
이루는 이면각의 크기라 한다.
정사영의 길이 HMÁ'Ó=;2!; HCÓ=;2!;"Ã2Û`+4Û`='5
선분 AB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을 선분 A'B', 직선 AB와 평면 a
또, 선분 GMÁ'과 점 H를 지나고 선분 BC에 수직인 직선이 만나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ùÉhÉ90ù)라 하면
A'B'Ó=ABÓ cos h
는 점을 E라 하면
GMÁ'Ó=GEÓ+EMÁ'Ó=3+1=4이므로
풀이 전략 평면 PCQ와 평면 A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은 각 PMªÓ=GHÓ='¶13
의 크기를 가지는 두 평면을 찾아서 문제를 해결한다. MÁMªÓ=HMÁ'Ó='5
문제 풀이 PMÁÓ=GMÁ'Ó=4
[STEP 1] 평면 PCQ와 평면 A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은 두 평면을
찾는다.

정답과 풀이 ● 59

기하_해설.indb 59 2022-12-02 오후 7:52:30


03
Q
 정답률 15.9%
3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P 13

이면각의 크기
4 5
두 반평면 a, b의 교선 l 위의 한 점 O를 지나고 l에 수직인 두 반직

선 OA, OB를 각각 두 반평면 a, b 위에 그을 때, ∠AOB의 크기를
즉, PQÓ=¿¹('¶13)Û`+('3)Û`=4 두 평면이 이루는 이면각의 크기라 한다.
QMÁÓ=¿¹('3)Û`+('5)Û`=2'2 정사영의 넓이
[STEP 3]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이용하여 70_cosÛ` h의 값을 구 평면 a 위의 도형 F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을 F'이라 하고, F, F'
의 넓이를 각각 S, S'이라 할 때,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한다.
h`(0ùÉhÉ90ù)이면
점 P에서 선분 QMÁ에 내린 수선의 발을 P"이라 하고, ∠PMÁQ=a
S'=S cos`h
라 하면
Q 풀이 전략 이면각의 정의와 삼수선의 정리를 이용하여 정사영의 넓이
4 를 구한다.
3
13
P'' 문제 풀이
P

a [STEP 1] 삼각형 AMN의 넓이를 구한다.
4 5
MÁ %
/

MÁP"ÓÓ ;2!; MÁQÓÓ ' &


cos a= = " $
PMÁÓ PMÁÓ
.
;2!;_2'2 '2 #
= =
4 4
선분 MN의 중점을 E, 선분 AC의 중점을 F라 하면
또, 점 Q에서 선분 PMÁ에 내린 수선의 발을 Q'이라 하면
MNÓ=;2!;  BÕDÓ=;2!;_4=2
사각형 ABCD는 한 변의 길이가 4인 마
Q 름모이고, ∠BAD=60°이므로 두 삼각
형 ABD, BCD는 한 변의 길이가 4인
4 AEÓ=;2#;  AFÓ=;2#;_2'3=3'3 정삼각형이다.
3
P 13 이때 삼각형 AMN의 넓이는
h Mª
a
Q' 5 ;2!;_MNÓ_AEÓ=;2!
‌ ;_2_3'3
4

=3'3
QQ'Ó⊥PMÁÓ이고 QMªÓ⊥(평면 PMÁMª)이므로
[STEP 2] 점 P와 직선 AM 및 평면 AMN 사이의 거리를 각각 구한다.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MªQ'Ó⊥PMÁÓ
1 %
'2 "
MÁQ'Ó=QMÁÓ cos a=2'2_ =1이므로
4 /

QQ'Ó=AD QMÁÓ Û`-Q'MÁÓ Û` 2


)
&
# $
.
=¿¹(2'2)Û`-1Û`
='7 점 P에서 평면 AMN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점 P에서 선분
AM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하자.
MªQ'Ó=AD MªMÁÓ Û`-Q'MÁÓ Û`
삼각형 AME에서 AEÓ⊥ MEÓ이므로
=¿¹('5)Û`-1Û`
=2
E EÓ Û`+MEÓ Û`
AMÓ‌=A A

=¿¹ (3'3)Û`+1Û``
Q'MªÓÓ 2
따라서 cos h= = 이므로
QQ'Ó '7 =2"7

70_cosÛ` h=70_;7$;=40 삼각형 PAM의 넓이는 정삼각형 ABD의 넓이의 ;2!;과 같으므로

 40 '3 점 M은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2!;_2'7_PQÓ=;2!;_ _4Û` △PAM=△ABM=;2!;△ABC=;2!;△ABD
4

6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60 2022-12-02 오후 7:52:31


2'3 2'¶21
PQÓ= = 문제 풀이
'7 7
[STEP 1] 삼각형 PQR의 넓이를 구한다.
한편, HEÓ=k라 하면
구 S의 중심, 즉 삼각형 BCD의 외심을 O라 하면 직각삼각형
APÓ Û`-AHÓ Û`=PEÓ Û`-HEÓ Û`이므로
PEÓ=CEÓ이고 CEÓ=ACÓ-AEÓ=4'3-3'3='3 ABO에서
4Û`-(3'3-k)Û`=('3)Û`-kÛ` 이므로 PEÓ='3
ABÓ=6'3, BOÓ=6, AOÓ=6'2
16-(27-6'3k+kÛ`)=3-kÛ` '3
이다. 정삼각형 BCD의 한 변의 길이 Ú BCÓ=9에서 BCÓ=6'3
2
7'3
6'3k=14, k=
9 A

직각삼각형 PHE에서
P R
6 3
PHÓ=AD PEÓ Û`-HEÓ Û`=ÈÇ É('3)Û`-{
7'3 Û 4'6
}`=
9 9 Q
6 2 S Ⅲ
[STEP 3] 삼각형 AMN의 평면 PAM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구한다.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B
직각삼각형 PHQ에서
6 D
QHÓ=AD PQÓ Û`-PHÓ Û`
O 3
6 3

C
=ÈÇ {É
2'¶21 Û 4'6 Û 10'¶21
}`-{ }` =
7 9 63
PHÓ⊥(평면 AMN), PQÓ⊥ AM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HQÓ⊥ AMÓ 이때 점 P가 구 S 위에 있으므로 OPÓ=6이다.

평면 AMN과 평면 PAM의 이면각의 크기를 h {0ÉhÉ;2Ò;}라 A

하면
P
QHÓ
cos h= 두 평면 AMN, PAM의 교선이 직선 AM이고
PQÓ PQÓ⊥AÕMÓ, QHÓ⊥AMÓ이므로 ∠PQH는
두 평면 AMN, PAM의 이면각이다.
10'¶21 H
63
= =;9%;
2'¶21
7 B O
삼각형 AMN의 평면 PAM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두 평면 a, b가 이루는 이면각의 크기가
즉, 삼각형 OBP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O에서 선분 AB에 내
3'3_;9%;=;3%;'3 h(0ùÉhÉ90ù)일 때, 넓이가 S인 평면 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는 선분 BP의 중점이다.
a 위의 도형 D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의
따라서 p=3, q=5이므로 넓이를 S'이라 하면 한편, △ABO»△OBH이므로
S'=S cosh
p+q=3+5=8 6 : 6'3=BHÓ : 6에서 6'3_BHÓ=36
8 BHÓ=2'3
따라서

04  정답률 12.2%
‌ ABÓ-BPÓ
APÓ=
=ABÓ-2_BHÓ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6'3-2_2'3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 =2'3
서로 다른 두 평면이 만나면 네 개의 이면각이 생기는데, 이 중에서 크기 이므로 삼각형 PQR는 한 변의 길이가 2'3인 정삼각형이다.
가 크지 않은 한 이면각의 크기를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라 한다.
즉, 정삼각형 PQR의 넓이는
정사영의 넓이
'3
평면 a 위의 도형 F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을 F'이라 하고, F, F' _(2'3)Û`=3'3
4
의 넓이를 각각 S, S'이라 할 때,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STEP 2] 정사영의 넓이를 구한다.
h`(0ùÉhÉ90ù)이면
S'=S cos`h 한편, 다음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 PQR의 무게중심을 G라 하고,
평면 a와 평면 PQR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풀이 전략 공간에서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하여 정사영의 ∠GOP=h
넓이를 구한다. 이다.

정답과 풀이 ● 61

기하_해설.indb 61 2022-12-02 오후 7:52:31


A 문제 풀이

[STEP 1] 원 D의 중심을 지나고 원 D를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과 선


a
P h G 분 AB가 만나는 점을 구한다.

B
D
H

h M
C H
B O E
A
이때 직각삼각형 POG에서 P
X a
POÓ=6, OGÓ=;3@;AOÓ=;3@;_6'2=4'2

OGÓ 4'2 2'2 조건 (가)에서 원 D의 지름 BP의 중점 M을 지나고 직선 AH와


이므로 cos`h= = =
POÓ 6 3
평행한 직선이 선분 AB와 만나는 점을 E라 하자.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이때 두 직각삼각형 EMB, EMP는 서로 합동이므로
2'2
k=3'3_cos`h=3'3_ =2'6 BEÓ=PEÓ 두 직각삼각형 EMB, EMP에서
3 EMÓ은 공통이고, BÕM=
Ó MPÓ이므로
이므로 kÛ`=(2'6)Û`=24 이때 삼각형 APB에서 APÓ='3, ABÓ=3 서로 합동(SAS)이다.

 24 ∠PAB=90ù이므로

BÕPÕ=ÚÞ('3)Û`+3Û`=2'3, BÕMÓ=;2!; BÕPÕ='3


수능이 보이는 강의
삼각형 APB와 삼각형 MEB는 서로 닮음이므로
구 S와 평면 a가 접하므로 OPÓ⊥a이고, 두 평면 BCD, PQR가 평 '3
MEÓ= BMÓ=1
행하므로 AOÓ⊥PGÓ이다. 3
 APÓ`:`ABÓ='3`:`3
MEÓ`:`BMÓ‌=
따라서 직각삼각형의 닮음에서 ∠GOP=h가 성립한다. 따라서
PEÓ=BEÓ=ÚÞ1Û`+('3)Û`=2
[참고]
[STEP 2] 원 D 위의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을 구한다.
미적분의 삼각함수의 배각의 공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cos`h
직선 ME는 원 D의 중심 M을 지나고 원 D를 포함하는 평면에
의 값을 구할 수도 있다.
수직이므로 원 D 위의 임의의 점 Q에 대하여 QEÓ=BEÓ=2이다.
직각삼각형 OBH에서
즉, 점 Q는 중심이 E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구 위의 점이다.
1 '2
sin(∠BOH)= , cos(∠BOH)= 따라서 점 P가 원 C 위를 움직일 때, 원 D 위의 점 Q가 나타내는
'3 '3
도형은 중심이 E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구가 평면 a에 의해 잘
이고, h=;2Ò;-2∠BOH이므로
려서 생기는 두 부분 중 점 B가 속한 부분(원 C 포함)이다.

cos`h‌=cos{;2Ò;-2∠BOH}=sin(2∠BOH) B

1 '2 2'2 Q
=2`sin(∠BOH)cos(∠BOH)=2_ _ =
'3 '3 3
E
C

05  정답률 7.4% X a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직선 l과 평면 a의 수직 [STEP 3] 선분 XQ의 길이의 최댓값을 구한다.


공간에서 직선 l이 평면 a와 점 O에서 만나고, M 원 D 위의 점 Q에 대하여 직선 XQ가 구의 중심 E를 지날 때 선
점 O를 지나는 평면 a 위의 모든 직선과 수직이 분 XQ의 길이가 최대이다.
면 0
=
l⊥a XQÓÉXEÓ+EQÓ‌=ae XAÓÛ`+AEÓÛ`+2=¿¹5Û`+1Û`+2=2+'¶26
따라서 m=2, n=26이므로 m+n=28
풀이 전략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을 구한다.  28

6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62 2022-12-02 오후 7:52:32


OÁ(0, 0, 2), Oª(0, 0, -7)
수능이 보이는 강의 이고, 두 구 SÁ, Sª의 반지름의 길이는 각각 2, 7이다.

선분 BP의 중점 M을 지나고 원 D를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


두 점 OÁ, Oª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고,
이 선분 AB와 만나며 그 점이 바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인 구의 평면 a와 z축이 만나는 점을 C라 하자.
중심임을 알아내야 해. [STEP 2] 원 C의 넓이를 구한다.
이때 선분 AB 위의 점 E와 원 D 위의 점 Q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
직각삼각형 OÁCHÁ에서 OÁCÓ=k`(k>0)이라 하면
므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이 중심이 E인 구의 일부분임을 추론해
내면 해결할 수 있어. CHÁÓ=AD OÁCÓ Û`-OÁHÁÓ Û`="ÃkÛ`-2Û`="ÃkÛ`-4

# △OÁCHÁ»△ACO이고, OCÓ=2+k이므로
(k+2)`:`"ÃkÛ`-4='5`:`2에서 kÛ`-16k-36=0
(k-18)(k+2)=0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 k=18 또는 k=-2
&
)
이때 k>0이므로 k=18이다.
△OÁCHÁ»△OªCHª이고, OÁCÓ=18, OªCÓ=27이므로
" 1 18`:`2=27`:`OªHªÓ에서 OªHªÓ=3
이 문제의 경우, 구와 평면이 만나서 생기는 도형이 원이고, 구의 중 평면 a와 구 Sª가 만나서 생기는 원 C의 중심은 Hª이고 반지름의
심에서 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원의 중심과 일치함을 이용하면 점 길이는 BHªÓ이다.
Q가 나타내는 도형이 구의 일부분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이때,

BHªÓ=AD OªBÓ Û`-OªHªÓ Û`="Ã7Û`-3Û`=2'¶10


이므로 원 C의 넓이는
06  정답률 7%
p_(2'¶10)Û`=40p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STEP 3] 원 C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구한다.

좌표평면에 접하는 구의 방정식 한편,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중심의 좌표가 (a, b, c)이고 좌표평면에 접하는 구의 방정식은 h=∠BOªHª이므로 cos`h=;7#;
① xy평면 → (x-a)Û`+(y-b)Û`+(z-c)Û`=cÛ`
② yz평면 → (x-a)Û`+(y-b)Û`+(z-c)Û`=aÛ` 따라서 원 C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③ zx평면 → (x-a)Û`+(y-b)Û`+(z-c)Û`=bÛ`
40p_;7#;=;:!7@:);p

풀이 전략 좌표평면에 접하는 구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두 점 사이의 이므로 p=7, q=120

거리를 구한 후 원의 넓이를 구한다. 즉, p+q=7+120=127


문제 풀이  127

[STEP 1] 두 구 SÁ, Sª의 중심과 평면 a를 나타낸다.


z
C
07  정답률 6%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b
HÁ 정사영의 넓이
OÁ SÁ
평면 b 위의 도형 F의 넓이를 S, 이 도형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

O F'의 넓이를 S'이라 할 때,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A

Hª h`{0ÉhÉ;2ÒÓ;}라 하면
y
x Oª S'=S cos`h
h Sª
h
B 풀이 전략 각 평면이 어느 부분을 지나가는지를 우선 파악한 다음, 정
사영을 이용하여 구한다.
a
문제 풀이

두 구 SÁ, Sª의 중심을 각각 OÁ, Oª라 하면 [STEP 1] 삼각형 OQÁRÁ의 넓이를 구한다.

정답과 풀이 ● 63

기하_해설.indb 63 2022-12-02 오후 7:52:33


점 C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C'이라 하면 CC'Ó=5이므로 위 그림과 같이 선분 PQ의 중점을 M이라 하면
구 S는 점 C'에서 xy평면에 접한다. Ó AD PRÓ Û`-PMÓ Û`
RM‌= ‌
z =¿¹(5'2)Û`-(2'5)Û`
='¶30
R
이므로 삼각형 PQR의 넓이는
C
Q ;2!;_4'5_'¶30=10'6
G R1
P y
[STEP 3] p+q의 값을 구한다.
O H
C' 이때 삼각형 PQR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이 삼각형 OQÁRÁ이므
Q1
x 로 두 평면 PQR와 OQÁRÁ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평면 OPC는 점 C'을 지나므로 점 QÁ은 직선 OC' 위에 있다. 20 '6


cos h= =
10'6 3
이때 선분 OQÁ의 길이가 최대가 되려면 점 Q는 점 C를 지나면서
따라서 삼각형 OQÁRÁ의 평면 PQR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직선 OC'과 평행한 직선이 구 S와 만나는 점 중 x좌표가 양수인
'6
점이어야 한다. 20_ =;;ª3¼;;'6
3
C'(2, '5, 0)에 대하여
즉 OQÁÓ‌=OC'Ó+5  "Ã(2-0)Û`+('5-0)Û`+(0-0)Û`

OC'Ó= 이므로
='9=3
=3+5 p+q=3+20=23
=8  23
한편, 삼각형 OQÁRÁ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점 R가 점 C를 지
나고 직선 CQ에 수직인 직선이 구 S와 만나는 점이어야 한다. 수능이 보이는 강의
이때 RÁC'Ó⊥OC'Ó이고, RÁC'Ó=5이므로 삼각형 OQÁRÁ의 넓이는
삼각형 OQÁRÁ의 평면 PQR 위로의 정사영 부분에서 삼각형
;2!;_OQÁÓ_RÁC'Ó=;2!;_8_5=20 OQÁRÁ과 평면 PQR 사이의 코사인 값을 구하면 되는데 그 부분이
쉽지 않으므로 xy평면이랑 평행하면서 두 점 R, Q를 지나는 평면
[STEP 2] 삼각형 PQR의 넓이를 구한다.
을 생각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점 P에서 직선 QQÁ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z
PHÓ=OQÁÓ=8
QHÓ=QQÁÓ-1=5-1=4 R
H
직각삼각형 PQH에서 P1(0, 0, 5) h
Q
PQÓ=AD PHÓ Û`+QHÓ Û`="Ã8Û`+4Û`='¶80=4'5 yy`㉠ 4
R1 y
P
직각삼각형 CQR에서 1
O C'
QRÓ=AD CQÓ Û`+CRÓ Û`="Ã5Û`+5Û`='¶50=5'2 yy`㉡ Q1
x
직각삼각형 OC'RÁ에서

ORÁÓ=AD OC'Ó Û`+RÁC'Ó Û`="Ã3Û`+5Û`='¶34 위의 그림과 같이 점 PÁ을 잡으면


R1
삼각형 OQÁRÁ과 삼각형 PÁQR의
이므로 점 P에서 직선 RRÁ에 내린 수선의 발을 G라 하면 5 H1
넓이는 같게 되고, 선분 PÁH의 길
PGÓ=ORÁÓ='¶34 O 15 y
이는 점 O에서 직선 RÁQÁ에 내린 3
RGÓ=RRÁÓ-1=5-1=4 2
수선의 길이와 같게 된다. C'
직각삼각형 RPG에서 즉 OHÁÓ=4'2이므로 PÁHÓ=4'2 5
△PÁHP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PRÓ=AD PGÓ Û`+RGÓ Û`=¿¹('¶34)Û`+4Û`='¶50=5'2 yy`㉢ Q1
의하여 x
㉠, ㉡, ㉢에 의하여 삼각형 PQR는 PRÓ=QR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PÁPÓ=4, PÁHÓ=4'2이므로
R PHÓ=4'3
4'2 '2
따라서 cos h= =
4'3 '3

P Q
M

6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기하_해설.indb 64 2022-12-02 오후 7:52:33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영역 기하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정답과 풀이

기하_해설.indb 65 2022-12-02 오후 7:52:33



본문 68~72 쪽 mÛ`xÛ`-4(mÛ`+2)x+4mÛ`=0   …… ㉡
x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실근이 a, b이므로 ㉠에 의하여
이차곡선 a+b=
4(mÛ`+2)
=10
mÛ`
2mÛ`+4=5mÛ`
01 ④ 02 ④ 03 ② 04 ④ 05 ⑤
06 ④ 07 ③ 08 36 09 66 10 ① mÛ`=;3$;
11 40 12 ② 13 ② 14 ③ 15 ①
2'3
16 16 17 ③ 이때 m>0이므로 m=
3
④

유형 1 포물선
03
포물선 yÛ`=4px의 초점 F의 좌표가 (p, 0)이므로
01 yÛ`=4px에 x=p를 대입하면
점 P(a, 6)이 포물선 yÛ`=4x 위의 점이므로 yÛ`=4pÛ`
6Û`=4a, 즉 a=9 y=Ñ2p
PFÓ는 점 P(9, 6)에서 포물선 yÛ`=4x의 준선 x=-1까지의 거리 이때 점 P는 제 1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점 P의 좌표는 (p, 2p)
와 같으므로 이다.
PFÓ=9-(-1)=10 PFÓ=2p이고 PFÓ`:`QFÓ=2`:`5이므로 QFÓ=5p
따라서 k=10이므로 y
l
a+k=9+10=19
yÛ`=4px
④ Q
H
P

02
R
O F(p, 0) x
F'
포물선 yÛ`=8x=4_2_x의 초점 F의 좌표는 (2, 0)이고 준선의 S
방정식은 x=-2이다.
y l yÛ`=8x x=-p
A'
A 점 Q에서 준선 x=-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F
O x QHÓ=QFÓ=5p
B' B
점 F'(-p, 0)에 대하여 두 직각삼각형 SFF', SQH는 서로 닮음
이므로
x=-2
SFÓ`:`SQÓ=FÕF'Ó`:`QHÓ=2p`:`5p=2`:`5
두 점 A, B에서 준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이 따라서 FSÓ`:`QFÓ=2`:`3이므로
라 하고,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a>b)라 하면 포물선
QFÓ
의 정의에 의하여 =;2#;
FSÓ
AFÓ=AA'Ó=a+2, BFÓ=BB'Ó=b+2 ②
ABÓ=14이므로
(a+2)+(b+2)=14 04
a+b=10 …… ㉠ 포물선 yÛ`=4x=4_1_x의 초점의 좌표는 (1, 0)이고 준선의 방
직선 l은 점 F(2, 0)을 지나고 기울기가 m이므로 그 방정식은 정식은 x=-1이다.
y=m(x-2) PAÓ=PBÓ=PCÓ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두 점 B와 C 중
두 방정식 yÛ`=8x, y=m(x-2)를 연립하면 한 점이 포물선의 초점이다. 이때 점 P의 x좌표는 1보다 크므로
mÛ`(x-2)Û`=8x 점 B가 초점이다. 즉, B(1, 0)이다.

6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기하_해설.indb 66 2022-12-02 오후 7:52:34


y

yÛ`=4x
유형 2 타원

A
H' P
06
xÛ` yÛ`
타원 + =1 위의 세 점 A(4, 0), B(0, -3), P에 대하여
16 9
OB H C x
삼각형 ABP의 넓이는 밑변의 길이가 ABÓ=5로 일정하므로 선분
AB와 점 P 사이의 거리로 정해진다.
선분 AB와 거리가 일정한 점 P가 3개이려면 세 점 중 하나는 직
그림과 같이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선 AB와 기울기가 같고 타원에 접하는 접점 중 선분 AB와 가까
삼각형 P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이에 있는 점이다.
∠BPH=∠CPH
한편, 부채꼴 PBC의 넓이가 부채꼴 PAB의 넓이의 2배이므로 타원에 접하고 기울기가 ;4#;인 직선의 방정식은

∠BPC=2∠APB
y=;4#;xѾÐ{;4#;}2`_16+9, 즉 y=;4#;xÑ3'2
또, 선분 PA는 원의 접선과 수직이므로 ∠APH=90ù
따라서 ∠APB=∠BPH=∠CPH=45ù 이때 선분 AB와 가까이에 있는 직선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y=;4#;x-3'2, 즉 3x-4y-12'2=0
PAÓ=PBÓ=r
따라서 이 직선과 점 A 사이의 거리는
점 B에서 선분 A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3_4-4_0-12'2| 12'2-12
=
직각삼각형 BPH'에서 PÕH'Ó=r cos`45ù=
r "Ã3Û`+(-4)Û` 5`
'2
이므로 삼각형 ABP의 넓이 k는
따라서 PAÓ=PÕH'Ó+HÕ'AÓ이므로
12'2-12
k=;2!;_5_ =6'2-6

경찰대학 사
r 5`
r= +2, ('2-1)r=2'2
'2 ④
2'2

·관학교 기출 문제
07
r= =2'2('2+1)=4+2'2
'2-1
④ 삼각형 PFQ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FÕ'QÓ=
‌ FÕ'PÓ+PQÓ=FÕ'PÓ+PFÓ=10
05 타원
xÛ`
+
yÛ`
=1 (a>12)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AÓ=a, FBÓ=b라 하면 ABÓ=a+b=8'5 a 12
두 점 A, B가 포물선 위의 점이므로 FAÓ=AHÓ, FBÓ=BIÓ FÕ'PÓ+PFÓ=2'§a 이므로
BJÓ 2'¶15 2'¶15 2'¶15 2'§a=10, a=25
= 에서 BJÓ= BIÓ= b
BIÓ 3 3 3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를 각각
삼각형 BAJ는 직각삼각형이므로 25 12
2'¶15 2'¶15 (c, 0), (-c, 0) (c>0)이라 하면
(8'5)Û`={ b}2`+(a-b)Û`={ b}2`+(8'5-2b)Û`
3 3 cÛ`=25-12=13에서 c='1Œ3이므로
4_15 F('1Œ3, 0), F'(-'1Œ3, 0)
64_5= bÛ`+64_5-32'5 b+4bÛ`
9
FPÓ=k라 하면 ∠F'PF=90ù인 직각삼각형 FPF'에서
bÛ`-3'5 b=0, b(b-3'5)=0
FÕ'PÓ Û`+FPÓ Û`=FÕ'FÓ Û`이므로 (10-k)Û`+kÛ`=(2'1Œ3)Û`
에서 a=5'5, b=3'5
kÛ`-10k+24=0, (k-4)(k-6)=0
HIÓ=BJÓ=¿¹(8'5)Û`-(a-b)Û`=¿¹(8'5)Û`-(2'5)Û`=10'3
이때 FPÓ<FÕ'PÓ이므로 k=4
두 삼각형 ACH와 BCI가 닮음이므로
즉, FPÓ=4
HCÓ`:`ICÓ=HCÓ`:`(HCÓ-HIÓ)=HCÓ`:`(HCÓ-10'3)=a`:`b=5`:`3
따라서 삼각형 QF'F의 넓이는
5 HCÓ-50'3=3 HCÓ, 2 HCÓ=50'3
따라서 HCÓ=25'3 ;2!;_FÕ'QÓ_FPÓ=;2!;_10_4=20

⑤ ③

정답과 풀이 ● 67

기하_해설.indb 67 2022-12-02 오후 7:52:34


08 점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C라 하면

y F'CÓ=F'OÓ+OCÓ=2-b+;5!;=;;Á5Á;;-b

타원이 x축과 만나는 점 중 A가 아닌 점을 D라 하자.


P
점 B가 타원 위의 점이므로
-5 F' F 5
-4 O 4 x F'BÓ+BFÓ=a+;;ª5Á;;
Q R
ADÓ=AOÓ+OFÓ+FDÓ=2+4+b
이때 F'BÓ+BFÓ=AÕDÓ이므로

a+;;ª5Á;;=6+b, b=a-;5(;
위의 그림의 점 F'을 중심으로 하는 원에서 PÕF'Ó=FÕ'QÓ이므로
PÕF'Ó`:`PQÓ=1`:`2 BF'Ó Û`=aÛ`
또, 점 F를 중심으로 하는 원에서 PÕFÕ=FRÓ이므로 4'5 2`
F'CÓ Û`+BCÓ Û`=(4-a)Û`+{ }
PÕFÕ`:`PRÓ=1`:`2 5

∠F'PF=∠QPR이므로 삼각형 PF'F와 삼각형 PQR는 닮음이 에서 BF'Ó Û`=F'CÓ Û`+BCÓ Û`이므로

고, 그 닮음비는 1`:`2이다. aÛ`=aÛ`-8a+;;»5¤;;, a=;;Á5ª;;


한편,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따라서 장축의 길이는 ADÓ=BÕF'Ó+BÕF이
Ó 므로
PFÓ+PÕF'Ó=2_5=10
k=a+;;ª5Á;;=;;£5£;;에서
타원의 성질에 의하여
OFÓ=OÕF'Ó='Ä25-9=4이므로 10k=66

FÕ'FÓ=2_4=8  66

그러므로 삼각형 PF'F의 둘레의 길이는


PÕF'Ó+FÕ'FÓ+FPÓ=(PÕF'Ó+FPÓ)+FÕ'FÓ=10+8=18
따라서 두 삼각형 PF'F, PQR의 닮음비가 1`:`2이므로
삼각형 PQR의 둘레의 길이는
18_2=36 유형 3 쌍곡선
 36
10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쌍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은
by
09 ax-
3
=1

y
yÛ`=16x
접선의 x절편이 ;3!;이므로
B
H ;a!;=;3!;, a=3
21 E
a :5:
b 점 P는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A F' O C F D x bÛ` bÛ`
aÛ`- =1, =8, bÛ`=24
3 3
이때 b>0이므로 b=2'6

x=-4 즉, 점 P의 좌표는 (3, 2'6)


따라서 'Ä1+3=2이므로 점 F의 좌표는 (2, 0)이고,
BÕF'Ó=a, AF'Ó=b라 하자.
PFÓ=¿¹(3-2)Û`+(2'6)Û`=5
점 B에서 포물선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①
BÕFÕ=BÕH이
Ó 므로

점 B의 x좌표는 ;;ª5Á;;-4=;5!;
11
점 B의 y좌표는 ¾Ð16_;5!;=
4'5 xÛ` yÛ`
5 쌍곡선 - =1의 두 초점 F, F'이 x축 위에 있으므로 두 초
4 5

6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기하_해설.indb 68 2022-12-02 오후 7:52:35


점 F, F'을 공유하는 타원의 방정식
xÛ` yÛ`
13
+ =1에서 a-16>0 4yÛ`
a 16 쌍곡선의 방정식이 xÛ`- =1이므로 주축의 길이는 2이다.
a
이때 타원과 쌍곡선의 초점이 일치하므로
점 P가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a-16=4+5, a=25
PF'Ó-PFÓ=PF'Ó-('6-1)=2
|PÕFÕ Û`-PÕF'Ó Û`|=|PÕFÕ+PÕF'Ó|_|PÕFÕ-PÕF'Ó|   yy ㉠
PF'Ó='6+1
이때 |PÕFÕ+PÕF'Ó|은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두 초점의 좌표를 각각 F(c, 0), F'(-c, 0)`(c>0)이라 하면 삼
2_'2Œ5=10
|PÕF-
Õ PÕF'Ó|은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각형 PFF'에서 ∠FPF'=;3Ò;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_'4=4
(2c)Û`=('6+1)Û`+('6-1)Û`-2('6+1)('6-1)cos`;3Ò;
따라서 ㉠에서
|PÕFÕ Û`-PÕF'Ó Û`|=10_4=40 4cÛ`=9, c=;2#;

 40 4yÛ`
따라서 쌍곡선 xÛ`- =1에서
a

12 cÛ`=1+;4A;, ;4(;=1+;4A;이므로

xÛ` a=5
쌍곡선 -yÛ`=1의 두 꼭짓점의 좌표는 (-2, 0), (2, 0)이고
4
②
이 중 x좌표가 음수인 점은 (-2, 0)이므로 원 C의 중심의 좌표
는 (-2, 0)이다.
이때 점 (3, 0)을 지나고 원 C에 접하는 두 직선과 쌍곡선은 x좌
표가 양수인 점에서 반드시 만난다.
4

경찰대학 사
따라서 점 (3, 0)을 지나고 원 C에 접하는 두 직선이 각각 쌍곡선 유형 이차곡선의 접선
과 한 점에서만 만나려면 그림과 같이 쌍곡선의 점근선과 평행해
14

·관학교 기출 문제
야 한다.
Z 점 A(-2, 4)에서 포물선 yÛ`=4x에 그은 접선의 기울기를 m이

Z
Y 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1
y=mx+
 Y
m
0 
1
 이 직선이 점 A(-2, 4)를 지나므로 4=-2m+
 m
Z
Y
2mÛ`+4m-1=0 …… ㉠
xÛ` 점 A(-2, 4)에서 포물선 yÛ`=4x에 그은 두 접선의 기울기를 각
쌍곡선 -yÛ`=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4 각 mÁ, mª라 하면 이차방정식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mÁ, mª
y=Ñ;2!;x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두 점   mÁmª=-;2!;



(-2, 0), (3, 0)과 원의 한 접점으로 S ③
D
 
이루어진 직각삼각형에서 tan h=;2!;이

므로 15
쌍곡선 7xÛ`-ayÛ`=20 위의 점 (2,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r
=;2!;, 2r="Ã25-rÛ`
"2 5-rÛ` 14x-aby=20
양변을 제곱하면 이 접선이 점 (0, -5)를 지나므로
4rÛ`=25-rÛ`, rÛ`=5 14_0-ab_(-5)=20
따라서 r='5` ab=4 …… ㉠
② 또, 점 (2, b)가 쌍곡선 7xÛ`-ayÛ`=20 위의 점이므로

정답과 풀이 ● 69

기하_해설.indb 69 2022-12-02 오후 7:52:35



7_2Û`-a_bÛ`=20 본문 73~75 쪽
abÛ`=8 …… ㉡
㉠을 ㉡에 대입하면 4b=8이므로 b=2 평면벡터
b=2를 ㉠에 대입하면 2a=4이므로 a=2
따라서 a+b=2+2=4 01 ③ 02 ① 03 ④ 04 ③ 05 ③
① 06 ④ 07 37 08 180 09 37 10 7

16
타원
xÛ`
+
yÛ`
=1 위의 점 P{3, ;;Á5¤;;}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유형 1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25 16

3x
+
;;Á5¤;;y
=1, 즉 3x+5y-25=0
01
25 16 2aø=(2x, 6), bø-cø=(4, y-5)
xÛ` yÛ` 2aø=bø-cø이므로 (2x, 6)=(4, y-5)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를 각각 (c, 0),
25 16
따라서 x=2, y=11이므로
(-c, 0)(c>0)이라 하면 cÛ`=25-16=9에서 c=3이므로
x+y=13
F(3, 0), F'(-3, 0)
③
이때 두 점 F, F'과 직선 l 사이의 거리가 각각 d, d'이므로
|9+0-25| 16 |-9+0-25| 34
d= = , d'= =
"Ã3Û`+5Û` '¶ "Ã3Û`+5Û` '¶
16 34
34 34
02
따라서 dd'= _ =16 OA³ º BC³‌=OA³ º (OC³-OB³)
'¶34 '¶34
=(2, 4) º (4-1, 0-1)
 16
=2_3+4_(-1)=2
①
17
yÛ`
03
4xÛ`-yÛ`=4에서 xÛ`- =1이므로 쌍곡선 위의 점 P('2, 2)에
4

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2x-
2y 두 벡터 aø=(2, 1), bø=(-1, k)에 대하여
=1
4
‌
aø-bø=(2, 1)-(-1, k)=(3, 1-k)
y=2'2x-2   …… ㉠
두 벡터 aø, aø-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yÛ`
또, 쌍곡선 xÛ`-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2x이므로
4 aø º (aø-bø )=0
m: y=2x, n: y=-2x 즉, (2, 1) º (3, 1-k)=0
두 직선 l, m의 교점을 구하기 위해 y=2x를 ㉠에 대입하면 2_3+1_(1-k)=0
1 6+1-k=0
2x=2'2x-2에서 x= ='2+1이고
'2-1
따라서 k=7
y=2('2+1)=2'2+2이므로
④
Q('2+1, 2'2+2)
두 직선 l, n의 교점을 구하기 위해 y=-2x를 ㉠에 대입하면

-2x=2'2x-2에서 x=
1
='2-1이고
04
'2+1 ‌
|aø-2bø|Û`=(aø -2bø) º (aø-2bø)
y=-2('2-1)=-2'2+2이므로 =|aø|Û`-4aø º bø+4|bø|Û`
R('2-1, -2'2+2) =2Û`-4|aø||bø|cos 60°+4_3Û`
따라서 PQÓ=Á°1Û`+(2'2)Û`=3, QRÓ=Á°2Û`+(4'2)Û`=6이므로
=4-4_2_3_;2!;+36=28
QRÓ
k= =;3^;=2 따라서 |aø-2bø|='¶28=2'7
PQÓ
③ ③

7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기하_해설.indb 70 2022-12-02 오후 7:52:36


AG³=BG³-BÕA³=;9$; aø+;9@; bø-bø=;9$; aø-;9&; bø
유형 2 평면벡터의 연산과 위치벡터의 활용
AÕG³ º BE³=0이므로

05 {;9$; aø-;9&; bø} º


2aø+bø
3
=0
점 M은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양변에 27을 곱하여 간단히 하면
³ ;2!; AB³+;2!; AC³
AÕM= (4aø-7bø)º(2aø+bø)=0

정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을 G라 하면 AG³=;3@; AÕM³ 8|aø|Û`-10aø º bø-7|bø|Û`=0


8_4Û`-10aø º bø-7_3Û`=0
정삼각형 ABC에서 점 G는 삼각형 ABC의 외심이므로 점 G는
원의 중심이다. 10aø º bø=65, aø º bø=;;Á2£;;

따라서 AD³=2 AG³=;3$; AÕM³=;3@; AB³+;3@; AC³이므로 이때


aø º bø‌=|aø||bø| cos (∠ABC) ‌
m+n=;3@;+;3@;=;3$; =4_3_cos (∠ABC)
③ =12 cos (∠ABC)

이므로 12 cos (∠ABC)=;;Á2£;;

06 cos (∠ABC)=;2!4#;
점 A를 왼쪽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따라서 p=24, q=13이므로
AC³+BÕP²=AÕ'B³+BÕP²=AÕ'P³이므로 p+q=24+13=37
|AC³+BÕP²|=|AÕ'P³|  37
가 되어 최댓값 M은 점 A'과 원 O의 중심 O를 연결한 선분에서

경찰대학 사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값이다.
또, 최솟값 m은 점 A'과 원 O의 중심 O를 연결한 선분에서 원의 08
반지름의 길이를 뺀 값이다. P

·관학교 기출 문제
직선 BC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정삼각형의 높이이므로 C h
O
2'3
즉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l
A M B
원 O가 직선 l과 만나는 점을 D라 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원 C의 중심을 O라 하면 점 A가 원 C와 직선 l
∠OAD=;6Ò;이므로 의 접점이므로 벡터 OÕA³와 직선 l은 수직이다.

ADÓ=3, A'OÓ=¿¹7Û`+('3)Û` ='¶52 PA³ º PÕB²

따라서 M='¶52+'3, m='¶52-'3이므로 =(OÕA³-OP³) º (OB³-OP³)

Mm=('¶52+'3)('¶52-'3)=49 =OÕA³ º OB³-OP³ º (OÕA³+OB³)+OP³ º OP³

④ =|OÕA³||OB³| cos (∠BOA)-OP³ º (OÕA+


³ OB³)+|OP³|Û`
=|OÕA³|Û`-OP³ º (OÕA³+OB³)+|OP³|Û`
=5Û`-OP³ º (OÕA³+OB³)+5Û`
07 =50-OP³ º (OÕA³+OB³) yy`㉠

BC³=aø, BÕA³=bø라 하면 선분 AC를 1`:`2로 내분하는 점이 D,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2`:`1로 내분하는 점이 E이므로 OÕA³+OB³


OÕM=
³
2
aø+2bø 2aø+bø
BD³= , BE³=
3 3 AÕMÓ=;2!; ABÓ=;2!;_24=12, OÕA=
Ó 5이므로
삼각형 DBC에서 두 점 E, F는 각각 선분 CD, BC의 중점이므로 직각삼각형 OAM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점 G는 삼각형 DBC의 무게중심이다.
Ó aeAÕMÓ Û`+OÕAÓ Û`="Ã12Û`+5Û`=13
OÕM=
따라서 BG³=;3@; BE³=;9$; aø+;9@; bø이므로 ㉠에서

정답과 풀이 ● 71

기하_해설.indb 71 2022-12-02 오후 7:52:36


PA³ º PÕB=
² 50-OP³ º (OA³+OB³)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점 B를 지나는 y B
D
OÕA+
³ OB³
=50-2 OP³ º { } 원과 직선 x=;2&;이 만나는 두 점을 각 M
2
C
=50-2 OP³ º OÕM³ yy ㉡ 각 D, E라 하면 점 Q는 호 DE 중 길 O H A x
이때 PA³ º PB³가 최대가 되려면 OP³ º OÕM³이 최소가 되어야 한다. 이가 길지 않은 호 DE 위의 점이다. Q
E
두 벡터 OP³, OÕM³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직선 x=;2&;과 x축의 교점을 H라 하면
x=;2&;
OP³ º OÕM³=|OP³||OÕM³| cos`h
AHÓ=6-;2&;=;2%;, ADÓ=ABÓ=5이므로
=5_13_cos`h=65`cos`h
이므로 두 벡터 OP³와 OÕM³이 서로 반대 방향일 때, 즉 h=180ù일
AHÓ ;2%;
때 OP³ º OÕM³이 최소가 된다. cos`(∠DAH)= = =;2!;
ADÓ 5
㉡에서
∠DAH=;3Ò;
PA³ º PÕB=
² 50-2 OP³ º OÕM³
É50-2_65_(-1)=180 ∠DAE=2_∠DAH=;3@;p
따라서 PA³ º PÕB의
² 최댓값은 180이다. OAÓ 6
cos`(∠COH)=cos`(∠MOA)= = =;1!3@;
 180 OMÓ ;;Á2£;;

'3
cos ;6Ò;= 이므로 cos`(∠COH)>cos ;6Ò;에서 ∠COH< ;6Ò;
09 2
따라서 점 A를 지나고 OC³ 에 수직인 y D'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D
직선은 호 DE와 만나지 않는다. I
OÕM³=;2!;(OA³+OB³)=;2!;(12, 5)={6, ;2%;} OX³=OP³+OQ³에서 점 X는 점 Q가 C

나타내는 도형을 OP³ 방향으로 평행 O H x


A
즉 |OÕM³|=¾±6Û`+{;2%;}Û`=;;Á2£;;
이동한 도형 위의 점이므로 점 X가 E'
k는 음이 아닌 실수이고 조건 (가)에서 OÕP²=k(OA³+OB³)이므로 나타내는 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E
점 P는 반직선 OM 위의 점이다. 호 DE와 선분 DE로 둘러싸인 활꼴
이때 OP³ º OA³É21이므로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 의 넓이는 호 D'E'과 선분 D'E'으로 둘러싸인 활꼴의 넓이와 같
이라 하면 점 P '의 x좌표는 음이 아닌 실수이다. 으므로 점 X가 나타내는 도형의 넓이는 사각형 DEE'D'의 넓이
OP³ º OA³=OÕP'Ó_OAÓ=6 OP'ÓÉ21 와 같다. 점 D에서 직선 D'E'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이므로 OP'ÓÉ;2&; DÕIÕ=OHÓ=;2&;이므로 넓이는

DEÓ_DIÓ=2_DHÓ_DIÓ
따라서 직선 x=;2&;과 직선 OM의 교점을 C라 하면 점 P는 선분
=2_cos ;6Ò;_DAÓ_DIÓ
OC 위의 점이다.
'3
y B =2_ _5_;2&;=;;£2°;;'3
2
따라서 p=2, q=35이므로 p+q=2+35=37
M
 37
P
C

O
x=;2&;
Ax
10
조건 (가)에서
조건 (나)에서 |AQ³|=|AB³|이므로 점 Q는 점 A를 중심으로 하
5 BÕA³ º OP³-OB³ º AP³
고 반지름의 길이가 ABÓ인, 즉 점 B를 지나는 원 위의 점이다.
=5(OA³-OB³) º OP³-OB³ º (OP³-OA³)
이때 OQ³ º OA³É21이므로 점 Q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5 OA³ º OP³-5 OB³ º OP³-OB³ º OP³+OB³ º OA³
이라 하면 점 Q'의 x좌표는 양수이고
=5 OA³ º OP³-6 OB³ º OP³+OB³ º OA³
OQ³ º OA³=OQ'Ó_OAÓ=6 OQ'ÓÉ21
=(5 OA³-6 OB³) º OP³+OB³ º OA³
OQ'ÓÉ;2&; =OA³ º OB³

7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기하_해설.indb 72 2022-12-02 오후 7:52:36



이므로 본문 75~80 쪽
(5 OA³-6  OB³) º OP³=18(1, -2) º OP³=0
C(k, -2k)=k(1, -2)이므로 OC³ º OP³=0이 되어 OC³⊥OP³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점 P는 삼각형 ABC의 내부 또는 변 위의 점이므로 점 P는 점 O
를 지나고 직선 OC에 수직인 직선 중에서 두 선분 AB, BC에 의 01 ⑤ 02 ⑤ 03 ④ 04 ⑤ 05 ⑤
하여 잘린 선분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06 450 07 ⑤ 08 ④ 09 261 10 ④
OC³⊥OP³이므로 OP³=t(2, 1)`(단, t는 실수) 11 ① 12 ⑤ 13 ① 14 ③ 15 ③
16 ② 17 ③ 18 ②
직선 OP와 직선 BA의 교점을 Q라 하면
OQ³=c OP³‌=c(2, 1)
=d(6, 0)+(1-d)(2, 6)
=(4d+2, 6-6d)
유형 1 직선과 평면의 위치 관계 및 삼수선의 정리

에서 c=;4(;, d=;8%;
01
OQ³=;4(;(2, 1)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조건 (나)에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가 '5이므로 점 Q를 BCÓ=ADABÓ Û`+ACÓ Û`='Ä1+3=2

원점의 방향으로 '5만큼 이동한 점 R는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1 ABÓ_ACÓ=AHÓ_BCÓ이므로 '3=2 AHÓ에서
OR³=;4(;(2, 1)-'5_ (2, 1)=;4%;(2, 1)
'5 '3
AHÓ=
2
∴ ;4%;ÉtÉ;4(;
PAÓ⊥a, AHÓ ⊥ BC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PHÓ ⊥ BCÓ
직선 AR와 직선 y=-2x의 교점 또는 직선 BR와 직선 y=-2x
즉, 점 P와 직선 BC 사이의 거리는 선분 PH의 길이이다.
의 교점이 점 C가 될 수 있다.

경찰대학 사
따라서 AHÓ ⊥ PAÓ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직선 AR의 방정식은
'¶19
PHÓ=ADAPÓ Û`+AHÓ Û`=®É4+;4#;=
x-6 y 2
= 에서  

·관학교 기출 문제
6-;2%; 0-;4%; ⑤
5x+14y=30
y=-2x와의 교점은 02
x=-;2#3);, y=;2^3); 1

이때 k>0이므로 이것은 성립하지 않는다.  



직선 BR의 방정식은 )
"
x-2 y-6 
= 에서 .
2-;2%; 6-;4%; =

#
19x+2y=50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삼각형 PAB는 정삼각형이므로
y=-2x와의 교점은
ABÓ⊥ PÕM이 Ó 평면 a에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Ó 고 PÕH는
x=;;Á3¼;;, y=-;;ª3¼;; ABÓ⊥ HMÓ
정삼각형 PAB의 한 변의 길이가 6이므로
따라서 C{;;Á3¼;;, -;;ª3¼;;}이다.
'3
PÕM=
Ó _6=3'3
OA³ º CÕP²‌=(6, 0) º {t(2, 1)-{;;Á3¼;;, -;;ª3¼;;}}
2
직각삼각형 PMH에서
=12t-20 {;4%;ÉtÉ;4(;}
HÕM‌=AD
Ó PÕMÓ Û`-PHÓ Û`=¿¹ (3'3)Û`-4Û`='¶11

² 최댓값은 t=;4(;일 때
그러므로 OA³ º CÕP의 따라서 삼각형 HAB의 넓이는

27-20=7 ;2!;_ABÓ_HMÓ=;2!
‌ ;_6_'¶11=3'¶11
7 ⑤

정답과 풀이 ● 73

기하_해설.indb 73 2022-12-02 오후 7:52:37


이때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 G는 삼각형 BCD의
유형 2 이면각과 정사영
무게중심이다.
또, 점 A에서 선분 MN에 내린 수선의 발 H는 선분 MN의 중점
03 이 된다.
P 직각삼각형 AGH에서 ∠AHG=h라 하면
4 AGÓ⊥(평면 BCD), MNÓ⊥(직선 AH)
H a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p B MNÓ⊥(직선 GH)
-
6
A
따라서 직선 MN은 사각형 BCNM과 평면 AMN의 교선이고
PÕHÓ⊥a이고 직각이등변삼각형 PAB에서 PÕAÓ⊥ABÓ이므로 삼수 AHÓ⊥MNÓ, MNÓ⊥GHÓ이므로 사각형 BCNM과 평면 AMN이
선의 정리에 의하여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AHG의 크기인 h와 같다.
HAÓ⊥ABÓ 이때 선분 AG는 한 모서리의 길이가 12인 정사면체 ABCD의 높
이때 직선 AB는 두 평면 PAB와 a의 교선이므로 평면 PAB와 이이므로

평면 a가 이루는 각의 크기 ;6Ò; 는 두 선분 PA와 HA가 이루는 각 '6


AGÓ= _12=4'6
3
의 크기가 된다. 또, 한 변의 길이가 12인 정삼각형 BCD의 높이는
즉, ∠PAH=;6Ò; '3
_12=6'3이므로
2
한편, 삼각형 PAB는 PBÓ=4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GDÓ=;3@;_6'3=4'3
PAÓ=ABÓ=2'2

직각삼각형 PHA에서 ∠PAH=;6Ò;이므로 HDÓ=;2!;_6'3=3'3

GHÓ=GDÓ-HDÓ=4'3-3'3='3
PHÓ=PAÓ`sin ;6Ò;=2'2_;2!;='2
직각삼각형 AGH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3
HAÓ=PAÓ`cos ;6Ò;=2'2_ ='6 AHÓ‌‌=ABAGÓ Û`+GHÓ Û`=¿¹(4'6 )Û`+('3 )Û`=3'1Œ1
2
사면체 PHAB의 밑면이 삼각형 HAB일 때, 높이는 PHÓ이므로 GHÓ '3 1
따라서 cos`h= = =
사면체 PHAB의 부피를 V라 하면 AHÓ 3'1Œ 1 '3Œ 3
한 변의 길이가 12인 정삼각형 DBC의 넓이는
V=;3!;_△HAB_PHÓ
'3
_12Û`=36'3
4
=;3~!;_{;2!;_ABÓ_HAÓ}_PHÓ
이때 두 모서리 BD, CD의 중점이 각각 M, N이므로 삼각형
2'6
=;3!;_{;2!;_2'2_'6 }_'2= DBC와 삼각형 DMN의 닮음비가 2`:`1이고, 그 넓이의 비는
3
④ 4`:`1이다.

즉, 사각형 BCNM의 넓이는 삼각형 DBC의 넓이의 ;4#;이므로 사

04 각형 BCNM의 넓이를 S라 하면

A S=36'3_;4#;=27'3

따라서 사각형 BCNM의 평면 AMN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S '


이라 하면

M S '=S`cos`h
B 1
=27'3_
'3Œ3
D
G
N
C H 27'1Œ1
=
11
위의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G, 점 ⑤
A에서 선분 MN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7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기하_해설.indb 74 2022-12-02 오후 7:52:37


05 삼각형 BEF의 꼭짓점 E에서 선분 BF에 내린 수선의 발을 K라
하고, BKÓ=a라 하면 KFÓ=9-a이므로
두 점 A, D가 만나는 점 P에서 평면 BCM에 내린 수선의 발을
BÕEÓ Û`-BKÓ Û`=EÕFÓ Û`-KFÓ Û`에서
H라 하면 접기 전의 종이에서 선분 AH와 선분 MB는 수직으로
9'3 Û 3'3 Û
만난다. 선분 AH와 선분 MB의 교점을 Q라 하면 { }` -aÛ`={ }` -(9-a)Û`
2 2
△ABM»△MAH이므로 3`:`'7='7`:`MHÓ
;:@4$:#;-aÛ`=;;ª4¦;;-81+18a-aÛ`, 18a=135
즉 MHÓ=;3&;
a=;;Á2°;;
따라서 △ABQ»△HMQ이므로
이때 삼각형 BMN과 평면 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QHÓ MHÓ ;3&; ∠EBK=h이므로
cos`h= = = =;9&;
AQÓ ABÓ 3
;;Á2°;;
⑤ 5'3
cos`h= =
9'3 9

06
2
또, 삼각형 BMN의 넓이는
선분 MN의 중점을 E, 선분 CD의 중점을 F라 하면
9'3 27'3
;2!;_MNÓ_BEÓ=;2!
‌ ;_3_ =
삼각형 ACD가 정삼각형이므로 AEÓ⊥ MNÓ, AFÓ⊥ CDÓ 2 4
27'3 5'3
AÕMÓ=MÕCÓ=3, MEÓ=;2#;, CFÓ=3 따라서 S= _ =;;¢4°;;이므로
4 9
직각삼각형 ABC에서
40_S=40_;;¢4°;;=450
ABÓ‌=AD BÕCÓ Û`-ACÓ Û`=¿¹ (3'¶10)Û`-6Û``=3'6
 450
직각삼각형 ABD에서

‌ AÕBÓ Û`+ADÓ Û`=¿¹ (3'6)Û`+6Û`=3'¶10


BDÓ=AD
07

경찰대학 사
따라서 삼각형 BCD와 삼각형 BMN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ECÓ=CFÓ=2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ABC, AFC는 서로 합동이다.
BFÓ⊥ CDÓ, BEÓ⊥ MNÓ

·관학교 기출 문제
따라서 이 사면체의 전개도에서 FBÓ⊥ACÓ이다.
"
 ' &
 /
# &
. 
 %
# "

 '
 .
$ (
.
직각삼각형 ABM에서 )
$
‌ AÕBÓ Û`+AMÓ Û`=¿¹ (3'6)Û`+3Û`=3'7
BMÓ=AD
이므로 직각삼각형 BME에서 위의 그림과 같이 사면체 FABC의 한 꼭짓점 F에서 밑면 A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G라 하면 점 G는 점 B에서 선분 CA에 내린
‌ AD BÕMÓ Û`-MEÓ Û`=ÈÇ É(3'7)Û`-{;2#;}Û` =
9'3
BEÓ=
2 수선 위의 점이다.
또, 직각삼각형 BCF에서 또, 삼각형 EBC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므로 점 G는
선분 BC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점이다.
BFÓ‌=AD BÕCÓ Û`-CFÓ Û`=¿¹ (3'¶10)Û`-3Û`=9
두 선분 BC, CA의 중점을 각각 M, M'이라 하면
직각삼각형 ACF에서
BCÓ⊥MM'Ó
AFÓ‌=AD AÕCÓ Û`-CFÓ Û`="Ã 6Û`-3Û`=3'3
점 F에서 선분 C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G는 두 선분
3'3
이므로 EFÓ=;2!; AFÓ= MM', BH의 교점이다.
2
 & 직각삼각형 ABC에서
 
BAÓ="Ã4Û`-2Û`=2'3이므로
 
B 
# D '
MÕM'Ó=;2!; BAÓ='3
B ,


정답과 풀이 ● 75

기하_해설.indb 75 2022-12-02 오후 7:52:38


CAÓ_BHÓ=BCÓ_BAÓ이므로 또, 두 직각삼각형 DND ', DAN에서
4_BHÓ=2_2'3에서 DD 'Ó=DNÓ
‌ `sin`h={ADÓ`sin (∠DAN)}`sin`h
BHÓ='3 한편, BB 'Ó=DD 'Ó이고 ㉠에서 ABÓ=ADÓ이므로
FHÓ=BHÓ이므로 FHÓ='3 sin (∠BAM)=sin (∠DAN)
직각삼각형 BCH에서 이때 ∠BAM과 ∠DAN은 예각이므로 ∠BAM=∠DAN

CHÓ=¿¹2Û`-('3)Û`=1이므로 따라서 ∠CAM=∠CAB+∠BAM=∠CAD+∠DAN이므로


∠CAM=90ù
HÕM'Ó=CM'Ó
‌ -CHÓ=2-1=1
CAÓ⊥l, C 'AÓ⊥l이므로 두 평면 a, b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 h는
두 직각삼각형 CM'M, GM'H는 서로 닮음이므로
∠CAC '의 크기와 같다. 즉, ∠CAC '=h
CMÓ`:`GHÓ=MM'Ó`:`HÕM'Ó에서 1`:`GHÓ='3`:`1
직각삼각형 CAC '에서
1
GHÓ=
'3 CC 'Ó 3
tan`h= = 이므로
이면각의 정의에 의하여 두 면 ACF, ABC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 AC 'Ó 4

는 ∠FHG의 크기와 같다. 4


cos`h=
5
1
또, 사각형 AB 'C 'D '은 한 변의 길이가 4'2인 정사각형이므로
GHÓÓ '3
따라서 cos h= = =;3!; AC 'Ó='2_4'2=8
FHÓ '3
⑤ 따라서 ACÓ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은 AC'Ó이므로
AC'Ó=ACÓ`cos`h,
AÕC'Ó
ACÓ= =8_;4%;=10
cos`h
08 BDÓ=B 'D 'Ó=AC 'Ó=8이므로
삼각형 AB 'B와 삼각형 AD 'D에서
‌ {;2!; ACÓ} +{;2!; BDÓ}
2 2
AB 'Ó=AD 'Ó, BB 'Ó=DD 'Ó이고 BCÓ=¾Ð
∠AB 'B=∠AD 'D=90ù이므로
="Ã5Û`+4Û`='4Œ1
삼각형 AB 'B와 삼각형 AD 'D는 합동이다. ④
즉, ABÓ=ADÓ yy ㉠
두 평면 AB 'B와 D 'C 'CD가 평행하므로 ABÓCDÓ 09
또, 두 평면 AD 'D와 BB 'C 'C가 평행하므로 ADÓBCÓ 점 P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P'이라 하면 직선 OP와 xy

따라서 사각형 ABCD는 평행사변형이다. yy ㉡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POP'이다.

㉠, ㉡에서 사각형 ABCD는 마름모이다. 또, 평면 a가 xy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교선을 l이라 하면 평면 a


와 xy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직선 l에 수직이고 평면 a와 xy
평면에 각각 포함되는 두 반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C
이때 직선 OP는 평면 a에 포함되고 직선 OP'은 xy평면에 포함되
D a
h C' 며 조건 (가)에서 직선 OP와 xy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평면 a
D' B
N
b 와 xy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두 직선 OP, OP'은 평
A h
B' 면 a와 xy평면의 교선 l에 각각 수직이다.
M

l
P
두 평면 a, b의 교선을 l이라 하고, 평면 a 위의 두 점 B, D에서 a
교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M, N이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B'MÓ⊥l, D'NÓ⊥l l

두 평면 a와 b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h이므로 P'


O xy평면
∠BMB '=∠DND '=h
두 직각삼각형 BMB ', BAM에서
BB 'Ó‌

=BMÓ sin`h={ABÓ sin (∠BAM)}`sin`h

7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기하_해설.indb 76 2022-12-02 오후 7:52:39


즉, 평면 a는 좌표공간에서 수직으로 만나는 두 직선 OP, l을 포 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2`p_cos`(∠POP')=;;°4¥;;p_
함하는 평면이며, 직선 l이 평면 POP'에 수직이므로 평면 a는 평 '¶58
{
3 3'¶58
= p
면 POP'에 수직이다.   yy ㉠
2 '¶58 4
3'¶58 9_58
구 S의 중심 (4, 3, 2)를 S라 하자. 평면 a가 구 S에 접하지 않고 k= 에서 8kÛ`=8_ =261
4 16
구 S와 만나서 생기는 도형은 원이고, 이 원의 중심은 구의 중심  261
S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과 같다.
조건 (나)에서 선분 OP가 원 C의 지름이므로 구의 중심 S에서 평
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은 선분 OP의 중점이어야 한다.
즉, ㉠에서 점 S는 평면 POP' 위의 점이다.
10
구의 중심을 O라 하고 선분 QP가 구와 만나는 점을 L이라 하면
따라서 네 점 P, O, P', S는 한 평면 위에 있다.
점 L을 지나고 면 AEFB와 평행한 평면으로 직육면체를 자른 단
z
면은 다음 그림과 같다.

P
a
S

y 0
S
C  
l P'
- 5
x
O

. 3 4 /
점 S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S'이라 하면 점 S'의 좌표는 점 L에서 두 선분 HE, GF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M, N이라
(4, 3, 0)이고, 5개의 점 P, P', S, S', O는 다음 그림과 같다. 하고, 두 점 L, O에서 밑면 EFGH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R,

경찰대학 사
z P S라 하면 ∠MLN=90°이므로 점 L은 반지름의 길이가 4이고 중
S
심이 S인 원 위의 점이다.

·관학교 기출 문제
따라서 삼각형 OLS는 OLÓ=LSÓ=4인 이등변삼각형이다.
H S 점 L에서 선분 OS에 내린 수선의 발을 T라 하면
OSÓ=4+4'3-4=4'3
O P' S' xy평면
이므로

OTÓ=;2!;`OSÓ=2'3
점 P(a, b, 7)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 P'의 좌표는 또, 직각삼각형 OLT에서
(a, b, 0)이고, 점 S'의 좌표는 (4, 3, 0)이며 aÛ`+bÛ`<25이므로
LTÓ‌=AE OLÓÛ`-OTÓÛ` =¿¹4Û`-(2'3)Û`=2
"ÃaÛ`+bÛ`<5에서 OP'Ó<OS'Ó이다.
이므로 RSÓ=LTÓ=2
점 S에서 직선 P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MRÓ=2이고 두 직각삼각형 MRL, MLN은 서로 닮음이므로
PHÓ=PP'Ó-HP'Ó=PP'Ó-SS'Ó=7-2=5
LÕMÓ`:`MNÓ=MÕRÓ`:`LMÓ에서
이고 PSÓ='¶29이므로 직각삼각형 PHS에서
LMÓ`:`8=2`:`LMÓ
HSÓ=AE PSÓ Û`-PHÓ Û`="Ã('¶29)Û`-5Û`=2
LMÓ Û`=16
OP'Ó=OS'Ó-P'S'Ó=OS'Ó-HSÓ=5-2=3
LMÓ=4
직각삼각형 POP'에서
직각삼각형 LMN에서
OPÓ=AE OP'Ó Û`+PP'Ó Û`="Ã3Û`+7Û`='¶58
=AE MNÓ Û`-LMÓ Û`="Ã8Û`-4Û` =4'3
LNÓ‌
이므로
∠LNR=hÁ, ∠LMR=hª라 하면
cos`(∠POP')=
OP'Ó
=
3 6 '3
'¶58 cos hÁ= = ,
OPÓ 4'3 2
OPÓ '¶58
또한, 원 C의 반지름의 길이가 = 이므로 원 C의 xy평 cos hª=;4@;=;2!;
2 2

정답과 풀이 ● 77

기하_해설.indb 77 2022-12-02 오후 7:52:39


태양광선이 밑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를 비출 때 삼각기둥의 두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옆면 PFGQ, EPQH에 각각 생기는 구의 그림자의 평면 EFGH
{ }
1_(-1)+2_2 1_3+2_3 1_2+2_(-1)
, ,
1+2 1+2 1+2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의 합은 주어진 구의 평면 EFGH 위로의 정
즉, (1, 3, 0)
사영인 원의 넓이와 같다.
따라서 a=1, b=3, c=0이므로
즉, SÁ cos hÁ+Sª cos hª=16p이므로
'3 a+b+c=4
SÁ+;2!;Sª=16p
2 ③
1 32 32'3
따라서 SÁ+ Sª‌= p= p
'3 '3 3
④
15
세 점 A(6, 0, 0), B(0, 3, 0), C(0, 0, -3)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 }
6+0+0 0+3+0 0+0+(-3)
, ,
3 3 3
즉, (2, 1, -1)

유형 3 공간좌표 따라서 선분 OG의 길이는


OGÓ="Ã2Û`+1Û`+(-1)Û`='6

11 ③

P(2, 1, 3)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Q(2, -1, -3)
16
두 점 A(5, a, -3), B(6, 4, b)에 대하여 선분 AB를 3`:`2로
따라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PQÓ‌="Ã(2-2)Û`+{1-(-1)}Û`+{3-(-3)}Û`
{ }
3_6-2_5 3_4-2_a 3_b-2_(-3)
='¶40 , ,
3-2 3-2 3-2
=2'¶10 즉, (8, 12-2a, 3b+6)
① 이 점이 x축 위에 있으므로
12-2a=0, 3b+6=0에서

12
a=6, b=-2
따라서 a+b=4
점 C는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다.
②
따라서 점 C의 z좌표는
1_15+2_(-3)
1+2
=3 17
⑤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을 C라 하면 점 C는 y축 위의 점
이므로 그 좌표를 (0, k, 0) (k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점 A(2, 2, 1)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을 H라 하면
13 H(2, 2, 0)
두 점 A(1, 2, -1), B(3, 1, -2)에 대하여 선분 AB를 2`:`1로 이때 AHÓ⊥CHÓ이므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AHÓ
tan h=tan(∠ACH)=
CHÓ
{ }
2_3-1_1 2_1-1_2 2_(-2)-1_(-1)
, ,
2-1 2-1 2-1 '2
tan h= 에서
즉, (5, 0, -3) 4

① 1 '2
=
¿¹2Û`+(k-2)Û` 4

¿¹2(kÛ`-4k+8)=4
14 kÛ`-4k+8=8
두 점 A(2, 3, -1), B(-1, 3, 2)에 대하여 선분 AB를 1`:`2로 k(k-4)=0

7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기하 -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기하_해설.indb 78 2022-12-02 오후 7:52:40


즉 k=0 또는 k=4
한편, 점 C는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유형 4 구의 방정식

1_b+2_2 b+4
k=
1+2
=
3
에서
18
b=3k-4 OAÓ Û`=aÛ`+9+16=27이므로 aÛ`=2

이때 b>0이므로 3k-4>0, k>;3$; 이때 a>0이므로 a='2


구 S의 방정식은
따라서 k=4이므로
(x-'2)Û`+(y+3)Û`+(z-4)Û`=rÛ`
b=3k-4=3_4-4=8
구 S가 x축과 한 점에서 만나므로 x='2, y=z=0는 원 위의 점
③
이다. 즉, r=5
구 S가 z축과 만날 때 x=y=0이므로 z=4Ñ'¶14
따라서 구 S가 z축과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4+'¶14-(4-'¶14)=2'¶14
②

경찰대학 사
·관학교 기출 문제

정답과 풀이 ● 79

기하_해설.indb 79 2022-12-02 오후 7:52:40


한눈에 보는 정답

Ⅰ 이차곡선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본문 8~31 쪽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본문 52~63 쪽

01 ① 02 ② 03 12 04 ④ 05 ③
01 ② 02 ① 03 ① 04 ③ 05 ②
06 ② 07 ① 08 ③ 09 15 10 ④
06 ③ 07 ① 08 ② 09 136 10 ③
11 ① 12 ③ 13 48 14 162 15 47
11 ③ 12 ⑤ 13 50 14 ① 15 ①
16 ② 17 12 18 ③ 19 ① 20 ②
16 ① 17 23 18 90 19 5 20 ⑤
21 ③ 22 ⑤ 23 ⑤ 24 ④ 25 ③
21 ⑤ 22 ③ 23 ② 24 ① 25 ④
26 ⑤ 27 ① 28 10 29 ③ 30 ②
26 12 27 ② 28 22 29 6 30 ②
31 ② 32 13 33 ⑤ 34 ⑤ 35 ③
31 14 32 11 33 ③ 34 ⑤ 35 ①
36 ② 37 ⑤ 38 ④ 39 13
36 ③ 37 29 38 ② 39 105 40 ④
41 15 42 ③ 43 ③ 44 ④ 45 ⑤
46 ④ 47 ④ 48 ① 49 ② 50 ④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64~66 쪽
51 ② 52 ④ 53 ③ 54 ③ 55 ②
56 ⑤ 57 ① 58 19 59 12 60 ④ 01 7 02 40 03 8 04 24 05 28
61 12 62 ④ 63 ② 64 128 65 116 06 127 07 23
66 ③ 67 ⑤ 68 ④ 69 ⑤ 70 ②
71 ② 72 ② 73 10 74 ④ 75 64
76 ② 77 ① 78 52 79 15 80 18
81 32 82 ⑤ 83 ② 84 ① 85 ③
86 ① 87 ①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32~33 쪽

01 32 02 ⑤ 03 180 04 80 05 54
06 384 부록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Ⅱ 평면벡터 Ⅰ 이차곡선 본문 68~72 쪽

01 ④ 02 ④ 03 ② 04 ④ 05 ⑤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본문 36~47 쪽 06 ④ 07 ③ 08 36 09 66 10 ①
11 40 12 ② 13 ② 14 ③ 15 ①
01 ⑤ 02 ⑤ 03 ① 04 30 05 ④ 16 16 17 ③
06 ⑤ 07 ② 08 ③ 09 ② 10 8
11 ⑤ 12 ② 13 ④ 14 ④ 15 ①
16 8 17 ⑤ 18 12 19 ② 20 ④ Ⅱ 평면벡터 본문 73~75 쪽

21 ② 22 ④ 23 ① 24 ③ 25 ⑤
26 120 27 ② 28 ③ 29 ② 30 ① 01 ③ 02 ① 03 ④ 04 ③ 05 ③
31 ⑤ 32 50 33 7 34 ③ 35 27 06 ④ 07 37 08 180 09 37 10 7
36 19 37 ⑤ 38 ② 39 ⑤ 40 ②
41 ⑤ 42 52 43 9 44 ③ 45 ⑤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본문 75~80 쪽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48~49 쪽 01 ⑤ 02 ⑤ 03 ④ 04 ⑤ 05 ⑤


06 450 07 ⑤ 08 ④ 09 261 10 ④
01 31 02 7 03 24 04 48 05 17 11 ① 12 ⑤ 13 ① 14 ③ 15 ③
06 53 07 45 08 100 16 ② 17 ③ 18 ②

기하_해설.indb 80 2022-12-02 오후 7:52:4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