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0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수학영역

정답과 풀이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 23. 4. 6. 오후 2:13


EBS FINAL 수학영역 06
1 회
본문 3~20쪽
f(x)=2xÜ`-3xÛ`-12x+3에서
f '(x)=6xÛ`-6x-12=6(x+1)(x-2)
01 ③ 02 ② 03 ① 04 ① 05 ④
f '(x)=0에서 x=-1 또는 x=2
06 ④ 07 ② 08 ④ 09 ② 10 ④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1 ⑤ 12 ③ 13 ③ 14 ⑤ 15 ②
x y -1 y 2 y
16 7 17 9 18 10 19 25 20 2
f '(x) + 0 - 0 +
21 23 22 363
f(x) ↗ 10 ↘ -17 ↗
확률과 통계 23 ④ 24 ② 25 ① 26 ③
한편, k는 정수이고, 함수 f(x)가 열린구간 (k, k+2)에서 최댓값을 갖기 위해
27 ② 28 ④ 29 119 30 584
서는 k=-2
미적분 23 ① 24 ① 25 ② 26 ①
이때 최댓값은 함수 f(x)의 극댓값이므로
27 ④ 28 ② 29 27 30 5
M=10
기하 23 ③ 24 ⑤ 25 ② 26 ⑤ 따라서 k+M=(-2)+10=8 ④
27 ① 28 ① 29 12 30 34

01
1
_4;4!;=2-;2!;_(2Û`);4!;=2-;2!;_2;2!;=2{-;2!;}+;2!;=20=1
07
Á {(n+1)an+1-nan}=9a1+10에서
③
'2 9

Á {(n+1)an+1-nan}
n=1
9

n=1

02 =(2a2-a1)+(3a3-2a2)+(4a4-3a3)+y+(10a10-9a9)
=10a10-a1
1 1
®É + +2
'Äx+1+2x x xÛ` 0+2 =9a1+10
lim =lim = =2 ②
x`Ú¦ "ÃxÛ`+3 x`Ú¦
®É1+
3 1 그러므로 10a10=10a1+10
xÛ`
a10=a1+1   yy ㉠
이때 r=1이라 하면 ㉠에 모순이므로 r+1

또 Á an=1에서
9 a1(r9-1)
=1
r-1
03 n=1

a10-a1
즉, =1
a3(a4+a5)=6(a2+a4)에서 a2+a4=2a3이므로 r-1
a3(a4+a5)=12_a3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a£+0이므로 1
=1
r-1
a4+a5=12 yy ㉠
따라서 r=2 ②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에서
2a+7d=12 yy ㉡
또 a2=1에서
a2=a+d=1 yy ㉢
㉡, ㉢에서 a=-1, d=2
따라서 a7=(-1)+2_6=11 ①
08
두 점 A(a, 0), B(a+2, 4)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4-0
=2 yy ㉠
(a+2)-a
04 이때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이 곡선 y=xÜ`-x+2에 접하는 접점을
(p, pÜ`-p+2)라 하면 y'=3xÛ`-1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g(x)=x f(x)+xÛ`에서
3pÛ`-1 yy ㉡
g'(x)=f(x)+x f '(x)+2x
㉠과 ㉡이 같아야 하므로
따라서 f(2)=1, f '(2)=3이므로
3pÛ`-1=2, pÛ`=1
g'(2)=f(2)+2 f '(2)+2_2 
p=-1 또는 p=1
=1+2_3+2_2=11 ①
Ú p=1일 때
접점은 (1, 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2(x-1)+2, 즉 y=2x
05 이 직선이 점 A(a, 0)을 지나므로
sin`h a=0
8_ =3`cos`h이므로
cos`h Û p=-1일 때
8`sin`h=3`cosÛ``h, 8`sin`h=3(1-sinÛ``h) 접점은 (-1, 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3`sinÛ``h+8`sin`h-3=0, (3`sin`h-1)(sin`h+3)=0 y=2(x+1)+2, 즉 y=2x+4
sin`h=;3!; 또는 sin`h=-3 이 직선이 점 A(a, 0)을 지나므로
a=-2
이때 -1Ésin`hÉ1이므로
Ú, Û에서 a+0이므로
sin`h=;3!; ④ a=-2 ④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 23. 4. 6. 오후 2:13


09 12
방정식 | f(x)|=n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A
3
선 y=n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BCÓ CDÓ
=2R, =2R 2 D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 sin`(∠BAC) sin`(∠CAD)
y=Èf(x)È B
y=n은 그림과 같다. BCÓ CDÓ
11 =
;;3;; sin`(∠BAC) sin`(∠CAD) 2
그러므로
이때
( 2 (n=1)
y=n
C
2`sin`(∠BAC)=sin`(∠CAD), BCÓ=2
g(n)={ 3 (n=2, 3) 1 이므로
9 2 (n¾4)
O x 2 CDÓ
따라서 =

Á g(n)=2+3_2+2_7
sin`(∠BAC) 2`sin`(∠BAC)
10
CDÓ=4
n=1
한편, ACÓ=x라 하면
=2+6+14=22 ②
2Û`+2Û`-xÛ` 8-xÛ`
cos`(∠ABC)= = yy ㉠
2_2_2 8
3Û`+4Û`-xÛ` 25-xÛ`
또 cos`(∠CDA)= =
2_3_4 24
이때 ∠ABC+∠CDA=p, ∠CDA=p-∠ABC에서
10 cos`(∠CDA)=-cos`(∠ABC)이므로
25-xÛ`
점 A의 x좌표를 p라 하면 0<p<;2!;이고, 함수 y=;8#;`tan`(px)의 주기가 1이 -cos`(∠ABC)=
24
yy ㉡

므로 점 B의 x좌표는 1+p이다. ㉠, ㉡에서


삼각형 ACB는 AC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C의 x좌표는 8-xÛ` 25-xÛ`
=- , 3(8-xÛ`)=-25+xÛ`
8 24
p+(1+p)
=p+;2!;
2 4xÛ`=49, x=;2&;
삼각형 ABC는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이므로 점 C에서 선분 AB에 내린
점 B에서 선분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3 AHÓ=;2!;ACÓ=;2!;_;2&;=;4&;

이때 BHÓ=¿¹ABÓ Û`-AHÓ Û`=¾¨2Û`-{;4&;}2`=


CHÓ= yy ㉠
2 '1Œ5
이때 4
CHÓ=;8#;`tan`(pp)-;8#;`tan[p{p+;2!;}] '1Œ5
BHÓ 4 '1Œ5
그러므로 sin`(∠BAC)= = =
1 2 8
=;8#;`tan`(pp)-;8#;_[- ] ABÓ
tan`(pp) BCÓ 2
=2R에서 =2R이므로
=;8#;`tan`(pp)+;8#;_
1
yy ㉡ sin`(∠BAC) '1Œ5
tan`(pp) 8
㉠, ㉡에서 8 8'1Œ5
R= =  ③
1 '3 '1Œ5 15
;8#;`tan`(pp)+;8#;_ =
tan`(pp) 2
3{tan`(pp)}Û`-4'3`tan`(pp)+3=0
{tan`(pp)-'3 }{3`tan`(pp)-'3 }=0
'3
tan`(pp)='3 또는 tan`(pp)=
3 13
p p
pp= 또는 pp= 조건 (가)에서 함수 g(x)가 x=1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g'(1)=0
3 6
p=;3!; 또는 p=;6!; 한편, g(x)=:)/ f(t)dt에서 g'(x)=f(x)이므로 f(1)=0

이때 k>;8#;이므로 k=;8#;`tan`(pp)>;8#; 또 조건 (나)에서 g(1)=g(4)-g(3)이므로

tan`(pp)>1 :)1 f(t)dt=:)4 f(t)dt-:)3 f(t)dt

즉, :)1 f(t)dt=:#4 f(t)dt


즉, p>;4!;이므로 p=;3!;

따라서 점 C의 x좌표는
이때 적분 구간이 각각 [0, 1], [3, 4]로 구간의 길이가 같으므로
;3!;+;2!;=;6%; ④ f(3)=0이어야 한다.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므로
f(x)=(x-1)(x-3)=xÛ`-4x+3
따라서

g(1)=:)1 f(x)dx=:)1 (xÛ`-4x+3)dx


11
A=B+1, 즉 A-B=1에서 =[;3!;xÜ`-2xÛ`+3x]1)=;3$; ③
:)2 {(xÛ`-2x+k)-xÜ`}dx=1이므로

[-;4!;xÝ`+;3!;xÜ`-xÛ`+kx]2)=-4+;3*;-4+2k

=-;;Á3¤;;+2k=1
14
따라서 k=;;Á6»;; ⑤ ㄱ. x`Ú-1+일 때, f(x)`Ú1이므로 g(-1)= lim `f(t)=1 (참)
t`Ú-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 23. 4. 6. 오후 2:13


ㄴ.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그러므로 log2`(x+1)=log2`(x-5)+log2`4
1
lim g(x)= lim g(x) y=g(x) log2`(x+1)=log2`4(x-5)
x`Ú1- x`Ú1+

=g(1)=1 즉, x+1=4x-20이므로
-1 O 1 x
즉, 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다. (참) 3x=21

ㄷ. 함수 y=f(x)는 x+-1, x+1인 모든 따라서 x=7 7

실수에서 연속이다.
또 함수 y=g(x)는 x+-1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y=g(x)-1
은 x+-1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다.
그러므로 함수 y=f(x){g(x)-1}은 x+-1, x+1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
이다. 17
: f(x)dx=(x+1)(xÛ`+2x+3)+C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임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 두 가지 경우를 살펴
보면 된다.

:)1 f(x)dx=[(x+1)(xÛ`+2x+3)]1)
Ú x=1일 때
lim `f(x){g(x)-1}= lim `f(x)_[ lim g(x)-1]
x`Ú1- x`Ú1- x`Ú1-
=2_6-1_3=9 9
=1_(1-1)=0
lim `f(x){g(x)-1}= lim `f(x)_[ lim g(x)-1]
x`Ú1+ x`Ú1+ x`Ú1+

=1_(1-1)=0
f(1)_{g(1)-1}=0_(1-1)=0
그러므로 함수 y=f(x){g(x)-1}은 x=1에서 연속이다.
Û x=-1일 때 18
Á (ak+k)=50에서
lim `f(x){g(x)-1}= lim `f(x)_[ lim g(x)-1] 9
x`Ú-1- x`Ú-1- x`Ú-1-

Á (ak+k)= Á ak+ Á k
k=1
=0_(0-1)=0 9 9 9

lim `f(x){g(x)-1}= lim `f(x)_[ lim g(x)-1]

= Á ak+
k=1 k=1 k=1
x`Ú-1+ x`Ú-1+ x`Ú-1+

=1_(1-1)=0
9 9_10
2

= Á ak+45=50
k=1
f(-1)_{g(-1)-1}=2_(1-1)=0 9

그러므로 함수 y=f(x){g(x)-1}은 x=-1에서 연속이다.

그러므로 Á ak=5
k=1

따라서 함수 y=f(x){g(x)-1}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참) 9


yy ㉠

또 Á (ak+kÛ`)=400에서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k=1
10

Á (ak+kÛ`)= Á ak+ Á kÛ`


k=1
10 10 10

= Á ak+
k=1 k=1 k=1

15 10 10_11_21
6

= Á ak+385
k=1
ak>0이고 ak+1<0이므로 주어진 조건에서 ak¾4이고, ak+1=ak-k 10

이때 ak+1<0이어야 하므로 ak¾4이고, ak-k<0 k=1

4Éak<k =400

그러므로 Á ak=15   yy ㉡
그러므로 k의 최솟값은 5이고, a5=4 10

이때 a4는 k=1

a5-1 ㉡에서 ㉠을 변끼리 빼면


a4= =;2#; 또는 a4=a5+4=4+4=8
2 a10=10  10
a4가 정수이므로 a4=8
이때 a3은
a4-1
a3= =;2&; 또는 a3=a4+3=11
2
a3이 정수이므로 a3=11
이때 a2는 19
a3-1 p
a2= =5 또는 a2=a3+2=13 함수 y=2`sin`{ x}의 주기는
2 4
그런데 aª=5이면 aª<4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p
p =8
그러므로 aª=13 4
이때 a1은 이때 0ÉxÉ8에서 y좌표가 1보다 큰 점의 x좌표는
a -1 p p
a1= 2
2
=6 또는 a1=a2+1=14 2`sin` x>1, sin` x>;2!;
4 4
그런데 a1=6이면 a1<4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p p
< x<;6%;p
따라서 a1=14 ② 6 4
;3@;<x<;;Á3¼;;

이때 자연수 x는 1, 2, 3
또 8ÉxÉ16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x좌표는 9, 10, 11
16 또 16ÉxÉ24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x좌표는 17, 18, 19
log2`(x+1)=log2`(x-5)+log3`9에서 또 24ÉxÉ32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x좌표는 25, 26, 27
log3`9=log3`3Û`=2=log2`2Û`=log2`4 따라서 x10=25  25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 23. 4. 6. 오후 2:13


한편, 조건 (나)에서 a(t)=6t+k이므로
20
f(x)=xÜ`-3xÛ`이라 하면 v(t)=: a(t)dt=: (6t+k)dt
f '(x)=3xÛ`-6x=3x(x-2) =3tÛ`+kt+C1 (단, C1은 적분상수)
이때 f '(x)=0에서 x=0 또는 x=2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t)=: v(t)dt=: (3tÛ`+kt+C1)dt
x y 0 y 2 y
f '(x) + 0 - 0 + =tÜ`+;2!;ktÛ`+C1t+C2 (단, C2는 적분상수)

f(x) ↗ 0 ↘ -4 ↗ 시각 t=0에서 점 P의 위치가 원점이면 C2=0


한편, s(1)=-11에서
y y=f(x)
1+;2!;k+C1=-11

k+2C1=-24 yy ㉢
O 2
x 또 s(2)=-22에서
8+2k+2C1=-22
k+C1=-15 yy ㉣
-4
㉢과 ㉣을 연립하여 풀면
C1=-9, k=-6
이때 함수 y=xÜ`-3xÛ`+k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
이때 v(t)=3tÛ`-6t-9=3(t+1)(t-3)
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또 s(t)=tÜ`-3tÛ`-9t
한편, 방정식 |xÜ`-3xÛ`+k|=m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5가 되기 위해서는
그러므로 점 P가 t=1에서 t=4까지 움직인 거리는

:!4  |v(t)|dt
함수 y=|xÜ`-3xÛ`+k|의 그래프와 직선 y=m의 교점의 개수가 5이어야 한다.
이때 k가 정수이므로 정수 k의 값은 1, 3이어야 한다.
Ú k=1일 때
=-:!3 v(t)dt+:#4 v(t)dt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y ={s(1)-s(3)}+{s(4)-s(3)}
=s(1)-2s(3)+s(4)
=(1Ü`-3_1Û`-9_1)-2_(3Ü`-3_3Û`-9_3)+(4Ü`-3_4Û`-9_4)
=(-11)-2_(-27)+(-20)=23  23

y=1

O x
22
그러므로 m=1 점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두 선분 BH, OA가 만나는 점을 C라 하자.
Û k=3일 때 이때 조건 (가)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음 그림과 같아야 한다. p
∠AOB=
6
'3
y
p
또 직선 y= x가 x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이므로
3 6
p
∠COH=
6
p
그러므로 ∠BOH=
3
y=1
이때 조건 (나)에서 OBÓ=2이므로
O x
직각삼각형 OHB에서
p
그러므로 m=1 OHÓ=OBÓ`cos` =2_;2!;=1 yy ㉠
3
Ú, Û에 의하여 순서쌍 (k, m)의 개수는 2이다. 2 p '3
BHÓ=OBÓ`sin` =2_ ='3
3 2
p
BCÓ=BHÓ-CHÓ='3-OHÓ`tan`
6
'3 2'3
='3-1_ = yy ㉡
3 3
21 y=f(x)
y
조건 (가)에서
13
y=;;3;;x
2s(2)-3:!2 v(t)dt=-11이므로

2s(2)-3[ :)2 v(t)dt-:)1 v(t)dt]


B
A
;6Ò;

=2s(2)-3s(2)+3s(1) C
O H k x
=-s(2)+3s(1)=-11 yy ㉠ ;6Ò;
또 조건 (가)에서
그러므로 점 A의 x좌표를 k라 하면
s(1)+s(2)=-33 yy ㉡
'3
이므로 ㉠과 ㉡을 변끼리 더하면 f(x)- x=ax(x-k)Û` (단, a, k는 상수이고, a>0, k>1)
3
'3
4s(1)=-44
s(1)=-11 이때 g(x)=f(x)- x라 하면
3
이때 ㉡에서 s(2)=-22 g(x)=ax(x-k)Û`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 23. 4. 6. 오후 2:13


한편, ㉠, ㉡에서 C
P(A)=1-P(AC)=1- 4 3
7C3
2'3
OHÓ=1이고, BCÓ= 이므로 4_3_2
3
3_2_1
2'3 =1- =1-;3¢5;=;3#5!;
g(1)= 7_6_5
3 3_2_1
2'3 또 사건 A;B는 3장의 카드에 적혀 있는 수의 곱이 짝수이고, 그 합이 7이므로
즉, a(1-k)Û`= yy ㉢
3
이때의 세 수는 4, 2, 1 또는 3, 2, 2이어야 한다.
또 함수 g(x)는 x=1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그러므로
g'(1)=0
C1_2C1_2C1+2C1_2C2
이때 g'(x)=a(x-k)Û`+2ax(x-k)이므로 P(A;B)= 1
7C3
a(1-k)Û`+2a(1-k)=0 yy ㉣
= 4+2 =;3¤5;
㉢을 ㉣에 대입하면 7_6_5
3_2_1
2'3
+2a(1-k)=0 따라서
3
'3 6
a(1-k)=- yy ㉤ P(A;B) 35
3 P(B|A)= = =;3¤1; ①
㉤을 ㉢에 대입하면 P(A) 31
35
'3 2'3
(1-k)_{- }=
3 3
k-1=2, k=3
이 값을 ㉤에 대입하면
'3
a_(1-3)=-
3 26
'3 이웃하는 남학생의 수에 따라 경우를 나누면 다음과 같다.
a=
6 Ú 남학생이 서로 이웃하지 않는 경우
'3

그러므로 g(x)= x(x-3)Û` 남학생 3명을 원형으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6 여 여
(3-1)!=2!
'3 '3 '3
따라서 f(x)=g(x)+ x= x(x-3)Û`+ x이므로 이 각각에 대하여 여학생 3명을 남학생 사이에 나
3 6 3
{ f(6)}Û`=(9'3+2'3 )Û`=(11'3 )Û`=363  363 열하는 경우의 수는
남 남
3!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2!_3!=12
Û 남학생 2명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 남
3명의 남학생 중 이웃하는 남학생을 선택하면
여 남
번호에 의해 위치는 정해진다.
확률과 통계
이때 경우의 수는
C2
23 3
여 여
이 각각에 대하여 나머지 남학생 1명이 위치하는
4!
P2_ =3Û`_4=36 ④ 경우의 수는 남
3
3!
2
이 각각에 대하여 여학생 3명을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3!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24 3C2_2_3!=3_2_6=36
동전 1개를 던질 때, 앞면, 뒷면이 나올 확률은 모두 ;2!;이다. Ü 남학생 3명이 모두 서로 이웃하는 경우 남
남학생 3명은 번호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다.
또 주사위 1개를 던질 때, 짝수의 눈, 홀수의 눈이 나올 확률은 모두 ;2!;이다. 그러므로 여학생 3명만 나열하면 되므로
여 남

따라서 앞면이 나온 동전의 개수와 짝수의 눈이 나온 주사위의 개수의 합이 3의 경우의 수는


약수인 경우는 1과 3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3!=6

C1{;2!;}1`{;2!;}4`+5C3{;2!;}3`{;2!;}2`=5_{;2!;}5`+10_{;2!;}5`=;3!2%;
여 남
Ú, Û, Ü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5 ②

12+36+6=54 ③
참고
동전에서 앞면이 나온 개수와 주사위에서 짝수의 눈이 나온 개수를 나누어 구하
면 다음과 같다.

(3C1_2C0+3C0_2C1)_{;2!;}5`+(3C3_2C0+3C2_2C1+3C1_2C2)_{;2!;}5`=;3!2;%
27
16개를 임의추출하여 얻은 표본평균을 x1이 Ó 라 하면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r r
x1-
Ó 1.96_ ÉmÉx1Ó+1.96_
'1Œ6 '1Œ6
r r
25 x1-Ó 1.96_ ÉmÉx1Ó+1.96_
4 4
선택한 3장의 카드에 적혀 있는 세 수의 곱이 짝수인 사건을 A, 카드에 적혀 있 이때 신뢰구간이 49.51ÉmÉ50.49이므로
는 숫자의 합이 7인 사건을 B라 하자. r
x1- Ó 1.96_ =49.51 yy ㉠
4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은 3장의 카드에 적혀 있는 수가 모두 홀수일 사건의 여사
r
건이고, 카드에 적혀 있는 수가 홀수인 것은 1, 1, 3, 3이므로 x1+ Ó 1.96_ =50.49 yy ㉡
4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 23. 4. 6. 오후 2:13


한편, n개를 임의추출하여 얻은 표본평균을 x2라 Ó 하면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y
r r
x2-Ó 1.96_ ÉmÉx2Ó+1.96_
'Œn 'Œn ;3@; y=f(x)

이때 신뢰구간이 aÉmÉb이므로
r O 2 3 x
x2- Ó 1.96_ =a
'Œn
r
x 2+ Ó 1.96_
'Œn
=b 함수 g(x)=k_f(x)+;6!;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r
그러므로 b-a=2_1.96_ y=k_f(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Œn
이때 b-aÉ;2!;이므로 y

r
2_1.96_ É;2!; yy ㉢ ;3@;k
'Œn
y=k_f(x)

한편, ㉡에서 ㉠을 변끼리 빼면


O 2 3 x
r
2_1.96_ =0.98
4
y
r=1
이 값을 ㉢에 대입하면 ;3@;k+;6!; y=g(x)
1
2_1.96_ É;2!;, 'Œn¾7.84, n¾7.84Û`
'Œn ;6!;
n¾61.4656 O 2 3 x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62이다. ②


이때 0ÉxÉ3에서 네 직선 y=;6!;, y=0, x=0, x=3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이는

;6!;_3=;2!;

그러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와 직선 y=;6!;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2!;이


28
어야 한다.
P(A'B)=P(A)+P(B)-P(A;B)
이때 사건 A는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짝수인 사건이므로 즉, ;2!;_3_[{;3@;k+;6!;}-;6!;]=;2!;에서 k=;2!;

P(A)=;2!; 그러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또 사건 B는 주머니에서 꺼낸 공에 적혀 있는 모든 수의 합이 7인 사건이므로 다
음 각 경우로 나눌 수 있다. ;2!;
y=g(x)
Ú 주사위의 눈이 짝수인 경우
;6!;
짝수의 눈이 나올 확률은 ;2!; O 2 3 x

이때 두 수의 합이 7인 경우는 공에 적혀 있는 수가 2, 5 또는 3, 4이므로 이


때의 확률은 0ÉxÉ2에서 g(x)=;6!;x+;6!;이므로
2
;2!;_ =;1Á0; P(aÉYÉ2k)=P{;3@;ÉYÉ1}
5C2

Û 주사위의 눈이 홀수인 경우
=;2!;_{1-;3@;}_[{;9!;+;6!;}+{;6!;+;6!;}]
홀수의 눈이 나올 확률은 ;2!;
=;2!;_;3!;_;1!8!;=;1Á0Á8;
이때 세 수의 합이 7인 경우는 공에 적혀 있는 수가 1, 2, 4이므로 이때의 확
따라서 p=108, q=11이므로
률은
1 p+q=108+11=119  119
;2!;_ =;2Á0;
5C3

Ú, Û에서 P(B)=;1Á0;+;2Á0;=;2£0;

또 A;B인 사건은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짝수이고, 주머니에서 꺼낸


공에 적혀 있는 수가 2, 5 또는 3, 4인 경우이므로 30
1 2 1
P(A;B)= _ = x1<x2<x3이므로 3Éx3É6
2 5C2 10
따라서 구하는 학률은 또 조건 (가)에서 f(x1)<f(x2)<f(x3)이므로 3Éf(x3)É5
P(A'B)=P(A)+P(B)-P(A;B) x£+f(x£)É11이고, 조건 (나)에서 x3+f(x3)의 값이 3의 배수이므로
x3+f(x3)의 값이 6, 9인 경우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2!;+;2£0;-;1Á0;=;2!0!; ④
Ú x3+f(x3)=6일 때
x3=3이고 f(x3)=3 X Y
1
이때 x1, x2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1 1
2

2
이 각각에 대하여 f(x1)<f(x2)<f(x3)을 만족시 3
3
4
키는 f(x1), f(x2)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1 4
5
5
6
29 이 각각에 대하여 f(x3)>f(x4)¾f(x5)¾f(x6)을
만족시키는 f(x4), f(x5), f(x6)의 값을 정하는 경
확률밀도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1이어야 하
우의 수는 2H3
므로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2!;_3_a=1, a=;3@;
1_1_2H3=2+3-1C3=4C1=4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 23. 4. 6. 오후 2:13


Û x3+f(x3)=9일 때
25
(x3=4이고 f(x3)=5) 또는 (x3=5이고 f(x3)=4) 또는 
곡선 y=xex과 직선 y=-x+t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방정식
(x3=6이고 f(x3)=3)
xex=-x+t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이다.
① x3=4이고 f(x3)=5일 때
t=xex+x   yy ㉠
x1, x2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3C2 X Y
1 t=0일 때,
이 각각에 대하여 f(x1)<f(x2)<f(x3)을 만족 1
2 xex+x=0, x(ex+1)=0

2
시키는 f(x1), f(x2)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 3
3
4 x=0
는 4C2 5
4
5 ㉠의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이 각각에 대하여  6
d dx
f(x3)>f(x4)¾f(x5)¾f(x6)을 만족시키는 1= (xex+x)_
dx dt
f(x4), f(x5), f(x6)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4H3 dx
1=(ex+xex+1)_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dt
dx 1
C2_4C2_4H3=3C2_4C2_4+3-1C3=3C1_4C2_6C3  = x
3 dt e +xex+1
=3_6_20=360 따라서 이 식에 x=0을 대입하면
② x3=5이고 f(x3)=4일 때
f '(0)=;2!; ②
x1, x2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4C2 X Y
1
이 각각에 대하여 f(x1)<f(x2)<f(x3)을 만족 1
2

2
시키는 f(x1), f(x2)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 3
3
4
는 3C2 5
4
5
이 각각에 대하여  6

f(x3)>f(x4)¾f(x5)¾f(x6)을 만족시키는 26
f(x4), f(x5), f(x6)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3H3 함수 y=ln(x+1)의 그래프는 함수 y=ln`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4 C2_3C2_3H3=4C2_3C2_3+3-1C3=4C2_3C1_5C3  또 함수 y=ln`2x는 y=ln`x+ln`2이므로 함수 y=ln`2x의 그래프는
=4C2_3C1_5C2=6_3_10=180 함수 y=ln`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ln`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③ x3=6이고 f(x3)=3일 때 이때 두 함수 y=ln`(x+1), y=ln`2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x1, x2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5C2 X Y ln`(x+1)=ln`2x
1 x+1=2x, x=1
이 각각에 대하여 f(x1)<f(x2)<f(x3)을 만족 1
2

2
시키는 f(x1), f(x2)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 3
3
y
y=ln 2x
4
는1 4
5
5 y=ln (x+1)
이 각각에 대하여  6

f(x3)>f(x4)¾f(x5)¾f(x6)을 만족시키는
f(x4), f(x5), f(x6)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2H3
O 1 x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2!;
5 C2_1_2H3=5C2_2+3-1C3=5C2_4C3 
=5C2_4C1=10_4=40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S=:)1 ln(x+1)dx-: 1 ln`2x`dx


①, ②, ③에서 경우의 수는 360+180+40=580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580=584  584 ;2!;

=:!2 ln`x`dx-: 1 (ln`x+ln`2)dx


;2!;

=:!2 ln`x`dx-: 1 ln`x`dx-: 1 ln`2`dx


;2!; ;2!;

=[[x`ln`x]2!-:!2 1`dx]-[[x`ln`x]1 -: 1 1`dx]-: 1 ln`2`dx


;2!; ;2!; ;2!;
미적분
={(2`ln`2-0)-1}-[{0-;2!;`ln`;2!;}-;2!;]-;2!;`ln`2
23
:) cos`x(1+tan`x)dx=:) (cos`x+sin`x)dx=[sin`x-cos`x])
;4Ò; ;4Ò; ;4Ò; =ln`2-;2!; ①

'2 '2
={ - }-(0-1)=1 ①
2 2

27
∠PAB=h이므로 ∠POB=2h
24 그러므로
sin`2h
3n_2-n-1 3n_2-n-1_("Ã4n+3n+2n) f(h)=;2!;_1_1_sin`2h=    yy ㉠
lim =lim 2
n`Ú¦ "Ã4 +3 -2
n n n n`Ú¦ ("Ã4n+3n-2n)("Ã4n+3n+2n)
C
3n_2-n-1_("Ã4n+3n+2n) g(h)
=lim
n`Ú¦ 3n
P
"Ã4n+3n+2n
=lim
2_2n D

®É1+{ }n`+1
n`Ú¦

3 f(h)
h 2h
4 h 2h
=lim =;2@;=1 ① A
O
B
n`Ú¦ 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8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8 23. 4. 6. 오후 2:13


한편, g(h)=;2!;_DPÓ_CDÓ이므로 두 선분 DP, CD의 길이를 구하면 다음과 이때 직각삼각형 E1H2D1에서 점 H2는 선분 D1F1의 중점이고, F1D1Ó=2이므로

같다. H2D1=
Ó 1
㉡으로부터
Ú 선분 DP의 길이
E1H2Ó=¿¹D1E1Ó Û`-D1H2Ó Û`="Ã3xÛ`-1 yy ㉣
p
∠APB= 이므로 직각삼각형 PAB에서
2 ㉢, ㉣에서 D1H1Ó=E1H2Ó이므로
APÓ=ABÓ`cos`h=2`cos`h yy`㉠ '3
x="Ã3xÛ`-1
p 2
또 PBÓ=PCÓ에서 ∠CAP=h이고, ∠ACB= 이므로
2
양변을 제곱하면 ;4#;xÛ`=3xÛ`-1
직각삼각형 CAB에서
ACÓ=ABÓ`cos`2h=2`cos`2h ;4(;xÛ`=1, x=;3@;`(x>0)
이때 직각삼각형 ADC에서
'3 '3
ADÓ=ACÓ`cos`h=2`cos`2h_cos`h  이때 E1H2=
Ó _;3@;= 이므로
2 3
=2`cos`h`cos`2h yy`㉡ '3 '3
S1=;2!;_DÕ1F1Ó_EÕ1H2Ó=;2!;_2_ =
그러므로 ㉠, ㉡에서 3 3
DPÓ=APÓ-ADÓ=2`cos`h(1-cos`2h) 한편, 호 A2B2가 선분 D1F1과 접하는 점을 H3이라 하면 OA2=
Ó OH3이
Ó 고, 삼각
Û 선분 CD의 길이 p
형 OD1H3은 ∠OD1H3= 인 직각삼각형이다.
3
ACÓ=2`cos`2h이므로 직각삼각형 ADC에서
FÁ CÁ
CDÓ=ACÓ`sin`h=2`cos`2h`sin`h BÁ
Ú, Û에서 EÁ

g(h)=;2!;_DPÓ_CDÓ H£

=;2!;_2`cos`h(1-cos`2h)_2`cos`2h`sin`h
O Aª DÁ AÁ
=2`cos`h`sin`h`cos`2h(1-cos`2h)

따라서
g(h) 2`cos`h`sin`h`cos`2h(1-cos`2h) 이때 OD1= Ó AÕ1D1Ó=2-;3@;=;3$;
Ó OA1-
lim = lim
hÛ`_f(h) h`Ú0+ sin`2h
'3 2'3
h`Ú0+
hÛ`_ p
2 그러므로 OH3=
Ó OD1_
Ó sin` =;3$;_ =
3 2 3
sin`h(1-cos`2h)
=4_ lim cos`h`cos`2h_ lim 2'3
h`Ú0+ h`Ú0+ hÛ`_sin`2h 즉, OA2Ó= 이므로
3
sin`h(1-cos`2h)(1+cos`2h)
=4_1_ lim
h`Ú0+ hÛ`_sin`2h(1+cos`2h) OA1Ó`:`OA2Ó=2`:`;3@;'3

=4 lim
sin`h_sinÛ``2h '3
hÛ`_sin`2h(1+cos`2h) OA1Ó`:`OA2Ó=1`:`
h`Ú0+ 3

}2`=;3!;인 등비수열의 첫째
sin`h_sin`2h '3 '3
=4 lim 따라서 수열 {Sn}은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
h`Ú0+ hÛ`(1+cos`2h) 3 3
sin`h sin`2h 1 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므로
=4 lim 2{ _ }_ lim
h`Ú0+ h 2h h`Ú0+ 1+cos`2h
'3
3 '3
=4_2_;2!;=4 ④ lim Sn= =  ②
1-;3!;
n`Ú¦ 2

28
p 29
:)2 e f(x)f '(x)dx=0
삼각형 OA1C1에서 ∠C1OA1= 이므로 삼각형 OA1C1은 한 변의 길이가 2인
3
정삼각형이다.
p dt
이때 A1E1Ó=2x라 하면 직각삼각형 E1D1A1에서 ∠D1A1E1= 이므로 이때 f(x)=t라 하면 f '(x)= 이므로
dx

:)2 e f(x)f '(x)dx=: etdt=[et]


3
p f(2) f(2)
A1D1=
Ó A1E1`Ó cos` =2x_ ;2!;=x yy ㉠
3 f(0) f(0)

p '3 =e f(2)
-e f(0)
=0
E1D1=
Ó A1E1`Ó sin` =2x_ ='3x yy ㉡
3 2 f(2) f(0)
즉, e =e 이므로 f(2)=f(0)
FÁ CÁ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므로

f(x)=x(x-2)+k (단, k는 상수)   yy ㉠

라 하면

x<1에서 f '(x)<0, x>1에서 f '(x)>0

:)2 e f(x)_| f '(x)|dx=:)1 e f(x)_{-f '(x)}dx+:!2 e f(x)_f '(x)dx


O DÁ AÁ

=-[e f(x)]1)+[e f(x)]2!


또 점 D1에서 선분 A1C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1이라 하면


=-{e f(1)-e f(0)}+{e f(2)-e f(1)}
㉠으로부터 직각삼각형 A1H1D1에서
=e f(0)+e f(2)-2e f(1)
p '3 '3
D1H1=
Ó A1D1`Ó sin` =x_ = x yy ㉢ =2e f(0)-2e f(1)
3 2 2
한편, 두 선분 A1C1, D1F1이 평행하고, 삼각형 D1E1F1이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이 값이 2e f(0)-2eÛ`과 같아야 하므로
점 E1에서 선분 D1F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2라 하면 2e f(0)-2e f(1)=2e f(0)-2eÛ`, 2e f(1)=2eÛ`, e f(1)=eÛ`
E1H2Ó ⊥ A1C1Ó f(1)=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9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9 23. 4. 6. 오후 2:13


㉠에서 f(1)=-1+k=2, k=3 그러므로 f(x)=xÜ`-;2#;xÛ`+1
f(x)=x(x-2)+3
한편, k=1이므로 p`sin`(ap)=1인 a가 열린구간 {0, ;2!;}에서 존재하기 위해
따라서 f(6)=24+3=27  27
서는 자연수 p는 p¾2
그러므로 p의 최솟값은 2이다.
따라서 m+f(2)=2+(8-6+1)=5 5

30
g(x)=f(p`sin`(px))에서
g'(x)=f '(p`sin`(px))_pp`cos`(px) yy ㉠
한편, 조건 (가)에서 함수 g(x)가 x=0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기하
g'(0)=0
㉠에서 g'(0)=f '(0)_pp=0
23
즉, f '(0)=0 yy ㉡
점 A(1, 2, -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B이므로
또 극값이 1이므로 g(0)=1에서
B(1, -2, 2)
f(0)=1 yy ㉢
또 점 A(1, 2, -2)를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C이므로
또 조건 (가)에서 함수 g(x)가 x=a`{0<a<;2!;}에서도 극값을 가지므로 C(-1, 2, -2)
따라서
g'(a)=0`{0<a<;2!;}
BCÓ="Ã{(-1)-1}Û`+{2-(-2)}Û`+{(-2)-2}Û`
이때 ㉠에서
='Ä4+16+16=6 ③
g'(a)=f '(p`sin`(ap))_pp`cos`(ap)=0
이때 pp`cos`(ap)+0이므로
f '(p`sin`(ap))=0 yy ㉣
위에서 p`sin`(ap)=k`(0<k<p)라 하면 방정식 p`sin`(px)=k`(0<x<2)
24
의 실근은 함수 y=p`sin`(px)의 그래프가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aø=(1, 2), bø=(-2, 1)이므로
x=a 또는 x=1-a aø+2bø=(1, 2)+2(-2, 1)=(-3, 4)
한편, 방정식 f '(x)=0은 이차방정식이고, ㉡에서 f '(0)=0이므로 ㉠에서 방 따라서
정식 f '(p`sin`(px))=0`(0<x<2)의 실근은 (1, 2)º(-3, 4)
cos`h=
x=a 또는 x=1-a 또는 x=1 "Ã1Û`+2Û`_"Ã(-3)Û`+4Û`
또 ㉠에서 열린구간 (0, 2)에서 방정식 pp`cos`(px)=0의 근은 1_(-3)+2_4 1 '5
= = =  ⑤
5'5 '5 5
x=;2!; 또는 x=;2#;

한편,
g(1-a)=f(p`sin`(p(1-a)))=f(p`sin`(pa))=g(a)

g{;2#;}=f {p`sin`{;2#;p}}=f(-p)<0 25
이므로 열린구간 (0, 2)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xÛ` yÛ`
+ =1에서 초점 F의 좌표는 (-"ÃaÛ`-4, 0)
y aÛ` 4
또 점 A의 좌표는 (0, 2)
y=g(x)
그러므로 직선 FA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1
2
m=    yy ㉠
y=;2!; "ÃaÛ`-4
;2#;
한편, 기울기가 m인 접선 중 y절편이 양수인 접선의 방정식은
O a 1 2 x
;2!;
y=mx+"ÃaÛ`mÛ`+4
1-a
이때 이 직선이 y축과 만나는 점 C의 좌표는
(0, "ÃaÛ`mÛ`+4)
이때 FAÓ`:`BCÓ=1`:`2이므로 원점을 O라 하면
OAÓ`:`OCÓ=1`:`2, 2`:`"ÃaÛ`mÛ`+4=1`:`2
이때 열린구간 (0, 2)에서의 방정식 g(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이
"ÃaÛ`mÛ`+4=4
구간에서의 곡선 y=g(x)와 직선 y=;2!;의 교점의 개수이고, 조건 (나)에서 서 양변을 제곱하면
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4이므로 그림과 같아야 한다. aÛ`mÛ`+4=16, aÛ`mÛ`=12
㉠을 이 식에 대입하면
g(a)=;2!;이므로
4
aÛ`_ =12
aÛ`-4
f(p`sin`(pa))=;2!; yy ㉤
aÛ`=3aÛ`-12, aÛ`=6
한편, ㉡, ㉣에서 f '(0)=0, f '(p`sin`(pa))=f '(k)=0이므로
따라서 a='6 ②
f '(x)=3x(x-k)

f(x)=:`f '(x)dx=:`(3xÛ`-3kx)dx

=xÜ`-;2#;kxÛ`+C (단, C는 적분상수)


26
㉢에서 f(0)=1이므로 f(x)=xÜ`-;2#;kxÛ`+1
두 벡터 aø=(1, 1), bø=(5, 1)이므로 원점 O에 대하여 OA³=aø, OB³=bø라 하면
kÜ`
㉤에서 f(k)=;2!;이므로 - +1=;2!;, k=1 aø+bø
=OC³인 점 C는 선분 AB의 중점이다.
2 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0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0 23. 4. 6. 오후 2:13


y y
yÛ =4x

1 A C B
P

O 1 3 5 x
(y-a)Û =4px
aø+bø
그러므로 (pø-aø) º {pø- }=0에서 OP³=pø라 하면 점 P는 선분 AC를 지
2
O Hª Fª x
름으로 하는 원 위의 점이다.

qø=(1-t)aø+tbø=aø+(bø-aø)t=OA³+tAB³ 이때 PH1Ó`:`F2H2Ó=1`:`4이므로

이므로 OQ³=qø인 점 Q는 직선 AB 위의 점이다. (x1-p)`:`(1-x1)=1`:`4

그러므로 pø=qø인 점 P의 좌표는 (1, 1) 또는 (3, 1)이다. 4x1-4p=1-x1

따라서 |pø|의 값은 '2 또는 '1Œ0이므로 모든 값의 곱은 2'5이다. ⑤ 5x1=4p+1 yy ㉡


㉠과 ㉡을 각 변끼리 더하면

8x1=2, x1=;4!;

이 값을 ㉡에 대입하면
27
점 A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A',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 ;4%;=4p+1, p=;1Á6;
을 H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A'HÓ ⊥ BCÓ
한편, x1=;4!; 을 yÛ`=4x에 대입하면
A
y=1
a
;3Ò; A' 그러므로 P{;4!;, 1}
B C 또 F1H1`Ó :`PH2=
Ó 1`:`4이므로
H
(a-1)`:`1=1`:`4, 4a-4=1
직각삼각형 ABA'에서
a=;4%;
p '3
AA'Ó=ABÓ_sin` =2_ ='3
3 2 따라서 a+p=;4%;+;1Á6;=;1@6!; ①
p
BA'Ó=ABÓ_cos` =2_;2!;=1
3
이때 ACÓ=x라 하면 직각삼각형 AA'C에서
A'CÓ=¿¹ACÓ Û`-AA'Ó Û`="ÃxÛ`-3
직각삼각형 A'BC에서 BCÓ=3이므로
29
BCÓ Û`=A'BÓ Û`+A'CÓ Û`
(OP³+OQ³) º OA³-(OP³+OQ³) º OC³
3Û`=1Û`+("ÃxÛ`-3)Û`, 9=1+(xÛ`-3)
=(OP³+OQ³) º (OA³-OC³)
xÛ`=11, x='1Œ1
=(OP³+OQ³) º CA³ yy ㉠
이때 직각삼각형 A'BC에서
이때 점 R를 OQ³=PR³가 되도록 잡으면
A'CÓ=¿¹('1Œ1)Û`-('3)Û`=2'2이므로
OP³+OQ³=OP³+PR³=OR³
;2!;_A'BÓ_A'CÓ=;2!;_BCÓ_A'HÓ 그러므로 OP³+OQ³의 종점이 나타내는 점 R는 네 점 A, B, D(2, 2), E(0, 4)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경계 또는 내부이다.
;2!;_1_2'2=;2!;_3_A'HÓ
y
2'2
A'HÓ= E 4
3
그러므로 직각삼각형 A'BH에서

}2`=;3!;
2 R
BHÓ=¿¹A'BÓ Û`-A'HÓ Û`=¾¨1Û`-{
2'2 B D
3
Q P
따라서 두 직선 AB, BH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h이므로
2
;3!; O A x
BHÓ
cos`h= = =;6!; ① C -1
ABÓ 2

한편, CA³=(2, 0)-(0, -1)=(2, 1)


이때 F(2, 1)이라 하면 CA³=OF³
28 y
포물선 (y-a)Û`=4px는 포물선 yÛ`=4px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E 4
것이므로
F1(p, a) 2 R
B D
한편, 점 P의 x좌표를 x1이라 하면
P
F1PÓ=x1+p, F2PÓ=x1+1이므로 Q F
2
F1PÓ`:`F2PÓ=1`:`4에서 x
O A
(x1+p)`:`(x1+1)=1`:`4, 4x1+4p=x1+1 C -1
3x1=-4p+1 yy ㉠
또 점 F1을 지나고 y축과 평행한 직선과 점 P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만
나는 점을 H1,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2라 하면 두 직각삼각형 이때 직선 OF의 방정식은 y=;2!;x, 즉 x-2y=0이고,

F1H1P, PH2F2는 닮은 삼각형이다. |OF³|="Ã2Û`+1Û`='5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1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1 23. 4. 6. 오후 2:13


또 ㉠은 양변을 제곱하면
(OP³+OQ³)º CA³=OR³ º OF³ yy ㉡ aÛ`+6a+9=4aÛ`-36, 3aÛ`-6a-45=0
그러므로 점 R에서 직선 OF에 내린 수선의 발을 R'이라 하면 두 벡터 OR³, OF³ aÛ`-2a-15=0, (a-5)(a+3)=0
p a=5`(a>0)
가 이루는 각은 보다 작으므로 ㉡은
2
한편, 두 삼각형 CAD, CDB가 서로 합동이므로 점 A에서 선분 CD에 내린 수
OR³ º OF³=OR'Ó_OFÓ yy ㉢
선의 발을 H2라 하면 점 B에서 선분 AD에 내린 수선의 발도 Hª이고,
이때 점 R가 점 B일 때, ㉢은 최소이다.
∠AH2B=p-h
점 B(0, 2)와 직선 x-2y=0 사이의 거리는
z
|0-2_2| 4
=
"Ã1Û`+(-2)Û` '5 C

점 B에서 직선 OF에 내린 수선의 발을 B'이라 하면


OB'Ó=¿¹OBÓ Û`-BB'Ó Û`

}2`=
O'
=®É2Û`-{
4 2
'5 '5 y
O B
그러므로 A Hª
D
2
m=OB'Ó_OFÓ= _'5=2 x
'5
마찬가지로 점 R가 점 D일 때, ㉢은 최대이다. 이때 직각삼각형 AOC에서
이때 점 D(2, 2)와 직선 x-2y=0 사이의 거리는 ACÓ=¿¹OAÓ Û`+OCÓ Û`="Ã6Û`+8Û`=10
|2-2_2| 2
= 또 ACÓ=10, ADÓ=OBÓ=6이므로
"Ã1Û`+(-2)Û` '5
CDÓ=¿¹ACÓ Û`+ADÓ Û`="Ã10Û`+6Û`
점 D에서 직선 OF에 내린 수선의 발을 D'이라 하면
='¶136=2'3Œ4
OD'Ó=¿¹ODÓ Û`-DD'Ó Û`

}2`=
C
=®É(2'2)Û`-{
2 6
'5 '5 hª
그러므로 21334
10
6
M=OD'Ó_OFÓ= _'5=6
'5 Hª
따라서 m_M=2_6=12  12
A D
6

직각삼각형 CAD에서 ∠ACD=h2라 하면


ADÓ 6 3
sin`h2= = =
CDÓ 2'3Œ4 '3Œ4
그러므로 직각삼각형 CAH2에서
30 AH2=
Ó ACÓ`sin`h2
평면 a가 z축과 만나는 점을 C, 두 평면 a, b의 교선이 xy평면과 만나는 점을 3 30
=10_ =
D, 구 S의 중심을 O'이라 하자. '3Œ4 '3Œ4
z Hª
30 30
;;;;;;;;;
;;;;;;;;; p-h 1434
C 1434

A B
612
O'
또 삼각형 ABH2에서 ABÓ=6'2이므로
O B y H AÓ Û`+H2BÓ Û`-ABÓ Û`
A cos`(p-h)= 2
2_H2AÓ_H2BÓ

}2`+{ }2`-(6'2)Û`
D
30 30
{
x
'3Œ4 '3Œ4
이때 평면 a와 구 S를 zx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다음과 같다. =
30 30
2_ _
z '3Œ4 '3Œ4
900 900
+ -36_2
34 34
C =
900
2_
HÁ 34
3
O' 900
2_ -36_2
34
=
x A O 900
2_
34
선분 AC와 구가 접하는 점을 H1이라 하자.
100 25
-4 -1
직각삼각형 O'CH1에서 ∠O'CH1=h1이라 하고, O'CÓ=a라 하면 34 34
= = =-;2»5;
Ó "ÃaÛ`-9이므로
CH1= 100 25
34 34
H1O'Ó 3
tan`h1= = yy ㉠
CH1Ó "ÃaÛ`-9 즉, -cos`h=-;2»5;이므로 cos`h=;2»5;
또 직각삼각형 CAO에서 따라서 p=25, q=9이므로
AOÓ 6 p+q=34  34
tan`h1= = yy ㉡
COÓ a+3
㉠과 ㉡이 같아야 하므로
3 6
= , a+3=2"ÃaÛ`-9
"ÃaÛ`-9 a+3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2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1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2 23. 4. 6. 오후 2:13


EBS FINAL 수학영역 05
2 회
본문 21~38쪽
4|sin`h|-sin`h=4   yy ㉠
sin`h¾0이라 하면 ㉠은
01 ⑤ 02 ⑤ 03 ③ 04 ④ 05 ④
3`sin`h=4
06 ② 07 ② 08 ② 09 ⑤ 10 ①
sin`h=;3$;
11 ② 12 ① 13 ⑤ 14 ④ 15 ①
16 24 17 8 18 12 19 5 20 100 -1Ésin`hÉ1이므로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h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sin`h<0이라 하면 ㉠은
21 4 22 17
-5`sin`h=4
확률과 통계 23 ⑤ 24 ③ 25 ② 26 ②
sin`h=-;5$;
27 ⑤ 28 ① 29 61 30 864
미적분 23 ② 24 ② 25 ② 26 ① 이때 sin`h<0이고 tan`h<0이므로`h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따라서
27 28 29 30
cos`h="Ã1-sinÛ``h=¾¨1-{-;5$;}2`=;5#;
① ⑤ 27 20
기하 23 ② 24 ② 25 ③ 26 ② ④
27 ④ 28 ④ 29 16 30 108

01 06
log'7`14+log;7!;`4=log7 `14+log7 `4
;2!; -1
219Ön의 n제곱근은 x에 대한 방정식 xn=219Ön의 근이다.
=2`log7`14-log7`4 이때 x의 값이 자연수이기 위해서는
=log7(2_7)Û`-log7`4 n=2k`(단, k는 자연수)
4_7Û` Ú k=1일 때
=log7`
4
xÛ`=219Ö21, xÛ`=218, x=29
=log7`7Û`=2 ⑤
이때의 자연수 x의 값은 29이다.
Û k=2일 때
xÝ`=219Ö2Û`, xÝ`=217
이때 자연수 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02 Ü k=3일 때
x8=219Ö2Ü`, x8=216, x=2Û`
x`Ú-1일 때, |x|`Ú1이므로
이때의 자연수 x의 값은 22이다.
|x|+1 x`Ú-1 lim |x|+ lim 1
Ý k=4일 때
x`Ú-1
lim =
x`Ú-1 x+2 lim x+ lim 2
x`Ú-1 x`Ú-1
x16=219Ö2Ý`, x16=215
1+1
= =2 ⑤ 이때 자연수 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1)+2
Þ k¾5일 때
자연수 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Ú~Þ에서 서로 다른 자연수 n의 값은 2, 8이므로 모든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10이다. ②
03
:_@ (3xÛ`+'3x)dx+:`2 `(3xÛ`+'3x)dx
'2

'2

=:_2@`(3xÛ`+'3x)dx
07
=:_2@`3xÛ`dx+:_2@`'3x`dx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Á a2n-1=341에서
5

=2:)2 3xÛ`dx+0 n=1

=2[xÜ`]2)=2_8=16
a+arÛ`+arÝ`+arß`+ar¡`=341 yy ㉠

또 Á a2n=682에서
③ 5

n=1

ar+arÜ`+arÞ`+arà`+ará`=682 yy ㉡
㉡을 ㉠으로 변끼리 나누면
r=2
04 이 값을 ㉠에 대입하면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자. 1_(4Þ`-1)
a(1+2Û`+2Ý`+2ß`+2¡`)=341, a_ =341
4-1
a1+a4=7, a2+a5=13에서
341a=341, a=1
a2+a5=
 a1+a4+2d 
따라서 a2=1_2=2 ②
=7+2d=13
그러므로 d=3
이때 a1+a4=7에서
a1+a4=
 a1+a1+3d 
=2a1+9=7 08
a1=-1 2x-2a+f(a) (x<a)
함수 y=[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려면
따라서 a7=(-1)+6_3=17 ④ f(x) (x¾a)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3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3 23. 4. 6. 오후 2:13


p
x=a에서 직선 y=2x-2a+f(a)와 곡선 y=f(x)가 접해야 한다. f{ }=-2+a
2
f(x)=;3!;xÜ`+;2!;xÛ`에서 이 값이 3이어야 하므로
f '(x)=xÛ`+x -2+a=3, a=5
이때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그러므로
x p
aÛ`+a f(x)=-2`sin`{ + }+5
2 4
이 값이 2이어야 하므로
aÛ`+a=2, (a+2)(a-1)=0 f {;2#;p}=-2`sin`p+5=5

f {;2%;p}=-2`sin`;2#;p+5=7
a=-2 또는 a=1
그러므로 모든 a의 값의 합은
이고, 0ÉxÉb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이 6이므로
(-2)+1=-1 ②
;2#;p<b<;2%;p

이때 b=;2#;p+b'`(0<b'<p)라 하면
b' p
+ }+5
f(b)=f {;2#;p+b'}=-2`sin`{;4#;p+
09 2 4
b' b'
|(x-1){ f(x)-k}|=|xÛ`+x-2|에서 =-2`sin`{p+ }+5=2`sin` +5=6
2 2
(x-1){ f(x)-k}=Ñ(xÛ`+x-2) b'
그러므로 sin` =;2!;
(x-1){ f(x)-k}=Ñ(x+2)(x-1) 2
b' p
x+1일 때, 이때 0<b'<p에서 0< < 이므로
2 2
f(x)=Ñ(x+2)+k b' p p
= , b'=
한편,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최솟값을 가지므로 2 6 3
-(x+2)+k (x<-2) 그러므로
f(x)=[
x+2+k (x¾-2, x+1) p
b=;2#;p+b'=;2#;p+ =;;Á6Á;;p
이때 함수 f(x)의 최솟값은 1이므로 f(-2)=1에서 3
k=1 따라서 a=5, b=;;Á6Á;;p이므로
그러므로
a_b=;;°6°;;p ①
-x-1 (x<-2)
f(x)=[
x+3 (x¾-2, x+1)
이때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f(1)=lim`f(x)=lim (x+3)=4
x`Ú1 x`Ú1

따라서 k+f(1)=1+4=5 ⑤
11
함수 y=xÜ`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고,
두 직선 y=-x+k, y=-x-k는 서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러므로 두 함수 y=xÜ`, y=-x-k의 그래프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10 이와 두 함수 y=xÜ`, y=-x+k의 그래프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x p
f(x)=2`sin`{- - }+a 같다.
2 4
p 이때 A=B이므로
=-2`sin`{;2!;{x+ }}+a
:)2 {xÜ`-(-x+k)}dx=0
2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2`sin`;2!;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
p 즉, [;4!;xÝ`+;2!;xÛ`-kx]2)=0이므로
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
4+2-2k=0, -2k=-6
x p
이때 함수 y=2`sin`;2!;x의 주기는 4p이고, 함수 y=-2`sin`{ + }의 그래 따라서 k=3 ②
2 4
프는 그림과 같다.

y
y=-2 sin {;2{;+;4Ò;}

;2Ò; ;2&;p
O
-;2Ò; ;2#;p ;2%;p
x 12
삼각형 ABC가 한 변의 길이가 3인 정삼각형이고 A
1 1
ADÓ=1, AEÓ=1이므로
D E
DEÓ=1, BDÓ=CEÓ=2
p
Ú 0<b< 일 때 p ;3@;p
2 또 ∠ADE= 이므로 2
p 3
f(0)=-'2+a, f { }=-2+a이므로
2 ∠BDE=;3@;p B C
p
| f { }-f(0)|=2-'2 그러므로 삼각형 BED에서 BEÓ=x라 하면
2
이는 0ÉxÉb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이 6, 최솟값이 3이라는 조건을 만족 xÛ`=DBÓ `Û +DEÓ `Û -2_DBÓ_DEÓ_cos`(∠BDE)
시키지 않는다. =2Û`+1Û`-2_2_1_cos`;3@;p
p
Û b¾ 일 때 =4+1+2=7
2
0ÉxÉb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이므로 x='7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4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4 23. 4. 6. 오후 2:13


삼각형 DBE에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Þ k=10일 때
BEÓ 수열 {an}을 나타내면
=2R이므로
sin`(∠BDE) 1, 2, 4, 8, 16, 11, 6, 12, 7, 14, 9, 18, 13, 8, y
'7 '7 그러므로 a9=7
=2R, =2R
sin`;3@;p '3
2 Ú~Þ에서 a9가 최댓값을 가질 때는 k=8
'7 '2Œ1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따라서 R= =  ①
'3 3 1+2+4+8+3+6+12+7+14+9=66 ④

13 15
조건 (나)에서 x`Ú1일 때, (분모)`Úk`(k+0)이라 하면 ㄱ. Ú 닫힌구간 [0, 1]에서 f(x)¾0일 때
열린구간 (0, 1)에서 | f(x)|>x f(x)이므로

:)1 | f(x)|dx>:)1 x f(x)dx


(분자)`Ú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x`Ú0일 때, (분모)`Ú0이어야 한다.
즉, lim{ f(x)-f(a)}=0
x`Ú1 Û 닫힌구간 [0, 1]에서 f(x)<0일 때
f(1)-f(a)=0 열린구간 (0, 1)에서 | f(x)|>0>x f(x)이므로

:)1 | f(x)|dx>:)1 x f(x)dx


f(1)=f(a)
이때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고, a+1이므로
f(x)=(x-1)(x-a)+b (단, b는 상수) Ü 열린구간 (0, 1)에서 방정식 f(x)=0이 근을 가질 때
f(k)=0`(0<k<1)이라 하고, 직선 y=f(x)의 기울기가 양수라 하면

:)k | f(x)|dx>0>:)k x f(x)dx


로 놓을 수 있다.
한편, 조건 (가)에서 f(1)+f(a)=4이므로

:K1 | f(x)|dx>:K1 x f(x)dx


2b=4, b=2
그러므로 f(x)=(x-1)(x-a)+2
이 식을 조건 (나)에 대입하면 그러므로

:)1 | f(x)|dx>:)1 x f(x)dx


(x-1)f(x) (x-1){(x-1)(x-a)+2}
lim =lim
x`Ú1 `f(x)-f(a) x`Ú1 {(x-1)(x-a)+2}-2
(x-1){(x-1)(x-a)+2} Ú, Û, Ü에서

:)1 | f(x)|dx>:)1 x f(x)dx


=lim
x`Ú1 (x-1)(x-a)
(x-1)(x-a)+2
=lim
x`Ú1 x-a 같은 방법으로 하면 직선 y=f(x)의 기울기가 음수일 때도 등식

:)1 | f(x)|dx=:)1 x f(x)dx


2 2
=lim {x-1+ }= =1
x`Ú1 x-a 1-a
그러므로 a=-1
는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f(x)=(x-1)(x+1)+2이므로
그러므로 n+1이다. (참)
f(2)=1_3+2=5 ⑤
ㄴ. 위의 ㄱ에서 n+1이므로 자연수 n=2, 3, y일 때, 살펴보면 된다.
열린구간 (n-1, n)에서 f(x)+0이라 하면 f(x)>0 또는 f(x)<0이어
야 한다.
Ú 열린구간 (n-1, n)에서 f(x)>0일 때
n이 2 이상의 자연수이므로
14 | f(x)|=f(x)<x f(x)
수열 {an}의 모든 항이 자연수이고 an¾k일 때, an+1=an-5이므로 그러므로

:Nn _! | f(x)|dx<:Nn _!`x f(x)dx


k>5
이때 kÉ10인 자연수이므로 k의 값은
6, 7, 8, 9, 10 Û 열린구간 (n-1, n)에서 f(x)<0일 때

이때 k의 값을 각 경우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n이 2 이상의 자연수이므로

Ú k=6일 때 | f(x)|>xf(x)
그러므로

:Nn _! | f(x)|dx>:Nn _!`x f(x)dx


수열 {an}을 나타내면
1, 2, 4, 8, 3, 6, 1, y
그러므로 a9=4
Ú, Û에 의하여 열린구간 (n-1, n)에서 f(x)+0이면 주어진 등식을 만
Û k=7일 때
족하지 않는다. (거짓)
수열 {an}을 나타내면
ㄷ. 위의 ㄴ에서 n=2일 때 열린구간 (1, 2)에서 f(x)=0인 x가 존재함을 알
1, 2, 4, 8, 3, 6, 12, 7, 2, y
수 있다.
그러므로 a9=2
그러므로 1<k<2인 k에 대하여 f(k)=0이라 하자.
Ü k=8일 때
f(x)=x-k이면

:!2 | f(x)|dx
수열 {an}을 나타내면
1, 2, 4, 8, 3, 6, 12, 7, 14, 9, 4, y
그러므로 a9=14
=:!k (-x+k)dx+:K2 (x-k)dx
Ý k=9일 때
수열 {an}을 나타내면 =[-;2!;xÛ`+kx]k!+[;2!;xÛ`-kx]2K
1, 2, 4, 8, 16, 11, 6, 12, 7, 14, 9, 4, y
그러므로 a9=7 =[-;2!;(kÛ`-1)+k(k-1)]+[;2!;(4-kÛ`)-k(2-k)]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5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5 23. 4. 6. 오후 2:13


={;2!;kÛ`-k+;2!;}+{;2!;kÛ`-2k+2}
18
=kÛ`-3k+;2%; yy ㉠ v(t)=tÛ`-2t이므로 시각 t에서의 위치를 s(t)라 하면

또 s(t)=: v(t)dt=: (tÛ`-2t)dt

:!2 x f(x)dx=:!2 (xÛ`-kx)dx =;3!;tÜ`-tÛ`+C`(단, C는 적분상수)   yy ㉠

=[;3!;xÜ`- xÛ`]2!
k 이때 v(t)=0에서
2
t=0 또는 t=2
=;3&;-;2#;k yy ㉡ 또 점 P가 원점에 있는 시각 t`(t>0)의 값의 개수가 1이므로 v(t)에 따른 s(t)
㉠과 ㉡이 같아야 하므로 를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kÛ`-3k+;2%;=;3&;-;2#;k v(t) v(t)

kÛ`-;2#;k+;6!;=0

6kÛ`-9k+1=0 O 2 t
근의 공식을 이용하면
9Ñ'5Œ7
k=
12 Ú s(t) v(t) Û s(t)
s(t)
이때 1<k<2이므로
9+'5Œ7 2
k=
12 O t
그러므로 O 2 t
9+'5Œ7
f(x)=x-
12
9+'5Œ7
이때 g(x)=m{x- }`(m>0)이라 하면 이때 점 P가 수직선 위의 좌표가 양수인 어떤 점을 출발하였으므로 위의 그림에
12

:!2 |g(x)|dx=:!2 |mf(x)|dx


서 Ú의 경우이다.
즉, s(2)=0이어야 하므로 ㉠에서

=m:!2 | f(x)|dx ;3*;-4+C=0

=m:!2 x f(x)dx C=;3$;

따라서 t=3에서의 점 P의 위치는


=:!2 x_mf(x)dx
s(t)=;3!;tÜ`-tÛ`+;3$;이므로
=:!2 g(x)dx
s(3)=;3$;
그러므로 g(x)도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가 될 수 있다.
따라서 n=2일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는 무수히 많다.  따라서 a=;3$;이므로
 (거짓)
9a=9_;3$;=12  1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이다. ①

16 19
16_4 =8 x x-7
+8 x-7
에서 점 B의 좌표는 (1, 0)
2x x-7
2Ý`_2 =2_8 또 함수 y=log;2!;`(x-m)+n의 그래프는 함수 y=log;2!;`x의 그래프를 x축의
2x+4 x-7
2 =2_(2Ü`)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x+4
2 =23x-20 점 B는 두 함수 y=log2`x, y=log;2!;`x의 그래프의 교점이므로 점 A는 점 B를
따라서 2x+4=3x-20이므로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x=24  24
y
y=logª x

17 O
B C x
y=log;2!; (x-m)+n
f(x)=(x+1)(xÛ`+x+1)-x에서
f '(x)=(xÛ`+x+1)+(x+1)(2x+1)-1 C' y=log;2!; x
이때 f '(0)=1
이때 점 A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BCÓ=6이므로
따라서
`f(x)-f '(0)_f(1) `f(x)-f(1) BHÓ=HCÓ=3
lim =lim 이때 점 A의 좌표는
x`Ú1 x-1 x`Ú1 x-1
=f '(1) (4, log2`4), 즉 (4, 2)
=3+2_3-1 따라서 m=3, n=2이므로
=8 8 m+n=3+2=5 5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6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6 23. 4. 6. 오후 2:13


y
20 y=|f(x)-k|

f(n)_ Á k= Á kÛ`에서
n n

k=1 k=1

n(n+1) n(n+1)(2n+1)
f(n)_ =
2 6
2n+1
f(n)=
3
이때 n을 각 경우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Ú n=3k`(k는 자연수)일 때 O x
2n+1 6k+1
f(n)= = 따라서 정수 k는 -1, -2, -3, -4로 그 개수는 4이다. 4
3 3
=2k+;3!;

그러므로 f(n)은 자연수가 아니다.


Û n=3k-1`(k는 자연수)일 때
22
2n+1 (6k-2)+1
f(n)= = 함수 f(x)가 x=0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함수 f(x)가 x=2a`(a>0)에서 극
3 3
솟값을 갖는다고 하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k-;3!;
y y=f(x)
그러므로 f(n)은 자연수가 아니다.
Ü n=3k-2`(k는 자연수)일 때
2n+1 (6k-4)+1 2a
f(n)= =
3 3 O x
=2k-1
그러므로 f(n)은 자연수이다.
따라서 bi=2i-1이므로

Á bi= Á (2i-1)=2 Á i- Á 1
10 10 10 10

i=1 i=1 i=1 i=1 이때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10_11 f '(x)=3x(x-2a) yy ㉠
=2_ -10=100  100
2
0+2a
함수 f '(x)는 x= , 즉 x=a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2
이때 곡선 y=f(x) 위의 점(a, f(a))에서의 접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을 A, 함
수 y=f(x)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을 B라 하자.
점 B의 y좌표보다 작은 t의 값에서는
21 g(t)=1
f(x)=3xÝ`+4xÜ`-12xÛ`에서 또 점 B의 y좌표보다 크고 점 A의 y좌표보다 작은 t의 값에서는
f '(x)=12xÜ`+12xÛ`-24x  g(t)=3
=12x(x+2)(x-1) 또 점 A의 y좌표보다 큰 t의 값에서는
그러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t)=1
한편, 주어진 조건에서 lim g(t)+ lim g(t)를 만족시키는 p의 값은 1, 2뿐이므로
x y -2 y 0 y 1 y t`Úp+ t`Úp-

f '(x) - 0 + 0 - 0 + A(0, 2), B(0, 1)


f(x) ↘ -32 ↗ 0 ↘ -5 ↗ y y=f(x)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A


y B
y=f(x)
a 2a
-2 O 1 O x
x

-5

한편,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에서


f '(a)=3_a_(a-2a)=-3aÛ`
-32 그러므로 x=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3aÛ`(x-a)+f(a)
함수 y=| f(x)-k|가 극솟값을 갖는 서로 다른 x의 개수가 4이려면 아래 그림 이때 이 직선이 점 (0, 2)를 지나야 하므로
과 같이 -5<k<0인 경우이다. 2=3aÜ`+f(a) yy ㉡
y y=f(x) 한편, ㉠에서
-2 O 1
x f(x)=: f '(x)dx
y=k
-5 =: 3x(x-2a)dx

=: (3xÛ`-6ax)dx

=xÜ`-3axÛ`+C`(단, C는 적분상수)

-32
이때 f(0)=1이므로
f(x)=xÜ`-3axÛ`+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7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7 23. 4. 6. 오후 2:13


f(a)=-2aÜ`+1이므로 ㉡에서
26
2=3aÜ`+(-2aÜ`+1)
3번의 시행에서 공을 꺼내는 경우의 수는
aÜ`=1, a=1
5_5_5C2=250
따라서 f(x)=xÜ`-3xÛ`+1이므로
이때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다.
f(4)=4Ü`-3_4Û`+1=17  17
Ú 세 번째에 뽑은 두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3일 경우
세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1, 2
첫 번째와 두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확률과 통계 1, 2 또는 2, 1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23 1_2=2
Û 세 번째에 뽑은 두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4일 경우
10 12
다항식 x (x+2)Þ`의 전개식에서 x 의 계수는 다항식 (x+2)Þ`의 전개식에서
xÛ`의 계수와 같다. 세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이때 (x+2)Þ`의 일반항은 1, 3
5Cr_x _2 r 5`-r
첫 번째와 두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이때 xÛ`의 항은 r=2일 때이므로 1, 3 또는 3, 1 또는 2, 2
5C2_xÛ`_2Ü`=10_xÛ`_8=80xÛ`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계수는 80이다. ⑤ 3_1=3
Ü 세 번째에 뽑은 두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5일 경우
세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1, 4 또는 2, 3
첫 번째와 두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24 1, 4 또는 4, 1 또는 2, 3 또는 3, 2
a의 개수에 따라 경우를 나누면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Ú a가 포함되지 않는 문자열 2_4=8
b, c 중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4개를 택해 문자열을 만들어야 하므로 경우의 Ý 세 번째에 뽑은 두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6일 경우
수는 세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2 P4=2Ý`=16 1, 5 또는 2, 4
Û a가 1개 포함된 문자열 첫 번째와 두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문자열에 포함된 4개의 문자를 나열하면 1, 5 또는 5, 1 또는 2, 4 또는 4, 2 또는 3, 3
a, b, b, b 또는 a, b, b, c 또는 a, b, c, c 또는 a, c, c, c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2_5=10
4! 4! 4! 4! Þ 세 번째에 뽑은 두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7일 경우
+ + + =4+12+12+4=32
1!3! 1!2!1! 1!1!2! 1!3!
세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2, 5 또는 3, 4
16+32=48 ③
첫 번째와 두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2, 5 또는 5, 2 또는 3, 4 또는 4, 3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2_4=8
ß 세 번째에 뽑은 두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8일 경우
25
세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갑과 을이 처음에 던진 동전의 면이 일치해야 하므로 다음 각 경우로 나눌 수 있다.
3, 5
Ú 갑과 을이 처음 던진 동전이 모두 앞면이 나오는 경우
첫 번째와 두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처음 동전이 모두 앞면이 나오는 확률은
3, 5 또는 5, 3 또는 4, 4
;2!;_;2!;=;4!;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이때 나머지 4개의 동전에서는 2개가 앞면이 나와야 하므로 1_3=3

C2 {;2!;}2`{;2!;}2`=;8#;
à 세 번째에 뽑은 두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이 9일 경우
4
세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그러므로 확률은
4, 5
;4!;_;8#;=;3£2; 첫 번째와 두 번째 시행에서 나오는 두 수는
Û 갑과 을이 처음 던진 동전이 모두 뒷면이 나오는 경우 4, 5 또는 5, 4
처음 동전이 모두 뒷면이 나오는 확률은 그러므로 경우의 수는
1_2=2
;2!;_;2!;=;4!;
Ú~à에서 구하는 확률은
이때 나머지 4개의 동전에서는 4개가 앞면이 나와야 하므로

C4 {;2!;}2`{;2!;}2`=;1Á6;
2+3+8+10+8+3+2 36
=
250 250
4
18
=  ②
그러므로 확률은 125

;4!;_;1Á6;=;6Á4;

Ú, Û에서 구하는 확률은

;3£2;+;6Á4;=;6¦4; ②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8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8 23. 4. 6. 오후 2:13


C1
27 3
= 3 =;2!;
4 C2 4_3
조건 (가)에서 f(1)¾f(3)이므로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2_1
이때 주머니 B에서 임의로 1개의 공을 꺼내어 주머니 C에 넣을 때, 이 공에
Ú Û
적혀 있는 숫자가 1일 확률은

;3!;
m 1 3 x 1 m 3 x
그러므로 이때의 확률은
이때 f(1)Éf(2)이므로 함수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Û가 되어야 한다. ;5@;_;2!;_;3!;=;1Á5;
또 m이 자연수이므로
Ú, Û에서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은
m=2
X-2 P(A)=;2£0;+;1Á5;=;6»0;+;6¢0;=;6!0#;
조건 (나)에서 P(XÉ2+2rÛ`)=0.8413이므로 =Z로 놓으면 확률변수
r
한편, 사건 A;B는 주머니 C에 1개의 공을 넣기 전 주머니 B에 들어 있던 공에
Z는 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적혀 있는 숫자가 1, 5 또는 1, 2, 3이어야 하므로 다음 각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조건 (나)에서 P(XÉ2+2rÛ`)=0.8413이므로 Ü 주머니 C에 1개의 공을 넣기 전 주머니 B에 들어 있던 공에 적혀 있는 숫자
X-2 (2+2rÛ`)-2
P{ É }=0.8413 가 1, 5인 경우
r r
주머니 A에서 처음 꺼낸 공에 적혀 있는 숫자가 1이고, 두 번째로 꺼낸 공에
P(ZÉ2r)=0.8413
적혀 있는 숫자가 5일 확률은
P(ZÉ0)+P(0ÉZÉ2r)=0.8413
0.5+P(0ÉZÉ2r)=0.8413 ;5!;_;4!;=;2Á0;
P(0ÉZÉ2r)=0.3413 주머니 A에서 처음 꺼낸 공에 적혀 있는 숫자가 5이고, 두 번째로 꺼낸 공에
표준정규분포표에서 P(0ÉZÉ1)=0.3413이므로 적혀 있는 숫자가 1일 확률은
2r=1, r=;2!; ;5!;_;4!;=;2Á0;

¦ ¥
따라서 그러므로 주머니 B에 숫자 1, 5가 적혀 있는 공이 들어 있을 확률은
1-2 X-2 3-2
P(1ÉXÉ3)=P É É ;2Á0;+;2Á0;=;1Á0;
;2!; ;2!; ;2!;
이때 주머니 B에서 임의로 1개의 공을 꺼내어 주머니 C에 넣을 때, 이 공에
=P(-2ÉZÉ2)
적혀 있는 숫자가 1일 확률은
=2P(0ÉZÉ2)
=2_0.4772=0.9544 ⑤ ;2!;

그러므로 이때의 확률은

;1Á0;_;2!;=;2Á0;

Ý 주머니 C에 1개의 공을 넣기 전 주머니 B에 들어 있던 공에 적혀 있는 숫자


가 1, 2, 3인 경우
28
주머니 A에서 처음 꺼낸 1개의 공에 적혀 있는 숫자가 2이고, 두 번째로 꺼
주머니 C에 들어 있는 공에 적혀 있는 수가 1일 사건을 A라 하고, 주머니 C에 1
낸 2개의 공에 적혀 있는 숫자가 1, 3일 확률은
개의 공을 넣기 전에 주머니 B에 들어 있던 공에 적혀 있는 모든 수의 합이 6일
C
사건을 B라 하자. ;5!;_ 2 2 =;5!;_;6!;=;3Á0;
4C2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은 다음 각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주머니 B에서 임의로 1개의 공을 꺼내어 주머니 C에 넣을 때, 이 공에
Ú 주머니 A에서 처음 꺼낸 공이 홀수일 때 적혀 있는 숫자가 1일 확률은
주머니 C에 1개의 공을 넣기 전 주머니 B에 숫자 1이 적혀 있는 공이 있어야
;3!;
한다.
그러므로 이때의 확률은
① 주머니 A에서 처음 꺼낸 공에 적혀 있는 숫자가 1이고, 주머니 A에서 1
개의 공을 더 꺼내어 주머니 B에 넣을 확률은 ;3Á0;_;3!;=;9Á0;

;5!;_1=;5!; Ü, Ý에 의하여
1 1 9 2 11
② 주머니 A에서 처음 꺼낸 공에 적혀 있는 숫자가 3, 5 중 1개이고, 이어서 주 P(A;B)= + = + =
20 90 180 180 180
머니 A에서 1이 적혀 있는 1개의 공을 더 꺼내어 주머니 B에 넣을 확률은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5@;_;4!;=;1Á0; 11
P(A;B) 180
P(B|A)= = =;3!9!; ①
①, ②에서 주머니 B에 2개의 공이 들어 있을 확률은 P(A) 13
60
;5!;+;1Á0;=;1£0;

이때 주머니 B에서 임의로 1개의 공을 꺼내어 주머니 C에 넣을 때, 이 공에


적혀 있는 숫자가 1일 확률은

;2!;

그러므로 이때의 확률은 29


r r
;1£0;_;2!;=;2£0; E(XÕ)=m이고, r(XÕ)= =
'4 2
Û 주머니 A에서 처음 꺼낸 공이 짝수일 때 이때 m, r, E(XÕ), r(XÕ)의 서로 다른 값은 3, 5, a`(5<a<10)이므로
주머니 A에서 처음 1개의 공을 꺼낼 때 이 공이 짝수일 확률은 r r
=3 또는 =5
2 2
;5@; r=6 또는 r=10
이때 주머니 A에 남아 있는 4개의 공 중 1이 포함되도록 2개의 공을 꺼낼 확 이때 5<a<10이므로
률은 a=6이고 r=6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19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19 23. 4. 6. 오후 2:13


따라서 m=5이므로 ② | f(0)|, | f(1)|, | f(2)|의 값 중 4를 포함하지 않을 때
E(XÛ`)=V(X)+{E(X)}Û`  | f(0)|, | f(1)|, | f(2)|의 값은 0, 1, 3 또는 0, 2, 2 또는 1, 1, 2이므
=rÛ`+mÛ`=6Û`+5Û`=61  61 로 f(0), f(1), f(2)의 값을 결정하는 경우의 수는
3!+3+3=12
①, ②에서 경우의 수는
6+12=18
이 각각에 대하여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30
1Éf(4)É| f(5)|
f(3)의 값에 따라 각 경우를 나누면 다음과 같다.
③ | f(5)|=4일 때
Ú f(3)=-4일 때
f(4)의 값은 1, 2, 3, 4 중 하나이므로 경우의 수는
조건 (가)에서
4_2=8
| f(0)|+| f(1)|+| f(2)|=1
④ | f(5)|+4일 때
f(0), f(1), f(2)를 결정하는 경우의 수는
f(4), f(5)의 값은 1, 2, 3 중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2개를 택하면 되므로
3 H1=3+1-1C1=3C1=3
경우의 수는
이 각각에 대하여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4_3
4Éf(4)É| f(5)|, 4=f(4)=| f(5)| H2=3+2-1C2=4C2= =6
3
2_1
이므로 f(4), f(5)를 결정하는 경우의 수는 ③, ④에서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1_2=2 8+6=14
그러므로 함수 f의 개수는 그러므로 함수 f의 개수는
3_2=6 18_14=252
Û f(3)=0일 때 Ý f(3)=2일 때
조건 (가)에서 조건 (가)에서
| f(0)|+| f(1)|+| f(2)|=5 | f(0)|+| f(1)|+| f(2)|=3
① | f(0)|, | f(1)|, | f(2)|의 값 중 0을 포함할 때 | f(0)|, | f(1)|, | f(2)|의 값은 4가 될 수 없으므로 위의 식은
| f(0)|, | f(1)|, | f(2)|의 값은 0, 1, 4 또는 0, 2, 3이므로  f(0)+f(1)+f(2)=3
f(0), f(1), f(2)의 값을 결정하는 경우의 수는 이때의 경우의 수는
3!_2+3!=18 5_4
H3=3+3-1C3=5C3=5C2= =10
3
2_1
② | f(0)|, | f(1)|, | f(2)|의 값 중 0을 포함하지 않을 때
이 각각에 대하여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 f(0)|+| f(1)|+| f(2)|=5   yy ㉠
2Éf(4)É| f(5)|
| f(0)|¾1, | f(1)|¾1, | f(2)|¾1이고, 이 세 값은 4가 될 수 없다.
① | f(5)|=4일 때
이때 ㉠은
f(4)의 값은 2, 3, 4 중에 하나이므로 경우의 수는
f(0)+f(1)+f(2)=5
3_2=6
이 식에서
② | f(5)|+4일 때
f(0)=a+1, f(1)=b+1, f(2)=c+1` 
f(4), f(5)의 값은 2, 3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2개를 택하면 되므로 경우
(a, b, c는 음이 아닌 2 이하의 정수)
의 수는
로 놓으면 ㉠은
H2=2+2-1C2=3C2=3C1=3
2
a+b+c=2
①, ②에서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이때의 경우의 수는
6+3=9
4_3
H2=3+2-1C2=4C2= =6 그러므로 함수 f의 개수는
3
2_1
①, ②에서 경우의 수는 10_9=90
18+6=24 Þ f(3)=3일 때
이 각각에 대하여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조건 (가)에서
0Éf(4)É|f(5)| | f(0)|+| f(1)|+| f(2)|=2
③ | f(5)|=4일 때 | f(0)|, | f(1)|, | f(2)|의 값은 4가 될 수 없으므로
f(4)의 값은 0, 1, 2, 3, 4 중에 하나이므로 경우의 수는 f(0)+f(1)+f(2)=2
5_2=10 이때의 경우의 수는
④ | f(5)|+4일 때 4_3
H2=3+2-1C2=4C2= =6
3
2_1
f(4), f(5)의 값은 0, 1, 2, 3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2개를 택하면 되므로
이 각각에 대하여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경우의 수는
3Éf(4)É|f(5)|
5_4
=10
4H2=4+2-1C2=5C2= ① |f(5)|=4일 때
2_1
③, ④에서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f(4)의 값은 3, 4 중에 하나이므로 경우의 수는
10+10=20 2_2=4
그러므로 함수 f의 개수는 ② | f(5)|+4일 때
24_20=480 f(4), f(5)의 값은 모두 3이므로 경우의 수는
Ü f(3)=1일 때 1
조건 (가)에서 ①, ②에서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 f(0)|+| f(1)|+| f(2)|=4 4+1=5
① |f(0)|, | f(1)|, | f(2)|의 값 중 4를 포함할 때 그러므로 함수 f의 개수는
| f(0)|, | f(1)|, | f(2)|의 값은 0, 0, 4이므로 f(0), f(1), f(2)의 값 6_5=30
을 결정하는 경우의 수는 ß f(3)=4일 때
3_2=6 조건 (가)에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0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0 23. 4. 6. 오후 2:13


| f(0)|+| f(1)|+| f(2)|=1 이때 ㉠은
| f(0)|, | f(1)|, | f(2)|의 값은 4가 될 수 없으므로 aÛ` aÛ`
_4n

{;4#;}n`+;2!;
2 2
f(0)+f(1)+f(2)=1 lim =lim =aÛ`=1
3n+;2!;_4n
n`Ú¦ n`Ú¦
이때의 경우의 수는
3 H1=3+1-1C1=3C1=3 a=1`(a>0)
이 각각에 대하여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따라서 an=2n-1이므로 a3=2Û`=4 ②
4Éf(4)É| f(5)|
이때 f(4)=4, f(5)=4 또는 f(4)=4, f(5)=-4이므로 경우의 수는
2
그러므로 함수 f의 개수는
3_2=6 26
Ú~ß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ln`2ÉtÉ'¶ln`4인 실수 t에 대하여 직선 x=t를 포함하고 x축에 수직인 평면
6+480+252+90+30+6=864  864 으로 이 입체도형을 자른 단면의 넓이를 S(t)라 하면
S(t)={'¶2t(1+etÛ`)}Û` 
tÛ` 2tÛ`
=2t(1+2e +e )
따라서 구하는 부피를 V라 하면

`S(t)dt=: `2t(1+2etÛ`+e2tÛ`)dt
'¶ln`4 '¶ln`4
미적분 V=:
'¶ln`2 '¶ln`2

'¶ln`4
23 =:
'¶ln`2
(2t+4tetÛ`+2te2tÛ`)dt

`2t`dt+: `4tetÛ`dt+: `2te2tÛ`dt


e2x-1 '¶ln`4 '¶ln`4 '¶ln`4
2x _2 =:
e -1 2x '¶ln`2 '¶ln`2 '¶ln`2
lim =lim
x`Ú0 ln(3x+1)+x x`Ú0 ln(3x+1)
_3+1 이때

: 2t`dt=[tÛ`]
3x
'¶ln`4 '¶ln`4
2 =ln`4-ln`2
= =;2!; ② '¶ln`2 '¶ln`2
3+1
=2`ln`2-ln`2=ln`2

또: `4tetÛ`dt+: `2te2tÛ`dt에서
'¶ln`4 '¶ln`4

'¶ln`2 '¶ln`2

ds
tÛ`=s로 놓으면 2t= 이고,
dt
24 t='¶ln`2일 때 s=ln`2, t='¶ln`4일 때 s=ln`4이므로

Á :)k
'x
Á :)k x;2!; dx : `4tetÛ`dt+: `2te2tÛ`dt=: `2esds+: `e2sds
'¶ln`4 '¶ln`4 ln`4 ln`4
1 n 1 n 1
lim dx=lim
n`Ú¦ nÛ` k=1 'k n`Ú¦ nÛ` k=1 'k '¶ln`2 '¶ln`2

=2[es] +[;2!;e2s]
ln`2 ln`2

Á{ [;3@;x;2#;]k)}
ln`4 ln`4
1 n 1
=lim
n`Ú¦ nÛ` k=1 'k ln`2 ln`2

Á =2(e -e )+;2!;(e2`ln`4-e2`ln`2)
1 n k'k ln`4 ln`2
=;3@; lim
n`Ú¦ nÛ` k=1 'k

Ák
1 n =2(4-2)+;2!;(16-4)=10
=;3@; lim
n`Ú¦ nÛ` k=1
따라서 V=ln`2+10=10+ln`2 ①
1 n(n+1)
=;3@; lim [ _ ]
n`Ú¦ nÛ` 2
1
1+
n
=;3@; lim
n`Ú¦ 2
=;3@;_;2!;=;3!; ② 27
참고 C

Á =;3@; lim Á
1 n k'k 1 n k HÁ
;3@; lim
n`Ú¦ nÛ` k=1 'k n`Ú¦ n k=1 n P

=;3@;:)1 x`dx=;3@; [;2!;xÛ`]1)


2h
f(h) h

g(h)
=;3@;_;2!;=;3!; h
A B
O D

삼각형 OPA는 이등변삼각형이고, ∠OAP=h이므로


∠OPA=h
점 O에서 선분 P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1이라 하면
25 PCÓ=2PH1=
Ó 2_POÓ_cos`3h 
an_an+1 =2`cos`3h yy ㉠
lim =1에서 an=arn-1`(a>0, r>0)이라 하면
n`Ú¦ 3n+22n-1 또 점 O에서 선분 A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2라 하면
a _an+1 (a_rn-1)_(a_rn) APÓ=2AH2=
Ó 2_OAÓ_cos`h 
lim nn 2n-1 =lim
3n+;2!;_4n
n`Ú¦ 3 +2 n`Ú¦
=2`cos`h yy ㉡
aÛ` ㉠, ㉡에서
_r2n
r
=lim    yy ㉠ f(h)=;2!;_PAÓ_PCÓ_sin`2h
3n+;2!;_4n
n`Ú¦

이 값이 0이 아닌 값을 가지려면 =;2!;_2`cos`h_2`cos`3h_sin`2h

rÛ`=4, r=2`(r>0) =2`cos`h_cos`3h_sin`2h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1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1 23. 4. 6. 오후 2:13


한편, 삼각형 OPD에서 p
∠Q1S1P1=-h이고, ∠S1Q1P1=h
2
∠POD=2∠PAO=2h이고,
그러므로 직각삼각형 Q1S1P1에서
ODÓ=;2!;APÓ=;2!;_2`cos`h=cos`h이므로 S1P1Ó 2x
sin`h= =
Q1S1Ó "Ã4xÛ`+4
g(h)=;2!;_OPÓ_ODÓ_sin`2h
x
= yy ㉢
=;2!;_1_cos`h_sin`2h "ÃxÛ`+1
㉡, ㉢에서
=;2!;_cos`h_sin`2h 1 x
=
따라서 "Ã5-4xÛ` "ÃxÛ`+1
`f(h)-4g(h) 양변을 제곱하면
lim 1 xÛ`
h`Ú0+ hk =
5-4xÛ` xÛ`+1
2`cos`h_cos`3h_sin`2h-4_;2!;_cos`h_sin`2h
xÛ`+1=5xÛ`-4xÝ`, 4xÝ`-4xÛ`+1=0
= lim
h`Ú0+ hk
(2xÛ`-1)Û`=0, xÛ`=;2!;
2`cos`h_sin`2h_(cos`3h-1)
= lim
h`Ú0+ hk 이때 x>0이므로
2`cos`h_sin`2h_(cos`3h-1)_(cos`3h+1) 1 '2
= lim x= =
h`Ú0+ hk_(cos`3h+1) '2 2
2`cos`h_sin`2h_(-sinÛ``3h) 그러므로
= lim
h`Ú0+ hk_(cos`3h+1) G1=P1Q1Ó_S1P1Ó
이 극한값이 0이 아닌 실수 a로 존재하기 위한 자연수 k의 값은 3이다. '2
=2_{2_ }=2'2
이때 위의 극한값은 2
2`cos`h_sin`2h_(-sinÛ``3h) 한편, 부채꼴 OA2B2의 반지름은 OA2이
Ó 고,
lim
h`Ú0+ h3_(cos`3h+1) OA2Ó=OM2Ó=OM1Ó-S1P1Ó 
}2`_9]
cos`h sin`2h sin`3h
=2_ lim _ lim [ _2_(-1)_{ ="Ã3Û`-1Û`-'2='2
h`Ú0+ cos`3h+1 h`Ú0+ 2h 3h
그러므로 OA1`Ó :`OA2=
Ó 3`:`'2
=2_;2!;_(-18)=-18 즉, 사각형 PnQnRnSn과 사각형 Pn+1Qn+1Rn+1Sn+1의 닮음비는
'2
따라서 k=3, a=-18이므로 1`:` 이고, 넓이의 비는 1`:`;9@;이다.
3
a
=-6 ①
k 따라서 수열 {Gn}은 첫째항이 2'2, 공비가 ;9@;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

까지의 합이므로
2'2 18'2
lim Gn= =  ⑤
1-;9@;
n`Ú¦ 7

28
S1P1=
Ó 2x라 하면 직각삼각형 S1P1Q1에서 P1Q1Ó=2이므로

Ó ¿¹P1Q1Ó Û`+S1P1Ó Û`="Ã2Û`+(2x)Û`


Q1S1=
="Ã4xÛ`+4 29
또 Q1S1Ó ⊥ OA1이
Ó 므로 직각삼각형 OS1Q1에서 함수 f(x)가 일차함수이므로
Ó ¿¹OQ1Ó Û`-Q1S1Ó Û`="Ã3Û`-(4xÛ`+4)
OS1= f(x)=ax+b`(a, b는 상수, a+0)
="Ã5-4xÛ` yy ㉠ 으로 놓을 수 있다.

한편, h(x)=: /
한편, 점 O에서 선분 P1Q1에 내린 수선의 발을 M1이라 하면 `f(t)
dt라 하면
;4Ò; 1-sinÛ``t
점 M1은 선분 P1Q1의 중점이고,
( f(x)+f(0){ f(0)+ln`'2 } {-;2Ò<x<0}
\
OM1Ó ⊥ P1Q1Ó
또 선분 OM1이 선분 R1S1과 만나는 점을 M2라 하면 g(x)={
\ h(x) {0Éx< }
p
점 M2는 선분 R1S1의 중점이고, 9 2
OM2Ó ⊥ R1S1Ó 한편, 함수 g(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이때 삼각형 OS1M2는 직각삼각형이므로 lim g(x)= lim g(x)=g(0)
x`Ú0- x`Ú0+
∠S1OM2=h라 하면 ㉠에서
즉,
SMÓ 1
sin`h= 1 2 = yy ㉡ g(0)=h(0)=f(0)+f(0)_{ f(0)+ln`'2 } yy ㉠
OS1Ó "Ã5-4xÛ`
한편, 함수 g(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므로

g(x)-g(0) g(x)-g(0)
QÁ lim = lim
x`Ú0- x x`Ú0+ x
RÁ Ú x<0일 때

Mª ㉠에 의하여
PÁ g(x)-g(0)
h =g(x)-[ f(0)+f(0){ f(0)+ln`'2 }]
O SÁ AÁ
=[ f(x)+f(0){ f(0)+ln`'2 }]-f(0)-f(0){ f(0)+ln`'2 }

=f(x)-f(0)
또 두 선분 OM2, S1P1은 평행하므로
이므로
∠A1S1P1=∠S1OM2=h g(x)-g(0) `f(x)-f(0)
이때 OA1Ó ⊥ Q1S1Ó이므로 lim = lim =f '(0)
x`Ú0- x x`Ú0- x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2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2 23. 4. 6. 오후 2:13


Û x>0일 때 이때 ㉠에서 g'(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5이다.
g(x)-g(0) h(x)-h(0) 그러므로 ㉡에서 방정식 h'(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5 이상이므로
lim = lim =h'(0)
x`Ú0+ x x`Ú0+ x 조건 (다)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f(x) Û (극댓값)>0, (극솟값)¾0일 때
이때 h'(x)= 이므로
1-sinÛ``x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f(0)
h'(0)= =f(0) y
1-0 y=f(x)
Ú, Û에서 f '(0)=f(0)
이때 f '(x)=a, f(0)=b이므로 a=b
그러므로 f(x)=a(x+1)
㉠에서
O
f(0)+f(0){ f(0)+ln`'2 }=a+a(a+ln`'2 ) yy ㉡ b a x

h(0)=: 0 dt=a: 0
`f(t) t+1
dt
;4Ò; 1-sinÛ``t ;4Ò; cosÛ``t 이때 ㉠에서 g'(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

=a: 0 (t+1)secÛ``t`dt
g'(x)의 값은 x=0, x=a의 좌우에서 각각 음에서 양으로 바뀌므로 함수
;4Ò; g(x)는 x=0, x=a에서 극솟값을 갖고, 조건 (나)에 의하여 그 값이 모두

=a[(t+1)tan`t]0 -a: 0 tant`dt 같다.


;4Ò; ;4Ò;

+1}]-a: 0
g(0)=e f(0)-f(0)+2=3이므로 g(a)=3에서
p sin`t g(a)=e f(a)-f(a)+2=3
=a_[0-{ dt
4 ;4Ò; cos`t

=-a_{ +1}+a: 0
e f(a)-f(a)=1
p (cos`t)'
dt f(a)=0 yy ㉢
4 ;4Ò; cos`t
그러므로 함수 g(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p
=-a_{ +1}+a[ln`|cos`t|]0
4 ;4Ò; y y=g(x)
p 1
=-a_{ +1}+a{0-ln` }
4 '2
p
=- a-a+a`ln`'2 yy ㉢
4
㉡과 ㉢이 같아야 하므로
p 3
a+a(a+ln`'2 )=- a-a+a`ln`'2
4
O b a x
p
1+(a+ln`'2 )=- -1+ln`'2
4
p 방정식 g'(x)=0의 근은 x=0 또는 x=b 또는 x=a
a=-2-
4 이때 조건 (다)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방정식 g'(g(x))=0의 근은 x=0 또는
p
함수 f(x)={-2- }(x+1)이므로 x=b 또는 x=a만 가져야 한다.
4
f(-13)=24+3p 즉, 세 방정식 g(x)=0, g(x)=b, g(x)=a의 근이 x=0 또는 x=b 또는

따라서 m=24, n=3이므로 x=a만 가져야 한다.

m+n=24+3=27  27 이때 0<b<a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와 직선 y=a를 이용하면


aÉ3
그러므로 a가 최대일 때는 a=3이고 ㉢에서 f(a)=0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가 x=3에서 x축에 접한다.
30 그러므로 f(x)=x(x-3)Û`
g(x)=e f(x)-f(x)+2에서 따라서 f(5)=5_2Û`=20  20
g'(x)=e f(x)_f '(x)-f '(x) 
={e f(x)-1}_f '(x)
이므로 g'(x)=0에서
e f(x)-1=0 또는 f '(x)=0
즉, f(x)=0 또는 f '(x)=0 yy ㉠ 기하
또 h(x)=(g ç g)(x)에서
h'(x)=g'(g(x))_g'(x) 23
이므로 h'(x)=0에서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의 x좌표는
g'(g(x))=0 또는 g'(x)=0 yy ㉡ 1_7+2_1
=3 ②
한편, 함수 f(x)는 x=a`(a>0)에서 극솟값, x=b`(b>0)에서 극댓값을 가지 1+2
므로 다음 각 경우로 나눌 수 있다.
Ú (극댓값)>0, (극솟값)<0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y y=f(x) 24
aø-bø
| |=3에서 ;2!;|aø-bø|=3, |aø-bø|=6
2
O a 따라서 |aø|Û`-|bø|Û`=6이므로
b x
(aø+bø)º(aø-bø) |aø|Û`-|bø|Û`
cos`h= =
|aø+bø|_|aø-bø| |aø+bø|_|aø-bø|
6
= =;3!; ②
3_6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3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3 23. 4. 6. 오후 2:13


A
25
xÛ` a
쌍곡선 -yÛ`=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은 D
2
A' Mª
2_x B
-1_y=1, 즉 y=x-1 MÁ C
2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1이다.
그러므로 사각형 A'M1CM2는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이다.
또 초점 F의 x좌표는 'Ä2+1='3
한편, 직선 AB와 평면 a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h이므로
즉, F('3, 0)
∠ABA'=h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때 직각삼각형 ABA'에서
y=x-'3
BA'Ó=¿¹BM1Ó Û`+M1A'Ó Û`="Ã1Û`+1Û`='2
따라서 A(0, -'3 )이므로 삼각형 OFA의 넓이는
ABÓ=3
;2!;_'3_'3=;2#; ③ A'BÓ '2
따라서 cos`h= =  ④
ABÓ 3

26 28
점 P는 다음 그림의 색칠된 부분에 존재한다. 직각삼각형 F'OQ에서∠QF'O=`h라 하면 QF'Ó=4이므로
F'OÓ k
y cos`h= = yy ㉠
F'QÓ 4
B1
또 점 F에서 선분 PQ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1 삼각형 FPQ가 FPÓ=FQÓ인 이등변삼각형이고, PQÓ=6이므로
O A x
HPÓ=HQÓ=3
그러므로
이때 t OP³=OX³`(-1ÉtÉ2)를 만족시키는 점 X는 다음 그림의 색칠된 부분
F'HÓ 7
에 존재한다. cos`h= = yy ㉡
F'FÓ 2k
y
y
2
P
H
Q
-1 h
O 2 x F' O F x

-1
xÛ yÛ
;:;;;+;:;;;=1
aÛ bÛ
C(3, 1)이므로 OQ³=t OP³+OC³를 만족시키는 점 Q는 다음 그림의 색칠된 부
분에 존재한다. ㉠과 ㉡이 같아야 하므로
y k 7
= , kÛ`=14
4 2k
3 k='1Œ4
한편, F'QÓ=QFÓ=PFÓ=4이므로
1 PFÓ+PF'Ó=PFÓ+(PQÓ+QF'Ó) 
O 2 3 5 x =4+(6+4)=14
그러므로
이때 |OQ³|의 값은 점 Q가 (5, 1)일 때 최대이고, (2, 1)일 때 최소이다. 2a=14, a=7
그러므로 |OQ³|의 최댓값은 '2Œ6, 최솟값은 '5이다. 이때 b="ÃaÛ`-kÛ`='Ä49-14='3Œ5
따라서 |OQ³|의 값 중 자연수인 것은 3, 4, 5이므로 모든 합은 12이다. ② 따라서 aÛ`+bÛ`=49+35=84 ④
참고
점 Q의 좌표가 (3, 0), (3, '7 ), (2'6, 1)일 때, |OQ³|의 값은 각각 3, 4, 5이다.

29
두 벡터 OP³, OQ³가 이루는 각은 예각이므로 점 Q에서 직선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Q'이라 하면 OP³ º OQ³=1에서
27 OPÓ_OQ'Ó=1 yy ㉠
점 A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A'이라 하고, 선분 BC의 중점을 M1이라 y
하면 삼각형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Q
AM1Ó ⊥ BCÓ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2
A'M1Ó ⊥ BCÓ Q'

마찬가지로 선분 CD의 중점을 M2라 하면 삼각형 ACD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


1
AM2Ó ⊥ CDÓ P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O 1 x
A'M2Ó ⊥ CDÓ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4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4 23. 4. 6. 오후 2:13


점 P가 A일 때, OQ'Ó의 길이가 최소이다.
30
OAÓ='2이므로 ㉠에서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구의 중심 O는 선분 AH 위
1 '2
OQ'Ó= =
'2 2 에 있다. 선분 CD의 중점을 M1이라 하면 점 H는 선분 BM1 위에 있고
CDÓ ⊥ BÕM1이
Ó 다.
y
A

Q 2 M
D M
O

  
1 P=A
B MÁ O
Q' H
B MÁ
O 1 x H

C
OÕQ'³=t OA³=(t, t)`(t>0)으로 놓으면
이때
'2
"ÃtÛ`+tÛ`= , 2tÛ`=;2!; p
2 AÕM1Ó=BÕM1Ó=BCÓ`sin`
3
t=;2!; '3
=6_ =3'3
2
그러므로 Q'{;2!;, ;2!;} 또 BÕMÓ=3이므로
점 Q'을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MM1Ó=¿¹BÕM1Ó Û`-BÕMÓ Û`
y=-{x-;2!;}+;2!; ="Ã(3'3 )Û`-3Û`=3'2
직각삼각형 M1MB에서 ∠BM1M=h1이라 하면
즉, y=-x+1
BMÓ 3 1
이때 직선 y=-x+1이 원 xÛ`+(y-2)Û`=1과 만나는 두 점은 Q1(0, 1), tan`h1= = = yy ㉠
MM1Ó 3'2 '2
Q2(-1, 2)이다. 이때 직각삼각형 OHM1에서
이때 원 xÛ`+(y-2)Û`=1의 중심을 O'이라 하면
HM1Ó=;3!;BM1=
Ó ;3!;_3'3='3이므로
p
∠Q1O'Q2=
2 OHÓ OHÓ
tan`h1= = yy ㉡
y HM1Ó '3
㉠, ㉡에서
1 OHÓ '3 '6
= , OHÓ= =
2 '2 '3 '2 2
Qª O'
'6
그러므로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2

1 P=A Ó '3이므로
또 HM1=

}2`+('3 )Û`=
'3
OÕM1Ó=¿¹OHÓ Û`+HÕM1Ó Û`=¾¨{
Q' 3'2
O 1 x '2 2
이때 MM1=
Ó 3'2이므로
3'2 3'2
점 Q는 중심각의 크기가 ;2#;p인 부채꼴 Q1O'Q2의 호 위를 움직인다. OÕMÓ=MM1-
Ó OÕM1Ó=3'2-
=
2 2
그러므로 점 Q가 움직이는 도형의 길이는 삼각형 MCD의 정사영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평면은 점 M을 지나고 직선 CD

1_;2#;p=;2#;p, 즉 b=;2#; 에 평행한 평면이다. 이 평면이 구 C와 접하는 점을 H1이라 하고, 이 평면과 세


점 M, C, D를 포함한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2라 하자.
선분 OQ'의 길이가 최대일 때는 직선 OA와 수직인 직선이 원 xÛ`+(y-2)Û`=1
A
과 제1사분면에서 접할 때이다.
이때 AQ'Ó=1이므로 hª

OQ'Ó=1+'2 M
㉠에서
1 1 O
OPÓ= = ='2-1
OQ'Ó 1+'2 B MÁ
H
y
이때 직각삼각형 OH1M에서

}2`-{ }2`
Q '6
¾¨{
3'2
H MÓ ¿¹OÕMÓ Û`-OÕH1Ó Û` 2 2
cos`h2= 1 = =
2 OÕMÓ OÕMÓ 3'2
Q' 2
'3 '6
A = = yy ㉢
1 3'2 3
2
P
한편, 삼각형 MCD의 넓이는
O 1 x
;2!;_MM1Ó_CDÓ=;2!;_3'2_6=9'2 yy ㉣
즉, '2-1ÉOPÓÉ'2이므로
따라서 정사영시킨 넓이는 ㉢, ㉣에서
a='2-('2-1)=1
'6
따라서 a+10b=1+15=16  16 9'2_cos`h2=9'2_ =6'3
3
이므로 SÛ`=108  108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5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2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5 23. 4. 6. 오후 2:13


'3
0ÉxÉ6p에서 방정식 cos`;2!;x=- 의 해는
EBS FINAL 수학영역 2
3 회
본문 39~54쪽
'3
함수 y=cos`;2!;x`(0ÉxÉ6p)의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x좌표와
2
01 ③ 02 ④ 03 ② 04 ⑤ 05 ③ 같다.
06 ④ 07 ③ 08 ① 09 ② 10 ② y

11 ⑤ 12 ① 13 ② 14 ④ 15 ②
16 4 17 25 18 5 19 20 20 9 ;;3;;p
17

21 14 22 8 ;3%;p ;3&;p
6p
O x
확률과 통계 23 ② 24 ④ 25 ⑤ 26 ②
27 ⑤ 28 ③ 29 655 30 926 13
y=-;;2;;
미적분 23 ③ 24 ② 25 ② 26 ④ y=cos ;2!;x

27 ② 28 ① 29 9 30 41
따라서 방정식의 해는 x=;3%;p, x=;3&;p, x=;;Á3¦;;p이므로
기하 23 ① 24 ③ 25 ④ 26 ⑤
27 ③ 28 ① 29 5 30 49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3%;p+;3&;p+;;Á3¦;;p=;;ª3»;;p ③

01
"3'3=5¿¹"3Ü`=10"3Ü`
5

3 5'3=5"3ß`=10"312
따라서 06
"3'3_3 '3= "3Ü`_ "3 = "3 = "Ã3 _3Þ` 
5 5 10 10 12 10 15 10 10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3 10"3Þ`=3'3 ③ x=tÝ`-tÜ`+1에서
dx
v= =4tÜ`-3tÛ`
dt
dv
a= =12tÛ`-6t
dt
따라서 t=2일 때, 점 P의 가속도는
12_2Û`-6_2=36 ④
02
p
sin`;6&;p=-sin` =-;2!;
6
p '3
cos`;6&;p=-cos` =-
6 2

따라서 sin`h+cos`h=-
1+'3
2
 ④ 07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3(r20-1) 3(r5-1) 3(r15-1)
S20= , S5= , S15=
r-1 r-1 r-1
이므로 S20-S5=-32S15에서
3(r20-1) 3(r5-1) 32_3(r15-1)
03 r-1
-
r-1
=-
r-1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r+1이므로
a2=a1+d, a4=a1+3d r20-rÞ`=-32(r15-1)
a2+a4=
 a1+d+a1+3d  rÞ`(r15-1)=-32(r15-1)
=2a1+4d=10 r15+1이므로
a1=3이므로 4d=4, d=1 rÞ`=-32, r=-2
따라서 a6=a1+5d=3+5_1=8 ② 따라서 a3=3_(-2)Û`=12 ③

04 08
g(x)=2x f(x)에서
y=xÜ`-2x+1에서
g'(x)=2 f(x)+2x f '(x)
y'=3xÛ`-2
따라서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3aÛ`-2이다.
g'(3)=2 f(3)+2_3_f '(3) 
접점의 좌표는 (a, aÜ`-2a+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2_3+2_3_2=18 ⑤
y=(3aÛ`-2)(x-a)+aÜ`-2a+1 
=(3aÛ`-2)x-2aÜ`+1
점 (0, 3)이 접선 위의 점이므로
3=-2aÜ`+1
aÜ`=-1, a=-1
05
'3
따라서 접선의 기울기는
2`cos`;2!;x=-'3에서 cos`;2!;x=- 3_(-1)Û`-2=1 ①
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6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6 23. 4. 6. 오후 2:13


S 9000
09 1.4-0.6=4`log`
3.24_10Þ`
+8`log`
5000

}4`_{;5(;}8`]
sin`x S
2`sin`x=tan`x에서 2`sin`x= 0.8=log`[{
cos`x 3.24_10Þ`
=log`[[ _{;5(;}2`]4`]
1
sin`x{2- }=0이므로 S
cos`x 3.24_10Þ`
sin`x=0 또는 cos`x=;2!; }4`]
S
=log`[{
10Þ`
}4`이므로
-pÉx<0, 0<xÉp에서 S S
100.8={ =100.2
sin`x=0을 만족하는 x의 값은 -p, p 10Þ` 10Þ`
p p 따라서 S=105.2 ⑤
cos`x=;2!; 을 만족하는 x의 값은 - ,
3 3
이를 만족하는 a, b, c, d의 값은
p p
a=-p, b=- , c= , d=p이므로
3 3
p p
A(-p, 0), B{- , -'3 }, C{ , '3 }, D(p, 0)
12
3 3
점 B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접점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두 함수의 그래프와 교점을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y ax+by=;2T;
y=g(x)
이 접선은 점 A(0, tÛ`+t)를 지나므로
1
C b=
2(t+1)
또한 점 C의 x좌표를 c라 하면

A O D
x 0Û`+cÛ`=;2T;, cÛ`=;2T;

B c는 양수이므로 c=®;2T;
y=f(x)
1
따라서 삼각형 BOC의 밑변의 길이는 ®;2T;이고, 높이는 이므로
2(t+1)
ADÓ=p-(-p)=2p 1 't
S(t)=;2!;_®;2T;_ =
사각형 ABDC의 넓이는 두 삼각형 ADC, ABD의 넓이의 합이고, 2(t+1) 4'2(t+1)

]2`=
삼각형 ADC, ABD의 넓이는 각각 't t
{S(t)}Û`=[
4'2(t+1) 32(t+1)Û`
;2!;_2p_'3='3p
따라서
따라서 사각형 ABDC의 넓이는
t
2_'3p=2'3p ② lim [t_{S(t)}Û`]=lim[t_ ]
t`Ú¦ t`Ú¦ 32(t+1)Û`
tÛ`
=lim =;3Á2; ①
t`Ú¦ 32(t+1)Û`

10
삼각형 AkOPk와 삼각형 QkOAk는 같은 밑변 OÕAk를
Ó 가지므로
삼각형 AkOPk와 삼각형 QkOAk의 넓이의 비는 각 삼각형의 높이의 비와 같다. 13
nxÛ`=x+k에서 nxÛ`-x-k=0 점 B의 x좌표를 a라 하면
6
1Ñ'Ä1+4nk n6=am, a=n m
x= 이므로
2n a가 자연수이면서 m의 개수가 8이 되도록 하는 n의 최솟값을 구해야 하므로
1+'Ä1+4nk 1-'Ä1+4nk
점 Pk의 x좌표는 , 점 Qk의 x좌표는 이다. n은 2의 거듭제곱꼴이어야 한다.
2n 2n
12
따라서 삼각형 AkOPk와 삼각형 QkOAk의 넓이의 비는 n=2Û`일 때, a=2 m 이고 a가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m은 12의 약수이어야 한
1+'Ä1+4nk 1-'Ä1+4nk 다. 12=2Û`_3이므로 m의 개수는 6이다.
`:`- =2`:`1
2n 2n 18
n=2Ü`일 때, a=2 m 이고 a가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m은 18의 약수이어야 한
1+'Ä1+4nk
-1+'Ä1+4nk= , 'Ä1+4nk=3 다. 18=2_3Û`이므로 m의 개수는 6이다.
2
24
2 n=2Ý`일 때, a=2 m 이고 a가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m은 24의 약수이어야 한
4nk=8, k=
n 다. 24=2Ü`_3이므로 m의 개수는 8이다.
2 2
따라서 an= 이고, an-1= 이므로 따라서 n의 최솟값은 16이다. ②
n n-1
Á anan-1= Á =4 Á
20 20 4 20 1
n=2 n(n-1) n=2 n(n-1)

=4 Á {
n=2

1 1
- }
20

n=2 n-1 n
14
=4[{;1!;-;2!;}+{;2!;-;3!;}+y+{;1Á9;-;2Á0;}]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Á5»;; ② y

O x
11 -1
y=f(x)
주어진 관계식에 자기부상열차의 운행 전, 후 주행거리, 주행시간, 안정등급을
대입하면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7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7 23. 4. 6. 오후 2:13


g(x)-g(0) :)/ f(t)dt
ㄱ. 함수 y=f(x)와 함수 y=g(x)는 x+0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lim = lim =f(0)=p
x-0 x
:)/ { f(t)-| f(t)|}dt
x`Ú0- x`Ú0-
x=0에서 함수 y=f(x)g(x)의 연속성만 조사하면 된다.
lim `f(x)g(x)= lim `f(x) lim g(x)=(-1)_2=-2 g(x)-g(0)
x`Ú0+ x`Ú0+ x`Ú0+ lim = lim
x-0 x
:)/ { f(t)-| f(t)|}dt
x`Ú0+ x`Ú0+
lim `f(x)g(x)= lim `f(x) lim g(x)=1_2=2
x`Ú0- x`Ú0- x`Ú0-

lim `f(x)g(x)+ lim `f(x)g(x)이므로 함수 y=f(x)g(x)는 x=0에서 p= lim


x`Ú0+ x`Ú0-
x`Ú0+ x
불연속이다. (거짓) =f(0)-| f(0)|=p-|p|
ㄴ. | f(0Û`)-;2!;|=|0-;2!;|=;2!; 따라서 p=0이다.

lim | f(xÛ`)-;2!;|= lim |xÝ`-2xÛ`-1-;2!;|=;2#; 0<x<b에서 g(x)=:)/ { f(t)-| f(t)|}dt


x`Ú0+ x`Ú0+

lim | f(xÛ`)-;2!;|= lim |xÝ`-2xÛ`-1-;2!;|=;2#; x¾b에서 g(x)=:)/ | f(t)|dt+q이고


x`Ú0- x`Ú0-

g(x)는 x=b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lim | f(xÛ`)-;2!;|= lim | f(xÛ`)-;2!;|+| f(0Û`)-;2!;|이므로
:)b | f(t)|dt+q= lim :)/ { f(t)-| f(t)|}dt
x`Ú0+ x`Ú0-

함수 | f(xÛ`)-;2!;|은 x=0에서 불연속이다. (참) x`Úb-

함수 y=f(x)-| f(x)|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b | f(t)|dt+q=:)b { f(t)-| f(t)|}dt


ㄷ. 함수 y=f(|x|-t)와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t) y y=g(|x|)

x=b에서 함수 g(x)가 미분가능하려면


2 g(x)-g(b)
lim
x-b
:)/ { f(t)-| f(t)|}dt-{:)b | f(t)|dt+q}
x`Úb-
  
1
-t -2 -1 = lim
O t x O 1 2 x x-b
:)/ { f(t)-| f(t)|}dt-:)b { f(t)-| f(t)|}dt
x`Úb-
-1

= lim
lim `f(|x|-t)=-1, lim `f(|x|-t)=1, f(|t|-t)=0이고, x`Úb- x-b
x`Út+ x`Út-
=f(b)-| f(b)|
x>0에서 함수 g(|x|)는 연속이다.
g(x)-g(b)
lim `f(|x|-t)g(|x|)=-g(|t|), lim
x-b
:)/ | f(t)|dt+q-{:)b | f(t)|dt+q}
x`Út+ x`Úb+

lim `f(|x|-t)g(|x|)=g(|t|),
x`Út-

f(|t|-t)g(|t|)=0이므로 = lim =| f(b)|


x`Úb+ x-b
x=t에서 함수 f(|x|-t)g(|x|)가 연속이려면 g(|t|)=0 f(b)-| f(b)|=| f(b)|
g(t)=0이어야 한다. f(b)=2| f(b)|, f(b)=0
x>0에서 g(1)=0, g(2)=0이므로 함수 f(|x|-t)g(|x|)가 x=t에서 f(b)=;4!;bÝ`-bÜ`=;4!;bÜ`(b-4)이고, b+0이므로
연속인 양수 t의 개수는 2이다. (참)
b=4

:)4 | f(t)|dt+q=:)4 { f(t)-| f(t)|}dt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0<x<4에서 f(x)<0이므로

q=:)4 { f(t)-2| f(t)|}dt=:)4 3 f(t)dt

=3:)4 {;4!;tÝ`-tÜ`}dt=3[;2Á0;tÞ`-;4!;tÝ`]4)=-
192
5
15 192 172
따라서 a+b+p+q=0+4+0+{- }=-  ②
f(x)=;4!;xÝ`-xÜ`+p에서 5 5

f '(x)=xÜ`-3xÛ`=xÛ`(x-3)
f '(x)=0에서 x=0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6
x y 0 y 3 y
1
log2` 3 =log2`2-;3$;=-;3$;`log2`2=-;3$;
f '(x) - 0 - 0 + '1Œ6
f(x) ↘ p ↘ 극소 ↗ log;2!;`8=log;2!;`{;2!;}-` 3`=-3`log;2!;`;2!;=-3
g(x)는 x=a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a f(t)dt= lim :)/ { f(t)-| f(t)|}dt


1
따라서 log2` 3 _log;2!;`8={-;3$;}_(-3)=4 4
'1Œ6
x`Úa+

함수 y=f(x)-| f(x)|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a f(t)dt=:)a { f(t)-| f(t)|}dt

:)a | f(t)|dt=0
17
f '(x)=5xÝ`-3xÛ`에서
함수 y=:)/ | f(t)|dt는 증가하는 함수이므로 a=0이다.
f(x)=:`f '(x)dx=:`(5xÝ`-3xÛ`)dx

xÉ0에서 g(x)=:)/ f(t)dt =xÞ`-xÜ`+C (단, C는 적분상수)


f(0)=1이므로 C=1
0<x<b에서 g(x)=:)/ { f(t)-|f(t)|}dt이므로
f(x)=xÞ`-xÜ`+1
x=0에서 함수 g(x)가 미분가능하려면 따라서 f(2)=2Þ`-2Ü`+1=25  25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8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8 23. 4. 6. 오후 2:13


따라서 h(x)=(x-1)p(x)로 놓을 수 있으므로
18
g(x)=(x-1)Û`p(x)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x=3에서 함수 f(x)g(x)가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므로
2Û`+3Û`-('5 )Û`
cos`h= =;3@; g(x)=(x-3)Û`q(x)로 놓을 수 있다.
2_2_3
sinÛ``h=1-cosÛ``h=1-{;3@;}2`=;9%;
따라서 g(x)=(x-1)Û`(x-3)Û`이므로
g(0)=9 9
p
cos`h>0이므로 0<h<
2
'5
sin`h>0이므로 sin`h=
3
'5 21
따라서 3'5`sin`h=3'5_ =5 5
3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조건 (가)에서
am=a+(m-1)d, am+1=a+md이므로
am+am+1=2a+(2m-1)d=0 yy ㉠
등차수열 {an}의 공차가 양수이므로
am<0, am+1>0이다.
19
Á an+ Á |an|이므로 m<22이어야 한다.
22 22

f(x)=xÜ`-6xÛ`+9x+a이므로 f '(x)=3xÛ`-12x+9

또한 Á an<0을 만족하도록 하는 m의 값의 범위는 m¾12이다.


n=1 n=1

3xÛ`-12x+9=0에서 3(x-1)(x-3)=0 22

x=1 또는 x=3 n=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열 {an}의 항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x -1 y 1 y 3 항의 분포 항의 개수
f '(x) + 0 - 0 am+1, am+2, y, a22 22-m
f(x) -16+a ↗ 4+a ↘ a a2m-21, a2m-20, y, am 22-m
a1, a2, y, a2m-22 2m-22
f(-1)=-16+a, f(1)=4+a, f(3)=a이므로
조건 (나)에서

Á an =
M=4+a, m=-16+a
따라서 M-m=(4+a)-(-16+a)=20  20
22 22(2a+21d)
=-44
n=1 2
2a+21d=-4 yy ㉡

Á an=k`(k>0)이라 하면
22

Á an=-k이므로 조건 (다)에서
n=m+1
m

20 n=2m-21

f(4-x)=-f(x)에서 x=2+t라 하면 |-44|+|-k|+k=125, k=;;¥2Á;;


f(2-t)=-f(2+t) 따라서

Á an=
즉, f(2-t)+f(2+t)=0 m m{2a+(m-1)d}
함수 y=f(x)의 그래프는 점 (2, 0)을 중심으로 180ù 회전시켜 완전히 포개어 2

= Á an- Á an=-44-;;¥2Á;;
n=1

진다. 22 22

n=1 n=m+1
y
y=f(x)
m{2a+(m-1)d}=-169 yy ㉢
2
4 ㉠, ㉡에서 a=-;;ª2Á;;d-2, m=11+ 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d
2 2
{11+ }[-21d-4+{10+ }d]=-169
d d
2
O 1 3 x {11+ }(-11d-2)=-169
d
4
121d+ =125, 121dÛ`-125d+4=0
-4 d
(d-1)(121d-4)=0
d는 자연수이므로 d=1
함수 f(x)는 x=1, x=3을 제외하고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고, 함수 g(x)
㉡에서 a=-;;ª2°;;
는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 x=3에서 함수 f(x)g(x)가 미분가능
하면 함수 f(x)g(x)는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a17=-;;ª2°;;+16_1=;2&;이므로
x=1에서 함수 f(x)g(x)는 연속이어야 하므로
4a17=4_;2&;=14  14
lim `f(x)g(x)=-4g(1), lim `f(x)g(x)=0, f(1)g(1)=0
x`Ú1- x`Ú1+

-4g(1)=0이므로 g(1)=0
따라서 g(x)=(x-1)h(x)로 놓을 수 있다.
x=1에서 함수 f(x)g(x)는 미분가능해야 하므로
`f(x)g(x)-f(1)g(1) `f(x)(x-1)h(x) 22
lim = lim
x`Ú1- x-1 x`Ú1- x-1 f(x)=-xÜ`+t
= lim `f(x)h(x)=-4h(1) f '(x)=-3xÛ`이므로 x=0을 제외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0이므로
x`Ú1-

`f(x)g(x)-f(1)g(1) `f(x)(x-1)h(x) f(x)는 감소하는 함수이다.


lim = lim
x`Ú1+ x-1 x`Ú1+ x-1 따라서 곡선 y=f(x)와 곡선 y=f -1(x)의 교점은 직선 y=x 또는 기울기가
= lim `f(x)h(x)=0 -1인 직선 위에 존재한다.
x`Ú1+

-4h(1)=0이므로 h(1)=0 t의 값에 따라 곡선 y=f(x)와 곡선 y=f -1(x)의 교점은 다음과 같이 변한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29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29 23. 4. 6. 오후 2:13


Ú t=0일 때 1
f '(b)= 이므로
`f '(-bÜ`+t)
y
y=f(x) 1
-3bÛ`=-
3(-bÜ`+t)Û`
(-bÜ`+t)Û`={ }2`에서 -bÜ`+t>0이므로
1
3b
1 1
-bÜ`+t=- , t=bÜ`-
3b 3b
O x
곡선 y=f(x)는 점 (-bÜ`+t, b)를 지나므로
b=-(-bÜ`+t)Ü`+t

+bÜ`- , b+ =bÜ`+{ }3`


1 1 1 1
y=fÀÑÚ (x) b=
27bÜ` 3b 3b 3b
1
b+ =h라 하면 h=hÜ`-h
곡선 y=f(x)와 곡선 y=f -1(x)는 원점, 직선 y=-x 위의 서로 다른 두 3b

점에서 만나므로 g(0)=3이다. h(hÛ`-2)=0이고, h<0이므로 h=-'2
Û 0<tÉa일 때 1
b+ =-'2 yy ㉠
3b
그림과 같이 곡선 y=f(x)와 곡선 y=f -1(x)가 직선 y=x 위의 한 점에서
접하는 양수 a가 존재한다. bÛ`+'2b+;3!;=0 yy ㉡

y=f(x) y 3bÛ`+3'2b+1=0
'2 '6
b=-Ñ
2 6
'2 '6
① b=- + 일때
2 6
1
O x ㉠에서 =-b-'2
3b

y=fÀÑÚ (x) ㉡에서 bÛ`=-'2b-;3!;


1
t=bÜ`- =b{-'2b-;3!;}+(b+'2 )
접하는 점의 좌표를 (a, a)라 하면 a>0이고, 3b
f '(a)=-1이므로 =-'2bÛ`+;3@;b+'2=-'2 {-'2b-;3!;}+;3@;b+'2
1
-3aÛ`=-1, a= 4'2 '2 '6 4'2 4'6
'3 =;3*;b+ =;3*;{- + }+ =
}3`+t이므로 t=
3 2 6 3 9
1 1 4'3
=-{ '2 '6
'3 '3 9 ② b=- - 일때
2 6
4'3 4'3
따라서 a= 이고, 0<tÉ 에서 g(t)=3
9 9 ①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2 '6
4'3
Ü 4'2 4'6
t=;3*;{- }+
<t<b일 때
9 - =-
2 6 3 9
곡선 y=f(x)와 곡선 y=f -1(x)가 기울기가 -1인 직선 위의 서로 다른 두 4'6
4'3 ①, ②에서 t>0이므로 t=
점에서 접하는 양수 b가 존재하고, 그림과 같이 <t<b에 대하여 9
9 4'6 4'6
따라서 b= 이고, g{ }=3
g(t)=5이다. 9 9
y=f(x) y Þ t>b일 때
y

y=f(x)

y=fÀÑÚ (x)
O x

y=fÀÑÚ (x)
O x

Ý t=b일 때
y=f(x) y 곡선 y=f(x)와 곡선 y=f -1(x)는 직선 y=x 위의 한 점에서 만나므로

g(t)=1이다.
t<0일 때 곡선 y=f(x)와 곡선 y=f -1(x)가 만나는 경우는 Ú ~ Þ에서 구한
t>0일 때의 그래프와 t=0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실수 t에 대하여 함수 y=g(t)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O x
5
y=fÀÑÚ (x)

3
곡선 y=f(x)와 곡선 y=f -1(x)가 기울기가 -1인 직선 위의 서로 다른 두

점에서 접하도록 하는 t=b가 존재한다.
1 y=g(t)
제2사분면에 존재하는 접점의 좌표를 (b, -bÜ`+t)라 하면 다른 접점의 좌표
는 (-bÜ`+t, b)가 된다. 이때 b<0이다. O t
416
416
-;;;9;;; ;;;9;;;
두 접점에서 곡선 y=f(x)에 접하는 접선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413 413
-;;;9;;; ;;;9;;;
대칭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서로 역수이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0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0 23. 4. 6. 오후 2:13


4'3 9'3
함수 y=k|t|가 점 { , 3}을 지날 때 k= , 주사위를 72번 던져서 3점을 얻는 횟수는 72-Y이므로 얻는 점수는
9 4
X=2Y+3(72-Y)=216-Y
4'6 15'6
점{ , 5}를 지날 때 k= , 따라서
9 8
4'3 15'3 E(X)=E(216-Y)=216-E(Y)=216-24=192 ②
점{ , 5}를 지날 때 k= 이다.
9 4
9'3 15'6 15'3
 < < 이므로 함수 y=g(t)의 그래프와 함수 y=k|t|의 그
4 8 4
래프의 교점이 4개가 되는 k의 값의 범위는 27
15'6 15'3 응시자의 수학 점수를 X라 하면 확률변수 X는 정규분포 N(75, 5Û`)을 따른다.
<k<
8 4
우수상을 받을 수 있는 최소 점수를 a점이라 하면
1513
y=;;;;;4;;;;;|t| 4
P(X¾a)= =0.025
y 160
1516
y=;;;;;8;;;;;|t| X-75
Z¾ 이면 확률변수 Z는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5 5
a-75 a-75
P(X¾a)=P{Z¾ }=0.5-P{0ÉZÉ }
5 5
3 a-75
따라서 P{0ÉZÉ }=0.4750이고,
5
P(0ÉZÉ1.96)=0.4750이므로
a-75
1 =1.96, a=84.8
5
O t
416
416
-;;;9;;; 413 ;;;9;;; 따라서 우수상을 받을 수 있는 최소 점수는 84.8점이다. ⑤
413
-;;;9;;; ;;;9;;;

15'6 15'3
a= , b= 이므로
8 4
b 15'3 8
28
= _ ='2
a 4 15'6 함수 f(x)는 확률밀도함수이므로 a<0, b>0이다.

따라서 { }6`=('2 )ß`={('2 )Û`}Ü`=8


b P(0ÉXÉ3)=P(0ÉXÉ1)+P(1ÉXÉ3)이고,
8
a
P(0ÉXÉ3)=1이므로

;2!;_(-a)_1+;2!;_2b_2=1, -a+4b=2

P(2ÉXÉ3)=;2!;_(b+2b)_1=;2#;b이므로
확률과 통계
;2#;b=;8#;, b=;4!;

23 따라서 a=-1
(xÛ`+2)6=6C0(xÛ`)6´20+6C1(xÛ`)Þ`´21+6C2(xÛ`)Ý`´22+y+6C6(xÛ`)0´26 확률밀도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x 의 계수는 6C2`2Û`=15_4=60
8
② y

1
y=f(x)
;2!;

O 1 3 x
24
학생 D, 학생 F를 학생 X, X로 생각하고, 학생 A, B, C, X, E, X를 나열한 함수 f(-x+2)는 f(x)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후 앞의 X에 학생 D를, 뒤의 X에 학생 F를 넣으면 된다.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므로 확률밀도함수 y=f(-x+2)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학생 A, B, C, X, E, X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y
6!
=360 ④
2! y=f(-x+2)
1
;2!;

-1 O 1 2 x

25
따라서 P{0ÉYÉ;2#;}=;2!;_1_;4!;+;2!;_;2!;_;2!;=;4!;이므로
부등식 6Éx+y+zÉ8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다음 세 가지 경우이다.
Ú x+y+z=6 20P{0ÉYÉ;2#;}=20_;4!;=5 ③
Û x+y+z=7
다른 풀이
Ü x+y+z=8
P{0ÉYÉ;2#;}=P{0É-X+2É;2#;}=P{;2!;ÉXÉ2}
따라서 구하는 모든 순서쌍 (x, y, z)의 개수는
3H6+3H7+3H8=
 8C6+9C7+10C8=8C2+9C2+10C2  =;2!;_;2!;_;2!;+;2!;_1_;4!;=;4!;
=28+36+45=109 ⑤
따라서 20P{0ÉYÉ;2#;}=20_;4!;=5

26 29
2점을 얻는 횟수를 확률변수 Y라 하면 Y는 이항분포 B{72, ;3!;}을 따른다. 주사위를 한번 던져 3의 배수인 눈이 나오는 경우는 3, 6이 나오는 경우이므로

따라서 E(Y)=72_;3!;=24 확률은 ;3!;이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1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1 23. 4. 6. 오후 2:13


5의 배수가 나오는 경우는 5가 나오는 경우이므로 확률은 ;6!;이다.
30
3의 배수도 5의 배수도 아닌 수가 나오는 경우는 1, 2, 4가 나오는 경우이므로 세 조건 (가), (나), (라)에서 f(4), f(6)의 값이 될 수 있는 경우는
확률은 ;2!;이다. f(4)=3, f(6)=3
f(4)=6, f(6)=3
주사위를 한번 던져 뽑은 카드에 적혀 있는 수의 총합으로 가능한 수는 0, 1, 2,
f(4)=6, f(6)=6
3, 4, 5, 6이다. 이때의 사건을 각각 A, B, C, D, E, F, G라 하자.
이다.
사건 A는 아무런 카드를 뽑지 않는 경우이므로
Ú f(4)=3, f(6)=3일 때
P(A)=;2!;
f
X X
사건 B는 카드를 한 장 뽑았을 때 1이 적혀 있는 카드인 경우이므로
1 1
C
P(B)=;3!;_ 3 1 =;9!; 2 2
9C1 3 3
4 4
사건 C는 카드를 한 장 뽑았을 때 2가 적혀 있는 카드이거나 두 장 뽑았을 때 1,
5 5
1이 적혀 있는 카드인 경우이므로 6 6
7 7
C C
P(C)=;3!;_ 3 1 +;6!;_ 3 2 8 8
9C1 9C2 9 9
=;9!;+;7Á2;=;8!;
조건 (나)에 의하여 f(5)=3
사건 D는 카드를 한 장 뽑았을 때 3이 적혀 있는 카드이거나 두 장 뽑았을 때 1, 두 집합 A={ f(x)|4ÉxÉ9}, B={ f(x)|1ÉxÉ3}이라 하면 n(A)의
2가 적혀 있는 카드인 경우이므로 값은 1, 2, 3이 될 수 있다.
C C_C
P(D)=;3!;_ 3 1 +;6!;_ 3 1 3 1 ① n(A)=1일 때
C
9 1 9C2
n(B)의 최댓값은 3이므로 조건 (다)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9!;+;2Á4;=;7!2!;
② n(A)=2일 때
사건 E는 카드를 두 장 뽑았을 때 1, 3 또는 2, 2가 적혀 있는 카드인 경우이므로 집합 A는 {1, 3} 또는 {2, 3}이다.
C_C C
P(E)=;6!;_{ 3 1 3 1 + 3 2 }=;1Á8; 서로 다른 2개에서 3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는 
9 C2 9C2
H3=2+3-1C3=4C3=4이고,
2
사건 F는 카드를 두 장 뽑았을 때 2, 3이 적혀 있는 카드인 경우이므로
f(7)=f(8)=f(9)=3인 경우를 제외해야 하므로 4-1=3
C_C
P(F)=;6!;_ 3 1 3 1 =;2Á4; 즉, n(A)=2인 경우의 수는 2_3=6
9 C2

사건 G는 카드를 두 장 뽑았을 때 3, 3이 적혀 있는 카드인 경우이므로 이때 집합 B는 4, 5, 6, 7, 8, 9 중에서 3개의 원소를 가져야 한다.
C 이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6개에서 3개를 택하는 조합의 수인
P(G)=;6!;_ 3 2 =;7Á2;
9C2
C3=20이므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6
5ÉSÉ6인 경우 일어나는 사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6_20=120
합 사건 ③ n(A)=3일 때
A, F 집합 A={1, 2, 3}이고, 이는 f(7), f(8), f(9)의 세 값은 1, 2를 필수
5 B, E 로 갖고 1, 2, 3 중에서 하나를 고르는 경우이다.
C, D 따라서 가능한 경우의 수는 3이다.

A, G 이때 집합 B는 4, 5, 6, 7, 8, 9 중에서 2개의 원소를 가져야 한다.


f(3)=3일 때, 서로 다른 6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이므로 
B, F
6 6 C2=15
C, E
f(3)+3일 때, 서로 다른 6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당 2개씩이므로
D, D
6 C2_2=30
합이 5가 되는 확률을 구하면 따라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478
2!_{;2!;_;2Á4;+;9!;_;1Á8;+;8!;_;7!2!;}= 3_(15+30)=135
72Û`
①, ②, ③에서 f(4)=3, f(6)=3일 때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합이 6이 되는 확률을 구하면

2!_{;2!;_;7Á2;+;9!;_;2Á4;+;8!;_;1Á8;}+{;7!2!;}2`=
313 120+135=255
72Û` Û f(4)=6, f(6)=3일 때
5ÉSÉ6일 확률은 f
X X
478+313 791
= 1 1
72Û` 72Û` 2 2
이때 숫자 3이 적혀 있는 카드를 2장 이상 뽑는 경우는 3 3
4 4
Ú 사건 A, G가 일어나는 경우 5 5
6 6
이때 확률은 2!_{;2!;_;7Á2;}=;7Á2; 7 7
8 8
Û 사건 D, D가 일어났을 때 카드를 한 장 뽑아 3이 적혀 있는 카드인 경우만 9 9
뽑는 경우

}2`=;8Á1;
C1 ① f(5)=4 또는 f(5)=5일 때
이때 확률은 {;3!;_ 3
C1 9 n(A)의 값은 3, 4, 5가 될 수 있다.
Ú, Û에서 숫자 3이 적혀 있는 카드를 2장 이상 뽑는 확률은 ⓐ n(A)=3일 때
17
;7Á2;+;8Á1;= f(7)=f(8)=f(9)=3이고, 이때 집합 B는 7, 8, 9 중에서 2개의 원
72_9
17 소를 가져야 한다.
72_9 136 f(3)=6일 때, 서로 다른 3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 이므로
791 791
3 C2=3
72Û`
f(3)+6일 때, 서로 다른 3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당 2개씩이므로
p-q=791-136=655  655
2_3C2=6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2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2 23. 4. 6. 오후 2:13


따라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Ü f(4)=6, f(6)=6일 때
2_(3+6)=18 f
X X
ⓑ n(A)=4일 때 1 1
집합 A가 {1, 3, f(5), 6} 또는 {2, 3, f(5), 6}인 경우이다. 2 2
3 3
서로 다른 2개에서 3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는  4 4
5 5
2H3=2+3-1C3=4C3=4이고,
6 6
f(7)=f(8)=f(9)=3인 경우를 제외해야 하므로 4-1=3 7 7
8 8
즉, n(A)=4인 경우의 수는
9 9
2_3=6
이때 집합 B는 7, 8, 9 중에서 1개의 원소를 가져야 한다. 조건 (나)에 의하여 f(5)=6
7, 8, 9 중에서 한 개의 원소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3C1=3 두 집합 C={ f(x)|1ÉxÉ6}, D={ f(x)|7ÉxÉ9}라 하면 n(C)의 값은
서로 다른 2개에서 3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는  1, 2, 3, 4가 될 수 있다.
H3=2+3-1C3=4C3=4
2
① n(C)=1일 때
f(1)=f(2)=f(3)=6인 경우는 제외해야 하므로 n(D)의 최댓값은 3이므로 조건 (다)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가능한 경우의 수는 3_(4-1)=9 ② n(C)=2일 때
따라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집합 C가 {6, 7} 또는 {6, 8} 또는 {6, 9}인 경우이다.
2_6_9=108 서로 다른 2개에서 3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는 2H3=2+3-1C3=4C3=4
ⓒ n(A)=5일 때 이고, f(1)=f(2)=f(3)=6인 경우를 제외해야 하므로 4-1=3
집합 A가 {1, 2, 3, f(5), 6}인 경우이다. 즉, 가능한 경우의 수는 3_3=9
이는 f(7), f(8), f(9)의 세 값은 1, 2를 필수로 갖고, 1, 2, 3 중에 이때 집합 D는 1, 2, 3, 4, 5 중에서 3개의 원소를 가져야 한다.
서 하나를 고르는 경우이고 가능한 경우의 수는 3이다. 이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5개에서 3개를 택하는 조합의 수인
이때 f(1)=f(2)=f(3)=6이어야 하므로 5C3=10이므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2_3=6 9_10=90
따라서 f(5)=4 또는 f(5)=5일 때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③ n(C)=3일 때
18+108+6=132 f(3)=6일 때 3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이므로 3C2=3
② f(5)=3 또는 f(5)=6일 때 f(3)+6일 때 3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당 2개씩이므로 2_3C2=6
n(A)의 값은 2, 3, 4가 될 수 있다. 이때 집합 D는 1, 2, 3, 4, 5 중에서 2개의 원소를 가져야 한다.
ⓐ n(A)=2일 때 f(7)=6일 때 서로 다른 5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이므로 5C2=10
f(7)=f(8)=f(9)=3이고, 이때 집합 B는 7, 8, 9 중 3개의 원소를 f(7)+6일 때 서로 다른 5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당 2개씩이므로 
가져야 하고 이 경우는 하나뿐이다. 2_5C2=20
따라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2_1=2 따라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 n(A)=3일 때 (3+6)_(10+20)=270
집합 A가 {1, 3, 6} 또는 {2, 3, 6}인 경우이다. ④ n(C)=4일 때
서로 다른 2개에서 3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는  f(1)=9, f(2)=8, f(3)=7이고, 이때 집합 D는 1, 2, 3, 4, 5 중에서
H3=2+3-1C3=4C3=4이고
2
1개의 원소를 가져야 한다.
f(7)=f(8)=f(9)=3인 경우를 제외해야 하므로 4-1=3 1, 2, 3, 4, 5 중에서 한 개의 원소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5C1=5
즉, n(A)=3인 경우의 수는 서로 다른 2개에서 3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는 
2_3=6 2H3=2+3-1C3=4C3=4
이때 집합 B는 7, 8, 9 중 2개의 원소를 가져야 한다. f(7)=f(8)=f(9)=6인 경우는 제외해야 하므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
f(3)=6일 때, 서로 다른 3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이므로  는
C2=3
3
5_(4-1)=15
f(3)+6일 때, 서로 다른 3개에서 2개를 택하는 경우당 2개씩이므로 ①~④에서 f(4)=6, f(6)=6일 때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2_3C2=6 90+270+15=375
따라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Ú, Û, Ü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f`:`X``ÚX의 총 개수는
2_6_(3+6)=108 255+296+375=926  926
ⓒ n(A)=4일 때
집합 A가 {1, 2, 3, 6}인 경우이다.
이는 f(7), f(8), f(9)의 세 값은 1, 2를 필수로 갖고 1, 2, 3 중에서
하나를 고르는 경우이다.
따라서 가능한 경우의 수는 3이다.
이때 집합 B는 7, 8, 9 중에서 1개의 원소를 가져야 한다. 미적분
7, 8, 9 중에서 한 개의 원소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3C1=3
서로 다른 2개에서 3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는  23
2H3=2+3-1C3=4C3=4 `f(xÜ`)-f(1Ü`)
_(xÛ`+x+1)
f(1)=f(2)=f(3)=6인 경우는 제외해야 하므로 `f(xÜ`) xÜ`-1Ü`
lim =lim
x`Ú1 `f(x) x`Ú1 `f(x)-f(1)
가능한 경우의 수는 3_(4-1)=9
x-1
따라서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2_3_9=54
`f(xÜ`)-f(1Ü`)
f(5)=4 또는 f(5)=5일 때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lim _lim (xÛ`+x+1)
x`Ú1 xÜ`-1Ü` x`Ú1
2+108+54=164 =
`f(x)-f(1)
lim
①, ②에서 f(4)=6, f(6)=3일 때 가능한 함수 f의 개수는 x`Ú1 x-1
132+164=296 `f '(1)_(1+1+1)
= =3 ③
`f '(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3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3 23. 4. 6. 오후 2:13


24 28
lim Á {1+ }3`` =:!3 xÜ` dx=[;4!;xÝ`]3!=20
n 2k 2 삼각형 AOC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1,
②
n`Ú¦ k=1 n n 부채꼴 OBC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2라 하자.
ACÓ=2`cos`h이므로 삼각형 AOC의 넓이는

;2!;_1_2`cos`h_sin`h=cos`h`sin`h

또한 삼각형 AOC의 넓이는

;2!;_(삼각형 AOC의 둘레의 길이)_r1


25
4(3n-1-1) 이고, 삼각형 AOC의 둘레의 길이는 `2`cos`h+2이므로
a1+a2+y+an-1= cos`h`sin`h
3-1 r1=
cos`h+1
}2`p
n-1
=2(3 -1)
cos`h`sin`h
따라서 따라서 S1={
cos`h+1
a +a2+y+an-1 2(3n-1-1) 부채꼴 OBC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을 P라 하면
lim 1 n n =lim
n`Ú¦ 3 +2 n`Ú¦ 3n+2n
∠BOC=2h이므로 ∠POC=h
1
2{;3!;- n } OPÓ=1-r2이므로
1+{ }n`
3
=lim =;3@; ②
n`Ú¦ 2 (1-r2)sin`h=r2
3
sin`h
r2=
sin`h+1
}2`p이므로
sin`h
따라서 S2={
sin`h+1

}2`p-{ }2`p
sin`h cos`h`sin`h
S2-S1 {
sin`h+1 cos`h+1
lim = lim

ঠ¥ ¦ h ¥ ¡
hÛ` hÛ`
2` 2`
26 h`Ú0+ h`Ú0+

sin`h sin`h
cos`h`
x=t`(0ÉtÉ2)일 때 반원의 지름이 te;2T;이므로 반원의 넓이를 구하면 h

{;2!;te;2T;}2`p_;2!;=;8!;tÛ`etp
= lim p- p
sin`h+1 cos`h+1

}2`p-{ }2`p
h`Ú0+

1 1_1
={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0+1 1+1

:)2 ;8!;xÛ`exp`dx= {[xÛ`ex]2)-:)2 2xex dx} =;4#;p


p ①
8

[4eÛ`-{[2xex]2)-:)2 2ex dx}]


p
=
8

{4eÛ`-4eÛ`+[2ex]2)}
p
=
8
eÛ`-1
= p ④
4

29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27 y=sin {x+;6Ò;}
삼각형 ABC의 넓이는 ;6%;p ;3$;p
'3 '3
_1Û`= O ;3Ò; 11
;;6;;p ;3&;p
x
4 4
만들어지는 세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_;3!;=;3!;이므로 세 정삼각형의 넓이

의 합은 p

{;3!;}2`_3=
kÉxÉk+ 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이 g(k)이므로
3
'3 '3
4 12 p
0Ék< 일 때, g(k)=1
3
'3 '3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_;3!;= 이므로 그림 R1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 p
2 6 Ék<;6&;p일 때, g(k)=f(k)
3
이는 p
}2`p=
;6&;pÉkÉ2p일 때, g(k)=f {k+ }
'3 '3 '3 '3 p 3

:)2`È` g(x)dx
- -{ -
4 12 6 6 12
그림 R1에서 합동인 세 개의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삼각형 ABC의 한 변의
;3É;; ;6&;p p p
}dx+: `sin`{x+ }dx
2p
=:) 1`dx+: `sin`{x+
길이의 ;3!;배이므로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의 ;9!;배이다. ;3É;; 6 ;6&;p 2
;3É;; p ;6&;p p 2p
넓이가 ;9!;배인 도형이 3개이므로 그림 R2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그림 R1에 =[x] +[-cos`{x+ }] +[-cos`{x+ }]
0 6 ;3É;; 2 ;6&;p
p
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의 ;9!;_3=;3!;(배)이다. ={ -0}+{;2!;+0}+{0+;2!;}
3
'3 p p
따라서 그림 Rn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첫째항이 - , 공비가 ;3!;인 등 =1+
6 12 3
비수열의 제n항까지의 합이므로 p
따라서 m=1+ 이므로
'3
3

}2`=» ¼2`=9
p
6
-
12 '3 p {
p p
9
lim Sn= = -  ② m-1 p
1-;3!;
n`Ú¦ 4 8
3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4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4 23. 4. 6. 오후 2:13


따라서 x¾2일 때, h(x)=1
30
b2Ék<2일 때 함수 y=kx+c의 그래프와 함수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g(x)=:!/ f(t)dt에서 g(1)=0이다. 최대 개수는 3이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b2Éx<2일 때, h(x)=3
y 이때 x=2에서 h(x)는 불연속이고 b1=2이다.
이때 b2의 값은 그림과 같이 직선 y=kx+c가 함수 y=g(x)의 그래프와 열린
y=f(x)
구간 {p, ;2#;p}에 속하는 한 점과 열린구간 {;2&;p, 4p}에 속하는 한 점에서 접할
O p 2p 3p 4p 5p 6p x
때의 k의 값이다.
y y=kx+c
pÉxÉ2p에서 f(x)=-2`sin`x이고,

:ù2`È (-2`sin`x)dx=[2`cos`x]2ùÈ=4
y=g(x)

이므로 이를 이용하면 자연수 n에 대하여 함수 y=g(x)와 그 그래프는 다음과


4
같다.
4(n-1) (2(n-1)p<xÉ(2n-1)p) O p 2p 3p 4p 5p x
y=[
2`cos`x+(4n-2) ((2n-1)pÉx<2np)
y 이때 대칭성을 이용하면 직선 y=kx+c는 점 {;2%;p, 4}를 지난다는 것을 알 수
y=g(x)
있다.
8
h(1)을 구하기 위하여 열린구간 {p, ;2#;p}에 속하는 한 점 (a, 2`cos`a+2)에
4
서 함수 y=g(x)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해 보자.

O p 2p 3p 4p 5p x p<x<;2#;p에서 g'(x)=-2`sin`x이므로 -2`sin`a=1을 만족하는 a의 값은

;6&;p이다.
0<kÉa1일 때 함수 y=kx+c의 그래프와 함수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따라서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최대 개수는 3이다.
따라서 0<xÉa1일 때, h(x)=3 y={x-;6&;p}+2`cos`{;6&;p}+2
이때 a1의 값은 그림과 같이 직선 y=kx+c가 함수 g(x)의 그래프와 열린구간
={x-;6&;p}-'3+2
{;2#;p, 2p}에 속하는 한 점과 열린구간 {5p, ;;Á2Á;;p}에 속하는 한 점에서 접할 때
이때 직선이 점 {;2%;p, ;3$;p-'3+2}를 지나고 ;3$;p-'3+2?4.46>4이므로
의 k의 값이다.
y 이를 통해 1>b2임을 알 수 있다.
y=g(x)
따라서 b2<1<2이므로
y=kx+c
h(1)=3
b3Ék<b2일 때 함수 y=kx+c의 그래프와 함수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최대 개수는 5이다.
따라서 b3Éx<b2일 때,
O p 2p 3p 4p 5p 6p x
h(x)=5

a1<kÉa2일 때, 함수 y=kx+c의 그래프와 함수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이때 b3의 값은 그림과 같이 직선 y=kx+c가 함수 y=g(x)의 그래프와 열린
최대 개수는 5이다.
구간 {p, ;2#;p}에 속하는 한 점과 열린구간 {;;Á2Á;;p, 6p}에 속하는 한 점에서 접
따라서 a1<xÉa2일 때, h(x)=5
이때 a2의 값은 그림과 같이 직선 y=kx+c가 함수 y=g(x)의 그래프와 열린 할 때의 k의 값이다.

구간 {;2#;p, 2p}에 속하는 한 점과 열린구간 {7p, ;;Á2°;;p}에 속하는 한 점에서 접


y y=kx+c
12
y=g(x)
할 때의 k의 값이다.
y 8
y=g(x)
y=kx+c
4

O p 2p 3p 4p 5p 6p x

O p 2p 3p 4p 5p 6p 7p 8p 9p x 이를 일반화하면 bn의 값은 그림과 같이 직선 y=kx+c가 함수 y=g(x)의 그


(4n-1)
래프와 열린구간 {p, ;2#;p}에 속하는 한 점과 열린구간 { p, 2np}에
이를 일반화하면 an의 값은 그림과 같이 직선 y=kx+c가 함수 y=g(x)의 그 2
속하는 한 점에서 접할 때의 k의 값이고, bn+1Éx<bn에서 h(x)=2n+1이다.
래프와 열린구간 {;2#;p, 2p}에 속하는 한 점과 열린구간 
이때 lim h(x)=19
x`Úb9-

{2np+3p, 2np+;2&;p}에 속하는 한 점에서 접할 때의 k의 값이고, 따라서


an<xÉan+1에서 h(x)=2n+3이다. b1+h(1)+ lim h(x)+ lim h(x)=2+3+17+19=41  41
x`Úa7+ x`Úb9-

이때 lim h(x)=17
x`Úa7+

g'{;2#;p}=f {;2#;p}=2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에서 곡선 부분의 변곡점에

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k¾2일 때 함수 y=kx+c의 그래프와 함수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최대 개수는 1이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5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5 23. 4. 6. 오후 2:13


기하 A('Ä4-a, k)`(k>0)이라 하면
4-a kÛ`
+ =1
23 4 a
4-a aÛ` a
점 A(1, 2, -2)를 zx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1, -2, -2)이므로 kÛ`=a{1- }= , k=
4 4 2
B(1, -2, -2)
FAÓ=ABÓ이므로 B{'Ä4-a, ;2A;_2}이고, BFÓ=a
따라서
FÕ'FÓ=2'Ä4-a이고, 삼각형 BF'F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Ã(1-3)Û`+{-2-(-1)}Û`+(-2-0)Û` 
BCÓ=
('1Œ2)Û`=(2'Ä4-a)Û`+aÛ`
='Ä4+1+4=3 ①
aÛ`-4a+4=0
따라서 a=2 ③

24
평행사변형의 성질에 의하여 ACÓ의 중점과 BDÓ의 중점이 일치하므로
3+a 0-1
= , a=-4
28
2 2
점 O에서 평면 A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는 삼각형 ABC의 무
-1+b 1+2
= , b=4 게중심이므로
2 2
2+c -1+3 '3
2
=
2
, c=0 AHÓ=;3@;ADÓ=;3@;'3, HDÓ=
3

이때 OHÓ=®É2Û`-{;3@;'3 }2`=;3@;'6
따라서 a+b+c=(-4)+4+0=0 ③

평면 OAD로 정사면체 OABC를 자른 단면은 그림과 같다.


O
태양광선

25
xÛ` yÛ`
타원의 방정식을 + =1`(a>0, b>0)이라 하면
aÛ` bÛ`
h
2a=12, a=6 A E
H D
"Ã6Û`-bÛ`=4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OAH=h라 하면
6Û`-bÛ`=16, bÛ`=20
2'6
P(p, q)라 하면 S="ÃpÛ`+qÛ` 3
tanh= ='2
pÛ` qÛ` 2'3
+ =1에서
36 20 3
5pÛ`+9qÛ`=180, qÛ`=-;9%;pÛ`+20 모서리 OA에 수직이고 점 O를 지나는 직선이 직선 AD의 연장선과 만나는 점
을 E라 하면
S=®ÉpÛ`-;9%;pÛ`+20=®É;9$;pÛ`+20 p
∠OEA= -h
2
따라서 pÛ`¾0이므로 S의 최솟값은 2'5이다. ④
OHÓ p 1 1
=tan`{ -h}= =
다른 풀이 HEÓ 2 tan`h '2
단축의 길이가 2b=2_2'5=4'5이므로 S의 최솟값은 2'5이다.
HEÓ='2_OHÓ='2_;3@;'6=;3$;'3

생기는 그림자의 넓이는 삼각형 CBE의 넓이이므로


'3
}='3
;2!;_2_{;3$;'3-
3
삼각형 OAC의 평면 ABC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AHC이므로
26
'3
2 삼각형 OAC의 넓이는 _2Û`='3
점 C의 x좌표를 a라 하면 C{a, } 4
a
'3
AC³={a,
2 2
}-(-3, 0)={a+3, } 삼각형 AHC의 넓이는 ;2!;_;3@;'3_1=
a a 3
2 2 평면 OAC와 평면 ABC가 이루는 각을 a라 하면
BC³={a, }-(3, 0)={a-3, }
a a '3
3
2 2 4
AC³+BC³={a+3, }+{a-3, }={2a, } cos`a= =;3!;
a a a '3

|AC³+BC³|=¾¨(2a)Û`+{ }2`=®É4aÛ`+
4 16 따라서 생기는 그림자의 평면 OAC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a aÛ` '3
따라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3_;3!;=  ①
3
16 16
®É4aÛ`+ ¾¾¨2®É4aÛ`_ ='Ä2_8=4
다른 풀이
aÛ` aÛ` 평면 OAD로 정사면체 OABC를 자른 단면은 그림과 같다.
이므로 |AC³+BC³|의 최솟값은 4이다. ⑤ O

27 A
D
E
xÛ` yÛ`
타원 + =1에서 a>0이고 초점 F의 x좌표는 'Ä4-a이다. ADÓ=ODÓ='3이므로 선분 OA의 중점을 M이라 하면 OAÓ ⊥ MDÓ
4 a
따라서 점 A의 x좌표는 'Ä4-a이고, 그러므로 MÕD가
³ 태양광선의 방향이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6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6 23. 4. 6. 오후 2:14


직선 AD 위에 MÕD
³ OE³인 점 E를 잡으면 구하는 그림자의 넓이는 삼각형 BCE 3'5 '5
OA³ º MÕQ³+OB³ º MÕR³= tÛ`- t
10 2
의 넓이이다.
'5
AMÓ=MOÓ이므로 ADÓ=DEÓ='3 =
10
(3tÛ`-5t)

[3{t-;6%;}2`-;1@2%;]
그러므로 삼각형 BCE의 넓이는 '5
=
;2!;_2_'3='3 10

점 O에서 평면 A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는 삼각형 ABC의 무 t=;6%;일 때 OA³ º MÕQ³+OB³ º MÕR의


³ 값은 최솟값 -;2°4;'5를 가지므로

게중심이다. a=;6%;, b=-;2°4;'5


두 평면 OAC, ABC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a라 하면
;aB;=-;2°4;'5_;5^;
(삼각형 AHC의 넓이) ;3!;_(삼각형 ABC의 넓이)
cos`a= = =;3!;
(삼각형 OAC의 넓이) (삼각형 ABC의 넓이) =-;4!;'5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따라서 p=4, q=1이므로
'3
;3!;_'3= p+q=5 5
3

30
구 S의 중심을 C(a, b, c)라 하면
29 a>0, c>0
두 점 A, 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조건 (가)에서 c=a이고,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a이다.
3t+1 또한 조건 (나)에 의하여
M{ , 1}
2
b=2a
|PA³+PB³|=t에서
따라서 구 S는 중심이 (a, 2a, a)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a이다.
|PA³+PB³|=|OA³+OB³-2OP³| 
z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P, 평면 P와 구 S가 만나서 생기는 원을 C라 하고,
=|2OÕM-
³ 2OP³| 
원 C 위의 점의 x좌표의 최댓값이 a인 점을 A라 하면
=2|PÕM³|
점 A는 구의 중심 C를 지나면서 yz평면에 평행인 평면과 구의 중심 C를 지나면
|PÕM³|=;2T;이므로 점 P는 중심이 M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T;인 원 위에 있다. 서 xy평면에 평행인 평면 위에 존재한다.
OB³ º OP³=
 OB³ º (OÕM³+MÕP³)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a, 3a, a)이다.
=(OB³ º OÕM³)+(OB³ º MÕP³) x
3t+5
= +(OB³ º MÕP³)
2 C
A
|OB³|='5이고 |MÕP³|=;2T;이므로 OB³ º MÕP의
³ 값은 다음 그림과 같이 두 벡터 O
y
OB³, MÕP³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0ù일 때 최댓값을 갖고, 두 벡터 OB³, MÕP가
³ 이
루는 각의 크기가 180ù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y z

Q 점 A에서 yz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M(0, 3a, a)이고,


B
점 M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N이라 하면 N(0, 0, a)이다.
M
좌표공간의 원점을 O라 할 때, AÕMÓ ⊥(yz평면)이고 MNÓ ⊥ ONÓ이므로
O R A x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ANÓ ⊥ ONÓ
구 S가 yz평면과 접하는 점을 B라 하고, 중심 C에서 직각삼각형 ANM의 빗변
벡터 MÕQ³는 벡터 OB³와 방향이 같고 크기가 ;2T;이므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 하면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OB³
MÕQ³=;2T;_ C A
|OB³|
1 D
=;2T;_ (1, 2)
'5
N M
'5 2'5 B
={ t, t}
10 10
원 C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DAÓ=1이고, CAÓ는 구 S의 반지름이므로 
³ 벡터 OB³와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2T;이므로
벡터 MÕR는 CAÓ=a이다.
-OB³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면 NÕM= Ó a에서 ANÓ='1Œ0a이므로
Ó 3a, AÕM=
MÕR³=;2T;_
|OB³| ∠ANM=h라 하면
1 3
=;2T;_[- (1, 2)] cos`h=
'1Œ0
'5
'5 2'5 ∠ANM=∠CAD이므로
={- t, - t}
10 10 DAÓ 1 3
=cos`h, =
'5 2'5 CAÓ a '1Œ0
OA³ º MÕQ³=(3t, 0) º { t, t}
10 10 '1Œ0
a=
3'5 3
= tÛ`
10 '1Œ0
따라서 구 S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고,
'5 3

}2`=;;¢9¼;;p이므로
2'5
OB³ º MÕR³=(1, 2) º {- t, - t} '1Œ0
10 10 구 S의 겉넓이는 4_p_{
3
'5
=- t p+q=9+40=49  49
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7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3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7 23. 4. 6. 오후 2:14


CAÓ Û`=ABÓ Û`+BCÓ Û`-2_ABÓ_BCÓ_cos`B이므로
4 회
EBS FINAL 수학영역 본문 55~70쪽
(4x)Û`=(3x)Û`+(3x)Û`-2_3x_3x_cos`B
(3x)Û`+(3x)Û`-(4x)Û` 2xÛ`
따라서 cos`B= = =;9!; ①
2_3x_3x
01 ⑤ 02 ② 03 ① 04 ① 05 ③ 18xÛ`

06 ① 07 ③ 08 ③ 09 ④ 10 ⑤
11 ② 12 ④ 13 ⑤ 14 ⑤ 15 ③
16 324 17 33 18 17 19 10 20 504
21 8 22 45 05
확률과 통계 23 ① 24 ④ 25 ① 26 ⑤ 함수 y=2x-1+1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나
27 ③ 28 ④ 29 69 30 521 타내는 방정식은
미적분 23 ③ 24 ④ 25 ④ 26 ④
y=2x-1+1-;3!;, 즉 y=2x-1+;3@;
27 ⑤ 28 ② 29 85 30 101
함수 y=2x-1+;3@;의 그래프는 함수 y=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기하 23 ④ 24 ⑤ 25 ③ 26 ②
27 ② 28 ① 29 2 30 108 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2x-1+;3@;의 그래프의 점근

선은 직선 y=;3@;이다.
p
01 직선 y=;3@;와 함수 y=tan`x`{0<x<
2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x좌표가 x1

log4`27_log9`64=log2Û``3Ü`_log3Û``2ß`=;2#;log2`3_;2^;log3`2 이므로

log`3 log`2 tan`x1=;3@;


=;2#;_ _3_ =;2(; ⑤
log`2 log`3
p 2 3
0<x1< 이므로 sin`x1= , cos`x1=
2 '1Œ3 '1Œ3
2 3
따라서 sin`x1`cos`x1= _ =;1¤3; ③
'1Œ3 '1Œ3
02
f '(1)=f '(2)+0이므로
`f(1+2h)-f(1)
`f(1+2h)-f(1) 2_
2h
lim
h`Ú0 `f(2-h)-f(2)
=lim
h`Ú0
-1_
`f(2-h)-f(2) 06
-h 2xÛ`+4x-6a 2xÛ`+4x-6a
`f(1+2h)-f(1) lim =lim =b   yy ㉠
x`Ú1 xÛ`+(1-a)x-a x`Ú1 (x+1)(x-a)
2h a, b가 한 자리 자연수이므로 a의 값에 따라 ㉠을 만족시키는 a, b의 순서쌍 (a, b)
=-2`lim
h`Ú0 `f(2-h)-f(2)
-h 는 다음과 같다.
`f '(1) Ú a=1일 때
=-2_ =-2 ②
`f '(2) ㉠에서
2xÛ`+4x-6 2(x+3)(x-1)
lim =lim
x`Ú1 (x+1)(x-1) x`Ú1 (x+1)(x-1)

2(x+3)
=lim =;2*;=4=b
x`Ú1 x+1
03 따라서 순서쌍 (1, 4)는 ㉠을 만족시킨다.
Á (3-ak)=10에서
5
Û a=2, 3, 4, y, 9일 때

Á (3-ak)= Á 3- Á ak=5_3- Á ak=10


k=1
a>1이므로 ㉠에서
5 5 5 5
2xÛ`+4x-6a 2+4-6a 6(1-a)
lim = = =3=b
Á ak=5
k=1 k=1 k=1 k=1
x`Ú1 (x+1)(x-a) 2(1-a) 2(1-a)
5
따라서 순서쌍 (2, 3), (3, 3), (4, 3), y, (9, 3)은 ㉠을 만족시킨다.

Á (ak-2bk)=20에서
k=1
5 Ú, Û에서 ㉠을 만족시키는 모든 순서쌍 (a, b)는 (1, 4), (2, 3), (3, 3), 
(4, 3), y, (9, 3)이므로 a-b의 값은 a=1, b=4일 때 최솟값 
Á (ak-2bk)= Á ak-2 Á bk=5-2 Á bk=20
k=1
5 5 5 5
m=1-4=-3을 갖고, a=9, b=3일 때 최댓값 M=9-3=6을 갖는다.

Á bk=-;;Á2°;;
k=1 k=1 k=1 k=1
M 6
5 따라서 = =-2 ①
m -3
k=1

따라서

Á (ak+2bk)= Á ak+2 Á bk=5+2_{-;;Á2°;;}=-10


5 5 5
①
k=1 k=1 k=1

07
f(x)=4xÜ`-3xÛ` f '(2)-9x-1 yy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4 f '(x)=12xÛ`-6x f '(2)-9 yy ㉡
양수 k에 대하여 4ABÓ=4BCÓ=3CAÓ=k라 하면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ABÓ=;4K;, BCÓ=;4K;, CAÓ=;3K; 이므로 f '(2)=48-12 f '(2)-9
f '(2)=3
ABÓ`:`BCÓ`:`CAÓ=;4K;`:`;4K;`:`;3K;=3`:`3`:`4 이 값을 ㉠에 대입하면
양수 x에 대하여 ABÓ=3x, BCÓ=3x, CAÓ=4x라 하면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f(x)=4xÜ`-9xÛ`-9x-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8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8 23. 4. 6. 오후 2:14


따라서 g'(x)

:_1@ f(x)dx-:@1 f(x)dx


=(x-1)'(x-2)(x-3)y(x-10)+(x-1)(x-2)'(x-3)y(x-10) 

=:_1@ f(x)dx+:!2 f(x)dx=:_2@ f(x)dx


+(x-1)(x-2)(x-3)'y(x-10)+y+(x-1)(x-2)(x-3)y(x-10)'
=(x-2)(x-3)y(x-10)+(x-1)(x-3)y(x-10) 

=:_2@ (4xÜ`-9xÛ`-9x-1)dx=:_2@ (-9xÛ`-1)dx


+(x-1)(x-2)y(x-10)+y+(x-1)(x-2)y(x-9)
따라서

=2:)2 (-9xÛ`-1)dx=2[-3xÜ`-x]2)
g'(3)=2_1_(-1)_(-2)_(-3)_(-4)_(-5)_(-6)_(-7)
g'(7)=6_5_4_3_2_1_(-1)_(-2)_(-3)
=2_(-24-2)=-52 ③ g'(3) -2_2_3_4_5_6_7
이므로 = =;3&; ⑤
g'(7) -2_3_2_3_4_5_6

08 11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d+0)이라 하면 BCÓ=a, ACÓ=b, ABÓ=c라 하고,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a3=a+2d, a4=a+3d, a7=a+6d, am=a+(m-1)d R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이때 세 항 a3, a4, a7이 이 순서대로 공비가 r인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4는 a3과 a b c
sin`A= , sin`B= , sin`C=
a7의 등비중항이다. 2R 2R 2R
a4Û`=a3a7 이므로 조건 (가)에 의하여
(a+3d)Û`=(a+2d)(a+6d) cosÛ``A+cosÛ``B=1+cosÛ``C
(1-sinÛ``A)+(1-sinÛ``B)=1+(1-sinÛ``C)

}2`+{ }2`={ }2`


aÛ`+6ad+9dÛ`=aÛ`+8ad+12dÛ`
a b c
d(2a+3d)=0 sinÛ``A+sinÛ``B=sinÛ``C, {
2R 2R 2R
d+0이므로 2a+3d=0, a=-;2#;d이고, aÛ`+bÛ`=cÛ` yy ㉠
즉, 삼각형 ABC는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이다.
-;2#;d+3d ;2#;d
a¢ a+3d 또한 조건 (나)에 의하여
r= = = = =3
-;2#;d+2d ;2!;d
a£ a+2d
sin`A+2`sin`B=2`sin`C
am a a b c
또한 =r, 즉 m =3이므로 +2_ =2_ , a+2b=2c
a¦ a¦ 2R 2R 2R
a+2b
am a+(m-1)d -;2#;d+(m-1)d {m-;2%;}d m-;2%;
c= yy ㉡
2
= = = = =3
-;2#;d+6d ;2(;d ;2(;
a¦ a+6d ㉡을 ㉠에 대입하면

}2`, 4aÛ`+4bÛ`=aÛ`+4ab+4bÛ`
a+2b
aÛ`+bÛ`={
2
m-;2%;=;;ª2¦;;, m=16
a(3a-4b)=0
따라서 r_m=3_16=48 ③
a>0이므로 ;aB;=;4#;

b
sin`B 2R
따라서 = =;aB;=;4#; ②
sin`A a
09 2R
시각 t=0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가 모두 0이므로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위치는

:)2 f(t)dt=:)2 (at+a)dt=[;2A;tÛ`+at]2)=4a 12


시각 t=2에서의 점 Q의 위치는 집합 A는 직선 y=;3$;x, 집합 B는 직선 y=0`(x축), 집합 C는 중심이 (0, t)이

:)2 g(t)dt=:)2 (3tÛ`-2at)dt=[tÜ`-atÛ`]2)=8-4a 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다.

시각 t=2에서의 두 점 P, Q 사이의 거리가 40이므로 집합 C가 나타내는 원이 직선 y=;3$;x, 즉 4x-3y=0에 접하려면 원의 중심


|4a-(8-4a)|=8|a-1|=40, |a-1|=5 (0, t)와 직선 4x-3y=0 사이의 거리가 3이어야 하므로
a-1=-5 또는 a-1=5 |4_0-3_t|
=3, |t|=5, t=Ñ5
a=-4 또는 a=6 "Ã4Û`+(-3)Û`
한편,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는 각각 t의 값에 따라 함수 f(t)는 다음과 같다.
f '(t)=a, g'(t)=6t-2a Ú t<-5 또는 t>5일 때
이때 점 P의 가속도 f '(t)가 항상 음수이므로 a<0 원 xÛ`+(y-t)Û`=9와 두 직선 y=;3$;x, y=0`(x축)이 만나는 점이 존재하지
따라서 a=-4이고 g'(t)=6t+8이므로 점 Q의 시각 t=2에서의 가속도는
않으므로
g'(2)=12+8=20 ④
f(t)=0
Û t=-5 또는 t=5일 때

원 xÛ`+(y-t)Û`=9는 직선 y=;3$;x와 접하고, 직선 y=0`(x축)과는 만나지


10 않으므로
f(x)= Á log2(x-n)
10
f(t)=1
n=1
Ü -5<tÉ-3 또는 3Ét<5일 때
=log2(x-1)+log2(x-2)+log2(x-3)+y+log2(x-10)
=log2(x-1)(x-2)(x-3)y(x-n) 원 xÛ`+(y-t)Û`=9가 직선 y=;3$;x 또는 직선 y=0`(x축)과 만나는 서로 다

이므로 른 점의 개수가 2이므로


g(x)=2 f(x)=(x-1)(x-2)(x-3)y(x-10) f(t)=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39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39 23. 4. 6. 오후 2:14


Ý -3<t<3일 때 방정식 g(t)=-1의 근은 t=-3 또는 t=3

원 xÛ`+(y-t)Û`=9는 두 직선 y=;3$;x, y=0`(x축)과 각각 서로 다른 두 점 따라서 방정식 {g(t)}Û`=1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곱은


-2_2_(-3)_3=36 ⑤
에서 만난다. 이때 만나는 네 점이 모두 서로 다른 점이므로
f(t)=4
Ú~Ý에서
(0 (t<-5 또는 t>5) 14
\1 (t=-5 또는 t=5)
f(k)={ ㄱ. s=4-x라 하면 x`Ú2+일 때 s`Ú2-이고,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2 (-5<tÉ-3 또는 3Ét<5)
f '(x)는 일차함수이므로 조건 (가)에서
94 (-3<t<3)
lim { f '(x)+f '(4-x)}= lim `f '(x)+ lim `f '(s)
x`Ú2+ x`Ú2+ x`Ú2-
이므로 함수 f(t)는
=f '(2)+f '(2)=2 f '(2)=0
t=-5, t=-3, t=3, t=5
이므로 f '(2)=0
에서만 불연속이다.
따라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2, f(2))이다.
이때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g(t)에 대하여 함수 f(t)g(t)가 실수 전
한편,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a<b)라 하면 조건
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t=-5, t=-3, t=3, t=5에서 함수 f(t)g(t)가
(나)에 의하여
연속이어야 한다.
ab=3 yy ㉠
어떤 실수 t1에 대하여 함수 f(t)가 t=t1에서 불연속이면 세 값 lim `f(t),
t`ÚtÁ-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lim `f(t), f(t1) 중에서 적어도 두 값이 서로 다르다. a+b
t`ÚtÁ+
=2, a+b=4
2
이때 다항함수 g(t)에 대하여 함수 f(t)g(t)가 t=t1에서 연속이려면
b=4-a yy ㉡
lim `f(t)g(t)= lim `f(t)g(t)=f(t1)g(t1)에서
t`ÚtÁ- t`ÚtÁ+
㉡을 ㉠에 대입하면
[ lim `f(t)]_g(t1)=[ lim `f(t)]_g(t1)=f(t1)g(t1)이어야 하므로 a(4-a)=3, aÛ`-4a+3=0
t`Út1- t`Út1+

g(t1)=0 (a-1)(a-3)=0, a=1 또는 a=3


즉, g(-5)=g(-3)=g(3)=g(5)=0이어야 하므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a=1이면 b=4-1=3, a=3이면 b=4-3=1
사차함수 g(t)는 이때 a<b이므로 a=1, b=3
g(t)=(t+5)(t+3)(t-3)(t-5) 따라서 함수 f(x)는 f(x)=a(x-1)(x-3)`(a<0)으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g(6)=11_9_3_1=297 ④ f '(x)=a(x-1)+a(x-3)=2a(x-2)
이므로 f '(1)=-2a>0 (참)

ㄴ. g(x)=(x-1)f(x)-:!/ f(t)dt yy ㉢
1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g(1)=0
f(x)=-2`cosÛ``x+2t`sin`x+5=-2(1-sinÛ``x)+2t`sin`x+5

=2(sinÛ``x+t`sin`x)+3=2{sin`x+ }2`- +3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t tÛ`
g'(x)=f(x)+(x-1)f '(x)-f(x) 
2 2
-1Ésin`xÉ1이므로 t의 값에 따라 함수 g(t)는 다음과 같다. =(x-1)f '(x)
t 이때 f '(2)=0이므로 g'(x)=0에서
Ú -1É- É1, 즉 -2ÉtÉ2일 때
2 x=1 또는 x=2
t tÛ`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는 sin`x=- 일 때 최솟값 - +3을 가지므로
2 2
tÛ` x y 1 y 2 y
g(t)=- +3
2
g '(x) - 0 + 0 -
t
Û - <-1, 즉 t>2일 때 g(x) ↘ 극소 ↗ 극대 ↘
2
함수 f(x)는 sin`x=-1일 때 최솟값 -2t+5를 가지므로 따라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g(t)=-2t+5 y
t
Ü - >1, 즉 t<-2일 때
2
함수 f(x)는 sin`x=1일 때 최솟값 2t+5를 가지므로
g(t)=2t+5 y=g(x)
Ú, Û, Ü에서
O 1 2 x
( 2t+5 (t<-2)
\ tÛ`
g(t)={ - +3 (-2ÉtÉ2) 즉, 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가 2이므로
\
2

방정식 g(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참)
9 -2t+5 (t>2)
ㄷ. g'(x)=(x-1)f '(x)=(x-1)_2a(x-2) 
이므로 함수 y=g(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axÛ`-6ax+4a
y
이므로
3
y=g(t)
g(x)=: g'(x)dx=: (2axÛ`-6ax+4a)dx
1
-3 3 =;3@;axÜ`-3axÛ`+4ax+C (단, C는 적분상수)
-2 O 2 t
-1 g(1)=0이므로

g(1)=;3@;a-3a+4a+C=;3%;a+C=0

방정식 {g(t)}Û`=1에서 C=-;3%;a


g(t)=1 또는 g(t)=-1
방정식 g(t)=1의 근은 t=-2 또는 t=2 즉, g(x)=;3@;axÜ`-3axÛ`+4ax-;3%;a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0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0 23. 4. 6. 오후 2:14


y y=|g(x)| 이를 만족시키는 2 이상 4 이하의 자연수 k와 음의 정수 d는
k=2, d=-6 또는 k=4, d=-10
그러므로 가능한 d의 값은 -20 또는 -10 또는 -6이다.
d=-20이면 an=10+(-20)_(n-1)=-20n+30이고,
y=1
두 집합 A={10, -10, -30, -50}, B={10, 0, -30, -80}이므로
O 1 2 x
n(A;B)=2
d=-10이면 an=10+(-10)_(n-1)=-10n+20이고,
이때 방정식 |g(x)|=1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3이려면 g(2)=1이어

두 집합 A={10, 0, -10, -20}, B={10, 0, -20}이므로
야 하므로
n(A;B)=3
g(2)=;;Á3¤;;a-12a+8a-;3%;a=-;3A;=1 d=-6이면 an=10+(-6)_(n-1)=-6n+16이고,
a=-3 두 집합 A={10, 4, -2, -8}, B={10, 14, 12, 4}이므로
두 함수 f(x)=-3(x-1)(x-3), g(x)=-2xÜ`+9xÛ`-12x+5에서 n(A;B)=2
함수 f(x)의 극댓값은 f(2)=3 따라서 d<0일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열 {an}의 일반항은
함수 g(x)의 극댓값은 g(2)=1 an= -20n+30 또는 an= -6n+16 이므로
따라서 두 함수 f(x), g(x)의 극댓값의 합은 a10=-170 또는 a10=-44
3+1=4 (참) Ú, Û, Ü에서 a10의 값은 22 또는 -170 또는 -44이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따라서 k=1, M=22, m=-170, f(n)=2n+2이므로
k_(M-m) 1_{22-(-170)}
= =32 ③
`f(2) 6

15
수열 {an}은 첫째항이 자연수이고, 모든 항이 정수인 등차수열이므로 수열 {an} 16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는 자연수, d는 정수이다. ;[!; ;[!; ;[@;
2x=25에서 2=25 =(5Û`) =5
공차 d의 값에 따라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a10의 값은 다음과 같다.
1 1
;]!;
Ú d=0일 때 32y=25에서 3=25 2y =(5Û`) 2y =5
4x+4y
집합 A={a}이므로 n(A)= 1 ;]$; ;[$; ;]!; ;[@;
따라서 5 xy
=5 _5 =(5 )Ý`_(5 )Û`=3Ý`_2Û`=324  324
따라서 d=0이면 두 조건 (가), (나)를 모두 만족시키지 않는다.
Û d>0일 때
공차 d가 양의 정수, 즉 자연수이므로 집합 A의 원소 중 가장 큰 값은 제4항,
즉 a4이다.
17
조건 (나)에 의하여
점 (2, 2)가 곡선 y=xÜ`+ax+b 위의 점이므로
a4=a+3d=10 yy ㉠
2=8+2a+b, b=-2a-6   yy ㉠
이때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 d의 모든 순서쌍 (a, d)는
y=xÜ`+ax+b에서 y'=3xÛ`+a이므로 점 (2,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1, 3), (4, 2) ,(7, 1)
12+a이다.
a=1, d=3이면 두 집합 A={1, 4, 7, 10}, B={1, 5, 12, 22}이므로
이때 점 (2, 2)에서의 접선과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이 직각이등변삼각
n(A;B)=1
형이므로 이 접선의 기울기는 -1이다.
a=4, d=2이면 두 집합 A={4, 6, 8, 10}, B={4, 10, 18, 28}이므로
즉, 12+a=-1이므로 a=-13
n(A;B)=2
a=-13을 ㉠에 대입하면
a=7, d=1이면 두 집합 A={7, 8, 9, 10}, B={7, 15, 24, 34}이므로
b=-2_(-13)-6=20
n(A;B)=1
따라서 |a-b|=|-13-20|=33  33
따라서 d>0이면 a=4, d=2이고, 수열 {an}의 일반항은
an=4+2(n-1)= 2n+2
이므로 a10=22
Ü d<0일 때 18
공차 d가 음의 정수이므로 집합 A의 원소 중 가장 큰 값은 제1항, 즉 a1이다.
2an+1=anÛ`-5an에서 an+1=;2!;(anÛ`-5an)
a1=S1이고 a1>a2>a3>a4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a1=S1=10, 즉 a=S1=10 a1=1이므로
이때 조건 (가)를 만족시키려면 ak=Sl인 2 이상 4 이하의 두 자연수 k, l이 a2=;2!;(a1Û`-5a1)=;2!;(1Û`-5_1)=-2
존재하여야 한다.
ak=Sl에서 a3=;2!;(a2Û`-5a2)=;2!;{(-2)Û`-5_(-2)}=7
l{2_10+(l-1)d}
10+(k-1)d= a4=;2!;(a3Û`-5a3)=;2!;(7Û`-5_7)=7
2
(lÛ`-l-2k+2)d=20(1-l) yy ㉡ ⋮
l=2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수열 {an}은 a1=1, a2=-2이고, 3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an=7인
(-2k+4)d=-20, (k-2)d=10 수열이다.
이를 만족시키는 2 이상 4 이하의 자연수 k와 음의 정수 d는 존재하지 않는다. Á ak=1, Á ak=a1+a2=1+(-2)=-1
1 2

k=1 k=1
l=3을 ㉡에 대입하면
이고, 3 이상의 자연수 m에 대하여

Á ak=1+(-2)+7+7+7+y+7
(-2k+8)d=-40, (k-4)d=20
m
이를 만족시키는 2 이상 4 이하의 자연수 k와 음의 정수 d는
k=1
k=2, d=-10 또는 k=3, d=-20
=-1+7(m-2)=7m-15

이므로 Á ak>100에서
l=4를 ㉡에 대입하면 m

(-2k+14)d=-60, (k-7)d=30 k=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1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1 23. 4. 6. 오후 2:14


115 (x+3)(xÛ`-9) (xÉ-3 또는 x¾3)
7m-15>100, m> =16.___ 따라서 f(x)=[
7 -(x+3)(xÛ`-9) (-3<x<3)
따라서 자연수 m의 최솟값은 17이다.  17
xÜ`+3xÛ`-9x-27 (xÉ-3 또는 x¾3)
즉, f(x)=[ 이므로
-xÜ`-3xÛ`+9x+27 (-3<x<3)

Á { f(n)-nÜ`}
10

19
= Á {(-nÜ`-3nÛ`+9n+27)-nÜ`}+ Á {(nÜ`+3nÛ`-9n-27)-nÜ`}
n=1
2 10

= Á (-2nÜ`-3nÛ`+9n+27)+ Á (3nÛ`-9n-27)
g(x)=:!/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n=1 n=3

g'(x)=f(x)=xÛ`-5x+n={x-;2%;}2`+n-;;ª4°;;
2 10

=(31+17)+[ Á (3nÛ`-9n-27)+(33+33)]
n=1 n=3
10

함수 g(x)가 닫힌구간 [0, 1]에서 증가하려면 닫힌구간 [0, 1]에서 g'(x)¾0 n=1

이어야 한다. 10_11_21 10_11


=48+3_ -9_ -27_10+66=504  504
6 2
이때 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고 아래로 볼록인

이차함수이므로 g'(1)¾0이어야 한다.


g'(1)=n-4¾0, n¾4이므로 m=4
함수 g(x)가 닫힌구간 [2, 3]에서 감소하려면 닫힌구간 [2, 3]에서 g'(x)É0
이어야 한다. 21
이때 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고 아래로 볼록인 y y=aÅ
y=x
이차함수이므로 g'(2)=g'(3)É0이어야 한다.
B M
g'(2)=g'(3)=n-6É0, nÉ6이므로 M=6 P y=logŒ x
t
따라서 M+m=6+4=10  10
Q
O t A x
l

20
두 곡선 y=ax, y=loga`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xÛ`-aÛ`=(x+a)(x-a)이므로
이때 조건 (가)에 의하여 두 점 A, B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두 점 P,
xÛ`-aÛ`=0에서 x=-a 또는 x=a
Q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직선 l의 기울기는 -1이고, 직선 l과 직선 y=x가 만나는 점을 M이라
xÛ`-aÛ` (xÉ-a 또는 x¾a)
|xÛ`-aÛ`|=[
-xÛ`+aÛ` (-a<x<a) Ó QÕMÓ=;2!;PQÓ이므로
하면 AÕMÓ=BÕM,Ó PÕM=
이므로
Ó PQÓ`:`;2!;PQÓ=1`:`;2!;=2`:`1
BPÓ`:`PÕM=
(x+a)(xÛ`-aÛ`) (xÉ-a 또는 x¾a)
f(x)=[ 이때 점 M의 좌표를 (t, t)`(t>0)이라 하면 직선 l의 방정식은
-(x+a)(xÛ`-aÛ`) (-a<x<a)
y=-(x-t)+t=-x+2t
이때 g(x)=(x+a)(xÛ`-aÛ`)이라 하자.
이므로 점 B의 좌표는 (0, 2t)이고, 점 P는 선분 BM을 2`:`1로 내분하는 점이
g(x)=(x+a)(xÛ`-aÛ`)=xÜ`+axÛ`-aÛ`x-aÜ`
2_t+1_0 2_t+1_2t
g'(x)=3xÛ`+2ax-aÛ`=(3x-a)(x+a) 므로 P{ , }, 즉 P{;3@;t, ;3$;t}이다.
2+1 2+1
g'(x)=0에서 x=;3A; 또는 x=-a 점 P가 곡선 y=ax 위의 점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3@;t=;3$;t yy ㉠

한편, 조건 (나)에서 점 P의 y좌표는 ;3$;t이므로


x y -a y ;3A; y
ayÁ=a;3$;t=16 yy ㉡

㉠에서 a;3$;t=(a;3@;t)Û`={;3$;t}2`=;;Á9¤;;tÛ`
g '(x) + 0 - 0 +
g(x) ↗ 극대 ↘ 극소 ↗

g(-a)=g(a)=0 ㉡에서 ;;Á9¤;;tÛ`=16, tÛ`=9


aÜ` aÜ` aÜ`
g{;3A;}= + - -aÜ`=-;2#7@;aÜ` t>0이므로 t=3
27 9 3
함수 f(x)는 이 값을 ㉠에 대입하면 a;3@;t=aÛ`=4
a>1이므로 a=2
g(x) (xÉ-a 또는 x¾a)
f(x)=[ 따라서 두 점 P, B의 좌표는 각각 (2, 4), (0, 6)이고, 두 점 P, Q가 직선 y=x
-g(x) (-a<x<a)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 Q의 좌표는 (4, 2), 두 점 A, B가 직선 y=x에 대하
이므로 두 곡선 y=f(x), y=g(x)는 그림과 같고, 함수 f(x)는 x=;3A;에서 극 여 대칭이므로 점 A의 좌표는 (6, 0)이다.
댓값 ;2#7@;aÜ`을 갖는다. 삼각형 OPQ의 넓이 S는 삼각형 OAB의 넓이의 ;3!;이므로
y y=f(x) S=;3!;_{;2!;_6_6}=6
;2#7@;aÜ
따라서 a+S=2+6=8 8

-a
O ;3A; a x

-;2#7@;aÜ y=g(x)

22
이때 함수 f(x)의 극댓값이 32이므로
직선 x=t가 두 곡선 y=nxÝ`+4nxÛ`, y=4nxÜ`+k와 만나는 점이 각각 A, B이
;2#7@;aÜ`=32, aÜ`=27, a=3 므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2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2 23. 4. 6. 오후 2:14


A(t, ntÝ`+4ntÛ`), B(t, 4ntÜ`+k) 0+1+2+(a1+a4)+(a2+a3)=3+2+2=7
이때 선분 AB의 길이가 f(t)이므로 Ü n-kÉ0, 즉 k¾n일 때
f(t)=|(ntÝ`+4ntÛ`)-(4ntÜ`+k)|=|ntÝ`-4ntÜ`+4ntÛ`-k| y y=f(t) y y=f(t)
g(t)=ntÝ`-4ntÜ`+4ntÛ`-k라 하면
g'(t)=4ntÜ`-12ntÛ`+8nt=4nt(tÛ`-3t+2) 
=4nt(t-1)(t-2) 1

  
bÁ O 1 2 bª t bÁ O 2 bª t
n은 자연수이므로 g'(t)=0에서
y=g(t)
y=g(t)
t=0 또는 t=1 또는 t=2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곡선 y=f(t)는 그림과 같이 t축과 서로 다른 두 점 또는 세 점에서 만난다.
t y 0 y 1 y 2 y 이때 함수 f(t)의 미분가능하지 않은 두 점의 t좌표를 b1, b2`(b1<1<b2)라
g '(t) - 0 + 0 - 0 + 하면
g(t) ↘ 극소 ↗ 극대 ↘ 극소 ↗ b1+b2
=1
2
g(0)=-k, g(1)=n-k, g(2)=-k이고, 이므로 b1+b2=2
g(t)=ntÝ`-4ntÜ`+4ntÛ`-k=ntÛ`(tÛ`-4t+4)-k  따라서 주어진 등식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0, 1, 2, b1, b2이므로 모든 실수
=ntÛ`(t-2)Û`-k t의 값의 합은
에서 0+1+2+(b1+b2)=3+2=5
g(1-t)=n(1-t)Û`{(1-t)-2}Û`-k  Ú, Û, Ü에서 주어진 등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t의 값의 합이 7이려면
=n(t-1)Û`(t+1)Û`-k 0<k<n이어야 한다.
g(1+t)=n(1+t)Û`{(1+t)-2}Û`-k  즉, 정수 k의 값은 1, 2, 3, y, n-1이므로 정수 k의 개수 an은
=n(t+1)Û`(t-1)Û`-k an=n-1
이므로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g(1-t)=g(1+t), 즉 곡선 y=g(t)는 직선 t=1 따라서

Á an= Á (n-1)=0+1+2+y+9=
에 대하여 대칭이다. 10 10 9_10
=45  45
y=g(t) n=1 n=1 2

n-k

-k

0 1 2
확률과 통계
`f(t+h)-f(t) `f(t+h)-f(t)
한편, 주어진 등식 lim + lim =0을 만족시
h`Ú0- h h`Ú0+ h 23
키는 실수 t의 값은 x=t에서의 함수 f(t)의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의 절댓값
한 개의 주사위를 한 번 던질 때, 나온 눈의 수가 소수인 2, 3, 5일 확률은
의 크기가 같고 부호가 서로 다르거나 f '(t)=0이어야 한다.
이때 f(t)=|g(t)|이므로 k의 값에 따라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 ;6#;=;2!;

수 t의 값의 합은 다음과 같다. 이므로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100, ;2!;}을 따른다.


Ú -k¾0, 즉 kÉ0일 때
y y=f(t)=g(t) 따라서 r(X)=®É100_;2!;_;2!;=5 ①

24
}5`의 전개식의 일반항은
O 1 2 t
1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g(t)¾0이므로 f(t)=g(t)이다. {2xÛ`+
ax
}r`=5Cr_25-r_a-r_x10-3r`(r=0, 1, 2, y, 5)
1
{
따라서 곡선 y=f(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주어진 등식을 만족시키는 t
5Cr(2xÛ`)
5-r
ax
의 값은 0, 1, 2이므로 모든 실수 t의 값의 합은
x항은 10-3r=1, 즉 r=3일 때이므로 x의 계수는
0+1+2=3
1
5C3_2Û`_a =5C2_2Û`_
-3
Û -k<0<n-k, 즉 0<k<n일 때 aÜ`
y 5_4 1 40
y=f(t) = _4_ =
2_1 aÜ` aÜ`
이때 x의 계수가 ;8%;이므로
40
aÁ O 1 2 a¢ t =;8%;, aÜ`=40_;5*;=64, a=4
aÜ`
aª a£ y=g(t)
한편, xÝ` 항은 10-3r=4, 즉 r=2일 때이므로 xÝ`의 계수는
5_4
5C2_2Ü`_4 =
-2
곡선 y=f(t)는 그림과 같이 t축과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난다. _2Ü`_2-4=5 ④
2_1
이때 이 네 점의 t좌표를
a1, a2, a3, a4`(a1<0<a2<1<a3<2<a4)라 하면
a1+a4 a +a3
= 2 =1
2 2
이므로 a1+a4=a2+a3=2 25
따라서 주어진 등식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0, 1, 2, a1, a2, a3, a4이므로 모 연속확률변수 X가 갖는 값의 범위가 0ÉXÉ8이므로
든 실수 t의 값의 합은 P(0ÉXÉ8)=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3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3 23. 4. 6. 오후 2:14


이때 조건 (나)의 P(0ÉXÉ4)=3P(4ÉXÉ8)에서 4_3
C2_3! _6
2_14 36
따라서 p3= = =
P(4ÉXÉ8)=;3!;P(0ÉXÉ4)이므로 125 125 125
Ú, Û, Ü에 의하여
P(0ÉXÉ8)=P(0ÉXÉ4)+P(4ÉXÉ8)
24 36 1 59
p2+p3-p1= + - =  ⑤
=P(0ÉXÉ4)+;3!;P(0ÉXÉ4) 125 125 125 125

=;3$; P(0ÉXÉ4)=1

P(0ÉXÉ4)=;4#;

조건 (가)에서 0ÉxÉ4일 때 f(x)=a|x-2|+;4!;이므로 27


8의 약수는 1, 2, 4, 8이므로 A={1, 2, 4, 8}이고,
함수 y=f(x)`(0ÉxÉ4)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고,
P(A)=;8$;=;2!;
f(0)=f(4)=2a+;4!;, f(2)=;4!;이다. 자연수 n의 값에 따라 P(Bn), A;Bn, P(A
'
Bn), P(A)P(Bn)의 값은 다
y 음과 같다.

;4!; y=f(x)
n P(Bn) A;Bn P(A;Bn) P(A)P(Bn)=;2!;P(Bn)
2a+;4!;
1 ;8!; {1} ;8!; ;1Á6;
O 2 4 x
2 ;8@;=;4!; {1, 2} ;8@;=;4!; ;8!;
따라서
3 ;8#; {1. 2} ;8@;=;4!; ;1£6;
P(0ÉXÉ4)=;2!;_[{2a+;4!;}+;4!;]_2+;2!;_[;4!;+{2a+;4!;}]_2
4 ;8$;=;2!; {1. 2. 4} ;8#; ;4!;
=4a+1=;4#;
5 ;8%; {1. 2. 4} ;8#; ;1°6;
이므로 a=-;;1Á6; ①
6 ;8^;=;4#; {1. 2. 4} ;8#; ;8#;

7 ;8&; {1. 2. 4} ;8#; ;1¦6;

8 1 {1. 2. 4, 8} ;8$;=;2!; ;2!;


26 1 이상이고 8 이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P(A;Bn)=P(A)P(Bn), 즉 두 사
집합 X={1, 2, 3}에서 집합 Y={4, 5, 6, 7, 8}로의 모든 함수의 개수는 건 A와 Bn이 서로 독립이 되도록 하는 자연수 n의 값은 6, 8이다.
5P3=5Ü`=125 한편, 9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함수 f의 치역을 Z라 할 때, 집합 Z의 모든 원소의 곱이 5의 배수이려면 P(Bn)=1, A;Bn={1, 2, 4, 8},
5<Z
P(A Bn)=;2!;, P(A)P(Bn)=;2!;
'
Ú p1의 값
함수 f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1이려면 Z={5}이어야 한다. 이므로 n이 9 이상이면 항상 P(A;Bn)=P(A)P(Bn), 즉 두 사건 A와 Bn
즉, 가능한 함수는 f(1)=f(2)=f(3)=5뿐이다. 이 서로 독립이다.
1 따라서 aÁ=6, aª=8, a£=9, a¢=10, y
따라서 p1=
125 aÁ=6
Û p2의 값 즉, [ 이므로
an=n+6 (n¾2)

Á an=6+ Á (n+6)=6+ Á (n+7)


함수 f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2이려면 a<X인 a에 대하여 f(a)=5인 a 10 10 9

의 개수가 1 또는 2이어야 한다. n=1 n=2 n=1

① f(a)=5인 a의 개수가 1인 경우 9_(8+16)


=6+ =114 ③
2
a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3C1 

이 각각에 대하여 a를 제외한 정의역 X의 두 원소는 모두 공역 Y의 원소


중 5가 아닌 한 원소에 대응해야 하므로 이 경우의 수는 4C1
따라서 이 경우의 수는
C1_4C1=3_4=12
3 28
② f(a)=5인 a의 개수가 2인 경우 확률변수 X가 정규분포 N(m, rÛ`)을 따르므로 확률변수 X의 확률밀도함수를
a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3C2 f(x)라 하면 곡선 y=f(x)는 직선 x=m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 각각에 대하여 f(a)=5인 a를 제외한 정의역 X의 한 원소는 공역 Y 조건 (가)의 P(X¾26)<P(XÉ18)에서
의 원소 중 5가 아닌 한 원소에 대응해야 하므로 이 경우의 수는 4C1 18+26
m< =22
따라서 이 경우의 수는 2
C2_4C1=3C1_4C1=3_4=12 조건 (가)의 P(XÉ18)<P(X¾22)에서
3

①, ②에서 18+22
m> =20
2
12+12 24
p2= = 즉, 20<m<22
125 125
Ü p3의 값 이때 m이 정수이므로 m=21, 즉 확률변수 X는 정규분포 N(21, rÛ`)을 따른다.
n(X)=3이므로 n(Z)=3이려면 함수 f는 일대일함수이어야 한다. 표본평균 XÕ는 주어진 모집단에서 임의추출한 크기가 9인 표본의 평균이므로
5<Z이어야 하므로 집합 Y의 원소 중 5를 포함한 두 원소를 택하는 경우의 E(XÕ)=m=21
수는 4C2  r r
r(XÕ)= =
'9 3
}2`}을 따른다.
이 각각에 대하여 택한 원소에 집합 X의 세 원소를 대응시키는 경우의 수는 r
따라서 확률변수 XÕ는 정규분포 N{21, {
3! 3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4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4 23. 4. 6. 오후 2:14


이때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르는 확률변수를 Z라 하면 두 확률변수
X-21 XÕ-21
30
, 은 모두 표준정규분포를 따른다. 주머니 A에서 동시에 꺼낸 2개의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과 주머니 B에서 동시
r r
3 에 꺼낸 3개의 공에 적혀 있는 수의 합은 모두 3 또는 4 또는 5 또는 6이다.
X-21 30-21 9
P(XÉ30)=P{ É }=P{ZÉ } 주어진 시행을 세 번 하여 얻은 점수가 11인 경우는 세 번 시행의 점수가 3, 3, 5
r r r
9 또는 3, 4, 4이어야 한다.
=0.5+P{0ÉZÉ }=0.8413
r 주머니 A에서 동시에 꺼낸 2개의 공에 적혀 있는 두 수의 합이 3일 확률은 숫자
9
P{0ÉZÉ }=0.3413 1, 2가 적혀 있는 공을 하나씩 꺼낼 확률이므로
r
1C1_2C1 1_2
이때 주어진 표준정규분포표에서 P(0ÉZÉ1)=0.3413이므로 = =;5!;
5C2 10
9 두 수의 합이 4일 확률은 숫자 1, 3이 적혀 있는 공을 하나씩 꺼내거나 숫자 2가
=1, r=9
r
적혀 있는 두 개의 공을 꺼낼 확률이므로
따라서 확률변수 X는 정규분포 N(21, 9Û`)을 따르고, 확률변수 XÕ는 정규분포
1C1_2C1+2C2 1_2+1
N(21, 3Û`)을 따른다. = =;1£0;
5C2 10
한편, 두 수의 합이 5일 확률은 숫자 2, 3이 적혀 있는 공을 하나씩 꺼낼 확률이므로
X-21 a-21 2C1_2C1
P(X¾a)=P{ ¾ } =
2_2
=;5@;
9 9 5C2 10
a-21
=P{Z¾ } 주머니 B에서 동시에 꺼낸 3개의 공에 적혀 있는 세 수의 합이 3일 확률은 숫자
9
1이 적혀 있는 세 개의 공을 꺼낼 확률이므로
XÕ-21 2a-21 2a-21
P(XÕÉ2a)=P{ É }=P{ZÉ } 3 C3
3 3 3 =;1Á0;
5C3
21-2a
=P{Z¾ } 세 수의 합이 4일 확률은 숫자 1이 적혀 있는 공을 두 개, 숫자 2가 적혀 있는 공
3
이므로 P(X¾a)=P(XÕÉ2a)=b에서 을 한 개 꺼낼 확률이므로
a-21 21-2a 3C2_1C1 3_1
= , a-21=3(21-2a) = =;1£0;
9 3 C
5 3 10
a=12 세 수의 합이 5일 확률은 숫자 1이 적혀 있는 공을 두 개, 숫자 3이 적혀 있는 공
a-21 12-21
}=P{Z¾ }=P(Z¾-1)
을 한 개 꺼낼 확률이므로
b=P{Z¾
9 9
3C2_1C1 3_1
= =;1£0;
=P(-1ÉZÉ0)+P(Z¾0) 5C3 10
=P(0ÉZÉ1)+P(Z¾0) 한 개의 주사위를 던져 나온 눈의 수가 2의 배수일 확률은 ;2!;이므로 주어진 시행
=0.3413+0.5=0.8413
을 한 번 시행한 후의 점수가 3, 4, 5인 사건을 각각 X3, X4, X5라 하면
따라서 a+b=12.8413 ④
P(X3)=;2!;_;5!;+;2!;_;1Á0;=;2£0;

P(X4)=;2!;_;1£0;+;2!;_;1£0;=;1£0;

P(X5)=;2!;_;5@;+;2!;_;1£0;=;2¦0;

이때 세 시행의 점수가 3, 3, 5이어서 얻은 점수의 합이 11일 확률은


29 3!
_P(X3)_P(X3)_P(X5)=3_;2£0;_;2£0;_;2¦0;=
189
세 학생 A, B, C가 받은 연필의 개수를 각각 a, b, c라 하고, 세 학생 A, B, C 2! 8000
이고, 세 시행의 점수가 3, 4, 4이어서 얻은 점수의 합이 11일 확률은
에게 연필을 나누어 준 후 남은 연필의 개수를 d라 하면
3! 81
a+b+c+d=10 yy ㉠ _P(X3)_P(X4)_P(X4)=3_;2£0;_;1£0;_;1£0;=
2! 2000
d=10-(a+b+c) 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두 조건 (가), (나)에 의하여 189 81 513 513
+ = =
1ÉaÉ5, 2ÉbÉ5, 0ÉcÉ5 8000 2000 8000 10Ü`_8
조건 (다)에 의하여 d¾1 따라서 p=8, q=513이므로
따라서 1ÉdÉ7 p+q=8+513=521  521
이때 a=a'+1, b=b'+2, d=d'+1이라 하고, 이를 ㉠에 대입하면
(a'+1)+(b'+2)+c+(d'+1)=10
a'+b'+c+d'=6 yy ㉡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0Éa'É4, 0Éb'É3, 0ÉcÉ5, 0Éd'É6
과 방정식 ㉡을 만족시키는 네 정수 a', b', c, d'의 모든 순서쌍 (a', b', c, d')
의 개수와 같다. 미적분
방정식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네 정수 a', b', c, d의 모든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서로 다른 4개에서 6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와 같으 23
p p p
므로 2`sin{h- }+cos`h=2{sin`h`cos` -cos`h`sin` }+cos`h
9_8_7 6 6 6
H6=4+6-1C6=9C6=9C3= =84 yy ㉢ '3
-cos`h_;2!;}+cos`h
4
3_2_1
=2{sin`h_
이때 ㉢에서 a'=5, a'=6, b'=4, b'=5, b'=6, c=6인 순서쌍 (a', b', c, d') 2
의 경우의 수를 제외해야 한다. ='3 sin`h-cos`h+cos`h
='3 sin`h=1
(6, 0, 0, 0), (0, 6, 0, 0), (0, 0, 6, 0),
이므로
(5, 1, 0, 0), (5, 0, 1, 0), (5, 0, 0, 1), (1, 5, 0, 0), (0, 5, 1, 0),
1
(0, 5, 0, 1), (2, 4, 0, 0), (0, 4, 2, 0), (0, 4, 0, 2), (1, 4, 1, 0), sin`h= , sinÛ``h=;3!;
'3
(1, 4, 0, 1), (0, 4, 1, 1)
'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84-15=69  69 따라서 cos`h="Ã1-sinÛ``h=®É1-;3!;=  ③
3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5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5 23. 4. 6. 오후 2:14


따라서 자연수 m에 대하여 mÛ`ÉkÉ(m+1)Û`-1이면
24
m<'Äk+1Ém+1이므로 정수 p의 값은
4-x -(x+1)+5 5
y= = = -1 -m, -m+1, -m+2, y, -1, 0, 1, y, m-2, m-1, m
x+1 x+1 x+1
4-x 이고, ak=2m+1이다.
이므로 곡선 y= 는 곡선 y=;[%; 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
x+1 이때 35의 약수는 1, 5, 7, 35이고, ak=1인 자연수 k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ak=5인 자연수 k의 값은 4ÉkÉ8에서 k=4, 5, 6, 7, 8이고, 그 개수는 5이다.
4-x 4-x
곡선 y=
x+1
의 x절편은 4이므로 곡선 y=
x+1
는 그림과 같다. ak=7인 자연수 k의 값은 9ÉkÉ15에서 k=9, 10, 11, y, 15이고, 그 개수는
7이다.
y
4-x
y=;;;;;;;;;;;
x+1
ak=35인 자연수 k의 값은 17Û`ÉkÉ18Û`-1에서 k=289, 290, 291, y, 323이
4
고, 그 개수는 35이다.
O
따라서 모든 자연수 k의 개수는
-1 4 x
5+7+35=47 ④
-1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4-x 5
27
S=:)4 `dx=:)4 { -1}dx 함수 g(x)는 함수 f(x)의 역함수이므로
x+1 x+1

=[5`ln`|x+1|-x]4)=(5`ln`5-4)-0=5`ln`5-4
g( f(x))=x
④
함수 {g(x)}Û`의 한 부정적분을 G(x)라 하면 조건 (나)에서

:)t { f(x)}Û`dx=:
f(t) f(t)
{g(x)}Û`dx=[G(x)]
f(0) f(0)

=G( f(t))-G( f(0))


25 이 식의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n { f(t)}Û`=
 G'( f(t))f '(t)={g( f(t))}Û` f '(t)=tÛ` f '(t)
f(x)='¶nx라 하면 f '(x)=
2'x 이 식에 t=1을 대입하면
점 (-n, 0)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이 곡선 y=f(x)와 만나는 접점을 { f(1)}Û`=f '(1)
(t, '¶nt )`(t>0)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f(1)>0이므로 조건 (가)에서
'n f '(1)=4 f(1)>0
y= (x-t)+'¶nt
2't
{ f(1)}Û`=4 f(1), f(1)=4에서 g(4)=1이고, f '(1)=4 f(1)=16이므로
이 직선이 점 (-n, 0)을 지나므로
1 1
=;1Á6;
'n
g'(4)= =
0= (-n-t)+'¶nt, t=n `f '(g(4)) `f '(1)
2't g(4)
따라서 =16 ⑤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g'(4)
n
y=;2!;(x-n)+n, 즉 y=;2!;x+
2
이므로 이 접선의 y절편은
n
an=
2 28
따라서

Á
원 C는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x축에 접하며 중심의 y좌표가 양수이므로 원 C
¦ 1
의 중심을 A라 하면 A(a, 1)로 놓을 수 있다.
n=1 anan+1

=Á =4 Á { - }=4 lim Á { - 원 C와 직선 y=;3$;x, 즉 4x-3y=0이 접하므로 원 C의 중심 A(a, 1)과 직선


4 1 1 1 1
}
¦ ¦ n

n=1 n(n+1) n=1 n n+1 n`Ú¦ k=1 k k+1


1 1 4x-3y=0 사이의 거리는 원 C의 반지름의 길이인 1이다.
=4 lim [{;1!;-;2!;}+{;2!;-;3!;}+{;3!;-;4!;}+y+{ - }]
n`Ú¦ n n+1 |4a-3|
=1, |4a-3|=5
=4 lim {1-
1
}=4 ④ "Ã4Û`+(-3)Û`
n`Ú¦ n+1
4a-3=-5 또는 4a-3=5

a=-;2!; 또는 a=2

따라서 원 C의 중심인 점 A의 좌표는 {-;2!;, 1} 또는 (2, 1)이므로 원 C의 방


26
정식은 {x+;2!;}2`+(y-1)Û`=1 또는 (x-2)Û`+(y-1)Û`=1이다.
Á{ }n`이 수렴하려면 -1<
¦ p p

Ú 원 C의 방정식이 {x+;2!;}2`+(y-1)Û`=1일 때
<1이어야 하므로
n=1 'Äk+1 'Äk+1
-'Äk+1<p<'Äk+1
k의 값에 따라 ak는 다음과 같다. y
y=;3$;x
Ú 1ÉkÉ3일 때 {x+;2!;}Û +(y-1)Û =1

1<'Äk+1É2이므로 정수 p의 값은
A
-1, 0, 1이고, ak=3 bª
Û 4ÉkÉ8일 때 bÁ
O x
2<'Äk+1É3이므로 정수 p의 값은 Pª

-2, -1, 0, 1, 2이고, ak=5


원 C의 중심 A{-;2!;, 1}을 지나고 직선 y=;3$;x와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은
Ü 9ÉkÉ15일 때
3<'Äk+1É4이므로 정수 p의 값은 y=;3$;{x+;2!;}+1, y=;3$;x+;3%;

이 직선과 원 C`:`{x+;2!;}2`+(y-1)Û`=1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3, -2, -1, 0, 1, 2, 3이고, ak=7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6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6 23. 4. 6. 오후 2:14


{x+;2!;}2`+[{;3$;x+;3%;}-1]2`=1 ;5(;-0
직선 OP4의 기울기는 =;1»3;이므로 직선 OP4가 x축의 양의 방향과
100xÛ`+100x-11=0, (10x-1)(10x+11)=0 ;;Á5£;;-0
x=;1Á0; 또는 x=-;1!0!; 이루는 각의 크기를 b4라 하면

x=;1Á0;일 때, y=;3$;_;1Á0;+;3%;=;5(; tan`b4=;1»3;


tan`a-tan`b4
x=-;1!0!;일 때, y=;3$;_{-;1!0!;}+;3%;=;5!; tan`h=|tan(a-b4)|=| |
1+tan`a`tan`b4

| 1+;3$;_;1»3; |=;3!;
이때 점 P1{;1Á0;, ;5(;}, P2{-;1!0!;, ;5!;}이라 하자. ;3$;-;1»3;
=
직선 y=;3$;x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a라 하면
Ú, Û에서 tan`h의 값은 ;3@; 또는 2 또는 1 또는 ;3!;이므로
tan`a=;3$;
M=2, m=;3!;
;5(;-0
직선 OP1의 기울기는 =18이므로 직선 OP1이 x축의 양의 방향과
;1Á0;-0 따라서 M+m=2+;3!;=;3&; ②

이루는 각의 크기를 b1이라 하면


tan`b1=18
tan`a-tan`b1
tan`h=|tan(a-b1)|=| |
1+tan`a`tan`b1

| 1+;3$;_18 |=;3@;
;3$;-18
= 29
esin`x`cos`x-1
조건 (가)의 lim =;2!;에서 x`Ú0일 때 (분자)`Ú0이고, 극한값이 ;2!;
x`Ú0 `f(x)
;5!;-0
이므로 (분모)`Ú0이어야 한다.
직선 OP2의 기울기는 =-;1ª1;이므로 직선 OP2가 x축의 양의
-;1!0!;-0 즉, lim`f(x)=0이므로 f(0)=0
x`Ú0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b2라 하면 조건 (나)에서


xÜ`{ln(2x+1)-ln`2x}
tan`b2=-;1ª1; lim
x`Ú¦ `f(2x)
tan`a-tan`b2
tan`h=|tan(a-b2)|=| | xÜ``ln{1+
1
}
1+tan`a`tan`b2 2x
=lim

| 1+;3$;_{-;1ª1;} |
à ¡=;2Á4;
;3$;-{-;1ª1;} x`Ú¦ `f(2x)
= =2 1
ln{1+ }
xÛ` 2x
=lim _ yy ㉠
x`Ú¦ 2 f(2x) 1
Û 원 C의 방정식이 (x-2)Û`+(y-1)Û`=1일 때 2x
y y=;3$;x 이때
1
=t라 하면 x`Ú¦일 때 t`Ú0이므로
2x

1
ln{1+ } ln(1+t)
2x
A lim =lim =1
(x-2)Û +(y-1)Û =1 x`Ú¦ 1 t`Ú0 t
P£ 2x
O x 이때 ㉠에서
b£ b¢
xÛ`
lim =;2Á4;
원 C의 중심 A(2, 1)을 지나고 직선 y=;3$;x와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은 2 f(2x)
x`Ú¦

이므로 함수 f(x)는 이차함수이어야 한다.


y=;3$;(x-2)+1, y=;3$;x-;3%; 이때 f(0)=0이므로 f(x)=axÛ`+bx`(a+0, a, b는 상수)라 하면
이 직선과 원 C`:`(x-2)Û`+(y-1)Û`=1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Û` xÛ`
lim
(x-2)Û`+[{;3$;x-;3%;}-1]2`=1
=lim
x`Ú¦ 2 f(2x) x`Ú¦ 2(4axÛ`+2bx)

xÛ`
=lim
x`Ú¦ 8axÛ`+4bx
25xÛ`-100x+91=0, (5x-7)(5x-13)=0
1
=lim
x=;5&; 또는 x=;;Á5£;; x`Ú¦ 4b
8a+
x
x=;5&;일 때, y=;3$;_;5&;-;3%;=;5!; =
1
=;2Á4;
8a+0
x=;;Á5£;;일 때, y=;3$;_;;Á5£;;-;3%;=;5(; 에서 a=3
즉, f(x)=3xÛ`+bx
이때 점 P3{;5&;, ;5!;}, P4{;;Á5£;;, ;5(;}라 하자.
조건 (가)에서
;5!;-0 lim
esin`x`cos`x-1
=lim
esin`x`cos`x-1
직선 OP3의 기울기는 =;7!;이므로 직선 OP3이 x축의 양의 방향과 x`Ú0 `f(x) x`Ú0 3xÛ`+bx
;5&;-0 esin`x`cos`x-1 sin`x cos`x
=lim { _ _ }=;2!; yy ㉡
이루는 각의 크기를 b3이라 하면 x`Ú0 sin`x`cos`x x 3x+b
이때 sin`x`cos`x=s라 하면 x`Ú0일 때 s`Ú0이므로
tan`b3=;7!;
esin`x`cos`x-1 es-1
tan`a-tan`b3 lim =lim =1
sin`x`cos`x s`Ú0 s
|
x`Ú0
tan`h=|tan(a-b3)|=|
1+tan`a`tan`b3
㉡에서

| 1+;3$;_;7!; |
;3$;-;7!; esin`x`cos`x-1 sin`x cos`x
= =1 lim { _ _ }=1_1_;b!;=;2!;
x`Ú0 sin`x`cos`x x 3x+b
이므로 b=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7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7 23. 4. 6. 오후 2:14


따라서 f(x)=3xÛ`+2x이므로 lim h1(x)= lim {g(x+b)-ap}=g(b)-ap
x`Ú0+ x`Ú0+
f(5)=3_5Û`+2_5=85  85 h1(0)=g(0)=0
따라서 lim h1(x)= lim h1(x)=h1(0)이어야 하므로
x`Ú0- x`Ú0+

g(b)-ap=0, g(b)=ap
Û 함수 h1(x)의 x=0에서의 미분가능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30
g(x)=pÛ`:)1 x(1-xt)f(xt)dt에서 xt=s로 놓으면 x=
h1(x)-h1(0) g(x)-g(0)
ds lim = lim =g'(0)=0
이고, x`Ú0- x x`Ú0- x
dt
h (x)-h1(0) {g(x+b)-ap}-{g(b)-ap}
t=0일 때 s=0, t=1일 때 s=x이므로 lim 1 = lim
x x
g(x)=pÛ`:)1 x(1-xt)f(xt)dt
x`Ú0+ x`Ú0+

g(x+b)-g(b)
= lim =g'(b)
x
=pÛ`:)/ (1-s)f(s)ds
x`Ú0+

yy ㉠ 따라서 g'(b)=0
Ú, Û에서 g(b)=ap, g'(b)=0을 만족시키는 10 이하의 두 자연수 a, b의 모
이고, g'(x)=pÛ`(1-x)f(x)=pÛ`(1-x)`sin`(px)

g(x)=: g'(x)dx=pÛ`: (1-x)sin`(px)`dx


든 순서쌍 (a, b)는 (1, 1), (2, 2), (4, 4), (6, 6), (8, 8), (10, 10)이다.
따라서 ab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각 M=10_10=100, m=1_1=1이므로

이때 u(x)=1-x, v'(x)=sin`(px)로 놓으면 M+m=101  101


1
u'(x)=-1, v(x)=- `cos`(px)이므로
p

g(x)=pÛ`: (1-x)sin`(px)`dx

`cos`(px)]-pÛ`: (-1)[- ``cos`(px)]dx


1 1
=pÛ`(1-x)[-
p p

=p(x-1)cos`(px)-p: cos`(px)`dx
1 기하
=p(x-1)cos`(px)-p_ `sin`(px)+C
p
=p(x-1)cos`(px)-sin`(px)+C (단, C는 적분상수) 23
㉠에서 g(0)=0이므로 점 (1, -2, 3)에서 zx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의 좌표는 (1, 0, 3)이므로
g(0)=-p+C=0, C=p a=1, b=0, c=3
따라서 g(x)=p(x-1)cos`(px)-sin`(px)+p 따라서 a+b+c=4 ④
한편, g'(x)=0에서
pÛ`(1-x)sin`(px)=0 yy ㉡
방정식 ㉡의 근 x는 모든 정수이다.
이때
x=0의 좌우에서 g'(x)의 부호는 음(-)에서 양(+)으로 바뀌고, 24
x=1의 좌우에서 g'(x)의 부호는 모두 양(+)이다. 제1사분면 위의 점 P의 좌표를 (a, b)`(a>0, b>0)이라 하면 점 P(a, b)가
또한 자연수 n에 대하여 x=2n의 좌우에서 g'(x)의 부호는 양(+)에서 음 포물선 yÛ`=8x 위의 점이므로
(-)으로 바뀌고, x=2n+1의 좌우에서 g'(x)의 부호는 음(-)에서 양(+) bÛ`=8a
으로 바뀐다. a>0, b>0이므로 b=2'¶2a
g(0)=0, g(1)=0-sin`p+p=p 포물선 yÛ`=8x=4_2x에서 초점은 F(2, 0)이다.
g(2n)=p(2n-1)cos`(2np)-sin`(2np)+p 포물선 yÛ`=8x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by=4(x+a)이므로
=p(2n-1)_1-0+p=2np Q(-a, 0)
g(2n+1)=2np`cos`{(2n+1)p}-sin`{(2n+1)p}+p y
P yÛ =8x
=2np_(-1)-0+p=(1-2n)p b
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Q F
-a O 2 a x
4p y=g(x)

2p
p
3 5
O 1 2 4 x 삼각형 FPQ의 넓이가 5'6이므로
-p
;2!;_{2-(-a)}_b=5'6
-3p
;2!;_(a+2)_2'¶2a=5'6

'a(a+2)=5'3, a(a+2)Û`=75
g(x) (xÉ0)
함수 h1(x)=[ 이라 하자.
g(x+b)-ap (x>0)
aÜ`+4aÛ`+4a-75=0
g(x)+ap (xÉ0) (a-3)(aÛ`+7a+25)=0
함수 h(x)=[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조건과
g(x+b) (x>0) 이때 양수 a에 대하여 aÛ`+7a+25>25이므로
함수 h1(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조건은 서로 같다. a=3이고, b=2'¶2a=2'6
함수 h1(x)가 x+0인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 따라서 삼각형 FPQ의 둘레의 길이를 l이라 하면
분가능하려면 x=0에서 미분가능하여야 한다. l=FPÓ+PQÓ+QFÓ
Ú 함수 h1(x)의 x=0에서의 연속 ="Ã1Û`+(2'6)Û`+"Ã6Û`+(2'6)Û`+{2-(-3)}
lim h1(x)= lim g(x)=g(0)=0 =10+2'1Œ5 ⑤
x`Ú0- x`Ú0-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8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8 23. 4. 6. 오후 2:14


25 27
A l
D
A J
B Q
C

B I
E P
H

30ù C O H
F G

EFÓ ⊥(평면 BFGC)이므로 PFÓ ⊥ EFÓ이다.


D E F G
두 평면 ABCD, EFGH가 서로 평행하고, 두 평면 ABCD, EFPQ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30ù이므로 두 평면 EFPQ, EFGH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도 30ù 벡터 k AG³`(k<0)은 벡터 AJ³와 방향이 반대인 벡터이다.
이다. 이때 주어진 도형은 선분 DG의 수직이등분선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 수직이등
즉, ∠PFG=30ù 분선을 l이라 하면 점 O는 직선 l 위의 점이고, 점 A와 점 J, 점 B와 점 I, 점 C
정육면체 ABCD-EFGH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a >0)이라 하면 이 정육 와 점 H, 점 D와 점 G, 점 E와 점 F는 직선 l에 대하여 대칭이다.
면체의 가장 긴 대각선의 길이인 선분 AG의 길이는 '3a이다. 그러므로 벡터 AJ³와 방향이 반대인 벡터는
또한 직각삼각형 PFG에서 JA³, IB³, OC³, HC³, HO³, ED³, FD³, FE³, GD³, GE³, GF³
'3 가 있다. 이때 |JA³|=|ED³|=|GF³|=1이므로 세 벡터 JA³, ED³, GF³는 서로
PGÓ=FGÓ`tan`30ù= a
3 같은 벡터이다.
'3
CPÓ=CGÓ-PGÓ=a- a 또한 두 직선 CD, OF가 서로 평행하고, 두 직선 OE, HG가 서로 평행하므로
3
a(3-'3 ) 양의 상수 a`(1<a<2)에 대하여
= |IB³|=|OC³|=|HO³|=|FD³|=|GE³|=a
3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에서 ACÓ='2 ABÓ='2a이므로 직각삼각형 ACP에서 이므로 다섯 개의 벡터 IB³, OC³, HO³, FD³, GE³는 서로 같은 벡터이다.
4-2'3 한편, |HC³|=2a, |FE³|<1, 2<|GD³|<2a
APÓ Û`=ACÓ Û`+CPÓ Û`=2aÛ`+ aÛ`
3 따라서 구하는 벡터는 JA³, IB³, HC³, FE³, GD³ 로 그 개수는 5이다. ②
10-2'3
= aÛ`
3
이때 APÓ Û`=10-2'3이므로
aÛ`=3
a>0이므로 a='3
28
따라서 선분 AG의 길이는
y
'3a='3_'3=3 ③ xÛ yÛ
;:;;;-;:;;;=1
bÛ bÛ
Q P
H
xÛ yÛ
;:;;;+;:;;;=1
h aÛ bÛ
Fª O FÁ x

양수 c에 대하여 두 점 F1, F2의 좌표를 각각 (c, 0), (-c, 0)이라 하자.


26 두 점 F1(c, 0), F2(-c, 0)이 타원
xÛ` yÛ`
+ =1`(a>b>0)의 초점이므로
두 점 A(4, -3, 5), B(a, b, 5)의 z좌표가 같으므로 두 점 A, B에서 z축에 aÛ` bÛ`
내린 수선의 발은 일치한다. 이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cÛ`=aÛ`-bÛ` yy ㉠
H(0, 0, 5)이고, OHÓ=5 xÛ` yÛ`
두 점 F1(c, 0), F2(-c, 0)이 쌍곡선 - =1의 초점이므로
bÛ` bÛ`
AHÓ="Ã(0-4)Û`+{0-(-3)}Û`+(5-5)Û`=5
cÛ`=bÛ`+bÛ`=2bÛ` yy ㉡
직각삼각형 OBH에서 OBÓ=5'5이므로
㉠, ㉡에서
BHÓ=¿¹OBÓ Û`-OHÓ Û`="Ã(5'5)Û`-5Û`=10 aÛ`-bÛ`=2bÛ`, aÛ`=3bÛ`
따라서 점 B는 중심이 점 H(0, 0,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0인 원 위의 점이 xÛ` yÛ`
타원 + =1에서 yÛ`=-;3!;xÛ`+bÛ`
고, 이 원은 xy평면과 평행하고 z좌표가 5인 평면 위에 있다. 이 원을 C라 하자. 3bÛ` bÛ`
z xÛ` yÛ`
이를 쌍곡선의 방정식 - =1에 대입하면
C C bÛ` bÛ`
5
A
H -;3!;xÛ`+bÛ`
xÛ`
-3 B
A H
BÁ - =1, ;3$;xÛ`=2bÛ`
5 10 bÛ` bÛ`
O y
4 '6
xÛ`=;2#;bÛ`, x=Ñ b
2
x
이때 xÛ`=;2#;bÛ`이므로
직선 AH가 원 C와 만나는 점 중 점 A에서 더 멀리 있는 점을 B1이라 하면 선분
'2
AB의 길이의 최댓값은 AÕB1Ó이고, yÛ`=-;3!;_;2#;bÛ`+bÛ`=;2!;bÛ`, y=Ñ b
2
AÕB1Ó=AHÓ+HÕB1Ó=5+10=15 '6 '2
점 P는 제1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점 P의 좌표는 { b, b}이고, 주어진 타
이므로 점 B1은 선분 AH를 15`:`10=3`:`2로 외분하는 점이고, 이 점의 좌표는 2 2
3_0-2_4 3_0-2_(-3) 3_5-2_5 원과 쌍곡선은 모두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점 P, Q도 y축에 대하여 대칭
{ , , }, 즉 (-8, 6, 5)이다.
3-2 3-2 3-2
이다.
따라서 a=-8, b=6이므로
'6 '2 '6
a-b=-14 ② 따라서 Q{- b, b}이고, PQÓ=2_ b=b'6
2 2 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49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49 23. 4. 6. 오후 2:14


xÛ` yÛ` 점 O에서 선분 MN에 내린 수선의 발을 P라 하면 선분 OP는 한 변의 길이가 2
한편, 타원 + =1의 장축의 길이가 2b'3이므로
3bÛ` bÛ`
인 정삼각형 OMN의 높이이므로
PÕF1Ó+PÕF2Ó=2b'3
'3
이때 PÕF2Ó=QÕF1이
Ó 므로 삼각형 PQF1의 둘레의 길이는 OPÓ= _2='3
2
PQÓ+QÕF1Ó+PÕF1=
Ó PQÓ+PÕF2Ó+PÕF1Ó=b'6+2b'3  점 P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P'이라 하자.
=b('6+2'3 )=6+6'2 세 선분 BM, OP', CN은 각각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 OAB, OBC,
6+6'2 '6('6+2'3 ) OCD의 높이이므로
b= = ='6
'6+2'3 '6+2'3 '3
이고, aÛ`=3bÛ`에서 BÕMÓ=OÕP'Ó=CNÓ=_4=2'3
2
a=b'3='6_'3=3'2 한편, 사각형 BCNM은 MNÓ=2, BÕMÓ=CNÓ=2'3, BCÓ=4인 등변사다리꼴이
cÛ`=2bÛ`=2_6=12이므로 c=2'3 므로 점 M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점 F1(2'3, 0)에서 직선 PQ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BÕM'Ó=;2!;(BCÓ-2M'P'Ó)=;2!;(BCÓ-2MPÓ)
'2 '2
FÕÕ1HÓ= b= _'6='3
2 2 =;2!;{BCÓ-2_;2!;MNÓ}
이고,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3, '3 ), (-3, '3 )이다.
따라서 직각삼각형 F1HQ에서 ∠PQF1=h이므로 =;2!;(BCÓ-MNÓ)=;2!;(4-2)=1

FÕ1HÓ '3 '3 직각삼각형 BM'M에서


tan`h= = =
QHÓ MM'Ó=¿¹BÕMÓ Û`-BM'Ó Û`="Ã(2'3)Û`-1Û`='1Œ1이므로
2'3-(-3) 2'3+3
'3(2'3-3)
= =2-'3 ① PÕP'Ó=MM'Ó='1Œ1
(2'3+3)(2'3-3)
이때 OPÓ ⊥ MNÓ, PÕP'Ó ⊥ MNÓ이므로 두 평면 OMN, BCNM이 이루는 각의 크
기는 ∠OPP'이다.
또한 OÕP'Ó ⊥ BCÓ, PÕP'Ó ⊥ BCÓ이므로 두 평면 OBC, BCNM이 이루는 각의 크기
는 ∠OP'P이다.
29 ∠OPP'=h1, ∠OP'P=h2라 하면 삼각형 OPP'에서

OÕAk³+OAÓk+2³=2OAÓk+1이
³ 므로 OPÓ Û`+PÕP'Ó Û`-OÕP'Ó Û`
cos`h1=
2_OPÓ_PÕP'Ó
OA³ º (OÕAk³+OAÓk+2³)=OA³ º OAÓ3k³+4에서
('3)Û`+('1Œ1)Û`-(2'3)Û` '3Œ3
2OA³ º OAÓk+1³=OA³ º OAÓ3k³+4 = =
33
2_'3_'1Œ1
2OA³ º (OA³+AAÓk+1³)=OA³ º (OA³+AAÓ3k³)+4 `
Û `
Û `
Û
OÕP'Ó +PÕP'Ó -OPÓ
2OA³ º OA³+2OA³ º AAÓk+1³=OA³ º OA³+OA³ º AAÓ3k³+4   yy ㉠ cos`h2=
2_OÕP'Ó_PÕP'Ó
이때 OA³ º OA³=|OA³|Û`=2Û`=4이고, ∠OAB=h라 하면 (2'3)Û`+('1Œ1)Û`-('3)Û` 5'3Œ3
= =
두 벡터 OA³, AAÓk+1이
³ 이루는 각의 크기와 두 벡터 OA³, AAÓ3k가
³ 이루는 각의 2_2'3_'1Œ1 33
크기가 모두 p-h이므로 점 O에서 평면 BCNM에 내린 수선의 발을 O'이라 하면 점 O'은 선분 PP' 위
OA³ º AAÓk+1³=|OA³||AAÓk+1³|cos`(p-h) 의 점이다. 삼각형 OMN의 평면 BCNM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S3, 삼각형
k+1 OBC의 평면 BCNM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S4라 하자.
=2_ ABÓ_cos`(p-h)
n
'3
2(k+1) 정삼각형 OMN의 넓이는 _2Û`='3,
=- ABÓ`cos`h 4
n
'3
OA³ º AAÓ3k³=|OA³||AAÓ3k³|cos`(p-h) 정삼각형 OBC의 넓이는 _4Û`=4'3이므로
4
=2_
3k
ABÓ_cos`(p-h) '3Œ3 '1Œ1
n S3='3 cos`h1='3_ =
33 11
6k 5'3Œ3 20'1Œ1
=- ABÓ`cos`h
n S4=4'3 cos`h2=4'3_ =
33 11
㉠에서
이때 등변사다리꼴 BCNM의 넓이를 S라 하면 C
2(k+1) 6k
2_4+2_[- ABÓ`cos`h]=4+{- ABÓ`cos`h}+4 S=;2!;_(BCÓ+MNÓ)_PÕP'Ó N
n n
2(k+1) 3k O'
n
`cos`h=
n
`cos`h, 2(k+1)=3k =;2!;_(4+2)_'1Œ1=3'1Œ1 P P'
따라서 k=2 2 이므로 두 삼각형 O'BM, O'CN의 넓이의 합은
M M'
'1Œ1 20'1Œ1
S-(S3+S4)=3'1Œ1-{ + }
11 11 B
12'1Œ1
=
11
이때 정사각뿔 O-ABCD는 평면 OPP'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평면 OMB,
30 BCMN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두 평면 ONC, BCNM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O 같다.
N 두 삼각형 OMB, ONC는 합동이고, 이 삼각형의 넓이는 2'3이므로 두 평면
P OMB, BCNM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3이라 하면
hÁ 12'1Œ1
M 2'3`cos`h3=;2!;_
O' 11
C
D '3Œ3
cos`h3=
P' 11
M' 사각형 BCNM의 평면 OMB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인 S1과 사각형 BCNM의
A B
평면 ONC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 S2는
정삼각형 OAD는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이고, 두 점 M, N은 두 선분 '3Œ3
S1=S2=3'1Œ1`cos`h3=3'1Œ1_ =3'3
OA, OD의 중점이므로 11
OÕM=
Ó ONÓ=MNÓ=2 따라서 (S1+S2)Û`=(3'3+3'3 )Û`=108  108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0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4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0 23. 4. 6. 오후 2:14


tan`h=-;3!; 또는 tan`h=-3
5 EBS FINAL 수학영역 본문 71~86쪽
회 ㉠에서 tan`h=-3 ⑤

01 ② 02 ⑤ 03 ③ 04 ⑤ 05 ②
06 ① 07 ⑤ 08 ④ 09 ③ 10 ⑤
11 ② 12 ② 13 ④ 14 ② 15 ⑤
16 2 17 6 18 16 19 14 20 15 05
21 18 22 12 f(x)=xÜ`+3xÛ`-9x+a이므로
f '(x)=3xÛ`+6x-9 
확률과 통계 23 ④ 24 ① 25 ② 26 ④
=3(x+3)(x-1)
27 ① 28 ⑤ 29 22 30 155
f '(x)=0에서 x=-3 또는 x=1이므로
미적분 23 ③ 24 ③ 25 ③ 26 ①
함수 f(x)는 x=-3에서 극대, x=1에서 극소이다.
27 ⑤ 28 ③ 29 65 30 5 즉, f(-3)=4a이므로
기하 23 ⑤ 24 ① 25 ⑤ 26 ② -27+27+27+a=4a
27 ② 28 ② 29 100 30 2 27=3a, a=9
따라서 f(x)=xÜ`+3xÛ`-9x+9이므로
함수 f(x)의 극솟값은 f(1)=4 ②

01
cos`;;Á3¢;;p=cos`{4p+;3@;p}=cos`;3@;p
p
=cos`{p- }
3 06
p
=-cos` =-;2!; ② (logx)Û`-log`x`log`y-2(log`y)Û`=0
3
(log`x-2`log`y)(log`x+log`y)=0
그런데 0<x<1, 0<y<1에서
log`x+log`y<0이므로
log`x-2`log`y=0
즉, log`x=log`yÛ`에서
02
:_1! (xÜ`+4xÛ`-x+2)dx=2:)1 (4xÛ`+2)dx
x=yÛ`
따라서

=2[;3$;xÜ`+2x]1)
xÛ`-yÛ`=xÛ`-x={xÛ`-x+;4!;}-;4!;

={x-;2!;}2`-;4!;
=2_{;3$;+2}=;;ª3¼;; ⑤
이므로 xÛ`-yÛ`의 값은 x=;2!;일 때 최솟값 -;4!;을 갖는다. ①

03 07
lim `f(xÛ`)= lim `f(t)=2 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x`Ú-1+ t`Ú1-

lim `f(-x)= lim `f(t)=1 a5=-5에서 a+4d=-5


x`Ú1+ t`Ú-1-
a10=10에서 a+9d=10
따라서 lim `f(xÛ`)+ lim `f(-x)=2+1=3 ③
x`Ú-1+ x`Ú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7, d=3
즉, an=-17+(n-1)_3=3n-20
nÉ6일 때, an<0이므로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6항까지의 합은
6_(a1+a6) 6_(-17-2)
04 2
=
2
=-57
p
<h<p에서 cos`h+0이므로 또 n¾7일 때 an>0이므로
2
수열 {an}의 제7항부터 제20항까지의 합은
주어진 식의 양변을 cos`h로 나누면
14_(a7+a20) 14_(1+40)
'2
'5(tan`h+1)=
= =287
2 2
cos`h
따라서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20항까지의 합은
이때 cos`h<0이므로
|-57|+287=344 ⑤
tan`h<-1   yy ㉠
'2
한편, '5(tan`h+1)= 의 양변을 제곱하면
cos`h
2
5(tanÛ``h+2`tan`h+1)=
cosÛ``h
5(tanÛ``h+2`tan`h+1)=2(1+tanÛ``h) 08
:)3 f(t)dt=k로 놓으면
3`tanÛ``h+10`tan`h+3=0
(3`tan`h+1)(tan`h+3)=0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1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1 23. 4. 6. 오후 2:14


g(x)=xÛ`-x+k이므로 조건 (나)에서 x`Ú2일 때 (분모)`Ú0이므로 (분자)`Ú0이어야 한다.
lim g(x)=0에서
f(x)=1+:)/ (tÛ`-t+k)dt x`Ú2

=1+[;3!;tÜ`-;2!;tÛ`+kt]/)
g(2)=0
이차함수 h(x)에 대하여 g(x)=(x-2)h(x)로 놓으면
`g(x) (x-2)h(x)
=1+;3!;xÜ`-;2!;xÛ`+kx lim =lim
x`Ú2`f(x) x`Ú2 (x-2)(x-5)
이때 h(x) h(2)
=lim =-
x`Ú2 x-5 3
k=:)3 {1+;3!;tÜ`-;2!;tÛ`+kt}dt
h(2)

=[t+;1Á2;t4-;6!;tÜ`+;2!;ktÛ`]3)
- =0에서 h(2)=0이므로
3
g(x)=(x-2)Û`(x-b)`(b는 상수)
=3+;;ª4¦;;-;2(;+;2(;k 로 놓을 수 있다.
이때 f(6)=4이므로 조건 (다)에서
에서 k=-;2#; g(3)=3-b=4
b=-1
따라서 f(x)=1+;3!;xÜ`-;2!;xÛ`-;2#;x, g(x)=xÛ`-x-;2#;이므로
즉, g(x)=(x-2)Û`(x+1)
f(1)=-;3@;, g(1)=-;2#; 따라서 f(9)=7_4, g(9)=49_10이므로
`g(9) 49_10
즉, f(1)_g(1)={-;3@;}_{-;2#;}=1 ④ = =;;£2°;; ⑤
`f(9) 7_4

09 11
f(1)=0이므로 곡선 y=(x-k) f(x)도 점 (1, 0)을 지난다.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또한 곡선 y=f(x) 위의 점 (1, 0)에서의 접선이 점 (3, -2)를 지나므로 ACÓ Û`=ABÓ Û`+BCÓ Û`-2_ABÓ_BCÓ_cos`(∠ABC)
이 접선의 기울기는 =25+16-2_5_4_;2!;=21
-2-0
=-1 또 삼각형 A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1
이때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를 ACÓ Û`=CDÓ Û`+DAÓ Û`-2_CDÓ_DAÓ_cos`(∠CDA)
f(x)=(x-1)(x-a)`(a는 상수) 21=16+1-2_4_1_cos`(∠CDA)
로 놓자. 에서 cos`(∠CDA)=-;2!;이므로
f '(x)=2x-a-1이므로
f '(1)=1-a ∠CDA=;3@;p
1-a=-1에서 a=2 즉, 사각형 ABCD는 원에 내접한다.
즉, f(x)=(x-1)(x-2) A
D
한편, 점 (3, -2)가 곡선 y=(x-k) f(x) 위의 점이므로
P
x=3, y=-2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3-k) f(3)=-2
f(3)=2_1=2이므로
(3-k)_2=-2
B C
k=4
따라서 f(k)=f(4)=3_2=6 ③
이때 ∠DAB=`h라 하면 ∠BCD=p-h이고,
삼각형 ABD의 넓이를 S1이라 하면

S1=;2!;_1_5_sin`h=;2%;`sin`h

삼각형 BCD의 넓이를 S2라 하면


10
S2=;2!;_4_4_sin`(p-h)=8`sin`h
조건 (가)에서 f(2)+0이면
`f(x)-x+2 `f(2) CPÓ S 8`sin`h
lim = =1이므로 따라서 = 2= =;;Á5¤;; ②
x`Ú2 `f(x)+x-2 `f(2) APÓ S1 ;2%;`sin`h
f(2)=0이어야 한다.
즉, f(x)=(x-2)(x-a)`(a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조건 (가)에서

lim
`f(x)-x+2
=lim
(x-2)(x-a)-x+2 12
x`Ú2`f(x)+x-2 x`Ú2 (x-2)(x-a)+x-2 1
_log;2!;`an=log3`2n+log;3!;`c에서
(x-2)(x-a-1) log2`3
=lim
x`Ú2 (x-2)(x-a+1) log3`2_log;2!;`an=n`log3`2-log3`c
x-a-1
=lim log3`2_log;2!;`an+log3`c=n`log3`2
x`Ú2 x-a+1

1-a log3`c
= log;2!;`an+ =n
3-a log3`2
1-a -log2`an+log2`c=n
=2에서 a=5이므로
3-a
c
f(x)=(x-2)(x-5) log2` =n이므로
an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2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2 23. 4. 6. 오후 2:14


c ㄱ. t>0이므로 at>1이고, at>logb`b
=2n
an
at=logb`t>logb`b
c
즉, an= n 이때 0<b<1이므로 t<b (참)
2
이때 ㄴ. b<1<a이므로 ab<a
;2!;_[1-{;2!;}5`]
Á ak=c Á {;2!;}k`=c_
ㄱ에서 t<b이므로 at<ab
5 5
즉, at<ab<a
k=1 k=1
1-;2!;
이때 at=logb`t이므로
=c_{1-;3Á2;}=;3#2!;c logb`t<ab<a
logb`t<ab<logb`ba에서 t>ba (참)
;3#2!;c=62에서 c=64 ㄷ. A(a, logb`a), B(b, 1), P(t, logb`t)이므로
64 직선 AP의 방정식은
따라서 an= 이므로
2n logb`a-logb`t
64 y= (x-a)+logb`a
a4= =4 ② a-t
24
이고, 직선 AP의 y절편은
logb`a-logb`t
-a_ +logb`a
a-t
또 직선 AB의 방정식은
logb`a-1
13 y=
a-b
(x-a)+logb`a

두 점 P, Q가 원점을 출발하여 다시 원점으로 돌아올 때의 시각을 각각 t1, t2라 이고, 직선 AB의 y절편은
하면 logb`a-1

:) (a-t)dt=0, :) (b-2t)dt=0
-a_ +logb`a
tÁ tª
a-b
직선 AP의 y절편과 직선 AB의 y절편의 차는

:) (a-t)dt=[at-;2!;tÛ`]t) =at1-;2!;t1Û`
tÁ Á logb`a-logb`t logb`a-1
-a_ +logb`a+a_ -logb`a
a-t a-b
-logb`a+logb`t logb`a-1
=-;2!;t1(t1-2a)=0 =a_{ + }
a-t a-b
a
에서 t1=2a 이때 ㄱ, ㄴ에서 b <t<b이므로
-logb`a+logb`t logb`a-1
또 }
:) (b-2t)dt=[bt-tÛ`]t) =bt2-t2Û`
a_{ +
tª ª
a-t a-b
-logb`a+logb`b a
logb`a-1
<a_{ + }
a-t a-b
=-t2(t2-b)=0 -logb`a+logb`b a
logb`a-1
에서 t2=b <a_{ + }
a-b a-b
이때 두 점 P, Q가 원점을 출발하여 다시 원점으로 돌아올 때까지 움직인 거리 a(a-1)
=
a-b
가 각각 2, 9이므로

:)2`a |a-t|dt=2, :)b |b-2t|dt=9


a(a-1)
즉, 직선 AP의 y절편과 직선 AB의 y절편의 차는 보다 작다. (거짓)
a-b

:)2`a |a-t|dt=:)a (a-t)dt+:A2`a (t-a)dt=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at-;2!;tÛ`]a)+[;2!;tÛ`-at]2Aa`=2

;2!;aÛ`+;2!;aÛ`=2에서 a='2
15
또 :)b |b-2t|dt=:) (b-2t)dt+: b (2t-b)dt=9
;2B;

;2B; 조건 (가)에서 x`Ú0일 때 (분모)`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bt-tÛ`] +[tÛ`-bt] =9
;2B; b (분자)`Ú0이어야 한다.
0 ;2B; lim`f(x)=0이므로 f(x)=xÜ`+axÛ`+bx`(a,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x`Ú0

;4!;bÛ`+;4!;bÛ`=9에서 b=3'2 Ú n=1인 경우


따라서 t=a에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가 4이므로 조건 (가)에서
xÜ`+axÛ`+bx
|:)Ó ('2-t)dt-:)Ó (3'2-2t)dt|=4 lim
x`Ú0 x
=lim (xÛ`+ax+b)=b
x`Ú0

이므로 b=-2
|:)Ó (-2'2+t)dt|=4
f(x)=xÜ`+axÛ`-2x
|-2'2a+;2!;aÛ`|=4 이때 g(x)=mx라 하면 조건 (나)에서
f(x)-g(x)=xÜ`+axÛ`-(2+m)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아야 한다.
;2!;aÛ`-2'2a-4=0 또는 ;2!;aÛ`-2'2a+4=0
y y=f(x)-g(x)
a=2'2-4 또는 a=2'2+4 또는 a=2'2
즉, a>0이고 두 점 P, Q 사이의 거리가 처음으로 4일 때의 시각이므로
O
구하는 a의 값은 2'2이다. ④ 1 x

f(x)-g(x)=xÛ`(x-1)=xÜ`-xÛ`이므로
14 a=-1, m=-2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x좌표가 t이므로 f(x)=xÜ`-xÛ`-2x, g(x)=-2x이므로
at=logb`t f '(x)=g(1)에서 3xÛ`-2x-2=-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3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3 23. 4. 6. 오후 2:14


x(3x-2)=0
18
즉, S(1)=0+;3@;=;3@; an=0+(n-1)d이므로

Á =Á Á
Û n=2인 경우 10 1 10 1 1 10 1
=
k=3 akak+1 k=3 (k-1)d_kd dÛ` k=3 (k-1)k
Á{
조건 (가)에서
1 10 1
xÜ`+axÛ`+bx = -;k!;}
lim =lim {x+a+;[B;}=-2이므로 dÛ` k=3 k-1
x`Ú0 xÛ` x`Ú0
1
a=-2, b=0 = [{;2!;-;3!;}+{;3!;-;4!;}+{;4!;-;5!;}+y+{;9!;-;1Á0;}]
dÛ`
f(x)=xÜ`-2xÛ` 1 2
= {;2!;-;1Á0;}=
이때 g(x)=mx라 하면 조건 (나)에서 dÛ` 5dÛ`
2
f(x)-g(x)=xÜ`-2xÛ`-m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4Á0;에서
5dÛ`
y y=f(x)-g(x)
dÛ`=16  16

O
2 x

19
삼각형 ABC가 존재하려면 k+(k+2)>k+3이 성립해야 하므로
f(x)-g(x)=xÛ`(x-2)=xÜ`-2xÛ`이므로 m=0 k>1
f(x)=xÜ`-2xÛ`, g(x)=0이므로 또 각 b의 대변의 길이가 k+2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f '(x)=g(2)에서 3xÛ`-4x=0 (k+2)Û`=kÛ`+(k+3)Û`-2_k_(k+3)_;9%;
x(3x-4)=0
kÛ`+12k-45=0, (k+15)(k-3)=0
즉, S(2)=0+;3$;=;3$; k=-15 또는 k=3
Ü n=3인 경우 k>1이므로 k=3
조건 (가)에서 따라서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xÜ`+axÛ`+bx b k+(k+2)+(k+3)=3k+5=3_3+5=14  14
lim =lim {1+;[A;+ }=-2
x`Ú0 xÜ` x`Ú0 xÛ`
를 만족시키는 함수 f(x)는 존재하지 않는다.
Ý n¾4인 경우
`f(x)
조건 (가)의 lim
x`Ú0 xn
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20
Ú∼Ý에서 S(n)의 값이 존재하는 경우는 S(1), S(2)뿐이므로 a2=;3!;a1-2

Á S(k)=S(1)+S(2)=;3@;+;3$;=2
10

k=1
⑤ a3=3a2+1=3_{;3!;a1-2}+1=a1-5

a4=;3!;a3-2=;3!;_(a1-5)-2=;3!;a1-;;Á3Á;;=;3!;a1-{;;Á3¼;;+;3!;}

a5=3a4+1=3_{;3!;a1-;;Á3Á;;}+1=a1-10

a6=;3!;a5-2=;3!;_(a1-10)-2=;3!;a1-;;Á3¤;;=;3!;a1-{;;Á3°;;+;3!;}
16
g(x)=(xÛ`+2x)f(x)에서 a7=3a6+1=3_{;3!;a1-;;Á3¤;;}+1=a1-15
g'(x)=(2x+2)f(x)+(xÛ`+2x)f '(x)
a8=;3!;a7-2=;3!;_(a1-15)-2=;3!;a1-;;ª3Á;;=;3!;a1-{;;ª3¼;;+;3!;}
이 식에 x=0을 대입하면
g'(0)=2 f(0)=2_1=2 2 ⋮
이므로 자연수 n에 대하여
5n
a2n=;3!;a1-{ +;3!;}, a2n+1=a1-5n
3
이때 a31=a2_15+1=a1-5_15=a1-75이므로
a1-75=-69에서 a1=6
17 따라서

a4_a7=[;3!;_6-{;;Á3¼;;+;3!;}]_(6-15)
x
곡선 y=|3 -4|는 그림과 같다.
y y=|3Å -4|
={-;3%;}_(-9)=15  15
y=4

y=k

O x
21
함수 y=|x-t|+t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t만
x
방정식 |3 -4|=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큼, y축의 방향으로 t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항상 직선 y=x 위의 점 (t, t)
곡선 y=|3x-4|와 직선 y=k가 만나는 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를 지난다.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점 (t, t)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0<k<4 y-t=-(x-t), 즉 x+y-2t=0
따라서 모든 정수 k의 값은 1, 2, 3이고, 그 합은 Ú 직선 x+y-2t=0이 원 (x-'2 )Û`+(y-2'2 )Û`=4에 접하는 경우
1+2+3=6 6 점 ('2, 2'2 )와 직선 x+y-2t=0 사이의 거리가 2이므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4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4 23. 4. 6. 오후 2:14


|'2+2'2-2t| y
=2에서 y=g'(x)
'2
'2 5'2 1
t= 또는 t= O
2 2 x
y y=x y
y=x

y=f(x)

이때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0을 갖는다.


Û a=0인 경우
O x O x
y
y=g'(x)

'2 5'2
즉, 그림에서 f { }=3, f { }=1이다.
2 2
Û 점 (t, t)가 원 (x-'2 )Û`+(y-2'2 )Û`=4 위의 점인 경우 1
O x
(t-'2 )Û`+(t-2'2 )Û`=4
tÛ`-3'2 t+3=0에서
y=f(x)
3'2-'6 3'2+'6
t= 또는 t=
2 2 이때 함수 f(x)는 극값을 갖지 않는다.
y y=x y Ü a>0인 경우
y=x
y
y=g'(x)

O x
O x O x
y=f(x)

3'2-'6 3'2+'6
즉, 그림에서 f { }=3, f { }=2이다.
2 2 이때 함수 f(x)는 x=a에서 극댓값 3aÛ`을 갖는다.
Ú, Û에서 조건 (가)에서 함수 f(x)의 극댓값이 1이므로
( 2 {t< '2 } 1
3aÛ`=1에서 a=
2 '3
|
}2`이므로
'2
3 {t= } 즉, g'(x)=3{x-
1
| '3
2

}2`
'2 3'2-'6
4 { <t< } 1
| 2 2 x¾0에서 f(x)=1-g'(x)=1-3{x-
'3
f(t)={ 3 {t=
3'2-'6
} 한편,

}3`+C (단, C는 적분상수)


2
|
1
3'2-'6 5'2 g(x)=: g'(x)dx={x-
2 { <t< } '3

}3`+
2 2
| 1 '3
5'2
1 {t= }
g(0)=0이므로 g(x)={x-
'3 9
| 2
5'2 따라서

}2`=-3
9 0 {t> 2 } 1
f('3 )=1-3{'3-
'2 '3

}3`+
따라서 m=3, n= 이므로
2 1 '3
g('3 )={'3- ='3
mÛ` 9
= =18  18 '3 9
nÛ` ;2!; 즉, { f('3 )}Û`+{g('3 )}Û`=(-3)Û`+('3 )Û`=9+3=12  12

확률과 통계

22 23
조건 (나)에서 g(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P(A'B)=P(A)+P(B)-P(A;B) 
g'(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함수이다.
=P(A)+P(B)-P(A)P(B)
1+f(x) (x<0)
g'(x)=[ 이므로 ;1¦1;=;1¢1;+P(B)-;1¢1;P(B)
1-f(x) (x¾0)
이때 함수 g'(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1¦1;P(B)=;1£1;에서 P(B)=;7#;
lim g'(x)= lim g'(x)=g'(0)
x`Ú0- x`Ú0-
따라서 P(B|A)=P(B)=;7#; ④
1+f(0)=1-f(0)=1-f(0)에서
f(0)=0이므로
g'(0)=1-f(0)=1
g'(x)=3xÛ`-6ax+1`(a는 상수)로 놓으면 g'(x)=3(x-a)Û`+1-3aÛ`이므로
a의 값에 따라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과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 24
형은 그림과 같다. 같은 숫자가 적혀 있는 두 공을 한 개로 생각하고, 5개를 원형으로 배열하는 경우
Ú a<0인 경우 의 수는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5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5 23. 4. 6. 오후 2:14


(5-1)!=4!=24 X 1 2 3 4 5 계
이때 숫자 1이 적혀 있는 두 공의 위치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2이고,
P(X=x) ;2!; ;7@; ;7!; ;3ª5; ;7Á0; 1
숫자 1이 적혀 있는 두 공의 위치가 정해지면 다른 숫자가 적혀 있는 공끼리의 위
치도 정해진다. 따라서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E(X)=1_;2!;+2_;7@;+3_;7!;+4_;3ª5;+5_;7Á0;=;5(;
24_2=48 ①
이므로

E(30X+5)=30E(X)+5=30_;5(;+5=59 ④

25
6명이 원형의 탁자에 둘러앉는 경우의 수는
27
(6-1)!=5!=120
숫자 6, 7이 적혀 있는 카드를 한 장으로 생각하면 숫자 6, 7이 적혀 있는 카드의
남학생 3명을 한 명으로 생각하여 4명의 학생이 원형의 탁자에 둘러앉는 경우의
위치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수는
2
(4-1)!=3!=6
이때 숫자 1, 2, 3이 적혀 있는 카드와 한 장으로 생각하는 숫자 6, 7이 적혀 있
남학생끼리 자리를 바꾸는 경우의 수는
는 카드를 모두 X라 하면 4장의 X와 숫자 4, 5가 적혀 있는 카드를 일렬로 나
3!=6
열하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6!
6_6 =30
=;1£0; ② 4!
120
따라서 4장의 X에 왼쪽부터 숫자 1, 2, 3이 적혀 있는 카드와 한 장으로 생각하
는 숫자 6, 7이 적혀 있는 카드를 놓으면 되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_30=60 ①

26
8장의 카드에서 임의로 4장의 카드를 꺼내는 경우의 수는
8C4=70 28
Ú 최솟값이 1인 경우 이 회사에서 생산하는 제품 1상자의 무게를 확률변수 X라 하면
2부터 8까지의 자연수가 하나씩 적혀 있는 7장의 카드 중에서 3장의 카드를 확률변수 X는 정규분포 N(50,(8'5 )Û`)을 따른다.
꺼내는 경우의 수는 임의추출한 크기가 16인 표본의 표본평균을 X1이
Ó 라 하면

7 C3=35 확률변수 X1Ó은 정규분포 N(50,(2'5 )Û`)을 따르고,


최솟값이 1일 확률은 X1-
Ó 50
Z1= 으로 놓으면 확률변수 Z1은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2'5
;7#0%;=;2!;
또 임의추출한 크기가 20인 표본의 표본평균을 X2라Ó 하면
Û 최솟값이 2인 경우 확률변수 X2Ó는 정규분포 N(50, 4Û`)을 따르고,
3부터 8까지의 자연수가 하나씩 적혀 있는 6장의 카드 중에서 3장의 카드를 X2-
Ó 50
Z2= 으로 놓으면 확률변수 Z2는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꺼내는 경우의 수는 4
C3=20 X1Ó-50 50-50
6
P(16X1Ó<800)=P(X1<
Ó 50)=P{ < }
최솟값이 2일 확률은 2'5 2'5
=P(Z1<0)=0.5
;7@0);=;7@;
X2Ó-50 40-50
P(20X2Ó¾800)=P(X2¾
Ó 40)=P{ ¾ }
Ü 최솟값이 3인 경우 4 4
4부터 8까지의 자연수가 하나씩 적혀 있는 5장의 카드 중에서 3장의 카드를 =P(Z2¾-2.5)=P(-2.5ÉZ2É0)+0.5
꺼내는 경우의 수는 =P(0ÉZ2É2.5)+0.5
5 C3=10 =0.4938+0.5=0.9938
최솟값이 3일 확률은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0.5_0.9938=0.4969 ⑤

;7!0);=;7!;

Ý 최솟값이 4인 경우
5부터 8까지의 자연수가 하나씩 적혀 있는 4장의 카드 중에서 3장의 카드를
꺼내는 경우의 수는
29
C3=4 10회 시행 후 점 P의 좌표가 2인 사건을 E라 하고, 2회 시행 후 점 P의 좌표가
4

최솟값이 4일 확률은 2인 사건을 F라 하면 구하는 확률은


P(E;F)
;7¢0;=;3ª5; P(F|E)=
P(E)
Þ 최솟값이 5인 경우 10회의 시행 동안 동전의 앞면이 나온 횟수를 n이라 하면
6부터 8까지의 자연수가 하나씩 적혀 있는 3장의 카드 중에서 3장의 카드를 10회 시행 후 점 P의 좌표는
꺼내는 경우의 수는 3_n+(-1)_(10-n)=4n-10
C3=1 4n-10=2에서 n=3

즉, P(E)=10C3{;2!;}3`{;2!;}7`=120_{;2!;}1`0`
3

최솟값이 5일 확률은

;7Á0; 한편, 2회 시행 후 점 P의 좌표가 2이려면 동전의 앞면과 뒷면이 한 번씩 나와야


Ú∼Þ에서 확률변수 X의 확률분포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하므로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6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6 23. 4. 6. 오후 2:14


P(E F)=2C1{;2!;}1`{;2!;}1`_8C2{;2!;}2`{;2!;}6` d `f(x)
[ ]=xÛ`이므로
'

=56_{;2!;}1`0`
dx g(x)
`f(x)
=;3!;xÜ`+C (단, C는 적분상수)
g(x)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56_{;2!;}1`0`
`f(3)
=2이므로 2=9+C에서
g(3)
P(E;F)
120_{;2!;}1`0`
P(F|E)= = =;1¦5; C=-7
P(E)
`f(6)
따라서 =72-7=65이므로
이므로 p+q=15+7=22  22 g(6)
f(6)=65g(6)
즉, k=65 ③

30
조건 (나)에서 받은 연필의 수가 홀수인 학생은 2명이거나 4명이다.
네 학생 A, B, C, D가 받은 연필의 수를 각각 a, b, c, d라 하면
25
a+b+c+d=20
곡선 y=(x-n)Û`+n과 직선 y=an(x+2)가 접하므로
Ú 받은 연필의 수가 홀수인 학생이 2명인 경우
(x-n)Û`+n=an(x+2)
받은 연필의 수가 홀수인 학생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xÛ`-(2n+an)x+nÛ`+n-2an=0에서
4 C2=6
x에 대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이어야 한다.
받은 연필의 수가 홀수인 학생을 A, B라 하자.
D=(2n+an)Û`-4nÛ`-4n+8an=0
음이 아닌 네 정수 a', b', c', d'에 대하여
anÛ`+2(2n+4)an-4n=0에서
a=2a'+3, b=2b'+3, c=2c'+4, d=2d'+4로 놓으면
an=-(2n+4)Ñ"Ã(2n+4)Û`+4n
(2a'+3)+(2b'+3)+(2c'+4)+(2d'+4)=20
an>0이므로
a'+b'+c'+d'=3
an="Ã(2n+4)Û`+4n-(2n+4)
방정식 a'+b'+c'+d'=3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a', b', c', d'의 모
따라서
든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lim an= lim {"Ã(2n+4)Û`+4n-(2n+4)}
4 H3=6C3=20 n`Ú¦ n`Ú¦

즉, 연필을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4n 4


=lim = =1 ③
n`Ú¦
"Ã(2n+4)Û`+4n+(2n+4) 2+2
6_20=120
Û 받은 연필의 수가 홀수인 학생이 4명인 경우
음이 아닌 네 정수 a', b', c', d'에 대하여
a=2a'+3, b=2b'+3, c=2c'+3, d=2d'+3으로 놓으면
(2a'+3)+(2b'+3)+(2c'+3)+(2d'+3)=20
a'+b'+c'+d'=4
26
방정식 a'+b'+c'+d'=4를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a', b', c', d'의 모 y y=tan`x

든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4 H4=7C4=7C3=35 y=e sin`x
Ú, Û에서 연필을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120+35=155  155

O a x
;2Ò;

두 곡선 y=f(x), y=g(x)가 만나는 점 중 원점이 아닌 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미적분 sin`a
e`sin`a=tan`a, e`sin`a= 에서
cos`a
23 {e-
1
}`sin`a=0
cos`a
(2n)Û`-1 (2n+1)Û` (3n)Û`-1 (3n+1)Û`
<a2n< , <a3n< 이므로 p 1
2 2 2 2 0<a< 이므로 cos`a=
2 e
(3n)Û`-1 a3n (3n+1)Û`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 <
(2n+1)Û` a2n (2n)Û`-1
(3n)Û`-1 (3n+1)Û` S=:)a (e`sin`x-tan`x)dx
따라서 lim =;4(;, lim =;4(;이므로
=:)a e`sin`x`dx-:)a tan`x`dx=[-e`cos`x]a)+:)a
n`Ú¦ (2n+1)Û` n`Ú¦ (2n)Û`-1
(cos`x)'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dx
cos`x

=[-e`cos`x]a)+[ln|cos`x|]a)=-e`cos`a+e+ln|cos`a|
a3n
lim =;4(; ③
n`Ú¦ a2n

1 1
=-e_ +e+ln` =e-2 ①
e e

24
`f '(x) g'(x) g(x)
- =xÛ`_ 의 양변에 f(x)g(x)를 곱하면
`f(x) g(x) `f(x)
27
f '(x)g(x)-f(x)g'(x)=xÛ`_{g(x)}Û`
xÜ`+x를 an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n(x)라 하면
`f '(x)g(x)-f(x)g'(x)
=xÛ` xÜ`+x=(anx-1)Qn(x)+Rn
{g(x)}Û`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7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7 23. 4. 6. 오후 2:14


1 즉, 구간 [n, n+1)에서
x= 을 대입하면
an
{ n }3`+ n =Rn
n이 홀수이면 g(x)=log2`(x-n+1), n이 짝수이면 g(x)=-(x-n)Û`+1
1 1
a a 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즉, Rn={ 3 }n`+{;a!;}n`
1 y
a
등비급수 Á Rn이 수렴하므로 -1<;a!;<1이고,
¦
y=g(x)

Á Rn= Á [{ 3 }n`+{;a!;}n`]= Á { 3 }n`+ Á {;a!;}n`


n=1
y y
¦ ¦ 1 ¦ 1 ¦
O 1 3 5 13 15 x
n=1 n=1 a n=1 a n=1

이때 :!2 log2`x`dx= :!2 ln`x`dx에서


1 1
aÜ` a 1 1 1
= + = + ln`2
1-
1
1-
1 a -1 a-1
3

aÜ` a u(x)=ln`x, v'(x)=1로 놓으면

=
1
+
aÛ`+a+1
=
aÛ`+a+2 u'(x)=;[!;, v(x)=x이므로

:!2 ln`x`dx=[x`ln`x]2!-:!2 1`dx


a3-1 (a-1)(aÛ`+a+1) a3-1
aÛ`+a+2
따라서 =-;9$;에서

=[x`ln`x-x]2!
a3-1
4aÜ`+9aÛ`+9a+14=0
(a+2)(4aÛ`+a+7)=0
즉,

:!2 log2`x`dx= [x`ln`x-x]2!


a는 실수이므로 a=-2 ⑤
1
ln`2
2`ln`2-1 1
= =2-
ln`2 ln`2

:@3 {-(x-2)Û`+1}dx=:)1 (-xÛ`+1)dx


28
직각삼각형 AMH에서 AÕMÓ=2, AHÓ=2`sin`h이므로
삼각형 AMH의 넓이는 =[-;3!;xÜ`+x]1)=;3@;
p
;2!;_2_2`sin`h_sin`{ -h}=2`sin`h`cos`h 따라서
2

:!1`6` g(x)dx=8_{2-
또 삼각형 AMH에서 선분 AQ가 ∠PAB의 이등분선이므로 1
}+7_;3@;
ln`2
HQÓ`:`MQÓ=AHÓ`:`AMÓ=sin`h`:`1
8
sin`h 2`sinÛ``h`cos`h =;;¤3ª;;-
즉, f(h)=2`sin`h`cos`h_ = ln`2

즉, :!1`6` g(x)dx+
1+sin`h 1+sin`h
8
한편, 삼각형 PAB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3ª;;이므로
ln`2
PBÓ
=2_3 p+q=3+62=65  65
sin`{;2Ò;-h}

PBÓ=6`cos`h
또 원주각과 중심각의 성질에 의하여
p
∠POB=2_{ -h}=p-2h
2
삼각형 POB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h)라 하면 삼각형 POB의 넓이는 30
3+3+6`cos`h 함수 g(x)는 f(x)=0인 x에서 불연속이므로
;2!;_3_3_sin`(p-2h)=r(h)_
2 조건 (가)에서 방정식 f(x)=0의 실근은 x=-1뿐이다.
3`sin`2h
r(h)= 이므로 삼차함수 f(x)=axÜ`+bxÛ`+cx+c`(a+0, a, b, c는 상수)로 놓으면
2(1+cos`h)
f(-1)=-a+b=0에서 b=a이므로
9 sinÛ``2h
g(h)= p_ f(x)=axÜ`+axÛ`+cx+c 
4 (1+cos`h)Û`
따라서 =(x+1)(axÛ`+c)
9 sinÛ``2h f '(x)=3axÛ`+2ax+c
p_
g(h) 4 (1+cos`h)Û` `f '(x)
lim = lim 또 x+-1일 때 g'(x)=1- 이므로
h`Ú0+ `f(h) h`Ú0+ 2`sinÛ``h`cos`h `f(x)
1+sin`h 조건 (나)에서 g'(2)=0
9 sinÛ``2h `f '(2)
p_ _(1+sin`h) 1- =0에서 c=2a
8 hÛ`
= lim `f(2)
h`Ú0+ sinÛ``h
_cos`h_(1+cos`h)Û` 즉, f(x)=a(x+1)(xÛ`+2), f '(x)=a(3xÛ`+2x+2)
hÛ`
9 3xÛ`+2x+2
p 이때 x+-1에서 g'(x)=1- 이므로
8 _4_1 9 (x+1)(xÛ`+2)
= = p ③
1_1_4 8 g'(x)=0에서 xÛ`(x-2)=0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0 y 2 y
g '(x) + - 0 - 0 +
29 g(x) ↗ -1 ↘ ↘ 극소 ↗
f '(x)=1+sin`x-e-x이므로 f '(x)=0에서 sin`x+1=e-x
이때 방정식 f '(x)=0의 실근은 두 곡선 y=sin`x+1, y=e-x이 만나는 점의 lim g(x)=¦, lim g(x)=¦이고,
x`Ú-1- x`Ú-1+

x좌표이므로 구간 [p, 2p), [3p, 4p), [5p, 6p), y에서는 방정식 f '(x)=0 조건 (다)에서 곡선 y=g(x)와 직선 y=-1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하므
의 실근이 존재하고, 구간 [2p, 3p), [4p, 5p), [6p, 7p), y에서는 방정식 로 함수 g(x)는 x=2에서 극솟값 -1을 갖고,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
f '(x)=0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는다. 과 같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8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8 23. 4. 6. 오후 2:14


y
26
직선 OA의 방정식은 y=-x, 직선 OB의 방정식은 y=x이고,
2 조건 (가)에서 |OP³|=2이므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O x
그림과 같다.
-1 y=g(x) y
y=-x y=x
x=-1 Q
A B
g(2)=2-ln|18a|=-1에서
2 P C
eÜ`
|18a|=eÜ`, |a|=
18
eÜ` O x
따라서 g(x)=x-ln| (x+1)(xÛ`+2)|`(x+-1)이므로 213
18
g(4)=4-ln|5eÜ`|=1-ln`5=ln`;5E; 한편, 두 벡터 OP³, OC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h라 하면
즉, m=5 5 |OC³|=4이므로 조건 (나)에서
OP³ ´ OC³=2_4_cos`h¾4'3
'3
cos`h¾
2
p
즉, 0ÉhÉ
6
기하 p
따라서 직선 OC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이므로
6
23 p p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2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a { ÉaÉ }
4 3
2aø+3bø=(4, -6)+(-3, 15)=(1, 9) 인 부채꼴의 호이다.
따라서 벡터 2aø+3bø의 모든 성분의 합은 즉, 구하는 도형의 길이는
1+9=10 ⑤ p p
2_ =  ②
12 6

24 27
P(x, y)라 하고, 점 P에서 직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FÕF'Ó=6'5이고, ∠FPF'=90ù이므로 삼각형 PF'F에서
H(1, y)이므로 PFÓ=PHÓ에서 PFÓ Û`+PF'Ó Û`=FF'Ó Û`=(6'5 )Û`=180
"Ã(x-3)Û`+(y-1)Û`=|x-1| 또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2_OAÓ이므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PF'Ó-PFÓ
OAÓ=
(y-1)Û`=4(x-2) 2
따라서 점 (a, 5)가 곡선 C 위의 점이므로 이때

(5-1)Û`=4(a-2)에서 ABÓ=OBÓ-OAÓ

a=6 ① PF'Ó+PFÓ PF'Ó-PFÓ


= -
2 2
=PFÓ
 BCÓ-ABÓ
ACÓ= 
=(PF'Ó+PFÓ)-PFÓ 
=PF'Ó
25 따라서 구하는 두 원의 넓이의 합은

}2`+p_{ }2`= _(PFÓ Û`+PF'Ó Û`)


구 S는 중심의 좌표가 (0, 6, 6)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6인 구이다. PFÓ PF'Ó p
p_{
2 2 4
구 S의 중심을 C라 하고, 점 C에서 평면 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p
yz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그림과 같고, ∠COH=`h이다. = _180=45p ②
4
z
a
S

C
b 28
h ABÓ=x, BCÓ=y로 놓고, 점 B에서 선분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H
O y P

조건 (나)에서 평면 b와 구 S가 만나는 점이 나타내는 도형이 반지름의 길이가 4


인 원이므로
B
CHÓ="Ã6Û`-4Û`=2'5
삼각형 COH에서 OCÓ=6'2이므로 A

OHÓ="Ã(6'2 )Û`-(2'5 )Û`=2'1Œ3 C H

CHÓ 2'5 '5


따라서 tan`h= = = 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OHÓ 2'1Œ3 '1Œ3
xÛ`+yÛ`=15 yy ㉠
tanÛ``h=;1°3; ⑤ 또 삼각형 ABC의 넓이는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59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59 23. 4. 6. 오후 2:14


;2!;_ABÓ_BCÓ=;2!;_ACÓ_BHÓ이므로
30
;2!;_x_y=;2!;_'1Œ5_BHÓ에서 조건 (가)에서 OX³-OQ³=;2!; OP³, 즉 QX³=;2!; OP³이므로 점 X는 정육각형
xy
BHÓ= OCDEFA 위의 점 Q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위의 점이다.
'1Œ5
조건 (나)에서
이때 직각삼각형 PBH에서
(OB³-OX³)+2(OA³-OX³)+(OD³-OX³)=k(-OA³)
(xy)Û`
PHÓ Û`=PBÓ Û`+BHÓ Û`=4+ 이므로 4OX³=(2+k)OA³+OB³+OD³ 
15
(xy)Û` =(2+k)OA³+OC³
PHÓ=¾¨4+
15 2+k
OX³= OA³+;4!; OC³
한편, PBê ⊥ (평면 ABC)이고, BHÓ ⊥ AC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4
2+k
PHÓ ⊥ ACÓ 즉, OA³=OÕA1,³ ;4!; OC³=OÕC1이
³ 라 하면 점 X는 두 선분 OA1, OC1을 이
4
즉, 삼각형 PCA의 넓이는
웃한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꼭짓점이다.
(xy)Û`
;2!;_ACÓ_PHÓ=;2!;_'1Œ5_¾¨4+ 두 조건 (가), (나)에서 |OX³|Û`의 값이 최대인 경우는 그림과 같다.
15
l
"Ã60+(xy)Û` AÁ X
= Aª
2 F
"Ã60+(xy)Û`
조건 (나)에서 =2'6이므로 A
2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60+(xy)Û`=96
O
(xy)Û`=36이므로

xy=6 yy ㉡ C
㉠, ㉡에서 점 C1은 선분 OC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고, 직선 AF와 평행하고 거리가 1
(ABÓ+BCÓ)Û`=
 (x+y)Û`=xÛ`+yÛ`+2xy  인 직선을 l이라 하면 점 C를 지나고 직선 OA와 평행한 직선이 직선 l과 만나
=15+2_6=27 는 점이 |OX³|Û`의 값이 최대일 때의 X이다.
즉, ABÓ+BCÓ=3'3 ② 직선 OA와 직선 l이 만나는 점을 A2라 하고, 평행사변형 OC1XA1이 되도록
직선 OA 위에 점 A1을 정한다.
2
OAÓ=2, AÕA2Ó= , AÕ1A2Ó=;2!;이므로
'3
2
OÕA1Ó=;2%;+
'3
29 2+k
이때 OA³=OÕA1³에서
4
y
2+k 2
yÛ =4px _2=;2%;+
4 '3
R 4
k=3+
HÁ P '3
Q 4
즉, k1=3+
'3
O F Hª x
또 삼각형 A1OX에서∠OA1X=60ù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OXÓ Û`=OÕA1Ó Û`+AÕ1XÓ Û`-2_OÕA1Ó_AÕ1XÓ_cos`60ù

}2`+;4!;-2_{;2%;+
F(p, 0)이고, 포물선 yÛ`=4px의 준선은 직선 x=-p이다. 2 2
={;2%;+ }_;2!;_;2!;
점 P에서 직선 x=-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1이라 하면 '3 '3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1&2(;+3'3
PFÓ=PÕH1Ó=2'2
또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2라 하면 즉, M=;1&2(;+3'3
직선 PF의 기울기가 1이고, PFÓ=2'2이므로 따라서
PÕH2Ó=FÕH2Ó=2 27k1-12M=27_{3+
4
}-12_{;1&2(;+3'3}
2+2p=2'2에서 '3
=(81+36'3)-(79+36'3)=2 2
p='2-1
한편, 포물선 yÛ`=4px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y=x+p
이때 yÛ`=4px와 y=x+p에서
(x+p)Û`=4px, (x-p)Û`=0이므로
Q(p, 2p)
또 두 직선 y=2, y=x+p에서
x=2-p이므로
R(2-p, 2)
따라서 삼각형 RQF의 넓이는

;2!;_2p_{(2-p)-p}=p(2-2p)

=('2-1)(4-2'2)
=6'2-8
즉, m=-8, n=6이므로
mÛ`+nÛ`=(-8)Û`+6Û`=100  100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0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5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0 23. 4. 6. 오후 2:14


d
(x+1)f(x)= (3xÝ`+4xÜ`+6xÛ`+12x+C)
EBS FINAL 수학영역 dx
6 회
본문 87~104쪽
=12xÜ`+12xÛ`+12x+12
=12xÛ`(x+1)+12(x+1)
01 ③ 02 ④ 03 ① 04 ⑤ 05 ②
=12(x+1)(xÛ`+1)
06 ② 07 ① 08 ⑤ 09 ⑤ 10 ②
함수 f(x)는 다항함수이므로
11 ① 12 ④ 13 ① 14 ④ 15 ⑤
f(x)=12(xÛ`+1)
16 6 17 16 18 35 19 36 20 514 따라서 f(2)=12_5=60 ②
21 97 22 250
확률과 통계 23 ④ 24 ③ 25 ② 26 ②
27 ① 28 ③ 29 31 30 182
미적분 23 ④ 24 ② 25 ④ 26 ④ 06
27 ④ 28 ① 29 10 30 13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기하 23 ① 24 ④ 25 ① 26 ② a50-a46=4d
27 ⑤ 28 ② 29 36 30 59 4d=12에서 d=3
즉, 수열 {an}은 첫째항이 -10이고,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다.
따라서
a11=-10+(11-1)_3=20,
01 a20=-10+(20-1)_3=47
;6!;
Ü`'8Œ1_{;9!;} =(3Ý`) _(3 ) =3 _3;3!; -2 ;6!; ;3$; -;3!;
이므로

Á ak=
20 10_(20+47)
=3;3$;-;3!;=3Ú`=3 ③ k=11 2
=335 ②

02 07
f(x)=xÜ`-xÛ`+3x+4에서 (2x)Ü`-2_(2x)Û`-6_2x+4=0이므로

f '(x)=3xÛ`-2x+3 2x=t`(t>0)으로 놓으면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f '(1)이므로 tÜ`-2tÛ`-6t+4=0

f '(1)=3-2+3=4 ④ (t+2)(tÛ`-4t+2)=0
t>0이므로 tÛ`-4t+2=0
이때 t에 대한 이차방정식 tÛ`-4t+2=0이 양의 두 실근을 가지므로 두 실근은
각각 2a, 2b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3 2a_2b=2
p p 즉, 2a+b=2에서 a+b=1 ①
sin`{ +h}cos`(p-h)+cos`{ +h}`sin`(p-h)
2 2
=cos`h_(-cos`h)+(-sin`h)_sin`h
=-cosÛ``h-sinÛ``h
=-(cosÛ``h+sinÛ``h)
=-1 ①
08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CAÓ Û`=ABÓ Û`+BCÓ Û`-2_ABÓ_BCÓ_cos`B
49=25+36-2_5_6_cos`B에서

cos`B=;5!;
04
Á (ak-bk)Û`= Á (akÛ`+bkÛ`-2akbk)
한편, BQÓ=x로 놓으면 CQÓ=6-x이고,
10 10
선분 CP의 수직이등분선과 선분 BC가 만나는 점이 Q이므로

= Á (akÛ`+bkÛ`)- Á 2akbk
k=1 k=1
10 10 PQÓ=6-x
삼각형 PBQ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Á (akÛ`+bkÛ`)-2 Á akbk
k=1 k=1

PQÓ Û`=BPÓ Û`+BQÓ Û`-2_BPÓ_BQÓ_cos`B


10 10

이므로 15=45-2 Á akbk에서


k=1 k=1
10 (6-x)Û`=9+xÛ`-2_3_x_;5!;

2 Á akbk=30
k=1
10 ;;°5¢;;x=27에서 x=;2%;

따라서 Á akbk=15
따라서 BQÓ=;2%;
k=1
10
⑤
⑤
k=1

09
05 조건 (가)에서 x`Ú0일 때 (분모)`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0이어
부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야 한다.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1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1 23. 4. 6. 오후 2:14


즉, lim`f(x)=0에서 f(0)=0이므로 삼차함수 f(x)는 선분 PQ를 1`:`3으로 외분하는 점이 원점 O이므로
x`Ú0

f(x)=axÜ`+bxÛ`+cx`(a는 자연수, b, c는 상수) P(t, t), Q(3t, 3t)`(t>0)으로 놓을 수 있다.


y y=x
로 놓을 수 있다. y=aÅ
이때 조건 (가)에서 Q y=logŒ x
axÜ`+bxÛ`+cx
lim =lim(axÛ`+bx+c)
x`Ú0 x x`Ú0

=c=4 P
이므로
f(x)=axÜ`+bxÛ`+4x  t 3t x
O
=x(axÛ`+bx+4)
점 P가 곡선 y=loga`x 위의 점이므로
조건 (나)에서 이차방정식 axÛ`+bx+4=0은 두 자연수 a, b`(a<b)를 근으로
t=loga`t yy ㉠
갖는다.
점 Q가 곡선 y=loga`x 위의 점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t=loga`3t yy ㉡
a+b=-;aB;, ab=;a$; ㉠을 ㉡에 대입하면
ab가 자연수이므로 3`loga`t=loga`3t
a=1 또는 a=2 또는 a=4 loga`tÜ`=loga`3t에서
Ú a=1인 경우 tÜ`=3t
ab=4이므로 순서쌍 (a, b)는 (1, 4)뿐이고, t(t+'3 )(t-'3 )=0
t=0 또는 t=-'3 또는 t='3
1+4=-;1B; 에서 b=-5
t>0이므로 t='3
즉, f(x)=xÜ`-5xÛ`+4x이므로
따라서 P('3, '3 ), Q(3'3, 3'3 )이므로
f(5)=20
선분 PQ의 길이는
Û a=2인 경우
¿¹(2'3 )Û`+(2'3 )Û`=2'6 ①
ab=2이므로 순서쌍 (a,b)는 (1, 2)뿐이고,

1+2=-;2B; 에서 b=-6

즉, f(x)=2xÜ`-6xÛ`+4x이므로
f(5)=120
Ü a=4인 경우
12
ab=1이므로 순서쌍 (a,b)는 존재하지 않는다. f(x)=xÜ`-10xÛ`+29x이므로
Ú, Û, Ü에서 f(5)의 최댓값은 120이다. ⑤ f '(x)=3xÛ`-20x+29
f '(x)=0에서
10-'1Œ3 10+'1Œ3
x= 또는 x=
3 3
10-'1Œ3 10+'1Œ3
이므로 함수 f(x)는 x= 에서 극대, x= 에서 극소이다.
3 3
10
f(x)= :K/ {tÜ`-2tÛ`-18t+f(t)}dt
a<b<c라 하면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과 직선 y=m은 그림과 같다.
yy ㉠ y=f(x)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Ü`-2xÛ`-18x+f(x) yy ㉡ y=m
이때 함수 f(x)의 차수를 n`(n은 음이 아닌 정수)라 하면
nÉ2이거나 n¾4이면 ㉡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f(x)는 삼차함수이고, 최고차항의 계수는 -1이어야 한다.
a b c
즉, f(x)=-xÜ`+axÛ`+bx+c`(a, b, c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10-1413 10+1413
;;;;;;;;3;;;;;;;; ;;;;;;;;3;;;;;;;;
㉡에서
-3xÛ`+2ax+b=(a-2)xÛ`+(b-18)x+c
10-'1Œ3 10+'1Œ3
-3=a-2, 2a=b-18, b=c에서 2< <3, 4< <5이므로
3 3
a=-1, b=16, c=16이므로 b=3 또는 b=4
f(x)=-xÜ`-xÛ`+16x+16 Ú b=3인 경우
한편, ㉠의 양변에 x=k를 대입하면 f(3)=27-90+87=24이므로 방정식 xÜ`-10xÛ`+29x=24는
f(k)=0 서로 다른 세 실근 a, 3, c를 갖는다.
kÜ`+kÛ`-16k-16=0 xÜ`-10xÛ`+29x-24=(x-3)(xÛ`-7x+8)이므로
(k+1)(k+4)(k-4)=0 xÛ`-7x+8=0에서
k=-1 또는 k=-4 또는 k=4 7-'1Œ7 7+'1Œ7
x= 또는 x=
k>0이므로 k=4 2 2
즉, a와 c는 모두 정수가 아니다.
따라서 k+f(2)=4+36=40 ②
Û b=4인 경우
f(4)=64-160+116=20이므로 방정식 xÜ`-10xÛ`+29x=20은
서로 다른 세 실근 a, 4, c를 갖는다.
xÜ`-10xÛ`+29x-20=(x-4)(xÛ`-6x+5)이므로
11 xÛ`-6x+5=0에서
x x
함수 y=a 의 역함수가 y=loga`x이므로 두 곡선 y=a , y=loga`x가 만나는 x=1 또는 x=5
두 점 P, Q는 모두 직선 y=x 위의 점이다. Ú, Û에서 b=4인 경우 m, a, b, c가 모두 정수이고,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2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2 23. 4. 6. 오후 2:14


m=20, a=1, b=4, c=5이므로 a가 0<aÉ3인 자연수이므로
m+a+b+c=20+1+4+5=30 ④ a=3

Û 2<;3@;a, 즉 a>3인 경우

:)2 |v1(t)|dt=-:)2 v1(t)dt

13 =-[tÜ`-atÛ`]2)
원 C의 중심을 C, 원 C와 선분 OB가 만나는 점을 Q,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8+4a
r라 하자. -8+4a=4에서
A a=3
;2Ò;-h C a>3이므로 a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ㄱ. Ú, Û에서 a=3 (참)
P ㄴ. ㄱ에서
C
v1(t)=3tÛ`-6t=3t(t-2)
p-h
h v2(t)=3tÛ`-12t+9=3(t-1)(t-3)
O B
H Q 즉, 모든 t에 대하여 v1(t)=v2(t+1)이다. (거짓)
vª(t+1)-vª(t)
p ㄷ.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v2'(t2)인 t2가 열린구간 
∠OPC=∠OQC= 이므로 사각형 OQCP에서 (t+1)-t
2
∠PCQ=p-h (t, t+1)에 존재한다.
OPÓ=OQÓ=x라 하면 삼각형 POQ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ㄴ에서 v1(t)=v2(t+1)이므로
PQÓ Û`=OPÓ Û`+OQÓ Û`-2_OPÓ_OQÓ_cos`h vÁ(t)-vª(t)
=v2'(t2)
(t+1)-t
=xÛ`+xÛ`-2xÛ`_;5!;=;5*;xÛ` vÁ(t)-vª(t)
이때 v2'(t)=6t-12이므로 =6t2-12인 t2가 열린구간 
삼각형 CPQ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t+1)-t

PQÓ Û`=CPÓ Û`+CQÓ Û`-2_CPÓ_CQÓ_cos`(p-h) (t, t+1)에 존재한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rÛ`+rÛ`-2rÛ`_{-;5!;}=;;Á5ª;;rÛ`

;5*;xÛ`=;;Á5ª;;rÛ`에서 xÛ`=;2#;rÛ`이므로 직각삼각형 OCP에서

OCÓ Û`=OPÓ Û`+CPÓ Û`=xÛ`+rÛ`

=;2#;rÛ`+rÛ`=;2%;rÛ` 15
'1Œ0
조건 (가)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의 개수가 2이므로
이때 OCÓ= r이고, OCÓ=1-r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2
'1Œ0 '1Œ0-2 y=f(x) y=f(x)
r=1-r에서 r=
2 3
'6 '1Œ0-2 1
x= _
2 3 k x 또는
p
따라서 ∠OAH= -h이므로 삼각형 APH의 넓이는
2
p x
;2!;_APÓ_AHÓ_sin`{ -h} 1 k
2
=;2!;_(1-x)_sin`h_cos`h 또 g(x)=:)/ { f(t)_f '(t+a)}dt라 하면
'6 '1Œ0-2 2'6
=;2!;_{1- _ }_ _ ;5!; g'(x)=f(x)_f '(x+a)
2 3 5
Ú 함수 f(x)의 극댓값이 0인 경우
'6-'1Œ0+2
=  ① f(x)=(x-1)Û`(x-k)이므로
25
2k+1
f '(x)=3(x-1){x- }
3
두 함수 y=f(x), y=f '(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fÀ'(x)
14 x
2a
v1(t)=3tÛ`-2at=3t{t- }
3
2a y=f(x)
v1(t)=0에서 t=0 또는 t=
3
2a
Ú É2, 즉 0<aÉ3인 경우
3

:)2 |v1(t)|dt=-:
2a 2 2k+1
3
v1(t)dt+: 2a `v1(t)dt ① 1-a<1< -a이면
3

=-[tÜ`-atÛ`] +[tÜ`-atÛ`] 2a
0 3
2a
3
2 두 함수 y=f(x), y=f '(x+a)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0 3 y=fÀ'(x+a)
8aÜ`
= -4a+8
27 x
8aÜ`
-4a+8=4에서
27
y=f(x)
(a-3)(2aÛ`+6a-9)=0
-3+3'3 -3-3'3
a=3 또는 a= 또는 a=
2 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3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3 23. 4. 6. 오후 2:14


2k+1 y=fÀ'(x+a) y=f(x)
함수 g(x)는 x=1-a, x= -a, x=k에서 극값을 갖는다.
3
2k+1
② -a=1이면
3
두 함수 y=f(x), y=f '(x+a)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fÀ'(x+a) x

y=f(x) k+2
-a, x=1, x=k-a에서 극값을 갖는다.
함수 g(x)는 x=
3


①, ②, ③에서 ②의 경우만 조건 (나)를 만족시킨다.
k+2
함수 g(x)는 x=1-a, x=1, x=k에서 극값을 갖는다. 이상에서 함수 f(x)의 극솟값이 0이고, -a=1인 경우에 조건을 만족시
3

2k+1 킨다.
③ -a<1이면
3
k-a=5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k=7
두 함수 y=f(x), y=f '(x+a)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함수 f(x)=(x-1)(x-7)Û`이므로
y=fÀ'(x+a)
f(11)=10_16=160
x 따라서 k+a+f(11)=7+2+160=169 ⑤

y=f(x)

16
2k+1 x`Ú3일 때 (분모)`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0이어야 한다.
함수 g(x)는 x=1-a, x= -a, x=k에서 극값을 갖는다.
3 lim(xÛ`-ax)=0에서 a=3

x`Ú3
①, ②, ③에서 함수 f(x)의 극댓값이 0인 경우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때
Û 함수 f(x)의 극솟값이 0인 경우
xÛ`-3x x(x-3)
f(x)=(x-1)(x-k)Û`이므로 b=lim =lim
xÛ`-9
x`Ú3 x`Ú3 (x+3)(x-3)
k+2
f '(x)=3(x-k){x- } x 3
3 =lim = =;2!;
x`Ú3 x+3 3+3
두 함수 y=f(x), y=f '(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a 3
따라서 = =6 6
y=fÀ'(x) b ;2!;
y=f(x)

x
17
a1=15이므로 a2=sin`;;Á2°;;p=sin`;2#;p=-1
p p
k+2 a2=-1이므로 a3=sin`{- }=-sin` =-1
① 1< -a이면 2 2
3
즉, a1=15, a2=a3=a4=y=-1

따라서 Á ak=0이므로 구하는 m의 값은 16이다.


두 함수 y=f(x), y=f '(x+a)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6

y=fÀ'(x+a)
 16
y=f(x) k=1

x 18
p
x= , x=;2#;p가 주어진 방정식의 근이 아니므로
2
k+2 주어진 방정식의 양변을 cosÛ``x로 나누면
함수 g(x)는 x=1, x= -a, x=k-a에서 극값을 갖는다.
3

k+2 tanÛ``x+(1+'3 )`tan`x+'3=0, (tan`x+1)(tan`x+'3 )=0
② -a=1이면
3 tan`x=-1 또는 tan`x=-'3
두 함수 y=f(x), y=f '(x+a)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0Éx<2p에서 방정식 tan`x=-1의 실근은

x=;4#;p 또는 x=;4&;p
y=fÀ'(x+a) y=f(x)

0Éx<2p에서 방정식 tan`x=-'3의 실근은

x=;3@;p 또는 x=;3%;p

x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4#;p+;4&;p+;3@;p+;3%;p=;;ª6»;;p

즉, p=6, q=29이므로
함수 g(x)는 x=k-a에서만 극값을 갖는다. p+q=6+29=35  35

k+2 다른 풀이
③ -a<1이면
3
sinÛ``x+(1+'3 )sin`x`cos`x+'3`cosÛ``x=0에서
두 함수 y=f(x), y=f '(x+a)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sin`x+cos`x)(sin`x+'3`cos`x)=0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4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4 23. 4. 6. 오후 2:14


sin`x+cos`x=0 또는 sin`x+'3`cos`x=0 lim `f(x)= lim `f(x)= lim `(xÛ`+a)=a
x`Ú2n+ x`Ú0+ x`Ú0+
이때 cos`x+0이므로
이므로 2b-;2%;>a yy ㉡
tan`x=-1 또는 tan`x=-'3
0Éx<2p에서 방정식 tan`x=-1의 실근은 한편, 조건 (다)에서 함수 { f(x)}Û`이 x=2n`(n은 정수)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lim { f(x)}Û`= lim { f(x)}Û`={ f(2n)}Û`
x=;4#;p 또는 x=;4&;p x`Ú2n- x`Ú2n+

이 성립해야 한다.

즉, {2b-;2%;}2`=aÛ`
0Éx<2p에서 방정식 tan`x=-'3의 실근은

x=;3@;p 또는 x=;3%;p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에서 {2b-;2%;}2`={b-;2&;}2`

;4#;p+;4&;p+;3@;p+;3%;p=;;ª6»;;p bÛ`-b-2=0, (b+1)(b-2)=0


b=-1 또는 b=2
즉, p=6, q=29이므로 p+q=6+29=35
b=-1일 때 a=-;2(;이고,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b=2일 때 a=-;2#;이고, ㉡을 만족시킨다.

( xÛ`-;2#; (0Éx<1)
19 \
따라서 구간 [0, 2)에서 f(x)={ 이므로
\ 2x-;2%; (1Éx<2)
S1=:)1 | f(x)|dx=:)1 (x-xÜ`)dx 9

=[;2!;xÛ`-;4!;xÝ`]1)=;2!;-;4!;=;4!; f {;;ª8£;;}=f {;8&;}=-;6$4&;, f {;;£8Á;;}=f {;;Á8°;;}=;4%;

이때 4S1=S2에서 S2=1이므로 즉, f {;;ª8£;;}+f {;;£8Á;;}=-;6$4&;+;4%;=;6#4#;에서 p=64, q=33이므로

1=:!a | f(x)|dx=:!a (xÜ`-x)dx=[;4!;xÝ`-;2!;xÛ`]a! p+q=64+33=97  97

={;4!;aÝ`-;2!;aÛ`}-{;4!;-;2!;}=;4!;(aÛ`-1)Û`

따라서 (aÛ`-1)Û`=4에서 aÛ`=3이므로


12aÛ`=12_3=36  36 22
f '(x)가 이차함수이므로 다항함수 g(x)의 차수는 5이다.
조건 (가)에서 g(2)+0이므로 조건 (나)에서 g(1)=g(3)=0
즉, 삼차다항식 h1(x)에 대하여
g(x)=(x-1)(x-3)h1(x)로 놓을 수 있다. yy ㉠
20
g'(x)=(x-3)h1(x)+(x-1)h1(x)+(x-1)(x-3)h1'(x) yy ㉡
수열 {an}은 첫째항이 2, 공차가 5인 등차수열이므로
조건 (가)에서 x`Ú1일 때 (분모)`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0이어
an=5n-3
야 한다.
수열 {bn}은 첫째항이 1,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lim g'(x)=0에서 lim (x-3)h1(x)=0이므로 h1(1)=0
bn=4n-3 x`Ú1 x`Ú1

as=bt에서 5s=4t이므로 이차다항식 h2(x)에 대하여 h1(x)=(x-1)h2(x)로 놓으면


a4=b5=17, a8=b10=37, y g(x)=(x-1)Û`(x-3)h2(x)
즉, 수열 {cn}은 자연수 k에 대하여 g'(x)=2(x-1)(x-3)h2(x)+(x-1)Û`h2(x)+(x-1)Û`(x-3)h2'(x)
a4k-3, a4k-2, a4k-1, b5k-4, b5k-3, b5k-2, b5k-1 조건 (가)에서
을 작은 수부터 차례로 나열한 수열이다. g(2){2(x-3)h2(x)+(x-1)h2(x)+(x-1)(x-3)h2'(x)}
lim
x`Ú1 x-1
이때
의 값이 0이 아닌 상수이다.
a4k-3+a4k-2+a4k-1+b5k-4+b5k-3+b5k-2+b5k-1
x`Ú1일 때 (분모)`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0이어야 한다.
=(20k-18)+(20k-13)+(20k-8)+(20k-19)+(20k-15)
lim 2(x-3)h2(x)=0이므로 h2(1)=0
+(20k-11)+(20k-7) x`Ú1

=140k-91 일차다항식 h(x)에 대하여 h2(x)=(x-1)h(x)로 놓으면

따라서 g(x)=(x-1)Ü`(x-3)h(x)

Á cn= Á cn-c21= Á (140k-91)-b14


20 21 3 즉, 두 실수 a, b에 대하여 g(x)=(x-1)Ü`(x-3)(ax+b)로 놓을 수 있다.
n=1 n=1 k=1 이때 g(x)=f '(x)f(x)이므로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140_6-91_3-53=514  514 f(x)=(x-1)Q1(x)로 놓으면 f '(x)=Q1(x)+(x-1)Q1'(x)이므로
f '(1)=Q1(1)
그런데 g(x)=f '(x)(x-1)Q1(x)에서 f '(1)Q1(1)=0이므로
f '(1)=Q1(1)=0

21 Q1(x)가 x-1을 인수로 가지므로 f(x)는(x-1)Û`을 인수로 갖는다.


즉, f(x)=(x-1)Û`(x-3) 또는 f(x)=(x-1)Û`(ax+b)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Ú f(x)=(x-1)Û`(x-3)인 경우
lim `f(x)= lim `f(x)=f(1)
x`Ú1- x`Ú1+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a=b-;2%;에서 y
y=f(x)

a-b=-;2&; yy ㉠
1 3
조건 (가)와 조건 (나)에서 함수 f(x)는 x=2n`(n은 정수)에서 불연속이고, O x
lim `f(x)> lim `f(x)가 성립해야 한다.
x`Ú2n- x`Ú2n+

lim `f(x)= lim `f(x)= lim `{bx-;2%;}=2b-;2%;


x`Ú2n- x`Ú2- x`Ú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5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5 23. 4. 6. 오후 2:14


`f(x+2)-f(x)
이때 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
>0이므로 25
조건 (다)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모든 순서쌍 (a, b, c)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Û f(x)=(x-1)Û`(ax+b)인 경우 6_6_6=216
f '(x)=2(x-1)(ax+b)+a(x-1)Û`  a, b, c가 모두 서로 다른 값이므로 a>b>c라 하자.
=(x-1)(3ax+2b-a) a, b, c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되기 위한 순서쌍 (a, b, c)는
이므로 a=6일 때 순서쌍 (b, c)는
g(x)=f '(x)f(x)=(x-1)Ü`(ax+b)(3ax+2b-a) (5, 2), (5, 3), (5, 4), (4, 3)
그런데 g(x)=(x-1)Ü`(x-3)(ax+b)이므로 a=5일 때 순서쌍 (b, c)는
3ax+2b-a=x-3 (4, 2), (4, 3)
3a=1, 2b-a=-3에서 a=4일 때 순서쌍 (b, c)는
a=;3!;, b=-;3$; (3, 2)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즉, f(x)=;3!;(x-1)Û`(x-4) 7_3!=42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42
y
y=f(x) =;3¦6; ②
216

1 4
O x

26
`f(x+2)-f(x) 제품 A의 무게의 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의 신뢰구간은
이때 x>1인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0이므로
2 10 10
xÕ-1.96_ ÉmÉxÕ+1.96_
조건 (다)를 만족시킨다. '§n '§n
Ú, Û에서 g(x)=;3!;(x-1)Ü`(x-3)(x-4)이므로 즉, xÕ-1.96_
10
=78.6, xÕ+1.96_
10
=81.4
'§n '§n
g(6)=;3!;_125_3_2=250  250 두 식을 변끼리 더하면
2xÕ=160에서 xÕ=80
10
이때 1.96_ =1.4에서
'§n
'§n=14이므로 n=196
확률과 통계 따라서 xÕ+n=80+196=276 ②

23
두 사건 A, B가 서로 독립이므로
P(AC|B)=P(AC)=1-P(A)

1-P(A)=;4#;에서 P(A)=;4!;

따라서 P(A;B)=P(A)_P(B)이므로
27
모든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9@;=;4!;_P(B)에서 P4=3Ý`=81
3

P(B)=;9*; ④ 숫자 1이 포함되지 않은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숫자 2, 3 중에서 중복을 허락


하여 택한 4개의 수를 일렬로 나열하여 만든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이므로
2 P4=2Ý`=16
숫자 2가 포함되지 않은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같은 방법으로 2P4=2Ý`=16
24 숫자 1과 숫자 2가 모두 포함되지 않은 네 자리 자연수는
B 3333뿐이므로 그 개수는 1이다.
따라서 구하는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Q
81-(16+16-1)=50 ①
P C S
다른 풀이
R
조건을 만족시키는 네 자리 자연수에 포함된 숫자 1의 개수와 숫자 2의 개수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를 구하면 다음 표와 같다.
A
숫자 1의 개수 숫자 2의 개수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
Ú A`ÚP`ÚC`ÚQ`ÚB로 이동하는 경우
1 1 4 C1_3C1=12
A지점에서 B지점까지 이동하는 경우의 수는
1 2 4 C1_3C2=12
5! 4!
_1_1_ =10_1_1_6=60 1 3 C1_3C3=4
2!_3! 2!_2! 4

Û A`ÚR`ÚC`ÚS`ÚB로 이동하는 경우 2 1 4 C2_2C1=12


A지점에서 B지점까지 이동하는 경우의 수는 2 2 4 C2_2C2=6
5! 4!
_1_1_ =10_1_1_4=40 3 1 C3_1C1=4
3!_2! 3! 4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60+40=100 ③ 12+12+4+12+6+4=50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6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6 23. 4. 6. 오후 2:14


28 30
m<a<10이므로 두 곡선 y=f(x), y=g(x)는 그림과 같다. a3+b3+c3¾16인 사건을 E라 하고, a2=b2=c2인 사건을 F라 하면
y=f(x) 구하는 확률은
SÁ P(E;F)
P(F|E)=
P(E)

3번의 시행 후
한 학생이 받은 사탕의 개수가 6일 확률은

C3 {;3!;}3`=;2Á7;
y=g(x)

2m-a m a 10 x 3

한 학생이 받은 사탕의 개수가 5일 확률은

C2 {;3!;}2`{;3@;}=;9@;
X-m
확률변수 X가 정규분포 N(m, rÛ`)을 따르므로 Z= 으로 놓으면 확률
r
3
변수 Z는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한 학생이 받은 사탕의 개수가 4일 확률은

C1 {;3!;}{;3@;}2`=;9$;
m-10 10-m
P(2m-10ÉXÉ10)=P{ ÉZÉ }
r r
3
10-m 10-m
=P{- ÉZÉ } Ú a3+b3+c3=18인 사건을 E1이라 하면 E1은 3번의 시행 후 A, B, C가 받
r r
10-m
} 은 사탕의 개수가 모두 6인 사건이다.

P(E1)={;2Á7;}3`
=2P{0ÉZÉ
r
10-m
2P{0ÉZÉ }=2_0.4772에서
r
이때 a2=b2=c2이므로

F)={;2Á7;}3`
10-m
P{0ÉZÉ }=0.4772이므로
r P(E1
'
10-m
=2 Û a3+b3+c3=17인 사건을 E2라 하면 E2는 3번의 시행 후 받은 사탕의 개수
r
한편, 가 5인 학생이 1명 있는 사건이다.
S1=P(mÉXÉa)-P(mÉYÉa), 받은 사탕의 개수가 5인 학생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3C1이므로
S2=P(aÉYÉ10)-P(aÉXÉ10)이므로 P(E2)=3C1 {;2Á7;}2`{;9@;}=;3@;_{;2Á7;}2`
S1-S2=P(mÉXÉ10)-P(mÉYÉ10)
이때 받은 사탕의 개수가 5인 학생이 3번째 시행에서 사탕 1개를 받는 경우에
Y-m
이때 확률변수 Y가 정규분포 N(m, 4rÛ`)을 따르므로 Z1= 으로 놓으면 a2=b2=c2이므로

F)=3C1 {;2Á7;}2`_{;3!;_;3!;_;3@;}
2r
확률변수 Z1은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P(E2
'

=;9@;_{;2Á7;}2`
따라서
10-m 10-m
S1-S2=P{0ÉZÉ }-P{0ÉZ1É }
r 2r
Ü a3+b3+c3=16이고, 3번의 시행 후 받은 사탕의 개수가 5인 학생이 2명 있
=P(0ÉZÉ2)-P(0ÉZ1É1)
는 사건을 E3이라 하면 받은 사탕의 개수가 5인 학생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0.4772-0.3413
C2이므로

P(E3)=3C2 {;2Á7;}{;9@;}2`=4_{;2Á7;}2`
3
=0.1359 ③

이때 받은 사탕의 개수가 5인 학생이 모두 3번째 시행에서 사탕 1개를 받는


경우에 a2=b2=c2이므로

P(E3 F)=3C2 {;2Á7;}_{;3!;_;3!;_;3@;}2`


'

=;9$;_{;2Á7;}2`
29
4개의 상자 A, B, C, D에 들어 있는 공의 개수를 각각 a, b, c, d라 하면
a+b+c+d=10 Ý a3+b3+c3=16이고, 3번의 시행 후 받은 사탕의 개수가 4인 학생이 1명 있
상자 B에 3개 이상의 공을 넣고, 빈 상자가 없어야 하므로 는 사건을 E4라 하면 받은 사탕의 개수가 4인 학생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3C1
이므로

P(E4)=3C1 {;2Á7;}2`{;9$;}=;3$;_{;2Á7;}2`
음이 아닌 세 정수 b', c', d'에 대하여
b=b'+3, c=c'+1, d=d'+1로 놓으면
a+(b'+3)+(c'+1)+(d'+1)=10에서
이때 a2=b2=c2인 경우는 없으므로
a+b'+c'+d'=5
P(E4;F)=0
이때 상자 A에 3개 이하의 공을 넣어야 하므로
Ú∼Ý에서
a=1 또는 a=2 또는 a=3
P(E)=P(E1)+P(E2)+P(E3)+P(E4)

={;2Á7;}3`+;3@;_{;2Á7;}2`+4_{;2Á7;}2`+;3$;_{;2Á7;}2`
Ú a=1일 때
b'+c'+d'=4이고, 방정식 b'+c'+d'=4를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b',
c', d'의 순서쌍 (b', c', d')의 개수는 =163_{;2Á7;}3`
3 H4=6C4=6C2=15
P(E;F)=P(E1 F)+P(E2 F)+P(E3 F)+P(E4 F)
' ' ' '

={;2Á7;}3`+;9@;_{;2Á7;}2`+;9$;_{;2Á7;}2`+0
Û a=2일 때
b'+c'+d'=3이고, 방정식 b'+c'+d'=3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b',

=19_{;2Á7;}3`
c', d'의 순서쌍 (b', c', d')의 개수는
3 H3=5C3=5C2=10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19_{;2Á7;}3`
Ü a=3일 때
b'+c'+d'=2이고, 방정식 b'+c'+d'=2를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b', P(E;F)
163_{;2Á7;}3`
c', d'의 순서쌍 (b', c', d')의 개수는 P(F|E)= = =;1Á6»3;
P(E)
3 H2=4C2=6
Ú, Û,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이므로 p+q=163+19=182  182
15+10+6=31  3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7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7 23. 4. 6. 오후 2:14


㉠에서 Sn=n+1

따라서 Á Sn= Á (n+1)=


미적분
10 10 10_11
+10=65 ④
23 n=1 n=1 2

lim ("Ã9nÛ`+an-bn)의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b=3이어야 한다.


n`Ú¦

("Ã9nÛ`+an-3n)("Ã9nÛ`+an+3n)
lim ("Ã9nÛ`+an-3n)=lim
"Ã9nÛ`+an+3n
n`Ú¦ n`Ú¦

an a
27
=lim =lim
n`Ú¦ "Ã9nÛ`+an+3n B(0,-1)이라 하고,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É9+;nA;+3
n`Ú¦

y y=eÅ
a Q 1
= =;6A; R y=;;;;;;;;;;;;x-1
tan h
3+3
이므로 ;6A;=4에서 a=24 A

따라서 a-b=24-3=21 ④ P
h h
O x
h
H
B

1 1 1
직선 y= x-1의 기울기가 이므로 직선 y= x-1이 x축의
24 tan`h
p
tan`h tan`h

xy+ex+y+ln`x=0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는 -h이고, ∠BPH=h이다.


2
dy dy
y+x +ex+y {1+ }+;[!;=0 이때 원점 O에 대하여 ∠OBP=h이고,
dx dx
이등변삼각형 OBP에서 ∠OPB=h이므로
dy
(x+ex+y) =-{y+ex+y+;[!;} ∠OPH=2h
dx
y+ex+y+;[!; 삼각형 OHP에서 OHÓ=OPÓ_sin`2h=sin`2h
dy
=-    yy ㉠ 점 P의 x좌표가 sin`2h이므로
dx x+ex+y
QHÓ=esin`2h
따라서 구하는 기울기는 ㉠에 x=1, y=-1을 대입한 값과 같으므로
-1+e0+1 따라서
- =-;2!; ②
1+e0 S(h)=;2!;_QRÓ_ARÓ=;2!;_sin`2h_(e sin`2h-1)

즉,
S(h) sin`2h_(esin`2h-1)
lim = lim
h`Ú0+ hÛ` h`Ú0+ 2hÛ`
sin`2h esin`2h-1 sin`2h
25 = lim _ lim _ lim
h`Ú0+ 2h h`Ú0+ sin`2h h`Ú0+ h

lim Sn=5이므로 Á an=5


¦ =1_1_2=2 ④

급수 Á an이 수렴하므로 lim an=0


n`Ú¦ n=1
¦

n=1 n`Ú¦

한편,

Tn= Á (ak+1-ak)=(a2-a1)+(a3-a2)+(a4-a3)+y+(an+1-an)
n 28
k=1 AÕ1B1Ó=9a로 놓으면 A1M
Ó 1Ó=6a, B1ÓM1Ó=3a이므로
=an+1-a1 삼각형 A2P1M1의 넓이는
따라서 lim an+1=0이므로
n`Ú¦
;2!;_4a_3a=6aÛ`
lim Tn=lim (an+1-a1)=lim an+1-a1
n`Ú¦ n`Ú¦ n`Ú¦ 삼각형 B2Q1M1의 넓이는
=0-(-3)=3 ④ 3a 3aÛ`
;2!;_2a_ =
2 2
3aÛ` 15aÛ`
즉, S1=6aÛ`+ =
2 2
한편, 점 B2에서 선분 A2P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26 AÕ2HÓ=3a-
3a 3a
2
=
2
, BÕ2HÓ=4a+2a=6a
y=ln`x에서 y'=;[!;이므로 곡선 y=ln`x 위의 점 (t, ln`t)에서의 접선의 방정 이므로 직각삼각형 A2HB2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2`+(6a)Û`=
3a 153aÛ`
식은 AÕ2B2Ó Û`={ 이므로
2 4
y-ln`t=;t!;(x-t) AÕ2B2Ó=
3'1Œ7a
2
이 직선이 점 (-n, 0)을 지나므로 0-ln`t=;t!;`(-n-t)에서 3'1Œ7a '1Œ7
즉, AÕ1B1Ó`:`AÕ2B2Ó=9a`:` =1`:`
2 6

}2`=;3!6&;인 등비급수의 합이
t(ln`t-1)=n
15aÛ` '1Œ7
즉, an(ln`an-1)=n   yy ㉠ 따라서 lim Sn은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
n`Ú¦ 2 6
한편, 곡선 y=ln`x와 x축 및 직선 x=an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므로

Sn=:! `ln`x`dx
aÇ 15aÛ`
2 15_18
lim Sn= = aÛ`
n`Ú¦ 17 19
이때 u(x)=ln`x, v'(x)=1로 놓으면 u'(x)=;[!;, v(x)=x이므로 1-
36

Sn=[x`ln`x]! -:! `dx=[x`ln`x-x]!


15_18
aÇ aÇ aÇ
aÛ`=;3!8%;에서 aÛ`=;3Á6;이므로 a=;6!;
19
=an`ln`an-an+1 AÕ1B1Ó=9a=9_;6!;=;2#; ①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8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8 23. 4. 6. 오후 2:14


즉, {1, 1, ;2!;}
29
조건 (가)에서 따라서 a+b+c=1+1+;2!;=;2%; ①
2f '(x)f "(x)=54e6x+12ex-16e-4x
d
{ f '(x)}Û`=54e6x+12ex-16e-4x
dx

{ f '(x)}Û`=: (54e6x+12ex-16e-4x)dx 24
직선 AO가 삼각형 ABC의 외접원과 만나는 점 중 A A
=9e6x+12ex+4e-4x+C1`(단, C1은 적분상수)
조건 (나)에서 f '(0)=5이므로 가 아닌 점을 D라 하자.
5Û`=9+12+4+C1에서 C1=0 선분 AD는 원의 지름이므로 삼각형 ABD는 
6x x -4x 3x -2x ∠ABD=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O
{ f '(x)}Û`=
 9e +12e +4e =(3e +2e )Û`
이때 f '(0)=5이므로 AB³ º AO³=18이므로 B C

f '(x)=3e +2e 3x -2x 36=AB³ º (2AO³)=AB³ º AD³ 


=|AB³||AD³|cos`(∠DAB)  D
f(x)=: f '(x)dx=: (3e3x+2e-2x)dx
=|AB³||AB³|=|AB³|Û`
3x -2x
=e -e +C2`(단, C2는 적분상수) 따라서 |AB³|Û`=36에서 |AB³|=ABÓ=6이므로
조건 (나)에서 f(0)=;4(;이므로 선분 AB의 길이는 6이다. ④

;4(;=1-1+C2에서 C2=;4(;

따라서 f(x)=e3x-e-2x+;4(;이므로 25
f(ln`2)=e3`ln`2-e-2`ln`2+;4(;=8-;4!;+;4(;=10  10 yÛ`=4_2_x에서 F(2, 0)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H(t, 0)`(t>2)로 놓으면
HFÓ=t-2, PHÓ=2'2't
또 점 P와 포물선 yÛ`=8x의 준선 사이의 거리가 t+2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30 PFÓ=t+2
f(-x)=-f(x)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삼각형 PFQ의 넓이는

f '(x)=
8p_(xÛ`+1)-8px_2x 8p(1-xÛ`)
= ;2!;_PQÓ_HFÓ=;2!;_4'2't_(t-2)=2'2't_(t-2)
(xÛ`+1)Û` (xÛ`+1)Û`
f '(x)=0에서 x=-1 또는 x=1 2'2't_(t-2)=16'3에서

또 lim `f(x)=0, lim `f(x)=0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t_(t-2)=4'6


x`Ú-¦ x`Ú¦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y
tÜ`-4tÛ`+4t-96=0
4p
(t-6)(tÛ`+2t+16)=0에서 t=6
y=f(x)
따라서 PFÓ=QFÓ=8, PQÓ=8'3이므로 삼각형 PFQ의 둘레의 길이는
O
-1 1 x 8+8+8'3=8(2+'3 ) ①

-4p

조건 (가)에서 함수 g(x)는 x=k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26
lim g(x)= lim g(x)=g(k)가 성립해야 한다. 구 S1은 중심이 점 (0, 0, 0), 반지름의 길이가 2'2인 구이고,
x`Úk- x`Úk+
구 S2는 중심이 점 (3, 4, 5), 반지름의 길이가 3'2인 구이다.
f(k)=f(k)+sin`f(k)에서 sin`f(k)=0
그런데 두 점 (0, 0, 0), (3, 4, 5) 사이의 거리가 5'2이므로 점 P는 두 점 
sin`f(k)=0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0, 0, 0), (3, 4, 5)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직선 y=-4p, y=-3p, y, y=3p, y=4p가 만나는 점의 x좌표이므로
구 S1, S2의 중심을 각각 A, B라 하고, 두 점 A, B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실수 k의 개수는 15이다.
발을 각각 A', B'라 하자.
그런데 조건 (나)에서 함수 g(x)가 x=k에서 미분가능하려면
직선 AB와 평면 a가 만나는 점을 Q라 하면 평면 ABB'A'으로 자른 단면은 그
f '(k)=f '(k)+cos`f(k)_f '(k)에서
림과 같다.
cos`f(k)_f '(k)=0
B' a
이때 함수 g(x)가 x=k에서 연속인 k에 대하여 cos`f(k)+0이므로 A' H
f '(k)=0이면 함수 g(x)가 x=k에서 미분가능이고,
Q
f '(k)=0인 k의 값은 k=-1, k=1뿐이다. A P B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개수는 SÁ

15-2=13  13
AQÓ PQÓ BQÓ
AQÓ=a, PHÓ=x라 하면 = = 이므로
AÕA'Ó PHÓ BÕB'Ó
a a+2'2 a+5'2
= =
2'2 x 3'2
기하
a a+5'2
이때 = 에서 a=10'2
2'2 3'2
23 10'2 10'2+2'2 12'2
따라서 = 이므로 x=
C(3,-2,-1)이므로 선분 BC의 중점의 좌표는 2'2 x 5
(-1)+3 4+(-2) 2+(-1) 12'2
{ , , } 즉, PHÓ=  ②
2 2 2 5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69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69 23. 4. 6. 오후 2:14


yÛ`
27 쌍곡선 (x-1)Û`-
a
=1의 두 초점이 F1, F2이므로
xÛ` F1(c+1, 0), F2(-c+1, 0)
기울기가 m이고 타원 +yÛ`=1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3
또 포물선 yÛ`=4px의 초점이 F1이므로 p=c+1이고,
y=mxÑ"Ã3mÛ`+1
포물선 yÛ`=4px의 준선은 직선 x=-c-1이다.
이 직선이 점 P(0, n)을 지나므로 n=Ñ"Ã3mÛ`+1에서
이때 두 점 Q, R의 x좌표가 각각 -c-1, -c+1이므로
"ÃnÛ`-1 "ÃnÛ`-1
m=- 또는 m= QRÓ=(-c+1)-(-c-1)=2이고,
'3 '3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1Ó=PQÓ이므로
"ÃnÛ`-1
직선 PR의 방정식이 y=- x+n이므로 점 R의 x좌표는
'3 PÕF1Ó-2=PQÓ-QRÓ=PRÓ
"ÃnÛ`-1 즉, 직각삼각형 PRF2에서 PÕF2Ó Û`=PRÓ Û`+RÕF2Ó Û`이고,
-1=- x+n에서
'3 주어진 조건에서 PÕF2Ó Û`=PRÓ Û`+72이므로
'3(n+1) '3'Än+1
x= = RÕF2Ó Û`=72, RÕF2Ó=6'2
"Ã(n+1)(n-1) 'Än-1
점 P의 y좌표는 6'2이다.
2'3'Än+1 12(n+1)
즉, QRÓ= 이므로 QRÓ Û`= 점 P의 x좌표를 k라 하면
'Än-1 n-1
72
12(n+1) 72=4(c+1)k, (k-1)Û`- =1에서

-1}2`=
16É 에서 nÉ7 cÛ`-1
n-1
18 72
12(n+1) { +1
É24에서 n¾3 c+1 cÛ`-1
n-1
18Û` 36 72
따라서 3ÉnÉ7이므로 자연수 n의 값은 3, 4, 5, 6, 7이고, 그 합은 - +1= +1
(c+1)Û` c+1 cÛ`-1
3+4+5+6+7=25 ⑤ 9 1 2
- =
(c+1)Û` c+1 cÛ`-1
9 2
c+1>0이므로 -1=
c+1 c-1
cÛ`-7c+10=0, (c-2)(c-5)=0
c=2 또는 c=5
28
따라서 a+p=(cÛ`-1)+(c+1)=cÛ`+c이므로
그림과 같이 AD³=CE³인 점 E를 정하고, 점 E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
a+p의 값은 6 또는 30
가 1인 원 위의 점 Q를 AP³=DQ³가 성립하도록 정한다.
즉, 구하는 모든 a+p의 값의 합은
C 6+30=36  36
P E
Q

A D
B
30
AD³+AP³=
 AD³+DQ³=AQ³
점 O에서 평면 A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O
이므로 |AD³+AP³|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각 AEÓ+1, AEÓ-1이다.
O1이라 하면 OAÓ=10, OÕ1AÓ=6이므로 Q
한편,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를 a라 하면
OÕO1Ó=8 P
삼각형 AE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삼각형 P1Q1Q의 넓이가 최대이려면 점 P의
2p
AEÓ Û`=CAÓ Û`+CEÓ Û`-2_CAÓ_CEÓ_cos` 위치는 선분 OC의 중점 G이어야 한다.
3
C A
이때 AÕQ1Ó=x로 놓으면 PÁ OÁ QÁ
=aÛ`+4aÛ`-2_a_2a_{-;2!;}=7aÛ`
4x
QÕQ1Ó=x_tan`(∠OAO1)= 이므로
따라서 3
MÛ`+mÛ`=
 (AEÓ+1)Û`+(AEÓ-1)Û`  삼각형 P1Q1Q의 넓이는
=(AEÓ Û`+2AEÓ+1)+(AEÓ Û`-2AEÓ+1)  ;2!;_PÕ1Q1Ó_QÕQ1Ó=;2!;_(9-x)_
4x
=;3@;x(9-x)
3
=2AEÓ Û`+2=2_7aÛ`+2=14aÛ`+2
이므로 14aÛ`+2=142에서 aÛ`=10 이므로 삼각형 P1Q1Q의 넓이는 AÕQ1Ó=;2(;일 때 최대이다.
즉, a='1Œ0 ② 즉, 점 Q는 선분 OA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이때 QÕQ1Ó=6, PÕ1Q1Ó=;2(;이므로 삼각형 PQQ1의 넓이는

;2!;_6_;2(;=;;ª2¦;;

한편, 삼각형 PQQ1은 평면 OAC 위에 있으므로 O


29 두 평면 PQQ1, ACH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점 P에서 포물선 yÛ`=4px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하고, h=∠OO1H H Oª
점 F2를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이 선분 PQ와 만나는 점을 R라 하자. 선분 OO1의 중점을 O2라 하면
yÛ y h
OÕªHÓ
(x-1)Û -;;a;;=1
yÛ =4px tan`h= =;4#; D OÁ
Q R P OÕÁOªÓ
따라서 cos`h=;5$;이므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ª2¦;;_;5$;=;;°5¢;;

Fª O FÁ x 즉 p=5, q=54이므로
p+q=5+54=59  59

yÛ`
쌍곡선 (x-1)Û`- =1에서 cÛ`=a+1`(c>0)으로 놓으면
a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0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6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0 23. 4. 6. 오후 2:14


㉠을 ㉡에 대입하면
7 회
EBS FINAL 수학영역 본문 105~120쪽
a+4
aÛ`=4_ , aÛ`-2a-8=0
2
(a-4)(a+2)=0
01 ④ 02 ⑤ 03 ⑤ 04 ① 05 ②
따라서 a=-2 또는 a=4
06 ③ 07 ③ 08 ② 09 ③ 10 ③
그런데 a=4이면 서로 다른 세 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11 ④ 12 ③ 13 ⑤ 14 ⑤ 15 ⑤
a=-2
16 48 17 7 18 24 19 20 20 2 ㉠에 대입하면 b=1이므로
21 452 22 9 a+b=-2+1=-1 ②
확률과 통계 23 ① 24 ⑤ 25 ④ 26 ①
27 ② 28 ③ 29 936 30 785
미적분 23 ⑤ 24 ③ 25 ① 26 ②
27 ③ 28 ③ 29 2 30 20 06
기하 23 ④ 24 ② 25 ② 26 ④ y=12xÜ`-24xÛ`-12x+24=12xÛ`(x-2)-12(x-2) 
27 ⑤ 28 ④ 29 10 30 25 =12(x+1)(x-1)(x-2)
y=12xÜ -24xÛ -12x+24

01
-1 1 2 x
Ü`'8Œ1_9-;6!;=Ü`"Å3Ý`_(3Û`)-;6!;=3;3$;_3-;3!;
=3;3$;+{-;3!;}=3Ú`=3 ④
따라서 곡선 y=12xÜ`-24xÛ`-12x+24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_1!`(12xÜ`-24xÛ`-12x+24)dx+:!2 (-12xÜ`+24xÛ`+12x-24)dx

=2:)1 (-24xÛ`+24)dx+:!2 (-12xÜ`+24xÛ`+12x-24)dx

02 =2[-8xÜ`+24x]1)+[-3xÝ`+8xÜ`+6xÛ`-24x]2!
x-1 (x-1)('§x+1)
lim =lim =2(-8+24)+{(-48+64+24-48)-(-3+8+6-24)}
x`Ú1 '§x-1 x`Ú1 ('§x-1)('§x+1)

(x-1)('§x+1) =2_16+(-8+13)
=lim =32+5=37 ③
x`Ú1 x-1
=lim ('§x+1)=2 ⑤
x`Ú1

07
log2`x=t로 놓으면 1ÉxÉ16이므로
03
:_@ (3xÛ`+x+1)dx+: 2 (3xÛ`+x+1)dx
0ÉtÉ4
'2
또한 주어진 방정식은
'2

=:_2@`(3xÛ`+x+1)dx=2:)2 (3xÛ`+1)dx
tÜ`-12t+6-k=0, 즉 tÜ`-12t+6=k
이므로 f(t)=tÜ`-12t+6으로 놓고, 0ÉtÉ4일 때 함수 y=f(t)의 그래프와

=2[xÜ`+x]2)=2_(2Ü`+2)=20
직선 y=k의 교점이 생기는 경우를 살펴보면
⑤
f '(t)=3tÛ`-12=3(t-2)(t+2)
에서 함수 f(t)는 t=2에서 극소이면서 최솟값을 갖고,
f(0)=6, f(2)=-10, f(4)=22
y
y=f(t)
22
04
y=k
p
sin`{ +h}=cos`h=;4!;이고, ;2#;p<h<2p이므로 6
2

sin`h=-"Ã1-cosÛ``h=-¾¨1-{;4!;}2`=-
2
'1Œ5 O 4 t
4 -10
'1Œ5
-
sin`h 4 따라서 함수 y=f(t)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교점이 생기려면
따라서 tan`h= = =-'1Œ5 ①
cos`h 1
4 -10ÉkÉ22
이므로 모든 정수 k의 개수는
22-(-10)+1=33 ③

05
서로 다른 세 수 a, b, 4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a+4
08
b= yy ㉠ 점 B의 좌표를 (k, (2a)-k)으로 놓으면 정사각형 OABC의 한 변의 길이는
2
또한 세 수 4, a,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k
aÛ`=4b yy ㉡ 또한 점 E의 좌표는 (k, ak)이므로 점 D의 x좌표는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1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1 23. 4. 6. 오후 2:14


(2a)-x=ak에서 -x=log2a`ak 즉, b=;4!;`(0<b<1)
x=-k`log2a`a p
또한 y=a`sin`{ x+bp}에 x=0을 대입하면
정사각형 DEFG의 한 변의 길이는 2
k-(-k`log2a`a)=k(1+log2a`a) p '2
y=a`sin`bp=a`sin` = a이고,
4 2
두 정사각형 OABC, DEFG의 닮음비는
'2
k`:`k(1+log2a`a)=1`:`(1+log2a`a) a=2-2_;4!;=;2#;이므로
2
이므로 넓이의 비는 1`:`(1+log2a`a)Û`이다. 3 3'2
a= =
이때 정사각형 DEFG의 넓이가 정사각형 OABC의 넓이의 ;4(;배이므로 '2 2
3'2 3'2
따라서 ab= _;4!;=  ③
1`:`(1+log2a`a)Û`=1`:`;4(; 2 8

(1+log2a`a)Û`=;4(;

1+log2a`a>0이므로

1+log2a`a=;2#;, log2a`a=;2!;
11
y
(2a);2!;=a, 2a=aÛ`
Cª y=tx
따라서 a=2 ②
D
b
CÁ C
a E
O x
h
09
직선 y=tx와 x축의 양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f(0)=0이므로

f(0)=:)1 (at+b)dt=[;2A;tÛ`+bt]1)=;2A;+b=0   yy ㉠
t=tan`h
또한 두 원 C1, C2의 중심을 각각 C, D라 하고, 점 C에서 점 D를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 하면
또한 f(x)=:?1 (at+b)dt=-:!/ (at+b)dt이므로
CDÓ=a+b, DEÓ=b-a, ∠DCE=h
f '(x)=-(ax+b)=-ax-b 이므로
f '(0)=-b=1이므로 b=-1 b-a
sin`h=    yy ㉠
㉠에 대입하면 a=2이므로 a+b

f(x)=-:!/ (2t-1)dt=-[tÛ`-t]/!
t
이때 t=tan`h에서 sin`h= 이므로 ㉠에 대입하면
"ÃtÛ`+1
t b-a
=-(xÛ`-x)=-xÛ`+x = , b"ÃtÛ`+1-a"ÃtÛ`+1=at+bt
"ÃtÛ`+1 a+b
따라서

:_2! f(x)dx=:_2!`(-xÛ`+x)dx=[-;3!;xÜ`+;2!;xÛ`]2_!
b("ÃtÛ`+1-t)=a("ÃtÛ`+1+t)
"ÃtÛ`+1+t
;aB;= =("ÃtÛ`+1+t)Û`
"ÃtÛ`+1-t
={-;3*;+2}-{;3!;+;2!;}
=2tÛ`+1+2t"ÃtÛ`+1
=-;3@;-;6%;=-;2#; ③ 따라서
b 2tÛ`+1+2t"ÃtÛ`+1 1 1
lim =lim =lim{2+ +2®É1+ `}
t`Ú¦ a_tÛ` t`Ú¦ tÛ` t`Ú¦ tÛ` tÛ`
=2+0+2=4 ④

10
p p
y=a`sin`{ x+bp}=a`sin[ (x+2b)]
2 2
p p
12
이므로 곡선 y=a`sin`{ x+bp}는 곡선 y=a`sin` x를 x축의 방향으로
2 2 h(x)=f '(t)`(x-t)라 하면 함수 y=h(x)는 점 (t, 0)을 지나고 기울기가
-2b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f '(t)인 직선이다.
p 따라서 함수 g(x)=| f(x)-f '(t)(x-t)|가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경
또한 함수 y=a`sin`{ x+bp}의 주기는
2
우는
2p
=4 f(a)=f '(t)(a-t)이고, f '(a)+f '(t)
;2Ò;
이때 조건 (가)를 만족시키고 f(0)=f(1)=0이기 위해서는 그림과 같아야 한다.
p
이므로 곡선 y=a`sin`{ x+bp}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Ú y=fÀ'(t)(x-t) y=f(x) Û y=f(x)
2
y y=fÀ'(t)(x-t)

k k
Q x
x 1
y=a sin {;2Ò;x+bp}
1
O O
2 6 y=fÀ'(t)(x-t)
O P 4 8 x
y=fÀ'(t)(x-t)

Ü y=fÀ'(t)(x-t)
y=fÀ'(t)(x-t)
Ý y=fÀ'(t)(x-t) y=f(x)

점 P의 좌표는 (2-2b, 0)이고, 삼각형 OPQ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y=f(x) y=fÀ'(t)(x-t)


k
;2!;(2-2b)_(2-2b)=;8(;, (1-b)Û`=;1»6; 1 x
O x
;3!;
1
1-b=;4#; 또는 1-b=-;4#; O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2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2 23. 4. 6. 오후 2:15


그런데 Ú의 경우, f '(k)=0일 때는 k>;3!;이지만 lim N(t)=3이므로 조건 또한 두 직선 A'B', CD 사이의 거리는 12이므로 사각형 A'CDB'의 넓이는
t`Úa+

(나)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Û와 Ü의 경우 1보다 작지만 1에 가까운 k에 대하여 ;2!;_(1+9)_12=60


lim N(t)=3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두 원 C1, C2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1, r2라 하면 r1+r2=13이고,
t`Úa+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Ý이므로 ∠B'O2D=180ù-h이므로 삼각형 B'O2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f(x)=x(x-1)Û` (4'1Œ0)Û`=r1Û`+r2Û`-2r1r2_cos`(180ù-h)
따라서 f(3)=3_2Û`=12 ③ =r1Û`+r2Û`+2r1r2_cos`h

=r1Û`+r2Û`+2r1r2_;1°3;

=(r1+r2)Û`-;1!3^;r1r2

160=169-;1!3^;r1r2에서 r1r2= ;;Á1Á6¦;;


13
ㄱ. v(t)=(t-1)(tÛ`+t-2)=(t-1)Û`(t+2) 따라서 삼각형 B'O2D의 넓이는
이므로 t¾0에서 v(t)¾0 ;2!;_r1r2_sin`h=;2!;_;;Á1Á6¦;;_;1!3@;= ;;ª8¦;;
따라서 점 P는 출발 후 운동 방향을 바꾸지 않는다. (참)

ㄴ. :)1 (t-1)(tÛ`-at+2a)dt
이므로 구하는 육각형 ABO1CDO2의 넓이는
267
60+2_;;ª8¦;;=
4
=:)1 {tÜ`-(a+1)tÛ`+3at-2a}dt 이상에서 a=13, b=;1°3;, c=;;Á1Á6¦;;, d=;;ª8¦;;이므로

tÜ`+ tÛ`-2at]1) ;1°3;_;;Á1Á6¦;; 5_;2!;


a+1 3a
=[;4!;tÝ`-
3 2 bc
= = =;7°8; ⑤
13_;;ª8¦;;
a+1 3a ad 13_3
=;4!;- + -2a
3 2
=-;1Á2;-;6%;a=0

따라서 a=-;1Á0; (참)

ㄷ. t에 대한 이차방정식 tÛ`-at+2a=0이 t=1을 근으로 가지려면


15
1-a+2a=a+1=0
a1=1¾0이므로
a=-1
k 1
즉, a=-1일 때만 t=1의 근을 갖고, ㄱ에 의하여 점 P는 출발 후 운동 방 a2=1- = >0
k+1 k+1
향을 바꾸지 않는다. k 1 k 1-k
a3=a2- = - =
따라서 이차방정식 tÛ`-at+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k+1 k+1 k+1 k+1
Ú k=1일 때
D=(-a)Û`-4_1_2a 
a3=0
=aÛ`-8a=a(a-8)
D=0일 때 a=0 또는 a=8이고, v(t)는 t=1의 좌우에서 부호가 바뀌므로 a4=a3-;2!;=-;2!;<0
점 P는 출발 후 운동 방향을 1번만 바꾼다.
a5=a4+2=-;2!;+2=;2#;>0
D<0일 때, 즉 0<a<8일 때 방정식 (t-1)(tÛ`-at+2a)=0은 t=1의
실근만을 갖고 v(t)는 t=1의 좌우에서 부호가 바뀌므로 점 P는 운동 방향을 a6=a5-;2!;=;2#;-;2!;=1>0
1번만 바꾼다.
a7=;2!;, a8=0, a9=-;2!;, y
D>0일 때, 즉 a<0 또는 a>8일 때 t에 대한 방정식 
(t-1)(tÛ`-at+2a)=0은 t>0에서 적어도 두 개의 실근을 가지므로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a=-1일 때를 제외하고 점 P는 운동 방향을 적어도 2번 바꾼다. Û k=2 또는 k=3일 때
따라서 점 P가 출발 후 운동 방향을 1번만 바꾸도록 하는 모든 정수 a의 값의 1-k
a3= <0이므로
k+1
합은
1-k k+1 3k+1
0+1+2+3+4+5+6+7+8=36 (참) a4= + = >0
k+1 k k(k+1)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3k+1 k -kÛ`+3k+1
a5= - = >0
k(k+1) k+1 k(k+1)
k -kÛ`+3k+1 k -2kÛ`+3k+1
a6=a5- = - = <0
k+1 k(k+1) k+1 k(k+1)
k+1 -2kÛ`+3k+1 k+1 -kÛ`+5k+2
a7=a6+ = + = >0
k k(k+1) k k(k+1)
14 k -kÛ`+5k+2 k -2kÛ`+5k+2
a8=a7- = - =
선분 O1O2의 수직이등분선에 대하여 두 점 A, B를 대칭이동한 점을 각각 A', k+1 k(k+1) k+1 k(k+1)
B'이라 하면 사각형 ABO1O2와 사각형 B'A'O1O2는 서로 합동이므로 육각형 에서 k=2이면 a8>0, k=3이면 a8<0이므로
ABO1CDO2의 넓이와 육각형 B'A'O1CDO2의 넓이는 서로 같다. ① k=2일 때
또한 AÕ'O1Ó=DÕO2이
Ó 므로 AÕ'DÓ=OÕ1O2Ó= 13 이고,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면 k -2kÛ`+5k+2 k -3kÛ`+5k+2
a9=a8- = - = =0
k+1 k(k+1) k+1 k(k+1)
BÕ'CÓ=OÕ1O2Ó= 13 이다.
② k=3일 때
따라서 점 A'에서 선분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DHÓ=4+1=5이므로
k+1 -2kÛ`+5k+2 k+1 -kÛ`+7k+3
AÕ'HÓ="Ã13Û`-5Û`=12, AÕ'CÓ=BÕ'DÓ="Ã12Û`+4Û`=4'1Œ0이고, a9=a8+
k
=
k(k+1)
+
k
=
k(k+1)
>0
∠B'A'D=h라 하면 삼각형 A'B'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AÕ'B'Ó Û`+AÕ'DÓ Û`-BÕ'DÓ Û` 1Û`+13Û`-(4'1Œ0)Û` Ü k¾4일 때
cos`h= = = ;1°3;
2AÕ'B'Ó_AÕ'DÓ 2_1_13
3k+1 k -kÛ`+3k+1
a5= - = <0
이므로 k(k+1) k+1 k(k+1)

sin`h=¾¨1-{;1°3;}2`=;1!3@;
k+1 -kÛ`+3k+1 k+1 5k+2
a6=a5+ = + = >0
k k(k+1) k k(k+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3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3 23. 4. 6. 오후 2:15


k 5k+2 k -kÛ`+5k+2 또한 h'(x)=f '(x)g(x)+f(x)g'(x)에서
a7=a6- = - =
k+1 k(k+1) k+1 k(k+1)
f '(x)=2x-1, g'(x)=2x+2이므로
① k=4 또는 k=5일 때 a7¾0이므로
h'(1)=f '(1)g(1)+f(1)g'(1) 
k -kÛ`+5k+2 k -2kÛ`+5k+2
a8=a7- = - = <0 =1_3+1_4=7
k+1 k(k+1) k+1 k(k+1)
k+1 -2kÛ`+5k+2 k+1 -kÛ`+7k+3 `f(1+x)g(1+x)-f(1)g(1)
a9=a8+ = + = >0 따라서 lim =7 7
k k(k+1) k k(k+1) x`Ú0 x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② k¾6일 때 a7<0이므로
k+1 -kÛ`+5k+2 k+1 7k+3
a8=a7+ = + = >0
k k(k+1) k k(k+1)
k 7k+3 k -kÛ`+7k+3 18
a9=a8- = - = +0
k+1 k(k+1) k+1 k(k+1) |x-1|f(x) (x-1)f(x)
lim = lim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x`Ú1+ x-1 x`Ú1+ x-1
Ú, Û, Ü에 의하여 k=2일 때 = lim `f(x)=f(1)
x`Ú1+

|x-1|f(x) -(x-1)f(x)
a3=-;3!; lim = lim
x`Ú1- x-1 x`Ú1- x-1
a4=a3+;2#;=-;3!;+;2#;=;6&; = lim {-f(x)}=-f(1)
x`Ú1-

이고, 조건 (가)에 의하여


a5=a4-;3@;=;6&;-;3@;=;2!;
f(1)=-f(1)
a6=a5-;3@;=;2!;-;3@;=-;6!; 즉, f(1)=0
따라서 f(x)=(x-1)(x-a)`(a는 상수)로 놓으면 조건 (나)에서
a7=a6+;2#;=-;6!;+;2#;=;3$;
(x+1)| f(x)|
lim = lim |(x-1)(x-a)|=|-2(-1-a)|
x+1
a8=a7-;3@;=;3$;-;3@;=;3@;
x`Ú-1 x`Ú-1

=2|a+1|=6
a9=a8-;3@;=;3@;-;3@;=0 |a+1|=3에서 a=-4 또는 a=2이므로
f(x)=(x-1)(x+4) 또는 f(x)=(x-1)(x-2)
a10=a9-;3@;=-;3@;
따라서 f(4)=3_8=24 또는 f(4)=3_2=6이므로 f(4)의 최댓값은 24이다.
a11=a10+;2#;=-;3@;+;2#;=;6%;   24

a12=a11-;3@;=;6%;-;3@;=;6!;

a13=a12-;3@;=;6!;-;3@;=-;2!;

a14=a13+;2#;=-;2!;+;2#;=1 19
⋮ cos`x=;2!;`sin`x에서 cos`x+0이므로
따라서

Á an=2(a1+a2+y+a13)+a1+a2+a3+a4
sin`x
=2
30 cos`x
n=1 따라서 tan`x=2이다.
=2{1+;3!;-;3!;+;6&;+;2!;-;6!;+;3$;+;3@;+0-;3@;+;6%;+;6!;-;2!;} 이때 함수 y=tan`x의 주기는 p이므로 수열 {an}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p
+1+;3!;-;3!;+;6&;
y

=2_;;Á3£;;+;;Á6£;;=;;¤6°;; ⑤ 2
y=2
;2Ò; ;2#;p
O aÁ p aª 2p a£ x

y=tan x
16
따라서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an+2-an=
 (an+2-an+1)+(an+1-an) 
a5=a3rÛ`=4a3
=p+p=2p
이고, a3>0이므로
이므로

Á k+2 =Á = Á 2=2_10=20
rÛ`=4 10 a -ak 10 2p 10
 20
그런데 an>0이므로 k=1 p k=1 p k=1

r=2
따라서 an=3_2n-1이므로
a5=3_2Ý`=3_16=48  48

20
loga`c
logaÛ``c= =;2!;`loga`c이므로 조건 (가)에서
loga`aÛ`
17 loga`b=;2!;`loga`c, 2`loga`b=loga`c
h(x)=f(x)g(x)로 놓으면 loga`bÛ`=loga`c, bÛ`=c
`f(1+x)g(1+x)-f(1)g(1) h(1+x)-h(1)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면
lim =lim
x`Ú0 x x`Ú0 x
=h'(1) logaÛ``b=;2!;`loga`b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4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4 23. 4. 6. 오후 2:15


이고, loga`bÛ`=2`loga`b이므로 조건 (나)에서 y=g(x)

;2!;`loga`b_loga`c=2 loga`b

또한 loga`b+0이므로 Sª
;2!;`loga`c=2, loga`c=4 a
SÁ b c x

c=aÝ`
이때 S=S1+S2라 하면
즉, bÛ`=aÝ`에서 b=aÛ`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a, b, c는
c c
a=2, b=4, c=16 또는 a=3, b=9, c=81 S=:ò |g(x)|dx=:òÕ {-g(x)}dx+:ø g(x)dx
따라서 모든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2이다. 2 c
=-:òÕ g(x)dx+:ò g(x)dx-:òÕ g(x)dx
c c
=-2:òÕ g(x)dx+:ò g(x)dx=-2:òÕ f '(x)dx+:ò f '(x)dx

=-2[f(x)]Õò+[f(x)]ò =-2{ f(b)-f(a)}+{ f(c)-f(a)}


c

21 =-2(b-a)Û`{b+
a-3b
}
2
Ú k=mÛ``(m=2, 3, y, 9)일 때
xÛ`=k=mÛ`에서 Bk('k, k), 즉 Bk(m, k)이므로 =(b-a)Ü`=;2¥7;(a2-a1)Ü`

N(k)=N(mÛ`)=m 그런데 a1Û`+1Éa2이므로


즉, N(2Û`)=2, N(3Û`)=3, y, N(9Û`)=9 a2-a1¾a1Û`-a1+1={a1-;2!;}2`+;4#;
Û (m-1)Û`+1Ék<mÛ``(m=2, 3, y, 9)일 때
점 Bk의 x좌표의 범위는 "Ã(m-1)Û`+1Éx<m이므로 즉, a2-a1은 a1=;2!;일 때 최솟값이 ;4#;이므로

N(k)=m-1 S¾;2¥7;_{;4#;}3`=;8!;
즉,
2Ék<4일 때 N(k)=1 따라서 S1+S2의 최솟값은 ;8!;이고, p=8, q=1이므로
5Ék<9일 때 N(k)=2 p+q=9 9
10Ék<16일 때 N(k)=3
17Ék<25일 때 N(k)=4
26Ék<36일 때 N(k)=5
37Ék<49일 때 N(k)=6
50Ék<64일 때 N(k)=7 확률과 통계

65Ék<81일 때 N(k)=8
Ú, Û에 의하여
23
Á N(k)
81 V(X)=n_;4!;_;4#;=12이므로
k=2
n=64
=(2+3+y+9) 
+(2_1+4_2+6_3+8_4+10_5+12_6+14_7+16_8) 따라서 E(X)=n_;4!;=64_;4!;=16 ①

=44+(2+8+18+32+50+72+98+128)

=44+408=452  452

24
6명의 학생이 원형으로 배열된 의자에 앉는 경우의 수는
(6-1)!=120
22 A, B를 한 사람으로 보고 5명의 학생이 원형으로 배열된 의자에 앉는 경우의 수는

조건 (가)에 의하여 2!_(5-1)!=2_24=48

f(x)=(x-a1)(x-a2)Û`이고,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f '(x)=(x-a2)Û`+2(x-a1)(x-a2)  120-48=72 ⑤

=(x-a2)(3x-2a1-a2)
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2aÁ+aª
a= , b=a2
3
3a-b 25
즉, a1= , a2=b
2 두 사건 A와 B가 서로 독립이면 두 사건 AC, B도 서로 독립이므로
또한 조건 (다)에서 P(B;AC) P(B)P(AC)
P(B|AC)= =
g(a)=g(b)=0이므로 g(x)=f '(x) P(AC) P(AC)

f(x)-f(a)=:ò/ f '(t)dt=:ò/ g(t)dt =P(B)=;6!;

또한 P(A B)=P(A)P(B)=;6!;P(A)=;8!; 에서
'
=:ò/ 3{(t-a)Û`+(a-b)(t-a)}dt

=[(t-a)Ü`+;2#;(a-b)(t-a)Û`]/ò
P(A)=;4#;

따라서
=(x-a)Ü`+;2#;(a-b)(x-a)Û`
P(A'B)=P(A)+P(B)-P(A;B)
a-3b
=(x-a)Û`{x+ } =;4#;+;6!;-;8!;=;2!4(; ④
2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5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5 23. 4. 6. 오후 2:15


|a_b_c|=2Ý`_3_5, d+e=3 또는
26
|a_b_c|=2Ü`_3_5, d+e=2_3=6
볼트 1개의 길이를 확률변수 X라 하면 X는 정규분포 N(2, rÛ`)을 따른다.
Ú |a_b_c|=2Ý`_3_5, d+e=3일 때
X-2
따라서 Z= 로 놓으면 확률변수 Z는 표준정규분포 N(0, 1Û`)을 따른다. ① |a_b_c|=|a|_|b|_|c|=2Ý`_3_5이므로
r
또한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볼트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볼트 1개가 불량일 확률은 |a|=2pÁ_3qÁ_5rÁ, |b|=2pª_3qª_5rª, |c|=2p£_3q£_5r£이라 하면
P(X¾2.02)+P(XÉ1.98)=2P(X¾2.02) |a|_|b|_|c|=2pÁ+pª+p£_3qÁ+qª+q£_5rÁ+rª+r£ 
0.02 =2Ý`_3_5
=2P{Z¾ }=0.0456
r 따라서 p1+p2+p3=4이므로 음이 아닌 정수 p1, p2, p3의 순서쌍 
0.02
P{Z¾ }=0.0228 (p1, p2, p3)의 개수는
r
그런데 0.5-0.4772=0.0228이므로 3 H4=3+4-1C4=6C4=6C2=15
0.02 0.02 q1+q2+q3=1이므로 음이 아닌 정수 q1, q2, q3의 순서쌍 (q1, q2, q3)의
P{0ÉZÉ }=0.4772이고, =2
r r 개수는
따라서 r=0.01 ① H1=3+1-1C1=3C1=3
3

r1+r2+r3=1이므로 음이 아닌 정수 r1, r2, r3의 순서쌍 (q1, q2, q3)의


개수는
3 H1=3+1-1C1=3C1=3
즉, |a_b_c|=2Ý`_3_5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a,
27 b, c의 부호를 결정하는 것을 생각하면
7개의 문자 A, B, B, C, C, C, D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15_3_3_2Ü`=15_9_8=1080
7!
=420 ② d, e는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d+e=3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d, e)의 개
2!3!
Ú AC를 한 개의 문자 E로 생각하고, B, B, C, C, D, E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수는
6! 2 H3=2+3-1C3=4C3=4
=180
2!2! ①, ②에 의하여 순서쌍 (a, b, c, d, e)의 개수는
Û CA를 한 개의 문자 F로 생각하고 B, B, C, C, D, F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1080_4=4320
6!
=180 Û |a_b_c|=2Ü`_3_5, d+e=6일 때
2!2!
Ü CAC를 한 개의 문자 G로 생각하고 B, B, C, D, G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① |a_b_c|=|a|_|b|_|c|=2Ü`_3_5이므로
5! |a|=2pÁ_3qÁ_5rÁ, |b|=2pª_3qª_5rª, |c|=2p£_3q£_5r£이라 하면
=60
2! |a|_|b|_|c|=2pÁ+pª+p£_3qÁ+qª+q£_5rÁ+rª+r£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2Ü`_3_5
180+180-60
1- =1-;7%;=;7@; ② 따라서 p1+p2+p3=3이므로 음이 아닌 정수 p1, p2, p3의 순서쌍 
420
(p1, p2, p3)의 개수는
3 H3=3+3-1C3=5C3=10
q1+q2+q3=1이므로 음이 아닌 정수 q1, q2, q3의 순서쌍 (q1, q2, q3)의
개수는
28 3 H1=3+1-1C1=3C1=3
XÕ=1인 경우는 r1+r2+r3=1이므로 음이 아닌 정수 r1, r2, r3의 순서쌍 (q1, q2, q3)의
Ú 두 주머니 A, B에서 꺼낸 두 공의 색이 모두 같은 경우 개수는
Û 두 주머니 A, B에서 꺼낸 두 공의 색이 모두 다른 경우 3 H1=3+1-1C1=3C1=3
이다. 즉, |a_b_c|=2Ü`_3_5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a,
Ú 두 주머니 A, B에서 꺼낸 두 공의 색이 모두 같은 경우의 확률 b, c의 부호를 결정하는 것을 생각하면
① 주머니 A에서 꺼낸 공이 모두 흰 공, 주머니 B에서 꺼낸 공이 모두 흰 공 10_3_3_2Ü`=10_9_8=720
일 확률은 ② d, e는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d+e=6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d, e)의 개
C C 수는
2 2 _ 3 2 =;1Á0;_;6#;=;2Á0;
5C2 4C2 H6=2+6-1C6=7C6=7
2
② 주머니 A에서 꺼낸 공이 모두 검은 공, 주머니 B에서 꺼낸 공이 모두 흰
①, ②에 의하여 순서쌍 (a, b, c, d, e)의 개수는
공일 확률은
720_7=5040
C C
3 2 _ 3 2 =;1£0;_;6#;=;2£0;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순서쌍 (a, b, c, d, e)의 개수는
C
5 2 4C2
m=4320+5040=9360
①, ②에서 ;2Á0;+;2£0;=;5!;
m
따라서 =936  936
Û 두 주머니 A, B에서 꺼낸 두 공의 색이 모두 다른 경우의 확률 10
2C1_3C1 C_C 2_3
_3 1 1 1= _;6#;=;1£0;
5C2 4C2 10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확률은

;5!;+;1£0;=;2!; ③
30
주사위 1개를 6번 던졌을 때 4 이하의 눈이 나온 횟수를 a, 5 이상의 눈이 나온
횟수를 b라 하면
a+b=6   yy ㉠
29 또한 흰 공의 개수가 검은 공의 개수의 2배이므로
720=2Ý`_3Û`_5이므로 a_1+b_1=2(b_1)
|a_b_c|_(d+e)=2Ý`_3Û`_5 a=b
또한 조건 (나)에 의하여 ㉠에 대입하면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6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6 23. 4. 6. 오후 2:15


a=3, b=3 즉, y=;4!;x+;4#;
이때 검은 공 중 하나가 왼쪽에서부터 4번째에 놓이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3가지 따라서 접선의 x절편은 -3이다. ①
경우가 있다.

Û 26
y=ln`x에서 y'=;[!;이므로 점 P(t, ln`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Ü
y=;t!;(x-t)+ln`t
따라서 주사위 1개를 한 번 던졌을 때 4 이하의 눈이 나오는 사건을 A, 5 이상의
이 접선이 원점 O를 지나야 하므로
눈이 나오는 사건을 B라 하면
0=-1+ln`t, ln`t=1
P(A)=;6$;=;3@;, P(B)=;6@;=;3!;
즉, t=e이다.
Ú이 일어날 확률은 5번째와 6번째는 사건 B가 일어나야 하므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를 V라 하면
8
;3@;_;3@;_;3@;_;3!;_;3!;_;3!;=
eÛ`

729 V=:E (ln`t)Û` dt


Û가 일어날 확률은 4번째와 5번째와 6번째 중 사건 B는 한 번만 일어나면 되므로

;3@;_;3!;_;3!;_3C1{;3!;}{;3@;}2`=;2ª7;_;2!7@;=
이고, u'(t)=1, v(t)=(ln`t)Û`에서 u(t)=t, v'(t)=2 ln`t_;t!;이므로
24
V=:E (ln`t)Û``dt=[t(ln`t)Û`]E -2:E ln`t`dt
729 eÛ` eÛ` eÛ`

Ü이 일어날 확률은 4번째와 5번째와 6번째 중 사건 B는 한 번만 일어나면 되므로

;3!;_;3@;_;3!;_3C1{;3!;}{;3@;}2`=;2ª7;_;2!7@;=
eÛ`
24 =(4eÛ`-e)-2[t ln`t-t]E =(4eÛ`-e)-2{(2eÛ`-eÛ`)-(e-e)}
729
Ú, Û, Ü에 의하여 구하는 확률은 =2eÛ`-e ②
8 24 24 56
+ + =
729 729 729 729
따라서 p=729, q=56이므로
p+q=785  785
27
직선 y=-x+t와 곡선 y=x`ln`x의 교점의 x좌표가 f(t)이므로
-f(t)+t=f(t)`ln`f(t) yy ㉠
미적분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f(t)
-f '(t)+1=f '(t)`ln`f(t)+ _f '(t)
23 `f(t)

4{;3@;}n`+;3!;
f '(t)`ln`f(t)+2 f '(t)=1 yy ㉡
n+2 n-1 4_0+;3!; ㉠에 t=k를 대입하면
2 +3
lim =lim = =;8!; ⑤
3n+1-3n-1 n`Ú¦ 3-;3!; ;3*; -f(k)+k=f(k)`ln`f(k)
n`Ú¦

이므로
-eÛ`+k=eÛ``ln`eÛ`, k=3eÛ`
㉡에 t=k를 대입하면
f '(k)`ln`f(k)+2 f '(k)=1
24 f '(k)`ln`eÛ`+2 f '(k)=1, 4f '(k)=1
dt
sin`x=t로 놓으면 x=0일 때 t=0, x=2a일 때 t=sin`2a이고, cos`x=
dx f '(k)=;4!;
이므로
따라서 k_f '(k)=3eÛ`_;4!;=;4#;eÛ`
:)2`a` sin`x cos`x`dx=: t`dt=[;2!;tÛ`]
③
sin`2a sin`2a

0 0

=;2!;`sinÛ``2a=0

sinÛ``2a=0에서 sin`2a=0이므로 양수 a의 값은
p
a= , p, ;2#;p, y
28
2
p DÁ GÁ FÁ KÁ EÁ CÁ
따라서 양수 a의 최솟값은 이다. ③
2 JÁ IÁ

AÁ BÁ

두 삼각형 A1B1H1, E1G1H1은 닮은 삼각형이고, 닮음비는


25 AÕ1B1Ó`:`EÕ1G1Ó=4`:`2=2`:`1이므로
dx
=1+et HÕ1F1Ó=1_;3!;=;3!;
dt
dy 또한 두 삼각형 A1B1I1, E1F1I1은 닮은 삼각형이고, 닮음비는
y="Ået=e;2T;에서 =;2!;e;2T;이므로
dt AÕ1B1Ó`:`EÕ1F1Ó=4`:`1
;2!;e ;2T;
이므로 점 I1에서 선분 E1F1에 내린 수선의 발을 K1이라 하면
dy
=
dx 1+et I1ÕK1Ó=;5!;
또한 t=0에 대응하는 점은 (1, 1)이므로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마찬가지로 두 삼각형 B1C1F1, I1K1F1은 닮은 삼각형이고, 닮음비는
;2!;
y-1= (x-1) 1`:`;5!;, 즉 5`:`1이므로
1+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7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7 23. 4. 6. 오후 2:15


FÕ1K1Ó=2_;5!;=;5@;
30
따라서 사각형 H1I1F1J1의 넓이 S1은 {ax f(x)+bxg(x)}'
S1=2_;2!;_;3!;_;5@;=;1ª5; ;2#;
=[ax `sin`(ln`x)+bx `cos`(ln`x)]'
;2#;

;2!; ;2#;
또한 AÕ2D2Ó=a라 하면 =;2#;ax `sin`(ln`x)+ax `cos`(ln`x)_;[!;
AÕ2B2Ó=4a, AÕ1A2Ó=BÕ1B2Ó=3a이므로
;2!; ;2#;
3a+4a+3a=10a=4 +;2#;bx `cos`(ln`x)-bx `sin`(ln`x)_;[!;

즉, a=;5@;
;2!; ;2!;
={;2#;a-b}x `sin`(ln`x)+{a+;2#;b}x `cos`(ln`x)

닮음비가 1`:`;5@;이므로 넓이의 비는 1`:`;2¢5;이다. ={;2#;a-b}'§x`sin`(ln`x)+{a+;2#;b}'§x`cos`(ln`x)

;1ª5; ={;2#;a-b} f(x)+{a+;2#;b}g(x)


따라서 lim Sn= =;6!3); ③
1-;2¢5;
n`Ú¦
이고,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2#;a-b} f(x)+{a+;2#;b}g(x)=f(x)

가 성립해야 하므로

;2#;a-b=1, a+;2#;b=0

29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BÓ=1, ∠ACB=90ù에서 BCÓ=sin`h이고, a=;1¤3;, b=-;1¢3;


h
∠BDC=h+ =;2#;h 또한 f(x)='§x`sin`(ln`x)=0에서 ln`x=kp`(k는 정수)라 하면
2
x=ekp
이므로 직각삼각형 BCD에서
그런데 0<xÉ1이므로
sin`h`cos`;2#;h kÉ0
sin`h sin`h
CDÓ= = , BDÓ=
tan`;2#;h sin`;2#;h sin`;2#;h 따라서 cn=e-(n-1)p이고, cn+1=e-np이다.
이때 cn+1ÉxÉcn에서 e-npÉxÉe-(n-1)p이므로

à ¡
이때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h)라 하면
-npÉln`xÉ-(n-1)p   yy ㉠
sin`h`cos`;2#;h sin`h`cos`;2#;h
sin`h f(cn)=f(cn+1)=0
;2!;_ _sin`h=;2!;_r(h)_ sin`h+ +
sin`;2#;h sin`;2#;h sin`;2#;h

à ¡
g(cn)='§cn`cos`(ln`cn)

sin`h`cos`;2#;h cos`;2#;h
;2!;
1 =cn `cos`{ln`e-(n-1)p}
=r(h)_ 1+ +
sin`;2#;h sin`;2#;h sin`;2#;h
;2!;
=cn `cos`{(n-1)p}
;2!;
sin`h`cos`;2#;h =cn (-1)n-1
㉠에 의하여
sin`;2#;h sin`h`cos`;2#;h
r(h)= = | f(x)|=|'§x`sin`(ln`x)| 
cos`;2#;h sin`;2#;h+cos`;2#;h+1 =(-1)n f(x)
1
1+ +
sin`;2#;h sin`;2#;h 이므로
cn

원 C에 내접하고 삼각형 ABC와 닮은 삼각형이 삼각형 EFG이므로 선분 EF의 Sn=: | f(x)|dx

=(-1)n: `f(x)dx
cn+1

길이는 원 C의 지름의 길이와 같다. cn

=(-1)n[;1¤3;x f(x)-;1¢3;xg(x)]
따라서 cn+1

2`sin`h`cos`;2#;h
cn

cn+1
EFÓ=2r(h)=
sin`;2#;h+cos`;2#;h+1 =(-1) _;1¢3;{-cn`g(cn)+cn+1`g(cn+1)}
n

2`sin`h`cos`h`cos`;2#;h =(-1)n_;1¢3;[(-1)ncn +(-1)ncn+1


;2#; ;2#;
]
EGÓ=2r(h)`cos`h=
sin`;2#;h+cos`;2#;h+1 ;2#; ;2#;
=;1¢3; {cn +cn+1 }

2`sinÛ``h`cos`;2#;h -;2#;(n-1)p -;2#;np


FGÓ=2r(h)`sin`h= =;1¢3; [e +e ]

sin`;2#;h+cos`;2#;h+1 -;2#;(n-1)p -;2#;p


=;1¢3;e (e +1)

Á ÁS
2`sin`h`cos`;2#;h+2`sin`h`cos`h`cos`;2#;h+2`sinÛ``h`cos`;2#;h Sn
¦ 1 ¦
f(h)= =
sin`;2#;h+cos`;2#;h+1 n=1 a+b a+b n=1 n
-;2#;p
;1¢3; {1+e }
따라서
=;;Á2£;;_
`f(h) -;2#;p
lim 1-e
h`Ú0+ h
;2#;p
e +1
2`sin`h`cos`;2#;h+2`sin`h`cos`h`cos`;2#;h+2`sinÛ``h`cos`;2#;h =2_
;2#;p
= lim e -1
h{sin`;2#;h+cos`;2#;h+1}
h`Ú0+
따라서 k=2이므로
sin`h sin`h sin`h
_cos`;2#;h+2_ _cos`h_cos`;2#;h+2`sin`h_ _cos`;2#;h
10k=20  20
2_
h h h
= lim
h`Ú0+
sin`;2#;h+cos`;2#;h+1
2_1_1+2_1_1_1+2_0_1_1
= =2 2
0+1+1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8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8 23. 4. 6. 오후 2:15


기하 27
원점 O에 대하여
23
bø=AB³=OB³-OA³=(5, 3)-(2, 1)=(3, 2),
점 P(2, 1, -3)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Q이므로
cø=AC³=OC³-OA³=(3, 4)-(2, 1)=(1, 3)
Q(2, -1, 3)
이므로
점 R(3, 2, 1)을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S이므로
|bø|="Ã3Û`+2Û`='1Œ3, |cø|="Ã1Û`+3Û`='1Œ0
S(-3, 2, 1)
bø ´ cø=(3, 2) º (1, 3) 
따라서
=3_1+2_3=9
QSÓ="Ã(-3-2)Û`+(2+1)Û`+(1-3)Û`
또한 AH³ ⊥ BC³이므로
='Ä25+9+4='3Œ8 ④
AH³ º BC³=0
AH³ º BC³=(pbø+qcø) º (AC³-AB³) 
=(pbø+qcø) º (cø-bø) 
=pbø º cø-p|bø|Û`+q|cø|Û`-qbø º cø 
=9p-13p+10q-9q 
24 =-4p+q=0
xÛ` 즉, q=4p yy ㉠
xÛ`='2y에서 y= 이므로 yÛ`=4x에 대입하면
'2
같은 방법으로 BH³ ⊥ AC³이므로
xÝ`
=4x, xÝ`=8x BH³ º AC³=0
2
x(x-2)(xÛ`+2x+4)=0 BH³ º AC³=(AH³-AB³) º AC³ 

원점이 아닌 점이 P이므로 점 P의 x좌표는 =(pbø+qcø-bø) º cø 

x=2 =pbø º cø+q|cø|Û`-bø º cø 

즉, P(2, 2'2 )이므로 포물선 yÛ`=4x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9p+10q-9=0


1 즉, 9p+10q=9 yy ㉡
2'2 y=2(x+2), y= x+'2
'2 ㉠, ㉡에서 p=;4»9;, q=;4#9^;이므로
'2
y= x+'2
2 p+q=;4$9%; ⑤
'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이다. ②
2

28
25 점 Q는 선분 F1F2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조건(나)에서 PÕF1Ó`:`PÕF2Ó=QÕF1Ó`:`QÕF2Ó=2`:`3
2|AB³|Û`+9AP³ º (AP³-AB³)=3AB³ º {AP³+2(AP³-AB³)} 따라서 두 삼각형 PF1H1, PF2H2는 닮음비가 2`:`3인 닮은 삼각형이다.
2|AB³|Û`+9|AP³|Û`-9AP³ º AB³=3AB³ º (3AP³-2AB³) 즉, PÕF1Ó`:`PÕF2Ó=2`:`3이고, PÕF1Ó+PÕF2Ó=2'5이므로
2|AB³|Û`+9|AP³|Û`-9AP³ º AB³=9AB³ º AP³-6|AB³|Û` 4'5 6'5
PÕF1Ó= , PÕF2Ó=
9|AP³|Û`-18AP³ º AB³+8|AB³|Û`=0 5 5
9|AP³|Û`-18AP³ º AB³+9|AB³|Û`=|AB³|Û` 이때 F1(c, 0), F2(-c, 0)`(c>0)이라 하면 FÕ1F2Ó=2c이므로
9|AP³-AB³|Û`=|AB³|Û` 삼각형 PF1F2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 }2`-2_
4'5 6'5 4'5 6'5
9|BP³|Û`=|AB³|Û` 4cÛ`={ _ _;3@;
5 5 5 5
|BP³|=;3!;|AB³|=1 cÛ`=1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B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므로 그 즉, c=1이므로 F1(1, 0)
넓이는 p이다. ② PÕF1Ó Û`=(p-1)Û`+qÛ`=;;Á5¤;;   yy ㉠

PÕF2Ó Û`=(p+1)Û`+qÛ`=;;£5¤;;   yy ㉡

4'5
㉠, ㉡에서 p=1, q=
5
4'5 xÛ` yÛ`
26 또한 aÛ`-bÛ`=1이고, 점 P{1, }는 타원 + =1 위의 점이므로
5 aÛ` bÛ`
중심이 C(-1, 2, 3)인 구 S가 xy평면과 접하므로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Á5¤;; ;;Á5¤;;
1 1
구 S의 방정식은 + =1, + =1
aÛ` bÛ` aÛ` aÛ`-1
(x+1)Û`+(y-2)Û`+(z-3)Û`=3Û`
5aÝ`-26aÛ`+5=0, (5aÛ`-1)(aÛ`-5)=0
이므로 구 S와 z축이 만나는 두 점은 x=0, y=0을 대입하면
이때 bÛ`=aÛ`-1>0이므로 aÛ`=5, bÛ`=4
1Û`+(-2)Û`+(z-3)Û`=9, (z-3)Û`=4
따라서 접선 l의 방정식은
z=1 또는 z=5
4'5
또한 점 C(-1, 2, 3)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y
x 5
+ =1, x+'5y=5
H(0, 0, 3)이므로 5 4
|1+0-5| 2'6
CHÓ="Ã(-1)Û`+2Û`+(3-3)Û`='5 FÕÁHÁÓ= =
"Ã1Û`+('5 )Û` 3
따라서 ABÓ=4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4
따라서
;2!;_ABÓ_CHÓ=;2!;_(5-1)_'5=2'5 2'6
④ FÕÁHÁÓ_FÕªHªÓ=;2#; FÕÁHÁÓ Û`=;2#;_{ ④
3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79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79 23. 4. 6. 오후 2:15


29 30
AB³=aø, AC³=bø라 하면 조건 (가)에 의하여 두 평면 OAC, OBC는 서로 수직이고,

|aø|=2, |bø|=1, aø º bø=;2!; 조건 (나)에 의하여 OBÓ ⊥(평면 OAC)이다.


따라서 OHÓ=CHÓ=a, AHÓ=b, OBÓ=c, OAÓ=d라 하면
따라서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1이라 하면
삼각형 AHC에서 aÛ`+bÛ`=12 yy ㉠
aø º bø=|aø||bø|cos`h1=2_1_cos`h1=;2!;, 삼각형 OAB에서 cÛ`+dÛ`=27 yy ㉡
삼각형 OBC에서 4aÛ`+cÛ`=27 yy ㉢
cos`h1=;4!;
㉡, ㉢에서 4aÛ`=dÛ`이므로
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d=2a
BCÓ Û`=2Û`+1Û`-2_2_1_;4!;=4 또한 조건 (가)에 의하여

즉, BCÓ=2이고 ∠ACB의 이등분선이 선분 AB와 만나는 점이 E이므로 OAÓ=ACÓ=2'3이므로 d=2'3

AEÓ`:`BEÓ=ACÓ`:`BCÓ=1`:`2 따라서 a='3이므로 ㉠, ㉢에서

따라서 점 E는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b=3, c='1Œ5

1_CB³+2_CA³ 이때 사면체 OABC에서 점 O를 좌표공간의 원점, 점 B의 x좌표, 점 C의 y좌


CE³=
1+2 표, 점 A의 z좌표가 모두 양수가 되도록 선분 OB, 선분 OC를 각각 x축, y축에

=;3!;(AB³-AC³)+;3@; CA³ 놓으면 네 점 O, A, B, C의 좌표는 각각


O(0, 0, 0), A(0, '3, 3), B('1Œ5, 0, 0), C(0, 2'3, 0)
=;3!;AB³-AC³ 이다. 또한 두 점 P, R는 각각 두 선분 OA, AC의 중점이므로
'3 3'3
=;3!;aø-bø P{0, , ;2#;}, R{0, , ;2#;}
2 2
또한 점 D는 선분 BC를 3`:`1로 내분하는 내분점이므로 이고, 점 Q는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3bø+aø '1Œ5 2'3
AD³= =;4!;aø+;4#;bø Q{
3
,
3
, 2}
3+1
이때 두 벡터 AD³, CE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2라 하면 h=p-h2이므로 따라서

}2`+{- }2`+{-;2!;}2`='2,
cos`h=cos`(p-h2)=-cos`h2 '1Œ5 '3
PQÓ=¾¨{-
따라서 3 6

}2`+{ }2`+{-;2!;}2`=2,
'1Œ5
QRÓ=¾¨{-
5'3
|CE³|Û`={;3!;aø-bø} º {;3!;aø-bø} 3 6
=;9!;|aø|Û`-;3@;aø º bø+|bø|Û` PRÓ='3
이고, ∠PRQ=h'이라 하면
=;9!;_4-;3@;_;2!;+1 ('3 )Û`+2Û`-('2 )Û`
cos`h'=
2_'3_2
=;;Á9¼;; 5'3
5
= =
'1Œ0 4'3 12
에서 |CE³|=
3 '6Œ9
에서 sin`h'= 이므로 삼각형 PQR의 넓이는
|AD³|Û`={;4!;aø+;4#;bø} º {;4!;aø+;4#;bø}
12
'6Œ9 '2Œ3
;2!;_'3_2_ =
=;1Á6;|aø|Û`+;8#;aø º bø+;1»6;|bø|Û` 12 4
'3 '1Œ5 2'3 3'3
또한 세 점 P{0, , ;2#;}, Q{ , , 2}, R{0, , ;2#;}의 xy평면 위
=;1Á6;_4+;8#;_;2!;+;1»6;_1 2 3 3 2
로의 정사영을 각각 P', Q', R'이라 하면
=1
'3 '1Œ5 2'3 3'3
에서 |AD³|=1 P'{0, , 0}, Q'{ , , 0}, R'{0, , 0}
2 3 3 2
CE³ º AD³={;3!;aø-bø} º {;4!;aø+;4#;bø} 이므로 삼각형 P'Q'R'의 넓이는
'1Œ5 '5
=;1Á2;|aø|Û`-;4#;|bø|Û` ;2!;_'3_ =
3 2
따라서 두 평면 PQR, OBC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h이므로
=;1Á2;_4-;4#;_1
'5
△P'Q'R' 2 2'¶115
=-;1°2; cos`h= = =
△PQR '2Œ3 23
따라서 4
즉, p=23, q=2이므로
CE³ º AD³
cos`h=-cos`h2=- p+q=25  25
|CE³||AD³|
5
12 '1Œ0
-
=- =
'1Œ0 8
_1
3
이므로

64`cosÛ``h=64_;6!4);=10  10

EBS FINAL 실전모의고사 80 정답과 풀이_ 수학영역 7회

2023 FINAL 실전모의(수학)해설01-80OK.indd 80 23. 4. 6. 오후 2:1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