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개념원리 익히기

273

확인체크
36Éx(15-x)에서 xÛ`-15x+36É0
(x-3)(x-12)É0 ∴ 3ÉxÉ12 yy ㉡ 이차방정식 xÛ`+(aÛ`-a-12)x+aÛ`-6a+5=0의
x(15-x)É50에서 xÛ`-15x+50¾0 두 근을 a, b라 하면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x-5)(x-10)¾0 ab=aÛ`-6a+5<0
∴ xÉ5 또는 x¾10 yy ㉢ (a-1)(a-5)<0
㉠, ㉡, ㉢의 공통부분은 ∴ 1<a<5 yy ㉠
3ÉxÉ5 또, 두 근의 절댓값이 같으므로
따라서 꽃밭의 가로의 길이의 범위는 3`m 이상 5`m a+b=-(aÛ`-a-12)=0
이하이다. 3`m 이상 5`m 이하 aÛ`-a-12=0, (a+3)(a-4)=0
∴ a=-3 또는 a=4 yy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a의 값은 4이다. 4
271
이차방정식 (mÛ`+1)xÛ`-2(m-2)x+4=0의 서로
274
다른 두 근을 a, b, 판별식을 D라 하면 두 근이 모두
f(x)=xÛ`-kx+k+3이라 하면 y=f(x)
음수이므로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D
Ú =(m-2)Û`-4(mÛ`+1)>0 모두 -3보다 크므로 y=f(x)의 -3 x
4
3mÛ`+4m<0, m(3m+4)<0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4 한다.
∴ - <m<0 yy ㉠
3 Ú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m-2)
Û a+b= <0 D=kÛ`-4(k+3)¾0
mÛ`+1
kÛ`-4k-12¾0, (k+2)(k-6)¾0
그런데 mÛ`+1>0이므로 2(m-2)<0
∴ kÉ-2 또는 k¾6 yy ㉠
∴ m<2 yy ㉡
Û f(-3)=9+3k+k+3>0에서
4
Ü ab= 에서 mÛ`+1>0이므로 항상 ab>0 4k>-12 ∴ k>-3 yy ㉡
mÛ`+1
이다.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2K;이므로
즉, m은 모든 실수이다. yy ㉢
따라서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실수 m의 값의 ;2K;>-3 ∴ k>-6 yy ㉢
범위는 ㉠, ㉡, ㉢의 공통부분은
-;3$;<m<0 -;3$;<m<0 -3<kÉ-2 또는 k¾6
-3<kÉ-2 또는 k¾6

272 275
이차방정식 xÛ`-5x+aÛ`-4a+3=0의 두 근을 a, b f(x)=2xÛ ` +3mx+5m-2라 y=f(x)

라 하면 두 근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하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


ab=aÛ`-4a+3<0 이 모두 1보다 작으므로 y=f(x) 1 x

(a-1)(a-3)<0 ∴ 1<a<3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따라서 정수 a의 값은 2이다. 2 한다.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1
Ú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Ú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9mÛ`-8(5m-2)¾0 D
=4-(k-1)¾0
4
9mÛ`-40m+16¾0, (9m-4)(m-4)¾0
-k¾-5 ∴ kÉ5 yy ㉠
4
∴ mÉ 또는 m¾4 yy ㉠ Û f(0)=k-1>0에서 k>1 yy ㉡
9
Û f(1)=2+3m+5m-2>0에서 f(3)=9-12+k-1>0에서 k>4 yy ㉢
8m>0 ∴ m>0 yy ㉡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2이고
3m 0<2<3이므로 항상 성립한다.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 이
4
㉠, ㉡, ㉢의 공통부분은
므로
4<kÉ5 4<kÉ5
∴ m>-;3$;
3m
- <1 yy ㉢
4
㉠, ㉡, ㉢의 공통부분은 278
f(x)=xÛ`-(m-4)Û`x+2m이 y=f(x)
0<mÉ;9$; 또는 m¾4 0<mÉ;9$; 또는 m¾4
라 하면 이차방정식 f(x)=0의
2
두 근 사이에 2가 있으므로 x
276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f(x)=xÛ`+2ax+3a라 하면 이 y=f(x)
림과 같아야 한다.
차방정식 f(x)=0의 두 근이 모 따라서 f(2)<0이어야 하므로
두 -2보다 작으므로 y=f(x)의 -2 x 4-2(m-4)Û`+2m<0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mÛ`-9m+14>0, (m-2)(m-7)>0
한다. ∴ m<2 또는 m>7 m<2 또는 m>7
Ú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aÛ`-3a¾0, a(a-3)¾0
4
∴ aÉ0 또는 a¾3 yy ㉠
Û f(-2)=4-4a+3a>0에서
-a>-4 ∴ a<4 yy ㉡
Ü y=f(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a이므로
-a<-2 ∴ a>2 yy ㉢
㉠, ㉡, ㉢의 공통부분은
3Éa<4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3이다. 3

277
f(x)=xÛ`-4x+k-1이라 하 y=f(x)

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
이 모두 0과 3 사이에 있으므로 0 3 x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아야 한다.

62 Ⅱ. 방정식과 부등식
개념원리 익히기
∴ PQÓ=¾¨{0-;3@;}2`+(2-0)Û`=®É:¢9¼:=

확인체크
2'1Œ0
Ⅲ. 도형의 방정식 3
2'1Œ0
3
279
ABÓ=2'3이므로
"Ã(1-a)Û`+(Ã2-a-3)Û`=2'3
양변을 제곱하면 (1-a)Û`+(-a-1)Û`=12
283
점 P(a, b)가 직선 y=-x+2 위의 점이므로
aÛ`=5 ∴ a='5 (∵ a>0 ) '5
b=-a+2 yy ㉠
점 P(a, -a+2)가 두 점 A(2, 3), B(1, 4)에서 같
280 은 거리에 있으므로
ABÓ=2 BCÓ이므로 APÓ=BPÓ에서 APÓ Û`=BPÓ Û`
"Ã(10-4)Û`+{1-(-5)}Û`=2"Ã(a-10)Û`+(4-1)Û` (a-2)Û`+(-a+2-3)Û`=(a-1)Û`+(-a+2-4)Û`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2aÛ`-2a+5=2aÛ`+2a+5
aÛ`-20a+91=0, (a-7)(a-13)=0 -4a=0 ∴ a=0
∴ a=7 또는 a=13 7,13 a=0을 ㉠에 대입하면 b=2
∴ a-b=0-2=-2 -2
281
두 점 A, B 사이의 거리 ABÓ는
ABÓ="Ã{a-(-1)}Û`+(5-a)Û` 284
="Ã2aÛ`-8a+26 삼각형 ABC의 외심을 P(x, y)라 하면 점 P에서 세
="Ã2(a-2)Û`+18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는 같으므로
따라서 ABÓ는 a=2일 때 최솟값 '1Œ8=3'2를 갖는다. PAÓ=PBÓ=PCÓ
2 PAÓ=PBÓ에서 PAÓ Û`=PBÓ Û`이므로
(x-2)Û`+(y-1)Û`=(x-2)Û`+(y-7)Û`

282 xÛ`-4x+yÛ`-2y+5=xÛ`-4x+yÛ`-14y+53

두 점 P, Q의 좌표를 각각 (a, 0), (0, b)라 하면 12y=48 ∴ y=4

APÓ= BPÓ에서 APÓÛ`=BPÓÛ`이므로 또, PÕAÓ=PCÓ에서 PAÓ Û`=PCÓ Û`이므로


(a-1)Û`+(0-4)Û`=(a+2)Û`+(0-3)Û` (x-2)Û`+(y-1)Û`=(x-4)Û`+(y-3)Û`

aÛ`-2a+17=aÛ`+4a+13 xÛ`-4x+yÛ`-2y+5=xÛ`-8x+yÛ`-6y+25
4x+4y=20 ∴ x+y=5
-6a=-4 ∴ a=;3@;
y=4를 x+y=5에 대입하면
∴ P{;3@;, 0} x+4=5 ∴ x=1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심의 좌표는 (1, 4)이다.
또, AQÓ=BQÓ에서 AQÓÛ`=BQÓÛ`이므로
(1,4)
(0-1)Û`+(b-4)Û`=(0+2)Û`+(b-3)Û`
bÛ`-8b+17=bÛ`-6b+13 KEY Point 삼각형의외심
-2b=-4 ∴ b=2 ①삼각형의세변의수직이등분선의교점이다.
②삼각형의외심에서세꼭짓점에이르는거리는같다.
∴ Q(0, 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3
285 따라서 APÓ `Û +BPÓ `Û 은 a=-1일 때 최솟값 36을 갖고,
⑴ ABÓ="Ã(2-1)Û`+(-2-0)Û`='5 그때의 점 P의 좌표는 (-1, 0)이다.
BCÓ="Ã(5-2)Û`+(2+2)Û`='2Œ5=5 최솟값 :36,점P의좌표 :(-1,0)
CAÓ="Ã(1-5)Û`+(0-2)Û`='2Œ0=2'5
∴ BCÓ Û`=ABÓ Û`+CAÓ Û` 289
따라서 △ABC는 ∠A=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점 P의 좌표를 (a, a)라 하면
⑵ ABÓ="ÃÃ(0+'3)Û`+(-2-1)Û`='1Œ2=2'3 APÓ Û`+BPÓ Û`
BCÓ="ÃÃ('3-0)Û`+(1+2)Û`='1Œ2=2'3 ={(a+3)Û`+(a-2)Û`}+{(a-4)Û`+(a-5)Û`}
CAÓ="ÃÃ(-'3-'3)Û`+(1-1)Û`='1Œ2=2'3 =4aÛ`-16a+54
∴ ABÓ=BCÓ=CAÓ =4(a-2)Û`+38
따라서 △ABC는 정삼각형이다. 따라서 APÓ Û`+BPÓ Û`은 a=2일 때 최솟값 38을 갖고,
⑴∠A=90ù인직각삼각형 그때의 점 P의 좌표는 (2, 2)이다. (2,2)
⑵정삼각형

290
286 점 P의 좌표를 (a, -a+2)라 하면
ABÓ="Ã(3+1)Û`+(4-1)Û`='2Œ5=5 APÓ Û`+BPÓ Û`={(a-1)Û`+(-a+2+4)Û`}
BCÓ="Ã(a-3)Û`+(5-4)Û`="ÃaÛ`-6a+10 +{(a-3)Û`+(-a+2-2)Û`}
CAÓ="Ã(-1-a)Û`+(1-5)Û`="ÃaÛ`+2a+17 =4aÛ`-20a+46
이때 △ABC는 ∠C=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4{a-;2%;}Û`+21
ABÓ Û`=BCÓ Û`+CAÓ Û`에서
25=aÛ`-6a+10+aÛ`+2a+17 따라서 APÓ `Û +BPÓ `Û 은 a=;2%;일 때 최솟값 21을 갖는다.
2aÛ`-4a+2=0, (a-1)Û`=0
21
∴ a=1 1

287 29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 y
ABÓ="Ã(1-0)Û`+(-2-1)Û`='1Œ0 A(a, b)
선 BC를 x축, 점 D를
BCÓ="Ã(3-1)Û`+(2+2)Û`='2Œ0=2'5
지나고 BCÓ에 수직인 직
CAÓ="Ã(0-3)Û`+(1-2)Û`='1Œ0
선을 y축으로 하는 좌표
Û
∴ ABÓ=CAÓ, BCÓ`=ABÓ Û
`+CAÓ Û`
평면을 잡으면 점 D는 B(-2c, 0) O D C(c, 0) x
따라서 △ABC는 ∠A=90ù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
원점이 된다.
므로 그 넓이는
A(a, b), C(c, 0) (c>0)이라 하면 점 B의 좌표는
;2!;_ABÓ_CAÓ=;2!;_'1Œ0_'1Œ0=5 5 (-2c, 0)이므로
ABÓ Û`+2 ACÓ Û`={(a+2c)Û`+bÛ`}+2{(a-c)Û`+bÛ`}
288 =3aÛ`+3bÛ`+6cÛ`
점 P의 좌표를 (a, 0)이라 하면 또, ADÓ =aÛ`+bÛ`, CDÓ Û`=cÛ`이므로
Û
`
APÓ Û`+BPÓ Û`={(a+4)Û`+(-3)Û`}+{(a-2)Û`+3Û`} 3(ADÓ Û`+2 CDÓ Û`)=3(aÛ`+bÛ`+2cÛ`)=3aÛ`+3bÛ`+6cÛ`
=2aÛ`+4a+38=2(a+1)Û`+36 ∴ ABÓ Û`+2 ACÓ Û`=3(ADÓ Û`+2CDÓ Û`) 풀이참조

64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292 296

확인체크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y 선분 AB를 2 : 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P(p, q) D(a, b)
BC를 x축, 직선 AB를 2_5+1_(-1) 2_(-2)+1_4
A(0, b) { 2+1 , 2+1 },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
즉 (3, 0)
을 잡으면 점 B는 원점 O B C(a, 0) x
선분 AB를 3 : 2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이 된다.
3_5-2_(-1) 3_(-2)-2_4
A(0, b), C(a, 0)이라 하면 점 D의 좌표는 (a, b)이 { 3-2 , 3-2 },
므로 점 P의 좌표를 (p, q)라 하면 즉 (17, -14)
PÕAÓ Û`+PCÓ Û`={ pÛ`+(q-b)Û`}+{(p-a)Û`+qÛ`} 따라서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2pÛ`+2qÛ`-2ap-2bq+aÛ`+bÛ` 3+17 0+(-14)
{ 2 , }, 즉 (10, -7)
PBÓ Û`+PDÓ Û`=(pÛ`+qÛ`)+{(p-a)Û`+(q-b)Û`} 2
=2pÛ`+2qÛ`-2ap-2bq+aÛ`+bÛ`  (10,-7)
∴ PÕAÓ Û`+PCÓ Û`=PBÓ Û`+PDÓ Û` 풀이참조

297
293 5
선분 AB를 3 : 1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가 {- , 4}
⑴1,2 ⑵4,1 ⑶1 ⑷-3 2
이므로

3x-1_(-1) 3y-1_(-2)
=-;2%;, =4
3-1 3-1
294 3x+1=-5, 3y+2=8
3_6+1_2
⑴ =5 ∴ P(5) ∴ x=-2, y=2
3+1
1_6-2_2 ∴ xy=-4 -4
⑵ =-2 ∴ Q(-2)
1-2
2+6
⑶ =4 ∴ M(4)
2
⑴P(5) ⑵Q(-2) ⑶M(4) 298
선분 AB를 2 : b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가 (3, -1)이
므로
2_6+b_1 2_a+b_(-5)
295 2+b
=3,
2+b
=-1
1_3+3_(-1) 1_2+3_6
⑴ P{ , } 12+b=3(2+b), 2a-5b=-(2+b)
1+3 1+3
-2b=-6, a-2b=-1
∴ P(0, 5)
∴ a=5, b=3
2_3-3_(-1) 2_2-3_6
⑵ Q{ , } 따라서 A(1, -5), B(6, 5)이므로 선분 AB를 3 : 2로
2-3 2-3
∴ Q(-9, 14)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⑶ M{
-1+3 6+2
, } ∴ M(1, 4) { 3_6-2_1 , 3_5-2_(-5) }, 즉 (16, 25)
2 2 3-2 3-2
⑴P(0,5) ⑵Q(-9,14) ⑶M(1,4) (16,25)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5
299 다른풀이 ACÓ : CBÓ=5 : 3
선분 AB를 (1-t) : t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점 C는 ABÓ를 5 : 3으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1-t)_1+t_(-2) (1-t)_(-1)+t_4 5_3-3_(-2) 21
{ (1-t)+t , (1-t)+t }, a=
5-3
=
2
즉 (-3t+1, 5t-1) 5_1-3_(-1)
b= =4
5-3
이 점이 제 1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 ab=42
-3t+1>0, 5t-1>0 ∴ ;5!;<t<;3!; yy ㉠

한편, (1-t) : t에서


1-t>0, t>0 ∴ 0<t<1 yy ㉡
302
2ABÓ=BCÓ에서 2
C(18, 7)
㉠, ㉡의 공통부분을 구하면 ;5!;<t<;3!; ABÓ :`BCÓ=1 : 2 1
B(a, b)
점 C는 ABÓ의 연장선 위에 A(-3, -2)
따라서 a=;5!;, b=;3!;이므로
있고 a>0이므로 세 점 A, B, C의 위치는 위의 그림
1 1
+ =5+3=8 8 과 같다.
a b
점 B는 ACÓ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1_18+2_(-3)
a= =4
1+2
300 b=
1_7+2_(-2)
=1
선분 AB를 1 : k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1+2
∴ a+b=5 5
{ }
-3k 12
,
1+k 1+k
이 점이 직선 y=-x+2 위에 있으므로
12 -3k
303
=- +2 2ACÓ=3BCÓ에서
1+k 1+k C
12=3k+2(1+k) ACÓ : BCÓ=3 : 2 2
3
5k=10 ∴ k=2 2 따라서 점 C는 ABÓ를 3 : 2로 외분하는
B(3, 6)
점이므로 점 C의 좌표는
3_3-2_(-1) 3_6-2_(-2) A(-1, -2)
{ ,` },
3-2 3-2
301 즉 (11, 22) (11,22)
3ABÓ=2BCÓ에서 3 C(a, b)

ABÓ : BCÓ=2 : 3 2

점 C는 ABÓ의 연장선
B(3, 1)
A(-2, -1)
304
위에 있고 a>0이므로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
세 점 A, B, C의 위치는 위의 그림과 같다. 로 ACÓ의 중점과 BDÓ의 중점이 일치한다.
점 B는 ACÓ를 2 : 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CÓ의 중점의 좌표는
-1+0 0+3
2_a+3_(-2)
=3,
2_b+3_(-1)
=1 { , }, 즉 {-;2!;, ;2#;} yy ㉠
2+3 2+3 2 2
점 D의 좌표를 (x, y)라 하면 BDÓ의 중점의 좌표는
2a-6=15, 2b-3=5 ∴ a=:ª2Á:, b=4
2+x 1+y
{ , } yy ㉡
∴ ab=42 42 2 2

66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307

확인체크
㉠, ㉡이 일치하므로
2+x 1+y
-;2!;= , ;2#;= ∠AOP=∠BOP이므로 y
2 2 B(3, 4)
OAÓ : OBÓ=APÓ : BPÓ
∴ x=-3, y=2 P
OAÓ=3
따라서 점 D의 좌표는 (-3, 2)이다. (-3,2)
OBÓ="Ã3Û`+4Û`=5 A(-3, 0) O
x

∴ APÓ : BPÓ
305 =OAÓ : OBÓ=3 : 5
마름모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하므 따라서 높이가 같은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밑변의
로 ACÓ의 중점과 BDÓ의 중점이 일치한다. 길이의 비와 같으므로
ACÓ의 중점의 좌표는 △OAP : △OBP=APÓ : BPÓ=3 : 5 3:5
2+a 1+7 2+a
{ , }, 즉 { , 4} 308
2 2 2
BDÓ의 중점의 좌표는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즉 { }
b-2 5+3 b-2 a-1+5 5+b+1 a+4 b+6
{ , }, 즉 { , 4} 3
,
3 3
,
3
2 2 2
2+a b-2 이때 무게중심의 좌표가 (2, 3)이므로
∴ = yy ㉠
2 2 a+4 b+6
=2, =3
또, 마름모의 정의에 의하여 3 3
ADÓ=DCÓ, 즉 ADÓ Û`=DCÓ Û` ∴ a=2, b=3 a=2,b=3
(-2-2)Û`+(3-1)Û`=(a+2)Û`+(7-3)Û`
309
aÛ`+4a=0, a(a+4)=0 △DEF의 무게중심은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
∴ a=-4 (∵ a<0 ) yy ㉡ 므로 구하는 무게중심의 좌표는
㉡을 ㉠에 대입하면 b=0
{ }, 즉 (2, 2)
-5+4+7 6-3+3
, (2,2)
∴ a+b=-4 -4 3 3
다른풀이 변 AB를 2 : 1로 내분하는 점 D의 좌표는
2_4+1_(-5) 2_(-3)+1_6
{ }, 즉 (1, 0)
306 2+1
,
2+1
ADÓ는 ∠A의 이등분선이 "   변 BC를 2 : 1로 내분하는 점 E의 좌표는
2_7+1_4 2_3+1_(-3)
므로 { , }, 즉 (6, 1)
2+1 2+1
ABÓ : ACÓ=BDÓ : CDÓ
#   % $   변 CA를 2 : 1로 내분하는 점 F의 좌표는
ABÓ="Ã(-4)Û`+(Ã1-9)Û`
2_(-5)+1_7 2_6+1_3
=4'5 { , }, 즉 (-1, 5)
2+1 2+1
ACÓ="Ã(6-4)Û`+Ã(5-9)Û`=2'5 따라서 △DEF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BDÓ : CDÓ=ABÓ : ACÓ=4'5 : 2'5=2 : 1
{ }, 즉 (2, 2)
1+6-1 0+1+5
,
따라서 점 D는 BCÓ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D 3 3

의 좌표는 310
2_6+1_0 2_5+1_1
{ 2+1 , 2+1 }, 즉 {4, :Á3Á:} 세 변 AB, BC, CA의 중점을 각각 D, E, F라 하
면 △ABC의 무게중심은 △DEF의 무게중심과 일
23
∴ a+b=4+:Á3Á:=:ª3£:  3 치한다.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7
따라서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312
-4-1+5 5-2+6
{ , }, 즉 (0, 3) (0, 3) △ABC와 이 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3 3
APÓ Û`+BPÓ Û`+CPÓ Û`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점 P는
다른풀이 A(xÁ, yÁ), B(xª, yª), C(x£, y£)이라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하면 변 AB의 중점의 좌표가 (-4, 5)이므로
-2+3+5 1+4+4
xÁ+xª yÁ+yª =2, =3
=-4, =5 …… ㉠ 3 3
2 2
따라서 a=2, b=3이므로
변 BC의 중점의 좌표가 (-1, -2)이므로
a+b=5 5
xª+x£ yª+y£
=-1, =-2 …… ㉡
2 2
변 CA의 중점의 좌표가 (5, 6)이므로
x£+xÁ
=5,
y£+yÁ
=6 …… ㉢ 313
2 2
⑴ y-3=2(x-1) ∴ y=2x+1
㉠+㉡+㉢을 하면
⑵ y-1=-3(x+2) ∴ y=-3x-5
xÁ+xª+x£=0, yÁ+yª+y£=9
⑶ (기울기)=tan 45ù=1이므로
따라서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y-2=1_(x+'2) ∴ y=x+'2+2
xÁ+xª+x£ yÁ+yª+y£
{ , }, 즉 (0, 3) ⑴ y=2x+1 ⑵ y=-3x-5
3 3
⑶ y=x+'2+2

311
△ABC와 이 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APÓ Û`+BPÓ Û`+CPÓ Û`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점 P는
314
-4-2
△ABC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점 P의 좌표는 ⑴ y-2=
3-1
(x-1) ∴ y=-3x+5

{ }, 즉 (1, -2)
-5+2+6 -2+3-7 -1-5
, ⑵ y-5= (x+3)
3 3 2-(-3)
따라서 P(1, -2)일 때 APÓ Û`+BPÓ Û`+CPÓ Û`의 값은 최
∴ y=-;5^;x+;5&;
소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APÓ Û`+BPÓ Û`+CPÓ Û` -2-4
⑶ y-4= (x-2) ∴ y=3x-2
0-2
={(1+5)Û`+(-2+2)Û`}+{(1-2)Û`+(-2-3)Û`}
3-0
+{(1-6)Û`+(-2+7)Û`} ⑷ y-0= (x-1) ∴ y=x-1
4-1
=36+26+50=112
⑴ y=-3x+5 ⑵ y=-;5^;x+
7
5
최솟값 : 112, 점 P의 좌표 : (1, -2)
⑶ y=3x-2 ⑷ y=x-1
다른풀이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APÓ Û`+BPÓ Û`+CPÓ Û`
={(x+5)Û`+(y+2)Û`}+{(x-2)Û`+(y-3)Û`}
+{(x-6)Û`+(y+7)Û`} 315
∴ y=;4!;x-1
=3xÛ`-6x+3yÛ`+12y+127 x y
⑴ + =1
4 -1
=3(x-1)Û`+3(y+2)Û`+112
⑵ x절편이 -1이고 y절편이 5이므로
따라서 APÓ `Û +BPÓ `Û +CPÓ `Û 은 x=1, y=-2일 때 최솟 y
x
+ =1 ∴ y=5x+5
값 112를 갖고, 그때의 점 P의 좌표는 (1, -2)이다. -1 5

68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320

확인체크
⑶ x절편이 2이고 y절편이 3이므로

∴ y=-;2#;x+3
x y
직선 ;5{;+;2};=1의 x절편은 5,
Z
+ =1
2 3

1 y절편은 2이므로 오른쪽 그림

 y= x-1 ⑵y=5x+5
⑴ Y
4 0 
에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3
⑶y=-
2
x+3 ;2!;_5_2=5 5

316 321
y절편을 a`(a+0)라 하면 x절편은 2a이므로 구하는
⑴y=8 ⑵x=3 ⑶x=-5 ⑷y=-3
직선의 방정식은
x y
+ =1 yy ㉠
2a a
317 이 직선이 점 (6, -4)를 지나므로
점 (2, -1)을 지나고 기울기가 tan60ù='3인 직선 -4
;2¤a;+ =1, -;a!;=1 ∴ a=-1
의 방정식은 a
y-(-1)='3(x-2)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에서
∴ '3x-y-2'3-1=0 -;2{;-y=1 ∴ y=-;2!;x-1
따라서 a=-1, b=-2'3-1이므로
 y=-;2!;x-1
a-b=2'3 2'3

322
318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두 점 (-4, 3), (1, 8)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직선 AB의 기울기)=(직선 AC의 기울기)
k-(-1) -10-(-1)
8-3 =
y-3= (x+4) 2-1 -k-1
1-(-4)
∴ y=x+7 -(k+1)Û`=-9, kÛ`+2k-8=0

이 직선이 점 (a, 5)를 지나므로 (k+4)(k-2)=0 ∴ k=-4 또는 k=2

5=a+7 ∴ a=-2 -2 따라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4+2=-2 -2

319 323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직선 y=ax는 원점 O를 지나므로 △OAB의 넓이를
{ }, 즉 (2, -1)
2-3+7 4-1-6 이등분하려면 ABÓ의 중점을 지나야 한다.
,`
3 3
ABÓ의 중점의 좌표는
따라서 무게중심 G(2, -1)과 점 C(7, -6)을 지나
{ }, 즉 (6, -1)
4+8 4-6
는 직선의 방정식은 ,
2 2
-6-(-1) 따라서 직선 y=ax는 점 (6, -1)을 지나므로
y-(-1)= (x-2)
7-2
∴ y=-x+1 y=-x+1 -1=6a ∴ a=-;6!; -;6!;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69
324 ab<0, bc<0에서 ;bA;<0, ;bC;<0
직선이 마름모 ABCD의 y
D ∴ -;bA;>0, -;bC;>0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오른 3
A
2 C 따라서 기울기와 y절편이 모 Z
쪽 그림과 같이 마름모의
1 B 두 양수인 직선은 오른쪽 그
두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 -1 O 1 3 5 x
야 한다. 마름모의 두 대각 림과 같으므로 제 1, 2, 3 사
0 Y
선의 교점은 두 점 A(1, 2), C(5, 2)를 이은 선분 분면을 지난다.

AC의 중점인 (3, 2)이다. ⑶ ax+by+c=0에서 c=0이므로


따라서 두 점 (-1, 1), (3,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
y=-;bA;x
식은
ab<0에서 ;bA;<0 ∴ -;bA;>0
∴ y=;4!;x+;4%;
2-1
y-1= (x+1)
3-(-1) 따라서 기울기가 양수이고 원 Z

y=;4!;x+;4%; 점을 지나는 직선은 오른쪽


0 Y
그림과 같으므로 제 1, 3 사분
면을 지난다.
325 ⑴제 1,2 사분면 ⑵제 1,2,3 사분면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직사각형의 두
⑶제 1,3 사분면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야 한다.
직사각형 ABCD의 두 대각선의 교점은 두 점 A(1, 4),
C(5, 2)를 이은 선분의 중점이므로
327
{ }, 즉 (3, 3)
1+5 4+2
,
2 2 ax+by+c=0에서 y=-;bA;x-;bC;이므로
따라서 직선 kx-4y+3=0이 점 (3, 3)을 지나야 하
(기울기)=-;bA;, ( y절편)=-;bC;
므로
3k-12+3=0 ∴ k=3 3 ab>0, bc<0에서 ;bA;>0, ;bC;<0

∴ -;bA;<0, -;bC;>0
326 따라서 직선 ax+by+c=0의 기울기는 음수이고
⑴ ax+by+c=0에서 a=0이므로 y=-;bC; y절편은 양수이므로 직선의 개형은 ③과 같다. ③

 bc<0에서 ;bC;<0 ∴ -;bC;>0

따라서 x축에 평행하고 y절 Z 328


편이 양수인 직선은 오른쪽 (2k-1)x-(k-1)y-3=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그림과 같으므로 제 1, 2 사 (-x+y-3)+k(2x-y)=0
0 Y
분면을 지난다.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⑵ ax+by+c=0에서 y=-;bA;x-;bC;이므로 -x+y-3=0, 2x-y=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6
(기울기)=-;bA;, ( y절편)=-;bC;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3, 6)이다. (3,6)

70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329

확인체크
Û 직선 ㉠이 점 B(2, 3)을 지날 때,
(k-2)x+(2k+1)y+7-k=0을 k에 대하여 정리 2m-1=0 ∴ m=;2!;
하면
Ú, Û에서 구하는 m의 값의 범위는
(-2x+y+7)+k(x+2y-1)=0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5!;ÉmÉ;2!; -;5!;ÉmÉ;2!;

-2x+y+7=0, x+2y-1=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y=-1
332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3, -1)이므로 OPÓ의 길이는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OPÓ="Ã3Û`+(-1)Û`='1Œ0 '1Œ0
3x+2y+1+k(2x-y+10)=0`(k는 실수) yy ㉠
330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mx+y-m+1=0을 m에 대하여 정리하면 1+10k=0 ∴ k=-;1Á0;
(x-1)m+y+1=0 yy ㉠
이므로 직선 ㉠은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1, -1) k=-;1Á0; 을 ㉠에 대입하면

을 지난다. 3x+2y+1-;1Á0;(2x-y+10)=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Z
 ∴ 4x+3y=0 4x+3y=0
이 직선 x+y+1=0과 제`3  0 Y
다른풀이 두 식 3x+2y=-1, 2x-y+10=0을
사분면에서 만나도록 직선 

연립하여 풀면 x=-3, y=4
㉠을 움직여 보면 Œ
따라서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가 (-3, 4)이므로 두
Ú 직선 ㉠이 점 (-1, 0) Y Z 
점 (-3, 4), (0, 0)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을 지날 때,
y=-;3$;x ∴ 4x+3y=0
-2m+1=0 ∴ m=;2!;

Û 직선 ㉠이 점 (0, -1)을 지날 때,
-m=0 ∴ m=0 333
Ú, Û에서 구하는 m의 값의 범위는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0<m<;2!; 0<m<;2!; 4x-3y+5+k(x+2y-7)=0 ( k는 실수)
∴ (k+4)x+(2k-3)y-7k+5=0 yy ㉠
331 이 직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y=mx+2에서 xm-y+2=0 yy ㉠ -
k+4
=-6, k+4=6(2k-3)
2k-3
이므로 직선 ㉠은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0, 2)
11k=22 ∴ k=2
를 지난다.
k=2를 ㉠에 대입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 Z 
6x+y-9=0 6x+y-9=0
이 선분 AB와 만나도록 직 #
 다른풀이 두 식 4x-3y+5=0, x+2y-7=0을
선 ㉠을 움직여 보면 "
 연립하여 풀면 x=1, y=3

Ú 직선 ㉠이 점 A(5, 1)을 Œ
0   Y 따라서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가 (1, 3)이므로 기울기
지날 때,
가 -6이고 점 (1,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5m+1=0 ∴ m=-;5!; y-3=-6(x-1) ∴ 6x+y-9=0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1
334 338
-1
⑴ ;2!;= =;4@;이므로 두 직선은 일치한다.
두 점 (3, 0), (5, 8)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2
8-0
⑵ 2_1+1_(-2)=0이므로 두 직선은 서로 수직 =4
5-3
이다. 따라서 기울기가 4이고 점 (-2, 5)를 지나는 직선의
1 -3
+;1!;이므로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다.
방정식은
⑶ =
-1 3
y-5=4(x+2) ∴ y=4x+13
⑴일치한다. ⑵수직이다. ⑶평행하다.
y=4x+13

339
335 두 점 (1, 3), (5, -7)을 이은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 }, 즉 (3, -2)
⑴ 두 직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a=-3 1+5 3-7
,
2 2
1
⑵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1A;=;a$;+ 2
-3 직선 2x+3y-12=0, 즉 y=- x+4의 기울기가
3
;1A;=;a$;에서 aÛ`=4 ∴ a=Ñ2
-;3@;이므로 이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3
이다.
2
 ⑴-3 ⑵-2,2
3
따라서 기울기가 이고 점 (3, -2)를 지나는 직선
2
의 방정식은
336 y-(-2)=;2#;(x-3) ∴ y=;2#;x-:Á2£:
⑴ 두 직선의 기울기와 y절편이 각각 같으므로
a=-1, b=5 y=;2#;x-:Á2£:
-2
⑵ 두 직선이 일치하므로 ;3A;=;b#;=
6 340
-2
;3A;= 에서 6a=-6 ∴ a=-1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6
a+1 1 -1
-2 = +
;b#;= 에서 18=-2b ∴ b=-9 2 -(a-2) -1
6
a+1 1
⑴a=-1,b=5 ⑵a=-1,b=-9 = 에서 -(a+1)(a-2)=2
2 -(a-2)
aÛ`-a=0, a(a-1)=0
∴ a=0 또는 a=1 yy ㉠
337 a+1 -1
+ 에서 a+1+2
⑴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므로 2 -1
∴ a+1 yy ㉡
a_2=-1 ∴ a=-;2!;
따라서 ㉠, ㉡에서 a=0 0
⑵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a-2)_a+3_(-1)=0 341
aÛ`-2a-3=0, (a+1)(a-3)=0 두 직선 ax-6y-5=0, x-2y-3=0은 서로 평행
∴ a=-1 또는 a=3 하므로
-6 -5
⑴-;2!; ⑵-1,3 ;1A;= +
-2 -3
∴ a=3

72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두 직선 ax-6y-5=0, 2x-by+1=0은 서로 수직 ABÓ의 수직이등분선 2x+3y+b=0, 즉
이므로 y=-;3@;x-;3B;의 기울기가 -;3@;이므로
a_2+(-6)_(-b)=0
12
이 식에 a=3을 대입하면 _{-;3@;}=-1 ∴ a=3, B(3, 8)
a+5
6+6b=0 ∴ b=-1 ABÓ의 중점의 좌표는
∴ a+b=3+(-1)=2 2
{ }, 즉 (-1, 2)
-5+3 -4+8
,
2 2
이 점이 ABÓ의 수직이등분선 2x+3y+b=0 위에 있
342 으므로
두 직선 (a-2)x+y+1=0, ax-3y+b=0은 서 -2+6+b=0 ∴ b=-4
로 수직이므로 ∴ a-b=3-(-4)=7 7
(a-2)_a+1_(-3)=0
aÛ`-2a-3=0, (a+1)(a-3)=0
∴ a=3 (∵ a>0 ) 345
따라서 두 직선은 x+y+1=0, 3x-3y+b=0이고, 2x+y+1=0 y ㉠, x-y+2=0 y㉡

두 직선의 교점이 (-2, c)이므로 ax-y=0 y㉢


-2+c+1=0, -6-3c+b=0 Ú 세 직선이 모두 평행한 경우

∴ c=1, b=9 두 직선 ㉠, ㉡은 평행하지 않으므로 세 직선이 모


∴ a+b+c=3+9+1=13 13 두 평행하지는 않다.
Û 세 직선 중 두 직선이 평행한 경우
두 직선 ㉠, ㉢이 서로 평행하면
343 ;2A;=
-1
+;1); ∴ a=-2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1
-4-2 두 직선 ㉡, ㉢이 서로 평행하면
=-1
5-(-1) -1
;1A;= +;2); ∴ a=1
즉, ABÓ의 수직이등분선의 기울기는 1이다. -1
ABÓ의 중점의 좌표는 Ü 세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경우
㉠, ㉡을 연립하여 풀면 x=-1, y=1이므로 직
{ }, 즉 (2, -1)
-1+5 2-4
,
2 2 선 ㉢이 두 직선 ㉠, ㉡의 교점 (-1, 1)을 지나야
따라서 기울기가 1이고 점 (2, -1)을 지나는 직선의 한다.
방정식은 즉, -a-1=0 ∴ a=-1
y-(-1)=1_(x-2) ∴ y=x-3 Ú ~ Ü에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이 직선이 점 (a, -2)를 지나므로 -2+1+(-1)=-2 -2
-2=a-3 ∴ a=1 1

346
344 ⑴
|2_(-1)-1_4+1|
=
5
='5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Ã2Û`+(-1)Û` '5
|3_3+4_(-2)-2|
8-(-4)
=
12 ⑵ =;5!;
a-(-5) a+5 "Ã3Û`+4Û`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3
|4_(-5)-3_3+4|
=:ª5°:=5
⑷ 주어진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Ã4Û`+(-3)Û` 거리는 직선 x-2y+1=0 위의 한 점 (-1, 0)과
⑷ 점 (2, -6)과 직선 y=3x-2, 즉 직선 2x-4y-3=0 사이의 거리와 같다.
3x-y-2=0 사이의 거리는 |2_(-1)-4_0-3| 5 '5
∴ = =
|3_2-1_(-6)-2|
=
10
='1Œ0 "Ã2Û`+(-4)Û` 2'5 2
"Ã3Û`+(-1)Û` '1Œ0 '1Œ0 '5
⑴'5 ⑵  ⑶1 ⑷
2 2
⑴'5 ⑵;5!; ⑶5 ⑷'1Œ0

349
347 점 (1, a)와 직선 3x+y-5=0 사이의 거리가 '¶10
|-13| 13 이므로
⑴ = ='1Œ3
"Ã2Û`+3Û` '1Œ3
|3+a-5|
='¶10, |a-2|=10

|10|
=
10
='1Œ0 "Ã3Û`+1Û`
"Ã3Û`+(-1)Û` '1Œ0
a-2=Ñ10 ∴ a=-8 또는 a=12
|-5| 5 '5
⑶ = = 그런데 점 (1, a)는 제 1 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a>0
"Ã2Û`+(-4)Û` 2'5 2
따라서 구하는 a의 값은 12이다. 12
⑷ 원점과 직선 y=2x-4, 즉 2x-y-4=0 사이의
거리는
|-4|
=
4
=
4'5 350
"Ã2Û`+(-1)Û` '5 5
3
'5 4'5 직선 3x+4y-2=0, 즉 y=- x+;2!;에 수직인 직
⑴'1Œ3 ⑵'1Œ0 ⑶  ⑷ 4
2 5
4
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3
4
y= x+k, 즉 4x-3y+3k=0으로 놓을 수 있다.
348 3
⑴ 주어진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가 ;5&;이므로
거리는 직선 2x-y+2=0 위의 한 점 (0, 2)와
|3k|
=;5&;, |3k|=7
직선 2x-y-3=0 사이의 거리와 같다. "Ã4Û`+(-3)Û`
|2_0-1_2-3| 5
∴ =
'5
='5 3k=Ñ7 ∴ k=-;3&; 또는 k=;3&;
"Ã2Û`+(-1)Û`
⑵ 주어진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거리는 직선 x+3y-1=0 위의 한 점 (1, 0)과 직 4x-3y-7=0 또는 4x-3y+7=0
선 x+3y+4=0 사이의 거리와 같다. 4x-3y-7=0,4x-3y+7=0
|1_1+3_0+4| 5 '1Œ0
∴ = =
"Ã1Û`+3Û` '1Œ0 2
⑶ 주어진 두 직선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사이의 351
거리는 직선 3x-4y=0 위의 한 점 (0, 0)과 직선 두 직선 x-y+1=0, x-2y+3=0의 교점을 지나
3x-4y+5=0 사이의 거리와 같다. 는 직선의 방정식은
|5| (x-y+1)+k(x-2y+3)=0`(k는 실수)
∴ =;5%;=1
"Ã3Û`+(-4)Û` ∴ (k+1)x-(2k+1)y+3k+1=0 yy ㉠

74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354

확인체크
원점과 직선 ㉠ 사이의 거리가 1이므로
|3k+1| 주어진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1
"Ã(k+1)Û`+(2k+1)Û`
;3#;=;a$;+
-5
∴ a=4
|3k+1|="Ã5kÛ`+6k+2 b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9kÛ`+6k+1=5kÛ`+6k+2 3x+4y-5=0 위의 한 점 (3, -1)과 직선
3x+4y+b=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4kÛ`=1 ∴ k=Ñ;2!;
|3_3+4_(-1)+b|
=3
Ú k=;2!; 을 ㉠에 대입하면 "Ã3Û`+4Û`
|b+5|=15, b+5=Ñ15
;2#;x-2y+;2%;=0 ∴ 3x-4y+5=0
∴ b=-20 (∵ b<0 ) a=4,b=-20
Û k=-;2!; 을 ㉠에 대입하면

;2!;x-;2!;=0 ∴ x=1 355


선분 AB의 길이는
Ú, Û에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ABÓ="Ã(-3-2)Û`+(6-2)Û`='4Œ1
3x-4y+5=0 또는 x=1
직선 AB의 방정식은
3x-4y+5=0,x=1
6-2 B(-3, 6)
y-2= (x-2)
-3-2
∴ 4x+5y-18=0
352 △OAB의 높이 h는 원점과
h A(2, 2)
두 직선 x+y-3=0, x+y+m=0 사이의 거리는 직선 AB 사이의 거리이므로
직선 x+y-3=0 위의 한 점 (0, 3)과 직선 |-18| 18 O(0, 0)
h= =
x+y+m=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Ã4Û`+5Û` '4Œ1
|3+m| 따라서 △OAB의 넓이는
=4'2, |3+m|=8
"Ã1Û`+1Û` ;2!;_ABÓ_h=;2!;_'4Œ1_
18
=9 9
3+m=Ñ8 ∴ m=5 (∵ m>0 ) 5 '4Œ1

356
353 선분 AB의 길이는
주어진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ABÓ="Ã(3-1)Û`+(-1-2)Û`='¶13
-1 12 직선 AB의 방정식은
;a#;= + ∴ a=-6 C(a, 4)
2 -4
-1-2
y-2= (x-1) A(1, 2)
따라서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3-1 h
3x-y+12=0 위의 한 점 (-4, 0)과 직선 ∴ 3x+2y-7=0
-6x+2y-4=0, 즉 3x-y+2=0 사이의 거리와 △ABC의 높이 h는 점
같으므로 C(a, 4)와 직선 AB 사이의 B(3, -1)

|3_(-4)-1_0+2| 10 거리이므로
= ='1Œ0
"Ã3Û`+(-1)Û` '1Œ 0 |3a+8-7| |3a+1|
h= =
 a=-6,거리:'1Œ0 "Ã3Û`+2Û` '1Œ3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5
이때 △ABC의 넓이가 8이므로 360
;2!;_ABÓ_h=;2!;_'¶13_
|3a+1| ⑴xÛ`+yÛ`=9
=8
'1Œ3
⑵(x-2)Û`+(y+3)Û`=16
|3a+1|=16, 3a+1=Ñ16
⑶(x+5)Û`+(y-1)Û`=5
∴ a=5 또는 a=-:Á3¦:

따라서 정수 a의 값은 5이다. 5 361


⑴ xÛ`+yÛ`-8x=0에서
(xÛ`-8x+16)+yÛ`=16
357 ∴ (x-4)Û`+yÛ`=16
두 직선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 P가 그리는 도형 따라서 중심의좌표는 (4, 0),반지름의길이는 4이
은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이다. 다.
각의 이등분선 위의 임의의 점을 P(x, y)라 하면 점 P ⑵ xÛ`+yÛ`+2x-4y-20=0에서
에서 두 직선 x+2y+3=0, 2x-y-5=0에 이르는 (xÛ`+2x+1)+(yÛ`-4y+4)=25
거리가 같으므로 ∴ (x+1)Û`+(y-2)Û`=25
|x+2y+3| |2x-y-5| 따라서 중심의좌표는 (-1, 2),반지름의길이는 5
=
"Ã1Û`+2Û` "Ã2Û`+(-1)Û`
이다.
|x+2y+3|=|2x-y-5|
⑶ xÛ`+yÛ`-6x+4y+12=0에서
x+2y+3=Ñ(2x-y-5)
(xÛ`-6x+9)+(yÛ`+4y+4)=1
∴ x-3y-8=0 또는 3x+y-2=0
∴ (x-3)Û`+(y+2)Û`=1
x-3y-8=0또는3x+y-2=0
따라서 중심의좌표는 (3, -2),반지름의길이는 1
이다.
풀이참조
358
각의 이등분선 위의 임의의 점을 P(x, y)라 하면 점
P에서 두 직선 x-3y+4=0, 3x-y-2=0에 이르
362
⑴(x+1)Û`+(y-3)Û`=9 
는 거리가 같으므로
⑵(x-3)Û`+(y-1)Û`=9
|x-3y+4| |3x-y-2|
=
"Ã1Û`+(-3)Û` "Ã3Û`+(-1)Û` ⑶(x-2)Û`+(y+2)Û`=4
|x-3y+4|=|3x-y-2|
x-3y+4=Ñ(3x-y-2) 363
∴ x+y-3=0 또는 2x-2y+1=0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기울기가 음수인 직선의 방정식은 x+y-3=0 (x-1)Û`+(y+2)Û`=rÛ` yy ㉠

이다. x+y-3=0 이 원이 점 (4, 2)를 지나므로


(4-1)Û`+(2+2)Û`=rÛ` ∴ rÛ`=25
rÛ`=25를 ㉠에 대입하면
359 (x-1)Û`+(y+2)Û`=25
⑴중심의좌표 :(0,0),반지름의길이 :'1Œ1 이 원이 점 (a, 1)을 지나므로
⑵중심의좌표 :(5,0),반지름의길이 :3 (a-1)Û`+(1+2)Û`=25, (a-1)Û`=16
⑶중심의좌표 :(-2,3),반지름의길이 :5 a-1=Ñ4 ∴ a=5 (∵ a>0) 5

76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364 366

확인체크
원 (x-a)Û`+(y-b)Û`=c의 중심을 C(a, b)라 하면 원의 중심이 직선 y=x+5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
점 C는 ABÓ의 중점이므로 의 좌표를 (a, a+5),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5-1 1+7 방정식은
a= =2, b= =4에서 C(2, 4)
2 2
(x-a)Û`+(y-a-5)Û`=rÛ`
또,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ACÓ의 길이와 같으므로
이 원이 두 점 (0, 0), (1, 2)를 지나므로
ACÓ="Ã(2-5)Û`+(4-1)Û`=3'2
(-a)Û`+(-a-5)Û`=rÛ`
따라서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 점으로 하는 원의
(1-a)Û`+(2-a-5)Û`=rÛ`
방정식은
∴ 2aÛ`+10a+25=rÛ`, 2aÛ`+4a+10=rÛ`
(x-2)Û`+(y-4)Û`=18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a=2, b=4, c=18이므로
a=-;2%;, rÛ`=:ª2°:
a+b+c=24 24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x+;2%;}Û`+{y-;2%;}Û`=:ª2°:

{x+;2%;}Û`+{y-;2%;}Û`=:ª2°:
365
원의 중심이 x축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0),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방정식은
(x-a)Û`+yÛ`=rÛ` 367
이 원이 두 점 (4, -3), (2, 3)을 지나므로 xÛ`+yÛ`+2x-4y-15+k=0에서
(4-a)Û`+9=rÛ`, (2-a)Û`+9=rÛ` (x+1)Û`+(y-2)Û`=20-k
∴ aÛ`-8a+25=rÛ`, aÛ`-4a+13=rÛ`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0¶-k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0¶-k=5
a=3, rÛ`=10 양변을 제곱하면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20-k=25 ∴ k=-5 -5
(x-3)Û`+yÛ`=10 (x-3)Û`+yÛ`=10
다른풀이 원의 중심의 좌표를 (a, 0)이라 하면 이
점에서 두 점 (4, -3), (2, 3)에 이르는 거리가 같으 368
므로 xÛ`+yÛ`-6x+ay+9=0에서
"Ã(a-4)Û`+3Û`="Ã(a-2)Û`+Ã(-3)Û`
(x-3)Û`+{y+;2A;}Û`=
aÛ`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4

aÛ`-8a+25=aÛ`-4a+13 이 원의 중심의 좌표가 {3, -;2A;}이므로


∴ a=3
3=b, -;2A;=-3 ∴ a=6, b=3
즉, 원의 중심의 좌표는 (3, 0)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¾Ð
이는 두 점 (3, 0), (4, -3)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aÛ`
이므로
4
"Ã(4-3)Û`+(-3)Û`='¶10
6Û`
r=¾Ð =3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4
(x-3)Û`+yÛ`=10 ∴ a+b+r=6+3+3=12 12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7
369 372
xÛ`+yÛ`-2(a+1)x+2ay+3aÛ`-2=0에서 xÛ`+yÛ`-8x+10y+k=0에서
{x-(a+1)}Û`+(y+a)Û`=-aÛ`+2a+3 (x-4)Û`+(y+5)Û`=41-k
이 방정식이 원을 나타내려면 이 원의 중심의 좌표가 (4, -5)이고 x축에 접하므로
-aÛ`+2a+3>0, aÛ`-2a-3<0 'Ä41-k=|-5|
(a+1)(a-3)<0 양변을 제곱하면
∴ -1<a<3 41-k=25 ∴ k=16 16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0이다. 0

373
370 원의 중심이 직선 y=x+2 위에 있으므로 원의 중심
구하는 원의 방정식을 xÛ`+yÛ`+Ax+By+C=0으 의 좌표를 (a, a+2)라 하면 반지름의 길이는 |a|이
로 놓으면 이 원이 점 (0, 0)을 지나므로 C=0 다. 즉, 이 원의 방정식은
즉, 원 xÛ`+yÛ`+Ax+By=0이 두 점 (-1, 2), (x-a)Û`+(y-a-2)Û`=aÛ`
(3, -1)을 지나므로 이 원이 점 (4, 4)를 지나므로
5-A+2B=0, 10+3A-B=0 (4-a)Û`+(4-a-2)Û`=aÛ`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Û`-12a+20=0,(a-2)(a-10)=0
A=-5, B=-5 ∴ a=2 또는 a=10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xÛ`+yÛ`-5x-5y=0 xÛ`+yÛ`-5x-5y=0 2+10=12 12

371 374
세 점 A(-3, 4), B(1, 0), C(3, 4)를 지나는 원의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r>0)라 하면 점 (-2, 1)
중심을 P(a, b)라 하면
을 지나고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는 원의 중심은
APÓ=BPÓ=CPÓ
제 2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원의 방정식은
APÓ=BPÓ에서 APÓ Û`=BPÓ Û`이므로
(x+r)Û`+(y-r)Û`=rÛ` Û 중심의 좌표 : (-r, r)
(a+3)Û`+(b-4)Û`=(a-1)Û`+bÛ`
이 원이 점 (-2, 1)을 지나므로
8a-8b+24=0
(-2+r)Û`+(1-r)Û`=rÛ`, rÛ`-6r+5=0
∴ a-b=-3 yy ㉠
(r-1)(r-5)=0
BPÓ=CPÓ에서 BPÓ Û`=CPÓ Û`이므로
∴ r=1 또는 r=5
(a-1)Û`+bÛ`=(a-3)Û`+(b-4)Û`
따라서 두 원의 중심의 좌표는 각각 (-1, 1), (-5, 5)
4a+8b-24=0
이므로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 a+2b=6 yy ㉡
"Ã(-5+1)Û`Ã+(5-1)Û`=4'2 4'2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3
따라서 원의 중심은 점 P(0, 3)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APÓ="Ã(0+3)Û`+(3-4)Û`='1Œ0 375
이므로 구하는 원의 넓이는 xÛ`+yÛ`+2ax+6y+7-b=0에서
p_('1Œ0)Û`=10p 10p (x+a)Û`+(y+3)Û`=aÛ`+b+2

78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따라서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1Œ0인

확인체크
이 원의 중심의 좌표가 (-a, -3)이고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므로 원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a|=|-3|="ÃaÛ`+b+2 p_('1Œ0)Û`=10p 10p
|-a|=|-3|에서 a=3 (∵ a>0)
|-3|="ÃaÛ`+b+2의 양변을 제곱하면
9=aÛ`+b+2
379
APÓ : BPÓ=3 : 2에서
a=3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2 APÓ=3 BPÓ ∴ 4 APÓ Û`=9 BPÓ Û`
9=9+b+2 ∴ b=-2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 a+b=3+(-2)=1 1
4{(x+2)Û`+yÛ`}=9{(x-3)Û`+yÛ`}
xÛ`+yÛ`-14x+13=0 ∴ (x-7)Û`+yÛ`=36
376
즉,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반 y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r>0)라 하면 x축과 y축에
지름의 길이가 6인 원이다. P
동시에 접하고 중심이 제 4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원의
6
이때 △PAB에서 ABÓ를 밑 A B
중심의 좌표는 (r, -r)이다.
-2 3 7 x
변으로 생각하면 오른쪽 그
이때 원의 중심 (r, -r)가 직선 x+3y+6=0 위에 O
림과 같이 △PAB의 넓이가
있으므로
최대가 될 때는 높이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을 때
r-3r+6=0 ∴ r=3
이다.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PAB의 넓이의 최댓값은
(x-3)Û`+(y+3)Û`=9
(x-3)Û`+(y+3)Û`=9 ;2!;_5_6=15 15

377
APÓ : BPÓ=3 : 2에서 380
2APÓ=3BPÓ ∴ 4APÓÛ`=9BPÓÛ`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xÛ`+yÛ`-2x+ky-4-(xÛ`+yÛ`-4x-2y+4)=0
4{(x-1)Û`+yÛ`}=9{(x-6)Û`+yÛ`} ∴ 2x+(k+2)y-8=0
xÛ`+yÛ`-20x+64=0 이 직선이 직선 y=3x+4, 즉 3x-y+4=0과 수직
∴ (x-10)Û`+yÛ`=36 이므로
따라서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6인 원 2_3+(k+2)_(-1)=0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길이는 ∴ k=4 4
2p_6=12p 12p

381
378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xÛ`+yÛ`-5+k(xÛ`+yÛ`-3x-y-4)=0 (k+-1)
APÓ Û`+BPÓ Û`=30에서
yy ㉠
xÛ`+(y+1)Û`+(x-2)Û`+(y-3)Û`=30
이 원이 원점을 지나므로
xÛ`+yÛ`-2x-2y-8=0
-5-4k=0 ∴ k=-;4%;
∴ (x-1)Û`+(y-1)Û`=10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79
k=-;4%;를 ㉠에 대입하면 |1-2-1| 2
CÕM=
Ó = ='2
"Ã1Û`+(-1)Û` '2
xÛ`+yÛ`-5-;4%;(xÛ`+yÛ`-3x-y-4)=0 또, CÕMÓ은 ABÓ를 수직이등분하므로 △ACM은 직각
4(xÛ`+yÛ`-5)-5(xÛ`+yÛ`-3x-y-4)=0 삼각형이다. 이때 CÕA=
Ó 2이므로
-xÛ`-yÛ`+15x+5y=0 Ó ÚÞCAÓ Û`-CMÓ Û`
AÕM=
∴ xÛ`+yÛ`-15x-5y=0 ="Ã2Û`-('2)Û`='2
xÛ`+yÛ`-15x-5y=0 따라서 구하는 공통인 현의 길이는
ABÓ=2AÕM=
Ó 2'2 2'2
382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384
xÛ`+yÛ`+ax-2ay+k(xÛ`+yÛ`-10x-8y+16)=0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k+-1) yy ㉠
xÛ`+yÛ`-5-(xÛ`+yÛ`+4x-3y+a)=0
이 원이 두 점 (0, 2), (3, 1)을 지나므로
∴ 4x-3y+a+5=0 yy ㉠
4-4a+4k=0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의 교점 A
∴ a-k=1 yy ㉡ M
을 각각 A, B라 하고, ABÓ의 중
10+a-12k=0 B
점을 M이라 하면 OMÓ의 길이는 O
∴ a-12k=-10 yy ㉢
원 xÛ`+yÛ`=5의 중심 O(0, 0)과
㉡, ㉢을 연립하여 풀면 a=2, k=1
직선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a=2, k=1을 ㉠에 대입하면
|a+5| |a+5|
OMÓ= = yy ㉡
xÛ`+yÛ`+2x-4y+(xÛ`+yÛ`-10x-8y+16)=0 "Ã4Û`+(-3)Û` 5
2xÛ`+2yÛ`-8x-12y+16=0 또, OMÓ은 ABÓ를 수직이등분하므로 △OAM은 직각
xÛ`+yÛ`-4x-6y+8=0 1
삼각형이다. 이때 AMÓ= ABÓ=1, OAÓ='5이므로
∴ (x-2)Û`+(y-3)Û`=5 2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OMÓ=ÚÞOAÓ Û`-AMÓ Û`="Ã('5)Û`-1Û`=2 yy ㉢
p_('5)Û`=5p 5p |a+5|
㉡, ㉢에서 =2, |a+5|=10
5
a+5=Ñ10 ∴ a=5 (∵ a>0) 5
383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Û`+yÛ`-2x-4y+1-(xÛ`+yÛ`-6x+5)=0 385
∴ x-y-1=0 yy ㉠ x+1,2xÛ`+2x-7,>,2
xÛ`+yÛ`-2x-4y+1=0에서
(x-1)Û`+(y-2)Û`=4 386
이므로 이 원의 중심을 C(1, 2)라 하자. ⑴ y=x-1을 xÛ`+yÛ`+3x=0에 대입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원의 교 A xÛ`+(x-1)Û`+3x=0
점을 각각 A, B라 하고, ABÓ ∴ 2xÛ`+x+1=0
C M
의 중점을 M이라 하면 CMÓ의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길이는 점 C와 직선 ㉠ 사이의 B D=1Û`-4_2_1=-7<0
거리와 같으므로 따라서 원과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80 Ⅲ. 도형의 방정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