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2

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 2022-11-09 오후 12:18:02


정답과 풀이

xÜ`+64=0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x+4)(xÛ`-4x+16)=0
x=-4 또는 x=2Ñ2'3i
  -4, 2Ñ2'3i
01 지수와 로그
04 (-3)Ý`의 네제곱근을 x라 하면
본문 7~9쪽 xÝ`=(-3)Ý`=81이므로
개념 확인하기
xÝ`-81=0
'3
01 Ñ3i 02 ;5!;, -;1Á0;Ñ 10
i 03 -4, 2Ñ2'3i (xÛ`-9)(xÛ`+9)=0
x=Ñ3 또는 x=Ñ3i
04 Ñ3, Ñ3i 05 3 06 -;2#; 07 Ñ5   Ñ3, Ñ3i
08 존재하지 않는다. 09 3 10 2 11 -4
12 0.2 13 -27 14 2 15 3 16 2
05 27의 세제곱근을 x라 하면
xÜ`=27이므로 실수인 세제곱근은
17 1 18 1 19 ;2Á7; 20 16 21 4'¶64 x=3
 3
1
22 '8
6 23 ;9@; 24 32 25 ;;Á5¤;; 26 9

27 ;a!; 28 ab 29 625 30 33'3 31 22'2


06 -;;ª8¦;;의 세제곱근을 x라 하면
xÜ`=-;;ª8¦;;이므로 실수인 세제곱근은
32 a12 33 a2b'6 34 2=log5`25
35 -3=log0.2`125 36 ;2!;=log64`8 x=-;2#;

 -;2#;
37 0=log3 1 38 327 39 ;1Á6; 40 3 

41 5'3 42 x>1 43 x>-3, x+-2 44 0<x<2 07 (-5)Ý`의 네제곱근을 x라 하면


xÝ`=(-5)Ý`=625이므로 실수인 네제곱근은
45 0<x<2, x+1 46 2 47 4 48 2
x=Ñ5
49 ;1»0; 50 a+2b 51 3a-2b 52 1+;;ªaõ;;   Ñ5
2a
53 2a+b 54 ;3$; 55 1 56 -;5@; 57 7 08 -16의 네제곱근을 x라 하면
xÝ`=-16을 만족시키는 실수 x는 없으므로
58 2'3 59 20 60 8 61 4 62 ;4#; -16의 네제곱근은 존재하지 않는다.
63 -2 64 1 65 3 66 -1 67 1.7251   존재하지 않는다.
68 2.7251 69 -0.2749 70 -1.2749
09 '¶81=4"3Ý`=3
4

 3
01 -9의 제곱근을 x라 하면
xÛ`=-9이므로 10 "(-2)ß`=6"2ß`=2
6

x=Ñ3i  2
  Ñ3i
11 "(-4)à`=7"-4à`=-4
7

  -4
02 0.008의 세제곱근을 x라 하면
xÜ`=0.008이므로
12 'Ä0.008=3"0.2Ü`=0.2
3

xÜ`-0.008=0   0.2
125xÜ`-1=0
(5x-1)(25xÛ`+5x+1)=0 13 { "Ã(-3)Ü` }Þ`=(-3)Ü`=-27
5

'3   -27
x=;5!; 또는 x=-;1Á0;Ñ i
10
  ;5!;, -;1Á0;Ñ
'3
i 14 ( '¶8)Û`= "2Ü`=2
6 3

10  2

03 -64의 세제곱근을 x라 하면 15 "9Ü`_6"3Û`=3"3Û`_3"3=3"3Ü`=3


9

xÜ`=-64이므로  3

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 2022-11-09 오후 12:18:03


16 ¿¹'¶64=6"2ß`=2 30 3 '¶12
3
_3'3=32'3_3'3=33'3
 2   33'3

17 7â`=1
 1 31 2 '¶32
_2'2Ö2'¶18=24'2+'2-3'2=22'2
  22'2

18 {-;3@;} =1
0

 1 32 (a 3'2 '8
) =a3'2_'8=a12
  a12
1
19 3 = =;2Á7;
-3
3Ü`
  ;2Á7; 1 ®É;1£0; '¶20 ®É;1£0;_20

33 (a '5
_b )'¶20=a '5 _b =aÛ`b'6
  aÛ`b'6
1
20 {-;4!;}
-2
= =16
{-;4!;} `
2

  16 34 5Û`=25에서 2=log `25 5

  2=log5`25
;4!;
21 64 =4'¶64
 4'¶64

35 (0.2) -3
=125에서 -3=log0.2`125
  -3=log0.2`125
-;6!; 1 1
22 8 = ;6!;`
=6
'8
8
;2!;
 
1
'8
6 36 64 =8에서 ;2!;=log64`8
  ;2!;=log64`8
;3!; ;3@;‌ ;3!; ;3@;
23 8 Ö27 =(2Ü`) Ö(3Ü`) =2Ö3Û`=;9@;
37 3 =1에서 0=log `1
0
3

  ;9@;   0=log3`1

;3@; ;4%;‌ ;4%;


24 (4_8 ) =(2Ý`) =2Þ`=32 38 log `x=27에서 x=3
3
27

  32   327

-;2%; -;2%;
25 25 ‌ (52) _(2Û`_5Û`)Û`=5-5_2Ý`_5Ý`
_100Û`=
39 log `x=-2에서 x=4
4
-2
=;1Á6;
=5 _2Ý`=;;Á5¤;;
-1

  ;1Á6;
  ;;Á5¤;;

;4%; ;2!; ;2%;-2+;2#; 40 log `9=2에서 xÛ`=9, x=Ñ3


26 (3
x
)Û`Ö(3 )Ý`_'¶27‌=3 =3Û`=9
밑의 조건에서 x>0이므로
 9
x=3
 3
;3@; ;2!;‌ ;3@;-2-;3@; ;2!;
27 (3"aÛ`_a-2Öa ) =(a ) =a-1=;a!;

  ;a!; 41 log `3=5에서 x =3


x
5

x=5'3
;3$; ;2!; ;5@; ;5!; ;3@; ;5$; ;3!;   5'3
28 (5"aÛ`_b ) _(a _6'b)Û`=
‌ a _b _a _b =ab
  ab
42 진수의 조건에서 x-1>0이므로
29 (5'2)'8=5'¶16=5Ý`=625 x>1
  625   x>1

정답과 풀이 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 2022-11-09 오후 12:18:03


43 밑의 조건에서 x+3>0, x+3+1이므로 53 log 12 `4‌=
log5`4
log5`12
x>-3, x+-2
  x>-3, x+-2 2 log5`2
=
2 log5`2+log5`3
2a
44 진수의 조건에서 -xÛ`+2x>0이므로 =
2a+b
x(x-2)<0 2a
 
0<x<2 2a+b
  0<x<2
2 log3`2 2 log3`5
54 log `4_log `25‌=
5 8
log3`5
_
3 log3`2
45 ‌밑의 조건은 x>0, x+1이고
진수의 조건은 -2x+4>0에서 x<2이므로 =;3$;
0<x<2, x+1
  ;3$;
  0<x<2, x+1

log10`3 log10`7 2 log10`2


46 log `16-log `1‌=2 log `4-0=2
4 3 4 55 log `3_log `7_log `4‌= log
2 9 7
10`2
_
2 log10`3
_
log10`7
 2
=1

 1
47 2 log `9+log `25-log `4=2_2+2-2=4
3 5 2

 4
;5@;
56 log ;1Á0;
`5'¶100‌=-log10`10 =-;5@;`log10`10
;2!;
48 log `6+;2!; log `;4(;‌=log `6+log£`{;4(;}
3 3 3
=-;5@;

=log3`6+log£`;2#;
  -;5@;

=log3`{6_;2#;}=log3`9

=2 57 2 logª`5
+3log£`2‌=5+2
=7
 2
 7

;5@; ;2!;
49 log `5'¶100+2 log3`4'3‌=log10`10 +log3`3 =;5@;+;2!; 58 2 log¢`3
10 +3log£`'3‌=2logª`'3+3log£`'3
='3+'3=2'3
=;1»0;   2'3

  ;1»0;
59 2 logª`4+logª`5‌
=2logª`4_2logª`5
=4_5=20
50 log `18‌=log `2+2 log `3
5 5 5
  20
=a+2b
  a+2b
60 (2 log£`4+log£`2 logª`3
) =2logª`3_log£`4+logª`3_log£`2
=(2logª`3)log£`4_(2logª`3)log£`2
51 log5`;9*;‌=log5`2Ü`-log5`3Û`=3 log5`2-2 log5`3 ‌
=3log£`4_3log£`2
=3a-2b =4_2=8
  3a-2b  8

52 log `18‌=log `2+2 log `3


2 2 2 61 log`10000=log`10Ý`=4 log`10=4
2 log5`3  4
=1+
log5`2
2b ;4#;
=1+
a 62 log` '¶1000=log`10
4
=;4#;`log`10=;4#;
2b
  1+   ;4#;
a

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 2022-11-09 오후 12:18:03


63 log`0.01‌=log`10 -2
유형 완성하기
본문 10~25쪽

=-2
  -2 01 ⑤ 02 ② 03 ④ 04 ④ 05 ①
06 ⑤ 07 ② 08 ⑤ 09 ③ 10 ②
64 log`5+log`2‌=log (5_2) 11 ① 12 ⑤ 13 3 14 ② 15 ①
=log`10 16 ⑤ 17 ② 18 ② 19 ④ 20 ①
=1 21 ③ 22 ⑤ 23 ① 24 ⑤ 25 ①
1

26 ③ 27 ④ 28 ③ 29 ② 30 ②
31 ⑤ 32 ① 33 ② 34 ① 35 ④
65 log`50+log`20‌=log (50_20) 36 ⑤ 37 ④ 38 ③ 39 5 40 ③
=log`10Ü` ‌
=3 41 ;3@; 42 ⑤ 43 ② 44 4 45 ④
 3
46 8 47 '3 48 ② 49 ④ 50 8
51 ④ 52 2 53 ⑤ 54 4 55 ④
66 log`;5!;-log`2‌=log`{;5!;Ö2} 56 ① 57 -3 58 ③ 59 ④ 60 -29
=log`10-1 1+b
61 ① 62 a 63 ② 64 ① 65 ②
=-1
3ab+1
  -1 66 ⑤ 67 ④ 68 ① 69 5 70 ab+a
3x
71 ③ 72 73 ④ 74 -7 75 ②
67 log`53.1‌=log(5.31_10) x+2y
=log`5.31+log`10 76 49 77 1639 78 ⑤ 79 ③ 80 ①
=0.7251+1 81 ② 82 ④ 83 ① 84 ② 85 ⑤
=1.7251
  1.7251
86 36 87 ;2!5&; 88 ① 89 130 90 ③
91 ② 92 0.00145 93 ③ 94 11억 3천 8백만 원
68 log`531‌=log (5.31_100) 95 ① 96 7.3
=log`5.31+log`100
-3'4(1Ñ'3i)
=0.7251+2
=2.7251
01 ① 4의 세제곱근은 '4 와 3
2
의 3개이다.

  2.7251 ② -'¶64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2이다.


③ n이 홀수일 때, 7의 n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1개이다.
④ n이 짝수일 때, -5의 n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69 log`0.531‌=log {5.31_;1Á0;} ⑤ 9의 네제곱근은 Ñ'3, Ñ'3i의 4개이다.
=log`5.31+log`;1Á0;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⑤
=0.7251-1
=-0.2749

  -0.2749 02 -8의 세제곱근을 x라 하면


x3=-8, x3+8=0

70 log`0.0531‌=log {5.31_;10!0;} (x+2)(x2-2x+4)=0


x=-2 또는 x=1Ñ'3i
=log`5.31+log`;10!0; ②

=0.7251-2
=-1.2749
  -1.2749 03 ① 네제곱근 16은 2이다.
② n이 홀수이고 a<0이면 n'a=-n'¶-a 이다.
③ -3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3'3 이다.
⑤ "Ã(-10)2의 제곱근은 Ñ'¶10 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④

정답과 풀이 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 2022-11-09 오후 12:18:03


04 ① "Ã(-1) =-13 3
10 A= '2= "Å2 = '¶16
3 12 4 12

② 2"Ã3'2=6'2 B=4'3=12"Å33=12'¶27
③ 3'2_5'2=15"28 C=6'5=12"Å52=12'¶25
⑤ 2'3_5'3=10"37 따라서 대소 관계는 A<C<B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②
④
11 A= "'2¶ 0= '¶203 6

B="Ã2`3'3=Á¢3"Ã3_2Ü`=6'¶24
05 '4_3'¶54_3'2‌=3'2_3_3'2_3'2
6

=6 C=4"Ã3'¶625=4¿¹3"Å54=3¿¹4"Å54=3'5=6'¶25

① 따라서 대소 관계는 A<B<C이다.


①

7 8 '4 _67 8 4'2 =47 8 '4 _67 8 "2Ý`


6 3 6 12

06 4
'2 6
'8 12
"2Ü` "(2Ü`)Ü` 12 '2< '¶2n< '7에서 6 4

12
"Å2ß`< "(2n) <12"Å73 이므로
12 2

= 7 8®;2!;_ 79 ¾Ð 5
1
2ß`<(2n)2<73
4 6 6 12

2
8<2n<'¶343
=24®;2!;_72¾Ð
1
25 182<343<192이므로
1 72 1 8<2nÉ18
=72¾Ð _ ¾Ð 5
23 2 4<nÉ9
1
= ¾Ð 8
72 따라서 자연수 n의 개수는 5, 6, 7, 8, 9의 5이다.
2
⑤
1
=9¾
2
⑤ 13 aß`_(a ) 2 -4
Öa-5=aß`_a-8Öa-5=a6+(-8)-(-5)=a3
따라서 m=3
3
07 ÚÝ ¿¹a"Ãa
3 n+1
=ÚÝ3¿¹"a
à n+3=12"Ãan+3=5"a3이므로
"Ãa5n+15=60"Ãa36
60 2 -6‌
Ö[{;2!;} ] =-215_2-2Ö212
14 {(-2) } _2 3 5 -2

5n+15=36, 5n=21
=-215+(-2)-12
따라서 n=;;ª5Á;;
=-2
②  ②

"Åb3 6
-6

"a3bÖ¾Ð
a4 6 15 (a ) _{;bA;} Ö(a-2b3)2‌=a-3n_a-6_bß`Öa-4Öbß`
08 3 _ 'b=a` 'b_ _ 'b
n -3
3 3
b a2
=a-3n-2
"b_b"b_6"b 3
= a-3n-2=1이므로
a
b_6"b2_6"b3_6"b -3n-2=0
=
a
따라서 n=-;3@;
b2
= ①
a
⑤
;3!; ;6!; ;3!;+;6!; ;2!;
16 ① 5 _5 =5 =5 ='5
3
ÚÝa`5¿¹a` 4"a4 ÚÝa`5¿¹4"a8
3
¿¹a`20"a8
3

09 ② {;12$5;} _{;62$5;} = 4Û` _ 4ÑÛ` = 1 =25


2 -2
= = 5 6 4
ÚÝa` ¿¹a "a
5 3 2 5
ÚÝa` ¿¹"a
3
 4
¿¹a` "a (5Ü`)Û` (5Ý`)ÑÛ` 5ÑÛ`

¿¹ "a28
3 20
"a28
60
③ 3 _3
;4#; -;2!;
Ö3 =3
;4!; ;4#;-;2!;-;4!;
=3â`=1
= = 30 10
¿¹ "a
5 6 10
"a ;6!; -;6%;
④ ¿¹3'a Ö6®É 1 =a Öa =a
"a28
60
aÞ`
= 60 20 =60"a8
"a ;4#; 1 ;4#; ;4^; 1
⑤ a Öa1.5_ 4 =a Öa _ =;a!;
= "a15 2 '§a a
;4!;

따라서 m=15, n=2이므로 mn=30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③ ⑤

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 2022-11-09 오후 12:18:03


;2!; ;3!; ;6!; ;[!;
17 '5_ '¶10_ '¶80‌=5 3 6
_(2_5) _(24_5) 23 5 =3에서 5=3 x

;3!; ;3@; ;2!; ;3!; ;6!; -;]$;


=2 _2 _5 _5 _5 3-y=16에서 3=2
=2_5=10 ;[!; ;]!;‌ ;[!; -;]$;
9 +{;1Á6;} =(3 )2+2
②
=5Û`+3=28

;3!; ;4!; ;9!; ;1Á8; ;3!;+;4!;+;9!;+;1Á8; ;4#; ①


18 a=5 _5 _5 _5 =5 =5
;4#; ;3$;
따라서 3"Åa4=(5 ) =5 24 2 =6 =54 =k라 하면
x y z

;[!; ;]!;
②
2=k , 6=k 에서
;]!;-;[!;
3=k
;6!; ;3$;_;6!; ;9@;
19 ( "Å4 ) 3 2
=2 =2 이 어떤 자연수의 n제곱근이므로
54=33_2=k
;]#;-;[#;
_k =k
;[!; ;]#;-;[@;
이므로
;9@;
(2 )n이 자연수이기 위해서는 n이 9의 배수이어야 한다. ;z!;
54=k 에서
2ÉnÉ100이므로 가능한 n의 개수는 9, 18, 27, y, 99의 11이다.
;]#;-;[@; ;z!;
④ k =k
3x-2y
따라서 ;z!;=;]#;-;[@;= 이므로
xy

20 ¾Ð '¶'aa 'a =(a 3 Öa;2!;);2!;Ö(a;2!;Öa;m!;;);3!;


3 m m
Ö¾Ð
3 xy
'a
m z=
3x-2y
m
-;4!; ;6!;-
1 ⑤
=a 6 Öa 3m

m 1
+ -;1°2; ;1Á2;
=a 6 3m
=a -;n!;
30
30
25 (5
-
n
)30=5 이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 이 자연수이어
m 1 n
+ -;1°2;=;1Á2;
6 3m 야 하므로 n은 음수이고 |n|이 30의 약수이어야 한다.
m2-3m+2=0 따라서 정수 n의 개수는 -1, -2, -3, -5, -6, -10, -15, -30
(m-1)(m-2)=0 의 8이다.
따라서 m>1이므로 m=2이다. ①
①
-;n$; -;n*;
26 4 =2 이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n*;이 자연수이어야 하
21 (가)에서 (x ) =x 3 4 12
=z이므로
므로 n의 값은 음수이고 |n|이 8의 약수이어야 한다.
;1Á2;
x=z 이때 n의 값은 -1, -2, -4, -8이다.
;6!; ;2!; ;n#; 12
12
{;8Á1;} =3
-n
(나)에서 (y )3=y =x이므로 이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 가 자연수이어야 하므
n
;1Á2; ;6!;
y=xÛ`=(z )2=z 로 n은 음수이고 |n|이 12의 약수이어야 한다.
;1Á2; ;6!; ;4!; 이때 n의 값은 -1, -2, -3, -4, -6, -12이다.
xy=z _z =z
따라서 공통인 n의 값은 -1, -2, -4이므로 n의 값의 합은
따라서 m=4, n=1이므로
-1-2-4=-7
m+n=5
③
③

;4N;
1
27 4
"mn=m 에서
22 ① (2 -'3
) =;2!;
'3

n=1, n=3일 때, 가능한 m은 1, 16, 81이므로


3'2 '2
② ('5) =(5'5) 순서쌍 (m, n)은 6개이다.
'2
- n=2일 때, 가능한 m은 1, 4, 9, 16, 25, 36, 49, 64, 81이므로
③ (2'2_9 4
)2'2=24_9-1=;;Á9¤;;
순서쌍 (m, n)은 9개이다.
④ (2'2-2_4'2+1)'2=(2'2-2_22'2+2)'2=(23'2)'2=64 n=4일 때, 가능한 m은 1ÉmÉ81인 모든 자연수이므로
'2 '¶18-1 '2-3 '¶36-'2 '2-3 6-3 3
⑤ (a ) _a =a _a =a =a 순서쌍 (m, n)은 81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따라서 순서쌍 (m, n)의 개수는 6+9+81=96
⑤ ④

정답과 풀이 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 2022-11-09 오후 12:18:04


;2!; -;2!; (x+y)3=x3+y3+3xy(x+y)이므로
28 (x +x )2=x+x-1+2=5이므로
x+y=a라 하면
x+x-1=3에서 a3=20-6a, a3+6a-20=0
-1 2 2 -2
(x+x ) =x +x +2=9 (a-2)(a2+2a+10)=0  
2 -2
따라서 x +x =7 따라서 a=2이므로
 ③ x+y=2
②
;2!; ;2!; ;2!; ;2!; ;2!; ;2!;
29 ① (a +b )(a -b )=(a )2-(b )2=a-b

② (3'2-1)(3'4+3'2+1)=(3'2)3-13=2-1=1
34 a 2x
=3이므로
x -x
a +a a2x+1 3+1
;3!; ;3!; ;3@; ;3!; ;3!; ;3@; ;3!; ;3!; = =
③ (a -b )(a +a b +b )=(a ) -(b ) =a-b 3 3 ax-a-x a2x-1 3-1
;2!; -;2!; ;2!; -;2!; ;2!; -;2!; =;2$;=2
④ (a +a )2-(a -a )2=2a _2a =4
;4!; -;4!; ;4!; -;4!; ;2!; -;2!; ;2!; -;2!; ;2!; -;2!; ①
⑤ (3 -3 )(3 +3 )(3 +3 )‌=(3 -3 )(3 +3 )

=3-3-1=;3*;
35 5 4x
=2이므로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6x
5 +5 -2x
58x+1
=
 ② 52x-5-6x 54x-5-4x
4+1
= =;;Á3¼;;
2-;2!;
30 a+a -1
=3에서
④
(a+a ) =a3+3a+3a-1+a-3=27
-1 3

따라서 a3+a-3=27-3(a+a-1)=27-3_3=18
② ap+a-p aq+a-q
36 f(p)= a -a p -p =2, f(q)=
aq-a-q
=;2#;에서

a2p+1
;2{; ;2};
x+y =2이므로
a2p-1
31 (3 +3 )2=3x+3y+2_3
2
=3x+3y+6=36
a =3, ap='3
2p

따라서 3x+3y=30
a2q+1
=;2#;이므로
⑤ a2q-1
a2q=5, aq='5
따라서
1
32 {'§x+ '§x } =x+x
2
-1
+2=9에서
ap+q+a-p-q
f(p+q)=
x+x-1=7 ap+q-a-p-q
1
(x+x-1)2=x2+x-2+2=49에서 '¶15+
'¶15
x2+x-2=47 =
1
'¶15-
(x+x-1)3=x3+x-3+3(x+x-1)=343에서 '¶15
x3+x-3=343-21=322이므로 15+1
= =;7*;
x3+x-3 322 15-1
= =7
x +x-2-1 47-1
2
⑤
①

37 40 =4에서 x

33 x= "Ã10+6'3 에서 3
;[@;
40=2    yy ㉠
x3=10+6'3
5y=8에서
y=3"Ã10-6'3 에서
;]#;
y3=10-6'3 5=2 yy ㉡
3 3
x +y =(10+6'3)+(10-6'3)=20 ㉠Ö㉡을 하면
3 3‌ 3
x y =(xy) =(10+6'3)(10-6'3) ;[@;-;]#; ;[@;-;]#;
8=2 , 23=2 이므로
=100-108=-8
에서 ;[@;-;]#;=3

xy=-2 ④

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 2022-11-09 오후 12:18:04


38 3 =16에서 x
42 3 =15 =5 =k라 하면
x y z

;[$; ;[!; ;]!; ;z!;


3=2 yy ㉠ 3=k , 15=k , 5=k 에서

24y=;3Á2;에서 k
;[!;+;z!;
=k 이므로
;]!;

-;]%;
24=2    yy ㉡ ;[!;+;z!;=;]!;

㉠Ö㉡을 하면 xz
y=
x+z
;[$;+;]%; ;[$;+;]%;
;8!;=2 , 2-3=2 이므로 (x-7)(z-7)=49에서
xz
;[$;+;]%;=-3 xz-7x-7z=0, =7이므로
x+z
③ y=7
⑤
39 4 =5에서 x

;[!; Ma Ma 1
4=5 yy ㉠ 43 Ms
= 100 =
3 Ma 3100
이므로

20y=;2Á5;에서
1 ;5@;
r=350_{ } =350_3-40=310
-;]@;
3100
20=5    yy ㉡ 따라서 구하는 반지름의 길이는 310이다.
1
=125에서 ②
pz
-;z#;
yy ㉢ 77-65
p=5
44 K = 1
14
_1.0543=;1!4@;_1.0543
㉠Ö㉡Ö㉢을 하면
74-65
1 ;[!;+;]@;+;z#; K2= _1.0520=;1»4;_1.0520
=5 =5-2=;2Á5;이므로 14
5p
1.0523=3이므로
p=5

KÁ ;1!4@;_1.05
43
5
= =;3$;_1.0523=4
;1»4;_1.0520

40 2 =5 x 3y
=10에서
;[!; 4
2=10    yy ㉠
1
5=10
3y
yy ㉡ 45 1분마다 박테리아의 개수가 증가하는 비율을 x라 하면 박테리아
㉠_㉡을 하면 500개를 배양한지 30분 후 박테리아의 개수는 500_x30이 되고
1
+
x 3y
1 500_x30=108000
10=10 이므로
x30=216
1
;[!;+ =1 x10=6
3y
③ 따라서 박테리아 1000개를 20분 배양하였을 때 생기는 박테리아의 개
수는
41 4 =27 =6 =k라 하면 x y z
1000_x20=1000_(x10)2=1000_62=36000
;[!;
22=k yy ㉠ ④
;]!; ;]P;
33=k 에서 33p=k yy ㉡ 46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라 하면
;z!; ;z@;
6=k 에서 (2_3)Û`=k 정육면체의 부피는 x3=16=24이므로
;3$;
㉠_㉡을 하면 x=2

22_33p=k
;[!;+;]P;
색칠한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x이므로 정삼각형의 넓이는
'3 '3 2
;[!;+;]P;=;z@;이므로 4
_('2x)2=
2
x

;[!;+;]P; ;z@; ;3$;


k =k =22_32 x=2 을 대입하면
따라서 22_33p=22_32이므로 '3 ;3$; ;3%;
_(2 )2='3_2
2
p=;3@;
따라서 p=3, q=5이므로 p+q=8
 ;3@; 8

정답과 풀이 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 2022-11-09 오후 12:18:04


47 A지역에서 지면으로부터 10 m와 40 m인 높이에서 풍속이 각각 51 log `[log {log (log `x)}]=0에서
5 4 3 2

3`m/s와 9`m/s이므로 log4`{log3(log2`x)}=50=1


2
2 log3`(log2`x)=41=4
9=3_{;1$0);}
2-k
2-k
=3_4
log2`x=34=81
B지역에서 지면으로부터 30 m와 60 m인 높이에서 풍속이 각각 따라서 x=281
a`m/s와 b`m/s이므로 ④
2
2
b=a_{;3^0);}
2-k
2-k
=a_2
2 2 2
52 밑의 조건에서 x+3>0, x+3+1이므로
따라서 ;aB;=2
2-k
이고, 4
2-k
=3에서 2
2-k
='3 이므로 x>-3, x+-2   yy ㉠
진수의 조건에서 -x2-5x+6>0
;aB;='3 x2+5x-6<0, (x+6)(x-1)<0
 '3 -6<x<1 yy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3<x<-2, -2<x<1
;5$; 따라서 정수 x의 개수는 -1, 0의 2이다.
48 겉넓이가 '3_2 인 정사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라 하면 한
2
'3 2
면의 넓이가 x 이므로
4
'3 2
x _4='3_2
;5$;
53 밑의 조건에서 a-3>0, a-3+1이므로
4 a>3, a+4
;5@;
x=2 진수의 조건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2ax+8a>0이어야 하므
로 이차방정식 x2+2ax+8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정사면체의 부피)=(밑면의 넓이)_(높이)_;3!;에서
D
‌=a2-8a=a(a-8)<0
'3 ;5@; '3 ;5$; 4
(밑면의 넓이)= _(2 )2= _2 에서
4 4
'6 ;5@; 0<a<8
(높이)= _2 이므로
3 따라서 밑의 조건과 진수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정수 a의 값은 5,
'3 ;5$; '6 ;5@;
6, 7이므로 그 합은
(정사면체의 부피)= _2 _ _2 _;3!;
4 3
5+6+7=18
'2 ;5^;
⑤
= _2
12
'2 ;5!;
=
6
_2
54 밑의 조건에서 |x-3|>0, |x-3|+1이므로
② x+2, x+3, x+4
진수의 조건에서 12+4x-x2>0
(x+2)(x-6)<0
49 log'3`a=4에서 -2<x<6
a=('3)4=9 밑의 조건과 진수의 조건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구하는 정수 x의 개수
logb`6=;2!;에서 는 -1, 0, 1, 5의 4이다.
4
;2!;
6=b , b=36

따라서 ;aB;=;;£9¤;;=4 55 8 log ` '2=log `4, ;2!; log `32=log `4'2이므로


3
4
3 3 3

④ 8 log3`4'2+log3`'6-;2!; log3`32

=log3`4+log3`'6-log3`4'2
=log3`4+log3`'6-log3`4-log3`'2
50 x=log `(4-'¶15)이므로
5
4'6 '6
=log3` =log3`
5x=4-'¶15 4'2 '2
1
5-x= x =
1
=4+'¶15 =log3`'3
5 4-'¶15
따라서 5x+5-x=8 =;2!;

8 ④

1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 2022-11-09 오후 12:18:04


56 log 15 `a+log15`3b+log15`5c=log15`15abc 61 a>0, a+1이라 하면
log15`15abc=;2#;이므로 log2`3_log3`5_log5`7_log7`8
loga`3 loga`5 loga`7 loga`8
;2#; = _ _ _
15abc=15 loga`2 loga`3 loga`5 loga`7

따라서 abc='¶15 loga`8


= =log2`8
loga`2
①
=3
 ①

57 log {1-;2!;}+log {1-;3!;}+log {1-;4!;}+y


3 3 3
62 log `2=a이므로
5

+log3 {1-;;2Á7;} log2`5=;a!;

log5`15=1+log5`3=1+b
=log3`;2!;+log3`;3@;+log3`;4#;+y+log3`;2@7^;
log2`15
log5`15= 이므로
=log3 {;2!;_;3@;_;4#;_y_;2@7^;} log2`5
log2`15‌=log2`5_log5`15
=log3`;2Á7;=log3`3-3 1+b
=
a
=-3 log3`3
1+b
=-3  
a
 -3
loga`2a loga`8a
63 log `3_log `2a_log
7 a 2a `8a‌=log7`3_
loga`a
_
loga`2a
=log7`3_loga`8a
58 log `(b+c)+log `(b-c)=log `(b -c )=2에서
a a a
2 2

log7`3_loga`8a=log7`27이므로
b2-c2=a2, a2+c2=b2
양변에 log3`7을 곱하면
따라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빗변의 길이가 b인 직각삼각형이다.
loga`8a=log7`27_log3`7=log3`27=3
③
a3=8a이므로
a(a2-8)=0  

59 900=30 이므로 2 따라서 a>0이므로 a=2'2


x1x27=x2x26=x3x25=y=x13x15=30 이고 2 ②
x14=30이다.
log30`x1+log30`x2+log30`x3+y+log30`x27
64 9 =3a‌ 2a
=32`log£`5
=3log£`5Û`=52
=log30`x1x27+log30`x2x26+log30`x3x25+y
=25
+log30`x13x15+log30`x14
①
=log30`302_13+log30`30
=2_13+1 65 log `16+log `8-log
3 9 `4‌=4 log3`2+;2#; log3`2+2 log3`2
;3!;

=27
=;;Á2°;; log3`2
④
따라서 a=;;Á2°;;

60 log `;[};=log `y-log `x=log `27=3


3 3 3 3
②

ylog£`x=9'9에서 66 2 log `3-2 log5 ;5!;


`2-log5`6‌=log5`32+log5`22-log5`6

log3`ylog£`x=log3`x_log3`y=log3`9'9=;9@; =log5`6

log3`x=X, log3`y=Y라 하면 따라서 252 log°`3-2 log ;5!;


`2-log°`6‌
=52 log°`6=5log°`36=36
⑤
Y-X=3, XY=;9@;

(log3`x)3-(log3`y)3‌=X3-Y3 67 log `(log `4)+log `(log `5)+log `(log `6)+y


2 3 2 4 2 5

3 +log2`(log80`81)
=(X-Y) +3XY(X-Y)
=log2`(log3`4_log4`5_log5`6_y_log80`81)
=(-3)3+3_;9@;_(-3)
=log2`(log3`81)=log2`4
=-29 =2
 -29 ④

정답과 풀이 1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1 2022-11-09 오후 12:18:05


68 (3 logª`5+logª`3 log£`2
) =3logª`15_log£`2=(3log£`2)logª`15=15 73 40 =4에서
x

2(log£`2+log£`4)_logª`3=2log£`8_logª`3=(2logª`3)log£`8=8 x=2 log40`2, log40`2=;2{;


이므로
log2`40=;[@;
(3logª`5+logª`3)log£`2-2(log£`2+log£`4)_logª`3‌=15-8
=7 5y=32에서
① y=5 log5`2, log5`2=;5};

69 원점과 점 (2, log `a), 원점과 점 (5, log `b)를 잇는 직선의 기


3 9
log2`5=;]%;
울기가 같으므로
따라서 ;[@;-;]%;=log
‌ 2`40-log2`5=log2`8=3

log3`a log9`b log3`a ;2!; log3`b ④


= , =
2 5 2 5
log3`b
5 log3`a=log3`b, =5
log3`a
따라서 loga`b=5
74 a b =1의 양변에 밑이 b인 로그를 취하면
2 5

5 logb`a2b5=logb`1
2 logb`a+5=0  
70 log `5=a, log `2=b에서
3 5
logb`a=-;2%;
log3`5_log5`2=log3`2=ab

log10`24‌=
log3`24 logb`a4b3=4 logb`a+3=4_{-;2%;}+3
log3`10
=-7
3 log3`2+log3`3
=  -7
log3`2+log3`5
3ab+1
=
ab+a
3ab+1

ab+a 75 log `b =;3$; log `b이므로
aÜ`
4
a

loga`b+logaÜ``b4=;3&; loga`b=14에서
71 7 =4에서
x

loga`b=6
x=log7`4=2 log7`2이므로
따라서 b=aß`이므로
log7`2=;2{;
3b3
a8b+ 14 14 14
7y=27에서 a4 = a +3a = 4a =2
14 14
14 2 2
5a -3a b 5a -3a 2a14
y=log7`27=3 log7`3이므로
②
log7`3=;3};

log7`36 2 log7`2+2 log7`3


log12`36‌= =
log7`12 2  log7`2+log7`3
76 log `b : log `c=log `c : log `a=5 : 2에서
a b b c
x+;;ª3ÔÕ;; 1
3x+2y 2
(logb`c) =loga`b_logc`a=logc`b=
= = logb`c
x+;3}; 3x+y
(logb`c)3=1이므로
③ logb`c=1에서
b=c
72 ax=by=7에서 loga`b : logb`c=loga`b : 1=5 : 2이므로
x=loga`7, y=logb`7이므로
loga`b=;2%;
log7`a=;[!;, log7`b=;]!;
logb`c : logc`a=1 : logc`a=5 : 2이므로
;]#; logc`a=;5@;
3 log7`b
logaÛ`b`b3= =
log7`aÛ`b ;[@;+;]!;
따라서 loga`b+logb`c+logc`a=;2%;+1+;5@;=;1#0(;이므로
3x
= p=10, q=39에서
x+2y
3x p+q=49

x+2y  49

1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2 2022-11-09 오후 12:18:05


77 x =y =z =k라 하면
2 3 4
81 (log `'x) -3 log ` 'x-5=0을 정리하면
3
2
3
3

;2!;
x=k , y=k , z=k 이므로
;3!; ;4!;
;4!; (log3`x)2-log3`x-5=0

;6%; ;1¦2; ;4#; log3`x=t로 치환하면


xy=k , yz=k , zx=k
;4!; ;2!; ;3!; ;4!;t2-t-5=0, t2-4t-20=0
logxy`z+logyz`x+logzx`y‌=log `k +log `k +log `k ;6%; ;1¦2; ;4#;
k k k t2-4t-20=0의 두 근을 log3`a, log3`b라 하면
=;5^;_;4!;+;;Á7ª;;_;2!;+;3$;_;3!; log3`a+log3`b=4, log3`ab=4
ab=81
=;1£0;+;7^;+;9$;=;;Á6¼3¼0»;; 따라서 두 근의 곱은 ab와 같으므로 81이다.
따라서 p=630, q=1009이므로 ②
p+q=1639
 1639
82 A=log '2 `4=2_2_log2`2=4
1 -;2%;
B=log;3!;` =log3ÑÚ``3 =;2%;
"35
log'5`;2#; log°`;4(;
=;4(;
78 log `b=a, log `c=b, log `a=c라 하면
a b c
C=5 =5
abc=loga`b_logb`c_logc`a=1 따라서 대소 관계는 C<B<A이다.
조건 (가)에서 ④
loga`b3+logb`c3+logc`a3=3(a+b+c)=15이므로
a+b+c=5 83 A=5 log°`3
=3=log5`125

조건 (나)에서 1 1
B= + =log2`4+log5`6
log4`2 log6`5
logb`'a+logc`'b+loga`'c=;2!;{;Œ!;+;º!;+;¿!;} =2+log5`6=log5`25+log5`6

ab+bc+ca =log5`150
= =3  
2abc log3`50
C= =log5`50
이므로 log3`5

ab+bc+ca=6abc=6 따라서 대소 관계는 C<A<B이다.

따라서 ①

(loga`b)2+(logb`c)2+(logc`a)2
84 3
'¶64<3'¶67<3'¶125이므로
2 2 2
=a +b +c 4<A<5
=(a+b+c)2-2(ab+bc+ca) log10`1000<log10`1234<log10`10000이므로
=5Û`-2_6=13 3<B<4
⑤
C=3log£`5=5
따라서 대소 관계는 B<A<C이다.
②
79 log `a+log `b=6, log `a_log `b=2
5 5 5 5

loga`b+logb`a=
log5`b
+
log5`a 85 log `9=a+b이므로
2

log5`a log5`b 2 _2 =2a+b=2logª`9=9


a b

2 2
(log5`a) +(log5`b) ⑤
=
log5`a_log5`b

=
(log5`a+log5`b)2-2 log5`a_log5`b 86 log `5<log `16<log `25이므로
5 5 5
log5`a_log5`b a=1
62-2_2
=
2
=16 b=log5`16-1=log5`;;Á5¤;;
③ log°`;;Á5¤;;
5(4a+5b)‌=5(41+5 )=5_4+5_;;Á5¤;;

=20+16=36

80 a+b=6, ab=7이므로  36
log2`(a-1)+log2`(b-1)‌=log2 (ab-a-b+1)
=log2 (7-6+1)
87 log `3<log `5<log `9이므로
3 3 3

a=1
=log2`2=1
① b=log3`5-1=log3`;3%;

정답과 풀이 1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3 2022-11-09 오후 12:18:06


따라서 92 log`1.45-3=0.1614-3=-2.8386이므로
log£`;3%; -log£`;3%; log`1.45-3‌=log`1.45-log`103
3b+3-b 3 +3
= =log`(1.45Ö103)
3a+3-a 31+3-1
;3%;+;5#; ;1#5$; =log`0.00145
= = 따라서 구하는 x의 값은 0.00145이다.
3+;3!; ;1%5);
 0.00145
=;2!5&;

 ;2!5&;
93 ① log`27.1‌=log (2.71_10)=log`2.71+1
=0.4330+1=1.4330
② log`271‌=log (2.71_10Û`)=log`2.71+2
88 log `x -log ` '§x=2 log `x-;3!; log `x=;3%;`log `x
3
2
3
3
3 3 3
=0.4330+2=2.4330
1<x<27이므로
③ log`0.271‌=log`{2.71_;1Á0;}=log`2.71-1
0<log3`x<3, 0<;3%; log3`x<5
=0.4330-1=-0.5670
따라서 ;3%; log3`x의 값이 될 수 있는 정수는 1, 2, 3, 4이다. ④ log`0.0271‌=log`{2.71_
1
}=log`2.71-2
102
;5#; ;5^; ;5(; ;;Á5ª;;
이때 x의 값은 3 , 3 , 3 , 3 이므로 모든 x의 값의 곱은 =0.4330-2=-1.5670
;5#; ;5^; ;5(; ;;Á5ª;; ⑤ log`27100‌=log (2.71_10Ý`)=log`2.71+4
3 _3 _3 _3 =3ß`
=0.4330+4=4.4330
①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89 7 log `2=m`(m은 자연수)라 하면


n
③
m 7
7 m
n =2, n=2
n이 자연수이기 위해서는 m=1 또는 m=7이다.
94 이익의 5%를 세금으로 내므로 1년 후 자본금이 증가하는 비율은
1+0.2_0.95=1.19이다.
따라서 n=2 또는 n=128이므로 모든 n의 값의 합은
10년 후 자본금은 2_1.1910(억 원)이고,
2+128=130
log`1.1910‌=10 log`1.19=10_0.0755
 130
=0.7550=log`5.69
이므로
90 ;2!;<log 10 `a<;2(;에서
1.1910=5.69
;4!;<log10`'a<;4(;, ;2!;<;4!;+log10`'a<;2%;이므로 따라서 10년 후 자본금은
2_5.69=11.38(억 원)
;4!;+log10`'a의 값이 될 수 있는 자연수는 1, 2이다.
즉, 11억 3천 8백만 원이다.
;4!;+log10`'a=1일 때의 a의 값을 a1이라 하면  11억 3천 8백만 원

log10`a1=;2#;
95 V =4.86_(1010-810)
A
0.5
=4.86_2000.5

;4!;+log10`'a=2일 때의 a의 값을 a2라 하면 VB=4.86_(1010-930)0.5=4.86_800.5


;2!;
VA 4.86_2000.5
= 0.5 ={;2%;}
log10`a2=;2&; VB 4.86_80
;2!;‌
log10`a1a2=5, a1a2=105 log {;2%;} =;2!; log`;2%;=;2!; log`;;Á4¼;;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곱은 105이다.
 ③ =;2!;_(log`10-log`4)

91 log`25-log`12 =;2!;_(1-2 log`2)


=2 log`5-2 log`2-log`3
=;2!;_(1-2_0.3010)
=2 log`;;Á2¼;;-2 log`2-log`3
=0.1990=log`1.58
=2-2 log`2-2 log`2-log`3
;2!;‌
=2-4 log`2-log`3 따라서 {;2%;} =1.58이므로
=2-4_0.3010-0.4771 VA
=0.3189 =1.58
VB
② ①

1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4 2022-11-09 오후 12:18:06


96 2022년의 GDP를 A라 하면 2022년의 교육예산은 0.049A이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2027년의 GDP는 A(1.03)5이고, 교육예산을 매년 x %씩 증가시켰을 ➊ a+b, ab의 값을 구한 경우 20`%

때 2027년의 교육예산은 0.049A_{1+;10{0;} 이다.


5
a-3-b-3
➋ =2임을 이용하여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a-1-b-1
2027년에 교육예산이 GDP의 6 %가 되어야 하므로 ➌ 조건을 만족시키는 kÛ`의 값을 구한 경우 40`%
5
0.049A_{1+;10{0;}
_100=6
A(1.03)5
1 1 1 1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해 정리하면
02 5 1+'2
_5 '2+'3 _5 '3+'4 _y_5 '¶15+4
log`4.9+5 log`{1+;10{0;}=log`6+5 log`1.03 =5'2-1_5'3-'2_5'4-'3_y_54-'¶15 yy ➊
=5 ('2-1)+('3-'2)+('4-'3)+y+(4-'¶15)
 yy ➋
0.6902+5 log`{1+;10{0;}=0.7782+5_0.0128
3
=5
5 log`{1+;10{0;}=0.1520 =125 yy ➌
 125
log`{1+;10{0;}=0.030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10{0;=1.073 ➊ 지수의 분모를 유리화한 경우 30`%
'2-1 '3-'2 '4-'3 4-'¶15
x=7.3 5 _5 _5 _y_5
➋ ('2-1)+('3-'2)+('4-'3)+y+(4-'¶15)
40`%
 7.3 =5 임을 구한 경우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30`%

본문 26쪽
03 축소한 비율을 x라 하면 처음 도형과 7번 축소 복사한 도형의 닮
서술형 완성하기 음비는 1`:`x7이므로 yy ➊
3a+2b-3 넓이의 비는 1`:`x 이다.  14
yy ➋
01 1 02 125 03 70 04 a+b ;1Á4;
x14=;2!;, x={;2!;} 이므로
05 24 06 7일
;1÷4; 1 1
xn={;2!;} = =
;1÷4; 25
2
01 이차방정식 xÛ`-x+k=0의 두 실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1÷4;=5
관계에 의하여
a+b=1, ab=k yy ➊ 따라서 n=70 yy ➌
a -b
-3
(a -b )(a +a b +b )
-3 -1 -1 -2 -1 -1 -2
 70
=
a-1-b-1 a-1-b-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2+a-1b-1+b-2  
➊ 비율을 미지수로 나타내어 닮음비로 표현한 경우 30`%
1 1 1
= 2+ 2+ 30`%
a b ab ➋ 닮음비를 통해 넓이의 비를 구한 경우
2
(a+b) -2ab 1 ➌ n의 값을 구한 경우 40`%
= +
(ab)2 ab
1-2k
+;k!;
=
k2
1-k log`;12(5;
= 2 =2
k 04 log `;12(5;‌=
6
log`6
 yy ➊
2k2+k-1=0, (2k-1)(k+1)=0
2 log`3-3 log`5
=
k=;2!; 또는 k=-1 yy ➋ log`6
2 log`3-3(1-log`2)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  yy ➋
log`2+log`3
D=1-4k>0
2b-3(1-a)
=
k<;4!; a+b
3a+2b-3
따라서 k=-1이므로 =  yy ➌
a+b
kÛ`=1 yy ➌ 3a+2b-3

1 a+b

정답과 풀이 1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5 2022-11-09 오후 12:18:06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본문 27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밑의 변환 공식을 이용하여 log¤`;12(5;를 상용로그로
➊ 50`% 01 ④ 02 24 03 ⑤ 04 ①
나타낸 경우
➋ log`2, log`3에 대하여 정리한 경우 30`%
01 '2=a라 하면
5

➌ a,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20`%


1
x=;2!;{5'2- 5 }에서
'2
05 1000=2 _5 에서 양의 약수의 개수는 16이므로
3 3

x=;2!;{a-;a!;}
n=16  yy ➊
a2 1
1000의 양의 약수를 작은 수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x2= + 2 -;2!;
4 4a
a1, a2, a3, y, a16이므로
a2
"Ã1+x2=¾Ð
1
a1a16=a2a15=a3a14=y=a8a9=1000=103 yy ➋ + 2 +;2!;=;2!;{a+;a!;}
4 4a
log`a1+log`a2+log`a3+y+log`an
1
=log`a1a2a3_y_a16 4{(x+"Ã1+x2)10+(x-"Ã1+x2)10}=4{a10+ }
a10
=log`(103)8
a10=4이므로
=24 yy ➌
1
 24 4{a10+ }=4{4+;4!;}=17
a1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④

양의 약수의 개수가 16이므로 n=16임을 구한 경


➊ 20`%

서로 다른 약수를 적절하게 두 개씩 짝지은 곱이

1000이 됨을 구한 경우
50`% 02 조건 (가)에서 a, b는 2의 거듭제곱이므로
a=2m, b=2n (m, n은 자연수)라 하면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30`%
22m+11n=22022
2m+11n=2022
06 총 17일 중 맑은 날의 수를 a, 흐린 날의 수를 b라 하면 yy ➊ 이때 2m이 짝수이므로 n도 짝수이다.
a+b=17 yy ㉠ 조건 (나)에서 22m<24n, 2m<4n이므로

{;5$;} _{;5^;} =1 2m+11n<15n


a b
yy ➋
2022<15n
상용로그를 취하여 정리하면
n>;:^5&:$;
log {;5$;} +log {;5^;} =log`1
a b

또한 11n=2022-2mÉ2020이므로
a(2 log`2-1+log`2)+b(log`2+log`3-1+log`2)=0
nÉ;:@1)1@:);
a(3_0.3-1)+b(2_0.3+0.47-1)=0
-10a+7b=0 yy ㉡ 따라서 자연수 n은 ;:^5&:$;<nÉ;:@1)1@:);을 만족시키는 짝수이고
㉠, ㉡을 연립하면
134.8<nÉ183.63___에서
a=7, b=10 n=136, 138, y, 182이므로
따라서 맑은 날은 7일이다. yy ➌ 순서쌍 (a, b)의 개수는 24이다.
 7일  2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맑은 날과 흐린 날의 수를 미지수로 나타낸 경우 20`%

a+b=17, {;5$;} _{;5^;} =1을 구한 경우


a b
➋ 50`%
03 조건 (가)에서 log `162abc=10이므로
3

➌ 상용로그를 취하여 답을 제대로 구한 경우 30`% 2abc=3ß`


loga`2bc+logb`2ca+logc`2ab
36 36 36
=loga` +logb` +logc`
a b c
=6(loga`3+logb`3+logc`3)-3
=6_5-3
=27
⑤

1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6 2022-11-09 오후 12:18:07


04 36=2Û`_3Û`이므로 36의 양의 약수는
1, 3, 3Û`, 2, 2_3, 2_3Û`, 2Û`, 2Û`_3, 2Û`_3Û`이다.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 3Û`, 2Û`, 2Û`_3Û`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홀수이므로
f(1), f(3Û`), f(2Û`), f(2Û`_3Û`)은 홀수이고, 본문 29~33쪽
개념 확인하기
3, 2, 2_3, 2_3Û`, 2Û`_3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짝수이므로
f(3), f(2), f(2_3), f(2_3Û`), f(2Û`_3)은 짝수이다. 01 ㄴ, ㄹ 02 2 03 1 04 '2 05 ;8!;
따라서
06 ;4!; 07 8 08 0.04 09 1 10 5
(-1)f(aÁ)_log`aÁ+(-1)f(aª)_log`aª+y+(-1)f(a»)_log`a»
=-{log`1+log`3Û`+log`2Û`+log (2Û`_3Û`)} 11 25 12 5 13 25
+{log`3+log`2+log`(2_3)+log`(2_3Û`)+log`(2Û`_3)} 14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y=0
=log`
3_2_(2_3)_(2_3Û`)_(2Û`_3) 15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y=0
1_3Û`_2Û`_(2Û`_3Û`)
16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y=0
2Þ`_3Þ`
=log`
2Ý`_3Ý` 17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y=1
;3@; ;2!;
=log`6 18 5 <52 19 0.3 <0.3-1 20 3'4<4'8
이므로 M=6
21 {;7!;} >{;7!;} 22 0.52'2>{;2!;}
0.1 0.2 3

 ①
다른 풀이 23 y=3x-2 24 y=3x+1 25 y=-3x
36=1_36=2_18=3_12=4_9=6_6
26 y={;3!;} 27 y=-{;3!;}
x x

에서 36의 양의 약수는 1, 2, 3, 4, 6, 9, 12, 18, 36이고 이 중에서 양


의 약수가 홀수인 약수는 1, 2Û`, 3Û`, 2Û`_3Û`이므로 28 치역: {y|y>2}, 점근선의 방정식: y=2
(-1)f(aÁ)_log`aÁ+(-1)f(aª)_log`aª+y+(-1)f(a»)_log`a» 29 치역: {y|y<0}, 점근선의 방정식: y=0
=(log`aÁ+log`aª+y+log`a») 30 치역: [y|y>-;2!;], 점근선의 방정식: y=-;2!;
-2_{log`1+log`2Û`+log`3Û`+log`(2Û`_3Û`)}
=log (36Ý`_6)-log (2Û`_3Û`)Ý` 31 치역: [y|y<;2!;], 점근선의 방정식: y=;2!;
36Ý`_6
=log`
36Ý`
=log`6 32 최댓값: 25, 최솟값: ;5!; 33 최댓값: 9, 최솟값: ;2Á7;
따라서 M=6
34 최댓값: 4, 최솟값: ;4!; 35 최댓값: ;3@;, 최솟값: -8

36 {x|x>-3} 37 [x|x>;2!;]
38 y=log3`x 39 y=-log2`x+2
x
5
40 y= 2 41 y={;2!;} +1
x
42 1 43 2
44 0 45 -3 46 1 47 1 48 -1
49 -2 50 0 51 3 52 -1 53 2
54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x=0
55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x=0
56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x=2
57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x=0
58 log2`20<2 log2`5 59 log;3!;`7>3  log;3!;`2
60 log5`0.1<-1 61 log2`5>log4`16
62 정의역: {x|x>-2}, 점근선의 방정식: x=-2
63 정의역: [x|x>-;2!;], 점근선의 방정식: x=-;2!;
64 정의역: {x|x>0}, 점근선의 방정식: x=0
65 정의역: {x|x<1}, 점근선의 방정식: x=1
66 최댓값: 5, 최솟값: 0 67 최댓값: -1, 최솟값: -3
68 최댓값: 0, 최솟값: -3 69 최댓값: 1, 최솟값: -2

정답과 풀이 1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7 2022-11-09 오후 12:18:07


1
70 x=2 71 x=;3*; 72 x=-1 73 x=;4%; 11 f(-2)=0.2 -2
=
0.22
=25

74 x=1 또는 x=2 75 x=0 또는 x=-2   25

76 x=;2!; 77 x=-2 또는 x=2


1
78 x<-1 79 x¾-2 80 xÉ-;5!; 81 1<x<2 12 f(2)f(-3)=0.2Û`_0.2 -3
=0.2-1=
0.2
=5

 5
82 1ÉxÉ3 83 -2<x<-1
84 1<x<2 85 -1<x<1 또는 2<x<3
f(1) 0.21 1
86 x=;2&; 87 x=5 88 x=0 89 x=1 13 = =
f(3) 0.23 0.22
=25

  25
90 x=3 또는 x=9 91 x=1 또는 x=;8!;
92 x=3 93 x=4 94 x>4 95 x>5
14 y

96 ;3!;<xÉ2 97 ;3!;<x<1
(1, 3)

y=3Å`
98 ;4!;<x<8 99 0<xÉ3 또는 x¾9 1

100 1<x<4 101 1<x<3


O x

점근선의 방정식: y=0


01 지수함수는 y=a (a>0, a+1)의 꼴이어야 하므로 보기에서 지
x

 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y=0


수함수는 ㄴ, ㄹ이다.
  ㄴ, ㄹ

02 f(1)=2Ú`=2 15 (-1, 5) y

 2

03 f(0)=2â`=1 1
 1 y={;5!;}Å`

O x
;2!;
04 f {;2!;}=2 ='2 점근선의 방정식: y=0
  '2  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y=0

05 f(-3)=2 -3
=;8!;
16 y
y=3x-2
  ;8!;
(2, 1)

06 f(3)f(-5)=2Ü`_2 -5
=2 =;4!;
-2
;9!;
x
 ;4!;
O

점근선의 방정식: y=0
f(2) 22
07 =
f(-1) 2-1
=2Ü`=8  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y=0

 8

17 y

08 f(2)=0.2Û`=0.04 1

  0.04
O x

09 f(0)=0.2â`=1 (1, -1)


 1 y=-{;2!;} +1
-x

1
10 f(-1)=0.2 -1
=
0.2
=5 점근선의 방정식: y=1
 5  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y=1

1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8 2022-11-09 오후 12:18:08


18 (밑)=5>1이므로 ;3@;<2에서 29 함수 y=-2 x-3
의 그래프는 함수 y=2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
;3@;
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5 <5Û
치역은 {y|y<0}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y=0이다.
;3@;
  5 <5Û`   치역: { y|y<0}, 점근선의 방정식: y=0

19 0<(밑)=0.3<1이므로 ;2!;>-1에서 30 함수 y={;2!;}


-x+1
-;2!;={;2!;} -;2!;의 그래프는 함수
-(x-1)

;2!;
0.3 <0.3-1
y={;2!;} 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1
x

;2!;
  0.3 <0.3-1
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치역은 [y|y>-;2!;]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y=-;2!;이다.


;3@; ;4#;
20 '4=3"2Û`=2 , 4'8=4"2Ü`=2 이고,
3

(밑)=2>1이므로 ;3@;<;4#;에서
  치역: [y|y>-;2!;], 점근선의 방정식: y=-;2!;
'4<4'8
3

  3'4<4'8

31 함수 y=-{;2!;} +;2!;의 그래프는 함수 y={;2!;} 의 그래프를 x


x x

21 0<(밑)=;7!;<1이므로 0.1<0.2에서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7!;} >{;7!;}
0.1 0.2

치역은 [y|y<;2!;]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y=;2!;이다.


 {;7!;} >{;7!;}
0.1 0.2


  치역: [y|y<;2!;], 점근선의 방정식: y=;2!;

22 0<(밑)=0.5<1이므로 2'2<3에서
0.52'2>{;2!;}
3

32 -1ÉxÉ2일 때,
 0.52'2>{;2!;}
3
 5-1É5xÉ52이므로
최댓값은 5Û`=25이고,

최솟값은 5-1=;5!;이다.
23   y=3x-2

  최댓값: 25, 최솟값: ;5!;

24   y=3x+1

25   y=-3x 33 -2ÉxÉ3일 때,
{;3!;} É{;3!;} É{;3!;} 이므로
3 x -2

최댓값은 {;3!;} =9이고,


-2

26 y=3 ={;3!;}
x
-x

최솟값은 {;3!;} =;2Á7;이다.


3
 y={;3!;}
x


  최댓값: 9, 최솟값: ;2Á7;

27 y=-3 =-{;3!;}
x
-x

 y=-{;3!;}
x

34 -1ÉxÉ3일 때,
2-3+1É2-x+1É2-(-1)+1이므로

28 함수 y=2 +2의 그래프는 함수 y=2 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


x x
최댓값은 2-(-1)+1=4이고,
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최솟값은 2-3+1=;4!;이다.
치역은 { y|y>2}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y=2이다.
  치역: { y|y>2}, 점근선의 방정식: y=2   최댓값: 4, 최솟값: ;4!;

정답과 풀이 1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9 2022-11-09 오후 12:18:08


35 -2ÉxÉ1일 때, 45 f {;2Á7;}=log `;2Á7;=-3 log `3=-3
3 3

1 1 1
- -2 +1É- x +1É- 1 +1이므로   -3
3 3 3
1
최댓값은 - 1 +1=;3@;이고,
3 46 f(15)+f {;5!;}‌=log `15+log `;5!;
3 3
1
최솟값은 - -2 +1=-8이다.
3 =log3 {15_;5!;}
  최댓값: ;3@;, 최솟값: -8 =log3`3=1

 1
36 x+3>0이므로 x>-3에서
정의역은 {x|x>-3}이다.
  {x|x>-3}
47 f(12)-f(4)‌=log `12-log `4 3 3

=log3`;;Á4ª;;

37 2x-1>0이므로 x>;2!;에서 =log3`3=1

 1
정의역은 [x|x>;2!;]이다.

  [x|x>;2!;] 48 f(2)=log `2=-log;2!;`;2!;=-1


;2!;

  -1

38 x와 y를 서로 바꾸면
x=3y 49 f(4)=log `4=-2 log;2!;`;2!;=-2
;2!;

y=log3`x   -2
  y=log3`x

50 f(1)=log `1=0
;2!;

39 x와 y를 서로 바꾸면  0
x=2-y+2, -y+2=log2`x
y=-log2`x+2
  y=-log2`x+2
51 f {;8!;}=log ;2!;
`;8!;=3 log;2!;`;2!;=3

 3

40 x와 y를 서로 바꾸면 52 f(20)+f(0.1)‌=log `20+log;2!;`0.1


;2!;
x=log5`2y, 2y=5x
=log;2!; (20_0.1)
5x
y=
2 =log;2!;`2 =-1
5x
  y=
2   -1

41 x와 y를 서로 바꾸면 53 f(5)-f(20)‌=log ;2!;


`5-log;2!;`20

x=log;2!;(y-1), y-1={;2!;}
x
=log;2!;`;2°0;

y={;2!;} +1
x
=2 log;2!;`;2!;=2

 y={;2!;} +1
x
  2

42 f(3)=log `3=1
3
54 y
y=log2`x

 1 (2, 1)

43 f(9)=log `9=2 log `3=2


3 3 O 1 x

 2

44 f(1)=log `1=0
3 점근선의 방정식: x=0
 0  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x=0

2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0 2022-11-09 오후 12:18:09


55 y
y=log;4!;`x 63 함수 y=log ;3!;
(2x+1)=log;3!;`[2{x+;2!;}]의 그래프는 함수

y=log;3!;`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O 1 x 정의역은 [x|x>-;2!;]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x=-;2!;이다.


{2, -;2!;}
  정의역: [x|x>-;2!;], 점근선의 방정식: x=-;2!;

점근선의 방정식: x=0


 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x=0
64 함수 y=-log `3x의 그래프는 함수 y=log `3x의 그래프를 x
2 2

56 y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y=log5`(x-2) 정의역은 {x|x>0}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x=0이다.
  정의역: {x|x>0}, 점근선의 방정식: x=0
O 2 3 x

65 함수 y=-log ;3!;
(-x+1)=-log;3!; {-(x-1)}의 그래프는

함수 y=log;3!;`x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


점근선의 방정식: x=2
 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x=2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정의역은 {x|x<1}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x=1이다.

57 y   정의역: {x|x<1}, 점근선의 방정식: x=1

-1
O x 66 1ÉxÉ32일 때,
(-2, -1) log2`1Élog2`xÉlog2`32이므로
최댓값은 log2`32=5 log2`2=5이고,
y=-log2`(-x)
최솟값은 log2`1=0이다.
점근선의 방정식: x=0   최댓값: 5, 최솟값: 0
  풀이 참조, 점근선의 방정식: x=0

58 2 logª`5=logª`25이고 (밑)=2>1이므로 67 3ÉxÉ27일 때,


logª`20<2 logª`5 log;3!;`27Élog;3!;`xÉlog;3!;`3이므로
  logª`20<2 logª`5
최댓값은 log;3!;`3=-log;3!;`;3!;=-1이고,

59 3 log ;3!;
`2=log;3!;`8이고 0<(밑)=;3!;<1이므로 최솟값은 log;3!;`27=-3 log;3!;`;3!;=-3이다.

log;3!;`7>3 log;3!;`2   최댓값: -1, 최솟값: -3

  log;3!;`7>3 log;3!;`2

68 -2ÉxÉ5일 때,
-logª (5+3)É-logª (x+3)É-logª (-2+3)이므로
60 -1=log°`;5!;=log°`0.2이고 (밑)=5>1이므로 최댓값은 -logª (-2+3)=0이고,
log°`0.1<-1 최솟값은 -logª (5+3)=-3이다.
  log°`0.1<-1   최댓값: 0, 최솟값: -3

61 log `16=log
4 4Û`=log2`4이고 (밑)=2>1이므로
2Û``

log2`5>log4`16 69 -2ÉxÉ;9*;일 때,
  log2`5>log4`16
-log;3!; {-;9*;+1}É-log;3!; (-x+1)É-log;3!; {-(-2)+1}이므로

62 함수 y=log (x+2)의 그래프는 함수 y=log `x의 그래프를 x


2 2 최댓값은 -log;3!; {-(-2)+1}=1이고,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정의역은 {x|x>-2}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x=-2이다. 최솟값은 -log;3!; {-;9*;+1}=-2이다.

  정의역: {x|x>-2}, 점근선의 방정식: x=-2   최댓값: 1, 최솟값: -2

정답과 풀이 2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1 2022-11-09 오후 12:18:09


70 2 3x
=64에서 77 x x+2
=2x+2에서
3x 6
2 =2 , 3x=6 x+2=0 또는 x=2
x=2 x=-2 또는 x=2
  x=2   x=-2 또는 x=2

71 {;3!;}
2-x
=3'9에서 78 3 2x
<;9!;에서

;3@;
32x<3-2, 2x<-2
3 -(2-x)
=3 , -(2-x)=;3@; x<-1
 x<-1
x=;3*;


 x=;3*;
79 {;2!;} ¾{;2!;}
x 2x+2
 에서

xÉ2x+2

72 7_{;5!;}
2x+1
=35에서 x¾-2
  x¾-2
{;5!;}
2x+1
=5, -(2x+1)=1

2x=-2
80 3 x-1
¾272x에서
x=-1 x-1¾6x
  x=-1
xÉ-;5!;

1   xÉ-;5!;
73 3 1-2x
=
3'3
에서

1
, 1-2x=-;2#;
81 {;3@;} >{;2#;}
xÛ` -3x+2
31-2x= ;2#; 에서
3
2x=;2%; {;3@;} >{;3@;}
xÛ` 3x-2

x=;4%; xÛ`<3x-2
xÛ`-3x+2<0
  x=;4%; (x-1)(x-2)<0
1<x<2

74 2 2x
-6_2 +8=0에서 x   1<x<2

(2x-2)(2x-4)=0
2x=2 또는 2x=4 82 4 -10_2 +16É0에서
x x

x x
x=1 또는 x=2 (2 -2)(2 -8)É0
  x=1 또는 x=2 2É2xÉ8
1ÉxÉ3
  1ÉxÉ3
75 {;3!;} -10_{;3!;} +9=0에서
2x x

83 {;3!;} -12_{;3!;} +27<0에서


2x x

[{;3!;} -1][{;3!;} -9]=0


x x

[{;3!;} -3][{;3!;} -9]<0


x x

{;3!;} =1 또는 {;3!;} =9
x x

3<{;3!;} <9
x
x=0 또는 x=-2
  x=0 또는 x=-2
-2<x<-1
  -2<x<-1
76 3 2x-1
=42x-1에서
2x-1=0 84 3 2x-1
<27<3x+2에서
x=;2!; 2x-1<3<x+2
1<x<2
  x=;2!;   1<x<2

2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2 2022-11-09 오후 12:18:09


85 {;2!;}
2x+3
<{;2!;} <{;2!;}
xÛ` 3x-2
에서 91 (log `x)Û`+log `xÜ`=0에서
2 2

(log2`x)Û`+3 log2`x=0
2x+3>xÛ`>3x-2
log2`x (log2`x+3)=0
xÛ`-2x-3<0 그리고 xÛ`-3x+2>0
log2`x=0 또는 log2`x=-3
(x+1)(x-3)<0 그리고 (x-1)(x-2)>0
-1<x<1 또는 2<x<3 x=1 또는 x=;8!;
  -1<x<1 또는 2<x<3
  x=1 또는 x=;8!;

86 log£ (2x-4)=1에서 92 log (x-2)=log (x-2)에서


5 3

진수의 조건에 의해 x>2이고 x-2=1, x=3

2x-4=3Ú`   x=3

x=;2&; 93 log x+1 (x+2)=log2x-3 (x+2)에서


x+2=1, x=-1이면 밑의 조건에 맞지 않는다.
  x=;2&;
x+1=2x-3
x=4
  x=4
87 log ;2!;
(x-3)=-1에서

진수의 조건에 의해 x>3이고 94 log (2x+1)>2에서


3

x-3={;2!;}
-1 진수의 조건에 의해

2x+1>0, x>-;2!;
x=5
  x=5 2x+1>3Û 에서
x>4
  x>4
88 log;2!; (x+2)=log;4!;`(2x+4)에서

진수의 조건에 의해 x>-2이고


95 log ;5!;
`x<-1에서

진수의 조건에 의해 x>0


log;2!;`(x+2)=;2!; log;2!;`(2x+4)
x>{;5!;} 에서
-1

;2!;
x+2=(2x+4)
x>5
(x+2)Û`=2x+4
  x>5
x(x+2)=0
x=0 또는 x=-2 96 log (2x+1)¾¾log (3x-1)에서
3 3

x>-2이므로 해는 x=0이다. 진수의 조건에 의해 2x+1>0, 3x-1>0이므로


  x=0
x>;3!;

2x+1¾3x-1에서
89 2 log;3!; (x+2)=log;3!; (2x+7)에서 xÉ2

진수의 조건에 의해 x>-2이고 따라서 부등식의 해는 ;3!;<xÉ2


(x+2)Û`=2x+7
  ;3!;<xÉ2
(x+3)(x-1)=0
x=-3 또는 x=1
x>-2이므로 해는 x=1이다.
97 log ;2!;
2x<log;2!; (3x-1)에서

  x=1 진수의 조건에 의해 2x>0, 3x-1>0이므로

x>;3!;

90 (log `x)Û`-3  log `x+2=0에서


3 3
2x>3x-1에서
(log3`x-1)(log3`x-2)=0 x<1
log3`x=1 또는 log3`x=2 따라서 부등식의 해는 ;3!;<x<1
x=3 또는 x=9
  x=3 또는 x=9   ;3!;<x<1

정답과 풀이 2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3 2022-11-09 오후 12:18:10


98 진수의 조건에서 x>0이고 유형 완성하기
본문 34~52쪽

(log2`x)Û`-log2`x<6에서
(log2`x-3)(log2`x+2)<0
01 ④ 02 ③ 03 1<a<2 04 -4 05 ②
-2<log2`x<3 06 ④ 07 ① 08 -2 09 ⑤ 10 ;;¥4Á;;
따라서 ;4!;<x<8 11 ② 12 ① 13 ⑤ 14 ②
  ;4!;<x<8 15 a<aaŒ`<aa<a0.5a 16 ① 17 ;3P; 18 ④

19 ③ 20 ⑤ 21 1 22 ④ 23 ;9!;
99 진수의 조건에서 x>0이고
(log3`x)Û`-3 log3`x+2¾0에서 24 ② 25 ③ 26 4 27 ① 28 ④
(log3`x-1)(log3`x-2)¾0 29 ⑤ 30 6 31 ③ 32 ① 33 ㄴ
log3`xÉ1 또는 log3`x¾2 34 ④ 35 ③ 36 11 37 ④
따라서 0<xÉ3 또는 x¾9 38 ㄱ, ㄴ, ㄹ, ㅁ 39 12 40 6 41 ⑤
  0<xÉ3 또는 x¾9 42 10 43 ③ 44 ⑤ 45 ① 46 ①
47 ② 48 ③ 49 ② 50 ④ 51 1
100 진수의 조건에서 x>0, 5-x>0이므로 0<x<5이고 52 ⑤ 53 -2 54 log6`2 55 8 56 ①
log2`x+log2 (5-x)>2에서
57 25 58 ⑤ 59 4 60 ④ 61 ⑤
log2`x(5-x)>2
62 ④ 63 ⑤ 64 ① 65 ② 66 8
x(5-x)>4
(x-1)(x-4)<0
67 ③ 68 ② 69 ③ 70 ④ 71 ②
따라서 1<x<4 72 22 73 ③ 74 1 75 10시간 후
  1<x<4 76 x>2 77 ③ 78 -4ÉxÉ2 79 ③
80 ① 81 ;2#; 82 ② 83 ④
101 진수의 조건에서 x>0, 4-x>0이므로 0<x<4이고
84 x<0 또는 2+'3<x<4 85 ③ 86 ⑤
log;3!;`x+log;3!; (4-x)<-1에서
87 5장 88 ② 89 ② 90 0<k<;4!;
log;3!; x(4-x)<-1
91 ⑤ 92 ② 93 ④ 94 ③ 95 ①
x(4-x)>3
(x-1)(x-3)<0 96 x=;6!; 97 ② 98 245 99 ④ 100 ①
따라서 1<x<3 101 ③ 102 4 103 ② 104 ④
  1<x<3
105 1<xÉ81 106 0<xÉ;8!; 또는 x¾1
107 ① 108 ⑤ 109 ③
110 0<xÉ;62!~5; 또는 x¾5 111 ② 112 14
113 ③ 114 ②

01 ① 그래프가 항상 점 (0, 1)을 지난다.


② a>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도 증가한다.
0<a<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③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⑤ ‌함수 y=a-x의 그래프는 함수 y=ax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
칭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④

1 1
02 ㄱ. f(-x)‌=a ={;a!;} =
x
-x
=
ax f(x)
ㄴ. 3"Ãf(3x)=3"a3x=ax=f(x)

2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4 2022-11-09 오후 12:18:10


ㄷ. ‌f(x5)=axÞ`, {`f(x)}5=a5x이므로
5 5
09 평행이동시킨 그래프의 식은 y=3 x-m
+n이고, 두 점 (1, -6),
f(x )+{`f(x)} (2, 12)를 지나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31-m+n=-6   yy㉠
③ 32-m+n=12

03 y=(a -3a+3) 이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은 감소하려면


2 x 32-m-31-m=18, 3-m(32-3)=18
0<a2-3a+3<1 3-m=3
m=-1
a2-3a+3={a-;2#;} +;4#;
2

이를 ㉠에 대입하면
2
이므로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0<a -3a+3이 성립한다. 31-(-1)+n=-6
2
a -3a+3<1에서 n=-15
a2-3a+2<0, (a-1)(a-2)<0 따라서 mn=15
따라서 1<a<2 ⑤
  1<a<2

3{x+;3@;}
10 3 =27에서 x=3이므로
x

04 함수 y=25_5 3x
+6=5 +6의 그래프는 P(3, 27)
함수 y=5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6
3x
9x=32x=27에서 x=;2#;이므로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Q{;2#;, 27}
따라서 m=-;3@;, n=6이므로
PQÓ=3-;2#;=;2#;
mn=-4
  -4 따라서 삼각형 OPQ의 밑변의 길이는 ;2#;이고 높이는 27이므로 삼각형

x-;2!; OPQ의 넓이는


05 ㄱ. y='3_3 x-1
=3
;2!;_;2#;_27=;;¥4Á;;
9x x-;2!;
ㄴ. y= +1=9 +1
3
  ;;¥4Á;;
ㄷ. y=-9_3-x+2-1=-3-(x-4)-1
32x-1
=9x-1-;9!;
ㄹ. y=
9 11 10 =2에서 10
a 4a
=24
따라서 구하는 그래프의 식은 ㄱ, ㄷ이다. 10b=4에서 10b=22
② 10c=5에서 102c=52
104aÖ10b_102c=104a-b+2c이고
06 y=4_2 x+2
-3=2x+4-3이므로
104aÖ10b_102c=24Ö22_52=102이므로
m=-4, n=-3
4a-b+2c=2
따라서 m+n=-7
②
④

07 ㄱ. 함수 y={;9!;} 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


x
12 ABÓ=24이므로
27a-3a=24
의 식은 y=-{;9!;} 이다.
x
3a=t라 하면

ㄷ. 함수 y=-3-(x-1)+2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2이다. t3-t-24=0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t-3)(t2+3t+8)=0

t2+3t+8={t+;2#;} +;;ª4£;;>0이므로
2
①

08 함수 y=3 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


x
t=3, 즉 3a=3
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따라서 a=1
-(x-m)
y=3 +n이다.  ①
점근선의 방정식이 y=-3이므로
;2#; ;3@;
13 A="5 =5 , B={;5!;} =51, C=3'¶25=5
-1
n=-3 3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3@; ;2#;
0=3m-3, m=1 5>1이므로 5 <51<5
따라서 m+n=-2 따라서 C<B<A
 -2  ⑤

정답과 풀이 2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5 2022-11-09 오후 12:18:10


14 n이 자연수일 때 19 0<(밑)=;2!;<1이므로
n+1 n+2 1
=1+;n!;,
최댓값은 {;2!;} +2=4
=1+ 이고 -1
n n+1 n+1
1 1
0< < 이므로
최솟값은 {;2!;} +2=;4(;
2
n+1 n
n+2 n+1
1< < 이다.
n+1 n 따라서 M=4, m=;4(;이므로
따라서 a>1이므로 A<C<B
 ② Mm=4_;4(;=9

 ③

15 0<a<1이므로
20 y=2 _3-x=2k_{;3@;}
x
x+k
0.5a<a1<aa<a0
0.5a<a<aa<1 0<(밑)=;3@;<1이고 최댓값이 9이므로
따라서 a<aaŒ`<aa<a0.5a
2k_{;3@;} =2k_;4(;=9
-2

 a<aaŒ`<aa<a0.5a
2k=4, k=2

16 f(a)=4라 하면  ⑤
a
2 =4, a=2이므로
g(4)=2 21 a>1일 때, 함수 f(x)의 최댓값은 a , 최솟값은 a이므로 3

3 2
a =25a, a =25
f(b)=;2!;이라 하면 a>1이므로

2b=;2!;, b=-1이므로 a=5


0<a<1일 때, 함수 f(x)의 최댓값은 a, 최솟값은 a3이므로
g{;2!;}=-1
a=25a3, a2=;2Á5;
따라서 g(4)+g{;2!;}=1 0<a<1이므로
① a=;5!;

따라서 모든 양수 a의 값의 곱은
17 f(p)=q이므로 5_;5!;=1
ap=q
;3P;
 1
양변을 ;3!;제곱하면 a =3'q이므로

f {;3P;}=3'q 22 x -2x+3=(x-1) +2이므로


2 2

x2-2x+3의 최댓값은 x=-1일 때 6, 최솟값은 x=1일 때 2이다.


따라서 g( 'q)=;3P;
3

y=2-xÛ`+2x-3={;2!;}
xÛ`-2x+3
이고
  ;3P;
0<;2!;<1이므로

18 지수함수 y=a M={;2!;} =;4!;, m={;2!;} `=;6Á4;


2x+k 2 6
의 그래프와 역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은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M
따라서 =16
함수 y=a2x+k의 그래프는 두 점 {;2!;, ;2!;}, (1, 1)을 지난다. m
 ④
점 (1, 1)을 대입하면
a2+k=1에서 2+k=0
23 x -4x+2=(x-2) -2이므로
2 2

k=-2 2
0ÉxÉ3에서 x -4x+2의 최솟값은 x=2일 때 -2, 최댓값은 x=0
점 {;2!;, ;2!;}을 대입하면 일 때 2이다.
0<a<1이고 axÛ`-4x+2의 최댓값이 9이므로
a 1+k
=;2!;에서 a =;2!;
-1

a-2=9, a2=;9!;
a=2
0<a<1이므로
따라서 ak=2_(-2)=-4
 ④ a=;3!;

2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6 2022-11-09 오후 12:18:11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7 2 =t`(t>0)이라 하면
x

{;3!;} =;9!; 2ÉxÉ3에서 4ÉtÉ8이다.


2

y‌=4x-2x+2+k
  ;9!; =t2-4t+k
=(t-2)2+k-4
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t=8일 때 최댓값 36을 가지므로
24 y=a ={;a!;} ={;a!;}
xÛ`-2x-b (x-1)Û`-1-b
-xÛ`+2x+b
이고
32+k=36, k=4
2
-1ÉxÉ2에서 (x-1) -1-b의 최댓값은 x=-1일 때 3-b, 최 t=4일 때 최솟값 k를 가지므로
솟값은 x=1일 때 -1-b이다. 최솟값은 4이다.
 ①
0<;a!;<1이므로

{;a!;} 의 최댓값은 {;a!;}


(x-1)Û`-1-b -1-b
=ab+1,
28 3 +{;3!;} ¾2¾Ð3 _{;3!;} =2이고 등호는 x=0일 때 성립한다.
x x
x x

최솟값은 {;a!;}
3-b
=ab-3이다.
함수 y=3x+{;3!;} +2는 x=0일 때 최솟값 4를 가지므로
x

ab+1=32, ab-3=2이므로
ab+1 p=0, q=4
=;;£2ª;;, a4=16
ab-3 따라서 p+q=4
a>1이므로 a=2  ④
2b+1=32=25이므로 b=4
따라서 a+b=6
 ② 29 y=2 +2 x -x+4
¾2"Ã2x_2-x+4=8이고
등호는 2x=2-x+4, 즉 x=2일 때 성립한다.
함수 y=2x+2-x+4은 x=2일 때 최솟값 8을 가지므로
25 3 =t`(t>0)이라 하면
x

p=2, q=8
-2ÉxÉ1에서 ;9!;ÉtÉ3이다.
따라서 p+q=10
y‌=9x-3x+1  ⑤
=t2-t+1

={t-;2!;} +;4#;
2

30 2 +2 x -x
¾2"Ã2x_2-x=2
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t=3일 때 최댓값 7을 갖고, t=;2!;일 때 최솟값
x -x
2 +2 =t라 하면
4x+4-x=(2x+2-x)2-2이므로
;4#;을 갖는다.
y=6(2x+2-x)-3(4x+4-x)
따라서 7+;4#;=;;£4Á;;에서 p=4, q=31이므로 =6t-3(t2-2)
=-3t2+6t+6
p+q=35
=-3(t-1)2+9
 ③
따라서 t¾2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t=2에서 최댓값 6을 갖는다.
 6
26 2 -x
=t`(t>0)이라 하면

-1ÉxÉ2에서 ;4!;ÉtÉ2이다.

y=4 -2 -x 1-x
+3
31 ③ y=log ;a!;
;[!;=logaÑÚ``x-1=loga`x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2-x)2-2_2-x+3 서로 일치한다.
=t2-2t+3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t-1) +2 2  ③
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t=2일 때 최댓값 3을 갖고 이때 x의 값은
2-x=2, x=-1
t=1일 때 최솟값 2를 갖고 이때 x의 값은
32 f(9)=log ;3!;
`'9=-log3`3=-1
;2#;
2-x=1, x=0 f(27)=log;3!;`'¶27=-log3`3 =-;2#;
따라서 a=-1, b=3, c=0, d=2이므로
a+b+c+d=4 따라서 f(9)-f(27)=-1-{-;2#;}=;2!;

 4  ①

정답과 풀이 2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7 2022-11-09 오후 12:18:11


33 ㄱ. a>1이다. 37 y
y=log¢ (x+8)
ㄴ. ‌두 함수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C
대칭이다. A E D
y=log¢ x
B
ㄷ. ‌A는 함수 y=ax의 그래프이고, B는 함수 y=loga`x의 그래프이
O x
다.
ㄹ. ‌함수 y=ax의 그래프는 점 (0, 1)을, 함수 y=loga`x의 그래프는 선분 CD의 연장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을 E라 하자.
점 (1, 0)을 지난다. log4`(0+8)=;2#;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ㄴ 점 A의 y좌표는 ;2#;이다.

;2#;=log4`x에서 x=8이므로
1 점 B의 x좌표는 8이다.
34 ① 함수 y=log `
;3!; x-2
=log3`(x-2)의 그래프는 함수
log4`(8+8)=2이므로
y=log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점 C의 y좌표는 2이다.
② ‌함수 y=log3`(4x+5)=log3`4{x+;4%;}=log3`{x+;4%;}+log3`4의 함수 y=log4`(x+8)의 그래프는 함수 y=log4`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8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빗금 친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다.
‌그래프는 함수 y=log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사각형 ABCE의 넓이와 같으므로
축의 방향으로 log3`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8_{2-;2#;}=4
③ ‌함수 y=log3`x의 그래프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④
y=3x이고, 이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y=3x+2
이다.
38 ㄱ. 함수 y=log `x +3=log `x+3의 그래프는 함수 y=log `x
4
2
2 2

④ 함수 y=log3`3'§x=;3!;`log3`x의 그래프는 함수 y=log3`x의 그래프 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ㄴ. ‌함수 y=log;2!;`2x=-log2`2x=-log2`x-1의 그래프는 함수
를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하여 겹칠 수 없다.
y=log2`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
⑤ ‌함수 y=log'3`'Ä3x-2 =log3`3{x-;3@;}=log3`{x-;3@;}+1의 그
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래프는 함수 y=log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ㄷ. ‌함수 y=22x-3=4x-3의 그래프는 함수 y=log4`x의 그래프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겹칠 수 없는 것은 ④이다.
ㄹ. ‌함수 y=3_2x+1-2=2x+1+logª`3-2의 그래프는 함수 y=log2`x
 ④
의 그래프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1-log2`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35 ㄱ. 0<(밑)<1이므로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ㅁ. ‌함수 y={;2!;} +1=2-x+1의 그래프는 함수 y=log2`x의 그래프를
x

ㄷ. ‌함수 y=log0.5`(x+2)-3=-log2`(x+2)-3의 그래프는 함수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고 y
y=log2`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
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ㄹ. log0.5`3-3+0이므로 점 (1, 0)을 지나지 않는다. ㅂ. ‌함수 y=log2`'Äx-1=;2!; log2 (x-1)의 그래프는 함수 y=log2`x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의 그래프를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하여 겹칠 수 없다.
 ③
따라서 겹칠 수 있는 것은 ㄱ, ㄴ, ㄹ, ㅁ이다.
  ㄱ, ㄴ, ㄹ, ㅁ

36 함수 y=log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3
39 함수 y=log `(x+3)+2의 그래프는 함수 y=log `(x+3)의
3 3
그래프는 y=log3`(x-a)이고 점 (16, 2)를 지나므로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2=log3`(16-a), 16-a=32
두 함수 y=log3`(x+3), y=log3`(x+3)+2의 그래프와 직선 x=6
a=7
이 만나는 두 점에서 x축에 평행한 직선을 각각 그으면 그림과 같다.
함수 y=logb`x의 그래프가 점 (16, 2)를 지나므로
y
2=logb`16 y=log£ (x+3)+2
b2=16 F
D E
y=log£ (x+3)
b>0이므로 b=4 C
A B
따라서 a+b=11
O 6 x
  11

2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8 2022-11-09 오후 12:18:12


이때 빗금 친 부분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사각형 45 log `a-log `b>log `b-log `c>log `c-log `a이고
3 3 3 3 3 3

CBEF의 넓이와 같다. (log3`a-log3`b)+(log3`b-log3`c)+(log3`c-log3`a)=0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log3`a-log3`b>0, log3`c-log3`a<0이다.
6_{log3`(6+3)+2-log3`(6+3)}=12
log3`;bA;>0에서 a>b
  12
log3`;aC;<0에서 c<a

40 log `a=1이므로 a=2


2 log3`b-log3`c의 부호는 알 수 없으므로 b, c의 대소 관계는 알 수 없
log2`b=2이므로 b=4 다.
따라서 a+b=6 따라서 항상 성립하는 것은 ㄱ뿐이다.
 6  ①

41 점 A의 y좌표는 log `3이고 점 B의 y좌표는 log `24이다.


2 2 46 y=log `(x+1)-2에서9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 C의 y좌표는 y+2=log9`(x+1)


2 log2`3+log2`24 9y+2=x+1
=;3!;`log2 (23_33)=log2`6이다.
3 x=32(y+2)-1
점 C의 y좌표는 log2`a이므로 x와 y를 서로 바꾸면
log2`a=log2`6 y=32(x+2)-1
따라서 a=6 따라서 a=3, b=2, c=-1이므로 abc=-6
 ⑤  ①

42 log `x -log `x =3 log `x이므로


a
5
a
2
a
47 y=2 에서 x

두 점 F, G는 선분 BD와 CE를 각각 3`:`2로 내분하는 점이다. x=log2`y


사각형 BDEC의 넓이는 사각형 FDEG의 넓이의 ;2%;이므로 x와 y를 서로 바꾸면
y=log2`x이므로
32_;2%;=80 g(x)=log2`x
ADÓ`:`DEÓ=1`:`2이므로 ADÓ`:`AEÓ=1`:`3에서 삼각형 AEC의 넓이 b=21=2이고
는 삼각형 ADB의 넓이의 9배이다. log2`a=2에서 a=4
따라서 사각형 BDEC의 넓이는 삼각형 ADB의 넓이의 8배이므로 따라서 log4`ab=log4`8=;2#;
삼각형 ADB의 넓이는
 ②
80_;8!;=10

48 y=f(x), 즉 y=log `x-2에서 {;3!;}


y+2
  10 =x이므로
;3!;

g(x)={;3!;}
x+2

43 A=-2 log2`;5!;=log2`25

B=2+log2`5=log2`20 y=f(x-1), 즉 y=log;3!;`(x-1)-2에서


C=2+2 log2`3=log2`36
{;3!;}
y+2
따라서 B<A<C +1=x이므로
 ③
f(x-1)의 역함수는

y={;3!;}
x+2
+1
44 1<x<5에 밑이 5인 로그를 취하면
log5`1<log5`x<log5`5, 0<log5`x<1이다. 따라서 f(x-1)의 역함수는 g(x)+1이다.
A-B=log5`x(1-log5`x)>0이므로  ③
A>B
B=(log5`x)2>0이고 49 (밑)=2>1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0<log5`x<1이므로 x=2일 때 최댓값 log2`8-1=2
C=log5`(log5`x)<0에서 x=-1일 때 최솟값 log2`2-1=0
B>C 을 갖는다.
따라서 C<B<A 따라서 M=2, m=0이므로 M+m=2+0=2
 ⑤  ②

정답과 풀이 2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29 2022-11-09 오후 12:18:12


50 0<(밑)=;3!;<1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55 log `x=t라 하면
3

x=0일 때 최댓값 log;3!;`3+1=0 log3`1Élog3`xÉlog3`27에서


0ÉtÉ3
x=3일 때 최솟값 log;3!;`9+1=-1
y=t2-2t+3=(t-1)2+2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을 갖는다. t=3일 때 최댓값 6, t=1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따라서 M=0, m=-1이므로 따라서 M=6, m=2이므로
M+m=0+(-1)=-1 M+m=6+2=8
 ④  8

51 0<(밑)=;4!;<1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x=3일 때 최솟값 0을 갖 56 log `x=t라 하면 주어진 함수는 y=t -at+b이다.
5
2

a2
y=t2-at+b={t-;2A;} -
2

는다. +b이고
4
log;4!;`(3-k)+1=0 t=log5`5=1일 때 최솟값 2를 가지므로

;2A;=1, a=2
3-k={;4!;} =4
-1

-1+b=2, b=3
k=-1
따라서 ab=6
따라서 주어진 함수는 y=log;4!;`(x+1)+1이므로
 ①
x=0일 때 최댓값 log;4!;`1+1=1을 갖는다.

 1 57 2 log£`x
=t라 하면 x>3이므로 t>2
log£`x
y=-2 _xlog£`2+8_2log£`x

52 f(x)=x -2x+5=(x-1) +4라 하면 함수 f(x)는


2 2
=-2log£`x_2log£`x+8_2log£`x
x=3일 때 최댓값 8, x=1일 때 최솟값 4를 갖는다. 즉, y=-t2+8t=-(t-4)2+16이므로
(밑)=2>1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최댓값 log2`8=3, t=4일 때 최댓값 16을 갖는다.
최솟값 log2`4=2를 갖는다. t=4일 때 2log£`x=4, x=32=9이므로
따라서 M=3, m=2이므로 a=9, b=16
M+m=3+2=5 따라서 a+b=25
 ⑤   25

53 진수의 조건에 의해 58 y=log `x +log 5


2
'x `625
x+3>0, 5-x>0이므로 =2 log5`x+log`x `54 ;2!;

-3<x<5 2_4
=2 log5`x+
y=log;4!;`(x+3)+log;4!;`(5-x) log5`x
x>1에서 log5`x>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log;4!;`(-x2+2x+15)
2_4 2_4
2 log5`x+ ‌¾2¾Ð2 log5`x_
=log;4!;`{-(x-1)2+16} log5`x log5`x
=2_'¶16=8
따라서 0<(밑)=;4!;<1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x=1일 때 최솟값 2_4
{단, 등호는 2 log5`x= , log5`x=2, x=25일 때 성립}
log;4!;`16=-2를 갖는다. log5`x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8이다.
  -2
 ⑤

54 (g`ç`f)(x)‌=log `(x -6x+11)


a
2

59 log `b +log `a
aÞ`
4
bÛ`
10
=;5$; loga`b+5 logb`a
2
=loga`{(x-3) +2}
a>1, b>1이므로 loga`b>0, logb`a>0이다.
(x-3)2+2는 1ÉxÉ4에서
따라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1일 때 최댓값 6, x=3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a>1일 때, 함수 (g`ç`f)(x)의 최댓값은 loga`6이고 ;5$; loga`b+5 logb`a‌¾2®É;5$; loga`b_5 logb`a
loga`6=1, a=6이다.
=2_'4=4
0<a<1일 때, 함수 (g`ç`f)(x)의 최댓값은 loga`2이고
loga`2=1, a=2이므로 이 경우는 성립하지 않는다. {단, 등호는 ;5$; loga`b=5 logb`a, loga`b=;2%;일 때 성립}

따라서 a=6이고 최솟값은 log6`2이다.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4이다.


  log6`2  4

3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0 2022-11-09 오후 12:18:12


60 log `{x+;]!;}+log `{y+;[(;}=log `{xy+;[»];+10}
4 4 4 65 3 =t`(t>0)이라 하면
x

32x-3x+1+k=0에서 t2-3t+k=0
xy>0이므로
x>0이기 위해서는 t>1이어야 하므로
xy+;[»];‌¾2®Éxy_;[»];` 방정식 32x-3x+1+k=0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실근을 갖기 위해
서는 방정식 t2-3t+k=0이 1보다 큰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2_'9=6 {단, 등호는 xy=;[»];, xy=3일 때 성립}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log4`{xy+;[»];+10}¾log4`16=2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2 D=(-3)2-4k>0, k<;4(;

이다. t=1일 때의 값이 0보다 커야 하므로


 ④ 1-3+k>0, k>2

따라서 2<k<;4(;에서 a=2, b=;4(;이므로


;3!;
61 8 2x+1
=3'2에서 23(2x+1)=2
ab=2_;4(;=;2(;
6x+3=;3!;, 6x=-;3*;
 ②

x=-;9$;

 ⑤
66 a =t`(t>0)이라 하면
x

a2x+2ax=8에서 t2+2t-8=0
25xÛ`-1
62 5x
=625에서 52xÛ`-2-x=54 (t+4)(t-2)=0
2x2-x-6=0, (x-2)(2x+3)=0 t=-4 또는 t=2
이때 t>0이므로 t=2이다.
x=2 또는 x=-;2#;
ax=2에서
따라서 모든 실근의 곱은 ;3!;
a =2이므로 a=8
2_{-;2#;}=-3  8
 ④

63 5 xÛ`-3x
-252x-a=0에서
67
xx
=xxÛ`-4x에서
5xÛ`-3x=54x-2a x6

x2-3x=4x-2a xx-6=xxÛ`-4x

x2-7x+2a=0 x=1일 때, 1-5=1-3이므로 성립한다.

x2-7x+2a=0의 한 근이 3이므로 x+1일 때, x-6=x2-4x

9-21+2a=0 x2-5x+6=0

a=6 (x-2)(x-3)=0

x2-7x+12=0에서 x=2 또는 x=3

(x-3)(x-4)=0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1, 2, 3이므로 모든 근의

x=3 또는 x=4 합은

따라서 다른 한 근은 4이다. 1+2+3=6

 ⑤  ③

64 3 =t`(t>0)이라 하면
x

3x+1+32-x=28에서 3t+;t(;=28이고
68 x-2=0, 즉 x=2일 때 (-3) =1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성
0

립한다.
3t2-28t+9=0, (3t-1)(t-9)=0 x2-5x+3=1일 때, 1x-2=1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성립한다.
t=;3!; 또는 t=9 이차방정식 x2-5x+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5)2-4_1_2=17>0
t=;3!;일 때, 3x=3-1, x=-1 이므로 이차방정식 x2-5x+2=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고, 근과
t=9일 때, 3x=32, x=2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실근의 합은 5이다.
따라서 두 근을 a, b라 할 때, a+b의 값은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a+b=2+(-1)=1 2+5=7
 ①  ②

정답과 풀이 3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1 2022-11-09 오후 12:18:13


69 ('Äx-1 ) 2x+6
=(x-1)xÛ`-x-5에서
74 Q(4)=Q (1-2 0`
-;a$;
), Q(2)=Q0(1-2
-;a@;
)이고
x+3 xÛ`-x-5
(x-1) =(x-1)
-;a!;
x=2일 때, 15=1-3=1이므로 성립한다. 2 =A`(A>0)이라 하면
x+2일 때, x+3=x -x-5 2
Q(4) Q0(1-A4)
=
x2-2x-8=0 Q(2) Q0(1-A2)

(x-4)(x+2)=0 =1+A2=;4%;
x=4 또는 x=-2
x>1이므로 x=4 A2=;4!;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a@; 1 1
2 = = 이므로
2+4=6 ;a@; 22
2
 ③
;a@;=2

따라서 a=1
70 2 =a`(a>0), 3 =b`(b>0)이라 하면
x y

à
 1
3a-2b=6
에서
;4A;-;3B;=0

à
3a-2b=6 75 2_a =6에서 a =3 2 2

이므로 a>0이므로 a='3


3a-4b=0
3_('3)x=729에서
a=4, b=3
3_('3)x=36
즉, 2x=4, 3y=3이므로
;2{;
x=2, y=1 3 =35
따라서 a=2, b=1이므로 x=10
a+b=2+1=3 따라서 729 g이 되는 것은 10시간 후이다.
 ④   10시간 후

71 2 =t`(t>0)이라 하면
x

76 2 >{;4!;}
x-2
t2-16t+16=0을 만족시키는 두 근은 2a, 2b이고 x-2
, 2x-2>2-2x+4
a b
2 _2 =16이므로
(밑)=2>1이므로
2a+b=24
x-2>-2x+4
따라서 a+b=4
따라서 x>2
 ②
  x>2

72 3 =t`(t>0)이라 하면
x

t2-6t+7=0을 만족시키는 두 근은 3a, 3b이고


77 {;5!;}
xÛ`-5
>('5)-4x+4, 5-xÛ`+5>5-2x+2
a b a b
3 +3 =6, 3 _3 =7이므로
(밑)=5>1이므로
9a+9b‌=(3
 a
+3b)2-2_3a_3b ‌

2 -x2+5>-2x+2
=6 -2_7
x2-2x-3<0
=22
(x-3)(x+1)<0
  22
-1<x<3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는 0, 1, 2의 3이다.
73 1`kg=1000`g이므로  ③
;25Ó00;
8=1000_{;5!;} 에서

;25Ó00;
{;5!;} ={;5!;}
3

78 {;2~!;} É2xÛ`-2É{;4!;}
x+4 x-3
에서

;25Ó00;=3
{;2!;} É{;2!;} É{;2!;}
x+4 -xÛ`+2 2x-6

x=7500
따라서 이 유물은 7500년 전의 것이다. 0<(밑)=;2!;<1이므로

 ③ x+4¾-x2+2¾2x-6

3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2 2022-11-09 오후 12:18:13


Ú x+4¾-x2+2에서 Ü x>1일 때,
4x+3>x-3에서 x>-2이므로 성립하는 범위는 x>1이다.
‌x2+x+2={x+;2!;} +;4&;¾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
2

따라서 x의 값의 범위는 x>1


식이 성립한다.  ②
Û -x2+2¾2x-6에서
x2+2x-8É0, (x+4)(x-2)É0
-4ÉxÉ2 83 Ú x=1일 때,
1-4=18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Ú, Û에서 -4ÉxÉ2
Û 0<x<1일 때,
  -4ÉxÉ2
x-5<2+7x-x2에서
79 3 =t`(t>0)이라 하면
x
x2-6x-7<0
x x
9 -105_3 +500<0에서 (x+1)(x-7)<0
t2-105t+500<0 -1<x<7
(t-5)(t-100)<0 이때 0<x<1이므로 0<x<1
5<t<100 Ü x>1일 때,
즉, 5<3x<100 x-5>2+7x-x2에서
따라서 정수 x는 2, 3, 4이므로 그 합은 2+3+4=9이다. x2-6x-7>0
 ③ (x+1)(x-7)>0
x<-1 또는 x>7
80 {;6!;} =t`(t>0)이라 하면
x

이때 x>1이므로 x>7
따라서 x의 값의 범위는
{;3Á6;} -a {;6!;} +b<0에서
x x

0<x<1 또는 x>7
t2-at+b<0
 ④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2<x<0이므로

{;6!;} <{;6!;} <{;6!;}


0 x -2

84 Ú x -4x+1=1일 때,
2

1<t<36 x(x-4)=0이므로
2
즉, t -at+b=(t-1)(t-36)=t -37t+36이므로 2
x=0 또는 x=4
a=37, b=36 이때 1<1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x+0, x+4이다.
따라서 a-b=37-36=1 Û 0<x2-4x+1<1일 때,
 ① 0<x2-4x+1에서
{x-(2-'3)}{x-(2+'3)}>0
81 {;4!;} =t`(t>0)이라 하면
x
x<2-'3 또는 x>2+'3 yy ㉠
2
x -4x+1<1에서
{;1Á6;} -36_{;4!;} +128É0에서
x x

x(x-4)<0
yy ㉡
2
t -36t+128É0 0<x<4
(t-4)(t-32)É0 ㉠, ㉡에서 0<x<2-'3 또는 2+'3<x<4
4ÉtÉ32 이 범위에서 주어진 부등식은 x-2>0, x>2이므로
2+'3<x<4
4É{;4!;} É32
x

Ü x2-4x+1>1일 때,
22É2-2xÉ25 x(x-4)>0이므로
-;2%;ÉxÉ-1 x<0 또는 x>4
이 범위에서 주어진 부등식은 x-2<0, x<2이므로
따라서 M=-1, m=-;2%;이므로
x<0
M-m=-1-{-;2%;}=;2#; Ú, Û, Ü에서 x의 값의 범위는
x<0 또는 2+'3<x<4
  ;2#;
  x<0 또는 2+'3<x<4

82 Ú x=1일 때,
17=1-2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85 9 -3 x x+1
+a>0에서
Û 0<x<1일 때,
x
3 =t`(t>0)이라 하면
4x+3<x-3에서 x<-2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t2-3t+a>0

정답과 풀이 3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3 2022-11-09 오후 12:18:13


t2-3t+a={t-;2#;} -;4(;+a>0이고 주어진 방정식에서 진수가 같으므로 x-2=1일 때 x=3이고, 이는 진
2

수와 밑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t>0에 대하여 {t-;2#;} ¾0이므로 -;4(;+a>0이어야 한다.
2
x2-2x=2x-3일 때,
x2-4x+3=0, (x-1)(x-3)=0
따라서 a>;4(;
x=1 또는 x=3
 ③ 이때 x=1은 진수와 밑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구하는 해는 x=3이다.
86 {;2!;} =t`(t>0)이라 하면
x
 ②
xÉ-1이므로 t¾2이고

주어진 부등식은 ;4!;t2+t+k¾0이다. 90 진수의 조건에서 x>0, 2-x>0, x+k>0이므로


0<x<2, x>-k
t¾2에서 ;4!;(t+2)2-1+k¾0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log`x+log (2-x)=log (x+k)에서
log`x(2-x)=log (x+k)이므로
f(t)=;4!;(t+2)2-1+k라 하면
-x2+2x=x+k
f(2)¾0이어야 한다. x2-x+k=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
즉, 3+k¾0에서 k¾-3이다. 식을 D라 할 때
따라서 k의 최솟값은 -3이다.
D=1-4k>0, k<;4!;
 ⑤
진수의 조건인 0<x<2, x>-k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87 자외선 차단 필름 한 장을 붙였을 때 통과하는 자외선은 ;5!;이므로 f(x)=x2-x+k일 때 f(0)>0, f(2)>0이어야 하므로


f(0)=k>0
{;5!;} É;10Á00;에서
n

f(2)=2+k>0, k>-2
5 ¾1000
n 즉, k>0

따라서 k의 값의 범위는 0<k<;4!;이다.


4 5
5 =625, 5 =3125이므로 최소 5장을 붙여야 한다.
  5장
  0<k<;4!;

88 2 log (x+2)=log (2x+7)에서


3` 3`

log3`(x+2)2=log3`(2x+7) 91 log `x=t라 하면


2

(x+2) =2x+7 2 주어진 방정식은 t2-5t+4=0이고


xÛ`+2x-3=0 (t-1)(t-4)=0에서
(x+3)(x-1)=0 t=1 또는 t=4
x=-3 또는 x=1 log2`x=1 또는 log2`x=4
진수의 조건에서 x=2 또는 x=16
x+2>0, 2x+7>0이므로 따라서 두 근의 합은 2+16=18이다.
x>-2  ⑤
따라서 x=1
 ② 92 log `x=t라 하면
5

주어진 방정식은 t+;t$;-5=0이고


89 진수의 조건에서 x-2>0이므로 t2-5t+4=0에서
x>2 yy ㉠
(t-1)(t-4)=0
밑의 조건에서
t=1 또는 t=4
x2-2x>0이므로
log5`x=1 또는 log5`x=4
x<0 또는 x>2 yy ㉡
x=5 또는 x=54
x2-2x+1이므로
따라서 두 근의 곱은 5_54=55이다.
x+1Ñ'2 yy ㉢
 ②
2x-3>0이므로

x>;2#; yy ㉣
93 log `x=t라 하면
3

2x-3+1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t-2)2-8t+23=0이고


x+2 yy ㉤ t2-12t+27=0에서 (t-3)(t-9)=0
㉠~㉤에서 x>2이고 x+1+'2 t=3 또는 t=9

3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4 2022-11-09 오후 12:18:14


log3`x=3 또는 log3`x=9 log2`x=X, log3`y=Y라 하면
3 9
x=3 또는 x=3 X-Y=-4, XY=5
따라서 두 근의 곱은 33_39=312이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④ X=-5, Y=-1 또는 X=1, Y=5

즉, x=;3Á2;;, y=;3!; 또는 x=2, y=35


94 방정식 xlog£`x=9x의 양변에 밑이 3인 로그를 취하면
a>1이므로 a=2, b=243
log3`xlog£`x=log3`9x
따라서 a+b=245
(log3`x)2=log3`x+2
  245
이때 log3`x=t라 하면 t2-t-2=0에서
(t+1)(t-2)=0
99 진수의 조건에서 x>0, y>0
t=-1 또는 t=2 log2`x+log2`y=(log2`xy)2에서
log3`x=-1 또는 log3`x=2 log2`xy=(log2`xy)2
x=;3!; 또는 x=9 log2`xy(log2`xy-1)=0이므로
log2`xy=0 또는 log2`xy=1
따라서 두 근의 곱은 ;3!;_9=3이다.
xy=1 또는 xy=2
 ③
y=;[!; 또는 y=;[@; `(x>0)
1000
95 방정식 x 2-log`x
=
x2
의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y=;[!; 을 x2+y2=9에 대입하면

(2-log`x)log`x=3-2 log`x 1
x2+ =9, x4-9x2+1=0
xÛ`
이때 log`x=t라 하면 (2-t)t=3-2t
9Ñ'¶77
t2-4t+3=0 x2= >0이고, x>0이므로 2쌍의 해가 존재한다.
2
(t-1)(t-3)=0
y=;[@; 를 x2+y2=9에 대입하면
t=1 또는 t=3
log`x=1 또는 log`x=3 4
x2+ =9, x4-9x2+4=0
xÛ`
따라서 구하는 해는 x=10 또는 x=1000이다.
9Ñ'¶65
 ① x2= >0이고, x>0이므로 2쌍의 해가 존재한다.
2
따라서 위의 4쌍의 해 중 중복인 해는 없으므로 해의 개수는 4이다.
96 (2x) log`2
-(3x)log`3=0에서 (2x)log`2=(3x)log`3  ④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log`2_log`2x=log`3_log`3x 100 두 근을 a, 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log`2(log`2+log`x)=log`3(log`3+log`x) log2`a+log2`b=k

log`x(log`2-log`3)=-(log`2-log`3)(log`2+log`3) log2`ab=k
두 근의 곱이 4이므로 ab=4를 대입하면
log`x=-(log`2+log`3)=-log`6=log`;6!;
k=2
따라서 x=;6!;  ①

 x=;6!;

101 양변에 밑이 2인 로그를 취하면
(log2`x)2-2 log2`x-4=0
97 log2`x=X, log3`y=Y라 하면 두 실근이 a, b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à
` 2X+Y=9 yy ㉠ log2`a+log2`b=2
X-Y=3 yy ㉡ log2`ab=2
㉠+㉡을 하면 3X=12, X=4 따라서 ab=4
Y=1  ③
log2`x=4에서 x=16, log3`y=1에서 y=3이므로
a=16, b=3 102 주어진 방정식은 이차방정식이므로 1-log2`k+0에서 k+2이
따라서 a+b=16+3=19 다. 중근을 가지려면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② =(log2`k-1)2+(1-log2`k)=0
4
log`x log`y log`x log`y (log2`k)2-3 log2`k+2=0
98 log `x_log `y‌= log`3 _ log`2 = log`2 _ log`3
3 2
(log2`k-1)(log2`k-2)=0
=log2`x_log3`y log2`k=1 또는 log2`k=2

정답과 풀이 3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5 2022-11-09 오후 12:18:14


k=2 또는 k=4 106 진수의 조건에서
k+2이므로 양수 k의 값은 4이다. x>0 yy ㉠
 4 (log;2!;`x) -log;2!;`x3¾0에서 log;2!;`x=t라 하면
2

t2-3t¾0, t(t-3)¾0이므로
103 진수의 조건에서
tÉ0 또는 t¾3
x-1>0, ;3@;x-1>0이므로
0<(밑)=;2!;<1이므로
x>;2#; yy ㉠
log;2!;`xÉ0일 때,

log3`(x-1)-log3`{;3@;x-1}-1>0에서 x¾1 yy ㉡
log;2!;`x¾3일 때,
log3`(x-1)>log3`{;3@;x-1}+1
xÉ;8!; yy ㉢
log3`(x-1)>log3`(2x-3)
㉠, ㉡, ㉢에서 부등식의 해는
(밑)=3>1이므로 x-1>2x-3에서
x<2 yy ㉡ 0<xÉ;8!; 또는 x¾1

㉠, ㉡에서 부등식의 해는 ;2#;<x<2이므로   0<xÉ;8!; 또는 x¾1

a=;2#;, b=2
107 진수의 조건에서 x>0
따라서 ab=;2#;_2=3 log;9!;`x_log3`;9{;¾a에서
 ②
-;2!;log3`x_(log3`x-2)¾a

104 진수의 조건에서


log3`x=t라 하면 -;2!;t(t-2)¾a
1
>0, 7-x>0이므로 t2-2t+2aÉ0
x-1
1<x<7 yy ㉠ 부등식의 해가 ;9!;ÉxÉ81이므로
1
2 log3` <log;3!;`(7-x)에서
x-1 log3`;9!;ÉtÉlog3`81
1 1
} <log3`
2
log3`{ -2ÉtÉ4
x-1 7-x
따라서 t2-2t+2a=(t+2)(t-4)이므로
1 1
(밑)=3>1이므로 < 2a=-8
(x-1)2 7-x
(x-1) >7-x2 a=-4
2
x -x-6>0  ①
(x+2)(x-3)>0
x<-2 또는 x>3 yy ㉡
108 진수의 조건에서 x>0
(log3`3x)(log3`9x)<6에서
㉠, ㉡에서 부등식의 해는 3<x<7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
log3`x=t라 하면 (1+t)(2+t)<6
는 정수 x의 값은 4, 5, 6이다.
t2+3t-4<0, (t+4)(t-1)<0
따라서 그 합은 4+5+6=15
-4<t<1
 ④
-4<log3`x<1

105 진수의 조건에서 x>0, log3`x>0이므로 ;8Á1;<x<3


x>1 yy ㉠
따라서 a=;8Á1;, b=3이므로
log2 (log3`x)É2에서
log2 (log3`x)Élog2`4 ab=;8Á1;_3=;2Á7;
(밑)=2>1이므로
 ⑤
log3`xÉ4
log3`xÉlog3`81 109 진수의 조건에서 x>0
(밑)=3>1이므로 부등식 x logª`x<8x2의 양변에 밑이 2인 로그를 취하면
xÉ81 yy ㉡ (log2`x)2<3+2 log2`x
㉠, ㉡에서 부등식의 해는 1<xÉ81 log2`x=t라 하면 t2<3+2t
  1<xÉ81 t2-2t-3<0, (t-3)(t+1)<0

3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6 2022-11-09 오후 12:18:14


-1<t<3 ㉢, ㉣에서 연립부등식의 해는 ;3&;<x<6이므로
-1<log2`x<3
a=;3&;, b=6
;2!;<x<8
따라서 ab=14
따라서 구하는 정수 x의 개수는 1, 2, 3, 4, 5, 6, 7의 7이다.   14
 ③

113 log`x=t라 하면
110 진수의 조건에서 부등식 (log`x)2+log`10x+k¾0에서
x>0 yy ㉠ t2+t+1+k¾0
log°`x+3
부등식 x ¾625의 양변에 밑이 5인 로그를 취하면 모든 양수 x, 즉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이 부등식이 성립하려면 이차방
(log5`x)(log5`x+3)¾4 정식 tÛ`+t+1+k=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log5`x=t라 하면 t +3t-4¾0 2
D=1-4(1+k)É0
(t+4)(t-1)¾0
따라서 k¾-;4#;
tÉ-4 또는 t¾1
log5`xÉ-4 또는 log5`x¾1  ③

(밑)=5>1이므로
114 log2`k=t라 하면
xÉ;62!5; 또는 x¾5 yy ㉡ 부등식 x2-2(2+log2`k)x-log2`k>0에서

㉠, ㉡에서 부등식의 해는 0<xÉ;62~!5; 또는 x¾5이다. x2-2(2+t)x-t>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 부등식이 성립하려면 이차방정식
  0<xÉ;62!5; 또는 x¾5 xÛ`-2(2+t)x-t=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2+t)2+t<0
4
111 log°`x의 진수의 조건에서
t2+5t+4<0
x>0 …… ㉠
log°`2 log°`x
(t+4)(t+1)<0
x =2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을
-4<t<-1
2 log°`x_2 log°`x¾6_2 log°`x-8
로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1Á6;<k<;2!;

(2 log°`x)Û`¾6_2 log°`x-8에서 2 log°`x=t (t>0)이라 하면  ②


tÛ`-6t+8¾0, (t-2)(t-4)¾0
tÉ2 또는 t¾4
2 log°`xÉ2 또는 2 log°`x¾4
2 log°`xÉ2Ú` 또는 2 log°`x¾2Û`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53쪽

log°`xÉ1 또는 log°`x¾2
2'3+1
xÉ5 또는 x¾25 …… ㉡ 01 8 02 11 03 a=1, b=3
㉠, ㉡에서 부등식의 해는 0<xÉ5 또는 x¾25이다.
 ②
04 x=4, y=2 05 3-2'2 06 ;9!;<k<1

112 부등식 logx-1`(x2+x-6)>2의 밑의 조건에서


01 f(x)는 (밑)>1이므로
x>1, x+2 …… ㉠ 최댓값은 f(3)=83=29 yy ➊
진수의 조건에서 g(x)는 0<(밑)<1이므로
x2+x-6=(x+3)(x-2)>0 1
최솟값은 g(3)={;4!;} = 6  
3
yy ➋
x<-3 또는 x>2   …… ㉡ 2
㉠, ㉡에서 x>2 1
따라서 M=29, m= 6 이므로
2
부등식 logx-1`(x2+x-6)>2에서 (밑)=x-1>1이므로 1
Mm=29_ 6 =23=8 yy ➌
x2+x-6>(x-1)2, x-6>-2x+1 2
8
x>;3&;

…… ㉢

부등식 log5`(x-1)<1에서 (밑)=5>1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1<5, x<6 ➊ f(x)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40`%


진수의 조건에서 x-1>0, x>1이므로 ➋ g(x)의 최솟값을 구한 경우 40`%
1<x<6 …… ㉣ ➌ Mm의 값을 구한 경우 20`%

정답과 풀이 3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7 2022-11-09 오후 12:18:15


02 교점의 좌표는 (2a, '3-'2)이므로 이때 x<;;Á2Á;;, y<4이므로
2a
5 ='3-'2 yy ➊ x=4, y=2가 조건을 만족시킨다. yy ➍
f(a)+f(-a) 5a+5-a   x=4, y=2
= 3a
f(3a)+f(-3a) 5 +5-3a
5a+5-a 단계 채점 기준 비율
= a
(5 +5 )(52a-1+5-2a)
-a
진수의 조건에서 x, y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➊ 30`%
1
= 2a  yy ➋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x-5)(y-3)=1임을 구
5 -1+5-2a ➋ 40`%
1 한 경우
=
('3-'2)-1+('3+'2) ➌ x, y가 정수임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 경우 20`%
1 ➍ x, y의 값의 범위에 해당하는 해를 구한 경우 10`%
=
2'3-1
2'3+1
=  yy ➌
11
2'3+1
05 점 B의 x좌표를 a라 하면
  점 A의 x좌표는 6-a이므로
11
점 A의 y좌표는 log5`(6-a)이고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점 B의 y좌표는 log5`a이다. yy ➊
➊ 교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52a='3-'2임을 구한 경우 20`% 점 C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f(a)+f(-a) 1 log5 (6-a)+log5`a
➋ = 임을 구한 경우 50`% =0
f(3a)+f(-3a) 52a-1+5-2a 2
➌ 답을 구한 경우 30`% log5`a(6-a)=0
-a2+6a=1
a2-6a+1=0
03 함수 y=3 x+a
+b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y=3이므로 a=3Ñ2'2 yy ➋
b=3이다. yy ➊ 점 B가 제4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1, 12)를 지나고 함수 y=f(x)의 그 log5`a<0에서 a<1
x+a
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함수 y=3 +3의 그래프가 되므 따라서 a=3-2'2이므로
로 함수 y=3 x+a
+3의 그래프는 점 (1, 12)를 지난다. yy ➋ 점 B의 x좌표는 3-2'2이다.  yy ➌
1+a 1+a
즉, 12=3 +3에서 3 =9   3-2'2
1+a=2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1  yy ➌
두 점 A, B의 x좌표와 y좌표를 미지수를 이용하여
따라서 a=1, b=3이다. ➊ 40`%
나타낸 경우
  a=1, b=3
점 C가 선분 AB의 중점임을 이용하여 미지수를 구
➋ 4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한 경우
➊ b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➌ 조건에 맞는 답을 구한 경우 20`%
x+a
함수 y=3 +b의 그래프가 점 (1, 12)를 지남을
➋ 40`%
알아낸 경우
➌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06 진수의 조건에서
k>0  yy ➊
주어진 부등식이 항상 성립하려면 이차방정식
xÛ`-4(2+log£`k)x+16-4(log£`k)Û`=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04 진수의 조건에서 D
11-2x>0, 6-x>0, 5-y>0, 4-y>0이므로 =4(2+log3`k)2-16+4(log3`k)2<0
4
x<;;Á2Á;;, x<6, y<5, y<4에서 log3`k=t라 하면 4(2+t)2-16+4t2<0
8t(t+2)<0
x<;;Á2Á;;, y<4이다.  yy ➊ -2<t<0
11-2x 5-y 11-2x 5-y 즉, -2<log3`k<0에서
log` =log` 에서 =
6-x 4-y 6-x 4-y
;9!;<k<1 yy ➋
(11-2x)(4-y)=(6-x)(5-y)
xy-3x-5y+14=0 이는 진수의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x-5)(y-3)=1  yy ➋ ;9!;<k<1 yy ➌
x, y가 정수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x, y는
x=6, y=4 또는 x=4, y=2  yy ➌   ;9!;<k<1

3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8 2022-11-09 오후 12:18:15


단계 채점 기준 비율 Ú a=2, a=3일 때
➊ 진수의 조건에서 k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20`% 4a-15<0이므로 실근은 존재하지 않는다.
➋ 판별식을 0보다 작게 하는 k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50`% 즉, f(2)=f(3)=0
➌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30`% Û a=4일 때
x=4 또는 x=5
이때 진수의 조건에 의하여 x=5이므로 실근의 개수는 1이다.
즉, f(4)=1
Ü a=5일 때
11Ñ'5
x= 이므로 실근의 개수는 2이다.
2
즉, f(5)=2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본문 54쪽 Ý a=6일 때
x=5 또는 x=8이므로 실근의 개수는 2이다.
01 ⑤ 02 ② 03 25 04 2 즉, f(6)=2
따라서
01 Ú x-1<0, ;4!;_2 -32>0일 때 x
f(2)+f(3)+f(4)+f(5)+f(6)=0+0+1+2+2=5
x<1 yy ㉠  ②

;4!;_2x-32=2x-2-32>0
4x
2 x-2
>2 5 03 f(x)= 4 +2 에서
x

x-2>5 4
41-x 4x 2
x>7 yy ㉡ f(1-x)= 1-x = =
4 +2 4 2+4x
+2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4x
이므로 f(x)+f(1-x)=1
Û x-1>0, ;4!;_2x-32<0일 때
따라서
x>1 yy ㉢
[ f {;5Á1;}+f {;5%1);}]+[ f {;5ª1;}+f {;5$1(;}]+[ f {;5£1;}+f {;5$1*;}]+
;4!;_2x-32=2x-2-32<0
y+[ f {;5@1%;}+f {;5@1^;}]
2x-2<25
x-2<5 =1_25=25
x<7   yy ㉣   25
㉢, ㉣에서 1<x<7
따라서 정수 x의 값은 2, 3, 4, 5, 6이고, 그 개수는 5이다. 04 점 A의 좌표는 (2, a)이고 삼각형 ABC가 선분 AB가 빗변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C의 좌표는 {2+;2A;, ;2A;}이다.
 ⑤

다른 풀이
함수 y=ax의 역함수가 y=loga`x이고 두 곡선은 직선 y=x에 대하여
부등식 ;4!;_2 -32>0은 부등식 x-7>0을 구하는 것과 같고, 부등
x
대칭이므로 곡선 y=ax-1과 곡선 y=loga`(x-1)은 직선 y=x-1에
대하여 대칭이다.
식 ;4!;_2x-32<0은 부등식 x-7<0을 구하는 것과 같으므로 두 부
따라서 선분 AC의 중점이 직선 y=x-1 위에 있어야 한다.
등식의 부호는 각각 서로 동일하다.
선분 AC의 중점은 {2+;4A;, ;4#;a}이므로
즉,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부등식 (x-1)(x-7)<0의 해와 같다.
따라서 부등식의 해는 1<x<7 이고,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값은 2, 3, ;4#;a=1+;4A;
4, 5, 6이므로 그 개수는 5이다.
따라서 a=2
 2
02 진수의 조건에서
|x-a|>0, x-4>0
x+a, x>4
log5`|x-a|=log25`(x-4)에서
(x-a)2=x-4
x2-(2a+1)x+a2+4=0
2a+1Ñ'¶4a-15
x=
2

정답과 풀이 3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39 2022-11-09 오후 12:18:15


II. 삼각함수 62 ;6Ò;ÉxÉ;6%;p 63 ;6%;p<x<;6&;p

64 0ÉxÉ;4Ò; 또는 ;4#;pÉxÉ;4%;p 또는 ;4&;pÉx<2p


03 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65 ;1!2&;p<x<;1@2#;p 66 ;3Ò;ÉxÉ;2Ò;

본문 57~61쪽
01
개념 확인하기 P

01 풀이 참조 02 풀이 참조 03 360ù_n+150ù
04 360ù_n+330ù 05 360ù_n+100ù
06 360ù_n+210ù 07 제2사분면 08 제1사분면 O
60ù
X

09 ;6%;p 10 225ù 11 -;3$;p 12 -108ù  풀이 참조


02
O
13 2np+;4Ò; 14 2np+;2Ò; 15 2np+;3%;p X
-150ù

16 2np+;4&;p 17 l=p, S=p P


 풀이 참조
18 r=3, S=;4#;p 19 r=4, h=;2#;

3'¶13 2'¶13 3
20 sin`h= 13
, cos`h=-
13
, tan`h=-
2 03   360ù_n+150ù
'3
21 sin`h= , cos`h=-;2!;, tan`h=-'3
2

22 sin`h<0, cos`h>0, tan`h<0


04   360ù_n+330ù

23 sin`h<0, cos`h<0, tan`h>0


05 460ù=360ù_1+100ù이므로
24 제2사분면 25 제4사분면 26 cos`h=-;5$;, tan`h=;4#; 360ù_n+100ù
 360ù_n+100ù
27 ⑴ -;1°8; ⑵ -;;Á5¥; 28 ⑴ 실수 전체의 집합 ⑵ y축 ⑶ 2p 

'3 '2
29 2 30 2 31 풀이 참조 32 풀이 참조 06 -510ù=360ù_(-2)+210ù이므로
33 풀이 참조 34 풀이 참조 35 ;2%; 360ù_n+210ù
  360ù_n+210ù
36 ⑴ np+;2Ò; ⑵ 원점 ⑶ p ⑷ np+;2Ò; 37 1
'3
38 - 3 39 풀이 참조 40 풀이 참조 07 480ù=360ù_1+120ù이므로
480ù는 제2사분면의 각이다.
41 최댓값: 2, 최솟값: -2, 주기: ;3@;p   제2사분면

42 최댓값: ;3$;, 최솟값: ;3@;, 주기: 4p


08 -680ù=360ù_(-2)+40ù이므로
43 최댓값: 없음, 최솟값: 없음, 주기: 4 -680ù는 제1사분면의 각이다.
'3 '3
44 p 45 2p 46 - 2 47 - 3
  제1사분면

'3
48 49 ;2!; 50 -;2!; 51 1
2
09 150ù=150_;18Ò0;=;6%;p
52 ⑴ ;5$; ⑵ ;5#; ⑶ ;5#; ⑷ -;3$; 53 1 54 1   ;6%;p

55 풀이 참조 56 x=;6&;p 또는 x=;;Á6Á;;p
180ù
57 x=;3Ò; 또는 x=;3%;p 58 x=;6%;p 또는 x=;;Á6Á;;p
10 ;4%;p=;4%;p_ p
=225ù

  225ù
59 x=;1É2; 또는 x=;1°2;p 또는 x=;1!2#;p 또는 x=;1!2&;p

60 x=;6Ò; 또는 x=;6%;p 61 풀이 참조 11 -240ù=-240_;18Ò0;=-;3$;p


  -;3$;p

4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0 2022-11-09 오후 12:18:16


12 -;5#;p=-;5#;p_
180ù
p
=-108ù 21 그림과 같이 각 ;3@;p를 나타내는 동경과 y
1
P
  -108ù 원점 O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
;3@;p
인 원과의 교점을 P라 하고 점 P에서 x축에
-1 H O 1 x
13 ;4Ò;=2p_0+;4Ò;이므로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OPÓ=1, ∠POH=;3Ò;이므로 -1
2np+;4Ò;
'3
OHÓ=;2!;, PHÓ=
  2np+;4Ò; 2
'3
따라서 P{-;2!;, ` }이므로
2
14 ;2%;p=2p_1+;2Ò;이므로 '3
sin`h= , cos`h=-;2!;, tan`h=-'3
2
2np+;2Ò; '3
  sin`h= , cos`h=-;2!;, tan`h=-'3
2
  2np+;2Ò;

22 320ù는 제4사분면의 각이므로


15 -;3Ò;=2p_(-1)+;3%;p이므로 sin`h<0, cos`h>0, tan`h<0

2np+;3%;p   sin`h<0, cos`h>0, tan`h<0

  2np+;3%;p
23 -;3*;p=2p_(-2)+;3$;p는 제3사분면의 각이므로
sin`h<0, cos`h<0, tan`h>0
16 -;;Á4¦;;p=2p_(-3)+;4&;p이므로   sin`h<0, cos`h<0, tan`h>0
2np+;4&;p

  2np+;4&;p 24 sin`h>0을 만족시키는 h는 제1사분면 또는 제2사분면의 각이


고, cos`h<0을 만족시키는 h는 제2사분면 또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17 l=2_;2Ò;=p, S=;2!;_2_p=p 따라서 h는 제2사분면의 각이다.


  제2사분면
  l=p, S=p

18 (호의 길이)=;2Ò;=r_;6Ò;이므로 25 cos`h>0을 만족시키는 h는 제1사분면 또는 제4사분면의 각이


r=3 고, tan`h<0을 만족시키는 h는 제2사분면 또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따라서 h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S=;2!;_3_;2Ò;=;4#;p
  제4사분면
  r=3, S=;4#;p

26 sinÛ``h+cosÛ``h=1이므로
19 (부채꼴의 넓이)=12=;2!;_r_6이므로
cosÛ``h=1-sinÛ``h=1-{-;5#;} =;2!5^;
2

r=4
제3사분면에서 cos`h<0이므로
(호의 길이)=6=4_h이므로
cos`h=-;5$;
h=;2#;
-;5#;
 r=4, h=;2#; sin`h
 tan`h= = =;4#;
cos`h -;5$;

20 OPÓ="Ã(-2)Û`+3Û`='¶13이므로   cos`h=-;5$;, tan`h=;4#;


3 3'¶13
sin`h= =
'¶13 13

cos`h=
-2
'¶13
=-
2'¶13
13 27 ⑴ sinÛ``h+cosÛ``h=1이므로
(sin`h+cos`h)Û`=sinÛ
‌ ``h+2 sin`h`cos`h+cosÛ``h
tan`h=-;2#; =1+2 sin`h`cos`h ‌
3'¶13 2'¶13
  sin`h= , cos`h=- , tan`h=-;2#; ={;3@;}Û`=;9$;
13 13

정답과 풀이 4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1 2022-11-09 오후 12:18:16


따라서 2 sin`h`cos`h=-;9%;이므로 33 함수 y=-cos`2x의 그래프는 함수 y=cos`x의 그래프를 x축
sin`h`cos`h=-;1°8; 의 방향으로 ;2!;배 한 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으로 그림과 같다.

y
sin`h cos`h sinÛ``h+cosÛ``h
⑵ + =
cos`h sin`h sin`h cos`h 1 y=-cos 2x
1
=
sin`h cos`h -p p
O x
-;2Ò; ;2Ò;
=-;;Á5¥;;
-1
  ⑴ -;1°8; ⑵ -;;Á5¥;;

따라서 치역은 {y|-1ÉyÉ1}, 주기는 p이다.


  풀이 참조
28   ⑴ 실수 전체의 집합 ⑵ y축 ⑶ 2p

34 함수 y=;3!; cos {2x+;2Ò;}=;3!;`cos`2{x+;4Ò;}의 그래프는


함수 y=cos`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배, y축의 방향으로 ;3!;
29 sin`;3&;p=sin{2p+;3Ò;}=sin`;3Ò;= '32
'3 배 한 후 x축의 방향으로 -;4Ò;만큼 평행이동한 것으로 그림과 같다.
 
2
y
;3!; y=;3!;cos`{2x+;2Ò;}

30 cos{-;4Ò;}=cos`;4Ò;= '22 -;4#;p


O
;4Ò;

'2
x
-;4Ò; ;4#;p
 
2
-;3!;

따라서 치역은 [y|-;3!;ÉyÉ;3!;], 주기는 p이다.


31 함수 y=3 sin`x의 그래프는 함수 y=sin`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3배 한 것으로 그림과 같다.   풀이 참조
y

35 함수 y=-;2!;`sin{3x-;2Ò;}+2의 그래프의 주기는


3 y=3sin x

2p
=;3@;p=ap이므로
|3|
-2p -p O p 2p x
a=;3@;
-3
최댓값은 ;2!;+2=;2%;, 최솟값은 -;2!;+2=;2#;이므로
따라서 치역은 {y|-3ÉyÉ3}, 주기는 2p이다.
치역은 [y|;2#;ÉyÉ;2%;]
  풀이 참조

따라서 b=;2#;, c=;2%;이므로

abc=;3@;_;2#;_;2%;=;2%;
32 함수 y=-sin{x-;2Ò;}의 그래프는 함수 y=sin`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Ò;만큼 평행이동한 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으   ;2%;

로 그림과 같다.
y 36   ⑴ np+;2Ò; ⑵ 원점 ⑶ p ⑷ np+;2Ò;
y=-sin {x-;2Ò;}
1

37 tan`;4%;p=tan{p+;4Ò;}=tan`;4Ò;=1
-p
-;2Ò; ;2Ò;
p
O 2p x
 1

-1
'3
38 tan {-;6Ò;}=-tan`;6Ò;=- 3
따라서 치역은 {y|-1ÉyÉ1}, 주기는 2p이다.
'3
  풀이 참조  -
3

4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2 2022-11-09 오후 12:18:17


39 함수 y=-tan`2x의 그래프는 함수 y=tan`x의 그래프를 x축 44 함수 y=|sin`x|의 그래프는 함수 y=sin`x의 그래프에서 y¾0
인 부분은 그대로 두고 y<0인 부분은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여 그
의 방향으로 ;2!;배 한 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으로 그림과 같다.
린 것으로 그림과 같다.
y y=-tan 2x
y
1 y=|sin x|
-;4Ò; ;4Ò;
O x O p x
-;4#;p -;2Ò; ;2Ò; ;4#;p -2p -p 2p

-1

따라서 이 함수의 주기는 p이다.


따라서 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 주기는 ;2Ò;, 점근선의 방정식은  p

x=;2N;p+;4Ò;(n은 정수)이다.

  풀이 참조 45 함수 y=cos|x|의 그래프는 함수 y=cos`x의 그래프에서 x¾0


인 부분은 그대로 두고 이 부분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여 그린 것
으로 그림과 같다.

40 함수 y=2 tan {x-;2Ò;}의 그래프는 함수 y=tan`x의 그래프를 y


1 y=cos |x|
y축의 방향으로 2배 한 후 x축의 방향으로 ;2Ò;만큼 평행이동한 것으로 -p p
-2p O 2p x
그림과 같다.
-1
y
따라서 이 함수의 주기는 2p이다.
-;2#;p -;2Ò;   2p
-p O ;2Ò; p x
;2#;p

46 sin {-;3Ò;}=-sin`;3Ò;=- '32


y=2tan {x-;2Ò;}

따라서 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 주기는 p, 점근선의 방정식은 '3


 -
x=np(n은 정수)이다. 2
  풀이 참조

47 tan {-;6Ò;}=-tan`;6Ò;=- '33


'3
41 함수 y=2 sin{3x-;6Ò;}의 최댓값은 2, 최솟값은 -2,  -
3
2p
주기는 =;3@;p
|3|
  최댓값: 2, 최솟값: -2, 주기: ;3@;p 48 cos`330ù‌=cos(-330ù)=cos(-330ù+360ù)
'3
=cos`30ù=
2
'3
 
2
42 함수 y=-;3!;`cos{;2{;-3}+1의
최댓값은 ;3!;+1=;3$;, 최솟값은 -;3!;+1=;3@;,

2p
49 sin`;6%;p=sin {p-;6Ò;}=sin`;6Ò;=;2!;
주기는 =4p
|;2!;|   ;2!;

  최댓값: ;3$;, 최솟값: ;3@;, 주기: 4p

50 cos`;3$;p=cos {p+;3Ò;}=-cos`;3Ò;=-;2!;
 -;2!;
43 함수 y=-3 tan`;4Ò;x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없고,


p
주기는 =4
|;4Ò;|
51 tan`225ù=tan(180ù+45ù)=tan`45ù=1
  최댓값: 없음, 최솟값: 없음, 주기: 4  1

정답과 풀이 4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3 2022-11-09 오후 12:18:18


52 ⑴ cos(-h)=cos`h=;5$; y
1
y=cos x
y=;2!;
⑵ sin(p+h)=-sin`h=-{-;5#;}=;5#; O p
x
;3Ò; ;3%;p 2p
⑶ cos {;2Ò;+h}=-sin`h=-{-;5#;}=;5#;
-1
cos`h
⑷ tan {;2Ò;-h}=
1
=
tan`h sin`h
 x=;3Ò; 또는 x=;3%;p


;5$;
=-;3$;
'3
=
-;5#; 58 3 tan`x+'3=0, 즉 tan`x=- 3 의 해는 함수 y=tan`x의
 ⑴ ;5$; ⑵ ;5#; ⑶ ;5#; ⑷ -;3$; '3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그림에서
3
x=;6%;p 또는 x=;;Á6Á;;p
53 sin {;2Ò;+h}=cos`h, cos`{;2Ò;-h}=sin`h이므로
y y=tan x

sinÛ` {;2Ò;+h}+cosÛ` {;2Ò;-h}‌=cosÛ``h+sinÛ``h ‌


;2Ò; ;6%;p ;2#;p /;Á6Á;/p
=1 O p 2p x
 1 13
y=-;;3;;

54 tan(-h)=-tan`h, tan {;2Ò;+h}=- tan`h


1
이므로  x=;6%;p 또는 x=;;Á6Á;;p

}
1
tan(-h) tan{;2Ò;+h}‌=-tan`h_{-
tan`h
59 2 sin`2x=1에서 sin`2x=;2!;
=1
2x=t라 하면 0Ét<4p이고 주어진 방정식은
 1
sin`t=;2!;

55 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sin`x= '22 이 방정식의 해는 함수 y=sin`t의 그래프와 직선 y=;2!;의 교점의 t좌

이 방정식의 해는 함수 y=sin`x의 그래프와 직선 y= '2 의 교점의


표와 같으므로 그림에서
2
t=;6Ò; 또는 t=;6%;p 또는 t=;;Á6£;;p 또는 t=;;Á6¦;;p
x 좌표이므로
y
y=sin t
1
x=;4Ò; 또는 x= ;4#;p y=;2!;

O p 2p 3p 4p
  풀이 참조 ;6Ò; ;6%;p /;Á6£;/p /;Á6¦;/p t

-1
56 sin`x=-;2!;의 해는 함수 y=sin`x의 그래프와 직선 y=-;2!;
따라서 2x=;6Ò; 또는 2x=;6%;p 또는 2x=;;Á6£;;p 또는 2x=;;Á6¦;;p이므로
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그림에서

x=;6&;p 또는 x=;;Á6Á;;p x=;1É2; 또는 x=;1°2;p 또는 x=;1!2#;p 또는 x=;1!2&;p

y
y=sin x
  x=;1É2; 또는 x=;1°2;p 또는 x=;1!2#;p 또는 x=;1!2&;p
1

;6&;p /;Á6Á;/p
O
p 2p x
60 sin`x=t라 하면 -1ÉtÉ1이고 주어진 방정식은
2tÛ`+3t-2=0
y=-;2!;
-1 (2t-1)(t+2)=0
-1ÉtÉ1에서 이 방정식의 해는
 x=;6&;p 또는 x=;;Á6Á;;p
t=;2!;

57 2 cos`x-1=0, 즉 cos`x=;2!;의 해는 함수 y=cos`x의 그래프 따라서 sin`x=;2!;이므로 0Éx<2p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와 직선 y=;2!;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그림에서 x=;6Ò; 또는 x=;6%;p

x=;3Ò; 또는 x=;3%;p   x=;6Ò; 또는 x=;6%;p

4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4 2022-11-09 오후 12:18:18


61 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cos`x< '32 65 x-;6Ò;=t라 하면 -;6Ò;Ét<;;Á6Á;;p이고 주어진 부등식은
'2
sin`t<-
이 부등식의 해는 함수 y=cos`x의 그래프가 직선 y= '3 보다 아래
2
2 '2
이 부등식의 해는 함수 y=sin`t의 그래프가 직선 y=- 보다 아래
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2
쪽에 있는 부분의 t의 값의 범위이므로 그림에서
;6Ò; <x<;;Á6Á;;p
;4%;p<t<;4&;p
  풀이 참조
y
y=sin t
1
/;Á6Á;/p
62 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sin`x¾;2!; -;6Ò; ;4%;p ;4&;p
O p 2p t
이 부등식의 해는 함수 y=sin`x의 그래프가 직선 y=;2!;과 만나거나
-1 12
y=-;;2;;
직선보다 위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그림에서
따라서 ;4%;p<x-;6Ò;<;4&;p이므로
;6Ò;ÉxÉ;6%;p

y ;1!2&;p<x<;1@2#;p
y=sin x
1
y=;2!;
  ;1!2&;p<x<;1@2#;p
O p
2p x
;6Ò; ;6%;p

-1
66 sinÛ``x+cosÛ``x=1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을 변형하면
2(1-cosÛ``x)+cos`x-2¾0
 ;6Ò;ÉxÉ;6%;p 2 cosÛ``x-cos`xÉ0

cos`x(2 cos`x-1)É0이므로

0Écos`xÉ;2!;
'3
63 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cos`x<- 2 0Éx<p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그림에서
'3
이 부등식의 해는 함수 y=cos`x의 그래프가 직선 y=- 보다 아래
2 ;3Ò;ÉxÉ;2Ò;
쪽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그림에서
y
y=cos x
;6%;p<x<;6&;p 1
y=;2!;

y O p
y=cos x x
1 ;3Ò; ;2Ò;

;6%;p ;6&;p -1
O p
2p x
 ;3Ò;ÉxÉ;2Ò;

-1 13
y=-;;2;;

 ;6%;p<x<;6&;p

64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함수 y=tan`x의 그래프가 두 직선 y=1,
y=-1과 만나거나 두 직선 사이에 있는 부분의 x의 값의 범위이므로
그림에서

0ÉxÉ;4Ò; 또는 ;4#;pÉxÉ;4%;p 또는 ;4&;pÉx<2p

y y=tan x
y=1

;4#;p ;4&;p
O ;4Ò; 2p x
p ;4%;p
y=-1

 0ÉxÉ;4Ò; 또는 ;4#;pÉxÉ;4%;p 또는 ;4&;pÉx<2p



정답과 풀이 4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5 2022-11-09 오후 12:18:19


유형 완성하기
본문 62~75쪽 0ù<h<180ù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h의 값은
40ù, 80ù, 120ù, 160ù
01 ④ 02 ⑤ 03 40ù, 80ù, 120ù, 160ù   40ù, 80ù, 120ù, 160ù
04 ③ 05 ① 06 360ù_n+40ù
07 제1, 3사분면 08 ③ 09 ④ 10 ③
04 ① 225ù=360ù_0+225ù
11 ⑤ 12 ㄱ, ㄷ, ㄹ 13 ① 14 ④ 15 ④ ② 420ù=360ù_1+60ù
16 16p 17 ② 18 ⑤ 19 ④ 20 ① ③ 765ù=360ù_2+45ù
21 2 22 ② 23 1-cos`h 24 ⑤ ④ -155ù=360ù_(-1)+205ù
⑤ -655ù=360ù_(-2)+65ù
25 ⑤ 26 ⑴ 1 ⑵2 ⑶1 27 ④ 28 -;8#;
동경 OP가 나타내는 한 각의 크기가 45ù이므로 이 동경이 나타내는 일
29 ② 30 ⑤ 31 ① 32 -1 33 1 반각은 360ù_n+45ù(n은 정수)이다.
2-'3
34 ⑤ 35 2 36 ④ 37 ④ 38 ;4%; 따라서 동경 OP가 나타낼 수 있는 각은 ③ 765ù이다.
 ③
39 2 40 0 41 ③ 42 p 43 ⑤
44 ④ 45 ㄱ, ㄹ 46 ② 47 ① 48 2'3-1
49 9p 50 p 51 ③ 52 ④ 53 ① 05 ① -700ù=360ù_(-2)+20ù
② -200ù=360ù_(-1)+160ù
54 12 55 ⑤ 56 1 57 ② 58 ②
③ 500ù=360ù_1+140ù
59 -2 60 ① 61 -15 62 ② 63 ④
④ 780ù=360ù_2+60ù
2-'3
64 ① 65 2 66 ② 67 ① ⑤ 1200ù=360ù_3+120ù
따라서 주어진 각 중 a의 값이 가장 작은 각은 ① -700ù이다.
68 x=;8Ò; 또는 x=;8%;p 69 x=;3$;p 70 2p 71 ②  ①

72 x=;;Á6Á;;p 73 4p 74 ④ 75 ①

76 ② 77 ;2Ò;<x<;;Á6Á;;p 78 ② 79 ⑤
06 480ù를 나타내는 동경 OP를 원점 O를 중심으로 음의 방향으로
800ù만큼 회전한 동경 OP'은 -320ù를 나타내는 동경과 일치한다.

80 0<x<;4Ò; 81 ② 82 ;6&;pÉhÉ;;Á6Á;;p 이때 -320ù=360ù_(-1)+40ù이므로 동경 OP'이 나타내는 일반


각은 360ù_n+40ù(n은 정수)와 같다.
83 ;3Ò;<h<;3@;p 84 ③   360ù_n+40ù

01 ① 200ù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07 h가 제2사분면의 각이므로


② 330ù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360ù_n+90ù<h<360ù_n+180ù(n은 정수)에서
③ 740ù=360ù_2+20ù이므로 740ù는 제1사분면의 각이다. 180ù_n+45ù<;2½;<180ù_n+90ù
④ -240ù=360ù_(-1)+120ù이므로 -240ù는 제2사분면의 각이다.
⑤ -710ù=360ù_(-2)+10ù이므로 -710ù는 제1사분면의 각이다. 정수 k에 대하여 ;2½;의 동경이 존재하는 사분면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그 각을 나타내는 동경이 제2사분면에 있는 것은 ④ -240ù이다. Ú n=2k일 때,
 ④
360ù_k+45ù<;2½;<360ù_k+90ù

이므로 ;2½;는 제1사분면의 각이다.


02 그림과 같이 210ù를 나타내는 동경과 y

y축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동경은 330ù를 Û n=2k+1일 때,


나타내는 동경과 일치한다. 210ù
360ù_k+225ù<;2½;<360ù_k+270ù
이때 -750ù=360ù_(-3)+330ù이므로 30ù x
30ù O
-750ù를 나타내는 동경은 210ù를 나타내 330ù
이므로 ;2½;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는 동경과 y축에 대하여 대칭이 된다.
Ú, Û에서 각 ;2½;의 동경이 존재할 수 있는 사분면은 제1, 3사분면이다.
 ⑤
  제1, 3사분면

03 각 h를 나타내는 동경과 각 10 h를 나타내는 동경이 일치하려면


두 각의 차이가 360ù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08 40ù<h<60ù이므로
즉, 10 h-h=9h=360ù_n`(n은 정수)에서 ① 80ù<2h<120ù ⇨ 제1, 2사분면
h=40ù_n ② 120ù<3h<180ù ⇨ 제2사분면

4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6 2022-11-09 오후 12:18:20


180ù
③ 240ù<6h<360ù ⇨ 제3, 4사분면 ④ ;9@;p=;9@;p_ =40ù
p
④ 280ù<7h<420ù ⇨ 제1, 4사분면
⑤ 360ù<9h<540ù ⇨ 제1, 2사분면 ⑤ -120ù=-120_;18Ò0;=-;3@;p
따라서 그 동경이 제3사분면에 존재할 수 있는 각은 ③ 6h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③
 ③

09 h가 제1사분면의 각이므로 11 ① -240ù=360ù_(-1)+120ù ⇨ 제2사분면


② -40ù=360ù_(-1)+320ù ⇨ 제4사분면
360ù_n<h<360ù_n+90ù(n은 정수)
③ 80ù ⇨ 제1사분면
각 변을 3으로 나누면
180ù
④ ;5$;p=;5$;p_ =144ù ⇨ 제2사분면
120ù_n<;3½;<120ù_n+30ù p
180ù
Ú n=3k`(k는 정수)일 때, ⑤ ;;Á3¼;;p=;;Á3¼;;p_ =600ù
p
120ù_3k<;3½;<120ù_3k+30ù y 600ù=360ù_1+240ù ⇨ 제3사분면
180ù
이때 ;6&;p=;6&;p_ =210ù이고, 210ù를 나타내는 동경은 제3사분
360ù_k<;3½;<360ù_k+30ù p
30ù
O x 면에 존재한다.
‌따라서 각 ;3½; 를 나타내는 동경이 속하는 영역
따라서 ;6&;p를 나타내는 동경과 같은 사분면에 존재하는 동경이 나타내
은 그림과 같다. (단, 경계선은 제외한다.)
는 각은 ⑤ ;;Á3¼;;p이다.
Û n=3k+1일 때,
 ⑤
120ù_(3k+1)<;3½;<120ù_(3k+1)+30ù
y
360ù_k+120ù<;3½;<360ù_k+150ù 180ù 180ù
30ù 12 ㄱ. p>3이므로 1(라디안)= p
<
3
=60ù
‌따라서 각 ;3½; 를 나타내는 동경이 속하는 영역 30ù 180ù
O x ㄴ. ;3@;p=;3@;p_ =120ù ⇨ 제2사분면
p
은 그림과 같다. (단, 경계선은 제외한다.)
ㄷ. 35ù=35_;18Ò0;=;3¦6;p
Ü n=3k+2일 때,
ㄹ. 135ù=135_;18Ò0;=;4#;p,
120ù_(3k+2)<;3½;<120ù_(3k+2)+30ù
y
-;;Á4£;;p=2p_(-2)+;4#;p이므로
360ù_k+240ù<;3½;<360ù_k+270ù

135ù, ;4#;p, -;;Á4£;;p를 나타내는 동경은 모두 일치한다.


‌따라서 각 ;3½; 를 나타내는 동경이 속하는 영역 x
O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ㄹ이다.
은 그림과 같다. (단, 경계선은 제외한다.) 30ù
  ㄱ, ㄷ, ㄹ

Ú, Û, Ü에서 각 ;3½;를 나타내는 동경이 속하는 모든 영역을 나타내

면 그림과 같다. (단, 경계선은 제외한다.) 13 넓이가 24p이고 호의 길이가 6p인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중심각의 크기를 h라 하면
y
24p=;2!;_r_6p에서 r=8
30ù
30ù 30ù
따라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O x
6p=8_h에서 h=;4#;p
30ù

 ①
④

14 부채꼴 AOB의 반지름의 길이를 r, 넓이를 S라 하면
2p=r_;4Ò;에서 r=8
10 ① 90ù=90_;18Ò0;=;2Ò;
따라서 부채꼴의 넓이는
② 135ù=135_;18Ò0;=;4#;p
S=;2!;_8_2p=8p
180ù
③ ;3%;p=;3%;p_ =300ù
p  ④

정답과 풀이 4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7 2022-11-09 오후 12:18:20


15 둘레의 길이가 16 cm인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따라서 호 BC와 현 BC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a cm`(0<a<8), 호의 길이를 l cm라 하면 (부채꼴 BOC의 넓이)-(삼각형 BOC의 넓이)
l=16-2a =;3*;p-4'3
이때
8p-12'3
=
(부채꼴의 넓이)‌=;2!;_a_(16-2a) 3
 ⑤
=-aÛ`+8a
=-(a-4)Û`+16
이므로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가 4 cm일 때, 부채꼴의 넓이의 최댓값
은 16 cmÛ`가 된다.
19 OPÓ="2Û`+(-'5)Û`=3이므로
'5 '5
따라서 r=4, S=16이므로 sin`h=- , tan`h=-
3 2
S+r=16+4=20 따라서
 ④ '5 '5
=6_{-
6 sin`h+6 tan`h‌ }+6_{- }
3 2
=-2'5-3'5=-5'5
 ④
16 원뿔의 밑면인 원의 넓이가 4p이므로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
이다.

20 점 P는 원 xÛ`+yÛ`=1과 직선 y=-'3x의 교점이므로


그림과 같이 원뿔의 전개도에서 부채꼴의 반지름
8
의 길이는 8, 호의 길이는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
y=-'3x를 xÛ`+yÛ`=1에 대입하면
이와 같으므로
xÛ`+(-'3x)Û`=1
2p_2=4p
4xÛ`=1, xÛ`=;4!;에서
따라서 원뿔의 옆면인 부채꼴의 넓이는

;2!;_8_4p=16p x=Ñ;2!;

이때 점 P는 제4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 16p
x>0, 즉 x=;2!;이어야 하고

이를 y=-'3x에 대입하면
'3
17 그림과 같이 원뿔의 전개도에서 옆면인 부 6
y=-
2
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h라 하자. h '3
이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는 6, 호의 길이는 밑 따라서 점 P{;2!;, - }이다.
2
면인 원의 둘레의 길이와 같으므로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2p_4=8p 4 '3
sin`h=- , cos`h=;2!;
2
이때 8p=6_h이므로
따라서
h=;3$;p '3
=4_{-
4 sin`h cos`h‌ }_;2!;
2
 ②
=-'3
 ①

18 그림과 같이 외접원의 중심을 O라 하면 A

부채꼴 BOC의 중심각 ∠BOC의 크기는


;6Ò;
21 OPÓ="ÃaÛ`+(-4)Û`="ÃaÛ`+16이므로
O
;6Ò;_2=;3Ò; -4 2'5
sin`h= =- 에서
B
;3Ò; "ÃaÛ`+16 5
4
부채꼴 BOC의 반지름의 길이는 4이므로 "ÃaÛ`+16=2'5
그 넓이는 C aÛ`+16=20, aÛ`=4
;2!;_4Û`_;3Ò;=;3*;p 이때 a<0이므로
a=-2
한편, 삼각형 BOC는 ∠BOC=;3Ò;, OBÓ=OCÓ=
Õ 4인 이등변삼각형이
따라서
므로 이 삼각형은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이고 그 넓이는 -4 -4
tan`h= = =2
'3
a -2
_4Û`=4'3  2
4

4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8 2022-11-09 오후 12:18:21


22 sin`h tan`h>0일 때, sin`h와 tan`h의 부호가 서로 같으므로 h ⑵
cosÛ``h
1+sin`h
=
+1+sin`h‌
1-sinÛ``h
1+sin`h
+1+sin`h
는 제1사분면 또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1-sin`h)(1+sin`h)
= +1+sin`h
 ② 1+sin`h
=1-sin`h+1+sin`h
23 'Äcos`h`'Ätan`h=-'Äcos`h tan`h 에서 =2
cos`h<0, tan`h<0
2 sinÛ``h
+1
즉, h는 제2사분면의 각이므로 2 tanÛ``h+1 cosÛ``h
⑶ -sinÛ``h= -sinÛ``h
sin`h>0 tanÛ``h+1 sinÛ``h
+1
cosÛ``h
이때 cos`h+tan`h<0, 1-sin`h¾0이므로
2 sinÛ`h+cosÛ``h
|sin`h|+|cos`h+tan`h|-"ÃtanÛ``h+"Ã(1-sin`h)Û` = -sinÛ``h
sinÛ``h+cosÛ``h
=|sin`h|+|cos`h+tan`h|-|tan`h|+|1-sin`h| =2 sinÛ``h+cosÛ``h-sinÛ``h
=sin`h-(cos`h+tan`h)-(-tan`h)+(1-sin`h) =sinÛ``h+cosÛ``h
=1-cos`h =1
  1-cos`h   ⑴ 1 ⑵ 2 ⑶ 1

24 sin`h`cos`h>0이므로 sin`h와 cos`h의 부호는 같고,


sin`h+cos`h<0이므로 sin`h<0, cos`h<0
27 0<cos`h<sin`h일 때,
따라서 h는 제3사분면의 각이고 sin`h+cos`h>0, sin`h-cos`h>0이므로
tan`h>0
(tan`h-1)'Ä1+2 sin`h cos`h
ㄱ. (반례) h=;6&;p이면 (tan`h+1)'Ä1-2 sin`h cos`h
sin`h
'3 { cos`h -1}"ÃsinÛ``h+cosÛ``h+2 sin`h cos`h
sin`;6&;p=-;2!;, cos`;6&;p=- 이므로
2 =
sin`h
'3 '3 -1 { +1}"ÃsinÛ``h+cosÛ``h-2 sin`h cos`h
sin`;6&;p-cos`;6&;p=-;2!;-{- }= >0 cos`h
2 2
ㄴ. tan`h>0, sin`h<0이므로 (sin`h-cos`h)"Ã(sin`h+cos`h)Û`
=
(sin`h+cos`h)"Ã(sin`h-cos`h)Û`
tan`h-sin`h>0
(sin`h-cos`h)|sin`h+cos`h|
ㄷ. cos`h<0, tan`h>0이므로 =
(sin`h+cos`h)|sin`h-cos`h|
tan`h
<0 (sin`h-cos`h)(sin`h+cos`h)
cos`h =
(sin`h+cos`h)(sin`h-cos`h)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
 ⑤
 ④
cos`h cos`h
25 +
1-sin`h 1+sin`h

=
cos`h(1+sin`h)
+
cos`h(1-sin`h)
(1-sin`h)(1+sin`h) (1+sin`h)(1-sin`h)
28 sin`h+cos`h=;2!;의 양변을 제곱하면
=
cos`h(1+sin`h)+cos`h(1-sin`h) =;4!;
sinÛ``h+cosÛ``h+2 sin`h`cos`h‌
(1-sin`h)(1+sin`h)

=
2 cos`h
=
2 cos`h 1+2 sin`h cos`h=;4!;
1-sinÛ``h cosÛ``h
=
2 2 sin`h cos`h=-;4#;
cos`h
 ⑤ sin`h cos`h=-;8#;

1 1 1 1  -;8#;
26 ⑴ { cos`h +1}{ sin`h +1}{ cos`h -1}{ sin`h -1} 

1 1 1 1
={ +1}{ -1}{ +1}{ -1}
cos`h cos`h sin`h sin`h 2
1 1
29 tan`h- tan`h =1의 양변에 tan`h를 곱하면
={ -1}{ -1}
cosÛ``h sinÛ``h tanÛ``h-2=tan`h
1-cosÛ``h 1-sinÛ``h tanÛ``h-tan`h-2=0
= _
cosÛ``h sinÛ``h (tan`h-2)(tan`h+1)=0
sinÛ``h cosÛ``h
= _
cosÛ``h sinÛ``h p<h<;2#;p에서 tan`h>0이므로

=1 tan`h=2

정답과 풀이 4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49 2022-11-09 오후 12:18:21


한편, sinÛ``h+cosÛ``h=1의 양변을 cosÛ``h로 나누면 f(p)_f(2p)_f(3p)_y_f(9p)
1 =f(0)_f(0)_f(0)_y_f(0)
tanÛ``h+1= 이므로
cosÛ``h
={f(0)}á`
1
=2Û`+1=5, cosÛ``h=;5!;
cosÛ``h =(-1)á`=-1

sinÛ``h=1-cosÛ``h=;5$;   -1

p<h<;2#;p에서 sin`h<0, cos`h<0이므로


2 1 33 조건 (나)에 의하여
sin`h=- , cos`h=-
'5 '5 f(99)=f(97)=f(95)=y=f(1)
따라서 이때 조건 (가)에 의하여
2 1 f(1)=sin`;2Ò;=1이므로
5 sin`h cos`h‌=5_{- }_{- }
'5 '5
=2 f(99)=1
 ②  1

1
30 4 cosÛ``h+ cosÛ``h =4(1-sinÛ
‌ ``h)+
cosÛ``h
1
34 ① f(p)=sin`p=0
1 ② 함수 f(x)=sin`x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난다.
=4-4 sinÛ`h+
cosÛ``h ③ 함수 f(x)=sin`x의 주기는 2p이다.
=4 ④ 함수 f(x)=sin`x의 최댓값은 1, 최솟값은 -1이다.
이므로 ⑤ ‌함수 f(x)=sin`x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 치역은
1 1 {y|-1ÉyÉ1}이다.
-4 sinÛ``h+ =0, =4 sinÛ``h
cosÛ``h cosÛ``h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sinÛ``h`cosÛ``h=;4!;  ⑤
따라서

{sin`h+
1
} +{cos`h+
1
} 35 함수 y=sin`x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2

sin`h cos`h
'3
1 1 sin{-;3Ò;}=-sin`;3Ò;=-
={sinÛ``h+2+ }+{cosÛ``h+2+ } 2
sinÛ``h cosÛ``h
함수 y=tan`x의 주기가 p이므로
1 1
=sinÛ``h+cosÛ``h+4+ +
sinÛ``h cosÛ``h tan`;4%;p=tan{p+;4Ò;}=tan`;4Ò;=1
cosÛ``h+sinÛ``h
=5+
sinÛ``h`cosÛ``h 따라서
1 '3
sin{-;3Ò;}+tan`;4%;p=-
=5+ 2-'3
sinÛ``h`cosÛ``h +1=
2 2
=5+4=9 2-'3
 
 ⑤ 2

31 함수 f(x)의 주기가 p이므로 36 ① 함수 y=tan`x의 주기는 p이다.


3_0 ② 함수 y=cos`x의 최솟값은 -1, 최댓값은 1이다.
f(p)=f(0)=sinÛ``;3);-tan`0-cos` =-1
2 ③ 함수 y=sin`x, y=tan`x의 그래프는 모두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①
④ ;4Ò;<h<;2Ò;일 때, sin`h>cos`h이다.

⑤ ;4Ò;<1(라디안)<;2Ò;이므로 그림과 같이 cos 1<sin 1<tan 1이다.


32 함수 f(x)의 주기가 p이므로
임의의 정수 n에 대하여 f(np)=f(0) y y=tan`x
즉, f(0)=f(p)=f(2p)=f(3p)=y=f(9p) tan`1
y=sin`x
한편, 1
sin`1
tanÛ` (0+p)-2 cos(p_0)+1 cos`1 y=cos`x
f(0)=
sin{;2Ò;-0}
O ;4Ò; 1 ;2Ò; x
0-2+1
= =-1
1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이므로  ④

5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0 2022-11-09 오후 12:18:22


2p 2p
37 ① 주기는 |3| = 이다.
3
이 함수의 주기 p는
2p
② 최댓값은 |-2|+1=3이다. =4
|;2Ò;|
③ 최솟값은 -|-2|+1=-1이다.
④ ‌그래프는 함수 f(x)=-2 sin`3x+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최솟값 m은
-|2|-1=-3
;6Ò;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p+m=4+(-3)=1
⑤ f {;2Ò;}=-2 sin { -;2Ò;}+1=-2 sin`p+1=1
3p  ③
2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④ 42 0ÉxÉ;2Ò;에서 함수 f(x)=-2 cos`4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f(x)
38 함수 y=3 sin(ax+2)+b에 대하여 2 f(x)=-2cos 4x

2p ;2Ò;
주기는 =8p
|a| O ;4Ò;
x

a>0이므로 a=;4!;` -2

최솟값은 -|3|+b=-2이므로
이때 함수 f(x)는 x=;4Ò;에서 최댓값 2를 가지므로
b=1
a=;4Ò;, b=2
따라서 a+b=;4!;+1=;4%;
따라서 2ab=2_;4Ò;_2=p
  ;4%;
 p

39 함수 y=6 sin`2x-1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p
y=-6 sin`2x+1 43 ① 주기는 |3| =;3Ò;이다.
이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② 최댓값과 최솟값은 없다.
③ 함수 f(x)=2 tan(3x-p)-1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6 sin`2x-;3!;
3x-p=np+;2Ò;, 즉 x=;3N;p+;2Ò;`(n은 정수)이다.
-6 sin`2x-;3!;=a sin`2x+b에서
④ ‌함수 f(x)=2 tan(3x-p)-1의 그래프는 함수 y=2 tan`3x의 그
a=-6, b=-;3!;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Ò;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
따라서 ab=(-6)_{-;3!;}=2
한 것이다.
 2
⑤ f {;4Ò;}‌=2 tan{;4#;p-p}-1=2 tan{-;4Ò;}-1

40 함수 y=-;3!; cos {2x-;3Ò;}+2에 대하여 =-2 tan`;4Ò;-1=-2-1=-3


최댓값 M은 |-;3!;|+2=;3&;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⑤
최솟값 m은 -|-;3!;|+2=;3%;

2p
주기 p는 =p
|2| 44 ① 함수 y=2 tan`x-1의 그래프는 함수 y=2 tan`4x의 그래프
따라서 를 x축의 방향으로 4배 한 후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sin(pM+pm)=sin{;3&;p+;3%;p}=sin`4p=0 것과 같다.
② ‌함수 y=-tan`4x의 그래프는 함수 y=2 tan`4x의 그래프를 y축
 0
의 방향으로 ;2!;배 한 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과 같다.

41 함수 y=2 cos`;2Ò;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③ ‌함수 y=2 tan`2x+3의 그래프는 함수 y=2 tan`4x의 그래프를 x축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가 나타내는 함수는 의 방향으로 2배 한 후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다.
④ ‌함수 y=-2 tan(4x-3)의 그래프는 함수 y=2 tan`4x의 그래프
y=2 cos`;2Ò;{x-;3!;}-1
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y=2 cos {;2Ò;x-;6Ò;}-1이므로
것과 같다.

정답과 풀이 5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1 2022-11-09 오후 12:18:22


⑤ ‌함수 y=3 tan(4x+2)의 그래프는 함수 y=2 tan`4x의 그래프를 49 a>0이므로 이 함수의 최댓값은 a=3
y축의 방향으로 ;2#;배 한 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주어진 그래프의 주기가 ;4%;p-;4Ò;=p이고 b>0이므로

것과 같다. 2p 2p
= =p에서 b=2`
|b| b
따라서 함수 y=2 tan`4x의 그래프를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하여 겹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식은 y=3 sin(2x-c)와 같고, 주어진 그래프
쳐질 수 있는 그래프의 식은 ④ y=-2 tan(4x-3)이다.
는 함수 y=3 sin`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p만큼 평행이동한
 ④
것과 같으므로
45 ㄱ. 함수 y=-sin{ 2p3 x- 43 p}의 주기는 2p
=3
3 sin`2{x-;4#;p}=3 sin(2x-c)에서
|;;ª3É;;|

ㄴ. 함수 y=-3 sin`;2Ò;x+2의 주기는


2p
=4 c=;2#;p
|;2Ò;|
따라서 abc=3_2_;2#;p=9p
2p
ㄷ. 함수 y=2 cos`;3Ò;x-1의 주기는 =6
|;3Ò;|   9p

ㄹ. 함수 y=4 tan{;3Ò;x+1}의 주기는


p
=3 50 주어진 그래프의 주기가 ;2Ò;이고 a>0이므로
|;3Ò;| p p
= =;2Ò;에서 a=2`
|a| a
p
함수 y=-3 tan`;3Ò;x+2의 주기는 =3이므로 이 함수와 주기가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식은 y=-tan(2x-b)와 같고, 주어진 그래프
|;3Ò;|
는 함수 y=-tan`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Ò;만큼 평행이동한
같은 함수는 ㄱ, ㄹ이다.
  ㄱ, ㄹ 것과 같으므로

-tan`2{x-;4Ò;}=-tan(2x-b)에서
46 a>0, b>0일 때, 함수 y=a sin`bx+c에 대하여
최댓값은 a+c=4, 최솟값은 -a+c=0이므로 b=;2Ò;
이 두 식을 연립하면
따라서 ab=2_;2Ò;=p
a=c=2
2p  p
한편 이 함수의 주기는 =;3Ò;이므로
b
b=6
51 주어진 그래프는 주기가 p-;3Ò;=;3@;p이고 최댓값 4, 최솟값 -2
따라서 abc=2_6_2=24 를 가지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함수로 가능한 것은 ②, ③이다.
 ② ② ‌함수 y=3 sin(3x-p)+1의 그래프는 함수 y=3 sin`3x의 그래프

를 x축의 방향으로 ;3Ò;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47 a>0일 때, 함수 f(x)=a cos{x-;6Ò;}+b에 대하여
같으므로 그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최댓값은 a+b=3 yy ㉠
y y=3`sin(3x-p)+1
f {;2Ò;}‌=a cos{;2Ò;-;6Ò;}+b 4

=a cos`;3Ò;+b=;2A;+b=-1   yy ㉡
O ;2Ò; ;6&;p x
㉠과 ㉡을 연립하면
-2
a=8, b=-5
③ ‌함수 y=3 cos (3x-p)+1의 그래프는 함수 y=3 cos`3x의 그래
따라서 ab=8_(-5)=-40
 ① 프를 x축의 방향으로 ;3Ò;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

과 같으므로 그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48 조건 (가)에 의하여 a=2 y y=3`cos(3x-p)+1
조건 (나)에 의하여 f(0)=2 tan`;4Ò;+b=2+b=1 4

즉, b=-1
O
따라서 ;3Ò; p x

f {;6!;}‌=2 tan{;2Ò;_;6!;+;4Ò;}-1
-2

따라서 주어진 그림과 같은 그래프를 나타내는 것은


=2 tan`;3Ò;-1=2'3-1 ③ f(x)=3 cos(3x-p)+1이다.
  2'3-1  ③

5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2 2022-11-09 오후 12:18:23


52 함수 y=|sin`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56 10h=;2Ò;이므로
y 1
tan`9h=tan(10h-h)=tan{;2Ò;-h}=
1 y=|sin x| tan`h
마찬가지로
-2p -p O p 2p x
1 1 1
tan`8h= , tan`7h= , tan`6h=
①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tan`2h tan`3h tan`4h
② 주기는 p이다. 10h
이고 tan`5h=tan` =tan`;4Ò;=1이므로
2
③ 최댓값은 1, 최솟값은 0이다.
tan`h_tan`2h_tan`3h_y_tan`9h
④ 함수 y=|sin`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Ò;만큼 평행이동하면
=tan`h_tan`2h_tan`3h_tan`4h_tan`5h

y=|sin{x-;2Ò;}|=|cos`x|  _
1
_
1
_
1
_
1
tan`4h tan`3h tan`2h tan`h
가 되므로 함수 y=|cos`x|의 그래프와 겹쳐질 수 있다. =tan`5h=1
⑤ x=0일 때, y=|sin`0|=0이므로 y절편은 0이다.  1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④
57 삼각형 ABC에서 ABÓ=ACÓ이므로 B=C
한편, A+B+C=p에서 A+B=p-C이므로

53 함수 y=|tan`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cos(A+B)=cos(p-C)=-cos`C=-;5@;

즉, cos`C=;5@;
y y=|tan`x|

'¶21
이때 sin`C=¾Ð1-{;5@;} =®É;2@5!;=
2
이고
O ;2Ò; p ;2#;p x
5
-;2#;p -;2Ò;
B=C이므로
-p
'¶21
sin`B=sin`C=
5
함수 y=|tan`x|의 주기는 p이므로  ②
ap=p에서 a=1
한편 0É|cos`x|É1에서
58 a>0일 때, 함수 y=a`cos`4x+b의 최댓값은 a+b, 최솟값은
3É2|cos`x|+3É5 -a+b이므로
이므로 함수 y=2|cos`x|+3의 최솟값은 b=3 a+b=5, -a+b=1
따라서 a+b=1+3=4 두 식을 연립하면
 ① a=2, b=3
따라서 a-b=-1

54 함수 y=|sin`px|의 그래프와 직선 y=x, y=;2!;x, y=;3!;x를


 ②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59 2 sin`x-3<0이므로
y
y=;2!;x y=;3!;x y=-(2 sin`x-3)+k=-2 sin`x+3+k
y=x
1 이 함수의 최댓값은 2+3+k=5+k

y=|sin`px|
최솟값은 -2+3+k=1+k

x
이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6+2k
O 1 2 3
따라서 6+2k=2이므로
따라서 p(1)=2, p(2)=4, p(3)=6이므로 2k=-4, k=-2
p(1)+p(2)+p(3)=2+4+6=12   -2
  12

60 y=2 sin {;4Ò;-x}+cos {;4#;p-x}+1


55 sinÛ` `;6&;p+cosÛ``;6%;p‌=sinÛ` {p+;6Ò;}+cosÛ` {p-;6Ò;} =2 sin {;4Ò;-x}+cos {;2Ò;+;4Ò;-x}+1
={-sin`;6Ò;}Û`+{-cos`;6Ò;}Û`
=2 sin {;4Ò;-x}-sin {;4Ò;-x}+1
=sinÛ``;6Ò;+cosÛ``;6Ò;=1
=sin {;4Ò;-x}+1
 ⑤

정답과 풀이 5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3 2022-11-09 오후 12:18:23


이므로 이 함수의 최댓값은 M=1+1=2 64 sin`x=t라 하면 -1ÉtÉ1이고 y

최솟값은 m=-1+1=0 -2t+5 -2(t+2)+9


y= = 7
따라서 M-m=2-0=2 t+2 t+2
9
 ① = -2 y=
9
`-2
t+2 t+2
그림에서 이 함수는 t=-1일 때 최댓값 M=7, -2 1 O
-1 1
61
t
y=4 sinÛ``x+4 cos`x-8 y
t=1일 때 최솟값 m=1을 갖는다.
;2!; -2
-1 1
=4(1-cosÛ``x)+4 cos`x-8 O t 따라서 M+m=7+1=8
=-4 cosÛ``x+4 cos`x-4 -3  ①
cos`x=t라 하면 -1ÉtÉ1이고
y=-4tÛ`+4t-4

65 ;4Ò;ÉhÉ;;3Ò;일 때 1Étan`hÉ'3이므로
y=-4tÛ`+4t-4
=-4{t-;2!;} -3
2 y

tan`h=t`(1ÉtÉ'3)이라 하면 M 1
y= `+3
그림에서 이 함수는 t=;2!;일 때 최댓값 -3, m t+1
-12 3t+4 3(t+1)+1 3
y= =
t=-1일 때 최솟값 -12를 갖는다. t+1 t+1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
= +3
t+1
(-3)+(-12)=-15 -1 O 1 '3 t
그림에서 이 함수는
  -15
t=1일 때 최댓값 M=;2&;,

62 y=-3a`cosÛ``h-4a`sin`h+b '3+5
t='3일 때 최솟값 m= 를 갖는다.
2
=-3a(1-sinÛ``h)-4a`sin`h+b
'3+5 2-'3
=3a sinÛ``h-4a sin`h-3a+b 따라서 M-m=;2&;- =
2 2
sin`h=t라 하면 -1ÉtÉ1이고 2-'3
 
y=3atÛ`-4at-3a+b 2

=3a {t-;3@;} -;;Á3£;;a+b


2

a>0이므로 이 함수는 66 cos`h=t라 하면 -1ÉtÉ1이고 y

at+1 a+1
t=;3@;일 때 최솟값 -;;Á3£;;a+b=-19   yy ㉠ y=
t+3 a 4

t=-1일 때 최댓값 4a+b=31 yy ㉡ a(t+3)-3a+1 -1


= -3 O1
t+3 t
을 갖는다.
-3a+1
㉠, ㉡을 연립하면 = +a
t+3
-3a+1
;;ª3°;;a=50, a=6
y= `+a
이때 a>1이므로 -3a+1<0 t+3
그림에서 이 함수는 t=1일 때 최댓값
a=6을 ㉠에 대입하면 b=7
-3a+1 a+1
따라서 a+b=13 +a=
4 4
 ② 을 갖는다.
a+1
따라서 =1이므로
4
63 y=sinÛ` {;2Ò;-x}+cos(p-x)+k a+1=4, a=3
=cosÛ``x-cos`x+k  ②
cos`x=t라 하면 -1ÉtÉ1이고
y=tÛ`-t+k

={t-;2!;}2`+k-;4!; 67 주어진 방정식을 정리하면


'2
이 함수는 t=-1일 때 최댓값 k+2, 2 sin`x=-'2, sin`x=-
2
t=;2!;일 때 최솟값 k-;4!;을 갖는다. 이므로 0Éx<2p에서

이때 최댓값은 k+2=3이므로 k=1 x=;4%;p 또는 x=;4&;p

최솟값은 k-;4!;=1-;4!;=;4#;이므로 l=;4#; 즉, a=;4%;p, b=;4&;p이므로

따라서 k+l=1+;4#;=;4&; b-a=;4&;p-;4%;p=;2Ò;

 ④  ①

5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4 2022-11-09 오후 12:18:24


68 2x=t라 하면 0Ét<2p이고 71 0<x<2p에서 부등식 tan`x<0을 만족시키려면
tan`t=1이므로 ;2Ò;<x<p 또는 ;2#;p<x<2p yy ㉠
t=;4Ò; 또는 t=;4%;p 한편, 주어진 방정식을 정리하면

즉, 2x=;4Ò; 또는 2x=;4%;p이므로 4 sinÛ``x=3, sinÛ``x=;4#;

'3 '3
x=;8Ò; 또는 x=;8%;p sin`x= 또는 sin`x=- 이므로
2 2
  x=;8Ò; 또는 x=;8%; p 0<x<2p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3Ò; 또는 x=;3@;p 또는 x=;3$;p 또는 x=;3%;p   yy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은

69 Ú |tan`x|='3의 근 x=;3@;p 또는 x=;3%;p


tan`x=Ñ'3, 즉 tan`x='3 또는 tan`x=-'3
따라서 두 값의 합은
이므로 0Éx<2p에서
;3@;p+;3%;p=;3&;p
x=;3Ò; 또는 x=;3@;p 또는 x=;3$;p 또는 x=;3%;p
 ②
Û 2 cos {x+;3Ò;}=1의 근

x+;3Ò;=t`{;3Ò;Ét<;3&;p}라 하면

2 cos`t=1, cos`t=;2!;이므로 ;3Ò;Ét<;3&;p에서 72 2 log`(1-sin`x)-2 log`cos`x=log`3에서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해
t=;3Ò; 또는 t=;3%;p 1-sin`x>0, cos`x>0
0<x<2p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즉, x+;3Ò;=;3Ò; 또는 x+;3Ò;=;3%;p이므로
0<x<;2Ò; 또는 ;2#;p<x<2p yy ㉠
x=0 또는 x=;3$;p
주어진 방정식을 정리하면
Ú, Û에서 주어진 연립방정식의 근은 log(1-sin`x)Û`-log`cosÛ``x=log`3
x=;3$;p log
(1-sin`x)Û`
=log`3
cosÛ``x
  x=;3$;p (1-sin`x)Û`
즉, ` =3이고
cosÛ``x
(1-sin`x)Û` (1-sin`x)Û` (1-sin`x)Û`
= =
cosÛ``x 1-sinÛ``x (1-sin`x)(1+sin`x)
70 2 sinÛ``h+3 cos`h-3‌=2(1-cosÛ``h)+3 cos`h-3 =
1-sin`x
=-2 cosÛ``h+3 cos`h-1 1+sin`x
이므로 이므로
1-sin`x
cos`h=t라 하면 -1ÉtÉ1이고 주어진 방정식은 =3, 즉 sin`x=-;2!;
1+sin`x
-2tÛ`+3t-1=0, 2tÛ`-3t+1=0
0<x<2p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은
(2t-1)(t-1)=0
x=;6&;p 또는 x=;;Á6Á;;p yy ㉡
t=;2!; 또는 t=1
따라서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즉, cos`h=;2!; 또는 cos`h=1
x=;;Á6Á;;p
이므로 0Éh<2p에서
  x=;;Á6Á;;p
cos`h=;2!;을 만족시키는 h의 값은

h=;3Ò; 또는 h=;3%;p

cos`h=1을 만족시키는 h의 값은
h=0
73 2x=t라 하면 0Ét<4p이고 주어진 방정식은
cos`t=;2!;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모든 근의 합은

;3Ò;+;3%;p+0=2p 이 방정식의 실근은 함수 y=cos`t의 그래프와 직선 y=;2!;의 교점의 t

  2p 좌표와 같다.

정답과 풀이 5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5 2022-11-09 오후 12:18:24


y
1 y=cos t 77 x-;6Ò;=t라 하면 y
y=cos t
y=;2!;
y=;2!; -;6Ò;Ét<;;Á6Á;;p이고
O O
;3Ò; 2p 4p t -;6Ò; ;3Ò; ;3%;p t
;3%;p ;3&;p :Á3Á:p cos`t<;2!;에서 /;Á6Á;/p
-1
;3Ò;<t<;3%;p
그림에서 두 그래프의 교점의 t좌표는

t=;3Ò; 또는 t=;3%;p 또는 t=;3&;p 또는 t=;;Á3Á;;p 따라서 ;3Ò;<x-;6Ò;<;3%;p이므로

즉, 2x=;3Ò; 또는 2x=;3%;p 또는 2x=;3&;p 또는 2x=;;Á3Á;;p이므로 ;2Ò;<x<;;Á6Á;;p

x=;6Ò; 또는 x=;6%;p 또는 x=;6&;p 또는 x=;;Á6Á;;p   ;2Ò;<x<;;Á6Á;;p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6Ò;+;6%;p+;6&;p+;;Á6Á;;p=4p

 4p
78 0Éx<2p에서 sin`x<0을 만족시키
 y
y=sin x
는 x의 값의 범위는
;4%;p
p<x<2p yy ㉠
74 방정식 sin`x=;9!;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sin`x의 O ;4Ò; p 2p x
한편, 0Éx<2p에서 cos`x>sin`x를 만
그래프와 직선 y=;9!;x의 서로 다른 교점의 개수와 같다. 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그림에서 y=cos x

y
y=;9!;x 0Éx<;4Ò; 또는 ;4%;p<x<2p   yy ㉡
1
-9 -2p -p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3p O p 2p 9 x
-1 y=sin`x 3p ;4%;p<x<2p

그림에서 함수 y=sin`x의 그래프와 직선 y=;9!;x의 서로 다른 교점의 이므로 a=;4%;p, b=2p

개수는 7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7이다. 따라서 b-a=2p-;4%;p=;4#;p


 ④
 ②

75 방정식 3 cosÛ``x-6 sin`x-a=0, 즉


방정식 3 cosÛ``x-6 sin`x=a가 실근을 갖기 위해서는 함수
y=3 cosÛ``x-6 sin`x의 그래프와 직선 y=a의 교점이 존재해야 한다.
79 2`cosÛ``x+sin`x-1‌=2(1-sinÛ``x)+sin`x-1
이때 =-2 sinÛ``x+sin`x+1
3 cosÛ``x-6 sin`x
‌ y 이므로
=3(1-sinÛ``x)-6 sin`x 6
sin`x=t라 하면 -1ÉtÉ1이고 주어진 부등식은
y=-3tÛ`-6t+3
=-3 sinÛ``x-6 sin`x+3 y=a -2tÛ`+t+1<0
sin`x=t라 하면 -1ÉtÉ1이고 O 1
2tÛ`-t-1>0
-1 t
y=-3tÛ`-6t+3=-3(t+1)Û`+6 (2t+1)(t-1)>0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이 실근을 갖도록 하
-6 t<-;2!; 또는 t>1
는 a의 값의 범위는 그림에서
-6ÉaÉ6 이때 -1ÉtÉ1이므로
 ① -1Ét<-;2!;
y
y=sin x
즉, -1Ésin`x<-;2!;이므로 이를 ;6&;p :Á6Á:p

76 그림에서 부등식 tan`h¾- '33 의 해는


x
y y=tan`h O p 2p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그림에서 y=-;2!;
y=-1
0Éh<;2Ò; 또는 ;6%;pÉh<p ;2Ò; ;6%;p h
;6&;p<x<;;Á6Á;;p
O
p
'3
이므로 a=;2Ò;, b=;6%;p y=-
3
따라서 a=;6&;p, b=;;Á6Á;;p이므로

따라서 a+b=;2Ò;+;6%;p=;3$;p a+b=;6&;p+;;Á6Á;;p=3p

 ②  ⑤

5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6 2022-11-09 오후 12:18:25


80 1
cosÛ``x
-tan`x-1‌=
sinÛ``x+cosÛ``x
cosÛ``x
-tan`x-1 83 이차방정식 xÛ`+2x`sin`h+sinÛ``h+2 sin`h-'3=0이 실근을 갖
지 않으려면 이 방정식의 판별식 D가 0보다 작으면 된다.
sinÛ``x cosÛ``x
= + -tan`x-1 D
cosÛ``x cosÛ``x =sinÛ``h-sinÛ``h-2 sin`h+'3=-2 sin`h+'3<0
4
=tanÛ``x-tan`x '3
즉, sin`h> 이어야 한다.
=tan`x(tan`x-1)<0 2
따라서 0<h<2p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h의 값의 범위는
따라서 0<tan`x<1이므로 0Éx<;2Ò;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의
;3Ò;<h<;3@;p
범위는 그림에서

0<x<;4Ò;   ;3Ò;<h<;3@;p

y y=tan`x

84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려면 이차방정식


f(x)=0의 판별식 D가 0이어야 한다.
1
D
=(4 sin`h+1)Û`-3_3=16 sinÛ``h+8 sin`h-8=0
4
x
O ;4Ò; ;2Ò;
2 sinÛ``h+sin`h-1=0
(2 sin`h-1)(sin`h+1)=0
 0<x<;4Ò;

sin`h=;2!; 또는 sin`h=-1

81 -4 sinÛ`(p-h)-4 sin{;2Ò;+h}+2 0<h<2p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h의 값은

=-4 sinÛ``h-4 cos`h+2 h=;6Ò; 또는 h=;6%;p 또는 h=;2#;p


=-4(1-cosÛ``h)-4 cos`h+2
따라서 hÁ=;6Ò;, hª=;6%;p, h£=;2#;p이므로
=4 cosÛ``h-4 cos`h-2
이므로 h£-hÁ-hª=;2#;p-;6Ò;-;6%;p=;2Ò;
cos`h=t라 하면 -1ÉtÉ1이고 주어진 부등식은
 ③
4tÛ`-4t-2¾k

4{t-;2!;} -3-k¾0
2

f(t)=4{t-;2!;} -3-k라 하면
2

-1ÉtÉ1에서 함수 f(t)는 t=;2!;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f {;2!;}=-3-k¾0

이어야 한다.
따라서 kÉ-3이므로 k의 최댓값은 -3이다.
 ②

82 f(x)=2xÛ`-4x cos`h-3 sin`h라 하자.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이차방
정식 f(x)=0의 판별식 D가 0보다 작거나 같으면 된다.
D
=4 cosÛ``h-2_(-3 sin`h)
4
=4(1-sinÛ``h)+6 sin`h
=-4 sinÛ``h+ 6 sin`h+4É0
즉, 2 sinÛ``h-3 sin`h-2¾0이어야 한다.
이때 -1Ésin`hÉ1이고 (2 sin`h+1)(sin`h-2)¾0이므로

-1Ésin`hÉ-;2!;

따라서 0<h<2p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h의 값의 범위는

;6&;pÉhÉ;;Á6Á;;p

  ;6&;pÉhÉ;;Á6Á;;p

정답과 풀이 5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7 2022-11-09 오후 12:18:26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76쪽 따라서
'¶13_2'¶13
'¶13 sin(p+h)-6 tan(-h)‌= -6_;3@;
'¶10 13
01 1 02 - 2 03 -2 04 a=2, b=4
=2-4=-2  yy`➌
05 x=;3Ò; 또는 x=;3%;p 또는 x=;3&;p 또는 x=;;Á3Á;;p   -2

06 a<-;;ª8°;;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sin(p+h)의 값을 구한 경우 40`%
➋ tan(-h)의 값을 구한 경우 40`%
01 함수 f(x)=sin`;2Ò;x-3 cos`;6Ò;x의 주기가 p이므로 ➌ '¶13 sin(p+h)-6 tan(-h)의 값을 구한 경우 20`%
f(p)‌=f(0) yy`➊
=sin`0-3 cos`0
=-3  yy`➋
따라서 04 함수 f(x)=a`cos`;2Ò;x+b의 최댓값이 6이므로
f( f(p))‌=f(-3) a+b=6 yy ㉠ yy`➊

=sin {-;2#;p}-3 cos {-;2Ò;} f {;3$;}=a cos`;3@;p+b

=-sin`;2#;p-3 cos`;2Ò; =-;2A;+b=3 yy ㉡ yy`➋


=1 yy`➌
㉠, ㉡을 연립하면
 1
a=2, b=4 yy`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 a=2, b=4
➊ f(p)=f(0)임을 알고 있는 경우 4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➋ f(p)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➊ a+b의 값을 구한 경우 40`%
➌ f( f(p))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➋ -;2A;+b의 값을 구한 경우 40`%

➌ 두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한 경우 20`%
02 2xÛ`-5px+3pÛ`=(2x-3p)(x-p)<0이므로

p<x<;2#;p

즉, x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yy`➊


(sin`x+cos`x)Û`‌=1+2 sin`x`cos`x
05 sin{x+;2Ò;}=cos`x, cos(x+p)=-cos`x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1+;2#; 4 cosÛ``x-8 cos`x+3=0 yy`➊
=;2%;  yy`➋ (2 cos`x-1)(2 cos`x-3)=0
2 cos`x-3<0이므로
제3사분면에서 sin`x+cos`x<0이므로
2 cos`x-1=0
'¶10
sin`x+cos`x=-  yy`➌
2 cos`x=;2!; yy`➋
'¶10
 - 0Éx<4p에서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2
x=;3Ò; 또는 x=;3%;p 또는 x=;3&;p 또는 x=;;Á3Á;;p yy`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x가 제3사분면의 각임을 알고 있는 경우 40`%   x=;3Ò; 또는 x=;3%;p 또는 x=;3&;p 또는 x=;;Á3Á;;p
➋ (sin`x+cos`x)Û`의 값을 구한 경우 40`%
➌ sin`x+cos`x의 값을 구한 경우 2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주어진 방정식을 cos`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40`%
➋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cos`x의 값을 구한 경우 30`%

03 OPÓ="3Û`+(-2)Û`='¶13이므로 ➌ 방정식의 모든 근을 구한 경우 30`%

sin(p+h)=-sin`h
-2 2'¶13
=-= yy`➊
'¶13

13
tan(-h)=-tan`h 06 sinÛ``x=1-cosÛ``x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2(1-cosÛ``x)-3 cos`x+a<0
-2
=- =;3@; yy`➋ 2 cosÛ``x+3 cos`x-2-a>0 yy`➊
3

5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8 2022-11-09 오후 12:18:26


cos`x=t로 치환하면
02 함수 f(x)=2 sin` pa x의 주기는 |2p
p
|
=2a이므로
2tÛ`+3t-2-a>0 a
2{t+;4#;} -;;ª8°;;-a>0
2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1ÉtÉ1이므로 f(x) x=;2A; x=;2#;a


2 A
H
t=-;4#;일 때 주어진 부등식은 최솟값 -;;ª8°;;-a를 갖는다. yy`➋
;2#;a
O
;2A; a 2a x
따라서 -;;ª8°;;-a>0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f(x)=2sin`;aÒ;x
-2
B
a<-;;ª8°;; yy`➌

점 A에서 직선 x=;2#;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a<-;;ª8°;;

AHÓ=;2#;a-;2A;=a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주어진 부등식을 cos`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30`% BHÓ=2-(-2)=4
➋ 주어진 부등식의 최솟값을 구한 경우 50`% 이므로
➌ a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20`% ABÓ=ADAHÓ Û`+BHÓ Û`="ÃaÛ`+16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가 자연수가 되려면 aÛ`+16이 자연수의 제곱
꼴이 되어야 하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a의 최솟값은 3이다.
 ②

2p
03 함수 y=sin`px의 주기는 |p|
=2이므로 그래프는 그림과 같

다.
본문 77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y
1
y=sin px
01 -;2!; 02 ② 03 ;2!; A B
C y=m
O ;2#;
04 0ÉhÉ;6Ò; 또는 ;3@;pÉhÉp ;2!; 1 2 x

-1
01 주어진 방정식을 변형하면
2k(sin`x+cos`x)=2kÛ`+1 ABÓ=a라 하면 BCÓ=2a(a>0)

2kÛ`+1-2k(sin`x+cos`x)=0 함수 y=sin`p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kÛ`+sinÛ``x+cosÛ``x-2k(sin`x+cos`x)=0
sinÛ``x-2k`sin`x+kÛ`+cosÛ``x-2k`cos`x+kÛ`=0 A{;2!;-;2A;, m}, B{;2!;+;2A;, m}

(sin`x-k)Û`+(cos`x-k)Û`=0 이때 BCÓ=2a이므로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려면
C {;2!;+;2%;a, m}
0<xÉ2p에서 sin`x=cos`x=k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이 존재해야
한다. 함수 y=sin`p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2
이때 k= 이면 sin`x=cos`x= 를 만족시키는 실근 x=;4Ò;가 존
2 2 ;2!;_[{;2!;+;2A;}+{;2!;+;2%;a}]=;2#;
재하고,
1+3a=3
'2 '2
k=- 이면 sin`x=cos`x=- 를 만족시키는 실근 x=;4%;p가
2 2 a=;3@;
존재한다.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도록 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2!;-;2A;, m}, 즉 {;6!;, m}이고 점 A는 함수
곱은 y=sin`p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2 '2
_{- }=-;2!; m=sin`;6Ò;=;2!;
2 2
  -;2!;   ;2!;

정답과 풀이 5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59 2022-11-09 오후 12:18:26


'3
04 f(1)= 5'3 cos`p- =-'3
6 6
04 삼각함수의 활용
5'3 '3 2'3
f(2)= cos`2p- =
6 6 3
본문 79쪽
이므로 개념 확인하기

}
2'3
A(1, `-'3), B{2,
3
01 6'2 02 2'2 03 30ù 04 60ù 05 4
이때 직선 y=x`tan`h의 기울기는 tan`h이고 원점 O에 대하여 06 3 07 30ù 08 90ù 09 2'2 10 '¶13
직선 OA의 기울기는 11 '¶39 12 60ù 13 120ù 14 12 15 10'2
'3 27'3
-'3-0
=-'3 16 4'3 17 ⑴ -;2!; ⑵
2
⑶ 18'3 18 2
1-0
직선 OB의 기울기는 19 2 20 32 21 9 22 6
2'3
-0
3 '3
2-0
=
3 01 사인법칙에 의하여
이므로 직선 y=x`tan`h가 선분 AB와 만나기 위한 tan`h의 값의 범 6 b
= 이므로
sin`30ù sin`45ù
위는 6 '2
b= _sin`45ù=6_2_ =6'2
'3 sin`30ù 2
-'3Étan`hÉ
3   6'2
따라서 0ÉhÉp에서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 h의 값의 범위는

0ÉhÉ;6Ò; 또는 ;3@;pÉhÉp
02 C=180ù-(A+B)=180ù-135ù=45ù
  0ÉhÉ;6Ò; 또는 ;3@;pÉhÉp 사인법칙에 의하여
2'3 c
= 이므로
sin`60ù sin`45ù
2'3 2 '2
c= _sin 45ù=2'3_ _ =2'2
sin`60ù '3 2
  2'2

03 사인법칙에 의하여
2'3 2
= 이므로
sin`120ù sin`B
2 1 '3
sin`B= _sin`120ù= _ =;2!;
2'3 '3 2
이때 B<180ù-A, 즉 B<60ù이므로
B=30ù
  30ù

04 사인법칙에 의하여
2'2 2'3
= 이므로
sin`45ù sin`C
2'3 '3 '2 '3
sin`C= _sin`45ù= _ =
2'2 '2 2 2
0ù<C<90ù이므로
C=60ù
  60ù

05 사인법칙에 의하여
4
2R= =4_2=8이므로
sin`30ù
R=4
 4

6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0 2022-11-09 오후 12:18:27


06 B=180ù-(A+C)=180ù-135ù=45ù 14 ;2!;ab`sin`C=;2!;_6_8_sin`30ù=12
사인법칙에 의하여   12
3'2
2R= =3'2_'2=6이므로
sin`45ù
R=3 15 ;2!;ac`sin`B=;2!;_4_10_sin`45ù=10'2
  10'2
 3

07 사인법칙에 의하여 16 ;2!;bc`sin`A=;2!;_2_8_sin`120ù=4'3


3   4'3
sin`A= =;2!;
2_3
이때 삼각형 ABC는 a=b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90ù
따라서 A=30ù
17 ⑴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6Û`+12Û`-(6'7)Û` -72
  30ù cos`B= = =-;2!;
2_6_12 144
'3
⑵ sin`B="Ã1-cosÛ``B =®É1-;4!;=
08 사인법칙에 의하여 2
4 '3
sin`C=
2_2
=1이므로 ⑶ ;2!;ac sin`B=;2!;_6_12_ =18'3
2
C=90ù '3
  ⑴ -;2!; ⑵ ⑶ 18'3
  90ù 2

09 사인법칙에 의하여 18 삼각형 ABC의 넓이는


a : b‌=sin`30ù : sin`45ù 9_3'7_6 27'3
=
4_'¶21 2
'2
=;2!; : 27'3
2  
2
=1 : '2
따라서 1 : '2=x : 4이므로
'2x=4, x=2'2
19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16'2
  2'2 =2'2이므로 R=2
4R
 2

10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Û`=3Û
‌ `+4Û`-2_3_4_cos`60ù 20 삼각형 ABC의 넓이는
=9+16-12=13 ;2!;_4_16=32
이므로 b='¶13
  32
  '¶13

21 주어진 사각형의 넓이는


11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Û`=2Û
‌ `+5Û`-2_2_5_cos`120ù ;2!;_3'2_6_sin`45ù=9
=4+25+10=39  9
이므로 a='¶39
 '¶39

22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는
3_4_sin`30ù=6
12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6
5Û`+7Û`-('¶39 )Û`
cos`A= =;7#0%;=;2!;
2_5_7
이므로 A=60ù
  60ù

13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Û`+('3)Û`-3Û` -3
cos`B‌= = =-;2!;
2_'3_'3 6
이므로 B=120ù
  120ù

정답과 풀이 6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1 2022-11-09 오후 12:18:27


유형 완성하기
본문 80~86쪽 a : b : c‌=sin`A : sin`B : sin`C
=sin`30ù : sin`30ù : sin`120ù
01 ① 02 30ù 03 12p 04 ⑤ 05 ① '3
=;2!; : ;2!; :
2
06 ;3*; 07 ② 08 20'6`m 09 ① 10 ③
=1 : 1 : '3
11 17 12 8+4'2 13 30ù 14 ④ 15 105  ⑤
16 '7`km 17 '¶78 18 (150'2-50'6) m 19 60ù
20 120ù 21 ① 22 A=90ù인 직각삼각형 23 ②
05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둘레의 길이가 4p이므로 외접원의 반
24 ② 25 ⑤ 26 ③ 27 2 : 1 28 ① 지름의 길이 R=2이다.
'3
29 4p 30 8'3+8 31 '3 32 ③ 33 6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b
'3+1 15+6'3 sin`B= =;4@;=;2!;이므로
34 2 35 2 36 5 37 ④ 2R
B=30ù
16'3
38 13 39 3 40 ③ 41 60ù 42 '3 C‌=180ù-(A+B)
=180ù-(105ù+30ù)
=45ù
01 C=180ù-(A+B)=180ù-135ù=45ù이므로 따라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6 c c=2R_sin`C=4_sin`45ù=2'2
=
sin`60ù sin`45ù  ①
6 c
=
'3 '2
2 2 06 A+B+C=p이므로
따라서 c=2'6 sin(A+B) : sin(B+C) : sin(C+A)
 ① =sin(p-C) : sin(p-A) : sin(p-B)
=sin`C : sin`A : sin`B
02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2 : '3 : 3
a b
= 이때 사인법칙에 의하여
sin`A sin`B
a : b : c‌=sin`A : sin`B : sin`C
2b b
= =4b에서 ='3 : 3 : 2
sin`A ;4!;
이므로 a='3k`(k>0)이라 하면 b=3k, c=2k
sin`A=;2!; 따라서
0ù<A<90ù이므로 A=30ù aÛ`+bÛ`+cÛ` ('3k)Û`+(3k)Û`+(2k)Û`
=
bc 3k_2k
  30ù 16kÛ`
=
6kÛ`
03 A=2k, B=7k, C=3k`(k>0)이라 하면 =;3*;
2k+7k+3k=12k=180ù에서
k=15ù   ;3*;
즉, A=30ù, B=105ù, C=45ù이다.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c 2'6 07 삼각형 ABC에서
2R= = =4'3 ∠ABC‌=180ù-(∠BAC+∠BCA)
sin`C sin`45ù
R=2'3 =180ù-60ù=120ù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넓이는 호수의 반지름의 길이를 R`m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pRÛ`=p_(2'3)Û`=12p 60
=2R, R=20'3
sin`120ù
  12p
따라서 호수의 반지름의 길이는 20'3`m이다.

04 A=k`(k>0)이라 하면 B=k, C=4k


 ②

A+B+C=k+k+4k=6k=180ù이므로
k=30ù 08 열기구의 위치를 C라 하면
그러므로 A=B=30ù, C=120ù 삼각형 ABC에서 A+B+C=180ù이므로
따라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C=180ù-(A+B)=180ù-120ù=60ù

6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2 2022-11-09 오후 12:18:28


이때 사인법칙에 의하여 13 세 내각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 각을 h라 하자.
b
=
60 h는 가장 길이가 짧은 변, 즉 길이가 '¶13인 변과 마주보고 있으므로 코
sin`45ù sin`60ù
사인법칙에 의하여
이므로
5Û`+(4'3)Û`-('¶13)Û` '3
60 cos`h= =
b= _sin`45ù=20'6 2_5_4'3 2
sin`60ù
따라서 A지점에서 열기구까지의 거리는 20'6`m이다. 따라서 h=30ù이다.

  20'6`m   30ù

09 삼각형 ABN에서 14 삼각형 AB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4Û`+6Û`-9Û`
∠ANB‌=180ù-(∠BAN+∠ABN) cos`A= =-;4@8(;
2_4_6
=180ù-120ù=60ù ∠A와 ∠C는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 ABCD의 마주 보는 두 각이므로
이때 사인법칙에 의하여 A+C=180ù
BNÓ 300 따라서
=
sin`45ù sin`60ù
이므로 cos`C=cos(180ù-A)=-cos`A=;4@8(;
300  ④
BNÓ= _`sin`45ù=100'6
sin`60ù
삼각형 MBN에서
MNÓ‌=BNÓ_tan`60ù 15 a : b : c=sin`A : sin`B : sin`C=4 : 5 : 6이므로
=100'6_'3=300'2 a=4k, b=5k, c=6k`(k>0)이라 하자.
따라서 건물의 높이 MN의 길이는 300'2`m이다.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5k)Û`+(6k)Û`-(4k)Û` 45kÛ`
=;4#;
 ①
cos`A= =
2_5k_6k 60kÛ`
이므로
10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7
(3'3)Û`‌=4Û`+cÛ`-2_4_c_cos`60ù sin`A="Ã1-cosÛ`A=®É;1¦6;=
4
=16+cÛ`-4c 이때 사인법칙에 의하여
cÛ`-4c-11=0 a
=2_8'7
c>0이므로 c=2+'¶15 sin`A
 ③ a‌=2_8'7_sin`A
'7
=16'7_ =28
4

11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이므로


8Û`=bÛ
‌ `+cÛ`-2_b_c_cos`120ù 4k=28, k=7
=bÛ`+cÛ`+bc 따라서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는
=(b+c)Û`-bc a+b+c‌=4k+5k+6k
=9Û`-bc =15k
따라서 bc=81-64=17 =15_7=105
  17   105

12 사인법칙에 의하여 16 두 지점 A, B 사이의 거리를 ABÓ=k`(k>0)이라 하면


a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4
sin`45ù kÛ`‌=2Û`+3Û`-2_2_3_cos`60ù
a=4_sin`45ù=2'2 =7
이때 b=c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따라서 k='7 (km)
(2'2)Û`‌=bÛ`+bÛ`-2_b_b_cos`45ù   `'7`km
=2bÛ`-'2bÛ`
따라서
8 17 A지점에서 두 물질의 경계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면
bÛ`= =8+4'2 AFÓ=FBÓ=3, ∠AFB=90ù이므로
2-'2
  8+4'2 ABÓ=3'2

정답과 풀이 6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3 2022-11-09 오후 12:18:28


이때 20 실수 k에 대하여
ABÓ : BCÓ=
‌ 3'2 : BCÓ sin`A sin`B sin`C
= = =k라 하면
='3 : 2 3 5 7
sin`A=3k, sin`B=5k, sin`C=7k
이므로 '3`BCÓ=6'2, BCÓ=2'6
이므로
또한 ∠ABC=45ù+90ù+15ù=150ù
a : b : c‌=sin`A : sin`B : sin`C
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k : 5k : 7k
ACÓ Û`‌=(3'2)Û`+(2'6)Û`-2_3'2_2'6_cos`150ù
=3 : 5 : 7
=78
따라서 ACÓ='¶78
실수 m에 대하여

 '¶78
a=3m, b=5m, c=7m이라 하면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m)Û`+(5m)Û`-(7m)Û`
cos`C= =-;2!;
2_3m_5m
18 그림과 같이 두 건물의 꼭대기 지점을 각각 A, D, 두 건물이 바 이므로 C=120ù
닥과 닿는 지점을 각각 B, C라 하고, A에서 선분 CD에 내린 수선의
  120ù
발을 E라 하자.

A
15ù D
21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45ù E cÛ`=4Û`+5Û`-2_4_5_cos`120ù

50'2`m =41-40_{-;2!;}=61

c='¶61
B C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삼각형 ABC는 ∠ABC=90ù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c '¶61 2'¶183
2R= = =
ABÓ=BCÓ=50'2, ACÓ=100 sin`C sin`120ù 3
삼각형 ACD에서 ∠DAC=60ù, ∠ACD=45ù이므로 ADÓ=k`(k>0) '¶183
R=
3
이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따라서 이 삼각형의 외접원의 넓이는
k CDÓ
=
sin`45ù sin`60ù p_RÛ`=p_;:!9*:#;=;;¤3Á;;p
k`sin`60ù '6
CDÓ= = k
sin`45ù 2  ①
삼각형 A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6 2
k} =kÛ`+100Û`-2_k_100_cos`60ù 22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주어진 등
2 식은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kÛ`=kÛ`-100k+10000 a aÛ`+cÛ`-bÛ` c
_ =
2R 2ac 2R
kÛ`+200k-20000=0
aÛ`+cÛ`-bÛ`
k>0이므로 =c
2c
k=-100+"Ã100Û`+20000=100('3-1) aÛ`+cÛ`-bÛ`=2cÛ`
따라서 옆 건물의 높이는 aÛ`=bÛ`+cÛ`
'6 따라서 주어진 삼각형은 A=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CDÓ‌= k
2
  A=90ù인 직각삼각형
'6
= _100('3-1)
2
=150'2-50'6(m) 23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자.
  (150'2-50'6) m 조건 (가)에서 삼각함수의 성질과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cos`B+b`cos(B+C)‌=a`cos`B+b`cos(180ù-A)
=a`cos`B-b`cos`A

19 a : b : c=sin`A : sin`B : sin`C=4 : 5 : '¶21이므로 =a_


aÛ`+cÛ`-bÛ`
2ac
-b_
bÛ`+cÛ`-aÛ`
2bc
a=4k, b=5k, c='¶21k`(k>0)이라 하자.
aÛ`+cÛ`-bÛ` bÛ`+cÛ`-aÛ`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
2c 2c
(4k)Û`+(5k)Û`-('¶21k)Û` 20kÛ`
cos`C= = =;2!; =
2aÛ`-2bÛ`
2_4k_5k 40kÛ` 2c
이므로 C=60ù
aÛ`-bÛ`
  60ù = =0
c

6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4 2022-11-09 오후 12:18:28


이므로 aÛ`=bÛ`, 즉 a=b 한편, 선분 AD가 ∠A의 이등분선이므로
조건 (나)에서 ABÓ : ACÓ=BDÓ : DCÓ
2 sinÛ``A=1-cosÛ``C=sinÛ``C 즉, BDÓ : DCÓ=3 : 2이고
사인법칙에 의하여 (삼각형 ABD의 넓이)=;5#;_(삼각형 ABC의 넓이)
} ={ }
a 2 c 2
2_{ 따라서
2R 2R
3'2
2aÛ`=cÛ`, 즉 c='2a k=;5#;_12
2
따라서 a : b : c=1 : 1 : '2이므로
12'2
삼각형 ABC는 C=90ù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고, A=45ù k=
5
 ②  ③

24 a=n+1, b=n+2, c=n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n+(n+1)>n+2
n>1 yy ㉠ 27 조건 (가)에서 ADÓ : DBÓ=3 : 1이므로
ADÓ=3k, DBÓ=k`(k>0)이라 하자.
한편, 삼각형 ABC의 세 각 중 크기가 최대인 각이 ∠B이므로 삼각형
AEÓ=a, ECÓ=b라 하면
ABC가 둔각삼각형이 되려면
삼각형 ADE의 넓이는
90ù<B<180ù
즉, -1<cos`B<0 ;2!;_ADÓ_AEÓ_sin`A‌=;2!;_3k_a_sin`A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ak`sin`A
nÛ`+(n+1)Û`-(n+2)Û`
cos`B=
2n(n+1) 삼각형 ABC의 넓이는

=
nÛ`-2n-3 ;2!;_ABÓ_ACÓ_sin`A‌=;2!;_4k_(a+b)_sin`A
2n(n+1)
(n+1)(n-3) =2(a+b)k`sin`A
=
2n(n+1) 이때 조건 (나)에 의해
n-3
=
2n 2_;2#;ak sin`A=2(a+b)k sin`A
n-3 3a=2(a+b)
-1< <0에서 2n>0이므로
2n
a=2b
-2n<n-3<0
따라서 AEÓ : ECÓ=a : b=2 : 1
1<n<3 yy ㉡
  2:1
㉠, ㉡에서 1<n<3
따라서 자연수 n의 값은 2이다.
 ②
28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25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RÛ`=;;¢3»;;p에서
('¶21)Û`‌=bÛ`+5Û`-2_b_5_cos`60ù
7'3
RÛ`=;;¢3»;;, R=
=bÛ`-5b+25 3
즉, bÛ`-5b+4=0에서 b>2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b=4 5_7_8 280
= =10'3
4R 28'3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3
;2!;bc`sin`A‌=;2!;_4_5_sin`60ù  ①

=5'3

 ⑤
29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2 '3 '6+'2
26 삼각형 ABC의 넓이는 3+'3=2RÛ`_
2
_ _
2 4
;2!;_6_4=12 이므로
RÛ`=4, R=2
이때 ∠BAD=45ù이므로 ADÓ=k`(k>0)이라 하면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넓이는
삼각형 ABD의 넓이는
p_2Û`=4p
3'2
;2!;_6_k_sin`45ù= k   4p
2

정답과 풀이 6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5 2022-11-09 오후 12:18:29


30 a : b : c=sin`A : sin`B : sin`C=2 : '2 : '3+1이므로 36=aÛ`+bÛ`-ab=(a+b)Û`-3ab=49-3ab에서
a=2k, b='2k, c=('3+1)k`(k>0)이라 하자. 3ab=13, ab=;;Á3£;;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k)Û`+{('3+1)k}Û`-(2k)Û`
cos`A= '3 13'3
2_'2k_('3+1)k ;2!;ab`sin`60ù=;2!;_;;Á3£;;_ =
2 12
2('3+1)kÛ` '2
= = 이때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2'2('3+1)kÛ` 2
삼각형 ABC의 넓이는
이므로 A=45ù
'2 ;2!;r(a+b+c)=;;Á2£;;r
따라서 sin`A=sin`45ù= 이고
2
13'3
사인법칙에 의하여 따라서 =;;Á2£;;r이므로
12
'2 '3
a=2_4'2_sin`A=8'2_ =8 r=
2 6
즉, 2k=8이므로 k=4 '3
 
따라서 b=4'2, c=4('3+1)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6
'2
;2!;bc`sin`A=;2!;_4'2_4('3+1)_
2
34 삼각형 ABC의 넓이는
'3
=8'3+8 ;2!;_'3_2_sin`30ù=
2
  8'3+8
삼각형 ACD의 넓이는

;2!;_'2_1_sin`45ù=;2!;
31 삼각형 ABC의 넓이는
사각형 ABCD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와 삼각형 ACD의 넓이
;2!;bc`sin`A‌=;2!;_8_7_sin`120ù
의 합과 같으므로
'3 '3+1
=28_ =14'3
2 2
이때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3+1
 
삼각형 ABC의 넓이는 2

;2!;_r_(13+8+7)=14r

따라서 14'3=14r이므로
35 ACÓ=a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Û`=4Û`+3Û`-2_4_3_cos`60ù=13
r='3
a='¶13
  '3
또한 ADÓ=b라 하면 삼각형 A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3)Û`=bÛ`+(3'2)Û`-2_b_3'2_cos`45ù
32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Û`-6b+5=0
5Û`+8Û`-7Û 이때 ADÓ>3이므로
cos`A= =;2!;
2_5_8 b=5
이므로 A=60ù 한편, 삼각형 ABC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는
;2!;_4_3_sin`60ù=3'3
;2!;bc`sin`A=;2!;_5_8_sin`60ù=10'3
삼각형 ACD의 넓이는
이때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2!;_3'2_5_sin`45ù=;;Á2°;;
삼각형 ABC의 넓이는
사각형 ABCD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와 삼각형 ACD의 넓이
;2!;_r_(7+5+8)=10r
의 합과 같으므로
10'3=10r에서 r='3 15+6'3
따라서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넓이는 2
p_('3)Û`=3p 15+6'3
 
2
 ③

36 ACÓ=k`(k>0)이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33 kÛ`=(2'2)Û
‌ `+(2+2'3)Û`-2_2'2_(2+2'3)_cos`45ù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6
6Û`=aÛ`+bÛ`-2ab`cos`60ù이므로 이므로 k=4

6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6 2022-11-09 오후 12:18:29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40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는
4 2'2 6_8_sin`60ù=24'3
=
sin`45ù sin(∠ACB)
 ③
2'2
sin(∠ACB)= _sin`45ù=;2!;이고
4
∠ACB<75ù이므로 ∠ACB=30ù 41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는
따라서 10_3'3_sin`B=30'3 sin`B=45이므로
∠ACD‌=∠BCD-∠ACB=75ù-30ù=45ù 45 '3
sin`B= =
30'3 2
한편, 삼각형 ABC의 넓이는
이때 0ù<B<90ù이므로
;2!;_2'2_(2+2'3)_sin`45ù=2+2'3 B=60ù
삼각형 ACD의 넓이는   60ù

;2!;_4_3_sin`45ù=3'2

사각형 ABCD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와 삼각형 ACD의 넓이


42 ABÓ=a, BCÓ=2a (a>0)이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
칙에 의하여
의 합과 같으므로
('3)Û`‌=aÛ`+(2a)Û`-2_a_2a_cos`60ù
2+3'2+2'3
=5aÛ`-2aÛ`=3aÛ`
이때 2+3'2+2'3=2+m'2+n'3에서
이므로 aÛ`=1, a=1
m=3, n=2
따라서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는
'3
따라서 m+n=5
a_2a_sin`60ù=1_2_ ='3
 5 2
  '3
37 사각형 ABCD의 넓이는

;2!;_5_12_sin`120ù=15'3

 ④

38 사각형 ABCD의 넓이는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87쪽

'3 3'3 '6-'2


;2!;ab`sin`60ù= ab= 이므로 01 02
26'3
p 03 cos`B=;7!;, cos`C=;1!4!;
4 2 4 3
ab=6 2'6
따라서
04 6'2 05 ⑴ 5
⑵ 6'6 06 2
aÛ`+bÛ`=(a+b)Û
‌ `-2ab=5Û`-12=13
  13 01 A=3k, B=k, C=8k (k>0)이라 하면
A+B+C=3k+k+8k=12k=180ù
39 선분 AC와 선분 DB의 교점을 E라 하면 k=15ù이므로
사각형 ABCD는 등변사다리꼴이므로 A=45ù, B=15ù, C=120ù  yy`➊
삼각형 EDA와 삼각형 EBC는 서로 닮은 이등변삼각형이고, 그 닮음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비는 1 : 3이다. 2Û`‌=bÛ`+('6)Û`-2_b_'6_cos`45ù
따라서 EAÓ=EDÓ=k (k>0)이라 하면 EBÓ=ECÓ=3k =bÛ`-2'3b+6
삼각형 E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Û`-2'3b+2=0
6Û`=(3k)Û
‌ `+(3k)Û`-2_3k_3k_cos`120ù b='3Ñ1
=27kÛ` 이때 sin`45ù : sin`15ù=a : b에서
kÛ`=;2#7^;=;3$; a>b, 즉 2>b이므로
b='3-1  yy`➋
따라서 사각형 ABCD의 넓이는
사인법칙에 의하여
'3
;2!;_ACÓ_DBÓ_sin`120ù‌=;2!;_4k_4k_ 2 '3-1
2 =
sin`45ù sin`B
=4'3_kÛ`
sin`45ù
sin`B=('3-1)_
=4'3_;3$; 2
'3-1 '6-'2
16'3 = =  yy`➌
= 2'2 4
3
16'3 '6-'2
   
3 4

정답과 풀이 6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7 2022-11-09 오후 12:18:3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
➊ 세 각의 크기를 구한 경우 20`% ;2!; ac sin`B‌=;2!;_9_4_
3
➋ b의 값을 구한 경우 40`%
=6'2  yy`➌
➌ sin`B의 값을 구한 경우 40`%
  6'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02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➊ cos`B의 값을 구한 경우 30`%


8Û`+7Û`-13Û` ➋ sin`B의 값을 구한 경우 30`%
cos`A= =-;2!;
2_8_7 ➌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한 경우 40`%
이므로 A=120ù  yy`➊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13 26'3
2R=
sin`120ù
=
3 05 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6Û`+5Û`-7Û`
R=
13'3
 yy`➋ cos`B= =;5!;이므로  yy`➊
3 2_6_5

sin`B="Ã1-cosÛ``B=®É1-;2Á5;=
따라서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둘레의 길이는 2'6
 yy`➋
5
13'3 26'3
2_p_ = p  yy`➌
3 3 ⑵ (삼각형 ABC의 넓이)‌=;2!;ac sin`B
26'3
  p 2'6
3 =;2!;_6_5_
5
단계 채점 기준 비율 =6'6  yy`➌
➊ A를 구한 경우 40`% 2'6
 ⑴ ⑵ 6'6
➋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5
➌ 외접원의 둘레의 길이를 구한 경우 2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cos`B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➋ sin`B의 값을 구한 경우 30`%
03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➌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한 경우 40`%
aÛ`=8Û`+5Û`-2_8_5_cos`60ù=49
a=7  yy`➊
따라서
7Û`+5Û`-8Û` 06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는
cos`B= =;7!;  yy`➋ ABÓ_BCÓ_sin`B=3_'7_sin`B=3'3이므로
2_7_5
cos`C=
7Û`+8Û`-5Û`
=;1!4!;  yy`➌ '¶21
2_7_8 sin`B=  yy`➊
7
  cos`B=;7!;, cos`C=;1!4!; 이때 0ù<B<90ù이므로
cos`B="Ã1-sinÛ``B
단계 채점 기준 비율
'¶21 2 2'7
➊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¾Ð1-{ }=  yy`➋
7 7
➋ cos`B의 값을 구한 경우 30`% 선분 AC의 길이를 k (k>0)이라 하면
➌ cos`C의 값을 구한 경우 30`%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kÛ`=3Û`+('7)Û`-2_3_'7_cos`B
2'7
=9+7-6'7_
7
04 삼각형 ABC에서 A+B+C=p이므로 =4
'7
cos(A+C)=cos(p-B)=-cos`B=- 즉, k=2
3
'7 따라서 선분 AC의 길이는 2이다. yy`➌
즉, cos`B=  yy`➊
3  2
sin`B>0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sin`B="Ã1-cosÛ``B
➊ sin`B의 값을 구한 경우 30`%
'7 2
=¾Ð1-{ }
3 ➋ cos`B의 값을 구한 경우 30`%
'2
=  yy`➋ ➌ 선분 AC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3

6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8 2022-11-09 오후 12:18:30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본문 88쪽
03 그림과 같이 원 O에서 호 AB의 외 O'
C
부에 점 E를 잡으면 각 AEB는 호 AB에
'¶34 8
01 3 02 ⑤ 03 128p 대한 원주각이므로 O
A

∠AEB=;2!;∠AOB=∠COD E O D

01 선분 BC와 선분 AD가 한 원의 평행한 두 현이므로 삼각형 AEB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B


삼각형 BCP와 삼각형 DAP는 서로 닮음인 이등변삼각형이고 그 닮 ABÓ
=2_8=16
음비는 1 : 2이다. sin(∠AEB)
C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PCÓ=PBÓ=a (a>0)이라 하면
B 3 a 삼각형 COD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PDÓ=PAÓ=2a
a 2a
P CDÓ
삼각형 BCP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D =2R yy ㉠
4 2a sin(∠COD)
3Û`+aÛ`-aÛ`
cos(∠BCP)= 6 한편, ABÓ : CDÓ=1 : '2, 즉 CDÓ='2`ABÓ이므로
2_3_a
'2`ABÓ
A
3 CDÓ
= =
2a sin(∠COD) sin(∠AEB)
삼각형 BA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BÓ
='2_
(3a)2+62-42 sin(∠AEB)
cos(∠BDA)=
2_3a_6 ='2_16
9aÛ`+20 =16'2   yy ㉡
=
36a
㉠, ㉡에 의하여
원주각의 성질에 의하여
2R=16'2, R=8'2
∠BCP=∠BDA이므로
따라서 원 O'의 넓이는
cos(∠BCP)=cos(∠BDA)
pRÛ`=p_(8'2)Û`=128p
3 9aÛ`+20
즉, = 에서   128p
2a 36a
9aÛ`=34
'¶34
a=
3
'¶34
따라서 선분 PC의 길이는 이다.
'¶34
3
 
3

02 그림과 같이 ∠BCD=aù라 하면
∠ACE=180ù-aù
E

5
10
C 7
180ù-aù aù D
7 5
A B

삼각형 ACE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7Û`+5Û`-10Û`
cos(180ù-aù)= =-;3!5#;
2_7_5
BDÓ=k`(k>0)이라 하면 삼각형 BD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7Û`+5Û`-kÛ` 74-kÛ`
cos`aù= =
2_7_5 70
이때 cos(180ù-aù)=-cos`aù이므로
74-kÛ`
-;3!5#;=-
70
즉, kÛ`=48에서
k=4'3
따라서 선분 BD의 길이는 4'3이다.
 ⑤

정답과 풀이 6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69 2022-11-09 오후 12:18:31


07   an=3n
III. 수열
08   an=(-1)n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n
본문 91~93쪽
09   an=
n+1
개념 확인하기

01 5, 14 02 2, -1 03 ;2!;, ;5!; 04 1, 3, 5, 7 10 2-0=2이므로


0, 2, 4 , 6 , 8, y   4, 6
05 2, ;2#;, ;3$;, ;4%; 06 2, 6, 12, 20 07 aÇ=3n
n
08 an=(-1)n 09 an= n+1 10 4, 6
11 -1-2=-3이므로
11 5, -4 12 -4 13 2 14 an=3n-2 5 , 2, -1, -4 , -7, y   5, -4
15 an=-3n+7 16 7 17 ⑴ -33 ⑵ 10째항
18 13 19 -3 20 160 21 225 22 272
( 1 (n=1)
12 7-11=3-7=y=-4에서 공차는 -4이다.
24 n [{ - 1
  -4
23 an=2n+1 a =
(n¾2)
9 n(n-1)

25 4, 8 26 -4, ;2!; 27 -2 28 ;3!; 29 4 13 -2-(-4)=0-(-2)=y=2에서 공차는 2이다.


 2
31 an=4_{;3!;} 32 an=-{;5!;}
n-1 n-3
30 2

33 an=2_(-1)n 34 ⑴ ;25!6; ⑵ 7째항 35 12 14 첫째항이 1, 공차가 4-1=3이므로


an=1+(n-1)_3=3n-2이다.
36 Ñ2'2 37 189 38 31 39 -;;¥4°;;   an=3n-2

40 85 41 ;1@2%8%; 42 189 43 an=2_3n-1


15 첫째항이 4, 공차가 -3이므로
44 an=à 2n-1 (n¾2)
0 (n=1) an=4+(n-1)_(-3)=-3n+7이다.
  an=-3n+7

01   5, 14
16 첫째항이 -3, 공차가 2이므로 제6항은
-3+(6-1)_2=7 7
02   2, -1

03   ;2!;, ;5!; 17 첫째항이 5, 공차가 -2이므로


an=5+(n-1)_(-2)=-2n+7이다.

04 a =2n-1에
n
⑴ a20=-33
n=1, 2, 3, 4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⑵ -2n+7=-13에서 2n=20, n=10
aÁ=1, aª=3, a£=5, a¢=7 따라서 -13은 10째항이다.
  1, 3, 5, 7   ⑴ -33 ⑵ 10째항

n+1
05 a = n
n

18 2_8=3+x에서 x=13
n=1, 2, 3, 4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 13

aÁ=2, aª=;2#;, a£=;3$;, a¢=;4%;

  2, ;2#;, ;3$;, ;4%;


19 2_x=(-11)+5에서 x=-3
  -3

06 a =nÛ`+n에 n=1, 2, 3, 4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n
10_{2_(-2)+(10-1)_4}
aÁ=2, aª=6, a£=12, a¢=20 20 2
=160
  2, 6, 12, 20   160

7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0 2022-11-09 오후 12:18:31


15_(4+26)
21 2
=225 29 ;;Á3ª;;=;1$2*;=y=4이므로
  225 an+1
=4
an
 4

22 첫째항이 2, 끝항이 32, 항의 개수가 16인 등차수열의 합이므로


-4 -8
2+4+6+y+32=
16_(2+32)
2
=272 30 =
-2 -4
=y=2이므로
  272 an+1
=2
an
 2
23 aÁ=SÁ=3 yy ㉠
n¾2일 때
an‌=Sn-Sn-1
31 첫째항이 4, 공비가 ;3!;이므로
an=4_{;3!;}
n-1
=(nÛ`+2n)-{(n-1)Û`+2(n-1)}
=2n+1 yy ㉡
 an=4_{;3!;}
n-1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같으므로
an=2n+1
  an=2n+1 32 첫째항이 -25, 공비가 ;5!;이므로
an=(-25)_{;5!;} =-{;5!;} _{;5!;} =-{;5!;}
n-1 -2 n-1 n-3

24 aÁ=SÁ=1 yy ㉠
 an=-{;5!;}
n-3

n¾2일 때 

an‌=Sn-Sn-1

=;n!;-
1
n-1
33 첫째항이 -2, 공비가 -1이므로
an=(-2)_(-1)n-1=2_(-1)n
1
=-    yy ㉡   an=2_(-1)n
n(n-1)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다르므로
( 1 (n=1) 34 첫째항이 64, 공비가 -;2!;이므로
an=[{
an=64_{-;2!;}
n-1
1
- (n¾2)
9 n(n-1)
( 1 (n=1) 1
⑴ a15= =;25!6;
  an=[{ 1 2¡`
- (n¾2)
9 n(n-1) ⑵ an=1에서

64_{-;2!;} =1, {-;2!;} ={;2!;} ={-;2!;} 이므로


n-1 n-1 6 6

25 2Ö1=2이므로 n=7
1, 2, 4 , 8 , 16, y   4, 8 따라서 1은 7째항이다.

  ⑴ ;25!6; ⑵ 7째항

26 (-1)Ö2=-;2!;이므로
35 6Û`=3x에서 x=12
-4 , 2, -1, ;2!; , -;4!;, y   -4, ;2!;   12

36 xÛ`=2_4에서 x=Ñ2'2
27 (-2)Ö1=4Ö(-2)=y=-2이므로   Ñ2'2
공비는 -2이다.
  -2
3_(2ß`-1)
37 2-1
=189
  189
28 1Ö3=;3!;Ö1=y=;3!;이므로

16_[1-{;2!;} ]
5
공비는 ;3!;이다.
38 =31
  ;3!;  1-;2!;  31

정답과 풀이 7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1 2022-11-09 오후 12:18:31


39 첫째항이 ;4!;,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8항까지의 유형 완성하기
본문 94~108쪽

합이므로
01 ① 02 ③ 03 ⑤ 04 -;;Á2°;; 05 ③
;4!;_{1-(-2)¡`}
=-;;¥4°;; 06 ② 07 ① 08 ① 09 ① 10 ②
1-(-2)
11 ② 12 ③ 13 ② 14 ③ 15 ②
  -;;¥4°;;
16 ④ 17 ⑤ 18 ④ 19 ② 20 ③
21 ③ 22 ① 23 ② 24 ① 25 ③
40 첫째항이 ;3!;,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8항까지의 합 26 ④ 27 ② 28 ② 29 ③ 30 ⑤
이므로 31 ② 32 ④ 33 ⑤ 34 ② 35 ④
36 ① 37 ② 38 ③ 39 ① 40 ②
;3!;_(2¡`-1)
2-1
=85 41 ④ 42 ④ 43 ③ 44 ② 45 ④
  85 46 ③ 47 ① 48 ② 49 ② 50 ②
51 ;2!; 52 ④ 53 ;;£4£;; 54 ⑤ 55 ②
41 첫째항이 1, 공비가 ;2!;, 항의 개수가 8인 등비수열의 합이므로
56 ② 57 ③ 58 ④ 59 ⑤ 60 ⑤
1-{;2!;}
8

1+;2!;+;4!;+y+;12!8;= =;1@2%8%; 61 ② 62 ③ 63 ⑤ 64 ② 65 ⑤
1-;2!; 66 ④ 67 ④ 68 ② 69 ③ 70 ⑤
  ;1@2%8%;
71 ④ 72 ① 73 25 74 0.5 75 ④
76 ② 77 ② 78 ③ 79 ① 80 ②
42 첫째항이 3, 공비가 2, 항의 개수가 6인 등비수열의 합이므로 81 ③ 82 ① 83 ④ 84 ④ 85 ②
3_(2ß`-1) 27'3
3+6+12+y+96=
2-1
=189 86 ④ 87 ③ 88 ;1@2%8%; 89 ⑤ 90 4
  189

01 주어진 수열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43 aÁ=SÁ=2   yy ㉠ 제4항이 5이므로 a+3d=5
n¾2일 때 제9항이 25이므로 a+8d=25
an‌=Sn-Sn-1 위의 두 식을 연립하면
=(3n-1)-(3n-1-1) a=-7, d=4
=3_3n-1-3n-1 따라서 구하는 첫째항은 -7이다.
=2_3n-1 yy ㉡  ①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같으므로
an=2_3n-1
  an=2_3n-1
02 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aª=4에서 a+d=4
a°=13에서 a+4d=13
44 aÁ=SÁ=0   yy ㉠
위의 두 식을 연립하면
n¾2일 때
a=1, d=3
an‌=Sn-Sn-1
이므로 an=1+(n-1)_3=3n-2
=(2n-2)-(2n-1-2)
따라서 a10=28
=2_2n-1-2n-1
 ③
=2n-1 yy ㉡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다르므로
0 (n=1) 03 a =3n+p이므로
n

an=à n-1
등차수열 {an}의 공차는 3이다.
2 (n¾2)
0 (n=1) aÁ=3+p이므로
  an=à
2 n-1
(n¾2) (3+p)+3=0에서
p=-6
an=3n-6이므로
a¦=15
 ⑤

7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2 2022-11-09 오후 12:18:32


04 수열 {a }의 일반항은
n a£Û`=a°+a¤에서
an=3+(n-1)dÁ=dÁn+3-dÁ   yy ㉠ (a+2d)Û`=(a+4d)+(a+5d)
수열 {2an+3}에서 제2항이 4이므로 (a+2d)Û`=2a+9d
2aª+3=4 ㉠에 의하여
(-5a)Û`=-25a
aª=;2!;
25aÛ`=-25a
㉠에 n=2를 대입하면
a(a+1)=0
dÁ+3=;2!; a=0이면 d=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a=-1이므로 d=3이고
dÁ=-;2%;
an=3n-4
an=-;2%;n+;;Á2Á;;이므로 따라서 a10=26
 ①
2an+3=-5n+14
즉, 등차수열 {2an+3}의 공차는 -5이므로
dª=-5
08 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따라서 dÁ+dª=-;;Á2°;; a£=21에서 a+2d=21


a¥=6에서 a+7d=6
  -;;Á2°;;
위의 두 식을 연립하면
a=27, d=-3

05 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an=27+(n-1)_(-3)=-3n+30
a£=7에서 -3n+30<0에서
a+2d=7 yy ㉠ n>10
a°+a10=41에서 따라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a11이므로
(a+4d)+(a+9d)=41 a11=-3
2a+13d=41   yy ㉡  ①
㉠, ㉡을 연립하면
a=1, d=3
따라서 구하는 공차는 3이다. 09 공차가 양수이므로 가장 작은 항은 첫째항이다.
즉, 수열 {an}은 첫째항이 -25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다.
 ③
an=-25+(n-1)_4=4n-29
akak+1<0에서
06 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4k-29)(4k-25)<0
aª+a¤=20에서
;;ª4°;;<k<;;ª4»;;
(a+d)+(a+5d)=20
2a+6d=20   yy ㉠ k는 자연수이므로

2a£-a°=-2에서 k=7

2(a+2d)-(a+4d)=-2  ①

a=-2
이를 ㉠에 대입하면
d=4 10 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a¤-aª=12에서
an=-2+(n-1)_4=4n-6이므로
(a+5d)-(a+d)=12
a¢=10
d=3
 ②
an=a+(n-1)_3=3n-3+a
|ak|Éak에서 ak¾0이다.
07 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k|Éak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이 11이므로
aª`:`a¢=1`:`4에서 a10<0, aÁÁ¾0
(a+d):(a+3d)=1`:`4 27+a<0, 30+a¾0
a+3d=4a+4d -30Éa<-27
3a+d=0 따라서 구하는 aÁ의 최솟값은 -30이다.
d=-3a   yy ㉠  ②

정답과 풀이 7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3 2022-11-09 오후 12:18:32


11 주어진 등차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첫째항이 -4, 제7항이 14 세 수 a-1, 8, b+3도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이므로 16=(a-1)+(b+3)
-4+6d=14 a+b=14 yy ㉡
6d=18 ㉠, ㉡을 연립하면
d=3 a=5, b=9
이때 a£은 주어진 수열의 제4항이므로 따라서 ab=45
-4+3_3=5  ②
 ②
m
16 세 수 x
, 6, x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12 주어진 등차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첫째항이 -3, 제(n+2)항 12=
m
+x
이 6이므로 x
-3+(n+1)d=6 xÛ`-12x+m=0
(n+1)d=9   yy ㉠ 방정식 xÛ`-12x+m=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는 주어진 수열의 제5항이므로 D
=36-m¾0
4
-3+4d=-1
0<mÉ36
4d=2
즉, m의 최댓값은 36이다.
d=;2!; 방정식 xÛ`-12x+36=0에서
이를 ㉠에 대입하면 x=6
세 수 6, 6, n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n+1)_;2!;=9
12=6+n
따라서 n=17 따라서 n=6
 ③  ④

13 주어진 등차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첫째항이 a, 제13항이 20이 17 합이 15인 세 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세 수를 각각 a-d, a,
므로
a+d라 하자.
a+12d=20   yy ㉠
(a-d)+a+(a+d)=15에서
a¦, a»는 각각 주어진 수열의 제8항, 제10항이므로
3a=15
a+a¦+a»=0에서
a=5
a+(a+7d)+(a+9d)=0
세 수의 곱이 80이므로
3a+16d=0   yy ㉡
5(5-d)(5+d)=80
㉠, ㉡을 연립하면
25-dÛ`=16
a=-16, d=3
dÛ`=9
a¤은 주어진 수열의 제7항이므로
d=Ñ3
a¤=a+6d=2
따라서 가장 큰 수는 8이다.
 ②
 ⑤

14 세 수 ;2A;, a+2, 2a-1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18 합이 3인 네 수가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네 수를 각각 a-3d,


2(a+2)=;2A;+2a-1 a-d, a+d, a+3d라 하자. (단, d>0)
(a-3d)+(a-d)+(a+d)+(a+3d)=3에서
2a+4=;2%;a-1 4a=3

;2A;=5 a=;4#;

따라서 a=10 가장 큰 수가 ;4(;이므로


 ③
;4#;+3d=;4(;

15 세 수 a, b, 13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3d=;2#;


2b=a+13
d=;2!;
a-2b=-13 yy ㉠

7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4 2022-11-09 오후 12:18:32


네 수의 곱은 23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라 하면 공차도 a이므로
n

(a-d)(a+d)(a-3d)(a+3d) a¢=3a¦+34에서
=(aÛ`-dÛ`)(aÛ`-9dÛ`) a+3a=3(a+6a)+34
={;1»6;-;4!;}{;1»6;-;4(;} 17a=-34
a=-2
=;1°6;_{-;1@6&;}=-;2!5#6%; an=-2+(n-1)_(-2)=-2n
 ④ 따라서 구하는 합은
11_{2_(-2)+10_(-2)}
=-132
19 합이 48인 네 수 a¢, a°, a¤, a¦이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
a¢, a°, a¤, a¦을 각각 a-3d, a-d, a+d, a+3d라 하자.  ②
(a-3d)+(a-d)+(a+d)+(a+3d)=48에서
24 a£은 aª, a¢의 등차중항이므로
4a=48 aª+a¢
a£= =11
a=12 2
a¢_a¦=108에서 a13은 a12, a14의 등차중항이므로
aÁª+aÁ¢
(12-3d)(12+3d)=108 a13= =-9
2
144-9dÛ`=108
따라서 제3항부터 제13항까지의 합은
9dÛ`=36 11_{11+(-9)}
=11
dÛ`=4 2
따라서  ①
a°_a¤‌=(12-d)(12+d)
25 등차수열 {a }의 일반항은
n

=144-dÛ`=140 an=20+(n-1)_(-3)=-3n+23
 ② an>0에서
3n<23
20 주어진 수열은 첫째항이 2,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다.
따라서 수열 {3n-1}의 첫째항부터 제13항까지의 합은 n<;;ª3£;;=7.___
13_(2_2+12_3) a¦>0, a¥<0이므로
=260
2
S15‌=|aÁ|+|aª|+y+|a15|
 ③
=(aÁ+aª+y+a¦)-(a¥+a»+y+a15)
다른 풀이
7(aÁ+a¦) 8(a¥+a15)
첫째항이 2, 제13항이 38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3항까지의 합은 = -
2 2
13_(2+38) 7_(20+2) 8_(-1-22)
=260 = -
2 2 2
=77-(-92)
21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169
aª=5에서 a+d=5
 ③
a13=27에서 a+12d=27
두 식을 연립하면 26 주어진 식의 값은 첫째항이 25, 제17항이 -21인 등차수열의 첫
a=3, d=2 째항부터 제17항까지의 합이므로
이므로 등차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은 25+aÁ+aª+y+a15+(-21)
15_(2_3+14_2) 17_{25+(-21)}
=255 = =34
2 2
 ③  ④

22 등차수열 {a }의 첫째항부터 제k항까지의 합이 -160이므로


n
27 주어진 부등식의 좌변은 첫째항이 31, 제(n+2)항이 -17인 등
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2)항까지의 합이므로
k{5+(-25)}
=-160 31+aÁ+aª+y+an+(-17)
2
k=16 (n+2){31+(-17)}
=
2
주어진 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7n+14
a16=-25에서
7n+14>150에서
5+15d=-25
d=-2 n>;:!7#:^;=19.___

따라서 a2k=a32=5+31_(-2)=-57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20이다.


 ①  ②

정답과 풀이 7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5 2022-11-09 오후 12:18:33


28 주어진 등차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첫째항은 -22이고 수열 {an+bn}은 첫째항이 -6이고 공차가 5인 등차수열이므로 구하
a¢는 제5항이므로 a¢=6에서 는 합은
-22+4d=6 15_{2_(-6)+14_5}
=435
2
d=7
 ②
41은 제(n+2)항이므로
-22+(n+1)_7=41에서
7(n+1)=63 32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n=8 S°=35에서
aÁ=-22+7=-15, a¥=-22+8_7=34이므로 5(2a+4d)
=35
8_(-15+34) 2
aÁ+aª+y+a¥= =76 a+2d=7 yy ㉠
2
 ② S13=-13에서
13(2a+12d)
=-13
2
29 주어진 조건에서 수열 {a +b }은 첫째항이 8이고 공차가 3인
n n
a+6d=-1 yy ㉡
등차수열이다.
㉠, ㉡을 연립하면
(aÁ+aª+y+a10)+(bÁ+bª+y+b10)
a=11, d=-2
=(aÁ+bÁ)+(aª+bª)+y+(a10+b10)
20_{2_11+19_(-2)}
이므로 구하는 값은 수열 {an+bn}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이 Sª¼= =-160
2
다.  ④
(aÁ+aª+y+a10)+(bÁ+bª+y+b10)
10_(2_8+9_3)
=
2 33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고, 첫째항부터 제n
n

=215 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면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③ S¦=-140, S14-S¦=7
즉, S¦=-140, S14=-133
30 두 수열 {a }, {b }이 등차수열이므로 수열 {a -b }도 등차수
n n n n S¦=-140에서
열이다. 7(2a+6d)
=-140
수열 {an-b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2
a+3d=-20 yy ㉠
aª-bª=5에서
S14=-133에서
a+d=5 yy ㉠
14(2a+13d)
a¤-b¤=13에서 =-133
2
a+5d=13 yy ㉡ 2a+13d=-19 yy ㉡
㉠, ㉡을 연립하면 ㉠, ㉡을 연립하면
a=3, d=2 a=-29, d=3
(aÁ+aª+y+a15)-(bÁ+bª+y+b15) 21_{2_(-29)+20_3}
SªÁ= =21
=(aÁ-bÁ)+(aª-bª)+y+(a15-b15) 2
15_(2_3+14_2)  ⑤
=
2
=255
 ⑤ 34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2a라 하면 주어진 조건으로
n

부터

31 주어진 수열의 홀수 번째 항을 차례대로 나열하면 S¥=128에서


-2, 0, 2, 4, 6, y 8(2a+7_2a)
=128
2
이 수열을 {an}이라 하면 수열 {an}은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2인
64a=128
등차수열이다.
a=2
주어진 수열의 짝수 번째 항을 차례대로 나열하면
수열 {an}은 첫째항이 2,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4, -1, 2, 5, 8, y
k{2_2+(k-1)_4}
이 수열을 {bn}이라 하면 수열 {bn}은 첫째항이 -4이고 공차가 3인 Sk= =2kÛ`=242
2
등차수열이다. kÛ`=121
주어진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30항까지의 합은 따라서 k=11
수열 {an+bn}의 첫째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과 같다.  ②

7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6 2022-11-09 오후 12:18:33


35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n(n+29)=390
a°=23에서 nÛ`+29n-390=0
a+4d=23 yy ㉠ (n-10)(n+39)=0
S10=220에서 n은 자연수이므로 n=10이다.
10(2a+9d)  ③
=220
2
2a+9d=44 yy ㉡
㉠, ㉡을 연립하면
39 30개의 홀수 중 가장 작은 수를 m이라 하면 30개의 홀수는 첫째
항이 m이고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을 이룬다.
a=31, d=-2
30개의 홀수의 합이 960이므로
an<0에서
30(2_m+29_2)
31+(n-1)_(-2)<0 =960
2
-2n+33<0 2m+58=64
n>;;£2£;;=16.5 2m=6
m=3
즉, 등차수열 {an}은 제17항에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므로 Sn의 최댓값은
 ①
16_{2_31+15_(-2)}
SÁ¤= =256
2
 ④ 40 k번째 열까지 각 열의 좌석 수는 첫째항이 20이고 공차가 5인 등
차수열을 이룬다.
k번째 열까지 모든 좌석의 수 S는 등차수열의 합과 같으므로
36 등차수열 {a }의 공차를 d라 하면
n
k{2_20+(k-1)_5} k(5k+35)
a¥-a£=15에서 S= =
2 2
(a+7d)-(a+2d)=15 S¾500에서
5d=15 k(k+7)¾200   yy ㉠
d=3 ㉠에서
an<0에서 k=11이면 좌변은 198이고
-25+(n-1)_3<0 k=12이면 좌변은 228이므로
3n-28<0 k¾12
n<;;ª3¥;;=9.___ 따라서 적어도 12번째 열까지는 좌석을 만들어야 한다.
 ②
즉, 등차수열 {an}은 제10항에서 처음으로 양수가 되므로
aÁ+aª+a£+y+an은 n=9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k=9 41 첫날에 푸는 문제의 개수를 a라 하면 20일간 풀게 되는 문제의 개
수는 첫째항이 a,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을 이룬다. 20일간 풀게 되는 문
 ①
제의 총 개수를 m이라 하면
20(2a+19_3)
m= =20a+570
37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2
m¾1000에서
SÁÁ=S12에서 a12=0이므로
20a+570¾1000
a+11d=0 yy ㉠
2a¾43
SÁÁ=-198에서
11(2a+10d) a¾;;¢2£;;=21.5
=-198
2
a¾22
a+5d=-18 yy ㉡
따라서 학생 A는 첫날에 최소한 22개의 문제를 풀어야 한다.
㉠, ㉡을 연립하면
 ④
a=-33, d=3
5_{2_(-33)+4_3}
따라서 S°=
2
=-135
42 n층을 이루는 벽돌의 개수를 a 이라 하면
n
 ② aÁ, aª, y, a13
은 첫째항이 49이고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을 이룬다.
a13=1에서
38 15부터 연속하는 n개의 자연수는 첫째항이 15이고 공차가 1인 49+12_(-d)=1
등차수열로 생각할 수 있다. n개의 수의 합이 195이므로
n{2_15+(n-1)} 12d=48
=195
2 d=4

정답과 풀이 7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7 2022-11-09 오후 12:18:33


따라서 1층부터 7층까지를 이루는 벽돌의 개수는 5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3과 4의 최소공배수인 12의 배수를 작은 것
aÁ+aª+a£+y+a¦ 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7_{2_49+6_(-4)} 12, 24, 36, 48
=
2
이고 그 합은
=259
4_(12+48)
 ④ =120
2
따라서 구하는 합은
408+312-120=600
43 자연수 n에 대하여 두 점 P , Q 의 좌표는 각각
n n
 ③
Pn(n, 2n+3), Qn(n,-3n+1)
이므로 PnQn=
Ó |(2n+3)-(-3n+1)|=5n+2
즉, PnQn은
Ó 첫째항이 7이고 공차가 5인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47 S =nÛ`+;n!;에서
n

PÁQÁÓ+PªQªÓ+y+P15Q15Ó aÁ=SÁ=2
15_(2_7+14_5) n¾2일 때
=
2
an=Sn-Sn-1
=630
1
 ③ ={nÛ`+;n!;}-[(n-1)Û`+ ]
n-1
1
=2n-1+;n!;-
n-1
44 30과 110 사이에 있는 자연수 중에서 7의 배수를 작은 것부터 차 a£=5+;3!;-;2!;=5-;6!;
례대로 나열하면
35, 42, 49, y, 105 a¤=11+;6!;-;5!;=11-;3Á0;
이다. 이때 105=35+(11-1)_7이므로 구하는 합은 첫째항이 35,
끝항이 105, 항의 개수가 11인 등차수열의 합과 같다. 따라서 aÁ+a£+a¤=18-;5!;=;;¥5»;;

즉, n=11이고  ①
11_(35+105)
M= =770이므로
2
n+M=781 48 S =nÛ`+2n+1에서
n

aÁ=SÁ=4 yy ㉠
 ②
n¾2일 때
an=Sn-Sn-1
45 15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1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3인 수 =(nÛ`+2n+1)-{(n-1)Û`+2(n-1)+1}
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nÛ`+2n+1)-nÛ`
3, 16, 29, y, 146 =2n+1   yy ㉡
이다. 이때 146=3+(12-1)_13이므로 구하는 합은 첫째항이 3, 끝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다르므로
항이 146, 항의 개수가 12인 등차수열의 합과 같다. 4 (n=1)
따라서 구하는 합은 an=à
2n+1 (n¾2)
12_(3+146)
=894 즉, a£, a°, y, a15는 첫째항이 7, 끝항이 31, 항의 개수가 7인 등차수
2
 ④ 열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aÁ+a£+y+a15
46 5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3의 배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 =4+
7_(7+31)
하면 2
3, 6, 9, y, 48 yy ㉠ =137
이다. 이때 48=3+(16-1)_3이므로 ㉠은 첫째항이 3, 끝항이 48,  ②
항의 개수가 16인 등차수열이고 그 합은
16_(3+48)
2
=408 49 S 이 n에 대한 이차식이고 2aª=aÁ+a£이므로
n

수열 {an}은 첫째항부터 등차수열을 이룬다.


5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4의 배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aÁ=SÁ=2A+1
4, 8, 12, y, 48   yy ㉡
n¾2일 때
이다. 이때 48=4+(12-1)_4이므로 ㉡은 첫째항이 4, 끝항이 48,
an=Sn-Sn-1
항의 개수가 12인 등차수열이고 그 합은
=(3nÛ`+An+A-2)-{3(n-1)Û`+A(n-1)+A-2}
12_(4+48)
=312 =6n-3+A   yy ㉠
2

7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8 2022-11-09 오후 12:18:34


2aª=aÁ+a£에서 53 등비수열 {a }의 일반항은 n

2(9+A)=(2A+1)+(15+A)
an=4_{;2!;}
n-1

A=2
이므로 수열 {anan+1}의 일반항은
따라서 수열 {an}의 일반항은
anan+1=4Û`_{;2!;} {;2!;} =8_{;4!;}
n-1 n n-1
an=6n-1
이므로 a10=59이다.
이다. 즉, 수열 {anan+1}은 첫째항이 8이고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다.
 ②
다른 풀이 a=8, r=;4!;이므로
Sn이 n에 대한 이차식이고 2aª=aÁ+a£이므로
수열 {an}은 첫째항부터 등차수열을 이룬다. a+r=;;£4£;;

즉, Sn에서 상수항은 0이므로 A=2이다.   ;;£4£;;

50 주어진 등비수열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제3항이 18이므로 54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n

arÛ`=18 yy ㉠ a£=1에서
제6항이 486이므로 arÛ`=1 yy ㉠
arÞ`=486 yy ㉡ a¦
=4에서

㉡Ö㉠에서
arß`
rÜ`=27 =4
arÝ`
r=3 rÛ`=4 yy ㉡
㉠에서 a=2 ㉠, ㉡에서
따라서 주어진 수열의 제2항은
a=aÁ=;4!;
ar=6
 ⑤
 ②

51 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n
55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r>0)이라 하면
n
aª=16에서 aª+a¢=50에서
ar=16 yy ㉠ ar+arÜ`=50
a°=2에서 ar(rÛ`+1)=50 yy ㉠
arÝ`=2 yy ㉡ a°+a¦=400에서
㉡Ö㉠에서 arÝ`+arß`=400
rÜ`=;8!; arÝ`(rÛ`+1)=400   yy ㉡
㉡Ö㉠에서
r=;2!;
rÜ`=8
㉠에서 a=32 r=2
따라서 구하는 값은 aÁ¼¼ ará`á`
따라서 = =r=2
a»» ará`¡`
a¦=32_{;2!;} =;2!;
6

 ②
  ;2!;

52 일반항이 a =(p+1)p 이므로 양수 p에 대하여 등비수열 {a }


n
n
n
56 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n

aªÛ`
의 첫째항은 p(p+1)이고 공비는 p이다. =3에서

p(p+1)+p=8에서 (ar)Û`
=3
pÛ`+2p-8=0 arÛ`
(p+4)(p-2)=0 a=3
따라서 양수 p의 값은 p=2이다. aªa£=27'3에서
 ④ ar_arÛ`=27'3

정답과 풀이 7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79 2022-11-09 오후 12:18:34


9rÜ`=27'3 a¢+a°=;2#;에서 arÜ`+arÝ`=;2#;
rÜ`=3'3
arÛ`(r+rÛ`)=;2#;
r='3
수열 {an}의 일반항은 ㉠에 의하여

;4!;(r+rÛ`)=;2#;
n-1
an=3_('3) 이므로
ak=243에서
rÛ`+r-6=0
3_('3)k-1=243
(r-2)(r+3)=0
('3)k-1=81
r=2
('3)k-1=('3)¡`
㉠에서
k-1=8
따라서 k=9 a=;1Á6;;
 ② 수열 {an}의 일반항은

an=;1Á6;;_2n-1=2n-5

an>100에서
57 주어진 조건에서 수열 {a }의 일반항은 n
2n-5>100
an=;2!;_('2)n-1
2à`>100>2ß`
ak>200에서 이므로
;2!;_('2)k-1>200 n-5¾7
k-1
n¾12
2
2 >400 따라서 구하는 n의 최솟값은 12이다.
2á`>400>2¡`이므로  ⑤
k-1
¾9
2
k¾19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19이다.
 ③ 60 주어진 등비수열의 공비를 r라 하면
첫째항이 3, 제6항이 96이므로
3rÞ`=96
rÞ`=32
58 주어진 조건에서 등비수열 {a }의 일반항은 n
r=2
an=8_{;3@;}
n-1

두 수 b, c는 각각 제3항, 제4항이므로
an<1에서 b=3_2Û`=12, c=3_2Ü`=24
8_{;3@;}
n-1
<1 따라서 b+c=36
 ⑤
2n+2<3n-1   yy ㉠
n=6일 때 ㉠의 좌변은 256, 우변은 243이므로 부등식은 성립하지 않
는다.
n=7일 때 ㉠의 좌변은 512, 우변은 729이므로 부등식은 성립한다.
즉, n¾7이므로 수열 {an}에서 처음으로 1보다 작아지는 항은 제7항 61 주어진 등비수열의 공비를 r라 하면
제2항이 6, 제5항이 162이므로
이고, 그 값은
ar=6, arÝ`=162
8_{;3@;} =;7%2!9@;
6

rÜ`=;:!6^:@;=27
p=729, q=512
r=3
따라서 p-q=217
7a+4 arÛ`
 ④ = =rÛ`=9이므로
a a
9a=7a+4
a=2
59 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r>0)이라 하면 b는 제4항이므로
a£=;4!;에서 b=2_3Ü`=54
따라서 a+b=56
arÛ`=;4!;   yy ㉠
 ②

8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0 2022-11-09 오후 12:18:34


62 주어진 등비수열의 공비를 r라 하면 66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실수를 각각 ;rA;, a, ar라 하면
첫째항이 5, 제(n+2)항이 405이므로 세 실수의 곱이 125이므로
5rn+1=405
;rA;_a_ar=125
rn+1=81 yy ㉠
a¢는 제5항이므로 aÜ`=125
a¢=45에서 a=5
5rÝ`=45 세 실수의 합이 31이므로
rÝ`=9 ;r%;+5+5r=31
r¡`=81 yy ㉡
5rÛ`-26r+5=0
㉠, ㉡에서
(5r-1)(r-5)=0
rn+1=r¡`
n+1=8 r=;5!; 또는 r=5
n=7 따라서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실수는 1, 5, 25이므로 가장 큰 수와 가
㉡에서 rÛ`=3이므로 장 작은 수의 차는 24이다.
an a¦ 5rà`  ④
= = =rß`=(rÛ`)Ü`=3Ü`=27
aÁ aÁ 5r
 ③
67 r>1인 실수 r에 대하여
63 세 수 a, a+8, 40-a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rB;, c=br라 하면
(a+8)Û`=a(40-a)
aÛ`+16a+64=40a-aÛ` abc=1에서

2aÛ`-24a+64=0 ;rB;_b_br=1
aÛ`-12a+32=0
bÜ`=1
(a-8)(a-4)=0
b=1
따라서 a=4 또는 a=8이므로 모든 a의 값의 합은 12이다.
b+c=8에서
 ⑤
1+r=8
r=7
64 세 수 a, 4,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16=ab a=;7!;, b=1, c=7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두 자연수 a, b의 모든 순서쌍은 bc


=49
a
(1, 16), (2, 8), (8, 2), (16, 1)
 ④
이다. 각 순서쌍에 대하여 a+3b의 값은
49, 26, 14, 19
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14이다.
68 양수 a와 r>1인 실수 r에 대하여 세 실수를
 ② a, ar, arÛ`
이라 하면 a<ar<arÛ`이다.
65 세 수 aÛ`, b, 36이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세 양수의 합이 7이므로
bÛ`=36aÛ`
a+ar+arÛ`=7
ab>0이므로
a(rÛ`+r+1)=7   yy ㉠
b=6a   yy ㉠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의 차가 5이므로
세 수 a, aÛ`, b+4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arÛ`-a=5
2aÛ`=a+b+4
a(rÛ`-1)=5
㉠에 의하여 5
a= yy ㉡
2aÛ`=7a+4 rÛ`-1
2aÛ`-7a-4=0 ㉡을 ㉠에 대입하면
(2a+1)(a-4)=0 5(rÛ`+r+1)
=7
rÛ`-1
a=-;2!;이면 b=-3 5(rÛ`+r+1)=7(rÛ`-1)
a=4이면 b=24 2rÛ`-5r-12=0
따라서 구하는 a+b의 최댓값은 28이다. (2r+3)(r-4)=0
 ⑤ r=4

정답과 풀이 8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1 2022-11-09 오후 12:18:35


㉡에서 a=;3!; 71 점 Aª는 선분 AÁB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두 번째로 큰 수는 ar=;3$;이다. AªBÓ=;3@; AÁBÓ=2_;3@;

 ② 점 A£은 선분 AªB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BÓ=;3@; AªBÓ=2_{;3@;}
2

점 A¢는 선분 A£B를 1 : 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BÓ=;3@; A£BÓ=2_{;3@;}
3

69 정사각형 R 의 한 변의 길이를 a 이라 하면
n n

aÁ='¶16=4 ⋮
aª는 세 변의 길이가 2, 2, aª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이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선분 AnB의 길이는 첫째항이 2,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ª="Ã2Û`+2Û`=2'2
 A¦BÓ-A¥BÓ

A¦A¥Ó=
a£은 세 변의 길이가 '2, '2, a£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이
=2_{;3@;} -2_{;3@;}
6 7
므로
a£="Ã('2)Û`+('2)Û`=2
=2_{;3@;} {1-;3@;}
6


={;3@;}
7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2  ④
수열 {an}은 첫째항이 4, 공비가 인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2
'2
정사각형 Rn의 둘레의 길이는 첫째항이 16, 공비가
2
인 등비수열을 72 정육면체 C 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 이라 하면 aÁ=32이다.
n n

aÁÛ``:`aªÛ`=4`:`1, 즉 aÁ`:`aª=2`:`1이므로
이룬다.
aª=16
따라서 구하는 정사각형 R»의 둘레의 길이는 aªÛ``:`a£Û`=4`:`1, 즉 aª`:`a£=2`:`1이므로
'2 8
16_{ } =1 a£=8
2

 ③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수열 {an}은 첫째항이 32,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정육면체 Cn의 부피는 첫째항이 32Ü`, 공비가 ;8!;인 등비수열을 이룬다.


70 정삼각형 T 의 한 변의 길이를 a 이라 하면
n n

aÁ=6 따라서 구하는 정육면체 C10의 부피는


1 1
32Ü`_{;8!;} =215_
9
정삼각형 TÁ은 Tª와 합동인 4개의 삼각형으로 나누어지므로 =
227 212

aª= =3  ①
2
정삼각형 Tª는 T£과 합동인 4개의 삼각형으로 나누어지므로
aª 73 삼각형 AÁAªB, AªA£B, A£A¢B, y는 모두 ∠B를 공유하는
a£= =;2#; 직각삼각형이므로 서로 닮음인 삼각형이다.
2
⋮ AÁBÓ="Ã3`Û +4Û`=5이고, 삼각형 AÁAªB의 넓이는 ;2!;_3_4=6이므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2!;_AÁBÓ_AªA£Ó=6에서 AªA£Ó=;;Á5ª;;이다.
수열 {an}은 첫째항이 6,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ÁAªÓ`:`AªA£Ó=3`:`;;Á5ª;;=5`:`4이므로
정삼각형 Tn의 넓이는 첫째항이 9'3,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을 이룬다.
두 삼각형 AÁAªB, AªA£B는 닮음비가 5`:`4인 서로 닮음인 삼각형이
따라서 정삼각형 T¥의 넓이 S는
고, 넓이의 비는 25`:`16이다.
S=9'3_{;4!;}
7

삼각형 AnAn+1B의 넓이를 an이라 하면 수열 {an}은 첫째항이 6이고


이고 공비가 ;2!5^;인 등비수열을 이룬다.
'3S
logª` 삼각형 A°A¤B의 넓이는
27
217
=logª`{;4!;} a°=6_{;2!5^;} =3_
7 4

58
=logª`2-14 이므로 k=17, l=8이다.
=-14 따라서 k+l=25
 ⑤   25

8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2 2022-11-09 오후 12:18:35


74 현재 인구를 a, 매년 인구의 증가율을 r라 하자. 0.18n>1.44
n>8
3년 전 인구가 현재 인구의 ;5$;이므로
따라서 9개월 후 처음으로 1월의 매출액의 3배를 초과한다.
{;5$;a}(1+r)Ü`=a  ②

(1+r)Ü`=;4%;

이 도시의 15년 후 인구는 77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r>0)이라 하면


n

a£=5에서
a(1+r)15=a{(1+r)Ü`}Þ`=a{;4%;}
5

arÛ`=5 yy ㉠
이므로 a¦=80에서
k={;4%;}
5
arß`=80   yy ㉡
㉡Ö㉠에서
log`k=5 log`;4%;
rÝ`=16
=5(1-log`8) r=2
=5(1-3 log`2)
㉠에서 a=;4%;
=5(1-0.9)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6항까지의 합은
=0.5
2ß`-1
  0.5 ;4%;_ =;:#4!:%;
2-1
 ②
75 처음 방사능의 양을 a, 옷감 한 장을 통과시킬 때마다 방사능이
감소하는 비율을 r라 하자.
옷감을 12장 통과한 후 방사능의 양이 처음 방사능의 양보다 87.5% 감 78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을 a`(a>0), 공비를 r`(r>0)이라 하면
n

소했으므로 a°-a£=0에서
arÝ`-arÛ`=0
a(1-r) =a-;1¥0¦0°0;a
12

arÛ`(rÛ`-1)=0
a(1-r)12=;1Á0ª0°0;a rÛ`-1=0, rÛ`=1
r=1
(1-r)12=;8!;   yy ㉠
a¦+a10=8에서
옷감 4장을 통과한 후 방사능의 양은 a+a=8
;3!;
a(1-r)Ý`=a{;8!;} =;2A; a=4
따라서 구하는 합은
이므로 처음 방사능의 양의 50`%이다.
15_4=60
 ④
 ③

76 그 해 1월의 매출액을 a, 매월 매출액의 증가율을 r라 하자.


어느 해 4월의 매출액이 그 해 1월의 매출액의 1.5배이므로
79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n

a(1+r)Ü`=;2#;a ar=0일 때 aÁ+a£=12를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ar+0이다.


aªa£=4a¢에서
(1+r)Ü`=;2#;   yy ㉠
ar_arÛ`=4arÜ`
그 해 1월부터 n개월 후 매출액을 an이라 하면 aÛ`rÜ`=4arÜ`
an=a(1+r)n a=4
an>3a에서 aÁ+a£=12에서
n
a(1+r) >3a 4+4rÛ`=12
;3N;
rÛ`=2
{(1+r)Ü`} >3
an=a_rn-1에서 anÛ`=aÛ`(rÛ`)n-1이므로
㉠에 의하여
;3N; 수열 {anÛ`}은 첫째항이 16,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다.
{;2#;} >3 aÁÛ`+aªÛ`+a£Û`+y+a»Û`

;3N; log`;2#;>log`3 16_(2á`-1)


=
2-1
n(log`3-log`2)>3 log`3 =213-2Ý`
n(0.48-0.30)>3_0.48  ①

정답과 풀이 8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3 2022-11-09 오후 12:18:35


80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n a(rk-1)
r-1
=-6 yy ㉠
S£=9에서
a(rÜ`-1) S2k=42에서
=9 yy ㉠
r-1 a(r2k-1)
=42
S¤=-63에서 r-1
a(rß`-1) a(rk-1)(rk+1)
=-63 =42 yy ㉡
r-1 r-1
a(rÜ`-1)(rÜ`+1) ㉡Ö㉠에서
=-63   yy ㉡
r-1
rk+1=-7
㉡Ö㉠에서
rk=-8 yy ㉢
rÜ`+1=-7 3k
a(r -1)
rÜ`=-8 S3k=
r-1
r=-2 a(rk-1)(r2k+rk+1)
=
㉠에서 a=3 r-1
an=3_(-2)n-1이므로 a¥=-384 a(rk-1)
= _(r2k+rk+1)
 ② r-1
㉠, ㉢에 의하여
S3k=(-6)_{(-8)Û`+(-8)+1}=-342

81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n
 ①
Ú r=1인 경우
an=a, Sn= Á a=na이므로
n

4n-1
83 S =
k=1
n +5이므로
2Sª=3SÁ에서 3
2_2a=3_a n¾2일 때
a=0 an=Sn-Sn-1
1 1 1 1 4n-1 4n-2
={ +5}-{ +5}
aÁ + aª + a£ +y+ a¦ =635에서 3 3
a+0이므로 조건에 모순이다. 4n-1 4n-2
= -
Û r+1인 경우 3 3
SÁ=a이므로 2Sª=3SÁ에서 =;3$;_4n-2-;3!;_4n-2
a(rÛ`-1)
2_ =3a =4n-2
r-1
2(r+1)=3 n¾2일 때 an=4n-2이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2n=42n-2=16n-1
r=;2!;
따라서 수열 {a2n}은 첫째항이 1, 공비가 16인 등비수열을 이룬다.
1
수열 [ ]은 첫째항이 ;a!;,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a2022
는 수열 {a2n}의 공비와 같으므로
an a2020
1 1 1 1 a2022
aÁ + aª + a£ +y+ a¦ =635에서 a2020
=16

2à`-1  ④
;a!;_ =635
2-1

a=;6!3@5&;=;5!;

따라서 수열 {an}의 첫째항은 ;5!;이므로 84 S =3_2 +4이므로


n
n

aÁ=SÁ=10 yy ㉠
Sª=;2#;_SÁ=;2#;_a=;1£0; n¾2일 때

 ③ an=Sn-Sn-1
=(3_2n+4)-(3_2n-1+4)
=3_2n-3_2n-1
=6_2n-1-3_2n-1
82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고, 첫째항부터 제n
n

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면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3_2n-1 yy ㉡

Sk=-6, S2k-Sk=48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다르므로

즉, Sk=-6, S2k=42 10 (n=1)


an=à n-1
Sk=-6에서 3_2 (n¾2)

8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4 2022-11-09 오후 12:18:36


aª, a¢, a¤, y, a14는 첫째항이 6, 공비가 4, 항의 개수가 7인 등비수열 aÁ+aª+y+a¦

4'2_[1-{;2!;} ]
과 같다. 7

따라서 구하는 값은 =
aÁ+aª+a¢+a¤+y+a14 1-;2!;
6_(47-1)
=8'2_[1-{;2!;} ]
7
=10+
4-1
=10+2_(4à`-1)
=8'2_;1!2@8&;
=215+2Ü`
 ④ 127'2
=
16
따라서 k=127
 ④
85 Sn=p_2n-1+4이므로
aÁ=SÁ=p+4
n¾2일 때
87 올해 광물 A의 채굴량은 3만 t이고 한 해 목표 채굴량은 전년도
an=Sn-Sn-1 의 채굴량보다 30 %씩 늘어나므로 올해로부터 n년 후의 광물 A의 총
=(p_2n-1+4)-(p_2n-2+4) 채굴량은
=p_2n-1-p_2n-2 n
n-2 n-2 3[{1+;1£0¼0;} -1]
=2p_2 -p_2
=10{(1.3)n-1}
=p_2n-2 {1+;1£0¼0;}-1
aªÛ`=aÁa£에서
총 채굴량이 현재 매장량보다 커지면 목표 채굴량을 달성하지 못하게
pÛ`=2p(p+4)
된다.
pÛ`+8p=0
10{(1.3)n-1}>90
p(p+8)=0
(1.3)n-1>9
p=-8
(1.3)n>10
따라서 aª=-8
n log`1.3>1
 ②
0.11n>1
다른 풀이
1
n> =9.___
Sn=p_2n-1+4이므로 수열 {an}은 둘째항부터 등비수열을 이룬다. 0.11
aªÛ`=aÁa£이므로 수열 {an}은 첫째항부터 등비수열을 이룬다. 따라서 10년 후에 처음으로 목표 채굴량을 달성하지 못하게 된다.

Sn=;2P;_2n+4에서
 ③

;2P;+4=0이므로

p=-8 88 A¼AÁÓ=1이므로 수직선에서 점 Aª의 좌표는


aª=Sª-SÁ=-8 {1+;2!;, 0}

A¼AªÓ=1+;2!;이므로 수직선에서 점 A£의 좌표는

{1+;2!;{1+;2!;}, 0}, 즉 {1+;2!;+;4!;, 0}


86 정사각형 RÁ의 한 변의 길이가 4이므로
aÁ="Ã4Û`+4Û`=4'2
A¼A£Ó=1+;2!;+;4!;이므로 수직선에서 점 A¢의 좌표는
정사각형 Rª의 한 변의 길이는 정사각형 RÁ의 한 변의 길이의 ;2!;이므
{1+;2!;{1+;2!;+;4!;}, 0}, 즉 {1+;2!;+;4!;+;8!;, 0}
로 2이다.

aª="Ã2Û`+2Û`=2'2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선분 A¼An의 길이는 첫째항이 1이고 공비
정사각형 R£의 한 변의 길이는 정사각형 Rª의 한 변의 길이의 ;2!;이므
가 ;2!;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다.
로 1이다.
따라서
a£="Ã1Û`+1Û`='2
1-{;2!;}
8

1
⋮ A¼A¥Ó= =2- =;1@2%8%;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1-;2!; 2à`

수열 {an}은 첫째항이 4'2,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 ;1@2%8%;

정답과 풀이 8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5 2022-11-09 오후 12:18:36


89 올해 1월에 저축한 금액을 a원, 매월 일정하게 증가하는 비율을 r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109쪽

라 하자.
올해 n월`(1ÉnÉ11)에 저축하는 금액은 01 제32항 02 -6 03 an=6n-23
a(1+r)n-1 04 -42, 78 05 2'¶10 06 첫째항: 8, 공비: 16
이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저축한 금액은 k원이므로
a{(1+r)Þ`-1}
(1+r)-1
=k 01 주어진 등차수열의 첫째항은 100이고 공차는 97-100=-3이
다.  yy`➊
a{(1+r)Þ`-1}
=k yy ㉠ 즉,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 an은
r
올해 6월부터 10월까지 저축한 금액은 3k원이므로 an=100+(n-1)_(-3)=-3n+103 yy`➋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저축한 금액은 4k원이다. an<10에서
10
a{(1+r) -1} -3n+103<10
=4k
(1+r)-1 3n>93
a{(1+r)10-1}
=4k n>31
r
a{(1+r)Þ`-1}{(1+r)Þ`+1} 따라서 구하는 항은 제32항이다.  yy`➌
=4k   yy ㉡
r   제32항
㉡Ö㉠에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r)Þ`+1=4
➊ 등차수열의 첫째항과 공차를 구한 경우 30`%
(1+r)Þ`=3
➋ 등차수열의 일반항을 구한 경우 30`%
올해 11월에 저축할 금액은
➌ 조건에 맞는 답을 구한 경우 40`%
a(1+r)10=a{(1+r)Þ`}Û`=9a
이므로 올해 11월에 저축할 금액은 1월에 저축한 금액의 9배이다.
 ⑤ 02 주어진 등차수열에 대하여 제k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은
첫째항이 14, 끝항이 -26, 항의 개수가 (16-k)인 등차수열의 합과
90 삼각형 AÁAªCª에서 같으므로
AÁAªÓ=;3@;_AÁBÁÓ=;3@;_9=6 (16-k)(14-26)
=-66
2
AÁCªÓ=;3!;_AÁCÁÓ=;3!;_9=3 16-k=11
k=5 yy`➊
이므로
주어진 등차수열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ÁAªÓ=2_AÁCªÓ
제5항이 14이므로
이다. ∠AªAÁCª=60ù이므로 삼각비에 의하여
a+4d=14 yy ㉠
∠AªCªAÁ=90ù이다.
제15항이 -26이므로
AªCªÓ="Ã6Û`-3Û`=3'3   yy ㉠
a+14d=-26 yy ㉡
이므로
㉠, ㉡을 연립하면
9'3
SÁ=;2!;_3_3'3= a=30, d=-4 yy`➋
2
㉠에서 삼각형 AªBªCª는 한 변의 길이가 3'3인 정삼각형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제2k항, 즉 제10항은
두 삼각형 AÁBÁCÁ, AªBªCª는 닮음비가 '3`:`1이므로 넓이의 비는 30+9_(-4)=-6 yy`➌
3`:`1이다. 즉   -6
3'3
Sª=;3!;_SÁ= 단계 채점 기준 비율
2
➊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➋ 등차수열의 첫째항과 공차를 구한 경우 40`%
9'3
수열 {Sn}은 첫째항이 이고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을 이룬다. ➌ 제2k항을 구한 경우 20`%
2
9'3
_[1-{;3!;} ]
8

2
SÁ+Sª+y+S¥=
1-;3!;
03 a°+a¢+a£=3이므로
S°-Sª=3
27'3
_[1-{;3!;} ]
8
(75+5k)-(12+2k)=3
=
4 63+3k=3
27'3
따라서 k= k=-20 yy`➊
4
27'3 Sn=3nÛ`-20n이므로
 
4 aÁ=SÁ=-17 yy ㉠ yy`➋

8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6 2022-11-09 오후 12:18:36


n¾2일 때 06 수열 {a }의 첫째항을 a`(a>0), 공비를 r`(r>0)이라 하면
n

an=Sn-Sn-1 an=arn-1이다.
=(3nÛ`-20n)-{3(n-1)Û`-20(n-1)} logª`an=logª`a+(n-1)logª`r
=6n-23 yy ㉡ 이므로 수열 {logª`an}은 첫째항이 logª`a이고 공차가 logª`r인 등차수
㉡에 n=1을 대입하면 ㉠이 성립하므로 열이다.  yy`➊
an=6n-23 Sn=n(2n+1)에서
이다.  yy`➌ aÁ=SÁ=3이므로
  an=6n-23 logª`a=3에서 a=8 yy`➋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ª=Sª-SÁ=10-3=7이고

➊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aª-aÁ=4이므로

➋ aÁ의 값을 구한 경우 20`% logª`r=4


r=16 yy`➌
➌ 일반항 an을 구한 경우 40`%
따라서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은 8이고 공비는 16이다.
  첫째항: 8, 공비: 16

04 주어진 등비수열의 첫째항을 2, 공비를 r`(r>0)이라 하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제5항이 162이므로 ➊ 두 수열 {an}, {logª`an}의 관계를 파악한 경우 30`%
2rÝ`=162 ➋ 수열 {an}의 첫째항을 구한 경우 35`%
rÝ`=81 ➌ 수열 {an}의 공비를 구한 경우 35`%
r=-3 또는 r=3 yy`➊
구하는 세 수의 합 M은
2r+2rÛ`+2rÜ`이므로
Ú r=-3인 경우
M=(-6)+18+(-54)=-42 yy`➋
Û r=3인 경우
M=6+18+54=78 yy`➌
본문 110~111쪽
Ú, Û에서 M의 값은 -42, 78이다.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 -42, 78
01 ④ 02 ② 03 ② 04 ④ 05 ;1Á0Á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06 ③ 07 255 08 ②
➊ 주어진 등비수열의 공비를 구한 경우 40`%
➋ 공비가 음수인 경우의 M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➌ 공비가 양수인 경우의 M의 값을 구한 경우 30`% 01 수열 {a }을 나열하면
n

2, 5, 8, 11, 14, 17, 20, 23, y


이고, 수열 {bn}을 나열하면

05 a¤은 a¢, a¥의 등비중항이므로 2, 7, 12, 17, 22, 27, y

20 이다. 두 수열의 공차 3, 5의 최소공배수는 15이므로


a¤='¶a¢a¥=®É  yy`➊
a aÁ=bÁ=2
a¥은 a£, a13의 등비중항이므로 a¤=b¢=17
a¥='Äa£a13='¶80a yy`➋ aÁÁ=b¦=32
a¦은 a¤, a¥의 등비중항이므로 aÁ¤=b10=47

a¦='¶a¤a¥=¾Ð®É
20 ⋮
_'¶80a
a 임을 알 수 있다.
=¿¹'1Ä 600='¶40=2'¶10 yy`➌ 즉,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을 작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 2'¶10 1, 6, 11, 16, y, 96
이므로 구하는 값은 첫째항이 1, 끝항이 96, 항의 개수가 20인 등차수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열의 합과 같다.
등비중항을 이용하여 a¤을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➊ 30`% kÁ+kª+y+km
경우
20_(1+96)
등비중항을 이용하여 a¥을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
➋ 30`% 2
경우 =970
➌ 등비중항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④

정답과 풀이 8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7 2022-11-09 오후 12:18:37


02 주어진 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8a+28d=18a+153d
68은 첫째항이 4,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제(3n+3)항이다. 10a+125d=0
4+(3n+2)d=68에서 2a+25d=0 yy ㉠
64 8+18
d= Sn은 n에 대한 이차식이고 =13은 자연수이므로
3n+2 2
d가 자연수이므로 3n+2는 64=2ß`의 약수이다. S¥=SÁ¥에서 Sn은 n=13일 때 최솟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0ÉkÉ6인 정수 k에 대하여 S13=-338에서
3n+2=2k 13(2a+12d)
=-338
이라 하자. 2
3n=2k-2 a+6d=-26 yy ㉡
3n=2(2k-1-1) ㉠, ㉡을 연립하면
3과 2는 서로소이므로 3은 2 k-1
-1의 약수이다. a=-50, d=4
0ÉkÉ6인 정수 k에 대하여 2 k-1
-1이 3의 배수인 경우는 a10=-50+9_4=-14
k=3, k=5  ④
이다. 참고

Ú k=3인 경우 ㉠에서 2a=-25d이므로


3n=6이므로 n{2a+(n-1)d}
Sn=
2
n=2
=;2D;(nÛ`-26n)=;2D;(n-13)Û`-;:!2^:(;d
64
d= =8
3_2+2 따라서 Sn은 n=13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x는 제4항이므로
x=4+3_8=28 05 aÁ=SÁ=18 yy ㉠
Û k=5인 경우 n¾2일 때
3n=30이므로 an=Sn-Sn-1
n=10 =3n(n+1)(n+2)-3n(n-1)(n+1)
64 =3n(n+1){(n+2)-(n-1)}
d= =2
3_10+2 =9n(n+1) yy ㉡
x는 제12항이므로 ㉡에 n=1을 대입하면 ㉠을 만족시키므로
x=4+11_2=26 an=9n(n+1)
Ú, Û에서 모든 x의 값의 합은 1 1 1
= =;9!;{;n!;- }이므로
28+26=54 an 9n(n+1) n+1
1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99항까지의 합은
 ②
an
1 1 1
03 수열 {a }의 공차를 d`(d>0)이라 하면
n aÁ + aª +y+ a»»
an=3+(n-1)d=dn+3-d
=;9!;_{1-;2!;}+;9!;_{;2!;-;3!;}+y+;9!;_{;9Á9;-;10!0;}
n{2_3+(n-1)d} n(dn+6-d)
S n= =
2 2
=;9!;_{1-;10!0;}=;9!;;_;1»0»0;
Sn
수열 [ ]이 등차수열이므로
an
=;1Á0Á0;
Sn n(dn+6-d)
= 는 n에 대한 일차식이다.
an 2(dn+3-d)   ;1Á0Á0;
6-d+3-d이므로 3-d=0이다.
d=3이므로 an=3n
06 서로 다른 세 모서리의 길이가 k로 모두 같으면
따라서 구하는 값은 kÜ`=125, 6kÛ`=175
a¢=12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수 k는 존재하지 않는다.
 ② 즉, 세 모서리의 길이는 모두 다르다.
세 모서리의 길이가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두 상수 a, r`(r>1)에 대하
04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 여 세 모서리의 길이를 각각
S¥=SÁ¥에서
;rA;, a, ar
8(2a+7d) 18(2a+17d)
= 라 하자.
2 2

8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8 2022-11-09 오후 12:18:37


직육면체의 부피가 125이므로 Û r+1인 경우

;rA;_a_ar=125 a(rn-1) ar n-1 a


Sn= = r -
r-1 r-1 r-1
aÜ`=125에서 수열 {Sn-k}가 등비수열이므로
a=5 a
- -k=0에서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175이므로 r-1
a
2{;r%;_5+5_5r+;r%;_5r}=175 k=-
r-1
a
2{;r!;+r+1}=7 k=
1-r
2(rÛ`+r+1)=7r SÁ-k=8이므로
ar
2rÛ`-5r+2=0 =8   yy ㉠
r-1
(2r-1)(r-2)=0
an arn-1
r>1이므로 r=2 = a =(1-r)rn-1
k
따라서 세 모서리의 길이는 1-r
an
;2%;, 5, 10 수열 [ ]은 첫째항과 공비가 같은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k
이므로 가장 긴 모서리의 길이는 10이다. 1-r=r에서
 ③ r=;2!;

㉠에 의하여 a=-8
n-1
따라서 an=(-8)_{;2!;} 이므로
07 두 수열 {a }, {b }의 공비를 각각 rÁ, rª`(rÁ>0, rª>0)이라 하면
n n

an=rÁn-1, bn=rªn-1 a¤=-;4!;


조건 (가)에 의하여
aª+bª a£+b£  ②
=
aÁ+bÁ aª+bª
rÁ+rª rÁÛ`+rªÛ`
=
1+1 rÁ+rª
(rÁ+rª)Û`=2(rÁÛ`+rªÛ`)
(rÁ-rª)Û`=0
rÁ=rª
an`bn=rÁn-1_rÁn-1=(rÁÛ`)n-1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rÁÛ`=4
rÁ=2
aÁ+bª+a£+b¢+y+a¦+b¥
=aÁ+aª+a£+a¢+y+a¦+a¥
2¡`-1
=
2-1
=255
  255

08 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n

Ú r=1인 경우
an
an=a이고 수열 [ ]은 첫째항과 공비가 같은 등비수열이므로
k
a2
a1 a1
= ak , =1
k 1 k
k
a1=k
a=k
S1-k=a-k=0이므로 조건에 모순이다.

정답과 풀이 8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89 2022-11-09 오후 12:18:38


11 Á (ak+5)‌= Á ak+ Á 5
10 10 10

06 수열의 합 k=1 k=1

=7+10_5=57
k=1

본문 113쪽   57
개념 확인하기

12 Á (3ak-bk+4)=3 Á ak- Á bk+ Á 4


10 10 10 10

01 2+4+6+8 02 1Û`+2Û`+3Û`+4Û`+5Û`+6Û` k=1 k=1 k=1 k=1

=3_7-(-4)+10_4
03 2+2Û`+2Ü` 04 1+;2!;+;3!;+;4!;
Á (2k-1) Á 'k Á k(k+1)
n n 10
=65
05 06 07   65

08 Á  2k 09 10
k=1 k=1 k=1

Á (ak-2)+ Á (4-ak)= Á {(ak-2)+(4-ak)}


7 1
13
7 7 7
10 19 11 57 12 65
= Á 2=14
k=1 k=1 k=1 k=1

13 14 14 110 15 133 16 70 17 120 7

k=1
n(n+1)(2n+7) nÛ`(n+1)Û`
18 6 19 16 20 162   14

22 ;1!1); 23 ;9&; 14 Á 2k‌=2 Á k


10 10
21 80 24 9 k=1 k=1

-1+'¶15 10_11
25 2
=2_
2
=110

01   2+4+6+8   110

15 Á (4k+3)‌=4 Á k+ Á 3
7 7 7

02 
k=1 k=1 k=1
 1Û`+2Û`+3Û`+4Û`+5Û`+6Û`
7_8
=4_ +7_3
2
03   2+2Û`+2Ü` =112+21=133
  133

04  Á (kÛ`-k)= Á kÛ`- Á k
 1+;2!;+;3!;+;4!;
16
6 6 6

k=1 k=1 k=1

 Á (2k-1)
n 6_7_13 6_7
05  k=1
=
6
-
2

 Á 'k
=91-21=70
n

06    70

Á (kÜ`+2k)= Á kÜ`+2 Á k
k=1

17
4 4 4

07 주어진 식은 수열 {n(n+1)}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이 k=1 k=1

4_5 2 4_5
k=1

므로 ={ } +2_

1_2+2_3+3_4+y+10_11= Á k(k+1)
2 2
10
=100+20=120

 Á k(k+1)
k=1
10
  120

k=1

18 주어진 식은 수열 {n(n+2)}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


1
08 주어진 식은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7항까지의 합이므로 므로
2n
;2!;+;4!;+;6!;+y+;1Á4;= Á
1_3+2_4+3_5+y+n(n+2)

= Á k(k+2)
7 1 n

Á
k=1 2k

= Á (kÛ`+2k)
7 1 k=1

k=1 2k
n

Á (2ak+bk)‌=2 Á ak+ Á bk
k=1

09
10 10 10
n(n+1)(2n+1) n(n+1)
= +2_
k=1 k=1 k=1 6 2
=2_7-4=10 n(n+1)(2n+1) 6n(n+1)
= +
  10 6 6
n(n+1){(2n+1)+6}

Á (ak-3bk)‌= Á ak-3 Á bk
=
6
10
10 10 10

n(n+1)(2n+7)
k=1 k=1 k=1
=
6
=7-3_(-4)=19
n(n+1)(2n+7)
  19  
6

9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0 2022-11-09 오후 12:18:38


Á
2
23
7

nÜ`
19 주어진 식은 수열 [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므로 (k+1)(k+2)

=2 Á {
k=1
4
1 1
}
7
1Ü` 2Ü` 3Ü` nÜ` -
+ + +y+ k=1 k+1 k+2
4 4 4 4
=Á =2_[{;2!;-;3!;}+{;3!;-;4!;}+{;4!;-;5!;}+y+{;8!;-;9!;}]
n
kÜ`
k=1 4

=;4!; Á kÜ` =2_{;2!;-;9!;}


n

k=1

=;4!;_[
n(n+1) 2
] =2_;1¦8;
2
=
nÛ`(n+1)Û` =;9&;
16
 
nÛ`(n+1)Û`   ;9&;
16

Á
3
24
15

'k+'Äk+1

=3 Á
k=1

'k-'Äk+1
20 주어진 식은 수열 [{;2N;} ]의 첫째항부터 제8항까지의 합이므로
3 15

k=1 ('k+'Äk+1)('k-'Äk+1)

=3 Á
{;2!;} +{;2@;} +{;2#;} +y+{;2*;} 'k-'Äk+1
3 3 3 3
15

= Á {;2K;}
-1

=3 Á (-'k+'Äk+1)
k=1
8 3
15

=;8!; Á kÜ`
k=1
k=1
8

k=1
=3_{(-1+'2)+(-'2+'3)+y+(-'¶15+'¶16)}
8_9 2 =3_(-1+'¶16)
=;8!;_{ }
2 =9
8Û`_9Û`
=  9
8_4

Á
=2_81 1
25
7

=162 k=1 'Ä2k-1+'Ä2k+1


  162 7
'Ä2k-1-'Ä2k+1
k=1 ('Ä2k-1+'Ä2k+1)('Ä2k-1-'Ä2k+1)


7
'Ä2k-1-'Ä2k+1
-2

=;2!; Á (-'¶2k-1+'¶2k+1)
k=1

21 주어진 식은 수열 {(n+1)Û`-nÛ`}의 첫째항부터 제8항까지의 합 7

이므로 k=1

(2Û`-1Û`)+(3Û`-2Û`)+(4Û`-3Û`)+y+(9Û`-8Û`) =;2!;_{(-1+'3)+(-'3+'5)+y+(-'¶13+'¶15)}
= Á {(k+1)Û`-kÛ`}
8

=;2!;_(-1+'¶15)
= Á (2k+1)
k=1
8

-1+'¶15

=2 Á k+ Á 1
k=1
=
8 8 2
k=1 k=1 -1+'¶15
 
8_9 2
=2_ +8_1
2
=72+8=80
  80

Á
1
22
10

k(k+1)
=Á { -
k=1

1 1
}
10

k=1 k k+1
={1-;2!;}+{;2!;-;3!;}+{;3!;-;4!;}+y+{;1Á0;-;1Á1;}

=1-;1Á1;

=;1!1);

  ;1!1);

정답과 풀이 9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1 2022-11-09 오후 12:18:38


유형 완성하기
본문 114~121쪽
05 수열 {a }의 제4항부터 제12항까지의 합은 n

a¢+a°+a¤+y+a12

= Á ak
01 ② 02 ⑤ 03 10 04 ④ 05 ② 12

06 ⑤ 07 ③ 08 ① 09 ① 10 ⑤
= Á ak- Á ak
k=4
12 3
11 ④ 12 ① 13 ② 14 ④ 15 ② k=1 k=1

16 ① 17 ④ 18 ② 19 ② 20 ① ={;1£2;+12}-(1+3)
21 ③ 22 ④ 23 ④ 24 ⑤ 25 ③
=;4!;+8
26 ⑤ 27 ② 28 ② 29 ;3!; 30 ①
=;;£4£;;
31 ③ 32 ② 33 ② 34 ④ 35 ⑤
 ②
36 ② 37 ① 38 ② 39 ;5@7*; 40 ⑤

Á a2k-1= Á
41 ② 42 ① 43 ① 44 ③ 45 ⑤ (a2k-1+a2k)+(a2k-1-a2k)
06
n n

2
=;2!; [ Á (a2k-1+a2k)+ Á (a2k-1-a2k)]
46 ② 47 ③ 48 ⑤ k=1 k=1
n n

Á ak+1=aª+a£+a¢+y+a»
k=1 k=1

01
8
yy ㉠ =;2!;{nÛ`+(n+2)}

Á ak=aÁ+aª+a£+y+a¥
k=1
8
yy ㉡ =;2!;(nÛ`+n+2)
k=1

Á a2k= Á
㉠, ㉡에 의하여

Á ak+1- Á ak
n n (a2k-1+a2k)-(a2k-1-a2k)
8 8
2
=;2!;[ Á (a2k-1+a2k)- Á (a2k-1-a2k)]
k=1 k=1
k=1 k=1 n n

=-aÁ+a» k=1 k=1

=-sin ;6Ò;+sin`;2#;p =;2!;{nÛ`-(n+2)}

=-;2!;-1 =;2!;(nÛ`-n-2)

Á [;2#;-
(-1)k
]ak
14
=-;2#; k=1 2
 ② =2aÁ+aª+2a£+a¢+y+2a13+a14
=2(aÁ+a£+y+a13)+(aª+a¢+y+a14)
02 수열 {a }에 대하여
=2 Á a2k-1+ Á a2k
n
7 7
aª=a¢=a¤=y=-1 k=1 k=1

이므로

Á a2k‌=aª+a¢+a¤+y+a£¼
15
=2_;2!;_(49+7+2)+;2!;_(49-7-2)
k=1 =58+20
=15_(-1)=-15
=78
 ⑤  ⑤

03 a =-3 cos`np에서
Á (4ak+p)=182에서
n

07
7
aÁ=a£=a°=y=3

4 Á ak+ Á p=182
k=1
이므로

Á a2k+1=a£+a°+a¦+y+a2m+1=3m
7 7

m k=1 k=1

Á a2k+1=30에서 3m=30
k=1
4_35+7p=182
m
7p=42
k=1
p=6
따라서 m=10
 ③
  10

04 Á ak=aÁ+aª+a£+y+a10
10

Á (3ak-2bk)=3 Á ak-2 Á bk
k=1

=(aÁ+aª)+(a£+a¢)+y+(a»+a10)
08
10 10 10

= Á (a2k-1+a2k)
5 k=1 k=1 k=1

k=1 =3_34-2_12
=5Û`-5+1 =102-24
=21 =78
 ④  ①

9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2 2022-11-09 오후 12:18:39


09 Á (2ak-1)Û`= Á (4akÛ`-4ak+1) 13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1 11

=4 Á akÛ`-4 Á ak+ Á 1
k=1 k=1
a3n-2=1, a3n-1=-2, a3n=3이므로

Á (a3k-2+a3k-1+a3k)= Á 2=2n
11 11 11
n n
k=1 k=1 k=1

Á ak‌=a79+a80+ Á (a3k-2+a3k-1+a3k)
=4_131-4_12+11_1 k=1 k=1
80 26
=524-48+11
k=1 k=1
=487
=1+(-2)+2_26
 ①

Á (ak-bk)Û`=2n-4에서
=51
10
n

 ②
Á (akÛ`-2akbk+bkÛ`)=2n-4
k=1
n
yy ㉠

Á (ak+bk)Û`=nÛ`-6n에서
k=1
n

14 aÁ=2, aª=4, a£=8, a¢=6, a°=2, a¤=4, y


Á (akÛ`+2akbk+bkÛ`)=nÛ`-6n   yy ㉡
k=1
n
이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k=1
a4n-3=2, a4n-2=4, a4n-1=8, a4n=6

Á (a4k-3+a4k-2+a4k-1+a4k)
㉡-㉠에서

Á 4akbk=nÛ`-8n+4
n
n

= Á 20
k=1

4 Á akbk=nÛ`-8n+4
k=1 n
n
k=1

Á akbk=
k=1
=20n

Á an‌=a49+a50+ Á (a4k-3+a4k-2+a4k-1+a4k)
nnÛ`-8n+4 50 12
k=1 4
k=1 k=1
따라서 구하는 값은

Á akbk=
=2+4+20_12
20 20Û`-8_20+4
=;:@4$:$;=61 =246
k=1 4
 ⑤  ④

11 2(2a +b )+(3a -2b )=7a 에서


Á 7ak=2 Á (2ak+bk)+ Á (3ak-2bk)
n n n n n
15 15 15

15 aÁ=sinÛ``;3Ò;=;4#;
7 Á ak=2_35+21
k=1 k=1 k=1
15

2p
=;4#;
Á ak=13
k=1
aª=sinÛ``
15 3
yy ㉠ a£=sinÛ``p=0
k=1

4p
a¢=sinÛ`` =;4#;
㉠에 의하여

Á (2ak+bk)=35
15 3
5p
a°=sinÛ`` =;4#;
2 Á ak+ Á bk=35
k=1
15 15 3
a¤=sinÛ``2p=0

2_13+ Á bk=35
k=1 k=1
15

Á bk=9
k=1
이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5
yy ㉡
k=1 a3n-2=;4#;, a3n-1=;4#;, a3n=0

Á (a3k-2+a3k-1+a3k)
㉠, ㉡에 의하여

Á (ak-bk)= Á ak- Á bk
n
15 15 15

= Á ;2#;
k=1
k=1 k=1 k=1 n

=13-9 k=1

=4 =;2#;n
 ④

Á (tak-2)Û`= Á (tÛ`akÛ`-4tak+4)
;2#;n=102에서
12
5 5

=tÛ` Á akÛ`-4t Á ak+ Á 4


k=1 k=1
n=68
Á (a3k-2+a3k-1+a3k)= Á ak이고
5 5 5
68 204
k=1 k=1 k=1
k=1 k=1
=6tÛ`+4t+20
a202=;4#;, a203=;4#;, a204=0
=6{t+;3!;} +;;°3¥;;
2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m의 값의 합은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3¥;;이다. 203+204=407
 ①  ②

정답과 풀이 9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3 2022-11-09 오후 12:18:39


Á (k-1)(k+2)= Á (kÛ`+k-2) Á = Á [{;3@;} -{;3!;} ]
2k-1
16 20
11 11 5 5 k k
k
3
= Á kÛ`+ Á k- Á 2 = Á {;3@;} - Á {;3!;}
k=1 k=1 k=1 k=1
11 11 11
5 k 5 k
k=1 k=1 k=1
k=1 k=1
11_12_23 11_12
= + -11_2 ;3@;_[1-{;3@;} ] ;3!;_[1-{;3!;} ]
5 5
6 2
= -
=506+66-22
1-;3@; 1-;3!;
=550
=2_[1-{;3@;} ]-;2!;_[1-{;3!;} ]
5 5
 ①

Á -Á =Á
kÝ` 1 7 kÝ`-1 ={2-;2¤4¢3;}-{;2!;-;48!6;}
17
7 7

kÛ`+1 k=1 kÛ`+1 k=1 kÛ`+1


k=1
972-128-243+1
=
(kÛ`+1)(kÛ`-1)
7 486
kÛ`+1 602 301
= Á (kÛ`-1)
k=1
= =
7 486 243

= Á kÛ`- Á 1
k=1  ①
7 7

k=1 k=1

=
7_8_15
6
-7 21 주어진 등비수열의 일반항 a 은 n

an=a_2n-1

Á (2ak-6)=342이므로
=140-7 6

=133

Á (2ak-6)
k=1

 ④ 6

f(m)= Á (2k-7) =2 Á ak- Á 6


k=1
6 6

18
m

=2 Á k- Á 7
k=1 k=1 k=1

m m a(2ß`-1)
=2_ -36
k=1 k=1 2-1
m(m+1) =126a-36=342
=2_ -7m
2 126a=378
=mÛ`-6m a=3
f(m)=(m-3)Û`-9이므로  ③
f(mÁ)=f(mª)에서
mÁ+mª
=3
2
22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Á (a2k-1+a2k)= Á ak이므로
n
mÁ+mª=6 5 10

Á (a2k-1+a2k)=615에서
mÁ, mª가 서로 다른 두 자연수이므로 가능한 순서쌍 (mÁ, mª)는 k=1 k=1
5
(1, 5), (2, 4), (4, 2), (5, 1)
k=1
의 4개이다.
10(2a+9d)
 ② 615=
2
2a+9d=123

19 주어진 등차수열의 일반항 a 은 n


an=a+(n-1)d이므로
an=3+(n-1)_d=dn+3-d a°+a¤‌=(a+4d)+(a+5d)

Á (a2k-3)=450이므로
15 =2a+9d=123

Á (a2k-3)
k=1
 ④
15

= Á {(2dk+3-d)-3}
k=1
15

23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n

= Á (2dk-d)
k=1
an=arn-1이므로

Á a2k= Á akÛ`에서
15

9 9
k=1

Á arÛ`k-1= Á aÛ`(rÛ`)k-1
15_16 k=1 k=1
=2d_ -15d
2 9 9

Á (ar_rÛ`k-2)= Á aÛ`rÛ`k-2
=240d-15d=450 k=1 k=1
9 9
225d=450

(aÛ`-ar) Á rÛ`k-2=0   yy ㉠
k=1 k=1
d=2 9

 ② k=1

9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4 2022-11-09 오후 12:18:40


|aª|>|aÁ|에서 |


|>1이므로 |r|>1이다. 26 자연수 n에 대하여
Á r2k-2=
n(n+1)
9 r18-1 1+2+3+y+n= 이므로
+0 2
k=1 r2-1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은
이므로 ㉠에서
k(k+1)
aÛ`-ar=0 2 k+1
ak= =
a(a-r)=0 k 2
1+2+3+y+12
a=0이면 aª-aÁ=0이므로 a=r이다. ak= 에서 끝항은 제12항임을 알 수 있다.
12
aª-aÁ=2에서 따라서 구하는 수열의 합은

Á ak = Á
rÛ`-r=2 12 12 k+1
rÛ`-r-2=0 k=1 k=1 2
(r+1)(r-2)=0 12_13
=;2!;_{ +12}
2
|r|>1이므로 r=2
an=2_2n-1=2n이므로 =;2!;_(78+12)

Á ak=
6 2_(2ß`-1)
=126 =;2!;_90
k=1 2-1
 ④ =45
 ⑤

24 (a£-3)Û`+(a£-aª-5)Û`=0에서
a£=3, a£-aª=5이므로
등차수열 {an}은 첫째항이 3-2_5=-7, 공차가 5이다. 27 2Ú`-1=1, 2Û`-1=3, 2Ü`-1=7, 2Ý`-1=15, y이므로
an=-7+(n-1)_5=5n-12이므로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 ak는
Á a2k+1= Á {5(2k+1)-12}
n n

ak={;2!;} _(2k-1)=1-{;2!;}
k k

= Á (10k-7)
k=1 k=1

Sn= Á [1-{;2!;} ]
n
n k

=10 Á k- Á 7
k=1
k=1
n n

;2!;[1-{;2!;} ]
n
k=1 k=1

n(n+1) =n-
=10_
2
-7n 1-;2!;
=5nÛ`-2n
=n-1+{;2!;}
n

5nÛ`-2n>600   yy ㉠
n=11이면 ㉠의 좌변은 583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지 않는 2n(n-1)+1
=
2n
다.
321
n=12이면 ㉠의 좌변은 696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Sm= m 에서
2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12이다. 2m(m-1)+1 321
= m
 ⑤ 2m 2
m
2 (m-1)+1=321
2m(m-1)=320
2m(m-1)=2ß`_5   yy ㉠
25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은 m은 자연수이고 ㉠의 우변에 소인수 2의 지수는 6이므로
ak=k(2k+1)이고
mÉ6이다.
ak=10_21에서 끝항은 제10항임을 알 수 있다.
mÉ6일 때, m-1É5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수열의 합은

Á ak= Á k(2k+1)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의 값은 6이다.
10 10
 ②

= Á (2kÛ`+k)
k=1 k=1
10

k=1

10_11_21 10_11
=2_ +
6 2
2k
=770+55 28 a = n 라 하면
k

f(n)= Á ak
=825 n

 ③ k=1

정답과 풀이 9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5 2022-11-09 오후 12:18:40


Á ak= Á 31 수열 {a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 이라 하면
n n 2k

Sn= Á ak
n n
n
=;n@; Á k
k=1 k=1
n
n
k=1
k=1

n(n+1) aÁ=SÁ=;2#;
=;n@;_
2
n¾2일 때
=n+1
an=Sn-Sn-1
f(n)은 일차식이고 최고차항의 계수는 1이므로
2n+1 2n-1
m=1, l=1 = -
n+1 n
따라서 m+l=2
n(2n+1)-(n+1)(2n-1)
 ② =
n(n+1)
(2nÛ`+n)-(2nÛ`+n-1)
29 a =k(n-k)라 하면 =

f(n)= Á ak
k n(n+1)
n-1
1
=

Á ak= Á k(n-k)
k=1 n(n+1)
n-1 n-1
a£=;1Á2;, a°=;3Á0;이므로

= Á (nk-kÛ`)
k=1 k=1
n-1
aÁa°
=;2#;_;3Á0;_12=;5#;

=n Á k- Á kÛ`
k=1 a£
n-1 n-1
 ③
k=1 k=1

n(n-1) n(n-1)(2n-1)
=n_
2
-
6 32 수열 {a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 이라 하면
Sn= Á ak=3n-1
n n
n
n(n-1){3n-(2n-1)}
=
6 k=1

n¾2일 때
n(n-1)(n+1)
= an‌=Sn-Sn-1
6
nÜ` =(3n-1)-(3n-4)
-;6N;
=
6 =3

Á a2k= Á 3=30
nÜ`
f(n)= -;6N;이므로
10 10

6 k=1 k=1

a=;6!;, b=0, c=-;6!;, d=0  ②

따라서 a-b-c+d=;3!;
33 수열 {a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 이라 하면
Sn= Á ak=nÛ`-2n+3
n n

 ;3!;
n

k=1

n¾2일 때
kÛ`
30 a = 2n+1 이라 하면
k
an‌=Sn-Sn-1

f(n)= Á ak
n
=(nÛ`-2n+3)-{(n-1)Û`-2(n-1)+3}

Á ak= Á
k=1
=(nÛ`-2n+3)-(nÛ`-4n+6)
n n kÛ`
=2n-3
k=1 k=1 2n+1

Á kÛ`
a¢=5, a¥=13이므로
1 n
= 수열 {a4n}은 첫째항이 5, 공차가 8인 등차수열이다.
2n+1 k=1
1 n(n+1)(2n+1) a=5, d=8이므로
= _
2n+1 6 ad=40
n(n+1)  ②
=
6
연속한 두 자연수의 곱은 반드시 짝수이므로 n 또는 (n+1)이 3의 배
34 수열 {a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 이라 하면
Sn= Á ak=3n
n n
수이면 f(n)은 자연수이다. n

n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rn이라 하면 k=1

nÉ50이고 rn=0인 n은 3, 6, 9, y, 48의 16개이고, aÁ=SÁ=3 yy ㉠


nÉ50이고 rn=2인 n은 2, 5, 8, y, 50의 17개이다. n¾2일 때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n의 개수는 an‌=Sn-Sn-1
16+17=33 =3n-3n-1
 ① =2_3n-1 yy ㉡

9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6 2022-11-09 오후 12:18:40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다르므로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같으므로
3 (n=1) a2n=2n-1

Á a2k-1=2n-1이므로
an=à n-1
n
2_3 (n¾2)

Á = +Á
k=1
5 1 1 5 1
aÁ=1 yy ㉢
k=1 ak aÁ k=2 2_3k-1
n¾2일 때

a2n-1‌= Á a2k-1- Á a2k-1


;6!;_[1-{;3!;} ]
4
n n-1
=;3!;+
1-;3!;
k=1 k=1

=(2n-1)-(2n-1-1)
=;3!;+;4!;_[1-{;3!;} ]
4
=2_2n-1-2n-1
=2n-1   yy ㉣
=;3!;+;4!;-;32!4;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같으므로
108+81-1 a2n-1=2n-1

Á a3k‌=a£+a¤+a»+a12
=
324 4

=;3!2*4*;=;8$1&; k=1
=2+5+16+11
 ④ =34

35 수열 {a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 이라 하면  ②

Sn= Á ak=m_2n-1-4
n n
n

k=1

aÁ=SÁ=m-4   yy ㉠
1 1 1 1
n¾2일 때
37 + +
2Û`-2 3Û`-3 4Û`-4
+y+
29Û`-29
an‌=Sn-Sn-1
1 1 1
=(m_2n-1-4)-(m_2n-2-4) = + +y+
2(2-1) 3(3-1) 29(29-1)

=2m_2n-2-m_2n-2 28 1
k=1 (k+1)k

=Á{ -
=m_2n-2 yy ㉡
1 1
}
28
수열 {an}이 등비수열이므로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k=1 k k+1
같아야 한다.
m ={1-;2!;}+{;2!;-;3!;}+y+{;2Á8;-;2Á9;}
m-4=
2
=1-;2Á9;
m=8
an=8_2n-2=2n+1이므로 =;2@9*;
a¥=2á`
따라서 p=29, q=28이므로
 ⑤
p+q=57
다른 풀이
 ①
Sn=m_2n-1-4에서
m
Sn= _2n-4
2

Á
수열 {an}이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1
38
10
m
-4=0에서 k(k+2)
=;2!; Á { -
k=1
2
1 1
}
10
m=8 k=1 k k+2
a¥‌=S¥-S¦
=;2!;_[{1-;3!;}+{;2!;-;4!;}+{;3!;-;5!;}+y
=(8_2à`-4)-(8_2ß`-4)
=8_2ß`=2á` +{;9!;-;1Á1;}+{;1Á0;-;1Á2;}]

36 Á a2k=nÛ`이므로 =;2!;_{1+;2!;-;1Á1;-;1Á2;}
n

k=1

aª=1 yy ㉠ =;2!;+;4!;-;2Á2;-;2Á4;
n¾2일 때

a2n‌= Á a2k- Á a2k


132+66-12-11
n n-1 =
264
k=1 k=1

=nÛ`-(n-1)Û` =;2!6&4%;

=2n-1   yy ㉡  ②

정답과 풀이 9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7 2022-11-09 오후 12:18:41


39 등차수열 {a }의 일반항은 Á =Á
24 1 24 1
ak k=1 'k+'Äk+1
n
k=1


an=3+(n-1)_2=2n+1

Á
24 'k-'Äk+1
8 100
k=1 ('k+'Äk+1)('k-'Äk+1)

= Á (-'k+'Äk
k=1 ak`ak+1


¶ +1)
24
8 100
k=1
k=1 (2k+1)(2k+3)

=50 Á {
=(-1+'2)+(-'2+'3)+y+(-'¶24+'¶25)
1 1
}
8
- =-1+'¶25
k=1 2k+1 2k+3
=4
=50_[{;3!;-;5!;}+{;5!;-;7!;}+y+{;1Á7;-;1Á9;}]
 ②

=50_{;3!;-;1Á9;}
42 수열 {a }의 일반항은 n

an=1+(n-1)_d

Á
=50_;5!7^;
11 d
=;;¥5¼7¼;;
k=1 '¶ak+'¶ak+1

=d Á
11 '¶ak-'¶ak+1
=14+;5ª7; k=1 ('¶ak+'¶ak+1)('¶ak-'¶ak+1)

=d Á
따라서 a=14, b=;5ª7;이므로
11 '¶ak-'¶ak+1
k=1 ak-ak+1

= Á (-'¶ak+'¶ak+1)
ab=;5@7*; 11

k=1

  ;5@7*; =(-'¶aÁ+'¶aª)+(-'¶aª+'¶a£)+y+(-'¶a11+'¶a12)
=-1+'¶a12 yy ㉠
㉠의 값이 정수이므로 자연수 m에 대하여
a12=mÛ`
이다.

Á
1 11d+1=mÛ`
40
n

k=1 'Ä2k-1+'Ä2k+1 11d=mÛ`-1


n 'Ä2k-1-'Ä2k+1 11d=(m-1)(m+1)   yy ㉡
k=1 ('Ä2k-1+'Ä2k+1)('Ä2k-1-'Ä2k+1) 11은 소수이므로 ㉡에서 (m-1) 또는 (m+1)이 11의 배수이어야


n 'Ä2k-1-'Ä2k+1 한다.
k=1 (2k-1)-(2k+1) m+1=11, m-1=9이면 d=9

=;2!; Á (-'Ä2k-1+'Ä2k+1)
n
m-1=11, m+1=13이면 d=13
k=1
m+1=22, m-1=20이면 d=40
=;2!;{(-1+'3)+(-'3+'5)+y+(-'Ä2n-1+'Ä2n+1)} m-1=22, m+1=24이면 d=48

=;2!;(-1+'Ä2n+1)
따라서 bÁ=9, bª=13, b£=40, b¢=48이므로
;2!;(-1+'Ä2n+1)=6에서 Á bk=9+13+40+48=110
4

k=1
'Ä2n+1=13  ①
2n+1=169
n=84 43 주어진 조건에서
an=8_2n-1=2n+2이므로

Á log¢`ak= Á log¢`2k+2
 ⑤
20 20


k=1 k=1
20 k+2
2
=;2!; Á (k+2)
k=1
20

k=1

41 방정식 xÛ`-2'nx-1=0에서 근의 공식을 이용하면 =;2!;_{


20_21
+20_2}
2
x='nÑ"Ã('n)Û`-(-1)
='nÑ'Än+1 =;2!;_(210+40)

an은 양의 실근이므로 =125


an='n+'Än+1  ①

9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8 2022-11-09 오후 12:18:41


Á log£` Á { Á ki}= Á {k Á i}
k+2
44
n

47
6 6 6 6

k
= Á {-log£`k+log£`(k+2)}
k=1

= Á {k_
k=1 i=1 k=1 i=1
n
6_7
}
6
k=1
2

=21 Á k
k=1
=(-log£`1+log£`3)+(-log£`2+log£`4)+y 6

+{-log£(n-1)+log£`(n+1)}+{-log£`n+log£`(n+2)} k=1

=-log£`1-log£`2+log£`(n+1)+log£`(n+2) 6_7
=21_
2
(n+1)(n+2)
=log£` =441
2
(n+1)(n+2)  ③
log£` =log£`78에서
2

Á [ Á (2i-k)]= Á [2_
(n+1)(n+2)=156 k(k+1)
48 -kÛ`]
n k n

2
=Á k
k=1 i=1 k=1
(n+1)(n+2)=12_13
n
따라서 n=11
k=1
 ③ n(n+1)
=
2
n(n+1)
=91에서
2
45 수열 {a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 이라 하면
Sn= Á ak=2
n n
n(n+1)=182
n
n+2
이므로 따라서 13_14=182이므로 n=13이다.
k=1

aÁ=SÁ=8 yy ㉠  ⑤

n¾2일 때
an‌=Sn-Sn-1
=2n+2-2n+1
=2n+1 yy ㉡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122쪽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다르므로


8 (n=1) 01 680 02 -11 03 44 04 -;;¦2¦;; 05 51
an=à
2n+1 (n¾2) 06 474
Á logª`ak=logª`aÁ+ Á logª`2
m m
k+1

=logª`8+ Á (k+1)
k=1 k=2
m
01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을 a 이라 하면 n

n(n+1)
=3+(-2)+ Á (k+1)
k=2
an=1+2+y+n=  yy`➊
m 2
k=1 주어진 식은 첫째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이므로 yy`➋

Á
m(m+1) 15 k(k+1)
=1+ +m
2 2
=;2!; Á (kÛ`+k)
k=1
mÛ`+3m+2 15
=
2 k=1
mÛ`+3m+2 15_16_31 15_16
2
>100에서 =;2!;_{ + }
6 2
(m+1)(m+2)>200   yy ㉢
=;2!;_(1240+120)
m=12이면 ㉢의 좌변은 182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m=13이면 ㉢의 좌변은 21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 =680 yy`➌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m의 최솟값은 13이다.   680
 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주어진 수열의 합에서 일반항 an을 구한 경우 30`%

Á { Á 2i}= Á [2_
➋ 끝항 ak에 대하여 k의 값을 구한 경우 20`%
k(k+1)
46 ]
8 k 8

2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50`%

= Á (kÛ`+k)
k=1 i=1 k=1
8

Á (-2ak+3bk)=-2 Á ak+3 Á bk
k=1

02
n n n

8_9_17 8_9 k=1 k=1 k=1


= +
6 2 =-2(4n+2)+3(nÛ`-2n+3)
=204+36
=3nÛ`-14n+5
=240
=3{n-;3&;} -;;£3¢;;   yy ㉠
2
yy`➊
 ②

정답과 풀이 9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99 2022-11-09 오후 12:18:42


㉠이 이차식이고, ;3&;=2+;3!;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Á ak를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Á (-2ak+3bk)의 값은 n=2일 때 최소이다. 
n
n
➊ 50`%
yy`➋
Á ak를 Á ak와 Á ak로 나타낸 경우
k=1
k=1
10 10 3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1이다.  yy`➌ ➋ 20`%

Á ak의 값을 구한 경우
k=4 k=1 k=1
  -11 10
➌ 30`%
k=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주어진 식을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50`%
05 등차수열 {a }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Á (a2k-a2k-1)=12에서
n
이차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최소가 되는 n의 값을 구 5
➋ 20`%

Á d=12
한 경우 k=1
5
➌ 최솟값을 구한 경우 30`%
k=1

5d=12

03 aÁ, aª, y, a 의 15개의 항 중에서 항의 값이 -'2, '2, 2인 항


15
d=;;Á5ª;; yy`➊
의 개수를 각각 a, b, c라 하면 수열 {a2n-1}은 첫째항이 a, 공차가 2d인 등차수열이므로

Á a2k-1=90에서
a+b+c=15  yy`➊

Á ak=14에서
6

15 k=1

k=1 6(2a+5_2d)
=90
-'2a+'2b+2c=14   yy ㉠ 2
㉠의 우변은 자연수이므로 a=b이어야 한다. 2a+5_;;ª5¢;;=30
2c=14
2a=6
c=7, a+b=8 yy`➋

Á akÛ`‌=(-'2)Û`a+('2)Û`b+4c
a=3 yy`➋
15

k=1 an=3+(n-1)_;;Á5ª;;이므로
=2(a+b)+4c
a21=3+20_;;Á5ª;;=51 yy`➌
=2_8+4_7
=44 yy`➌   51
  4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수열 {an}의 공차를 구한 경우 40`%
➊ 항의 값의 개수에 따라 관계식을 세운 경우 20`% ➋ 수열 {an}의 첫째항을 구한 경우 40`%
항의 값이 2인 항의 개수를 구한 경우 40`% ➌ aªÁ의 값을 구한 경우 20`%

Á akÛ`의 값을 구한 경우

15
➌ 40`%
k=1
06 수열 {a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 이라 하면
Sn= Á ak=(n+2)(n-3)
n n
n

2nÛ`+ Á akÛ`= Á (ak-2)Û`에서


k=1

04
n n
aÁ=SÁ=-6 yy ㉠ yy`➊

2nÛ`+ Á akÛ`= Á (akÛ`-4ak+4)


k=1 k=1
n n n¾2일 때

Á (4ak-4)=-2nÛ`
k=1 k=1 an‌=Sn-Sn-1
n
=(n+2)(n-3)-(n+1)(n-4)

4 Á ak-4n=-2nÛ`
k=1
n =(nÛ`-n-6)-(nÛ`-3n-4)
=2n-2 yy ㉡
4 Á ak=-2nÛ`+4n
k=1
n
㉡에 n=1을 대입하면 ㉠에서 구한 값과 다르므로

Á ak=-
k=1
-6 (n=1)
n nÛ` an=à  yy`➋
+n yy`➊ 2n-2 (n¾2)
Á kak=(-6)+ Á (2kÛ`-2k)
2
Á ak= Á ak- Á ak이므로
k=1
10 10 3 9 9
yy`➋

Á ak‌={- =(-6)+ Á (2kÛ`-2k)


k=4 k=1 k=1 k=1 k=2
9
10 10Û` 3Û`
+10}-{- +3}
k=4 2 2 k=1

9_10_19 9_10
=(-40)-{-;2#;} =(-6)+2_
6
-2_
2
=-;;¦2¦;;  yy`➌ =(-6)+570-90
=474 yy`➌
  -;;¦2¦;;   474

10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0 2022-11-09 오후 12:18:4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 ㉣에서
➊ SÁ을 이용하여 aÁ의 값을 구한 경우 20`% a2n-1=n-1+2n-2`(n¾2)
➋ an을 구한 경우 40`% a2n=n-1-2n-2`(n¾2)

Á kak의 값을 구한 경우
9 따라서 구하는 값은
➌ 40`%
k=1 aÁ+a¢+a¦+a10

=;2#;+0+7+(-4)

=;2(;

 ②

본문 123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03 주어진 등차수열의 공차가 음수이므로 aÁ<0이면
모든 자연수 m에 대하여
01 100 02 ② 03 ② 04 525
am<0이고, Á ak< Á |ak|
m m

Á ak=1, Á bk=4이므로
k=1 k=1

01
5 5
즉,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Á (pak+qbk)=8n에서
k=1 k=1
aÁ¾0이므로

Á ak¾ Á |ak|이면 am¾0이다.


5
m m

p Á ak+q Á bk=8n
k=1
5 5 k=1 k=1

k=1 k=1 주어진 조건에서


p+4q=8n a10¾0, a11<0
p=8n-4q   yy ㉠
aÁ+9_{-;2#;}¾0, aÁ+10_{-;2#;}<0
㉠의 우변이 4의 배수이므로 p는 4의 배수이다.
q가 자연수이므로 ;;ª2¦;;ÉaÁ<15
pÉ8n-4 yy ㉡ aÁ은 정수이므로 aÁ=14이다.
㉡을 만족시키는 p가 4의 배수이면 ㉠을 만족시키는 q도 반드시 하나  ②
만 존재한다.
즉, ㉡을 만족시키는 4의 배수의 개수는 (2n-1)이므로
cn=2n-1
04 조건 (나)에서
Á (2k-1)
10

k=1 bÁ=-;2!;, bª=0, b£=-;2!;, b¢=1,


10_11
=2_ -10
2 b°=-;2!;, b¤=0, b¦=-;2!;, b¥=1, y
=100  100
이므로

02 S = Á a , T = Á (a
2n n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n k n 2k-1 -a2k)라 하자.
b4n-3=-;2!;, b4n-2=0, b4n-1=-;2!;, b4n=1
Á ak=nÛ`-n+1, Á (a2k-1-a2k)=2n이므로
k=1 k=1
yy ㉠
2n n

k=1 k=1 조건 (가)에서 an=24bÇ이므로


aÁ+aª=SÁ=1 yy ㉠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Á-aª=TÁ=2 yy ㉡
a4n-3=;4!;, a4n-2=1, a4n-1=;4!;, a4n=16 yy ㉡
㉠, ㉡에서
㉠, ㉡에서

Á (ak+bk)
aÁ=;2#; 120

= Á ak+ Á bk
k=1
n¾2일 때
120 120
a2n-1+a2n‌=Sn-Sn-1

= Á (a4k-3+a4k-2+a4k-1+a4k)+ Á (b4k-3+b4k-2+b4k-1+b4k)
k=1 k=1
=(nÛ`-n+1)-{(n-1)Û`-(n-1)+1} 30 30

= Á ;;£2°;;+ Á 0
=(nÛ`-n+1)-(nÛ`-3n+3) k=1 k=1
30 30
=2n-2 yy ㉢
k=1 k=1
n¾2일 때
a2n-1-a2n‌=Tn-Tn-1 =30_;;£2°;;+30_0

=2n-2n-1 =525
=2 n-1
yy ㉣   525

정답과 풀이 10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1 2022-11-09 오후 12:18:42


08 a =-2an에서 수열 {an}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다.
07 수학적 귀납법
n+1

첫째항이 2이므로

an=2_(-2)n-1=2_{-;2!;}_(-2)n=-(-2)n
본문 125쪽
개념 확인하기   an=-(-2)n

01 10 02 -2 03 16 04 21 05 -158
06 an=3n 07 an=7n-9 08 an=-(-2)n 09 a Û`=an`an+2에서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다.
n+1

09 an=3n-1 10 ㄴ, ㄷ 11 풀이 참조 12 풀이 참조 aª
첫째항이 1이고, =3에서 공비가 3이므로

an=3n-1
01 a n+1 =an+n이므로   an=3n-1
aÁ=4에서 aª=aÁ+1=5
aª=5에서 a£=aª+2=7
a£=7에서 a¢=a£+3=10 10 p(2)가 참이므로 (나)에 의하여
p(4), p(6), p(8), y이 모두 참임을 알 수 있다.
  10
즉, 짝수 m에 대하여 p(m)은 참이다.
ㄱ. 주어진 조건으로 알 수 없다.
02 a n+1 =nan+1이므로
ㄴ. 참
aÁ=-2에서 aª=1_aÁ+1=-1
ㄷ. 참
aª=-1에서 a£=2_aª+1=-1
ㄹ. 주어진 조건으로 알 수 없다.
a£=-1에서 a¢=3_a£+1=-2
따라서 참인 것은 ㄴ, ㄷ이다.
  -2
  ㄴ, ㄷ

03 a n+1 =2aÇ이므로
aÁ=1에서 aª=2aÁ=2 11 Ú n=1일 때,
1_2
aª=2에서 a£=2aª=4 (좌변)=1, (우변)= =1

2
a£=4에서 a¢=2 =16 이므로 n=1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
  16 Û n=k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04 a n+2 =an+1+an이므로
1+2+3+y+k=
k(k+1)
aÁ=2, aª=3에서 a£=aª+aÁ=5 2
aª=3, a£=5에서 a¢=a£+aª=8 양변에 k+1 을 더하면
a£=5, a¢=8에서 a°=a¢+a£=13 1+2+3+y+k+(k+1)
a¢=8, a°=13에서 a¤=a°+a¢=21 (k+1)(k+2)
k(k+1)
  21 = +(k+1)=
2 2
이므로 n=k+1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05 an+2=an+1`an-2이므로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이 성립한다.
aÁ=1, aª=-2에서 a£=aª aÁ-2=-4   풀이 참조
aª=-2, a£=-4에서 a¢=a£ aª-2=6
a£=-4, a¢=6에서 a°=a¢ a£-2=-26
a¢=6, a°=-26에서 a¤=a° a¢-2=-158 12 Ú n=1일 때,
  -158 (좌변)= 2 , (우변)= 2
이므로 n=1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

06 a n+1 =an+3에서 수열 {an}은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다. Û n=k일 때,


첫째항이 3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an=3+(n-1)_3=3n 2k¾k+1
  an=3n 양변에 2 를 곱하면
2_2k¾2(k+1)¾k+2
07 2a n+1 =an+an+2에서 수열 {an}은 등차수열이다. ‌즉, 2k+1¾(k+1)+1이므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
첫째항이 -2이고, aª-aÁ=7에서 공차가 7이므로 립한다.
an=-2+(n-1)_7=7n-9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이 성립한다.
  an=7n-9   풀이 참조

10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2 2022-11-09 오후 12:18:43


유형 완성하기
본문 126~134쪽
05 b =a n 2n-1 이라 하자.
bÁ=aÁ=-2, bª=a£=1이고
01 ② 02 ① 03 ① 04 ④ 05 ⑤ an+2-an=an+4-an+2에서
06 ③ 07 ② 08 ⑤ 09 ② 10 ⑤ 2an+2=an+an+4   yy ㉠
11 ① 12 ④ 13 ③ 14 ⑤ 15 10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하므로
16 ② 17 ② 18 ① 19 ④ 20 ① ㉠에 n=2k-1을 대입하면
21 2 22 ② 23 ⑤ 24 ④ 25 ④ 2a2k+1=a2k-1+a2k+3

26 ③ 27 ① 28 5 29 12 30 ③ 2bk+1=bk+bk+2
즉, 수열 {bk}는 첫째항이 -2, 공차가 bª-bÁ=3인 등차수열이므로
31 ⑤ 32 30 33 51 34 ① 35 16
bk=-2+(k-1)_3=3k-5

Á a2k-1= Á bk
36 4 37 ④ 38 30 39 43 40 ① 10 10

41 풀이 참조 42 390
= Á (3k-5)
k=1 k=1
10

k=1

01 an+1-an=4에서 =3_
10_11
2
-10_5
an+1=an+4이므로 수열 {an}은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다.
=165-50
aÁ=15이므로
=115
an=15+(n-1)_4=4n+11
 ⑤
a15=4_15+11=71
 ②

06 |a¢|-aÁ의 값은 일정하므로
an+an+2 an+1-an=|a¢|-aÁ에서
02 a n+1=
2
에서
수열 {an}은 등차수열이다.
2an+1=an+an+2이므로 수열 {an}은 등차수열이다.
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자.
첫째항이 -20이고 공차가 aª-aÁ=3이므로
Ú a¢¾0인 경우
an=-20+(n-1)_3=3n-23
an+1-an=|a¢|-aÁ에서
a10=3_10-23=7
an+1-an=a¢-aÁ
 ①
d=(a+3d)-a
d=3d

03 a n+1-an-7=0에서 d=0
an+1=an+7이므로 수열 {an}은 공차가 7인 등차수열이다. 이때 an+1-an=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aÁ=a이므로 Û a¢<0인 경우
an=a+(n-1)_7=7n+a-7 an+1-an=|a¢|-aÁ에서
a12=63이므로 an+1-an=-a¢-aÁ
84+a-7=63 d=(-a-3d)-a
a=-14 4d=-2a
 ① a+2d=0 yy ㉠
aª=4이므로
a+d=4 yy ㉡
04 2a n+1 =an+an+2이므로 수열 {an}은 등차수열이다.
㉠, ㉡을 연립하면
aª=3이 방정식 xÛ`-4x+k=0의 실근이므로
a=8, d=-4
3Û`-4_3+k=0
an=8+(n-1)_(-4)=-4n+12
k=3
a¤=-12
xÛ`-4x+3=0에서
 ③
(x-1)(x-3)=0
x=1 또는 x=3
즉, aÁ=1 07 a n+1 =3an이므로 수열 {an}은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다.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이 1, 공차가 aª-aÁ=2이므로 aÁ=4이므로
an=1+(n-1)_2=2n-1 an=4_3n-1
a10=19 따라서 제5항은 4_3Ý`=324이다.
 ④  ②

정답과 풀이 103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3 2022-11-09 오후 12:18:43


08 a Û`=anan+2이므로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다.
n+1
r=;2#;

첫째항이 8이고 공비가 =2이므로 an=8_{;2#;}
n-1

Á 4ak=4 Á ak
n-1 n+2
an=8_2 =2 6 6

logª`a10 k=1 k=1

8_[{;2#;} -1]
6
=logª`212
=12 =4_
;2#;-1
 ⑤
=2ß`_[{;2#;} -1]
6

09 a n+1 ='Äanan+2 에서
=3ß`-2ß`
an+1Û`=anan+2이므로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다.
=665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첫째항이 3이므로
 ①
aªa£=72에서
3r_3rÛ`=72
12 logª`a n+1 +log;2!;`an=-1에서
rÜ`=8
logª`an+1-logª`an=-1
r=2
a
an=3_2n-1이므로 logª` n+1 =-1
an
a¥=3_2à`=384 an+1
=;2!;
a»=3_2¡`=768 an
a
a10=3_2á`=1536 an+1= n 이므로 수열 {an}은 첫째항이 a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
2
따라서 k=9 이다.
 ②
an=a_{;2!;}
n-1

10 2a n+1 =3an에서 a¤이 자연수이므로 a는 2Þ`을 약수로 갖는다.


an+1=;2#;an이므로 수열 {an}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다. a¤의 양의 약수의 개수가 2이므로 소수 p에 대하여
a=p_2Þ`
수열 {an}의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등비중항을 이용하면
이다.
aªa¢=64에서 a£='¶64=8
또 a¤이 한 자리의 자연수이므로 가능한 p의 값은
a°a¦=k에서 a¤='k
2, 3, 5, 7
a£_{;2#;} =a¤이므로
3
이다.
따라서 구하는 모든 a의 값의 합은
8_{;2#;} ='k
3

(2+3+5+7)_2Þ`=544
27='k  ④
k=729
 ⑤ 13 a n+1 =2an-4이므로
aÁ=3에서 aª=2aÁ-4=2
an+1 an+1 an+2-an
11 an
-
an+2
=
an+1
에서 aª=2에서 a£=2aª-4=0

an+2-an a£=0에서 a¢=2a£-4=-4


1 1
an+1{ - }= a¢=-4에서 a°=2a¢-4=-12
an an+2 an+1
an+2-an an+2-an a°=-12에서 a¤=2a°-4=-28
=
anan+2 an+1Û`  ③
an<an+1에서 an+2-an+0이므로
n
1
=
1 14 a n+1 = a 이므로
n+1 n
anan+2 an+1Û`
aÁ=2에서 aª=;2!;aÁ=1
an+1Û`=anan+2
즉,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다. aª=1에서 a£=;3@;aª=;3@;
수열 {an}의 첫째항은 8이므로 공비를 r라 하면
a£=;3@;에서 a¢=;4#;a£=;2!;
a¢=27에서
8rÜ`=27 a¢=;2!;에서 a°=;5$;a¢=;5@;
rÜ`=;;ª8¦;;  ⑤

10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4 2022-11-09 오후 12:18:44


15 a n+1=1+(-1)nan이고 19 지금으로부터 n시간 후의 미생물의 수를 a 이라 하자. n

aÁ=1이므로 aª=1+(-1)_aÁ=0 (n+1)시간 후의 미생물의 수는


aª=0이므로 a£=1+(-1)Û`_aª=1 n시간 후의 미생물의 수에서 3마리가 죽고 2배가 되므로
a£=1이므로 a¢=1+(-1)Ü`_a£=0 an+1=2(an-3)=2an-6
a¢=0이므로 a°=1+(-1)Ý`_a¢=1 현재 10마리의 미생물이 있으므로
⋮ aÁ=2_10-6=14
n이 홀수이면 an=1, n이 짝수이면 an=0이므로 aÁ=14이므로 aª=2_14-6=22

Á ak=10
20
aª=22이므로 a£=2_22-6=38
k=1
a£=38이므로 a¢=2_38-6=70
  10
따라서 4시간이 지난 후 남아 있는 미생물 A의 수는 70이다.
 ④
16 aª=t라 하자.
an+2=3an+1-an이고 aÁ=3이므로
a£=3aª-aÁ=3t-3 20 오늘부터 n일째 되는 날의 기름의 양을 a `L라 하자. n

a¢=3a£-aª=3(3t-3)-t=8t-9 (n+1)일째 되는 날의 기름의 양은


a°=3a¢-a£=3(8t-9)-(3t-3)=21t-24 n일째 되는 날의 기름의 양의 80`%에 500`L를 더한 것과 같으므로
a°=81에서 an+1=;5$;an+500
21t-24=81
오늘부터 3일째 되는 날의 기름의 양은 a£과 같다.
21t=105
현재 8000 L의 기름이 들어 있으므로
t=5
a£=3_5-3=12 aÁ=;5$;_8000+500=6900
 ②
aÁ=6900이므로 aª=;5$;_6900+500=6020
an-3 (an>2)
17 a n+1=à
2an (anÉ2)
이고 aª=6020이므로 a£=;5$;_6020+500=5316

aÁ=5>2이므로 aª=aÁ-3=2 따라서 오늘부터 3일째 되는 날에 연료 탱크에 남아 있는 기름의 양은


aª=2É2이므로 a£=2aª=4 5316`L이다.
a£=4>2이므로 a¢=a£-3=1  ①
a¢=1É2이므로 a°=2a¢=2
a°=2É2이므로 a¤=2a°=4
21 n개의 직선이 있는 평면에 1개의 직선이 더해지면 이 새로운 직
⋮ 선은 기존의 n개의 직선과 각각 한 번씩 만난다.
n¾2일 때 직선 1개는 평면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다른 직선과 만날 때마다 추
an+3=an이므로 가로 영역을 1개씩 더 나누게 되므로 n개의 직선에 1개의 직선을 추가
a20=a17=y=aª=2 하면 (n+1)개의 영역이 더 생긴다.
 ②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n+1
18 a a k k+1 =4k+2이므로
p=1, f(n)=n+1이므로
logª`ak+logª`ak+1=2k+4
f(p)=f(1)=2
logª`ak=bk라 하면
 2
bk+bk+1=2k+4
b2k-1+b2k=2(2k-1)+4
b2k-1+b2k=4k+2 22 (n+1)개의 원에 1개의 원을 추가하면 이 원은 기존의 (n+1)
Á logª`ak= Á bk
30 30 개의 원과 각각 최대 두 점에서 만날 수 있으므로 추가로 생기는 교점

= Á (b2k-1+b2k)
k=1 k=1 의 최댓값은 2(n+1)이다.
15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2(n+1)이므로

= Á (4k+2)
k=1
15 aÁ=2에서 aª=aÁ+2_2=6
k=1 aª=6에서 a£=aª+2_3=12
15_16 a£=12에서 a¢=a£+2_4=20
=4_ +15_2
2
a¢=20에서 a°=a¢+2_5=30

따라서 Á ak=2+6+12+20+30=70
=480+30 5

=510 k=1

 ①  ②

정답과 풀이 105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5 2022-11-09 오후 12:18:44


23 (n+2)칸의 계단을 오르는 방법은 (n+1)번째 칸에서 1칸 오르 an=2an-2an-1
거나 n번째 칸에서 한 번에 2칸을 오르는 것이다. an=2an-1 yy ㉡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에서 수열 {an}은 첫째항이 3,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an+2=an+1+an an=3_2n-1
aÁ=1, aª=2이므로 a¥=3_2à`=384
a£=2+1=3 a»=3_2¡`=768이므로
a¢=3+2=5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최솟값은 9이다.
a°=5+3=8  ③
a¤=8+5=13
a¦=13+8=21
a¥=21+13=34 27 S n+2 =3Sn+an+2에서
 ⑤ Sn+1+an+2=3Sn+an+2
Sn+1=3Sn

24 n회의 시행이 끝난 후 컵에 있는 소금의 양을 a 이라 하자. 수열 {Sn}은 첫째항이 SÁ이고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다.

Á ak=324에서 S°=324이므로
n
5

1회의 시행에서 소금물의 100 g을 덜어내므로 소금의 양은 ;2!;이 되고, k=1

농도가 a %인 소금물 100 g을 추가하므로 소금의 양이 a g만큼 추가 SÁ_3Ý`=324


된다. SÁ=4
따라서 aÁ=SÁ=4이고 Sª=4_3=12이므로
an aÁ+aª=12에서
an+1= +a
2 aª=8
처음 소금의 양은 200_;1ª0¼0;=40 (g)이므로  ①

aÁ=;2!;_40+a=20+a

aª=;2!;_aÁ+a=10+;2#;a 28 Ú n= 1 일 때, p(n)이 성립함을 보인다.


Û n=k일 때, p(n)이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a£=;2!;_aª+a=5+;4&;a n= k+2 일 때도 p(n)이 성립함을 보인다.
a=1, f(k)=k+2이므로
a¢=;2!;_a£+a=;2%;+;;Á8°;;a
f(a+2)=f(3)=5
a¢¾200_;1ª0¦0°0;에서  5

;2%;+;;Á8°;;a¾55

;;Á8°;;a¾;:!2):%; 29 Ú n= 2 일 때, p(n)이 성립함을 보인다.


Û n=k일 때, p(n)이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a¾28 n= k+3 일 때도 p(n)이 성립함을 보인다.
따라서 a의 최솟값은 28이다. a=2, f(k)=k+3이므로
 ④ af(3)=2_6=12
  12
25 Sn+1=3an+n에서
Sn+2=3an+1+n+1이므로
Sn+2-Sn+1=(3an+1+n+1)-(3an+n) 30 p(1)이 참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an+2=3an+1-3an+1 m이 자연수일 때, p(3m)은 모두 참이다.
aÁ=2, aª=5이므로 a£=3aª-3aÁ+1=10 p(2)가 참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aª=5, a£=10이므로 a¢=3a£-3aª+1=16 m이 자연수일 때, p(2_3m)은 모두 참이다.
a£=10, a¢=16이므로 a°=3a¢-3a£+1=19 ① 158=2_79
 ④ ② 160=2Þ`_5
③ 162=2_3Ý`
26 aÁ=SÁ=3 yy ㉠ ④ 164=2Û`_41
n¾2일 때, ⑤ 166=2_83
an=Sn-Sn-1 이므로 반드시 참인 명제는 ③ p(162)이다.
an=(2an-3)-(2an-1-3)  ③

10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6 2022-11-09 오후 12:18:44


31 Ú n= 1 일 때, 1Û`+2Û`+3Û`+y+kÛ`+ (k+1)Û`
4Ú`-1=3은 3의 배수이므로 p(1)이 성립한다. k(k+1)(2k+1)
= + (k+1)Û`
6
Û n=k일 때, p(k)가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k+1){k(2k+1)+6(k+1)}
4k-1은 3의 배수이다. =
6
4k+1-1=4_( 4k-1 )+3 (k+1)_( 2kÛ`+7k+6 )
‌이고, 4k-1 , 3이 모두 3의 배수이므로 4k+1-1이 3의 배수이다. =
6
즉, p(k+1)이 성립한다. (k+1)(k+2)_( 2k+3 )
=    yy ㉠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명제 p(n)이 성립한다. 6
a=1, f(k)=4k-1이므로 ‌㉠은 등식 (*)의 우변에서 n에 k+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a+f(4)=1+(4Ý`-1)=256 n=k+1일 때도 등식 (*)이 성립한다.
 ⑤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이 성립한다.
f(k)=(k+1)Û`, g(k)=2kÛ`+7k+6, h(k)=2k+3이므로
f(2)+g(3)+h(4)=9+45+11=65

32 Ú n= 2 일 때,  ①

( 2 )Ü`- 2 =6은 6의 배수이므로


p(2)가 성립한다.
35 Ú n=1일 때, (좌변)=;2!;=(우변)
Û n=k일 때, p(k)가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이므로 등식 (*)이 성립한다.
kÜ`-k 는 6의 배수이다.
Û n=k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k+1)Ü`-(k+1)‌=(k+1){(k+1)Û`-1}
k 1 k
=(k+1)(kÛ`+2k) =
i=1 i(i+1) k+1
= k(k+1)(k+2)
1
(k+1)Ü
‌ `-(k+1)이 연속한 세 자연수의 곱이므로 2의 배수이고 3 양변에 을 더하면
(k+1)(k+2)
의 배수이다.
+Á =Á
즉, p(k+1)이 성립한다. 1 k 1 k+1 1
(좌변)=
(k+1)(k+2) i=1 i(i+1) i=1 i(i+1)
따라서 2 이상의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명제 p(n)이 성립한다.
a=2, f(k)=kÜ`-k, g(k)=k(k+1)(k+2)이므로 k 1 k+1
(우변)= + =
f(a)+g(a)=f(2)+g(2)=6+24=30 k+1 (k+1)(k+2) k+2
  30 이므로 n=k+1일 때도 등식 (*)이 성립한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이 성립한다.
1 k+1
2Ü`+6 f(k)= , g(k)= 이므로
33 Ú n=1일 때, 7
= 2 이므로 p(1)이 성립한다. (k+1)(k+2) k+2
1
Û n=k일 때, p(k)가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g(3)Öf(3)=;5$;Ö =16
4_5
23k+6   16
이 자연수이므로 23k+6은 7 의 배수이다.
7
23(k+1)+6=8_(23k+6)- 42
23k+6, 42 가 모두 7 의 배수이므로 p(k+1)이 성립한다. 36 Ú n=1일 때, (좌변)= 1 =(우변)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명제 p(n)이 성립한다. 이므로 등식 (*)이 성립한다.
a=2, b=7, c=42이므로 Û n=k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i_2i-1=(k-1)2k+1
a+b+c=51 k

  51 i=1

양변에 (k+1)2k 을 더하면

(좌변)= (k+1)2k + Á i_2i-1= Á i_2i-1


k k+1

34 Ú n=1일 때,
i=1 i=1

k k
(우변)‌=(k-1)2 +1+ (k+1)2
1_2_3
(좌변)=1Û`=1, (우변)= =1 =k_2k+1+1
6
이므로 등식 (*)이 성립한다. 이므로 n=k+1일 때도 등식 (*)이 성립한다.
Û n=k일 때, 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 (*)이 성립한다.
k(k+1)(2k+1) a=1, f(k)=(k+1)2k이므로
1Û`+2Û`+3Û`+y+kÛ`=
6 f(a)=f(1)=4
양변에 (k+1)Û` 을 더하면  4

정답과 풀이 107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7 2022-11-09 오후 12:18:45


37 Ú n=2일 때, ㉠, ㉡에서

2 2k+1>2kÛ`> (k+1)Û
(좌변)=;2!;+;4!;=;4#;, (우변)= =;3@;
2+1 이므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4#;=;1»2;>;1¥2;=;3@;이므로 부등식 (*)이 성립한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이 성립한다.
a=32, f(k)=(k+1)Û`, g(k)=k-1이므로
Û n=k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 k a+f(2)+g(3)=32+9+2=43
;2!;+;4!;+;6!;+y+ >
2k k+1   43
1
양변에 을 더하면
2k+2
40 Ú n=1일 때,
1 1 k 1 2k+1 1+1
;2!;+;4!;+;6!;+y+ + > + = aÁ= =2
2k 2k+2 k+1 2k+2 2k+2 1
이므로 (*)이 성립한다.
(2k+1)(k+2)> (2k+2)(k+1) 에서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2k+1 k+1
> k+1
2k+2 k+2 ak=
k
이므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이다.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따라서 2 이상의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이 성립한다.
nan+1
1 2k+1 an+1= 이므로
f(k)= , g(k)= , h(k)=(2k+2)(k+1)이므로 nan
2k+2 2k+2
ka +1
ak+1= k
f(1)_g(2)_h(3)=;4!;_;6%;_8_4=;;ª3¼;; kak
1
 ④ =1+
kak
1 k+2
=1+ =
k+1 k+1

38 Ú n= 4 일 때, 이므로 n=k+1일 때도 (*)이 성립한다.

(좌변)= 24 , (우변)=2
4 n+1
따라서 수열 {an}의 일반항은 an= 이다.
n
이므로 부등식 (*)이 성립한다.
k+1 1 k+2
Û n=k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f(k)= , g(k)= , h(k)= 이므로
k k+1 k+1
k!>2k f(2)_g(3)_h(4)=;2#;_;4!;_;5^;=;2»0;
양변에 k+1 을 곱하면
 ①
(k+1)!>( k+1 )_2k
k¾4이므로 k+1 ¾2이다. 즉,
( k+1 )_2k>2k+1
41 Ú n=1일 때,
aÁ=;1%;=5이므로
이므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4 이상의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이 성립한다. an=;n%;   yy ㉠
a=4, b=24, f(k)=k+1이므로
가 성립한다.
f(a)+f(b)=5+25=30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30
ak=;k%;

이다.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n
39 Ú n=5일 때, an+1= a 이므로
n+1 n
(좌변)= 32 , (우변)=5Û`=25 k
ak+1‌= a
이므로 부등식 (*)이 성립한다. k+1 k
k
Û n=k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_;k%;
k+1
2k>kÛ` 5
=
양변에 2를 곱하면 k+1
2k+1>2kÛ` yy ㉠ 즉, n=k+1일 때도 ㉠이 성립한다.

k¾5이므로 따라서 수열 {an}의 일반항은 an=;n%;이다.


2kÛ`- (k+1)Û =( k-1 )Û`-2>0 yy ㉡   풀이 참조

10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8 2022-11-09 오후 12:18:45


42 Ú n=1일 때, 수열 {an}의 첫째항이 1, 공비가


=5이므로
a¢=2a£+aª= 84 an=5n-1
이므로 a¢는 12의 배수이다. a¢=5Ü`=125 yy`➌
Û n=k일 때, a4k가 12의 배수라고 가정하면   125
a4k=12m (m은 자연수)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이다.
➊ 수열 {an}이 등비수열임을 추론한 경우 20`%
a4(k+1)=2a
‌ +a4k+2
4k+3
➋ aÁ, aª의 값을 구한 경우 30`%
=2(2a4k+2+a4k+1)+a4k+2 ➌ a¢의 값을 구한 경우 50`%
=5a4k+2+2a4k+1
=5(2a4k+1+a4k)+2a4k+1
= 12 _a4k+1+5a4k 03 a n+1 =kan-1에서

= 12 _(a4k+1+5m) aª=kaÁ-1=2k-1

(a4k+1+5m)이 자연수이므로 a4(k+1)도 12의 배수이다. a£=kaª-1=2kÛ`-k-1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4n은 12의 배수이다. a¢=ka£-1=2kÜ`-kÛ`-k-1

a=84, b=12, f(k)=4k+3이므로 a¢=41에서

f(a)+f(b)=f(84)+f(12)=339+51=390 2kÜ`-kÛ`-k-1=41 yy`➊

  390 2kÜ`-kÛ`-k-42=0   yy ㉠ yy`➋


f(k)=2kÜ`-kÛ`-k-42라 하면
f(3)=54-9-3-42=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3 2 -1 -1 -42
6 15 42
본문 135쪽
서술형 완성하기
2 5 14 0

01 an=;;Á3¼;;n-;3%; 02 125 03 3 이므로 f(k)=(k-3)(2kÛ`+5k+14)


㉠에서 (k-3)(2kÛ`+5k+14)=0
04 40 05 풀이 참조 06 풀이 참조
따라서 k=3 yy`➌
 3
01 a n+1-an=2aÁ에서
an+1=an+2aÁ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수열 {an}은 공차가 2aÁ인 등차수열이다. yy`➊ ➊ a¢를 k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40`%
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자. ➋ k에 대한 방정식을 세운 경우 20`%
d=2a yy ㉠ ➌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실수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aª=5에서
yy ㉡ yy`➋ an
a+d=5
㉠, ㉡을 연립하면
04 S = 2 +4n에서
n

a1
SÁ= +4
a=;3%;, d=;;Á3¼;; 2
a1
aÁ= +4
an=;3%;+(n-1)_;;Á3¼;;=;;Á3¼;;n-;3%; yy`➌ 2
aÁ=8 yy`➊
  an=;;Á3¼;;n-;3%; an+1
Sn+1= +4(n+1)이므로
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n+1 an
Sn+1-Sn={ +4n+4}-{ +4n}
➊ 수열 {an}이 등차수열임을 추론한 경우 20`% 2 2
an+1 an
➋ 수열 {an}의 첫째항과 공차의 관계식을 구한 경우 40`% an+1= - +4
2 2
➌ 수열 {an}의 일반항을 구한 경우 40`%
an+1=-an+8 yy`➋
aÁ=8이므로 aª=-aÁ+8=0
02 a a n n+2 =an+1Û`이므로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다.  yy`➊ aª=0이므로 a£=-aª+8=8
두 수 aÁ, aª가 모두 5의 양의 약수이므로 a£=8이므로 a¢=-a£+8=0
aÁ¾aª이면 aª<a£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a¢=0이므로 a°=-a¢+8=8
즉, aÁ<aª이므로 aÁ=1, aª=5이다.  yy`➋ ⋮

정답과 풀이 109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09 2022-11-09 오후 12:18:46


즉,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2n-1+a2n=8이므로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ak= Á (a2k-1+a2k)= Á 8=40 1
10 5 5
yy`➌ ak=
k=1 k=1 k=1 3k-4
  40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n+1= 이므로
3an+1
➊ a1의 값을 구한 경우 30`% ak
ak+1=
➋ 이웃한 두 항의 관계식을 구한 경우 30`% 3ak+1

수열 {an}의 규칙성을 찾아 Á ak의 값을 구한 경우


10
➌ 40`% 1
k=1 3k-4
=  yy`➋
1
3_ +1
3k-4
1
3k-4
=
3+(3k-4)
05 Ú n=2일 때, 3k-4
1 1 1 1
(좌변)= + =;4%;, (우변)=2-;2!;=;2#; = =
1Û` 2Û` 3k-1 3(k+1)-4
;4%;<;2#;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yy`➊ 이므로 n=k+1일 때도 (*)이 성립한다.  yy`➌
1
Û n=k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따라서 수열 {an}의 일반항은 an= 이다.

Á <2-
3n-4
k 1 1   풀이 참조
i=1 iÛ` k
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양변에 을 더하면
(k+1)Û`

+ Á <2- +
➊ n=1일 때, 일반항이 성립함을 보인 경우 30`%
1 k 1 1 1 1 ak
  yy`➋ a k= , a k+1= 의 관계식을 추론한
(k+1)Û` i=1 iÛ` k (k+1)Û` 3k-4 3ak+1
Á <2- +
➋ 30`%
k+1 1 1 1 경우

i=1 iÛ` k (k+1)Û`
➌ n=k+1일 때, 일반항이 성립함을 보인 경우 40`%
(k+1)Û`-k
=2-
k(k+1)Û`
kÛ`+k+1
=2-
k(k+1)Û`
kÛ`+k
<2-
k(k+1)Û`
1
=2-
k+1
이므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yy`➌

따라서 2 이상의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Á <2-;n!;이 성립한다.


1 n

i=1 iÛ` 본문 136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 풀이 참조

단계 채점 기준 비율 01 ③ 02 24 03 ④ 04 240
➊ n=2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인 경우 20`%

➋ 양변에
1
을 더한 경우 30`% 01 수열 {a }은 첫째항이 p, 공차가 q인 등차수열이므로
n
(k+1)Û` an=p+(n-1)q

Á ak=300에서
➌ n=k+1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인 경우 50`% 12

k=1

12_(2p+11q)
=300
2
2p+11q=50
50-11q
06 Ú n=1일 때, p=
2
1 p가 자연수이므로 q는 4 이하의 짝수이다.
aÁ= =-1
3_1-4
q=2이면 p=14
이므로
1 q=4이면 p=3
an=    yy (*)
3n-4 따라서 p+q의 최댓값은 16이다.
이 성립한다.  yy`➊  ③

11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Ⅰ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10 2022-11-09 오후 12:18:46


02 0<aÉ1이면 따라서 구하는 값은

Á k
5 a +1 1 1 62
aÁ=a, aª=a, a£=a, a¢=a, a°=a에서 = aÁ - a¤ =
k=1 akak+1 63
a=-1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④
1<aÉ4이면 a-3É1이므로
aÁ=a, aª=a-3, a£=a, a¢=a-3, a°=a에서
a=-1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04 조건 (가)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s에 대하여
즉, a>4에서 a-3>1이므로 p(5+sa)는 참이다.
조건 (나)에 의하여
aÁ=a
aª=a-3 sa+5+100이므로 모든 자연수 s에 대하여

a£=a-6 sa+95

이때 a£É1이면 이다. 즉, a는 95의 약수가 아니다.

a¢=a p(195)가 참이므로 어떤 자연수 t에 대하여

a°=a-3=-1에서 a=2이므로 a>4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ta+5=195

a£>1이므로 ta=190

a¢=a-9 yy ㉠ a는 190의 약수이고 95=5_19, 190=2_5_19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은
a¢É1이면 a°=-1에서
a<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 10, 38, 190
따라서 구하는 모든 a의 값의 합은
a¢>1이므로 a¢=2 yy ㉡
㉠, ㉡에서 2+10+38+190=240
  240
a-9=2
a=11
aÁ=11, aª=8, a£=5, a¢=2, a°=-1,
a¤=11, y
이므로
aÁ¤+aÁ¦+aÁ¥=aÁ+aª+a£=24
  24

03 S =2a -n에서
n n

Sn+1=2an+1-(n+1)
Sn+1-Sn={2an+1-(n+1)}-(2an-n)
an+1=2an+1-2an-1
an+1=2an+1   yy ㉠
an+1-an=an+1

Á a ka
5 a +1

=Á a
k=1 k k+1

5 a
k+1-ak
kak+1

=Á { a - a }
k=1

5 1 1
k=1 k k+1

1 1 1 1 1 1
={ aÁ - aª }+{ aª - a£ }+y+{ a° - a¤ }

1 1
= aÁ - a¤

㉠에서
aÁ=1이므로 aª=2_aÁ+1=3
aª=3이므로 a£=2_aª+1=7
a£=7이므로 a¢=2_a£+1=15
a¢=15이므로 a°=2_a¢+1=31
a°=31이므로 a¤=2_a°+1=63

정답과 풀이 111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11 2022-11-09 오후 12:18:46


memo

EBS올림포스(수1)해설.indb 112 2022-11-09 오후 12:18:4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