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⑵ x+y=3, 즉 y=-x+3을 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xÛ`+yÛ`-2x+4y-3=0에 대입하면 -kÛ`+25>0, (k+5)(k-5)<0
xÛ`+(-x+3)Û`-2x+4(-x+3)-3=0 ∴ -5<k<5
2xÛ`-12x+18=0 ⑵ 접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 xÛ`-6x+9=0 -kÛ`+25=0, kÛ`=25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k=Ñ5

;;4;D;=(-3)Û`-1_9=0 ⑶ 만나지 않으려면 D<0이어야 하므로


-kÛ`+25<0, (k+5)(k-5)>0
따라서 원과 직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접한다.)
∴ k<-5 또는 k>5
⑴만나지않는다.
⑴-5<k<5 ⑵k=Ñ5
⑵한점에서만난다.`(접한다.)
⑶k<-5또는k>5
다른풀이 원의 중심 (0, 0)과 직선 y=2x+k, 즉
387 2x-y+k=0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5,'5,'5,=,1 |k| |k|
d= =
"Ã2Û`+(-1)Û` '5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r='5
388 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d<r이어야 하므로
⑴ 원의 중심 (0, 0)과 직선 3x+y-10=0 사이의
|k|
<'5, |k|<5
거리는 '5
|-10| ∴ -5<k<5
='1Œ0
"Ã3Û`+1Û` ⑵ 접하려면 d=r이어야 하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7이고 '1Œ0>'7이므로 원 |k|
='5, |k|=5
과 직선은 만나지 않는다. '5
⑵ 원의 중심 (-1, 2)와 직선 2x+y+5=0 사이의 ∴ k=Ñ5
거리는 ⑶ 만나지 않으려면 d>r이어야 하므로
|-2+2+5| |k|
>'5, |k|>5
'5
='5
"Ã2Û`+1Û`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2이고 '5<2'2이므로 원
∴ k<-5 또는 k>5

과 직선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⑴만나지않는다. 390
xÛ`+yÛ`-4x-6y+9=0에서 (x-2)Û`+(y-3)Û`=4
⑵서로다른두점에서만난다.
원의 중심 (2, 3)과 직선 3x-4y+k=0 사이의 거리는
|6-12+k| |k-6|
389 "Ã3Û`+(-4)Û`
=
5
y=2x+k를 xÛ`+yÛ`=5에 대입하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원과 직선이 서로 다른
xÛ`+(2x+k)Û`=5 두 점에서 만나려면
∴ 5xÛ`+4kx+kÛ`-5=0 |k-6|
<2, |k-6|<1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5
-10<k-6<10 ∴ -4<k<16
D
=(2k)Û`-5(kÛ`-5)=-kÛ`+25
4 -4<k<16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81
391 C(1,�-2)
xÛ`+yÛ`-6x-8y+21=0에서 A(-2,�a)

5 3
(x-3)Û`+(y-4)Û`=4
B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진 원
의 중심을 C(3, 4)라 하고, 점 따라서 직각삼각형 ABC에서
$  A
C에서 직선 y=x+3, 즉 CAÓ Û`=ABÓ Û`+CBÓ Û`이므로

x-y+3=0에 내린 수선의 발 aÛ`+4a+13=5Û`+3Û`


" ) #
을 H라 하면 aÛ`+4a-21=0, (a+7)(a-3)=0

|3-4+3| ∴ a=3 (∵ a>0) 3


CHÓ= ='2
"Ã1Û`+(-1)Û`
또, ACÓ=2이므로 직각삼각형 CAH에서
394
AHÓ=¿¹ACÓÛ`-CHÓÛ` xÛ`+yÛ`+6x-8y+9=0에서
=¿¹2Û`-('2)Û`='2 (x+3)Û`+(y-4)Û`=16
∴ ABÓ=2AHÓ=2'2 2'2 원의 중심 (-3, 4)와  
직선 3x-4y-10=0 
 YZ

392 사이의 거리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진 원과 |-9-16-10|
A =7
"Ã3Û`+(-4)Û`
직선의 두 교점을 A, B, 원의 중 3 4
H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4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원 위의
심을 C(2, 1)이라 하고, 점 C에서 B
C(2, 1)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의
직선 y=-2x+k, 즉
최댓값은 7+4=11, 최솟값은 7-4=3
2x+y-k=0에 내린 수선의 발
 최댓값 :11,최솟값 :3
을 H라 하면
|4+1-k| |5-k|
CHÓ= = yy ㉠
"Ã2Û`+1Û` '5 395
1
또, ACÓ=3, AHÓ= ABÓ=2이므로 직각삼각형 ACH 직선 y=-3x+5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3!;이고,
2
에서 원 xÛ`+yÛ`=9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므로 구하는 직
CHÓ=ÚÞACÓ Û`-AHÓ Û` 선의 방정식은
="Ã3Û`-2Û`='5 yy ㉡ y=;3!;xÑ3¾Ð{;3!;}Û`+1
|5-k|
='5, |5-k|=5
'5
㉠, ㉡에서
∴ y=;3!;xÑ'1Œ0
5-k=Ñ5 ∴ k=10 (∵ k>0) 10
 y=;3!;x+'1Œ0, y=;3!;x-'1Œ0

393
xÛ`+yÛ`-2x+4y-4=0에서 (x-1)Û`+(y+2)Û`=9 396
원의 중심을 C(1, -2)라 하면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을 y=2x+n, 즉
CAÓ="Ã(-2-1)Û`+(a+2)Û`="ÃaÛ`+4a+13 2x-y+n=0이라 하면 원의 중심 (1, 2)와 접선 사
CBÓ는 원의 반지름이므로 CBÓ=3 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3과 같으므로

82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2-2+n| 원의 중심과 접점을 지나는 직선은 접선에 수직이므로
=3, |n|=3'5
"Ã2Û`+(-1)Û` 접선의 기울기는 -3이다.
∴ n=Ñ3'5 따라서 기울기가 -3이고 점 (4, -1)을 지나는 접선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의 방정식은
y=2xÑ3'5 y-(-1)=-3(x-4)
y=2x+3'5, y=2x-3'5 ∴ y=-3x+11 y=-3x+11
다른풀이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을 y=2x+n 다른풀이 원 (x-1)Û`+(y+2)Û`=10 위의 점
이라 하자. (4,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이 식을 (x-1)Û`+(y-2)Û`=9에 대입하면 (4-1)(x-1)+(-1+2)(y+2)=10
(x-1)Û`+(2x+n-2)Û`=9 3(x-1)+y+2=10
∴ 5xÛ`+2(2n-5)x+nÛ`-4n-4=0 ∴ y=-3x+11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D;=(2n-5)Û`-5(nÛ`-4n-4)=0
399
nÛ`=45 ∴ n=Ñ3'5 접점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Áx+yÁy=5 yy ㉠
y=2xÑ3'5 직선 ㉠이 점 (3, -1)을 지나므로
3xÁ-yÁ=5 ∴ yÁ=3xÁ-5
397 또, 접점 (xÁ, 3xÁ-5)는 원 xÛ`+yÛ`=5 위의 점이므로
원 xÛ`+yÛ`=10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 xÁÛ`+(3xÁ-5)Û`=5, 10xÁÛ`-30xÁ+20=0
정식은 xÁÛ`-3xÁ+2=0, (xÁ-1)(xÁ-2)=0
(-1)_x+(-3)_y=10 ∴ xÁ=1 또는 xÁ=2
∴ x+3y+10=0 xÁ=1일 때 yÁ=-2, xÁ=2일 때 yÁ=1
이 접선이 x축, y축과 y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만나는 점의 좌표는 x-2y-5=0, 2x+y-5=0
A
A(-10, 0), O x x-2y-5=0,2x+y-5=0
B{0, -:Á3¼:} (-1, -3) B
다른풀이 점 (3, -1)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를 m
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삼각형 OAB의
y-(-1)=m(x-3) ∴ mx-y-3m-1=0
넓이는
원의 중심 (0, 0)과 접선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
;2!;_10_:Á3¼:=:°3¼: 
50 의 길이 '5와 같아야 하므로
3
|-3m-1|
='5, |3m+1|="Ã5(mÛ`+1)
"ÃmÛ`+(-1)Û`
398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2mÛ`+3m-2=0, (m+2)(2m-1)=0

∴ m=-2 또는 m=;2!;
(1, -2)와 접점 (4, -1)을
(4, -1)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1, -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1-(-2)
=;3!; 2x+y-5=0, x-2y-5=0
4-1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83
400 ⑶ (x-2-3)Û`+(y+3+4)Û`=1
점 (2, -1)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 (x-5)Û`+(y+7)Û`=1
접선의 방정식은 ⑴3x-2y-7=0
y-(-1)=m(x-2) ⑵y=xÛ`-4x+5
∴ mx-y-2m-1=0 ⑶(x-5)Û`+(y+7)Û`=1
원과 직선이 접하려면 원의 중심 (-1, 2)와 접선 사
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3과 같아야 하므로
|-m-2-2m-1|
404
"ÃmÛ`+(-1)Û`
='3 평행이동 (x, y) 1Ú (x-2, y+5)는 x축의 방향
|3m+3|="Ã3(mÛ`+1) 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하는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것이므로 주어진 식에 x 대신 x+2, y 대신 y-5를
mÛ`+3m+1=0 yy ㉠ 대입한다.
두 접선의 기울기를 mÁ, mª라 하면 이차방정식 ㉠의 ⑴ 2(x+2)-(y-5)-3=0
두 근이 mÁ, mª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2x-y+6=0
mÁ+mª=-3 -3 ⑵ y-5=-(x+2)Û`+2(x+2)
∴ y=-xÛ`-2x+5
⑶ (x+2+3)Û`+(y-5-2)Û`=5
401 ∴ (x+5)Û`+(y-7)Û`=5
⑴ (7-3, 2+4), 즉 (4, 6)
⑴2x-y+6=0
⑵ (-6-3, 5+4), 즉 (-9, 9)
⑵y=-xÛ`-2x+5
⑶ (-2-3, -4+4), 즉 (-5, 0)
⑶(x+5)Û`+(y-7)Û`=5
⑴(4,6) ⑵(-9,9) ⑶(-5,0)

402 405
평행이동 (x, y) 1Ú (x-5, y+3)은 x축의 방향 평행이동 (x, y) 1Ú (x-3, y+2)는 x축의 방향

으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는 것 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는

이다. 것이므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a, -1)이 옮겨

⑴ (1-5, 3+3), 즉 (-4, 6) 지는 점의 좌표는

⑵ (4-5, -6+3), 즉 (-1, -3) (a-3, -1+2), 즉 (a-3, 1)

⑶ (-2-5, 5+3), 즉 (-7, 8) 이 점이 직선 y=2x-3 위의 점이므로


⑴(-4,6) ⑵(-1,-3) ⑶(-7,8) 1=2(a-3)-3
2a=10 ∴ a=5 5

403
주어진 식에 x 대신 x-2, y 대신 y+3을 대입한다. 406
⑴ 3(x-2)-2(y+3)+5=0 점 (2, -4)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
∴ 3x-2y-7=0 로 b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1, -3)이라 하면
⑵ y+3=(x-2)Û`+4 2+a=1, -4+b=-3
∴ y=xÛ`-4x+5 ∴ a=-1, b=1

84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410

확인체크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다. 직선 y=ax+b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
따라서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3, 6)이 옮겨지는 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점의 좌표는 y-2=a(x+3)+b
(-3-1, 6+1), 즉 (-4, 7) (-4, 7) ∴ y=ax+3a+b+2
이 직선과 직선 y=2x+1이 y축 위의 점에서 수직으
로 만나므로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고, y절편
407 이 같아야 한다.
점 (m, n)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즉, a_2=-1, 3a+b+2=1에서
-3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1 1
a=- , b=
(m+2, n-3) 2 2
한편, xÛ`+yÛ`-6x+8y+19=0에서 ∴ b-a=;2!;-{-;2!;}=1 1
(x-3)Û`+(y+4)Û`=6
이 원의 중심의 좌표는 (3, -4)이므로
m+2=3, n-3=-4 ∴ m=1, n=-1
411
y=xÛ`-4x+3에서 y=(x-2)Û`-1
∴ mn=-1 -1
평행이동 (x, y) 1Ú (x-a, y+2b)는 x축의 방향
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2b만큼 평행이동하는

408 것이므로 y=(x-2)Û`-1에 x 대신 x+a, y 대신


y-2b를 대입하면
2x-3y+k=0에 x 대신 x-1, y 대신 y+2를 대입
y-2b=(x+a-2)Û`-1
하면
2(x-1)-3(y+2)+k=0 ∴ y=xÛ`+2(a-2)x+(a-2)Û`+2b-1
이 포물선이 포물선 y=xÛ`-3과 일치하므로
∴ 2x-3y-8+k=0
a-2=0, (a-2)Û`+2b-1=-3
이 직선이 점 (1, -4)를 지나므로
2+12-8+k=0 ∴ a=2, b=-1
∴ a+b=1 1
∴ k=-6 -6
다른풀이 포물선 y=(x-2)Û`-1의 꼭짓점의 좌표
는 (2, -1), 포물선 y=xÛ`-3의 꼭짓점의 좌표는

409 (0, -3)이므로 주어진 평행이동은 점 (2, -1)을 점


(0, -3)으로 옮기는 평행이동이다.
점 (1, 2)를 점 (-2, 4)로 옮기는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

는 것이므로 3x-4y+2=0에 x 대신 x+3, y 대신 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는 것이므로

y-2를 대입하면 -a=-2, 2b=-2 ∴ a=2, b=-1

3(x+3)-4(y-2)+2=0 ∴ a+b=1

∴ 3x-4y+19=0
이 직선이 직선 3x+py+q=0과 일치하므로 412
p=-4, q=19 xÛ`+yÛ`+6x+2y+8=0에서
∴ p+q=15 15 (x+3)Û`+(y+1)Û`=2 yy ㉠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85
xÛ`+yÛ`-4x-4y+6=0에서 416
(x-2)Û`+(y-2)Û`=2 yy ㉡ ⑴ -y=xÛ`-2x+3
㉠에 x 대신 x-a, y 대신 y-b를 대입하면 ∴ y=-xÛ`+2x-3
(x-a+3)Û`+(y-b+1)Û`=2 ⑵ y=(-x)Û`-2_(-x)+3
이 원이 원 ㉡과 일치하므로 ∴ y=xÛ`+2x+3
-a+3=-2, -b+1=-2 ∴ a=5, b=3 ⑶ -y=(-x)Û`-2_(-x)+3
∴ ab=15 15 ∴ y=-xÛ`-2x-3
다른풀이 원 ㉠의 중심의 좌표는 (-3, -1) ⑷ x=yÛ`-2y+3
원 ㉡의 중심의 좌표는 (2, 2) ⑴y=-xÛ`+2x-3
점 (-3, -1)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 ⑵y=xÛ`+2x+3
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2, 2)이므로 ⑶y=-xÛ`-2x-3
-3+a=2, -1+b=2 ∴ a=5, b=3 ⑷x=yÛ`-2y+3
∴ ab=15

417
⑴ (x-3)Û`+(-y+2)Û`=6
413 ∴ (x-3)Û`+(y-2)Û`=6
⑴(-2,-3) ⑵(2,3)
⑵ (-x-3)Û`+(y+2)Û`=6
⑶(2,-3) ⑷(3,-2)
∴ (x+3)Û`+(y+2)Û`=6
⑶ (-x-3)Û`+(-y+2)Û`=6
∴ (x+3)Û`+(y-2)Û`=6
414 ⑷ (y-3)Û`+(x+2)Û`=6
⑴(-5,3) ⑵(5,-3) ∴ (x+2)Û`+(y-3)Û`=6
⑶(5,3) ⑷(-3,-5) ⑴(x-3)Û`+(y-2)Û`=6
⑵(x+3)Û`+(y+2)Û`=6
⑶(x+3)Û`+(y-2)Û`=6
415 ⑷(x+2)Û`+(y-3)Û`=6
⑴ 3x-2_(-y)+1=0
∴ 3x+2y+1=0
⑵ 3_(-x)-2y+1=0
418
점 P(2, 4)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
∴ 3x+2y-1=0
의 좌표는 (4, 2)
⑶ 3_(-x)-2_(-y)+1=0
점 Q(4, 2)를 x축에 대하여 y
y=x
∴ 3x-2y-1=0 P
4
대칭이동한 점 R의 좌표는
⑷ 3y-2x+1=0 ∴ 2x-3y-1=0
(4, -2) 2 Q
⑴3x+2y+1=0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 O 2 4 x
⑵3x+2y-1=0
형 PQR의 넓이는 -2
⑶3x-2y-1=0 R

⑷2x-3y-1=0 ;2!;_4_2=4 4

86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419 423

확인체크
점 (3, -5)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포물선 y=xÛ`-2mx+mÛ`-5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
(-3, 5) 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이 점이 직선 ax-2y+1=0 위에 있으므로 -y=(-x)Û`-2m_(-x)+mÛ`-5
-3a-10+1=0 ∴ a=-3 -3 ∴ y=-xÛ`-2mx-mÛ`+5
=-(x+m)Û`+5

420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 (-m, 5)가 점 (-2, k)


점 (k, 3)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P의 좌표는 와 일치하므로
(-k, 3) m=2, k=5 ∴ m+k=7 7

점 (k, 3)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다른풀이 y=xÛ`-2mx+mÛ`-5에서


좌표는 y=(x-m)Û`-5
(3, k) 이 포물선의 꼭짓점의 좌표가 (m, -5)이므로 이 포
선분 PQ의 길이가 2'5이므로 물선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꼭짓점의
"Ã(3+k)Û`+(k-3)Û`=2'5 좌표는
"Ã2kÛ`+18=2'5 (-m, 5)

양변을 제곱하면 2kÛ`+18=20 이 점이 점 (-2, k)와 일치하므로


kÛ`=1 ∴ k=1 (∵ k>0) 1 m=2, k=5 ∴ m+k=7

424
421 직선 4x-2y+3=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
직선 y=-3x+6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한 직선의 방정식은
방정식은
4y-2x+3=0 ∴ 2x-4y-3=0
y=-3_(-x)+6 ∴ y=3x+6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이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3!;이므로 점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은

(-2, 4)를 지나고 기울기가 -;3!;인 직선의 방정식은


2(x+1)-4(y-2)-3=0
∴ 2x-4y+7=0 2x-4y+7=0
y-4=-;3!;(x+2) ∴ y=-;3!;x+:Á3¼:
425
 y=-;3!;x+:Á3¼:
포물선 y=xÛ`-2x+a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422 y-1=(x-3)Û`-2(x-3)+a
직선 2x-3y+1=0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 ∴ y=xÛ`-8x+16+a
선의 방정식은 이 포물선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포물선의 방정
2x-3_(-y)+1=0 식은
∴ 2x+3y+1=0 -y=xÛ`-8x+16+a
이 직선이 원 (x-4)Û`+(y+k)Û`=3의 넓이를 이등 ∴ y=-xÛ`+8x-16-a
분하므로 원의 중심 (4, -k)를 지난다. 즉, 이 포물선이 포물선 y=-xÛ`+8x-10과 일치하므로
8-3k+1=0 ∴ k=3 3 -16-a=-10 ∴ a=-6 -6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87
다른풀이 y=xÛ`-2x+a에서 428
y=(x-1)Û`+a-1 yy ㉠ y=-xÛ`+2x+5에서 y=-(x-1)Û`+6
y=-xÛ`+8x-10에서 포물선의 꼭짓점 (1, 6)을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
y=-(x-4)Û`+6 yy ㉡ 동한 점의 좌표가 (3, 6)이어야 한다.
포물선 ㉠의 꼭짓점 (1, a-1)을 x축의 방향으로 3만 즉, 점 (a, b)가 두 점 (1, 6), (3, 6)을 이은 선분의
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는 중점이므로
(1+3, a-1+1), 즉 (4, a) 1+3 6+6
a= =2, b= =6
이 점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2 2
(4, -a) ∴ a+b=8 8

이 점이 포물선 ㉡의 꼭짓점 (4, 6)과 일치하므로


-a=6 ∴ a=-6
429
두 점 P(-3, 4), Q(1, 8)을 이은 선분 PQ의 중점

426 {
-3+1 4+8
2
,
2
}, 즉 (-1, 6)이 직선 y=ax+b
원 xÛ`+yÛ`-4x=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원의
위의 점이므로
방정식은
6=-a+b yy ㉠
xÛ`+yÛ`+4x=0 ∴ (x+2)Û`+yÛ`=4
또, 두 점 P(-3, 4), Q(1, 8)을 지나는 직선과 직선
이 원을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
y=ax+b는 서로 수직이므로
식은
8-4
(x+2)Û`+(y-1)Û`=4 _a=-1 ∴ a=-1
1-(-3)
이 원이 직선 y=mx-2에 접하므로 원의 중심 a=-1을 ㉠에 대입하면 b=5
(-2, 1)과 직선 mx-y-2=0 사이의 거리는 원의 ∴ a+b=4 4
반지름의 길이 2와 같다. 즉,
|-2m-1-2|
=2
"ÃmÛ`+(-1)Û` 430
|2m+3|=2"ÃmÛ`+1 원 xÛ`+(y+1)Û`=4의 중심 (0, -1)을 직선
양변을 제곱하면 x-2y+3=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를
4mÛ`+12m+9=4(mÛ`+1) (a, b)라 하자.
12m=-5 ∴ m=-;1°2; -;1°2; 두 점 (0, -1), (a, b)를 이은 선분의 중점

{;2A;, }가 직선 x-2y+3=0 위의 점이므로


-1+b
2
-1+b
;2A;-2_ +3=0
427 2
점 (4, 5)가 두 점 (a, 3), (-2, b)를 이은 선분의 ∴ a-2b=-8 yy ㉠
중점이므로 또, 두 점 (0, -1), (a, b)를 지나는 직선과 직선
a-2 3+b x-2y+3=0은 서로 수직이므로
=4, =5
2 2 b-(-1)
_;2!;=-1 ∴ 2a+b=-1 yy ㉡
∴ a=10, b=7 a-0
∴ ab=70 70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88 Ⅲ. 도형의 방정식
개념원리 익히기
확인체크
따라서 대칭이동한 원의 중심의 좌표는 (-2, 3)이고 A'(-2, 3), B'(6, -1)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구하는 원의 방정식은 이때 APÓ=AÕ'PÓ, QBÓ=QB'Ó이므로
(x+2)Û`+(y-3)Û`=4 APÓ+PQÓ+QBÓ=AÕ'PÓ+PQÓ+QÕB'Ó
(x+2)Û`+(y-3)Û`=4 ¾AÕ'B'Ó
="Ã(6+2)Û`+Ã(-1-3)Û`
431 =4'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y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4'5이다. 4'5
A(2, 4)
B(3, -5)를 y축에 대
P
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
O x
이라 하면
B'(-3, -5)
이때 BPÓ=B'PÓ이므로 B'(-3, -5) B(3, -5)

APÓ+BPÓ=AÕPÓ+B'PÓ
¾AB'Ó
="Ã(-3-2)Û`+(-5-4)Û`
='Ä106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Ä106이다. 'Ä106

43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Z ZY
#  
B(3, 4)를 직선 y=x에
1 #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 "  

이라 하면
B'(4, 3) 0 Y
이때 BPÓ=BÕ'PÓ이므로
APÓ+BPÓ=APÓ+B'PÓ
¾AB'Ó
="(Ã4-1)Û`+(3-2)Û`
='1Œ0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Œ0이다. '1Œ0

43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y
A' 3 A
A(2, 3)을 y축에 대하여
P B
대칭이동한 점을 A', 점 1
B(6, 1)을 x축에 대하여 -2
-1
O 2 Q 6 x
B'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개념원리 익히기·확인체크 89
Ⅰ. 다항식 4
(x+y+z)Û`=xÛ`+yÛ`+zÛ`+2(xy+yz+zx)에서
0Û`=5+2(xy+yz+zx)
1 ∴ xy+yz+zx=-;2%;
A-3(X-B)=7A에서
A-3X+3B=7A (xy+yz+zx)Û`=xÛ`yÛ`+yÛ`zÛ`+zÛ`xÛ`

3X=-6A+3B +2xyz(x+y+z)

∴ X=-2A+B 에서 {-;2%;}Û`=xÛ`yÛ`+yÛ`zÛ`+zÛ`xÛ`+2xyz_0
=-2(3xÛ`-2xy-yÛ`)+(xÛ`+3xy-2yÛ`)
∴ xÛ`yÛ`+yÛ`zÛ`+zÛ`xÛ`=:ª4°:
=-6xÛ`+4xy+2yÛ`+xÛ`+3xy-2yÛ`
=-5xÛ`+7xy -5xÛ`+7xy 따라서 p=4, q=25이므로
p+q=29 29
2
(2xÜ`-xÛ`+a)(3xÛ`+ax-b)의 전개식에서 5
xÝ` 항은 (ax+1)xÛ`=bxÜ`+xÛ`=2xÜ`+xÛ`이므로
2xÜ`_ax+(-xÛ`)_3xÛ`=(2a-3)xÝ` a=b=2
xÜ` 항은 (2x+1)c=dx+e=8x+4이므로
2xÜ`_(-b)+(-xÛ`)_ax=(-2b-a)xÜ` c=4, d=8, e=4
이때 xÝ` 의 계수와 xÜ` 의 계수가 모두 5이므로 ∴ a+b+c+d+e=2+2+4+8+4
2a-3=5, -2b-a=5 =20 20
∴ a=4, b=-;2(;
6
∴ a-2b=4-2_{-;2(;}=13 13
오른쪽 조립제법이 나타내는 ;2!; a b c d
결과에 의하여 다항식
3 axÜ`+bxÛ`+cx+d를 일차식
1 0 3
(x+1)(x-2)(x-5)(x+10) 2 0 6 -2
1
x-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1)(x+10)}{(x-2)(x-5)} 2
=(xÛ`+11x+10)(xÛ`-7x+10) 2xÛ`+6이고 나머지가 -2이다. 즉,
xÛ`+10=X로 놓으면 axÜ`+bxÛ`+cx+d

={x- }(2xÛ`+6)-2
(주어진 식)=(X+11x)(X-7x) 1
2
=XÛ`+4xX-77xÛ`
={x- }_2(xÛ`+3)-2
1
=(xÛ`+10)Û`+4x(xÛ`+10)-77xÛ` 2
=xÝ`+20xÛ`+100+4xÜ`+40x-77xÛ` =(2x-1)(xÛ`+3)-2
=xÝ`+4xÜ`-57xÛ`+40x+100 따라서 다항식 axÜ`+bxÛ`+cx+d를 2x-1로 나누었
따라서 p=-57, q=100이므로 을 때의 몫은 xÛ`+3이고 나머지는 -2이다.
-2p-q=-2_(-57)-100=14 14 몫 :xÛ`+3,나머지 :-2

90 Ⅰ. 다항식
7 aÜ`+bÜ`+cÜ`
=(a+b+c)(aÛ`+bÛ`+cÛ`-ab-bc-ca)+3abc

에서
2x-2 2xÛ`+4x
10=3_{15-(-3)}+3abc
㈎ -xÛ`+x-3
∴ 3abc=-44
위의 그림에서 ㈏에 알맞은 다항식을 g(x)라 하면 한편, a+b+c=3이므로
대각선으로 배열된 세 다항식의 합이 6xÛ`+12x이므로 a+b=3-c, b+c=3-a, c+a=3-b
g(x)+(2xÛ`+4x)+(-xÛ`+x-3)=6xÛ`+12x ∴ ab(a+b)+bc(b+c)+ca(c+a)
g(x)+xÛ`+5x-3=6xÛ`+12x =ab(3-c)+bc(3-a)+ca(3-b)

연습문제
∴ g(x)=6xÛ`+12x-xÛ`-5x+3 =3ab-abc+3bc-abc+3ca-abc

실력
=5xÛ`+7x+3 =3(ab+bc+ca)-3abc

이때 ㈎에 알맞은 다항식이 f(x)이고 =3_(-3)+44 U


P
세로로 배열된 세 다항식의 합이 6xÛ`+12x이므로 =35 35
(5xÛ`+7x+3)+(2x-2)+f(x)=6xÛ`+12x
5xÛ`+9x+1+f(x)=6xÛ`+12x
∴ f(x)=6xÛ`+12x-5xÛ`-9x-1
10
(주어진 식)
=xÛ`+3x-1
(2-1)(2+1)(2Û`+1)(2Ý`+1)(2¡`+1) 4-1
∴ f(10)=10Û`+3_10-1=129 129 = ×
(4-1)(4+1)(4Û`+1)(4Ý`+1) 2-1
(2Û`-1)(2Û`+1)(2Ý`+1)(2¡`+1)
= ×3
(4Û`-1)(4Û`+1)(4Ý`+1)
8 (2Ý`-1)(2Ý`+1)(2¡`+1)
(1+x+2xÛ`+ y +100x100)Û` = ×3
(4Ý`-1)(4Ý`+1)
=(1+x+2xÛ`+ y +100x100) (2¡`-1)(2¡`+1)
= ×3
_(1+x+2xÛ`+ y +100x100) 4¡`-1
이 식의 전개식에서 xÞ` 항은 2Ú`ß`-1
= ×3
(상수항)×(오차항)+(일차항)×(사차항) 4¡`-1
+(이차항)×(삼차항)+(삼차항)×(이차항) 4¡`-1
= ×3
4¡`-1
+(사차항)×(일차항)+(오차항)×(상수항)
=3 ③
이므로
1×5xÞ`+x×4xÝ`+2xÛ`×3xÜ`+3xÜ`×2xÛ`
+4xÝ`×x+5xÞ`_1
11
=5xÞ`+4xÞ`+6xÞ`+6xÞ`+4xÞ`+5xÞ`=30xÞ`
다항식 f(x)를 xÛ`-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따라서 xÞ`의 계수는 30이다. 30 x-1이고 나머지가 3x-2이므로
f(x)=(xÛ`-2x+3)(x-1)+3x-2
9 =xÜ`-xÛ`-2xÛ`+2x+3x-3+3x-2
(a+b+c)Û`=aÛ`+bÛ`+cÛ`+2(ab+bc+ca)에서 =xÜ`-3xÛ`+8x-5
3Û`=15+2(ab+bc+ca) f(x)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
∴ ab+bc+ca=-3 하면

연습문제·실력 UP 91
x -2 14
xÛ`-x-1`)`xÜ`-3xÛ`+8x-5 xÛ`+3x+1=0에서 x+0이므로 양변을 x로 나누면
xÜ`- xÛ`- x
-2xÛ`+9x-5 x+3+;[!;=0 ∴ x+;[!;=-3
-2xÛ`+2x+2
={x+;[!;}Û`-2=(-3)Û`-2=7
1
xÛ`+
7x-7 xÛ`
xÜ`+ ={x+;[!;}Ü`-3{x+;[!;}
∴ 몫: x-2, 나머지: 7x-7 1
xÜ`
따라서 몫과 나머지의 합은
=(-3)Ü`-3_(-3)
(x-2)+(7x-7)=8x-9 8x-9
=-18
2 1
∴ xÜ`-2xÛ`-3x+5-;[#;- +
12 xÛ` xÜ`
}-2{xÛ`+ }-3{x+;[!;}+5
1 1
다항식 f(x)를 (2x-1)Û ` 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xÜ`+
xÜ` xÛ`
Q(x), 나머지가 R(x)이므로 =-18-2_7-3_(-3)+5
f(x)=(2x-1)Û` Q(x)+R(x) =-18 -18
=[2{x- }]Û`Q(x)+R(x)
1
2

=4{x- }Û`Q(x)+R(x)
1 15
2 (x+y+z)Û`=xÛ`+yÛ`+zÛ`+2(xy+yz+zx)에서
=2{x- }Û`_2Q(x)+R(x)
1 6Û`=18+2(xy+yz+zx)
2
∴ xy+yz+zx=9
1
따라서 f(x)를 2{x- }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2 xy+yz+zx
;[!;+;]!;+;z!;=;4(;에서 =;4(;
2Q(x), 나머지는 R(x)이다. ④ xyz
9
=;4(; ∴ xyz=4
xyz

13 ∴ xÜ`+yÜ`+zÜ`

aÛ`+bÛ`=(a+b)Û`-2ab에서 =(x+y+z)(xÛ`+yÛ`+zÛ`-xy-yz-zx)+3xyz

5=1Û`-2ab ∴ ab=-2 =6_(18-9)+3_4

∴ aÝ`+bÝ`=(aÛ`+bÛ`)Û`-2aÛ`bÛ` =66 66

=(aÛ`+bÛ`)Û`-2(ab)Û`
=5Û`-2_(-2)Û` 16
=17 a+b+c=3에서
또한, b+c=3-a, a+c=3-b, a+b=3-c이므로
aÜ`+bÜ`=(a+b)Ü`-3ab(a+b) (a+b+c)Û`+(-a+b+c)Û`+(a-b+c)Û`
=1Ü`-3_(-2)_1=7 +(a+b-c)Û`
이므로 =3 Û`+(3-2a)Û`+(3-2b)Û`+(3-2c)Û`
aÞ`+bÞ`=(aÛ`+bÛ`)(aÜ`+bÜ`)-aÛ`bÛ`(a+b) =9+9-12a+4aÛ`+9-12b+4bÛ`+9-12c+4cÛ`
=5_7-(-2)Û`_1 =36-12(a+b+c)+4(aÛ`+bÛ`+cÛ`)
=31 =36-12_3+4(aÛ`+bÛ`+cÛ`)
aÝ`+bÝ`=17,aÞ`+bÞ`=31 =4(aÛ`+bÛ`+cÛ`)

92 Ⅰ. 다항식
이때 f(-2)=(-2)Ü`-5_(-2)Û`+7_(-2)+5
aÛ`+bÛ`+cÛ`=(a+b+c)Û`-2(ab+bc+ca) =-37
=3Û`-2×2=5 Q(3)=3Û`-4_3+3=0
이므로 ∴ f(-2)+Q(3)+R=-37+0+8
(주어진 식)=4(aÛ`+bÛ`+cÛ`) =-29 -29
=4×5=20 20

17 19
⑴ ax(x-1)+b(x-1)(x+1)+cx(x+1)

연습문제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를 각각 a, b, c라 하면

실력
=xÛ`+1
(겉넓이)=2(ab+bc+ca)=236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 ab+bc+ca=118 U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b=1 ∴ b=-1 P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c=2 ∴ c=1
=(4a-1)+3+(4b-1)+3+(4c-1)+3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a=2 ∴ a=1
=4(a+b+c)+6=82
⑵ xÛ`-x-2=a(x-b)Û`+c(x-b) yy ㉠
∴ a+b+c=19
㉠의 양변에 x=b를 대입하면
이때
bÛ`-b-2=0, (b+1)(b-2)=0
aÛ`+bÛ`+cÛ`=(a+b+c)Û`-2(ab+bc+ca)
∴ b=2 (∵ b>0)
=19Û`-2_118
b=2를 ㉠에 대입하여 전개하면
=125
xÛ`-x-2=a(x-2)Û`+c(x-2)
이므로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axÛ`-(4a-c)x+4a-2c
"ÃaÛ`+bÛ`+cÛ`='¶125=5'5 ②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a, 1=4a-c, -2=4a-2c
∴ a=1, c=3
18
⑴a=1,b=-1,c=1
f(x)=xÜ`+axÛ`+bx+c, Q(x)=pxÛ`+qx+r라 하면
⑵a=1,b=2,c=3
오른쪽 조립제 1 1 a b c
법에서 1 -4 3
p=1 p q r 8
1_q=-4에서 20
q=-4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1_r=3에서 r=3 (xÛ`+yÛ`-8)k-xÛ`-yÛ`+3x+3y+2=0
a+1=q=-4에서 a=-5 이 등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4)=r=3에서 b=7 xÛ`+yÛ`-8=0, -xÛ`-yÛ`+3x+3y+2=0
c+3=8에서 c=5 ∴ xÛ`+yÛ`=8, x+y=2
따라서 다항식 f(x)=xÜ`-5xÛ`+7x+5를 x-1로 나 이때 (x+y)Û`=xÛ`+yÛ`+2xy이므로
누었을 때의 몫은 Q(x)=xÛ`-4x+3, 나머지는 R=8 2Û`=8+2xy, 2xy=-4
이므로 ∴ xy=-2 -2

연습문제·실력 UP 93
21 24
주어진 등식의 우변을 전개하여 x, y에 대하여 정리하면 직접 나눗셈을 하면 다음과 같다.
(a+b)x+(b-2c)y=(c-2)x-c+2 xÛ`+2x +1
이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Û`-x+1`)`xÝ`+ xÜ` + ax+ b
a+b=c-2, b-2c=0, 0=-c+2 xÝ`- xÜ`+ xÛ`
2xÜ`- xÛ`+ ax
∴ a=-4, b=4, c=2
2xÜ`-2xÛ`+ 2x
∴ a-b+c=-6 -6
xÛ`+(a-2)x+ b
xÛ`- x+ 1
(a-1)x+b-1

22 나누어떨어지므로
(a-1)x+b-1=0
x+y=1에서 y=1-x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이것을 axy+bx+cy+2=0에 대입하면
a-1=0, b-1=0
ax(1-x)+bx+c(1-x)+2=0
∴ a=1, b=1 a=1, b=1
이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xÛ`+(a+b-c)x+c+2=0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0, a+b-c=0, c+2=0
25
∴ a=0, b=-2, c=-2
PÇ(x)=(x-1)(x-2)(x-3) y (x-n)에서
∴ a-b-c=4 4
PÁ(x)=x-1, Pª(x)=(x-1)(x-2),
P£(x)=(x-1)(x-2)(x-3)
이므로
23 2xÜ`-3xÛ`+1
xÜ`+axÛ`-2x+1을 x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a+bPÁ(x)+cPª(x)+dP£(x)
x-1이므로 나머지를 px+q`(p, q는 상수)라 하면 =a+b(x-1)+c(x-1)(x-2)
xÜ`+axÛ`-2x+1=(xÛ`+x+2)(x-1)+px+q +d(x-1)(x-2)(x-3)
=xÜ`+(p+1)x-2+q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0, -2=p+1, 1=-2+q 2-3+1=a ∴ a=0
∴ a=0, p=-3, q=3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따라서 a=0이고 나머지는 -3x+3이다. 16-12+1=b ∴ b=5
a=0,나머지 :-3x+3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54-27+1=10+2c
KEY Point
다항식의나눗셈에대한등식A=BQ+R에서
18=2c ∴ c=9
R는상수이거나(R의차수)<(B의차수)이다.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즉,나머지의차수는나누는식의차수보다항상작다. 1=-5+18-6d, 6d=12
따라서나누는식이이차식이면나머지는일차식또는상수 ∴ d=2
이므로px+q (p,q는상수)로놓을수있다.
∴ a+b+c+d=0+5+9+2=16 16

94 Ⅰ. 다항식
26 ∴ xÞ`
xÛ`+(k-3)x+(k+2)m+n+2=0이 x=1을 근 =(x-1)(xÝ`+xÜ`+xÛ`+x+1)+1
으로 가지므로 =(x-1){(x-1)(xÜ`+2xÛ`+3x+4)+5}+1
1+(k-3)+(k+2)m+n+2=0 =(x-1)Û`(xÜ`+2xÛ`+3x+4)+5(x-1)+1
이 식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x-1)Û`{(x-1)(xÛ`+3x+6)+10}
(1+m)k+2m+n=0 +5(x-1)+1
이 등식이 k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1)Ü`(xÛ`+3x+6)
1+m=0, 2m+n=0 +10(x-1)Û`+5(x-1)+1
∴ m=-1, n=2 =(x-1)Ü`{(x-1)(x+4)+10}

연습문제
∴ mn=-2 -2 +10(x-1)Û`+5(x-1)+1

실력
=(x-1)Ý`(x+4)+10(x-1)Ü`
+10(x-1)Û`+5(x-1)+1 U
P
=(x-1)Ý`{(x-1)_1+5}+10(x-1)Ü`
27 +10(x-1)Û`+5(x-1)+1
4x+ay+b
=k`(k는 상수)라 하면 =(x-1)Þ`+5(x-1)Ý`+10(x-1)Ü`
x+y-1
4x+ay+b=k(x+y-1) +10(x-1)Û`+5(x-1)+1

이 식을 x, y에 대하여 정리하면 ∴ a=1, b=5, c=10, d=10, e=5, f=1


(4-k)x+(a-k)y+b+k=0 a=1,b=5,c=10,d=10,e=5, f=1

이 등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4-k=0, a-k=0, b+k=0
∴ k=4, a=4, b=-4 a=4,b=-4
29
x-y-z=1 yy ㉠
x-2y-3z=0 yy ㉡
㉠_2-㉡을 하면 x+z=2 ∴ x=-z+2
28 ㉠-㉡ 을 하면 y+2z=1 ∴ y=-2z+1
x-1로 나누는 조립제법을 몫에 대하여 연속으로 이 이것을 axy+byz+czx=12에 대입하면
용하면 다음과 같다. a(-z+2)(-2z+1)+b(-2z+1)z
1 1 0 0 0 0 0 +cz(-z+2)=12
1 1 1 1 1 이 식을 z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1 1 1 1 1 1 1 (2a-2b-c)zÛ`+(-5a+b+2c)z+2a-12=0
1 2 3 4 이 등식이 z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 1 2 3 4 5 2a-2b-c=0 yy ㉢
1 3 6 -5a+b+2c=0 yy ㉣
1 1 3 6 10 2a-12=0 ∴ a=6
1 4 a=6을 ㉢, ㉣에 각각 대입하면
1 1 4 10 2b+c=12, b+2c=30
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2, c=16
1 5 ∴ a+b+c=6+(-2)+16=20 20

연습문제·실력 UP 95
30 따라서 다항식 f(x)+g(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나머지는
1=a¼+aÁ+aª+a£+a¢+a°+a¤ yy ㉠ f(1)+g(1)=2+3=5 5
∴ a¼+aÁ+aª+a£+a¢+a°+a¤=1
⑵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7=a¼-aÁ+aª-a£+a¢-a°+a¤ yy ㉡
33
f(x)를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을 하면
이므로 나머지를 ax+b`(a, b는 상수)라 하면
-26=2(a¼+aª+a¢+a¤)
f(x)=(x-1)(x-2)Q(x)+ax+b
∴ a¼+aª+a¢+a¤=-13
f(1)=1이므로 a+b=1 yy ㉠
 ⑴1⑵-13
f(2)=2이므로 2a+b=2 yy ㉡
KEY Point 복잡한항등식에서의계수의합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0
{ f(x)}Ç`=a¼+aÁx+aªxÛ`+ y +aÇxÇ`의양변에x=1,
∴ f(x)=(x-1)(x-2)Q(x)+x
x=-1을각각대입하여두식을더하거나빼서계수의합
따라서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을구한다.
f(3)=2Q(3)+3 ⑤

34
31 f(4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x)=xÛ`+ax+4라 하면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f(4_(-1))=f(-4)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x)를 xÛ`+3x-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
f(1)=1+a+4=a+5 면 나머지가 -2x+3이므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x)=(xÛ`+3x-4)Q(x)-2x+3
f(2)=4+2a+4=2a+8 =(x+4)(x-1)Q(x)-2x+3 yy ㉠
나머지가 서로 같으므로 ㉠의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a+5=2a+8 ∴ a=-3 ① f(-4)=8+3=11 11

35
32 다항식 x60-x31+axÜ`+1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몫이 Q(x), 나머지가 4이므로
f(x)=(xÛ`-1)Q(x)+2 x60-x31+axÜ`+1=(x-1)Q(x)+4
=(x+1)(x-1)Q(x)+2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f(1)=2 a+1=4 ∴ a=3
g(x)를 xÛ`-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60 31
∴ x -x +3xÜ`+1=(x-1)Q(x)+4 yy ㉠
하면 한편,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g(x)=(xÛ`-3x+2)Q'(x)+2x+1 Q(-1)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x-1)(x-2)Q'(x)+2x+1 0=-2Q(-1)+4
∴ g(1)=3 ∴ Q(-1)=2 2

96 Ⅰ. 다항식
36 이를 ㉠에 대입하면
f(x)=xÜ`+axÛ`-7x+b라 하면 f(x)가 x-1, f(x)=(x-1){(x-2)Q'(x)+10}+5
x+2를 인수로 가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x-1)(x-2)Q'(x)+10(x-1)+5
f(1)=0, f(-2)=0 =(x-1)(x-2)Q'(x)+10x-5
f(1)=0에서 1+a-7+b=0 이므로 f(x)를 (x-1)(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 a+b=6 yy ㉠ Q'(x), 나머지는 10x-5이다.
f(-2)=0에서 -8+4a+14+b=0 따라서 a=10, b=-5이므로
∴ 4a+b=-6 yy ㉡ 3a+b=3_10+(-5)=25 25
㉠,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10

연습문제
∴ f(x)=xÜ`-4xÛ`-7x+10

실력
f(x)가 x-1, x+2, x-c를 인수로 가지므로
39 U
xÜ`-4xÛ`-7x+10=(x-1)(x+2)(x-c)
f(x)를 (x-1)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P
이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0을 대
나머지를 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입하면
f(x)=(x-1)Û`(x-2)Q(x)+axÛ`+bx+c
10=2c ∴ c=5
그런데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 a+b+c=-4+10+5=11 11
x+1이므로 axÛ`+bx+c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도 x+1이다.
37 즉, axÛ`+bx+c=a(x-1)Û`+x+1 yy ㉠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0이 ∴ f(x)=(x-1)Û`(x-2)Q(x)+a(x-1)Û`+x+1
므로 한편,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므로
f(2)+g(2)=10 f(2)=a+3=4
{ f(x)}Û`+{ g(x)}Û` 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 a=1
가 58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에서
{ f(2)}Û`+{ g(2)}Û`=58 (x-1)Û`+x+1=xÛ`-x+2 xÛ`-x+2
f(x)g(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2)g(2)이므로
{ f(2)}Û`+{ g(2)}Û`={ f(2)+g(2)}Û`-2 f(2)g(2)
40
에서 58=10Û`-2 f(2)g(2)
P(x)=(xÛ`-x-1)(ax+b)+2 yy ㉠
∴ f(2)g(2)=21 21
P(x+1)을 xÛ`-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
면 나머지가 -3이므로
38 P(x+1)=(xÛ`-4)Q(x)-3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Q(x), 나머지는 =(x+2)(x-2)Q(x)-3
5이므로 이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P(3)=-3
f(x)=(x-1)Q(x)+5 yy ㉠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P(-1)=-3
Q(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이때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나머지는 10이므로 P(3)=5(3a+b)+2=-3
Q(x)=(x-2)Q'(x)+10 ∴ 3a+b=-1 yy ㉡

연습문제·실력 UP 97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f(x)는 x+1, x-4를 인수로 갖는 이차식이
P(-1)=-a+b+2=-3 므로
∴ a-b=5 yy ㉢ f(x)=a(x+1)(x-4)`( a는 상수)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로 놓을 수 있다.
∴ 50a+b=50-4=46 46 이때 f(0)=-4이므로 ㉠에서
f(0)=-4a=-4 ∴ a=1
∴ f(x)=(x+1)(x-4)
41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x)를 (x-1)(x-2)(x-3)으로 나누었을 때의 f(-2)=-1_(-6)=6 6
몫을 QÁ(x)라 하면 나머지가 xÛ`+x+1이므로
f(x)=(x-1)(x-2)(x-3)QÁ(x)+xÛ`+x+1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2)=7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f(3)=13
43
또한, f(6x)를 6xÛ`-5x+1, 즉 (2x-1)(3x-1)로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Á(x)이므로 나
나누었을 때의 몫을 Qª(x), 나머지를
머지를 RÁ이라 하면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f(x)=(x-1)QÁ(x)+RÁ yy ㉠
f(6x)=(2x-1)(3x-1)Qª(x)+ax+b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ª(x)이므로 나
양변에 x=;2!; 을 대입하면 머지를 Rª라 하면
f(x)=(x-2)Qª(x)+Rª yy ㉡
f(3)=;2!;a+b=13 yy ㉠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2)=Rª
양변에 x=;3!; 을 대입하면 조건 ㈎에서 Qª(1)=f(2)=Rª
즉, ㉡에서
f(2)=;3!;a+b=7 yy ㉡
f(x)=(x-2)Qª(x)+Qª(1)
㉠, ㉡을 연립하여 풀면 a=36, b=-5 이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R(x)=36x-5이므로 f(1)=-Qª(1)+Qª(1)=0
R(1)=36-5=31 31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RÁ=0 ∴ f(x)=(x-1)QÁ(x)
이때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식이므로
42 QÁ(x)=x+a (a는 상수)라 하면
f(1-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f(x)=(x-1)(x+a)
나머지가 -4이므로
즉, QÁ(1)=1+a, Qª(1)=f(2)=2+a이므로 조건
f(1-x)=(x-1)Q(x)-4
㈏에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0)=-4
QÁ(1)+Qª(1)=(1+a)+(2+a)=6
xf(x)를 (x+1)(x-4)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2a+3=6 ∴ a=;2#;
Q'(x)라 하면 나누어떨어지므로
x f(x)=(x+1)(x-4)Q'(x) 따라서 f(x)=(x-1){x+;2#;}이므로
양변에 x=-1, x=4를 각각 대입하면
f(-1)=0, f(4)=0 f(3)=2_;2(;=9 ③

98 Ⅰ. 다항식
44 f(-1)=2Q(-1)+2=6
xÇ`(xÛ`+ax+b)를 (x-3)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 Q(-1)=2
Q(x)라 하면 나머지가 3Ç`(x-3)이므로 ㉡의 양변에 x=1, x=-1을 각각 대입하면
xÇ`(xÛ`+ax+b) Q(1)=a+b=4 yy ㉢
=(x-3)Û`Q(x)+3Ç`(x-3) yy ㉠ Q(-1)=-a+b=2 yy ㉣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3Ç`(9+3a+b)=0 따라서 ㉡에서 Q(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
3Ç`+0이므로 9+3a+b=0 지는 x+3이다. x+3
∴ b=-3a-9 yy ㉡

연습문제
∴ xÛ`+ax+b=xÛ`+ax-3a-9

실력
=(xÛ`-9)+a(x-3)
=(x-3)(x+3+a) U
P
㉠에서 46
xÇ`(x-3)(x+3+a) f(1)=f(2)=f(3)=5에서
=(x-3)Û`Q(x)+3Ç`(x-3) f(1)-5=0, f(2)-5=0, f(3)-5=0
=(x-3){(x-3)Q(x)+3Ç` } 이므로 f(x)-5는 x-1, x-2, x-3을 인수로 갖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는다.
xÇ`(x+3+a)=(x-3)Q(x)+3Ç` 이때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이므로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f(x)-5=(x-1)(x-2)(x-3)
3Ç`(6+a)=3Ç` ∴ f(x)=(x-1)(x-2)(x-3)+5
3Ç`+0이므로 6+a=1 ∴ a=-5 따라서 f(x)를 x-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를 ㉡에 대입하면 b=6 ④ f(4)=(4-1)(4-2)(4-3)+5
=11 11

45
f(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2x이므로
f(x)=(xÛ`+1)Q(x)-2x yy ㉠ 47
f(x)를 xÛ`-1, 즉 (x-1)(x+1)로 나누었을 때의 7=x라 하면 6=x-1이므로 730+720+7을 6으로
나머지가 6이므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x30+x20+x를 x-1로 나누
f(1)=6, f(-1)=6 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다.
한편, Q(x)를 xÛ`-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₁(x), 이때 x30+x20+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ax+b`(a, b는 상수)라 하면 나머지를 R라 하면
Q(x)=(xÛ`-1)Q₁(x)+ax+b x30+x20+x=(x-1)Q(x)+R
=(x+1)(x-1)Q₁(x)+ax+b yy ㉡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의 양변에 x=1, x=-1을 각각 대입하면 R=3
f(1)=2Q(1)-2=6 따라서 730+720+7을 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 Q(1)=4 3이다. 3

연습문제·실력 UP 99
48 51
⑴ 8xÜ`-27yÜ`-18xy-1 주어진 다항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2x)Ü`+(-3y)Ü`+(-1)Ü` 2xÛ`-xy-yÛ`-4x+y+2
-3_2x_(-3y)_(-1) =2xÛ`-(y+4)x-(yÛ`-y-2)
={2x+(-3y)+(-1)} =2xÛ`-(y+4)x-(y+1)(y-2)
11
 11 Ú -(y+1) Ú -2y-2
_{(2x)Û`+(-3y)Û`+(-1)Û`-2x_(-3y) 1
1`
1 11 Ú
-(-3y)_(-1)-(-1)_2x} 2 1 y-2 Ú y-2
=(2x-3y-1)(4xÛ`+9yÛ`+6xy+2x-3y+1) -y-4
⑵ -(2x-3)Ü`=(3-2x)Ü`이고 =(x-y-1)(2x+y-2)
(x-1)+(x-2)+(3-2x)=0이므로 따라서 a=1, b=-1, c=2, d=1이므로
(x-1)Ü`+(x-2)Ü`-(2x-3)Ü` a+b+c+d=3 3
=(x-1)Ü`+(x-2)Ü`+(3-2x)Ü`
=3(x-1)(x-2)(3-2x)
풀이참조 52
2xÝ`+5xÜ`+xÛ`+ax+b가 (x+1)Û`을 인수로 가지므로
KEY Point
aÜ`+bÜ`+cÜ`-3abc
(x+1)Û`으로 나누어떨어진다.
=(a+b+c)(aÛ`+bÛ`+cÛ`-ab-bc-ca)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이때a+b+c=0이면aÜ`+bÜ`+cÜ`=3abc -1 2 5 1 `a b
-2 -3 `2 -a-2
-1 2 3 -2 a+2 -a+b-2
49 -2 -1 `3
x(x+1)(x+2)(x+3)-8 2 1 -3 a+5
={x(x+3)}{(x+1)(x+2)}-8 나누어떨어지면 나머지가 0이므로
=(xÛ`+3x)(xÛ`+3x+2)-8 -a+b-2=0, a+5=0
=X(X+2)-8 Û xÛ`+3x=X로 치환 ∴ a=-5, b=-3
=XÛ`+2X-8 따라서 f(x)를 인수분해하면
=(X+4)(X-2) f(x)=(x+1)Û`(2xÛ`+x-3)
=(xÛ`+3x+4)(xÛ`+3x-2) =(x+1)Û`(x-1)(2x+3)
∴ a=4, b=-2 또는 a=-2, b=4 a=-5, b=-3,
∴ a+b=2 2 (x+1)Û`(x-1)(2x+3)

50 53
xÝ`-13xÛ`+4=(xÝ`-4xÛ`+4)-9xÛ` 11Ý`-6Ý`=(11Û`-6Û`)(11Û`+6Û`)
=(xÛ`-2)Û`-(3x)Û` =(11-6)(11+6)_157
=(xÛ`+3x-2)(xÛ`-3x-2) =5_17_157
따라서 a=3, b=2이므로 따라서 a=5, b=17이므로
a+b=5 5 a+b=22 ②

100 Ⅰ. 다항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