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6

정답과 풀이

3
01
OFÓ`:`OAÓ=3`:`4이므로 OFÓ=3k, OAÓ=4k (k>0)이라
이차곡선 하자.
OFÓ Û`=OAÓ Û`-OBÓ Û`이므로
OBÓ Û`‌=OAÓ Û`-OFÓ Û`
유제 본문 5~11쪽
=(4k)Û`-(3k)Û`=7kÛ`
1② 2① 3③ 49 5② ABÓ Û`‌=OBÓ Û`+OAÓ Û`
=7kÛ`+(4k)Û`=23kÛ`
6③ 7④ 8②
BFÓ Û`‌=OBÓ Û`+OFÓ Û`
=7kÛ`+(3k)Û`=16kÛ`
1 포물선 yÛ`=6x=4_;2#;x에서 F{;2#;, 0}이고 준선은 직선
따라서
ABÓ Û` 23kÛ`
= =;1@6#;
BFÓ Û` 16kÛ`
x=-;2#;이다.  ③
점 P의 x좌표를 a라 하고 점 P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
을 Q,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xÛ` yÛ`
Z 4 타원
k
+ =1`(0<k<10)의 초점의 y좌표를 c라 하
10
1
2 Z™ Y xÛ` yÛ`
면 c=Ñ'Ä10-k이므로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
k 10

D 표는 (0, -'Ä10-k), (0, 'Ä10-k)


0 ' ) Y (x+1)Û` (y-2)Û` xÛ` yÛ`
타원 + =1은 타원 + =1을 x축
k 10 k 10
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
Y
(x+1)Û` (y-2)Û`
이므로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k 10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QÓ=PFÓ이므로
(-1, -'Ä10-k+2), (-1, 'Ä10-k+2)
a-{-;2#;}=6에서 a=;2(; (x+1)Û` (y-2)Û`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k 10
즉, H{;2(;, 0}이므로 FHÓ=;2(;-;2#;=3 (a, 0), (a, b)이고 'Ä10-k+2>0이므로

FHÓ a=-1, 0=-'Ä10-k+2, b='Ä10-k+2


따라서 cos`h= =;6#;=;2!;
PFÓ 따라서 a=-1, k=6, b=4이므로
 ② a+b+k=-1+4+6=9
 9

2 xÛ`-4x+8y-4=0에서
xÛ` yÛ`
xÛ`-4x=-8y+4 5 쌍곡선
aÛ`
- =1`(a>0)의 두 꼭짓점 중 x좌표가 음수
8
(x-2)Û`=-8y+8 인 점을 B라 하면 A(a, 0), B(-a, 0)
(x-2)Û`=-8(y-1)
Y™ Z™
Z 
포물선 xÛ`=-8y의 초점의 좌표는 (0, -2)이고 포물선 B™
(x-2)Û`=-8(y-1)은 포물선 xÛ`=-8y를 x축의 방향 1
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포
물선 (x-2)Û`=-8(y-1)의 초점의 좌표는 Y
' # 0 " '
(0+2, -2+1), 즉 (2, -1)이다.
따라서 a+b=2+(-1)=1
 ①

정답과 풀이 1
정답과 풀이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9 54 9


- =-1, - =-1에서 a=3, b=3'3
PF'Ó-PFÓ=ABÓ=2a   yy`㉠ aÛ` 3aÛ` aÛ`
F'BÓ=AFÓ이므로 xÛ` yÛ`
따라서 주어진 쌍곡선의 방정식은 - =-1이므로
9 27
F'AÓ-AFÓ=ABÓ=2a   yy`㉡
구하는 주축의 길이는 2_3'3=6'3
㉠, ㉡에서
 ④
lÁ-lª‌=(PF'Ó+F'AÓ+PAÓ)-(PAÓ+AFÓ+PFÓ)
=(PF'Ó-PFÓ)+(F'AÓ-AFÓ)
=2a+2a=4a
lÁ-lª=12이므로 4a=12 8 4xÛ`+16x-yÛ`+2ky+79=0`(k>0)에서

따라서 a=3 4(x+2)Û`-(y-k)Û`=-kÛ`-63

 ② -kÛ`-63<0이므로 이 쌍곡선의 주축은 직선 x=-2 위


에 있다.
x=-2일 때 쌍곡선이 지나는 점의 y좌표는
xÛ` yÛ`
6 쌍곡선
4
- =1의 주축의 길이는 2_'4=4
k
4(-2+2)Û`-(y-k)Û`=-kÛ`-63에서
(y-k)Û`=kÛ`+63
PFÓ=a, PF'Ó=b라 하면
y=kÑ"ÃkÛ`+63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가 16이므로
b-a=4 yy`㉠
(k+"ÃkÛ`+63)-(k-"ÃkÛ`+63)=16에서
삼각형 PF'F의 넓이가 6이므로
"ÃkÛ`+63=8, kÛ`+63=64
;2!;_ab=6, 즉 ab=12 yy`㉡ k>0이므로 k=1
㉠, ㉡에서  ②
a(a+4)=12, aÛ`+4a-12=0
(a+6)(a-2)=0이고 a>0이므로
a=2, b=6
한편, c='Ä4+k이므로 FF'Ó=2'Ä4+k
p
∠FPF'= 2 이므로 FF'Ó Û`=aÛ`+bÛ`에서
4(4+k)=2Û`+6Û`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2쪽

따라서 k=6
1⑤ 2② 34 4 42 5②
 ③

1 yÛ`=12x=4_3x에서 F(3, 0), 준선의 방정식은 x=-3


7 쌍곡선 위의 점 A(3, 3'6 )이 한 점근선 y='3x의 위쪽에 Z
있으므로 주어진 쌍곡선의 초점은 y축 위에 있다. Z™ Y
1
"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은
xÛ` yÛ`
- =-1`(a>0, b>0)으로 놓을 수 있다.
aÛ` bÛ` ) 0 ' Y
이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y=Ñ'3x이므로

;aB;='3   yy`㉠
Y
이 쌍곡선이 점 A(3, 3'6 )을 지나므로
3Û` (3'6 )Û` 포물선의 준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을 H라 하면
- =-1   yy`㉡
aÛ` bÛ` 두 점 H, P는 중심이 F인 원 위의 점이므로
㉠에서 bÛ`=3aÛ`을 ㉡에 대입하면 PFÓ=HFÓ=6   yy`㉠

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점 P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A라 하면 (2'Ä9-a)Û`=2Û`+4Û`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4(9-a)=20이므로
PFÓ=PAÓ   yy`㉡ a=4

㉠, ㉡에서 HFÓ=PFÓ=PAÓ이고, ∠AHF=∠HAP=;2Ò;  4

이므로 사각형 AHFP는 정사각형이다.


따라서 삼각형 POF는 직각삼각형이고 그 넓이는
4 cÛ`=4+aÛ`, cÛ`=25-bÛ`이므로
;2!;_OFÓ_PFÓ=;2!;_3_6=9 4+aÛ`=25-bÛ`에서 aÛ`+bÛ`=21
 ⑤ 한편,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2_'4=4   yy`㉠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2_'2Œ5=10   yy`㉡
2 포물선 (y-2)Û`=4(x+1)은 포물선 yÛ`=4x를 x축의 방
㉠, ㉡에서 PF'Ó=7, PFÓ=3
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따라서
포물선 yÛ`=4x의 초점의 좌표는 (1, 0), 준선은 직선
aÛ`+bÛ`+PFÓ_PF'Ó‌=21+3_7
x=-1이므로 포물선 (y-2)Û`=4(x+1)의 초점은
=42
F(0, 2), 준선은 직선 x=-2이다.
  42
Z

"   yÛ`
) #
5 쌍곡선 xÛ`-
3
=1의 초점 F의 x좌표를 c라 하면

 '   c='Ä1+3=2이므로 F(2, 0)


 0 Y yÛ`
쌍곡선 xÛ`-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3x
3
Z ™  Y  초점 F(2, 0)에서 한 점근선 '3x-y=0까지의 거리는

점 A(5, 3)을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포물선 |2'3-0|


='3
"Ã('3)Û`+(-1)Û`
(y-2)Û`=4(x+1)의 준선인 직선 x=-2와 만나는 점을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므로 구하는 원의 넓이는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BFÓ=BHÓ이므로
p_('3 )Û`=3p
ABÓ+BFÓ‌=ABÓ+BHÓ
 ②
=AHÓ
=5-(-2)=7
 ②

xÛ` yÛ`
3 a
+ =1에서
9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13~14쪽
c='Ä9-a이므로 F(0, 'Ä9-a), F'(0, -'Ä9-a)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2_'9=6이므로 1 18 2② 3④ 4 20 5④
PFÓ+PF'Ó=6 6② 7④ 8 24
PFÓ=2이므로 PF'Ó=6-2=4

∠FPF'=;2Ò;이므로
1 점 P가 직선 y=2x 위의 점이므로 점 P의 좌표를 (a, 2a)
FF'Ó Û`=PFÓ Û`+PF'Ó Û`에서 로 놓고, 포물선의 방정식을 yÛ`=4px`(p>0)이라 하면

정답과 풀이 3
정답과 풀이

점 P(a, 2a)는 포물선 yÛ`=4px 위의 점이므로 4 AFÓ=p, BFÓ=q, BF'Ó=r라 하자.


(2a)Û`=4pa, 즉 a=p에서 점 P의 좌표는 (p, 2p)이다. AF'Ó=6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한편, 포물선의 준선은 직선 x=-p이므로 6+p=q+r   yy`㉠
PHÓ=6에서 p-(-p)=6, 즉 p=3 AFÓ
=;1¤1;에서 ;rP;=;1¤1;이므로 r=:Á6Á:p   yy`㉡
따라서 P(3, 6)이므로 삼각형 HOP의 넓이는 BF'Ó
;2!;_6_6=18 ABÓ p+q
=;1!1);에서 =;1!1);이므로
BF'Ó r
  18
p+q=;1!1);r   yy`㉢

㉡을 ㉢에 대입하면

p+q=;1!1);_:Á6Á:p에서 q=;3@;p   yy`㉣


2 포물선 yÛ`=4x의 초점은 F(1, 0), 준선은 직선 x=-1이
㉡, ㉣을 ㉠에 대입하면
다.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p, q라 하면 6+p=;3@;p+:Á6Á:p에서 p=4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따라서 삼각형 AF'B의 둘레의 길이는
PFÓ=p-(-1)=p+1, QFÓ=q-(-1)=q+1이므로 (AF'Ó+AFÓ)+(BFÓ+BF'Ó)=(6+p)+(q+r)
PFÓ+QFÓ‌=(p+1)+(q+1) =2(6+p)
=p+q+2 =2(6+4)=20
PFÓ+QFÓ=11이므로 p+q+2=11에서 p+q=9   20
따라서 삼각형 PFQ의 무게중심의 x좌표는
p+q+1 9+1 10
= =
3 3 3
xÛ` yÛ`
5
 ②
+ =1의 장축의 길이는 2_'2Œ5=10,
25 12
c='Ä25-12='1Œ3이므로 F('1Œ3, 0), F'(-'1Œ3, 0)
PFÓ=a, PF'Ó=b라 하면
3 yÛ`=8x=4_2x에서 초점은 F(2, 0)이고, 준선은 직선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b=10   yy`㉠
x=-2이다. ∠F'PF=;2Ò;이므로 F'FÓ Û`=aÛ`+bÛ`에서
두 점 A, C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이 각각 P(p, 0),
(2'1Œ3)Û`=aÛ`+bÛ`, aÛ`+bÛ`=52   yy`㉡
Q(q, 0)이므로 두 점 A, C의 x좌표는 각각 p, q이다.
㉠에서 b=10-a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두 점 A, C에서 준선 x=-2까지의 거리는 각각
aÛ`+(10-a)Û`=52
p+2, q+2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Û`-10a+24=0
AFÓ=a=p+2, CFÓ=c=q+2   yy`㉠
(a-4)(a-6)=0
한편, AFÓ=a, BFÓ=b, CFÓ=c에 대하여 세 수 a, b, c가
a<b이므로 a=4, b=6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a+c 따라서 tan`h=;bA;=;6$;=;3@;
b=    yy`㉡
2
 ④
a+b+c=11.1에 ㉡을 대입하면

(a+c)+;2!;(a+c)=;2#;(a+c)=11.1에서

a+c=7.4   yy`㉢ yÛ`


xÛ`
㉠, ㉢에서 6 타원
100
+ =1`(0<k<100)의 장축의 길이는
k
a+c=p+q+4=7.4이므로 p+q=3.4 2_'1§00=20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④ PFÓ+PF'Ó=20   yy`㉠

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Z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15쪽

) 1
1① 2 12 3④

' 0 ' Y

Y™ Z™ 1 포물선 yÛ`=4px의 초점은 F(p, 0)이고 준선은 직선


  x=-p이다.
 L
M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점 A에서 준선까지의 거리와 초점
OFÓ=OF'Ó이므로 직선 l은 포물선의 준선이다. 까지의 거리가 같고 AFÓ=10, ACÓ=8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HÓ=9   yy`㉡ 8+p=10에서 p=2
㉠, ㉡에서 PF'Ó=11 초점 F(2, 0)에서 직선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P라 하면
따라서 HF'Ó="Ã11Û`-9Û`=2'1Œ0이므로 Z
삼각형 PHF'의 넓이는 1
$ "
;2!;_9_2'1Œ0=9'1Œ0

 ②
0
7 '   Y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 #
PF'Ó-PFÓ=QFÓ-QF'Ó Z™ QY
(PQÓ+QF'Ó)-PFÓ=QFÓ-QF'Ó
APÓ=6, PFÓ="Ã10Û`-6Û`=8이므로
PQÓ=9이므로 9+QF'Ó-PFÓ=QFÓ-QF'Ó
초점 F(2, 0)을 지나는 직선 AB의 기울기는 ;6*;=;3$;
9+2 QF'Ó=PFÓ+QFÓ   yy`㉠
조건으로부터 QFÓ-PFÓ=6이므로 따라서 직선 AB의 방정식은
PFÓ=QFÓ-6을 ㉠에 대입하면 y=;3$;(x-2)
9+2 QF'Ó=(QFÓ-6)+QFÓ
yÛ`=8x와 y=;3$;(x-2)를 연립하여 풀면
QFÓ-QF'Ó=:Á2°:
:Á9¤:(x-2)Û`=8x, 2xÛ`-17x+8=0
따라서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Á2°:이다.
(x-8)(2x-1)=0에서 x=8 또는 x=;2!;
 ④

xÛ` yÛ` 따라서 점 B의 x좌표가 ;2!;이므로 yÛ`=8x에 대입하면


8 쌍곡선
4
- =1의 주축의 길이는 2_'4=4,
12
c='Ä4+12=4이므로 F(4, 0), F'(-4, 0) yÛ`=8_;2!;에서 y=Ñ2
직선 PC는 ∠F'PF의 이등분선이므로 점 (1, 0)을 Q라 하
그러므로 점 B의 좌표는 B{;2!;, -2}이고, D(0, -2)이므

PF'Ó`:`PFÓ=F'QÓ`:`QFÓ 로 DBÓ=;2!;, CDÓ=8+2=10
PF'Ó`:`PFÓ=5`:`3   yy`㉠
따라서 사다리꼴 CDBA의 넓이는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4이므로
PF'Ó=PFÓ+4를 ㉠에 대입하면 ;2!;_{8+;2!;}_10=:¥2°:
(PFÓ+4)`:`PFÓ=5`:`3  ①
3(PFÓ+4)=5 PFÓ에서 PFÓ=6
따라서 PF'Ó=6+4=10, FF'Ó=8이므로 삼각형 PF'F의 포물선 yÛ`=4px의 초점은 F(p, 0)이고 준선은 직선
둘레의 길이는 6+10+8=24 x=-p이다.
  24

정답과 풀이 5
정답과 풀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점 A에서 준선까지의 거리와 초점 OFÓ=OF'Ó=c이고 사각형 AF'FB의 둘레의 길이가 14이
까지의 거리가 같고 AFÓ=10, ACÓ=8이므로 므로
8+p=10에서 p=2 2a+4c=14에서 2c=7-a   yy`㉡
초점 F(2, 0)에서 직선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점 B에 직각삼각형 BF'F에서 bÛ`=aÛ`+(2c)Û`   yy`㉢
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하자. ㉠, ㉡을 ㉢에 대입하면
Z (8-a)Û`=aÛ`+(7-a)Û`
1 aÛ`+2a-15=0
$ "
(a+5)(a-3)=0
a>0이므로 a=3  
a=3을 ㉡에 대입하면 c=2
02
'   Y 따라서 사각형 AF'FB의 넓이는
% #
Z™ QY 2c_a=(2_2)_3=12
  12
ACÓ=8, CPÓ=2이므로 APÓ=6이고
PFÓ="Ã10Û`-6Û`=8
따라서 사다리꼴 COFA의 넓이는

;2!;_(8+2)_8=40   yy ㉠
xÛ` yÛ`
삼각형 PFA와 삼각형 QBF는 닮은 도형이므로
3 쌍곡선
8
- =1의 두 초점 중 x좌표가 음수인 점을 F'
4
PFÓ`:`FAÓ`:`APÓ=QBÓ`:`BFÓ`:`FQÓ 이라 하자.
PFÓ=8, FAÓ=10, APÓ=6이므로 Z
QBÓ`:`BFÓ`:`FQÓ=8`:`10`:`6=4`:`5`:`3 "  
QBÓ=4k, BFÓ=5k, FQÓ=3k (k>0)이라 하면 1
DBÓ=OQÓ=OFÓ-QFÓ=2-3k이므로 1
점 B에서 준선까지의 거리는 (2-3k)+2=4-3k ' 0 ' Y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Y™ Z™



 
BFÓ=4-3k, 즉 5k=4-3k에서 k=;2!;

따라서 ODÓ=QBÓ=4k=4_;2!;=2, xÛ` yÛ`


쌍곡선 - =1의 주축의 길이는
8 4
DBÓ=2-3k=2-3_;2!;=;2!;, OFÓ=2이므로 2_'8=4'2
사다리꼴 ODBF의 넓이는 초점 F의 x좌표를 c라 하면 c='Ä8+4=2'3이므로
F(2'3, 0), F'(-2'3, 0)
;2!;_{2+;2!;}_2=;2%;   yy ㉡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4'2이므로
㉠, ㉡에 의하여 사다리꼴 CDBA의 넓이는 선분 AF'이 쌍곡선과 만나는 점을 P'이라 하면
40+;2%;=;;¥2°;; APÓ+PFÓ‌=APÓ+(PF'Ó+4'2 )
=(APÓ+PF'Ó)+4'2
¾(AP'Ó+P'F'Ó)+4'2
=AF'Ó+4'2
="Ã(2'3 )Û`+(2'5 )Û`+4'2
2 BFÓ=a, BF'Ó=b라 하자.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2_'1Œ6=8이므로 =4'2+4'2=8'2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따라서 APÓ+PFÓ의 최솟값은 8'2이다.
a+b=8에서 b=8-a   yy`㉠  ④

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dy

02
(xÛ`+2xy) =-yÛ`-2xy
dx
평면 곡선의 접선
dy yÛ`+2xy
=- (단, xÛ`+2xy+0)   yy`㉠
dx xÛ`+2xy
곡선 xÛ`y+xyÛ`=6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유제 본문 19~23쪽
㉠에 x=1, y=2를 대입한 값과 같으므로
1⑤ 2③ 3① 4 24 5② 2Û`+2_1_2
- =-;5*;
6② 1Û`+2_1_2
점 (1,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5*;(x-1), y=-;5*;x+;;Á5¥;;
1 음함수 xÛ`+yÛ`-xy=3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2y
dy
-y-x
dy
=0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y절편은 ;;Á5¥;;이다.
dx dx
 ①
dy
(x-2y) =2x-y
dx
dy 2x-y
= (단, x-2y+0)
dx x-2y
xÛ` yÛ`
따라서 a=2 4 8
+ =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
 ⑤ 2x 2y dy dy x
+ ` =0, =- (단, y+0) yy`㉠
8 2 dx dx 4y
xÛ` yÛ`
타원 + =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8 2
2 곡선 eÅ`+e-y=e+;3!;이 점 (1, k)를 지나므로 ㉠에 x=2, y=1을 대입한 값과 같으므로
2
e+e-k=e+;3!;에서 - =-;2!;   yy`㉡
4_1

e-k=;3!;, 즉 ek=3이므로 yÛ`=12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y dy
k=ln`3 2y =12, =;]^; (단, y+0)   yy`㉢
dx dx
eÅ`+e-y=e+;3!;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포물선 yÛ`=12x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에 y=b를 대입한 값과 같으므로
dy
eÅ`-e-y =0
dx ;b^;   yy`㉣
dy ex
= -y =exey   yy`㉠ 두 접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 ㉣에서
dx e
-;2!;=;b^;, b=-12
곡선 eÅ`+e-y=e+;3!; 위의 점 (1, ln`3)에서의 접선의 기
점 P(a, b)가 포물선 yÛ`=12x 위의 점이므로
울기 m은 ㉠에 x=1, y=ln`3을 대입한 값과 같으므로 bÛ`=12a
ln`3 ln`e
m=e_e =e_3 =3e b=-12이므로 a=12
따라서 mk=3e`ln`3 따라서 a-b=12-(-12)=24
 ③   24

3 xÛ`y+xyÛ`=6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5 x=e^` cos`t, y=e^` sin`t에서


dy dy dx dy
2xy+xÛ` +yÛ`+2xy =0 =e^` cos`t-e^` sin`t, =e^` sin`t+e^` cos`t
dx dx dt dt

정답과 풀이 7
정답과 풀이

dy 2x dy
dy 2y+2x +;]@;- ` =0
dy dt dx yÛ` dx
=
dx dx 2x dy
dt {2x- } =-2y-;]@;
yÛ` dx
e^` sin`t+e^` cos`t 2x(yÛ`-1) dy 2(yÛ`+1)
=
e^` cos`t-e^` sin`t ` =-
yÛ` dx y
sin`t+cos`t
=    yy`㉠ dy y(yÛ`+1)
cos`t-sin`t =- (단, x(yÛ`-1)+0)   yy`㉠
dx x(yÛ`-1)
t=;2Ò;에 대응하는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에 t=;2Ò;를 따라서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에 x=1, y=2
대입한 값과 같으므로 를 대입한 값과 같으므로
2_(2Û`+1)
1+0
=-1 - =-:Á3¼:
0-1 1_(2Û`-1)
 ②  ②

6 x=tÛ`-t, y=tÛ`+2t에서
dx
=2t-1,
dy
=2t+2 2 yÛ`=8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t dt dy dy
2y =8에서 =;]$; (단, y+0) yy`㉠
dy dx dx
dy dt 2t+2
= =    yy`㉠ 포물선 yÛ`=8x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에
dx dx 2t-1
dt y=4를 대입한 값과 같으므로 ;4$;=1 yy`㉡
t=2에 대응하는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에 t=2를 대
xÛ` yÛ`
입한 값과 같으므로 한편,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aÛ` bÛ`
2_2+2
=2 y=Ñ;aB;x yy`㉢
2_2-1
또 곡선 x=tÛ`-t, y=tÛ`+2t 위의 t=2에 대응하는 점은 포물선의 접선과 쌍곡선의 한 점근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2, 8)이므로 점 (2, 8)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에서
y-8=2(x-2), y=2x+4
1_;aB;=-1 또는 1_{-;aB;}=-1
직선 y=2x+4의 x절편은 -2, y절편은 4이므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a>0, b>0이므로
;2!;_2_4=4 ;aB;=1
 ②  ③

3 yÛ`+axy-2x+b=0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y dy
2y +ay+ax -2=0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24쪽 dx dx
dy
1② 2③ 38 4④ 5② (ax+2y) =2-ay
dx
dy 2-ay
= (단, ax+2y+0)
2x dx ax+2y
1 2xy+
y
=5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2-2a
a+4
=3, 즉 5a=-10에서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25쪽

a=-2 1⑤ 2 11 3③ 4⑤
또한 점 (1, 2)는 곡선 yÛ`-2xy-2x+b=0 위의 점이므로
4-4-2+b=0에서
b=2 1 xÛ`-yÜ`=k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aÛ`+bÛ`=(-2)Û`+2Û`=8 dy dy 2x
2x-3yÛ` =0에서 = (y+0)이므로
dx dx 3yÛ`
 8
2a
점 P(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bÛ`
xy=2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y dy
y+x =0에서 =-;[}; (x+0)이므로
dx dx
4 x=2t+cos`t, y=2`sin`t에서
dx dy 점 P(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aB;
=2-sin`t, =2`cos`t이므로
dt dt
점 P(a, b)에서의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dy
2a
dy
=
dt
=
2`cos`t _{-;aB;}=-1에서
dx dx 2-sin`t 3bÛ`
dt
b=;3@; yy`㉠
dy
따라서 t=;6Ò;일 때 의 값은
dx 한편, 두 곡선 xÛ`-yÜ`=k와 xy=2가 점 P(a, b)를 지나므로
'3 aÛ`-bÜ`=k yy`㉡
2`cos`;6Ò; 2_ 2'3
2
= = ab=2 yy`㉢
2-sin`;6Ò; 3
2-;2!;
㉠을 ㉢에 대입하면 a=3

a=3, b=;3@;를 ㉡에 대입하면


 ④

3Û`-{;3@;}Ü`=k에서

k=:ª2£7°:
5 x=e^`, y=t-2`ln`t에서
 ⑤
dx dy 2
=e^`, =1-
dt dt t
dy
dy 1-;;t@;
dt
= =    yy`㉠
dx dx e^` 2 두 점 A(xÁ, yÁ), B(xª, yª)가 포물선 yÛ`=6x 위에 있으므
dt 로 yÁÛ`=6xÁ, yªÛ`=6xª
t=1에 대응하는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에 t=1을 대
yÁ>0, yª>0이므로
입한 값과 같으므로
yÁ='¶6xÁ, yª='¶6xª
1-;1@; xÁ, xª가 이차방정식 xÛ`-8x+4=0의 서로 다른 두 근이
=-;e!;
e 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또 곡선 x=e^`, y=t-2`ln`t의 t=1에 대응하는 점의 좌표 xÁ+xª=8, xÁxª=4
는 (e, 1)이므로 점 (e,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Û`=6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1=-;e!;(x-e), y=-;e!;x+2 2y
dy
=6에서
dy
=;]#; (y+0)이므로
dx dx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y절편은 2이다. 3 3
mÁ= , mª=
 ② yÁ yª

정답과 풀이 9
정답과 풀이

3 3
(mÁ+mª)Û`={ + }Û` dy
yÁ yª dy dh sin`h
= =
9 9 18 dx dx 1-cos`h
= + + dh
yÁÛ` yªÛ` yÁyª
점 P(a, b)가 h=a에 대응되는 점이라 할 때
9 9 18
= + +
6xÁ 6xª '¶6xÁ '¶6xª 점 P(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xÁ+xª 3 sin`a
=;2#;_ + ='3
xÁxª '¶xÁxª 1-cos`a
3 sin`a='3(1-cos`a)
=;2#;_;4*;+
'4 sinÛ``a=3(1-cos`a)Û`
=3+;2#;=;2(; 1-cosÛ``a=3-6`cos`a+3`cosÛ``a
2`cosÛ``a-3`cos`a+1=0
따라서 p=2, q=9이므로
(2`cos`a-1)(cos`a-1)=0
p+q=2+9=11
0<a<p일 때 -1<cos`a<1이므로
  11
cos`a=;2!;

따라서 b=1-cos`a=1-;2!;=;2!;
xÛ`
3 2
-yÛ`=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⑤
2x dy dy x
-2y =0에서 = (y+0)이므로 쌍곡선
2 dx dx 2y
xÛ`
-yÛ`=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
2
=1
2_1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26쪽

y-1=x-2, y=x-1 1④ 28 3 16 4⑤
xÛ` yÛ`
타원 + =1 (a>b>0)의 초점은 x축 위에, 꼭짓점
aÛ` bÛ`
xÛ` yÛ`
은 x축과 y축 위에 있고, 직선 y=x-1이 x축, y축과 만나 1 타원 + =1의 초점 F의 x좌표를 c`(c>0)이라 하
16 12
는 점의 좌표는 각각 (1, 0), (0, -1)이므로 타원의 한 초 면 cÛ`=16-12에서 c=2이므로 F(2, 0), F'(-2, 0)
점의 좌표는 (1, 0)이고 한 꼭짓점의 좌표는 (0, -1)이다.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Õ'PÓ+PFÓ=2'Œ1Œ6=8
xÛ` yÛ` PQÓ=PFÓ이므로 FÕ'PÓ+PQÓ=8, 즉 FÕ'QÓ=8
점 (1, 0)이 타원 + =1`(a>b>0)의 초점이므로
aÛ` bÛ`
따라서 도형 C는 중심이 F'(-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aÛ`-bÛ`=1   yy`㉠
8인 원이다.
xÛ` yÛ`
점 (0, -1)이 타원 + =1의 꼭짓점이므로 xÛ` yÛ`
aÛ` bÛ` 한편, + =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6 12
bÛ`=1
2x 2y dy dy 3x
bÛ`=1을 ㉠에 대입하면 aÛ`=2 + ` =0에서 =- `(y+0)
16 12 dx dx 4y
따라서 aÛ`+bÛ`=2+1=3 이므로 타원 위의 점 A(-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③ 3_(-2)
y-3=- (x+2)에서 x-2y+8=0
4_3
원 C의 중심 F'(-2, 0)에서 직선 x-2y+8=0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4 x=h-sin`h, y=1-cos`h에서
dy |(-2)-2_0+8| 6
dx F'HÓ= =
dh
=1-cos`h,
dh
=sin`h이므로 "Ã1Û`+(-2)Û` '5

1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이고, F'MÓ=F'NÓ=8이므로 A, B에서 준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면
MNÓ=2MHÓ=2¿µF'MÓ Û`-F'HÓ Û` ZY
MZ
6 4'§71
=2¾¨8Û`-{ }Û`= $
'5 '5
따라서 삼각형 F'MN의 넓이는 )„ "  
4'§71 6 12'§71 Y
;2!;_ _ = L 0
'5 '5 5 #  
'
 ④ Y™ Z™
)m 

2 yÛ`=8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dy dy FAÓ=AHÁÓ, FBÓ=BHªÓ이므로
2y =8에서 =;]$; (단, y+0)
dx dx FAÓ+FBÓ=AHÁÓ+BHªÓ   yy`㉠
따라서 포물선 yÛ`=8x 위의 점 (xÇ, yÇ)에서의 접선의 방정 이때 초점 F는 선분 AB 위에 있으므로
식은 FAÓ+FBÓ=ABÓ="Ã1Û`+(1+3)Û`='¶17 yy`㉡
4 이고, 준선 l의 방정식이 x=k`(k<0)이므로
y-yÇ= (x-xÇ) (단, yÇ+0)

AHÁÓ+BHªÓ=(1-k)+(-k)=1-2k yy`㉢
이 접선의 y절편이 yn+1이므로 ㉠, ㉡, ㉢에서 '¶17=1-2k이므로
4
yn+1-yn= (0-xÇ) '§17
yÇ k=;2!;-
2
4xÇ
yn+1-yÇ=- 따라서 a=;2!;, b=-;2!;이므로

ynÛ`
yÇÛ`=8xÇ에서 xÇ= 이므로 1
8 =16
aÛ`bÛ`
yÇÛ`   16
4_
8
yn+1-yÇ=- yÇ

yn+1=yÇ-;2!;yÇ
4 x=2+cosÛ``h, y=cos`h-8`sin`h에서
dx
=2(cos`h)(-sin`h)=-2`sin`h`cos`h,
dh
yn+1=;2!;yÇ
dy
=-sin`h-8`cos`h이므로
따라서 수열 {yÇ}은 yÁ=4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dh

;N'+! yÇ=
dy
4 dy dh -sin`h-8`cos`h
=8 = =
1-;2!; dx dx -2`sin`h`cos`h
dh
 8 sin`h+8`cos`h 1 8
= =;2!; { + }
2`sin`h`cos`h cos`h sin`h
1 8
4xÛ` yÛ` f(h)=;2!; { + }이라 하면
3 3
- =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3
cos`h sin`h
f '(h)
8x 2y dy dy 4x
- ` =0에서 = `(y+0) sin`h -8`cos`h
3 3 dx dx y =;2!; { + }
cosÛ``h sinÛ``h
이므로 쌍곡선 위의 점 A(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sinÜ``h-8`cosÜ``h
y-1=4(x-1)에서 y=4x-3 =;2!;_
cosÛ``h`sinÛ``h
직선 y=4x-3이 y축과 만나는 점이 B이므로 B(0, -3) (sin`h-2`cos`h)(sinÛ``h+2`sin`h`cos`h+4`cosÛ``h)
=;2!;_
한편, 포물선 C의 준선을 l이라 하고 포물선 C 위의 두 점 cosÛ``h`sinÛ``h

정답과 풀이 11
정답과 풀이

0<h<;2Ò;일 때, 0<sin`h<1, 0<cos`h<1이므로

f '(h)=0에서 sin`h=2`cos`h

방정식 sin`h=2`cos`h의 해를 h=a {0<a<;2Ò;}라 하면

sin`a=2`cos`a에서
sinÛ``a=4`cosÛ``a, sinÛ``a=4(1-sinÛ``a)
5`sinÛ``a=4이므로
2'5 '5
sin`a= , cos`a=
5 5

0<h<;2Ò;에서 함수 f(h)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 (0) y a y {;2Ò;}

f '(h) - 0 +

f(h) ↘ 극소 ↗

따라서 0<h<;2Ò;에서 함수 f(h)는 h=a일 때 극소이면서

dy
최소이므로 주어진 곡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dx
의 최솟값은
5'5
» '5 ¼
1 8
f(a)=;2!;_ + =
2'5 2
5 5
 ⑤

QR코드 앱을 사용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세요.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수능특강 지문·자료 분석 능력을
단번에 올리는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1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03
|AD³+OC³|‌=|OD³-OA³+OC³|
벡터의 연산 =|OD³+OB³+OC³|
=|OD³+(OB³+OC³)|
두 삼각형 COD, DOB는 모두 정삼각형이므로 사각형
유제 본문 29~33쪽
COBD는 평행사변형이다.

1① 2③ 3① 44 5③ OB³+OC³=OD³이므로
|AD³+OC³|=|OD³+OD³|=2|OD³|=1
6④
따라서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1 점 M은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정삼각형 ABC의 무게중 ;2!;_p_{;2!;}Û`=;8Ò;


심 G는 선분 AM 위에 있다.
 ①
'3
MGÓ=;3!; AMÓ=;3!;_ _6='3
2
MÕG³=BP³이고 MGÓ⊥BCÓ이므로
|BP³|=|MÕG³|=MGÓ='3, BPÓ⊥BCÓ 4 마름모 ABCD의 넓이가 2'3이므로

직각삼각형 PBC에서 2_{;2!;_ADÓ_ABÓ`sin`;3Ò;}=2'3


|CP³|=CPÓ=¿¹ BPÓ Û`+BCÓ Û` 따라서 ADÓ=ABÓ=2
="Ã('3 )Û`+6Û`='¶39 |DÕA³+DB³-CD³|‌=|DÕA³+DB³+DC³|
 ① =|(DÕA³+DC³)+DB³|
=|DB³+DB³|=2|DB³|
삼각형 ABD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므로
|DÕA³+DB³-CD³|‌=2|DB³|=2_DBÓ
2 두 삼각형 AHD와 ABC는 서로 닮음이므로 =2_2=4
AHÓ`:`ABÓ=ADÓ`:`ACÓ  4
즉, AHÓ`:`5=2`:`5이므로 AHÓ=2
HBÓ=5-AHÓ=3
$ 5 m(2aø-bø)=(3+n)aø+2nbø에서
2maø-mbø=(3+n)aø+2nbø
%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 # 2m=3+n, -m=2n
)
n=2m-3이므로
|CH³|=CHÓ=2'3이므로 -m=2(2m-3), 5m=6
직각삼각형 CHB에서 따라서 m=;5^;, n=-;5#;이므로
BCÓ=¿¹ CHÓ Û`-HBÓ Û`="Ã(2'3 )Û`-3Û`='3
직각삼각형 ABC에서 m+n=;5^;+{-;5#;}=;5#;

ACÓ=¿¹ ABÓ Û`+BCÓ Û`="Ã5Û`+('3 )Û`=2'7  ③


따라서 |AC³|=ACÓ=2'7
 ③
6 AB³=OB³-OA³=3aø+4bø-aø=2aø+4bø
AC³=OC³-OA³=2aø+kbø-aø=aø+kbø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AC³=tAB³를 만
3 |AD³+OC³|=1에서 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t가 존재한다.

정답과 풀이 13
정답과 풀이

aø+kbø=t(2aø+4bø)=2taø+4tbø에서 두 벡터 aø, bø는 영벡 |2PA³+PB³+PC³|‌=|2PA³+2AP³+PC³|


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0ø+PC³|=|PC³|
2t=1, 4t=k ='1Œ3

따라서 t=;2!;, k=2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a라 하면


'1Œ3
 ④ |PC³|=PCÓ=¾Ð{;3@;a}Û`+aÛ`= a
3
'1Œ3
이때 a='1Œ3이므로 a=3
3
따라서 |AB³|=ABÓ=a=3
 ④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34쪽

1② 2⑤ 3④ 4③ 55
4 # %

1 삼각형 ABC의 넓이가 3'2이므로 w


;2!;_ABÓ_BCÓ_sin`;4Ò;=3'2에서 0
" $ )
;2!;_|AB³|_|BC³|_sin`;4Ò;=3'2
그림과 같이 OC³=2OA³인 점 C에 대하여 OC³=BD³인 점
'2 D를 잡으면
;2!;_4_|BC³|_ =3'2
2
OP³=2 OA³+OB³=OC³+OB³=OD³
따라서 |BC³|=3
점 D에서 선분 OC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②
DCÓ=2,∠DCH=;3Ò;이므로

CHÓ=2`cos`;3Ò;=1, DHÓ=2`sin`;3Ò;='3
2 두 점 M, N이 각각 두 선분 AD, BC의 중점이므로
직각삼각형 DOH에서
BN³=AÕM³에서
ODÓ=¿¹ OHÓ Û`+DHÓ Û`="Ã5Û`+('3 )Û`=2'7
BN³-CÕM³=AÕM³-CÕM³=AÕM³+MÕC³=AC³
따라서 따라서 |OP³|=|OD³|=ODÓ=2'7
|BN³-CÕM³|=|AC³|=ACÓ  ③

=¿¹ ABÓ Û`+BCÓ Û`='1Œ3


 ⑤
5 AC³‌=AF³+FC³=AF³+2AB³=bø+2aø
두 선분 AD와 FC가 만나는 점을 O라 하면

3 " % AD³‌=2AO³=2(AB³+AF³)
=2(aø+bø)=2aø+2bø
1
3AC³-AD³‌=3(bø+2aø)-(2aø+2bø)
=3bø+6aø-2aø-2bø
# $ =4aø+bø=maø+nbø
B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 ABCD에서 점 P는 선분 AB를 m=4, n=1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m+n=4+1=5
PB³=2AP³  5

1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35쪽 3 Z Z™ Y
1
)
1③ 2⑤ 3② 4③

" 0 ' Y
1 PA³=-2AB³에서 AP³=2AB³이므로 두 벡터 AP³, AB³는
서로 같은 방향이고
|AP³|=2|AB³|=2_2=4
따라서 점 P는 선분 AB를 2`:`1로 외분하는 점이다. yÛ`=8x=4_2x에서 초점의 좌표는 F(2, 0)이고 준선의
BQ³=;2!; CQ³에서 BQ³=;2!;(BQ³-BC³) 방정식은 x=-2이다.
점 P에서 준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2!; BQ³=-;2!; BC³, BQ³=-BC³이므로 두 벡터 BQ³, BC³는 점 P의 x좌표를 a라 하면 P(a, '8Œa)
서로 반대 방향이고, |BQ³|=|-BC³|=|BC³|=2이다. |PA³|=PAÓ=7이고 A(-2, 0)이므로 직각삼각형 PHA
따라서 점 Q는 선분 BC를 1`:`2로 외분하는 점이다. 에서
PHÓ Û`+HAÓ Û`=PAÓ Û`, (a+2)Û`+('8Œa)Û`=7Û`
$
aÛ`+12a-45=0, (a+15)(a-3)=0
a>0이므로 a=3
즉, P(3, 2'6 )
" 1
# 따라서
|PA³-2FO³|‌=|PA³+2OF³|
=|PA³+2AO³|
2 =|PA³+AF³|
이때 사각형 AQPC는 직사각형이므로 구하는 사각형 =|PF³|=PFÓ
AQPC의 넓이는 =PHÓ=3+2=5
 ②
ACÓ_AQÓ=ACÓ_APÓcos`;6Ò;
'3
=2_4_ =4'3
2
4 (3t-2)DÕA³+tDB³=(3t-2)DC³+tDP³에서
 ③ (3t-2)(DÕA³-DC³)=t(DP³-DB³)
(3t-2)CA³=tBP³
2 PA³+PB³=PD³-PC³=CD³ BP³=
3t-2
t
2
CA³={3- }CA³
t
CD³=BÕA이
³ 므로
PA³+PB³=BÕA³=PA³-PB³ 직각삼각형 ABC에서

2PB³=0ø CAÓ=¿¹ ABÓ Û`+BCÓ Û`


즉, PB³=0ø이므로 점 P는 점 B와 일치한다. ="Ã4Û`+(2'5 )Û`
ABÓ=3a라 하면 ADÓ=4a ='3Œ6=6
직사각형 ABCD의 넓이가 24이므로 2
2ÉtÉ4에서 2É3- É;2%;
3a_4a=24, 12aÛ`=24, a='2 t
2
따라서 |BP³|={3- }|CA³|
t
|PC³-DC³|‌=|PC³+CD³|=|PD³|
2
=|BD³|=BDÓ ={3- } CAÓ
t
="Ã(3'2 )Û`+(4'2 )Û`=5'2
2
 ⑤ =6_{3- }
t

정답과 풀이 15
정답과 풀이

6_2É|BP³|É6_;2%;이므로 |BP³|의 최댓값은 t=4일 때 15, DÕA³=aø, DC³=bø라 하면

최솟값은 t=2일 때 12이다. 5AE³=2AC³, AE³=;5@; AC³에서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DE³=DÕA³+AE³
15+12=27
=DÕA³+;5@; AC³
 ③
=DÕA³+;5@;(DC³-DÕA³)

=aø+;5@;(bø-aø)

=;5#;aø+;5@;bø   yy`㉠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36쪽 5AF³=2AB³, AF³=;5@; AB³에서

1③ 2④ 3④ DF³=DÕA³+AF³

=DÕA³+;5@; AB³

1 원 C는 중심의 좌표가 (2,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DÕA³+;5@; DC³


이므로
=aø+;5@;bø
C`:`(x-2)Û`+(y-2)Û`=4
실수 k에 대하여 |OÕPk³+OÕQk³|=0이 되도록 하는 원 C 위 따라서
의 한 점을 Pk, 직선 y=k 위의 한 점을 Qk라 하자. DG³=sDF³+(1-s)DC³
|OÕPk³+OÕQk³|=0이므로 OÕPk³+OÕQk³=0ø
=s{aø+;5@;bø`}+(1-s)bø
OÕQk³=-OÕPk³
따라서 직선 y=k 위의 점 Qk는 점 Pk를 원점에 대하여 대 =saø+{1-;5#;s}bø   yy`㉡
칭이동시킨 점이므로 원 C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서로 다른 세 점 D, E, G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원 C'`:`(x+2)Û`+(y+2)Û`=4 위의 점이어야 한다.
DG³=kDE³인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한다.
즉, 점 Qk는 원 C'과 직선 y=k가 만나는 점이므로 점 Qk
가 존재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4ÉkÉ0이다. ㉠, ㉡에서 ;5#;k=s, ;5@;k=1-;5#;s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정수 k는 -4, -3, -2, -1, 0으로 5개
;3@;s=1-;5#;s, ;1!5(;s=1
이다.
Z 따라서 s=;1!9%;
$
 ④

 0

3
Y
점 B의 좌표를 (6, 0)이라 하면 OB³=2OA³
 ZL
OP³=BX³인 점 X는 원 (x-1)Û`+(y-1)Û`=2를 x축의
$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원 C`:`(x-7)Û`+(y-1)Û`=2
위의 점이다.
 ③
원 C의 중심을 C라 하면 점 C의 좌표는 C(7, 1)이다.
Z
9 $
2 " B° %
$
 /
' & 
( C° 0 " # Y
.
# $ Y ™ Z ™ 

1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OP³+2OÕA‌=OP³
³ +OB³
=OB³+OP³
=OB³+BX³=OX³
이므로 직선 OC가 원 C와 만나는 두 점을 점 O에 가까운
점부터 차례로 M, N이라 하면 점 X가 점 N에 있을 때
|OX³|의 값이 최대이고 최댓값은
OCÓ+CNÓ‌="Ã7Û`+1Û`+'2
=5'2+'2=6'2
점 X가 점 M에 있을 때 |OX³|의 값이 최소이고 최솟값은
OCÓ-CMÓ‌="Ã7Û`+1Û`-'2
=5'2-'2=4'2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곱은
6'2_4'2=48
 ④

QR코드 앱을 사용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세요.

기출의 미래
EBS 수능 기출을 제대로 풀면
수능을 보는 눈이 열린다.

정답과 풀이 17
정답과 풀이

04
m+n=5+2=7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⑤

유제 본문 39~45쪽

1③ 2 24 3⑤ 4③ 5②
4 원점 O에 대하여
AB³=OB³-OÕA³=(5, -3)-(2, 1)=(3, -4)
6③ 7④ 8 12 |AB³|="Ã3Û`+(-4)Û`=5
벡터 AB³와 방향이 같은 단위벡터는

1 5BP³+3 CP³=0ø에서 ;5!; AB³=;5!;(3, -4)


5BP³=-3 CP³=3 PC³
벡터 pø는 벡터 AB³와 방향이 반대이고 |pø|=3이므로
즉, BPÓ`:`PCÓ=3`:`5
pø=-;5#; AB³=-;5#;(3, -4)={-;5(;, :Á5ª:}
점 P는 선분 BC를 3`:`5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3AC³+5AB³ 따라서 벡터 pø의 모든 성분의 합은
AP³=
3+5
-;5(;+:Á5ª:=;5#;
=;8%; AB³+;8#; AC³
 ③
따라서 a=;8%;, b=;8#;이므로

a-b=;8%;-;8#;=;4!;

 ③ 5 A(2, -x), B(x, 3), C(-1, 2x)와 원점 O에 대하여


AB³‌=OB³-OA³
=(x, 3)-(2, -x)=(x-2, 3+x)
AC³‌=OC³-OA³
2 점 G가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1, 2x)-(2, -x)=(-3, 3x)
GAÓ`:`GQÓ=2`:`1 AB³•AC³‌=(x-2, 3+x)•(-3, 3x)
또한 GA³는 GQ³와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3x+6+9x+3xÛ`
GA³=-2GQ³에서 =3(xÛ`+2x+1)+3
AB³‌=2AP³ =3(x+1)Û`+3
=2(GP³-GA³) 따라서 AB³•AC³의 값은 x=-1일 때 최소이다.
=2{pø-(-2qø)}  ②
=2pø+4qø
따라서 m=2, n=4이므로
10m+n=10_2+4=24
  24 6 원 C`:`(x-4)Û`+(y-3)Û`=4는 중심이 C(4, 3)이고 반지
름의 길이가 2이다.
OCÓ="Ã4Û`+3Û`=5이므로
|OA³|=OAÓ=OCÓ-ACÓ=5-2=3
3 2aø+bø=3(aø-2bø)에서 점 B는 점 O에서 원 C에 그은 한 접선의 접점이므로
2aø+bø=3aø-6bø, aø=7bø
∠OBC=;2Ò;
aø=(14, 3m-1), bø=(n, 2)이므로
(14, 3m-1)=7(n, 2) 직각삼각형 OBC에서
14=7n, 3m-1=14 |OB³|=OBÓ=¿¹  OCÓ Û`-BCÓ Û`="Ã5Û`-2Û`='2Œ1
따라서 m=5, n=2이므로 이고 ∠BOA=∠BOC=h라 하면

1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2Œ1 dø=
bø-2aø
=2aø-bø
cos`h= 1-2
5
따라서 이므로

OÕA³•OB³=|OÕA³||OB³|cos`h CD³=dø-cø

'2Œ1
2aø+bø
=2aø-bø-
=3_'2Œ1_ 3
5
6aø-3bø-2aø-bø
=:¤5£: =
3
 ③ =;3$;aø-;3$;bø

따라서 m=;3$;, n=-;3$;이므로

7 두 벡터 2aø+3bø, aø-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m-n=;3$;-{-;3$;}=;3*;
(2aø+3bø)•(aø-bø)=0에서
2|aø|Û`+aø•bø-3|bø|Û`=0  ④
이때 |aø|=1, |bø|=2이므로
2_1Û`+aø•bø-3_2Û`=0
따라서 aø•bø=10
 ④ 2 aø=(-4, 6), bø=(2, 1), cø=(0, 1)에 대하여
bø+cø=(2, 1)+(0, 1)=(2, 2)
bø-cø=(2, 1)-(0, 1)=(2, 0)
8 OÕA³•OP³=OB³•OP³에서 aø‌=m(2, 2)+n(2, 0)
OB³•OP³-OÕA•
³ OP³=0 =(2m+2n, 2m)
(OB³-OÕA³)•OP³=0 =(-4, 6)
AB³•OP³=0 2m+2n=-4, 2m=6에서
즉,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AB³, OP³가 서로 수직이므로 삼 m=3, n=-5
각형 OAB의 넓이는 따라서 m-n=3-(-5)=8
 8
;2!;_ABÓ_OPÓ=;2!;_|AB³|_|OP³|

=;2!;_6_|OP³|=36 aø‌=m(bø+cø)+n(bø-cø)
=(m+n)bø+(m-n)cø
따라서 |OP³|=12
=(m+n)(2, 1)+(m-n)(0, 1)
  12
=(2m+2n, 2m)
=(-4, 6)
2m+2n=-4, 2m=6에서
m=3, n=-5
따라서 m-n=3-(-5)=8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46쪽

1④ 28 3④ 4② 5①

3 |2aø-bø|='5에서
|2aø-bø|Û`‌=4|aø|Û`-4aø•bø+|bø|Û`
1 두 점 C, D의 위치벡터를 각각 cø, dø라 하면
=4|aø|Û`-4|aø||bø|cos`h+|bø|Û`이므로
bø+2aø 2aø+bø
cø= = ('5 )Û`=4_1Û`-4_1_3`cos`h+3Û`
1+2 3

정답과 풀이 19
정답과 풀이

12`cos`h=8 9AQ³+2BQ³+CQ³

따라서 cos`h=;1¥2;=;3@; =9AQ³+2(AQ³-AB³)+(AQ³-AC³)


=12AQ³-2AB³-AC³
 ④
=0ø
따라서 "
AQ³ 2
4 세 점 A(1, a), B(3, 1), C(4, -1)에 대하여
=;1ª2; AB³+;1Á2; AC³
AB³‌=OB³-OA³ # $
1
=(3, 1)-(1, a)=(2, 1-a) =;4!;{;3@; AB³+;3!; AC³ }
OC³=(4, -1)
AB³•OC³=11에서 =;4!; AP³
(2, 1-a)•(4, -1)‌=2_4+(1-a)_(-1) 따라서 점 Q는 선분 AP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8+a-1=11
|PQ³| PQÓ
따라서 a=4 = =3
|AÕQ³| AQÓ
 ②
 ⑤

5 aø=(4, 2), bø=(-1, 3), cø=(m, -2)에 대하여


aø-2bø=(4, 2)-2(-1, 3)=(6, -4) 2 영벡터가 아닌 두 평면벡터 aø, 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bø+cø=(-1, 3)+(m, -2)=(m-1, 1) aø=kbø`(k는 0이 아닌 실수)
두 벡터 aø-2bø와 bø+cø가 서로 평행하므로 0이 아닌 실수 k 로 놓을 수 있다.
에 대하여 aø•bø=k|bø|Û`=4 yy`㉠
(6, -4)=k(m-1, 1) (aø+bø)•(aø-bø)‌=|aø|Û`-|bø|Û`
k(m-1)=6, k=-4에서 =(kÛ`-1)|bø|Û`=-6 yy`㉡
㉠, ㉡에서
-4(m-1)=6, m-1=-;2#;
kÛ`-1
=-;4^;=-;2#;
따라서 m=-;2!; k
2kÛ`+3k-2=0, (k+2)(2k-1)=0
 ①
k=-2 또는 k=;2!;

㉠, ㉡에서 0<k<1이므로 k=;2!;

따라서 |bø|Û`=;k$;=4_2=8이므로

(3aø+bø)•bø=3aø•bø+|bø|Û`
=3_4+8=20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47쪽
  20
1⑤ 2 20 3④ 4②

1 조건 (가)에서 2BP³=-CP³=PC³이므로 점 P는 선분 BC 3 AB³=aø, AC³=bø라 하면


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다.
|aø|=2, |bø|=1, aø•bø=;4#;
따라서 AP³=;3@; AB³+;3!; AC³  
선분 AD가 ∠BAC의 이등분선이고 ABÓ`:`ACÓ=2`:`1이
조건 (나)에서 므로

2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BDÓ`:`DCÓ=2`:`1 1 "
따라서 점 D는 선분 BC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AD³=;3!; AB³+;3@; AC³=;3!;aø+;3@;bø
w
또한 CB³=AB³-AC³=aø-bø이므로 0 #

AD³•CB³={;3!;aø+;3@;bø }•(aø-bø)
OAÓ=2, OBÓ='3, ABÓ=1이므로
=;3!;aø•aø-;3!;aø•bø+;3@;aø•bø-;3@;bø•bø
|aø|=2,|bø|='3이고 ∠AOB=;6Ò;이다.
=;3!;|aø|Û`+;3!;aø•bø-;3@;|bø|Û` '3
aø•bø=|aø||bø| cos`;6Ò;=2_'3_ =3
2
=;3$;+;4!;-;3@;=;1!2!; 조건 (가)에서 OP³•OQ³=0
 ④ (3aø-bø)•(maø-nbø)=0
3m|aø|Û`-(3n+m)aø•bø+n|bø|Û`
=12m-3(3n+m)+3n=0
4 A(1, 2), B(3, 1)에 대하여 따라서 9m-6n=0이므로 n=;2#;m
AB³‌=OB³-OA³
m, n은 자연수이므로 m은 짝수인 자연수이어야 한다.
=(3, 1)-(1, 2)
|OQ³|¾7에서 |OQ³|Û`¾49
=(2, -1)
|OQ³|Û`‌=mÛ`|aø|Û`-2mn(aø•bø)+nÛ`|bø|Û`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 C의 중심을 C라 하면
=4mÛ`-6mn+3nÛ`   yy`㉠
C(1, 1), OC³=(1, 1)
OP³=OC³+CP³이므로 ㉠에 n=;2#;m을 대입하면
OP³•AB³‌=(OC³+CP³)•AB³
|OQ³|Û`=4mÛ`-6m_;2#;m+3{;2#;m}Û`=;4&;mÛ`¾49, mÛ`¾28
=OC³•AB³+CP³•AB³
=(1, 1)•(2, -1)+CP³•AB³ m은 짝수인 자연수이므로 m의 최솟값은 6이고 이때의
=1_2+1_(-1)+CP³•AB³ n=;2#;_6=9이다.
=1+CP³•AB³
따라서 구하는 m+n의 최솟값은 m=6, n=9일 때이므로
두 벡터 CP³, AB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ÉhÉp)라 하
6+9=15이다.

 ①
CP³•AB³‌=|CP³||(2, -1)| cos`h
='5_'5_cos`h
=5`cos`h
이고 -1Écos`hÉ1이므로 2 AB³=aø, AC³=bø로 놓으면
|BC³|Û`‌=|bø-aø|Û`
h=0일 때 CP³•AB³의 최댓값은 5이다.
=|bø|Û`-2aø•bø+|aø|Û`
따라서 OP³•AB³의 최댓값은 1+5=6이다.
=5Û`-2aø•bø+4Û`
 ②
=41-2aø•bø
이때 |BC³|Û`=6Û`=36이므로

aø•bø=;2%;

AF³=kAB³+lAC³이므로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48쪽
CF³‌=AF³-AC³

1① 2③ 3④ 4 12 =(kaø+lbø)-bø
=kaø+(l-1)bø

정답과 풀이 21
정답과 풀이

AB³⊥CF³이므로 AB³•CF³=0에서 않으므로


aø•{kaø+(l-1)bø}=0 t 1
m= , =;2#;
k|aø|Û`+(l-1)aø•bø=0 t-1 2(1-t)
1
16k+(l-1)_;2%;=0 =;2#;에서 1-t=;3!;, t=;3@;
2(1-t)
32k+5l-5=0   yy`㉠ ;3@;
BF³‌=AF³-AB³ 따라서 m= =-2이므로
;3@;-1
=(kaø+lbø)-aø
=(k-1)aø+lbø CP³=-2CA³+;2#; CB³
AC³⊥BF³이므로 AC³•BF³=0에서
|CP³|Û`=5에서
bø•{(k-1)aø+lbø}=0
(k-1)aø•bø+l|bø|Û`=0 |CP³|Û`={-2CA³+;2#; CB³}•{-2 CA³+;2#; CB³}

(k-1)_;2%;+25l=0 =4|CA³|Û`-6 CA³•CB³+;4(;|CB³|Û`


k+10l-1=0   yy`㉡
=4_1-6 CA³•CB³+;4(;_2Û`=5
㉠, ㉡을 연립하여 풀면
13-5
k=;7!;, l=;3£5; 따라서 CA³•CB³= =;3$;
6

따라서 k+l=;7!;+;3£5;=;3¥5;  ④

 ③

4 |aø|='2, |bø|=1, aø•bø=0이므로

3 " |xaø+ybø|=2에서
|xaø+ybø|Û`‌=(xaø+ybø)•(xaø+ybø)
=xÛ`|aø|Û`+2xy(aø•bø)+yÛ`|bø|Û`
#
.
$ =2xÛ`+yÛ`=4
따라서 점 P(x, y)는 곡선
C`:`2xÛ`+yÛ`-4=0 yy`㉠
위의 점이다.
OA³•OP³=(1, 1)•(x, y)=x+y에서
1 x+y=k`(k는 실수)라 하면 점 P(x, y)는 직선 x+y=k,
즉 y=k-x 위의 점이다.
MÕP³=tAP³`(0<t<1)에서 점 P는 직선 AM 위의 점이고
y=k-x를 ㉠에 대입하면
APÓ>MPÓ이므로 점 P의 위치는 그림과 같다.
2xÛ`+(k-x)Û`-4=0
또한 APÓ : MPÓ=1 : t이므로 점 P는 선분 AM을 1 : t로
3xÛ`-2kx+kÛ`-4=0 yy`㉡
외분하는 점이다.
점 P(x, y)가 존재하려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판별
CÕM³-t CA³
CP³= 식을 D라 할 때 D¾0이어야 한다.
1-t
D
t 1 =kÛ`-3(kÛ`-4)=-2kÛ`+12¾0
= CA³+ CÕM³ 4
t-1 1-t
kÛ`-6É0, -'6ÉkÉ'6
t 1
= CA³+ _;2!; CB³ 따라서 OA³•OP³=k의 최댓값 M과 최솟값 m은
t-1 1-t
M='6, m=-'6이므로
=m CA³+;2#; CB³
MÛ`+mÛ`=('6)Û`+(-'6)Û`=12
에서 두 벡터 CA³, CB³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 12

2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05
|vø|="Ã(2t+1)Û`+(2t+2)Û`
평면 곡선과 평면 운동 따라서 시각 t=1에서의 점 P의 속력은
"Ã(2_1+1)Û`+(2_1+2)Û`=5
 ②
유제 본문 51~55쪽

1③ 2⑤ 3② 4 13 5④
6 55 4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ø라 하면
dx dy
=1-2`sin`t, =2`cos`2t
dt dt
1 f(x)=xÛ`+x+2에 대하여 dÛ`x
=-2`cos`t,
dÛ`y
=-4`sin`2t에서
f(-1)=2, f(1)=4이므로 dtÛ` dtÛ`
P(-1, 2), Q(1, 4) |aø|="Ã(-2`cos`t)Û`+(-4`sin`2t)Û`이므로
원점 O에 대하여 점 P의 시각 t=;3Ò;에서의 가속도의 크기는
PQ³‌=OQ³-OP³
2p
=(1, 4)-(-1, 2)=(2, 2) k=®É4 cosÛ``;3Ò;+16 sinÛ``
3
두 벡터 uø와 PQ³는 서로 평행하므로
'3 Û`
uø=k(2, 2)=(2k, 2k) (k는 양수) =¾Ð4_{;2!;}Û`+16_{ } ='1Œ3
2
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kÛ`=13
|uø|=4'2에서   13
4kÛ`+4kÛ`=(4'2)Û`, 8kÛ`=32, kÛ`=4
k>0이므로 k=2
dx
즉, uø=(4, 4)
5 x=et`cos`t에서
dt
=et(cos`t-sin`t)
따라서 a=4, b=4이므로
dy
a+b=4+4=8 y=et`sin`t에서 =et(sin`t+cos`t)이므로
dt
 ③
dx Û` dy Û`
{ } +{ }
dt dt
=e2t(cos`t-sin`t)Û`+e2t(sin`t+cos`t)Û`
2 두 직선 lÁ, lª의 방향벡터를 각각 =e2t{(cos`t-sin`t)Û`+(sin`t+cos`t)Û`}
uÁ²=(2, 1), uª²=(4, -3)이라 하면 =e2t_2(sinÛ``t+cosÛ``t)=2e2t
uÁ²•uª²=(2, 1)•(4, -3)=8+(-3)=5 따라서 시각 t=0에서 시각 t=ln`5까지 점 P가 움직인 거
|uÁ²|="Ã2Û`+1Û`='5 리를 s라 하면
|uª²|="Ã4Û`+(-3)Û`='2Œ5=5 dy Û``
¾Ð{
dx Û`
} +{ } dt
ln`5
s=:)
따라서 dt dt
|uÁ²•uª²|
"2e2t dt
ln`5
cos`h= =:)
|uÁ²||uª²|
5 1 '5 =:)
ln`5
'2et dt
= = =
'5_5 '5 5

='2`[et])
ln`5
 ⑤

='2(eln`5-e0)
='2(5-1)
3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ø라 하면
=4'2
dx dy
=2t+1, =2t+2에서  ④
dt dt

정답과 풀이 23
정답과 풀이

6 f(x)=;3@;x'x=;3@;x;2#;이라 하면 2 |pø-aø|=5에서
|pø-aø|Û`‌=(pø-aø)•(pø-aø)
f '(x)=x;2!;
=(x-3, y-4)•(x-3, y-4)=25
0ÉxÉ8에서 곡선 y=f(x)의 길이를 l이라 하면
(x-3)Û`+(y-4)Û`=25 yy`㉠
l=:)8 "Ã1+{`f '(x)}Û``dx ㉠을 만족시키는 점 (x, y)는 중심의 좌표가 (3, 4)이고 반
지름의 길이가 5인 원 위의 점이다.
=:)8 ¿¹1+(x;2!;)Û``dx pø•aøÉ25에서
(x, y)•(3, 4)É25, 3x+4yÉ25
=:)8 'Ä1+x`dx
3x+4y-25É0 yy`㉡
이때 'Ä1+x=t라 하면 ㉡을 만족시키는 점 (x, y)는 직선 3x+4y-25=0의 아
dx 래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는 점이다.
1+x=tÛ`, =2t이고
dt ㉠, ㉡의 공통부분에 속하는 점 (x, y)가 나타내는 도형은
x=0일 때 t=1, x=8일 때 t=3이므로

l=:!3 2tÛ` dt=[;3@;tÜ`]3!=18-;3@;=:°3ª:


원의 중심 (3, 4)가 직선 3x+4y-25=0 위의 점이므로
그림과 같은 반원의 호이다.

따라서 p=3, q=52이므로 Z


Y ™ Z ™ 
p+q=3+52=55
  55


0 Y
 Y Z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길이는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56쪽 ;2!;_(2p_5)=5p

1④ 2⑤ 3⑤ 4③ 5④  ⑤

1 3x=-4(y-2)의 양변을 12로 나누면


3
dx
dt
=et`cos`2t-2et`sin`2t
y-2
;4{;= 이므로 uÁ²=(4, -3)을 직선 lÁ의 방향벡터라 dy
-3 =et`sin`2t+2et`cos`2t에서
dt
하자.
y+1 점 P의 시각 t=;4Ò;에서의 속도는
2x-6= 의 양변을 2로 나누면
a
y+1 {e;4Ò;`cos`;2Ò;-2e;4Ò;`sin`;2Ò;, e;4Ò;`sin`;2Ò;+2e;4Ò;`cos`;2Ò;}
x-3= 이므로 uª²=(1, 2a)를 직선 lª의 방향벡터라
2a
하자. 즉, (-2e;4Ò;, e;4Ò;)이므로 점 P의 시각 t=;4Ò;에서의 속력은
두 직선 lÁ, lª가 서로 수직이므로 두 직선의 방향벡터 uÁ²,
uª²도 서로 수직이다. ¿¹(-2e;4Ò;)Û`+(e;4Ò;)Û`='5e;4Ò;
uÁ²•uª²=0에서 따라서 k='5
(4, -3)•(1, 2a)=0  ⑤
4-6a=0

따라서 a=;3@;
dx
 ④ 4 dt
=3tÛ`+1

2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dy 1
dt
=ln`t+t_ -1=ln`t
t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57쪽

dÛ`x
=6t,
dÛ`y 1 18 2② 3 31 4②
= 이므로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dtÛ` dtÛ` t
aø라 하면

|aø|=®É(6t)Û`+{ }Û`
1 1 점 P의 좌표를 P(x, y)라 하면
t |OP³|=5'2에서 |OP³|Û`=50이므로
1 xÛ`+yÛ`=50
=®É36tÛ`+
tÛ`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원점 O이고 반지름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의 길이가 5'2인 원이다.
1 1 두 점 A(5, -5), B(a, b)는 원 xÛ`+yÛ`=50 위의 점이므로
36tÛ`+ ¾2®É36tÛ`_ =12
tÛ` tÛ`
|OA³|=|OB³|=5'2
'6
 {등호는 t= 일 때 성립한다.} aÛ`+bÛ`=50   yy`㉠
6
이므로 OA³•OB³=(5, -5)•(a, b)=5a-5b
|aø|¾'1Œ2=2'3 원 위의 점 A(5, -5)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벡터를
따라서 점 P의 가속도의 크기의 최솟값은 2'3 이다. OA³=(5, -5)라 하고, 원 위의 점 B(a, b)에서의 접선과
 ③ 수직인 벡터를 OB³=(a, b)라 하자.
원 위의 두 점 A(5, -5), B(a, b)에서의 두 접선이 이루
는 예각의 크기가 h이므로 두 벡터 OA³, OB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p-h 또는 h이다.
e2x+e-2x |cos (p-h)|=|cos`h|
5 f(x)=
4
이라 하면
|OA³•OB³|
2e2x-2e-2x e2x-e-2x =
f '(x)= = |OA³||OB³|
4 2
0ÉxÉ1에서 곡선 y=f(x)의 길이를 l이라 하면 =cos`h=;5#;

l=:)1 "Ã1+{`f '(x)}Û``dx


에서
|5a-5b|
=;5#;, |a-b|=6
5'2_5'2
=:)1 ¾Ð1+{
e2x-e-2x Û`
} `dx
2 a>b이므로 a-b=6
b=a-6을 ㉠에 대입하면
=:)1 ¾Ð1+
4x -4x
e -2+e
`dx
4 aÛ`+aÛ`-12a+36=50, aÛ`-6a-7=0
(a-7)(a+1)=0
=:)1 ¾Ð
e4x+2+e-4x
`dx
4 a>0이므로 a=7
b=7-6=1
=:)1 ¾Ð{
2x -2x
e +e
}Û``dx
2 따라서 a+b=7+1=8
e2x+e-2x  8
=:)1 `dx
2

=;4!; [e2x-e-2x]1)
2 x=sin`t+'3`cos`t, y=cos`t+'3`sin`t이므로
dx dy
=;4!;{(eÛ`-e )-(e -e )}
-2 0 0
=cos`t-'3`sin`t, =-sin`t+'3`cos`t
dt dt
eÝ`-1 vø=(cos`t-'3`sin`t, -sin`t+'3`cos`t)
=
4eÛ` dÛ`x dÛ`y
=-sin`t-'3`cos`t, =-cos`t-'3`sin`t
 ④ dtÛ` dtÛ`

정답과 풀이 25
정답과 풀이

aø=(-sin`t-'3`cos`t, -cos`t-'3`sin`t) f '(x)=0에서


vø•aø 1
xÛ`- =0, xÝ`-1=0, x=-1 또는 x=1
=(cos`t-'3`sin`t)(-sin`t-'3`cos`t) xÛ`
+(-sin`t+'3`cos`t)(-cos`t-'3`sin`t)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3 (sinÛ``t-cosÛ``t) x y -1 y (0) y 1 y
=2'3 {sinÛ``t-(1-sinÛ``t)}
f '(x) + 0 - - 0 +
=2'3(2`sinÛ``t-1)
f(x) ↗ 극대 ↘ ↘ 극소 ↗
0ÉsinÛ``tÉ1이므로 vø•aø의 최댓값은 2'3
 ② x>1에서 f '(x)>0이므로 f(x)는 구간 [ 1, ¦)에서 증
가한다.
a의 최솟값은 1이므로 m=1
dx
3 x=;3$;tÜ`-t에서 =4tÛ`-1 따라서 1ÉxÉ3에서 곡선의 길이를 l이라 하면
dt
dy l=:!3 "Ã1+{`f '(x)}Û``dx
y=2tÛ`에서 =4t이므로
dt
1 Û`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력은 =:!3 ¾Ð1+;4!; {xÛ`- } `dx
xÛ`
dy Û`
¾Ð{
dx Û`
} +{ } ="Ã(4tÛ`-1)Û`+(4t)Û` 1
dt dt =:!3 ®É1+;4!;xÝ`-;2!;+ `dx
4xÝ`
="Ã16tÝ`-8tÛ`+1+16tÛ`
1
="Ã16tÝ`+8tÛ`+1 =:!3 ®É;4!;xÝ`+;2!;+ `dx
4xÝ`
="Ã(4tÛ`+1)Û`
1 Û`
=4tÛ`+1 =:!3 ¾Ð;4!; {xÛ`+ } `dx
xÛ`
시각 t=a (a>0)에서 점 P의 속력이 17이므로
1
4aÛ`+1=17 =:!3 ;2!; {xÛ`+ }`dx
xÛ`

=;2!; [;3!;xÜ`-;[!;]3!
aÛ`=4
a>0이므로 a=2
따라서 시각 t=1에서 시각 t=2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2!;[{9-;3!;}-{;3!;-1}]
s는
dy Û` =:Á3¢:
s=:!2 ¾Ð{
dx Û`
} +{ } dt
dt dt
 ②
=:!2 (4tÛ`+1) dt

=[;3$;tÜ`+t]2!

={:£3ª:+2}-{;3$;+1}

=:£3Á: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58쪽

1② 2④ 3③
따라서 3s=3_:£3Á:=31

  31
1 직선 l은 점 A(2, -1)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a, 2)이
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1
4 f(x)=;6!;xÜ`+;2Á[;에서 f '(x)=;2!; {xÛ`- } x-2 y+1
=
xÛ` a 2

2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x-2 y+1 P(cos`t, sin`t)
점 P는 직선 = 위의 점이므로
a 2
Q(cos`(p-2t), sin`(p-2t)), 즉 Q(-cos`2t, sin`2t)
x-2 y+1
= =t (t는 실수) 선분 PQ의 중점 R의 위치는
a 2
에서 점 P의 좌표를 (at+2, 2t-1)로 놓을 수 있다. R{;2!;(cos`t-cos`2t), ;2!;(sin`t+sin`2t)}
이때 점 Q의 좌표는 (at+2, 0), 점 R의 좌표는 (0, 2t-1)
점 R의 좌표를(x, y)라 하면
이므로 vø=QR³=(-at-2, 2t-1)이라 하면
벡터 vø는 두 점 Q, R를 지나는 직선 QR의 방향벡터이다. x=;2!;(cos`t-cos`2t), y=;2!;(sin`t+sin`2t)
직선 l과 직선 QR가 서로 수직이므로 두 직선의 방향벡터 dx dy
=;2!;(-sin`t+2`sin`2t), =;2!;(cos`t+2`cos`2t)
도 서로 수직이다. 즉, uø•vø=0이므로 dt dt
(a, 2)•(-at-2, 2t-1)=-aÛ`t-2a+4t-2=0에서 이므로 점 R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ø라 하면

t=
2a+2
   yy`㉠ vø={;2!;(-sin`t+2 sin`2t), ;2!;(cos`t+2`cos`2t)}
4-aÛ`
두 벡터 OP³, OÕA가
³ 서로 수직이므로 이때
dx Û` dy Û`
OP³•OÕA³=0에서 { } +{ }
dt dt
(at+2, 2t-1)•(2, -1)=2at+4-2t+1=0
t(2a-2)=-5 =[;2!;(-sin`t+2 sin`2t)]Û`+[;2!;(cos`t+2`cos`2t)]Û`
-5
t=    yy`㉡
2a-2 =;4!;(sinÛ``t+4`sinÛ``2t-4 sin`t`sin`2t)
㉠, ㉡에서
+;4!;(cosÛ``t+4`cosÛ``2t+4 cos`t`cos`2t)
2a+2 -5
= , 4aÛ`-4=5aÛ`-20, aÛ`=16
4-aÛ` 2a-2
=;4!;(sinÛ``t+cosÛ``t)+(sinÛ``2t+cosÛ``2t)
a>2이므로 a=4
+(cos`t`cos`2t-sin`t`sin`2t)
-5
㉡에서 t= =-;6%;
2_4-2 =;4!;+1+cos (t+2t)
점 P의 x좌표는 4_{-;6%;}+2=-;3$;
=;4%;+cos`3t

점 P의 y좌표는 2_{-;6%;}-1=-;3*; 이므로

|vø|=®É;4%;+cos`3t
따라서 P{-;3$;, -;3*;}이므로
따라서 점 P가 점 A를 출발한 지 :°9:É 초 후의 점 R의 속력은
4'5
|OP³|=¾Ð{-;3$;}Û`+{-;3*;}Û`=
3
¾Ð;4%;+cos`{3_:°9É:}=®É;4%;+cos`:°3É:
 ②

=¾Ð;4%;+cos`{2p-;3Ò;}

=®É;4%;+cos`;3Ò;
2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점 P가 점 A를 출발한 후 '7
=®É;4%;+;2!;=
2
t`{t¾;2Ò;}초일 때의 동경 OP와 x축의 양의 방향이 이루는
 ④
각의 크기는 t, 동경 OQ와 x축의 양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2{t-;2Ò;}=p-2t이다.

따라서 시각 t`{t¾;2Ò;}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는 3 x=cos`t+sin`t, y=;2!;`sinÛ``t를 각각 t에 대하여 미분하면

정답과 풀이 27
정답과 풀이

dx dy du
=-sin`t+cos`t, =sin`t`cos`t yy`㉠ cos`t=u라 하면 -sin`t= 이고
dt dt dt
이므로 vø=(-sin`t+cos`t, sin`t`cos`t) '2 '2
t=;4Ò;일 때 u= , t=:£4É:일 때 u=- 이므로
㉠을 각각 t에 대하여 미분하면 2 2

: `sin`t`cos`t`dt=-: '2- `u`du=:_ '2 `u`du=0


'2 '2
dÛ`x dÛ`y :£4É: 2 2
=-cos`t-sin`t, =cosÛ``t-sinÛ``t `
dtÛ` dtÛ` ;4Ò;
2 2
이므로 aø=(-cos`t-sin`t, cosÛ``t-sinÛ``t) 따라서
vø•aø=(-sin`t+cos`t, sin`t`cos`t) :£4É:

•(-cos`t-sin`t, cosÛ``t-sinÛ``t) s={:£4É:-;4Ò;}-: ` `sin`t`cos`t`dt=;2Ò;-0=;2Ò;


;4Ò;

=(-sin`t+cos`t)(-cos`t-sin`t)  ③
+sin`t`cos`t(cosÛ``t-sinÛ``t)
=-(cos`t-sin`t)(cos`t+sin`t) ⑴ sin`2t=sin`(t+t)=sin`t`cos`t+cos`t`sin`t
+sin`t`cos`t(cosÛ``t-sinÛ``t) =2`sin`t`cos`t
=-(cosÛ``t-sinÛ``t)+sin`t`cos`t(cosÛ``t-sinÛ``t) cos`2t=cos`(t+t)=cos`t`cos`t-sin`t`sin`t
=(cosÛ``t-sinÛ``t)(sin`t`cos`t-1)=0 =cosÛ``t-sinÛ``t
Ú cosÛ``t-sinÛ``t=0일 때 이므로
cosÛ``t-sinÛ``t=0   yy`㉡ vø•aø=(-sin`t+cos`t, sin`t`cos`t)
cosÛ``t+sinÛ``t=1   yy`㉢ •(-cos`t-sin`t, cosÛ``t-sinÛ``t)
'2
㉡+㉢에서 2`cosÛ``t=1, cos`t=Ñ
2 ={-sin`t+cos`t, ;2!; sin`2t}

•(-cos`t-sin`t, cos`2t)
0<t<p이므로 t=;4Ò; 또는 t=:£4É:
=sinÛ``t-cosÛ``t+;2!; sin`2t`cos`2t
Û sin`t`cos`t-1=0일 때
0<t<p에서 0<sin`tÉ1, -1<cos`t<1이므로 =-cos`2t+;2!; sin`2t`cos`2t
sin`t`cos`t-1=0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은 없다.
=cos`2t`{;2!; sin`2t-1}=0
따라서 tÁ=;4Ò;, tª=:£4É:이므로 시각 t=tÁ에서 시각

‌t=tª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s라 하면 ;2!; sin`2t-1+0이므로 cos`2t=0에서


:£4É: dy Û`
`¾Ð{
dx Û`
s=: ` } +{ } `dt t=;4Ò; 또는 t=:£4É:
;4Ò; dt dt
:£4É: ⑵ sin`2t=2`sin`t`cos`t이므로

:
=: ` `"Ã(-sin`t+cos`t)Û`+(sin`t`cos`t)Û``dt :£4É: :£4É:
`(1-sin`t`cos`t)`dt=: `{1-;2!; sin`2t}`dt
;4Ò;
` `
;4Ò; ;4Ò;
:£4É:
=: ` `"Ã1-2`sin`t cos`t+(sin`t cos`t)Û``dt :£4É:
;4Ò;
=[t+;4!;`cos`2t] ` `
;4Ò;
:£4É:
=: ` `"Ã(1-sin`t cos`t)Û``dt
={:£4É:+0}-{;4Ò;+0}
;4Ò;

:£4É:
=: `(1-sin`t`cos`t)dt
;4Ò;
`
=;2Ò;
:£4É: :£4É:
=[t] ` ` -: ` `sin`t`cos`t`dt
;4Ò; ;4Ò;

:£4É:
={:£4É:-;4Ò;}-: ` `sin`t`cos`t`dt
;4Ò;

이때 :
:£4É:
` `sin`t`cos`t`dt에서
;4Ò;

2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06
% $
공간도형
" #
* +

유제 본문 61~65쪽

,
1④ 2③ 3④ -
/ (
. )

1 정육면체 ABCD-EFGH에서 두 선분 EG, FH의 교점 & '


을 K라 하면 두 직선 EI, CJ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
두 평면 IJKL, MNKL의 교선은 직선 LK이고
선 KC, CJ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JKÓ⊥LKÓ, NKÓ⊥LKÓ이므로 ∠JKN=h이다.
% $
* 따라서 삼각형 JNK는 ∠JNK=;2Ò;인 직각삼각형이고
D
" JNÓ=BNÓ-BJÓ=4-1=3이므로
#
JNÕ
)) ( tan`h= =;2#;
KNÓ
, +  ③
& '

두 직선 KJ, EF는 평행하고 직선 EF는 두 직선 BF, FG


와 각각 수직이므로 직선 KJ는 평면 BFGC와 수직이다. 3 두 꼭짓점 A, B에서 밑면 EFGH에 내린 수선의 발을
따라서 직선 KJ는 직선 CJ와 수직이므로 삼각형 CKJ는 각각 I, J라 하고 직선 IJ가 모서리 FG와 만나는 점을 K라
하자.
∠KJC=;2Ò;인 직각삼각형이다.
) % $
직각삼각형 CJG에서 #
"
CJÕ=¿¹ JGÓ Û`+CGÓ Û` (
-
="Ã1Û`+2Û`='5
& ,
직각삼각형 CKJ에서 * + '

KCÓ=¿¹ CJÕ Û`+KJÓ Û` 직각삼각형 BKJ에서


="Ã('5 )Û`+1Û`='6 KJÓ=;2!;(11-5)=3, BJÓ=4이므로
따라서 직각삼각형 CKJ에서
CJÕ '5 '3Œ0 BKÓ=¿¹ KJÓ Û`+BJÓ Û`="Ã3Û`+4Û`=5
cos`h= = =
KCÓ '6 6 점 B에서 평면 AFGD에 내린 수선의 발을 L이라 하면 모
 ④ 서리 BF의 평면 AFGD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LFÓ이다.
삼각형 BAK는 BAÓ=BKÓ=5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L
은 선분 AK의 중점이다.
직각삼각형 AKI에서
KIÕ=5+3=8, AIÕ=4이므로
2 평면 IJKL이 직육면체의 부피를 이등분하므로 AKÓ=¿¹KIÕ Û`+AIÕ Û`="Ã8Û`+4Û`=4'5
CKÓ=DLÓ=4 따라서 직각삼각형 LFK에서
모서리 AE, BF 위에 AMÓ=BNÓ=4를 만족시키는 두 점
FKÓ=3, LKÓ=;2!;AKÓ=;2!;_4'5=2'5이므로
M, N을 각각 잡으면 두 평면 IJKL, EFGH가 이루는 각
의 크기는 두 평면 IJKL, MNKL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LFÓ=¿¹ FKÓ Û`+LKÓ Û`="Ã3Û`+(2'5 )Û`='2Œ9
같다.  ④

정답과 풀이 29
정답과 풀이

1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66쪽

"
1 12 2② 3① 4② #
2
.
= $
1 직선 AB와 수직인 직선은
직선 AF, 직선 BG, 직선 CH, 직선 DI, 직선 EJ이므로 '3
AMÓ=ABÓ`sin`;3Ò;=6_ =3'3
2
a=5
직선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직각삼각형 PMA에서
직선 CH, 직선 DI, 직선 EJ, 직선 GH, 직선 HI, 직선 IJ, PMÓ=¿¹ MAÓ Û`+PAÓ Û`="Ã(3'3 )Û`+3Û`=6
직선 JF이므로 PAÓ⊥a, AMÓ⊥BCÓ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b=7 PMÓ⊥BCÓ이다.
따라서 a+b=5+7=12 QMÓ=BMÓ-BQÓ=3-2=1
  12 따라서 직각삼각형 PQM에서
PQÓ=¿¹ QMÓ Û`+PMÓ Û`="Ã1Û`+6Û`='3Œ7이므로
QMÓ 1 '3Œ7
cos`h= = =
PQÓ '3Œ7 37
2 삼각형 ABC와 ABD는 모두 정삼각형이므로 ABÓ⊥ECÓ,  ①
ABÓ⊥EDÓ이다.
따라서 ABÓ⊥(평면 ECD)이므로 ABÓ⊥CDÓ

즉, hÁ=;2Ò;
4 삼각형 PQR가 정삼각형이고 ABÓ=BCÓ<CAÓ이므로
" APÓ=CRÓ이다.
즉, PRÓACÓ이므로 PRÓ=ACÓ이다.
&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에서
ACÓ=¿¹ ABÓ Û`+BCÓ Û`="Ã2Û`+2Û`=2'2
%
# Dm
' 즉, 삼각형 PQR는 한 변의 길이가 2'2인 정삼각형이다.
$ "
$
직각삼각형 DAE에서 #
DEÓ=¿¹ DAÓ Û`-AEÓ Û`="Ã2Û`-1Û`='3
1
3
모서리 CD의 중점을 F라 하면 삼각형 ECD는 ECÓ=EDÓ
%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EFÓ⊥CDÓ이다.
'
즉, EFÓ⊥DFÓ이고 DFÓ=1이므로 직각삼각형 EDF에서 2

DFÓ 1 '3 &


cos`hª= = =
EDÓ '3 3
삼각형 PQR의 평면 DEF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DEF
'3 '3
따라서 sin`hÁ`cos`hª=1_ = 이고 삼각형 PQR, DEF의 넓이를 각각 S, S'이라 하면
3 3
'3
 ② S= _(2'2 )Û`=2'3
4

S'=;2!;_2_2=2

S' 2 1 '3
따라서 cos`h= = = =
3 변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삼각형 ABC는 정삼각형이 S 2'3 '3 3
므로 두 직선 AM, BC는 서로 수직이다.  ②

3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67~68쪽
%
1② 2 17 3② 4③ 5④ )
"
6④ 7 12 8 12
&
D ,+
( '
# *
1 두 모서리 BE, CD의 중점을 각각 M, N이라 하면 점 P는
-
선분 AN 위에 놓이고, 점 Q는 선분 MN의 중점이다. $

" AGÓ=;3@; ALÓ=;3@; ABÓ`sin`;3Ò;

'3
=;3@;_2'3_ =2
& 1 2
.
D 즉, 삼각형 AGH는 AGÓ=AHÓ=2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
# %
/ 므로 ∠AHG=;4Ò;
$ 2
또 삼각형 DHK는 DHÓ=DKÓ=3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
직선 BC와 직선 MN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BC, PQ
로 ∠DHK=;4Ò;
가 이루는 각의 크기 h는 두 직선 MN, PQ가 이루는 각의
크기 h와 같다. 따라서 삼각형 KGH는 ∠KHG=;2Ò;인 직각삼각형이다.
직각삼각형 ACN에서
직각삼각형 KGL에서
ANÓ=¿¹ ACÓ Û`-CNÓ Û`="Ã2Û`-1Û`='3
KGÓ=¿¹ GLÓ Û`+KLÓ Û`="Ã1Û`+5Û`='2Œ6
이고 NQÓ=;2!; MNÓ=;2!;_2=1 직각삼각형 AGH에서

삼각형 ANQ는 ∠AQN=;2Ò;인 직각삼각형이므로 GHÓ=¿¹ AGÓ Û`+AHÓ Û`="Ã2Û`+2Û`=2'2


직각삼각형 KGH에서
∠ANQ=a라 하면
GHÓ 2'2 2
NQÓ cos`h= = = 이므로
KGÓ '2Œ6 '1Œ3
1
cos`a= =
ANÓ '3
그런데 NPÓ=NQÓ이므로 cosÛ``h=;1¢3;
∠NPQ=∠NQP=h 따라서 p=13, q=4이므로
따라서 p+q=13+4=17
cos`2h=cos`(p-a)=-cos`a   17
1 '3
=- =-
'3 3
 ②
3 꼭짓점 C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 하면

직각삼각형 CBE에서 ∠CBE=;6Ò;이므로

CEÓ=CBÓ`sin`;6Ò;=4_;2!;=2
2 두 모서리 EF, BC의 중점을 각각 K, L이라 하면
"
GIÓ=;3@; LCÓ, KJÓ=;3@; KFÓ이므로 GIÓ=KJÓ

또한 GIÓLCÓ, LCÓKJÓ이므로 GIÓKJÓ $

따라서 사각형 GIJK는 평행사변형이므로 두 직선 IJ, GK '


&
는 평행하다. #
% M
두 직선 GH, IJ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GH, GK가 =

정답과 풀이 31
정답과 풀이

직각삼각형 CBE에서 ㉠, ㉡에서 aÛ`=56, bÛ`=8이므로


BEÓ=¿¹ CBÓ Û`-CEÓ Û`="Ã4Û`-2Û`=2'3 a=2'1Œ4, b=2'2
직각삼각형 CDE에서 BCÓ⊥l, ACÓ⊥l에서 ∠ACB=h이므로

DEÓ=¿¹ CDÓ Û`-CEÓ Û`="Ã3Û`-2Û`='5


직각삼각형 OCA에서
OAÓ 2'2 '2
CEÓ⊥a, CDÓ⊥l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DEÓ⊥l이 sin`h= = =
OCÓ 8 4
다.
 ③
직각삼각형 EBD에서
BDÓ=¿¹ EBÓ Û`-EDÓ Û`="Ã(2'3 )Û`-('5 )Û`='7 △ABO»△CAO에서
점 D에서 평면 A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면 점 F는 b`:`1=8`:`b
선분 BE 위에 놓이므로 bÛ`=8, b=2'2
직각삼각형 EBD에서 OAÓ 2'2 '2
sin`h= = =
8 4
;2!;_BDÓ_EDÓ=;2!;_EBÓ_DFÓ OCÓ

BDÓ_EDÓ '7_'5 '3Œ5


즉, DFÓ= = =
EBÓ 2'3 2'3
따라서 사면체 ABDC의 부피는
'3 '3Œ5
;3!;_△ABC_DFÓ=;3!;_
4
_4Û`_
2'3
5 그림과 같이 선분 PQ를 점 Q가 모서리 EF 위에 놓이도록
평행이동한 선분을 IJ라 하자.
2'3Œ5
=
3 % $
 ②
"
1 #

2
4 점 B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C라 하면 ) *
(
BCÓ=7 ,
ABÓ⊥a, BCÓ⊥l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ACÓ⊥l이 & '
+ -
다.
점 I에서 평면 EFGH에 내린 수선의 발을 K라 하고, 점 K
또한, OAÓ⊥b, ACÓ⊥l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에서 직선 EF에 내린 수선의 발을 L이라 하면 삼수선의 정
OCÓ⊥l이다.
리에 의하여 ILÕ⊥EFÓ이다.
따라서 BCÓ⊥l, OCÓ⊥l이므로 점 B는 선분 OC 위에 놓인
두 직선 DC와 EF는 평행하고 두 직선 PQ와 IJ도 평행하
다.
므로 두 직선 PQ, DC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IJ,
따라서 OCÓ=OBÓ+BCÓ=1+7=8
EF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
즉, 두 직선 IJ, EF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3Ò;이므로 직각삼

각형 IJL에서
D '3
$
#
0 ILÕ=IJÕ`sin`;3Ò;=2_ ='3
2
ACÓ=a, AOÓ=b라 하면 두 평면 DEFC, EFGH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aÛ`+bÛ`=OCÓ Û` ∠ILK=∠CFG=h
aÛ`+bÛ`=64   yy`㉠ 직각삼각형 CFG에서
ABÓ Û`=aÛ`-CBÓ Û`=bÛ`-OBÓ Û` CFÓ=¿¹ FGÓ Û`+CGÓ Û`="Ã3Û`+4Û`=5이므로
즉, aÛ`-bÛ`=CBÓ Û`-OBÓ Û`=7Û`-1Û` CGÓ
sin`h= =;5$;
aÛ`-bÛ`=48   yy`㉡ CFÓ

3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직각삼각형 ILK에서 
% $

4'3 #
IKÕ=ILÕ`sin`h='3_;5$;= "
5
B
따라서 직각삼각형 IJK에서
B
*
JKÕ=¿¹ IJÕ Û`-IKÕ Û`=¾Ð2Û`-{
4'3 Û` 2'1Œ3
}=  ,
5 5
 ④ +
) (
&
'

삼각형 AIJ는 AIÕ=IJÕ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I에서 선


6 모서리 AC, AD의 중점을 각각 E, F라 하면 두 점 P, Q
분 AJ에 내린 수선의 발을 K라 하면 점 K는 선분 AJ의
는 각각 두 선분 BE, BF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다.
중점이다.
"
직각삼각형 AIK에서

IKÓ=¿¹ AIÓ Û`-AKÓ Û`=¾Ð AIÓ Û`-{


AJÕ Û`
' }
2 & 2
1
'2
3
% =¾Ð(aÛ`+1)-{aÛ`+;2!;}=
2
# )
삼각형 AIJ의 넓이를 S라 하면
(
$
S=;2!;_AJÕ_IKÕ
PQÓ=;3@; EFÓ=;3@;_;2!; CDÓ '2
=;2!;_"Ã4aÛ`+2_
2
=;3@;_;2!;_6=2
"Ã2aÛ`+1
=
직선 CR와 모서리 AD가 만나는 점이 F이므로 평면 BCR 2
는 평면 BCF와 같다. 한편, 삼각형 AIJ의 평면 EFGH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모서리 BC의 중점을 G, 점 P에서 평면 BCF에 내린 수선 EFG이므로 삼각형 EFG의 넓이를 S'이라 하면
의 발을 H라 하자. S'=;2!;_EFÓ_GFÓ=;2!;_1_1=;2!;
ADÓ⊥CFÓ, ADÓ⊥BFÓ이므로 직선 AD는 평면 BCF와 수
;2!;
직이다. S' 1
cos`h= = = 이므로
따라서 △PGH»△AGF이다. S "Ã2aÛ`+1 "Ã2aÛ`+1
PHÓ`:`AFÓ=PGÓ`:`AGÓ=1`:`3 2
1
=;5!;에서 2aÛ`+1=25
즉, PHÓ=;3!;AFÓ=;3#;=1 "Ã2aÛ`+1
따라서 aÛ`=12
따라서 직각삼각형 PQH에서
  12
QHÓ=¿¹ PQÓ Û`-PHÓ Û`="Ã2Û`-1Û`='3
 ④

8 % $

" #
7 직각삼각형 AIB에서 2
)
1
(
AIÕ=¿¹ IBÕ Û`+ABÓ Û`="ÃaÛ`+1 )
직각삼각형 AJC에서 & '
AJÕ=¿¹ JCÓ Û`+ACÓ Û`="Ã(2a)Û`+('2)Û`="Ã4aÛ`+2 평면 DFC는 평면 DEFC이므로 선분 DE는 두 평면 

정답과 풀이 33
정답과 풀이

DFC, DEG의 교선 위에 있다. 점 G에서 평면 DFC에 내 2k=2-k


린 수선의 발을 P라 하면 점 P는 선분 CF의 중점이고 삼각 k=;3@;
형 GDE의 평면 DFC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PDE이다.
직각삼각형 HBI에서
삼각형 GDE의 넓이를 SÁ, 삼각형 PDE의 넓이를 Sª라 하
HBÓ=¿¹ BIÕ Û`+HIÕ Û`=¾Ð{;3$;}Û`+{;3@;}Û`=
2'5
자.
3
직각삼각형 DEA에서
직각삼각형 MHJ에서
DEÓ=¿¹ DAÓ Û`+AEÓ Û`="Ã2Û`+2Û`=2'2 '5
MHÓ=¿¹ HJÓ Û`+MJÓ Û`=¾Ð{;3@;}Û`+{;3!;}Û`=
선분 DE의 중점을 Q라 하면 3
PQÓ⊥DEÓ, PQÓ=2 점 A에서 평면 BCDE에 내린 수선의 발을 K라 하면
'3 △ACK»△PCH이므로
SÁ= _(2'2)Û`=2'3
4 AKÓ`:`PHÓ=CKÓ:`CHÓ이고
Sª=;2!;_2'2_2=2'2 CKÓ`:`CHÓ=CMÓ`:`CJÕ=1`:`;3@;
Sª 2'2 '6 즉, AKÓ:`PHÓ=3`:`2이므로
따라서 cos`h= = = 이므로
SÁ 2'3 3
PHÓ=;3@; AKÓ
18`cosÛ``h=18_;9^;=12
직각삼각형 KCM에서
  12
KCÓ=¿¹ CMÓ Û`+KMÓ Û`="Ã1Û`+1Û`='2
직각삼각형 ACK에서
AKÓ=¿¹ ACÓ Û`-CKÓ Û`="Ã3Û`-('2 )Û`='7
2'7
즉, PHÓ=
3
∠BPH=hÁ, ∠MPH=hª라 하면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69쪽
h=hÁ+hª이거나 h=p-(hÁ+hª)
1② 2 10 3④ 이다.
2'5
BHÓ 3 '3Œ5
1 점 P에서 평면 BCDE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tan`hÁ=
PHÓ
=
2'7
=
7
,
BHÓ=a, MHÓ=b 3
이므로 a+b의 값이 최소일 때는 점 H가 선분 BM 위에 놓 '5
일 때이다. MHÓ 3 '3Œ5
tan`hª= = = 이므로
PHÓ 2'7 14
"
3
tan`hÁ+tan`hª
tan (hÁ+hª)=
1 1-tan`hÁ tan`hª
&
'3Œ5 '3Œ5
+
, % 7 14
=
# '3Œ5 '3Œ5
. 1- _
* + 7 14
) $
'3Œ5
=
점 H가 선분 BM 위에 놓일 때 점 H에서 모서리 BC, CD 3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I, J라 하자. tan`(hÁ+hª)>0이므로 h=hÁ+hª이다.
CIÕ=CJÕ=k라 하면 △MBC»△HBI이므로 '3Œ5
따라서 tan`h=
BCÓ`:`MCÓ=BIÕ`:`HIÕ 3

즉, 2`:`1=(2-k)`:`k에서  ②

3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2 두 점 P, Q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은 각각 P', Q'이다. OQÁ'Ó=AOÓ`cos`;3Ò;=4_;2!;=2
FÁ, Fª의 평면 a 위에 놓인 밑면의 중심을 각각 OÁ, Oª라
직각삼각형 QÁ'OHÁ에서
하고 직선 OÁOª를 l이라 하자.
'3
직각삼각형 POP'에서 QÁ'HÁÓ=QÁ'OÓ`sin`;3Ò;=2_ ='3,
2
OP'Ó=¿¹ POÓ Û`-PP'Ó Û`=¿¹('6 )Û`-2Û`='2
OHÁÓ=QÁ'OÓ`cos`;3Ò;=2_;2!;=1
삼각형 P'OOÁ에서
OOÁÓ=P'OÁÓ=1, P'OÓ='2이므로 또한 직각삼각형 AOQª'에서
'3
∠P'OOÁ=;4Ò; OQª'Ó=AOÓ`cos`;6Ò;=4_ =2'3
2

즉, 두 직선 OP', l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4Ò;이다. 직각삼각형 Qª'OHª에서

Qª'HªÓ=Qª'OÓ`sin`;6Ò;=2'3_;2!;='3,
이때 두 직선 OP', OQ'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1É2;이므로
'3
두 직선 OQ', l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OHªÓ=Qª'OÓ`cos`;6Ò;=2'3_ =3
2
;4Ò;+;1É2;=;3Ò; 또는 ;4Ò;-;1É2;=;6Ò; 따라서 QÁ'HÁÓ=Qª'HªÓ='3이므로 직선 QÁ'Qª'은 직선 l과
이다. 평행하고 QÁ'Qª'Ó=HÁHªÓ=OHªÓ-OHÁÓ=3-1=2이다.
점 OÁ에서 직선 QÁ'Qª'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m
2„ 2m PP'Ó⊥a이고 P'HÓ는 직선 QÁ'Qª'과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
리에 의하여 PHÓ는 직선 QÁ'Qª'과 수직이다.
1
'„ P'HÓ=OÁP'Ó+QÁ'HÁÓ=1+'3
직각삼각형 PHP'에서
1 0m
PHÓ Û`=HP'Ó Û`+PP'Ó Û`=(1+'3 )Û`+2Û`=8+2'3
M
SÛ`={;2!;_QÁ'Qª'Ó_PHÓ}Û`
= 0„ ) 0 2„ 2m

=;4!;_QÁ'Qª'Ó Û`_PHÓ Û`
두 직선 OQ', l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3Ò;, ;6Ò;일 때 직선 OQ'
=;4!;_4_(8+2'3 )
이 Fª의 평면 a 위에 놓인 밑면인 원과 만나는 점을 각각
QÁ', Qª'이라 하면 두 직선 QÁQÁ', QªQª'은 각각 평면 a와 =8+2'3
수직이다. 이므로
원기둥 FÁ의 점 P가 있는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을 b라 하 a=8, b=2
면 두 점 QÁ과 QÁ', 두 점 Qª와 Qª'은 각각 평면 b에 대하여 따라서 a+b=8+2=10
대칭이므로 삼각형 PQÁQª의 넓이와 삼각형 PQÁ'Qª'의 넓   10
이는 서로 같다.
직선 l이 Fª의 평면 a 위에 놓인 밑면인 원과 만나는 점 O
가 아닌 점을 A라 하고 두 점 QÁ', Qª'에서 직선 l에 내린 Ú ∠AOQ'=;3Ò;일 때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자.
직각삼각형 AOQ'에서

1 OQ'Ó=AOÓ`cos`;3Ò;=4_;2!;=2
w•
)„ 0m )m " 따라서 직각삼각형 QOQ'에서
M
0„ 0
OQÓ=¿¹ OQ'Ó Û`+QQ'Ó Û`="Ã2Û`+4Û`=2'5

) 2„ 2m Û ∠AOQ'=;6Ò;일 때

직각삼각형 AOQÁ'에서 직각삼각형 AOQ'에서

정답과 풀이 35
정답과 풀이

'3 EFÓ⊥BCÓ, NFÓ⊥BCÓ이므로


OQ'Ó=AOÓ`cos`;6Ò;=4_ =2'3
2 직각삼각형 NFE에서 ∠NFE=hÁ이고
따라서 직각삼각형 QOQ'에서
NEÓ=;2!; OMÓ=;2!;_4=2,
OQÓ=¿¹ OQ'Ó Û`+QQ'Ó Û`=¿¹(2'3 )Û`+4Û`=2'7
NFÓ=¿¹ FEÓ Û`+NEÓ Û`=¿¹(3'2 )Û`+2Û`='2Œ2이므로
NEÓ 2 '2Œ2
sin`hÁ= = = ,
NFÓ '2Œ 2 11
FEÓ 3'2 3'1Œ1
3 점 M을 지나고 평면 a에 수직인 직선이 구와 만나는 두 점 cos`hÁ= =
NFÓ '2Œ2
=
11
중 점 M과의 거리가 더 먼 점을 D라 하면 MDÓ=9이므로 또한 OMÓ⊥a이고 점 M에서 직선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OMÓ=MDÓ-5=9-5=4 G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OGÓ⊥BCÓ이다.
직각삼각형 OAM에서 OAÓ=5이므로 즉, △ABC»△MGC이고 닮음비는
AMÓ=¿¹ OAÓ Û`-OMÓ Û`="Ã5Û`-4Û`=3 ACÓ`:`MCÓ=6`:`3=2`:`1이므로
% MGÓ=;2!; ABÓ=;2!;_4'2=2'2

4 두 평면 OBC, a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ª라 하면


MGÓ⊥BCÓ, OGÓ⊥BCÓ이므로
0 직각삼각형 OGM에서 ∠OGM=hª이고
/ OGÓ=¿¹ GMÓ Û`+OMÓ Û`=¿¹(2'2 )Û`+4Û`=2'6이므로
(
'6
&
OMÓ 4
" $ sin`hª= = = ,
= OGÓ 2'6 3
. '
# GMÓ 2'2 '3
cos`hª= = =
OGÓ 2'6 3
원 T에 내접하는 삼각형 ABC에서 변 AC가 원 T의 지름
따라서 두 평면 NBC, OBC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이므로 ∠ABC=;2Ò;이고 cos`h=cos`(hª-hÁ)
ACÓ=2 AMÓ=2_3=6, BCÓ=2 =cos`hª`cos`hÁ+sin`hª sin`hÁ
직각삼각형 ACB에서 '3 3'1Œ1 '6 '2Œ2 5'3Œ3
= _ + _ =
ABÓ=¿¹ ACÓ Û`-CBÓ Û`="Ã6Û`-2Û`=4'2
3 11 3 11 33
삼각형 NBC의 넓이를 SÁ이라 하면
점 N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 하면 점 E는 선
분 AM의 중점이다. 또 점 E에서 직선 BC에 내린 수선의 SÁ=;2!;_BCÓ_NFÓ=;2!;_2_'2Œ2='2Œ2
발을 F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NFÓ⊥BCÓ이다. 따라서 삼각형 NBC의 평면 OBC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5 Sª라 하면
5'3Œ3 5'6
Sª=SÁ`cos`h='2Œ2_ =
33 3
& .
" $  ④
(
'
#

△ABC»△EFC이고 닮음비는
ACÓ`:`ECÓ=6`:`;2(;=4`:`3이므로

EFÓ=;4#; ABÓ=;4#;_4'2=3'2

두 평면 NBC, a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Á이라 하면

3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07
a+2 b-2 c-6
즉, G{ , , }
공간좌표 3 3 3
따라서 삼각형 GBC의 무게중심을 S라 하면 S의 좌표는

» ¼
a+2 b-2 c-6
+2+0 +0-2 -4-2
3 3 3
유제 본문 73~77쪽 S , ,
3 3 3
1④ 2④ 3 24 4 13 5⑤ 즉, S{
a+8 b-8 c-24
, , }
9 9 9
이때 점 S가 원점이므로
1 세 모서리 AD, AB, AE가 각각 x축, y축, z축에 평행하고 a+8
=0,
b-8
=0,
c-24
=0
꼭짓점 A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은 꼭짓점 G이 9 9 9
고 점 B의 모든 좌표가 양수이므로 좌표공간은 다음과 같다. a=-8, b=8, c=24
(단, O는 원점이다.) 따라서 a+b+c=-8+8+24=24
%   24
$

[ #
YZ평면
" "
Z
) Y 0
(
*
Z[평면
&
'
[Y평면
(
ㄱ. ‌점 C를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은 점 B이다.
 (거짓) 4
ㄴ. ‌두 선분 AF, BE의 교점을 I라 하면 두 꼭짓점 A, B에 # $
.
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은 I로 서로 같다. (참)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ㄷ. ‌점 E는 점 B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이므로
G는 선분 AM을 2`:`1로 내분하는 점이다.
점 E의 좌표는 E(2, -2, -2)이다.
또한 삼각형 GBC의 무게중심을 S라 하면 S는 선분 GM을
따라서 점 E에서 zx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2`:`1로 내분하는 점이다.
(2, 0, -2)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즉, SMÓ=;3!; GMÓ=;3!;_;3!; AMÓ=;9!; AMÓ이므로 점 S는 선
 ④ 분 AM을 8`:`1로 내분하는 점이다.
점 M의 좌표는
2+0 0-2 -4-2
M{ , , }
2 선분 AB의 중점이 xy평면 위에 있으므로 이 점의 z좌표는 2 2 2
0이다. 즉, M(1, -1, -3)
-6+a 선분 AM을 8`:`1로 내분하는 점 S의 좌표는
즉, =0에서 a=6
2 8_1+1_a 8_(-1)+1_b 8_(-3)+1_c
S{ , , }
따라서 OBÓ="Ã2Û`+(-3)Û`+6Û`='4Œ9=7 8+1 8+1 8+1
8+a -8+b -24+c
}
 ④
즉, S{ , ,
9 9 9
이때 점 S가 원점이므로

3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a+8


9
=0,
b-8
9
=0,
c-24
9
=0
a+2+0 b+0-2 c-4-2
G{ , , } a=-8, b=8, c=24
3 3 3

정답과 풀이 37
정답과 풀이

따라서 a+b+c=-8+8+24=24
(x-1)Û`+yÛ`+(z-4)Û`=25에 x=0, y=0을 대입하면
(0-1)Û`+0Û`+(z-4)Û`=25
(z-4)Û`=24
4 점 (1, -2, -3)을 중심으로 하고 xy평면에 접하는 구의 z=4Ñ2'6
반지름의 길이는 |-3|=3이므로 구하는 구의 방정식은 따라서 두 점 E, F의 좌표는
(x-1)Û`+(y+2)Û`+(z+3)Û`=3Û` E(0, 0, 4+2'6 ), F(0, 0, 4-2'6 )
xÛ`+yÛ`+zÛ`-2x+4y+6z+5=0
따라서 a=-2, b=4, c=6, d=5이므로
a+b+c+d=-2+4+6+5=13
  13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78쪽

12 2④ 3④ 4 126 5 72
5 점 C의 y좌표가 0이므로 점 C는 zx평면 위에 놓인다.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M의 좌표는
4+(-2) 0+0 0+0
M{ , , } 1 점 A(a, b, a+b)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의 좌표는
2 2 2
P(a, b, 0)이므로
즉, M(1, 0, 0)
a+b=4   yy`㉠
점 M을 지나고 xy평면에 수직인 직선이 구의 중심 C를 지
점 A(a, b, a+b)에서 yz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의 좌표는
나므로 두 점 C, M의 x좌표는 서로 같다.
Q(0, b, a+b)이므로
a=1
a+2b=10   yy`㉡
구 S와 zx평면이 만나서 생기는 원은 다음 그림과 같다.
㉠, ㉡에서 a=-2, b=6
[
점 A(a, b, a+b)에서 zx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의 좌표는
&
R(a, 0, a+b)이므로
/ 점 R의 x좌표, y좌표, z좌표의 합은
 $
2a+b=2_(-2)+6=2
# . "  2
  Y
'
0 

직각삼각형 CAM에서
AMÓ=4-1=3, CMÓ=4이므로
2 APÓ=OPÓ에서 APÓ Û`=OPÓ Û`이므로
{0-(-4)}Û`+(a-0)Û`+(b-2)Û`=aÛ`+bÛ`
CAÓ=¿¹ AMÓ Û`+CMÓ Û`="Ã3Û`+4Û`=5 aÛ`+bÛ`-4b+20=aÛ`+bÛ`
따라서 구 S는 중심이 C(1, 0, 4)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 4b=20
이므로 구 S의 방정식은 b=5
(x-1)Û`+yÛ`+(z-4)Û`=25   yy`㉠ BPÓ=OPÓ에서 BPÓ Û`=OPÓ Û`이므로
선분 EF의 중점을 N이라 하면 CNÓ=1이므로 (0-1)Û`+{a-(-1)}Û`+(b-0)Û`=aÛ`+bÛ`
두 점 E, F 중 z좌표가 양수인 점을 E라 하면 직각삼각형 aÛ`+bÛ`+2a+2=aÛ`+bÛ`
CEN에서 2a=-2
ENÓ=¿¹ CEÓ Û`-CNÓ Û`="Ã5Û`-1Û`=2'6 a=-1
따라서 EFÓ=2ENÓ=2_2'6=4'6 따라서 a+b=-1+5=4
 ⑤  ④

3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3 두 점 A(a, 3, -4), B(4, -3, b)에 대하여 선분 AB를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79~80쪽
1`:`2로 내분하는 점을 P라 하면 점 P가 y축 위에 있으므로
점 P의 x좌표와 z좌표가 모두 0이다. 1 11 2 55 3④ 4⑤ 5 15
1_4+2_a 6① 7④
=0에서 a=-2
1+2
1_b+2_(-4)
=0에서 b=8
1+2 1 면 ABC는 zx평면 위에 놓여 있고, 두 점 C, E의 z좌표가
따라서 a+b=-2+8=6 서로 같으므로 평면 BCFE는 xy평면과 평행하다.
 ④ 점 C, F의 x좌표, z좌표는 각각 서로 같고, 두 점 E, F의
y좌표는 서로 같으므로 점 F의 좌표는
F(2, 10, -1)
4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직선 EF는 x축과 평행하므로 EFÓ=2-(-4)=6
a+0+0 0+2a+0 0+0+3a
{ , , }, 점 D에서 평면 BCFE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3 3 3
'3
DMÓ=DEÓ`sin`;3Ò;=6_ =3'3
즉 {;3A;, :ª3:, a}이므로 2
점 M은 선분 EF의 중점이므로 점 M의 좌표는
OGÓ=®É{;3A;}Û`+{:ª3:}Û``+aÛ` -4+2 10+10 -1-1
M{ , , }
2 2 2
=¾Ð
14aÛ`
9 즉, M(-1, 10, -1)

|a|'1Œ4 점 D의 z좌표는 점 M의 z좌표보다 3'3만큼 크거나 작은


= 데 c>0이므로 3'3만큼 크다. 따라서 점 D의 좌표는
3
|a|'1Œ4 D(-1, 10, -1+3'3 )
=14에서
3 %
|a|=3'1Œ4이므로
"
aÛ`=(3'1Œ4)Û`=126 &
  126 . '
#
$

5 구 S의 중심의 x좌표를 k라 하면 중심의 좌표는 따라서 a=-1, b=10, c=-1+3'3이므로


(k, 2, -3)이다. a+b+c=-1+10+(-1+3'3 )=8+3'3
구 S의 반지름의 길이는 7이므로 구 S의 방정식은 다음과 즉, m=8, n=3이므로
같다. m+n=8+3=11
(x-k)Û`+(y-2)Û`+(z+3)Û`=7Û`   yy`㉠   11
조건 (가)에서 이 구가 원점을 지나므로 ㉠에 x=y=z=0
을 대입하면
(0-k)Û`+(0-2)Û`+(0+3)Û`=7Û`, kÛ`=36 2 FÁ¼은 Sª의 영역에 속하므로
k=Ñ6 aÉ0, b¾0, c¾0
이 값을 ㉠에 대입하여 전개하면 이다.
xÛ`+yÛ`+zÛ`-12x-4y+6z=0 FÁ¼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10이므로
또는 xÛ`+yÛ`+zÛ`+12x-4y+6z=0 a=-10, b=10

또한 c=;K+!`k=
따라서 a=Ñ12, b=-4, c=6, d=0이므로 10 10_11
=55
aÛ` 144 2
= =72
b+c+d 2 따라서 a+b+c=-10+10+55=55
  72   55

정답과 풀이 39
정답과 풀이

3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은 A(6, 0, 0) 5 OAÓ="Ã1Û`+(-3)Û`+2Û`='1Œ4,


점 P를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은 B(-6, 3, 4) OBÓ="Ã3Û`+(-1)Û`+(-2)Û`='1Œ4
두 직선 AP와 BP는 수직이므로 삼각형 APB는 이므로 삼각형 AOB는 OAÓ=OB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M의 좌표는
∠APB=;2Ò;인 직각삼각형이다.
1+3 -3+(-1) 2+(-2)
M{ , , },
[ 2 2 2
#   
즉 M(2, -2, 0)이므로
OMÓ="Ã2Û`+(-2)Û`+0Û`=2'2
또한
1    ABÓ="Ã(3-1)Û`+{-1-(-3)}Û`+(-2-2)Û`=2'6
0 Z 따라서 삼각형 AOB의 넓이는
"    ;2!;_ABÓ_OMÓ=;2!;_2'6_2'2=4'3
Y 삼각형 AOP의 넓이를 SÁ, 삼각형 BOP의 넓이를 Sª라 하
직각삼각형 APB에서 면 Sª=4'3-'3=3'3이므로
SÁ``:`Sª='3`:`3'3=1`:`3
;2!;_APÓ_BPÓ=;2!;_ABÓ_PHÓ이고
즉, APÓ`:`BPÓ=1`:`3이므로 m`:`n=1`:`3
APÓ="Ã(6-6)Û`+(3-0)Û`+(4-0)Û`=5 또한 점 P의 좌표는
BPÓ="Ã{6-(-6)}Û`+(3-3)Û`+(4-4)Û`=12 1_3+3_1 1_(-1)+3_(-3)
P{
ABÓ="Ã(-6-6)Û`+(3-0)Û`+(4-0)Û`=13
, ,
1+3 1+3
이다. 1_(-2)+3_2
}
APÓ_BPÓ 5_12 1+3
따라서 PHÓ= = =;1^3);
ABÓ 13
즉, P{;2#;, -;2%;, 1}
 ④
n
따라서 a=;2#;, b=-;2%;, c=1이고 =3이므로
m
4 두 점 A(a, 2, 4), B(b, 5, -2)의 yz평면 위로의 정사영 n(|a|+|b|+|c|)
=3_{|;2#;|+|-;2%;|+|1|}=15
을 각각 A', B'이라 하면 m
A'(0, 2, 4), B'(0, 5, -2)이다.   15
A'B'Ó=ABÓ`cos`30ù에서
"Ã(0-0)Û`+(5-2)Û`+(-2-4)Û`
'3
="Ã(b-a)Û`+(5-2)Û`+(-2-4)Û`_
2 6 구 xÛ`+yÛ`+zÛ`+2x-4y-10z+k=0에서
(x+1)Û`+(y-2)Û`+(z-5)Û`=30-k   yy`㉠
'3
'4Œ5="Ã(b-a)Û`+45_ 이므로 구의 중심을 C,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2
C(-1, 2, 5), r='Ä30-k이다.
45={(b-a)Û`+45}_;4#;
두 점 A(1, -3, -5), C(-1, 2, 5) 사이의 거리는
(b-a)Û`=15   yy`㉠ "Ã(-1-1)Û`+{2-(-3)}Û`+{5-(-5)}Û`='¶129
또한 선분 AB를 2`:`1로 외분하는 점이 yz평면 위에 있으 이므로 직각삼각형 CAP에서
r=¿¹ CAÓ Û`-APÓ Û`='Ä129-100='2Œ9
므로 이 점의 x좌표는 0이다.
2_b-1_a
=0에서 a=2b   yy`㉡ 1
2-1

㉠, ㉡에서 bÛ`=15, aÛ`=4bÛ`=60이므로 S
"
aÛ`+bÛ`=60+15=75 $

 ⑤

4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따라서 rÛ`=30-k이므로 만족시키면 구 S는 ③의 영역을 지난다.
k=30-rÛ`=30-29=1 mÛ`+4<70   yy`㉤
 ① 점 C에서 원점까지의 거리가 "Ã2Û`+mÛ`+nÛ`이므로 다음 조
건을 만족시키면 구 S는 ④의 영역을 지난다.
mÛ`+nÛ`+4<70   yy`㉥
구 S는 ⑤, ①의 영역을 지나므로 6개의 영역을 지나려면
7 좌표공간은 xy평면, yz평면, zx평면 위의 점들을 제외하면 ㉠~㉥의 조건 중 4개만 만족시켜야 한다.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의해 다음과 같이 8개의 영역으 ㉥을 만족시키면 ㉠~㉤의 조건도 모두 만족시키므로 ㉥을
로 나눌 수 있다. 만족시키면 안 된다.
① x>0, y>0, z>0인 영역 mÛ`+nÛ`¾66   yy`㉦
② x>0, y>0, z<0인 영역 ㉠~㉤에서 m, n은 모두 8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을 만족
③ x>0, y<0, z>0인 영역 시키려면 m+1, n+1이다.
④ x>0, y<0, z<0인 영역 한편, ㉢을 만족시키면 ㉠, ㉡, ㉣, ㉤의 조건도 모두 만족시
⑤ x<0, y>0, z>0인 영역 키므로 ㉢을 만족시키면 안 된다.
⑥ x<0, y>0, z<0인 영역 mÛ`+nÛ`¾70   yy`㉧
⑦ x<0, y<0, z>0인 영역 ㉠, ㉡, ㉣, ㉤, ㉧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m, n의 순서쌍
⑧ x<0, y<0, z<0인 영역 (m, n)은 ㉧을 만족시키는 8 이하의 두 자연수 m, n의 순
구 (x+2)Û`+(y-m)Û`+(z-n)Û`=70을 S라 하자. 서쌍 (m, n)이다.
[ 따라서 (m, n)은 다음과 같다.
€`™ b`Nh™
(3, 8)
$  N O
O (4, 8)
nN™ O™ €`™ b`Oh™ (5, 7), (5, 8)

0 (6, 6), (6, 7), (6, 8)
N Z
(7, 5), (7, 6), (7, 7), (7, 8)
€`™ b`Nh™ b`Oh™
Y (8, 3), (8, 4), (8, 5), (8, 6), (8, 7), (8, 8)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17이다.
구 S의 중심을 C라 하면 점 C의 좌표는 C(-2, m, n)이
 ④
므로 구 S는 ⑤의 영역을 지난다.
또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r='7Œ0이고, r>2이므
로 구 S는 ①의 영역을 지난다.
점 C에서 xy평면까지의 거리가 n이므로 다음 조건을 만족
시키면 구 S는 ⑥의 영역을 지난다.
nÛ`<70   yy`㉠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81쪽

점 C에서 zx평면까지의 거리가 m이므로 다음 조건을 만족 1 29 2③ 36


시키면 구 S는 ⑦의 영역을 지난다.
mÛ`<70   yy`㉡
점 C에서 x축까지의 거리가 "ÃmÛ`+nÛ`이므로 다음 조건을 1 꼭짓점 A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
만족시키면 구 S는 ⑧의 영역을 지난다. 의 좌표는 (2, 3, 0)이고 점 H는 정사각형 BCDE의 두 대
mÛ`+nÛ`<70   yy`㉢ 각선의 교점이다.
점 C에서 y축까지의 거리가 "Ã2Û`+nÛ`이므로 다음 조건을 만 xy평면 위에 있는 두 점 B(-7, -6, 0), H(2, 3, 0)에
족시키면 구 S는 ②의 영역을 지난다. 대하여 직선 BH가 x축과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45ù이고
nÛ`+4<70   yy`㉣ 점 C의 x좌표가 양수이므로 정사각형 BCDE의 두 변 BC,
점 C에서 z축까지의 거리가 "Ã2Û`+mÛ`이므로 다음 조건을 ED는 x축과 평행하고, 두 변 BE, CD는 y축과 평행하다.

정답과 풀이 41
정답과 풀이

Z GNÓ=;3!; ANÓ=;3!;_15=5
%
&
NIÕ=GNÓ=5
FIÕ=NIÕ`tan`h=5_2=10
)
 Z
 0  Y 
& %

#  $
 ) / *
.
정사각형 BCDE의 한 변의 길이를 k라 하면  0    Y
'2k
BHÓ=®É{;2K;}Û`+{;2K;}Û`=     yy`㉠ #  $
2
또한 B(-7, -6, 0), H(2, 3, 0)에서
BHÓ="Ã{2-(-7)}Û`+{3-(-6)}Û`+(0-0)Û`=9'2 따라서
 yy`㉡ a=2+HNÓ+NIÕ=2+9+5=16,
'2k b=3,
㉠, ㉡에서 =9'2이므로 k=18
2 c=FIÕ=10이므로
또한 점 A의 좌표는 (2, 3, 12)이므로 AHÓ=12 a+b+c=16+3+10=29
두 선분 BE, CD의 중점을 각각 M, N, 구 S와 xy평면이   29
만나는 점을 I라 하고 ∠FNG=h라 하면
사각뿔 A-BCDE와 구 S를 평면 AMN으로 자른 단면
은 다음과 같다.
4 2 [
" " % $
'
' #
"
% ( D .
& ( ) 0
. ) / * . ) / *
# ( Z
$
& /
∠FNI=h이므로∠ANH=p-2h Y '

직각삼각형 ANH에서 점 H가 원점 O가 되고 세 점 E, G, D의 좌표가 각각


AHÓ
tan (∠ANH)= =:Á9ª:=;3$;    yy`㉢ E(12, 0, 0), G(0, 12, 0), D(0, 0, 12)가 되도록 좌표공
NHÓ
간을 설정하면 두 점 A, F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tan (p-2h)=-tan`2h
A(12, 0, 12), F(12, 12, 0)
=-tan`(h+h)
점 M은 선분 AG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M의 좌
tan`h+tan`h
=-  yy`㉣ 표는
1-tanÛ``h
3_0+1_12 3_12+1_0 3_0+1_12
2`tan`h M{ , , }
㉢, ㉣에서 - =;3$; 3+1 3+1 3+1
1-tanÛ``h
즉, M(3, 9, 3)
-6`tan`h=4-4`tanÛ``h
선분 FG의 중점 N의 좌표는
2`tanÛ``h-3`tan`h-2=0
12+0 12+12 0+0
(2`tan`h+1)(tan`h-2)=0 N{ , , }
2 2 2
tan`h>0이므로 tan`h=2
즉, N(6, 12, 0)
또한 직각삼각형 ANH에서
따라서 출발 후 t(0ÉtÉ3)초 후의 두 점 P, Q의 좌표는
ANÓ=¿¹ AHÓ Û`+NHÓ Û`="Ã12Û`+9Û`=15이므로 각각 P(3-t, 9+t, 3-t), Q(2t, 4t, 12-4t)이므로

4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PQÓ="Ã{2t-(3-t)}Û`+{4t-(9+t)}Û`+{12-4t-(3-t)}Û` H(0, a, 0), ∠BFH=30ù이므로
="Ã(3t-3)Û`+(3t-9)Û`+(-3t+9)Û`
BHÓ=BFÓ`sin`30ù=12_;2!;=6
=3"Ã(t-1)Û`+(t-3)Û`+(t-3)Û`
따라서 a=6
=3"Ã3tÛ`-14t+19
 6
=3®É3{tÛ`-:Á3¢:t}+19

=3®É3{t-;3&;}Û`+;3*;

따라서 t=;3&;일 때 두 점 P, Q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3®;3*;=2'6

 ③

3 구 C가 xy평면에 접해 있는 점을 B라 하고, 구 S의 중심을


Q, 점 Q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R라 하면
ARÓ=ABÓ+PQÓ=4+5=9, AQÓ=15이므로
직각삼각형 AQR에서
QRÓ=¿¹ AQÓ Û`-ARÓ Û`="Ã15Û`-9Û`=12
$

"
1
#

3 2
4

BPÓ=RQÓ=12이므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 L은 다음 그
림과 같이 중심이 점 B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2인 원이다.
도형 L과 x축의 양의 방향이 만나는 점을 E, 도형 L과 y축
의 양의 방향이 만나는 점을 F라 하면 x¾0, y¾0을 만족

시키는 도형 L의 길이가 도형 L의 전체 길이의 ;1°2;이므로

색칠한 부채꼴 EBF의 중심각의 크기는 360ù_;1°2;=150ù

이다.
Z
QR코드 앱을 사용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세요.
'
±
±
 )
B
수학의 왕도
# ±
±
0 B & Y
수학 공부에 길이 있다면
그것은 [수학의 왕도]
점 B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의 좌표는

정답과 풀이 43
정답과 풀이

08
=¿¹(2+2)Û`+('2 )Û`
공간벡터 ='1Œ8=3'2
 ④

유제 본문 85~91쪽

1⑤ 2④ 3③ 4 56 5②
3 정사면체 OABC에서 OA³=aø, OB³=bø, OC³=cø라 하면 두
67 점 M, N은 각각 선분 AB, OC의 중점이므로

OÕM³=;2!;(OA³+OB³)=;2!;(aø+bø)
1 AB³-DE³-BF³‌=AB³+ED³+FB³
ON³=;2!;`OC³=;2!; cø
=AB³+BC³+DA³
=AC³+DA³ 이때 점 P는 선분 MN의 중점이므로
=DA³+AC³ OP³=;2!;(OÕM³+ON³)
=DC³
=EB³ =;2!;[;2!;(aø+bø)+;2!; cø ]

=;4!;(aø+bø+cø)   yy`㉠
 ⑤

한편, 점 G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2 AP³+FG³-BG³‌=AP³+FG³+GB³ OG³=;3!;(OA³+OB³+OC³)
=AP³+FÕB²
=;3!;(aø+bø+cø)   yy`㉡
=AP³+EÕA³
=EÕA³+AP³ ㉠, ㉡에서 OP³=;4#;`OG³
=EP³
따라서 k=;4#;
1
 ③

%
$
2
"
#
4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 BA³=k BC³
(
3 를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한다.
&
'
좌표공간의 원점을 O라 하면
그림과 같이 점 P에서 평면 A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BA³‌=OA³-OB³
평면 EFGH에 내린 수선의 발을 R라 하면 =(2, x, -2)-(0, 1, 1)
점 Q는 정사각형 ABCD의 두 대각선의 교점이고, =(2, x-1, -3)
점 R는 정사각형 EFGH의 두 대각선의 교점이므로 BC³‌=OC³-OB³
AQÓ=ERÓ='2 =(y, 0, 4)-(0, 1, 1)
이때 직각삼각형 PAQ에서 PAÓ='6이므로 =(y, -1, 3)
PQÓ='Ä6-2=2 이므로 BA³=k BC³에서
따라서 (2, x-1, -3)=k(y, -1, 3)
|AP³+FG³-BG³|‌=|EP³| 즉, 2=ky, x-1=-k, -3=3k이므로
=EPÓ k=-1, x=2, y=-2
=¿¹ PRÓ Û`+ERÓ Û` 따라서 A(2, 2, -2), C(-2, 0, 4)에서

4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AC³‌=OC³-OA³ 1 점 P는 삼각형 DEG의 무게중심이고
=(-2, 0, 4)-(2, 2, -2) AD³=bø, AE³=cø, AG³=aø+bø+cø
=(-4, -2, 6) 이므로

AP³=;3!;(AD³+AE³+AG³)
이므로
|AC³|Û`=(-4)Û`+(-2)Û`+6Û`=56
  56 =;3!;{ bø+cø+(aø+bø+cø)}

=;3!;(aø+2bø+2cø)

이때 AB³=aø이므로
5 aø+bø‌=(-2, x, 0)+(1, 0, y)
=(-1, x, y) BP³=AP³-AB³
이므로 |aø+bø|=5에서 =;3!;(aø+2bø+2cø)-aø
"Ã1+xÛ`+yÛ`=5
=-;3@; aø+;3@; bø+;3@; cø
즉, xÛ`+yÛ`=24
이때 x>0, y>0이므로 따라서 x=-;3@;, y=;3@;, z=;3@;이므로
xÛ`+yÛ`¾2"ÃxÛ` yÛ`=2xy에서
xÛ`+yÛ` x+y+z=-;3@;+;3@;+;3@;=;3@;
xyÉ =:ª2¢:=12
2
 ④
 (단, 등호는 x=y=2'3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구하는 xy의 최댓값은 12이다.
 ②
2 aø=(1, 0, -2), bø=(2, -1, 3), cø=(0, 1, 4)
이므로
aø-2bø+cø‌=(1, 0, -2)-2(2, -1, 3)+(0, 1, 4)
6 점 P의 좌표를 (x, y, 0)이라 하면 원점 O에 대하여
=(-3, 3, -4)
PA³‌=OA³-OP³
따라서
=(1, 3, 3)-(x, y, 0)
|aø-2bø+cø|Û`‌=(-3)Û`+3Û`+(-4)Û`
=(1-x, 3-y, 3)
=34
PB³‌=OB³-OP³
  34
=(3, -1, 4)-(x, y, 0)
=(3-x, -1-y, 4)
이므로
PA³•PB³‌=(1-x, 3-y, 3)•(3-x, -1-y, 4)
3 AB³=aø, AC³=bø, AD³=cø라 하면

=(1-x)(3-x)+(3-y)(-1-y)+3_4 AÕM³=;2!;(aø+bø),
=xÛ`-4x+yÛ`-2y+12
=(x-2)Û`+(y-1)Û`+7 CN³=AN³-AC³=;2!; cø-bø이므로

따라서 PA³•PB³의 최솟값은 x=2, y=1일 때 7이다.


³ CN³=;2!;(aø+bø)•{;2!; cø-bø }
AÕM•
 7
=;4!; aø•cø-;2!; aø•bø+;4!; bø•cø-;2!; bø•bø

이때
aø•cø=aø•bø=bø•cø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92쪽
=4_4_cos`;3Ò;
1④ 2 34 3③ 4① 5④
=4_4_;2!;=8

정답과 풀이 45
정답과 풀이

이고 ABÓ=3, BÕMÓ=;2!; BEÓ=;2!;_4=2, ∠AMB=;2Ò;


bø•bø=|bø|Û`=4Û`=16
이므로
AMÓ="Ã3Û`-2Û`='5
따라서

³ CN³=;4!;_8-;2!;_8+;4!;_8-;2!;_16
AÕM• 따라서
=-8 |AB³-DÕA³+DE³|=|AB³+AE³|=2|AÕM³|
 ③ =2AÕMÓ=2'5
 ④

4 aø=(3, t+1, t), bø=(t-1, t, -2)에서 2 그림과 같이 직육면체 ABCD-EFGH의 꼭짓점 H가 원


aø•bø‌=(3, t+1, t)•(t-1, t, -2) 점 O가 되고 세 점 E, G, D의 좌표가 각각 E(2, 0, 0),
=3t-3+tÛ`+t-2t G(0, 3, 0), D(0, 0, 2)가 되도록 좌표공간을 설정한다.
=tÛ`+2t-3 [
=(t+1)Û`-4
% 2
따라서 aø•bø의 최솟값은 t=-1일 때 -4이다. $
1
 ① "
#

) 0 ( Z
&
'
5 A(2, 3, 2), B(0, 4, -1), C(1, 2, 2)에서
Y
BA³=(2, 3, 2)-(0, 4, -1)=(2, -1, 3),
두 점 D, F의 좌표가 각각 D(0, 0, 2), F(2, 3, 0)이므로
BC³=(1, 2, 2)-(0, 4, -1)=(1, -2, 3)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P{;2!;, ;4#;, ;2#;}
BA³•BC³
cos`h= 이때 점 E의 좌표가 E(2, 0, 0)이므로
|BA³||BC³|
(2, -1, 3)•(1, -2, 3) PE³={;2#;, -;4#;, -;2#;} yy`㉠
=
'Ä4+1+9 'Ä1+4+9
한편, 점 Q는 선분 CD 위에 있으므로 점 Q의 좌표를
2+2+9
= Q(0, a, 2)로 놓으면
14

=;1!4#; PQ³={-;2!;, a-;4#;, ;2!;} yy`㉡

 ④ PQ³=k PE³이므로 ㉠, ㉡에서

{-;2!;, a-;4#;, ;2!;}=k{;2#;, -;4#;, -;2#;}

즉, -;2!;=;2#;k, a-;4#;=-;4#;k, ;2!;=-;2#;k이므로

k=-;3!;, a=1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93쪽
이때
1④ 2④ 3③ 4① CQ³=OQ³-OC³
=(0, 1, 2)-(0, 3, 2)
=(0, -2, 0)
1 AB³-DA³+DE³‌=AB³+AD³+DE³
이므로 |CQ³|=2
=AB³+AE³
따라서 k+|CQ³|=-;3!;+2=;3%;
이때 삼각형 ABE에서 선분 BE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B³+AE³=2AÕM이
³ 고  ④

4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사각형 DEFC는 DCÓ=3, DEÓ=2'2인 직사각형이고 0

PQ³=k PE³ (k는 실수)이므로 세 점 P, Q, E는 한 직선 위


/
에 있다. . 1
2 이때 OPÓ=2, MPÓ=1, OPÓ⊥MPÓ이므로
% $
1
∠OMP=h라 하면 cos`h=
1 '5
1
즉, cos`(∠OMN)=cos`(p-h)=-cos`h=-
'5
& ' 이므로
두 삼각형 PQD, PEF는 서로 닮음이고 MÕO³•MÕN³=|MÕO³||MÕN³|cos`(∠OMN)
PDÓ`:`PFÓ=1`:`3이므로 PQÓ`:`PEÓ=1`:`3 1
='5_6_{- }=-6
'5
즉, |PQ³|=;3!;|PE³|
³ b에서 MÕO³⊥NÕA이
한편, NÕA⊥ ³ 므로 MÕO³•NÕA³=0
이때 PQ³는 PE³와 방향이 반대이므로 따라서
PQ³=-;3!;PE³ MÕO³•MÕA³=MÕO³•(MÕN³+NÕA³)
=MÕO³•MÕN³+MÕO³•NÕA³
즉, k=-;3!;
=-6+0=-6
마찬가지로 DQÓ`:`EFÓ=1`:`3에서 DQÓ=1이므로  ①
|CQ³|=CQÓ=3-DQÓ=3-1=2

따라서 k+|CQ³|=-;3!;+2=;3%; 선분 AD의 중점을 N이라 하고 점 N이 원점, 두 점 A, M


의 좌표가 각각 A(3, 0, 0), M(0, 6, 0)이 되고 점 O의 z
좌표가 양수가 되도록 좌표공간을 설정하면 O(0, 7, 2)이
므로
MÕO³•MÕA³=(0, 1, 2)•(3, -6, 0)=-6

3 구 (x-3)Û`+yÛ`+zÛ`=4의 중심을 C라 하면
OP³•OQ³‌=OP³•(OC³+CQ³)
=OP³•OC³+OP³•CQ³
이때 OP³⊥OC³이므로 OP³•OC³=0이고 두 벡터 OP³, CQ³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0ÉhÉp)라 하면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94쪽
OP³•OQ³‌=OP³•CQ³
=|OP³||CQ³| cos`h 1③ 2② 3②
=4_2_cos`h
따라서 OP³•OQ³는 h=0일 때 최대이고 최댓값은 8이다.
 ③ 1 2 5
3 6
&
' 1 4 %

" $
#

4 세 점 O, M, P를 지나는 평면을 b, 선분 AD의 중점을 N BR³•CE³


이라 하면 두 평면 a, b는 서로 수직이고 점 N은 평면 b 위 =(BP³+PR³)•(CD³+DE³)
에 있다. =BP³•CD³+BP³•DE³+PR³•CD³+PR³•DE³

정답과 풀이 47
정답과 풀이

=AÕQ•
³ AF³+BP³•BA³+PR³•CD³+PR³•PQ³ 이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1_1_cos`;3Ò;+1_1_cos`;2Ò; 8'2+8+8'2=8+16'2
따라서 m=8, n=16이므로
+1_1_cos`0+1_1_cos`;3Ò; m+n=8+16=24
 ②
=;2!;+0+1+;2!;

=2
 ③
3 |AQ³|=2이므로 점 Q는 중심이 점 A이고 반지름의 길이
가 2인 구 위의 점이다. 이 구를 S라 하자.
또 두 벡터 OA³, AQ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ÉhÉp)

2 점 P는 선분 LM을 지름으로 하는 구 위를 움직이고, 점 Q 라 하면


는 선분 LN을 지름으로 하는 구 위를 움직이므로 두 선분 OA³•AQ³=|OA³||AQ³|cos`h
LM, LN의 중점을 각각 S, T라 하면 =4_2_cos`h=4
|PÕS²|=2, |TQ³|=2이고 에서 cos`h=;2!;이므로 h=;3Ò;이다.
PQ³•BG³‌=(PÕS²+ST³+TQ³)•BG³
즉, 점 Q는 점 (0, 5, 0)을 지나고 y축에 수직인 평면이 구
=PÕS•
² BG³+ST³•BG³+TQ³•BG³
S와 만나서 생기는 원 위를 움직인다. 이 원을 C라 하자.
이때 PÕS•
² BG³의 값은 두 벡터 PÕS,² BG³의 방향이 같을 때
한편, 구 xÛ`+yÛ`+zÛ`=3과 구 S를 yz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
|PÕS²|_|BG³|=2_4'2=8'2
[
마찬가지로 TQ³•BG³의 최댓값도 8'2이다.
[ #

% $
- 4 w
" .
# 0 "  Z
5
1 2
) 0 ( Z
& /
' 이때
Y AQ³•BP³=AQ³•(BO³+OP³)
=AQ³•BO³+AQ³•OP³
한편, 그림과 같이 점 H가 원점 O가 되고 세 점 E, G, D의
이므로 위 그림과 같이 원 C 위의 점 중에서 z좌표가 최소
좌표가 각각 E(4, 0, 0), G(0, 4, 0), D(0, 0, 4)가 되도록
인 점을 Q', 구 xÛ`+yÛ`+zÛ`=3 위의 점 P 중에서
좌표공간을 설정하면 점 B의 좌표는 B(4, 4, 4)이므로
OP³AÕQ'³인 점을 P'이라 하면
BG³=HG³-HB³
AQ³•BP³=AQ³•(BO³+OP³)
=(0, 4, 0)-(4, 4, 4)
=AQ³•BO³+AQ³•OP³
=(-4, 0, -4)
ÉAÕQ'³•BO³+AÕQ'³•OÕP'³
또 두 점 S, T의 좌표는 각각 S(2, 2, 4), T(2, 0, 2)이므
로 =2_k_cos`;6Ò;+2_'3_cos`0
ST³=HÕT³-HS³ =(k+2)'3=6'3
=(2, 0, 2)-(2, 2, 4) 따라서 k=4
=(0, -2, -2)  ②
즉,
ST³•BG³‌=(0, -2, -2)•(-4, 0, -4)
=0+0+8=8

4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09
-3
-1= 에서 a-1=3이므로 a=4
a-1
도형의 방정식
b-5
-1= 에서 b-5=3이므로 b=8
-3
따라서 a+b=4+8=12
유제 본문 97~105쪽
 ①
1③ 2① 3 33 4⑤ 5②
6② 7② 8④

3 주어진 두 직선의 방향벡터를 각각


uÕÁ²=(5, -4, 3), uÕª²=(2, 1, 2)라 하면
1 직선 l의 방정식은
x=1, z=3 ² uÕª²|
|uÕÁ•
cos`h=
이므로 직선 l 위의 임의의 점의 좌표는 |uÕÁ²||uÕª²|
(1, t, 3)`(t는 실수) |5_2+(-4)_1+3_2|
=
로 놓을 수 있다. "Ã5Û`+(-4)Û`+3Û` "Ã2Û`+1Û`+2Û`
12 2'2
x+1 6-y 4-z = =
또 직선 m`:` = = 위의 임의의 점의 좌 5'2_3 5
2 3 k
표는 이므로

(2s-1, -3s+6, -ks+4)`(s는 실수) cosÛ``h=;2¥5;


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p=25, q=8이므로
이때 두 직선 l, m이 만나는 점에서 p+q=25+8=33
1=2s-1   yy`㉠   33
t=-3s+6   yy`㉡
3=-ks+4   yy`㉢
이므로 ㉠에서 s=1
s=1을 ㉡에 대입하면 t=3
즉,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는 (1, 3, 3)이므로 4 직선 l의 방향벡터를 uÕÁ²=(2, -1, 2), 직선 m의 방향벡터
a=1, b=3, c=3 를 uÕª²=(-2, 1, -2)라 하면 uÕÁ
² uÕª이
² 므로 두 직선 l, m
또 s=1을 ㉢에 대입하면 3=-k+4에서 k=1 은 서로 평행하다.
따라서 k+a+b+c=1+1+3+3=8 즉, 직선 l 위의 임의의 점에서 직선 m에 내린 수선의 발까
 ③ 지의 거리가 |PQ³|의 최솟값이다.
직선 l 위의 점 A(1, -1, 0)에서 직선 m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점 H의 좌표를
H(-2t+1, t+3, -2t-7) (t는 실수)
2 a=1이면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 위의 모든 점의 y좌표 로 놓으면
가 1이어야 하는데, 점 (6, -2, b)가 이 직선 위에 있으므 AH³=(-2t+1, t+3, -2t-7)-(1, -1, 0)
로 a+1이다. =(-2t, t+4, -2t-7)
이때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이고, AH³⊥uÕª에
² 서 AH³•uÕª²=0이므로
x+3 y-1 z-5 (-2t, t+4, -2t-7)•(-2, 1, -2)=0
= =
3 a-1 -3
4t+t+4+4t+14=0
이고, 이 직선 위에 점 (-6, -2, b)가 있으므로
t=-2
-6+3 -2-1 b-5
= = 따라서 AH³=(4, 2, -3)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3 a-1 -3
-3 b-5 AHÓ=|AH³|="Ã4Û`+2Û`+(-3)Û`='2Œ9
즉, -1= =
a-1 -3  ⑤

정답과 풀이 49
정답과 풀이

5 주어진 평면의 방정식은 7 평면 b: x-4y-az+5=0의 법선벡터를


2(x-k)-3(y+4)+4(z+1)=0 nø=(1, -4, -a)
즉, 2x-3y+4z-2k-8=0   yy`㉠ 라 하면 AB³⊥nø에서
㉠에 y=0, z=0을 대입하면 AB³•nø=0
2x-2k-8=0에서 x=k+4이므로 이므로
점 A의 좌표는 A(k+4, 0, 0) (-a, a-1, 5)•(1, -4, -a)=0
㉠에 x=0, z=0을 대입하면 (-a)_1+(a-1)_(-4)+5_(-a)=0

-3y-2k-8=0에서 y=-;3@;(k+4)이므로 -10a+4=0

a=;5@;
점 B의 좌표는 B{0, -;3@;(k+4), 0}

㉠에 x=0, y=0을 대입하면 즉, 평면 a는 점 A{;5@;, 1, -4}를 지나고 법선벡터가

4z-2k-8=0에서 z=;2!;(k+4)이므로 nø={1, -4, -;5@;}이므로 평면 a의 방정식은

점 C의 좌표는 C{0, 0, ;2!;(k+4)} {x-;5@;}-4(y-1)-;5@;(z+4)=0

이때 사면체 OABC의 부피는 k>0이므로 x-4y-;5@;z+2=0


;3!;_△OAB_OCÓ 이 식에 x=0, z=0을 대입하면

=;3!;_{;2!;_OAÓ_OBÓ}_OCÓ -4y+2=0에서 y=;2!;

=;6!;_(k+4)_;3@;(k+4)_;2!;(k+4) 따라서 구하는 y좌표는 ;2!;이다.

=;1Á8;(k+4)Ü`  ②

따라서 ;1Á8;(k+4)Ü`=12에서 (k+4)Ü`=216=6Ü`이므로

k=2 8 xÛ`+yÛ`+zÛ`-4x+2y-8z+5=0에서
 ② (x-2)Û`+(y+1)Û`+(z-4)Û`=16
이므로 주어진 구는 점 (2, -1, 4)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
름의 길이가 4이다.
6 두 평면 a, b의 법선벡터를 각각 이때 평면 4x-8y-z+k=0이 구에 접하려면 구의 중심
nÕÁ²=(1, 3, 2), nÕª²=(a, -1, -3) (2, -1, 4)와 평면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4와 같아
이라 하면 야 하므로
² nÕª²|
|nÕÁ•
cos`;3Ò;= |4_2-8_(-1)-1_4+k|
=4
|nÕÁ²||nÕª²| "Ã4Û`+(-8)Û`+(-1)Û`
에서
따라서 |k+12|=36이고 k>0이므로
|a-9|
;2!;= k=24
'1Œ4_"ÃaÛ`+10
 ④
이므로
4(a-9)Û`=14(aÛ`+10)
5aÛ`+36a-92=0
(5a+46)(a-2)=0

a=-;;¢5¤;; 또는 a=2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06쪽

따라서 구하는 정수 a의 값은 2이다.


1② 2① 3③ 4 62 5④
 ②

5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1 주어진 직선 위의 임의의 점 P의 좌표를 cos`{;2Ò;-h}=
|nø•uø|
P(3t-2, -2t-1, -t+1)`(t는 실수) |nø||uø|
로 놓으면 점 A(-1, 0, 2)에 대하여 |6_1+3_0+(-2)_0|
= =;7^;
PAÓ='1Œ7에서 PAÓ Û`=17이므로 "Ã6Û`+3Û`+(-2)Û` "Ã1Û`+0Û`+0Û`
(3t-1)Û`+(-2t-1)Û`+(-t-1)Û`=17 즉, sin`h=;7^;이므로
tÛ`=1
t=1 또는 t=-1 cosÛ``h=1-sinÛ``h=1-;4#9^;=;4!9#;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점의 좌표는 따라서 p=49, q=13이므로
(1, -3, 0), (-5, 1, 2) p+q=49+13=62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 62
"Ã(-5-1)Û`+(1+3)Û`+(2-0)Û`='5Œ6=2'1Œ4
 ②

5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점 A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구이다.
2 두 직선 l, m의 방향벡터를 각각 이때 구의 중심 A와 평면 3x-6y+2z+11=0 사이의 거
uÕÁ²=(3, 2, 1), uÕª²=(a, -1, 5) 리를 d라 하면
라 하면 l⊥m에서 uÕÁ⊥
² uÕª이
² 므로 |3_2-6_(-3)+2_(-1)+11|
d= =:£7£:
uÕÁ•
² uÕª²=0 "Ã3Û`+(-6)Û`+2Û`
(3, 2, 1)•(a, -1, 5)=0 이고 구 위를 움직이는 점 P와 주어진 평면 사이의 거리의
3a+2_(-1)+1_5=0 최댓값은 d+3이다.
3a+3=0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따라서 a=-1 :£7£:+3=:°7¢:
 ①
 ④

3 직선 3(x+1)=2(y-1)=6(3-z), 즉
x+1 y-1 z-3
= =
2 3 -1
의 방향벡터를 uø=(2, 3, -1)이라 하면 주어진 조건을 만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107~108쪽

족시키는 평면은 점 (a, -2, 1)을 지나고 벡터


1④ 2③ 3⑤ 4④ 5②
uø=(2, 3, -1)에 수직이므로 평면의 방정식은
6 87 7⑤ 8①
2(x-a)+3(y+2)-(z-1)=0
즉, 2x+3y-z-2a+7=0이므로
-2a+7=5에서 a=1이고, b=3, c=-1 x+1
1 2
=-y=z-1=t`(t는 실수)라 하면 직선 l 위의
따라서 a+b+c=1+3+(-1)=3
점 P의 좌표는
 ③
P(2t-1, -t, t+1)
로 놓을 수 있고,
4 평면 6x+3y-2z+1=0의 법선벡터를
x-1=-y-1=
2-z
=s`(s는 실수)라 하면 직선 m 위
nø=(6, 3, -2) 2
라 하고 x축의 방향벡터를 의 점 Q의 좌표는
uø=(1, 0, 0) Q(s+1, -s-1, -2s+2)
이라 하면 로 놓을 수 있다.

정답과 풀이 51
정답과 풀이

이때 선분 PQ의 중점의 좌표는 -s+3=0에서 s=3


2t+s -t-s-1 t-2s+3 즉, 점 P의 좌표는 P(7, 0, 4)
{ , , }
2 2 2 따라서 |OP³|Û`=OPÓ Û`=7Û`+0Û`+4Û`=65
이므로  ③
2t+s -t-s-1 t-2s+3
=-1, =1, =6
2 2 2
에서 t=1, s=-4
3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따라서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M(2, 0, 3)
P(1, -1, 2), Q(-3, 3, 10) 이고, AB³=(2, -2, -2)이므로 평면 a의 방정식은
이므로 직선 PQ의 방정식은 2(x-2)-2y-2(z-3)=0, 즉 x-y-z+1=0
x-1 y+1 z-2 이때 점 C(a, b, 4)가 평면 a 위에 있으므로
= =
-3-1 3+1 10-2
a-b-4+1=0에서 b=a-3 yy`㉠
y+1 z-2
즉, x-1= = 한편, ABÓ⊥a에서 ABÓ⊥CMÓ이므로
-1 -2
점 (0, a, b)가 이 직선 위에 있으므로 △ABC=;2!;_ABÓ_CMÓ
a+1 b-2
0-1=
-1
=
-2 =;2!;_2'3_"Ã(a-2)Û`+bÛ`+1
에서 a=0, b=4 ='3_"Ã(a-2)Û`+bÛ`+1=3'2
따라서 a+b=4 에서 (a-2)Û`+bÛ`+1=6
 ④ 즉, (a-2)Û`+bÛ`-5=0 yy`㉡
㉠을 ㉡에 대입하면
(a-2)Û`+(a-3)Û`-5=0
y+2 aÛ`-5a+4=0
2 점 (1, 3, -2)에서 직선 ;3{;=
4
=1-z에 내린 수선
(a-1)(a-4)=0
의 발을 a=1 또는 a=4
H(3t, 4t-2, -t+1)`(t는 실수) 이때 a>0, b>0이므로 a=4, b=1
라 하면 두 벡터 따라서 a+b=4+1=5
(3t-1, 4t-5, -t+3), (3, 4, -1)  ⑤
이 서로 수직이므로
(3t-1, 4t-5, -t+3)•(3, 4, -1)=0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할 때, AB³⊥CÕM³임을 이용하여
3(3t-1)+4(4t-5)-(-t+3)=0 b=a-3을 구할 수도 있다.
t=1
즉, 조건을 만족시키는 직선은 두 점 (1, 3, -2),
H(3, 2, 0)을 지나므로 이 직선의 방정식은 4 x+y+2z-1=0   yy`㉠
x-1 y-3 z-(-2) 2x+y-z+3=0   yy`㉡
= =
3-1 2-3 0-(-2) ㉡-㉠을 하면
x-1 y-3 z+2 x-3z+4=0에서 x=3z-4   yy`㉢
즉, = =
2 -1 2
㉢을 ㉠에 대입하면
x-1 y-3 z+2 3z-4+y+2z-1=0에서 y+5z-5=0 yy`㉣
이때 = = =s`(s는 실수)라 하면 이 직
2 -1 2
x+4 y-5
선 위의 임의의 점의 좌표를 ㉢에서 z= , ㉣에서 z= 이므로 두 평면의 교선
3 -5
(2s+1, -s+3, 2s-2)
의 방정식은
로 놓을 수 있다.
x+4 y-5
이 점이 zx평면 위에 있으면 y좌표가 0이므로 = =z
3 -5

5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이때 평면 a가 이 직선에 수직이므로 평면 a의 법선벡터를 한편, 삼각형 APQ의 넓이는
(3, -5, 1)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평면 a의 방정식은 ;2!;_AMÓ_PQÓ=;2!;_AMÓ_6=3AMÓ
3(x-1)-5y+(z-4)=0
이고 삼각형 APQ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가 '5이
즉, 3x-5y+z-7=0
므로
점 (k, 0, 0)이 평면 a 위에 있으므로
4'5
3k-7=0 3AMÓ_ ='5
9
따라서 k=;3&; 따라서 구하는 원뿔의 높이는
 ④ AMÓ=;4#;

 ②
평면 a의 법선벡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평면 a의 법선벡터를 nø=(a, b, c)라 하면
nø⊥(1, 1, 2)이므로 (a, b, c)•(1, 1, 2)=0에서
a+b+2c=0   yy`㉠
또 nø⊥(2, 1, -1)에서
6 평면 ABC의 법선벡터를 nø=(a, b, c)라 하자.
평면 ABC와 xy평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Á이라 하면
(a, b, c)•(2, 1, -1)=0이므로
2a+b-c=0   yy`㉡ cos`hÁ=;1¢2;=;3!;이므로
㉠-㉡을 하면 |c|
=;3!;    yy`㉠
-a+3c=0에서 a=3c "ÃaÛ`+bÛ`+cÛ`
a=3c를 ㉠에 대입하면 마찬가지로 평면 ABC와 yz평면, zx평면이 이루는 예각의
3c+b+2c=0에서 b=-5c 크기를 각각 hª, h£이라 하면
따라서 nø=(3c, -5c, c)이므로 벡터 (3, -5, 1)은 평면
cos`hª=cos`h£=;1¥2;=;3@;이므로
a의 법선벡터이다.
|a| |b|
= =;3@;   yy`㉡
"ÃaÛ`+bÛ`+cÛ` "ÃaÛ`+bÛ`+cÛ`

5 원 C의 중심을 M이라 하면 점 M은 선분 PQ의 중점이다.


㉠, ㉡에서
|a|`:`|b|`:`|c|=2`:`2`:`1이므로
한편, 직선 PQ가 z축에 수직이고 AMÓ⊥PQÓ이므로 직선
|a|=|b|=2k, |c|=k`(k>0)
AM과 z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평면 APQ와 z축이 이
으로 놓을 수 있다.
루는 예각의 크기와 같다.
이때 평면 ABC와 평면 6x+3y+2z-3=0이 이루는 예
이때 z축은 xy평면에 수직이므로 평면 APQ와 xy평면이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평면 APQ와 z축이 이루는
|6a+3b+2c|
예각의 크기, 즉 직선 AM과 z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cos`h=
"ÃaÛ`+bÛ`+cÛ`_7
;2Ò;-h이다. 이고, 이 값은 a, b, c가 모두 양수이거나 모두 음수일 때 최
직선 AM의 방향벡터를 uÕÁ²=(8, -4, 1), z축의 방향벡터 대이므로 최댓값은
를 uÕªø=(0, 0, 1)이라 하면 12k+6k+2k
=;2@1);
² uÕª²|
|uÕÁ• 7"Ã4kÛ`+4kÛ`+kÛ`
cos`{;2Ò;-h}= 이다.
|uÕÁ²||uÕª²|
|8_0+(-4)_0+1_1|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의 최댓값은
= =;9!;
"Ã8Û`+(-4)Û`+1Û` "Ã0Û`+0Û`+1Û` 12_;2@1);=:¥7¼:
즉, sin`h=;9!;이므로 이므로
4'5 p+q=7+80=87
cos`h=¾Ð1-{;9!;}Û`=
9   87

정답과 풀이 53
정답과 풀이

7 구 S의 중심 (-1, 1, 0)과 평면 a 사이의 거리가 ax+2ay-2az+3a=0


|2_(-1)-1_1+2_0-3| 즉, x+2y-2z+3=0  
=2
"Ã2Û`+(-1)Û`+2Û` Û ‌b=-4a일 때, ㉠에서 c=-8a이므로 조건을 만족시
이고 구 S의 반지름의 길이가 3이므로 구 S와 평면 a가 만 키는 평면의 방정식은
나서 생기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ax-4ay-8az-9a=0
"Ã3Û`-2Û`='5 즉, x-4y-8z-9=0  
이다. 즉, 원의 넓이는 5p이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두 평면의 법선벡터를 각각
이때 두 평면 a, b의 법선벡터를 각각 nÕÁ²=(1, 2, -2), nÕª²=(1, -4, -8)
nÕÁ²=(2, -1, 2), nÕª²=(3, 6, -2) 이라 하면
라 하고, 두 평면 a, b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² nÕª²|
|nÕÁ•
cos`h=
² nÕª²|
|nÕÁ• |nÕÁ²||nÕª²|
cos`h=
|nÕÁ²||nÕª²| |1_1+2_(-4)-2_(-8)|
=
=
|2_3+(-1)_6+2_(-2)| "Ã1Û`+2Û`+(-2)Û` "Ã1Û`+(-4)Û`+(-8)Û`
"Ã2Û`+(-1)Û`+2Û` "Ã3Û`+6Û`+(-2)Û` 9
= =;3!;
3_9
=;2¢1;
 ①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20p
5p_cos`h=5p_;2¢1;=
21
 ⑤

8 조건 (가), (나)를 만족시키고 점 (1, -2, 0)을 지나는 평


면의 방정식을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109쪽

a(x-1)+b(y+2)+cz=0, 1① 2④ 3③
즉 ax+by+cz-a+2b=0 (a, b, c는 상수)
라 하자.
조건 (가)에 의하여 두 벡터 (4, -1, 1), (a, b, c)가 서로 1 직선 l의 방정식을
수직이므로 x-xÁ y-yÁ z-zÁ
= = `
a b c
(4, -1, 1)•(a, b, c)=0
   (a, b, c, xÁ, yÁ, zÁ은 상수, abc+0)   yy`㉠
에서
으로 놓자.
4a-b+c=0, 즉 c=b-4a   yy`㉠
㉠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방정식은
조건 (나)에 의하여 원점에서의 거리가 1이므로
x-xÁ y-yÁ
|-a+2b| = , z=0
=1에서 a b
"ÃaÛ`+bÛ`+cÛ`
에서 bx-ay+ayÁ-bxÁ=0, z=0이므로 조건 (가)에 의
(-a+2b)Û`=aÛ`+bÛ`+cÛ`    yy`㉡
하여
㉠을 ㉡에 대입하면
-a ayÁ-bxÁ
(-a+2b)Û`=aÛ`+bÛ`+(b-4a)Û` ;1B;= =
1 2
8aÛ`-2ab-bÛ`=0 즉, a=-b
(2a-b)(4a+b)=0 또 ㉠의 yz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방정식은
b=2a 또는 b=-4a y-yÁ z-zÁ
= , x=0
이때 a=0이면 b=0, c=0이므로 a+0이다. b c
Ú ‌b=2a일 때, ㉠에서 c=-2a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에서 cy-bz+bzÁ-cyÁ=0, x=0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
평면의 방정식은 여

5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b bzÁ-cyÁ PP"의 중점을 M, 구의 중심을 C라 하면 반직선 MC가 구
;2C;= =
1 -1 와 만나는 점이 Q일 때 |PÕ'Q'³|의 값이 최대가 되고 최댓값
즉, c=-2b 은 선분 QM의 길이와 같다.
그러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이때 선분 PP'의 길이는 점 (1, 1, 0)과 평면 a 사이의 거
x-xÁ y-yÁ z-zÁ 리와 같으므로
= =
-b b -2b
|2_1+1_1-2_0+21|
x-xÁ y-yÁ z-zÁ PP'Ó= =8
즉, = = "Ã2Û`+1Û`+(-2)Û`
1 -1 2
선분 MP'의 길이는 구의 중심 C(1, 1, 3)과 평면 a 사이
이때 직선 l과 y축의 방향벡터를 각각
의 거리와 같으므로
uÕÁ²=(1, -1, 2), uÕª²=(0, 1, 0)
|2_1+1_1-2_3+21|
이라 하면 MP'Ó= =6
"Ã2Û`+1Û`+(-2)Û`
² uÕª²|
|uÕÁ•
cos`h= 즉, PMÓ=2이고 CPÓ=3이므로
|uÕÁ²||uÕª²|
CMÓ='5
|1_0+(-1)_1+2_0|
=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Ã1Û`+(-1)Û`+2Û` "Ã0Û`+1Û`+0Û`
QMÓ=CQÓ+CMÓ=3+'5
1
=  ④
'6
따라서 secÛ``h=('6 )Û`=6
선분 CM의 길이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①
평면 a의 법선벡터를 nÕÁ²=(2, 1, -2),
xy평면의 법선벡터를 nÕª²=(0, 0, 1),
직선 l이 두 평면 x+y+2=0, 2y+z-1=0의 교선임을
∠CPM=h라 하면
이용하여 직선 l의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² nÕª²|
|nÕÁ• |2_0+1_0+(-2)_1|
x+y+2=0에서 y=-x-2   yy`㉠ cos`h= =
|nÕÁ²||nÕª²| "Ã2Û`+1Û`+(-2)Û` "Ã0Û`+0Û`+1Û`
-z+1
2y+z-1=0에서 y=    yy`㉡
2 2
= =;3@;
3_1
㉠, ㉡에서
-z+1 이므로
-x-2=y=
2 '5
CÕMÓ=CPÓ`sin`h=3_ ='5
따라서 직선 l의 방정식은 3

z-1
x+2=-y=
2
3 PAÓ=k, PBÓ=2k`(k>0)이라 하자.

PA³⊥a이므로 삼각형 APQ는 ∠PAQ=;2Ò;인 직각삼각형

2 다음 그림과 같이 구 S의 중심을 지나고 xy평면과 평면 a 이다.


의 교선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생각하자. 이때 PAÓ=k, PQÓ=5이므로
= AQÓ="Ã25-kÛ`
2 따라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평면 a 위의 점 A를 중심
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Ã25-kÛ`인 원이므로
1 2 SÁ=(25-kÛ`)p
$
마찬가지로 PB³⊥b이므로 삼각형 PBR는 ∠PBR=;2Ò;인
1Ä .
YZ평면
직각삼각형이다.
1
이때 PBÓ=2k, PRÓ=5이므로
위와 같이 직선 PP'이 구와 만나는 P가 아닌 점을 P", 선분 BRÓ="Ã25-4kÛ`

정답과 풀이 55
정답과 풀이

따라서 점 R가 나타내는 도형은 평면 b 위의 점 B를 중심


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Ã25-4kÛ`인 원이므로
Sª=(25-4kÛ`)p

" 2
=
L 1 

L 

# 3
>

이때 SÁ`:`Sª=7`:`3이므로
(25-kÛ`)p`:`(25-4kÛ`)p=7`:`3
에서
75-3kÛ`=175-28kÛ`
kÛ`=4
k>0이므로 k=2
즉, 두 평면 a, b 사이의 거리는
ABÓ=PAÓ+PBÓ=k+2k=3k=6
그런데 두 평면 a, b가 평행하므로 평면 a 위의 임의의 점
과 평면 b 사이의 거리가 6이다.
즉, 평면 a 위의 점 (0, a, 0)과 평면
b`:`2x-y-2z+b=0 사이의 거리가 6이므로
|2_0-1_a-2_0+b|
=6
"Ã2Û`+(-1)Û`+(-2)Û`
|-a+b|
=6
3
따라서 |a-b|=18
 ③

QR코드 앱을 사용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세요.

올림포스 닥터링/고난도
수학이 어려워? [올림포스 닥터링!]
수학이 쉬워? [올림포스 고난도!]

5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기하와 벡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