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8

를 꿰뚫는 유

념과 원리 형훈
개 련서

유형 내신

기하
Ⅰ 이차곡선
따라서 a=0, b=-4, c=4, d=8이므로
a+b+c+d=8

포물선

008  ⑤

001  ② 포물선 (y-1)Û`=4(x-2)는 포물선 yÛ`=4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Û`=2x=4_;2!;_x이므로 포물선 yÛ`=4x의 초점의 좌표는 (1, 0),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므로
포물선 yÛ`=2x의 초점의 좌표는 {;2!;, 0}이다. 포물선 (y-1)Û`=4(x-2)의 초점의 좌표는 (3, 1),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다.
∴ a+b+c=3+1+1=5

002  ③

xÛ`=-20y=4_(-5)_y이므로
준선의 방정식은 y=5이다. 009  ③

yÛ`+2x-6y+13=0에서 (y-3)Û`=-2(x+2)
이는 포물선 yÛ`=-2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003  ④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포물선 yÛ`=10x의 초점의 좌표는 {;2%;, 0}, 준선은 x=-;2%;이므로 포물선 yÛ`=-2x의 초점의 좌표는 {-;2!;, 0}, 준선의 방정식은

초점에서 준선까지의 거리는 ;2%;-{-;2%;}=5이다. x=;2!;이므로

포물선 (y-3)Û`=-2(x+2)의 초점의 좌표는 {-;2%;, 3}, 준선의

004  ⑤ 방정식은 x=-;2#;이다.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을 yÛ`=4px (p는 상수)라 하면 ∴ p+q+r={-;2%;}+3+{-;2#;}=-1


초점이 F(2, 0)이고 준선이 x=-2이므로 p=2
따라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yÛ`=8x

010   (2, 1), y=-3


005  ③
xÛ`-8y-4x-4=0에서 (x-2)Û`=8(y+1)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을 xÛ`=4py (p는 상수)라 하면 이는 포물선 xÛ`=8y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초점이 F(0, 3)이고 준선이 y=-3이므로 p=3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xÛ`=12y 포물선 xÛ`=8y의 초점의 좌표는 (0, 2), 준선의 방정식은
y=-2이므로
포물선 (x-2)Û`=8(y+1)의 초점의 좌표는 (2, 1), 준선의
006  ③ 방정식은 y=-3이다.

꼭짓점이 원점이고 준선이 x=-2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yÛ`=8x이다.
이 포물선이 점 (a, 4)를 지나므로 4Û`=8a 011   18
∴ a=2
포물선 (x-1)Û`=4y는 포물선 xÛ`=4y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포물선 xÛ`=4y의 초점의 좌표 (0, 1)에서 FÁ(1, 1)
007  ⑤
또한 포물선 (y+2)Û`=-8x는 포물선 yÛ`=-8x를
포물선 yÛ`=4x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평행이동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y+2)Û`=4(x-1)이므로 포물선 yÛ`=-8x의 초점의 좌표 (-2, 0)에서 Fª(-2, -2)
yÛ`+4y+4=4x-4, yÛ`-4x+4y+8=0 ∴ FÕÁFªÓ Û`=3Û`+3Û`=18

2 기하
012  ② x=-1이다.
점 A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A'이라 하면
포물선 xÛ`=3y의 초점의 좌표는 {0, ;4#;}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A'Ó=AÕFÓ=4
y
A
포물선 (x-1)Û`=3(y-m)의 초점의 좌표는 {1, ;4#;+m} A' y@=4x
b

포물선 yÛ`=-4x의 초점의 좌표는 (-1, 0)이므로 H


O F a x
포물선 yÛ`=-4(x-n)의 초점의 좌표는 (-1+n, 0) 이
1=-1+n에서 n=2, ;4#;+m=0에서 m=-;4#;



∴ m+n=;4%; 점 A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a=OÕHÓ=AÕA'Ó-OÕFÓ=4-1=3
bÛ`=4a=12   ∴ b=2'3 (∵ b>0)
013  ③
따라서 구하는 점 A의 y좌표는 2'3이다.

포물선 yÛ`=2x의 초점의 좌표는 {;2!;, 0}이므로

포물선 (y+4)Û`=2(x-1)의 초점의 좌표는 {;2#;, -4}이다.


017  ③

포물선 yÛ`=16x의 초점은 F(4,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a=-;2#;, b=4이므로 a+b=;2%; x=-4이다.
포물선 위의 점 P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H이
Ó 므로 AÕP+
Ó PÕFÓ=AÕPÓ+PÕHÓ
014  ③
y y@=16x
초점 F(3, 1)의 x좌표가 3이고, 준선은 x=-1이므로
H P
3-1
꼭짓점의 좌표는 { , 1}, 즉 (1, 1)이고 꼭짓점에서 준선까지의 H' A{7,`6}
2 F
-4 O 4 x
거리는 2이다.
y {y-1}@=8{x-1}
x=-4
y@=8x 점 A에서 직선 x=-4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점 P가 선분 AH' 위에 있을 때 AÕPÓ+PÕH의
Ó 값이 최소이다.
1 F{3,`1}
APÓ+PFÓ=APÓ+PHÓ¾AÕH'Ó=7-(-4)=11
-1 1 3 x
O 따라서 APÓ+PFÓ의 최솟값은 11이다.
x=-1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yÛ`=8x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018  ④

∴ (y-1)Û`=8(x-1) 점 F(4, -1)과 직선 x=-2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다른 풀이 P(x, y)라 하자.
포물선 위의 점의 좌표를 (x, y)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점 P에서 직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Ã(x-3)Û`+(y-1)Û`=|x-(-1)| PÕH=
Ó PÕF이
Ó 므로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x-3)Û`+(y-1)Û`=(x+1)Û` |x+2|="Ã(x-4)Û`+(y+1)Û`
∴ (y-1)Û`=8(x-1)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x+2)Û`=(x-4)Û`+(y+1)Û`
∴ (y+1)Û`=12(x-1)
015  ③
다른 풀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HÁÓ=5, QÕFÓ=QÕHªÓ=8이다. 초점 F(4,-1)의 x좌표가 4이고 준선이 x=-2이므로
∴ QÕFÓ-PÕF=
Ó 3 4-2
꼭짓점의 좌표는 { , -1}, 즉 (1,-1)이고
2
꼭짓점에서 준선까지의 거리가 3이다.
016  ④
따라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yÛ`=12x를 x축의 방향으로
점 A의 좌표를 (a, b)라 하자.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포물선 yÛ`=4x의 초점 F의 좌표는 (1, 0), 준선의 방정식은 ∴ (y+1)Û`=12(x-1)

Ⅰ. 이차곡선 3
019  ③ 023   -2, 1

점 F(-1, -2)와 직선 y=4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yÛ`-4x+2y+13=0에 x+my-1=0, 즉 x=-my+1을


P(x, y)라 하자. 대입하면
점 P에서 직선 y=4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PÕH=
Ó PÕF이
Ó 므로 yÛ`-4(-my+1)+2y+13=0
|y-4|="Ã(x+1)Û`+(y+2)Û` yÛ`+2(2m+1)y+9=0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이 y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4)Û`=(x+1)Û`+(y+2)Û` 포물선 yÛ`-4x+2y+13=0과 직선 x+my-1=0이 한 점에서
∴ xÛ`+2x+12y-11=0 만나기 위해선
D
다른 풀이 =(2m+1)Û`-9=0이어야 하므로
4
초점 F(-1, -2)의 y좌표는 -2이고 준선은 y=4이므로 4mÛ`+4m-8=0, mÛ`+m-2=0, (m+2)(m-1)=0
-2+4
꼭짓점의 좌표는 {-1, }, 즉 (-1, 1)이고 꼭짓점에서 ∴ m=-2 또는 m=1
2
준선까지의 거리는 3이다.
따라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식은 xÛ`=-12y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024   ⑴ y=-;2!;x-10 ⑵ y=4x-24

(x+1)Û`=-12(y-1)에서 xÛ`+2x+12y-11=0이다.
⑴ yÛ`=20x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5
y=-;2!;x+ , 즉 y=-;2!;x-10이다.
020  ③ 1
2
-

yÛ`=4x에 y=-x+k를 대입하면 ⑵ xÛ`=6y에 접하고 기울기가 4인 직선의 방정식은


(-x+k)Û`=4x, xÛ`-2(k+2)x+kÛ`=0 3
y=4x-4Û`_ , 즉 y=4x-24이다.
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
포물선 yÛ`=4x와 직선 y=-x+k가 만나기 위해선
D
4
=(k+2)Û`-kÛ`¾0이어야 하므로
025  ⑤
4k+4¾0, k¾-1
직선 2x+y=3의 기울기는 -2이므로
따라서 상수 k의 최솟값은 -1이다.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3
y=-2x+ , 즉 4x+2y-3=0이다.
021  ⑤ -2

yÛ`=x에 y=x+k를 대입하면


(x+k)Û`=x, xÛ`+(2k-1)x+kÛ`=0 026  ②
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포물선 yÛ`=x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해선 직선 x+2y+1=0의 기울기는 -;2!;이므로
D=(2k-1)Û`-4kÛ`>0이어야 하므로 이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다.
-4k+1>0, k<;4!; 포물선 yÛ`=-8x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2
따라서 선지 중 실수 k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⑤이다. y=2x+ , 즉 y=2x-1
2
∴ k=-1

022  ②

yÛ`=-8x에 y=mx+3을 대입하면 027   64


(mx+3)Û`=-8x, mÛ`xÛ`+2(3m+4)x+9=0
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Û`=16x에 접하는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포물선 yÛ`=-8x와 직선 y=mx+3이 만나지 않기 위해선
4
y=;2!;x+, 즉 y=;2!;x+8이고
D
=(3m+4)Û`-9mÛ`<0이어야 하므로 1
4 2
24m+16<0, m<-;3@;
이 직선의 x절편은 -16, y절편은 8이므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2!;_16_8=64


따라서 정수 m의 최댓값은 -1이다.

4 기하
028   ⑴ y=-x+2 ⑵ y=x-3 ㉡을 ㉠에 대입하면

logª`{;4!;+;4!;}+b=0, b=1
⑴ 포물선 yÛ`=-8x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4y=-4(x-2), 즉 y=-x+2이다. ∴ a+b=;4%;
⑵ 포물선 xÛ`=12y 위의 점 (6,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6x=6(y+3), 즉 y=x-3이다.
033  ①

029  ② k
포물선 yÛ`=kx의 준선의 방정식은 x=- 이다.
4



포물선 yÛ`=4x 위의 점 (4,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이 준선이 원 (x-2)Û`+(y+1)Û`=1의 넓이를 이등분하기 위해선
4y=2(x+4), 즉 x-2y+4=0이다. k
원의 중심 (2, -1)을 지나야 하므로 - =2
포물선 yÛ`=4x의 초점의 좌표는 (1, 0)이므로 4
|1-0+4| ∴ k=-8
접선과 초점 사이의 거리는 ='5이다.
"Ã1Û`+(-2)Û`

034   풀이 참조
030  ①
주어진 포물선을 좌표평면 위에 꼭짓점은 원점, 초점 (6, 0)이
포물선 yÛ`=4x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되도록 놓으면 그 포물선의 방정식은
1 yÛ`=24x yy`㉠
y=mx+
m
이때, 이 포물선이 점 {x, }를 지나므로 ㉠에 대입하면
y
이 직선이 점 (-2, 2)를 지나므로 2

{ }2`=24x, yÛ`=96x
1 y
2=-2m+ 에서 2mÛ`+2m-1=0
m 2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구하는 x와 y 사이의 관계식은 yÛ`=96x이다.
구하는 두 접선의 기울기의 합은 -1이다. 채점 요소 배점
주어진 포물선의 방정식 세우기 40`%

031   -3, 3 포물선이 점 {x,


y
2
}를 지나는 것 설명하기 30`%

x와 y 사이의 관계식 구하기 30`%


점 (-1, 1)을 지나고 포물선 yÛ`=8x에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를
2
m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mx+ 다른 풀이
m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주어진 포물선의 초점을 F, 준선을 l이라 하고
2 포물선 위의 점 P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1=-m+ , mÛ`+m-2=0, (m+2)(m-1)=0
m 포물선의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m=-2 또는 m=1 포물선의 꼭짓점에서 초점 F까지의 거리가 6이므로
포물선 yÛ`=8x에 접하고 점 (-1, 1)을 지나는 직선은 꼭짓점에서 준선 l까지의 거리도 6이다.
y=-2x-1 또는 y=x+2 l
x+6 P
이때, 각각의 직선이 점 (1, a)를 지나므로 Q
a=-3 또는 a=3이다. y
2
6 F x-6 H

032  ① 6

로그함수 y=logª`(x+a)+b의 그래프가 포물선 yÛ`=x의 초점


위의 그림에서 반사경의 깊이가 x`cm이므로
{;4!;, 0}을 지나므로
FÕH=
Ó x-6, PÕQÓ=x+6

logª`{;4!;+a}+b=0 
y
yy ㉠ 반사경의 폭이 y`cm이므로 PÕH=
Ó
2
로그함수 y=logª`(x+a)+b의 점근선 x=-a가 포물선 yÛ`=x의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Q이
Ó 므로

준선 x=-;4!;과 일치하므로 ¾Ð(x-6)Û`+{ }2`=x+6


y
2
yÛ`
a=;4!;  yy ㉡ (xÛ`-12x+36)+ =xÛ`+12x+36
4

Ⅰ. 이차곡선 5
∴ yÛ`=96x
㉡에서 36=2{a-;2!;}, a=:£2¦:
채점 요소 배점
y ㉢에서 36=-18{a-:Á2Á:}, a=;2&;
FÕHÓ=x-6, PÕQ=
Ó x+6 , PÕH=
Ó 임을 설명하기 40`%
2
포물선의 정의를 이용하여 PÕF=
Ó PÕQ임
Ó 을 설명하기 40`%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2¦:+;2&;=22이다.
x와 y 사이의 관계식 구하기 20`%
다른 풀이

주어진 포물선의 준선이 x축에 평행하므로 그 방정식을 y=p라


하고, 점 A(-1, 5)라 하자.
점 A에서 준선 y=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H=
Ó AÕF이
Ó 므로
035  ①
|p-5|="Ã{2-(-1)}Û`+(1-5)Û`=5
축이 y축에 평행한 포물선의 방정식은 ∴ p=0 또는 p=10
xÛ`+Ax+By+C=0 (A, B, C는 상수, B+0) 꼴이다. 초점이 F(2, 1)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y=0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이 포물선이 세 점 (-1, 5), (0, 0), (2, -4)를 지나므로 각각 "Ã(x-2)Û`+(y-1)Û`=|y|에서
대입하면 (x-2)Û`+(y-1)Û`=yÛ`
1-A+5B+C=0 yy`㉠
y=;2!;(x-2)Û`+;2!;  yy`㉠
C=0 yy`㉡
4+2A-4B+C=0 yy`㉢ 초점이 F(2, 1)이고 준선의 방정식이 y=10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을 ㉠, ㉢에 각각 대입하면 "Ã(x-2)Û`+(y-1)Û`=|y-10|에서
-A+5B=-1, A-2B=-2 (x-2)Û`+(y-1)Û`=(y-10)Û`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y=-;1Á8;(x-2)Û`+:Á2Á:  yy`㉡
A=-4, B=-1
㉠, ㉡은 점 (8, a)를 지나므로
따라서 포물선의 방정식은 xÛ`-4x-y=0
즉, (x-2)Û`=y+4이므로 ㉠에서 a=;2!;_6Û`+;2!;=:£2¦:

초점의 좌표는 {2, ;4!;-4}, 즉 {2, -:Á4°:}이다. ㉡에서 a=-;1Á8;_6Û`+:Á2Á:=;2&;

p=2, q=-:Á4°: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2¦:+;2&;=22이다.

∴ pq=-:Á2°:

037  ①

포물선 yÛ`=4x의 초점 F의 좌표는 (1,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다.

036  ② 포물선 위의 점 A에서 준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A'이라


하면
꼭짓점이 원점이고 준선이 x축에 평행한 포물선은 AFÓ=5일 때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AÓ'=
Ó AFÓ=5이다.
xÛ`=4py (p는 상수) 꼴이고, 초점의 좌표는 (0, p)이다. 또한 원점 O에 대하여 FHÓ=AAÓ'-
Ó 2 OFÓ=5-2=3이므로
직각삼각형 AHF에서 AHÓ=¿¹AFÓ Û`-FHÓ Û`=4이다.
이 포물선을 평행이동하여 초점의 좌표가 (2, 1)이 되기 위해서는
포물선 xÛ`=4py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p만큼
평행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2!;_FHÓ_AHÓ=6이다.
∴ (x-2)Û`=4p(y+p-1) yy`㉠ 다른 풀이
이 포물선이 점 (-1, 5)를 지나므로
포물선 yÛ`=4x의 초점 F의 좌표는 (1, 0)이므로
9=4p(p+4)
점 A는 포물선 yÛ`=4x와 원 (x-1)Û`+yÛ`=25의 교점 중 y좌표가
4pÛ`+16p-9=0, (2p-1)(2p+9)=0
양수인 점이다.
p=;2!; 또는 p=-;2(; (x-1)Û`+4x=25
xÛ`+2x-24=0, (x+6)(x-4)=0
p=;2!;일 때, ㉠에서 (x-2)Û`=2{y-;2!;}  yy`㉡
이때, yÛ`=4x에서 yÛ`¾0, 즉 x¾0이므로 x=4
p=-;2(;일 때, ㉠에서 (x-2)Û`=-18{y-:Á2Á:}  yy`㉢ ∴ A(4, 4)

이때, ㉡, ㉢은 점 (8, a)를 지나므로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2!;_FHÓ_AHÓ=6이다.

6 기하
그림과 같이 두 점 P, Q에서 직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038  ④
P', Q'이라 하면
포물선 yÛ`=16x의 초점 F의 좌표는 (4,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PÓ'Ó=FPÓ, QQÓ'Ó=FQÓ이다.
x=-4이다. 한편 PQÓ=17이므로 두 점 P, Q의 x좌표의 합은
포물선 위의 점 A, B에서 준선 x=-4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PÓ'-
Ó 2)+(QQÓ'Ó-2)‌=(PPÓ'+
Ó QQÓ'Ó)-4
A', B'이라 하면 =(FPÓ+FQÓ)-4
AFÓ=BFÓ=7일 때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QÓ-4=13
AAÓ'Ó=AFÓ=7, BBÓ'Ó=BFÓ=7이다. 이

점 A를 제1사분면 위의 점으로 생각하여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곡

A'
y
7 A y@=16x 040  ②

7 포물선 yÛ`=-16x의 초점의 좌표는 (-4, 0), 준선의 방정식은


O H F x x=4이고
7 직선 y=m(x+4)는 기울기가 m이고 점 (-4, 0)을 지난다.
B'
7 B 포물선 yÛ`=-16x의 초점을 점 F,
x=-4
두 점 A, B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자.
또한 점 A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원점 O에 대하여 y=m{x+4}
y
FHÓ=2OFÓ-AAÓ'=
Ó 8-7=1이므로
y@=-16x
직각삼각형 AHF에서 AHÓ=¿¹AFÓ Û`-FHÓ Û`=4'3이다.
A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2!;_FHÓ_2AHÓ=4'3이다. F


-4 O x
다른 풀이 B H™
포물선 yÛ`=16x의 초점 F의 좌표는 (4, 0)이므로 x=4
두 점 A, B는 포물선 yÛ`=16x와 원 (x-4)Û`+yÛ`=49의 교점이다.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FÓ=AÕHÁÓ, BÕFÓ=BÕHªÓ이므로
(x-4)Û`+16x=49 AÕB=
Ó 16에서 AÕHÁÓ+BÕHªÓ=16
xÛ`+8x-33=0, (x-3)(x+11)=0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이때, yÛ`=16x에서 yÛ`¾0, 즉 x¾0이므로 x=3 a<0, b<0이므로
y (-a+4)+(-b+4)=16, a+b=-8
y@=16x
{x-4}@+y@=49 따라서 선분 AB의 중점의 x좌표는 -4이다.

F
O 3 4 x

041  ③

포물선 yÛ`=8x의 초점 F의 좌표는 (2, 0), 준선의 방정식은


A(3, 4'3), B(3, -4'3) 또는 A(3, -4'3), B(3, 4'3)이므로
x=-2이다.
구하는 삼각형 ABF의 넓이는 ;2!;_1_8'3=4'3이다. 세 점 A, B, C의 x좌표를 각각 a, b, c라 하면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 초점 F이므로
a+b+c
=2, a+b+c=6 yy`㉠
3
세 점 A, B, C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 C'이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039   13 AÕF=
Ó AÕA'Ó=a+2, BÕF=
Ó BÕB'Ó=b+2, CÕFÓ=CÕC'Ó=c+2
포물선 yÛ`=8x의 초점을 F라 하면 초점 F의 좌표는 (2, 0), 준선의 ∴ AÕFÓ+BÕFÓ+CÕFÓ‌=(a+2)+(b+2)+(c+2)
방정식은 x=-2이다. =(a+b+c)+6
y =12 (∵ ㉠)
P
P' y@=8x

Q'
O F
x
042   136
Q
포물선 xÛ`=4y의 초점 F의 좌표는 (0, 1), 준선의 방정식은
x=-2 y=-1이다.

Ⅰ. 이차곡선 7
y x@=4y
044   13
A
주어진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그림을 생각할 수 있다.
10
8 y y
O F D x B y@=4px
H B y@=4px
y=-1 B 6 C H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준선 y=-1에 내린 수선의 발을 C,


점 F에서 선분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 하면 A O 6 F x A O F6 x
p p
AÕCÓ=AFÓ=10, CDÓ=BFÓ=2이므로 x=-p x=-p
ADÓ=ACÓ-CDÓ=8이다. 포물선 yÛ`=4px의 초점 F의 좌표는 (p, 0), 준선의 방정식은
직각삼각형 ADF에서 x=-p이다.
DFÓ=¿¹AFÓ Û`-ADÓ Û`=6이므로 점 B에서 포물선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BCÓ=DFÓ=6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BHÓ=BFÓ=5이므로
∴ aÛ`=ABÓ Û`=ACÓ Û`+BCÓ Û`=100+36=136 삼각형 ABH에서
AHÓ="Ã7Û`-5Û`=2'6
따라서 점 B의 y좌표가 2'6이므로

(2'6)Û`=4px에서 x=;p^;
043  ①

즉, 점 B의 x좌표가 ;p^;이므로 BHÓ=5에서


포물선 yÛ`=x의 초점 F의 좌표는 {;4!;, 0}, 준선의 방정식은

p+;p^;=5
x=-;4!;이다.
pÛ`-5p+6=0, (p-2)(p-3)=0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점 P와 준선 사이의 거리는 4이므로 점 P의
∴ p=2 또는 p=3
x좌표는 4-;4!;=:Á4°:이다. ∴ aÛ`+bÛ`=13
이때, 점 Q는 선분 FP를 2`:`1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다른 풀이

점 Q의 x좌표는 :Á4°:+{:Á4°:-;4!;}=:ª4»:이다. 포물선 yÛ`=4px에서 A(-p, 0), F(p, 0)이다.


ABÓ=7, BFÓ=5이므로 점 B는 두 원
TIP (x+p)Û`+yÛ`=49, (x-p)Û`+yÛ`=25의 교점이다.
F{;4!;, 0}이고 FPÓ=4이므로 그림과 같이 점 P는 두 원의 방정식을 변끼리 빼면

원 {x-;4!;}2`+yÛ`=16과 포물선 yÛ`=x의 교점이다.


4px=24

∴ x=;p^;
y
{x- 14 }@+y@=16 점 B에서 포물선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P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BHÓ=BFÓ=5이므로
y@=x
p+;p^;=5
O x
pÛ`-5p+6=0, (p-2)(p-3)=0
{
1
F ,`0
4 } ∴ p=2 또는 p=3
∴ aÛ`+bÛ`=13
이때, 점 P의 x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x-;4!;}2`+yÛ`=16에 yÛ`=x를 대입하면

{x-;4!;}2`+x=16 045  ⑤

16xÛ`+8x-255=0, (4x+17)(4x-15)=0 포물선 yÛ`=4x의 초점은 F(1,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x=-1이다.
∴ x=-:Á4¦: 또는 x=:Á4°:
포물선 위의 점 P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그런데 x¾0이므로 x=:Á4°:임을 알 수 있다.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
Ó PÕH이
Ó 므로
삼각형 AFP의 둘레의 길이는
다만 포물선의 정의를 이용한 방법과 비교했을 때 계산이
AÕPÓ+PÕF+
Ó AÕFÓ=AÕPÓ+PÕH+
Ó AÕFÓ
번거로우므로 비효율적이다.
점 A에서 준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8 기하
점 P가 선분 AH' 위에 있을 때 AÕPÓ+PÕHÓ+AÕF의
Ó 값이 최소이다.
포물선 yÛ`=;2!;x의 초점 F의 좌표는 {;8!;, 0}, 준선 l의 방정식은
y y@=4x

H P x=-;8!;이므로
H' A{4,`2}
Ó FÕQÓ=;4!;
FÕR=
O F{1,`0} x
'3
이때, ∠PFQ=60ù이므로 PÕQÓ=
4
x=-1 '3
점 P의 x좌표는 ;8!;+;4!;=;8#;, y좌표는

이므로
즉, 점 P의 y좌표는 2이고 4 차

'3 '3

점 P가 포물선 yÛ`=4x 위에 있으므로 점 P의 좌표는 (1, 2)이다. P{;8#;, }에서 a=;8#;, b=

4 4
따라서 이때의 삼각형 AFP의 넓이는 ;2!;_2_3=3이다. 3'3
∴ ab=
32

046  ④

포물선 xÛ`=6y의 초점 F의 좌표는 {0, ;2#;}, 준선의 방정식은 048  ③

포물선 yÛ`=12x의 초점 F의 좌표는 (3, 0)이고 준선의 방정식은


y=-;2#;이다.
x=-3이다.
두 점 R, S에서 준선 y=-;2#;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y y@=12x
B
B'
하면 A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FÕRÓ=RÕHÁÓ, FÕSÓ=SÕHªÓ이고, A'
두 점 R, S에서 직선 y=4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Q'이라 F' O F x
하면
PÕRÓ¾PÕ'RÓ, QÕSÓ¾QÕ'SÓ이다.
y x=-3
x@=6y 세 점 A, B, F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 F'이라
P' P QQ' y=4 하면
F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FÓ=AÕA'Ó, BÕFÓ=BÕB'Ó이고
R
S ∠OFA=∠AFB=60ù에서 삼각형 BB'F는 정삼각형이다.
O x 3
y=-
2
또한 직각삼각형 B'FF'에서 FÕF'Ó=6이므로 BÕ'FÓ=12이고,
H¡ H™
직각삼각형 AA'B'에서 AÕB'Ó=2AÕA'Ó=2AÕF이
Ó 므로
Ó RÕSÓ+SÕQ¾
∴ PÕR+ Ó‌ PÕ'RÓ+(FÕRÓ+FÕSÓ)+QÕ'SÓ
점 A는 선분 B'F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다.
=(PÕ'RÓ+RÕHÁÓ)+(QÕ'SÓ+SÕHªÓ)=PÕ'HÁÓ+QÕ'HªÓ
'3
따라서 정삼각형 BB'F의 넓이가 _12Û`=36'3이므로
=2_[4-{-;2#;}]=11 4

삼각형 AFB의 넓이는 36'3_;3!;=12'3이다.

047 
다른 풀이
②
두 점 A,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C, D라 하면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준선 l과 x축이 만나는 점을 ∠AFC=∠BFD=60ù이므로
R라 하면 두 직선 PH, QR는 서로 평행하다. ACÓ='3_FCÓ, BDÓ='3_FDÓ이다.
이때, 선분 PH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선분 FM은 선분 PH를 따라서 점 A 또는 점 B의 x좌표가 a일 때,
수직이등분한다. y의 좌표는 '3|a-3|이고
따라서 네 삼각형 PFQ, FPM, FHM, HFR는 서로 합동이다. 두 점 A, B가 포물선 yÛ`=12x 위의 점이므로
ly ('3|a-3|)Û`=12a, aÛ`-10a+9=0
1
M P y@= x
H 2 (a-1)(a-9)=0, a=1 또는 a=9
즉, 두 점 A, B의 x좌표는 각각 1, 9이므로
RO F Q x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FÓ=1+3=4, BFÓ=9+3=12
따라서 삼각형 AFB의 넓이는

;2!;_4_12_sin`60ù=12'3

Ⅰ. 이차곡선 9
049  ① 050  ⑤

포물선 yÛ`=12x의 초점 F의 좌표는 (3, 0), 준선 l의 방정식은 포물선 yÛ`=8x의 초점 F의 좌표는 (2, 0), 준선의 방정식은
x=-3이다. x=-2이다.
y@=12x y D y@=8x
ly D¡
A

C A
F
-3 O x O F D™ x

A™
B

D B
x=-2 C
A™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AÁ, 직선 BD에 그림과 같이 두 점 A, D에서 포물선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내린 수선의 발을 Aª라 하면 AÕCÓ=4이므로 FÕAÁÓ=2이다. 각각 AÁ, DÁ이라 하고,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ª, Dª라
또한 BÕD=
Ó x라 하면 BÕAªÓ=x-4이다. 하자.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FÓ=AÕCÓ=4, BÕF=
Ó BÕDÓ=x이고, AÕFÓ=a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AÁÓ=AÕF=
Ó a,
두 삼각형 AFAÁ, ABAª는 서로 닮음이므로 DÕDÁÓ=DÕFÓ=6이므로
FÕAÁÓ`:`BÕAªÓ=AÕFÓ`:`AÕB에
Ó 서 점 A의 x좌표는 a-2이고 점 D의 x좌표는 4이다.
2`:`(x-4)=4`:`(x+4) 이때, 두 삼각형 AFAª와 DFDª는 서로 닮음이므로
4x-16=2x+8, 2x=24 AÕFÓ`:`DÕFÓ=AÕªFÓ`:`DÕªFÓ에서 a`:`6=(4-a)`:`2
∴ x=12 6(4-a)=2a, 4a=12
∴ a=3
다른 풀이
따라서 점 A의 x좌표는 1이고 포물선의 방정식에 의하여 점 A의
포물선 yÛ`=12x의 초점 F의 좌표는 (3, 0)이다.
y좌표는 2'2, 점 D의 y좌표는 4'2이다.
AÕCÓ=4이고 포물선의 준선 l의 방정식은 x=-3이므로 점 A의
x좌표는 1이다. ∴ (사각형 ABCD의 넓이)‌=;2!;_(AÕB+
Ó CÕDÓ)_AÕªDªÓ
∴ A(1, 2'3)
=;2!;_(4'2+8'2)_3
0-2'3
따라서 직선 AB의 방정식은 y-0= (x-3)
3-1 =18'2
∴ y=-'3(x-3) yy`㉠ 다른 풀이
㉠을 yÛ`=12x에 대입하면 {-'3(x-3)}Û`=12x
포물선 yÛ`=8x의 초점 F의 좌표는 (2, 0), 준선의 방정식은
xÛ`-10x+9=0, (x-1)(x-9)=0
x=-2이다.
∴ x=1 또는 x=9
y D y@=8x
즉, 점 B의 x좌표는 9이므로 BDÓ=9+3=12이다. D'
A
TIP
l y 2 O F x

C 2Â3 B
A =
O F x C
x=-2
Â3= 점 D에서 포물선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D'이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DÕD'Ó=DÕFÓ=6이므로 점 D의 x좌표는
D y@=12x
B 4이다.
점 A(1, 2'3)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D(4, 4'2)이고 직선 FD의 방정식은
점 A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3만큼 4'2-0
y-0= (x-2)   ∴ y=2'2(x-2) yy`㉠
평행이동시키면 점 F가 된다. 4-2
따라서 점 F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3a만큼 ㉠을 yÛ`=8x에 대입하면
평행이동시켜 점 B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2'2(x-2)}Û`=8x, xÛ`-5x+4=0
점 B의 x좌표는 a+3이고, y좌표는 -'3a이다. (x-1)(x-4)=0   ∴ x=1 또는 x=4
이를 yÛ`=12x에 대입하면 3aÛ`=12(a+3)에서 a=6이므로 즉, 점 A의 x좌표는 1이므로 A(1, 2'2)
FÕBÓ=2a=12이고,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FBÓ=BDÓ이므로 ∴ (사각형 ABCD의 넓이)‌=;2!;_(4'2+8'2)_3
BDÓ=12임을 알 수 있다.
=18'2

10 기하
점 A(0, 1)에 대하여 AÕP=
Ó PÕHÓ
051  ⑤
"ÃxÛ`+(y-1)Û`=|y-3|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포물선 yÛ`=4x의 초점 F의 좌표는 (1, 0), 준선의 방정식은 xÛ`+(y-1)Û`=(y-3)Û`
x=-1이므로 P(-1, 0)이다. ∴ xÛ`=-4(y-2)
y l
B y@=4x
B'

A'
A 054  ①

P 두 원의 접점을 Q, 중심이 P인 원과 y 차
O F x 3
직선 y=-5의 접점을 R라 하면 x@+y@=9 곡

그림과 같이 두 점 A, B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OÕPÓ‌=OÕQÓ+PÕQÓ
=3+PÕR`Ó (단, O는 원점) -3 O Q 3 x
A', B'이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AÓ'Ó=FAÓ, BBÓ'Ó=FBÓ이다.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3 P

이때, FAÓ`:`FBÓ=1`:`2이므로 FAÓ=k라 하면 FBÓ=2k이다. "ÃxÛ`+yÛ`=3+|-5-y| y=-5


-5 R
∴ A(k-1, 2'Äk-1), B(2k-1, 2'Ä2k-1) 이때, y>-5이므로
세 점 P, A, B는 한 직선 l 위에 있으므로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ÃxÛ`+yÛ`=8+y
하면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2'Äk-1-0 2'Ä2k-1-0 xÛ`+yÛ`=64+16y+yÛ`
m= =
(k-1)-(-1) (2k-1)-(-1) ∴ xÛ`-16y-64=0
2'Äk-1='Ä2k-1
양변을 제곱하면
4k-4=2k-1, 2k=3 055  ⑤

∴ k=;2#; yÛ`=5x에 y=-x+k를 대입하면


(-x+k)Û`=5x, xÛ`-(2k+5)x+kÛ`=0
3
2®É -1 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Äk-1 2 2'2
∴ m= = =
k 3 3 D=(2k+5)Û`-4kÛ`=20k+25 yy`㉠
2 ㄱ. 포물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해선
D>0이어야 한다.

따라서 ㉠에서 20k+25>0, k>-;4%;이므로


052   (y-4)Û`=10x-15
k=0은 이를 만족시킨다. (참)
점 P에서 직선 x=-1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ㄴ. ㉠에서 k=-;4%;일 때 D=0이므로
점 H는 원과 직선 x=-1의 접점이므로 점 A(4, 4)에 대하여
PHÓ=PÕAÓ 포물선과 직선은 접한다. (참)
y ㄷ. 포물선과 직선이 만나지 않기 위해선 D<0이어야 한다.
A{4,`4} 따라서 ㉠에서 k<-;4%;이어야 하므로

H kÉ-2일 때 만나지 않는다. (참)


P{x,`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O
x
x=-1
이때,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056  ④

|x+1|="Ã(x-4)Û`+(y-4)Û` 포물선 yÛ`=8x에 접하는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2
y=mx+ 이다.
(x+1)Û`=(x-4)Û`+(y-4)Û` m
∴ (y-4)Û`=10x-15 한편, 2xÛ`-3x+1=0에서 (2x-1)(x-1)=0

∴ x=;2!; 또는 x=1

이때, mÁ=;2!;, mª=1이라 하면


053  ①

점 P에서 직선 y=3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lÁ`:`y=;2!;x+4, lª`:`y=x+2


이때,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따라서 두 직선 lÁ, lª의 교점의 x좌표는

Ⅰ. 이차곡선 11
;2!;x+4=x+2에서 ;2!;x=2   ∴ x=4 점 A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두 삼각형 AHC, BDC는 닮음비가 1`:`;8#;이므로 BDÓ=;2#;

057  ②
∴ (삼각형 BDC의 넓이)‌=;2!;_CDÓ_BDÓ

= ;2!;_8_4_{;8#;}2`=;4(;
직선 x+y+1=0의 기울기는 -1이므로
구하는 최단거리는 포물선 yÛ`=2x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과
직선 x+y+1=0 사이의 거리와 같다.
포물선 yÛ`=2x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y=-x-;2!; 059  ②

포물선 yÛ`=4x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이 직선은 점 {0, -;2!;}을 지나므로 구하는 최단거리는
by=2(x+a)이다.
점 {0, -;2!;}과 직선 x+y+1=0 사이의 거리인 이때, 0=2(x+a)에서 x=-a이므로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 Q의 좌표는 (-a, 0)이다.
1
|0- +1| '2 PÕQÓ=4'5이므로 "Ã{a-(-a)}Û`+bÛ`=4'5
2
= 이다.
"Ã1Û`+1Û` 4 4aÛ`+bÛ`=80 yy`㉠
점 P(a, b)는 포물선 yÛ`=4x 위의 점이므로
yy`㉡
058  ③ bÛ`=4a
㉡을 ㉠에 대입하면 4aÛ`+4a=80이므로
포물선 yÛ`=4x 위의 점 A(4, 4)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aÛ`+a-20=0, (a+5)(a-4)=0
4y=2(x+4), 즉 y=;2!;x+2이다. ∴ a=-5 또는 a=4
㉡에서 bÛ`¾0이므로 a=4, bÛ`=16
직선 l의 x절편은 -4이므로 C(-4, 0)이고, 포물선 yÛ`=4x의
∴ aÛ`+bÛ`=32
준선은 직선 x=-1이므로 D(-1, 0)이다.
TIP
또한 직선 l과 직선 x=-1의 교점은 B{-1, ;2#;}이므로
058번의 TIP 을 이용하면 접점 P의 x좌표가 a이므로
삼각형 BCD의 넓이는 ;2!;_3_;2#;=;4(;이다. 점 Q의 x좌표는 -a임을 알 수 있다.

TIP
일반적으로 점 F를 초점으로 하는 포물선 yÛ`=4px 위의 점 060  ②
A(xÁ, yÁ) (단, xÁ+0)에 대하여 점 A에서의 접선이 x축과
점 P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만나는 점을 B라 하면 점 B의 x좌표는 -xÁ이다.
(증명은 061번을 참고하자.) yÁ y=;2!;(x+xÁ)
y
A y@=4px 이 식에 y=0을 대입하면 교점 T의 좌표는 (-xÁ, 0)이다.

yÛ`=x에서 초점 F의 좌표는 {;4!;, 0} 이므로

B
-x¡ x FTÓ= xÁ+;4!;
O F x¡
한편
이 특성을 이용하여 문제를 다음과 같이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FPÓ‌=¾Ð{xÁ-;4!;}2`+(yÁ)Û`=¾Ð{xÁ-;4!;}2`+xÁ

=¾Ð{xÁ+;4!;}2`= xÁ+;4!;
접점이 A(4, 4)이므로 접선 l과 x축이 만나는
점 C의 x좌표는 -4이고, 준선이 x=-1이므로
점 D의 x좌표는 -1이다.   ∴ CDÓ=3
따라서 FPÓ=FTÓ이다.
y l
A ∴ ㈎`:`yÁ y=;2!;(x+xÁ), ㈏`:`{;4!;, 0}, ㈐`:`xÁ+;4!;
B 4
C 4
x
061 
-4 D O H
 풀이 참조
y@=4x
일반성을 잃지 않고 p>0이라 가정하자.
x=-1
포물선 yÛ`=4px의 초점은 F(p, 0)이고,

12 기하
준선의 방정식은 x=-p이므로 H(-p, b)
포물선 yÛ`=4px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064  ①

by=2p(x+a)이므로 이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은 R(-a, 0) 점 P(a, b)가 직선 y=x+5 위의 점이므로


FÕRÓ=p+a, PÕHÓ=a+p이므로 FRÓ=PHÓ이고, b=a+5 yy`㉠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FPÓ=PHÓ이다. 점 P(a, b)에서 포물선 yÛ`=12x에 그은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또한 선분 PH와 선분 FR는 평행하므로 3
하면 y=mx+
m
사각형 PFRH는 평행사변형이다.
3 이
따라서 HRÓ=FPÓ이므로 사각형 PFRH는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다. 이 직선이 점 P(a, b)를 지나므로 b=ma+
m 차
즉, 사각형 PFRH는 마름모이다. 곡
이 식을 ㉠에 대입하면 선
채점 요소 배점 3
a+5=ma+
초점 F의 좌표 구하기 10`% m
준선 위의 점 H의 좌표 구하기 10`% amÛ`-(a+5)m+3=0 yy`㉡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 점 R의 좌표 구하기 30`% 점 P(a, b)에서 포물선 yÛ`=12x에 그은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좌표를 이용하여 FRÓ=PHÓ임을 설명하기 10`%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의 곱이 -1이다.
포물선의 정의를 이용하여 FPÓ=PHÓ임을 설명하기 20`% 3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이므로
사각형 PFRH가 마름모임을 설명하기 20`%
a
a=-3, b=2 (∵ ㉠)
∴ ab=-6

062   12

포물선 yÛ`=nx의 초점의 좌표는 {


n
, 0}이다.
4
yÛ`=nx에서 점 (n, n)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n
ny= (x+n)
2 065   풀이 참조
∴ x-2y+n=0
포물선 yÛ`=4px의 준선의 방정식은 x=-p이므로
점{
n
, 0}과 직선 x-2y+n=0 사이의 거리 d는 이 준선 위의 임의의 점의 좌표를 (-p, q) (q는 실수)라 하자.
4
이때, 포물선 yÛ`=4px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 +n| '5
n
4 p
d= = n
'5 4 y=mx+
m
dÛ`¾40에서 ;1°6; nÛ`¾40 이 직선이 점 (-p, q)를 지나므로
p
∴ nÛ`¾128 q=-pm+ 에서 pmÛ`+qm-p=0
m
11Û`=121, 12Û`=144이므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12이다.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p
구하는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은 =-1이므로
p
포물선 yÛ`=4px (p+0인 상수)의 준선 위의 임의의 점에서 이
포물선에 그은 두 접선은 서로 수직이다.
063  ②
TIP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이 내용을 이용하면
4 063번에서 포물선 yÛ`=16x의 준선은 x=-4이므로 a=-4,
y=mx+
m
064번에서 포물선 yÛ`=12x의 준선은 x=-3이므로 a=-3임을
이 접선이 점 (a, 2)를 지나므로
알 수 있다.
4
2=ma+ 에서 amÛ`-2m+4=0 yy`㉠
m
채점 요소 배점
점 (a, 2)에서 포물선 yÛ`=16x에 그은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포물선 yÛ`=4px의 준선 위의 임의의 점의 좌표 구하기 20`%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의 곱이 -1이다.
포물선 yÛ`=4px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0`%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1 조건을 만족시키는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세우기 30`%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1임을 이용하여 서로 수직임을 설명하기 30`%
∴ a=-4

Ⅰ. 이차곡선 13
2 2 1
066  ① an= = =
yÁ 2'§n '§n

∴ Á{ }2`= Á n=
점 (4, a)에서 포물선 xÛ`=a(y+1)에 그은 두 접선의 기울기는
10
1 10
10_11
=55
n=1 an n=1 2
점 (4, a+1)에서 포물선 xÛ`=ay에 그은 두 접선의 기울기와 각각
같다. TIP
이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058번의 TIP 을 이용하면 접선과 x축이 만나는 점의
a
y=mx-mÛ`_ x좌표가 -n이므로 접점의 x좌표는 n임을 알 수 있다.
4
이 접선이 점 (4, a+1)을 지나므로
a
a+1=4m- mÛ`
4
a
4
mÛ`-4m+(a+1)=0 yy`㉠
069  ②
점 (4, a+1)에서 포물선 xÛ`=ay에 그은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aÛ`
m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의 곱이 -1이다. 포물선 위의 점 P의 좌표를 { , a}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4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Û` 2
}   ∴ y= x+
a
ay=2{x+
a+1 a 4 a 2
=-1, a+1=-
a 4 이 접선이 점 (-2, 0)을 지나므로
4
-4 a
+ =0, aÛ`=8
∴ a=-;5$; a 2
∴ a=2'2 또는 a=-2'2
∴ P(2, 2'2) 또는 P(2, -2'2)
이때,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P'이라 하면
067  ④ F(1, 0)이므로
Ó 2-1=1, PFÓ="Ã(2-1)Û`+(Ñ2'2)Û`=3에서
FPÓ'=
포물선 yÛ`=kx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PÓ'Ó
cos`(∠PFP')= =;3!;
by=;2!;k(x+a) PFÓ
∴ cos`(∠PFO)‌=cos`(p-∠PFP')
이 접선이 점 P(-2, 0)을 지나므로
a=2 (∵ k+0) =-cos`(∠PFP')=-;3!;
따라서 두 점 A, B의 x좌표가 모두 2이므로 yÛ`=2k에서
TIP
y=-'¶2k 또는 y='¶2k
즉, 두 점 A, B의 y좌표가 각각 -'¶2k, '¶2k이다.
y

Q P y@=4x
이때, 삼각형 PAB의 넓이가 8이므로

;2!;_4_2'¶2k=8, '¶2k=2, 2k=4

∴ k=2 T O F P' x

TIP

058번의 TIP 을 이용하면 접선과 x축이 만나는 점의 058번의 TIP 을 이용하면 접선과 x축이 만나는 점의
x좌표가 -2이므로 접점의 x좌표는 2임을 알 수 있다. x좌표가 -2이므로 접점 P의 x좌표는 2임을 알 수 있다.
또한 yÛ`=4x에서 F(1, 0)이므로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P'이라 하면
FPÓ'Ó
cos`(∠PFO)=- =-;3!;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PFÓ
068   55

접점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Á y=2(x+xÁ)
이 접선이 점 (-n, 0)을 지나므로
0=2(-n+xÁ), xÁ=n 070  ③

점 (xÁ, yÁ)은 포물선 yÛ`=4x 위의 점이므로 그림과 같이 포물선 pÁ, pª의 준선을 생각하고 점 C에서 포물선 pª의
(yÁ)Û`=4xÁ, yÁ=2'§n (∵ yÁ>0)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I, 포물선 pÁ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CBÓ=CHÓ, COÓ=CIÓ이다.

14 기하
p™ y p¡ pÛ`-10p+16=0, (p-2)(p-8)=0
C
H I ∴ p=8 (∵ a=10-p<p)
∴ a=2
E 2 2 B F 따라서 ab=16이다.
AO a a x

D
p¡의 준선 p™의 준선
또한 포물선 pÁ의 준선과 x축의 교점을 E, 이

포물선 pª의 준선과 x축의 교점을 F라 하고, 곡

OBÓ=a라 하면
COÓ=CIò=OFÓ=2a
CBÓ=CHÓ=EOÓ=2+(2-a)=4-a
072  8

직각삼각형 OBC에서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BÓ=2'3이므로


(4-a)Û`=aÛ`+(2a)Û`, aÛ`+2a-4=0 '3
OÕM=
Ó _2'3=3
2
∴ a=-1Ñ'5
이때, a>0이므로 a=-1+'5 ∴ OGÓ=;3@;_3=2

∴ (삼각형 ABC의 넓이)‌=;2!;_2_2a=2('5-1) 따라서 꼭짓점이 O이고 초점이 G(2, 0)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yÛ`=8x이다.
다른 풀이 y
P y@=8x
점 A의 좌표를 (-k, 0)이라 하자. (단, 0<k<2)
이때, 포물선 pÁ의 방정식은 yÛ`=8(x+k)이고
OBÓ=2-k이므로 B
포물선 pª의 방정식은 yÛ`=-4(2-k)(x-2+k)이다. O GM N x
두 포물선의 교점 C의 x좌표는 0이므로 A

8k=4(2-k)Û` x=-2
4kÛ`-24k+16=0, kÛ`-6k+4=0 이때,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N, GPÓ=a라 하면
∴ k=3-'5 (∵ 0<k<2) a
∠BGM=60ù이므로 GNÓ=
따라서 포물선 pª의 방정식에 의하여 점 C의 y좌표는 2
yÛ`=4(2-k)Û`에서 y=2(2-k)=2('5-1) 또한 포물선의 준선의 방정식은 x=-2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GPÓ=2+OGÓ+GNÓ에서
∴ (삼각형 ABC의 넓이)‌=;2!;_ABÓ_OCÓ
a
a=2+2+
2
=;2!;_2_2('5-1)
∴ a=8
=2('5-1) 다른 풀이

정삼각형 OAB의 한 변의 길이가 2'3이므로 높이는


'3
_2'3=3이다.
2
071   16
∴ OGÓ=;3@;_3=2
A(a, b)(a>0, b>0)라 하면 포물선 위의 점 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꼭짓점이 O이고 초점이 G(2, 0)인 포물선의 방정식은
2p 2pa yÛ`=8x이다.
by=2p(x+a), 즉 y= x+
b b 점 O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할 때,
이때, B(-a, 0)이다. ∠BGM=60ù이므로 직선 PG의 방정식은
점 A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A', 포물선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y='3(x-2) yy`㉠
발을 H라 하면 포물선과 직선의 교점 P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 ㉠을 yÛ`=8x에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HÓ=10 대입하면
OÕA'Ó=a=10-p이므로 BÕFÓ=p+a=10 3(x-2)Û`=8x, 3xÛ`-20x+12=0, (x-6)(3x-2)=0
삼각형 ABF의 넓이는
∴ x=6 또는 x=;3@;
;2!;_BÕFÓ_AÕA'Ó=5b=40, b=8
이때, 점 P는 제1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P(6, 4'3)
8Û`=4p(10-p)에서 ∴ GPÓ="Ã(2-6)Û`+(0-4'3)Û`='¶64=8

Ⅰ. 이차곡선 15
점 A는 포물선 위의 점이므로
073  ④
bÛ`=16a yy`㉡
A(xÁ, yÁ), B(xª, yª)라 하면 AÕBÓ=10에서 bÛ` 8 b
㉡에서 8a= 이므로 ㉠에 대입하면 y= x+
"Ã(xÁ-xª)Û`+(yÁ-yª)Û`=10 2 b 2
bÛ`
이때, 세 점 { , b}, (0, 0), {0, }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xÁ-xª)Û`+(yÁ-yª)Û`=100 yy`㉠ b
16 2
이때, A(xÁ, yÁ), B(xª, yª)는 직선 y=-2x+k 위의 점이므로
bÛ` b
yÁ=-2xÁ+k, yª=-2xª+k 무게중심은 B{ , }이다.
48 2
이를 ㉠에 대입하면 bÛ` b
x= , y= 로 놓으면 bÛ`=48x, b=2y이므로
(xÁ-xª)Û`+4(xÁ-xª)Û`=100에서 48 2
(xÁ-xª)Û`=20 yy`㉡ (2y)Û`=48x
yÛ`=4x에 y=-2x+k를 대입하면 ∴ yÛ`=12x
(-2x+k)Û`=4x, 4xÛ`-4(k+1)x+kÛ`=0 yy`㉢ 따라서 곡선 C는 포물선 yÛ`=12x이고,
xÁ, xª는 x에 대한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이므로 이 포물선의 초점은 F(3, 0)이다.
kÛ`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xÁ, xª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Á+xª=k+1, xÁxª=
4 PQÓ=PFÓ+QFÓ=(xÁ+3)+(xª+3)=20
이때, (xÁ-xª)Û`=(xÁ+xª)Û`-4xÁxª이므로 ㉡에 대입하면 ∴ xÁ+xª=14
(xÁ+xª)Û`-4xÁxª=20에서
kÛ`
(k+1)Û`-4_ =20, 2k+1=20
4

∴ k=:Á2»:

074   32

포물선 yÛ`=12x 위의 점 A의 좌표를 (a, 2'3a)(a>0)라 하고


점 A에서 포물선의 준선 x=-3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FÓ=AHÓ=a+3이다.
y
y@=12x

H A

O F x
B
x=-3
따라서 AÕBÓ=2AÕFÓ=2(a+3)이므로
점 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tan`(∠BAH)=tan`60ù='3이고
AÕBÓ_AÕF=
Ó 2(a+3)_(a+3)=2(a+3)Û`이다. yy`㉠
yÛ`=12x에 접하는 기울기가 '3인 접선의 방정식은
3
y='3x+ , 즉 y='3x+'3이고
'3
접점이 A(a, 2'3a)이므로
2'3a='3a+'3, '3a='3
∴ a=1
㉠에 의하여 ABÓ_AFÓ=2(1+3)Û`=32이다.

075   14

점 A의 좌표를 (a, b) (a>0, b+0)라 하면 점 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8
by=8(x+a), 즉 y= (x+a) yy`㉠
b

16 기하
aÛ`-bÛ`=4Û` yy`㉠
타원
장축의 길이는 2a, 단축의 길이는 2b이므로
2a-2b=4, a-b=2 yy`㉡
㉠을 ㉡으로 양변을 각각 나누면 a+b=8이므로
076  ④ 이 식을 ㉡과 연립하여 풀면
xÛ` yÛ` a=5, b=3
+ =1에서 장축의 길이는 m=2_3=6
3Û` 2Û` xÛ` yÛ`
∴ + =1
단축의 길이는 n=2_2=4 25 9 이

∴ m+n=6+4=10 곡

081  ①

077  ④
9xÛ`+5yÛ`=45에서
xÛ` yÛ`
+ =1의 초점의 좌표는
5 9
① 중심의 좌표는 (0, 0)이다. (참)
(0, 2), (0, -2)이다.
② 장축의 길이는 2_5=10이다. (참)
xÛ` yÛ`
③ 단축의 길이는 2_4=8이다. (참) 따라서 구하는 타원의 방정식을 + =1 (0<a<b)라 하면
aÛ` bÛ`
④ 초점의 좌표는 (0, Ñ'Ä25-16), 즉 (0, -3), (0, 3)이다. bÛ`-aÛ`=4 yy`㉠
 (거짓) 이 타원이 점 (0, 2'2 )를 지나므로
⑤ x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4, 0), (4, 0)이다. (참) 8
=1, bÛ`=8, aÛ`=4 (∵ ㉠)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bÛ`
xÛ` yÛ`
∴ + =1
4 8

078   32

xÛ`+9yÛ`=9에서
xÛ`
+yÛ`=1 082  ①
9
한 초점의 좌표를 (c, 0) (c>0)이라 하면 m=aÛ`, n=bÛ`이라 하자.
두 초점이 F(3, 0), F'(-3, 0)이므로
c='Ä9-1=2'2
xÛ` yÛ`
따라서 두 초점 사이의 거리 d는 + =1 (a>b>0)에서 aÛ`-bÛ`=9 yy`㉠
aÛ` bÛ`
d=2c=4'2
타원 위의 임의의 점에서 타원의 두 초점까지의 거리의 합은 장축의
∴ dÛ`=32
길이와 같으므로
2a=8, a=4, bÛ`=7 (∵ ㉠)

079  ⑤ ∴ m+n=4Û`+7=23

xÛ` yÛ`
yy TIP
타원의 방정식을 + =1 (a>b>0)이라 하면
aÛ` bÛ` 083  ③
장축의 길이가 10이므로 a=5
xÛ` yÛ`
단축의 길이가 6이므로 b=3 타원의 방정식을 + =1 (0<a<b)라 하자.
aÛ` bÛ`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Ã5Û`-3Û`, 0), (-"Ã5Û`-3Û`, 0) 두 초점이 F(0, 4), F'(0, -4)이므로
즉, (4, 0), (-4, 0)이므로 bÛ`-aÛ`=16 yy`㉠
구하는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2_4=8이다. 타원 위의 임의의 점에서 타원의 두 초점까지의 거리의 합은 장축의
TIP 길이와 같으므로
0<a<b인 경우에는 a=3, b=5이고 2b=10, b=5, a=3 (∵ ㉠)
초점의 좌표가 (0, 4), (0, -4)이므로 구하는 두 초점 사이의 따라서 단축의 길이는 2_3=6이다.
거리는 2_4=8로 같다.

084  ②

xÛ` yÛ`
080  ③ 타원의 방정식을 + =1 (a>b>0)이라 하면
aÛ` bÛ`
장축의 길이가 8이므로 a=4
xÛ` yÛ`
타원의 방정식을 + =1 (a>b>0)이라 하면 단축의 길이가 6이므로 b=3
aÛ` bÛ`
두 초점이 F(4, 0), F'(-4, 0)이므로 따라서 초점의 좌표는 ("Ã4Û`-3Û`, 0), (-"Ã4Û`-3Û`, 0)

Ⅰ. 이차곡선 17
즉, ('7, 0), (-'7, 0)이므로 장축의 길이는 2_4=8이므로
구하는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2'7이다.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Ó=8
따라서 삼각형 PFF'의 둘레의 길이는
FÕF'Ó+PÕF'Ó+PÕF=
Ó 6+8=14이다.

085  ④

① ‌타원
xÛ` yÛ`
+ =1을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089  ③
16 9
xÛ` yÛ`
 (참) 타원 + =1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9 3
② 장축의 길이는 2_4=8이다. (참)
PFÓ+PFÓ'Ó=6 yy`㉠
③ 단축의 길이는 2_3=6이다. (참)
두 초점의 좌표는 F('6, 0), F'(-'6, 0)이므로
④ 초점의 좌표는 ('7, -2), (-'7, -2)이다. (거짓)
FÕF'Ó=2'6 yy`㉡
⑤ 중심의 좌표는 (0, -2)이다. (참)
직각삼각형 FPF'에서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PFÓ Û`+PFÓ'Ó Û`=FFÓ'Ó Û`=24 (∵ ㉡) yy`㉢
( PFÓ+PFÓ'Ó)Û`-( PFÓ Û`+PFÓ'Ó Û`)
∴ PFÓ_PFÓ'=
Ó‌
2

086  6 =
6Û`-24
2
=6 (∵ ㉠, ㉢)

4xÛ`+9yÛ`-18y-27=0에서
4xÛ`+9(yÛ`-2y+1)-36=0, 4xÛ`+9(y-1)Û`=36


xÛ` (y-1)Û`
9
+
4
=1 090   풀이 참조

xÛ` yÛ` 점 Q의 좌표를 (x, y)라 하자.


즉, 주어진 타원은 타원 + =1을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9 4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H(a, 0)이므로
2a+a b
선분 PH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 , },
평행이동한 것이다.
xÛ` yÛ` 3 3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5, 0), (-'5, 0)이므로
9 4
즉 {a, }이므로
b
주어진 타원의 두 초점의 좌표는 ('5, 1), (-'5, 1)이다. 3
b
∴ p='5 또는 p=-'5, q=1 x=a, y= 에서 x=a, b=3y yy`㉠
3
∴ pÛ`+qÛ`=5+1=6
이때, 점 P는 원 xÛ`+yÛ`=9 위의 점이므로
aÛ`+bÛ`=9 yy`㉡
xÛ`
㉠을 ㉡에 대입하면 xÛ`+(3y)Û`=9, +yÛ`=1이고
9
087  ①
이를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두 초점의 좌표가 (6, b), (-2, b)인 타원 y
3 x@+y@=9
(x-2)Û` (y-2)Û`
+ =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a 4 1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두 초점의 좌표가 (4, b-2), O x
-3 3
xÛ` yÛ` -1
(-4, b-2)인 타원 + =1이 된다. x@
a 4 +y@=1
-3 9
xÛ` yÛ`
이때,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a 4 채점 요소 배점
('Äa-4, 0), (-'Äa-4, 0)이므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 구하기 70%
'Äa-4=4, b-2=0에서 a=20, b=2이다. 점 Q가 나타내는 도형 그리기 30%
∴ ab=40

091   12

088  ③ 원 (x-6)Û`+(y-5)Û`=36의 중심을 A, 타원의 두 초점을 F,


xÛ` yÛ` F'이라 하면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16 7 두 점 F, F'은 원 위의 점이므로 AÕFÓ=AÕF'Ó=6
(-3, 0), (3, 0)이므로 FÕF'Ó=6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장축의 길이는 AÕFÓ+AÕF'Ó=6+6=12이다.

18 기하
092  ⑤ 097   y=-x-3

포물선 yÛ`=8x의 초점의 좌표는 (2, 0)이고, 직선 x+y-3=0의 기울기는 -1이므로


xÛ` xÛ` yÛ`
타원 +yÛ`=1의 초점 중 x좌표가 양수인 좌표는 타원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은
aÛ` 5 4
("ÃaÛ`-1, 0)이므로 y=-xÑ"Ã5_(-1)Û`+4
"ÃaÛ`-1=2, aÛ`-1=4, aÛ`=5 즉, y=-x+3 또는 y=-x-3에서
∴ a='5 (∵ a>1) 직선 y=-x+3은 직선 x+y-3=0과 일치하므로 이

따라서 이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2'5이다.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x-3이다. 곡

093  ③
098  ⑤
타원 2xÛ`+yÛ`=2와 직선 y=x+k가 만나려면
직선 x-2y+1=0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2xÛ`+(x+k)Û`=2
xÛ` yÛ`
즉, 3xÛ`+2kx+kÛ`-2=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타원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4 9
D y=-2xÑ"Ã4_(-2)Û`+9
=kÛ`-3(kÛ`-2)¾0이어야 한다.
4
즉, y=-2x+5 또는 y=-2x-5이다.
따라서 kÛ`É3이므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따라서 a=5 또는 a=-5이므로
-'3ÉkÉ'3이다.
모든 a의 값의 곱은 -25이다.

094  ④

xÛ` yÛ`
099  ⑤
타원 + =1과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20 5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60ù인 직선의 기울기는
xÛ` (x+k)Û` tan`60ù='3이므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 =1
20 5
xÛ` yÛ`
즉, 5xÛ`+8kx+4kÛ`-20=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타원 3xÛ`+5yÛ`=30, 즉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3인
10 6
D 직선의 방정식은
=16kÛ`-5(4kÛ`-20)>0이어야 한다.
4
따라서 kÛ`<25이므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y='3xÑ"Ã10_('3)Û`+6
-5<k<5이다. 즉, y='3x+6 또는 y='3x-6이다.
∴ M=4, m=-4 따라서 두 접선 사이의 거리는
∴ Mm=4_(-4)=-16 |'3_0+(-1)_(-6)+6|
=6
"Ã('3)Û`+(-1)Û`

095  ⑤

타원 10xÛ`+yÛ`=6과 직선 y=mx+3이 만나지 않으려면


100  ②

x에 대한 이차방정식 10xÛ`+(mx+3)Û`=6 타원 xÛ`+6yÛ`=10 위의 점 A(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즉, (mÛ`+10)xÛ`+6mx+3=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2x-6y=10
D ∴ x-3y=5
=9mÛ`-3(mÛ`+10)<0이어야 한다.
4
따라서 mÛ`<5에서 -'5<m<'5이므로
정수 m은 -2, -1, 0, 1, 2로 5개이다.
101  ③

xÛ` yÛ`
096  ③ 타원
4
+ =1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2
-x 3y x y
xÛ` + =1, - + =1
타원 +yÛ`=1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4 12 4 4
2
이 접선의 x절편은 -4, y절편은 4이므로
y=2xÑ"Ã2_2Û`+1
∴ y=2xÑ3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2!;_|-4|_4=8이다.

Ⅰ. 이차곡선 19
102   ⑴ y=2 또는 3x-2y=8 y y@
x@ + =1
 ⑵ x=1 또는 3x+2y=5 2 2
y=Â2x+2 y=-Â2x+2
⑴ 접점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3ax+4by=16
-Â2 O Â2 x
접선이 점 (4, 2)를 지나므로
y=-Â2x-2 y=Â2x-2
12a+8b=16, 3a+2b=4 yy`㉠ -2
점 (a, b)는 타원 3xÛ`+4yÛ`=16 위의 점이므로 그러나 이 중 y=-'2x-2, y='2x-2는 접선은 맞지만
3aÛ`+4bÛ`=16 yy`㉡ 점 (0, 2)를 지나지 않으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을 ㉡에 대입하면 3aÛ`+(4-3a)Û`=16  (그 이유는 ‘교육과정 외’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aÛ`-2a=0, a(a-2)=0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C)와 같이 구하자.
a=0 a=2
[` 또는 [`
b=2 b=-1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2 또는 3x-2y=8

⑵ 접점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ax+


by
=1
104  ⑤
4
접선의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접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y=mxÑ"ÃmÛ`+4
b
a+ =1, b=-4a+4 yy`㉠ 이 접선이 점 (3, 2)를 지나므로
4
yÛ` 2=3mÑ"ÃmÛ`+4
점 (a, b)는 타원 xÛ`+ =1 위의 점이므로
4 2-3m=Ñ"ÃmÛ`+4
bÛ` 9mÛ`-12m+4=mÛ`+4
aÛ`+ =1 yy`㉡
4
2mÛ`-3m=0, m(2m-3)=0
16(-a+1)Û`
㉠을 ㉡에 대입하면 aÛ`+ =1
4 m=0 또는 m=;2#;
5aÛ`-8a+3=0, (5a-3)(a-1)=0
3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2#;이다.
a=
또는 [`
a=1 5
[`
b=0 8
b=
5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105  ④

x=1 또는 3x+2y=5 접선의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y=mxÑ"Ã3mÛ`+a
이 접선이 점 (-1, 2)를 지나므로
2=-mÑ"Ã3mÛ`+a
103  ②
m+2=Ñ"Ã3mÛ`+a
접선의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mÛ`+4m+4=3mÛ`+a
y=mxÑ"ÃmÛ`+2 2mÛ`-4m+a-4=0 yy`㉠
이 접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이때,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그 기울기의 곱은 -1이다.

2=Ñ"ÃmÛ`+2 따라서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mÛ`+2=4, mÛ`=2 a-4


=-1
2
m=-'2 또는 m='2
∴ a=2
∴ mÁmª=-2

TIP
구한 기울기 m의 값은 -'2, '2이므로
106  ④

yÛ` 접선의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점 (0, 2)에서 타원 xÛ`+ =1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2 y=mxÑ"Ã3mÛ`+6
y-2=-'2(x-0)에서 y=-'2x+2, 이 접선이 점 (3, 0)을 지나므로
y-2='2(x-0)에서 y='2x+2이다. yy`(C)
0=3mÑ"Ã3mÛ`+6
한편, m의 값 -'2, '2를 y=mxÑ"ÃmÛ`+2에 대입하면
9mÛ`=3mÛ`+6, mÛ`=1
y=-'2xÑ2, y='2xÑ2이다.
m=-1 또는 m=1

20 기하
y ⑤ ‌좌표평면에 두 점 A, B를 x축 위에, 타원의 중심을 원점 위에
3
x@ y@ xÛ` yÛ`
+ =1 놓으면 타원의 방정식은 + =1이다. (거짓)
3 6 25 16
y=x-3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O 3 x
y=-x+3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x+3, y=x-3이고


-3

yy TIP
109  ③


두 접선의 교점의 좌표는 (3, 0)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ABC에서 곡
AÕBÓ=6, BÕCÓ=8이므로 AÕCÓ=10이다. 선
;2!;_6_3=9이다.
A

TIP
6
103번의 TIP 을 참고하자.
C 4 B

즉,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10이고,


107  ① 단축의 길이가 8이므로
xÛ` yÛ`
타원 9xÛ`+4yÛ`=36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단면인 타원의 방정식을 + =1이라 할 수 있다.
5Û` 4Û`
9ax+4by=36 따라서 타원의 두 초점의 좌표는 (3, 0), (-3, 0)이므로
이 접선이 점 (2, 9)를 지나므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6이다.
18a+36b=36, a=2(1-b) yy`㉠
또한 점 (a, b)가 타원 9xÛ`+4yÛ`=36 위의 점이므로
9aÛ`+4bÛ`=36 yy`㉡
㉠을 ㉡에 대입하면 110  ⑤
36(1-b)Û`+4bÛ`=36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8, 단축의 길이는 4이므로
5bÛ`-9b=0, b(5b-9)=0 점 O를 원점으로 하는 타원의 방정식은
8 xÛ` yÛ`
a=-
또는 [`
a=2 5 + =1
[` 16 4
b=0 9 이때, 두 조명 A, B의 x좌표는 각각 -2, 2이므로
b=
5
yÛ`
따라서 두 접선의 방정식은 ;4!;+ =1   ∴ y='3`(∵ y>0)
4
x=2 또는 y=2x+5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조명까지의 높이는 '3`m이다.
직선 x=2는 y축과 평행하므로 직선 y=2x+5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Á이라 하면
h=90ù-hÁ
이때, tan`hÁ=2이므로 111  ④
'5 근일점과 원일점의 중점을 O라 하자.
sin`h=sin`(90ù-hÁ)=cos`hÁ=
5
태양에서 근일점까지의 거리는 4_10Ý``km이고,
태양에서 원일점까지의 거리는 16_10Ý``km이므로

108  ⑤ 근일점에서 점 O까지의 거리는 10_10Ý``km이고,


태양에서 점 O까지의 거리는 6_10Ý``km이다.
주어진 상황은 다음과 같다. y

행성
태양
10\10$
근일점 원일점
A 6`cm B O x
2`cm 2`cm 4\10$
6\10$
① 두 점 A, B는 타원의 초점이다. (참)
②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6`cm이다. (참)
③ 장축의 길이는 10`cm이다. (참) 이때, "Ã10Û`-6Û`_10Ý`=8_10Ý`이므로
④ 단축의 길이는 "Ã10Û`-6Û`=8에서 8`cm이다. (참) 이 행성 궤도의 단축의 길이는 16_10Ý``km이다.

Ⅰ. 이차곡선 21
112  ④ 따라서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10이고 타원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10-2_2=6이므로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

}2`-{ }2`=2"Ã5Û`-3Û`=8
직사각형의 한 꼭짓점 P의 좌표를 (x, y)라 하자. 10 6
2¾Ð{
y 2 2
다른 풀이
P{x,`y}
문제의 그림의 일부에서 그림과 같이 선분
A Q
O x AB를 장축으로 하는 타원의 초점 중 점 F
P
A에 가까운 점을 P, 선분 AF를 장축으로
하는 타원의 초점 중 점 A에 가까운 점을
Q라 하자. B
직사각형의 넓이를 S라 하면
두 삼각형 APQ, ABF는 서로 닮음이므로
S=2|x|_2|y|=4|xy|
AQÓ`:`AFÓ=k`:`1`(0<k<1)이라 하면
이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삼각형 APQ의 넓이)`:`(삼각형 ABF의 넓이)=kÛ``:`1
+ ¾2¾Ð _ =
xÛ` yÛ` xÛ` yÛ` |xy|
1= , 즉 |xy|É3 이때, 삼각형 ABF는 ∠BAF=120ù이고 ABÓ=AFÓ=10인
4 9 4 9 3
∴ S=4|xy|É12 이등변삼각형이므로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은 12이다. (삼각형 ABF의 넓이)‌=;2!;_10Û`_sin`(180ù-120ù)

=25'3

113  ④ ∴ (삼각형 APQ의 넓이)=25'3kÛ`


이와 같은 모양의 삼각형 6개의 넓이의 합이 6'3이므로
a>0, b>0이라 하면 원점 O에 대하여 6_25'3kÛ`=6'3
삼각형 BOF에서 BFÓ=a, OFÓ=c이므로
kÛ`=;2Á5;   ∴ k=;5!;`(∵ 0<k<1)
a
c=a`cos`60ù=
2
∴ AQÓ=kAFÓ=;5!;_10=2
또한 aÛ`-bÛ`=cÛ`이므로
'3 따라서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10이고 타원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bÛ`=aÛ`-cÛ`=;4#;aÛ`   ∴ b= a
2 6이므로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
따라서 삼각형 AFB의 넓이가 6'3이므로 2"Ã5`Û -3Û`=8
'3
;2!;_;2#;a_ a=6'3
2
aÛ`=16
∴ a=4, b=2'3 (∵ a>0)
115  ①

∴ aÛ`+bÛ`=16+12=28 타원의 중심을 좌표평면 위의 원점 O 위에, 장축을 y축, 단축을 x축


위에 놓으면
xÛ` yÛ`
114  ④
타원의 방정식은
4
+ =1이다.
16
이때, 직선 OA가 y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45ù이므로
문제의 그림의 일부에서 그림과 같이 선분
A Q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도 45ù이다.
AB를 장축으로 하는 타원의 초점 중 점 F
P 따라서 원점을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 OA의 방정식은 y=x이다.
A에 가까운 점을 P, 선분 AF를 장축으로
y
하는 타원의 초점 중 점 A에 가까운 점을 4 y=x
B
Q라 하자.
B 45æ 45æ A
정육각형 ABCDEF의 한 내각의 크기는 120ù이므로
-2 O 2 x
∠PAQ=120ù이고 삼각형 APQ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이때, PAÓ=a라 하면
-4
(삼각형 APQ의 넓이)‌=;2!;_aÛ`_sin`(180ù-120ù)
xÛ` yÛ`
'3 점 A는 타원 + =1과 직선 y=x의 교점 중 제1사분면 위의
4 16
= aÛ`
4 점이므로
이고, 이와 같은 모양의 삼각형 6개의 넓이의 합이 6'3이므로 xÛ` xÛ`
'3 + =1, 4xÛ`+xÛ`=16, xÛ`=:Á5¤:
4 16
6_ aÛ`=6'3
4 4'5
∴ x= (∵ x>0)
∴ a=2 5

22 기하
4'5 4'5 4'¶10 xÛ` yÛ`
따라서 A{ , }이므로 OÕAÓ= 타원 + =1의 장축의 길이는 2_2=4이므로
5 5 5 4 3
xÛ` yÛ`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는 4+4=8이다.
이때, 타원 + =1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4 16
4'¶10
OÕBÓ=OÕAÓ=
5

∴ OÕAÓ+OÕBÓ=
4'¶10 4'¶10 8'¶10
5
+
5
=
5
119  ①

xÛ` yÛ` 이
타원 + =1의 두 초점이 F('5, 0), F'(-'5, 0)이므로
aÛ` bÛ` 차

116  ① aÛ`-bÛ`=5 yy`㉠




xÛ` yÛ`
두 꼭짓점의 좌표가 (0, 1), (2, 0)이고 장축이 x축에 평행한 타원은 타원 + =1의 장축의 길이는 2a이므로
aÛ` bÛ`
그림과 같다.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ÕF'Ó+AÕFÓ=BÕF'Ó+BÕFÓ=2a
y
이때, 삼각형 ABF'의 둘레의 길이가 12이므로
2 2a+2a=12에서 a=3
a=3을 ㉠에 대입하면 b=2
1
∴ ab=6
O 2 4 x

즉,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4, 단축의 길이는 2이고 중심의 좌표는

(2, 1)이므로 타원
xÛ`
4
+yÛ`=1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120   22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다.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각각
36 27
(x-2)Û`
+(y-1)Û`=1 F(3, 0), F'(-3, 0)이다.
4
xÛ`+4yÛ`-4x-8y+4=0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QFÓ+QÕF'Ó=12이므로
∴ a=4, b=-4, c=-8, d=4 (삼각형 PFQ의 둘레의 길이)‌=PQÓ+QFÓ+PFÓ
∴ a+b+c+d=4+(-4)+(-8)+4=-4 =PQÓ+QFÓ+2
(삼각형 PFF'의 둘레의 길이)‌=PÕF'Ó+PFÓ+FÕF'Ó
=PÕF'Ó+2+6=PÕF'Ó+8
117  ①
따라서 구하는 길이의 합은
타원 C의 초점의 좌표를 (0, -p), (0, p)라 하면 (PQÓ+QFÓ+2)+(PÕF'Ó+8)‌=(PQÓ+PÕF'Ó)+QFÓ+10
타원 C'의 초점의 좌표는 (m, -p+n), (m, p+n)이므로 =QÕF'Ó+QFÓ+10
a+b+c+d=12에서 =12+10=22
m+(-p+n)+m+(p+n)=2(m+n)=12
∴ m+n=6 yy`㉠
한편, 타원 C'의 중심이 직선 x=-2 위에 있으므로 m=-2
m=-2를 ㉠에 대입하면 n=8
121  ④

∴ m-n=-10 xÛ` yÛ`


타원 + =1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25 9
PFÓ+PFÓ'Ó=10 yy`㉠
118  ③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4, 0), (-4, 0)이므로
FFÓ'=
Ó 8 yy`㉡
xÛ` yÛ`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1, 0), C(1, 0)이고, 직각삼각형 FPF'에서
4 3
직선 y=x+1이 점 (-1, 0)을 지나므로 삼각형 ABC는 그림과 PFÓ Û`+PFÓ'Ó Û`=FFÓ'Ó Û`=64 (∵ ㉡) yy`㉢
같다. ㉠, ㉢에 의하여
y ( PFÓ+PFÓ'Ó)Û`-( PFÓ Û`+PFÓ'Ó Û`)
y=x+1 PFÓ_PFÓ'Ó‌=
2
A(또는 B) 10Û`-64
= =18
2
-1 O C
B(또는 A)
1 x ∴ (삼각형 FPF'의 넓이)‌=;2!;_(PFÓ_PFÓ')Ó
x@ y@
4
+ =1
3 =;2!;_18=9

Ⅰ. 이차곡선 23
122  ② 125  ⑤

PÕF'Ó+PÕF=
Ó 100 yy`㉠ xÛ` yÛ`
타원 + =1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ÕFÓ+AÕF'Ó=2a이고
점 P가 단축 위의 꼭짓점에 위치할 때, 삼각형 PFF'의 넓이가 aÛ` bÛ`
최대이므로 PÕF'Ó=PÕF에
Ó 서 PÕFÓ=50 (∵ ㉠) 삼각형 AFF'이 정삼각형이므로 AÕFÓ=AÕF'Ó=a이다.
원점 O에 대하여
이때, 타원의 중심 O에 대하여 OÕFÓ=;2!;_FÕF'Ó=40이므로
직각삼각형 AOF에서 ∠AFO=60ù이므로
직각삼각형 POF에서 PÕO=
Ó 30이다. '3
b=AÕOÓ=AÕFÓ`sin`60ù= a
따라서 삼각형 PFF'의 넓이의 최댓값은 2
b '3
;2!;_FÕF'Ó_PÕOÓ=;2!;_80_30=1200 (mÛ`)이다. ∴ =
a 2

다른 풀이 참고

타원의 중심이 원점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정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은 원점 O가 아니다. 주어진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장축의 길이가 100=2_50이고, 그림만으로 원점 O가 무게중심이라 생각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40, 0), (-40, 0)이므로
xÛ` yÛ`
타원의 방정식은 + =1이다.
50Û` 30Û`
y
126  ④
x@ y@
30 P + =1 xÛ` yÛ`
50@ 30@ 타원 + =1의 장축의 길이는 2_7=14이고
49 20
F' F 타원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Õ'PÁÓ=FÕP¢Ó, FÕ'PªÓ=FÕP£Ó
-40 O 40 x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ÕPÁÓ+FÕ'PÁÓ=FÕPªÓ+FÕ'PªÓ=14이므로
FÕPÁÓ+FÕPªÓ+FÕP£Ó+FÕP¢Ó‌=FÕPÁÓ+FÕPªÓ+FÕ'PªÓ+FÕ'PÁÓ
=( FÕPÁÓ+FÕ'PÁÓ)+( FÕPªÓ+FÕ'PªÓ)
따라서 삼각형 PFF'의 넓이는 점 P의 좌표가 (0, 30)일 때 최댓값 =14+14=28
;2!;_80_30=1200(mÛ`)를 갖는다.

127  ④

xÛ` yÛ`
타원 + =1의 장축의 길이는 2_2'6=4'6이고
8 24
타원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ÕQÁÓ=FÕPÁÓ, FÕQªÓ=FÕPªÓ
123  ④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ÕPÁÓ+FÕ'PÁÓ=FÕPªÓ+FÕ'PªÓ=4'6이므로
xÛ` yÛ` FÕ'PÁÓ+FÕ'PªÓ+FÕQÁÓ+FÕQªÓ‌=FÕ'PÁÓ+FÕ'PªÓ+FÕPÁÓ+FÕPªÓ
타원 + =1의 장축의 길이는 2_4=8이므로
16 7 =( FÕPÁÓ+FÕ'PÁÓ)+( FÕPªÓ+FÕ'PªÓ)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ÕPÓ+FÕ'PÓ=8 =4'6+4'6=8'6
이때, FÕP>
Ó 0, FÕ'PÓ>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Ó FÕ'PÓ¾2¿¹ FPÓ_FÕ'PÓ (단, 등호는 FPÓ=FÕ'PÓ일 때 성립)
8=FÕP+ 128  ②
Ó FÕ'PÓÉ16
즉, FÕP_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따라서 FÕP_
Ó FÕ'PÓ의 최댓값은 16이다. AÕFÓ+AÕFÁÓ=BÕF+
Ó BÕFÁÓ=4, AÕFÓ+AÕFªÓ=BÕFÓ+BÕFªÓ=6
이때, 사각형 AFÁBFª의 둘레의 길이가 12이므로
AÕFÁÓ+BÕFÁÓ+AÕFªÓ+BÕFªÓ
=(4-AÕFÓ)+(4-BÕF)Ó +(6-AÕF)Ó +(6-BÕFÓ)
=20-2(AÕFÓ+BÕF)Ó =12
124  ① ∴ AÕFÓ+BÕF=
Ó 4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Ó=8


이때,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1Û`+1Û`)_( PÕFÓ Û`+PÕF'Ó Û`)¾( PÕFÓ+PÕF'Ó)Û`=8Û`
129  ④

PÕFÓ Û`+PÕF'Ó Û`¾32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따라서 PÕFÓ Û`+PÕF'Ó Û`의 최솟값은 32이다. PÕF+
Ó PÕFÁÓ=QÕFÓ+QÕFÁÓ=8, PÕF+
Ó PÕFªÓ=QÕFÓ+QÕFªÓ=14

24 기하
P ∴ a=3'2
따라서 FÕQÓ+FÕ'QÓ=6'2에서 FÕ'QÓ=k라 하면 FÕQÓ=6'2-k이고
F¡ F F™ 직각이등변삼각형 PFF'에서 FÕPÓ=FÕ'PÓ=3'2이므로
Q 직각삼각형 FPQ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PÕFÁÓ-PÕFªÓ|=|(8-PÕFÓ)-(14-PÕFÓ)|=6 (3'2+k)Û`+(3'2)Û`=(6'2-k)Û`
|QÕFÁÓ-QÕFªÓ|=|(8-QÕF)Ó -(14-QÕFÓ)|=6 kÛ`+6'2k+18+18=kÛ`-12'2k+72, 18'2k=36
∴ |PÕFÁÓ-PÕFªÓ|+|QÕFÁÓ-QÕFªÓ|=12 ∴ k='2

∴ (직각삼각형 FPQ의 넓이)‌=;2!;_PÕQÓ_FÕPÓ 차
130  ④ 곡

=;2!;_4'2_3'2=12

xÛ` yÛ`
+ =1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Û` bÛ`
AFÓ+AFÓ'Ó=2a, BFÓ+BFÓ'Ó=2a
이때, 직사각형 AFBF'의 둘레의 길이는 24이므로 133   105

2a+2a=24, a=6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Ã36-bÛ`, 0), (-"Ã36-bÛ`, 0)이므로 25 9
FFÓ'Ó=2"Ã36-bÛ` yy`㉠ (4, 0), (-4, 0)이다.
직각삼각형 FAF'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PÓ+FÕ'PÓ=10이므로
AFÓ Û`+AFÓ'Ó Û`=FFÓ'Ó Û`=4(36-bÛ`) (∵ ㉠) APÓ-FPÓ‌=APÓ-(10-FÕ'PÓ)
한편, 직사각형 AFBF'의 넓이가 32이므로 =APÓ+FÕ'PÓ-10
(AÕFÓ+AÕF'Ó)Û`-(AÕFÓ Û`+AÕF'Ó Û`) ¾AFÓ'-
Ó 10
AFÓ_AFÓ'Ó‌=
2 APÓ-FPÓ의 최솟값이 1이므로 AFÓ'Ó-10=1
12Û`-4(36-bÛ`) ∴ AFÓ'Ó=11
= =32
2
즉, "Ã4Û`+aÛ`=11에서
bÛ`=16, b=4
16+aÛ`=121
∴ a+b=6+4=10
∴ aÛ`=105

131  ②

FPÓ=9이고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PÓ+FÕ'PÓ=14이므로 FÕ'PÓ=5 134  ③

직각삼각형 PHF에서 FHÓ=6'2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a, 0), (0, b)라 하면 AÕB=
Ó 4이므로
PHÓ=¿¹9Û`-(6'2)Û`=3 aÛ`+bÛ`=16 yy`㉠
직각삼각형 FHF'에서 HFÓ'Ó=2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FFÓ'Ó=¿¹(6'2)Û`+2Û`=2'¶19 3a b
선분 AB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가 { , }이므로
따라서 원점 O에 대하여 OFÓ='¶19이므로 49-a=19 4 4
3a
, y= 에서 a=;3$;x, b=4y
∴ a=30 b
x=
4 4

이를 ㉠에 대입하면 {;3$;x}2`+(4y)Û`=16
132  ②
xÛ`
y ∴ +yÛ`=1
9
P

-a
F' O F
a x 135  ③
Q
그림에서 선분 AP의 수직이등분선 l과 선분 AP의 교점을
M이라 하자.
타원의 장축의 길이를 2a`(a>0)이라 하면 Ú 점 P가 직선 OA 위에 있지 않을 때,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ÕPÓ+FÕ'PÓ=2a, FÕQÓ+FÕ'QÓ=2a이다. P
이때, 삼각형 FPQ의 둘레의 길이가 12'2이므로 l
Q
FÕPÓ+PÕQ+
Ó FÕQÓ‌=FÕPÓ+(FÕ'PÓ+FÕ'QÓ)+FÕQÓ M

=(FÕPÓ+FÕ'PÓ)+(FÕ'QÓ+FÕQÓ) O
A
=2a+2a
=4a=12'2

Ⅰ. 이차곡선 25
두 삼각형 PMQ, AMQ는 서로 합동이므로 AÕPÓ=PÕQ이
Ó 므로 AÕPÓ+PÕO=
Ó PÕQ+
Ó PÕOÓ=OÕQÓ=4 (참)
PÕQÓ= AÕQÓ 이다. 따라서 ㄴ. ‌ㄱ에서 점 P는 초점이 두 점 O, A(2, 0)이고 장축의 길이가 4인

OÕPÓ‌=OÕQÓ+QÕPÓ 타원 위의 점이다.
y
=OÕQÓ+ AÕQÓ =r
Û 점 P가 직선 OA 위에 있을 때, 2
l l
Q{=M} O 1 2 3 x
Q{=M}
O
P P
A O A
점 P가 나타내는 타원의 중심의 좌표는 (1, 0)이므로
단축의 길이는 2_"Ã2Û`-1Û`=2'3이다. (참)
점 Q는 점 M이므로 PQÓ=AQÓ이다. xÛ` yÛ`
ㄷ. ‌ㄴ에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타원 + =1을 x축의
따라서 OPÓ=OQÓ+QPÓ=OQÓ+ AQÓ =r 4 3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Ú, Û에 의하여 점 Q의 자취는 초점이 두 점 O, A 이고, 장축의
(x-1)Û` yÛ`
∴ + =1, 3(x-1)Û`+4yÛ`=12 (참)
길이가 r 인 타원이다. 4 3
㈎ AÕQ,Ó ㈏ A, ㈐ r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따라서 선지 중 알맞은 것을 차례대로 나열한 것은 ③이다.

136  ⑤
138  ⑤
점 Q를 지나고 직선 AP에 평행한 직선과 x축의 교점을 B라 하자.
원 xÛ`+(y-1)Û`=1의 중심을 A(0, 1),
동위각으로 ∠OQB=∠OPA이고, 엇각으로
원 xÛ`+(y+1)Û`=25의 중심을 B(0, -1)이라 하고
∠AQB=∠QAP이므로 삼각형 APQ는 QAÓ=QPÓ인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P가 중심인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이등변삼각형이다.
r라 하면 그림과 같다.
이때, OQÓ+QAÓ=OQÓ+QPÓ=OPÓ=6이므로 점 Q는 두 점 O, A를
y
초점으로 하고 장축의 길이가 6인 타원 위의 점이다. x@+{y+1}@=25
이 타원의 두 초점이 모두 x축 위에 있고, 선분 OA의 중점의 좌표는 A

x@+{y-1}@=1 1
(2, 0)이므로 타원의 방정식은 r
(x-2)Û` yÛ` O Q™ x
-1 P r
+ =1 B
9 5
C
따라서 선지 중 집합의 포함 관계로 옳은 것은 ⑤이다.

참고
원 C와 원 xÛ`+(y-1)Û`=1의 접점을 QÁ이라 하면
문제의 조건에서 점 P의 y좌표는 0이 아니므로 집합 X는 두 점
AÕPÓ=r+1
(x-2)Û` yÛ`
(-1, 0), (5, 0)을 제외한 타원 + =1 위의 모든 원 C와 원 xÛ`+(y+1)Û`=25의 접점을 Qª라 하면
9 5
점을 원소로 갖는다. BÕP=
Ó 5-r
따라서 AÕPÓ+BÕP=
Ó (r+1)+(5-r)=6으로 일정하므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두 점 A(0, 1), B(0, -1)을 초점으로
하고 장축의 길이가 6인 타원이다.
137  ⑤

xÛ` yÛ`
+ =1, 9xÛ`+8yÛ`=72
8 9
ㄱ. ‌점 A를 지나고 원 xÛ`+yÛ`=16에 내접하는 원과 원 xÛ`+yÛ`=16의
접점을 Q라 하면
y
x@+y@=16
Q
P
139  ⑤
O A x
yÛ`
타원 xÛ`+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0, "ÃpÛ`-1), (0, -"ÃpÛ`-1)
pÛ`
포물선 yÛ`=16x의 초점의 좌표는 (4, 0)

26 기하
y
y@=16x 143   103
y@
x@+ =1 그림과 같이 선분 PQ의 중점을 R라 하면 타원은 x축에 대하여
p@
대칭이므로 점 R는 x축 위의 점이고,
PQÓ=2'1Œ0에서 PRÓ='1Œ0이다.
O 4 x

y
P

이때, 세 초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넓이가 20이므로 B A 차

-5 F' O R F 5 x
;2!;_2"ÃpÛ`-1_4=20 선

"ÃpÛ`-1=5, pÛ`-1=25 Q

∴ pÛ`=26
이때, PFÓ=a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Ó=10이므로
PFÓ'=
Ó 10-a이고, 포물선의 준선은 y축과 평행하고 점 F'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140  ③ PFÓ=FÕ'RÓ이다.
따라서 삼각형 PRF'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점 A의 좌표를 (p, q)라 하자. (10-a)Û`=aÛ`+'¶10 Û`
xÛ` yÛ`
타원
16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7 20a=90   ∴ a=;2(;
(3, 0), (-3, 0)이므로 FÕF'Ó=6
∴ PFÓ_PFÓ'Ó=a_(10-a)=;2(;_:Á2Á:=:»4»:
따라서 직각삼각형 FAF'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ÕFÓ Û`+AÕF'Ó Û`=36 따라서 p=4, q=99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ÕF+ Ó AÕF'Ó=8 p+q=4+99=103

(AÕFÓ+AÕF'Ó)Û`=AÕFÓ +AÕF'Ó Û`+2_AÕFÓ_AÕF'Ó


`
Û
8Û`=36+2_AÕFÓ_AÕF'Ó
AÕFÓ_AÕF'Ó=14
144  ④
∴ (삼각형 AFF'의 넓이)=;2!;_AÕFÓ_AÕF'Ó=7
FFÓ'=
Ó 2c, FPÓ=c이고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Ó'Ó=4-c이다.
따라서 직각삼각형 FPF'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4-c)Û`+cÛ`=4cÛ`, cÛ`+4c-8=0
∴ c=-2+2'3`(∵ c>0)
141  ⑤
다른 풀이

포물선 yÛ`=8x의 초점을 F라 하면 F(2, 0)이고 PFÓ`:`FFÓ'Ó=1`:`2이므로 직각삼각형 FPF'에서


준선의 방정식은 x=-2이다. ∠FF'P=30ù
xÛ` yÛ` 즉, PFÓ`:`PFÓ'=
Ó 1`:`'3
이때,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B(-2, 0), F(2, 0)이다.
16 12
이때,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HÓ=AÕF이
Ó 고
PFÓ+PFÓ'Ó=(1+'3 )_PFÓ=4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ÕBÓ+AÕFÓ=8이므로
4
AÕBÓ+AÕHÓ=AÕBÓ+AÕFÓ=8 ∴ c=PFÓ= =2'3-2
1+'3

142  ④ 145  ④

xÛ` yÛ`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10이고 단축의 길이가 6이므로 타원의 두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3, 0), (-3, 0)
12 3 초점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포물선의 초점 F의 좌표가 (3, 0)이므로 k=12 FFÓ'=
Ó 2"Ã5Û`-3Û`=8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HÓ=PÕF이
Ó 고 점 P는 중심이 F이고 점 F'을 지나는 원 위의 점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Ó=4'3이므로 FPÓ=FFÓ'=
Ó 8
k(PÕF'Ó+PÕH)Ó ‌=k(PÕF'Ó+PÕFÓ) 또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12_4'3=48'3 FPÓ+FÕ'PÓ=10이므로 FÕ'PÓ=2이다.

Ⅰ. 이차곡선 27
y
M P
P
6
F
10 60æ 150æ
F' x
F' O 60æ F A

이때, 삼각형 PFF'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선분 F'P의 중점을


M이라 하면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따라서 삼각형 OPF는 한 변의 길이가 6인 정삼각형이므로
FÕMÓ="Ã8Û`-1Û`=3'7 PFÓ=6이고,
직각삼각형 FPF'에서 PFÓ'Ó=FFÓ'Ó`sin`60ù=6'3이므로
∴ (삼각형 PFF'의 넓이)‌=;2!;_FÕ'PÓ_FÕMÓ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2!;_2_3'7 PFÓ+PÕF'Ó=6+6'3이다.

=3'7
다른 풀이

그림과 같이 주어진 타원을 장축이 x축, y


단축이 y축에 오도록 좌표평면 위에 147   풀이 참조
놓으면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10이고 3
P a=2일 때 직선 y=-x+2는 그림과 같이 타원과 두 점에서
단축의 길이가 6이므로 타원의 방정식은
-5 F' O F 5 x 만난다.
xÛ` yÛ`
+ =1 yy`㉠ y
25 9 -3
2 y=-x+k
이때, 이 타원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x@ 1
각각 (4, 0), (-4, 0)이므로 중심이 +y@=1
4
F이고 점 F'을 지나는 원의 방정식은 k
(x-4)Û`+yÛ`=64 yy`㉡ -2 O 2 x

㉡에서 yÛ`=64-(x-4)Û`을 ㉠에 대입하면


-1
y=-x+2
xÛ` 64-(x-4)Û`
+ =1
25 9 직선 y=-x+a가 타원과 접할 때의 a의 값을 k라 하면
9xÛ`-25xÛ`+200x+1200=225 직선 y=-x+a가 타원과 만나지 않기 위해서는 a>k이어야 한다.
16xÛ`-200x-975=0 이를 바르게 풀면 다음과 같다.
(4x+15)(4x-65)=0 xÛ`
+yÛ`=1에 y=-x+a를 대입하면
4
이때, -5ÉxÉ5이므로 x=-:Á4°:
xÛ`
+(-x+a)Û`=1, 5xÛ`-8ax+4aÛ`-4=0
4
x=-:Á4°: 를 ㉠에 대입하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ª1ª6°: D
=16aÛ`-5(4aÛ`-4)<0
yÛ` yÛ`
+ =1, =;1¦6; 4
25 9 9
aÛ`>5에서 a>'5 (∵ a>0)
3'7
∴ y=Ñ 따라서 양수 a의 값의 범위는 a>'5이다.
4
3'7
∴ (삼각형 PFF'의 넓이)=;2!;_8_ =3'7 채점 요소 배점
4 잘못된 부분 찾기 50`%
바르게 풀이하기 50`%

146  ②

원점을 O라 하고, 원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을 148  ②


A라 하면 직각삼각형 OPA에서 xÛ` yÛ`
타원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POA=90ù-∠OAP=90ù-30ù=60ù이므로 6 3
OPÓ=OFÓ=6인 이등변삼각형 OPF에서 y=xÑ"Ã6_1Û`+3
∠OPF=∠OFP=60ù이다. 즉, y=x+3 또는 y=x-3이다.

28 기하
xÛ` yÛ`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2#;,
y y=x+5
타원 3xÛ`+4yÛ`=12, 즉
5 y=x+3 4 3
x@ y@ y절편이 양수인 직선의 방정식은

y=-;2#;x+¾Ð4_{-;2#;}2`+3에서 y=-;2#;x+2'3
3 + =1
6 3
Â3 y=x-3
Â6
-5
-3 O 3 x k
따라서 k의 최댓값은 =2'3, k=4'3이다.
-Â6 2
-Â3
-3


M의 값은 두 직선 y=x+5, y=x-3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M=
|1_0+(-1)_5-3|
=4'2
151  ①

"Ã1Û`+(-1)Û` 교점의 좌표를 (a, b)라 하자.


m의 값은 두 직선 y=x+5, y=x+3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포물선 yÛ`=8x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_0+(-1)_5+3|
m= ='2 4
"Ã1Û`+(-1)Û` by=4(x+a)이므로 그 기울기는
b
∴ M+m=4'2+'2=5'2 yÛ`
타원 xÛ`+ =1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k
by ak
ax+ =1이므로 기울기는 - 이고
k b
149  ④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므로
4
_{-
ak
}=-1
b b
xÛ`
타원 +yÛ`=1의 초점 F의 좌표는 ('3, 0)이므로 4ak=bÛ` yy`㉠
4
1 한편, 점 (a, b)는 포물선 yÛ`=8x 위의 점이므로
직선 AF의 기울기는 - 이다.
'3 bÛ`=8a yy`㉡
이때, 삼각형 AFP의 넓이가 최대이기 위해선 ㉠, ㉡에서 4ak=8a
1 ∴ k=2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 이고 y절편이 음수인 경우이다.
'3

}2`+1에서
1 1
즉, y=- x-¾Ð4_{-
'3 '3
1 '7
y=- x- , x+'3y+'7=0
152  ④
'3 '3
타원 xÛ`+8yÛ`=12 위의
점 A(0, 1)과 직선 x+'3y+'7=0 사이의 거리는
점 A(-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0+'3+'7| '3+'7
= 이고 AÕFÓ=2이므로 -2x+8y=12, -x+4y=6 yy`㉠
'Ä1+3 2
점 B(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삼각형 AFP의 넓이의 최댓값은
2x+8y=12, x+4y=6 yy`㉡
'3+'7 '7+'3
;2!;_ _2= 이다.
2 2 ㉠, ㉡을 연립하여 풀면 x=0, y=;2#;이므로 C{0, ;2#;}

∴ (삼각형 ABC의 넓이)=;2!;_|2-(-2)|_|;2#;-1|=1

150  ④

3x+2y=k`(k는 상수)라 하면

직선 y=-;2#;x+ 가 타원 3xÛ`+4yÛ`=12에 접하고 y절편이


k 153  ④
2
xÛ` yÛ`
양수일 때 k가 최댓값을 갖는다. 타원 + =1 위의 제1사분면에 있는 점 P(a, b)에서의 접선의
8 4
y ax by
k 방정식은 + =1이므로
8 4
2 3 k 8 4
x@ y@
+ =1
y=- x+
2 2 A{ , 0}, B{0, }
4 3 a b
따라서 삼각형 AOB의 넓이 S는
8 4 16
S=;2!;_ _ = 
O x
yy`㉠
a b ab
xÛ` yÛ` aÛ` bÛ`
k의 값 최대 한편, 점 P(a, b)는 타원 + =1 위의 점이므로 + =1
8 4 8 4
k의 값 최소 이때, aÛ`¾0, bÛ`¾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Ⅰ. 이차곡선 29
aÛ` bÛ` aÛ` bÛ` ab y
1‌= + ¾2¾Ð _ = 4 B
8 4 8 4 2'2
b
a b
 (단, 등호는 = 일 때 성립)
2'2 2
∴ abÉ2'2 4x@+y@=4
b P{a,`b}
16 16
㉠에서 S= ¾ =4'2이므로 A
ab 2'2 a
O 1 x
삼각형 AOB의 넓이의 최솟값은 4'2이다. a

154  ④ 1 4
SÁ=;2!;_ _b= , Sª=;2!;_ _a=
a
b
2a b
2a
b
xÛ` yÛ`
타원 + =1 위의 점 (2, '3 )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이때, SÁ`:`Sª=1`:`3이므로
16 4
b 2a 2a 3b
2x '3y 2a
`:` =1`:`3,
b b
=
2a
+ =1, x+2'3y-8=0
16 4
4aÛ`=3bÛ` yy`㉠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한편, 점 P(a, b)는 타원 4xÛ`+yÛ`=4 위의 점이므로
16 4
(2'3, 0), (-2'3, 0)이므로 4aÛ`+bÛ`=4 yy`㉡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 ㉡을 연립하여 풀면
|2'3-8| |-2'3-8| '3
FÕHÁÓ+FÕ'HªÓ= + =;1!3^;'¶13 bÛ`=1, b=1, a=
'Ä1+12 'Ä1+12 2
'3
∴ ab=
2

155  ②

타원
xÛ` yÛ`
+ =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57  ⑤
aÛ` bÛ`
접점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2x y 2bÛ`
+ =1에서 y=- x+bÛ` xÁx
aÛ` bÛ` aÛ` 접선의 방정식은 +yÁ y=1
4
이때, 이 직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이 직선이 점 (4, 1)을 지나므로
2bÛ`
- =-1, aÛ`=2bÛ` yy`㉠ xÁ+yÁ=1에서 yÁ=1-xÁ yy`㉠
aÛ`
xÛ` yÛ` xÁÛ`
또한 점 (2, 1)은 타원 + =1 위의 점이므로 점 (xÁ, yÁ)은 타원 위의 점이므로 +yÁÛ`=1 yy`㉡
aÛ` bÛ` 4
4 1 xÁÛ`
+ =1 ㉡에 ㉠을 대입하면 +(1-xÁ)Û`=1에서
aÛ` bÛ` 4
위의 식에 ㉠을 대입하면 5xÁÛ`-8xÁ=0 yy`㉢
2 1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이는 ㉢의 두 실근과
+ =1, bÛ`=3, aÛ`=6
bÛ` bÛ` 같으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Û` yÛ` xÛ` yÛ`
따라서 타원 + =1, 즉
aÛ` bÛ` 6
+ =1의 초점의 좌표는
3 a+b=;5*;
(Ñ'3, 0)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BP의 무게중심의 x좌표는
이를 두 초점으로 하고, 단축의 길이가 8인 타원의 방정식은
;5*;+4
a+b+4
xÛ` yÛ`
+ =1이다. = =;1@5*;
19 16 3 3
이 타원 위의 점 P(s, t), 원점 O에 대하여
sÛ`+tÛ`=OÕPÓ Û`이므로 점 P가 타원 위의 꼭짓점 중 (-'¶19, 0) 또는
('¶19, 0)일 때 최댓값 19를 갖는다.
158  ②

접점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xÁx+5yÁ y=10
156  ④ 이 직선이 점 P(5, 2)를 지나므로
5xÁ+10yÁ=10에서 xÁ=2-2yÁ yy`㉠
타원 4xÛ`+yÛ`=4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점 (xÁ, yÁ)은 타원 위의 점이므로 xÁÛ`+5yÁÛ`=10 yy`㉡
4ax+by=4이므로
㉡에 ㉠을 대입하면 4(1-yÁ)Û`+5yÁÛ`=10에서
1 4
A{ , 0}, B{0, } 9yÁÛ`-8yÁ-6=0
a b

30 기하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d=;9*; 161  ①
㉠에서 xÛ` yÛ`
타원 xÛ`+4yÛ`=36, 즉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36 9
a+c=(2-2b)+(2-2d)=4-2(b+d)=4-2_;9*;=:ª9¼:
(3'3, 0), (-3'3, 0)이므로
∴ a+b+c+d=:ª9¼:+;9*;=:ª9¥: FÕF'Ó=6'3
또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ÕF+
Ó PÕF'Ó=12
이때, PÕF=
Ó k`(k>0)라 하면 PÕF'Ó=2k이므로 이

k+2k=12, k=4
159   32
∴ PÕF=
Ó 4, PÕF'Ó=8

제1사분면 위에 있는 접점 Q의 좌표를 (xÁ, yÁ)이라 하면 따라서 삼각형 FP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4Û`+8Û`-(6'3)Û`
=-;1¦6;
xÁx yÁy
점 Q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1 cos`(∠FPF')=
8 2 2_4_8
이 직선은 점 (0, 2)를 지나므로 yÁ=1
점 Q(xÁ, yÁ), 즉 Q(xÁ, 1)은 타원 위의 점이므로
xÁÛ`
+;2!;=1, xÁÛ`=4   ∴ xÁ=2`(∵ xÁ>0)
162  ③
8
xÛ` yÛ`
y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4, 0), A(-4, 0),
2
20 4
P Q x축 위의 꼭짓점의 좌표는 (2'5, 0), (-2'5, 0)이고
원 (x-4)Û`+yÛ`=nÛ`은 중심의 좌표가 (4,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F O F' x n이다.
x@ y@ y n=8
+ =1
8 2 n=7
즉, Q(2, 1)이고, 두 점 P, Q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n=6
n=5
P(-2, 1)이다. n=4
∴ PQÓ=4 n=3
x@ y@ P§ P∞ P¢ P£ P™ n=2
+ =1 Pß
따라서 타원의 초점 중 점 F가 아닌 점을 F'이라 할 때, 20 4 P• P¡ n=1
A F
FQÓ=FÕ'PÓ이고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O x
-2Â5° -4 4
FPÓ+FÕ'PÓ=2'8=4'2 2Â5°
∴ (삼각형 PFQ의 둘레의 길이)‌=FPÓ+FQÓ+PQÓ
=FPÓ+FÕ'PÓ+PQÓ
=4'2+4
{x-4}@+y@=n@
∴ a=4, b=4
∴ aÛ`+bÛ`=4Û`+4Û`=32
따라서 점 (4, 0)을 점 F라 하면 PÕn FÓ=n이고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Õn AÓ+PÕn FÓ=4'5이므로
PÕn AÓ=4'5-n
160  ②
∴ ;N8+!`PÕn AÓ‌=;N8+!`(4'5-n)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8_9
25 9 =32'5- =-36+32'5
2
(4, 0), (-4, 0)이므로
∴ p=-36, q=32
FÕF'Ó=8
∴ p+q=(-36)+32=-4
또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Ó=10
이때, ∠FPF'=60ù이므로
삼각형 FP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ÕFÓ Û`+PÕF'Ó Û`-FÕF'Ó Û`
163   39
=cos`60ù
2_PÕFÓ_PÕF'Ó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36 20
PÕFÓ Û`+PÕF'Ó Û`-8Û`=;2!;_2_PÕFÓ_PÕF'Ó (4, 0), (-4, 0)이고, 초점 F에 가장 가까운 꼭짓점은
(PÕF+
Ó PÕF'Ó)Û`-2_PÕFÓ_PÕF'Ó-8Û`=PÕFÓ_PÕF'Ó A(6, 0)이다.
3_PÕF_
Ó PÕF'Ó=10Û`-8Û`=6Û` PFÓ=a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Ó=12이므로
∴ PÕF_
Ó PÕF'Ó=12 PFÓ'=
Ó 12-a

Ⅰ. 이차곡선 31
P (2'5, 0), (-2'5, 0)이므로 FFÓ'=
Ó 4'5
12-a a OPÓ=OFÓ=OFÓ'이
Ó 므로 세 점 P, F, F'은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60æ
반지름의 길이가 OPÓ인 원 위의 점이다.
F' F
8 따라서 삼각형 PF'F는 ∠F'PF=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이때, ∠PFF'=60ù이므로 이때, PFÓ=a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Ó=12이므로

삼각형 PF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FÓ'=


Ó 12-a

(12-a)Û`=aÛ`+8Û`-2_a_8_cos`60ù 직각삼각형 PF'F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Û`-24a+144=aÛ`+64-8a, 16a=80 aÛ`+(12-a)Û`=(4'5)Û`, 2aÛ`-24a+64=0


∴ a=5 aÛ`-12a+32=0, (a-4)(a-8)=0
P ∴ a=4 또는 a=8
∴ PFÓ_PFÓ'=
Ó 4_8=32
5 120æ
60æ
F'
F 2
A
165   풀이 참조
따라서 PÕF=
Ó 5이고, AÕFÓ=2, ∠PFA=120ù이므로
반직선 F'A와 타원의 교점을 P'이라 하자.
삼각형 PFA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 P
PÕAÓ Û`=5Û`+2Û`-2_5_2_cos`120ù=25+4+10=39 A
다른 풀이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F' F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36 20
(4, 0), (-4, 0)이고, 초점 F에 가장 가까운 꼭짓점은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Õ'AÓ+PÕ'AÓ+PÕ'FÓ=FÕ'PÓ+PÕF이
Ó 므로
A(6, 0)이다. PÕF=
Ó FÕ'AÓ+PÕ'AÓ+PÕ'FÓ-FÕ'PÓ
PFÓ=a라 하면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Ó=12이므로 삼각형 APF'에서 FÕ'AÓ+PÕAÓ¾FÕ'PÓ이므로
PFÓ'Ó=12-a PÕAÓ¾PÕF'Ó-FÕ'AÓ
이때, ∠PFF'=60ù이므로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PÕAÓ+PÕF¾
Ó‌ (PÕF'Ó-FÕ'AÓ)+PÕFÓ‌
a '3 =(FÕ'PÓ-FÕ'AÓ)+(FÕ'AÓ+PÕ'AÓ+PÕ'FÓ-FÕ'PÓ)
하면 HFÓ= , PHÓ= a이다.
2 2 =PÕ'AÓ+PÕ'FÓ
y 따라서 PÕAÓ+PÕF의
Ó 값이 최소가 되는 점 P는 반직선 F'A와 타원의
2Â5 P 교점이다.

60æ 6 채점 요소 배점
-6 F' O H F A x FÕ'AÓ+PÕ'AÓ+PÕ'FÓ=FÕ'PÓ+PÕF임
Ó 을 설명하기 20`%
FÕ'AÓ+PÕAÓ¾FÕ'PÓ임을 설명하기 30`%
-2Â5 PÕA+
Ó PÕF의
Ó 값이 최소가 되는 점 P의 위치 설명하기 50`%
a
또한 FÕ'HÓ=8- 이므로 직각삼각형 PF'H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2
의하여
166 
{8- }2`+{ a}2`=(12-a)Û`
 180
a '3
2 2 y
aÛ` 3aÛ` P
64-8a+ + =144-24a+aÛ`, 16a=80
4 4 H
∴ a=5
F' O F x
5'3
따라서 PHÓ= , HAÓ=;2(;이므로 직각삼각형 PHA에서 I
2 Q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2`+{;2(;}2`=;:!4%:^;=39
그림에서 HFÓ`:`PFÓ=1`:`2이고 OFÓ`:`FÕ'FÓ=1`:`2이므로 두 삼각형
5'3
PAÓ Û`={ FHO, FPF'은 서로 닮음이고 닮음비가 1`:`2이다.
2
마찬가지로 두 삼각형 F'IO, F'QF도 서로 닮음이고 닮음비가
1`:`2이다.
164   32 따라서 삼각형 FPF'과 삼각형 F'QF는 모두 직각삼각형이므로 네
xÛ` yÛ` 점 F, P, F', Q는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OFÓ인 원
타원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36 16 위의 점이다.

32 기하
이때, 원과 타원 모두 x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PQ는 x축에 또한 FÕ'FÓ=2OFÓ=2(OAÓ+AFÓ)=2a+4이다.
수직이다. 이때, PAÓ=PFÓ인 이등변삼각형 PAF와 FFÓ'Ó=FÕ'PÓ인 이등변삼각형
따라서 PFÓ=QFÓ이므로 PFÓ'Ó Û`+PFÓ Û`=10Û`에서 F'PF는 서로 닮음이므로 (∵ ∠PFA=∠F'FP)
PFÓ'Ó Û`+QFÓ Û`=100 AFÓ`:`PFÓ=PFÓ`:`FÕ'FÓ, 즉 AFÓ`:`PAÓ=PAÓ`:`FÕ'FÓ에서
PFÓ'Ó QFÓ 2`:`(2a+1)=(2a+1)`:`(2a+4)
또한 OHÓ_OIò= _ =10에서
2 2
(2a+1)Û`=2(2a+4)
PFÓ'Ó_QFÓ=40
4aÛ`+4a+1=4a+8, 4aÛ`=7
∴ lÛ`‌=( PFÓ'Ó+PFÓ)Û` '7

=( PFÓ'Ó+QFÓ)Û` ∴ a= `(∵ a>0) 차
2 곡
=PFÓ'Ó Û`+QFÓ Û`+2_PFÓ'Ó_QFÓ 따라서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선

=100+2_40=180 PÕF'Ó+PFÓ‌=FÕ'FÓ+PAÓ=(2a+4)+(2a+1)
=4a+5=5+2'7

167   17 ∴ p=5, q=2


∴ pÛ`+qÛ`=5Û`+2Û`=29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가 (b, 0), (-b, 0)이므로
aÛ` bÛ`
aÛ`-bÛ`=bÛ`
169   26

∴ aÛ`=2bÛ` yy`㉠ xÛ` yÛ`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3, 0), (-3, 0)이므로 점
25 16
xÛ` yÛ`
타원 + =1과 사각형의 접점 중 제1사분면 위의 점을 B(3, 0)은 타원의 한 초점이다.
aÛ` bÛ`
(xÁ, yÁ)이라 하면 점 (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이때, C(-3, 0)이라 하자.
xÁx yÁ y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ÕBÓ+PÕC=
Ó 10이고,
+ =1
aÛ` bÛ` 주어진 조건에서 PÕAÓ+PÕB=
Ó 10이므로 PÕAÓ=PÕCÓ
xÛ` 따라서 삼각형 PAC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이 직선은 타원 +yÛ`=1의 두 꼭짓점 (2, 0), (0, 1)을 지나므로
2
(-5)+(-3)
aÛ` 선분 AC의 중점의 x좌표가 =-4이므로
xÁ= , yÁ=bÛ` yy`㉡ 2
2
점 P의 x좌표도 -4이다.
xÛ` yÛ`
또한 점 (xÁ, yÁ)은 타원 + =1 위의 점이므로 xÛ` yÛ`
aÛ` bÛ` P(-4, k)라 하면 타원의 방정식 + =1에서
25 16
xÁÛ` yÁÛ`
+ =1 yy`㉢ kÛ` kÛ`
aÛ` bÛ` ;2!5^;+ =1, =;2»5;
16 16
aÛ`
㉢에 ㉡을 대입하면 +bÛ`=1 yy`㉣
4 ∴ kÛ`=:Á2¢5¢:
㉠, ㉣을 연립하여 풀면 bÛ`=;3@;, aÛ`=;3$;
r=PÕAÓ="Ã1Û`+kÛ`=®É:Á2¤5»:=:Á5£:   ∴ 10r=26
∴ aÛ`bÛ`=;3$;_;3@;=;9*;

∴ p=9, q=8   ∴ p+q=9+8=17 170  ④

168   29 4A
x@+{y-3}@=1
점 A를 초점으로 하고 꼭짓점이 원점 O인 포물선의 준선을 l이라 Q

하고,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M, 준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P
O x
l y x@
P +y@=1
5
H
그림과 같이 점 Q는 점 A를 지나는 직선이 타원에 접할 때를
F' O AM F x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호 위의 점이다.
따라서 점 A(0, 4)를 지나는 타원의 접선을 생각한다.
점 P의 좌표를 (p, q)라 하면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px
AFÓ=2이고 PAÓ=PFÓ이므로 AÕM=
Ó FÕMÓ=1, +qy=1
5
준선 l의 방정식은 x=-a이므로
이 접선이 점 A(0, 4)를 지나므로 4q=1, q=;4!;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PAÓ=PHÓ=2a+1이다.

Ⅰ. 이차곡선 33
또한 점 P{p, ;4!;}이 타원 위의 점이므로 TIP

pÛ` 5'3 058번의 TIP 을 이용하면 점 A의 x좌표가 -k이므로 두 점


+;1Á6;=1, p=Ñ
5 4 P, Q의 x좌표는 k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접선의 기울기는 Ñ'3이므로 두 접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60ù이다.
따라서 원 xÛ`+(y-3)Û`=1에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원주각과 중심각의 관계에 의하여 중심각의 크기가 120ù인 부채꼴의
호이므로
120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2p_ =;3@;p
360

171  ①

포물선 yÛ`=4px 위의 점 P(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Áy=2p(x+xÁ)이고, 이 직선이 점 A(-k, 0)을 지나므로
0=2p(-k+xÁ), xÁ=k
따라서 두 점 P, Q의 x좌표는 k이다. yy TIP
이때, 선분 PQ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M의 x좌표도 k이고
포물선 yÛ`=4px는 x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선분 AM은 선분
PQ를 수직이등분한다.
따라서 원점을 O라 할 때 두 직각삼각형 AOF, AMP는 서로
닮음이고 2AOÓ=AÕM이
Ó 므로 두 직각삼각형의 닮음비는 1`:`2이다.
또한 ∠PAQ=60ù로 주어졌으므로
∠PAM=∠QAM=30ù yy`㉠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점 F, P의 y좌표를 양수라 하자.
y

P y@=4px
F

A O M x
F'
Q

'3 2'3
㉠에 의하여 OFÓ=AOÓ`tan`30ù= k, MòPÓ=2OFÓ= k이므로
3 3
세 점 F, F', P의 좌표는 각각
'3 '3 2'3
{0, k}, {0, - k}, {k, k} yy`㉡
3 3 3
kÛ` 2'3
FPÓ+FÕ'PÓ=¾ÐkÛ`+ +"ÃkÛ`+3kÛ`= k+2k
3 3
이고, 두 점 F, F'을 초점으로 하고 두 점 P, Q를 지나는 타원의
장축의 길이가 4'3+12로 주어졌으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2'3
{ +2}k=4'3+12
3
∴ k=6 yy`㉢
㉡, ㉢에 의하여 포물선 yÛ`=4px 위의 점 P의 좌표가
(6, 4'3)이므로 48=24p에서 p=2
∴ k+p=6+2=8

34 기하
쌍곡선 178  ⑤

xÛ` yÛ`
쌍곡선의 방정식을 - =1이라 하면
aÛ` bÛ`
172  ② 주축의 길이가 6이므로 2|a|=6, |a|=3
bÛ`
xÛ` yÛ` 점근선의 방정식이 y=Ñ2x이므로 =2Û`이다.
쌍곡선 - =1의 주축의 길이는 2_2=4이다. aÛ`
2Û` 3Û` 따라서 aÛ`=9이고 bÛ`=4aÛ`=36이므로 쌍곡선의 방정식은

xÛ` yÛ` 차
- =1
9 36
173 

④ 선
따라서 쌍곡선의 두 초점의 좌표는 (3'5, 0), (-3'5, 0)이므로
① 두 초점은 y축 위에 있다. (거짓)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6'5이다.
② 주축의 길이는 2_3=6이다. (거짓)
③ 꼭짓점의 좌표는 (0, -3), (0, 3)이다. (거짓)
④ 초점의 좌표는 (0, -5), (0, 5)이다. (참) 179   16

⑤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4#;x이다. (거짓) 한 초점이 x축 위의 점 (10, 0)이므로 다른 한 초점은 x축 위의


점 (-10, 0)이다.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④이다.
xÛ` yÛ`
쌍곡선의 방정식을 - =1 (a>0, b>0)이라 하면
aÛ` bÛ`
주어진 점근선의 방정식에서 =;4#;
b
174  ④ a
yy`㉠

xÛ` yÛ` 쌍곡선의 한 초점의 좌표는 (10, 0)이므로


쌍곡선 - =1의 두 초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차가 4이므로
aÛ` bÛ` aÛ`+bÛ`=100 yy`㉡
2a=4에서 a=2 (∵ a>0) ㉠, ㉡을 연립하여 풀면
xÛ` yÛ`
이때, 쌍곡선 - =1의 두 초점이 aÛ`+;1»6;aÛ`=100, aÛ`=64
4 bÛ`
F(3, 0), F'(-3, 0)이므로 ∴ a=8`(∵ a>0)
4+bÛ`=9, bÛ`=5, b='5`(∵ b>0) 따라서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a=16이다.
∴ ab=2'5

180  8
175  ⑤
xÛ` yÛ`
쌍곡선 - =1이 점 (5, 3)을 지나므로
xÛ` yÛ` aÛ` bÛ`
쌍곡선 - =1의 두 초점이 F(7, 0), F'(-7, 0)이므로
aÛ` 13 5Û` 3Û`
- =1 yy`㉠
aÛ`+13=7Û`   ∴ a=6`(∵ a>0) aÛ` bÛ`
xÛ` yÛ`
따라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쌍곡선 - =1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aÛ` bÛ`
|PFÓ-PFÓ'Ó|=2a=12
b b
y= x, y=- x이므로
a a
b b
176  ③ a
=1 또는 =-1에서 aÛ`=bÛ`
a
yy`㉡

xÛ` yÛ` 16
쌍곡선 - =-1의 주축의 길이는 2|k|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1, |a|=4이므로 쌍곡선의 주축의
16 kÛ` aÛ`
2|k|=6   ∴ k=3 (∵ k>0) 길이는 2|a|=8이다.

177  ⑤ 181  ④

(x+1)Û` (y-3)Û`
xÛ` yÛ` 쌍곡선 - =1은
쌍곡선 - =1의 주축의 길이가 4이므로 2|a|=4이고 4 5
aÛ` bÛ`
점근선의 방정식이 y=Ñ;2%;x이므로 ={;2%;}2`이다.
bÛ` xÛ` yÛ`
쌍곡선 - =1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4 5
aÛ`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a|=2, 즉 aÛ`=4이고 bÛ`=:ª4°:aÛ`=25이다.
① 중심의 좌표는 (-1, 3)이다. (참)
∴ aÛ`+bÛ`=4+25=29 ② 주축의 길이는 2_2=4이다. (참)

Ⅰ. 이차곡선 35
xÛ` yÛ`
③ 쌍곡선
4
- =1의 꼭짓점의 좌표가 (2, 0), (-2, 0)이므로
5 184  ②
(x+1)Û` (y-3)Û` xÛ` yÛ`
쌍곡선 - =1의 꼭짓점의 좌표는 (1, 3), 쌍곡선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5, 0), (5, 0)이므로
4 5 9 16
(-3, 3)이다. (참) FÕF'Ó=10
xÛ` yÛ` AÕF'Ó=a, AÕF=
Ó b라 하면
④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가 (3, 0), (-3, 0)이므로
4 5
점 A는 제1사분면 위에 있는 점이므로 a>b
(x+1)Û` (y-3)Û`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이때, 삼각형 AF'F의 둘레의 길이가 22이므로
4 5
(2, 3), (-4, 3)이다. (거짓) AÕF'Ó+AÕF+
Ó FÕF'Ó=22에서
xÛ` yÛ` '5 a+b=12 yy`㉠
⑤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 x이므로
4 5 2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b=6 yy`㉡
(x+1)Û` (y-3)Û` ㉠, ㉡을 연립하여 풀면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4 5
a=9, b=3
'5
y-3=Ñ (x+1)이다. (참)
2 ∴ AÕFÓ=3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185   13

xÛ` yÛ`
쌍곡선 - =1의 두 꼭짓점 사이의 거리는 8이므로
16 9
182  ①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4xÛ`-9yÛ`-16x-18y-29=0에서 PFÓ'-
Ó PFÓ=QFÓ- QFÓ'Ó=8
4(xÛ`-4x+4)-9(yÛ`+2y+1)=36 ∴ PFÓ'Ó= PFÓ+8, QFÓ'=
Ó QFÓ-8
(x-2)Û` (y+1)Û` 조건에서 PFÓ'-
Ó QFÓ'Ó=3이므로
- =1
9 4 (PFÓ+8)-(QFÓ-8)=3
(x-2)Û` (y+1)Û`
따라서 쌍곡선 - =1의 기울기가 양수인 ∴ QFÓ-PFÓ=13
9 4
점근선의 방정식은

y+1=;3@;(x-2), 즉 y=;3@;x-;3&;이므로 y절편은 -;3&;이다. 186   풀이 참조

⑴ ‌점 F(1, 0)과 직선 x=6에 이르는 거리의 비가 3`:`2인 점을 P라


하고, 점 P에서 직선 x=6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PÕF`Ó :`PÕH=
Ó 3`:`2이므로 3PÕHÓ=2PÕFÓ
183  ⑤ 이때,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3|x-6|=2"Ã(x-1)Û`+yÛ`
쌍곡선이 평행이동하여도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변하지 않는다.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xÛ` yÛ`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9(x-6)Û`=4{(x-1)Û`+yÛ`}
pÛ` 16
∴ 5xÛ`-4yÛ`-100x+320=0
(0, -"ÃpÛ`+16), (0, "ÃpÛ`+16)이므로
⑵ ⑴에서 5(x-10)Û`-4yÛ`=180
2"ÃpÛ`+16=10, pÛ`+16=25, pÛ`=9
(x-10)Û` yÛ`
(x-1)Û` (y+3)Û` 즉, - =1이므로
쌍곡선 - =-1은 36 45
9 16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쌍곡선이다.
xÛ` yÛ`
쌍곡선 - =-1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9 16 채점 요소 배점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조건을 만족시키는 도형의 방정식 구하기 60`%
xÛ` yÛ` 그 도형이 쌍곡선임을 설명하기 40`%
따라서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9 16

y=Ñ;3$;x이므로

쌍곡선
(x-1)Û` (y+3)Û`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187  ④
9 16
포물선 yÛ`=12x의 초점의 좌표는 (3, 0)
y+3=Ñ;3$;(x-1), 즉 y=;3$;x-:Á3£: 또는 y=-;3$;x-;3%; xÛ`
쌍곡선 xÛ`-ayÛ`=a, 즉 -yÛ`=1의 초점의 좌표는
a
∴ a+b+c+d=;3$;+{-:Á3£:}+{-;3$;}+{-;3%;}=-6 ('Äa+1, 0), (-'Äa+1, 0)

36 기하
포물선의 초점과 쌍곡선의 한 초점이 일치하므로 xÛ` (2x+k)Û`
- =1
'Äa+1=3에서 a+1=9 2 4
∴ a=8 2xÛ`-(4xÛ`+4kx+kÛ`)=4
xÛ` 2xÛ`+4kx+kÛ`+4=0
따라서 쌍곡선 -yÛ`=1의 주축의 길이는 2_2'2=4'2
8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4kÛ`-2(kÛ`+4)=2kÛ`-8
4
188  ④ 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이
2kÛ`-8>0에서 k<-2 또는 k>2 차
xÛ` yÛ` 곡
쌍곡선 - =1의 두 꼭짓점의 좌표는 (a, 0), (-a, 0)이고, ⑵ 접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aÛ` 9 선

xÛ` yÛ` 2kÛ`-8=0에서 k=-2 또는 k=2


타원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13 bÛ` ⑶ 만나지 않으려면 D<0이어야 하므로
(Ñ"Ã13-bÛ`, 0)이므로 2kÛ`-8<0에서 -2<k<2
aÛ`=13-bÛ`
∴ aÛ`+bÛ`=13

192  ⑤
189  ③
선지에 주어진 방정식은 y=mx 꼴이므로
xÛ` yÛ` xÛ` yÛ`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4, 0), (-4, 0) - =1에 y=mx를 대입하면
25 9 16 4
xÛ` yÛ` xÛ` mÛ`xÛ` 16
구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 =1이라 하면 - =1, (1-4mÛ`)xÛ`=16, xÛ`=
aÛ` bÛ` 16 4 1-4mÛ`
aÛ`+bÛ`=16 yy`㉠ xÛ` yÛ`
이때, 직선 y=mx가 쌍곡선 - =1과 만나지 않기 위해서는
이때,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가 4이므로 2|a|=4, |a|=2, aÛ`=4 16 4
이를 ㉠에 대입하면 bÛ`=12 교점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1-4mÛ`É0이어야 한다.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은


xÛ` yÛ`
- =1에서 3xÛ`-yÛ`=12이다. 즉, mÉ-;2!; 또는 m¾;2!;
4 12
xÛ` yÛ`
따라서 선지 중 쌍곡선 - =1과 만나지 않는 직선은 ⑤이다.
16 4

190  ④
TIP
xÛ` yÛ`
타원
xÛ` yÛ`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3, 0), (-3, 0)이므로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2!;x이다.
5Û` 4Û` 16 4
xÛ` yÛ` y
두 초점을 공유하는 쌍곡선의 방정식을 - =1이라 하면 1 1
aÛ` bÛ` y=- x
2
y= x
2
aÛ`+bÛ`=9 yy` ㉠
쌍곡선의 한 점근선의 방정식이 y='¶35x이므로
x
b b O
='¶35 또는 =-'¶35 x@ y@
a a - =1
16 4
즉, bÛ`=35aÛ`이므로 ㉠에 대입하면
36aÛ`=9 직선 y=mx는 mÉ-;2!; 또는 m¾;2!;일 때 쌍곡선
aÛ`=;4!; xÛ` yÛ`
- =1과 만나지 않고, -;2!;<m<;2!;일 때 쌍곡선
16 4
∴ a=Ñ;2!; xÛ` yÛ`
- =1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16 4
따라서 쌍곡선의 두 꼭짓점 사이의 거리는

2|a|=2_;2!;=1이다.

191   ⑴ k<-2 또는 k>2 193   y=2x+'3 또는 y=2x-'3

 ⑵ k=-2 또는 k=2 ⑶ -2<k<2 쌍곡선 xÛ`-yÛ`=1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방정식은


xÛ` yÛ` y=2xÑ'Ä4-1
- =1에 y=2x+k를 대입하면
2 4 즉, y=2x+'3 또는 y=2x-'3이다.

Ⅰ. 이차곡선 37
194  ④ 200  ④

xÛ` yÛ` 쌍곡선 xÛ`-yÛ`=8 위의 점 (3,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쌍곡선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3 7 3x-y=8
y=-xÑ'Ä7-3 이 접선이 점 (a, 4)를 지나므로
즉, y=-x+2 또는 y=-x-2 3a-4=8, 3a=12
따라서 구하는 y절편은 -2 또는 2이다. ∴ a=4

195   y=3x+'6 또는 y=3x-'6


201  ①

직선 x+3y-2=0의 기울기는 -;3!;이므로 접점의 좌표를 (a, b)로 놓으면 접선의 방정식은
yÛ` ax-by=4
쌍곡선 3xÛ`-yÛ`=3, 즉 xÛ`- =1에 접하고 기울기가 3인 직선의
3 이때, 이 접선이 점 (2, 2)를 지나므로 2a-2b=4에서
방정식은 y=3xÑ'Ä9-3 a-b=2 yy`㉠
즉, y=3x+'6 또는 y=3x-'6이다. 또한 점 (a, b)는 쌍곡선 xÛ`-yÛ`=4 위의 점이므로
aÛ`-bÛ`=4이고, ㉠에 의하여 a+b=2 yy`㉡
㉠, ㉡을 연립하여 풀면
196  ⑤
a=2, b=0
xÛ` yÛ`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쌍곡선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9 6 2x=4, 즉 x=2
y=2xÑ'Ä36-6에서 y=2x+'¶30 또는 y=2x-'¶30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ㄱ이다.
따라서 구하는 두 접선 사이의 거리는
직선 y=2x+'¶30 위의 점 (0, '¶30)과 직선 y=2x-'¶30,
즉 2x-y-'¶30=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30-'¶30|
202  ④
=2'6
'Ä4+1 접점의 좌표를 (a, b)로 놓으면 접선의 방정식은
ax-by=2
이때, 이 접선이 점 (-1, 0)을 지나므로 a=-2
197  ④ 또한 점 (a, b), 즉 (-2, b)는 쌍곡선 xÛ`-yÛ`=2 위의 점이므로
xÛ` yÛ` 4-bÛ`=2, b=-'2 또는 b='2
쌍곡선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3인 접선의 방정식은
a 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3xÑ'Ä9a-2이므로 -2x+'2 y=2 또는 -2x-'2 y=2
'Ä9a-2=5, 9a-2=25   ∴ a=3 즉, y='2x+'2 또는 y=-'2x-'2
xÛ` yÛ` ∴ mÛ`+nÛ`=2+2=4
따라서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3 2
다른 풀이
('5, 0), (-'5, 0)이므로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2'5이다. xÛ` yÛ`
쌍곡선 xÛ`-yÛ`=2, 즉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2 2
방정식은

198  ① y=mxÑ"Ã2mÛ`-2
이때, 이 접선은 점 (-1, 0)을 지나므로
yÛ` 0=-mÑ"Ã2mÛ`-2, mÛ`=2mÛ`-2
쌍곡선 xÛ`- =1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3
mÛ`=2, nÛ`=(Ñ"Ã2mÛ`-2)Û`=2mÛ`-2=2
2x-y=1이므로 접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는 -1이다.
∴ mÛ`+nÛ`=2+2=4

199  ③

xÛ` yÛ`
203  ②
쌍곡선 - =-1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 3 xÛ` yÛ`
쌍곡선 - =-1에 접하는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2x 3y 4 3
- =-1에서 y=-x+1이므로
2 3 y=mxÑ"Ã3-4mÛ`
이 접선의 기울기는 -1이다. 이 접선이 점 (0, 1)을 지나므로

38 기하
1=Ñ"Ã3-4mÛ` 4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lim |PÕFÓ-PÕF'Ó|=4이다. yy TIP
1=3-4mÛ`, mÛ`=;2!; k Ú¦

'2 '2 TIP


∴ m=- 또는 m=
2 2
|x|`Ú ¦이면 쌍곡선 xÛ`-yÛ`=4는 점근선 y=x, y=-x에
따라서 모든 기울기의 곱은 -;2!;이다. 한없이 가까워진다.

다른 풀이


점 (0, 1)을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y=mx+1이므로
xÛ` yÛ`
206  ④ 선

이 식을 - =-1에 대입하면
4 3 xÛ`
쌍곡선 xÛ`-3yÛ`=-3, 즉 -yÛ`=-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Û` (mx+1)Û` 3
- =-1
4 3 1 1
y= x 또는 y=- x
3xÛ`-4(mÛ`xÛ`+2mx+1)+12=0 '3 '3
(3-4mÛ`)xÛ`-8mx+8=0 두 직선과 x축의 양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hÁ, hª라 하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 1
tan`hÁ= , tan`hª=-
'3 '3
D
=16mÛ`-8(3-4mÛ`)=0이어야 하므로 쌍곡선 xÛ`-3yÛ`=-3의 두 점근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4
tan`hª-tan`hÁ
6mÛ`-3=0, mÛ`=;2!; tan`h=|tan`(hª-hÁ)|=| |='3
1+tan`hªtan`hÁ
'2 '2 ∴ h=60ù
∴ m=- 또는 m=
2 2 다른 풀이
따라서 모든 기울기의 곱은 -;2!;이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xÛ`
쌍곡선 xÛ`-3yÛ`=-3, 즉 -yÛ`=-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3

204  ④ y=
1
'3
1
x 또는 y=- x
'3
접점의 좌표를 (a, b)로 놓으면 접선의 방정식은 y
x@-3y@=-3
4ax-9by=36
1
y= x
이때, 이 접선이 점 (3, 4)를 지나므로 12a-36b=36에서 Â3
a=3(b+1) yy`㉠ 30æ
O 30æ x
또한 점 (a, b)는 쌍곡선 4xÛ`-9yÛ`=36 위의 점이므로 1
y=- x
4aÛ`-9bÛ`=36 yy`㉡ Â3
㉠을 ㉡에 대입하면
36(b+1)Û`-9bÛ`=36, 3bÛ`+8b=0, b(3b+8)=0 1
직선 y= x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3
a=-5
또는 [`
a=3 1
[` tan`h= 에서 h=30ù이고,
b=0
8 (∵ ㉠)
b=- '3
3
1 1
두 직선 y= x, y=- x는 x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므로
∴ AÕBÓ=®É64+:¤9¢:=
8'¶10 '3 '3
3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2_30ù=60ù이다.
참고

점 (3, 4)에서 쌍곡선 4xÛ`-9yÛ`=36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x=3 또는 y=;6%;x+;2#;이다. 207  ④

조건 ㈎에 의하여 쌍곡선의 두 초점 (5, 0), (-5, 0)은 모두 x축


위에 있으며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쌍곡선의 방정식을

205  ④ xÛ` yÛ`


- =1 (a>0, b>0)이라 하면 aÛ`+bÛ`=25이다.
aÛ` bÛ`
yy`㉠

쌍곡선 xÛ`-yÛ`=4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x 또는 y=-x이므로 또한 조건 ㈏에 의하여 쌍곡선의 두 점근선의 기울기의 곱은
점 P는 쌍곡선의 한 점근선 y=x 위의 점이다. -1이므로
xÛ` yÛ` b
_{- }=-1, 즉 aÛ`=bÛ`이다.
b
yy`㉡
이때, 쌍곡선 xÛ`-yÛ`=4, 즉 - =1에서 주축의 길이는
4 4 a a

Ⅰ. 이차곡선 39
5'2 참고
㉠, ㉡을 연립하여 풀면 a=b= 이므로
2
쌍곡선 위의 어떤 한 점을 P로 잡고 구해도 되므로 P(2, 0)일 때
이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a=5'2이다.
PÕQÓ=PÕR를
Ó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208  ⑤

9xÛ`-16yÛ`=144에서
xÛ` yÛ`
- =1이므로 쌍곡선의 두 초점의 211  ①
16 9
xÛ` yÛ`
좌표는 (5, 0), (-5, 0)이다. 쌍곡선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5 4
y 15
3
y=- x 3 각각 (3, 0), (-3, 0)이므로 FFÓ'=
Ó 6이다.
4 4 y= x
4
두 삼각형 PFF', QFF'의 넓이의 합은 사각형 F'QFP의 넓이와
같고, 점 P의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점이 점 Q이므로 두 삼각형
-5 5 x
O PFF', QFF'의 넓이는 서로 같다.
이때, 점 P(a, b)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N이라 하면
15
- PNÓ=|b|이므로
4

또한 점근선의 방정식은 y=;4#;x 또는 y=-;4#;x이다. (삼각형 PFF'의 넓이)=;2!;_6_|b|=3|b|

따라서 (사각형 F'QFP의 넓이)=2_3|b|=24에서


이때, 점 (-5, 0)을 지나고 기울기가 ;4#;인 직선의 방정식은
|b|=4
y=;4#;(x+5)이고 이 직선의 y절편은 :Á4°:이므로 구하는 도형은 또한 점 P(a, b)는 쌍곡선
xÛ` yÛ`
- =1 위의 점이므로
5 4
네 점 (-5, 0), (5, 0), {0, :Á4°:}, {0, -:Á4°:}를 꼭짓점으로 하는 aÛ`
-4=1, aÛ`=25
5
마름모이다. ∴ |a|=5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 |a|+|b|=5+4=9
;2!;_10_:Á2°:=:¦2°:

212  ④

209  ③
xÛ`-4yÛ`+8x+8ky-16=0
yÛ` (x+4)Û`-4(y-k)Û`-32+4kÛ`=0
쌍곡선 3xÛ`-yÛ`=-3, 즉 xÛ`- =-1의 초점의 좌표는
3 이때, 쌍곡선의 중심이 직선 y=3 위에 있으므로 k=3
(0, 2), (0, -2)이고 (x+4)Û`-4(y-3)Û`+4=0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3x에서 '3x-y=0 또는 (x+4)Û`
-(y-3)Û`=-1
'3x+y=0이다. 4
이때, 한 초점을 F(0, 2)라 하면 따라서 이 쌍곡선의 기울기가 양수인 점근선의 방정식은

점 F에서 두 점근선까지의 거리는 모두


2
=1이므로 y-3=;2!;(x+4), 즉 y=;2!;x+5
'Ä3+1
구하는 원의 넓이는 p이다. ∴ m+n+k=;2!;+5+3=:Á2¦:

210  ④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213  ③

aÛ` bÛ` xÛ` yÛ` '3


- =1, 3aÛ`-4bÛ`=12 yy`㉠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y=Ñ x이므로
4 3 aÛ` bÛ` 3
'3 b '3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 x에서 = , a='3b (∵ a>0, b>0)
2 a 3
'3x-2y=0, '3x+2y=0이므로 xÛ` yÛ`
쌍곡선 - =-1이 점 (1-1, 2+2), 즉 (0, 4)를 지나므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3bÛ` bÛ`
|'3a-2b| |'3a+2b| 16
PÕQÓ= , PÕRÓ= 0- =-1, b=4, a=4'3 (∵ b>0)
'Ä3+4 'Ä3+4 bÛ`
3aÛ`-4bÛ` xÛ` yÛ`
∴ PÕQ_Ó PÕRÓ= =:Á7ª: (∵ ㉠) 따라서 쌍곡선 - =-1의 주축의 길이는 2_4=8이다.
48 16
7

40 기하
214  ②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2k-k=4, k=4
따라서 PÕFÓ=4, PÕF'Ó=8이므로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쌍곡선
xÛ` yÛ`
-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C(-3, 0), (3, 0)이다. "Ã(a-4)Û`+bÛ`=4, (a-4)Û`+bÛ`=16 yy`㉠
4 5
"Ã(a+4)Û`+bÛ`=8, (a+4)Û`+bÛ`=64 yy`㉡
F(3, 0)이라 하면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 ㉡을 연립하여 풀면 16a=48, a=3
AÕCÓ-AÕFÓ=4, BÕCÓ-BÕFÓ=4이고, AÕB=
Ó AÕFÓ+BÕF이
Ó 므로
㉠에 대입하면 bÛ`=15, |b|='¶15
(AÕCÓ-AÕFÓ)+(BÕCÓ-BÕFÓ)=8에서
AÕCÓ+BÕCÓ-AÕBÓ=8 yy`㉠ ∴ (삼각형 F'FP의 넓이)‌=;2!;_FÕF'Ó_|b|


한편,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가 16이므로
=;2!;_8_'¶15=4'¶15 곡
AÕCÓ+BÕCÓ+AÕBÓ=16 yy`㉡ 선

㉠, ㉡을 연립하여 풀면
AÕBÓ=4
217  ①

xÛ` yÛ`
쌍곡선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215   18 10 6
(-4, 0), (4, 0)이므로
xÛ` yÛ` FÕF'Ó=8
쌍곡선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4 5
PÕF=
Ó a, PÕF'Ó=b (a>b)라 하면
(3, 0), (-3, 0)이고 주축의 길이는 4이다.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b=2'¶10
PFÓ'Ó=a, PFÓ=b라 하면 삼각형 PF'F에서 직선 PA는 ∠F'PF의
삼각형 FPF'은 직각삼각형이므로 aÛ`+bÛ`=64
이등분선이고
aÛ`+bÛ`=(a-b)Û`+2ab
A(1, 0)이므로
64=40+2ab, ab=12
PÕF'Ó`:`PÕF=
Ó FÕ'AÓ`:`FÕAÓ=2`:`1=a`:`b   ∴ a=2b yy`㉠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b=4 yy`㉡ ∴ (삼각형 FPF'의 넓이)=;2!;ab=6
㉠, ㉡을 연립하여 풀면 a=8, b=4
따라서 삼각형 PF'F의 둘레의 길이는 8+4+6=18이다.
218  ④

xÛ` yÛ`
216  ③ 쌍곡선 - =1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가 20이므로
aÛ` bÛ`
xÛ` yÛ` aÛ`+bÛ`=100 yy`㉠
쌍곡선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4 12 y
(4, 0), (-4, 0) P
PÕF'Ó=2 PÕF이
Ó 므로 PÕFÓ=k (k>0)라 하면 PÕF'Ó=2k 4k 3k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2k-k=4, k=4 F' F
-10 O 10 x
따라서 PÕF=
Ó 4, PÕF'Ó=8이고 FÕF'Ó=8이므로
삼각형 F'FP는 이등변삼각형이다. x@ y@
- =1
a@ b@
y x@ y@
- =1 또한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10, 0), (-10, 0)이고
P 4 12
8 FÕF'Ó=20
H4
2Â15° PÕF`Ó :`PÕF'Ó=3`:`4이고 ∠FPF'=90ù이므로
2

F' O F x PÕF=
Ó 3k , PÕF'Ó=4k (k>0)라 하면 FÕF'Ó=5k
8
따라서 5k=20, k=4이므로 PÕF=
Ó 12, PÕF'Ó=16
이때, PÕF'Ó-PÕFÓ=4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2a=4
삼각형 F'FP의 점 F'에서 PF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a=2, bÛ`=96 (∵ ㉠), b=4'6 (∵ b>0)
직각삼각형 HF'F에서 FÕ'HÓ='Ä64-4=2'¶15 ∴ ab=8'6
따라서 삼각형 F'FP의 넓이는 ;2!;_4_2'¶15=4'¶15이다.

다른 풀이 219  ②
xÛ` yÛ` xÛ` yÛ`
쌍곡선 -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4 12 주어진 쌍곡선의 방정식을 - =1`(a>0, b>0)이라 하면
aÛ` bÛ`
(4, 0), (-4, 0)
기울기가 양수인 점근선의 방정식이 y=;4#;x이므로
PÕF'Ó=2PÕF이
Ó 므로 PÕFÓ=k (k>0)라 하면 PÕF'Ó=2k

Ⅰ. 이차곡선 41
bÛ` PÕF'Ó-PFÓ=2이다.
=;1»6;에서 a=4k, b=3k (k>0)라 하자.
aÛ` Ú PÕF'Ó=FÕF'Ó일 때
점 A의 좌표는 (4k, 0)이고 y
두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5k, 0), (-5k, 0)이다.
이때, 1ÉAÕFÓÉ2이므로 1ÉkÉ2 yy`㉠ P
4 2 M
삼각형 FPF'의 둘레의 길이가 72이므로
PÕF'Ó+PÕF+
Ó FÕF'Ó=72에서 PÕF'Ó+PÕFÓ=72-10k yy`㉡ F'{-2,`0} O
4 F{2,`0} x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Ó=8k yy`㉢ y@
x@- =1
㉡, ㉢을 연립하여 풀면 PÕFÓ=36-9k 3
㉠에 의하여 18ÉPÕFÓÉ27이므로 M=27, m=18
PÕF'Ó=4이므로
∴ M+m=45
PFÓ=PÕF'Ó-2=4-2=2
‌위의 그림과 같이 점 F'에서 선분 PF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220  ⑤ 하면
FÕ'MÓ=¿¹FÕF'Ó Û`-FÕMÓ Û`="Ã4Û`-1Û`='¶15
xÛ` yÛ`
쌍곡선 - =1에서 두 초점의 좌표는 (5, 0), (-5, 0) 이므로 삼각형 PF'F의 넓이는
16 9
A(-5, 0)이므로 F(5, 0)이라 하자. ;2!;_PFÓ_FÕ'MÓ=;2!;_2_'¶15='¶15
y x@ y@
- =1 Û PFÓ=FÕF'Ó일 때
B 16 9
y
P
P N
P
6 4
A O F x

F'{-2,`0} O
4 F{2,`0} x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AÓ-PÕFÓ=8에서 PÕA=


Ó PÕFÓ+8 y@
x@- =1
3
∴ PAÓ+PBÓ=PFÓ+PBÓ+8
세 점 F, P, B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PÕAÓ+PÕB의
Ó 값은 최소가 PFÓ=4이므로
되므로 PÕF'Ó=PFÓ+2=4+2=6
PÕAÓ+PÕBÓ‌=(PÕFÓ+PÕBÓ)+8 ‌위의 그림과 같이 점 F에서 선분 PF'에 내린 수선의 발을 N이라
¾BÕFÓ+8 하면
="Ã5Û`+12Û`+8=13+8=21 FNÓ=¿¹FÕF'Ó Û`-FÕ'NÓ Û`="Ã4Û`-3Û`='7
따라서 PÕAÓ+PÕB의
Ó 최솟값은 21이다. 이므로 삼각형 PF'F의 넓이는

;2!;_PÕF'Ó_FNÓ=;2!;_6_'7=3'7
221  ④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a의 값의 곱은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QGÓ-QÕG'Ó=2이고 PÕF'Ó-PFÓ=2이다. '¶15_3'7=3'¶105
이때, 두 점 P, Q가 서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QÕG'Ó=PGÓ, PÕF'Ó=QFÓ
따라서 QGÓ-PGÓ=2이고 QFÓ-PFÓ=2이다. 223  ⑤
PGÓ_QGÓ=8, PFÓ_QFÓ=4이므로
두 선분 BE, CF의 교점을 O라 하고
QGÓ+PGÓ‌=¿¹(QGÓ-PGÓ)Û`+4(QGÓ_PGÓ)
정육각형 ABCDEF를 점 O가 원점, 점 A가 점 (2, 0),
="Ã2Û`+4_8='¶36=6
점 B가 점 (1, '3 )에 위치하도록 좌표평면에 옮겨 생각하자.
QFÓ+PFÓ‌=¿¹(QFÓ-PFÓ)Û`+4(QFÓ_PFÓ)
xÛ` yÛ`
="Ã2Û`+4_4='¶20=2'5 쌍곡선 H의 방정식을 - =1 (a>0, b>0)이라 하면
aÛ` bÛ`
그러므로 사각형 PGQF의 둘레의 길이는 6+2'5이다. 쌍곡선 H의 두 초점은 A(2, 0), D(-2, 0)이므로
aÛ`+bÛ`=4 yy`㉠

222  ⑤ 또한 직선 BE의 방정식은 y='3x이므로


b
='3 yy`㉡
yÛ` a
쌍곡선 xÛ`- =1의 두 초점 F, F'의 좌표를 각각
3 ㉠, ㉡을 연립하여 풀면 aÛ`+('3a)Û`=4aÛ`=4에서
(2, 0), (-2, 0)이라 하면 FFÓ'Ó=4이고,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1 (∵ a>0)이다.

42 기하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3(y+3)Û`-3=(x-1)Û`
DPÓ-APÓ=2a=2 (x-1)Û`
∴ -(y+3)Û`=-1
3

224  ②

주어진 그림에서 점 F는 x축 위의 점이므로 227   풀이 참조

xÛ` yÛ` 중심을 각각 A, B로 하는 두 원에 동시에 외접하고, 중심이 P인


쌍곡선의 방정식을 - =1 (a>0, b>0)이라 하면 이
aÛ` bÛ`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자. 차
쌍곡선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 y=2x, y=-2x에서 곡
PÕA=
Ó 10+r, PÕB=
Ó 4+r이므로 선
b
=2 yy`㉠ PÕA-
Ó PÕB=
Ó 6으로 일정하다.
a
y
쌍곡선의 또 다른 초점을 F'이라 하자.
y
x@ y@
- =1 rP
a@ b@ r
P 10
A 4 B
-10 O 10 x
M

F' O F x
따라서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두 점

OÕFÓ=OÕF'Ó, MòFÓ=MòP에
Ó 서 두 삼각형 F'FP, OFM의 닮음비가 A(-10, 0), B(10, 0)을 초점으로 하고 주축의 길이가 6인

2`:`1이고 쌍곡선이므로

OÕMÓ=6, MòFÓ=3에서 PÕF'Ó=12, PÕFÓ=6 xÛ` yÛ`


그 방정식은 - =1 (x>0)이다. yy TIP
9 91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주축의 길이는
채점 요소 배점
2a=PÕF'Ó-PÕFÓ=12-6=6
PÕAÓ-PÕB=
Ó 6임을 구하기 30`%
∴ a=3
PÕAÓ-PÕB=
Ó 6임을 이용하여 점 P가 두 점 A, B를 초점으로 하고 주
㉠에서 b=6이므로 30`%
OÕFÓ="ÃaÛ`+bÛ`='Ä9+36=3'5
축의 길이가 6인 쌍곡선 위의 점임을 설명하기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 구하기 40`%

225  ② TIP
두 정점 F'(-c, 0), F(c, 0) (c>0)과 한 점 P에 대하여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 y Œ
|PÕFÓ-PÕF'Ó|=4에서 PÕFÓ-PÕF'Ó=Ñ4이므로 P
"Ã(x-4)Û`+(y-3)Û`-"Ã(x+2)Û`+(y-3)Û`=Ñ4
P

"Ã(x-4)Û`+(y-3)Û`=Ñ4+"Ã(x+2)Û`+(y-3)Û` F' F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c O c x

-3x-1=Ñ2"Ã(x+2)Û`+(y-3)Û`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5(x-1)Û`-20=4(y-3)Û` Ú PÕF'Ó-PÕF=
Ó 2a (a>0)이면 PÕF'Ó>PÕF이
Ó 므로
(x-1)Û` (y-3)Û` xÛ` yÛ`
- =1 쌍곡선 - =1에서 x>0인 부분

4 5 aÛ` bÛ`
Û PÕF-
Ó PÕF'Ó=2a (a>0)이면 PÕF'Ó<PÕF이
Ó 므로
xÛ` yÛ`
(x-1)Û` 쌍곡선 - =1에서 x<0인 부분
226   3
-(y+3)Û`=-1 aÛ` bÛ`
Ü |PÕF'Ó-PÕFÓ|=2a (a>0)이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을 P(x, y)라 하면 xÛ` yÛ`
쌍곡선 - =1을 의미한다. (단, aÛ`+bÛ`=cÛ`)
|PÕFÓ-PÕF'Ó|=2 aÛ` bÛ`
Ó PÕF'Ó=Ñ2이므로
즉, PÕF-
"Ã(x-1)Û`+(y+1)Û`-"Ã(x-1)Û`+(y+5)Û`=Ñ2
"Ã(x-1)Û`+(y+1)Û`=Ñ2+"Ã(x-1)Û`+(y+5)Û`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228   19
-2y-7=Ñ"Ã(x-1)Û`+(y+5)Û` yÛ`
타원 xÛ`+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aÛ`

Ⅰ. 이차곡선 43
(0, "ÃaÛ`-1), (0, -"ÃaÛ`-1)이고, 쌍곡선 xÛ`-yÛ`=1의 두 초점의 xÛ` yÛ`
쌍곡선의 방정식은 - =1이다.
좌표는 ('2, 0), (-'2, 0)이다. 4 5
이 네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넓이가 12이므로 이때, 점 P의 x좌표가 3이므로
yÛ`
;2!;_2'2_2"ÃaÛ`-1=12 ;4(;- =1, yÛ`=:ª4°:, y=Ñ;2%;   ∴ P{3, ;2%;}
5
"ÃaÛ`-1=3'2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
Ó 4이므로
aÛ`-1=18 PÕF'Ó-;2%;=4, PÕF'Ó=:Á2£:
∴ aÛ`=19
따라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PÕF'Ó+PÕFÓ=:Á2£:+;2%;=9


229  ②

원 (x-4)Û`+yÛ`=rÛ`과 쌍곡선 xÛ`-2yÛ`=1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그림과 같이 원이 쌍곡선의 꼭짓점을 지나야 한다. 232  ④
y
x@-2y@=1
xÛ` yÛ`
주어진 타원의 방정식을 + =1 (a>b>0)이라 하자.
aÛ` bÛ`
{x-4}@+y@=r@
xÛ` yÛ`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4, 0), (-4, 0)이므로
9 7
O1 4 x
-1 aÛ`-bÛ`=16 yy`㉠
PÕF`Ó :`PÕF'Ó=1`:`3이므로 PÕFÓ=k (k>0)라 하면 PÕF'Ó=3k
xÛ` yÛ`
쌍곡선 - =1에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3k-k=6, k=3
이때, 쌍곡선의 두 꼭짓점의 좌표는 (1, 0), (-1, 0)이고 원의 9 7
중심의 좌표는 (4, 0)이므로 r=3 또는 r=5이다. (∵ r>0) xÛ` yÛ`
타원 + =1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3k+k=2a, a=6
따라서 양수 r의 최댓값은 5이다. aÛ` bÛ`
㉠에 의하여 bÛ`=20, b=2'5`(∵ b>0)
따라서 타원의 단축의 길이는 4'5이다.
230  ④

xÛ` yÛ`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2'3, 0), (-2'3, 0)이고
36 24 233  ④
xÛ` yÛ`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yÛ`
a 8 쌍곡선 xÛ`- =1의 두 초점의 좌표는 ('5, 0), (-'5, 0)이고
4
('Äa+8, 0), (-'Äa+8, 0)이므로
원 xÛ`+yÛ`=5의 x축과의 두 교점의 좌표도 ('5, 0), (-'5, 0)이다.
2'3='Äa+8, 12=a+8   ∴ a=4
B(-'5, 0), C('5, 0)으로 놓으면 BÕC=
Ó 2'5
xÛ` yÛ`
쌍곡선 - =1에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ÕFÓ-AÕF'Ó|=4 AÕBÓ=a, AÕC=
Ó b (a>b)라 하면 y
4 8
xÛ` yÛ`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b=2
타원 + =1에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AÕF+ Ó AÕF'Ó=12 A
36 24 삼각형 AB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 |AÕFÓ Û`-AÕF'Ó Û`|‌=|AÕFÓ-AÕF'Ó|_|AÕFÓ+AÕF'Ó| aÛ`+bÛ`=20 -Â5 Â5
B O C x
=4_12=48 이때, aÛ`+bÛ`=(a-b)Û`+2ab이므로
20=4+2ab, ab=8
y@
(a+b)Û`=(a-b)Û`+4ab=4+32 x@- =1
231  ⑤
∴ a+b=6
4

PÕF'Ó=m, PÕFÓ=n (m>0, n>0)이라 하면 ∴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a+b)+2'5=6+2'5


PÕF'Ó>PÕF이
Ó 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m-n=4 yy`㉠
∠PFF'=90ù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mÛ`-nÛ`=36 234  ②
즉, (m+n)(m-n)=36에서 m+n=9 (∵ ㉠)
주어진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c='Ä4+6='¶10이다.
따라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FÕ'PÓ=a, FPÓ=b (a>b)라 하면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m+n=9이다.
a-b=4 yy`㉠
다른 풀이
또한 삼각형 FPF'은 직각삼각형이므로
두 점 F(3, 0), F'(-3, 0)을 초점으로 하고 aÛ`+bÛ`=(2'¶10)Û`=40 yy`㉡
두 점 A(2, 0), B(-2, 0)을 꼭짓점으로 하는 ㉠, ㉡을 연립하여 풀면

44 기하
(b+4)Û`+bÛ`=40, bÛ`+4b-12=0 또한 PQÓ=12이고 두 선분 PQ와 FQ는 서로 수직이므로 직각삼각형
(b+6)(b-2)=0   ∴ b=-6 또는 b=2 PQF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이때, b>0이므로 b=2, a=6 (∵ ㉠) PFÓ="Ã12Û`+5Û`=13 yy`㉠
FÕPÓ 2 '¶10 따라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FÓ'Ó=3이므로
∴ cos`(∠PFF')= = =
FÕF'Ó 2'¶ 1 0 10 PFÓ'=
Ó 10 (∵ ㉠)

235  ⑤
238  ③


타원과 쌍곡선이 초점을 공유하므로 곡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r>0)라 하면 PÕF'Ó=r이다. 선
yÛ`
쌍곡선 xÛ`- =1의 초점의 좌표는 ("Ã1+bÛ`, 0), (-"Ã1+bÛ`, 0),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FÓ-PÕF'Ó=PFÓ-r=8이므로
bÛ`
xÛ` yÛ` FQÓÉPFÓ+PQÓ=(8+r)+r=8+2r
타원 + =1의 초점의 좌표는 ("Ã25-aÛ`, 0), (-"Ã25-aÛ`, 0)
25 aÛ` 선분 FQ의 길이의 최댓값이 14이므로
즉, "Ã25-aÛ`="Ã1+bÛ`, aÛ`+bÛ`=24 yy`㉠ 8+2r=14
이때,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Ó=10 yy`㉡ ∴ r=3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Ó=2 yy`㉢ 따라서 원 C의 넓이는 p_3Û`=9p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PÕF'Ó=6, PÕFÓ=4
y

P x@ y@
+ =1
25 a@
239  ④

|PÕF-
Ó PÕF'Ó|=10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쌍곡선의 주축의
F' O F x
길이는 10이다.
x@-
y@
=1
∴ aÛ`=25
b@
포물선 yÛ`=56(x+c)에서 AÕFÓ=14
삼각형 FPF'은 직각삼각형이므로 이때, AÕF'Ó`:`FFÓ'Ó=1`:`6이므로 AÕF'Ó=2, FÕF'Ó=12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FÕF'Ó="Ã6Û`+4Û`=2'¶13 따라서 F(6, 0), F'(-6, 0), A(-8, 0)이므로 c=8이고,
'¶13="Ã25-aÛ`, aÛ`=12, bÛ`=12 (∵ ㉠) xÛ` yÛ`
쌍곡선 - =1에서 25+bÛ`=36
∴ aÛ`bÛ`=144 25 bÛ`
∴ bÛ`=11
cÛ` 64
∴ = =:£7ª:
236  ⑤ aÛ`-bÛ` 25-11

타원의 장축의 길이는 8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QÕF'Ó+QÕF=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2이므로
Ó 8 yy`㉠
240  ③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Ó=2 yy`㉡ xÛ` yÛ`


원 xÛ`+yÛ`=8과 쌍곡선
- =1은 모두 x축과 y축에 대하여
aÛ` bÛ`
이때, PÕQ=
Ó QFÓ이므로
대칭이므로 원의 둘레를 4등분하는 네 점은
PÕF'Ó=PÕQ+
Ó QÕF'Ó=QÕFÓ+QÕF'Ó=8 (∵ ㉠)
원 xÛ`+yÛ`=8과 두 직선 y=Ñx의 교점이다.
㉡에서 8-PÕFÓ=2
xÛ`+yÛ`=8에 y=Ñx를 대입하면 xÛ`+xÛ`=8, xÛ`=4
∴ PÕF=
Ó 6
∴ x=-2 또는 x=2
따라서 네 교점의 좌표는

237  ① (-2, -2), (-2, 2), (2, -2), (2, 2)이다.


xÛ` yÛ`
이 점들은 쌍곡선 - =1 위의 점이므로
4xÛ` yÛ` xÛ` yÛ` aÛ` bÛ`
- =1에서 - =1이므로 쌍곡선의 두 초점 F, F'의
9 40 40
;4(; 4 4
- =1 yy`㉠
aÛ` bÛ`
좌표는 각각 {:Á2£:, 0}, {-:Á2£:, 0}이고, 한편, 쌍곡선의 한 점근선의 방정식이 y='2x이므로
b b
='2 또는 =-'2
두 꼭짓점의 좌표는 {;2#;, 0}, {-;2#;, 0}이다. a a
즉, bÛ`=2aÛ` yy`㉡
이때, 원 C는 쌍곡선과 한 점에서 만나므로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는
㉠, ㉡을 연립하여 풀면 aÛ`=2, bÛ`=4
:Á2£:-;2#;=5 ∴ aÛ`+bÛ`=6

Ⅰ. 이차곡선 45
9xÛ`-yÛ`=18
241  ③ x, y에 대한 연립방정식 [`
y=ax+b
의 실근의 개수와 같다.

yÛ` 9xÛ`-(ax+b)Û`=18에서
xÛ`- =1에 y=mx+n을 대입하면
4
(9-aÛ`)xÛ`-2abx-(18+bÛ`)=0 yy`㉠
(mx+n)Û`
xÛ`- =1 ㄱ. a=-4, b=0일 때
4
㉠에서 -7xÛ`-18=0, 즉 7xÛ`+18=0
(4-mÛ`)xÛ`-2mnx-(nÛ`+4)=0 yy`㉠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Ú mÛ`=4일 때, m=2 또는 m=-2이므로
D
㉠은 -4nx-(nÛ`+4)=0 =0Û`-7_18<0이므로
4
또는 4nx-(nÛ`+4)=0
구하는 교점의 개수는 0이다. (참)
이때, n=0이면 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ㄴ. a=3, b>0일 때
Û mÛ`+4일 때,
㉠에서 -6bx-(18+bÛ`)=0,
㉠은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6bx+(18+bÛ`)=0 (단, b>0)
D¾0이어야 한다.
‌이 일차방정식은 반드시 실근 1개를 가지므로 구하는 교점의
D
=mÛ`nÛ`+(4-mÛ`)(nÛ`+4)=4nÛ`+16-4mÛ`¾0 개수는 1이다. (참)
4
이때, n의 값에 관계없이 이 부등식이 항상 성립하기 위해선 ㄷ. a=;3!;, b<0일 때
16-4mÛ`¾0이어야 하므로 -2ÉmÉ2이어야 한다.
즉, -2<m<2 ㉠에서 :¥9¼:xÛ`-;3@;bx-(18+bÛ`)=0,
Ú, Û에서 구하는 실수 m의 값의 범위는 -2<m<2이다. 즉 80xÛ`-6bx-9(18+bÛ`)=0 (단, b<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참고
D
yÛ` =(-3b)Û`+80_9(18+bÛ`)>0이므로
쌍곡선 xÛ`-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2x이므로 n=0일 4
4
구하는 교점의 개수는 2이다. (참)
yÛ`
때 m=Ñ2이면 쌍곡선 xÛ`- =1과 직선 y=mx+n은 만나지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4
않는다. 참고

xÛ` yÛ`
일반적으로 쌍곡선 - =1 (a>0, b>0)과
aÛ` bÛ`

242  ⑤ 직선 y=mx+n의 교점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b
Ú |m|< 일 때
xÛ` yÛ` a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3x이다.
2 18 n의 값에 관계없이 직선과 쌍곡선의 교점의 개수는 2이다.
ㄱ. a=-4이고 b=0일 때 직선 y=ax+b의 기울기 a는 b
Û |m|= 일 때
a<-3이므로 쌍곡선과 직선의 교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참) a
ㄴ. a=3이고 b>0일 때 직선 y=ax+b는 점근선 y=3x와 n+0이면 직선과 쌍곡선의 교점의 개수는 1이다.
평행하므로 쌍곡선과 직선의 교점은 1개이다. (참) ‌n=0이면 직선이 점근선과 같게 되므로 직선과 쌍곡선의
교점의 개수는 0이다.
ㄷ. a=;3!;이고 b<0일 때 직선 y=ax+b의 기울기 a는
b
Ü |m|> 일 때
-3<a<3이므로 쌍곡선과 직선의 교점은 2개이다. (참) a
y=-4x y=3x+b`{b>0} ‌n의 값에 따라서 직선과 쌍곡선의 교점의 개수는 2 또는 1
y
x@ y@ 또는 0이다.
- =1
2 18

O x
243  ④
1
y= x+b`{b<0} xÛ` yÛ` n
3 - =-1에 y=x+ 을 대입하면
6Û` nÛ` 2
{x+;2N;}2`
y=3x y=-3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xÛ`
- =-1
36 nÛ`
다른 풀이
nÛ`
nÛ`xÛ`-36{xÛ`+nx+ }=-36nÛ`
xÛ` yÛ` 4
쌍곡선 - =1과 직선 y=ax+b의 교점의 개수는
2 18 (nÛ`-36)xÛ`-36nx+27nÛ`=0 yy`㉠

46 기하
n+6일 때 ㉠은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므로 삼각형 FAB에서 선분 BF를 밑변이라 하면 BFÓ=1이고, 점 A의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좌표는 1이므로 높이는 1이다.

∴ (삼각형 FAB의 넓이)=;2!;_1_1=;2!;


D
=18Û`nÛ`-27nÛ`(nÛ`-36)
4
D
ㄱ. n=1일 때 =18Û`+27_35>0이므로 f(1)=2 (참)
4
9
ㄴ. n=6일 때 방정식 ㉠의 근은 x= 로 1개뿐이므로
2
246  ③

f(6)=1이다. (거짓) xÛ` yÛ` 이


쌍곡선 xÛ`-yÛ`=3, 즉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차
3 3 곡
ㄷ. f(n)=0이기 위해서는 D<0이어야 한다.
y=x 또는 y=-x 선
18Û`nÛ`-27nÛ`(nÛ`-36)<0에서 nÛ`>48
쌍곡선 xÛ`-yÛ`=3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n<-4'3 또는 n>4'3
2x-y=3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7이다. (참)
따라서 직선 2x-y=3과 두 점근선의 교점은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3, 3), (1, -1)이다.
y=2x-3
y
3 x@ y@
- =1
244  ①
O 1
3
{2,`1}
3

3 x
yÛ` -1
쌍곡선 4xÛ`-yÛ`=4, 즉 xÛ`- =1 위의 점 P와 직선 3x+y=0
4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될 때는 그림과 같이 쌍곡선 위의 점 P에서의
y=x y=-x
접선이 직선 3x+y=0과 평행할 때이다.
이때, 두 직선 y=x, y=-x는 기울기의 곱이 -1이고, 원점을
y=-3x+Â5
y 지나므로 원점 O에서 수직으로 만난다.
y=-3x-Â5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_3'2_'2=3이다.
P x@- =1
4
3x+y=0
O x

P 247  ①

쌍곡선 xÛ`-4yÛ`=a 위의 점 (b,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b a
yÛ` bx-4y=a, y= x-
쌍곡선 xÛ`- =1에 접하고 기울기가 -3인 직선의 방정식은 4 4
4
y=-3xÑ'Ä9-4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2!;x이고 b>0이므로
∴ y=-3x+'5 또는 y=-3x-'5
직선 y= x- 와 직선 y=-;2!;x는 수직이다.
b a
이때, 직선 3x+y=0과 직선 y=-3x+'5 사이의 거리는 4 4
점 (0, '5)와 직선 3x+y=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_{-;2!;}=-1이므로 b=8
b
즉,
|'5| '2 4
=
'Ä9+1 2 쌍곡선의 방정식 xÛ`-4yÛ`=a에 x=8, y=1을 대입하면
이때, 직선 3x+y=0과 직선 y=-3x-'5 사이의 거리도 a=8Û`-4_1Û`=60
'2 '2 ∴ a+b=60+8=68
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이다.
2 2

248   52

245  ②
쌍곡선
xÛ` yÛ`
12
- =1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8
xÛ` ax by
쌍곡선 -yÛ`=1 위의 점 A(4,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1
8 12 8
4x (x-2)Û`
-y=1, y=;2!;x-1이므로 이 접선이 타원 +yÛ`=1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접선은
8 4
이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 B의 좌표는 (2, 0) 타원의 중심인 점 (2, 0)을 지난다.
xÛ` a
이때, 쌍곡선 -yÛ`=1의 x좌표가 양수인 초점 F의 좌표는 즉, =1
8 6
(3, 0) ∴ a=6

Ⅰ. 이차곡선 47
xÛ` yÛ` 48 yÛ`
이때, 점 (a, b), 즉 (6, b)는 쌍곡선 - =1 위의 점이므로 - =1에서 yÛ`=4, y=2(∵ y>0)이다.
12 8 36 12
bÛ` xÛ` yÛ`
3- =1 따라서 쌍곡선 - =1 위의 점 P(4'3, 2)에서의
8 36 12
∴ bÛ`=16 4'3x 2y 2'3
접선의 방정식은 - =1, 즉 y= x-6이므로
∴ aÛ`+bÛ`=36+16=52 36 12 3
2'3
접선의 기울기는 이다.
TIP 3

[그림 1] [그림 2] 251  ③

[그림 1]에서 타원은 타원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고 타원의 xÛ` yÛ`
쌍곡선 3xÛ`-2yÛ`=6, 즉 - =1의 초점 F, F'의 좌표는 각각
중심을 지나는 어떠한 직선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타원의 중심을 2 3
지나는 직선은 타원의 넓이를 이등분한다. ('5, 0), (-'5, 0)이고,
[그림 2]와 같이 타원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 직선(실선)을 쌍곡선 3xÛ`-2yÛ`=6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l은
생각하자. 이때, 타원의 중심을 지나는 평행선을 그어 보면 6x-2'3 y=6, 즉 l`:`y='3x-'3이다.
타원과 두 직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로 인하여 실선이 직선 l이 x축과 만나는 점을 C라 하면 C(1, 0)이고,
타원의 넓이를 이등분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직선 l의 기울기는 '3이므로 직선 l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60ù이다.
y

249   15 60æ
A
{2,`Â3}

xÛ` yÛ` O x
쌍곡선 - =1 위의 점 P(4, k)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 C F
aÛ` bÛ`
B 3x@-2y@=6
4x ky
- =1
aÛ` bÛ`
l
선분 F'F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1, 0)이므로
'5-1
4 ACÓ=FÕC_Ó cos`60ù=
=1 2
aÛ`
'5+1
∴ aÛ`=4 BCÓ=FÕ'CÓ_cos`60ù=
2
또한 쌍곡선의 두 초점이 F(3, 0), F'(-3, 0)이므로 '5-1 '5+1
∴ AÕBÓ=ACÓ+BCÓ= + ='5
aÛ`+bÛ`=3Û` 2 2
∴ bÛ`=5
따라서 쌍곡선의 방정식은
xÛ` yÛ`
4
- =1
5 252   32
이때, 쌍곡선이 점 P(4, k)를 지나므로
쌍곡선 xÛ`-yÛ`=32 위의 점 P(-6, 2)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16 kÛ` kÛ`
- =1, =3 -6x-2y=32
4 5 5
∴ kÛ`=15 ∴ y=-3x-16
원점 O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16| 8'¶10
OHÓ= =
250  ① "Ã3Û`+1Û` 5
이때, 직선 l에 수직이고 원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Û` yÛ`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aÛ` bÛ` y=;3!;x이므로 직선 y=;3!;x와 쌍곡선이 제1사분면에서 만나는

x이므로 ={ }2`이고
'3 bÛ` '3 점 Q의 좌표를 구하면
y=Ñ yy`㉠
3 aÛ` 3
한 초점이 F(4'3, 0)이므로 aÛ`+bÛ`=(4'3)Û`이다. yy`㉡ xÛ`-;9!;xÛ`=32에서 xÛ`=36
㉠, ㉡을 연립하여 풀면 aÛ`=36, bÛ`=12 이때, x>0이므로 x=6
xÛ` yÛ` ∴ Q(6, 2)
쌍곡선 - =1과 직선 x=4'3이 제1사분면에서 만나는 점
36 12 8'¶10
P의 y좌표는 ∴ OHÓ_OQÓ‌= _"Ã6Û`+2Û`=32
5

48 기하
FÕF'Ó=10
253  ③
PÕF'Ó`:`PÕF=
Ó 3`:`1에서 PÕF'Ó=3k, PÕFÓ=k (k>0)라 하자.
xÛ` yÛ`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
Ó 2k=8, k=4
쌍곡선 - =1이 점 A(4, 1)을 지나므로
aÛ` bÛ` 따라서 PÕF'Ó=12, PÕF=
Ó 4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6 1
yy`㉠ 12Û`+4Û`-10Û`
=;8%;
- =1
aÛ` bÛ` cos`h=
2_12_4
xÛ` yÛ`
타원 + =1 위의 점 A(4,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4 3

4x y
+ =1, 즉 y=-;2!;x+3 차
24 3
xÛ` yÛ`
257  ⑤ 곡

쌍곡선 - =1 위의 점 A(4,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Û` bÛ` PÕF=
Ó a, PÕF'Ó=b라 하면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a-b|=8이므로
4x y 4bÛ` 양변을 제곱하면
- =1, 즉 y= x-bÛ`
aÛ` bÛ` aÛ`
aÛ`-2ab+bÛ`=64에서
4bÛ`
두 직선 y=-;2!;x+3, y= x-bÛ`이 서로 수직이므로 aÛ`+bÛ`=2ab+64 yy`㉠
aÛ`
4bÛ` xÛ` yÛ`
-;2!;_ =-1, aÛ`=2bÛ` yy`㉡ 쌍곡선
16
- =1의 두 초점은 F'(-5, 0), F(5, 0)이므로
9
aÛ`
㉡을 ㉠에 대입하면 bÛ`=7, aÛ`=14 FÕF'Ó=10
∴ aÛ`+bÛ`=21 이때, ∠FPF'=60ù이므로 삼각형 PFF'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10Û`=aÛ`+bÛ`-2ab`cos`60ù에서
254  ① 100=aÛ`+bÛ`-ab
이 식에 ㉠을 대입하면
xÛ` yÛ`
쌍곡선 4xÛ`-9yÛ`=36, 즉 - =1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100=(2ab+64)-ab, ab=36
9 4
접선의 방정식은 ∴ (삼각형 PFF'의 넓이)‌=;2!;ab`sin`60ù
y=mxÑ"Ã9mÛ`-4
'3
이때, 이 접선이 점 (2, a)를 지나므로 =;2!;_36_ =9'3
2
a=2mÑ"Ã9mÛ`-4
(2m-a)Û`=9mÛ`-4
5mÛ`+4am-aÛ`-4=0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므로 258  ④

m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쌍곡선 6xÛ`-yÛ`=a 위의 제2사분면의 점 P(b, 3)에서의 접선의
-aÛ`-4 방정식은 6bx-3y=a이므로 기울기는 2b이다.
=-1, aÛ`=1
5
이 점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Á이라 하면
∴ a=1 (∵ a>0)
tan`hÁ=2b
직선 y=3x의 기울기는 3이므로 이 직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255  ③ 이루는 각의 크기를 hª라 하면 tan`hª=3
2b-3
xÛ` yÛ` tan`h=|tan`(hÁ-hª)|=| |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1+6b
4 9
p
이때, sin`h=;5#;에서 tan`h=;4#;`(∵ 0<h< )이므로
y=;2#;x 또는 y=-;2#;x이다. 2
2b-3
xÛ` yÛ` | |=;4#;, 4|2b-3|=3|1+6b|
이때, 점 P(a, b)는 쌍곡선 - =1의 제1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1+6b
4 9
8b-12=Ñ3(1+6b)
a Ú ¦일 때 점 P(a, b)는 직선 y=;2#;x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b=-;2#; 또는 b=;2»6;
;2#;a-4
∴ lim f(a)=lim =;2#; 이때, 점 P는 제2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b=-;2#;
a Ú¦ a Ú¦ a+1
점 P{-;2#;, 3}은 쌍곡선 6xÛ`-yÛ`=a 위의 점이므로

256  ⑤ a=;2(;

xÛ` yÛ`
쌍곡선 - =-1의 초점의 좌표는 (0, 5), (0, -5)이므로 ∴ a+b=;2(;+{-;2#;}=3
9 16

Ⅰ. 이차곡선 49
259  ②
y

Q P
x@ y@
점 A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 =1
9 3
cos`(∠AFF')=-;5!;에서 cos`(p-∠AFF')=;5!;이므로 F' O F x

Q P
FÕHÓ=5_;5!;=1

점 F'을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은 포물선 yÛ`=4px의 준선이므로 이때, FPÓ=PQÓ이므로 FÕ'PÓ-PQÓ=6
점 A에서 포물선의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A'이라 하면 세 점 F', P, Q는 일직선 위에 있으므로 FÕ'QÓ=6이다.
AÕA'Ó=2p+1=5 '3
또한 쌍곡선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 x이다.
3
∴ p=2
'3
따라서 포물선 yÛ`=8x 위의 점 A의 x좌표는 3이므로 y좌표는 직선 y= x와 x축의 양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30ù이다.
3
2'6이다. 점 P의 x좌표가 한없이 커질 때 직선 PF'의 기울기는 점근선의
두 점 A(3, 2'6), F'(-2, 0) 사이의 거리는 기울기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AÕF'Ó="Ã5Û`+(2'6)Û`=7이므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 전체의 길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6이고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2a=AÕF'Ó-AÕFÓ=7-5=2 중심각의 크기가 60ù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같다.
∴ a=1 60
∴ (도형 전체의 길이)=2p_6_ =2p
또한 aÛ`+bÛ`=4이므로 b='3 (∵ b>0)이다. 360
∴ ab='3

260  ③ 262   12

4
xÛ` yÛ` 주어진 쌍곡선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 x이고,
ㄱ. 쌍곡선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3
1Û` 1Û`
두 초점 F, F'은 모두 x축 위에 있으므로 쌍곡선의 방정식을
y=Ñx이다. (참) xÛ` yÛ`
- =1 (a>0)이라 하면 이 쌍곡선의 두 초점의 좌표는
(3a)Û` (4a)Û`
ㄴ. 쌍곡선 xÛ`-yÛ`=1 위의 점 (xÁ, yÁ)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5a, 0), F'(-5a, 0)이고 꼭짓점 A의 좌표는 (3a, 0)이다.

xÁx-yÁy=1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이다. 이 접선이 y

xÁ P
점근선과 평행하려면 =Ñ1, 즉 xÁ=ÑyÁ이어야 한다.

‌이때, (xÁ)Û`-(yÁ)Û`=0이므로 이 점들은 쌍곡선 위의 점이 x
F' O F
아니다.
‌따라서 쌍곡선 위의 점에서 그은 접선 중 점근선과 평행한
접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또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PÕF'Ó-PÕFÓ=6a이므로 조건 ㈎에
ㄷ. xÛ`-yÛ`=1에 yÛ`=4px를 대입하면
xÛ`-4px-1=0 의하여 16É30-6aÉ20, 즉 ;3%;ÉaÉ;3&;이다.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곱이 -1이므로 서로 다른 부호의 두
한편, AÕFÓ=5a-3a=2a이므로 :Á3¼:É2aÉ:Á3¢:이고 조건 ㈏에
실근을 갖는다.
‌즉, 포물선 yÛ`=4px (p+0)는 쌍곡선과 항상 두 점에서 만난다. 의하여 자연수 2a의 값은 4이다.   ∴ a=2
 (참) 따라서 이 쌍곡선의 주축의 길이는 6a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6a=12

261  ③
263   116
xÛ` yÛ`
쌍곡선 - =1의 두 초점이 F(2'3, 0), F'(-2'3, 0)이고 원 C의 중심을 A라 하고, 직선 FP와 원 C의 접점을 R라 하면
9 3
점 P의 x좌표는 양수이므로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점 A는 y축 위에 있으므로 AFÓ=AFÓ'이
Ó 고
FÕ'PÓ-FPÓ=6이다. 두 직각삼각형 ARF, AQF'에 대하여 ARÓ=AQÓ이다.

50 기하
y TIP
C
Q 세 점 P, Q, R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A
점 P의 x좌표, y좌표 중 하나만 선분 QR의 중점의 좌표와
P
R 일치함을 보이면 된다.
F' O F x

따라서 두 직각삼각형 ARF, AQF'은 서로 합동이므로 이


FRÓ=FÕ'QÓ=5'2이다. 차

또한 원 C의 외부의 점 P에 대하여 PRÓ=PQÓ이므로 선
FPÓ=FRÓ+PRÓ=5'2+PQÓ이고
FÕ'PÓ=FÕ'QÓ-PQÓ=5'2-PQÓ이다.
이때,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FPÓ-FÕ'PÓ=4'2이므로
(5'2+PÕQÓ)-(5'2-PÕQ)Ó =4'2에서 PQÓ=2'2이다.
즉, FPÓ=7'2이고 FÕ'PÓ=3'2이다.
∴ FPÓ Û`+F'PÓ Û`=98+18=116

264  ⑤

xÛ` yÛ`
쌍곡선 xÛ`-yÛ`=4, 즉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4 4
y=x 또는 y=-x이다.
쌍곡선 xÛ`-yÛ`=4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x-by=4
점 P(a, b)가 쌍곡선 xÛ`-yÛ`=4 위에 존재하므로
aÛ`-bÛ`=4 yy`㉠
ㄱ. 직선 ax-by=4와 두 점근선의 방정식의 교점은
4 4 4 4
Q{ , }, R{ ,- }이다.
a-b a-b a+b a+b
선분 QR의 중점의 x좌표는
4 4 4a
;2!;_{ + }= =a (∵ ㉠)
a-b a+b aÛ`-bÛ`
선분 QR의 중점의 y좌표는
4 4 4b
;2!;_{ - }= =b (∵ ㉠) yy TIP
a-b a+b aÛ`-bÛ`
따라서 선분 QR의 중점의 좌표는 (a, b)이므로
점 P는 선분 QR의 중점이다. (참)
ㄴ. 두 직선 y=x, y=-x는 기울기의 곱이 -1이고, 원점을
지나므로 점 O에서 수직으로 만난다.
따라서 세 점 O, Q, R는 선분 QR가 지름인 원 위에 존재하므로

Ó ;2!;QÕR이
OÕP= Ó 다. (참)

ㄷ. (삼각형 OQR의 넓이)‌=;2!;_OÕQÓ_OÕRÓ


4'2 4'2
=;2!;_| |_| |
a-b a+b
16
==4 (∵ ㉠)
|aÛ`-bÛ`|
‌이므로 점 P의 위치에 관계없이 삼각형 OQR의 넓이는 4로
일정하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Ⅰ. 이차곡선 51
ⅠⅠ 평면벡터 270   ⑴ AD³ ⑵ AE³

⑴ AB³+BC³+CD³=AC³+CD³=AD³
벡터의 연산 ⑵ AB³+BC³+DE³+CD³=AC³+CD³+DE³=AD³+DE³=AE³

265  ⑤
271  ④

ACÓ="Ã1Û`+2Û`='5 이므로 |AC³|='5 이다. ① BC³+CA³=BÕA³ (참)


② AB³-CB³=AB³+BC³=AC³ (참)

266  ③ ③ AC³+CA³=AC³-AC³=0ø (참)


④ BÕA³=CA³-CB³ (거짓)
ㄱ. ‌두 벡터 BC³, FE³는 방향이 같고, 크기가 2이므로 서로 같은 ⑤ AB³+BC³+CA³=AC³+CA³=0ø (참)
벡터이다. (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ㄴ. ‌CD³와 FA³는 크기가 같지만 방향이 반대이므로
CD³=-FA³이다. (거짓)
ㄷ. EO³=FA³이고, |FÕA³|=2이므로 |EO³|=2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272  ③

2(3aøø-bøø)-(-2aøø+3bø)‌=6aø-2bø+2aø-3bø
267  ③ =8aø-5bø

ㄱ. ‌aø와 dø는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이므로 서로 다른


벡터이다. (참)
ㄴ. ‌bø와 eø는 크기와 방향이 같으므로 평행이동하여 겹쳐진다. 273  ②
즉, 두 벡터는 서로 같은 벡터이다. (거짓)
xø+2(aø+bø)=3aø-bø-2xø에서
ㄷ. |cø|="Ã4Û`+2Û`='¶20=2'5 (참)
xø+2xø=3aø-bø-2aø-2bø
c 2 3xø=aø-3bø
1
∴ xø= aø-bø
4 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268  ② 274  ①

OA³=DO³=CB³=EF³로 OA³와 같은 벡터는 3개이다. 2(2xø+aø+3bø)=3(xø-aø+bø)에서


4xø-3xø=-3aø+3bø-2aø-6bø

269  ② xø=-5aø-3bø
따라서 m=-5, n=-3이므로 m+n=-8이다.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DEÓACÓ이고, AFÓ=FCÓ=DEÓ yy TIP
따라서 AF³와 같은 벡터는 FC³, DE³로 2개이다.

TIP
275  ⑤

다음 그림과 같이 점 C를 잡자.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
A Q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은 나머지 한 변과 평행하고, A
그 길이는 나머지 한 변의 길이의 E a B
D O P C
1 b
이다.
2
즉, 그림의 삼각형 ABC에서 B C
이때, PC³=2bø, CQ³=3aø이므로
1 PQ³=PC³+CQ³=2bø+3aø=3aø+2bø이다.
DEÓBCÓ, DEÓ= BCÓ이다.
2
따라서 m=3, n=2이므로 m+n=5이다.

52 기하
276  ④ 283  ③

OB³=DO³이므로 m(aø-2bø)=3aø+n(-aø+3bø)에서
DÕA³=DO³+OA³=bø+aø=aø+bø maø-2mbø=(3-n)aø+3nbø
두 벡터 aø, bø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m=3-n, -2m=3n
277  ③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m=9, n=-6
BÕA³=DE³이므로 ∴ m-n=15
BÕA³-DC³=DE³+CD³=CD³+DE³=CE³

284  ①
278  ⑤
두 벡터 aø, bø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aø-bø+cø=BÕA³-BC³+CA³=CA³+CA³=2CA³ (xÛ`-2x)aø+(xÛ`+x)bø=8aø+2bø에서
이때, |CA³|=6이므로 구하는 값은 2|CA³|=12이다. xÛ`-2x=8, xÛ`+x=2
위의 두 식을 풀면

279  ② xÛ`-2x-8=0, (x+2)(x-4)=0   ∴ x=-2 또는 x=4


xÛ`+x-2=0, (x+2)(x-1)=0   ∴ x=-2 또는 x=1 ⅠⅠ
|AB³-AC³-AD³|‌=|CB³-AD³| 따라서 두 식을 모두 만족시키는 x의 값은 -2이다. 평
=|CB³+DÕA³|=2|DA³|=2 면

280  ③ 285  ④

AB³=AO³+OB³=-aø+bø,
aø+bø=cø이므로 aø+bø+2cø=3cø
AC³=AO³+OC³=-aø+(3aø+mbø)=2aø+mbø
이때, |cø|=3'2이므로 구하는 값은 3|cø|=9'2이다.
이고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AC³=kAB³ 를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해야 한다.
281  ③ 즉, 2aø+mbø=k(-aø+bø)
두 벡터 aø, bø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cø|=|BE³|=2|AF³|=2_1=2
2=-k, m=k
다음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의 세 대각선의 교점을 O라 하면
따라서 k=-2, m=-2이다.
A F

B
c
O
E 286  ③

b ㄱ. ‌-aø는 aø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벡터이므로 aø의 크기가


C D 1이면 -aø의 크기도 1이다.
즉, aø가 단위벡터이면 -aø도 단위벡터이다. (참)
1
BA³+BC³=BO³이고, BO³= cø이므로 ㄴ. ‌영벡터는 시점과 종점이 일치하는 벡터이므로 크기는 0이고
2
1 방향은 생각하지 않는다. (참)
aø+bø= cø
2 ㄷ.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함께 갖는 양을 말한다. (거짓)
1
∴ |aø+bø+cø|‌=| cø+c 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2
3 3
= |cø|= _2=3
2 2
287  ①

한 변의 길이가 2이므로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에 의하여


282  ③
크기가 1인 벡터는 AD³, DB³, BE³, EC³, FC³, AF³, DE³, DF³, EF³와
두 벡터 aø-3bø, -2aø+m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그 각각의 벡터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벡터가 있으므로 모두
-2aø+mbø=k(aø-3bø)를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한다. 18개이다.
두 벡터 aø, bø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이때, AD³=DB³=FE³, DÕA=
³ BD³=EF³, AF³=FC³=DE³,
-2=k, m=-3k FA³=CF³=ED³, DF³=BE³=EC³, FD³=EB³=CE³이므로 서로 다른
따라서 k=-2, m=6이다. 단위벡터의 개수는 6이다.

Ⅱ. 평면벡터 53
|OÕC'³|=|-OC³|=10
288  ④
이때, ∠AOC'=180ù-120ù=60ù이므로 삼각형 AOC'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점 B에서 선분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1
|OA³|=|OÕC'³|cos`60ù=10_ =5
'3 2
∠ABH=60ù이므로 AHÓ= 이다.
2
A
1

B 60æ Â3
2
F 292  ②
H
3xø-yø=2aø, xø+2yø=bø에서 xø, yø를 aø, bø로 나타내면
C E 4 1 2 3
xø= aø+ bø, yø=- aø+ bø yy TIP
7 7 7 7
D 2 4
∴ xø+yø= aø+ bø
7 7
따라서 크기가 '3인 벡터는 AC³, BD³, CE³, DF³, EÕA,³ FB³와 2 4 n
따라서 m= , n= 이므로 =2이다.
그 각각의 벡터와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인 벡터가 있으므로 7 7 m
모두 12개이다.
TIP
이때, AC³=FD³, CA³=DF³, BD³=AE³, DB³=EÕA,³ CE³=BF³,
3xø-yø=2aø에서 yø=3xø-2aø이고,
EC³=FB³이므로 크기가 '3인 서로 다른 벡터의 개수는 6이다.
이를 xø+2yø=bø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ø+2(3xø-2aø)=bø, 7xø=4aø+bø
289   ⑴ 점 A ⑵ 선분 AB의 중점 4 1
∴ xø= aø+ bø
7 7
⑴ AB³+BC³+CP³=AC³+CP³=AP³ 같은 방법으로 벡터 yø도 aø, bø로 나타낼 수 있다.
에서 AP³=0ø이므로 점 P는 점 A와 일치한다.
⑵ ‌AP³=-BÕP이
² 므로 두 벡터 AP³, BÕP는
² 서로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점 P는 선분 AB의 중점과 일치한다.
293  ②

다음 그림과 같이 aø, bø를 놓으면


290  ① D

2PA³+5 PB³+ PC³=BC³에서


2PA³+5 PB³+ PC³=PC³-PB³이므로
2PA³=-6 PB³   ∴ PA³=-3 PB³ A C
A P B b
a B
따라서 APÓ`:`PBÓ=3`:`1이므로 점 P는 선분 AB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다. AB³=2aø-bø, BC³=3aø+bø, DC³=2aø-3bø
AB³=mBC³+nDC³에 이를 대입하면
2aø-bø=m(3aø+bø)+n(2aø-3bø)
291  ①
2aø-bø=(3m+2n)aø+(m-3n)bø
다음 그림에서 ∠AOB=90ù이므로 사각형 AOBC'이 두 벡터 aø, bø는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직사각형이 되도록 점 C'을 잡으면 OA³+OB³=OÕC'이
³ 다. 3m+2n=2, m-3n=-1
C' 4 5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m= , n=
11 11
B
1
∴ m-n=-
11
A
O 150æ
120æ

10
294  ①

OP³
C OQ³= 에서 OQ³는 OP³와 방향이 같은 단위벡터이므로
|OP³|
Õ '+
즉, OA³+OB³+OC³=0ø에서 OC ³ OC³=0ø이므로 OC
Õ '=
³ -OC³이다. yy TIP
따라서 세 점 O, C, C'이 한 직선 위에 있고, 점 Q는 점 O를 중심으로 하는 단위원 위의 점이다.

54 기하
y ∴ CD³‌=CB³+BD³
3
={- bø`}+(-aø+bø)
2
6 3 1
=-aø- bø
2
1 1
따라서 m=-1, n=- 이므로 mn= 이다.
2 2
1

-1 O 1 x
-1
298  ③
점 P가 원점 O에서 원에 그은 접선의 접점일 때, 선분 OP가 y축과
PB³+PC³=0ø에서 PB³=- PC³이므로 두 벡터 PB³, PC³ 는 크기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30ù이므로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점 P는 선분 BC의 중점이다.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Ó=
Ó 2, ∠B=90ù, A
60ù인 부채꼴의 호이다. ∠C=30ù인 직각삼각형 ABC에서
따라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BCÓÓ=2'3이므로 BPÓ='3이다. 2
30æ
60 p 따라서 직각삼각형 ABP에서
2p_ =
360 3 C
ⅠⅠ
Û B P
|PA³|Û`=PAÓ `=2Û `+('3)Û`=7
2Â3
TIP

aø 1 1 aø 면
= _aø에서 >0이므로 벡터 는 벡터의 벡
|aø| |aø| |aø| |aø|
실수배에 의하여 벡터 aø와 방향이 같다.
299  ③ 터

또한 | |= 1 _|aø|=1이므로 벡터 aø 의 크기는 1이다.


aø aø+cø=AB³+AC³=2AH³=2bø이므로
|aø| |aø| |aø| |aø+bø+cø|=|2bø+bø|=|3bø|=12'3

따라서 aø+0ø일 때, 벡터

는 벡터 aø와 방향이 같은 ∴ |bø|=4'3
|aø| 즉, 주어진 정삼각형의 높이가 4'3이므로 정삼각형의 한 변의
단위벡터이다. 길이는 8이다. 따라서 정삼각형의 넓이는 16'3이다.

295  ④ 300  ④

OA³+OC³=OB³이므로 OB³=aø+bø이고, AD³=2 BC³=2bø이고, AB³=ED³=aø이므로


OB³=EO³이다. AE³=AD³+DE³=2bø-aø
∴ EC‌³=EO³+OC³ 따라서 m=-1, n=2이므로 m+n=1이다.
=(aø+bø)+bø
=aø+2bø

301  ④

296  ⑤ CE³=CB³+BE³=aø+2bø이므로 CG³=2CE³=2aø+4bø


CH³=CG³+GH³=(2aø+4bø)+aø=3aø+4bø
OÕA³=-OD³, OB³=-OE³이므로 따라서 m=3, n=4이므로 m+n=7이다.
OA³+OB³+OC³+OD³+OE³=OC³이고,
삼각형 OCD는 정삼각형이므로 OCÓ=2이다.
∴ |OA³+OB³+OC³+OD³+OE³|=|OC³|=2
302  ①

정오각형이므로 OA³+OB³+OC³+OD³+OE³=0ø이다. yy TIP


297  ④ AB³=OB³-OA³, AC³=OC³-OA³,
AD³=OD³-OA³, AE³=OE³-OA³
BD³=BA³+AD³=-aø+bø
이므로 변끼리 더하면
3
3ADÓ=2BCÓ에서 BCÓ= ADÓ이고 ADÓBCÓ이므로 AB³+AC³+AD³+AE³‌=(OA³+OB³+OC³+OD³+OE³)-5OA³
2
3 3 =-5OA³
BC³= AD³= bø
2 2 ∴ k=-5

Ⅱ. 평면벡터 55
TIP -1+m=k, 1=-3k
정n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중심에서 각 꼭짓점까지의 벡터의 합은 1 2
따라서 k=- , m= 이다.
3 3
0ø이다.

307  ②
303   15
4 3
OP³=kOC³이므로 OP³= kaø+ kbø yy ㉠
OP³+OF³=OP³-OÕF'³=FÕ'P이 ³ 므로 3 4
|OP³+OF³|=|F'Õ P|³ =FÕ'PÓ=1 한편, 세 점 A, P, B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이때,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PFÕ+PF'Ó=4이므로 AP³=tAB³를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t가 존재한다.
PFÕ=4-PF'Ó=4-1=3 즉, OP³-OA³=t(OB³-OA³)이므로 OP³-aø=t(bø-aø)
따라서 k=3이므로 5k=15이다. OP³=(1-t)aø+tbø yy ㉡
㉠, ㉡에서

304  ⑤ 4
3
3
kaø+ kbø=(1-t)aø+tbø
4
쌍곡선의 다른 초점을 F'이라 하면 F'(-'¶10, 0)이므로 aø, bø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xÛ` 4 3
쌍곡선 -yÛ`=1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k=1-t, k=t
9 3 4
x@
-y@=1 y 12 9
P 따라서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 , t= 이다.
9 25 25

F'
-Â10° O
F
Â10° x 308  ②

OC³=OA³+OB³=aø+bø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를 이등분하고, 점 M은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점 P는 삼각형 OBC의 무게중심이다.
2
위의 그래프에서 OF³=FÕ'O³이므로 즉, OP³= OÕM³이다
3
|OP³+OF³|=|OP³+FÕ'O³|=|FÕ'P³|=16 1 1 1
OÕM³= (OC³+OB³)= (aø+2bø)= aø+bø이므로
이때,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F'PÓ- PFÓ=6이므로 2 2 2
PFÓ=F'PÓ-6=16-6=10 2 1 1 2
OP³= { aø+bø }= aø+ bø
3 2 3 3
1 2 2
305  ⑤ 따라서 m= , n= 이므로 mn= 이다.
3 3 9

pø-rø=(aø+3bø)-(kaø+4bø)=(1-k)aø-bø,
qø+rø=(2aø-bø)+(kaø+4bø)=(2+k)aø+3bø 309  ④
이고 두 벡터 pø-rø와 qø+rø가 서로 평행하므로 qø+rø=t(pø-rø)를
OP³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t가 존재한다. OQ³= 에서 OQ³는 OP³와 방향이 같은 단위벡터이므로
|OP³|
즉, (2+k)aø+3bø=t{(1-k)aø-bø }
그림과 같이 점 Q는 단위원에서 주어진 쌍곡선의 두 점근선
두 벡터 aø, bø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사이에만 존재한다.
2+k=t(1-k), 3=-t
5 y x@
-y@=-1
따라서 t=-3, k= 이다. 3
2
1 1
y= x
Â3

306  ②
-1
30æ 30æ
1 x
O
AB³=AO³+OB³=(-aø-2bø)+(2aø-bø)=aø-3bø, 1
y=- x
AC³=AO³+OC³=(-aø-2bø)+(maø+3bø)=(-1+m)aø+bø Â3
-1
이고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려면
AC³=kAB³ 를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해야 한다.
xÛ` 1
쌍곡선 -yÛ`=-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Ñ x이고, 이 두
즉, (-1+m)aø+bø=k(aø-3bø) 3 '3
두 벡터 aø, bø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직선이 x축과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각각 30ù이다.

56 기하
따라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각의 15 15
∴ ABÓ=2AHÓ=2_ =
크기가 120ù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의 두 배이므로 8 4
120 4 따라서 p=4, q=15이므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2p_ _2= p
360 3 p+q=4+15=19

310  ②

|EG³+HP³|=|BH³+HP³|=|BP³|
따라서 |EG³+HP³|의 최댓값은 |BP³|의 최댓값과 같다.
선분 CF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중심을 O라 하면
|BP³|=|BO³+OP³|이고 다음 그림과 같이 두 벡터 BO³, OP³의
방향이 일치할 때 |BP³|가 최댓값을 가진다.
G
A D

F
E

ⅠⅠ
O P


B
C 면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터

"Ã6Û`+2Û`+2=2+2'¶10

311   19

점 C를 지나고 직선 AB에 평행인 직선이 호 AE와 만나는 점 중


점 C가 아닌 점을 C'이라 하자.
OÕªQ³=OÕÁQ'이
³ 되도록 점 Q'을 잡으면 점 Q'은 호 AC' 위를
움직이는 점이다.
|OÕÁP³|=1, |OÕÁQ'³|=1이고 두 벡터 OÕÁP³, OÕÁQ'이
³ 이루는 각의
1
크기가 최대일 때 |OÕÁP³+OÕÁQ'³|은 최솟값 을 가진다.
2
즉, 점 P가 점 C와 일치하고 점 Q'이 점 A와 일치할 때 최솟값을
가진다.
1
M 4
C' C{=P}
N
A{=Q'} B
1 O¡ D E O™
H

위의 그림과 같이 사각형 AOÁCM이 평행사변형이 되도록 점 M을


잡고 선분 AC의 중점을 N이라 하면
1 1 1
|OÕÁA³+OÕÁC³|=OÁMÓ= 이므로 OÁNÓ= OÁMÓ= 이다.
2 2 4
이때, 직선 OÁN은 선분 AC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직각삼각형 OÁNA에서
'¶15
ANÓ=¿¹OÁAÓ Û`-OÁNÓ Û`=¾Ð1Û`-{ }Û`=
1
4 4
또한 선분 AB의 중점을 H라 하면 두 직각삼각형 OÁNA, CHA는
서로 닮음이므로
OÁAÓ`:`CAÓ=ANÓ`:`AHÓ에서
'¶15 '¶15 15
1`:` = `:`AHÓ   ∴ AHÓ=
2 4 8

Ⅱ. 평면벡터 57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316  ②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해 BDÓ`:`DCÓ=ABÓ`:`ACÓ=5`:`3이므로


점 D는 선분 BC를 5`:`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312  ③
따라서 AD³=
5AC³+3AB³ 3 5
= AB³+ AC³이므로
5+3 8 8
AB³+3BC³‌
=(OB³-OA³)+3(OC³-OB³)
3 5
=-OA³-2OB³+3OC³ m= , n=
8 8
=-aø-2bø+3cø 3 5 1
∴ m-n= - =-
8 8 4

313   ⑴ 2aø3+bø ⑵ 2aø-bø ⑶


aø+bø
2
317  ②
⑴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의 위치벡터를 pø라 하면
(x+3, 4)=(6, x-y)에서 x+3=6, 4=x-y
1_bø+2_aø 2aø+bø
pø= = x+3=6에서 x=3이므로
1+2 3
⑵ 선분 AB를 1`:`2로 외분하는 점의 위치벡터를 qø라 하면 4=3-y에서 y=-1
1_bø-2_aø ∴ x+y=3+(-1)=2
qø= =2aø-bø
1-2
⑶ 선분 AB의 중점의 위치벡터를 rø라 하면

rø=
aø+bø
2
318  ⑤

5aø=5(3, -1)=(15, -5)이므로


모든 성분의 합은 15+(-5)=10이다.

314  ① TIP

3_bø-4_aø aø=(aÁ, aª)라 하면


qø= =4aø-3bø이므로
3-4 kaø=(kaÁ, kaª) (k는 실수)에 대하여
m=4, n=-3 (벡터 kaø의 모든 성분의 합)
∴ m+n=4+(-3)=1 =kaÁ+kaª=k(aÁ+aª)
=k_(벡터 aø의 모든 성분의 합)이다.

315  ④

점 C는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319  ⑤


OB³+2OA³ 1 2
OC³= = bø+ aø aø+bø=(2, -1)+(1, 3)=(3, 2)이므로
1+2 3 3
점 D는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모든 성분의 합은 3+2=5이다.
2OB³+OA³³ 2 1
OD³= = bø+ aø
2+1 3 3
따라서 OC³+OD³=aøø+bø이므로 m=1, n=1   320   ⑴ (7, -3) ⑵ (14, 10)

∴ m+n=1+1=2 ⑴ 2aø-bø‌=2(3, 1)-(-1, 5)


다른 풀이 =(6, 2)-(-1, 5)=(7, -3)
선분 AB의 중점과 선분 CD의 중점이 서로 같으므로 ⑵ 2(aø-bø)+3(aø+bø)‌=5aø+bø
B =5(3, 1)+(-1, 5)
D
C =(15, 5)+(-1, 5)=(14, 10)
A
b

a
321  ⑤

AB³=OB³-OA³=(3, 2)-(-2, 0)=(5, 2)


O
CD³=OD³-OC³=(a, b)-(5, 3)=(a-5, b-3)
OC³+OD³=OA³+OB³=aø+bø 이므로 a-5=5, b-3=2에서
∴ m=1, n=1 a=10, b=5
∴ m+n=1+1=2 ∴ ab=10_5=50

58 기하
322  ② 329   12

CA³+BA³‌=(OA³-OC³)+(OA³-OB³) aø•bø=(4, 1)•(-2, k)=-8+k=4


=2OA³-OB³-OC³ ∴ k=12
=(6, 0)-(4, 7)-(3, -2)
=(-1, -5)
따라서 벡터 CA³+BA³의 모든 성분의 합은 330   17

(-1)+(-5)=-6이다. aø-2bø=(1, -2)-2(-2, 2)=(5, -6)이므로


aø•(aø-2bø)=(1, -2)•(5, -6)=5+12=17
323   32 다른 풀이

2aø-bø=bø+cø에서 2aø-2bø=cø이고 ‘유형 04 벡터의 내적의 연산’을 학습한 후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2aø-2bø‌=2(2, 3)-2(x, -1) aø•aø=1Û`+(-2)Û`=5,
=(4, 6)-(2x, -2) aø•bø=(1, -2)•(-2, 2)=(-2)+(-4)=-6
=(4-2x, 8) ∴ aø•(aø-2bø)=aø•aø-2aø•bø=5-2_(-6)=17
이므로

ⅠⅠ
(4-2x, 8)=(-4, y)
따라서 x=4, y=8이므로 xy=32이다. 331  ⑤

OA³=(4, 2), BC³=(2, -2)이므로 면

324  ② OA³•BC³=4_2+2_(-2)=4

cø=maø+nbø에서
(-9, -4)‌=m(1, 2)+n(-3, 1)
=(m-3n, 2m+n)
332  5

이므로 OB³=(a, 2), AB³=(a-1, 2-a)이므로


m-3n=-9, 2m+n=-4 OB³•AB³‌=a(a-1)+2(2-a)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m=-3, n=2 =aÛ`-3a+4=14
∴ m+n=(-3)+2=-1 aÛ`-3a-10=0
(a-5)(a+2)=0

325  ⑤ a=5 또는 a=-2


∴ a=5 (∵ a>0)
|aø+bø|=|(2, 3)+(1, 1)|=|(3, 4)|="Ã3Û`+4Û`=5

326  ⑤ 333  ⑤

2(aø-bø)+2aø‌=4aø-2bø 1
aø•bø=|aø||bø|cos`h=2_5_cos`60ù=10_ =5
2
=4(1, -2)-2(5, 2)=(-6, -12)
∴ |2(aø-bø)+2aø|="Ã(-6)Û`+(-12)Û`=6'5
334  ③
327  ③
ACÓ=DBÓ="Ã2Û`+3Û`='¶13이고,
3xø=-2aø-bø=-2(4, 7)-(1, -2)=(-9, -12) 두 벡터 AC³, DC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에서 xø=(-3, -4) 3
cos`h=
∴ |xø|="Ã(-3)Û`+(-4)Û`=5 '¶13
3
∴ AC³•DC³=|AC³||DC³|cos`h='¶13_3_ =9
'¶13
328  ⑤

aø=bø이므로 3x+1=2y+1, y-1=x+1에서


3x=2y, y=x+2
335  ②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4, y=6이므로 마름모 ABCD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O라 하면 두 삼각형


aø=(13, 5) ABD, BCD가 정삼각형이므로
∴ |aø|Û`=13Û`+5Û`=194 ∠DAB=60ù에서 ∠DAO=30ù

Ⅱ. 평면벡터 59
D
4
C
341  ④

8 aø+bø=(2, 1), aø+2bø=(2, 4)


O
30æ 4Â3 aø+bø=cø, aø+2bø=dø로 놓으면
A B
cø•dø 2_2+1_4 4
cos`h= = =
∴ ACÓ=8'3 |cø||dø| "Ã2Û`+1Û``"Ã2Û`+4Û` 5
따라서 두 벡터 AC³, AD³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30ù이므로
'3
AC³•AD³=|AC³||AD³|cos`30ù=8'3_8_
2
=96 342  ①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면 aø•bø=0이어야 하므로


aø•bø=(x+1)_1+2_(-x)=-x+1=0

336  ③ ∴ x=1

|aø-2bø|Û`=(aø-2bø)•(aø-2bø)=|aø|Û`-4aø•bø+4|bø|Û`
이므로 2Û`-4aø•bø+4_1=5
343  ④

3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면 aø•bø=0이어야 하므로


∴ aø•bø=
4 2
(1, 5)•(2, x)=0에서 2+5x=0   ∴ x=-
5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평행하면 bø=kaø (k+0)이어야 하므로
(2, x)=k(1, 5)에서 k=2, x=10
337  ③
2
따라서 p=- , q=10이므로 pq=-4이다.
5
1
aø•bø=|aø||bø|cos`60ù=3_2_ =3
2
∴ |2aø-bø|Û`‌=(2aø-bø)•(2aø-bø) 344  ①
=4|aø|Û`-4aø•bø+|bø|Û`
aø=(1, -3), 2aø+bø=(x+3, 3x-1)
=4_3Û`-4_3+2Û`=28
이때, 두 벡터가 서로 평행하므로
k(1, -3)=(x+3, 3x-1)을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해야 한다.
338  ⑤ 즉, k=x+3, -3k=3x-1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 4 5
x=- , k= 이다.
cos`135ù=-cos`(180ù-135ù)=-cos`45ù=- 이므로 3 3
2
'2
aø•bø=|aø||bø|cos`135ù=2'2_3_{- }=-6

|aø-bø|Û`‌=(aø-bø)•(aø-bø)
2
345  ④

=|aø|Û`-2aø•bø+|bø|Û` AB³=(1, -4)-(-1, 5)=(2, -9)


=(2'2)Û`-2_(-6)+3Û`=29 AC³=(2, x)-(-1, 5)=(3, x-5)
∴ |aø-bø|='¶29 에서 세 점 A, B,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두 벡터 AB³, AC³는 서로 평행하다.
즉, AC³=kAB³인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하므로

339  ② (3, x-5)=k(2, -9)이다.


3 17
1_4+(-2)_3 2'5 따라서 k= 이므로 x=- 이다.
aø•bø -2 2 2
cos`h= = = =-
|aø||bø| "Ã1Û`+(-2)Û``"Ã4Û`+3Û` 5'5 25

346  ②

340  ③ 두 벡터 6aø+bø와 aø-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6aø+bø)•(aø-bø)=0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6|aø|Û`-5aø•bø-|bø|Û`=0
aø•bø 1_(-1)+3_2 1 6-5aø•bø-3Û`=0
cos`h= = =
|aø||bø| "Ã1Û`+3Û``"Ã(-1)Û`+2Û` '2
3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는 45ù이다. ∴ aø•bø=-
5

60 기하
347  ② TIP
쌍곡선 4xÛ`-yÛ`=1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두 벡터 aø와 aø-t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y
aø•(aø-tbø)=0
|aø|Û`-t(aø•bø)=0
2Û`-2t=0
1 O 1 x
∴ t=2 -
2 2

348  ⑤
1 1
aø-cø=(2, 3)-(5, 4)=(-3, -1) 점 P(a, b)는 이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aÉ- , a¾ 이다.
2 2
kbø+cø=(-k, k)+(5, 4)=(-k+5, k+4)
두 벡터가 서로 수직이므로
(-3, -1)•(-k+5, k+4)=0
(-3)(-k+5)+(-1)(k+4)=0
2k-19=0
351  ③

ⅠⅠ
19 다음 그림과 같이 점 P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k=
2 P
D
C 평

349  ③ 4

AB³=aø, AC³=bø로 놓으면 60æ


A
점 M은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4 B H'
H
AB³+AC³ 1
AÕM³= = (aø+bø) AB³•AP³=|AB³||AP³|cos`(∠PAH)
2 2
이때, ∠BAC=h로 놓으면 ACÓ="Ã6Û`+8Û`=10 =|AB³||AH³|=4|AH³| yy ㉠
3 이므로 |AH³|가 최대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이므로 cos`h=
5
즉, 점 P가 점 C와 일치할 때 최댓값을 갖는다.
3
∴ aø•bø=|aø||bø|cos`h=6_10_ =36 점 C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이라 하면
5
1 삼각형 CBH'에서 ∠CBH'=60ù이고, BCÓ=4이므로 BH'Ó=2이다.
∴ AC³•AM³‌=bø• (aø+bø)
2 따라서 |AH³|의 최댓값은 6이므로 ㉠에서 AB³•AP³의 최댓값은
1 24이다.
= (bø•aø+|bø|Û`)
2
1
= (36+100)=68
2

352  ④
350  ④
점 Q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R라 하면
점 P의 좌표를 (a, b)로 놓으면 OP³•OQ³=|OP³||OQ³|cos`(∠QOR)=|OP³||OR³|
AP³=(a+1, b), BP³=(a-2, b) 이때, |OP³|=3이므로 OP³•OQ³가 최대가 되려면 |OR³|가
이므로 AP³•BP³=(a+1)(a-2)+bÛ` 최대이어야 한다.
한편, 점 P는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4aÛ`-bÛ`=1에서 원 (x-3)Û`+(y-2)Û`=2Û`은 중심이 (3,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bÛ`=4aÛ`-1 2인 원이므로
즉, y
AP³•BP³‌
=(a+1)(a-2)+4aÛ`-1
=5aÛ`-a-3
2 Q
1 Û 61
=5{a- }`-
10 20
1 1 O {1,`0} P{3,`0} R{5,`0} x
이때, aÉ- , a¾ 이므로 yy TIP
2 2
|OR³|가 최대가 되는 점 Q의 좌표는 (5, 2)이다.
1 9
AP³•BP³는 a= 일 때 최솟값 - 를 갖는다. 따라서 p=5, q=2이므로 p+q=5+2=7이다.
2 4

Ⅱ. 평면벡터 61
353  ① 357  ②

aø+bø 1 한 점 O에 대하여
OQ³= , OP³= bø이므로
2 4 OB³+3OA³ 3 1
OE³= = OA³+ OB³
aø+bø 1 1 1 1+3 4 4
PQ³=OQ³-OP³= - bø= aø+ bø
2 4 2 4 OC³+3OD³ 1 3
OF³= = OC³+ OD³
1 1 1 1+3 4 4
따라서 m= , n= 이므로 mn= 이다.
2 4 8 3 1
∴ EF³=OF³-OE³‌= (OD³-OA³)+ (OC³-OB³)
4 4
3 1 3 1
= AD³+ BC³= aø+ bø
4 4 4 4
354  ② 3 1 1
따라서 m= , n= 이므로 m-n= 이다.
4 4 2
AC³+3AB³ 3 1
AP³= = AB³+ AC³
1+3 4 4
1
한편, AQ³= AC³이므로
2
358  ②

1 점 A와 점 O를 지나는 직선이 선분 BC와 만나는 점을 D라 하자.


BQ³=AQ³-AB³= AC³-AB³
2 점 O는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중심이므로 점 D는 각 A의
3 1 1
∴ AP³+BQ³‌={ AB³+ AC³`}+{ AC³-AB³`} 이등분선이 선분 BC와 만나는 점이다.
4 4 2
A
1 3
=- AB³+ AC³
4 4
12
1 3 1 6
따라서 m=- , n= 이므로 m+n= 이다. O
4 4 2
B C
D
9

즉, ABÓ`:`ACÓ=BDÓ`:`CDÓ=2`:`1이므로 점 D는 선분 BC를 2`:`1로


355  ①
내분하는 점이다.
OP³=pø로 놓으면 2AC³+AB³ 1 2
∴ AD³= = AB³+ AC³ yy ㉠
2+1 3 3
3bø+7aø 7 3
pø= = aø+ bø 또한 DCÓ=3이고, 선분 OC는 각 C의 이등분선이므로
3+7 10 10
OQ³=qø로 놓으면 ACÓ`:`CDÓ=AOÓ`:`ODÓ=2`:`1에서 점 O는 선분 AD를 2`:`1로
3pø 3 내분하는 점이다.
qø= =- pø
3-5 2
2 2 1 2
∴ BQ³‌=OQ³-OB³ ∴ AO³= AD³‌= { AB³+ AC³`} (∵ ㉠)
3 3 3 3
3 2 4
=- pø-bø = AB³+ AC³
2 9 9
3 7 3
=- { aø+ bø`}-bø 2 4 2 4
따라서 m= , n= 이므로 3(m+n)=3{ + }=2이다.
2 10 10 9 9 9 9
21 29
=- aø- bø
20 20

따라서 k=-
21
20
29 5
, l=- 이므로 k+l=- 이다.
20 2 359  ③

2 1
OA³=aø, OB³=bø로 놓으면 OC³= aø, OD³= bø이다.
3 4
A
356  ②
C P
1
AÕM³= aø이므로
2
AC³+AÕM³ 1 1 1 1
AÕN³= = { bø+ aø`}= aø+ bø O
D
B
2 2 2 4 2
1 1 3 1
∴ NB³=AB³-AÕN³=aø-{ aø+ bø`}= aø- bø 세 점 A, P, D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4 2 4 2
AP³=kAD³인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한다.
3 1 1
따라서 m= , n=- 이므로 m+n= 이다. 즉, OP³-OA³=k(OD³-OA³)이므로
4 2 4

62 기하
1 ㄱ. 점 E는 선분 AC를 3`:`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OP³=kOD³+(1-k)OA³= kbø+(1-k)aø yy ㉠
4
AEÓ`:`ECÓ=3`:`2 (참)
한편, 세 점 B, P, C가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AB³+AE³
ㄴ. ‌점 P는 선분 BE의 중점이므로 AP³= 에서
BP³=t BC³인 0이 아닌 실수 t가 존재한다. 2
즉, OP³-OB³=t(OC³-OB³)이므로 2AP³=AB³+AE³ (거짓)
2 ㄷ. ‌삼각형 APE의 넓이가 4이므로 삼각형 ABE의 넓이는 8이고,
OP³=t OC³+(1-t)OB³= taø+(1-t)bø yy ㉡
3 2 16
삼각형 CBE의 넓이는 8_ = 이다.
㉠, ㉡에서 aø, bø는 평행하지 않으므로 3 3
1 2 16 40
k=1-t, 1-k= t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8+ = 이다. (거짓)
4 3 3 3
2 9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k= , t= 이므로
5 10
3 1
OP³= aø+ bø
5 10 362  ⑤
3 1 7
따라서 m= , n= 이므로 m+n= 이다. ㄱ. PA³+PB³+PC³+PD³=CA³에서
5 10 10
PA³+PB³-CP³+PD³=CP³+PA³

360  ③
∴ PB³+PD³=2 CP³ (참)
ㄴ. 직사각형 ABCD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M이라 하면
ⅠⅠ

AP³=2 PB³+6 PC³ PB³+PD³=2PÕM³ 면

=2(AB³-AP³)+6(AC³-AP³) ㄱ에 의하여 2 PÕM ³=2 CP³, 즉 PÕM³+PC =
³ 0ø이므로 점 P는 터

=2AB³+6AC³-8AP³ 선분 MC의 중점이다.


3
에서 9AP³=2AB³+6AC³ ∴ AP³= AC³ (참)
4
8 2AB³+6AC³ 4
∴ AP³= _ ㄷ. (삼각형 ADC의 넓이)=(삼각형 ADP의 넓이)_ =4
9 8 3
A ∴ ‌(직사각형 ABCD의 넓이)
=(삼각형 ADC의 넓이)_2=8 (참)
A D
P
B C M
D

이때, 직선 AP와 변 BC의 교점을 D로 놓으면 P


점 D는 선분 BC를 3`:`1로 내분하는 점이고, B C

점 P는 선분 AD를 8`:`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1
(삼각형 PCA의 넓이)‌= _(삼각형 PBC의 넓이)_8 TIP
4
1 <보기> ㄴ이 참임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도 있다.
= _20_8=40
4
PA³+PB³+PC³+PD³=CA³에서
PA³+(PA³+AB³)+(PA³+AC³)+(PA³+AD³)=CA³

361  ① 4PA³+2AC³=CA³ (∵ AB³+AD³=AC³)


3
2AP³+5 BP³+3 CP³=0ø에서 5 BP³=-2AP³-3 CP³ 4PA³=3CA³, PA³= CA³
4
2PA³+3 PC³ 3
∴ BP³= ∴ AP³= AC³
5 4
직선 BP와 변 AC의 교점 E에 대하여 점 E는 선분 AC를 3`:`2로 하지만 ㄱㄴㄷ 합답형 형태의 문항은 출제의도상 <보기> 간
내분하는 점이고, 점 P는 선분 BE의 중점이다. 연계성을 고려한 것이므로 제시된 <보기>의 순서대로 풀되,
A 앞서 얻은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자.

363
E
 ②
P

B C AD³=aø, AB³=bø로 놓으면

Ⅱ. 평면벡터 63
AC³=aø+bø이므로
AD³+3AC³ 1 3 3
367  ②
AP³= = aø+ (aø+bø)=aø+ bø
1+3 4 4 4 A(3, 2), B(1, -1)이라 하면 ABÓ='¶13 yy ㉠
1 n=1-m이므로
AQ³= aø이므로
2
1 OP³=maø+nbø=maø+(1-m)bø=m(aø-bø)+bø
AR³=tAQ³+(1-t)AB³= taø+(1-t)bø (0<t<1)
2 =m(OA³-OB³)+OB³
1 3
AR³=kAP³에서 taø+(1-t)bø=kaø+ kbø =mBÕA³+OB³
2 4
이때, aø, bø가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OP³-OB³=mBÕA,³ BP³=mBA³ (0ÉmÉ1)
1 3 따라서 점 P는 선분 AB 위를 움직이는 점이므로 점 P가 나타내는
t=k, 1-t= k
2 4 도형의 길이는 ㉠에 의하여 '¶13이다.
8 4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t= , k= 이다.
11 11
368  ④

364  ② aø-bø=(1, 4)-(2, k)=(-1, 4-k)


2aø+3bø=(2, 8)+(6, 3k)=(8, 8+3k)
OP ³=tOA³+(1-t)OB³=t(OA³-OB³)+OB³ (aø-bø)•(2aø+3bø)‌=(-1, 4-k)•(8, 8+3k)
=tBÕA³+OB³ =-8+(4-k)(8+3k)
³ OB³=tBÕA,³ BP³=tBÕA³ (0ÉtÉ2)
OP - =-3kÛ`+4k+24
따라서 2BÕA의
³ 종점을 Q라 하면 점 P는 선분 BQ 위를 움직이는 -3kÛ`+4k+24=10에서 3kÛ`-4k-14=0
점이고 ABÓ='5이므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2'5이다.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4
관계에 의하여 이다.
3

365  ④

조건 ㈏에서 0ÉmÉ2, 0ÉnÉ2, 1Ém+nÉ2일 때, 2OA³의 369   120

종점을 A', 2OB³의 종점을 B'이라 하자. 점 I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조건 ㈎에서 m+n=1이면 점 P는 선분 AB 위를 움직이고, ABÓ=15이고 BHÓ=BDÓ=8이므로 yy TIP
m+n=2이면 점 P는 선분 A'B' 위를 움직이는 점이다.
BA³•BÕI=
ø |BA³||BÕIø|cos`(∠ABI)=|BA³||BH³|=15_8=120
y
12 B' TIP
<삼각형의 내접원의 성질>
B 삼각형의 내심은 삼각형의 세 내각의 A
6
이등분선의 교점이므로 그림에서
F
2 A' ∠IBF=∠IBD이다. I E
1 A
x
이때, 두 직각삼각형 BIF, BID는
O 3 6
빗변이 일치하고 한 내각의 크기가 B C
D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사각형 BAA'B'의 경계 및 그 같으므로 합동이다.
내부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따라서 BFÓ=BDÓ이다.
1 1 같은 방법으로 AFÓ=AEÓ, CDÓ=CEÓ이다.
_12_6- _6_3=27
2 2

366  ④ 370   12

taø-bø=(t-3, -t-7)이므로 그림과 같이 선분 AD의 중점을 O, 선분 AE의 중점을 M이라 하자.

|taø-bø|="Ã(t-3)Û`+(-t-7)Û` A F

="Ã2tÛ`+8t+58
M
="Ã2(t+2)Û`+50 B O E

따라서 |taø-bø|는 t=-2일 때 최솟값 5'2를 가지므로 구하는


실수 t의 값은 -2이다. C D

64 기하
정육각형 ABCDEF에서 두 삼각형 OAF, ODE는 한 변의 길이가 |3aø-2bø|Û`‌=9|aø|Û`-12aø•bø+4|bø|Û`
2인 정삼각형이므로 |AD³|=4이다. =9_2Û`-12'2x+4xÛ`
이때,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20ù이므로 ∠FAE=30ù 에서 4xÛ`-12'2x+36=36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FM에서 AMÓ='3이므로 |AE³|=2'3이다. 4x(x-3'2)=0
또한 ∠EAD=30ù이므로 따라서 bø는 영벡터가 아니므로 구하는 값은 3'2이다.
'3
AD³•AE³=|AD³||AE³|cos`30ù=4_2'3_ =12
2
374  ①
TIP
|aø+bø|Û`=|aø|Û`+2aø•bø+|bø|Û`=3Û`+2aø•bø+5Û`=2aø•bø+34
삼각형 AED는 ∠AED=90ù인 직각삼각형이므로
에서 2aø•bø+34=10
AD³•AE³=|AE³|Û`=AEÓ Û`=(2'3)Û`=12와 같이 계산할 수도
∴ aø•bø=-12
있다.
|aø-bø|Û`=|aø|Û`-2aø•bø+|bø|Û`=3Û`-2_(-12)+5Û`=58
∴ |aø-bø|='¶58
371  ①

5
조건 ㈎에서 ABÓ= AHÓ yy ㉠
375  ⑤

ⅠⅠ
2
|aø+bø|Û`=|aø|Û`+2aø•bø+|bø|Û`=16
조건 ㈏에서
|aø-bø|Û`=|aø|Û`-2aø•bø+|bø|Û`=4 평
AB³•AC³=|AB³||AC³|cos`(∠CAH)=ABÓ_AHÓ=40 yy ㉡ 면
에서 두 식을 변끼리 빼면 벡
1
조건 ㈐에서 _ABÓ_CHÓ=30 yy ㉢ 4aø•bø=12, aø•bø=3 터
2
5 또한 두 식을 변끼리 더하면
㉠, ㉡에 의하여 _AHÓ Û`=40에서 AHÓ=4이므로
2 2(|aø|Û`+|bø|Û`)=20, |aø|Û`+|bø|Û`=10
1 5
㉠, ㉢에 의하여 _ AHÓ_CHÓ=30에서 5CHÓ=30, CHÓ=6 ∴ ‌|3aø-bø|Û`+|aø-3bø|Û`
2 2
=9|aø|Û`-6aø•bø+|bø|Û`+|aø|Û`-6aø•bø+9|bø|Û`
∴ CA³•CH³=|CA³||CH³|cos`(∠ACH)=|CH³|Û`=CHÓ Û`=36
=10(|aø|Û`+|bø|Û`)-12aø•bø
=10_10-12_3=64
372  ③

OP³=(a, b), OQ³=(c, d)로 놓자. 376  ③


이때, 두 점 P', Q'은 두 점 P, Q를 각각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AB³=aø, AC³=bø로 놓으면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이므로 1
BF³=AF³-AB³=-aø+ bø
OÕP'³=(a+3, b+1), OÕQ'³=(c+3, d+1) 4
2 3
ㄱ. |OP³-OÕP'³|‌=|(a, b)-(a+3, b+1)| DE³=AE³-AD³=- aø+ bø
3 4
=|(-3, -1)|='¶10 (참)
∴ |BF³+DE³|Û`‌=(BF³+DE³)•(BF³+DE³)
ㄴ. |OP³-OQ³|=|(a, b)-(c, d)|=|(a-c, b-d)|
5 5
={- aø+bø`}•{- aø+bø`}
|OÕP'³-OÕQ'³|‌=|(a+3, b+1)-(c+3, d+1)| 3 3
=|(a-c, b-d)| 25 10
= |aø|Û`- aø•bø+|bø|Û`
9 3
∴ |OP³-OQ³|=|OÕP'³-OÕQ'³| (참)
25 10
= _3Û`- _3_3_cos`60ù+3Û`
ㄷ. [반례] OP³=(1, 0), OQ³=(0, 1)일 때 OP³•OQ³=0 9 3

OÕP'³=(4, 1), OÕQ'³=(3, 2)이므로 =25-15+9=19


다른 풀이  1 
OÕP'•
³ OÕQ'³=12+2=14
선분 BD의 중점을 M, 선분 EF의 중점을 N이라 하면
∴ OP³•OQ³+OÕP'•
³ OÕQ'³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BF³+DE³|Û`=|2MÕN³|Û`=4MNÓ Û` yy TIP
5 3 A
이때, AMÓ= , ANÓ= 이고
2 2
373  ① ∠MAN=60ù이므로 5 H
2
60æ 3
2
그림과 같이 점 N에서 선분 AM에 내린
|bø|=x로 놓으면 N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2
aø•bø=|aø||bø|cos`45ù=2_x_ ='2x
2 M

Ⅱ. 평면벡터 65
3 3'3 1
AHÓ= , HNÓ= ∴ cos`h=
4 4 2
7
따라서 HMÓ= 이므로 직각삼각형 MHN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4
379  ⑤
의하여
3'3 Û 19 |aø+bø|=|2aø-3bø|에서 |aø+bø|Û`=|2aø-3bø|Û`이므로
7
MNÓ Û`={ }Û`+{ }`=
4 4 4 |aø|Û`+2aø•bø+|bø|Û`=4|aø|Û`-12aø•bø+9|bø|Û`
19
∴ |BF³+DE³|Û`=4MNÓ Û`=4_ =19 3|aø|Û`-14aø•bø+8|bø|Û`=0
4
12-14_2_3`cos`h+72=0
다른 풀이  2
∴ cos`h=1
그림과 같이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y
3Â3 A
위에 놓고 A{0,
3'3
2
3
}, B{- , 0},
2
2
F 380   75

3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C{ , 0}이라 하면
2 D
E 1
점 D는 변 AB를 2`:`1로 내분하는 aø•bø=|aø||bø|cos`h=20`cos`h=10에서 cos`h=
B C 2
'3
3 O 3 x
- ∴ h=60ù
점이므로 D{-1, }, 2 2
2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 S는
9 3'3
점 E는 변 AC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E{ , }, 1
8 8 S= _4_5_sin`60ù=5'3
2
3 9'3
점 F는 변 AC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F{ , }이다. ∴ SÛ`=75
8 8
3 9'3 3 15 9'3
∴ BF³={ , }-{- , 0}={ , }, 381  ②
8 8 2 8 8
9 3'3 '3 17 '3
DE³={ , }-{-1, }={ , - }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8 8 2 8 8
1
따라서 BF³+DE³=(4, '3)이므로 aø•bø=|aø||bø|cos`h=6`cos`h=2에서 cos`h=
3
|BF³+DE³|Û`=4Û`+('3)Û`=19

TIP
3 2Â2
여기서 다른 풀이  1 은 BÕF²=BÕM³+MÕN+
³ NF³,

DE³=DÕM³+MÕN+
³ NE³에서 BÕM³+DÕM³=0ø,
D
NF³+NE³=0ø이므로 BF³+DE³=2MÕN이
³ 성립함을 이용하여 1
해결한 것이다. 이 문제의 특징은 두 벡터의 합을 고려할 때 2'2
∴ sin`h=
시점과 종점이 모두 다르다는 것이다. 3
이처럼 두 벡터의 합을 계산할 때 ‘중점’을 고려한다면 빠르게 따라서 두 선분 OA, OB를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2
OAÓ_OBÓ_sin`h=2_3_ =4'2
3

377  ② 382  ②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자. 두 벡터 pø, qø가 서로 평행하므로


|2aø-3bø|Û`=4|aø|Û`-12aø•bø+9|bø|Û` pø=tqø인 0이 아닌 실수 t가 존재한다.
=4_3Û`-12_3_4`cos`h+9_4Û` 즉, (x, y)=t(y, 2)에서 x=ty, y=2t이므로
=180-144`cos`h x y
t= = 에서 yÛ`=2x yy ㉠
1 y 2
에서 180-144`cos`h=(6'3)Û`=108, cos`h=
2 한편, 두 벡터 pø, rø가 서로 수직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는 60ù이다. pø•rø=0이다.
즉, (x, y)•(3, x)=3x+xy=x(3+y)=0에서
378  ②
y=-3 (∵ x+0)
aø+bø=-cø이므로 |aø+bø|=|-cø|의 양변을 제곱하면 9
이를 ㉠에 대입하면 x=
2
|aø|Û`+2aø•bø+|bø|Û`=|cø|Û` 9 3
∴ x+y= +(-3)=
3Û`+2_3_5`cos`h+5Û`=7Û`, 34+30`cos`h=49 2 2

66 기하
383  ② (aø-bø)•(aø+3bø)=0에서
|aø|Û`+2aø•bø-3|bø|Û`‌=|aø|Û`+2|aø||bø|cos`h-3|bø|Û`
두 벡터 aø, 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2 4
=|aø|Û`+2_ |aø|Û``cos`h-3_ |aø|Û`
aø•bø=(-4, 1)•(x, y)=0 3 9
-4x+y=0 yy ㉠ 4 1
= |aø|Û``cos`h- |aø|Û`
3 3
|bø|="ÃxÛ`+yÛ`='¶17 이므로 =0
xÛ`+yÛ`=17 yy ㉡ 4 1
이때, |aø|+0이므로 `cos`h- =0
㉠, ㉡을 연립하여 풀면 x=1, y=4 (∵ x, y는 양수) 3 3
∴ xy=1_4=4 1
∴ cos`h=
4

384  ⑤

두 벡터 aø와 vø+bø가 서로 평행하므로


kaø=vø+bø인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한다.
388  ④

즉, vø=kaø-bø=(3k-4, k+2)이므로 PQ³=OQ³-OP³=(4-k)aø-2bø

|vø|Û`‌=(3k-4)Û`+(k+2)Û` PR³=OR³-OP³=(3-k)aø+4bø
=10kÛ`-20k+20=10(k-1)Û`+10 두 벡터가 서로 평행하려면 ⅠⅠ
따라서 k=1일 때 |vø|Û`은 최솟값 10을 갖는다. PR³=t PQ³ 를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t가 존재해야 한다. 평

(4-k)aø-2bø=t{(3-k)aø+4bø}에서 aø, bø가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벡

385  ③ 4-k=t(3-k), -2=4t


따라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pø=(x, y)로 놓으면 1 11
t=- , k= 이다.
2 3
pø+cø=(x, y)+(-3, 1)=(x-3, y+1)
aø-bø=(1, 2)-(-2, 3)=(3, -1)
두 벡터가 서로 평행하므로
k(3, -1)=(x-3, y+1)을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k가
존재한다.
389  ④

즉, x-3=3k, y+1=-k에서 1
AÕM=
³ (AB³+AC³)이므로
2
x=3k+3, y=-k-1 yy ㉠
AB³•AÕM³-AC³•AÕM³‌=(AB³-AC³)•AÕM³
한편, pø-cø=(x, y)-(-3, 1)=(x+3, y-1)이므로 1
= (AB³-AC³)•(AB³+AC³)
|pø-cø|="Ã(x+3)Û`+(y-1)Û`=2'¶10 2
즉, (x+3)Û`+(y-1)Û`=40 yy ㉡ 1
= (|AB³|Û`-|AC³|Û`)
2
㉠을 ㉡에 대입하면 (3k+6)Û`+(-k-2)Û`=40
1
10kÛ`+40k+40=40, 10k(k+4)=0 = (10Û`-6Û`)=32
2
∴ k=-4 (∵ k+0)
따라서 x=-9, y=3이므로 x+y=-6이다.

386  ① 390  ②

AB³=aø, AC³=bø로 놓으면


(aø-bø)•(2aø+3bø)=2|aø|Û`+aø•bø-3|bø|Û`=0
점 P는 선분 BC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에서 -16+aø•bø=0, aø•bø=16
AC³+2AB³ 1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AP³= = (2aø+bø)
1+2 3
aø•bø=|aø||bø|cos`h=4_4_cos`h=16, cos`h=1 BC³=AC³-AB³=bø-aø
따라서 구하는 각의 크기는 0ù이다. 이때, 다음 그림과 같이 ∠BAC=h라 하고,
점 C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387  ④ 2
cos`h= 이므로
5
2 2
|bø|= |aø|이고, 두 벡터 aø-bø, aø+3bø가 서로 수직이므로 aø•bø=|aø||bø|cos`h=4_5_ =8
3 5

Ⅱ. 평면벡터 67
C 2 2 1 1
PD³= PA³= aø, PE³= PA³= aø이므로
3 3 3 3
2
BD³=PD³-PB³= aø-bø
5 3
1
BE³=PE³-PB³= aø-bø
3
2 1
A
D
B ∴ BD³•BE³‌={ aø-bø }•{ aø-bøø }
2 H 3 3
1 2
∴ AP³•BC³‌= (2aø+bø)•(-aø+bø) = |aø|Û`-aø•bø+|bø|Û`
3 9
1 2
= (-2|aø|Û`+aø•bø+|bø|Û`) = _24Û`+10Û`=228
3 9
1 1
= (-2_4Û`+8+5Û`)=
3 3

393  ③

xÛ` yÛ`
391  ④ 타원 + =1의 초점은 F(2'5, 0), F'(-2'5, 0)이고
36 16
AB³=aø, AC³=bø로 놓으면 점 P의 좌표를 (a, b)로 놓으면
점 D는 선분 BC를 1`:`4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FÕP=
² (a-2'5, b), FÕ'P³=(a+2'5, b)
AC³+4AB³ 1 이므로 FÕP•
² FÕ'P³=aÛ`-20+bÛ`
AD³= = (4aø+bø)
1+4 5 aÛ` bÛ`
한편, 점 P는 타원 위의 점이므로 + =1에서
점 G는 선분 BC를 4`:`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36 16
4AC³+AB³ 1 4
AG³= = (aø+4bø) bÛ`=16- aÛ`
4+1 5 9
이때, |aø|=|bø|=5이고, ∠BAC=60ù이므로 4 5
즉, FÕP•
² FÕ'P³=aÛ`-20+16- aÛ`= aÛ`-4
9 9
1 25
aø•bø=|aø||bø|cos`60ù=5_5_ = 따라서 -6ÉaÉ6에서 yy TIP
2 2
1 1 a=Ñ6일 때 최댓값은 16이고, a=0일 때 최솟값은 -4이므로
∴ AD³•AG³‌= (4aø+bø)• (aø+4bø)
5 5 구하는 값은 16+(-4)=12이다.
1 다른 풀이
= (4|aø|Û`+17aø•bø+4|bø|Û`)
25
원점 O에 대하여
1 25 33
= {4_5Û`+17_ +4_5Û`}=
25 2 2 FÕP•
² FÕ'P³=(FO³+OP³)•(FÕ'O³+OP³)
다른 풀이 
=FO³•FÕ'O³+(FO³+FÕ'O³)•OP³+|OP³|Û`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A FO³+FÕ'O³=0ø이고,
H라 하면 점 H는 선분 DG의 중점이다.
FO³•FÕ'O³=2'5_2'5_(-1)=-20이므로
AD³•AG³=(AH³+HÕD³)•(AH³+HÕG³)
FÕP•
² FÕ'P³=|OP³|Û`-20  yy ㉠
=|AH³|Û`‌+(HÕD³+HG³)•AH³ P(6, 0) 또는 P(-6, 0)일 때 |OP³|Û`이 최댓값 36을 갖고,
+HÕD³•HÕG³  yy ㉠ B C P(0, 4) 또는 P(0, -4)일 때 |OP³|Û`이 최솟값 16을 가지므로
D EHF G
5'3 ㉠의 최댓값은 16, 최솟값은 -4이다.
이때, AHÓ= , HÕÕD³+HÕG³=0ø이고
2
따라서 구하는 값은 16+(-4)=12이다.
3 9
HÕD• ³ -|HÕD³|Û`=-{ }Û`=-
³ HÕÕG=
2 4 TIP
따라서 ㉠에서
xÛ` yÛ`
5'3 Û 9 75-9 33 타원 + =1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AÕD³•AÕÕG³‌={ }`+0+{- } = = 36 16
2 4 4 2 y
4

392  ①
-6 O 6 x

PA³=aø, PB³=bø로 놓으면


-4
∠APB=90ù이므로 aø•bø=0이고
점 P(a, b)는 이 타원 위의 점이므로 -6ÉaÉ6이다.
|aø|=24, |bø|="Ã26Û`-24Û`=10이다.

68 기하
∴ |PA³•PB³|=|PA³||PH³|
394  ④
이때,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 ABC에서 AHÓ='3이므로
주어진 원의 중심을 O라 하면
|PH³|=x (0ÉxÉ'3)라 하면 |PA³|='3-x
AB³•CX³=AB³•(OX³-OC³) '3 3
∴ |PA³•PB³|=x('3-x)=-{x- }Û`+
=AB³•OX³-AB³•OC³ 2 4
'3 3
=AB³•OX³+BÕA•
³ BO³ 따라서 |PA³•PB³|는 x= 일 때 최댓값 을 가지므로
2 4
두 벡터 AB³, OX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p=4, q=3
AB³•OX³+BÕA•
³ BO³ ∴ p+q=4+3=7
다른 풀이
=|AB³||OX³|cos`h+|BA³||BO³|cos`60ù
1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H(0, 0), A(0, '3), C(1, 0)이 되도록
=6_3_cos`h+6_3_ =18`cos`h+9
2 정삼각형 ABC를 놓고 점 P의 좌표를 (0, k)라 하자.
두 벡터 AB³, OX³의 방향이 같을 때 cos`0ù=1이므로 이때, 0ÉkÉ'3이고 y

AB³•CX³는 최댓값 27을 갖고, `Â3 A


PA³‌=HÕA³-HP³
두 벡터 AB³, OX³의 방향이 반대일 때 cos`180ù=-1이므로 =(0, '3)-(0, k)
P
AB³•CX³는 최솟값 -9를 갖는다. =(0, '3-k) k
따라서 구하는 값은 27+(-9)=18이다. PB³‌=HB³-HP³ B C ⅠⅠ
-1 H 1 x 평
=(-1, 0)-(0, k)

395  ②
이므로
=(-1, -k) 벡

그림과 같이 점 Oª를 점 OÁ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을 O£이라


|PA³•PB³|‌=|(0, '3-k)•(-1, -k)|
하고, 점 O£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을 그려 '3 Û 3
원 OÁ과의 교점을 A', B'이라 하자. =|kÛ`-'3k|=|{k- }`- |
2 4
A' A '3 3
따라서 |PA³•PB³|는 k= 일 때 최댓값 을 가지므로
2 4
60æ P
O¡ p=4, q=3
O£ O™
∴ p+q=4+3=7
Q' Q
B' B 참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이때, 점 Q를 벡터 OÕÁO£³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을
|PA³||PH³|의 최댓값을 구할 수도 있다.
Q'이라 하면 OÕªQ³=OÕÁQ'이
³ 다.
|PA³|+|PH³|='3이므로
두 벡터 OÕÁP³, OÕÁQ'이
³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PA³|+|PH³| '3
OÕÁP³•OÕªQ³=OÕÁP³•OÕÁQ'³=|OÕÁP³||OÕÁQ'³|cos`h=cos`h ¿¹|PA³||PH³|É =
2 2
이고 h의 최솟값은 60ù, 최댓값은 180ù이므로
3
1 ∴ |PA³||PH³|É (단, 등호는 |PA³|=|PH³|일 때 성립)
M=cos`60ù= , m=cos`180ù=-1 4
2
1 1
∴ M+m= +(-1)=-
2 2

397  ④
396  7
직사각형 ABCD에서 |DC³|=2, |AD³|=2'3이고,
그림과 같이 ∠HPB=h (30ùÉhÉ90ù)라 하면 AD³•DC³=0이다.
A 선분 CD의 중점을 O라 하면
AC³•AP³=AC³•(AO³+OP³)=AC³•AO³+AC³•OP³
이때,
P
1
D AC³•AO³‌=(AD³+DC³)•{AD³+ DC³ }
2
B C
H 3 1
=|AD³|Û`+ AD³•DC³+ |DC³|Û`
2 2
PA³•PB³=|PA³||PB³|cos`(180ù-h)=-|PA³||PB³|cos`h
1
=-|PA³||PH³| =(2'3)Û`+ _2Û`=14
2

Ⅱ. 평면벡터 69
또한 ACÓ=4, OPÓ=1이므로 0<t<1일 때 점 P는 선분 AB를 t`:`(1-t)로 내분하는 점이고,
두 벡터 AC³, OP³의 방향이 서로 같을 때 AC³•OP³는 최댓값 4를 t=0일 때 OP³=OA³, t=1일 때 OP³=OB³이므로
갖는다.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선분 AB이다. (참)
ㄴ. s+2t=1이고
따라서 AC³•AP³의 최댓값은 14+4=18이다.
1
OP³=sOA³+t OB³=sOA³+2t{ OB³ }이므로
2
398  ③ 선분 O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P가 그리는 도형은
선분 AM이다.
2PA³+3 PB³+PC³=2(BA³-BP³)-3 BP³+(BC³-BP³)
[반례] 삼각형 OAB가 정삼각형이면
=2BA³+BC³-6 BP³ '3
AMÓ= ABÓ이므로 AMÓ<ABÓ이다. (거짓)
이므로 2BA³+BC³-6 BP³=k BC³에서 2
ㄷ. s+2t=k (s¾0, t¾0)로 놓으면
6 BP³=2BA³+(1-k)BC³
0<kÉ1일 때
1 1-k
BP³= BA³+ BC³ 1 1 2t 1
OP³= (sOA³+t OB³)= OA³+ { OB³ }이고,
3 6 s
k k k k 2
그림에서 색칠된 부분 (삼각형 ABC의 변 제외)에 점 P가 있어야
k=0일 때 점 P와 점 O는 서로 일치하므로
하므로
점 P가 그리는 영역은 ㄴ에서 삼각형 OAM의 둘레 및 내부의
A
영역이다.
B

M
B C
P
1-k 2 A
0< < , -3<k<1 O
6 3
따라서 정수 k는 -2, -1, 0이므로 모든 정수 k의 값의 합은 -3이다. 따라서 점 P가 그리는 영역은 삼각형 OAB를 포함하지 않는다.
 (거짓)

399   27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원 Cª의 중심을 Oª라 하고, 점 Oª에서 두 선분 AB,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Á, Hª라 하자.
A D
401  ⑤
C™
H¡ O™ 주어진 그림을 다음과 같이 좌표평면에서 생각하자.
Q y
2 C¡
3
P 2
B C
3 H™ 1

PC³•PQ³=PC³•(PÕOª³+OÕªQ³) O x
1 2 3 4
=(PB³+BC³)•PÕOª³+PC³•OÕªQ³
이때,
=PB³•PÕOª³+BC³•PÕOª³+PC³•OÕªQ³
S={uø|uø=(uÁ, uª), |uÁ|É4, |uª|É3,
É-|PB³||PÕHÁ³|+|BC³||BÕHª³|+|PC³||OÕªQ³|
 uÁ과 uª는 정수이고 (uÁ, uª)+(0, 0)}
=-1_2+4_3+"Ã1Û`+4Û`_1 이므로
=10+'¶17 xø<S, yø<S에 대하여
이므로 두 벡터 PC³, OÕªQ³의 방향이 같을 때 PC³•PQ³는 최댓값 ㄱ. ‌[반례] xø=(1, 1), yø=(1, -1)이면 xø•yø=0이지만
10+'¶17을 갖는다.
|xø|=|yø|='2이다. (거짓)
따라서 a=10, b=17이므로 a+b=27이다.
ㄴ. xø=(aÁ, aª), yø=(bÁ, bª)로 놓으면
|xø|='5에서 (aÁ)Û`+(aª)Û`=5이고,
400  ①
|yø|='2에서 (bÁ)Û`+(bª)Û`=2
ㄱ. s+t=1 (s¾0, t¾0)에서 이때, 네 수 aÁ, aª, bÁ, bª는 모두 정수이므로

70 기하
(aÁ)Û`=4, (aª)Û`=1 또는 (aÁ)Û`=1, (aª)Û`=4이고, ㄴ. 그림에서 CDÓ=1, ADÓ='3이므로 삼각형 E

(bÁ)Û`=(bª)Û`=1이므로 xø•yø=aÁbÁ+aªbª+0이다. (참) ACD에서 ∠CAD=30ù이다.


또한 삼각형 EAD는 정삼각형이므로 P
ㄷ. xø=(aÁ, aª), yø=(bÁ, bª)로 놓으면
∠EAD=60ù이다.
네 수 aÁ, aª, bÁ, bª는 모두 정수이므로 aÁbÁ+aªbª의 값은 항상 A D
∴ ∠EAC=90ù
정수이다. 1
즉, xø•yø는 정수이다. (참) 따라서 CA³•CP³=|CA³|Û`으로 일정하다.
B C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참) Â3
ㄷ. ‌DÕA³=AÕA',³ DÕA³=EÕE'을
³ E' E

402  ⑤ 만족시키는 두 점 A', E'에


대하여 사각형 EE'A'A는
P'
P

ㄱ. ‌그림과 같이 AB³+AE³=AF³를 A 네 변의 길이가 같은 A' D


E A
만족시키는 점 F를 생각하면 사각형 M 평행사변형, 즉
ABFE는 평행사변형이다. 이때, B 마름모이므로 DÕA³=PÕP'을
³ B C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은 두 F D 만족시키는 점 P'은 선분 A'E' 위에 존재한다.
대각선을 각각 이등분하므로
이때, DÕA³+CP³=CP³+PÕP'³=CÕP'이
³ 므로 |DÕA³+CP³|의
AB³+AE³와 AM³은 서로 평행하다.
ⅠⅠ
C 최솟값은 CP'Ó의 최솟값을 의미한다.
 (참)
‌ ㄴ에서 두 선분 AC와 E' E
ㄴ. ‌그림과 같이 직선 BC와 직선 ED의 A 평
E AE는 서로 수직이고 두 면
교점을 G라 하고 ∠BAE=h라 하면 D H 벡
선분 AE와 A'E'은 서로
사각형 ABGE에서 B

평행하므로 직선 AC와 직선 60æ
A' D
∠ABC=∠AED=90ù이므로 D Â3 A
A'E'의 교점을 H라 하면 점
∠BGE=180ù-h이다. 2
P'이 점 H의 위치에 있을 때 B C
이때, ABÓ=BCÓ, AEÓ=EDÓ이므로 C
CP'Ó은 최솟값을 갖는다.
AB³•AE³
180æD 이때, ∠HA'A=60ù이고 AA'Ó='3이므로
=|AB³||AE³|cos`h 3
G HAÓ='3_sin`60ù=
=-|BC³||ED³|cos`(180ù-h) 2
따라서 |DÕA³+CP³|, 즉 CP'Ó의 최솟값은
=-BC³•ED³ (참)
3 7
ㄷ. BCÓ=ABÓ, EDÓ=AEÓ이고 ㄴ에 A CHÓ=CAÓ+HAÓ=2+ = (참)
2 2
D E
의하여 BC³•ED³=-AB³•AE³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이므로 B
TIP
D
|BC³+ED³|Û`
ㄷ의 DÕA³+CP³에서 DÕA는
³ 크기와 방향이 정해진 벡터이다.
=|BC³|Û`+|ED³|Û`+2 BC³•ED³
C 따라서 DÕA³+CP³=CÕP'이
³ 라 하면 점 P'은 점 P를 DÕA의
³
=|AB³|Û`+|AE³|Û`-2AB³•AE³
방향으로 |DÕA³|만큼 평행이동시킨 점이다. 이때, 점 P는
=|AB³-AE³|Û` 선분 AE 위의 점이므로 점 P'이 나타내는 도형은 선분
=|EB³|Û` G 180æD A'E'이다.
=|BE³|Û`
∴ |BC³+ED³|=|BE³|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TIP
ㄴ의 풀이 과정에서 벡터의 평행이동을 고려하면 두 벡터
404  7

BC ,³ ED³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180ù-h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중심이 O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위의 한 점 A에 대하여
|OÕA³|=1이고
중심이 O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 위의 한 점 B에 대하여
403  ⑤
|OB³|=3이다.
ㄱ. ‌|CB³-CP³|=|PB³|이므로 점 P가 점 A의 위치에 있을 때 벡터 OP³가 벡터 OÕA,³ OB³와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라 하면
|CB³-CP³|의 최솟값은 1이다. (참) 조건 ㈎에 의하여

Ⅱ. 평면벡터 71
|OB³||OP³|cos`b=3|OA³||OP³|cos`a이므로 -4|OP³|cos`a+|OP³|Û`=5 yy ㉢
|OP³|+0일 경우 b=a이다. yy ㉠ ∴ PA³•PB³=(OA³-OP³)•(OB³-OP³)
한편, |PA³|Û`+|PB³|Û`=|PA³-PB³|Û`+2PA³•PB³이므로 =OA³•OB³-4|OP³|cos`a+|OP³|Û` (∵ ㉡)
조건 ㈏에 의하여 =OA³•OB³+5 (∵ ㉢)
|BÕA³|Û`
20=|BA³|Û`+2PA³•PB³, 즉 PA³•PB³=10- PA³•PB³의 값이 최소이려면 OA³•OB³의 값이 최소이어야 한다.
2
PA³•PB³의 값이 최소이려면 |BA³|의 값이 최대이어야 한다. 따라서 두 벡터 OA³, OB³의 방향이 반대일 때 OA³•OB³가 최솟값

따라서 두 벡터 OA³, OB³의 방향이 반대일 때 |BA³|가 최댓값 |OA³||OB³|cos`180ù=-3을 가지므로

|OA³|+|OB³|=1+3=4를 가지므로 PÕA•


³ PB³는 최솟값 m=(-3)+5=2를 갖고, 이때 ㉡에 의하여
4Û` a=b=90ù이다.
PA³•PB³는 최솟값 m=10- =2를 갖고, 이때 ㉠에 의하여
2 직각삼각형 AOP에서 |OA³|Û`+|OP³|Û`=|PA³|Û`이고
a=b=90ù이다.
직각삼각형 BOP에서 |OB³|Û`+|OP³|Û`=|PB³|Û`이므로
직각삼각형 AOP에서 |OA³|Û`+|OP³|Û`=|PA³|Û`이고
P
직각삼각형 BOP에서 |OB³|Û`+|OP³|Û`=|PB³|Û`이므로
k
P
B A
3 O1
k

B A
3 O1

조건 ㈏에 의하여
(1+kÛ`)+(9+kÛ`)=20
조건 ㈏에 의하여 ∴ kÛ`=5
(1+kÛ`)+(9+kÛ`)=20 ∴ m+kÛ`=2+5=7
∴ kÛ`=5
참고
∴ m+kÛ`=2+5=7
풀이의 ㉠에서 만약 |OP³|=0, 즉 점 P가 점 O와 일치하면
다른 풀이 |PA³|Û`+|PB³|Û`=1Û`+3Û`=10으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중심이 O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위의 한 점 A에 대하여 않는다. 따라서 |OP³|+0임을 알 수 있다.

|OA³|=1이고
중심이 O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 위의 한 점 B에 대하여
|OB³|=3이다.
이때, 중심이 O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 위의 한 점 A'이
3OA³=OÕA'을
³ 만족시킨다고 하면 조건 ㈎에 의하여
OB³•OP³=OÕA'•
³ OP³, 즉 AÕ'B³•OP³=0이므로
|OP³|+0일 경우 |AÕ'B³|=0이거나
이등변삼각형 A'BO에서 직선 OP는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한다.

A'
P
B
A
3 1
O

따라서 벡터 OP³가 벡터 OA³, OB³와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라


하면 a=b이다. yy ㉡
조건 ㈏에 의하여
|OA³-OP³|Û`+|OB³-OP³|Û`=20
(1Û`-2|OP³|cos`a+|OP³|Û`)+(3Û`-6|OP³|cos`a+|OP³|Û`)=20
 (∵ ㉡)
10-8|OP³|cos`a+2|OP³|Û`=20

72 기하
따라서 점 (1, -2)를 지나고 법선벡터가 uø=(3, -2)인
벡터를 이용한 직선과 원의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은 3(x-1)-2(y+2)=0, 즉 3x-2y-7=0이다.

405  ⑤ 412   풀이 참조

y-3 x-3 y-3 구하는 직선의 방향벡터는 원점 O에 대하여


직선 3-x= ,즉 = 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3 -1 3 AB³=OB³-OA³=(2, 7)-(1, 4)=(1, 3)
uø=(-1, 3)이다.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점 A(1, 4)를 지나고
방향벡터가 (1, 3)이므로
y-4
406  ① x-1=
3
점 (3, 2)를 지나고 벡터 uø=(2, -1)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은 채점 요소 배점
x-3 y-2 x-3 두 점을 이용하여 방향벡터 구하기 50`%
= ,즉 =2-y이다.
2 -1 2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50`%

407  ③

점 (4, 1)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5, 3)인 직선의 방정식은


413  ⑤
ⅠⅠ
x-4 y-1 x+1 y-1 x+2 y+1 평
= 이므로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는 두 직선 = , = 의 방향벡터를 각각
5 3 4 3 -1 3 면

0-4 y-1 7 aø, bø라 하면 aø=(4, 3), bø=(-1, 3) 터
= 에서 y=- 이다.
5 3 5 |aø•bø| |4_(-1)+3_3| '¶10
∴ cos`h= = =
|aø||bø| "Ã4Û`+3Û``"Ã(-1)Û`+3Û` 10

408   52

점 (6, 3)을 지나고 벡터 uø=(2, 3)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은


414  ④

x-6 y+2 3-y


x-6 y-3 두 직선 = , x-5= 의 방향벡터를 각각
2
=
3
이므로 4 3 2
이 직선이 x축, y축과 각각 만나는 점 A, B는 aø, bø라 하면 aø=(4, 3), bø=(1, -2)
A(4, 0), B(0, -6)이다. |aø•bø| |4_1+3_(-2)| 2
∴ cos`h= = =
|aø||bø| "Ã4Û`+3Û``"Ã1Û`+(-2)Û` 5'5
∴ ABÓ Û`=4Û`+6Û`=52 이를 h를 이용한 직각삼각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09  9

점 (4, 1)을 지나고 벡터 nø=(1, 2)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1_(x-4)+2_(y-1)=0, 즉 x+2y=6이다.
따라서 이 직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5Â5 11

(6, 0), (0, 3)이다.


∴ a+b=6+3=9

D
410  ② 2

점 (1, -1)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nø=(3, 5)인 직선의 방정식은 11


∴ tan`h=
2
3(x-1)+5(y+1)=0, 즉 3x+5y+2=0
따라서 원점 (0, 0)에서 직선 3x+5y+2=0까지의 거리는
|3_0+5_0+2|
=
2
=
'¶34 415  ③
"Ã3Û`+5Û` '¶34 17
두 직선 x-2y-2=0, x+3y-4=0의 법선벡터를 각각
aø, bø라 하면
411   3x-2y-7=0 aø=(1, -2), bø=(1, 3)
|aø•bø| |1_1+(-2)_3| 1
x+2 y-1 ∴ cos`h= = =
직선
3
=
-2
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uø=(3, -2) |aø||bø| "Ã1Û`+(-2)Û``"Ã1Û`+3Û` '2

Ⅱ. 평면벡터 73
따라서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45ù이다.
421  ⑤

세 직선 l, m, n의 방향벡터를 각각 u®Á,² u®ª,² u®£이


² 라 하면
416  ③ u®Á²=(a, 3), u®ª²=(4, -3), u®£²=(6, b)
두 직선 l과 m은 서로 평행하므로 u®Á²=ku®ª를
² 만족시키는 0이 아닌
두 직선 l, m이 수직이므로 (-5, 5)•(3, k)=0
실수 k가 존재한다.
-15+5k=0
(a, 3)=k(4, -3)에서 k=-1이므로 a=-4
∴ k=3
² u®£²=0을 만족시킨다.
두 직선 l과 n은 서로 수직이므로 u®Á•
즉, (-4, 3)•(6, b)=0, -24+3b=0, b=8

417  ⑤ ∴ ab=(-4)_8=-32

두 직선 lÁ, lª의 방향벡터를 각각 u®Á,² u®ª라


² 하면
u®Á²=(6, k), u®ª²=(2, 3)이다.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할 때는
422  ③

u®Á²=tu®ª를
²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t가 존재하므로 |AP³|=4를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점 A(-1, 2)를
(6, k)=t(2, 3)에서 t=3이고, k=9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인 원이다.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일 때는 ∴ (x+1)Û`+(y-2)Û`=16
² u®ª²=0이므로 (6, k)•(2, 3)=0에서
u®Á• 다른 풀이
12+3k=0, k=-4 점 P의 좌표를 (x, y)로 놓으면 원점 O에 대하여
따라서 a=9, b=-4이므로 a+b=5이다. AP³=OP³-OA³=(x+1, y-2)
|AP³|="Ã(x+1)Û`+(y-2)Û`=4
∴ (x+1)Û`+(y-2)Û`=16
418  ④

x+1 y-5 x-2 3-y


두 직선 = , = 의 방향벡터를 각각

aø, bø라 하면
3 k k-2 2
423   풀이 참조

aø=(3, k), bø=(k-2, -2) 원 위의 점 P(x, y)에 대하여 AP³•BP³=0이므로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므로 aø•bø=(3, k)•(k-2, -2)=0 (x-3, y-5)•(x-1, y-7)=0이 성립한다.
3(k-2)+(-2k)=0 (x-3)(x-1)+(y-5)(y-7)=0
∴ k=6 ∴ xÛ`-4x+yÛ`-12y+38=0

채점 요소 배점
AP³•BP³=0임을 구하기 40`%
419  ②
원의 방정식 구하기 60`%

x+1 y
직선 = 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uø=(2, 5)이고,
2 5
직선 5x+ky+1=0의 법선벡터를 nø이라 하면 nø=(5, k)이다.
두 직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두 벡터 uø와 nø은 서로 수직이다. 424  ⑤

즉, uø•nø=0이므로 (2, 5)•(5, k)=10+5k=0 방정식 AP³•BP³=0을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 k=-2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이다.
ABÓ="Ã(3-5)Û`+(2+2)Û`='¶20=2'5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5이다.
420  ④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p_('5)Û`=5p
직선 6x-9y-5=0의 법선벡터를 nø이라 하면 nø=(6, -9)이고, 다른 풀이

-x+1 y-1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면 원점 O에 대하여


직선 = 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uø=(-2, k)이다.
2 k
AP³=OP³-OA³=(x-3, y-2)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두 벡터 uø와 nø은 서로 평행하다.
BP³=OP³-OB³=(x-5, y+2)
즉, uø=mnø을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실수 m이 존재하므로
AP³•BP³=0이므로 (x-3)(x-5)+(y-2)(y+2)=0
1
(-2, k)=m(6, -9)에서 -2=6m, m=- ∴ (x-4)Û`+yÛ`=5
3
1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이므로
∴ k=(-9)_{- }=3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p_('5)Û`=5p
3

74 기하
1 8
425  ③ ㉠, ㉡을 연립하여 풀면 x=- , y= 이므로 수선의 발의 좌표는
5 5
1 8
방정식 (pø-aø)•(pø-bø)=0을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 , }이다.
5 5
두 점 A, B를 지름의 양 끝점으로 하는 원이다.
ABÓ="Ã(3-1)Û`+(-4+2)Û`='8=2'2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y-1
길이는 '2이다. 428   ⑴ 2x-y-7=0 ⑵ x-4
4
=
-3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둘레의 길이는 2p_'2=2'2p
두 직선 l, m의 교점은
다른 풀이
x=3+t=4-2s에서 t+2s=1 yy ㉠
aø=(3, -4), bø=(1, -2)이고, pø=(x, y)로 놓으면 y=-2+3t=1-s에서 3t+s=3 yy ㉡
방정식 (pø-aø)•(pø-bø)=0에서 yy TIP
(x-3, y+4)•(x-1, y+2)=0 ㉠, ㉡을 연립하여 풀면
(x-3)(x-1)+(y+4)(y+2)=0 t=1, s=0이므로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는 (4, 1)
∴ (x-2)Û`+(y+3)Û`=2 x-1 -y+2
= 의 방향벡터는 uø=(4, -2)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므로
⑴ 직선
4 2
구하는 도형의 둘레의 길이는 2p_'2=2'2p 따라서 구하는 직선은 점 (4, 1)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nø=(4,-2)인 직선이므로

426  ② 4(x-4)-2(y-1)=0, 4x-2y-14=0 ⅠⅠ


∴ 2x-y-7=0 평
방정식 (pø-aø)•(pø-bø)=0을 만족시키는 벡터 pø의 종점 P가 ⑵ 직선 4x-3y+2=0의 법선벡터가 nø=(4, -3)


나타내는 도형은 두 점 A(-3, 2), B(1, -3)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따라서 구하는 직선은 점 (4, 1)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터
하는 원이다. uø=(4, -3)인 직선이므로
ABÓ="Ã(-3-1)Û`+(2+3)Û`='¶41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x-4 y-1
=
'¶41 4 -3
이다.
2
TIP
'¶41 Û 41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p_{ }`= p
2 4 x=xÁ+tuÁ
실수 t에 대하여 직선 [ 은
다른 풀이 y=yÁ+tuª
aø=(-3, 2), bø=(1, -3)이고 pø=(x, y)로 놓으면 점 (xÁ, yÁ)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Á, uª)인 직선이다.
(pø-aø)•(pø-bø)=0에서 ⑴ (x, y)=(xÁ+tuÁ, yÁ+tuª)=(xÁ, yÁ)+t(uÁ, uª)
(x+3, y-2)•(x-1, y+3)=0 ⑵ 직선의 방정식을 t에 대하여 정리하면
x-xÁ y-yÁ
(x+3)(x-1)+(y-2)(y+3)=0 t= =
uÁ uª
1 41
∴ (x+1)Û`+{y+ }Û`=
2 4
'¶41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2
인 원이므로
429  ④
'¶41 Û 41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p_{ }`= p 원점 O에 대하여 aø=OA³=(4, 5), bø=OB³=(-3, 2)이므로
2 4
AB³=OB³-OA³=(-3, 2)-(4, 5)=(-7, -3)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점 (1, 2)를 지나고 법선벡터가
427  ③
nø=(-7, -3)이므로
x-1 -7(x-1)-3(y-2)=0, 7x+3y-13=0이다.
점 A에서 직선 =y-2에 내린 수선의 발은
3
x-1
점 A를 지나고 직선 =y-2에 수직인 직선과
3
430  ③
x-1
직선 =y-2의 교점이다. y+2 x+3 y-5
3 두 직선 x-1= , = 의 방향벡터를 각각
3 m 2
x-1
직선 =y-2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3 aø, bø라 하면
uø=(3, 1)이므로 점 A(-1, 4)를 지나고 벡터 uø=(3, 1)에 수직인 aø=(1, 3), bø=(m, 2)
직선의 방정식은 |aø•bø| |1_m+3_2| |m+6|
cos`60ù= = =
3(x+1)+(y-4)=0, 즉 3x+y=1 yy ㉠ |aø||bø| "Ã1Û`+3Û``"Ãm`Û +2Û` '¶10`"ÃmÛ`+4
1 |m+6|
x-1 즉, = , '¶10`"ÃmÛ`+4=2|m+6|
=y-2 yy ㉡ 2 '¶10`"ÃmÛ`+4
3

Ⅱ. 평면벡터 75
양변을 제곱하면 10(mÛ`+4)=4(m+6)Û` 참고
∴ 3mÛ`-24m-52=0 <수학Ⅰ> 2. 삼각함수 단원에서 배운 개념을 이용하면 다음과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수 m의 같이 풀이할 수 있다.
값의 합은 8이다. p 3
cos`{ -h}=sin`h=
2 5
9 16 4
∴ cos`h="Ã1-sinÛ``h=®É1- =®É =
25 25 5
431  ③

두 직선 lÁ, lª의 방향벡터를 aø, bø라 하면


aø=(3, '3), bø=(2, -'3)이므로 434  ④
|aø bø| |3_2+'3_(-'3 )| '¶21
cos`h= • = = 두 직선 lÁ, lª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aø||bø| ¿¹3Û`+('3)Û``¿¹2Û`+(-'3)Û` 14
직선 lÁ의 방향벡터를 uø라 하면 uø=(3, -'3)이고,
직선 lª의 법선벡터를 nø이라 하면 nø=('3, 1)이므로

432  ④ cos`(90ù-h)=
|uø•nø|
|uø||nø|
법선벡터는 nø=(3, 4)이고 방향벡터는 uø=(2, 1)이므로 |3'3-'3|
=
|nø uø|
cos`(90ù-h)= • =
|3_2+4_1|
=
2 ¿¹3Û`+(-'3)Û``¿¹('3)Û`+1Û`
|nø||uø| "Ã3Û`+4Û``"Ã2Û`+1Û` '5 2'3 1
= =
이를 90ù-h를 이용한 직각삼각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2_2 2
따라서 90ù-h=60ù이므로 h=30ù이다.
D
Â5
1

90æ-D 435  ①
2
두 직선 lª, l£의 방향벡터를 각각 u®Á,² u®ª라
² 하면
1 '5 u®Á²=(a, -1), u®ª²=(b, a)
∴ cos`h= =
'5 5
조건 ㈎, ㈏에 의하여 uø•u®ª²=0이므로
참고 b+'3a=0 yy ㉠
<수학Ⅰ> 2. 삼각함수 단원에서 배운 개념을 이용하면 다음과 조건 ㈐에 의하여
같이 풀이할 수 있다. |uø•u®Á²| |a-'3| |a-'3|
cos`30ù= = =
p 2 |uø||u®Á²| ¿¹1+('3)Û``"Ãa`Û +(-1)Û` 2"ÃaÛ`+1
cos`{ -h}=sin`h=
2 '5 '3 |a-'3|
= 의 양변을 제곱하면
4 1 '5 2 2"ÃaÛ`+1
∴ cos`h="Ã1-sinÛ``h=®É1- =¾ =
5 5 5 3 (a-'3)Û`
=
4 4(aÛ`+1)
∴ a=-'3 (∵ ab+0)
㉠에 대입하면 b=3
433  ④
∴ ab=-3'3
y-2
직선 x+1= 의 방향벡터는 uø=(1, 3)이고,
3
직선 3x+y-1=0의 법선벡터는 nø=(3, 1)이므로 436  ③
|uø•nø| |1_3+3_1| 3
cos`(90ù-h)= = = |CP³|=r를 만족시키는 점 P(x, y)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uø||nø| "Ã1Û`+3Û``"Ã3Û`+1Û` 5
C(0, 6)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이므로 이 원의 방정식은
이를 90ù-h를 이용하여 직각삼각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Û`+(y-6)Û`=rÛ`
D 한편 원점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3, 4)인 직선의 방정식은
x y
5 = , 즉 4x-3y=0
4 3 4
이때, 원 xÛ`+(y-6)Û`=rÛ`과 직선 4x-3y=0이 한 점에서 만나려면
90æ-D
원의 중심 (0, 6)에서 직선 4x-3y=0까지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3 r와 같아야 한다.
4 |4_0-3_6| 18
∴ r= =
∴ cos`h=
5 "Ã4Û`+(-3)Û` 5

76 기하
다른 풀이 y y=2x+5

점 P의 좌표를 (x, y)로 놓고 두 점 C, P의 위치벡터를 각각 cø, pø라


하면
CP³=pø-cø=(x, y-6) O 1
-1 C x
|CP³|Û`=(pø-cø)•(pø-cø)=rÛ`에서
(x, y-6)•(x, y-6)=rÛ`
∴ xÛ`+(y-6)Û`=rÛ`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C(0, 6)이고, 위의 그림과 같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직선과 접할 때보다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이다. 크거나 같으면 된다.
한편 원점을 지나고 방향벡터가 uø=(3, 4)인 직선의 방정식은 원이 직선과 접할 때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 (1, -1)에서
x y 직선 2x-y+5=0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 , 즉 4x-3y=0
3 4
|2_1-(-1)+5| 8 8'5
이때, 원 xÛ`+(y-6)Û`=rÛ`과 직선 4x-3y=0이 한 점에서 만나려면 = =
"Ã2Û`+(-1)Û` '5 5
원의 중심 (0, 6)에서 직선 4x-3y=0까지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
8'5 8'5
r와 같아야 한다. 따라서 r¾ 이므로 r의 최솟값은 m=
5 5
|4_0-3_6| 18 다른 풀이
∴ r= =
"Ã4Û`+(-3)Û`
ⅠⅠ
5
점 P의 좌표를 (x, y)로 놓으면 원점 O에 대하여
CP³=OP³-OC³=(x-1, y+1) 평

437  ② |CP³|="Ã(x-1)Û`+(y+1)Û`=r에서



(x-1)Û`+(y+1)Û`=rÛ`
점 A를 원점 O(0, 0), 점 B의 좌표를 (2'7, 0)이라 하고,
즉,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1,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자.
r인 원이다.
PA³=PO³=-OP³=(-x, -y)
한편 APÓ=BPÓ이므로
PB³=OB³-OP³=(2'7-x, -y)
"Ã(x-1)Û`+(y-2)Û`="Ã(x+3)Û`+(y-4)Û`의 양변을 제곱하면
PA³•PB³=2이므로 (-x)(2'7-x)+(-y)(-y)=2
(x-1)Û`+(y-2)Û`=(x+3)Û`+(y-4)Û`
xÛ`-2'7x+yÛ`=2   ∴ (x-'7 )Û`+yÛ`=9
2x-y+5=0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므로
즉, 점 P는 직선 2x-y+5=0 위의 점이다.
구하는 도형의 길이는
따라서 점 P가 존재하려면 원 (x-1)Û`+(y+1)Û`=rÛ`과
2p_3=6p
직선 2x-y+5=0이 만나야 한다.
다른 풀이
y y=2x+5
선분 AB의 중점 M에 대하여
PA³•PB³‌
=(PÕM³+MÕA)³ •(PÕM³+MÕB³)
=|PÕM³|Û`+(MÕA³+MÕB³)•PÕM³+MÕA•
³ MÕB 
³ yy ㉠
O 1
MÕA³+MÕB³=0, MÕA•
³ MÕB³=MÕA•
³ (-MÕA³)=-|MÕA³|Û`=-7 x
-1 C
이므로 ㉠에서
2=|PÕM³|Û`+0-7, |PÕM³|Û`=9   ∴ |PÕM³|=3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점 M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길이는 2p_3=6p 위의 그림과 같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직선과 접할 때보다
크거나 같으면 된다.
원이 직선과 접할 때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 (1, -1)에서
438  ⑤
직선 2x-y+5=0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CP³|=r를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2_1-(-1)+5| 8 8'5
= =
점 C(1, -1)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이다. "Ã2Û`+(-1)Û` '5 5

또한, APÓ=BPÓ를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8'5 8'5


따라서 r¾ 이므로 r의 최솟값은 m=
5 5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이다.
즉, 선분 AB의 중점 (-1, 3)을 지나고 법선벡터가
AB³=(-4, 2)인 직선이므로
-4(x+1)+2(y-3)=0, 즉 2x-y+5=0이다.
439  ④

따라서 점 P가 존재하려면 원 (x-1)Û`+(y+1)Û`=rÛ`과 |pø-cø|Û`=10, 즉 |CP³|Û`=10을 만족시키는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직선 2x-y+5=0이 만나야 한다. 중심의 좌표가 C(3,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0인 원이므로

Ⅱ. 평면벡터 77
(x-3)Û`+(y-1)Û`=10이다. y
B
y
{x-3}@+{y-1}@=10 최대

P
2
1 A

O 3 x P
1 O x

따라서 |pø-bø|의 최댓값은 ABÓ+2=5+2=7 yy TIP


원점 O(0, 0)이 원 위의 점이므로 pø=OP³의 크기가 최대일 때는
다른 풀이
위의 그림과 같이 선분 OP가 원의 지름인 경우이다.
원의 중심이 선분 OP의 중점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pø=(x, y)라 하면 aø=(-1, 2)이므로
(pø-aø)•(pø-aø)=(x+1)Û`+(y-2)Û`=4
{ , }이다.
x y
2 2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정식은
x y (x+1)Û`+(y-2)Û`=4
즉, =3, =1이므로 x=6, y=2
2 2
이므로 중심의 좌표가 (-1,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 a+b=6+2=8
|pø-bø|=|BP³|는 두 점 B, P 사이의 거리이고,
ABÓ="Ã4Û`+3Û`=5
다른 풀이

pø=(x, y)라 하면 cø=(3, 1)이므로


y
|pø-cø|Û`=(x-3)Û`+(y-1)Û` B
따라서 (x-3)Û`+(y-1)Û`=10이므로 최대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의 좌표가 C(3,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0인 원이다.
2
y A
{x-3}@+{y-1}@=10
P
1 O x
P
1 따라서 |pø-bø|의 최댓값은 ABÓ+2=5+2=7 yy TIP
O 3 x
TIP
원 밖의 점 A와 원 위의 점 P에 대하여 APÓ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원점 O(0, 0)이 원 위의 점이므로 pø=OP³의 크기가 최대일 때는
위의 그림과 같이 선분 OP가 원의 지름인 경우이다. A

원의 중심이 선분 OP의 중점이므로 원의 중심의 좌표는 { , }


x y
2 2 P¡
C
이다. P™
x y
즉, =3, =1이므로 x=6, y=2
2 2
∴ a+b=6+2=8 원의 중심을 C라 하고, 점 C와 점 A를 이은 직선이
원과 만나는 두 점 중 점 A에 가까운 점을 PÁ,
먼 점을 Pª라 하자.
P=PÁ일 때 APÓ는 최소이고, P=Pª일 때 APÓ는 최대이다.
즉,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APÓ의
최솟값은 APÁÓ=ACÓ-CPÁÓ=ACÓ-r이고,
최댓값은 APªÓ=ACÓ+CPªÓ=ACÓ+r이다.
따라서 APÓ는 점 A와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에서
440  ④ 반지름의 길이를 뺀 값을 최솟값으로 갖고,
(pø-aø)•(pø-aø)=|pø-aø|Û`=|AP³|Û`=4를 만족시키는 점 P가 반지름의 길이를 더한 값을 최댓값으로 갖는다.
나타내는 도형은 점 A(-1, 2)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다.
|pø-bø|=|BP³|는 두 점 B, P 사이의 거리이고,
441  ④

ABÓ="Ã4Û`+3Û`=5 cø•(pø-aø)=0이므로

78 기하
점 P는 점 (1, 4)를 지나고 법선벡터가 cø=(2, -1)인 -6x+8y=k
직선 2(x-1)-(y-4)=0, 즉 2x-y+2=0 위의 점이다.
한편 |qø-bø|=1이므로
점 Q는 점 (4, 2)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6,`8}
원 (x-4)Û`+(y-2)Û`=1 위의 점이다. 10
따라서 |PQ³|의 최솟값은 원의 중심 (4, 2)에서 직선 2x-y+2=0
까지의 거리에서 반지름의 길이를 뺀 값과 같으므로
|8-2+2| 8 8'5
-1= -1= -1
"Ã2Û`+(-1)Û` '5 5 원 (x-6)Û`+(y-8)Û`=100과 직선 -6x+8y=k가 접하면
다른 풀이 원의 중심에서 직선까지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6)_6+8_8-k|
pø=(x, y)라 하면 cø•(pø-aø)=0에서 10= , 100=|-k+28|
'Ä36+64
(2, -1)•(x-1, y-4)=0 k-28=100 또는 k-28=-100
2(x-1)-(y-4)=0, 즉 2x-y+2=0 즉, k=128 또는 k=-72
이므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직선 2x-y+2=0이다. 따라서 최댓값 M=128, 최솟값 m=-72이므로
한편 qø=(x, y)로 놓으면 |qø-bø|=1에서 M+m=56
|qø-bø|Û`=(x-4, y-2)•(x-4, y-2)=1
∴ (x-4)Û`+(y-2)Û`=1 ⅠⅠ
따라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점 (4, 2)를 중심으로 하고 평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x-4)Û`+(y-2)Û`=1이다.
따라서 |PQ³|의 최솟값은 원의 중심 (4, 2)에서
443  ③ 벡

직선 2x-y+2=0까지의 거리에서 반지름의 길이를 뺀 값과 같으므로 두 벡터 AB³, CD³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8-2+2| 8 8'5 |AB³+CD³|Û`‌=|AB³|Û`+2AB³•CD³+|CD³|Û`
-1= -1= -1
"Ã2Û`+(-1)Û` '5 5 =16+2|AB³||CD³|cos`h+9
=25+24`cos`h yy ㉠

442  ④ 직선 lÁ`:`x=
y-1
'2
의 방향벡터는 aø=(1, '2)이고,

pø•(pø-aø)=0에서 (pø-0ø)•(pø-aø)=0을 만족시키는 점 P가 직선 lª`:`'2(1-x)=y+4, 즉 '2x+y+4-'2=0의 법선벡터는


나타내는 도형은 두 점 O(0, 0), A(12, 16)을 지름의 양 끝점으로 bø=('2, 1)이므로
하는 원이다.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a라 하면
이 원의 중심을 T라 하면 점 T는 선분 OA의 중점이므로 |aø bø| |1_'2+'2_1| 2'2
cos`(90ù-a)= • = =
T(6, 8)이고,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OTÓ=10이다. |aø||bø| ¿¹1Û`+('2)Û``¿¹('2)Û`+1Û` 3

OP³•OC³=(OT³+TP³)•OC³=OT³•OC³+TP³•OC³  yy ㉠ 이를 90ù-a를 이용한 직각삼각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OT³•OC³=(6, 8)•(-6, 8)=-36+64=28
=
3
TP³•OC³‌
=|TP³||OC³|cos`h (0ùÉhÉ180ù) 1
=10_10`cos`h=100`cos`h
90æ-=
이므로 -100ÉTP³•OC³É100
2Â2
따라서 ㉠에서 OP³•OC³의 최댓값은 M=28+100,
최솟값은 m=28-100이므로 M=128, m=-72 1
∴ cos`a=
3
∴ M+m=56
이때, 각 h의 크기가 예각일 때와 둔각일 때를 나누면 다음과 같다.
다른 풀이
Ú h가 예각일 때
점 P의 좌표를 (x, y)라 하자.

pø•(pø-aø)=0에서 (x, y)•(x-12, y-16)=0
x(x-12)+y(y-16)=0
∴ (x-6)Û`+(y-8)Û`=100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6, 8)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D
10인 원이다. l™
O
이때 OP³•OC³=(x, y)•(-6, 8)=-6x+8y이고
1
-6x+8y=k로 놓으면 다음 그림과 같이 cos`h=cos`a=
3
원 (x-6)Û`+(y-8)Û`=100과 직선 -6x+8y=k가 접할 때
1
k가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 |AB³+CD³|Û`=25+24_ =33
3

Ⅱ. 평면벡터 79
Û h가 둔각일 때

D
l™
O

1
cos`h=cos`(180ù-a)=-cos`a=-
3
1
∴ |AB³+CD³|Û`=25+24_{- }=17
3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합은 33+17=50

참고

<수학Ⅰ> 2. 삼각함수 단원에서 배운 개념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풀이 할 수 있다.
p |'2+'2| 2'2
cos`{ -a}=sin`a= =
2 'Ä1+2`'Ä2+1 3
p 1
Ú 0<h< 일 때 cos`h=¿¹1-sinÛ``a=
2 3
p 1
Û <h<p일 때 cos`h=-¿¹1-sinÛ``a=-
2 3
이다.

80 기하
ⅠⅠⅠ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즉, 직선 DF와 선분 AG의 중점은 한 직선과 그 위에 있는
점이므로 한 평면을 결정하지 못한다.
따라서 한 평면을 결정하는 것은 ㄱ, ㄴ이다.
공간도형

447  ②
444  ③
직선 AB와 한 점에서 만나는 직선은 직선 AE, 직선 DE, 직선
평면의 결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CD, 직선 BC, 직선 AF, 직선 BG로 6개이고,
Ú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 직선 AB와 평행한 직선은 직선 FG로 1개이고,
Û 한 직선과 그 위에 있지 않은 한 점 직선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직선 EJ, 직선 DI, 직선 CH,
Ü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 직선 FJ, 직선 JI, 직선 IH, 직선 GH로 7개이므로
Ý 평행한 두 직선 a=6, b=1, c=7
<보기> 중 ‘ㄱ. 한 직선 위에 있는 세 점이 주어진 경우’는 한 ∴ a+b-c=0
평면이 항상 결정되지 않고, ‘ㅁ. 서로 다른 두 직선이 주어진
경우’에는 두 직선이 꼬인 위치에 있을 때 한 평면이 항상 결정되지
않는다. yy TIP
따라서 공간에서 평면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는 ㄴ, ㄷ, ㄹ이다.
448  ③

직선 AB와 평행한 직선은 직선 CD, 직선 EF, 직선 GH로 3개이고,


TIP
직선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직선은 직선 DH, 직선 CG, 직선
다음과 같은 직육면체에서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 AB, CG는 EH, 직선 FG로 4개이므로
한 평면을 결정하지 못한다. a=3, b=4
A
D ∴ a+b=7
B C

E H
449  ③ ⅠⅠⅠ
F 공
G
모서리 AB와 평행한 모서리는 선분 DF로 1개이고, 간

모서리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선분 CD, 선분 DE, 선분 형

CF, 선분 EF로 4개이므로
a=1, b=4
445

 ③ 간
∴ a+b=5 좌
ㄱ. ‌세 점 A, B, E는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이므로 한 평면 표

ABE를 결정한다.
ㄴ. ‌점 C와 직선 GH는 한 직선과 그 위에 있지 않은 한 점이므로 한
평면 CGH를 결정한다.
450  ③

ㄷ. ‌직선 AD와 직선 FG는 평행한 두 직선이므로 한 평면 직선 AB를 포함하는 평면은 ABC, ABED로 2개이고,
ADGF를 결정한다. 직선 AB와 한 점에서 만나는 평면은 ADFC, BEFC로 2개이고,
ㄹ. 직선
‌ AB와 직선 EH는 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이므로 한 직선 AB와 평행한 평면은 DEF로 1개이므로
평면을 결정하지 않는다. a=2, b=2, c=1
따라서 한 평면을 결정하는 것은 ㄱ, ㄴ, ㄷ이다. ∴ a-b+c=1

446  ③ 451  ⑤

ㄱ. ‌직선 AB와 점 H는 한 직선과 그 위에 있지 않은 점이므로 한 직선 AB와 만나는 평면은


평면을 결정한다. ABCD, AEFB, ADHE, BCGF로 4개이고,
ㄴ. ‌직선 BD와 직선 DG는 한 점에서 만나는 두 직선이므로 한 직선 AB와 평행한 평면은
평면을 결정한다. CDHG, EFGH로 2개이므로
ㄷ. ‌직사각형 AFGD의 두 대각선의 교점은 두 대각선의 중점과 a=4, b=2
일치하므로 선분 AG의 중점은 직선 DF 위에 있다. ∴ a-b=2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81
452  ③ l

주어진 정팔면체의 면 중 평면 ABC와 평행한 평면은 평면


m
DEF뿐이고,
평면 DEF 위에 있는 모든 직선이 평면 ABC와 평행하므로 n
평면 ABC와 평행한 모서리는 DE, EF, DF로 3개이다.
두 직선 m, n은 서로 수직으로 만난다.
Û 세 직선 l, m, n이 한 평면 위에 있지 않은 경우
m

453  ⑤ l

ㄱ. ‌한 평면에 평행한 서로 다른 두 평면은 항상 평행하다. (참)


n
= 두 직선 m, n은 꼬인 위치에 있고, 이때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은 직선 m에 평행하면서 직선 n과 만나는 직선 l과 직선
> n이 이루는 각과 같으므로 두 직선 m, n은 서로 수직이다.
Ú, Û에서 한 직선 l에 평행한 직선 m과 직선 l에 수직인 직선
? n은 서로 수직이다. (참)
ㄴ. ‌직선 l이 평면 a와 수직일 때, 평면 a와 평행한 평면 b와 직선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l도 수직이다. (참)
l

455   ⑴ h=45ù ⑵ h=90ù ⑶ h=60ù

= ⑴ 두 직선 AC, EG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AB, EG가 이루는 각의 크기 h는
두 직선 AB, AC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
∴ h=45ù
⑵ 두 직선 BD, FH가 서로 평행하므로
ㄷ. ‌한 평면에 수직인 서로 다른 두 직선은 항상 평행하다. (참) 두 직선 AC, FH가 이루는 각의 크기 h는
l m 두 직선 AC, BD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 h=90ù
⑶ 두 직선 DE, CF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직선 BD, CF가 이루는 각의 크기 h는
=
두 직선 BD, DE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이때, BDÓ=DEÓ=EBÓ에서 삼각형 BDE는 정삼각형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BDE=60ù이다.   ∴ h=60ù

454  ④ 456  ③

ㄱ. ‌한 직선에 평행한 서로 다른 두 직선은 평행하다. (참) 직선 EH가 직선 AD와 평행하므로


ㄴ. ‌한 직선에 수직인 서로 다른 두 직선은 다음과 같이 한 점에서 두 직선 AG와 EH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만날 수도, 평행할 수도, 꼬인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거짓) 두 직선 AG와 AD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이때, 직선 AD가 두 직선 CD, DH와 수직이므로
한 점에서 만난다. 평행하다. 꼬인 위치에 있다.
직선 AD는 평면 CDHG와 수직이고,
l ll n nn
평면 CDHG 위의 직선 DG와도 수직이다.
mmm mmm mmm 즉, ∠ADG=90ù이다.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n nn l l l n nn l ll
직각삼각형 ADG에서 ADÓ=a, AGÓ='3a이므로
ㄷ. ‌한 직선 l에 평행한 직선 m과 직선 l에 수직인 직선 n에 대하여 ADÓ a 1 '3
cos`h= = = =
Ú 세 직선 l, m, n이 한 평면 위에 있는 경우 AGÓ '3a '3 3

82 기하
457  ⑤ 461  ②

직선 BD는 직선 AC와 수직이다.  yy ㉠ 선분 OP가 평면 a와 수직이고, 선분 PQ가 선분 AB와 수직이므로


직선 BD는 직선 BF와 수직이고,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직선 CG와 직선 BF가 평행하므로 선분 OQ가 선분 AB와 수직이다.
직선 BD는 직선 CG와 수직이다.  yy ㉡ 즉, ∠AQO=90ù
㉠, ㉡에 의하여 직선 BD는 평면 ACG와 수직이다. 이때, 직각삼각형 POQ에서 OQÓ="Ã5Û`-4Û` =3이므로
따라서 직선 BD는 평면 ACG 위의 모든 직선과 수직이므로 직선 직각삼각형 AQO에서
AG와도 수직이다. OAÓ="Ã3Û`+3Û` =3'2
즉, 두 직선 AG, B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90ù이다.

462  ②

458   풀이 참조 선분 PH가 평면 a와 수직이고, 선분 AP와 선분 AB가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CD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선분 AH가 선분 AB와 수직이다.
정삼각형 ACD에서 두 직선 AM, CD는 서로 수직이고, P
정삼각형 BCD에서 두 직선 BM, CD는 서로 수직이므로 4
직선 CD는 평면 ABM과 수직이다. 2

따라서 직선 CD는 평면 ABM 위의 모든 직선과 수직이므로 A


H
직선 AB와도 서로 수직이다. 4
B
즉, 직선 AB와 직선 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90ù이다. =

직각삼각형 PHA에서
채점 요소 배점
선분 CD의 중점을 M이라 할 때, 선분 CD가 두 선분 AM, BM과 AHÓ="Ã4Û`-2Û` =2'3이므로
40 %
ⅠⅠⅠ
수직임을 설명하기 삼각형 ABH의 넓이는
직선 CD가 평면 ABM과 수직임을 설명하기 30 % 1
_4_2'3=4'3
2 공
직선 CD가 직선 AB와 수직임을 설명하고 각의 크기 구하기 30 % 간


463  
3'4Œ1
5

459

 ⑤ 선분 DH가 두 선분 GH, EH와 수직이므로 표
선분 DH는 평면 GHE와 수직이고,  yy ㉠
선분 PH는 평면 a와 수직이고, 선분 AH가 직선 l과 수직이므로
선분 DI가 선분 EG와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HI가 선분 EG와 수직이다.
선분 PA는 직선 l과 수직이다. 즉, ∠PAB=90ù이다.
4
직각삼각형 PHA에서 PAÓ="Ã1Û`+2Û` ='5이므로 H G

직각삼각형 PAB에서
3
ABÓ=¿¹5Û`-('5 )Û` =2'5 I
5

E F
직각삼각형 EGH의 넓이는
1 1
_EHÓ_GHÓ= _EGÓ_HIÓ이므로
2 2
460  ②
1 1
_3_4= _5_HIÓ에서
2 2
선분 OP가 평면 a와 수직이고, 선분 OH가 선분 AB와 수직이므로
12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HIÓ=
5
선분 PH가 선분 AB와 수직이다. 즉, ∠PHA=90ù이다.
㉠에 의하여 선분 DH가 평면 GHE 위의 선분 HI와 수직이므로
이때, 직각삼각형 POH에서 PHÓ="Ã6Û`+4Û` =2'1Œ3이므로
직각삼각형 DHI에서
직각삼각형 PHA에서
12 Û` 3'4Œ1
DIÓ=¾Ð3Û`+{ }=
APÓ=¿¹(2'1Œ3)Û`+(2'2)Û` =2'1Œ5 5 5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83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464  ③
점 H는 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이므로
점 A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점 A에서 선분 BC에 '3 '3 1
AMÓ= a, MHÓ= a_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HM이 2 2 3
선분 BC와 수직이다. 따라서 직각삼각형 AHM에서
즉, 두 평면 ABC, BCDE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1
cos`h=
3
두 평면의 교선 BC에 수직인 두 직선 AM, MH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이때, 이등변삼각형 ABC에서 점 M은 선분 BC의 중점이므로
BMÓ=1 467  ②
AMÓ=¿¹('3 )Û`-1Û` ='2, MHÓ=1이므로
AEÓ⊥EFÓ, AEÓ⊥EHÓ이므로 AEÓ⊥ EFGH
1 '2
cos`(∠AMH)= =
'2 2 ∴ AEÓ⊥EGÓ, 즉 ∠AEG=90ù
∴ ∠AMH=45ù 이때, AGÓ=¿¹1Û`+1Û`+('2 )Û` =2,
따라서 주어진 정사각뿔의 밑면과 옆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EGÓ=¿¹1Û`+('2 )Û` ='3 이므로
45ù이다. 선분 AG와 평면 EFGH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AGÓ cos`h=EGÓ에서
'3
2 cos`h='3, cos`h=
2
465  ③ ∴ h=30ù (∵ 0ù<h<90ù)

점 A에서 평면 EFGH에 내린 수선의 발이 E이고, 점 A에서


직선 FH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EM은 선분 FH와 수직이다.
468  ⑤
즉, 두 평면 AFH와 EFGH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A'B'Ó
=ABÓ  cos`30ù 
두 평면의 교선 FH에 수직인 두 직선 AM, EM이 이루는 각의
'3
크기와 같다. 즉, h=∠AME =6_
2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3'3
'2
직각삼각형 AEM에서 AEÓ=a, EMÓ= a이므로
2
'6
AMÓ= a
2
'2 469  ③
'3
a
2 1
∴ cos`h= = =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선분 CD의 중점을 M
'6 '3 3
a 이라 하면 선분 AB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은 선분 HB와 같다.
2
A

466  ①
B
D

H M
그림과 같은 정사면체 ABCD에서
C
A
2 2 '3
∴ HBÓ= _BMÓ= _ _3='3
3 3 2
D
B
H M

선분 CD의 중점을 M이라 하면


C
470 
8'3
 3

선분 CD는 두 선분 AM, BM과 각각 수직이다. 도형 F의 넓이를 S라 하면


따라서 두 평면 ACD, B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S cos`30ù=4이므로
두 직선 AM, BM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3
S=4
2
즉, h=∠AMB
8'3
정사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고, ∴ S=
3

84 기하
471  ③ 474 
3'1Œ5
 ⑴ 94 ⑵ 5

단면의 밑면으로의 정사영이 밑면인 원이 되므로 ⑴ 정사각형 BCDE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F라 하면


단면의 넓이를 S라 하면 삼각형 ABC의 평면 BCDE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FBC이고,
S cos`45ù=25p 1 9
삼각형 FBC의 넓이는 _3Û`= 이다.
∴ S=25'2p 4 4
⑵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고,
정사각형 BCDE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F라 하면
두 선분 AM, FM이 선분 BC와 수직이므로
두 평면 ABC와 BCDE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AMF와 같다.
472  ④
∠AFM=90ù이고,
단면인 원의 중심을 O'이라 하자. 3'1Œ5
AMÓ=¾Ð6Û`-{ }Û`=
3 3
, FMÓ= 이므로
2 2 2
1
O' cos`(∠AMF)=
'1Œ5
4 O
A 따라서 정사각형 BCDE의 평면 ABC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30æ 1 3'1Œ5
9_ =
OAÓ=4, ∠OO'A=90ù, ∠OAO'=30ù이므로 yy TIP '1Œ5 5

O'AÓ=2'3이다. 다른 풀이

즉, 단면인 원의 넓이는 (2'3)Û`p=12p이다. ⑵ 두 평면 ABC, BCDE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⑴에


이 단면의 밑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의하여 삼각형 ABC의 평면 BCDE 위로의 정사영이 FBC이므로
'3 (삼각형 ABC의 넓이)_cos`h=(삼각형 FBC의 넓이)yy ㉠
12p_cos`30ù=12p_ =6'3 p
2
이때,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3'1Œ5
AMÓ=¾Ð6Û`-{ }Û`=
TIP 3
이므로
2 2
구를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항상 원이다.
1 3'1Œ5 9'1Œ5
ⅠⅠⅠ
이때, 구의 중심을 O, 단면인 원의 중심을 O', 단면인 원의 삼각형 ABC의 넓이는 _3_ =
2 2 4
지름의 양 끝점을 A, B라 할 때, OAÓ, OBÓ는 구의 반지름의 9'1Œ5 9 1
㉠에서 _cos`h= 이므로 cos`h= 공
길이로 서로 같으므로 이등변삼각형 OAB에서 선분 OO'은 4 4 '1Œ5 간

선분 AB와 수직이다. 따라서 정사각형 BCDE의 평면 ABC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형
1 3'1Œ5 과
(정사각형 BCDE의 넓이)_cos`h=3Û`_ =
A O' B '1Œ5 5


O
475

 ④ 표

그림자의 넓이를 S, 차광막의 넓이를 S'이라 하면


즉, 구의 중심 O에서 단면인 원에 내린 수선의 발은 원의 중심인 S cos`h=S'이므로
O'이다. 24 cos`h=16
2
∴ cos`h=
3

476  ④
473  ②
구의 중심을 지나고 태양광선과 수직인 평면으로 구를 자른 단면의
두 평면 BDE, FHE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넓이를 S'이라 하면 S'=9p이다.
삼각형 BDE의 평면 FHE 위로의 정사영이 삼각형 FHE이므로
(삼각형 BDE의 넓이)_cos`h=(삼각형 FHE의 넓이),
'3 1
즉 _(2'2)Û`_cos`h= _2Û`에서
4 2
1 30æ
cos`h=
'3 60æ
따라서 삼각형 FHE의 평면 BDE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3
S cos`30ù=S'이므로 S=9p
1 1 2'3 2
(삼각형 FHE의 넓이)_cos`h= _2Û`_ =
2 '3 3 ∴ S=6'3p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85
477  ⑤ 480   ⑴ 11 ⑵ 20

원뿔의 꼭짓점을 A, 원뿔의 밑면과 평면 a의 교점을 B라 하자. ⑴ 그림과 같은 오각뿔 A-BCDEF에서


또한 원뿔의 밑면과 평면 a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A
h (0ù<h<90ù)라 하면
BOÓ 1
직각삼각형 AOB에서 cos`h= =
ABÓ 3
F
B E
O
C D
D
A 점 A를 포함하는 평면의 개수는
= B
밑면에 포함되는 5개의 꼭짓점 중
원뿔의 밑면의 넓이는 p이므로
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으므로
원뿔의 밑면에 의해 평면 a에 생기는 그림자의 넓이는
5개의 꼭짓점 중 2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인
p
p_cos`h= 5C2=10과 같다.
3
점 A를 포함하지 않는 평면은 평면 BCDEF의 1개뿐이므로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10+1=11이다.
⑵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 ABCD-EFGH에서 만들 수 있는 서로
478  ①
다른 평면은
그림과 같은 정팔면체 ABCDEF에서 A
D
두 평면 ABC, A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해 보자. B C
A E H
F
E G
B D 평면 ABCD, EFGH, ABFE, CDHG, AEHD, BFGC와
C 평면 ABGH, CDEF, AFGD, BCHE, BFHD, AEGC와
평면 BDG, BDE, ACF, ACH, EGB, EGD, FHA,
F
FHC이므로
선분 A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20이다.
두 선분 BM, DM이 선분 AC에 수직이므로
다른 풀이
두 평면 ABC, A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BMD와 같다.
정팔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할 때, ⑵ 직육면체의 꼭짓점의 총 개수는 8이다.
'3 8개의 꼭짓점 중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BMÓ=DMÓ= a, BDÓ='2a이므로
2 8 C3=56이고, yy ㉠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이 중 4개 이상의 점이 한 평면을 결정할 때를 중복해서 세어준
'3 '3 Û`
{ a}Û`+{ a} -('2a)Û` 경우의 수만큼을 빼주어야 한다.
2 2 1
cos`(∠BMD)= =- 그림과 같은 직육면체 ABCD-EFGH에서
'3 '3 3
2_ a_ a A
2 2 D
1
∴ cosÛ``h= B C
9
E H
F
G

479  ③ 4개 이상의 점이 한 평면을 결정하는 경우는


평면 ABCD, EFGH, ABFE, CDHG, AEHD, BFGC와
5개의 점이 모두 한 평면에 있는 경우에
평면 ABGH, CDEF, AFGD, BCHE, BFHD, AEGC로
결정되는 평면의 개수가 최소이므로 m=1이고,
12가지이고,
5개의 점 중 어느 네 점도 한 평면 위에 있지 않은 경우에
㉠에서 이 평면을 중복해서 4C3=4(번)씩 세주었으므로
결정되는 평면의 개수가 최대이고,
3번씩 다시 빼주어야 한다.
이때, 평면의 개수는 5개의 점 중 3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와
따라서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같으므로
56-12_3=20이다.
M=5C3=10
∴ M+m=10+1=11

86 기하
ㄴ. ‌모서리 AB와 평행한 모서리는 모서리 CD, EF, GH로 3개이다.
481  ④
정육면체의 12개의 각 모서리와 평행한 위치에 있는 모서리의
주어진 정팔면체에서 만들 수 있는 서로 다른 평면은 개수는 3개씩이므로 12_3개이고,
A 이때 평행한 두 모서리의 한 쌍을 두 번씩 중복해서
12_3
세주었으므로 구하는 개수는 =18이다. (참)
E 2
D
B ㄷ. ‌모서리 AD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모서리 CG, BF, GH,
C
EF로 4개이다.
정육면체의 12개의 각 모서리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의
F
개수는 4개씩이므로 12_4개이고,
평면 ABC, ACD, ADE, ABE, FBC, FCD, FDE, FBE와
이때 꼬인 위치에 있는 두 모서리의 한 쌍을 두 번씩 중복해서
평면 BCDE, ABFD, ACFE이므로
12_4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11이다. 세주었으므로 구하는 개수는 =24이다. (참)
2
다른 풀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6개의 꼭짓점 중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다른 풀이

6 C3=20이고,  yy ㉠ ㄴ. ‌정육면체의 12개의 모서리 중 서로 평행한 것끼리 묶으면 다음과


이 중 4개 이상의 점이 한 평면을 결정할 때를 중복해서 세어준 같다.
경우의 수만큼을 빼주어야 한다. 모서리 AB, CD, EF, GH
4개 이상의 점이 한 평면을 결정하는 경우는 모서리 AD, BC, EH, FG
평면 ABFD, ACFE, BCDE로 3가지이고, 모서리 BF, CG, DH, AE
㉠에서 이 평면을 중복해서 4C3=4(번)씩 세주었으므로 그러므로 모서리 중 서로 평행한 두 모서리를 택하는 경우의
다시 3번씩을 빼주어야 한다. 수를 구하면
따라서 구하는 평면의 개수는 20-3_3=11이다. 4 C2_3=18이다. (참)

482  ③
ⅠⅠⅠ
ㄱ. ‌직선 CD와 직선 BQ가 평행하거나 한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공
네 점 B, C, D, Q는 한 평면 위에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점 간

Q는 평면 BCD 위의 점이 아니므로 직선 CD와 직선 BQ는 형

꼬인 위치에 있다.
ㄴ. ‌점 A는 평면 BCD 위의 점이 아니므로 직선 AD와 직선 BC는 공

꼬인 위치에 있다.
ㄷ. ‌선분 A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P는 삼각형 ABC의
484  ① 좌

무게중심이므로 BPÓ`:`PMÓ=2`:`1을 만족시키는 선분 BM 위의 ㄱ. ‌한 직선에 수직인 서로 다른 두 평면은 항상 평행하다. (참)


점이다. 또한 점 Q는 삼각형 ACD의 무게중심이므로 l

DQÓ`:`QMÓ=2`:`1을 만족시키는 선분 DM 위의 점이다.


이때, 삼각형 BDM과 삼각형 PQM은 서로 닮음이므로 선분 =
PQ와 선분 BD는 서로 평행하다. 즉, 직선 PQ와 직선 BD는
서로 평행하다. >
따라서 두 직선이 꼬인 위치에 있는 것은 ㄱ, ㄴ이다.

ㄴ. ‌한 평면에 평행인 서로 다른 두 직선은 다음과 같이 한 점에서


483  ⑤
만날 수도, 평행할 수도, 꼬인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거짓)
ㄱ. ‌선분 BG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 한 점에서 만난다. 평행하다. 꼬인 위치에
m m 있다.
A D m
l l m m
B C m m l l l
l l m
E m l
H l

F = = = = = =
G
= = =
모서리 AD, CD, AE, DH, EH, EF로 6개이다. (참)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87
ㄷ. ‌한 직선에 평행인 서로 다른 두 평면은 다음과 같이 한 직선에서 ?
m
만날 수도, 평행할 수도 있다. (거짓)
한 직선에서 만난다. 평행하다. =
l >
l l
n
> >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l l = =

= = > > 486   풀이 참조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평면 a 위의 임의의 직선 c에 대하여 점 O를 지나도록 평행이동한
직선을 c'이라 하고,
평면 a 위에서 세 직선 m, n, c'과 점 O가 아닌 점에서 만나는
직선을 그어 그 교점을 차례로 A, B, C라 하자.
l

485  ④

① ‌직선 l과 평면 a가 평행하면 직선 l과 평면 a에 포함된 직선 m은 O


A
C B n
만나지 않는다. 이때, 두 직선 l, m이 한 평면 b 위에 있으므로 = m c'
두 직선 l, m은 평행하다. (참)
P'
l 직선 l 위에 OPÓ=OP'Ó인 서로 다른 두 점 P, P'을 잡으면
두 직선 m, n은 모두 선분 PP'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m
APÓ=AP'Ó, BPÓ=BP'Ó이고,
=
선분 AB는 공통이므로 두 삼각형 PAB, P'AB는 합동이다.
> 따라서 ∠PAC=∠P'AC이고,
② ‌직선 l이 평면 a 위의 서로 다른 두 직선과 수직이면 직선 l은 선분 AC는 공통이므로 두 삼각형 PAC, P'AC는 합동이다.
평면 a와 수직이다. (참) ∴ CPÓ=CP'Ó
③ ‌두 평면 a, b가 평행하지 않다고 가정하면 두 평면 a, b의 교선 삼각형 PCP'은 이등변삼각형이고 점 O는 선분 PP'의 중점이므로
n이 존재한다. la, ma이고 직선 n은 평면 a와 두 직선 l, 두 선분 PP', OC가 서로 수직이다.
m을 포함하는 평면 b의 교선이므로 ln, mn이다. 즉, 즉, l⊥c'이므로 l⊥c이다.
lm이고, 이는 두 직선 l, m이 한 점 P를 지난다는 가정에 따라서 직선 l은 평면 a 위의 임의의 직선과 수직이므로 l⊥a이다.
모순이므로 ab이다. (참)
채점 요소 배점
m
l 평면 위의 임의의 직선을 점 O를 지나도록 평행이동시키기 10 %
두 삼각형 PAB, P'AB가 합동임을 설명하기 30 %
>
n 삼각형 PCP'이 이등변삼각형임을 설명하기 30 %
직선 l이 직선 c'과 수직이므로 평면 a와 수직임을 설명하기 30 %

=
④ ‌세 평면 a, b, c의 교선 l, m, n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가능하다. (거짓) 487  ③

일치한다. 평행하다. 한 점에서 만난다. 삼각형 BED는 정삼각형이므로 점 I는 선분 BD의 중점이다.


?? ?
mm m 선분 EA가 두 선분 AB, AD와 수직이므로
? ? ? nn n
>> > >> > 평면 ABD와 수직이고, 선분 AI와도 수직이다.
?? ?
l=m=n
l=m=n
l=m=n
== = l l = =l = ll l 따라서 직각삼각형 EAI에서
>> > == =
mm m
nn n 3'2 3'6
AIÓ= , AEÓ=3이므로 EIÓ=
2 2
⑤ ‌직선 l과 평면 c가 평행하므로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직선 l과
'3
평면 c 위의 두 직선 m, n도 만나지 않는다. 이때, 두 직선 l, cos`(∠AIE)=
3
m이 한 평면 a 위에 있으므로 평행하고, 마찬가지로 두 직선 l, 따라서 직각삼각형 AIJ에서
n이 한 평면 b 위에 있으므로 평행하다. 따라서 세 직선 l, m, 3'2 '3 '6
IJÓ=AIÓ  cos`(∠AIE)= _ =
n은 서로 평행하다. (참) 2 3 2

88 기하
488  ① B
30æ
6Â3

30æ
A

직선 FG와 평면 ABFE는 수직이므로 6


두 직선 AF와 FG는 서로 수직이다. I 30æ H
따라서 삼각형 AFG는 직각삼각형이므로 점 I에서 C D
J 30æ
직선 AF, FG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J, K라 하면
AHÓ=ABÓ sin`30ù=3'3
세 삼각형 AFG, AJI, IKG는 서로 닮음이다.
BHÓ=9, HDÓ=3이므로 점 H에서 선분 BC, CD에 내린
A
수선의 발을 각각 I, J라 하면
I '3 9'3
J HIÓ=BHÓ cos`30ù=9_ =
2 2
1 3
HJÓ=DHÓ sin`30ù=3_ =
2 2

∴ CHÓ=¿¹HIÓ Û`+HJÓ Û`=¾Ð{


9'3 Û`
} +{ }Û` =3'7
F G 3
K 2 2
이때, 점 I는 선분 AG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입체도형의 직각삼각형 AHC에서
점 J는 선분 AF를 1`:`2로 내분하는 점이고, 점 K는 ACÓ=¿¹AHÓ Û`+CHÓ Û`=¿¹(3'3)Û`+(3'7)Û` =3'1Œ0
선분 FG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다.
따라서 AFÓ=3'2, FGÓ=3에서 FJÓ=2'2, FKÓ=1
490  ②
∴ FIÓ=¿¹(2'2)Û`+1Û` =3
사면체 ABCD를 직선 AC와 직선 BD에 평행한 평면으로 자를 때
다른 풀이
생기는 단면을 그림과 같이 사각형 PQRS라 하자.
‘2. 공간좌표’ 단원을 공부한 이후 다음과 같이 풀 수 있다. A
z
S
D P
C
D
B
A B R
I
ⅠⅠⅠ
Q
G C
O y
두 직선 PQ, RS는 직선 AC와 평행하고, 공
{=H}
E 간
F 두 직선 PS, QR는 직선 BD와 평행하므로 도
x 형
사각형 PQRS는 평행사변형이다. yy TIP 과
주어진 그림을 좌표공간에 H(0, 0, 0), E(3, 0, 0), G(0, 3, 0), APÓ`:`BPÓ=m`:`n이라 하면

D(0, 0, 3)이 되도록 놓으면 두 삼각형 ABC, PBQ가 서로 닮음이므로 간
점 A의 좌표는 (3, 0, 3)이므로 선분 AG를 1`:`2로 내분하는 점 I의 PQÓ`:`ACÓ=PBÓ`:`ABÓ=n`:`(m+n) 좌

좌표는 (2, 1, 2)이다. n 3n
∴ PQÓ= _ACÓ=
점 F의 좌표는 (3, 3, 0)이므로 m+n m+n
∴ FIÓ="Ã(3-2)Û`+(3-1)Û`+(0-2)Û` =3 두 삼각형 ABD, APS가 서로 닮음이므로
PSÓ`:`BDÓ=APÓ`:`ABÓ=m`:`(m+n)
m 3m
∴ PSÓ= _BDÓ=
m+n m+n

489  ④ 따라서 구하는 사각형 PQRS의 둘레의 길이는


3n 3m
2(PQÓ+PSÓ)=2_{ + }=6
점 A에서 직선 B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m+n m+n
두 평면 ABD와 BCD는 수직이므로 선분 AH는 평면 BCD와 TIP
수직이고, 따라서 선분 CH와도 수직이다.
평면 PQRS가 선분 AC와 평행할 때,
A
평면 PQRS 위의 모든 직선은 직선 AC와 만나지 않으므로 두
직선 PQ, RS는 직선 AC와 만나지 않는다.
B D 이때, 두 직선 PQ, AC가 한 평면 위에 있으므로 서로 평행하고,
H
두 직선 RS, AC가 한 평면 위에 있으므로 서로 평행하다.
C
그러므로 두 직선 PQ, RS는 서로 평행하다.
마찬가지 방법에 의하여 두 직선 PS, QR는 서로 평행하다.
이때, 직사각형 ABCD에서 ABÓ=6'3, BCÓ=6이므로
따라서 사각형 PQRS는 평행사변형이다.
∠ABD=30ù이다.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89
491  ② 494  ⑤

두 직선 FH, BD가 평행하므로 주어진 정팔면체에서 모든 면은 정삼각형이고,


직선 AB와 직선 FH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사각형 ABFD, ACFE, BCDE는 정사각형이다.
직선 AB와 직선 BD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정사각형 ACFE에서 직선 CF와 직선 AE가 평행하므로
이때, 삼각형 ABD에서 ABÓ=ADÓ이므로 직선 AB와 직선 CF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선분 BD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MB=90ù이다. 직선 AB와 직선 AE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직각삼각형 AMB에서 ABÓ=2, BMÓ='2이므로 '3
sinÛ``a=sinÛ``60ù={ }Û`=
3
'2 2 4
cos`a=
2 선분 CE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두 직선 HI, BC가 평행하므로 사각형 ACFE에서 두 직선 AM, CE가 수직이고,
직선 AB와 직선 HI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사각형 BCDE에서 두 직선 BM, CE가 수직이므로
직선 AB와 직선 BC가 이루는 각의 크기 60ù와 같다. 직선 CE는 평면 AMB와 수직이고,
1 평면 AMB 위의 직선 AB와도 수직이다.
∴ cos`b=cos`60ù=
2 sinÛ``b=sinÛ``90ù=1Û`=1
'2 Û`
} +{ }Û`=
1 3 3 7
∴ cosÛ``a+cosÛ``b={ ∴ sinÛ``a+sinÛ``b= +1=
2 2 4 4 4

495  ⑤

492  ④ ㄱ. ‌주어진 그림은 사면체의 전개도이므로 ADÓ=AEÓ이다.


따라서 ACÓ=AEÓ=BEÓ에서 삼각형 DAC는
직선 CD와 직선 EF가 서로 평행하므로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두 직선 MF, CD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CDÓ='2_ACÓ='2_BEÓ
두 직선 MF, EF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 CPÓ='2_BPÓ (참)
삼각형 MEF는 MEÓ=MF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ㄴ. ‌직선 CP와 평면 ABC의 교점은 점 C이므로 직선 AB와 직선
선분 EF의 중점을 N이라 하면
CP는 서로 만나지 않는다. 즉, 직선 AB와 직선 CP는 꼬인
직선 MN과 직선 NF는 서로 수직이다.
위치에 있다. (참)
따라서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ㄷ. ‌주어진 그림에서 선분 AC는 두 선분 DA, AB와 수직이므로
직각삼각형 MNF에서
선분 AC와 평면 ABP는 서로 수직이다. 따라서 선분 AC와
'6
MFÓ=¾Ð{ a}Û`+{ a}Û`+aÛ` =
1 1
2 2 2
a, 선분 PM은 서로 수직이다. 이때, 선분 AB와 선분 PM은 서로
1 수직이므로 선분 PM과 평면 ABC는 서로 수직이다. 즉,
NFÓ= a이므로
2 직선 PM과 직선 BC는 서로 수직이다. (참)
NFÓ 1 '6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cos`h= = =
MFÓ '6 6
참고

주어진 전개도를 접은 사면체는 그림과 같다.


P
C

493  ② A

두 직선 AC, DF가 평행하므로 M


직선 AC와 직선 BF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직선 DF와 직선 BF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B
주어진 입체도형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삼각형 BDF에서 BDÓ=BFÓ='2a, DFÓ=a이다.
선분 DF의 중점을 M이라 하면 ∠BMD=90ù이므로
직각삼각형 BMD에서 496  ④
1
a '2 구하는 값은 그림과 같은 정사면체에서 두 모서리 BC, AD 사이의
DMÓ 2
cos`h=cos`(∠BDM)= = =
BDÓ '2a 4 거리와 같다.

90 기하
A PAÓ⊥l, AOÓ⊥l이므로 직선 l은 평면 PAO와 수직이다.
N POÓ는 평면 PAO 위에 있으므로 POÓ⊥l이다.
2
그런데 POÓ⊥AOÓ이므로 POÓ는 두 직선 AO와 l로 결정되는 평면
D
a와 수직이다. 즉, POÓ⊥a이다.
B
M 채점 요소 배점
C ⑴의 빈칸 채우기 10 %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고, 선분 AD의 중점을 N이라 하면 ⑴의 증명`:` 직선 l이 직선 PO, 직선 OA와 수직임을 설명하여
40 %
선분 BC가 두 선분 AM, DM과 수직이므로 PAÓ⊥l임을 증명하기
선분 BC가 평면 AMD와 수직이고, 선분 MN과도 수직이다. ⑵의 빈칸 채우기 10 %
AMÓ=DMÓ이므로 이등변삼각형 AMD에서 선분 MN은 선분 ⑵의 증명`:` 직선 l이 직선 PO와 수직임을 설명하여 POÓ⊥a임을
40 %
AD와 수직이다. 증명하기
즉, 선분 MN이 두 선분 AD, BC와 수직이므로
두 모서리 AD, BC 사이의 거리는 MNÓ과 같다.
직각삼각형 ANM에서 AMÓ='3, ANÓ=1이므로
MNÓ=¿¹('3 )Û`-1Û` ='2 499   60

ABÓ=ACÓ이므로 선분 BC의 중점을 H라 하면 두 직선 AH, BC는

497   '6
3
서로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두 직선 DH, BC는 서로 수직이다.
선분 CG와 평면 ABCD가 수직이므로 l
선분 CG와 선분 BD가 수직이고, D
선분 AC와 선분 BD가 수직이므로
선분 BD는 평면 ACG와 수직이다. A C
따라서 점 P는 선분 BD와 평면 ACG의 교점이므로
H
두 선분 AC, BD의 교점이다.
직각삼각형 ACG에서 AGÓ=2'3, CGÓ=2이므로 = B
ⅠⅠⅠ
1 공
∠CAG=h라 하면 sin`h=
'3 직각삼각형 AHB에서 AHÓ="Ã10Û`-6Û` =8 간

APÓ='2이므로 직각삼각형 AQP에서 직각삼각형 DAH에서 DHÓ="Ã6Û`+8Û` =10




'2 '6 따라서 삼각형 DBC의 넓이는 과
PQÓ=APÓ sin`h= =
'3 3 1 1
_BCÓ_DHÓ= _12_10=60 공
2 2 간

498   풀이 참조 표

⑴ POÓ⊥a, OAÓ⊥l이면 PAÓ⊥l 이다.


(증명)       P
500  ①

선분 PH는 평면 a와 수직이고,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선분 PM과 선분 AB는 서로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l 선분 HM과 선분 AB는 서로 수직이다.
O
A 삼각형 PAB는 한 변의 길이가 6인 정삼각형이므로 PMÓ=3'3이다.
=
이때, 삼각형 PMH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POÓ⊥a이고 직선 l은 평면 a 위에 있으므로 POÓ⊥l이다.
HMÓ=¿¹(3'3)Û`-4Û` ='1Œ1
OAÓ⊥l이므로 직선 l은 평면 PAO와 수직이다.
따라서 점 H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1Œ1이다.
PAÓ는 평면 PAO 위에 있으므로 PAÓ⊥l이다.
⑵ PAÓ⊥l, OAÓ⊥l, POÓ⊥OAÓ이면 POÓ⊥a 이다.
(증명)       P

501  ②

l 선분 BC의 중점을 H라 하면 선분 AH와 선분 BC는 서로


O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PH와 선분 BC는 서로
A
= 수직이다.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91
P 따라서 사면체 ABCD의 부피는
1 '3Œ5
4 _'5_'7=
3 3
A
= C

H6
B 504  ④

선분 DH가 두 선분 GH, EH와 각각 수직이므로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에서 빗변 BC의 중점 H는 삼각형 ABC의
선분 DH는 평면 GHE와 수직이고,  yy ㉠
외심이므로 AHÓ=3이다.
선분 DI가 선분 GM과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이때, 삼각형 PAH는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HI가 선분 GM과 수직이다.
PHÓ="Ã4Û`+3Û` =5
4
따라서 점 P에서 직선 BC까지의 거리는 5이다. H G

I 4

502  ④

OAÓ=2, ∠PAO=45ù이므로 직각삼각형 POA에서 E F


M 2
OPÓ=2, APÓ=2'2 그림과 같이 밑면 EFGH에서
∠PHO=60ù이므로 직각삼각형 POH에서 ∠GMF=∠HGI이므로 두 삼각형 GMF, HGI는 서로 닮음이다.
OPÓ 4 직각삼각형 GMF에서 GMÓ=2'5이므로
PHÓ= =
sin`60ù '3
2
한편, 선분 OP가 평면 a에 수직이고, 선분 OH가 선분 AB와 sin`(∠GMF)=
'5
수직이므로 8
직각삼각형 GIH에서 HIÓ=4 sin`(∠HGI)=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PH와 선분 AB가 수직이다. '5
즉, ∠PHA=90ù이므로 직각삼각형 PHA에서 한편, ㉠에 의하여 선분 DH는 평면 GHE 위의 선분 HI와
4 2'6 수직이므로 직각삼각형 DHI에서
AHÓ=¾Ð(2'2)Û`-{ }Û` =¾Ð8-
16 8
=¾ =
'3 3 3 3 8 12'5
DIÓ=¾Ð4Û`+{ }Û` =
따라서 삼각형 PHA의 넓이는 '5 5
1 2'6 4 4'2
_ _ =
2 3 '3 3

505  ②

503  ⑤
선분 AE가 두 선분 EH, EF와 모두 수직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그림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선분 AE는 평면 EFH와 수직이다.
A 점 I에서 선분 HJ에 내린 수선의 발을 P라 하면
D C
4
A B
D I
B H G
3
3 P
2 60æ
E
1 J F
C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ADÓ⊥BDÓ, ADÓ⊥CDÓ이므로
선분 EP와 선분 HJ가 수직이다.
선분 AD는 평면 BCD와 수직이고,
이때, 삼각형 EJH의 넓이는
선분 AB가 선분 BC와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1 1
선분 BD가 선분 BC와 수직이다. _EHÓ_EJÓ= _HJÓ_EPÓ이므로
2 2
직각삼각형 CBD에서 BDÓ="Ã3Û`-2Û` ='5 이므로 1 1 4
_4_1= _'1Œ7_EPÓ에서 EPÓ=
1
삼각형 CBD의 넓이는 _2_'5='5
2 2 '1Œ7
2 직각삼각형 IEP에서
직각삼각형 ABC에서 ACÓ=4이므로 4 Û` 13 13'1Œ7
IPÓ=¾Ð3Û`+{ }= =
직각삼각형 ADC에서 ADÓ="Ã4Û`-3Û` ='7 '1Œ7 '1Œ7 17

92 기하
13'1Œ7
즉, 점 I와 직선 HJ 사이의 거리는
17
이다. 508   ②, ④

① ‌한 평면에 수직인 서로 다른 두 평면은 다음과 같이 만날 수도,


평행할 수도 있다. (거짓)

506   15 만난다. 평행하다.


? ? = = ? ?
서로 수직인 두 평면 a, b의 교선을 l이라 하면 직선 AB는 교선 l과 = =

평행하다.  yy ㉠
>> >>

P ② ‌평면 a가 직선 l과 평행하고, 평면 b가 직선 l과 수직일 때, 두


> 평면 a, b의 교선을 m이라 하자. 직선 l과 평면 b의 교점을 P라
하고, 점 P에서 직선 m에 내린 수선의 발을 P'이라 하자. 직선
B
l과 평행하고 점 P'을 지나는 평면 a 위의 직선 l'에 대하여
Q R
A = PP'Ó⊥m, l'⊥m이고, 평행선의 성질에 의하여 PP'Ó⊥l'이므로
l a⊥b이다. (참)
점 P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점 Q에서 직선 AB에 내린
>
수선의 발을 R라 하자.
점 A와 평면 b 사이의 거리가 2이므로 ㉠에 의하여 QRÓ=2 P
l
점 P와 평면 a 사이의 거리가 4이므로 ㉠에 의하여 PQÓ=4
직각삼각형 PQR에서 P'
l'
PRÓ=¿¹QRÓ Û`+PQÓ Û` ="Ã2Û`+4Û` =2'5
=
또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두 직선 PR와 AB는 수직이므로
m
구하는 삼각형 PAB의 넓이는
1 1 ③ ‌직선 l이 평면 a와 평행하고, 평면 a와 평면 b가 수직이면 직선
_ABÓ_PRÓ= _3'5_2'5=15
2 2
ⅠⅠⅠ
l은 평면 b와 수직으로 만날 수도 있고, 수직으로 만나지 않을
참고 수도 있다. (거짓)

풀이에서의 그림과 같이 점 P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이 한 점에서 간

선분 AB의 내분점이 될 수도 있지만, 이 문제만 읽었을 때에는 평행하다. 수직이다. 만나지만, 형
수직이 아니다. 과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그렇지 않더라도 구하는 과정은
크게 다르지 않고 답은 동일하게 나온다. ll l 공
ll l
>> > >> > >> > 간

ll l 표

== = == = == =
507  ③
④ ‌두 평면 a, b의 교선을 m이라 하면 l⊥m이다. 또한 두 직선 l,
직선 m 위의 한 점 A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B라 하고, m의 교점을 지나고 직선 m에 수직인 평면 a 위의 직선을 n이라
점 B에서 직선 n에 내린 수선의 발을 C라 하자. 할 때, l⊥n이다. 즉,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 A m 90ù이므로 a⊥b이다. (참)
⑤ ‌두 평면 a, b가 서로 수직일 때, 평면 a에 포함된 직선은 다음과
P 60æ 같이 평면 b와 수직으로 만날 수도, 평행할 수도, 한 점에서
30æ l
B 만나지만 수직으로 만나지 않을 수도 있다. (거짓)
C n
>
두 평면 a, b가 서로 수직이므로 선분 AB가 평면 b와 수직이고,
선분 BC가 직선 n과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AC가 직선 n과 수직이다. >
BPÓ=a라 하면 직각삼각형 ABP에서 APÓ=2a,
'3 =
직각삼각형 PBC에서 CPÓ= a
2
'3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④이다.
따라서 직각삼각형 ACP에서 cos`h=cos`(∠APC)=
4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93
509  ④ 512  ①

선분 BC의 중점을 N이라 하면 두 평면 a, b의 교선과 두 선분 PQ, PR가 수직이므로


선분 BC는 두 선분 MN, DN과 수직이므로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선분 PQ, PR가 이루는 각의
두 평면 BMC, BDC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크기와 같다.
두 직선 MN, DN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AQÓ=3'2이므로 직각삼각형 APQ에서 APÓ=PQÓ=3
A 직각삼각형 APR에서 PRÓ='3
M 삼각형 PQR에서 PQÓ=3, PRÓ='3, QRÓ='6이
PQÓ Û`=PRÓ Û`+QRÓ Û`을 만족시키므로
D
삼각형 PQR는 ∠PRQ=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B
QRÓ '6
D
N ∴ sin`h=sin`(∠QPR)= =
PQÓ 3
C
이때, 선분 AD가 두 선분 BM, CM과 수직이므로
선분 AD는 평면 BMC와 수직이고, 평면 BMC 위의 선분
MN과도 수직이다. 513  ③
즉, ∠DMN=90ù이다.
점 E에서 직선 GJ에 내린 수선의 발을 P라 할 때,
정사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두 선분 EP, KP가 선분 GJ와 수직이므로
a '3 '2
MDÓ= , DNÓ= a이므로 MNÓ= a 두 평면 EGJ와 GHIJKL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EPK와 같다.
2 2 2
따라서 직각삼각형 DMN에서 주어진 정육각기둥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고,
'2 '6 밑면인 정육각형을 한 변의 길이가 a인 6개의 정삼각형으로 쪼개면
cos`h= =
'3 3 L K

G J
P

510  ②
H I
점 A에서 직선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자.
'3
이때, 삼각형 ACD의 넓이가 40이므로 이 정삼각형의 높이는 a이다.
2
1
_10_AMÓ=40에서 AMÓ=8 '3 '7
2 EKÓ=a, KPÓ= a이고, 직각삼각형 EKP에서 EPÓ= a이다.
2 2
또한, 평면 BCD와 평면 ACD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30ù이므로 KPÓ '3 '2Œ1
∴ cos`h= = =
HMÓ=AMÓ cos`30ù=4'3 EPÓ '7 7
따라서 삼각형 AHM은 직각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HÓ=¿¹8Û`-(4'3 )Û` =4

514  ③

점 O를 포함하지 않는 밑면의 원의 중심을 O'이라 하고,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511  ④
두 선분 O'M, OM이 선분 AB에 수직이므로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자. 평면 OAB와 밑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OMO'과 같다.
이등변삼각형 ABC에서 ABÓ=7이고 BCÓ=6, BMÓ=3이므로 B M
직각삼각형 AMB에서 AMÓ="Ã7Û`-3Û` =2'1Œ0 O' A

또한, 이등변삼각형 BCD에서 BDÓ=5이므로


Â5
직각삼각형 BMD에서 DMÓ="Ã5Û`-3Û` =4
따라서 삼각형 AMD는 ADÓ=DM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O 2
선분 AM의 중점을 H라 하면 MHÓ='1Œ0이고,
OAÓ=¿¹2Û`+('5 )Û` =3이므로
이면각의 정의에 의하여 ∠DMH=h이므로 3'3
직각삼각형 DHM에서 정삼각형 OAB에서 OMÓ= 이고, OO'Ó='5이므로
2
MHÓ '1Œ0 3'3 Û` '7
cos`h= =
4 O'MÓ=¿¹OMÓ Û`-OO'Ó Û` =¾Ð{ } -('5 )Û` =
DMÓ 2 2

94 기하
O'MÓ '7 7 A N
cos`(∠OMO')= = 이므로 cosÛ``h=
OMÓ 3'3 27
> >
따라서 p=27, q=7이므로 p+q=27+7=34

D
> = > =
B G
515  ①
따라서 a+2b=180ù이므로
M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자. ㉠에서 h=(a+2b)-(a+b)=b이다.


삼각형 PAB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므로 PMÓ='3이다.
;2!; ABÓ
또한, 점 P에서 평면 A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N이라 하면 1 '3
∴ cos`h=cos`b= = =
삼각형 PBD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N은 선분 BD의 중점이고, BMÓ '3 3

BDÓ=2'2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PNÓ='2이다.


삼각형 PNM에서 ∠MPN=180ù-h (∵ 90ù<h<180ù)이므로
PNÓ '2 '6 518   11
15
cos`(180ù-h)= = =
PMÓ '3 3
'6 두 구가 서로 외접할 때,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두 구의
∴ cos`h=-
3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yy 참고
ABÓ=ACÓ=4, BCÓ=2이다.
세 구 S1, S2, S3이 평면 a와 접하는 점을 각각 A', B', C'이라 하면
516  ⑤ AA'Ó=3, BB'Ó=1, CC'Ó=1이다.
A'A''Ó=1인 선분 AA' 위의 점 A''을 잡으면
그림과 같이 선분 QC의 중점을 S라 하면 평면 PQR와 평면 DSG는
평면 A''BC는 평면 a에 평행하다.
서로 평행하다.
A
A P
D
B
A"
B C B'
Q S A'

ⅠⅠⅠ
D M C
3 E H
= C'

F
G
삼각형 ABC, A''BC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선분 BC의 중점을 간
R

M이라 하면
이때, SCÓ=1, CDÓ=3에서 SDÓ='1Œ0이고, 선분 DG의 중점을 형
평면 ABC와 평면 a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AMA''과 같다. 과
M이라 하면 삼각형 SGD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선분 SM은 선분
DG와 서로 수직이다. AMÓ=¿¹ACÓ Û`-CMÓ Û`="Ã4Û`-1Û` ='1Œ5 공

3'2 AA''Ó=2이므로 직각삼각형 AA''C에서 좌
DGÓ=2MDÓ=3'2에서 MDÓ=
2
A''CÓ=¿¹ACÓ Û`-AA''Ó Û`="Ã4Û`-2Û` =2'3

직각삼각형 SMD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3'2 Û` '2Œ2 A''MÓ=¿¹A''CÓ Û`-CMÓ Û`=¿¹(2'3)Û`-1Û` ='1Œ1
SMÓ=¿¹SDÓ Û`-MDÓ Û`=¾Ð('1Œ0 )Û`-{ }=
2 2 직각삼각형 AMA''에서
또한, CMÓ=
3'2 '1Œ1
이므로 cos`h=cos`(∠AMA'')=
2 '1Œ5
CMÓ 3 3'1Œ1 11
cos`h= = = ∴ cosÛ``h=
SMÓ '1Œ1 11 15

참고

517
‘두 구의 위치 관계’는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으나 몇몇 학교
 ④
내신에서는 이를 포함한 문제를 출제하기도 한다.
두 선분 CD, EF의 중점을 각각 M, N이라 하면 그림과 같이 한 구가 다른 구의 외부에서 접할 때, 두 구의
선분 CD는 네 선분 AM, NM, BM, GM에 모두 수직이다. 중심 사이의 거리를 d,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1, r2라 하면
따라서 평면 ACD와 평면 BCD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a라 하고 d=r1+r2인 관계가 성립한다.
평면 EDCF와 평면 GCD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b라 하면
d
평면 ACD와 평면 EDCF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h=180ù-(a+b)이다.  yy ㉠ r¡ r™

또한, ABÓ=NMÓ=2, BMÓ=AMÓ=MGÓ=NGÓ='3이므로


두 이등변삼각형 ABM, NMG는 서로 합동이다.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95
519  ⑤
D C

P
선분 FH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G에서 평면 BFHD에 내린
수선의 발이 M이므로 A B
Q M
선분 BG의 평면 BFHD 위로의 정사영은 선분 BM이다.
두 삼각형 APQ, ACB가 닮음이므로
이때,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AQÓ`:`PQÓ=ABÓ`:`BCÓ=2`:`1에서 AQÓ=2x
BGÓ='2a이고,
ADÓ=AMÓ=3에서 ∠DMA=45ù이므로
Â2a
B D QMÓ=PQÓ=x
AMÓ=AQÓ+QMÓ=2x+x=3x=3에서 x=1
a 즉, PQÓ=1, AQÓ=2이고, APÓ="Ã2Û`+1Û` ='5  yy ㉠
두 평면 AEHD, BFGC가 평행하므로 직선 PE와 평면 AEHD가
F H 이루는 각의 크기가 a이다. 점 P에서 평면 AEHD에 내린 수선의
M
직사각형 BFHD에서 BFÓ=a, HFÓ='2a이므로 발을 P'이라 하면
'2 Û` '6 EP'Ó
BMÓ=¾ÐaÛ`+{
cos`a=
a} = a EPÓ
2 2
BGÓ cos`h=BMÓ이므로 이때, EPÓ=¿¹AEÓ Û`+APÓ Û` =¿¹3Û`+'5 Û` ='1Œ4,
'6 EP'Ó=¿¹AEÓ Û`+AP'Ó Û` ="Ã3Û`+1Û` ='1Œ0 (∵ AP'Ó=PQÓ=1)이므로
'2a cos`h= a
2 '1Œ0 5
cos`a= =¾
'3 '1Œ4 7
∴ cos`h=
2 또한, 두 평면 AEP와 BFGC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평면 AEP와 AEHD가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이때, 두 직선 AD, AP가 두 평면의 교선에 수직이므로

520  ③ b=∠DAP이다.
PQÓ 1
cos`b= = (∵ ㉠)
점 G의 평면 ABCD, ABFE 위로의 정사영은 APÓ '5
각각 점 C, 점 F이고, 5 1 1
∴ cosÛ``a_cosÛ``b= _ =
점 A의 평면 BFGC 위로의 정사영은 점 B이므로 7 5 7
AGÓ='6, ACÓ='5, BGÓ='5, AFÓ='2 에서
'5 '5 '2
cos`a= , cos`b= , cos`c=
'6 '6 '6
5 5 1
∴ cosÛ``a+cosÛ``b+cosÛ``c= + + =2
522  ③
6 6 3
정삼각형 ABD에서 선분 AD가 선분 BM과 수직이고,
참고 정삼각형 ACD에서 선분 AD가 선분 CM과 수직이므로
‘2. 공간좌표’ 단원을 공부한 이후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선분 AD는 평면 BMC와 수직이다.
좌표공간에서 두 점 A(0, 0, 0), G(x, y, z)를 즉, 점 A에서 평면 BCM에 내린 수선의 발이 M이므로
두 꼭짓점으로 하는 직육면체 ABCD-EFGH를 생각하자. 직선 AB와 평면 BCM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직선 AG가 세 평면 ABCD, BFGC, ABFE와 이루는 각의 두 직선 AB, BM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크기를 각각 a, b, c라 할 때 즉, h=∠ABM=30ù
cosÛ``a+cosÛ``b+cosÛ``c '3
cos`h=cos`30ù= 이므로
xÛ`+yÛ` yÛ`+zÛ` zÛ`+xÛ` 2
= + +
xÛ`+yÛ`+zÛ` xÛ`+yÛ`+zÛ` xÛ`+yÛ`+zÛ` 3
cosÛ``h= 에서 p=4, q=3
2(xÛ`+yÛ`+zÛ`) 4
= =2
xÛ`+yÛ`+zÛ` ∴ p+q=7
이다. 또한,
sinÛ``a+sinÛ``b+sinÛ``c=3-(cosÛ``a+cosÛ``b+cosÛ``c)=1
이다.
523  ⑤

사각형 ABFE에서 두 대각선의 교점을 M이라 하면


점 M은 두 평면 AFGD, BEG 위의 점이다.
521  ①
또한, 점 G는 두 평면 AFGD, BEG 위의 점이므로
점 P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하고, PQÓ=x라 하면 직선 MG는 두 평면 AFGD, BEG의 교선 l과 일치한다.

96 기하
D C ABÓ=4이고, ∠BAC=45ù이므로 직각삼각형 ACB에서
ACÓ=BCÓ=2'2이다.
B
A 세 점 A, B, C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을 각각 A', B', C'이라 하면
선분 AC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l
M G
H A'C'Ó=ACÓ=2'2
선분 BC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E
N F 1
B'C'Ó=BCÓ cos`60ù=2'2_ ='2
점 M에서 선분 EF에 내린 수선의 발을 N이라 하자. 2
이때, 직선 MN과 평면 EFGH는 서로 수직이므로 따라서 선분 AB의 평면 b 위로의 정사영인 선분 A'B'의 길이는
두 직선 MN과 GN은 서로 수직이다. A'B'Ó=¿¹A'C'Ó Û`+B'C'Ó Û`
따라서 두 직선 MG와 GN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h이다. =¿¹(2'2)Û`+('2 )Û` ='1Œ0

MNÓ= AEÓ=2, GNÓ=¿¹NFÓ Û`+FGÓ Û` ="Ã1Û`+3Û` ='1Œ0이므로


1
2
직각삼각형 MNG에서 MGÓ=¿¹2Û`+('1Œ0 )Û` ='1Œ4

∴ cosÛ``h=
GNÓ Û` 10 5
= =
526  ④
MGÓ Û` 14 7 원기둥을 자른 단면인 타원의 장축은 원기둥을 자른 평면과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교선에 수직이고,
타원의 단축은 교선에 평행하다.

524  ③ 즉, 타원의 단축의 원기둥의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직선 l 위의 한 점 P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하면 단축의 길이는 밑면인 원의 지름의 길이인 8과 같다.
점 Q는 직선 m 위의 점이고, 타원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가 8이므로
점 Q에서 직선 n에 내린 수선의 발을 R라 하면 장축의 길이는 2_"Ã4Û`+4Û` =8'2이다.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PR와 직선 n이 수직이다. 타원의 장축의 원기둥의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l
P 길이는
밑면인 원의 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ⅠⅠⅠ
45æ 1 공
8'2_cos`h=8에서 cos`h=
'2
m 간
A Q

D R 1
30æ ∴ A'B'Ó=ABÓ  cos`h=8_ =4'2 형
= n '2 과

AQÓ=a라 하면 직각삼각형 PQA에서 APÓ='2a이고, 공

'3

직각삼각형 ARQ에서 ARÓ= 좌
a이므로
2
직각삼각형 APR에서
527  ④

'3 Û` '5
PRÓ=¿¹APÓ Û`-ARÓ Û` =¾Ð('2a)Û`-{
점 A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은 정삼각형 BCD의 무게중심과
a} = a
2 2 같다.
'5 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을 G라 하고, 점 P의 평면 BCD 위로의
a
PRÓ 2 '1Œ0 정사영을 P'이라 하면
∴ sin`h= = =
APÓ '2a 4
점 P가 선분 AC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P'은 선분 GC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D

525  ②
8
그림과 같이 점 A를 지나고 두 평면 a, b의 교선에 평행한 직선이
G P'
점 B를 지나고 두 평면 a, b의 교선에 수직인 직선과 만나는 점을
C라 하자. B C
M Q
B =
선분 BC의 중점을 M, 점 P'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A 45æ
60æ C 하면 두 삼각형 GMC, P'QC의 닮음비는 4`:`3이다.
BMÓ=4, MQÓ=1에서 BQÓ=5이고,
A' C'
4'3
이므로 P'QÓ= GMÓ='3이다.
1 3
B' > GMÓ= DMÓ=
3 3 4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97
따라서 선분 BP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 BP'의 길이는 D

BP'Ó=¿¹BQÓ Û`+P'QÓ Û`=2'7이다.


I
H

528  ④ B
M
C

삼각형 CEK의 평면 EFGH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GEF이다.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MHÓ='3이고,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1 2'3
HIÓ=2'3 _ = 이므로
'5 3 3
삼각형 CEK에서 EKÓ=KCÓ= a, CEÓ='3a
2 5'3
MIÓ=
선분 CE의 중점을 M이라 하면 3
'5 Û` '3 '2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KMÓ=¾Ð{ a} -{ a}Û` = a이므로
2 2 2 1 5'3
(삼각형 BCI의 넓이)= _6_ =5'3
삼각형 CEK의 넓이는 2 3
1 1 '2 '6
_CEÓ_KMÓ= _'3a_ a= aÛ`
2 2 2 4
1
삼각형 GEF의 넓이는 aÛ`

'6 1
2
531  ③
aÛ`_cos`h= aÛ`이므로
4 2 선분 CD의 중점을 M이라 하면
'6 두 평면 OAB, OCD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QOM과 같다.
cos`h=
3 직각삼각형 AQO에서 OAÓ=2'5, AQÓ=2이므로
OQÓ=¿¹(2'5)Û`-2Û` =4이고
직각삼각형 CMO에서 OCÓ=2'5, CMÓ=2이므로

529  ④ OMÓ=¿¹(2'5)Û`-2Û` =4이다.


O
직사각형 EFGH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N이라 하면
삼각형 MFC의 평면 EFGH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NFG이다.
1 P
삼각형 NFG의 넓이는 4_3_ =3이므로
4
(삼각형 MFC의 넓이)_cos`h=(삼각형 NFG의 넓이)에서
3 A B
(삼각형 MFC의 넓이)= =5 Q
cos`h
또한, QMÓ=4이므로 삼각형 OQM은 정삼각형이며 h=60ù이다.
한편 APÓ=POÓ이므로 삼각형 OPQ의 넓이는
1 AQÓ 1
530   ⑴ p ⑵ 5'3 2
_OQÓ_
2
= _4_1=2이다.
2
따라서 삼각형 OPQ의 평면 OCD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⑴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2_cos`60ù=1이다.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MÓ=3'3, HMÓ='3이므로
두 평면 ABC, BCD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cos`h=
1
3 532   162

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은 삼각형 ABC의 '3 '6


cos`(∠ABC)= 에서 sin`(∠ABC)= 이다.  yy ㉠
무게중심과 같으므로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3 3
따라서 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원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3
1 Â6
3p_ =p
3
⑵ 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을 H라 하자. D
선분 HD를 1`:`2로 내분하는 점을 I라 할 때, Â3
점 E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은 I이므로 직선 AP와 평면 BCD가 수직이고 선분 AQ가 선분 BC와
삼각형 BCE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BCI이다.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PQ가 선분 BC와

98 기하
수직이다. 즉, 두 평면 ABC, BCD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AQP이다. 삼각형 ABC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이
535   풀이 참조

삼각형 BCP이므로 원기둥을 자른 평면과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교선을 l이라 하면


(삼각형 BCP의 넓이) 타원의 장축은 교선 l에 수직이고, 타원의 단축은 교선 l에 평행하다.
=(삼각형 ABC의 넓이)_cos`(∠AQP) 또한 장축과 단축의 원기둥의 밑면 위로의 정사영은 밑면인 원의
1 '3 지름이 된다.
= _ABÓ_BCÓ_sin`(∠ABC)_
2 6 타원의 단축의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1 '6 '3 그 길이가 변하지 않으므로 밑면인 원의 지름의 길이인 6과 같다.
= _9_12_ _ (∵ ㉠)
2 3 6
타원의 장축의 길이를 k라 하면 타원의 장축의 밑면 위로의 정사영의
=9'2
길이는
∴ k=9'2
k cos`60ù=6이므로 k=12
∴ kÛ`=(9'2)Û`=162
따라서 타원의 장축, 단축을 각각 좌표평면 위의 x축, y축 위에 놓을 때,
xÛ` yÛ`
타원의 방정식은 + =1이고,
6Û` 3Û`
두 초점 사이의 거리는 2_"Ã6Û`-3Û` =6'3이다.
533  ⑤
채점 요소 배점
평면 b와 구가 만나서 생기는 단면의 넓이를 S라 하면 타원의 단축의 길이 구하기 30 %
Scos`30ù=2'3p이므로 타원의 장축의 길이 구하기 30 %
S=4p 타원의 방정식 구하기 20 %
즉, 이 단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고, 타원의 두 초점 사이의 거리 구하기 20 %
> O'
2

=
O 8
536  ②

30æ 선분 AA'이 평면 BCD와 수직이고, ⅠⅠⅠ


점 A에서 직선 BD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 하면
단면인 원의 중심을 O'이라 하면 공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A'E는 선분 BD와 수직이다.
OO'Ó="Ã8Û`-2Û` =2'1Œ5


A 형
즉, 구의 중심 O와 평면 b 사이의 거리는 2'1Œ5이다.

D 공
E 간

534 A' 표
 ③ B

점 A의 평면 EFGH 위로의 정사영은 점 E이다. C


한 변의 길이가 4'2인 정삼각형 AFH의 넓이는 따라서 다음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ABCD에서 두 선분 AA'과
'3 BD는 점 E에서 수직으로 만난다.
_(4'2 )Û`=8'3이고,
4 4
EFÓ=EHÓ=4인 직각이등변삼각형 FEH의 넓이는 8이므로 B A
D
두 평면 AFH, EFH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3 E
h (0ù<h<90ù)라 하면
삼각형 AFH의 평면 EFGH 위로의 정사영이 삼각형 EFH이므로 D
C D
8 1 A'
cos`h= =
8'3 '3 4
∠ABD=h라 하면 BDÓ=5이므로 cos`h=
한편,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1이므로 5
밑면의 넓이는 p이다. 직각삼각형 AEB에서 BEÓ=4 cos`h=
16
,
5
원기둥이 평면 AFH에 의하여 잘린 단면의 평면 EFH 위로의
16 9
정사영은 반원이므로 DEÓ=5- = 이므로
5 5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두 삼각형 ABE, A'DE의 닮음비는 16`:`9이다.
p ∴ AEÓ`:`A'EÓ=16`:`9
2 '3
S= cos`h = p 두 평면 ABD, BCD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a라 하면
2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99
A'EÓ 9 3
cos`a= = ∴ S=
AEÓ 16 2
한편, 삼각형 ABD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1 1
2
_4_3= _(4+3+5)_r에서 r=1이므로
2 539  ③
내접원의 넓이는 p이다.
구 모양의 축구공의 중심을 지나고, 햇빛의 방향과 수직인 평면과
따라서 삼각형 ABD의 내접원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의
지면이 만나는 교선을 l이라 할 때, 타원 모양의 그림자의 장축은
넓이는
직선 l과 수직이고, 단축은 직선 l과 평행하다.
9
p_cos`a= p 따라서 단축의 길이는 축구공의 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16
축구공의 지름의 길이는 20`cm이다.
또한, 장축의 길이가 40`cm이므로 햇빛의 방향과 수직이면서 구의
537  ③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반구의 밑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면 a의 교선에


평행한 반구의 밑면인 원의 지름을 PQ라 하자. 20
D
Q
2 40
1
40 cos`h=20에서 cos`h= 이다.
P Q'
2
30æ 그림자의 넓이를 S라 하면
= P' S cos`h=10Û`p이므로
선분 PQ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을 선분 P'Q'이라 하면 S=200p
반구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은 다음 그림과 같다.
Q'
540  ③

2 햇빛의 방향과 수직이고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이


4
지면과 만나는 교선을 l이라 하면
애드벌룬의 그림자의 장축은 직선 l과 수직이고,
P' 단축은 직선 l과 평행하다.
선분 P'Q'의 왼쪽 부분은 평면 a와 평행한 평면 위의 반지름의 장축, 단축의 길이를 각각 13a, 12a (a>0)라 하면
길이가 2인 반원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과 같고, 단축의 길이는 애드벌룬의 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선분 P'Q'의 오른쪽 부분은 평면 a와 이루는 각의 크기가 30ù인 평면 지름의 길이는 12a이고, 장축의 길이가 13a이므로
위의 반지름의 길이가 2인 반원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과 같다. 햇빛의 방향과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12a
1 1 '3
_4p+ _4p_ =(2+'3)p
2 2 2

538  ③ D
13a
삼각형 BDE의 평면 EFGH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FEH이다.
12
삼각형 BDE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이므로 13a  sin`h=12a에서 sin`h=
13
이므로
'3 '3 12
넓이가 _('2)Û`= 이고, tan`h=
4 2 5
1 1 나무의 높이를 x라 하면
삼각형 FEH의 넓이는 _1Û`= 이므로
2 2
두 평면 BDE, EFGH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3 1 1 x
cos`h= 에서 cos`h=
2 2 '3
D
따라서 평면 BDE에 수직으로 빛을 비추었을 때,
지면에 생기는 삼각형 BDE의 그림자의 넓이를 S라 하면 10
'3 12
S cos`h= x=10 tan`h=10_ =24
2 5

100 기하
'6 Û` '6 Û`
541  ⑤
cos`a=
3
{
a} +{
3
a} `-('2a)Û`
=-
1
'6 '6 2
두 평면 a, b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2_ a_ a
3 3
2 이때, h=a 또는 h=p-a이므로
S1 cos`h=S2에서 15p cos`h=10p이므로 cos`h=
3
1 1
Sn+1=Sn cos`h (n=1, 2, 3, y)이므로 cos`h=- 또는 cos`h=
2 2
2 1
수열 {Sn}은 첫째항이 15p이고,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 cosÛ``h=
3

∴ Á Sn=
4
¦ 15p
=45p
n=1
1-;3@;

544  7

542  ④ 선분 AN의 중점을 P라 하면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의 성질에 의하여 직선 MP가 직선 CN과 평행하므로 두 직선
선분 FH와 선분 BD가 평행하므로
BM, CN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두 직선 BM, MP가 이루는 각의
두 직선 FH, DM이 이루는 각의 크기는
크기 ∠BMP와 같다.
두 직선 BD, DM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A
삼각형 BDM에서 BDÓ=2'2, BMÓ="Ã1Û`+2Û` ='5, P
N
DMÓ="Ã2Û`+1Û`+2Û` =3이다.
D
M D
2Â2
D B B
D

Â5 C
3
정사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3 '3 1 '3
M BMÓ= a, MPÓ= a_ = a
2 2 2 4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한편, 삼각형 ABD에서
cos`h=
(2'2)Û`+3Û`-('5 )Û` '2
=
2
A ⅠⅠⅠ
2_2'2_3
P 공

N 도

543  ③


B D
선분 FG와 평면 ABFE는 서로 수직이므로 선분 AF와 선분 FG는 공
1 '3 간
서로 수직이다. 또한, 선분 HG와 평면 AEHD는 서로 수직이므로 NPÓ= a, BNÓ= a이므로 좌
4 2
선분 HG와 선분 AH는 서로 수직이다. 표
'3 Û` '1Œ3
BPÓ=¿¹BNÓ Û`+NPÓ Û` =¾Ð{
1
A a} +{ a}Û` = a
D 2 4 4
삼각형 BMP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 C '3 '3 Û` '1Œ3 Û`
M { a}Û`+{ a} -{ a}
2 4 4
E cos`(∠BMP)=
H
'3 '3
2_ a_ a
2 4
F
G 1
=
점 F에서 선분 AG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자. 6
정육면체 ABCD-EFGH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면 1
따라서 cos`h= 에서 p=6, q=1
6
'2
삼각형 AFG의 넓이는 aÛ`이다. ∴ p+q=7
2
또한, AGÓ='3a이므로
'2 1
aÛ`= _'3a_FMÓ
2 2
'2 '6 545   16
∴ FMÓ= a= a
'3 3 BPÓ=CPÓ, BQÓ=CQÓ이므로
'6
FMÓ=HMÓ= a, FHÓ='2a이므로 두 삼각형 BCP와 BCQ는 이등변삼각형이다.
3
따라서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p
∠FMH=a ( <a<p)라 하면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직선 BC는 두 직선 PM, QM과 각각 서로 수직이다.
2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01


A 2 2'3
M'PÓ= _BPÓ= 이다.
P 3 3
따라서 두 평면 MCA와 BCA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1이라 하면
M'PÓ '6
Q
B D cos`h1= =  yy ㉠
D MPÓ 3
M 한편 ANÓ=¿¹ABÓ Û`+BNÓ Û` ='5, APÓ=1이므로
C
직각삼각형 APN에서 NPÓ=¿¹'5 Û`-1Û` =2
이때, AMÓ=DMÓ이므로 삼각형 AMD는 이등변삼각형이다.
또한 점 N에서 평면 BCA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B이므로
따라서 선분 AD의 중점을 N이라 하면
두 평면 NCA와 BCA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2라 하면
두 직선 MN과 AD는 서로 수직이다.
BPÓ '3
ANÓ=2이고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 ABC에서 cos`h2= =  yy ㉡
NPÓ 2
'3 이때, h=h1+h2이므로 ㉠, ㉡에 의하여
AMÓ= _4=2'3이므로
2
cos`h=cos`(h1+h2)
직각삼각형 ANM에서 MNÓ=¿¹(2'3 )Û`-2Û` =2'2
=cos`h1 cos`h2-sin`h1 sin`h2
또한, 선분 AD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이 P,
'6 '3 '3 1 3'2-'3
3`:`1로 내분하는 점이 Q이므로 = _ - _ =
3 2 3 2 6
APÓ=PNÓ=NQÓ=QDÓ=1
M

D
547  ②

평면 a 위의 직각삼각형 ABC에서 ABÓ="Ã4Û`-2Û` =2'3


점 B에서 직선 A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A D
P 1 N Q
H P
따라서 직각삼각형 PNM에서 PMÓ=¿¹1Û`+(2'2 )Û` =3이다. A
h=∠PMQ이고, PMÓ=QMÓ=3, PQÓ=2이므로 B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C
3Û`+3Û`-2Û` 7 =
cos`h= = 에서 p=9, q=7
2_3_3 9
∴ p+q=9+7=16 직각삼각형 ABP에서 ABÓ=2'3 , BPÓ=2이므로 ∠PAB=30ù이고
직각삼각형 AHB에서 BHÓ=ABÓ  sin`30ù='3 이다.
한편, 직선 BC는 직선 AB와 수직이고 직선 BP와도 수직이므로
546  ③ 직선 BC는 평면 ABP와 수직이다.
따라서 직각삼각형 CBH에서
AMÓ=CMÓ, ABÓ=CBÓ, ANÓ=CNÓ이므로
CHÓ=¿¹2Û`+('3 )Û` ='7  yy ㉠
세 삼각형 MCA, BCA, NCA는 이등변삼각형이다.
이때, 두 직선 AP와 BH는 서로 수직이므로
따라서 선분 AC의 중점을 P라 하면 직선 AC는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두 직선 CH와 AP는 서로 수직이다.
세 직선 MP, BP, NP와 각각 서로 수직이다.
따라서 ㉠에 의하여 점 C와 직선 AP 사이의 거리는 '7 이다.
1
한편, AMÓ=ABÓ_sin`60ù='3, APÓ= _ACÓ=1이므로
2
직각삼각형 APM에서 MPÓ=¿¹('3 ) Û`-1Û` ='2
또한, 다음 그림과 같이 두 점 O, M에서 평면 BCA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O', M'이라 하자. 548   12

O 점 A에서 평면 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
A
M 45æ Â3
C 2 l
P D
C B >
A D¡
O' H
M'
B 직선 AB와 평면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30ù이고 ABÓ=2이므로
점 O'은 정삼각형 BCA의 무게중심이고 직각삼각형 AHB에서 AHÓ=ABÓ  sin`30ù=1,
점 M'은 선분 BO'의 중점이므로 BHÓ=ABÓ  cos`30ù='3이다.

102 기하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직선 l과 직선 CH는 서로 수직이고 a
HIÓ=BHÓ_sin`h1=
두 평면 a와 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45ù이므로 '3Œ9
2'2 '6
이면각의 정의에 의하여 ∠ACH=45ù이다. 한편, AHÓ=AEÓ_ = a이므로 yy TIP1
3 3
따라서 직각삼각형 AHC에서 CHÓ=AHÓ=1, ACÓ='2이고
직각삼각형 AHI에서
직각삼각형 ACD에서 CDÓ=¿¹ADÓ Û`-ACÓ Û` =1이다. '6 `Û
AIÓ=¾Ð{ }=
a `Û 3
a} +{ a
평면 b 위의 사다리꼴 CDBH에 대하여 3 '3Œ9 '1Œ3
점 H에서 선분 DB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따라서 ㉡에 의하여
1 H a
9 = '3
C
cos`h=
HIÓ
= '3Œ
Â3 AIÓ 3 a 9
1
'1Œ3
D B TIP1
I

HIÓ=CDÓ=1이므로 BIÓ=¿¹BHÓ Û`-HIÓ Û`='2이다.


정사면체 ABCD에서 두 평면 ACD, BCD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a라 하자.
따라서 사면체 ABCD의 밑면인 직각삼각형 CDB의 넓이는
A
1 1+'2
_CDÓ_BDÓ= 이므로
2 2
1 1+'2 1+'2 D
사면체 ABCD의 부피는 _ _AHÓ= 이다.
3 2 6 =
B E
1 1 H
∴ a= , b=
6 6
C
∴ 36(a+b)=36{ + }=12
1 1
6 6 1 1
HEÓ= _BEÓ= _AEÓ이므로
3 3
HEÓ 1 2'2
cos`a= = , 즉 sin`a= 이다.
AEÓ 3 3
'6
549  ② 따라서 AHÓ=AEÓ_sin`a=
3
a이다.
ⅠⅠⅠ
선분 CD의 중점을 E라 하고,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공
발을 H라 하면 TIP2 간

점 H는 정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이므로 선분 BE를 2`:`1로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H이므로 삼각형 형

내분하는 점이다.  yy ㉠ ABP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HBP이다.
또한 점 H에서 직선 BP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할 때 삼수선의 따라서 (삼각형 ABP의 넓이)_cos`h=(삼각형 HBP의 넓이) 공

정리에 의하여 두 직선 AI, BP는 서로 수직이므로 를 계산하여 답을 구할 수도 있다. 좌

HIÓ
이면각의 정의에 의하여 cos`h= 이다.  yy ㉡
AIÓ
D
'6 '6
I P 550   r1= 4 , r2= 12

B E 외접하는 구의 중심을 O라 하면 OAÓ=OBÓ=OCÓ=ODÓ이므로


H
네 정삼각뿔 O-ABC, O-ABD, O-ACD, O-BCD는
합동이다.
C 점 A에서 평면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O는 선분
정사면체 ABCD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 하고 AH 위의 점이다.
∠PBE=h1이라 하자. AHÓ=h, OHÓ=k라 하면
'3 정사면체의 ABCD의 부피는
BEÓ= a이고
2 1
_(삼각형 BCD의 넓이)_h  yy ㉠
a 3
선분 CD를 3`:`1로 내분하는 점 P에 대하여 PEÓ= 이므로
4 또한 정삼각뿔 O-BCD의 부피가
PEÓ 1 1 1
tan`h1= = , 즉 sin`h1= 이다. _(삼각형 BCD의 넓이)_k이고,
BEÓ 2'3 '1Œ3 3
또한 ㉠에 의하여 정사면체 ABCD의 부피는 정삼각뿔 4개의 부피의 합과 같으므로
2 '3 1
BHÓ= _BEÓ= a이므로 _(삼각형 BCD의 넓이)_k_4  yy ㉡
3 3 3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03


1 선분 OQ가 직선 PQ, QR와 수직이므로
㉠, ㉡에 의하여 h=4k이므로 k= h
4 선분 OQ는 평면 PQR와 수직이다.
즉, 외접원의 중심 O는 선분 AH를 3`:`1로 내분하는 점이다. 점 Q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또한, 네 정삼각뿔 O-ABC, O-ABD, O-ACD, O-BCD가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점 O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이
서로 합동이므로 H이므로 점 O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OHÓ이다.
점 O에서 각 밑면까지의 거리가 같다. OPÓ=6, OQÓ=2이므로 직각삼각형 OQP에서
즉, 점 O는 정사면체에 내접하는 구의 중심이기도 하다.
PQÓ=¿¹OPÓ Û`-OQÓ Û` ="Ã6Û`-2Û` =4'2이다.
'3 2 '3
BHÓ= _ = , ABÓ=1이므로 P
2 3 3
H
'3 `Û '6 60æ
AHÓ=¿¹ABÓ Û`-BHÓÓ Û` =¾Ð1Û`-{ }= 4Â2
3 3
따라서 외접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30æ
'6 3 '6 R Q
r1=AOÓ= _ = 이고,
3 4 4 '3
QHÓ=PQÓ_sin`60ù=4'2_ =2'6
내접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2
'6 1 '6 따라서 직각삼각형 OQH에서
r2=OHÓ= _ = 이다.
3 4 12 OHÓ=¿¹QHÓ Û`+OQÓ Û` =¿¹(2'6)Û`+2Û` =2'7

551  ⑤

적도 상에 있는 동경 180ù인 지점을 C라 하면 세 점 A, B, C는 553   30


그림과 같다. 두 직선 m, n을 포함하는 평면을 a라 하자.
세 직선 l, m, n이 평행하므로 두 점 A, B에서 평면 a에 내린
B 수선의 발을 각각 A', B'이라 하면 직선 A'B'은 두 직선 m, n과
O 30æ
135æ 45æ
C 평행하고, 선분 A'C와 직선 m, 선분 B'D와 직선 n은 각각 수직이다.
H
A
B
I
2Â2
A 4Â2
B'
점 B에서 평면 O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5 E
점 H에서 선분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D
3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BI가 선분 OA에 수직이다. A' C
H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a라 하면
이때, 선분 B'D와 직선 m의 교점을 E라 하면
'3 '6
OBÓ=a, OHÓ= a, OIÓ= a이므로 CEÓ=ABÓ=2'2이므로
2 4
'6 DEÓ=¿¹CDÓ Û`-CEÓ Û` =¿¹3Û`-(2'2)Û` =1
직각삼각형 OIB에서 cos`h=
4 또한, BEÓ=ACÓ=5이므로 BB'Ó=h, B'EÓ=x라 하면
B

4Â2
h 5
552  ④

점 P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하면 B'


D
x E 1
점 Q는 원기둥의 밑면인 원 위의 점이고,
hÛ`+xÛ`=25, hÛ`+(x+1)Û`=32에서
직선 l이 평면 a와 만나는 점을 R라 하면
2x=6
직선 QR는 평면 a 위의 원기둥의 밑면인 원에 접한다.
∴ x=3, h=4  yy ㉠
l
한편, 직각삼각형 ABD에서
H P ADÓ=¿¹ABÓ Û`+BDÓ Û` =¿¹(2'2)Û`+(4'2)Û`
=2'1Œ0
30æ O 점 A에서 직선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R
Q
= CHÓ=t, AHÓ=y라 하면

104 기하
A RPÓ=¿¹(2'3)Û`+(b-8)Û` 이고
b-8>a-8, b-8>b-a (∵ 8<a<b)이므로
2Â10° RPÓ>PQÓ, RPÓ>QRÓ에서 PQÓ=QRÓ
y 5
즉, a-8=b-a이다.
R
H D
t C 3 Q

tÛ`+yÛ`=25, (t+3)Û`+yÛ`=40에서 P b
a
6t=6
8
∴ t=1, y=2'6  yy ㉡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직선 A'H와 직선 CH가 서로 수직이므로
AA'Ó 이등변삼각형 QPR의 점 Q에서 선분 PR에 내린 수선의 발을
tan`h=
A'HÓ M이라 하자.
㉠, ㉡에 의하여 직각삼각형 AA'H에서 점 Q, R, M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Q', R', M'이라
AA'Ó=BB'Ó=4, AHÓ=2'6이므로 하고 점 M에서 선분 RR'에 내린 수선의 발을 N이라 하자.
A'HÓ=¿¹AHÓ Û`-AA'Ó Û` =2'2 R
AA'Ó Q N
∴ tan`h= ='2
A'HÓ M
∴ 15 tanÛ``h=30 P

TIP1
R'
평행한 두 직선을 포함하는 평면은 오직 하나로 결정된다. Q'
M'
따라서 두 직선 l, m을 포함하는 평면을 a, 두 직선 m, n을
두 직각삼각형 QMN, Q'M'R'은 서로 합동이고 평행이다.
포함하는 평면을 b, 두 직선 l, n을 포함하는 평면을 c라 하면
이때, 선분 QM은 두 선분 MR, M'R'에 모두 수직이고
세 직선 l, m, n은 같은 평면 위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세 평면
평면 QPR와 평면 a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60ù이므로
a, b, c는 서로 다른 평면이다. 따라서 네 점 A, B, C, D는 한
RNÓ
평면 위에 있지 않다. 즉, 네 선분 AB, BD, CD, AC로 tan`60ù= 에서
ⅠⅠⅠ
M'R'Ó
이루어진 도형은 사각형이 아니다. RNÓÓ
'3= , RNÓ=3
'3 공

따라서 a-8=b-a=3이므로 도
TIP2
a=11, b=14 형
점 A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A'이므로 삼각형 과
∴ a+b=25
ACD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A'CD이다. 공

따라서 TIP 좌
(삼각형 ACD의 넓이)_cos`h=(삼각형 A'CD의 넓이) 세 점 P, Q, R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 Q',

를 계산하여 tan`h의 값을 구할 수도 있다. R'이라 할 때 삼각형 PQR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P'Q'R'이다.
따라서
(삼각형 PQR의 넓이)_cos`60ù=(삼각형 P'Q'R'의 넓이)
를 계산하여 a, b의 값을 구할 수도 있다.

554   25 참고

‘두 원의 위치 관계’는 교육과정에서 삭제되었으나 몇몇 학교


평면 a 위에 있는 세 원기둥의 밑면인 원이 서로 외접하므로 내신에서는 이를 포함한 문제를 출제하기도 한다.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 2'3과 그림과 같이 한 원이 다른 원의 외부에서 접할 때, 외접한다고
같다. yy 참고 한다. 이때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d, 두 원의 반지름의
즉, 밑면인 원의 중심을 각각 A, B, C라 하면 길이를 r1, r2라 하면 d=r1+r2인 관계가 성립한다.
ABÓ=BCÓ=CAÓ=2'3이므로
이등변삼각형 PQR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은 한 변의 길이가 d
2'3인 정삼각형이다. r¡ r™
PQÓ=¿¹(2'3)Û`+(a-8)Û` ,
QRÓ=¿¹(2'3)Û`+(b-a)Û` ,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05


555   40 따라서 BEÓ`:`DFÓ=6`:`4=3`:`2이므로 cos`h=
2
3
종이를 접은 상태에서 점 B에서 직선 EF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 60 cos`h=40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DH와 선분 EF는 수직이므로 참고
직사각형 ABCD에서 그림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두 삼각형 BEF, DEF의 넓이의 비가 BEÓ`:`DFÓ임은 종이를
D F C
펼친 상태에서 살핀다면 보다 빠르게 알 수 있다.
3 D F C
H

A E B
9
직각삼각형 ABD에서 A E B

BDÓ="Ã3Û`+9Û` =3'1Œ0
또한, AEÓ=3이므로 BEÓ=6
두 삼각형 BAD와 BHE는 서로 닮음이므로
BDÓ`:`BEÓ=BAÓ`:`BHÓ에서 3'1Œ0`:`6=9`:`BHÓ 556   27
9'1Œ0 9'1Œ0 6'1Œ0 사면체 OABC는 정사면체이므로 점 O에서 평면 ABC에 내린
∴ BHÓ= , DHÓ=3'1Œ0- =
5 5 5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점 H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다.
따라서 BHÓ cos`h=DHÓ에서
따라서 평면 OAB와 평면 ABC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DHÓÓ 2
cos`h= = 1
BHÓ 3 cos`h= 이다.
3
∴ 60 cos`h=40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6인 정삼각형 OAB에 내접하는 원의
다른 풀이 1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ADÓ=AEÓ=3이므로 DEÓ=3'2 O
종이를 접은 상태에서 점 B의 평면 AEFD 위로의 정사영이 점
D이므로 삼각형 BDE는 직각삼각형이다.
6
이때, BEÓ=6이므로 BDÓ=¿¹6Û`-(3'2)Û` =3'2 r

점 B에서 직선 EF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DH와 선분 EF는 수직이다. A B
BHÓ+DHÓ=BDÓ=3'1Œ0에서 DHÓ=x라 하면 BHÓ=3'1Œ0-x 정삼각형 OAB의 넓이는 9'3이므로
삼각형 BDH는 직각삼각형이므로 r
9'3= (6+6+6)
(3'2)Û`+xÛ`=(3'1Œ0-x)Û`, 6'1Œ0x=72 2
6'1Œ0 9'1Œ0 ∴ r='3
∴ DHÓ=x= , BHÓ=3'1Œ0-x=
5 5 따라서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DHÓÓ 2 1
∴ cos`h= = (9'3-3p)=3'3-p
BHÓ 3 3
∴ 60 cos`h=40 마찬가지 방법으로 삼각형 OBC, 삼각형 OAC에서도 어두운
다른 풀이 2
부분의 넓이를 구할 수 있고, 3개의 어두운 부분의 평면 ABC
그림에서 점 B의 평면 AEFD 위로의 정사영이 점 D이므로 삼각형 위로의 정사영은 서로 겹치지 않고 세 도형 S1, S2, S3으로
BEF의 평면 AEFD 위로의 정사영은 삼각형 DEF이다. 둘러싸인 어두운 부분이 되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 S는
C S=3_(3'3-p) cos`h
=3'3-p
B
∴ (S+p)Û`=27

D F

A
E
557   15

이때, 두 삼각형 BEF, DEF의 넓이의 비는 BEÓ`:`DFÓ와 같다. 점 O로부터 거리가 2'3이고 평면 a와 B
ADÓ=AEÓ=3이므로 DEÓ=3'2 45ù의 각을 이루는 평면을 b라 하자. 또
삼각형 BDE는 직각삼각형이고 BEÓ=6이므로 BDÓ=3'2이다. 한, 그림과 같이 점 O에서 평면 b에 내린 M
2Â3
DFÓ=x라 하면 두 삼각형 BDF, BCF는 직각삼각형이므로 수선의 발을 M이라 하고, 점 O를 45æ
(3'2)Û`+xÛ`=3Û`+(9-x)Û`, 18x=72   ∴ x=4 지나고 두 평면 a, b에 수직인 평면과 6 O A

106 기하
단면의 교점을 각각 A, B라 하자.
TIP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6이므로 BMÓ=¿¹6Û`-(2'3)Û` =2'6
이 문제에서 구하는 그림자는 타원의 일부라서 직접 그 넓이를
또한, ∠MAO=45ù이므로 MAÓ=2'3
구하기 어려우므로 원의 일부인 활꼴의 넓이를 이용하여
이때, 점 A를 지나고 직선 AB에 수직인 B
정사영의 개념을 활용한다. 이때, 활꼴의 넓이는 부채꼴의
직선이 반구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C, D라
2Â6 넓이와 이등변삼각형의 넓이로부터 얻어진다.
하자.
직각삼각형 MAD에서 M

ADÓ=¿¹(2'6)Û`-(2'3)Û` =2'3 2Â3


이므로 ∠AMD=45ù C A D
즉, ∠CMD=90ù이므로 어두운 부분의 2Â3 559   30
넓이를 S라 하면 그림과 같이 태양광선에 수직인 평면 a를 생각하면 평면 a에 생기는
1 3
S= _(2'6)Û`+(2'6)Û`p_ =12+18p 판의 그림자가 넓을수록 지면에 생기는 그림자는 넓어진다.
2 4
태양광선
두 평면 a, b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45ù이므로 반구에 나타나는
단면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S'이라 하면
'2 =
S'=Scos`45ù=(12+18p)_
2
='2(6+9p)
∴ a=6, b=9 30æ
∴ a+b=6+9=15
따라서 판과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30ù일 때 그림자의 넓이가
최대가 된다.
이때, 판의 넓이는 16-p이므로 그림자의 최대 넓이 S는
16-p 16-p '3(32-2p)
S= = =
cos`30ù '3 3
558   34
2
반지름의 길이가 6인 원판이 평면 a에 닿는 > ∴ a=32, b=-2 ⅠⅠⅠ
B ∴ a+b=32+(-2)=30 공
지점을 A, 평면 b에 닿는 지점을 B라 하면 태양광선 간
선분 AB를 포함하고 직선 l에 수직인 도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그림과 같다. 이때, 과
선분 AB를 포함하고 직선 l에 수직인
H 공
평면과 직선 l의 교점을 L이라 하자. 또한, 간
= 30æ
태양광선은 평면 a와 30ù의 각을 이루므로 L 좌
A 표
∠ALH=30ù를 만족시키는 선분 AB 위의 점을 H라 하자.
선분 AB는 태양광선과 수직이므로 선분 LH는 선분 AB와
수직이다.
이때, ABÓ=12이고 ∠BAL=60ù이므로 ALÓ=6
∴ AHÓ=3
따라서 구하는 그림자는 그림과 같이 원판의 B
어두운 영역을 비출 때 평면 b에 나타나는
그림자에 해당한다.
원판의 중심을 O라 하면 OHÓ=3이므로 O
3 60æ
원판에서 어두운 영역의 넓이를 S'이라 하면
2 1 H
S'=36p_ +2_ _3_3 tan`60ù
3 2
A
=24p+9'3
이때, 평면 b와 원판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30ù이므로
S' 24p+9'3
S= = =18+16'3p
cos`30ù '3
2
∴ a=18, b=16
∴ a+b=18+16=34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07


공간좌표 565  ②

ABÓ="Ã4Û`+(3-a)Û`+7Û` =9이므로
(a-3)Û`+65=81
560  ① (a-3)Û`=16

점 P(2, 1, 3)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a-3=Ñ4

P'(-2, 1, -3)이므로 ∴ a=7 또는 a=-1

a+b+c=-2+1+(-3)=-4 따라서 양수 a의 값은 7이다.

566   풀이 참조

561  ② z축 위의 점 P의 좌표를 (0, 0, a)라 하면


APÓ=BPÓ이므로
점 P(2, -3, 1)을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Ã(-1)Û`+(-1)Û`+(a-3)Û` ="Ã(-3)Û`+(-2)Û`+(a-4)Û`
Q(2, -3, -1)이고,
aÛ`-6a+11=aÛ`-8a+29
점 Q(2, -3, -1)에서 yz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2a=18
R(0, -3, -1)이다.
∴ a=9
∴ a+b+c=0+(-3)+(-1)=-4
따라서 P(0, 0, 9)이므로 OPÓ=9이다.

채점 요소 배점
z축 위의 점 P의 좌표 잡기 20 %
APÓ=BPÓ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40 %
562  ⑤
선분 OP의 길이 구하기 40 %

ㄱ. 점 (3, -1, 1)의 y좌표는 -1이므로


점 (3, -1, 1)을 지나고 y축에 수직인 평면은 y=-1이다.
(참)
ㄴ. xy평면에 평행한 평면은 z축에 수직이다. 567  ①

점 (2, 4, -1)의 z좌표는 -1이므로 APÓ=2BPÓ에서 APÓ Û`=4 BPÓ Û`이므로


z=-1은 점 (2, 4, -1)을 지나고 xy평면에 평행한 평면이다. 1Û`+2Û`+(-a)Û`=4{1Û`+(-1)Û`+(-1)Û`}, aÛ`=7
(참) ∴ a='7 (∵ a>0)
ㄷ. 점 P(-3, 2, -4)의 x좌표는 -3이므로
점 P(-3, 2, -4)에서 yz평면까지의 거리는 3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568  ②

점 P의 좌표를 (3, y, 1)이라 하면


OPÓ="Ã3Û`+yÛ`+1Û` ="Ã10+yÛ`
따라서 OPÓ는 y=0일 때 최솟값 '1Œ0을 갖는다.
563  ②

ABÓ="Ã{2-(-1)}Û`+(1-0)Û`+{(-2)-1}Û` ='1Œ9

569  ⑤

점 P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자.


z
564  ④
P
점 P(2, 2, 3)을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은
4 5
Q(-2, 2, 3)이므로 두 점 P와 Q 사이의 거리는 4이다. y
O
4Â2 l
다른 풀이 3
H
점 P와 yz평면 사이의 거리는 2이므로 두 점 P와 Q 사이의 거리는 x
M
2_2=4이다.

108 기하
직선 PH는 xy평면과 수직이고, 점 B를 zx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직선 PM은 xy평면 위의 직선 l과 수직이므로 B'(2, -2, 1)이고,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직선 HM은 직선 l과 수직이다. APÓ+BPÓ=APÓ+B'PÓ
즉, 점 H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HMÓ이다. ¾AB'Ó
직각삼각형 PHM에서 ="Ã(-3)Û`+5Û`+(a-1)Û`
HMÓ=¿¹PMÓ Û`-PHÓ Û` =¿¹(4'2 )Û`-4Û` =4 ="ÃaÛ`-2a+35
이때, APÓ+BPÓ의 최솟값이 '4Œ3이므로
"ÃaÛ`-2a+35='4Œ3

570  ⑤
aÛ`-2a-8=0
(a+2)(a-4)=0
두 점 A, B의 yz평면으로의 정사영을 각각 A', B'이라 하면 ∴ a=-2 또는 a=4
A'(0, -3, 3), B'(0, 1, 5)이다. 따라서 양수 a의 값은 4이다.
ABÓ="Ã(-4)Û`+4Û`+2Û` =6
A'B'Ó="Ã4Û`+2Û` =2'5
ABÓ cos`h=A'B'Ó이므로
6 cos`h=2'5
'5
573   ⑴ (-1, -1, 3) ⑵ (-5, -9, -1)
∴ cos`h=
3 ⑴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2_(-3)+1_3 2_2+1_5
{ 2_(-2)+1_1 , , }, 즉
2+1 2+1 2+1
(-1, -1, 3)
571  ⑤
⑵ 선분 AB를 2`:`1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두 점 A, B의 z좌표가 모두 양수이므로 2_(-3)-1_3 2_2-1_5
{ 2_(-2)-1_1 , , }, 즉
좌표공간에서 xy평면에 의해 구분되는 두 부분 중 두 점 A, B는 2-1 2-1 2-1
같은 쪽에 놓여 있다. (-5, -9, -1)
A
ⅠⅠⅠ
B

P
574   10 도


점 P(-3, 4, 5)를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Q의 좌표는

B' xy평면 (3, 4, 5)이므로 (a, b, c)는 간

{ 6-3 , 8+4 , 10+5 }, 즉 (1, 4, 5)



점 B를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표
2+1 2+1 2+1
B'(-2, 3, -1)이고,
∴ a+b+c=1+4+5=10
APÓ+BPÓ=APÓ+B'PÓ
¾AB'Ó
="Ã5Û`+(-4)Û`+3Û` =5'2
이므로 APÓ+BPÓ의 최솟값은 5'2이다.
575  ⑤

점 P의 좌표는
572  ④
{ 2_(-4)+1_5 ,
2+1
2_(-5)+1_1 2_5+1_2
2+1
,
2+1
}, 즉
두 점 A, B의 y좌표가 모두 양수이므로 (-1, -3, 4)
좌표공간에서 zx평면에 의해 구분되는 두 부분 중 두 점 A, B는 점 Q의 좌표는
같은 쪽에 놓여 있다. 1_(-5)-2_1 1_5-2_2
{ 1_(-4)-2_5 , , }, 즉
A 1-2 1-2 1-2
B (14, 7, -1)
따라서 두 점 P(-1, -3, 4), Q(14, 7, -1)의 중점의 좌표는

{ 13 , 2, 3 }이다.
P 2 2

∴ a+b+c= 13 +2+ 3 =10


B' zx평면 2 2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09


576  ⑤ 581  ①

선분 AB를 3`:`2로 내분하는 점은 외분점이 x축 위에 있으므로 외분점의 y좌표, z좌표가 모두 0이다.


-6+2a 10 21+4 -6+2a 6-2a 3b+12
{ , , }, 즉 { , 2, 5}이므로 즉, =0이고 =0이므로
3+2 3+2 3+2 5 3-2 3-2
-6+2a a=3, b=-4
=0, b=2
5 ∴ a+b=-1
∴ a=3, b=2
∴ a+b=5
582  ③

577  ③ 두 점 A(-3, a, 2), B(b, -4, c)에 대하여


선분 AB를 1`:`3으로 내분하는 점은 x축 위에 있으므로 y좌표,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은 z좌표가 모두 0이다.
4+2 12+6
{ (a+6)+2a , , }, 즉 (a+2, 2, 6)이므로 즉,
-4+3a
=0,
c+6 4
=0이므로 a= , c=-6
1+2 1+2 1+2 1+3 1+3 3
a+2=5, b=6 선분 AB를 3`:`1로 외분하는 점은 yz평면 위에 있으므로 x좌표는
∴ a=3, b=6 0이다.
∴ a+b=9 3b-(-3)
즉, =0이므로 b=-1
3-1
4
∴ abc= _(-1)_(-6)=8
578  ⑤ 3

선분 PQ를 2`:`1로 외분하는 점은

{ 8-6 ,
2b-7 18-a
, }, 즉 (2, 2b-7, 18-a)이므로 583  ④
2-1 2-1 2-1
2b-7=5, 18-a=14 세 점 A(0, -1, -2), B(2, 4, 2), C(4, 6, -3)에 대하여
∴ a=4, b=6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 G의 좌표는
-1+4+6 -2+2+(-3)
∴ a+b=10 { 0+2+4 , , }, 즉
3 3 3
다른 풀이 (2, 3, -1)
점 Q(4, b, 9)는 점 P(6, 7, a)와 점 (2, 5, 14)를 이은 선분의 ∴ a+b+c=2+3+(-1)=4
중점이므로
7+5 a+14
(4, b, 9)는 { 6+2 , }와 같다.
2 2
,
2 584  ④
∴ a=4, b=6
세 점 A(a, 0, 5), B(1, b, -3), C(1, 1, 1)에 대하여
∴ a+b=10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0+b+1 5+(-3)+1
{ a+1+1 , , }, 즉
3 3 3
579  ②
{ a+2 ,
b+1
, 1}이므로
3 3
선분 AB를 2`:`1로 내분하는 점이 xy평면 위에 있으므로 내분하는
a+2 =2, b+1 =2
점의 z좌표는 0이다. 3 3
2_a+1_2 ∴ a=4, b=5
즉, =0이므로
2+1
∴ a+b=9
a=-1

585  ③
580  ④
세 점 A(1, 2, -1), B(5, -4, 6), C(a, b, c)에 대하여
내분점이 x축 위에 있으므로 내분점의 y좌표, z좌표가 모두 0이다.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6+a 2b-2 2+(-4)+b -1+6+c
즉,
2+1
=0이고
2+1
=0이므로 { 1+5+a , , }, 즉
3 3 3
a=6, b=1
{ a+6 , }이므로
b-2 c+5
,
∴ a+b=7 3 3 3

110 기하
a+6
3
=2에서 a=0 590   xÛ`+(y-5)Û`+(z-1)Û`=18
b-2 두 점 (1, 4, -3), (-1, 6, 5)를 양 끝점으로 하는 선분의 중점이
=1에서 b=5
3
구의 중심이므로 중심의 좌표는 (0, 5, 1)이고,
c+5
=-2에서 c=-11 구의 중심에서 점 (1, 4, -3)까지의 거리가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3
∴ a+b+c=-6 같으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Ã(-1)Û`+1Û`+4Û` =3'2
따라서 구의 방정식은 xÛ`+(y-5)Û`+(z-1)Û`=18이다.

586  ③

삼각형 PQR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와 같으므로 591  ①
-2+3+(-3) 0+4+1
{ 3+1+(-2) , , }, 즉 구의 방정식을
3 3 3
2 2 5 xÛ`+yÛ`+zÛ`+Ax+By+Cz+D=0 (A, B, C, D는 실수)이라 하면
{ ,- , }
3 3 3 이 구가 네 점 (0, 0, 0), (2, 0, 0), (0, 2, 2), (1, -1, 0)을
2 2 5 5
∴ a+b+c= +{- }+ = 지나므로
3 3 3 3
D=0
4+2A+D=0에서 A=-2
8+2B+2C+D=0  yy ㉠

587  ④ 2+A-B+D=0 
㉡에서 B=0, ㉠에서 C=-4
yy ㉡

평행사변형 ABCD의 두 대각선은 서로 다른 것을 이등분하므로 따라서 구의 방정식은 xÛ`+yÛ`+zÛ`-2x-4z=0에서


두 대각선 AC, BD의 중점의 좌표가 서로 같다. (x-1)Û`+yÛ`+(z-2)Û`=5이므로
즉, { -2+5 ,
4-1 1+3
, }과 { 2+a ,
3+b 7+c
, }는 같다.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5이다.
2 2 2 2
ⅠⅠⅠ
2 2
따라서 a=1, b=0, c=-3이므로

a+b+c=-2 간

592  ② 형

588   풀이 참조 구 xÛ`+yÛ`+zÛ`-6x-2y+4z-2=0에서
(x-3)Û`+(y-1)Û`+(z+2)Û`=16  yy ㉠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이 구가 yz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도형은 ㉠에 x=0을 대입하면 표
y +y z +z
점 M의 좌표는 { x2+x3 , 2 3 , 2 3 }이다. (y-1)Û`+(z+2)Û`=7이므로
2 2 2
반지름의 길이가 '7인 원이다.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은 선분 AM을 2`:`1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원의 넓이는 p_'7   =7p이다.
2

무게중심 G의 좌표는
y1+y2+y3 z1+z2+z3
{ x1+x2+x3 , , }이다.
3 3 3

채점 요소 배점
삼각형 ABC의 한 변의 중점 M의 좌표 구하기 30 % 593  ⑤
마주 보는 꼭짓점과 중점 M을 연결한 선분을 2`:`1로 내분하는 점이
70 % 구의 중심 (-2, 3, 4)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은
무게중심임을 설명하고, 무게중심의 좌표 구하기
(-2, 0, 0)이고, x축에 접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구의 중심에서 x축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이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두 점 (-2, 3, 4), (-2, 0, 0) 사이의 거리와 같다.
∴ r1="Ã3Û`+4Û` =5
589  ②
yz평면에 접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구의 중심에서 yz평면까지의
구 xÛ`+yÛ`+zÛ`+2y=3에서 거리와 같으므로 이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구의 중심
xÛ`+(yÛ`+2y+1)+zÛ`=4 (-2, 3, 4)에서 yz평면까지의 거리인 2와 같다.
∴ xÛ`+(y+1)Û`+zÛ`=4 ∴ r2=2
따라서 중심이 (0, -1, 0)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 r1+r2=5+2=7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11


594  ③ 597  ⑤

구 xÛ`+yÛ`+zÛ`-4x-6y+2z=0에서 구 (x-1)Û`+(y-3)Û`+(z-6)Û`=9의 중심은 (1, 3, 6)이고


(x-2)Û`+(y-3)Û`+(z+1)Û`=14이므로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중심은 (2, 3,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1Œ4이다. 구의 중심과 x축 사이의 거리는
구의 중심을 C라 하자. 구의 중심 (1, 3, 6)과 구의 중심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 (1, 0, 0)
A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Ã0Û`+3Û`+6Û` =3'5
P C
{1,`3,`6}
m
{1,`0,`0} 3 3
CPÓ="Ã(-1)Û`+2Û`+5Û` ='3Œ0, ACÓ='1Œ4이므로 M

직각삼각형 PAC에서 PAÓ=¿¹('3Œ0 )Û`-('1Œ4 )Û` =4


x축

따라서 구 위의 점과 x축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M=3'5+3, 최솟값은 m=3'5-3이므로
M+m=6'5

595  ②

두 구가 서로 외접할 때,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다. yy 참고
598  ②

구 (x-2)Û`+(y+3)Û`+(z+2)Û`=16의 점 P의 좌표를 (p, q, r)라 하면


중심은 (2, -3, -2)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4이다. 점 P의 xy평면에 대한 대칭점의 좌표는 Q(p, q, -r)이고,
구 xÛ`+(y-1)Û`+(z-2)Û`=rÛ`의 (a+b, a-b, c)와 같다.
중심은 (0, 1, 2)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r이다. 점 P의 z축에 대한 대칭점의 좌표는 R(-p, -q, r)이고,
따라서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2a-2, 2b, c-2)와 같다.
"Ã2Û`+(-4)Û`+(-4)Û` =6 즉,
이 값이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a+b=-2a+2  yy ㉠
r+4=6 a-b=-2b  yy ㉡
∴ r=2 c=-c+2  yy ㉢
㉡에서 b=-a이고, 이를 ㉠에 대입하면
참고
a=1, b=-1
518번의 참고 를 확인하자. ㉢에서 c=1
∴ abc=-1

599  ②

596  ③ ABÓ=ACÓ=3, BCÓ=4인 이등변삼각형 ABC에서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BHÓ=2이므로
구 (x-2)Û`+yÛ`+zÛ`=4의 중심은 (2, 0, 0)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AHÓ="Ã3Û`-2Û` ='5이다.
2이다.
따라서 A(2, 0, '5), F(0, 8, 0)이고, D(2, 8, '5)이다.
점 A(4, -2, 1)과 구의 중심 (2, 0, 0) 사이의 거리는
∴ abc=2_8_'5=16'5
"Ã2Û`+(-2)Û`+1Û` =3이다.

{2,`0,`0}
A{4,`-2,`1}
3 2
P 600  ①

한 변의 길이가 6인 정육각형을 한 변의 길이가 6인 정삼각형 6개로


'3
나누었을 때 이 정삼각형의 높이는 _6=3'3이므로
따라서 점 A와 구 위의 점 P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2
3+2=5이다. LHÓ=2_3'3=6'3

112 기하
L K xy평면에서 점 P와 직선 y=x, 즉 x-y=0 사이의 거리는
|1-5|
PHÓ= =2'2이므로
"Ã1Û`+(-1)Û`
G J 직각삼각형 APH에서
AHÓ=¿¹(2'2)Û`+4Û` =2'6

H I
또한 LKÓ=6, CIÓ=6이므로 C(6'3, 6, 6)
따라서 점 C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6'3, 6, -6)이므로
604  ⑤

a+b+c=-6'3 +6+(-6)=-6'3 점 A(0, 0, 4)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OH와 직선 l은 수직이다.
이때, xy평면에서 직선 l의 방정식은
6
y=- x+6, 즉 6x+ay-6a=0
601  ④ a
|-6a|
이므로 원점과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ABÓ="Ã(a-1)Û`+(-1)Û`+0Û` ="ÃaÛ`-2a+2
이다.
"ÃaÛ`+36
ACÓ="Ã(a-3)Û`+3Û`+(-2)Û` ="ÃaÛ`-6a+22 또한 점 A와 직선 l 사이의 거리가 5이므로 직각삼각형 AOH에서
BCÓ="Ã2Û`+(-4)Û`+2Û` ='2Œ4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BAC=90ù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36aÛ`
25=16+
ABÓ Û`+ACÓ Û`=BCÓ Û`이므로 aÛ`+36
(aÛ`-2a+2)+(aÛ`-6a+22)=24 25(aÛ`+36)=16(aÛ`+36)+36aÛ`

aÛ`-4a=0, a(a-4)=0 9(aÛ`+36)=36aÛ`

∴ a=0 또는 a=4 ∴ aÛ`=12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4이다.

605  ① ⅠⅠⅠ
602

 ② APÓ=BPÓ이므로 간

점 A(1, 3, 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B의 좌표는 "Ã(a-3)Û`+(b+2)Û`+(-3)Û` ="Ã(a-4)Û`+(b+4)Û`+(-2)Û` 형

(1, -3, -2)이고,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C의 좌표는 aÛ`-6a+bÛ`+4b+22=aÛ`-8a+bÛ`+8b+36
(1, 3, -2)이므로 삼각형 ABC는 선분 AB를 빗변으로 하는 a-2b-7=0 공

직각삼각형이다. 즉, a=2b+7이므로  yy ㉠ 좌

이때, P(2b+7, b, 0) 표

ABÓ="Ã0Û`+6Û`+4Û` =2'1Œ3 CPÓ="Ã(2b+6)Û`+(b-2)Û`+6Û`


이므로 세 점 A, B, C를 지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Œ3이다. ="Ã5bÛ`+20b+76
="Ã5(b+2)Û`+56
이므로 b=-2일 때 CPÓ가 최소이다.
b=-2일 때 ㉠에서 a=3이다.
603  ② 즉, P(3, -2, 0)
∴ a+b=1
점 A(1, 5, 4)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P라 하면
점 P의 좌표는 (1, 5, 0)이고, APÓ=4이다.
선분 AP가 xy평면과 수직이고, 선분 AH가 xy평면 위의
직선 y=x와 수직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선분 PH가
xy평면 위의 직선 y=x와 수직이다.
606  ③

z 점 C는 구 S와 평면 ABC가 만나서 생기는 원 위의 점이고 반원에


A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90ù이므로 ∠ACB=90ù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1 1
O y _ACÓ_BCÓ= _"Ã(-1)Û`+1Û`+2Û` _"Ã1Û`+5Û`+(-2)Û`
P
2 2
H 1
= _'6_'3Œ0=3'5
x y=x 2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13


607  ① 609  ③

직선 PQ는 xy평면과 서로 수직이고 점 Q에서 선분 BC에 내린 선분 AB를 평행이동하여도 선분 AB의 xy평면, yz평면, zx평면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두 직선 QH, BC는 서로 수직이므로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와 선분 AB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두 직선 PH, BC는 서로 수직이고, 점 A를 원점, 점 B(a, b, c)라 하자.
점 P와 직선 BC 사이의 거리는 PHÓ이다. 점 B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이 점 (a, b, 0)이므로
P 선분 AB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ÃaÛ`+bÛ` ='5, 즉 aÛ`+bÛ`=5  yy ㉠
4 점 B의 yz평면 위로의 정사영이 점 (0, b, c)이므로
B
A
선분 AB의 yz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2Â7
H Q
5 "ÃbÛ`+cÛ` ='6이므로 bÛ`+cÛ`=6  yy ㉡
C 점 B의 zx평면 위로의 정사영이 점 (a, 0, c)이므로
xy평면
선분 AB의 zx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길이는
삼각형 ABC는 ABÓ=ACÓ=5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ÃaÛ`+cÛ` =3, 즉 aÛ`+cÛ`=9  yy ㉢
점 H는 선분 BC의 중점이다. ㉠, ㉡, ㉢의 양변을 각각 모두 더하면
직각삼각형 AHB에서 AHÓ=¿¹5Û`-'7 Û` =3'2 2(aÛ`+bÛ`+cÛ`)=20이므로
이때, 점 Q는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QHÓ='2이다. aÛ`+bÛ`+cÛ`=10
점 P(1, 1, 4)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점 Q(1, 1, 0)이므로
∴ ABÓ="ÃaÛ`+bÛ`+cÛ` ='1Œ0
PQÓ=4이다.
직각삼각형 PQH에서
PHÓ=¿¹4Û`+'2 Û` =3'2
따라서 점 P와 직선 BC 사이의 거리는 3'2이다.

610  ③

직선 OA가 밑면과 만나는 점을 P, 직선 OB가 밑면과 만나는 점을


Q라 하자.
O O

608  ③
12 12
직선 BC와 yz평면은 서로 수직이므로 A
두 직선 AC와 BC는 서로 수직이다. B
따라서 평면 ABC와 xy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P O' Q O'
A' 4 B' 5
h (0ù<h<90ù)라 하면 ACÓ="Ã3Û`+4Û` =5이므로 6 6
OCÓ 4 삼각형 OO'P, AA'P, BB'Q가 서로 닮음이므로
cos`h= = 
ACÓ 5 PO'Ó`:`OO'Ó=PA'Ó`:`AA'Ó=QB'Ó`:`BB'Ó
z
즉, 6`:`12=2`:`AA'Ó=1`:`BB'Ó이므로
A
AA'Ó=4, BB'Ó=2이다.
P 점 O'을 좌표공간의 원점, 점 A'을 x축 위, 점 B'을 y축 위, 점 O를
z축 위에 놓으면
O D C
y A(4, 0, 4), B(0, 5, 2)이므로
H ABÓ="Ã4Û`+(-5)Û`+2Û` =3'5
x B

한편, 두 삼각형 ABC와 PBH는 닮음비가 5`:`3이므로 넓이의 비는


25`:`9이고,
1 1 25
삼각형 ABC의 넓이는
2
_BCÓ_ACÓ= _5_5= 이므로
2 2 611  ④
25 9 9
삼각형 PBH의 넓이는 _ = 이다. 점 A를 xy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2 25 2
따라서 삼각형 PBH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A'(1, 4, -3)

9 9 4 18 점 B를 yz평면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_cos`h= _ = B'(-1, 5, 2)
2 2 5 5

114 기하
z xÛ`
이때, xy평면 위의 타원 +yÛ`=1의 장축은 x축 위에 있으므로
9
점 P가 점 (-3, 0, 0)의 위치에 있을 때 A'PÓ는 최대이다.
A ∴ (APÓ의 최댓값)="Ã5Û`+12Û` =13
B'
B
O Q
y
P

x 614  ①
A'
점 A'(-3, 2, 4)를 z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A이므로
APÓ+PQÓ+QBÓ=A'PÓ+PQÓ+QB'Ó 점 A의 좌표는 (3, -2, 4)이다.
¾A'B'Ó 또한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지름의 양 끝점이 A, B이므로 선분
="Ã(-2)Û`+1Û`+5Û` AB의 중점이 원점이다.
='3Œ0
즉, { a+3 , }와 (0, 0, 0)은 같다.
b-2 c+4
,
2 2 2
a=-3, b=2, c=-4
∴ a+b+c=-5
612  ④

xy평면에서 점 B(2, 2, 0)을 중심으로 하고,


x축, y축에 모두 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점 A(-2, 5, 6)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A'이라 하면 615  ⑤
A'(-2, 5, 0)이고, AA'Ó=6이다. xy평면에 의하여 선분 AB를 m`:`n으로 내분하는 점의 z좌표가
A
0이므로
-6m+2n
=0에서 n=3m
m+n
A' n
ⅠⅠⅠ
-2 ∴ =3
m
O 2
2 P 5 y

B 간

x

APÓ=¿¹AA'Ó Û`+A'PÓ Û` =¿¹36+A'PÓ Û` 이므로 616  ① 과


A'PÓ가 최소일 때 APÓ도 최솟값을 갖는다. OPÓ`:`OAÓ=2`:`3이므로 간
점 A'에서 원의 중심 B까지의 거리는 점 P는 선분 OA를 2`:`1로 내분하는 점이거나 좌
A'BÓ="Ã4Û`+(-3)Û` =5이므로

3
점 A'에서 원 위의 점 P까지의 거리의 최솟값은 5-2=3이다. 2 1

따라서 선분 AP의 길이의 최솟값은 "Ã36+3Û` =3'5이다. O P A


선분 OA를 2`:`5로 외분하는 점이다.
5
2 3

613   13 P O A
이때, 점 P가 선분 OA 위의 점이 아니므로
점 A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A'이라 하면
점 P는 선분 OA를 2`:`5로 외분하는 점이다.  yy ㉠
A'(9, 0, 0)이므로 점 A'은 x축 위의 점이다.
2b 2c
z 즉, { 2a , , }와 (2, -2, 6)은 같다.
-3 -3 -3
-3 따라서 a=-3, b=3, c=-9이므로
-1
O 1 y a+b+c=-9
A{9,`0,`5}
3 다른 풀이

㉠에서 점 A가 선분 PO를 5`:`3으로 외분하는 점이므로


A'{9,`0,`0}
-3_(-2) -3_6
x 점 A의 좌표는 { -3_2 , , }, 즉
2 2 2
APÓ=¿¹AA'Ó Û`+A'PÓ Û` =¿¹5Û`+A'PÓ Û` (-3, 3, -9)이다.
이므로 A'PÓ가 최대일 때 APÓ는 최댓값을 갖는다. ∴ a+b+c=-3+3+(-9)=-9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15


617  ① 621  ②

삼각형 BOC와 삼각형 BP'P는 서로 z 정육면체 A에 내접하는 구의 중심의 좌표는 (3, 1, 3),
C{0,`0,`3}
닮음이고 BPÓ`:`PCÓ=2`:`1이므로 정육면체 B에 내접하는 구의 중심의 좌표는 (3, 3, 1),
P
점 P'의 좌표는 (0, 1, 0)이다. 정육면체 C에 내접하는 구의 중심의 좌표는 (1, 3, 1)이므로
또한 삼각형 AOC와 삼각형 B{0,`3,`0} 1+3+3 3+1+1
(p, q, r)는 { 3+3+1 , }, 즉
Q O
P' y ,
AQ'Q는 서로 닮음이고 3 3 3
Q'
{ , , }와 같다.
AQÓ`:`QCÓ=1`:`2이므로 점 Q'의 7 7 5
A{3,`0,`0}
x 3 3 3
좌표는 (2, 0, 0)이다.
19
이때, 점 P'은 y축 위의 점이고 점 Q'은 x축 위의 점이므로 삼각형 ∴ p+q+r=
3
OP'Q'은 직각삼각형이다.
1
∴ (삼각형 OP'Q'의 넓이)= _2_1=1
2
622  ④

주어진 직육면체를 그림과 같이 점 E가 원점, 세 점 F, H, A가

618  ① 각각 x축, y축, z축 위에 있도록 좌표공간에 놓으면 다음과 같다.


z
ACÓ=¿¹1Û`+0Û`+(-'7 )Û` =2'2, z A D

BCÓ=¿¹0Û`+5Û`+(-'7 )Û` =4'2 C{0,`0,`Â7°}


B C
이고 선분 CP가 각 ACB를 P
O B{0,`5,`0}
y O{E} H
이등분하므로 y
P
APÓ`:`BPÓ=ACÓ`:`BCÓ=1`:`2에서 A{1,`0,`0}
F
x G
점 P는 선분 AB를 1`:`2로 x
내분하는 점이다. 세 점 B, D, P는 B(2, 0, 3), D(0, 2, 3), P(2, 2, 2)이므로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 , , 0}이므로
2 5
삼각형 BDP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 , }이다.
4 4 8
3 3 3 3 3
'2Œ9
선분 OP의 길이는 ¾Ð{ }Û`+{ }Û`+0Û` =
2 5 따라서 무게중심에서 점 E(0, 0, 0)까지의 거리는
이다.
3 3 3
¾Ð{ }Û`+{ }Û`+{ }Û` =
4 4 8 4'6
3 3 3 3

619  ①

정사면체 ABCD는 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같으므로


623  ⑤

ABÓ=ACÓ=ADÓ에서 점 H는 삼각형 OBC의 무게중심이다.


"Ã9Û`+4Û`+1Û` ="Ã1Û`+(a-2)Û`+4Û` ="Ã4Û`+1Û`+(b-3)Û` 점 C의 좌표는 (0, 12, 0)이고,
(a-2)Û`=9Û`에서 a-2=Ñ9   ∴ a=11 (∵ a>0) 점 B의 좌표는 (6'3, 6, 0)이므로

점 H의 좌표는 {
(b-3)Û`=9Û`에서 b-3=Ñ9   ∴ b=12 (∵ b>0) 0+6'3+0 0+6+12
, , 0}, 즉 (2'3 , 6, 0)이다.
3 3
따라서 세 점 B(10, 6, 4), C(2, 11, 7), D(5, 3, 12)에 대하여
한편, OAÓ=12, OHÓ=¿¹(2'3) +6 +0 =4'3 이므로
2 2 2
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AHÓ=¿¹12Û`-(4'3 )Û` =4'6
{ }
17 20 23
, ,
3 3 3 따라서 선분 AH의 중점 M의 좌표는 (2'3 , 6, 2'6 )이므로
17 20 23 aÛ`+bÛ`+cÛ`=12+36+24=72
∴ p+q+r= + + =20
3 3 3

624   풀이 참조
620  ③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삼각형 ABC의
평면 a를 xy평면으로 놓으면 넓이가 16'5이므로
세 점 A, B, C의 z좌표는 각각 2, 3, 7이므로 1
_8_AHÓ=16'5에서 AHÓ=4'5
2+3+7 2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z좌표는 =4이다.
3 점 A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면
따라서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으로부터 평면 a까지의 거리는 4이다. AFÓ=¿¹(4'5)Û`-4Û` =8

116 기하
주어진 정사각뿔을 그림과 같이 점 E를 원점, 점 B가 x축, 점 D가 즉, 6=|3a|="Ã9aÛ`-8b+40
y축 위에 있도록 좌표공간 위에 놓으면 다음과 같다. 6=|3a|에서 |a|=2, aÛ`=4
z 6='Ä76-8b 에서 b=5
A
∴ aÛ`+bÛ`=4+25=29
P

O{E} D
y
B
H
F
C
Q
627  ④
x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동시에 접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A(4, 4, 8), B(8, 0, 0), C(8, 8, 0), D(0, 8, 0)이므로
하면 구의 중심의 x, y, z좌표의 절댓값이 모두 r이고, 이때 이 구가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 }
16 8 16
, ,
3 3 3 점 (5, -3, 1)을 지나므로 구의 중심의 x, y, z좌표는 각각 양수,
음수, 양수이어야 한다.
선분 CD를 2`:`1로 내분하는 점 Q의 좌표는 { , 8, 0}
8
3 즉, 구의 중심의 좌표는 (r, -r, r)이므로 구의 방정식은

∴ PQÓ=¾Ð{ }Û`+{- }Û`+{ }Û` =8


8 16 16 (x-r)Û`+(y+r)Û`+(z-r)Û`=rÛ`이다.
3 3 3 이 구가 점 (5, -3, 1)을 지나므로
채점 요소 배점 (5-r)Û`+(-3+r)Û`+(1-r)Û`=rÛ`에서
한 옆면의 넓이를 이용하여 AHÓ의 길이 구하기 20 % 2rÛ`-18r+35=0
AFÓ의 길이 구하기 20 % 이를 만족시키는 두 실수 r의 값을 각각 r1, r2라 하면
좌표공간 위에 정사각뿔을 놓고, 꼭짓점의 좌표 구하기 20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점 P, Q의 좌표 구하기 20 % r1+r2=9
두 점 P, Q 사이의 거리 구하기 20 % 따라서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9이다.

628  ⑤
ⅠⅠⅠ
625   풀이 참조
xy평면에 접하는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의 z좌표의 절댓값과 공
구 xÛ`+yÛ`+zÛ`=9 위의 점 B의 좌표를 (x1, y1, z1)이라 하고 같으므로 중심의 좌표가 (1, 1, -3)이고, xy평면에 접하는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를 (x, y, z)라 하면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형
x1+4 y1-12 z1+6 과
x= , y= , z= 이므로 즉, 구의 방정식은 (x-1)Û`+(y-1)Û`+(z+3)Û`=9이다. yy ㉠
3 3 3 공
이 구가 z축과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에 x=0, y=0을 대입하면
x1=3x-4, y1=3y+12, z1=3z-6  yy ㉠ 간
(z+3)Û`=7에서 z=-3+'7 또는 z=-3-'7이므로 좌
점 (x1, y1, z1)이 구 xÛ`+yÛ`+zÛ`=9 위의 점이므로 표
두 점의 좌표는 (0, 0, -3+'7), (0, 0, -3-'7)이다.
㉠을 각각 대입하면
따라서 구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d=2'7 이다.
(3x-4)Û`+(3y+12)Û`+(3z-6)Û`=9
∴ dÛ`=28
∴ {x- }Û`+(y+4)Û`+(z-2)Û`=1
4
3

채점 요소 배점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 (x, y, z)에 대하여 x, y, z를 점 B의
좌표를 이용하여 나타내기
50 % 629  ③

점 B가 구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도형의 방정식 구하기 50 % 구가 xy평면과 점 (2, 3, 0)에서 접하므로


구의 중심의 좌표는 (2, 3, k)이고, 이때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k|이다.
구의 방정식은 (x-2)Û`+(y-3)Û`+(z-k)Û`=kÛ`이므로
구가 yz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도형은 이 구의 방정식에 x=0을
626  ⑤
대입하면
구 xÛ`+yÛ`+zÛ`-6ax+4y-12z+8b=0에서 (y-3)Û`+(z-k)Û`=kÛ`-4
(x-3a)Û`+(y+2)Û`+(z-6)Û`=9aÛ`-8b+40이므로 이므로 반지름의 길이가 "ÃkÛ`-4 인 원이다.
중심은 (3a, -2, 6)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Ã9aÛ`-8b+40이다. 이 원의 넓이는 p_("ÃkÛ`-4 )Û`=9p이므로 kÛ`=13
이 구가 xy평면과 yz평면에 동시에 접하므로 따라서 원점에서 구의 중심 (2, 3, k)까지의 거리는
구의 중심의 z좌표와 x좌표의 절댓값이 구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Ã2Û`+3Û`+kÛ` ='2Œ6이다.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17


630  ③ 633   3'3p

구 xÛ`+yÛ`+zÛ`-8x+6y-4z+a=0은 구 xÛ`+yÛ`+(z+4)Û`=9의 중심의 좌표는 (0, 0, -4)이고 반지름의


(x-4)Û`+(y+3)Û`+(z-2)Û`=29-a이므로 길이는 3이다.
중심이 (4, -3,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Ä29-a이다. 다음 그림과 같이 점 A를 지나고 구에 접하는 접점 P가 나타내는
이 구가 z축에 접하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구의 중심과 도형은 원이다.
z축 사이의 거리와 같다. A
구의 중심 (4, -3, 2)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이
(0, 0, 2)이므로 Q P
"Ã4Û`+(-3)Û`+0Û` ='Ä29-a
C
25=29-a에서 a=4
따라서 구 (x-4)Û`+(y+3)Û`+(z-2)Û`=25의 중심이
(4, -3,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이므로 이 구의 xy평면 위로의 구의 중심을 C라 하고, 선분 AC가 점 P가 나타내는 원을 포함하는
정사영은 중심이 (4, -3,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이다. 평면과 만나는 점을 Q라 하면
즉, 정사영의 넓이는 p_5 =25p이므로 b=25
2
ACÓ=6, CPÓ=3이므로 직각삼각형 APC에서 ∠ACP=60ù이다.
∴ a+b=4+25=29 3'3
직각삼각형 CPQ에서 PQÓ=CPÓ sin`60ù=
2
3'3
따라서 점 P가 나타내는 도형은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므로
2
631  ②
둘레의 길이는 2p_
3'3
=3'3p이다.
2
중심의 좌표를 (a, b, c)라 하자. (단, a>0, b>0, c>0)
구가 x축, y축, z축에 모두 접하므로
구의 중심 (a, b, c)에서 x축, y축, z축까지의 거리가 모두 반지름의
길이로 같으므로
"ÃbÛ`+cÛ` ="ÃaÛ`+cÛ` ="ÃaÛ`+bÛ` 634   24

즉, aÛ`=bÛ`=cÛ`에서 a=b=c (∵ a>0, b>0, c>0) 반구와 xy평면이 만나서 생기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5, 4, 0)이다.
이때, 반지름의 길이는 '2a이다. 이때, 평면 a는 y축을 포함하므로 주어진 도형을 평면 y=4로 자른
따라서 구의 방정식은 (x-a)Û`+(y-a)Û`+(z-a)Û`=2aÛ`이고, 단면은 다음 그림과 같다.
구가 xy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도형은 이 구의 방정식에 z =
z=0을 대입하면
(x-a)Û`+(y-a)Û`=aÛ` H

이 원의 넓이는 p_aÛ`=32p이므로 aÛ`=32, a=4'2 3


그러므로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2a=8이다. D
P{0,`4,`0} C{5,`4,`0} x

이때, P(0, 4, 0), C(5, 4, 0)이라 하고 평면 a와 구가 접하는 점을


632  ③ H라 하면 PCÓ=5, CHÓ=3이므로
구 xÛ`+yÛ`+zÛ`-6x-8y+4z+k=0에서 PHÓ=4
4
(x-3)Û`+(y-4)Û`+(z+2)Û`=29-k 따라서 cos`h= 이므로
5
이 방정식이 구를 나타내려면 29-k>0에서 k<29이고,
30 cos`h=24
이 구의 중심은 (3, 4, -2)이고,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Ä29-k 이다.
이 구가 xy평면, yz평면과 만나려면 구의 반지름의 길이가 구의
중심의 z좌표, x좌표의 절댓값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고, zx평면과는
만나지 않으려면 구의 반지름의 길이가 구의 중심의 y좌표의
635   풀이 참조

절댓값보다 작아야 하므로 구의 방정식 xÛ`+yÛ`+zÛ`-2x-4y+2z-3=0에서


3É'Ä29-k <4 (x-1)Û`+(y-2)Û`+(z+1)Û`=9이므로
9É29-k<16 구의 중심의 좌표는 (1,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 13<kÉ20 구를 xy평면으로 자른 단면인 원의 방정식은 이 구의 방정식에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14이고, 최댓값은 20이므로 z=0을 대입하면
자연수 k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합은 34이다. (x-1)Û`+(y-2)Û`=8

118 기하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2'2 이므로
넓이는 p_(2'2 ) =8p이다.
2 637  ②

또한 원뿔의 밑면의 중심의 좌표는 z 구 위의 점 P(a, b, c)에 대하여 aÛ`+bÛ`+cÛ`은


(1, 2, 0)이므로 {1,`2,`0} 점 P에서 원점까지의 거리의 제곱과 같다.
구의 중심과의 거리는 1이다. O y 즉, 점 P에서 원점까지의 거리가 최소일 때, aÛ`+bÛ`+cÛ`이 최소이다.
따라서 원뿔의 부피가 최대가 되는 x 구 (x-3)Û`+(y-4)Û`+(z-12)Û`=64의 중심의 좌표는
{1,`2,`-1}
원뿔의 높이는 1+3=4이므로 4 (3, 4, 12)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8이므로
구하는 부피의 최댓값은 원점에서 구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Ã3Û`+4Û`+12Û` =13이다.
1 32 즉, 원점에서 구 위의 점 P까지의 거리의 최솟값은 13-8=5이다.
_8p_4= p
3 3 따라서 aÛ`+bÛ`+cÛ`의 최솟값은 5Û`=25이다.
채점 요소 배점
구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20 %
구를 xy평면으로 자른 단면인 원의 방정식 구하기 20 % 638  ②
단면인 원의 넓이 구하기 20 %
구 xÛ`+yÛ`+zÛ`+6x-4y-2z+4=0에서
원뿔의 높이의 최댓값 구하기 20 %
(x+3)Û`+(y-2)Û`+(z-1)Û`=10  yy ㉠
원뿔의 부피의 최댓값 구하기 20 %
이 구가 xy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원의 방정식은
㉠에 z=0을 대입하면 (x+3)Û`+(y-2)Û`=9이다.
점 P(1, -1, 2)라 하고, 점 P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P'이라 하면 P'(1, -1, 0)이다.
xy평면 위의 원 (x+3)Û`+(y-2)Û`=9 위의 점을 Q라 할 때,
z

636  ② 2
-3
P
구 (x-4)Û`+(y-2)Û`+(z-3)Û`=1의 Q

ⅠⅠⅠ
-1
중심의 좌표는 (4, 2, 3)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1이므로 O 2 y
P'
이 구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1

x 간
중심의 좌표가 (4,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다.
PQÓ=¿¹PP'Ó Û`+P'QÓ Û` 

y yy ㉡ 형

이때, PP'Ó=2로 일정하므로 P'QÓ가 최소일 때, PQÓ가 최소이다.
2 점 P'과 원 (x+3)Û`+(y-2)Û`=9의 중심 (-3, 2, 0) 사이의 거리는 공
1
"Ã(-4)Û`+3Û` =5이므로 점 P'과 원 위의 점 Q 사이의 거리의


O 2 4 x 최솟값은 5-3=2이다. 표

두 점 (0, 1, 4), (2, k, 3)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이 각각 따라서 ㉡에서 P'QÓ가 최솟값 2를 가질 때,
점 (0, 1, 0), (2, k, 0)이므로 PQÓ의 최솟값은 "Ã2Û`+2Û` =2'2이다.
두 점 (0, 1, 4), (2, k, 3)을 지나는 직선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두 점 (0, 1, 0), (2, k, 0)을 지나는 직선이다.
즉, xy평면에서 두 점 (0, 1), (2, k)를 지나는 직선은 639  ②
k-1
y= x+1, 즉 (k-1)x-2y+2=0 점 P의 좌표를 (x, y, z)라 하면
2
APÓ`:`BPÓ=2`:`1에서 APÓ=2 BPÓ, 즉 APÓ Û`=4 BPÓ Û`이므로
이 직선이 원 (x-4)Û`+(y-2)Û`=1에 접해야 하므로
(x-4)Û`+(y-2)Û`+(z+4)Û`=4{(x-1)Û`+(y-5)Û`+(z+7)Û`}
원의 중심 (4, 2)와 직선 (k-1)x-2y+2=0 사이의 거리가
xÛ`+yÛ`+zÛ`-12y+16z+88=0
원의 반지름의 길이 1과 같아야 한다.
∴ xÛ`+(y-6)Û`+(z+8)Û`=12
|4(k-1)-4+2|
=1 따라서 점 P는 중심의 좌표가 (0, 6, -8)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Ã(k-1)Û`+(-2)Û`
2'3인 구 위의 점이다.
|4k-6|="ÃkÛ`-2k+5
원점 O와 구의 중심 (0, 6, -8) 사이의 거리가
16kÛ`-48k+36=kÛ`-2k+5
"Ã0Û`+6Û`+(-8)Û` =10이므로
15kÛ`-46k+31=0
원점 O와 점 P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10+2'3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p=10, q=2이므로
46
모든 k의 값의 합은 이다. p+q=12
15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19


점 P'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640  ②
3'2 5'2
'2+ = 이다.
반지름의 길이가 5인 구의 중심의 좌표를 (a, b, c)라 하면 2 2
구의 방정식은 따라서 삼각형 A'B'P'의 넓이의 최댓값은
(x-a)Û`+(y-b)Û`+(z-c)Û`=25  yy ㉠ 1 5'2 15
_3'2_ =
2 2 2
이 구가 xy평면, yz평면, zx평면과 각각 만나서 생기는 세 원의
방정식은 각각
㉠에 z=0, x=0, y=0을 대입하면
(x-a)Û`+(y-b)Û`=25-cÛ`,
(y-b)Û`+(z-c)Û`=25-aÛ`,
642  ⑤

(x-a)Û`+(z-c)Û`=25-bÛ` 그림에서 원 C1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 C1'과 원 C2의 평면 a


이므로 세 원의 넓이는 각각 위로의 정사영 C2'의 넓이는 S로 같다.
(25-cÛ`)p, (25-aÛ`)p, (25-bÛ`)p
이다. yz평면
L
C™ D
이때, 세 원의 넓이의 합이 {75-(aÛ`+bÛ`+cÛ`)}p=39p이므로 2 =
aÛ`+bÛ`+cÛ`=36 C¡' xy평면
C™'
따라서 구의 중심 (a, b, c)와 원점 사이의 거리는 C¡
D
"ÃaÛ`+bÛ`+cÛ` =6이므로 구 위의 점 P와 원점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이때, xy평면과 평면 a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 하면
6+5=11이다.
S=3p cos`h  yy ㉠
p
641  ⑤ 또한 yz평면과 평면 a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h이므로
2
p
두 점 A(1, 4, 3), B(4, 1, 2)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S=p cos { -h}=p sin`h  yy ㉡
2
각각 A'(1, 4, 0), B'(4, 1, 0)이다.
㉠, ㉡에서
구 (x-4)Û`+(y-4)Û`+(z-4)Û`=2의 중심의 좌표는
1
(4, 4, 4)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2이므로 이 구 위를 움직이는 3p cos`h=p sin`h, tan`h=3, cos`h=
'1Œ0
점 P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은 중심의 좌표가 (4, 4, 0)이고, 1 3'1Œ0
∴ S=3p_ = p
반지름의 길이가 '2인 xy평면 위의 원 (x-4) +(y-4) =2의
2 2
'1Œ0 10
둘레와 내부의 점이다.
z

4
643  9

O 4 점 P(0, 5, 5)와 원점 O에 대하여 직선 OP와 xy평면이 이루는


y
4 p
예각의 크기는 이고, 조건 (나)에 의하여 원 C의 넓이는 p이다.
4
x
원 C의 중심을 C라 하면 원 C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가
A'B'Ó="Ã3Û`+(-3)Û`+0Û` =3'2로 일정하므로 최대일 때, 점 C는 yz평면 위의 점이고 주어진 도형을 세 점 O, P,
삼각형 A'B'P'에서 밑변을 선분 A'B'이라 하면 C를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다음 그림과 같다.
높이는 점 P'과 직선 A'B' 사이의 거리이고 이 거리가 최대일 때, z
C
삼각형 A'B'P'의 넓이가 최대가 된다.
H P
y
D L
4
P' y
A' O
4
C

1 B'
O 1 4 x 이때, 점 P를 지나고 xy평면에 평행한 평면과 직선 OC의 교점을 H,
p
xy평면에서 직선 A'B'의 방정식은 y=-x+5이고, ∠POC=h (0<h< )라 하면
4
점 P'의 자취가 나타내는 원의 중심을 C라 할 때, p p
∠HPO= , ∠CPO= -h이므로 원 C를 포함한 평면과
점 C(4, 4, 0)과 직선 y=-x+5, 즉 x+y-5=0 사이의 거리는 4 2
|4+4-5| 3'2 p
= 이므로 xy평면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CPH= -h이다.
"Ã1Û`+1Û` 2 4

120 기하
OPÓ='5Œ0, CPÓ=1에서 OCÓ=7이므로 z
1 7
sin`h= , cos`h= A
'5Œ0 '5Œ0 1 x@+y@=13, z=0
p '2 '2 '2 8 4 -1 1
∴ cos`{ -h}= cos`h+ sin`h= _ = O y
4 2 2 2 '5Œ0 5 A'
1 B
따라서 원 C의 xy평면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의 최댓값은
4 4 y=2x-1,`z=0
x
p_ = p이므로
5 5
이때, 점 (a, b, 0)은 원 xÛ`+yÛ`=13, z=0과 직선 A'B의 교점 중
p+q=5+4=9
x좌표가 음수인 점이다.
xÛ`+yÛ`=13
연립방정식 [ 을 풀면
y=2x-1

644  ③ xÛ`+(2x-1)Û`=13, 5xÛ`-4x-12=0


(5x+6)(x-2)=0
구 (x+2)Û`+(y-3)Û`+(z-4)Û`=24의 중심의 좌표는 6
∴ x=- 또는 x=2
(-2, 3, 4)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2'6이다. 5
구의 중심에서 x축, y축, z축까지의 거리를 각각 dx, dy, dz라 하고, 6 17
이때, a<0이므로 a=- , b=-
5 5
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r=2'6이라 하면
23
dx="Ã3Û`+4Û` =5>r ∴ a+b=-
5
dy="Ã(-2)Û`+4Û` ='2Œ0<r
dz="Ã(-2)Û`+3Û` ='1Œ3<r
이므로 이 구는 x축과는 만나지 않고, y축, z축과는 만난다.
구의 중심이 x<0, y>0, z>0인 부분에 있으므로 646  ②
xy평면, yz평면, zx평면과 구가 만나는 도형은 각각 다음과 같다. 중심이 원점 O인 밑면의 둘레 중 z좌표가 가장 큰 점을 A라 하고
xy평면에서의 단면 yz평면에서의 단면 zx평면에서의 단면 B(0, 0, 10)이라 하자.
z z z z z z z z z 이때, 삼각형 OAB는 직각삼각형이므로 OAÓ=6
따라서 밑면의 넓이를 S라 하면 S=36p이다. ⅠⅠⅠ
한편, 밑면과 평면 z=10이 이루는 B 공
O Oy O y O y Oy O y Oy Oy O y y
D z=10 간
예각의 크기를 h라 하자. 8 D 도
x x x x x x x x x 형
이때, 평면 z=10은 xy평면과 평행하므로 10 과
좌표평면이 xy평면, yz평면, zx평면에 의하여 나누어지는 8개의 A
점 A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부분은 다음과 같다. D 공
A'이라 하면 ∠AOA'=h이다. A' O xy평면 간
Ú x>0, y>0, z>0인 부분 좌
p
Û x>0, y>0, z<0인 부분 즉, ∠BOA= -h, ∠ABO=h이므로 표
2
Ü x>0, y<0, z>0인 부분 8 4
cos`h= =
Ý x>0, y<0, z<0인 부분 10 5
Þ x<0, y>0, z>0인 부분 따라서 밑면의 평면 z=10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를 S'이라 하면
ß x<0, y>0, z<0인 부분 4 144
S'=S cos`h=36p_ = p
5 5
à x<0, y<0, z>0인 부분
¡ x<0, y<0, z<0인 부분
주어진 구는 y>0인 부분을 모두 지나고, y<0인 부분 중에서
z<0인 부분은 지나지 않고 z>0인 부분은 지나므로 647  ④
Ú, Û, Ü, Þ, ß, à을 지나고, Ý, ¡을 지나지 않는다.
구 S`:`xÛ`+yÛ`+zÛ`-4ax-10y-2az+4aÛ`+6a-20=0에서
따라서 구가 지나는 부분의 개수는 6이다.
(x-2a)Û`+(y-5)Û`+(z-a)Û`=aÛ`-6a+45
이 구의 방정식에 z=0, x=0, y=0을 각각 대입하면
(x-2a)Û`+(y-5)Û`=-6a+45  yy ㉠
yy ㉡
645  ② (y-5)Û`+(z-a)Û`=-3aÛ`-6a+45 
(x-2a)Û`+(z-a)Û`=aÛ`-6a+20  yy ㉢
점 B는 xy평면 위의 점이므로 점 A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이때, 구 S가 xy평면, yz평면, zx평면 중 어느 한 평면과는 만나지
A'이라 하면 A'(0, -1, 0)이다. 않으려면 위의 세 등식의 우변 중 한 개는 0보다 작고, 나머지 두
따라서 xy평면 위의 직선 A'B의 방정식은 y=2x-1이다. 개는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21


㉢의 우변은 항상 aÛ`-6a+20>0을 만족시키므로 다음을
TIP
만족시켜야 한다.
구의 중심은 z축 위에 존재하고 원 C의  z
Ú -6a+45<0, -3aÛ`-6a+45¾0인 경우
중심 또한 z축 위에 존재한다. 즉, A
15
-6a+45<0에서 a> 문제에서 주어진 입체도형은 그림과 같이
2
-3aÛ`-6a+45=-3(a+5)(a-3)¾0에서 -5ÉaÉ3 z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도형을 z축을
두 식을 모두 만족시키는 a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 것으로 해석할 Q

Û -6a+45¾0, -3aÛ`-6a+45<0인 경우 수 있다.


15 따라서 풀이에서 z축을 포함하는 단면 중 O y
-6a+45¾0에서 aÉ
2 하나인 yz평면을 고려한 것이다.
-3aÛ`-6a+45=-3(a+5)(a-3)<0에서 a<-5 또는 a>3
두 식을 모두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는
15
a<-5 또는 3<aÉ
2
15
Ú, Û에 의하여 a<-5 또는 3<aÉ 이다.
2
이때, ㉡의 우변이 음수이므로 구 S는 yz평면과는 만나지 않고, 649  ④
xy평면과 zx평면과 모두 만나므로 두 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구 S의 중심을 A(0, 0, 1)이라 하고 원점을 O, 선분 QR의 중점을
두 원의 넓이의 합은
M이라 하면
(-6a+45)p+(aÛ`-6a+20)p=(aÛ`-12a+65)p
삼각형 OQR에서 OQÓ=ORÓ=2이므로
={(a-6)Û`+29}p
직선 OM은 선분 QR를 수직이등분한다.  yy ㉠
따라서 a=6일 때 최솟값이 29p이므로
또한 점 P의 z좌표는 1보다 크므로 두 점 Q, R를 포함하는 평면 및
k=29
구 S와 원 C를 나타내면 [그림 1]과 같고 이를 평면 AOM으로 자른
단면은 [그림 2]와 같다.

648   11
S P S
점 P가 점 (0, 1, 0)의 위치에 있을 때 z P
A{0,`0,`3} A 60æ
주어진 도형을 yz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A
O M Q
C
그림과 같다. H C
C R O M
삼각형 AOP에서 원점 O에 대하여 R
AOÓ=3, OPÓ=1이므로 APÓ='1Œ0이다. Q [그림 1] [그림 2]
이때, 두 직각삼각형 AOM, APM은 서로 합동이고 주어진 조건에
구의 중심을 C라 하면 C(0, 0, 2)이고
O P{0,`1,`0} y 의하여 ∠PMO=60ù이므로
점 C에서 직선 AP에 내린 수선의 발을
OAÓ
H라 하면 두 삼각형 PAO, CAH는 서로 닮음이므로 OMÓ= ='3이다.
tan`30ù
APÓ`:`ACÓ=AOÓ`:`AHÓ에서
C
'1Œ0`:`1=3`:`AHÓ Q
2
3 3'1Œ0
∴ AHÓ= = Â3
'1Œ0 10 O
M
또한 삼각형 ACQ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R
3'1Œ0
AQÓ=2AHÓ=
5
이때, 점 Q에서 z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R라 하면 두 삼각형 PAO, 따라서 ㉠에 의하여 QRÓ=2QMÓ=2¿¹ OQÓ Û`-OMÓ Û` =2이다.
QAR도 서로 닮음이므로 APÓ`:`AQÓ=OPÓ`:`RQÓ에서

'1Œ0`:`
3'1Œ0
=1`:`RQÓ
5
3
∴ RQÓ=
5
따라서 점 Q가 나타내는 도형은 점 R를 중심으로 하고 650  ②
3 원점을 O, 구 S가 x축, y축에 접하는 점을 각각 P, Q라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이므로 이 도형 전체의 길이는
5
구 S의 중심을 C라 하자.
3 6
2p_ = p이다. 또한 점 C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C'이라 하면
5 5
∴ a+b=5+6=11 사각형 OPC'Q는 정사각형이다.

122 기하
이때, 구 S가 xy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원의 넓이는 64p이므로
PC'Ó=8이다.
651   13

∴ OC'Ó=8'2 구 xÛ`+yÛ`+zÛ`=16을 S'이라 하자.


y 두 구 S, S'의 중심 A(1, 1, 1), O(0, 0, 0) 사이의 거리는 '3이고
l
점 P와 점 A 사이의 거리는 2이므로 OPÓ의 최솟값은 2-'3이다.
8 C' S'
Q S 4 r
8
Â3
P
O P x A 2
r
O
한편, 직선 OC'을 l이라 하면 주어진 도형을 직선 l과 z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다음 그림과 같다. 이때, 구 S'의 반지름의 길이는 4이므로 점 P에서 구 S에 접하는
z 평면이 구 xÛ`+yÛ`+zÛ`=16과 만나서 생기는 도형은 원이고 넓이가
S 최대일 때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A rÛ`=4Û`-(2-'3)Û`=9+4'3
C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의 최댓값은 (9+4'3)p이므로
B M
l
a+b=9+4=13
O C'

구 S와 z축이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B라 하고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ABÓ=8이므로 AMÓ=4이다.
또한 CMÓ=OC'Ó=8'2이므로
구 S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rÛ`=AMÓ Û`+CMÓ Û`
=16+128=144
∴ r=12 (∵ r>0)
다른 풀이 ⅠⅠⅠ

구 S의 방정식을 (x-a)Û`+(y-b)Û`+(z-c)Û`=kÛ` (k>0)이라 하면 간
구 S는 x축과 y축에 각각 접하므로 도

(x-a)Û`+(y-a)Û`+(z-c)Û`=kÛ`  yy ㉠ 과
구 S가 xy평면과 만나서 생기는 원의 넓이는 64p이므로 공
㉠에 z=0을 대입하면 간

(x-a)Û`+(y-a)Û`=kÛ`-cÛ`에서 kÛ`-cÛ`=64이고 a=8이다. 표
한편, 구 S가 z축과 만날 때 x=y=0이므로 ㉠에 대입하면
128+zÛ`-2cz+cÛ`=cÛ`+64 (∵ kÛ`=cÛ`+64)
∴ zÛ`-2cz+64=0
이때, 방정식 zÛ`-2cz+64=0의 두 실근을 a, b (a<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2c, ab=64  yy ㉡
또한 구 S가 z축과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가 8이므로
b-a=8
즉, b=8+a이므로 ㉡의 ab=64에 대입하면
a(8+a)=64, aÛ`+8a-64=0
∴ a=4'5-4, b=4'5+4 또는 a=-4'5-4, b=-4'5+4
그런데 구의 중심의 x좌표, y좌표, z좌표가 모두 양수이므로
a=4'5-4, b=4'5+4
㉡에서 2c=a+b=8'5이므로 c=4'5
∴ kÛ`=cÛ`+64=80+64=144
∴ k=12 (∵ k>0)
따라서 구 S의 반지름의 길이는 12이다.

Ⅲ.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123


MEMO
MEMO
MEMO
MEMO
MEM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