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6

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 22. 11. 9. 오전 10:58


정답과 풀이

04 f(x)=5로 놓으면 함수 y=f(x)의 y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5 y=f(x)

따라서 x의 값이 -3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항상 5이므로
01 함수의 극한 lim 5=5
x`Ú-3
-3 O x

 5
본문 7~9쪽
개념 확인하기

01 3 02 4 03 1 04 5 05 1
06 8 07 2 08 -4 09 3 10 2 05 f(x)=xÛ`+1로 놓으면 함수 y=f(x) y
y=f(x)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1 3 12 2 13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따라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14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15 발산한다. 1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O
16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17 1 18 -1 lim(xÛ`+1)=1
x

19 1 20 -1 21 -1 22 0 23 2
x`Ú0

 1
24 2 25 1 26 -1 27 2 28 5
29 9 30 -2 31 10 32 3 33 1
34 2 35 3 36 2 37 2 38 ;3!; 06 f(x)=-2xÛ`+2x+12로 놓으면 y

f(x)=-2{x-;2!;}2`+;;ª2°;;
;;ª2°;;
39 5 40 4 41 ;4!; 42 6 8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43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y=f(x)
따라서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44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45 ;2#; 46 2 f(x)의 값은 8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1
O x
lim (-2xÛ`+2x+12)=8 ;2!;
47 0 48 0 49 ;2#; 50 -2 51 9 x`Ú-1

 8
52 2

01 f(x)=2x+3으로 놓으면 함수 y y=f(x)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3


07 f(x)= xÛx-1
`-1
로 놓으면 x+1일 때, y y=f(x)

2
따라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xÛ`-1 (x-1)(x+1)
f(x)= = =x+1
x-1 x-1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1
-;2#; O x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lim(2x+3)=3
x`Ú0
따라서 x의 값이 1이 아니면서 1에 한없이 가 O 1 x
 3
까워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
지므로
xÛ`-1
lim =2
x-1
02 f(x)=-x+3으로 놓으면 함수
x`Ú1
y
4  2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3
따라서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4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1 O 3 x
lim (-x+3)=4
x`Ú-1
y=f(x) 08 f(x)= xÛ`-2x-3
x+1
으로 놓으면  y y=f(x)

-1
 4 x+-1일 때, O x
xÛ`-2x-3
f(x)=
x+1
-3
(x+1)(x-3) -4
= =x-3
x+1
03 f(x)=-2x+5로 놓으면 함수 y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5
따라서 x의 값이 -1이 아니면서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따라서 x의 값이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2%;
1 값은 -4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O 2 x
xÛ`-2x-3
lim(-2x+5)=1 lim =-4
x`Ú2 y=f(x) x`Ú-1 x+1
 1   -4

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 22. 11. 9. 오전 10:58


09 f(x)='§Äx+7로 놓으면 함수 y=f(x) y
15 f(x)= -x+2
x-1
로 놓으면
y
y=f(x)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 O
3 f(x)=-1+ 1 x
따라서 x의 값이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y=f(x)
x-1 -1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7 O 2 x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

lim 'Äx+7=3 따라서 x의 값이 1이 아니면서 1에 한없이 가


x`Ú2
 3 까워질 때, f(x)의 값은 발산한다.
  발산한다.

10 f(x)='Ä-2x-2로 놓으면 함수 y


2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f(x)
16 f(x)= |x+1| 로 놓으면 y
2
따라서 x의 값이 -3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2
x>-1일 때, f(x)= 2 y=f(x)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x+1
-3 -1 O x
lim 'Ä-2x-2=2 2 -1 O x
x<-1일 때, f(x)=-
x`Ú-3 x+1
 2
즉,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
따라서 lim =¦
x`Ú-1 |x+1|
3x
11 f(x)= x+2
y
로 놓으면  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6
f(x)=3- 3 y=f(x)
x+2 17 lim `f(x)= lim x=1
x`Ú1+ x`Ú1+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 O x
 1
따라서
3x 6
lim =lim {3- }=3
x`Ú¦ x+2 x`Ú¦ x+2 18 lim `f(x)= lim (-2x+1)=-1
x`Ú1- x`Ú1-
 3   -1

19 lim `f(x)=1
12 f(x)= 2x-1
y x`Ú-1-
로 놓으면
x+1  1
3
f(x)=2- 2 y=f(x)
x+1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1
O
-1
x 20 lim `f(x)=-1
x`Ú-1+

같다.   -1
따라서

lim
x`Ú-¦
2x-1
x+1
= lim {2-
x`Ú-¦
3
x+1
}=2 21 lim `f(x)=-1
x`Ú0-

 2   -1

22 lim `f(x)=0
13 f(x)=xÛ`+2x-1로 놓으면
x`Ú0+
y
y=f(x)  0
f(x)=(x+1)Û`-2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
따라서 lim (xÛ`+2x-1)=¦ O
-1
x 23 lim `f(x)=2
x`Ú1-
x`Ú¦
-2
 2

 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24 lim `f(x)=2
x`Ú1+

 2
14 f(x)=-2x+4로 놓으면 y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lim (-2x+4)=¦ 4
25 x<-1일 때,
x`Ú-¦ xÛ`+x x(x+1)
f(x)= = =-x
2 -(x+1) -(x+1)
O x
y=f(x) 따라서 lim `f(x)= lim (-x)=1
x`Ú-1- x`Ú-1-

 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1

정답과 풀이 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 22. 11. 9. 오전 10:58


26 x>-1일 때, 36 lim ("Ã2xÛ`+1-1)= lim "Ã2xÛ`+1- lim 1
x`Ú-2 x`Ú-2 x`Ú-2
xÛ`+x x(x+1)
f(x)= = =x =3-1=2
x+1 x+1
 2
따라서 lim `f(x)= lim x=-1
x`Ú-1+ x`Ú-1+

  -1
2xÛ`-2x 2x(x-1)
37 lim
x-1
=lim
x-1
=lim 2x=2 lim x=2
27 lim 2x=2 lim x=2_1=2
x`Ú1 x`Ú1 x`Ú1 x`Ú1

x`Ú1 x`Ú1  2
 2

28 lim(x+3)=lim x+lim 3=2+3=5


x`Ú2 x`Ú2 x`Ú2 38 lim
x`Ú-2
x+2
= lim
x+2
= lim ;3!;=;3!;
3x+6 x`Ú-2 3(x+2) x`Ú-2
 5
  ;3!;

29 lim xÛ`=lim x_lim x=3_3=9


x`Ú3 x`Ú3 x`Ú3

9 xÛ`-x-6 (x-3)(x+2)
39

lim =lim
x`Ú3 x-3 x`Ú3 x-3
=lim(x+2)
lim x+lim 3 x`Ú3
x+3 1+3
30
x`Ú1 x`Ú1
lim = = =-2 =lim x+lim 2=3+2=5
x`Ú1 x-3 lim x-lim 3 1-3 x`Ú3 x`Ú3
x`Ú1 x`Ú1

  -2  5

31 lim (2xÛ`-8x)= lim 2xÛ`- lim 8x


x-4 ('x)Û`-2Û`
40
x`Ú-1 x`Ú-1 x`Ú-1
lim =lim
lim xÛ`-8 lim x
=2 x`Ú-1 x`Ú4 'x-2 x`Ú4 'x-2
x`Ú-1
('x-2)('x+2)
=2_1-8_(-1)=10 =lim
x`Ú4 'x-2
  10
=lim('x+2)
x`Ú4

=lim 'x+lim 2=2+2=4


32 lim(xÛ`-x+3)=lim xÛ`-lim x+lim 3
x`Ú1 x`Ú1 x`Ú1 x`Ú1
x`Ú4 x`Ú4

=1-1+3=3  4
 3

'Äx+4-2 ('Äx+4-2)('Äx+4+2)
2xÛ`-x-1
lim 2xÛ`-lim x-lim 1 41 lim
x`Ú0 x
=lim
x`Ú0 x('Äx+4+2)
33
x`Ú2 x`Ú2 x`Ú2
lim =
x`Ú2 xÛ`+1 lim xÛ`+lim 1 (x+4)-4 x
x`Ú2 x`Ú2 =lim =lim
x('Äx+4+2) x`Ú0 x('Äx+4+2)
x`Ú0
2 lim xÛ`-lim x-lim 1
=
x`Ú2 x`Ú2 x`Ú2
lim 1
lim xÛ`+lim 1 1 x`Ú0
=lim =
x`Ú2 x`Ú2 x`Ú0 'Äx+4+2 lim 'Äx+4+lim 2
x`Ú0 x`Ú0
2_4-2-1
= =1 1
4+1 = =;4!;
2+2
 1
  ;4!;
lim (-xÛ`)+ lim 5x+ lim 4
-xÛ`+5x+4
34
x`Ú-3 x`Ú-3 x`Ú-3
lim =
x`Ú-3 -xÛ`-1 lim (-xÛ`)- lim 1
x-3 (x-3)('Äx+6+3)
42
x`Ú-3 x`Ú-3
lim =lim
- lim xÛ`+5 lim x+ lim 4
x`Ú-3 x`Ú-3 x`Ú-3
x`Ú3 'Äx+6-3 x`Ú3 ('Äx+6-3)('Äx+6+3)
=
- lim xÛ`- lim 1 (x-3)('Äx+6+3)
x`Ú-3 x`Ú-3 =lim
-9+5_(-3)+4
x`Ú3 (x+6)-9
= =2 (x-3)('Äx+6+3)
-9-1
=lim
 2 x`Ú3 x-3
=lim('Äx+6+3)
x`Ú3

35 lim('Äx+1+1)=lim 'Äx+1+lim 1 =lim 'Äx+6+lim 3


x`Ú3 x`Ú3 x`Ú3 x`Ú3 x`Ú3

=2+1=3 =3+3=6
 3  6

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 22. 11. 9. 오전 10:58


43 분자와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x로 나누면 참고
2 `f(x)
x-1- f(x), g(x)가 다항식이면 lim 는 다음과 같다.
xÛ`-x-2 x `g(x)
lim =lim =¦ x`Ú¦
x`Ú¦ x-2 x`Ú¦ 2
1- ⑴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x
이므로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f(x) `f(x)
lim =¦ 또는 lim =-¦
x`Ú¦ `g(x) x`Ú¦ `g(x)
 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⑵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다른 풀이
`f(x) ( f(x)의 최고차항의 계수)
xÛ`-x-2 (x-2)(x+1) lim =
lim =lim =lim (x+1)=¦ x`Ú¦ `g(x) (g(x)의 최고차항의 계수)
x`Ú¦ x-2 x`Ú¦ x-2 x`Ú¦

이므로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⑶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f(x)
lim =0
x`Ú¦ `g(x)

44 분자와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xÛ`으로 나누면


1
-2x-1+
-2xÜ`-xÛ`+1 xÛ` ("ÃxÛ`+3x-x)("ÃxÛ`+3x+x)
lim
x`Ú¦ xÛ`+1
=lim
x`Ú¦ 1
=-¦ 49 lim ("ÃxÛ`+3x-x)=lim
x`Ú¦ x`Ú¦ "ÃxÛ`+3x+x
1+
xÛ`
(xÛ`+3x)-xÛ`
=lim
이므로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x`Ú¦ "ÃxÛ`+3x+x
 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3x
=lim
"ÃxÛ`+3x+x
x`Ú¦

3
=lim
45 분자와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xÛ`으로 나누면 x`Ú¦
¾¨1+ +1
3
x
1
3+ 3
3xÛ`+1 xÛ` 3+0 = =;2#;
lim
x`Ú¦ 2xÛ`+3x-1
=lim
x`Ú¦ 3 1
=
2+0-0
=;2#; 'Ä1+0+1
2+ -
x xÛ`
  ;2#;
  ;2#;

("ÃxÛ`-4x-x)("ÃxÛ`-4x+x)
46 분자와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xÜ`으로 나누면 50 lim ("ÃxÛ`-4x-x)=lim
x`Ú¦ x`Ú¦ "ÃxÛ`-4x+x
3 1 (xÛ`-4x)-xÛ`
6- + =lim
lim
6xÜ`-3x+1
=lim
xÛ` xÜ`
=
6-0+0
=2 x`Ú¦ "ÃxÛ`-4x+x
x`Ú¦ 3xÜ`+2x x`Ú¦ 2 3+0
3+ -4x
xÛ` =lim
 2 "Ãx`Û -4x+x
x`Ú¦

-4
=lim
4
¾¨1- +1
x`Ú¦

x
47 분자와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xÛ`으로 나누면 =
-4
1+1
=-2
1 1
+
x+1 x xÛ` 0+0   -2
lim =lim = =0
x`Ú¦ xÛ`-3x-4 x`Ú¦ 3 4 1-0-0
1- -
x xÛ`
 0
다른 풀이 51 lim(6x-9)=9, lim xÛ`=9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x`Ú3 x`Ú3

x+1 x+1 1 의하여 lim`f(x)=9


lim =lim =lim =0
x`Ú¦ x-4
x`Ú3
x`Ú¦ xÛ`-3x-4 x`Ú¦ (x+1)(x-4)

 9

48 분자와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 xÜ`으로 나누면


1 2 2xÛ`-1 2xÛ`
lim
xÛ`-2
=lim
-
x xÜ`
=
0-0
=0
52 lim
xÛ`+1
x`Ú¦
=2, lim
x`Ú¦ xÛ`+1
=2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
x`Ú¦ 3xÜ`-x+1 x`Ú¦ 1 1 3-0+0
3- + 계에 의하여 lim `f(x)=2
xÛ` xÜ` x`Ú¦

 0  2

정답과 풀이 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 22. 11. 9. 오전 10:58


05 f(x)=|3x+a|=|3{x+;3A;}|
본문 10~17쪽
유형 완성하기

01 ① 02 1 03 ③ 04 ⑤ 05 24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06 ⑤ 07 ③ 08 ① 09 ④ 10 ① -;3A;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1 ⑤ 12 9 13 ④ 14 ① 15 ④
이때 lim`f(x)=0에서 -;3A;=2이므로 a=-6
16 ⑤ 17 ② 18 2 19 ⑤ 20 ④ x`Ú2

따라서 f(x)=|3x-6|에서
21 ⑤ 22 ② 23 ⑤ 24 ④ 25 30
f(-6)=|-18-6|=24
26 ② 27 ④ 28 ④ 29 ④ 30 ⑤   24
31 ③ 32 ② 33 ① 34 ④ 35 ③
36 ① 37 ④ 38 16 39 ⑤ 40 ③
41 ④ 42 ② 43 ③ 44 ② 45 ③ 06 조건 (나)에서 lim`f(x)=¦이므로x`Ú1

46 ③ 47 ⑤ 48 ③ 49 ④ 50 ④ -a=1, a=-1
51 12 조건 (나)에서 lim `f(x)=3이므로 c=3
x`Ú¦

b
조건 (가)에서 f(3)=4이므로 f(x)=| |+3에서
x-1
01 x Ú -1일 때, f(x) Ú 0이므로 lim `f(x)=0
f(3)=|;2B;|+3=4, |;2B;|=1
x`Ú-1

x Ú 0일 때, f(x) Ú -2이므로 lim`f(x)=-2


x`Ú0

따라서 b>0이므로 ;2B;=1, b=2

lim `f(x)+lim`f(x)=0+(-2)=-2 따라서 a+b+c=-1+2+3=4


x`Ú-1 x`Ú0

 ①  ⑤

02 일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a, 0), 07 x Ú -1-일 때, f(x) Ú 1이므로 lim `f(x)=1
x`Ú-1-

x Ú 0일 때, f(x) Ú 3이므로 lim`f(x)=3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0, b)라 하면
lim`f(x)=0에서 a=6 x`Ú0
x`Ú6
x Ú 1+일 때, f(x) Ú 3이므로 lim `f(x)=3
lim`f(x)=3에서 b=3 x`Ú1+
x`Ú0
따라서
따라서 f(x)=-;2!;x+3에서 f(4)=1 lim `f(x)+lim`f(x)+ lim `f(x)=1+3+3=7
x`Ú-1- x`Ú0 x`Ú1+

 1  ③

03 ㄱ. x Ú 2일 때, f(x) Ú -1이므로 08 x Ú 0-일 때, f(x) Ú 1이므로 lim `f(x)=1


lim`f(x)=-1 (참) x`Ú0-

x Ú 2+일 때, f(x) Ú -3이므로 lim `f(x)=-3


x`Ú2

ㄴ. x Ú ¦일 때, f(x) Ú ¦이므로 x`Ú2+

따라서
lim `f(x)=¦ (참)
x`Ú¦
lim `f(x)+ lim `f(x)=1+(-3)=-2
ㄷ. x Ú -¦일 때, f(x) Ú ¦이므로 x`Ú0- x`Ú2+

 ①
lim `f(x)=¦ (거짓)
x`Ú-¦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09 x Ú -2-일 때, f(x) Ú b에서 lim `f(x)=b
x`Ú-2-

이때 lim `f(x)=2이므로 b=2


x`Ú-2-

04 lim `f(x)=2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한 점근선의 방정


x`Ú¦ x Ú 1일 때, f(x) Ú a에서 lim`f(x)=a
x`Ú1
식은 y=2이다. 이때 lim`f(x)=3이므로 a=3
x`Ú1
ax+b a(x-1)+a+b a+b
f(x)=
x-1
=
x-1
=
x-1
+a x Ú -2+일 때, f(x) Ú 3에서 lim `f(x)=3
x`Ú-2+
이므로 a=2 x Ú -1-일 때, f(x) Ú 2에서 lim `f(x)=2
x`Ú-1-
2x+b
함수 f(x)= 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b=0 f(1)=2이므로
x-1
2x
따라서 f(x)= 에서 f(5)=;2%; lim `f(x)_ lim `f(x)_f(1)=3_2_2=12
x-1 x`Ú-2+ x`Ú-1-

 ⑤  ④

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 22. 11. 9. 오전 10:58


10 lim `f(x)= lim (x+a)=2+a
x`Ú2- x`Ú2-
yy ㉠ ④ lim `f(x)= lim `(-x-1)=-2
x`Ú1- x`Ú1-

lim `f(x)= lim (-xÛ`+1)=-4+1=-3 yy ㉡ lim `f(x)= lim `(x+1)=2


x`Ú2+ x`Ú2+ x`Ú1+ x`Ú1+

㉠과 ㉡의 값이 같아야 하므로 에서 lim `f(x)+ lim `f(x)이므로 lim`f(x)의 값은 존재하지 않


x`Ú1- x`Ú1+ x`Ú1
2+a=-3, a=-5
는다.
 ①
⑤ lim `f(x)= lim `(x+1)=3
x`Ú2- x`Ú2-

11 lim `f(x)= lim (-x+a)=1+a


x`Ú-1- x`Ú-1-
yy ㉠ lim `f(x)= lim `(x+1)=3
x`Ú2+ x`Ú2+

lim `f(x)= lim `3=3 yy ㉡ 이므로 lim`f(x)=3


x`Ú-1+ x`Ú-1+ x`Ú2

㉠과 ㉡의 값이 같아야 하므로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④이다.


1+a=3, a=2  ④
한편, lim `f(x)=b=3이므로
x`Ú-1

b=3 -1 (x<-1)
따라서 a+b=2+3=5
14 f(x)=à
1 (x>-1)
이므로

 ⑤ ㄱ. x Ú -1-일 때, f(x) Ú -1이므로


lim `f(x)=-1 (참)
( -1 (x<3)
x`Ú-1-

ㄴ. x Ú -1+일 때, f(x) Ú 1이므로


12 f(x)={ 1 (x=3)이므로
lim `f(x)=1
9 2 (x>3) x`Ú-1+

이때 lim `f(x)+ lim `f(x)이므로


( -x-k (x<3) x`Ú-1- x`Ú-1+

(x+k)f(x)={ 3+k (x=3) 함수 f(x)는 x=-1에서 극한값을 갖지 않는다. (거짓)


9 2x+2k (x>3) ㄷ. lim `f(x)=lim 1=1 (거짓)
x`Ú¦ x`Ú¦

lim (x+k)f(x)= lim (-x-k)=-3-k yy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이다.


x`Ú3- x`Ú3-

lim (x+k)f(x)= lim (2x+2k)=6+2k yy ㉡  ①


x`Ú3+ x`Ú3+

㉠과 ㉡의 값이 같아야 하므로
-3-k=6+2k 15 x<3일 때,
3k=-9, k=-3 xÛ`-9 -(x-3)(x+3)
f(x)= = =-x-3
-(x-3) x-3
따라서 kÛ`=(-3)Û`=9
x>3일 때,
 9
xÛ`-9 (x-3)(x+3)
f(x)= = =x+3
x-3 x-3
13 Ú x<-1 또는 x>1일 때 -x-3 (x<3)
|xÛ`-1| xÛ`-1 (x-1)(x+1) 이므로 f(x)=à
f(x)= = = =x+1 x+3 (x>3)
x-1 x-1 x-1
Û -1Éx<1일 때 Ú k가 음의 정수일 때

|xÛ`-1| -(xÛ`-1) -(x-1)(x+1) ( - x+3


M
(x<3)
f(x)= = = =-x-1 (x-3)-k
x-1 x-1 x-1 (x-3)k f(x)={
x+1 (x<-1 또는 x>1) M x+3
(x>3)
Ú, Û에서 f(x)=à 9 (x-3)-k
-x-1 (-1Éx<1)
이므로 함수 (x-3)k f(x)는 x=3에서 발산한다.
① lim `f(x)= lim (x+1)=-1
x`Ú-2- x`Ú-2-
Û k=0일 때
lim `f(x)= lim `(x+1)=-1
x`Ú-2+ x`Ú-2+ x+3이면 (x-3)k f(x)=f(x)
이므로 lim `f(x)=-1 -x-3 (x<3)
x`Ú-2
(x-3)k f(x)=à
② lim `f(x)= lim `(x+1)=0 x+3 (x>3)
x`Ú-1- x`Ú-1-
이므로
lim `f(x)= lim `(-x-1)=0
x`Ú-1+ x`Ú-1+
lim (x-3)k f(x)=-3-3=-6,
x`Ú3-
이므로 lim `f(x)=0
x`Ú-1
lim (x-3)k f(x)=3+3=6
x`Ú3+
③ lim `f(x)= lim `(-x-1)=-1
x`Ú0- x`Ú0-
이때 lim (x-3)k f(x)+ lim (x-3)k f(x)이므로
x`Ú3- x`Ú3+
lim `f(x)= lim `(-x-1)=-1
x`Ú0+ x`Ú0+
함수 (x-3)k f(x)는 x=3에서 극한값을 갖지 않는다.
이므로 lim`f(x)=-1 즉, 함수 (x-3)k f(x)는 x=3에서 발산한다.
x`Ú0

정답과 풀이 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 22. 11. 9. 오전 10:58


Ü k가 양의 정수일 때 xÜ`-3xÛ`-x+3 xÛ`(x-3)-(x-3)
k
-(x-3) (x+3) (x<3)
20 lim
x`Ú3 xÛ`-5x+6
=lim
x`Ú3 (x-3)(x-2)
(x-3)k f(x)=à (x-3)(xÛ`-1)
(x-3)k(x+3) (x>3) =lim
x`Ú3 (x-3)(x-2)
이므로
xÛ`-1 9-1
lim (x-3)k f(x)=0, lim (x-3)k f(x)=0 =lim = =8
x`Ú3 x-2 3-2
x`Ú3- x`Ú3+

이때 lim (x-3)k f(x)= lim (x-3)k f(x)이므로  ④


x`Ú3- x`Ú3+

함수 (x-3)k f(x)는 x=3에서 극한값을 갖는다.


Ú, Û, Ü에서 k가 양의 정수일 때, 즉 k¾1에서 함수 (x-3)k f(x)
xÛ`-4 (x-2)(x+2)
는 극한값을 가지므로 정수 k의 최솟값은 1이다. 21 lim
x`Ú2
=lim
(x-2) f(x) x`Ú2 (x-2) f(x)
 ④ x+2
=lim
x`Ú2 `f(x)

lim(x+2)
lim{ f(x)-x} lim`f(x)-lim x =
x`Ú2
f(x)-x
16
x`Ú1 x`Ú1 x`Ú1
lim = = lim` f(x)
x`Ú1 xÛ`+x+1 lim (xÛ`+x+1) lim xÛ`+lim x+lim 1 x`Ú2
x`Ú1 x`Ú1 x`Ú1 x`Ú1
2+2
-2-1 = =;3!;
= =-1 a
1+1+1
이므로 a=12
 ⑤
 ⑤

-3 f(x)+g(x)+2
17 lim
x`Ú-1 2 f(x)+g(x)+1
{ f(x)}Û`-2 f(x) `f(x){ f(x)-2}
lim {-3 f(x)+g(x)+2}
x`Ú-1
22 lim
x`Ú-1 xÛ`f(x)-f(x)
= lim
x`Ú-1 f(x)(xÛ`-1)
=
lim {2 f(x)+g(x)+1} `f(x)-2
x`Ú-1 = lim
x`Ú-1 (x+1)(x-1)
lim {-3 f(x)}+ lim g(x)+ lim 2
=
x`Ú-1 x`Ú-1 x`Ú-1 `f(x)-2 1
lim {2 f(x)}+ lim g(x)+ lim 1 = lim _ lim
x`Ú-1 x`Ú-1 x`Ú-1
x`Ú-1 x+1 x`Ú-1 x-1

-3 lim `f(x)+ lim g(x)+ lim 2


x`Ú-1 x`Ú-1 x`Ú-1 =1_{-;2!;}=-;2!;
=
2 lim `f(x)+ lim g(x)+ lim 1
x`Ú-1 x`Ú-1 x`Ú-1  ②
-3+2+2
= =;5!;
2+2+1
 ②
'Äx+6-3 'Äx+6-3
23 lim
x`Ú3
=lim
xÛ`-x-6 x`Ú3 (x-3)(x+2)
18 2 f(x)-3g(x)=h(x)라 하면 =lim
('Äx+6-3)('Äx+6+3)
x`Ú3 (x-3)(x+2)('Äx+6+3)
2 f(x) h(x)
g(x)= - (x+6)-9
3 3
=lim
x`Ú3 (x-3)(x+2)('Äx+6+3)
이고 lim h(x)=4이므로
x`Ú¦
x-3
2 f(x) h(x) =lim
lim g(x)=lim [ - ] x`Ú3 (x-3)(x+2)('Äx+6+3)
x`Ú¦ x`Ú¦ 3 3
2 f(x) h(x) 1
=lim
=lim -lim (x+2)('Äx+6+3)
x`Ú3
x`Ú¦ 3 x`Ú¦ 3
1
=;3@; lim `f(x)-;3!; lim h(x) = =;3Á0;
x`Ú¦ x`Ú¦
(3+2)_('Ä3+6+3)
 ⑤
=;3@;_5-;3!;_4=2

 2
3-"ÃxÛ`+5 (3-"ÃxÛ`+5)(3+"ÃxÛ`+5)
24 lim
x`Ú-2 x+2
= lim
x`Ú-2 (x+2)(3+"ÃxÛ`+5)
xÜ`+3xÛ`-4x x(xÛ`+3x-4)
19 lim
x`Ú1 xÛ`-1
=lim
x`Ú1 (x-1)(x+1)
= lim
9-(xÛ`+5)
x(x-1)(x+4)
x`Ú-2 (x+2)(3+"Ãx`Û +5)
=lim
x`Ú1 (x-1)(x+1) 4-xÛ`
= lim
x(x+4) 1_5 x`Ú-2 (x+2)(3+"ÃxÛ`+5)
=lim = =;2%;
x`Ú1 x+1 1+1 (2-x)(2+x)
= lim
 ⑤ x`Ú-2 (x+2)(3+"ÃxÛ`+5)

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 22. 11. 9. 오전 10:58


2-x 9 1
= lim - -27+
x`Ú-2 3+"ÃxÛ`+5 x xÛ`
=lim
x`Ú¦ 1 1
2-(-2) 4 -9+ +
= = =;3@; x xÛ`
3+'Ä4+5 3+3
9 1
 ④ lim (-27)+lim
-lim
x`Ú¦ x x`Ú¦ xÛ`
x`Ú¦
=
1 1
lim (-9)+lim +lim
x`Ú¦ x`Ú¦ x x`Ú¦ xÛ`

(x-3) f(x) (x-3) f(x)("ÃxÛ`+16+5)


25 lim x`Ú3 "ÃxÛ`+16-5
=lim
x`Ú3 ("ÃxÛ`+16-5)("ÃxÛ`+16+5)
=
-27+0-0
-9+0+0
=3

(x-3) f(x)("ÃxÛ`+16+5)  ④
=lim
x`Ú3 (xÛ`+16)-25
(x-3) f(x)("ÃxÛ`+16+5) `f(x)
6-
=lim 6xÛ`-f(x) xÛ`
x`Ú3 xÛ`-9 29 lim
x`Ú¦ 3xÛ`+2 f(x)
=lim
x`Ú¦ 2 f(x)
(x-3) f(x)("ÃxÛ`+16+5) 3+
=lim xÛ`
x`Ú3 (x-3)(x+3) f(x)
lim 6-lim
`f(x)("ÃxÛ`+16+5) x`Ú¦ x`Ú¦ xÛ`
=lim =
x+3 f(x)
x`Ú3
lim 3+2 lim
18_('Ä9+16+5)
x`Ú¦ x`Ú¦ xÛ`
= =30 6-(-1)
3+3 = =7
  30 3+2_(-1)
 ④

(x-2) f(x) (x-2) f(x)('Äx+2+2) 30 t=-x로 놓으면 x Ú -¦일 때, t Ú ¦이므로


26 lim
x`Ú2 'Äx+2-2
=lim
x`Ú2 ('Äx+2-2)('Äx+2+2)
lim
4xÜ`-x-2
=lim
-4tÜ`+t-2
(x-2) f(x)('Äx+2+2)
x`Ú-¦ 2xÜ`+xÛ` t`Ú¦ -2tÜ`+tÛ`
=lim 1 2
x`Ú2 (x+2)-4 -4+ -
tÛ` tÜ`
(x-2) f(x)('Äx+2+2) =lim
=lim t`Ú¦ 1
x-2 -2+
x`Ú2 t
=lim { f(x)('Äx+2+2)}=8 1 2
x`Ú2
lim(-4)+lim -lim
이때 f(x)('Äx+2+2)=g(x)라 하면
t`Ú¦ tÛ` t`Ú¦ tÜ`
t`Ú¦
=
1
`g(x) lim(-2)+lim
t`Ú¦ t`Ú¦ t
f(x)=
'Äx+2+2 -4+0-0
= =2
이고, lim g(x)=8 -2+0
x`Ú2
 ⑤
따라서
`g(x) 8
lim `f(x)=lim = =2 ("ÃxÛ`+6x-x)("ÃxÛ`+6x+x)
x`Ú2 x`Ú2 'Äx+2+2 'Ä2+2+2 31 lim ("ÃxÛ`+6x-x)=lim
x`Ú¦ x`Ú¦ "ÃxÛ`+6x+x
 ②
(xÛ`+6x)-xÛ` 6x
=lim =lim
x`Ú¦ "ÃxÛ`+6x+x x`Ú¦ "ÃxÛ`+6x+x

1 3 6
4+ + =lim
6
¾¨1+ +1
x`Ú¦
4xÛ`+x+3 x xÛ`
27 lim
x`Ú¦ 2xÛ`+1
=lim
x`Ú¦ 1 x
2+ 6
xÛ` = =3
1+1
1 3
lim 4+lim +lim  ③
x`Ú¦ x`Ú¦ x x`Ú¦ xÛ`
=
1
lim 2+lim
x`Ú¦ x`Ú¦ xÛ` (x-"ÃxÛ`+x )(x+"ÃxÛ`+x )
4+0+0 32 lim (x-"ÃxÛ`+x )=lim
x`Ú¦ x`Ú¦ x+"ÃxÛ`+x
= =2
2+0 xÛ`-(xÛ`+x) -x
 ④ =lim =lim
x`Ú¦ x+"ÃxÛ`+x x`Ú¦ x+"ÃxÛ`+x

-1
=lim
x`Ú¦ 1
1+¾¨1+
(3x-1)Ü`-27xÜ` (27xÜ`-27xÛ`+9x-1)-27xÜ` x
28 lim
-9xÛ`+x+1
=lim
-9xÛ`+x+1 -1
=-;2!;
x`Ú¦ x`Ú¦
=
-27xÛ`+9x-1 1+1
=lim
x`Ú¦ -9xÛ`+x+1  ②

정답과 풀이 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 22. 11. 9. 오전 10:58


33 lim ("Ã9xÛ`+ax-3x)
x`Ú¦
b=-2a
("Ã9xÛ`+ax-3x)("Ã9xÛ`+ax+3x)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lim
x`Ú¦ "Ã9xÛ`+ax+3x a'Äx+1-2a a('Äx+1-2)
lim =lim
(9xÛ`+ax)-9xÛ` ax x`Ú3 x-3 x`Ú3 x-3
=lim =lim
x`Ú¦ "Ã9xÛ`+ax+3x x`Ú¦ "Ã9xÛ`+ax+3x
=lim
a('Äx+1-2)('Äx+1+2)
a a
x`Ú3 (x-3)('Äx+1+2)
=lim = =;6A;=-1 a{(x+1)-4}
a 3+3
¾¨9+ +3
x`Ú¦
=lim
x x`Ú3 (x-3)('Äx+1+2)

따라서 a=-6 a(x-3)


=lim
x`Ú3 (x-3)('Äx+1+2)
 ①
a
=lim
x`Ú3 'Äx+1+2
34 t=-x로 놓으면 x Ú -¦일 때, t Ú ¦이므로
a
lim ("Ã4xÛ`+8x+2x)=lim("Ã4tÛ`-8t-2t) = =;4A;=-1
x`Ú-¦ t`Ú¦ 'Ä3+1+2
("Ã4tÛ`-8t-2t)("Ã4tÛ`-8t+2t) 따라서 a=-4, b=8이므로
=lim
t`Ú¦ "Ã4tÛ`-8t+2t a+b=-4+8=4
(4tÛ`-8t)-4tÛ` -8t  ④
=lim =lim
t`Ú¦ "Ã4tÛ`-8t+2t t`Ú¦ "Ã4tÛ`-8t+2t

-8 -8 `f(x)
=lim
t`Ú¦ 8
¾¨4- +2
=
2+2
=-2
38 조건 (가)에서 lim 2xÛ`+1 =2이므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x`Ú¦
t
4인 이차함수이다.
 ④
`f(x)
조건 (나)의 lim =3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xÛ`+2x-3
=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x`Ú1
xÛ`+ax+b
35 lim
x`Ú1 x-1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즉, lim`f(x)=0이므로
x`Ú1
즉, lim(xÛ`+ax+b)=0에서
x`Ú1 f(x)=4(x-1)(x-a)`(a는 상수)
1+a+b=0 로 놓을 수 있다. 이것을 조건 (나)의 등식에 대입하면
b=-a-1 `f(x) 4(x-1)(x-a)
lim =lim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Ú1 xÛ`+2x-3 x`Ú1 (x-1)(x+3)
xÛ`+ax-(a+1) (x-1)(x+a+1) 4(x-a) 4(1-a)
lim =lim =lim
x+3
=
1+3
=1-a=3
x`Ú1 x-1 x`Ú1 x-1 x`Ú1

=lim (x+a+1)=a+2=4 a=-2


x`Ú1

따라서 a=2, b=-3이므로 따라서 f(x)=4(x-1)(x+2)이므로

ab=2_(-3)=-6 f(2)=4_1_4=16
 ③   16
다른 풀이

=b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xÛ`+a
36 lim
xÛ`-4x-5
x`Ú-1 조건 (가)에서 lim
x`Ú¦
`f(x)
2xÛ`+1
=2이므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인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이차함수이다.
즉, lim (xÛ`+a)=1+a=0에서
x`Ú-1 f(x)=4xÛ`+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조건 (나)에서 극한값이
a=-1 존재하고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즉, lim(4xÛ`+ax+b)=0에서
x`Ú1
xÛ`-1 (x+1)(x-1)
lim = lim 4+a+b=0, b=-a-4
x`Ú-1 xÛ`-4x-5 x`Ú-1 (x+1)(x-5)
이것을 조건 (나)의 등식에 대입하면
x-1 -1-1
= lim = =;3!;=b `f(x) 4xÛ`+ax-a-4
x`Ú-1 x-5 -1-5 lim =lim
x`Ú1 xÛ`+2x-3 x`Ú1 xÛ`+2x-3
따라서 a+b=-1+;3!;=-;3@; (x-1)(4x+a+4)
=lim
 ①
x`Ú1 (x-1)(x+3)
4x+a+4 a+8
=lim = =3
x+3 4
=-1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3일 때
a'Äx+1+b
37
x`Ú1
lim
x`Ú3 x-3 a=4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따라서 f(x)=4xÛ`+4x-8이므로
즉, lim(a'Äx+1+b)=a'Ä3+1+b=2a+b=0에서 f(2)=16+8-8=16
x`Ú3

1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 22. 11. 9. 오전 10:58


`f(x) tÛ`-0
39 조건 (가)에서 lim xÛ`-4x+1 =1이므로 f(x)는 최고차항의 계
x`Ú¦
41 직선 OP의 기울기는 t-0
=t이므로 직선 OP와 수직인 직선의

수가 1인 이차함수이다. 기울기는 -;t!; 이다.


`f(x)
조건 (나)의 lim =-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t tÛ`
이때 선분 OP의 수직이등분선은 선분 OP의 중점 { , }을 지나므
x`Ú-1 x+1 2 2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로 직선의 방정식은
즉, lim `f(x)=0이므로 tÛ` t 1+tÛ`
x`Ú-1
y- =-;t!; {x- }, 즉 y=-;t!; x+
2 2 2
f(x)=(x+1)(x-a)`(a는 상수)
1+tÛ`
로 놓을 수 있다. 이것을 조건 (나)의 등식에 대입하면 그러므로 점 Q의 좌표는 {0, }이다.
2
`f(x) (x+1)(x-a) 1+tÛ`
lim = lim
x+1 x`Ú-1 x+1 따라서 OPÓ="ÍtÛ`+tÝ`,  OQÓ= 이므로
x`Ú-1 2
= lim (x-a)=-1-a=-4 1
2¾¨ +1
"ÃtÛ`+tÝ`
x`Ú-1
OPÓ 2"ÃtÛ`+tÝ` tÛ`
a=3 lim =lim =lim =lim =2
t`Ú¦ OQÓ t`Ú¦ 1+tÛ` t`Ú¦ 1+tÛ` t`Ú¦ 1
+1
따라서 f(x)=(x+1)(x-3)이므로 2 tÛ`
f(4)=5_1=5  ④
 ⑤
다른 풀이
42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P(t, t), Q(t, t-2)
따라서 PRÓ=t, QRÓ=t-2, ORÓ=t이므로
`f(x)
조건 (가)에서 lim =1이므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lim(¿¹ PRÓ_QRÓ-ORÓ)=lim{"Ãt(t-2)-t}
x`Ú¦ xÛ`-4x+1 t`Ú¦ t`Ú¦

1인 이차함수이다. =lim("ÃtÛ`-2t-t)
t`Ú¦
f(x)=xÛ`+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조건 (나)에서 극한값이 존 ("ÃtÛ`-2t-t)("ÃtÛ`-2t+t)
재하고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lim
t`Ú¦ "ÃtÛ`-2t+t
즉, lim (xÛ`+ax+b)=0에서 (tÛ`-2t)-tÛ` -2t
x`Ú-1
=lim =lim
1-a+b=0, b=a-1
t`Ú¦ "ÃtÛ`-2t+t t`Ú¦ "ÃtÛ`-2t+t

이것을 조건 (나)의 등식에 대입하면 -2 -2


=lim = =-1
2 1+1
®É1- +1
t`Ú¦
`f(x) xÛ`+ax+a-1 t
lim = lim
x`Ú-1 x+1 x`Ú-1 x+1
 ②
(x+1)(x+a-1)
= lim
x`Ú-1 x+1 43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P(1, 2), Q(t, 'Ät+3)이고, 점 R의
= lim (x+a-1)=-2+a=-4 좌표는 R(t, 2)이다.
x`Ú-1
따라서 PRÓ=t-1, QRÓ='Ät+3-2이므로
a=-2
QRÓ 'Ät+3-2
따라서 f(x)=xÛ`-2x-3이므로 lim = lim
t`Ú1+ PRÓ t`Ú1+ t-1
f(4)=16-8-3=5
('Ät+3-2)('Ät+3+2)
= lim
t`Ú1+ (t-1)('Ät+3+2)
`f(x)-4xÜ`
40 조건 (가)에서 lim x`Ú¦ x-1
=1이므로 f(x)-4xÜ`은 최고차
= lim
(t+3)-4
t`Ú1+(t-1)('Ät+3+2)
항의 계수가 1인 일차함수이다.
t-1
즉, f(x)-4xÜ`=x+k`(k는 상수)로 놓으면 = lim
t`Ú1+ (t-1)('Ät+3+2)

f(x)=4xÜ`+x+k 1 1
= lim = =;4!;
조건 (나)의 등식에 대입하면 t`Ú1+ 'Ät+3+2 2+2
`f(x) 4xÜ`+x+k  ③
lim = lim =a
x`Ú-1 x+1 x`Ú-1 x+1
}, Q{t, ;3!;}이므로
1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 44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P{t, t+3
이어야 한다. 1
PQÓ=;3!;-
즉, lim (4xÜ`+x+k)=0에서 t+3
x`Ú-1
점 R의 좌표는 R(t, 0)이므로 ORÓ=t
-4-1+k=0, k=5
따라서
따라서 f(x)=4xÜ`+x+5이므로
PQÓ 1 1 1 t
`f(x) 4xÜ`+x+5 (x+1)(4xÛ`-4x+5) lim = lim {;3!;- }= lim [ _ ]
lim = lim = lim t`Ú0+ ORÓ t`Ú0+ t t+3 t`Ú0+ t 3(t+3)
x`Ú-1 x+1 x`Ú-1 x+1 x`Ú-1 x+1
1 1
= lim (4xÛ`-4x+5)=4+4+5=13 = lim = =;9!;
x`Ú-1 t`Ú0+ 3(t+3) 3_3
 ③  ②

정답과 풀이 1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 22. 11. 9. 오전 10:58


45 y=xÛ` 을 xÛ`+yÛ`=t에 대입하면 49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3xÛ`+1>0이므로
y+yÛ`=t, yÛ`+y-t=0 xÛ`+1 f(x) xÛ`+2
É É
-1Ñ'Ä1+4t 3xÛ`+1 3xÛ`+1 3xÛ`+1
이때 y= 에서 y>0이므로
2 이때
-1+'Ä1+4t -1+'Ä1+4t 1
y= , 즉 PHÓ= 1+
2 2 xÛ`+1 xÛ`
lim =lim =;3!;
한편, OPÓ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이므로 OPÓ='t 에서 OPÓ Û`=t x`Ú¦ 3xÛ`+1 x`Ú¦
3+
1
xÛ`
따라서
2
OPÓ Û` t xÛ`+2
1+
xÛ`
lim = lim lim =lim =;3!;
t`Ú0+ PHÓ t`Ú0+ -1+'Ä1+4t x`Ú¦ 3xÛ`+1 x`Ú¦ 1
2 3+
xÛ`
2t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 lim
t`Ú0+ -1+'Ä1+4t
`f(x)
2t(-1-'Ä1+4t) lim =;3!;
= lim x`Ú¦ 3xÛ`+1
t`Ú0+ (-1+'Ä1+4t)(-1-'Ä1+4t)
 ④
2t(-1-'Ä1+4t)
= lim
t`Ú0+ 1-(1+4t)
2t(-1-'Ä1+4t)
= lim
t`Ú0+ -4t
50 -1É f(x)-2xÛ`É1에서
1+'Ä1+4t 1+1 2xÛ`-1É f(x)É2xÛ`+1
= lim = =1
t`Ú0+ 2 2
0이 아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0이므로
 ③
1 `f(x) 1
2- É É2+
xÛ` xÛ` xÛ`
이때
2xÛ` 2
46 lim
x`Ú¦ 2xÛ`+3
=lim
x`Ú¦ 3
=;2@;=1
lim {2-
1 1
}=2, lim {2+ }=2
2+ x`Ú¦ xÛ` x`Ú¦ xÛ`
xÛ`
1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2+
2xÛ`+1 xÛ`
lim =lim =;2@;=1 lim
`f(x)
=2
x`Ú¦ 2xÛ`+3 x`Ú¦ 3 xÛ`
2+ x`Ú¦
xÛ`
 ④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f(x)=1
x`Ú¦

 ③
51 조건 (가)에 의하여 -1<x<2에서 x+1>0이므로
xÜ`+xÛ`+x+1 `f(x) xÛ`+4x+3
É É
x+1 x+4 x+1
47 lim(10x-25)=50-25=25
x`Ú5 (x+1)(xÛ`+1) `f(x) (x+1)(x+3)
É É
lim xÛ`=5Û`=25 x+1 x+4 x+1
x`Ú5
`f(x)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xÛ`+1É Éx+3
x+4
lim`f(x)=25 이때
x`Ú5

 ⑤ lim (xÛ`+1)=2, lim (x+3)=2


x`Ú-1+ x`Ú-1+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f(x)
lim
48 lim(4x-4)=8-4=4
x`Ú2
x`Ú-1+ x+4
=2

lim xÛ`=2Û`=4 조건 (나)에서 lim `f(x)의 값이 존재하므로


x`Ú-1
x`Ú2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f(x)= lim `f(x)


x`Ú-1 x`Ú-1+

lim`f(x)=4 `f(x)
x`Ú2 = lim [(x+4)_ ]
x`Ú-1+ x+4
1 1
한편, lim = =;4!; `f(x)
x`Ú2 x+2 2+2 = lim (x+4)_ lim =3_2=6
x`Ú-1+ x`Ú-1+ x+4
따라서
따라서
`f(x) 1
lim =lim _lim `f(x)=;4!;_4=1 lim (x+3) f(x)= lim (x+3)_ lim `f(x)=2_6=12
x`Ú2 x+2 x`Ú2 x+2 x`Ú2 x`Ú-1 x`Ú-1 x`Ú-1

 ③   12

1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 22. 11. 9. 오전 10:58


x 1
03 lim[ { -;3!;}]
본문 18쪽
서술형 완성하기 x`Ú5 5-x 'Äx+4
01 3 02 5 03 59 04 16 05 7 =lim{
x
_
3-'Äx+4
}
x`Ú5 5-x 3'Äx+4
06 4
x (3-'Äx+4)(3+'Äx+4 )
=lim[ _ ]
x`Ú5 5-x 3'Äx+4(3+'Äx+4 )

01 x+0일 때, f(x)= |x|


x
에서 =lim[
x`Ú5
x
_
9-(x+4)
5-x 3'Äx+4(3+'Äx+4 )
]
-1 (x<0)
x 5-x
f(x)=à
1 (x>0) =lim[ _ ]
x`Ú5 5-x 3'Äx+4(3+'Äx+4 )
좌극한과 우극한을 나누어 구하면 다음과 같다. x
=lim  yy ➊
Ú lim `f(x)= lim (-1)=-1 x`Ú5 3'Äx+4(3+'Äx+4 )
x`Ú0- x`Ú0-
5
lim `g(x)= lim (x+a)=a = =;5°4; yy ➋
x`Ú0- x`Ú0-
9_6
이므로 따라서 p=54, q=5이므로
lim `f(x)g(x)= lim `f(x)_ lim `g(x) p+q=54+5=59 yy ➌
x`Ú0- x`Ú0- x`Ú0-
  59
=-1_a=-a yy ➊
Û lim `f(x)= lim 1=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Ú0+ x`Ú0+
➊ 식을 유리화한 경우 50`%
lim `g(x)= lim (xÛ`+3-2a)=3-2a
x`Ú0+ x`Ú0+
➋ 극한값을 구한 경우 30`%
이므로
➌ p+q의 값을 구한 경우 20`%
lim `f(x)g(x)= lim `f(x)_ lim `g(x)
x`Ú0+ x`Ú0+ x`Ú0+

=1_(3-2a)=3-2a yy ➋ `f(x) `f(x)


`f(x) xÛ`-4 xÛ`-4
Ú, Û의 두 극한값이 같아야 하므로 04 lim
x`Ú2 `g(x)
=lim
x`Ú2 `g(x)
=lim
x`Ú2 `g(x)
-a=3-2a, a=3 yy ➌ xÛ`-4 (x-2)(x+2)
 3 `f(x)
xÛ`-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lim  yy ➊
x`Ú2 `g(x) 1
_
➊ 좌극한을 구한 경우 40`% x-2 x+2
➋ 우극한을 구한 경우 40`% `f(x)
lim
x`Ú2 xÛ`-4
➌ 극한값이 존재할 조건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 경우 20`% =
`g(x) 1
lim _lim
x`Ú2 x-2 x`Ú2 x+2

12
= =16 yy ➋
3_;4!;

  16
02 2 f(x)+g(x)=h(x), f(x)-3g(x)=k(x)라 하면
k(x)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x)=;7#; h(x)+
7 함수의 극한의 성질을 이용할 수 있도록 식을 변형한
➊ 50`%
h(x)
-;7@; k(x)
경우
g(x)=
7
➋ 극한값을 구한 경우 50`%
이므로 f(x)-g(x)=;7@; h(x)+;7#; k(x) yy ➊
`f(x)
따라서 05 조건 (가)에서 lim xÛ`+3x-1 =n이므로 f(x)는 최고차항의
x`Ú¦

lim { f(x)-g(x)}=lim [;7@; h(x)+;7#; k(x)] 계수가 n인 이차함수이다.


x`Ú¦ x`Ú¦
f(x)
=;7@; lim `h(x)+;7#; lim k(x) 조건 (나)의 lim =6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3일 때
x`Ú¦ x`Ú¦
x`Ú3 x-3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7@;_4+;7#;_9=5 yy ➋
즉, lim`f(x)=0이므로
x`Ú3
 5
f(x)=n(x-3)(x-a)`(a는 상수) yy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로 놓을 수 있다. 이것을 조건 (나)의 등식에 대입하면
함수의 극한의 성질을 이용할 수 있도록 식을 변형한 f(x) n(x-3)(x-a)
➊ 60`% lim =lim
경우 x`Ú3 x-3 x`Ú3 x-3
➋ f(x)-g(x)의 극한값을 구한 경우 40`% =lim n(x-a)=n(3-a)=6 yy ➊
x`Ú3

정답과 풀이 1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3 22. 11. 9. 오전 10:58


㉠에서 '§2t(2+'§2t ) 2_(2+2)
= lim = =4 yy ➌
f(4)=n(4-a)=4n-an t`Ú2- 2 2
=n+3n-an=n+n(3-a)=n+6 yy ➋  4
따라서 n은 자연수이므로 f(4)의 최솟값은 n=1일 때 7이다.yy 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7 ➊ f(t)를 구한 경우 3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➋ g(t)를 구한 경우 30`%
➊ n과 a의 관계식을 구한 경우 30`% ➌ 극한값을 구한 경우 40`%
➋ f(4)를 n의 식으로 나타낸 경우 30`%
➌ 최솟값을 구한 경우 40`%

다른 풀이
본문 19쪽
`f(x)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조건 (가)에서 lim =n이므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x`Ú¦ xÛ`+3x-1
01 8 02 1 03 ② 04 ④
n인 이차함수이다.
f(x)=nxÛ`+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조건 (나)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3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01 a=0이면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a+0이다.
Ú n=1일 때
즉, lim(nxÛ`+ax+b)=0에서
x`Ú3
(ax+1)n-8xÜ` ax+1-8xÜ`
9n+3a+b=0, b=-3a-9n lim =lim
x`Ú¦ 2xÛ`+x-1 x`Ú¦ 2xÛ`+x-1

즉, f(x)=nxÛ`+ax-3a-9n   yy ㉠ a 1
+ -8x
이것을 조건 (나)의 등식에 대입하면 x xÛ`
=lim =-¦
x`Ú¦ 1 1
f(x) nxÛ`+ax-3a-9n 2+ -
lim =lim x xÛ`
x`Ú3 x-3 x`Ú3 x-3
즉,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x-3)(nx+3n+a)
=lim Û n=2일 때
x`Ú3 x-3
=lim (nx+3n+a)=6n+a=6 yy ➊ (ax+1)n-8xÜ` (ax+1)Û`-8xÜ`
x`Ú3 lim =lim
x`Ú¦ 2xÛ`+x-1 x`Ú¦ 2xÛ`+x-1
㉠에서
aÛ`xÛ`+2ax+1-8xÜ`
f(4)=16n+4a-3a-9n=7n+a =lim
x`Ú¦ 2xÛ`+x-1
=n+6n+a=n+6 yy ➋ 2a 1
aÛ`+ + -8x
따라서 n은 자연수이므로 f(4)의 최솟값은 n=1일 때 7이다.yy ➌ x xÛ`
=lim =-¦
x`Ú¦ 1 1
2+ -
x xÛ`
즉,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Ü n=3일 때
06 두 점 P(t, '§2t), Q(0,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ax+1)n-8xÜ` (ax+1)Ü`-8xÜ`
'§2t-2 lim
x`Ú¦ 2xÛ`+x-1
=lim
x`Ú¦ 2xÛ`+x-1
y= x+2
t
aÜ`xÜ`+3aÛ`xÛ`+3ax+1-8xÜ`
2t =lim
이 식에 y=0을 대입하면 x= 이므로 점 R의 좌표는 x`Ú¦ 2xÛ`+x-1
2-'§2t
(aÜ`-8)xÜ`+3aÛ`xÛ`+3ax+1
2t
{
=lim
, 0}이다. x`Ú¦ 2xÛ`+x-1
2-'§2t
3a 1
따라서 (aÜ`-8)x+3aÛ`+ +
x xÛ`
2t t'§2t =lim
f(t)=;2!;_ _'§2t=  yy ➊ x`Ú¦ 1 1
2+ -
2-'§2t 2-'§2t x xÛ`

g(t)=;2!;_2_t=t yy ➋ =b
에서 b가 실수이므로 aÜ`-8=0이어야 한다.
이므로
이때 a가 실수이므로 a=2이고,
(2-t) f(t) 2-t t'§2t
lim = lim { _ } 6 1
t`Ú2- g(t) t`Ú2- t 2-'§2t 12++
x xÛ` 12+0+0
(2-t)'§2t b=lim = =6
= lim x`Ú¦ 1 1 2+0-0
2+ -
t`Ú2- 2-'§2t x xÛ`
(2-t)'§2t(2+'§2t ) Ý n¾4일 때
= lim
t`Ú2- (2-'§2t )(2+'§2t ) 1 n
xn{a+ } -8xÜ`
(2-t)'§2t(2+'§2t ) (ax+1)n-8xÜ` x
= lim lim =lim
t`Ú2- 4-2t x`Ú¦ 2xÛ`+x-1 x`Ú¦ 2xÛ`+x-1

1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4 22. 11. 9. 오전 10:59


1 n
xn-2{a+ } -8x = lim (xÛ`-2x+4+a)
x x`Ú-2
=lim
x`Ú¦ 1 1 =4+4+4+a=5
2+ -
x xÛ`
이므로 a=-7, b=-6
위의 극한은 a의 값의 부호에 따라 양의 무한대 또는 음의 무한대로
따라서 f(x)=xÜ`-7x-6이므로
발산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f(1)=1-7-6=-12
Ú ~ Ý에서 a=2, b=6이므로
 ②
a+b=2+6=8
 8
04 직선 OP의 기울기는 tÛt-0
`-0
=t이므로 직선 OP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t이다.
02 f(x)=xÛ`+(4-a)x-4a=(x+4)(x-a) 이때 기울기가 t이고 곡선 y=xÛ`에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g(x)=xÛ`+(a-3)x-3a=(x-3)(x+a) y=tx+s (s는 상수)라 하면 이 직선과 곡선 y=xÛ`이 접해야 하므로
에서 방정식 xÛ`=tx+s는 중근을 갖고, 그 중근이 점 Q의 x좌표이다.
`f(x) (x+4)(x-a) xÛ`-tx-s=0에서

xÛ`-tx+{ }2`-{ }2`-s=0


lim =lim
x`Úa `g(x) x`Úa (x-3)(x+a)
t t
`f(x) 2 2

{x- }2`- -s=0


이므로 a의 값에 따라 lim 의 값은 다음과 같다.
x`Úa `g(x) t tÛ`
Ú a=0일 때 2 4
`f(x) (x+4)x tÛ` t
x+4 즉, s=- 이고, 점 Q의 x좌표는 이므로
lim =lim =lim =-;3$; 4 2
x`Úa `g(x) x`Ú0 (x-3)x x`Ú0 x-3
tÛ`
Û a=3일 때 OPÓ="ÃtÛ`+tÝ`, ORÓ=|s|=
4
`f(x) (x+4)(x-3) x+4 tÛ`
lim =lim =lim =;6&; 평행한 두 직선 OP, RQ 사이의 거리는 점 O와 직선 y=tx- 사
x`Úa `g(x) x`Ú3 (x-3)(x+3) x`Ú3 x+3 4
Ü a+0이고 a+3일 때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f(x) (x+4)(x-a) (a+4)_0 tÛ` tÛ`
lim =lim = =0 |- |
x`Úa `g(x) x`Úa (x-3)(x+a) (a-3)_2a 4 4 tÛ`
= =
`f(x) "ÃtÛ`+1 "ÃtÛ`+1 4"ÃtÛ`+1
Ú, Û, Ü에서 lim 의 최댓값은 M=;6&;이고, 따라서
x`Úa `g(x)

최솟값은 m=-;3$;이므로 tÛ` tÛ`"ÃtÛ`(1+tÛ`) tÜ`


f(t)=;2!;_"ÃtÛ`+tÝ`_ = =
4"ÃtÛ`+1 8"ÃtÛ`+1 8
2M+m=2_;6&;+{-;3$;}=1 tÛ` t tÜ`
g(t)=;2!;_ _ =
4 2 16
 1
이므로
tÜ` 1 3 1
-3 -
2 f(t)-3 4 4 tÜ` 4
lim =lim =lim = =;3$;
`f(x)-xÜ` t`Ú¦ `3g(t)+1 t`Ú¦ 3tÜ` 3 1 3
03 조건 (가)에서 lim
t`Ú¦
=0이므로 f(x)-xÜ`은 일차함수 +1 +
16 tÜ` 16
x`Ú¦ xÛ` 16
또는 상수함수이다.  ④
즉, f(x)-xÜ`=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f(x)=xÜ`+ax+b
이것을 조건 (나)의 등식에 대입하면
`f(x) xÜ`+ax+b
lim = lim =5   yy ㉠
x`Ú-2 `x+2 x`Ú-2 `x+2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2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즉, lim (xÜ`+ax+b)=0에서
x`Ú-2

-8-2a+b=0
b=2a+8
㉠에 대입하면
xÜ`+ax+b xÜ`+ax+2a+8
lim = lim
x`Ú-2 x+2 x`Ú-2 x+2
(x+2)(xÛ`-2x+4+a)
= lim
x`Ú-2 x+2

정답과 풀이 1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5 22. 11. 9. 오전 10:59


05 함수 f(x)에 대하여 f(2)=2-2=0이므로 x=2에서 정의되
02 함수의 연속 어 있다.
lim `f(x)= lim (-2x)=-4
x`Ú2- x`Ú2-

본문 21~23쪽 lim `f(x)= lim (x-2)=0


개념 확인하기 x`Ú2+ x`Ú2+

이므로 lim`f(x)가 존재하지 않는다.


01 불연속 02 불연속 03 불연속 04 연속 05 불연속 x`Ú2

06 불연속 07 연속 08 불연속 09 연속 10 연속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11 불연속 12 [-1, 2] 13 (2, 6) 14 (-3, 0]   불연속

15 (-¦, 1) 16 [5, ¦) 17 (-¦, ¦)


18 (-¦, 1), (1, ¦) 19 (-¦, 3] 06 함수 f(x)에 대하여 f(2)=0이므로 x=2에서 정의되어 있다.
lim`f(x)=lim{(x-2)Û`+1}=1
20 (-¦, ¦) 21 (-¦, 0), (0, ¦) x`Ú2 x`Ú2

lim`f(x)+f(2)
22 (-¦, -1), (-1, ¦) 23 [2, ¦) x`Ú2

24 (-¦, ¦) 25 (-¦, ¦)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26 (-¦, 1), (1, ¦) 27 (-¦, ¦)   불연속

28 (-¦, ¦) 29 (-¦, ¦)
30 (-¦, ¦) 31 (-¦, ¦) 07 함수 f(x)에 대하여 f(2)=4이므로 x=2에서 정의되어 있다.
xÛ`-4 (x-2)(x+2)
32 (-¦, -2), (-2, 2), (2, ¦) 33 (-¦, 2), (2, ¦) lim`f(x)=lim =lim =lim (x+2)=4
x`Ú2 x`Ú2 x-2 x`Ú2 x-2 x`Ú2

34 (-¦, ¦) 35 (-¦, -2), (-2, 2), (2, ¦) lim`f(x)=f(2)=4


x`Ú2

36 최댓값: 2, 최솟값: 1 37 최솟값: 2 38 풀이 참조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39 최댓값: 5, 최솟값: 4 40 최솟값: 6   연속

41 최댓값: 1, 최솟값: ;8!; 42 최댓값: 0 43 풀이 참조


44 풀이 참조 45 풀이 참조 46 풀이 참조
08 함수 f(x)는 x=2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 불연속
01 함수 f(x)는 x=1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09 함수 f(x)에 대하여 f(2)='Ä2-2=0이므로 x=2에서 정의되
  불연속 어 있다.
lim `f(x)= lim (-x+2)=0
x`Ú2- x`Ú2-

lim `f(x)= lim 'Äx-2=0


02 함수 f(x)는 x=1에서 정의되어 있지만 x`Ú2+

이므로 lim`f(x)=0
x`Ú2+

lim `f(x)+ lim `f(x)이므로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2


x`Ú1- x`Ú1+ x`Ú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lim`f(x)=f(2)=0


x`Ú2

  불연속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 연속

03 함수 f(x)는 x=1에서 정의되어 있고, 10 함수 f(x)에 대하여 f(2)=8-2=6이므로 x=2에서 정의되


lim`f(x)도 존재하지만 어 있다.
x`Ú1

lim`f(x)+f(1) lim`f(x)=lim(2xÛ`-x)=6
x`Ú2 x`Ú2
x`Ú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lim`f(x)=f(2)=6


x`Ú2

  불연속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 연속

04 함수 f(x)는 x=1에서 정의되어 있고, 11 함수 f(x)에 대하여 f(2)=2이므로 x=2에서 정의되어 있다.
lim`f(x)도 존재하고, lim`f(x)=lim(x+1)=3
x`Ú1 x`Ú2 x`Ú2

lim`f(x)=f(1) lim`f(x)+f(2)
x`Ú1 x`Ú2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 연속   불연속

1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6 22. 11. 9. 오전 10:59


12   [-1, 2] 23 f(x)='Ä x-2에 대하여 함수 y=f(x) y y=f(x)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함수 f(x)는 x¾2에서 연속이므로
13   (2, 6)
[2, ¦)
O 2 x

  [2, ¦)

14   (-3, 0]
24 두 함수 y=x+1, y=x-3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x+1)(x-3)은 실수 전체
15   (-¦, 1)
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 (-¦, ¦)

16   [5, ¦)

25 두 함수 y=x-1, y=xÛ`+2x+1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이므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x-1)(xÛ`+2x+1)
17 f(x)=-xÛ`+4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 ¦)
  (-¦, ¦)
  (-¦, ¦)

2x
18 f(x)= x-1 의 정의역은 {x|x는 x+1인 실수}이므로 26 f(x)= x+2
x-1
는 x=1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x+2
(-¦, 1), (1, ¦) 함수 f(x)=
x-1
는 x+1인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 (-¦, 1), (1, ¦)   (-¦, 1), (1, ¦)

19 f(x)='Ä6-2x 의 정의역은 {x|6-2x¾0}이므로 27 두 함수 y=x-1, y=xÛ`+4x+5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6-2x¾0, 2xÉ6, xÉ3 이다.
에서 (-¦, 3] D
이차방정식 xÛ`+4x+5=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5<0이므
  (-¦, 3] 4
로 함수 y=xÛ`+4x+5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y>0, 즉 y+0이다.
x-1
따라서 함수 f(x)= 은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실수
20 f(x)=;2!;xÛ`-x에 대하여 함수 y=f(x)의 y y=f(x) xÛ`+4x+5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 ¦) O 2 x

  (-¦, ¦)
28 두 함수 f(x),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
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2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이다.
-x+1 (x<0)   (-¦, ¦)
21 f(x)=à xÛ` (x¾0)
에 대하여 함수 y y=f(x)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함수 f(x)는 x=0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
1 29 두 함수 f(x), 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
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3 f(x)+2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
에서 연속이므로 O x
속이다.
(-¦, 0), (0, ¦)
  (-¦, ¦)
  (-¦, 0), (0, ¦)

30 두 함수 f(x),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


22 f(x)= 3-x
x+1
=
4
x+1
-1에 대하여 y
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3 y=f(x)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
-1 O 3 x
함수 f(x)는 x=-1을 제외한 실수 전체
-1
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31 두 함수 g(x), 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
(-¦, -1), (-1, ¦) 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g(x)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 (-¦, -1), (-1, ¦)   (-¦, ¦)

정답과 풀이 1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7 22. 11. 9. 오전 10:59


32 g(x)=xÛ`-4=0에서 39 f(x)= 3x-1
x-1
=
3(x-1)+2
x-1
=
2
x-1
+3
x=-2 또는 x=2
함수 f(x)는 닫힌구간 [2, 3]에서 연속이므로 y
`f(x) y=f(x)
따라서 함수 는 x+-2이고 x+2인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 함수 f(x)는 x=2일 때, 최댓값
`g(x)
5
속이다. 2
f(2)= +3=5 4
2-1
  (-¦, -2), (-2, 2), (2, ¦) 3
x=3일 때, 최솟값
1
2
33 f(x)=x-2=0에서 x=2 f(3)=
3-1
+3=4 O 12 3 x

`g(x) 를 갖는다.
따라서 함수 는 x+2인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f(x)   최댓값: 5, 최솟값: 4
  (-¦, 2), (2, ¦)
3x 3(x+1)-3 3
34 이차방정식 xÛ`+2x+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40 f(x)= x+1 =
x+1
=-
x+1
+3

D 함수 f(x)는 구간 [-2, -1)에서 최댓값은 y


=1-2<0이므로 함수 h(x)=xÛ`+2x+2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
4 갖지 않고,
y=f(x)

서 h(x)>0, 즉 h(x)+0이다. 6
x=-2일 때, 최솟값
`f(x) 3 3
따라서 함수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f(-2)=- +3=6
`h(x) -2+1
  (-¦, ¦) 을 갖는다.
-2 O x
-1
35 g(x)=xÛ`-4=0에서
x=-2 또는 x=2   최솟값: 6
h(x)
따라서 함수 는 x+-2이고 x+2인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g(x) 41 함수 f(x)는 닫힌구간 [0, 3]에서 y

이다. 연속이므로
  (-¦, -2), (-2, 2), (2, ¦) 함수 f(x)는 x=0일 때, 최댓값 1

f(0)={;2!;}0`=1
;8!; y=f(x)
O 3 x
36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Äx+1은 연속이므로 f(x)는
x=3일 때, 최솟값

f(3)={;2!;}3`=;8!;
이 구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함수 f(x)는 x=3일 때, 최댓값 y
y=f(x)
f(3)='Ä3+1=2 2
을 갖는다.
1
x=0일 때, 최솟값
-1 O 3 x   최댓값: 1, 최솟값: ;8!;
f(0)='Ä0+1=1
을 갖는다.
  최댓값: 2, 최솟값: 1 42 함수 f(x)는 구간 (-1, 0]에서 y
y=f(x)
x=0일 때, 최댓값

37 f(x)=xÛ`-4x+5=(x-2)Û`+1 y f(0)=log(0+1)=0
-1 O x
함수 f(x)는 구간 [3, 4)에서 최댓값은 갖지 y=f(x) 을 갖고, 최솟값은 갖지 않는다.
5
않고,
  최댓값: 0
x=3일 때, 최솟값 2
f(3)=(3-2)Û`+1=2 1

를 갖는다.
O 2 3 4 x 43 f(x)=xÜ`+xÛ`+2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2, 0]에
서 연속이고
  최솟값: 2
f(-2)=-2<0, f(0)=2>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2, 0)에
38 f(x)=xÛ`+6x-3=(x+3)Û`-12 y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함수 f(x)는 열린구간 (-3, 0)에서 최댓값, y=f(x)
-3
따라서 방정식 xÜ`+xÛ`+2=0은 열린구간 (-2, 0)에서 적어도 하나
최솟값을 모두 갖지 않는다. O x
-3
의 실근을 갖는다.
  풀이 참조

-12
44 f(x)=2xÜ`+x-1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0, 1]에서
  풀이 참조 연속이고

1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8 22. 11. 9. 오전 10:59


f(0)=-1<0, f(1)=2>0 02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0, 1)에 적 lim `f(x)= lim `f(x)=f(a)이어야 한다.
x`Úa- x`Úa+
어도 하나 존재한다. lim `f(x)= lim (x-1)=a-1
x`Úa- x`Úa-
따라서 방정식 2xÜ`+x-1=0은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의
lim `f(x)= lim (2x-3)=2a-3
실근을 갖는다. x`Úa+ x`Úa+

  풀이 참조 f(a)=2a-3
이므로 a-1=2a-3

45 f(x)=xÝ`+2x-2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2]에 a=2


서 연속이고  ⑤
f(-1)=-3<0, f(2)=18>0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2)에
03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lim`f(x)=f(2)이어야 한다.
x`Ú2
따라서 방정식 xÝ`+2x-2=0은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
lim`f(x)=lim(3x+aÛ`)=6+aÛ`
의 실근을 갖는다. x`Ú2 x`Ú2

  풀이 참조 f(2)=7a
이므로 6+aÛ`=7a

46 f(x)=xÝ`-3xÜ`+xÛ`-2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aÛ`-7a+6=0, (a-1)(a-6)=0

[-1, 0]에서 연속이고 a=1 또는 a=6

f(-1)=3>0, f(0)=-2<0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0)에 1+6=7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④

따라서 방정식 xÝ`-3xÜ`+xÛ`-2=0은 열린구간 (-1, 0)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04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 풀이 참조 lim`f(x)=f(a)이어야 한다.
x`Úa

lim`f(x)=lim(-3xÛ`+2x-3a)=-3aÛ`-a
x`Úa x`Úa

f(a)=a-1
이므로 -3aÛ`-a=a-1
3aÛ`+2a-1=0, (a+1)(3a-1)=0
본문 24~30쪽
유형 완성하기
a=-1 또는 a=;3!;
01 ② 02 ⑤ 03 ④ 04 ③ 05 ②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06 ⑤ 07 ② 08 ② 09 ① 10 ④
-1_;3!;=-;3!;
11 ② 12 ⑤ 13 ③ 14 ① 15 ①
 ③
16 ⑤ 17 ③ 18 6 19 ② 20 ④
21 ② 22 ⑤ 23 ③ 24 7 25 ③
26 34 27 ④ 28 ② 29 ① 30 ② 05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a)이어야 한다.
31 ③ 32 ② 33 ④ 34 ③ 35 50 x`Úa- x`Úa+

36 ① 37 3 38 2 39 ③ 40 ② lim `f(x)= lim (5x+6)=5a+6


x`Úa- x`Úa-

41 3 42 2 lim `f(x)= lim (xÜ`-2a)=aÜ`-2a


x`Úa+ x`Úa+

f(a)=aÜ`-2a
01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이므로 5a+6=aÜ`-2a
lim `f(x)= lim `f(x)=f(1)이어야 한다. aÜ`-7a-6=0, (a+2)(a+1)(a-3)=0
x`Ú1- x`Ú1+

lim `f(x)= lim `2xÛ`=2 a=-2 또는 a=-1 또는 a=3


x`Ú1- x`Ú1-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lim `f(x)= lim (3x+a)=3+a
x`Ú1+ x`Ú1+
 ②
f(1)=3+a
이므로 2=3+a
a=-1 06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lim `f(x)= lim `f(x)=f(a)이어야 한다.
 ② x`Úa- x`Úa+

정답과 풀이 1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9 22. 11. 9. 오전 10:59


lim `f(x)= lim (xÛ`+k)=aÛ`+k
x`Úa- x`Úa- 또 f(-2)=b이므로 b=;4!;
lim `f(x)= lim (6x+1)=6a+1
x`Úa+ x`Úa+ 따라서 ab=-2_;4!;=-;2!;
f(a)=6a+1
 ②
이므로 aÛ`+k=6a+1
aÛ`-6a+k-1=0
이때 서로 다른 실수 a의 개수가 2이므로 a에 대한 이차방정식 09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aÛ`-6a+k-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lim `f(x)=f(-1)이어야 한다.
x`Ú-1
xÛ`+ax+b
D
=9-(k-1)=10-k>0 lim `f(x)= lim    yy ㉠
4 x`Ú-1 x`Ú-1 x+1

k<10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따라서 자연수 k는 1, 2, 3, y, 9이므로 그 개수는 9이다. (분자) Ú 0이어야 한다.

 ⑤ 즉, lim (xÛ`+ax+b)=1-a+b=0에서
x`Ú-1
b=a-1
㉠에 대입하면

07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x`Ú-1 x`Ú-1
xÛ`+ax+a-1
x+1
lim`f(x)=f(2)이어야 한다.
x`Ú2 (x+1)(x-1+a)
= lim
xÛ`+x+a x`Ú-1 x+1
lim`f(x)=lim    yy ㉠
x`Ú2 x`Ú2 x-2 = lim (x-1+a)=-2+a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2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
x`Ú-1

또 f(-1)=1이므로
이어야 한다.
-2+a=1, a=3
즉, lim(xÛ`+x+a)=4+2+a=6+a=0에서
x`Ú2 b=2
a=-6 따라서 aÛ`+bÛ`=9+4=13
㉠에 대입하면  ①
xÛ`+x-6 (x-2)(x+3)
lim`f(x)=lim =lim
x`Ú2 x`Ú2 x-2 x`Ú2 x-2
=lim(x+3)=5
x`Ú2
10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a)이어야 한다.
또 f(2)=b이므로 b=5 x`Úa- x`Úa+

따라서 a+b=(-6)+5=-1 lim `f(x)= lim (x-b)=a-b


x`Úa- x`Úa-

 ② 'Äx+3-2a
lim `f(x)= lim    yy ㉠
x`Úa+ x`Úa+ x-a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a+일 때 (분모) Ú 0이므로
08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lim `f(x)=f(-2)이어야 한다. 즉, lim ('Äx+3-2a)='Äa+3-2a=0에서
x`Ú-2 x`Úa+

'Äx+6+a 'Äa+3=2a
lim `f(x)= lim    yy ㉠
x`Ú-2 x`Ú-2 x+2
양변을 제곱하면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2일 때 (분모) Ú 0이므로
a+3=(2a)Û`
(분자) Ú 0이어야 한다.
4aÛ`-a-3=0, (a-1)(4a+3)=0
즉, lim ('Äx+6+a)=2+a=0에서
x`Ú-2 a>0이므로 a=1
a=-2 ㉠에 대입하면
㉠에 대입하면 'Äx+3-2
lim `f(x)= lim
'Äx+6-2 x`Ú1+ x`Ú1+ x-1
lim `f(x)= lim
x`Ú-2 x`Ú-2 x+2 ('Äx+3-2)('Äx+3+2)
` = lim
('Äx+6-2)('Äx+6+2) x`Ú1+ (x-1)('Äx+3+2)
` = lim
x`Ú-2 (x+2)('Äx+6+2) (x+3)-4
` = lim
(x+6)-4 x`Ú1+ (x-1)('Äx+3+2)
` = lim
x`Ú-2 (x+2)('Äx+6+2) 1
` = lim =;4!;
x`Ú1+ 'Äx+3+2
x+2
` = lim
x`Ú-2 (x+2)('Äx+6+2)
또 f(1)=1-b에서 1-b=;4!;, b=;4#;
1
` = lim
x`Ú-2 'Äx+6+2
따라서 a+b=1+;4#;=;4&;
` =;4!;  ④

2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0 22. 11. 9. 오전 10:59


11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즉, lim `f(x)= lim `f(x)=f(1)이어야 한다.
x`Ú1- x`Ú1+
lim `f(x)=f(-1)이어야 한다. lim `f(x)= lim (xÜ`+ax)=1+a
x`Ú-1
x`Ú1- x`Ú1-
x+-1일 때, (x+1) f(x)=xÛ`-2x+a에서 lim `f(x)= lim (4xÛ`-a)=4-a
x`Ú1+ x`Ú1+
xÛ`-2x+a
f(x)= 이므로 f(1)=4-a
x+1
xÛ`-2x+a 이므로 1+a=4-a, 2a=3
f(-1)= lim    yy ㉠
x`Ú-1 x+1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a=;2#;

(분자) Ú 0이어야 한다.  ③


즉, lim (xÛ`-2x+a)=1+2+a=0에서
x`Ú-1

a=-3 14 함수 y=xÛ`+a는 구간 (-¦, a)에서 연속이고,


㉠에서 함수 y=-2x+4는 구간 [a, ¦)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실수
xÛ`-2x-3 (x+1)(x-3)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a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f(-1)= lim = lim
x`Ú-1 x+1 x`Ú-1 x+1 즉, lim `f(x)= lim `f(x)=f(a)이어야 한다.
x`Úa- x`Úa+
= lim (x-3)=-4
x`Ú-1
lim `f(x)= lim (xÛ`+a)=aÛ`+a
x`Úa- x`Úa-
 ②
lim `f(x)= lim (-2x+4)=-2a+4
x`Úa+ x`Úa+

f(a)=-2a+4
12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이므로 aÛ`+a=-2a+4
lim`f(x)=f(a)이어야 한다.
x`Úa aÛ`+3a-4=0, (a+4)(a-1)=0
x+a일 때, (x-a) f(x)=(x+a)("ÃxÛ`+3aÛ`+b)에서 a>0이므로 a=1
(x+a)("ÃxÛ`+3aÛ`+b)  ①
f(x)= 이므로
x-a
(x+a)("ÃxÛ`+3aÛ`+b)
f(a)=lim
x`Úa x-a
   yy ㉠ 15 함수 y=-x+a는 구간 (-¦, 0)에서 연속이고,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a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 함수 y=4xÛ`-4x+2는 구간 [0, 1)에서 연속,
이어야 한다. 함수 y=bx+4는 구간 [1, ¦)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실수 전
즉, lim(x+a)("ÃxÛ`+3aÛ`+b)=2a(2a+b)=0에서 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0, x=1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x`Úa
lim `f(x)= lim `f(x)=f(0)이어야 하므로
a=0 또는 b=-2a x`Ú0- x`Ú0+

그런데 a>0이므로 b=-2a lim `f(x)= lim (-x+a)=a


x`Ú0- x`Ú0-

㉠에서 lim `f(x)= lim (4xÛ`-4x+2)=2


x`Ú0+ x`Ú0+
(x+a)("ÃxÛ`+3aÛ`-2a) f(0)=2
f(a)=lim
x`Úa x-a
에서 a=2
(x+a)("ÃxÛ`+3aÛ`-2a)("ÃxÛ`+3aÛ`+2a)
=lim lim `f(x)= lim `f(x)=f(1)이어야 하므로
x`Úa (x-a)("ÃxÛ`+3aÛ`+2a) x`Ú1- x`Ú1+

(x+a){(xÛ`+3aÛ`)-4aÛ`} lim `f(x)= lim (4xÛ`-4x+2)=2


=lim x`Ú1- x`Ú1-
x`Úa (x-a)("ÃxÛ`+3aÛ`+2a) lim `f(x)= lim (bx+4)=b+4
x`Ú1+ x`Ú1+
(x+a)(xÛ`-aÛ`)
=lim f(1)=b+4
x`Úa (x-a)("ÃxÛ`+3aÛ`+2a)
에서 b+4=2, b=-2
(x+a)Û`(x-a)
=lim 따라서 ab=2_(-2)=-4
x`Úa (x-a)("ÃxÛ`+3aÛ`+2a)
 ①
(x+a)Û`
=lim
x`Úa "ÃxÛ`+3aÛ`+2a
=a 16 다항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
f(a)=3이므로 a=3이고, b=-6 연속이다.
따라서 a-b=3-(-6)=9 즉, lim `f(x)=f(-1)이므로
x`Ú-1

 ⑤ `f(x)(x+1)
lim
x`Ú-1 'Äx+5-2
x+1
= lim `f(x)_ lim
13 함수 y=xÜ`+ax는 구간 (-¦, 1)에서 연속이고, x`Ú-1 x`Ú-1 'Äx+5-2
함수 y=4xÛ`-a는 구간 [1, ¦)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구간 (x+1)('Äx+5+2)
=f(-1)_ lim
(-¦, ¦)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x`Ú-1 ('Äx+5-2)('Äx+5+2)

정답과 풀이 2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1 22. 11. 9. 오전 10:59


(x+1)('Äx+5+2) 즉, lim `f(x)g(x)= lim ` f(x)g(x)=f(1)g(1)이어야 하므로
=f(-1)_ lim
(x+5)-4
x`Ú-1 x`Ú1- x`Ú1+

(x+1)('Äx+5+2) lim `f(x)g(x)= lim `f(x)_ lim `g(x)


=f(-1)_ lim x`Ú1- x`Ú1- x`Ú1-
x`Ú-1 x+1
=(4+a)_(-1)=-4-a
=f(-1)_ lim ('Äx+5+2)
x`Ú-1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f(-1)_4=20
=(4+a)_5=20+5a
에서
f(1)g(1)=(4+a)_5=20+5a
f(-1)=5
에서 -4-a=20+5a
 ⑤
6a=-24, a=-4
 ②

17 두 다항함수 f(x),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 연속이다.
즉, lim`f(x)=f(1), lim`g(x)=g(1)
x`Ú1 x`Ú1
20 함수 f(x)는 구간 (-¦, -1), [-1, ¦)에서 연속이고, 함수
g(x)는 구간 (-¦, ¦)에서 연속이다.
lim{ f(x)+g(x)}=3에서
x`Ú1
그러므로 함수 f(x)g(x)는 구간 (-¦, -1), [-1, ¦)에서 연속
lim`f(x)+lim`g(x)=f(1)+g(1)=3 이다.
x`Ú1 x`Ú1

lim`f(x)g(x)=2에서 이때 함수 f(x)g(x)가 구간 (-¦, ¦)에서 연속이려면 x=-1에


x`Ú1

lim`f(x)_lim`g(x)=f(1)_g(1)=2 서 연속이어야 한다.


x`Ú1 x`Ú1
즉, lim `f(x)g(x)= lim `f(x)g(x)=f(-1)g(-1)이어야 하
x`Ú-1- x`Ú-1+
따라서
{ f(1)}Û`+{g(1)}Û`={ f(1)+g(1)}Û`-2_f(1)_g(1) 므로

=3Û`-2_2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5 =1_(-1+a)=-1+a
 ③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1)_(-1+a)=1-a

18 다항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3에서 f(-1)g(-1)=(-1)_(-1+a)=1-a


연속이다. 에서 -1+a=1-a
즉, lim `f(x)= lim `f(x)=f(-3) a=1
x`Ú-3- x`Ú-3+
 ④
한편, 함수 g(x)가 구간 (-¦, ¦)에서 연속이므로 x=-3에서 연
속이다.
즉, lim `g(x)= lim `g(x)=g(-3)이어야 한다.
x`Ú-3- x`Ú-3+
21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함수 g(x)는
lim `g(x)= lim {xÛ`+x-f(x)} x=2를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x`Ú-3- x`Ú-3-

` = lim (xÛ`+x)- lim `f(x) 이때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2에서


x`Ú-3- x`Ú-3-
연속이어야 한다.
` =6-f(-3)
즉, lim`f(x)g(x)=f(2)g(2)이어야 하므로
lim `g(x)= lim {2x+f(x)} x`Ú2
x`Ú-3+ x`Ú-3+
lim`f(x)g(x)=lim`f(x)_lim`g(x)
` = lim 2x+ lim `f(x) x`Ú2 x`Ú2 x`Ú2
x`Ú-3+ x`Ú-3+
=lim`f(x)_3=3(2+a)
` =-6+f(-3) x`Ú2

g(-3)=-6+f(-3) f(2)g(2)=(2+a)_1=a+2
이므로 6-f(-3)=-6+f(-3) 에서 3(2+a)=a+2, a=-2
2 f(-3)=12, f(-3)=6 따라서 f(x)=x-2에서
 6 f(1)=1-2=-1
 ②

19 함수 f(x)는 구간 (-¦, ¦)에서 연속이고, 함수 y=x-2는


구간 (-¦, 1)에서 연속, 함수 y=2x+3은 구간 [1, ¦)에서 연속
이므로 함수 g(x)는 구간 (-¦, 1), [1, ¦)에서 연속이다. 22 곡선 y=xÛ`과 직선 y=2x+t가 만나는 점의 개수는 x에 대한 방
정식 xÛ`=2x+t, 즉 xÛ`-2x-t=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이다.
그러므로 함수 f(x)g(x)는 구간 (-¦, 1), [1, ¦)에서 연속이다.
이차방정식 xÛ`-2x-t=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때 함수 f(x)g(x)가 구간 (-¦, ¦)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 연
D
속이어야 한다. =1+t
4

2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2 22. 11. 9. 오전 10:59


1+t<0일 때, f(t)=0 f(1)g(1)=(1+a+b)_(-1)=-(1+a+b)
1+t=0일 때, f(t)=1 에서 -(1+a+b)=2(1+a+b)
1+t>0일 때, f(t)=2 3(1+a+b)=0
( 0 (x<-1) a+b=-1 yy ㉡
그러므로 f(x)={ 1 (x=-1)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1
9 2 (x>-1) 따라서 f(x)=xÛ`-1이므로
함수 f(x)는 x=-1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함수 f(2)=4-1=3
g(x)=2x+a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g(x)는  ③
x=-1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이때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1에
24 y
y=|xÛ -4|
서 연속이어야 한다. 4
즉, lim `f(x)g(x)= lim `f(x)g(x)=f(-1)g(-1)이어야 하
x`Ú-1- x`Ú-1+

므로
-2 O 2 x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0_g(-1)=0 ( 0 (t<0)

lim `f(x)g(x)= lim `f(x)_ lim g(x) M 2 (t=0)


f(t)={ 4 (0<t<4)에서 함수 f(x)는 x=0, x=4를 제외한 실수 전
x`Ú-1+ x`Ú-1+ x`Ú-1+

=2 g(-1)
M 3 (t=4)
f(-1)g(-1)=g(-1)
9 2 (t>4)
에서 0=2g(-1)=g(-1), 즉 g(-1)=0
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함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g(-1)=-2+a=0에서
이때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0,
a=2
x=4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⑤
즉, lim `f(x)g(x)= lim `f(x)g(x)=f(0)g(0)이어야 하므로
x`Ú0- x`Ú0+

23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함수 g(x)는 lim `f(x)g(x)= lim `f(x)_ lim g(x)
x`Ú0- x`Ú0- x`Ú0-

x=-1, x=1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0_g(0)=0


이때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1, lim `f(x)g(x)= lim `f(x)_ lim g(x)
x`Ú0+ x`Ú0+ x`Ú0+
x=1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4g(0)
즉, lim `f(x)g(x)= lim `f(x)g(x)=f(-1)g(-1)이어야 하
x`Ú-1- x`Ú-1+ f(0)g(0)=2g(0)
므로 에서 0=4g(0)=2g(0), 즉 g(0)=0 yy ㉠
lim `f(x)g(x)= lim `f(x)_ lim `g(x) 또한 lim `f(x)g(x)= lim `f(x)g(x)=f(4)g(4)이어야 하므로
x`Ú-1- x`Ú-1- x`Ú-1- x`Ú4- x`Ú4+

= lim (xÛ`+ax+b)_2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4- x`Ú4- x`Ú4-

=2(1-a+b) =4g(4)
lim `f(x)g(x)= lim `f(x)_ lim `g(x)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x`Ú4+ x`Ú4+ x`Ú4+

= lim `(xÛ`+ax+b)_(-1) =2g(4)


x`Ú-1+

=-(1-a+b) f(4)g(4)=3g(4)
f(-1)g(-1)=(1-a+b)_2=2(1-a+b) 에서 4g(4)=2g(4)=3g(4), 즉 g(4)=0 yy ㉡
에서 2(1-a+b)=-(1-a+b) ㉠, ㉡에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g(x)는
3(1-a+b)=0 g(x)=x(x-4)
-a+b=-1 yy ㉠ 이므로 g(5)=5
또한 lim `f(x)g(x)= lim `f(x)g(x)=f(1)g(1)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f(5)+g(5)=2+5=7
x`Ú1- x`Ú1+

lim `f(x)g(x)= lim `f(x)_ lim `g(x)  7


x`Ú1- x`Ú1- x`Ú1-

= lim (xÛ`+ax+b)_(-1)
25 함수 f(x)는 구간 (-¦, 1), [1, ¦)에서 연속이고, 함수 g(x)
x`Ú1-

=-(1+a+b)
는 a의 값에 관계없이 구간 (-¦, 1), [1, ¦)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f(x)g(x)는 구간 (-¦, 1), [1, ¦)에서 연속이다.
= lim (xÛ`+ax+b)_2 이때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
x`Ú1+

=2(1+a+b) 연속이어야 하므로

정답과 풀이 2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3 22. 11. 9. 오전 10:59


lim `f(x)g(x)= lim `f(x)g(x)=f(1)g(1)이어야 한다. 즉, lim `f(x)g(x)= lim `f(x)g(x)=f(0)g(0)이어야 하므로
x`Ú1- x`Ú1+ x`Ú0- x`Ú0+

xÛ`-1 lim `f(x)g(x)= lim `f(x)_ lim `g(x)


lim `f(x)g(x)= lim x`Ú0- x`Ú0- x`Ú0-
x`Ú1- x`Ú1- x-1

(x-1)(x+1) = lim (x-1)_(0+3)=-3


x`Ú0-
= lim
x`Ú1- x-1 lim `f(x)g(x)= lim `f(x)_ lim `g(x)
x`Ú0+ x`Ú0+ x`Ú0+
= lim (x+1)=2
x`Ú1-
= lim (2x+a)_(0+3)=3a
x`Ú0+
lim `f(x)g(x)= lim (2x-3)(xÛ`+a)
x`Ú1+ x`Ú1+
f(0)g(0)=3a
=-(1+a)
에서 -3=3a, a=-1
f(1)g(1)=-(1+a)
또한 lim `f(x)g(x)= lim `f(x)g(x)=f(1)g(1)이어야 하므로
x`Ú1- x`Ú1+
이므로 2=-(1+a)
lim `f(x)g(x)= lim `f(x)_ lim `g(x)
a=-3 x`Ú1- x`Ú1- x`Ú1-

 ③ =1_ lim (bx+3)=b+3


x`Ú1-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1_ lim (xÛ`+x)=2


26 함수 f(x)는 구간 (-¦, 4], (4, ¦)에서 연속이고, 함수 g(x) x`Ú1+

는 a, b의 값에 관계없이 구간 (-¦, 4], (4, ¦)에서 연속이므로 함 f(1)g(1)=2


수 f(x)g(x)는 구간 (-¦, 4], (4, ¦)에서 연속이다. 에서 b+3=2, b=-1
이때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4에서 따라서 a+b=-1+(-1)=-2
연속이어야 하므로  ④
lim `f(x)g(x)= lim `f(x)g(x)=f(4)g(4)이어야 한다.
x`Ú4- x`Ú4+

lim `f(x)g(x)= lim


xÛ`+a
=-
16+a 28 함수 f(x)가 x=0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Ú4- x`Ú4- x-8 4 함수 f(x)+k도 x=0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함
'x+b 수 { f(x)+k}Û`도 x=0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lim `f(x)g(x)= lim    yy ㉠
x`Ú4+ x`Ú4+ x-4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4+일 때 (분모) Ú 0이므로
이때 함수 { f(x)+k}Û`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0에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연속이어야 한다.
즉, lim { f(x)+k}Û`= lim { f(x)+k}Û`={ f(0)+k}Û`이어야 하므로
즉, lim ('x+b)=2+b=0에서 x`Ú0- x`Ú0+
x`Ú4+
lim { f(x)+k}Û`=(3+k)Û`
b=-2 x`Ú0-

㉠에 대입하면 lim { f(x)+k}Û`=(-1+k)Û`


x`Ú0+

'x-2 { f(0)+k}Û`=(-1+k)Û`
lim `f(x)g(x)= lim
x`Ú4+ x`Ú4+x-4
에서 (3+k)Û`=(-1+k)Û`
('x-2)('x+2)
= lim 9+6k+kÛ`=1-2k+kÛ`, 8k=-8
x`Ú4+ (x-4)('x+2)

x-4 k=-1
= lim
x`Ú4+ (x-4)('x+2)  ②
1
= lim =;4!;
x`Ú4+ 'x+2

2x-1 (x<1)
f(4)g(4)=-
16+a
4 29 f(x)=à 4x+a (x¾1)이므로
즉, ;4!;=-
16+a
에서 ( x-1 { x <1}
4 M 2
f { }={
x
a=-17
M 2x+a { x ¾1}
2
따라서 ab=(-17)_(-2)=34 9 2
  34 x-1 (x<2)
x
즉, f { }=à
2 2x+a (x¾2)
x
함수 f { }는 a의 값에 관계없이 구간 (-¦, 2), [2, ¦)에서 연속
27 함수 f(x)는 a의 값에 관계없이 구간 (-¦, 0), [0, ¦)에서 2
연속이고, 함수 g(x)는 b의 값에 관계없이 구간 (-¦, 1), [1, ¦) 이고 함수 g(x)는 a의 값에 관계없이 구간 (-¦, 2), [2, ¦)에서 연
x
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g(x)는 구간 (-¦, 0), [0, 1), [1, ¦) 속이므로 함수 f { }g(x)는 구간 (-¦, 2), [2, ¦)에서 연속이다.
2
에서 연속이다.
x
이때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0, 이때 함수 f {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2에서
2
x=1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연속이어야 한다.

2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4 22. 11. 9. 오전 10:59


즉, lim `f {
x`Ú2-
x
2
x
}g(x)= lim `f { }g(x)=f(1)g(2)이어야 하므로
x`Ú2+ 2
32 두 다항함수 y=xÛ`+4, y=xÛ`+kx+9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모든 실수
x x
lim `f { }g(x)= lim `f { }_ lim `g(x) x에 대하여 xÛ`+kx+9+0이어야 한다.
x`Ú2- 2 x`Ú2- 2 x`Ú2-

= lim (x-1)_ lim (xÛ`-2a) 이때 함수 y=xÛ`+kx+9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이차함수이므


x`Ú2- x`Ú2-
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kx+9>0이어야 한다.
=4-2a
x x 이차방정식 xÛ`+kx+9=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lim `f { }g(x)= lim `f { }_ lim `g(x)
x`Ú2+ 2 x`Ú2+ 2 x`Ú2+ D=kÛ`-36<0에서
= lim (2x+a)_ lim (-xÛ`+x+a)
x`Ú2+ x`Ú2+ (k+6)(k-6)<0, -6<k<6
=(4+a)(-2+a) 따라서 정수 k는 -5, -4, -3, -2, -1, 0, 1, 2, 3, 4, 5이므로 그
f(1)g(2)=(4+a)(-2+a) 개수는 11이다.
에서 4-2a=(4+a)(-2+a)  ②
aÛ`+4a-12=0, (a+6)(a-2)=0
a=-6 또는 a=2 33 Ú k=0일 때
x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f(x)= =x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kxÛ`+kx+1
-6+2=-4
Û k+0일 때
 ①
두 다항함수 y=x, y=kxÛ`+kx+1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이므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모든 실수 x
에 대하여 kxÛ`+kx+1+0이어야 한다.
30 함수 f(x)는 a의 값에 관계없이 구간 (-¦, a), [a, ¦)에서 이때 함수 y=k x Û`+k x+1의 그래프는 점 (0, 1)을 지나므로
연속이므로 함수 | f(x)|는 구간 (-¦, a), [a, ¦)에서 연속이다. k>0이어야 한다.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kxÛ`+kx+1>0이어
이때 함수 |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a에서 연속 야 한다.
이어야 한다. 이차방정식 kxÛ`+k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lim | f(x)|= lim | f(x)|=| f(a)|이어야 하므로 D=kÛ`-4k<0에서
x`Úa- x`Úa+
k(k-4)<0, 0<k<4
lim | f(x)|= lim |xÛ`-x+3|=|aÛ`-a+3|
Ú, Û에서 정수 k는 0, 1, 2, 3이므로 그 개수는 4이다.
x`Úa- x`Úa-

lim | f(x)|= lim |4x-1|=|4a-1|


x`Úa+ x`Úa+  ④
| f(a)|=|4a-1|
에서 |aÛ`-a+3|=|4a-1| 34 함수 y=x+a는 xÉ-3인 실수 x에서 연속이고
Ú aÛ`-a+3=4a-1에서 'Äx+4+b
함수 y= 는 x>-3인 실수 x에서 연속이다.
x+3
aÛ`-5a+4=0, (a-1)(a-4)=0
이때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3에서 연
a=1 또는 a=4
속이어야 한다.
Û aÛ`-a+3=-4a+1에서
즉, lim `f(x)= lim `f(x)=f(-3)이어야 한다.
aÛ`+3a+2=0, (a+2)(a+1)=0 x`Ú-3- x`Ú-3+

a=-2 또는 a=-1 lim `f(x)= lim (x+a)=-3+a


x`Ú-3- x`Ú-3-

Ú, Û에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Äx+4+b
lim `f(x)= lim    yy ㉠
1+4+(-2)+(-1)=2 x`Ú-3+ x`Ú-3+ x+3
 ②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3+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즉, lim ('Äx+4+b)=1+b=0에서
x`Ú-3+

31 두 다항함수 f(x),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 b=-1


`f(x) ㉠에 대입하면
'Äx+4-1
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
lim `f(x)= lim
g(x)+0이어야 한다. x`Ú-3+ x`Ú-3+ x+3
('Äx+4-1)('Äx+4+1)
이때 함수 g(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이차함수이므로 모든 실 = lim
x`Ú-3+ (x+3)('Äx+4+1)
수 x에 대하여 g(x)>0, 즉 xÛ`-4x+a>0이어야 한다.
(x+4)-1
이차방정식 xÛ`-4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lim
x`Ú-3+ (x+3)('Äx+4+1)
D x+3
=4-a<0에서 a>4 = lim
4 x`Ú-3+ (x+3)('Äx+4+1)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5이다. 1
= lim =;2!;
 ③ x`Ú-3+ 'Äx+4+1

정답과 풀이 2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5 22. 11. 9. 오전 10:59


f(-3)=-3+a `g(x)
이때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 연
`f(x)
즉, -3+a=;2!;에서 a=;2&; 속이어야 한다.
`g(x) `g(x) `g(-1)
따라서 a+b=;2&;+(-1)=;2%; 즉, lim = lim = 이어야 한다.
x`Ú-1- `f(x) x`Ú-1+ `f(x) `f(-1)
 ③ `g(x) 2xÜ`+axÛ`+b -2+a+b
lim = lim =
참고 x`Ú-1- `f(x) x`Ú-1- 2x-1 -3
x>-3인 실수 x에 대하여 두 함수 y=x+3, y='Äx+4+b`(b는 상 `g(x) 2xÜ`+axÛ`+b
lim = lim    yy ㉠
x`Ú-1+ `f(x) x`Ú-1+ x+1
수)는 연속이고 x+3+0이다.
'Äx+4+b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함수 y= 는 x>-3인 실수 x에서 연속이다.
x+3
즉, lim (2xÜ`+axÛ`+b)=-2+a+b=0에서
x`Ú-1+

35 함수 f(x)는 x=1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함 b=-a+2


수 g(x)는 a, b의 값에 관계없이 x=1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 ㉠에 대입하면
서 연속이다. `g(x) 2xÜ`+axÛ`-a+2
lim = lim
`g(x) x`Ú-1+ `f(x) x`Ú-1+ x+1
또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f(x)+0이므로 함수 는 x=1을
`f(x) (x+1){2xÛ`+(a-2)x+2-a}
= lim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x`Ú-1+ x+1
`g(x) = lim {2xÛ`+(a-2)x+2-a}
이때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 연속 x`Ú-1+
`f(x)
=2-(a-2)+2-a=-2a+6
이어야 한다.
`g(-1) -2+a+b -2+a+(-a+2)
`g(x) `g(x) `g(1) = = =0
즉, lim = lim = 이어야 한다. `f(-1) -3 -3
x`Ú1- `f(x) x`Ú1+ `f(x) `f(1)
즉, -2a+6=0에서 a=3이고, b=-1
`g(x) x+a 1+a a
lim = lim =- 따라서 =-3
x`Ú1- `f(x) x`Ú1- x-3 2 b
`g(x)  ①
2x+b
lim = lim    yy ㉠
x`Ú1+ `f(x) x`Ú1+ 'Äx+8-3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37 f(0)=1, f(0)_f(1)<0, f(1)_f(2)<0, f(2)_f(3)<0,
(분자) Ú 0이어야 한다. f(3)_f(4)>0
즉, lim (2x+b)=2+b=0에서 에서
x`Ú1+

b=-2 f(0)=1>0, f(1)<0, f(2)>0, f(3)<0, f(4)<0

㉠에 대입하면 이때 함수 f(x)가 닫힌구간 [0, 4]에서 연속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g(x) 의하여 방정식 f(x)=0은 구간


2x-2
lim = lim
x`Ú1+ `f(x) x`Ú1+ 'Äx+8-3 (0, 1), (1, 2), (2, 3)
(2x-2)('Äx+8+3) 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lim
x`Ú1+ ('Äx+8-3)('Äx+8+3)
그러므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0, 4)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
2(x-1)('Äx+8+3) 을 갖는다.
= lim
x`Ú1+ (x+8)-9 따라서 n=3
2(x-1)('Äx+8+3) 3
= lim 
x`Ú1+ x-1
= lim 2('Äx+8+3)=12

`g(1) 1+a
x`Ú1+
38 함수 f(x)가 닫힌구간 [1, 4]에서 연속이고
=- f(1)<0, f(2)<0, f(3)>0, f(4)<0
`f(1) 2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구간
1+a
즉, - =12에서 a=-25 (2, 3), (3, 4)
2
따라서 ab=(-25)_(-2)=50 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50 그러므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4)에서 적어도 2개의 실근
을 갖는다.

36 함수 f(x)는 x=-1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따라서 n=2

함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또한 실수 전체의 집합  2

`g(x)
에서 f(x)+0이므로 함수 는 x=-1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f(x) 39 f(x)=xÜ`+4x-20이라 하면
집합에서 연속이다.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2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6 22. 11. 9. 오전 10:59


f(0)=-20<0 `g(-3)
>0에서 g(-3)<0이므로 g(-2)<0
`g(-2)
f(1)=1+4-20=-15<0
즉, f(-2)+g(-2)<0
f(2)=8+8-20=-4<0
f(-2)+f(-1)=0에서 f(-2)<0이므로 f(-1)>0이고,
f(3)=27+12-20=19>0
`g(-2)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3)에 =-1에서 g(-2)=-g(-1)이고, g(-2)<0이므로
`g(-1)
서 실근을 갖는다.
g(-1)>0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3이다.
즉, f(-1)+g(-1)>0
 ③
따라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g(x), 즉
f(x)+g(x)=0은 열린구간 (-4, -1)에서 적어도 2개의 실근을 갖
40 함수 f(x)=-3xÜ`+2xÛ`-9라 하면 는다. 즉, n=2이다.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2
f(-3)=81+18-9=90>0
f(-2)=24+8-9=23>0
f(-1)=3+2-9=-4<0 본문 31쪽
서술형 완성하기
f(0)=-9<0
f(1)=-3+2-9=-10<0 01 1 02 6 03 18 04 384 05 3
f(2)=-24+8-9=-25<0 06 3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1)에서 실근을 갖는다.
01 함수 f(x)는 다항함수이므로 열린구간 (-3, 3)에서 연속이고,
 ② 함수 g(x)는 구간 (-3, -1], (-1, 1), [1, 3)에서 연속이다.
그러므로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함수 f(x)g(x)는 구간
41 함수 g(x)=f(x)-x라 하면 함수 f(x)가 닫힌구간 [1, 4]에 (-3, -1], (-1, 1), [1, 3)에서 연속이다.
서 연속이므로 함수 g(x)도 닫힌구간 [1, 4]에서 연속이다. 함수 f(x)g(x)가 x=-1에서만 불연속이므로 x=1에서는 연속이다.
f(1)>1에서 f(1)-1>0이므로 g(1)>0 Ú 함수 f(x)g(x)가 x=-1에서 불연속이므로
f(1)+f(2)=0에서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f(2)=-f(1)<-1   yy ㉠
=(2-a-aÛ`)_1=2-a-aÛ`
f(2)-2<-1-2=-3이므로 g(2)<0
lim f(x)g(x)= lim `f(x)_ lim `g(x)
f(2)+f(3)>2에서 x`Ú-1+ x`Ú-1+ x`Ú-1+

f(3)>2-f(2) =(2-a-aÛ`)_(-1)=aÛ`+a-2
이때 ㉠에서 f(2)<-1이므로 f(-1)g(-1)=(2-a-aÛ`)_1=2-a-aÛ`
-f(2)>1에서 에서 2-a-aÛ`+aÛ`+a-2
f(3)>2-f(2)>2+1=3 aÛ`+a-2+0, (a+2)(a-1)+0
즉, f(3)-3>0이므로 g(3)>0 a+-2, a+1 yy ➊
f(1)+f(4)<5에서 Û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f(4)<5-f(1)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이때 f(1)>1에서 -f(1)<-1이므로 =(2+a-aÛ`)_(-1)=aÛ`-a-2


f(4)<5-f(1)<5-1=4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즉, f(4)-4<0이므로 g(4)<0
=(2+a-aÛ`)_0=0
따라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x=0은 열린구간
f(1)g(1)=(2+a-aÛ`)_0=0
(1, 4)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즉, n=3이다.
에서 aÛ`-a-2=0
 3
(a+1)(a-2)=0
a=-1 또는 a=2 yy ➋
42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4, -1]에서 연속이므로 함 Ú, Û에서 모든 실수 a의 값은 -1, 2이므로 그 합은
수 f(x)+g(x)는 닫힌구간 [-4, -1]에서 연속이다.
-1+2=1 yy ➌
f(-4)>0, g(-4)>0이므로
 1
f(-4)+g(-4)>0
f(-4)+f(-3)=0에서 f(-3)<0이고, 단계 채점 기준 비율

g(-3)<0이므로 ➊ x=-1에서 불연속인 조건을 찾은 경우 30`%


f(-3)+g(-3)<0 ➋ x=1에서 연속이 되는 실수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f(-3)_f(-2)>0에서 f(-3)<0이므로 f(-2)<0이고, ➌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30`%

정답과 풀이 2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7 22. 11. 9. 오전 10:59


02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인 경우와 불연속인 경우로 나누어 Û f(x)=k(x+1)(x-1)Û`인 경우
구한다. `f(x) k(x+1)(x-1)Û`
lim =lim =lim k(x+1)(x-1)=0
Ú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인 경우 x`Ú1 x-1 x`Ú1 x-1 x`Ú1

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lim `f(x)= lim `f(x)=f(a)이므로
x`Úa- x`Úa+
Ú, Û에서 f(x)=2(x+1)Û`(x-1)이므로 yy ➋
lim `f(x)= lim (-3x+2)=-3a+2
x`Úa- x`Úa- f(2)=2_9_1=18 yy ➌
lim `f(x)= lim (xÛ`-2x)=aÛ`-2a   18
x`Úa+ x`Úa+

f(a)=aÛ`-2a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에서 -3a+2=aÛ`-2a ➊ 조건 (가)를 이용하여 함수 f(x)의 식을 세운 경우 30`%
aÛ`+a-2=0, (a+2)(a-1)=0 ➋ 조건 (나)를 이용하여 함수 f(x)를 구한 경우 50`%
a=-2 또는 a=1 yy ➊ ➌ f(2)의 값을 구한 경우 20`%
따라서 a=-2 또는 a=1이면 두 함수 f(x),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
속이다.
Û 함수 f(x)가 x=a에서 불연속인 경우 04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 연속

(-3x+2)g(x) (x<a) 이다.


f(x)g(x)=à 에서 즉, lim`f(x)=f(2) yy ➊
(xÛ`-2x)g(x) (x¾a) x`Ú2

lim `f(x)g(x)= lim `f(x)g(x)=f(a)g(a)이어야 하므로 'Äx+14-a


x`Úa- x`Úa+ x+2일 때, f(x)= 이므로
xÜ`-8
(-3a+2)g(a)=(aÛ`-2a)g(a)
'Äx+14-a
이때 -3a+2+aÛ`-2a이므로 g(a)=0에서 lim`f(x)=lim    yy ㉠
x`Ú2 x`Ú2 xÜ`-8
aÛ`-2a-3=0, (a+1)(a-3)=0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2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
a=-1 또는 a=3 yy ➋ 이어야 한다.
Ú, Û에서 실수 a의 값은 -2, -1, 1, 3이므로 모든 실수 a의 값의 즉, lim('Äx+14-a)=4-a=0에서
x`Ú2
곱은
a=4 yy ➋
(-2)_(-1)_1_3=6 yy ➌
㉠에 대입하면
 6
f(2)=lim`f(x)
x`Ú2

'Äx+14-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함수 f(x)가 연속이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을 구 =lim
x`Ú2 xÜ`-8
➊ 40`%
한 경우 ('Äx+14-4)('Äx+14+4)
=lim
➋ g(a)=0인 실수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x`Ú2 (x-2)(xÛ`+2x+4)('Äx+14+4)
➌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을 구한 경우 20`% x-2
=lim
x`Ú2 (x-2)(xÛ`+2x+4)('Äx+14+4)
참고
1
lim `f(x)g(x)= lim `f(x)g(x)=f(a)g(a)에서 =lim
x`Úa- x`Úa+
x`Ú2 (xÛ`+2x+4)('Äx+14+4)
(-3a+2)(aÛ`-2a-3)=(aÛ`-2a)(aÛ`-2a-3) =;9Á6;
(aÛ`+a-2)(aÛ`-2a-3)=0
a 4
(a+2)(a-1)(a+1)(a-3)=0 따라서 = =384 yy ➌
`f(2) 1
따라서 실수 a의 값은 -2, -1, 1, 3이다. 96
  38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
03 조건 (가)에서 함수
`f(x)
은 x=-1, x=1에서만 불연속이므로 ➊ x=2에서 연속일 조건을 구한 경우 30`%
➋ 상수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k+0인 상수 k에 대하여 a
➌ f(2)의 값을 구하여 의 값을 구한 경우 40`%
f(x)=k(x+1)Û`(x-1) 또는 f(x)=k(x+1)(x-1)Û` yy ➊ `f(2)
으로 놓을 수 있다.
Ú f(x)=k(x+1)Û`(x-1)인 경우
조건 (나)에서
`f(x) k(x+1)Û`(x-1)
05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 연속
lim =lim =lim k(x+1)Û`=4k=8 이다.
x`Ú1 x-1 x`Ú1 x-1 x`Ú1

즉, k=2이므로 f(x)=2(x+1)Û`(x-1) 즉, lim`f(x)=f(1)


x`Ú1

2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8 22. 11. 9. 오전 10:59


xÛ`-1 (x-1)(x+1)
lim`f(x)=lim =lim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Ú1 x`Ú1 `g(x) x`Ú1 `g(x)
➊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의 연속성을 조사한 경우 30`%
=f(1)=2   yy ㉠
㉠에서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분자) Ú 0이므로
➋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한 경우 50`%

(분모) Ú 0이어야 한다.


➌ 삼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한 경우 20`%

즉, lim`g(x)=g(1)=0이므로 yy ➊
x`Ú1

g(x)=(x-1)(xÛ`+ax+b)`(a, b는 정수)
로 놓을 수 있다. 이것을 ㉠에 대입하면
(x-1)(x+1) (x-1)(x+1)
lim`f(x)=lim =lim
x`Ú1 x`Ú1 `g(x) x`Ú1 (x-1)(xÛ`+ax+b)

x+1 2 본문 32쪽
=lim = =2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x`Ú1 xÛ`+ax+b 1+a+b
에서 1+a+b=1, b=-a 01 25 02 ② 03 ① 04 ④
x+1
따라서 x+1일 때, f(x)= 이고, 함수 f(x)가 실수 전체
xÛ`+ax-a
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a=0은 실근을 갖지 않 01 원 xÛ`+yÛ`=1의 중심 (0, 0)과 직선 3x+4y+t=0 사이의 거리
|t| |t|
아야 한다. 는 = 이므로
"Ã3Û`+4Û` 5
이차방정식 xÛ`+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t|
D=aÛ`+4a<0에서 a(a+4)<0, -4<a<0 <1일 때, f(t)=2
5
a는 정수이므로 a의 값은 -3, -2, -1이다. yy ➋ |t|
=1일 때, f(t)=1
3 3 5
이때 f(2)= = 이므로 f(2)의 최댓값은 |t|
4+2a-a 4+a >1일 때, f(t)=0
3 5
a=-3일 때, f(2)= =3 yy ➌
4-3 ( 2 (|x|<5)
 3 그러므로 f(x)={ 1 (|x|=5)
단계 채점 기준 비율 9 0 (|x|>5)
➊ 조건 (가), (나)를 이용하여 g(1)=0임을 찾은 경우 30`% 함수 f(x)는 x=-5, x=5를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➋ 정수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함수 g(x)=xÛ`+ax+b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➌ f(2)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30`% f(x)g(x)는 x=-5, x=5를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이때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5,
참고
x=5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g(x)=(x-1)(xÛ`+ax+b)=xÜ`+(a-1)xÛ`+(b-a)x-b 즉, lim `f(x)g(x)= lim `f(x)g(x)=f(-5)g(-5)이어야 하
x`Ú-5- x`Ú-5+
이때 함수 g(x)의 계수가 모두 정수이어야 하므로 a-1과 b-a가 모
므로
두 정수이다. 즉, a와 b가 모두 정수이다.
0_(25-5a+b)=2_(25-5a+b)=1_(25-5a+b)
에서 25-5a+b=0   yy ㉠
06 f(x)=(x-b)(x-c)(x-d)+(x-a)(x-c)(x-d) 또한 lim `f(x)g(x)= lim `f(x)g(x)=f(5)g(5)이어야 하므로
x`Ú5- x`Ú5+
+(x-a)(x-b)(x-d)+(x-a)(x-b)(x-c)
2_(25+5a+b)=0_(25+5a+b)=1_(25+5a+b)
라 하면 함수 f(x)는 삼차함수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에서 25+5a+b=0   yy ㉡
 yy ➊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25
한편, 따라서 a-b=0-(-25)=25
f(a)=(a-b)(a-c)(a-d)<0   25
f(b)=(b-a)(b-c)(b-d)>0
f(c)=(c-a)(c-b)(c-d)<0
f(d)=(d-a)(d-b)(d-c)>0
02 두 함수 f(x), g(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2)
x`Ú2- x`Ú2+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구간
lim g(x)= lim g(x)=g(2)
(a, b), (b, c), (c, d) x`Ú2- x`Ú2+

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yy ➋ 이다.


그러므로 방정식 f(x)=0은 구간 (a, d)에서 적어도 세 개의 실근을 x<2일 때, f(x)+g(x)=2xÛ`-1이므로
갖고, 삼차방정식 f(x)=0의 실근의 개수의 최댓값은 3이므로 삼차방 lim { f(x)+g(x)}= lim (2xÛ`-1)에서
x`Ú2- x`Ú2-

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 yy ➌ f(2)+g(2)=7 yy ㉠


 3 x>2일 때, 2 f(x)-g(x)=xÛ`-3x+4이므로

정답과 풀이 2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29 22. 11. 9. 오전 10:59


lim {2 f(x)-g(x)}= lim (xÛ`-3x+4)에서 -(-1-k+2)(-1-k-1)=(-1-k+2)(-1-k-1)
x`Ú2+ x`Ú2+

2 f(2)-g(2)=2 yy ㉡ (1-k)(-2-k)=0

㉠, ㉡을 연립하여 풀면 f(2)=3, g(2)=4 k=1 또는 k=-2

따라서 f(2)_g(2)=3_4=12 Ú, Û에서 k=1이면 x=-1, x=2 모두에서 연속이므로 오직 한 점

 ② 에서만 불연속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다른 풀이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x<2일 때, g(x)=-f(x)+2xÛ`-1 4+(-2)=2

x>2일 때, g(x)=2 f(x)-xÛ`+3x-4  ①

두 함수 f(x), g(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2)
x`Ú2- x`Ú2+
04 ㄱ.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으므로
lim `| f(x)|=2, lim `| f(x)|=1
lim `g(x)= lim `g(x)=g(2)   yy ㉢ x`Ú0- x`Ú0+
x`Ú2- x`Ú2+
즉, lim `| f(x)|+ lim `| f(x)|이므로 함수 | f(x)|는 x=0에서
이다. x`Ú0- x`Ú0+

이때 lim `g(x)- lim `g(x)=0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x`Ú2- x`Ú2+
y
lim `g(x)- lim `g(x) 2
x`Ú2- x`Ú2+
y=|f(x)|
= lim {-f(x)+2xÛ`-1}- lim {2 f(x)-xÛ`+3x-4} 1
x`Ú2- x`Ú2+
-2 O 2 x
=-f(2)+7-2 f(2)+2 ;2!;
=-3 f(2)+9=0
ㄴ. 함수 y=f(x-k)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
이므로 f(2)=3
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 값을 ㉢에 대입하면
한편,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f(x-k)는
lim `g(x)= lim {-f(x)+2xÛ`-1}=-f(2)+7=4=g(2)
x`Ú2- x`Ú2-
x=k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f(2)=3, g(2)=4이므로 그러므로 함수 f(x)f(x-k)가 x=k에서 연속이려면 f(k)=0이
f(2)_g(2)=12 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k의 값은 -2 또는 2이다. (참)
03 f(x)g(x-k)=f(x){(x-k)Û`+(x-k)-2} ㄷ.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y축에 대
=f(x)(x-k+2)(x-k-1)   yy ㉠ 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그림과 같다.
함수 f(x)g(x-k)가 불연속인 x의 값이 오직 한 개만 존재하려면 y
y=f(-x)
x=-1에서만 불연속이거나 x=2에서만 불연속이어야 한다. 1
Ú x=-1에서만 불연속일 때 x
-2 O 2
-;2!;
함수 f(x)가 x=2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f(x)g(x-k)가 x=2
에서 연속이려면 -2

lim `f(x)g(x-k)= lim `f(x)g(x-k)=f(2)g(2-k) 두 함수 f(x), f(-x)가 모두 x=0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
x`Ú2- x`Ú2+

이어야 한다. ㉠에서 서 연속이므로 함수 f(x)+f(-x)도 x=0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lim `f(x)(x-k+2)(x-k-1) 집합에서 연속이다.
x`Ú2-
이때
= lim `f(x)(x-k+2)(x-k-1)
x`Ú2+
lim { f(x)+f(-x)}= lim `f(x)+ lim `f(-x)
x`Ú0- x`Ú0- x`Ú0-
=f(2)(2-k+2)(2-k-1)
=-2+1=-1
(2-k+2)(2-k-1)=-(2-k+2)(2-k-1)
lim { f(x)+f(-x)}= lim `f(x)+ lim `f(-x)
(4-k)(1-k)=0 x`Ú0+ x`Ú0+ x`Ú0+

k=1 또는 k=4 =1+(-2)=-1


Û x=2에서만 불연속일 때 f(0)+f(0)=-;2!;+{-;2!;}=-1
함수 f(x)가 x=-1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f(x)g(x-k)가
이므로 함수 f(x)+f(-x)는 x=0에서 연속이다.
x=-1에서 연속이려면
즉, 함수 f(x)+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참)
lim `f(x)g(x-k)= lim `f(x)g(x-k)=f(-1)g(-1-k)
x`Ú-1- x`Ú-1+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이어야 한다. ㉠에서  ④
lim `f(x)(x-k+2)(x-k-1)
x`Ú-1-

 = lim `f(x)(x-k+2)(x-k-1)
x`Ú-1+

 =f(-1)(-1-k+2)(-1-k-1)

3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0 22. 11. 9. 오전 10:59


Dy `f(a+Dx)-f(a)
06
II. 미분 Dx
=
Dx
(a+Dx)Û`-2(a+Dx)-(aÛ`-2a)
=
Dx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
2aDx+(Dx)Û`-2Dx
Dx
=2a-2+Dx

  2a-2+Dx
본문 35~37쪽
개념 확인하기
Dy `f(a+Dx)-f(a) 2(a+Dx)Û`-2aÛ`
01 1 02 3 03 2 04 0 07 Dx
=
Dx
=
Dx
05 2a+1+Dx 06 2a-2+Dx =
4aDx+2(Dx)Û`
=4a+2Dx
Dx
07 4a+2Dx 08 4a+1+2Dx 09 1
  4a+2Dx
10 ;2#; 11 1 12 -2 또는 1 13 2
Dy `f(a+Dx)-f(a)
14 -2 15 0 16 4 17 1 18 -2 08 Dx
=
Dx
19 4 20 -3 21 3 22 4 23 -3 2(a+Dx)Û`+(a+Dx)-(2aÛ`+a)
=
24 -1 25 풀이 참조 26 풀이 참조 Dx
4aDx+2(Dx)Û`+Dx
27 f '(x)=-2 28 f '(x)=2x+2 =
Dx
=4a+1+2Dx
29 f '(x)=4x-3 30 f '(x)=-3xÛ`+2   4a+1+2Dx
31 y '=5xÝ` 32 y '=6xÞ`
33 y '=10xá` 34 y '=0 Dy `f(a+1)-f(a)
09 Dx
=
(a+1)-a
=(a+1)Û`-aÛ`
35 y '=6xÛ` 36 y '=2x-3
=2a+1=3
37 y '=-2x+3 38 y '=9xÛ`+4x-5
따라서 a=1
39 y '=12xÜ`-6xÛ`+2x 40 y '=-8xÜ`+9xÛ`-2
 1
41 y '=-2xÜ`-xÛ`+2 42 y '=10xÝ`-9xÛ`+5
43 y '=6xÛ`+6x-2 44 y '=3xÛ`+2x-6 Dy `f(a+1)-f(a)
45 y '=-18xÛ`-10x+4 46 y '=2x-2 10 Dx
=
(a+1)-a
=(a+1)Û`-(a+1)-(aÛ`-a)

47 y '=8x+4 48 y '=5xÝ`+3xÛ`+8x-6 =2a=3

따라서 a=;2#;
Dy `f(1)-f(0) 1Û`-0Û`
01 Dx
=
1-0
=
1-0
=1   ;2#;
 1
Dy `f(a+1)-f(a)
Dy `f(2)-f(1) 2Û`-1Û` 11 Dx
= =2(a+1)Û`-3(a+1)-(2aÛ`-3a)
02 Dx
=
2-1
=
2-1
=3 (a+1)-a
=4a-1=3
 3
따라서 a=1
 1
Dy `f(3)-f(-1) 3Û`-(-1)Û`
03 Dx
=
3-(-1)
=
4
=2
Dy `f(a+1)-f(a)
 2
12 Dx
=
(a+1)-a
=(a+1)Ü`-4(a+1)-(aÜ`-4a)

Dy `f(2)-f(-2) 2Û`-(-2)Û` =3aÛ`+3a-3=3


04 Dx
=
2-(-2)
=
4
=0
따라서 3aÛ`+3a-6=0에서 3(aÛ`+a-2)=0
 0 3(a+2)(a-1)=0, a=-2 또는 a=1
  -2 또는 1
Dy `f(a+Dx)-f(a)
05 Dx
=
Dx
`f(x)-f(1) (xÛ`+1)-2
=
(a+Dx)Û`+(a+Dx)-(aÛ`+a)
Dx
13 f '(1)=limx`Ú1 x-1
=lim
x`Ú1 x-1
2aDx+(Dx)Û`+Dx xÛ`-1 (x+1)(x-1)
= =lim =lim
Dx x`Ú1 x-1 x`Ú1 x-1

=2a+1+Dx =lim(x+1)=2
x`Ú1

  2a+1+Dx  2

정답과 풀이 3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1 22. 11. 9. 오전 10:59


다른 풀이 다른 풀이
`f(1+h)-f(1) {(1+h)Û`+1}-2 `f(1+h)-f(1) {-2(1+h)+3}-1
f '(1)=lim =lim f '(1)=lim =lim
h`Ú0 h h`Ú0 h h`Ú0 h h`Ú0 h
2h+hÛ` -2h
=lim =lim(2+h)=2 =lim =lim(-2)=-2
h`Ú0 h h`Ú0 h`Ú0 h h`Ú0

`f(x)-f(-1) (xÛ`+1)-2
14 f '(-1)= lim x`Ú-1 x-(-1)
= lim
x`Ú-1 x+1 `f(x)-f(1) (xÛ`+2x-1)-2
xÛ`-1 (x+1)(x-1) 19 f '(1)=lim x`Ú1 x-1
=lim
x`Ú1 x-1
= lim = lim
x`Ú-1 x+1 x`Ú-1 x+1 xÛ`+2x-3 (x-1)(x+3)
=lim =lim
= lim (x-1)=-2 x`Ú1 x-1 x`Ú1 x-1
x`Ú-1
=lim(x+3)=4
  -2 x`Ú1

다른 풀이  4
`f(-1+h)-f(-1) {(-1+h)Û`+1}-2 다른 풀이
f '(-1)=lim =lim
h`Ú0 h h`Ú0 h `f(1+h)-f(1)
f '(1)=lim
-2h+hÛ` h`Ú0 h
=lim =lim(-2+h)=-2
h`Ú0 h h`Ú0 {(1+h)Û`+2(1+h)-1}-2
=lim
h`Ú0 h
hÛ`+4h
`f(x)-f(0) (xÛ`+1)-1 =lim =lim(h+4)=4
15 f '(0)=lim
x`Ú0 x-0
=lim
x`Ú0 x
h`Ú0 h h`Ú0

=lim x=0
x`Ú0

 0
`f(x)-f(1) (-2xÛ`+x-3)-(-4)
20 f '(1)=lim x`Ú1 x-1
=lim
x`Ú1 x-1
`f(x)-f(2) (xÛ`+1)-5 -2xÛ`+x+1 -(x-1)(2x+1)
16 f '(2)=lim x`Ú2 x-2
=lim
x`Ú2 x-2
=lim
x`Ú1 x-1
=lim
x`Ú1 x-1
xÛ`-4 (x+2)(x-2) =lim(-2x-1)=-3
=lim =lim x`Ú1
x`Ú2 x-2 x`Ú2 x-2
  -3
=lim(x+2)=4
x`Ú2 다른 풀이
 4 `f(1+h)-f(1)
f '(1)=lim
다른 풀이 h`Ú0 h
`f(2+h)-f(2) {(2+h)Û`+1}-5 {-2(1+h)Û`+(1+h)-3}-(-4)
f '(2)=lim =lim =lim
h`Ú0 h h`Ú0 h h`Ú0 h
4h+hÛ` -2hÛ`-3h
=lim =lim(4+h)=4 =lim =lim(-2h-3)=-3
h`Ú0 h h`Ú0 h`Ú0 h h`Ú0

`f(x)-f(1) (x-2)-(-1)
17 f '(1)=lim x`Ú1 x-1
=lim
x`Ú1 x-1 21 f(x)=xÛ`+x로 놓으면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
x-1 선의 기울기는 함수 f(x)의 x=1에서의 미분계수 f '(1)과 같으므로
=lim =lim 1=1
x`Ú1 x-1 x`Ú1 `f(x)-f(1) xÛ`+x-2
f '(1)=lim =lim
 1 x`Ú1 x-1 x`Ú1 x-1
다른 풀이 (x-1)(x+2)
=lim =lim(x+2)=3
x`Ú1 x-1 x`Ú1
`f(1+h)-f(1) {(1+h)-2}-(-1)
f '(1)=lim =lim  3
h`Ú0 h h`Ú0 h
h
=lim =lim 1=1
h`Ú0 h h`Ú0

`f(x)-f(1) (-2x+3)-1
22 f(x)=2xÛ`-1로 놓으면 곡선 y=f(x) 위의 점 (1, 1)에서의 접
18 f '(1)=lim
x`Ú1 x-1
=lim
x`Ú1 x-1
선의 기울기는 함수 f(x)의 x=1에서의 미분계수 f '(1)과 같으므로
`f(x)-f(1) (2xÛ`-1)-1
-2x+2 -2(x-1) f '(1)=lim =lim
=lim =lim x`Ú1 x-1 x`Ú1 x-1
x`Ú1 x-1 x`Ú1 x-1
2(xÛ`-1) 2(x-1)(x+1)
=lim(-2)=-2 =lim =lim =lim 2(x+1)=4
x`Ú1 x`Ú1 x-1 x`Ú1 x-1 x`Ú1

  -2  4

3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2 22. 11. 9. 오전 10:59


23 f(x)=-xÛ`+x+2로 놓으면 곡선 y=f(x) 위의 점 (2, 0)에 28 f '(x)=lim
`f(x+h)-f(x)
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함수 f(x)의 x=2에서의 미분계수 f '(2)와 같 h`Ú0 h
{(x+h)Û`+2(x+h)}-(xÛ`+2x)
으므로 =lim
h`Ú0 h
`f(x)-f(2) (-xÛ`+x+2)-0
f '(2)=lim =lim 2xh+hÛ`+2h
x`Ú2 x-2 x`Ú2 x-2 =lim
h`Ú0 h
-(x-2)(x+1)
=lim =lim{-(x+1)}=-3 =lim(2x+h+2)
x`Ú2 x-2 x`Ú2 h`Ú0

  -3 =2x+2
  f '(x)=2x+2

24 f(x)=-3xÛ`-x+1로 놓으면 곡선 y=f(x) 위의 점 (0, 1)에 `f(x+h)-f(x)


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함수 f(x)의 x=0에서의 미분계수 f '(0)과 같 29 f '(x)=limh`Ú0 h
으므로 {2(x+h)Û`-3(x+h)+1}-(2xÛ`-3x+1)
=lim
h`Ú0 h
`f(x)-f(0) (-3xÛ`-x+1)-1
f '(0)=lim =lim 4xh+2hÛ`-3h
x`Ú0 x-0 x`Ú0 x =lim
h`Ú0 h
-3xÛ`-x
=lim =lim(-3x-1)=-1 =lim(4x+2h-3)
x`Ú0 x x`Ú0
h`Ú0

  -1 =4x-3
  f '(x)=4x-3

25 f(0)=0이고 lim`f(x)=lim|x|=0이므로 `f(x+h)-f(x)


30 f '(x)=lim
x`Ú0 x`Ú0

lim`f(x)=f(0) h`Ú0 h
x`Ú0
{-(x+h)Ü`+2(x+h)}-(-xÜ`+2x)
즉, 함수 f(x)=|x|는 x=0에서 연속이다. =lim
h`Ú0 h
`f(x) |x| -x -3xÛ`h-3xhÛ`-hÜ`+2h
lim = lim = lim = lim (-1)=-1 =lim
x`Ú0- x x`Ú0- x x`Ú0- x x`Ú0- h`Ú0 h
`f(x) |x| x =lim(-3xÛ`-3xh-hÛ`+2)
lim = lim = lim = lim 1=1
x`Ú0+ x x`Ú0+ x x`Ú0+ x x`Ú0+
h`Ú0

이므로 f '(0)이 존재하지 않는다. =-3xÛ`+2


따라서 함수 f(x)=|x|는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 f '(x)=-3xÛ`+2
  풀이 참조
31 y '=(xÞ`)'=5xÝ`
  y '=5xÝ`
26 f(1)=0이고 lim`f(x)=lim|x-1|=0이므로
32 y '=(xß`)'=6xÞ`
x`Ú1 x`Ú1

lim`f(x)=f(1)
x`Ú1
  y '=6xÞ`
즉, 함수 f(x)=|x-1|은 x=1에서 연속이다.

lim
x`Ú1-
`f(x)-f(1)
x-1
= lim
x`Ú1-
|x-1|
x-1
= lim
x`Ú1-
-(x-1)
x-1
33 y '=(x 10
)'=10xá`
  y '=10xá`
= lim (-1)=-1
x`Ú1-

lim
x`Ú1+
`f(x)-f(1)
x-1
= lim
x`Ú1+
|x-1|
x-1
= lim
x-1
x`Ú1+ x-1
34 y '=(2Ü`)'=0
  y '=0
= lim 1=1
x`Ú1+

이므로 f '(1)이 존재하지 않는다. 35 y '=(2xÜ`)'=6xÛ`


따라서 함수 f(x)=|x-1|은 x=1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 y '=6xÛ`
  풀이 참조
36 y '=(xÛ`-3x)'=2x-3
  y '=2x-3
`f(x+h)-f(x)
27 f '(x)=lim
h
37 y '=(-xÛ`+3x+2)'=-2x+3
h`Ú0

{-2(x+h)+1}-(-2x+1)
=lim   y '=-2x+3
h`Ú0 h
-2h
=lim
h`Ú0 h
=lim(-2)=-2
h`Ú0 38 y '=(3xÜ`+2xÛ`-5x+7)'=9xÛ`+4x-5
  f '(x)=-2   y '=9xÛ`+4x-5

정답과 풀이 3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3 22. 11. 9. 오전 10:59


39 y '=(3xÝ`-2xÜ`+xÛ`-10)'=12xÜ`-6xÛ`+2x 유형 완성하기
본문 38~45쪽

  y '=12xÜ`-6xÛ`+2x
01 ③ 02 ② 03 ⑤ 04 ③ 05 ③
06 ⑤ 07 ④ 08 ① 09 ④ 10 ⑤
40 y '=(-2xÝ`+3xÜ`-2x-1)'=-8xÜ`+9xÛ`-2
  y '=-8xÜ`+9xÛ`-2 11 ① 12 8 13 ④ 14 ① 15 12
16 24 17 ④ 18 ① 19 ① 20 ②
21 ④ 22 ④ 23 ① 24 ① 25 ②
41 y '={-;2!;xÝ`-;3!;xÜ`+2x-6}'=-2xÜ`-xÛ`+2 26 ① 27 ② 28 ⑤ 29 ② 30 ①
 y '=-2xÜ`-xÛ`+2

31 4 32 ④ 33 ④ 34 ② 35 ③
36 ② 37 ⑤ 38 ⑤ 39 13 40 ③
42 y '=(2xÞ`-3xÜ`+5x)'=10xÝ`-9xÛ`+5 41 ④ 42 3 43 ⑤ 44 ③ 45 ④
  y '=10xÝ`-9xÛ`+5
46 8 47 50 48 4

43 y '={(2x-1)(xÛ`+2x)}' 01 x의 값이 a에서 a+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11이므로


=(2x-1)'(xÛ`+2x)+(2x-1)(xÛ`+2x)' `f(a+2)-f(a) (a+2)Û`+3(a+2)-(aÛ`+3a)
=
=2(xÛ`+2x)+(2x-1)(2x+2) (a+2)-a 2
=6xÛ`+6x-2 4a+10
= =2a+5=11
2
  y '=6xÛ`+6x-2
에서 2a=6, a=3
 ③
44 y '={(xÛ`-2x)(x+3)}'
=(xÛ`-2x)'(x+3)+(xÛ`-2x)(x+3)'
=(2x-2)(x+3)+(xÛ`-2x)_1 02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1이므로
=3xÛ`+2x-6 `f(3)-f(-1) (9+3a)-(1-a) 4a+8
= = =a+2=1
3-(-1) 4 4
  y '=3xÛ`+2x-6
에서 a=-1
 ②
45 y '={(-3xÛ`+2x-1)(2x+3)}'
=(-3xÛ`+2x-1)'(2x+3)+(-3xÛ`+2x-1)(2x+3)'
=(-6x+2)(2x+3)+(-3xÛ`+2x-1)_2 03 x의 값이 0에서 a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2a+3이므로
=-18xÛ`-10x+4 `f(a)-f(0)
=2a+3
a-0
  y '=-18xÛ`-10x+4
이때 곡선 y=f(x)가 원점을 지나므로 f(0)=0
`f(a)
따라서 =2a+3에서 f(a)=2aÛ`+3a이므로
46 y '={(x-1)(x-1)}' a
=(x-1)'(x-1)+(x-1)(x-1)' f(2)=8+6=14
=1_(x-1)+(x-1)_1  ⑤
=2(x-1)=2x-2
  y '=2x-2
04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3)-f(-1) (9+6+3)-(1-2+3)
= =4
47 y '={(2x+1)(2x+1)}' 3-(-1) 4

=(2x+1)'(2x+1)+(2x+1)(2x+1)' x의 값이 a에서 a+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2(2x+1)+(2x+1)_2 f(a+2)-f(a) {(a+2)Û`+2(a+2)+3}-(aÛ`+2a+3)
=
(a+2)-a 2
=4(2x+1)=8x+4
4a+8
  y '=8x+4 = =2a+4
2
따라서 2a+4=4에서 2a=0, a=0

48 y '={(xÛ`+3)(xÜ`-2x+4)}'  ③
=(xÛ`+3)'(xÜ`-2x+4)+(xÛ`+3)(xÜ`-2x+4)'
=2x(xÜ`-2x+4)+(xÛ`+3)(3xÛ`-2)
=5xÝ`+3xÛ`+8x-6
05 두 점 (0, f(0)), (2, f(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f(2)-f(0) (-4+6+1)-1
  y '=5xÝ`+3xÛ`+8x-6 = =1
2-0 2

3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4 22. 11. 9. 오전 10:59


`f(2+h)-f(2-h)
x의 값이 a에서 a+1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a+1)-f(a)
10 lim h`Ú0 h
={-(a+1)Û`+3(a+1)+1}-(-aÛ`+3a+1) { f(2+h)-f(2)}-{ f(2-h)-f(2)}
(a+1)-a =lim
h`Ú0 h
=-2a+2
`f(2+h)-f(2) `f(2-h)-f(2)
=lim +lim
따라서 -2a+2=1에서 a=;2!; h`Ú0 h h`Ú0 -h
=f '(2)+f '(2)=2 f '(2)=2_3=6
 ③
 ⑤

`f(3+2h)-f(3-4h)
11 lim
06 x¾0일 때 f(x)=xÜ`-4x이므로 x의 값이 0에서 3까지 변할 때 h`Ú0 3h
{ f(3+2h)-f(3)}-{ f(3-4h)-f(3)}
의 평균변화율은 =lim
h`Ú0 3h
`f(3)-f(0) 27-12
= =5 `f(3+2h)-f(3) `f(3-4h)-f(3)
3-0 3 =lim +lim
h`Ú0 3h h`Ú0 -3h
x<0일 때 f(x)=-2xÜ`+19x이므로 x의 값이 a에서 a+1까지 변
`f(3+2h)-f(3) `f(3-4h)-f(3)
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lim +lim
h`Ú0 3 h`Ú0 3
2h_ -4h_
`f(a+1)-f(a) 2 4
={-2(a+1)Ü`+19(a+1)}-(-2aÜ`+19a)
(a+1)-a `f(3+2h)-f(3) `f(3-4h)-f(3)
=;3@; lim +;3$; lim
=-6aÛ`-6a+17 h`Ú0 2h h`Ú0 -4h
따라서 -6aÛ`-6a+17=5에서 =;3@; f '(3)+;3$; f '(3)=2 f '(3)=14
aÛ`+a-2=0, (a+2)(a-1)=0
이므로 2a=14, a=7
a<-1이므로 a=-2
 ①
 ⑤

`f(-2-h)-f(-2) `f(-2-h)-f(-2)
12 lim h`Ú0 h
=lim
h`Ú0 -h_(-1)
`f(-2-h)-f(-2)
`f(1+2h)-f(1) `f(1+2h)-f(1) =-lim
07 lim
h`Ú0 h
=lim
h`Ú0 1
h`Ú0 -h
2h_ =-f '(-2)=3
2
`f(1+2h)-f(1) 에서 f '(-2)=-3
=2 lim
h`Ú0 2h 한편,
=2 f '(1)=2_3=6 `f(-2-5h)-f(-2+3h)
lim
 ④ h`Ú0 3h
{ f(-2-5h)-f(-2)}-{ f(-2+3h)-f(-2)}
=lim
h`Ú0 3h
`f(-2-5h)-f(-2) `f(-2+3h)-f(-2)
=lim -lim
`f(ah-1)-f(-1) `f(ah-1)-f(-1) 3h 3h
08
h`Ú0 h`Ú0
lim =lim
h`Ú0 h h`Ú0 1 `f(-2-5h)-f(-2)
ah_ =lim -f '(-2)
a 3
-5h_{- }
h`Ú0

`f(-1+ah)-f(-1) 5
=a lim
h`Ú0 ah `f(-2-5h)-f(-2)
=-;3%; lim -f '(-2)
-5h
=a f '(-1)=4a=;2!;
h`Ú0

=-;3%; f '(-2)-f '(-2)


따라서 a=;8!;
=-;3*; f '(-2)=-;3*;_(-3)=8
 ①
 8

`f(x)-f(-1) `f(x)-f(-1)
09 Dy=hÜ`+4hÛ`+8h이므로 13 lim
x`Ú-1 xÛ`-1
= lim
x`Ú-1 (x+1)(x-1)

f(2+h)-f(2)=hÜ`+4hÛ`+8h `f(x)-f(-1) 1
= lim _ lim
따라서 x`Ú-1 x+1 x`Ú-1 x-1

f '(2)=lim
`f(2+h)-f(2)
=lim
hÜ`+4hÛ`+8h =f '(-1)_{-;2!;}
h`Ú0 h h`Ú0 h
=lim(hÛ`+4h+8)=8 =3_{-;2!;}=-;2#;
h`Ú0

 ④  ④

정답과 풀이 3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5 22. 11. 9. 오전 10:59


2tÛ`-6t-8 2(tÛ`-3t-4)
14 f '(-1)= lim t`Ú-1 t+1
= lim
t`Ú-1 t+1
따라서 구하는 값은 ㉠에서

2(t+1)(t-4) 6_;3!;=2
= lim = lim 2(t-4)
t`Ú-1 t+1 t`Ú-1
 ①
=2_(-5)=-10
 ①
19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즉, lim `f(x)= lim `f(x)=f(1)에서
x`Ú1- x`Ú1+
`f(x)-f(4) { f(x)-f(4)}('x+2)
15 lim
x`Ú4 'x-2
=lim
x`Ú4 ('x-2)('x+2) 1+a=4+b=4+b
{ f(x)-f(4)}('x+2) b=a-3   yy ㉠
=lim
x`Ú4 x-4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f(4) `f(x)-f(1) `f(x)-f(1)
=lim _lim('x+2) lim = lim 에서
x`Ú4 x-4 x`Ú4 x`Ú1- x-1 x`Ú1+ x-1
=f '(4)_4 (xÛ`+ax)-(1+a) (4x+b)-(4+b)
lim = lim
=3_4=12 x`Ú1- x-1 x`Ú1+ x-1
  12 (x-1)(x+1+a) 4(x-1)
lim = lim
x`Ú1- x-1 x`Ú1+ x-1

`f(xÛ`)-f(9) { f(xÛ`)-f(9)}(x+3) lim (x+1+a)= lim 4


16 lim x`Ú3 x-3
=lim
x`Ú3 (x-3)(x+3)
x`Ú1-

2+a=4, a=2
x`Ú1+

{ f(xÛ`)-f(9)}(x+3) ㉠에서 b=-1


=lim
x`Ú3 xÛ`-9
따라서 ab=2_(-1)=-2
`f(xÛ`)-f(9)
=lim _lim(x+3) yy ㉠  ①
x`Ú3 xÛ`-9 x`Ú3

xÛ`=t로 놓으면 x Ú 3일 때, t Ú 9이므로


`f(xÛ`)-f(9) `f(t)-f(9) 20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lim =lim =f '(9) 즉, lim `f(x)=f(-1)
x`Ú3 xÛ`-9 t`Ú9 t-9 x`Ú-1

따라서 구하는 값은 ㉠에서 따라서


f '(9)_6=4_6=24 `f(x) 1
lim = lim `f(x)_ lim =f(-1)_;2!;=1
  24 x`Ú-1 xÛ`+1 x`Ú-1 x`Ú-1 xÛ`+1

이므로 f(-1)=2
`f(xÛ`)-f(4) `f(xÛ`)-f(4)  ②
17 lim x`Ú2 xÜ`-8
=lim
x`Ú2 (x-2)(xÛ`+2x+4)

=lim
{ f(xÛ`)-f(4)}(x+2) 21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x`Ú2 (x-2)(xÛ`+2x+4)(x+2) 즉, lim`f(x)=f(1)
x`Ú1
{ f(xÛ`)-f(4)}(x+2)
=lim (x-1) f(x)=xÛ`+ax+b에서
x`Ú2 (xÛ`-4)(xÛ`+2x+4)
`f(xÛ`)-f(4) x+2 xÛ`+ax+b
=lim _lim x+1일 때, f(x)=
x`Ú2 xÛ`-4 x`Ú2 xÛ`+2x+4
x-1

yy ㉠ xÛ`+ax+b
 lim`f(x)=lim yy ㉠
x-1
xÛ`=t로 놓으면 x Ú 2일 때, t Ú 4이므로
x`Ú1 x`Ú1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


`f(xÛ`)-f(4) `f(t)-f(4)
lim =lim =f '(4) 이어야 한다.
x`Ú2 xÛ`-4 t`Ú4 t-4
즉, lim(xÛ`+ax+b)=1+a+b=0
따라서 구하는 값은 ㉠에서 x`Ú1

b=-a-1 yy ㉡
f '(4)_;3!;=12_;3!;=4
㉡을 ㉠에 대입하면
 ④
xÛ`+ax+b xÛ`+ax-a-1
lim =lim
x`Ú1 x-1 x`Ú1 x-1
`f(x-1)-f(0) `f(x-1)-f(0)
18 lim
x`Ú1 xÜ`-1
=lim
x`Ú1 (x-1)(xÛ`+x+1) =lim
x`Ú1
(x-1)(x+1+a)
x-1
`f(x-1)-f(0) 1 =lim(x+1+a)=2+a
=lim _lim
x`Ú1 x-1 x`Ú1 xÛ`+x+1
x`Ú1

 yy ㉠ f(1)=5이므로 2+a=5, a=3

x-1=t로 놓으면 x Ú 1일 때, t Ú 0이므로 ㉡에 대입하면 b=-4

`f(x-1)-f(0) `f(t)-f(0) 따라서 a-b=3-(-4)=7


lim =lim =6
x`Ú1 x-1 t`Ú0 t  ④

3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6 22. 11. 9. 오전 10:59


22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a에서 연속이다. lim
x`Ú3-
(x-3)(x+3+a)
x-3
= lim
x`Ú3+
b(x-3)
x-3
즉, lim `f(x)= lim `f(x)=f(a)에서
x`Úa- x`Úa+ lim (x+3+a)= lim b
x`Ú3- x`Ú3+
aÛ`=-8a+b=-8a+b
6+a=b
b=aÛ`+8a   yy ㉠
이때 f '(3)=5이므로 6+a=b=5에서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므로
a=-1, b=5
`f(x)-f(a) `f(x)-f(a)
lim = lim 에서 이것을 ㉠에 대입하면 c=-9
x`Úa- x-a x`Úa+ x-a
xÛ`-aÛ` (-8x+b)-(-8a+b) 따라서 a+b+c=-1+5+(-9)=-5
lim = lim
x`Úa- x-a x`Úa+ x-a  ①
(x-a)(x+a) -8(x-a)
lim = lim
x`Úa- x-a x`Úa+ x-a
lim (x+a)= lim (-8) 25 f(x)=xÛ`-3x+4에서
x`Úa- x`Úa+
f '(x)=2x-3
2a=-8, a=-4
따라서 f '(1)=2-3=-1
㉠에서 b=-16
 ②
b -16
따라서 = =4
a -4
 ④ 26 f(x)=-2xÜ`+3xÛ`-x+5에서
f '(x)=-6xÛ`+6x-1
이므로
23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f '(-1)=-6-6-1=-13
즉, lim `f(x)= lim `f(x)=f(-1)에서 f '(0)=-1
x`Ú-1- x`Ú-1+
f '(1)=-6+6-1=-1
1-a+1=b+1+3=b+1+3
따라서 f '(-1)+f '(0)+f '(1)=-13-1-1=-15
b=-a-2 yy ㉠
 ①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f(-1) `f(x)-f(-1)
lim = lim 에서
x`Ú-1- x+1 x`Ú-1+ x+1 27 x의 값이 0부터 3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xÛ`+ax+1)-(2-a) (bxÛ`-x+3)-(b+4) `f(3)-f(0) -6-0
lim = lim = =-2
x`Ú-1- x+1 x`Ú-1+ x+1 3-0 3
(x+1)(x-1+a) (x+1)(bx-b-1) 이때 f(x)=xÜ`-3xÛ`-2x에서 f '(x)=3xÛ`-6x-2
lim = lim
x`Ú-1- x+1 x`Ú-1+ x+1
즉, f '(a)=3aÛ`-6a-2에서
lim (x-1+a)= lim (bx-b-1)
x`Ú-1- x`Ú-1+ -2=3aÛ`-6a-2
-2+a=-2b-1 3aÛ`-6a=0, 3a(a-2)=0
a=-2b+1 yy ㉡ a>0이므로 a=2
㉠, ㉡을 연립하여 풀면 a=-5, b=3  ②
따라서
f(-1)=b+1+3=7 `f(2+h)-f(2)
f '(-1)=-2+a=-7 28 lim h`Ú0 h
=f '(2)

이므로 f(-1)_f '(-1)=7_(-7)=-49 이때 f(x)=2xÛ`-3x+1에서


 ① f '(x)=4x-3
따라서 f '(2)=8-3=5
 ⑤
`f(3+h)-f(3)
24 lim
h`Ú0 h
=5에서 함수 f(x)는 x=3에서 미분가능
`f(1+2h)-f(1-3h)
하므로 f '(3)=5이고 x=3에서 연속이다. 29 lim h`Ú0 2h
즉, lim `f(x)= lim `f(x)=f(3)에서 { f(1+2h)-f(1)}-{ f(1-3h)-f(1)}
x`Ú3- x`Ú3+
=lim
h`Ú0 2h
9+3a=3b+c=3b+c
`f(1+2h)-f(1) `f(1-3h)-f(1)
c=3a-3b+9   yy ㉠ =lim
h`Ú0 2h
+lim
h`Ú0 -2h
함수 f(x)가 x=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1-3h)-f(1)
=f '(1)+lim
`f(x)-f(3) `f(x)-f(3) h`Ú0 2
lim = lim 에서 -3h_
x`Ú3- x-3 x`Ú3+ x-3 3
(xÛ`+ax)-(9+3a) (bx+c)-(3b+c) `f(1-3h)-f(1)
lim
x-3
= lim
x-3 =f '(1)+;2#; lim
x`Ú3- x`Ú3+ h`Ú0 -3h

정답과 풀이 3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7 22. 11. 9. 오전 10:59


`f(x)-2
=f '(1)+;2#; f '(1)=;2%; f '(1) 35 lim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분모) Ú 0
x`Ú1 x-1
이때 f(x)=-xÜ`+2xÛ`+3x-5에서 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f '(x)=-3xÛ`+4x+3 즉, lim{ f(x)-2}=0
x`Ú1
따라서 f '(1)=-3+4+3=4이므로
이때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f(1)=2
;2%; f '(1)=;2%;_4=10 그러므로
 ② `f(x)-2 `f(x)-f(1)
lim =lim =f '(1)=1
x`Ú1x-1 x`Ú1 x-1
`g(x)+4
마찬가지로 lim =5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f(x)-f(3) `f(x)-f(3) x-1
30 lim xÛ`+2x-15 =lim (x-3)(x+5)
x`Ú1

x`Ú3 x`Ú3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f(x)-f(3) 1 즉, lim{ g(x)+4}=0
=lim _lim x`Ú1
x`Ú3 x-3 x`Ú3 x+5
이때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g(1)=-4
=f '(3)_;8!;
그러므로
이때 f(x)=-3xÛ`+2x-4에서 `g(x)+4 `g(x)-g(1)
lim =lim =g'(1)=5
f '(x)=-6x+2 x`Ú1 x-1 x`Ú1 x-1
따라서 f '(3)=-18+2=-16이므로 따라서 h(x)=f(x)g(x)로 놓으면
h'(x)=f '(x)g(x)+f(x)g'(x)에서
f '(3)_;8!;=-16_;8!;=-2
h'(1)=f '(1)g(1)+f(1)g'(1)
 ① =1_(-4)+2_5=6
이고,

31 f(x)=xÛ`+2x+3, g(x)=-2x+5에서 lim


x`Ú1
`f(x)g(x)-f(1)g(1)
x-1
=lim
x`Ú1
h(x)-h(1)
x-1
f(0)=3, g(0)=5
=h'(1)=6
f '(x)=2x+2, g'(x)=-2에서
 ③
f '(0)=2, g'(0)=-2
따라서 { f(x)g(x)}'=f '(x)g(x)+f(x)g'(x)에서
함수 f(x)g(x)의 x=0에서의 미분계수는
f '(0)g(0)+f(0)g'(0)=2_5+3_(-2)=4 36 h(x)=f(x)g(x)로 놓으면
 4 h(-1)=f(-1)g(-1)=(-1)_(-2)=2이므로
`f(x)g(x)-2 h(x)-h(-1)
lim = lim =h'(-1)
x`Ú-1 x+1 x`Ú-1 x+1
32 { f(x)g(x)}'=f '(x)g(x)+f(x)g'(x)에서 한편, f(x)=xÛ`-2x-4, g(x)=xÛ`+x-2에서
함수 f(x)g(x)의 x=1에서의 미분계수는 f '(x)=2x-2, g'(x)=2x+1이므로
f '(1)g(1)+f(1)g'(1)=(-3)_1+2_2=1 f '(-1)=-4, g'(-1)=-1
 ④ 따라서 h'(x)=f '(x)g(x)+f(x)g'(x)에서
h'(-1)=f '(-1)g(-1)+f(-1)g'(-1)
=(-4)_(-2)+(-1)_(-1)=9
33 f(x)=(x-1)(xÛ`+3)에서  ②
f '(x)=(xÛ`+3)+(x-1)_2x=3xÛ`-2x+3
따라서
`f(1+h)-f(1)
lim =f '(1)=3-2+3=4
h`Ú0 h 37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④ f '(1)=1, f(1)=2
f(x)=xÜ`+axÛ`+bx에서 f '(x)=3xÛ`+2ax+b
f '(1)=3+2a+b=1에서
34 g(x)=(xÛ`-3x-2) f(x)에서 2a+b=-2 yy ㉠
g'(x)=(2x-3) f(x)+(xÛ`-3x-2)f '(x)
f(1)=1+a+b=2에서
이므로
a+b=1 yy ㉡
g'(2)=f(2)-4 f '(2)=3-4=-1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4
따라서
`g(x)-g(2) 따라서 f(x)=xÜ`-3xÛ`+4x이므로
lim =g'(2)=-1 f(2)=8-12+8=4
x`Ú2 x-2
 ②  ⑤

3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8 22. 11. 9. 오전 10:59


38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42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를
f '(-1)이다. f(x)=xÛ`+ax+b`(a, b는 상수)
이때 f(x)=(xÛ`-2x)(3x+4)에서 로 놓으면 x의 값이 0에서 1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p이므로
f '(x)=(2x-2)(3x+4)+(xÛ`-2x)_3 `f(1)-f(0)
p= =(1+a+b)-b=1+a
따라서 f '(-1)=(-4)_1+3_3=5 1-0
x의 값이 1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q이므로
 ⑤
`f(2)-f(1)
q= =(4+2a+b)-(1+a+b)=3+a
2-1
이때 2p=q이므로
39 점 (2, f(2))에서 기울기가 양수인 접선이 존재하므로 함수 2(1+a)=3+a, a=1
f(x)는 x=2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f(x)=xÛ`+x+b에서 f '(x)=2x+1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이때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므로 기울기는 f '(1)=2+1=3
lim `f(x)= lim `f(x)=f(2)  3
x`Ú2- x`Ú2+

4a=2b-4=2b-4
b=2a+2 yy ㉠
또 함수 f(x)는 x=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43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고 조건 (가)에서
`f(x)-f(2) `f(x)-f(2) 함수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lim = lim 에서
x`Ú2- x-2 x`Ú2+ x-2
f(x)=xÝ`+axÛ`+b`(a, b는 상수)
axÛ`-4a (bx-4)-(2b-4)
lim = lim 로 놓을 수 있다.
x`Ú2- x-2 x`Ú2+ x-2
a(x-2)(x+2) b(x-2) 조건 (나)에서 f(1)=3, f '(1)=2
lim = lim
x`Ú2- x-2 x`Ú2+ x-2 f(1)=1+a+b=3에서
lim a(x+2)= lim b a+b=2   yy ㉠
x`Ú2- x`Ú2+

4a=b yy ㉡ f '(x)=4xÜ`+2ax에서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f '(1)=4+2a=2, a=-1
즉, f '(2)=4 ㉠에 대입하면 b=3
xÛ` (x<2) 따라서 f(x)=xÝ`-xÛ`+3에서
따라서 f(x)=à 에서
4x-4 (x¾2) f(2)=16-4+3=15
f(1)=1, f(3)=8이므로  ⑤
f(1)+f '(2)+f(3)=1+4+8=13 참고

  13 함수 f(x)=xÝ`+axÜ`+bxÛ`+cx+d`(a, b, c, d는 상수)에 대하여


함수 y=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
여 f(-x)=f(x)이므로
xÝ`-axÜ`+bxÛ`-cx+d=xÝ`+axÜ`+bxÛ`+cx+d
40 x의 값이 0에서 4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2axÜ`+2cx=0
`f(4)-f(0) 28-0
= =7   yy ㉠ 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c=0
4-0 4
한편,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따라서 f(x)=xÝ`+bxÛ`+d로 놓을 수 있다.
f '(a)이다.
이때 f(x)=xÜ`-9x에서 f '(x)=3xÛ`-9
즉, f '(a)=3aÛ`-9
이 값이 ㉠과 같으므로
44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고
f(-2)=f(2)=0이므로
3aÛ`-9=7, aÛ`=;;Á3¤;; f(x)=(x+2)(x-2)(x-a)`(a는 상수)

 ③ 로 놓을 수 있다.
이때 f(0)=12이므로
f(0)=-4_(-a)=12
a=3
41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a) 즉, f(x)=(x+2)(x-2)(x-3)이므로
이고, 함수 f(x)에서 x의 값이 0에서 1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 '(x)=(x-2)(x-3)+(x+2)(x-3)+(x+2)(x-2)
두 점 (0, 0), (1, 3)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므로
따라서 f '(-1)=5, f '(0)=-4, f '(1)=-7이므로
3-0
f '(a)= =3 f '(-1)+f '(0)+f '(1)=5-4-7=-6
1-0
 ④  ③

정답과 풀이 3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39 22. 11. 9. 오전 10:59


45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x)=a(x+b)Û`=a(x+b)(x+b)에서
f(x)=axÜ`+bx`(a, b는 상수, a+0) f '(x)=a(x+b)+a(x+b)=2a(x+b)이므로
으로 놓으면 f '(x)=3axÛ`+b f '(1)=2a(1+b)=16
이때 2 f(x)=x f '(x)+xÜ`+2x에 위의 두 식을 대입하면 a(1+b)=8 yy ㉡
2(axÜ`+bx)=x(3axÛ`+b)+xÜ`+2x ㉡을 ㉠에 대입하면
2axÜ`+2bx=3axÜ`+bx+xÜ`+2x 8(1+b)=32, 1+b=4
2axÜ`+2bx=(3a+1)xÜ`+(b+2)x b=3, a=2
즉, 2a=3a+1, 2b=b+2 따라서 f(x)=2(x+3)Û`이므로
a=-1, b=2 f(2)=2_25=50
따라서 f(x)=-xÜ`+2x이므로   50
f(1)=-1+2=1
 ④ 48 함수 f(x)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참고 즉, lim `f(x)g(x)= lim `f(x)g(x)=f(1)g(1)이므로
x`Ú1- x`Ú1+
함수 f(x)=axÜ`+bxÛ`+cx+d`(a, b, c, d는 상수)에 대하여 함수
lim `f(x)g(x)= lim `f(x)_ lim g(x)=g(1)
x`Ú1- x`Ú1- x`Ú1-
y=f(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lim `f(x)g(x)= lim `f(x)_ lim `g(x)=-g(1)
f(-x)=-f(x)이므로 x`Ú1+ x`Ú1+ x`Ú1+

-axÜ`+bxÛ`-cx+d=-axÜ`-bxÛ`-cx-d f(1)g(1)=-g(1)
2bxÛ`+2d=0 에서 g(1)=-g(1)
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d=0 즉, g(1)=0
따라서 f(x)=axÜ`+cx로 놓을 수 있다. 이때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g(x)를
g(x)=(x-1)(x+a)`(a는 상수)
46 f(x)=-x f '(x)-9xÛ`+4x-1   yy ㉠ 로 놓으면 함수 f(x)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에서 f(x)가 상수함수이면 좌변은 상수함수이고 우변은 이차함수이므 `f(x)g(x)-f(1)g(1) `f(x)g(x)-f(1)g(1)
lim = lim
x`Ú1- x-1 x`Ú1+ x-1
로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에서
f(x)가 일차함수이면 좌변은 1차이고 우변은 2차이므로 등식이 성립
(x-1)(x+a) -(x-1)(x+a)
하지 않는다. lim = lim
x`Ú1- x-1 x`Ú1+ x-1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f(x)의 차수를 n이라 하면 f '(x)의 차
lim (x+a)= lim {-(x+a)}
x`Ú1- x`Ú1+
수는 n-1이므로 x f '(x)의 차수는 n이다.
1+a=-(1+a)
n¾3일 때, f(x)의 최고차항을 axn`(a+0)이라 하면 좌변의 최고차
2(1+a)=0
항은 axn이고 f '(x)의 최고차항은 (axn)'=anxn-1이므로 우변의 최
a=-1
고차항은 -anxn이다.
따라서 g(x)=(x-1)Û`이므로
즉, axn=-anxn에서 axn(1+n)=0
g(3)=4
n¾3이므로 a=0
 4
이는 f(x)의 최고차항이 axn`(a+0)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n=2이므로
f(x)=axÛ`+bx+c`(a, b, c는 상수, a+0)
으로 놓으면 f '(x)=2ax+b
본문 46쪽
㉠에서 서술형 완성하기
axÛ`+bx+c=-x(2ax+b)-9xÛ`+4x-1
01 풀이 참조 02 8 03 6 04 3
axÛ`+bx+c=(-2a-9)xÛ`+(-b+4)x-1
05 11 06 2
에서 a=-2a-9, b=-b+4, c=-1
a=-3, b=2, c=-1
즉, f(x)=-3xÛ`+2x-1이므로 f '(x)=-6x+2 01 f(-1)=0이고 lim `f(x)= lim |xÛ`+x|=0이므로
x`Ú-1 x`Ú-1

따라서 f '(-1)=6+2=8 lim `f(x)=f(-1)


x`Ú-1
 8 즉, 함수 f(x)=|xÛ`+x|는 x=-1에서 연속이다. yy ➊
`f(x)-f(-1) |xÛ`+x| xÛ`+x
lim = lim = lim
47 조건 (가)에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므로 x`Ú-1- x-(-1) x`Ú-1- x+1 x`Ú-1- x+1

f(x)=a(x+b)Û``(a, b는 상수, a+0) x(x+1)


= lim
으로 놓을 수 있다. 조건 (나)에서 x`Ú-1- x+1
f(1)=a(1+b)Û`=32 yy ㉠ = lim x=-1 yy ➋
x`Ú-1-

4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0 22. 11. 9. 오전 10:59


`f(x)-f(-1) |xÛ`+x| -(xÛ`+x) 즉, f(-2)=-4 yy ➊
lim = lim = lim
x`Ú-1+ x-(-1) x`Ú-1+ x+1 x`Ú-1+ x+1
-8-2a+b=-4
-x(x+1)
= lim b=2a+4   yy ㉠
x`Ú-1+ x+1
= lim (-x)=1 yy ➌ 한편,
x`Ú-1+
`f(x)+4 `f(x)-f(-2)
이므로 f '(-1)이 존재하지 않는다. lim = lim =9
x`Ú-2 x+2 x`Ú-2 x-(-2)
따라서 함수 f(x)=|xÛ`+x|는 x=-1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 에서 f '(-2)=9 yy ➋
지 않다. f(x)=xÜ`+ax+b에서 f '(x)=3xÛ`+a이므로
  풀이 참조 12+a=9, a=-3
㉠에서 b=-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ab=(-3)_(-2)=6 yy ➌
➊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임을 보인 경우 40`%
 6
`f(x)-f(-1)
➋ lim 의 값을 구한 경우 30`%
x`Ú-1- x-(-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x)-f(-1) 극한값이 존재할 조건을 이용하여 f(-2)의 값을
➌ lim 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➊ 40`%
x`Ú-1+ x-(-1)
구한 경우
➋ f '(-2)의 값을 구한 경우 30`%
`f(4+h)-f(4-2h)
02 lim
h`Ú0 2h
=18에서 ➌ ab의 값을 구한 경우 30`%

`f(4+h)-f(4-2h)
lim
h`Ú0 2h 04 곡선 y=g(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7
{ f(4+h)-f(4)}-{ f(4-2h)-f(4)} 이므로
=lim
h`Ú0 2h g(-1)=-2, g'(-1)=-7
`f(4+h)-f(4) `f(4-2h)-f(4) g(x)=(xÜ`+2xÛ`-3) f(x)에서
=lim +lim
h`Ú0 2h h`Ú0 -2h
g(-1)=(-1+2-3)f(-1)=-2 f(-1)=-2
`f '(4)
= +f '(4)=;2#; f '(4)=18 f(-1)=1 yy ➊
2
이므로 f '(4)=12 yy ➊ g'(x)=(3xÛ`+4x) f(x)+(xÜ`+2xÛ`-3) f '(x)에서
`f(xÛ`+3)-f(4) g'(-1)=(3-4) f(-1)+(-1+2-3) f '(-1)
한편, lim 에서
x`Ú1 xÜ`-1 =-1-2 f '(-1)=-7
xÛ`+3=t로 놓으면 x Ú 1일 때, t Ú 4이므로 따라서 f '(-1)=3 yy ➋
`f(xÛ`+3)-f(4) f(xÛ`+3)-f(4)  3
lim =lim
x`Ú1 xÜ`-1 x`Ú1 (x-1)(xÛ`+x+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 f(xÛ`+3)-f(4)}(x+1)
=lim ➊ f(-1)의 값을 구한 경우 50`%
x`Ú1 (x-1)(xÛ`+x+1)(x+1)
{ f(xÛ`+3)-f(4)}(x+1) ➋ f '(-1)의 값을 구한 경우 50`%
=lim
x`Ú1 (xÛ`-1)(xÛ`+x+1)

=13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f(xÛ`+3)-f(4) xn+2x+3
=lim
x`Ú1 xÛ`-1
_lim
x+1
x`Ú1 xÛ`+x+1
05 lim
x`Ú-1 x+1
`f(t)-f(4)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lim _;3@;
t`Ú4 t-4 즉, lim (xn+2x+3)=0에서
x`Ú-1

=;3@; f '(4)=;3@;_12=8 yy ➋ (-1)n-2+3=0, (-1)n=-1


 8 이므로 자연수 n은 홀수이다. yy ➊
n
f(x)=x +2x로 놓으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1)=(-1)n-2=-3이므로 주어진 식
➊ f '(4)의 값을 구한 경우 50`%
xn+2x+3 `f(x)-f(-1)
➋ 치환하여 극한값을 구한 경우 50`% lim = lim =13
x`Ú-1 x+1 x`Ú-1 x-(-1)
에서 f '(-1)=13 yy ➋
n-1
`f(x)+4 이때 f '(x)=nx +2이므로
03 lim =9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2일 때
x`Ú-2 x+2 f '(-1)=n(-1)n-1+2=13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n은 홀수이므로 n-1은 0 또는 짝수
즉, lim { f(x)+4}=0 따라서 n+2=13에서
x`Ú-2

다항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도 연 n=11 yy ➌


속이다.   11

정답과 풀이 4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1 22. 11. 9. 오전 10:59


단계 채점 기준 비율 Û 함수 f(x)g(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➊ n이 홀수임을 구한 경우 30`% `f(x)g(x)-f(2)g(2) `f(x)g(x)-f(2)g(2)
lim = lim 에서
x`Ú2- x-2 x`Ú2+ x-2
➋ f '(-1)의 값을 구한 경우 30`%
(-xÛ`+2x)(3x+a)(x+b)
➌ n의 값을 구한 경우 40`% lim
x`Ú2- x-2
(xÛ`-2x)(3x+a)(x+b)
 = lim
x-2
06 f(x)=xÜ`+axÛ`+b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x`Ú2+

lim {-x(3x+a)(x+b)}= lim {x(3x+a)(x+b)}


라 하면 x`Ú2- x`Ú2+

xÜ`+axÛ`+b=(x-2)Û` Q(x)+1 yy ㉠ yy ➊ 이므로


㉠에 x=2를 대입하면 -2(6+a)(2+b)=2(6+a)(2+b)
8+4a+b=1 4(6+a)(2+b)=0
b=-4a-7 yy ㉡ yy ➋ 그러므로 a=-6 또는 b=-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Ú, Û에서 a=-6, b=0 또는 a=0, b=-2이므로
3xÛ`+2ax=2(x-2)Q(x)+(x-2)Û` Q'(x) g(x)=(3x-6)x 또는 g(x)=3x(x-2)에서
이 식에 x=2를 대입하면 g(x)=3xÛ`-6x
12+4a=0, a=-3 yy ➌ 따라서 g'(x)=6x-6에서 g'(2)=12-6=6
㉡에서 b=5  ②
따라서 a+b=-3+5=2 yy ➍
 2 02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x)=axÛ`+b`(a, b는 상수, a+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으로 놓으면 f '(x)=2ax
➊ 주어진 식을 (x-2)Û` Q(x)+1로 나타낸 경우 30`%
이때 5 f(x)+{f '(x)}Û`=6xÛ`+15에 위의 두 식을 대입하면
➋ x=2를 대입하여 a와 b의 식을 구한 경우 20`%
5(axÛ`+b)+(2ax)Û`=6xÛ`+15
➌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5axÛ`+5b+4aÛ`xÛ`=6xÛ`+15
➍ a+b의 값을 구한 경우 20`%
(5a+4aÛ`)xÛ`+5b=6xÛ`+15
위의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5a+4aÛ`=6에서
4aÛ`+5a-6=0, (a+2)(4a-3)=0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본문 47쪽 a=-2 또는 a=;4#;

또한 5b=15에서 b=3
01 ② 02 ③ 03 28 04 8
따라서 f(x)=-2xÛ`+3 또는 f(x)=;4#;xÛ`+3

01 f(x)=|xÛ`-2x| f(x)=-2xÛ`+3이면 f(1)=1이므로 f(1)>1이라는 조건을 만족시


-xÛ`+2x (0Éx<2) 키지 않는다.

xÛ`-2x (x<0 또는 x¾2) f(x)=;4#;xÛ`+3이면 f(1)=;;Á4°;;>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므로
(-xÛ`+2x)(3x+a)(x+b) (0Éx<2) f(x)=;4#;xÛ`+3에서 f '(x)=;2#;x이므로
f(x)g(x)=à
(xÛ`-2x)(3x+a)(x+b) (x<0 또는 x¾2)
f '(2)=;2#;_2=3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0, x=2
 ③
에서 미분가능하다.
Ú 함수 f(x)g(x)가 x=0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
`f(x)g(x)-f(0)g(0) `f(x)g(x)-f(0)g(0) 03 lim =;2!;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lim = lim 에서 x`Ú1 (x-1)f '(x)
x x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x`Ú0- x`Ú0+

(xÛ`-2x)(3x+a)(x+b)
lim 즉, lim`f(x)=0
x`Ú0- x x`Ú1

(-xÛ`+2x)(3x+a)(x+b) 이때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 lim
x`Ú0+ x
f(x)=(x-1)(xÛ`+ax+b)`(a, b는 상수)
lim (x-2)(3x+a)(x+b)= lim (-x+2)(3x+a)(x+b)
x`Ú0- x`Ú0+ 로 놓으면
이므로 f '(x)=(xÛ`+ax+b)+(x-1)(2x+a) yy ㉠
-2ab=2ab, 4ab=0 `f(x)
한편, lim =;2!;에서
그러므로 ab=0 x`Ú1 (x-1)f '(x)

4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2 22. 11. 9. 오전 10:59


(x-1)(xÛ`+ax+b)
lim
x`Ú1 (x-1)f '(x)
xÛ`+ax+b
04 도함수의 활용 (1)
=lim
x`Ú1 f '(x)
본문 49~51쪽
xÛ`+ax+b 개념 확인하기
=lim yy ㉡
x`Ú1 (xÛ`+ax+b)+(x-1)(2x+a)
xÛ`+ax+b 01 -3 02 5 03 y=5x-3
이때 1+a+b+0이면 ㉡에서 lim =1이 되어 조건을
x`Ú1 xÛ`+ax+b 04 y=8x+20 05 y=-2x+1 06 y=2x-4
만족시키지 않는다. 07 y=2x+16 08 y=2x-3 09 y=-x
그러므로 1+a+b=0, b=-a-1
조건 (나)에서 f '(2)=13이므로 ㉠에서
10 y=-;2!;x+;2&; 11 y=-5x+8
f '(2)=(4+2a+b)+4+a=8+3a+b
12 y=3x+9 또는 y=3x-;3%; 13 y=-6x-7 또는 y=2x+1
=8+3a-a-1=7+2a=13
2a=6, a=3 14 y=2x-2 또는 y=-2x+2 15 y=x+3
b=-4 16 1 17 ;2%; 18 1 19 0 20 ;2%;
따라서
f(x)=(x-1)(xÛ`+3x-4)=(x-1)Û`(x+4) 21 0 22 1 23 ;3$; 24 증가 25 증가
이므로 f(3)=4_7=28 26 감소 27 증가 28 풀이 참조
  28 29 풀이 참조 30 풀이 참조 31 풀이 참조
참고
32 풀이 참조 33 극댓값: 3, 극솟값: -1
b=-a-1을 ㉡에 대입하면
34 x=a, x=c 35 x=b, x=e 36 7
xÛ`+ax+b
lim
x`Ú1 (xÛ`+ax+b)+(x-1)(2x+a) 37 극댓값: ;2!;, 극솟값: 0 38 극댓값: ;3*;, 극솟값: ;3$;
xÛ`+ax-a-1
=lim
x`Ú1 (xÛ`+ax-a-1)+(x-1)(2x+a) 39 극댓값: 0, 극솟값: -;3%;, -;;£3ª;;
(x-1)(x+1+a)
=lim
x`Ú1 (x-1)(x+1+a)+(x-1)(2x+a)
40 극댓값: 28, 극솟값은 갖지 않는다.
(x-1)(x+1+a)
=lim
x`Ú1 (x-1)(3x+1+2a) 01 f(x)=xÜ`-4xÛ`+2x라 하면 f '(x)=3xÛ`-8x+2
x+1+a 따라서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lim
x`Ú1 3x+1+2a
f '(1)=3-8+2=-3
x-1 x-1
이때 2+a=0이면 lim =lim =lim ;3!;=;3!;   -3
x`Ú1 3x-3 x`Ú1 3(x-1) x`Ú1

이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2+a+0 02 f(x)=xÝ`-2xÜ`-3x+6이라 하면 f '(x)=4xÜ`-6xÛ`-3
x+1+a 2+a 2+a 따라서 점 (2,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한편, 2+a+0이면 lim = = =;2!;
x`Ú1 3x+1+2a 4+2a 2(2+a) f '(2)=32-24-3=5
 5

04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직선


y=3x-5와 한 점에서 접하므로 접점의 좌표를 (a, f(a))라 하면 03 f(x)=xÛ`+3x-2라 하면 f '(x)=2x+3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x)-(3x-5)=(x-a)Û`
f '(1)=2+3=5
으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즉, f(x)=xÛ`-(2a-3)x+aÛ`-5   yy ㉠
y-2=5(x-1), 즉 y=5x-3
에서 f '(x)=2x-(2a-3)
  y=5x-3
f '(1)=2-2a+3=-2a+5=-1이므로 a=3
따라서 ㉠에서 f(x)=xÛ`-3x+4이므로
f(-1)=1+3+4=8 04 f(x)=2xÜ`+3xÛ`-4x라 하면 f '(x)=6xÛ`+6x-4
 8 점 (-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참고 f '(-2)=24-12-4=8
g(x)=f(x)-(3x-5)로 놓으면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g(a)=0, g'(a)=0이므로 g(x)=(x-a)Û` y-4=8(x+2), 즉 y=8x+20
즉, f(x)-(3x-5)=(x-a)Û`   y=8x+20

정답과 풀이 4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3 22. 11. 9. 오전 10:59


05 f(x)=xÝ`-4xÛ`-6x라 하면 f '(x)=4xÜ`-8x-6 11 f(x)=xÛ`-3x+9라 하면 f '(x)=2x-3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접점의 좌표를 (t, tÛ`-3t+9)라 하면 직선 y=-5x+7에 평행한 직
f '(-1)=-4+8-6=-2 선의 기울기는 -5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f '(t)=2t-3=-5에서 t=-1
y-3=-2(x+1), 즉 y=-2x+1 따라서 점 (-1, 13)을 지나고 기울기가 -5인 직선의 방정식은
  y=-2x+1 y-13=-5(x+1), 즉 y=-5x+8
  y=-5x+8

06 f(x)=;2!;xÛ`+2x-4라 하면 f '(x)=x+2
접점의 좌표를 {t, ;2!;tÛ`+2t-4}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12 f(x)=;3!;xÜ`+xÛ`이라 하면 f '(x)=xÛ`+2x
f '(t)=t+2=2에서 t=0 접점의 좌표를 {t, ;3!; tÜ`+tÛ`}이라 하면 직선 y=-;3!; x+3에 수직인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점 (0, -4)를 지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직선의 기울기는 3이므로
방정식이므로
f '(t)=tÛ`+2t=3에서
y+4=2x, 즉 y=2x-4
tÛ`+2t-3=0, (t+3)(t-1)=0
  y=2x-4
t=-3 또는 t=1
t=-3일 때 접점의 좌표는 (-3, 0)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07 f(x)=-xÛ`-4x+7이라 하면 f '(x)=-2x-4 y=3(x+3), 즉 y=3x+9
접점의 좌표를 (t, -tÛ`-4t+7)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f '(t)=-2t-4=2에서 t=-3 t=1일 때 접점의 좌표는 {1, ;3$;}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점 (-3, 10)을 지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y-;3$;=3(x-1), 즉 y=3x-;3%;
방정식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10=2(x+3), 즉 y=2x+16
  y=2x+16 y=3x+9 또는 y=3x-;3%;

  y=3x+9 또는 y=3x-;3%;
08 f(x)=xÜ`-3xÛ`+5x-4라 하면 f '(x)=3xÛ`-6x+5
접점의 좌표를 (t, tÜ`-3tÛ`+5t-4)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f '(t)=3tÛ`-6t+5=2에서
13 f(x)=xÛ`+2라 하면 f '(x)=2x
3tÛ`-6t+3=0, 3(t-1)Û`=0, t=1 접점의 좌표를 (t, tÛ`+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점 (1, -1)을 지나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의 f '(t)=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방정식이므로 y-(tÛ`+2)=2t(x-t)
y+1=2(x-1), 즉 y=2x-3 y=2tx-tÛ`+2   yy ㉠
  y=2x-3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1=-tÛ`-2t+2
09 f(x)=xÜ`-2x라 하면 f '(x)=3xÛ`-2 tÛ`+2t-3=0, (t+3)(t-1)=0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t=-3 또는 t=1
f '(-1)=3-2=1 t=-3을 ㉠에 대입하면 y=-6x-7
그러므로 점 (-1, 1)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이고, t=1을 ㉠에 대입하면 y=2x+1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1=-(x+1), 즉 y=-x y=-6x-7 또는 y=2x+1
  y=-x   y=-6x-7 또는 y=2x+1

10 f(x)=-xÝ`+6x-2라 하면 f '(x)=-4xÜ`+6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14 f(x)=-xÛ`+2x-2라 하면 f '(x)=-2x+2
f '(1)=-4+6=2 접점의 좌표를 (t, -tÛ`+2t-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2t+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그러므로 점 (1, 3)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고,
y-(-tÛ`+2t-2)=(-2t+2)(x-t)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t+2)x+tÛ`-2   yy ㉠
y-3=-;2!;(x-1), 즉 y=-;2!;x+;2&; 이 직선이 점 (1, 0)을 지나므로
0=tÛ`-2t, t(t-2)=0
  y=-;2!;x+;2&; t=0 또는 t=2

4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4 22. 11. 9. 오전 10:59


t=0을 ㉠에 대입하면 y=2x-2 이때 f '(x)=4xÜ`-8x이므로
t=2를 ㉠에 대입하면 y=-2x+2 f '(c)=4cÜ`-8c=0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4c(c+'2 )(c-'2 )=0
y=2x-2 또는 y=-2x+2 c=-'2 또는 c=0 또는 c='2
  y=2x-2 또는 y=-2x+2 -1<c<1이므로 c=0
 0

15 f(x)=xÜ`-2x+1이라 하면 f '(x)=3xÛ`-2
접점의 좌표를 (t, tÜ`-2t+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0 함수 f(x)=xÛ`+3x는 닫힌구간 [1, 4]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f '(t)=3tÛ`-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1, 4)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y-(tÜ`-2t+1)=(3tÛ`-2)(x-t) `f(4)-f(1)
=f '(c)인 c가 열린구간 (1, 4)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y=(3tÛ`-2)x-2tÜ`+1   yy ㉠ 4-1
이 직선이 점 (0, 3)을 지나므로 28-4
f '(x)=2x+3이므로 =2c+3, 2c+3=8
4-1
3=-2tÜ`+1, 2tÜ`+2=0, 2(t+1)(tÛ`-t+1)=0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tÛ`-t+1>0이므로 t=-1 따라서 c=;2%;

t=-1을 ㉠에 대입하면 y=x+3   ;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x+3
  y=x+3 21 함수 f(x)=2xÛ`-x+1은 닫힌구간 [-1, 1]에서 연속이고 열
린구간 (-1, 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1)-f(-1)
16 함수 f(x)=2xÛ`-4x+1은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고 1-(-1)
=f '(c)인 c가 열린구간 (-1, 1)에 적어도 하나 존
열린구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며 f(-1)=f(3)=7이므로 롤의 재한다.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하나 존 2-4
f '(x)=4x-1이므로 =4c-1, 4c-1=-1
재한다. 1-(-1)
이때 f '(x)=4x-4이므로 f '(c)=4c-4=0에서 따라서 c=0
c=1  0
 1

22 함수 f(x)=xÜ`은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7 함수 f(x)=-xÛ`+5x는 닫힌구간 [1, 4]에서 연속이고 열린구 (-1, 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간 (1, 4)에서 미분가능하며 f(1)=f(4)=4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 `f(2)-f(-1)
=f '(c)인 c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하나 존
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1, 4)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2-(-1)
이때 f '(x)=-2x+5이므로 f '(c)=-2c+5=0에서 재한다.
8-(-1)
c=;2%; f '(x)=3xÛ` 이므로
2-(-1)
=3cÛ`

  ;2%; 3cÛ`=3, 3(c+1)(c-1)=0


c=-1 또는 c=1
-1<c<2이므로 c=1
18 함수 f(x)=xÜ`-6xÛ`+9x-1은 닫힌구간 [0, 3]에서 연속이고  1
열린구간 (0, 3)에서 미분가능하며 f(0)=f(3)=-1이므로 롤의 정
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0,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3xÛ`-12x+9이므로 23 함수 f(x)=xÜ`-2xÛ`+3x는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이고 열
린구간 (0, 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 '(c)=3cÛ`-12c+9=0
`f(2)-f(0)
3(c-1)(c-3)=0 =f '(c)인 c가 열린구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2-0
c=1 또는 c=3 6-0
f '(x)=3xÛ`-4x+3이므로 =3cÛ`-4c+3
0<c<3이므로 c=1 2-0
 1 3cÛ`-4c=0, 3c{c-;3$;}=0

c=0 또는 c=;3$;
19 함수 f(x)=xÝ`-4xÛ`+3은 닫힌구간 [-1, 1]에서 연속이고 열
린구간 (-1, 1)에서 미분가능하며 f(-1)=f(1)=0이므로 롤의 정 0<c<2이므로 c=;3$;
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1, 1)에 적어도 하나 존재
한다.   ;3$;

정답과 풀이 4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5 22. 11. 9. 오전 10:59


24 0<xÁ<xª인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0], [2, ¦)에서 증가하고, 구간
f(xÁ)-f(xª)=(xÁÛ`+1)-(xªÛ`+1)=xÁÛ`-xªÛ` [0, 2]에서 감소한다.
=(xÁ+xª)(xÁ-xª)<0   풀이 참조
이므로 f(xÁ)<f(xª)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0, ¦)에서 증가한다.
30 f(x)=-;3!;xÜ`+2xÛ`-3x에서
  증가
f '(x)=-xÛ`+4x-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25 xÁ<xª인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Á)-f(xª)=xÁÜ`-xªÜ`
=(xÁ-xª)(xÁÛ`+xÁxª+xªÛ`) x y 1 y 3 y

이고 xÁÛ`+xÁxª+xªÛ`={xÁ+ }2`+;4#;xªÛ`>0이므로
xª f '(x) - 0 + 0 -
2 f(x) ↘ ↗ ↘
f(xÁ)-f(xª)<0, f(xÁ)<f(xª)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1], [3, ¦)에서 감소하고, 구간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에서 증가한다.
[1, 3]에서 증가한다.
  증가
  풀이 참조

26 2<xÁ<xª인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31 f(x)=xÝ`-2xÜ`+xÛ`에서


f(xÁ)-f(xª)=(-xÁÛ`+4xÁ)-(-xªÛ`+4xª)
f '(x)=4xÜ`-6xÛ`+2x=2x(2x-1)(x-1)
=(xªÛ`-xÁÛ`)-4(xª-xÁ)
=(xª-xÁ)(xÁ+xª-4) f '(x)=0에서 x=0 또는 x=;2!; 또는 x=1
이고 xÁ+xª-4>0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Á)-f(xª)>0, f(xÁ)>f(xª)
x y 0 y ;2!; y 1 y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2, ¦)에서 감소한다.
  감소 f '(x) - 0 + 0 - 0 +
f(x) ↘ ↗ ↘ ↗

27 xÁ<xª<0인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0], [;2!;, 1]에서 감소하고, 구간

[0, ;2!;], [1, ¦)에서 증가한다.


f(xÁ)-f(xª)=-xÁÝ`-(-xªÝ`)=xªÝ`-xÁÝ`
=(xª-xÁ)(xª+xÁ)(xªÛ`+xÁÛ`)<0
이므로 f(xÁ)<f(xª)
  풀이 참조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0)에서 증가한다.
  증가
32 함수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2, 3
이므로 f '(x)=0에서
28 f(x)=xÛ`+4x-3에서 x=-2 또는 x=3
f '(x)=2x+4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0에서 x=-2
x y -2 y 3 y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 - 0 + 0 -
x y -2 y
f(x) ↘ ↗ ↘
f '(x) - 0 +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2], [3, ¦)에서 감소하고, 구간
f(x) ↘ ↗
[-2, 3]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2]에서 감소하고, 구간 [-2, ¦)
  풀이 참조
에서 증가한다.
  풀이 참조
33 함수 f(x)는 x=-1의 좌우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며 극댓값은 f(-1)=3
29 f(x)=xÜ`-3xÛ`+5에서 x=1의 좌우에서 감소하다가 증가하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소
f '(x)=3xÛ`-6x=3x(x-2)
이며 극솟값은 f(1)=-1
f '(x)=0에서 x=0 또는 x=2
  극댓값: 3, 극솟값:-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0 y 2 y
34 함수 f(x)는 x=a, x=c의 좌우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므로 함
f '(x) + 0 - 0 + 수 f(x)는 x=a, x=c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f(x) ↗ ↘ ↗   x=a, x=c

4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6 22. 11. 9. 오전 10:59


35 함수 f(x)는 x=b, x=e의 좌우에서 감소하다가 증가하므로 함 40 f(x)=-xÝ`+4xÜ`+1에서
수 f(x)는 x=b, x=e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f '(x)=-4xÜ`+12xÛ`=-4xÛ`(x-3)
  x=b, x=e f '(x)=0에서 x=0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6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7을 가지므로 x y 0 y 3 y


f(1)=7, f '(1)=0 f '(x) + 0 + 0 -
따라서 f(1)+f '(1)=7 f(x) ↗ 1 ↗ 28 ↘
 7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댓값 28을 갖고 극솟값은 갖지 않는다.
  극댓값: 28, 극솟값은 갖지 않는다.

37 f(x)=xÜ`+;2#;xÛ`에서
f '(x)=3xÛ`+3x=3x(x+1)
f '(x)=0에서 x=-1 또는 x=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0 y
f '(x) + 0 - 0 + 본문 52~66쪽
유형 완성하기
f(x) ↗ ;2!; ↘ 0 ↗
01 ② 02 6 03 ① 04 ④ 05 ③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2!;, x=0에서 극솟값 0을 갖 06 ② 07 ③ 08 ④ 09 ① 10 ③
는다. 11 ④ 12 9 13 ② 14 8 15 ④
  극댓값: ;2!;, 극솟값: 0
16 ④ 17 ③ 18 ④ 19 ① 20 ③
21 ② 22 ② 23 16 24 ③ 25 ③
26 ② 27 ② 28 ② 29 ① 30 ⑤
38 f(x)=-;3!;xÜ`+x+2에서 31 ③ 32 ⑤ 33 ① 34 ③ 35 ④
f '(x)=-xÛ`+1=-(x+1)(x-1) 36 ⑤ 37 6 38 ② 39 ③ 40 ②
f '(x)=0에서 x=-1 또는 x=1 41 ④ 42 3 43 ④ 44 ③ 45 7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6 ④ 47 ③ 48 17 49 ② 50 ④
x y -1 y 1 y 51 ⑤ 52 ④ 53 ② 54 ② 55 ④
f '(x) - 0 + 0 - 56 ③ 57 ③ 58 ① 59 ④ 60 ①
f(x) ↘ ;3$; ↗ ;3*; ↘ 61 ⑤ 62 ② 63 60 64 ① 65 ①
66 ④ 67 ⑤ 68 ② 69 ③ 70 ④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3$;, x=1에서 극댓값 ;3*; 을
71 ② 72 ① 73 9 74 ② 75 ③
갖는다. 76 4 77 ② 78 ④ 79 6 80 ①
  극댓값: ;3*;, 극솟값: ;3$; 81 ③ 82 ③ 83 ④ 84 ① 85 8
86 ④ 87 ②
39 f(x)=xÝ`-;3$;xÜ`-4xÛ`에서
f '(x)=4xÜ`-4xÛ`-8x=4x(x+1)(x-2)
01 f(x)=xÜ`+axÛ`+bx+2에서
f '(x)=3xÛ`+2ax+b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점 (-1, -4)가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1)=-1+a-b+2=-4에서
x y -1 y 0 y 2 y
a-b=-5 yy ㉠
f '(x) - 0 + 0 - 0 +
두 점 (-1, -4), (3, f(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서로 같으므로
f(x) ↘ -;3%; ↗ 0 ↘ -;;£3ª;; ↗ f '(-1)=3-2a+b, f '(3)=27+6a+b에서
3-2a+b=27+6a+b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3%;, x=0에서 극댓값 0, 8a=-24, a=-3 yy ㉡
㉡을 ㉠에 대입하면 b=2
x=2에서 극솟값 -;;£3ª;; 를 갖는다.
따라서 a+b=-3+2=-1
  극댓값: 0, 극솟값: -;3%;, -;;£3ª;;  ②

정답과 풀이 4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7 22. 11. 9. 오전 10:59


02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이 접선이 점 (3, a)를 지나므로
f '(1)=2 a-2=(3-a)_4, 5a=14
따라서 따라서 a=;;Á5¢;;
`f(1+3h)-f(1) `f(1+3h)-f(1)
lim =lim _3
h`Ú0 h h`Ú0 3h  ③
=3_f '(1)=3_2=6
 6 `f(2+h)-4
08 lim =3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h Ú 0일 때
h`Ú0 h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03 f(x)=xÜ`-6xÛ`+11x+5라 하면 즉, lim{ f(2+h)-4}=0이므로 f(2)=4이고,
f '(x)=3xÛ`-12x+11=3(x-2)Û`-1이므로 h`Ú0

`f(2+h)-4 `f(2+h)-f(2)
f '(x)는 x=2일 때 최솟값 -1을 갖는다. lim =lim =f '(2)=3
h`Ú0 h h`Ú0 h
그러므로 m=-1
곡선 y=f(x)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접선의
이때 f(2)=8-24+22+5=11이므로 접점의 좌표는 (2, 11)이고
방정식은
a=2, b=11
y-4=3(x-2), 즉 y=3x-2
따라서 a+b+m=2+11+(-1)=12
따라서 a=3, b=-2이므로 a+b=1
 ①
 ④

04 f(x)=xÜ`-5x+5라 하면 09 곡선 y=f(x) 위의 점 (2, f(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f '(x)=3xÛ`-5
y=3x-5이고, 직선 y=3x-5가 점 (2, 1)을 지나므로 f(2)=1이다.
점 (2,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또한 곡선 y=f(x) 위의 점 (2, f(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2)
f '(2)=12-5=7
이므로 f '(2)=3이다.
곡선 y=f(x)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g(x)=xf(x)에서 g(2)=2 f(2)=2
y-3=7(x-2), 즉 y=7x-11
g'(x)=f(x)+x f '(x)이므로
따라서 a=7, b=-11이므로 a+b=-4
g'(2)=f(2)+2 f '(2)=1+2_3=7
 ④
그러므로 곡선 y=g(x) 위의 점 (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7(x-2), 즉 y=7x-12
05 f(x)=xÜ`-2xÛ`+4라 하면 따라서 m=7, n=-12이므로 m+n=-5
f '(x)=3xÛ`-4x이므로  ①
f '(1)=3-4=-1
곡선 y=f(x)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0 f(x)=xÜ`-2xÛ`+3x라 하면
y-3=-(x-1), 즉 y=-x+4 f '(x)=3xÛ`-4x+3이므로
따라서 접선의 x절편과 y절편 모두 4이므로 그 합은 8이다. f '(1)=3-4+3=2
 ③ 점 (1, 2)를 지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1
y-2=- (x-1)
`f '(1)
06 f(x)=xÜ`+2xÛ`+ax+b라 하면
f '(x)=3xÛ`+4x+a y=-;2!;(x-1)+2
점 (-1, 2)가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y=-;2!;x+;2%;
f(-1)=-1+2-a+b=2에서 -a+b=1 yy ㉠
또한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따라서 a=-;2!;, b=;2%;이므로 ab=-;4%;
f '(-1)=3-4+a=2에서 a=3 yy ㉡
 ③
㉡을 ㉠에 대입하면 b=4
따라서 a+b=3+4=7
 ② 11 점 (3, 5)가 곡선 y=;3!;xÜ`+ax+2 위의 점이므로
9+3a+2=5, 3a=-6, a=-2

07 f(x)=xÜ`+axÛ`+ax+3이라 하면 f(x)=;3!;xÜ`-2x+2라 하면
f '(x)=3xÛ`+2ax+a이므로
f '(x)=xÛ`-2
f '(-1)=3-2a+a=3-a
곡선 y=f(x) 위의 점 (3, 5)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3)=7이고,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7!;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3-a)(x+1)

4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8 22. 11. 9. 오전 10:59


y-5=-;7!;(x-3), 즉 y=-;7!;x+;;£7¥;; 15 f(x)=xÜ`-2xÛ`+ax+1에서
f '(x)=3xÛ`-4x+a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y절편은 ;;£7¥;; 이다. 곡선 y=f(x) 위의 점 A(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④ y-f(1)=f '(1)(x-1)
이때 f(1)=a, f '(1)=a-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a=(a-1)(x-1), 즉 y=(a-1)x+1

12 f(x)=;3!;xÜ`-3x+;3!;에서 이 접선이 곡선 y=f(x)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Ü`-2xÛ`+ax+1=(a-1)x+1에서
f '(x)=xÛ`-3
xÜ`-2xÛ`+x=0, x(x-1)Û`=0
f(2)=;3*;-6+;3!;=-3, f '(2)=4-3=1이므로 곡선 y=f(x) 위의 x=0 또는 x=1
점 P(2,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1이다. 그러므로 점 B의 좌표는 (0, 1)이다.
곡선 y=f(x) 위의 점 P(2, -3)에서의 접선과 곡선 y=g(x) 위의 ABÓ="Ã(0-1)Û`+(1-a)Û`="ÃaÛ`-2a+2='1Œ0에서
점 P(2, -3)에서의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aÛ`-2a+2=10, (a+2)(a-4)=0
g(2)=-3, g'(2)=-1 따라서 a>0이므로 a=4
g(x)=xÛ`+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④
g(2)=4+2a+b=-3에서 2a+b=-7 yy ㉠
g'(x)=2x+a이므로 16 f(x)=xÜ`+3xÛ`+5x라 하면
f '(x)=3xÛ`+6x+5
g'(2)=4+a=-1에서 a=-5 yy ㉡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b=3
f '(a)=3aÛ`+6a+5=2
따라서 g(x)=xÛ`-5x+3이므로
3aÛ`+6a+3=0, 3(a+1)Û`=0, a=-1
g(-1)=1+5+3=9
그러므로 접점의 좌표는 (-1, -3)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9
y+3=2(x+1), 즉 y=2x-1
따라서 m=2, n=-1이므로 m+n=1

13 f(x)=-xÜ`+3xÛ`이라 하면  ④
f '(x)=-3xÛ`+6x
점 (-1,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9이므로 접선의 방 17 f(x)=xÛ`-5x+7이라 하면
f '(x)=2x-5
정식은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y-4=-9(x+1), 즉 y=-9x-5
f '(a)=2a-5=-1
직선 y=-9x-5가 곡선 y=f(x)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2a=4, a=2
-xÜ`+3xÛ`=-9x-5에서
그러므로 접점의 좌표는 (2, 1)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xÜ`-3xÛ`-9x-5=0, (x+1)Û`(x-5)=0
y-1=-(x-2), 즉 y=-x+3
x=-1 또는 x=5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y절편은 3이다.
따라서 직선 y=-9x-5와 곡선 y=f(x)가 만나는 점 중 점 (-1, 4)
 ③
가 아닌 점의 좌표가 (5, -50)이므로 a=5, b=-50이고
a+b=-45
18 f(x)=xÜ`-3xÛ`-6x+9라 하면
 ② f '(x)=3xÛ`-6x-6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f '(a)=3aÛ`-6a-6=3
14 f(x)=xÜ`-2xÛ`-4x+12라 하면 3aÛ`-6a-9=0, 3(a+1)(a-3)=0
f '(x)=3xÛ`-4x-4
a=-1 또는 a=3
점 P(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2)=0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Ú a=-1일 때
y=4
접점의 좌표는 (-1, 11)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직선 y=4가 곡선 y=f(x)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y-11=3(x+1), 즉 y=3x+14
xÜ`-2xÛ`-4x+12=4에서
Û a=3일 때
xÜ`-2xÛ`-4x+8=0, (x+2)(x-2)Û`=0
접점의 좌표는 (3, -9)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x=-2 또는 x=2
y+9=3(x-3), 즉 y=3x-18
점 Q의 좌표가 (-2, 4)이므로 삼각형 OPQ의 넓이는
Ú, Û에서 y절편이 음수인 직선은 y=3x-18이고 이 직선의 x절편
;2!;_4_4=8 은 6이다.
 8  ④

정답과 풀이 4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49 22. 11. 9. 오전 10:59


19 f(x)=xÜ`-6xÛ`+14x-6이라 하면 22 f(x)=xÜ`+3xÛ`-6x+k라 하면
f '(x)=3xÛ`-12x+14 f '(x)=3xÛ`+6x-6

직선 y=-;2!;x+4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접점의 x좌표 곡선 y=f(x)와 직선 y=3x-7이 접하므로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f '(a)=3aÛ`+6a-6=3에서
를 a라 하면 f '(a)=2
3aÛ`+6a-9=0, 3(a+3)(a-1)=0
3aÛ`-12a+14=2, aÛ`-4a+4=0, (a-2)Û`=0, a=2
a=-3 또는 a=1
접점의 좌표가 (2, 6)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Ú a=-3일 때
y-6=2(x-2), 즉 y=2x+2
접점의 좌표가 (-3, -16)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y절편은 2이다.
f(-3)=-27+27+18+k=-16에서
 ①
k+18=-16, k=-34
Û a=1일 때
접점의 좌표가 (1, -4)이므로
20 f(x)=xÜ`-x+7이라 하면 f(1)=1+3-6+k=-4에서
f '(x)=3xÛ`-1
k-2=-4, k=-2
f '(1)=2이므로 점 (1, 7)에서의 접선 l의 기울기는 2이다.
Ú, Û에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이때 기울기가 2인 다른 접선 m의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34+(-2)=-36
f '(a)=3aÛ`-1=2
 ②
3aÛ`-3=0, 3(a+1)(a-1)=0
a=-1 또는 a=1
접점의 x좌표가 -1이고 f(-1)=7이므로 접선 m의 방정식은 23 f(x)=xÜ`-9x+k라 하면
y-7=2(x+1), 즉 y=2x+9 f '(x)=3xÛ`-9
점 (k, -k)가 직선 y=2x+9 위의 점이므로 곡선 y=f(x)와 직선 y=3x+2k가 접하므로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k=2k+9, 3k=-9 f '(a)=3aÛ`-9=3에서
따라서 k=-3 3aÛ`-12=0, 3(a+2)(a-2)=0
 ③ a=-2 또는 a=2
Ú a=-2일 때
곡선 y=f(x)와 직선 y=3x+2k가 접하므로
-8+18+k=-6+2k에서 k=16
21 f(x)=xÜ`-;2#;xÛ`-4x+1에서 Û a=2일 때
f '(x)=3xÛ`-3x-4
곡선 y=f(x)와 직선 y=3x+2k가 접하므로
기울기가 2인 접선의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8-18+k=6+2k에서 k=-16
f '(a)=3aÛ`-3a-4=2
Ú, Û에서 양수 k의 값은 16이다.
3aÛ`-3a-6=0, 3(a+1)(a-2)=0
  16
a=-1 또는 a=2
Ú a=-1일 때

f (-1)=-1-;2#;+4+1=;2%;이므로 접점의 좌표는 {-1, ;2%;}이


24 y=xÛ`-3x+5에서
y '=2x-3
고, 접선의 방정식은 곡선 y=xÛ`-3x+5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y-;2%;=2(x+1), 즉 y=2x+;2(; 2_2-3=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3=x-2, 즉 y=x+1
Û a=2일 때
f(x)=xÜ`-xÛ`+k라 하면
f(2)=8-6-8+1=-5이므로 접점의 좌표는 (2, -5)이고, 접
f '(x)=3xÛ`-2x
선의 방정식은
곡선 y=f(x)가 직선 y=x+1과 접하므로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y+5=2(x-2), 즉 y=2x-9
f '(a)=3aÛ`-2a=1에서
Ú, Û에서 두 직선 y=2x+;2(;, y=2x-9 사이의 거리는 직선 3aÛ`-2a-1=0, (3a+1)(a-1)=0

y=2x+;2(; 위의 점 {0, ;2(;}와 직선 2x-y-9=0 사이의 거리와 같 a=-;3!; 또는 a=1

Ú a=-;3!;일 때
으므로

9
|- -9| 접점의 좌표가 {-;3!;, ;3@;}이므로
2 27'5
=
"Ã2Û`+(-1)Û` 10
 ② -;2Á7;-;9!;+k=;3@;에서 k=;2@7@;

5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0 22. 11. 9. 오전 10:59


Û a=1일 때 28 f(x)=-xÛ`+4x-2에서
접점의 좌표가 (1, 2)이므로 f '(x)=-2x+4
1-1+k=2에서 k=2 접점의 좌표를 (a, -aÛ`+4a-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Ú, Û에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f '(a)=-2a+4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2@7@;+2=;2&7^; y-(-aÛ`+4a-2)=(-2a+4)(x-a)
y=(-2a+4)x+aÛ`-2
 ③
이 직선이 점 (2, 3)을 지나므로
3=2(-2a+4)+aÛ`-2에서
aÛ`-4a+3=0, (a-1)(a-3)=0
25 f(x)=xÜ`-2x라 하면 a=1 또는 a=3
f '(x)=3xÛ`-2
a=1인 경우 접점의 좌표는 (1, 1)
접점의 좌표를 (a, aÜ`-2a)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a=3인 경우 접점의 좌표는 (3, 1)
f '(a)=3aÛ`-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는 2이다.
y-(aÜ`-2a)=(3aÛ`-2)(x-a)
 ②
y=(3aÛ`-2)x-2aÜ`
이 직선이 점 (1, 3)을 지나므로
3=-2aÜ`+3aÛ`-2에서 29 f(x)=xÜ`+2xÛ`+4라 하면
2aÜ`-3aÛ`+5=0, (a+1)(2aÛ`-5a+5)=0 f '(x)=3xÛ`+4x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2aÛ`-5a+5>0이므로 a=-1 접점의 좌표를 (t, tÜ`+2tÛ`+4)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x+2이고 접선의 x절편은 -2이다. f '(t)=3tÛ`+4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③ y-(tÜ`+2tÛ`+4)=(3tÛ`+4t)(x-t)
y=(3tÛ`+4t)x-2tÜ`-2tÛ`+4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26 f(x)=xÛ`-5x+5라 하면 0=-2tÜ`-2tÛ`+4에서
f '(x)=2x-5 tÜ`+tÛ`-2=0, (t-1)(tÛ`+2t+2)=0
접점의 좌표를 (a, aÛ`-5a+5)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tÛ`+2t+2>0이므로 t=1
f '(a)=2a-5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그러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7x
y-(aÛ`-5a+5)=(2a-5)(x-a) 점 (a,-2a+3)이 이 직선 위의 점이므로
y=(2a-5)x-aÛ`+5 -2a+3=7a에서 9a=3
이 직선이 점 (2, -2)를 지나므로
따라서 a=;3!;
-2=2(2a-5)-aÛ`+5에서
aÛ`-4a+3=0, (a-1)(a-3)=0  ①
a=1 또는 a=3
따라서 두 직선 lÁ, lª의 기울기의 합은
30 f(x)=-xÛ`+5x+6이라 하면
f '(1)+f '(3)=-3+1=-2 f '(x)=-2x+5
 ② 접점의 좌표를 (a, -aÛ`+5a+6)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
기는 f '(a)=-2a+5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aÛ`+5a+6)=(-2a+5)(x-a)
27 f(x)=xÜ`-4xÛ`+5x-3이라 하면 y=(-2a+5)x+aÛ`+6
f '(x)=3xÛ`-8x+5
점 (-1, k)가 이 직선을 지나므로
접점의 좌표를 (a, aÜ`-4aÛ`+5a-3)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
k=aÛ`+2a+1=(a+1)Û`에서
울기는 f '(a)=3aÛ`-8a+5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a+1=Ñ'k
y-(aÜ`-4aÛ`+5a-3)=(3aÛ`-8a+5)(x-a)
a=-1+'k 또는 a=-1-'k
y=(3aÛ`-8a+5)x-2aÜ`+4aÛ`-3
a=-1+'k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7-2'k
이 직선이 점 (2, 7)을 지나므로
a=-1-'k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7+2'k
7=2(3aÛ`-8a+5)-2aÜ`+4aÛ`-3에서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2aÜ`-10aÛ`+16a=0, a(aÛ`-5a+8)=0
(7-2'k)(7+2'k)=-1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aÛ`-5a+8>0이므로 a=0
49-4k=-1, 4k=50
그러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5x-3
따라서 m=5, n=-3이므로 m+n=2 따라서 k=;;ª2°;;

 ②  ⑤

정답과 풀이 5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1 22. 11. 9. 오전 10:59


31 f(x)=xÜ`+xÛ`+2, g(x)=xÛ`+3x라 하면 따라서 접선의 x절편이 ;3$;이고 y절편이 -4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f '(x)=3xÛ`+2x, g'(x)=2x+3
두 곡선 y=f(x), y=g(x)의 교점 (a, b)에서의 접선이 서로 같으므로 ;2!;_;3$;_4=;3*;
f(a)=g(a), f '(a)=g'(a)  ③
f(a)=g(a)에서
aÜ`+aÛ`+2=aÛ`+3a, aÜ`-3a+2=0, (a-1)Û`(a+2)=0
a=-2 또는 a=1   yy ㉠
35 f(x)=-xÛ`+7x+2라 하면
f '(x)=-2x+7
f '(a)=g'(a)에서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3aÛ`+2a=2a+3, 3aÛ`-3=0, (a+1)(a-1)=0
f '(a)=-2a+7=3
a=-1 또는 a=1   yy ㉡
-2a=-4, a=2
㉠, ㉡에서 a=1이므로 b=f(1)=4
그러므로 접점의 좌표는 (2, 12)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a+b=1+4=5
y-12=3(x-2), 즉 y=3x+6
 ③
따라서 접선의 x절편이 -2이고 y절편이 6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2!;_2_6=6
32 f(x)=xÜ`+axÛ`-2x, g(x)=xÝ`+bxÛ`+cx라 하면  ④
f '(x)=3xÛ`+2ax-2, g'(x)=4xÜ`+2bx+c
두 곡선 y=f(x), y=g(x)의 교점 (-1, 3)에서의 접선이 서로 같으
므로 36 점 (2, 3)이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f(-1)=g(-1)=3, f '(-1)=g'(-1) f(2)=8+2a+1=3에서 a=-3
f(-1)=-1+a+2=3에서 a=2 f(x)=xÜ`-3x+1에서
g(-1)=1+b-c=3에서 b-c=2 yy ㉠ f '(x)=3xÛ`-3
f '(x)=3xÛ`+4x-2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2, 3)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f '(-1)=3-4-2=-3 f '(2)=12-3=9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g'(-1)=-4-2b+c=-3에서 -2b+c=1 yy ㉡ y-3=9(x-2), 즉 y=9x-15
㉠, ㉡을 연립하여 풀면 b=-3, c=-5 따라서 접선의 x절편이 ;3%;이고 y절편이 -15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따라서 a+b+c=2+(-3)+(-5)=-6
;2!;_;3%;_15=;;ª2°;;
 ⑤
 ⑤

33 f(x)=2xÛ`-3x+3에서
f '(x)=4x-3 37 f(x)=xÛ`+x+4라 하면
f(2)=5, f '(2)=5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A(2, 5)에서의 접 f '(x)=2x+1
선 l의 방정식은 접점의 좌표를 (a, aÛ`+a+4)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y-5=5(x-2), 즉 y=5x-5 f '(a)=2a+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곡선 y=xÜ`+axÛ`+bx+1이 직선 y=5x-5와 점 A(2, 5)에서 접하 y-(aÛ`+a+4)=(2a+1)(x-a)
므로 g(x)=xÜ`+axÛ`+bx+1이라 하면 y=(2a+1)x-aÛ`+4
g(2)=5, g'(2)=5 이 직선이 점 (-1, 3)을 지나므로
g(2)=8+4a+2b+1=5에서 2a+b=-2 yy ㉠ 3=-(2a+1)-aÛ`+4에서
한편, g'(x)=3xÛ`+2ax+b이므로 aÛ`+2a=0, a(a+2)=0
g'(2)=12+4a+b=5에서 4a+b=-7 yy ㉡ a=-2 또는 a=0
a=-2일 때 접선의 방정식은 y=-3x이므로 이 직선의 x절편은 0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a=0일 때 접선의 방정식은 y=x+4이므로 이 직선의 x절편은 -4
따라서 a+b=;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① ;2!;_4_3=6

 6
34 f(x)=2xÜ`-3x라 하면
`f(x)-4
=3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f '(x)=6xÛ`-3
곡선 y=f(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8 lim
x`Ú1 xÛ`-1
f '(1)=6-3=3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y-(-1)=3(x-1), 즉 y=3x-4 즉, lim{ f(x)-4}=f(1)-4=0에서 f(1)=4
x`Ú1

5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2 22. 11. 9. 오전 10:59


`f(x)-4 `f(x)-4 1
lim
x`Ú1 xÛ`-1
=lim
x`Ú1 x-1
_lim
x`Ú1 x+1 42 함수 f(x)=;2!;xÝ`-2xÜ`-xÛ`+6x+1은 닫힌구간 [-2, 4]에서

`f(x)-f(1) 연속이고 열린구간 (-2, 4)에서 미분가능하며


=;2!; lim =;2!; f '(1)=3
x`Ú1 x-1 f(-2)=8+16-4-12+1=9
이므로 f '(1)=6 f(4)=128-128-16+24+1=9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에서 f(-2)=f(4)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
y-4=6(x-1), 즉 y=6x-2 구간 (-2, 4)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따라서 접선의 x절편은 ;3!;, y절편은 -2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f '(x)=2xÜ`-6xÛ`-2x+6
=2(x+1)(x-1)(x-3)
;2!;_;3!;_2=;3!;
이고, -2<c<4이므로
 ② f '(c)=2(c+1)(c-1)(c-3)=0에서
c=-1 또는 c=1 또는 c=3
39 f(x)=xÝ`-3xÛ`+a에서 따라서 모든 실수 c의 값의 합은
f '(x)=4xÜ`-6x -1+1+3=3
f(1)=1-3+a=a-2이고 곡선 y=f(x) 위의 점 (1, a-2)에서의  3
접선의 기울기가 f '(1)=4-6=-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a-2)=-2(x-1), 즉 y=-2x+a
a 43 함수 f(x)=xÜ`+5xÛ`-8은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열
즉, 접선의 x절편은 , y절편은 a이므로 린구간 (-1, 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2
a aÛ` `f(2)-f(-1)
;2!;_ _a= =3에서 aÛ`=12 =f '(c)
2 4 2-(-1)
a>0이므로 a=2'3 인 c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③ 이때
f(2)=8+20-8=20
40 함수 f(x)=(x+1)(x-6)Û`은 닫힌구간 [-1, 6]에서 연속이 f(-1)=-1+5-8=-4
고 열린구간 (-1, 6)에서 미분가능하며 f(-1)=f(6)=0이므로 롤 이므로
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1, 6)에 적어도 하나 `f(2)-f(-1) 20-(-4)
= =8
존재한다. 2-(-1) 3
이때 f(x)=(x+1)(xÛ`-12x+36)이므로 f '(x)=3xÛ`+10x이므로 f '(c)=3cÛ`+10c=8에서
f '(x)=(xÛ`-12x+36)+(x+1)(2x-12) 3cÛ`+10c-8=0, (3c-2)(c+4)=0
=(x-6)Û`+2(x+1)(x-6) 이때 -1<c<2이므로 c=;3@;
=(3x-4)(x-6)
 ④
이고, f '(c)=(3c-4)(c-6)=0에서

c=;3$; 또는 c=6
44 f(x)=xÜ`-4x에서
이때 -1<c<6이므로 c=;3$; f '(x)=3xÛ`-4
`f(1)-f(-2) (1-4)-(-8+8)
 ② = =3cÛ`-4
1-(-2) 3
3cÛ`-4=-1, cÛ`=1
41 f(x)=-xÜ`+2xÛ`+5에서
이때 -2<c<1이므로 c=-1
f '(x)=-3xÛ`+4x
따라서 f(c+3)+f '(c+3)=f(2)+f '(2)=0+8=8
f '(c)=0에서
 ③
-3cÛ`+4c=0, c(-3c+4)=0

c=0 또는 c=;3$;
45 다항함수 f(x)가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이때 0<c<2이므로 c=;3$; (-1,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3)-f(-1)
 ④ =f '(c)
3-(-1)
참고
를 만족시키는 실수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함수 f(x)=-xÜ`+2xÛ`+5는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이고 열린구
-1<x<3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2이므로
간 (0, 2)에서 미분가능하다.
f '(c)É2
또한 f(0)=f(2)=5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실수 c가
`f(3)-(-1)
열린구간 (0,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c)= 이므로
4

정답과 풀이 5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3 22. 11. 9. 오전 10:59


`f(3)+1 D
É2, f(3)É7 =49+3aÉ0에서 aÉ-;;¢3»;;
4 4
따라서 f(3)의 최댓값은 7이다.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7이다.
 7  ②

46 f(x)=xÜ`+3xÛ`-24x+9에서
f '(x)=3xÛ`+6x-24=3(x+4)(x-2) 50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xÁ+xª이면 f(xÁ)+f(xª)인 함
f '(x)=0에서 x=-4 또는 x=2 수는 일대일함수이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삼차함수 f(x)가 일대일함수이려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함수 f(x)
가 증가하거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함수 f(x)가 감소해야 한다.
x y -4 y 2 y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 또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 0 - 0 +
f '(x)É0이어야 한다.
f(x) ↗ 극대 ↘ 극소 ↗
f(x)=xÜ`+axÛ`+7x-4에서
함수 f(x)는 닫힌구간 [-4, 2]에서 감소하므로 b-a의 최댓값은
f '(x)=3xÛ`+2ax+7
2-(-4)=6이다.
f '(x)의 이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
 ④
이어야 하고, 이차방정식 3xÛ`+2ax+7=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É0이어야 한다.

47 f(x)=-;3!;xÜ`+xÛ`+15x-3에서 D
4
=aÛ`-21É0에서 aÛ`É21, -'2Œ1ÉaÉ'2Œ1
f '(x)=-xÛ`+2x+15=-(x+3)(x-5)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4이다.
f '(x)=0에서 x=-3 또는 x=5  ④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3 y 5 y
f '(x) - 0 + 0 - 51 함수 f(x)가 역함수를 가지려면 f(x)가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f(x) ↘ 극소 ↗ 극대 ↘ 삼차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려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함수 f(x)
함수 f(x)는 닫힌구간 [-3, 5]에서 증가한다. 가 증가하거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함수 f(x)가 감소해야 한다.
따라서 닫힌구간 [-a, a]에서 증가하도록 하는 양수 a의 최댓값은 3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 또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다. f '(x)É0이어야 한다.
 ③ f(x)=;2!;xÜ`-4xÛ`+ax에서

f '(x)=;2#;xÛ`-8x+a
48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f(0)=1이므로 f '(x)의 이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
f(x)=xÜ`+axÛ`+bx+1`(a, b는 상수)라 하면
f '(x)=3xÛ`+2ax+b 이어야 하고, 이차방정식 ;2#;xÛ`-8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함수 f(x)가 감소하는 모든 x의 값의 범위가 -1ÉxÉ2이므로 이차 DÉ0이어야 한다.
방정식 f '(x)=0의 두 실근이 -1, 2이다. D
=16-;2#;aÉ0에서 a¾;;£3ª;;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

-
2a
=1에서 a=-;2#;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3ª;;이다.
3
 ⑤
;3B;=-2에서 b=-6

따라서 f(x)=xÜ`-;2#;xÛ`-6x+1이므로

f(4)=64-24-24+1=17 52 f(x)=xÜ`+axÛ`+2ax+3a에서
  17 f '(x)=3xÛ`+2ax+2a
함수 f(x)가 xÁ<xª인 모든 실수 xÁ, xª에 대하여 f(xÁ)<f(xª)를
만족시키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49 f(x)=-xÜ`-7xÛ`+ax에서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므로 이차방정식
f '(x)=-3xÛ`-14x+a
3xÛ`+2a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É0이어야 한다.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D
f '(x)É0이다. =aÛ`-6aÉ0에서 a(a-6)É0, 0ÉaÉ6
4
이차방정식 -3xÛ`-14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É0이어야 따라서 구하는 정수 a는 0, 1, 2, 3, 4, 5, 6이므로 그 개수는 7이다.
한다.  ④

5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4 22. 11. 9. 오전 11:00


53 f(x)=xÜ`-2xÛ`+ax에서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¾0이므로
f '(x)=3xÛ`-4x+a x-3É0, xÉ3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É3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므로 kÉ3이다.
f '(x)¾0이고, 이차방정식 3xÛ`-4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3이다.
DÉ0이어야 한다.  ③
D
=4-3aÉ0에서 a¾;3$;
4
f(3)=27-18+3a
57 (xÁ-xª){ f(xÁ)-f(xª)}>0에서
xÁ>xª이면 f(xÁ)>f(xª)이고
¾9+3_;3$;=13 xÁ<xª이면 f(xÁ)<f(xª)이다.
따라서 f(3)의 최솟값은 13이다. 그러므로 x¾a에서 함수 f(x)는 증가해야 한다.
 ②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g(x)=4xÜ`-6xÛ`-9x에서
g'(x)=12xÛ`-12x-9=3(2x+1)(2x-3)

54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a가 아닌 모든 g '(x)=0에서 x=-;2!; 또는 x=;2#;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한다.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Ü`-xÛ`+x-a (x¾a)
f(x)=à 이므로 x y -;2!; y ;2#; y
xÜ`-xÛ`-x+a (x<a)
3xÛ`-2x+1 (x>a) g '(x) + 0 - 0 +
f '(x)=à
3xÛ`-2x-1 (x<a) g(x) ↗ 극대 ↘ 극소 ↗
Ú x>a일 때
x¾a에서 함수 f(x)가 증가하려면 a¾;2#;이어야 한다.
f '(x)=3xÛ`-2x+1
이차방정식 3xÛ`-2x+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D
=1-3=-2<0  ③
4
이므로 x>a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0이다.
Û x<a일 때 58 f(x)=2xÜ`-3xÛ`-12x+4에서
f '(x)=3xÛ`-2x-1=(3x+1)(x-1)이므로 f '(x)=6xÛ`-6x-12=6(x+1)(x-2)
f '(x)=0에서 x=-1 또는 x=2
x<a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려면 aÉ-;3!;이어야 한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Ú, Û에서 실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x y -1 y 2 y
 ②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55 f(x)=xÜ`-4xÛ`+ax-3에서 따라서 a=-1, b=2이므로

f '(x)=3xÛ`-8x+a=3{x-;3$;}2`+a-;;Á3¤;;
f(a)+f(b)=f(-1)+f(2)
=(-2-3+12+4)+(16-12-24+4)=-5
함수 f(x)가 닫힌구간 [2, 4]에서 증가하려면 2ÉxÉ4에서  ①
f '(x)¾0이어야 한다.

한편, 곡선 y=f '(x)의 축이 직선 x=;3$;이므로 f '(2)¾0이면 59 f(x)=-2xÜ`+9xÛ`+24x+7에서


2ÉxÉ4에서 f '(x)¾0이다. f '(x)=-6xÛ`+18x+24=-6(x+1)(x-4)

f '(2)=12-16+a=a-4¾0에서 a¾4 f '(x)=0에서 x=-1 또는 x=4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④ x y -1 y 4 y
f '(x) - 0 + 0 -
f(x)
56 f(x)=xÝ`-4xÜ`+4에서
↘ 극소 ↗ 극대 ↘

f '(x)=4xÜ`-12xÛ`=4xÛ`(x-3)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구간 (-¦, k]에 속하는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xÁ<xª일 따라서 f(-1)=2+9-24+7=-6
때 f(xÁ)>f(xª)가 되려면 함수 f(x)는 구간 (-¦, k]에서 감소해  ④
야 한다.
즉, xÉk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한다. 60 f(x)=xÝ`-4xÜ`-2xÛ`+12x에서
4xÛ`(x-3)É0 f '(x)=4xÜ`-12xÛ`-4x+12=4(x+1)(x-1)(x-3)

정답과 풀이 5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5 22. 11. 9. 오전 11:00


f '(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x=5에서 극소이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0)=24, f(5)=250-375+24=-101이므로
x y -1 y 1 y 3 y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0, 24), (5, -101)이다.
f '(x) - 0 + 0 - 0 + 따라서 삼각형 OAB의 넓이는
f(x) ↘ 극소 ↗ 극대 ↘ 극소 ↗ ;2!;_24_5=60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 60
따라서 f(1)=1-4-2+12=7
 ① 64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4를 가지므로
f(1)=4, f '(1)=0
f(1)=1+a+b+2=4에서 a+b=1 yy ㉠
61 f(x)=xÝ`-;;Á3¤;;xÜ`+2xÛ`+24x에서 f(x)=xÜ`+axÛ`+bx+2에서
f '(x)=4xÜ`-16xÛ`+4x+24=4(x+1)(x-2)(x-3) f '(x)=3xÛ`+2ax+b
f '(x)=0에서 x=-1 또는 x=2 또는 x=3 f '(1)=3+2a+b=0에서 2a+b=-3 yy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5
x y -1 y 2 y 3 y 따라서 f(x)=xÜ`-4xÛ`+5x+2이므로
f '(x) - 0 + 0 - 0 + f(2)=8-16+10+2=4
f(x) ↘ 극소 ↗ 극대 ↘ 극소 ↗  ①
함수 f(x)는 x=-1과 x=3에서 극솟값을 갖고, x=2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65 f(x)=xÜ`-3xÛ`-9x+a에서
따라서 a=-1 또는 a=2 또는 a=3이므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f '(x)=3xÛ`-6x-9=3(x+1)(x-3)
-1+2+3=4 f '(x)=0에서 x=-1 또는 x=3
 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3 y
f '(x) + 0 - 0 +
62 f(x)=xÜ`+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f(x) ↗ 극대 ↘ 극소 ↗
f '(x)=3xÛ`+2ax+b
함수 f(x)가 x=-1, x=3에서 각각 극값을 가지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12를 가지므로
f '(-1)=0, f '(3)=0이다. f(-1)=-1-3+9+a=12에서 a=7
즉, 이차방정식 3xÛ`+2ax+b=0의 두 근이 -1, 3이므로 이차방정식 따라서 함수 f(x)의 극솟값은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3)=27-27-27+7=-20
2a  ①
- =2에서 a=-3
3

;3B;=-3에서 b=-9 66 f(x)=xÜ`+axÛ`+bx+2a에서


함수 f(x)=xÜ`-3xÛ`-9x+c의 극값이 f '(x)=3xÛ`+2ax+b

f(-1)=-1-3+9+c=c+5 함수 f(x)가 x=-3, x=1에서 각각 극값을 가지므로

f(3)=27-27-27+c=c-27 f '(x)=3(x+3)(x-1)=3xÛ`+6x-9

이므로 모든 극값의 합은 그러므로 a=3, b=-9

(c+5)+(c-27)=2c-22=4에서 c=13 따라서 f(x)=xÜ`+3xÛ`-9x+6이므로

따라서 f(x)=xÜ`-3xÛ`-9x+13이므로 f(2)=8+12-18+6=8

f(1)=1-3-9+13=2  ④

 ②
67 f(x)=xÜ`+3axÛ`-108에서
f '(x)=3xÛ`+6ax=3x(x+2a)
63 f(x)=2xÜ`-15xÛ`+24에서 f '(x)=0에서 x=0 또는 x=-2a
f '(x)=6xÛ`-30x=6x(x-5)
한편, 곡선 y=f(x)가 x축에 접하므로 함수 f(x)의 극값이 0이어야
f '(x)=0에서 x=0 또는 x=5
한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f(0)=0 또는 f(-2a)=0이어야 한다.
x y 0 y 5 y f(0)=-108이므로
f '(x) + 0 - 0 + f(-2a)=-8aÜ`+12aÜ`-108=4(aÜ`-27)
f(x) ↗ 극대 ↘ 극소 ↗ =4(a-3)(aÛ`+3a+9)=0

5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6 22. 11. 9. 오전 11:00


이때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aÛ`+3a+9>0이므로 a=3 따라서 함수 f(x)의 극댓값은 ;2(7$; 이다.
따라서 f(a+1)=f(4)=64+144-108=100
 ③
 ⑤

68 f(x)=xÝ`-xÜ`+axÛ`+b에서 70 f(x)=xÜ`+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f '(x)=3xÛ`+2ax+b
f '(x)=4xÜ`-3xÛ`+2ax
함수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2, 1이므로
함수 f(x)가 x=2에서 극소이므로 f '(2)=32-12+4a=0에서
f '(-2)=12-4a+b=0에서 4a-b=12
4a+20=0, a=-5
f '(1)=3+2a+b=0에서 2a+b=-3
f '(x)=4xÜ`-3xÛ`-10x=x(4x+5)(x-2)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6
f '(x)=0에서 x=-;4%; 또는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f(x)=xÜ`+;2#;xÛ`-6x+c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4%; y 0 y 2 y
x y -2 y 1 y
f '(x) - 0 + 0 - 0 +
f '(x) + 0 - 0 +
f(x) ↘ 극소 ↗ 극대 ↘ 극소 ↗
f(x) ↗ c+10 ↘ c-;2&; ↗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므로 f(0)=7에서 b=7
따라서 f(x)=xÝ`-xÜ`-5xÛ`+7에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c+10, x=1에서 극솟값 c-;2&; 을
f(1)=1-1-5+7=2
 ② 갖는다.

(c+10)+{c-;2&;}=2c+;;Á2£;;=12에서
69 f(x)=xÜ`-axÛ`-4x+a에서 2c=;;Á2Á;;, c=;;Á4Á;;
f '(x)=3xÛ`-2ax-4
함수 f(x)가 x=a에서 극소이므로 따라서 f(x)=xÜ`+;2#;xÛ`-6x+;;Á4Á;; 이므로
f '(a)=aÛ`-4=(a+2)(a-2)=0에서
a=-2 또는 a=2 f(0)=;;Á4Á;;
Ú a=-2일 때  ④
f(x)=xÜ`+2xÛ`-4x-2
f '(x)=3xÛ`+4x-4=(x+2)(3x-2) 71 f(x)=axÜ`+bxÛ`+cx+d`(a, b, c, d는 상수, a+0)이라 하면
f '(x)=0에서 x=-2 또는 x=;3@; f '(x)=3axÛ`+2bx+c
함수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1, 3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차방정식 f '(x)=0의 두 실근이 -1, 3이다.
x y -2 y ;3@; y 즉, f '(x)=3a(x+1)(x-3)=3axÛ`-6ax-9a이므로

f '(x) + 0 - 0 +
b=-3a, c=-9a
또한 f(0)=0에서 d=0이므로 함수 f(x)는
f(x) ↗ 6 ↘ -;2(7$; ↗
f(x)=axÜ`-3axÛ`-9ax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않는다. x y -1 y 3 y
Û a=2일 때 f '(x) + 0 - 0 +
f(x)=xÜ`-2xÛ`-4x+2 f(x) ↗ 5a ↘ -27a ↗
f '(x)=3xÛ`-4x-4=(3x+2)(x-2)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5a를 가지므로 5a=10에서 a=2
f '(x)=0에서 x=-;3@; 또는 x=2 따라서 f(x)=2xÜ`-6xÛ`-18x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2)=-16-24+36=-4


 ②
x y -;3@; y 2 y

f '(x) + 0 - 0 + 72 자연수 a가 1, 2, 3, 7, 8일 때,
열린구간 (a-1, a+1)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증가한다.
f(x) ↗ ;2(7$; ↘ -6 ↗
한편, 자연수 a가 4, 5, 6, 9일 때,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6을 가지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 열린구간 (a-1, a+1)에서 f '(x)<0인 x가 존재하므로 함수 f(x)
족시킨다. 는 증가하지 않는다.

정답과 풀이 5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7 22. 11. 9. 오전 11:00


따라서 구하는 모든 자연수 a의 값의 합은 a<-'1Œ5 또는 a>'1Œ5
1+2+3+7+8=21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①  4

73 3 이상 8 이하인 양의 정수 a에 대하여 열린구간 (a, a+1)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감소한다. 77 f(x)=-;3!;xÜ`+3xÛ`+ax-1에서
그러므로 p=8, q=3이다. f '(x)=-xÛ`+6x+a
또한 -2 이하인 음의 정수 a에 대하여 열린구간 (a, a+1)에서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f '(x)<0이므로 함수 f(x)는 감소한다.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그러므로 r=-2이다. D
=9+a>0에서 a>-9
4
따라서 p+q+r=8+3+(-2)=9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8이다.
 9
 ②

74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고,


f '(-1)=f '(2)=0이므로 f '(x)=3(x+1)(x-2) 78 f(x)=xÜ`+axÛ`+4ax+2에서
또한 g(x)=f(x)-kxÛ`이 x=3에서 극값을 갖기 위해서는 g'(3)=0 f '(x)=3xÛ`+2ax+4a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이고, x=3의 좌우에서 g'(x)의 부호가 바뀌어야 한다.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g'(x)=f '(x)-2kx에서 g'(3)=f '(3)-6k=0
D
이때 f '(3)=3_4_1=12이므로 =aÛ`-12a>0에서 a(a-12)>0
4
12-6k=0, k=2 a<0 또는 a>12
이때 따라서 20 이하의 자연수 a는 13, 14, 15, y, 20이므로 그 개수는 8
g '(x)=3(x+1)(x-2)-4x 이다.
=3xÛ`-7x-6=(3x+2)(x-3)  ④
이므로 g '(x)는 x=3의 좌우에서 부호가 바뀐다.
따라서 k=2
 ② 79 f(x)=axÜ`-6xÛ`+ax-6에서
f '(x)=3axÛ`-12x+a
a가 자연수이므로 a+0
75 ㄱ. 열린구간 (0, 3)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열린구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간 (0, 3)에서 감소한다.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그러므로 f(0)>f(3)이다. (참)
D
ㄴ. h'(x)=f '(x)-g'(x)이므로 =36-3aÛ`>0에서
4
h'(x)=0에서 x=0 또는 x=4 aÛ`-12<0, (a+2'3 )(a-2'3 )<0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3<a<2'3
x y 0 y 4 y 따라서 자연수 a의 값은 1, 2, 3이므로 그 합은
h'(x) + 0 - 0 + 1+2+3=6
h(x) ↗ 극대 ↘ 극소 ↗  6

그러므로 함수 h(x)는 열린구간 (0, 4)에서 감소하고,


h(0)>h(3)이다. (거짓)
ㄷ. ㄴ의 증감표에서 함수 h(x)는 x=4에서 극소이다. (참)
80 f(x)=xÜ`+(k+4)xÛ`+(k+10)x+7에서
f '(x)=3xÛ`+2(k+4)x+(k+10)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③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k+4)Û`-3(k+10)>0에서
4
76 f(x)=xÜ`+axÛ`+5x-4에서 kÛ`+5k-14>0, (k+7)(k-2)>0
f '(x)=3xÛ`+2ax+5
k<-7 또는 k>2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그러므로 양의 정수 k의 최솟값은 3, 음의 정수 k의 최댓값은 -8이다.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a=3, b=-8이므로 a-b=11
D
=aÛ`-15>0에서 (a+'1Œ5)(a-'1Œ5)>0  ①
4

5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8 22. 11. 9. 오전 11:00


81 f(x)=xÜ`+2xÛ`+ax에서 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
f '(x)=3xÛ`+4x+a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함수 f(x)가 열린구간 (-3, -1)에서 극댓값을 가지려면 f '(c)=0 이차방정식 xÛ`-6x+a=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인 실수 c가 열린구간 (-3, -1)에 존재하고, x=c의 좌우에서 x=0이 이차방정식 xÛ`-6x+a=0의 실근이 아니려면 a+0이어야 하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된다. 고, 이차방정식 xÛ`-6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 '(-3)=a+15, f '(-1)=a-1이므로 D
=9-a>0에서 a<9
4
(a+15)(a-1)<0, 즉 -15<a<1이면 f '(-3)_f '(-1)<0
따라서 a의 값의 범위는 a<0 또는 0<a<9이고 자연수 a는 1, 2, 3,
이다.
y, 8이므로 그 개수는 8이다.
이때 함수 f '(x)는 닫힌구간 [-3, -1]에서 연속이므로 사잇값의 정
 8
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3, -1)에 존재한다.
이때 f '(-3)>0, f '(-1)<0이므로 x=c의 좌우에서 f '(x)의 부
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c도 존재한다.
86 f(x)=xÝ`-2xÜ`+axÛ`+(2-2a)x에서
따라서 정수 a는 -14, -13, -12, y, -1, 0이므로 그 개수는 15 f '(x)=4xÜ`-6xÛ`+2ax+2-2a
이다. =(x-1)(4xÛ`-2x+2a-2)
 ③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므로 극솟값은 반드시
갖고, 극댓값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82 f(x)=xÜ`+axÛ`+12x-1에서
가져야 한다.
즉, 이차방정식 4xÛ`-2x+2a-2=0이 1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
f '(x)=3xÛ`+2ax+12
져야 한다.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
x=1이 이차방정식 4xÛ`-2x+2a-2=0의 실근이 아니려면 a+0이
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어야 하고, 이차방정식 4xÛ`-2x+2a-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Û`-36É0에서 (a+6)(a-6)É0, -6ÉaÉ6 D
4
=1-4(2a-2)>0에서 9-8a>0, a<;8(;
따라서 정수 a는 -6, -5, -4, y, 6이므로 그 개수는 13이다. 4

 ③ 따라서 a의 값의 범위는 a<0 또는 0<a<;8(;이어야 하므로 정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83 f(x)=xÜ`+2xÛ`+ax-1에서
 ④

f '(x)=3xÛ`+4x+a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
87 f(x)=xÝ`+4kxÜ`+12xÛ`-2에서
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 '(x)=4xÜ`+12kxÛ`+24x=4x(xÛ`+3kx+6)
D
=4-3aÉ0에서 4É3a, a¾;3$; 사차함수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으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한
4
실근과 두 허근을 갖거나 한 실근과 중근 또는 삼중근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3$;이다.
이차방정식 xÛ`+3kx+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④ Ú 방정식 f '(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갖는 경우
이차방정식 xÛ`+3kx+6=0이 두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2'6 2'6
D=9kÛ`-24<0에서 9{k+ }{k- }<0
84 f(x)=;3!;xÜ`-(k-2)xÛ`+{k-;4(;}x-1에서 3 3
2'6 2'6
f '(x)=xÛ`-2(k-2)x+{k-;4(;} -
3
<k<
3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 Û 방정식 f '(x)=0이 한 실근과 중근을 갖는 경우

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차방정식 xÛ`+3kx+6=0이 x=0을 근으로 가질 수 없으므로
D 이차방정식 xÛ`+3kx+6=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k-2)Û`-{k-;4(;}É0에서
4 D=9kÛ`-24=0에서
kÛ`-5k+;;ª4°;;É0, {k-;2%;}2`É0 k=-
2'6
또는 k=
2'6
3 3
따라서 k=;2%; 2'6 2'6
Ú, Û에서 - ÉkÉ 이므로
3 3
 ①
2'6 2'6
M= , m=- 이다.
3 3

따라서 MÛ`+mÛ`=;;Á3¤;;
85 f(x)=xÝ`-8xÜ`+2axÛ`-2에서
f '(x)=4xÜ`-24xÛ`+4ax=4x(xÛ`-6x+a)  ②

정답과 풀이 5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59 22. 11. 9. 오전 11:00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67쪽 03 (xÁ-xª){ f(xÁ)-f(xª)}<0에서
xÁ>xª이면 f(xÁ)<f(xª)이고
01 163 02 ;;»7¤;; 03 24 04 108 05 3 xÁ<xª이면 f(xÁ)>f(xª)이다.
그러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해야 한다. yy ➊
06 -12
f(x)=-4xÜ`+axÛ`+(a-9)x+1에서
f '(x)=-12xÛ`+2ax+(a-9)
01 y=;3!;xÜ`-2txÛ`+6tÛ`x에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y '=xÛ`-4tx+6tÛ`=(x-2t)Û`+2tÛ` yy ➊ f '(x)É0, 즉 -12xÛ`+2ax+(a-9)É0이 성립해야 한다.
이차방정식 -12xÛ`+2ax+(a-9)=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곡선 y=;3!;xÜ`-2txÛ`+6tÛ`x에 접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x=2t일 때 최
D
=aÛ`+12(a-9)É0에서
4
솟값 2tÛ`을 갖고 이때 접점의 좌표는 {2t, ;;ª3;¼ ;tÜ`}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aÛ`+12a-108É0, (a+18)(a-6)É0
y-;;ª3¼;;tÜ`=2tÛ`(x-2t), 즉 y=2tÛ`x+;3*;tÜ` yy ➋ -18ÉaÉ6 yy ➋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6, 최솟값은 -18이므로
이 직선의 y절편은 ;3*;tÜ`이므로
M-m=6-(-18)=24 yy ➌
f(t)=;3*;tÜ` 에서 f(2)=;;¤3¢;;   24

f '(t)=8tÛ`에서 f '(2)=3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60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해야 함을
이고 f(2)+f '(2)=;;¤3¢;;+32= ➊ 30`%
3
파악한 경우
따라서 p=3, q=160이므로 p+q=163 yy ➌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a의 값의 범위를
  163 ➋ 50`%
구한 경우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➌ M-m의 값을 구한 경우 20`%
➊ 도함수 y '을 구한 경우 30`%
➋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30`%
➌ p+q의 값을 구한 경우 40`% 04 조건 (가)에서 f(x)-xÜ`은 이차식이고 이차항의 계수가 6이므로
f(x)=xÜ`+6xÛ`+ax+b`(a, b는 상수)

02 점 (-2, -3)이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로 놓을 수 있고, 이때


f(-2)=-3 f '(x)=3xÛ`+12x+a
점 (-2, -3)에서의 접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이 접선의 기울기는 이다. 조건 (나)에서 f '(1)=0이므로
0-(-3) 3+12+a=0에서 a=-15
f '(-2)= =;2#; yy ➊
0-(-2) 또한 f(1)=0이므로 1+6-15+b=0에서 b=8
g(x)=(xÛ`+2)f(x)에서 그러므로 f(x)=xÜ`+6xÛ`-15x+8 yy ➊
g'(x)=2xf(x)+(xÛ`+2)f '(x) f '(x)=3xÛ`+12x-15=3(x+5)(x-1)
이때 g(-2)=6 f(-2)=-18이고 f '(x)=0에서 x=-5 또는 x=1
g'(-2)=-4 f(-2)+6 f '(-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_(-3)+6_;2#;=21 yy ➋ x y -5 y 1 y
f '(x) + 0 - 0 + yy ➋
따라서 곡선 y=g(x) 위의 점 (-2, g(-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x) ↗ 108 ↘ 0 ↗
y-g(-2)=g'(-2){x-(-2)}
y+18=21(x+2) 따라서 함수 f(x)는 x=-5에서 극댓값 108을 갖는다. yy ➌
y=21x+24   108

따라서 접선의 x절편은 -;7*;, y절편은 24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함수 f(x)를 구한 경우 40`%
;2!;_;7*;_24=;;»7¤;; yy ➌
➋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낸 경우 40`%
  ;;»7¤;; ➌ 함수 f(x)의 극댓값을 구한 경우 2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f(-2), f '(-2)의 값을 구한 경우 20`%
05 f(x)=xÜ`+axÛ`+bx+c, g(x)=xÛ`+ax+b에서
➋ g(-2), g'(-2)의 값을 구한 경우 40`% f '(x)=3xÛ`+2ax+b, g'(x)=2x+a
➌ 접선의 방정식과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 경우 40`% 두 함수 f(x), g(x)는 x=2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6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0 22. 11. 9. 오전 11:00


f '(2)=0, g'(2)=0 `f(x)-3
01 lim =a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g'(2)=4+a=0에서 a=-4 x`Ú1 x-1
f '(2)=12+4a+b=12-16+b=0에서 b=4 yy ➊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f(x)=xÜ`-4xÛ`+4x+c에서 `f(x)-f(1)
즉, lim`f(x)=f(1)=3이고, lim =a에서
x`Ú1 x`Ú1 x-1
f '(x)=3xÛ`-8x+4=(3x-2)(x-2)
f '(1)=a이다.
f '(x)=0에서 x=;3@; 또는 x=2 `g(x)-b
또한 lim =2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x`Ú1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x y ;3@; y 2 y `g(x)-g(1)
즉, lim`g(x)=g(1)=b이고, lim =2에서
x`Ú1 x`Ú1 x-1
f '(x) + 0 - 0 +
g'(1)=2이다.
f(x) ↗ 극대 ↘ 극소 ↗
함수 h(x)를 h(x)=f(x){ f(x)-g(x)}라 하면 함수 y=h(x)의
함수 f(x)는 x=;3@;에서 극대이므로 그래프가 직선 y=4x+2와 점 (1, 6)에서 접하므로
h(1)=6, h'(1)=4
f {;3@;}=;2¥7;-;;Á9¤;;+;3*;+c=;2°7;에서 c=-1 yy ➋
h(1)=f(1){ f(1)-g(1)}=3(3-b)=6에서 3b=3, b=1
따라서 f(x)=xÜ`-4xÛ`+4x-1, g(x)=xÛ`-4x+4에서 한편, h'(x)=f '(x){ f(x)-g(x)}+f(x){ f '(x)-g'(x)}이므로
f(3)=27-36+12-1=2, g(3)=9-12+4=1 h'(1)=f '(1){ f(1)-g(1)}+f(1){ f '(1)-g'(1)}
이므로 f(3)+g(3)=2+1=3 yy ➌ =a(3-1)+3(a-2)=5a-6=4
 3 에서 5a=10, a=2
따라서 a+b=2+1=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③
➊ a, b의 값을 구한 경우 40`%
➋ c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➌ f(3)+g(3)의 값을 구한 경우 30`% 02 f(x)=xÜ`+axÛ`+bx+1`(a, b는 상수)라 하면
f '(x)=3xÛ`+2ax+b

06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조건 (가)에서 원점과 (1, f(1))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f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함수이다. `f(1)-0
=f(1)이므로 f '(1)=f(1)이다.
1-0
함수 y=f '(x)+a의 그래프가 두 점 (-1, 0), (3, 0)을 지나므로
f(1)=a+b+2, f '(1)=2a+b+3이므로
f '(x)+a=3(x+1)(x-3)에서
a+b+2=2a+b+3에서
f '(x)=3xÛ`-6x-(a+9) yy ➊
a=-1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방정식 f '(x)=0이 중근 또
그러므로 f '(x)=3xÛ`-2x+b이고, 조건 (나)에서 f '(2)=0이므로
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3xÛ`-6x-(a+9)=0의 판별식
f '(2)=12-4+b=0에서 b=-8
을 D라 하면
따라서 f(x)=xÜ`-xÛ`-8x+1이므로
D
=9+3(a+9)É0에서 yy ➋ f(-2)=-8-4+16+1=5
4
3aÉ-36, aÉ-12  5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2이다. yy ➌
 -12
03 f(x)=axÜ`+axÛ`+bx+1에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 '(x)=3axÛ`+2ax+b
➊ f '(x)를 식으로 나타낸 경우 40`%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➋ 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구한 경우 20`% f '(x)¾0, 즉 3axÛ`+2ax+b¾0
➌ 정수 a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40`% 이 성립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차방정식 3axÛ`+2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aÛ`-3abÉ0에서 a(a-3b)É0   yy ㉠
4
이어야 한다.
a, b는 1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부등식 ㉠이 성립하려면 aÉ3b이어야
본문 68~69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한다.

01 ③ 02 5 03 88 04 ② 05 52 Ú a=1, a=2, a=3일 때


b는 10 이하의 자연수이면 되므로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06 ⑤ 07 ③ 08 ④
의 개수는 3_10=30

정답과 풀이 6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1 22. 11. 9. 오전 11:00


Û a=4, a=5, a=6일 때 06 f(x)=2xÜ`-3xÛ`-12x+a에서
b는 2 이상 10 이하의 자연수이면 되므로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f '(x)=6xÛ`-6x-12=6(x+1)(x-2)
(a, b)의 개수는 3_9=27 f '(x)=0에서 x=-1 또는 x=2
Ü a=7, a=8, a=9일 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는 3 이상 10 이하의 자연수이면 되므로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 -1 y 2 y
(a, b)의 개수는 3_8=24 f '(x) + 0 - 0 +
Ý a=10일 때 f(x) ↗ a+7 ↘ a-20 ↗
b는 4 이상 10 이하의 자연수이면 되므로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a+7을 가지므로 점 A의 좌표는
(a, b)의 개수는 7
(-1, a+7)이고, x=2에서 극솟값 a-20을 가지므로 점 B의 좌표
Ú ~ Ý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순서쌍 (a, b)의 개수는
는 (2, a-20)이다.
30+27+24+7=88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점 A를 지나는 원이 점 B도 지나므로 원점을 O
  88
라 하면 OAÓ=OBÓ에서 OAÓ Û`=OBÓ Û`
OAÓ Û`=(-1)Û`+(a+7)Û`=aÛ`+14a+50
OBÓ Û`=2Û`+(a-20)Û`=aÛ`-40a+404
04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직선 y=k와 곡선 y=f(x)가 만나는 점의 이므로
개수가 1이 되려면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aÛ`+14a+50=aÛ`-40a+404, 54a=354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한다. 즉, f '(x)¾0이어
따라서 a=;;°9»;;
야 한다.
 ⑤
f(x)=;6!;xÜ`+(a-1)xÛ`+(a+20)x에서

f '(x)=;2!;xÛ`+2(a-1)x+a+20
07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와 상수항이 모두 1이므로
이차방정식 ;2!;xÛ`+2(a-1)x+a+20=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xÜ`+axÛ`+bx+1`(a, b는 자연수)라 하자.
조건 (가)에서 f(1)=9이므로
D
=(a-1)Û`-;2!;(a+20)É0에서 f(1)=1+a+b+1=9에서 a+b=7 yy ㉠
4
또한 f '(x)=3xÛ`+2ax+b이고 조건 (나)에서 함수 f(x)가 극댓값과
aÛ`-;2%;a-9É0, (a+2){a-;2(;}É0
극솟값을 모두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2ÉaÉ;2(; 가져야 한다. 이차방정식 3xÛ`+2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따라서 정수 a는 -2, -1, 0, 1, 2, 3, 4이므로 그 개수는 7이다. =aÛ`-3b>0에서 aÛ`>3b yy ㉡
4
 ②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4, 3), (5, 2), (6, 1)
한편, f(-1)=-1+a-b+1=a-b이므로
05 함수 f(x)가 x=1에서 극소이므로 f '(1)=0 a=4, b=3일 때 f(-1)의 값이 최소이고, 그 값은 1이다.
f(1)=f(7)=4이므로 삼차식 f(x)-4는 (x-1)Û`과 (x-7)을 인수  ③
로 갖는다.
즉, f(x)-4=a(x-1)Û`(x-7)`(a는 상수, a+0)으로 놓으면
f(x)=a(x-1)Û`(x-7)+4 08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으므
로 방정식 f(x)=0의 실근은 x=-2, x=2뿐이어야 하고,
=a(xÛ`-2x+1)(x-7)+4
f '(2)=0이므로 사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f '(x)=a{(2x-2)(x-7)+(xÛ`-2x+1)}
y y=f(x)
=a{2(x-1)(x-7)+(x-1)Û`}
=a(x-1){(2x-14)+(x-1)}
-2 O 2 x
=3a(x-1)(x-5)
f '(x)=0에서 x=1 또는 x=5
한편, 함수 f(x)가 x=1에서 극소이므로 a<0이고
함수 f(x)는 x=5에서 극대이다. 그러므로
f(5)=a_16_(-2)+4=-32a+4=100 f(x)=(x+2)(x-2)Ü`=xÝ`-4xÜ`+16x-16
32a=-96, a=-3 f '(x)=4xÜ`-12xÛ`+16=4(x+1)(x-2)Û`
따라서 f(x)=-3(x-1)Û`(x-7)+4이므로 f '(x)=0에서 x=-1 또는 x=2
f(3)=-3_4_(-4)+4=52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f(-1)=-27을 갖는다.
  52  ④

6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2 22. 11. 9. 오전 11:00


f(x)=0에서 x=0 또는 x=6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05 도함수의 활용 (2) 과 같다.
y
:£3ª:
본문 71~73쪽
개념 확인하기

01 풀이 참조 02 풀이 참조
03 풀이 참조 04 풀이 참조 O 4 6 x
y=f(x)
05 최댓값: 7, 최솟값: -13 06 최댓값: 11, 최솟값: -21
 풀이 참조
07 최댓값: 5, 최솟값: -15 08 최댓값: 31, 최솟값: -1


09 최댓값: 33, 최솟값: -12 10 최댓값: 48, 최솟값: -27 03 f(x)=xÝ`-2xÛ`+2에서
11 최댓값: ;;ª3ª;;, 최솟값: -7 12 최댓값: ;;ª3»;;, 최솟값: -33 f '(x)=4xÜ`-4x=4x(x+1)(x-1)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13 0<x<;2(; 14 4xÜ`-36xÛ`+81x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5 54 16 3 17 3 18 4 19 2 x y -1 y 0 y 1 y
f '(x) - 0 + 0 - 0 +
20 -4<k<0 21 k=-4 또는 k=0
f(x) ↘ 1 ↗ 2 ↘ 1 ↗
22 k<-4 또는 k>0 23 1 24 3 25 2
26 풀이 참조 27 풀이 참조 28 27 함수 f(x)는 x=-1, x=1에서 극솟값 1을 갖고, x=0에서 극댓값
2를 갖는다.
29 v=2, a=2 30 v=24, a=22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31 v=7, a=-6 32 2 33 1 또는 3
y y=f(x)

2
01 f(x)=2xÜ`+3xÛ`-12x-7에서
f '(x)=6xÛ`+6x-12=6(x+2)(x-1) 1

f '(x)=0에서 x=-2 또는 x=1


-1 O 1 x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2 y 1 y
 풀이 참조

f '(x) + 0 - 0 +
f(x) ↗ 13 ↘ -14 ↗
04 f(x)=-xÝ`+4xÜ`에서
f '(x)=-4xÜ`+12xÛ`=-4xÛ`(x-3)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13, x=1에서 극솟값 -14를 갖는 f '(x)=0에서 x=0 또는 x=3
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또한 f(0)=-7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x y 0 y 3 y
y y=f(x)
f '(x) + 0 + 0 -
13
f(x) ↗ 0 ↗ 27 ↘
1
-2 O x 함수 f(x)는 x=3에서 극댓값 27을 갖는다.
-7
f(x)=0에서 x=0 또는 x=4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14
과 같다.
 풀이 참조 y

27

02 f(x)=-;3!;xÜ`+2xÛ`에서 4
f '(x)=-xÛ`+4x=-x(x-4) O 3 x

f '(x)=0에서 x=0 또는 x=4 y=f(x)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풀이 참조



x y 0 y 4 y
f '(x) - 0 + 0 -
05 f(x)=2xÜ`-9xÛ`+7에서
f '(x)=6xÛ`-18x=6x(x-3)
f(x) ↘ 0 ↗ ;;£3ª;; ↘ f '(x)=0에서 x=0 또는 x=3
닫힌구간 [-1,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함수 f(x)는 x=0에서 극솟값 0, x=4에서 극댓값 ;;£3ª;; 를 갖는다. 음과 같다.

정답과 풀이 6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3 22. 11. 9. 오전 11:00


x -1 y 0 y 2 x -2 y -1 y 0 y 1
f '(x) + 0 - f '(x) - 0 + 0 -
f(x) -4 ↗ 7 ↘ -13 f(x) 33 ↘ -4 ↗ 1 ↘ -12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 7, x=2에서 최솟값 -13을 갖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33, x=1에서 최솟값 -12
는다. 를 갖는다.
  최댓값: 7, 최솟값: -13   최댓값: 33, 최솟값: -12

06 f(x)=xÜ`-3xÛ`-9x+6에서 10 f(x)=xÝ`-6xÛ`+8x-3에서
f '(x)=3xÛ`-6x-9=3(x+1)(x-3)
f '(x)=4xÜ`-12x+8=4(x+2)(x-1)Û`
f '(x)=0에서 x=-1 또는 x=3
f '(x)=0에서 x=-2 또는 x=1
닫힌구간 [-2,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닫힌구간 [-3,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음과 같다.
x -2 y -1 y 3 y 4
x -3 y -2 y 1 y 3
f '(x) + 0 - 0 +
f '(x) - 0 + 0 +
f(x) 4 ↗ 11 ↘ -21 ↗ -14
f(x) 0 ↘ -27 ↗ 0 ↗ 48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11, x=3에서 최솟값 -21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최댓값 48, x=-2에서 최솟값 -27
을 갖는다.
을 갖는다.
  최댓값: 11, 최솟값: -21
  최댓값: 48, 최솟값: -27

07 f(x)=-xÜ`-3xÛ`+5에서
f '(x)=-3xÛ`-6x=-3x(x+2)
11 f(x)=-xÝ`+;3*;xÜ`+2에서
f '(x)=0에서 x=-2 또는 x=0
f '(x)=-4xÜ`+8xÛ`=-4xÛ`(x-2)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f '(x)=0에서 x=0 또는 x=2
음과 같다.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x -2 y 0 y 2
음과 같다.
f '(x) 0 + 0 -
x -1 y 0 y 2 y 3
f(x) 1 ↗ 5 ↘ -15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 5, x=2에서 최솟값 -15를 갖
f(x) -;3%; ↗ 2 ↗ ;;ª3ª;; ↘ -7
는다.
  최댓값: 5, 최솟값: -15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ª3ª;;, x=3에서 최솟값 -7을

갖는다.
08 f(x)=2xÜ`-3xÛ`+4에서
f '(x)=6xÛ`-6x=6x(x-1)   최댓값: ;;ª3ª;; , 최솟값: -7
f '(x)=0에서 x=0 또는 x=1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12 f(x)=xÝ`-;;Á3¤;;xÜ`-2xÛ`+16x에서
x -1 y 0 y 1 y 3 f '(x)=4xÜ`-16xÛ`-4x+16=4(x+1)(x-1)(x-4)
f '(x) + 0 - 0 + f '(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4
f(x) -1 ↗ 4 ↘ 3 ↗ 31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최댓값 31, x=-1에서 최솟값 -1을 과 같다.
갖는다. x 0 y 1 y 3
  최댓값: 31, 최솟값: -1 f '(x) + 0 -

f(x) 0 ↗ ;;ª3»;; ↘ -33


09 f(x)=3xÝ`-4xÜ`-12xÛ`+1에서
f '(x)=12xÜ`-12xÛ`-24x=12x(x+1)(x-2)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ª3»;;, x=3에서 최솟값 -33을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갖는다.
닫힌구간 [-2, 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 최댓값: ;;ª3»;;, 최솟값: -33

6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4 22. 11. 9. 오전 11:00


13 잘라내고 남은 부분을 접어서 만든 상자의 밑면은 한 변의 길이가 17 f(x)=xÜ`-3xÛ`-9x+11이라 하면
9-2x인 정사각형이므로 f '(x)=3xÛ`-6x-9=3(x+1)(x-3)

9-2x>0, x<;2(; f '(x)=0에서 x=-1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고 x>0이므로 구하는 범위는
x y -1 y 3 y
0<x<;2(; f '(x) + 0 - 0 +
f(x) 16 -16
  0<x<;2(; ↗ ↘ ↗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y y=f(x)

14 상자의 부피를 V(x)라 하면 16


11
V(x)=x(9-2x)Û`=4xÜ`-36xÛ`+81x 3
-1 O x
  4xÜ`-36xÛ`+81x
-16

3


15 V(x)=4xÜ`-36xÛ`+81x에서
V'(x)=12xÛ`-72x+81
=3(4xÛ`-24x+27) 18 f(x)=xÝ`-4xÛ`+1이라 하면
=3(2x-3)(2x-9) f '(x)=4xÜ`-8x=4x(x+'2 )(x-'2 )
0<x<;2(;이므로 V'(x)=0에서 x=;2#; f '(x)=0에서 x=-'2 또는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열린구간 {0, ;2(;}에서 함수 V(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x y -'2 y 0 y '2 y
음과 같다. f '(x) - 0 + 0 - 0 +
f(x) ↘ -3 ↗ 1 ↘ -3 ↗
x (0) y ;2#; y {;2(;}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V'(x) + 0 -
네 실근을 갖는다.
V(x) ↗ 54 ↘
y y=f(x)

따라서 V(x)는 x=;2#;에서 최댓값 54를 가지므로 상자의 부피의 최댓 1


-'2 '2
값은 54이다. O x

  54

-3

4
16 f(x)=xÜ`-3x-1이라 하면

f '(x)=3xÛ`-3=3(x+1)(x-1)
f '(x)=0에서 x=-1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9 ;4!;xÝ`+4x+4=;3!;xÜ`+2xÛ`에서
x y -1 y 1 y ;4!;xÝ`-;3!;xÜ`-2xÛ`+4x+4=0
f '(x) + 0 - 0 +
f(x)=;4!;xÝ`-;3!;xÜ`-2xÛ`+4x+4라 하면
f(x) ↗ 1 ↘ -3 ↗
f '(x)=xÜ`-xÛ`-4x+4=(x+2)(x-1)(x-2)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f '(x)=0에서 x=-2 또는 x=1 또는 x=2
세 실근을 갖는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y=f(x)
x y -2 y 1 y 2 y
1
1 f '(x) - 0 + 0 - 0 +
-1 O x
-1
f(x) ↘ -;;Á3¤;; ↗ ;1&2!; ↘ ;;Á3¤;; ↗
-3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3 두 실근을 갖는다.

정답과 풀이 6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5 22. 11. 9. 오전 11:00


y y=f(x)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32, x=5에서 극솟값 0을 갖고
;1&2!;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
:Á3¤: 4 는다.
-2  2
O 1 2 x

-:Á3¤:
26 f(x)=xÜ`-3x+2라 하면
f '(x)=3xÛ`-3=3(x+1)(x-1)
2 f '(x)=0에서 x=-1 또는 x=1

x¾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0 f(x)=xÜ`-6xÛ`+9x+k라 하면 x 0 y 1 y
f '(x)=3xÛ`-12x+9=3(x-1)(x-3) f '(x) - 0 +
f '(x)=0에서 x=1 또는 x=3 f(x) 2 ↘ 0 ↗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x¾0일 때, 함수 f(x)의 최솟값은 0이므로 f(x)¾0이다.
f(1)f(3)<0 따라서 x¾0일 때, 부등식 xÜ`-3x+2¾0이 성립한다.
이어야 하므로 k(k+4)<0   풀이 참조
따라서 -4<k<0
  -4<k<0
27 f(x)=xÝ`+4x+3이라 하면
f '(x)=4xÜ`+4=4(x+1)(xÛ`-x+1)
21 삼차방정식 f(x)=0이 한 실근과 중근을 가지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x+1>0이므로 f '(x)=0에서 x=-1
f(1)f(3)=0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이어야 하므로 k(k+4)=0 과 같다.
따라서 k=-4 또는 k=0 x y -1 y
  k=-4 또는 k=0 f '(x) - 0 +
f(x) ↘ 0 ↗

22 삼차방정식 f(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지려면 함수 f(x)의 최솟값은 0이므로 f(x)¾0이다.


f(1)f(3)>0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Ý`+4x+3¾0이 성립한다.
이어야 하므로 k(k+4)>0   풀이 참조
따라서 k<-4 또는 k>0
  k<-4 또는 k>0
28 xÜ`+k¾3xÛ`+9x에서 xÜ`-3xÛ`-9x+k¾0이므로
f(x)=xÜ`-3xÛ`-9x+k라 하면
23 f(x)=xÜ`-3x+3이라 하면 f '(x)=3xÛ`-6x-9=3(x+1)(x-3)
f '(x)=3xÛ`-3=3(x+1)(x-1) f '(x)=0에서 x=-1 또는 x=3
f '(x)=0에서 x=-1 또는 x=1 x¾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5, x=1에서 극솟값 1을 갖고 x 0 y 3 y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f '(x) - 0 +
 1 f(x) k ↘ k-27 ↗

x¾0일 때, 함수 f(x)의 최솟값은 k-27이므로 x¾0에서 부등식


24 f(x)=xÜ`+6xÛ`+9x+1이라 하면 f(x)¾0이 성립하려면 k-27¾0
f '(x)=3xÛ`+12x+9=3(x+1)(x+3) 즉, k¾27이어야 한다.
f '(x)=0에서 x=-3 또는 x=-1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최솟값은 27이다.
함수 f(x)는 x=-3에서 극댓값 1, x=-1에서 극솟값 -3을 갖고   27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
는다.
 3
29 v= dx
dt
=2t-4
dv
a= =2
dt
25 f(x)=xÜ`-9xÛ`+15x+25라 하면 시각 t=3에서의 속도는 v=6-4=2,
f '(x)=3xÛ`-18x+15=3(x-1)(x-5) 가속도는 a=2이다.
f '(x)=0에서 x=1 또는 x=5   v=2, a=2

6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6 22. 11. 9. 오전 11:00


30 v= dx
dt
=6tÛ`-2t+4 01 f(x)=;3!;xÜ`-3xÛ`+5x+;3@;에서
dv f '(x)=xÛ`-6x+5=(x-1)(x-5)
a= =12t-2
dt
f '(x)=0에서 x=1 또는 x=5
시각 t=2에서의 속도는 v=24-4+4=24,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가속도는 a=24-2=22
과 같다.
  v=24, a=22
x 0 y 1 y 4
f '(x) + 0 -
31 v= dx
dt
=-4tÜ`+6t+5
f(x) ;3@; ↗ 3 ↘ -6
dv
a= =-12tÛ`+6
dt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3을 갖고, x=4
시각 t=1에서의 속도는 v=-4+6+5=7, 에서 최솟값 -6을 갖는다.
가속도는 a=-12+6=-6 따라서 M=3, m=-6이므로
  v=7, a=-6 M-m=3-(-6)=9
 ④
32 점 P의 속도를 v라 하면
dx
v= =3tÛ`+6t-24=3(t+4)(t-2)
dt
02 f(x)=2xÜ`-9xÛ`+12x+5에서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가 0이므로 v=0에서 f '(x)=6xÛ`-18x+12=6(x-1)(x-2)
t=2 f '(x)=0에서 x=1 또는 x=2
 2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33 점 P의 속도를 v라 하면 x -1 y 1 y 2 y 3
dx
v= =tÜ`-3tÛ`-t+3=(t+1)(t-1)(t-3) f '(x) + 0 - 0 +
dt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속도가 0이므로 v=0에서 f(x) -18 ↗ 10 ↘ 9 ↗ 14

t=1 또는 t=3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솟값 -18
  1 또는 3 을 갖는다.
 ③

유형 완성하기
본문 74~87쪽 03 f(x)=xÜ`-;;Á2°;;xÛ`+12x+3에서
f '(x)=3xÛ`-15x+12=3(x-1)(x-4)
01 ④ 02 ③ 03 ④ 04 ② 05 3 f '(x)=0에서 x=1 또는 x=4
06 4 07 ② 08 ① 09 ③ 10 ③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11 24 12 ⑤ 13 ④ 14 ④ 15 97 과 같다.
16 ② 17 ③ 18 ① 19 ③ 20 42 x 0 y 1 y 4
21 ① 22 6 23 30 24 21 25 ⑤ f '(x) + 0 - 0
26 ② 27 ③ 28 ④ 29 ① 30 ② f(x) 3 ↗ ;;Á2¦;; ↘ -5
31 ③ 32 15 33 ① 34 12 35 ③
36 ④ 37 ③ 38 ④ 39 68 40 ③ 따라서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Á2¦;; 을 갖

41 ⑤ 42 ③ 43 13 44 ③ 45 ④ 는다.
46 ③ 47 ② 48 ② 49 ④ 50 ④  ④
51 ③ 52 6 53 44 54 ⑤ 55 ⑤
56 10 57 6 58 ③ 59 ② 60 ④
61 ③ 62 26 63 ⑤ 64 ① 65 ⑤ 04 f(x)=xÝ`+;3$;xÜ`-2에서
66 ③ 67 ⑤ 68 ① 69 ④ 70 ① f '(x)=4xÜ`+4xÛ`=4xÛ`(x+1)

71 ⑤ 72 ② 73 ② 74 2 75 ② f '(x)=0에서 x=-1 또는 x=0


닫힌구간 [-2, 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76 ② 77 ③ 78 24 79 ⑤ 80 ⑤
음과 같다.

정답과 풀이 6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7 22. 11. 9. 오전 11:00


y y=f(x)
x -2 y -1 y 0 y 1
61
f '(x) - 0 + 0 + 48

f(x) ;;Á3¼;; ↘ -;3&; ↗ -2 ↗ ;3!; 4


x
-1 O

닫힌구간 [-2, 1]에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Á3¼;; 을 갖고, -64

x=-1에서 최솟값 -;3&; 을 갖는다. 함수 f(x)는 닫힌구간 [-1, 4]에서 감소하므로


g(1)=f(1), g(2)=f(2), g(3)=f(3), g(4)=f(4)이고,
따라서 M=;;Á3¼;;, m=-;3&; 이므로 닫힌구간 [-1, 5]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f(4)=-64이므로
g(5)=f(4)이다.
M+m=;;Á3¼;;+{-;3&;}=1
따라서 g(n)=g(n+1)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4이다.
 ②  4

07 f(x)=xÜ`-6xÛ`+9x+a에서
05 f(x)=xÜ`+6xÛ`-16에서 f '(x)=3xÛ`-12x+9=3(x-1)(x-3)
f '(x)=3xÛ`+12x=3x(x+4)
f '(x)=0에서 x=1 또는 x=3
f '(x)=0에서 x=-4 또는 x=0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x¾-5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음과 같다.
x -5 y -4 y 0 y
x -1 y 1 y 3
f '(x) + 0 - 0 +
f '(x) + 0 - 0
f(x) 9 ↗ 16 ↘ -16 ↗
f(x) a-16 ↗ a+4 ↘ a
x¾-5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a+4를 갖고,
y y=f(x)
x=-1에서 최솟값 a-16을 갖는다.
16
즉, a+4=12에서 a=8
9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5-4 O 2 x
a-16=8-16=-8
 ②
-16

함수 f(x)는 x=-4에서 극댓값 16을, x=0에서 극솟값 -16을 갖


는다.
08 f(x)=xÜ`-12x+a에서
f '(x)=3xÛ`-12=3(x+2)(x-2)
한편, 자연수 n에 대하여 닫힌구간 [-5, n]에서 함수 f(x)의 최솟값
f '(x)=0에서 x=-2 또는 x=2
은 -16이므로 닫힌구간 [-5, n]에서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의 합이 0이려면 함수 f(x)의 최댓값이 16이어야 한다.
음과 같다.
xÜ`+6xÛ`-16=16에서
x -2 y 2 y 3
xÜ`+6xÛ`-32=0, (x+4)Û`(x-2)=0
f '(x) 0 - 0 +
x=-4 또는 x=2
f(x) a+16 ↘ a-16 ↗ a-9
즉, f(2)=16이므로 자연수 n은 2 이하이어야 한다.
따라서 자연수 n의 값은 1, 2이므로 그 합은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a-16을 갖는다.
1+2=3 따라서 a-16=5에서 a=21
 3  ①

09 f(x)=;3!;xÜ`-xÛ`+k에서
06 f(x)=2xÜ`-9xÛ`-24x+48에서 f '(x)=xÛ`-2x=x(x-2)
f '(x)=6xÛ`-18x-24=6(x+1)(x-4)
f '(x)=0에서 x=0 또는 x=2
f '(x)=0에서 x=-1 또는 x=4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x¾-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음과 같다.
x -1 y 4 y
x -2 y 0 y 2
f '(x) 0 - 0 +
f '(x) + 0 - 0
f(x) 61 ↘ -64 ↗
f(x) k-;;ª3¼;; ↗ k ↘ k-;3$;
x¾-1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6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8 22. 11. 9. 오전 11:00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 M=k를 갖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고, x=-2에서 최솟값 m=k-;;ª3¼;;을 갖는다. 음과 같다.


x -1 y 1 y 3
즉, M+m=k+{k-;;ª3¼;;}=;;Á3¼;;에서 2k=10
f '(x) + 0 - 0
따라서 k=5 f(x) c-16 ↗ c+4 ↘ c
 ③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c+4를 갖고,
x=-1에서 최솟값 c-16을 갖는다.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0이므로
10 f(x)=xÜ`-3xÛ`+a에서 (c+4)+(c-16)=0, 2c-12=0
f '(x)=3xÛ`-6x=3x(x-2)
c=6
f '(x)=0에서 x=0 또는 x=2
따라서 f(x)=xÜ`-6xÛ`+9x+6이므로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f(4)=64-96+36+6=10
음과 같다.
 ⑤
x -1 y 0 y 1
f '(x) + 0 -
f(x) a-4 ↗ a ↘ a-2 13 밑면이 한 변의 길이가 x인 정사각형이고, 높이가 9-x인 직육
면체의 부피를 V(x)라 하면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 a를 갖고,
V(x)=xÛ`(9-x)=-xÜ`+9xÛ`
x=-1에서 최솟값 a-4를 갖는다.
V'(x)=-3xÛ`+18x=-3x(x-6)
M_m=32이므로 a(a-4)=32에서
0<x<9이므로 V'(x)=0에서 x=6
aÛ`-4a-32=0, (a+4)(a-8)=0
0<x<9에서 함수 V(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4 또는 a=8
x (0) y 6 y (9)
따라서 a>0이므로 a=8
V'(x) + 0 -
 ③
V(x) ↗ 108 ↘

0<x<9에서 함수 V(x)는 x=6에서 최댓값 108을 갖는다.


11 f(x)=-xÜ`+axÛ`+b에서 따라서 직육면체의 부피의 최댓값은 108이다.
f '(x)=-3xÛ`+2ax  ④
f '(2)=12이므로
-12+4a=12, a=6
즉, f '(x)=-3xÛ`+12x=-3x(x-4)
14 점 P의 좌표를 (t, tÛ`+1)이라 하면 점 P와 점 (5, 0) 사이의 거
리는
f '(x)=0에서 x=0 또는 x=4
"Ã(t-5)Û`+(tÛ`+1)Û`="ÃtÝ`+3tÛ`-10t+26
닫힌구간 [1, 5]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f(t)=tÝ`+3tÛ`-10t+26이라 하면
과 같다.
f '(t)=4tÜ`+6t-10=2(t-1)(2tÛ`+2t+5)
x 1 y 4 y 5 2tÛ`+2t+5>0이므로 f '(t)=0에서 t=1
f '(x) + 0 -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b+5 ↗ b+32 ↘ b+25
t y 1 y
닫힌구간 [1, 5]에서 함수 f(x)는 x=4에서 최댓값 b+32를 가지므로 f '(t) - 0 +
b+32=40에서 b=8 f(t) ↘ 20 ↗
따라서 f(x)=-xÜ`+6xÛ`+8이므로
함수 f(t)는 t=1에서 최솟값 20을 갖는다.
f(2)=-8+24+8=24
f(t)가 최소일 때 두 점 사이의 거리도 최소이므로 점 P와 점 (5, 0)
  24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2'5이다.
 ④

12 f(x)=xÜ`+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f '(x)=3xÛ`+2ax+b 15 점 P의 좌표가 (t, t(t-3)Û`)이므로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
함수 f(x)가 x=1, x=3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의 발 Q의 좌표는 (t, 0)이고, y축에 내린 수선의 발 R의 좌표는
f '(1)=3+2a+b=0 (0, t(t-3)Û`)이다.
f '(3)=27+6a+b=0 사각형 OQPR의 넓이를 S(t)라 하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6, b=9 S(t)=t_t(t-3)Û`=tÝ`-6tÜ`+9tÛ`
즉, f(x)=xÜ`-6xÛ`+9x+c S'(t)=4tÜ`-18tÛ`+18t=2t(t-3)(2t-3)

정답과 풀이 6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69 22. 11. 9. 오전 11:00


0<t<3이므로 S'(t)=0에서 t=;2#; x에 대한 방정식 2xÜ`-3xÛ`+5=k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실근을 가지려

0<t<3에서 함수 S(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
야 한다.
t (0) y ;2#; y (3) 따라서 k=4 또는 k=5이므로 그 합은
S '(t) + 0 - 4+5=9
 ③
S(t) ↗ ;1*6!; ↘

0<t<3에서 함수 S(t)는 t=;2#;에서 최댓값 ;1*6!; 을 갖는다.


18 f(x)=xÝ`-;3$;xÜ`-4xÛ`이라 하면
따라서 사각형 OQPR의 넓이의 최댓값은 ;1*6!;이므로 f '(x)=4xÜ`-4xÛ`-8x=4x(x+1)(x-2)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p=16, q=81에서 p+q=97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97
x y -1 y 0 y 2 y
f '(x) - 0 + 0 - 0 +
16 f(x)=xÛ`-4x+4에서
f '(x)=2x-4 f(x) ↘ -;3%; ↗ 0 ↘ -;;£3ª;; ↗

점 P(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tÛ`-4t+4)=(2t-4)(x-t) y y=f(x)
y=2(t-2)x+4-tÛ`
-1 O 2
이때 Q(0, 4-tÛ`)이므로 삼각형 OPQ의 넓이를 S(t)라 하면 x

S(t)=;2!;_t_(4-tÛ`)=2t-;2!;tÜ` -;3%;
y=-:£3ª:
2'3 2'3
S '(t)=2-;2#;tÛ`=-;2#; {t+ }{t- }
3 3
2'3 x에 대한 방정식 xÝ`-;3$;xÜ`-4xÛ`=a가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0<t<2이므로 S '(t)=0에서 t=
3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a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야 한다.
0<t<2에서 함수 S(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a=-;;£3ª;;
2'3
t (0) y y (2)  ①
3
S '(t) + 0 -

S(t) ↗
8'3

19 f(x)=xÜ`+3xÛ`-9x-2라 하면
9 f '(x)=3xÛ`+6x-9=3(x+3)(x-1)
2'3 8'3 f '(x)=0에서 x=-3 또는 x=1
0<t<2에서 함수 S(t)는 t= 에서 최댓값 을 갖는다.
3 9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8'3
따라서 삼각형 OPQ의 넓이의 최댓값은 이다. x y -3 y 1 y
9
f '(x) + 0 - 0 +
 ②
f(x) ↗ 25 ↘ -7 ↗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7 f(x)=2xÜ`-3xÛ`+5라 하면 y y=f(x)
f '(x)=6xÛ`-6x=6x(x-1)
25
f '(x)=0에서 x=0 또는 x=1
y=3a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0 y 1 y 1
-3 -2 O x
f '(x) + 0 - 0 + -7

f(x) ↗ 5 ↘ 4 ↗ x에 대한 방정식 xÜ`+3xÛ`-9x-2=3a가 서로 다른 세 개의 실근을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3a가 서로 다른 세 점에
y y=f(x) 서 만나야 한다.

y=5 즉, -7<3a<25에서 -;3&;<a<;;ª3°;;


y=4
따라서 M=8, m=-2이므로
M+m=8+(-2)=6
O 1 x
 ③

7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0 22. 11. 9. 오전 11:00


20 f(x)=3xÝ`-8xÜ`-6xÛ`+24x라 하면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12xÜ`-24xÛ`-12x+24 x y 1 y 3 y
=12(x+1)(x-1)(x-2) g'(x) + 0 - 0 +
f '(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2 g(x) ↗ 4 ↘ 0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x y -1 y 1 y 2 y y y=g(x)
f '(x) - 0 + 0 - 0 + y=6

f(x) ↘ -19 ↗ 13 ↘ 8 ↗
y=4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2
y y=f(x)
13 x
y=k O 1 3
8
x에 대한 방정식 xÜ`-6xÛ`+9x=2n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1
O 1 2 x y=g(x)의 그래프와 직선 y=2n이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와 같
다.
따라서 f(1)=3, f(2)=2, f(3)=1이므로
f(1)+f(2)+f(3)=3+2+1=6
-19
 6
x에 대한 방정식 3xÝ`-8xÜ`-6xÛ`+24x=k가 서로 다른 4개의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나야 한다.
23 f(x)=xÜ`-12x+7이라 하면
f '(x)=3xÛ`-12=3(x+2)(x-2)
따라서 8<k<13이므로 모든 정수 k의 값은 9, 10, 11, 12이고 그 합은
f '(x)=0에서 x=-2 또는 x=2
9+10+11+12=4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42
x y -2 y 2 y
f '(x) + 0 - 0 +
21 f(x)=xÜ`-;2#;xÛ`-6x에서 f(x) ↗ 23 ↘ -9 ↗

f '(x)=3xÛ`-3x-6=3(x+1)(x-2)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f '(x)=0에서 x=-1 또는 x=2 y y=f(x)
2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2 y y=k
7
f '(x) + 0 - 0 + 2
-2 O x
f(x) ↗ ;2&; ↘ -10 ↗ -9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x에 대한 방정식 xÜ`-12x+7=k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음의 실근과 한


y y=|f(x)|
개의 양의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10
y=k x좌표가 양수인 한 점과 x좌표가 음수인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2&; 한다.
-1 O 2 x
따라서 7<k<23이므로 정수 k의 최댓값은 22, 최솟값은 8이고 그 합은
22+8=30
y=f(x)   30
x에 대한 방정식 | f(x)|=k가 서로 다른 4개의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나야 한다.
24 f(x)=xÝ`-4xÜ`-2xÛ`+12x라 하면
따라서 ;2&;<k<10이므로 자연수 k는 4, 5, 6, 7, 8, 9이고 그 개수는 f '(x)=4xÜ`-12xÛ`-4x+12
=4(x+1)(x-1)(x-3)
6이다.
f '(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①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2 g(x)=xÜ`-6xÛ`+9x라 하면 x y -1 y 1 y 3 y

g'(x)=3xÛ`-12x+9=3(x-1)(x-3) f '(x) - 0 + 0 - 0 +

g'(x)=0에서 x=1 또는 x=3 f(x) ↘ -9 ↗ 7 ↘ -9 ↗

정답과 풀이 7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1 22. 11. 9. 오전 11:00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y=k
y y=f(x)
;3%;
7 -3
y=k -1 O x
-1 3
O 1 x
-9

x에 대한 방정식 xÝ`+;;Á3¤;;xÜ`+6xÛ`=k가 한 개의 양의 실근과 한 개의


-9

x에 대한 방정식 xÝ`-4xÜ`-2xÛ`+12x=k가 서로 다른 세 개의 양의
음의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x좌표
실근과 한 개의 음의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가 양수인 한 점과 x좌표가 음수인 한 점에서 만나야 한다.
y=k가 x좌표가 음수인 한 점과 x좌표가 양수인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따라서 k>;3%;이므로 정수 k의 최솟값은 2이다.
따라서 0<k<7이므로 구하는 정수 k의 값은 1, 2, 3, 4, 5, 6이고 그  ②
합은
1+2+3+4+5+6=21
  21 27 ;4!;xÝ`-;3!;xÜ`-2xÛ`+4x=k+4에서
;4!;xÝ`-;3!;xÜ`-2xÛ`+4x-4=k

25 f(x)=2xÜ`-3xÛ`-12x+9라 하면 f(x)=;4!;xÝ`-;3!;xÜ`-2xÛ`+4x-4라 하면
f '(x)=6xÛ`-6x-12=6(x+1)(x-2)
f '(x)=xÜ`-xÛ`-4x+4=(x+2)(x-1)(x-2)
f '(x)=0에서 x=-1 또는 x=2
f '(x)=0에서 x=-2 또는 x=1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2 y
x y -2 y 1 y 2 y
f '(x) + 0 - 0 +
f '(x) - 0 + 0 - 0 +
f(x) ↗ 16 ↘ -11 ↗
f(x) ↘ -;;¢3¼;; ↗ -;1@2%; ↘ -;3*; ↗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6
y y=f(x)
-2 O 1 2
9 x
-;1@2%;
y=a
2 -4
-1 O x -;3*;

y=k
-11
-:¢3¼:
x에 대한 방정식 2xÜ`-3xÛ`-12x+9=a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실
근과 한 개의 음의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x에 대한 방정식 ;4!;xÝ`-;3!;xÜ`-2xÛ`+4x-4=k가 서로 다른 두 개의
y=a가 x좌표가 음수인 한 점과 x좌표가 양수인 서로 다른 두 점에서
음의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x좌표
만나야 한다.
가 음수인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따라서 -11<a<9이므로 구하는 정수 a는 -10, -9, -8, y, 8이
고 그 개수는 19이다. 그러므로 -;;¢3¼;;<k<-4이므로 정수 k의 최댓값 M은 -5, 최솟값
 ⑤ m은 -13이다.
따라서 M-m=-5-(-13)=8
 ③
26 f(x)=xÝ`+;;Á3¤;;xÜ`+6xÛ`이라 하면
f '(x)=4xÜ`+16xÛ`+12x=4x(x+1)(x+3)
f '(x)=0에서 x=-3 또는 x=-1 또는 x=0 28 f(x)=xÜ`-6xÛ`+9x+3이라 하면
f '(x)=3xÛ`-12x+9=3(x-1)(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0에서 x=1 또는 x=3
x y -3 y -1 y 0 y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 - 0 + 0 - 0 +
x y 1 y 3 y
f(x) ↘ -9 ↗ ;3%; ↘ 0 ↗
f '(x) + 0 - 0 +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f(x) ↗ 7 ↘ 3 ↗

7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2 22. 11. 9. 오전 11:00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y=f(x)
x y 1 y 5 y
y=7
f '(x) + 0 - 0 +
f(x) ↗ a+7 ↘ a-25 ↗
3
그러므로 함수 f(x)의 극댓값은 f(1)=a+7, 극솟값은
O1 3 x f(5)=a-25이다.
방정식 f(x)=0이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x에 대한 방정식 xÜ`-6xÛ`+9x+3=a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실근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a가 x좌표가 양수인
(a+7)(a-25)>0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a<-7 또는 a>25
따라서 a=7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26이다.
 ④
 ③

29 f(x)=xÜ`-6xÛ`+a라 하면
f '(x)=3xÛ`-12x=3x(x-4) 32 2xÜ`-3xÛ`-12x+8=k에서
2xÜ`-3xÛ`-12x+8-k=0
f '(x)=0에서 x=0 또는 x=4
f(x)=2xÜ`-3xÛ`-12x+8-k라 하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6xÛ`-6x-12=6(x+1)(x-2)
x y 0 y 4 y
f '(x)=0에서 x=-1 또는 x=2
f '(x) + 0 - 0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 a ↘ a-32 ↗
x y -1 y 2 y
그러므로 함수 f(x)의 극댓값은 f(0)=a, 극솟값은 f(4)=a-32이 f '(x) + 0 - 0 +
다. f(x) ↗ 15-k ↘ -12-k ↗
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그러므로 함수 f(x)의 극댓값은 f(-1)=15-k, 극솟값은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f(2)=-12-k이다.
a(a-32)<0
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0<a<32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구하는 정수 a는 1, 2, 3, y, 31이므로 그 개수는 31이다.
(15-k)(-12-k)=0
 ①
k=15 또는 k=-12
따라서 양수 k의 값은 15이다.
30 f(x)=2xÜ`-9xÛ`+12x+a라 하면   15
f '(x)=6xÛ`-18x+12=6(x-1)(x-2)
f '(x)=0에서 x=1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3 f(x)=g(x)에서
xÜ`-xÛ`-x+a=;2!;xÛ`+5x
x y 1 y 2 y
f '(x) + 0 - 0 + xÜ`-;2#;xÛ`-6x+a=0
f(x) ↗ a+5 ↘ a+4 ↗
즉, 방정식 f(x)=g(x)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방정식
그러므로 함수 f(x)의 극댓값은 f(1)=a+5, 극솟값은 f(2)=a+4
xÜ`-;2#;xÛ`-6x+a=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이다.
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h(x)=xÜ`-;2#;xÛ`-6x+a라 하면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h'(x)=3xÛ`-3x-6=3(x+1)(x-2)
(a+5)(a+4)=0
h'(x)=0에서 x=-1 또는 x=2
a=-5 또는 a=-4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x y -1 y 2 y
-5+(-4)=-9
h'(x) + 0 - 0 +
 ②
h(x) ↗ a+;2&; ↘ a-10 ↗

31 f(x)=xÜ`-9xÛ`+15x+a라 하면
f '(x)=3xÛ`-18x+15=3(x-1)(x-5) 그러므로 함수 h(x)의 극댓값은 h(-1)=a+;2&;, 극솟값은

f '(x)=0에서 x=1 또는 x=5 h(2)=a-10이다.

정답과 풀이 7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3 22. 11. 9. 오전 11:00


방정식 h(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y y=f(x)
6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y=a
{a+;2&;}(a-10)<0
2
-;2&;<a<10
O 2 x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9, 최솟값은 -3이므로 그 합은
9+(-3)=6 x에 대한 방정식 xÜ`-3xÛ`+6=a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① y=f(x)의 그래프와 직선 y=a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따라서 2<a<6이므로 정수 a의 최댓값은 5이다.

34 g(x)=xÜ`+3nxÛ`-32라 하면  ③
g '(x)=3xÛ`+6nx=3x(x+2n)
g '(x)=0에서 x=-2n 또는 x=0 36 곡선 y=-xÜ`+3xÛ`+10x와 직선 y=x+a가 서로 다른 두 점에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서 만나려면 x에 대한 방정식
-xÜ`+3xÛ`+10x=x+a
x y -2n y 0 y
즉, xÜ`-3xÛ`-9x=-a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g '(x) + 0 - 0 +
f(x)=xÜ`-3xÛ`-9x라 하면
g(x) ↗ 4nÜ`-32 ↘ -32 ↗
f '(x)=3xÛ`-6x-9=3(x+1)(x-3)
그러므로 함수 g(x)의 극댓값은 g(-2n)=4nÜ`-32, 극솟값은 f '(x)=0에서 x=-1 또는 x=3
g(0)=-32이고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극댓값)_(극솟값)=(4nÜ`-32)_(-32)
x y -1 y 3 y
=-128(nÜ`-8)
f '(x) + 0 - 0 +
Ú n=1일 때
f(x) ↗ 5 ↘ -27 ↗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방정식 g(x)=0은 오직 하나의 실근
을 갖는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즉, f(1)=1 5 y=-a
O
Û n=2일 때 -1 3 x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방정식 g(x)=0은 서로 다른 두 실
근을 갖는다.
y=-a
즉, f(2)=2 -27

Ü n¾3일 때 x에 대한 방정식 xÜ`-3xÛ`-9x=-a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극댓값)_(극솟값)<0이므로 방정식 g(x)=0은 서로 다른 세 실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a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근을 갖는다. 한다.
즉, f(3)=f(4)=f(5)=3 그러므로 -a=5 또는 -a=-27에서
Ú, Û, Ü에 의하여
Á `f(n)=1+2+3+3+3=12
a=-5 또는 a=27
5
따라서 구하는 양수 a의 값은 27이다.
n=1
 ④
  12

37 두 곡선 y=xÜ`-4x, y=-2xÛ`+k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려면 x에


35 두 곡선 y=xÜ`-2xÛ`+3x+6, y=xÛ`+3x+a가 서로 다른 세 대한 방정식
점에서 만나려면 x에 대한 방정식
xÜ`-4x=-2xÛ`+k
xÜ`-2xÛ`+3x+6=xÛ`+3x+a
즉, xÜ`+2xÛ`-4x=k가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져야 한다.
즉, xÜ`-3xÛ`+6=a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f(x)=xÜ`+2xÛ`-4x라 하면
f(x)=xÜ`-3xÛ`+6이라 하면
f '(x)=3xÛ`+4x-4=(x+2)(3x-2)
f '(x)=3xÛ`-6x=3x(x-2)
f '(x)=0에서 x=-2 또는 x=;3@;
f '(x)=0에서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0 y 2 y x y -2 y ;3@; y
f '(x) + 0 - 0 +
f '(x) + 0 - 0 +
f(x) ↗ 6 ↘ 2 ↗
f(x) ↗ 8 ↘ -;2$7); ↗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7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4 22. 11. 9. 오전 11:00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f(x)=;3!;xÜ`+3xÛ`+5x라 하면
y y=f(x)
f '(x)=xÛ`+6x+5=(x+1)(x+5)
y=k
8 f '(x)=0에서 x=-5 또는 x=-1

;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O x x y -5 y -1 y
-;2$7);
f '(x) + 0 - 0 +
x에 대한 방정식 xÜ`+2xÛ`-4x=k가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함 f(x) ↗ ;;ª3°;; ↘ -;3&; ↗
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야 한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k>8 또는 k<-;2$7;) 이므로 구하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9이다.
y y=f(x)
 ③
:ª3°:

38 사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삼차함수 y=g(x)의 그래프가 -1


y=k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x에 대한 방정식 -5 O x


-;3&;
f(x)=g(x)

xÝ`-5xÜ`+;3$;=;3!;xÜ`-6xÛ`+a x에 대한 방정식 ;3!;xÜ`+3xÛ`+5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즉, xÝ`-;;Á3¤;;xÜ`+6xÛ`+;3$;=a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한다.
h(x)=xÝ`-;;Á3¤;;xÜ`+6xÛ`+;3$;라 하면 그러므로 -;3&;<k<;;ª3°;;이므로 정수 k의 최댓값 M은 8, 최솟값 m은
h'(x)=4xÜ`-16xÛ`+12x=4x(x-1)(x-3) -2이다.
h'(x)=0에서 x=0 또는 x=1 또는 x=3 따라서 MÛ`+mÛ`=64+4=68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68
x y 0 y 1 y 3 y
h'(x) - 0 + 0 - 0 +

h(x) ↘ ;3$; ↗ 3 ↘ -;;ª3£;; ↗ 40 곡선 y=xÝ`-8xÛ`+x-4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


서 만나려면 x에 대한 방정식
함수 y=h(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xÝ`-8xÛ`+x-4=x+k
y y=h(x)
즉, xÝ`-8xÛ`-4=k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y=3
y=;3$; f(x)=xÝ`-8xÛ`-4라 하면
3
O 1 x f '(x)=4xÜ`-16x=4x(x+2)(x-2)
f '(x)=0에서 x=-2 또는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ª3£:
x y -2 y 0 y 2 y

x에 대한 방정식 xÝ`-;;Á3¤;;xÜ`+6xÛ`+;3$;=a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 f '(x) - 0 + 0 - 0 +


f(x) ↘ -20 ↗ -4 ↘ -20 ↗
지려면 함수 y=h(x)의 그래프와 직선 y=a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따라서 a=;3$; 또는 a=3이므로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2 O 2 x
y=k
-4
;3$;_3=4

 ④
-20 y=k

x에 대한 방정식 xÝ`-8xÛ`-4=k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39 곡선 y=;3!;xÜ`+3xÛ`+6x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세 점에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서 만나려면 x에 대한 방정식 따라서 k>-4 또는 k=-20이므로 구하는 음의 정수 k의 값은
;3!;xÜ`+3xÛ`+6x=x+k -1, -2, -3, -20이고 그 합은
-1+(-2)+(-3)+(-20)=-26
즉, ;3!;xÜ`+3xÛ`+5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③

정답과 풀이 7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5 22. 11. 9. 오전 11:00


41 f(x)=xÜ`-3xÛ`-9x라 하면 45 f(x)=2xÜ`-6xÛ`+a라 하면
f '(x)=3xÛ`-6x-9=3(x+1)(x-3) f '(x)=6xÛ`-12x=6x(x-2)
0<x<2일 때, f '(x)<0이므로 함수 f(x)는 열린구간 (0, 2)에서 f '(x)=0에서 x=0 또는 x=2
감소한다. x>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0<x<2에서 부등식 f(x)>k가 항상 성립하려면 f(2)¾k x (0) y 2 y
이어야 한다. f '(x) - 0 +
f(2)=8-12-18=-22이므로 f(x) ↘ a-8 ↗
kÉ-22
x>0에서 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a-8을 갖는다.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22이다.
그러므로 x>0에서 부등식 2xÜ`-6xÛ`+a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⑤
a-8¾0, 즉 a¾8
이어야 한다.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8이다.
42 f(x)=;3!;xÜ`-2xÛ`+3x+k라 하면  ④
f '(x)=xÛ`-4x+3=(x-1)(x-3)
x<-1일 때, f '(x)>0이므로 함수 f(x)는 구간 (-¦, -1)에서
증가한다.
46 xÝ`-8xÛ`¾a에서
xÝ`-8xÛ`-a¾0
그러므로 x<-1에서 부등식 f(x)<0이 항상 성립하려면
f(x)=xÝ`-8xÛ`-a라 하면
f(-1)É0이어야 한다.
f '(x)=4xÜ`-16x=4x(x+2)(x-2)
f(-1)=-;3!;-2-3+k=k-;;Á3¤;;이므로 f '(x)=0에서 x=-2 또는 x=0 또는 x=2
x¾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Á3¤;;É0에서 kÉ;;Á3¤;;
x 1 y 2 y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5이다.
f '(x) - 0 +
 ③
f(x) -7-a ↘ -16-a ↗

x¾1에서 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16-a를 갖는다.


43 f(x)=xÝ`-6xÛ`+8x+k라 하면 그러므로 x¾1에서 부등식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f '(x)=4xÜ`-12x+8=4(x+2)(x-1)Û` -16-a¾0, 즉 aÉ-16
-1<x<2일 때, f '(x)¾0이므로 함수 f(x)는 열린구간 (-1, 2) 이어야 한다.
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16이다.
그러므로 -1<x<2에서 부등식 f(x)>0이 항상 성립하려면  ③
f(-1)¾0이어야 한다.
f(-1)=1-6-8+k=k-13이므로
k-13¾0에서 k¾13
47 xÜ`-9xÛ`+15x¾k에서
xÜ`-9xÛ`+15x-k¾0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13이다.
f(x)=xÜ`-9xÛ`+15x-k라 하면
  13
f '(x)=3xÛ`-18x+15=3(x-1)(x-5)
f '(x)=0에서 x=1 또는 x=5

44 f(x)=-xÜ`-3xÛ`+9x라 하면 0ÉxÉ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3xÛ`-6x+9=-3(x+3)(x-1) x 0 y 1 y 3
f '(x)=0에서 x=-3 또는 x=1 f '(x) + 0 -
-2<x<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k ↗ 7-k ↘ -9-k

x (-2) y 1 y (2) 0ÉxÉ3에서 함수 f(x)는 x=3에서 최솟값 -9-k를 갖는다.


f '(x) + 0 - 그러므로 0ÉxÉ3에서 부등식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f(x) ↗ 5 ↘ -9-k¾0, 즉 kÉ-9
-2<x<2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5를 갖는다. 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2<x<2에서 부등식 f(x)Ék가 항상 성립하려면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9이다.
k¾5  ②
이어야 한다.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5이다. 48 f(x)=xÝ`-4xÜ`-k라 하면
 ③ f '(x)=4xÜ`-12xÛ`=4xÛ`(x-3)

7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6 22. 11. 9. 오전 11:00


f '(x)=0에서 x=0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x<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0 y 2 y
x (1) y 3 y (4) f '(x) - 0 + 0 - 0 +
f '(x) - 0 + f(x) ↘ 11 ↗ 16 ↘ -16 ↗
f(x) ↘ -k-27 ↗
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16을 가지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
1<x<4에서 함수 f(x)는 x=3에서 최솟값 -k-27을 갖는다. 여 부등식 f(x)¾k가 성립하려면 kÉ-16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1<x<4에서 부등식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16이다.
-k-27¾0, 즉 kÉ-27  ③
이어야 한다.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27이다.
 ② 52 f(x)=;2!;xÝ`+(a+1)xÛ`+(2a+4)x+9라 하면
f '(x)=2xÜ`+2(a+1)x+2a+4
=2(x+1)(xÛ`-x+a+2)

49 f(x)=;4!;xÝ`+;3!;xÜ`-2xÛ`-4x+;;ª3¥;;이라 하면 a는 자연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xÜ`+xÛ`-4x-4 xÛ`-x+a+2={x-;2!;}2`+a+;4&;>0
=(x+2)(x+1)(x-2) 그러므로 f '(x)=0에서 x=-1
f '(x)=0에서 x=-2 또는 x=-1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x y -2 y -1 y 2 y f '(x) - 0 +
f '(x) - 0 + 0 - 0 +
f(x) ↘ -a+;;Á2£;; ↗
f(x) ↘ ;;£3ª;; ↗ ;;¢4°;; ↘ 0 ↗
함수 f(x)는 x=-1에서 최솟값 -a+;;Á2£;; 을 가지므로 모든 실수 x
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0을 갖는다.
그러므로 xÉk에서 부등식 f(x)>0이 항상 성립하려면 에 대하여 부등식 f(x)>0이 성립하려면

k<2 -a+;;Á2£;;>0, 즉 a<;;Á2£;;


이어야 한다.
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따라서 자연수 a의 최댓값은 6이다.
 ④
 6

50 f(x)=xÝ`-2xÜ`+3이라 하면 53 2xÜ`+4xÛ`-12x¾xÛ`+24x-k에서
f '(x)=4xÜ`-6xÛ`=2xÛ`(2x-3) 2xÜ`+3xÛ`-36x+k¾0
f(x)=2xÜ`+3xÛ`-36x+k라 하면
f '(x)=0에서 x=0 또는 x=;2#;
f '(x)=6xÛ`+6x-36=6(x+3)(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0에서 x=-3 또는 x=2
x y 0 y ;2#; y -1<x<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 - 0 - 0 + x (-1) y 2 y (3)


f '(x) - 0 +
f(x) ↘ 3 ↘ ;1@6!; ↗
f(x) ↘ k-44 ↗

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1@6!; 을 가지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 -1<x<3에서 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k-44를 갖는다.
그러므로 -1<x<3에서 부등식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여 부등식 f(x)¾a가 성립하려면 aÉ;1@6!;이어야 한다. k-44¾0, 즉 k¾44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1@6!;이다. 이어야 한다.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44이다.
 ④
  44

51 f(x)=3xÝ`-4xÜ`-12xÛ`+16이라 하면 54 2xÜ`-2xÛ`+k¾xÛ`+12x에서
f '(x)=12xÜ`-12xÛ`-24x=12x(x+1)(x-2) 2xÜ`-3xÛ`-12x+k¾0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f(x)=2xÜ`-3xÛ`-12x+k라 하면

정답과 풀이 7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7 22. 11. 9. 오전 11:00


f '(x)=6xÛ`-6x-12=6(x+1)(x-2) 57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고, g(x)는 최고차항
0<x<2일 때, f '(x)<0이므로 함수 f(x)는 열린구간 (0, 2)에서 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
감소한다. 가 서로 만나지 않으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g(x)가 성립
그러므로 0<x<2에서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f(2)¾0이어야 해야 한다.
한다. h(x)=f(x)-g(x)라 하면
f(2)=16-12-24+k=k-20¾0에서 h(x)=xÝ`-4xÜ`+10xÛ`-12x+k
k¾20 h'(x)=4xÜ`-12xÛ`+20x-12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20이다. =4(x-1)(xÛ`-2x+3)
 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2x+3=(x-1)Û`+2>0이므로
h'(x)=0에서 x=1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55 xÝ`+xÜ`-xÛ`-4¾xÜ`+xÛ`-k에서 x y 1 y
xÝ`-2xÛ`+k-4¾0 h '(x) - 0 +
f(x)=xÝ`-2xÛ`+k-4라 하면 h(x) ↘ k-5 ↗
f '(x)=4xÜ`-4x=4x(x+1)(x-1)
함수 h(x)는 x=1에서 최솟값 k-5를 가지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여 부등식 h(x)>0이 성립하려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5>0, 즉 k>5
x y -1 y 0 y 1 y 이어야 한다.
f '(x) - 0 + 0 - 0 +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6이다.
f(x) ↘ k-5 ↗ k-4 ↘ k-5 ↗
 6
함수 f(x)는 x=-1, x=1에서 최솟값 k-5를 가지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¾0이 성립하려면
k-5¾0, 즉 k¾5 58 xÜ`-5É3xÛ`+9x에서
이어야 한다. xÜ`-3xÛ`-9x-5É0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5이다. f(x)=xÜ`-3xÛ`-9x-5라 하면

 ⑤ f '(x)=3xÛ`-6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56 f(x)¾4g(x)에서 x y -1 y 3 y
xÝ`+20¾-4axÛ`+4(2a+1)x f '(x) + 0 - 0 +
xÝ`+4axÛ`-4(2a+1)x+20¾0 f(x) ↗ 0 ↘ -32 ↗
h(x)=xÝ`+4axÛ`-4(2a+1)x+20이라 하면 또한 f(x)=(x+1)Û`(x-5)이므로 f(5)=0
h'(x)=4xÜ`+8ax-4(2a+1)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4(x-1)(xÛ`+x+2a+1) y y=f(x)
a는 자연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x+2a+1={x+;2!;}2`+2a+;4#;>0
-1 3
O 5x
-5

그러므로 h'(x)=0에서 x=1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2
x y 1 y
a<x<a+2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하려면 f(x)É0이어야 한다.
h'(x) - 0 +
따라서 모든 자연수 a는 1, 2, 3이므로 그 개수는 3이다.
h(x) ↘ -4a+17 ↗
 ③
함수 h(x)는 x=1에서 최솟값 -4a+17을 가지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h(x)¾0이 성립하려면

-4a+17¾0, 즉 aÉ;;Á4¦;; 59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dx
v= =3tÛ`-4t+3
이어야 한다. dt
따라서 모든 자연수 a의 값은 1, 2, 3, 4이므로 그 합은 이므로 시각 t=2에서 점 P의 속도는
1+2+3+4=10 12-8+3=7
  10  ②

7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8 22. 11. 9. 오전 11:00


60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위치가 9이므로
dx 8-24+14+a=9, a-2=9
v= =-2t+10
dt
따라서 a=11
점 P의 속도가 2일 때의 시각은 -2t+10=2에서 t=4
 ①
따라서 시각 t=4일 때 점 P의 위치는
-16+40+3=27
 ④ 65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dx
v= =3tÛ`-2t-4
dt
61 점 P의 위치가 2일 때의 시각은 점 P의 속도가 4인 시각은
tÜ`+tÛ`-8t-10=2, (t+2)Û`(t-3)=0 3tÛ`-2t-4=4, (3t+4)(t-2)=0
t¾0이므로 t=3 t¾0이므로 t=2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dx dv
v= =3tÛ`+2t-8 a= =6t-2
dt dt
이므로 t=3일 때 점 P의 속도는 이므로 t=2일 때 점 P의 가속도는
27+6-8=25 12-2=10
 ③  ⑤

62 시각 t에서의 두 점 P, Q의 속도를 각각 vÁ(t), vª(t)라 하면 66 점 P가 원점을 지날 때 x=0이므로


vÁ(t)=f '(t)=6tÛ`+8t-20 tÜ`-7t-6=0
vª(t)=g'(t)=2t+16 (t+2)(t+1)(t-3)=0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을 때, vÁ(t)=vª(t)에서 t¾0이므로 점 P가 원점을 지나는 시각은 t=3이다.
6tÛ`+8t-20=2t+16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6tÛ`+6t-36=0, 6(t+3)(t-2)=0 dx
v= =3tÛ`-7
dt
t¾0이므로 t=2
이고,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시각 t=2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는 각각
dv
f(2)=16+16-40+10=2 a= =6t
dt
g(2)=4+32-8=28 이므로 t=3일 때 점 P의 가속도는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6_3=18
|2-28|=26  ③
  26

67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63 두 점 P, Q의 위치가 같을 때, f(t)=g(t)에서 v=
dx
dt
=3tÛ`-2kt+10
tÜ`+3tÛ`-6t-9=tÛ`+5t+3
이고,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tÜ`+2tÛ`-11t-12=0
dv
(t+4)(t+1)(t-3)=0 a= =6t-2k
dt
t¾0이므로 t=3 시각 t=2에서의 점 P의 가속도가 0이므로
시각 t에서의 두 점 P, Q의 속도를 각각 vÁ(t), vª(t)라 하면 12-2k=0에서 k=6
vÁ(t)=f '(t)=3tÛ`+6t-6 따라서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가
vª(t)=g '(t)=2t+5 v=3tÛ`-12t+10
시각 t=3에서 두 점 P, Q의 속도는 각각 이므로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속도는
p=vÁ(3)=27+18-6=39 12-24+10=-2
q=vª(3)=6+5=11  ⑤
따라서 p-q=39-11=28
 ⑤
68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dx
v= =-3tÛ`+2kt+8
dt
64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점 P의 시각 t=4에서의 속도가 0이므로
dx
v= =3tÛ`-12t+7=3(t-2)Û`-5 -48+8k+8=0에서 8k-40=0, k=5
dt
이므로 속도 v는 t=2일 때 최소이다. 그러므로 v=-3tÛ`+10t+8

정답과 풀이 7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79 22. 11. 9. 오전 11:00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72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dv dx
a= =-6t+10 v= =3tÛ`+6t-24
dt dt
이므로 점 P의 시각 t=5에서의 가속도는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 점 P의 속도는 0이므로
-30+10=-20 3tÛ`+6t-24=0, 3(t+4)(t-2)=0
 ① t¾0이므로 t=2
따라서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위치는
8+12-48+20=-8
69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②
dx
v= =3tÛ`-8t+3
dt
시각 t=k에서 점 P의 위치와 속도의 합이 0이므로 73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vÁ(t), vª(t)라 하면
(kÜ`-4kÛ`+3k-6)+(3kÛ`-8k+3)=0 vÁ(t)=f '(t)=tÛ`-6t-7
kÜ`-kÛ`-5k-3=0, (k+1)Û`(k-3)=0 vª(t)=g'(t)=2t-6
k¾0이므로 k=3 두 점 P와 Q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려면 속도의 부호가 서로 달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라야 하므로
dv vÁ(t)_vª(t)=(tÛ`-6t-7)(2t-6)
a= =6t-8
dt
=2(t+1)(t-3)(t-7)<0
따라서 점 P의 시각 t=3에서의 가속도는
이때 t¾0에서 t+1>0이므로 3<t<7
18-8=10
따라서 b-a의 최댓값은 7-3=4
 ④
 ②

70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74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vÁ(t), vª(t)라 하면


dx vÁ(t)=f '(t)=3atÛ`-4t
v= =4tÜ`+3ptÛ`+2qt
dt vª(t)=g'(t)=2at-5
점 P의 시각 t=1에서의 속도가 5이므로
시각 t=1에서 두 점 P와 Q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려면
4+3p+2q=5, 3p+2q=1 yy ㉠
vÁ(1)_ vª(1)=(3a-4)(2a-5)<0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이어야 하므로 ;3$;<a<;2%;
dv
a= =12tÛ`+6pt+2q
dt 따라서 구하는 정수 a의 값은 2이다.
점 P의 시각 t=1에서의 가속도가 4이므로
 2
12+6p+2q=4, 6p+2q=-8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p=-3, q=5
따라서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는 75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x=tÝ`-3tÜ`+5tÛ` dx
v= =3tÛ`-18t+24=3(t-2)(t-4)
dt
이므로 시각 t=2에서의 위치는
점 P의 운동 방향은 t=2, t=4일 때 바뀌므로 출발 후 두 번째로 운동
16-24+20=12
방향이 바뀌는 시각은 t=4이다.
 ①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dv
a= =6t-18
dt
71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따라서 t=4에서 점 P의 가속도는
dx 24-18=6
v= =6tÛ`-6t-12
dt
 ②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 점 P의 속도는 0이므로
6tÛ`-6t-12=0, 6(t+1)(t-2)=0
t¾0이므로 t=2 76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dx
v= =tÛ`+2pt+q
dt
dv
a= =12t-6 점 P가 시각 t=3에서 운동 방향을 바꾸므로 시각 t=3에서 점 P의 속
dt
이므로 t=2일 때 점 P의 가속도는 도는 0이다. 즉,
24-6=18 9+6p+q=0 yy ㉠
 ⑤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8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0 22. 11. 9. 오전 11:00


dv 따라서 시각 t=3에서 점 P의 위치는
a= =2t+2p
dt
2_3_1_(-1)=-6
시각 t=3에서 점 P의 가속도가 -2이므로
 ⑤
6+2p=-2에서 p=-4 yy ㉡
㉡을 ㉠에 대입하면 q=15
그러므로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와 가속도 a는 각각
v=tÛ`-8t+15
본문 88쪽
a=2t-8 서술형 완성하기
점 P의 가속도가 4인 시각은
01 -4 02 155 03 2 04 5 05 5
2t-8=4에서 2t=12, t=6
06 10
따라서 시각 t=6에서의 점 P의 속도는
36-48+15=3
 ② 01 f(x)=xÜ`-;2(;xÛ`+a에서
f '(x)=3xÛ`-9x=3x(x-3)
77 ㄱ. v(a)<0, v(e)<0이므로 시각 t=a일 때와 시각 t=e일 때 f '(x)=0에서 x=0 또는 x=3
점 P의 운동 방향은 서로 같다. (참)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ㄴ. t =b와 t=d의 좌우에서 v(t)의 부호가 바뀌므로 점 P는 시각 음과 같다.
t=b와 시각 t=d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참) x -1 y 0 y 3
 '( f)>0이므로 시각 t=f에서 점 P의 가속도는 0이 아니다. (거짓)
ㄷ. v f '(x) + 0 - 0
yy ➊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f(x) a-;;Á2Á;; ↗ a ↘ a-;;ª2¦;;
 ③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 a를 갖고,
78 시각 t=1에서의 점 P의 운동 방향과 시각 t=n에서의 운동 방 x=3에서 최솟값 a-;;ª2¦;;을 갖는다.
향이 서로 반대이려면 v(1)>0이므로 v(n)<0이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의 값은 7, 8, 9이므로 그 합은 즉, a+{a-;;ª2¦;;}=-;;Á2Á;;에서 2a-;;ª2¦;;=-;;Á2Á;;, a=4 yy ➋
7+8+9=24
따라서 f(x)=xÜ`-;2(;xÛ`+4이므로
  24
f(4)=64-72+4=-4 yy ➌
 -4
79 ㄱ. 0<t<e에서 시각 t=b일 때 |x(t)|의 값이 가장 크므로 점 

P가 원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참)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0, x'(c)<0이므로 시각 t=a일 때 점 P의 속도는 시각
ㄴ. x ➊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낸 경우 40`%
t=c일 때 점 P의 속도보다 크다. (참) ➋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d)=0이고 t=d의 좌우에서 x'(t)의 부호가 바뀌므로 점 P는
ㄷ. x ➌ f(4)의 값을 구한 경우 20`%
시각 t=d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02 점 P의 x좌표를 a라 하면 점 P는 제1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0<a<2이고, 점 P의 좌표는 (a, -aÛ`+4)이다.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 H의 좌표는 (a, 0)이므로 삼각형
80 x(t)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AHP의 넓이를 f(a)라 하면
x(t)=pt(t-2)(t-4)`( p는 p>0인 상수)
f(a)=;2!;_AHÓ_PHÓ=;2!;_(a+2)_(-aÛ`+4)
라 하자.
x(t)=p(tÜ`-6tÛ`+8t)이므로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 v는 =-;2!;aÜ`-aÛ`+2a+4 yy ➊
dx
v= =p(3tÛ`-12t+8)
dt f '(a)=-;2#;aÛ`-2a+2=-;2!;(a+2)(3a-2)
이고, 시각 t에서의 점 P의 가속도 a는
dv 0<a<2이므로 f '(a)=0에서 a=;3@;
a= =p(6t-12)
dt
0<a<2에서 함수 f(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시각 t=k에서 점 P의 가속도가 0이므로
6k-12=0에서 k=2 a (0) y ;3@; y (2)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속도가 -8이므로 f '(a) + 0 - yy ➋
p(12-24+8)=-8에서
f(a) ↗ ;;Á2ª7¥;; ↘
-4p=-8, p=2

정답과 풀이 8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1 22. 11. 9. 오전 11:00


이때 0<a<2에서 함수 f(a)는 a=;3@;에서 최댓값 ;;Á2ª7¥;; 을 갖는다. 이 성립해야 한다. yy ➊
f(x)=2xÜ`-9xÛ`+32-a라 하면
따라서 삼각형 AHP의 넓이의 최댓값이 ;;Á2ª7¥;; 이므로
f '(x)=6xÛ`-18x=6x(x-3)
p=27, q=128에서 p+q=155 yy ➌ f '(x)=0에서 x=0 또는 x=3
  155 x¾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 0 y 3 y
➊ 삼각형의 넓이를 f(a)로 나타낸 경우 30`% f '(x) 0 - 0 + yy ➋
➋ 함수 f(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낸 경우 40`% f(x) 32-a ↘ 5-a ↗
➌ 최댓값과 p+q의 값을 구한 경우 30`% x¾0에서 함수 f(x)는 x=3에서 최솟값 5-a를 갖는다.
그러므로 x¾0에서 부등식 2xÜ`-9xÛ`+32-a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03 k는 양수이므로 8+2k>4 5-a¾0, 즉 aÉ5

그러므로 점 (2, 4)는 곡선 y=xÜ`+kx 위의 점이 아니다. 이어야 한다.

f(x)=xÜ`+kx라 하면 따라서 모든 자연수 a는 1, 2, 3, 4, 5이므로 그 개수는 5이다.

f '(x)=3xÛ`+k  yy ➌

접점의 좌표를 (a, aÜ`+ka)라 하면 이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5

f '(a)=3aÛ`+k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단계 채점 기준 비율


y-(aÜ`+ka)=(3aÛ`+k)(x-a) ➊ 주어진 등식이 성립하도록 하는 조건을 찾은 경우 30`%
y=(3aÛ`+k)x-2aÜ` ➋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낸 경우 40`%
이 직선이 점 (2, 4)를 지나므로 ➌ 모든 자연수 a의 개수를 구한 경우 30`%
4=-2aÜ`+6aÛ`+2k
aÜ`-3aÛ`+2-k=0 yy ➊
점 (2, 4)에서 곡선 y=xÜ`+kx에 그은 접선의 개수가 2이려면 a에 대
한 삼차방정식 aÜ`-3aÛ`+2-k=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2이어
야 한다.
05 g(x)+kÉf(x)Ég(x)+3k에서
kÉf(x)-g(x)É3k yy ➊
g(a)=aÜ`-3aÛ`+2-k라 하면
h(x)=f(x)-g(x)=;3!;xÜ`+;2!;xÛ`-2x+5라 하면
g'(a)=3aÛ`-6a=3a(a-2)
g'(a)=0에서 a=0 또는 a=2 h'(x)=xÛ`+x-2=(x+2)(x-1)
함수 g(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x)=0에서 x=-2 또는 x=1

a y 0 y 2 y 0ÉxÉ2에서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a) + 0 - 0 + x 0 y 1 y 2
g(a) ↗ 2-k ↘ -2-k ↗ h'(x) - 0 +

함수 g(a)는 a=0에서 극댓값 2-k, a=2에서 극솟값 -2-k를 갖 h(x) 5 ↘ ;;ª6£;; ↗ ;;Á3¦;;
는다. yy ➋
0ÉxÉ2에서 함수 y=h(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삼차방정식 g(a)=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y y=h(x)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Á3¦:
5
(2-k)(-2-k)=0
:ª6£:
k=-2 또는 k=2 yy ➋

따라서 양수 k의 값은 2이다. yy ➌
 2
O 1 2 x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접선의 방정식과 a에 대한 삼차방정식을 구한 경우 40`% 0ÉxÉ2에서 ;;ª6;£ ;Éh(x)É;;Á3;¦ ;이므로 kÉh(x)É3k를 만족시키려면
➋ 함수 g(a)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구한 경우 40`%
kÉ;;ª6£;;, 3k¾;;Á3¦;;
➌ 양수 k의 값을 구한 경우 20`%
이어야 한다.

따라서 ;;Á9¦;;ÉkÉ;;ª6£;;이어야 하므로 구하는 자연수 k의 값은 2, 3이고


04 x¾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xÜ`-9xÛ`+32-a|=2xÜ`-9xÛ`+32-a 그 합은
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x¾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2+3=5 yy ➌
2xÜ`-9xÛ`+32-a¾0  5

8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2 22. 11. 9. 오전 11:0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또한 f(x)=5에서
➊ 주어진 부등식을 변형한 경우 20`% ;3!;xÜ`-2xÛ`+5=5, ;3!;xÛ`(x-6)=0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
➋ 40`% x=0 또는 x=6
를 그린 경우
즉, f(6)=5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➌ 모든 자연수 k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40`% y y=f(x)
5

06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4
dx O 6 x
v= =3tÛ`-18t+k
dt -:Á3¦:
이고,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dv
a= =6t-18
dt
이므로 점 P의 가속도가 0이 되는 시각은 따라서 닫힌구간 [a, a+3]에서 함수 f(x)=;3!;xÜ`-2xÛ`+5의 최댓값

6t-18=0에서 t=3 yy ➊ 이 5가 되도록 하는 모든 정수 a는 -3, -2, -1, 0, 3이므로 그 개수


시각 t=3에서의 위치는 는 5이다.
27-81+3k+k=4k-54  ③
시각 t=3에서의 속도는
27-54+k=k-27
02 f(x)=3xÝ`-4xÜ`-24xÛ`+48x+2a에서
즉, 4k-54=k-27에서 f '(x)=12xÜ`-12xÛ`-48x+48
3k=27, k=9 yy ➋ =12(x+2)(x-1)(x-2)
따라서 x=tÜ`-9tÛ`+9t+9이므로 시각 t=1에서 점 P의 위치는 f '(x)=0에서 x=-2 또는 x=1 또는 x=2
1-9+9+9=10 yy 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10
x y -2 y 1 y 2 y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 '(x) - 0 + 0 - 0 +
속도 v, 가속도 a와 가속도가 0이 되는 시각을 구한 f(x) ↘ 극소 ↗ 극대 ↘ 극소 ↗
➊ 30`%
경우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a=1
➋ 상수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그러므로 f(x)=3xÝ`-4xÜ`-24xÛ`+48x+2이고
➌ 시각 t=1에서 점 P의 위치를 구한 경우 30`% f(-2)=48+32-96-96+2=-110
f(2)=48-32-96+96+2=18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110을 갖는다.
 ⑤

03 f(x)=xÜ`-3xÛ`-9x에서
f '(x)=3xÛ`-6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본문 89~90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x y -1 y 3 y
f '(x) + 0 - 0 +
01 ③ 02 ⑤ 03 140 04 ② 05 ④
f(x) ↗ 5 ↘ -27 ↗
06 9 07 ② 08 ⑤
한편, f(x)=f(-1)에서
xÜ`-3xÛ`-9x=5
01 f(x)=;3!;xÜ`-2xÛ`+5에서 xÜ`-3xÛ`-9x-5=0, (x+1)Û`(x-5)=0
f '(x)=xÛ`-4x=x(x-4) x=-1 또는 x=5
f '(x)=0에서 x=0 또는 x=4 즉, f(-1)=f(5)=5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f(3)에서

x y 0 y 4 y xÜ`-3xÛ`-9x=-27
f '(x) + 0 - 0 + xÜ`-3xÛ`-9x+27=0, (x-3)Û`(x+3)=0
x=-3 또는 x=3
f(x) ↗ 5 ↘ -;;Á3¦;; ↗
즉, f(-3)=f(3)=-27

정답과 풀이 8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3 22. 11. 9. 오전 11:00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05 두 점 O, A(3, 6)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y=f(x) y=2x
-3 5 3 곡선 y=f(x)와 선분 OA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려면
-1 O 5 x
방정식 xÜ`-10x+k=2x가 0ÉxÉ3에서 하나의 실근을 가지면 된다.
즉, xÜ`-10x+k=2x에서
xÜ`-12x=-k
g(x)=xÜ`-12x라 하면 함수 y=g(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27
0ÉxÉ3에서 한 점에서 만나면 된다.
닫힌구간 [-1, 2]에서
g'(x)=3xÛ`-12=3(x+2)(x-2)
함수 f(x)의 최댓값은 f(-1)=5, 최솟값은 f(2)=-22이므로
g'(x)=0에서 x=-2 또는 x=2
g(1)=5-(-22)=27
0ÉxÉ3에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닫힌구간 [-2, 4]에서
x 0 y 2 y 3
함수 f(x)의 최댓값은 f(-1)=5, 최솟값은 f(3)=-27이므로
g '(x) - 0 +
g(2)=5-(-27)=32
g(x) 0 ↘ -16 ↗ -9
닫힌구간 [-3, 6]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f(6)=54, 최솟값은 f(3)=-27이므로 함수 g(x)는 x=2에서 극솟값 -16을 가지므로
g(3)=54-(-27)=81 0ÉxÉ3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y
2 3
g(1)+g(2)+g(3)=27+32+81=140 O x

  140 y=-k

-9
y=g(x)

-16
04 f(x)=xÜ`+6xÛ`+3이라 하면
0ÉxÉ3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한 점에서 만
f '(x)=3xÛ`+12x
나려면 -9<-kÉ0 또는 -k=-16이어야 하므로
접점의 좌표를 (a, aÜ`+6aÛ`+3)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0Ék<9 또는 k=16
f '(a)=3aÛ`+12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모든 정수 k는 0, 1, 2, 3, y, 8, 16이고 그 개수는 10이다.
y-(aÜ`+6aÛ`+3)=(3aÛ`+12a)(x-a)
 ④
y=(3aÛ`+12a)x-2aÜ`-6aÛ`+3
이 직선이 점 (1, k)를 지나므로
k=-2aÜ`-3aÛ`+12a+3 06 xÜ`+3xÛ`¾kx-5에서
xÜ`+3xÛ`+5¾kx
점 (1, k)를 지나고 곡선 y=xÜ`+6xÛ`+3에 접하는 서로 다른 직선의
f(x)=xÜ`+3xÛ`+5, g(x)=kx라 하면
개수가 3이려면 a에 대한 삼차방정식 2aÜ`+3aÛ`-12a+k-3=0이 서
f '(x)=3xÛ`+6x=3x(x+2)
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f '(x)=0에서 x=-2 또는 x=0
g(a)=2aÜ`+3aÛ`-12a+k-3이라 하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a)=6aÛ`+6a-12=6(a+2)(a-1)
g'(a)=0에서 a=-2 또는 a=1 x y -2 y 0 y

함수 g(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 + 0 - 0 +


f(x) ↗ 9 ↘ 5 ↗
a y -2 y 1 y
g '(a) + 0 - 0 + 직선 y=g(x)는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x¾0일 때 f(x)¾g(x)
g(a) ↗ k+17 ↘ k-10 ↗ 이려면 그림과 같이 x¾0에서 곡선 y=f(x)와 직선 y=g(x)가 만나
지 않거나 접해야 한다.
함수 g(a)는 a=-2에서 극댓값 k+17, a=1에서 극솟값 k-10을
y
갖는다.
y=g(x)
삼차방정식 g(a)=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극댓값)_(극솟값)<0이어야 하므로
(k+17)(k-10)<0
-17<k<10 O x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9, 최솟값은 -16이므로 그 합은 y=f(x)

9+(-16)=-7 그러므로 x¾0에서 부등식 f(x)¾g(x)를 만족시키는 실수 k는 곡선


 ② y=f(x)와 직선 y=g(x)가 접할 때 최대이다.

8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4 22. 11. 9. 오전 11:00


접점의 좌표를 (a, aÜ`+3aÛ`+5)라 하면 이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f '(a)=3aÛ`+6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III. 적분
y-(aÜ`+3aÛ`+5)=(3aÛ`+6a)(x-a)
y=(3aÛ`+6a)x-2aÜ`-3aÛ`+5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2aÜ`+3aÛ`-5=0
본문 93~95쪽
(a-1)(2aÛ`+5a+5)=0 개념 확인하기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2aÛ`+5a+5>0이므로 a=1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9x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양
01 3x+C 02 xÛ`+C 03 -xÜ`+C
수 k의 최댓값은 9이다. 04 xÝ`+C 05 2x+4 06 -xÛ`+2x
 9 07 2xÜ`-3x+1 08 3x+6 09 x-3
10 xÛ`-2x 11 xÛ`-2x+C 12 xÜ`-3xÛ`+4x
07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13 xÜ`-3xÛ`+4x+C 14 ;3!;xÜ`+C 15 ;6!;xß`+C
dx
v= =4tÜ`+3atÛ`+2bt
dt 16 ;1Á1;x11+C 17 ;10!0;x100+C 18 xÛ`-3x+C
이고, 시각 t=1, t=2에서 점 P의 운동 방향이 바뀌므로 시각 t=1,
t=2에서 점 P의 속도는 0이다. 19 xÜ`-2xÛ`+2x+C 20 -;2!;xÝ`+xÜ`+x+C
즉, 4+3a+2b=0, 32+12a+4b=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b=4 21 3xÜ`-6xÛ`+4x+C 22 2xÝ`+4xÜ`+3xÛ`+x+C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는
23 ;4!;xÝ`-8x+C 24 ;4!;xÝ`+xÜ`-;2!;xÛ`-3x+C
x=tÝ`-4tÜ`+4tÛ`+c
시각 t=1에서 점 P의 위치는 6이므로 25 ;2!;xÛ`+2x+C 26 ;3!;xÜ`+x+C
1-4+4+c=6에서 c=5
따라서 시각 t=3에서 점 P의 위치는 27 ;4!;xÝ`+x+C 28 ;3!;xÜ`-;2!;xÛ`+x+C
81-108+36+5=14
29 ;3!; 30 10 31 3 32 0 33 0
 ②
34 5 35 -4 36 32 37 ;;Á3¦;; 38 ;3@;
08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dx 39 ;;Á3¼;; 40 -12 41 ;;Á2°;; 42 0 43 ;;Á3¤;;
v= =4tÜ`-18tÛ`+2pt+2p
dt
이고,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는 44 -2 45 ;1%5^; 46 -4 47 ;;ª3¥;;
=12tÛ`-36t+2p=12{t-;2#;}2`-27+2p
dv
a=
dt
48 xÛ`-x+2 49 (x-1)(xÛ`+2x+3)
50 2 51 9
이므로 점 P는 시각 t=;2#;에서 가속도가 최소이다.

01 : 3dx=3x+C
그러므로 k=;2#;

시각 t=3에서의 점 P의 위치는   3x+C


81-162+9p+6p-1=15p-82

02 : 2xdx=xÛ`+C
시각 t=3에서의 점 P의 속도는
108-162+6p+2p=8p-54
  xÛ`+C
즉, 15p-82=8p-54에서 7p=28
따라서 p=4
 ⑤
03 :`(-3xÛ`)dx=-xÜ`+C
  -xÜ`+C

04 : 4xÜ`dx=xÝ`+C
  xÝ`+C

05 f (x)=(xÛ`+4x+C)'=2x+4
  2x+4

정답과 풀이 8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5 22. 11. 9. 오전 11:00


06 f(x)={-;3!;xÜ`+xÛ`+C}'=-xÛ`+2x 17 : x dx=;10!0;x100+C
99

  -xÛ`+2x
  ;10!0;x100+C

07 f(x)={;2!;xÝ`-;2#;xÛ`+x+C}'=2xÜ`-3x+1
  2xÜ`-3x+1 18 : (2x-3)dx=: 2xdx-: 3dx
=2: xdx-3: dx
08 x f(x)=(xÜ`+3xÛ`+C)'=3xÛ`+6x
f(x)가 다항함수이므로 f(x)=3x+6 =xÛ`-3x+C
  3x+6   xÛ`-3x+C

09 (x-1)f(x)={;3!;xÜ`-2xÛ`+3x+C}' 19 : (3xÛ`-4x+2)dx=: 3xÛ`dx-: 4xdx+: 2dx


=xÛ`-4x+3=(x-1)(x-3)
=3: xÛ`dx-4: xdx+2: dx
f(x)가 다항함수이므로 f(x)=x-3
=xÜ`-2xÛ`+2x+C
  x-3
  xÜ`-2xÛ`+2x+C

[ :`f(x)dx]=f(x)이므로
20 : (-2xÜ`+3xÛ`+1)dx=: (-2xÜ`)dx+: 3xÛ`dx+: 1dx
d
10 dx

[ :`(xÛ`-2x)dx]=xÛ`-2x
d
dx
=-2: xÜ`dx+3: xÛ`dx+: dx
  xÛ`-2x
=-;2!;xÝ`+xÜ`+x+C

:[
d
11 dx
`f(x)]dx=f(x)+C이므로
  -;2!;xÝ`+xÜ`+x+C

:[
d
(xÛ`-2x)]dx=xÛ`-2x+C

21 : (3x-2)Û`dx=: (9xÛ`-12x+4)dx
dx
  xÛ`-2x+C

[ :`f(x)dx]=f(x)이므로
=: 9xÛ`dx-: 12xdx+: 4dx
d
12 dx

[ :`(xÜ`-3xÛ`+4x)dx]=xÜ`-3xÛ`+4x
=9: xÛ`dx-12: xdx+4: dx
d
dx =3xÜ`-6xÛ`+4x+C
  xÜ`-3xÛ`+4x   3xÜ`-6xÛ`+4x+C

13 : [ dx
d
`f(x)]dx=f(x)+C이므로
22 : (2x+1)Ü`dx=: (8xÜ`+12xÛ`+6x+1)dx
:[
d
(xÜ`-3xÛ`+4x)]dx=xÜ`-3xÛ`+4x+C =: 8xÜ`dx+: 12xÛ`dx+: 6xdx+: 1dx
dx
  xÜ`-3xÛ`+4x+C
=8: xÜ`dx+12: xÛ`dx+6: xdx+: dx

14 : xÛ`dx=;3!;xÜ`+C
=2xÝ`+4xÜ`+3xÛ`+x+C
  2xÝ`+4xÜ`+3xÛ`+x+C
  ;3!;xÜ`+C

23 : (x-2)(xÛ`+2x+4)dx=: (xÜ`-8)dx
15 : xÞ`dx=;6!;xß`+C =: xÜ`dx-: 8dx
  ;6!;xß`+C
=: xÜ`dx-8: dx

16 : x 10
dx=;1Á1;x11+C =;4!;xÝ`-8x+C

  ;1Á1;x11+C   ;4!;xÝ`-8x+C

8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6 22. 11. 9. 오전 11:00


24 : (x-1)(x+1)(x+3)dx 28 :  x+1
xÜ`
dx+:  
1
x+1
dx=: {
xÜ`
+
x+1 x+1
1
}dx

xÜ`+1
=: (xÛ`-1)(x+3)dx =:   dx
x+1
(x+1)(xÛ`-x+1)
=: (xÜ`+3xÛ`-x-3)dx =:   dx
x+1

=: xÜ`dx+: 3xÛ`dx-: xdx-: 3dx =: (xÛ`-x+1)dx

=: xÜ`dx+3: xÛ`dx-: xdx-3: dx =: xÛ`dx-: xdx+: 1dx

=;4!;xÝ`+xÜ`-;2!;xÛ`-3x+C =;3!;xÜ`-;2!;xÛ`+x+C

  ;4!;xÝ`+xÜ`-;2!;xÛ`-3x+C   ;3!;xÜ`-;2!;xÛ`+x+C

25 :  xÛx-2
`-4
dx=:  
(x-2)(x+2)
dx
29 :)1``xÛ`dx=[;3!;xÜ`]1)=;3!;
x-2
  ;3!;
=: (x+2)dx

30 :!3``(2x+1)dx=[xÛ`+x]3!
=: xdx+: 2dx

=: xdx+2: dx =(9+3)-(1+1)=10

=;2!;xÛ`+2x+C   10

 ;2!;xÛ`+2x+C
31 :_2!`(3tÛ`-4t)dt=[tÜ`-2tÛ`]2_!


26 : (x-1)Û`dx+: 2xdx=: {(x-1)Û`+2x}dx


=(8-8)-(-1-2)=3

 3

32 :_1@`(1+u)(1-u)du=:_1@`(1-uÛ`)du
=: {(xÛ`-2x+1)+2x}dx

=[u-;3!;uÜ`]1_@
=: (xÛ`+1)dx

=: xÛ`dx+: 1dx
={1-;3!;}-{-2+;3*;}=0
=;3!;xÜ`+x+C
 0

 ;3!;xÜ`+x+C

33 :@2``(xÛ`-x+2)dx=0


27 : (x+1)Ü`dx-3: (xÛ`+x)dx
 0

=: (x+1)Ü`dx-: 3(xÛ`+x)dx 34 :!0``(3xÛ`-2x-5)dx=-:)1``(3xÛ`-2x-5)dx


=: {(x+1)Ü`-3(xÛ`+x)}dx =-[xÜ`-xÛ`-5x]1)

=-{(1-1-5)-0}=5
=: {(xÜ`+3xÛ`+3x+1)-(3xÛ`+3x)}dx
 5
=: (xÜ`+1)dx

35 :) (-xÜ`+3xÛ`-4)dx=-:_0@`(-xÜ`+3xÛ`-4)dx
-2

=: xÜ`dx+: 1dx

=-[-;4!;xÝ`+xÜ`-4x]0_@
=;4!;xÝ`+x+C
=-{0-(-4-8+8)}=-4
  ;4!;xÝ`+x+C   -4

정답과 풀이 8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7 22. 11. 9. 오전 11:00


36 :# 40 :_3! (x-2)Ü`dx+6:_3! x(x-2)dx
-1
(t+3)(tÛ`-3t-1)dt

=-:_3!`(t+3)(tÛ`-3t-1)dt =:_3! (xÜ`-6xÛ`+12x-8)dx+6:_3! (xÛ`-2x)dx

=-:_3!`(tÜ`-10t-3)dt =:_3! (xÜ`-6xÛ`+12x-8)dx+:_3! (6xÛ`-12x)dx

=-[;4!;tÝ`-5tÛ`-3t]3_! =:_3! {(xÜ`-6xÛ`+12x-8)+(6xÛ`-12x)}dx

=-[{;;¥4Á;;-45-9}-{;4!;-5+3}]=32 =:_3! (xÜ`-8)dx

=[;4!;xÝ`-8x]3_!
  32

={;;¥4Á;;-24}-{;4!;+8}=-12
37 :!2` (x-1)Û`dx+:!2``x(x+2)dx   -12

=:!2` (xÛ`-2x+1)dx+:!2` (xÛ`+2x)dx

=:!2` {(xÛ`-2x+1)+(xÛ`+2x)}dx
41 :_0! (3x+1)dx+:)2` (3x+1)dx=:_2! (3x+1)dx
=[;2#;xÛ`+x]2_!
=:!2` (2xÛ`+1)dx

=[;3@;xÜ`+x]2!
=(6+2)-{;2#;-1}

=;;Á2°;;
={;;Á3¤;;+2}-{;3@;+1}=;;Á3¦;;
  ;;Á2°;;
  ;;Á3¦;;

42 :!0``{;2!;xÛ`+x-1}dx+:)1``{;2!;xÛ`+x-1}dx
38 :_0@`(x+1)(2x+3)dx-:_0@`(x+1)(x+3)dx =:!1``{;2!;xÛ`+x-1}dx
=:_0@`(2xÛ`+5x+3)dx-:_0@`(xÛ`+4x+3)dx =0

=:_0@`{(2xÛ`+5x+3)-(xÛ`+4x+3)}dx
 0

=:_0@`(xÛ`+x)dx
다른 풀이

:!0``{;2!;xÛ`+x-1}dx+:)1``{;2!;xÛ`+x-1}dx

=[;3!;xÜ`+;2!;xÛ`]0_@ =-:)1``{;2!;xÛ`+x-1}dx+:)1``{;2!;xÛ`+x-1}dx

=0-{-;3*;+2}=;3@; =0

43 :_2! (xÛ`-3x+2)dx+:@3` (tÛ`-3t+2)dt


  ;3@;

=:_2! (xÛ`-3x+2)dx+:@3` (xÛ`-3x+2)dx

39 :!3` (x-1)(xÛ`+1)dx-:!3` (x+1)(xÛ`-x-1)dx =:_3! (xÛ`-3x+2)dx


=:!3` (xÜ`-xÛ`+x-1)dx-:!3` (xÜ`-2x-1)dx
=[;3!;xÜ`-;2#;xÛ`+2x]3_!
=:!3` {(xÜ`-xÛ`+x-1)-(xÜ`-2x-1)}dx
={9-;;ª2¦;;+6}-{-;3!;-;2#;-2}=;;Á3¤;;
=:!3` (-xÛ`+3x)dx
 ;;Á3¤;;
=[-;3!;xÜ`+;2#;xÛ`]3!


={-9+;;ª2¦;;}-{-;3!;+;2#;}=;;Á3¼;; 44 :)1``{;2!;xÜ`-4x+2}dx-:@1``{;2!;xÜ`-4x+2}dx
  ;;Á3¼;; =:)1``{;2!;xÜ`-4x+2}dx+:!2``{;2!;xÜ`-4x+2}dx

8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8 22. 11. 9. 오전 11:00


=:)2``{;2!;xÜ`-4x+2}dx 50 F(x)=: (3xÛ`-1)dx라 하면
=[;8!;xÝ`-2xÛ`+2x]2)
F'(x)=3xÛ`-1이므로

lim ;h!; :!
1+h F(1+h)-F(1)
(3xÛ`-1)dx=lim
=(2-8+4)-0=-2 h`Ú0 h`Ú0 h
  -2 =F'(1)
=3-1=2

45 :_1! (xÝ`+2xÛ`+1)dx=2:)1` (xÝ`+2xÛ`+1)dx


 2

=2[;5!;xÞ`+;3@;xÜ`+x]1)
51 F(x)=: (x+1)(xÛ`-1)dx라 하면
=2{;5!;+;3@;+1}=;1%5^; F'(x)=(x+1)(xÛ`-1)이므로

:@/` (t+1)(tÛ`-1)dt=lim
1 F(x)-F(2)
lim
  ;1%5^; x`Ú2 x-2 x`Ú2 x-2
=F'(2)

:_2@ (xÜ`+3xÛ`+2x)dx-:_2@ (3xÛ`+2x+1)dx


=3_3=9
46  9

=:_2@ {(xÜ`+3xÛ`+2x)-(3xÛ`+2x+1)}dx

=:_2@ (xÜ`-1)dx

=:_2@ xÜ`dx-:_2@ 1dx


본문 96~112쪽
유형 완성하기

=0-2:)2``1dx
01 ③ 02 ③ 03 40 04 7 05 1
06 5 07 ④ 08 16 09 ③ 10 ③
=-2[x]2)=-2_2=-4
11 7 12 ② 13 ⑤ 14 64 15 ③
16 ⑤ 17 ⑤ 18 ③ 19 35 20 10
  -4
21 30 22 ② 23 ④ 24 5 25 ②
26 ④ 27 ① 28 ② 29 ② 30 4
47 :_2@ (xÛ`+1)(xÜ`-2x+1)dx 31 ② 32 ④ 33 ① 34 3 35 ⑤
=:_2@ (xÞ`-xÜ`+xÛ`-2x+1)dx
36 ① 37 31 38 5 39 13 40 ⑤
41 ③ 42 ① 43 ② 44 ⑤ 45 32
=:_2@ (xÞ`-xÜ`-2x)dx+:_2@ (xÛ`+1)dx 46 ② 47 ⑤ 48 ④ 49 2 50 ②
=0+2:)2` (xÛ`+1)dx
51 3 52 ① 53 ④ 54 ③ 55 ⑤
56 ④ 57 21 58 38 59 7 60 ⑤
=2[;3!;xÜ`+x]2) 61 4 62 ④ 63 ① 64 ③ 65 4
66 ⑤ 67 ② 68 18 69 ③ 70 ④
=2{;3*;+2}=;;ª3¥;;
71 ② 72 ④ 73 ④ 74 ① 75 ③
  ;;ª3¥;; 76 ③ 77 3 78 16 79 10 80 ②
81 ③ 82 ① 83 ⑤ 84 ④ 85 21

:A/`` f(t)dt=f(x)이므로
d
86 ② 87 ⑤ 88 ② 89 ⑤ 90 ②
48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dx 91 ② 92 10 93 44 94 ⑤ 95 11
:)/` (tÛ`-t+2)dt=xÛ`-x+2 96 ⑤ 97 ① 98 ① 99 ④ 100 ⑤
d
dx
101 ④ 102 ③ 103 ④ 104 ⑤ 105 ④
  xÛ`-x+2
106 ② 107 ② 108 6 109 ⑤ 110 ③

:A/`` f(t)dt=f(x)이므로
111 3 112 9
d
49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dx
d
dx
:!/` (t-1)(tÛ`+2t+3)dt=(x-1)(xÛ`+2x+3) 01 : f(x)dx=xÜ`-3x+4에서

  (x-1)(xÛ`+2x+3) f(x)=(xÜ`-3x+4)'=3xÛ`-3

정답과 풀이 8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89 22. 11. 9. 오전 11:00


: (2xÛ`+ax-2)dx=2xÛ`+ax-2
따라서 f(2)=12-3=9 d
06 dx
 ③
이므로
2xÛ`+ax-2=(2x-1)(x+b)
02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F(x)=2xÛ`-x+6 2xÛ`+ax-2=2xÛ`+(2b-1)x-b
F'(x)=f(x)이므로 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f(x)=F'(x)=4x-1 a=2b-1, -2=-b
따라서 f(3)=12-1=11 따라서 a=3, b=2이므로
 ③ a+b=3+2=5
 5
03 함수 f(x)의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07 f(x)=: [ dx
f(x)=F '(x)=(2xÜ`+xÛ`-1)'=6xÛ`+2x
{;3!;xÜ`-3x}]dx
d
함수 f(x)의 부정적분 F(x), G(x)에 대하여
F(x)-G(x)=k (k는 상수)
=;3!;xÜ`-3x+C (단, C는 적분상수)
이고 G(0)=2이므로
k=F(0)-G(0)=-1-2=-3 f(3)=2에서
그러므로 f(3)=9-9+C=2, C=2
G(x)=F(x)-k 따라서 f(x)=;3!;xÜ`-3x+2이므로
=(2xÜ`+xÛ`-1)-(-3)
f(1)=;3!;-3+2=-;3@;
=2xÜ`+xÛ`+2
따라서  ④
f(1)_G(1)=(6+2)_(2+1+2)=8_5=40

: (xÜ`+xÛ`-12)dx  
 40 d

08 (x-2)f(x)= dx yy ㉠

: (xÜ`+xÛ`-12)dx=xÜ`+xÛ`-12
04 : (x-1)f(x)dx=;3!;xÜ`+axÛ`-5x에서
d
dx
=(x-2)(xÛ`+3x+6)
(x-1)f(x)={;3!;xÜ`+axÛ`-5x}' 이므로 ㉠에서
(x-2)f(x)=(x-2)(xÛ`+3x+6)
=xÛ`+2ax-5
f(x)는 다항함수이므로
즉, (x-1)f(x)=xÛ`+2ax-5   yy ㉠
f(x)=xÛ`+3x+6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f(2)=4+6+6=16
0=1+2a-5, a=2
㉠에서   16

: (xÜ`+ax+b)dx=xÜ`+ax+b
(x-1)f(x)=xÛ`+4x-5=(x-1)(x+5)
d
f(x)는 다항함수이므로 f(x)=x+5 09 f(x)= dx
따라서 f(a)=f(2)=2+5=7
f(1)=0에서 1+a+b=0
 7
a+b=-1 yy ㉠
f(2)=0에서 8+2a+b=0

: { f(x)-g(x)}dx=f(x)-g(x)
2a+b=-8 yy ㉡
d
05 g(x)= dx ㉠, ㉡을 연립하여 풀면
이므로 a=-7, b=6

2g(x)=f(x), 즉 g(x)=;2!; f(x)   yy ㉠ 따라서 f(x)=xÜ`-7x+6이므로


f(3)=27-21+6=12
g(2)=3이므로 ㉠에 x=2를 대입하면
 ③
g(2)=;2!; f(2)=3, f(2)=6

: f(x)dx+: [
d d
f(2)=12-8+a=6, a=2
10 g(x)= dx dx
f(x)]dx
따라서 f(x)=3xÛ`-4x+2이므로 ㉠에서
=f(x)+{f(x)+C}
g(0)=;2!; f(0)=;2!;_2=1
=2 f(x)+C
 1 =-2xÛ`+4x+C (단, C는 적분상수)

9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0 22. 11. 9. 오전 11:00


12 f(x)=: xÜ`+x xÛ`+1
이때
dx+: dx
x-1 1-x

=: {
g(x)=-2(xÛ`-2x+1-1)+C
}dx
xÜ`+x xÛ`+1
=-2(x-1)Û`+2+C +
x-1 1-x

=: {
이므로 함수 g(x)는 x=1에서 최댓값 2+C를 갖는다.
}dx
xÜ`+x xÛ`+1
-
즉, 2+C=5에서 C=3 x-1 x-1

=:
따라서 g(x)=-2xÛ`+4x+3이므로 x(xÛ`+1)-(xÛ`+1)
dx
x-1

=:
g(3)=-18+12+3=-3
(x-1)(xÛ`+1)
 ③ dx
x-1

=: (xÛ`+1)dx
11 f(x)=pxÛ`+qx+r (p, q, r는 상수, p++0)으로 놓으면
g(x)=: [
d =;3!;xÜ`+x+C (단, C는 적분상수)
x f(x)]dx
dx
=x f(x)+C f(2)=;;Á3Á;;이므로 ;3*;+2+C=;;Á3Á;;, C=-1

=pxÜ`+qxÛ`+rx+C (단, C는 적분상수)   yy ㉠


따라서 f(x)=;3!;xÜ`+x-1이므로
g(-x)=-pxÜ`+qxÛ`-rx+C
f(3)=9+3-1=11
이므로 조건 (가)의 g(-x)=-g(x)에서
-pxÜ`+qxÛ`-rx+C=-pxÜ`-qxÛ`-rx-C
 ②

2qxÛ`+2C=0
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3 f(x)=: {xÜ`+;2!;xÛ`+2x}dx-: {xÜ`-;2#;xÛ`}dx
=: [{x`Ü +;2!;xÛ`+2x}-{xÜ`-;2#;xÛ`}]dx
q=0, C=0
㉠에서 g(x)=pxÜ`+rx

=: (2xÛ`+2x)dx
조건 (나)에서
g(x)-xÜ` (pxÜ`+rx)-xÜ`
lim = lim
x`Ú¦ x x`Ú¦ x =;3@;xÜ`+xÛ`+C (단, C는 적분상수)
(p-1)xÜ`+rx
= lim f(0)=2에서 C=2
x`Ú¦ x
= lim {(p-1)xÛ`+r}
x`Ú¦
   yy ㉡ 따라서 f(x)=;3@;xÜ`+xÛ`+2이므로
g(x)-xÜ` f(3)=18+9+2=29
이때 lim =3이므로 ㉡에서
x`Ú¦ x
 ⑤
p=1, r=3

14 f(x)=: (x -1)dx
즉, g(x)=xÜ`+3x이고, f(x)=xÛ`+3
따라서 f(2)=4+3=7 n

 7
1
= xn+1-x+C (단, C는 적분상수)
다른 풀이 n+1
g(x)-xÜ` f(0)=2에서 C=2이므로
조건 (나)에서 lim =3이므로
x`Ú¦ x
1
f(x)= xn+1-x+2
g(x)=xÜ`+3x+k (k는 상수) n+1
로 놓을 수 있다. 조건 (가)에서 f(1)=;5^;에서
g(-x)=-g(x)    yy ㉠
1 1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1+2=;5^;, =;5!;, n=4
n+1 n+1
g(0)=-g(0), 즉 g(0)=0이므로
g(0)=k=0 따라서 f(x)=;5!;xÞ`-x+2이므로

그러므로 g(x)=xÜ`+3x 10_f(2)=10_{:£5ª:-2+2}=10_:£5ª:=64


한편,

g(x)=: [
  64
d
x f(x)]dx=x f(x)+C (단, C는 적분상수)
dx
이고, g(0)=0이므로 C=0
15 f '(x)=2x-6에서
f(x)=: f '(x)dx=: (2x-6)dx
즉, g(x)=x f(x)이므로 x f(x)=xÜ`+3x
f(x)는 이차함수이므로 f(x)=xÛ`+3
따라서 f(2)=4+3=7 =xÛ`-6x+C (단, C는 적분상수)

정답과 풀이 9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1 22. 11. 9. 오전 11:00


이때 함수 f(x)의 최솟값이 -1이므로 f '(x)=4xÜ`-5

f(x)=: f '(x)dx=: (4xÜ`-5)dx


f(x)=xÛ`-6x+C
=(xÛ`-6x+9-9)+C
=(x-3)Û`-9+C =xÝ`-5x+C (단, C는 적분상수)

즉, 함수 f(x)는 x=3에서 최솟값 -9+C를 가지므로 f(1)=0에서

-9+C=-1에서 C=8 1-5+C=0, C=4

따라서 f(x)=xÛ`-6x+8이므로 따라서 f(x)=xÝ`-5x+4이므로


f(5)=25-30+8=3 f(2)=16-10+4=10

 ③
(x-2)(xÛ`+2x-3)
18 f '(x)= xÜ`-7x+6
x-2
=
x-2
16 f '(x)=xÛ`-1에서
f(x)=: f '(x)dx=: (xÛ`-1)dx
=xÛ`+2x-3
이므로

=;3!;xÜ`-x+C (단, C는 적분상수) f(x)=: f '(x)dx=: (xÛ`+2x-3)dx

f(2)=1에서 =;3!;xÜ`+xÛ`-3x+C (단, C는 적분상수)


;3*;-2+C=1, C=;3!; f(3)=3이므로
9+9-9+C=3, C=-6
따라서 f(x)=;3!;xÜ`-x+;3!;이므로
따라서 f(x)=;3!;xÜ`+xÛ`-3x-6이므로
f(3)=9-3+;3!;=:Á3»:
f(4)=;;¤3¢;;+16-12-6=;;°3¥;;
 ⑤
 ③
d
17 dx
{ f(x)+x}=4xÜ`-4에서
19 f '(x)=3xÛ`+ax-1에서
:[
f(x)=: f '(x)dx=: (3xÛ`+ax-1)dx
d
{ f(x)+x}]dx=: (4xÜ`-4)dx
dx
f(x)+x=xÝ`-4x+C (단, C는 적분상수)   yy ㉠
f(1)=0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xÜ`+;2A;xÛ`-x+C (단, C는 적분상수)

0+1=1-4+C, C=4 f(1)=3에서


㉠에서 f(x)+x=xÝ`-4x+4이므로 1+;2A;-1+C=3, ;2A;+C=3    yy ㉠
f(x)=xÝ`-5x+4
f(2)=12에서
따라서 f(2)=16-10+4=10
8+2a-2+C=12, 2a+C=6   yy ㉡
 ⑤
참고 ㉡-㉠을 하면 ;2#;a=3, a=2

㉠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에서 C=2

:[
d 따라서 f(x)=xÜ`+xÛ`-x+2이므로
{f(x)+x}]dx=: (4xÜ`-4)dx   yy`(C)
dx f(3)=27+9-3+2=35
이때
  35
:[
d
{f(x)+x}]dx=f(x)+x+CÁ (단 CÁ은 적분상수)
dx

: (4xÜ`-4)dx=xÝ`-4x+Cª (단, Cª는 적분상수)


20 조건 (가)에서
d
{f(x)g(x)}=3xÛ`-2x+1
이므로 (C)에서 dx
f(x)+x+CÁ=xÝ`-4x+Cª 이므로

:[
f(x)+x=xÝ`-4x+Cª-CÁ d
{f(x)g(x)}]dx=: (3xÛ`-2x+1)dx
이때 Cª-CÁ=C (C는 상수)라 하면 dx

f(x)+x=xÝ`-4x+C f(x)g(x)=xÜ`-xÛ`+x+C (단, C는 적분상수)   yy ㉠


다른 풀이 조건 (나)에서 f(1)=0, g(1)=2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_2=1-1+1+C, C=-1
d
{ f(x)+x} =f '(x)+1이므로 ㉠에서
dx
f '(x)+1=4xÜ`-4에서 f(x)g(x)=xÜ`-xÛ`+x-1=(x-1)(xÛ`+1)

9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2 22. 11. 9. 오전 11:00


이때 두 함수 f(x), g(x)가 모든 항의 계수가 실수이고 상수함수가 아 위의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닌 다항함수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3p=a, 2q=-6, -p=-2
f(x)=x-1, g(x)=xÛ`+1 즉, p=2, q=-3, a=6
따라서 따라서 f(x)=2x-3이므로
f(3)_g(2)=2_5=10 a_f(4)=6_5=30
  10

22 F(x)=x f(x)+xÜ`-3xÛ`
d
21 dx
{xÛ` f(x)}=f '(x)+axÛ`-6x-2에서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x)=f(x)+x f '(x)+3xÛ`-6x
d
{xÛ` f(x)}]dx=: { f '(x)+axÛ`-6x-2}dx x f '(x)=-3xÛ`+6x
dx
f '(x)가 다항함수이므로
xÛ` f(x)=f(x)+;3A;xÜ`-3xÛ`-2x+C (단, C는 적분상수)
f '(x)=-3x+6
그러므로
즉, (xÛ`-1)f(x)=;3A;xÜ`-3xÛ`-2x+C yy ㉠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 f '(x)dx=: (-3x+6)dx

0=;3A;-3-2+C =-;2#;xÛ`+6x+C (단, C는 적분상수)

;3A;+C=5 yy ㉡ f(2)=5이므로
-6+12+C=5, C=-1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f(x)=-;2#;xÛ`+6x-1이므로
0=-;3A;-3+2+C
f(4)=-24+24-1=-1
;3A;-C=-1 yy ㉢
 ②

㉡+㉢을 하면 ;3@;a=4, a=6

㉡에서 C=3 23 : f(x)dx=xf(x)+xÝ`-;3@;xÜ`


㉠에서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Û`-1)f(x)=2xÜ`-3xÛ`-2x+3 yy ㉣ f(x)=f(x)+x f '(x)+4xÜ`-2xÛ`
이때
x f '(x)=-4xÜ`+2xÛ`
2xÜ`-3xÛ`-2x+3=xÛ`(2x-3)-(2x-3) f '(x)가 다항함수이므로
=(xÛ`-1)(2x-3) f '(x)=-4xÛ`+2x
이므로 ㉣에서 (xÛ`-1)f(x)=(xÛ`-1)(2x-3) 그러므로

f(x)=: f '(x)dx=: (-4xÛ`+2x)dx


f(x)가 다항함수이므로 f(x)=2x-3
따라서 a_f(4)=6_5=30
  30 =-;3$;xÜ`+xÛ`+C (단, C는 적분상수)
다른 풀이
f(1)=;3!;이므로
d
{xÛ` f(x)}=f '(x)+axÛ`-6x-2에서
dx
-;3$;+1+C=;3!;, C=;3@;
d
{xÛ` f(x)}=2x f(x)+xÛ` f '(x)이므로
dx
따라서 f(x)=-;3$;xÜ`+xÛ`+;3@;이므로
2x f(x)+xÛ` f '(x)=f '(x)+axÛ`-6x-2
2x f(x)+(xÛ`-1)f '(x)=axÛ`-6x-2   yy ㉠ f(2)=-;;£3ª;;+4+;3@;=-6
f(x)를 n차함수라 하면 xf(x)는 (n+1)차함수, (x Û`-1)f '(x)는
 ④
(n+1)차함수이므로

24 :
2xf(x)+(xÛ`-1)f '(x)는 (n+1)차함수이다.
f(x)dx=x f(x)+2xÜ`-6xÛ`
그러므로 ㉠에서 f(x)는 일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f(x)=px+q (p, q는 상수, p++0)으로 놓으면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p f(x)=f(x)+x f '(x)+6xÛ`-12x
이때 f(x)=px+q, f '(x)=p를 ㉠에 대입하면 x f '(x)=-6xÛ`+12x
2x(px+q)+p(xÛ`-1)=axÛ`-6x-2 f '(x)가 다항함수이므로 f '(x)=-6x+12
3pxÛ`+2qx-p=axÛ`-6x-2 그러므로

정답과 풀이 9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3 22. 11. 9. 오전 11:00


f(x)=: f '(x)dx=: (-6x+12)dx 27 조건 (가)에서
F(x)=x f(x)-2xÜ`+xÛ`   yy ㉠
=-3xÛ`+12x+C (단, C는 적분상수)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f(x)이므로
이때 방정식 f(x)=0에서
f(x)=f(x)+x f '(x)-6xÛ`+2x
-3xÛ`+12x+C=0, 즉 3xÛ`-12x-C=0   yy ㉠
x f '(x)=6xÛ`-2x
조건 (나)에서 이차방정식 ㉠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곱이 ;3$;이므로 f '(x)가 다항함수이므로 f '(x)=6x-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그러므로

f(x)=: f '(x)dx=: (6x-2)dx


-C
=;3$;, C=-4
3
따라서 f(x)=-3xÛ`+12x-4이므로 =3xÛ`-2x+C (단, C는 적분상수)
f(1)=-3+12-4=5 조건 (나)에 의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 3xÛ`-2x+C=0의 판별식을
 5 D라 하면
D
=1-3CÉ0
4
25 x f(x)-: f(x)dx=3xÝ`+axÛ`
즉, C¾;3!;이어야 한다.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그러므로 F(3)의 최솟값을 구하기 위해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f(x)+x f '(x)-f(x)=12xÜ`+2ax
F(3)=3 f(3)-54+9
x f '(x)=12xÜ`+2ax
=3(27-6+C)-45
f '(x)가 다항함수이므로 f '(x)=12xÛ`+2a
=63+3C-45=18+3C
그러므로

f(x)=: f '(x)dx=: (12xÛ`+2a)dx


이때 C¾;3!;이므로

F(3)=18+3C
=4xÜ`+2ax+C (단, C는 적분상수)
¾18+3_;3!;=19
f '(-1)=0에서
12+2a=0, a=-6 따라서 F(3)의 최솟값은 19이다.
f(-1)=0에서  ①
-4-2a+C=0, -4+12+C=0, C=-8
따라서 f(x)=4xÜ`-12x-8이므로 3xÛ`+2x (x<0)
f(1)=4-12-8=-16 28 f '(x)=à kx (x¾0)
에서

 ② ( xÜ`+xÛ`+CÁ (x<0)
f(x)={ k (단, CÁ, Cª는 적분상수)

26 : x f(x)dx=f(x)+xÝ`-4xÜ`+12x
9 2
xÛ`+Cª (x¾0)

f(-2)=f(2)에서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8+4+CÁ=2k+Cª
x f(x)=f '(x)+4xÜ`-12xÛ`+12   yy ㉠ CÁ-Cª=2k+4   yy ㉠
f(x)를 n차함수라 하면 x f(x)는 (n+1)차함수이므로 ㉠에서 한편,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
n+1=3, n=2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즉, f(x)가 이차함수이므로 즉,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f(x)=axÛ`+bx+c (a, b, c는 상수, a+0) lim f(x)= lim f(x)=f(0)
x`Ú0- x`Ú0+
으로 놓으면
즉, CÁ=Cª    yy ㉡
f '(x)=2ax+b
㉡을 ㉠에 대입하면
이때 f(x)=axÛ`+bx+c, f '(x)=2ax+b를 ㉠에 대입하면 2k+4=0, k=-2
x(axÛ`+bx+c)=(2ax+b)+4xÜ`-12xÛ`+12  ②
axÜ`+bxÛ`+cx=4xÜ`-12xÛ`+2ax+(b+12)
이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2x+1 (xÉ0)
a=4, b=-12, c=2a, 0=b+12 29 f '(x)=à -xÛ`+1 (x>0)에서
즉, a=4, b=-12, c=8
( xÛ`+x+CÁ (xÉ0)
따라서 f(x)=4xÛ`-12x+8이므로 f(x)={ 1 (단, CÁ, Cª는 적분상수)
9 3
f(4)=64-48+8=24 - xÜ`+x+Cª (x>0)

 ④ f(-2)=4에서

9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4 22. 11. 9. 오전 11:00


4-2+CÁ=4, CÁ=2 따라서 f(x)=;3@;xÜ`-3x이므로
한편,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
f(2)=:Á3¤:-6=-;3@;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즉,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②
lim f(x)= lim f(x)=f(0)
x`Ú0- x`Ú0+

즉, Cª=2 32 f '(x)=2xÜ`+kx+1이고, 곡선 y=f(x) 위의 점 (1, 4)에서의


( xÛ`+x+2 (xÉ0) 접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f '(1)=6에서
따라서 f(x)={ 1 이므로 2+k+1=6, k=3
9
- xÜ`+x+2 (x>0)
3 그러므로

f(x)=: f '(x)dx=: (2xÜ`+3x+1)dx


f(2)=-;3*;+2+2=;3$;
 ②
=;2!;xÝ`+;2#;xÛ`+x+C (단, C는 적분상수)

곡선 y=f(x)가 점 (1, 4)를 지나므로 f(1)=4에서


30 f '(x)=xÛ`+2|x-1|에서
;2!;+;2#;+1+C=4, C=1
x<1일 때, f '(x)=xÛ`-2(x-1)=xÛ`-2x+2
x¾1일 때, f '(x)=xÛ`+2(x-1)=xÛ`+2x-2 따라서 f(x)=;2!;xÝ`+;2#;xÛ`+x+1이므로
그러므로
f(2)=8+6+2+1=17
( ;3!;xÜ`-xÛ`+2x+CÁ (x<1)
f(x)={ (단, CÁ, Cª는 적분상수)
 ④

9 ;3! ; x`
Ü +x`
Û -2x+Cª (x¾1)

f(-1)+f(2)=:ª3¼:에서
33 f '(x)=-2x+3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
의 접선의 기울기는
{-;3!;-1-2+CÁ}+{;3*;+4-4+Cª}=:ª3¼: f '(1)=-2+3=1
이 접선이 점 (-1, 0)을 지나므로 두 점 (1, f(1)), (-1, 0)을 지나
CÁ+Cª=;;ª3ª;; yy ㉠ 는 직선의 기울기는 1이다. 즉,
한편,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 0-f(1)
=1, f(1)=2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1-1

즉,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한편,


lim f(x)= lim f(x)=f(1)
x`Ú1- x`Ú1+
f(x)=: f '(x)dx=: (-2x+3)dx

;3!;-1+2+CÁ=;3!;+1-2+Cª에서 =-xÛ`+3x+C (단, C는 적분상수)


f(1)=2이므로
CÁ-Cª=-2 yy ㉡
-1+3+C=2, C=0
㉠+㉡을 하면
따라서 f(x)=-xÛ`+3x이므로
2CÁ=:Á3¤:, CÁ=;3*;
f(4)=-16+12=-4
㉠에서 Cª=:Á3¢:  ①

( ;3!;xÜ`-xÛ`+2x+;3*; (x<1)
따라서 f(x)={ 이므로 34 f '(x)=3xÛ`-3이므로
f(x)=: f '(x)dx=: (3xÛ`-3)dx
9 ;3! ; xÜ ` +xÛ ` -2x+;;Á 3¢
; ; (x¾1)

f(1)=;3!;+1-2+:Á3¢:=4 =xÜ`-3x+C (단, C는 적분상수)


 4 곡선 y=f(x)가 점 (2, 4)를 지나므로 f(2)=4에서
8-6+C=4, C=2
즉, f(x)=xÜ`-3x+2
31 f '(x)=2xÛ`-3이므로 방정식 f(x)=0에서

f(x)=: f '(x)dx=: (2xÛ`-3)dx xÜ`-3x+2=0, (x+2)(x-1)Û`=0


x=-2 또는 x=1
=;3@;xÜ`-3x+C (단, C는 적분상수) 따라서 곡선 y=f(x)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좌표가 (-2, 0),
곡선 y=f(x)가 원점을 지나므로 (1, 0)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3이다.
f(0)=0에서 C=0  3

정답과 풀이 9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5 22. 11. 9. 오전 11:00


f(x) 즉, lim{ f(1+3h)-1}=0에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35 lim x-1 =0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1일 때 (분모)`→`0이
x`Ú1
h`Ú0

연속이므로
므로 (분자)`→`0이어야 한다.
f(1)=1 yy ㉠
이때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또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lim f(x)=f(1)=0   yy ㉠
x`Ú1
f(1+3h)-1 `f(1+3h)-f(1)
또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lim =;2#; lim
h`Ú0 2h h`Ú0 3h
f(x) f(x)-f(1)
lim =lim =f '(1) =;2#; f '(1)
x`Ú1 x-1 x`Ú1 x-1
이므로
;2#; f '(1)=-6, f '(1)=-4 yy ㉡
f '(1)=0    yy ㉡
한편, f(x)=: (x-2)(x`Û +ax+1)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한편, f(x)=: (3xÛ`+ax+1)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2)(xÛ`+ax+1)
f '(x)=3xÛ`+ax+1
f '(1)=(-1)_(1+a+1)=-a-2
㉡에 의하여
이므로 ㉡에서
f '(1)=3+a+1=0, a=-4

f(x)=: (3xÛ`-4x+1)dx
-a-2=-4, a=2
그러므로
=xÜ`-2xÛ`+x+C (단, C는 적분상수) f '(x)=(x-2)(xÛ`+2x+1)=xÜ`-3x-2
㉠에 의하여 f(x)=: (xÜ`-3x-2)dx
f(1)=1-2+1+C=0, C=0
따라서 f(x)=xÜ`-2xÛ`+x이므로 =;4!;xÝ`-;2#;xÛ`-2x+C (단, C는 적분상수)

f(3)=27-18+3=12 ㉠에 의하여
 ⑤
f(1)=;4!;-;2#;-2+C=1, C=;;Á4¦;;

따라서 f(x)=;4!;x`Ý -;2#;xÛ`-2x+;;Á4¦;;이므로


36 f(x)=: (2xÜ`+4xÛ`-1)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3)=;;¥4Á;;-:ª2¦:-6+;;Á4¦;;=5
f '(x)=2xÜ`+4xÛ`-1
따라서  5

f(-1+h)-f(-1)
lim =
 f '(-1)=-2+4-1=1
h`Ú0 h
 ①
39 f(x+y)=f(x)+f(y)+2xy-1
위 등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0)=f(0)+f(0)+0-1, f(0)=1
37 F(x)가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므로
F '(x)=f(x) f(x+h)-f(x)
f '(x)=lim
h`Ú0 h
F(x)-F(1) F(x)-F(1)
lim  lim
= { f(x)+f(h)+2xh-1}-f(x)
x`Ú1 xÛ`-1 x`Ú1 (x-1)(x+1) =lim
h`Ú0 h
F(x)-F(1)
=lim[ ]
1 f(h)-1+2xh
_ =lim
x`Ú1 x-1 x+1 h`Ú0 h
=F '(1)_;2!; =lim [
f(h)-1
+2x]
h`Ú0 h
;2!;F '(1)=3에서 F '(1)=6 =lim [
f(h)- f(0)
+2x]
h`Ú0 h
즉, f(1)=6이므로
=f '(0)+2x=4+2x
f(1)=4-1+a=6, a=3
그러므로

f(x)=: f '(x)dx=: (2x+4)dx


따라서 f(x)=4xÜ`-xÛ`+3이므로
f(2)=32-4+3=31
  31 =xÛ`+4x+C (단, C는 적분상수)
f(0)=1이므로 C=1
따라서 f(x)=xÛ`+4x+1이므로
f(1+3h)-1
38 lim h`Ú0 2h
=-6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h`→`0일 때 f(2)=4+8+1=13
(분모)`→`0이므로 (분자)`→`0이어야 한다.   13

9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6 22. 11. 9. 오전 11:00


40 f(x+y)=f(x)+f(y)+4xy 즉, f(x)=;3!;xÜ`+xÛ`+2x+3이므로
위 등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3)=9+9+6+3=27
f(0)=f(0)+f(0)+0, f(0)=0 따라서 a+f(3)=-3+27=24
f(x+h)-f(x)
f '(x)=lim
h`Ú0 h
 ③

{ f(x)+f(h)+4xh}-f(x)
=lim
h`Ú0 h
42 이차함수 y=f '(x)의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고 x축과 만나는
f(h)+4xh 두 점의 x좌표가 0, 3이므로
=lim
h`Ú0 h
f '(x)=ax(x-3) (a>0)
f(h)
=lim [ +4x] 으로 놓으면

f(x)=: f '(x)dx=: (axÛ`-3ax)dx


h`Ú0 h
=-3+4x
그러므로

f(x)=: f '(x)dx=: (4x-3)dx


=;3A;xÜ`-;2#;axÛ`+C (단, C는 적분상수)

f '(x)=0에서 x=0 또는 x=3


=2xÛ`-3x+C (단, C는 적분상수)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0)=0이므로 C=0
x y 0 y 3 y
따라서 f(x)=2xÛ`-3x이므로
f '(x) + 0 - 0 +
f(1)=2-3=-1 f(x) ↗ 극대 ↘ 극소 ↗
 ⑤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x=3에서 극소이므로
f(0)=5, f(3)=-4

f(x)-3 f(0)=5에서 C=5


41 조건 (가)에서 lim x`Ú0 x
=2 f(3)=-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0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어야 한다. 9a-:ª2¦:a+5=-4, -;2(;a=-9, a=2
즉, lim { f(x)-3}=0이고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따라서 f(x)=;3@;xÜ`-3xÛ`+5이므로
x`Ú0

f(0)=3 yy ㉠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f(2)=:Á3¤:-12+5=-;3%;
f(x)-3 f(x)-f(0)
lim =lim =f '(0)  ①
x`Ú0 x x`Ú0 x
이므로

43 f(x)=: f '(x)dx=: (-xÛ`+4x)dx


f '(0)=2
조건 (나)에서
f(x+y)=f(x)+f(y)+xÛ`y+xyÛ`+2xy+a =-;3!;xÜ`+2xÛ`+C (단, C는 적분상수)
위 등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 '(x)=4x-xÛ`=x(4-x)
f(0)=f(0)+f(0)+0+0+0+a, f(0)=-a f '(x)=0에서 x=0 또는 x=4
㉠에서 -a=3, a=-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h)-f(x)
f '(x)=lim x y 0 y 4 y
h`Ú0 h
f '(x) - 0 + 0 -
{ f(x)+f(h)+xÛ`h+xhÛ`+2xh-3}-f(x)
=lim f(x) ↘ 극소 ↗ 극대 ↘
h`Ú0 h
f(h)-3+xÛ`h+xhÛ`+2xh 따라서 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lim
h`Ú0 h
f(h)-3 f(4)-f(0)={-:¤3¢:+32+C}-C=:£3ª:
=lim [ +xÛ`+xh+2x]
h`Ú0 h
 ②
=f '(0)+xÛ`+2x

44 f(x)=: (xÛ`+x-2)dx
=xÛ`+2x+2
그러므로

f(x)=: f '(x)dx=: (xÛ`+2x+2)dx =;3!;xÜ`+;2!;xÛ`-2x+C (단, C는 적분상수)

=;3!;xÜ`+xÛ`+2x+C (단, C는 적분상수) f(x)=: (xÛ`+x-2)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에 의하여 f(0)=3이므로 C=3 f '(x)=xÛ`+x-2=(x+2)(x-1)

정답과 풀이 9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7 22. 11. 9. 오전 11:00


f '(x)=0에서 x=-2 또는 x=1 f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갖는다. 이차방정식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xÛ`+6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É0이어야 하므로
x y -2 y 1 y D
=9-8aÉ0
4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a¾;8(;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므로 f(-2)=6에서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②
-;3*;+2+4+C=6, C=;3*;

47 f(x)=: (xÛ`-2x)dx
따라서 f(x)=;3!;x`Ü +;2!;xÛ`-2x+;3*;이고 함수 f(x)는 x=1에서 극

소이므로 함수 f(x)의 극솟값은


=;3!;xÜ`-xÛ`+C (단, C는 적분상수)
f(1)=;3!;+;2!;-2+;3*;=;2#;
f '(x)=xÛ`-2x=x(x-2)
 ⑤
f '(x)=0에서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5 조건 (가)에서 x y 0 y 2 y

f(x)=: f '(x)dx=: (3xÛ`+ax-9)dx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xÜ`+;2A;xÛ`-9x+C (단, C는 적분상수)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x=2에서 극소이므로 함수 y=f(x)
f(x) 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조건 (나)에서 lim =0
x`Ú3 x-3 y y=f(x)
극한값이 존재하고 x`→`3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어야 한다.
즉, lim f(x)=0이고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x`Ú3

f(3)=0, 즉 ;2(; a+C=0    yy ㉠ O 2 x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f(x)¾0이려면 함수 f(x)의 극솟값이 0
f(x) f(x)-f(3)
lim =lim =f '(3) 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x`Ú3 x-3 x`Ú3 x-3
이므로 즉, f(2)¾0에서
f '(3)=0 ;3*;-4+C¾0, C¾;3$;
즉, 3a+18=0, a=-6
따라서
㉠에서 C=27이므로 f(x)=xÜ`-3xÛ`-9x+27
f(4)=:¤3¢:-16+C=:Á3¤:+C¾:ª3¼:
이때 f '(x)=3xÛ`-6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이므로 f(4)의 최솟값은 :ª3¼:이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⑤
x y -1 y 3 y

48 :_a!`(xÛ`-1)dx=[;3!;xÜ`-x]a_!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3!;aÜ`-a}-{-;3!;+1}


f(-1)=-1-3+9+27=32
=;3!;aÜ`-a-;3@;
  32

즉, ;3!;aÜ`-a-;3@;=0에서

46 F(x)=x f(x)+xÝ`-2xÜ`+axÛ` aÜ`-3a-2=0, (a+1)Û`(a-2)=0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f(x)이므로 a>0이므로 a=2
f(x)=f(x)+x f '(x)+4xÜ`-6xÛ`+2ax  ④
x f '(x)=-4xÜ`+6xÛ`-2ax

49 :)2`(3xÛ`+ax)dx=[xÜ`+;2A;xÛ`]2)
f(x)가 다항함수이므로
f '(x)=-4xÛ`+6x-2a
이때 함수 f(x)의 극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8+2a)-0

9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8 22. 11. 9. 오전 11:00


=2a+8 =8a+160
즉, 2a+8=12에서 a=2 즉, 8a+160=80에서 a=-10
 2 따라서 f(x)=2xÜ`-10x이므로
f(3)=54-30=24

50 :#1`(x-2)(1-xÛ`)dx
=-:!3`(x-2)(1-xÛ`)dx
53 :)3`{ f(x)}Û`dx=:)3`(x+a)Û`dx
=:)3`(xÛ`+2ax+aÛ`)dx
=-:!3`(-xÜ`+2xÛ`+x-2)dx
=[;3!;xÜ`+axÛ`+aÛ`x]3)
=-[-;4!;xÝ`+;3@;xÜ`+;2!;xÛ`-2x]3!
=(9+9a+3aÛ`)-0=3aÛ`+9a+9

:)3``f(x)dx=:)3`(x+a)dx
=-[{-;;¥4Á;;+18+;2(;-6}-{-;4!;+;3@;+;2!;-2}]

=[;2!;xÛ`+ax]3)
=-{-;3*;}=;3*;

 ②
={;2(;+3a}-0=3a+;2(;

:_1#{ f '(x)-2x}dx=[f(x)-xÛ`]1_#
즉,

;3$;{:)3``f(x)dx}2`=;3$;{3a+;2(;}2`
51
={f(1)-1}-{f(-3)-9}
=f(1)-f(-3)+8 =;3$;{9aÛ`+27a+;;¥4Á;;}=12aÛ`+36a+27

그러므로 :)3`{ f(x)}Û`dx=;3$;{:)3``f(x)dx}2`에서


=f(1)-11+8
=f(1)-3
즉, f(1)-3=0에서 f(1)=3 3aÛ`+9a+9=12aÛ`+36a+27

 3 9aÛ`+27a+18=0
aÛ`+3a+2=0
(a+1)(a+2)=0
52 f(x)=2xÜ`+ax에서 a=-2 또는 a=-1
f '(x)=6xÛ`+a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f(x)+x f '(x)=(2xÜ`+ax)+x(6xÛ`+a) -2+(-1)=-3
=8xÜ`+2ax
 ④

:_3!{ f(x)+x f '(x)}dx=:_3! (8xÜ`+2ax)dx

=[2xÝ`+axÛ`]3_! 54 f(x)=axÛ`+bx+c (a, b, c는 상수, a+0)으로 놓으면


f '(x)=2ax+b
=(162+9a)-(2+a)
조건 (가)에서

:)2` f '(x)dx=:)2`(2ax+b)dx
=8a+160
즉, 8a+160=80에서 a=-10

=[axÛ`+bx]2)=4a+2b
따라서 f(x)=2xÜ`-10x이므로
f(3)=54-30=24
즉, 4a+2b=0에서 b=-2a

:)2` f(x)dx=:)2`(axÛ`+bx+c)dx
①
다른 풀이

=:)2`(axÛ`-2ax+c)dx
{x f(x)}'=f(x)+x f '(x)이므로

: {f(x)+x f '(x)}dx=: {x f(x)}'dx


=[;3A;xÜ`-axÛ`+cx]2)
=x f(x)+C (단, C는 적분상수)
즉, f(x)+x f '(x)의 부정적분이 x f(x)+C이므로 =;3*;a-4a+2c=-;3$;a+2c
:_3!{ f(x)+x f '(x)}dx=[x f(x)]3_!
즉, -;3$;a+2c=0에서 c=;3@;a
=3 f(3)-{-f(-1)}
=3 f(3)+f(-1) 그러므로 f(x)=axÛ`-2ax+;3@;a

=3(54+3a)+(-2-a) 조건 (나)에 의하여 a<0이고

정답과 풀이 9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99 22. 11. 9. 오전 11:00


f(x)=a{xÛ`-2x+;3@;} 56 :)2`(x+2)Û`dx-:)2`(t-2)Û`dt
=a[(xÛ`-2x+1-1)+;3@;] =:)2`(x+2)Û`dx-:)2`(x-2)Û`dx

=a[(x-1)Û`-;3!;] =:)2`{(x+2)Û`-(x-2)Û`}dx

=:)2``8xdx
=a(x-1)Û`-;3!;a

=[4xÛ`]2)=16-0=16
즉,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3!;a를 가지므로

-;3!;a=1, a=-3
 ④
따라서 f(x)=-3xÛ`+6x-2이므로

57 :)1` { f(x)+g(x)}dx=2
f(3)=-27+18-2=-11
 ③ yy ㉠

:)1` { f(x)-g(x)}dx=8
다른 풀이
yy ㉡
조건 (가)에서

:)2` f '(x)dx=[f(x)]2)=f(2)-f(0)
㉠+㉡을 하면

:)1` { f(x)+g(x)}dx+:)1` { f(x)-g(x)}dx=10

:)1` [{ f(x)+g(x)}+{ f(x)-g(x)}]dx=10


이므로 f(2)-f(0)=0에서 f(0)=f(2)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성에 의하여 곡선 y=f(x)는 직선 x=1에

:)1` 2 f(x)dx=10
대하여 대칭이고 조건 (나)에 의하여
f(x)=a(x-1)Û`+1 (a는 상수, a<0)

즉, 2:)1` f(x)dx=10에서 :)1` f(x)dx=5


으로 놓을 수 있다.

:)2` f(x)dx=:)2`{a(x-1)Û`+1}dx

=:)2`(axÛ`-2ax+a+1)dx
㉠-㉡을 하면

:)1` { f(x)+g(x)}dx-:)1` { f(x)-g(x)}dx=-6

=[;3A;xÜ`-axÛ`+(a+1)x]2) :)1` [{ f(x)+g(x)}-{ f(x)-g(x)}]dx=-6

:)1` 2g(x)dx=-6
=;3*;a-4a+2(a+1)=;3@;a+2

즉, 2:)1` g(x)dx=-6에서 :)1` g(x)dx=-3


즉, ;3@;a+2=0에서 a=-3이므로

f(x)=-3(x-1)Û`+1
따라서

:)1` {3 f(x)-2g(x)}dx=:)1` 3 f(x)dx-:)1` 2g(x)dx


따라서 f(3)=-3_4+1=-11

=3:)1` f(x)dx-2:)1`g(x)dx
55 :@3 xÜ`+3x
x-1
dx+:#2
3xÛ`+1
x-1
dx
=3_5-2_(-3)=21
xÜ`+3x 3xÛ`+1
=:@3
x-1
dx-:@3
x-1
dx   21

xÜ`+3x 3xÛ`+1
=:@3 { } dx
58 :_1@`{ f(x)+1}Û`dx+:!-` 2``{ f(x)-1}Û`dx
-
x-1 x-1
xÜ`-3xÛ`+3x-1

=:_1@`{ f(x)+1}Û`dx-:_1@`{ f(x)-1}Û`dx


=:@3 dx
x-1
(x-1)Ü`

=:_1@`[{ f(x)+1}Û`-{ f(x)-1}Û`]dx


=:@3 dx
x-1

=:@3 (x-1)`Û dx
=:_1@`4 f(x)dx

=4:_1@` f(x)dx
=:@3 (xÛ`-2x+1)dx

=[;3!;xÜ`-xÛ`+x]3@
=4:_1@`(xÛ`+ax)dx
=(9-9+3)-{;3*;-4+2}=;3&;
=4[;3!;xÜ`+;2A;xÛ`]1_@
 ⑤

10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0 22. 11. 9. 오전 11:00


=4[{;3!;+;2A;}-{-;3*;+2a}] :_3! f(x)dx-:_2! f(x)dx=:_3! f(x)dx+:@- `1`  f(x)dx

=4{3-;2#;a}=12-6a =:@- `1`  f(x)dx+:_3! f(x)dx

=:@3`  f(x)dx
즉, 12-6a=10에서 a=;3!;

=:@3` (2xÜ`+ax+3)dx
따라서 f(x)=xÛ`+;3!;x이므로

=[;2!;xÝ`+;2A;xÛ`+3x]3@
f(6)=36+2=38
  38

59 :_0!`f(x)dx+:)3``f(x)dx-:@3``f(x)dx
={;;¥2Á;;+;2(;a+9}-(8+2a+6)

=;2%;a+;;¦2Á;;
=:_3!`f(x)dx-:@3``f(x)dx
즉, ;2%;a+;;¦2Á;;=18에서 ;2%;a=-:£2°:
=:_3!`f(x)dx+:#2``f(x)dx 따라서 a=-7

=:_2!`f(x)dx
 ④

=:_2!(3xÛ`+a)dx
63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도 연
=[xÜ`+ax]2_! 속이다.
즉, lim f(x)= lim f(x)=f(1)에서
=(8+2a)-(-1-a)=3a+9 x`Ú1- x`Ú1+

즉, 3a+9=-6에서 a=-5 -2+a=1, a=3

따라서 f(x)=3xÛ`-5이므로 -2x+3 (xÉ1)


따라서 f(x)=à 이므로
f(2)=12-5=7 -xÛ`+4x-2 (x>1)

 7 :_2@  f(x)dx=:_1@  f(x)dx+:!2`  f(x)dx

=:_1@ (-2x+3)dx+:!2` (-xÛ`+4x-2)dx


60 :_3@ (xÛ`-3x+4)dx-:_1@ (xÛ`-3x+4)dx
=[-xÛ`+3x]1_@+[-;3!;xÜ`+2xÛ`-2x]2!
=:_3@ (xÛ`-3x+4)dx+:!-` 2` (xÛ`-3x+4)dx
=12+;3%;=:¢3Á:
=:!-` 2` (xÛ`-3x+4)dx+:_3@ (xÛ`-3x+4)dx
 ①

=:!3` (xÛ`-3x+4)dx

=[;3!;xÜ`-;2#;xÛ`+4x]3! 64 :)3``f(x)dx=:)1`  f(x)dx+:!3`  f(x)dx
={9-:ª2¦:+12}-{;3!;-;2#;+4}=:Á3¢: =:)1` xÛ`dx+:!3` (3x-2)dx

 =[;3!;xÜ`]1)+[;2#;xÛ`-2x]3!
⑤

61 :_3@ f(x)dx=:_1@  f(x)dx+:!3`  f(x)dx
=;3!;+8=:ª3°:

=:_1@ f(x)dx+:!0`  f(x)dx+:)3``f(x)dx
 ③

=:_1@ f(x)dx-:)1`  f(x)dx+:)3``f(x)dx
65 f(x)=2x+4, g(x)=-x+4이므로
=2-4+6=4 2x+4 (xÉ0)
h(x)=à
 4 -x+4 (x>0)
따라서

62 :_3!  f(x)dx=:_2! f(x)dx+18에서 :_2!xh(x)dx=:_0! xh(x)dx+:)2` xh(x)dx

:_3! f(x)dx-:_2! f(x)dx=18이므로 =:_0! xf(x)dx+:)2` xg(x)dx

정답과 풀이 10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1 22. 11. 9. 오전 11:00


=:_0! (2xÛ`+4x)dx+:)2` (-xÛ`+4x)dx 68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로 놓으면
=[;3@;xÜ`+2xÛ`]0_!+[-;3!;xÜ`+2xÛ`]2)
f '(x)=3xÛ`+2ax+b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
에서 연속이다.
=-;3$;+:Á3¤:=4
즉, 함수 g(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4
lim g(x)= lim g(x)=g(0)
x`Ú0- x`Ú0+

즉, f(0)=2-f(0)에서 f(0)=1이므로

66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a에서 연속 c=1


이다. 또 함수 g(x)가 x=0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즉, lim f(x)= lim   f(x)=f(a)에서 g(h)-g(0) g(h)-g(0)
x`Úa- x`Úa+ lim = lim
h`Ú0- h h`Ú0+ h
3a+1=aÜ`-2a+3
이어야 한다.
aÜ`-5a+2=0 g(h)-g(0) f(h)-1
lim = lim =f '(0)
(a-2)(aÛ`+2a-1)=0 h`Ú0- h h`Ú0- h
a=2 또는 a=-1+'2 또는 a=-1-'2 g(h)-g(0) 2-f(h)-1
lim = lim
a>1이므로 a=2 h`Ú0+ h h`Ú0+ h
f(h)-1
3x+1 (xÉ2) = lim [- ]=-f '(0)
따라서 f(x)=à 이므로 h`Ú0+ h
xÜ`-2x+3 (x>2)

:)3``f(x)dx=:)2` f(x)dx+:@3` f(x)dx


즉, f '(0)=-f '(0)에서 f '(0)=0이므로
b=0

=:)2`(3x+1)dx+:@3` (xÜ`-2x+3)dx
그러므로 f(x)=xÜ`+axÛ`+1이고
xÜ`+axÛ`+1 (xÉ0)

=[;2#;xÛ`+x]2)+[;4!;xÝ`-xÛ`+3x]3@
g(x)=à
-xÜ`-axÛ`+1 (x>0)

:_1@ g(x)dx=:_0@ g(x)dx+:)1` g(x)dx


=8+:°4¦:=:¥4»:

 ⑤ =:_0@ (xÜ`+axÛ`+1)dx+:)1` (-xÜ`-axÛ`+1)dx

=[;4!;xÝ`+;3A;xÜ`+x]0_@+[-;4!;xÝ`-;3A;xÜ`+x]1)
2x+4 (xÉ0)
67 f '(x)=à xÛ`-3x+4 (x>0)에서 ={;3*;a-2}+{-;3A;+;4#;}

( xÛ`+4x+CÁ (xÉ0) =;3&;a-;4%;


f(x)={ 1 3 (단, CÁ, Cª는 적분상수)
9 3
xÜ`- xÛ`+4x+Cª (x>0)
2 즉, ;3&;a-;4%;=4에서
f(-1)=-1에서
;3&;a=;;ª4Á;;, a=;4(;
1-4+CÁ=-1, CÁ=2
한편,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 따라서 f(x)=xÜ`+;4(;xÛ`+1이므로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f(2)=8+9+1=18
즉,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 18
lim f(x)= lim f(x)=f(0)
x`Ú0- x`Ú0+

즉, Cª=CÁ=2
( xÛ`+4x+2 (xÉ0)
따라서 f(x)={ 1 3 이므로
xÛ`-x-2 (xÉ-1 또는 x¾2)
9
xÜ`- xÛ`+4x+2 (x>0)
3 2 69 |xÛ`-x-2|=à -xÛ`+x+2 (-1<x<2)
:_2@  f(x)dx=:_0@  f(x)dx+:)2` f(x)dx 이므로

=:_0@ (xÛ`+4x+2)dx+:)2` {;3!;xÜ`-;2#;xÛ`+4x+2}dx :_3! |xÛ`-x-2|dx=:_2! (-xÛ`+x+2)dx+:@3` (xÛ`-x-2)dx

=[;3!;xÜ`+2xÛ`+2x]0_@+[;1Á2;xÝ`-;2!;xÜ`+2xÛ`+2x]2) =[-;3!;xÜ`+;2!;xÛ`+2x]2_!+[;3!;xÜ`-;2!;xÛ`-2x]3@

=-;3$;+:ª3¥:=8 =;2(;+:Á6Á:=:Á3»:

 ②  ③

10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2 22. 11. 9. 오전 11:00


:_4! ( f½f)(x)dx
x (x¾0)
70 |x|=à -x (x<0)이므로
:_2! (|x|Ü`+2|x|)dx=:_0! (-xÜ`-2x)dx+:)2`(xÜ`+2x)dx =:_0! ( f½f)(x)dx+:)1` ( f½f)(x)dx

+:!2` ( f½f)(x)dx+:@4` ( f½f)(x)dx


=[-;4!;xÝ`-xÛ`]0_!+[;4!;xÝ`+xÛ`]2)

=:_0! (-x)dx+:)1` xdx+:!2` (-x+2)dx+:@4` (x-2)dx


=;4%;+8=:£4¦:

 ④ =[-;2!;xÛ`]0_!+[;2!;xÛ`]1)+[-;2!;xÛ`+2x]2!+[;2!;xÛ`-2x]4@

=;2!;+;2!;+;2!;+2=;2&;

x-2 (x¾2)  ④
71 |x-2|=à -x+2 (x<2)이므로
:)3`x|x-2|dx=:)2`x(-x+2)dx+:@3` x(x-2)dx
73 f(x)=-xÜ`에서
=:)2`(-xÛ`+2x)dx+:@3` (xÛ`-2x)dx
f '(x)=-3xÛ`

=[-;3!;xÜ`+xÛ`]2)+[;3!;xÜ`-xÛ`]3@
f '(-1)=-3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1=-3{x-(-1)}
=;3$;+;3$;=;3*;
y=-3x-2
 ② 즉, g(x)=-3x-2
이때 곡선 y=f(x)와 직선 y=g(x)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Ü`=-3x-2에서
x-1 (x¾1) xÜ`-3x-2=0, (x+1)Û`(x-2)=0
72 f(x)=|x-1|=à -x+1 (x<1)이므로 x=-1 또는 x=2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그러므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xÉ2에서 f(x)¾g(x)이고, y

x>2에서 f(x)<g(x)이므로

:_3! | f(x)-g(x)|dx
y=1 1
2
-1 O x

=:_2! { f(x)-g(x)}dx
O 1 2 x
y=g(x) y=f(x)

f(x)=1에서 x=0 또는 x=2이므로


( f½f)(x)=f( f(x)) +:@3 {g(x)-f(x)}dx

=:_2! (-xÜ`+3x+2)dx
f(x)-1 ( f(x)¾1)

-f(x)+1 ( f(x)<1) -8

f(x)-1 (xÉ0 또는 x¾2)


=à    yy ㉠ +:@3 (xÜ`-3x-2)dx

=[-;4!;xÝ`+;2#;xÛ`+2x]2_!+[;4!;xÝ`-;2#;xÛ`-2x]3@
-f(x)+1 (0<x<2)
xÉ0에서 f(x)-1=(-x+1)-1=-x
0<x<1에서 -f(x)+1=-(-x+1)+1=x
1Éx<2에서 -f(x)+1=-(x-1)+1=-x+2 =;;ª4¦;;+;;ª4¦;;=;;ª2¦;;

x¾2에서 f(x)-1=(x-1)-1=x-2  ④
그러므로 ㉠에서
( -x (xÉ0)
M x (0<x<1) 74 조건 (가)에 의하여 곡선 y=f(x)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
( f½f)(x)={ 므로
M -x+2 (1Éx<2) b
9 x-2 (x¾2) -
2a
=1, b=-2a

y y=(fç f)(x) 즉, f(x)=axÛ`-2ax이고


1 f '(x)=2ax-2a=2a(x-1)
x-1 (x¾1)
O 1 2 x a>0이고, |x-1|=à 이므로
-x+1 (x<1)
따라서 조건 (나)에서

정답과 풀이 10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3 22. 11. 9. 오전 11:00


:)3`|f '(x)|dx=:)3`|2a(x-1)|dx
a는 실수이므로 a=3

=:)3` 2a|x-1|dx
 3

=2a:)3`|x-1|dx 78 :_3! f(x)dx-:@3` f(x)dx+:@1`  f(x)dx


=2a[ :)1` (-x+1)dx+:!3` (x-1)dx] =:_3! f(x)dx+:#2` f(x)dx+:@1` f(x)dx

=2a[[-;2!;xÛ`+x]1)+[;2!;xÛ`-x]3!]
=:_2! f(x)dx+:@1` f(x)dx

=:_1!  f(x)dx
=2a{;2!;+2}=5a

=:_1! (2xÝ`-xÜ`+3x+a)dx
즉, 5a=10에서 a=2
따라서 f(x)=2xÛ`-4x이므로

=2:)1` (2xÝ`+a)dx
f(3)=18-12=6
 ①

=2[;5@;xÞ`+ax]1)
75 f(x)=xÛ`+ax+b에서
f '(x)=2x+a =2{;5@;+a}

조건 (가)에 의하여 =;5$;+2a


f '(1)=2+a=4, a=2
즉, f(x)=xÛ`+2x+b 즉, ;5$;+2a=4에서 a=;5*;
조건 (나)에서
따라서 10a=10_;5*;=16
:_1!  f(x)dx=:_1! (xÛ`+2x+b)dx
  16

=2:)1` (xÛ`+b)dx

=2[;3!;xÜ`+bx]1) 79 :_3@ {2x+f(x)}dx=:_3@ 2xdx+:_3@ f(x)dx yy ㉠

=2{;3!;+b}=;3@;+2b :_3@ f(x)dx=:_1@ f(x)dx+:!3`  f(x)dx yy ㉡

즉, ;3@;+2b=2에서 b=;3@;
조건 (가), (나)에 의하여

:_1@ f(x)dx=-:_2! f(x)dx=-3, :!3` f(x)dx=8


따라서 f(x)=xÛ`+2x+;3@;이므로
이므로 ㉡에서

:_3@ f(x)dx=-3+8=5
f(2)=4+4+;3@;=:ª3¤:

이때 :_3@ 2xdx=[xÛ`]3_@=5이므로 ㉠에서


 ③

76 :_2@ x(xÛ`+3x-2)dx=:_2@ (xÜ`+3xÛ`-2x)dx :_3@ {2x+f(x)}dx=5+5=10


=2:)2` 3xÛ`dx   10

=2[xÜ`]2)
참고

:_1@ f(x)dx=-:_2! f(x)dx는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2_8=16
 ③ 조건 (가)에 의하여 :_2@ f(x)dx=0

:_2@ f(x)dx=:_1@ f(x)dx+:!-` 1 `f(x)dx+:_2! f(x)dx


77 :_aA (2xÜ`+3xÛ`-5x+1)dx=2:)a` (3xÛ`+1)dx
=:_1@ f(x)dx+:_2! f(x)dx
=2[xÜ`+x]a)
=0

따라서 :_1@ f(x)dx=-:_2! f(x)dx이다.


=2(aÜ`+a)
=2aÜ`+2a
즉, 2aÜ`+2a=60에서 다른 풀이
aÜ`+a-30=0, (a-3)(aÛ`+3a+10)=0 g(x)=2x+f(x)로 놓으면 조건 (가)에 의하여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10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4 22. 11. 9. 오전 11:00


g(-x)=-g(x)이므로 =;;¤5¢;;+:Á3¤:b yy ㉢
:_3@ {2x+f(x)}dx=:_2@ {2x+f(x)}dx+:@3` {2x+f(x)}dx ㉠, ㉢에서

=:@3` {2x+f(x)}dx
:Á3¤:+4b=:¤5¢:+:Á3¤:b, ;3$;b=-;;Á1Á5ª;;, b=-:ª5¥:

=:@3` 2xdx+:@3` f(x)dx


㉠, ㉡에서

:Á3¤:+4b=:Á3¤:a, :Á3¤:a=-;;ª1°5¤;;, a=-:Á5¤:

=[xÛ`]3@+:@3` f(x)dx
따라서 f(x)=xÛ`-:Á5¤:x-:ª5¥:이므로

=5+:@3` f(x)dx   yy ㉠ f(2)=4-:£5ª:-:ª5¥:=-8

조건 (나)의 :_2! f(x)dx=3에서  ②

:_2! f(x)dx=:_1! f(x)dx+:!2` f(x)dx=:!2`  f(x)dx


81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3)=f(x)이므로
즉, :!2`  f(x)dx=3 :_1@ f(x)dx=:!4`  f(x)dx=:$7`  f(x)dx=:&1`0`  f(x)dx

또 조건 (나)의 :!3` f(x)dx=8에서


따라서

:_1@0`  f(x)dx
:!3` f(x)dx=:!2` f(x)dx+:@3` f(x)dx
=:_1@ f(x)dx+:!4` f(x)dx+:$7` f(x)dx+:&1`0` f(x)dx

=:_1@ f(x)dx+:_1@ f(x)dx+:_1@ f(x)dx+:_1@ f(x)dx


이므로

:@3` f(x)dx=:!3` f(x)dx-:!2` f(x)dx=8-3=5

따라서 ㉠에서 =4:_1@ f(x)dx

:_3@ {2x+f(x)}dx=5+5=10 =4_4=16


 ③
80 f(x)=xÛ`+ax+b (a, b는 상수)로 놓으면
:_2@ f(x)dx=:_2@ (xÛ`+ax+b)dx 82 :_5@  f(x)dx=:_1@ f(x)dx+:!5`  f(x)dx   yy ㉠

=2:)2`(xÛ`+b)dx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2)=f(x)이므로

:_1@ f(x)dx=:)3` f(x)dx=4


=2[;3!;xÜ`+bx]2)

=2{;3*;+2b} :!5` f(x)dx=:_3! f(x)dx=:_1#  f(x)dx=2

따라서 ㉠에서

:_5@ f(x)dx=:_1@ f(x)dx+:!5` f(x)dx


=:Á3¤:+4b yy ㉠

:_2@ xf(x)dx=:_2@ x(xÛ`+ax+b)dx

=:_2@ (xÜ`+axÛ`+bx)dx
=4+2=6

 ①

=2a:)2`xÛ`dx

=2a[;3!;xÜ`]2) 83 :_7@ f(x)dx=12이므로 a+0

조건 (나)에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Á3¤:a yy ㉡
f(x+2)=f(x)이므로

:_2@ xÛ`f(x)dx=:_2@ xÛ`(xÛ`+ax+b)dx :_0@ f(x)dx=:)2` f(x)dx=:@4`  f(x)dx=:$6`  f(x)dx

=:_2@ (xÝ`+axÜ`+bxÛ`)dx :^7`  f(x)dx=:)1` f(x)dx

=2:)2`(xÝ`+bxÛ`)dx 그러므로

=2[;5!;xÞ`+;3B;xÜ`]2) :_7@  f(x)dx

=2{:£5ª:+;3*;b} =:_0@ f(x)dx+:)2` f(x)dx+:@4` f(x)dx+:$6` f(x)dx

정답과 풀이 10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5 22. 11. 9. 오전 11:00


+:^7` f(x)dx 86 f(x)=3xÛ`-:)2`(2x-1)f(t)dt
=4:)2` f(x)dx+:)1` f(x)dx    yy ㉠ =3xÛ`-(2x-1):)2` f(t)dt

조건 (가)에 의하여 0ÉxÉ2에서 곡선 y=f(x)는 직선 x=1에 대하 :)2` f(t)dt=k (k는 상수)로 놓으면
여 대칭이므로

:)1` f(x)dx=:!2` f(x)dx


f(x)=3xÛ`-(2x-1)k=3xÛ`-2kx+k

:)2` f(t)dt=:)2`(3tÛ`-2kt+k)dt

=[tÜ`-ktÛ`+kt]2)=8-2k
즉,

:)2` f(x)dx=:)1` f(x)dx+:!2` f(x)dx

=2:)1` f(x)dx
즉, k=8-2k에서 k=;3*;
   yy ㉡

㉡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f(x)=3xÛ`-:Á3¤:x+;3*;이므로

:_7@ f(x)dx=8:)1` f(x)dx+:)1` f(x)dx f(2)=12-:£3ª:+;3*;=4

=9:)1` f(x)dx
 ②

즉, 9:)1` f(x)dx=12에서 :)1` f(x)dx=;3$;이므로


87 :#/`  f(t)dt=-2xÛ`+ax-3   yy ㉠

:)1` f(x)dx=:)1` a(x-1)Û`dx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a:)1` (xÛ`-2x+1)dx
0=-18+3a-3, 3a=21, a=7

즉, :#/`  f(t)dt=-2xÛ`+7x-3에서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a[;3!;xÜ`-xÛ`+x]1)=;3!;a f(x)=-4x+7
따라서 f(-2)=8+7=15
따라서 ;3!;a=;3$;에서 a=4
 ⑤
 ⑤

88 :!/`  f(t)dt=xÜ`-4xÛ`+ax   yy ㉠

84 f(x)=3xÛ`+:)2` f(x)dx에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 f(x)dx=k (k는 상수)로 놓으면


0=1-4+a, a=3

즉, :!/`  f(t)dt=xÜ`-4xÛ`+3x에서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xÛ`+k

:)2` f(x)dx=:)2`(3xÛ`+k)dx=[xÜ`+kx]2)=8+2k
f(x)=3xÛ`-8x+3
따라서
즉, 8+2k=k에서 k=-8 :!2` f(t)dt=:!2` (3tÛ`-8t+3)dt

=[tÜ`-4tÛ`+3t]2!
따라서 f(x)=3xÛ`-8이므로
f(2)=12-8=4
 ④ =-2-0=-2
 ②

85 f(x)=xÜ`+2x:)1` f '(x)dx에서
다른 풀이

a=3이므로 ㉠에서

:)1` f '(x)dx=k (k는 상수)로 놓으면 :!/`  f(t)dt=xÜ`-4xÛ`+3x

f(x)=xÜ`+2kx이고, f '(x)=3xÛ`+2k 따라서 :!2` f(t)dt의 값은 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한 값과 같으

:)1` f '(x)dx=:)1` (3xÛ`+2k)dx=[xÜ`+2kx]1)=1+2k 므로

즉, 1+2k=k에서 k=-1 :!2` f(t)dt=8-16+6=-2


따라서 f(x)=xÜ`-2x이므로

89 x f(x)=:@/`  f(t)dt+xÝ`-2xÜ`  
f(3)=27-6=21
yy ㉠
  21

10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6 22. 11. 9. 오전 11:00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x)=f(x)-f(a), f(a)=0
2 f(2)=0+16-16, f(2)=0 f(x)=xÜ`-3x+2에서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a)=aÜ`-3a+2=0
f(x)+x f '(x)=f(x)+4xÜ`-6xÛ` (a-1)(aÛ`+a-2)=0, (a+2)(a-1)Û`=0
x f '(x)=4xÜ`-6xÛ` a=-2 또는 a=1
f '(x)가 다항함수이므로 f '(x)=4xÛ`-6x 따라서 서로 다른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그러므로 -2+1=-1

f(x)=: f '(x)dx=: (4xÛ`-6x)dx


 ②

92 :)1` f(t)dt=k (k는 상수)로 놓으면 주어진 등식은


=;3$;xÜ`-3xÛ`+C (단, C는 적분상수)

:!/` tf(t)dt=;2!;xÝ`+axÜ`+3kxÛ`
f(2)=0이므로
yy ㉠
:£3ª:-12+C=0, C=;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f(x)=;3$;xÜ`-3xÛ`+;3$;이므로
0=;2!;+a+3k, a+3k=-;2!; yy ㉡
f(1)=;3$;-3+;3$;=-;3!;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⑤ xf(x)=2xÜ`+3axÛ`+6kx
f(x)가 다항함수이므로
f(x)=2xÛ`+3ax+6k

:_/! [ `f(t)]dt=x`Ý +ax`Ü -4 :)1` f(t)dt=:)1` (2tÛ`+3at+6k)dt


d
90 dt

=[;3@;tÜ`+;2#;atÛ`+6kt]1)
d
위의 등식에서 `f(t)=f '(t)=g(t)라 하면
dt

:_/! g(t)dt=x`Ý +ax`Ü -4   yy ㉠ =;3@;+;2#;a+6k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즉, ;3@;+;2#;a+6k=k에서
0=1-a-4, a=-3

㉠에서 :_/! g(t)dt=x`Ý -3x`Ü -4이므로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a+5k=-;3@; yy ㉢

g(x)=4xÜ`-9xÛ` ㉢-;2#;_㉡을 하면 ;2K;=;1Á2;, k=;6!;


즉, f '(x)=4xÜ`-9xÛ`이므로
㉡에서 a=-;2!;-3k=-;2!;-;2!;=-1
f '(2)=32-36=-4
 ② 따라서 f(x)=2xÛ`-3x+1이므로

다른 풀이 f(3)=18-9+1=10

:_/! [ `f(t)]dt=:_/! f '(t)dt=[f(t)]/_!=f(x)-f(-1)


d   10
dt

이므로 :_/! [ 93 :!/` (x-t)f(t)dt=xÝ`+axÛ`+1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d
`f(t)]dt=x`Ý +ax`Ü -4에서
dt
f(x)-f(-1)=x`Ý +ax`Ü -4    yy ㉡ 0=1+a+1, a=-2

:!/` (x-t)f(t)dt=xÝ`-2xÛ`+1에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1-a-4, a=-3
즉, f(x)-f(-1)=x`Ý -3x`Ü -4에서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f(t)dt-:!/` tf(t)dt=xÝ`-2xÛ`+1
f '(x)=4x`Ü -9x`Û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 f(x)-x f(x)=4xÜ`-4x


따라서 f '(2)=32-36=-4

:!/` f(t)dt=4xÜ`-4x
:)/`  f(t)dt=f(x)
d
91 dx

:A/` [ dt f(t)]dt=:A/` f '(t)dt=[f(t)]/A=f(x)-f(a)


위 등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f(x)=12xÛ`-4

:)/` f(t)dt=:A/` [
따라서 f(a)=f(-2)=48-4=44
d d
이므로 f(t)]dt에서
dx dt   44

정답과 풀이 10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7 22. 11. 9. 오전 11:00


94 :@/` (x-t)f(t)dt=xÜ`+axÛ`+bx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96 f(x)=:)/` (3tÛ`+at+b)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8+4a+2b f '(x)=3xÛ`+ax+b
2a+b=-4 yy ㉠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2%;를 가지므로
:@/` (x-t)f(t)dt=xÜ`+axÛ`+bx에서
f(1)=;2%;, f '(1)=0

x:@/` f(t)dt-:@/` tf(t)dt=xÜ`+axÛ`+bx


f(1)=:)1` (3tÛ`+at+b)dt

=[tÜ`+;2A;tÛ`+bt]1)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3xÛ`+2ax+b

:@/` f(t)dt=3xÛ`+2ax+b
=1+;2A;+b
yy ㉡
즉, 1+;2A;+b=;2%;에서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0=12+4a+b ;2A;+b=;2#; yy ㉠
4a+b=-12 yy ㉢ f '(1)=3+a+b=0에서
㉢-㉠을 하면 2a=-8, a=-4 a+b=-3 yy ㉡
㉠에서 b=4

㉡에서 :@/` f(t)dt=3xÛ`-8x+4이고, 이 등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


㉡-㉠을 하면 ;2A;=-;2(;, a=-9

㉡에서 b=6

따라서 f(x)=:)/` (3tÛ`-9t+6)dt이므로


하여 미분하면
f(x)=6x-8
따라서 f(b-a)=f(8)=48-8=40 f(2)=:)2`(3tÛ`-9t+6)dt=[tÜ`-;2(;tÛ`+6t]2)=2
 ⑤

95 :)/` (x-t) f(t)dt=axÜ`+bxÛ` 에서
⑤

x:)/` f(t)dt-:)/` tf(t)dt=axÜ`+bxÛ`


97 f(x)=:_/@ (tÛ`-1)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Û`-1=(x+1)(x-1)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3axÛ`+2bx
f '(x)=0에서 x=-1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f(t)dt=3axÛ`+2bx
x y -1 y 1 y
f '(x) + 0 - 0 +
위 등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 ↗ 극대 ↘ 극소 ↗

f(x)=:_/@ (tÛ`-1)dt=[;3!;tÜ`-t]/_@=;3!;xÜ`-x+;3@;
f(x)=6ax+2b   yy ㉠
f(x)-6
한편, lim =3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0일 때
x`Ú0 x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M=f(-1)=;3$;
(분모)`→`0이므로 (분자)`→`0이어야 한다.
즉, lim{ f(x)-6}=0이고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므로 m=f(1)=0
x`Ú0

므로 따라서 M+m=;3$;+0=;3$;
f(0)=6
 ①
㉠에서 f(0)=2b=6, b=3
또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f(x)-6 f(x)-f(0)
98 주어진 그래프에서 곡선 y=f(x)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lim =lim =f '(0) 각각 -1, 2이므로
x`Ú0 x x`Ú0 x
f(x)=a(x+1)(x-2) (a>0)
이므로 f '(0)=3
으로 놓을 수 있다.
㉠에서 f '(x)=6a이므로
곡선 y=f(x)가 점 (0, -2)를 지나므로
f '(0)=6a=3, a=;2!; f(0)=a_1_(-2)=-2에서 a=1
따라서 그러므로 f(x)=(x+1)(x-2)

4a+3b=4_;2!;+3_3=11 F(x)=:_/!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11 F '(x)=f(x)=(x+1)(x-2)

10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8 22. 11. 9. 오전 11:00


F '(x)=0에서 x=-1 또는 x=2 그림과 같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방정식 f(x)=f(4)의 실근 중 4가 아닌 것을 a라 하고,
x y -1 y 2 y 방정식 f(x)=f(0)의 실근 중 0이 아닌 것을 b라 하자.
F '(x) + 0 - 0 + 이때 f(k)=0이므로 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기 위
F(x) ↗ 극대 ↘ 극소 ↗ 한 정수 k는
a<k<0, 0<k<4, 4<k<b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F(2)=:_2! f(t)dt=:_2! (t+1)(t-2)dt


를 만족시켜야 한다.
f(a)=f(4)에서

=:_2! (tÛ`-t-2)dt=[;3!;tÜ`-;2!;tÛ`-2t]2_! :KÓ (tÛ`-4t)dt=:K4 (tÛ`-4t)dt

=-:Á3¼:-;6&;=-;2(; -:KÓ (tÛ`-4t)dt+:K4 (tÛ`-4t)dt=0

 ① :òk (tÛ`-4t)dt+:K4 (tÛ`-4t)dt=0

즉, :ò4 (tÛ`-4t)dt=0에서
99 f(x)=:A/` (4-tÛ`)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4-xÛ`=(2+x)(2-x) :ò4 (tÛ`-4t)dt=[;3!;tÜ`-2tÛ`]4ò=-;;£3ª;;-{;3!;aÜ`-2aÛ`}
f '(x)=0에서 x=-2 또는 x=2
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aÜ`-2aÛ`+;;£3ª;;=0, ;3!;(a+2)(a-4)Û`=0
x y -2 y 2 y
f '(x) - 0 + 0 - a<4이므로 a=-2
f(x) 또 f(b)=f(0)에서

:KÕ (tÛ`-4t)dt=:K0 (tÛ`-4t)dt


↘ 극소 ↗ 극대 ↘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므로

f(2)=:A2` (4-tÛ`)dt=[4t-;3!;tÜ`]2A 즉, :)Õ (tÛ`-4t)dt=0에서

=:Á3¤:-{4a-;3!;aÜ`}=;3!;aÜ`-4a+:Á3¤: :)Õ (tÛ`-4t)dt=[;3!;tÜ`-2tÛ`]Õ)=;3!;bÜ`-2bÛ`

극댓값이 0이므로 이므로

;3!;aÜ`-4a+:Á3¤:=0, aÜ`-12a+16=0 ;3!;bÜ`-2bÛ`=0, ;3!;bÛ`(b-6)=0

(a-2)(aÛ`+2a-8)=0, (a+4)(a-2)Û`=0 b>0이므로 b=6


a=-4 또는 a=2 따라서 -2<k<0, 0<k<4, 4<k<6이므로 가능한 정수 k는 -1,
따라서 서로 다른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1, 2, 3, 5이고, 그 개수는 5이다.
-4+2=-2  ⑤
 ④ 다른 풀이

함수 f(x)가 x=0에서 극대이고 x=4에서 극소이므로 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정수 k의 개수를 다음과
100 f(x)=:K/ (tÛ`-4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같이 구할 수 있다.

f(x)=:K/ (tÛ`-4t)dt=[;3!;tÜ`-2tÛ`]/K
f '(x)=xÛ`-4x=x(x-4)
f '(x)=0에서 x=0 또는 x=4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xÜ`-2xÛ`-;3!;kÜ`+2kÛ`
x y 0 y 4 y 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기 위해서는 함수 y=f(x)
f '(x) + 0 - 0 + 의 그래프가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f(0)>0,
f(x) ↗ 극대 ↘ 극소 ↗
f(4)<0이어야 한다.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x=4에서 극소이므로 함수 y=f(x) f(0)=-;3!;kÜ`+2kÛ`>0에서
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y
kÜ`-6kÛ`<0, kÛ`(k-6)<0
y=f(x)
k=0이면 f(0)=0이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k+0
y=f(0)
즉, kÛ`>0이므로
a 4 k<0 또는 0<k<6 yy ㉠
O b x

y=f(4) f(4)=-;3!;kÜ`+2kÛ`-;;£3ª;;<0에서

정답과 풀이 10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09 22. 11. 9. 오전 11:00


f(x)=:!/` (tÛ`-2t-3)dt
kÜ`-6kÛ`+32>0, (k+2)(k-4)Û`>0

=[;3!;tÜ`-tÛ`-3t]/!=;3!;xÜ`-xÛ`-3x+;;Á3Á;;
k=4이면 f(4)=0이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k+4
즉, (k-4)Û`>0이므로
-2<k<4 또는 k>4 yy ㉡
이므로
㉠, ㉡에서 -2<k<0 또는 0<k<4 또는 4<k<6이므로 가능한 정
f(0)=;;Á3Á;;
수 k는 -1, 1, 2, 3, 5이고, 그 개수는 5이다.

f(x)=:_/! (tÛ`+at+b)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3)=9-9-9+;;Á3Á;;=-;;Á3¤;;
101
f(4)=;;¤3¢;;-16-12+;;Á3Á;;=-3
f '(x)=xÛ`+ax+b
조건 (가)에서 함수 f(x)가 x=0에서 극대이므로 따라서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Á3Á:이고 최솟값은
f '(0)=0에서 b=0
-:Á3¤:이므로
f '(x)=xÛ`+ax=x(x+a)이고,
f '(x)=0에서 x=0 또는 x=-a :Á3Á:+{-:Á3¤:}=-;3%;
이때 조건 (가)에 의하여 함수 f(x)가 x=0에서 극대이려면 x=0의
 ③
좌우에서 도함수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어야 하므로

f(x)=:_/@ (tÛ`-t-2)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a<0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03
x y 0 y -a y f '(x)=xÛ`-x-2=(x+1)(x-2)
f '(x) + 0 - 0 + f '(x)=0에서 x=-1 또는 x=2
f(x) ↗ 극대 ↘ 극소 ↗ 0ÉxÉ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
이때 f(-1)=0이므로 조건 (나)에서 곡선 y=f(x)가 x축과 서로 다른 다.
두 점에서 만나려면 그림과 같이 함수 f(x)의 극솟값이 0이어야 한다. x 0 y 2 y 3
y y=f(x) f '(x) - 0 +
f(x) ↘ 극소 ↗

따라서 0ÉxÉ3에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자 최소이므로 최


-1 O -a x 솟값은

f(2)=:_2@ (tÛ`-t-2)dt=2:)2`(tÛ`-2)dt
f(x)=:_/!`(tÛ`+at)dt=[;3!;tÜ`+;2A;tÛ`]/_!
=2[;3!;tÜ`-2t]2)=2_{-;3$;}=-;3*;
=;3!;xÜ`+;2A;xÛ`-;2A;+;3!;
 ④
f(-a)=0에서

f(x)=:)/` (tÜ`+atÛ`+b)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6!;aÜ`-;2A;+;3!;=0, aÜ`-3a+2=0
104
(a-1)(aÛ`+a-2)=0, (a+2)(a-1)Û`=0
f '(x)=xÜ`+axÛ`+b

f(x)=:)/ (tÜ`+atÛ`+b)dt=[;4!;tÝ`+;3A;tÜ`+bt]/)=;4!;xÝ`+;3A;xÜ`+bx
a<0이므로 a=-2

따라서 f(x)=;3!;xÜ`-xÛ`+;3$;이므로 함수 f(x)의 극댓값은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 -:Á4Á:을 가지므로
f(0)=;3$;
f(-1)=-:Á4Á:, f '(-1)=0
 ④

f(x)=:!/` (tÛ`-2t-3)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1)=-;;Á4Á;;에서 ;4!;-;3!;a-b=-:Á4Á:
102
;3!;a+b=3 yy ㉠
f '(x)=xÛ`-2x-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f '(-1)=0에서 -1+a+b=0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a+b=1 yy ㉡

과 같다. ㉡-㉠을 하면 ;3@;a=-2, a=-3


x 0 y 3 y 4 ㉡에서 b=4
f '(x) - 0 + 즉, f '(x)=xÜ`-3xÛ`+4=(x+1)(x-2)Û`
f(x) ↘ 극소 ↗ f '(x)=0에서 x=-1 또는 x=2

11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0 22. 11. 9. 오전 11:00


-2ÉxÉ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09 F(x)를 f(x)의 한 부정적분이라 하면 F '(x)=f(x)이므로

: f(t)dt=lim
x -2 y -1 y 1 1 xÛ` F(xÛ`)-F(1)
lim
x`Ú1 x-1 1 x`Ú1 x-1
f '(x) - 0 +
F(xÛ`)-F(1)
f(x) ↘ 극소 ↗ =lim[ _(x+1)]
x`Ú1 xÛ`-1
f(x)=;4!;xÝ`-xÜ`+4x이므로 =F '(1)_2=2 f(1)=2_5=10
 ⑤
f(-2)=4+8-8=4

f(1)=;4!;-1+4=;;Á4£;;

따라서 -2ÉxÉ1에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4를 갖는다.


110 F(x)를 f(x)의 한 부정적분이라 하면 F '(x)=f(x)이므로

:
 ⑤
1 2+h
lim f(x)dx
h`Ú0 2h 2-h
105 f(x)=2xÜ`+ax-5로 놓고 F(x)를 f(x)의 한 부정적분이
=lim
F(2+h)-F(2-h)
라 하면 F '(x)=f(x)이므로 h`Ú0 2h

:!/` (2tÜ`+at-5)dt=lim :!/` f(t)dt


1 1 {F(2+h)-F(2)}-{ F(2-h)-F(2)}
lim =lim
x`Ú1 x-1 x`Ú1 x-1
h`Ú0 2h
F(2+h)-F(2) F(2-h)-F(2)
=lim [ ]
F(x)-F(1)
=lim -
x`Ú1 x-1 h`Ú0 2h 2h
=F '(1)=f(1)=a-3 F(2+h)-F(2) F(2-h)-F(2)
=lim [ _;2!;+ _;2!;]
즉, a-3=1에서 a=4 h`Ú0 h -h
F(2+h)-F(2) F(2-h)-F(2)
 ④ =;2!; lim +;2!; lim
h`Ú0 h h`Ú0 -h

=;2!;F '(2)+;2!;F '(2)


106 f(x)=xÜ`-2x로 놓고 F(x)를 f(x)의 한 부정적분이라 하
면 F '(x)=f(x)이므로 =F '(2)=f(2)=8a-5

: (xÜ`-2x)dx=lim :
1 2+h 1 2+h 즉, 8a-5=11에서 a=2
lim f(x)dx
h`Ú0 h 2 h`Ú0 h 2 따라서 f(x)=2xÜ`-4x+3이므로
F(2+h)-F(2) f(3)=54-12+3=45
=lim
h`Ú0 h
 ③
=F '(2)=f(2)=4
 ②

107 111 F(x)를 f(x)의 한 부정적분이라 하면 F '(x)=f(x)이므로

:A/` f(t)dt=lim
F(x)를 f(x)의 한 부정적분이라 하면 F '(x)=f(x)이므로

:@/` f(t)dt=lim
1 F(x)-F(a)
1 F(x)-F(2) lim
lim x`Úa x-a x`Úa x-a
x`Ú2 xÛ`-2x x`Ú2 x(x-2)
=F '(a)=f(a)=aÜ`-2aÛ`-4
F(x)-F(2)
=lim[ _;[!;]
x`Ú2 x-2 즉, aÜ`-2aÛ`-4=5에서 aÜ`-2aÛ`-9=0

=F '(2)_;2!;=;2!; f(2)=;2!;_4=2 (a-3)(aÛ`+a+3)=0


 ② a는 실수이므로 a=3
 3

108 f(x)=xÜ`+axÛ`+2로 놓고 F(x)를 f(x)의 한 부정적분이라


하면 F '(x)=f(x)이므로

: (xÜ`+axÛ`+2)dx=lim : 112
1 1+2h 1 1+2h F(x)를 f(x)의 한 부정적분이라 하면 F '(x)=f(x)이므로

:
lim f(x)dx
h`Ú0 h 1 h`Ú0 h 1
1 3+h F(3+h)-F(3)
lim f(x)dx=lim
F(1+2h)-F(1) h`Ú0 h 3 h`Ú0 h
=lim
h`Ú0 h =F '(3)=f(3)=|9-3a|
F(1+2h)-F(1)
=lim[ _2] 즉, |9-3a|É5에서
h`Ú0 2h
=2F '(1)=2 f(1) -5É9-3aÉ5, ;3$;ÉaÉ;;Á3¢;;

=2(a+3)=2a+6 따라서 정수 a의 값은 2, 3, 4이므로 그 합은


즉, 2a+6=18에서 a=6 2+3+4=9
 6  9

정답과 풀이 11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1 22. 11. 9. 오전 11:00


서술형 완성하기
본문 113쪽 (x-2)f '(x)=4x(x-2)(x+2)
f '(x)가 다항함수이므로
01 12 02 67 03 ;2¢7; 04 -16 05 20 f '(x)=4x(x+2)=4xÛ`+8x   yy ➋
그러므로
06 ⑴ g(x)=;1Á2;xÝ`-;3@;xÜ`+;2#;xÛ`-;3$;x+;1°2; ⑵ -;4(;
f(x)=: f '(x)dx=: (4xÛ`+8x)dx

d
01 dx
{ f(x)+g(x)}=2x에서 =;3$;xÜ`+4xÛ`+C (단, C는 적분상수)

:[ { f(x)+g(x)}]dx=: 2xdx
d F(0)=10이므로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dx 10=-2 f(0), f(0)=-5
f(x)+g(x)=xÛ`+CÁ (단, CÁ은 적분상수) yy ㉠ 즉, C=-5
d
{ f(x)g(x)}=3xÛ`-1에서 따라서 f(x)=;3$;xÜ`+4xÛ`-5이므로
dx

:[ { f(x)g(x)}]dx=: (3xÛ`-1)dx
d f(3)=36+36-5=67   yy ➌
dx   67
f(x)g(x)=xÜ`-x+Cª (단, Cª는 적분상수) yy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이때 g(0)=0이므로 ㉡에서
➊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f(0)_g(0)=Cª, Cª=0
➋ f '(x)를 구한 경우 40`%
㉡에서
➌ f(3)의 값을 구한 경우 30`%
f(x)g(x)=xÜ`-x=x(x+1)(x-1)   yy ➊
함수 g(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g(0)=0이므로 가능한 g(x)
는 x, x(x+1), x(x-1)이다.
Ú g(x)=x일 때
03 f(x)=: (3xÛ`-4x+k)dx에서
f(x)=(x+1)(x-1)=xÛ`-1 f '(x)=3xÛ`-4x+k
f(x)+g(x)=xÛ`+x-1이므로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므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Û g(x)=x(x+1)일 때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f(x)=x-1 x에 대한 이차방정식 3xÛ`-4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f(x)+g(x)=xÛ`+2x-1이므로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4-3k>0, k<;3$;
4
Ü g(x)=x(x-1)일 때
k는 자연수이므로 k=1 yy ➊
f(x)=x+1
즉, f '(x)=3xÛ`-4x+1=(3x-1)(x-1)
f(x)+g(x)=xÛ`+1이므로 ㉠을 만족시키고, 이때 CÁ=1이다.
f '(x)=0에서 x=;3!; 또는 x=1
Ú, Û, Ü에 의하여
f(x)=x+1, g(x)=x(x-1) yy ➋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f(1)_g(3)=2_6=12 yy ➌
x y ;3!; y 1 y
  12
f '(x) + 0 - 0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x) ↗ 극대 ↘ 극소 ↗
➊ f(x)g(x)를 구한 경우 30`%
가능한 g(x)를 나열한 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는 x=;3!;에서 극대이고, x=1에서 극소이다. yy ➋
➋ 60`%
f(x), g(x)를 구한 경우 이때
➌ f(1)_g(3)의 값을 구한 경우 10`%
f(x)=: (3xÛ`-4x+1)dx

=xÜ`-2xÛ`+x+C`(단, C는 적분상수)
이므로 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02 F(x)=(x-2)f(x)-xÝ`+axÛ`   yy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f(x)이므로 f {;3!;}-f(1)={;2¢7;+C}-C=;2¢7; yy ➌

f(x)=f(x)+(x-2)f '(x)-4xÜ`+2ax
  ;2¢7;
(x-2)f '(x)=4xÜ`-2ax
위 등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0=32-4a, a=8   yy ➊ ➊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즉, (x-2)f '(x)=4xÜ`-16x ➋ 함수 f(x)가 극대, 극소가 되는 x의 값을 구한 경우 40`%
이때 4xÜ`-16x=4x(xÛ`-4)=4x(x-2)(x+2)이므로 ➌ 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를 구한 경우 20`%

11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2 22. 11. 9. 오전 11:00


04 g(x)=x f(x)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므로

:)2`|f '(x)|dx=:)1` f '(x)dx+:!2` {-f '(x)}dx


g(-x)=-x f(-x)=-x_{-f(x)}

=[f(x)]1)+[-f(x)]2!
=x f(x)=g(x)
이므로

:_1! g(x)dx=:_1! x f(x)dx=2:)1` x f(x)dx=8   yy ➊ ={ f(1)-f(0)}+{-f(2)+f(1)}

또 h(x)=xÛ` f(x)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4+2=6


이 경우 조건 (나)를 만족시킨다.
h(-x)=(-x)Û` f(-x)=xÛ`_{-f(x)}
Ú, Û에 의하여 f(x)=x(x-3)Û`    yy ➋
=-xÛ` f(x)=-h(x)
따라서 f(5)=5_4=20   yy ➌
이므로

:_1! h(x)dx=:_1! xÛ` f(x)dx=0   yy ➋


  2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_1! (x-1)Û` f (x)dx=:_1! (xÛ`-2x+1)f(x)dx


➊ 가능한 함수 f(x)의 식을 모두 구한 경우 30`%
➋ 조건 (가), (나)를 만족시키는 함수 f(x)를 구한 경우 60`%

=:_1! {xÛ` f(x)-2x f(x)+f(x)}dx


➌ f(5)의 값을 구한 경우 10`%

=:_1! {h(x)-2g(x)+f(x)}dx
06 ⑴ g(x)=:!/
=-2:_1! g(x)dx
(x-t)f(t)dt

=x:!/ f(t)dt-:!/ tf(t)dt   yy ㉠


=-2_8=-16   yy ➌
  -16 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g'(x)=:!/ f(t)dt+x f(x)-x f(x)=:!/ f(t)dt

➊ :_1! x f(x)dx의 값을 구한 경우 40`% g'(4)=:!4 f(t)dt

➋ :_1! xÛ` f(x)dx의 값을 구한 경우 40`% =:!4 (tÛ`-4t+k)dt

=[;3!;tÜ`-2tÛ`+kt]4!=3k-9
➌ 정적분의 값을 구한 경우 20`%

g'(4)=0이므로
05 함수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조건 (가)에 3k-9=0, k=3 yy ➊
의하여 가능한 함수 f(x)는 따라서 ㉠에서
f(x)=xÛ`(x-3) 또는 f(x)=x(x-3)Û`    yy ➊ g(x)=x:!/ (tÛ`-4t+3)dt-:!/ (tÜ`-4tÛ`+3t)dt

=x[;3!;tÜ`-2tÛ`+3t]/!-[;4!;tÝ`-;3$;tÜ`+;2#;tÛ`]/!
Ú f(x)=xÛ`(x-3)인 경우
f(x)=xÜ`-3xÛ` 에서
f '(x)=3xÛ`-6x=3x(x-2)
=x{;3!;xÜ`-2xÛ`+3x-;3$;}-{;4!;xÝ`-;3$;xÜ`+;2#;xÛ`-;1°2;}
f '(x) (xÉ0 또는 x¾2)
|f '(x)|=[
-f '(x) (0<x<2) =;1Á2;xÝ`-;3@;xÜ`+;2#;xÛ`-;3$;x+;1°2; yy ➋
이므로

:)2`|f '(x)|dx=:)2`{-f '(x)}dx


⑵ g'(x)=;3!;xÜ`-2xÛ`+3x-;3$;=;3!;(x-1)Û`(x-4)

=[-f(x)]2)
g'(x)=0에서 x=1 또는 x=4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2)+f(0) x y 1 y 4 y

=4 g '(x) - 0 - 0 +

이 경우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g(x) ↘ ↘ 극소 ↗

Û f(x)=x(x-3)Û` 인 경우 함수 g(x)는 x=4에서 극소이자 최소이다.


f(x)=xÜ`-6xÛ`+9x에서 따라서 함수 g(x)의 최솟값은
f '(x)=3xÛ`-12x+9=3(x-1)(x-3) g(4)=;1Á2;_4Ý`-;3@;_4Ü`+;2#;_4Û`-;3$;_4+;1°2;=-;4(; yy ➌
f '(x) (xÉ1 또는 x¾3)
|f '(x)|=[   ⑴ g(x)=;1Á2;xÝ`-;3@;xÜ`+;2#;xÛ`-;3$;x+;1°2; ⑵ -;4(;
-f '(x) (1<x<3)

정답과 풀이 11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3 22. 11. 9. 오전 11:0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즉,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➊ k의 값을 구한 경우 30`% lim f(x)= lim f(x)=f(0)
x`Ú0- x`Ú0+

➋ g(x)를 구한 경우 30`% 즉, CÁ=Cª


➌ g(x)의 최솟값을 구한 경우 40`% 그러므로

[
;2A;xÛ`+3x+CÁ (x<0)
f(x)= yy ㉠
;3!;xÜ`+;2B;xÛ`+3x+CÁ (x¾0)

3 f(x)-4
조건 (가)의 lim =0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1일 때
x`Ú1 x-1
본문 114~115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분모)`→`0이므로 (분자)`→`0이어야 한다.
즉, lim{3f(x)-4}=0이고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01 40 02 ② 03 ④ 04 ③ 05 35 x`Ú1

06 ⑤ 3f(1)-4=0, f(1)=;3$;

㉠에서
01 곱의 미분법에 의하여 f(1)=;3!;+;2B;+3+CÁ=;3$;
{ f(x)g(x)}'=f '(x)g(x)+f(x)g'(x)
이므로 조건 (가)에서 ;2B;+CÁ=-2 yy ㉡
{ f(x)g(x)}'=6xÛ`+2 또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그러므로
f(x)-;3$;
f(x)g(x)=: { f(x)g(x)}'dx
3f(x)-4 f(x)-f(1)
lim =
 3lim =3lim
x`Ú1 x-1 x`Ú1 x-1 x`Ú1 x-1
=3f '(1)
=: (6xÛ`+2)dx
즉, 3f '(1)=0에서 f '(1)=0
=2xÜ`+2x+C (단, C는 적분상수) f '(1)=1+b+3=0, b=-4
조건 (나)에 의하여 f(1)=2, g(1)=2이므로 위 등식의 양변에 x=1 ㉡에서 -2+CÁ=-2, CÁ=0
을 대입하면 그러므로
f(1)g(1)=2+2+C

[
;2A;xÛ`+3x (x<0)
4=4+C, C=0
f(x)=
그러므로 ;3!;xÜ`-2xÛ`+3x (x¾0)
f(x)g(x)=2xÜ`+2x
x¾0에서
=2x(xÛ`+1)
조건 (나)에 의하여 g(x)는 일차함수이고 f(x), g(x)가 최고차항의 f(x)=;3!;x(xÛ`-6x+9)=;3!;x(x-3)Û`
계수가 양수인 다항함수이므로 이므로 x¾0에서 방정식 f(x)=0의 두 근은
f(x)=k(xÛ`+1), g(x)=;k@;x (단, k>0) x=0 또는 x=3
조건 (나)에 의하여 b=0, c=3이므로 a=-3이어야 한다.
이때 f '(x)=2kx이고 f '(1)=g '(1)이므로
즉, x<0에서 f(-3)=0이므로
2k=;k@;, kÛ`=1
;2(;a-9=0에서 a=2
k>0이므로 k=1

[ ;3!;xÜ`-2xÛ`+3x (x¾0)
xÛ`+3x (x<0)
따라서 f(x)=xÛ`+1, g(x)=2x이므로
따라서 f(x)= 이므로
f(2)_g(4)=5_8=40
  40
f(a)_f(b)=f(2)_f(-4)=;3@;_4=;3*; ②

참고
ax+3 (x<0)
02 f '(x)=[
xÛ`+bx+3 (x¾0)
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
;2A;xÛ`+3x+CÁ (x<0)
f(x)= `(단, CÁ, Cª는 적분상수)
;3!;xÜ`+;2B;xÛ`+3x+Cª (x¾0) -3 O 3 x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


에서 연속이다.

11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4 22. 11. 9. 오전 11:00


03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 연속 참고

:_-#2 f(x)dx=:!2 { f(x)-4}dx는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이다.
즉, lim f(x)= lim f(x)=f(2)   yy ㉠
x`Ú2- x`Ú2+
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에 의하여

:_-#2 f(x)dx=:!2  f(x-4)dx   yy ㉠


조건 (가)에서 f(x)=axÛ`+2x (0Éx<2)이므로
lim f(x)= lim (axÛ`+2x)=4a+4
x`Ú2- x`Ú2-
조건 (나)에 의하여
조건 (나)에서 f(x+2)=f(x)+2이므로 이 등식의 양변에 x=0을
f(x-4)=f(x-2)-2={ f(x)-2}-2=f(x)-4
대입하면
그러므로 ㉠에서

:_-#2 f(x)dx=:!2  f(x-4)dx=:!2 { f(x)-4}dx


f(2)=f(0)+2=0+2=2

㉠에서 4a+4=2, a=-;2!;


같은 방법으로

:_0@ f(x)dx=:)2 { f(x)-2}dx


그러므로 0Éx<2에서 f(x)=-;2!;xÛ`+2x이고 조건 (나)에 의하여

:@4  f(x)dx=:)2 { f(x)+2}dx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

:$6  f(x)dx=:)2 { f(x)+4}dx


6
y=f(x)
4

-3 2
-4 -2 임을 보일 수 있다.
O 2 4 6 x
-2

y -4 -;2%;

04 f(x)=xÛ`+ax+b (a, b는 상수)로 놓으면


g(0)=:)3`f(x)dx=:)3`(xÛ`+ax+b)dx
조건 (나)에 의하여

:_-# `2   f(x)dx=:!2` { f(x)-4}dx


=[;3!;xÜ`+;2A;xÛ`+bx]3)=9+;2(;a+3b
:_0@ f(x)dx=:)2`{ f(x)-2}dx

:@4` f(x)dx=:)2`{ f(x)+2}dx


g(0)=0에서

9+;2(;a+3b=0

:$6` f(x)dx=:)2`{ f(x)+4}dx ;2#;a+b=-3 yy ㉠

g(1)=:!4` f(x)dx=:!4` (xÛ`+ax+b)dx


이고,

:)2` f(x)dx=:)2`{-;2!;xÛ`+2x}dx=[-;6!;xÜ`+xÛ`]2)=;3*;
=[;3!;xÜ`+;2A;xÛ`+bx]4!=21+:Á2°:a+3b
:!2` f(x)dx=:!2` {-;2!;xÛ`+2x}dx=[-;6!;xÜ`+xÛ`]2!=:Á6Á: g(1)=0에서
이므로 21+:Á2°:a+3b=0
:_6#  f(x)dx
;2%;a+b=-7 yy ㉡

=:_-# 2`  f(x)dx+:_0@ f(x)dx+:)2` f(x)dx+:@4` f(x)dx ㉡-㉠을 하면 a=-4

+:$6` f(x)dx
㉠에서 b=3
즉, f(x)=xÛ`-4x+3

=:!2` { f(x)-4}dx+:)2`{ f(x)-2}dx+:)2` f(x)dx


t+3
이때 g(t)=: f(x)dx의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2`{ f(x)+2}dx+:)2`{ f(x)+4}dx :


t

d t+3
g '(t)= f(x)dx=f(t+3)-f(t)
dt t

=:!2` { f(x)-4}dx+:)2`{4f(x)+4}dx
={(t+3)Û`-4(t+3)+3}-(tÛ`-4t+3)
=6t-3
=:!2` f(x)dx-[4x]2!+4:)2` f(x)dx+[4x]2) g '(t)=0에서 t=;2!;

=:Á6Á:-4+4_;3*;+8=:£2£: t<;2!;에서 g'(t)<0, t>;2!;에서 g'(t)>0이므로

 ④ 함수 g(t)는 t=;2!;에서 극소이자 최소이다.

따라서 함수 g(t)의 최솟값은

정답과 풀이 11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5 22. 11. 9. 오전 11:00


g{;2!;}=:
;2&; ;2&;
f(x)-2x=(x-a)Ü` (a는 실수)
f(x)dx=: (xÛ`-4x+3)dx
;2!; ;2!;
로 놓을 수 있다.
;2&;
=[;3!;xÜ`-2xÛ`+3x] =-;4#; 조건 (나)에서

g(2)-g(-2)=:)2`{ f(t)-2t}dt-:)- `2` { f(t)-2t}dt


;2!;

 ③

=:)2`{ f(t)-2t}dt+:_0@ { f(t)-2t}dt


참고 1

: f(x)dx=f(t+3)-f(t)는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d t+3

=:_2@ { f(t)-2t}dt
g'(t)=
dt t

g(t)=:
=:_2@ (t-a)Ü`dt
t+3
f(x)dx

f(x)dx-:)t`  f(x)dx   yy ㉠
t

=:_2@ (tÜ`-3atÛ`+3aÛ`t-aÜ`)dt
t+3
=:
0

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에 의하여

: f(x)dx=:_t#`f(x+3)dx이므로 ㉠에서 =2:)2`(-3atÛ`-aÜ`)dt


t+3

g(t)=:_t#`f(x+3)dx-:)t`  f(x)dx =2[-atÜ`-aÜ`t]2)`
0

이때 h(x)=f(x+3)으로 놓으면

g(t)=:_t# h(x)dx-:)t`  f(x)dx
=2(-8a-2aÜ`)
=-4aÜ`-16a

위 등식의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즉, -4aÜ`-16a=-20에서

g '(t)=h(t)-f(t)=f(t+3)-f(t) aÜ`+4a-5=0, (a-1)(aÛ`+a+5)=0


참고 2 a는 실수이므로 a=1
함수 f(x)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f(x)=(x-1)Ü`+2x=xÜ`-3xÛ`+5x-1이므로

g(0)=g(1)에서 :)3`f(x)dx=:!4` f(x)dx   yy ㉠


f(4)=35
  35

:)3` f(x)dx=:)1` f(x)dx+:!3` f(x)dx

:!4`  f(x)dx=:!3`  f(x)dx+:#4`  f(x)dx
06 다항함수 f(x)가 0을 제외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므로 ㉠에서

:)1` f(x)dx+:!3` f(x)dx=:!3`  f(x)dx+:#4`  f(x)dx


x f '(x)>0   yy ㉠
㉠에서 x<0일 때 f '(x)<0이므로

즉, :)1` f(x)dx=:#4`  f(x)dx이므로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성에


x<0에서 f(x)>f(0)이고,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f(x)-f(0)
lim É0
x`Ú0- x
의하여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임을 알 수
㉠에서 x>0일 때 f '(x)>0이므로
있다.
x>0에서 f(x)>f(0)이고,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이때 f(x)=(x-2)Û`+k (k는 상수)로 놓으면

g(0)=:)3`f(x)dx=:)3`{(x-2)Û`+k}dx
f(x)-f(0)
lim ¾0
x`Ú0+ x

=:)3`(xÛ`-4x+4+k)dx
함수 f(x)가 다항함수이므로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f(x)-f(0) f(x)-f(0)
즉, lim = lim 이어야 하므로
=[;3!;xÜ`-2xÛ`+(4+k)x]3)=3k+3
x`Ú0- x x`Ú0+ x
f '(0)=0   yy ㉡
g(0)=0에서 3k+3=0, k=-1 ㄱ. g(x)=(x-1)f(x)-:!/`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즉, f(x)=(x-2)Û`-1=xÛ`-4x+3
g'(x)=f(x)+(x-1)f '(x)-f(x)
=(x-1)f '(x)
㉡에 의하여 f '(0)=0이므로
05 함수 f(x)-2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g'(0)=-f '(0)=0 (참)

g(x)=:)/` { f(t)-2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ㄴ. 0<x<1에서 g'(x)=(x-1)f '(x)<0이고,
x>1에서 g'(x)=(x-1)f '(x)>0이므로
g'(x)=f(x)-2x 함수 g(x)는 x=1에서 극소이다.

이때 g(x)=(x-1)f(x)-:!/` f(t)dt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조건 (가)에서 함수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고 함수
|g'(x)|=|f(x)-2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11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6 22. 11. 9. 오전 11:00


g(1)=0-:!1`  f(t)dt=0이므로

함수 g(x)는 x=1에서 극솟값 0을 갖는다. (참)


07 정적분의 활용
ㄷ. x<0에서 g'(x)=(x-1)f '(x)>0이고,
본문 117쪽
0<x<1에서 g'(x)=(x-1)f '(x)<0이므로 개념 확인하기
함수 g(x)는 x=0에서 극대이다.
01 ;3$; 02 ;;£3ª;; 03 ;3$; 04 ;2!; 05 ;3*;
ㄴ에 의하여 함수 g(x)는 x=1에서 극소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6 6 07 ;;£6Á;; 08 ;3$; 09 ;2(; 10 8
x y 0 y 1 y
g '(x) + 0 - 0 + 11 ;3*; 12 ;;ª4¦;; 13 -;3$; 14 ;3@; 15 2
g(x) ↗ 극대 ↘ 극소 ↗

함수 g(x)가 다항함수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 01 :)2 (-xÛ`+2x)dx=[-;3!;xÜ`+xÛ`]2)=-;3*;+4=;3$;


림과 같다.
y   ;3$;
y=g(x)

y=g(0)

02 곡선 y=xÛ`-4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y y=xÛ`-4


xÛ`-4=0, (x+2)(x-2)=0
O 1 a x x=-2 또는 x=2 -2 O 2 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2@`|xÛ`-4|dx=:_2@`(-xÛ`+4)dx
이때 방정식 g(x)=g(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0, a (a>0)이라
하면 함수 |g(x)-g(0)|은 x=0에서 미분가능하나, x=a에서 -4

미분가능하지 않다.
=2:)2 `(-xÛ`+4)dx
그러므로 함수 |g(x)-g(0)|의 미분가능하지 않은 실수 x의 개수
는 1이다. (참) =2[-;3!;xÜ`+4x]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2{-;3*;+8}=2_;;Á3¤;;=;;£3ª;;

 ;;£3ª;;
참고

h(x)=|g(x)-g(0)|으로 놓으면 h(a)=0이고
x<a에서 g(x)Ég(0), 즉 g(x)Ég(a)이므로
h(x)=|g(x)-g(0)|=-g(x)+g(0)=-g(x)+g(a)
h(x)-h(a) g(x)-g(a) 03 곡선 y=xÜ`+2xÛ`과 x축의 교점의  y y=xÜ`+2xÛ`
lim =- lim x좌표는
x`Úa- x-a x`Úa- x-a
=-g'(a)<0 xÜ`+2xÛ`=0, xÛ`(x+2)=0
-2 O x
x>a에서 g(x)>g(0), 즉 g(x)>g(a)이므로 x=-2 또는 x=0
h(x)=|g(x)-g(0)|=g(x)-g(0)=g(x)-g(a)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lim
h(x)-h(a)
= lim
g(x)-g(a) :_0@ (xÜ`+2xÛ`)dx=[;4!;xÝ`+;3@;xÜ`]0_@=;3$;
x`Úa+ x-a x`Úa+ x-a
=g'(a)>0   ;3$;
그러므로 함수 h(x)는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04 곡선 y=x(x-1)(x-2)와 x축의 y y=x(x-1)(x-2)


교점의 x좌표는
x(x-1)(x-2)=0 O 1 2 x
x=0 또는 x=1 또는 x=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 |x(x-1)(x-2)|dx

=:)2 |xÜ`-3xÛ`+2x|dx

=:)1 (xÜ`-3xÛ`+2x)dx+:!2 (-xÜ`+3xÛ`-2x)dx

정답과 풀이 11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7 22. 11. 9. 오전 11:00


=[;4!;xÝ`-xÜ`+xÛ`]1)+[-;4!;xÝ`+xÜ`-xÛ`]2! :)2 (2x-xÛ`)dx=[xÛ`-;3!;xÜ`]2)

=;4!;+;4!;=;2!; =;3$;

  ;2!;   ;3$;

05 곡선 y=xÛ`-4x+3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4x+3=0, (x-1)(x-3)=0
09 곡선 y=-xÛ`+4와 직선 y=x+2 y y=x+2
x=1 또는 x=3 의 교점의 x좌표는 4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y=-xÛ`+4

:)3 |xÛ`-4x+3|dx
-xÛ`+4=x+2 2

xÛ`+x-2=0, (x+2)(x-1)=0 -2
O 1 2 x
x=-2 또는 x=1
=:)1 (xÛ`-4x+3)dx+:!3 (-xÛ`+4x-3)d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xÜ`-2xÛ`+3x]1)+[-;3!;xÜ`+2xÛ`-3x]3! :_1@`{(-xÛ`+4)-(x+2)}dx

=;3$;+;3$;=;3*; =:_1@`(-xÛ`-x+2)dx

  ;3*; =[-;3!;xÜ`-;2!;xÛ`+2x]1_@=;2(;

  ;2(;
06 구하는 넓이는 y y=3xÛ`+2

:_1!`(3xÛ`+2)dx=2:)1 (3xÛ`+2)dx

=2[xÜ`+2x]1) 10 곡선 y=xÜ`과 직선 y=4x의 교점의 x좌표는 y y=xÜ` y=4x


2
xÜ`=4x, xÜ`-4x=0
=2_3=6
x(x+2)(x-2)=0
-1 O 1 x
x=-2 또는 x=0 또는 x=2
-2
 6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O 2 x

:_2@`|xÜ`-4x|dx
07 곡선 y=-(x+1)(x-2)와 x축의
=:_0@`(xÜ`-4x)dx+:)2 (-xÜ`+4x)dx
y
2
교점의 x좌표는

=[;4!;xÝ`-2xÛ`]0_@+[-;4!;xÝ`+2xÛ`]2)
-(x+1)(x-2)=0
-1 O 2 3 x
x=-1 또는 x=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4+4=8
:)3 |-(x+1)(x-2)|dx
y=-(x+1)(x-2)  8

=:)3 |-xÛ`+x+2|dx

=:)2 (-xÛ`+x+2)dx+:@3 (xÛ`-x-2)dx 11 두 곡선 y=xÛ`, y=-xÛ`+4x의 교점의 y


y=xÛ`

=[-;3!;xÜ`+;2!;xÛ`+2x]2)+[;3!;xÜ`-;2!;xÛ`-2x]3@
x좌표는
xÛ`=-xÛ`+4x
2xÛ`-4x=0, 2x(x-2)=0
=;;Á3¼;;+;;Á6Á;;=;;£6Á;; O 2 4 x
x=0 또는 x=2
y=-xÛ`+4x
  ;;£6Á;;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 {(-xÛ`+4x)-xÛ`}dx

08 곡선 y=xÛ`과 직선 y=2x의 교점의 y=xÛ` y y=2x


=:)2 (-2xÛ`+4x)dx
x좌표는
xÛ`=2x, xÛ`-2x=0, x(x-2)=0 =[-;3@;xÜ`+2xÛ`]2)=;3*;
x=0 또는 x=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O 2 x   ;3*;

11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8 22. 11. 9. 오전 11:00


12 두 곡선 y=xÜ`-xÛ`, y=2xÛ`의 교점의  y=2xÛ` y
01 곡선 y=(x-1)Ü`과 직선 x=3은 그림과 같다.
x좌표는 y y=(x-1)Ü`
xÜ`-xÛ`=2xÛ`, xÜ`-3xÛ`=0
xÛ`(x-3)=0
x=0 또는 x=3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O 1 3 x

:)3 {2xÛ`-(xÜ`-xÛ`)}dx
O 1 3 x
x=3
y=xÜ`-xÛ`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1 {-(x-1)Ü`}dx+:!3 (x-1)Ü`dx


=:)3 (3xÛ`-xÜ`)dx

=[xÜ`-;4!;xÝ`]3)=;;ª4¦;; =:)1 (-xÜ`+3xÛ`-3x+1)dx+:!3 (xÜ`-3xÛ`+3x-1)dx

  ;;ª4¦;; =[-;4!;xÝ`+xÜ`-;2#;xÛ`+x]1)+[;4!;xÝ`-xÜ`+;2#;xÛ`-x]3!

=;4!;+4=;;Á4¦;;
13 :)2 v(t)dt=:)2 (tÛ`-2t)dt=[;3!;tÜ`-tÛ`]2)=-;3$;
 ②
  -;3$;

14 :!3 v(t)dt=:!3 (tÛ`-2t)dt=[;3!;tÜ`-tÛ`]3!=;3@;


02 곡선 y=xÛ`-2x-3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2x-3=0에서

  ;3@; (x+1)(x-3)=0
x=-1 또는 x=3

:!3 |v(t)|dt
곡선 y=xÛ`-2x-3과 직선 x=2는 그림과 같다.
15 v(t) v(t)=tÛ`-2t y y=xÛ`-2x-3

=:!3 |tÛ`-2t|dt -1 O 2 3 x

1
=:!2 (-tÛ`+2t)dt+:@3 (tÛ`-2t)dt O 2 3 t

=[-;3!;tÜ`+tÛ`]2!+[;3!;tÜ`-tÛ`]3@
x=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3$;=2 :)2 (-xÛ`+2x+3)dx=[-;3!;xÜ`+xÛ`+3x]2)=;;ª3ª;;


 2  ①

03 곡선 y=-xÜ`+xÛ`+2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Ü`+xÛ`+2x=0에서
xÜ`-xÛ`-2x=0, x(x+1)(x-2)=0
본문 118~125쪽
유형 완성하기 x=-1 또는 x=0 또는 x=2
곡선 y=-xÜ`+xÛ`+2x는 그림과 같다.
01 ② 02 ① 03 ④ 04 ⑤ 05 ③
y
06 12 07 ③ 08 3 09 21 10 ⑤ y=-xÜ`+xÛ`+2x

11 9 12 ② 13 ④ 14 ④ 15 8
x
16 ① 17 ③ 18 ③ 19 ① 20 ② -1 O 2

21 ③ 22 ② 23 ⑤ 24 4 25 4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0!`(xÜ`-xÛ`-2x)dx+:)2 (-xÜ`+xÛ`+2x)dx
26 24 27 ① 28 ③ 29 ⑤ 30 12
31 ④ 32 ④ 33 ⑤ 34 ① 35 ⑤
36 ② 37 ④ 38 2 39 ② 40 ② =[;4!;xÝ`-;3!;xÜ`-xÛ`]0_!+[-;4!;xÝ`+;3!;xÜ`+xÛ`]2)

41 ④ 42 ② 43 ⑤ 44 ① 45 44 =;1°2;+;3*;=;1#2&;
46 ③ 47 ③
 ④

정답과 풀이 11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19 22. 11. 9. 오전 11:00


04 곡선 y=-xÜ`+axÛ`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xÜ`+axÛ`=0에서 즉, lim`f(x)=0이고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Ú2
xÜ`-axÛ`=0 , xÛ`(x-a)=0 f(2)=0
x=0 또는 x=a 4a+2b+c=0 yy ㉠
y
y=-xÜ`+axÛ` 또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f(x) `f(x)-f(2)
lim =lim =f '(2)
x`Ú2 x-2 x`Ú2 x-2
즉, f '(2)=0에서
O a x
4a+b=0 yy ㉡
곡선 y=-xÜ`+axÛ`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에서 b=-4a이므로 ㉠에 대입하면
넓이는

:)a (-xÜ`+axÛ`)dx=[-;4!;xÝ`+;3A;xÜ`]a)=;1Á2;aÝ`
c=-2b-4a=4a
그러므로
f(x)=axÛ`-4ax+4a=a(x-2)Û`
즉, ;1Á2;aÝ`=;;ª4¦;;에서 aÝ`=81 y y=a(x-2)Û`
aÝ`-81=0, (a+3)(a-3)(aÛ`+9)=0
a>0이므로 a=3
 ⑤

05 함수 y=f '(x)의 그래프에서 f '(0)=f '(2)=0이므로 O 2 x

f '(x)=ax(x-2)`(a는 상수, a<0) 곡선 y=f(x)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위의 그림과 같고,


으로 놓을 수 있다. 그 넓이는

:)2 (axÛ`-4ax+4a)dx=[;3A;xÜ`-2axÛ`+4ax]2)=;3*;a
곡선 y=f '(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4이므로

:)2 f '(x)dx=:)2  (axÛ`-2ax)dx


즉, ;3*;a=8에서 a=3
=[;3A;xÜ`-axÛ`]2)=-;3$;a
따라서 f(x)=3(x-2)Û`이므로

즉,-;3$;a=4에서 a=-3 f(4)=3_4=12


  12
f '(x)=-3x(x-2)=-3xÛ`+6x이므로

f(x)=: f '(x)dx=: (-3xÛ`+6x)dx


07 곡선 y=xÜ`-3xÛ`과 직선 y=x-3의 교점의 x좌표는
=-xÜ`+3xÛ`+C (단, C는 적분상수) xÜ`-3xÛ`=x-3에서
따라서 f(3)-f(2)=C-(4+C)=-4 xÜ`-3xÛ`-x+3=0, (x+1)(x-1)(x-3)=0
 ③ x=-1 또는 x=1 또는 x=3
다른 풀이 y
y=xÜ`-3xÛ`
f '(x)=ax(x-2)`(a는 상수, a<0)에서 y=x-3
-1 O 1
f(x)=: f '(x)dx=: (axÛ`-2ax)dx 3 x

=;3A;xÜ`-axÛ`+C (단, C는 적분상수)

곡선 y=f '(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4이므로

:)2 f '(x)dx=[f(x)]2)=f(2)-f(0) 따라서 곡선 y=xÜ`-3xÛ` 과 직선 y=x-3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넓이는

:_1!`{(xÜ`-3xÛ`)-(x-3)}dx+:!3 {(x-3)-(xÜ`-3xÛ`)}dx
={-;3$;a+C}-C=-;3$;a

즉, -;3$;a=4에서 a=-3
=:_1!`(xÜ`-3xÛ`-x+3)dx+:!3 (-xÜ`+3xÛ`+x-3)dx
따라서 f(x)=-xÜ`+3xÛ`+C이므로
f(3)-f(2)=C-(4+C)=-4
=2:)1 (-3xÛ`+3)dx+:!3 (-xÜ`+3xÛ`+x-3)dx

06 f(x)=axÛ`+bx+c`(a, b, c는 상수, a>0)으로 놓으면 =2[-xÜ`+3x]1)+[-;4!;xÝ`+xÜ`+;2!;xÛ`-3x]3!


f '(x)=2ax+b
`f(x) =4+4=8
조건 (가)의 lim =0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 Ú 2일 때
x`Ú2 x-2  ③

12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0 22. 11. 9. 오전 11:00


08 곡선 y=xÛ`과 직선 y=mx의 교점의 x좌표는 :_2@`(4xÛ`-xÝ`)dx=2:)2 (4xÛ`-xÝ`)dx

=2[;3$;xÜ`-;5!;xÞ`]2)
xÛ`=mx에서
x(x-m)=0
x=0 또는 x=m
=2_;1^5$;=;;Á1ª5¥;;
y=xÛ` y
 ⑤

11 두 곡선 y=xÛ`-1, y=-xÛ`+2x+3의 교점의 x좌표는


O m x
y=mx
xÛ`-1=-xÛ`+2x+3에서
곡선 y=xÛ`과 직선 y=mx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2xÛ`-2x-4=0, 2(x+1)(x-2)=0
넓이는

:) m (mx-xÛ`)dx=[ xÛ`-;3!;xÜ`] )m =
x=-1 또는 x=2
m mÜ` y y=xÛ`-1
2 6
mÜ`
즉, =;2(;에서 mÜ`=27 3
6
mÜ`-27=0,(m-3)(mÛ`+3m+9)=0
m>0이므로 m=3 -1 O 2 x
-1
 3 y=-xÛ`+2x+3

따라서 두 곡선 y=xÛ`-1, y=-xÛ`+2x+3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

09 곡선 y=f(x)와 직선 y=x+2가 만나는 두 점의 x좌표가 각각 의 그림과 같고, 그 넓이는


-1, 3이므로 :_2!`{(-xÛ`+2x+3)-(xÛ`-1)}dx

=:_2!`(-2xÛ`+2x+4)dx
f(x)-(x+2)=a(x+1)(x-3)`(a는 상수, a>0)   yy ㉠
으로 놓을 수 있다.

=[-;3@;xÜ`+xÛ`+4x]2_!=9
곡선 y=f(x)와 직선 y=x+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_3!`{(x+2)-f(x)}dx=:_3! {-a(x+1)(x-3)}dx

=-a:_3!`(xÛ`-2x-3)dx
 9

=-a[;3!;xÜ`-xÛ`-3x]3_!=;;£3ª;; a
12 두 곡선 y=xÜ`-x, y=-xÛ`+x의 교점의 x좌표는
즉, ;;£3ª;; a=32에서 a=3 xÜ`-x=-xÛ`+x에서
xÜ`+xÛ`-2x=0, x(x+2)(x-1)=0
㉠에서
x=-2 또는 x=0 또는 x=1
f(x)-(x+2)=3(x+1)(x-3)
y y=xÜ`-x
f(x)=3(x+1)(x-3)+x+2=3xÛ`-5x-7
-2
따라서 f(4)=48-20-7=21 1 x
O
  21

y=-xÛ`+x

10 두 곡선 y=xÝ`, y=4xÛ`의 교점의 x좌표는


xÝ`=4xÛ`에서
xÛ`(x+2)(x-2)=0
따라서 두 곡선 y=xÜ`-x, y=-xÛ`+x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
x=-2 또는 x=0 또는 x=2
과 같고, 그 넓이는

:_0@`{(xÜ`-x)-(-xÛ`+x)}dx+:)1 {(-xÛ`+x)-(xÜ`-x)}dx
y
y=4xÛ`

=:_0@`(xÜ`+xÛ`-2x)dx+:)1 (-xÜ`-xÛ`+2x)dx

=[;4!;xÝ`+;3!;xÜ`-xÛ`]0_@+[-;4!;xÝ`-;3!;xÜ`+xÛ`]1)
y=xÝ`

-2 O 2 x
=;3*;+;1°2;=;1#2&;
따라서 두 곡선 y=xÝ`, y=4xÛ`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
고, 그 넓이는  ②

정답과 풀이 12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1 22. 11. 9. 오전 11:01


13 함수 f(x)=xÛ`에 대하여 이때 두 곡선 y=f(x), y=g(x)의 교점의 x좌표는
-f(x-1)+1=-(x-1)Û`+1=-xÛ`+2x -xÛ`+4=3xÛ`, 4xÛ`=4, xÛ`=1
이므로 두 곡선 y=f(x), y=-f(x-1)+1의 교점의 x좌표는 x¾0이므로 x=1
xÛ`=-xÛ`+2x에서 따라서
2xÛ`-2x=0, 2x(x-1)=0
SÁ+S£=:)1 {(-xÛ`+4)-3xÛ`}dx+:!2 {3xÛ`-(-xÛ`+4)}dx
x=0 또는 x=1
y =:)1 (-4xÛ`+4)dx+:!2 (4xÛ`-4)dx
y=f(x)

=[-;3$;xÜ`+4x]1)+[;3$;xÜ`-4x]2!

1 2
=;3*;+;;Á3¤;;=8
O x

y=-f(x-1)+1
 8
따라서 두 곡선 y=f(x), y=-f(x-1)+1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넓이는

:)1 {(-xÛ`+2x)-xÛ`}dx=:)1 (-2xÛ`+2x)dx

=[-;3@;xÜ`+xÛ`]1)=;3!;
3(x-2) (x¾2)
16 3|x-2|=à -3(x-2) (x<2)이므로
 ④ 곡선 y=-xÛ`+4x와 함수 y=3|x-2|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다음과 같다.
Ú x<2일 때
14 g(x)=f(x)+xÜ`+3xÛ`에서
g(x)-f(x)=xÜ`+3xÛ` -xÛ`+4x=-3(x-2)에서

두 곡선 y=f(x), y=g(x)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Û`-7x+6=0, (x-1)(x-6)=0

g(x)-f(x)=0에서 x<2이므로 x=1

xÜ`+3xÛ`=0, xÛ`(x+3)=0 Û x¾2일 때

x=-3 또는 x=0 -xÛ`+4x=3(x-2)에서


y y=xÜ`+3xÛ` xÛ`-x-6=0, (x+2)(x-3)=0
x¾2이므로 x=3
y y=3|x-2|

6
-3 O x

따라서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_0# | f(x)-g(x)|dx=:_0# |xÜ`+3xÛ`|dx

=:_0# (xÜ`+3xÛ`)dx
O1 2 3 4 x
y=-xÛ`+4x

=[;4!;xÝ`+xÜ`]0_#=;;ª4¦;;
따라서 곡선 y=-xÛ`+4x와 함수 y=3|x-2|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넓이는

 ④ :!3 {(-xÛ`+4x)-3|x-2|}dx

=:!2 {(-xÛ`+4x)-(-3x+6)}dx
15 SÁ+2Sª+S£=(SÁ+Sª)+(Sª+S£)   yy ㉠
SÁ+Sª의 값은 곡선 y=-xÛ`+4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3 {(-xÛ`+4x)-(3x-6)}dx
넓이이므로

SÁ+Sª=:)2 (-xÛ`+4)dx=[-;3!;xÜ`+4x]2)=;;Á3¤;;
=:!2 (-xÛ`+7x-6)dx+:@3 (-xÛ`+x+6)dx

Sª+S£의 값은 곡선 y=axÛ`과 x축 및 직선 x=2로 둘러싸인 도형의 =[-;3!;xÜ`+;2&;xÛ`-6x]2!+[-;3!;xÜ`+;2!;xÛ`+6x]3@


넓이이므로

Sª+S£=:)2 axÛ`dx=[;3A;xÜ`]2)=;3*;a
=;;Á6£;;+;;Á6£;;=;;Á3£;;

 ①
SÁ+2Sª+S£=;;¢3¼;;이므로 ㉠에서 다른 풀이

곡선 y=-xÛ`+4x와 함수 y=3|x-2|의 그래프가 모두 직선 x=2


;;Á3¤;;+;3*;a=;;¢3¼;;, ;3*;a=8, a=3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12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2 22. 11. 9. 오전 11:01


:!3 {(-xÛ`+4x)-3|x-2|}dx x¾2일 때 두 함수 y=|xÜ`|, y=|xÛ`-2x|의 그래프의 교점은 존
재하지 않는다.
=2:!2 {(-xÛ`+4x)-(-3x+6)}dx y y=|xÜ`|

y=|xÛ`-2x|
=2:!2 (-xÛ`+7x-6)dx

=2[-;3!;xÜ`+;2&;xÛ`-6x]2!

=2_;;Á6£;;=;;Á3£;;

-2 O 1 2 x
xÛ`+2x (x¾0)
17 y=|x|(x+2)=à -xÛ`-2x (x<0)이므로 따라서 두 함수 y=|xÜ`|, y=|xÛ`-2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넓이는

:_1@`||xÜ`|-|xÛ`-2x||dx
함수 y=|x|(x+2)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x+2)=0에서

=:_0@`{(xÛ`-2x)-(-xÜ`)}dx+:)1 {(-xÛ`+2x)-xÜ`}dx
|x|=0 또는 x=-2

=:_0@`(xÜ`+xÛ`-2x)dx+:)1 (-xÜ`-xÛ`+2x)dx
즉, x=-2 또는 x=0
y y=|x|(x+2)

=[;4!;xÝ`+;3!;xÜ`-xÛ`]0_@+[-;4!;xÝ`-;3!;xÜ`+xÛ`]1)

=;3*;+;1°2;=;1#2&;
-2
O 2 x  ③
x=2

따라서 함수 y=|x|(x+2)의 그래프와 x축 및 직선 x=2로 둘러싸


19 f(x)=;2!;xÛ`+k에서
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넓이는

:_2@`|x|(x+2)dx=:_0@`(-xÛ`-2x)dx+:)2 (xÛ`+2x)dx
f '(x)=x

곡선 y=f(x) 위의 점 {1, ;2!;+k}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xÜ`-xÛ`]0_@+[;3!;xÜ`+xÛ`]2) f '(1)=1이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3$;+;;ª3¼;;=8 y-{;2!;+k}=x-1

 ③ y=x+k-;2!;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xÜ` (x>0)
18 |xÜ`|=à -xÜ` (xÉ0), 0=0+k-;2!;, k=;2!;

xÛ`-2x (xÉ0 또는 x¾2) 즉, f(x)=;2!;xÛ`+;2!;이고, 접선 l의 방정식은 y=x


|xÛ`-2x|=à
-xÛ`+2x (0<x<2) y y=f(x)
이므로 두 함수 y=|xÜ`|, y=|xÛ`-2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y=x
다음과 같다.
Ú xÉ0일 때 1

-xÜ`=xÛ`-2x에서 O 1 x
xÜ`+xÛ`-2x=0, x(x+2)(x-1)=0
따라서 곡선 y=f(x)와 접선 l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
xÉ0이므로 x=-2 또는 x=0
과 같고, 그 넓이는

:)1 [{;2!;xÛ`+;2!;}-x]dx=:)1 {;2!;xÛ`-x+;2!;}dx


Û 0<x<2일 때
xÜ`=-xÛ`+2x에서

=[;6!;xÜ`-;2!;xÛ`+;2!;x]1)=;6!;
xÜ`+xÛ`-2x=0, x(x+2)(x-1)=0
0<x<2이므로 x=1
Ü x¾2일 때  ①
xÜ`=xÛ`-2x에서
xÜ`-xÛ`+2x=0, x(xÛ`-x+2)=0 20 f(x)=xÛ`-4x+3으로 놓으면
x¾2이고 xÛ`-x+2={x-;2!;}2`+;4&;>0이므로
f '(x)=2x-4
곡선 y=f(x) 위의 점 (1, 0)에서의 접선 l의 기울기는 f '(1)=-2

정답과 풀이 12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3 22. 11. 9. 오전 11:01


이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 l의 기울기는
y-0=-2(x-1) f '(-1)=1이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y=-2x+2 y-2=x-(-1)
y y=f(x) y=x+3
y l
l
3 SÁ 3

2 2

-3
O 1 3 x -2 -1 O 1 x

y=f(x)
따라서 곡선 y=f(x)와 접선 l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
그러므로

SÁ=:_0!`{(x+3)-(-xÛ`-x+2)}dx
과 같고, 그 넓이는

:)1 {(xÛ`-4x+3)-(-2x+2)}dx=:)1 (xÛ`-2x+1)dx

=:_0!`(xÛ`+2x+1)dx
=[;3!;xÜ`-xÛ`+x]1)=;3!;

 ② =[;3!;xÜ`+xÛ`+x]0_!=;3!;

Sª=:_-# 2 (x+3)dx+:_-@ 1 {(x+3)-(-xÛ`-x+2)}dx


21 f(x)=;2!;xÜ`-xÛ`으로 놓으면
=:_-# 2 (x+3)dx+:_-@ 1 (xÛ`+2x+1)dx
f '(x)=;2#;xÛ`-2x

곡선 y=f(x) 위의 점 (2, 0)에서의 접선 l의 기울기는 f '(2)=2이 =[;2!;xÛ`+3x]-_2#+[;3!;xÜ`+xÛ`+x]-_1@


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2!;+;3!;=;6%;
y-0=2(x-2)
y=2x-4 따라서 SÁ+Sª=;3!;+;6%;=;6&;
곡선 y=f(x)와 직선 y=2x-4의 교점의 x좌표는
 ②
;2!;xÜ`-xÛ`=2x-4에서 다른 풀이

SÁ+Sª의 값은 밑변의 길이가 3이고 높이가 3인 삼각형의 넓이에서 곡


;2!;(xÜ`-2xÛ`-4x+8)=0, ;2!;(x+2)(x-2)Û`=0
선 y=f(x) (xÉ0)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뺀 것과
x=-2 또는 x=2 같다. 즉,

SÁ+Sª=;2!;_3_3-:_0@ (-xÛ`-x+2)dx
y y=f(x)
l

-2 O
2 x
=;2(;-[-;3!;xÜ`-;2!;xÛ`+2x]0_@

=;2(;-;;Á3¼;;=;6&;

따라서 곡선 y=f(x)와 접선 l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23 f(x)=xÛ`-3x+4로 놓으면


f '(x)=2x-3
그 넓이는

:_2@`[{;2!;xÜ`-xÛ`}-(2x-4)]dx=:_2@`{;2!;xÜ`-xÛ`-2x+4}dx
접점의 좌표를 (t, tÛ`-3t+4)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2t-3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Û`-3t+4)=(2t-3)(x-t)
=2:)2 (-xÛ`+4)dx
y=(2t-3)x-tÛ`+4   yy ㉠
=2[-;3!;xÜ`+4x]2) 직선 ㉠이 원점을 지나므로
0=-tÛ`+4에서
=2_;;Á3¤;;=;;£3ª;; t=-2 또는 t=2
 ③ t=-2를 ㉠에 대입하면 y=-7x
t=2를 ㉠에 대입하면 y=x
22 f(x)=-xÛ`-x+2에서 접선 l의 방정식을 y=x, 접선 m의 방정식을 y=-7x라 하고 곡선
f '(x)=-2x-1 y=f(x)와 두 직선 l, m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12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4 22. 11. 9. 오전 11:01


y y=f(x) 25 곡선 y=f(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k+2)x-2k=0에서
14
xÛ`-(k+2)x+2k=0, (x-2)(x-k)=0
x=2 또는 x=k
l
y
y=f(x)
2

-2 2 x O 2 k x
O
m SÁ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0@`{xÛ`-3x+4-(-7x)}dx+:)2 {(xÛ`-3x+4)-x}dx -2k

=:_0@`(xÛ`+4x+4)dx+:)2 (xÛ`-4x+4)dx 위의 그림에서

=[;3!;xÜ`+2xÛ`+4x]0_@+[;3!;xÜ`-2xÛ`+4x]2) SÁ=:)2 {-f(x)}dx=-:)2 f(x)dx

=;3*;+;3*;=;;Á3¤;; Sª=:@k f(x)dx

 ⑤ SÁ=Sª이므로 SÁ-Sª=0에서

-:)2 f(x)dx-:@k f(x)dx=0

즉, :)2 f(x)dx+:@k f(x)dx=0이므로

:)k f(x)dx=0   yy ㉠
24 f(x)=-x(x+1)(x-a)=-xÜ`+(a-1)xÛ`+ax에서
:)k f(x)dx=:)k {-xÛ`+(k+2)x-2k}dx
f '(x)=-3xÛ`+2(a-1)x+a

xÛ`-2kx]k)
곡선 y=f(x) 위의 점 (0, 0)에서의 접선 l의 기울기는 f '(0)=a이므
k+2
로 접선 l의 방정식은 =[-;3!;xÜ`+
2
y-0=a(x-0)
=-;3!;kÜ`+;2!;kÛ`(k+2)-2kÛ`=;6!;kÜ`-kÛ`
y=ax
곡선 y=f(x)와 접선 l의 교점의 x좌표는 f(x)=ax에서 ㉠에서
-xÜ`+(a-1)xÛ`+ax=ax ;6!;kÜ`-kÛ`=0, ;6!;kÛ`(k-6)=0
-xÛ`{x-(a-1)}=0
k>2이므로 k=6
x=0 또는 x=a-1
따라서 f(x)=-xÛ`+8x-12이므로
y l
f(4)=-16+32-12=4
 4

-1 O a-1 a x
y=f(x) 26 f(x)=-xÛ`+4`(x¾0)으로 놓고, 곡선 y=f(x)와 직선
곡선 y=f(x)와 접선 l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넓이는 y=mx의 교점의 x좌표를 k`(0<k<2)라 하자.

:)a` -` 1 [{-xÜ`+(a-1)xÛ`+ax}-ax]dx
그림과 같이 곡선 y=f(x)와 직선 y=mx 및 직 y y=mx

선 x=0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Á, 곡선

=:)a` -` 1 {-xÜ`+(a-1)xÛ`}dx
4
SÁ Sª
y=f(x)와 직선 y=mx 및 직선 x=2로 둘러싸
2

xÜ`]a) -` 1`
인 도형의 넓이를 Sª라 하자. Ok x
a-1
=[-;4!;xÝ`+ y=f(x)
3 SÁ=:)k { f(x)-mx}dx
x=2
(a-1)Ý`
=
12 Sª=:K2 {mx-f(x)}dx
(a-1)Ý`
즉, =;;ª4¦;;에서 (a-1)Ý`=81 SÁ=Sª이므로 SÁ-Sª=0
12
a-1=3 또는 a-1=-3 SÁ-Sª=:)k { f(x)-mx}dx-:K2 {mx-f(x)}dx
a>1이므로 a=4
 4 =:)k { f(x)-mx}dx+:K2 { f(x)-mx}dx

정답과 풀이 12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5 22. 11. 9. 오전 11:01


=:)2 { f(x)-mx}dx :_0@ f(x)dx=:K0 8dx   yy ㉠

즉, :)2 { f(x)-mx}dx=0   yy ㉠ :_0@ f(x)dx=:_0@ (xÜ`+8)dx=[;4!;xÝ`+8x]0_@=12

:)2 { f(x)-mx}dx=:)2 (-xÛ`-mx+4)dx :K0 8dx=[8x]0K=-8k

xÛ`+4x]2)
m ㉠에서
=[-;3!;xÜ`-
2
-8k=12, k=-;2#;
=-2m+;;Á3¤;;
 ①
㉠에서

-2m+;;Á3¤;;=0, m=;3*;

따라서 9m=9_;3*;=24
28 f(x)=xÛ`-3x, g(x)=-;2!;xÛ`+;2#;x, h(x)=ax(x-3)
  24 이라 하자.
다른 풀이 y y=f(x)
그림과 같이 직선 y=mx와 곡선 y=f(x) 및 x축 y y=mx
y=h(x)
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4
SÁ Sª
SÁ=Sª에서 SÁ+S=Sª+S   yy ㉠ O x
S 3
2
SÁ+S=:)2 f(x)dx O x
y=g(x)
y=f(x)
x=2
=:)2 (-xÛ`+4)dx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3!;xÜ`+4x]2)=;;Á3¤;;
넓이를 S라 하면

S=:)3 {g(x)-f(x)}dx
Sª+S=:)2 mxdx=[ xÛ`]2)=2m
m
2 =:)3 [{-;2!;xÛ`+;2#;x}-(xÛ`-3x)]dx
㉠에서 2m=;;Á3¤;;, m=;3*;
=:)3 {-;2#;xÛ`+;2(;x}dx

=[-;2!;xÜ`+;4(;xÛ`]3)=;;ª4¦;;
따라서 9m=9_;3*;=24

y y=f(x)

27 f(x)=xÜ`+8로 놓으면 곡선 y=f(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y=h(x)

xÜ`+8=0, (x+2)(xÛ`-2x+4)=0
x=-2 O 3 x

y
x=k y=f(x) y=g(x)

8 두 곡선 y=g(x), y=h(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위의 그림과
y=8
같으므로


:)3 {g(x)-h(x)}dx

=:)3 [{-;2!;xÛ`+;2#;x}-(axÛ`-3ax)]dx
-2 k O x

SÁ=:_k@ f(x)dx
=:)3 [-{a+;2!;}xÛ`+;2#;(2a+1)x]dx

=[-;3!;{a+;2!;}xÜ`+;4#;(2a+1)xÛ`]3)
Sª=:K0 {8-f(x)}dx

SÁ=Sª이므로 SÁ-Sª=0

SÁ-Sª=:_k@ f(x)dx-:K0 {8-f(x)}dx


=-9{a+;2!;}+;;ª4¦;;(2a+1)=;2(;a+;4(;

=:_k@ f(x)dx+:K0 f(x)dx-:K0 8dx


즉, ;2(;a+;4(;=;2!;S이므로

;2(;a+;4(;=;;ª8¦;;, ;2(;a=;8(;
=:_0@ f(x)dx-:K0 8dx
따라서 a=;4!;
즉, :_0@ f(x)dx-:K0 8dx=0에서
 ③

12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6 22. 11. 9. 오전 11:01


다른 풀이 y x=k y=2x

y y=f(x)

y=h(x)


O
O 3 x 4 6 x

y=xÛ`-4x
y=g(x)
곡선 y=xÛ`-4x와 두 직선 y=2x, x=k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k {2x-(xÛ`-4x)}dx=:)k (-xÛ`+6x)dx=[-;3!;xÜ`+3xÛ`]k)


두 곡선 y=g(x), y=h(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Á, 두 곡선
y=f(x), y=h(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ª라 하면

SÁ=:)3 {g(x)-h(x)}dx =-;3!;kÜ`+3kÛ`

Sª=:)3 {h(x)-f(x)}dx 즉, -;3!;kÜ`+3kÛ`=;2!;S이므로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곡선 y=h(x)
-;3!;kÜ`+3kÛ`=18, kÜ`-9kÛ`+54=0
가 이등분하므로 SÁ=Sª에서

:)3 {g(x)-h(x)}dx=:)3 {h(x)-f(x)}dx


(k-3)(kÛ`-6k-18)=0
k=3 또는 k=3Ñ3'3

:)3 g(x)dx-:)3 h(x)dx=:)3 h(x)dx-:)3 f(x)dx


0<k<6이므로 k=3
 ⑤
즉, 2:)3 h(x)dx=:)3 { f(x)+g(x)}dx   yy ㉠
30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3 h(x)dx=:)3 a(xÛ`-3x)dx=a:)3 (xÛ`-3x)dx 1-4
y-4= (x-0), 즉 y=-x+4

:)3 { f(x)+g(x)}dx=:)3 [(xÛ`-3x)+{-;2!;xÛ`+;2#;x}]dx


3-0
y
y=(x-2)Û`

=:)3 {;2!;xÛ`-;2#;x}dx A SÁ

=;2!;:)3 (xÛ`-3x)dx Sª B
O 2 x
㉠에서

2a:)3 (xÛ`-3x)dx=;2!;:)3 (xÛ`-3x)dx


y=f(x)

곡선 y=f(x)와 직선 y=-x+4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Á, 곡선

:)3 (xÛ`-3x)dx+0이므로 2a=;2!;에서 a=;4!;


y=(x-2)Û`과 직선 y=-x+4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ª라 하면

SÁ=:)3 { f(x)-(-x+4)}dx

Sª=:)3 {(-x+4)-(x-2)Û`}dx=:)3 (-xÛ`+3x)dx

29 곡선 y=xÛ`-4x와 직선 y=2x의 교점의 x좌표는 SÁ=Sª이므로

:)3 { f(x)-(-x+4)}dx=:)3 (-xÛ`+3x)dx


xÛ`-4x=2x에서
xÛ`-6x=0, x(x-6)=0
x=0 또는 x=6 :)3 f(x)dx-:)3 (-x+4)dx=:)3 (-xÛ`+3x)dx
y y=2x
따라서

:)3 f(x)dx=:)3 (-xÛ`+3x)dx+:)3 (-x+4)dx

O =:)3 {(-xÛ`+3x)+(-x+4)}dx
4 6 x

y=xÛ`-4x
=:)3 (-xÛ`+2x+4)dx

=[-;3!;xÜ`+xÛ`+4x]3)=12
곡선 y=xÛ`-4x와 직선 y=2x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고,
그 넓이를 S라 하면

S=:)6 {2x-(xÛ`-4x)}dx   12

=:)6 (-xÛ`+6x)dx 31 그림과 같이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


=[-;3!;xÜ`+3xÛ`]6)=36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곡선 y=f(x), y=g(x)의 교점의 x좌표는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정답과 풀이 127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7 22. 11. 9. 오전 11:01


그러므로 두 곡선 y=f(x), y=g(x)의 교점의 x좌표는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axÛ`=x에서 x(ax-1)=0 ;3$;+;3$;+2=;;Á3¢;;
x=0 또는 x=;a!;  ④
y y=f(x) y=x

;a!;
y=g(x) 33 f(x)=xÜ`-3xÛ`+3x에서
f '(x)=3xÛ`-6x+3=3(x-1)Û`¾0
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O ;a!;
x 이때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
칭이므로 두 곡선 y=f(x), y=g(x)의 교점의 x좌표는 곡선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곡선 y=f(x)
y=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두 배이므로

:) `| f(x)-g(x)|dx=2:) `| f(x)-x|dx
그러므로 두 곡선 y=f(x), y=g(x)의 교점의 x좌표는
;a!; ;a!;
xÜ`-3xÛ`+3x=x에서
;a!;
xÜ`-3xÛ`+2x=0, x(x-1)(x-2)=0
=2:) `(x-axÛ`)dx x=0 또는 x=1 또는 x=2

=2[;2!;xÛ`-;3A;xÜ`])
;a!; 이때 두 곡선 y=f(x), y=g(x)와 직선 y=x는 그림과 같다.
y y=x
y=f(x)
1 1
=2_ =
6aÛ` 3aÛ` 2
y=g(x)

1
즉, =;4#;에서 aÛ`=;9$; 1
3aÛ`

a>0이므로 a=;3@; O 1 2 x

:!2 g(x)dx의 값은 곡선 y=g(x)와 x축 및 두 직선 x=1, x=2로


 ④

32 함수 f(x)=;2!;xÛ`+3x+2`(x¾-3)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같고, 이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이 빗금친 도
교점의 x좌표는 형의 넓이와 같다. 이때 이 도형의 넓이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의 넓이에서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넓이와 곡선 y=f(x)와 x
;2!;xÛ`+3x+2=x에서 ;2!;(x+2)Û`=0
축 및 두 직선 x=1, x=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합을 뺀 것과 같
x=-2 음을 알 수 있다.
곡선 y=f(x)가 직선 y=x와 점 (-2, -2)에서 접하므로 곡선 그러므로

:!2 g(x)dx=2_2-[1_1+:!2 f(x)dx]


y=g(x)와 직선 y=x도 점 (-2, -2)에서 접한다.
한편, 점 A의 좌표는 (0, 2)이므로 점 B의 좌표는 (2, 0)
이때 두 곡선 y=f(x), y=g(x) 및 직선 AB는 그림과 같다. =4-[1+:!2 (xÜ`-3xÛ`+3x)dx]
y y=f(x)
y=x
=3-:!2 (xÜ`-3xÛ`+3x)dx

=3-[;4!;xÝ`-xÜ`+;2#;xÛ`]2!
2 A
y=g(x)
-2
-3 B
O 2 x
=3-;4%;=;4&;

:)1 f(x)dx=:)1 (xÜ`-3xÛ`+3x)dx


-2
-3

=[;4!;xÝ`-xÜ`+;2#;xÛ`]1)=;4#;
곡선 y=f(x)와 직선 y=x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_0@`| f(x)-x|dx=:_0@ {;2!;xÛ`+2x+2}dx

=[;6!;xÜ`+xÛ`+2x]0_@=;3$;
따라서

:)1 f(x)dx+:!2 g(x)dx=;4#;+;4&;=;2%;


곡선 y=g(x)와 직선 y=x 및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곡선  ⑤
y=f(x)와 직선 y=x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3$;이다. 34 v(t)=2에서
2tÛ`-3t=2, 2tÛ`-3t-2=0, (t-2)(2t+1)=0
원점 O에 대하여 삼각형 OAB의 넓이는
t¾0이므로 t=2
;2!;_2_2=2 따라서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위치는

128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8 22. 11. 9. 오전 11:01


0+:)2 v(t)dt=:)2 (2tÛ`-3t)dt xÁ(a)=0+:)a  vÁ(t)dt=:)a (3tÛ`+4t+1)dt

=[;3@;tÜ`-;2#;tÛ`]2)=-;3@; =[tÜ`+2tÛ`+t]a)=aÜ`+2aÛ`+a

 ① 시각 t=a에서의 점 Q의 위치 xª(a)는

xª(a)=0+:)a  vª(t)dt=:)a (6t+3)dt

=[3tÛ`+3t]a)=3aÛ`+3a
35 시각 t=0에서의 점 P의 위치를 x¼이라 하면 시각 t=3에서의 점
P의 위치는
시각 t=a에서 두 점 P, Q의 위치가 같으므로
x¼+:)3 v(t)dt=x¼+:)3 (3t-6)dt

=x¼+[;2#;tÛ`-6t]3)=x¼-;2(;
aÜ`+2aÛ`+a=3aÛ`+3a
aÜ`-aÛ`-2a=0
a(a+1)(a-2)=0
즉, x¼-;2(;=5에서 x¼=;;Á2»;; a>0이므로 a=2
 ⑤  2

36 점 P의 시각 t`(t¾0)에서의 가속도를 a(t)라 하면


a(t)=v'(t)=3t-2 39 xÁ, xª, x£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a(t)=10에서 xª-xÁ=x£-xª
3t-2=10, t=4 즉, :!2 vÁ(t)dt=:@3 vÁ(t)dt
점 P의 시각 t=4에서의 위치가 원점이므로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성에 의하여 함수 y=vÁ(t)의 그래프는 직선
0+:)4 v(t)dt=:)4 {;2#;tÛ`-2t+k}dt
t=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A;=2에서 a=-4
=[;2!;tÜ`-tÛ`+kt]4) yÁ, yª, y£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yª-yÁ=y£-yª

즉, :!2 vª(t)dt=:@3 vª(t)dt


=16+4k
즉, 16+4k=0에서 k=-4
 ②
함수 y=vª(t)의 그래프는 직선 t=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b=2
그러므로 vÁ(t)=tÛ`-4t+4, vª(t)=|t-2|+1
37 시각 t=1에서의 점 P의 위치는 점 P의 시각 t=2에서의 위치는

0+:)1 v(t)dt=:)1 (-tÛ`+2t+k)dt 0+:)2 vÁ(t)dt=:)2 (tÛ`-4t+4)dt

=[-;3!;tÜ`+tÛ`+kt]1)=k+;3@; =[;3!;tÜ`-2tÛ`+4t]2)=;3*;

점 Q의 시각 t=2에서의 위치는
즉, k+;3@;=;;Á3Á;;에서 k=3

그러므로 v(t)=-tÛ`+2t+3 0+:)2 vª(t)dt=:)2 {-(t-2)+1}dt

v(t)=0에서
=:)2 (-t+3)dt

=[-;2!;tÛ`+3t]2)=4
-tÛ`+2t+3=0, tÛ`-2t-3=0, (t+1)(t-3)=0
t¾0이므로 t=3
0<t<3에서 v(t)>0, t>3에서 v(t)<0이므로 t=3일 때 점 P의
따라서 시각 t=2에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운동 방향이 바뀐다.
따라서 시각 t=1에서 시각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3*;-4|=;3$;

:!3 v(t)dt=:!3 (-tÛ`+2t+3)dt  ②

=[-;3!;tÜ`+tÛ`+3t]3!=;;Á3¤;;

 ④ 40 점 P가 시각 t=0에서 원점에 있으므로


0+:)6 v(t)dt=0, 즉:)6 v(t)dt=0

:)6 v(t)dt=:)6 (-tÛ`+at)dt=[-;3!;tÜ`+;2A;tÛ`]6)=18a-72


38 두 점 P, Q의 시각 t`(t¾0)에서의 위치를 각각 xÁ(t), xª(t)라
하자.
시각 t=a에서의 점 P의 위치 xÁ(a)는 즉, 18a-72=0에서 a=4

정답과 풀이 129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29 22. 11. 9. 오전 11:01


v(t) v(t)=-tÛ`+4t 따라서 점 P가 시각 t=0에서 t=4까지 움직인 거리는

O 4 6 t :)4 |v(t)|dt=:)2 {-v(t)}dt+:@4 v(t)dt

=:)2 (-2tÛ`+4t)dt+:@4 (2tÛ`-4t)dt

=[-;3@;tÜ`+2tÛ`]2)+[;3@;tÜ`-2tÛ`]4@

따라서 점 P가 시각 t=0에서 t=6까지 움직인 거리는 =;3*;+;;¢3¼;;=16


:)6 |v(t)|dt=:)4 v(t)dt+:$6 {-v(t)}dt  ②

=:)4 (-tÛ`+4t)dt+:$6 (tÛ`-4t)dt


43 vÁ(t)=0에서
=[-;3!;tÜ`+2tÛ`]4)+[;3!;tÜ`-2tÛ`]6$ -tÛ`+3t=0, -t(t-3)=0
t=0 또는 t=3
=;;£3ª;;+;;£3ª;;=;;¤3¢;; vª(t)=0에서
 ② a(t-2)=0, t=2
vÁ(t) vª(t) vª(t)=a(t-2)
vÁ(t)=-tÛ`+3t
a

41 v(t)=0에서
O 23 t
tÛ`-4=0,(t-2)(t+2)=0 O 3 t

  
t¾0이므로 t=2
v(t) v(t)=tÛ`-4 -2a

점 P가 시각 t=0에서 t=3까지 움직인 거리는

:)3 |vÁ(t)|dt=:)3 vÁ(t)dt

O 2 4 t =:)3 (-tÛ`+3t)dt

=[-;3!;tÜ`+;2#;tÛ`]3)=;2(;
-4

따라서 점 P가 시각 t=0에서 t=4까지 움직인 거리는

:)4 |v(t)|dt=:)2 {-v(t)}dt+:@4 v(t)dt


점 Q가 시각 t=0에서 t=3까지 움직인 거리는

:)3 |vª(t)|dt=:)2 {-vª(t)}dt+:@3 vª(t)dt


=:)2 (-tÛ`+4)dt+:@4 (tÛ`-4)dt

=[-;3!;tÜ`+4t]2)+[;3!;tÜ`-4t]4@
=:)2 {-a(t-2)}dt+:@3 a(t-2)dt

=-a[;2!;tÛ`-2t]2)+a[;2!;tÛ`-2t]3@
=;;Á3¤;;+;;£3ª;;=16

 ④ =2a+;2A;=;2%;a

따라서 ;2%;a=;2(;에서 a=;5(;

42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t)라 하면  ⑤


a(t)=v'(t)=4t-4
점 P의 가속도가 12가 되는 시각은 a(t)=12에서 44 시각 t=1에서 시각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과 시각
4t-4=12, t=4 t=3에서 시각 t=5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이 서로 같으므로

:!3 v(t)dt=:#5 v(t)dt   yy ㉠


한편, v(t)=0에서

:!3 v(t)dt=:!3 (tÛ`+at+8)dt


2tÛ`-4t=0, 2t(t-2)=0
t=0 또는 t=2

=[;3!;tÜ`+;2A;tÛ`+8t]3!=4a+;;¦3¢;;
v(t) v(t)=2tÛ`-4t

:#5 v(t)dt=:#5 (tÛ`+at+8)dt

=[;3!;tÜ`+;2A;tÛ`+8t]5#=8a+
146
3
O 2 4 t
㉠에서

130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30 22. 11. 9. 오전 11:01


4a+;;¦3¢;;=8a+
146
3
, 4a=-24, a=-6 46 ㄱ. v(t)=0에서 t=0 또는 t=2 또는 t=6
0 <t<2에서 v(t)>0, 2<t<6에서 v(t)<0이므로
즉, v(t)=tÛ`-6t+8이고 v(t)=0에서
점 P는 시각 t=2에서 운동 방향이 바뀐다.
tÛ`-6t+8=0, (t-2)(t-4)=0
또 2<t<6에서 v(t)<0, 6<t<8에서 v(t)>0이므로
t=2 또는 t=4
점 P는 시각 t=6에서 운동 방향이 바뀐다.
v(t)
v(t)=tÛ`-6t+8
8 그러므로 점 P는 0ÉtÉ8에서 운동 방향이 두 번 바뀐다. (참)
ㄴ. 점 P가 시각 t=1에서 t=6까지 움직인 거리는 t=1에서 t=6까
지 속도 v(t)의 그래프와 t축 및 두 직선 t=1, t=6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이므로
3 :!6 |v(t)|dt=:!2 v(t)dt+:@6 {-v(t)}dt
O 1 2 4 t

따라서 점 P가 시각 t=1에서 t=3까지 움직인 거리는 =;2!;_1_2+;2!;_(4+1)_1=;;2&; (거짓)

:!3 |v(t)|dt=:!2 v(t)dt+:@3 {-v(t)}dt ㄷ. 점 P의 시각 t=2일 때의 위치는

0+:)2 v(t)dt=;2!;_2_2=2
=:!2 (tÛ`-6t+8)dt+:@3 (-tÛ`+6t-8)dt

=[;3!;tÜ`-3tÛ`+8t]2!+[-;3!;tÜ`+3tÛ`-8t]3@
점 P의 시각 t=2에서 t=6까지 위치의 변화량은

:@6 v(t)dt=-[;2!;_(4+1)_1]=-;2%;
=;3$;+;3@;=2 점 P의 시각 t=6에서 t=8까지 위치의 변화량은
 ① :^8 v(t)dt=;2!;_2_1=1
참고
0 <tÉ8에서 수직선 위의 점 P의 운동을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의 값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v(t)는 t에 대한 이차함수이므로 ㉠에 의하여 곡선 y=v(t)가 직선 O
-;2!; ;2!;
2
t=3에 대하여 대칭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점 P는 0<tÉ8에서 원점을 두 번 지난다. (참)
즉, -;2A;=3에서 a=-6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45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d
{;4!;tÝ`-;2#;tÛ`-2t}=tÜ`-3t-2
v(t)=
dt 47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x(t)라 하면
v(t)=0에서 x'(t)=v(t)
tÜ`-3t-2=0, (t+1)Û`(t-2)=0 x'(t)=0, 즉 v(t)=0에서 주어진 속도 v(t)의 그래프에 의하여
t¾0이므로 t=2 t=0 또는 t=3 또는 t=5
v(t) v(t)=tÜ`-3t-2 0ÉtÉ6에서 함수 x(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 0 y 3 y 5 y 6
x '(t) 0 + 0 - 0 +
x(t) ↗ 극대 ↘ 극소 ↗

x(0)=0이므로

x(3)=:)3 v(t)dt=;2!;_3_a=;2#;a

O
-2 2 4 t
x(5)=:)5 v(t)dt=:)3 v(t)dt+:#5 v(t)dt

그러므로 k=2이고 점 P가 시각 t=0에서 t=4까지 움직인 거리는 =;2#;a-;2!;_2_a=;2!;a

:)4 |v(t)|dt=:)2 {-v(t)}dt+:@4 v(t)dt x(6)=:)6 v(t)dt=:)5 v(t)dt+:%6 v(t)dt

=:)2 (-tÜ`+3t+2)dt+:@4 (tÜ`-3t-2)dt =;2!;a+;2!;_1_a=a

=[-;4!;tÝ`+;2#;tÛ`+2t]2)+[;4!;tÝ`-;2#;tÛ`-2t]4@ 0ÉtÉ6에서 t=3일 때 x(t)가 극대이자 최대이므로 점 P가 원점에


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6+38=44
  44 즉, ;2#;a=3에서 a=2

정답과 풀이 131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31 22. 11. 9. 오전 11:01


따라서 점 P의 시각 t=6에서의 위치는 k>0이므로 곡선 y=f(x)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
x(6)=a=2 기 위해서는
 ③ k=f(0)=4 yy ➊
이때 곡선 y=f(x)와 직선 y=4의 교점의 x좌표는 f(x)=4에서
xÜ`-3xÛ`+4=4, xÜ`-3xÛ`=0, xÛ`(x-3)=0
x=0 또는 x=3 yy ➋
본문 126쪽
서술형 완성하기 y y=f(x)
4 y=4
01 ;3*; 02 ;;ª4¦;; 03 9 04 ;3*; 05 9
06 17 -1 O 2 3 x

01 f '(x)=2x-4에서 따라서 곡선 y=f(x)와 직선 y=4로 둘러싸인 도형은 위의 그림과 같


f(x)=xÛ`-4x+C=(x-2)Û`+C-4`(단, C는 적분상수) 고, 그 넓이는
이차함수 f(x)가 x=2에서 최솟값 C-4를 가지므로 :)3 {4-f(x)}dx=:)3 {4-(xÜ`-3xÛ`+4)}dx
C-4=-1, C=3
즉, f(x)=xÛ`-4x+3 yy ➊ =:)3 (-xÜ`+3xÛ`)dx

=[-;4!;xÝ`+xÜ`]3)=;;ª4¦;;
곡선 y=f(x)와 x축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yy ➌
xÛ`-4x+3=0에서 (x-1)(x-3)=0
x=1 또는 x=3 yy ➋   ;;ª4¦;;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 | f(x)|dx=:)1 f(x)dx+:!3 {-f(x)}dx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k의 값을 구한 경우 40`%
=:)1 (xÛ`-4x+3)dx+:!3 (-xÛ`+4x-3)dx 곡선 y=f(x)와 직선 y=4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한
➋ 20`%

=[;3!;xÜ`-2xÛ`+3x]1)+[-;3!;xÜ`+2xÛ`-3x]3!
경우
➌ 도형의 넓이를 구한 경우 40`%

=;3$;+;3$;=;3*; yy ➌

 ;3*;

03 조건 (가)에서 g(0)=g'(0)=0이고,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이차함수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g(x)=axÛ`(x-k)`(a, k는 상수, a>0)
➊ 함수 f(x)를 구한 경우 40`%
으로 놓을 수 있다.
➋ 곡선 y=f(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한 경우 20`%
➌ 도형의 넓이를 구한 경우 40`% g(x)=:@/ f(t)dt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g(2)=0이므로

g(x)=axÛ`(x-2)=axÜ`-2axÛ`
02 f(x)=xÜ`-3xÛ`+4에서
f '(x)=3xÛ`-6x=3x(x-2) g(x)=:@/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0에서 x=0 또는 x=2 g'(x)=f(x)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3axÛ`-4ax yy ➊
x y 0 y 2 y g(x)=f(x)에서
f '(x) + 0 - 0 + axÜ`-2axÛ`=3axÛ`-4ax
f(x) ↗ 극대 ↘ 극소 ↗ a(xÜ`-5xÛ`+4x)=0, ax(x-1)(x-4)=0
x=0 또는 x=1 또는 x=4
f(x)=0에서
두 곡선 y=f(x), y=g(x)는 그림과 같다.
xÜ`-3xÛ`+4=0, (x+1)(x-2)Û`=0
y
x=-1 또는 x=2 y=f(x)

또 f(0)=4, f(2)=0이므로 곡선 y=f(x)는 그림과 같다.


y y=f(x)
4 y=k

O1
-1 O 2 x 4 x
y=g(x)

132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32 22. 11. 9. 오전 11:01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4 |g(x)-f(x)|dx
단계 채점 기준 비율
곡선 y=g(x)와 직선 y=k로 둘러싸인 세 도형을
➊ 20`%
좌표평면에 나타낸 경우

:)2 {g(x)-k}dx=0임을 설명한 경우


=a:)1 {(xÜ`-2xÛ`)-(3xÛ`-4x)}dx
➋ 50`%

+a:!4 {(3xÛ`-4x)-(xÜ`-2xÛ`)}dx ➌ k의 값을 구한 경우 30`%

=a:)1 (xÜ`-5xÛ`+4x)dx+a:!4 (-xÜ`+5xÛ`-4x)dx


05 출발한 후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시각은
=a[;4!;xÝ`-;3%;xÜ`+2xÛ`]1)+a[-;4!;xÝ`+;3%;xÜ`-2xÛ`]4! vÁ(t)=vª(t)에서
3tÛ`-2t=tÛ`+4t, 2tÛ`-6t=0, 2t(t-3)=0
=a{;1¦2;+;;¢4°;;}=;;¦6Á;;a
t>0이므로 t=3 yy ➊
조건 (나)에 의하여 시각 t에서의 점 P의 위치를 xÁ(t)라 하면 xÁ(0)=0이므로
;;¦6Á;;a=;;¦2Á;;에서 a=3 xÁ(3)=xÁ(0)+:)3 vÁ(t)dt
따라서 f(x)=9xÛ`-12x, g(x)=3xÜ`-6xÛ`이므로 yy ➋
=0+:)3 (3tÛ`-2t)dt
f(1)_g(1)=(-3)_(-3)=9 yy ➌

=[tÜ`-tÛ`]3)
 9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8
조건 (가)를 이용하여 두 함수 f(x), g(x)를 x에 시각 t에서의 점 Q의 위치를 xª(t)라 하면 xª(0)=0이므로
➊ 40`%
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xª(3)=xª(0)+:)3 vª(t)dt
조건 (나)를 이용하여 두 함수 f(x), g(x)를 구한
➋ 50`%
경우
=0+:)3 (tÛ`+4t)dt

=[;3!;tÜ`+2tÛ`]3)
➌ f(1)_g(1)의 값을 구한 경우 10`%

=27 yy ➋
따라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xÁ(3)-xª(3)|=|18-27|=9 yy ➌
04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y축에 대  9
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y
4 y=g(x) ➊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시각을 구한 경우 30`%
k y=k ➋ 시각 t=3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를 구한 경우 60`%
yy ➊ ➌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를 구한 경우 10`%

-4 -2 O 2 4 x

곡선 y=g(x)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06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xÁ(t)라 하면 xÁ(0)=0이므로


0<k<4이어야 한다.
xÁ(a)=xÁ(0)+:)a vÁ(t)dt
또 곡선 y=g(x)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곡선 y=-xÛ`+4x는 직
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다. =0+:)a (3tÛ`-6t)dt

=[tÜ`-3tÛ`]a)=aÜ`-3aÛ`
이때 곡선 y=g(x)와 직선 y=k로 둘러싸인 세 부분의 넓이가 모두
같으므로

:)2 {g(x)-k}dx=0 yy ➋ 점 Q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xª(t)라 하면 xª(0)=0이므로

이어야 한다. xª(a)=xª(0)+:)a vª(t)dt

:)2 {g(x)-k}dx=:)2 (-xÛ`+4x-k)dx =0+:)a (-4t+6)dt

=[-;3!;xÜ`+2xÛ`-kx]2)=;;Á3¤;;-2k =[-2tÛ`+6t]a)=-2aÛ`+6a yy ➊

즉, ;;Á3¤;;-2k=0이므로 k=;3*; yy ➌ xÁ(a)=xª(a)이므로


aÜ`-3aÛ`=-2aÛ`+6a
  ;3*; aÜ`-aÛ`-6a=0, a(a+2)(a-3)=0

정답과 풀이 133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33 22. 11. 9. 오전 11:01


a>0이므로 a=3 yy ➋ 두 곡선 y=f(x), y=f(x-3)이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하면 다음과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Á(t), vª(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같다.
vÁ(t) vÁ(t)=3tÛ`-6t vª(t) Ú x<0일 때
6 vª(t)=-4t+6 xÛ`-5x=xÛ`-11x+24에서
6x-24=0, x=4
3 그러므로 x<0일 때 두 곡선 y=f(x), y=f(x-3)은 만나지 않
  
O
O 2 3 t ;2#; t
는다.
Û 0Éx<3일 때
-xÛ`+5x=xÛ`-11x+24에서
점 P가 시각 t=0에서 t=3까지 움직인 거리 sÁ은 2xÛ`-16x+24=0
2(x-2)(x-6)=0
sÁ=:)3 |vÁ(t)|dt
0Éx<3에서 x=2
=:)2 {-vÁ(t)}dt+:@3 vÁ(t)dt Ü 3Éx<5일 때
-xÛ`+5x=-xÛ`+11x-24에서
=:)2 (-3tÛ`+6t)dt+:@3 (3tÛ`-6t)dt 6x-24=0, x=4

=[-tÜ`+3tÛ`]2)+[tÜ`-3tÛ`]3@=4+4=8
Ý 5Éx<8일 때
xÛ`-5x=-xÛ`+11x-24에서
점 Q가 시각 t=0에서 t=3까지 움직인 거리 sª는 2xÛ`-16x+24=0

sª=:)3 |vª(t)|dt 2(x-2)(x-6)=0


5Éx<8이므로 x=6
;2#;
=:) `vª(t)dt+:`3 `{-vª(t)}dt
;2#;
Þ x¾8일 때
;2#; xÛ`-5x=xÛ`-11x+24에서
=:) `(-4t+6)dt+:`3 `(4t-6)dt
;2#; 6x-24=0, x=4
;2#;
그러므로 x¾8일 때 두 곡선 y=f(x), y=f(x-3)은 만나지 않
=[-2tÛ`+6t]) +[2tÛ`-6t]3 =;2(;+;2(';=9
;2#;
는다.
따라서 sÁ+sª=8+9=17 yy ➌ Ú ~ Þ에 의하여 두 곡선 y=f(x), y=f(x-3)으로 둘러싸인 도형
  17 은 그림과 같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y y=f(x) y=f(x-3)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a에 대한 식으로


➊ 30`%
나타낸 경우
➋ a의 값을 구한 경우 20`%
➌ sÁ, sª의 값을 구하고, sÁ+sª의 값을 구한 경우 50`%
O 2 3 4 5 6 8 x

두 곡선 y=f(x), y=f(x-3)은 직선 x=4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


하는 넓이는

:@6 | f(x)-f(x-3)|dx

=2:@4 | f(x)-f(x-3)|dx
본문 127~128쪽
내신 + 수능 고난도 도전 =2[:@3 {(-xÛ`+5x)-(xÛ`-11x+24)}dx
01 41 02 4 03 24 04 ⑤ 05 ①
+:#4 {(-xÛ`+5x)-(-xÛ`+11x-24)}dx]
06 ②
=2[ :@3 (-2xÛ`+16x-24)dx+:#4 (-6x+24)dx]

=2{[-;3@;xÜ`+8xÛ`-24x]3@+[-3xÛ`+24x]4#}
01 f(x)=|x(x-5)|
xÛ`-5x (x<0 또는 x>5)

-xÛ`+5x (0ÉxÉ5) =2_{;;Á3¼;;+3}
이므로
f(x-3)=|(x-3)(x-8)| =;;£3¥;;
xÛ`-11x+24 (x<3 또는 x>8) 따라서 p+q=3+38=41

-xÛ`+11x-24 (3ÉxÉ8)   41

134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34 22. 11. 9. 오전 11:01


( -x (x<0) 그림과 같이 곡선 y=f(x)와 x축, y축 및 접선 l로 둘러싸인 도형의
02 f(x)={ -xÛ`+2x (0ÉxÉ2) 넓이를 SÁ, 접선 l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ª라 하자.
9 x-2 (x>2) SÁ+Sª의 값은 곡선 y=f(x)와 접선 l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그림과 같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mx가 만나는 점 중 넓이이므로
원점이 아닌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0<a<2, b>2)라 할
SÁ+Sª=:)2 { f(x)-(2x+k-4)}dx
때, 닫힌구간 [0, a]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mx로 둘
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Á, 닫힌구간 [a, b]에서 함수 y=f(x)의 그래 =:)2 {(xÛ`-2x+k)-(2x+k-4)}dx
프와 직선 y=m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ª라 하고,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mx 및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2 (xÛ`-4x+4)dx

=[;3!;xÜ`-2xÛ`+4x]2)=;3*;
를 S£이라 하자.
y y=f(x)
y=mx 4-k
B Sª의 값은 밑변의 길이가 이고 높이가 4-k인 삼각형의 넓이이
A 2
SÁ Sª
S£ 므로
O a 2 b x
4-k (4-k)Û`
Sª=;2!;_ _(4-k)=
SÁ=Sª이므로 SÁ+S£=Sª+S£   yy ㉠ 2 4
SÁ+S£의 값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이때 SÁ=Sª이므로 2Sª=SÁ+Sª
(4-k)Û`
넓이와 같으므로 즉, _2=;3*;에서 (4-k)Û`=;;Á3¤;;
4
SÁ+S£=:)2 f(x)dx 4'3
1<k<4이므로 k=4-
3
=:)2 (-xÛ`+2x)dx 따라서 p=4, q=-;3$;이므로

=[-;3!;xÜ`+xÛ`]2)=-;3*;+4=;3$; 9(p+q)=9{4-;3$;}=24
Sª+S£의 값은 밑변의 길이가 2이고 높이가 f(b)인 삼각형의 넓이와   24
같으므로
Sª+S£=;2!;_2_f(b)=f(b)

㉠에서 f(b)=;3$;이므로
04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는 연속함수이고 조건
b-2=;3$;, b=;;Á3¼;; (나)에 의하여

직선 y=mx가 점 {;;Á3¼;;, ;3$;}를 지나므로 :)6 f(x)dx=2, :)6 | f(x)|dx=6

이므로 f(a)=0인 a`(0<a<6)이 존재한다.


;3$;=;;Á3¼;;_m, m=;5@;
:)6 f(x)dx=:)Ó f(x)dx+:ò6 f(x)dx=2 yy ㉠
따라서 10m=10_;5@;=4
0ÉxÉa에서 f(x)É0이고, aÉxÉ6에서 f(x)¾0이므로

:)6 | f(x)|dx=:)Ó {-f(x)}dx+:ò6 f(x)dx=6


 4
yy ㉡
03 f(x)=xÛ`-2x+k로 놓으면 ㉠-㉡을 하면

2:)Ó f(x)dx=-4에서 :)Ó f(x)dx=-2


f '(x)=2x-2
곡선 y=f(x) 위의 점 (2, k)에서의 접선 l의 기울기는 f '(2)=2이

㉠에서 :ò6 f(x)dx=2-:)Ó f(x)dx=4


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y-k=2(x-2)
y=2x+k-4 한편, 조건 (가)에서
4-k yy ㉢
이때 접선 l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
f(x)=f(x-3)+2
, 0},
2
이므로 ㉢의 양변에 x 대신에 x-3을 대입하면
(0, k-4)이므로 곡선 y=f(x)와 접선 l은 그림과 같다.
f(x-3)=f(x-6)+2
y=f(x) y l
이것을 ㉢에 대입하면
f(x)={ f(x-6)+2}+2=f(x-6)+4
k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고 f(6)>0이므로

:^1`2 | f(x)|dx=:^1`2 f(x)dx



O Sª 2 x

=:^1`2 { f(x-6)+4}dx
4-k
k-4 2 yy ㉣

정답과 풀이 135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35 22. 11. 9. 오전 11:01


함수 y=f(x-6)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06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0ÉtÉ6)에서의 위치를
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f(x-6)을 x=6에서 x(t)라 하면 x'(t)=v(t)이므로 함수 x(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x=12까지 적분한 값은 함수 y=f(x)를 x=0에서 x=6까지 적분한 타내면 다음과 같다.
값과 같다. y y y
즉, :^1`2 f(x)dx=:)6 f(x)dx이므로 ㉣에서
t 0 3 5 6
x '(t) + 0 - 0 +

:^1`2 f(x)dx=:^1`2 { f(x-6)+4}dx


x(t) x(0) ↗ 극대 ↘ 극소 ↗ x(6)

x(0)=0이므로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t)는

=:^1`2 f(x-6)dx+:^1`2 4dx x(t)=:)t v(t)dt

=:)6 f(x)dx+[4x]1^2
이때

x(3)=:)3 v(t)dt=;2!;_(3+1)_a=2a
=2+24=26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ò1`2 | f(x)|dx=:ò6 f(x)dx+:^1`2 f(x)dx=4+26=30


x(5)=:)5 v(t)dt

=:)3 v(t)dt+:#5 v(t)dt


 ⑤
=2a-{;2!;_2_a}=a

x(6)=:)6 v(t)dt

05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각각 xÁ(t), xª(t)라 하면 =:)3 v(t)dt+:#5 v(t)dt+:%6 v(t)dt


xÁ(t)=0+:)t vÁ(t)dt=:)t (tÛ`-2t)dt
=2a-a+{;2!;_1_a}=;2#;a
=[;3!;tÜ`-tÛ`]t)=;3!;tÜ`-tÛ`=;3!;tÛ`(t-3)
점 P는 수직선 위의 점 a에서 ;2#;a까지 세 번 지나게 되므로
xª(t)=0+:)t vª(t)dt=:)t (-tÛ`+4)dt
aÉ2É;2#;a에서 ;3$;ÉaÉ2   yy ㉠
=[-;3!;tÜ`+4t]t)=-;3!;tÜ`+4t=-;3!;t(tÛ`-12) 따라서 점 P가 시각 t=0에서 t=6까지 움직인 거리는

t¾0에서 두 함수 y=xÁ(t), y=xª(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6 |v(t)|dt=:)3 v(t)dt+:#5 {-v(t)}dt+:%6 v(t)dt
y y=xÁ(t)
=2a+a+;2!;a=;2&;a

이고, ㉠에 의하여 ;;Á3¢;;É;2&;aÉ7이므로 점 P가 시각 t=0에서 t=6까


3 지 움직인 거리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O 2'3 t

y=xª(t) 7+;;Á3¢;;=;;£3°;;

0ÉtÉ3에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를 f(t)라 하면 0ÉtÉ3에서  ②

xÁ(t)Éxª(t)이므로
f(t)=|xÁ(t)-xª(t)|=xª(t)-xÁ(t)

=[-;3!;t(tÛ`-12)]-;3!;tÛ`(t-3)

=-;3@;tÜ`+tÛ`+4t

f '(t)=-2tÛ`+2t+4=-2(t+1)(t-2)
f '(t)=0에서 0ÉtÉ3이므로 t=2
0ÉtÉ3에서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 0 y 2 y 3
f '(t) + 0 -
f(t) ↗ 극대 ↘

따라서 f(t)는 t=2에서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f(2)=-;;Á3¤;;+4+8=;;ª3¼;;

 ①

136 올림포스 유형편•수학Ⅱ

EBS올림포스(수II)해설(001~136)OK.indd 136 22. 11. 9. 오전 11:0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