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8

를 꿰뚫는 유

념과 원리 형훈
개 련서

유형 내신

수학Ⅱ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003   ⑴ 4 ⑵ ;7!;

xÛ`-4
⑴ f(x)= `(x+2)라 하면
함수의 극한 x-2
(x-2)(x+2)
f(x)= =x+2`(x+2)
x-2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001  ⑴0 ⑵2
y
4 y=f{x}
⑴ ‌함수 y= f(x)의 그래프에서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2
lim f(x)=0
x`Ú1

y O x
-2 2
y=f{x}
‌x의 값이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4에 한없이
2
가까워지므로
xÛ`-4
-2 O 1 x lim =lim (x+2)=4
x`Ú2 x-2 x`Ú2

x-5
⑵ f(x)= `(x+5, x+-2)라 하면
xÛ`-3x-10
⑵ ‌함수 y= f(x)의 그래프에서 x의 값이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x-5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f(x)‌=
xÛ`-3x-10
lim f(x)=2 x-5
x`Ú-2
=
y (x-5)(x+2)
y=f{x}
1
= `(x+5, x+-2)
x+2
2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2 O 1 x

1 y=f{x}
7
-2 O 5 x

002  ⑴2 ⑵4
1
⑴ ‌f(x)=x+2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가 5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에 한없이
7
y y=f{x} 가까워지므로
x-5 1 1
lim =lim =
2 x`Ú5 xÛ`-3x-10 x`Ú5 x+2 7

-2 O x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004  ③


가까워지므로
① f(x)=x-3이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im (x+2)=2
x`Ú0 y y=f{x}
⑵ ‌f(x)=-xÛ`+5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
y
5 O 3 4 x
4
y=f{x}
-3

O 1 x
‌x의 값이 4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4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가까워지므로 lim (x-3)=1
x`Ú4

lim (-xÛ`+5)=4 ② ‌f(x)='Ä2x-6이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Ú1

2 수학Ⅱ
y y=f{x} y

1 y=f{x}
Â2

O 1 x
O 3 4 x
2

‌x의 값이 4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함



가까워지므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의
lim 'Ä2x-6='2 한없이 커지므로 lim (-2x+1)=-¦
x`Ú¦ 극
x`Ú4

2x 2 ⑵ f(x)=xÛ`+x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과
③ ‌f(x)= = +2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x-1 x-1 y
y=f{x} 연
다음과 같다. 속
y
y=f{x}

4 -1 O x
2
‌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O 12 x 한없이 커지므로
lim (xÛ`+x)=¦
x`Ú-¦
‌x의 값이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4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x -2
⑶ ‌f(x)= = +1이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x+2 x+2
2x
lim =4 다음과 같다.
x`Ú2 x-1
y
④ f(x)=8이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f{x} 1 y=f{x}
8
-2 O x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O 3 x
x
lim =1
x의 값이 3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8이므로 x`Ú¦ x+2
lim 8=8 1
⑷ f(x)= 이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Ú3
x+1
xÛ`-x y
⑤ f(x)= `(x+1)라 하면
x-1
xÛ`-x x(x-1) y=f{x}
‌f(x)= = =x`(x+1)
x-1 x-1 -1 x
O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f{x}

‌x의 값이 음수이면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0에


1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1
1
O 1 x lim =0
x`Ú-¦ x+1
-1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006  ⑤

xÛ`-x ① 주어진 함수를 y= f(x)라 하면


lim =1
x`Ú1 x-1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f(x)는 x=a에서
x`Úa- x`Úa+
따라서 선지 중 극한값을 바르게 구한 것은 ③이다.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② 주어진 함수를 y= f(x)라 하면
005   ⑴ -¦ ⑵ ¦ ⑶ 1 ⑷ 0 ‌lim f(x)=¦, lim f(x)=¦로 함수 f(x)는 x=a에서
x`Úa- x`Úa+

⑴ f(x)=-2x+1이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3
③ 주어진 함수를 y= f(x)라 하면
‌lim f(x)=¦, lim f(x)=-¦로 함수 f(x)는 x=a에서
010  ⑤
x`Úa- x`Úa+
ㄱ. lim f(x)=1 (거짓)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2+

④ 주어진 함수를 y= f(x)라 하면 ㄴ. ‌lim f(x)=1, lim f(x)=1이므로


x`Ú1+ x`Ú1-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f(x)는 x=a에서 극한값이 lim f(x)=1이다. (참)
x`Úa- x`Úa+
x`Ú1
존재하지 않는다. ㄷ. ‌ lim f(x)=-1, lim f(x)=1에서
x`Ú-2+ x`Ú-2-
⑤ 주어진 함수를 y= f(x)라 하면
lim f(x)+ lim f(x)이므로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f(x)는 x=a에서 극한값이 x`Ú-2+ x`Ú-2-
x`Úa- x`Úa+
lim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존재한다. x`Ú-2

따라서 선지 중 x=a에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그래프는 ⑤이다. ㄹ. -2<a<2인


‌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lim f(x)= lim f(x)이므로
x`Úa+ x`Úa-

lim f(x)의 값이 존재한다. (참)


007  ④ x`Úa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y
y=f{x}
5

1
011  ②
-2 O 4 x
-2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f{x}
-5
1
lim f(x)=-5, lim f(x)=-2이다. x
x`Ú4- x`Ú-2+ O 4
-1
∴ lim f(x)+ lim f(x)=-7
x`Ú4- x`Ú-2+

-5

008  ③ 위의 그래프에서

주어진 그래프에서 lim f(x)=1, lim f(x)=-5이다.


x`Ú4+ x`Ú4-

y y=f{x} ∴ lim f(x)- lim f(x)=6


x`Ú4+ x`Ú4-

1
-2
-1 O 1 x
-1
012  ①

lim f(x)=1, lim f(x)=1, f(0)=0이다. xÛ`-2x


f(x)= 라 하면
x`Ú-1- x`Ú0+ |x-2|
∴ lim f(x)+ f(0)+ lim f(x)=2 x(x-2)
x`Ú-1- x`Ú0+ x-2>0, 즉 x>2일 때, f(x)= =x
x-2
x(x-2)
x-2<0, 즉 x<2일 때, f(x)= =-x이므로
009  ①
x (x>2)
-(x-2)

f(x)=[ 이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x (x<2)
y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3 y y=f{x}
2
y=f{x} 2

-2 -1
O 1 2 x O 2 x
-1
-2
a= lim f(x)=-1, b= lim f(x)=-1, c= lim f(x)=2이다.
x`Ú-2+ x`Ú0- x`Ú1+
∴ lim f(x)=-2
∴ a+2b-c=-5 x`Ú2-

4 수학Ⅱ
TIP
구하는 것이 함수 f(x)의 x=2에서이 좌극한이므로 x<2인
015  ③

경우만 구하면 바르게 답을 구할 수 있다. lim { f(x)+2g(x)}‌=lim f(x)+2_lim g(x)


x`Ú 5 x`Ú 5 x`Ú 5

=5+2_(-1)=3

016   ⑴ ;2!; ⑵ -2 ⑶ 13 함

013   풀이 참조
lim 4

4 x`Ú1 4 1 극
x x ⑴ lim = = =
x>0이면 = =1, x`Ú1 xÛ`+3x+4 lim (xÛ`+3x+4) 8 2 한
|x| x x`Ú1 과
x x ⑵ lim (2xÛ`-3)(x+3)‌= lim (2xÛ`-3)_ lim (x+3) 연
x<0이면 = =-1이므로 x`Ú-1 x`Ú-1 x`Ú-1
|x| -x 속
=(-1)_2=-2
1 (x>0)
f(x)=[ 이다. 3xÛ`+1 lim (3xÛ`+1)13
-1 (x<0) ⑶ lim = x`Ú2 = =13
x`Ú2 x-1 lim (x-1) 1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Ú2

1
y=f{x} 017  ②

ㄱ. lim f(x)=a, lim g(x)=b(a, b는 실수)라 하면


x`Úa x`Úa
O x
lim { f(x)+g(x)}=lim f(x)+lim g(x)=a+b이다. (참)
-1 x`Úa x`Úa x`Úa

g(x)
ㄴ. lim f(x)=a, lim =b(a, b는 실수)라 하면
위의 그래프에서 x`Úa x`Úa f(x)

g(x)
lim f(x)= lim 1=1, lim f(x)= lim (-1)=-1이다.
x`Ú0+ x`Ú0+ x`Ú0- x`Ú0- lim g(x)‌=lim [ f(x)_ ]
x`Úa x`Úa f(x)
따라서 lim f(x)+ lim f(x)이므로 g(x)
x`Ú0+ x`Ú0-
=lim f(x)_lim =ab
x`Úa f(x)
lim f(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a
x`Ú0
이다. (참)
채점 요소 배점 ㄷ. (반례) f(x)=x+1, g(x)=x이면
범위에 따른 함수 f(x) 구하기 40 % lim f(x)=1, lim g(x)=0으로 모두 존재하지만
x`Ú0 x`Ú0
함수 y= f(x)의 그래프 그리기 20 %
f(x) x+1 1
lim f(x)의 존재성 조사하기
함수 = =1+ 에서
x-0
40 % g(x) x x
1 1
lim {1+ }=¦, lim {1+ }=-¦이므로
x`Ú0+ x x`Ú0- x
f(x)
lim 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x`Ú0 g(x)
014  ②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f(x+1)에서 x+1=t라 하면 직선 t=x+1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018  ⑤
t
f(x)
lim =3이므로 구하는 식의 분자와 분모를 각각 x로 나누어
x`Ú0 x
1
식을 정리하면
f(x)
-1 O x 2x+ f(x) 2+
x
lim ‌=lim yy TIP
x`Ú0 x- f(x) x`Ú0 f(x)
위의 그래프에서 x`Ú 0+일 때 t`Ú 1+이다. 1-
x
y
2+3 5
= =-
3
1-3 2
y=f{x}
2 TIP
f(x) 2x+ f(x)
lim 가 수렴하므로 구하는 식 lim 에서 분자와
x
x`Ú0 x`Ú0 x- f(x)
O 1 3 x
f(x)
분모가 각각 를 포함하도록 변형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 lim f(x+1)= lim f(t)=2 x
x`Ú0+ t`Ú1+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5
019  ② ⑵ x`Ú 0일 때, (분모)`Ú 0이고 (분자)`Ú 0이므로
x x(3+'Ä9-x )
lim ‌=lim
f(x) g(x) x`Ú0 3-'Ä9-x x`Ú0 (3-'Ä9-x )(3+'Ä9-x )
lim =2, lim =5이므로 구하는 식의 분자와 분모를
x`Ú3 x-3 x`Ú3 x-3
x(3+'Ä9-x )
각각 x-3으로 나누어 식을 정리하면 =lim
x`Ú0 x
2 f(x)+3g(x)
=lim (3+'Ä9-x )=6
2 f(x)+3g(x) x-3 x`Ú0
lim ‌=lim
x`Ú3 3 f(x)-g(x) x`Ú3 3 f(x)-g(x)
x-3
f(x) g(x)
2_ +3_
x-3 x-3
=lim '5
x`Ú3
3_
f(x) g(x)
-
x-3 x-3 022   ⑴ 14 ⑵-
10

1
25
2_2+3_5 1
= =19 ⑴ lim (x-2){ +5}
3_2-5 x`Ú2 xÛ`-4
=lim [
x-2
+5(x-2)]
020   ⑴ 12 ⑵ ;7!; ⑶ 3 x`Ú2 (x-2)(x+2)
1
⑴ x`Ú 2일 때, (분모)`Ú 0이고 (분자)`Ú 0이므로 =lim [ +5(x-2)]
x`Ú2 x+2
xÜ`-8 (x-2)(xÛ`+2x+4) 1
lim ‌=lim =
x`Ú2 x-2 x`Ú2 x-2 4
=lim (xÛ`+2x+4)=12 1
x`Ú2 ⑵ lim ('x-'5){1- }
x`Ú5 x-5
⑵ x`Ú 3일 때, (분모)`Ú 0이고 (분자)`Ú 0이므로
x-6
xÛ`-5x+6 (x-3)(x-2) =lim ('x-'5 )_
lim ‌=lim x`Ú5 x-5
x`Ú3 xÛ`+x-12 x`Ú3 (x-3)(x+4)
x-6
x-2 1 =lim
=lim
x`Ú3 x+4
=
7
x`Ú5 'x+'5

⑶ x`Ú -1일 때, (분모)`Ú 0이고 (분자)`Ú 0이므로 -1 '5


= =-
2'5 10
2xÜ`-xÛ`-5x-2 (x+1)(2xÛ`-3x-2)
lim ‌= lim 1 1 1 1 (x+5)-5
x`Ú-1 x+1 x`Ú-1 x+1 ⑶ lim { - }‌=lim [ _ ]
x`Ú0 x 5 x+5 x`Ú0 x 5(x+5)
= lim (2xÛ`-3x-2)=3
x`Ú-1
1
=lim
참고
x`Ú0 5(x+5)
1
f(x) =
두 함수 f(x), g(x)가 다항함수일 때, lim 의 값을 묻는 25
x`Úa g(x)
문제에서
f(x) f(a)
 (a)+0이면 lim
❶g = 로 계산할 수 있다.
x`Úa g(x) g(a)
❷ g(a)=0, f(a)=0이면 023   ⑴ 0 ⑵ ;4&; ⑶ ¦
f(x) f(a) 0
lim = = 꼴이 되어 계산할 수 없으므로
x`Úa g(x) g(a) 0 ⑴ x`Ú ¦일 때, (분모)`Ú ¦이고 (분자)`Ú ¦이므로
f(x) (x-a) fÁ(x) fÁ(x) fÁ(a) 1 1
lim =lim =lim = +
x`Úa g(x) x`Úa (x-a)gÁ(x) x`Úa gÁ(x) gÁ(a) x+1 x xÛ` 0+0
lim = lim = =0
와 같이 x-a를 분자, 분모에서 약분하여 극한값을 구해야 x`Ú¦ 3xÛ`+x x`Ú¦ 1 3+0
3+
x
한다. (단, fÁ(x), gÁ(x)는 다항식이고, gÁ(a)+0이다.)
⑵ x`Ú ¦일 때, (분모)`Ú ¦이고 (분자)`Ú ¦이므로
7xÛ`-3x+1 7xÛ`-3x+1
lim ‌= lim
021   ⑴ ;4!; ⑵ 6 x`Ú¦ (2x+1)Û` x`Ú¦ 4xÛ`+4x+1

3 1
7- +
⑴ x`Ú 1일 때, (분모)`Ú 0이고 (분자)`Ú 0이므로 x xÛ` 7
= lim =
4 1 4
'Äx+3-2
x`Ú¦
('Äx+3-2)('Äx+3+2) 4+ +
lim ‌=lim x xÛ`
x`Ú1 x-1 x`Ú1 (x-1)('Äx+3+2) ⑶ x`Ú ¦일 때, (분모)`Ú ¦이고 (분자)`Ú ¦이므로
x-1 10
=lim 2x-
(x-1)('Äx+3+2)
x`Ú1
2xÜ`-10 xÛ` =¦
lim = lim
1 1 x`Ú¦ xÛ`+5x+4 x`Ú¦ 5 4
=lim = 1+ +
x`Ú1 'Äx+3+2 4 x xÛ`

6 수학Ⅱ
TIP1 2x`
= lim
x`Ú ¦일 때, 분자와 분모가 각각 x에 대한 다항식이면 분모의 "ÃxÛ`+2x+x
x`Ú¦

2
최고차항으로 분자와 분모를 각각 나누어 수렴하는 함수의 합, = lim =1
2
®É1+ +1
x`Ú¦
차, 곱, 몫, 실수배한 꼴로 만들 수 있고, 수렴하는 함수의 극한에 x
대한 기본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원리를 정확하게
⑵ 주어진 식을 유리화하여 정리하면
알고 숙달한 후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빠르게 함
lim ("ÃxÛ`+3x+1-"ÃxÛ`-3x-1 ) 수
극한값을 구하도록 하자. x`Ú¦

("Ãx`Û +3x+1-"Ãx`Û -3x-1 )("Ãx`Û +3x+1+"Ãx`Û -3x-1 )
= lim 극
x`Ú¦
"ÃxÛ`+3x+1+"ÃxÛ`-3x-1 한
TIP2 과
(xÛ`+3x+1)-(xÛ`-3x-1)
= lim
두 다항식 f(x), g(x)에 대하여 lim
f(x)
의 극한은 다음과
x`Ú¦
"ÃxÛ`+3x+1+"ÃxÛ`-3x-1 연
x`Ú¦ g(x) 속
6x+2
= lim
"ÃxÛ`+3x+1+"ÃxÛ`-3x-1
같다. x`Ú¦

❶ 분자 f(x)의 차수가 더 큰 경우
2
f(x) f(x) 6+
lim =¦ 또는 lim =-¦ x
x`Ú¦ g(x) x`Ú¦ g(x)
= lim
3 1 3 1
®É1+ + +®É1- -
x`Ú¦

❷ 분모 g(x)의 차수가 더 큰 경우 x xÛ` x xÛ`


f(x) 6
lim =0 = =3
x`Ú¦ g(x)
2

❸ f(x), g(x)의 차수가 같은 경우 TIP


f(x), g(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각각 a, b`(ab+0)일 때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고려하여
f(x) a
lim =
b 2x` 2
x`Ú¦ g(x) ⑴ lim ("ÃxÛ`+2x-x)= lim = =1
x`Ú¦ x`Ú¦
"ÃxÛ`+2x+x 1+1
⑵ lim ("ÃxÛ`+3x+1-"ÃxÛ`-3x-1 )
TIP3 x`Ú¦

6x+2 6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고려하여 = lim = =3
"ÃxÛ`+3x+1+"ÃxÛ`-3x-1 1+1
x`Ú¦
7xÛ`-3x+1 7 7
⑵ lim = = 으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2x+1)Û`
x`Ú¦ 2Û` 4
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026  ③

024  ②
함수 f(x)=[
xÛ`-x-6 (x¾4)
-2x+k (x<4)
에서
x`Ú ¦일 때, (분모)`Ú ¦이고 (분자)`Ú ¦이므로 lim f(x)= lim (xÛ`-x-6)=6,
x`Ú4+ x`Ú4+
2x 2
lim =lim =2 lim f(x)= lim (-2x+k)=-8+k이다.
x`Ú¦
"ÃxÛ`+x-1 x`Ú¦ ®É1+ 1 - 1 x`Ú4- x`Ú4-
x x lim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lim f(x)= lim f(x)를 만족시켜야
x`Ú4 x`Ú4+ x`Ú4-

TIP 하므로 6=-8+k


"axÛ` (a는 상수)는 x에 대한 일차항으로 생각하고 계수를 'a로 ∴ k=14
본 후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고려하여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lim
x`Ú¦
2x 2
= =2
"Ãx`Û +x-1 1
027  ④

2xÛ`+5 (x¾-1)
함수 f(x)=[ 에서
3xÛ`-ax+b (x<-1)
lim f(x)= lim (3xÛ`-ax+b)=3+a+b,
025  ⑴1 ⑵3 x`Ú-1- x`Ú-1-

lim f(x)= lim (2xÛ`+5)=7이다.


x`Ú-1+ x`Ú-1+
⑴ 주어진 식을 유리화하여 정리하면
이때, 극한값 lim f(x)가 존재하려면
("ÃxÛ`+2x-x)("ÃxÛ`+2x+x) x`Ú-1
lim ("ÃxÛ`+2x-x)‌=lim
x`Ú¦ x`Ú¦
"ÃxÛ`+2x+x lim f(x)= lim f(x)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x`Ú-1- x`Ú-1+

(xÛ`+2x)-xÛ` 3+a+b=7
= lim
x`Ú¦
"ÃxÛ`+2x+x ∴ a+b=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7
028  ④ lim g(x)‌=lim [ f(x)Ö
x`Úa x`Úa
f(x)
g(x)
]

xÛ`+ax+b lim f(x)


0
lim =5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 x`Úa
= =0
x`Ú-2 x+2 f(x) a
lim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yy TIP x`Úa g(x)

즉, lim (xÛ`+ax+b)=4-2a+b=0에서 그러므로 분수 꼴로 표현된 함수의 극한값이 0이 아닌 실수로


x`Ú-2

b=2a-4이고 yy ㉠ 존재하고 분자가 0에 수렴하면 분모 또한 0에 수렴함을


xÛ`+ax+b xÛ`+ax+2a-4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자.
lim ‌= lim
x`Ú-2 x+2 x`Ú-2 x+2
xÛ`+ax+2(a-2)
= lim
x`Ú-2 x+2

= lim
x`Ú-2
(x+a-2)(x+2)
(x+2)
029  ③

= lim (x+a-2) 'Äx+a+b 1


lim =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2
x`Ú3 x-3 8
=a-4=5 x`Ú 3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이므로 a=9, b=14`(∵ ㉠) 즉, lim ('Äx+a+b)='Ä3+a+b=0에서
x`Ú3
∴ a+b=23
b=-'Äa+3이고 yy ㉠
'Äx+a+b 'Äx+a-'Äa+3
다른 풀이 lim ‌=lim
x`Ú3 x-3 x`Ú3 x-3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Äx+a-'Äa+3 )('Äx+a+'Äa+3 )
=lim
(분자)`Ú 0이다. x`Ú3 (x-3)('Äx+a+'Äa+3 )
즉, lim (xÛ`+ax+b)=0에서 다항식 xÛ`+ax+b는 x+2를 인수로 (x+a)-(a+3)
x`Ú-2 =lim
x`Ú3 (x-3)('Äx+a+'Äa+3 )
갖는다.
따라서 xÛ`+ax+b=(x+2)(x+k)`(k는 상수)이고  yy ㉠ 1
=lim
x`Ú3 'Äx+a+'Äa+3
xÛ`+ax+b (x+2)(x+k)
lim ‌= lim 1 1
x`Ú-2 x+2 x`Ú-2 x+2 = =
= lim (x+k) 2'Äa+3 8
즉, 2'Äa+3=8, 'Äa+3=4, a+3=16에서
x`Ú-2
=-2+k=5
그러므로 k=7이고 ㉠에서 a=13, b=-4`(∵ ㉠)
xÛ`+ax+b=(x+2)(x+7)=xÛ`+9x+14 ∴ a-b=17
이므로 b=14, a=9
∴ a+b=23
030  ③
TIP f(x)
lim =2에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일차함수이다.
0 x`Ú¦ x
유리함수의 극한이 `꼴일 때, 분자와 분모를 0이 되게 하는
0 f(x)=2x+a`(a는 상수)라 하면
인수를 분자와 분모에서 각각 약분하여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xÛ`+x f(x) xÛ`+x(2x+a)
lim ‌= lim
f(x) f(x) x`Ú¦ 2xÛ`- f(x) x`Ú¦ 2xÛ`-(2x+a)
일반적으로 함수 에서 lim =a`(a는 실수)이고
g(x) x`Úa g(x) 3xÛ`+ax
= lim
lim g(x)=0이면 x`Ú¦ 2xÛ`-2x-a
x`Úa
a
f(x) 3+
lim f(x)‌=lim [ _g(x)] = lim
x
=
3
x`Úa x`Úa g(x) x`Ú¦ 2 a 2
2- -
f(x) x xÛ`
=lim _lim g(x)
x`Úa g(x) x`Úa
다른 풀이
=a_0=0
f(x)
그러므로 분수 꼴로 표현된 함수의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가 lim =2이므로 구하는 식의 분자와 분모를 각각 xÛ`으로 나누어
x`Ú¦ x
0에 수렴하면 분자 또한 0에 수렴함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자.
정리하면
f(x) f(x)
또한 일반적으로 함수 에서 1+
g(x) xÛ`+x f(x) x 1+2 3
f(x) lim lim
= x`Ú¦ = = yy TIP2
x`Ú¦ 2xÛ`- f(x) f(x) 2 2
lim =a`(a는 0이 아닌 실수)이고 lim f(x)=0이면 2-
x`Úa g(x) x`Úa
xÛ`

8 수학Ⅱ
TIP1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고려하여
033  ⑴2 ⑵5

3xÛ`+ax 3 4xÛ`+5x 2xÛ`+6x


lim = ⑴ lim =2, lim =2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x`Ú¦ 2xÛ`-2x-a 2 x`Ú¦2xÛ`+3 x`Ú¦ xÛ`
으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f(x)=2이다.
x`Ú¦

⑵ x>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x로 나누면 함


TIP2 5x-1 10xÛ`-2x+1 수
< f(x)< 의
x 2xÛ`-x
f(x) 극
f(x) f(x) x 5x-1 10xÛ`-2x+1
lim =2이므로 lim = lim 이고 x`Ú ¦일 lim =5, lim =5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한
x x x`Ú¦ x x`Ú¦ 2xÛ`-x
x`Ú¦ x`Ú¦ xÛ` x`Ú¦ 과
때, 분자가 상수로 수렴하고 분모는 한없이 커지므로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f(x)=5이다. 연
x`Ú¦

f(x)
lim =0이다.
x`Ú¦ xÛ`

034  ④

x>0일 때, xÛ`+2x>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xÛ`+2x로


나누면
031  ②
8xÛ`-x-2
É
f(x)
É
8xÛ`+7x
조건 ㈎에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함수이고, xÛ`+2x xÛ`+2x xÛ`+2x
8xÛ`-x-2 8xÛ`+7x
조건 ㈏에서 g(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일차함수이다. lim =8, lim =8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x`Ú¦ xÛ`+2x x`Ú¦ xÛ`+2x
f(x)=2xÛ`+ax+b, g(x)=3x+c`(a, b, c는 상수)라 하면 f(x)
f(x)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8이다.
2xÛ`+ax+b x`Ú¦ xÛ`+2x
lim ‌= lim
x`Ú¦ (2x+1)g(x) x`Ú¦ (2x+1)(3x+c)

2xÛ`+ax+b
= lim
x`Ú¦ 6xÛ`+(2c+3)x+c

=lim
2+ +
a b
x xÛ` 035  ④
x`Ú¦ 2c+3 c
6+ + 부등식 6x< f(x)<6x+5에서
x xÛ`
2 1 x>0일 때, 6x>0, 6x+5>0
= =
6 3 이므로 (6x)Û`<{ f(x)}Û`<(6x+5)Û`
다른 풀이 위의 부등식의 각 변을 xÛ`+2x+5로 나누면
(6x)Û` { f(x)}Û` (6x+5)Û`
f(x) 1 3x-5 < < `(∵ xÛ`+2x+5>0)
lim = , lim =1이므로 xÛ`+2x+5 xÛ`+2x+5 xÛ`+2x+5
x`Ú¦ 4xÛ`-3x 2 x`Ú¦ g(x)
(6x)Û` (6x+5)Û`
f(x) f(x) 3x-5 4xÛ`-3x lim =36, lim =36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lim ‌=lim _ _ x`Ú¦ xÛ`+2x+5 x`Ú¦ xÛ`+2x+5
x`Ú¦ (2x+1)g(x) x`Ú¦ 4xÛ`-3x g(x) (3x-5)(2x+1)
{ f(x)}Û`
1 4 1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36이다.
= _1_ = x`Ú¦ xÛ`+2x+5
2 6 3

TIP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고려하여

lim
2xÛ`+ax+b
=
2
=
1 036  ③
x`Ú¦ (2x+1)(3x+c) 2_3 3
반지름의 길이가 2인 풍선의 t초 후의 반지름의 길이는 2+t이다.
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풍선은 완전한 구 모양이므로
4
S(t)=4p(2+t)Û`, V(t)= p(2+t)Ü`
3
tS(t) t_4p(2+t)Û`
∴ lim ‌=lim
t`Ú¦ V(t) t`Ú¦ 4
p(2+t)Ü`
3
032  ③
3t(2+t)Û`
=lim
lim (2xÛ`-x-5)=-2, lim (2xÛ`+4x)=-2이므로 함수의 t`Ú¦ (2+t)Ü`
x`Ú-1 x`Ú-1
3t 3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f(x)=-2이다. =lim =lim =3
t`Ú¦ t+2 t`Ú¦ 2
x`Ú-1 1+
t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9
참고 (- 1 (x<1)
x-1
이라 하면 f(x)={
반지름의 길이가 r인 구에서 1
⑵ f(x)=
|x-1| 1
❶ 겉넓이 : 4prÛ` 9 x-1 (x>1)
4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❷ 부피 : prÜ`
3
y
y=f{x}

037  ⑤

aÜ`-27 1 x
직선 AP의 기울기는 이다. O
a-3
직선 AP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가 f(a)이므로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a-3 1
f(a)=- yy TIP lim =0이다.
x`Ú¦ |x-1|
aÜ`-27
∴ lim f(a)‌=lim {- }=-lim
a-3 a-3
a`Ú3 a`Ú3 aÜ`-27 a`Ú3 (a-3)(aÛ`+3a+9)

1 1
=-lim
a`Ú3 aÛ`+3a+9
=-
27 040  ④

TIP ( 1 +3 (x>0)
x
+3={
1
두 직선 y= f(x), y=g(x)의 기울기가 각각 m, n이고 두 ① f(x)= 이라 하면 함수
|x| 1
직선이 서로 수직일 때, 두 기울기의 곱 m_n=-1이다. 9 x
- +3 (x<0)

1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직선 y=g(x)의 기울기는 n=- 이다.
m y

y=f{x}

038  ⑤ 3

2 2
A(1, 2+'3 ), B{t, +'3 }, H{1, +'3}이므로 O x
t t
2 2 2(t-1) ‌위의 그래프에서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AHÓ=(2+'3)-{ +'3 }=2- = x`Ú0- x`Ú0+
t t t
f(x)는 x`Ú 0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BHÓ=t-1
xÛ` (x¾0)
2(t-1) ② ‌f(x)=x|x|=[ 이라 하면 함수 y= f(x)의
2(t-1) 2 -xÛ` (x<0)
AHÓ t
lim
∴ t`Ú1+ = lim = lim = lim =2
BHÓ t`Ú1+ t-1 t`Ú1+ t(t-1) t`Ú1+ t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f{x}

039   ⑴ -¦ ⑵ 0
O x
1
(x<3) (
x-3
이라 하면 f(x)={
1
⑴ f(x)=-
|x-3| 1
9 - x-3 (x>3)
‌위의 그래프에서 lim f(x)=-¦이므로 함수 f(x)는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Ú-¦

y x`Ú -¦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O x 1
3 ③ f(x)= 이라 하면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3
y=f{x}
y
y=f{x}

O
3 x
‌x의 값이 3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1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므로 lim {- }=-¦이다.
x`Ú3 |x-3|

10 수학Ⅱ
‌위의 그래프에서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y
x`Ú3- x`Ú3+ y=f{x}
6
f(x)는 x`Ú 3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 1 1
{x> }
2x-1 2 x
={
1 -3 O 3
④ ‌f(x)= 이라 하면 함수
|2x-1| 1 1
9 2x-1
- {x< } -6
2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수
|xÛ`-9| 의
y ∴ lim = lim (x-3)=-6
y=f{x} x`Ú-3- x+3 x`Ú-3-


채점 요소 배점

범위에 따른 함수 f(x) 구하기 40 %

함수 y= f(x)의 그래프 그리기 20 % 속

O 1 x 주어진 극한값 구하기 40 %


2
‌위의 그래프에서 lim f(x)=0이므로 함수 f(x)는 x`Ú ¦일 때
042
x`Ú¦
 ④
극한값이 존재한다.
⑤ f(x)=[x]라 하면 -x=t라 하면 x`Ú 0-일 때 t`Ú 0+이므로
-2Éx<-1일 때, f(x)=-2 lim f(-x)= lim f(t)=3
x`Ú0- t`Ú0+
-1Éx<0일 때, f(x)=-1
x-1=k라 하면 x`Ú 3+일 때 k`Ú 2+이므로
0Éx<1일 때, f(x)=0
lim f(x-1)= lim f(k)=4
정수 k에 대하여 kÉx<k+1일 때, f(x)=k이므로 x`Ú3+ k`Ú2+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lim f(-x)+ lim f(x-1)=7


x`Ú0- x`Ú3+

y
y=f{x}
2

-3-2-1
1 043   ⑴ -2 ⑵ 1

O 1 2 3 x
-1 ⑴ lim f(x)+ lim g(x)=(-1)+(-1)=-2
x`Ú-1+ x`Ú1-
-2 ⑵ g(x)=t라 하면 x`Ú 0+일 때 t`Ú 1-이므로
-3
lim f(g(x))= lim f(t)=1
x`Ú0+ t`Ú1-
위의 그래프에서 lim f(x)=-2, lim f(x)=-1이므로
x`Ú-1- x`Ú-1+

함수 f(x)는 x`Ú -1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선지 중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④이다. 044  ③

f(x)=t라 하면 x`Ú 1+일 때 t=0이므로


lim f( f(x))= f(0)=-1 yy TIP
x`Ú1+

-x-1=s라 하면 x`Ú 0-일 때 s`Ú -1+이므로


041   풀이 참조 lim f(-x-1)= lim f(s)=1
x`Ú0- s`Ú-1+

|xÛ`-9| ∴ lim f( f(x))+ lim f(-x-1)=(-1)+1=0


함수 f(x)= `(x+-3)이라 하면 x`Ú1+ x`Ú0-
x+3
Ú x<-3일 때, TIP
(x-3)(x+3) x`Ú 1+일 때의 f(x)의 값이 큰 쪽이나 작은 쪽에서
f(x)‌=
x+3 0에 가까워지는 것이 아니므로 t=0임을 알 수 있다.
=x-3
Û -3<x<3일 때,
-(x-3)(x+3)
f(x)‌=
x+3 045  ⑤

=-x+3 f(x)=t라 하면
Ü x¾3일 때, x`Ú 2+일 때 t=2이므로
(x-3)(x+3) lim f( f(x))= f(2)=1
f(x)‌=
x+3 x`Ú2+

=x-3 x`Ú 0-일 때 t`Ú -1-이므로


Ú~Ü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im f( f(x))= lim f(t)=2
x`Ú0- t`Ú-1-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1
∴ lim f( f(x))+ lim f( f(x))=1+2=3 f(x)=t라 하면
x`Ú2+ x`Ú0-
x`Ú -1-일 때 t`Ú 0+이므로
lim g( f(x))= lim g(t)=1
x`Ú-1- t`Ú0+

046  ② x`Ú 1+일 때 t`Ú 1-이므로


lim f( f(x))= lim f(t)=-1
g(x)=t라 하면 x`Ú 1+일 때 t`Ú -1-이므로 x`Ú1+ t`Ú1-

lim f(g(x))= lim f(t)=0 ∴ lim g( f(x))+ lim f( f(x))=1+(-1)=0


x`Ú-1- x`Ú1+
x`Ú1+ t`Ú-1-

f(x)=k라 하면 x`Ú 0-일 때 k`Ú 0-이므로


lim g( f(x))= lim g(k)=-1
049
x`Ú0- k`Ú0-
 ③
∴ lim f(g(x))+ lim g( f(x))=0+(-1)=-1
x`Ú1+ x`Ú0-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047  ① 2
y=g{x}
1
함수 f(x)는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Â2 Â2
-1 O 1 x
대칭이다.
따라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ㄱ. g(x)=t라 하면 x`Ú -1+일 때 t`Ú 1+이므로
y
2 lim f(g(x))= lim f(t)=-1 (거짓)
x`Ú-1+ t`Ú1+
1 y=f{x}
ㄴ. f(x)=k라 하면 x`Ú 1+일 때 k`Ú -1-이므로

2 x
lim f( f(x))= lim f(k)=0 (참)
-2-1 O 1 x`Ú1+ k`Ú-1-

-1 ㄷ. f(x)=k라 하면 x`Ú 0-일 때 k=1이므로


-2 lim f( f(x))= f(1)=1 (참)
x`Ú0-

∴ lim f(x)+ lim f(x)=(-1)+(-2)=-3


x`Ú-1+ x`Ú2-
ㄹ. g(x)=t라 하면 x`Ú '2-일 때 t`Ú 0+이므로
lim f(g(x))= lim f(t)=1 (거짓)
t`Ú0+
TIP1 x`Ú'2-

ㅁ. f(x)=k라 하면 x`Ú -1-일 때 k`Ú 0+이므로


-x=t라 하면 x`Ú -1+일 때 t`Ú 1-이고,
lim g( f(x))= lim g(k)=2 (참)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f(-t)=- f(t)이므로 x`Ú-1- k`Ú0+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 ㅁ으로 3개이다.


lim f(x)= lim f(-t)=- lim f(t)=-1이다.
x`Ú-1+ t`Ú1- t`Ú1-

TIP2
050  ②
함수 f(x)가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4x
❶ ‌f(x)= f(-x)를 만족시키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x>0일 때, f(x)= =1
3x+x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4x
x<0일 때, f(x)= =2
❷ ‌f(x)=- f(-x)를 만족시키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3x-x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함수 y= f(x)와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

2 O x
y=f{x} y=g{x}
048  ③ 1

O x
x 1 (x>0)
함수 g(x)= =[ 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 -1 (x<0) g(x)=t라 하면 x`Ú 0일 때 t`Ú 0-이므로
y lim f(g(x))= lim f(t)=2
x`Ú0 t`Ú0-
y=g{x}
1

O
-1
x
051  ⑤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2 수학Ⅱ
y 4t-1 n
n=
2 t+1
y=f{x}
1
4
-2-1 O 1 2 3 x
-1 -1 O t

f(x)=t라 하면 x`Ú 1+일 때 t`Ú 2-이므로 함



lim f( f(x))= lim f(t)=1 t`Ú -¦일 때 n`Ú 4+이므로 의
x`Ú1+ t`Ú2-
4t-1
x`Ú -1-일 때 t=1이므로 lim f { }= lim f(n)=3 극
t`Ú-¦ t+1 n`Ú4+ 한
lim f( f(x))= f(1)=2 과
4t-1
∴ lim f { }+ lim f { }=2+3=5
x`Ú-1- t-1
∴ lim f( f(x))+ lim f( f(x))=1+2=3 t`Ú¦ t+1 t`Ú-¦ t+1 연
x`Ú1+ x`Ú-1- 속

052  ⑤ 054  ④

-2Éx<-1일 때, [x]=-2이므로 g(x)=-2-x 2 (x¾0)


ㄱ. (반례) f(x)=0, g(x)=[ yy TIP
-1Éx<0일 때, [x]=-1이므로 g(x)=-1-x -2 (x<0)
0Éx<1일 때, [x]=0이므로 g(x)=-x f(x)
이면 lim f(x)=0이고 lim =0이지만 lim g(x)가
x`Ú0 x`Ú0 g(x) x`Ú0
1Éx<2일 때, [x]=1이므로 g(x)=1-x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정수 k에 대하여 kÉx<k+1일 때, [x]=k이므로 g(x)=k-x
따라서 함수 g(x)=[x]-x=k-x (kÉx<k+1)의 그래프는 ㄴ. ‌lim { f(x)+g(x)}=a, lim { f(x)-g(x)}=b (a, b는 실수)
x`Úa x`Úa

다음과 같다. 라 하면
y { f(x)+g(x)}+{ f(x)-g(x)}
lim f(x)‌=lim
x`Úa x`Úa 2
-4 -3 -2 -1 1 2 3 4
1
2 [ x`Úa
O x = lim { f(x)+g(x)}+lim { f(x)-g(x)}]
x`Úa
y=g{x}
-1
a+b
= `(참)
g(x)=t라 하면 x`Ú -1-일 때 t`Ú -1+이므로 2
g(x)
lim f(g(x))= lim f(t)=1 ㄷ. lim (x-a) f(x)=a, lim =b`(a, b는 실수)라 하면
x`Ú-1- t`Ú-1+ x`Úa x-a x`Úa

f(x)=k라 하면 x`Ú 1+일 때 k`Ú -1+이므로 g(x)


lim f(x)g(x)‌=lim [(x-a)f(x)_ ]
lim g( f(x))= lim g(k)=0 x`Úa x`Úa (x-a)
x`Ú1+ k`Ú-1+
g(x)
∴ lim f(g(x))+ lim g( f(x))=1+0=1 =lim (x-a) f(x)_lim
x`Ú-1- x`Ú1+ x`Úa x`Úa x-a

=ab`(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053  ③ TIP
f(x) f(x)
t-1 t-1 2 lim f(x), lim 가 모두 존재하고, lim +0이면
=m이라 하면 함수 m= =1- 의 그래프는 x`Úa g(x)
x`Úa x`Úa g(x)
t+1 t+1 t+1
f(x)
다음과 같다. lim g(x)=lim [ f(x)Ö ]가 존재한다.
x`Úa x`Úa g(x)
m
f(x)
t-1
따라서 ㄱ의 반례로 lim =0이지만 lim g(x)가 존재하지
x`Úa g(x) x`Úa
m=
1 t+1
않는 예를 찾으면 된다.
-1 O t

t`Ú ¦일 때 m`Ú 1-이므로 055  ②

lim f { }= lim f(m)=2


t-1
t`Ú¦ t+1 m`Ú1-
lim f(x)=a, lim g(x)=b이므로
x`Ú2 x`Ú2

4t-1 4t-1 5 lim { f(x)+g(x)}=lim f(x)+lim g(x)=a+b=1


=n이라 하면 함수 n= =4- 의 그래프는 x`Ú2 x`Ú2 x`Ú2
t+1 t+1 t+1
3
다음과 같다. lim f(x)g(x)=lim f(x)_lim g(x)=ab=-
x`Ú2 x`Ú2 x`Ú2 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3
a, b를 두 근으로 갖는 t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세우면 g(x) 1
lim
즉, x`Ú¦ = 이다.
3 f(x) 2
tÛ`-(a+b)t+ab=tÛ`-t- =0
4 g(x)
1-6_
4tÛ`-4t-3=0, (2t-3)(2t+1)=0 f(x)-6g(x) f(x)
∴ lim ‌= lim
x`Ú¦ - f(x)+4g(x) x`Ú¦ g(x)
3 1 -1+4_
∴ a= , b=- `(∵ a>b) f(x)
2 2
lim f(x)+1 1
f(x)+1 1-6_
∴ lim ‌= x`Ú2 2
2g(x)-3 2lim g(x)-3 = =-2
x`Ú2 1
x`Ú2 -1+4_
2
3
+1
a+1 2 5 다른 풀이
= = =-
2b-3 1 8
2_{- }-3 lim { f(x)-2g(x)}=5에서 f(x)-2g(x)=h(x)라 하면
2 x`Ú¦

f(x)-h(x)
h(x)=5이고, g(x)= 이다.
056  ① lim
x`Ú¦
2
h(x)
이때, lim f(x)=¦이고, lim h(x)=5이므로 lim =0이다.
x-1=t라 하면 x`Ú 1일 때 t`Ú 0이므로 x`Ú¦ x`Ú¦ f(x)
x`Ú¦

f(x-1) f(t) f(x)-h(x)


lim =lim =3 f(x)-6_
x-1 t f(x)-6g(x) 2
x`Ú1 t`Ú0
lim
∴ x`Ú¦ ‌ lim
=
f(x) - f(x)+4g(x) x`Ú¦ f(x)-h(x)
2x-3_ -f(x)+4_
2xÛ`-3 f(x) x 2
∴ lim ‌=lim
x`Ú0 5x-2 f(x) x`Ú0 f(x) f(x)-3 f(x)+3h(x)
5-2_ = lim
x x`Ú¦ - f(x)+2 f(x)-2h(x)

0-3_3 -2 f(x)+3h(x)
= =9 = lim
5-2_3 x`Ú¦ f(x)-2h(x)
h(x)
-2+3_
057
  
 ⑤ f(x)
lim
= x`Ú¦ =-2
h(x)
x-3=t라 하면 x`Ú 3일 때 t`Ú 0이므로 1-2_
f(x)
f(x-3) f(x-3) f(t)
lim =lim =lim =4
x`Ú3 xÛ`-3x x`Ú3 x(x-3) t`Ú0 (t+3)t

f(x) f(x)
∴ lim ‌=lim [ _(x+3)]
x`Ú0 x x`Ú0 x(x+3)
f(x)
060  ⑤
=lim _lim (x+3)=4_3=12
x`Ú0 x(x+3) x`Ú0 삼차함수 f(x)는 x`Ú ¦일 때 ¦ 또는 -¦로 발산하고
lim {2 f(x)-3g(x)}=10이므로
x`Ú¦

058   ;3!; lim


2 f(x)-3g(x)
‌= lim [2-3_
g(x)
]
x`Ú¦ f(x) x`Ú¦ f(x)
x-3=t라 하면 x`Ú 3일 때, t`Ú 0이므로 g(x)
=2-3 lim =0
xÛ`-9- f(x-3) (x-3)(x+3)- f(x-3) x`Ú¦ f(x)
lim ‌=lim
x`Ú3 xÛ`-9+ f(x-3) x`Ú3 (x-3)(x+3)+ f(x-3) g(x) 2
즉, lim = 이다.
t(t+6)- f(t) x`Ú¦ f(x) 3
=lim
t`Ú0 t(t+6)+ f(t) g(x)
7-3_
f(t) 7 f(x)-3g(x) f(x)
t+6- ∴ lim ‌= lim
t x`Ú¦ 3g(x) x`Ú¦ g(x)
=lim 3_
t`Ú0 f(t) f(x)
t+6+
t 2
7-3_
3
=
6-3 1
= = =;2%;
6+3 3 2
3_
3

059  ②
다른 풀이

lim {2 f(x)-3g(x)}=10에서 2 f(x)-3g(x)=h(x)라 하면


x`Ú¦
lim f(x)=¦, lim { f(x)-2g(x)}=5이므로
x`Ú¦ x`Ú¦ lim h(x)=10이고, 3g(x)=2 f(x)-h(x)이다.
x`Ú¦
f(x)-2g(x) g(x)
lim ‌= lim [1-2_ ] 삼차함수 f(x)는 x`Ú ¦일 때 ¦ 또는 -¦로 발산하고
x`Ú¦ f(x) x`Ú¦ f(x)
g(x) h(x)
=1-2 lim =0 lim h(x)=10이므로 lim =0이다.
x`Ú¦ f(x) x`Ú¦ x`Ú¦ f(x)

14 수학Ⅱ
7 f(x)-3g(x) 7 f(x)-{2 f(x)-h(x)} f(xÛ`)
∴ lim ‌= lim ‌ ∴ lim
x`Ú¦ 3g(x) x`Ú¦ 2 f(x)-h(x) f(xÜ`-2x)
x`Ú2

5 f(x)+h(x) f(xÛ`) (xÜ`-2x)-4 (x-2)(x+2)


= lim =lim _lim _lim
x`Ú2 xÛ`-4 f(xÜ`-2x) (x-2)(xÛ`+2x+2)
x`Ú¦ 2 f(x)-h(x) x`Ú2 x`Ú2

h(x) 1 x+2
5+ =6_ _lim
6 x`Ú2 xÛ`+2x+2
f(x)
= lim =;2%; 4 2 함
x`Ú¦ h(x) = =
2- 10 5 수
f(x) 의
TIP 극

f(x) f(▲)
061  ① 문제에서 lim
x-4
=6이 주어졌으므로 lim
x`Ú4 ▲`Ú4 ▲-4
=6임을 과

f(▲) 속
g(x)-2x 이용하기 위하여 주어진 식을 와 같은 꼴을 포함하도록
극한값 lim 가 존재하고, ▲-4
x`Ú1 x-1
변형한다.
x`Ú 1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f(xÛ`) f(xÛ`) xÜ`-2x-4 xÛ`-4
즉, lim {g(x)-2x}=g(1)-2=0에서 g(1)=2 ∴ ‌lim =lim [ _ _ ]
x`Ú1 x`Ú2 f(xÜ`-2x) x`Ú2 xÛ`-4 f(xÜ`-2x) xÜ`-2x-4
한편, f(x)+x-1=(x-1)g(x)에서
f(x)=(x-1){ g(x)-1}이므로
f(x)g(x) (x-1){g(x)-1}g(x)
lim ‌=lim
x`Ú1 xÛ`-1 x`Ú1 (x-1)(x+1) 064  ⑤
{g(x)-1}g(x)
=lim ㄱ.
x`Ú1 x+1 x f(x) g(x) f(x)-g(x)
{g(1)-1}g(1) 0+ 2 0 2
=
2
0- -2 0 -2
(2-1)_2
= =1
2 위의 표에서 lim { f(x)-g(x)}=2,
x`Ú0+

lim { f(x)-g(x)}=-2이므로
x`Ú0-

lim { f(x)-g(x)}가 존재하지 않는다.


062  ③ x`Ú0

ㄴ. x f(x) g(x) { f(x)}Û` { g(x)}Û` { f(x)}Û`+{g(x)}Û`


x+2=t라 하면 x`Ú -2일 때 t`Ú 0이므로
f(x+2) f(x+2) f(t) 0+ 2 0 4 0 4
lim = lim =lim =3
x`Ú-2 xÛ`-2x-8 x`Ú-2 (x+2)(x-4) t`Ú0 t(t-6) 0- -2 0 4 0 4
x f(x)- f(x) (x-1) f(x) 위의 표에서 lim [{ f(x)}Û`+{g(x)}Û` ]=4,
∴ lim ‌=lim x`Ú0+
x`Ú0 2xÛ`-6x x`Ú0 2x(x-3)
lim [{ f(x)}Û`+{g(x)}Û` ]=4이므로
f(x) (x-1)(x-6)
=lim [ ]
x`Ú0-
_
x`Ú0 x(x-6) 2(x-3) lim [{ f(x)}Û`+{g(x)}Û` ]=4로 극한값이 존재한다.
x`Ú0
f(x) (x-1)(x-6) ㄷ.
=lim _lim x f(x) g(x) f(x)g(x)
x`Ú0 x(x-6) x`Ú0 2(x-3)
0+ 2 0 0
(-1)_(-6)
=3_ =-3 0- -2 0 0
-6
위의 표에서 lim f(x)g(x)=0, lim f(x)g(x)=0이므로
x`Ú0+ x`Ú0-

lim f(x)g(x)=0으로 극한값이 존재한다.


063  ① x`Ú0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ㄴ, ㄷ이다.


f(xÛ`)
lim
x`Ú2 f(xÜ`-2x)
f(xÛ`) (xÜ`-2x)-4 xÛ`-4
=lim [ ]
x`Ú2 xÛ`-4
_
f(xÜ`-2x)
_
xÜ`-2x-4
yy TIP
065  ②
xÛ`=t라 하면 x`Ú 2일 때 t`Ú 4이므로 ㄱ. x f(x) g(x) f(x)g(x)
f(xÛ`) f(t)
lim =lim =6 0+ -1 1 -1
x`Ú2 xÛ`-4 t`Ú4 t-4

xÜ`-2x=s라 하면 x`Ú 2일 때 s`Ú 4이므로 0- 1 -1 -1


(xÜ`-2x)-4 s-4 1 1 위의 표에서 lim f(x)g(x)=-1, lim f(x)g(x)=-1
lim =lim =lim =6 x`Ú0+ x`Ú0-
x`Ú2 f(xÜ`-2x) s`Ú4 f(s) s`Ú4 f(s)

s-4 이므로 lim f(x)g(x)=-1로 극한값이 존재한다.


x`Ú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5
ㄴ. g(x) ∴ lim f(x+2)g(-1-x)=(-1)_(-1)=1
x f(x) g(x) x`Ú0+
f(x) 한편, f(x)=c라 하면 x`Ú 1-일 때 c`Ú 1-이므로
0+ -1 1 -1 lim g( f(x))= lim g(c)=0
x`Ú1- c`Ú1-
0- 1 -1 -1
∴ lim f(x+2)g(1-x)+ lim g( f(x))=1+0=1
x`Ú0+ x`Ú1-
g(x) g(x)
위의 표에서 lim =-1, lim =-1이므로
x`Ú0+ f(x) x`Ú0- f(x)

lim
x`Ú0
g(x)
f(x)
=-1로 극한값이 존재한다. 069  ③

ㄷ. f g g(x)=xÛ`+2x-8이라 하면 lim g(x)=aÛ`+2a-8이므로


x`Úa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lim g(x)가 존재한다.


x`Úa
3
0+ -1 - 2x-1 (x<1)
2
f(x)=[ 에서
0- 1+ 1 -x+4 (x¾1)
a-1<1, 즉 a<2일 때 lim f(x-1)=2(a-1)-1=2a-3이고
x`Úa

g{`f{x}} a-1>1, 즉 a>2일 때 lim f(x-1)=-(a-1)+4=-a+5


x`Úa

3 이므로 a-1+1인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lim f(x-1)이 존재한다.


위의 그림에서 lim (g½ f)(x)=- , lim (g½ f )(x)=1 x`Úa
x`Ú0+ 2 x`Ú0-
Ú a-1+1, 즉 a+2일 때,
이므로 lim (g½ f )(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0 lim g(x) f(x-1)=g(a)_ f(a-1)=0이므로
x`Úa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ㄱ, ㄴ이다.
g(a)=0 또는 f(a-1)=0이다.
g(a)=aÛ`+2a-8=(a+4)(a-2)=0에서
066  ②
a=-4`(∵ a+2)
1-x=t라 하면 x`Ú 1+일 때 t`Ú 0-이므로 3
f(a-1)=0에서 a<2이면 2a-3=0에서 a= 이고
2
lim f(1-x)= lim f(t)=2
x`Ú1+ t`Ú0- a>2이면 -a+5=0이므로 a=5이다.
lim (xÛ`+1) f(x)‌= lim (xÛ`+1)_ lim f(x) Û a-1=1, 즉 a=2일 때,
x`Ú1- x`Ú1- x`Ú1-

=2_(-1)=-2 x g(x) f(x-1) g(x) f(x-1)


∴ lim f(1-x)+ lim (xÛ`+1) f(x)=2+(-2)=0 2+ 0 3 0
x`Ú1+ x`Ú1-

2- 0 1 0
위의 표에서 lim g(x) f(x-1)= lim g(x) f(x-1)=0
067  ⑤
이므로 a=2일 때 lim
x`Ú2+

g(x) f(x-1)=0을 만족시킨다.


x`Ú2-

x`Ú2
lim f(x)=0
x`Ú1+ Ú, Û에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x=a라 하면 x`Ú 1+일 때 a`Ú -1-이므로 3 9
(-4)+ +5+2=
lim f(-x)= lim f(a)=1 2 2
x`Ú1+ a`Ú-1-

∴ lim { f(x)+ f(-x)}=0+1=1


070
x`Ú1+
 ④
x+1=b라 하면 x`Ú 1-일 때 b`Ú 2-이므로
lim f(x+1)= lim f(b)=1 [x]Û`+3x
x`Ú1- b`Ú2-
극한값 lim 가 존재하려면
1-x=c라 하면 x`Ú 1-일 때 c`Ú 0+이므로 x`Ún [x]
lim f(1-x)= lim f(c)=1 [x]Û`+3x [x]Û`+3x
x`Ú1- c`Ú0+ lim = lim 를 만족시켜야 한다.
x`Ún+ [x] x`Ún- [x]
∴ lim f(x+1) f(1-x)=1_1=1
x`Ú1- [x]Û`+3x
함수 f(x)= 라 하자.
∴ lim { f(x)+ f(-x)}+ lim f(x+1) f(1-x)=1+1=2 [x]
x`Ú1+ x`Ú1-
x=n의 근방에서 함수 y=[x]는 다음과 같다.
x`Ú n-일 때, [x]`Ú n-1이다.

068  ④
n+1일 때, lim
x`Ún-
(n-1)Û`+3x (n-1)Û`+3n nÛ`+n+1
n-1
=
n-1
=
n-1
x+2=a라 하면 x`Ú 0+일 때 a`Ú 2+이므로 x`Ú n+일 때, [x]`Ú n이다.
lim f(x+2)= lim f(a)=-1 nÛ`+3x nÛ`+3n
x`Ú0+ a`Ú2+ n+0일 때, lim = =n+3
x`Ún+ n n
-1-x=b라 하면 x`Ú 0+일 때 b`Ú -1-이므로
nÛ`+n+1
lim g(-1-x)= lim g(b)=-1 n-1
=n+3이어야 하므로
x`Ú0+ b`Ú-1-

16 수학Ⅱ
nÛ`+n+1=(n+3)(n-1), nÛ`+n+1=nÛ`+2n-3 4
= =1
∴ n=4 2+2
[x]Û`+3x ⑶ lim 'x('Ä5x+2-'Ä5x-2 )
∴ lim =4+3=7 x`Ú¦
x`Ú4 [x] 'x('Ä5x+2-'Ä5x-2)('Ä5x+2+'Ä5x-2)
= lim
x`Ú¦ 'Ä5x+2+'Ä5x-2
071  ①
= lim
'x{(5x+2)-(5x-2)}
'Ä5x+2+'Ä5x-2

x`Ú¦

x`Ú 3-일 때, [x]`Ú 2이고 yy TIP 4'x 의
= lim
x+3>0이므로 |x+3|=x+3, x`Ú¦ 'Ä5x+2+'Ä5x-2 극

x>0이므로 |x|=x, 4 4 2'5
= lim = = 과
x-3<0이므로 |x-3|=-(x-3) 2 2 2'5 5
¾Ð5+ +¾Ð5-
x`Ú¦

(x+5)(|x|-3) x x
∴ ‌lim [ ]
[x]-3 속
+
x`Ú3- |x+3| |x-3| TIP
2-3 (x+5)(x-3)
= lim [ + ]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고려하여
x`Ú3- x+3 -(x-3)
-1 "Ã16xÛ`+1-2 4
= lim [ -(x+5)] ⑵ lim = =1
x`Ú3- x+3 "Ã4xÛ`-1+2x 2+2
x`Ú¦

1 49 4'x 4 2'5
=- -8=- ⑶ lim = =
6 6 x`Ú¦ 'Ä5x+2+'Ä5x-2 '5+'5 5
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TIP
x`Ú 3-일 때의 극한값을 구하면 되므로 3의 근방에서만
생각하면 된다.
074   ⑴ ;2!; ⑵ -;5Á4;

1 'Äx+1-1
072  ③ ⑴ lim
x`Ú0
1
x
{1-
1
'Äx+1
}‌=lim {
x`Ú0 x 'Äx+1
}

x`Ú -1-일 때, [x]`Ú -2이므로 1 ('Äx+1-1)('Äx+1+1)


=lim [ _ ]
x+2 x+2 1 x`Ú0 x 'Äx+1('Äx+1+1)
a= lim = lim = =-1 yy TIP
x`Ú-1- [x+1] x`Ú-1- [x]+1 -2+1 =lim [
1
_
x
]
x`Ú0 x 'Äx+1('Äx+1+1)
x`Ú 2+일 때, [x]`Ú 2이므로
1 1
[x] 2 2 =lim =
b= lim
x`Ú2+ x
= lim = =1
x`Ú2+ x 2
x`Ú0 'Äx+1('Äx+1+1) 2
1 1 1
⑵ lim { - }
x`Ú 3-일 때, [x]`Ú 2이므로 x`Ú3 x-3 'Äx+6 3
|x-3| -(x-3) 0 3-'Äx+6
c= lim = lim 1
=lim { _ }
= =0
[x-3] x`Ú3- [x]-3
x`Ú3- 2-3 x`Ú3 x-3 3'Äx+6
∴ a<c<b
1 (3-'Äx+6)(3+'Äx+6)
=lim [ _ ]
x`Ú3 x-3 3'Äx+6(3+'Äx+6)
TIP
1 -(x-3)
정수 n에 대하여 =lim [ _ ]
x`Ú3 x-3 3'Äx+6(3+'Äx+6)
[xÑn]=[x]Ñn(복부호동순)이 성립한다.
-1 1
=lim [ ]=-
x`Ú3 3'Äx+6(3+'Äx+6) 54

2'5
073   ⑴ -6 ⑵ 1 ⑶ 5

xÛ`+3x (xÛ`+3x)(1+'Äx+1)
075   ⑴ -2 ⑵ -3
⑴ lim ‌=lim
x`Ú0 1-'Äx+1 x`Ú0 (1-'Äx+1)(1+'Äx+1) ⑴ -x=t라 하면 x`Ú -¦일 때 t`Ú ¦이므로
x(x+3)(1+'Äx+1) 2x+1 -2t+1
=lim lim ‌=lim
x`Ú0 -x x`Ú-¦ -x-5 t`Ú¦ t-5
=lim {-(x+3)(1+'Äx+1)} 1
-2+
x`Ú0
t
= lim =-2
=(-3)_2=-6 t`Ú¦ 5
1-
t
1
¾Ð16+ -;[@;
"Ã16xÛ`+1-2 xÛ` ⑵ -x=t라 하면 x`Ú -¦일 때 t`Ú ¦이므로
⑵ lim ‌= lim
x`Ú¦ "Ã4xÛ`-1+2x 1 "Ã4xÛ`+2-7x "Ã4(-t)Û`+2-7(-t)
¾Ð4- +2
x`Ú¦
lim ‌=lim
xÛ` x`Ú-¦ 3x+1 t`Ú¦ -3t+1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7
"Ã4tÛ`+2+7t f(x)+k f(x)+k
=lim lim = lim 를 만족시켜야 한다.
t`Ú¦ -3t+1 x`Ú0+f(x)-2 x`Ú0- f(x)-2
2 lim f(x)=¦이므로
¾Ð4+
+7 x`Ú0+
tÛ` k
=lim 1+
t`Ú¦ 1 f(x)
-3+ f(x)+k 1
t lim = lim = =1
x`Ú0+ f(x)-2 2 1
'4+7
x`Ú0+
1-
= =-3 f(x)
-3
lim f(x)=0이므로
x`Ú0-
참고 f(x)+k k
lim =
¦ f(x)-2 -2
x`Ú0-
x`Ú -¦일 때, 꼴인 경우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고려하여
¦ k
1= 이어야 하므로 k=-2
극한값을 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때 주의하자. -2
"Ã4xÛ`+2-7x 2-7
lim +
3x+1 3
079
x`Ú-¦
  ①

1 1
1 1 1 - 1
lim x-2 { x+a - b }=lim
x+a b
076  ③ x`Ú2 x`Ú2 x-2
=- 에서
4
lim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lim f(x)= lim f(x)를 만족시켜야
x`Ú3 x`Ú3+ x`Ú3- 극한값이 존재하고,
한다.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tx-3 (x<3) 1 1 1 1
함수 f(x)=[ 에서 즉, lim { - }= - =0에서 b=a+2 yy ㉠
-(x-t)Ü`+6 (x¾3) x`Ú2 x+a b 2+a b
lim f(x)= lim (tx-3)=3t-3 주어진 식에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x`Ú3- x`Ú3-
1 1 1 1 (a+2)-(x+a)
lim f(x)= lim {-(x-t)Ü`+6}=-(3-t)Ü`+6 lim { - }‌=lim [ _ ]
x`Ú3+ x`Ú3+ x`Ú2 x-2 x+a a+2 x`Ú2 x-2 (a+2)(x+a)
즉, 3t-3=-(3-t)Ü`+6이어야 하므로 3t-9=(t-3)Ü` -1
=lim
(t-3)Ü`-3(t-3)=0, (t-3){(t-3)Û`-3}=0 (a+2)(x+a)
x`Ú2

(t-3)(tÛ`-6t+6)=0 -1 1
= =-
(a+2)Û` 4
∴ t=3 (∵ t는 정수)
즉, (a+2)Û`=4에서 a+2=2`(∵`b=a+2>0)
a=0, b=2`(∵`㉠)

077  ② ∴ a+b=2

lim f(x)=lim f(x)이려면 lim f(x), lim f(x)가 각각


080
x`Ú1 x`Ú2 x`Ú1 x`Ú2
 ①
존재해야 하고,
극한값 lim f(x)가 존재하려면 lim f(x)= lim f(x)를 -x=t라 하면 x`Ú -¦일 때 t`Ú ¦이므로
x`Ú1 x`Ú1+ x`Ú1-

만족시켜야 한다. lim ("ÃaxÛ`+2x+2x)‌=lim {"Ãa(-t)Û`+2(-t)+2(-t)}


x`Ú-¦ t`Ú¦

xÛ`+ax+1 (|x|¾1) =lim ("ÃatÛ`-2t-2t)


함수 f(x)=[ 에서 t`Ú¦
-2x+b (|x|<1)
("ÃatÛ`-2t-2t)("ÃatÛ`-2t+2t)
lim f(x)= lim (xÛ`+ax+1)=a+2 =lim
x`Ú1+ x`Ú1+ "ÃatÛ`-2t+2t
t`Ú¦

lim f(x)= lim (-2x+b)=-2+b atÛ`-2t-4tÛ`


x`Ú1- x`Ú1- =lim =b yy ㉠
t`Ú¦ "ÃatÛ`-2t+2t
a+2=-2+b이어야 하므로 a-b=-4  yy ㉠
이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t`Ú ¦일 때 (분모)`Ú ¦이고 (분자)`Ú ¦
lim f(x)=lim (xÛ`+ax+1)=2a+5
x`Ú2 x`Ú2
이므로 분모와 분자의 차수가 같다.
이므로 a+2=2a+5에서 a=-3
즉, 분자 atÛ`-2t-4tÛ`=(a-4)tÛ`-2t가 일차식이어야 하므로
b=1`(∵ ㉠)
a-4=0   ∴ a=4
∴ a+b=-2
㉠에 a=4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2t -2 -2 1
lim =lim = =- =b
"Ã4tÛ`-2t+2t t`Ú¦ 2 2+2 2
¾Ð4- +2
t`Ú¦

078   -2 t
= 4 =-8
a
f(x)+k ∴
극한값 lim 가 존재하려면 b 1
f(x)-2 -
x`Ú0
2

18 수학Ⅱ
1
}-
TIP a
=10_{-
10 -10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고려하여
a
-2t -2 1 =-1+ =5
lim = =- 10
t`Ú¦ "Ã4tÛ`-2t+2t 2+2 2
a=60, b=-300이므로
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a+b=-240


081   ③ 083  ③ 극

(x-a)(x+a) lim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lim f(x)= lim f(x)를 만족시켜야 과


xÛ`-aÛ` x`Ú2 x`Ú2+ x`Ú2-
lim =lim =lim (x+a)=2a=6 연
x`Úa x-a x`Úa x-a x`Úa 한다. 속
이므로 a=3 x=2 근방에서 함수 y=[x]는 다음과 같다.
lim ("ÃxÛ`+3x-"ÃxÛ`+bx ) 1Éx<2일 때, [x]=1이므로 lim [x]=1이다.
x`Ú¦ x`Ú2-

("ÃxÛ`+3x-"ÃxÛ`+bx )("ÃxÛ`+3x+"ÃxÛ`+bx ) ∴ lim f(x)= lim ([x]Û`-a[x])=1Û`-a_1=1-a


= lim
"ÃxÛ`+3x+"ÃxÛ`+bx
x`Ú2- x`Ú2-
x`Ú¦
2Éx<3일 때, [x]=2이므로 lim [x]=2이다.
(xÛ`+3x)-(xÛ`+bx) x`Ú2+
= lim
x`Ú¦ "ÃxÛ`+3x+"ÃxÛ`+bx ∴ lim f(x)= lim ([x]Û`-a[x])=2Û`-a_2=4-2a
x`Ú2+ x`Ú2+
(3-b)x 4-2a=1-a이어야 하므로
= lim
x`Ú¦ "Ãx`Û +3x+"ÃxÛ`+bx
a=3
3-b
= lim
3
¾Ð1+ +¾Ð1+
x`Ú¦ b
x x

=
3-b
2
=6 084  ③

이므로 b=-9 xÛ`+ax+b


lim f(x)=lim =c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2 x`Ú2 x-2
b -9
∴ = =-3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a 3
즉, lim (xÛ`+ax+b)=0에서 다항식 xÛ`+ax+b는 x-2를 인수로
x`Ú2
TIP
갖는다.
최고차항의 계수만을 고려하여
1
(3-b)x 3-b 3-b 한편, lim =¦이려면 lim | f(x)|=0이므로
lim = = | f(x)|
x`Ú1 x`Ú1
x`Ú¦ "Ãx`Û +3x+"ÃxÛ`+bx 1+1 2
xÛ`+ax+b
lim | |=0에서 다항식 xÛ`+ax+b는 x-1을 인수로
로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x`Ú1 x-2
갖는다.
따라서 xÛ`+ax+b=(x-1)(x-2)=xÛ`-3x+2이므로
a=-3, b=2
082  ③
c=lim
(x-1)(x-2)
=lim (x-1)=1
x`Ú2 x-2 x`Ú2
f(x)
lim =10으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 a+b+c=0
x`Ú0 x
x`Ú 0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다른 풀이
즉, lim f(x)= f(0)=0 yy ㉠ xÛ`+ax+b
x`Ú0
lim f(x)=lim =c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f(x+5)-ax+b x`Ú2 x`Ú2 x-2
또한 lim =5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5 xÛ`-25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x`Ú -5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즉, lim (xÛ`+ax+b)=4+2a+b=0에서
x`Ú2
즉, lim { f(x+5)-ax+b}= f(0)+5a+b=0에서 b=-2a-4 yy ㉠
x`Ú-5

b=-5a`(∵ ㉠) xÛ`+ax+b xÛ`+ax-2(a+2)


∴ lim ‌=lim (∵ ㉠)
f(x+5)-ax+b f(x+5)-ax-5a x`Ú2 x-2 x`Ú2 x-2
lim ‌= lim (x-2)(x+a+2)
x`Ú-5 xÛ`-25 x`Ú-5 xÛ`-25 =lim
f(x+5)-a(x+5) x`Ú2 x-2
= lim =lim (x+a+2)
x`Ú-5 (x+5)(x-5) x`Ú2
x+5=t라 하면 x`Ú -5일 때 t`Ú 0이므로 =4+a=c yy ㉡
f(t)-at f(t) 1
‌=lim [ ]
a 1
lim _ - lim =¦이려면 lim | f(x)|=0이므로
t`Ú0 t(t-10) t`Ú0 t t-10 t-10 x`Ú1 | f(x)| x`Ú1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9
lim | |=lim
(x-2)(x+a+2) 3x+c+6
|x+a+2|=1+a+2=0 =lim
x`Ú1 x-2 x`Ú1 x`Ú2 x+2
∴ a=-3, b=2, c=1`(∵ ㉠, ㉡) c+12
= =2
∴ a+b+c=0 4
∴ c=-4, d=-4`(∵ ㉡)
참고
∴ a=0, b=3, c=-4, d=-4
문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x-1`(x+2)이고,
1 1
함수 y= = `(x+2)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f(x)| |x-1|
y 1
086   풀이 참조
y=
|f{x}| f(x)
lim =5에서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5인
x`Ú¦ xÛ`-2x
이차함수이다.
f(x)
lim =2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1 x-1
O 1 2 x
x`Ú 1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즉, lim f(x)= f(1)=0에서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x`Ú1

f(x)=(x-1)(5x+a) (a는 상수)라 하면


085   a=0, b=3, c=-4, d=-4
lim
f(x)
‌=lim
(x-1)(5x+a)
=lim (5x+a)=5+a=2
x`Ú1 x-1 x`Ú1 x-1 x`Ú1
axÜ`+bxÛ`+cx+d
lim f(x)= lim =3에서 이므로 a=-3
x`Ú¦ xÛ`-4
x`Ú¦
f(x)=(x-1)(5x-3)
axÜ`+bxÛ`+cx+d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함수이다.
∴ f(2)=1_7=7
∴ a=0, b=3
3xÛ`+cx+d 채점 요소 배점
이때, lim f(x)=lim =2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2 xÛ`-4
x`Ú2
함수 f(x)의 차수와 최고차항의 계수 구하기 40 %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f(x)
lim =2를 이용하여 함수 f(x) 구하기 50 %
즉, lim (3xÛ`+cx+d)=0에서 다항식 3xÛ`+cx+d는 x-2를 x`Ú1 x-1
x`Ú2
f(2)의 값 구하기 10 %
인수로 가지므로
3xÛ`+cx+d=(x-2)(3x+k)`(단, k는 상수이다.) yy ㉠
3xÛ`+cx+d (x-2)(3x+k)
lim
x`Ú2 xÛ`-4
‌=lim
x`Ú2 (x-2)(x+2)
087  4
3x+k
=lim x-2
x`Ú2 x+2
조건 ㈎에서 lim 는 0이 아닌 값으로 수렴하고,
f(x) x`Ú2
6+k
= =2 x`Ú 2일 때 (분자)`Ú 0이므로 (분모)`Ú 0이다.
2+2
이므로 k=2이고 ㉠에 대입하면 즉, lim f(x)= f(2)=0에서 함수 f(x)는 x-2를 인수로 갖는다.
x`Ú2

3xÛ`+cx+d‌=(x-2)(3x+2)=3xÛ`-4x-4  yy ㉠
∴ c=-4, d=-4 f(x)
조건 ㈏에서 lim =-4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1 x-1
∴ a=0, b=3, c=-4, d=-4
x`Ú 1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다른 풀이
즉, lim f(x)= f(1)=0에서 함수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x`Ú1
axÜ`+bxÛ`+cx+d
lim f(x)= lim =3에서  yy ㉡
x`Ú¦ x`Ú¦ xÛ`-4
axÜ`+bxÛ`+cx+d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함수이다. ㉠, ㉡에 의하여 f(x)=a(x-2)(x-1)(a는 상수, a+0)이라 하면
즉, a=0, b=3 f(x) a(x-2)(x-1)
lim =lim =-a=-4
x`Ú1 x-1 x`Ú1 x-1
3xÛ`+cx+d
이때, lim f(x)=lim =2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이므로 a=4
x`Ú2 xÛ`-4
x`Ú2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f(x) 4(x-2)(x-1)


∴ lim =lim =lim 4(x-1)=4
x`Ú2 x-2 x`Ú2 x-2 x`Ú2
즉, lim (3xÛ`+cx+d)=12+2c+d=0에서
x`Ú2

d=-2c-12  yy ㉡

∴ lim
x`Ú2
3xÛ`+cx+d
xÛ`-4
‌=lim
x`Ú2
3xÛ`+cx-2(c+6)
(x-2)(x+2)
(∵ ㉡) 088  ②

(3x+c+6)(x-2) f(x)
=lim lim =0에서 함수 f(x)는 이차 이하의 다항함수이다.
x`Ú2 (x-2)(x+2) x`Ú¦ xÜ`

20 수학Ⅱ
f(x) f(x)-xÛ`
lim =5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의 분자와 분모의 차수가 같아야 한다.
x`Ú0 x "Ã f(x)+x
x`Ú 0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따라서 다항식 f(x)-xÛ`은 일차식이다.
즉, lim f(x)= f(0)=0이므로 f(x)는 x를 인수로 갖는다. 즉,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므로
x`Ú0

f(x)=x(ax+b) (a, b는 상수)라 하면 f(x)=xÛ`+ax+b (a, b는 상수)이다.


f(x) x(ax+b) f(0)=b=2에서 f(x)=xÛ`+ax+2
lim =lim =lim (ax+b)=b=5 함
x`Ú0 x x`Ú0 x x`Ú0 f(x)-xÛ` 수
lim {"Ã f(x)-x}‌= lim
한편, 방정식 f(x)=x의 한 근이 -2이므로 x`Ú¦ x`Ú¦ "Ã f(x)+x 의

f(-2)=-2에서 -2(-2a+5)=-2, -2a+5=1 극


(xÛ`+ax+2)-xÛ`
= lim 한
∴ a=2 x`Ú¦ "ÃxÛ`+ax+2+x

따라서 f(x)=x(2x+5)이므로 f(1)=7이다. ax+2 a
= lim = =5 연
x`Ú¦ "ÃxÛ`+ax+2+x 2 속

이므로 a=10이고 f(x)=xÛ`+10x+2이다.


089  ①
∴ f(3)=9+30+2=41
f(x)
lim =1이므로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x`Ú¦ 2xÜ`-3xÛ`+3x-1
2인 삼차함수이다. 091  ②
f(x) 조건 ㈎에서 함수 f(x)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다항함수
lim =4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3 (x-3)Û`
f(x)는 짝수차항과 상수항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x`Ú 3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조건 ㈏에서 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즉, lim f(x)= f(3)=0이므로 f(x)는 x-3을 인수로 갖는다.
x`Ú3 이차함수이다.
f(x)=(x-3)g(x) (g(x)는 이차식)라 하면
∴ f(x)=2xÛ`+a`(단, a는 상수이다.)
f(x) (x-3)g(x) g(x)
lim =lim =lim =4로 a
x`Ú3 (x-3)Û` x`Ú3 (x-3)Û` x`Ú3 x-3 부등식 f(x)É0에서 2xÛ`+aÉ0, 즉 xÛ`É-
2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 3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개수가 3이려면
즉, lim g(x)=g(3)=0이므로 g(x)는 x-3을 인수로 갖는다.
x`Ú3 a
9É- <16이어야 하므로 -32<aÉ-18
따라서 f(x)는 (x-3)Û`을 인수로 갖는다. yy TIP 2
f(x)=(x-3)Û`(2x+k) (k는 상수)라 하면 f(4)=a+32에서 0<a+32É14
f(x) (x-3)Û`(2x+k) 따라서 f(4)의 최댓값은 14이다.
lim ‌=lim
x`Ú3 (x-3)Û` x`Ú3 (x-3)Û`
=lim (2x+k)=6+k=4
이므로 k=-2
x`Ú3
092  ④

f(x)=(x-3)Û`(2x-2) g(x)
lim =1이므로 다항함수 g(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 f(2)=(-1)Û`_2=2 xÛ`
x`Ú¦

이차함수이다.
TIP
f(x)=t라 하면 x`Ú a-일 때, t`Ú 2-이므로
f(x) lim g( f(x))= lim g(t)=g(2)
두 다항식 f(x), g(x)에 대하여 lim =a`(a는 실수)일 때
x`Úa g(x) x`Úa- t`Ú2-

n
g(x)가 (x-a) 을 인수로 가지면 분모를 0으로 만드는 식이 x`Ú a+일 때, t`Ú 4+이므로

모두 소거될 수 있도록 분자인 f(x)도 (x-a) 을 인수로


n lim g( f(x))= lim g(t)=g(4)
x`Úa+ t`Ú4+

가져야 한다. lim g(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lim g(t)= lim g(t)를


x`Úa t`Ú2- t`Ú4+
f(x) n 만족시켜야 하므로
특히, lim =0일 때 g(x)가 (x-a) 을 인수로 가지면
x`Úa g(x)
n+1
g(2)=g(4)=k(k는 상수)라 하면
f(x)는 (x-a) 을 인수로 가져야 한다.
g(x)-k=(x-2)(x-4)에서
g(x)‌=(x-2)(x-4)+k
=(x-3)Û`+k-1
090  ① 따라서 함수 g(x)는 x=3일 때 최솟값 g(3)을 갖는다.
{"Ã f(x)-x}{"Ã f(x)+x}
lim {"Ã f(x)-x}‌= lim
"Ã f(x)+x
093
x`Ú¦ x`Ú¦
 ②
f(x)-xÛ`
= lim =5
x`Ú¦ "Ã f(x)+x | f(x)|<2에서 -2< f(x)<2이다.
로 x`Ú ¦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Ú ¦, (분자)`Ú ¦이므로 부등식의 각 변에 4xÛ`을 더하고 각 변을 2xÛ`+3으로 나누면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21
4xÛ`-2 4xÛ`+ f(x) 4xÛ`+2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g(x)=1이다.
< < (∵ 2xÛ`+3>0) x`Ú¦
2xÛ`+3 2xÛ`+3 2xÛ`+3 g(x)
4xÛ`-2 4xÛ`+2 이때, lim x=¦이므로 lim =0이다. (참)
lim =2, lim =2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x`Ú¦ x`Ú¦ x
x`Ú¦ 2xÛ`+3 x`Ú¦ 2xÛ`+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관계에 의하여
4xÛ`+ f(x) TIP
lim =2
x`Ú¦ 2xÛ`+3 lim f(x)=1이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x의 값이 한없이
x`Ú¦
다른 풀이 커질 때 f(x)의 값은 한없이 1에 가까워진다.
| f(x)|<2에서 -2< f(x)<2이다.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해도 그래프는
x>0일 때 부등식의 각 변을 xÛ`으로 나누면 x의 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한없이 1에 가까워진다.
2 f(x) 2 따라서 lim f(x+2)=1임을 알 수 있다.
- < < `(∵ xÛ`>0) x`Ú¦
xÛ` xÛ` xÛ`
2 2
lim {- }=0, lim =0이므로
x`Ú¦ xÛ` x`Ú¦ xÛ`

f(x)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0이다.
f(x)
x`Ú¦ xÛ`
096  ⑤
4+
4xÛ`+ f(x) xÛ` = 4 =2
∴ lim = lim 1 1 c
2xÛ`+3 3 2 f(v)= = = (∵ c>0)
"ÃcÛ`-vÛ` "ÃcÛ`-vÛ` `
x`Ú¦ x`Ú¦
2+
xÛ` ¾Ð1- vÛ`
cÛ` c
이므로
094  ② c
-1
f(v)-1 ‌ "ÃcÛ`-vÛ`
f(x)Ég(x)É3- f(x)에서 lim = lim
v`Ú0+ vÛ` v`Ú0+ vÛ`
3x+5 3x+5
Ég(x)É3- 1 c-"ÃcÛ`-vÛ`
2x+1 2x+1 = lim { _ }
v`Ú0+ vÛ` "ÃcÛ`-vÛ`
-x=t라 하면 x`Ú -¦일 때 t`Ú ¦이므로
(c-"ÃcÛ`-vÛ`)(c+"Ãc`Û -vÛ`)
3x+5 = lim
Ú lim
x`Ú-¦ 2x+1
에서 v`Ú0+ vÛ`"Ãc`Û -vÛ`(c+"ÃcÛ`-vÛ`)
3x+5 -3t+5 3 1
lim =lim = = lim
x`Ú-¦ 2x+1 t`Ú¦ -2t+1 2 v`Ú0+ "Ãc`Û -vÛ`(c+"ÃcÛ`-vÛ` )

3x+5 1 1
Û lim {3- }에서 = =
x`Ú-¦ 2x+1 c(c+c) 2cÛ`
3x+5 -3t+5 3 3
lim {3- }=lim {3- }=3- =
x`Ú-¦ 2x+1 t`Ú¦ -2t+1 2 2
Ú, Û에서

lim
x`Ú-¦
3x+5 3
= , lim {3-
2x+1 2 x`Ú-¦
3x+5
2x+1
3
}= 이므로
2
097  ③

3 xÛ`=t일 때 x='t 또는 x=-'t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g(x)= 이다.
x`Ú-¦ 2 주어진 그래프에서 A(-'t, t), B('t, t)이다.
y
y=x@

095  ③

1 t y=t
ㄱ. lim xÛ` f(x)=3이고, lim =0이므로 A S{t} B
x`Ú¦ x`Ú¦ xÛ`

1
lim f(x)‌= lim [xÛ` f(x)_ ] -Ât O Ât x
x`Ú¦ x`Ú¦ xÛ`
1 따라서 삼각형 AOB의 밑변의 길이는 2't, 높이는 t이므로
= lim xÛ` f(x)_ lim =3_0=0 (참)
x`Ú¦ x`Ú¦ xÛ`
1
ㄴ. (반례) f(x)=x+1, g(x)=x이면 S(t)= _2't_t=t't='t  Ü`
2
lim
f(x)
=1, lim g(x)=¦이지만 S(t)-64 't `-4Ü
Ü `
∴ lim =lim
't-4 t`Ú16 't-4
x`Ú¦ g(x) x`Ú¦
t`Ú16
lim { f(x)-g(x)}= lim (x+1-x)= lim 1=1이다. (거짓)
x`Ú¦ x`Ú¦ x`Ú¦ ('t-4)(t+4't+16)
=lim
ㄷ. f(x)<g(x)< f(x+2)이고, t`Ú16 't-4
lim f(x)= lim f(x+2)=1이므로 yy TIP =lim (t+4't+16)=48
x`Ú¦ x`Ú¦ t`Ú16

22 수학Ⅱ
"ÃtÛ`+t-'t t"ÃtÛ`+t
098  ③
t
x="ÃtÛ`+t, x=
"Ãt`Û +t-'t
직선 PQ가 직선 y=x+1에 수직이므로 직선 PQ의 기울기는 t"ÃtÛ`+t
즉, OCÓ=
-1이고, 점 P(t, t+1)을 지나므로 직선 PQ의 방정식은 "ÃtÛ`+t-'t
y-(t+1)=-(x-t), 즉 y=-x+2t+1 t"ÃtÛ`+t
∴ lim OCÓ‌= lim
t`Ú0+ t`Ú0+ "ÃtÛ`+t-'t
따라서 직선 PQ의 y절편이 2t+1이므로 Q(0, 2t+1)이다. 함
t"ÃtÛ`+t("ÃtÛ`+t+'t)
APÓ Û`=(t+1)Û`+(t+1)Û`=2tÛ`+4t+2 = lim

t`Ú0+ (tÛ`+t)-t 의
AQÓ Û`=1Û`+(2t+1)Û`=4tÛ`+4t+2
(tÛ`+t)+'t "ÃtÛ`+t 극
AQÓ Û` 4tÛ`+4t+2 = lim 한
∴ lim ‌=lim t`Ú0+ t 과
t`Ú¦ 2tÛ`+4t+2
t`Ú¦
APÓ `Û tÛ`+t+t'Ät+1
4 2 = lim 연
4+ + t`Ú0+ t 속
t tÛ` 4
=lim
t`Ú¦ 4 2
= =2
2 = lim (t+1+'Ät+1 )=1+1=2
t`Ú0+
2+ +
t tÛ`

099  1 101  ④

점 P의 x좌표를 t라 하면 점 P(t, 2tÛ`)(t>0)이고 APÓ=BQÓ=t`(t>0)라 하면 P(3-t, 0), Q(0, 2+t)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OPÓ와 같으므로 2+t
직선 PQ의 방정식은 y=- x+(2+t) yy ㉠
OPÓ="ÃtÛ`+4tÝ`=t"Ã1+4tÛ` 에서 3-t

OQÓ=t"Ã1+4tÛ` 2
직선 AB의 방정식은 y=- x+2 yy ㉡
3
∴ Q(t"Ã1+4tÛ`, 0)
㉠, ㉡에서
두 점 P(t, 2tÛ`)과 Q(t"Ã1+4tÛ`, 0)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2+t 2 2+t 2
-2tÛ` - x+(2+t)=- x+2, { - }x=t
이므로 t>0일 때 직선 PQ의 방정식은 3-t 3 3-t 3
t"Ã1+4tÛ`-t 3(2+t)-2(3-t) 5t
x=t, x=t
-2tÛ` -2t 3(3-t) 3(3-t)
y= (x-t)+2tÛ`= (x-t)+2tÛ`
t"Ã1+4tÛ`-t "Ã1+4tÛ`-1 3t(3-t) 3(3-t)
x= =  yy ㉢
2tÛ` 5t 5
이다. 따라서 y절편은 +2tÛ`이다.
"Ã1+4tÛ`-1 ㉢을 ㉡에 대입하면
점 P가 원점 O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t`Ú 0+일 때 y절편이 2 3(3-t) 2(t-3) 2t+4
y=- _ +2= +2= 이므로
한없이 가까워지는 값은 3 5 5 5
9-3t 2t+4
lim {
2tÛ`
+2tÛ`} R{ , }
5 5
t`Ú0+ "Ã1+4tÛ`-1
점 P, Q는 각각 점 A, B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t`Ú 0+일 때 교점
2tÛ`("Ã1+4tÛ`+1)
= lim [ +2tÛ`] R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x좌표와 y좌표는 각각
t`Ú0+ ("Ã1+4tÛ`-1)("Ã1+4tÛ`+1)
9-3t 9 2t+4 4
2tÛ`("Ã1+4tÛ`+1) lim = , lim = 이다.
= lim [ +2tÛ`]` t`Ú0+ 5 5 t`Ú0+ 5 5
t`Ú0+ 4tÛ`
9 4
"Ã1+4tÛ`+1 ∴ R{ , }
5 5
= lim { +2tÛ`}
t`Ú0+ 2
1+1
= +0=1
2
102  ①

100  ① 점 P는 선분 OA를 2`:`3으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2_t+3_0 2_3tÛ`+3_0 2t 6tÛ`
OAÓ="ÃtÛ`+t=OBÓ이므로 점 B의 좌표는 B(0, "ÃtÛ`+t ) P{ , }   ∴ P{ , }
2+3 2+3 5 5
't-"ÃtÛ`+t 3tÛ`
직선 AB의 기울기는 이고, y절편은 "ÃtÛ`+t이므로 선분 OA의 기울기는
t
=3t이고, 직선 l은 선분 OA에
t-0
직선 AB의 방정식은 1
수직이므로 직선 l의 기울기는 - 이다.
3t
't-"ÃtÛ`+t
y= x+"ÃtÛ`+t 1
t 따라서 직선 l은 기울기가 - 이고, 점 P를 지나므로
3t
점 C의 x좌표는 직선 AB의 x절편이므로
1 2t 6tÛ`
't-"ÃtÛ`+t y=- {x- }+
0= x+"ÃtÛ`+t에서 3t 5 5
t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23
0=-
1 2t
[ f(t)- ]+
6tÛ`
에서 f(t)=
18tÜ` 2t
+ ( 1 (k<-1, k>3)
3t 5 5 5 5 따라서 g(k)={ 2 (-1ÉkÉ1, k=3)이고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g(t)=-
1 2t
{0- }+
6tÛ`
에서 g(t)=
6tÛ`
+
2 9 3 (1<k<3)
3t 5 5 5 15
y
tÛ`{ 18tÜ` + 2t }-{ 6tÛ` + 2 }
y=g{k}
tÛ` f(t)-g(t) 5 5 5 15 3
∴ lim ‌=lim 2
f(t)g(t) 18tÜ` 2t 6tÛ` 2
{ + }{ + }
t`Ú¦ t`Ú¦

5 5 5 15 1
18
5 5 -1 O 1 3 k
= =
18 6 6
_ 위의 그래프에서 lim g(k)=1이고, g(k)=t라 하면
5 5 k`Ú-1-

k`Ú 3-일 때 t=3이므로 lim g(g(k))=g(3)=2


k`Ú3-

103  ① ∴ lim g(k)+ lim g(g(k))=1+2=3


k`Ú-1- k`Ú3-

원 On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중심의 좌표는 (n, r)이다.


원 On의 중심으로부터 직선 y='3x까지의 거리는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105  ③

|'3n-r| ㄱ. x f(x) g(x) f(x)g(x)


r=
'Ä3+1
0+ -1 -1 1
즉, 2r=|'3n-r|이므로
0- 1 1 1
2r='3n-r 또는 2r=r-'3n
'3 위의 표에서 lim f(x)g(x)=1, lim f(x)g(x)=1이므로
x`Ú0+ x`Ú0-
∴ r= n`(∵ r>0)
3 lim f(x)g(x)=1이다. (참)
'3 '3 x`Ú0
따라서 원 On의 중심의 좌표는 {n, n}, 반지름의 길이는 n이다. ㄴ.
3 3 x f(x) g(x) f(x)-g(x)
한편, 원 On 위를 움직이는 임의의 점과 점 A(-2, 0) 사이의 1+ -1 1 -2
거리의 최솟값은 원 On의 중심과 점 A(-2, 0) 사이의 거리에서 1- -1 0 -1
반지름의 길이를 뺀 값과 같으므로
lim { f(x)-g(x)}+ lim { f(x)-g(x)}이므로
nÛ` '3
x`Ú1+ x`Ú1-

f(n)=¾¨(n+2)Û`+ - n lim { f(x)-g(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3 3 x`Ú1

4 '3 ㄷ. f g
f(n)=¾Ð nÛ`+4n+4- n
3 3
4 '3
¾Ð nÛ`+4n+4- n 1+ -1+ 1
f(n) ‌ 3 3
∴ lim = lim
n`Ú¦ n n`Ú¦ n 1- -1 1
4 4 4 '3
¾Ð + + -
3 n nÛ` 3
= lim g{`f{x}}
n`Ú¦ 1
4 '3 '3 위의 그림에서 lim g( f(x))=1, lim g( f(x))=1이므로
=® - = x`Ú1+ x`Ú1-
3 3 3
lim g( f(x))=1이다. (참)
x`Ú1

6t+1 7
=m이라 하면 m=6+
104
ㄹ. 에서
 ③ t-1 t-1
t`Ú -¦일 때, m`Ú 6-이므로
x+2 3
6t+1
lim f { }=
x>1일 때, f(x)= =1+
x-1 x-1 ‌ lim f(m)
t`Ú-¦ t-1 m`Ú6-
xÉ1일 때, f(x)=-xÛ`-2x+2=-(x+1)Û`+3
lim f(m)`(∵` f(x)= f(x+4))
= m`Ú2-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 (참) yy TIP
y ㅁ. f(x)= f(x+4), g(x)=g(x+4)이고, yy ㉠
k>3 -x=k라 하면 x`Ú 4+일 때, k`Ú -4-이므로
3
k=3
lim { f(-x)+g(-x)}‌= lim { f(k)+g(k)}
1<k<3 x`Ú4+ k`Ú-4-

1 = lim { f(k)+g(k)}`(∵ ㉠)
k`Ú0-
-1 O 1 x
-1 k 1 =1+1=2 (거짓)
-1
k<-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ㄹ로 3개이다.

24 수학Ⅱ
TIP 이고, lim f(x)=2이므로
x`Ú3

f(x)= f(x+4), g(x)=g(x+4)이므로 lim f(x)=lim f(x)+15=2+15=17


x`Ú23 x`Ú3
실수 전체에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는 각각 같은 방법으로 f(27)에서 27=4_6+3이므로
-2ÉxÉ2에서의 그래프가 반복해서 그려진다. f(27)=6_3+ f(3)=18+1=19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lim f(x)+ f(27)=17+19=36
x`Ú23
y 함
y=f{x} 수
1

… …
1 2 3 4 5 6 x 극
-2-1 O

-1
107   aÉ0 과

"ÃxÛ`+aÛ`-a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속
y x`Ú 0일 때 (분모)`Ú 0이므로 lim 의 값이
x`Ú0 x
y=g{x}
1 존재하지 않으려면 (분자)`Ú 0을 만족시키지 않거나 (분자)`Ú 0을
… -1 …
만족시키지만 좌극한과 우극한이 달라야 한다.
-2 O 1 2 3 4 5 6 x
-1 Ú lim ("ÃxÛ`+aÛ`-a)+0인 경우
x`Ú0

|a|-a+0에서 |a|+a이므로 a<0


따라서 실수 a에 대하여
"ÃxÛ`+aÛ`-a
lim f(x)= lim f(x), lim f(x)= lim f(x) 이때, lim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x`Úa+ x`Ú4+a+ x`Úa- x`Ú4+a- x`Ú0 x
lim g(x)= lim g(x), lim g(x)= lim g(x) Û lim ("ÃxÛ`+aÛ`-a)=0이지만 좌극한과 우극한이 다른 경우
x`Úa+ x`Ú4+a+ x`Úa- x`Ú4+a- x`Ú0

가 성립한다. |a|-a=0에서 |a|=a이므로 a¾0


(ii - ①) a=0일
‌ 때,
"ÃxÛ`+aÛ`-a |x|
lim =lim 이고,
x`Ú0 x x`Ú0 x

106   ① lim
x`Ú0+
|x|
x
=1, lim
|x|
x`Ú0- x
=-1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4)= f(x)+3이므로 "ÃxÛ`+aÛ`-a


lim 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0 x
3<xÉ7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1<xÉ3일 때 함수
(ii - ②) a>0일
‌ 때,
y= 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주어진 식을 유리화하여 정리하면
평행이동시킨 것과 일치한다.
("ÃxÛ`+aÛ`-a)("Ãx`Û +aÛ`+a)
7<xÉ11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3<xÉ7일 때 함수 lim
x`Ú0 x("ÃxÛ`+aÛ`+a)
y= 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xÛ`+aÛ`)-aÛ`
평행이동시킨 것과 일치한다. =lim
x`Ú0 x("ÃxÛ`+aÛ`+a)
이와 같은 아이디어로 함수 y= f(x)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다음과
x
=lim =0
같다. x`Ú0 "ÃxÛ`+aÛ`+a

y
y=f{x} "ÃxÛ`+aÛ`-a
8 … 이므로 a>0일 때 항상 lim 의 값이 존재한다.
7 x`Ú0 x
5 "ÃxÛ`+aÛ`-a
4 Ú, Û에서 lim 의 값이 존재하지 않기 위한 실수 a의
x`Ú0 x
2
-5 -11 값의 범위는 aÉ0이다.
O 3 7 11 x
-2
-1
-4
… -5

lim f(x)‌= lim f(x+4)= lim { f(x)+3}= lim f(x)+3


x`Ú23 x`Ú19 x`Ú19 x`Ú19 108  ②
lim f(x)‌= lim f(x+4)= lim { f(x)+3}= lim f(x)+3
x`Ú19 x`Ú15 x`Ú15 x`Ú15 조건 ㈏에서
∴ lim f(x)= lim f(x)+3= lim f(x)+6 f(x)+g(x) f(x)=xg(x)-x, f(x){1+g(x)}=x{g(x)-1}
x`Ú23 x`Ú19 x`Ú15

같은 방법으로 식을 정리하면 g(x)+1=0인 경우


lim f(x)‌= lim f(x)+3= lim f(x)+6 0=x{g(x)-1}에서 g(x)=1이므로 모순이다.
x`Ú23 x`Ú19 x`Ú15

= lim f(x)+9=lim f(x)+12 따라서 g(x)+1+0이므로


x`Ú11 x`Ú7
x{g(x)-1}
=lim f(x)+15 f(x)=
x`Ú3 g(x)+1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25
x{g(x)-1} TIP
2x+
2x+ f(x) g(x)+1
∴ lim ‌=lim 삼차방정식 pxÜ`+qxÛ`+rx+s=0`(ps+0)의 세 근이
x`Ú0 xÛ`- f(x) x`Ú0 x{g(x)-1}
xÛ`- a, b, c이면 삼차방정식 sxÜ`+rxÛ`+qx+p=0의 세 근은
g(x)+1
g(x)-1 1 1 1
2+ , , 이다.
a b c
g(x)+1
=lim
x`Ú0 g(x)-1 [증명]
x-
g(x)+1 삼차방정식 pxÜ`+qxÛ`+rx+s=0의 한 근을 a라 하면
6
2+ paÜ`+qaÛ`+ra+s=0이고 양변을 aÜ`으로 나누면
8 22 11
= =- =- q
6 6 3 r s
0- p+ + `+ =0이므로 방정식 sxÜ`+rxÛ`+qx+p=0이
a aÛ`
8 aÜ`
1
반드시 을 근으로 갖는다.
a
따라서 삼차방정식 pxÜ`+qxÛ`+rx+s=0`(ps+0)의 세 근이
a, b, c이면 삼차방정식 sxÜ`+rxÛ`+qx+p=0의 세 근은
109  ② 1 1 1
, , 이다.
a b c
방정식 f(x)=0의 한 근이 x=t(t는 실수)이면 방정식 g(x)=0은
1
x= 을 근으로 가진다. yy TIP
t
1
조건 ㈎에서 f(2)=0이므로 g{ }=0이고,
2
110   10

1 1
1
g(3)=0이므로 f { }=0이다.
1
}-1
xÜ` f { f { }-
3 x x xÜ` 1
lim = lim 에서 =t라 하면
x`Ú0+ xÜ`+x x`Ú0+ 1 x
1 f(x) 1+
이때, 조건 ㈏에서 k= 일 때 lim 의 값이 존재하고, xÛ`
2 x`Ú;2!; g(x)
x`Ú 0+일 때 t`Ú ¦이므로
1
x`Ú 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1
2 xÜ` f {
}-1 f(t)-tÜ`
x
1 lim =lim =5
즉, lim f(x)= f { }=0이므로 g(2)=0이다. x`Ú0+ xÜ`+x t`Ú¦ 1+tÛ`
x`Ú;2!;
2
즉, 다항함수 f(t)-tÜ`은 최고차항의 계수가 5인 이차함수이다.
1 1
따라서 f(2)=0, f { }=0, f { }=0에서 이때, f(t)=tÜ`+5tÛ`+at+b`(a, b는 상수)라 하자.
3 2
xÜ`+5xÛ`+ax+b 1
1 1 또한 lim = 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f(x)=(x-2){x- }{x- }, x`Ú1 xÛ`+x-2 3
3 2
x`Ú 1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1
g(3)=0, g{ }=0, g(2)=0에서 즉, lim (xÜ`+5xÛ`+ax+b)=6+a+b=0이므로
2 x`Ú1

1 yy ㉠
g(x)=c(x-3){x- }(x-2)이다.
b=-a-6
2 f(x) xÜ`+5xÛ`+ax-a-6
lim ‌=lim
함수 g(x)의 상수항이 1이므로 x`Ú1 xÛ`+x-2 x`Ú1 xÛ`+x-2
1 1 (x-1)(xÛ`+6x+a+6)
c_(-3)_{- }_(-2)=1에서 c=- =lim
2 3 x`Ú1 (x-1)(x+2)
1 1 xÛ`+6x+a+6
g(x)=- (x-3){x- }(x-2) =lim
3 2 x`Ú1 x+2
f(x)-g(x) a+13 1
∴ lim = =
x`Ú1 x-1 3 3
1 1 1 1
(x-2){x- }{x- }-[- (x-3){x- }(x-2)]
이므로 a=-12, b=6`(∵ ㉠)
3 2 3 2 따라서 f(x)=(x-1)(xÛ`+6x-6)이므로 f(2)=10이다.
=lim
x`Ú1 x-1
1 1 1
(x-2){x- }[{x- }+ (x-3)]
2 3 3
=lim
x`Ú1 x-1 111  ⑤
1 4 4
(x-2){x- }{ x- } f(x)
2 3 3 Ú ‌조건 ㈏에서 n=1일 때, lim =0으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lim
x`Ú1 x-1 g(x)x`Ú1

4 1 lim g(x)=g(1)=0`(∵ 조건 ㈎)에서


=lim (x-2){x- } x`Ú1
x`Ú1 3 2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4 1 2
= _(-1)_ =- 즉, lim f(x)= f(1)=0이다.
3 2 3 x`Ú1

26 수학Ⅱ
따라서 f(x), g(x)는 모두 x-1을 인수로 가지므로 5x
= lim
f(x)=(x-1)p(x), g(x)=(x-1)q(x)(p(x), q(x)는 x`Ú¦ "ÃxÛ`+5x+x
5 5
이차식)라 하면 = lim =
5 2
¾Ð1+ +1
x`Ú¦
f(x) (x-1)p(x) p(x)
lim =lim =lim =0이다. x
x`Ú1 g(x) x`Ú1 (x-1)q(x) x`Ú1 q(x)
따라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q(1)=a라 하면 lim q(x)=q(1)=a이므로 함
x`Ú1
5
lim ("Ã[xÛ`+5x]-x)= 수
p(x) 2
lim p(x)=lim [
x`Ú¦
_q(x)]=0_a=0 의
x`Ú1 q(x)
x`Ú1

따라서 p(1)=lim p(x)=0이다. TIP 극


x`Ú1 한
실수 t에 대하여 [t]=n`(n은 정수)이면 과
즉, p(x)는 x-1을 인수로 가지므로 f(x)는 (x-1)Û`을 인수로
nÉt<n+1이므로 t-1<nÉt, 즉 t-1<[t]Ét이다. 연
갖는다. 속
f(x)
Û 조건 ㈏에서 n=2일 때, lim =0
g(x) x`Ú2

이때, g(2)=b라 하면 lim g(x)=g(2)=b이므로


113
x`Ú2
 ④
f(x)
lim f(x)=lim [ _g(x)]=0_b=0
x`Ú2 x`Ú2 g(x)
f(x) 1
따라서 f(2)=lim f(x)=0이다. ㄱ. lim =a, lim [g(x)- ]=b`(a, b는 실수)라 하면
x`Ú2
x`Ú¦ 3 x`Ú¦ 2
즉, f(x)는 x-2를 인수로 갖는다. lim { f(x)+g(x)}

= lim [ _3+[g(x)- ]+ ]
x`Ú¦
Ú, Û에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는 f(x) 1 1
f(x)=(x-1)Û`(x-2) x`Ú¦ 3 2 2
f(x) 1 1
Ü 조건 ㈏에서 n=3일 때, lim
f(x)
=2이므로 =3 lim + lim [g(x)- ]+
g(x)
x`Ú3
x`Ú¦ 3 x`Ú¦ 2 2
(x-1)Û`(x-2) 2Û`_1 1
lim = =2 =3a+b+
x`Ú3 (x-1)q(x) 2q(3) 2
에서 q(3)=1 따라서 lim { f(x)+g(x)}가 존재한다. (참)
x`Ú¦

f(x) 1 2
Ý 조건 ㈏에서 n=4일 때, lim =6이므로 ㄴ. (반례)
‌ f(x)=x+ , g(x)=x+ ,
x`Ú4 g(x) |x| |x|
(x-1)Û`(x-2) 3Û`_2 3
lim = =6 h(x)=x+ 이면
x`Ú4 (x-1)q(x) 3q(4) |x|
에서 q(4)=1 2
lim {h(x)- f(x)}= lim =0이지만
x`Ú¦ |x| x`Ú¦
Ü, Ý에서 이차방정식 q(x)=1은 두 실근 x=3, x=4를
lim g(x)=¦이다. (거짓)
갖고, 이차함수 q(x)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1이므로 x`Ú¦

q(x)-1=(x-3)(x-4), 즉 q(x)=xÛ`-7x+13 ㄷ. xÛ`-x< f(x)-x<xÛ`+x에서


따라서 g(x)=(x-1)(xÛ`-7x+13)이므로 g(5)=12이다. 부등식의 각 변을 "Ã4xÝ`+1로 나누면
xÛ`-x f(x)-x xÛ`+x
< < `(∵ "Ã4xÝ`+1>0)
"Ã4xÝ`+1 "Ã4xÝ`+1 "Ã4xÝ`+1
112  ⑤
lim
xÛ`-x 1
= , lim
xÛ`+x 1
= 이므로
x`Ú¦ "Ã4xÝ`+1 2 x`Ú¦ "Ã4xÝ`+1 2
[xÛ`+5x]는 xÛ`+5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므로 부등식으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나타내면
f(x)-x 1
yy TIP lim = 이다. (참)
xÛ`+5x-1<[xÛ`+5x]ÉxÛ`+5x x`Ú¦ "Ã4xÝ`+1 2
"ÃxÛ`+5x-1<"Ã[xÛ`+5x]É"ÃxÛ`+5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ÃxÛ`+5x-1-x<"Ã[xÛ`+5x]-xÉ"ÃxÛ`+5x-x
(xÛ`+5x-1)-xÛ`
lim ("ÃxÛ`+5x-1-x)‌= lim
"ÃxÛ`+5x-1+x
x`Ú¦ x`Ú¦

5x-1
114   16
= lim
x`Ú¦ "ÃxÛ`+5x-1+x
x=8의 근방에서 f(x)의 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Ú 8<x<9일 때,
5-
x 5
= lim = x보다 작은 소수는 2, 3, 5, 7이므로 f(x)=4이고
5 1 2
¾Ð1+ - +1
x`Ú¦

x xÛ` 2 f(x)=8이다.
x>8이므로 x>2 f(x)에서 g(x)= f(x)=4이다.
(xÛ`+5x)-xÛ`
lim ("ÃxÛ`+5x-x)‌= lim ∴ a= lim g(x)=4
x`Ú¦ x`Ú¦ "ÃxÛ`+5x+x x`Ú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27
Û 7<x<8일 때,
함수의 연속
x보다 작은 소수는 2, 3, 5, 7이므로 f(x)=4이고
2 f(x)=8이다.
1 1
x<8이므로 x<2 f(x)에서 g(x)= = 이다.
f(x) 4 115  ④
1
∴ b= lim g(x)=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lim f(x)가 존재하고,
x`Ú8- 4 x`Ú0

a lim f(x)= f(0)을 만족시킨다.


Ú, Û에서 =4_4=16
b x`Ú0

이때, lim f(x)= lim f(x)이므로 a=2,


x`Ú0+ x`Ú0-

f(0)=lim f(x)=2이므로 b=2


x`Ú0

∴ a+b=4

116  ⑤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lim f(x)= f(a)를 만족시켜야


x`Úa

한다.
lim f(x)=0, lim f(x)=-1에서 lim f(x)가 존재하지
x`Ú-1- x`Ú-1+ x`Ú-1

않으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lim f(x)= lim f(x)=2이므로 lim f(x)가 존재하지만
x`Ú1- x`Ú1+ x`Ú1

f(1)=0에서 lim f(x)+ f(1)이므로 x=1에서 불연속이다.


x`Ú1

lim f(x)=1, lim f(x)=-1에서 lim f(x)가 존재하지


x`Ú2- x`Ú2+ x`Ú2

않으므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1, x=1, x=2에서 불연속이므로 모든
x의 값의 합은 (-1)+1+2=2이다.

참고

함수 y= f(x)의 그래프에서 x=-1, x=1, x=2에서와 같이


그래프가 끊어져 있으면 불연속이다.

117  ①

주어진 그래프에서 lim f(x)=4, lim f(x)=2이므로


x`Ú0- x`Ú0+

함수 f(x)는 x=0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 m=1
lim f(x)= lim f(x)=3으로 lim f(x)가 존재하지만
x`Ú-1- x`Ú-1+ x`Ú-1

f(-1)=2에서 lim f(x)+ f(-1)이므로 x=-1에서


x`Ú-1

불연속이다.
lim f(x)+ lim f(x)이므로 x=0에서 불연속이다.
x`Ú0- x`Ú0+

lim f(x)= lim f(x)=1로 lim f(x)가 존재하지만


x`Ú1- x`Ú1+ x`Ú1

f(1)=4에서 lim f(x)+ f(1)이므로 x=1에서 불연속이다.


x`Ú1

∴ n=3
∴ m-n=1-3=-2

118  ④

① lim f(x)= lim 'Äx-2=0,


x`Ú2+ x`Ú2+

lim f(x)= lim (x-2)=0에서 lim f(x)=0이고,


x`Ú2- x`Ú2- x`Ú2

28 수학Ⅱ
f(2)=0이므로 lim f(x)= f(2)를 만족시킨다. 모든 실수 x에서 정의되고, 정의역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x`Ú2
y y=f{x}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② lim f(x)=lim (x+2)=4이고 f(2)=4이므로
x`Ú2 x`Ú2

lim f(x)= f(2)를 만족시킨다.


x`Ú2
O 5 x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③ lim f(x)=lim (xÛ`-5)=-1이고 f(2)=-1이므로 수
x`Ú2 x`Ú2

lim f(x)= f(2)를 만족시킨다.
x`Ú2 극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 (-¦, ¦) 한

xÛ`-4 ⑶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으므로
④ lim f(x)=lim =lim (x+2)=4이고, 연
x`Ú2 x`Ú2 x-2 x`Ú2
lim f(x)=0, lim f(x)=1에서 lim f(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0- x`Ú0+ x`Ú0 속
f(2)=3이므로 lim f(x)+ f(2)이다.
x`Ú2 y
y=f{x}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1 1 1
⑤ lim f(x)=lim = 이고 f(2)= 이므로
x`Ú2 x`Ú2 x 2 2 1
lim f(x)= f(2)를 만족시킨다.
x`Ú2
O x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선지 중 x=2에서 불연속인 것은 ④이다.
‌즉,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고, x+0인 모든 실수 x에서

119  ③ 연속이다.
∴ (-¦, 0)'(0, ¦)
집합 {x|-5<xÉ3}은 구간 (-5,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122  ⑤
120   ‌⑴ [3, ¦) ⑵ (-¦, 1)'(1, ¦)
두 함수 f(x), g(x)가 모두 x=a에서 연속이므로
⑶ (-¦, ¦) ⑷ [-2, 2]
lim f(x)= f(a), lim g(x)=g(a)를 만족시킨다.
x`Úa x`Úa
⑴ 함수 f(x)='Äx-3에서 x-3¾0이므로 정의역은 {x|x¾3}이다.
① lim 2 f(x)=2lim f(x)=2 f(a)이므로 함수 2 f(x)는 x=a에서
∴ [3, ¦) x`Úa x`Úa

x 연속이다.
⑵ ‌함수 f(x)= 에서 정의역은 x+1인 모든 실수이다.
x-1 ② lim { f(x)+g(x)}=lim f(x)+lim g(x)= f(a)+g(a)
x`Úa x`Úa x`Úa
∴ (-¦, 1)'(1, ¦) 이므로 함수 f(x)+g(x)는 x=a에서 연속이다.
⑶ 함수 f(x)=2x+1은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에서 정의된다. ③ lim { f(x)-g(x)}=lim f(x)-lim g(x)= f(a)-g(a)
x`Úa x`Úa x`Úa
∴ (-¦, ¦)
이므로 함수 f(x)-g(x)는 x=a에서 연속이다.
⑷ ‌함수 f(x)="Ã4-xÛ` 에서 4-xÛ`¾0이므로
④ lim f(x)g(x)=lim f(x)_lim g(x)= f(a)g(a)이므로
정의역은 {x|-2ÉxÉ2}이다. x`Úa x`Úa x`Úa

∴ [-2, 2] 함수 f(x)g(x)는 x=a에서 연속이다.


⑤ (반례) f(x)=x, g(x)=1이면 함수 f(x)+g(x)=x+1이다.
1
121   ⑴ [2, ¦) ⑵ (-¦, ¦) ⑶ (-¦, 0)'(0, ¦) 따라서 x=-1일 때
f(x)+g(x)
가 정의되지 않으므로

1
⑴ ‌함수 f(x)='Äx-2에서 x-2¾0이므로 함수 y= f(x)의 함수 은 x=-1에서 불연속이다.
f(x)+g(x)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선지 중 x=a에서 항상 연속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⑤이다.
y
y=f{x}
123  ④

ㄱ. ‌함수 f(x)+g(x)=(xÛ`+1)+2x=xÛ`+2x+1은
O 2 x 다항함수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yy TIP1
‌즉, 함수 f(x)는 x¾2에서 정의되고 정의역 전체의 집합에서 ㄴ. ‌함수 f(x)g(x)=(xÛ`+1)_2x=2xÜ`+2x는 다항함수이므로
연속이다.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 [2, ¦) f(x) xÛ`+1
ㄷ. ‌함수 = 은 x=0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x=0에서
g(x) 2x
⑵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으므로
불연속이다. yy TIP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29
g(x) 2x f(2)=3이고, lim f(x)=lim (5x-a)=10-a
ㄹ. ‌함수 = 는 모든 실수 x에서 xÛ`+1>0이므로 x`Ú2 x`Ú2
f(x) xÛ`+1
에서 10-a=3이므로 a=7이다.
xÛ`+1+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ㄴ, ㄹ이다.
128   ⑴ -3 ⑵ 3
TIP 1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f(-1)을
x`Ú-1
모든 다항함수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만족시켜야 한다.
[증명]
⑴ f(-1)=k이고
함수 y=x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고 연속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xÛ`-x-2 (x+1)(x-2)
이 함수의 곱으로 나타내어지는 함수 y=xÛ`, y=xÜ`, y=xÝ`, y, lim ‌= lim
x`Ú-1 x+1 x`Ú-1 x+1
n
y=x `(n은 자연수)은 모두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 lim (x-2)=-3
x`Ú-1
이때, 상수함수도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위의 함수에
∴ k=-3
상수를 곱해서 더한 다항함수
n n-1 n-2
⑵ f(-1)=k이고
y=anx +an-1x +an-2x +y+aÁx+a¼
xÜ`+1 (x+1)(xÛ`-x+1)
(an, an-1, y, a¼은 상수)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lim ‌= lim
x`Ú-1 x+1 x`Ú-1 x+1
= lim (xÛ`-x+1)
x`Ú-1
TIP 2 =(-1)Û`-(-1)+1=3
f(x) ∴ k=3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유리함수 는
g(x)
g(x)=0인 실수 x에서 불연속이고
g(x)+0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129  ④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 되려면 lim f(x)= f(0)을


x`Ú0

124  ④ 만족시켜야 한다.


이때, f(0)=a이고,
합성함수 (g½ f)(x)=g( f(x))=g(5x-4)=
1
은 'Äx+1-1
5x-4 lim f(x)‌=lim
x`Ú0 x`Ú0 x
5x-4=0일 때만 불연속이다. x
=lim
4 x('Äx+1+1)
x`Ú0
따라서 x= 에서 불연속이다.
5 1 1
=lim =
x`Ú0 'Äx+1+1 2
1
125  ④ ∴ a=
2
g(x) x-4 x-4 x-4
함수 = = = 는
f(x)-g(x) (xÛ`-4)-(x-4) xÛ`-x x(x-1)
x(x-1)=0일 때만 불연속이다. 130  ①
따라서 x=0, x=1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 되려면 x=3에서도
연속인 구간은 (-¦, 0)'(0, 1)'(1, ¦)이다. 연속이어야 한다.
즉, lim f(x)= f(3)을 만족시켜야 한다. yy TIP
x`Ú3

126  ④ lim f(x)= lim (2x-3)=3,


x`Ú3+ x`Ú3+

x+3 x+3 f(3)= lim f(x)= lim (x+a)=3+a


함수 f(x)= = 은 x`Ú3- x`Ú3-
xÛ`-x-12 (x+3)(x-4) 에서 3=3+a이므로 a=0이다.
(x+3)(x-4)=0일 때만 불연속이다.
즉, x=-3, x=4에서 불연속이므로 A={-3, 4}이다. TIP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3)+4=1이다. x>3일 때, f(x)=2x-3으로 다항함수이므로 구간 (3, ¦)
에서 연속이다.
x<3일 때, f(x)=x+a로 다항함수이므로 구간 (-¦, 3)
127  ⑤
에서 연속이다.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 되려면 lim f(x)= f(2)를 그러므로 모든 실수 x에서 함수 f(x)가 연속이려면 x=3에서
x`Ú2

만족시켜야 한다. 연속이어야 한다.

30 수학 Ⅱ
131  ③
y
9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 되려면 lim f(x)= f(1)을 7


x`Ú1

만족시켜야 한다. 5
y=f{x}
f(1)= lim f(x)= lim (x+a)=1+a,
x`Ú1+ x`Ú1+

'Äx+3-2

lim f(x)‌= lim 수
x`Ú1- x`Ú1- x-1 O 1 2 x 의
x-1
= lim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솟값 7을 갖고, x=2일 때

x`Ú1- (x-1)('Äx+3+2) 한
1 1 최댓값 9를 가지므로 M=9, m=7이다. 과
= lim =
x`Ú1- 'Äx+3+2 4 ⑵ ‌f(x)=xÛ`-4x=(x-2)Û`-4에서 이차함수 y= f(x)의 연

1 3 그래프는 꼭짓점의 좌표가 (2, -4)이고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에서 =1+a이므로 a=- 이다.
4 4
그러므로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f{x}

5
132  ④

함수 f(x)g(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2


-1 O x
lim f(x)g(x)= f(2)g(2)를 만족시켜야 한다.
x`Ú2

f(2)g(2)‌= lim f(x)g(x) -4


x`Ú2+

= lim (x+1)(-2x+k)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댓값 5를 갖고, x=2일 때


x`Ú2+

=3(-4+k) 최솟값 -4를 가지므로 M=5, m=-4이다.


=-12+3k 2x -2
⑶ ‌f(x)= = +2에서 함수 f(x)의 그래프는 점근선이
x+1 x+1
lim f(x)g(x)‌= lim (-x+6)(-2x+k)
x`Ú2- x`Ú2-
직선 x=-1, y=2인 유리함수의 그래프이다.
=4(-4+k)
그러므로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6+4k
y
따라서 -12+3k=-16+4k이므로 k=4이다. 2
3
다른 풀이 2 y=f{x}
1

x f(x) g(x) f(x)g(x) O 1 3 x


2+ 3 k-4 3(k-4)
2- 4 k-4 4(k-4)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솟값 1을 갖고, x=3일 때
2 3 k-4 3(k-4) 3 3
최댓값 을 가지므로 M= , m=1이다.
2 2
위의 표에서 lim f(x)g(x)=3(k-4),
x`Ú2+

lim f(x)g(x)=4(k-4), f(2)g(2)=3(k-4)이므로


x`Ú2-

3(k-4)=4(k-4) 135  ①

∴ k=4 f(x)=xÛ`-2x+5=(x-1)Û`+4에서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꼭짓점의 좌표가 (1, 4)이고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그러므로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33  ⑤ y
8
y=f{x}

최대·최소 정리는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함수 f(x)는 5
4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이다.

O 1 3 x
134   ‌⑴ M=9, m=7 ⑵ M=5, m=-4 ⑶ M= 32 , m=1
따라서 함수 f(x)는 x=3일 때 최댓값 8을 갖고,
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절편이 5이고 기울기가 2인 직선이다. x=1일 때 최솟값 4를 갖는다. yy TIP
그러므로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M=8, m=4   ∴ M-m=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31
TIP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솟값 1을 갖고, 최댓값은
함수 f(x)=xÛ`-2x+5=(x-1)Û`+4의 닫힌구간 [0, 3]에서의 존재하지 않는다.
최솟값은 꼭짓점의 y좌표이므로 x=1일 때 최솟값 4를 갖는다. TIP
또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축이 x=1이므로 꼭짓점에서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멀어질수록 함숫값이 커진다.
최대·최소 정리에 의해 그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따라서 닫힌구간 [0, 3]에서 x=3일 때 최댓값 8을 갖는다.
갖지만 함수 f(x)가 구간 (a, b), (a, b], [a, b)에서 연속일 때
그 구간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갖는지는 알 수 없다.
136  ②
x+3일 때,
xÛ`-2x-3 (x-3)(x+1)
함수 f(x)= = =x+1이므로 주어진
x-3 x-3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38  ③

y y=f{x} -x+3 (x<1)


함수 f(x)=|x-1|+2=[ 이므로 주어진 구간에서
3 x+1 (x¾1)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
y
-2
O 2 x 6 y=f{x}
-1

따라서 함수 f(x)는 x=-2일 때 최솟값 -1을 갖고, x=2일 때 3


2
최댓값 3을 갖는다.
∴ M=3, m=-1   ∴ M+m=2 -3 O 1 2 x

따라서 함수 f(x)는 x=-3일 때 최댓값 6을 갖고, x=1일 때


참고
최솟값 2를 갖는다.
함수 f(x)는 x=3에서 불연속이지만 닫힌구간 [-2, 2]에서
∴ M=6, m=2   ∴ M+m=8
연속이므로 최대·최소 정리에 의하여 닫힌구간 [-2, 2]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이 존재한다.

137   ⑴ 최솟값 -2 ⑵ 최솟값 1 139  ④

-x -1 1 1
⑴ ‌함수 f(x)= = -1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함수 f(x)=| -1|의 그래프는 함수 y= -1의 그래프의 x축
x-1 x-1 x x
x=1, y=-1이다. 아랫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따라서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 y=f{x}
y=f{x}

1 2 5
-1 O x 1

-2 O 1 x

따라서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일 때 최솟값 -2를 갖고, 최댓값은 y
y=f{x}
존재하지 않는다.
3 3
⑵ ‌함수 f(x)='Ä3-2x 는 3-2x¾0, 즉 xÉ 에서 정의되는
2 4
무리함수이다. 1
2
따라서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O 1 2 4 x
y
1
따라서 함수 f(x)는 x=2일 때 최솟값 을 갖고, x=4일 때
Â3 2
y=f{x}
3
1 최댓값 을 갖는다.
4
-1 O 1 3 x 3 1 M 3
∴ M= , m=    ∴ =
2 4 2 m 2

32 수학 Ⅱ
140  ② ④ 방정식 xÜ`-2x-5=0에서 f(x)=xÜ`-2x-5라 하면
f(0)=-5, f(1)=-6에서 f(0) f(1)>0이므로
f(x)=xÜ`-2xÛ`-x+3이라 하면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0과 1 사이에 실근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다.
연속이다. ⑤ 방정식 xÜ`-x-7=0에서 f(x)=xÜ`-x-7이라 하면
f(-3)=(-3)Ü`-2_(-3)Û`-(-3)+3=-39<0, f(0)=-7, f(1)=-7에서 f(0) f(1)>0이므로
f(-2)=(-2)Ü`-2_(-2)Û`-(-2)+3=-11<0, 0과 1 사이에 실근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다. 함
f(-1)=(-1)Ü`-2_(-1)Û`-(-1)+3=1>0, 따라서 선지 중 반드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이 존재하는 것은 ③이다. 수

f(0)=0Ü`-2_0Û`-0+3=3>0,
참고 극
f(1)=1Ü`-2_1Û`-1+3=1>0, 한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에 대하여 과
f(2)=2Ü`-2_2Û`-2+3=1>0이다.
f(a) f(b)>0일 때, 방정식 f(x)=0이 열린구간 (a, b)에서 연
이때, 함수 f(x)가 닫힌구간 [-2, -1]에서 연속이고,

실근을 갖는지의 여부는 판단할 수 없다.
f(-2) f(-1)<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 방정식 6xÛ`-5x+1=0, 6xÛ`-5x+2=0에 대하여
열린구간 (-2,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x)=6xÛ`-5x+1, g(x)=6xÛ`-5x+2라 하면 두 함수는
따라서 방정식 xÜ`-2xÛ`-x+3=0은 열린구간 (-2, -1)에서
모두 닫힌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f(0) f(1)=1_2>0, g(0)g(1)=2_3>0이다.
TIP y y
y=f{x} y=g{x}
삼차방정식의 실근은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거나 2 3
미분을 학습한 뒤 함수 y= f(x)의 그래프를 그려 구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해당 문제는 조립제법을 사용하기 어렵고 미분을 2
1
학습하기 전이므로 사잇값 정리를 통해 실근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구간을 찾을 수 있다.
O 1 x O 1 x

이때,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0, 1)에서 실근을 갖지만

141  ③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0, 1)에서 실근을 갖지 않는다.

f(x)=xÜ`-2xÛ`+3x-2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0, 2] 에서 연속이고, 143  ③
f(0)=0Ü`-2_0Û`+3_0-2=-2<0,
f(x)=2xÝ`+5xÛ`-1이라 하면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f(2)=2Ü`-2_2Û`+3_2-2= 4 >0에서 f(0) f(2)<0이므로
연속이다.
사잇값 정리 에 의하여 f(c)=0인 c가 0과 2 사이에 적어도 하나 f(-2)=2_(-2)Ý`+5_(-2)Û`-1=51>0,
존재한다. f(-1)=2_(-1)Ý`+5_(-1)Û`-1=6>0,
따라서 방정식 xÜ`-2xÛ`+3x-2=0은 0과 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f(0)=2_0Ý`+5_0Û`-1=-1<0,
실근을 갖는다. f(1)=2_1Ý`+5_1Û`-1=6>0,
㈎`:`[0, 2] ㈏`:`4 ㈐`:`사잇값 정리 f(2)=2_2Ý`+5_2Û`-1=51>0이다.
따라서 선지 중 알맞은 것은 ③이다. ㄱ. ‌f(-2) f(-1)>0이므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1)에서 실근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다.
ㄴ. ‌f(-1) f(0)<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142  ③
f(x)=0은 열린구간 (-1, 0)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① 방정식 xÜ`-2x-4=0에서 f(x)=xÜ`-2x-4라 하면 ㄷ. ‌f(0) f(1)<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f(0)=-4, f(1)=-5에서 f(0) f(1)>0이므로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0과 1 사이에 실근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다. ㄹ. ‌f(1) f(2)>0이므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2)에서
② 방정식 xÜ`+5x+1=0에서 f(x)=xÜ`+5x+1이라 하면 실근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다.
f(0)=1, f(1)=7에서 f(0) f(1)>0이므로 따라서 방정식 2xÝ`+5xÛ`-1=0의 실근이 반드시 적어도 하나
0과 1 사이에 실근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다. 존재하는 구간은 ㄴ, ㄷ이다.
③ 방정식 xÜ`-4xÛ`+x+1=0에서 f(x)=xÜ`-4xÛ`+x+1이라 하면
‌f(0)=1, f(1)=-1에서 f(0) f(1)<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0과 1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144  ③

‌즉, 방정식 xÜ`+x=4xÛ`-1은 0과 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갖는다. f(-2) f(-1)<0, f(0) f(1)<0, f(1) f(2)<0이므로 사잇값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33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1), (0, 1), f(x)=0은 닫힌구간 [-2, 1]에서 한 개의 실수해 x=-2를 갖는다.
(1, 2)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거짓) yy 참고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2)에서 적어도 3개의 ④ (반례)
‌ f(x)=xÛ`-4이면 f(-3)= f(3)이지만 방정식
실근을 갖는다. f(x)=0은 열린구간 (-3, 3)에서 두 개의 실수해 x=2 또는
x=-2를 갖는다. (거짓)
TIP
⑤ ‌f(a) f(b)<0이면 사잇값 정리에 의해 방정식 f(x)=0은
함수 f(x)는 연속함수이므로 주어진 값을 이용하여 함수
닫힌구간 [a, b]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수해를 갖는다. (참)
y= f(x)의 그래프의 한 개형을 간단히 그려 반드시 갖게 되는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⑤이다.
실근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y 참고
3 y=f{x}
f(a) f(b)=0이면 f(a)=0 또는 f(b)=0이므로 방정식
f(x)=0은 닫힌구간 [a, b]에서 a 또는 b를 실수해로 가지므로
1 적어도 한 개의 실수해를 갖는다.
-2 1
-1 O 2 x
-1
-2 147  ④
1
① 함수 f(x)= 은 x=0에서 정의되지 않는다.
xÛ`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145  ④ ② 함수 f(x)=[x]는
0Éx<1일 때 [x]=0이고,
f(x)=xÛ`-2x+k=(x-1)Û`-1+k라 하면 함수 f(x)는
-1Éx<0일 때 [x]=-1이다.
닫힌구간 [-1, 0]에서 연속이고 x의 값이 증가할 때 f(x)의 값은
그러므로 lim [x]=0, lim [x]=-1에서 yy 참고
감소하므로 yy TIP x`Ú0+ x`Ú0-

lim f(x)가 존재하지 않는다.


f(-1)=(-1)Û`-2_(-1)+k=k+3, f(0)=k에서 x`Ú0

f(-1) f(0)<0이면 열린구간 (-1, 0)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갖는다. |x|
③ 함수 f(x)= 는 x=0에서 정의되지 않는다.
x
즉, k(k+3)<0에서 -3<k<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k는 -2, -1로 합은 -3이다.
④ 함수 f(x)=x|x|는 f(0)=0이고, lim xÛ`=0,
x`Ú0+
TIP
lim (-xÛ`)=0에서 lim f(x)=0이므로
x`Ú0- x`Ú0
f(x)=xÛ`-2x+k=(x-1)Û`-1+k이므로 함수 y= f(x)의
lim f(x)= f(0)이다.
x`Ú0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다.
1
⑤ 함수 f(x)='Ä2x-1의 정의역은 2x-1¾0에서 x¾ 이다.
2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정의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지 중 x=0에서 연속인 함수는 ④이다.
x=0
x=-1 x=1
참고
위의 그래프에서 축 x=1을 기준으로
함수 f(x)=[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f(x)의 값은 감소하고
y
x>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f(x)의 값도 증가한다.
y=f{x}
1 …

-1
O 1 2 x
146  ⑤
… -1
① (반례)
‌ f(x)=x이면 임의의 열린구간 (a, b)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지 않는다. (거짓)
② (반례) f(x)=xÛ`-4이면 f(-3) f(3)>0이지만 방정식
148
‌
 ②
f(x)=0은 열린구간 (-3, 3)에서 실수해 x=2 또는 x=-2를
갖는다. (거짓) ㄱ. ‌무리함수 f(x)='Ä2-x 는 정의역 {x|xÉ2}에서 연속이므로
③ (반례)
‌ f(x)=xÛ`-4이면 f(-2) f(1)=0이지만 방정식 구간 (-¦, 2]에서 연속이다. (참)

34 수학 Ⅱ
1
ㄴ. ‌함수 g(x)=
xÛ`+1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1>0이므로 151  ③
xÛ`+1=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Û`-4
ㄱ. ‌lim f(x)=lim =lim (x+2)=4, f(2)=4이므로
따라서 함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 즉 구간 (-¦, ¦)에서 x`Ú2 x`Ú2 x-2 x`Ú2

연속이다. (참) lim f(x)= f(2)를 만족시킨다.


x`Ú2

xÛ`+3x 따라서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ㄷ. ‌함수 h(x)= 는 xÛ`-1=(x+1)(x-1)=0일 때만
( xÛ` (x>0)

xÛ`-1 수
불연속이다. ㄴ. ‌함수 f(x)={ 0 (x=0) 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의
따라서 함수 h(x)는 x+-1, x+1인 모든 실수, 즉 9 -xÛ` (x<0) 극

구간 (-¦, -1)'(-1, 1)'(1, ¦)에서 연속이다. (거짓) 연속이려면 x=0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과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lim f(x)= lim xÛ`=0, lim f(x)= lim (-xÛ`)=0에서 연
x`Ú0+ x`Ú0+ x`Ú0- x`Ú0-

lim f(x)=0이고, f(0)=0이므로 lim f(x)= f(0)을
x`Ú0 x`Ú0

149  ③ 만족시킨다.
따라서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 되려면 lim g(x)=g(1)을 1
x`Ú1
ㄷ. ‌함수 f(x)=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모든
만족시켜야 한다. xÛ`+x+1
3x-3 실수 x에 대하여 xÛ`+x+1+0이어야 한다.
ㄱ. ‌f(x)=3x일 때, lim g(x)=lim =3이고
x`Ú1 x`Ú1 x-1 이차방정식 xÛ`+x+1=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g(1)= f(1)=3이므로 lim g(x)=g(1)이다. D=1Û`-4=-3<0으로 xÛ`+x+1=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x`Ú1

따라서 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다. 존재하지 않는다.


ㄴ. ‌f(x)=xÜ`+2일 때, 따라서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xÜ`+2)-3 (x-1)(xÛ`+x+1) ㄹ. ‌함수 f(x)='Äx-3에서 정의역이 {x|x¾3}이므로 함수
lim g(x)=lim =lim =3
x`Ú1 x`Ú1 x-1 x`Ú1 x-1 f(x)는 구간 [3, ¦)에서 연속이다.
‌ (1)= f(1)=3이므로 lim g(x)=g(1)이다.
이고 g 따라서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가 아니다.
x`Ú1

따라서 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ㄴ, ㄷ이다.


ㄷ. f(x)=2xÛ`+1일 때,
(2xÛ`+1)-3 2(x-1)(x+1)
lim g(x)=lim =lim =4이고
x`Ú1 x`Ú1 x-1 x`Ú1 x-1
g(1)= f(1)=3이므로 lim g(x)+g(1)이다.
152
x`Ú1
 ⑤
따라서 함수 g(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함수는 ㄱ. lim f(x)=2 (참)
x`Ú2+

ㄱ, ㄴ이다. ㄴ. f f

5+ 0- -1
150  ③
5- 0+ -1
ㄱ. ‌함수 y=x와 함수 y=|x-3|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x+|x-3|도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f{`f{x}}
연속이다.
위의 그림에서 lim f( f(x))=-1, lim f( f(x))=-1이므로
따라서 열린구간 (1, 4)에서 연속이다. x`Ú5+ x`Ú5-

ㄴ. ‌함수 y=x와 함수 y=|x-2|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lim f( f(x))=-1이다. (참)


x`Ú5

연속이므로 함수 f(x)=x|x-2|도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ㄷ. f f


연속이다.
따라서 열린구간 (1, 4)에서 연속이다. 4+ 2- 1
(x-2)Û` 4- 2+ 2
ㄷ. ‌lim f(x)=lim =lim (x-2)=0, f(2)=2에서
x`Ú2 x`Ú2 x-2 x`Ú2
4 2 2
lim f(x)+ f(2)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x`Ú2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1, 4)에서 연속이 아니다.


f{`f{x}}
ㄹ. ‌함수 f(x)='Äx+3 의 정의역이 [-3, ¦)이므로 열린구간
위의 그림에서 lim f( f(x))=1, lim f( f(x))=2이므로
(1, 4)에서 연속이다. x`Ú4+ x`Ú4-

따라서 열린구간 (1, 4)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ㄴ, ㄹ이다. lim f( f(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35
따라서 함수 y=( f½ f )(x)는 x=4에서 불연속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154  ③

ㄱ. x f(x) g(x) f(x)g(x)


1+ 1 -1 -1

153  ④ 1- -1 1 -1

ㄱ. 1 1 -1 -1
x f(x) g(x) f(x)+g(x)
위의 표에서 lim f(x)g(x)= f(1)g(1)이므로
3+ -3 3 0 x`Ú1

3- 3 -3 0 함수 f(x)g(x)는 x=1에서 연속이다. (참)


ㄴ. g f
3 -3 3 0
위의 표에서 lim { f(x)+g(x)}= f(3)+g(3)이므로
x`Ú3 -1+ 1- -1
함수 f(x)+g(x)는 x=3에서 연속이다. (참)
-1- 1 1
ㄴ. x f(x) g(x) f(x)g(x)
-1 1 1
0+ 0 -3 0
0- 0 3 0
f{`g{x}}
0 3 0 0
위의 그림에서 lim f(g(x))=-1, lim f(g(x))=1이므로
x`Ú-1+ x`Ú-1-
위의 표에서 lim f(x)g(x)= f(0)g(0)이므로
x`Ú0 lim f(g(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1
함수 f(x)g(x)는 x=0에서 연속이다. (참)
따라서 함수 f(g(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ㄷ. g f
ㄷ. f g

-3+ 0+ 0
-1+ 1- 1
-3- 0- 0
-1- -1 1
-3 0 3
-1 -1 1

f{`g{x}}
g{`f{x}}
위의 그림에서 lim f(g(x))=0, lim f(g(x))=0,
x`Ú-3+ x`Ú-3- 위의 그림에서 lim g( f(x))=1, lim g( f(x))=1,
x`Ú-1+ x`Ú-1-
f(g(-3))=3이므로 lim f(g(x))+ f(g(-3))이다.
x`Ú-3 g( f(-1))=1이므로 lim g( f(x))=g( f(-1))이다.
x`Ú-1
따라서 함수 f(g(x))는 x=-3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따라서 함수 g( f(x))는 x=-1에서 연속이다. (참)
ㄹ. g(x)
x f(x) g(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f(x)
3+ -3 3 -1
3- 3 -3 -1
3 -3 3 -1 155  ②

g(x) g(3) ㄱ. f(2-x)에서 2-x=t라 하면


위의 표에서 lim = 이므로
x`Ú3 f(x) f(3) x`Ú 2일 때, t`Ú 0이므로
g(x) lim f(2-x)=lim f(t)=1이다. (참)
함수 는 x=3에서 연속이다. (참) x`Ú2 t`Ú0
f(x)
ㄴ. f(-2-2x)에서 -2-2x=t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ㄹ이다.
x`Ú -2일 때, t`Ú 2이므로
다른 풀이
lim f(-2-2x)=lim f(t)이다.
x`Ú-2 t`Ú2
ㄷ. 함수 f(g(x))에서 f(g(-3))= f(0)=3이고,
lim f(t)=0, lim f(t)=2에서 lim f(t)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t`Ú2+ t`Ú2- t`Ú2
g(x)=t라 하면
lim f(-2-2x)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x`Ú -3-일 때, t`Ú 0-이므로 x`Ú-2

lim f(g(x))= lim f(t)=0 ㄷ. ‌lim f(x)< lim f(x)이려면 lim f(x)가 존재하지 않아야
x`Ú-3- t`Ú0- x`Út+ x`Út- x`Út

x`Ú -3+일 때, t`Ú 0+이므로 하므로 t가 될 수 있는 값은 -1 또는 1 또는 2이다.


lim f(g(x))= lim f(t)=0 lim f(t)=1, lim f(t)=3이고,
x`Ú-3+ t`Ú0+ t`Ú-1+ t`Ú-1-

따라서 lim f(g(x))=0+ f(g(-3))이므로 lim f(t)=3, lim f(t)=4이고,


x`Ú-3 t`Ú1+ t`Ú1-

함수 f(g(x))는 x=-3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lim f(t)=0, lim f(t)=2이므로


t`Ú2+ t`Ú2-

36 수학 Ⅱ
t=-1, 1, 2일 때 모두 lim f(x)< lim f(x)를 만족시킨다. TIP1
x`Út+ x`Út-

따라서 -3<t<3일 때, lim f(x)< lim f(x)를 만족시키는 x=a에서 함수 g(x)는 연속이고, 함수 h(x)는 불연속
x`Út+ x`Út-

실수 t의 값은 -1, 1, 2로 3개이다. (거짓) (단, 우극한, 좌극한, 함숫값 각각 모두 존재)일 때, 함수


ㄹ. g(x)h(x)가 x=a에서 연속이 되려면, 즉
x x+1 f(x) f(x+1) f(x) f(x+1)
lim g(x)h(x)= lim g(x)h(x)=g(a)h(a)가 성립하려면
-2+ -1+ 1 1 1 x`Úa+ x`Úa-

-2- -1- 1 3 3 lim g(x)= lim g(x)=g(a)이므로 수
x`Úa+ x`Úa-

-2 -1 1 2 2 g(a) lim h(x)=g(a) lim h(x)=g(a)h(a)에서
x`Úa+ x`Úa-

위의 표에서 lim f(x) f(x+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g(a)=0이어야 한다. 한
x`Ú-2

f(x) f(x+1)은 x=-2에서 불연속이다. (참)

ㅁ. TIP2 속
x x+1 f(x) f(x+1) f(x) f(x+1)
1+ 2+ 3 0 0 ㄷ에서 함수 xÛ`-1은 x=-1에서 연속이다.
함수 f(x)가 x=-1에서 불연속이지만 연속함수 xÛ`-1의
1- 2- 4 2 8
x=-1에서의 극한값과 함숫값이 모두 0이므로 함수
1 2 3 0 0
(xÛ`-1) f(x)는 x=-1에서 연속이다.
위의 표에서 lim f(x) f(x+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x`Ú1 즉, a의 값에 관계없이 함수 (xÛ`-1) f(x)는 x=-1에서
f(x) f(x+1)은 x=1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연속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로 2개이다.

156  ③

ㄱ. a=1일 때,
lim f(x)=1, lim f(x)= lim (xÛ`+x+1)=1에서
x`Ú-1- x`Ú-1+ x`Ú-1+ 157  ④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f(x)는
x`Ú-1- x`Ú-1+
1 (x¾0) -1 (x¾0)
x=-1에서 극한값이 존재한다. (참) ㄱ. (반례) f(x)=[ , g(x)=[ 이면
-1 (x<0) 1 (x<0)
ㄴ. b=2일 때,
두 함수 f(x), g(x)는 각각 x=0에서 불연속이지만,
f(1)= lim f(x)= lim (xÛ`+x+1)=3, lim f(x)=b=2
x`Ú1- x`Ú1- x`Ú1+ lim { f(x)+g(x)}=(-1)+1=0,
x`Ú0-
이므로 lim f(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1 lim { f(x)+g(x)}=1+(-1)=0,
x`Ú0+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f(0)+g(0)=1+(-1)=0에서
ㄷ. ‌세 함수 y=a, y=xÛ`+x+1, y=b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lim { f(x)+g(x)}= f(0)+g(0)이므로
x`Ú0
연속이므로 함수 (xÛ`-1) f(x)가 x=-1, x=1에서 연속이면
함수 f(x)+g(x)는 x=0에서 연속이다. (거짓)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ㄴ.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f(a)를
Ú x xÛ`-1 f(x) (xÛ`-1) f(x) x`Úa

만족시킨다.
-1+ 0 1 0
lim | f(x)|=| f(a)|이므로 함수 | f(x)|는 x=a에서
-1- 0 a 0 x`Úa

-1 0 a 0 연속이다. (참) yy TIP


1 (x¾0)
위의 표에서 lim (xÛ`-1) f(x)={(-1)Û`-1} f(-1) ㄷ. ‌(반례) f(x)=0, g(x)=[ 이면
x`Ú-1 -1 (x<0)
이므로 함수 (xÛ`-1) f(x)는 x=-1에서 연속이다. f(x) f(x)
=0이므로 두 함수 f(x), 는 x=0에서 연속이지만
Û x xÛ`-1 f(x) (xÛ`-1) f(x) g(x) g(x)
1+ 0 b 0 함수 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1- 0 3 0 ㄹ. lim g(x)=g(b)=a이므로 f(g(b))= f(a)이다.


x`Úb

1 0 3 0 함수 f(g(x))에서 g(x)=t라 하면
x`Ú b일 때 t`Ú g(b)=a이고, lim f(x)= f(a)이므로
‌위의 표에서 lim (xÛ`-1) f(x)=(1Û`-1) f(1)이므로 x`Úa
x`Ú1
lim f(g(x))=lim f(t)= f(a)이다.
함수 (xÛ`-1)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Úb t`Úa

따라서 함수 (xÛ`-1)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lim f(g(x))= f(g(b))이므로 함수 ( f½g)(x)는
x`Úb
(참) x=b에서 연속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37
TIP 식에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면 a'Äx+1-2a a('Äx+1-2)
lim ‌=lim
x`Ú3 x-3 x`Ú3 x-3
Ú f(a)=0인 경우
a(x-3)
x`Ú a-일 때 f(x)`Ú 0+이면 =lim
x`Ú3 (x-3)('Äx+1+2)
lim | f(x)|= lim f(x)= f(a)=0 a a
x`Úa- x`Úa-
=lim =
x`Ú3 'Äx+1+2 4
x`Ú a-일 때 f(x)`Ú 0-이면
lim | f(x)|= lim {- f(x)}=- f(a)=0 a
한편, f(3)='2에서 ='2이므로
x`Úa- x`Úa- 4
즉, 어느 경우에도 lim | f(x)|=0이다. a=4'2, b=-8'2`(∵ ㉠)
x`Úa-

마찬가지로 lim | f(x)|=0이므로 lim | f(x)|=0 ∴ ab=-64


x`Úa+ x`Úa

Û f(a)>0인 경우
x`Ú a일 때 f(x)>0이므로
lim | f(x)|=lim f(x)= f(a)
x`Úa

Ü f(a)<0인 경우
x`Úa
161   풀이 참조

x`Ú a일 때 f(x)<0이므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 되려면 x=-1, x=2에서도


lim | f(x)|=lim {- f(x)}=- f(a) 연속이어야 한다.
x`Úa x`Úa
x=-1에서 연속일 때, lim f(x)= f(-1)을 만족시켜야 한다.
Ú∼Ü에서 함수 y=| f(x)|는 x=a에서 연속이다. x`Ú-1

f(-1)= lim f(x)= lim (2x-1)=-3,


x`Ú-1- x`Ú-1-

lim f(x)= lim (xÛ`+ax+b)=1-a+b에서


x`Ú-1+ x`Ú-1+

158  ① -3=1-a+b, a-b=4


x=2에서 연속일 때, lim f(x)= f(2)를 만족시켜야 한다.
yy ㉠

x`Ú2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f(3)을 만족시켜야
x`Ú3 f(2)= lim f(x)= lim (xÛ`+ax+b)=4+2a+b,
x`Ú2- x`Ú2-
한다.
lim f(x)= lim (3x+3)=9에서
lim f(x)= lim (x-1)=2, x`Ú2+ x`Ú2+
x`Ú3- x`Ú3-
4+2a+b=9, 2a+b=5 yy ㉡
lim f(x)= lim (ax+5)=3a+5, f(3)=b
x`Ú3+ x`Ú3+ ㉠, ㉡에서 a=3, b=-1
따라서 2=3a+5=b이므로 a=-1, b=2이다. ∴ ab=-3
∴ a+b=1
채점 요소 배점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인 조건을 이용하여 식 ㉠ 구하기 40 %

159  ⑤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인 조건을 이용하여 식 ㉡ 구하기 40 %


ab의 값 구하기 20 %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도 연속이다.
즉, lim f(x)= f(2)를 만족시켜야 한다.
x`Ú2

xÛ`+ax-10
lim f(x)=lim =b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2
162
x`Ú2 x`Ú2
 ②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즉, lim (xÛ`+ax-10)=4+2a-10=0, a=3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2, x=3에서도
x`Ú2

xÛ`+3x-10 연속이다.
f(2)=b=lim =lim (x+5)=7
x`Ú2 x-2 x`Ú2 x=2에서 연속일 때, lim f(x)= f(2)를 만족시켜야 한다.
x`Ú2
∴ a+b=10
f(2)= lim f(x)= lim (xÛ`+ax+b)=4+2a+b,
x`Ú2- x`Ú2-

lim f(x)= lim (2x+5)=9에서


x`Ú2+ x`Ú2+

160  ① 4+2a+b=9, 2a+b=5 yy ㉠


x=3에서 연속일 때, lim f(x)= f(3)을 만족시켜야 한다.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f(3)을 만족시켜야 x`Ú3
x`Ú3
f(3)= lim f(x)= lim (xÛ`+ax+b)=9+3a+b,
한다. x`Ú3+ x`Ú3+

a'Äx+1+b lim f(x)= lim (2x+5)=11에서


lim ='2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3- x`Ú3-
x`Ú3 x-3 9+3a+b=11, 3a+b=2  yy ㉡
x`Ú 3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 ㉡에서 a=-3, b=11
즉, lim (a'Äx+1+b)=2a+b=0, b=-2a yy ㉠ ∴ a+b=8
x`Ú3

38 수학 Ⅱ
Ú, Û에 의하여 a=1이다.
163  ⑤

-2x+b (-1<x<1)
함수 f(x)=[ 이 모든 실수 x에서
xÛ`+ax-6 (xÉ-1, x¾1) 166  ①
연속이 되려면 x=-1, x=1에서도 연속이어야 한다.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f(2)를 만족시켜야
x=-1에서 연속일 때, lim f(x)= f(-1)을 만족시켜야 한다. x`Ú2

x`Ú-1
한다. 수
f(-1)= lim f(x)= lim (xÛ`+ax-6)=-a-5, 의
x`Ú-1- x`Ú-1- xÛ`+ax+b
lim f(x)=lim =c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lim f(x)= lim (-2x+b)=2+b에서 x`Ú2 |x-2| x`Ú2 극
x`Ú-1+ x`Ú-1+

-a-5=2+b, a+b=-7 yy ㉠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과
x=1에서 연속일 때, lim f(x)= f(1)을 만족시켜야 한다. 즉, lim (xÛ`+ax+b)=4+2a+b=0, b=-2a-4  yy ㉠ 연
x`Ú2
x`Ú1

lim f(x)= lim (-2x+b)=-2+b, 식에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x`Ú1- x`Ú1-
x>2일 때 |x-2|=x-2이므로
f(1)= lim f(x)= lim (xÛ`+ax-6)=a-5에서
x`Ú1+ x`Ú1+ xÛ`+ax-2(a+2) (x-2)(x+a+2)
lim = lim =a+4,
-2+b=a-5, a-b=3 yy ㉡ x`Ú2+ |x-2| x`Ú2+ x-2
㉠, ㉡에서 a=-2, b=-5 x<2일 때 |x-2|=-(x-2)이므로
∴ ab=10 xÛ`+ax-2(a+2) (x-2)(x+a+2)
lim = lim =-(a+4)
x`Ú2- |x-2| x`Ú2- -(x-2)
따라서 a+4=-(a+4)=c에서 a=-4, c=0
164  ④
㉠에 대입하면 b=4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도 연속이다. ∴ a-b+c=(-4)-4+0=-8
x=1에서 연속일 때, lim f(x)= f(1)을 만족시켜야 한다.
x`Ú1

lim f(x)= lim (xÛ`+bx+3)=b+4,


x`Ú1+ x`Ú1+

lim f(x)= lim (2x+a)=2+a에서


167  ⑤
x`Ú1- x`Ú1-
함수 g(x)는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a+2=b+4, a-b=2  yy ㉠
8xÜ`-1 1
한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5)= f(x)이므로 함수 f(x)= 이 x+ 인 모든 실수 x에서
|2x-1| 2
f(3)= f(-2)를 만족시킨다. 연속이므로 함수 f(x)g(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즉, 9+3b+3=-4+a에서 a-3b=16 yy ㉡ 1
x= 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 ㉡에서 a=-5, b=-7이므로 2
2x-5 (-2Éx<1) 8xÜ`-1
f(x)=[ lim f(x)= lim = lim (4xÛ`+2x+1)=3,
x`Ú;2!;+ x`Ú;2!;+ 2x-1 x`Ú;2!;+
xÛ`-7x+3 (1ÉxÉ3)
∴ f(2011)= f(5_402+1)= f(1)=-3 yy TIP 8xÜ`-1
lim f(x)= lim = lim {-(4xÛ`+2x+1)}=-3
x`Ú;2!;- x`Ú;2!;- -(2x-1) x`Ú;2!;-
TIP
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5)= f(x)이면
x f(x) g(x) f(x)g(x)
y= f(x-10)= f(x-5)= f(x)= f(x+5)
1 1 1
= f(x+10)= f(x+15)=y + 3 g{ } 3g { }
2 2 2
를 만족시키므로 임의의 정수 n에 대하여 f(x)= f(x+5n)이다. 1 1 1
- -3 g{ } -3g { }
2 2 2
1 1 1
a g{ } ag { }
2 2 2
165  ④
1 1 1 1
위의 표에서 3g { }=-3g { }=ag { }이므로 g { }=0을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 되려면 lim g(x)=g(1)을 2 2 2 2
x`Ú1
만족시켜야 한다.
만족시켜야 한다.
1 1 2
lim g(x)= lim | f(x)-a|= lim |(xÛ`-2x)-a|=|-1-a|, ① g { }=4_{ } -1=0
x`Ú1+ x`Ú1+ x`Ú1+ 2 2
lim g(x)= lim | f(x)-a|= lim |(2x+1)-a|=|3-a|, 1 1 2 1
x`Ú1- x`Ú1- x`Ú1- ② g { }=6_{ } - -1=0
2 2 2
g(1)=| f(1)-a|=|-1-a|
1
따라서 |-1-a|=|3-a|이다. ③ g { }=0
2
Ú -1-a=-(3-a)일 때, a=1이다. 1 1 2 1
④ g { }=4_{ } -4_ +1=0
Û -1-a=3-a일 때, 실수 a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2 2 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39
1 1 2 1
⑤ g { }=6_{ } + -1=1+0
2 2 2 171  ②
따라서 선지 중 다항함수 g(x)가 될 수 없는 것은 ⑤이다. t(xÛ`-2x)+1
f(x)=lim 에서
"ÃtÛ`+3x
t`Ú¦

168  ③ xÛ`-2x=0이면 f(x)=0, xÛ`-2x+0이면 f(x)=xÛ`-2x이므로


f(x)=xÛ`-2x이다.
f(x)-xÛ`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im g(x)= lim =5이므로 다항함수 f(x)는 최고차항인
x`Ú¦ x`Ú¦ x-1
y y=f{x}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일차항의 계수가 5인 이차함수이다.
즉, f(x)=xÛ`+5x+a`(a는 상수) 1
O 2 x
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g(x)=g(1)을 만족시켜야
x`Ú1

한다. -1
f(x)-xÛ`
lim g(x)=lim =k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1 x`Ú1 x-1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솟값 -1을 갖고, x=0 또는
x`Ú 1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x=2일 때 최댓값 0을 가지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이다.
lim { f(x)-xÛ`}= f(1)-1=0, f(1)=1이므로
x`Ú1

1+5+a=1, a=-5
따라서 f(x)=xÛ`+5x-5이므로
172  ③

f(x)-xÛ` 5(x-1) 함수 f(x)는 닫힌구간 [-3, 3]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도


k=lim =lim =5
x`Ú1 x-1 x`Ú1 x-1 연속이다.
∴ k+ f(2)=5+(4+10-5)=14 즉, lim f(x)= f(-1)을 만족시켜야 한다.
x`Ú-1

xÜ`-2xÛ`+3x-a
lim f(x)= lim = f(-1)로 극한값이
169  ④ x`Ú-1+ x`Ú-1+ x+1
존재하고, x`Ú -1+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함수 f(x)는 구간 [-2, ¦)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도 연속이다. 즉,
즉, lim f(x)= f(2)를 만족시켜야 한다. lim (xÜ`-2xÛ`+3x-a)=(-1)Ü`-2(-1)Û`+3(-1)-a=0
x`Ú2 x`Ú-1+
'Äx+2-a ∴ a=-6 yy ㉠
lim f(x)=lim = f(2)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2 x`Ú2 x-2
㉠을 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 xÛ`-6x+b (-3ÉxÉ-1)
즉, lim ('Äx+2-a)='4-a=0에서 a=2 f(x)‌=[Ò (x+1)(xÛ`-3x+6)
9
x`Ú2
(-1<xÉ3)
'Äx+2-2 x+1
∴ f(2)‌=lim
x`Ú2 x-2 xÛ`-6x+b (-3ÉxÉ-1)
x-2 =[
=lim xÛ`-3x+6 (-1<xÉ3)
x`Ú2 (x-2)('Äx+2+2)
lim f(x)= lim f(x)이므로
1 1 x`Ú-1- x`Ú-1+
=lim =
x`Ú2 'Äx+2+2 4 1+6+b=1+3+6   ∴ b=3
xÛ`-6x+3 (-3ÉxÉ-1)
f(x)=[
xÛ`-3x+6 (-1<xÉ3)
170  ③
이므로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2)(x-2) f(x)=xÝ`+ax+b이므로 y
30 y=f{x}
x=-2일 때, 0=(-2)Ý`-2a+b에서
2a-b=16 yy ㉠
x=2일 때, 0=2Ý`+2a+b에서 2a+b=-16 yy ㉡
㉠, ㉡에서 a=0, b=-16이므로
(xÛ`-4) f(x)=xÝ`-16
xÝ`-16
x+Ñ2일 때, f(x)= 이고,
xÛ`-4
10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도 연속이다.
즉, lim f(x)= f(-2)를 만족시켜야 한다. 15
x`Ú-2 4
xÝ`-16
f(-2)= lim = lim (xÛ`+4)=8 O
xÛ`-4
x`Ú-2
x`Ú-2
-3-1 3 3 x
∴ a+b+ f(-2)=0+(-16)+8=-8 2

40 수학 Ⅱ
3 15 채점 요소 배점
따라서 x=-3일 때 최댓값 30을 갖고, x= 일 때 최솟값 를
2 4
주어진 구간에서 연속임을 설명하기 30 %
15 135
가지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30+ = 이다. f(-4) f(-3)<0임을 보이기 30 %
4 4
사잇값 정리를 이용하여 설명하기 40 %

173  ② 175   풀이 참조 수

-2 (x¾0) ⑴ ‌방정식 f(x)-x=0에서 g(x)= f(x)-x라 하면 함수 극


ㄱ. (반례) f(x)=[ 이면 | f(x)|=2이므로 한
2 (x<0) f(x)가 연속함수이므로 g(x)도 연속함수이다. 과
함수 | f(x)|는 x=0에서 연속이지만 함수 f(x)는 x=0에서 g(-1)= f(-1)-(-1)=-3+1=-2<0, 연
g(0)= f(0)-0=(-1)-0=-1<0, 속
불연속이다. (거짓)
ㄴ.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f(1)=1이다. g(1)= f(1)-1=4-1=3>0,
x`Ú1
g(2)= f(2)-2=-5-2=-7<0,
f( f(1))= f(1)=1이고,
g(3)= f(3)-3=3-3=0,
f( f(x))에서 f(x)=t라 하면 x`Ú 1일 때 t`Ú f(1)이므로
g(4)= f(4)-4=-1-4=-5<0
lim f( f(x))= lim f(t)=lim f(t)=1
x`Ú1 t`Ú1
t`Ú f(1)
에서 g(0)g(1)<0, g(1)g(2)<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따라서 lim f( f(x))= f( f(1))이므로 함수 ( f½ f)(x)는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0, 1), (1, 2)에서 각각 적어도
x`Ú1

x=1에서 연속이다. (참) 하나의 실근을 갖고, g(3)=0이므로 x=3을 실근으로 갖는다.
ㄷ. 함수 f(x)=xÛ`-4x+7=(xÛ`-4x+4)+3=(x-2)Û`+3 따라서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1, 4)에서 적어도 3개의
이므로 x=2일 때 최솟값 3을 갖는다.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1, 3)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거짓)
채점 요소 배점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g(x)= f(x)-x로 놓기 10 %
g(0)g(1)<0, g(1)g(2)<0임을 보이기 50 %
사잇값 정리를 이용하여 실근의 개수 구하기 40 %

174   풀이 참조 ⑵ ‌방정식 xÛ` f(x)+3x-2=0에서 g(x)=xÛ` f(x)+3x-2라 하면


⑴ ‌방정식 'Ä2x+1-3x=0에서 f(x)='Ä2x+1-3x라 하면 함수 함수 f(x)가 연속함수이므로 g(x)도 연속함수이다.
f(x)는 닫힌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g(-1)=(-1)Û`_ f(-1)+3_(-1)-2=-8<0,
f(0)='Ä2_0+1-3_0=1>0, g(0)=0Û`_ f(0)+3_0-2=-2<0,
f(1)='Ä2_1+1-3_1='3-3<0 g(1)=1Û`_ f(1)+3_1-2=5>0,
에서 f(0) f(1)<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g(2)=2Û`_ f(2)+3_2-2=-16<0,
열린구간 (0,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g(3)=3Û`_ f(3)+3_3-2=34>0,
따라서 방정식 'Ä2x+1=3x는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g(4)=4Û`_ f(4)+3_4-2=-6<0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에서 g(0)g(1)<0, g(1)g(2)<0, g(2)g(3)<0,
g(3)g(4)<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채점 요소 배점
열린구간 (0, 1), (1, 2), (2, 3), (3, 4)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주어진 구간에서 연속임을 설명하기 30 %
실근을 갖는다.
f(0) f(1)<0임을 보이기 30 %
따라서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1, 4)에서 적어도 4개의
사잇값 정리를 이용하여 설명하기 40 %
실근을 갖는다.
2 2
⑵ ‌방정식 x+3- =0에서 f(x)=x+3- 라 하면 함수 채점 요소 배점
x x
f(x)는 닫힌구간 [-4, -3]에서 연속이고, g(x)=xÛ` f(x)+3x-2로 놓기 10 %

2 1 g(0)g(1)<0, g(1)g(2)<0, g(2)g(3)<0, g(3)g(4)<0임을


f(-4)=-4+3- =- <0, 50 %
-4 2 보이기
2 2 사잇값 정리를 이용하여 실근의 개수 구하기 40 %
f(-3)=-3+3- = >0
-3 3
에서 f(-4) f(-3)<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4,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2
176  ②
따라서 방정식 x+3= 는 열린구간 (-4, -3)에서 적어도
x 방정식 f(x)-3=0에서 g(x)= f(x)-3이라 하면 함수 f(x)가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연속함수이므로 g(x)도 연속함수이다.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41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가 열린구간 (-3, 0)에서 중근이 f(0)=0_2_(-4)+3=3>0,
아닌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g(-3)g(0)<0을 만족시켜야 한다. f(1)=1_3_(-3)+3=-6<0,
이때, g(-3)= f(-3)-3=k+1, g(0)= f(0)-3=k-2이므로 f(3)=3_5_(-1)+3=-12<0,
(k+1)(k-2)<0   ∴ -1<k<2 f(4)=4_6_0+3=3>0
따라서 정수 k는 0, 1로 그 합은 1이다. 이므로 f(-3) f(-2)<0, f(0) f(1)<0, f(3) f(4)<0이다.
따라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3, -2), (0, 1), (3, 4)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177  ④
갖는다.
h(x)= f(x)-g(x)=xÜ`+4xÛ`+x+3-n이라 하면 ∴ -3<a<-2, 0<b<1, 3<c<4 yy TIP
두 함수 f(x), g(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h(x)도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연속이고, 함수 h(x)는 x>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함수 h(x)의 TIP
값이 증가하는 함수이다.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따라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h(x)=0이 열린구간 (1, 2)에서
열린구간 (-3, -2), (0, 1), (3, 4)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h(1)h(2)<0을 만족시켜야 한다.
가짐을 알 수 있다.
h(1)=1Ü`+4_1Û`+1+3-n=9-n,
이때, 삼차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은 3개 이하이므로 각
h(2)=2Ü`+4_2Û`+2+3-n=29-n
구간에서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에서 (9-n)(29-n)<0, (n-9)(n-29)<0
∴ 9<n<29
따라서 자연수 n의 최댓값은 28이다.

180  ④
178  ⑤
함수 y= 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ㄱ. g(x)=2x-
‌ f(x)라 하면 함수 f(x)가 연속이므로 g(x)도 x좌표는 방정식 f(x)=x의 실근이다.
연속함수이다. 방정식 2xÜ`+3x-7=x, 즉 2xÜ`+2x-7=0에서
g(-1)=-2- f(-1)=-7<0, g(5)=10- f(5)=11>0 g(x)=2xÜ`+2x-7이라 하면
에서 g(-1)g(5)<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2)=-27<0, g(-1)=-11<0, g(0)=-7<0,
2x- f(x)=0은 열린구간 (-1, 5)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g(1)=-3<0, g(2)=13>0, g(3)=53>0
갖는다. 에서 g(1)g(2)<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ㄴ. g(x)=
‌ f(x)- f( f(x))라 하면 함수 f(x)가 연속이므로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g(x)도 연속함수이다. 따라서 a의 값이 속하는 구간은 (1, 2)이다.
g(-1)= f(-1)- f( f(-1))=5- f(5)=6>0,
g(5)= f(5)- f( f(5))=-1- f(-1)=-6<0
에서 g(-1)g(5)<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 f( f(x))=0은 열린구간 (-1, 5)에서 적어도 하나의 181  ⑤

실근을 갖는다. f(x)=x(x-1)(x-2)+x(x-1)+(x-1)(x-2)+x(x-2)라


ㄷ. g(x)=
‌ f(4-x)- f(x)라 하면 함수 f(x)가 연속이므로 하면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다.
g(x)도 연속함수이다. ㄱ. ‌f(0)=2>0, f(1)=-1<0에서 f(0) f(1)<0이므로
g(-1)= f(5)- f(-1)=-6<0, 사잇값 정리에 의해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0, 1)에서
g(5)= f(-1)- f(5)=6>0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참)
에서 g(-1)g(5)<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ㄴ. ‌f(1)=-1<0, f(2)=2>0에서 f(1) f(2)<0이므로
f(4-x)- f(x)=0은 열린구간 (-1, 5)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잇값 정리에 의해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2)에서
실근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참)
따라서 열린구간 (-1, 5)에서 항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 ㄷ. ‌f(-3)=-13<0, f(0)=2>0에서 f(-3) f(0)<0이므로
방정식은 ㄱ, ㄴ, ㄷ이다.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3, 0)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179  ⑤ 이때, 삼차방정식의 근의 개수는 3이고, ㄱ, ㄴ에 의하여


열린구간 (0, 1), (1, 2)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이
f(x)=x(x+2)(x-4)+3이라 하면 존재하므로 열린구간 (-3, 0)에 오직 한 개의 실근이 존재한다.
f(-3)=(-3)_(-1)_(-7)+3=-18<0, 따라서 -3보다 큰 음의 실근을 오직 한 개 갖는다. (참)
f(-2)=(-2)_0_(-6)+3=3>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42 수학 Ⅱ
182  ③ 이고, f(0) f(3)<0이므로
f(3) f(4)<0, f(4) f(7)<0, f(7) f(8)<0, f(8) f(11)<0,
조건 ㈏에서 f(1)=-4, f(3)=1이고, f(11) f(12)<0, f(12) f(15)<0이다. yy TIP
조건 ㈎에 의하여 f(-1)=- f(1)=4, f(-3)=- f(3)=-1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이다.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0, 3), (3, 4), (4, 7), (7, 8),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8, 11), (11, 12), (12, 15)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함
f(-3) f(-1)<0, f(-1) f(1)<0, f(1) f(3)<0이므로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0, 15)에서 적어도 7개의 수

yy TIP 실근을 갖는다.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3, -1), 한
TIP 과
(-1, 1), (1, 3)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3, 3)에서 적어도 3개의 함수 f(x)는 연속함수이므로 일반성을 잃지 않고 f(0)>0, 연

실근을 갖는다. f(3)<0이라 하고 주어진 값을 이용하여 함수 y= f(x)의

∴ n=3 그래프의 한 개형을 간단히 그려 반드시 갖게 되는 실근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TIP y
y=f{x}
함수 f(x)는 연속함수이므로 주어진 값을 이용하여 함수 f{0}
y= f(x)의 그래프의 한 개형을 간단히 그려 반드시 갖게 되는
3 7 11
실근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O 4 8 12 15 x
y
4 y=f{x} f{3}

1
1
-3 -1 O 3 x
-1

-4

185  ④

참고 원 xÛ`+yÛ`=kÛ`은 중심이 (0,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k이다.


조건 ㈎의 식에 x=0을 대입하면 f(0)=- f(0)에서 점 (0, 0)과 직선 y=-x+2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f(0)=0이므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1)에서 x=0 |-2|
d= ='2이므로
을 반드시 실근으로 갖는다. "Ã1Û`+1Û`
Ú 1<k<'2일
‌ 때, 원 xÛ`+yÛ`=kÛ`과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만나지 않는다.
∴ g(k)=0

183  ③ Û k='2일
‌ 때, 원 xÛ`+yÛ`=kÛ`과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는 2이다.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고, ∴ g(k)=2
정수 n에 대하여 f(2n) f(2n-1)=-1<0이므로 Ü '2<k<2일
‌ 때, 원 xÛ`+yÛ`=kÛ`과 함수 y= f(x)의 그래프의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n-1, 2n)에서 교점의 개수는 4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 g(k)=4
따라서 열린구간 (-5, -4), (-4, -3), (-3, -2), y, (3, 4), Ý k=2일
‌ 때, 원 xÛ`+yÛ`=kÛ`과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교점의
(4, 5)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로 방정식 f(x)=0은 개수는 3이다.
적어도 10개의 실근을 갖는다. ∴ g(k)=3
∴ k=10 Þ k>2일
‌ 때, 원 xÛ`+yÛ`=kÛ`과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만나지
않는다.
∴ g(k)=0
(0
184  ⑤
Ç2
(1<k<'2, k>2)
(k='2)
Ú∼Þ에서 함수 g(k)={ 이고,
f(x)= f(x+4)에 의하여 Ç4 ('2<k<2)
f(0)= f(4)= f(8)= f(12)= f(16)=y, 93 (k=2)
f(3)= f(7)= f(11)= f(15)=y 함수 y=g(k)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43
y ㄷ. x f(x) g(x) {g(x)}Û` f(x){g(x)}Û`
y=g{k}
4
0+ 0 1 1 0
3
0- 0 -1 1 0
2
0 0 0 0 0
위의 표에서 lim f(x){g(x)}Û`= f(0){g(0)}Û`이므로
x`Ú0
O 1 2 k
Â2 함수 f(x){g(x)}Û`은 x=0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k>1에서 함수 g(k)가 불연속이 되는 k의 값은 '2, 2이므로 ㄹ. x f(x) g(x) 2g(x)` f(x)-2g(x)
모든 k의 값의 곱은 2'2이다. 0+ 0 1 2 -2
0- 0 -1 -2 2
TIP
0 0 0 0 0
k>1인 실수 k의 값의 범위에 따라 원 xÛ`+yÛ`=kÛ`과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위의 표에서 lim { f(x)-2g(x)}+ lim { f(x)-2g(x)}
x`Ú0+ x`Ú0-

❶ 1<k<'2 ❷ k='2 이므로 lim { f(x)-2g(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0
y y 따라서 함수 f(x)-2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2 2
따라서 x=0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ㄴ, ㄷ이다.
다른 풀이

-2 O 2 x -2 O 2 x ㄱ. ‌함수 y= f(x-1)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x축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y
❸ '2<k<2 ❹ k=2 y=f{x-1}

y y
2 2

O 1 x

-2 O 2 x -2 O 2 x 따라서 함수 f(x-1)은 x=0에서 연속이다.


ㄴ. ‌함수 y=g(x+2)의 그래프는 함수 y=g(x)의 그래프를 x축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❺ k>2 y y=g{x+2}
y
2 3

-2 O 2 x -2 O x
-1

따라서 함수 g(x+2)는 x=0에서 연속이다.

186  ②

ㄱ. 함수 f(x-1)에서 x-1=t라 하면
x`Ú 0일 때 t`Ú -1이므로 lim f(x-1)= lim f(t)=1
x`Ú0 t`Ú-1
187  ③

f(0-1)= f(-1)=1 함수 f(x)는 x=-1, x=0, x=1에서 불연속이고,


따라서 lim f(x-1)= f(0-1)이므로 함수 f(x-1)은 함수 g(x)는 x=0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f(x)g(x)의 연속성은
x`Ú0

x=0에서 연속이다. x=-1, x=0, x=1에서만 따져주면 된다.


ㄴ. 함수 g(x+2)에서 x+2=s라 하면 Ú x=-1일 때,
x`Ú 0일 때 s`Ú 2이므로 lim g(x+2)=lim g(s)=3 x f(x) g(x) f(x)g(x)
x`Ú0 s`Ú2

g(0+2)=g(2)=3 -1+ 0 0 0
따라서 lim g(x+2)=g(0+2)이므로 함수 g(x+2)는 -1- -1 0 0
x`Ú0
-1 -1 0 0
x=0에서 연속이다.

44 수학 Ⅱ
‌위의 표에서 lim f(x)g(x)= f(-1)g(-1)이므로 함수 ④ g f
x`Ú-1

f(x)g(x)는 x=-1에서 연속이다.


Û x=0일 때, 0+ 0+ 1

0- 0+ 1
x f(x) g(x) f(x)g(x)
0+ -1 -1 1 0 -2 -1

0- 0 0 0 수
0 0 0 0 f{`g{x}} 의
‌위의 그림에서 lim f(g(x))=1, lim f(g(x))=1, 극
‌위의 표에서 lim f(x)g(x)+ lim f(x)g(x)이므로 x`Ú0+ x`Ú0-

x`Ú0+ x`Ú0-
‌f(g(0))=-1이므로 lim f(g(x))+ f(g(0))이다. 과
lim f(x)g(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0
x`Ú0
따라서 함수 f(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연
따라서 함수 f(x)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속
⑤ f g
Ü x=1일 때,
x f(x) g(x) f(x)g(x)
0+ 1 1
1+ 0 0 0
0- -1 1
1- -1 0 0
0 1 1
1 -1 0 0
‌위의 표에서 lim f(x)g(x)= f(1)g(1)이므로 함수 f(x)g(x)는
x`Ú1 g{`f{x}}
x=1에서 연속이다. ‌위의 그림에서 lim g( f(x))=1, lim g( f(x))=1,
x`Ú0+ x`Ú0-
Ú∼Ü에 의하여 함수 f(x)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g( f(0))=1이므로 lim g( f(x))=g( f(0))이다.
x`Ú0

따라서 함수 g( f(x))는 x=0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선지 중 x=0에서 연속인 함수는 ⑤이다.

188  ⑤

( x (x+0) 189  ①
1 (x¾0)
두 함수 f(x)={ |x| , f(x)=[ ,
9 1 (x=0)
-1 (x<0)
( -3 (x<-1)
( x (x>0) ( -3 (x<-1) | -1 (-1Éx<0)
|x| (x+0)
g(x)=[ , g(x)={ -2 (x=0)이다. f(x)={ [x] (-1ÉxÉ1) 에서 f(x)={ 0 (0Éx<1)
9 2 (x>1) | 1
-2 (x=0)
9 -x (x<0) (x=1)
① lim f(x)=-1, lim f(x)=1에서 9 2 (x>1)
x`Ú0- x`Ú0+

lim f(x)+ lim f(x)이므로 lim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고, 두 함수 g(x), h(x)는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x`Ú0- x`Ú0+ x`Ú0
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함수 f(x)는 x=-1, x=0, x=1에서 불연속이므로
② x f(x) g(x) f(x)+g(x)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0+ 1 0 1 g(-1)=g(0)=g(1)=0이어야 한다.
0- -1 0 -1 즉, g(x)=2x(x-1)(x+1)=2xÜ`-2x이므로
0 1 -2 -1 a=0, b=-2, c=0
‌위의 표에서 lim { f(x)+g(x)}+ lim { f(x)+g(x)}이므로 g(x) 2xÜ`-2x
x`Ú0- x`Ú0+ 조건 ㈏에서 함수 = 가 x+0인 모든 실수
h(x) xÜ`+4dxÛ`+4x
lim { f(x)+g(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0 x에서 연속이려면 방정식 xÜ`+4dxÛ`+4x=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따라서 함수 f(x)+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0뿐이어야 한다.
③ x f(x) g(x) f(x)g(x) 방정식 x(xÛ`+4dx+4)=0에서 x=0 또는 xÛ`+4dx+4=0
0+ 1 0 0 이때, 이차방정식 xÛ`+4dx+4=0이 x=0을 실근으로 갖지
0- -1 0 0 않으므로 이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0 1 -2 -2 이차방정식 xÛ`+4dx+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위의 표에서 lim f(x)g(x)+ f(0)g(0)이므로 =(2d)Û`-4<0, dÛ`-1<0, -1<d<1
x`Ú0 4
함수 f(x)g(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이므로 정수 d=0이다.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45
∴ a+b+c+d=0+(-2)+0+0=-2 ㄷ. ‌함수 f(x)는 -1<x<1에서 x=0일 때만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1<x<1일 때, -1<-x<1이므로 함수 f(x)+ f(-x)가
-1<a<1인 실수 a에 대하여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x=0에서
190  ①
함수 f(x)+ f(-x)의 극한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면 된다.
함수 f(x)는 x=-1, x=1에서 불연속이고, 삼차함수 g(x)는 모든 f(-x)에서 -x=t라 하면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합성함수 ( g½ f )(x)가 모든 실수 x에서 x`Ú 0-일 때 t`Ú 0+이므로
연속이려면 x=-1 또는 x=1에서 연속임을 보이면 된다. lim { f(x)+ f(-x)}= lim f(x)+ lim f(t)=1+0=1
x`Ú0- x`Ú0- t`Ú0+
Ú x=-1일 때, x`Ú 0+일 때 t`Ú 0-이므로
f g lim { f(x)+ f(-x)}= lim f(x)+ lim f(t)=0+1=1
x`Ú0+ x`Ú0+ t`Ú0-

따라서 함수 f(x)+ f(-x)는 -1<a<1인 실수 a에 대하여


-1- 1- g{1}
lim { f(x)+ f(-x)}가 존재한다. (참)
x`Úa
-1+ -1+ g{-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 0 g{0}
다른 풀이

g{`f{x}} x+1 (-1<x<0)


ㄷ. -1<x<1일
‌ 때, 함수 f(x)=[ 이고
Û x=1일 때, x (0Éx<1)
f g -x (-1<xÉ0)
함수 f(-x)=[ 이므로
-x+1 (0<x<1)
1- -1+ g{-1} 1 (-1<x<0, 0<x<1)
함수 f(x)+ f(-x)=[ 이고,
0 (x=0)
1+ 1- g{1}
y= f(x)+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 0 g{0}
y
1
g{`f{x}}
Ú, Û에서 함수 (g½ f)(x)가 x=-1, x=1에서 연속이려면
-1 O 1 x
g(1)=g(-1)=g(0)이어야 한다.
즉, g(x)-k=x(x-1)(x+1)(k는 실수)라 하면 g(x)의 상수항이 따라서 -1<a<1인 실수 a에 대하여 lim { f(x)+ f(-x)}가
x`Úa

2이므로 g(0)=k=2이다. 존재한다. (참)


따라서 g(x)=x(x-1)(x+1)+2에서
g(3)=3_2_4+2=26이다.

191  ④
192  ④
( x+1 (-1Éx<0)
x-[x] (|x|É1) Ç x (0Éx<1)
a의 값의 범위에 따라 주어진 집합은 다음과 같다.
f(x)=[ 에서 f(x)={ Ú a=0일 때, 주어진 집합은 {x|-4x+2=0, x는 실수}
1 (|x|>1) Ç 0 (x=1)
9 1 (x<-1, x>1)
1
이고 이때 방정식 -4x+2=0의 실근은 x= 이므로 집합의
2
이고,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원소의 개수는 1이다. 즉, f(0)=1
y
Û a+0일
‌ 때, 이차방정식 axÛ`+2(a-2)x-(a-2)=0의
1 y=f{x}
판별식을 D라 하면
D
=(a-2)Û`+a(a-2)=2(a-1)(a-2)
-1 O 1 x 4
D
ㄱ. ‌‌위의 그림에서 lim f(x)=1, lim f(x)=0이다. 이때, a<1 또는 a>2이면 >0이므로 f(a)=2
x`Ú0- x`Ú0+
4
따라서 lim f(x)+ lim f(x)이므로 lim f(x)는 존재하지 D
a=1 또는 a=2이면 =0이므로 f(a)=1
x`Ú0- x`Ú0+ x`Ú0
4
않는다. (참)
D
1<a<2이면 <0이므로 f(a)=0
ㄴ. ‌함수 f(x)는 x=-1, x=0, x=1에서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인 4
점은 3개이다. (거짓) Ú, Û에서 함수 y= f(a)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46 수학 Ⅱ
y x x-1 f(x) f(x-1) f(x) f(x-1)
2 y=f{a}
1+ 0+ -1 0 0
1- 0- 1 0 0
1
1 0 -1 0 0
O 1 2 a 위의 표에서 lim f(x) f(x-1)= f(1) f(0)이므로
x`Ú1

ㄱ. lim f(a)=2, f(0)=1이므로 lim f(a)+ f(0) (거짓) 함수 f(x) f(x-1)은 x=1에서 연속이다. 그러므로 함수 수
a`Ú0 a`Ú0 의
f(x) f(x-1)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다. (거짓)
ㄴ. c=1, c=2일 때만 lim f(a)+ lim f(a)이다. (참) 극
a`Úc+ a`Úc-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한
ㄷ. 함수 f(a)가 불연속인 점은 a=0, a=1, a=2로 3개이다. (참) 과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94  ⑤ 연

참고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f(1)을 만족시켜야
x`Ú1
x에 대한 방정식 axÛ`+2(a-2)x-(a-2)=0에서 a의 값을
한다.  yy ㉠
알 수 없으므로 이차방정식이라고 단정하면 안 된다.
Ú 0Éx<1이면 [x]=0, [x-2]=[x]-2=-2이므로
계수가 문자로 표현된 다항방정식을 풀 때에는 최고차항의
lim f(x)‌= lim {0Û`-ax_(-2)+b}
계수가 0인지 아닌지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살펴야 한다. x`Ú1- x`Ú1-

=2a+b=4`(∵ ㉠) yy ㉡
Û 1Éx<2이면 [x]=1, [x-2]=[x]-2=-1이므로
lim f(x)‌= lim {1Û`-ax_(-1)+b}
x`Ú1+ x`Ú1+

=a+b+1=4`(∵ ㉠) yy ㉢
㉡, ㉢에서 a=1, b=2
193  ②
∴ ab=2
ㄱ. -x=t라 하면 x`Ú`1+일 때 t`Ú`-1-이므로
lim { f(x)+ f(-x)}‌= lim f(x)+ lim f(t)
x`Ú1+ x`Ú1+ t`Ú-1- 195   13
=-1+1=0 (참) 함수 f(x)가 x=0에서만 불연속이므로 함수 f(x-a)는 x=a에서
ㄴ. f(x)¾0일 때 f(x)-| f(x)|=0, 만 불연속이다.
f(x)<0일 때 f(x)-| f(x)|=2 f(x)이므로 Ú a=0일 때,
( (x+1)Û`
함수 y= f(x)-|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É0)
y f(x) f(x-a)={ f(x)}Û`=[Ò 1
9 {- 2 x+7}`
Û (x>0)
-2 1 2
O x
이때, lim { f(x)}Û`= lim (x+1)Û`=1,
x`Ú0- x`Ú0-
y=f{x}-|f{x}|
1
-2 lim { f(x)}Û`= lim {- x+7}Û`=49에서
x`Ú0+ x`Ú0+ 2
함수 f(x)-| f(x)|는 x=1에서만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인 점은 lim { f(x)}Û`+ lim { f(x)}Û`이므로 함수 f(x) f(x-a)는
x`Ú0- x`Ú0+

1개이다. (참) x=0에서 불연속이다.


ㄷ. (반례) a=1일 때, 함수 f(x) f(x-1)에서 Û a+0일 때,
x x-1 f(x) f(x-1) f(x) f(x-1)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 f(x-a)가
-1+ -2+ 1 0 0 x=a에서 연속이 되려면 f(a)=0을 만족시키면 된다.

-1- -2- 1 0 0 1
a<0일 때 a+1=0에서 a=-1, a>0일 때 - a+7=0에서
2
-1 -2 0 0 0
a=14이다.
위의 표에서 lim f(x) f(x-1)= f(-1) f(-2)이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x`Ú-1

함수 f(x) f(x-1)은 x=-1에서 연속이다. (-1)+14=13이다.

x x-1 f(x) f(x-1) f(x) f(x-1) 다른 풀이

0+ -1+ 0 1 0 Ú a<0일 때,
0- -1- 0 1 0 x x-a f(x) f(x-a) f(x) f(x-a)
0 -1 0 0 0 a+ 0+ a+1 7 7(a+1)
위의 표에서 lim f(x) f(x-1)= f(0) f(-1)이므로 a- 0- a+1 1 a+1
x`Ú0

함수 f(x) f(x-1)은 x=0에서 연속이다. a 0 a+1 1 a+1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47
위의 표에서 함수 f(x) f(x-a)가 x=a에서 연속이 되려면 (g½ f)(x)=1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지만
7(a+1)=a+1이어야 하므로 a=-1 함수 (g½ f)(x)는 x=0에서 연속이다. (거짓)
Û a=0일 때, ㄴ. ‌두 함수 f(x), f(x)-g(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므로
x f(x) f(x-0) f(x) f(x-0) 함수 g(x)= f(x)-{ f(x)-g(x)}도 닫힌구간 [a, b]에서
0+ 7 7 49 연속이다.

0- 1 1 1 따라서 최대·최소 정리에 의하여 함수 g(x)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참)
0 1 1 1
ㄷ. ‌다음과 같은 함수는 열린구간 (a, b)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위의 표에서 lim f(x) f(x-0)+ lim f(x) f(x-0)이므로
x`Ú0+ x`Ú0- 모두 갖는다. (참)
함수 f(x) f(x-a)는 a=0일 때 x=0에서 불연속이다.
a
Ü a>0일 때, x
b
x x-a f(x) f(x-a) f(x) f(x-a)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 7
a+ 0+ - a+7 7 - a+49
2 2

a- 0-
1
- a+7
2
1
1
- a+7
2
198  ③

1 1 f(x)=(x+a)(x-b)Û`-xÛ`이라 하면 함수 f(x)는 모든 실수
a 0 - a+7 1 - a+7
2 2 x에서 연속이다.
위의 표에서 함수 f(x) f(x-a)가 x=a에서 연속이 되려면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7 1 lim f(x)=-¦, f(-a)=-aÛ`<0, f(0)=abÛ`>0,
- a+49=- a+7이어야 하므로 a=14 x`Ú-¦
2 2 f(b)=-bÛ`<0, lim f(x)=¦
x`Ú¦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이때, f(b)<0, lim f(x)=¦이고, 함수 f(x)가 연속함수이므로
(-1)+14=13 x`Ú¦

f(c)>0, c>b인 실수 c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196  ②
y
y=f{x}
g(x)=-xÛ`+4x+k=-(x-2)Û`+k+4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k+4 -a O b
c x

f(-a) f(0)<0, f(0) f(b)<0, f(b) f(c)<0이므로 사잇값


2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a, 0), (0, b),
g f (b, c)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이때, 삼차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은 3개 이하이므로
2+ {k+4}- lim f{x} 열린구간 (-a, 0), (0, b), (b, c)에서 각각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x`›{k+4}-

2- {k+4}- lim f{x} 따라서 방정식 f(x)=0은 서로 다른 양의 실근 2개, 서로 다른 음의


x`›{k+4}-

2 k+4 f{k+4} 실근 1개를 가지므로


m=2, n=1
f{`g{x}} ∴ 3m+2n=8
위의 그림에서 함수 f(g(x))가 x=2에서 불연속이려면
lim
x`Ú(k+4)-
f(x)+ f(k+4)이어야 한다. 199  ①
즉, 함수 y= f(x)의 그래프에서 좌극한의 값과 함숫값이 같지 않는 함수 f(x)=13kxÛ`+kÛ`x+12이므로 k의 값의 범위에 따라 경우를
x의 값은 0, 2이므로 나눈다.
k+4=0 또는 k+4=2에서 k=-4 또는 k=-2이다. Ú k=0일 때,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6이다. f(x)=12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197  ④ 12 y=f{x}

1 (x¾0)
ㄱ. (반례) f(x)=[ , g(x)=1이면
-1 (x<0) O x

48 수학 Ⅱ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0, 1)에서 실근을 갖지 Û x=a에서 함수 g(x)가 불연속일 때,
않는다. 함수 f(x)g(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f(a)=0이면 된다.
Û k>0일 때, aÛ`-7a+a=0, aÛ`-6a=0, a(a-6)=0
13kÜ`
f(x)=13kxÛ`+kÛ`x+12=13k{x+ }Û`-
k ∴ a=6`(∵ ㉠)
+12에서
26 26Û`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11이다.
k
축이 x=- <0이고, 13k>0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함
26

다음과 같다. 201  ② 의
y 극
y=f{x} f(x)=x(x-a)+x(x-b)+(x-a)(x-b)라 하면 한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12 연
a<0, b>0이므로 f(a)=a(a-b)>0, f(0)=ab<0,

f(b)=b(b-a)>0에서 f(a) f(0)<0, f(0) f(b)<0이다.
k
-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a, 0), (0, b)
26
O x
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이때, 이차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은 2개 이하이므로
따라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0, 1)에서 실근을 갖지
열린구간 (a, 0), (0, b)에서 각각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않는다.
따라서 문제에서 방정식 f(x)=0의 두 실근이 a, b이므로
Ü k<0일 때,
a<a<0<b<b`(∵ a<b)를 만족시킨다.
k Û 13kÜ`
f(x)=13kxÛ`+kÛ`x+12=13k{x+ }`- +12에서
26 26Û`
축이 x=-
k
26
>0이고, 13k<0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202   풀이 참조

다음과 같다. f(x)=(x-a)(x-b)+(x-b)(x-c)+(x-c)(x-a)라


y 하면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y=f{x} 이때, a<b<c이므로 f(a)=(a-b)(a-c)>0,
f(b)=(b-c)(b-a)<0, f(c)=(c-a)(c-b)>0이다.
12 그러므로 f(a) f(b)<0, f(b) f(c)<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a, b), (b, c)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O k x 이때, 이차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은 2개 이하이므로
-
26
열린구간 (a, b), (b, c)에서 각각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위의 그래프에서 f(0)=12>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해 따라서 방정식 f(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채점 요소 배점
f(1)<0이어야 한다.
f(x)=(x-a)(x-b)+(x-b)(x-c)+(x-c)(x-a)로 놓기 10 %
f(1)=13k+kÛ`+12<0, (k+12)(k+1)<0에서
f(a) f(b)<0, f(b) f(c)<0임을 보이기 50 %
-12<k<-1
사잇값 정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짐을 보이기 40 %
Ú~Ü에 의하여 정수 k는 -11, -10, -9, y, -2로 10개이다.

200  ③

조건 ㈎에서 방정식 f(x)=0이 열린구간 (0,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로 f(0) f(2)<0을 만족시킨다.
a(4-14+a)<0, a(a-10)<0, 즉 0<a<10 yy ㉠
조건 ㈏에서 함수 f(x)g(x)가 연속이려면 다항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g(x)가 x=a에서 연속일 때와
불연속일 때로 나누어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Ú x=a에서 함수 g(x)가 연속일 때,
lim g(x)=g(a)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x`Úa

f(a+2)=-a+2a, (a+2)Û`-7(a+2)+a=a
(a+2)(a-5)=0
∴ a=5`(∵ ㉠)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49
ⅠⅠ 미분 TIP
다음을 이용하여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f(p+ah)- f(p)
lim =a f '(p) (단, a, p는 상수)
미분계수와 도함수 h`Ú0 h
[증명]
f(p+ah)- f(p) f(p+ah)- f(p)
lim = lim _a
h ah
203
h`Ú0 h`Ú0
 ④
=a f '(p)
함수 f(x)에서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3)- f(1) 9-1 8
3-1
= = =4
3-1 2 207  ④

f(2+3h)- f(2) f(2+3h)- f(2) 3


lim = lim _ 
h`Ú0 2h h`Ú0 3h 2
204  ②
=
3 3
f '(2)= _6=9
2 2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에서 a+3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a+3)- f(a) {(a+3)2+3(a+3)}-(aÛ`+3a) TIP
=
(a+3)-a (a+3)-a 다음을 이용하여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6a+18 f(p+ah)- f(p) a
= =2a+6
3 lim = f '(p) (단, a, b, p는 상수, b+0)
h`Ú0 bh b
이므로 2a+6=4
[증명]
∴ a=-1 f(p+ah)- f(p) f(p+ah)- f(p) a
lim = lim _ 
h`Ú0 bh h`Ú0 ah b
a
205   풀이 참조 =
b
f '(p)

f(1+h)- f(1)
f '(1)= lim 
h
208
h`Ú0
 ③
{(1+h)2+2(1+h)}-3
=lim 
h`Ú0 h f(a+2h)- f(a-h)
lim
2
h +4h h(h+4) h`Ú0 h
=lim =lim 
h`Ú0 h h`Ú0 h f(a+2h)- f(a)+ f(a)- f(a-h)
=lim
=lim (h+4)=4 h`Ú0 h
h`Ú0
f(a+2h)- f(a) f(a-h)- f(a)
=lim [ - ]
다른 풀이 h`Ú0 h h
f(a+2h)- f(a) f(a-h)- f(a)
=lim [ ]
f(x)- f(1) (xÛ`+2x)-3
f '(1)= lim =lim  _2+
x`Ú1 x-1 x`Ú1 x-1 h`Ú0 2h -h
(x+3)(x-1) =2 f '(a)+ f '(a)
=lim =lim (x+3)=4
x`Ú1 x-1 x`Ú1
=3 f '(a)=3_2=6
채점 요소 배점
TIP
f(1+h)- f(1)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식 f '(1)= lim 을
h`Ú0 h 30 % 다음을 이용하여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세우기 f(p+ah)- f(p+bh) a-b
lim = f '(p)
f(1)의 값 구하기 10 %
h`Ú0 ch c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여 f '(1)의 값 구하기 60 %  (단, a, b, c, p는 상수, c+0)


[증명]
f(p+ah)- f(p+bh)
lim
h`Ú0 ch
206  ②
=lim
f(p+ah)- f(p)+ f(p)- f(p+bh)
f(1+2Dx)- f(1) f(1+2Dx)- f(1)
h`Ú0 ch
lim = lim _2
Dx 2Dx f(p+ah)- f(p) a f(p+bh)- f(p) b
=lim [ _ ]
Dx`Ú0 Dx`Ú0
_ -
h`Ú0 ah c bh c
=2 f '(1)
이므로 2 f '(1)=-4 a b a-b
= f '(p)- f '(p)= f '(p)
c c c
∴ f '(1)=-2

50 수학Ⅱ
209  ③
y y=f{x}

f(x)- f(1) f(x)- f(1)


lim = lim 
x`Ú1 xÜ`-1 x`Ú1 (x-1)(xÛ`+x+1)

f(x)- f(1)
=lim [ ]
1
_ x
x`Ú1 x-1 xÛ`+x+1 O a b

1 1 1
= f '(1)= _(-1)=- 주어진 그래프에서 세 직선의 기울기의 대소를 비교하면
3 3 3
f(b)- f(a)
f '(b)< < f '(a)이다.
b-a

210  ③
214  ②
-2x+4 -2(x-2)
lim = lim  ㄱ, ㄴ, ㄹ은 x=1에서 극한값과 함숫값이 서로 같으므로 x=1에서
x`Ú2 f(x)- f(2) x`Ú2 f(x)- f(2)
-2 연속이다.
=lim
x`Ú2 f(x)- f(2) ㄷ은 x=1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x=1에서 불연속이다.

x-2 ㅁ은 x=1에서 함숫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x=1에서 불연속이다.
-2 -2 따라서 x=1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ㄴ, ㄹ로 3개이다.
=
 = =1
f '(2) -2
∴ a=3
ㄷ, ㅁ은 x=1에서 불연속이므로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ⅠⅠ
211   -16  yy TIP1 미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 (3, f(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ㄱ, ㄹ은 x=1에서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같으므로 x=1에서

4이므로 f '(3)=4이다. 미분가능하다. yy TIP2


f(3-4Dx)- f(3) ㄴ은 x=1에서 뾰족점이므로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 ‌lim 
Dx`Ú0 Dx
 yy TIP3
f(3-4Dx)- f(3)
= lim _(-4)  따라서 x=1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는 ㄱ, ㄹ로 2개이다.
Dx`Ú0 -4Dx
∴ b=2
=-4 f '(3)=-4_4=-16
∴ a-b=3-2=1

TIP1
212  ①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x=a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f(x)가 x=a에서 연속이 아니면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4이므로 f '(1)=4이다. 연속

f(1-4h)- f(1+h) 미분가능


∴ ‌lim 
h`Ú0 2h
f(1-4h)- f(1)+ f(1)- f(1+h)
=lim  
h`Ú0 2h 따라서 이 문제에서 x=1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를 찾을 때,
f(1-4h)- f(1) f(1+h)- f(1)
=lim [ - ] x=1에서 연속인 함수 ㄱ, ㄴ, ㄹ 중에서만 찾으면 된다.
h`Ú0 2h 2h
f(1-4h)- f(1) f(1+h)- f(1) 1
=lim [ _(-2)- _ ] TIP2
h`Ú0 -4h h 2
1 x=a에서의 미분계수
=-2 f '(1)- f '(1) 
2 f(a+h)- f(a) f(x)- f(a)
lim =lim 에 대하여
5 5 h`Ú0 h x`Úa x-a
=- f '(1)=- _4=-10
2 2 f(a+h)- f(a) f(x)- f(a)
lim = lim 를 좌미분계수,
h`Ú0- h x`Úa- x-a
f(a+h)- f(a) f(x)- f(a)
lim = lim 를 우미분계수라
213  ④ h`Ú0+ h x`Úa+

하고,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려면


x-a

f(b)- f(a)
는 두 점 (a, f(a)), (b, f(b))를 이은 직선의 (좌미분계수)=(우미분계수)이어야 한다.
b-a
이때, 좌미분계수, 우미분계수를 미분계수의 기하적 의미와
기울기이고, f '(a)는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연관지어 보면 그래프가 주어진 함수의 미분가능성을 판단할 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f '(b)는 함수 y= f(x)의
있다.
그래프 위의 점 (b, f(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다.

Ⅱ. 미분 51
TIP3 |x|   1 (x>0)
ㄷ. 함수 f(x)=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 -1 (x<0)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일 때, x=a에서 뾰족점이면
y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서로 다르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y=f{x}
1

O x
-1

a x
따라서 함수 f(x)는 x=0일 때 정의되지 않으므로 x=0에서
연속이 아니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x+1 (x¾0)
ㄹ. 함수 f(x)=[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215  ③ 2x+1 (x<0)
y
구간 (-2, 5)에서 함수 f(x)의 극한이 존재하지 않는 x의 값은
x=4로 1개이다. 1

∴ p=1 O x

함수 f(x)가 x=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연속이고, y=f{x}

x=1에서 극한값과 함숫값이 다르므로 불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지만 x=0에서
즉, 불연속인 x의 값은 x=1, 4로 2개이다.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다르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 q=2
따라서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함수는 ㄴ, ㄹ이다.
함수 f(x)가 x=1, 4에서 불연속이므로 미분가능하지 않고,
x=2, 3에서 각각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다르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y 다른 풀이
y=f{x}

237번 TIP1 을 학습한 이후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ㄱ. ‌함수 f(x)=x는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고
-2 미분가능하다.
-1 O 1 2 3 4 5 x   x (x¾0)
ㄴ. ‌함수 f(x)=|x|=[ 는 x=0에서 연속이고,
-x (x<0)
즉,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값은 x=1, 2, 3, 4로 4개이다.
g1(x)=x, g2(x)=-x라 하면
∴ r=4
g1'(x)=1, g2'(x)=-1에서
∴ p+q+r=1+2+4=7
f(x)- f(0)
lim = lim g1'(x)=1,
x`Ú0+ x-0 x`Ú0+

f(x)- f(0)
lim = lim g2'(x)=-1
216  ④ x`Ú0- x-0 x`Ú0-

f(x)- f(0)
ㄱ. 함수 f(x)=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즉, lim 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Ú0 x-0
y y=f{x}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x|   1 (x>0)
ㄷ. ‌함수 f(x)= =[ 은 x=0에서 연속이
x
x -1 (x<0)
O
아니므로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x+1 (x¾0)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ㄹ. ‌함수 f(x)=[ 은 x=0에서 연속이고,
2x+1 (x<0)
  x (x¾0)
ㄴ. ‌함수 f(x)=|x|=[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h1(x)=x+1, h2(x)=2x+1이라 하면
-x (x<0)
h1'(x)=1, h2'(x)=2에서
y
y=f{x} f(x)- f(0)
lim = lim h1'(x)=1,
x`Ú0+ x-0 x`Ú0+

f(x)- f(0)
lim = lim h2'(x)=2
O x x`Ú0- x-0 x`Ú0-

f(x)- f(0)
즉, lim 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지만 x=0에서 x`Ú0 x-0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다르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52 수학Ⅱ
217  ⑤ 219   풀이 참조

  x(x-2) (x¾2) f(x+h)- f(x)


함수 f(x)=x|x-2|=[ 의 그래프는 다음과 ⑴ f '(x)= lim
-x(x-2) (x<2) h`Ú0 h
같다. {2(x+h)Û`-1}-(2xÛ`-1)
=lim
h`Ú0 h
y
y=f{x} 4xh+2h2
=lim
h`Ú0 h

= lim
h`Ú0 (4x+2h)=4x

O 2 x ⑵ 함수 f(x)의 x=1에서의 미분계수는


f '(1)=4_1=4
따라서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고, x=2에서만
채점 요소 배점
미분가능하지 않다.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f '(x) 구하기 80 %
∴ a=2
⑴의 결과에 x=1을 대입하여 f '(1)의 값 구하기 20 %
다른 풀이

237번 TIP1 을 학습한 이후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함수 f(x)=x|x-2|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220   ‌⑴ y'=5xÝ` ⑵ y'=0 ⑶ y'=2 ⅠⅠ
  x(x-2) (x¾2) ⑷ y'=3xÛ`-3 ⑸ y'=3xÞ`
f(x)=x|x-2|=[ 에서 미
-x(x-2) (x<2) 분
⑴ y'=(xÞ`)'=5xÝ`
g(x)=x(x-2), h(x)=-x(x-2)라 하면
⑵ y'=(-4)'=0
g'(x)=2x-2, h'(x)=-2x+2
⑶ y'=(2x-1)'=2(x)'-(1)'=2_1-0=2
두 다항함수 g(x), h(x)는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2
⑷ y'=(xÜ`-3x)'=(xÜ`)'-3(x)'=3xÛ`-3_1=3xÛ`-3
또는 x>2에서 함수 f(x)는 미분가능하다.
1 1 1
따라서 함수 f(x)의 x=2에서의 미분가능성을 판단하면 ⑸ y'={ xß`+3}'= (xß`)'+(3)'= _6xÞ`+0=3xÞ`
2 2 2
다음과 같다.
f(x)- f(2)
lim = lim g'(x)= lim (2x-2)=2,
x`Ú2+ x-2 x`Ú2+ x`Ú2+

lim
f(x)- f(2)
= lim h'(x)= lim (-2x+2)=-2
221  ③
x`Ú2- x-2 x`Ú2- x`Ú2-
① y'=(x6)'=6xÞ`
f(x)- f(2) ② y'=(10)'=0
즉, lim 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Ú2 x-2
③ y'=(xÝ`-3x+2)'=(xÝ`)'-3(x)'+(2)'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4xÜ`-3_1+0=4xÜ`-3
1 1
④ y'={ xÝ`+3xÜ`-x}'= (xÝ`)'+3(xÜ`)'-(x)'
2 2
1
= _4xÜ`+3_3xÛ`-1=2xÜ`+9xÛ`-1
2
218   풀이 참조
1 1
⑤ y'={ xÞ`-x}'= (xÞ`)'-(x)'
5 5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f(x)- f(a) 1
= _5xÝ`-1=xÝ`-1
f '(a)=lim 가 존재하므로 5
x`Úa x-a
따라서 선지 중 도함수가 올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③이다.
f(x)- f(a)
lim { f(x)- f(a)}= lim [ _(x-a)]
x`Úa x`Úa x-a
f(x)- f(a)
=lim _lim (x-a)
x`Úa x-a x`Úa
222  ③
= f '(a)_0=0
f(x)=2xÜ`-5xÛ`+x+1에서
따라서 lim f(x)= f(a)이므로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다.
x`Úa
f '(x)=(2xÜ`-5xÛ`+x+1)'
채점 요소 배점 =2(xÜ`)'-5(xÛ`)'+(x)'+(1)'
f '(a)= lim
f(x)- f(a)
임을 구하기 20 %
=2_3xÛ`-5_2x+1+0
x`Úa x-a
=6xÛ`-10x+1
lim { f(x)- f(a)}=0임을 통해 x=a에서 연속임을 보이기 80 %
x`Úa ∴ f '(1)=6-10+1=-3

Ⅱ. 미분 53
223  ① TIP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x의 값이 p에서 q까지 변할 때의
f(x)=xÜ`-axÛ`+4x에서 p+q
평균변화율은 x= 에서의 미분계수와 같다.
f '(x)=(xÜ`)'-a(xÛ`)'+4(x') 2
f(q)- f(p) p+q
}
=3xÛ-a_2x+4_1
즉, = f '{
=3xÛ`-2ax+4 q-p 2
함수 f(x)의 x=1에서의 미분계수가 5이므로
f '(1)=3-2a+4=5
∴ a=1

p p+q q
2
[증명]
224  ⑤ f(x)=axÛ`+bx+c (a, b, c는 상수, a+0)라 하면
f(x)=2xÜ`+3xÛ`이라 하면 곡선 y=2xÜ`+3xÛ` 위의 점 x의 값이 p에서 q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q)- f(p) (aq2+bq+c)-(ap2+bp+c)
(-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2)와 같다. =
q-p q-p
f '(x)=6xÛ`+6x이므로
=a(p+q)+b yy ㉠
f '(-2)=24-12=12
p+q
이고, f '(x)=2ax+b이므로 함수 f(x)의 x= 에서의
2
미분계수는
p+q
f '{ }=a(p+q)+b yy ㉡
2
225   -9 따라서 ㉠과 ㉡이 서로 같다.

함수 f(x)=3xÜ`+ax+b의 그래프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4이므로 f(1)=2, f '(1)=4이다.
f(x)=3xÜ`+ax+b에서 227  ③
f(1)=3+a+b=2 yy ㉠
x의 값이 a에서 a+2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은
f '(x)=9xÛ`+a이므로
f(a+2)- f(a) {(a+2)2-3}-(aÛ`-3)
f '(1)=9+a=4 yy ㉡ =
(a+2)-a 2
㉠, ㉡을 연립하여 풀면 a=-5, b=4 4a+4
= =2a+2
∴ a-b=-9 2
이고, f(x)=xÛ`-3에서 f '(x)=2x이므로
함수 f(x)의 x=4에서의 미분계수는 f '(4)=8이다.
2a+2=8   ∴ a=3
다른 풀이
226  2
226번 TIP 을 학습한 이후 다음과 같이 상수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은 이차함수 f(x)=xÛ`-3에 대하여 x의 값이 a에서 a+2까지 변할
f(3)- f(1) 13-(-1) 때의 평균변화율과 x=4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 =7이고,
3-1 2 a+(a+2)
=4이다.
f(x)=3xÛ`-5x+1에서 f '(x)=6x-5이므로 2
함수 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는 ∴ a=3
f '(a)=6a-5이다.
6a-5=7
∴ a=2 228  ③

다른 풀이 1 1 1
f(x)=x+ xÛ`+ xÜ`+y+ xÞ`â`에서
2 3 50
이차함수 f(x)=3xÛ`-5x+1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f '(x)=1+x+xÛ`+y+xÝ`á`
때의 평균변화율과 x=a에서의 미분계수가 서로 같을 때,
1+3 ∴ f '(-1)=1+(-1)+1+y+(-1)
a= =2이다. yy TIP
2 ={1+(-1)}_25=0

54 수학Ⅱ
229  ④ 233  ②

q(t)=tÜ`-2tÛ`+4t+1에서 f(x)=(3x+1)(xÛ`-x-1)에서
q'(t)=3tÛ`-4t+4 f '(x)=(3x+1)'(xÛ`-x-1)+(3x+1)(xÛ`-x-1)'
따라서 t=2일 때 이 지점을 지나는 전하량의 순간변화율은 =3_(xÛ`-x-1)+(3x+1)_(2x-1)
q'(2)=12-8+4=8 =9xÛ`-4x-4
따라서 함수 f(x)의 x=1에서의 순간변화율은
f '(1)=9-4-4=1

230   ⑴ 9xÛ`-6 ⑵ 50

f(x)=xÜ`-2x에서 f '(x)=3xÛ`-2 234  ⑤

f(x+3h)- f(x) f(x+3h)- f(x) f(x)=(x-1)(x-3)(x-5)에서


⑴ lim = lim _3
h`Ú0 h h`Ú0 3h
f '(x)=(x-1)'(x-3)(x-5)+(x-1)(x-3)'(x-5)
=3 f '(x)=3(3xÛ`-2) yy TIP
+(x-1)(x-3)(x-5)'
=9xÛ`-6 =(x-3)(x-5)+(x-1)(x-5)+(x-1)(x-3)
f(2h+3)- f(3) f(3+2h)- f(3) ∴ f '(5)=4_2=8
⑵ lim = lim _2
h 2h
ⅠⅠ
h`Ú0 h`Ú0
다른 풀이
=2 f '(3)
=2_25=50 f(x)=(x-1)(x-3)(x-5) 미

=xÜ`-9xÛ`+23x-15
f '(x)=3xÛ`-18x+23
∴ f '(5)=75-90+23=8

231   105
TIP
1 y= f(x)g(x)h(x)에 대하여
lim { f(1+2h)- f(1-3h)}
h`Ú0 h y'= f '(x)g(x)h(x)+ f(x)g'(x)h(x)+ f(x)g(x)h'(x)이다.
f(1+2h)- f(1)+ f(1)- f(1-3h) [증명]
=lim
h`Ú0 h
y= f(x)g(x)h(x)에서
f(1+2h)- f(1) f(1-3h)- f(1)
=lim [ _2+ _3] y'={ f(x)g(x)}'h(x)+{ f(x)g(x)}h'(x)
h`Ú0 2h -3h
={ f '(x)g(x)+ f(x)g'(x)}h(x)+ f(x)g(x)h'(x)
=2 f '(1)+3 f '(1)=5 f '(1)
= f '(x)g(x)h(x)+ f(x)g'(x)h(x)+ f(x)g(x)h'(x)
f(x)=1+x+xÛ`+y+xß`에서 f '(x)=1+2x+y+6xÞ`이므로
5 f '(1)=5_(1+2+3+4+5+6)=105

235   ⑴ 9 ⑵ 12

⑴ f(x)=(3x-2)Ü`에서
232   ⑴ y'=4x-3 ⑵ y'=8xÜ`+9xÛ`-2
f '(x)=3(3x-2)Û`(3x-2)' yy TIP
⑴ y=(x-2)(2x+1)에서 =9(3x-2)Û`
y'=(x-2)'(2x+1)+(x-2)(2x+1)' ∴ f '(1)=9_1Û`=9
=1_(2x+1)+(x-2)_2 ⑵ f(x)=(xÛ`+x)Û`에서
=4x-3 f '(x)=2(xÛ`+x)(xÛ`+x)'
⑵ y=(xÜ`-1)(2x+3)에서 =2(xÛ`+x)(2x+1)
y'=(xÜ`-1)'(2x+3)+(xÜ`-1)(2x+3)' ∴ f '(1)=2_2_3=12
=3xÛ`_(2x+3)+(xÜ`-1)_2 다른 풀이
=8xÜ`+9xÛ`-2
⑴ f(x)=(3x-2)Ü`=27xÜ`-54xÛ`+36x-8이므로
다른 풀이 f '(x)=81xÛ`-108x+36
⑴ y=(x-2)(2x+1)=2xÛ`-3x-2이므로 ∴ f '(1)=9
y'=4x-3 ⑵ f(x)=(xÛ`+x)Û`=xÝ`+2xÜ`+xÛ`이므로
⑵ y=(xÜ`-1)(2x+3)=2xÝ`+3xÜ`-2x-3이므로 f '(x)=4xÜ`+6xÛ`+2x
y'=8xÜ`+9xÛ`-2 ∴ f '(1)=12

Ⅱ. 미분 55
TIP 이때, 두 함수 g(x), h(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y={ f(x)}n (n¾2인 자연수)의 g(x)-g(1) h(x)-h(1)
lim =g '(1), lim =h'(1)이다.
x`Ú1- x-1 x`Ú1+ x-1
도함수는
즉, g '(1)=h'(1)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y'=n{ f(x)}n-1 f '(x)이다.
g '(x)=2x+2, h'(x)=a에서 4=a
[증명]
㉠에 대입하면 b=-1
y={ f(x)}n= f(x)_ f(x)_ f(x)_y_ f(x)에서
y'= f '(x)_ f(x)_ f(x)_y_ f(x) ∴ a-b=4-(-1)=5 yy TIP2
        + f(x)_ f '(x)_ f(x)_y_ f(x)
TIP1
         + f(x)_ f(x)_ f '(x)_y_ f(x)+y
x=a에서 미분가능한 두 함수 g(x), h(x)에 대하여
        + f(x)_ f(x)_ f(x)_y_ f '(x)
g(x) (x¾a)
=n{ f(x)}n-1 f '(x) f(x)=[ 라 정의되어 있을 때,
h(x) (x<a)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려면 다음을 만족시켜야 한다.
❶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g(a)=h(a)이다.
236   ㈎ : f(x+h)
㈏ : { f(x+h)}Û`+ f(x+h) f(x)+{ f(x)}Û`
❷ ‌함수 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해야 한다. 이때,
f(x)- f(a) g(x)-g(a)
㈐ : 3{ f(x)}Û` f '(x) lim = lim =g '(a), 
x`Úa+ x-a x`Úa+ x-a
g(x)={ f(x)}Ü`이라 하면 y=g(x)에서 f(x)- f(a) h(x)-h(a)
lim = lim =h'(a)
g(x+h)-g(x) x`Úa- x-a x`Úa- x-a
y'= lim
h`Ú0 h 이므로 g '(a)=h'(a)이다.
{ f(x+h)}Ü`-{ f(x)}Ü`` ❶, ❷로부터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다는 조건이
=lim
h`Ú0 h
주어지면
f(x+h) - f(x)
= lim [ g(a)=h(a), g '(a)=h'(a)
h`Ú0 h 의 두 가지의 등식을 이끌어낼 수 있다.
 _( { f(x+h)}Û`+ f(x+h) f(x)+{ f(x)}Û` )]
= f '(x)_3{ f(x)}Û` TIP2
= 3{ f(x)}Û` f '(x)
TIP1 의 내용을 숙달하고 나면 주어진 문제에서 바로
참고 ❶ g(1)=h(1) ❷ g'(1)=h'(1)
y={ f(x)}Ü`일 때 y'=3{ f(x)}Û` f '(x)임을 다음과 같이 보일 의 두 가지의 식을 풀어 답을 구할 수 있다.
수 있다.
y={ f(x)}Ü`= f(x) f(x) f(x)에서
y'= f '(x) f(x) f(x)+ f(x) f '(x) f(x)+ f(x) f(x) f '(x)
=3{ f(x)}Û` f '(x)
238   풀이 참조

다항식 xÚ`â`-xÝ`+5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237  ⑤ 하고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xÚ`â`-xÝ`+5=(x+1)Û`Q(x)+ax+b yy ㉠
g(x)=xÛ`+2x, h(x)=ax+b라 하면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두 함수 g(x), h(x)는 다항함수이므로 x=1에서 미분가능하다.
1-1+5=-a+b에서 -a+b=5 yy ㉡
 yy TIP1
㉠의 양변을 미분하면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10xá`-4xÜ`=2(x+1)Q(x)+(x+1)Û`Q'(x)+a
lim f(x)= lim f(x)= f(1)에서
x`Ú1- x`Ú1+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lim g(x)= lim h(x)=g(1) -10+4=a에서 a=-6
x`Ú1- x`Ú1+

이때, 두 함수 g(x), h(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에 대입하면 b=-1


g(1)=h(1), 즉 3=a+b yy ㉠ 따라서 구하는 나머지는 -6x-1이다.
한편,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채점 요소 배점
f(x)- f(1) f(x)- f(1)
lim = lim 에서 다항식을 나눈 몫과 나머지를 이용하여 항등식 세우기 20 %
x`Ú1- x-1 x`Ú1+ x-1
항등식의 양변을 미분한 식 구하기 40 %
g(x)-g(1) h(x)-h(1)
lim = lim 위의 두 식을 이용하여 나머지 구하기 40 %
x`Ú1- x-1 x`Ú1+ x-1

56 수학Ⅱ
f(3)- f(1) { f(3)- f(2)}+{ f(2)- f(1)}
239  ②
3-1
=
2


다항식 x2020+axÛ`+bx+1을 (x-1)2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6+2


= =4
2
Q(x)라 하면
x2020+axÛ`+bx+1=(x-1)2Q(x)+2x+1 yy ㉠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1=3에서 a+b=1 yy ㉡
242  ③

㉠의 양변을 미분하면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이 4이므로


2020x 2019
+2ax+b=2(x-1)Q(x)+(x-1) Q'(x)+2 2 f(b)- f(a)
=4 yy ㉠
b-a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020+2a+b=2에서 2a+b=-2018 yy ㉢ 이때, 함수 f(x)의 역함수가 g(x)이고,
㉡, ㉢을 연립하여 풀면 a=-2019, b=2020 f(a)=-1, f(b)=5이므로 g(-1)=a, g(5)=b이다.
∴ b-a=4039 5-(-1)
㉠에서 =4이므로
g(5)-g(-1)
g(5)-g(-1) 1
=
5-(-1) 4
240  ③
따라서 x의 값이 -1에서 5까지 변할 때의 함수 g(x)의

f(x)= Á x2k에서 f '(x)= Á 2kx2k-1 ⅠⅠ


20 20 1
yy TIP 평균변화율은
4
이다.

∴ f '(1)= Á 2k=2 Á k
k=1 k=1

20 20 분
다른 풀이
k=1 k=1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이 4이므로
20_21
=2_ =420 f(b)- f(a)
2 =4에서
b-a
다른 풀이

f(x)= Á x =xÛ`+xÝ`+x +y+x 이므로


5-(-1) 3
20 =4, b-a=  yy ㉠
2k 6 40 b-a 2
k=1
이때, 함수 f(x)의 역함수가 g(x)이고, f(a)=-1, f(b)=5
f '(x)=2x+4xÜ`+6xÞ`+y+40x39
이므로 g(-1)=a, g(5)=b이다.
∴ f '(1)=2+4+6+y+40
따라서 x의 값이 -1에서 5까지 변할 때의 함수 g(x)의
=2(1+2+3+y+20)
평균변화율은
20_21
=2_ =420 g(5)-g(-1) b-a 1
2
= = (∵ ㉠)
5-(-1) 6 4
TIP
참고
미분가능한 함수 f1(x), f2(x), y, fn(x)에 대하여

[ Á fk(x)]'={ f1(x)+ f2(x)+ f3(x)+y+ fn(x)}'


n 함수 y= 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k=1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두 점
= f1'(x)+ f2'(x)+ f3'(x)+y+ fn'(x) (a, -1), (b, 5)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두 점
= Á fk'(x)
n
(-1, a), (5, b)는 함수 y=g(x)의 그래프 위에 있다.
k=1
이때, 두 점 (a, -1), (b, 5)를 이은 직선의 기울기는 4이고,
두 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 (-1, a), (5, b)
를 이은 직선은 위 직선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1
241  ② 직선의 기울기가
4
이다.
5 5
x의 값이 1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이
직선 y=x에 대하여
f(2)- f(1)
2이므로 =2에서 대칭이동
2-1 ÆÆÆÆÆÆÆÆÆð
b b
f(2)- f(1)=2 -1 -1 a a
x의 값이 2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이
a b a b -1 -1 5 5
f(3)- f(2)
6이므로 =6에서 따라서 x의 값이 -1에서 5까지 변할 때의 함수 g(x)의
3-2
f(3)- f(2)=6 1
평균변화율이 임을 알 수 있다.
4
따라서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은

Ⅱ. 미분 57
f(xÛ`)- f(1) f(xÛ`)- f(1) xÛ`-1
243  ② ‌⑵ lim
x`Ú1 xÜ`-1
= lim [
x`Ú1 xÛ`-1
_
xÜ`-1
]

f(xÛ`)- f(1)
=lim [ ] 
f(x)=0.4xÛ`+12x+200이라 하면 x+1
_
상품 A의 생산량을 10`kg에서 15`kg까지 증가시킬 때
x`Ú1 xÛ`-1 xÛ`+x+1
생산비용의 평균변화율은 2
= f '(1)=8
3
f(15)- f(10) (90+180+200)-(40+120+200)
=
15-10 15-10
110
=
5
=22
247  ⑤
다른 풀이 f(xÛ`)- f(2)
lim
226번 TIP 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x`Ú'2 x-'2
f(xÛ`)- f(2)
이차함수 f(x)=0.4xÛ`+12x+200에서 x의 값이 10에서 15까지 = lim [ _(x+'2)]
x`Ú'2 (x-'2 )(x+'2 )
10+15 25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x= = 에서의 미분계수 f(xÛ`)- f(2)
2 2 = lim [ _(x+'2)]
25 x`Ú'2 xÛ`-2
f '{ }와 같다. =2'2 f '(2)=4'2
2
25
f '(x)=0.8x+12이므로 f '{ }=22
2

248  ④
244  ②
f(x)-3 1
lim =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 f(1+h)}2-{ f(1)}2 x`Ú2 xÜ`-8 3
lim
h`Ú0 h x`→`2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 f(1+h)- f(1)}{ f(1+h)+ f(1)} 즉, lim { f(x)-3}= f(2)-3=0에서 f(2)=3
=lim x`Ú2
h`Ú0 h

=lim [
f(x)-3 f(x)- f(2)
f(1+h)- f(1) lim = lim
_{ f(1+h)+ f(1)}] x`Ú2 xÜ`-8 x`Ú2 xÜ`-8
h`Ú0 h
f(x)- f(2)
= f '(1)_2 f(1) = lim
x`Ú2 (x-2)(xÛ`+2x+4)
=3_2=6
f(x)- f(2) 1 f '(2)
= lim [ _ ]=
x`Ú2 x-2 xÛ`+2x+4 12
245  ①
이므로
f '(2) 1
12
= 에서 f '(2)=4
3
2xÛ`-2 2(x+1)(x-1) ∴ f(2) f '(2)=3_4=12
lim = lim
f(x)- f(1) x`Ú1 f(x)- f(1)
x`Ú1

2(x+1) 4
=lim =
x`Ú1 f(x)- f(1) f '(1)
x-1 249  ③
4
이므로 =-1에서 f '(1)=-4 f(x+1)+3
f '(1) lim =5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f(1+kDx)- f(1) f(1+kDx)- f(1) k
x`Ú-3 xÛ`-9
lim = lim _ x`→`-3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Dx`Ú0 2Dx Dx`Ú0 kDx 2
lim { f(x+1)+3}= f(-2)+3=0에서 f(-2)=-3
즉, x`Ú-3
k k
= f '(1)= _(-4)=-2k
2 2 x+1=t라 하면 x`→`-3일 때 t`→`-2이므로
이므로 -2k=-2 f(x+1)+3 f(t)- f(-2)
lim = lim
∴ k=1 x`Ú-3 xÛ`-9 t`Ú-2 (t-1)Û`-9
f(t)- f(-2)
= lim
246 (t+2)(t-4)
t`Ú-2
 ⑴3 ⑵8
f(t)- f(-2) 1
= lim [ _ ]
f('x)- f(1) f('x)- f(1) t`Ú-2 t-(-2) t-4
⑴ ‌lim = lim
x`Ú1 xÛ`-1 x`Ú1 ('x-1)('x+1)(x+1) 1
=- f '(-2)
f('x)- f(1) 6
=lim [ ]
1
_
x`Ú1 'x-1 ('x+1)(x+1) 이므로 -
1
f '(-2)=5에서 f '(-2)=-30
6
f '(1)
= =3 ∴ f(-2)+ f '(-2)=(-3)+(-30)=-33
4

58 수학Ⅱ
다른 풀이

f(x+1)+3
253  ③
본풀이 중 lim 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x`Ú-3 xÛ`-9 =h라 하면 x`→`¦일 때 h`→`0+이므로
f(x+1)+3 f(x+1)- f(-2) x
lim = lim 3 { f(3h)- f(0)}Ü`
x`Ú-3 xÛ`-9 x`Ú-3 (x+3)(x-3) lim xÜ`[ f { }- f(0)]Ü`= lim
x`Ú¦ x h`Ú0+ hÜ`
f(x+1)- f(-2) 1
= lim [ _ ] f(3h)- f(0) Ü`
x`Ú-3 (x+1)-(-2) x-3 = lim [ ]
h`Ú0+ h
1 yy TIP
=- f '(-2)
6 f(3h)- f(0)
= lim [ _3]Ü`
h`Ú0+ 3h-0
TIP
={3 f '(0)}Ü`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기 위해
1 1
f(▲)- f(★) ={- }Ü`=-
f '(★)= lim 의 꼴로 변형하면 2 8
▲`Ú★ ▲-★
f(x+1)- f(-2)
lim
x`Ú-3 (x+1)-(-2)
= f '(-2)임을 알 수 있다.
254  ③

3 3
f{ -1}=- f {1- }이므로
x x
250  ⑤
lim x[ f {1-
2 3 2 3
}+ f { -1}]= lim x[ f {1- }- f {1- }] ⅠⅠ
x`Ú¦ x x x`Ú¦ x x
x f(2)-2 f(x) x f(2)-2 f(2)+2 f(2)-2 f(x) 미
lim = lim 1
x`Ú2 x-2 x`Ú2 x-2 =h라 하면 x`→`¦일 때 h`→`0+이므로 분
x
(x-2) f(2) f(x)- f(2)
=lim [ ] 2 3
lim x[ f {1- }- f {1- }]
-2_
x`Ú2 x-2 x-2
x`Ú¦ x x
= f(2)-2 f '(2)
f(1-2h)- f(1-3h)
=3-2_(-2)=7 = lim
h`Ú0+ h
f(1-2h)- f(1)+ f(1)- f(1-3h)
= lim
251  ③ h`Ú0+ h
f(1-2h)- f(1) f(1-3h)- f(1)
xÜ` f(aÛ`)-aÜ` f(xÛ`) = lim [ - ]
lim h`Ú0+ h h
x`Úa x-a
f(1-2h)- f(1) f(1-3h)- f(1)
xÜ` f(aÛ`)-aÜ` f(aÛ`)+aÜ` f(aÛ`)-aÜ` f(xÛ`) = lim [ _(-2)+ _3]
=lim
x-a
h`Ú0+ -2h -3h

=lim [ ]
x`Úa

(xÜ`-aÜ`) f(aÛ`) aÜ`{ f(xÛ`)- f(aÛ`)} =-2 f '(1)+3 f '(1)


-
x-a x-a = f '(1)=2
=lim [
x`Úa

(x-a)(xÛ`+ax+aÛ`) f(aÛ`) aÜ`{ f(xÛ`)- f(aÛ`)}


- _(x+a)] 다른 풀이
x`Úa x-a xÛ`-aÛ`
=3aÛ` f(aÛ`)-2aÝ` f '(aÛ`)=2aÝ`-aÛ` 1
=h라 하면 x`→`¦일 때 h`→`0+이므로
x
2 3
lim x[ f {1- }+ f { -1}]
252  ② x`Ú¦ x x
f(1-2h)+ f(3h-1)
1 = lim
=h라 하면 x`→`¦일 때 h`→`0+이므로 h`Ú0+ h
x
f(1-2h)- f(1)- f(-1)+ f(3h-1)
2 5 = lim
lim x[ f {1+ }- f {1- }] h`Ú0+ h
x`Ú¦ x x
(∵ f(-1)=- f(1))
f(1+2h)- f(1-5h)
= lim
h f(1-2h)- f(1) f(-1+3h)- f(-1)
= lim [ ]
h`Ú0+
+
f(1+2h)- f(1)+ f(1)- f(1-5h) h`Ú0+ h h
= lim
h f(1-2h)- f(1) f(-1+3h)- f(-1)
= lim [
h`Ú0+
_(-2)+ _3]
f(1+2h)- f(1) f(1-5h)- f(1) h`Ú0+ -2h 3h
= lim [ - ]
h`Ú0+ h h =-2 f '(1)+3 f '(-1)
f(1+2h)- f(1) f(1-5h)- f(1) 이때, f(-x)=- f(x)이면 f '(-x)= f '(x)이므로 yy TIP
= lim [ _2+ _5]
h`Ú0+ 2h -5h f '(-1)= f '(1)이다.
=2 f '(1)+5 f '(1) 따라서 구하는 답은
=7 f '(1)=14 -2 f '(1)+3 f '(1)= f '(1)=2

Ⅱ. 미분 59
4x-5 5
TIP lim x[ f { }- f(2)]= lim x[ f {2- }- f(2)]
x`Ú¦ 2x x`Ú¦ 2x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1
이때, =h라 하면 x`→`¦일 때 h`→`0+이므로
❶ ‌f(-x)= f(x)이면 함수 y= 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x
대칭이므로 x=t에서의 접선과 x=-t에서의 접선도 y축에 5 f {2-;2%;h}- f(2)
lim x[ f {2- }- f(2)]= lim
대하여 대칭이다. 즉, 두 접선의 기울기는 절댓값은 같고 x`Ú¦ 2x h`Ú0+ h

[ ]
5
f {2- h}- f(2)
부호만 반대이다.
2 5
∴ f '(-x)=- f '(x) = lim _{- }
h`Ú0+ 5 2
y - h
2
5
=- f '(2)
2
5
=- _(-2)=5
2

-t O t x

❷ ‌f(-x)=- f(x)이면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원점에 257  ③

대하여 대칭이므로 x=t에서의 접선과 x=-t에서의 접선도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두 접선이 서로 평행하므로 두 점 (0, 0), (1, 3)을 지나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3이다.
접선의 기울기가 서로 같다. 따라서 f(1)=3, f '(1)=3이다.
∴ f '(-x)= f '(x) xÜ` f(1)- f(xÛ`)
∴ ‌lim
y x`Ú1 x-1
xÜ` f(1)- f(1)+ f(1)- f(xÛ`)
=lim
x`Ú1 x-1
(xÜ`-1) f(1) f(xÛ`)- f(1)
=lim [ ] 
t
-t O x -
x`Ú1 x-1 x-1
f(xÛ`)- f(1)
=lim [(xÛ`+x+1) f(1)- _(x+1)] 
x`Ú1 xÛ`-1
=3 f(1)-2 f '(1)
=3_3-2_3=3
255   ⑴ 9 ⑵ -4

다항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


3x+y=2는 기울기가 -3이므로 f(2)=-4, f '(2)=-3이다.
258  ③

f(2)- f(3h+2) f(2+3h)- f(2) f(a) f(a)-0


⑴ lim = lim [- ] ㄱ. ‌
a
=
a-0
은 두 점 (0, 0), (a, f(a))를 이은 직선의
h`Ú0 h h`Ú0 h
f(2+3h)- f(2) f(b) f(b)-0
=lim [- _3] 기울기이고,
b
=
b-0
은 두 점 (0, 0), (b, f(b))를
h`Ú0 3h
=-3 f '(2)=9 이은 직선의 기울기이다.
xÛ` f(2)-4 f(x) 주어진 그래프에서 두 직선의 기울기를 비교하면
⑵ lim
x`Ú2 x-2 f(a) f(b)
> 이다. (참)
xÛ` f(2)-4 f(2)+4 f(2)-4 f(x) a b
= lim
x`Ú2 x-2 y y=x
y=f{x}
(xÛ`-4) f(2) f(x)- f(2)
= lim [ -4_ ]
x`Ú2 x-2 x-2
=4 f(2)-4 f '(2)
=4_(-4)-4_(-3)=-4
Oa b 1 c x
256  ⑤
f(c)- f(a)
ㄴ. ‌ 는 두 점 (a, f(a)), (c, f(c))를 이은 직선의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 (2, 5)에서의 접선이 직선 c-a
1 ‌기울기이고, 주어진 그래프에서 이 직선은 직선 y=x보다
y= x-3과 서로 수직이면 접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2 f(c)- f(a)
f '(2)=-2이다. 기울기가 작으므로 <1이다.
c-a

60 수학Ⅱ
즉, f(c)- f(a)<c-a이다. (거짓) y
y y=x y=´|x¨|¨
y=f{x}

a bO x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Oa b 1 c x

ㄷ. ‌f '(a), f '(b)는 각각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


(a, f(a)), (b, f(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고,
260  ⑤

f(1)-0 ① x=4에서의 좌극한이 존재한다. (참)


f(1)= 은 두 점 (0, 0), (1, f(1))을 이은 직선의
1-0 ② x=3에서의 극한값이 함숫값과 같다. (참)
기울기이다. ③ x=6에서
‌ 함수 y= f(x)의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기가 음수이므
주어진 그래프에서 세 직선의 기울기를 비교하면 로 f '(6)<0이다. (참)
f '(b)< f(1)< f '(a)이다. (참) ④ x=2에서
‌ 함수 y= f(x)의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기가 0이므로
y y=x f '(2)=0이다. (참)
y=f{x}
⑤ ‌함수 f(x)는 x=3, 4, 5일 때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함수

ⅠⅠ
y= f(x)는 세 점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거짓)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Oa b 1 c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261  ②

ㄱ. 함수 f(x)=xÜ`은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고,


f(0+h)- f(0)
lim =lim hÛ`=0이므로 x=0에서
h`Ú0 h h`Ú0

미분가능하다.
  0 (x¾0)
259  ④ ㄴ. 함수 f(x)=x-|x|=[
2x (x<0)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 (x¾0) y
f(x)="|x|=[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 (x<0)
y O x
y=f{x}
y=f{x}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O x
  xÛ` (x¾0)
ㄷ. 함수 f(x)=x|x|=[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ㄱ. x=-2에서
‌ 함수 y= f(x)의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기는 -xÛ` (x<0)
음수이므로 f '(-2)<0이다. (거짓) y
y=f{x}
y
y=´|x¨|¨
O x

-2 O x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ㄴ. ‌lim f(x)= f(0)=0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다. ㄹ. 함수 f(x)=xÛ`[x]는 -1Éx<0일 때 f(x)=-xÛ`,
x`Ú0
 (참) 0Éx<1일 때 f(x)=0이므로 -1Éx<1에서 그래프가 다음과
ㄷ. ‌f '(a), f '(b)는 각각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 같다.
(a, f(a)), (b, f(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고, y

f(b)- f(a) -1
y=f{x}
는 두 점 (a, f(a)), (b, f(b))를 이은 직선의
b-a O 1 x
-1
기울기이다. a<b<0일 때 세 직선의 기울기를 비교하면
f(b)- f(a)
f '(b)< < f '(a)이다. (참)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b-a

Ⅱ. 미분 61
  xÛ`-2x(x<0 또는 x>2) lim jª'(x)=2, lim jÁ'(x)=-2이므로
ㅁ. ‌함수 f(x)=|xÛ`-2x|=[ 의 x`Ú0+ x`Ú0-
-xÛ`+2x (0ÉxÉ2)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x   1 (x>0)
ㅂ. ‌함수 f(x)=[ |x|
y (x+0)
y=f{x} =   0 (x=0)는 x=0에서
   0 (x=0) -1 (x<0)
연속이 아니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O 2 x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
x   1 (x>0)
ㅂ. ‌함수 f(x)=[ |x|
(x+0)
=   0 (x=0)의 그래프는
   0 (x=0) -1 (x<0) 262   풀이 참조

다음과 같다. 2x (x¾0)


f(x)=x+|x|=[
y   0 (x<0)
y=f{x}
1 ⑴ lim f(x)= lim 2x=0
x`Ú0+ x`Ú0+

O x lim f(x)= lim 0=0


x`Ú0- x`Ú0-
-1
f(0)=0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 아니므로 미분가능하지 따라서 lim f(x)= lim f(x)= f(0)이므로
x`Ú0+ x`Ú0-

않다.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것은 ㄴ, ㅁ으로 f(0+h)- f(0) 2h-0
⑵ lim = lim =2
2개이다. h`Ú0+ h h`Ú0+ h
f(0+h)- f(0) 0-0
다른 풀이 lim = lim =0
h`Ú0- h h`Ú0- h
237번 TIP1 을 학습한 이후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f(0+h)- f(0)
따라서 lim 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ㄱ. ‌함수 f(x)=xÜ`은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고 h`Ú0 h
미분가능하다.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0 (x¾0) 다른 풀이
ㄴ. ‌함수 f(x)=x-|x|=[ 는 x=0에서 연속이고
2x (x<0)
237번 TIP1 을 학습한 이후 ⑵를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gÁ(x)=0, gª(x)=2x라 하면 gÁ'(x)=0, gª'(x)=2에서
g(x)=2x, h(x)=0이라 하면 g '(x)=2, h'(x)=0
lim gÁ'(x)=0, lim gª'(x)=2이므로
x`Ú0+ x`Ú0- f(0+h)- f(0)
lim = lim g '(x)=2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h`Ú0+ h h`Ú0+

   xÛ` (x¾0) f(0+h)- f(0)


ㄷ. ‌함수 f(x)=x|x|=[ 은 x=0에서 연속이고 lim = lim h'(x)=0
-xÛ` (x<0) h`Ú0- h h`Ú0-

hÁ(x)=xÛ`, hª(x)=-xÛ`이라 하면 f(0+h)- f(0)


따라서 lim 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hÁ'(x)=2x, hª'(x)=-2x에서 h`Ú0 h

lim hÁ'(x)=0, lim hª'(x)=0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x`Ú0+ x`Ú0-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채점 요소 배점

ㄹ. ‌함수 f(x)=xÛ`[x]는 -1Éx<0일 때 f(x)=-xÛ`, 연속의 정의를 이용하여 x=0에서의 연속성 판단하기 50 %
0Éx<1일 때 f(x)=0이다.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x=0에서의 미분가능성 판단하기 50 %
이때,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고,
iÁ(x)=-xÛ`, iª(x)=0이라 하면 참고

iÁ'(x)=-2x, iª'(x)=0에서 함수 f(x)=x+|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으므로 x=0에서


lim iª'(x)=0, lim iÁ'(x)=0이므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x`Ú0+ x`Ú0-
y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y=f{x}
ㅁ. ‌함수 f(x)=|xÛ`-2x|는 x=0에서 연속이고
  xÛ`-2x (x<0 또는 x>2)
f(x)=[ 이므로
-xÛ`+2x (0ÉxÉ2)
jÁ(x)=xÛ`-2x, jª(x)=-xÛ`+2x라 하면 O x

jÁ'(x)=2x-2, jª'(x)=-2x+2에서

62 수학Ⅱ
263   풀이 참조
g(x)-g(0)
채점 요소
f(x)
배점

g '(0)= lim = lim 임을 구하기 50 %


  xÛ`-x (x<0 또는 x>1) x`Ú0 x-0 x`Ú0 1-x f(x)

f(x)=|xÛ`-x|=[ lim f(x)= f(0)임을 이용하여 함수 g(x)가 x=0에서


-xÛ`+x (0ÉxÉ1) x`Ú0
50 %
미분가능함을 보이기
⑴ ‌lim f(x)= lim (xÛ`-x)=0
x`Ú1+ x`Ú1+

lim f(x)= lim (-xÛ`+x)=0


x`Ú1- x`Ú1-

f(1)=0 265   풀이 참조
따라서 lim f(x)= lim f(x)= f(1)이므로
x`Ú1+ x`Ú1-   (x+1) f(x) (x¾-1)
g(x)=|x+1|f(x)=[ 이고,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1) f(x) (x<-1)
f(1+h)- f(1) {(1+h)Û`-(1+h)}-0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⑵ ‌lim = lim
h`Ú0+ h h`Ú0+ h
lim f(x)= lim f(x)= f(-1)이다.
x`Ú-1+ x`Ú-1-
hÛ`+h
= lim = lim (h+1)=1 이때, 함수 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려면
h`Ú0+ h x`Ú0+

f(1+h)- f(1) {-(1+h)Û`+(1+h)}-0 g(x)-g(-1) g(x)-g(-1)


lim = lim lim = lim 이어야 하므로
h`Ú0- h h`Ú0- h x`Ú-1+ x-(-1) x`Ú-1- x-(-1)
g(x)-g(-1) (x+1) f(x)-0
-hÛ`-h lim = lim
ⅠⅠ
= lim = lim (-h-1)=-1 x`Ú-1+ x-(-1) x`Ú-1+ x+1
h`Ú0- h h`Ú0-
= lim f(x)= f(-1)
f(1+h)- f(1) x`Ú-1+

따라서 lim 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g(x)-g(-1) -(x+1) f(x)-0
h`Ú0 h 분
lim = lim
x`Ú-1- x-(-1) x`Ú-1- x+1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 lim {- f(x)}=- f(-1)
x`Ú-1-
다른 풀이
에서 f(-1)=- f(-1)이어야 한다.
237번 TIP1 을 학습한 이후 ⑵를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 f(-1)=0
g(x)=xÛ`-x, h(x)=-xÛ`+x라 하면
채점 요소 배점
g '(x)=2x-1, h'(x)=-2x+1
f(1+h)- f(1)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g(x)의 x=-1에서의 좌미분계수 구하기 40 %
lim = lim g '(x)= lim (2x-1)=1
h`Ú0+ h x`Ú1+ x`Ú1+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g(x)의 x=-1에서의 우미분계수 구하기 40 %
f(1+h)- f(1) 함수 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도록 하는 f(-1)의 값 구하기 20 %
lim = lim h'(x)= lim (-2x+1)=-1
h`Ú0- h x`Ú1- x`Ú1-

f(1+h)- f(1)
즉, lim 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h
266
h`Ú0
 ④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ㄱ. (반례)
‌ f(x)=|x-1|은 x=1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채점 요소 배점
f(1+h)- f(1)
연속의 정의를 이용하여 x=1에서의 연속성 판단하기 40 % 않다. 즉, lim f(x)= f(1)이지만 lim 이
x`Ú1 h`Ú0 h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x=1에서의 미분가능성 판단하기 60 %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f(1+h)- f(1)
ㄴ. ‌lim = f '(1)로 극한값이 존재한다고 하면
h`Ú0 h
f(1+h)- f(1-h)
264   풀이 참조 lim
h`Ú0 h
f(1+h)- f(1) f(1-h)- f(1)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lim [ + ]=2 f '(1)
h`Ú0 h -h
lim f(x)= f(0)이다. yy ㉠
x`Ú0
로 극한값이 존재한다. (참)
g(x)-g(0)
g '(0)=lim ㄷ. ‌f(x)=|x-1|이므로 h+0일 때
x`Ú0 x-0
1 x f(x) f(1+h)- f(1-h) |1+h-1|-|1-h-1|
-1 =
1-x f(x) 1-x f(x) 2h 2h
=lim x =lim |h|-|-h|
x`Ú0 x`Ú0 x
= =0 (∵ |h|=|-h|)
f(x) f(0) 2h
=lim = (∵ ㉠)
x`Ú0 1-x f(x) 1-0_ f(0) f(1+h)- f(1-h)
∴ lim =0 (참) yy TIP
= f(0) h`Ú0 2h
따라서 g '(0)이 존재하므로 함수 g(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Ⅱ. 미분 63
다른 풀이 f(x)=xÜ`+axÛ`+5에서 f '(x)=3xÛ`+2ax이므로
ㄷ. 함수 f(x)의 x=1에서의 좌미분계수는 f '(2)=12+4a=4, a=-2
f(1+h)- f(1) f(x)=xÜ`-2xÛ`+5이므로 f(2)=5이고,
lim =-1
h`Ú0- h 직선 y=4x+b가 점 (2, 5)를 지나므로
f(1+h)- f(1) 5=8+b, b=-3
x=1에서의 우미분계수는 lim =1이므로
h`Ú0+ h ∴ a+b=(-2)+(-3)=-5
f(1+h)- f(1-h)
lim
h`Ú0 2h
f(1+h)- f(1) 1 f(1-h)- f(1) 1
=lim [ _ ]
h`Ú0 h
_ +
2 -h 2 270  ②
1 1 f(x)=xÜ`+4x-8에서 f(2)=8이므로 yy TIP
= - =0
2 2
f(x)-8 f(x)- f(2)
=lim [ ]= f '(2)
1 1
lim _
TIP x`Ú2 xÛ`-4 x`Ú2 x-2 x+2 4

ㄷ에서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거짓 f '(x)=3xÛ`+4이므로 f '(2)=16


이라고 답하면 안 된다. 1 1
∴ f '(2)= _16=4
4 4
f(1+h)- f(1-h)
극한 lim 와 미분계수 f '(1)은 항상
h`Ú0 2h TIP
일치하지는 않는다. f(x)-8
lim 에서 x`→`2일 때 (분모)`→`0이므로
f(1+h)- f(1-h) xÛ`-4
x`Ú2
lim =0을 x의 값이 1-h에서 1+h까지
h`Ú0 2h 주어진 문제의 답이 존재하려면, 즉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또는 1+h에서 1-h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 (분자)`→`0에서 f(2)=8을 반드시 만족시켜야 한다.
의 극한의 의미로서 다음 그림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이때, 주어진 함수 f(x)=xÜ`+4x-8에서 f(2)=8임을 확인할
y y=f{x} 수 있다.

1-h O 1+h x
271  ②

lim (3x+3)[ f { }- f { }]
2x+1 2x-1
x`Ú¦ x+1 x+1

267  ③ = lim 3(x+1)[ f {2-


x`Ú¦
1
x+1
}- f {2-
3
x+1
}]

f(x)=2xÜ`-x f '(2)에서 f '(x)=6xÛ`- f '(2) 1


=h라 하면 x`→`¦일 때 h`→`0+이므로
x+1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3
f '(2)=24- f '(2)에서 f '(2)=12이므로 lim { f(2-h)- f(2-3h)}
h`Ú0+ h
f '(x)=6xÛ`-12
f(2-h)- f(2)+ f(2)- f(2-3h)
∴ f '(1)=6-12=-6 =3 lim
h`Ú0+ h
f(2-h)- f(2) f(2-3h)- f(2)
=3 lim [ _(-1)+ _3]
h`Ú0+ -h -3h
268  ④ =3{- f '(2)+3 f '(2)}=6 f '(2)
f(x)=2xÜ`-5xÛ`+1에서 f '(x)=6xÛ`-10x이므로
-xÛ`+4x (0ÉxÉ4)
f(x)=|xÛ`-4x|=[ 6 f '(2)=6_4=24
   xÛ`-4x (x<0 또는 x>4)
x=3의 근방에서 f(x)=-xÛ`+4x이므로
x=3의 근방에서 f '(x)=-2x+4
∴ f '(3)=-6+4=-2
272  ③

f(x)=xÚ`ß`+xÜ`+2x라 하면 f(1)=4이므로

269  ① lim
x`Ú1
xÚ`ß`+xÜ`+2x-4
x-1
=lim
x`Ú1
f(x)- f(1)
x-1
= f '(1)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 (2, f(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f '(x)=16xÚ`Þ`+3xÛ`+2이므로


4이므로 f '(2)=4이다. f '(1)=21

64 수학Ⅱ
다른 풀이 f(x)-2xÜ`=-2xÛ`+ax+b (a, b는 상수)라 하면
로피탈의 정리에 의하여 yy TIP f(x)=2xÜ`-2xÛ`+ax+b
f(x+1)-4
xÚ`ß`+xÜ`+2x-4 16xÚ`Þ`+3xÛ`+2 조건 ㈏의 lim =10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lim =lim =21 x`Ú1 x(x-1)
x`Ú1 x-1 x`Ú1 1
x`→`1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TIP 즉, lim { f(x+1)-4}= f(2)-4=0에서
x`Ú1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와 상수 a에 대하여
f(2)=4 yy ㉠
f(x) 0
극한 lim 가 꼴일 때 (즉, f(a)=g(a)일 때) 즉, 16-8+2a+b=4에서 2a+b=-4 yy ㉡
x`Úa g(x) 0
x+1=t라 하면 x`→`1일 때 t`→`2이므로
f(x) f '(a)
lim = 이다. (단, g '(a)+0) f(x+1)-4 f(t)- f(2)
x`Úa g(x) g '(a) lim = lim (∵ ㉠)
x`Ú1 x(x-1) t`Ú2 (t-1)(t-2)
이것을 로피탈의 정리라 한다.
f(t)- f(2) 1
로피탈의 정리는 교육과정 상에서 배우는 내용은 아니지만 =lim [ _ ]
t`Ú2 t-2 t-1
0 = f '(2)
꼴의 극한에서 이용하면 극한값을 빠르게 구할 수 있으니
0
에서 f '(2)=10
활용하도록 하자.
f '(x)=6xÛ`-4x+a이므로
f '(2)=24-8+a=10, a=-6
273  ② ㉡에 대입하면 b=8 ⅠⅠ
따라서 f(x)=2xÜ`-2xÛ`-6x+8이므로 미
x+1 1
lim = 에서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고, f(1)=2 분
x`Ú-1 xÇ`+x¡`+xÜ`+xÛ` 6
x`→`-1일 때 (분자)`→`0이므로 (분모)`→`0이다. 다른 풀이

즉, lim (xÇ` +x¡`+xÜ`+xÛ`)=(-1)Ç` +1=0에서 f(x+1)-4


x`Ú-1 본풀이 중 lim 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x`Ú1 x(x-1)
(-1)Ç` =-1이므로 n은 홀수이다. yy ㉠
f(x+1)-4 f(x+1)- f(2)
f(x)=xÇ` +x¡`+xÜ`+xÛ`이라 하면 f(-1)=0이므로 lim = lim (∵ ㉠)
x`Ú1 x(x-1) x`Ú1 x(x-1)
x+1 x-(-1)
lim = lim 1 f(x+1)- f(2)
x`Ú-1 xÇ`+x¡`+xÜ`+xÛ` x`Ú-1 f(x)- f(-1) =lim [ _ ]
x`Ú1 x (x+1)-2
1
= = f '(2) yy TIP
f '(-1)
1 1 TIP
즉, = 이므로 f '(-1)=6
f '(-1) 6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기 위해
f '(x)=nxn-1+8xà`+3xÛ`+2x이므로 f(▲)- f(★)
f '(-1)=n-8+3-2 (∵ ㉠) f '(★)= lim ▲-★ 의 꼴로 변형하면
▲`Ú★

=n-7=6 f(x+1)- f(2)


lim = f '(2)임을 알 수 있다.
∴ n=13 x`Ú1 (x+1)-2

다른 풀이

㉠ 이후의 풀이를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로피탈의 정리에 의하여
x+1 1
275   풀이 참조
lim = lim
x`Ú-1 xÇ`+x¡`+xÜ`+xÛ` x`Ú-1 nxÇ` ÑÚ`+8xà`+3xÛ`+2x f(x+y)= f(x)+ f(y)-3xy yy ㉠
1 ⑴ ㉠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 (∵ ㉠)
n-8+3-2 f(0)= f(0)+ f(0)   ∴ f(0)=0 yy ㉡
1 f(h) f(h)- f(0)
= ⑵ lim = lim (∵ ㉡)
n-7 h`Ú0 h h`Ú0 h-0
1 1 = f '(0)=2 yy ㉢
이므로 =
n-7 6
f(x+h)- f(x)
∴ n=13 ⑶ f '(x)= lim
h`Ú0 h
{ f(x)+ f(h)-3xh}- f(x)
=lim (∵ ㉠)
274  ① h`Ú0

f(h)
h

조건 ㈎에 의하여 f(x)-2xÜ`은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lim [ -3x]


h`Ú0 h
이차식이므로 =-3x+2 (∵ ㉢)

Ⅱ. 미분 65
f(3+h)- f(3)
채점 요소 배점 ∴ f '(3)= lim
h`Ú0 h
x=0을 대입하여 f(0)=0임을 구하기 20 %
{ f(3h)+ f(3)+ f(h)+6h}- f(3)
f(h) =lim (∵ ㉠)
lim
h`Ú0 h
= f '(0)임을 이용하여 극한값 구하기 30 % h`Ú0 h
f(3h) f(h)
도함수의 정의와 ⑵의 결과를 이용하여 도함수 f '(x) 구하기 50 % =lim [ + +6]
h`Ú0 h h
f(3h) f(h)
=lim [ _3+ +6]
h`Ú0 3h h
=1_3+1+6 (∵ ㉡)
276   f '(x)=8
=10
f(x+y)= f(x)+ f(y) yy ㉠ 다른 풀이
㉠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x+y)= f(xy)+ f(x)+ f(y)+2xy yy ㉠
f(0)= f(0)+ f(0)이므로 f(0)=0 yy ㉡ ㉠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x+h)- f(x) f(0)=3 f(0)이므로 f(0)=0 yy ㉡
f '(x)= lim
h`Ú0 h
f(x+h)- f(x)
{ f(x)+ f(h)}- f(x) f '(x)= lim
=lim (∵ ㉠) h`Ú0 h
h`Ú0 h
{ f(xh)+ f(x)+ f(h)+2xh}- f(x)
f(h) f(h)- f(0) =lim (∵ ㉠)
=lim =lim (∵ ㉡) h`Ú0 h
h`Ú0 h h`Ú0 h-0
f(xh) f(h)
= f '(0) =lim [ + +2x]
h`Ú0 h h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f '(0)이므로 f(xh)- f(0) f(h)- f(0)
=lim [ _x+ +2x] (∵ ㉡)
f '(x)는 상수함수이다. h`Ú0 xh-0 h-0
이때, f '(3)=8이므로 도함수 f '(x)=8이다. = f '(0)x+ f '(0)+2x
f '(1)=2 f '(0)+2=4이므로 f '(0)=1
따라서 f '(x)=3x+1이므로
f '(3)=10
277  ②

f(x+y)= f(x)+ f(y)+3xy(x+y) yy ㉠


㉠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yy ㉡
f(0)= f(0)+ f(0)이므로 f(0)=0
f(x+h)- f(x)
279  ②
f '(x)= lim f(x+h)- f(x)
h`Ú0 h f '(x)= lim
{ f(x)+ f(h)+3xh(x+h)}- f(x) h`Ú0 h
=lim (∵ ㉠) 4 f(x) f(h)- f(x)
h`Ú0 h =lim (∵ 조건 ㈎)
f(h)- f(0) h`Ú0 h
=lim [ +3x(x+h)] (∵ ㉡) f(x){4 f(h)-1}
h`Ú0 h-0 =lim  yy ㉠
h`Ú0 h
= f '(0)+3xÛ`
f(x)가 미분가능한 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의
=3xÛ`+4 (∵ f '(0)=4)
극한값이 존재하고, h`→`0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f '(n)É100에서
즉, lim [ f(x){4 f(h)-1}]=0에서 f(x){4 f(0)-1}=0
3nÛ`+4É100, nÛ`É32 h`Ú0

따라서 구하는 정수 n의 최댓값은 5이다. 이때, 조건 ㈏에 의하여 f(x)+0이므로


4 f(0)-1=0, 4 f(0)=1
따라서 ㉠에서
f(x){4 f(h)-4 f(0)}
278  ⑤ f '(x)=lim
h`Ú0 h-0
=4 f(x) f '(0)이므로
f '(x)
f(x+y)= f(xy)+ f(x)+ f(y)+2xy yy ㉠ f(x)
=4 f '(0)=4 (∵ 조건 ㈐)
f(1+h)- f(1)
f '(1)= lim 다른 풀이
h`Ú0 h
{ f(h)+ f(1)+ f(h)+2h}- f(1) 다음과 같이 4 f(0)=1임을 구할 수 있다.
=lim (∵ ㉠)
h`Ú0 h
조건 ㈎의 등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2 f(h)
=lim [ +2]=4 f(0)=4{( f(0)}2
h`Ú0 h
f(h) 조건 ㈏에 의하여 f(x)+0이므로
이므로 lim =1 yy ㉡ 4 f(0)=1이다.
h`Ú0 h

66 수학Ⅱ
280   풀이 참조 h'(x)= f '(x)g(x)+ f(x)g '(x)이므로
h'(0)= f '(0)g(0)+ f(0)g'(0)
⑴ Dy= f(x+Dx)g(x+Dx)- f(x)g(x) =-3_3+1_0=-9
Dy ⑵ f(1)=g(1)=-1이므로
⑵ y'= lim
Dx`Ú0 Dx
f(1+2h)-g(1-3h)
lim
f(x+Dx)g(x+Dx)- f(x)g(x) h`Ú0 h
= lim
Dx`Ú0 Dx f(1+2h)- f(1)+g(1)-g(1-3h)
=lim
f(x+Dx)g(x+Dx)-f(x)g(x+Dx)+f(x)g(x+Dx)-f(x)g(x) h`Ú0 h
= lim
Dx`Ú0 Dx f(1+2h)- f(1) g(1-3h)-g(1)
=lim [ _2+ _3]
f(x+Dx)- f(x) 2h -3h
= lim [
h`Ú0
_g(x+Dx)
Dx`Ú0 Dx
=2 f '(1)+3g '(1)
g(x+Dx)-g(x)
 + f(x)_ ] =2_0+3_(-6)=-18
Dx
= f '(x)g(x)+ f(x)g '(x)

Dx를 사용하여 Dy 표현하기


채점 요소 배점
20 %
284  ④

80 % f(x)- f(2x-3)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도함수 구하기 lim
x-3
ⅠⅠ
x`Ú3

f(x)- f(3)+ f(3)- f(2x-3)


=lim
x-3 미
281
x`Ú3
 ⑤ 분
f(x)- f(3) f(2x-3)- f(3)
=lim [ - ] yy ㉠
곡선 y= f(x)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5이므로 x`Ú3 x-3 x-3
f(2)=1, f '(2)=5이다. 2x-3=t라 하면 x`→`3일 때 t`→`3이므로
y=(xÛ`-1) f(x)에서 f(2x-3)- f(3) f(t)- f(3)
lim =lim
x`Ú3 x-3 t`Ú3 t+3
y'=2x f(x)+(xÛ`-1) f '(x) -3
2
이므로 x=2에서의 미분계수는 f(t)- f(3)
4 f(2)+3 f '(2)=4_1+3_5=19 = lim _2
t`Ú3 t-3
=2 f '(3)
따라서 ㉠에서 구하는 값은 f '(3)-2 f '(3)=- f '(3)이다.
282  ⑤
f(x)=(xÛ`-2)(2x-3)에서
f(x)-4 g(x)-1 f '(x)=2x(2x-3)+2(xÛ`-2)이므로
lim =3, lim =2에서 각각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3 x-3 x`Ú3 x-3 - f '(3)=-(6_3+2_7)=-32
x`→`3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다른 풀이
즉, lim { f(x)-4}= f(3)-4=0에서 f(3)=4
x`Ú3 f(2x-3)- f(3)
lim {g(x)-1}=g(3)-1=0에서 g(3)=1이다. 본풀이 중 lim 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x`Ú3
x`Ú3 x-3
따라서 f(2x-3)- f(3) f(2x-3)- f(3)
lim = lim [ _2]
f(x)-4 f(x)- f(3) x`Ú3 x-3 x`Ú3 (2x-3)-3
lim =lim = f '(3)=3이고,
x`Ú3 x-3 x`Ú3 x-3 yy TIP
=2 f '(3)
g(x)-1 g(x)-g(3)
lim =lim =g '(3)=2이다. TIP
x`Ú3 x-3 x`Ú3 x-3
y'= f '(x)g(x)+ f(x)g '(x)이므로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기 위해
함수 y= f(x)g(x)의 x=3에서의 미분계수는 f(▲)- f(★)
f '(★)= lim ▲-★ 의 꼴로 변형하면
▲`Ú★
f '(3)g(3)+ f(3)g '(3)이다.
f(2x-3)- f(3)
∴ f '(3)g(3)+ f(3)g'(3)=3_1+4_2=11 lim = f '(3)임을 알 수 있다.
x`Ú3 (2x-3)-3

283   ⑴ -9 ⑵ -18

f '(x)=3xÛ`-3, g '(x)=4xÜ`-10x
⑴ h(x)= f(x)g(x)라 하면
285  ①

g(x)=(xÜ`+xÛ`-27) f(x)라 하면
f(x)g(x)- f(0)g(0) h(x)-h(0)
lim =lim =h'(0) g(3)=9 f(3)이므로
x`Ú0 x x`Ú0 x-0

Ⅱ. 미분 67
(xÜ`+xÛ`-27) f(x)-9 f(3) g(x)-g(3) f '(0)=(-1)+2+(-3)+y+20
lim = lim
x`Ú3 xÛ`-9 x`Ú3 (x-3)(x+3)
={(-1)+2}+{(-3)+4}+y+{(-19)+20}
g '(3) =1_10=10
=
6
g '(x)=(3xÛ`+2x) f(x)+(xÜ`+xÛ`-27) f '(x)이므로
g '(3)=33 f(3)+9 f '(3)
=33_(-2)+9_4=-30 289  ②

g '(3) -30 f(x)=(x-1)(x-2)(x-3)y(x-10)에서


∴ = =-5
6 6
f '(x)=(x-2)(x-3)(x-4)y(x-10)
+(x-1)(x-3)(x-4)y(x-10) ``
+(x-1)(x-2)(x-4)y(x-10)+y
286  ③ +(x-1)(x-2)(x-3)y(x-9) ``
x=1, x=4를 각각 대입하면
f(1)= f(3)= f(6)=k (k는 실수)라 하면
f '(1)=(1-2)(1-3)(1-4)(1-5)y(1-10)
f(x)-k=(x-1)(x-3)(x-6) yy TIP
=(-1)_(-2)_(-3)_(-4)_y_(-9)
f(x)=(x-1)(x-3)(x-6)+k이므로
f '(4)=(4-1)(4-2)(4-3)(4-5)y(4-10)
f '(x)=(x-3)(x-6)+(x-1)(x-6)+(x-1)(x-3)
=3_2_1_(-1)_y_(-6) yy TIP
∴ f '(3)=2_(-3)=-6 f '(1) (-7)_(-8)_(-9)
∴ = =-84
f '(4) 3_2_1
TIP
f(1)-k= f(2)-k= f(3)-k=0에서 TIP
방정식 f(x)-k=0이 x=1, 3, 6을 해로 가지므로 함수 f '(x)에 x=1을 대입하면 x-1을 인수로 갖는 항은 모두
f(x)-k는 x-1, x-3, x-6을 인수로 갖는다. 0이 되므로 함수 f '(x)에서 x-1을 인수로 갖지 않는 항만
이때,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고려해서 계산하면 된다.
f(x)-k=(x-1)(x-3)(x-6)이다. 그러므로 f '(1)의 값은 (x-2)(x-3)(x-4)_y_(x-10)
에 x=1을 대입한 값과 같고, 같은 방식으로 f '(4)의 값은
(x-1)(x-2)(x-3)(x-5)_y_(x-10)에 x=4를
대입한 값과 같다.

287  ①

f(x)=(x-a)(x-b)(x-c)라 하면
f '(x)=(x-b)(x-c)+(x-a)(x-c)+(x-a)(x-b)
곡선 y= f(x) 위의 점 (4, 6)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290  ④

f(x)
f(4)=6, f '(4)=3이다. lim =-3이므로 f(x)는 (x-1)Û`을 인수로 가진다.
x`Ú1 (x-1)Û`
f(4)=(4-a)(4-b)(4-c)=6
yy TIP
f '(4)=(4-b)(4-c)+(4-a)(4-c)+(4-a)(4-b)=3
f(x)=(x-1)Û`(ax+b) (a, b는 상수)라 하자.
 yy ㉠
f(x)
㉠의 양변을 (4-a)(4-b)(4-c)로 나누면 lim =lim (ax+b)=a+b=-3 yy ㉠
x`Ú1 (x-1)Û` x`Ú1
1 1 1 1
+ + = f(x)-k
4-a 4-b 4-c 2 lim =6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1 xÛ`-1
1 1 1 1
∴ + + =- x`→`-1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a-4 b-4 c-4 2
lim { f(x)-k}= f(-1)-k=0에서 k= f(-1)
즉, x`Ú-1
f(x)-k f(x)- f(-1) f '(-1)
lim = lim = =6
xÛ`-1 x`Ú-1 {x-(-1)}(x-1) -2
288
x`Ú-1
 ②
이므로 f '(-1)=-12
f(x)=(1-x)(1+2x)(1-3x)y(1+20x)라 하면 f '(x)=2(x-1)(ax+b)+a(x-1)Û`이므로
f '(x)=(-1)_(1+2x)(1-3x)(1+4x)_y_(1+20x) f '(-1)=-4(-a+b)+4a=8a-4b=-12
+2_(1-x)(1-3x)(1+4x)_y_(1+20x) 2a-b=-3 yy ㉡
+(-3)_(1-x)(1+2x)(1+4x)_y_(1+20x)+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20_(1-x)(1+2x)(1-3x)_y_(1-19x) 따라서 f(x)=(x-1)Û`(-2x-1)이므로
곡선 y= f(x) 위의 점 (0,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0)이므로 k= f(-1)=4_1=4

68 수학Ⅱ
TIP Û f '(a)=h'(a)
f(x) h'(x)=- f '(x)이므로
lim =-3에서 x`→`1일 때 (분모)`→`0이므로
x`Ú1 (x-1)Û` f '(a)=- f '(a)에서 f '(a)=0이다.
(분자)`→`0이다. 즉, f(1)=0에서 f(x)는 x-1을 인수로 f(x)=xÜ`-3xÛ`-5에서
가지므로 f(x)=(x-1)g(x) (g(x)는 이차식)라 하면 f '(x)=3xÛ`-6x이므로
(x-1)g(x) g(x) f '(a)=3aÛ`-6a=0, a=2 (∵ a>0)
lim =lim =-3에서 x`→`1일 때
(x-1)Û` x`Ú1 x-1
x`Ú1
㉠에서 b=2 f(2)=2_(-9)=-18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즉, g(1)=0에서 g(x)는 ∴ a+b=2+(-18)=-16
x-1을 인수로 가진다.
따라서 f(x)=(x-1)Û`(ax+b) (a, b는 상수)이다.
294  ③

1Éx<2일 때 f(x)=xÛ`+ax+b,
2Éx<3일 때 f(x)=2(xÛ`+ax+b)이다.

291  ② g(x)=xÛ`+ax+b, h(x)=2(xÛ`+ax+b)라 하면


두 함수 g(x), h(x)는 다항함수이므로 x=2에서 미분가능하다.
g(x)=xÜ` f(x)에서 g '(x)=3xÛ` f(x)+xÜ` f '(x)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려면
이를 조건 ㈏의 식에 대입하면 Ú g(2)=h(2)
f '(x)_xÜ` f(x)- f(x){3xÛ` f(x)+xÜ` f '(x)}=-27xÝ` 4+2a+b=2(4+2a+b)에서 4+2a+b=0 yy ㉠ ⅠⅠ
-3xÛ`{ f(x)}Û`=-27xÝ` Û g '(2)=h'(2) 미
{ f(x)}Û`=9xÛ` g '(x)=2x+a, h'(x)=2(2x+a)이므로 분

따라서 f(x)=Ñ3x, g(x)=Ñ3xÝ` (복부호동순)이므로 yy ㉠ 4+a=2(4+a)에서 4+a=0, a=-4


f(1)=Ñ3, f '(1)=Ñ3, g(1)=Ñ3, g '(1)=Ñ12 (복부호동순) ㉠에서 4-8+b=0, b=4
∴ f '(1)g(1)+ f(1)g '(1)=9+36=45 ∴ a+b=(-4)+4=0
다른 풀이

㉠에서 f(x)g(x)=9x5이므로 295  ④


{ f(x)g(x)}'= f '(x)g(x)+ f(x)g '(x)=45xÝ` f(x)+2
∴ f '(1)g(1)+ f(1)g '(1)=45 lim =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5 x-5
x`→`5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즉, lim
x`Ú5
{ f(x)+2}= f(5)+2=0에서

292  ② f(5)=-2 yy ㉠
f(x)+2 f(x)- f(5)
g(x)=xÜ`+ax, h(x)=bxÛ`+x+4라 하면 lim =lim = f '(5)이므로
x`Ú5 x-5 x`Ú5 x-5
두 함수 g(x), h(x)는 다항함수이므로 x=2에서 미분가능하다. f '(5)=4 yy ㉡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려면 다항식 f(x)를 (x-5)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Ú g(2)=h(2) 나머지를 r(x)=ax+b (a, b는 상수)라 하면
8+2a=4b+6에서 a-2b=-1 yy ㉠ f(x)=(x-5)Û`Q(x)+ax+b yy ㉢
Û g '(2)=h'(2) 양변에 x=5를 대입하면 f(5)=5a+b=-2 (∵ ㉠) yy ㉣
g '(x)=3xÛ`+a, h'(x)=2bx+1이므로 ㉢의 양변을 미분하면
12+a=4b+1에서 a-4b=-11 yy ㉡ f '(x)=2(x-5)Q(x)+(x-5)Û`Q'(x)+a
㉠, ㉡을 연립하여 풀면 a=9, b=5 양변에 x=5를 대입하면 f '(5)=a=4 (∵ ㉡)
∴ a+b=14 ㉣에 대입하면 b=-22
따라서 r(x)=4x-22이므로 r(1)=4-22=-18

293  ④
296  ④

h(x)=b- f(x)라 하면 두 함수 f(x), h(x)는 다항함수이므로 xÛ`â`을 x(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고,
x=a에서 미분가능하다. 나머지를 r(x)=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함수 g(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려면 xÛ`â`=x(x-1)Û`Q(x)+axÛ`+bx+c yy ㉠
Ú f(a)=h(a)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c=0
f(a)=b- f(a)에서 b=2 f(a) yy ㉠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 yy ㉡

Ⅱ. 미분 69
㉠의 양변을 미분하면
20xÚ`á`=(x-1)Û`Q(x)+2x(x-1)Q(x)+x(x-1)Û`Q'(x)
299  ②

+2ax+b f(x)가 일차식이거나 상수이면 주어진 등식의 좌변은 상수이고,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0=2a+b yy ㉢ 우변은 이차식이므로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19, b=-18 f(x)가 n차식(n¾2인 자연수)이면 f '(x)는 (n-1)차식이므로
따라서 r(x)=19xÛ`-18x이므로 주어진 등식의 좌변은 2(n-1)차, 우변은 n차이다.
r(-1)=19+18=37 2(n-1)=n에서 n=2
따라서 f(x)는 이차식이므로
f(x)=axÛ`+bx+c (a, b, c는 정수, a+0)라 하면
297   16
f '(x)=2ax+b
f(x)가 n차식이라 하면 f '(x)는 (n-1)차식이다. 따라서 x에 대한 항등식
따라서 f(x) f '(x)는 (2n-1)차식이므로 (2ax+b)(2ax+b-6)=2(axÛ`+bx+c)+12xÛ`, 즉
주어진 등식이 성립하려면 2n-1=3   ∴ n=2 4aÛ`xÛ`+2a(2b-6)x+b(b-6)=(2a+12)xÛ`+2bx+2c에서
따라서 f(x)는 이차식이므로 4aÛ`=2a+12, 2a(2b-6)=2b, b(b-6)=2c이다.
f(x)=xÛ`+ax+b (a, b는 상수)라 하면 4aÛ`=2a+12에서
f '(x)=2x+a 2aÛ`-a-6=(2a+3)(a-2)=0
f(x) f '(x)=(xÛ`+ax+b)(2x+a) ∴ a=2 (∵ a는 정수)
=2xÜ`+3axÛ`+(aÛ`+2b)x+ab 2a(2b-6)=2b에서
따라서 x에 대한 항등식 2(2b-6)=b   ∴ b=4
2xÜ`+3axÛ`+(aÛ`+2b)x+ab=2xÜ`-9xÛ`+5x+6에서 b(b-6)=2c에서 c=-4
3a=-9, aÛ`+2b=5, ab=6이므로 따라서 f(x)=2xÛ`+4x-4이므로
a=-3, b=-2 f(-1)=-6
따라서 f(x)=xÛ`-3x-2이므로
f(-3)=16

298  ⑤
300   ⑴ 1023 ⑵ 1360

⑴ f(x)= Á 에서 f '(x)= Á xk-1이므로


f(x)가 n차식이라 하면 f '(x)는 (n-1)차식이다.
10
xû` 10
x f(x)와 (xÛ`+1) f '(x)는 모두 (n+1)차식이고, f(x)의 k

f '(2)= Á 2k-1=
k=1 k=1
최고차항의 계수의 부호와 f '(x)의 최고차항의 계수의 부호는 서로 10
2Ú`â`-1
=1023
같으므로 x f(x)+(xÛ`+1) f '(x)는 (n+1)차식이다. yy TIP 2-1

⑵ f(1)= Á k=
k=1

주어진 등식이 성립하려면 n+1=3   ∴ n=2 15


15_16
=120
2

f(x)= Á kxk에서 f '(x)= Á k2xk-1이므로


따라서 f(x)는 이차식이므로 k=1
15 15
f(x)=axÛ`+bx+c (a, b, c는 상수, a+0)라 하면

f '(1)= Á k2=
k=1 k=1
f '(x)=2ax+b 15
15_16_31
x f(x)+(xÛ`+1) f '(x)=x(axÛ`+bx+c)+(xÛ`+1)(2ax+b) =1240
k=1 6
=3axÜ`+2bxÛ`+(2a+c)x+b ∴ f(1)+ f '(1)=120+1240=1360
따라서 x에 대한 항등식
다른 풀이

⑴ f(x)= Á
3axÜ`+2bxÛ`+(2a+c)x+b=3xÜ`+8xÛ`+4에서
10
xû` xÛ` xÜ` xÚ`â`
a=1, b=4, c=-2 =x+ + +y+ 에서
k=1 k 2 3 10
따라서 f(x)=xÛ`+4x-2이므로 f '(x)=1+x+xÛ`+y+xá`이므로
f(2)=10 2Ú`â`-1
f '(2)=1+2+2Û`+y+2á`= =1023
2-1

⑵ f(1)= Á k=
TIP
15
15_16
g(x)와 h(x)가 모두 n차식일 때, g(x)+h(x)의 차수는 =120
2

f(x)= Á kxk=x+2xÛ`+3xÜ`+y+15xÚ`Þ`에서
k=1

n 이하이다. g(x)와 h(x)를 더해서 최고차항이 소거되는 경우 15

차수가 n보다 작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k=1

2
하지만 (n+1)차인 두 함수 x f(x)와 (x +1) f '(x)는 f '(x)=1+2Û`x+3Û`xÛ`+y+15Û`xÚ`Ý`이므로
최고차항의 계수의 부호가 서로 같기 때문에 최고차항이 15_16_31
f '(1)=1Û`+2Û`+3Û`+y+15Û`= =1240
6
소거되지 않으므로 x f(x)+(xÛ`+1) f '(x)는 (n+1)차이다.
∴ f(1)+ f '(1)=120+1240=1360

70 수학Ⅱ
301   34 따라서 f1(x)=xÛ`일 때,
fª(x)=xÛ`+2x
f(k+h)- f(k-h) f£(x)=xÛ`+4x+2
lim
h`Ú0 h
f¢(x)=xÛ`+6x+2+4
f(k+h)- f(k) f(k-h)- f(k)
=lim [ + ] f°(x)=xÛ`+8x+2+4+6
h`Ú0 h -h

= f '(k)+ f '(k)=2 f '(k)
이므로 fª°(x)의 상수항은
이고, f '(x)=2x+a이므로

Á lim = Á 2 f '(k)= Á 2(2k+a)


2+4+6+y+46=2(1+2+3+y+23)
15 f(k+h)- f(k-h) 15 15
23_24
k=1 h`Ú0 h =2_ =552
2
= Á (4k+2a)
k=1 k=1

15

k=1

15_16
=4_ +15_2a
2

∴ a=34
=480+30a=1500
304  ③

함수 g(a, b)는 함수 f(x)에서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 즉 두 점 (a, f(a)), (b, f(b))를 이은 직선의
302   503 기울기이다.
ⅠⅠ
1 ① ‌f(6)=4, f(8)=0이므로 미
lim { f(1+3h)- f(1-h)}
h`Ú0 2h 0-4 분
g(6, 8)= =-2 (참)
f(1+3h)- f(1)+ f(1)- f(1-h) 8-6
= lim
h`Ú0 2h ② ‌두 점 (3, 2), (5, f(5))를 이은 직선의 기울기가
f(1+3h)- f(1) 3 f(1-h)- f(1) 1
= lim [ _ ]
두 점 (4, 1), (5, f(5))를 이은 직선의 기울기보다 작으므로
_ +
h`Ú0 3h 2 -h 2 g(3, 5)<g(4, 5) (참)
3 1
= f '(1)+ f '(1)=2 f '(1) yy ㉠ y
2 2

한편, f(x)= Á x +Á
4 y=f{x}
15
1 k+1 15 1
xk에서
k=1 k k=1 k+1

f '(x)= Á x +Á
2
k+1 k 15 k
15
1
xk-1이므로
k k=1 k+1

f '(1)= Á +Á
k=1
O 3 4 5 6 8 x
15
k+1 15
k
k k=1 k+1

= Á {1+ }+ Á {1-
k=1 ③ 6Éa<bÉ8인
‌ a, b에 대하여 두 점 (a, f(a)), (b, f(b))를
}
15
1 15
1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2인 직선이 무수히 많이 존재하므로
k k+1

= Á {2+
k=1 k=1
g(a, b)=-2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는 무수히 많다.
}
15
1 1
-  (거짓)
k=1 k k+1
y
=15_2+[{ - }+{ - }+y+{ - }]
1 1 1 1 1 1
1 2 2 3 15 16 4 y=f{x}

}
1
=30+{1- 2
16
1
15 495
=30+ =
16 16 O 3 4 6 8 x
㉠에서 구하는 값은
④ 3<bÉ4인
‌ 모든 b에 대하여 g(3, b)=-1이므로
495
2 f '(1)= g(3, b)=-1을 만족시키는 b의 값은 무수히 많다. (참)
8
⑤ 0Éa<8인
‌ a에 대하여 두 점 (a, f(a)), (8, 0)을 이은 직선의
따라서 p=8, q=495이므로
1
p+q=503 기울기는 a=0 또는 a=4일 때 최댓값 - 을 갖는다. (참)
4
y

303   552 4 y=f{x}

2
fn(x)=xÛ`+anx+bn이라 하면 fn'(x)=2x+an이므로
1
fn+1(x)= fn(x)+ fn'(x)
=(xÛ`+anx+bn)+(2x+an) O 3 4 6 8 x

=xÛ`+(an+2)x+an+bn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Ⅱ. 미분 71
f(xÛ`)- f(4) x-(-2)
305  ② = lim [
x`Ú-2 xÛ`-4
_
f(x)- f(-2)
_(x-2)]

g(x)=x|x|, h(x)=|x-1|Ü`이라 하자. 1


= f '(4)_ _(-4) yy ㉠
  xÛ` (x¾0) f '(-2)
이때, g(x)=[ ,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xÛ` (x<0)
  (x-1)Ü` (x¾1) f '(-x)=- f '(x)이다. yy TIP
h(x)=[ 이므로 즉, f '(-2)=- f '(2)=-2이므로
-(x-1)Ü` (x<1)
   2x (x>0) ㉠에서 구하는 값은
g '(x)=[ 이고, g '(0)=0 yy TIP
1
-2x (x<0) (-1)_{- }_(-4)=-2
2
  3(x-1)Û` (x>1)
h'(x)=[ 이고, h'(1)=0 다른 풀이
-3(x-1)Û` (x<1)
∴ f '(0)+ f '(1)={g '(0)+h'(0)}+{g '(1)+h'(1)} 함수 y= 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0+(-3)}+(2+0)=-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다.
다른 풀이 즉, f(-2)= f(2)이므로
f(xÛ`)- f(4)
-xÛ2-(x-1)3 (x<0) lim
[
x`Ú-2 f(x)- f(-2)

f(x)= xÛ`-(x-1)3 (0Éx<1)에서 f(xÛ`)- f(4)


xÛ`+(x-1) 3
(x¾1) = lim
x`Ú-2 f(-x)- f(2)
-2x-3(x-1)Û2 (x<0)
[
f(xÛ`)- f(4) -x-2
= lim [ _ _(-x+2)]
f '(x)= 2x-3(x-1)Û2 (0<x<1) x`Ú-2 xÛ`-4 f(-x)- f(2)
2x+3(x-1)Û2 (x>1) 1
= f '(4)_ _4
이때, f '(0)=-3, f '(1)=2이므로 f '(0)+ f '(1)=-1 f '(2)
1
TIP =(-1)_ _4=-2
2
  xÛ` (x¾0)
g(x)=[ 에서 TIP
-xÛ` (x<0)
pÁ(x)=xÛ`, qÁ(x)=-xÛ`이라 하면 254번 TIP 을 참고하자.
두 함수 pÁ(x), qÁ(x)는 다항함수이므로
함수 g(x)는 0이 아닌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pÁ(0)=qÁ(0)이고 pÁ'(0)=qÁ'(0)이므로
함수 g(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함수 g(x)는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고
g'(0)=0(=pÁ'(0)=qÁ'(0))이다. 307  ①
  (x-1)Ü` (x¾1)
마찬가지로 h(x)=[ 에서 f(x)- f(2)
-(x-1)Ü` (x<1) ㄱ. ‌lim =1이면 함수 f(x)는 x=2에서
x`Ú2 x-2
pª(x)=(x-1)Ü`, qª(x)=-(x-1)Ü`이라 하면
미분가능하므로 x=2에서 연속이다. (참)
함수 h(x)는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함을 알 수 있고,
ㄴ. (반례)
‌ f(x)=|x|이면
h'(1)=0(=pª'(1)=qª'(1))이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x|이므로
f(x)= f(-x)이지만,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참고
않다. (거짓) yy TIP1
함수 |x|가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함수
ㄷ. (반례)
‌ f(x)=|x-2|이면 h+0일 때
g(x)=x|x|가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해서는 안
f(2+h)- f(2-h) |2+h-2|-|2-h-2|
된다. 함수식이 달라지는 지점에서의 미분가능성에 대한 판단은 =
h h
미분계수의 정의를 통하여 항상 확인하는 연습을 하도록 하자. |h|-|-h|
= =0 (∵ |h|=|-h|)
h
f(2+h)- f(2-h)
이므로 lim =0이지만,
h`Ú0 h
함수 f(x)는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306  ②
lim
f(2+h)- f(2)
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yy TIP2
f(xÛ`)- f(4) h`Ú0 h
lim
x`Ú-2 f(x)- f(-2)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72 수학Ⅱ
TIP1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함수 f(x)가 x=0에서 미분가능할 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2)=g(2)+2a+b
f(x)= f(-x)이면 f '(0)=0이다. 2a+b=0 (∵ ㉡) yy ㉣
[증명] ㉠의 양변을 미분하면
f(x)- f(0) f '(x)=2(x-3)g(x)+(x-3)Û`g '(x)+a
lim = f '(0)으로 극한값이 존재한다고 하자.
x`Ú0 x-0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x)- f(0) f(-x)- f(0)
lim =lim[- ] (∵ f(x)=f(-x)) f '(2)=-2g(2)+g '(2)+a
x`Ú0 x-0 x`Ú0 (-x)-0 a= f '(2)-g '(2)+2g(2)=3+2_2=7 (∵ ㉡, ㉢)
=- f '(0)
㉣에 대입하면 b=-14
즉, f '(0)=- f '(0)이므로 f '(0)=0이다.
따라서 f(x)=(x-3)Û`g(x)+7x-14이므로
f(3)=7
TIP2
함수 f(x)의 x=a에서의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각각 모두
f(a+h)- f(a-h)
존재하기만 하면 lim
h`Ú0 h
의 극한값이
309   19
존재한다.
함수 f(x)를 n차함수라 하고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f(a+h)- f(a) f(a+h)- f(a)
즉, lim =p, lim =q로 a (a+1, a+0)라 하자.
h`Ú0- h h`Ú0+ h
즉, f(x)=axn+y일 때, ⅠⅠ
극한값이 존재할 때 2 2 2n 2 2n n+3 미
{ f(x)} =a x +y, f(x )=ax +y, xÜ` f(x)=ax +y이다.
f(a+h)- f(a-h) 분
lim { f(x)}Û`- f(xÛ`)
h`Ú0 h 조건 ㈎의 lim =4에서
x`Ú¦ xÜ` f(x)
f(a+h)- f(a) f(a-h)- f(a)
=lim [ + ]에서 분모 xÜ` f(x)의 차수는 n+3, 분자 { f(x)}Û`- f(xÛ`)의 차수는
h`Ú0 h h
2n이므로 (∵ aÛ`-a+0)
h`→`0+일 때 위의 극한값은 q+p이고, h`→`0-일 때 위의
n+3=2n에서 n=3
f(a+h)- f(a-h)
극한값은 p+q로 서로 같으므로 lim 의 { f(x)}Û`- f(xÛ`) aÛ`-a
h`Ú0 h 이때, lim = =a-1=4에서 a=5
x`Ú¦ xÜ` f(x) a
극한값이 존재한다. 따라서 f(x)=5xÜ`+bxÛ`+cx+d (b, c, d는 상수)라 하면
이때, p+q인 경우, 즉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지 f '(x)=15xÛ`+2bx+c이다.
f(a+h)- f(a-h) f '(x)
않아도 lim 의 극한값이 존재한다. 조건 ㈏의 lim =lim
15xÛ`+2bx+c
=4에서 극한값이
h`Ú0 h x`Ú0 x x`Ú0 x
존재하고, x`→`0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즉, lim (15xÛ`+2bx+c)=c=0이므로
x`Ú0

15xÛ`+2bx
lim =2b=4에서 b=2
x`Ú0 x

308  ④ 따라서 f '(x)=15xÛ`+4x이므로


f '(1)=19
조건 ㈎에서 다항식 f(x)를 (x-3)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g(x)이고, 나머지를 ax+b (a, b는 상수)라 하면
f(x)=(x-3)Û`g(x)+ax+b yy ㉠
조건 ㈏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하여 g(2)=2이다. 310   ;3!;
f(x)-g(x)
조건 ㈐의 lim =3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조건 ㈏의 2xÛ` f(x)=(xÛ`-4) f '(x)-4x에서
x`Ú2 x-2
2xÛ` f(x)+4x
x`→`2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x+-2, 2일 때 f '(x)= 이다.
xÛ`-4
즉, lim
x`Ú2
{ f(x)-g(x)}= f(2)-g(2)=0에서 f(2)=g(2)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 '(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f(2)=g(2)=2 yy ㉡ 2x{x f(x)+2}
f '(-2)= lim  yy ㉠
x`Ú-2 xÛ`-4
f(x)-g(x) f(x)- f(2)+g(2)-g(x)
lim = lim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2일 때 (분모)→`0이므로
x`Ú2 x-2 x`Ú2 x-2
f(x)- f(2) g(x)-g(2) (분자)→`0이다.
=lim [ - ] 즉, lim {2xÛ` f(x)+4x}=8 f(-2)-8=0에서
x`Ú2 x-2 x-2 x`Ú-2

= f '(2)-g '(2) f(-2)=1 yy ㉡


이므로 f '(2)-g'(2)=3 yy ㉢ ㉠에서

Ⅱ. 미분 73
2x{x f(x)+2}
f '(-2)= lim
x`Ú-2 xÛ`-4 312  ③
2x{x f(x)+2 f(-2)} 임의의 두 양수 x, y에 대하여
= lim
x`Ú-2 xÛ`-4
f(xy)= f(x)+ f(y) yy ㉠
x f(x)+2 f(x)-2 f(x)+2 f(-2)
= lim [ ]
2x
_ f(3+h)- f(3)
x`Ú-2 x-2 x+2

= lim [
f '(3)=lim 에서
h`Ú0 h
(x+2) f(x) f(x)- f(-2)
]]
2x
_[ -2_
}는 0에 가까운 실수 h에 대하여 1+ 가
x`Ú-2 x-2 x+2 x-(-2) h h
3+h=3{1+
3 3
= f(-2)-2 f '(-2)
f(-2) 1 양수이므로 ㉠에 의하여
∴ f '(-2)= = (∵ ㉡)
f(3+h)= f {3_{1+ }}= f(3)+ f {1+ }
3 3 h h
3 3
다른 풀이
f {1+ }
h
㉡ 이후부터 다음과 같이 풀 수 있다. f(3+h)- f(3) 3
따라서 f '(3)=lim
h`Ú0 h
=lim
h`Ú0 h 이고,
㉠에서 g(x)=2xÛ` f(x)+4x라 하면 g(-2)=0이므로
g(x) ㉠의 양변에 x=1, y=1을 대입하면
f '(-2)= lim
x`Ú-2 xÛ`-4 f(1)= f(1)+ f(1)에서 f(1)=0이므로
g(x)-g(-2) 1
= lim [ _ ] f {1+
h
}
x`Ú-2 x-(-2) x-2 3
f '(3)= lim
1 h`Ú0 h
=- g '(-2)
4
f {1+
}
h - f(1)
g '(x)=4x f(x)+2xÛ` f '(x)+4에서 3 1
= lim _3
g '(-2)=-8 f(-2)+8 f '(-2)+4이므로
h`Ú0
h
3
f '(-2)=2 f(-2)-2 f '(-2)-1 1 1
= f '(1)= _15=5
2 f(-2)-1 1 3 3
∴ f '(-2)= = (∵ ㉡)
3 3

311  ②

점 (0, f(0))과 점 (a, f(a)) (a>0) 사이의 거리가 313   28


a"ÃaÛ`+2a+2 이므로 f(x)- f '(x)
aÛ`+{ f(a)- f(0)}Û`=(a"ÃaÛ`+2a+2 )Û` lim =1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1 xÛ`-1
양변을 aÛ`으로 나누면 x`→`1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f(a)- f(0) Û`
1+[ ] =aÛ`+2a+2 즉, lim { f(x)- f '(x)}=0에서 f(1)- f '(1)=0
x`Ú1
a
∴ f(1)= f '(1) yy ㉠
함수 f(x)는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므로 a>0에 대하여
f(x+y)= f(x)+ f(y)+2xy-1 yy ㉡
f(a)> f(0)이 성립한다. 따라서
㉡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0)= f(0)+ f(0)-1에서
f(a)- f(0)
="ÃaÛ`+2a+1 =a+1 (∵ a>0) f(0)=1 yy ㉢
a-0
f(a)- f(0)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 f '(0)=lim =lim (a+1)=1
a`Ú0 a-0 a`Ú0 f(x+h)- f(x)
f '(x)= lim
다른 풀이
h`Ú0 h
{ f(x)+ f(h)+2xh-1}- f(x)
양수 x에 대하여 =lim (∵ ㉡)
h`Ú0 h
xÛ`+{ f(x)- f(0)}Û`=(x"ÃxÛ`+2x+2 )Û`이므로
f(h)+2xh-1
{ f(x)- f(0)}Û`=xÛ`(xÛ`+2x+2)-xÛ` =lim
h`Ú0 h
=xÛ`(xÛ`+2x+1) f(h)-1
=lim [ +2x]
=xÛ`(x+1)Û` yy ㉠ h`Ú0 h
함수 f(x)는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므로 f(h)- f(0)
=lim [2x+ ] (∵ ㉢)
x>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0)이 성립한다. h`Ú0 h-0
따라서 ㉠에서 f(x)- f(0)=x(x+1)=xÛ`+x이므로 =2x+ f '(0) yy ㉣
f(x)=xÛ`+x+ f(0) 이때, f '(1)=2+ f '(0)이므로
이때, f '(x)=2x+1이므로 f '(0)= f '(1)-2= f(1)-2 (∵ ㉠)
f '(0)=1 ∴ f '(x)=2x+ f(1)-2

74 수학Ⅱ
f(x)- f '(x) f(x)-2x- f(1)+2
lim = lim 즉, 이차 이하의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성립한다.
x`Ú1 xÛ`-1 x`Ú1 xÛ`-1
f(x)- f(1) 2(x-1) 또한, f(x)가 삼차 이상의 다항함수일 때는
=lim [ - ]
x`Ú1 xÛ`-1 xÛ`-1 ‘모든 실수 x, y (x+y)에 대하여
f(x)- f(y)
= f '{
x+y
}’가
f(x)- f(1) x-y 2
=lim [ ]
1 2
_ -
x`Ú1 x-1 x+1 x+1 성립하지 않는다.
1 [증명]
= f '(1)-1=14
2
f(x)가 n차식(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라 할 때,
∴ f '(1)=30
f(x)=anxn+an-1xn-1+y+a1x+a0
∴ f '(0)= f '(1)-2=28
(a0, a1, a2, y, an은 실수)이라 하면
다른 풀이 f(x)- f(y)
㉣ 이후부터 다음과 같이 풀 수 있다. =an(xn-yn)+an-1(xn-1-yn-1)+y+a1(x-y)
g(x)= f '(x)라 하면 이고, 양변을 x-y(x+y)로 나누면
f(x)- f '(x) f(x)- f(y)
lim  =an(xn-1+xn-2y+xn-3y2+y+xyn-2+yn-1)
x`Ú1 xÛ`-1 x-y
f(x)- f(1)+ f '(1)- f '(x) +an-1(xn-2+xn-3y+xn-4y2+y+xyn-3+yn-2)
=lim (∵ ㉠)
xÛ`-1
=lim [
x`Ú1 +y+a2(x+y)+a1
f(x)- f(1) g(x)-g(1)
[ ]]
1 f '(x)=nanx n-1
+(n-1)an-1xn-2+y+2a2x+a1에서
-
ⅠⅠ
x`Ú1 x+1 x-1 x-1
nan (n-1)an-1
}= n-1 (x+y)n-1+
x+y
1 f '{ (x+y)n-2
= { f '(1)-g '(1)} 2 2 2n-2 미
2
  +y+a2(x+y)+a1 분
㉣에 의하여 f '(1)=2+ f '(0)이고,
}가 성립하려면
f(x)- f(y) x+y f(x)- f(y)
g(x)=2x+ f '(0)에서 g '(x)=2이므로 = f '{ 와
x-y 2 x-y
1
}의 xn-1항의 계수가 서로 같아야 하므로
[{2+ f '(0)}-2]=14 x+y
2 f '{
2
∴ f '(0)=28 nan
an= n-1 에서 n=2n-1
2
이를 만족시키는 2 이상의 자연수 n은 2뿐이다.

314  ④
315  ③
다항함수 f(x)가 이차 이하의 함수일 때 yy TIP
f(t+h)- f(t)
는 두 점 (t, f(t)), (t+h, f(t+h))를 이은
}를 만족시킨다.
f(x)- f(y) x+y h
주어진 조건 = f '{
x-y 2
f(t+h)- f(t)
Ú ‌f(x)가 상수함수이면 f '(x)=0이므로 f '(0)=1을 만족시키지 직선의 기울기이므로 Ék를 만족시키는 k의
h
않는다. 최솟값은 두 점 (t, f(t)), (t+h, f(t+h))를 이은 직선의
Û ‌f(x)가 일차함수이면 f(x)=ax+b (a, b는 상수, a+0)라 기울기의 최댓값이다.
할 때, f '(x)=a이므로 f '(0)=1, f '(1)=0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Ú t<2일 때,
Ü ‌f(x)가 이차함수이면 f(x)=kx2+mx+n 점 (t, f(t))와 점 (6, 6)을 이은 직선일 때의 기울기가
(k, m, n은 상수, k+0)이라 할 때, 최대이므로
f(0)=-1이므로 n=-1 t-6
g(t)= =1
f '(x)=2kx+m에서 t-6
f '(0)=1이므로 m=1 Û 2Ét<5일 때,
1 점 (t, f(t))와 점 (6, 6)을 이은 직선일 때의 기울기가
f '(1)=0이므로 2k+m=0에서 k=-
2 최대이므로
1 (tÛ`-7t+12)-6 (t-1)(t-6)
따라서 f(x)=- xÛ`+x-1이므로 f(2)=-1이다. g(t)= = =t-1
2 t-6 t-6
TIP Ü 5Ét<6일 때,
점 (t, f(t))와 점 (6, 6)을 이은 직선일 때의 기울기가
226번 TIP 의 [증명]에서 a+0일 때도
최대이므로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f(q)- f(p) p+q
= f '{ (4t-18)-6
q-p 2 g(t)= =4
t-6

Ⅱ. 미분 75
Ý t¾6일 때, Ú 〜 Ý에서

[
직선의 기울기는 항상 0이므로 g(t)=0 tÛ` (0<t<1)
Ú ~ Ý에 의하여 함수 y=g(t)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tÛ`+1
 (1Ét<2)
y 2
y=g{t}
f(t)= 3 이므로
4 2t-  (2Ét<3)
2
9
1 3t- (3Ét<4)
2

[
O 2 5 6 t
2t (0<t<1)
t (1<t<2)
따라서 함수 g(t)는 x=6에서만 불연속이므로 a=1 f '(t)=
2 (2<t<3)
t=2, 5, 6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b=3
3 (3<t<4)
∴ a+b=4
lim f '(t)= lim 2t=2, lim f '(t)= lim t=1이므로
t`Ú1- t`Ú1- t`Ú1+ t`Ú1+

f '(1)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 lim f '(t)= lim 2=2, lim f '(t)= lim 3=3이므로
316
t`Ú3- t`Ú3- t`Ú3+ t`Ú3+
 ③
f '(3)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Ú 0<t<1일 때, 따라서 t=1, t=3일 때 f '(t)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y 열린구간 (0, 4)에서 함수 f(t)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모든 t의
y=f{x}
3 값의 합은 1+3=4이다.
2
TIP
1
t 구간별로 식이 다르게 주어진 함수 f(t)에 대하여 앞에서 설명한

O t1 2 3 4 x 237번 TIP1 에 의하면 t=1, t=2, t=3에서 연속이고, 특히


t=2에서 미분가능하다는 것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f(t)=tÛ`
Û 1Ét<2일 때,
y
y=f{x}
3

2
317   186

t    x+1 (x<1)
1 함수 f(x)=[ 의 그래프 위의 점을
-2x+4 (x¾1)
O 1 t 2 3 4 x P(x, f(x))라 하면

1 tÛ`+1 PAÓ Û`=(x+1)Û`+{ f(x)+1}Û`,


f(t)=1+ (t-1)(t+1)=
2 2 PBÓ Û`=(x-1)Û`+{ f(x)-2}Û`이다.
Ü 2Ét<3일 때, Ú x<1일 때, f(x)=x+1이므로
y
y=f{x} 부등식 PAÓ Û`<PBÓ Û`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3
2xÛ`+6x+5<2xÛ`-4x+2에서
t
2 3
x<-
10
1
Û x¾1일 때, f(x)=-2x+4이므로
O 1 2 t 3 4 x 부등식 PAÓ Û`>PBÓ Û`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5 3 5xÛ`-18x+26>5xÛ`-10x+5에서
f(t)= +2(t-2)=2t-
2 2 21
x<
Ý 3Ét<4일 때, 8
y Ú, Û에 의하여
t y=f{x}
3
3 {x<- }

[
   2xÛ`+6x+5
10
2
3
   2xÛ`-4x+2 {- Éx<1}
1 10
g(x)=
21
O 1 2 3t 4 x 5xÛ`-10x+5 {1Éx< }
8
9 9 21
f(t)= +3(t-3)=3t- 5xÛ`-18x+26 {x¾ }
2 2 8

76 수학Ⅱ
3
{x<- }
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
   2xÛ`+6x+5
y 10
3
   2xÛ`-4x+2 {- Éx<1}
10
y=g{x} 즉 g(x)=
21
5xÛ`-10x+5 {1Éx< }
8
21
5xÛ`-18x+26 {x¾ }
8
그러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
O1 21 x
3
- 8
10
y=g{x}
3
{x<- }

[
  4x+6
10
3
  4x-4 {- <x<1}
10
g '(x)=
21
10x-10 {1<x< }
8
21 O1 21 x
{x> }
3
10x-18 - 8
8 10
3 21
{x<-
3
}
ⅠⅠ

[
따라서 x=- , x= 일 때 g '(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4x+6
10 8 10 미
3 21 93 3
p={- }+ = {- <x<1}

  4x-4
10 8 40 10
g'(x)=
93 21
∴ 80p=80_ =186 10x-10 {1<x< }
40 8
21
다른 풀이 10x-18 {x> }
8
   x+1 (x<1) 3 21
함수 f(x)=[ 의 그래프 위의 점을 따라서 x=- , x= 일 때 g '(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2x+4 (x¾1) 10 8
P(x, f(x))라 하고 3 21 93
p={- }+ =
10 8 40
i(x)=PAÓ Û`=(x+1)Û`+{ f(x)+1}Û`,
93
j(x)=PBÓ Û`=(x-1)Û`+{ f(x)-2}Û`이라 하자. ∴ 80p=80_ =186
40
그림과 같이 PAÓ=PBÓ를 만족시킬 때의 점 P를 각각 C, D라 하면
y
B
2
y=f{x}
C
-1
O 1 2 x
A -1
D

2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인 직선 CD는 기울기가 - 이고
3
1
선분 AB의 중점 {0, }을 지나므로
2
2 1
직선 CD의 방정식은 y=- x+ 이다.
3 2
2 1 3
이때, 방정식 x+1=- x+ (x<1)의 해는 x=- 이고
3 2 10
2 1 21
방정식 -2x+4=- x+ (x¾1)의 해는 x= 이다.
3 2 8
따라서 함수 g(x)는
3
{x<- }

[
i(x)
10
3 21
g(x)= j(x) {- Éx< } ,
10 8
21
i(x) {x¾ }
8

Ⅱ. 미분 77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도함수의 활용 ⑴
D
=9-(4-k)=0, k=-5
4
즉, 접선의 방정식이 y=5x-5이므로 f(x)=5x-5이다.
318   ⑴ y=x-3 ⑵ y=4x-7 ∴ f(2)=5

⑴ 함수 y=2xÛ`-3x-1의 도함수는 y '=4x-3이므로


곡선 y=2xÛ`-3x-1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21  ⑤
1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2)=x-1,
직선 y=4x+a와 곡선 y=3xÜ`-5x+3의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즉 y=x-3이다.
x=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4이다.
⑵ 함수 y=xÜ`-2xÛ`+1의 도함수는 y '=3xÛ`-4x이므로
함수 y=3xÜ`-5x+3의 도함수는 y '=9xÛ`-5이므로
곡선 y=xÜ`-2xÛ`+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9tÛ`-5=4에서 t=Ñ1이다.
4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1=4(x-2),
y=3xÜ`-5x+3에서 x=1일 때 y=1, x=-1일 때 y=5이므로
즉 y=4x-7이다.
접점의 좌표는 (1, 1) 또는 (-1, 5)이다.
접점이 직선 y=4x+a 위의 점이므로

319   y=3x+2 접점이 (1, 1)일 때 1=4+a에서 a=-3,


접점이 (-1, 5)일 때 5=-4+a에서 a=9이다.
함수 y=xÛ`+x+3의 도함수는 y '=2x+1이므로 ∴ a=9 (∵ a>0)
기울기가 3인 접선의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2t+1=3에서 t=1이다.
y=xÛ`+x+3에서 x=1일 때 y=5이므로 322  ⑤

접점의 좌표는 (1, 5)이다. 점 (0, 2)에서 곡선 y=xÜ`+x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5=3(x-1), (t, tÜ`+t)라 하자.
즉 y=3x+2이다. 함수 y=xÜ`+x의 도함수는 y '=3xÛ`+1이므로
다른 풀이 곡선 y=xÜ`+x 위의 점 (t, tÜ`+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곡선 y=xÛ`+x+3에 접하는 기울기가 3인 접선의 방정식을 3tÛ`+1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3x+k (k는 상수)라 하면 y-(tÜ`+t)=(3tÛ`+1)(x-t),

이차방정식 xÛ`+x+3=3x+k, 즉 xÛ`-2x+3-k=0이 중근을 즉 y=(3tÛ`+1)x-2tÜ`이다. yy ㉠

가지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 직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D 2=-2tÜ`에서 tÜ`=-1   ∴ t=-1


=1-(3-k)=0, k=2
4 ㉠에 t=-1을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3x+2이다. 1
y=4x+2이므로 접선의 x절편은 - 이다.
2

320  ②
323  ④
직선 y=5x-1에 평행한 접선의 기울기는 5이다.
점 (2, 4)에서 곡선 y=-xÛ`+4x-1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함수 y=xÛ`-x+4의 도함수는 y '=2x-1이므로
(t, -tÛ`+4t-1)이라 하자.
기울기가 5인 접선의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함수 y=-xÛ`+4x-1의 도함수는 y '=-2x+4이므로
2t-1=5에서 t=3이다.
곡선 y=-xÛ`+4x-1 위의 점 (t, -tÛ`+4t-1)에서의 접선의
y=xÛ`-x+4에서 x=3일 때 y=10이므로
기울기는 -2t+4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y ㉠
접점의 좌표는 (3, 10)이다.
y-(-tÛ`+4t-1)=(-2t+4)(x-t),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10=5(x-3),
즉 y=(-2t+4)x+tÛ`-1이다. yy ㉡
즉 y=5x-5이므로 f(x)=5x-5이다.
이 직선이 점 (2, 4)를 지나므로
∴ f(2)=5
4=2(-2t+4)+tÛ`-1에서
다른 풀이 tÛ`-4t+3=(t-1)(t-3)=0   ∴ t=1 또는 t=3
직선 y=5x-1에 평행한 접선의 기울기는 5이므로 ㉠에서 t=1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2이고,
접선의 방정식을 y=5x+k (k는 상수)라 하자. t=3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2이다.
이 접선이 곡선 y=xÛ`-x+4에 접하므로 즉, 구하는 접선은 t=3일 때이므로 ㉡에 대입하면
이차방정식 xÛ`-x+4=5x+k, 즉 xÛ`-6x+4-k=0이 중근을 접선의 방정식은 y=-2x+8이다.
가진다. 따라서 접선의 y절편은 8이다.

78 수학Ⅱ
f(6)- f(0)
324  ③
6-0
= f '(c)  yy ㉠

점 (0, 1)에서 곡선 y=xÛ`-2x+2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인 c가 구간 (0, 6)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t, tÛ`-2t+2)라 하자. f(6)- f(0) 46-10
= =6이고, f '(t)= -3t+15 이므로
6-0 6
함수 y=xÛ`-2x+2의 도함수는 y '=2x-2이므로
㉠을 만족시키는 c의 값을 구하면
곡선 y=xÛ`-2x+2 위의 점 (t, tÛ`-2t+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6=-3c+15에서 c= 3 이다.
2t-2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tÛ`-2t+2)=(2t-2)(x-t), ㈎`:`연속, ㈏`:`미분가능, ㈐`:` f '(c), ㈑`:`-3t+15, ㈒`:`3
즉 y=(2t-2)x-tÛ`+2이다.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이 직선이 점 (0, 1)을 지나므로
1=-tÛ`+2에서 t=Ñ1
y=xÛ`-2x+2에서 x=-1일 때 y=5, x=1일 때 y=1이므로 329  ④
두 접점의 좌표는 (-1, 5), (1, 1)이다. f(xÛ`)-4
∴ PQÓ="Ã2Û`+(-4)Û` =2'5 lim
x`Ú2 x-2
=-8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2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즉, lim { f(xÛ`)-4}= f(4)-4=0에서 f(4)=4 yy ㉠
325
x`Ú2
  풀이 참조
ⅠⅠ
f(xÛ`)-4 f(xÛ`)- f(4)
lim = lim
x`Ú2 x-2 x`Ú2 x-2
⑴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f(xÛ`)- f(4)
미분가능할 때, f(a)= f(b)이면 f '(c)=0인 c가 a와 b 사이에 =lim [(x+2)_ ] 분
x`Ú2 xÛ`-4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4 f '(4)=-8
⑵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f(b)- f(a)
이므로 f '(4)=-2 yy ㉡
미분가능하면 = f '(c)인 c가 a와 b 사이에 적어도 ㉠,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 (4, 4)에서의
b-a
하나 존재한다. 접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4=-2(x-4), 즉 y=-2x+12이다.

326  ③

함수 f(x)=xÛ`+4x는 구간 [-4, 0]에서 연속이고 구간 (-4, 0)


330   y=2x+6

에서 미분가능하며 f(-4)= f(0)=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y=xÜ`+axÛ`+(2a-1)x+a+4에서


f '(c)=0인 c가 구간 (-4, 0)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a에 대한 항등식을 풀면
이때, f '(x)=2x+4이므로 a(xÛ`+2x+1)+xÜ`-x+4-y=0에서
f '(c)=2c+4=0에서 c=-2이다. xÛ`+2x+1=0이고, xÜ`-x+4-y=0이다.
xÛ`+2x+1=0에서 x=-1
xÜ`-x+4-y=0에서 y=4

327  ④ 따라서 주어진 곡선은 a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P(-1, 4)를


지난다.
함수 f(x)=xÜ`-2x+2는 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구간 한편, 함수 y=xÜ`+axÛ`+(2a-1)x+a+4의 도함수는
(-1, 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y'=3xÛ`+2ax+(2a-1)이므로
f(2)- f(-1) 6-3
f '(c)= = =1 점 P(-1,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2a+(2a-1)=2이고,
2-(-1) 3
접선의 방정식은 y-4=2{x-(-1)}, 즉 y=2x+6이다.
인 c가 구간 (-1,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3xÛ`-2이므로
f '(c)=3cÛ`-2=1에서 cÛ`=1
∴ c=1 (∵ -1<c<2) 331   20

함수 y=xÜ`의 도함수는 y '=3xÛ`이므로


곡선 y=xÜ` 위의 점 P(t, tÜ`)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tÛ`이고
328  ③ 접선의 방정식은 y-tÜ`=3tÛ`(x-t), 즉 y=3tÛ`x-2tÜ`이다.
이때, 직선 3tÛ`x-y-2tÜ`=0과 원점 사이의 거리 f(t)는
함수 f(t)는 구간 [0, 6]에서 연속 이고,
|-2tÜ`| |2tÜ`|
f(t)= = 이므로
구간 (0, 6)에서 미분가능 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Ã(3tÛ`)Û`+(-1)Û` "Ã9tÝ`+1

Ⅱ. 미분 79
f(t) |2tÜ`| 2 2
a=lim =lim = =
t`Ú¦ t t`Ú¦ t"Ã9tÝ`+1 '9 3 [증명]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a에서 x축에 접할 때,
∴ 30a=20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x=a일 때의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0이므로 f(a)=0, f '(a)=0과 같은 의미이다.
f(a)=0이면 f(x)=(x-a)g(x) (g(x)는 다항함수)이고,
f '(x)=g(x)+(x-a)g '(x)에서 f '(a)=g(a)=0이므로

332   4'2Œ6 g(x)=(x-a)h(x) (h(x)는 다항함수)이다.


즉, f(x)=(x-a)Û`h(x)이므로 방정식 f(x)=0은 x=a를
함수 y=-xÜ`-xÛ`+4의 도함수는 y '=-3xÛ`-2x이므로 중근으로 가진다.
곡선 y=-xÜ`-xÛ`+4 위의 점 A(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방정식 f(x)=0이 x=a를 중근으로
-5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가지면 f(x)=(x-a)Û`h(x)이고, 이때 f(a)=0, f '(a)=0
y-2=-5(x-1), 즉 y=-5x+7이다. 을 만족시킴을 알 수 있다.
방정식 -xÜ`-xÛ`+4=-5x+7에서 ❷ ‌이차 이상의 다항함수 y= f(x)의 그래프에
xÜ`+xÛ`-5x+3=(x-1)Û`(x+3)=0 직선 y=g(x)가 x=a에서 접한다.
∴ x=1 또는 x=-3 HjK f(a)=g(a), f '(a)=g '(a)
따라서 접점 (1, 2)가 아닌 교점 B의 x좌표는 -3이므로 HjK 방정식 f(x)=g(x)는 x=a를 중근으로 가진다.
B(-3, 22)이다. y=g{x}
∴ ABÓ="Ã(-4)Û`+20Û` =4'2Œ6
y=g{x}
다른 풀이 y=f{x}

접선의 방정식을 y=mx+n (m, n은 상수)이라 하고,


y=f{x}
점 B의 x좌표를 t라 하면 a a
곡선 y=-xÜ`-xÛ`+4와 직선 y=mx+n은 x=1일 때 접하고 [증명]
x=t일 때 만나므로 방정식 -xÜ`-xÛ`+4=mx+n은 중근 x=1과 다항함수 y= f(x)의 그래프에 직선 y=g(x)가 x=a에서
또 다른 실근 x=t를 가진다. yy TIP1 접한다는 것은 f(a)=g(a), f '(a)=g'(a)와 같은 의미이다.
즉, 방정식 xÜ`+xÛ`+mx+n-4=0에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T(x)= f(x)-g(x)라 하면 T(a)=0, T'(a)=0이므로
관계에 의하여 1+1+t=-1이므로 t=-3이다. yy TIP2 ❶에 의하여 ‘방정식 T(x)=0이 x=a를 중근으로 가진다.
따라서 B(-3, 22)이다. 즉, 방정식 f(x)=g(x)가 x=a를 중근으로 가진다.’와 같은
∴ ABÓ="Ã(-4)Û`+20Û` =4'2Œ6 의미이다.

TIP1
이차 이상의 다항함수 y= f(x)의 그래프에 직선 y=g(x)가
x=a에서 접하면 방정식 f(x)=g(x)는 x=a를 중근으로
가진다. yy 참고 333  ③

함수 y=xÜ`-4x-1의 도함수는 y '=3xÛ`-4이므로


TIP2 곡선 위의 점 A(-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1이고
x에 대한 삼차방정식 axÜ`+bxÛ`+cx+d=0 (a+0)의 접선의 방정식은 y-2=-{x-(-1)}, 즉 y=-x+1이다.
세 근을 a, b, c라 하면 방정식 xÜ`-4x-1=-x+1에서
b c d xÜ`-3x-2=(x+1)Û`(x-2)=0
a+b+c=- , ab+bc+ca= , abc=- 이다.
a a a ∴ x=-1 또는 x=2
따라서 접점 (-1, 2)가 아닌 교점 C의 x좌표는 2이므로
참고
C(2, -1)이다.
❶ ‌이차 이상의 다항함수 y= f(x)의 그래프가 x=a에서 x축에 y
A
접한다. 2

HjK f(a)=0, f '(a)=0 B


HjK 방정식 f(x)=0은 x=a를 중근으로 가진다. 2
-1 O x
C

a x ABÓ`:`ACÓ=|0-(-1)|`:`|2-(-1)|=1`:`3 yy TIP
a x
ACÓ 3
이므로 = =3이다.
ABÓ 1

80 수학Ⅱ
다른 풀이
335   풀이 참조
접선의 방정식을 y=mx+n (m, n은 상수)이라 하고,
1
점 C의 x좌표를 t라 하면 직선 x+2y-3=0의 기울기가 - 이므로
2
곡선 y=xÜ`-4x-1과 직선 y=mx+n은 x=-1일 때 접하며
이 직선과 수직인 접선은 기울기가 2이다.
x=t일 때 만나므로 방정식 xÜ`-4x-1=mx+n은 중근 x=-1과
함수 y=xÜ`-x+3의 도함수가 y '=3xÛ`-1이므로
또 다른 실근 x=t를 가진다.
기울기가 2인 접선의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즉, 방정식 xÜ`-(m+4)x-n-1=0에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3tÛ`-1=2에서 t=Ñ1이다.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1)+t=0이므로 t=2이다.
즉, 접점의 좌표는 (1, 3) 또는 (-1, 3)이다.
따라서 접점이 아닌 교점 C의 x좌표는 2이므로 C(2, -1)이다.
접점이 (1, 3)인 접선의 방정식은
y
A y-3=2(x-1), 즉 y=2x+1이고,
2
접점이 (-1, 3)인 접선의 방정식은
B
y-3=2{x-(-1)}, 즉 y=2x+5이다.
2
-1 O x 따라서 두 직선 y=2x+1과 y=2x+5 사이의 거리는
C 직선 y=2x+1 위의 점 (0, 1)과 직선 y=2x+5 사이의 거리와
|0-1+5| 4'5
같으므로 = 이다.
ABÓ`:`ACÓ=|0-(-1)|`:`|2-(-1)|=1`:`3 yy TIP "Ã2Û`+(-1)Û` 5

ⅠⅠ
ACÓ 3
이므로 = =3이다. 채점 요소 배점
ABÓ 1
기울기가 2인 접선의 접점의 좌표 구하기 40 % 미
TIP 접점의 좌표와 기울기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 분

세 점 P, Q, R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두 접선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
세 점 P, Q, R의 x좌표를 각각 x1, x2, x3이라 하면
PQÓ`:`PRÓ=|x2-x1|`:`|x3-x1|이다.
y 336  ③

P 함수 y=xÜ`-6xÛ`+9x의 도함수는 y '=3xÛ`-12x+9이므로


Q 점 (0,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9이다.
R
기울기가 9인 또 다른 접선의 접점의 x좌표를 t(t+0)라 하면
3tÛ`-12t+9=9에서 3t(t-4)=0   ∴ t=4 (∵ t+0)
O x¡ x™ x£ x 즉, 접점의 좌표가 (4, 4)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4=9(x-4), 즉 y=9x-32이다.
이 직선이 점 (a, -5)를 지나므로 -5=9a-32
∴ a=3

334  ②
337  ④
함수 y=xÜ`-3xÛ`+5x+1의 도함수는
함수 y=xÜ`+kxÛ`+2의 도함수는 y '=3xÛ`+2kx이므로
y '=3xÛ`-6x+5=3(x-1)Û`+2이므로
기울기가 -3인 접선의 접점의 x좌표 p, q는 방정식
y '은 x=1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3xÛ`+2kx=-3, 즉 3xÛ`+2kx+3=0의 두 실근이다.
즉, 접점의 x좌표가 1일 때 접선의 기울기의 최솟값이 2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기울기가 최소인 접선은 기울기가 2이고
2k
접점의 좌표가 (1, 4)인 직선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p+q=- , pq=1이다.
3
y-4=2(x-1), 즉 y=2x+2이다.
4
pÛ`+qÛ`-4pq=(p+q)Û`-6pq= kÛ`-6이므로
y 9
y=2x+2
2
4
kÛ`-6=30에서 kÛ`=81
9
∴ k=9 (∵ k>3)
-1
O x
338  ③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직선 y=mx+3이 곡선 y=xÜ`+1에 접하는 접점의 좌표를
1
_1_2=1
2 (t, tÜ`+1)이라 하자.

Ⅱ. 미분 81
함수 y=xÜ`+1의 도함수는 y '=3xÛ`이므로
곡선 y=xÜ`+1 위의 점 (t, tÜ`+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tÛ`이고
340  ②

접선의 방정식은 y-(tÜ`+1)=3tÛ`(x-t), 점 (-2, 1)에서 곡선 y=xÛ`-4x+2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즉 y=3tÛ`x-2tÜ`+1이다. (t, tÛ`-4t+2)라 하자.
이 직선이 y=mx+3과 같으므로 함수 y=xÛ`-4x+2의 도함수는 y '=2x-4이므로
3tÛ`=m이고, -2tÜ`+1=3이다. 곡선 y=xÛ`-4x+2 위의 점 (t, tÛ`-4t+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tÜ`+1=3에서 tÜ`=-1   ∴ t=-1 2t-4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tÛ`-4t+2)=(2t-4)(x-t),
∴ m=3_(-1)Û`=3 즉 y=(2t-4)x-tÛ`+2이다.
다른 풀이 이 직선이 점 (-2, 1)을 지나므로
1=-2(2t-4)-tÛ`+2에서
직선 y=mx+3이 곡선 y=xÜ`+1에 접하는 접점의 좌표를
tÛ`+4t-9=0
(t, tÜ`+1)이라 하면
두 접점의 x좌표를 각각 t1, t2라 하면
방정식 xÜ`+1=mx+3은 x=t를 중근으로 가진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즉, 방정식 xÜ`-mx-2=0이 중근 x=t와 실근 x=a를 가진다고
t1+t2=-4, t1t2=-9이고,
하면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접선의 기울기는 각각 2t1-4, 2t2-4이다.
t+t+a=0에서 a=-2t yy ㉠
∴ m1m2=(2t1-4)(2t2-4)
t_t_a=2에서 atÛ`=2 yy ㉡
=4t1t2-8(t1+t2)+16
㉠을 ㉡에 대입하면
=-36+32+16=12
-2tÜ`=2에서 t=-1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0)이고, 직선 y=mx+3이
점 (-1, 0)을 지나므로 0=-m+3
∴ m=3 341   -36

두 곡선 f(x)=xÜ`+ax+3, g(x)=bxÛ`+cx가
모두 점 (1, -5)를 지나므로
f(1)=1+a+3=-5에서 a=-9 yy ㉠
339   8'2
g(1)=b+c=-5 yy ㉡
원점에서 곡선 y=xÝ`-2xÛ`+8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또한 두 곡선의 점 (1, -5)에서의 접선이 서로 일치하므로
(t, tÝ`-2tÛ`+8)이라 하자. 점 (1, -5)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서로 같다.
함수 y=xÝ`-2xÛ`+8의 도함수는 y '=4xÜ`-4x이므로 즉, f '(1)=g '(1)이다.
곡선 위의 점 (t, tÝ`-2tÛ`+8)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4tÜ`-4t이고 f '(x)=3xÛ`+a, g '(x)=2bx+c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Ý`-2tÛ`+8)=(4tÜ`-4t)(x-t), 3+a=2b+c에서
즉 y=(4tÜ`-4t)x-3tÝ`+2tÛ`+8이다. 2b+c=-6 (∵ ㉠)  yy ㉢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b=-1, c=-4
3tÝ`-2tÛ`-8=0에서 (3tÛ`+4)(tÛ`-2)=0 ∴ abc=(-9)_(-1)_(-4)=-36
tÛ`=2   ∴ t=Ñ'2
즉, 두 접점의 좌표는 ('2 , 8), (-'2 , 8)이다.
y
P
8
Q 342  ①

함수 y=xÛ`-5x의 도함수는 y '=2x-5이므로


곡선 y=xÛ`-5x 위의 점 (1,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4)=-3(x-1), 즉 y=-3x-1이다.
-Â2 O Â2 x 곡선 y=xÜ`+3xÛ`+4를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하면
따라서 삼각형 OPQ는 밑변의 길이가 2'2, 높이가 8이므로 y=xÜ`+3xÛ`+4+k이다.
1 이 곡선이 직선 y=-3x-1과 접하는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자.
넓이는 _2'2 _8=8'2 이다.
2 함수 y=xÜ`+3xÛ`+4+k의 도함수는 y '=3xÛ`+6x이므로
3tÛ`+6t=-3에서
참고
3(t+1)Û`=0   ∴ t=-1
함수 y=xÝ`-2xÛ`+8은 짝수차항과 상수항만 존재하므로 그래프
즉, 곡선 y=xÜ`+3xÛ`+4+k 위의 점 (-1, k+6)이
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원점에서 이 곡선에 그은 두
직선 y=-3x-1 위의 점이므로 k+6=2
접선 및 두 접점은 모두 y축에 대하여 대칭임을 알 수 있다.
∴ k=-4

82 수학Ⅱ
343   10 TIP
곡선 위의 점 A와 직선 l 사이의 거리는 점 A에서 직선 l에
함수 y=2xÛ`+1의 도함수는 y '=4x이므로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선분 AH의 길이를 의미한다.
곡선 y=2xÛ`+1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4이고 이 길이가 최소일 때는 그림과 같이 점 A에서의 곡선의 접선과
접선의 방정식은 y-3=-4{x-(-1)}, 직선 l이 평행할 때이다.
즉 y=-4x-1이다.  yy ㉠
이 직선이 곡선 y=2xÜ`-ax+3에 접하는 접점의 좌표를
(t, 2tÜ`-at+3)이라 하자. l
A
함수 y=2xÜ`-ax+3의 도함수는 y '=6xÛ`-a이므로
최소
곡선 y=2xÜ`-ax+3 위의 점 (t, 2tÜ`-at+3)에서의 접선의 H
기울기는 6tÛ`-a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2tÜ`-at+3)=(6tÛ`-a)(x-t),
즉 y=(6tÛ`-a)x-4tÜ`+3이다.
이 직선과 ㉠이 서로 일치하므로
345   P(3, 6), 8
6tÛ`-a=-4이고 -4tÜ`+3=-1이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t=1, a=10이다. -xÛ`+5x=0에서 x=0 또는 x=5이므로 A(5, 0)이다.
삼각형 ABP의 밑변을 AB라 하면 ABÓ="Ã(1-5)Û`+4Û`=4'2 로

ⅠⅠ
다른 풀이
일정하므로 높이가 최대일 때 넓이가 최대이다.
함수 y=2xÛ`+1의 도함수는 y '=4x이므로 y
P 미
곡선 y=2xÛ`+1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4이고 분
접선의 방정식은 y-3=-4{x-(-1)}, B
즉 y=-4x-1이다.  yy ㉠
이 직선이 곡선 y=2xÜ`-ax+3에 접하는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방정식 2xÜ`-ax+3=-4x-1은 중근 x=t와 또 다른 실근 x
O A
x=a를 가진다.
즉, 방정식 2xÜ`+(4-a)x+4=0에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점 P에서 직선 AB까지의 거리가 최대이려면 곡선 y=-xÛ`+5x
관계에 의하여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직선 AB의 기울기와 같아야 한다.
4-a 이때의 점 P를 P'이라 하자.
t+t+a=0, ta+at+tÛ`= , atÛ`=-2
2 0-4
직선 AB의 기울기는 =-1이므로 점 P'에서의 접선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5-1
t=1, a=-2, a=10 기울기도 -1이어야 한다.
함수 y=-xÛ`+5x의 도함수는 y '=-2x+5이므로

344  ② 점 P'의 x좌표를 t라 하면 -2t+5=-1에서 t=3


∴ P'(3, 6)
곡선 y=xÛ`-4x+6 위의 점을 P라 하자. 점 P'(3, 6)과 직선 AB, 즉 y=-x+5 사이의 거리는
곡선 y=xÛ`-4x+6 위의 점 P와 직선 y=2x-5 사이의 거리가 |3+6-5|
=2'2이므로 삼각형 ABP'의 넓이는
최소이려면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직선 y=2x-5의 기울기 "Ã1Û`+1Û`
2와 같아야 한다. yy TIP 1
_4'2 _2'2 =8이다.
y 2
y=2x-5
따라서 점 P의 좌표가 (3, 6)일 때 삼각형 ABP의 넓이가 8로
최대이다.
P

O x
346   풀이 참조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함수 y=xÛ`-4x+6의 도함수는 y '=2x-4이므로 미분가능하다고 하자.
구하는 점 P의 x좌표를 t라 하면 두 점 (a, f(a)), (b, f(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2t-4=2에서 t=3이다. f(b)- f(a)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3, 3)이고, y= (x-a)+ f(a)를 생각하자.
b-a
구하는 값은 점 (3, 3)과 직선 y=2x-5 사이의 거리이므로 f(b)- f(a)
함수 g(x)= (x-a)+ f(a)라 하고,
|6-3-5| 2'5 b-a
= 이다.
"Ã2Û`+(-1)Û` 5 함수 h(x)= f(x)-g(x)라 하면

Ⅱ. 미분 83
함수 h(x)는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f(3)- f(1) 2-1 1
의하여 f '(c)= = = 인 c가
미분가능하며 h(a)=h(b)=0이다. 3-1 2 2
따라서 롤의 정리에 의하여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b)- f(a) 따라서 g '(x)=0인 x가 열린구간 (1, 4)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h'(c)= f '(c)-g '(c)= f '(c)- =0인 c가 a와 b
b-a  (참)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f(b)- f(a)
즉, = f '(c)인 c가 a와 b 사이에 적어도 하나 다른 풀이
b-a
x
존재한다. ㄷ. g(x)=
‌ f(x)- 는 다항함수이므로 닫힌구간 [1, 3]에서
2
채점 요소 배점 연속이고 열린구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다.
두 점 (a, f(a)), (b, f(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 1 1 3 1
40 % g(1)= f(1)- = , g(3)= f(3)- = 에서
y=g(x)라 할 때 함수 h(x)= f(x)-g(x)로 두기 2 2 2 2
구간 [a, b]에서 함수 h(x)가 롤의 정리를 만족시킴을 보이기 40 % g(1)=g(3)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g '(c)=0인 c가
함수 f(x)가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킴을 보이기 20 % 열린구간 (1, 4)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참)

TIP

347   풀이 참조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세 점


(1, 1), (3, 2), (4, 7)을 지남을 알 수 있으므로 세 구간 [1, 3],
a<xÉb인 임의의 x에 대하여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3, 4], [1, 4]에서 평균값 정리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f(x)- f(a) 세 점을 좌표평면에 나타내어 세 점 중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 f '(c)  yy ㉠
x-a
2-1 1 7-2 7-1
인 c가 a와 x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기울기 = , =5, =2를 구해 놓고,
3-1 2 4-3 4-1
이때, 구간 (a, b)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f '(x)=0이므로 <보기>의 내용을 하나씩 살펴보면 쉽게 판단할 수 있다.
f '(c)=0이다.
즉, ㉠에서 f(x)- f(a)=0이므로 f(x)= f(a)이다.
따라서 aÉxÉb인 모든 x에 대하여 f(x)= f(a)이므로
함수 f(x)는 구간 [a, b]에서 상수함수이다.
349  ④

함수 f(x)가 실수 전체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실수 전체에서


채점 요소 배점
연속이다.
a<xÉb인 임의의 x에 대하여 구간 [a, b]에서 평균값 정리가
40 % 구간 [x-3, x+3]에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성립함을 설명하기
f(x+3)- f(x-3)
f '(x)=0임을 이용하여 f(x)가 구간 [a, b]에서 상수함수임을
60 % = f '(c) yy ㉠
설명하기 (x+3)-(x-3)
인 c가 구간 (x-3, x+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x-3<c<x+3에서 x` Ú`¦이면 c` Ú`¦이므로
348  ⑤ ㉠에서 lim
f(x+3)- f(x-3)
x`Ú¦ (x+3)-(x-3)
=lim f '(c)=2이다.
c`Ú¦

다항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f(x+3)- f(x-3)


즉, lim =2
ㄱ. ‌함수 f(x)가 닫힌구간 [1, 4]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4)에서 x`Ú¦ 6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 lim { f(x+3)- f(x-3)}=12
x`Ú¦
f(4)- f(1) 7-1
f '(c)= = =2인 c가 열린구간 (1, 4)에
4-1 3 참고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참)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를 임의로 하나 정하고
ㄴ. ‌함수 f(x)가 닫힌구간 [3, 4]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3, 4)에서 극한값을 구해도 된다.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함수 f(x)=2x라 하면 f '(x)=2이므로
f(4)- f(3) 7-2 lim f '(x)=2를 만족시키고,
f '(c)= = =5인 c가 열린구간 (3, 4)에
4-3 1 x`Ú¦

lim { f(x+3)- f(x-3)}= lim {2(x+3)-2(x-3)}=12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f '(x)=5인 x가 열린구간 (1, 4) x`Ú¦ x`Ú¦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참)


x 1
ㄷ. g(x)=
‌ f(x)- 에서 g '(x)= f '(x)- 이므로 g '(x)=0은

1
2 2
350  ④
f '(x)= 인 것과 같다. 함수 f(x)가 닫힌구간 [1, 3]에서
2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곡선 도로를 빠져 나가는 지점을 접점으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하고, 점 (2, 8)을 지나는 접선이 직선 도로가 되도록 하면 된다.

84 수학Ⅱ
이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Ü`)이라 하자. 다른 풀이
함수 y=xÜ`의 도함수는 y '=3xÛ`이므로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a, b (a<b)라 하면 a, b는 방정식
곡선 y=xÜ` 위의 점 (t, tÜ`)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tÛ`이고 접선의 f(x)=0의 두 실근이므로
방정식은 y-tÜ`=3tÛ`(x-t), 즉 y=3tÛ`x-2tÜ`이다. f(x)=(x-a)(x-b)=xÛ`-(a+b)x+ab이고,
이 직선이 점 (2, 8)을 지나므로 f '(x)=2x-(a+b)이다.
8=6tÛ`-2tÜ`, tÜ`-3tÛ`+4=0 f '(a)=a-b, f '(b)=-a+b이고,
(t+1)(t-2)Û`=0 두 점 P, Q에서의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 t=-1 f '(a) f '(b)=-(a-b)Û`=-1에서 b-a=1 (∵ a<b)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1)이고, 즉, PQÓ=1이고 삼각형 PQR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구하는 직선 도로의 길이는 두 점 (-1, -1), (2, 8) 사이의 거리와 '2
PRÓ=QRÓ=
같으므로 "Ã3Û`+9Û` =3'1Œ0 이다.
이다.
2
다른 풀이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PQR의 넓이는
1 '2 '2 1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곡선 도로를 빠져 나가는 지점을 접점으로 _ _ = 이다.
2 2 2 4
하고, 점 (2, 8)을 지나는 접선이 직선 도로가 되도록 하면 된다.
TIP
이 접선의 방정식을 y=mx+n (m, n은 상수)이라 하고,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두 접선이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접선의 기울기는

ⅠⅠ
곡선 y=xÜ`과 직선 y=mx+n은 x=t에서 접하고 x=2일 때 절댓값은 같고 부호만 반대이다. 두 직선의 기울기를 각각 a,
만나므로 방정식 xÜ`=mx+n은 중근 x=t와 또 다른 실근 x=2를 -a라 하면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가진다. a_(-a)=-1에서 a=Ñ1이다. 분
즉, 방정식 xÜ`-mx-n=0에서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즉, 두 직선의 기울기는 각각 1, -1이다.
의하여 2+t+t=0이므로 t=-1이다.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1)이고,
구하는 직선 도로의 길이는 두 점 (-1, -1), (2, 8)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Ã3Û`+9Û` =3'1Œ0 이다.

352  ②

조건 ㈎에 의하여 구간 (0, 3)에 속하는 임의의 실수 t에 대하여


f(t)- f(0)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 f '(c)를 만족시키는 실수 c가
t-0
351  ③
구간 (0, t)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함수 y= f(x)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도 삼각형 PQR의 모양이 이때, 조건 ㈏에 의하여 |f '(c)|É4이므로
f(t)-1
달라지지 않으므로 f(x)=xÛ`으로 놓고 구해 보자. | |É4 (∵ f(0)=1)
y
t
y=x@
f(t)-1
-4É É4
t
-4t+1É f(t)É4t+1 (∵ t>0)
P Q
O 따라서 -4_3+1É f(3)É4_3+1이므로
R x
-11É f(3)É13
∴ Mm=13_(-11)=-143
함수 y=xÛ`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점 P, Q에서의 접선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때, 두 접선이 다른 풀이

서로 수직이므로 두 접선의 기울기는 각각 -1, 1이다. yy TIP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점 (0, 1)을 지나고,
함수 y=xÛ`의 도함수는 y '=2x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0<x<3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p, q라고 하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4보다 크거나 같고 4보다 작거나 같아야
1 1 한다. 이를 만족시키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생각해 보자.
2p=-1, 2q=1에서 p=- , q=
2 2
Ú ‌f(3)이 최댓값을 가지려면 0<x<3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항상
즉, PQÓ=1이고 삼각형 PQR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4이어야 한다. 즉,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4인
'2
PRÓ=QRÓ= 이다. 직선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4보다 작을 때가
2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PQR의 넓이는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림과 같이 기울기가 4인 직선일 때보다

1 '2 '2 1 f(3)의 값이 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구간 [0, 3]에서


_ _ = 이다.
2 2 2 4 f(x)=4x+1일 때 f(3)의 최댓값 M=13이다.

Ⅱ. 미분 85
y y 두 점 (-1, -4), (4, 11)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13
1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점 (-1, -4)를 지나면서 -1<x<4에
3
O x 서 접선의 기울기가 3보다 작을 때가 존재하는 경우, 점 (4, 11)을
지나기 위해서는 접선의 기울기가 3보다 클 때가 -1<x<4에서
반드시 존재해야 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1 y
O 3 x -11 11

Û ‌마찬가지 방법으로 f(3)이 최솟값을 가지려면 0<x<3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4인 직선이어야 함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따라서 구간 [0, 3]에서 f(x)=-4x+1일 때 O
f(3)의 최솟값 m=-11이다. -1 4 x

y y -4
13
1 따라서 -1<x<4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항상 3이어야 하므로
3
O x 두 점 (-1, -4), (4, 11)을 지나는 직선이어야 함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즉, 구간 [-1, 4]에서 f(x)=3x-1이다.
1 ∴ f(3)=8
O 3 x -11

Ú, Û에 의하여
Mm=13_(-11)=-143

354   -4<k<5

353  ③
구간 [-5, 0]에 속하는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
다항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므로 a<b라 하자.
구간 (-1, 4)에 속하는 임의의 실수 t에 대하여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1
함수 f(x)= xÜ`+2xÛ`+3은 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구간
3
f(t)- f(-1)
= f '(a)를 만족시키는 실수 a가 구간 (-1, t)에
t-(-1) (a, b)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b)- f(a)
= f '(c)인 c가 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b-a
이때, 조건 ㈏에 의하여 f '(a)É3이므로
f(t)-(-4) 즉, 구간 [-5, 0]에 속하는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
É3 (∵ f(-1)=-4)
t-(-1) f(b)- f(a)
=k를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은 구간 (a, b)에
b-a
f(t)É3t-1 (∵ t+1>0) yy ㉠
또한 구간 (-1, 4)에 속하는 임의의 실수 t에 대하여 평균값 정리에 속하는 어떤 c에 대하여 k= f '(c)이다.
f(4)- f(t) 이때, -5Éa<c<bÉ0에서 -5<c<0이므로
의하여 É f '(b)를 만족시키는 실수 b가 구간 (t, 4)에
4-t k<{ f '(x)|-5<x<0}이다.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f '(x)=xÛ`+4x=(x+2)Û`-4에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이때, 조건 ㈏에 의하여 f '(b)É3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다.
11- f(t) y y=f '{x}
É3 (∵ f(4)=11)
4-t
5
f(t)¾3t-1 (∵ 4-t>0) yy ㉡
㉠, ㉡에 의하여 구간 [-1, 4]에서 f(x)=3x-1이다. -2
-5 O x
∴ f(3)=8
-4
다른 풀이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두 점 그러므로 -5<x<0일 때 -4É f '(x)<5이다.


(-1, -4), (4, 11)을 지나고, 조건 ㈏에 의하여 -1<x<4일 때 f(b)- f(a)
이때, =-4를 만족시키는 a, b의 값이 존재하지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보다 b-a
작거나 같아야 한다. 이를 만족시키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않으므로 yy TIP1 , TIP2
생각해 보자.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4<k<5이다.

86 수학Ⅱ
TIP1 참고

f(b)- f(a)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서는 TIP1 , TIP2 와


서로 다른 두 실수 a, b에 대하여 =-4를
b-a
같이 삼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에 대한 내용을 알고 있어야 한다.
만족시키려면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두 점 (a, f(a)),
이에 대한 내용은 ‘도함수의 활용 ⑵’에서 배운다.
(b, f(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4인 경우가 존재해야
하지만 일부 학교에서는 TIP1 , TIP2 와 같은 내용을 모르더라도
한다. 즉, 기울기가 -4인 어떤 직선이 함수 y= f(x)의 그래프
평균값 정리만 이용하여 답을 구할 수 있도록 출제하기도 하여
와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점에서 만나야 한다.
이 단원에 수록하였다.
1
이때, 삼차함수 f(x)= xÜ`+2xÛ`+3에서 f '(x)=x(x+4)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들은 수록된 문제와 같이 k의 값의 범위를
3
이므로 함수 f(x)는 x=-4에서 극대이고, x=0에서 극소이므로 정확하게 구해야 답을 구할 수 있도록 출제하고 있어 TIP1 의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고, 점 (-2, f(-2))에 내용을 토대로 k+-4임을 알아야 한다.
대하여 대칭이다.

{-2,`f{-2}}

ⅠⅠ

-4 0 분
이때, f '(-2)=-4이므로 점 (-2, f(-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4이다. 따라서 위 그림과 같이 기울기가 -4인 직선
중 함수 y= f(x)의 그래프와 2개 이상의 점에서 만나는 직선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TIP2
t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이 위로 볼록하거나 아래로 볼록한 모양일 때
f(b)- f(a)
f '(t)= 를 만족시키는 a, b가 그 구간 안에 반드시
b-a
존재한다.

a t b a t b
1
따라서 함수 f(x)= xÜ`+2xÛ`+3에 대하여
3
f(b)- f(a)
-5<c<-2 또는 -2<c<0일 때 f '(c)= 인
b-a
a, b가 구간 (-5, 0)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5-4 -2 0

Ⅱ. 미분 87
도함수의 활용 ⑵ 참고

학교 기출 시험지에서 삼차함수 f(x)에 대하여 구간


(-¦, a)'(b, ¦)에서 f '(x)>0, 구간 (a, b)에서

355   ③ f '(x)<0일 때 함수 f(x)가 감소하는 구간을 닫힌구간 [a, b]


라 하기도 하고, 열린구간 (a, b)라 하기도 하여 닫힌구간과
f(x)=xÜ`-3xÛ`-9x+2에서 열린구간을 혼용하여 표기하고 있다.
f '(x)=3xÛ`-6x-9=3(x+1)(x-3)이므로 본 문제집에서는 닫힌구간으로 표기하였으나 실제 시험지에서는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두 표현이 모두 나올 수 있음을 고려해 두자.
x y -1 y 3 y
f '(x) + 0 - 0 +
f(x) ↗ ↘ ↗
함수 f(x)는 구간 (-¦, -1]과 [3, ¦)에서 증가하고,
357  ②

구간 [-1, 3]에서 감소한다. 1


f(x)= xÜ`+axÛ`+bx+3에서
따라서 선지 중 증가하는 구간이 아닌 것은 ③이다. 3
f '(x)=xÛ`+2ax+b이다.
다른 풀이
함수 f(x)가 감소하는 구간이 [-1, 3]이면 f '(x)É0을
f '(x)>0을 만족시키는 구간에서 함수 f(x)는 증가한다.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가 -1ÉxÉ3이어야 하므로
f(x)=xÜ`-3xÛ`-9x+2에서 f '(x)=(x+1)(x-3)이다.
f '(x)=3xÛ`-6x-9=3(x+1)(x-3)이므로 즉, xÛ`+2ax+b=(x+1)(x-3)=xÛ`-2x-3이므로
f '(x)>0에서 x<-1 또는 x>3이다. a=-1, b=-3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1]과 [3, ¦)에서 증가하므로 ∴ a+b=-4
선지 중 증가하는 구간이 아닌 것은 ③이다.

358  ③
356  ②
함수 f(x)가 구간 (-¦, ¦)에서 증가하려면
f(x)=xÜ`-3xÛ`+4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한다. yy TIP
f '(x)=3xÛ`-6x=3x(x-2)이므로 f '(x)=3xÛ`+2ax+2a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차방정식 3xÛ`+2a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 y 0 y 2 y D
=aÛ`-6a=a(a-6)É0이어야 한다.
4
f '(x) + 0 - 0 +
∴ 0ÉaÉ6
f(x) ↗ ↘ ↗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6이다.
따라서 함수 f(x)가 감소하는 구간은 [0, 2]이다. yy TIP
∴ a+b=0+2=2 TIP
함수 f(x)가 미분가능할 때
다른 풀이
❶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서 증가하면 그 구간에서
f '(x)<0을 만족시키는 구간에서 함수 f(x)는 감소한다.
f '(x)¾0이다.
f(x)=xÜ`-3xÛ`+4에서
❷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서 감소하면 그 구간에서
f '(x)=3xÛ`-6x=3x(x-2)이므로
f '(x)É0이다.
f '(x)<0에서 0<x<2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0, 2]에서 감소한다. yy TIP
∴ a+b=0+2=2

TIP 359  ④

함수 f(x)가 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구간 (a, b)에서 주어진 함수 y= f '(x)의 그래프에서 f '(x)의 부호에 따라 함수
미분가능할 때 f(x)의 증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❶ ‌구간 (a, b)에서 f '(x)>0이면 x y -1 y 2 y
함수 f(x)는 구간 [a, b]에서 증가한다. f '(x) - 0 - 0 +
❷ ‌구간 (a, b)에서 f '(x)<0이면 f(x) ↘ ↘ ↗
함수 f(x)는 구간 [a, b]에서 감소한다.
따라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88 수학Ⅱ
x=0일 때 극솟값 f(0)=0을 갖는다.
∴ M-m=1-0=1

-1 2 yy 참고 362   -3

따라서 선지 중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으로 옳은 것은 f '(x)=4xÜ`-4x=4x(x+1)(x-1)에서


④이다. x=0 또는 x=-1 또는 x=1일 때 f '(x)=0이다.

참고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도함수 f '(x)의 그래프를 알고 있을 때, 함수 x y -1 y 0 y 1 y


f(x)의 증가, 감소를 알 수 있으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f '(x) - 0 + 0 - 0 +
개형을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함수 f(x)의 증가, 감소만 알 뿐 f(x) ↘ -2 ↗ -1 ↘ -2 ↗
함수 f(x)의 함숫값에 대해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함수 함수 f(x)는 x=-1 또는 x=1에서 극솟값
y= f(x)의 그래프는 알 수 없다. f(-1)= f(1)=-2를 갖고, x=0에서 극댓값 f(0)=-1을
갖는다.
따라서 서로 다른 모든 극값의 합은 (-2)+(-1)=-3이다.
360   풀이 참조

⑴ f '(x)=3xÛ`-3
363  ⑤ ⅠⅠ
⑵ f '(x)=3xÛ`-3=3(x+1)(x-1)이므로 미

x=-1 또는 x=1일 때 f '(x)=0이다. f '(x)=(x-3)Û`+2x(x-3)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3)(3x-3)


=3(x-1)(x-3)
x y -1 y 1 y
에서 x=1 또는 x=3일 때 f '(x)=0이다.
f '(x) + 0 - 0 +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 3 ↘ -1 ↗
x y 1 y 3 y
⑶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3을 갖고, x=1에서
f '(x) + 0 - 0 +
극솟값 f(1)=-1을 갖는다.
f(x) ↗ a+4 ↘ a ↗
또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a+4를 가지므로
y=f{x}
a+4=9
3
∴ a=5
1
1
-1 O
-1
x
364  ③

f '(x)=3kxÛ`+6kx=3kx(x+2) (k>0)에서
채점 요소 배점 x=-2 또는 x=0일 때 f '(x)=0이다.
다항함수의 도함수 구하기 20 %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0인 x의 값을 구하여 증감표 작성하기 40 % x y -2 y 0 y
극댓값 f(-1)=3, 극솟값 f(1)=-1임을 이용하여 삼차함수
40 %
f '(x) + 0 - 0 +
f(x)의 그래프 그리기
f(x) ↗ 4k+4 ↘ 4 ↗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f(-2)=4k+4를 갖고,

361  ① x=0에서 극솟값 f(0)=4를 갖는다.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가 12이므로
f '(x)=-6xÛ`+6x=-6x(x-1)에서 (4k+4)-4=4k=12
x=0 또는 x=1일 때 f '(x)=0이다. ∴ k=3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0 y 1 y
f '(x) - 0 + 0 - 365  ①

f(x) ↘ 0 ↗ 1 ↘ f '(x)=6xÛ`+2ax-12에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1을 갖고,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f '(-1)=0이다.

Ⅱ. 미분 89
yy TIP
즉, 6-2a-12=0에서 a=-3이므로
367  ④

f(x)=2xÜ`-3xÛ`-12x+2이다.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또한 f '(x)=6xÛ`-6x-12=6(x+1)(x-2)이므로 방정식 f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한다. yy TIP
x=-1 또는 x=2일 때 f '(x)=0이다. f '(x)=3xÛ`+2ax-4a이므로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차방정식 3xÛ`+2ax-4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 y -1 y 2 y D
=aÛ`+12a=a(a+12)É0이어야 한다.
4
f '(x) + 0 - 0 +
∴ -12ÉaÉ0
f(x) ↗ 9 ↘ -18 ↗
따라서 정수 a는 -12, -11, -10, y, 0으로 13개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f(2)=-18을 갖는다.
TIP
TIP
366번 TIP 을 참고하자.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갖고, 이를 포함하는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면 f '(a)=0이다.

368  ②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지려면 f '(a)=0이고


366  ①
x=a의 좌우에서 f '(x)의 값의 부호가 바뀌어야 한다.
삼차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려면 y y=f'{x}
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yy TIP
f '(x)=3xÛ`+12x+2a이므로 + +
-4 1 +
이차방정식 3xÛ`+12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 -2 -1 O 2 3 4 x
- -
D
=36-6a>0이어야 한다.
4
∴ a<6
함수 y= f '(x)의 그래프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TIP x=-4, 0, 2일 때이다.
삼차함수 f(x)에 대하여 그 도함수인 이차함수 y= f '(x)의 따라서 함수 f(x)가 극값을 갖는 모든 x의 값의 개수는 3이다.
그래프와 x축의 위치 관계에 따라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는지를 따져 보면 다음과 같다.
y=f '{x} y=f '{x} y=f '{x}

+ +
369  ④
+ + + +
- x x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t에서 극댓값을 가지려면 f '(t)=0이고
x
x=t의 좌우에서 f '(x)의 값의 부호가 +에서 -로 바뀌어야 한다.
y=f{x} y
y=f{x} y=f{x}
y=f'{x}
극값을 갖는다. + -2
극값을 갖지 극값을 갖지 +
(극댓값과 극솟값을 -8 4 5 7+
않는다. 않는다. - 8 x
모두 갖는다.) - -7-5 -3 -1 O 2 -

따라서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함수 y= f '(x)의 그래프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삼차함수 f(x)의 도함수 f '(x)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x=-3, 2일 때이다.
f '(x)=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 a=(-3)+2=-1
❶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t에서 극솟값을 가지려면 f '(t)=0이고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 것이다.
x=t의 좌우에서 f '(x)의 값의 부호가 -에서 +로 바뀌어야 한다.
즉, D>0이다.
함수 y= f '(x)의 그래프에서 이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❷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x=-7, -2, 7일 때이다.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갖는 것이다.
∴ b=(-7)+(-2)+7=-2
즉, DÉ0이다.
∴ a-b=1

90 수학Ⅱ
Ú
‌ a<b일 경우 Û a>b일 경우
370  ②

① ‌구간 (1, 2)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구간 (1, 2)에서


증가한다. (거짓) ‌
② ‌구간 (4, 5)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구간 (4, 5)에서
증가한다. (참) = => > > >= =
③ x=1의
‌ 좌우에서 f '(x)의 값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므로 함수 ‌그러므로 함수 f(x)의 극대, 극소가 되는 점이 각각 하나씩만
f(x)는 x=1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거짓) 존재하면 극댓값은 극솟값보다 항상 크다. (참) yy 참고
④ x=2의
‌ 좌우에서 f '(x)의 값의 부호가 +에서 -로 바뀌므로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⑤이다.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거짓)
참고
⑤ x=-1과
‌ x=4의 좌우에서 각각 f '(x)의 값의 부호가 -에서
+로 바뀌고, x=2의 좌우에서 f '(x)의 값의 부호가 +에서 다음과 같이 한 함수에서 여러 개의 극대, 극소가 존재할 때에는
-로 바뀌므로 함수 f(x)는 x=-1과 x=4에서 극솟값을 갖고, 극댓값이 극솟값보다 작은 경우도 있다.
y
x=2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즉, 극값을 갖는 점의 개수는 3이다. y=f{x}
 (거짓) 극댓값
극솟값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②이다.
극댓값

ⅠⅠ
극솟값

O x

371  ③ 미

다항함수 f(x)가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b일 때
f(a)< f(b)를 만족시키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373  ③
증가한다.
①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거짓) aÉxÉe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②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므로 함수 f(x)는 극값을 갖지 같다.

않는다. (거짓) x a y c y e
③‌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 0 -
f '(x)¾0이다. (참) f(x) f(a) ↗ f(c) ↘ f(e)
④ (반례)
‌ f(x)=xÜ`일 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따라서 aÉxÉe에서 함수 f(x)는 x=c에서 극대이며 최대이므로
f '(x)=3xÛ`¾0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최댓값 f(c)를 갖는다.
증가하지만, f '(0)=0이다. (거짓)
⑤ (반례)
‌ f(x)=xÜ`+1일 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3xÛ`¾0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374  ①

증가하지만,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다. (거짓) f '(x)=3xÛ`-12=3(x+2)(x-2)에서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③이다. x=-2 또는 x=2일 때 f '(x)=0이다.
닫힌구간 [-3, 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72  ⑤
x -3 y -2 y 0
① (반례) f(x)=xÜ`일 때 f '(x) + 0 -
f '(0)=0이지만 함수 f(x)는 x=0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f(x) 14 ↗ 21 ↘ 5
 (거짓) 따라서 닫힌구간 [-3, 0]에서 함수 f(x)는 x=-2일 때 최댓값
② (반례) f(x)=|x|일 때 f(-2)=21을 갖고, x=0일 때 최솟값 f(0)=5를 가지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소이지만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21+5=26이다.
 (거짓)
③ x=a에서
‌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x=a의 좌우에서
f '(x)의 값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375  ③

극대이다. (거짓) f '(x)=-3xÛ`-6x+9=-3(x+3)(x-1)에서


④ x=a를
‌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x=-3 또는 x=1일 때 f '(x)=0이다.
f(a)É f(x)이면 함수 f(x)는 x=a에서 극소이다. (거짓) 닫힌구간 [-1, 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⑤ 함수 f(x)가 x=a에서 극대, x=b에서 극소라 하자. 다음과 같다.

Ⅱ. 미분 91
x -1 y 1 y 2 t (0) y 2 y (2'3 )
f '(x) + 0 - S '(t) + 0 -
f(x) -15 ↗ 1 ↘ -6 S(t) ↗ 32 ↘
따라서 닫힌구간 [-1, 2]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댓값 따라서 0<t<2'3 에서 함수 S(t)는 t=2일 때 최댓값 S(2)=32를
f(1)=1을 갖고, x=-1일 때 최솟값 f(-1)=-15를 갖는다. 가지므로 직사각형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은 32이다.
∴ M-m=1-(-15)=16

379  ④

376  ④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높이를 h라 하면
f '(x)=3xÛ`+12x=3x(x+4)이므로 r+h=15에서 h=15-r (0<r<15)이므로
x=0 또는 x=-4일 때 f '(x)=0이다. 원기둥의 부피는 prÛ`h=rÛ`(15-r)p이다.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f(r)=rÛ`(15-r)p=(15rÛ`-rÜ`)p라 하면
다음과 같다. f '(r)=(30r-3rÛ`)p=3r(10-r)p=0에서
r=10 (∵ 0<r<15)
x -1 y 0 y 1
0<r<15에서 함수 f(r)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f '(x) - 0 +
같다.
f(x) k+5 ↘ k ↗ k+7
r (0) y 10 y (15)
따라서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댓값
f '(r) + 0 -
k+7을 갖고, x=0일 때 최솟값 k를 갖는다.
f(r) ↗ 500p ↘
k+7=8이므로 k=1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이다. 따라서 0<r<15에서 함수 f(r)는 r=10일 때 최댓값
f(10)=500p를 가지므로 원기둥의 부피의 최댓값은 500p이다.

377  ⑤
380   128
f '(x)=xÜ`+3xÛ`=xÛ`(x+3)에서
잘라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라 하면 직육면체의 밑면의
x=-3 또는 x=0일 때 f '(x)=0이다.
한 변의 길이는 12-2x (0<x<6)이다. yy TIP
닫힌구간 [-4, -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상자의 부피를 V(x)라 하면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V(x)=x(12-2x)Û`=4(xÜ`-12xÛ`+36x)
x -4 y -3 y -1 V'(x)=4(3xÛ`-24x+36)=12(x-2)(x-6)=0에서
f '(x) - 0 + x=2 (∵ 0<x<6)
23 1 0<x<6에서 함수 V(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f(x) 1 ↘ - ↗
4 4
같다.
따라서 닫힌구간 [-4, -1]에서 함수 f(x)는 x=-4일 때 최댓값
x (0) y 2 y (6)
23
f(-4)=1을 갖고, x=-3일 때 최솟값 f(-3)=- 을 V '(x) + 0 -
4
갖는다. V(x) ↗ 128 ↘
따라서 0<x<6에서 함수 V(x)는 x=2일 때 최댓값
}=-
23 19
∴ M+m=1+{-
4 4 V(2)=128을 가지므로 상자의 부피의 최댓값은 128이다.

TIP

378  ⑤ x>0, 12-2x>0이므로 0<x<6이다.

직사각형 ABCD의 네 꼭짓점 중 제 1 사분면 위에 있는 점 A의


좌표를 (t, 12-tÛ`) (0<t<2'3 )이라 하자.
직사각형 ABCD의 넓이를 S(t)라 하면
381  ①

S(t)=2t(12-tÛ`)=-2tÜ`+24t 직육면체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S'(t)=-6tÛ`+24=-6(t+2)(t-2)=0에서 4(2x+y)=96이므로 y=24-2x (단, 0<x<12) yy TIP
t=2 (∵ 0<t<2'3 ) 직육면체의 부피를 V(x) cmÜ`라 하면
0<t<2'3 에서 함수 S(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V(x)=xÛ`y=xÛ`(24-2x)=-2(xÜ`-12xÛ`)
같다. V'(x)=-2(3xÛ`-24x)=-6x(x-8)=0에서

92 수학Ⅱ
x=8 (∵ 0<x<12) f(xª)- f(xÁ)
= f '(c) yy ㉠
0<x<12에서 함수 V(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xª-xÁ
같다. 인 c가 xÁ과 xª 사이에 존재한다.

x (0) y 8 y (12) 구간 (a, b)에서 f '(x)<0이므로 f '(c) < 0이고,


V '(x) + 0 - xª-xÁ > 0이므로 ㉠에서
V(x) ↗ 512 ↘ f(xª)- f(xÁ) < 0, 즉 f(xª) < f(xÁ)이다.
따라서 0<x<12에서 함수 V(x)는 x=8일 때 최댓값 따라서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V(8)=512를 가지므로 상자의 부피는 x=8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평균값 ㈏`:`< ㈐`:`> ㈑`:`<

TIP
x>0, 24-2x>0이므로 0<x<12이다. 384  ⑤

h(x)= f(x)-g(x)에서 h'(x)= f '(x)-g'(x)이다.


h'(x)<0일 때, 즉 f '(x)<g'(x)일 때 함수 h(x)는 감소한다.
함수 y= f '(x)의 그래프가 함수 y=g'(x)의 그래프보다 아래에
382  4 존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x<b 또는 x>e이므로 함수 h(x)가
감소하는 범위는 xÉb와 x¾e이다.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f '(x)=3xÛ`+2ax+b
따라서 선지 중 함수 h(x)가 감소하는 구간인 것은 ⑤이다.
ⅠⅠ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 '(x)는 짝수차항과 상수항으로만 이루어져 미

있으므로 a=0이다. 385  ⑤ 분

따라서 f(x)=xÜ`+bx+c, f '(x)=3xÛ`+b이다.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xÁ<xª이면 f(xÁ)> f(xª)’를
조건 ㈏에 의하여 f(1)=0이고 f '(1)=0이므로
만족시키려면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해야 하므로
1+b+c=0, 3+b=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한다.
∴ b=-3, c=2
f '(x)=-3xÛ`+2kx-(k+6)이므로
따라서 f(x)=xÜ`-3x+2이고,
이차방정식 -3xÛ`+2kx-(k+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 '(x)=3xÛ`-3=3(x+1)(x-1)이므로
D
x=-1 또는 x=1일 때 f '(x)=0이다. =kÛ`-3(k+6)=kÛ`-3k-18=(k+3)(k-6)É0
4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3ÉkÉ6
x y -1 y 1 y 따라서 정수 k는 -3, -2, -1, y, 6으로 10개이다.
f '(x) + 0 - 0 +
f(x) ↗ 4 ↘ 0 ↗ 386  ③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4를 갖는다.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다른 풀이 일대일대응이려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해야 한다.
함수 f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함수이다. 이때, 삼차함수 f(x)=-xÜ`+2axÛ`-3a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조건 ㈎에 의하여 이차함수 y= f '(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음수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해야 한다.
대칭이고, 조건 ㈏에 의하여 f '(1)=0이므로 f '(-1)=0이다.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한다.
즉, f '(x)=3(x-1)(x+1)=3xÛ`-3 f '(x)=-3xÛ`+4ax-3a이므로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이차방정식 -3xÛ`+4ax-3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 '(x)=3xÛ`+2ax+b이므로 a=0, b=-3 D
=4aÛ`-9a=a(4a-9)É0
또한 조건 ㈏에 의하여 f(1)=0이므로 4
1+a+b+c=0에서 c=2 9
∴ 0ÉaÉ
∴ f(x)=xÜ`-3x+2 4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4를 갖는다. 따라서 정수 a는 0, 1, 2로 3개이다.

387  ③

383   ㈎`:`평균값 ㈏`:`< ㈐`:`> ㈑`:`<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이때,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일대일대응이려면
구간 [a, b]에 속하는 임의의 두 수 xÁ, xª (xÁ<xª)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해야 한다.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이때, 삼차함수 f(x)=xÜ`+(2-a)xÛ`+ax+3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Ⅱ. 미분 93
양수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한다. 이므로 -2ÉaÉ1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한다. ∴ -1ÉaÉ1
f '(x)=3xÛ`+2(2-a)x+a이므로 Ü a>2인 경우
이차방정식 3xÛ`+2(2-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f '{x}
D
=(2-a)Û`-3a=aÛ`-7a+4É0
4
이 이차부등식의 해가 mÉaÉM이므로
M과 m은 이차방정식 aÛ`-7a+4=0의 두 실근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2 a x
M+m=7 ㉠을 만족시키려면 f '(2)¾0이면 된다.
6
f '(2)=4-4a+2-a=6-5a¾0에서 aÉ
388  ①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5

구간 [-1, 1]에서 함수 f(x)가 감소하려면 -1ÉxÉ1에서 Ú〜Ü에 의하여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3ÉaÉ1이다.
f '(x)É0이어야 한다.
f '(x)=6xÛ`-2ax+4a이므로 -1ÉxÉ1에서 f '(x)É0이려면
f '(-1)É0, f '(1)É0이면 된다. 390  ④

y=f'{x}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xÉt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이 f(t)와


같으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한다. yy TIP
-1 1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한다.
x
f '(x)=-xÛ`+2(a-3)x+(a-5)이므로
f '(-1)=6+6aÉ0에서 aÉ-1 이차방정식 -xÛ`+2(a-3)x+(a-5)=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 '(1)=6+2aÉ0에서 aÉ-3 D
=(a-3)Û`+(a-5)=aÛ`-5a+4=(a-1)(a-4)É0
4
∴ aÉ-3
∴ 1ÉaÉ4
따라서 정수 a는 1, 2, 3, 4로 4개이다.
389   -3ÉaÉ1
TIP
구간 [-1, 2]에서 함수 f(x)가 증가하려면 -1ÉxÉ2에서
일반적으로 함수 f(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한다. yy ㉠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xÉt에서 f(x)의 최솟값이 f(t)’ yy ㉠
f '(x)=xÛ`-2ax+(2-a)에서 이차함수 y= f '(x)의 그래프의
가 성립하면
축이 직선 x=a이므로 a의 값의 범위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다.
‘xÁ<xª인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f(xÁ)¾ f(xª)’가
Ú a<-1인 경우
성립한다.
y=f'{x}
이를 만족시키는 함수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는 함수
또는 상수함수 또는 일부 구간에서는 상수함수이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감소하는 함수이다.
즉, 다음과 같은 함수도 조건을 만족시킨다.
y
a -1 2 x
y=f{x}
㉠을 만족시키려면 f '(-1)¾0이면 된다.
f '(-1)=1+2a+2-a=a+3¾0에서 a¾-3
∴ -3Éa<-1 O x
Û -1ÉaÉ2인 경우
y=f '{x} 하지만 삼차함수의 경우 일부 구간에서 상수함수인 구간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을 만족시키는 삼차함수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는 함수라고 할 수 있다.

-1
㉠을 만족시키려면 f '(a)¾0이면 된다.
a 2 x
391   풀이 참조

f '(a)=aÛ`-2aÛ`+2-a=-aÛ`-a+2 ⑴ ‌함수 f(x)가 x=a에서 극대이면 a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

=-(a+2)(a-1)¾0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f(x) É f(a)이다.

94 수학Ⅱ
즉, 함수 f(x)가 x=a에서 극댓값을 가지면 절댓값이 충분히 f '(x)=3xÛ`-6x-9=3(x+1)(x-3)에서
작은 실수 h (h+0)에 대하여 함수 f(x)는 x=3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f(3)=-26이다.
f(a+h) É f(a)이므로

h>0이면
f(a+h)- f(a)
h
É0 395  ⑤
f(a+h)- f(a) 조건 ㈎에 의하여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다.
h<0이면 ¾0
h
따라서 f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함수이고,
이다.
조건 ㈏에서 f '(-1)=0, f '(2)=0이므로
함수 f(x)는 x=a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 '(x)=3(x+1)(x-2)이다.  yy ㉠
f(a+h)- f(a) f(a+h)- f(a)
0 É lim = lim É0 f(3+h)- f(3-h)
h`Ú0- h h`Ú0+ h lim
h`Ú0 h
이다.
f(3+h)- f(3) f(3-h)- f(3)
따라서 f '(a)=0이다. =lim [ + ]
h`Ú0 h -h
⑵ f(x)=xÜ`일 때, 함수 f '(x)=3xÛ`에서 f '(0)=0이지만
= f '(3)+ f '(3)=2 f '(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3xÛ`¾0이므로
=2_12=24 (∵ ㉠)
함수 f(x)는 x=0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396  ③
ⅠⅠ
392  ①
f(x)-2 미
조건 ㈎의 lim =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함수 f(x)가 x=2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x`Ú0 x 분

f '(2)=0, f(2)=3이다.  yy ㉠ x`→`0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g(x)=(xÛ`+2) f(x)라 하면 즉, lim { f(x)-2}= f(0)-2=0에서 f(0)=2 yy ㉠
x`Ú0
g(2)=6 f(2)=18 (∵ ㉠)
f(x)-2 f(x)- f(0)
g'(x)=2x f(x)+(xÛ`+2) f '(x)이므로 lim =lim = f '(0)=4  yy ㉡
x`Ú0 x x`Ú0 x-0
g'(2)=4 f(2)+6 f '(2)=12 (∵ ㉠) 이때, 조건 ㈐에서 g'(0)=0이고,  yy ㉢
따라서 곡선 y=g(x) 위의 점 (2, 18)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조건 ㈏에서 h(x)= f(x)g(x)라 하면
y-18=12(x-2), 즉 y=12x-6이므로 접선의 y절편은 -6이다. h(x)-k
lim =-2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0 x
x`→`0일 때 (분모)`→`0이므로 (분자)`→`0이다.
393  ③
즉, lim
x`Ú0
{h(x)-k}=h(0)-k=0에서 h(0)=k이므로
f '(x)=-6xÛ`+2ax+b에서 k
f(0)g(0)=k에서 g(0)= (∵ ㉠)  yy ㉣
함수 f(x)가 x=-1, x=2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2
h(x)-k h(x)-h(0)
f '(-1)=0, f '(2)=0이다.  lim =lim =h'(0)=-2이므로
x`Ú0 x x`Ú0 x-0
즉, f '(x)=-6(x+1)(x-2)=-6xÛ`+6x+12
h'(x)= f '(x)g(x)+ f(x)g'(x)에서
-6xÛ`+2ax+b=-6xÛ`+6x+12에서
h'(0)= f '(0)g(0)+ f(0)g'(0)=-2이다.
a=3, b=12
k
또한 f(-1)=-3이므로 ㉠, ㉡, ㉢, ㉣에 의하여 4_ +2_0=-2
2
f(-1)=2+a-b+c=-3에서 c=4 ∴ k=-1
∴ a+b+c=3+12+4=19

397  7
394   -26
조건 ㈎에 의하여 f '(2)=0, f(2)=6
f '(x)=3xÛ`+2ax+b에서 함수 f(x)가 x=-1에서 극값을 조건 ㈏에 의하여 f '(0)=12, f(0)=2
가지므로 f '(-1)=0이다. f(0)=2이므로
즉, 3-2a+b=0에서 2a-b=3 yy ㉠ f(x)=axÜ`+bxÛ`+cx+2 (a, b, c는 상수, a+0)라 하면
또한 f(-1)=6이므로 f '(x)=3axÛ`+2bx+c
-1+a-b+1=6에서 a-b=6 yy ㉡ f '(0)=12이므로 c=12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f '(2)=0이므로 12a+4b+c=0에서
a=-3, b=-9 3a+b=-3 (∵ ㉠) yy ㉡
따라서 f(x)=xÜ`-3xÛ`-9x+1이고 f(2)=6이므로 8a+4b+2c+2=6에서

Ⅱ. 미분 95
2a+b=-5 (∵ ㉠) yy ㉢ 방정식 6xÛ`-6x+a=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9이므로 이차방정식 6xÛ`-6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2xÜ`-9xÛ`+12x+2 D 3
=9-6a>0에서 a<
f '(x)=6xÛ`-18x+12=6(x-1)(x-2)에서 4 2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1)=7이다. 방정식 6xÛ`-6x+a=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
a+b=1, ab=
6
398   -;3$;
또한 두 극값 f(a)=2aÜ`-3aÛ`+aa, f(b)=2bÜ`-3bÛ`+ab의
기울기가 4인 직선 l의 방정식을 y=4x+k (k는 실수)라 하면 합이 -10이므로
곡선 y= f(x)와 직선 l이 x=-3에서 접하고 x=1에서 만나므로 2(aÜ`+bÜ`)-3(aÛ`+bÛ`)+a(a+b)=-10
방정식 f(x)=4x+k는 x=-3을 중근으로 갖고, x=1을 한 a
이때, aÜ`+bÜ`=(a+b)Ü`-3ab(a+b)=1- ,
실근으로 갖는다. 2
즉, f(x)-(4x+k)=(x+3)Û`(x-1)에서 a
aÛ`+bÛ`=(a+b)Û`-2ab=1- 이므로
3
f(x)=(x+3)Û`(x-1)+4x+k
2{1- }-3{1- }+a=-10
a a
f '(x)=2(x+3)(x-1)+(x+3)Û`+4 2 3
=3xÛ`+10x+7 2-a-3+a+a=-10
=(3x+7)(x+1) ∴ a=-9
7
따라서 함수 f(x)는 x=- 에서 극댓값을 갖고, x=-1에서
3
극솟값을 갖는다. 401  ③
7
∴ a=- , b=-1 구간 (-2, 3)에서 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려면
3
구간 (-2, 3)에서 함수 y= f '(x)의 그래프가 x축과 서로 다른
4
∴ a-b=- yy ㉠
3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f '(x)=-3xÛ`+6x+a=-3(x-1)Û`+a+3에서
이차함수 y= f '(x)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x=1이므로
399  ② ㉠을 만족시키려면 f '(1)>0, f '(3)<0이면 된다.
y=f'{x}
조건 ㈎에서 f(0)=2이므로
3
f(x)=xÜ`+axÛ`+bx+2 (a, b는 상수)라 하면
-2 1 x
f '(x)=3xÛ`+2ax+b이다.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x)는 x=p에서 극대이고, x=q에서
극소이므로 f '(1)=a+3>0에서 a>-3
방정식 3xÛ`+2ax+b=0의 두 실근이 p, q이다. yy ㉠ f '(3)=a-9<0에서 a<9
5 ∴ -3<a<9
조건 ㈐의 두 식 q=p+2, pq= 를 연립하여 풀면
4 따라서 정수 a는 -2, -1, 0, y, 8로 11개이다.
5
p(p+2)= , 4pÛ`+8p-5=(2p+5)(2p-1)=0
4

∴ p=
1
2
(∵ p>0), q=
5
2
402   풀이 참조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 '(x)=-6xÛ`+2ax+4aÛ`에서 함수 f(x)가 -2<x<2에서


1 5 2a 9 극솟값을 갖고, x>2에서 극댓값을 가지려면 함수 y= f '(x)의
+ =- 에서 a=-
2 2 3 2 그래프가 x축과 -2<x<2와 x>2인 범위에서 각각 한 점에서
1 5 b 15 만나야 한다.
_ = 에서 b=
2 2 3 4 y=f'{x}
9 15 1
따라서 f(x)=xÜ`- xÛ`+ x+2이고, 함수 f(x)가 x= 에서
2 4 2
-2 2 x
1 23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 { }= 이다.
2 8
이를 만족시키려면 f '(-2)<0, f '(2)>0이면 된다.
f '(-2)=4aÛ`-4a-24=4(a+2)(a-3)<0에서
400  ②
-2<a<3 yy ㉠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므로 f '(x)=6xÛ`-6x+a에서 f '(2)=4aÛ`+4a-24=4(a+3)(a-2)>0에서

96 수학Ⅱ
a<-3 또는 a>2 yy ㉡ 이때,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 ㉡에 의하여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2<a<3이다. 2xÛ`-3x+a=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g(x)=2xÛ`-3x+a라 하면 g(0)+0에서 a+0이고,
채점 요소 배점
이차방정식 g(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도함수 f '(x) 구하기 20 %
9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조건 찾기 40 % D=9-8a>0이므로 a<
8
부등식을 풀어서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9
∴ a<0 또는 0<a<
8
다른 풀이
TIP
f '(x)=-6xÛ`+2ax+4aÛ`=-2(3x+2a)(x-a)이므로
2a 최고차항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f(x)에 대하여 그 도함수인
x=- 또는 x=a일 때 f '(x)=0이다.
3 삼차함수 y= f '(x)의 그래프와 x축의 위치 관계에 따라
이때, 함수 f(x)가 -2<x<2에서 극솟값을 갖고, x>2에서 사차함수 f(x)의 극대, 극소인 점의 개수를 따져 보면 다음과
극댓값을 갖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같다.
2a
Ú -2<- <2, a>2인 경우 f(x)의
3
삼차함수 y= f '(x)의 그래프 극대, 극소인
즉, -3<a<3, a>2이므로 2<a<3이다.
점의 개수
2a
Û -2<a<2, - >2인 경우
ⅠⅠ
3
즉, -2<a<2, a<-3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은 + + 극대인 점 1개

존재하지 않는다. - - x 극소인 점 2개 분
Ú, Û에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2<a<3이다.

채점 요소 배점 + +
x x
도함수 f '(x) 구하기 20 % - - - -
+ + + +
방정식 f '(x)=0의 실근 구하기 30 %
- x - x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50 %

+ +
x x
- - 극소인 점 1개
403   19
-
+
x -
+
x
f '(x)=3xÛ`-2ax-100에서 방정식 f '(x)=0을 만족시키는
두 근을 p, q (p<q)라 하면 함수 f(x)는 x=p에서 극대이고
+
x=q에서 극소이다.
이때, 직선 x=a가 두 점 (p, f(p)), (q, f(q)) 사이를 지나므로 - x

p<a<q이고, 이를 만족시키려면 f '(a)<0이면 된다.


y=f '{x} 따라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가 극댓값을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a
실근을 갖는 것이다.
p q x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사차함수가 극솟값을 갖기 위한
f '(a)=3aÛ`-2aÛ`-100<0, aÛ`<100 필요충분조건도 위와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삼차방정식
∴ -10<a<10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수 a는 -9, -8, -7, y, 9로 19개이다. 참고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는 항상 극솟값을
갖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사차함수는 항상 극댓값을
갖는다.

404   a<0 또는 0<a<;8(;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f(x)=xÝ`-2xÜ`+axÛ`-5가


극댓값을 가지려면 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405  ⑤

가져야 한다. yy TIP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으려면
f '(x)=4xÜ`-6xÛ`+2ax=2x(2xÛ`-3x+a)이므로 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1 또는 2이어야
f '(x)=0에서 x=0 또는 2xÛ`-3x+a=0 한다. yy TIP

Ⅱ. 미분 97
f '(x)=12xÜ`-12(a-2)xÛ`+12(a+1)x-48 0<x<8에서 f(x)=0 또는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12{xÜ`-(a-2)xÛ`+(a+1)x-4} 다음과 같다.
=12(x-1){xÛ`-(a-3)x+4} y y=f{x}
이므로 f '(x)=0에서 x=1 또는 xÛ`-(a-3)x+4=0
이때,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1 또는 2이려면
f
이차방정식 xÛ`-(a-3)x+4=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갖거나 O a b c de g8 x
x=1을 실근으로 가져야 한다.
Ú 방정식 xÛ`-(a-3)x+4=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갖는 경우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은 a, e, g이고,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실근은 a, b, c, d, f이다.
D=(a-3)Û`-16É0에서 aÛ`-6a-7É0, (a+1)(a-7)É0
따라서 구하는 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실근은
∴ -1ÉaÉ7
a, b, c, y, g로 7개이다.
Û 방정식 xÛ`-(a-3)x+4=0이 x=1을 실근으로 갖는 경우
1-(a-3)+4=0에서 a=8
Ú, Û에 의하여 -1ÉaÉ7 또는 a=8
따라서 정수 a는 -1, 0, 1, y, 8로 10개이다.
408  ⑤

부등식 f(x) f '(x)É0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TIP
Ú f(x)=0 또는 f '(x)=0인 경우
404번 TIP 을 참고하자. x=d일 때 f(x)=0이고,
x=c, f일 때 f '(x)=0이므로
x=c, d, f일 때 f(x) f '(x)=0이다.
406  ① Û f(x)<0, f '(x)>0인 경우
x=c, h일 때 f(x)<0이고,
f '(x)=xÜ`+(a+1)xÛ`-a=(x+1)(xÛ`+ax-a)에서
x=d, e일 때 f '(x)>0이므로 yy TIP
방정식 f '(x)=0의 세 실근이 a, b, c이고,
f(x)<0, f '(x)>0을 만족시키는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a<0<b<c<3이므로 a=-1이다.
Ü f(x)>0, f '(x)<0인 경우
또한 방정식 f '(x)=0이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x=a, b, e, f, g일 때 f(x)>0이고,
세 실근을 갖기 위해서는 방정식 xÛ`+ax-a=0이 구간 (0, 3)에서
x=a, b, g, h일 때 f '(x)<0이므로 yy TIP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a, b, g일 때 f(x) f '(x)<0이다.
y=x@+ax-a
Ú~Ü에 의하여 a, b, c, y, h 중 부등식 f(x) f '(x)É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a, b, c, d, f, g로 6개이다.

0 3 x TIP
각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음수인지, 양수인지를 따져 도함수
따라서 g(x)=xÛ`+ax-a라 하면
f '(x)의 값의 부호를 판단할 수 있다.
Ú 이차방정식 g(x)=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aÛ`+4a=a(a+4)>0
∴ a<-4 또는 a>0
Û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의 축은
a a
409  ②
직선 x=- 이므로 0<- <3
2 2 h(x)= f(x)g(x)에서 h'(x)= f '(x)g(x)+ f(x)g'(x)이다.
∴ -6<a<0 ㄱ. f(1)=0, f '(1)=0이므로
Ü g(0)>0, g(3)>0이어야 하므로 h'(1)= f '(1)g(1)+ f(1)g'(1)=0
g(0)=-a>0이고 g(3)=9+2a>0 ㄴ. f '(2)>0, g(2)>0, g'(2)=0이므로
9 h'(2)= f '(2)g(2)+ f(2)g'(2)>0
∴ - <a<0
2 ㄷ. f(-2)>0, f '(-2)=0, g'(-2)<0이므로
9
Ú〜Ü에 의하여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 <a<-4이다. h'(-2)= f '(-2)g(-2)+ f(-2)g'(-2)<0
2
따라서 양수인 것은 ㄴ이다.

407  7

F(x)={ f(x)}Û`에서 F '(x)=2 f(x) f '(x)이므로


410  c

방정식 F '(x)=2 f(x) f '(x)=0에서 f(x)=0 또는 f '(x)=0이다. h(x)= f(x)-g(x)에서 h'(x)= f '(x)-g'(x)이다.

98 수학Ⅱ
y y=g '{x}
413  ⑤

ㄱ. ‌함수 h(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0에서도


-
- 연속이다.
y=f '{x} +
즉, lim h(x)= lim h(x)에서 lim f(x)= lim g(x)
x`Ú0+ x`Ú0- x`Ú0+ x`Ú0-
b Oc d x
+ a e 두 함수 f(x), g(x)는 다항함수이므로
이때,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im f(x)= f(0), lim g(x)=g(0)
x`Ú0+ x`Ú0-
∴ f(0)=g(0) (참)
x y a y c y e y
f(x)- f(0) g(x)-g(0)
h '(x) + 0 - 0 + 0 - ㄴ. ‌f '(0)=g'(0)에서 lim = lim
x`Ú0+ x-0 x`Ú0- x-0
h(x) ↗ 극대 ↘ 극소 ↗ 극대 ↘ h(x)-h(0) h(x)-h(0)
즉, lim = lim 이므로
따라서 함수 h(x)는 x=c에서 극소이다. x`Ú0+ x-0 x`Ú0- x-0
함수 h(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참)
ㄷ. f '(0)<0, g'(0)>0일 때

411  ④ lim
x`Ú0+
f(x)- f(0)
x-0
= lim
x`Ú0+
h(x)-h(0)
x-0
<0

함수 h(x)= f(x)-g(x)라 하면 h'(x)= f '(x)-g'(x)이다. g(x)-g(0) h(x)-h(0)


lim = lim >0
ⅠⅠ
y x`Ú0- x-0 x`Ú0- x-0
y=g'{x} -
y=f '{x} 이므로 함수 h(x)는 x=0의 좌우에서 h'(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x=0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분
-
b + 마찬가지로 f '(0)>0, g'(0)<0일 때 함수 h(x)는 x=0의
O a c d e x
좌우에서 h'(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므로 x=0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이때,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h(x)는 x=0에서 극값을 갖는다. (참) yy TIP
x y b y e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h '(x) - 0 + 0 -
h(x) ↘ 극소 ↗ 극대 ↘ TIP

① x<c에서
‌ f '(x)<0이고, x>c에서 f '(x)>0이므로 함수 ㄷ은 함수 h(x)의 x=0에서의 미분가능 여부와 무관하게
f(x)는 xÉc에서 감소하고, x¾c에서 증가한다. (거짓) 판단할 수 있다.
② 함수 h(x)= f(x)-g(x)는 x=e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거짓)
③ f(a)=g(a)이면 h(a)=0이다.
이때, a<x<b에서 함수 h(x)가 감소하므로 h(b)<0이다.
즉, f(b)-g(b)<0이므로 f(b)<g(b)이다. (거짓) 414  ②

④ f(b)=g(b)이면 h(b)=0이다.    f '(x) (x¾0)


g'(x)= f '(|x|)=[ 이므로 함수 y= f '(x)의
b<x<c에서 함수 h(x)가 증가하므로 h(c)>0이다. f '(-x) (x<0)
즉, f(c)-g(c)>0이므로 f(c)>g(c)이다. (참) 그래프의 x절편을 a라 할 때, 함수 y=g'(x)의 그래프는
⑤ h(x)의
‌ 함숫값은 알 수 없으므로 h(x)<0, 즉 부등식 다음과 같다.
f(x)<g(x)가 성립하는지 알 수 없다. (거짓) y
y=g'{x}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④이다.

412  ⑤
-a a x

f '(x)=3xÛ`+12x+12=3(x+2)Û` ㄱ. ‌함수 y= f '(x)의 그래프에서 f '(x)=0인 x의 값은 a뿐이고,


ㄱ. ‌f '(x)=3(x+2)Û`>0일 때 x+-2이므로 f '(x)>0인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므로
구간은 (-¦, -2)'(-2, ¦)이다. (거짓) 함수 f(x)는 x=a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거짓)
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므로 함수 f(x)는 ㄴ. ‌함수 y=g'(x)의 그래프에 의하여 함수 g(x)는 x=-a에서
구간 (-¦, ¦)에서 증가한다. (참) 극댓값을 갖고, x=a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참)
ㄷ. ‌함수 f(x)가 구간 (-¦, ¦)에서 증가하므로 극값을 갖지 ㄷ. ‌도함수 y=g'(x)의 그래프만으로 함수 y=g(x)의 그래프와
않는다. (참) x축과의 위치 관계를 알 수 없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Ⅱ. 미분 99
415  ④ TIP
-xÜ` (x¾0)
f '(x)=3xÛ`+2kx+12 ㄷ. 함수 h(x)=-xÛ`|x|=[ 이라 하면
   xÜ` (x<0)
ㄱ. f '(x)=3xÛ`+2kx+12=12에서 함수 h(x)는 x=0에서 극대이다.
2k y
x(3x+2k)=0   ∴ x=0 또는 x=-
3
2k O x
따라서 x=0 또는 x=- 일 때 접선의 기울기가 12이다. (참)
3
y=h{x}
ㄴ. k=6이면
‌ f '(x)=3(x+2)Û`¾0이므로 함수 f(x)는
증가함수이다.
그러므로 x=-2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거짓) 따라서 x<0에서 함수 h(x)는 증가하므로 함수
ㄷ. 이차방정식 3xÛ`+2kx+1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h(x)도 증가하고, x>0에서 함수 h(x)는
D 감소하므로 함수 f(x)+h(x)도 감소한다.
=kÛ`-36É0, 즉 |k|É6일 때, f '(x)¾0이므로 함수
4 따라서 함수 f(x)-xÛ`|x|는 x=0에서 극대이다.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k|É5이면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참) 참고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ㄱ. y y
O y=|f{x}|
증가 감소 x

416   ㄴ, ㅁ
y=f{x}
감소 증가

O x
ㄱ. ‌구간 (a, c)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구간 (a, c)에서
ㄴ. y y
증가한다.   ∴ f(a)< f(c) (거짓)
증가 감소
ㄴ. ‌구간 (b, c)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구간 (b, c)에서 증가 감소 ⇒
증가한다.   ∴ f(b)< f(c) (참)
ㄷ. ‌함수 f(x)는 x=a에서 극소이고, x=c에서 극대이므로 y=f{x} y=f{|x|}
극솟값 f(a), 극댓값 f(c)로 2개의 극값을 갖는다. (거짓) ㄷ. y
ㄹ. ‌f '(b)의 값이 존재하므로 함수 f(x)는 x=b에서 미분가능하다. y O
x
 (거짓) 증가 감소 증가 감소
ㅁ. ‌구간 (c, ¦)에서 f '(x)É0이므로 함수 f(x)는 구간 y=-x@|x|
(c, ¦)에서 감소한다. 즉, 구간 (c, ¦)에 속하는 임의의 xÁ, y=f{x}
xª에 대하여 xÁ<xª이면 f(xÁ)> f(xª)이다. (참)
y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ㅁ이다.
⇒ 증가 감소

417  ⑤ y=f{x}-x@|x|

ㄱ. (반례)
‌ f(x)=-xÛ`일 때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을
갖지만, 함수 |f(x)|=xÛ`은 x=0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거짓)
ㄴ. ‌함수 f(x)가 x=0에서 극댓값을 가지면 어떤 양수 h에 대하여
구간 (-h, h)에서 f(x)É f(0)이 성립한다. 418   ⑴ 최댓값 : 15, 최솟값 : -5 ⑵ 최댓값 : 1, 최솟값: -3
(x¾0)
  f(x)
이때, 함수 f(|x|)=[ 는 구간 (-h, h)에서 ⑴ ‌f '(x)=-3xÛ`+6x=-3x(x-2)에서
f(-x) (x<0)
x=0 또는 x=2일 때 f '(x)=0이다.
f(|x|)É f(0)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을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갖는다. (참)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ㄷ. g(x)=
‌ f(x)-xÛ`|x|라 하면 어떤 양수 h에 대하여
x -2 y 0 y 2 y 3
구간 (-h, h)에서 f(x)É f(0)이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x|É0이므로 f '(x) - 0 + 0 -
구간 (-h, h)에서 g(x)= f(x)-xÛ`|x|É f(0)=g(0)이다. f(x) 15 ↘ -5 ↗ -1 ↘ -5
즉, 함수 g(x)= f(x)-xÛ`|x|는 x=0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따라서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는 x=-2일 때
 (참) yy TIP 최댓값 f(-2)=15를 갖고, x=0 또는 x=3일 때 최솟값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f(0)= f(3)=-5를 갖는다.

100 수학Ⅱ
⑵ ‌f '(x)=3xÛ`-3=3(x+1)(x-1)에서 관계를 갖는다. 직사각형 8개는 서로 합동이며, 하단에
x=-1 또는 x=1일 때 f '(x)=0이다. 표시한 길이는 1`:`'3 `:`2의 비를 갖는다.
닫힌구간 [-'3 , '3 ]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g{x}

x -'3 y -1 y 1 y '3
f '(x) + 0 - 0 +
f(x) -1 ↗ 1 ↘ -3 ↗ -1
따라서 닫힌구간 [-'3 , '3 ]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1
Â3
최댓값 f(-1)=1을 갖고, x=1일 때 최솟값 f(1)=-3을 2

갖는다.  yy TIP1 , TIP2

TIP1
⑵ ‌삼차함수 f(x)=xÜ`-3x-1에 대하여
f '(x)=3(x+1)(x-1)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419  ④

그래프 위의 점 (0, f(0))에 대하여 대칭이다. yy 참고 ❶ f '(x)=4xÜ`-20x=4x(xÛ`-5)이므로


구간 [-'3 , '3 ]에서의 최댓값, 최솟값을 구할 때, 이를 x=-'5 또는 x=0 또는 x='5 일 때 f '(x)=0이다.
이용하면 f(-1)=1, f('3 )=-1을 구하여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f(-1)> f('3 )임을 알면 f(1)< f(-'3 )임을 알 수 있다. 다음과 같다. ⅠⅠ
'5

x -2 y 0 y y 3 분
y=f{x}
f '(x) + 0 - 0 +
f(x) a-24 ↗ a ↘ a-25 ↗ a-9
따라서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는 x=0일 때 최댓값 a를
갖고, x='5 일 때 최솟값 a-25를 갖는다.
M+m=a+(a-25)=2a-25=9이므로
-Â3 -1 0 1 Â3
a=17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솟값을 갖고, x=-1일 때
다른 풀이
최댓값을 가짐을 알 수 있으므로 f(-'3 )의 값은 구하지
않아도 된다. xÛ`=t로 치환하면 -2ÉxÉ3일 때 0ÉtÉ9이고,
xÝ`-10xÛ`+a=tÛ`-10t+a=(t-5)Û`+a-25이다.
0ÉtÉ9에서 함수 y=(t-5)Û`+a-25는 t=5일 때 최솟값
TIP2
a-25를 갖고, t=0일 때 최댓값 a를 가지므로
참고 ❷의 내용에 의하여 ⑵의 함수 f(x)=xÜ`-3x-1의
M+m=a+(a-25)=2a-25=9
그래프에서 다음과 같은 길이의 비에 의해
∴ a=17
f(0)= f('3 )= f(-'3 )임을 알 수 있다.

y=f{x}

420  ②

f '(x)=3xÛ`+2ax-3a이므로
f '(-1)=3-2a-3a=-12에서 a=3
1
Â3 따라서 f(x)=xÜ`+3xÛ`-9x+b,
-Â3 -1 0 1 Â3
f '(x)=3xÛ`+6x-9=3(x+3)(x-1)이므로
x=-3 또는 x=1일 때 f '(x)=0이다.
참고 -1ÉxÉ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다음은 교육과정 내에서 배우는 내용은 아니지만, 알아두면 같다.
삼차함수의 그래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x -1 y 1 y 3
❶ ‌모든 삼차함수 g(x)에 대하여 이차함수 y=g'(x)의 f '(x) - 0 +
그래프의 축을 직선 x=t라 하면 삼차함수 y=g(x)의
f(x) b+11 ↘ b-5 ↗ b+27
그래프는 점 (t, g(t))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1ÉxÉ3에서 함수 f(x)는 x=3일 때 최댓값 b+27을
❷ ‌극값을 가지는 모든 삼차함수 g(x)는 항상 다음과 같은 길이
가지므로

Ⅱ. 미분 101
b+27=3   ∴ b=-24 또한 f(-2)=6이므로
∴ a+b=-21 16a+16+16+b=6에서 b=-6
5
따라서 f(x)=- xÝ`-2xÜ`+4xÛ`-6이므로
4

421  ⑤ f(1)=-
21
4
f '(x)=3axÛ`-6ax=3ax(x-2) (a>0)이므로
TIP
x=0 또는 x=2일 때 f '(x)=0이다.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가 x=a에서 최댓값
닫힌구간 [-2, 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또는 최솟값을 가지면 함수 f(x)는 x=a에서 극값을 갖는다.
다음과 같다.
❶ ‌함수 f(x)가 x=a에서 최댓값을 가지면 모든 실수 x에
x -2 y 0 y 1 대하여 f(x)É f(a)이므로 함수 f(x)는 x=a에서 극댓값
f '(x) + 0 - f(a)를 갖는다.
f(x) b-20a ↗ b ↘ b-2a ❷ ‌함수 f(x)가 x=a에서 최솟값을 가지면 모든 실수 x에
따라서 닫힌구간 [-2, 1]에서 함수 f(x)는 x=0일 때 최댓값 b를 대하여 f(x)¾ f(a)이므로 함수 f(x)는 x=a에서 극솟값
갖고, x=-2일 때 최솟값 b-20a를 갖는다. f(a)를 갖는다.
따라서 b=16, b-20a=-24이므로 a=2
∴ a+b=18

424  ③

422   풀이 참조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f(xÁ)¾g(xª)를 만족시키려면 함수
f '(x)=3xÛ`+2ax+b이고, f(x)의 최솟값이 함수 g(x)의 최댓값보다 항상 크거나 같아야
주어진 그래프에서 f '(0)= f '(4)=0이므로 한다.
f '(x)=3x(x-4)=3xÛ`-12x이다. f(x)=2xÝ`-4xÛ`+5에서
즉, 3xÛ`+2ax+b=3xÛ`-12x에서 a=-6, b=0 f '(x)=8xÜ`-8x=8x(x+1)(x-1)이므로
또한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므로 x=-1 또는 x=0 또는 x=1일 때 f '(x)=0이다.
f(0)=c=8 이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f(x)=xÜ`-6xÛ`+8이다. x y -1 y 0 y 1 y
구간 [-1, 6]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f '(x) - 0 + 0 - 0 +
다음과 같다. f(x) ↘ 3 ↗ 5 ↘ 3 ↗
x -1 y 0 y 4 y 6 따라서 함수 f(x)는 x=-1 또는 x=1일 때
f '(x) + 0 - 0 + 최솟값 3을 갖는다. yy ㉠
f(x) 1 ↗ 8 ↘ -24 ↗ 8 g(x)=-xÛ`+2ax+2a=-(x-a)Û`+aÛ`+2a이므로
따라서 구간 [-1, 6]에서 함수 f(x)는 x=4일 때 최솟값 -24를 함수 g(x)의 최댓값은 aÛ`+2a이다.
갖는다. 따라서 3¾aÛ`+2a이어야 하므로
aÛ`+2a-3=(a+3)(a-1)É0
채점 요소 배점
∴ -3ÉaÉ1
도함수 f '(x)의 그래프로부터 f '(x)=3xÛ`-12x임을 찾기 20 %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f(0)=8임을 찾기 30 %
-3, -2, -1, 0, 1로 5개이다.
f(x)=xÜ`-6xÛ`+8임을 구하기 10 %
다른 풀이
구간 [-1, 6]에서 함수 f(x)의 최솟값 구하기 40 %
㉠ 이후부터 다음과 같이 풀 수 있다.
함수 f(x)의 최솟값이 3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xÛ`+2ax+2aÉ3을 만족시키면 된다.
423  ⑤
즉, xÛ`-2ax+3-2a¾0에서
함수 f(x)가 x=-2에서 최댓값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xÛ`-2ax+3-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yy TIP D
=aÛ`-(3-2a)=(a+3)(a-1)É0
즉, f '(-2)=0이다. 4
f '(x)=4axÜ`-6xÛ`+8x이므로 ∴ -3ÉaÉ1
5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f '(-2)=-32a-24-16=0에서 a=-
4 -3, -2, -1, 0, 1로 5개이다.

102 수학Ⅱ
425  2

( f½g)(x)= f(g(x))에서 t=g(x)라 하자.


t=xÛ`-2x=(x-1)Û`-1에서 t¾-1이므로
( f½g)(x)= f(t)=-tÜ`+3t (단, t¾-1) 0 k

f '(t)=-3tÛ`+3=-3(t+1)(t-1)이므로 Ú 0<k<1일 때,
t=-1 또는 t=1일 때 f '(t)=0이다.
t¾-1에서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 -1 y 1 y
f '(t) + 0 -
0 k 1
f(t) -2 ↗ 2 ↘
구간 [1, ¦)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솟값 -3k+9를
따라서 t¾-1에서 함수 f(t)는 t=1일 때 최댓값 2를 가지므로 가지므로
함수 ( f½g)(x)의 최댓값은 2이다. 10
-3k+9=-1에서 k=
3
이 값은 0<k<1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Û k¾1일 때,
426  ①
ⅠⅠ
Ú x¾0에서 f(x)=xÜ`+2xÛ`+4x+3 미

} + >0이므로
2 Û` 8
x>0에서 f '(x)=3xÛ`+4x+4=3{x+
3 3
0 1 k
함수 f(x)는 x¾0에서 증가한다.
구간 [1, ¦)에서 함수 f(x)는 x=k일 때 최솟값 -kÜ`+7을
Û x<0에서 f(x)=xÜ`+2xÛ`-4x+3
가지므로
f '(x)=3xÛ`+4x-4=(x+2)(3x-2)이므로
-kÜ`+7=-1에서 kÜ`=8   ∴ k=2
x=-2일 때 f '(x)=0이다.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양수 k의 값은 2이다.
Ú, Û에 의하여 구간 [-3, 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f '(x)
-3 y
+
-2
0
y
-
0 y
+
1
428  ①

f(x) 6 ↗ 11 ↘ 3 ↗ 10 9-xÛ`
등식 xÛ`+3yÛ`=9에서 yÛ`=
3
y
11 9-xÛ` ¾0,
이때, yÛ`¾0이므로 xÛ`É9  
10 3
y=f{x}
∴ -3ÉxÉ3
주어진 식에서
6
9-xÛ` 1
xÛ`+xyÛ`=xÛ`+x_ =- xÜ`+xÛ`+3x
3 3
3
1
f(x)=- xÜ`+xÛ`+3x라 하면
3
-3-2 O 1 x f '(x)=-xÛ`+2x+3=-(x+1)(x-3)이므로
x=-1 또는 x=3일 때 f '(x)=0이다.
따라서 구간 [-3, 1]에서 함수 f(x)는 x=-2일 때 최댓값 11을
-3ÉxÉ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갖고, x=0일 때 최솟값 3을 가지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같다.
11+3=14이다.
x -3 y -1 y 3
f '(x) - 0 +
5
f(x) 9 ↘ - ↗ 9
427  2 3
5
f '(x)=6xÛ`-6kx=6x(x-k)(k>0)이므로 따라서 -3ÉxÉ3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최솟값 - 를
3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x=k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5
가지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 이다.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3

Ⅱ. 미분 103
429   800 431  ②

(이익금)=(총판매금액)-(총생산비용)이므로 6x-xÛ`=x(6-x)=0에서 x=0 또는 x=6이므로 A(6, 0)


제품 A를 x`kg 생산할 때의 이익금을 f(x)원이라 하면 y
y=6x-x@
f(x)=5000x-(2xÜ`-90xÛ`+5000x+3000)
C B
=-2xÜ`+90xÛ`-3000
f '(x)=-6xÛ`+180x=-6x(x-30)=0에서
x=30 (∵ x>0)
x>0에서 함수 f(x)는 x=30일 때 극대이며 최대이므로 O 3 6 A x
f(x)의 최댓값은 f(30)=24000이다.
따라서 이익금이 최대가 되도록 하기 위해 하루에 생산해야 할 제품 x축과 평행한 직선이 곡선 y=6x-xÛ`과 만나는 두 점은
A의 양은 30`kg이고, 그때의 이익금의 최댓값은 24000원이다. 이차함수 y=6x-xÛ`의 그래프의 축인 직선 x=3에 대하여
따라서 a=30, b=24000이므로 대칭이므로 C(t, 6t-tÛ`), B(6-t, 6t-tÛ`) (0<t<3)이라 하자.
b 사다리꼴 OABC의 넓이를 S(t)라 하면
=800
a 1
S(t)= _{6+(6-2t)}_(6t-tÛ`)
2
=t(t-6)Û`=tÜ`-12tÛ`+36t
S'(t)=3tÛ`-24t+36=3(t-2)(t-6)=0에서
430  ④
t=2 (∵ 0<t<3)
점 P의 좌표를 (p, pÛ`) (-1ÉpÉ1)이라 하면 따라서 0<t<3에서 함수 S(t)는 t=2일 때 극대이며 최대이므로
APÓ="Ã(p-1)Û`+(pÛ`-2)Û` S(t)의 최댓값은 S(2)=32이다.

="ÃpÝ`-3pÛ`-2p+5
f(p)=pÝ`-3pÛ`-2p+5라 하면 yy TIP1 432  ②
f '(p)=4pÜ`-6p-2=2(p+1)(2pÛ`-2p-1)이므로  yy ㉠
원뿔에 내접하는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1Ñ'3
p=-1 또는 p= 일 때 f '(p)=0이다. x (0<x<3)라 하자. 원뿔의 꼭짓점과 밑면인 원의 중심을 지나는
2
-1ÉpÉ1에서 함수 f(p)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평면으로 자른 단면은 다음 그림과 같다.
A
같다.
1-'3
p -1 y y 1
2
f '(p) + 0 - 9
D
f(p) ↗ 극대 ↘
1-'3 C
따라서 -1ÉpÉ1에서 함수 f(p)는 p= 일 때 최댓값을
2 B x E 3-x
1-'3 위와 같이 점 A, B, C, D, E를 잡으면 ABÓ=9, BCÓ=3,
가지므로 p= 일 때 APÓ가 최대이다.
2
BEÓ=x이고, 두 삼각형 ABC, DEC가 서로 닮음이므로
1-'3
∴ a= DEÓ`:`ECÓ=ABÓ`:`BCÓ=3`:`1에서 DEÓ=3ECÓ=3(3-x)이다.
2
1 원기둥의 부피를 V(x)라 하면
∴ b-a=aÛ`-a=
2 yy TIP2
V(x)=pxÛ`_3(3-x)=-3p(xÜ`-3xÛ`)
V'(x)=-3p(3xÛ`-6x)=-9px(x-2)=0에서
TIP1
x=2 (∵ 0<x<3)
APÓ="Ã f(p)일 때 APÓ가 최대이려면 f(p)가 최대이어야 한다.
0<x<3에서 함수 V(x)는 x=2일 때 극대이며 최대이므로
그러므로 함수 f(p)가 최대일 때를 구하여 답을 찾는다.
V(x)의 최댓값은 V(2)=12p이다.
따라서 a=2, b=12p이므로
TIP2
b
1-'3 =6p
㉠에서 방정식 2pÛ`-2p-1=0의 한 근이 이다. a
2
1-'3
즉, a=
2
이라 하면 2aÛ`-2a-1=0을 만족시키므로 433  ②

1 구에 내접하는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높이를 h라


aÛ`-a= 임을 바로 구할 수 있다.
2
하자. (단, 0<r<3, 0<h<6)

104 수학Ⅱ
구의 중심과 원기둥의 밑면인 원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구와
원기둥을 자른 단면은 다음과 같다.
435   -;;Á3¼;;

삼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려면 방정식 f(x)=0이


중근 또는 삼중근을 가져야 한다.
방정식 f(x)=0에서 2xÜ`-3(a-1)xÛ`-6ax=0, 즉
O h
x{2xÛ`-3(a-1)x-6a}=0이 중근 또는 삼중근을 갖는 경우는
3 다음과 같다.
r Ú 방정식 2xÛ`-3(a-1)x-6a=0의 한 근이 x=0인 경우
B -6a=0에서 a=0
A
Û 방정식 2xÛ`-3(a-1)x-6a=0이 중근을 갖는 경우
위와 같이 세 점 O, A, B를 잡으면 직각삼각형 OAB에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 =3Û`, 즉 rÛ`=9- 이므로
h 2 hÛ`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rÛ`+{ D=9(a-1)Û`+48a=0에서
2 4
3aÛ`+10a+3=0, (3a+1)(a+3)=0
}h이다.
hÛ`
원기둥의 부피는 prÛ`h=p{9-
4 1
∴ a=- 또는 a=-3
3
V(h)=p{9- }h=p{9h- }이라 하면
hÛ` hÜ`
4 4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a의 값의 합은
}=- p(hÛ`-12)=0에서
3hÛ` 3
0+(-3)+{- }=-
V'(h)=p{9- 1 10
4 4
ⅠⅠ
3 3
h=2'3  (∵ 0<h<6)
다른 풀이

따라서 0<h<6에서 함수 V(h)는 h=2'3 일 때 극대이며

다항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려면
최대이므로 V(h)의 최댓값은 V(2'3)=12'3 p이다.
f(k)=0이고 f '(k)=0인 실수 k가 존재하면 된다.
f '(x)=6xÛ`-6(a-1)x-6a=6(x-a)(x+1)이므로
x=a 또는 x=-1일 때 f '(x)=0이다.

434  ③ 따라서 f(a)=0 또는 f(-1)=0이면 된다.


f(a)=2aÜ`-3(a-1)aÛ`-6aÛ`=-aÜ`-3aÛ`=-aÛ`(a+3)=0에서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고, 원뿔의 높이를 h라 하자. a=0 또는 a=-3
 (단, 0<r<5, 0<h<10) f(-1)=-2-3(a-1)+6a=3a+1=0에서
원뿔의 꼭짓점을 지나고 원뿔의 밑면인 원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1
a=-
구와 원뿔을 자른 단면은 다음과 같다. 3
Ú 0<hÉ5일 때 Û 5<h<10일 때 따라서 구하는 모든 a의 값의 합은

0+(-3)+{- }=-
1 10
h 3 3
5 5
r
참고
h O
5     
O 5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❶ ‌방정식 f(x)=0이 x=k를 짝수 중근으로 가지면 함수
r
y= f(x)의 그래프는 x축과 점 (k, 0)에서 스치듯 접하고,
Ú에서 (5-h)Û`+rÛ`=5Û` 함수 f(x)의 부호는 x의 값이 k일 때를 경계로 바뀌지
Û에서 (h-5)Û`+rÛ`=5Û` 않는다.
이므로 Ú, Û에 의하여 ❷ ‌방정식 f(x)=0이 x=k를 홀수 중근으로 가지면 함수
rÛ`=25-(h-5)Û`=10h-hÛ`이다. y= f(x)의 그래프는 x축과 점 (k, 0)에서 뚫고 지나듯
1 1 접하고, 함수 f(x)의 부호는 x의 값이 k일 때를 경계로
원뿔의 부피는 prÛ`h= p(10h-hÛ`)h이므로
3 3 바뀐다.
1
V(h)= p(10hÛ`-hÜ`)이라 하면
3
1 p
V'(h)= p(20h-3hÛ`)=- h(3h-20)=0에서
3 3 436  ⑤
20
h= (∵ 0<h<10) f '(x)=6xÛ`¾0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고,
3
20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0<h<10에서 함수 V(h)는 h= 일 때 극대이며 최대이므로
3 함수 g(x)=m(2x+1)의 그래프는 m의 값에 관계없이
20
점 {- , 0}을 지나는 직선이다.
원뿔의 부피가 최대일 때, 원뿔의 높이는 이다. 1
3 2

Ⅱ. 미분 105
y a
즉, - =2에서 a=-6
y=f{x}
3
조건 ㈏에 의하여 f '(1)=0이므로
y=g{x} 3+2a+b=0에서 b=9
따라서 f(x)=xÜ`-6xÛ`+9x+c이고,
f '(x)=3xÛ`-12x+9=3(x-1)(x-3)에서
1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3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 O
2
x 구하는 값은 f(1)- f(3)=(c+4)-c=4이다.
-1
다른 풀이

이때, 두 함수 y=2xÜ`-1, y=2mx+m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함수 f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함수이다.


개수는 직선 y=2mx+m이 함수 y=2xÜ`-1의 그래프에 접하는 조건 ㈎에 의하여 이차함수 y= f '(x)의 그래프가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고, 조건 ㈏에 의하여 f '(1)=0이므로 f '(3)=0이다.
경우를 기준으로 달라지므로 점 {- , 0}을 지나고 함수
1
2 즉, f '(x)=3(x-1)(x-3)=3xÛ`-12x+9
y=2xÜ`-1의 그래프에 접하는 접선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y=2xÜ`-1에서 y'=6xÛ`이므로 접점을 (t, 2tÜ`-1)이라 하면 f '(x)=3xÛ`+2ax+b이므로 a=-6, b=9
접선의 방정식은 y-(2tÜ`-1)=6tÛ`(x-t), 따라서 f(x)=xÜ`-6xÛ`+9x+c이다.
즉 y=6tÛ`x-4tÜ`-1이다. 이때,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3에서 극솟값을
이 직선이 점 {- , 0}을 지나므로
1 가지므로 구하는 값은 f(1)- f(3)=(c+4)-c=4이다.
2
0=-3tÛ`-4tÜ`-1에서 4tÜ`+3tÛ`+1=0,
(t+1)(4tÛ`-t+1)=0   ∴ t=-1 (∵ 4tÛ`-t+1>0)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6x+3이다. 438  ②

이때, 두 함수 y=2xÜ`-1, y=2mx+m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세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점에서 만나는 경우는 접할 때보다 기울기가 더 큰 경우이므로 가지므로 극소인 점이 2개, 극대인 점이 1개 존재한다.
2m>6이어야 한다. yy TIP x=a, x=b (a+b)에서 극솟값을 갖는다고 하면 조건 ㈏에 의하여
∴ m>3 극솟값이 0으로 서로 같으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x축과

TIP
x=a,x=b에서 접한다.
y=f{x}
m의 값의 범위에 따라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❶ m<3일
‌ 때, 한 점에서 만난다.
❷ m=3일
‌ 때, 두 점에서 만난다. = > x
❸ m>3일
‌ 때, 세 점에서 만난다. 즉, f(x)=(x-a)Û`(x-b)Û`
❶ y yy ❷y yy y
❸ yy
조건 ㈎에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4를 가지므로
f '(0)=0, f(0)=4이다.
f '(x)=2(x-a)(x-b)Û`+2(x-a)Û`(x-b)
=2(x-a)(x-b)(2x-a-b)
에서 f '(0)=-2ab(a+b)=0
이때, a+0, b+0이므로 a+b=0, 즉 b=-a
O OO O OO O OO f(0)=aÛ`bÛ`=aÝ`=4이므로 a=Ñ'2
x xx x xx x xx
따라서 f(x)=(x-'2 )Û`(x+'2 )Û`=(xÛ`-2)Û`에서 f(1)=1이고,
f '(x)=4x(xÛ`-2)에서 f '(1)=-4
∴ f(1)+ f '(1)=-3
다른 풀이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437  4
가지므로 극소인 점이 2개, 극대인 점이 1개 존재한다.
함수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이때, 조건 ㈏에 의하여 극소인 두 점에서의 극솟값이 서로 같고,
f '(x)=3xÛ`+2ax+b 조건 ㈎에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함수
조건 ㈎에 의하여 이차함수 y= f '(x)의 그래프가 직선 x=2에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직선 x=0에 대하여 대칭이다.
대하여 대칭이므로 축이 x=2이다. yy TIP

106 수학Ⅱ
y 즉, f(x)=(x-1)Û`(x-3)Û`+k이고, 원점을 지나므로
y=f{x}
4 f(0)=9+k=0에서 k=-9
∴ f(x)=(x-1)Û`(x-3)Û`-9
f '(x)=2(x-1)(x-3)Û`+2(x-1)Û`(x-3)
=2(x-1)(x-3)(2x-4)
x
=4(x-1)(x-2)(x-3)
-k O k
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f(2)=-8을 갖는다.
즉,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극소가 ∴ aÛ`=(-8)Û`=64 yy TIP
되는 x의 값을 각각 k, -k라 하면
f(x)=(x-k)Û`(x+k)Û`이다. TIP

이때, 조건 ㈎에서 f(0)=4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0)=kÝ`=4에서 k=Ñ'2 이다. 사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으로부터 x=2에서 극댓값을
즉, f(x)=(x-'2 )Û`(x+'2 )Û`=(xÛ`-2)Û`에서 f(1)=1이고, 가짐을 바로 알 수 있다.
f '(x)=2(xÛ`-2)_2x=4x(xÛ`-2)에서 f '(1)=-4
∴ f(1)+ f '(1)=1+(-4)=-3

TIP 440   f(x)=xÝ`-2xÛ`

ⅠⅠ
사차함수 f(x)가 세 점에서 극값을 갖고, x=a, x=b (a+b)
조건 ㈎에 의하여 임의의 양수 t에 대하여
에서의 극솟값이 같거나 x=a, x=b (a+b)에서의 극댓값이
f(t)- f(-t)
a+b =0이므로 f(t)= f(-t)이다. 미
같을 때, 이 사차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x= 에 대하여 t-(-t) 분
2
즉,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yy㉠
대칭이다.
조건 ㈏에서 방정식 f '(x)=0을 만족시키는 한 실근이 1이므로 ㉠에
의하여 -1도 실근이고, 나머지 한 실근은 0이다.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y=f{x}

a b a b
-1 0 1
[증명]
a=-1, b=0이라 하자.
x=a, x=b에서의 극값이 m으로 같다고 하면 함수 y= f(x)의
f(a) f(b) f(1)=0에서 f(-1)= f(1)=0 또는 f(0)=0이다.
그래프가 직선 y=m과 x=a, x=b에서 접하므로
Ú f(-1)= f(1)=0일 때,
f(x)-m=k(x-a)Û`(x-b)Û` (단, k+0)
y=f{x}
y
∴ f(x)=k(x-a)Û`(x-b)Û`+m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a+b-x)= f(x)이므로 함수
a+b -1 O 1 x
y= f(x)의 그래프는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다.
2
f(0)>0이므로 주어진 조건에서
f(a)+ f(b)+ f(1)= f(-1)+ f(0)+ f(1)= f(0)=-2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439   64 Û f(0)=0일 때,
y=f{x}
조건 ㈎에서 곡선 y= f(x)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다.yy㉠ y
-1 1
또한 조건 ㈏에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에 x
O
의하여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을 갖고 두 극솟값은 서로
일치한다.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y=f{x} f(a)+ f(b)+ f(1)= f(-1)+ f(0)+ f(1)=2 f(1)=-2
이므로 f(-1)= f(1)=-1이다.
Ú, Û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는 Û이다.
y=k f(-1)= f(1)=-1, f '(-1)= f '(1)=0이므로
1 3 f(x)+1=m(x-1)Û`(x+1)Û` (m은 양수)이고,
따라서 함수 f(x)의 극솟값을 k라 하면 f(0)=0이므로 m=1
f(x)-k=(x-1)Û`(x-3)Û` ∴ f(x)=(x-1)Û`(x+1)Û`-1=(xÛ`-1)Û`-1=xÝ`-2xÛ`

Ⅱ. 미분 107
441  ① 442  7

f '(x)=3xÛ`-2x-8=(3x+4)(x-2)이므로 h(x)= f(x)+n이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h'(x)= f '(x)=6xÛ`-6=6(x-1)(x+1)이므로
y y=f{x} 함수 h(x)는 x=-1에서 극댓값 h(-1)=n+5, x=1에서 극솟값
h(1)=n-3을 갖는다.
이때, 함수 y=h(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k 2
O x y=h{x}

y=f{2}
-1 1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 f(2)와 만나는 점 중 함수 |h(x)|의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이 1개이려면
x좌표가 2가 아닌 점의 x좌표를 k (k+2)라 하면 h(-1)É0 또는 h(1)¾0이어야 한다. yy TIP
Ú t<k일 때, 즉, h(-1)=n+5É0 또는 h(1)=n-3¾0에서
x¾t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f(t)이므로 g(t)= f(t) nÉ-5 또는 n¾3이다.
Û kÉtÉ2일 때, 따라서 |n|É10인 정수 n은 -10, -9, y, -5 또는
x¾t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f(2)이므로 3, 4, y, 10이므로 모든 정수 n의 값의 합은 7이다.
g(t)= f(2)
TIP
Ü t>2일 때,
x¾t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f(t)이므로 g(t)= f(t) h(-1) 또는 h(1)의 값에 따라 g(x)=|h(x)|의 그래프는

f(t)  (t<k 또는 t>2) 다음과 같다.


Ú〜Ü에 의하여 g(t)=[ 이므로 ❶ h(-1)<0일 때, ❷ h(-1)=0일 때,
f(2) (kÉtÉ2)
y y
함수 y=g(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g{x} y=g{x}

y y=g{t}

1   1
-1 O x O x
k 2 -1
O t
4
-
3
y=h{x} y=h{x}

❸ h(1)<0<h(-1)일 때,
y
y=g{x}

g(t)-g(2) g(t)-g(2)
이때, lim = lim =0이므로
t`Ú2+ t-2 t`Ú2- t-2
O 1
함수 g(t)는 t=2에서 미분가능하고, -1 x
g(t)-g(k) g(t)-g(k)
lim =0, lim = f '(k)+0이므로 y=h{x}
t`Úk+ t-k t`Úk- t-k
함수 g(t)는 t=k일 때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❹ h(1)=0일 때, ❺ h(1)>0일 때,
f(k)= f(2)이므로 yy ㉠
y y
kÜ`-kÛ`-8k=-12에서 y=g{x} y=g{x}

kÜ`-kÛ`-8k+12=(k-2)Û`(k+3)=0   ∴ k=-3

따라서 a=-3이다. O O
-1 1 x -1 1 x
다른 풀이 y=h{x} y=h{x}

㉠에서 k의 값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함수 g(x)=|h(x)|는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 f(2)가 x=2에서 접하므로 h(-1)É0 또는 h(1)¾0일 때 한 점에서 미분가능하지 않고,
방정식 f(x)= f(2), 즉 xÜ`-xÛ`-8x- f(2)=0은 h(1)<0<h(-1)일 때 세 점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중근 x=2와 또 다른 한 실근 x=k를 가지므로 뒤의 참고 의 내용을 이용하면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의 개수를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2+k=1에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k=-3이다.

108 수학Ⅱ
참고 이때, 함수 y=i(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y=i{t}

g(x)=| f(x)|라 할 때, 실수 k에 대하여


a+7
Ú f(k)>0인 경우
g(x)-g(k) f(x)- f(k)
lim =lim = f '(k)
x`Úk x-k x`Úk x-k a-9
이므로 함수 g(x)는 x=k에서 미분가능하다. -1 1 3
Û f(k)<0인 경우
함수 h(t)=|i(t)|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이 2개이려면
g(x)-g(k) - f(x)-{- f(k)}
lim =lim =- f '(k) h(1)É0이어야 한다. yy TIP
x`Úk x-k x`Úk x-k
즉, h(1)=a+7É0
이므로 함수 g(x)는 x=k에서 미분가능하다.
∴ aÉ-7
Ü f(k)=0인 경우
❶ f '(k)>0이면 TIP
x<k일 때 f(x)<0이고, x>k일 때 f(x)>0이므로 i(-1) 또는 i(1)의 값에 따라 함수 h(t)=|i(t)|의 그래프는
g(x)-g(k) - f(x)-{- f(k)} 다음과 같다.
lim = lim 
x`Úk- x-k x`Úk- x-k
❶ i(-1)>0일 때 ❷ i(-1)=0일 때
=- f '(k)

lim
x`Úk+
g(x)-g(k)
x-k
= lim
x`Úk+
f(x)- f(k)
x-k
= f '(k) ⅠⅠ
  미
이때, f '(k)+- f '(k)이므로 함수 g(x)는 x=k에서 분
미분가능하지 않다. -1 1 3 x -1 1 3 x
❷ f '(k)<0이면 ❸ i(-1)<0<i(1)일 때
x<k일 때 f(x)>0이고, x>k일 때 f(x)<0이므로
g(x)-g(k) f(x)- f(k)
lim = lim = f '(k)
x`Úk- x-k x`Úk- x-k
-1 3
g(x)-g(k) - f(x)-{- f(k)} 1 x
lim = lim 
x`Úk+ x-k x`Úk+ x-k
=- f '(k)
이때, f '(k)+- f '(k)이므로 함수 g(x)는 x=k에서  ❹ i(1)=0일 때 ❺ i(1)<0일 때
미분가능하지 않다.
❸ f '(k)=0일 때
g(x)-g(k) g(x)-g(k) -1 1 3   -1 3
lim = lim =0 x 1 x
x`Úk- x-k x`Úk+ x-k
이므로 함수 g(x)는 x=k에서 미분가능하며
g'(k)=0이다.
따라서 함수 h(t)=|i(t)|는 i(-1)¾0일 때 모든 실수에서
따라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i(-1)<0<i(1)일 때 네 점에서 미분가능하지
함수 g(x)=| f(x)|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f(k)=0,
않고, i(1)É0일 때 두 점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f '(k)+0인 k에 대하여 x=k인 점이다.
442의 참고 의 내용을 이용하면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의 개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443   aÉ-7

직선 x=t가 두 함수 f(x), g(x)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의 좌표가


444  ①

각각 (t, f(t)), (t, g(t))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함수 f(x)가 연속함수이므로


h(t)=| f(t)-g(t)|=|tÝ`-4tÜ`-2tÛ`+12t+a| xÜ`+6xÛ`+15x-15a+3 (x¾a)
f(x)=[ 에서
i(t)=tÝ`-4tÜ`-2tÛ`+12t+a라 하면 xÜ`+6xÛ`-15x+15a+3 (x<a)
i'(t)=4tÜ`-12tÛ`-4t+12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x¾a와 x<a에서
=4(t+1)(t-1)(t-3) 각각 함수 f(x)가 증가하면 된다.
이므로 함수 i(t)는 t=-1 또는 t=3에서 Ú x>a일 때,
극솟값 i(-1)=i(3)=a-9를 갖고, f '(x)=3xÛ`+12x+15=3(x+2)Û`+3>0
t=1에서 극댓값 i(1)=a+7을 갖는다. 이므로 함수 f(x)는 x¾a에서 항상 증가한다.

Ⅱ. 미분 109
Û x<a일 때, 삼차함수 y=g(x)의 그래프는 x축과 x=2에서 접하고,
f '(x)=3xÛ`+12x-15=3(x+5)(x-1) x=-1에서 만나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에서 f '(x)¾0인 x의 값의 범위는 xÉ-5 또는 x¾1이다. y=g{x}
따라서 x<a에서 f '(x)¾0이기 위해서는 aÉ-5이어야 한다.
Ú, Û에서 aÉ-5이므로 실수 a의 최댓값은 -5이다.

445   13
-1 0 2 x
f(x)=xÜ`-(a+2)xÛ`+ax에서 f '(x)=3xÛ`-2(a+2)x+a이므로 1 2

곡선 y= f(x) 위의 점 (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이때, 길이의 비를 이용하면 함수 y=g(x)는 x=0에서
y-{tÜ`-(a+2)tÛ`+at}={3tÛ`-2(a+2)t+a}(x-t), 극댓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y={3tÛ`-2(a+2)t+a}x-2tÜ`+(a+2)tÛ`이다.
이 직선의 y절편이 g(t)이므로
g(t)=-2tÜ`+(a+2)tÛ`
함수 g(t)가 열린구간 (0, 5)에서 증가하므로 이 구간에서 447  7
g'(t)=-6tÛ`+2(a+2)t f '(x)=3xÛ`-12x+t에서 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t{3t-(a+2)}¾0 D
Ú =36-3t>0, 즉 t<12일 때
을 만족시켜야 한다. 4
a+2 함수 f(x)가 극대, 극소가 되는 x의 값이 하나씩 존재하므로
이때, 이 부등식의 해가 ÉtÉ0이면 열린구간 (0, 5)에서
3 g(t)=2이다.
g'(t)¾0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D
Û =36-3tÉ0, 즉 t¾12일 때
a+2 4
따라서 부등식의 해가 0ÉtÉ 이므로
3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지 않으므로 g(t)=0이다.
a+2 2 (t<12)
5É 를 만족시켜야 한다.
3 Ú, Û에 의하여 g(t)=[ 이므로
0 (t¾12)
∴ a¾13
y=g '{t} h(2) (t<12)
(h ç g)(t)=[ 이고, 조건 ㈎에 의하여
a+2 h(0) (t¾12)
3
함수 (h ç g)(t)가 연속함수이므로 t=12에서 연속이다.
0 5 t
즉, lim h(g(t))= lim h(g(t))이므로 h(2)=h(0)이다.
따라서 a의 최솟값은 13이다. t`Ú12- t`Ú12+

이때, 함수 h(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므로


0+2
이차함수 y=h(x)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x= =1이다.
446  ④
h(x)=(x-1)Û`+k (k는 실수)라 하면
2

y= f '(2)(x-2)+ f(2)는 곡선 y= f(x) 위의 점 (2, f(2))에서의 조건 ㈏에 의하여 h(2)=1+k=8이므로 k=7


접선의 방정식이므로 방정식 f(x)= f '(2)(x-2)+ f(2)는 x=2를 따라서 함수 h(x)=(x-1)Û`+7의 최솟값은 7이다.
중근으로 갖고,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x=-1을 한 실근으로
갖는다.
즉, f(x)- f '(2)(x-2)- f(2)=(x-2)Û`(x+1)이므로
g(x)=(x-2)Û`(x+1)이다. yy TIP 448  ③
g'(x)=2(x-2)(x+1)+(x-2)Û`
f '(x)=(x+1)(xÛ`+ax+b)에서 f '(-1)=0이다.
=3x(x-2) 함수 y= f(x)가 구간 (-¦, 0)에서 감소하려면 x=-1의
이므로 함수 g(x)는 x=0에서 극댓값 g(0)=4를 갖고,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지 않아야 한다.
x=2에서 극솟값 g(2)=0을 갖는다. 즉, 도함수 f '(x)는 (x+1)Û`을 인수로 가져야 하므로
따라서 함수 g(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은
h(x)=xÛ`+ax+b라 하면
4+0=4
f '(x)=(x+1)h(x)에서 h(-1)=0
TIP 즉, 1-a+b=0에서 b=a-1 yy ㉠
또한 f '(0)É0이어야 하고, 함수 y= f(x)가 구간 (2, ¦)에서
418번 참고 ❷의 삼차함수의 그래프에서의 길이의 비를
증가하려면 f '(2)¾0이어야 하므로 yy TIP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g(x)=(x+1)(x-2)Û`의 극댓값을
f '(0)=bÉ0 yy ㉡
찾을 수 있다.
f '(2)=3(4+2a+b)¾0 yy ㉢

110 수학Ⅱ
y y=f'{x} a+b=2 yy ㉠
m
ab=-  yy ㉡
3
-1 한편 선분 AB를 3`:`2로 외분하는 점의 x좌표가 -9이므로
O 2 x
3b-2a
=-9에서 3b-2a=-9 yy ㉢
3-2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1
㉠을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1ÉaÉ1 ㉡에서 m=9
이때, aÛ`+bÛ`=aÛ`+(a-1)Û`=2{a- }Û`+ 이므로
1 1 따라서 A(3, n+27), B(-1, n-5)이고,
2 2
선분 AB를 3`:`2로 외분하는 점의 y좌표가 4이므로
-1ÉaÉ1에서 aÛ`+bÛ`의 최댓값은 a=-1일 때 5이고,
3(n-5)-2(n+27)
1 1 =4에서 n=73
최솟값은 a= 일 때 이다. 3-2
2 2
∴ m+n=9+73=82
1
따라서 M=5, m= 이므로
2
11
M+m=
2

TIP
삼차함수 y= f '(x)의 그래프를 생각해 보면
450  ⑤ ⅠⅠ
❶ f '(x)는 x+1을 인수로 가지므로 점 (-1, 0)을 지난다. 미
❷ ‌함수 f(x)가 구간 (-¦, 0)에서 감소하므로 y= f '(x)의 Ú a>0일 때, 분

그래프는 x<0에서 x축 또는 그 아래에 그려진다. -ax(x-'3 )(x+'3 ) (x<0)


f(x)=[
❸ ‌함수 f(x)가 구간 (2, ¦)에서 증가하므로 y= f '(x)의    x(x-'a )(x+'a ) (x¾0)
y
그래프는 x>2에서 x축 또는 그 위에 그려진다. y=f{x}
y

O
-Â3 Âa x
-1
O 2 x

이때, 함수 f(x)는 x=0일 때 극대이고 f(0)=0이므로


극댓값이 5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삼차함수 y= f '(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그려져야 Û a=0일 때,
한다. 0 (x<0)
y f(x)=[
y=f '{x} xÜ` (x¾0)
y
y=f{x}
-1
O 2 x

O x
따라서 다음을 만족시켜야 한다.
❶ f '(x)는 (x+1)Û`을 인수로 가진다. 이때, 함수 f(x)는 x<0인 모든 x에서 극대이고,
❷ f '(0)É0 x<0에서 f(x)=0이므로 극댓값이 5라는 조건을
❸ f '(2)¾0 만족시키지 않는다.
Ü a<0일 때,
-ax(x-'3 )(x+'3 ) (x<0)
f(x)=[
    x(xÛ`-a) (x¾0)
y y=f{x}

449  ①

f '(x)=-3xÛ`+6x+m이므로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x
-Â3 O
방정식 -3xÛ`+6x+m=0의 두 실근이 a, b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Ⅱ. 미분 111
x<0일 때 f '(x)=a(3-3xÛ`)=-3a(x+1)(x-1)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f '(x)=0에서 x=-1 (∵ x<0) 두 점 (n, 0), (-n, 0)에서 x축과 접해야 한다.
즉,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y y=g{x}
5
f(-1)=-2a=5에서 a=-
2
5

[
- (3x-xÜ`) (x<0)
2
Ú ~ Ü에 의하여 f(x)= 이므로
5
  xÜ`+ x (x¾0) -n O n x
2
f(2)=13 ∴ g(x)=(x+n)Û`(x-n)Û`
참고

Û의 경우 함수 f(x)는 cÉ0인 모든 c에 대하여 x=c에서


극소이고, c<0인 모든 c에 대하여 x=c에서 극대이다.
452   a¾;2(;

f '(x)=3xÛ`-2ax=x(3x-2a) (a>0)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f(0)=8을 갖고,
2a
x=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451  ③
3
2a
Ú 0< <4, 즉 0<a<6일 때,
조건 ㈎에 의하여 3
y
f(x)=(x-n)(xÛ`+px+q)(p, q는 상수)라 하자.
조건 ㈏에 의하여
x<-n일 때 f(x)É0이고, x>-n일 때 f(x)¾0이어야 하므로 C B

f(-n)=0이고 x=n에서 극솟값을 가져야 한다. yy TIP 2a


3
즉, f(x)=(x+n)(x-n)Û`에서 x
O A
f '(x)=(x-n)Û`+2(x+n)(x-n)=(x-n)(3x+n)이므로
n
함수 f(x)는 x=-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3

∴ an= f {- }= {- n}Û`= nÜ`


n 2n 4 32
3 3 3 27
함수 f(x)가 S를 지나고, S를 지나는 구간에서 감소하려면
따라서 an이 자연수가 되려면 nÜ`이 27의 배수가 되어야 하므로 n의
f(4)É0을 만족시키면 된다.
최솟값은 3이다.
9
64-16a+8É0에서 a¾
TIP 2
x<-n일 때 f(x)É0, x>-n일 때 f(x)¾0, f(n)=0을 9
∴ Éa<6
2
만족시키는 삼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2a ¾4,
y=f {x} Û 즉 a¾6일 때,
y 3
‌0<a<4에서 함수 f(x)가 감소하므로 곡선 y= f(x)가 S를
지나기만 하면 된다. 즉 f(4)<4를 만족시키면 된다.
17
-n O n x 64-16a+8<4에서 a>
4
∴ a¾6
Ú, Û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수 a의 값의 범위는
9
a¾ 이다.
참고 2

주어진 조건을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도 있다.


g(x)=(x+n) f(x)라 하면 함수 g(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다. 453   24
g(-n)=g(n)=0 (∵ f(n)=0)
f '(x)=3xÛ`-12x=3x(x-4)에서
이고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x=4에서 극소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¾0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112 수학Ⅱ
454  ①
y=f{x}
ㄱ. ‌구간 (0, 4)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구간 (0, 4)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f(0) f(4)<0이면 f(0)<0< f(4)이고, 이때
0<x<4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x축과 한 점에서
0 4
만난다. (참)
y
이때, 함수 g(x)=| f(x)|가 극댓값을 갖는 점이 2개이므로
f(4)<0< f(0)이어야 한다. yy TIP

y=g{x} O 4 x

0 4 x ㄴ. ‌주어진 함수 y= f '(x)의 그래프로부터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y=f{x}

즉, k-32<0<k이므로 0<k<32이다. yy ㉠
y=f{x}
이때, 함수 g(x)는 x=0, x=4에서 극대이므로 a=0, b=4이다.
g(a)= f(0)=k, g(b)=- f(4)=32-k이므로 0 4 ⅠⅠ

|g(a)-g(b)|=|k-(32-k)|=|2k-32|¾7에서 이때, f(0) f(4)¾0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분
39 25 Ú ‌f(0)>0, f(4)>0일 때,
k¾ 또는 kÉ  yy ㉡
2 2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25 39
㉠, ㉡에 의하여 0<kÉ 또는 Ék<32이므로
2 2 y=|f{x}|
정수 k는 1, 2, y, 12와 20, 21, y, 31로 24개이다.

TIP
f(0) 또는 f(4)의 값에 따라 함수 g(x)=| f(x)|의 그래프는 0 4 x

다음과 같다. y=f{x}


❶ f(0)<0일 때, ❷ f(0)=0일 때,
y y 따라서 함수 | f(x)|의 극솟값은 f(0)과 0으로 2개이다.
y=g{x} y=g{x}
Û ‌f(0)<0, f(4)<0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f{x}|
O 4 x O 4 x

y=f{x} y=f{x} 0 4
x
❸ f(4)<0< f(0)일 때,
y y=g{x}
y=f{x}

4 x 따라서 함수 | f(x)|의 극솟값은 0과 f(4)로 2개이다.


O
Ü ‌f(0)=0 또는 f(4)=0일 때,
y=f{x}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❹ f(4)=0일 때, ❺ f(4)>0일 때, ① f(0)=0일 때   ② f(4)=0일 때
y y
y=g{x} y=g{x} y=|f{x}| y=|f{x}|


O O 0
4 x 4 x 0 4 x 4 x
y=f{x} y=f{x} y=f{x} y=f{x}

따라서 f(0)É0 또는 f(4)¾0일 때 극댓값을 갖는 점은


1개이고, f(4)<0< f(0)일 때 극댓값을 갖는 점은 2개이다. 따라서 함수 | f(x)|의 극솟값은 0으로 1개이다. yy TIP

Ⅱ. 미분 113
Ú~Ü에 의하여 f(0)=0 또는 f(4)=0인 경우는 극솟값을 1개 h'(x)
갖는다. (거짓) = f '(x)g(x)+ f(x)g'(x)
ㄷ. g(x)=x
‌ f(x)에서 g'(x)= f(x)+x f '(x)이다. =3m(x-b)(x-d)_n(x-c)+m(x-a)(x-c)(x-e)_n
x>4일 때 f '(x)<0이므로 x f '(x)<0이고, =mn(x-c){3(x-b)(x-d)+(x-a)(x-e)}
f(4)=0이면 x>4에서 함수 f(x)가 감소하므로 f(x)<0이다. h'(a)=3mn(a-b)(a-c)(a-d)<0
즉, x>4일 때 g'(x)= f(x)+x f '(x)<0이므로 h'(b)=mn(b-a)(b-c)(b-e)>0
함수 g(x)는 구간 (4, ¦)에서 감소한다. (거짓) h'(c)=0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h'(d)=mn(d-a)(d-c)(d-e)<0
h'(e)=3mn(e-b)(e-c)(e-d)>0
TIP
따라서 삼차방정식 h'(x)=0의 실근은 x=p 또는 x=c 또는
Ü에서 함수 | f(x)|가 극솟값을 갖는 점은 2개이지만,
x=q이다.
두 점에서의 함숫값이 0으로 서로 같으므로 극솟값은 1개이다.
또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h'(x)는
h'(a)<0, h'(b)>0이고 h'(d)<0, h'(e)>0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h'(x)=0은
열린구간 (a, b)에서 하나의 실근을 가지고 이를 a라 하면
455  ②
함수 h(x)는 x=a에서 극소이다.
h(x)= f(x)g(x)라 하면 열린구간 (d, e)에서 하나의 실근을 가지고 이를 b라 하면
사차함수 h(x)는 x=p와 x=q에서 극소이므로 함수 h(x)는 x=b에서 극소이다.
h'(p)=0, h'(q)=0이고, 함수 h'(x)의 부호는 x=p의 좌우 및 따라서 p=a, q=b (∵ p<q)이므로
x=q의 좌우에서 각각 모두 음에서 양으로 바뀐다. 선지 중 옳은 것은 ② a<p<b이고 d<q<e이다.
한편, h'(x)= f '(x)g(x)+ f(x)g'(x)의 부호의 변화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a y b y c y d y e y
f(x) - 0 + + + 0 - - - 0 +
f '(x) + + + 0 - - - 0 + + + 456  ④
g(x) - - - - - 0 + + + + +
f(x)=xÜ`-2xÛ`+5x+3에서 f '(x)=3xÛ`-4x+5이므로
g '(x) + + + + + + + + + + +
곡선 y= f(x) 위의 점 (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 '(x)g(x) - - - 0 + 0 - 0 + + +
y-(tÜ`-2tÛ`+5t+3)=(3tÛ`-4t+5)(x-t),
f(x)g '(x) - 0 + + + 0 - - - 0 +
즉 y=(3tÛ`-4t+5)x-2tÜ`+2tÛ`+3이다.
h '(x) - - + + 0 - - + + 이 접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은 P(0, -2tÜ`+2tÛ`+3)이고,
삼차방정식 h'(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최대 3이고, 위의 원점에서 점 P까지의 거리는 g(t)=|-2tÜ`+2tÛ`+3|이다.
표에서 h'(c)=0임을 고려하자. h(t)=-2tÜ`+2tÛ`+3이라 하면
또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h'(x)는 h'(t)=-6tÛ`+4t=-2t(3t-2)이므로
h'(a)<0, h'(b)>0이고 h'(d)<0, h'(e)>0이므로 함수 h(t)는 t=0에서 극솟값 h(0)=3을 갖고,

t= 에서 극댓값 h{ }=3+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h'(x)=0은 2 2 8
을 갖는다.
열린구간 (a, b)에서 하나의 실근을 가지고 이를 a라 하면 3 3 27
함수 h(x)는 x=a에서 극소이다. h(2)=-5이므로 구간 [0, 2]에서 함수 y=h(t)와 y=g(t)의
열린구간 (d, e)에서 하나의 실근을 가지고 이를 b라 하면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함수 h(x)는 x=b에서 극소이다.
따라서 p=a, q=b (∵ p<q)이므로 y

선지 중 옳은 것은 ② a<p<b이고 d<q<e이다. 8 y=g{t}


3+
27 y=h{t} 5
다른 풀이 3
8
3+
27
f(x)=m(x-a)(x-c)(x-e), g(x)=n(x-c)라 하자. 2 ⇒ 3
(단, m>0, n>0) O 2 t
3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m이고 f '(b)= f '(d)=0이므로
f '(x)=3m(x-b)(x-d)이고 g'(x)=n이다. O 2 2 t
3
또한 h(x)= f(x)g(x)라 하면
-5
사차함수 y=h(x)는 x=p와 x=q에서 극소이므로
h'(p)=0이고 h'(q)=0이다. 따라서 함수 g(t)는 구간 [0, 2]에서 최댓값 g(2)=5를 갖는다.

114 수학Ⅱ
'3
457   - '3 따라서 함수 g(a)는 a=
1
일 때 최솟값 g{
1
}=- 을
9 2'3 2'3 9
f '(x)=-3xÛ`+6ax=-3x(x-2a) 갖는다.
Ú 2a=0, 즉 a=0일 때,
f '(x)=-3xÛ`É0이므로 함수 f(x)는 감소함수이다.
구간 [0, 1]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을 가지므로 458  ①
g(a)= f(0)=-a
h(x)=xÝ`-2kxÛ`이라 하면
Û 2a<0, 즉 a<0일 때,
h'(x)=4xÜ`-4kx=4x(xÛ`-k)
함수 f(x)는 x=2a에서 극소이고, x=0에서 극대이다.
Ú kÉ0일 때,
y=f{x} 함수 h(x)는 x=0에서 극솟값 h(0)=0을 갖는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¾0이므로
f(x)=|h(x)|=h(x)
y y=f{x}
2a 0 1
구간 [0, 1]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을 가지므로
g(a)= f(0)=-a
1
Ü 0<2a<1, 즉 0<a< 일 때, O 1 x
ⅠⅠ
2
함수 f(x)는 x=0에서 극소이고, x=2a에서 극대이다. 0ÉxÉ1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f(1)=h(1)=1-2k이므로

y=f{x} g(k)=1-2k이다. 분
이때, kÉ0에서 함수 g(k)=1-2k는 k=0일 때
최솟값 g(0)=1을 갖는다.
∴ a=1
0 2a 1
Û k¾1일 때,
구간 [0, 1]에서 함수 f(x)는 x=2a에서 최댓값을 가지므로 함수 h(x)는 x=Ñ'k 에서
g(a)= f(2a)=4aÜ`-a 극솟값 h('k )=h(-'k )=kÛ`-2kÛ`=-kÛ`을 갖고,
1 x=0에서 극댓값 h(0)=0을 갖는다.
Ý 2a¾1, 즉 a¾ 일 때,
2
y y=h{x} y y=f{x}
함수 f(x)는 x=0에서 극소이고, x=2a에서 극대이다.
y=f{x} -Âk° 1 Âk° ⇒
O x -Âk° O 1 Âk° x

0ÉxÉ1에서 함수 f(x)=|h(x)|는 x=1일 때


0 1 2a
최댓값 f(1)=-h(1)=2k-1을 가지므로
구간 [0, 1]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을 가지므로
g(k)=2k-1이다.
g(a)= f(1)=2a-1
이때, k¾1에서 함수 g(k)=2k-1은 k=1일 때
   -a (aÉ0)

[
최솟값 g(1)=1을 갖는다.
1
4aÜ`-a {0<a< } ∴ b=1
Ú〜Ý에 의하여 g(a)= 2
1 ∴ a+b=1+1=2
2a-1 {a¾ }
2
참고
1
0<a< 일 때 g'(a)=12aÛ`-1이므로 g'(a)=0에서
2 0<k<1일 때 0ÉxÉ1에서 함수 f(x)는 x='k 일 때
1 1 최댓값 f('k )=kÛ`을 가지므로 g(k)=kÛ`이다.
a= {∵ 0<a< }
2'3 2 y=f{x}
y
1
즉, 함수 g(a)는 a= 에서 극소이다.
2'3
-Âk° O Âk° 1 x
이때, 함수 y=g(a)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g{a}

1-2k (kÉ0)
따라서 g(k)=[
1
2Â3 kÛ` (0<k<1) 이다.
O 1 a
2
2k-1 (k¾1)

Ⅱ. 미분 115
이때, 구간 [-3, -2]와 구간 [-2, -1]도 모두 a를 포함해야
459   -4
하므로 a=-2이다.
f '(x)=2xÛ`-4x-6=2(x-3)(x+1)이므로 즉, 함수 f(x)가 x=-2에서 극솟값을 갖고, 함수 y= f(x)의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고, x=3에서 극소이다. 그래프가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f(x)는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x=4에서도 극솟값을 갖는다.
y=f{x} 따라서 함수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고,
x=-2, 1, 4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f '(x)=4(x+2)(x-1)(x-4)이고,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1 3 y=f{x}

tÉ-3일 때 구간 [t, t+2]에서 함수 f(x)는 증가하므로


이 구간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f(t+2)이다.
즉, tÉ-3일 때 g(t)= f(t+2)이고, g(-3)= f(-1)이므로
g(t)-g(-3) f(t+2)- f(-1)
lim = lim 이다.  yy ㉠ -2 1 4
t`Ú-3- (t+3)Û` t`Ú-3- (t+3)Û`
25 2ÉtÉ4일 때, 구간 [t-1, t]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이때, f(-1)= 이므로
3 f(t)이므로 2ÉtÉ4일 때 g(t)= f(t)이다.
f(x)- f(-1)={ xÜ`-2xÛ`-6x+5}-
2 25 ∴ g'(3)= f '(3)=4_5_2_(-1)=-40
3 3
2 TIP
= (xÜ`-3xÛ`-9x-5)
3
-2ÉtÉ-1일 때 구간 [t-1, t] 중 a를 포함하지 않는 구간이
2
= (x+1)Û`(x-5) 존재하면 -2<a 또는 a<-2이다.
3
이 식의 양변에 x 대신 x+2를 대입하면 -2<a인 경우 g(t)= f(t)인 t의 값의 구간이 구간
2 [-2, -1]에 존재하고
f(x+2)- f(-1)= (x+3)Û`(x-3)이다.
3
따라서 ㉠에서 구하는 값은

f(t+2)- f(-1) ;3@;(t+3)Û`(t-3)


lim = lim
t`Ú-3- (t+3)Û` t`Ú-3- (t+3)Û`
2
= lim (t-3)=-4 -3 a 1
t`Ú-3- 3
-2
a<-2인 경우 g(t)= f(t-1)인 t의 값의 구간이 구간
[-2, -1]에 존재한다.
460   -40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가능한 사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Ú Û
a -1 1
-2
즉, 두 경우 모두 구간 [-2, -1]에서 g(t)가 상수함수가
1 1 1 1
아니게 되어 조건 ㈏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Ú ‌
사차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을 갖는 경우,
함수 f(x)는 xÉ1에서 감소하므로 -2ÉtÉ-1일 때 구간
[t-1, t]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f(t)이다.
즉, 구간 [-2, -1]에서 g(t)= f(t)로 g(t)는 상수함수가
아니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Û ‌
사차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을 갖는 경우,
x<1에서 극소인 점이 한 개 존재하고, 이 점의 x좌표를 a라 461   11
하면 조건 ㈏에 의하여 -2ÉtÉ-1일 때 구간 [t-1, t]에서
이고 선분 OP의 중점은 { , 1}이므로
2 t
직선 OP의 기울기는
함수 f(x)의 최솟값이 일정하려면 -2ÉtÉ-1일 때 t 2
구간 [t-1, t]가 모두 a를 포함해야 한다. yy TIP 선분 OP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116 수학Ⅱ
y-1=- {x- },
t
2
t
2 463   8'2
t tÛ` 다음과 같이 정사면체의 밑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선분
즉 y=- x+ +1이다.
2 4
OA, OB, OC와 만나는 점을 각각 D, E, F라 하자. 또한 점 O에서
y
삼각형 A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삼각형 DEF에 내린 수선의
A P 발을 I라 하자.
y=2
O
I
B
D F

E
C
O t x A

tÛ` H
따라서 B{0, +1}이므로 삼각형 ABP는 밑변의 길이가 B
4
tÛ` tÛ` '3 2
ABÓ=2-{ +1}=1- , 높이가 APÓ=t인 직각삼각형이므로 OAÓ=6, AHÓ=6_ _ =2'3 이므로
4 4 2 3
직각삼각형 AHO에서 OHÓ="Ã6Û`-(2'3 )Û` =2'6 이다.
f(t)= _{1- }_t= -
1 tÛ` t tÜ`
2 4 2 8 두 입체도형 O-ABC, O-DEF는 서로 닮음이므로
1 3 4 도형 O-DEF는 정사면체이다.
f '(t)= - tÛ`=0에서 tÛ`=
ⅠⅠ
2 8 3
정사면체 O-DEF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 (0<x<6)라 하자.
2
∴ t= (∵ 0<t<2) O
'3 미

2
따라서 0<t<2에서 함수 f(t)는 t= 일 때 극대이며
'3 D I
최대이므로 f(t)의 최댓값은 f { }= '3 이다.
2 2
'3 9
따라서 a=9, b=2이므로 A H
a+b=11 OAÓ`:`ODÓ=OHÓ`:`OIÓ이므로 6`:`x=2'6 `:`OIÓ에서
'6
OIÓ= x
3
'6
HIÓ=2'6 - x이므로 정삼각기둥의 부피를 V(x)라 하면
3
'3 '6 '2
V(x)= xÛ`{2'6 - x}=- (xÜ`-6xÛ`)
4 3 4
462  ①
V'(x)=-
'2
(3xÛ`-12x)=-
3'2
x(x-4)=0에서
4 4
정사각형 EFGH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t, tÛ`)이라 하자.
x=4 (∵ 0<x<6)
두 정사각형의 내부의 공통부분이 존재하려면
0<x<6에서 함수 V(x)는 x=4일 때 극대이며 최대이므로
-1<t<0 또는 0<t<1이고,
V(x)의 최댓값은 V(4)=8'2 이다.
정사각형 ABCD와 곡선 y=xÛ`은 각각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0<t<1이라 해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C{ , }, E{t- , tÛ`+ }이므로


1 1 1 1
2 2 2 2
두 정사각형의 내부의 공통부분의 가로의 길이는
464   풀이 참조
-{t- }=1-t,
1 1
2 2 ⑴ ‌함수 y=-xÛ`(x-3)의 그래프와 직선 y=mx가 만나는 점의
세로의 길이는 {tÛ`+ }- =tÛ`인 직사각형이다.
1 1 x좌표는 방정식 mx=-xÛ`(x-3)의 실근과 같으므로 두
2 2
그래프가 제1사분면 위의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이
그 넓이를 S(t)라 하면
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가져야 한다.
S(t)=(1-t)tÛ`=tÛ`-tÜ`
xÜ`-3xÛ`+mx=0에서 x(xÛ`-3x+m)=0
S'(t)=2t-3tÛ`=t(2-3t)=0에서
x=0 또는 xÛ`-3x+m=0 yy ㉠
2
t= (∵ 0<t<1) 방정식 xÛ`-3x+m=0이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가져야
3
하므로
2
따라서 S(t)는 0<t<1에서 t= 일 때 극대이며 최대이므로 9
3 Ú 판별식을 D라 할 때 D=9-4m>0에서 m<
4
S(t)의 최댓값은 S{ }= 이다.
2 4
3 27 Û 두 실근을 a, b라 하면 a+b=3>0

Ⅱ. 미분 117
Ü ab=m>0 m>0일 때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9 기준으로 달라진다.
Ú~Ü에 의하여 m의 값의 범위는 0<m< 이다.
4 Πy
y=f{x}
⑵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a, b (a<b)라 하면
㉠에서 방정식 xÛ`-3x+m=0의 두 실근이 a, b이다.
P(a, ma), Q(b, mb)이므로

PQÓ="Ã(b-a)Û`+(mb-ma)Û`
-3 O 1 x
=(b-a)"ÃmÛ`+1
‌이고, 점 A(3, 0)과 직선 y=mx 사이의 거리는 Ú ‌직선 y=m(x+3)이 함수 y=x(x-1)(x+3)의 그래프와
3m x=-3에서 접할 때,
(∵ m>0)이므로
"ÃmÛ`+1 y=x(x-1)(x+3)에서
‌삼각형 APQ의 넓이는 y'=(x-1)(x+3)+x(x-1)+x(x+3)이므로
1 3m 3 x=-3일 때의 접선의 기울기는 12이다.
_(b-a)"ÃmÛ`+1_ = m(b-a) yy ㉡
2 "ÃmÛ`+1 2 즉, m=12
‌이때, 이차방정식 xÛ`-3x+m=0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Û ‌직선 y=m(x+3)이 함수 y=-x(x-1)(x+3)의 그래프와
a+b=3, ab=m이므로 0<x<1에서 접할 때,
b-a="Ã(a+b)Û`-4ab ='Ä9-4m 방정식 -x(x-1)(x+3)=m(x+3)에서
따라서 ㉡에서 삼각형 APQ의 넓이는 (x+3)(xÛ`-x+m)=0
m'Ä9-4m= "Ã9mÛ`-4mÜ`
3 3
yy ㉢ 방정식 xÛ`-x+m=0이 접점의 x좌표를 중근으로 가지므로
2 2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g(m)=9mÛ`-4mÜ`이라 하면 g(m)이 최대일 때
1
㉢의 값이 최대이다. D=1-4m=0에서 m=
4
g'(m)=18m-12mÛ`=-6m(2m-3)=0에서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세 교점을 갖는 실수 m의
m= {∵ 0<m< }
3 9 1
2 4 값의 범위는 m=0 또는
4
<m<12이다. yy TIP
9 3 1
0<m< 에서 함수 g(m)은 m= 일 때 극대이며 최대이다. ∴ ab= _12=3
4 2 4
따라서 ㉢에 m= 을 대입하면 구하는 최댓값은 '3 이다.
3 9
2 4 TIP

채점 요소 배점
m>0에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방정식 xÛ`-3x+m=0이 서로 다른
개수는 다음과 같다.
두 양의 실근을 가져야 함을 알고, 이를 만족시키는 m의 값의 50 % 1 1 1
0<m< 일 때 5개, m= 일 때 4개, <m<12일 때 3개,
범위 구하기 4 4 4
‌선분 PQ의 길이와 점 A와 직선 y=mx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m=12일 때 2개, m>12일 때 1개이다.
삼각형 APQ의 넓이를 구하고, ⑴에서 구한 범위에서 함수 50 %
9mÛ`-4mÜ`의 최댓값을 구하여 삼각형의 넓이의 최댓값 찾기

466  ④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465  ② 때,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 두 가지 중 하나이다. yy TIP

함수 f(x)=|x(x-1)(x+3)|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Ú y y=f{x} Û y y=f{x}

y y=g{x}
y=g{x}
y=f{x}

P
O x O x

-3 O 1 x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Ú과 같이 제2사분면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3, 0)을
접할 때, 접점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기는
지나는 직선이다.
1이므로
따라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는
1
m=0일 때 3이고, m<0일 때 1 또는 2이다. f '(x)=18xÛ`-1=1에서 xÛ`=
9

118 수학Ⅱ
1 h(x)=(x-2)Û`(x-m)이다. (단, m은 실수이다.)
∴ x=- (∵ x<0)
3 이때, m+2이면 h(m)=0, h'(m)+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즉, 접점의 좌표는 {- , }이므로
1 1 않는다.
3 9
따라서 m=2이고, h(x)=(x-2)Ü`이므로 yy TIP2
g{- }=|{- }-a|= 에서
1 1 1
3 3 9 f(x)=h(x)+3g(x)=(x-2)Ü`+3(x-2)이다.
∴ f(1)=-4
{∵ a<- }
4 1
a=-
9 3
TIP1
한편,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Û와 같이 원점에서
만날 때, g(0)=|0-a|=0에서 a=0 442번 참고 에 의하여 실수 k에 대하여 h(k)=0일 때,

따라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함수 |h(x)|가 x=k에서 미분가능하기 위한 조건은


만나도록 하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h'(k)=0이다.
따라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h(x)에 대하여
{- }+0=-
4 4
9 9 함수 |h(x)|가 실수 전체에서 미분가능하기 위한 조건은
TIP ‘h(k)=0인 모든 k에 대하여 h'(k)=0’인 것이다.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파악하기


위해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에서의 접선의 TIP2
기울기를 따져봐야 한다. 임의의 삼차함수 i(x)에 대하여 함수 |i(x)|가 실수 전체에서
1 미분가능하도록 하는 함수 i(x)는 i(x)=a(x-b)Ü`뿐이다. ⅠⅠ
f(x)=x(6xÛ`-1)=0에서 x=Ñ , x=0이고,
'6 (단, a, b는 실수이고, a+0이다.) 미

f '(x)=18xÛ`-1에서

}= f '{ }=2이다.
1 1
f '(0)=-1, f '{-
'6 '6
참고

y y=f{x} 조건 ㈏에 의하여 x<2일 때 f(x)É0, x¾2일 때 f(x)¾0을


만족시켜야 한다.
f(x)=(x-2)Ü`+3(x-2)=(x-2)(xÛ`-4x+7)에서
1 O 1 x xÛ`-4x+7¾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킴을 알 수 있다.
-
Â6 Â6

이를 토대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나는 경우를 따져보면 해설의 Ú, Û의 두 경우뿐이다.
참고로 위에서 구한 접선의 기울기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그래프는 나올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468   12
y=f{x} 조건 ㈎에 의하여 f '(2)=0이다.
y y y=f{x}
y=g{x}
y=g{x}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직선 y= f(1)과
x=1에서 접하고 x=a에서 만난다.
O x O x yy TIP
즉, f '(1)=0이고 f(a)= f(1), f '(a)+0이다.
따라서 삼차방정식 f '(x)=0의 근은 x=1 또는 x=2이다.
사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일 때, 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면, 즉 극값을 갖는 x의 값이 x=1,
x=2일 때를 포함하여 세 개라면
y=f{x}-f{1} y=f{x}-f{1} y=f{x}-f{1}

467  ①
1 x
1 x
조건 ㈎에서 h(x)= f(x)-3g(x)라 하면 조건 ㈏에 의하여
1 x
f(2)=0, g(2)=0이므로 h(2)= f(2)-3g(2)=0이다. yy ㉠
이때, 함수 |h(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y=f{x}-f{1} y=f{x}-f{1} y=f{x}-f{1}

h(x)=0을 만족시키는 모든 x의 값에 대하여 h'(x)=0이어야 한다.


1 x 1 x
 yy TIP1
㉠에 의하여 h'(2)=0이다. 1 x
함수 h(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고, 위 그림의 어느 경우라도 함수 | f(x)- f(1)|의 미분가능하지
h(2)=0, h'(2)=0에서 (x-2)Û`을 인수로 가지므로 않는 점이 2개이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Ⅱ. 미분 119
사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일 때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만족시키고, 함수 g(x)가 x=-1, x=0, x=1에서 극값을
따라서 방정식 f '(x)=0은 x=1을 중근으로 가지며 또 다른 갖는 사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 네 경우와 같다.
실근으로 x=2를 가지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y=f{x} y=f{x} y=f{x}
두 함수 y= f(x)- f(1)과 y=|f(x)- f(1)|의 그래프는 다음과 y=f{x} y=f{x} y=f{x}
같다. -1 0 1 x -1 0 1 x -1 0 1 x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 0 1 x -1 0 1 x -1 0 1 x


y=f{x}
[그림1]
양수일 때 음수일 때
y=f{x}
y=|f{x}-f{1}|
y=|f{x}-f{1}| y=|f{x}-f{1}|
y=|f{x}-f{1}|
-1 0 1 x

-1 0 1 x

11 2 2 aa xx 11 2 2 aa xx
[그림2]
이때, 함수 g(x)=| f(x)|가 x=-1, x=0에서 극솟값을 갖는
y=f{x}-f{1}
y=f{x}-f{1} y=f{x}-f{1}
y=f{x}-f{1}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2]와 같아야 한다.
즉, f '(x)=k(x-1)Û`(x-2) (k+0)로 놓을 수 있으므로 따라서 f(x)=x(x+1)(x-1)Û`이다.
f '(5) k_4Û`_3 ∴ g(2)=| f(2)|=6
= =12
f '(3) k_2Û`_1
TIP
TIP 442번 참고 에 의하여 함수 g(x)=| f(x)|가 x=k에서
함수 y=| f(x)-t|의 그래프는 함수 y= f(x)-t의 그래프에서 미분가능하기 위한 조건은
x축의 아래쪽에 놓인 부분을 x축의 위쪽으로 꺾어 올린 모양이 ‘f(k)+0’ 또는 ‘f(k)=0이고, f '(k)=0’이다.
된다.
y=|f{x}-t|

a x
y=f{x}-t

y=|f{x}-t|

a x

y=f{x}-t
이때, f(a)=t이면 꺾어 올려진 점 x=a에서 함수
y=| f(x)-t|가 미분가능하기 위해서는 f '(a)=0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442번 참고 와 관련지어 내용을 정리해 두자.

469  ③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g(x)=|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려면
yy TIP
‘f(1)+0’ 또는 ‘f(1)=0이고 f '(1)=0’이어야 한다.
이때, 함수 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고 조건 ㈏에 의하여
x=1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g '(1)=0이다.
조건 ㈎에 의하여 g(1)=g '(1)=0이므로 g(1)=| f(1)|=0에서
f(1)=0이다.
따라서 ㉠에 의하여 f(1)=0, f '(1)=0이다.

120 수학Ⅱ
TIP
도함수의 활용 ⑶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는 경우, 삼차방정식 f(x)=0의
실근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단, a는 f(x)의 최고차항의

470
계수이다.)
 ⑴3 ⑵2
(극댓값)_(극솟값) (극댓값)_(극솟값) (극댓값)_(극솟값)
⑴ f(x)=xÜ`+3xÛ`-1이라 하면 <0 =0 >0
f '(x)=3xÛ`+6x=3x(x+2)이므로 3 2 1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f(-2)=3, x=0에서 실근
(서로 다른 (중근과 (한 실근과
극솟값 f(0)=-1을 갖는다. 개수
세 실근) 다른 한 실근) 두 허근)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f{x} y=f{x}
y
y=f{x} y=f {x}
3 x x
a>0 y=f{x} y=f{x}
x
x x
O
-2 x
-1 y=f{x} y=f {x}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세 점에서 만나므로


y=f {x}
x x
ⅠⅠ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 a<0 x 미
y=f{x} y=f {x} 분
⑵ g(x)=3xÝ`-4xÜ`-1이라 하면 x x

g'(x)=12xÜ`-12xÛ`=12xÛ`(x-1)이므로
함수 g(x)는 x=1에서 극솟값 g(1)=-2를 갖는다.
이때,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g{x}
472  ④

1 방정식 2xÜ`-6xÛ`-k+7=0, 즉 2xÜ`-6xÛ`+7=k에서


O x f(x)=2xÜ`-6xÛ`+7이라 하면 이 방정식의 실근은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2 f '(x)=6xÛ`-12x=6x(x-2)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f(0)=7,
함수 y=g(x)의 그래프가 x축과 두 점에서 만나므로
x=2에서 극솟값 f(2)=-1을 갖는다.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7

471  ②

방정식 xÜ`-3x+2=k에서 f(x)=xÜ`-3x+2라 하면 이 방정식의 y=f{x}

실근의 개수는 곡선 y= f(x)와 직선 y=k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f '(x)=3xÛ`-3=3(x+1)(x-1)이므로
2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4, O x
x=1에서 극솟값 f(1)=0을 갖는다. -1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방정식 f(x)=k가 중근과 다른 한 실근을 갖도록 하는
y y=f{x} 실수 k의 값은 k=7 또는 k=-1이므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4
6이다.

y=k

x
473  ②
-1 O 1
함수 y=xÜ`+6xÛ`의 그래프와 직선 y=-9x+k가 서로 다른 두
따라서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yy TIP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xÜ`+6xÛ`=-9x+k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0<k<4이어야 하므로 구하는 정수 k는 1, 2, 3으로 3개이다. 가져야 한다.

Ⅱ. 미분 121
방정식 xÜ`+6xÛ`=-9x+k, 즉 xÜ`+6xÛ`+9x=k에서 x¾0에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최솟값 0을
f(x)=xÜ`+6xÛ`+9x라 하면 이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갖는다.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따라서 x¾0에서 f(x)¾0이 성립한다.
f '(x)=3xÛ`+12x+9=3(x+3)(x+1)이므로
채점 요소 배점
함수 f(x)는 x=-3에서 극댓값 f(-3)=0,
함수 f(x)=xÜ`-12x+16에 대하여 f '(x)=0인 x의 값 찾기 30 %
x=-1에서 극솟값 f(-1)=-4를 갖는다.
함수 f(x)가 x¾0에서 x=2일 때 최솟값을 가짐을 설명하기 40 %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최솟값)¾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함을 설명하기 30 %
y
y=f{x}
-3 -1
x
O
476   ⑴ k¾1 ⑵ k<-1

⑴ f(x)=3xÝ`-4xÜ`+k라 하면
f '(x)=12xÜ`-12xÛ`=12xÛ`(x-1)이므로
-4
x=0 또는 x=1일 때 f '(x)=0이다.
따라서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0 또는 k=-4이어야 하므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4이다. x y 0 y 1 y
f '(x) - 0 - 0 +

474   10 f(x) ↘ k ↘ k-1 ↗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방정식 3xÝ`-4xÜ`-12xÛ`+a=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즉 3xÝ`-4xÜ`-12xÛ`=-a에서
f(1)=k-1¾0이어야 한다.
f(x)=3xÝ`-4xÜ`-12xÛ`이라 하면 이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 k¾1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a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⑵ g(x)=xÝ`-4xÜ`+6xÛ`-4x라 하면
f '(x)=12xÜ`-12xÛ`-24x=12x(x+1)(x-2)이므로
g'(x)=4xÜ`-12xÛ`+12x-4=4(x-1)Ü`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f(-1)=-5, x=0에서
x=1일 때 g'(x)=0이다.
극댓값 f(0)=0, x=2에서 극솟값 f(2)=-32를 갖는다.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x y 1 y
y=f {x}
-1 O 2
g '(x) - 0 +
x y=-a g(x) ↘ -1 ↗
-5
따라서 함수 g(x)는 x=1일 때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k가 항상 성립하려면
g(1)=-1>k이어야 한다.
∴ k<-1
-32

따라서 방정식 f(x)=-a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려면


-5<-a<0, 즉 0<a<5이어야 하므로
477  ④

정수 a는 1, 2, 3, 4이다. 부등식 f(x)>g(x)에서


∴ 1+2+3+4=10 2xÝ`-x+k>4xÛ`-x+3,
2xÝ`-4xÛ`+k-3>0
h(x)=2xÝ`-4xÛ`+k-3이라 하면
475   풀이 참조
h'(x)=8xÜ`-8x=8x(x+1)(x-1)이므로
부등식 xÜ`¾12x-16, 즉 xÜ`-12x+16¾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일 때 h'(x)=0이다.
f(x)=xÜ`-12x+16이라 하면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3xÛ`-12=3(x+2)(x-2)이므로 x y -1 y 0 y 1 y
x=-2 또는 x=2일 때 f '(x)=0이다. h '(x) - 0 + 0 - 0 +
x¾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x) ↘ k-5 ↗ k-3 ↘ k-5 ↗
x 0 y 2 y 따라서 함수 h(x)는 x=-1 또는 x=1일 때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f '(x) - 0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0이 성립하려면
f(x) 16 ↘ 0 ↗ h(-1)=h(1)=k-5>0이어야 한다.

122 수학Ⅱ
∴ k>5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6이다.
481  ④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속도, 가속도를 각각 x(t), v(t), a(t)라


하면 x(t)=3tÜ`-4tÛ`+t에서

478  9 v(t)=x'(t)=9tÛ`-8t+1
a(t)=v'(t)=18t-8
f '(x)=4xÜ`+4=4(x+1)(xÛ`-x+1)이므로 따라서 t=1일 때의 점 P의 속도, 가속도는 각각
x=-1일 때 f '(x)=0이다. v(1)=2, a(1)=10이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f '(x) - 0 + 482  ②
f(x) ↘ -aÛ`+4a+12 ↗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속도를 각각 x(t), v(t)라 하면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x(t)=tÜ`-9tÛ`+24t+2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 항상 성립하려면 v(t)=x'(t)=3tÛ`-18t+24이다.
f(-1)=-aÛ`+4a+12¾0이어야 한다. v(t)=0, 즉 3tÛ`-18t+24=0에서
(a+2)(a-6)É0에서 -2ÉaÉ6 3(t-2)(t-4)=0
따라서 구하는 정수 a는 -2, -1, 0, y, 6으로 9개이다.
ⅠⅠ
t=2 또는 t=4
따라서 처음으로 점 P의 속도가 0이 되는 순간은 t=2일 때이므로

이때의 점 P의 위치는 분

479  ① x(2)=22이다.

2 2
부등식 xÜ`+xÛ`>4x+a, 즉 xÜ`+xÛ`-4x-a>0에서
3 3
2
483  ⑤
f(x)= xÜ`+xÛ`-4x-a라 하면
3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점 P가 운동 방향을
f '(x)=2xÛ`+2x-4=2(x+2)(x-1)이므로 바꿀 때는 v(t)의 부호가 바뀔 때이다. yy TIP
x=-2 또는 x=1일 때 f '(x)=0이다. v(t)=x'(t)=3tÛ`-12t-15=3(t+1)(t-5)이므로
x¾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v(t)=0에서 t=5이다. (∵ t>0)
x 0 y 1 y 이때, t=5의 좌우에서 v(t)의 부호가 바뀌므로
f '(x) - 0 +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시각은 t=5이다.
7
f(x) -a ↘ -a- ↗ TIP
3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시각 t에서의 위치, 속도를
따라서 x¾0에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나타내는 함수를 각각 x, v라 하자. 점이 양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7
x¾0에서 f(x)>0이 성립하려면 f(1)=-a- >0이어야 한다. 함수 x가 증가하므로 속도 v가 양수이고, 점이 음의 방향으로
3
7 움직이면 함수 x가 감소하므로 속도 v가 음수이다.
∴ a<-
3 따라서 운동 방향이 바뀔 때는 위치함수의 증가, 감소가 바뀔 때,
즉 속도의 부호가 바뀔 때이다.

480   a¾1

f(x)=2xÜ`-3xÛ`+a라 하면 484  ③
f '(x)=6xÛ`-6x=6x(x-1)이므로
물 로켓의 시각 t에서의 높이, 속도를 각각 x(t), v(t)라 하면
x=0 또는 x=1일 때 f '(x)=0이다.
x(t)=50+15t-5tÛ`에서
x>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v(t)=x'(t)=-10t+15
x 1 y 물 로켓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높이가 0이므로
f '(x) 0 + -5tÛ`+15t+50=0에서
f(x) a-1 ↗ -5(t+2)(t-5)=0
따라서 x>1에서 f(x)>0이 성립하려면 f(1)=a-1¾0이어야 t=5 (∵ t>0)
한다. 따라서 t=5일 때의 속도는
∴ a¾1 v(5)=-35(m/s)이다.

Ⅱ. 미분 123
485  ② t초 후 정삼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은
'3
S'(t)= _2(2+2t)_2='3(2+2t)
시각 t에서의 물체의 높이, 속도를 각각 x(t), v(t)라 하면 4
x(t)=-4tÛ`+20t에서 v(t)=x'(t)=-8t+20이다. 따라서 3초 후 정삼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은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도가 0이므로 S'(3)=8'3이다.
5
v(t)=-8t+20=0에서 t=
2
따라서 물체가 도달하는 최고 높이는 489  ②
5 25 5
x{ }=-4_ +20_ =25 (m) t초 후 가장 바깥쪽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0.5t(m)이므로
2 4 2
t초 후 원의 넓이를 S(t)(mÛ`)라 하면
S(t)=(0.5t)Û`p=0.25ptÛ`
486  ③ t초 후 원의 넓이의 변화율(mÛ`/초)은
S'(t)=0.5pt
점 P의 t초 후의 속도, 가속도를 각각 v(t), a(t)라 하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4`m가 되는 순간은
v(t)=x'(t)=tÛ`-6t+5
0.5t=4에서 t=8일 때이므로
a(t)=v'(t)=2t-6
이때의 원의 넓이의 변화율은
ㄱ. t=2일 때의 가속도는 a(2)=-2이다. (참)
S'(8)=4p(mÛ`/초)이다.
ㄴ. 출발할 때, 즉 t=0일 때의 속도는 v(0)=5이다. (거짓)
ㄷ. v(t)=(t-1)(t-5)=0에서
‌ t=1 또는 t=5이다.
이때, t=1, t=5의 좌우에서 각각 v(t)의 부호가 바뀌므로
t=1, t=5일 때 운동 방향을 바꾼다. 즉, 출발 후 운동 방향을
490  ⑤

2번 바꾼다. (참) t초 후 수면의 높이는 2t(cm)이므로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t(cm)이다. (단, 0ÉtÉ20)
20

487  ⑤
40 t
ㄱ. t=2,
‌ t=4, t=6일 때 위치가 x=0이므로 원점을 지난다. 2t
즉, 출발 후 원점을 3번 지났다. (참)
ㄴ. t=1,
‌ t=2, t=3, t=5, t=6일 때의 좌우에서 각각 t초 후 물의 부피를 V(t)(cmÜ`)라 하면
속도 f '(t)의 부호가 바뀌므로 운동 방향이 바뀐다. yy TIP1 1 2
V(t)= _ptÛ`_2t= ptÜ`
즉, 출발 후 운동 방향을 5번 바꿨다. (참) 3 3
ㄷ. t=5일
‌ 때 함수 x= f(t)의 접선의 기울기가 0이므로 t초 후 물의 부피의 변화율(cmÜ`/초)은
속도는 0이다. (참) yy TIP2 V'(t)=2ptÛ`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따라서 4초 후 그릇에 채워진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V'(4)=32p(cmÜ`/초)이다.
TIP1

483번 TIP 을 참고하여 운동 방향이 바뀔 때는 속도의 부호가


바뀔 때임을 알 수 있다. 491  ⑤

주어진 도함수 y= f '(x)의 그래프에 의하여 함수 f(x)는


TIP2 x=-3에서 극소, x=3에서 극대이고, f(0)=1, f(3)=7이므로
dx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v라 하면 v= = f '(t)이므로
dt
y
시각 t=a에서의 속도는 곡선 x= f(t) 위의 점 (a, f(a))에서의 y=f {x}
7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y=k

-3 1
O 3 x
488  ④

t초 후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2t이므로


따라서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과 한 개의
t초 후 정삼각형의 넓이를 S(t)라 하면
'3
음의 실근을 가지려면 1<k<7이어야 한다.
S(t)= (2+2t)Û` ∴ a=1, b=7   ∴ a+b=8
4

124 수학Ⅱ
492   풀이 참조 494  ⑤

방정식 2xÜ`-3xÛ`-12x+a=0, 즉 2xÜ`-3xÛ`-12x=-a에서 f '(x)=3xÛ`-12=3(x+2)(x-2)이므로


f(x)=2xÜ`-3xÛ`-12x라 하면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f(-2)=10,
f '(x)=6xÛ`-6x-12=6(x+1)(x-2)이므로 x=2에서 극솟값 f(2)=-22를 갖는다.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7,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2에서 극솟값 f(2)=-20을 갖는다. y
10
이때, f(0)=0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f{x} y
y y=|f{x}|
y=f{x} 22 y=22
7 2
O x
-2
2 -6 ⇒
O x 10
-1
y=-a
6
O
-22 -2 2 x

-20 따라서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양수 k의 값은 22이다.
ⅠⅠ
따라서 방정식 f(x)=-a가 하나의 음의 실근과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20<-a<0이므로

495

0<a<20이다.  ③ 분

채점 요소 배점
f(x)=2xÜ`-6x-1이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에서 함수 f(x)를 놓고 함수 f(x)의 그래프 구하기 70 %
f '(x)=6xÛ`-6=6(x+1)(x-1)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이 하나의 음의 실근과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갖기
30 %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3,
위한 조건 구하기
x=1에서 극솟값 f(1)=-5를 갖는다.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3 y=f{x}
y
y=|f{x}|
493  ①
1
5
-1 O x
1 1 -1 ⇒ 3
방정식 xÝ`+6=2xÜ`+k, 즉 xÝ`-2xÜ`+6=k에서
2 2
1
f(x)= xÝ`-2xÜ`+6이라 하면 1
2
-5 -1 O 1 x
f '(x)=2xÜ`-6xÛ`=2xÛ`(x-3)이므로
15 aÁ=aª=6, a£=5, a¢=4, a°=3,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 f(3)=- 를 가지고,
2
a¤=a¦=a¥=a»=aÁ¼=2
f(0)=6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aÁ+aª+a£+y+aÁ¼=6_2+5+4+3+2_5=34
y
y=f{x}
6

y=k
496  ④

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므로 삼차함수 f(x)는


O x
그 그래프가 원점 대칭이고, 홀수차항으로만 이루어진 함수이다.
이때,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방정식
15 |f(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4인 경우는 다음 그림과
-
2
같다.
따라서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가지려면 y y=|f{x}|
15 2
- <k<6이어야 한다. y=2
2
15 O x
∴ a=- , b=6  
2
y=f{x}
15
∴ ab={- }_6=-45
2 f(x)=xÜ`-ax (a>0)라 하면 f '(x)=3xÛ`-a이고,

Ⅱ. 미분 125
삼차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이 각각 2, -2이어야 한다. y=f{x}
a
f '(x)=3xÛ`-a=0에서 x=Ѿ
3
k+7
a
즉, 함수 f(x)는 x=¾ 에서 극솟값 -2를 가지므로
3
k-2
2a a
f {¾   }=- ¾ =-2에서 a=3
a
3 3 3 k-9
-1 1 2
따라서 f(x)=xÜ`-3x이므로
f(3)=18 따라서 구간 [-1, 2]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려면 k-9É0Ék+7, 즉 -7ÉkÉ9이어야 한다.
∴ a=-7, b=9   ∴ a+b=2

497  ⑤

삼차함수 y=xÜ`+axÛ`+2ax+1과 직선 y=t의 교점의 개수가 1인


499  ③

실수 t는 항상 존재하므로 yy TIP ① x=1에서


‌ f '(x)의 값의 부호가 +에서 -로 바뀌므로
함수 g(t)가 연속함수이려면 g(t)=1이어야 한다.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다. (거짓)
즉,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② x>4에서
‌ f '(x)>0이므로 구간 (4, ¦)에서 함수 f(x)가
삼차함수 y=xÜ`+axÛ`+2ax+1과 직선 y=t의 교점의 개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x`→`¦일 때 f(x)`→`¦인 경우 함수 f(x)는
항상 1이어야 하므로 삼차함수 y=xÜ`+axÛ`+2ax+1은 실수 전체의 최댓값을 갖지 않는다. (거짓)
집합에서 증가한다. ③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3xÛ`+2ax+2a이므로 x y -3 y 1 y 3 y 4 y
이차방정식 3xÛ`+2a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 '(x) - 0 + 0 - 0 + 0 +
D f(x) ↘ 극소 ↗ 극대 ↘ 극소 ↗ ↗
=aÛ`-6aÉ0에서 0ÉaÉ6
4
이때, f(-3)< f(3)이면 함수 f(x)는 x=-3에서 최솟값을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7이다.
갖는다. (참)
TIP ④ ‌f(-3)>0, f(3)>0인 경우 ③의 표에 의하여 모든 실수 x에
삼차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생각해 보면 다음과 같이 대하여 f(x)>0이므로 방정식 f(x)=0은 실근을 갖지 않는다. 
이 그래프와 직선 y=t가 한 점에서 만나는 실수 t가 항상  (거짓)
존재함을 알 수 있다. y=f{x}

y=t y=t

-3 1 3 x

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도함수 f '(x)가 정의되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모든 점에서 접선이 존재한다. (거짓)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③이다.

498  ④

두 점 A(-1, 2), B(2, 8)을 이은 직선의 방정식은 500  ②

y=2x+4이다. 주어진 도함수 y= f '(x)의 그래프에 의하여 함수 f(x)는


따라서 함수 y=xÜ`+3xÛ`-7x+k의 그래프가 선분 AB와 만나려면 x=-1, x=4에서 극소이고, x=1에서 극대이다.
함수 y=xÜ`+3xÛ`-7x+k의 그래프가 직선 y=2x+4와 구간 또한 f(-1)=3, f(1)=4, f(4)< f(-1)임을 이용하면
[-1, 2]에서 만나면 되므로 방정식 xÜ`+3xÛ`-7x+k=2x+4가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1ÉxÉ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면 된다. y y=f{x}
방정식 xÜ`+3xÛ`-7x+k=2x+4, 즉 xÜ`+3xÛ`-9x+k-4=0에서
4
f(x)=xÜ`+3xÛ`-9x+k-4라 하면 y=3
3
f '(x)=3xÛ`+6x-9=3(x+3)(x-1)이므로
함수 f(x)는 x=-3에서 극대이고, x=1에서 극소이다.
f(-1)=k+7, f(1)=k-9, f(2)=k-2이므로 -1 O 1 4 x

구간 [-1, 2]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ㄱ. f(-1)< f(0)< f(1)이므로 f(0)¾0 (참)

126 수학Ⅱ
ㄴ.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1)=4이다. (참) f(b)-g(b)< f(c)-g(c), 즉 h(b)<h(c)이다.
ㄷ.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3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b<x<c에서 h'(x)= f '(x)-g'(x)<0이므로
만나므로 방정식 f(x)-3=0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함수 h(x)는 감소한다. 따라서 h(b)>h(c)이다. (거짓)
 (거짓) ㄷ. h(a)h(c)<0일
‌ 때 함수 y=h(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같다.
h(a)<0, h(c)>0일 때 h(a)>0, h(c)<0일 때

501  ③
y=h{x}
y=h{x} y=h{x}
y=h{x}

h(x)= f(x)-g(x)에서 h'(x)= f '(x)-g'(x)이다.


= = ? ?
y y=f'{x} > > ? ?x x = => > x x

+ 따라서 방정식 h(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거짓)


2
O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
-

h'(x)의 부호는 위의 그림과 같고 h(0)= f(0)-g(0)=0이므로


y=g'{x}
503  ⑤

이차함수 f '(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고


ⅠⅠ
함수 y=h(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h{x}
이차방정식 f '(x)=0이 두 실근 0, 2를 가진다.
따라서 삼차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x=2에서 극소이므로 미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2 y=f{x}
O x

ㄱ. 0<x<2에서
‌ h'(x)= f '(x)-g'(x)<0이므로
함수 h(x)는 감소한다. (참)
ㄴ. h'(2)=
‌ f '(2)-g'(2)=0이고 x=2의 좌우에서 h'(x)의
x=0 x=2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므로 함수 h(x)는 x=2에서
ㄱ. ‌f(0)<0이면 f(2)< f(0)<0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참)
| f(2)|=- f(2)>- f(0)=| f(0)|이므로
ㄷ. ‌방정식 h(x)=0은 중근 x=0을 가지며 x>2에서 또 다른
| f(0)|<| f(2)|이다. (참)
한 개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h(x)=0은 서로 다른
ㄴ. ‌f(0) f(2)¾0인 모든 경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함수
두 실근을 갖는다. (거짓)
| f(x)|가 x=a에서 극소인 a의 값의 개수는 2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f(2)< f(0)<0일 때 f(2)< f(0)=0일 때
y=f {x} y=f{x}

502  ① 0 2
x 0 2
x
h(x)= f(x)-g(x)에서 h'(x)= f '(x)-g'(x)이다.
y y=f'{x}
y=g '{x} y=|f {x}| y=|f{x}|
+
+
- x x
- 0 2 0 2

= O > ? x 0= f(2)< f(0)일 때 0< f(2)< f(0)일 때


y=f {x} y=f{x}
이때,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a y b y c y x
0 2
0 2 x
h '(x) - 0 + 0 - 0 +
h(x) ↘ 극소 ↗ 극대 ↘ 극소 ↗
y=|f{x}| y=|f{x}|
ㄱ. a<x<b에서
‌ h'(x)= f '(x)-g'(x)>0이므로
함수 h(x)는 증가한다. (참)
0 2 x x
ㄴ. ‌부등식 f(b)- f(c)<g(b)-g(c)에서 0 2

Ⅱ. 미분 127
ㄷ. ‌f(0)+ f(2)=0이면 f(0)>0, f(2)<0이고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0)|=|f(2)|이다. x y 1 y
y=f {x}
f '(x) - 0 +
2 f(x) ↘ aÛ`-2a-3 ↗
0 x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 성립하려면
따라서 다음 그림과 같이 함수 y=| f(x)|의 그래프와 f(1)=aÛ`-2a-3¾0이어야 한다.
직선 y= f(0)이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는 4이다. (a+1)(a-3)¾0
y=|f{x}| ∴ a¾3 (∵ a>0)
y=f {0}

0 2 x 506   -'3<k<'3

즉, 방정식 | f(x)|= f(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f(x)=xÝ`-4kÜ`x+27이라 하면


4이다. (참) f '(x)=4xÜ`-4kÜ`=4(x-k)(xÛ`+kx+kÛ`)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x=k일 때 f '(x)=0이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참고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f(x)|가 x=a에서 극소’이면 x y k y


다음 중 하나에 해당된다. f '(x) - 0 +
❶ f(a)¾0이고, 함수 f(x)가 x=a에서 극소 f(x) ↘ 27-3kÝ` ↗
❷ f(a)É0이고, 함수 f(x)가 x=a에서 극대 따라서 함수 f(x)는 x=k일 때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❸ f(a)=0이고, f '(a)+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 성립하려면
f(k)=27-3kÝ`>0이어야 한다.
kÝ`<9에서 kÛ`<3
504  ③ ∴ -'3<k<'3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가 있다.
Ú y=f{x}
y=f{x} Û y=f{x}
y=f{x}
507  ⑤

y=2 y=2 y=2 y=2


함수 y= f(x)의 그래프가 함수 y=g(x)의 그래프보다 항상 위쪽에
존재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g(x)가 성립해야 한다.
y=-1y=-1 y=-1y=-1
즉, xÝ`-3xÜ`+12x>xÜ`+2xÛ`+k에서
p p q q r r p p q q r r
a a b cb c a ba b c c xÝ`-4xÜ`-2xÛ`+12x-k>0
ㄱ.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0과 네 점에서 만나므로 h(x)=xÝ`-4xÜ`-2xÛ`+12x-k라 하면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이다. (참) h'(x)=4xÜ`-12xÛ`-4x+12=4(x+1)(x-1)(x-3)이므로
ㄴ. ‌f '(c)=0이면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Û와 같다. x=-1 또는 x=1 또는 x=3일 때 h'(x)=0이다.
따라서 b<q이다. (거짓)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ㄷ. ‌f '(a)=0이면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Ú과 같다. x y -1 y 1 y 3 y
이때, b<x<c일 때 f(x)< f(a)이므로 h '(x) - 0 + 0 - 0 +
f(a)> f { }이다. (참)
b+c h(x) ↘ -9-k ↗ 7-k ↘ -9-k ↗
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따라서 함수 h(x)는 x=-1 또는 x=3일 때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0이 성립하려면
h(-1)=h(3)=-9-k>0이어야 한다.
505   a¾3 ∴ k<-9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10이다.
f(x)=xÝ`+2(a+1)xÛ`-4(a+2)x+aÛ`+2라 하면
f '(x)=4xÜ`+4(a+1)x-4(a+2)=4(x-1)(xÛ`+x+a+2)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508   a>0
xÛ`+x+a+2={x+ }Û`+a+ >0 (∵ a>0)이므로
1 7
2 4 f(x)=2xÜ`-9xÛ`+12x+a라 하면
x=1일 때 f '(x)=0이다. f '(x)=6xÛ`-18x+12=6(x-1)(x-2)이므로

128 수학Ⅱ
x=1 또는 x=2일 때 f '(x)=0이다. -1ÉxÉ4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x¾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같다.
x 0 y 1 y 2 y x -1 y 2 y 4
f '(x) + 0 - 0 + f '(x) + 0 -
f(x) a ↗ a+5 ↘ a+4 ↗ f(x) k-6 ↗ k+12 ↘ k-16
따라서 x¾0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1ÉxÉ4에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며 최대이고,
x¾0에서 f(x)>0이 항상 성립하려면 f(0)=a>0이어야 한다. x=4에서 최소이다.
∴ a>0 따라서 -1ÉxÉ4에서 부등식 0É f(x)É40이 성립하려면
f(4)¾0, f(2)É40이어야 한다.
f(4)=k-16¾0에서 k¾16
509  ③
f(2)=k+12É40에서 kÉ28
부등식 -xÜ`+5xÛ`-12x+1>k에서 ∴ 16ÉkÉ28
-xÜ`+5xÛ`-12x+1-k>0 따라서 정수 k의 개수는 13이다.
h(x)=-xÜ`+5xÛ`-12x+1-k라 하면
h'(x)=-3xÛ`+10x-12
이때, 방정식 h'(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512  ⑤

D
4
=25-36=-11<0이다.
f '(x)=4xÜ`-4kÛ`x=4x(x+k)(x-k)
ⅠⅠ
ㄱ. k=0일
‌ 때 f(x)=xÝ`+9, f '(x)=4xÜ`이므로 함수 f(x)는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0이므로 함수 h(x)는 실수 x=0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참) 분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한다. ㄴ. k+0일


‌ 때 함수 f(x)는 x=-k와 x=k에서 극솟값,
따라서 x<1에서 부등식 h(x)>0이 항상 성립하려면 x=0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참)
h(1)¾0이어야 한다. ㄷ. Ú k=0일
‌ 때 함수 f(x)는 x=0에서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h(1)=-7-k¾0에서 kÉ-7 최솟값 f(0)=9를 갖는다.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7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다.
Û k+0일
‌ 때 함수 f(x)는 x=-k와 x=k에서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최솟값 f(k)=-kÝ`+9를 갖는다.
510  ② 이때, -'3 ÉkÉ'3 이면 kÝ`É9에서 -kÝ`+9¾0이므로
구간 [1, 3]에서 부등식 xÜ`+2xÛ`-8x+3>2xÛ`+4x+a,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다.
즉 xÜ`-12x+3-a>0이 성립해야 한다. Ú, Û에 의하여 -'3 ÉkÉ'3 일 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xÜ`-12x+3-a라 하면 f(x)¾0이다. (참)
h'(x)=3xÛ`-12=3(x+2)(x-2)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x=-2 또는 x=2일 때 h'(x)=0이다.
구간 [1, 3]에서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513   풀이 참조

⑴ t초 후의 높이, 속도, 가속도를 각각 x(t), v(t), a(t)라 하면


x 1 y 2 y 3
x(t)=-5tÛ`+5t+30이므로
h '(x) - 0 +
v(t)=x'(t)=-10t+5
h(x) -8-a ↘ -13-a ↗ -6-a
a(t)=v'(t)=-10
따라서 구간 [1, 3]에서 함수 h(x)는 x=2에서 극소이며 따라서 2초 후의 속도와 가속도는 각각
최소이므로 구간 [1, 3]에서 h(x)>0이 성립하려면 v(2)=-15, a(2)=-10이다.
h(2)=-13-a>0이어야 한다. ∴ -15`m/s, -10`m/sÛ`
∴ a<-13 ⑵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 속도가 0이므로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4이다. 1
v(t)=-10t+5=0에서 t= ,
2

그때의 높이는 x{ }=
1 125
511   13 2 4
이다.

f(x)=-xÜ`+xÛ`+8x+k라 하면 125
∴ 0.5초, `m
4
f '(x)=-3xÛ`+2x+8=-(3x+4)(x-2)이므로
⑶ 수면에 닿는 순간 높이가 0이므로
4
x=- 또는 x=2일 때 f '(x)=0이다. x(t)=-5tÛ`+5t+30=0에서
3

Ⅱ. 미분 129
-5(t+2)(t-3)=0 -3tÛ`+14t-10
점 M의 속도는 m'(t)= 이므로
∴ t=3 (∵ t>0) 2
따라서 수면에 닿는 순간의 속도는 t=2일 때의 속도는 m'(2)=3이다.
v(3)=-25이다.
∴ -25`m/s
517  ④
채점 요소 배점
① f(a)>0이므로 t=a일 때 x좌표는 양수이다. (참)
dx dv
속도 v= , 가속도 a= 를 이용하여 식을 구하고, t=2일 때의
dt dt 30 % ② d<t<e에서
‌ 함수 f(t)가 증가하므로 x축의 양의 방향으로
속도, 가속도 구하기 움직이고 있다. (참)
속도가 0일 때임을 이용하여 t의 값과 그때의 x의 값 구하기 35 % ③ 0<t<a에서
‌ 함수 f(t)가 증가하므로 출발할 때는 x축의 양의
x=0일 때의 t의 값을 찾아서 그때의 속도 구하기 35 % 방향으로 움직이고, b<t<c에서 함수 f(t)가 감소하므로 x축의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운동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참)
④ 0<t<b에서의
‌ 속도가 양수이고, t=b에서의 속도가 0이고,
514  ① b<t<c에서의 속도가 음수이므로 0<t<c에서 t=b일 때의
속도가 최대가 아니다. (거짓)
브레이크를 밟은 지 t초 후 자동차의 속도를 v라 하면
⑤ t=d에서의
‌ 속도가 0이므로 속력은 0이고, t=c에서의 속도가
dx
v= =30-1.5t이다. 음수이므로 속력은 양수이다.
dt
자동차가 정지할 때 속도가 0이므로 따라서 t=d에서의 속력이 t=c에서의 속력보다 작다. (참)
30-1.5t=0에서 t=20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따라서 자동차가 정지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t=20일 때
x=30_20-0.75_20Û`=300 (m)

참고
518  ③

시각 t에서 점 P의 속도는 f '(t), 점 Q의 속도는 g'(t)이므로


브레이크를 밟은 순간 자동차의 위치를 0으로 보면
주어진 그래프는 두 점 P, Q의 속도 그래프이다.
t초 후 자동차의 위치는 t초 동안 자동차가 움직인 거리와
ㄱ. ‌a<t<c에서 두 그래프가 한 점에서 만나므로
dx
같으므로 t초 후 자동차의 속도는 이다.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때가 한 번 있다. (참)
dt
ㄴ. c<t<d에서
‌ f '(t)>0이므로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g'(t)<0이므로 점 Q는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515   12 즉, c<t<d에서 두 점 P, Q가 움직이는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거짓)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vP, vQ라 하면
ㄷ. ‌점 P의 속도, 가속도를 각각 v(t), a(t)라 하면 v(t)= f '(t),
vP=P'(t)=tÛ`+4, vQ=Q'(t)=4t이다.
a(t)=v'(t)이다. 즉, a(t)는 함수 y= f '(t)의 그래프에서의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의 시각 t를 구하면
접선의 기울기이다. 0<t<d에서 함수 y= f '(t)의 그래프의
tÛ`+4=4t에서 (t-2)Û`=0 접선의 기울기가 0이 되는 때는 t=a, t=c일 때이므로 점 P의
∴ t=2 가속도가 0이 되는 순간은 두 번 있다. (참)
t=2일 때의 두 점 P, Q의 위치가 각각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P(2)=10, Q(2)=-2이므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10-(-2)=12 519  ③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516  ③ v(t)=x'(t)=3tÛ`-12t=3t(t-4)
함수 y=v(t)(t>0)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선분 PQ의 중점 M의 위치를 m(t)라 하면
y
p(t)+q(t) -tÜ`+7tÛ`-10t y=v{t}
m(t)= = 2
2 2
O 4 t
점 M이 원점을 지날 때는
-tÜ`+7tÛ`-10t
=0에서 t(t-2)(t-5)=0
2
즉, t=0 또는 t=2 또는 t=5일 때이다.
따라서 점 M이 두 점 P, Q가 출발한 후 처음으로 다시 원점을
지날 때는 t=2일 때이다.

130 수학Ⅱ
ㄱ. v(t)=0을
‌ 만족시키는 t의 값은 t=4 (∵ t>0)이고, a(t)=2t-12이므로
t=4의 좌우에서 v(t)의 부호가 바뀌므로 t=13일 때 가속도는 a(13)=14
점 P는 출발한 지 4초 후 처음으로 운동 방향이 바뀐다. (참) ⑵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력은 |v(t)|이다.
ㄴ. t>2에서
‌ 속도 v(t)가 증가한다. (참) 함수 y=|v(t)|=|(t-2)(t-10)|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ㄷ. v(1)=v(3)<0이므로
‌ t=1일 때와 t=3일 때 점 P는 모두 y
x축의 음의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운동 방향은 서로 같다. (거짓) y=|v{t}|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520  ①

두 점 P와 Q가 시각 t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시각 t에서


11
두 점 P와 Q의 속도 f '(t)와 g'(t)의 부호가 서로 반대이므로 O 2 6 10 t
f '(t)g'(t)<0이다. 이때, |v(6)|=16, |v(11)|=9이므로
f '(t)=4t-2, g'(t)=2t-8이므로 2ÉtÉ11에서 점 P의 최대 속력은 16이다.
(4t-2)(2t-8)<0
1
<t<4
523

2  ④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vP, vQ라 하면


ⅠⅠ
521  ③ vP=4tÜ`+5, vQ=12t+a이다.


출발한 후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의 시각 t는
f '(t)=3tÛ`-12t=3t(t-4)
방정식 4tÜ`+5=12t+a의 양의 실근이다.
g'(t)=3tÛ`-3=3(t+1)(t-1)
4tÜ`-12t+5=a에서
두 점 P, Q가 시각 t (t>0)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f(t)=4tÜ`-12t+5라 하면
‘f '(t)>0, g '(t)<0’ 또는 ‘f '(t)<0, g '(t)>0’이다.
f '(t)=12tÛ`-12=12(t+1)(t-1)이므로
Ú f '(t)>0에서 t>4
함수 f(t)는 t=1 (∵ t>0)에서 극솟값 f(1)=-3을 가지고,
g'(t)<0에서 0<t<1
이때, 함수 y= f(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t가 존재하지 않는다.
y
Û f '(t)<0에서 0<t<4
y=f{t}
g'(t)>0에서 t>1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t의 값의 범위는 1<t<4이다.
Ú, Û에 의하여 두 점 P, Q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시각 5
t의 값의 범위는 1<t<4이므로 3초 동안이다. y=a
1
O t

522   ⑴ 14 ⑵ 16 -3

t>0에서 직선 y=a가 함수 y= f(t)의 그래프와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속도, 가속도를 각각 x(t), v(t), a(t)라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a의 값의 범위는
1
하면 x(t)= tÜ`+atÛ`+bt이므로 -3<a<5이다.
3
v(t)=x'(t)=tÛ`+2at+b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7이다.
a(t)=v'(t)=2t+2a
t=10에서 점 P의 운동 방향이 바뀌므로 v(10)=0
즉, 100+20a+b=0 yy ㉠
524  ⑤

t=3에서 점 P의 가속도가 -6이므로 a(3)=-6 시각 t에 대한 위치 x의 함수의 그래프를 나타내어 보자.


즉, 6+2a=-6 yy ㉡ f(t)=2tÜ`-6tÛ`+6t라 하면
㉠, ㉡에서 a=-6, b=20 f '(t)=6tÛ`-12t+6=6(t-1)Û`¾0이므로
1 함수 y= f(t)의 그래프는 0Ét<2에서 증가한다.
∴ x(t)= tÜ`-6tÛ`+20t
3 1 80
g(t)= tÜ`-5tÛ`+24t- 이라 하면
⑴ v(t)=tÛ`-12t+20이므로 속도가 33인 순간은 3 3
tÛ`-12t+20=33에서 g'(t)=tÛ`-10t+24=(t-4)(t-6)이므로
tÛ`-12t-13=0, (t+1)(t-13)=0 함수 g(t)는 t=4에서 극댓값, t=6에서 극솟값을 가진다.
t=13 (∵ t>0)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Ⅱ. 미분 131
x ㄷ. ‌f(2)=1, g(2)=2에서 f(2)<g(2)이므로 t<2에서 만난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TIP
다음 그림과 같이 그래프를 통해 0<t<1에서 방정식
f '(t)=g'(t)의 실근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O 12 4 6 t y
y=g '{t}
따라서 점 P가 움직이는 방향을 두 번째로 바꾸는 것은 출발 후 6초
후이다.
O 1 t

525  ②
y=f'{t}

제동을 건 후 t초 동안 열차가 움직인 거리를 x(t)(m),


제동을 건 후 t초 후 열차의 속도를 v(t)(m/초)라 하면
x(t)=at-btÛ`
v(t)=x'(t)=a-2bt
527  ②
t=0일 때의 속도가 72`km/시=20`m/초이므로 yy TIP
v(0)=a=20 t초 후 선분 AP의 길이는 2t, 선분 BP의 길이는 20-2t이므로
제동을 건 후 열차가 멈출 때 속도가 0이므로 두 선분 AP, BP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각각
10 t, 10-t이다.
v(t)=20-2bt=0에서 t=
b t초 후 두 원의 넓이의 합을 S(t)라 하면
10 S(t)=tÛ`p+(10-t)Û`p=(2tÛ`-20t+100)p
따라서 제동을 건 후 초 동안 움직인 거리가 300`m 이하이어야
b S'(t)=(4t-20)p이므로
하므로 t=6일 때 S의 변화율은 S'(6)=4p이다.
10 200 100 100 1
x{ }= - = É300, b¾
b b b b 3
1
따라서 b의 최솟값은
3
이다. 528  ④

TIP t초 후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3+0.2t(cm)이므로


t초 후 구의 부피를 V(t)(cmÜ`)라 하면
72`km/시=72000`m/시=1200`m/분=20`m/초
4
V(t)= p(3+0.2t)Ü`
3
V'(t)=4p(3+0.2t)Û`_0.2
526  ③
반지름의 길이가 5`cm가 되는 순간은 3+0.2t=5일 때이므로
g(t)=tÜ`-3t에서 g'(t)=3tÛ`-3=3(t+1)(t-1)이므로 이때의 풍선의 부피의 변화율은 4p_5Û`_0.2=20p(cmÜ`/초)이다.
함수 g(t)는 t=1에서 극소이다.
y y=g{t}
529   2, 0.8

이 사람이 t초만큼 걸었을 때, 걸어간 거리가 1.2t(m)이므로


가로등 바로 밑에서부터 그림자의 끝까지의 거리를 l(m)이라 하면
1
O Â5 t
Â3 4.5
y=f {t} 1.8
1.2t
ㄱ. t>1에서
‌ 점 A는 음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점 B는 양의 l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참) l`:`(l-1.2t)=4.5`:`1.8=5`:`2
ㄴ. ‌f '(t)=-2t이므로 방정식 f '(t)=g'(t)에서 2l=5l-6t에서 l=2t yy ㉠
-2t=3tÛ`-3, 3tÛ`+2t-3=0 dl
따라서 =2이므로 그림자의 끝이 움직이는 속도는
-1+'1Œ0 dt
∴ t=
3
(∵ t>0) yy TIP 2 (m/초)이다.
즉, 0<t<1에서 두 점 A, B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이 있다. 한편, 그림자의 길이를 x(m)라 하면
(참) x=l-1.2t=0.8t (∵ ㉠)

132 수학Ⅱ
dx 따라서 물을 채우기 시작한 지 4분 후 물의 높이의 변화율은
따라서 =0.8이므로 그림자의 길이의 변화율은
dt 13
h'(4)= (cm/분)이다.
0.8 (m/초)이다. 100p
다른 풀이

이 사람이 t초만큼 걸었을 때, 걸어간 거리가 1.2t(m)이므로


그림자의 길이를 x(m)라 하면 532   풀이 참조

⑴ ‌그림과 같이 t초 후의 수면의 높이를 h`cm, 반지름의 길이를


4.5
1.8 x`cm라 하면 매초 1`cm의 속도로 수면의 높이가 일정하게
1.2t x 높아지므로 h=t이다.
x`:`(x+1.2t)=1.8`:`4.5=2`:`5 50
50
2x+2.4t=5x에서 x=0.8t yy ㉡ x
dx h
따라서 =0.8이므로 그림자의 길이의 변화율은
dt
0.8 (m/초)이다.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한편, 가로등 바로 밑에서부터 그림자의 끝까지의 거리를 l(m)라 xÛ`+(50-t)Û`=50Û`이므로
하면 xÛ`=100t-tÛ`
l=x+1.2t=2t (∵ ㉡) 따라서 t초가 되는 순간의 수면의 넓이(cmÛ`)는
dl S(t)=xÛ`p=(100t-tÛ`)p ⅠⅠ
따라서 =2이므로 그림자의 끝이 움직이는 속도는
dt ⑵ S'(t)=(100-2t)p이므로
‌ 10초가 되는 순간의 수면의 넓이의 미

2 (m/초)이다. 변화율은
S'(10)=80p (cmÛ`/초)이다.

채점 요소 배점

530   -8p`cmÜ`/초 문제에 주어진 조건을 나타내는 도형으로부터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찾고, 수면의 넓이 S(t) 구하기
70 %

물의 높이가 매초 2`cm씩 낮아지므로 도함수 S'(t)를 구하여 t=10일 때 S'(10)의 값 구하기 30 %


t초 후 종이컵 끝부분에서 물의 표면까지의 높이는
10-2t(cm)이고, 이때의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5-t(cm)이다.
5

5-t
533   36

10
t초 후의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t)라 하고,
정삼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t)라 하자.
10-2t
정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가 매초 3'3 씩 늘어나므로
x(t)=12'3 +3'3 t
t초 후 물의 부피를 V(t)(cmÜ`)라 하면
1 2
V(t)= p(5-t)Û`(10-2t)= p(5-t)Ü`
3 3
2
V'(t)= p_3(5-t)Û`_(-1)=-2p(5-t)Û`
3
r{t}
물의 높이가 4`cm가 되는 순간은 10-2t=4에서 t=3일 때이므로 30æ
이때의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x{t}

V'(3)=-8p (cmÜ`/초)이다. 한편, 정삼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은 정삼각형의 무게중심과


일치하므로
1 1 '3 3
r(t)= _ x(t)= (12'3 +3'3 t)=6+ t
'3 2 6 2
531  ④
t초 후 정삼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넓이를 S(t)라 하면
3
x분 후 물의 높이를 h(x)(cm)라 하면 물의 부피(cmÜ`)는 S(t)=p{6+ t}Û`
2
1
100p_h(x)= xÜ`+x이므로 3 3 9
4 S'(t)=p_[2_{6+ t}_ ]={18+ t}p
2 2 2
1 1
h(x)= { xÜ`+x} x(t)=24'3 일 때, 12'3 +3'3 t=24'3 에서 t=4
100p 4
1 3 이때, 원의 넓이의 변화율은 S'(4)=36p이다.
h'(x)= { xÛ`+1}
100p 4 ∴ a=36

Ⅱ. 미분 133
534  ①
y
4
y= x
3
공이 경사면과 충돌할 때의 공의 중심과 바닥 사이의 거리를 h¼`m라
하자.
r
0.5`m O t# x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의 중심의 좌표는 (tÜ`, r)이고,


hº`m
30æ 4
원의 중심에서 직선 y= x까지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와
60æ 3
h¼`sin`30ù=0.5에서 h¼=1 |4tÜ`-3r|
같으므로 =r에서
따라서 공이 경사면과 충돌할 때의 순간은 21-5tÛ`=1에서 "Ã4Û`+(-3)Û`
t=2 (∵ t>0)일 때이다. 1
|4tÜ`-3r|=5r   ∴ r= tÜ` 또는 r=-2tÜ`
2
t초 후의 공의 속도는 h'(t)=-10t이므로
1
공이 경사면과 처음으로 충돌하는 순간, 즉 t=2일 때 공의 속도는 이때, t>0, r>0이므로 r= tÜ`이다.
2
h'(2)=-20 (m/초)이다. 원의 넓이를 S(t)라 하면
1 p
S(t)=p{ tÜ`}Û`= tß`
535   - 7'3
4
3
2 4

S'(t)= ptÞ`
3 2
두 점 P, Q가 출발한 후 초일 때까지 두 점 P, Q는 각각
2 따라서 t=2가 되는 순간, 원의 넓이의 변화율은
선분 AB와 선분 BC 위에 존재한다. S'(2)=48p이다.
A

P
537  2

t초 후 점 P의 좌표는 (2t, 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2x(x-2t)이다.
B C
Q H 1 3
이때, A{ t, 0}, B{ t, 0}이므로
3 2 2
두 점 P, Q가 출발한 후 t {0<t< }초일 때
2 1 3
ABÓ=t, ACÓ= f { t}= tÛ`이다.
APÓ=2t이므로 BPÓ=3-2t이고, 2 2
점 P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사각형 ABDC의 넓이를 S(t)라 하면
'3 3
S(t)=ABÓ_ACÓ= tÜ`
PHÓ=(3-2t)sin`60ù= (3-2t) 2
2
또한 BQÓ=t이므로 CQÓ=3-t 9
S'(t)= tÛ`
2
삼각형 CPQ의 넓이를 S(t)라 하면
사각형 ABDC가 정사각형이 되는 순간은
1 1 '3
S(t)= _CQÓ_PHÓ= _(3-t)_ (3-2t) 3 2
2 2 2 ABÓ=ACÓ에서 t= tÛ`, t= (∵ t>0)일 때이다.
2 3
'3
= (t-3)(2t-3) 2
4 따라서 t= 일 때, 사각형 ABDC의 넓이의 변화율은
3
'3 3
= (2tÛ`-9t+9) (단, 0<t< ) 2
4 2 S'{ }=2이다.
3
'3 3
S'(t)= (4t-9) (단, 0<t< )
4 2
1
따라서 t= 일 때 삼각형 CPQ의 넓이의 변화율은
2 538  ④
1 7'3
S'{ }=- 이다. y=xÜ`-3xÛ`+2x+1에서 y'=3xÛ`-6x+2
2 4
점 (0, a)를 지나는 접선의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3tÛ`-6t+2이므로
536  ⑤ 접선의 방정식은 y-(tÜ`-3tÛ`+2t+1)=(3tÛ`-6t+2)(x-t),
t>0에서 tÜ`>0이고, 원이 x축과 점 P(tÜ`, 0) (t>0)에 접하면서 즉 y=(3tÛ`-6t+2)x-2tÜ`+3tÛ`+1이다.
4 이 접선이 점 (0, a)를 지나므로
제1사분면에서 직선 y= x와 접하므로 다음과 같다.
3 a=-2tÜ`+3tÛ`+1 yy ㉠

134 수학Ⅱ
점 (0, a)를 지나는 서로 다른 접선이 세 개 존재하려면
㉠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실수 t의 값이 세 개 존재해야 한다.
540   34

f(t)=-2tÜ`+3tÛ`+1이라 하면 3
사차방정식 xÝ`+4xÜ`-3xÛ`-12x+k=0에서
2
f '(t)=-6tÛ`+6t=-6t(t-1)이므로 함수 f(t)는
3
t=0에서 극솟값 f(0)=1, t=1에서 극댓값 f(1)=2를 갖는다. xÝ`+4xÜ`-3xÛ`-12x=-k
2
이때, 함수 y= f(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3
h(x)= xÝ`+4xÜ`-3xÛ`-12x라 하면
y 2
y=f {t} h'(x)=6xÜ`+12xÛ`-6x-12=6(x+2)(x+1)(x-1)이므로
2
y=a 함수 h(x)는 x=-2에서 극솟값 h(-2)=4, x=-1에서
1 13 19
극댓값 h(-1)= , x=1에서 극솟값 h(1)=- 를 갖는다.
2 2
O 1 t 이때, 함수 y=h(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13 y=h{x}
따라서 방정식 f(t)=a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2
y=-k
1<a<2이어야 한다. 4

539   f(x)=xÜ`-12x -2 -1 O x

ⅠⅠ
조건 ㈎를 만족시키는 삼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y=-k 미
대칭이므로 f(x)=xÜ`-ax (a는 실수)라 하자. 분

이때, 삼차함수 f(x)의 극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


19
2
y
| f(k)-g(k)|=2이려면 함수 y=h(x)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y=|f{x}| 교점 중 x좌표가 양수인 것과 음수인 것의 개수의 차가 2이어야 한다.
이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19
- <-k<0일 때 f(k)=2, g(k)=0인 경우와
O x 2
y=f{x} 13
4<-k<
2
일 때 f(k)=1, g(k)=3인 경우뿐이다. yy TIP

방정식 |f(x)|=t의 해의 개수는 t>0일 때 2, t=0일 때 1, 19 13


따라서 0<k< 또는 - <k<-4이므로
2 2
t<0일 때 0이므로 함수 h(t)는 t=0에서만 불연속이다.
모든 정수 k의 값의 합은
따라서 삼차함수 f(x)는 극값을 갖는 함수이고,
(1+2+y+9)+{(-5)+(-6)}=1+2+3+4+7+8+9=34
극댓값을 a라 하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f{x}| TIP

y== k의 값에 따라 f(k), g(k)의 값은 각각 다음과 같다.

x k f(k) g(k)
O
19
y=f{x} -k<- 0 0
2
방정식 |f(x)|=t의 해의 개수는 t>a일 때 2, t=a일 때 4, 19
-k=- 1 0
0<t<a일 때 6, t=0일 때 3, t<0일 때 0이므로 2
함수 h(t)는 t=0, t=a에서 불연속이다. 19
- <-k<0 2 0
2
따라서 조건 ㈏에 의하여 a=16이므로 함수 f(x)의 극댓값이
-k=0 1 0
16이다.
a 0<-k<4 1 1
f '(x)=3xÛ`-a이므로 f '(x)=0에서 x=Ѿ
3 -k=4 1 2
a 13
즉, 함수 f(x)는 x=-¾ 에서 극댓값 16을 가지므로 4<-k< 1 3
3 2
2a a 13
f {-¾ }= ¾ =16에서
a
3 3 3 -k= 1 2
2
13
¾ =8, {¾ }`Ü =2Ü`, ¾ =2, a=12
a a a a -k> 1 1
3 3 3 3 2
∴ f(x)=xÜ`-12x

Ⅱ. 미분 135
541  ⑤ f(x)=0의 실근이므로 방정식 f(x)=0은 모두 4개의
실근을 갖는다. (참)
ㄱ. a가
‌ 사차방정식 f(x)=0의 근이므로 f(a)=0
참고
즉, 다항식 f(x)는 x-a를 인수로 가지므로
고등학교 수학에서 다루는 다항방정식은 그 계수가 실수인
삼차식 g(x)에 대하여 f(x)=(x-a)g(x)라 하자.
것으로 한정한다.
f '(x)=(x-a)'g(x)+(x-a)g'(x)
=g(x)+(x-a)g'(x)
이때, f '(a)=0이면
g(a)+(a-a)g'(a)=0, 즉 g(a)=0이므로
다항식 g(x)는 x-a를 인수로 갖는다. 542  ③
따라서 이차식 h(x)에 대하여
부등식 f(x)¾g(x)에서
g(x)=(x-a)h(x)라 하면
xn+1-(n+6)(n-7)¾(n+1)x
f(x)=(x-a)g(x)=(x-a)Û`h(x)
xn+1-(n+1)x-(n+6)(n-7)¾0
즉, 다항식 f(x)는 (x-a)Û`으로 나누어떨어진다. (참)
h(x)=xn+1-(n+1)x-(n+6)(n-7)이라 하면
ㄴ. ‌f '(a) f '(b)=0이면 f '(a)=0 또는 f '(b)=0이다.
h'(x)=(n+1)xn-(n+1)=(n+1)(xn-1)
일반성을 잃지 않고 f '(a)=0이라 하면 ㄱ에 의하여
Ú n이 짝수일 때,
다항식 f(x)는 (x-a)Û`을 인수로 가지며
x=-1 또는 x=1일 때 h '(x)=0이고,
f(b)=0이므로 x-b 또한 인수로 갖는다.
이때, 함수 y=h(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즉, 일차식 q(x)에 대하여
f(x)=(x-a)Û`(x-b)q(x)이므로 y=h{x}
방정식 f(x)=0은 허근을 갖지 않는다. (참)
ㄷ. ‌일반성을 잃지 않고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고
a<b라 하자.
-1 1
f '(a) f '(b)>0이면 x=a, x=b일 때의 함수 y= f(x)의
Û n이 홀수일 때,
접선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이거나 음수이다.
x=1일 때 h'(x)=0이고,
이를 만족시키는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이때, 함수 y=h(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두 경우뿐이므로 이때의 방정식 f(x)=0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는다. (참)
y=h{x}
y=f{x} y=f {x}

= x = 1
> > x
Ú, Û에 의하여 x¾0에서 함수 h(x)는 x=1에서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부등식 h(x)¾0이 성립하려면 h(1)¾0이어야 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h(1)=-n-(n+6)(n-7)¾0
다른 풀이
-nÛ`+42¾0에서 nÛ`É42
ㄷ. ‌이차식 p(x)에 대하여 f(x)=(x-a)(x-b)p(x)라 하면 따라서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1, 2, 3, 4, 5, 6으로 6개이다.
f '(x)=(x-a)'(x-b)p(x)+(x-a)(x-b)'p(x)
  +(x-a)(x-b)p'(x)
=(x-b)p(x)+(x-a)p(x)+(x-a)(x-b)p'(x)
따라서 f '(a)=(a-b)p(a), f '(b)=(b-a)p(b)이므로 543  ①
f '(a) f '(b)=-(a-b)Û`p(a)p(b)>0에서
1 1
p(a)p(b)<0이다. 부등식 xÝ`-ax+24>0에서 xÝ`+24>ax
2 2
일반성을 잃지 않고 a<b라 하면
1
이 부등식이 성립하려면 f(x)= xÝ`+24, g(x)=ax라 할 때,
이차함수 y=p(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2
사잇값 정리에 의하여 열린구간 (a, b)에 이차방정식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g(x)보다 항상 위쪽에 존재해야
p(c)=0을 만족시키는 x=c가 한 개 존재한다. 한다.  yy ㉠
한편, 이차함수 y=p(x)는 구간 (-¦, a) 또는 구간 f '(x)=2xÜ`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솟값 f(0)=24를
(b, ¦)에서 한 개의 실근을 더 가지므로 방정식 p(x)=0을 갖는다.
만족시키는 a, b가 아닌 서로 다른 두 개의 실근은 방정식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다음과
f(x)=0의 실근이며, x=a, x=b 또한 방정식 같다.

136 수학Ⅱ
y=f{x} y y=f {x}
y y=4

O x

24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4는 오직 한 점에서 만나므로


O x 방정식 f(x)=4는 오직 한 개의 실근을 갖는다.
Û a<0일 때,
직선 y=g(x)가 함수 y= f(x)의 그래프에 접할 때 a의 값을
함수 f(x)는 x=2a에서 극댓값 f(2a)=-4aÜ`을 갖고,
구하면 다음과 같다.
x=0에서 극솟값 f(0)=0을 갖는다.
1
접점의 좌표를 {t, tÝ`+24}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2 y y=f{x}
1 -4a#
y-{ tÝ`+24}=2tÜ`(x-t)
2
3
즉 y=2tÜ`x- tÝ`+24이고, 이 직선이 직선 y=ax와 같을 때 y=4
2
3
- tÝ`+24=0에서
2 2a O x ⅠⅠ
tÝ`=16, t=Ñ2 미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4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려면 분
t=2일 때 a=16, 접선의 방정식은 y=16x이고,
t=-2일 때 a=-16, 접선의 방정식은 y=-16x이다. -4aÜ`>4에서 aÜ`<-1이므로 a<-1이어야 한다.
따라서 ㉠을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는 ∴ a<-1
-16<a<16이므로 정수 a의 개수는 31이다. Ü a>0일 때,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f(0)=0을 갖고,
다른 풀이
x=2a에서 극솟값 f(2a)=-4aÜ`을 갖는다.
1
f(x)= xÝ`-ax+24라 하면 y y=f{x}
2
y=4
f '(x)=2xÜ`-a O 2a
x
a
f '(x)=0에서 xÜ`= 이고, 이를 만족시키는 실수 x가 한 개
2
존재하므로 그 값을 c라 하면 함수 f(x)는 x=c에서 극소이며
최소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 성립하려면
-4a#
1
f(c)= cÝ`-ac+24>0이어야 한다.
2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4는 오직 한 점에서 만나므로
1 방정식 f(x)=4는 오직 한 개의 실근을 갖는다.
즉, c{ cÜ`-a}+24>0에서
2
Ú〜Ü에 의하여 구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1이다.
3 a
- ac+24>0 (∵ cÜ`= )
4 2

ac<32, aÜ`cÜ`<2Ú`Þ`,
aÝ`
2
<2Ú`Þ` 545   aÉ2

aÝ`<2Ú`ß`, aÛ`<2¡` 3
f(x)=xÜ`- axÛ`+4라 하면
2
∴ -16<a<16
f '(x)=3xÛ`-3ax=3x(x-a)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31이다.
Ú a=0일 때,
f'(x)=3xÛ`¾0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x¾0일 때 f(x)¾0이 성립하려면 f(0)¾0이어야 한다.
f(0)=4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544   a<-1
y=f{x}
f(x)=xÜ`-3axÛ`이라 하면
f '(x)=3xÛ`-6ax=3x(x-2a) 4
Ú a=0일 때,
f '(x)=3xÛ`¾0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0

Ⅱ. 미분 137
Û a<0일 때, Ú Û
함수 f(x)는 x=a에서 극대, x=0에서 극소이고, y=4
y=4
y=-3
y=-3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k+4
k+4 k+4
k+4
y=f{x}

k-4
k-4 k-4
k-4
4 y=4
y=4
a 0 y=-3
y=-3

x¾0에서 함수 f(x)가 증가하므로 -1-1


1 1 -1-1
1 1
x¾0일 때 f(x)¾0이 성립하려면 f(0)¾0이어야 한다. Ú에서 k+4<-3, 즉 k<-7
f(0)=4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Û에서 4<k-4, 즉 k>8
Ü a>0일 때, 따라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7 또는 k>8이다.
함수 f(x)는 x=0에서 극대, x=a에서 극소이고,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TIP

4 (k+4)-(k-4)=8, 4-(-3)=7이므로 다음과 같은 경우는


y=f {x}
생기지 않는다.

y=4
0 a k+4
x¾0에서 함수 f(x)는 x=a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f(x)¾0이 성립하려면 f(a)¾0이어야 한다. k-4
aÜ`
f(a)=4- ¾0에서 aÜ`É8, aÉ2   ∴ 0<aÉ2 y=-3
2
Ú〜Ü에 의하여 구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É2이다.
-1 1

546   k<-7 또는 k>8

방정식 f(g(x))=10에서 g(x)=t라 하면


f(t)=10, 즉 tÛ`-t-2=10에서
tÛ`-t-12=0, (t+3)(t-4)=0, t=-3 또는 t=4
즉, 방정식 g(x)=4 또는 방정식 g(x)=-3을 만족시키는 서로 547  ③
다른 실수 x의 개수가 2이어야 한다. ㄱ. ‌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세 실근이 a, b, c이고
g'(x)=6xÛ`-6=6(x+1)(x-1)에서 a<b<c이므로 최고차항이 양수인 사차함수 f(x)의 증가와
함수 g(x)는 x=-1에서 극댓값 g(-1)=k+4를 갖고,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1에서 극솟값 g(1)=k-4를 갖는다.
x y a y b y c y
이때,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f '(x) - 0 + 0 - 0 +
y=g{x}
f(x) ↘ f(a) ↗ f(b) ↘ f(c) ↗
따라서 함수 f(x)는 x=b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참)
k+4 ㄴ. ‌조건 f(a) f(b) f(c)<0에서 f(a), f(b), f(c) 중 한 개가
음수이거나 모두 음수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k-4 같다.
Ú y=f
y=f
y=f
{x}{x} Û
{x} y=f
y=f{x}
y=f{x}
{x} Ü y=f{x}
y=f{x}
y=f{x}

== = == =>> >
?? ? ?? ?
?? ? xx x
>> > xx x == >=> > xx x
-1 1
또한 삼차함수 g(x)에 대하여 두 방정식 g(x)=4, g(x)=-3의 이때, Ú~Ü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모두 서로 다른 두
실근은 적어도 하나씩 존재하므로 실근을 갖는다. (참)
방정식 g(x)=4 또는 방정식 g(x)=-3의 서로 다른 실근의 ㄷ. ‌f(a)>0이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ㄴ의 Ü과 같으므로
개수가 2이려면 두 방정식의 해가 각각 오직 하나씩 존재해야 한다. 방정식 f(x)=0은 b보다 작은 실근을 갖지 않는다. (거짓)
이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yy TIP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138 수학Ⅱ
548  ③ 따라서 방정식 | f(x)|= f(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이다. (거짓)
함수 |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f(1)=0, f '(1)+0이다. yy TIP1
TIP1
또한 구간 (-7, -5)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로
그 실근 중 하나를 a (-7<a<-5)라 하면 f(a)=0이고, 442번 참고 에 의하여 f(a)=0일 때, 함수 | f(x)|가 x=a에서

이때,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해야 하므로 미분가능할 조건은 f '(a)=0이고, 미분가능하지 않을 조건은
f '(a)=0이다. yy TIP1 f '(a)+0이다.
즉, f(x)=k(x-1)(x-a)Ü` (k+0)이고,  yy TIP2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TIP2
Ú k>0일 때 Û k<0일 때 f(1)=0, f '(1)+0이므로 f(x)는 x-1을 인수로 갖고,
y=f{x} y
y=f{x} y y y (x-1)Û`을 인수로 갖지 않는다.
-5 -5 f(x)=k(x-1)(x-a)Û`(x-m)(단, k+0, m+1)
-7 = -7 = O 1 Ox 1 x y=f{x}
y=f{x}
이때, m+a이면 f(m)=0, f '(m)+0이므로 함수 f(x)는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m=a이므로 f(x)=k(x-1)(x-a)Ü`(k+0)이다.

-7 = -7 = ⅠⅠ
-5 -5 1 x 1 x

549

 ②
ㄱ.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고, 이때 x=1,
x=a에서 극소이므로 극소가 되는 점의 개수는 2이다. (참) 조건 ㈎를 만족시키는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y 경우가 있다.
y=|f{x}| Ú Û y=|f{x}|
y=|f {x}|

2 x a 2 x
y=f {x}
= O 1 x y=f{x}

ㄴ. f '(x)=k(x-a)Ü`+3k(x-1)(x-a)Û`
Ü y=|f {x}| Ý y=|f{x}|
=k(x-a)Û`(4x-a-3)
a+3
이므로 x=a 또는 x= 일 때 f '(x)=0이다.
4 x x
b¡ c b™ 2 2
a+3 1 y=f{x}
-7<a<-5에서 -1< <- 이므로 y=f {x}
4 2
a+3 Þ
구간 (-4, 0)에 f '(x)=0을 만족시키는 x= 이
4 y=|f{x}|
존재한다. (참)
ㄷ. ‌f(0)>0이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Û와 같으므로 함수 2 x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f{x}
y
y=|f{x}| Ú, Ý, Þ의 그래프일 때 f(-1)> f(1)이므로 조건 ㈐를
y=f{0} 만족시키지 않는다.
Û의 그래프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 f(1)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x=1일 때의 점의 위치로
가능한 것이 Û의 그림의 ★의 위치로 세 가지이다.
= O 1 x
-5 이때, 세 ★의 위치 각각에 대하여 조건 ㈏, ㈐를 모두 만족시키는
x=-1일 때의 점의 위치가 결정되지 않으므로 Û의 그래프는
y=f{x}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yy TIP1
Ü의 그래프일 때 Û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가능한 x=1일 때의
점의 위치를 나타내면 Ü의 그림의 ★의 위치로 두 가지이다.

Ⅱ. 미분 139
이 중 조건 ㈏, ㈐를 모두 만족시키는 x=1, x=-1의 위치는 f '(t)=6tÛ`-22t-8=2(3t+1)(t-4)
다음과 같다. yy TIP2 t>0에서 함수 f(t)는 t=4에서 극솟값 f(4)=-80을 갖고,
y=|f {x}| f(10)=820이므로 함수 y= f(t)(t>0)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f{t}
820

-1 1 2 x

y=f{x}

따라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O 4 10 t


점 (-1, 0)에서 x축에 접하고, 점 (2, 0)을 지나므로 -80
f(x)=-(x+1)Û`(x-2)
출발 후 10초 동안 두 점 P, Q가 만난 횟수는 0<tÉ10에서 함수
∴ f(0)=2
y= f(t)의 그래프와 직선 y=20n(n은 정수)의 교점의 개수와
TIP1 같다.
다음과 같이 a의 값을 잡을 때, 0<tÉ10에서 함수 y= f(t)의 그래프와 직선 y=20n의 교점은
y=|f {x}| 20n=-80, 즉 n=-4일 때 1개,
-80<20n<0, 즉 -4<n<0에서 n=-3, -2, -1일 때 2개,
0É20nÉ820, 즉 0ÉnÉ41에서 n=0, 1, y, 41일 때 1개이므로
a x 출발 후 10초 동안 두 점 P, Q가 만난 횟수는
2
1+2_3+1_42=49이다.
y=f{x}
TIP
방정식 | f(x)|= f(-1)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고, 점이 원 위를 움직이므로 한 바퀴씩 회전할 때마다 같은 위치에
-1<1이므로 -1<a이다. 놓인다. 즉, 두 점 P, Q가 움직인 거리의 차가 원의 둘레의
이때, -1<a이면 f(-1)> f(1)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배수일 때 같은 위치에 놓이므로 차가 8p_n(n은 정수)일 때 두
않는다. 점 P, Q가 만난다.

TIP2
다음과 같이 b1, c, b2를 잡을 때,
y=|f{x}|
551   풀이 참조

⑴ ‌시각 t(시)에서 카메라가 설치된 시작 지점을 통과한 후


b¡ c b™ 2 x 자동차가 움직인 거리 x (km)를 x= f(t)라 하면 속도는
y=f{x} v= f '(t)(km/시)이다.
시작 지점, 도착 지점에서의 시각을 각각 a, b(시)라 하고,
b1=1이면 f(-1)> f(1)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고, 시작 지점, 도착 지점까지 움직인 거리를 각각 f(a),
b2=1이면 방정식 | f(x)|= f(-1)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f(b)(km)라 하면 구간단속 구간이 6.6`km이므로 카메라가
갖고, -1<1이므로 -1<b1 또는 c=-1이다. 설치된 두 지점 사이의 거리는
이때, -1<b1이면 f(-1)> f(1)이므로 조건 ㈐를 만족시키지 f(b)- f(a)=6.6(km)이고,
않으므로 c=-1이다. 운전자가 이 거리를 4분만에 통과하였으므로
4 1
b-a= = (시)이다.
60 15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550  ③ f(b)- f(a)
= f '(c),
b-a
두 점 P, Q가 움직인 거리의 차가 8np (n은 정수)일 때
6.6
두 점 P, Q가 만난다. yy TIP 즉 f '(c)= =6.6_15=99를 만족시키는 c가 구간
;1Á5;
4 22 21
{ tÜ`+t}p-{ tÛ`+ t}p=8np에서
5 5 5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2tÜ`-11tÛ`-8t=20n 따라서 구간단속 구간 내에서 속도 99 (km/시)로 달린 적이
f(t)=2tÜ`-11tÛ`-8t라 하면 적어도 한 번 있으므로 구간단속에 걸렸다.

140 수학Ⅱ
⑵ ‌구간단속에 걸리지 않으려면
f(b)- f(a)
= f '(c)É90이어야 하므로
b-a
6.6 6.6
É90에서 b-a¾
b-a 90
6.6 6.6
(시)= _60(분)=4.4(분)
90 90
따라서 제한 속도를 위반하지 않고 구간단속 구간을 지나는 데
걸리는 최소 시간은 4.4분이다.

채점 요소 배점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f '(c)=99인 c가 구간 안에 존재함을
70 %
설명하기
f(b)- f(a)
É90임을 통해 제한 속도를 위반하지 않는 최소 시간
b-a 30 %
구하기

ⅠⅠ

Ⅱ. 미분 141
ⅠⅠⅠ 적분 557  ④

: {x+ f(x)}dx=2xÜ`+5x+C에서
부정적분
함수 x+ f(x)의 한 부정적분이 2xÜ`+5x이므로
x+ f(x)=(2xÜ`+5x)'=6xÛ`+5
f(x)=6xÛ`-x+5
552  ④
∴ f(-1)=12
① (xÜ`)'=3xÛ`이므로 xÜ`은 3xÛ`의 한 부정적분이다.
② (xÜ`-1)'=3xÛ`이므로 xÜ`-1은 3xÛ`의 한 부정적분이다.
2
3
2
③ {xÜ`+ }'=3xÛ`이므로 xÜ`+ 는 3xÛ`의 한 부정적분이다.
3
558  ④

④ (xÜ`+x)'=3xÛ`+1이므로 xÜ`+x는 3xÛ`+1의 한 부정적분이다. : (x-1) f(x)dx=xÝ`-4x+C에서


⑤ (xÜ`+5)'=3xÛ`이므로 xÜ`+5는 3xÛ`의 한 부정적분이다.
함수 (x-1) f(x)의 한 부정적분이 xÝ`-4x이므로
따라서 선지 중 3xÛ`의 부정적분이 아닌 것은 ④이다.
(x-1) f(x)‌=(xÝ`-4x)'
TIP =4xÜ`-4=4(xÜ`-1)
어떤 함수의 부정적분은 상수 차이만 나므로 ④가 답임을 쉽게 =4(x-1)(xÛ`+x+1)
찾을 수 있다. 이때, f(x)는 다항함수이므로
f(x)=4(xÛ`+x+1)
∴ f(2)=28

553  ②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 F(x)이므로 559   풀이 참조


F'(x)= f(x)=6xÛ`-2x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 F(x)이므로
∴ F'(1)= f(1)=4
F'(x)= f(x)이다.
F(x)=xÜ`+axÛ`+bx-3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554  ① f(x)=3xÛ`+2ax+b
f(0)=5이므로 b=5
yy ㉠

1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 xÜ`+ xÛ`-5x+4이므로
2
f '(x)=6x+2a
1
f(x)={xÜ`+ xÛ`-5x+4}'=3xÛ`+x-5 f '(0)=4이므로 2a=4   ∴ a=2
2
∴ f(0)=-5 따라서 F(x)=xÜ`+2xÛ`+5x-3이므로
F(1)=5

채점 요소 배점
555  ③
함수 F(x)를 미분하여 f(x) 구하기 30 %

: f(x)dx=xÛ`-2x+C에서
f(0)=5를 이용하여 b의 값 구하기 30 %
f '(0)=4를 이용하여 a의 값 구하기 30 %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 xÛ`-2x이므로 F(1)의 값 구하기 10 %
f(x)=(xÛ`-2x)'=2x-2

556  ⑤ 560   ⑴ 2x-1 ⑵ 2x+C

: (6xÛ`+px-4)dx=qxÜ`-3xÛ`+rx+C에서 : f(x) dx= f(x)이므로


d

dx

: (2x-1) dx=2x-1
함수 6xÛ`+px-4의 한 부정적분이 qxÜ`-3xÛ`+rx이므로 d
dx

⑵: [
6xÛ`+px-4‌=(qxÜ`-3xÛ`+rx)'
d
=3qxÛ`-6x+r f(x)] dx= f(x)+C (C는 적분상수)이므로
dx

: [
6=3q에서 q=2, p=-6, -4=r이다. d
(2x-1)] dx=2x+C (C는 적분상수)
∴ p+q+r=-8 dx

142 수학 Ⅱ
f(1+h)- f(1-2h)
561  5 ∴ lim
h`Ú0 h

: (axÛ`+3x-2) dx=axÛ`+3x-2이므로
d f(1+h)- f(1) f(1-2h)- f(1)
=lim +lim _2
dx h`Ú0 h h`Ú0 -2h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axÛ`+3x-2=4xÛ`+bx+c가 성립한다. = f '(1)+2 f '(1)
따라서 a=4, 3=b, -2=c이므로 =3 f '(1)=3_4=12
a+b+c=5

567  ①

: (4x101-x98+7) dx
562  ①
f '(x)‌=
d
dx
f(x)‌=: [
d
(2xÜ`-3x)] dx =4x101-x98+7
dx
f(x)- f(1) 1 f(x)- f(1)
=2xÜ`-3x+C (C는 적분상수) ∴ lim ‌=lim [ _ ]
x`Ú1 xÛ`-1 x`Ú1 x+1 x-1
f(0)=1이므로 C=1
1
따라서 f(x)=2xÜ`-3x+1이므로 = _ f '(1)
2
f(2)=11 1
= _10=5
2

563  ④
568 1 11

: f(x) dx+: [
  ⑴ 5x+C ⑵ 11 x +C ⑶ xÛ`+3x+C
d d
⑴ : 5 dx=5x+C (C는 적분상수)
g(x)‌= f(x)] dx
dx dx
= f(x)+{ f(x)+C} (C는 적분상수)
⑵ : x10 dx‌=
=2 f(x)+C 1
x10+1+C
10+1
=6xÛ`+C
1 11
g(1)=5이므로 6+C=5   ∴ C=-1 = x +C (C는 적분상수)
11

⑶ : (2x+3) dx‌=: 2x dx+: 3 dx


∴ g(x)=6xÛ`-1

564  ③ =2: x dx+3: dx

경미: ‌함수 F(x)의 도함수가 f(x)일 때, 즉 F'(x)= f(x)이면 1


=2{ xÛ`+CÁ}+3(x+Cª) (CÁ, Cª는 적분상수) 적
2 분
함수 F(x)는 f(x)의 부정적분이다. (참)
=xÛ`+3x+C (C는 적분상수)
나리: ‌함수 f(x)의 부정적분 중 하나를 F(x)라 하면

f(x)의 모든 부정적분은 : f(x) dx=F(x)+C로


569  ④

: (3xÛ`-2x+4) dx
나타내고, C는 적분상수라 한다. (참)

소현: : [
d
f(x)] dx= f(x)+C (C는 적분상수)이다. (거짓)
dx
따라서 옳은 내용을 말한 학생은 경미, 나리이다. =: 3xÛ` dx-: 2x dx+: 4 dx

=3: xÛ` dx-2: x dx+: 4 dx


565  ③
1 1
: (2x+1)Þ`(x+a) dx
=3{ xÜ`+CÁ}-2{ xÛ`+Cª}+(4x+C£)
d 3 2
f '(x)‌=
dx  (CÁ, Cª, C£은 적분상수)
=(2x+1)Þ`(x+a) =xÜ`-xÛ`+4x+C (C는 적분상수)
f '(-1)=4이므로 1-a=4
∴ a=-3
570  ⑤

566  ③ ① : dx=x+C (C는 적분상수) (참) yy TIP

: (xÛ`-2x+5)dx
d ② ‌자연수 n에 대하여

: xn dx=
f '(x)‌=
dx 1
xn+1+C (C는 적분상수)이다. (참)
=xÛ`-2x+5 n+1

Ⅲ. 적분 143
③ 상수 k에 대하여

: k f(x) dx=k: f(x) dx이다. (참)


=: (2xÛ`+2) dx

④ : { f(x)+g(x)} dx=: f(x) dx+: g(x) dx (참)


= xÜ`+2x+C (C는 적분상수)
3

⑤ 일반적으로 : f(x)g(x) dx=[ : f(x) dx][ : g(x) dx]는 574  ③

:
성립하지 않는다. xÜ` 1 xÜ` 1
dx-: dx‌=: { - } dx
(반례) f(x)=1, g(x)=2x라 하면 x-1 x-1 x-1 x-1

: f(x)g(x) dx=: 2x dx=xÛ`+C (C는 적분상수)


xÜ`-1
=: dx
x-1

[ : f(x) dx][ : g(x) dx]‌=(x+CÁ)(xÛ`+Cª)


(x-1)(xÛ`+x+1)
=: dx
x-1
 (CÁ, Cª는 적분상수) =: (xÛ`+x+1) dx
=xÜ`+CÁxÛ`+Cªx+CÁCª

∴ : f(x)g(x) dx+[ : f(x) dx][ : g(x) dx] (거짓)


1 1
= xÜ`+ xÛ`+x+C (C는 적분상수)
3 2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TIP 575   f(x)=xÛ`+3x-1

:` 1 dx는 간단히 생략하여 :` dx로 나타낸다. f(x)‌=: (2x+3) dx

=xÛ`+3x+C (C는 적분상수)


f(1)=3이므로 4+C=3   ∴ C=-1
571  ⑤ ∴ f(x)=xÛ`+3x-1

: xmxn dx‌=: xm+n dx


576  ⑤
1
= xm+n+1+C (C는 적분상수)
m+n+1 F(x)‌=: (3xÛ`-2x) dx

=xÜ`-xÛ`+C (C는 적분상수)


572  ②
F(2)=-1이므로 4+C=-1   ∴ C=-5

ㄱ. : 0 dx=C (C는 적분상수) (거짓)


따라서 F(x)=xÜ`-xÛ`-5이므로
F(0)=-5
ㄴ. :
‌ (x-1)(x+3) dx

=: (xÛ`+2x-3) dx
577  ③

1 f(x)‌=: (4xÜ`-ax) dx
= xÜ`+xÛ`-3x+C (C는 적분상수) (참)
3

ㄷ. :
1
=xÝ`- axÛ`+C (C는 적분상수)
‌ (x+1)(xÛ`-x+1) dx 2
f(0)=1이므로 C=1
=: (xÜ`+1) dx 1
즉, f(x)=xÝ`- axÛ`+1
2
1
= xÝ`+x+C (C는 적분상수) (거짓) 1
4 f(1)=5이므로 2- a=5   ∴ a=-6
2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따라서 f(x)=xÝ`+3xÛ`+1이므로
f(-2)=29
573  ③

: (x+1)Û` dx+: (x-1)Û` dx 578  ②

=: {(x+1)Û`+(x-1)Û`} dx f(x)‌=: (2x+1)Û` dx-: (2x-1)Û` dx

=: {(xÛ`+2x+1)+(xÛ`-2x+1)} dx =: {(2x+1)Û`-(2x-1)Û`} dx

144 수학 Ⅱ
=: {(4xÛ`+4x+1)-(4xÛ`-4x+1)} dx =: (-3xÛ`+ax+1) dx

a
=: 8x dx =-xÜ`+ xÛ`+x+C (C는 적분상수)
2
=4xÛ`+C (C는 적분상수) 이때, 다항식 f(x)가 이차식 xÛ`+x-2=(x-1)(x+2)로
방정식 f(x)=0, 즉 4xÛ`+C=0의 한 근이 2이므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1)=0, f(-2)=0이 성립한다.
16+C=0, C=-16, 즉 f(x)=4xÛ`-16 a
f(1)= +C=0, f(-2)=2a+6+C=0
4xÛ`-16=4(x+2)(x-2)=0에서 2
x=-2 또는 x=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C=2
따라서 구하는 다른 한 근은 -2이다. 따라서 f(x)=-xÜ`-2xÛ`+x+2이므로
f(-3)=8

579  ④
583  ①

f(x)‌=: f '(x) dx
f(x)=: (2x-5) dx에서

=: (6xÛ`+2x-5) dx f '(x)=2x-5이므로

Á f '(n)‌= Á (2n-5)
10 10
=2xÜ`+xÛ`-5x+C (C는 적분상수)

=2 Á n- Á 5
n=1 n=1
f(0)=-2이므로 C=-2 10 10

따라서 f(x)=2xÜ`+xÛ`-5x-2이므로 n=1 n=1

f(2)=8 10_11
=2_ -5_10=60
2

580  ⑤
584  ③

f(x)‌=: f '(x) dx ㄱ. {x+F(x)}'=1+ f(x)이므로

=: (4x-1) dx : {1+ f(x)} dx=x+F(x)+C (참)

ㄴ. {xÛ`F(x)}'=2xF(x)+xÛ` f(x)이므로

: {2xF(x)+xÛ` f(x)} dx=xÛ`F(x)+C (거짓)


=2xÛ`-x+C (C는 적분상수)
곡선 y= f(x)가 점 (1, 3)을 지나므로
f(1)=3에서 1+C=3   ∴ C=2 적
ㄷ. {xF(x)}'=F(x)+x f(x)이므로 분

: {x f(x)+F(x)} dx=xF(x)+C (참)


따라서 f(x)=2xÛ`-x+2이고
곡선 y= f(x)가 점 (-1, a)를 지나므로
a= f(-1)=5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581  ② 585  ③

곡선 y= f(x) 위의 점 (x, f(x))에서의 : g(x) dx=xÞ` f(x)+C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4x-3이므로 f '(x)=4x-3이다.
g(x)={xÞ` f(x)}'=5xÝ` f(x)+xÞ` f '(x)
f(x)‌=: f '(x) dx ∴ g(1)=5 f(1)+ f '(1)=5_2+(-3)=7

=: (4x-3) dx
586  ④

: { f(x)-g(x)} dx=x+CÁ에서
=2xÛ`-3x+C (C는 적분상수)
곡선 y= f(x)가 점 (2, -1)을 지나므로
f(2)=-1에서 2+C=-1   ∴ C=-3
f(x)-g(x)=(x)'=1 yy ㉠

: { f(x)+2g(x)} dx=xÜ`-2x+Cª에서
따라서 f(x)=2xÛ`-3x-3이므로
f(-1)=2
f(x)+2g(x)=(xÜ`-2x)'=3xÛ`-2 yy ㉡

582  ④ ㉠의 양변에 2를 곱한 식에 ㉡의 양변을 각각 더하면


3 f(x)=3xÛ`
f(x)‌=: f '(x)dx ∴ f(x)=xÛ`

Ⅲ. 적분 145
587 : g(x) dx
d
  풀이 참조 F'(x)‌=(3xÛ`-3)_: g(x) dx+(xÜ`-3x)_
dx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 F(x)=xÝ`-3xÛ`이므로 =(3xÛ`-3): g(x) dx+(xÜ`-3x)g(x)
G(x)‌=:` f(x)dx=F(x)+C 위의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xÝ`-3xÛ`+C (C는 적분상수) F'(-1)=0+2g(-1)에서 12=2g(-1)
이때, G(1)=2이므로 -2+C=2   ∴ C=4 ∴ g(-1)=6
∴ G(x)=xÝ`-3xÛ`+4

채점 요소 배점 591   풀이 참조
G(x)=F(x)+C임을 알아내기 40 %
f(x)‌=: [
d
(xÛ`-6x)] dx
G(1)=2를 이용하여 C의 값 구하기 30 % dx
함수 G(x) 구하기 30 % =xÛ`-6x+C (C는 적분상수)
=(x-3)Û`+C-9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최솟값 C-9를 가지므로
588  ② C-9=8   ∴ C=17
따라서 f(x)=xÛ`-6x+17이므로
두 함수 F(x), G(x)가 함수 f(x)의 부정적분이므로
f(1)=12
F(x)-G(x)=k (k는 상수)이다. yy TIP
채점 요소 배점
F(2)-G(2)=9-4=5이므로 k=5
따라서 F(x)-G(x)=5이므로 f(x)를 적분상수를 이용하여 나타내기 40 %

F(3)-G(3)=5 f(x)가 x=3에서 최솟값을 가짐을 이용하여 적분상수의 값 구하기 40 %


f(1)의 값 구하기 20 %
TIP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 F(x)이고, 또 다른 한 부정적분이
G(x)이면 592  ④

G(x)=:` f(x)dx=F(x)+C (C는 적분상수) {(2x-1)Ý`}'=8(2x-1)Ü`이므로 yy TIP


이므로 G(x)-F(x)=C이다. : 8(2x-1)Ü` dx=(2x-1)Ý`+CÁ (CÁ은 적분상수)이다.

∴ : (2x-1)Ü` dx‌= : 8(2x-1)Ü` dx


1
8

589  ② 1
= {(2x-1)Ý`+CÁ} (CÁ은 적분상수)
8

ㄱ. ‌일반적으로 : f(x) dx는 x에 대한 식이고,


1
= (2x-1)Ý`+C (C는 적분상수)
8

: f(y)dy는 y에 대한 식이므로 다른 풀이

: f(x) dx+: f(y)dy이다. (거짓) : (2x-1)Ü` dx‌=: (8xÜ`-12xÛ`+6x-1) dx

ㄴ. : f(x) dx=: g(x)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Ý`-4xÜ`+3xÛ`-x+CÁ (CÁ은 적분상수)
1 1

: f(x) dx= : g(x) dx에서 f(x)=g(x)이다. (참)


= (16xÝ`-32xÜ`+24xÛ`-8x+1)- +CÁ
d d 8 8
dx dx 1

ㄷ. : [
= (2x-1)Ý`+C (C는 적분상수)
d 8
f(x)] dx= f(x)+C (C는 적분상수),
dx

: f(x) dx= f(x)이므로


TIP
d
dx 자연수 n에 대하여

:[ : f(x) dx (거짓)
d d f(x)=(ax+b)n=(ax+b)(ax+b)y(ax+b)
f(x)] dx+
dx dx 에서 곱의 미분법에 의하여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f '(x)‌=(ax+b)'(ax+b)y(ax+b)
+(ax+b)(ax+b)'y(ax+b)

590  ④
+y+(ax+b)(ax+b)y(ax+b)'
=an(ax+b)n-1

F(x)=(xÜ`-3x): g(x) 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이 성립한다.

146 수학 Ⅱ
참고

자연수 n과 상수 a`(a+0), b에 대하여


596  ④

: (ax+b)n dx= _
1 1 f(x)‌=: (xÛ`+1)(xÝ`-xÛ`+1) dx
(ax+b)n+1+C (C는 적분상수)
a n+1
yy(*) =: (xß`+1) dx
가 성립한다. 이를 이용하면 문제에서

: (2x-1)Ü` dx‌= _
1
1 1 = xà`+x+C (C는 적분상수)
_(2x-1)3+1+C 7
2 3+1
6 6
1 이때, f(0)= 이므로 C=
= (2x-1)Ý`+C (C는 적분상수) 7 7
8
1 6
임을 빠르게 알아낼 수 있다. ∴ f(x)= xà`+x+ , f '(x)=xß`+1
7 7
하지만 (*)은 ‘<미적분> Ⅲ. 적분법’에서 학습하는 내용이므로 x f(x)- f(1)
∴ lim ‌
참고로 알아두자. x`Ú1 xÛ`-1
x f(x)-x f(1)+x f(1)- f(1)
=lim
x`Ú1 (x-1)(x+1)

=lim [ ]
x{ f(x)- f(1)} (x-1) f(1)
+
593  ③ (x-1)(x+1)
x`Ú1 (x-1)(x+1)

: {2 f(x)+g(x)} dx‌=: 2 f(x) dx+: g(x) dx


f(1)
=lim [ ]
x
f '(x)+
x`Ú1 x+1 x+1
f '(1) f(1) 2 2
= + = + =2
=2: f(x) dx+: g(x) dx 2 2 2 2
다른 풀이
=2(2x+CÁ)+(xÛ`-x+Cª)
 (CÁ, Cª는 적분상수) f(x)‌=: (xÛ`+1)(xÝ`-xÛ`+1) dx
=xÛ`+3x+C (C는 적분상수)
=: (xß`+1) dx

1
= xà`+x+C (C는 적분상수)
594  ④ 7
6 6
이때, f(0)= 이므로 C=
3 7 7
f(x)=: (3x-4) dx= xÛ`-4x+C (C는 적분상수)
2 1 6
∴ f(x)= xà`+x+ , f '(x)=xß`+1 적
3 7 7 분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4x+C¾0이어야 하므로
2 한편, g(x)=x f(x)라 하면 g(1)= f(1)이므로
3
이차방정식 xÛ`-4x+C=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 f(x)- f(1) g(x)-g(1) 1 1
2 lim ‌= lim [ _ ]= g'(1)
x`Ú1 xÛ`-1 x`Ú1 x-1 x+1 2
D 3
=4- CÉ0 또한 g'(x)= f(x)+x f '(x)이므로
4 2
8 1 1 1
∴ C¾ g'(1)= { f(1)+ f '(1)}= (2+2)=2
3 2 2 2
8
따라서 f(0)=C의 최솟값은 이다.
3
597   풀이 참조

d
{ f(x)+g(x)}=3에서
595 dx

: [
 ①
d
{ f(x)+g(x)}]`dx=: 3`dx
dx
f(x)‌=: (3xÛ`-4x+a) dx
f(x)+g(x)=3x+CÁ (CÁ은 적분상수)
=xÜ`-2xÛ`+ax+C (C는 적분상수) 위의 등식에 x=0을 대입하면
f(2+h)- f(2) f(0)+g(0)=CÁ, (-2)+(-1)=CÁ   ∴ CÁ=-3
한편, lim = f '(2)=3이므로
h`Ú0 h
∴ f(x)+g(x)=3x-3 yy ㉠
f '(x)=3xÛ`-4x+a에 x=2를 대입하면
d
f '(2)=4+a=3   ∴ a=-1 { f(x)g(x)}=4x-5에서
dx

: [
이때, f(0)=5이므로 C=5 d
{ f(x)g(x)}]`dx=: (4x-5)`dx
따라서 f(x)=xÜ`-2xÛ`-x+5이므로 dx
f(-1)=3 f(x)g(x)=2xÛ`-5x+Cª (Cª는 적분상수)

Ⅲ. 적분 147
위의 등식에 x=0을 대입하면
g(x)=: {xÛ`+ f(x)}dx=: 4x`dx=2xÛ`+Cª
f(0)g(0)=Cª, (-2)_(-1)=Cª   ∴Cª=2
∴ f(x)g(x)=2xÛ`-5x+2=(x-2)(2x-1)  yy ㉡  (Cª는 적분상수)
㉠, ㉡에서 f(x)=x-2, g(x)=2x-1 또는 에서 Cª=0이면 g(x)=2xÛ`을 만족시킨다.
f(x)=2x-1, g(x)=x-2이다. Ú, Û에 의하여 g(x)=2xÛ`이므로 g(1)=2이다.
이때, f(0)=-2, g(0)=-1이므로
f(x)=x-2, g(x)=2x-1이다.
600  ⑤

: (x-2) f '(x) dx=xÜ`- xÛ`-10x+C에서


채점 요소 배점
함수 f(x)+g(x) 구하기 30 % 1
2
함수 f(x)g(x) 구하기 30 %
1
두 함수 f(x), g(x) 구하기 40 % (x-2) f '(x)={xÜ`- xÛ`-10x+C}'
2
=3xÛ`-x-10
=(x-2)(3x+5)
598  ③ f '(x)=3x+5이므로
3
d f(x)=: f '(x)`dx= xÛ`+5x+CÁ (CÁ은 적분상수)
{ f(x)+g(x)}=4x에서 2
dx

:[
이때, f(0)=-1이므로 CÁ=-1
d
{ f(x)+g(x)}]`dx=: 4x`dx 3
dx 따라서 f(x)= xÛ`+5x-1이므로
2
f(x)+g(x)=2xÛ`+CÁ (CÁ은 적분상수)
f(2)=15
위의 등식에 x=0을 대입하면
f(0)+g(0)=CÁ, 2+1=CÁ   ∴ CÁ=3
∴ f(x)+g(x)=2xÛ`+3 yy ㉠
d
{ f(x)g(x)}=6xÛ`+6x-1에서
601  ④
dx

:[
f(x)가 계수가 모두 유리수인 삼차함수이므로 f '(x)는 계수가 모두
d
{ f(x)g(x)}]`dx=: (6xÛ`+6x-1)`dx 유리수인 이차함수이다.
dx
f(x)g(x)=2xÜ`+3xÛ`-x+Cª (Cª는 적분상수) 따라서 이차방정식 f '(x)=0의 한 근이 2-'3이면 나머지 한 근은
위의 등식에 x=0을 대입하면 2+'3이다.
f(0)g(0)=Cª, 2_1=Cª   ∴ Cª=2 (2-'3 )+(2+'3 )=4, (2-'3)(2+'3)=1이므로
∴ f(x)g(x)=2xÜ`+3xÛ`-x+2=(x+2)(2xÛ`-x+1)  yy ㉡ f '(x)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a라 하면
㉠, ㉡에서 f(x)=x+2, g(x)=2xÛ`-x+1 또는 f '(x)=a(xÛ`-4x+1)
f(x)=2xÛ`-x+1, g(x)=x+2이다. 1
∴ f(x)=: f '(x) dx=a{ xÜ`-2xÛ`+x}+C (C는 적분상수)
3
이때, f(0)=2, g(0)=1이므로
따라서 삼차방정식 f(x)=0의 모든 근의 합은
f(x)=x+2, g(x)=2xÛ`-x+1이다.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f(-1)+g(2)=1+7=8
-2a
- =6이다.
a
3
599  ②

함수 g(x)는 다항함수 xÛ`+ f(x)의 부정적분이므로 다항함수이다.


이때, f(x)g(x)=-2xÝ`+8xÜ`은 사차함수이고
602  ④

f(x)가 이차함수이므로 g(x)는 이차함수이다. F'(x)= f(x)이므로


따라서 도함수 g'(x)는 일차함수이므로 F(x)=x f(x)-2xÜ`+xÛ`-3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x)=xÛ`+ f(x)에서 f(x)의 이차항의 계수는 -1이다. f(x)= f(x)+x f '(x)-6xÛ`+2x
따라서 f(x)g(x)=-2xÝ`+8xÜ`=-2xÜ`(x-4)에서 x f '(x)=6xÛ`-2x
f(x), g(x)는 다음과 같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f '(x)=6x-2
Ú f(x)=-xÛ`, g(x)=2x(x-4)인 경우
∴ f(x)=: f '(x)dx=3xÛ`-2x+C (C는 적분상수)
g(x)=: {xÛ`+ f(x)}dx=: 0 dx=CÁ (CÁ은 적분상수)
이때, f(1)=5이므로 1+C=5   ∴ C=4
이므로 g(x)=2x(x-4)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f(x)=3xÛ`-2x+4이므로
Û f(x)=-x(x-4), g(x)=2xÛ`인 경우 f(-1)=9

148 수학 Ⅱ
603  ③ TIP
함수 h(x)= f(x)-g(x)라 하면
조건 ㈎에서 f '(x)=3x+a yy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 f '(x)-g '(x)=0이므로
f(x)
조건 ㈏의 lim =2a+4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h(x)는 상수함수이다.
x`Ú1 x-1
즉, f(x)-g(x)=k (k는 상수)
x`Ú 1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f(1)-g(1)=13-3=10이므로 k=10
이때, f(x)는 다항함수이므로
따라서 g(x)= f(x)-k=2xÛ`+3x-2이므로
lim f(x)= f(1)=0 yy ㉡ yy TIP
x`Ú1
g(4)=42임을 알아낼 수도 있다.
f(x) f(x)- f(1)
∴ lim = lim
x`Ú1 x-1 x`Ú1 x-1
= f '(1)=2a+4
㉠에 x=1을 대입하면 f '(1)=3+a이므로
2a+4=3+a에서 a=-1
605  ②

f '(x)=3x-1이므로 Dy=9xÛ`Dx-4x(Dx)Û`의 양변을 Dx로 나누면


Dy
3 =9xÛ`-4xDx이므로
f(x)=: f '(x) dx= xÛ`-x+C (C는 적분상수) Dx
2
Dy
1 1 lim ‌= lim (9xÛ`-4xDx)
f(1)= +C=0 (∵ ㉡)   ∴ C=- Dx`Ú0 Dx Dx`Ú0
2 2
3 1 =9xÛ`
따라서 f(x)= xÛ`-x- 이므로
2 2 즉, f '(x)=9xÛ`이므로
f(5)=32
f(x)=: f '(x)dx=3xÜ`+C (C는 적분상수)
TIP 이때, f(0)=1이므로 C=1
다항함수 f(x)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실수 k에 대하여 따라서 f(x)=3xÜ`+1이므로
lim f(x)= f(k)가 성립한다. f(-2)=-23
x`Úk

606  ③

f(x+y)= f(x)+ f(y)+xy-2에 x=0, y=0을 대입하면


f(0)= f(0)+ f(0)-2   ∴ f(0)=2  yy ㉠
604  ③
∴ f '(x)‌=lim
f(x+h)- f(x)


h`Ú0 h
f(x)
조건 ㈎에서 다항함수 f(x)가 lim =2를 만족시키므로 { f(x)+ f(h)+xh-2}- f(x)
xÛ`+1 x`Ú¦ =lim
h`Ú0 h
f(x)는 이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함수이다.
f(h)-2
f(x)=2xÛ`+ax+b (a, b는 상수)라 하자.  yy ㉠ =lim [ +x]
h`Ú0 h
f(x)-8 f(h)- f(0)
lim
x
=3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lim [ +x] (∵ ㉠)
x`Ú0 h`Ú0 h
x`Ú 0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 f '(0)+x=1+x
이때, f(x)는 다항함수이므로 lim { f(x)-8}= f(0)-8=0 1
x`Ú0 f(x)=: f '(x) dx= xÛ`+x+C (C는 적분상수)
2
∴ f(0)=8
f(x)-8 f(x)- f(0) ㉠에서 f(0)=C=2
∴ lim = lim 1
x`Ú0 x x`Ú0 x 따라서 f(x)= xÛ`+x+2이므로
2
= f '(0)=3
7
㉠에서 f(0)=b=8, f '(0)=a=3 f(1)=
2
∴ f(x)=2xÛ`+3x+8
조건 ㈏에서 f '(x)=g'(x)이므로 yy TIP

g(x)‌=: g '(x) dx=: f '(x) dx 607   풀이 참조


=2xÛ`+3x+C (C는 적분상수) 2x (x>1)
이때, g(1)=3이므로 5+C=3   ∴ C=-2 f '(x)=[ 에서
xÜ`+1 (xÉ1)
따라서 g(x)=2xÛ`+3x-2이므로
f(x)‌=: f '(x) dx
g(4)=42

Ⅲ. 적분 149
( xÛ`+CÁ (x>1) 3 (x>2)
={ 1
즉, f '(x)=[ 에서
(CÁ, Cª는 적분상수) x+1 (x<2)
9 4 xÝ`+x+Cª (xÉ1)
f(x)‌=: f '(x) dx
3 3
이때, f(0)= 이므로 Cª=  yy ㉠
4 4
( 3x+CÁ (x>2)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미분가능하므로
={
5 (x=2)
(CÁ, Cª는 적분상수)
x=1에서 연속이다. 1
즉, lim f(x)= f(1)이므로 9 2 xÛ`+x+Cª (x<2)
x`Ú1+

5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lim (xÛ`+CÁ)= f(1), 1+CÁ= +Cª   ∴ CÁ=1 (∵ ㉠)
x`Ú1+ 4 lim f(x)= f(2)에서 6+CÁ=5   ∴ CÁ=-1
(
x`Ú2+
xÛ`+1 (x>1) lim f(x)= f(2)에서 4+Cª=5   ∴ Cª=1
따라서 f(x)={ 1 3 이므로 x`Ú2-

94
xÝ`+x+
4
(xÉ1) ( 3x-1 (x¾2)
f(2)=5 따라서 f(x)={ 1 이므로
9 2 xÛ`+x+1 (x<2)
채점 요소 배점 f(-2)+ f(3)=1+8=9
f(x)=: f '(x)dx 구하기 20 %

f(0)=;4#; 을 이용하여 xÉ1에서 적분상수 구하기 30 %


610  ①
lim f(x)= f(1)임을 이용하여 x>1에서 적분상수 구하기
x`Ú1+
40 %
f '(x)=ax(x-2)=axÛ`-2ax (a<0인 상수)이므로
f(2)의 값 구하기 10 %
a
f(x)=: f '(x)dx= xÜ`-axÛ`+C (C는 적분상수) yy ㉠
3
y= f '(x)의 그래프에서 x=0 또는 x=2일 때 f '(x)=0이므로

608  ③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0 y 2 y
2 (x¾0)
f '(x)=[ 에서 f '(x) - 0 + 0 -
x+2 (x<0)
f(x) ↘ 극소 ↗ 극대 ↘
f(x)‌=: f '(x) dx
따라서 함수 f(x)는 x=0일 때 극솟값 -3을 갖고
( 2x+CÁ (x¾0) x=2일 때 극댓값 5를 가지므로 f(0)=-3, f(2)=5이다.
={ 1 (CÁ, Cª는 적분상수) 4
9 2 xÛ`+2x+Cª (x<0) ㉠에서 f(0)=C=-3, f(2)=- a+C=5
3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미분가능하므로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6, C=-3
x=0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f(x)=-2xÜ`+6xÛ`-3이므로
즉, lim f(x)= f(0)이므로 f(1)=1
x`Ú0-

1
lim { xÛ`+2x+Cª}= f(0)   ∴ Cª=CÁ yy ㉠
x`Ú0-2
f(-4)+ f(3)=12에서 611  ⑤
Cª+(6+CÁ)=12   ∴ CÁ+Cª=6 yy ㉡
f(x)가 사차함수이므로 f '(x)는 삼차함수이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 ㉡을 연립하여 풀면 CÁ=Cª=3
삼차함수 y= f '(x)의 그래프가 x축과 접하고, x=3일 때 만나므로
( 2x+3 (x¾0)
따라서 f(x)={ 1 이므로 f '(x)=axÛ`(x-3) (a>0인 상수)이다.
9 2 xÛ`+2x+3 (x<0) 이때, f '(2)=-2이므로 -4a=-2   ∴ a=
1
2
f(0)=3
1 3
f '(x)= xÜ`- xÛ`이므로
2 2
1 1
yy ㉠
609  ⑤ f(x)=: f '(x) dx= xÝ`- xÜ`+C (C는 적분상수)
8 2
x=0 또는 x=3일 때 f '(x)=0이므로
k (x>2)
f '(x)=[ 이고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1 (x<2)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미분가능하므로 x y 0 y 3 y

x=2에서도 미분가능하다. f '(x) - 0 - 0 +


∴ f '(2)=k=3 f(x) ↘ ↘ 극소 ↗

150 수학 Ⅱ
3 ∴ f '(x)=xÛ`-2x-3=(x+1)(x-3)
따라서 함수 f(x)는 x=3일 때 극솟값 - 을 가지므로
8 f '(x)=0에서 x=-1 또는 x=3
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 그래프를 그리면
f(3)=- 이다.
8
다음과 같다.
27 3
㉠에서 - +C=-    ∴ C=3
8 8 x y -1 y 3 y
1 1 f '(x) + 0 - 0 +
따라서 f(x)= xÝ`- xÜ`+3이므로
8 2
32
f(0)=3 f(x) ↗ ↘ 0 ↗
3
y 1
f{x}= x#-x@-3x+9
3
612  ④
32
3
9
f '(x)=3x(x-2)=3xÛ`-6x에서

f(x)=: f '(x) dx=xÜ`-3xÛ`+C (C는 적분상수)  yy ㉠

f '(x)=0에서 x=0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O 3 x

x y 0 y 2 y 따라서 구하는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f '(x) + 0 - 0 +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2이다.
f(x) ↗ 극대 ↘ 극소 ↗ 채점 요소 배점
따라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f '(x)=xÛ`-2x-3임을 알아내기 20 %
Ú x=0에서 x축에 접하는 경우 점 (0, 9)를 지남을 이용하여 f(x) 구하기 40 %
y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를 이용하여 방정식
y=f{x} 40 %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구하기
O
x

614   풀이 참조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5x+2와 제1사분면에서 접할


때의 x좌표를 a (a>0인 상수)라 하고 g(x)=5x+2라 하면
f(0)=0이어야 하므로 ㉠에 대입하면 C=0 적
f '(a)=g '(a) yy ㉠ 분
f(x)=xÜ`-3xÛ`이므로 f(1)=-2
f(a)=g(a) yy ㉡
Û x=2에서 x축에 접하는 경우
y
이어야 한다.
y=f{x} f '(a)=g '(a)에서
6aÛ`-4a+3=5, 6aÛ`-4a-2=0, 2(3a+1)(a-1)=0
1
a=- 또는 a=1에서 a>0이므로 a=1이다.
3
O 2 x 따라서 ㉡에서 f(1)=g(1)=7이어야 한다.
f '(x)=6xÛ`-4x+3에서

f(2)=0이어야 하므로 ㉠에 대입하면 -4+C=0   ∴ C=4 f(x)=: f '(x) dx=2xÜ`-2xÛ`+3x+C (C는 적분상수)
f(x)=xÜ`-3xÛ`+4이므로 f(1)=2
f(1)=3+C=7이므로 C=4
Ú, Û에서 가능한 모든 f(1)의 값의 곱은
∴ f(x)=2xÜ`-2xÛ`+3x+4
(-2)_2=-4
채점 요소 배점
미분계수의 기하적 의미를 이용하여 방정식 f '(x)=5임을 알고,

613   풀이 참조 접점의 x좌표 구하기


40 %

f '(x)의 부정적분을 구하고, 접점의 y좌표를 이용하여 적분상수


f '(x)=xÛ`-2x-3이므로 40 %
구하기
1
f(x)=: f '(x) dx= xÜ`-xÛ`-3x+C (C는 적분상수) f(x) 구하기 20 %
3
이때, 곡선 y= f(x)가 점 (0, 9)를 지나므로 f(0)=9
다른 풀이
1
따라서 C=9이므로 f(x)= xÜ`-xÛ`-3x+9 f '(x)=6xÛ`-4x+3에서
3

Ⅲ. 적분 151
f(x)=: f '(x)dx=2xÜ`-2xÛ`+3x+C (C는 적분상수) 617  ③

F(x)‌=: [ : f(x) dx]] dx


함수 y= f(x)가 제1 사분면에서 직선 y=5x+2에 접할 때의
[
d d
접점의 좌표를 (t, 2tÜ`-2tÛ`+3t+C)`(t>0)라 하면 dx dx

=: [
접선의 방정식은 y-(2tÜ`-2tÛ`+3t+C)=(6tÛ`-4t+3)(x-t), 즉 d
f(x)] dx
dx
y=(6tÛ`-4t+3)x-4tÜ`+2tÛ`+C이다.
이 직선이 직선 y=5x+2와 같으므로 =: f '(x) dx
6tÛ`-4t+3=5 yy ㉠
= f(x)+C (C는 적분상수)
-4tÜ`+2tÛ`+C=2 yy ㉡
이때, F(0)=1이므로
㉠에서 3tÛ`-2t-1=(3t+1)(t-1)=0   ∴ t=1`(∵ t>0)
F(0)= f(0)+C=1+C=1   ∴ C=0
㉡에서 -2+C=2   ∴ C=4
따라서 F(x)‌= f(x)=x10+x9+x8+y+x+1이므로
∴ f(x)=2xÜ`-2xÛ`+3x+4
F(2)‌=210+29+28+y+2+1
채점 요소 배점 1(211-1)
= =2047 yy TIP
2-1
f(x)=:` f '(x)dx 구하기 30 %

접점의 x좌표를 미지수로 놓고 접선의 방정식을 세워서 TIP


50 %
미지수와 적분상수 구하기 <등비수열의 합>
f(x) 구하기 20 %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n은
a(1-rn) a(rn-1)
❶ r+1일 때, Sn= =
1-r r-1
615  ④
❷ r=1일 때, Sn=na
곡선 y= 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aÛ`-4a이므로
f '(a)=aÛ`-4a   ∴ f '(x)=xÛ`-4x
1
f(x)=: f '(x)dx= xÜ`-2xÛ`+C (C는 적분상수) 618  ②
3
이때, 곡선 y= f(x)가 원점을 지나므로 f(0)=0이다. f(x)‌=: (1+2x+3xÛ`+y+nxn-1) dx
1
따라서 C=0이므로 f(x)= xÜ`-2xÛ`이다. =x+xÛ`+xÜ`+y+xn+C (C는 적분상수)
3
이때, f(0)=1이므로 C=1
1
곡선 y= f(x) 위의 점 {a, aÜ`-2aÛ`}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f(x)=1+x+xÛ`+xÜ`+y+xn이므로
3
1 f(2)‌=1+2+2Û`+2Ü`+y+2n
y-{ aÜ`-2aÛ`}=(aÛ`-4a)(x-a), 즉
3 1(2n+1-1)
= =2n+1-1
2 2-1
y=(aÛ`-4a)x- aÜ`+2aÛ`
3
2
따라서 g(a)=- aÜ`+2aÛ`이다.
3
∴ f(3)+g(-3)=(-9)+36=27 619  ⑤

xÛ` xÜ` x10


f(x)‌=: {x+ + +y+ } dx
2 3 10
616  2
=
xÛ`
+
xÜ`
+
xÝ`
+y+
x11
+C`(C는 적분상수)

{ : xÞ` dx}]=logx`xÞ`=5이고
1_2 2_3 3_4 10_11
d 1 1 1 1
logx`[ f(1)‌= + + +y+ +C
dx 1_2 2_3 3_4 10_11
로그의 밑과 진수 조건에 의하여 1 1 1 1 1 1 1 1
={ - }+{ - }+{ - }+y+{ - }+C
x>0, x+1  yy ㉠ 1 2 2 3 3 4 10 11

{ : xÞ` dx}]=xÜ`-xÛ`-4x+9에서
d 1 10
방정식 logx`[ =1- +C= +C
dx 11 11
5=xÜ`-xÛ`-4x+9 10 12
이때, f(1)=2이므로 +C=2   ∴ C=
xÜ`-xÛ`-4x+4=0 11 11
(x-1)(x-2)(x+2)=0 xÛ` xÜ` xÝ` x11 12
따라서 f(x)= + + +y+ + 이므로
1_2 2_3 3_4 10_11 11
∴ x=1 또는 x=2 또는 x=-2
12
따라서 ㉠에 의하여 구하는 방정식의 근은 x=2이다. f(0)=
11

152 수학 Ⅱ
620  ① ㉢의 좌변의 최고차항은 (n+1)차이고 우변의 최고차항은 3차이므로
n=2이다.
조건 ㈎에서 f(0)=-2이고, 따라서 g(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인 이차함수이다.
조건 ㈏에서 곡선 y= f(x)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g(x)=4xÛ`+ax+b`(a, b는 상수)라 하면
f(x)=axÛ`-2 (a+0)라 하면 f '(x)=2ax이다. g'(x)=8x+a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조건 ㈐에서 f( f '(x))= f(2ax)=4aÜ`xÛ`-2, x(4xÛ`+ax+b)-(8x+a)=4xÜ`+2x
f '( f(x))= f '(axÛ`-2)=2aÛ`xÛ`-4a이므로 4xÜ`+axÛ`+(b-8)x-a=4xÜ`+2x
x에 대한 항등식 4aÜ`xÛ`-2=2aÛ`xÛ`-4a에서 따라서 a=0, b=10이므로 g(x)=4xÛ`+10이다.
2aÛ`(2a-1)xÛ`+2(2a-1)=0 ∴ g(1)=14
1
(2a-1)(2axÛ`+2)=0   ∴ a=
2
1
∴ f(x)= xÛ`-2
2
623   풀이 참조
한편, F(x)=: f(x)dx에서 F'(x)= f(x)이므로
3F(x)=x{ f(x)+4x}=x f(x)+4xÛ`
f(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에서 함수 F(x)가 감소한다. 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1 3 f(x)= f(x)+x f '(x)+8x
xÛ`-2<0에서 (x-2)(x+2)<0
2 2 2 f(x)=x f '(x)+8x  yy ㉠
∴ -2<x<2 Ú f(x)가 상수함수인 경우
따라서 함수 F(x)가 감소하는 구간 (a, b)에 대하여 f(x)=c (c는 상수)라 하면
b-a의 최댓값은 2-(-2)=4이다. ㉠에서 2c=8x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Û f(x)가 n차함수`(n은 자연수)인 경우
(ii - ①) n=1일
‌ 때,

621  ⑤ ㉠에서 좌변의 최고차항은 2x,


우변의 최고차항은 9x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조건 ㈏에서 f(x)-g(x)=xÛ`-3x+CÁ (CÁ은 적분상수) (ii - ②) n>1일
‌ 때,
이때, 조건 ㈎에 의하여 f(0)-g(0)=CÁ=0이므로 ㉠에서 좌변의 최고차항은 2xn,
f(x)-g(x)=xÛ`-3x  yy ㉠ 우변의 최고차항은 nxn이므로 n=2이다.
조건 ㈐에서 { f(x)g(x)}'= f '(x)g(x)+ f(x)g '(x)이므로 f(x)=xÛ`+ax+b`(a, b는 상수)라 하고
: { f(x)g(x)}' dx=: (9xÛ`-6x-9) dx ㉠에 대입하면 2(xÛ`+ax+b)=x(2x+a)+8x 적

2xÛ`+2ax+2b=2xÛ`+(a+8)x
f(x)g(x)=3xÜ`-3xÛ`-9x+Cª (Cª는 적분상수)
2a=a+8, 2b=0에서 a=8, b=0이다.
이때, 조건 ㈎에 의하여 f(0)g(0)=Cª=9이므로
∴ f(x)=xÛ`+8x
f(x)g(x)=3xÜ`-3xÛ`-9x+9=3(x-1)(xÛ`-3)
Ú, Û에서 f(x)=xÛ`+8x이므로
f(0)=g(0)=-3이므로
3F(x)‌=x f(x)+4xÛ`
f(x)=xÛ`-3, g(x)=3x-3 또는 f(x)=3x-3, g(x)=xÛ`-3
=x(xÛ`+8x)+4xÛ`=xÜ`+12xÛ`
이 중 ㉠을 만족시키는 것은 f(x)=xÛ`-3, g(x)=3x-3이므로
1
f(3)+g(2)=6+3=9 ∴ F(x)= xÜ`+4xÛ`
3

채점 요소 배점
2 f(x)=x f '(x)+8x임을 알아내기 20 %

622  ⑤ f(x) 구하기 50 %


F(x) 구하기 30 %
f(x)=: xg(x)dx에서

f '(x)=xg(x)  yy ㉠
d
dx
{ f(x)-g(x)}=4xÜ`+2x에서
624   18
f '(x)-g '(x)=4xÜ`+2x  yy ㉡
( xÛ`+2x-4 (xÉ-2)
f '(x)={ -xÛ`+2x+4 (-2<x<2) 이므로
㉠을 ㉡에 대입하면
xg(x)-g '(x)=4xÜ`+2x  yy ㉢
9 xÛ`+2x-4 (x¾2)
g(x)가 상수함수이면 ㉢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g(x)를 n차함수`(n은 자연수)로 놓을 수 있다. f(x)‌‌=: f '(x)dx

Ⅲ. 적분 153
( 1 xÜ`+xÛ`-4x+CÁ (xÉ-2) TIP
3
|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f(x)에 대하여 도함수
={ - xÜ`+xÛ`+4x+Cª
1
(-2<x<2) y= f '(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면 함수 y= f(x)의
3
|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1
9 3 xÜ`+xÛ`-4x+C£ (x¾2)
따라서 주어진 문제의 도함수 y= f '(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CÁ, Cª, C£은 적분상수) 대칭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f(0)=0이다. ㄴ이 성립함을 알 수 었다.
∴ f(0)=Cª=0  yy ㉠ 한편, 도함수 y= f '(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인 경우에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는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일 수도 있고
x=-2, x=2에서 연속이다. 아닐 수도 있다.
lim f(x)= f(-2)에서 예를 들어, f '(x)=3xÛ`, f(0)=0인 경우에는 f(x)=xÜ`으로
x`Ú-2+

4 28 32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지만,


- +Cª= +CÁ   ∴ CÁ=- (∵ ㉠)
3 3 3 f '(x)=3xÛ`, f(0)=1인 경우에는 f(x)=xÜ`+1이므로
lim f(x)= f(2)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다.
x`Ú2-

28 4 32
+Cª=- +C£   ∴ C£= (∵ ㉠)
3 3 3 참고
( 1 xÜ`+xÛ`-4x- 32 (xÉ-2)
3 3 주어진 문제에서 x=-1, x=1일 때, 함수 f(x)는 미분가능하
|
지 않다.
∴ f(x)={ - xÜ`+xÛ`+4x
1
(-2<x<2)
3
|
1 32
9 3 xÜ`+xÛ`-4x+ 3 (x¾2)

4 50
626  ④
∴ f(-3)+ f(3)= + =18
3 3 f(x+y)= f(x)+ f(y)-3xy(x+y)+1에
x=0, y=0을 대입하면

625  ⑤ f(0)= f(0)+ f(0)+1   ∴ f(0)=-1 


f(x+h)- f(x)
yy ㉠

f '(x)‌=lim
h`Ú0 h
f(x)‌=: f '(x) dx
{ f(x)+ f(h)-3xh(x+h)+1}- f(x)
=lim
( x+CÁ (xÉ-1) h`Ú0 h
={ xÛ`+Cª (-1<x<1) (CÁ, Cª, C£은 적분상수) =lim [
f(h)+1
-3x(x+h)]
9 -x+C£ (x¾1)
h`Ú0 h
f(h)- f(0)
이때,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므로 =lim [ -3x(x+h)] (∵ ㉠)
h`Ú0 h
x=-1, x=1에서 연속이다. = f '(0)-3xÛ` yy ㉡
따라서 -1+CÁ=1+Cª에서 CÁ=Cª+2
f(x)=: f '(x)dx=-xÜ`+ f '(0)x+C (C는 적분상수)
1+Cª=-1+C£에서 C£=Cª+2
즉, CÁ=C£, Cª=CÁ-2이므로 ㉠에 의하여 f(0)=C=-1
( x+CÁ (xÉ-1) ∴ f(x)=-xÜ`+ f '(0)x-1  yy ㉢
f(x)={ xÛ`+CÁ-2 (-1<x<1) yy ㉠ ㄱ. ㉢에 x=-1을 대입하면 f(-1)=- f '(0) (참)
9 -x+CÁ (x¾1) ㄴ. f '(1)=-3이면 ㉡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f '(1)= f '(0)-3=-3, 즉 f '(0)=0이므로
C¡-1 f '(x)=-3xÛ`이다.
C¡-2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므로 함수 f(x)는
y=f{x} 극값을 갖지 않는다. (거짓)
-1 0 1 ㄷ.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므로 ㉡에서 f '(0)>0이다.
f '(0)
ㄱ.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참) 방정식 f '(x)=0, 즉 f '(0)-3xÛ`=0에서 xÛ`=
3
ㄴ. 함수 y= 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 '(0) f '(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다. (참) ∴ x=-¾¨ 또는 x=¾¨
3 3
ㄷ. ㉠에서 f(0)=2이면 CÁ-2=2   ∴ CÁ=4 f '(0)
¾¨ =a라 할 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이때, 함수 f(x)의 최댓값은 CÁ-1=3이다. (참) 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54 수학 Ⅱ
x y -a y a y
정적분
f '(x) - 0 + 0 -
f(x) ↘ 극소 ↗ 극대 ↘
따라서 ㉢에서 함수 f(x)의 모든 극값의 합은
f(-a)+ f(a)‌={aÜ`-a f '(0)-1}+{-aÜ`+a f '(0)-1}
628   풀이 참조

=-2 (참)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f(x)의 한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함수 f(x)의 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은

:Ab f(x) dx=[F(x)]bA=F(b)-F(a)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627  ③

조건 ㈏에 의하여 629  ⑤

① :)1 dx=[x]1)=1-0=1
h'(x)=: i(x) dx이므로  yy ㉠

② :)1 2y dy=[yÛ`]1)=1-0=1
f '(x)+g '(x)=:`{ f(x)-2g(x)} dx

③ :!0 (-3xÛ`) dx=[-xÜ`]0!=0-(-1)=1


이때, f(x), g(x)가 모두 삼차함수이므로
f '(x)+g '(x)는 이차 이하의 함수이다.

④ :Aa f(x) dx=0이므로


따라서 f(x)-2g(x)는 일차 이하의 함수이므로
f(x)-2g(x)=ax+b (a, b는 상수)라 하면
조건 ㈎에 의하여 :!1 x dx+:!2 dt=0+[t]2!=2-1=1

⑤ :)1 x dx+:!2 t dt‌=[ xÛ`]1)+[ tÛ`]2!


(4xÜ`-8xÛ`+2x-6)-2g(x)=ax+b
1 1
g(x)=2xÜ`-4xÛ`+kx+m (k, m은 상수)라 하면 2 2
h(x)=6xÜ`-12xÛ`+(k+2)x+m-6 1 1
={ -0}+{2- }=2
i(x)=(2-2k)x-(2m+6) 2 2
이므로 ㉠에서 따라서 선지 중 정적분의 값이 다른 하나는 ⑤이다.

18xÛ`-24x+(k+2)‌=: {(2-2k)x-(2m+6)}dx TIP

=(1-k)xÛ`-(2m+6)x+C`(C는 적분상수) 선지 ⑤는 ‘02 정적분의 성질’을 학습한 이후 다음과 같이 계산할


18=1-k, 24=2m+6이므로 k=-17, m=9 수 있다.

:Ac`` f(x) dx+:Cb`` f(x) dx=:Ab`` f(x) dx이므로



따라서 g(x)=2xÜ`-4xÛ`-17x+9이므로 분

:)1 x dx+:!2 t dt=:)2 x dx=[ xÛ`]2)=2


g(-1)=20
1
2

630  ⑴0 ⑵0

⑴ :Aa f(x) dx=0이므로 :!1 (xÜ`-x+1)100 dx=0

⑵ :Ab f(x) dx=-:Ba f(x) dx이므로

:_0!) { -1}Þ` dx+:)-   1  0`{ -1}Þ`  dx


xÝ` xÝ`
2 2

=:_0!) { -1}Þ`  dx-:_0!) { -1}Þ`  dx=0


xÝ` xÝ`
2 2

TIP
⑵는 ‘02 정적분의 성질’을 학습한 이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c f(x) dx+:Cb`` f(x) dx=:Ab f(x) dx이므로

:_0!) { -1}Þ` dx+:)-   1  0`{ -1}Þ`  dx=:_-!1)0 { -1}Þ` dx=0


xÝ` xÝ` xÝ`
2 2 2

Ⅲ. 적분 155
631   ⑴ 1024 ⑵ 12 ⑶ 0 p+q=17

⑴ :)2 10xá` dx=[x10]2)=210-0=1024


635   ⑴ -5 ⑵ 1 또는 4
⑵ :_2! (3xÛ`+1) dx=[xÜ`+x]2_!=10-(-2)=12
⑴ :)2 (4xÜ`+ax) dx=[xÝ`+ xÛ`]2)=16+2a=6
a

⑶ :_1@ (t-1)(t+1)dt‌=:_1@ (tÛ`-1) dt


2
∴ a=-5

=[ tÜ`-t]1_@
1 ⑵ :_a!  (5-2x) dx‌=[5x-xÛ`]a_!=(5a-aÛ`)-(-5-1)
3
2 2 =-aÛ`+5a+6=10
=- -{- }=0
3 3 aÛ`-5a+4=0, (a-1)(a-4)=0
TIP ∴ a=1 또는 a=4

⑶에서 주어진 정적분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tÜ`-t]1_@‌= [tÜ`]1_@-[t]1_@ 636


1 1  ②
3 3

:!2 f(x)dx‌=:!2 (8xÜ`-2ax) dx=[2xÝ`-axÛ`]2!`


1
= {1Ü`-(-2)Ü`}-{1-(-2)}
3
=3-3=0 =(32-4a)-(2-a)=-3a+30
이와 같은 방법과 본풀이 중 좀 더 편한 것을 선택하여 계산하자. f(1)=-2a+8이므로

:!2 f(x) dx= f(1)에서 -3a+30=-2a+8

632  ④
∴ a=22

:!3 (x-1)(xÛ`+x+1) dx‌=:!3 (xÜ`-1) dx


637 ②
=[ xÝ`-x]3!


:)1 (x+1)Ü` dx+:)1 (x-1)Ü` dx


1
4
81 1
={ -3}-{ -1}=18
4 4 =:)1 {(x+1)Ü`+(x-1)Ü`} dx

=:)1 {(xÜ`+3xÛ`+3x+1)+(xÜ`-3xÛ`+3x-1)} dx
633
=:)1 (2xÜ`+6x) dx=[ xÝ`+3xÛ`]1)=
 ③

:!2
1 7
tÜ`+8 (t+2)(tÛ`-2t+4) 2 2
dt‌=:!2 dt
t+2 t+2

=:!2 (tÛ`-2t+4)dt
638
=[ tÜ`-tÛ`+4t]2!`
  42
1
:!3 (4xÛ`+6x-5) dx+2:#1 (3y-yÛ`) dy
3
8 1 10
={ -4+8}-{ -1+4}=
3 3 3
=:!3 (4xÛ`+6x-5) dx-:!3 (6x-2xÛ`) dx

634  ② =:!3 {(4xÛ`+6x-5)-(6x-2xÛ`)} dx

=:!3 (6xÛ`-5) dx=[2xÜ`-5x]3!=42


:)1 (1-y)(y+1)(yÛ`+1)(yÝ`+1) dy

=:)1 (1-yÛ`)(yÛ`+1)(yÝ`+1) dy
639   ⑴ 4 ⑵ 20
3

⑴ :)4
=:)1 (1-yÝ`)(yÝ`+1) dy
xÛ` 1
dx-:)4 dy
=:)1 (1-y¡`) dy x+1 y+1

=[y- yá`]1)={1- }-0=


xÛ` 1 xÛ` 1
1 1 8 =:)4 dx-:)4 dx=:)4 { - } dx
x+1 x+1 x+1 x+1

dx=:)4 (x-1) dx=[ xÛ`-x]4)=4


9 9 9 (x-1)(x+1) 1
따라서 p=9, q=8이므로 =:)4
x+1 2

156 수학 Ⅱ
⑵ :)2
xÜ` 1
x-1
dx+:@0
x-1
dx 644  ②

:_3@ f(x) dx=:_1@ f(x) dx+:!0 f(x) dx+:)3 f(x) dx


xÜ` 1 xÜ` 1
=:)2 dx-:)2 dx=:)2 { - } dx
x-1 x-1 x-1 x-1

=[-:!- 2 f(x) dx]+[-:)1 f(x) dx]+:)3 f(x) dx


(x-1)(xÛ`+x+1)
=:)2 dx
x-1

=:)2 (xÛ`+x+1) dx=[ xÜ`+ xÛ`+x]2)=


1 1 20 =(-5)+(-3)+10=2
3 2 3

640  ③ 645   ⑴ 36 ⑵ 18

:_0@  (2x-1) dx+:)1 (2x-1) dx‌=:_1@  (2x-1) dx ⑴ :)3 (x+2)Û` dx-:_3!  (x-2)Û` dx+:_0!  (x-2)Û` dx

=[xÛ`-x]1_@=-6 =:)3 (x+2)Û` dx-[ :_3!  (x-2)Û` dx+:) -` 1  (x-2)Û` dx]

=:)3 (x+2)Û` dx-:)3 (x-2)Û` dx

641  ③ =:)3 {(x+2)Û`-(x-2)Û`} dx

=:)3 8x dx=[4xÛ`]3)=36
:_! (xÛ`-2x) dx+:@ (2t-tÛ`) dt
;2!; ;2!;

⑵ :!2 (4xÛ`+5) dx+2:!2 (x-2xÛ`) dx-:#2 (2x+5) dx


=:_! (xÛ`-2x) dx+:;2!2 ; (tÛ`-2t) dt
;2!;

=:_! (xÛ`-2x) dx+:;2!2 ; (xÛ`-2x) dx


;2!;
=:!2 {(4xÛ`+5)+(2x-4xÛ`)} dx-:#2 (2x+5) dx

=:_2!  (xÛ`-2x) dx
=:!2 (2x+5) dx-:#2 (2x+5) dx

=[ xÜ`-xÛ`]2_!=0
=:!2 (2x+5) dx+:@3 (2x+5) dx
1
=:!3 (2x+5) dx=[xÛ`+5x]3!=18
3

642  ⑤ 적

:!3 (3xÛ`-4x) dx+:_1@` (3xÛ`-4x) dx-:$3 (3xÛ`-4x) dx


646

 ③

:)2 f(x) dx‌=:)1 (-xÛ`+4) dx+:!2 (2x+1) dx


=:!3 (3xÛ`-4x) dx+:_1@` (3xÛ`-4x) dx+:#4 (3xÛ`-4x) dx
=[- xÜ`+4x]1)+[xÛ`+x]2!
=[ :_1@` (3xÛ`-4x) dx+:!3 (3xÛ`-4x) dx]+:#4 (3xÛ`-4x) dx
1
3

=:_3@  (3xÛ`-4x) dx+:#4 (3xÛ`-4x) dx


11 23
= +4=
3 3

=:_4@  (3xÛ`-4x) dx=[xÜ`-2xÛ`]4_@=48
647  ⑤

x-1 (x¾1)
643  ④ |x-1|=[
-x+1 (x<1)

:!5 f(x) dx-:@5 f(x) dx+:_1# f(x) dx ∴ :_2! |x-1| dx‌=:_1!  (-x+1) dx+:!2 (x-1) dx yy TIP

=:!5 f(x) dx+:%2 f(x) dx+:_1# f(x) dx =[- xÛ`+x]1_!+[ xÛ`-x]2!


1 1
2 2

=:_1# f(x) dx+[ :!5 f(x) dx+:%2 f(x) dx]


1 5
=2+ =
2 2

=:_1# f(x) dx+:!2 f(x) dx=:_2# f(x) dx 다른 풀이

=:_2# (4xÜ`+3xÛ`) dx=[xÝ`+xÜ`]2_#=-30


정적분의 값은 그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넓이와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

Ⅲ. 적분 157
y
2 y=|x-1| 651  ②

x-1 (x¾1)
1 f(x)=[ 이므로
-x+1 (x<1)
O 1 x xÛ`-2x+1 (x¾1)
x=-1 x=2 (x-1) f(x)=[ 이다.
-xÛ`+2x-1 (x<1)

∴ :)3 (x-1) f(x) dx


위 그림과 같이 함수 y=|x-1|의 그래프에서
색칠한 두 직각삼각형의 넓이를 각각 SÁ, Sª라 하면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SÁ+Sª와 같다.

∴ :_2! |x-1| dx= _2_2+ _1_1=


=:)1 (-xÛ`+2x-1) dx+:!3 (xÛ`-2x+1) dx

=[- xÜ`+xÛ`-x]1)+[ xÜ`-xÛ`+x]3!


1 1 5
2 2 2 1 1
3 3
TIP 1 8 7
:_1!  (-x+1) dx는 ‘04 대칭성을 이용한 함수의 정적분’을 학습한
=- + =
3 3 3

이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_1!  (-x+1) dx‌=:_1!  (-x) dx+:_1!  1 dx


652  ①

:_1!  (8xà`-5xÝ`+3xÜ`-4x+2) dx
=0+2:)1 1 dx=2[x]1)=2

=:_1!  (8xà`+3xÜ`-4x) dx+:_1!  (-5xÝ`+2) dx

=0+2:)1 (-5xÝ`+2) dx
648
=2[-xÞ`+2x]1)=2_1=2
 ⑤

xÛ`-2x (xÉ0 또는 x¾2)


|xÛ`-2x|=|x(x-2)|=[
-xÛ`+2x (0<x<2)

∴ :)3 |xÛ`-2x| dx‌=:)2 (-xÛ`+2x) dx+:@3 (xÛ`-2x) dx


653   ⑴ 48 ⑵ ;;ª3¼;;

=[- xÜ`+xÛ`]2)+[ xÜ`-xÛ`]3@`


⑴ :_2#` (4xÜ`+3xÛ`-1) dx-:#2 (4xÜ`+3xÛ`-1) dx
1 1
3 3

=:_2#  (4xÜ`+3xÛ`-1) dx+:@3 (4xÜ`+3xÛ`-1) dx


4 4 8
= + =
3 3 3

=:_3#  (4xÜ`+3xÛ`-1) dx
649  ③
=:_3#  4xÜ` dx+:_3#  (3xÛ`-1) dx
xÜ`-xÛ` (x¾1)
|xÜ`-xÛ`|=|xÛ`(x-1)|=xÛ`|x-1|=[
-xÜ`+xÛ` (x<1) =0+2:)3 (3xÛ`-1) dx

∴ :)2 |xÜ`-xÛ`| dx‌=:)1 (-xÜ`+xÛ`) dx+:!2 (xÜ`-xÛ`) dx =2[xÜ`-x]3)=2_24=48

=[- xÝ`+ xÜ`]1)+[ xÝ`- xÜ`]2! ⑵ :_3!  (xÞ`+xÛ`-4x+3) dx+:#4 (xÞ`+xÛ`-4x+3) dx


1 1 1 1
4 3 4 3

-:!4` (xÞ`+xÛ`-4x+3) dx
1 17 3
= + =
12 12 2 

=:_4! (xÞ`+xÛ`-4x+3) dx-:!4` (xÞ`+xÛ`-4x+3) dx

=:_4! (xÞ`+xÛ`-4x+3) dx+:$1  (xÞ`+xÛ`-4x+3) dx


650  ①

=:_1! (xÞ`+xÛ`-4x+3) dx
1-xÜ` (xÉ0) x-xÝ` (xÉ0)
f(x)=[ 이므로 x f(x)=[ 이다.
1+xÛ` (x>0) x+xÜ` (x>0)

∴ :_1!  x f(x) dx‌=:_0!  (x-xÝ`) dx+:)1 (x+xÜ`) dx =:_1! (xÞ`-4x) dx+:_1! (xÛ`+3) dx

=[ xÛ`- xÞ`]0_!+[ xÛ`+ xÝ`]1)


1 1 1 1
2 5 2 4 =0+2:)1 (xÛ`+3) dx

=2[ xÜ`+3x]1)=
7 3 1 1 20
=- + =
10 4 20 3 3

158 수학 Ⅱ
654  ① =0+2:)1 (-3xÛ`) dx

:_aA  (6xÛ`-5x) dx‌=2:)a 6xÛ` dx+0 =2[-xÜ`]1)=-2

=2[2xÜ`]a)=4aÜ`=
1
16
1
658  ⑤
이므로 a=
4 상수 k에 대하여

:_aA`k dx‌=[kx]a_A=ka-(-ka)=2ka
∴ 20a=5

=2(ka-0)=2[kx]a)=2:)a k dx
655  ②

:_2!` f(x) dx+:@1 f(x) dx


이다.
자연수 n에 대하여

:_aA`xn dx‌=[ xn+1]a_A


=:_1!` f(x)dx=:_1!`(1+2x+3xÛ`+y+10xá`) dx
1
n+1

=:_1!`(1+3xÛ`+5xÝ`+7xß`+9x¡`) dx
1 1
= an+1- (-a)n+1 yy ㉠
n+1 n+1

+:_1!`(2x+4xÜ`+6xÞ`+8xà`+10xá`) dx
이때, n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계산해 보자.
 Ú n이 홀수일 때,
n+1은 짝수이므로 (-a)n+1= an+1
=2:)1 (1+3xÛ`+5xÝ`+7xß`+9x¡`) dx+0

=2[x+xÜ`+xÞ`+xà`+xá`]1)
따라서 ㉠에서

:_aA`xn dx=
1 1
an+1- an+1= 0
n+1 n+1
=2_5=10
이다.
Û n이 짝수일 때,
n+1은 홀수이므로 (-a)n+1= -an+1
656  ③
따라서 ㉠에서

:_aA`xn dx‌=
f(x)=(xÜ`+3)(xÝ`-xÛ`+2x-1) 1 1
an+1-{- an+1}
=(xà`-xÞ`+2xÝ`-xÜ`)+(3xÝ`-3xÛ`+6x-3) n+1 n+1
=xà`-xÞ`+5xÝ`-xÜ`-3xÛ`+6x-3 1 1
=2_ an+1=2_{ an+1-0} 적

∴ :_@ f(x) dx-:@`` f(x) dx


n+1 n+1 분

xn+1]a)= 2:)a xn dx
;2!; ;2!;
1
=2[
=:_@ f(x) dx+: 2` f(x) dx
n+1
;2!; `

;2!; 이다.

=:_2@` f(x) dx ㈎: an+1 ㈏: 0 ㈐: -an+1 ㈑: 2:)a xn dx

=:_2@`(xà`-xÞ`+5xÝ`-xÜ`-3xÛ`+6x-3) dx

=:_2@`(xà`-xÞ`-xÜ`+6x) dx+:_2@`(5xÝ`-3xÛ`-3) dx
659   ㈎ : y축 ㈏ : 2:)a f(x) dx ㈐ : 원점 ㈑ : 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면


=0+2:)2 (5xÝ`-3xÛ`-3) dx

=2[xÞ`-xÜ`-3x]2)=2_18=36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상수 a에 대하여 :_0A` f(x) dx=:)a f(x) dx yy TIP1

따라서

657  ① :_aA` f(x) dx‌=:_0A` f(x) dx+:)a f(x) dx

f '(x)=4x-3에서 =:)a f(x) dx+:)a f(x) dx


f(x)=2xÛ`-3x+C (C는 적분상수)

∴ :_1!`x f(x) dx‌=:_1!`(2xÜ`-3xÛ`+Cx) dx


= 2:)a f(x) dx

=:_1!`(2xÜ`+Cx) dx+:_1!`(-3xÛ`) dx
이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면

Ⅲ. 적분 159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다.

상수 a에 대하여 :_0A` f(x) dx=-:)a f(x) dx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는 ㄷ이다.
yy TIP2

따라서

:_aA` f(x) dx‌=:_0A` f(x)dx+:)a f(x) dx


661   ⑴ f(x)=2x+5 ⑵ f(x)=xÛ`-3x+2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a<x<b)에서 연속이면

:A/ f(t) dt= f(x)이다.


=-:)a f(x)dx+:)a f(x) dx= 0 d
dx

:) / (2t+5) dt=2x+5
이다.
d
⑴ f(x)=
㈎ : y축 ㈏ : 2:)a f(x) dx ㈐ : 원점 ㈑ : 0 dx

:! / (tÛ`-3t+2) dt=xÛ`-3x+2
d
⑵ f(x)=
TIP1 dx
정적분의 값을 넓이와 관련지어 생각할 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면
662
정적분 :)a f(x) dx의 값과 :_0A` f(x)dx의 값은 서로 같다.
 ⑤

:_/@`(tÜ`+5) dt=xÜ`+5
d
f(x)=
y y=f{x} dx
∴ f(1)=6

-a O a x
663  ④

TIP2
F(x)=:) / (tÛ`-2t+3)Û`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 (tÛ`-2t+3)Û` dt=(xÛ`-2x+3)Û`
정적분의 값을 넓이와 관련지어 생각할 때, 함수 y= f(x)의 d
F'(x)=
dx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면

정적분 :)a f(x) dx의 값과 :_0A`{- f(x)} dx, 즉


∴ F'(-1)=36

-:_0A` f(x) dx의 값은 서로 같다.


664  ⑤

:! / f(t) dt=xÜ`+4x-5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 y=f{x}

-a
O a x f(x)=3xÛ`+4
∴ f(1)=7

665  ⑤

f(x)=:) / (3tÛ`-2t+4)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660  ②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_0A`f(x) dx=-:)a f(x) dx를 만족시키기 f '(x)=3xÛ`-2x+4


f(2+5h)- f(2) f(2+5h)- f(2)
위해서는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어야 한다. ∴ lim ‌=lim [ _5]
h`Ú0 h h`Ú0 5h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가 성립해야 한다.
= f '(2)_5=60
ㄱ. ‌f(x)=-xÛ`이면 f(-x)=-(-x)Û`=-xÛ`= f(x)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ㄴ. ‌f(x)=2xÜ`+1이면
666  ④

:_/!` f(t) dt=xÝ`-2xÜ`+ax+5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2(-x)Ü`+1=-2xÜ`+1+- f(x)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다.
ㄷ. f(x)=-xÜ`+4x이면
0=-a+8   ∴ a=8

:_/!` f(t) dt=xÝ`-2xÜ`+8x+5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Ü`+4(-x)=xÜ`-4x=- f(x)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ㄹ. ‌f(x)=|x-1|이면 f(x)=4xÜ`-6xÛ`+8   ∴ f(2)=16
f(-x)=|-x-1|=|x+1|+- f(x)이므로 ∴ a+ f(2)=8+16=24

160 수학 Ⅱ
:!/ f(t) dt‌=lim [
1 F(x)-F(1) 1
667   풀이 참조 lim
x`Ú1 xÛ`-1 x`Ú1 x-1
_
x+1
]

⑴ :A/ f(t) dt=xÛ`-3x-4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f(1)
=F'(1)_ = =3
2 2
f(x)=2x-3

⑵ :A/ f(t) dt=xÛ`-3x-4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672  ①

0=aÛ`-3a-4, (a+1)(a-4)=0 F'(x)=xÜ`+5xÛ`-3이라 하면


∴ a=-1 또는 a=4 :!/ (tÜ`+5tÛ`-3) dt=F(x)-F(1)이므로

:!/ (tÜ`+5tÛ`-3) dt
채점 요소 배점
1
lim
양변을 미분하여 f(x) 구하기 50 % xÜ`-1
x`Ú1

F(x)-F(1) 1
등식에 x=a를 대입하여 a의 값 구하기 50 %
=lim [ _ ]
x`Ú1 x-1 xÛ`+x+1
1
=F'(1)_ =1
3
668   풀이 참조

함수 f(t)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함수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할 때,
673  ⑤

a<x<b인 x에 대하여 F'(x)=xÛ`-2x+5라 하면

:A/ f(t) dt=F(x)-F(a)이므로 :@


2+3h
(xÛ`-2x+5) dx=F(2+3h)-F(2)이므로

:@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2+3h
lim
:A / f(t) dt=
(xÛ`-2x+5) dx
h
h`Ú0
d d
{F(x)-F(a)}=F'(x)= f(x)이다. F(2+3h)-F(2)
dx dx =lim
h`Ú0 h
F(2+3h)-F(2)
=lim [ _3]
669  ⑴5 ⑵5 h`Ú0 3h
=F'(2)_3=15
⑴ F'(x)= f(x)라 하면

:! / f(t)dt=F(x)-F(1)이므로
674  ④

:!/ f(t) dt‌=lim


1 F(x)-F(1) 적
lim F'(x)= f(x)라 하면

:!1_ÑHh f(x) dx=F(1+h)-F(1-h)이므로


x`Ú1 x-1 x`Ú1 x-1 분

=F'(1)= f(1)=5

:!1_ÑHh f(x) dx
⑵ F'(x)= f(x)라 하면

:!
1
h+1 lim
` f(x) dx=F(h+1)-F(1)이므로 h
h`Ú0

:! ` f(x) dx‌=lim
F(1+h)-F(1-h)
1 h+1 F(h+1)-F(1) =lim
lim h`Ú0 h
h`Ú0 h h`Ú0 h
F(1+h)-F(1) F(1-h)-F(1)
=F'(1)= f(1)=5 =lim [ + ]
h`Ú0 h -h
=2F'(1)=2 f(1)=2(1+a)=6

670  ③ ∴ a=2

F'(x)=xÜ`-3x+1이라 하면

:_/@`(tÜ`-3t+1) dt=F(x)-F(-2)이므로
675  ②

:_/@`(tÜ`-3t+1) dt‌= lim


f '(x)=6xÛ`-2x+5이므로
1 F(x)-F(-2)
lim
x`Ú-2 x+2 x`Ú-2 x-(-2) f(x)‌=: f '(x) dx=: (6xÛ`-2x+5) dx
=F'(-2)=-1
=2xÜ`-xÛ`+5x+C (C는 적분상수)

이때, :)1 f(x) dx=4이므로


671 ①
:)1 f(x) dx‌=:)1 (2xÜ`-xÛ`+5x+C) dx


F'(x)= f(x)라 하면

:!/ f(t) dt=F(x)-F(1)이므로 =[ xÝ`- xÜ`+ xÛ`+Cx]1)


1 1 5
2 3 2

Ⅲ. 적분 161
8
=C+ =4
3 680  ③
4 4
∴ C= , f(x)=2xÜ`-xÛ`+5x+ f(x)‌=4xÜ`+:)1 (2x-3) f(t) dt
3 3
4
∴ f(0)= =4xÜ`+(2x-3):)1 f(t) dt
3

이때, :)1 f(t) dt=a (a는 상수)라 하면

676  3 f(x)=4xÜ`+2ax-3a이므로

:)1 (4tÜ`+2at-3a) dt=a


:)1 (3aÛ`xÛ`-8ax+5) dx‌=[aÛ`xÜ`-4axÛ`+5x]1)

=aÛ`-4a+5=(a-2)Û`+1 [tÝ`+atÛ`-3at]1)=a
이므로 주어진 정적분은 a=2일 때 최솟값 1을 갖는다. 1
-2a+1=a, a=
따라서 m=2, n=1이므로 3

∴ :)1 f(x) dx=


m+n=3 1
3

677  ③

f(0)= f(2)= f(4)=3이고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681  ①

f(x)-3=x(x-2)(x-4)=xÜ`-6xÛ`+8x 이차방정식 xÛ`-5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 f(x)=xÜ`-6xÛ`+8x+3 xÛ`-5x+1=(x-a)(x-b)=0이고,

∴ :)4 f(x) dx‌=:)4 (xÜ`-6xÛ`+8x+3) dx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5, ab=1  yy ㉠
=[ xÝ`-2xÜ`+4xÛ`+3x]4)=12 :òÕ (xÛ`-5x+1) dx
1
4

=:òÕ (x-a)(x-b) dx=:òÕ {xÛ`-(a+b)x+ab} dx

678 xÛ`+abx]Õò
 ③ 1 a+b
=[ xÜ`-
3 2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g(x)가 1 1
= (bÜ`-aÜ`)- (a+b)(bÛ`-aÛ`)+ab(b-a)
x=-1 또는 x=3에서 만나므로 3 2
f(x)-g(x)=a(x+1)(x-3) (a는 상수) 1
= (b-a){2(bÛ`+ab+aÛ`)-3(a+b)Û`+6ab}
이때, f(0)=-2, g(0)=4이므로 6
f(0)-g(0)=-3a=-6, a=2 1
=- (b-a)(bÛ`-2ab+aÛ`)
6
f(x)-g(x)=2(x+1)(x-3)=2xÛ`-4x-6

∴ :_2!`{ f(x)-g(x)} dx‌=:_2!`(2xÛ`-4x-6) dx


1
=- (b-a)Ü`
6

=[ xÜ`-2xÛ`-6x]2_!=-18
이때, ㉠에서
2
3 (b-a)Û`=(b+a)Û`-4ab=5Û`-4_1=21이고
a<b이므로 b-a='2Œ1

∴ :òÕ (xÛ`-5x+1) dx‌=- (b-a)Ü`


1
679  ④ 6
1 7'2Œ1
:)1 f(x) dx=a`(a는 상수)라 하면
=- ('2Œ1 )Ü`=-
6 2

f(x)=3xÛ`-4x+2a이므로

:)1 (3xÛ`-4x+2a) dx=a에서


682
[xÜ`-2xÛ`+2ax]1)=a
 ③

함수 y= f(x-3)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2a-1=a, a=1 평행이동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일치한다. yy TIP

∴ :@7 f(x-3) dx=:@7_-#3 f(x+3-3) dx=:_4!` f(x) dx=5


따라서 f(x)=3xÛ`-4x+2이므로
f(0)=2

162 수학 Ⅱ
TIP 즉, F'(x+2)= f(x+2)이므로 yy TIP
상수 a, b, m에 대하여 함수 y= f(x-m)의 그래프는 함수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 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한 g '(x)= f(x+2)=-(x+2)(x-2)=-xÛ`+4
것이므로 1
g(x)=:``g '(x) dx=- xÜ`+4x+C (C는 적분상수)
:AbÐÑ`Mm` ` f(x-m) dx=:Ab f(x) dx
3
11 11
㉡에서 g(-1)=- +C=0, C=
3 3
가 성립한다.
1 11
y=f{x} y=f{x-m} ∴ g(x)=- xÜ`+4x+
3 3
x=-2 또는 x=2일 때 g '(x)=0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축의 방향으로
x y -2 y 2 y
m만큼 평행이동
S S g '(x) - 0 + 0 -
a b a+m b+m x g(x) ↘ 극소 ↗ 극대 ↘
5
따라서 함수 g(x)는 x=-2일 때 극솟값 g(-2)=- 를 갖고,
3
x=2일 때 극댓값 g(2)=9를 갖는다.
683   풀이 참조 따라서 함수 g(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은
5 22
f(x)=ax(x-4) (a<0인 상수)라 하면 9+{- }=
3 3
f(2)=4이므로 f(2)=-4a=4, a=-1
채점 요소 배점
∴ ‌f(x)=-x(x-4)=-xÛ`+4x
f(x)=-x(x-4)임을 구하기 10 %
x+2 x+2
∴ g(x)‌=:! ` f(t) dt=:! `(-tÛ`+4t) dt g(x) 구하기 40 %

=[- tÜ`+2tÛ`]! =- xÜ`+4x+


1 x+2
1 11 함수 g(x)의 극솟값 구하기 20 %
3 3 3 함수 g(x)의 극댓값 구하기 20 %
이므로 g '(x)=-xÛ`+4이다. 함수 g(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 구하기 10 %
x=-2 또는 x=2일 때 g '(x)=0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IP
x y -2 y 2 y 다른 풀이 의 아이디어를 일반화하면

g '(x) - 0 + 0 - 연속함수 f(x)와 상수 a, k에 대하여 분

:K f(t) dt= f(x+a)


g(x) ↘ 극소 ↗ 극대 ↘ d x+a
dx
5
따라서 함수 g(x)는 x=-2일 때 극솟값 g(-2)=- 를 갖고,
3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x=2일 때 극댓값 g(2)=9를 갖는다.
따라서 함수 g(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은
5 22
9+{- }=
3 3
684  ③
다른 풀이
f(x)=k(x+1)(x-3)=k(xÛ`-2x-3) (k>0인 상수)이라 하면
x+2
x+1 x+1
g(x)=:! ` f(t) dt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g(x)‌=:? f(t) dt=:? k(tÛ`-2t-3)dt
g(-1)=0  yy ㉠ 1 11
=k[ tÜ`-tÛ`-3t]? =k{xÛ`-x- }
x+1

f(x)=ax(x-4) (a<0인 상수)라 하면 3 3


1
f(2)=4이므로 f(2)=-4a=4, a=-1 이므로 g'(x)=2k{x- }이다.
2
∴ f(x)=-x(x-4)
1
F'(x)= f(x)라 하면 x= 일 때 g'(x)=0이므로
2
x+2
g(x)=:! ` f(t) dt=F(x+2)-F(1)  yy ㉡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함수 y=F(x+2)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1


x y y
2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g '(x) - 0 +
도함수 y=F'(x+2)의 그래프도 도함수 y=F'(x)의 그래프를
g(x) ↘ 극소 ↗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다.

Ⅲ. 적분 163
:)1 { f(x)}Û` dx+[ :)1 f(x) dx]Û``(거짓)
1
따라서 함수 g(x)는 x= 일 때 극소이며 최소이다.
2
1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 a=
2
다른 풀이

f(x)=k(x+1)(x-3) (k>0인 상수)라 하면 686  ②


x+1
g(x)=:? f(t) dt에서 조건 ㈎에 의하여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는
f(x)=(x-6)(x-a)=xÛ`-(a+6)x+6a
g '(x)‌= f(x+1)- f(x) yy TIP
이때, 조건 ㈏에서

:) f(x) dx-:^ f(x) dx=0


=k(x+2)(x-2)-k(x+1)(x-3)
12 12
1
=2k{x- }
:) f(x) dx+:!6@` f(x) dx=0
2
12
1
x= 일 때 g'(x)=0이므로
:)6 f(x) dx=0
2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6 f(x) dx‌=:)6 {xÛ`-(a+6)x+6a} dx


1
x y y
2

xÛ`+6ax]6)
g '(x) - 0 + 1 a+6
=[ xÜ`-
3 2
g(x) ↘ 극소 ↗
=18a-36=0
1
따라서 함수 g(x)는 x= 일 때 극소이며 최소이다. ∴ a=2
2
1
∴ a=
2

TIP
687  ⑤

683번 다른 풀이 와 같이 F'(x)= f(x)라 하면 :!6` f(x) dx‌=:!2` f(x) dx+:@3` f(x) dx+:#4` f(x) dx

+:$5` f(x) dx+:%6` f(x) dx


x+1
g(x)‌=:? f(t) dt 
=F(x+1)-F(x)  yy ㉠ =3+5+7+9+11=35
이때, 함수 y=F(x+1)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다른 풀이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도함수
‘<수학Ⅰ> Ⅲ. 수열’ 단원을 학습한 이후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6 f(x) dx‌=:!2` f(x) dx+:@3` f(x) dx+y+:%6` f(x) dx


y=F'(x+1)의 그래프는 도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다.

= Á (2k+1)
즉, F'(x+1)= f(x+1)이므로 g '(x)= f(x+1)- f(x)이다. 5

k=1

5_6
=2_ +1_5=35
2

685  ①
688 ⑤
ㄱ. (반례) f(x)=2x이면 :)3 2x dx=[xÛ`]3)=9,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x)의 주기가 2이다.

3:)1 2x dx=3[xÛ`]1)=3_1=3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_1!` f(x) dx=2:)1 (-xÛ`+1) dx=2[- xÜ`+x]1)=


:)3 f(x) dx+3:)1 f(x) dx (거짓)
1 4
3 3

ㄴ. :)2 f(x) dx+:@1 f(x) dx=:)1 f(x) dx (참)


이므로 정수 n에 대하여

:_1!ÑÐ2@nN` f(x) dx=:_1!` f(x) dx=


4
3

∴ :_7%` f(x) dx‌=:_-% 3`` f(x) dx+:_-# 1`` f(x) dx+:_1!` f(x) dx
ㄷ. (반례) f(x)=2x이면

:)1 { f(x)}Û` dx=:)1 4xÛ` dx=[ xÜ`]1)= ,


4 4
3 3

[ :)1 f(x) dx]Û`={ :)1 2x dx}Û`={[xÛ`]1)}Û`=1Û`=1


 +:!3 f(x) dx+:#5 f(x) dx+:%7 f(x) dx

4
= _6=8
이므로 3

164 수학 Ⅱ
689  ③ -[ :)1 f(x) dx+:!3 f(x) dx+:#5 f(x) dx+:%7 f(x) dx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1)= f(x+1)이므로 +:&9 f(x) dx]


함수 f(x)는 주기가 2이다.
=(1+5+9+13+17)-(1+3+7+11+15)=8
따라서 정수 n에 대하여 f(x+2n)= f(x)가 성립하고,

:!3 f(x) dx=2이므로 :!3ÐÑ@2Nn f(x) dx=:!3 f(x) dx=2이다.

또한 :_-* 7` f(x) dx=:_-^ 5 f(x) dx=y=:@3 f(x) dx,


691  ③

:&8 f(x) dx=:%6 f(x) dx=:#4 f(x) dx=:!2 f(x) dx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lim f(x)= f(1)에서

:_8*` f(x) dx‌=:_-* 7` f(x) dx+:_-& 5` f(x) dx+:_-% 3` f(x) dx


x`Ú1-

1=a-4   ∴ a=5

+:_-# `1 f(x) dx+:_1!` f(x) dx+:!3 f(x) dx


-4x+5 (x¾1)
따라서 f(x)=[ 이므로
 3xÛ`-2x (x<1)

 +:#5 f(x) dx+:%7 f(x) dx+:&8 f(x) dx :_3!` f(x) dx=:_1!`(3xÛ`-2x) dx+:!3 (-4x+5) dx

=:@3 f(x) dx+2_7+:!2 f(x) dx =2:)1 3xÛ` dx+:!3 (-4x+5) dx

=:!3 f(x) dx+14 =2[xÜ`]1)+[-2xÛ`+5x]3!`

=2+14=16 =2+(-6)=-4=b
∴ a+b=5+(-4)=1

690  8
692  ①
조건 ㈏에서

:N 2x dx=[xÛ`]N
xÛ`+ax (xÉ-1)
n+2 n+1 n+1 f(x)=[ 에서
f(x) dx‌=:N 2xÜ`+bxÛ`-3 (x>-1)
2x+a (x<-1)
=(n+1)Û`-nÛ`=2n+1 f '(x)=[
6xÛ`+2bx (x>-1)
이므로

n=0일 때, :)2 f(x) dx=1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적
lim f(x)= f(-1)에서 b-5=-a+1, a+b=6 yy ㉠ 분

n=1일 때, :!3 f(x) dx=3


x`Ú-1+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n=2일 때, :@4 f(x) dx=5


a-2=-2b+6, a+2b=8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2이므로

n=3일 때, :#5 f(x) dx=7


xÛ`+4x (xÉ-1)
f(x)=[
2xÜ`+2xÛ`-3 (x>-1)

n=4일 때, :$6 f(x) dx=9 ∴ :_0@` f(x) dx‌=:_-@ 1` (xÛ`+4x) dx+:_0!`(2xÜ`+2xÛ`-3) dx

n=5일 때, :%7 f(x) dx=11 =[ xÜ`+2xÛ`]-_1@+[ xÝ`+ xÜ`-3x]0_!


1 1 2
3 2 3

n=6일 때, :^8 f(x) dx=13


11 17 13
={- }+{- }=-
3 6 2

n=7일 때, :&9 f(x) dx=15

n=8일 때, :*1  0 f(x) dx=17 693   풀이 참조

∴ :(1  0 f(x) dx 2x-2 (x¾2)


f '(x)=[
=:)1  0 f(x) dx-:)9 f(x) dx
이므로
2 (x<2)
xÛ`-2x+CÁ (x¾2)
=[ :)2 f(x) dx+:@4 f(x) dx+:$6 f(x)dx+:^8 f(x) dx
f(x)=: f '(x) dx=[ (CÁ, Cª는 적분상수)
2x+Cª (x<2)

+:*1  0 f(x) dx]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lim (2x+Cª)= f(2)에서 4+Cª=CÁ yy ㉠
x`Ú2-

Ⅲ. 적분 165
f(0)=1이므로 f(0)=Cª=1 yy ㉡ -xÛ`+aÛ` (-a<x<a)
f(x)=[
㉠, ㉡에서 CÁ=5, Cª=1 xÛ`-aÛ` (xÉ-a 또는 x¾a)
xÛ`-2x+5 (x¾2) 따라서 a의 값의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f(x)=[ 이므로 Ú 0<a<2일
‌ 때,

:)2 |xÛ`-aÛ`| dx‌=:)a (-xÛ`+aÛ`) dx+:A2 (xÛ`-aÛ`) dx


2x+1 (x<2)

:_5!` f(x) dx‌=:_2!`(2x+1) dx+:@5 (xÛ`-2x+5) dx

=[xÛ`+x]2_!+[ xÜ`-xÛ`+5x]5@ =[- xÜ`+aÛ`x]a)+[ xÜ`-aÛ`x]2A


1 1 1
3 3 3
2 2 8
=6+33=39 = aÜ`+{ aÜ`-2aÛ`+ }
3 3 3
채점 요소 배점 4 8
= aÜ`-2aÛ`+
x의 값의 범위에 따른 f(x) 구하기 60 % 3 3

:_5!` f(x) dx의 값 구하기


4 8
40 % 이므로 aÜ`-2aÛ`+ =2에서
3 3
2aÜ`-3aÛ`+1=0, (a-1)Û`(2a+1)=0
1
a=1 또는 a=-
694  ⑴3 ⑵1
∴ a=1 (∵ 0<a<2)
2

⑴ f(x)=|2x-1|이라 하면 Û a¾2일
‌ 때,

:)2 |xÛ`-aÛ`| dx‌=:)2 (-xÛ`+aÛ`) dx


( -2x+1 {x< 1 }
2
f(x)={
=[- xÜ`+aÛ`x]2)=2aÛ`-
1
9 2x-1 {x¾ 2 }
1 8
3 3
1 8 7
a> 이므로
2 이므로 2aÛ`- =2에서 aÛ`=
3 3
:)a |2x-1| dx‌=:) (-2x+1) dx+:;2!a ; (2x-1) dx '2Œ1 '2Œ1
;2!;
a=- 또는 a=
3 3
;2!;
=[-xÛ`+x]) +[xÛ`-x]a;2!; 이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값은 a=1이다.
1 1 1
= +{aÛ`-a+ }=aÛ`-a+
4 4 2
1 13
따라서 aÛ`-a+ = 에서 aÛ`-a-6=0
2 2 695  9
(a+2)(a-3)=0, a=-2 또는 a=3
-t+1 (t<1)
1 f(t)=|t-1|이라 하면 f(t)=[
∴ a=3 (∵ a> ) t-1 (t¾1)
2
따라서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다른 풀이
Ú 0<x<1일
‌ 때,

:)/ |t-1| dt‌=:)/ (-t+1) dt


정적분의 값은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넓이와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

:)a |2x-1| dx의 값은 그림에서 색칠한 두 직각삼각형의 =[- tÛ`+t]/)=- xÛ`+x


1 1
2 2
넓이의 합과 같다. 1
이므로 - xÛ`+x=x에서 xÛ`=0   ∴ x=0
y
2
y=|2x-1| 이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a-1
Û x>1일
‌ 때,

:)/ |t-1| dt‌=:)1 (-t+1) dt+:!/ (t-1) dt

=[- tÛ`+t]1)+[ tÛ`-t]/!


1 1 1
a x 2 2
O 1
2 1 1 1
= +{ xÛ`-x+ }
1 1 1 1 13 2 2 2
_ _1+ _{a- }_(2a-1)= 에서
2 2 2 2 2 1
= xÛ`-x+1
aÛ`-a-6=0, (a+2)(a-3)=0, a=-2 또는 a=3 2
1 1
∴ a=3 (∵ a> ) 이므로 xÛ`-x+1=x에서 xÛ`-4x+2=0
2 2
⑵ f(x)=|xÛ`-aÛ`|이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에 의하여

166 수학 Ⅱ
x=2+'2 또는 x=2-'2
∴ x=2+'2 (∵ x>1)
697  ④

Ú, Û에 의하여 구하는 근은 x=2+'2이므로 m=2, n=1이다.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한다.
∴ mÜ`+nÜ`=9 따라서 조건 ㈎에 의하여
다른 풀이 x<1일 때 f(x)>0이고, x>1일 때 f(x)<0이므로
f(x) (xÉ1)
본풀이에서 정적분과 넓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풀이할 |f(x)|=[
- f(x) (x>1)

:_1@` f(x) dx=a, :!3 f(x) dx=b라 하면


수 있다.
Ú 0<x<1일 때,
y y=|t-1| 조건 ㈐에서

:_3@` f(x) dx‌=:_1@` f(x) dx+:!3 f(x) dx


1
1-x =a+b=5 yy ㉠
O x 1 t :_3@`|f(x)| dx‌=:_1@` f(x) dx+:!3 {- f(x)} dx

=:_1@` f(x) dx-:!3 f(x) dx


구하는 값이 색칠된 사다리꼴의 넓이와 같으므로

:)/ |t-1| dt= _{1+(1-x)}_x=- xÛ`+x


1 1
2 2 =a-b=9 yy ㉡
Û x>1일 때, ㉠, ㉡을 연립하여 풀면 a=7, b=-2

∴ :_1@` f(x) dx=a=7


y y=|t-1|
x-1

698
1
 ③
O 1 x t
조건 ㈏에서 함수 f(x)의 주기는 4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구하는 값이 색칠된 두 삼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그림과 같다.
:)/ |t-1| dt‌= _1_1+ _(x-1)_(x-1)
1 1 y
2 2 y=f{x}
4
1
= xÛ`-x+1
2


-4 -3 -2 O 2 4 6 8 9 10 x 분

:_8$` f(x+1) dx=:_8$ÑÐ1!` f(x) dx=:_9#` f(x) dx

696  ④ 이때, :_-$ 3 f(x) dx=:*9 f(x) dx이므로

:_9#` f(x) dx‌=:_8$` f(x) dx=3:)4 f(x) dx


삼차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1을 갖고, x=3에서 극솟값

=3_[ :)2 xÛ` dx+:@4 (-2x+8) dx]


-3을 가지므로
f '(1)= f '(3)=0  yy ㉠

=3_{[ xÜ`]2)+[-xÛ`+8x]4@ }
f(1)=1, f(3)=-3 yy ㉡
1
㉠에 의하여 f '(x)=a(x-1)(x-3) (a는 상수)라 하면 3
f '(x)=a(xÛ`-4x+3)=axÛ`-4ax+3a이므로 8
=3_{ +4}=20
a 3
f(x)= xÜ`-2axÛ`+3ax+C (C는 적분상수)
3
4
㉡에 의하여 f(1)= a+C=1, f(3)=C=-3   ∴ a=3
3 699  ②

:_1!` f(x) dx‌=:_1!`(xÛ`+ax+b) dx


따라서 f '(x)=3(x-1)(x-3)=3xÛ`-12x+9이므로

:)3 | f '(x)| dx
=2:)1 (xÛ`+b) dx

=2[ xÜ`+bx]1)
=:)1 (3xÛ`-12x+9) dx+:!3 (-3xÛ`+12x-9) dx
1
=[xÜ`-6xÛ`+9x]1)+[-xÜ`+6xÛ`-9x]3!`
3
1
=2{ +b}=4
=4+4=8 3

Ⅲ. 적분 167
5 따라서 함수 f(x)g(x)도 우함수이다.
∴ b=
3

:_1!` x f(x) dx‌=:_1!`(xÜ`+axÛ`+bx) dx


❷ 우함수 f(x)와 기함수 g(x)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 g(-x)=-g(x)이므로
h(x)= f(x)g(x)라 하면
=2:)1 axÛ` dx h(-x)‌= f(-x)g(-x)

xÜ`]1)
a = f(x){-g(x)}
=2[
3 =- f(x)g(x)=-h(x)
a 따라서 함수 f(x)g(x)는 기함수이다.
=2_ =10
3
❸ 두 기함수 f(x), g(x)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a=15
f(-x)=- f(x), g(-x)=-g(x)이므로
5
∴ ab=15_ =25 h(x)= f(x)g(x)라 하면
3
h(-x)‌= f(-x)g(-x)
={- f(x)}{-g(x)}
700  ③
= f(x)g(x)=h(x)

:_2@`(5x|x|-3xÛ`-2|x|+4) dx
따라서 함수 f(x)g(x)는 우함수이다.

=:_2@`5x|x| dx+:_2@`(-3xÛ`-2|x|+4) dx yy TIP

=0+2:)2 (-3xÛ`-2|x|+4) dx
701   풀이 참조

=2:)2 (-3xÛ`-2x+4) dx 조건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므로

=2[-xÜ`-xÛ`+4x]2)`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2 f(x) dx=:_0@` f(x) dx=-3 (∵ 조건 ㈏)


=2_(-4)=-8
조건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g(x)이므로
TIP 함수 y=g(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2 g(x) dx=-:_0@`g(x) dx=:)-  2 g(x) dx=7 (∵ 조건 ㈏)


f(x)=x|x|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2 { f(x)-2g(x)} dx‌=:)2 f(x) dx-2:)2 g(x) dx


f(-x)=-x|-x|=-x|x|=- f(x)이다.
따라서 함수 f(x)=x|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_2@`x|x| dx=0이다. =(-3)-2_7=-17


g(x)=|x|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채점 요소 배점
g(-x)=|-x|=|x|=g(x)이다. 대칭성을 이용하여 :)2 f(x) dx=-3임을 알아내기 40 %

대칭성을 이용하여 :)2 g(x) dx=7임을 알아내기


따라서 함수 g(x)=|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_2@`|x| dx=2:)2 |x| dx이다.


40 %

:)2 { f(x)-2g(x)} dx의 값 구하기 20 %

참고

일반적으로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를 ‘우함수’라


하고,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를 '기함수'라 한다.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702  ④

❶ (우함수)_(우함수)=(우함수) 조건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므로


❷ (우함수)_(기함수)=(기함수)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❸ (기함수)_(기함수)=(우함수) 이때, g(x)=x f(x)라 하면
이를 이용하면 x는 기함수, |x|는 우함수이므로 x|x|는 g(-x)=-x f(-x)=-x f(x)=-g(x)이므로
함수 y=x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_2@`(x-3) f(x) dx‌=:_2@`{x f(x)-3 f(x)} dx


기함수임을 바로 판단할 수 있다.
[증명]
❶ 두 우함수 f(x), g(x)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 g(-x)=g(x)이므로 =0-2:)2 3 f(x) dx
h(x)= f(x)g(x)라 하면 =(-2)_3_(-5) (∵ 조건 ㈏)
h(-x)= f(-x)g(-x)= f(x)g(x)=h(x) =30

168 수학 Ⅱ
∴ :$9 x f(x) dx‌=:!9 x f(x) dx-:!4 x f(x) dx
참고

700번 참고 를 이용하면 함수 x f(x)의 대칭성을 다음과 같이


=10-(-3)(∵ ㉠, ㉡)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13
x는 기함수, f(x)는 우함수이므로 x f(x)는 기함수이다.

705  ②
703  ①
조건 ㈎에서 곡선 y= f(x)가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므로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을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y=f{x}
이때, g(x)=x f(x)라 하면
g(-x)=-x f(-x)=x f(x)=g(x)이므로
함수 y=x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4 4
h(x)=xÛ` f(x)라 하면 a a
-2 1 2 3 6 x
h(-x)=(-x)Û` f(-x)=-xÛ` f(x)=-h(x)이므로
따라서 조건 ㈏에 의하여

:#6 f(x) dx=:_1@ f(x) dx=4이고


함수 y=xÛ`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_3#`(xÛ`-4x+2) f(x) dx

=:_3#`{xÛ` f(x)-4x f(x)+2 f(x)} dx :!2 f(x) dx=:@3 f(x) dx=a`(a는 상수)라 하면

:!6 f(x) dx=10이므로


=0+2:)3 {-4x f(x)} dx+0
2a+4=10에서 a=3이다.

∴ :@3 f(x) dx=3


=2_(-4)_6
=-48

참고

700번 참고 를 이용하면 함수 x f(x), xÛ` f(x)의 대칭성을

다음과 같이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706  8

x는 기함수, xÛ`은 우함수, f(x)는 기함수이므로 x f(x)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6-x)= f(x)이므로


우함수, xÛ` f(x)는 기함수이다.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직선 x=3에 대하여 대칭이다.yy TIP 적

따라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을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704  ④ y=f{x}

조건 ㈎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5
13
이때, g(x)=x f(x)라 하면
g(-x)=-x f(-x)=-x f(x)=-g(x)이므로 -6 -1 3 7 10 12 x

함수 y=x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1  2 f(x) dx=:_-^1 f(x) dx=13이고

:!1)2 f(x) dx=5이므로


조건 ㈏에서

:_1$`x f(x) dx‌=:_-$1 x f(x) dx+:_1!`x f(x) dx

:&1  0 f(x) dx‌=:&1  2 f(x) dx-:!1)2 f(x) dx


=:_-$1 x f(x) dx+0=3

:_-$1 x f(x) dx=3이므로 :!4 x f(x) dx=-3 


=13-5=8
yy ㉠
TIP
또한

:_9! x f(x) dx‌=:_1! x f(x) dx+:!9 x f(x) dx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2a-x)= f(x)`(a는 상수)
이므로 x`대신 a+x를 대입하면
f(2a-(a+x))= f(a+x), 즉 f(a-x)= f(a+x)가
=0+:!9 x f(x) dx=10
성립한다. 그러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직선 x=a에
이므로 :!9 x f(x) dx=10  yy ㉡ 대하여 대칭이다.

Ⅲ. 적분 169
이때, g(x)=x| f '(x)|라 하면
707  ①
g(-x)=(-x)| f '(-x)|=-x| f '(x)|=-g(x)이므로
:_1! f(x) dx=:)1 f(x) dx=:_0! f(x) dx=k`(k는 상수)라 하면 함수 y=x| f '(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_1!`(x-2)| f '(x)| dx‌=:_1!`{x| f '(x)|-2| f '(x)|} dx


:_1! f(x) dx=:_0! f(x) dx+:)1 f(x) dx이므로

k=k+k에서 k=0이다. =0+2:)1 {-2|f '(x)|} dx


이때, f(0)=-1이므로 f(x)=axÛ`+bx-1 (a, b는 상수, a+0)
=-4:)1 (-6xÛ`+6) dx

=-4[-2xÜ`+6x]1)=-16
이라 하면

:_1! f(x) dx‌=:_1! (axÛ`+bx-1) dx=2:)1 (axÛ`-1) dx

xÜ`-x]1)=2{ -1}=0
a a 다른 풀이
=2_[
3 3
조건 ㈎에 의하여 f(x)=axÜ`+bx`(a, b는 상수)라 하면
에서 a=3이므로

:)1 f(x) dx‌=:)1 (3xÛ`+bx-1) dx


f '(x)=3axÛ`+b이다.
조건 ㈏에 의하여 f(1)=-4, f '(1)=0이므로

=[xÜ`+ xÛ`-x]1)= =0
b b f(1)=a+b=-4, f '(1)=3a+b=0
2 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6이므로
에서 b=0이다. f '(x)=6xÛ`-6=6(x+1)(x-1)

∴ :_1!`(x-2)| f '(x)| dx‌=:_1!`(x-2)|6(x+1)(x-1)| dx


따라서 f(x)=3xÛ`-1이므로 f(2)=11이다.

=-6:_1!`(x-2)(x+1)(x-1) dx
TIP
이차함수 f(x)=axÛ`+bx+c (a, b, c는 상수, a+0)과 양수
t에 대하여 =-6:_1!`(xÜ`-2xÛ`-x+2) dx
:_0T` f(x) dx=:)t f(x) dx
=0-12:)1 (-2xÛ`+2) dx

=-12[- xÜ`+2x]1)=-16
가 성립하면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2
대칭이다.
3
[증명]

:_0T` f(x) dx=:)t f(x) dx이면 709  ②

:_0T` (axÛ`+bx+c) dx=:)t (axÛ`+bx+c) dx에서 ㄱ. (반례) f(x)=x, a=-1, b=1이라 하면

:_1!`x dx=:!- 1` x dx=0이므로


항상 :_0T` axÛ` dx=:)t axÛ` dx, :_0T` bx dx=-:)t bx dx,
:Ab f(x) dx=:Ba f(x) dx이지만 a+b이다. (거짓)
:_0T` c dx=:)t c dx이므로 2:)t bx dx=0이다.

따라서 2[ xÛ`]t)=btÛ`=0에서 b=0 (∵ t>0)이므로


ㄴ. 함수 y= f(-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b
2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f(x)=axÛ`+c이다. y=f{-x} y y=f{x}

따라서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708  ④

조건 ㈎에 의하여 f(x)=axÜ`+bx`(a, b는 상수, a+0)라 하면 -b -a O a b x

:Ab f(x) dx=:_-Ba f(-x) dx이다. (참)


f '(x)=3axÛ`+b이다.
조건 ㈏에 의하여 f(1)=-4, f '(1)=0이므로
f(1)=a+b=-4, f '(1)=3a+b=0 ㄷ. (반례) f(x)=3xÛ`, a=0, b=-1, c=1이라 하면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6이므로 :)- 1 3xÛ` dx=[xÜ`]-) `1 =-1,

:)1 3xÛ` dx=[xÜ`]1)=1이므로


f '(x)=6xÛ`-6이고
6xÛ`-6 (xÉ-1 또는 x¾1)

:Ab f(x) dx<:Ac f(x)이지만 b<a<c이다. (거짓)


| f '(x)|=[
-6xÛ`+6 (-1<x<1)
f '(-x)= f '(x)에서 | f '(-x)|=| f '(x)|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170 수학 Ⅱ
710  ② g(-x)= f(-x)+ f(x)=g(x)이므로
함수 y= f(x)+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_2@`{ f(x)+ f(-x)} dx=2:)2 { f(x)+ f(-x)} dx=12


ㄱ. (반례) f(x)=1, g(x)=x라 하면

:_aA`{ f(x)+g(x)} dx‌=:_aA` (1+x) dx


∴ :)2 { f(x)+ f(-x)} dx=6
=2:)a 1 dx=2[x]a)=2a
yy ㉠

또한 조건 ㈏에서 h(x)= f(x)- f(-x)라 하면


2:)a { f(x)+g(x)} dx‌=2:)a (1+x) dx h(-x)= f(-x)- f(x)=-h(x)이므로

xÛ`]a)=2a+aÛ`
함수 y= f(x)-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2 { f(x)- f(-x)} dx=-:_0@` { f(x)- f(-x)} dx=4


1
=2[x+
2

이므로 :_aA`{ f(x)+g(x)} dx+2:)a { f(x)+g(x)} dx (거짓)  yy ㉡


㉠, ㉡에서

:)2 { f(x)+ f(-x)} dx+:)2 { f(x)- f(-x)} dx


ㄴ. h(x)=g( f(x))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g( f(-x))=g( f(x))=h(x)이므로
함수 y=h(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_aA` g( f(x)) dx=2:)a g( f(x)) dx (참)


=2:)2 f(x) dx=6+4=10

ㄷ. i(x)= f(g(x))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2 f(x) dx=5


i(-x)= f(g(-x))= f(-g(x))= f(g(x))=i(x)이므로 다른 풀이
함수 y=i(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_aA` f(g(x)) dx=2:)a f(g(x)) dx이고, 이 값은


다항함수 f(x)의 짝수차수의 항과 상수항의 합을 g(x),
홀수차수의 항의 합을 h(x)라 하면 f(x)=g(x)+h(x)이다.
항상 0은 아니다. (거짓) 이때, f(x)+ f(-x)=2g(x)이고,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f(x)- f(-x)=2h(x)이다. yy TIP
조건 ㈎에서

:_2@` { f(x)+ f(-x)} dx‌=:_2@` 2g(x) dx


711  ⑤

ㄱ.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4:)2 g(x) dx=12

∴ :)2 g(x) dx=3


g(-x)= f(-x)+ f(x)=g(x)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_aA` g(x) dx=2:)a g(x) dx (참)



조건 ㈏에서 분

:_0@`{ f(x)- f(-x)} dx‌=:_0@`2h(x) dx


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 f(-x)- f(x)=-h(x)이므로 =-2:)2 h(x) dx=-4

∴ :)2 h(x) dx=2


함수 y=h(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Ab h(-x) dx=:Ab` {-h(x)} dx=:Ba h(x) dx (참)

ㄷ. i(x)=g(2x)h(x)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2 f(x) dx‌=:)2 { g(x)+h(x)} dx


i(-x)‌=g(-2x)h(-x)=g(2x)_{-h(x)}
=:)2 g(x) dx+:)2 h(x) dx=3+2=5
=-g(2x)h(x)=-i(x)
이므로 함수 y=i(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 :_aA` g(2x)h(x) dx=0 (참)


TIP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g(x), h(-x)=-h(x)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❶ f(x)+ f(-x)
={ g(x)+h(x)}+{ g(-x)+h(-x)}
참고
={ g(x)+h(x)}+{ g(x)-h(x)}
임의의 함수 f(x)에 대하여 f(x)+ f(-x)는 우함수이고,
=2g(x)
f(x)- f(-x)는 기함수이다.
❷ f(x)- f(-x)
={ g(x)+h(x)}-{ g(-x)+h(-x)}
={ g(x)+h(x)}-{ g(x)-h(x)}
712  ⑤
=2h(x)
조건 ㈎에서 g(x)= f(x)+ f(-x)라 하면

Ⅲ. 적분 171
713  ④ 714  ③

:_3#`{ f(x)+ f(-x)} dx‌=:_3#`(xÛ`+3) dx :@/ [


d
f(t)] dt‌=:@/ f '(t) dt
dt

=2:)3 (xÛ`+3) dx =[ f(t)]/@= f(x)- f(2)

=2[ xÜ`+3x]3)=36  :)/ f(t) dt= f(x)이므로


1 d
yy ㉠
3 dx
이때, 함수 y= f(x)-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x)- f(2)= f(x)에서 f(2)=0

:_3#`{ f(x)- f(-x)} dx=0


f(2)=4a+6=0
yy ㉡
3
∴ a=-
㉠, ㉡에서 2

:_3#`{ f(x)+ f(-x)} dx+:_3#`{ f(x)- f(-x)} dx

=2:_3#` f(x) dx=36


715  ①

:!/ f(t) dt={ f(x)}Û`


∴ :_3#` f(x) dx=18
yy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다른 풀이  1
0={ f(1)}Û`   ∴ f(1)=0 yy ㉡
다항함수 f(x)의 짝수차수의 항과 상수항의 합을 g(x),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홀수차수의 항의 합을 h(x)라 하면 f(x)=g(x)+h(x)이다. f(x)=2 f(x) f '(x)에서 f(x){2 f '(x)-1}=0이므로
f(x)+ f(-x)=2g(x)이므로 1
f(x)=0 또는 f '(x)=
1 2
2g(x)=xÛ`+3, g(x)= (xÛ`+3)
2

∴ :_3#` f(x) dx‌=:_3#`{ g(x)+h(x)} dx


이때, 함수 f(x)가 상수함수가 아닌 다항함수이므로
1 yy TIP
f '(x)= 이다.

=:_3#`g(x) dx+:_3#`h(x) dx
2

1
f(x)=: f '(x) dx= x+C (C는 적분상수)
2
1
=2:)3 (xÛ`+3) dx+0
2

=[ xÜ`+3x]3)=18
1 1
㉡에서 f(1)= +C=0이므로 C=-
1 2 2
3 1 1
따라서 f(x)= x- 이므로 f(3)=1
다른 풀이  2 2 2

f(x)+ f(-x)=xÛ`+3이므로 TIP


:_3#` f(x) dx+:_3#` f(-x) dx=:_3#`(xÛ`+3) dx  yy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면 함수 f(x)는 상수함수이고,
1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어떤 구간에서 f(x)=0이고 f '(x)= 인 다항함수는 존재하지
2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_3#` f(x) dx=:_3#` f(-x) dx이다.


1
않으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이다.
2

y=f{-x} y y=f{x}

716  ④

다항식 F(x)가 이차식 (x-2)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x)=(x-2)Û`g(x)로 놓으면 (g(x)는 다항식)

-3 O 3 x F'(x)‌=2(x-2)g(x)+(x-2)Û`g '(x)

㉠에서 :_3#` f(x) dx+:_3#` f(x) dx=:_3#`(xÛ`+3) dx이므로


=(x-2){2g(x)+(x-2)g '(x)}
에서 F(2)=0, F'(2)=0이다. yy TIP

:_3#` f(x) dx‌= :_3#`(xÛ`+3) dx


1 F(x)= f(x)-4x+3:@/ f(t) dt  yy ㉠
2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3 (xÛ`+3) dx F(2)= f(2)-8+0   ∴ f(2)=8 (∵ F(2)=0)

=[ xÜ`+3x]3)=18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3 F'(x)= f '(x)-4+3 f(x)이고, 이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172 수학 Ⅱ
F'(2)= f '(2)-4+3 f(2) 채점 요소 배점
∴ f '(2)=-20 (∵ F'(2)=0, f(2)=8) f(1)의 값 구하기 30 %
∴ f(2)- f '(2)=8-(-20)=28 f '(x) 구하기 30 %

TIP f(x) 구하기 20 %


f(3)의 값 구하기 20 %
다항식 f(x)가 이차식 (x-m)Û`으로 나누어떨어지면
f(m)=0, f '(m)=0이 성립한다.

719  ①

:_/!`(x-t) f(t) dt=xÝ`-2xÛ`+1에서

x:_/!` f(t) dt-:_/!`t f(t) dt=xÝ`-2xÛ`+1이므로


717  ③

:)/ f(t) dt=xÜ`-3xÛ`+x:)2 f(t) dt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 f(t) dt=-4+2:)2 f(t) dt   ∴ :)2 f(t) dt=4 :_/!` f(t) dt+x f(x)-x f(x)=4xÜ`-4x

따라서 :)/ f(t) dt=xÜ`-3xÛ`+4x이므로 :_/!` f(t) dt=4xÜ`-4x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위의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xÛ`-6x+4 f(x)=12xÛ`-4
∴ f(-1)=13 따라서 방정식 f(x)=0, 즉 12xÛ`-4=0의 모든 근의 곱은
4 1
다른 풀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이다.
12 3

:)2 f(t) dt=a`(a는 상수)라 하면

:)/ f(t) dt=xÜ`-3xÛ`+ax이다. 720  ④

:!/ (x-t) f(t) dt=xÜ`+axÛ`+bx-2에서


위의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xÛ`-6x+a이므로

:)2 (3tÛ`-6t+a) dt=a에서 x:!/ f(t) dt-:!/ t f(t) dt=xÜ`+axÛ`+bx-2 yy ㉠

[tÜ`-3tÛ`+at]2)=a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 dt+x f(x)-x f(x)=3xÛ`+2ax+b에서


:!/ f(t) dt=3xÛ`+2ax+b


2a-4=a   ∴ a=4
따라서 f(x)=3xÛ`-6x+4이므로 yy ㉡
f(-1)=13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6x+2a yy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1+a+b-2, a+b=1 yy ㉣
718   풀이 참조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3+2a+b, 2a+b=-3 yy ㉤
x f(x)=xÜ`-2xÛ`+:!/ f(t) dt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5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1  yy ㉡ ㉢에서 f(x)=6x-8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a)+ f(b)= f(-4)+ f(5)=(-32)+22=-10
f(x)+x f '(x)=3xÛ`-4x+ f(x)에서
f '(x)=3x-4이므로
3
f(x)= xÛ`-4x+C (C는 적분상수)
2
721  ①

5 3 f(x)=:!/ (3tÛ`-4t) dt  yy ㉠
㉡에서 f(1)=C- =-1이므로 C=
2 2
3 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0 yy ㉡
따라서 f(x)= xÛ`-4x+ 이므로
2 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3)=3 f '(x)=3xÛ`-4x이므로

Ⅲ. 적분 173
f(x)=xÜ`-2xÛ`+C (C는 적분상수)
㉡에서 f(1)=-1+C=0이므로 C=1
724  ⑤

∴ f(x)=xÜ`-2xÛ`+1 F(x)=:)/ f(t)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곡선 y= f(x) 위의 점 P(2, f(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x)= f(x)
y- f(2)= f '(2)(x-2)이므로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F'(x)= f(x)의 부호가 바뀌지
y-1=4(x-2), 즉 y=4x-7에서 a=4, b=-7
않아야 한다.
∴ a+b=-3
따라서 이차함수 f(x)=xÛ`+4x+k의 그래프가 x축과 접하거나
다른 풀이

f(x)=:!/ (3tÛ`-4t) dt=[tÜ`-2tÛ`]/!=xÜ`-2xÛ`+1


만나지 않아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Û`+4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이므로 f '(x)=3xÛ`-4x이다. =4-kÉ0   ∴ k¾4
4
곡선 y= f(x) 위의 점 P(2, f(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f(2)= f '(2)(x-2)이므로
y-1=4(x-2), 즉 y=4x-7에서 a=4, b=-7
∴ a+b=-3
725  ③

F(x)=:)/ f(t)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 f(x)
722  ① 이때, f '(x)=3xÛ`-3=3(x+1)(x-1)이므로
x=1 또는 x=-1일 때 f '(x)=0이다.
f(x)=:)/ (t-1)(t-3) dt  yy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0 yy ㉡ x y -1 y 1 y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 + 0 - 0 +
f '(x)=(x-1)(x-3)=xÛ`-4x+3이므로 f(x) ↗ 극대 ↘ 극소 ↗
1
f(x)= xÜ`-2xÛ`+3x+C (C는 적분상수) 함수 F(x)가 오직 하나의 극값을 가지려면 F'(x)= f(x)의 부호가
3
1 한 번만 바뀌어야 한다.
㉡에서 f(0)=C=0이므로 f(x)= xÜ`-2xÛ`+3x
3 y y=f{x} y y=f{x}
x=1 또는 x=3일 때 f '(x)=0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1 1
x
x y 1 y 3 y a
-1 O 1 x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그림1] [그림2]
따라서 함수 f(x)는 x=3일 때 극솟값 0을 갖는다.
따라서 [그림1]에서 f(1)=a-2¾0이어야 하므로 a¾2
[그림2]에서 f(-1)=a+2É0이어야 하므로 aÉ-2
즉, aÉ-2 또는 a¾2이어야 하므로 선지 중 a의 값이 될 수 없는
723  ⑤
것은 ③이다.

g(x)=:@/ f(t)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 '(x)= f(x)
726  ③
x=-4 또는 x=-2 또는 x=0일 때 g '(x)=0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tÛ`-3t+2) dt yy ㉠
x y -4 y -2 y 0 y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0 yy ㉡
g '(x) - 0 + 0 - 0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x) ↘ 극소 ↗ 극대 ↘ 극소 ↗ f '(x)=xÛ`-3x+2이므로
따라서 함수 g(x)는 x=-2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a=-2이다. 1 3

∴ g(a)=g(-2)=:@-` 2 f(t) dt=-:_2@`(tÜ`+6tÛ`+8t) dt


f(x)= xÜ`- xÛ`+2x+C (C는 적분상수)
3 2
1 3

=-2:)2 6tÛ` dt=-2[2tÜ`]2)=-32


㉡에서 f(0)=C=0이므로 f(x)= xÜ`- xÛ`+2x
3 2
x=1 또는 x=2일 때 f '(x)=0이므로

174 수학 Ⅱ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729  ④

x 1 y 2 y 3 g(x)=:)/ f(t) dt yy ㉠


f '(x) 0 - 0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x)= f(x)
5 2 3 ㄱ. g '(2)= f(2)=0 (참)
f(x) ↘ ↗
6 3 2
ㄴ. ‌주어진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도함수 y=g '(x)의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3일 때
그래프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3 2
최댓값 M= 을 갖고, x=2일 때 최솟값 m= 를 갖는다. 다음과 같다.
2 3
∴ Mm=1 x y 0 y 2 y
f(x) - 0 + 0 -

727  ④ g(x) ↘ 극소 ↗ 극대 ↘
따라서 함수 g(x)는 x=0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거짓)
f(x)=-:!/ 4t(t+1)(t-2) dt yy ㉠ ㄷ.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g(0)=0이고,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0 yy ㉡ ㄴ에서의 증감표에 의하여 함수 y=g(x)의 그래프는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그림과 같다.
y
f '(x)=-4x(x+1)(x-2)=-4xÜ`+4xÛ`+8x이므로
4 y=g{x}
f(x)=-xÝ`+ xÜ`+4xÛ`+C (C는 적분상수)
3
13 13
㉡에서 f(1)= +C=0이므로 C=- O 2 x
3 3
4 13
∴ f(x)=-xÝ`+ xÜ`+4xÛ`-
3 3
x=0 또는 x=2일 때 f '(x)=0이므로 따라서 방정식 g(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참)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다음과 같다. 참고
x 0 y 2 y 3 g '(x)= f(x)=ax(x-2) (a<0인 상수)이므로
f '(x) 0 + 0 - a
g(x)= xÜ`-axÛ`+C (C는 적분상수)
13 19 40 3
f(x) - ↗ ↘ - 적
3 3 3 이때, g(0)=0이므로 C=0에서 분

따라서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는 x=2일 때 a a


g(x)= xÜ`-axÛ`= xÛ`(x-3)
3 3
19
최댓값 를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g(x)=0의 근은 x=0 (중근) 또는 x=3이다.
3

728   ㄴ, ㄷ, ㄹ
730  ④
F(x)=:)/ f(t)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5|라 하면

:#/ |t-5| dt=F(x)-F(3)이므로


F'(x)= f(x)
ㄱ. x=a에서 극대이므로 F'(a)=0, 즉 f(a)=0이다. (거짓)
:#/ |t-5| dt
ㄴ. x=b에서
‌ 접선의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F'(b)<0, 즉 f(b)<0 1
lim
이다. (참)
x`Ú3 xÛ`-2x-3
F(x)-F(3) 1
ㄷ. x=c에서 극소이므로 F'(c)=0, 즉 f(c)=0이다. (참) =lim [ _ ]
x`Ú3 x-3 x+1
ㄹ. x=d에서
‌ 접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F'(d)>0, 즉 f(d)>0
F'(3) 1
이다. (참) = =
4 2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 ㄹ이다.

TIP
F'(k)는 곡선 y=F(x)의 x=k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다.
731  ③

그러므로 x=k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면 F'(k)>0이고, F'(x)=xÛ`-3x+4라 하면

:$ `(tÛ`-3t+4) dt=F(xÛ`)-F(4)이므로
x=k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음수이면 F'(k)<0이다. xÛ

Ⅲ. 적분 175
:$ `(tÛ`-3t+4) dt =lim [{ f(x)- f(0)}- :)/ (t-2) f '(t) dt]
1 xÛ
1
lim
x-2
x`Ú2 x`Ú0 x
F(xÛ`)-F(4) 이때, F'(x)=(x-2) f '(x)라 하면 yy ㉠

:)/ (t-2) f '(t) dt=F(x)-F(0)이므로


=lim
x`Ú2 x-2
F(xÛ`)-F(4)
=lim [
lim [{ f(x)- f(0)}- :)/ (t-2) f '(t) dt]
_(x+2)]
x`Ú2 xÛ`-4 1
=F'(4)_4=32 x

[{ f(x)- f(0)}- ]
x`Ú0

F(x)-F(0)
= lim
x`Ú0 x
732  ③ =0-F'(0)=2 f '(0)`(∵ ㉠)
F'(x)= f(x)라 하면 f(x)=xÞ`-7x+3에서 f '(x)=5xÝ`-7이므로

:
2 f '(0)=-14

:)/ (x-t+2) f '(t) dt=-14


xÛ`
f(t) dt=F(xÛ`)-F(aÛ`)이므로
1

: f(t) dt‌=lim
aÛ`
∴ lim
1 xÛ` F(xÛ`)-F(aÛ`) x`Ú0 x
lim
x`Úa x-a aÛ` x`Úa x-a
F(xÛ`)-F(aÛ`)
=lim [ _(x+a)]
x`Úa xÛ`-aÛ`
=F'(aÛ`)_2a=2a f(aÛ`)
736  ③

F'(x)= f(x)라 하면

:!1_ÑH3` h f(t) dt=F(1+3h)-F(1-h)이므로


733  ⑤

:!1_ÑH3` h f(t) dt
1
F'(x)= f(x)라 하면 lim

:_! ` f(t) dt=F(xÜ`)-F(-1)이므로


xÜ`
h`Ú0 hÛ`-2h
F(1+3h)-F(1-h)

:_! ` f(t) dt
=lim
hÛ`-2h
=lim [[ ]
h`Ú0
1 xÜ`
lim F(1+3h)-F(1) F(1-h)-F(1) 1
x+1
x`Ú-1
_3+ ]_
h`Ú0 3h -h h-2
F(xÜ`)-F(-1)
= lim 1
x`Ú-1 x+1 =4F'(1)_ =-2 f(1)
-2

=-2:_1!`(2t-1)Ü` dt
F(xÜ`)-F(-1)
= lim [ _(xÛ`-x+1)]
x`Ú-1 xÜ`-(-1)
=F'(-1)_3=3 f(-1)
=3(a-5)=12 =-4:)1 (-12tÛ`-1) dt

=-4[-4tÜ`-t]1)=20
∴ a=9

734  ⑤

F'(x)={1+ f(x)}Ü` f '(x)}라 하면 737   ②


:@/ {1+ f(t)}Ü` f '(t) dt=F(x)-F(2)이므로 F'(x)= f(x)라 하면 조건 ㈎에서

lim
1
:@/ {1+ f(t)}Ü` f '(t) dt :_/! ` f(t) dt F(x)-F(-1)
xÜ`-8
x`Ú2 ‌
lim = lim
F(x)-F(2) x`Ú-1 x+1 x`Ú-1 x-(-1)
=lim =F'(-1)= f(-1)
x`Ú2 xÜ`-8
F(x)-F(2) 1 =1-a+b=-4
=lim [ _ ]
x`Ú2 x-2 xÛ`+2x+4 ∴ a-b=5  yy ㉠
1 {1+ f(2)}Ü` f '(2) 조건 ㈏에서

:)1 f(x) dx=:)1 (xÛ`+ax+b) dx


=F'(2)_ =
12 12
=4 (∵ f(2)=1, f '(2)=6)

=[ xÜ`+ axÛ`+bx]1)
1 1
3 2
735   -14
1 1
= + a+b=
4

:)/ (x-t+2) f '(t) dt


3 2 3
1
lim ∴ a+2b=2  yy ㉡
x

[ :)/ x f '(t) dt-:)/ (t-2) f '(t) dt]


x`Ú0

1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1


=lim
x`Ú0 x ∴ a+b=3

176 수학 Ⅱ
738  ④
y y=|t-x|

(x-1) f(x)=3(x-1)Û`+:_/!` f(t) dt yy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 f(-1)=12이므로 f(-1)=-6 yy ㉡ 3
x O t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1) f '(x)=6(x-1)+ f(x) f(x)‌=:)3 |t-x| dt=:)3 (t-x) dt

=[ tÛ`-xt]3)=-3x+
(x-1) f '(x)=6(x-1)
1 9
f '(x)=6이므로 f(x)=6x+C (C는 적분상수) 2 2
㉡에서 f(-1)=-6+C=-6이므로 C=0 Û 0ÉxÉ3일 때,
∴ f(x)=6x y
y=|t-x|
F'(x)= f(x)라 하면

:!
x+1
f(t) dt=F(x+1)-F(1)이므로

:!
1 x+1 F(x+1)-F(1)
lim f(t) dt‌=lim O x 3 t
x`Ú0 x x`Ú0 x
=F'(1)= f(1)=6
f(x)‌=:)3 |t-x| dt

=:)/ (-t+x) dt+:?3 (t-x) dt

=[- tÛ`+xt]/)+[ tÛ`-xt]3?


739  ①
1 1

:!/ ` f(t) dt-f(x)


2 2
1 1 9
lim =2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 xÛ`+{ xÛ`-3x+ }
x`Ú1 xÛ`-1 2 2 2
x`Ú 1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다. 9

즉, lim [ :!/ f(t) dt- f(x)]‌=:!1 f(t) dt- f(1)


=xÛ`-3x+
2
3 9
x`Ú1
={x- }Û`+
2 4
=- f(1)=0
Ü x>3일 때,
에서 f(1)=0  yy ㉠

F'(x)= f(x)라 하면 :!/ f(t) dt=F(x)-F(1)이므로


y

:!/ ` f(t) dt-f(x)


y=|t-x|

lim
x`Ú1 xÛ`-1
f(x)- f(1)
=lim [ ] (∵ ㉠)
F(x)-F(1) O 3 x t
-
x`Ú1 xÛ`-1 xÛ`-1
1 f(x)- f(1) 1
=lim [ ]
F(x)-F(1) f(x)‌=:)3 |t-x| dt=:)3 (-t+x)dt
_ - _

=[- tÛ`+xt]3)=3x-
x`Ú1 x-1 x+1 x-1 x+1
F'(1) f '(1) 1 9
= - 2 2
2 2
f(1) f '(1) ( -3x+ 9 (x<0)
2
|
= -
2 2
Ú∼Ü에서 함수 f(x)={ {x- }Û`+ (0ÉxÉ3) 이므로
f '(1) 3 9
=- (∵ ㉠) 2 4
2 |
9
즉, -
f '(1)
=2이므로 f '(1)=-4 9 3x- 2 (x>3)
2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f{x}
740  ②
9
2
-t+x (t<x) 9
g(t)=|t-x|라 하면 g(t)=[ 이다.
t-x (t¾x) 4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f(x)는 다음과 같다. O 3 3 x


Ú x<0일 때, 2

Ⅲ. 적분 177
3 9
따라서 함수 f(x)는 x= 일 때 최솟값 를 가지므로
2 4 741  ③
3 9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f(x)=xÛ`의 그래프를
a= , m=
2 4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15
∴ a+m= 것이므로 g(x)= f(x-a)+b=(x-a)Û`+b이다.
4
이때, g(0)=0이므로 g(0)=aÛ`+b=0
TIP
∴ b=-aÛ` yy ㉠

:)a f(x) dx-:A g(x) dx=27에서


본풀이에서 정적분과 넓이의 관계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2a

:A g(x) dx‌=:A { f(x-a)+b} dx


수도 있다.
Ú x<0일 때, 2a 2a

=:A2 _aA- a { f(x+a-a)+b} dx


y

3-x y=|t-x|

-x =:)a { f(x)+b} dx

이므로

:)a f(x) dx-:A g(x) dx‌=:)a f(x) dx-:)a { f(x)+b} dx


x O 3 t 2a

f(x)‌=:)3 |t-x| dt
=:)a [ f(x)-{ f(x)+b}] dx
1 9
= _{-x+(3-x)}_3=-3x+
2 2 =:)a (-b) dx

=[-bx]a)
Û 0ÉxÉ3일 때,
y y=|t-x|
=-ab=27
이때, ㉠에 의하여 aÜ`=27
3-x
∴ a=3
x
다른 풀이
O x 3 t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f(x)=xÛ`의 그래프를
f(x)‌=:)3 |t-x| dt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1 1 9 것이므로 g(x)=(x-a)Û`+b이다.
= xÛ`+ (3-x)Û`=xÛ`-3x+
2 2 2 이때, g(0)=0이므로 g(0)=aÛ`+b=0
Ü x>3일 때, ∴ b=-aÛ`, g(x)=(x-a)Û`-aÛ`
y 이때, g(2a)=0이므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는
x 다음과 같다.
y y=f{x} y=g{x}
y=|t-x|
x-3
a@
O 3 x t S™

f(x)‌=:)3 |t-x| dt O a 2a x
S™

1 9 -a@
= _{x+(x-3)}_3=3x-

위 그림과 같이 :)a f(x) dx=SÁ, :A g(x) dx=-Sª라 하면


2 2
2a
0+3 3
Ú~Ü에서 f(x)는 x= = 일 때 최소이다.

:)a f(x) dx-:A g(x) dx=SÁ-(-Sª)=SÁ+Sª


2 2
2a
3
이때, 최솟값은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모두 인 직각삼각형
2
1 3 3 9 =aÜ`=27
2개의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2_ _ _ = 이다.
2 2 2 4 ∴ a=3

참고

함수 f(x)는 x=0, x=3에서 미분가능하다. 742  ③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  yy ㉠

178 수학 Ⅱ
이를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f(x)는 홀수차수의 항으로만 이루어진 닫힌구간 [0, 2]에서 f(x)É0이고,

조건 ㈏에서 :@3 | f(x)| dx=:@3 f(x) dx이므로


함수이다. 따라서 도함수 f '(x)는 짝수차수의 항 또는 상수항으로만
이루어진 함수이므로 다항함수 x f '(x)는 홀수차수의 항으로만
이루어진 함수이다. 닫힌구간 [2, 3]에서 f(x)¾0이다.
따라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 f(2)=0
함수 y=x f '(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yy ㉡ 이차함수 f(x)의 이차항의 계수를 a (a>0)이라 하면
f(0)= f(2)=0이므로 f(x)=ax(x-2)이다.

:)2 | f(x)| dx‌=-:)2 ax(x-2) dx


한편, ㉠에 x=0을 대입하면 f(0)=- f(0)에서
f(0)=0이고 주어진 조건에서 f(1)=-3이므로  yy ㉢

:_1!`(x-4) f '(x) dx‌=:_1!`x f '(x) dx+:_1!`{-4 f '(x)} dx


=-[ xÜ`-axÛ`]2)
a
3
=0+2:)1 {-4 f '(x)} dx (∵ ㉡) 4
= a=4
=-8[ f(x)]1)
3
따라서 a=3이므로 f(x)=3x(x-2)
=-8{ f(1)- f(0)} ∴ f(5)=45
=-8_(-3-0)=24 (∵ ㉢)

745  ②

743  ④ h(x)= f(x)-g(x)라 하면


조건 ㈎에서 h'(x)= f '(x)-g '(x)<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므로
함수 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한다.
g(-x)=-x f(-x)=-x f(x)=-g(x)에서
이때, 조건 ㈏에서 h(3)= f(3)-g(3)=0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xÉ3일 때 h(x)¾0이고, x>3일 때 h(x)<0이다.
따라서 y=g'(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yy TIP1
따라서 조건 ㈐에서

:)3` |h(x)| dx‌=:)3 h(x) dx


또한, 함수 y=-xÜ`+2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한편, g(x)=x f(x)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g(0)=0 yy ㉠

:_3#`(-xÜ`+2x+5)g '(x) dx =:)3` { f(x)-g(x)} dx=4  yy ㉠

=:_3#`(-xÜ`+2x)g '(x) dx+:_3#`5g '(x) dx yy TIP2 :#5 |h(x)| dx=-:#5 h(x) dx=-:#5 { f(x)-g(x)} dx=10

=0+2:)3 5g '(x) dx ∴ :#5 { f(x)-g(x)} dx=-10  yy ㉡ 적

=10[g(x)]3)=10{ g(3)-g(0)}

∴ :)5 { f(x)-g(x)} dx
=10g(3) (∵ ㉠)
=:)3 { f(x)-g(x)} dx+:#5 { f(x)-g(x)} dx
즉, 10g(3)=40이므로 g(3)=4
=4+(-10) (∵ ㉠, ㉡)
TIP1
=-6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면 f '(-x)= f '(x)이고,
f(-x)= f(x)이면 f '(-x)=- f '(x)이다. 746  ①
그러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3)= f(x)이므로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함수 f(x)는 주기가 3이다.
따라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0Éx<3에서의
TIP2
그래프가 연속하여 반복되고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함수 y=-xÜ`+2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고, y
함수 y=g '(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1 y=f{x}
함수 y=(-xÜ`+2x)g '(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5 -4 -3 -2 -1 O 1 2 3 4 5 x

744 :)1 f(x) dx= _1_1= ,


  45 1 1
2 2

조건 ㈎에서 :)2 | f(x)| dx=-:)2 f(x) dx이므로 :!2 f(x) dx=1_1=1,

Ⅲ. 적분 179
:@3 f(x) dx= _1_1= 이므로
1 1 S '(x)=(x-3) f '(x)=(x-3)(2x+a)이고
2 2

:)3 f(x) dx= +1+ =2이다.


함수 S(x)가 극값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S '(x)의 부호가 바뀌지
1 1 않아야 하므로 2x+a=2(x-3)이어야 한다.
2 2

따라서 :_3#` f(x) dx=2:)3 f(x)dx=4,


∴ a=-6
따라서 f '(x)=2x-6이므로 f(x)=xÛ`-6x+C (C는 적분상수)

:_6^` f(x) dx=8, :_9(` f(x) dx=12이므로


㉠에서 f(0)=C=0이므로

:_1!0)` f(x) dx‌=:_-!)9 ` f(x) dx+:_9(` f(x) dx+:(1`0`` f(x) dx


f(x)=xÛ`-6x
∴ f(2)=-8

=:_0!` f(x) dx+:_9(` f(x) dx+:)1 f(x) dx

1 1
= +12+ =13
2 2 749  ①
∴ a=10
함수 y= f(x-b)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삼차함수 y= 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747   40
그래프이므로 두 함수 y= f(x), y= f(x-b)의 그래프는 각각
조건 ㈐에서 다음과 같다.

:_1!`(2x+3) f(x) dx=:_1!`2x f(x) dx+:_1!`3 f(x) dx


y y
yy ㉠
y=f{x} y=f{x-b}
이때,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b A    B
대칭이고, g(x)=2x f(x)라 하면 -a O b a x -a+b O b a+b x
g(-x)=-2x f(-x)=-2x f(x)=-g(x)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림1] [그림2]

이때, :_aB` f(x) dx=:_bB` f(x) dx+:Ba f(x) dx=A에서


㉠에서

:_1!`2x f(x) dx+:_1!`3 f(x) dx=0+6:)1 f(x) dx=15이므로

:_bB` f(x) dx=0이므로 :Ba f(x) dx=A


:)1 f(x) dx=:_0!` f(x) dx= 이다.
5
2
즉, [그림1]과 [그림2]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각각 A, B이므로

:)b f(x) dx=B-A


한편, 조건 ㈏에서 함수 f(x)의 주기가 2이므로

모든 정수 n에 대하여 :_2!nÐ@N` f(x) dx=:_0!` f(x) dx,

:@1NÑ` 2` n`` f(x) dx=:)1 f(x) dx이다.


y
y=|f {x}|

∴ :_1^0` f(x) dx‌=8:_0!` f(x) dx+8:)1 f(x) dx


-a -b O b a x
5 5
=8_ +8_ =40
2 2

748  ④ [그림3]
따라서 구하는 값은 [그림3]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와 같으므로

:_aB`| f(x)| dx=2(B-A)+A=-A+2B


조건 ㈎에서
f(x+y)= f(x)+ f(y)+2xy에 x=0, y=0을 대입하면
f(0)= f(0)+ f(0)+0   ∴ f(0)=0  yy ㉠
f(x+h)- f(x)
f '(x)‌=lim
h`Ú0 h

=lim
h`Ú0
{ f(x)+ f(h)+2xh}- f(x)
h
750  ②

f(h)- f(0) f(x)=3xÛ`-6x+5- f(2-x)이므로

:)2` f(x) dx=:)2`(3xÛ`-6x+5) dx-:)2 f(2-x) dx 


=lim +2x (∵ ㉠)
h`Ú0 h
yy ㉠
= f '(0)+2x
f '(0)=a라 하면 f '(x)=2x+a 이때, 함수 y= f(2-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조건 ㈏에서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S(x)=:)/ (t-3) f '(t)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 f(2-x) dx=:)2 f(x) dx이다.

180 수학 Ⅱ
ㄷ.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2 y
h(x) + 0 + 0 -
y=f{x} y=f{2-x} g(x) ↗ g(1) ↗ g(2) ↘
즉, 함수 g(x)는 x<2에서 증가하고, x>2에서 감소하므로
0 2 x
x=1
방정식 g(x)=k는 많아야 두 개의 실근을 갖는다. (거짓)

㉠에서 :)2 f(x) dx=:)2`(3xÛ`-6x+5) dx-:)2 f(x) dx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2 f(x) dx‌= :)2 (3xÛ`-6x+5) dx


참고
1
2 g'(x)=h(x)이고 g(-1)=0이므로

= [xÜ`-3xÛ`+5x]2)=3
1 ( 1
- xÛ`+x+
3
(x<1)
2 2
2 g(x)={
1 3 17
9 - 3 xÜ`+ 2 xÛ`-2x+ 6 (x¾1)

751  3 이고,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조건 ㈎에서 :`2` ` f(x) dx=:@ ` f(x) dx이므로 k`대신


y
2+(k+1)
y=g{x}

k-1을 대입하면 :`2` ` f(x) dx=:@ ` f(x) dx이다.


2-(k+1)

2+k

2-k
-1 O 1 2 x
그러므로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다.

조건 ㈏에서 :@4`` f(x) dx=a이므로 :)2`` f(x) dx=a이고

조건 ㈐에서

:!2 f(x) dx‌=:@3 f(x) dx


753  ④

=:)3 f(x) dx-:)2 f(x) dx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x)=-xÝ`+axÛ`+b (a, b는 상수)라 하면

f '(x)=-4xÜ`+2ax=-4x{xÛ`- }
=aÛ`-a=6 a
2
aÛ`-a-6=0, (a+2)(a-3)=0, a=-2 또는 a=3
이때, 함수 f(x)의 극솟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aÉ0이어야 하고 적
∴ a=3 (∵ a>0) 분
x=0에서 극댓값 5를 갖는다.
즉, f(0)=5이므로 f(0)=b=5에서

752  ③ f(x)=-xÝ`+axÛ`+5
조건 ㈐에서 | f(-1)|=8이므로
h(x)=(x-1) f(x)라 하자.

g(x)=:_/!`h(t)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1)|=|a+4|=8에서
a=4 또는 a=-12
∴ a=-12 (∵ aÉ0)
g '(x)=h(x)
따라서 f(x)=-xÝ`-12xÛ`+5이므로

:)1 f(x) dx‌=:)1 (-xÝ`-12xÛ`+5) dx


1-x (x<1)
이때, h(x)=[ 이므로
-xÛ`+3x-2 (x¾1)

=[- xÞ`-4xÜ`+5x]1)=
함수 y=h(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 4
y 5 5

1
y=h{x}

O 1 2 x
754  ④

조건 ㈐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x=2에 대하여


ㄱ. ‌열린구간 (1, 2)에서 g '(x)=h(x)>0이므로 함수 g(x)는 대칭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이므로
열린구간 (1, 2)에서 증가한다. (참) 조건 ㈎와 ㈏에 의하여 함수 f(x)는 x=1, x=3에서 극솟값 -3을
‌ '(1)=h(1)=0으로 g '(1)의 값이 존재하므로 함수 g(x)는
ㄴ. g 갖고, x=2에서 극댓값 4를 갖는다.
x=1에서 미분가능하다. (참) 따라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Ⅲ. 적분 181
y 따라서 lim f(x)= f(2)에서
x`Ú2-
4 y=f{x}
1 1
4a=2, a= 이므로 f(x)= xÛ` (0Éx<2)이다.
2 2
이때, 모든 정수 n에 대하여 f(x+2n)= f(x)+2n이므로

1 3
:@2NÑ` 2` n f(x) dx‌=:)2`{ f(x)+2n} dx
O 2 x
1
=:)2 { xÛ`+2n} dx
2

=[ xÜ`+2nx]2)= +4n
1 4
-3 6 3
이때, 함수 y= f '(x)의 그래프는 점 (2, 0)에 대하여 대칭이고 :!1@3`` f(x) dx=:)1 { f(x)+12} dx=:)1 f(x) dx+12

∴ :!1`3 f(x) dx‌=:!2 f(x) dx+:@4 f(x) dx+:$6 f(x) dx


닫힌구간 [1, 2]에서 f '(x)¾0이므로

:!3 | f '(x)| dx‌=2:!2 f '(x) dx=2{ f(2)- f(1)}

=2{4-(-3)}=14 +:^8 f(x) dx+:*1`0` f(x) dx+:!1)2` f(x) dx

참고 +:!1@3` f(x) dx yy TIP


함수 f(x)는 x=1, x=3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4 4 4
f(x)+3=a(x-1)Û`(x-3)Û` (a>0인 상수)라 하면 ={ +4_0}+{ +4_1}+{ +4_2}
3 3 3
x=2에서 극댓값 4를 가지므로 4 4 4
+{ +4_3}+{ +4_4}+{ +4_5}+12
f(2)+3=a, a=7   ∴ f(x)=7(x-1)Û`(x-3)Û`-3 3 3 3
4
= _6+4_(1+2+3+4+5)+12
3
=80
755  ②
TIP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x)의 주기는 3이다.

:_1!` f(x) dx=a, :!2 f(x) dx=b라 하면


‘<수학Ⅰ> Ⅲ. 수열’을 학습한 이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3 f(x) dx‌= Á { +4n}+12


5 4
n=0 3
조건 ㈏에서

:_4!` f(x) dx‌=:_1!` f(x) dx+:!2 f(x) dx+:@4 f(x) dx


4 64
6{ + }
3 3
= +12=80
2
=:_1!` f(x) dx+:!2 f(x) dx+:_1!` f(x) dx

=2a+b=8 yy ㉠

:!5 f(x) dx‌=:!2 f(x) dx+:@4 f(x) dx+:$5 f(x) dx

=:!2 f(x) dx+:_1!` f(x) dx+:!2 f(x) dx

=a+2b=7 yy ㉡ 757   10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g '(x)=| f(x)-2x|이므로


∴ :!1)0)0)1 f(x) dx-:!1)0)0!3 f(x) dx 함수 g '(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기 위해서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2x가 성립해야 한다.
3_333+2 3_334+1
=: f(x) dx-: ` f(x) dx y y=f{x}

=:!2 f(x) dx-:_1!` f(x) dx


3_333+1 3_334-1

y=2x

=b-a=2-3=-1 10

756   80
O 5 x
함수 f(x)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도 연속이어야 한다. h(x)=2x라 하면 h(5)=10이므로
조건 ㈎에서 f(x)=axÛ` (0Éx<2)이므로 f(5)¾10이어야 한다.
조건 ㈏에서 f(2)= f(0)+2=2 따라서 구하는 f(5)의 최솟값은 10이다.

182 수학 Ⅱ
758  ① 760   30

f(x)‌=|:A/_@`(tÜ`-atÛ`) dt|
두 다항함수 f(x), g(x)의 차수를 각각

=|[ tÝ`- tÜ`]/A_@|


m, n (m¾1, n¾1인 자연수)라 하자.
1 a 조건 ㈎에서
4 3
1 (a-2)Ý` a(a-2)Ü` g(x)+2:!/ f(t) dt=4xÛ`-8x+1  yy ㉠
|
a
=| xÝ`- xÜ`- + yy ㉠
4 3 4 3
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Ü`-axÛ`=xÛ`(x-a)이므로
g '(x)+2 f(x)=8x-8  yy ㉡
함수 f(x)가 오직 한 점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기 위해서는
조건 ㈏에서
f(0)=0이어야 한다.
f(x)g'(x)=6xÛ`-16x+8  yy ㉢
y y=|f{x}| y
y=|f{x}| 위 식의 좌변의 차수는 m+n-1, 우변의 차수는 2이므로
m+n-1=2, m+n=3
따라서 m=1, n=2 또는 m=2, n=1이다.
  
이때, ㉡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m=1, n=2이어야 한다.
O a x a O x
f(x)=ax+b, g(x)=pxÛ`+qx+r (a, b, p, q, r는 상수, a+0,
y=f{x} y=f{x} p+0)이라 하면

a>0인 경우 a<0인 경우 g '(x)=2px+q이므로 ㉡에서 (2px+q)+2(ax+b)=8x-8


(2p+2a)x+(q+2b)=8x-8
(a-2)Ý` a(a-2)Ü`
f(0)‌=|- + | (∵ ㉠) 항등식의 성질에 의하여
4 3
1 a+p=4, q+2b=-8
= |(a-2)Ü`(a+6)|=0
12 ㉢에서 (ax+b)(2px+q)=6xÛ`-16x+8
∴ a=2 또는 a=-6 2apxÛ`+(aq+2bp)x+bq=6xÛ`-16x+8
따라서 구하는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4이다. 항등식의 성질에 의하여
ap=3, aq+2bp=-16, bq=8 yy TIP
a+p=4, ap=3에서
a(4-a)=3, aÛ`-4a+3=0, (a-1)(a-3)=0
∴ a=1, p=3 또는 a=3, p=1  yy ㉣
759  ④
q+2b=-8, bq=8에서

b(-8-2b)=8, bÛ`+4b+4=0, (b+2)Û`=0 분
f( f(x))=:)/ f(t) dt-xÛ`+6x-6  yy ㉠
∴ b=-2, q=-4 yy ㉤
f(x)가 상수함수인 경우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한편,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g(1)=-3이므로
따라서 다항함수 f(x)를 n차함수라 하면 (n은 자연수) ㉣, ㉤에서 f(x)=x-2, g(x)=3xÛ`-4x-2
다항함수 f( f(x))의 차수는 nÛ`이고 또는 f(x)=3x-2, g(x)=xÛ`-4x이다.
다항함수 :)/ f(t) dt의 차수는 n+1이다. 그런데 g(0)+0이어야 하므로
f(x)=x-2, g(x)=3xÛ`-4x-2
n+1>2인 경우, nÛ`=n+1에서 방정식 nÛ`-n-1=0을
∴ g(4)=30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n+1=2, 즉 n=1이어야 한다. TIP
f(x)=ax+b (a, b는 상수)라 하면 ㉠에서 a=1, p=3 또는 a=3, p=1이고,
a(ax+b)+b=:)/``(at+b) dt-xÛ`+6x-6 b=-2, q=-4일 때

aÛ`x+ab+b‌=[ tÛ`+bt]/)-xÛ`+6x-6
등식 aq+2bp=-16이 성립한다.
a
Ú a=1, p=3, b=-2, q=-4인 경우
2
1_(-4)+2_(-2)_3=-16
a-2
= xÛ`+(b+6)x-6 Û a=3, p=1, b=-2, q=-4인 경우
2
위 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3_(-4)+2_(-2)_1=-16
a-2
0= , aÛ`=b+6, ab+b=-6이다.
2
∴ a=2, b=-2
따라서 f(x)=2x-2이므로 761   17

f(5)=8 f '(x)=3xÛ`-3=3(x+1)(x-1)에서

Ⅲ. 적분 183
x=-1 또는 x=1일 때 f '(x)=0이므로 f(x)=k(x-a)(x-b)(x-c)이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f(0)=-kabc>0이어야 하므로 k<0이다.
x y -1 y 1 y 따라서 그림과 같이 k<0일 때 f '(0)<0이다. (참)
y
f '(x) + 0 - 0 +
f{0}
y=f{x}{k<0}
f(x) ↗ 1 ↘ -3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O = > x
y
y=|f{x}|
3

1 ㄷ. ‌ㄴ에 의하여 함수 h(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이므로


-1 O 1 x 함수 y=h(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
y
y=f{x} y=h{x}
-3

Ú -1Ét<0일 때, -1ÉxÉt에서의 함수 |f(x)|의 최댓값은 O


2 5 8 x
f(-1)=1

㉠에 의하여 :M m Ñ 2`` f(x) dx=h(m+2)-h(m)이고,


Û 0ÉtÉ1일 때, -1ÉxÉt에서의 함수 |f(x)|의 최댓값은
| f(t)|=- f(t)
Ú, Û에 의하여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y=g(t)의 그래프는
자연수 m에 대하여
다음과 같다.
1ÉmÉ2 또는 m¾6일 때 h(m)>h(m+2)이고
y
3ÉmÉ5일 때 h(m)<h(m+2)이다.

따라서 :M m Ñ 2`` f(x)dx>0, 즉 h(m+2)-h(m)>0을


3 y=g{t}

1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은 3, 4, 5의 3개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1 O 1 t

∴ :_1!`g(t) dt‌=:_0!`1 dt+:)1 (-tÜ`+3t+1) dt


763
=[t]0_!+[- tÝ`+ tÛ`+t]1)
 ④
1 3

:)/ f '(t) dt= f(x)- f(0)에서 f(x)=:)/ f '(t) dt+ f(0)


4 2
9 13
=1+ =
4 4 ㄱ. 주어진 그래프에서 x=0, x=b, x=c일 때 f '(x)=0이므로
∴ p+q=4+13=17 x¾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762  ⑤ x 0 y b y c y
f '(x) 0 + 0 - 0 +
ㄱ. h(x)=:)/ f(t) dt라 하면  yy ㉠
f(x) f(0) ↗ f(b) ↘ f(c) ↗
g(x)=|h(x)|이고 주어진 그림으로부터 이때, 닫힌구간 [b, c]에서 f '(x)É0이므로

:)b f '(x) dx>:Bc``| f '(x)| dx=-:Bc f '(x) dx


g(0)=0, g(2)=0, g(5)=0, g(8)=0이므로
h(0)=0, h(2)=0, h(5)=0, h(8)=0이다.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h'(x)= f(x)이므로 즉, :)c f '(x) dx>0이므로 f(c)- f(0)>0에서 f(c)> f(0)이다.
롤의 정리에 의하여 h'(a)= f(a)=0을 만족시키는 실수 a가
따라서 x¾0일 때, 함수 f(x)는 x=0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거짓)
열린구간 (0, 2)에 적어도 한 개 존재하고, h'(b)= f(b)=0을
ㄴ. a<k<b일 때,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만족시키는 실수 b가 열린구간 (2, 5)에 적어도 한 개 존재하며,
f(k)- f(a)
h'(c)= f(c)=0을 만족시키는 실수 c가 열린구간 (5, 8)에 k-a
= f '(pÁ)인 pÁ (a<pÁ<k)가 존재하고,
적어도 한 개 존재한다. f(k)- f(b)
따라서 삼차방정식 f(x)=0은 서로 다른 3개의 실근을 갖는다. = f '(pª)인 pª (k<pª<b)가 존재한다.
k-b
 (참) 이때, a<pÁ<k<pª<b, 즉 pÁ<pª이고
ㄴ.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k라 하면 ㄱ에 의하여 방정식 열린구간 (a, b)에서 함수 y= f '(x)는 감소하므로
f(x)=0이 서로 다른 3개의 양의 실근 a, b, c를 가지므로 f '(pÁ)> f '(pª)이다.

184 수학 Ⅱ
y y=f '{x}
정적분의 활용
f '{p¡}

f '{p™}

O a k b c x 765   ⑴ ;3$; ⑵ ;3$;


p¡ p™
⑴ 곡선 y=-xÛ`+1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f(k)- f(a) f(k)- f(b) -xÛ`+1=0에서 -(x-1)(x+1)=0
따라서 > 이다. (참)
k-a k-b

ㄷ. :Ac f '(x) dx=0이면 f(c)- f(a)=0이므로


∴ x=-1 또는 x=1
y
1 y=-x@+1
f(a)= f(c)이다.
-1 1
y=f{x} O x

y=f{a}

닫힌구간 [-1, 1]에서 -xÛ`+1¾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0 a b c S‌=:_1!`(-xÛ`+1) dx=2:)1 (-xÛ`+1) dx

=2[- xÜ`+x]1)=
따라서 곡선 y= f(x)와 직선 y= f(a)는 서로 다른 세 점에서
1 4
만난다. (참) 3 3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⑵ 곡선 y=xÛ`-2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2x=0에서 x(x-2)=0   ∴ x=0 또는 x=2

764   풀이 참조 y y=x@-2x

:!/ x f(t) dt
d
⑴ g(x)=
dx
O 2 x
[x:!/ f(t) dt]=:!/ f(t) dt+x f(x)
d
=
dx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이므로 닫힌구간 [0, 2]에서 xÛ`-2xÉ0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적

g(-x)=:!- / f(t) dt-x f(-x)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2 (-xÛ`+2x) dx=[- xÜ`+xÛ`]2)=



1 4

=:!- 1 f(t) dt+:_-! / f(t) dt-x f(-x)


3 3
다른 풀이

=0-:_-?1 f(t) dt+x f(x) ⑴ 곡선 y=-xÛ`+1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1=0에서 -(x-1)(x+1)=0
=:!/ f(t) dt+x f(x)=g(x) ∴ x=-1 또는 x=1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g(x)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1|{1-(-1)}Ü` 4
⑵ 다항함수 g(x)가 열린구간 (-1, 1)에서 미분가능하고 S= =
6 3
‌⑴에 의하여 g(-1)=g(1)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⑵ 곡선 y=xÛ`-2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g'(a)=0인 실수 a가 열린구간 (-1, 1)에 적어도 하나
xÛ`-2x=0에서 x(x-2)=0   ∴ x=0 또는 x=2
존재한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채점 요소 배점 (2-0)Ü` 4
S= =
6 3
g(x)=:!/ f(t) dt+x f(x)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가 성립함을 이용하여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50 %
g(-x)=g(x)가 성립함을 설명하기
g(-1)=g(1)과 롤의 정리를 이용하여 g '(a)=0인 실수 a가
열린구간 (-1,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설명하기
50 % 766  ④

곡선 y=-xÛ`+x+2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x+2=0에서 -(x+1)(x-2)=0
∴ x=-1 또는 x=2

Ⅲ. 적분 185
y y y=3x@-12x+9
y=-x@+x+2
2
9

-1 O 2 x

닫힌구간 [-1, 2]에서 -xÛ`+x+2¾0이므로


O 1 3 x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2!`(-xÛ`+x+2) dx=[- xÜ`+ xÛ`+2x]2_!=


1 1 9
3 2 2 x=2
따라서 p=2, q=9이므로
닫힌구간 [0, 1]에서 3xÛ`-12x+9¾0이고
p+q=11
닫힌구간 [1, 2]에서 3xÛ`-12x+9É0이므로
다른 풀이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곡선 y=-xÛ`+x+2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S‌=:)1 (3xÛ`-12x+9) dx+:!2 (-3xÛ`+12x-9) dx

=[xÜ`-6xÛ`+9x]1)+[-xÜ`+6xÛ`-9x]2!`
-xÛ`+x+2=0에서 -(x+1)(x-2)=0
∴ x=-1 또는 x=2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4+2=6
|-1|{2-(-1)}Ü` 9
S= =
6 2
이므로 p=2, q=9
∴ p+q=11 769  ③

함수 y=xÜ`-3xÛ`+2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767  ③ xÜ`-3xÛ`+2x=0에서 x(x-1)(x-2)=0
∴ x=0 또는 x=1 또는 x=2
곡선 y=xÛ`-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y y=x#-3x@+2x
xÛ`-x=0에서 x(x-1)=0   ∴ x=0 또는 x=1
닫힌구간 [0, 1]에서 xÛ`-xÉ0이고
닫힌구간 [1, 2]에서 xÛ`-x¾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O 1 2 x
S‌=:)1 (-xÛ`+x) dx+:!2 (xÛ`-x) dx

=[- xÜ`+ xÛ`]1)+[ xÜ`- xÛ`]2!`


1 1 1 1 닫힌구간 [0, 1]에서 xÜ`-3xÛ`+2x¾0이고
3 2 3 2
닫힌구간 [1, 2]에서 xÜ`-3xÛ`+2xÉ0이므로
1 5
= + =1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6 6
S‌=:)1 (xÜ`-3xÛ`+2x) dx+:!2 (-xÜ`+3xÛ`-2x) dx

768 =[ xÝ`-xÜ`+xÛ`]1)+[- xÝ`+xÜ`-xÛ`]2!


 ⑴6 ⑵6 1 1
4 4
⑴ 곡선 y=xÛ`+1은 그림과 같다. 1 1 1
= + =
y 4 4 2
y=x@+1
참고

함수 y=xÜ`-3xÛ`+2x의 그래프는 점 (1, 0)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 S는
1
O x S=2:)1 (xÜ`-3xÛ`+2x) dx로 구할 수도 있다.
x=-1 x=2
닫힌구간 [-1, 2]에서 xÛ`+1¾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2!`(xÛ`+1) dx=[ xÜ`+x]2_!=6


1
3 770  ④
⑵ 곡선 y=3xÛ`-12x+9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곡선 y=x(x-1)Û`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3xÛ`-12x+9=0에서 3(x-1)(x-3)=0
x(x-1)Û`=0에서 x=0 또는 x=1
∴ x=1 또는 x=3

186 수학 Ⅱ
:Bc f(x) dx=Sª=14 
y=x{x-1}@
x=-1 y x=1 yy ㉡

㉡을 ㉠에 대입하면 SÁ=6
O x
따라서 곡선 y= 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라 하면
S=SÁ+Sª=6+14=20

773  ②

곡선 y=xÛ`-x+3과 직선 y=3의 교점의 x좌표는


닫힌구간 [-1, 0]에서 x(x-1)Û`É0이고 xÛ`-x+3=3에서 xÛ`-x=0, x(x-1)=0
닫힌구간 [0, 1]에서 x(x-1)Û`¾0이므로 ∴ x=0 또는 x=1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0!`(-xÜ`+2xÛ`-x) dx+:)1 (xÜ`-2xÛ`+x) dx


y
y=x@-x+3

=[- xÝ`+ xÜ`- xÛ`]0_!+[ xÝ`- xÜ`+ xÛ`]1)


y=3
1 2 1 1 2 1
4 3 2 4 3 2
17 1 3
= + =
12 12 2

참고 O 1 x

구하는 넓이 S는 S=:_1!`|xÜ`-2xÛ`+x| dx이다. 닫힌구간 [0, 1]에서 xÛ`-x+3É3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이때, S=2:)1 |-2xÛ`| dx와 같이 계산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S‌=:)1 {3-(xÛ`-x+3)} dx

=:)1 (-xÛ`+x) dx

771 =[- xÜ`+ xÛ`]1)=


 ⑤ 1 1 1
3 2 6
ㄱ. 닫힌구간 [a, b]에서 f(x)É0이므로 다른 풀이
SÁ=:Ab {- f(x)} dx=:Ba f(x) dx (참) 곡선 y=xÛ`-x+3과 직선 y=3의 교점의 x좌표는

ㄴ. 닫힌구간 [b, c]에서 f(x)¾0이므로 xÛ`-x+3=3에서 xÛ`-x=0, x(x-1)=0 분

:Ac f(x) dx=:Ab f(x) dx+:Bc f(x) dx


∴ x=0 또는 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곡선 y=x(x-1)과 x축으로
=-SÁ+Sª (참)

ㄷ. :Ac | f(x)| dx=:Ab | f(x)| dx+:Bc | f(x)| dx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같으므로
(1-0)Ü` 1
S= =
6 6
=SÁ+Sª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774  ③

772  ③ 곡선 y=xÛ`+2와 직선 y=-x+4의 교점의 x좌표는


xÛ`+2=-x+4에서 xÛ`+x-2=0, (x+2)(x-1)=0
곡선 y= 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부분의 넓이를
∴ x=-2 또는 x=1
각각 SÁ, Sª라 하자.
y
y
y=f{x}
y=x@+2
S™ 4

O
a S¡ b c x y=-x+4
2

:Ac f(x) dx‌=:Ab f(x) dx+:Bc f(x) dx


-2 O 1 x

닫힌구간 [-2, 1]에서 xÛ`+2É-x+4이므로


=-SÁ+Sª=8  yy ㉠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Ⅲ. 적분 187
S‌=:_1@`{(-x+4)-(xÛ`+2)} dx
y y=x#-3x
y=x

=:_1@`(-xÛ`-x+2) dx

=[- xÜ`- xÛ`+2x]1_@=


-2
1 1 9 2 x
O
3 2 2
다른 풀이

곡선 y=xÛ`+2와 직선 y=-x+4의 교점의 x좌표는 닫힌구간 [-2, 0]에서 xÜ`-3x¾x이고


xÛ`+2=-x+4에서 xÛ`+x-2=0, (x+2)(x-1)=0 닫힌구간 [0, 2]에서 xÜ`-3xÉx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0@`{(xÜ`-3x)-x} dx+:)2 {x-(xÜ`-3x)} dx


∴ x=-2 또는 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곡선 y=(x+2)(x-1)과

=:_0@`(xÜ`-4x) dx+:)2 (-xÜ`+4x) dx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같으므로
{1-(-2)}Ü` 9

=[ xÝ`-2xÛ`]0_@+[- xÝ`+2xÛ`]2)`
S= =
6 2
1 1
4 4
=4+4=8
775  ⑤
참고

두 곡선 y=xÛ`-1, y=-xÛ`+2x+3의 교점의 x좌표는 곡선 y=xÜ`-3x와 직선 y=x는 모두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xÛ`-1=-xÛ`+2x+3에서 2xÛ`-2x-4=0 따라서 구하는 넓이 S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도 있다.
2(x+1)(x-2)=0   ∴ x=-1 또는 x=2 S‌=2:)2 {x-(xÜ`-3x)} dx
y y=x@-1
3 =2:)2 (-xÜ`+4x) dx

=2[- xÝ`+2xÛ`]2)=8
1
4

-1 O 2 x
-1
y=-x@+2x+3

닫힌구간 [-1, 2]에서 xÛ`-1É-xÛ`+2x+3이므로 777   ⑴ ;3$; ⑵ ;1#2&;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2!`{(-xÛ`+2x+3)-(xÛ`-1)} dx
⑴ 두 곡선 y=xÜ`-xÛ`, y=xÛ`의 교점의 x좌표는
xÜ`-xÛ`=xÛ`에서 xÜ`-2xÛ`=0, xÛ`(x-2)=0

=:_2!`(-2xÛ`+2x+4) dx
∴ x=0 또는 x=2

=[- xÜ`+xÛ`+4x]2_!=9
y
2
3
y=x@
다른 풀이

두 곡선 y=xÛ`-1, y=-xÛ`+2x+3의 교점의 x좌표는 2 x


O
xÛ`-1=-xÛ`+2x+3에서 2xÛ`-2x-4=0
y=x#-x@
2(x+1)(x-2)=0   ∴ x=-1 또는 x=2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곡선 y=2(x+1)(x-2)와 닫힌구간 [0, 2]에서 xÜ`-xÛ`ÉxÛ`이므로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2|{2-(-1)}Ü` S‌=:)2 {xÛ`-(xÜ`-xÛ`)} dx
S= =9
6
=:)2 (-xÜ`+2xÛ`) dx

=[- xÝ`+ xÜ`]2)


1 2
776  ④ 4 3
4
곡선 y=xÜ`-3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
3
xÜ`-3x=x에서 xÜ`-4x=0 ⑵ ‌두 곡선 y=xÜ`-3xÛ`+2x, y=xÛ`-x의 교점의 x좌표는
x(x+2)(x-2)=0 xÜ`-3xÛ`+2x=xÛ`-x에서 xÜ`-4xÛ`+3x=0
∴ x=-2 또는 x=0 또는 x=2 x(x-1)(x-3)=0   ∴ x=0 또는 x=1 또는 x=3

188 수학 Ⅱ
y y x=3
y=-x@+2 y=x-4
-3 2
y=x@-x O x

O 1 3 x

y=x#-3x@+2x
닫힌구간 [0, 1]에서 xÜ`-3xÛ`+2x¾xÛ`-x이고 닫힌구간 [0, 2]에서 -xÛ`+2¾x-4이고
닫힌구간 [1, 3]에서 xÜ`-3xÛ`+2xÉxÛ`-x이므로 닫힌구간 [2, 3]에서 -xÛ`+2Éx-4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1 {(xÜ`-3xÛ`+2x)-(xÛ`-x)} dx S=:)2 {(-xÛ`+2)-(x-4)} dx+:@3 {(x-4)-(-xÛ`+2)} dx

 +:!3``{(xÛ`-x)-(xÜ`-3xÛ`+2x)} dx =:)2 (-xÛ`-x+6) dx+:@3 (xÛ`+x-6) dx

=[- xÜ`- xÛ`+6x]2)+[ xÜ`+ xÛ`-6x]3@`


1 1 1 1
=:)1 (xÜ`-4xÛ`+3x) dx+:!3``(-xÜ`+4xÛ`-3x) dx 3 2 3 2

=[ xÝ`- xÜ`+ xÛ`]1)+[- xÝ`+ xÜ`- xÛ`]3!`


1 4 3 1 4 3 22 17 61
= + =
4 3 2 4 3 2 3 6 6
5 8 37
= + =
12 3 12
780  ②

y=-xÛ`+4x에서 y'=-2x+4이므로

778  ②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3=2(x-1), 즉 y=2x+1
제1사분면에서 곡선 y=3xÛ`과 직선 y=-x+2의 교점의 x좌표는 직선 y=2x+1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3xÛ`=-x+2에서 3xÛ`+x-2=0 1
2x+1=0에서 x=-
2 2
(3x-2)(x+1)=0   ∴ x= (∵ x>0)
3 y y=2x+1
y
y=3x@
y=-x@+4x
3


2
4
1
3 -
2
O 1 4 x

O 2 2 x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3 y=-x+2

닫힌구간 [0, ]에서 3xÛ`¾0이고


1 3
2 S= _ _3-:)1 (-xÛ`+4x) dx
2 2

= -[- xÜ`+2xÛ`]1)=
3

닫힌구간 [ , 2]에서 -x+2¾0이므로


9 1 7
2 4 3 12
3
;3@;`
1 4 4
S=:) 3xÛ` dx+ _ _
2 3 3
781  ;3*;
=[xÜ`]) + =

;3@;
8 32
9 27 y=xÛ`-2x+8에서 y'=2x-2이므로
따라서 p=27, q=32이므로 점 (2, 8)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이고
q-p=5 접선의 방정식은 y-8=2(x-2), 즉 y=2x+4
y y=2x+4
y=x@-2x+8
8
779  ③
4
곡선 y=-xÛ`+2와 직선 y=x-4의 교점의 x좌표는
-xÛ`+2=x-4에서 xÛ`+x-6=0, (x+3)(x-2)=0
O 2 x
∴ x=-3 또는 x=2

Ⅲ. 적분 189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xÛ`=x에서 x(x-1)=0  
1 ∴ x=0 또는 x=1
S= _4_2-:)2 {8-(xÛ`-2x+8)} dx
2

=4-[- xÜ`+xÛ`]2)=4- =
|1|_(1-0)Ü` 1
∴ S=2:)1 (xÛ`-x) dx=2_ =
1 4 8 6 3
3 3 3
다른 풀이

본풀이에서 넓이 S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783  ③

곡선 y=xÛ`-2x+8과 직선 y=8의 교점의 x좌표는 x=3yÛ`-6y에서 3yÛ`-6y=3y(y-2)=0


xÛ`-2x+8=8에서 x(x-2)=0   ∴ x=0 또는 x=2 ∴ y=0 또는 y=2
1 (2-0)Ü` 8 y
∴ S= _4_2- =
2 6 3
x=3y@-6y
2

782   ⑴ ;3!; ⑵ 1
O x
⑴ 곡선 y= 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xÛ`=x에서 x(x-1)=0   ∴ x=0 또는 x=1 0ÉyÉ2에서 3yÛ`-6yÉ0이므로 곡선 x=3yÛ`-6y와 y축으로
‌두 곡선 y= f(x)와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두 곡선 y= f(x)와 y=g(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S‌=:)2 (-3yÛ`+6y) dy

=[-yÜ`+3yÛ`]2)=4
곡선 y=xÛ``(x¾0)과 직선 y=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2배이다.
y y=f{x} 다른 풀이
y=x
x=3yÛ`-6y에서 3yÛ`-6y=3y(y-2)=0
y=g{x}
1 ∴ y=0 또는 y=2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3|(2-0)Ü`
S= =4
O 1 x 6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2:)1 (x-xÛ`) dx=2[ xÛ`- xÜ`]1)=2_ =


1 1 1 1
2 3 6 3 784  ③
⑵ 곡선 y= 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y='x에서 x=yÛ`이고
xÜ`=x에서 x(x+1)(x-1)=0
1ÉyÉ3에서 yÛ`¾0이므로
∴ x=-1 또는 x=0 또는 x=1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3 yÛ` dy=[ yÜ`]3!=


‌두 곡선 y= f(x)와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1 26
두 곡선 y= f(x)와 y=g(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3 3
곡선 y=xÜ`과 직선 y=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2배이다.
y y=f{x}
4'2
1
y=x
y=g{x} 785   3

y
y=Âx+˛2˛
-1
O 1 x Â2

-1

-2 O x
또한 곡선 y=xÜ`과 직선 y=x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y='Äx+2 에서 yÛ`=x+2   ∴ x=yÛ`-2

S=4:)1 (x-xÜ`) dx=4[ xÛ`- xÝ`]1)=1


1 1 0ÉyÉ'2에서 yÛ`-2É0이므로
2 4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 (-yÛ`+2) dy
'2`
다른 풀이

⑴의 본풀이에서 넓이 S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2 4'2


=[- yÜ`+2y]) =
곡선 y= 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3 3

190 수학 Ⅱ
786  ②
v{t}

3
y
y=¸x+1˛-2
-1
O 3 x
-1 O 1 3 4 t

y=-2 따라서 t=1에서 t=4까지 물체가 움직인 거리는

y='Äx+1-2에서 y+2='Äx+1, (y+2)Û`=x+1 :!4 |tÛ`-4t+3| dt‌=:!3 (-tÛ`+4t-3) dt+:#4 (tÛ`-4t+3) dt

=[- tÜ`+2tÛ`-3t]3!+[ tÜ`-2tÛ`+3t]4#


∴ x=yÛ`+4y+3
1 1
-2ÉyÉ-1에서 yÛ`+4y+3É0이고 3 3
-1ÉyÉ0에서 yÛ`+4y+3¾0이므로 4 4 8
= + =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3 3 3

S‌=:_-@ 1` (-yÛ`-4y-3) dy+:_0!`(yÛ`+4y+3) dy 채점 요소 배점

=[- yÜ`-2yÛ`-3y]-_1@+[ yÜ`+2yÛ`+3y]0_!


시각 t에서의 물체의 위치 구하기 30 %
1 1
3 3 t=1에서 t=4까지 물체의 위치의 변화량 구하기 30 %

2 4 t=1에서 t=4까지 물체가 움직인 거리 구하기 40 %


= + =2
3 3

787  ⑴3 ⑵3 ⑶5 789  ②

⑴ 시각 t=3에서의 점 P의 위치는 t=7일 때, 점 P의 위치는

0+:)3 (4-2t) dt=[4t-tÛ`]3)=3 :)7 v(t) dt‌=:)4 t dt+:$7 (12-2t) dt

=[ tÛ`]4)+[12t-tÛ`]7$
⑵ t=0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1

:)3 (4-2t) dt=[4t-tÛ`]3)=3


2
=8+3=11
⑶ v(t)=4-2t=0에서 t=2 다른 풀이
v{t}
t (0Ét<4) 적
4 v(t)=[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분
12-2t (4Ét<7)
v{t}
4
3
O 2 t

-2 7
O 4 6 t
따라서 t=0에서 t=3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2

:)3 |4-2t| dt= _2_4+ _1_2=4+1=5


1 1
2 2 따라서 t=7일 때, 점 P의 위치는

:)7 v(t) dt= _6_4- _1_2


1 1
2 2

788   풀이 참조 =12-1=11

⑴ 시각 t에서의 물체의 위치는

3+:)t (tÛ`-4t+3) dt‌=3+[ tÜ`-2tÛ`+3t]t)


1
3 790  ⑤
1
= tÜ`-2tÛ`+3t+3 점 P가 시각 t=0에서 t=6까지 움직인 거리는

:)6 |v(t)| dt
3
⑵ t=1에서 t=4까지 물체의 위치의 변화량은

:!4 (tÛ`-4t+3) dt=[ tÜ`-2tÛ`+3t]4!=0


1
3 1 1 1 1
= _1_1+ _(1+2)_2+ _1_2+ _2_1
2 2 2 2
⑶ v(t)=tÛ`-4t+3=0에서 (t-1)(t-3)=0
1 11
∴ t=1 또는 t=3 = +3+1+1=
2 2

Ⅲ. 적분 191
791  ④ 795  ⑤

3초 후의 야구공의 높이는 ㄱ. t=0에서 t=c까지 이 물체의 위치의 변화량은

0+:)3 (12-6t) dt=[12t-3tÛ`]3)=9`(m)   ∴ a=9 :)c v(t) dt‌=:)a v(t) dt+:Ab v(t) dt+:Bc v(t) dt

v(t)=12-6t=0에서 t=2 =(-2)+3+(-24)=-23 (참)


v{t} ㄴ. t=0에서 t=c까지 이 물체의 이동 거리는

:)c |v(t)| dt‌=:)a |v(t)| dt+:Ab |v(t)| dt+:Bc |v(t)| dt


12

=2+3+24=29 (참)
ㄷ. t=c일 때, 이 물체의 위치는
3
O 2 t 5+:)c v(t) dt‌=5+(-23) (∵ ㄱ)

-6 =-18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따라서 3초 동안 야구공이 실제로 움직인 거리는

:)3 |12-6t| dt= _2_12+ _1_6=12+3=15`(m)


1 1
2 2
∴ b=15
796  ⑤

∴ a+b=9+15=24 ㄱ. t=3에서 점 P의 위치는


1
0+:)3 v(t) dt= _(1+3)_2=4 (거짓)
2

792  ② ㄴ. 점 P는 t=3, t=5일 때 운동 방향을 2번 바꿨다. (참)


ㄷ. 0ÉtÉ7에서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7 |v(t)| dt= _(1+3)_2+ _2_2+ _2_2=8


이 물체의 2초 후의 위치는 1 1 1
0+:)2 (v¼-10t) dt=[v¼t-5tÛ`]2)=2v¼-20=30
2 2 2
 (참)
∴ v¼=25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793  ② 797  ③

정지할 때의 속도는 0이므로 SÁ, Sª, S£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SÁ+S£=2Sª이다.
5
v(t)=20- t=0에서 t=8 ∴:Ab f(x) dx‌=SÁ+(-Sª)+S£
2
v{t} =(SÁ+S£)-Sª
20
=2Sª-Sª=Sª=12

798  ④

SÁ, Sª, S£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O 8 t
SÁ+S£=2Sª, 즉 SÁ+Sª+S£=3Sª이다.
따라서 제동 후 8초 동안 움직인 거리는 SÁ+Sª+S£‌=:_2!` f(x) dx
:)8 |20- t| dt= _8_20=80`(m)
=:_2!`(-xÛ`+x+2) dx
5 1
2 2

=[- xÜ`+ xÛ`+2x]2_!=


1 1 9
3 2 2
794  ③
이므로 3Sª=
9
2
v(t)=2t-8=0에서 t=4일 때, 점 P의 운동 방향이
3
-에서 +로 바뀐다. ∴ Sª=
2
따라서 t=4일 때, 점 P의 위치는

0+:)4 (2t-8) dt=[tÛ`-8t]4)=-16


다른 풀이

본풀이에서 SÁ+Sª+S£의 값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92 수학 Ⅱ
곡선 y=-xÛ`+x+2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x+2=0에서 y y=x@-a
-(x-2)(x+1)=0   ∴ x=-1 또는 x=2
|-1|_{2-(-1)}Ü` 9
∴ SÁ+Sª+S£= =
6 2 -Âa° O Âa° x

799   -3, 3
곡선 y=xÛ`-a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라 하면
곡선 y=xÛ`-a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a
xÛ`-ax=0에서 x(x-a)=0   ∴ x=0 또는 x=a S=:_ `(-xÛ`+a) dx
'a
따라서 곡선 y=xÛ`-a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a
=2:) `(-xÛ`+a) dx
S라 하면 a의 값의 범위에 따라 그림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a 4a'a 32
y=x@-ax y y y=x@-ax 1
=2[- xÜ`+ax]) = =
3 3 3
a'a=8, aÜ`=64
∴ a=4
a O x O a x 다른 풀이

본풀이에서 S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곡선 y=xÛ`-a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a<0일 때 a>0일 때
xÛ`-a=0에서 x=-'a 또는 x='a
Ú a<0일 때, {'a-(-'a)}Ü` 4a'a 32
∴ S= = =
S‌=:A0 (-xÛ`+ax) dx 6 3 3

=[- xÜ`+ axÛ`]0A=- =


1 1 aÜ` 9
3 2 6 2
aÜ`=-27   ∴ a=-3
801  ③

Û a>0일 때, 곡선 y=2xÜ`과 x축 및 두 직선 x=-2, x=a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S‌=:)a (-xÛ`+ax) dx

=[- xÜ`+ axÛ`]a)= =


x=a
x=-2 y y=2x#
1 1 aÜ` 9
3 2 6 2

aÜ`=27   ∴ a=3 x

O
Ú, Û에서 가능한 실수 a의 값은 -3, 3이다.
다른 풀이

곡선 y=xÛ`-a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ax=0에서 x(x-a)=0   ∴ x=0 또는 x=a

S‌=:_0@`(-2xÜ`) dx+:)a 2xÜ` dx


따라서 곡선 y=xÛ`-a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a의 값의 범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 xÝ`]0_@+[ xÝ`]a)
Ú a<0일 때, 1 1
2 2
(0-a)Ü` aÜ` 9
S= =- = 1
6 6 2 =8+ aÝ`=10
2
aÜ`=-27   ∴ a=-3
aÝ`=4
Û a>0일 때,
∴ a='2 (∵ a>0)
(a-0)Ü` aÜ` 9
S= = =
6 6 2
aÜ`=27   ∴ a=3
Ú, Û에서 가능한 실수 a의 값은 -3, 3이다. 802   :Á3¤:

xÛ`+4x-5 (x¾0)
xÛ`+4|x|-5=[ 이므로
800  ④
xÛ`-4x-5 (x<0)
곡선 y=xÛ`+4|x|-5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곡선 y=xÛ`-a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¾0일 때, xÛ`+4x-5=0에서
xÛ`-a=0에서 x=-'a 또는 x='a (x-1)(x+5)=0   ∴ x=1

Ⅲ. 적분 193
x<0일 때, xÛ`-4x-5=0에서
(x+1)(x-5)=0   ∴ x=-1
805  ⑤

y=x@+4|x|-5 주어진 다리를 지면이 x축, 포물선의 축이 y축이 되도록 좌표평면


y
위에 나타내면 아치의 폭이 4`m이므로
O 포물선을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5 -1 1 5 x y=a(x-2)(x+2)=a(xÛ`-4)`(a<0인 상수)
3
이때, 아치의 높이가 3`m이므로 -4a=3에서 a=- 이다.
4
3
따라서 이차함수의 식은 y=- (xÛ`-4)이다.
4
y=x@+4x-5 y=x@-4x-5
y 3
y=- x@+3
곡선 y=xÛ`+4|x|-5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4 4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3
S‌=-2:)1 (xÛ`+4x-5) dx

=-2[ xÜ`+2xÛ`-5x]1)
1
3 -3 -2 O 2 3 x
16
=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가로의 길이가 6이고 세로의 길이가 4인
3
3
직사각형의 넓이에서 곡선 y=- (xÛ`-4)와 x축으로 둘러싸인
4
803   14 부분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S(h)‌=:!1_ÑHh (6xÛ`+1) dx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6_4-:_2@`{- xÛ`+3} dx
3

=[2xÜ`+x]1!Ñ_hH
4
3
=24-2:)2 {- xÛ`+3} dx
4

=24-2[- xÜ`+3x]2)`
=4hÜ`+14h
S(h) 1
4hÜ`+14h
∴ lim = lim 4
h`Ú0+ h h`Ú0+ h
=16`(mÛ`)
= lim (4hÛ`+14)=14
h`Ú0+
다른 풀이

804  ④ 본풀이에서 구하는 넓이 S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도 있다.


3
곡선 y=- (xÛ`-4)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조건 ㈎에서 f '(x)=3xÛ`-2x-2이므로 4
f(x)=xÜ`-xÛ`-2x+C (C는 적분상수) 3 3
- (xÛ`-4)=0에서 - (x-2)(x+2)=0
4 4
이때, 조건 ㈏에서 f(2)=0이므로
∴ x=-2 또는 x=2

∴ S‌=6_4-:_2@`{- xÛ`+3} dx
f(2)=C=0
3
∴ f(x)=xÜ`-xÛ`-2x=x(x+1)(x-2) 4
y y=f{x} 3
|- |_{2-(-2)}Ü`
4
=24-
6
-1 O 2 x =24-8=16`(mÛ`)

곡선 y= f(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1, 0, 2이므로


806  ②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두 도형 A, B의 넓이를 각각 SA, SB라 하면


S라 하면 SA=SB이므로

S‌=:_0!`(xÜ`-xÛ`-2x) dx+:)2 (-xÜ`+xÛ`+2x) dx :)2 (-xÛ`+2x) dx=:@a (xÛ`-2x) dx에서

=[ xÝ`- xÜ`-xÛ`]0_!+[- xÝ`+ xÜ`+xÛ`]2)` :@a (xÛ`-2x) dx+:)2 (xÛ`-2x) dx=0


1 1 1 1
4 3 4 3

:)a (xÛ`-2x) dx=0


5 8 37
= + =
12 3 12

194 수학 Ⅱ
[ xÜ`-xÛ`]a)=0,
1 aÜ` f(x)=(x-a)(x-3)=xÛ`-(a+3)x+3a (a는 상수)라 하면

:)3 f(x) dx‌=:)3 {xÛ`-(a+3)x+3a} dx


-aÛ`=0, aÛ`(a-3)=0
3 3
∴ a=3 (∵ a>2)

xÛ`+3ax]3)
1 a+3
=[ xÜ`-
3 2
807   a=1, S=;2!; 9 9
= a- =0
2 2
곡선 y=xÜ`-(a+2)xÛ`+2ax=x(x-a)(x-2)와 ∴ a=1, f(x)=(x-1)(x-3)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를 각각 SA, SB라 하자. 따라서 곡선 y= f(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가 1, 3이므로
y y=x#-{a+2}x@+2ax
(3-1)Ü` 4
S=:!3 | f(x)| dx= =
6 3
4
∴ 30S=30_ =40
SÅ 3

O a 2 x

810  ⑤

SA=SB이므로 :)2 {xÜ`-(a+2)xÛ`+2ax} dx=0이다.


곡선 y=xÛ`과 직선 y=1의 교점의 x좌표는
xÛ`=1에서 x=-1 또는 x=1

[ xÝ`- (a+2)xÜ`+axÛ`]2)=4- (a+2)+4a=0


1 1 8 곡선 y=xÛ`과 직선 y=4의 교점의 x좌표는
4 3 3 xÛ`=4에서 x=-2 또는 x=2
∴ a=1 y y=x@
SA‌=:)1 (xÜ`-3xÛ`+2x) dx y=4

=[ xÝ`-xÜ`+xÛ`]1)=
1 1
4 4
1 1 y=1
∴ S=SA+SB=2SA=2_ =
4 2
-2 -1 O 1 2 x
TIP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2@`(4-xÛ`) dx-:_1!`(1-xÛ`) dx
삼차함수 y=x(x-a)(x-2)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서로 같으려면 삼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a, 0)에
대하여 대칭이어야 한다. 적
=2:)2 (4-xÛ`) dx-2:)1 (1-xÛ`) dx 분

=2[4x- xÜ`]2)-2[x- xÜ`]1)


0+2
따라서 =a에서 a=1임을 알 수도 있다.
2 1 1
3 3
32 4 28
= - =
3 3 3
808  ④
다른 풀이
y=xÛ`-2x+a=(x-1)Û`+a-1이므로
곡선 y=xÛ`과 직선 y=1의 교점의 x좌표는
곡선 y=xÛ`-2x+a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다.
xÛ`=1에서 x=-1 또는 x=1
이때, S`:`T=1`:`2에서 T=2S이므로

:)1 (xÛ`-2x+a) dx=0이다.


곡선 y=xÛ`과 직선 y=4의 교점의 x좌표는
xÛ`=4에서 x=-2 또는 x=2

[ xÜ`-xÛ`+ax]1)=0, - +a=0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1 2
3 3 {2-(-2)}Ü` {1-(-1)}Ü`
S‌= -
6 6
2
∴ a= 32 4 28
3 = - =
3 3 3

809   40
811
:)
 ③
2013 2013
f(x) dx=:# f(x) dx에서

:)
1
곡선 y= xÛ`과 직선 y=2의 교점의 x좌표는
2013
f(x) dx-:#
2013
f(x) dx=:)3 f(x) dx=0이다. 2
1
xÛ`=2에서 xÛ`=4   ∴ x=-2 또는 x=2
이때,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고 f(3)=0이므로 2

Ⅲ. 적분 195
S‌=:_1#`{(-xÛ`-4x+6)-xÛ`} dx
곡선 y=2xÛ`과 직선 y=2의 교점의 x좌표는
2xÛ`=2에서 xÛ`=1   ∴ x=-1 또는 x=1
2_{1-(-3)}Ü` 64
y=2x@ y= 1 x@ =
6
=
3
y 2

y=2

814  ②
-2 -1 O 1 2 x
곡선 y=|xÛ`-1|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xÛ`-1|=0에서 x=-1 또는 x=1
S‌=2[ :)1 {2xÛ`- xÛ`} dx+:!2 {2- xÛ`} dx]
1 1 곡선 y=|xÛ`-1|과 직선 y=3의 교점의 x좌표는
2 2

=2{[ xÜ`- xÜ`]1)+[2x- xÜ`]2!}


|xÛ`-1|=3에서 x=-2 또는 x=2
2 1 1 y=|x@-1|
3 6 6 y

1 5 8
=2{ + }=
y=3
2 6 3
다른 풀이 1

S‌=2{ :)1 2xÛ` dx+:!2 2 dx-:)2


1
xÛ` dx} -2 -1 O 1 2 x
2

=2{[ xÜ`]1)+[2x]2!-[ xÜ`]2)}


2 1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3 6
2 4 8 S=2[:)1 {3-(-xÛ`+1)} dx+:!2 {3-(xÛ`-1)} dx]
=2{ +2- }=
=2{[ xÜ`+2x]1)+[- xÜ`+4x]2!}`
3 3 3
1 1
3 3
7 5
812  ④ =2{ + }=8
3 3
곡선 y=xÛ`-4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xÛ`-4x=-x에서 x(x-3)=0   ∴ x=0 또는 x=3

SÁ=:)3 {-x-(xÛ`-4x)} dx=


3Ü` 9
6
=
2
815  ③

함수 f(x)=|xÛ`-2x-1|의 그래프와 직선 y=a가 서로 다른


Sª‌=:)4 (-xÛ`+4x) dx-SÁ
세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f(1)=a이어야 한다.
|-1|_4Ü` 9 37 f(1)=|-2|=2이므로 a=2
= - =
6 2 6
|xÛ`-2x-1|=2에서
37
Sª 6 37 xÛ`-2x-1=2일 때, (x-3)(x+1)=0   ∴ x=-1 또는 x=3
∴ = =
SÁ 9 27 xÛ`-2x-1=-2일 때, (x-1)Û`=0   ∴ x=1
2
y
y=f{x}

813  ⑤ y=2

f(x)=-(x+2)Û`+10=-xÛ`-4x+6이므로
두 곡선 y=xÛ`, y= f(x)의 교점의 x좌표는 -1 O 1 3 x
xÛ`=-xÛ`-4x+6에서 2xÛ`+4x-6=0, 2(x+3)(x-1)=0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 x=-3 또는 x=1
y S=2:!3 {2- f(x)} dx
y=x@

y=f{x} 816  ②

두 곡선 y=xÛ`-ax와 y=ax-xÛ`의 교점의 x좌표는


-3 O 1 x
xÛ`-ax=ax-xÛ`에서 x(x-a)=0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 x=0 또는 x=a

196 수학 Ⅱ
[- xÜ`+ xÛ`]2)=- +2(2-a)=-2a+ =0
y y=x@-ax 1 2-a 8 4
3 2 3 3
2
∴ a=
3
O a x

y=ax-x@ 819  ③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a {(ax-xÛ`)-(xÛ`-ax)} dx
두 곡선 y=xÜ`-axÛ`+2ax와 y=3xÛ`-ax의 교점의 x좌표는
xÜ`-axÛ`+2ax=3xÛ`-ax에서 xÜ`-(a+3)xÛ`+3ax=0
x(x-3)(x-a)=0
|-2|aÜ` 8
= = ∴ x=0 또는 x=3 또는 x=a yy TIP
6 3
aÜ`=8 y=3x@-ax y

∴ a=2

y=x#-ax@+2ax

817  ④

곡선 y=-xÛ`+5x와 직선 y=ax의 교점의 x좌표는 O 3 a x


-xÛ`+5x=ax에서 x(x+a-5)=0
∴ x=0 또는 x=5-a
이때, 두 곡선 y=xÜ`-axÛ`+2ax와 y=3xÛ`-ax로 둘러싸인
y y=ax
y=-x@+5x 두 도형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a {(xÜ`-axÛ`+2ax)-(3xÛ`-ax)} dx=0이다.

:)a {xÜ`-(a+3)xÛ`+3ax} dx‌=[ xÝ`- xÜ`+ xÛ`]a)


1 a+3 3a
4 3 2
O
5-a 5 x aÝ` `
aÜ (a+3) 3aÜ`
= - + =0
4 3 2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aÜ`(a-6)=0
5-a ∴ a=6`(∵ a>3)
S‌=:) {(-xÛ`+5x)-ax} dx

|-1|(5-a)Ü` 9 TIP 분
= =
6 2 두 곡선 y=xÜ`-axÛ`+2ax와 y=3xÛ`-ax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5-a)Ü`=3Ü`, 5-a=3 넓이는 곡선 y=x(x-3)(x-a)(a>3)과 x축으로 둘러싸인
∴ a=2 두 도형의 넓이와 같다.
y y=x{x-3}{x-a}

818  ②

곡선 y=-xÛ`+2x와 직선 y=ax의 교점의 x좌표는 O


3 a x
-xÛ`+2x=ax에서 x(x+a-2)=0
∴ x=0 또는 x=2-a
y
y=ax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삼차함수 y=x(x-3)(x-a)의
S¡ 그래프가 점 (3, 0)에 대하여 대칭이어야 한다.
S™
0+a
O 따라서 =3에서 a=6임을 알 수도 있다.
x
2
2-a

y=-x@+2x

x=2
SÁ=Sª이므로 820  ③

:) `{(-xÛ`+2x)-ax} dx=:@2_A`{ax-(-xÛ`+2x)} dx에서


2-a
두 곡선 y=2xÛ`과 y=-xÛ`+6x의 교점의 x좌표는

:)2 {(-xÛ`+2x)-ax} dx=0이다.


2xÛ`=-xÛ`+6x에서 3x(x-2)=0
∴ x=0 또는 x=2 yy TIP

Ⅲ. 적분 197
y 곡선 y=xÛ`-3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ª라 하면
y=2x@
3Ü` 9
Sª= =
y=-x@+6x 6 2
1 (m+3)Ü` 9
이때, SÁ= Sª이므로 =
2 6 4
27
∴ (m+3)Ü`=
2
O 2 6 x
x=a 참고
두 곡선 y=2xÛ`과 y=-xÛ`+6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Á이라 곡선 y=xÛ`-3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하면 직선 y=mx에 의하여 이등분되기 위해서는 -3<m<0이어야
|-3|_2Ü` 한다.
SÁ=:)2 {(-xÛ`+6x)-2xÛ`} dx= =4
6
두 곡선 y=2xÛ`, y=-xÛ`+6x와 직선 x=a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중 하나를 Sª라 하면

Sª=:)a {(-xÛ`+6x)-2xÛ`} dx=[-xÜ`+3xÛ`]a)=-aÜ`+3aÛ`


822  2

곡선 y=xÛ`-x와 직선 y=ax의 교점의 x좌표는


SÁ=2Sª이므로 4=2(-aÜ`+3aÛ`)
xÛ`-x=ax에서 x(x-a-1)=0   ∴ x=0 또는 x=a+1
aÜ`-3aÛ`+2=0, (a-1)(aÛ`-2a-2)=0 y=x@-x
y
a=1 또는 a=1Ñ'3
∴ a=1 (∵ 0<a<2) y=ax

1
TIP a+1 x
O
두 곡선 y=2xÛ`과 y=-xÛ`+6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곡선
y=3x(x-2)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같다. 곡선 y=xÛ`-x와 직선 y=a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Á이라
y y=3x{x-2} 하면
a+1 (a+1)Ü`
SÁ=:) {ax-(xÛ`-x)} dx=
O 2 x 6
곡선 y=xÛ`-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ª라 하면
1Ü` 1
Sª=:)1 {-(xÛ`-x)} dx= =
6 6
(a+1)Ü` 1
이때, SÁ=2Sª이므로 =2_
6 6
x=1
∴ (a+1)Ü`=2
이때, 곡선 y=3x(x-2)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곡선 y=3x(x-2)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직선
x=1에 의하여 이등분된다. 따라서 a=1임을 알 수 있다. 823  ④

:)1 {(-xÝ`+x)-(xÝ`-xÜ`)} dx=2:)1 {(ax-axÛ`)-(xÝ`-xÜ`)} dx

821   ;;ª2¦;; 이므로

:)1 (-xÝ`+x) dx=2:)1 (ax-axÛ`) dx-:)1 (xÝ`-xÜ`) dx에서

[- xÞ`+ xÛ`]1)=2[ xÛ`- xÜ`]1)-[ xÞ`- xÝ`]1)


곡선 y=xÛ`-3x와 직선 y=mx의 교점의 x좌표는
xÛ`-3x=mx에서 xÛ`-(m+3)x=0, x(x-m-3)=0 1 1 a a 1 1
5 2 2 3 5 4
∴ x=0 또는 x=m+3
3 1 3
=2_ -{- }   ∴ a=
a
y y=x@-3x 10 6 20 4

m+3
3 x
O
824  ②

1
y=mx yy 참고 f(x)=- xÛ`+1이라 하면 f '(x)=-x이고,
2
곡선 y=xÛ`-3x와 직선 y=m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삼각형 ABC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직선 AC의 기울기는
SÁ이라 하면 -1이다.
m+3 (m+3)Ü` 1
SÁ=:) {mx-(xÛ`-3x)} dx=
6 즉, -x=-1에서 x=1이므로 E{1, }이다.
2

198 수학 Ⅱ
S‌=:_1@`{(xÜ`+2)-3x} dx=:_1@`(xÜ`-3x+2) dx
따라서 점 E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 AC의 방정식은

=[ xÝ`- xÛ`+2x]1_@=
1 3
y- =-(x-1)   ∴ y=-x+
2 2 1 3 27
1 4 2 4
삼각형 ABC와 곡선 y=- xÛ`+1이 모두 y축에 대하여
2
TIP
대칭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대칭성에 의하여
주어진 조건에서 곡선 y=xÜ`+2와 직선 y=3x가 x=1에서
3 1
S‌=2:)1 [{-x+ }-{- xÛ`+1}] dx 접하므로 삼차방정식 xÜ`+2=3x는 x=1을 중근으로 갖는다.
2 2

=2[ xÜ`- xÛ`+ x]1)=


1 1 1 1 그러므로 나머지 한 근을 a라 할 때,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6 2 2 3 관계에 의하여
1+1+a=0   ∴ a=-2
즉, 곡선 y=xÜ`+2와 직선 y=3x가 만나는 또 다른 점의
825  ①
x좌표가 -2임을 알 수도 있다.
y=xÛ`-1에서 y'=2x이므로
점 (t, tÛ`-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t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tÛ`-1)=2t(x-t)에서 y=2tx-tÛ`-1이다. 827  ④
y x=1 y=x@-1
곡선 y=xÜ`+xÛ`-2x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서로 접해야 한다.
1
O x 이때, f(x)=xÜ`+xÛ`-2x라 하면 f '(x)=3xÛ`+2x-2이므로
3xÛ`+2x-2=-1에서 (x+1)(3x-1)=0
{t,`t@-1} 1
∴ x=-1 또는 x=
3
곡선 y=xÛ`-1과 이 곡선 위의 점 (t, tÛ`-1)에서의 접선 및 y축과
y y=x#+x@-2x
직선 x=1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t)라 하면
2
S(t)‌=:)1 {(xÛ`-1)-(2tx-tÛ`-1)} dx

-2
=:)1 (xÛ`-2tx+tÛ`) dx x
-1 O 1

=[ xÜ`-txÛ`+tÛ`x]1)
1
y=-x+k
3
1 1 1 k>0이므로 f(-1)=2에서 2=-(-1)+k   ∴ k=1
=tÛ`-t+ ={t- }Û`+ 적
3 2 12 따라서 곡선 y=xÜ`+xÛ`-2x와 직선 y=-x+1로 둘러싸인 부분의 분
1 1 넓이를 S라 하면

S‌=:_1!`{(-x+1)-(xÜ`+xÛ`-2x)} d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t= 일 때 최솟값 을 갖는다.
2 12

=2:)1 (-xÛ`+1) dx=2[- xÜ`+x]1)=


1 4
826  ② 3 3

y=xÜ`+2에서 y'=3xÛ`이므로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이고 828  ②
접선의 방정식은 y-3=3(x-1)에서 y=3x이다.
두 곡선 y= f(x)와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곡선 y=xÜ`+2와 직선 y=3x의 교점의 x좌표는
두 곡선 y= f(x)와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xÜ`+2=3x에서 xÜ`-3x+2=0, (x+2)(x-1)Û`=0
곡선 y= 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2배이다.
∴ x=-2 또는 x=1 yy TIP
곡선 y= 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y y=3x xÜ`+xÛ`+x=x에서 xÛ`(x+1)=0   ∴ x=-1 또는 x=0
3 y y=f{x}
y=x#+2 y=x

-2 O y=g{x}
1 x
-1
O x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Ⅲ. 적분 199
S=2:_0!`{(xÜ`+xÛ`+x)-x} dx=2[ xÝ`+ xÜ`]0_!=
1 1 1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4 3 6 (A 부분의 넓이)=(B 부분의 넓이)이므로

:!2 f(x) dx+:!6 g(x) dx‌=(C 부분의 넓이)+(A 부분의 넓이)


829  ⑤
=2_6-1_1=11
두 곡선 y= f(x)와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y y=x
11 y=f{x} 832  ②

두 곡선 y= f(x)와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y y=f{x}
y=g{x} y=x
f{a+1}
1
B
12 x
O x=11 f{a}
C y=g{x}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다. a+1
a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A

S‌=2_11-:)2 (xÜ`+x+1) dx O a f{a} f{a+1} x

=22-[ xÝ`+ xÛ`+x]2)=14


a+1
1 1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4 2
(A 부분의 넓이)=(B 부분의 넓이)이므로

:A
a+1 f(a+1)

830  ③ ` f(x) dx+:


f(a)
`g(x) dx

=(C 부분의 넓이)+(B 부분의 넓이)


두 곡선 y= f(x)와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a+1){(a+1)Û`+(a+1)}-a(aÛ`+a)
y y=f{x} y=x =3aÛ`+5a+2=24
6
3aÛ`+5a-22=0, (a-2)(3a+11)=0
B ∴ a=2 (∵ a>0)
y=g{x}
2
C
A 833  ③
O 2 6 x
y y=Â2xÊ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y=Âx°°
(A 부분의 넓이)=(B 부분의 넓이)이므로 y=4

:)2 f(x) dx+:@6 g(x) dx‌=(C 부분의 넓이)+(B 부분의 넓이)


O x
=2_6=12
1
y='x에서 x=yÛ`, y='2§x 에서 x= yÛ`
2
831  ⑤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4 {yÛ`- yÛ`} dy=[ yÜ`]4)=


f(x)=xÜ`-xÛ`+x에서 f '(x)=3xÛ`-2x+1 1 1 32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 6 3
D
=1Û`-3<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0이다.
4
따라서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증가한다. 834  ②

이때, 두 곡선 y= f(x)와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y


y y=f{x} y=x
6 Âa° y=¸2a-˛x˛

A C
O 2a x
2 y=g{x}
x=a
1 B
y='Ä2a-x 에서 yÛ`=2a-x, x=-yÛ`+2a이고
O1 2 6 x
곡선 y='Ä2a-x 와 직선 x=a의 교점의 y좌표는 'a이다.

200 수학 Ⅱ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채점 요소 배점
'a`
S‌=:) {(-yÛ`+2a)-a} dy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구하기 30 %
지면에 닿는 순간의 물 로켓의 속도 구하기 30 %
'a`
=:) (-yÛ`+a)dy 지면에 닿을 때까지 움직인 거리 구하기 40 %
'a
1 2 1
=[- yÜ`+ay]) = a'a=
3 3 12
1 1
a'a= , aÜ`=
8 64 837  ④
1
∴ a= v(t)=tÛ`-4t+3=(t-1)(t-3)=0에서
4
t=1 또는 t=3이고, 이때 점 P의 운동 방향이 바뀐다.
v{t}

835  1

곡선 x=yÜ`+(1-a)yÛ`-ay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는


yÜ`+(1-a)yÛ`-ay=0에서 y=-1 또는 y=0 또는 y=a

따라서 :_a! {yÜ`+(1-a)yÛ`-ay} dy=0이므로


O 1 3 t

[ yÝ`+ yÜ`- ayÛ`]a_!=0


1 1-a 1 따라서 출발 후 두 번째로 운동 방향이 바뀌는 순간까지
4 3 2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3 |v(t)| dt‌=:)1 (tÛ`-4t+3) dt+:!3``(-tÛ`+4t-3) dt


aÝ`+2aÜ`-2a-1=0

=[ tÜ`-2tÛ`+3t]1)+[- tÜ`+2tÛ`-3t]3!`
(a-1)(a+1)Ü`=0
∴ a=1 (∵ a>0) 1 1
3 3
4 4 8
= + =
3 3 3

836   풀이 참조

⑴ ‌물 로켓이 최고 높이에 도달할 때, 물 로켓의 속도는 0이다.


v(t)=50-10t=0에서 t=5이므로
838  ④

t=5일 때, 물 로켓의 높이는 점 P가 다시 원점을 지날 때의 시각을 x`(x>0)초라 하면

55+:)5` (50-10t) dt=55+[50t-5tÛ`]5)=180`(m)



그때까지 위치의 변화량이 0이어야 하므로 yy TIP

:)/ v(t) dt‌=:)/``(3tÛ`-4t-3) dt


⑵ t=x일 때, 물 로켓의 높이는

55+:)/` (50-10t)dt=55+[50t-5tÛ`]/) =[tÜ`-2tÛ`-3t]/)

=-5xÛ`+50x+55 =xÜ`-2xÜ`-3x
이므로 지면에 닿을 때까지 걸린 시간은 =x(x+1)(x-3)=0
-5xÛ`+50x+55=0에서 xÛ`-10x-11=0 ∴ x=3 (∵ x>0)
(x+1)(x-11)=0   ∴ x=11
TIP
즉, 11초 후이므로 그때의 속도는 v(11)=-60`(m/s)이다.
t=x일 때, 점 P의 위치가 0임을 이용하여 풀이할 수도 있다.
⑶ v(t)=50-10t=0에서 t=5이고
‌⑵에서 물 로켓이 지면에 닿을 때까지 걸린 시간은 11초이므로
움직인 거리는
v{t}
50
839  ⑤

점 P가 원점을 지날 때의 시각을 x`(x>0)초라 하면


그때의 위치는 0이어야 하므로

-5+:)/ (2t-4) dt‌=-5+[tÛ`-4t]/)


O 5 11 t

-60 =xÛ`-4x-5

:)1`1 |50-10t| dt= _5_50+ _6_60=305`(m)


=(x+1)(x-5)=0
1 1
2 2 ∴ x=5 (∵ x>0)

Ⅲ. 적분 201
:)2` |2t-1| dt= _ _1+ _ _3=
v{t} 1 1 1 3 5
6 2 2 2 2 2

843   풀이 참조
O 2 5 t 출발 후 x초 후의 점 P의 위치는

-4 0+:)/ (-2t+1) dt=[-tÛ`+t]/)=-xÛ`+x

따라서 5초 동안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출발 후 x초 후의 점 Q의 위치는

:)5 |2t-4| dt= _2_4+ _3_6=13


1 1 0+:)/ (4t-8) dt=[2tÛ`-8t]/)=2xÛ`-8x
2 2
두 점 P, Q가 만날 때, 위치가 서로 같으므로
-xÛ`+x=2xÛ`-8x에서 3x(x-3)=0, x=0 또는 x=3
840  ⑤
∴ tÁ=3
점 P의 t=0에서 t=4까지의 위치의 변화량이 0이어야 하므로 y y=2x@-8x

:)4 v(t) dt‌=:)2 (2t-3tÛ`) dt+:@4 {a(t-2)-8} dt


3
O x

=[tÛ`-tÜ`]2)+[ tÛ`-(2a+8)t]4@`
a
2
=-4+(2a-16)=2a-20=0
∴ a=10
y=-x@+x

0<x<3일 때,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841   2초
3
(-xÛ`+x)-(2xÛ`-8x)=-3xÛ`+9x=-3{x- }Û`+
27
2 4
두 점 P, Q의 시각 t=x에서의 위치를 각각 sÁ(x), sª(x)라 하면

tÛ`+4t]/)= xÛ`+4x
3 3
3 3 따라서 x= 일 때, 두 점 P, Q 사이의 거리가 최대이므로 tª=
sÁ(x)=0+:)/ (3t+4) dt=[ 2 2
2 2

sª(t)=0+:)/ (t-6tÛ`) dt=[ tÛ`-2tÜ`]/)= xÛ`-2xÜ`


3 9
1 1 ∴ tÁ+tª=3+ =
2 2
2 2
따라서 선분 PQ의 중점 M의 시각 t=x에서의 위치는 채점 요소 배점

sÁ(x)+sª(x) t=x일 때 두 점 P, Q의 위치 구하기 20 %


=-xÜ`+xÛ`+2x=-x(x+1)(x-2)
2 tÁ의 값 구하기 30 %
이므로 -x(x+1)(x-2)=0에서 x=2 tª의 값 구하기 40 %
따라서 점 M이 다시 원점을 지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2초이다. tÁ+tª의 값 구하기 10 %

842  ①
844  ⑤

점 P의 x초 후의 위치는 제동을 건 후 열차의 가속도가 -a`m/sÛ`이므로


0+:)/ (3tÛ`-2t) dt=[tÜ`-tÛ`]/)=xÜ`-xÛ` 제동을 건 후 t초일 때의 열차의 속도 v(t)는
t=0일 때 속도가 30`m/s이므로 v(t)=30-at`(m/s)이다.
점 Q의 x초 후의 위치는

2+:)/ (2t-1) dt=2+[tÛ`-t]/)=xÛ`-x+2


정지할 때의 속도가 0이므로
30
v(t)=30-at=0에서 t=
a
따라서 두 점 P, Q가 만나는 시각은
따라서 이 열차가 장애물과 부딪히기 전에 정지하기 위해서는
xÜ`-xÛ`=xÛ`-x+2에서 (x-2)(xÛ`+1)=0   ∴ x=2
30
v{t} 제동을 건 후 초 동안 움직인 거리가 150`m 미만이어야 하므로
a

:) |30-at| dt= _ _30<150


3
;;£a¼;;
1 30
2 a
∴ a>3
O
1 2
-1 2
t
845  ⑤

따라서 2초 동안 점 Q가 움직인 거리는 이 버스가 3`km까지 달릴 동안 걸린 시간을 x`(x>0)분이라 하면

202 수학 Ⅱ
:)/ | tÛ`+ t| dt= xÜ`+ xÛ`=3
3 1 1 1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4 2 4 4
xÜ`+xÛ`-12=0, (x-2)(xÛ`+3x+6)=0   ∴ x=2
t=2일 때, 버스의 속도는 v(2)=4`(km/분)이므로
12분 동안 이 버스가 달린 거리는
848  ④

:)2 | tÛ`+ t| dt+:@1`2` |4| dt


3 1 ① 점 P는 출발 후 1초 동안 멈춘 적이 없다. (거짓)
4 2 ② ‌닫힌구간 [1, 2]에서 v(t)¾0이므로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 tÜ`+ tÛ`]2)`+[4t]1@2`
1 1 움직이고, 닫힌구간 [2, 3]에서 v(t)É0이므로 음의 방향으로
4 4
움직인다. (거짓)

③ t=1에서 t=3까지 위치의 변화량은 :!3 v(t) dt=0이다. (거짓)


=3+40=43`(km)

846   132`m 1
④ t=1일 때, 점 P의 위치는 0+:)1 v(t) dt= _1_2=1
2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맨 위층까지 올라갈 때 걸린 시간을 t=5일 때, 점 P의 위치는
t=x (초)라 하면 시각 t에 대하여 이 엘리베이터의 속도 v(t)는
1
( 3t (0Ét<4) 0+:)5 v(t) dt=0+ _1_2=1이므로
2
v(t)={ 12 (4Ét<10)
t=1일 때와 t=5일 때의 점 P의 위치는 같다. (참)
9 32-2t (10ÉtÉx)
⑤ t=6일 때, 점 P는 원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거짓)
따라서 32-2x=0에서 x=16이므로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④이다.
( 3t (0Ét<4)
v(t)={ 12 (4Ét<10)
9 32-2t (10ÉtÉ16)
v{t}
849  ④

12 ① t=2의 좌우에서 v(t)의 부호가 바뀌므로 운동 방향을


1번 바꿨다. (참)
② t=8일 때, 위치는
1
1+:)8 v(t) dt=1+ _(1+4)_2=6 (참)
2
O 4 10 16 t
③ t=1일 때 점 P의 위치는
따라서 이 건물의 1층에서 맨 위층까지 엘리베이터가 움직인 거리는

:)1`6` |v(t)| dt‌=:)4 3t dt+:$1`0 12 dt+:!1)6` (32-2t) dt


1
1+:)1 v(t) dt=1- _1_2=0,
2 적

t=3일 때 점 P의 위치는
1 1 1 1
= _4_12+6_12+ _6_12=132`(m) 1+:)3 v(t) dt=0- _1_2+ _1_2=0이고,
2 2 2 2
‌t>3일 때 점 P는 x축의 양의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원점을
847  ④ 2번 지난다. (참)
④ t=1에서 t=4까지 움직인 거리는

:!4 |v(t)| dt= _1_2+ _1_2+1_2=4이다. (거짓)


ㄱ. 점 P가 출발하고 나서 원점을 다시 지나려면

:)/ v(t) dt=0인 실수 x가 구간 (0, d]에서 존재해야 한다.


1 1
2 2

그런데 :)a |v(t)| dt>:Ac |v(t)| dt이므로


⑤ t=1일 때와 t=3일 때의 속력은 2로 서로 같다. (참)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점 P는 출발하고 나서 원점을 다시 지날 수 없다. (거짓)

ㄴ. :)a |v(t)| dt=:Ad |v(t)| dt에서


850  ④
:)a v(t) dt=-:Ac v(t) dt+:Cd v(t) dt 점 P가 출발할 때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가

∴ :)a v(t) dt+:Ac v(t)dt=:)c v(t) dt=:Cd v(t) dt (참) 12이므로 :A5 |v(t)| dt=12이다.

ㄷ. :Bd |v(t)| dt‌=-:Bc v(t) dt+:Cd v(t) dt


닫힌구간 [0, a], [5, 6]에서 v(t)¾0이고
닫힌구간 [a, 5]에서 v(t)É0이므로
=-:Bc v(t) dt+:)c v(t) dt (∵ ㄴ) :A6 v(t) dt=:A5 |v(t)|dt에서

=:)b v(t) dt (참) :)a v(t) dt+:A5 v(t) dt+:%6 v(t) dt=:A5 |v(t)| dt

Ⅲ. 적분 203
:)a v(t) dt+(-12)+:%6 v(t) dt=12 y

:)a v(t) dt+:%6 v(t) dt=24


y=x@-ax

따라서 점 P가 시각 t=0에서 t=6까지 움직인 거리는

:)6 |v(t)| dt‌=:)a |v(t)| dt+:A5 |v(t)| dt+:%6 |v(t)| dt


O a x
x=2
곡선 y=xÛ`-ax (0<a<2)와 x축 및 직선 x=2로 둘러싸인
=:)a v(t) dt+:%6 v(t) dt+12
부분의 넓이를 S(a)라 하면
=24+12=36
S(a)‌=:)a (-xÛ`+ax) dx+:A2 (xÛ`-ax) dx

+[ xÜ`- axÛ`]2A
|-1|_aÜ` 1 1
851  ④ =
6 3 2
aÜ` 8
두 곡선 y=xn, y=xn+1의 교점의 x좌표는 = -2a+
3 3
xn=xn+1에서 xn(x-1)=0   S'(a)=aÛ`-2=(a+'2 )(a-'2 )
∴ x=0 또는 x=1 0<a<2에서 a='2일 때 S'(a)=0이므로
y y=x˝±! y=x˝ 함수 S(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0 y '2 y 2
S'(a) - 0 +
S(a) ↘ S('2) ↗
따라서 S(a)는 a='2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O 1 x

Sn‌=:)1 (xn-xn+1) dx
854  ③

xn+2]1)
1 1
=[ xn+1- v(t)=-tÛ`+3t=0에서 t(t-3)=0   ∴ t=3
n+1 n+2
1 1 즉, 3초 후 물이 멈춘다.
= -
n+1 n+2 3초 동안 물이 움직인 거리는
∴ Á Sn‌={ - }+{ - }+y+{ - } :)3 (-tÛ`+3t) dt=[- tÜ`+ tÛ`]3)= `(cm)이고
30 1 1 1 1 1 1 1 3 9
n=1 2 3 3 4 31 32 3 2 2
1 1 15 단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2`cm이므로
= - =
2 32 32
물이 흐르기 시작하여 멈출 때까지 흘러나온 물의 양은
9
(p_2Û`)_ =18p`(cmÜ`)이다.
2
852  ②

곡선 y=xÛ`+ax-3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를 a, b`(a<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855   f(x)=-6xÜ`+18x

a+b=-a, ab=-3  yy ㉠ 조건 ㈎에 의하여 f(x)는 삼차함수이고


곡선 y=xÛ`+ax-3과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라 하면 조건 ㈐에 의하여 f(x)=axÜ`+bx (a, b는 상수)라 하면
(b-a)Ü` f '(x)=3axÛ`+b이다.
S= =36
6
이때, 조건 ㈏에 의하여 f '(-1)=0이므로
(b-a)Ü`=6Ü`   ∴ b-a=6  yy ㉡
f '(-1)=3a+b=0   ∴ b=-3a
㉠, ㉡에서
f(x)=axÜ`-3ax=ax(x+'3 )(x-'3 )
(a+b)Û`=(b-a)Û`+4ab
y
(-a)Û`=6Û`+4_(-3), aÛ`=24 y=f{x}
∴ a=2'6 (∵ a>0)
-1
-Â3 O 1 Â3 x

853  ④

곡선 y=xÛ`-ax (0<a<2)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ax=0에서 x(x-a)=0   조건 ㈑에서 곡선 y= 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 x=0 또는 x=a 27이므로

204 수학 Ⅱ
:) (axÜ`-3ax) dx=[ xÝ`- xÛ`]) =- a=
'3 '3
3a 9 27
a
4 2 4 2
∴ a=-6 858  ③
∴ f(x)=-6xÜ`+18x a<b일 때, 두 점 P, Q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bÛ`-aÛ`
y-aÛ`= (x-a)   ∴ y=(a+b)x-ab
b-a

856  ③ 따라서 직선 PQ와 곡선 y=xÛ`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ㄱ. ‌닫힌구간 [a, b]에서 함수 F(x)의 도함수 f(x)가
S‌=:Ab {(a+b)x-ab-xÛ`}dx
f(x)>0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함수 F(x)는 닫힌구간 [a, b]에서 증가한다. (참) |-1|(b-a)Ü`
= =36
6
F(b)-F(a) 1
ㄴ. = _:Ab f(x) dx>0이고 즉, (b-a)Ü`=6Ü`에서 b-a=6
b-a b-a
f(b)- f(a) PQÓ "Ã(b-a)Û`+(bÛ`-aÛ`)Û`
직선 PQ의 기울기는 <0이므로 ∴ lim ‌= lim
b-a a`Ú¦ a a`Ú¦ a
F(b)-F(a) "Ã(b-a)Û`+{(a+6)Û`-aÛ`}Û`
는 직선 PQ의 기울기와 같지 않다. (거짓) = lim
b-a a
ㄷ. :Ab { f(x)- f(b)} dx의 값은 [그림1]의 색칠된 부분의
a`Ú¦

"Ã6Û`+(36+12a)Û`
= lim
a`Ú¦ a
(b-a){ f(a)- f(b)}
36 36
= lim ¾¨
넓이와 같고, 의 값은 [그림2]의 색칠된
2 +{ +12}Û`=12
a`Ú¦ aÛ` a
직각삼각형의 넓이와 같다.
y y

f{a} P f{a} P
859  ①

Q y=f{x} Q y=f{x} 1
f{b} f{b} y=xÛ`+x+ 에서 y'=2x+1이므로
4
1
O a b x O a b x
접점의 좌표를 {a, aÛ`+a+ }이라 하면
4
[그림1] [그림2] 접선의 기울기는 2a+1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즉, :Ab { f(x)- f(b)} dxÉ
(b-a){ f(a)- f(b)} 1
이다. (참) y=(2a+1)(x-a)+aÛ`+a+
2 4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적
이 접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분
1 9 3 3
-2=-aÛ`+ , aÛ`=    ∴ a=- 또는 a=
4 4 2 2

857  ④
즉, 접선의 방정식은 y=-2x-2, y=4x-2이다.
y=x@+x+
1
4 y
주어진 그림을 좌표평면 위에 직선 MN이 x축, 선분 MN의 중점이 y=4x-2
원점이 되도록 놓으면 그림과 같다.
y=-2x-2
y y=a{x#-3x}
Â3 D
A
3 O 3 x
-
M N 2 2
x -2
-Â3 O Â3

C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B -Â3
1
S=:_0 `[{xÛ`+x+ }-(-2x-2)] dx
;2#; 4
f(x)=a(xÜ`-3x)라 하면 f '(x)=3a(x+1)(x-1)이므로
;2#;
1
f(-1)='3이어야 한다. +:) `[{xÛ`+x+ }-(4x-2)] dx
4
'3
즉, f(-1)=2a='3에서 a= 9 ;2#
9
2 =:_0 `{xÛ`+3x+ } dx+:) `{xÛ`-3x+ } dx
;2#; 4 4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3 '3 1 3 9 1 3 9 ;2#;
S‌=-2:) ` (xÜ`-3x) dx =[ xÜ`+ xÛ`+ x]0 +[ xÜ`- xÛ`+ x])
2 3 2 4 -;2#; 3 2 4

=-'3`[ xÝ`- xÛ`]) =


1 3 '3 9'3 9 9 9
= + =
4 2 4 8 8 4

Ⅲ. 적분 205
'3 '3
860  ⑤ 따라서 포물선 y=
2
xÛ`+
2
과 두 직선 y='3x, y=-'3x로

1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라 하면

S‌=:_1!`{
a>0이므로 두 곡선 y=axÜ`, y=- xÜ`의 교점의 x좌표는
a '3 '3 1
xÛ`+ } dx-2_{ _1_'3 }
1 1 2 2 2
axÜ`=- xÜ`에서 {a+ }xÜ`=0   ∴ x=0
a a
='3:)1 (xÛ`+1) dx-'3
1

='3`[ xÜ`+x]1)-'3
y=- x# y
a
1
3
4'3 '3
= -'3=
x 3 3
O
따라서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6S=2'3이다.

1
y=ax# x=2
862   13
두 곡선 y=axÜ`, y=- xÜ`과 직선 x=2로 둘러싸인
a 그림에서 ∠OAB=90ù이므로 선분 OB는 원 C의 지름이고,
도형의 넓이를 S(a)라 하면 OBÓ="ÃtÛ`+tÝ`이다.
1
S(a)=:)2 [axÜ`-{- xÜ`}] dx y y=x@
a
1
=:)2 {axÜ`+ xÜ`} dx C
a B{t,`t@}

=[ axÝ`+ xÝ`]2)=4a+
1 1 4
S{t}
4 4a a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O A{t,`0} x
4 4
4a+ ¾2¾Ð4a_ =8 S(t)=(반원의 넓이)-(빗금친 부분의 넓이)
a a
"ÃtÛ`+tÝ` Û 1
=p_{ }`_ 2 -:)t` (tx-xÛ`) dx
4
이때, 등호는 4a= , aÛ`=1에서 a=1`(∵ a>0)일 때 성립한다.
a 2
따라서 a=1일 때 S(a)는 최솟값 8을 가지므로 n=1, m=8 p tÜ`
= (tÛ`+tÝ`)-
∴ m+n=9 8 6
p tÛ`
S'(t)= (t+2tÜ`)-
4 2
861   2'3
∴ S'(1)=
3p-2
4
두 점 A, B에서 직선 CF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이라 하고 따라서 p=3, q=-2이므로 pÛ`+qÛ`=13
두 직선 AD, BE의 교점을 O라 하자.
OAÓ=2, ∠AOA'=∠AOF=60ù이므로
OÕA'Ó=1, AÕA'Ó='3 863  ⑤
주어진 그림을 O(0, 0), F(2, 0), A(1, '3 )이 되도록 3 1
SÁ= _(사각형 OABC의 넓이)= 이므로
좌표평면에 놓으면 포물선 CÁ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6 2

SÁ=:) 'a (1-axÛ`) dx=[x- xÜ`])'a =


1 1
따라서 포물선 CÁ의 방정식을 y=axÛ`+b (a>0, b>0인 상수)라 a 2 1
=
하자. 3 3'a 2
4 16
포물선 CÁ은 직선 AD와 점 A에서 접하고, 직선 AD의 기울기는 'a=    ∴ a=
3 9
'3이므로 a+b='3, 2a='3
1 1
'3 S£= _(사각형 OABC의 넓이)= 이므로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b= 6 6

S£=:)1 bxÜ` dx=[ xÝ`]1)= =    ∴ b=


2
b b 1 2
Â3 Â3
y y=
2
x@+
2
4 4 6 3
16 2 22
B A ∴ a+b= + =
9 3 9

C B' O A' Fx
864  ②

D E 자동차 B가 P지점을 지난 후 달린 시간을 x초라 하면


y=Â3x y=-Â3x 자동차 A가 P지점을 지난 후 달린 시간은 (x+10)초이다.

206 수학 Ⅱ
따라서 P지점을 수직선 위의 원점이라 하면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h'(x)= f(x)-g(x)
자동차 A가 P지점을 지나고 (x+10)초 후의 위치는 이때, 주어진 그래프에서 h'(b)= f(b)-g(b)=0이므로

:)
x+10 x+10
0ÉxÉc에서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40 dt=[40t]) =40(x+10)
다음과 같다.
자동차 B가 P지점을 지나고 x초 후의 위치는

:)/ { t+40} dt=[ tÛ`+40t]/)= xÛ`+40x


x 0 y b y c
1 1 1
8 16 16 h'(x) + 0 -
이때, 두 자동차가 만나는 시각은 h(x) 0 ↗ 극대 ↘ 0
1
40(x+10)= xÛ`+40x에서 xÛ`=80Û`   ∴ x=80 따라서 함수 h(x)는 x=b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16
따라서 두 자동차는 자동차 B가 P지점을 지난 지 80초 후에 t=b일 때, 물체 A와 물체 B의 높이의 차가 최대이다. (참)
ㄷ. t=c일 때, 물체 A와 물체 B의 높이는 각각

:)c f(t) dt, :)c g(t) dt이고 주어진 조건에서


만난다.

865 :)c f(t) dt=:)c g(t) dt이다.


 ③

출발 후 x초 후의 점 P의 위치는 따라서 t=c일 때, 물체 A와 물체 B는 같은 높이에 있다. (참)


-3+:)/ (3tÛ`-1) dt=-3+[tÜ`-t]/)=xÜ`-x-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출발 후 x초 후의 점 Q의 위치는

k+:)/ 2 dt=k+[2t]/)=2x+k 867   ;2%;

따라서 두 점 P, Q가 동시에 출발한 후 2번 만나기 위해서는 함수 y=v(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x>0일 때, x에 대한 방정식 xÜ`-x-3=2x+k, 즉
xÜ`-3x-3-k=0의 실근의 개수가 2이어야 한다. 4

f(x)=xÜ`-3x-3-k라 하면 y=v{t}
2
f '(x)=3xÛ`-3=3(x+1)(x-1)이다.
1
y y=f{x}
O 1 2 3 4 5 t

v(t)¾0이므로 0<x<3인 실수 x에 대하여 점 P가


1
시각 t=0에서 t=x까지 움직인 거리, 적
-1 O x 시각 t=x에서 t=x+2까지 움직인 거리, 분

시각 t=x+2에서 t=5까지 움직인 거리는 각각


f(0)=-3-k>0, f(1)=-5-k<0이어야 하므로 -5<k<-3 :)/ v(t) dt, :?/` Ñ` 2`v(t) dt, :?5Ð@`v(t) dt이다.
따라서 구하는 정수 k의 값은 -4이다.
이 중 최솟값이 f(x)이고 f(0)=0이므로
( :)/ `4t dt (0ÉxÉ1)
866 f(x)={
9 :?5Ð@`(t-3) dt (1Éx<3)
 ⑤

ㄱ. t=a일 때, 물체 A와 물체 B의 높이는 각각

:)a f(t) dt, :)a g(t) dt이다.


( 2xÛ` (0ÉxÉ1)
={ 1 3
9 2 xÛ`+x+ 2 (1Éx<3)
-
y

∴ :)2 f(x) dx‌=:)1 2xÛ` dx+:!2 {- xÛ`+x+ } dx


y=g{t}
y=f{t} 1 3
2 2

=[ xÜ`]1)+[- xÜ`+ xÛ`+ x]2!


2 1 1 3
3 6 2 2
O t
2 11 5
a b c = + =

이때, :)a f(t)dt>:)a g(t)dt이므로 물체 A는 물체 B보다


3 6 2

높은 위치에 있다. (참)


ㄴ. t=x일 때, 물체 A와 물체 B의 높이의 차를 h(x)라 하면

h(x)=:)/ f(t) dt-:)/ g(t) dt=:)/ { f(t)-g(t)} dt이므로

Ⅲ. 적분 207
MEM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