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0

올 림 포 스 고 난 도 수학Ⅱ

정답과 풀이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1 2017-11-06 오후 2:31:22


정답과 풀이

01 함수의 극한 05 이차방정식 axÛ`+4x-12=0의 두 근은 x=


-2Ñ'Ä4+12a
a

므로
-2+'Ä4+12a
내신 기출 우수 문항 a=
본문 8~11쪽 a
-2+'Ä4+12a
01 ⑤ 02 ① 03 ② 04 ⑤ 05 ⑤ lim  a= lim  
a`Ú0+ a`Ú0+ a
06 ⑤ 07 ⑤ 08 ③ 09 ② 10 ③ (-2+'Ä4+12a)(-2-'Ä4+12a)
= lim
11 ③ 12 ② 13 ① 14 ③ 15 ② a`Ú0+ a(-2-'Ä4+12a)
16 ④ 17 ③ 18 ⑤ 19 ④ 20 ⑤ -12a
= lim
21 ② 22 g(x)=xÛ`+3x-4 23 2 a`Ú0+ a(-2-'Ä4+12a)
=3
xÛ`+x-6 (x-2)(x+3) ⑤
01 lim   |x-2|
x`Ú2+
= lim  
x`Ú2+ x-2
=5

lim |xÛ`+x-6|= lim |(x-2)(x+3)|= lim (2-x)(x+3)


x`Ú2- x`Ú2- x`Ú2-
06 lim`f(x)=a, lim g(x)=b (a, b는 실수)라 하면
x`Ú1 x`Ú1

lim { f(x)-(x+1)g(x)}
이므로 x`Ú1

x-2 x-2 =lim `f(x)-lim  (x+1)g(x)


lim   = lim   =-;5!; x`Ú1 x`Ú1
x`Ú2- |xÛ`+x-6| x`Ú2- (2-x)(x+3)
=lim `f(x)-lim  (x+1)_lim  g(x)
xÛ`+x-6 x-2
=5+{-;5!;}=
24 x`Ú1 x`Ú1 x`Ú1
lim   + lim  
x`Ú2+ |x-2| x`Ú2- |xÛ`+x-6| 5 =a-2b=4 yy ㉠
⑤ lim {(x+1)f(x)+g(x)}
x`Ú1

=lim (x+1)f(x)+lim  g(x)


x`Ú1 x`Ú1

02 lim `f(x)= lim (xÛ`+ax+2)=a+3


x`Ú1+ x`Ú1+
=lim  (x+1)_lim `f(x)+lim  g(x)
x`Ú1 x`Ú1 x`Ú1

lim `f(x)= lim (-xÛ`+2x+b)=1+b =2a+b=3 yy ㉡


x`Ú1- x`Ú1-

lim `f(x)가 존재하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x`Ú1
a=2, b=-1
a+3=1+b, b=a+2
lim { f(x)+g(x)}= lim `f(x)+lim  g(x)  
aÛ`+bÛ`=aÛ`+(a+2)Û`=2(a+1)Û`+2 x`Ú1 x`Ú1 x`Ú1

따라서 a=-1, b=1일 때 aÛ`+bÛ`의 최솟값은 2이다. = 2+(-1)=1


① ⑤

 g(x)
07 lim`f(x)=2, lim  f(x) =3에서
03 f(-1)+ lim `f(x)+ lim `f(x)‌=1+(-1)+(-1)
x`Ú0- x`Ú1+
  x`Ú1 x`Ú1

 g(x)
=-1 lim  g(x)=lim  [ f(x)_ ]=2_3=6
x`Ú1 x`Ú1 f(x)
② x+1=t라 하면 x Ú 0일 때 t Ú 1이므로
2x+1 2t-1
lim   =lim   =;6!;
 g(x+1) t`Ú1 g(t)
'§x+1-('§x-1)-2
x`Ú0

04 lim `f(x)‌= lim  


x`Ú1+ x`Ú1+ '§x-1
  ⑤

0
lim  
=x`Ú1+ '§x-1 =0  08 y

2
'§x+1+('§x-1)-2 y=f(x)
lim `f(x)‌= lim    
x`Ú1- x`Ú1- '§x-1
-'2 O '2 x
2('§x-1)
= lim   =2 
x`Ú1- '§x-1 -2
lim `f(x)+ lim `f(x)=0+2=2
x`Ú1+ x`Ú1-
⑤ ㄱ. lim `f(x)= lim  (xÛ`-2)=-2 (참)
x`Ú0- x`Ú0-

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2 2017-11-06 오후 2:31:23


ㄴ. lim `f(x)= lim  (-xÛ`+2)=2이므로
x`Ú0+ x`Ú0+ 6+;[^;
=lim  
lim { f(x)}Û`‌= lim `f(x)_ lim `f(x)  
®É1+;[$;+x
7
 +1-;[!;
x`Ú¦
x`Ú0+ x`Ú0+ x`Ú0+
xÛ`
=2_2=4 
=3
lim { f(x)}Û`‌= lim `f(x)_ lim `f(x)   6x+7
x`Ú0- x`Ú0- x`Ú0-
lim {"ÃxÛ`+4x+8-x+1}=lim  
=(-2)_(-2)=4  x`Ú¦ x`Ú¦ "ÃxÛ`+4x+8+(x-1)

lim { f(x)}Û`=4 (참) 6+;[&;


x`Ú0 =lim  
ㄷ. x-2=t라 하면 x Ú 0일 때 t Ú -2이므로 ®É1+;[$;+x
8
 +1-;[!;
x`Ú¦

xÛ`
lim`f(x-2)= lim `f(t)= lim  (tÛ`-2)=2 =3
x`Ú0 t`Ú-2 t`Ú-2

lim `f(x)f(x-2)‌= lim `f(x)_ lim `f(x-2)   이므로


x`Ú0+ x`Ú0+ x`Ú0+

=2_2=4  lim  {"Ã f(x)-x+1}=3


x`Ú¦

lim `f(x)f(x-2)= lim `f(x)_ lim `f(x-2)   ③


x`Ú0- x`Ú0- x`Ú0-

 =(-2)_2=-4
lim`f(x)f(x-2)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ÃxÛ`-2-'x xÛ`-2-x
x`Ú0
11 lim x`Ú2 xÛ`-2x
=lim  
x`Ú2 x(x-2)("ÃxÛ`-2+'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x-2)(x+1)
③  = lim  
x`Ú2 x(x-2)("ÃxÛ`-2+'x)
x+1
 = lim  
09 상수함수가 아닌 다항함수 g(x)에 대하여 lim | g(x)|=¦이므로
x`Ú¦
x`Ú2 x("ÃxÛ`-2+'x)
4 f(x)-3g(x) 3
lim   =0  =
x`Ú¦  g(x) 2('2+'2)
3'2
2 f(x)-3g(x) ;2!;{4 f(x)-3g(x)}-;2#; g(x)  =
8
lim   =lim  
x`Ú¦ 3g(x) x`Ú¦ 3g(x) ③
4 f(x)-3g(x)
=;6!; lim   -;2!;
x`Ú¦ g(x)

‌=;6!;_0-;2!;  
12 lim (x-1)(x-3)=-1이므로
x`Úa

(a-1)(a-3)=-1, aÛ`-4a+4=0
=-;2!;  (a-2)Û`=0, a=2
② xÜ`-4x x(x-2)(x+2)
lim   =lim  
x`Ú2 xÛ`-x-2 x`Ú2 (x-2)(x+1)
다른풀이 lim | g(x)|=¦이므로
x(x+2)
lim {4 f(x)-3g(x)}=lim  [g(x)[
x`Ú¦
=lim  
4 f(x) x`Ú2 x+1
-3]]=2에서
x`Ú¦ x`Ú¦  g(x)
=;3*;
4 f(x)
lim [ -3]=0
x`Ú¦  g(x) ②
f(x)
따라서 lim   =;4#;이므로
x`Ú¦ g(x)

2 f(x)-3g(x) f(x)
13  f(x)=(x-a)(x-3a)(px+q) (p, q는 상수,  p+0)라 하면
lim   =;3@; lim   -1 `f(x)
x`Ú¦ 3g(x) x`Ú¦ g(x)
lim   =-2a(ap+q)=2이므로
x`Úa x-a
=;3@;_;4#;-1=-;2!;
ap+q=-;a!; yy ㉠

`f(x)
lim   =2a(3ap+q)=2이므로
10 xÛ`+4x+7<f(x)<xÛ`+4x+8이므로 x`Ú3a x-3a

"ÃxÛ`+4x+7-x+1<"Ã f(x)-x+1<"ÃxÛ`+4x+8-x+1 3ap+q=;a!; yy ㉡


6x+6 1
lim {"ÃxÛ`+4x+7-x+1}=lim   ㉠, ㉡에 의하여 p= , q=-;a@;
x`Ú¦ x`Ú¦ "ÃxÛ`+4x+7+(x-1) aÛ`

정답과 풀이 3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3 2017-11-06 오후 2:31:24


정답과 풀이

1 (x-1)(xÛ`+x+1-ax-a)
 f(x)= (x-a)(x-3a)(x-2a)이므로 =lim 
aÛ` x`Ú1 (x-1)(x+1)
`f(x) 1 xÛ`+x+1-ax-a
lim   = lim   (x-a)(x-3a) =lim  
x`Ú2a x-2a x`Ú2a aÛ` x`Ú1 x+1
a_(-a) 3-2a
= =-1 =
aÛ` 2
① 3-2a
따라서 =-;2%; 이므로
2
a=4, b=-3
14 ;[#;=t라 하면 x Ú ¦일 때 t Ú 0+이므로
lim  (3x-1)[{;[#;}1`0`+{;[#;}9`+y+{;[#;}2`+{;[#;}]
aÛ`+bÛ`=25
③
x`Ú¦

= lim  {
9-t
}(tÚ`â`+tá`+y+tÛ`+t) "ÃxÛ`-x+2-ax
t 18 lim =b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t`Ú0+
x`Ú-1 x+1
= lim  (9-t)(tá`+t¡`+y+t+1)
t`Ú0+ (분자) Ú 0이어야 한다. 
=9
즉, lim  ("ÃxÛ`-x+2-ax)=0이므로
x`Ú-1
③
'Ä1+1+2+a=0, a=-2

4x-3 "ÃxÛ`-x+2+2x -3xÛ`-x+2


15 lim  "Ã4xÛ`+x+1+"ÃxÛ`-2x-3
x`Ú¦
lim  
x`Ú-1 x+1
= lim  
x`Ú-1 (x+1)("ÃxÛ`-x+2-2x)

-(x+1)(3x-2)
4-;[#; = lim  
=lim   x`Ú-1 (x+1)("ÃxÛ`-x+2-2x)
®É4+;[!;+x
1 3
 +®É1-;[@;-x  
x`Ú¦
-(3x-2)
xÛ` xÛ` = lim   =;4%;
x`Ú-1 "ÃxÛ`-x+2-2x
=;3$;
b=;4%; 이므로 a+b=(-2)+;4%;=-;4#;
②
⑤
16 x=-t라 하면 x Ú -¦일 때 t Ú¦이므로
1 1
lim  
x`Ú-¦
=lim  
"ÃxÛ`-2x+2+(x+1) t`Ú¦ "ÃtÛ`+2t+2-(t-1)
19 조건 (가)에 의하여  f(x)-xÜ`=ax+b ( a, b는 상수)로 놓으면
 f(x)=xÜ`+ax+b
"ÃtÛ`+2t+2+(t-1)
=lim   조건 (나)에서
t`Ú¦ 4t+1
`f(x) xÜ`+ax+b
¾¨1+ 2 + 2 +1- 1 lim  =lim  =5
x`Ú1 x-1 x`Ú1 x-1
t tÛ` t
=lim  
t`Ú¦ 1 x`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4+
t 즉, lim (xÜ`+ax+b)=1+a+b=0이므로
x`Ú1

=;2!; b=-a-1
④ xÜ`+ax+b xÜ`+ax-a-1 (xÜ`-1)+a(x-1)
lim  =lim  =lim 
x`Ú1 x-1 x`Ú1 x-1 x`Ú1 x-1
(x-1)(xÛ`+x+1)+a(x-1)
=-;2%; 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xÜ`-axÛ`-b
17 lim  x`Ú1 xÛ`-1
=lim 
x`Ú1 x-1
(분자) Ú 0이어야 한다. (x-1)(xÛ`+x+1+a)
=lim 
x`Ú1 x-1
즉, lim  (xÜ`-axÛ`-b)=0이므로
x`Ú1
=lim (xÛ`+x+1+a)
x`Ú1
1-a-b=0, b=-a+1
=3+a
xÜ`-axÛ`-b xÜ`-axÛ`+a-1
lim  =lim  =5
x`Ú1 xÛ`-1 x`Ú1 xÛ`-1
(xÜ`-1)-a(xÛ`-1) 따라서 a=2, b=-3이므로
=lim 
x`Ú1 xÛ`-1  f(x)=xÜ`+2x-3
(x-1)(xÛ`+x+1)-a(x-1)(x+1)  f(2)=8+4-3=9
=lim 
x`Ú1 (x-1)(x+1) ④

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4 2017-11-06 오후 2:31:25


2 4
20 y y=2x+5 -2-
tÛ`
+
t
5 =lim  
®É1- + - + +{1- }
(x-1)Û`+(y-2)Û`=5 t`Ú¦ 2 1 2 2 1
4 t tÝ` tÜ` tÛ` tÛ`
y=2x-5
2 =-1
②
1 2
O x

원 (x-1)Û`+(y-2)Û`=5의 중심의 좌표는 (1, 2), 반지름의 길이는


22 조건 (가)에서 g(x)=(x-1)(x-c) ( c는 상수)로 놓으면
 f(x)
'5 이다. 조건 (나)에서 lim 
x`Ú1 g(x)
=0이므로
원의 중심 (1, 2)와 직선 y=2x+a, 즉 2x-y+a=0 사이의 거리를 xÜ`+axÛ`+bx+1
lim  =0` yy ㉠
d라 하면 x`Ú1 (x-1)(x-c)
|2_1+(-1)_2+a| |a| ㉠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
d= =
"Ã2Û`+(-1)Û` '5 어야 한다. 즉, 이차식 Q(x)에 대하여
|a|  f(x)=xÜ`+axÛ`+bx+1=(x-1)Q(x)
따라서 ='5, 즉 a=Ñ5일 때 직선 y=2x+a와
'5
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원 (x-1)Û`+(y-2)Û`=5가 접하므로 함수 y=f(a)의 그래프는 다음 (x-1)Q(x) Q(x)
lim  =lim  =0에서
과 같다. x`Ú1 (x-1)(x-c) x`Ú1 x-c
y Q(1)=0
2 y=f(a)
 (가)
1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5 O 5 a
Q(x)=(x-1)(x-k) (단, k는 상수)
lim `f(a)+ lim `f(a)=2+2=4 따라서  f(x)는 (x-1)Û`으로 나누어떨어진다.
a`Ú5- a`Ú-5+
이때 상수항이 1이므로
⑤
 f(x)=xÜ`+axÛ`+bx+1=(x-1)Û`(x+1)

21 y
y=;;Áx;; y=x
 (나)
g(x) (x-1)(x-c) x-c
lim  =lim  =lim  =2
x`Ú2  f(x) x`Ú2 (x-1)Û`(x+1) x`Ú2 (x-1)(x+1)
x Ú 2일 때 극한값이 2이므로 c+2이고
B

A P{t, ;;Á;;} 2-c


t =2, c=-4
3
O x
따라서 g(x)=(x-1)(x+4)=xÛ`+3x-4
점 A의 좌표는 (1, 1)이므로  (다)

PÕAÓ=¾¨(t-1)Û`+{;t!;-1}2`  g(x)=xÛ`+3x-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PBÓ는 점 P {t, ;t!;}과 직선 x-y=0 사이의 거리이고, t `Ú ¦일 때
(가) Q(1)의 값을 구한 경우 30`%
(나) f(x)를 구한 경우 40`%
t>;t!; 이므로
(다)  g(x)를 구한 경우 30`%
\|t-;t!;|
1
PBÓ= = {t-;t!;}
"Ã1Û`+(-1)Û`` '2

lim  (PAÓ-'2 PBÓ)=lim  [¾¨(t-1)Û`+{;t!;-1}2`-{t-;t!;}]


23 y=®;a{; +1의 역함수는 (y-1)Û`=;a{;, x=a(y-1)Û`에서
t`Ú¦ t`Ú¦
y=a(x-1)Û` (x¾1)이므로
=lim  [¾¨tÛ`-2t+ -;t@;+2-{t-;t!;}]
1
g(x)=a(x-1)Û` (x¾1)
t`Ú¦ tÛ`
2  (가)
+4 -2t-
t
=lim   두 곡선 y=f(x), y=g(x)의 교점 P는 직선 y=x와 이차함수
®ÉtÛ`-2t+ - +2+{t- }
t`Ú¦ 1 2 1
tÛ` t t y=a(x-1)Û` (x¾1)의 그래프의 교점과 같다.

정답과 풀이 5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5 2017-11-06 오후 2:31:27


정답과 풀이

교점의 x좌표는 x=a(x-1)Û`에서 ㄷ. lim `f(x+1)g(1-x)= lim `f(x+1)_ lim  g(1-x)


x`Ú0+ x`Ú0+ x`Ú0+
axÛ`-(2a+1)x+a=0 = lim `f(t)_ lim  g(t)
t`Ú1+ t`Ú1-
2a+1Ñ"Ã(2a+1)Û`-4aÛ`
x= =(-1)_(-1)=1
2a
lim `f(x+1)g(1-x)= lim `f(x+1)_ lim  g(1-x)
2a+1Ñ"Ã4a+1 x`Ú0- x`Ú0- x`Ú0-
=
2a = lim `f(t)_ lim  g(t)
t`Ú1- t`Ú1+
그런데 x¾1이므로
=1_1=1
2a+1+"Ã4a+1
t=
2a lim `f(x+1)g(1-x)=1 (거짓)
x`Ú0

 (나)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①
교점의 y좌표는 x좌표와 같으므로
(2a+1)+"Ã4a+1
lim {t+f(t)}=lim  2t=lim  
a`Ú¦ a`Ú¦ a`Ú¦ a 25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2+;a!;}+®É;a$;+
1
aÛ` 1
y=|`f(x)|
=lim  
a`Ú¦ 1
=2 -6 -5 -4 -3 -1 O 1 3 4 5 6 x

 (다)
2 따라서 -6<n<6인 정수 n에 대하여 lim| f(x)|의 값이 존재하기 위
x`Ún

해서는 lim | f(x)|= lim | f(x)|가 성립해야 한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Ún+ x`Ún-

(가)  g(x)를 구한 경우 30`% 그런데 n=-1, n=1일 때는


(나) t를 구한 경우 40`% lim | f(x)|=0, lim | f(x)|=1,
x`Ú-1+ x`Ú-1-
(다) 극한값을 구한 경우 30`% lim | f(x)|=1, lim | f(x)|=0이므로
x`Ú1+ x`Ú1-

lim | f(x)|+ lim | f(x)|


x`Ún+ x`Ún-

따라서 lim| f(x)|의 값이 존재하는 n의 값은 -5, -4, -3, -2, 0,


x`Ún

상위 2, 3, 4, 5의 9개이다. 
내신 7% 고득점 문항 본문 12~16쪽
④

24 ① 25 ④ 26 ⑤ 27 ④ 28 ⑤
29 ④ 30 ④ 31 ④ 32 ④ 33 ⑤ 26  f(x+4)=f(x)이므로 -5ÉxÉ5일 때, 함수 y=f(x)의 그래
34 ③ 35 ① 36 ③ 37 ② 38 ④ 프는 그림과 같다.
y
39 ① 40 ② 41 ② 42 ① 43 ②
2
44 ② 45 ① 46 32 47 ⑤ 48 22
49 61 1
-3 -2 -1
-5 -4 O 1 2 3 4 5 x

24 ㄱ. lim `f(x)=-1, lim  g(x)=1


x`Ú1+ x`Ú1+ -1

lim `f(x)g(x)= lim `f(x)_ lim  g(x) 따라서 lim `f(x)=2, lim `f(x)=1이므로
x`Ú1+ x`Ú1+ x`Ú1+ x`Ú-3- x`Ú4-

=(-1)_1 lim `f(x)+ lim `f(x)=2+1=3`


x`Ú-3- x`Ú4-
=-1 (참)
⑤
ㄴ. lim `f(x)=1`
x`Ú1-

lim  g(-x)= lim  g(t)=1


x`Ú1- t`Ú-1+ 27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lim { f(x)+g(-x)}= lim `f(x)+ lim  g(-x) ` lim `f(x)=1, lim `f(x)=2
x`Ú1+ x`Ú1-
x`Ú1- x`Ú1- x`Ú1-

=1+1` lim `f(x)=2, lim `f(x)=0


x`Ú2+ x`Ú2-

=2 (거짓) 이차함수 g(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6 2017-11-06 오후 2:31:28


g(x)=xÛ`+ax+b ( a, b는 상수) =3_a=12
로 놓을 수 있다. g(x)-2
따라서 lim  =a=4
lim g(x)=lim (xÛ`+ax+b) x`Ú2 x-2
x`Ú1 x`Ú1
④
=1+a+b
lim g(x)=lim (xÛ`+ax+b)
x`Ú2 x`Ú2

=4+2a+b 30 x=;t!; 이라 하면 x Ú 0+일 때 t Ú ¦이므로


lim`f(x)g(x)의 값이 존재하므로
(xÜ`-2xÛ`) f {;[!;}-2 { - } f(t)-2
x`Ú1
1 2
tÜ` tÛ`
lim `f(x)g(x)= lim `f(x)g(x) lim   =lim  
x -;t!;
x`Ú1+ x`Ú1- x`Ú0+ 3xÛ`-x t`Ú¦ 3
lim `f(x)g(x)=1_(1+a+b) tÛ`
x`Ú1+
(1-2t) f(t)-2tÜ`
=1+a+b =lim  =5
t`Ú¦ 3t-tÛ`
lim `f(x)g(x)=2_(1+a+b)
x`Ú1- 따라서  f(t)는 이차식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2+2a+2b  f(t)=-tÛ`+at+b ( a, b는 상수)로 놓으면
에서 1+a+b=2+2a+2b (1-2t)f(t)-2tÜ`
lim 
a+b=-1 yy ㉠ t`Ú¦ 3t-tÛ`
마찬가지로 lim`f(x)g(x)의 값이 존재하므로 (1-2t)(-tÛ`+at+b)-2tÜ`
x`Ú2 =lim 
t`Ú¦ 3t-tÛ`
lim `f(x)g(x)= lim `f(x)g(x) -(2a+1)tÛ`+(a-2b)t+b
x`Ú2+ x`Ú2-
=lim 
lim `f(x)g(x)=2_(4+2a+b) t`Ú¦ 3t-tÛ`
x`Ú2+
에서 2a+1=5, a=2
=8+4a+2b
`f(x)-3
lim `f(x)g(x)=0_(4+2a+b) lim  =a에서 x Ú 0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
x`Ú2- x`Ú0 x
=0 야 한다. 
에서 8+4a+2b=0 즉, lim { f(x)-3}=0이므로
x`Ú0
2a+b=-4 yy ㉡
 f(0)=b=3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따라서  f(x)=-xÛ`+2x+3이므로
따라서 g(x)=xÛ`-3x+2이므로
 f(x)-3 -xÛ`+2x+3-3
g(3)=3Û`-3_3+2=2 lim  =lim 
x`Ú0 x x`Ú0 x
④ -xÛ`+2x
=lim 
x`Ú0 x

28 x-1=t, 2-x=s라 하면 x Ú 1일 때 t Ú 0, s Ú 1이므로 =lim (-x+2)=2


x`Ú0
f(x-1)+g(2-x) 따라서 a=2
lim 
x`Ú1 xÛ`-1
④
f(x-1) g(2-x)
=lim  +lim 
x`Ú1 (x-1)(x+1) x`Ú1 (x-1)(x+1)

=lim 
t`Ú0
f(t)
+lim 
g(s)
t(t+2) s`Ú1 (1-s)(3-s)
31 -1É f(x)É1이므로 -xÛ`ÉxÛ` f(x)ÉxÛ`이다.
xÛ`+4x xÛ`+4x xÛ`+4x
따라서 -xÛ`+ ÉxÛ` f(x)+ ÉxÛ`+ 에서
-2 2xÜ`+x 2xÜ`+x 2xÜ`+x
=;2$;+ =1
2
lim {-xÛ`+ }=lim {-xÛ`+ }=4,
xÛ`+4x x+4
⑤ x`Ú0 2xÜ`+x x`Ú0 2xÛ`+1

lim {xÛ`+ }=lim {xÛ`+ }=4이므로


xÛ`+4x x+4
g(x)-2 2xÜ`+x 2xÛ`+1
29
x`Ú0 x`Ú0
lim   =a ( a는 상수)이므로
x-2
lim [xÛ` f(x)+ ]=4
x`Ú2
xÛ`+4x
 f(x)g(x)-2 f(x)-3g(x)+6 x`Ú0 2xÜ`+x
lim 
x`Ú2 (x-2)Û` ④
{ f(x)-3}{ g(x)-2}
=lim 
x`Ú2 (x-2)Û`
`f(x)-3x
=lim 
 f(x)-3
_lim 
g(x)-2
32 lim  =2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x`Ú2 x-2 x`Ú2 x-2 x`Ú1 x-1

정답과 풀이 7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7 2017-11-06 오후 2:31:28


정답과 풀이

(분자) Ú 0이어야 한다. {h(x)-1} f(x)={h(x)+1} g(x)이므로


즉, lim { f(x)-3x}=0이므로 g(x) h(x)-1
x`Ú1 lim   =lim   =;4@;=;2!;
x`Ú¦  f(x) x`Ú¦ h(x)+1
 f(1)=3
g(x)
따라서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1)=3이므로 2-
2f(x)-g(x)  f(x)
 f(x)=(x-1)g(x)+3 lim   =lim   =;4#; 이므로
x`Ú¦ f(x)+2g(x) g(x)
1+2_gx
x`Ú¦

 f(x)-3x (x-1)g(x)+3-3x  f(x)


lim  =lim 
x`Ú1 x-1 x`Ú1 x-1
p=4, q=3
(x-1)g(x)-3(x-1) 따라서 p+q=4+3=7
  =lim 
x`Ú1 x-1
③
  =lim {g(x)-3}=2
x`Ú1

따라서 g(1)=5
{ f(x)-3}g(x) (x-1)g(x)_g(x) 35  f(x+y)=f(x)+f(y)+xy+2 yy ㉠
lim   =lim  ㉠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x`Ú1 xÛ`-1 x`Ú1 (x-1)(x+1)
{ g(x)}Û`  f(0)=f(0)+f(0)+2
=lim 
x`Ú1 x+1  f(0)=-2
{ g(1)}Û` ㉠의 양변에 x=1, y=1을 대입하면
=
2  f(2)=f(1)+f(1)+1+2
=;;ª2°;; =2 f(1)+3=-1
lim`f(x)에서 x-2=h라 하면 x`Ú 2일 때 h`Ú 0이므로
④ x`Ú2

lim`f(x)=lim`f(2+h)
x`Ú2 h`Ú0

33 x-f(x)=g(x)라 하면  f(x)=x-g(x)이고 =lim { f(2)+f(h)+2h+2}


h`Ú0
g(x) =f(2)+lim`f(h)+0+2
lim  g(x)=3, lim   =0이므로
x`Ú¦ x`Ú¦ x h`Ú0

'Äx+1-"f(x) 'Äx+1-"Ãx-g(x) =(-1)+(-2)+0+2


lim   = lim  
x`Ú¦ 'x-"f(x) x`Ú¦ 'x-"Ãx-g(x) =-1
①
{1+g(x)}{'x+"Ãx-g(x)}
= lim  
x`Ú¦ g(x){'Äx+1+"Ãx-g(x)}
g(x)
{1+g(x)}['1+¾¨1- ] { g(x)}Û`  g(x)
36 lim  { f(x)}Ü` =lim[  f(x) ]Û`_lim  f(x)
1
x x`Úa x`Úa x`Úa
=lim  
g(x)
 g(x)[®É1+;[!;+¾¨1-gx ]
x`Ú¦
 g(x) Û`
x =lim[ ] _;9!;
x`Úa  f(x)
=;3$; =64
⑤  g(x) Û`
이므로 lim [ ] =24Û`
f(x) x`Úa  f(x)
다른풀이 lim {x-f(x)}=lim  x[1- ]=3이므로
x`Ú¦ x`Ú¦ x  g(x)
따라서 lim   =k=24
f(x) x`Úa  f(x)
lim   =1
x`Ú¦ x ③
'Äx+1-"Ã f(x) {'§x+"Ã f(x)}{(x+1)-f(x)}
lim   =lim  
x`Ú¦ '§x-"Ã f(x) x`Ú¦ {'Äx+1+"Ã f(x)}{x-f(x)}
"Ãg(x)
['1+¾¨
f(x)
]{x-f(x)+1}
37 lim   f(x) =;2!; 이므로
x  
x`Úa

=lim   g(x)
x`Ú¦
[®É1+;[!;+¾¨gx
f(x)
]{x-f(x)} lim   =;4!;
x   x`Úa { f(x)}Û`
2_4 { f(x)}Û` 1 1
= =;3$; lim  =lim  =
2_3 x`Úa g(x) x`Úa
g+ g(x)
lim g+
g(x)
{ f(x)}Û` x`Úa { f(x)}Û`

1
 f(x)+g(x) = =4
34  f(x)-g(x)
=h(x)라 하면 lim  h(x)=3이고
x`Ú¦ ;4!;

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8 2017-11-06 오후 2:31:29


{ f(x)}Û`-2 g(x) 이므로
따라서 lim  =4-2=2
x`Úa g(x) Ú n=1일 때, 0에 수렴
② Û n=2일 때, 1에 수렴
Ü n¾3일 때, 양의 무한대로 발산
38 -x=t라 하면 x`Ú -¦일 때 t`Ú ¦이므로 따라서 n=2, a=1이므로
lim  x {®É -1}=lim [-t{®É
x+1 t-1 n+a=3
-1}]
x`Ú-¦ x-1 t`Ú¦ t+1
②
t-1 t-1
-t{¾¨ -1}{¾¨ +1}
t+1 t+1
 =lim 
¾¨gx
t`Ú¦ t-1
+1
t+1
41 ㄱ. -x=t라 하면 x Ú -¦일 때 t Ú ¦이므로
t-1 |xÜ`|-3x-4
-t{ -1}
t+1 lim `f(x)= lim  
 =lim  x`Ú-¦ x`Ú-¦ 2xÜ`+|x|+1
¾¨1-gx
t`Ú¦ 2
+1 tÜ`+3t-4
t+1 =lim  
t`Ú¦ -2tÜ`+t+1
2t
 =lim 
=-;2!; (참)
{¾¨1-gx
t`Ú¦ 2
+1}(t+1)
t+1
ㄴ. 주어진 함수 f(x)는 x=1에서 분모, 분자가 각각 수렴하므로
 =1
④ lim (|xÜ`|-3x-4)
x`Ú1
lim`f(x)=
x`Ú1 lim (2xÜ`+|x|+1)
x`Ú1

39 a, b가 방정식  f(x)=xÛ`-2x-1=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므로 lim (xÜ`-3x-4)


 f(x)=(x-a)(x-b) x`Ú1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lim (2xÜ`+x+1)
x`Ú1

a+b=2, ab=-1 1-3-4


= =-;2#;` (참)
 f(x)f(-x) (x-a)(x-b)(-x-a)(-x-b) 2+1+1
lim  =lim 
x`Úa x-a x`Úa x-a -xÜ`-3x-4
ㄷ. lim `f(x)= lim  
=lim (x-b)(-x-a)(-x-b) x`Ú-1 x`Ú-1 2xÜ`-x+1
x`Úa
-(x+1)(xÛ`-x+4)
=2a(aÛ`-bÛ`) = lim  
x`Ú-1 (x+1)(2xÛ`-2x+1)
 f(x)f(-x) (x-a)(x-b)(-x-a)(-x-b)
-(xÛ`-x+4)
lim  =lim 
x`Úb x-b x`Úb x-b = lim  
x`Ú-1 2xÛ`-2x+1
=lim (x-a)(-x-a)(-x-b)
x`Úb
=-;5^; (거짓)
=2b(bÛ`-aÛ`)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f(x)f(-x)  f(x)f(-x)
lim  +lim  ②
x`Úa x-a x`Úb x-b
=2a(aÛ`-bÛ`)+2b(bÛ`-aÛ`)
=2(a-b)(aÛ`-bÛ`)
=2(a-b)Û`(a+b) 42 xÛ`-4x-3=0의 두 실근이 a, b (a>b)이므로
=2{(a+b)Û`-4ab}(a+b) a+b=4, ab=-3
=2_8_2=32 따라서 a-b="Ã(a+b)Û`-4ab='Ä16+12=2'7
① (a-b)'§x
lim  '§x ('Äx+a-'Äx+b)=lim  
x`Ú¦ x`Ú¦ 'Äx+a+'Äx+b
xÇ` ("ÃxÝ`+1-xÛ`) xÇ` ("ÃxÛ`+x+x) (a-b)'1
40 lim   "ÃxÛ`+x-x
=lim  
x`Ú¦ x("ÃxÝ`+1+xÛ`)
= lim  
a b
¾¨1+g+ +¾¨1+g+
x`Ú¦ x`Ú¦

x x
xÇ` ÑÚ`("ÃxÛ`+x+x)
=lim   a-b
x`Ú¦ "ÃxÝ`+1+xÛ` =
2
xÇ` ÑÛ` {®É1+;[!;+1} 2'7
=lim   = ='7
2
¾¨1+gx
x`Ú¦ 1
+1 ①
xÝ`

정답과 풀이 9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9 2017-11-06 오후 2:31:29


정답과 풀이

"ÃaÛ`+2xÛ`+xÜ`-b
43 lim  x`Ú0 xÇ`
=1에서 x`Ú 0일 때 (분모)`Ú 0이므로 lim 
x`Ú1
 f(x)
_ lim  
x-1 x`Ú-1 x+1
 f(x)

(분자)`Ú 0이어야 한다. =lim (x+1)(4x+p)_ lim  (x-1)(4x+p)


즉, lim ("ÃaÛ`+2xÛ`+xÜ`-b)=0이므로
x`Ú1 x`Ú-1

x`Ú0
={2(4+p)}_{(-2)(-4+p)}
"aÛ`=b, a=b =4(16-pÛ`)
"ÃaÛ`+2xÛ`+xÜ`-b "ÃaÛ`+2xÛ`+xÜ`-a 이므로 4(16-pÛ`)=28
lim  =lim 
x`Ú0 xÇ` x`Ú0 xÇ` 16-pÛ`=7, pÛ`=9
xÛ`(2+x) p=Ñ3
=lim  =1
x`Ú0 xÇ` ("ÃaÛ`+2xÛ`+xÜ`+a)
조건 (나)에서 ;[!;=t라 하면 x Ú ¦일 때 t Ú 0+이므로
2
이므로 n=2, =1
a+a
lim  [ f {;[!;}-3]= lim  { f(t)-3}=0에서
따라서 a=b=1, n=2이므로 x`Ú¦ t`Ú0+

a+b+n=1+1+2=4  f(0)=3
② 따라서 p=-3이므로
 f(x)=(x-1)(x+1)(4x-3)
 f(2)=15
 f(x)
44 다항함수  f(x)가 lim  
x`Ú¦ xÜ`
=2를 만족시키므로 ①

 f(x)=2xÜ`+axÛ`+bx+c ( a, b, c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46 접점 P {t, ;2!; t`Û +4}에서의 접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접선 l
 f(x-1) 의 방정식은 
또한 lim  =4에서 x-1=t라 하면 x`Ú1일 때 t`Ú 0이므로
x`Ú1 x-1
 f(x-1)  f(t) y-{;2!; tÛ`+4}=m(x-t)
lim  =lim  =4
x`Ú1 x-1 t`Ú0 t
이고 t`Ú 0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y=mx-mt+;2!; tÛ`+4
즉, lim f(t)=f(0)=0에서 c=0이므로
t`Ú0
방정식 ;2!;xÛ`+4=mx-mt+;2!; tÛ`+4, 즉 ;2!;xÛ`-mx+mt-;2!;tÛ`=0
 f(x)=2xÜ`+axÛ`+bx
은 중근을 가지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이때
 f(t) 2tÜ`+atÛ`+bt D=mÛ`-4_;2!;_{mt-;2!; tÛ`}=0
lim  =lim 
t`Ú0 t t`Ú0 t
(m-t)Û`=0, m=t
=lim (2tÛ`+at+b)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tx-;2!; tÛ`+4이다.
t`Ú0

=b=4
1
따라서  f(x)=2xÜ`+axÛ`+4x이므로 방정식  f(x)=0에서 한편, 접선 y=tx-;2!; tÛ`+4는 포물선 y=axÛ`+ 과 접하므로 방정식
aÛ`
2xÜ`+axÛ`+4x=0
1
x(2xÛ`+ax+4)=0 yy ㉠ axÛ`-tx+;2!; tÛ`+ -4=0은 중근을 갖는다. 
aÛ`
㉠의 한 근은 0이고 나머지 두 근을 a, b라 하면 a, b는 방정식 판별식을 D'이라 하면
2xÛ`+ax+4=0의 근이다.
D'=tÛ`-4a {;2!; tÛ`+
1
-4}=0
그런데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이 -3이므로 이차 aÛ`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2a)tÛ`=;a$;-16a
a+b=-;2A;=-3 4(1-4aÛ`) 4(1+2a)
따라서 tÛ`= = 이므로
a(1-2a) a
a=6
따라서  f(x)=2xÜ`+6xÛ`+4x이므로 lim  tÛ`=16
a`Ú;2!;+
 f(1)=2+6+4=12
또한 직선 l의 기울기 m=t는 양수이므로
②
lim  t=4
a`Ú;2!;+

lim  (tÛ`+2t+8)=16+8+8=32
45 조건 (가)에 의하여  f(x)=(x-1)(x+1)(4x+p)`(p는 상수) a`Ú;2!;+

로 놓으면  32

1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10 2017-11-06 오후 2:31:29


47 y
y=x+1
=p-1
이므로 p-1=4, p=5
 (나)

(t, t+1) 따라서  f(x)=(x-1)(x+5)이므로  f(3)=16이고 a=6
d  f(3)+a=16+6=22
O x

 (다)
 22
원점 O와 직선 y=x+1, 즉 x-y+1=0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0-0+1| '2
d= =
"Ã1Û`+(-1)Û` 2 (가) a와 p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 경우 30`%
'2 (나) p의 값을 구한 경우 40`%
이므로 원 CÁ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2 (다) f(3)+a의 값을 구한 경우 30`%
원 Cª의 중심 (t, t+1)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ÃtÛ`+(t+1)Û` ="Ã2tÛ`+2t+1`
원 Cª의 반지름의 길이가 '2 t이고 t>0에서
49 조건 (가)에 의하여  f(x)=(x-a)(x-b)
¾¨2 {tÛ`+t+;2!;}>¾¨2 {tÛ`+t+;4!;}  f(x) 1
조건 (나)의 lim  = 에서 x`Ú a일 때 (분자)`Ú 0이므로
x`Úa g(x) b
"Ã2tÛ`+2t+1>"2 {t+;2!;} (분모)`Ú 0이어야 한다.
'2 lim g(x)=g(a)=0 yy ㉠
"Ã2tÛ`+2t+1>'2 t+ x`Úa
2
g(x)
이므로 두 원 CÁ, Cª는 만나지 않는다. 또한 lim  =a-2에서 x`Úb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
x`Úb  f(x)
'2 이어야 한다.
따라서  f(t)="Ã2tÛ`+2t+1-'2 t- ,
2
lim g(x)=g(b)=0 yy ㉡
'2 x`Úb
 g(t)="Ã2tÛ`+2t+1+'2 t+ 이므로
2  (가)
'2
g(t)+'2 t "Ã2tÛ`+2t+1+2'2 t+ g(x)
2 조건 (다)의 lim  =20에서 x`Ú1일 때 (분모)`Ú 0이므로
lim   =lim  
t`Ú¦ f(t)+'2 t '2 x`Ú1 x-1
"Ã2tÛ`+2t+1-
t`Ú¦

2 (분자) `Ú 0이어야 한다.


'2
®É2+ + +2'2+
2 1 lim g(x)=g(1)=0  yy ㉢
t tÛ` 2t x`Ú1
=lim  
'2 ㉠, ㉡, ㉢에 의하여
®É2+ + -
t`Ú¦ 2 1
t tÛ` 2t g(x)=(x-a)(x-b)(x-1)
=3 조건 (나)에서
⑤  f(x) (x-a)(x-b)
lim  =lim 
x`Úa g(x) x`Úa (x-a)(x-b)(x-1)
 f(x)
48 lim x-1 =a에서  f(x)=(x-1)(x+p)`(p는 상수)라 하면
x`Ú1 =lim 
x`Úa
1
x-1
(x-1)(x+p) 1 1
lim  =lim (x+p)=a = =
x`Ú1 x-1 x`Ú1 a-1 b
1+p=a 따라서 a-1=b yy ㉣
 (가)  (나)
lim  {"Ãf(x)-"Ãf(-x)} 조건 (다)에서
x`Ú¦

=lim  {"Ã(x-1)(x+p)-"Ã(x+1)(x-p)} lim 


g(x)
=lim 
(x-a)(x-b)(x-1)
x`Ú¦ x`Ú1 x-1 x`Ú1 x-1
2(p-1)x =lim (x-a)(x-b)
=lim  
"Ã(x-1)(x+p)+"Ã(x+1)(x-p)
x`Ú1
x`Ú¦
=(1-a)(1-b)=20 yy ㉤
2(p-1)
=lim   ㉣을 ㉤에 대입하면
¾¨{1-;[!;gx}{1+;[P;gx}+¾¨{1+;[!;gx}{1-;[P;gx}
x`Ú¦

(1-a)(2-a)=20

정답과 풀이 11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11 2017-11-06 오후 2:31:30


정답과 풀이

aÛ`-3a-18=0 lim `f(x)=-1


x`Ú-1-
(a+3)(a-6)=0 x Ú 1-일 때,  f(x) Ú -1이므로  
따라서 a=6, b=5이므로 lim `f(x)=-1
x`Ú1-
 (다)
따라서 lim `f(x)= lim `f(x)=-1 (참)
x`Ú---1- x`Ú1-
aÛ`+bÛ`=6Û`+5Û`=61
x-1 x t
 (라) =t, - =s로 치환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x-1
x x+1 t=-
1 x``
x-1
 61 ㄴ. =1-;[!; O x
x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t라 하면 x Ú ¦일 때, ;[!; Ú 0+이므로 t Ú 1-
(가) g(a), g(b)의 값을 구한 경우 20`%
lim `f {
x-1
}= lim `f(t)=-1
s
(나) a, b 사이의 관계를 구한 경우 30`% x x `
x`Ú¦ t`Ú1-
s=--
(다) a, b의 값을 구한 경우 30`% -1 x+1
x -(x+1)+1 1 O
- = =-1+ -1 x
(라) aÛ`+bÛ`의 값을 구한 경우 20`% x+1 x+1 x+1

=s라 하면 x Ú ¦일 때, Ú 0+이므로


1 1
-1+
x+1 x+1
s Ú -1+

lim `f {-
x
}= lim `f(s)=1
상위
내신 4% 변별력 문항 본문 17~18쪽 x`Ú¦ x+1 s`Ú-1+

따라서 lim `f { } f {-


x-1 x
}=(-1)_1=-1 (거짓)
50 ④ 51 ④ 52 ③ 53 ⑤ 54 ① x`Ú¦ x x+1
55 2'2 역함수의 그래프를 그린 후 극한값을 구한다.
ㄷ. ‌함수 y=f(x)의 역함수 y=f ÑÚ`(x)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와 같다.
50 y
y=x
그림은 닫힌구간 [-2, 2]에서 정의된 함수 y=f(x)의 그래프를
2
나타낸 것이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y=f ÑÚ`(x)

y O
y=f(x) -2 -1 1 2 x
2 -1
1
-1 -2
-2 O 1 2 x
-1 이때 lim `f ÑÚ`(x)+f ÑÚ`(a)를 만족시키는 실수 a는 0으로 1개이
x`Úa+
-2
다. (참) 불연속이면서 좌극한과 함숫값이 같거나
보기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극한값과 함숫값이 같지 않은 점을 찾는
x-1 x 다.
ㄱ. lim  f(x)= lim  f(x) x
=t, -
x+1
=s로 ④
x`Ú-1- x`Ú1-

치환하여 함수의 그래프를


ㄴ. lim  f { } f {- }=2
x-1 x
x`Ú¦ x x+1 그려 본다.
ㄷ. -2<a<2일 때, lim  f ÑÚ`(x)+f ÑÚ`(a)를 만족시키는 실수
x`Úa+
51
a의 개수는 1이다. 구간 [1, ¦)에서 정의된 함수  f(x)는 모든 자연수 k에 대하여
   f(x)=2k (kÛ`Éx<(k+1)Û`)
① ㄴ ② ㄷ ③ ㄱ, ㄴ
`f(x)
를 만족시킨다. lim   의 값은?
④ ㄱ, ㄷ ⑤ ㄱ, ㄴ, ㄷ x`Ú¦ 'x

풀이전략
① ;2!; ② 1 ③ ;2#;

1-;[!;=t로 치환하고 y=f ÑÚ`(x)의 그래프를 그린다. ④ 2 ⑤ ;2%;

문제풀이

좌극한, 우극한을 확인한다. 풀이전략

ㄱ. x Ú -1-일 때,  f(x) Ú -1이므로   k와 f(x)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f(x)를 구한다.

1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12 2017-11-06 오후 2:31:33


문제풀이 ab=;aC; <0이므로 a는 양수, b는 음수이다.
`f(x)
의 범위를 구한다.
'§x -b+"ÃbÛ`-4ac -b-"ÃbÛ`-4ac
따라서 a= , b=
2a 2a
kÛ`Éx<(k+1)Û`, 즉 kÉ'§x <k+1일 때  f(x)=2k에서
 f(x)  f(x) 유리화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É'§x < +1이므로
2 2
-b+"ÃbÛ`-4ac
2'x-2< f(x)É2'§x
`f(x)
É'§x 이고 '§x <
`f(x)
+1 ㄱ. lim  a= lim  
2 2 a`Ú0+ a`Ú0+ 2a
각 변을 '§x 로 나누면 (-b+"ÃbÛ`-4ac)(-b-"ÃbÛ`-4ac)
= lim  
2'x-2  f(x) a`Ú0+ 2a(-b-"ÃbÛ`-4ac)
< É2
'§x '§x 4ac
= lim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a`Ú0+ 2a(-b-"ÃbÛ`-4ac)
2'§x-2 2c c
= =- (참)
이때 lim   =2, lim  2=2이므로 -2b b
x`Ú¦ '§x x`Ú¦ a Ú 0+이면 ;a!;  Ú ¦
2 -b-"ÃbÛ`-4ac
 f(x) lim {2- } ㄴ. lim  b= lim   =-¦ (거짓)
lim  
x`Ú¦ '§x
=2 x`Ú¦ '§x a`Ú0+ a`Ú0+ 2a

ㄷ. lim  'a a=lim  
④ -'ab+"ÃabÛ`-4aÛ`c
a`Ú¦ a`Ú¦ 2a
다른풀이
b bÛ`
- +¾¨ -4c`
kÛ`Éx<(k+1)Û`에서   'a a
=lim  
2
kÉ'§x <k+1 a>0, b>0에 대하여 a<b이면 'a <'b 이다.
a`Ú¦

1 1 1 ='Ä-c (참)
< É
k+1 '§x k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2k 2k ③
각 변에 2k를 곱하면 < É2
k+1 '§x
2k  f(x)
이때 = 이고 x`Ú¦일 때 k`Ú¦이므로
'§x '§x
2k
53
lim   =2, lim  2`=2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가  f(0)=f(1)=a,
k`Ú¦ k+1 k`Ú¦
2 f(x)-a
 f(x) lim   lim  =b를 만족시킬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lim   =2 1+;k!; x-2
k`Ú¦
'§x
x`Ú2
k`Ú¦
대로 고른 것은?  (단, a, b, c는 실수이다.)

ㄱ.  f(b)=a f(b)-a=0
52 f(x)-a
두 양수 a, b와 음수 c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axÛ`+bx+c=0의 0 ㄴ. lim  =;b!; (단, b+0)
x`Úb xÛ`-bÛ`
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라 하자. <보기>에서 옳은 것만
 f(x-b)-a
ㄷ. lim  =2를 만족시키는 모든 c의 값의 합은 6이다.
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b ) x`Úc x-c
보기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ㄱ. lim  a=-;bC;
a`Ú0+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ㄴ. lim  b=;cB;
a`Ú0+

ㄷ. lim  'a a='¶-c 풀이전략


a`Ú¦
미정계수법을 이용하여 f(x)를 구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문제풀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미정계수법을 이용하여 b의 값을 구한다.


 f(x)-a
lim  =b에서 x`Ú 2일 때 (분모)`Ú 0이므로 (분자)`Ú 0이어
풀이전략 x`Ú2 x-2
야 하므로  f(2)=a이다.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다.
-bÑ"ÃbÛ`-4ac 따라서  f(0)=f(1)=f(2)=a이므로
문제풀이 근의 공식 x= f(0)-a=f(1)-a=f(2)-a=0
2a  f(x)-a=x(x-1)(x-2)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a, b를 구한다. g(a)=0이면 g(x)는 x-a로
 f(x)-a
axÛ`+bx+c=0 (a>0, b>0, c<0)의 두 실근 a, b에 대하여 lim  =lim x(x-1)=2=b 나누어떨어진다.
x`Ú2 x-2 x`Ú2

정답과 풀이 13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13 2017-11-06 오후 2:31:35


정답과 풀이

미정계수법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하고 c의 값에 따른 극한값을 구한 풀이전략

다. 원의 접선을 이용하여 점 A의 좌표를 구하고 직각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ㄱ. ‌ f(x)-a=x(x-1)(x-2)에서 f(x)=x(x-1)(x-2)+a이 AMÓ_OPÓ의 값을 구한다.
므로  f(b)=f(2)=a (참) 문제풀이
 f(x)-a x(x-1)(x-2)
ㄴ. lim  =lim  선분 AB의 길이를 구한다.
x`Úb xÛ`-bÛ` x`Ú2 (x-2)(x+2)
점 A는 원 xÛ`+yÛ`=2와 직선 x+y=2의 교점이므로 점 A의 좌표는
x(x-1)
=lim  (1, 1)이다.
x`Ú2 x+2
PBÓ=PAÓ="Ã(t-1)Û`+(-t+1)Û`  
=;2!;=;b!; (참)
="Ã2(t-1)Û`
ㄷ.  f(x-b)-a=f(x-2)-a=(x-2)(x-3)(x-4) AÕMÓ_OPÓ의 길이를 구한다.

lim 
 f(x-b)-a
=2에서 x`Ú c일 때 (분모)`Ú 0이므로 AÕMÓ_OPÓ=OAÓ_PAÓ='2_"Ã2(t-1)Û`=2(t-1)이므로
x`Úc x-c
AÕMÓ_OPÓ 2(t-1) 직각삼각형 OPA의 넓이는
(분자)`Ú 0이어야 하므로 lim   = lim   =2
t`Ú1+ t-1 t`Ú1+ t-1 ;2!;_OÕAÓ_PÕAÓ
lim{ f(x-b)-a}=0
①
=;2!;_AÕMÓ_OPÓ
x`Úc

(c-2)(c-3)(c-4)=0
Ú c=2일 때
 f(x-b)-a (x-2)(x-3)(x-4)
lim  =lim  =2
x`Úc x-c x`Ú2 x-2
Û c=3일 때

lim 
 f(x-b)-a
=lim 
(x-2)(x-3)(x-4)
=-1
55
x`Úc x-c x`Ú3 x-3 그림과 같이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는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
Ü c=4일 때 BCÓ
ABCD가 있다.  ABÓ=2, ADÓ=CDÓ=x일 때, lim   의
 f(x-b)-a (x-2)(x-3)(x-4) x`Ú'2- '2-x
lim  =lim  =2
x`Úc x-c x`Ú4 x-4 값을 구하시오.   2'2
‌Ú, Û, Ü에서 c=2 또는 c=4이므로 모든 c의 값의 합은  
C
2+4=6 (참) D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A B

풀이전략

54 점 D를 지나고 선분 AB에 평행한 직선과 수직인 직선을 그은 후 교점을 이용


그림과 같이 직선 x+y=2 위의 점 P(t, 2-t)에서 원 하여 선분 BC의 길이를 구한다.
xÛ`+yÛ`=2에 그은 두 접선이 두 원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 문제풀이
AÕMÓ_OPÓ
자.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할 때, lim   의 값은? 삼각형 CBD와 삼각형 EDB가 합동임을 보인다.
t`Ú1+ t-1
ABÓ가 원의 지름이므로 ABÓ의 중점을 O라 C
 (단, t>1이고, 점 A의 y좌표는 점  B의 y좌표보다 크다.)
D E
하면 점 O는 원의 중심이다.
y
직선 AB에 평행하고 점 D를 지나는 직선이
A B
F O
xÛ`+yÛ`=2 원과 만나는 점을 E라 하면
A 직선 DE와 직선 AB가 평행
'2
∠EDB=∠ABD
하므로 엇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2 O '2 x ADÓ=CDÓ이므로 ∠ABD=∠CBD
P
현의 길이가 같으면
-'2
B ∠CBD=∠EDB
x+y=2 원주각의 크기가 같다.
∠CDE=∠EBC이므로
∠CDB=∠CDE+∠EDB=∠EBC+∠DBC=∠EBD
① 2 ② 4 ③6
DBÓ는 공통
④ 8 ⑤ 10
따라서 △CBDª△EDB ( ASA 합동)

1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14 2017-11-06 오후 2:31:37


피티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선분 BC의 길이를 구한다. ㉡에서 g(1)=-f(1)+2이므로 ㉠에 대입하면
DEÓ=BCÓ=y라 하고, 점 D에서 AB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 하면 `f(1){-f(1)+2}=1
DEÓ y { f(1)}Û`-2 f(1)+1=0
OFÓ= =
2 2
{ f(1)-1}Û`=0
ADÓ `-AFÓ `=DFÓ Û`=ODÓ Û`-OFÓ Û`이므로
Û Û

}2`=1-{ }2`
두 직각삼각형 AFD, ODF에서 따라서  f(1)=1, g(1)=1
y y
xÛ`-{1-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한다. 또한 조건 (가)에서  f(0)=g(0)=1이므로 두 다항식  f(x)-1,
2 2
y=2-xÛ` g(x)-1은 모두 x(x-1)로 나누어떨어진다.
BCÓ y 2-xÛ` 즉,  f(x)-1=x(x-1)(x+a), g(x)-1=x(x-1)(x+b) (a,
lim   = lim   = lim  
x`Ú'2- '2-x x`Ú'2- '2-x x`Ú'2- '2-x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 lim  ('2+x) f(1)-1=0, f(0)-1=0이고 g(1)-1=0, g(0)-1=0
x`Ú'2- 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2'2 미정계수법을 이용하여  f(x), g(x)의 계수를 구한다.
 2'2 { f(x)-1}-{ g(x)-1}=f(x)-g(x)  
=x(x-1)(x+a)-x(x-1)(x+b)  
=x(x-1){(x+a)-(x+b)}  
=(a-b)x(x-1)
조건 (다)에서
내신 상위 4% of 4% 본문 19쪽  f(x)-g(x) (a-b)x(x-1)
lim   = lim  
x`Ú¦ xÛ` x`Ú¦ xÛ`

= lim  (a-b){1-;[!;}
56 x`Ú¦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두 삼차식  f(x),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 =a-b=1 yy ㉢


시킬 때,  f(2)+g(2)의 값을 구하시오.  20  f(x)+g(x)-2 x(x-1)(x+a)+x(x-1)(x+b)
lim  =lim 
x`Ú1 x-1 x`Ú1 x-1
(가)  f(0)=g(0)=1 f(0)-1=g(0)-1=0
=lim x(2x+a+b)
x`Ú1
(나) ‌다항식  f(x)g(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a+b=7
7x-6이다. f(x)g(x)=(x-1)Û`Q(x)+7x-6은 x에 대한
항등식이다. a+b=5 yy ㉣
 f(x)-g(x)  f(x)+g(x)-2
(다) lim   =1, lim  =7 ㉢, ㉣을 연립하여 풀면
x`Ú¦ xÛ` x`Ú1 x-1
a=3, b=2
f(1)+g(1)=2 `f(x), g(x)를 구하고 함숫값을 구한다.
문항 파헤치기 f(x)-g(x)는 이차식이고 이차항의 계수는 1이다.
따라서  f(x)=x(x-1)(x+3)+1, g(x)=x(x-1)(x+2)+1이
‌나머지정리와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두 삼차식  f(x), g(x) 구하기
므로
 f(2)+g(2)=2_1_5+1+2_1_4+1=20
실수 point 찾기
 20
‌두 삼차식  f(x)-1, g(x)-1을 이용하여 두 다항식  f(x), g(x)를 구한다.

풀이전략

나머지정리,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f(x), g(x)를 구한 후 f(x)-g(x),


f(x)+g(x)-2를 구한다.
문제풀이

나머지정리와 인수정리를 이용하여  f(x), g(x)를 정한다.


조건 (나)에서 다항식  f(x)g(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
지가 7x-6이므로 f(x)g(x)=(x-1)Û`Q(x)+7x-6의
 f(1)g(1)=1 양변에 x=1을 대입한다. yy ㉠
 f(x)+g(x)-2
조건 (다)의 lim  =7에서 x`Ú 1일 때 (분모)`Ú 0이
x`Ú1 x-1
므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즉, lim { f(x)+g(x)-2}=f(1)+g(1)-2=0 yy ㉡
x`Ú1

정답과 풀이 15

해 01-15 올림포스(고난도)_수2_01강-오2.indd 15 2017-11-06 오후 2:31:37


정답과 풀이

㉠에서 x Ú 0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


02 함수의 연속 어야 한다.
즉, lim  ("ÃxÛ`+9-a)=0에서
x`Ú0

내신 기출 우수 문항 본문 22~25쪽 '9-a=0, a=3 yy ㉡


㉡을 ㉠에 대입하면
01 ③ 02 ③ 03 ① 04 ① 05 ④ "ÃxÛ`+9-a
b=lim  
06 ③ 07 ① 08 ② 09 ① 10 ③ x`Ú0 xÛ`
11 ④ 12 ② 13 ② 14 ④ 15 ② "ÃxÛ`+9-3
=lim  
xÛ`
16 ① 17 ④ 18 ③ 19 ① 20 ②
x`Ú0

xÛ`
21 6 22 2 =lim  
x`Ú0 xÛ`("ÃxÛ`+9+3)
1
=lim   =;6!;
01 ㄱ. lim  f(x)=0, lim  f(x)=0이므로
x`Ú-1- x`Ú-1+
x`Ú0 "ÃxÛ`+9+3
lim  f(x)=0 (참)
x`Ú-1 따라서 a+b=3+;6!;=:Á6»:
ㄴ. lim  f(x)=2, lim  f(x)=1이므로 a=0일 때 lim f(x)의 값이
x`Ú0- x`Ú0+ x`Úa  ①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2<a<2에 대하여 lim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 a의 xÛ` (x<a)
05 함수  f(x)=à 5x+k 
x`Úa
가 x=a에서 연속이면 실수 전체
개수는 1이다. (참) (x¾a)
ㄷ. ­열린구간 (-2, 2)에 대하여 함수 f(x)는 x=0, x=1에서 불연속 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이므로 2개의 점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Ú lim  f(x)= lim  (5x+k)=5a+k
x`Úa+ x`Úa+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Û lim  f(x)= lim  xÛ`=aÛ`
x`Úa- x`Úa-
 ③
Ü  f(a)=5a+k
Ú, Û, Ü에서
0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5a+k=aÛ`, 즉 aÛ`-5a-k=0 yy ㉠
xÛ`+ax+2+0이어야 한다.
이차방정식 ㉠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차방정식 xÛ`+ax+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5)Û`-4_1_(-k)¾0
D=aÛ`-4_2<0에서
(a+'8 )(a-'8 )<0 25+4k¾0, k¾-:ª4°:
-'8 <a<'8 따라서 음의 정수 k는 -6, -5, -4, -3, -2, -1의 6개이다.
따라서 정수 a는 -2, -1, 0, 1, 2의 5개이다.  ④
 ③ 다른풀이

함수 y=xÛ`의 그래프와 직선 y=5x+k가 접 y

03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y=xÛ`
할 때의 k의 값은 이차방정식 xÛ`=5x+k, 즉
xÛ`-2x+a (x¾a) xÛ`-5x-k=0의 판별식 D에 대하여
 f(x)=à  에서
-xÛ`+2x+4  (x<a) D=(-5)Û`-4_1_(-k)=0이므로
lim  f(x)=aÛ`-2a+a=aÛ`-a=f(a)
x`Úa+
25+4k=0, k=-:ª4°: O x

lim  f(x)=-aÛ`+2a+4
x`Úa- 함수 y=xÛ`의 그래프와 직선 y=5x-:ª4°:의
y=5x+k
이므로 aÛ`-a=-aÛ`+2a+4
교점의 x좌표는 xÛ`=5x-:ª4°: 에서 
따라서 2aÛ`-3a-4=0이므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2#; 이다.

 ① xÛ`-5x+:ª4°:=0

{x-;2%;}2`=0, x=;2%;
04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0에서 연속이
다. 즉, f(0)=lim  f(x)에서
x`Ú0 이때 y=:ª4:°  이므로 함수 y=xÛ`의 그래프와 직선 y=5x-:ª4:°  의 교점의
"ÃxÛ`+9-a
b=lim    yy ㉠ 좌표는 {;2%;, :ª4°:}이다.
x`Ú0 xÛ`

1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16 2017-11-02 오후 3:33:08


xÛ` (x<a) lim  f(x)g(x)= lim  f(x)g(x)=f(1)g(1)에서
따라서 함수  f(x)=à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x`Ú1- x`Ú1+
5x+k  (x¾a) (-1)_(3+k)=1_(3+k)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이 존재하려면 k=-3
 ①
k¾-:ª4°: 

따라서 음의 정수 k는 -6, -5, -4, -3, -2, -1의 6개이다.


08 함수 { f(x)}Û`이 x=0에서 연속이려면 lim { f(x)}Û`={ f(0)}Û`이
x`Ú0
성립해야 한다.
06 조건 (나)에서 x+1일 때, 즉, lim  { f(x)}Û`= lim  { f(x)}Û`={ f(0)}Û` 이어야 한다.
x`Ú0- x`Ú0+

xÜ`+axÛ`+b xÜ`+axÛ`+b lim  { f(x)}Û`= lim `f(x)_ lim `f(x)=(a+2)Û`


 f(x)= =
xÛ`-1 (x-1)(x+1) x`Ú0- x`Ú0- x`Ú0-

함수 f(x)가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연속인 함수이므로 lim  { f(x)}Û`= lim `f(x)_ lim `f(x)=9
x`Ú0+ x`Ú0+ x`Ú0+

x=1에서 연속이다. 즉, { f(0)}Û`=9


xÜ`+axÛ`+b 이므로 (a+2)Û`=9, a+2=Ñ3
 f(1)=lim f(x)=lim   yy ㉠
x`Ú1 x`Ú1 (x-1)(x+1)
a=1 또는 a=-5
㉠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1_(-5)=-5
어야 한다.  ②
즉, lim (xÜ`+axÛ`+b)=0에서
x`Ú1

1+a+b=0, b=-(a+1) yy ㉡
㉡을 ㉠에 대입하면 09 함수 g(x)는 x=2, x=3에서 연속일 때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
속이다.
xÜ`+axÛ`+b
lim f(x)=lim  x=2에서 연속일 때, lim  g(x)= lim  g(x)=g(2)가 성립한다.
x`Ú1 x`Ú1 (x-1)(x+1) x`Ú2- x`Ú2+

xÜ`+axÛ`-(a+1) lim  g(x)=(4+2a+b)_4


=lim  x`Ú2-
x`Ú1 (x-1)(x+1)
lim  g(x)=(4+2a+b)_3=g(2)
(xÜ`-1)+a(xÛ`-1) x`Ú2+
=lim 
x`Ú1 (x-1)(x+1) 이므로 (4+2a+b)_4=(4+2a+b)_3
(x-1)(xÛ`+x+1)+a(x-1)(x+1) 4+2a+b=0 yy ㉠
=lim 
x`Ú1 (x-1)(x+1) x=3에서 연속일 때, lim  g(x)= lim  g(x)=g(3)이 성립한다.
x`Ú3- x`Ú3+
(x-1){xÛ`+(a+1)x+a+1} lim  g(x)=(9+3a+b)_4
=lim 
x`Ú1 (x-1)(x+1) x`Ú3-

xÛ`+(a+1)x+a+1 lim  g(x)=(9+3a+b)_3=g(3)


x`Ú3+
=lim 
x`Ú1 x+1 이므로 (9+3a+b)_4=(9+3a+b)_3
2a+3 9+3a+b=0   yy ㉡
=
2
㉠, ㉡을 연립하여 풀면 a=-5, b=6
이므로 조건 (가)에서 따라서 a+b=-5+6=1
2a+3  ①
=;2(;, a=3
2
㉡에서 b=-4
( (x+2)Û` 10 함수 f(x)는 x=1에서만 불연속이고 <보기>에서 주어진 함수
M x+1 (0<x<1, x>1)
따라서  f(x)={
g(x)는 모두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g(x)가
이므로
M ;2(; x=1에서만 연속이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9
(x=1)
lim  f(x)=0, lim  f(x)=-1, f(1)=0이므로
x`Ú1- x`Ú1+
 f(2)=:Á3¤: lim  f(x)g(x)= lim  f(x)g(x)=f(1)g(1)이 성립하려면
x`Ú1- x`Ú1+
 ③ lim g(x)=g(1)=0이어야 한다.
x`Ú1

ㄱ. g(x)=xÛ`+2x-3에서 g(1)=0
(x-2)(3x+k) (x<1)
07  f(x)g(x)=à (-x+2)(3x+k)  (x¾1)
 가 실수 전체의 집합 ㄴ. g(x)="ÃxÛ`+3-2에서 g(1)=0
1
ㄷ. g(x)= -1에서 g(1)=-;2!;
에서 연속이 되려면 x=1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xÛ`+1

정답과 풀이 17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17 2017-11-02 오후 3:33:09


정답과 풀이

따라서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함 y


y=f(x)
수 g(x)는 ㄱ, ㄴ이다.
 ③ 1
-1
-'2 O 1 '2 x

11 ㄱ.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1

= lim  (2x-1)_ lim  xÛ`


x`Ú1- x`Ú1-

=1_1 ㄴ. ­함수 { f(x)}Û`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려면 x=1에서 연

=1 속이면 된다.

lim  f(x)g(x)= lim  f(x)_ lim  g(x) lim  { f(x)}Û`=1Û`=1


x`Ú1-
x`Ú1+ x`Ú1+ x`Ú1+

= lim  (-x)_ lim  xÛ` lim  { f(x)}Û`=(-1)Û`=1


x`Ú1+
x`Ú1+ x`Ú1+

=(-1)_1=-1 { f(1)}Û`=(-1)Û`=1

이므로 이므로 lim{ f(x)}Û`={ f(1)}Û`


x`Ú1

lim  f(x)g(x)+ lim  f(x)g(x) 즉, 함수 { f(x)}Û`은 x=1에서 연속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
x`Ú1- x`Ú1+

즉, 함수 f(x)g(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속이다. (참)

ㄴ. lim  f(x)g(x)= lim  f(x)_ lim  g(x) ㄷ. ­함수 y=(x+a)Û`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x`Ú1- x`Ú1- x`Ú1-
(x+a)Û`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려면 x=1에서 연
= lim  (2x-1)_ lim  (-1)
x`Ú1- x`Ú1- 속이면 된다.
=1_(-1) lim  (x+a)Û` f(x)=(1+a)Û`_1
x`Ú1-
=-1
lim  (x+a)Û` f(x)=(1+a)Û`_(-1)=(1+a)Û` f(1)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x`Ú1+
에서 (1+a)Û`=-(1+a)Û`이므로 a=-1
= lim  (-x)_ lim  1
x`Ú1+ x`Ú1+ 즉, 실수 a의 개수는 1이다. (거짓)
=(-1)_1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1  ②
 f(1)`g(1)=1_(-1)=-1이므로
lim f(x)g(x)=f(1)g(1)
x`Ú1

즉, 함수 f(x)g(x)는 x=1에서 연속이다. 13 두 함수 f(x), f(x)+b는 x=0에서만 불연속이므로 함수


ㄷ. lim  f(x)g(x)= lim  f(x)_ lim  g(x) `f(x){ f(x)+b}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0에서 연속
x`Ú1- x`Ú1- x`Ú1-
이어야 한다. 즉,
= lim  (2x-1)_ lim  x
x`Ú1- x`Ú1- lim  f(x){ f(x)+b}= lim  f(x){ f(x)+b}=f(0){ f(0)+b}
x`Ú0- x`Ú0+
=1_1
이어야 한다.
=1
lim  f(x){ f(x)+b}= lim  (xÛ`+2x-3)(xÛ`+2x-3+b)
lim  f(x)g(x)= lim  f(x)_ lim  g(x) x`Ú0- x`Ú0-
x`Ú1+ x`Ú1+ x`Ú1+
=(-3)_(-3+b)
= lim  (-x)_ lim  (-x)
x`Ú1+ x`Ú1+ =9-3b
=(-1)_(-1) lim  f(x){ f(x)+b}= lim  (-2x+4)(-2x+4+b)
x`Ú0+ x`Ú0+
=1
=4_(4+b)
 f(1)g(1)=1_1=1이므로
=16+4b
lim f(x)g(x)=f(1)g(1)
x`Ú1 `f(0){ f(0)+b}=a_(a+b)=aÛ`+ab
즉, 함수 f(x)g(x)는 x=1에서 연속이다. 이므로 9-3b=16+4b=aÛ`+ab
따라서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함수 g(x)는 9-3b=16+4b에서 b=-1
ㄴ, ㄷ이다. 16+4_(-1)=aÛ`+a_(-1)에서
 ④ aÛ`-a-12=0, (a-4)(a+3)=0
a=4 또는 a=-3
12 ㄱ.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이 x=1에서만 불연속이 따라서 순서쌍 (a, b)는 (4,-1), (-3,-1)의 2개이다.
므로 집합 A의 원소의 개수는 1이다. (거짓)  ②

1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18 2017-11-02 오후 3:33:09


14 함수 f(x)가 x=0에서 불연속이므로 k+3 yy ㉠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는 연속이고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함수 f(x) f(1-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Ú 1-x=t라 하면 x Ú 1-일 때 t Ú 0+이므로 4 y=f(x)

lim  f(x) f(1-x)= lim  f(x)_ lim  f(1-x) 3


x`Ú1- x`Ú1- x`Ú1-

  = lim  f(x)_ lim  f(t)


x`Ú1- t`Ú0+

  =(-1+k)_k -2 O 1 2 x

  =kÛ`-k -1

Û 1-x=t라 하면 x Ú 1+일 때 t Ú 0-이므로 따라서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는 x=2일 때 최댓값 4,
lim  f(x) f(1-x)= lim  f(x)_ lim  f(1-x) x=0일 때 최솟값 -1을 가지므로
x`Ú1+ x`Ú1+ x`Ú1+

  = lim  f(x)_ lim  f(t) M+m=4+(-1)=3


x`Ú1+ t`Ú0-
 ①
  =(-1+k)_3
  =3(k-1)
Ü f(1) f(0)=(-1+k)_3=3(k-1) 17 방정식 f(x)-x=0에서 g(x)=f(x)-x라 하면 f(x)가 연속함
Ú, Û, Ü 에서 kÛ`-k=3(k-1) 수이므로 g(x)도 연속함수이다.

kÛ`-4k+3=0, (k-1)(k-3)=0  f(0)=1, f(1)=2, f(2)=2, f(3)=4, f(4)=-1, f(5)=3에서

㉠에서 k+3이므로 k=1 g(0)=1-0=1>0

 ④ g(1)=2-1=1>0
g(2)=2-2=0
g(3)=4-3=1>0
15 lim f(x)=4이므로 g(1)=0
x`Ú1 g(4)=-1-4=-5<0
lim  f(x)=2이므로 g(-1)=0 g(5)=3-5=-2<0
x`Ú-1

 g(x)=(x-1)(x+1)(ax+b) (a, b는 상수, a+0)라 하면 이므로 방정식 g(x)=0의 한 근은 x=2이고, g(3)>0, g(4)<0이므
(x-1)(x+1)(ax+b) 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3, 4)에서 또
lim f(x)=lim 
x`Ú1 x`Ú1 xÛ`-1 다른 하나의 실근을 가진다.
=lim (ax+b) 따라서 방정식 g(x)=0, 즉 f(x)=x의 실근이 반드시 존재하는 구간
x`Ú1

=a+b 은 열린구간 (3, 4)이다.


(x-1)(x+1)(ax+b)  ④
lim  f(x)= lim  
x`Ú-1 x`Ú-1 xÛ`-1
= lim  (ax+b)
x`Ú-1 18 g(x)=f(2x-1) f(2x+1)이라 하면 함수 f(x)가 연속함수이므
=-a+b 로 함수 g(x)도 연속함수이다.
이므로 a+b=4,-a+b=2  f(1) f(2)<0, f(2) f(3)>0에서 f(1){ f(2)}Û` f(3)<0이므로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f(2)+0, f(1) f(3)<0
a=1, b=3  f(2) f(3)>0, f(3) f(4)>0에서 f(2){ f(3)}Û` f(4)>0이므로
따라서 g(x)=(x-1)(x+1)(x+3)이므로  f(3)+0, f(2) f(4)>0

g(1)=f(1) f(3)<0, g {  }=f(2) f(4)>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g(2) 3
g(2)=15,  f(2)= =:Á3°:=5 2
3
 f(2)+g(2)=5+15=20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②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f(2x-1) f(2x+1)=0의 실근이 반드시 존재하는 구간
16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f(1)이어야 한다.
x`Ú1
은 열린구간  {1, ;2#;}이다.
Ú  f(1)=0
 ③
Û lim  (4x+a)=4+a
x`Ú1+

Ü lim  (xÛ`-1)=0
`f(x)
19 lim  x-1 =1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
x`Ú1-

Ú, Û, Ü 에서 4+a=0 x`Ú1

a=-4 므로 (분자) Ú 0이다. 

정답과 풀이 19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19 2017-11-02 오후 3:33:10


정답과 풀이

f(x)가 다항식이므로 f(x)는 x-1로 나누어떨어진다. 따라서  f(x)=(x-1)(xÛ`+2x-2)이므로


`f(x)
lim   =2에서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나)
x`Ú2 x-2
(분자) Ú 0이다. 즉, f(x)는 x-2로 나누어떨어진다. 
 f(2)=1_(4+4-2)=6

f(x)=(x-1)(x-2)g(x) ( g(x)는 다항식)라 하면  (다)


`f(x)  6
lim   =1에서
x`Ú1 x-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1)(x-2)g(x)
lim   =-g(1)=1 (가)  g(x)를 구한 경우 40`%
x`Ú1 x-1
`f(x) (나)  f(x)를 구한 경우 40`%
lim   =2에서
x`Ú2 x-2 (다)  f(2)의 값을 구한 경우 20`%
(x-1)(x-2)g(x)
lim   =g(2)=2
x`Ú2 x-2
 g(1)=-1, g(2)=2 22 Ú 0<r<2일 때, f(r)=4
 g(x)는 다항식이므로 함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y

 g(1)g(2)<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


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x
O 1 3
따라서 방정식 f(x)=(x-1)(x-2)g(x)=0은 닫힌구간 [1, 2]에서
x=1, x=2를 포함하여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① Û r=2일 때, f(r)=3
y

20 `f(x)=(x-1)(x-2)(x-3)+(x-1)(x-2)
+(x-2)(x-3)+(x-3)(x-1) O 1 x
3
이라 하면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ㄱ, ­ㄴ. f(1)=2>0, f(2)=-1<0, f(3)=2>0에서 방정식
 f(x)=0은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열린구간 (1, 2), (2, 3)에서 Ü 2<r<4일 때, f(r)=2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진다. (참)
y
ㄷ. k¾3인
­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f(k)>0이므로 방정식 f(x)=0은
3보다 큰 실근을 갖지 않는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O 1 3 x

 ②

21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도 연속 Ý r=4일 때, f(r)=1


이다. 즉, lim g(x)=g(1)이므로 y
x`Ú1

`f(x)
lim  =1
x`Ú1 x-1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O 1 3 x

즉, lim f(x)=0에서 f(1)=0
x`Ú1

 f(x)=(x-1)(xÛ`+cx+d) ( c, d는 상수)라 하면
xÛ`+cx+d  (x+1) Þ r>4일 때, f(r)=0
g(x)=à
1 (x=1) y

 (가)
lim (xÛ`+cx+d)=1에서
x`Ú1
O 1 3 x
1+c+d=1, c+d=0 yy ㉠
 f(0)=2에서 d=-2
d=-2를 ㉠에 대입하면 c-2=0, c=2

2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0 2017-11-02 오후 3:33:12


따라서 f(r)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2-4a=0, a=;2!;
y

4 y=f(r) a=;2!; 을 ㉠에 대입하면


3

2 ;4#;x ;4#;
lim  =lim 
1 x`Ú0
x{"ÃxÛ`+2x+4+;2!;x+2} x`Ú0
"ÃxÛ`+2x+4+;2!;x+2
O 2 4 r
;4#;
 (가) = =;1£6;=b
4
위의 그래프에서 함수 f(r)는 r=2, r=4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a+b=;2!;+;1£6;=;1!6!;
 g(r)=(rÛ`+ar+b) f(r)라 하면 함수 g(r)가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
에서 연속이므로 r=2, r=4에서도 연속이다.  ①
즉, 4+2a+b=0, 16+4a+b=0에서
a=-6, b=8
24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나) lim  f(x)= lim  f(x)=f(1)에서
x`Ú1- x`Ú1+

따라서 a+b=(-6)+8=2 |xÛ`-a|+|2x-b|


lim  (-x+c)= lim   =-1+c yy ㉠
x`Ú1- x`Ú1+ x-1
 (다)
㉠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
 2
이어야 한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즉, lim  (|xÛ`-a|+|2x-b|)=0에서
x`Ú1+
(가) 함수 f(r)를 구한 경우 40`%
|1-a|+|2-b|=0이므로
(나) a, b의 값을 구한 경우 40`%
a=1, b=2 yy ㉡
(다) a+b의 값을 구한 경우 20`%
㉡을 ㉠에 대입하면
|xÛ`-1|+|2x-2| (xÛ`-1)+(2x-2)
lim   = lim  
x`Ú1+ x-1 x`Ú1+ x-1
상위 = lim (x+3)
내신 7% 고득점 문항 본문 26~30쪽 x`Ú1+

=4
23 ① 24 ④ 25 ③ 26 ② 27 ① 따라서 -1+c=4이므로 c=5
28 ③ 29 ⑤ 30 ① 31 ② 32 ③ a+b+c=1+2+5=8
33 ④ 34 ④ 35 ④ 36 ⑤ 37 ④  ④
38 ④ 39 ① 40 ② 41 ③ 42 ⑤
43 ② 44 ③ 45 112 46 22 25 g(x)=xÛ`+kx+k, h(x)=10x-1이라 하자.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a, x=a+1에서 연속이
23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0에서도 연속 어야 한다.
이다. lim  f(x)= lim  f(x)=f(a)에서
x`Úa- x`Úa+
즉, lim f(x)=f(0)이므로
x`Ú0 lim  g(x)= lim  h(x)=h(a)이므로
x`Úa- x`Úa+
"ÃxÛ`+2x+4-(ax+2) g(a)=h(a) yy ㉠
lim 
x`Ú0 xÛ`
lim  f(x)= lim  f(x)=f(a+1)에서
(xÛ`+2x+4)-(ax+2)Û` x`Ú(a+1)- x`Ú(a+1)+
=lim 
x`Ú0 xÛ`("ÃxÛ`+2x+4+ax+2) lim  h(x)= lim  g(x)=h(a+1)이므로
x`Ú(a+1)- x`Ú(a+1)+

(1-aÛ`)xÛ`+(2-4a)x g(a+1)=h(a+1) yy ㉡
=lim 
x`Ú0 xÛ`("ÃxÛ`+2x+4+ax+2)
㉠, ㉡에서 a, a+1은 방정식 g(x)=h(x), 즉 xÛ`+(k-10)x+k+1=0
(1-aÛ`)x+(2-4a) 의 근이다.
=lim  =b yy ㉠
x`Ú0 x("ÃxÛ`+2x+4+ax+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에서 x Ú 0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
a+(a+1)=-(k-10), a(a+1)=k+1이므로
이어야 한다. 즉, lim {(1-aÛ`)x+2-4a}=0에서
x`Ú0 aÛ`+3a-10=0, (a+5)(a-2)=0

정답과 풀이 21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1 2017-11-02 오후 3:33:12


정답과 풀이

a=-5 또는 a=2 따라서 f(x)=(x-1)(x-3)(x+3)이고


a=-5일 때, k=19 `f(x) (x-1)(x-3)(x+3)
lim   =lim  
a=2일 때, k=5 x`Ú3  g(x) x`Ú3 (x-1)(x-3)

따라서 모든 상수 k의 값의 합은  = lim
x`Ú3
 (x+3)
19+5=24  =6=a
 ③ `f(x)
lim  h(x)=lim  
x`Úa x`Ú6  g(x)

26 ( f½g)(xÛ`)=f(g(xÛ`))=f(xÛ`+1)="ÃxÛ`+1 =lim  
(x-1)(x-3)(x+3)
(g½f)(xÛ`)=g( f(xÛ`))=g("ÅxÛ`)="ÅxÛ`+1=|x|+1 x`Ú6 (x-1)(x-3)
함수 h(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0에서도 연속이다. =lim
x`Ú6
 (x+3)
( f½g)(xÛ`)-(g½f)(xÛ`) =9
lim h(x)= lim  
x`Ú0+ x`Ú0+ x
 ③
"ÃxÛ`+1-(|x|+1)
= lim  
x`Ú0+ x

29 ㄱ. 1- t =x라 하면 t Ú ¦일 때 x Ú 1-이므로


{"ÃxÛ`+1-(|x|+1)}{"ÃxÛ`+1+(|x|+1)} 1
= lim  
x`Ú0+ x{"ÃxÛ`+1+(|x|+1)}
1
= lim  
-2|x|
=-1 lim `f {1- }= lim `f(x)=1 (참)
t`Ú¦ t x`Ú1-
x`Ú0+ x{"ÃxÛ`+1+(|x|+1)}
ㄴ. Ú lim `f(x) f(x+1)= lim `f(x)_ lim `f(x+1)
x`Ú1- x`Ú1- x`Ú1-
lim h(x)=k=h(0)
x`Ú0-
 = lim `f(x)_ lim `f(t)
x`Ú1- t`Ú2-
따라서 k=-1
 =1_0=0
 ②
Û lim `f(x)f(x+1)= lim `f(x)_ lim `f(x+1)
x`Ú1+ x`Ú1+ x`Ú1+

27 조건 (가)에서 f(x+2)=f(x)이므로 f(0)=f(2)이다.  = lim `f(x)_ lim `f(t)


x`Ú1+ t`Ú2+

1=4+2a+b, 2a+b=-3 yy ㉠  =2_0=0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도 연속이다. Ü  f(1) f(2)=0_0=0
lim  f(x)= lim  f(x)=f(1)에서 Ú, Û, Ü 에 의하여
x`Ú1- x`Ú1+

2=1+a+b, a+b=1 yy ㉡ lim`f(x) f(x+1)=f(1) f(2)


x`Ú1

㉠, ㉡을 연립하여 풀면 이므로 함수 f(x) f(x+1)은 x=1에서 연속이다. (참)


a=-4, b=5  f(x)
ㄷ.  g(x)= 라 하면
a+2b=-4+2_5=6  f(x-1)+1
 ①  f(x)
Ú lim  g(x)= lim   =0
x`Ú2- x`Ú2-  f(x-1)+1
 f(x)
28 함수 h(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 x=3에서 Û lim  g(x)= lim  
x`Ú2+ x`Ú2+  f(x-1)+1
=0
도 연속이다.
 f(2)
`f(x) `f(x) Ü g(2)= =0
즉, lim   =4, lim   =a  f(1)+1
x`Ú1   g(x) x`Ú3   g(x)
Ú, Û, Ü 에 의하여
이때 lim  g(x)=g(1)=0, lim  g(x)=g(3)=0이므로
x`Ú1 x`Ú3 lim  g(x)=g(2)
x`Ú2
lim  f(x)=f(1)=0, lim  f(x)=f(3)=0 이어야 한다.
x`Ú1 x`Ú3  f(x)
이므로 함수 g(x)= 는 x=2에서 연속이다. (참)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f(x-1)+1
 f(x)=(x-1)(x-3)(x+k)(k는 상수)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로 놓을 수 있다.  ⑤
`f(x) (x-1)(x-3)(x+k)
lim   =lim  
x`Ú1  g(x) x`Ú1 (x-1)(x-3)
x f(x)+1
 = lim
x`Ú1
 (x+k) 30 lim  g(x)=lim  
x`Ú¦ x`Ú¦ xÛ`-1
=2에서 xf(x)+1은 최고차항의 계

 =k+1=4 수가 2인 이차함수이어야  하므로 f(x)=2x+a (a는 상수)로 놓을 수


이므로 k=3 있다.

2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2 2017-11-02 오후 3:33:13


또한 주어진 조건에서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0_g(0)=0
g(1)=lim g(x)에서    f(0) g(0)=1_g(0)=g(0)
x`Ú1

x f(x)+1   이므로 2g(0)=0=g(0)


k=lim    따라서 g(0)=0
x`Ú1 xÛ`-1
x(2x+a)+1 Û a=1에서 연속
=lim   yy ㉠
x`Ú1 xÛ`-1 lim  f(a) g(a)= lim  f(a)_ lim  g(a)
  a`Ú1-
㉠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
a`Ú1- a`Ú1-

=0_g(1)=0
어야 한다.
lim  f(a) g(a)= lim  f(a)_ lim  g(a)
  a`Ú1+ a`Ú1+ a`Ú1+
즉, lim{x(2x+a)+1}=0에서
x`Ú1
=2_g(1)=2g(1)
a+3=0, a=-3 yy ㉡
   f(1) g(1)=1_g(1)=g(1)
㉡을 ㉠에 대입하면   이므로 0=2g(1)=g(1)
x(2x-3)+1
k=lim    따라서 g(1)=0
x`Ú1 xÛ`-1
Ú, Û 에서 g(0)=0, g(1)=0이므로
2xÛ`-3x+1
=lim   g(a)=aÛ`+ka+l에 대입하면
x`Ú1 xÛ`-1
(x-1)(2x-1)  g(0)=l=0 yy ㉠
=lim   g(1)=1+k+l=0 yy ㉡
x`Ú1 (x-1)(x+1)
㉠, ㉡에서 k=-1, l=0
=;2!;
따라서 g(a)=aÛ`-a이므로
 ① g(3)=9-3=6
 ③
 f(x-1)+3
31 lim  =2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x`Ú1 x-1
`f(x)+| f(x)|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33 g(x)= 2
에서

즉, lim{ f(x-1)+3}=0이고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f(x)+f(x)


x`Ú1  f(x)¾0이면 g(x)= =f(x)
2
f(0)=lim`f(x)=lim`f(t-1)=-3
x`Ú0 t`Ú1 `f(x)-f(x)
 f(x)<0이면 g(x)= =0
f(x+y)=f(x)+f(y)+a의 양변에 x=y=0을 대입하면 2
f(0)=f(0)+f(0)+a이므로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도 연속이
f(0)=-a=-3 다.
따라서 a=3 즉, lim  g(x)= lim  g(x)=g(-1)
x`Ú-1- x`Ú-1+
 ② 이때  f(-1)=6>0이므로 g(-1)=f(-1)=6이고,
lim  g(x)= lim (-x+5)=6이므로
32 이차방정식 xÛ`+2a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Ú-1- x`Ú-1-

lim  g(x)=6
D x`Ú-1+
=aÛ`-a=a(a-1)
4 즉, lim  ax(x-2)=3a=6에서
x`Ú-1+
따라서 함수 f(a)는 다음과 같다.
a=2
( 2  (a<0)
또한 함수 g(x)가 x=1에서도 연속이므로
È 1  (a=0)
lim  g(x)= lim  g(x)=g(1)
 f(a)={ 0  (0<a<1) x`Ú1- x`Ú1+

È 1  (a=1) 이때 f(1)=-a=-2<0이므로 g(1)=0이고,

9 2  (a>1) lim  g(x)= lim  0=0이므로


x`Ú1- x`Ú1-

g(a)=aÛ`+ka+l (k, l은 상수)이라 하면 함수 f(a) g(a)가 실수 전체 lim  g(x)=0


x`Ú1+
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a=0, a=1에서도 연속이다. 즉, lim  f(x)= lim  (x+b)=1+bÉ0에서
x`Ú1+ x`Ú1+
Ú a=0에서 연속
bÉ-1
lim  f(a) g(a)= lim  f(a)_ lim  g(a)
  a`Ú0- a`Ú0- a`Ú0-
a+bÉ2+(-1)=1
=2_g(0)=2g(0) 따라서 a+b의 최댓값은 1이다.
lim  f(a) g(a)= lim  f(a)_ lim  g(a)
  a`Ú0+  ④
a`Ú0+ a`Ú0+

정답과 풀이 23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3 2017-11-02 오후 3:33:13


정답과 풀이

34 이차함수 f(x)는 연속함수이고,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36 y


y=f(x)
lim  f(x)= lim  f(x)=aÛ`-16 1
x`Úa+2 x`Ú-a+2

을 만족시키므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 -3 -2 -1 O 1 2 3 x


칭이다. -1
따라서 b=2
f(x)=p(x-2)Û`+q (p, q는 상수, p+0)로 놓으면 임의의 실수 a에 ㄱ. lim  f(x)=-1 (참)
x`Ú-1-

대하여 ㄴ. lim  (x-2) f(x)=0_1=0


x`Ú2-
lim {p(x-2)Û`+q}= lim {p(x-2)Û`+q}=aÛ`-16
x`Úa+2 x`Ú-a+2 lim  (x-2) f(x)=0_(-1)=0
x`Ú2+
paÛ`+q=aÛ`-16
(2-2) f(2)=0
위의 식은 a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이므로 lim (x-2) f(x)=(2-2) f(2)
x`Ú2
p=1, q=-16
f(x) (x-2)Û`-16 따라서 함수 (x-2) f(x)는 x=2에서 연속이다. (참)
lim   = lim
x`Ú-b x+b x`Ú-2  x+2 ㄷ. 함수 f(x) f(x+a)가 x=0에서 연속이려면
xÛ`-4x-12 lim  f(x) f(x+a)= lim  f(x) f(x+a)=f(0) f(a)
= lim   x`Ú0- x`Ú0+
x`Ú-2 x+2
가 성립해야 한다.
(x+2)(x-6)
= lim   x+a=t라 하면
x`Ú-2 x+2
= lim (x-6) lim  f(x) f(x+a)= lim  f(x)_ lim  f(t)= lim  f(t)
x`Ú-2 x`Ú0- x`Ú0- t`Úa- t`Úa-

=-8 lim  f(x) f(x+a)= lim  f(x)_ lim  f(t)=- lim  f(t)


x`Ú0+ x`Ú0+ t`Úa+ t`Úa+

 ④ f(0) f(a)=f(a)
이므로 lim  f(t)=- lim  f(t)=f(a)
t`Úa- t`Úa+

35 ㄱ. lim  f(x)=0, lim  g(x)=1이므로


x`Ú1- x`Ú1-
위의 그래프에서 a=2n (n은 정수)일 때 위 식이 성립하므로 실수
a는 무수히 많다. (참)
lim  f(x)g(x)= lim  f(x)_ lim  g(x)
x`Ú1- x`Ú1- x`Ú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0_1
 ⑤
=0 (참)
ㄴ. x+1=t라 하면 x Ú 0+일 때 t Ú 1+이고 x Ú 0-일 때
t Ú 1-이므로
37  g(x)=f(x)+f(-x)라 하자.
lim `f(-x)= lim `f(t)=4이므로
lim  f(x+1)= lim  f(t)=-1 x`Ú0+ t`Ú0-
x`Ú0+ t`Ú1+
lim  g(x)= lim { f(x)+f(-x)}
lim  f(x+1)= lim  f(t)=0 x`Ú0+ x`Ú0+
x`Ú0- t`Ú1-
= lim `f(x)+ lim `f(-x)
x`Ú0+ x`Ú0+
즉,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x=0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하면 x Ú 1-일 때 t Ú 0-이고 x Ú 1+일 때
= lim `f(x)+ lim `f(t)
ㄷ. x-1=t라
­ x`Ú0+ t`Ú0-

t Ú 0+이므로 =6+4=10
lim  | f(x)|g(x-1)= lim  | f(x)|_ lim  g(x-1) lim `f(-x)= lim `f(t)=6이므로
x`Ú1- x`Ú1- x`Ú1- x`Ú0- t`Ú0+

= lim  | f(x)|_ lim  g(t) lim  g(x)= lim { f(x)+f(-x)}


x`Ú1- t`Ú0- x`Ú0- x`Ú0-

=0_1=0 = lim `f(x)+ lim `f(-x)


x`Ú0- x`Ú0-

lim  | f(x)|g(x-1)= lim  | f(x)|_ lim  g(x-1) = lim `f(x)+ lim `f(t)
x`Ú1+ x`Ú1+ x`Ú1+ x`Ú0- t`Ú0+

= lim  | f(x)|_ lim  g(t) =4+6=10


x`Ú1+ t`Ú0+

=1_0=0  g(0)=f(0)+f(0)=2 f(0)

| f(1)|g(1-1)=|f(1)|g(0)=0_0=0 이때 함수  g(x)=f(x)+f(-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따라서 lim| f(x)|g(x-1)=|f(1)|g(0) lim  g(x)= lim  g(x)=g(0)에서


x`Ú0+ x`Ú0-
x`Ú1

즉, 함수 | f(x)| g(x-1)은 x=1에서 연속이다. (참) 10=2f(0),  f(0)=5 yy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h(x)=f(x-1){ f(x)-2}라 하자.
 ④ lim `f(x-1)= lim `f(u)=6이므로
x`Ú1+ u`Ú0+

2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4 2017-11-02 오후 3:33:14


lim h(x)= lim [ f(x-1){ f(x)-2}] D=(t-1)Û`-4_;4!;_tÛ`=0에서
x`Ú1+ x`Ú1+

= lim `f(x-1)_ lim { f(x)-2}


x`Ú1+ x`Ú1+
-2t+1=0, t=;2!;
= lim `f(u)_ lim { f(x)-2}
u`Ú0+ x`Ú1+
즉, 곡선 y='§x 와 직선 y=;2!;x+t가 접할 때 실수 t의 값은 ;2!; 이고 직
=6_(2-2)=0
lim `f(x-1)= lim `f(u)=4이므로
x`Ú1- u`Ú0- 선 y=;2!;x+t가  점 (0, 0)을 지날 때 실수 t의 값은 0이므로

( 0 
lim h(x)= lim [ f(x-1){ f(x)-2}]
x`Ú1- x`Ú1-
{t>;2!;}
= lim `f(x-1)_ lim { f(x)-2} M
M 1 
x`Ú1- x`Ú1-
{t=;2!;}
= lim `f(u)_ lim { f(x)-2}
u`Ú0- x`Ú1- `f(t)={
=4_(2-2)=0 M {0Ét<;2!;}
2 
M
9 1 
h(1)=f(0){ f(1)-2}=5{ f(1)-2}
(t<0)
이때 함수 h(x)=f(x-1){ f(x)-2}가 x=1에서 연속이므로
따라서 함수 y=f(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lim h(x)= lim h(x)=h(1)에서
x`Ú1+ x`Ú1-
y
0=5{ f(1)-2}, f(1)=2 yy ㉡ y=f(t)
2
㉠, ㉡에서  f(0)+f(1)=5+2=7
1
 ④

38 ㄱ. O t
lim  | f(x)|=2, lim  | f(x)|=2, | f(0)|=|-2|=2 ;2!;
x`Ú0- x`Ú0+

이므로 | f(x)|는 x=0에서 연속이다. (참) h(t)=(2tÛ`+at+b) f(t)라 할 때, 함수 h(t)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ㄴ. -x=t라 하면
연속이려면 t=0, t=;2!; 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lim  { f(x)+f(-x)}= lim  f(x)+ lim  f(t)
x`Ú0- x`Ú0- t`Ú0+
Ú 함수 h(t)가 t=0에서 연속이려면 lim h(t)=h(0)이어야 한다.
=2+(-2)=0 t`Ú0

lim  { f(x)+f(-x)}= lim  f(x)+ lim  f(t) 이때


x`Ú0+ x`Ú0+ t`Ú0-
lim  h(t)= lim (2tÛ`+at+b) f(t)=2b
=(-2)+2=0 t`Ú0+ t`Ú0+

f(0)+f(0)=(-2)+(-2)=-4 lim  h(t)= lim (2tÛ`+at+b) f(t)=b


t`Ú0- t`Ú0-

이므로 f(x)+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h(0)=(0Û`+a_0+b) f(0)=2b


ㄷ. ­x-1=t, x+1=s라 하면 x Ú 0-일 때 t Ú -1-, s Ú 1-이 이므로 2b=b
고, x Ú 0+일 때 t Ú -1+, s Ú 1+이므로 b=0
lim  f(x-1) f(x+1)= lim  f(t)_ lim  f(s)
x`Ú0- t`Ú-1- s`Ú1-
Û 함수 h(t)가 t=;2!; 에서 연속이려면 lim h(t)=h {;2!;}이어야 한다.
t`Ú;2!;
=(-1)_(-1)=1 이때
lim  f(x-1) f(x+1)= lim  f(t)_ lim  f(s) lim  h(t)= lim (2tÛ`+at+b) f(t)=0
x`Ú0+ t`Ú-1+ s`Ú1+
t`Ú;2!;+ t`Ú;2!;+
=1_1=1
lim  h(t)= lim  (2tÛ`+at+b) f(t)
f(-1) f(1)=1_1=1 t`Ú;2!;- t`Ú;2!;-

에서 lim f(x-1) f(x+1)=f(-1) f(1)
x`Ú0   ={;2!;+;2A;+b}_2
따라서 함수 f(x-1) f(x+1)은 x=0에서 연속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a+2b+1
 ④ h {;2!;}=[2_{;2!;}Û`+a_;2!;+b] f {;2!;}

=;2!;+;2!;a+b
39 '§§x=;2!;x+t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이므로 0=1+a+2b=;2!;+;2!;a+b
;4!;xÛ`+(t-1)x+tÛ`=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1

정답과 풀이 25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5 2017-11-02 오후 3:33:14


정답과 풀이

Ú, Û 에서 속이고 
a+b=-1+0=-1 h(a) h(b)=[ f(a)-;2!;a-;4!;][ f(b)-;2!;b-;4!;]
 ①
={1-;2!;a-;4!;}{-;2!;b-;4!;}

={;4#;-;2!;a}{-;2!;b-;4!;}<0
xÛ`+1  (xÉ0)
40 g(x)=à xÛ`-1  (x>0)
 에 대하여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h(x)=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g(0)= lim  g(x)=1, lim  g(x)=-1
x`Ú0- x`Ú0+
열린구간 (0,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h(x)=f(x+k)g(x)라 할 때, h(x)가 x=0에서 연속이 되려면
즉, 방정식 f(x)-;2!;x-;4!;=0 은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
lim  h(x)= lim  h(x)=h(0)이어야 한다.
x`Ú0- x`Ú0+
나의 실근을 갖는다. 
x+k=t라 하면
ㄷ. [반례]
­  f(x)=x이면 닫힌구간 [0, 1]에서 x=1일 때 최댓값 1, x=0
Ú lim  h(x)= lim  f(x+k) g(x)
x`Ú0- x`Ú0-
일 때 최솟값 0을 갖지만 방정식 f(x)-xÛ`=x-xÛ`=x(1-x)=0은
= lim  f(x+k)_ lim  g(x) x=0, x=1을 근으로 갖고 열린구간 (0, 1)에서는 실근을 갖지 않
x`Ú0- x`Ú0-

= lim  f(x+k)= lim  f(t) 는다.


x`Ú0- t`Úk-

Û lim  h(x)= lim  f(x+k) g(x) 따라서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 방정식은 ㄱ,
x`Ú0+ x`Ú0+
ㄴ이다.
= lim  f(x+k)_ lim  g(x)
x`Ú0+ x`Ú0+  ③
=- lim  f(x+k)=- lim  f(t)
x`Ú0+ t`Úk+

Ü h(0)=f(k) g(0)=f(k)
Ú, Û, Ü 에 의하여 42 ㄱ. lim `f(x)=3, lim `f(-x)= lim `f(t)=-2이므로
x`Ú1+ x`Ú1+ t`Ú-1-

lim `f(t)=- lim `f(t)=f(k) lim { f(x)+f(-x)}= lim `f(x)+ lim `f(-x)
t`Úk- t`Úk+ x`Ú1+ x`Ú1+ x`Ú1+
y =3+(-2)=1 (참)

3 y=f(x)
2 x-1  (xÉ-1)
ㄴ.  f(x)=à  이므로
3   (-1<xÉ1)
-2 O 1 3 x g(x)=(-x+a) f(x)라 하면

-2
lim  g(x)= lim  (-x+a) f(x)
x`Ú-1- x`Ú-1-

= lim  (-x+a)_ lim  f(x)


x`Ú-1- x`Ú-1-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1+a)_(-2)=-2a-2
k의 값은
lim  g(x)= lim  (-x+a) f(x)
k=-2 또는 k=1 또는 k=3 x`Ú-1+ x`Ú-1+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 lim  (-x+a)_ lim  f(x)


x`Ú-1+ x`Ú-1+
-2+1+3=2 =(1+a)_3=3a+3
 ② g(-1)=(1+a) f(-1)=(1+a)_(-2)=-2a-2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g(x)=g(-1)이어야
41 0ÉaÉ1, 0ÉbÉ1이고 f(a)=1, f(b)=0이라 하자.
x`Ú-1

하므로 -2a-2=3a+3에서
ㄱ. g(x)=f(x)-;2!;이라 하면 g(x)는 닫힌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a=-1 (참)
3   (-1<xÉ1)
g(a)g(b)=[ f(a)-;2!;][ f(b)-;2!;] ㄷ.  f(x)=à  이므로
x+2  (x>1)
={1-;2!;}{0-;2!;}<0 h(x)=(x+1)f(x)-4라 하면
3(x+1)-4     (-1<xÉ1)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g(x)=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열 h(x)=à  
(x+1)(x+2)-4  (x>1)
린구간 (0,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3x-1    (-1<xÉ1)
­ 방정식 f(x)-;2!;=0 은 열린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
  즉, =à  
xÛ`+3x-2  (x>1)
근을 갖는다. 
이때 h(x)는 열린구간 {-;2!;, 2}에서 연속이고
ㄴ. h(x)=f(x)-;2!
­ ;x-;4!; 이라 하면 h(x)는 닫힌구간 [0, 1]에서 연

2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6 2017-11-02 오후 3:33:15


h{-;2!;}=-;2%; <0, h(2)=8>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45 OAÓ=4, OBÓ=3이므로
ABÓ=5
방정식 h(x)=0은 열린구간  {-;2!;,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그림과 같이 꼭짓점 O에서 변 AB에 내린 수 B

갖는다. (참)  선의 발을 H라 하면 H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OAÓ_OBÓ=ABÓ_OHÓ에서

 ⑤ 4_3=5_OHÓ이므로 OHÓ=:Á5ª: O A

( 2  {0<r<:Á5ª:}
43 (x+1)f(x)=0에서 g(x)=(x+1)f(x)라 하면 함수 g(x)는 È
삼차함수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È 3  {r=:Á5ª:}
방정식 g(x)=0이 세 개의 열린구간 (-2, 0), (0, 2), (2, 4)에서 각
È
각 한 개의 실근을 가지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4  {:Á5ª:<r<3}
 f(r)={
 g(-2)g(0)=-f(-2) f(0)<0이므로
È 3  (r=3)
 f(-2) f(0)>0 yy ㉠
È 2  (3<r<4)
È 1  (r=4)
 g(0)g(2)=f(0)_3 f(2)<0이므로
yy ㉡
9 0  (r>4)
 f(0) f(2)<0
 g(2)g(4)=3f(2)_5 f(4)<0이므로
이므로 함수 y=f(r)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f(2) f(4)<0 yy ㉢
y
ㄱ. ㉠,
­ ㉡에서 변끼리 곱하면 y=f(r)
4
 f(-2){ f(0)}Û` f(2)<0
3
 f(-2) f(2)<0 (참)
2
ㄴ. ­㉡, ㉢에서 변끼리 곱하면
1
 f(0){ f(2)}Û` f(4)>0
 f(0) f(4)>0 (참) O 3 4 r
;;Á5ª;;
ㄷ. 위의 ㉠, ㉡, ㉢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Ú  f(-2)<0,  f(0)<0,  f(2)>0,  f(4)<0 함수 f(r)는 r=:Á5ª:, r=3, r=4에서 불연속이고, 삼차함수 g(r)는
Û  f(-2)>0,  f(0)>0,  f(2)<0,  f(4)>0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r) g(r)가 양의 실수 전체의
Ú의 경우는  f(0) f(2) f(4)>0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r= :Á5ª:, r=3, r=4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Û의 경우는  f(0) f(2) f(4)<0
이므로 항상  f(0) f(2) f(4)<0이라 할 수 없다. (거짓)  (가)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Ú r=:Á5ª: 에서 연속
 ②
  lim  f(r) g(r)= lim  f(r)_ lim  g(r)=2g {:Á5ª:}
44 사차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r`Ú:Á5ª:- r`Ú:Á5ª:- r`Ú:Á5ª:-

lim  f(x)= lim  f(x)에서  f(-2)=f(1)


x`Ú-2+ x`Ú1-
  lim  f(r) g(r)= lim  f(r)_ lim  g(r)=4g {:Á5ª:}
r`Ú:Á5ª:+ r`Ú:Á5ª:+ r`Ú:Á5ª:+
lim  f(x)= lim  f(x)에서  f(0)=f(2)
x`Ú0+ x`Ú2-

이때  f(0) f(1)<0이므로    f {:Á5ª:} g {:Á5ª:}=3g {:Á5ª:}

 f(-2) f(0)<0,  f(1) f(2)<0
  이므로 2g {:Á5ª:}=4g {:Á5ª:}=3g {:Á5ª:}
따라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사차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0), (0, 1), (1, 2)에서 각각 적어도 1개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g {:Á5ª:}=0
`f(x)
조건 (다)에서  lim  =2 이므로  f(3)=0
x`Ú3 x-3  (나)
따라서 사차 방정식  f(x)=0의 한 실근이 x=3이므로 열린구간 Û r=3에서 연속
(-2, 0), (0, 1), (1, 2)에서 각각 1개의 실근을 갖는다   lim  f(r) g(r)= lim  f(r)_ lim  g(r)=4g(3)
r`Ú3- r`Ú3- r`Ú3-
따라서 사차방정식 f(x)=0은 -2<x<1에서 2개의 실근을 가지므로
  lim  f(r) g(r)= lim  f(r)_ lim  g(r)=2g(3)
n의 값은 2이다. r`Ú3+ r`Ú3+ r`Ú3+

 ③   f(3) g(3)=3g(3)

정답과 풀이 27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7 2017-11-02 오후 3:33:16


정답과 풀이

  이므로 4g(3)=2g(3)=3g(3) (2, 6) 중에서 서로 다른 두 점을 지나야 한다.


  따라서 g(3)=0  (나)
 (다) 이때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이 최대가 되는 경우는 직선
Ü r=4에서 연속 y=ax+b가 두 점 (-3, 6), (-2, 10)을 지날 때이다.
  lim  f(r) g(r)= lim  f(r)_ lim  g(r)=2g(4) 두 점 (-3, 6), (-2, 10)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r`Ú4- r`Ú4- r`Ú4-
10-6
  lim  f(r) g(r)= lim  f(r)_ lim  g(r)=0 y-6= (x+3), y=4x+18
r`Ú4+ r`Ú4+ r`Ú4+ (-2)-(-3)
  f(4) g(4)=g(4)  (다)
  이므로 2g(4)=0=g(4)
따라서 a+b의 최댓값은 4+18=22
  따라서 g(4)=0
 (라)
 (라)
  22
Ú, Û, Ü 에서 g {:Á5ª:}=g(3)=g(4)=0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g(r)={r-:Á5ª:}(r-3)(r-4) (가) 불연속인 x의 값을 구한 경우 20`%


(나) 6개의 점 중에서 2개의 점을 지나는 조건을 구한 경우 30`%
따라서 g(8)={8-:Á5ª:}(8-3)(8-4)=112 a+b의 값이 최대가 되는 경우의 직선의 방정식을 구
(다) 30`%
한 경우
 (마)
(라) a+b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20`%
  11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상위
(가) 함수 f(r)를 구하고 연속인 조건을 찾은 경우 40`% 내신 4% 변별력 문항 본문 31~32쪽
(나)  g {:Á5ª:}의 값을 구한 경우 10`%
47 ⑤ 48 ⑤ 49 ③ 50 ③ 51 ⑤
(다)  g(3)의 값을 구한 경우 10`%
(라)  g(4)의 값을 구한 경우 10`%
(마)  g(8)의 값을 구한 경우 30`% 47
함수
( -1 (x<-1)
46 x가 정수가 아닐 때, 열린구간 (-4, 3)에서 함수 y=f(x)의 그    f(x)={ -xÛ`+1 (-1ÉxÉ1)
래프는 다음과 같고, x=-3, x=-2, x=-1, x=0, x=1, x=2에 9 x-2 (x>1)
서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인 점의 개수는 6이다.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가) 고른 것은?
y
y
12 1 y=f(x)
y=f(x)
10
(단, x는 정수가 아니다.)
-1 O 1 2 x

6 -1

보기
-4 ㄱ. lim  f(x+1) f(x-1)=0
x x`Ú0-
-3 -2
-1
O 1 2 3
ㄴ. 함수 f(x+1) f(x-1)은 x=0에서 연속이다.

열린구간 (-4, 3)에서 함수 ㄷ. ­함수 f(x+1) f(x-a)가 x=-2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실수 a가 존재한다.
-xÛ`-x+12 ( x가 정수가 아닐 때)
f(x)=à
ax+b ( x가 정수일 때)
① ㄱ ② ㄴ ③ ㄱ, ㄴ
가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가 4가 되려면 기울기가 a인 직선 y=ax+b
④ ㄱ, ㄷ ⑤ ㄱ, ㄴ, ㄷ
가 6개의 점 (-3, 6), (-2, 10), (-1, 12), (0, 12), (1, 10),

2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8 2017-11-02 오후 3:33:17


풀이전략

x+1, x-1, x-a를 각각 치환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48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문제풀이

x+1, x-1을 치환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2x-1)=2 f(x)-3이다.
ㄱ. lim `f(x+1)= lim `f(t)=0 x+1=t라 하면 (나) lim  f(x)=3 x에 대한 항등식
x Ú 0-일 때 t Ú 1-
x`Ú0- t`Ú1-
x`Ú1

lim `f(x-1)= lim `f(t)=-1 (다)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lim `f(x)=f(2)
x`Ú2
x`Ú0- t`Ú-1-

lim `f(x+1) f(x-1)= lim `f(x+1)_ lim `f(x-1)


x`Ú0- x`Ú0- x`Ú0-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0_(-1) 보기
=0 (참) ㄱ.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ㄴ. ㄱ에서 lim `f(x+1) f(x-1)=0이고 ㄴ. lim f(x)=2 f(2)-3
x`Ú0- x`Ú3

lim `f(x+1)= lim `f(t)=-1 ㄷ. 함수  f(x) f(4x-3)은 x=3에서 연속이다.


x`Ú0+ t`Ú1+

lim `f(x-1)= lim `f(t)=0


x`Ú0+ t`Ú-1+
① ㄱ ② ㄷ ③ ㄱ, ㄴ
lim `f(x+1) f(x-1)= lim `f(x+1)_ lim `f(x-1)
x`Ú0+ x`Ú0+ x`Ú0+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_0=0
 f(1) f(-1)=0_0=0 풀이전략
이므로 lim `f(x+1) f(x-1)=f(1) f(-1) 2x-1=t로 치환하여 f(x) f(4x-3)을 f(x)에 대한 관계식으로 표현한다.
x`Ú0

즉, 함수  f(x+1) f(x-1)은 x=0에서 연속이다. (참) 문제풀이

x+1, x-a를 치환하여 극한값을 구한 후 x=-2에서의 극한값과 x=1에서 극한값과 함숫값을 확인한다.
함숫값이 같은지 확인한다. ㄱ.  f(2x-1)=2 f(x)-3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ㄷ. a=-4일 때  f(1)=2 f(1)-3이므로  f(1)=3
Ú lim `f(x+1)= lim `f(t)=-1 즉, lim `f(x)=3=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Ú-2- t`Ú-1- x`Ú1

lim `f(x+4)= lim `f(t)=0 (참)


x`Ú-2- t`Ú2-
ㄴ.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lim`f(x)=f(2)
lim `f(x+1) f(x+4)=(-1)_0=0 x`Ú2
x`Ú-2-
x+4=t라 하면 lim`f(x)에서 x=2t-1로 놓으면
Û lim `f(x+1)= lim `f(t)=0 x`Ú3
x`Ú-2+ t`Ú-1+ x Ú -2-일 때 t Ú 2-
lim`f(x)=lim`f(2t-1)=lim{2 f(t)-3}
lim `f(x+4)= lim `f(t)=0 x`Ú3 t`Ú2 t`Ú2
x`Ú-2+ t`Ú2+
=2 lim`f(t)-3
lim `f(x+1) f(x+4)=0_0=0 t`Ú2
x`Ú-2+
=2 f(2)-3 (참)
Ü  f(-1) f(2)=0_0=0
2x-1=t로 치환하고  f(2t-1)=2 f(t)-3임을 이용하여 x=3에
Ú, Û, Ü 에서
서 연속임을 확인한다.
lim `f(x+1) f(x+4)=f(-1) f(2)
x`Ú-2
ㄷ. ㄴ에서 lim`f(x)=2 f(2)-3이고
x`Ú3
이므로 함수  f(x+1) f(x+4)는 x=-2에서 연속이다.
f(3)=f(2_2-1)=2 f(2)-3
즉, a=-4이면 함수  f(x+1) f(x-a)는 x=-2에서 연속이
이므로 lim`f(x)=f(3)
다. (참) x`Ú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즉, 함수 f(x)는 x=3에서 연속이다.


 ⑤ t=2x-1이라 하면
f(4x-3)=f(2(2x-1)-1)=f(2t-1)=2 f(t)-3
=2 f(2x-1)-3=2{2 f(x)-3}-3
=4 f(x)-9
이므로
f(x) f(4x-3)=f(x){4 f(x)-9}
=4{ f(x)}Û`-9 f(x)
이때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4{ f(x)}Û`-9 f(x),
즉  f(x) f(4x-3)도 x=3에서 연속이다. (참)

정답과 풀이 29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29 2017-11-02 오후 3:33:17


정답과 풀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즉,  f(t)는 t=2c에서만 불연속이다.


 ⑤ 따라서  f(t)가 t=6에서만 불연속이려면
2c=6, c=3
즉, 직선 y=x와 y=ax+2a가 점 (3, 3)에서 만나야 하므로

3=3a+2a, a=;5#;
49
세 집합 y y=x
   A={(x, y)| y=x} 직선 y=x 위의 점들의 집합 y=;5#;x+;5^;
   B={(x, y)| y=ax+2a} 직선 y=ax+2a 위의 점들의 집합 3
y=-x+t
   C={(x, y)|x+y=t, t는 실수} 직선 x+y=t 위의 점들의 집합
-2 O 3 x
에 대하여 집합 (A'B);C의 원소의 개수를  f(t)라 하자. 함수
y=-x+6
`f(t)가 t=6에서만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은?
y=-x+t
(단, a+-1)
Ú, Û 에 의하여 a=;5#;
① ;5!; ② ;5@; ③ ;5#;
 ③
④ ;5$; ⑤ 1(A'B);C=(A;C)'(B;C)
A;C는 두 직선 y=x, x+y=t의 교점들
의 집합이고, B;C는 두 직선 y=ax+2a, 50 (x+2)(x-a)<0
풀이전략 x+y=t의 교점들의 집합이다. a>-2인 실수 a에 대하여 x에 대한 이차부등식
두 직선 y=x, y=ax+2a의 위치 관계에 따른 직선 x+y=t와의 교점의 개 xÛ`+(2-a)x-2a<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개수를 f(a)라
수를 구한다. 하자. 구간 (1, ¦)에서 함수 g(a)= f(a) f(a-1)이 불연속이 되
문제풀이 는 a의 값을 작은 값부터 순서대로 aÁ, aª, a£, y이라 할 때,
두 직선 y=x, y=ax+2a가 평행할 때, 직선 x+y=t와의 교점의 1 1 1
+ +y+ 의 값은? 
g(aª) g(a£) g(aÁ¼)
개수를 구한다.
f(t)는 두 직선 y=x, y=ax+2a로 이루어진 도형과 직선 x+y=t, ① ;8&; ② ;9*; ③ ;1»0;
즉 y=-x+t의 교점의 개수이다.
④ ;1!1); ⑤ ;1!2!;
Ú 두 직선 y=x와 y=ax+2a가 평행할 때
y
두 직선의 기울기인
y=x+2
y=x 일차항의 계수가 서 풀이전략
로 같다.
이차부등식의 해와 a의 값에 따른 f(a) f(a-1)의 값을 구하고 부분분수를 이
용하여 합을 구한다.
O x
-2
문제풀이

y=-x+t 이차부등식을 이용하여  f(a)를 구한다.


xÛ`+(2-a)x-2a<0에서 (x+2)(x-a)<0
a=1이면 두 직선 y=x와 y=ax+2a가 서로 평행하므로
a>-2이므로 -2<x<a
 f(t)=2로 함수  f(t)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a>-2인 실수 a에 대하여 -2<x<a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개
두 직선 y=x, y=ax+2a가 한 점에서 만날 때, 직선 x+y=t와의
수가  f(a)이므로
( 0  (-2<aÉ1)
교점의 개수를 구한다.
( 0  (-1<aÉ2)
Û ‌두 직선 y=x와 y=ax+2a가 한 점에서 만날 때 M 1  (1<aÉ2) M 1  (2<aÉ3)
y 두 직선의 기울기가  f(a)=[{ f(a-1)=[{
M 2  (2<aÉ3) M 2  (3<aÉ4)
y=x
y=ax+2a 같지 않다.
9 9 
c
Ú 1<aÉ2일 때, g(a)=f(a)f(a-1)=1_0=0

c x
Û 2<aÉ3일 때, g(a)=f(a)f(a-1)=2_1
-2 O
Ü 3<aÉ4일 때, g(a)=f(a)f(a-1)=3_2
y=-x+t
    
‌두 직선이 한 점 (c, c)에서 만난다고 하면 직선 x+y=t가 이 점을 따라서 a>1에서 함수 g(x)가 불연속이 되는 a의 값은 2, 3, 4, 5, …
지날 때 c+c=2c에서  f(2c)=1이고 t+2c일 때  f(t)=2이다. 이므로 aÁ=2, aª=3, a£=4, y이다.

3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30 2017-11-02 오후 3:33:19


g(aÇ)을 구한 후 부분분수를 이용하여 값을 구한다.  f(1)=1-f(-1)=1-2=-1
1 1 1  f(-2)=1-f(2)=1-3=-2
+ +y+
g(aª) g(a£) g(aÁ¼)
또한  f(0)=1-f(0)이므로
1 1 1
= + +y+
g(3) g(4) g(11)  f(0)=;2!;
1 1 1
= + +y+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한다.
1_2 2_3 9_10
ㄱ. ‌f(1)=-1,  f(2)=3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1!;-;2!;}+{;2!;-;3!;}+y+{;9!;-;1Á0;}]
c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1개 존재한다. (참)
{ - }
1 1 1 1
=;1»0; = ㄴ. { 
‌ f(x)}Û`=f(x)에서  f(x){ f(x)-1}=0
AB B-A A B
 f(x)>0이므로  f(x)=1
 ③
이때 f(x)-1=0
f(-1)-1=2-1=1>0
f(1)-1=-1-1=-2<0
이므로 f(cÁ)=1인 cÁ이 열린구간 (-1, 1)에 적어도 1개 존재하고
51 f(1)-1=-1-1=-2<0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f(2)-1=3-1=2>0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1-f(x)이다. 이므로  f(cª)=1인 cª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1개 존재한다.
 f(x)-2  f(x)-3 x에 대한 항등식 그러므로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2개의 실근이 존재한다. (참)
(나) lim   와 lim  의 값이 모두 존재한다.
x+1 x`Ú2 x-2
x`Ú-1
ㄷ. 3{ f(x)}Û`=2-f(x)에서
f(-1)=2, f(2)=3 {3f(x)-2}{ f(x)+1}=0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f(x)=;3@; 또는  f(x)=-1
ㄱ. 방정식
‌ f(x)=0은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1개의 실근 f(x)+1=0
이때 f(x)-;3@;=0
을 갖는다. f(x){ f(x)-1}=0 f(-2)+1=-2+1=-1<0
ㄴ. 방정식
‌ { f(x)}Û`=f(x) ( f(x)>0)는 열린구간 (-1, 2)에
f(-1)+1=2+1=3>0
서 적어도 2개의 실근을 갖는다.
ㄷ. ‌방정식 3{ f(x)}Û`=2- f(x)는 열린구간 (-2, 0)에서 적어 f(-2)-;3@;=-2-;3@;=-;3*; <0
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3 f(x)-2}{ f(x)+1}=0
f(-1)-;3@;=2-;3@;=;3$; >0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이므로 f(cÁ)=-1, f(cª)= ;3@; 인 cÁ, cª가 열린구간 (-2, -1)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에 적어도 1개씩 존재하고 
f(-1)+1=2+1=3>0
풀이전략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간에서 적어도 1개의 실근을 갖는 경우를 확인한다. f(0)+1=;2!;+1=;2#; >0

문제풀이
f(-1)-;3@;=2-;3@;=;3$; >0
미정계수법과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f(-1),  f(2),  f(1),  f(-2), 
f(0)의 값을 구한다. f(0)-;3@;=;2!;-;3@;=-;6!; <0
 f(x)-2
조건 (나)에서 lim   의 값이 존재하고 (분모) Ú 0이므로 이므로 f(c£)=;3@;인 c£이 열린구간 (-1, 0)에 적어도 1개 존재한
x`Ú-1 x+1
(분자) Ú 0이어야 한다. 다. 
즉, lim { f(x)-2}=0에서 그러므로 열린구간 (-2, 0)에 적어도 3개의 실근이 존재한다. (참)
x`Ú-1

 f(-1)=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f(x)-3  ⑤
또한 lim  의 값이 존재하고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
x`Ú2 x-2
어야 한다.
즉, lim{ f(x)-3}=0에서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Ú2
x=-1, x=2, x=0을
 f(2)=3 대입해도 성립한다.
조건 (가)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1-f(x)이므로

정답과 풀이 31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31 2017-11-02 오후 3:33:19


정답과 풀이

를 구한다.
내신 상위 4% of 4% 본문 33쪽
Ü k>4일 때
두 함수 y=f(x), y=f(x-k)의 그래프의 교점의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y
개수는 1이다.
52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4 y=f(x)
( 2x (x<2)
\ -2x+8 (2Éx<4) 2
y=f(x-k)

양수 k와 함수 f(x)=[{ 에 대하여
\
x-4 (4Éx<6)
x
9 -x+8
O 2 4 k 6 8
(x¾6)
 f(x-k)  (x<a)
 g(x)=à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 함수 h(k)를 구한 후 (k-p)h(k)가 x=4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f(x) (x¾a)
p의 값을 구한다.
도록 하는 실수 a의 개수를 h(k)라 하자. 함수 (k-p)h(k)가 양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a의 값은 그림에서 두
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상수 p의 값을 구하시오. 4
함수 y=f(x-k), y=f(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 중 하나이어야
함수 h(k)가 불연속인 k의 값에 대하여
하므로
파헤치기 k-p=0이어야 한다.
( 3  (0<k<4)
문항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y=f(x-k)의
h(k)={ 2  (k=4)
그래프를 이용하여 평행이동에 따른 규칙 구하기
함수 g(x)가 x=a에서 연속일 때 9 1  (k>4)
실수 point 찾기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함수 h(k)는 k=4에서 불연속이므로 함수 (k-p)h(k)가 양의 실수
두 함수 y=f(x-k), y=f(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의미를 알아본다.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lim  (k-p)h(k)= lim  (k-p)h(k)=(4-p)h(4)
k`Ú4- k`Ú4+
풀이전략
따라서 (4-p)_3=(4-p)_1=(4-p)_2이므로
­함수 y=f(x)와 y=f(x-k)의 그래프를 그려 평행이동에 따른 그래프를 그 p=4 함수 (k-p)h(k)가 k=4에서 연속이면
린다.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4
문제풀이

함수 y=f(x-k)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림과 같다.
0<k<4일 때, 두 함수 y=f(x), y=f(x-k)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
수를 구한다.
Ú 0<k<4일 때
두 함수 y=f(x), y=f(x-k)의 그래프의 교점
y
의 개수는 3이다.
4

y=f(x)
2
y=f(x-k)

O k 2 4 6 8 x

k=4일 때 두 함수 y=f(x), y=f(x-k)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구한다.
Û k=4일 때
두 함수 y=f(x), y=f(x-k)의 그래프의 교점의
y
개수는 2이다.
4 y=f(x)

y=f(x-4)
2

O 2 4 6 8 x

k>4일 때, 두 함수 y=f(x), y=f(x-k)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

3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6-32 올림포스(고난도)_수2_02강-오1.indd 32 2017-11-02 오후 3:33:20


03
 f(a)-f(a-h)  f(a-h)-f(a)
미분계수와 도함수 05 ㄱ. lim  h`Ú0 h
=lim 
h`Ú0 -h
-h=t라 하면 h Ú 0일 때, t Ú 0이므로
 f(a+t)-f(a)
기출 (주어진 식)=lim  =f '(a)
내신 우수 문항 본문 36~39쪽 t`Ú0 t

ㄴ. 3x=t라 하면 x Ú ;3A;일 때, t Ú a이므로


01 ① 02 ⑤ 03 ④ 04 ⑤ 05 ②
06 ③ 07 ④ 08 ⑤ 09 ③ 10 ⑤  f(3x)-f(a)  f(t)-f(a)
lim   =lim  =f '(a)
x`Ú;3A;
3x-a t`Úa t-a
11 ② 12 ④ 13 ② 14 ④ 15 ①
ㄷ. xÛ`=t라 하면 x Ú a일 때, t Ú aÛ`이므로
16 ① 17 ⑤ 18 ③ 19 ② 20 ②
 f(xÛ`)-f(aÛ`)  f(t)-f(aÛ`)
21 ④ 22 14 23 -9 lim 
xÛ`-aÛ`
x`Úa
=lim 
t`ÚaÛ` t-aÛ`
=f '(aÛ`)

따라서  f '(a)와 항상 같은 것은 ㄱ, ㄴ이다.


01 x의 값이 0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2이므로  ②
 f(2)-f(0) 8+2a
= =4+a=2
2-0 2
 f(x)-f(1)
따라서 a=-2 06 f '(1)=lim  x`Ú1 x-1
 f(x)=xÜ`-2x이므로 (x-2)Ü`(x-1)+(2x+1)Û`(x-1)
=lim 
 f(3)=3Ü`-2_3=21 x`Ú1 x-1
 ① =lim {(x-2)Ü`+(2x+1)Û`}
x`Ú1

=(-1)Ü`+3Û`=8
02 x의 값이 0에서 a까지 변할 때 평균변화율은  ③
 f(a)-f(0) aÛ`
= =a
a-0 a
 f(h)-f(0)  f(0+h)-f(0)
x의 값이 2에서 b까지 변할 때 평균변화율은 07 lim  h`Ú0 h
=lim 
h`Ú0 h
=f '(0)=4
 f(b)-f(2) bÛ`-4  g(h)
b-2
=
b-2
=b+2 lim  =-4에서 h Ú 0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h`Ú0 h
따라서 a=b+2이므로 a-b=2 한다. 
 ⑤
즉, lim g(h)=0에서 g(0)=0이고
h`Ú0

 f(1+2h)-2
=8에서 h Ú 0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
 g(h)  g(0+h)-g(0)
03 lim 
h`Ú0 h lim 
h`Ú0 h
=lim 
h`Ú0 h
=g '(0)=-4

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f(h)-g(h)


또한 lim  =a에서 h Ú 0일 때 (분모) Ú 0이므로
h
즉, lim { f(1+2h)-2}=0 h`Ú0
h`Ú0
(분자) Ú 0이어야 한다.
이때 함수 f(x)가 연속함수이므로  f(1)=2
즉, lim{ f(h)-g(h)}=0에서
h`Ú0
 f(1+2h)-2  f(1+2h)-f(1)
lim  =lim   f(0)=g(0)=0
h`Ú0 h h`Ú0 h
 f(1+2h)-f(1)  f(h)-g(h)  f(h)-f(0)-g(h)+g(0)
=lim [ _2] lim 
h
=lim 
h
h`Ú0 2h h`Ú0 h`Ú0

=2 f '(1)  f(h)-f(0)  g(h)-g(0)


=lim  -lim 
h`Ú0 h h`Ú0 h
2 f '(1)=8에서  f '(1)=4
=f '(0)-g '(0)
따라서  f '(1)f(1)=4_2=8
=4-(-4)=8
 ④
따라서 a=8
xÛ`f(3)-9f(x) (xÛ`-9)f(3)-9{ f(x)-f(3)}  ④
04 lim  x`Ú3 x-3
=lim 
x`Ú3 x-3

=lim (x+3)f(3)-9 lim 
x`Ú3 x`Ú3
 f(x)-f(3)
x-3
08 주어진 식의 양변에 x=y=0을 대입하면
 f(0)=f(0)+f(0)+0
=6f(3)-9f '(3)
 f(0)=0
=6_3-9_(-1)=27
 f(0+h)-f(0)  f(h)
 f '(0)=lim  =lim  에서
 ⑤ h`Ú0 h h`Ú0 h

정답과 풀이 33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33 2017-11-02 오후 3:33:55


정답과 풀이

 f(h) (x-1)(bx+b-3)
lim  =-1 = lim  
h`Ú0 h x`Ú1- x-1
 f(2+h)-f(2) =2b-3
 f '(2)=lim 
h`Ú0 h 에서 a=2b-3 yy ㉡
 f(2)+f(h)+8h-f(2) ㉠, ㉡을 연립하여 풀면 a=-7, b=-2
=lim 
h`Ú0 h
a+b=-9
 f(h)
=lim  +8=-1+8=7  ②
h`Ú0 h
 ⑤
12 ㄱ. [반례]  f(x)=x라 하면 | f(x)|=|x|이므로 | f(x)|는
{ f(x)}Û`-2f(x)-3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거짓)
09 lim  x-2  f(h)
=1에서 h Ú 0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x`Ú2
ㄴ. lim 
{ f(x)-3}{ f(x)+1} h`Ú0 h
=lim 
x`Ú2 x-2 한다. 
 f(x)-f(2) 즉, lim`f(h)=f(0)=0이므로
=lim  _lim{ f(x)+1} h`Ú0
x`Ú2 x-2 x`Ú2

=f '(2){ f(2)+1}  f(h)-f(0)  f(h)


f '(0)=lim  =lim  =1 (참)
h`Ú0 h h`Ú0 h
=4k=12
ㄷ. ‌다항함수  f(x)의 도함수  f '(x)도 다항함수이므로  f '(x)는 실수 전
따라서 k=3
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③
lim`f '(x)=f '(0) (참)
x`Ú0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0 조건 (나)에서 (x-1)f '(x)=2 f(x)+xÛ`+3x의 양변에 x=1을  ④
대입하면
0=2 f(1)+4,  f(1)=-2
2 f(x)+xÛ`+3x
13 ㄱ.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x+1일 때, f '(x)= 이고, 조건 (가)에서  f '(x)가 연 ㄴ. g(x)=xf(x)라 하면
x-1
속함수이므로   g(x)-g(0) x(x-1)-0
lim   = lim   =-1
x`Ú0- x-0 x`Ú0- x
2 f(x)+xÛ`+3x
 f '(1)=lim`f '(x)=lim   g(x)-g(0) x(x+1)-0
x`Ú1 x`Ú1 x-1 lim   = lim   =1
x`Ú0+ x-0 x`Ú0+ x
2{ f(x)+2}+(xÛ`+3x-4)
=lim  이므로 함수 x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x`Ú1 x-1
ㄷ. h(x)=xÛ`f(x)라 하면
 f(x)-f(1) (x-1)(x+4)
=2 lim  +lim  h(x)-h(0) xÛ`(x-1)-0
x`Ú1 x-1 x`Ú1 x-1 lim   = lim   =0
x`Ú0- x-0 x`Ú0- x
=2 f '(1)+5
따라서  f '(1)=-5 h(x)-h(0) xÛ`(x+1)-0
lim   = lim   =0
x`Ú0+ x-0 x`Ú0+ x
 ⑤
이므로 함수 xÛ`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x=0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는 ㄷ이다.
ax+2 (x¾1)
11 함수  f(x)=à bxÛ`-3x (x<1) 가 x=1에서 미분가능하면 실수  ②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f(x-1)-6


14 lim  =7에서 x-1=t라 하면 x Ú 2일 때 t Ú 1이
Ú f(x)가 x=1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x`Ú2 x-2

lim `f(x)= lim `f(x)=f(1)에서 므로 


x`Ú1+ x`Ú1-
 f(x-1)-6  f(t)-6
a+2=b-3, a=b-5 yy ㉠ lim  =lim  =7
x`Ú2 x-2 t`Ú1 t-1
Û x=1에서 미분계수  f '(1)이 존재해야 하므로 t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f(x)-f(1) (ax+2)-(a+2) 즉, lim { f(t)-6}=f(1)-6=0에서
lim   = lim   =a t`Ú1
x`Ú1+ x-1 x`Ú1+ x-1
 f(1)=6
 f(x)-f(1) (bxÛ`-3x)-(a+2)
lim   = lim  
x`Ú1- x-1 x`Ú1- x-1 1+a+b+4=6, a+b=1 yy ㉠
(bxÛ`-3x)-(b-3)  f(t)-6  f(t)-f(1)
= lim   lim  =lim  =f '(1)=7이고
x`Ú1- x-1 t`Ú1 t-1 t`Ú1 t-1

3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34 2017-11-02 오후 3:33:56


 f '(x)=3xÛ`+2ax+b이므로 즉,  f '(2)=-12
3+2a+b=7, 2a+b=4 yy ㉡ 따라서  f '(x)=3xÛ`-24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f '(1)=3-24=-21
a=3, b=-2  ③
따라서  f(x)=xÜ`+3xÛ`-2x+4이므로
 f(2)=8+12-4+4=20
19 `f(1)=;2!; 이므로
 ④
2f(x)-1 2f(x)-2f(1)
lim  =lim 
x`Ú1 xÛ`+2x-3 x`Ú1 (x+3)(x-1)
15 `f(x)=xÜ`-3xÛ`-2x+1에서  f(x)-f(1)
=lim [
2
 f '(x)=3xÛ`-6x-2 _ ]
x`Ú1 x+3 x-1
x=a, x=b는 방정식  f '(x)=0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
=;2!; f '(1)
수의 관계에 의하여

a+b=-
-6
=2 한편,  f(x)=;2!;(xÜ`-2)(xÛ`-2)에서
3

 f {
a+b
}=f(1)=1-3-2+1=-3  f '(x)=;2!;_3xÛ`(xÛ`-2)+;2!;(xÜ`-2)_2x
2
 ① =;2%;xÝ`-3xÛ`-2x

;2!; f '(1)=;2!; {;2%;-3-2}=-;4%;
16 조건 (가)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므로
 f(x)=xÝ`+axÛ`+b`(a,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②
이때  f '(x)=4xÜ`+2ax이므로 조건 (나)에서
 f(2)=16+4a+b=-12 yy ㉠ 20 `f(x)=(xÛ`+x+2)(2x-3)에서
 f '(2)=32+4a=0 yy ㉡  f '(x)=(2x+1)(2x-3)+(xÛ`+x+2)_2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f(1)=-4,  f '(1)=-3+8=5
 g(x)-3
a=-8, b=4 lim  =4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
따라서  f(x)=xÝ`-8xÛ`+4이므로
x`Ú1 xÛ`-1
야 한다.
 f(1)=1-8+4=-3
즉, lim{ g(x)-3}=0이므로
 ① x`Ú1

g(1)=3
 f(x+h)-f(x)  g(x)-3  g(x)-g(1)
17 `f '(x)=lim 
h`Ú0 h
lim 
x`Ú1 xÛ`-1
=lim 
x`Ú1 xÛ`-1
 g(x)-g(1)
=lim [
1
=lim  
 f(x)+f(h)+2xh(x+h)-f(x) _ ]
h`Ú0 h x`Ú1 x-1 x+1

=lim [
 f(h)
+2x(x+h)]
=;2!; g '(1)=4
h`Ú0 h
 g '(1)=8
 f(2t)
=lim  +2xÛ` (h=2t로 놓는다.) 따라서 h'(x)=f '(x)g(x)+f(x)g '(x)이므로
t`Ú0 2t
 f(2t) h'(1)=f '(1)g(1)+f(1)g '(1)
=;2!; lim  +2xÛ`
t`Ú0 t =5_3+(-4)_8
=;2!;_2+2xÛ`=2xÛ`+1 =15-32=-17
 ②
또한 g(x)=2f(x)+3x에서
 g '(x)=2f '(x)+3
 g '(1)=2f '(1)+3=2_3+3=9 21 F(x)=f(x) g(x)라 하면
F(0)=f(0)g(0)=(-4)_(-1)=4이므로
 ⑤
 f(2h)g(2h)-4 F(2h)-F(0)
lim  =lim 
h`Ú0 h h`Ú0 h
18 `f(x)=xÜ`+2xf '(2)에서 F(2h)-F(0)
 f '(x)=3xÛ`+2f '(2)이므로 =lim [2_ ]
h`Ú0 2h
 f '(2)=3_2Û`+2f '(2) =2F'(0)

정답과 풀이 35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35 2017-11-02 오후 3:33:56


정답과 풀이

F(x)=f(x)g(x)=(2xÜ`+3x-4)(-2xÛ`+x-1)에서  g(x)-g(2) (xÛ`+ax+b)-(4+2a+b)


lim   = lim  
F'(x)=(6xÛ`+3)(-2xÛ`+x-1)+(2xÜ`+3x-4)(-4x+1) x`Ú2+ x-2 x`Ú2+ x-2
(xÛ`-4)+a(x-2)
F'(0)=3_(-1)+(-4)_1=-7 = lim  
x`Ú2+ x-2
따라서 2F'(0)=-14
(x-2)(x+2)+a(x-2)
 ④ = lim  
x`Ú2+ x-2
= lim  (x+2+a)=4+a
x`Ú2+

 g(x)-g(2) (-xÛ`-ax-b)-(-4-2a-b)
22 `f(x)f '(x)-f(x)-xf '(x)=2xÜ`+3x에서 lim  
x`Ú2- x-2
= lim  
x`Ú2- x-2
 f(x)f '(x)-f(x)-xf '(x)+x=2xÜ`+4x
-(xÛ`-4)-a(x-2)
 f(x){ f '(x)-1}-x{ f '(x)-1}=2xÜ`+4x = lim  
x`Ú2- x-2
{ f(x)-x}{ f '(x)-1}=2xÜ`+4x -(x-2)(x+2)-a(x-2)
= lim  
이때  f(x)의 차수를 n (n¾2)이라 하면 우변은 삼차함수이므로 x`Ú2- x-2

좌변의 차수는 n+(n-1)=2n-1이므로 = lim  (-x-2-a)=-4-a


x`Ú2-

2n-1=3, n=2 에서 4+a=-4-a, a=-4 yy ㉡


 (가)  (나)
 f(x)=xÛ`+ax+b (a, b는 상수)라 하면 ㉠, ㉡에서 a=-4, b=4이므로
 f '(x)=2x+a이므로  f(x)=xÛ`-4x+4
{xÛ`+(a-1)x+b}(2x+a-1)=2xÜ`+4x  (다)
2xÜ`+3(a-1)xÛ`+{2b+(a-1)Û`}x+b(a-1)=2xÜ`+4x
 g(-1)=-f(-1)=-9
위의 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라)
3(a-1)=0, 2b+(a-1)Û`=4, b(a-1)=0
a=1, b=2   -9

 (나)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f(x)=xÛ`+x+2이므로 (가) 연속을 이용하여 a,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 경우 30`%


 f(3)=3Û`+3+2=14 (나) 미분계수를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다) f(x)를 구한 경우 20`%
 (다)
(라)  g(-1)의 값을 구한 경우 20`%
  1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가) f(x)의 차수를 구한 경우 40`%
상위
(나) a, b의 값을 구한 경우 40`% 내신 7% 고득점 문항 본문 40~44쪽
(다) f(3)의 값을 구한 경우 20`%
24 ⑤ 25 ③ 26 ③ 27 ⑤ 28 ⑤
29 ② 30 ② 31 ② 32 ② 33 ③
xÛ`+ax+b (x¾2) 34 ③ 35 ③ 36 ⑤ 37 ④ 38 ①
23 g(x)=à -xÛ`-ax-b (x<2) 39 ④ 40 ① 41 ⑤ 42 ⑤ 43 ②
Ú g(x)가 x=2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44 ② 45 ④ 46 ⑤ 47 5 48 36
lim  g(x)= lim  g(x)=g(2)에서
x`Ú2+ x`Ú2-

lim  g(x)= lim  (xÛ`+ax+b)=4+2a+b


x`Ú2+ x`Ú2+
24 함수 f(x)에 대하여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
 f(b)-f(a)
lim  g(x)= lim  (-xÛ`-ax-b)=-4-2a-b 율은 이다.
x`Ú2- x`Ú2- b-a
 g(2)=4+2a+b
ㄱ. a=-1, b=2이면
이므로 4+2a+b=-4-2a-b
2a+b=-4 yy ㉠  f(2)-f(-1) 3-6
m= = =-1 (참)
2-(-1) 3
 (가)
 f(b)-f(a) (bÛ`-2b+3)-(aÛ`-2a+3)
Û x=2에서의 미분계수 g '(2)가 존재해야 하므로 ㄴ. m= =
b-a b-a

3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36 2017-11-02 오후 3:33:56


=
bÛ`-aÛ`-2b+2a
b-a
=
(b-a)(b+a)-2(b-a)
b-a
27 2x+1-f(x)Ég(x)É2x+1+f(x)에서
2x+1-f(x)É2x+1+f(x)
=b+a-2=1 (참)
따라서  f(x)¾0
 f(b)-f(a)
ㄷ. ㄴ에서 m= =a+b-2 Ú x>0일 때
b-a
 f '(x)=2x-2이므로  f(x)-f(0)  f(x)-f(0)
¾0에서 lim   ¾0
x-0 x`Ú0+ x-0
 f '(c)=f '{
a+b
}=2_
a+b
-2 Û x<0일 때
2 2
=a+b-2 (참)  f(x)-f(0)  f(x)-f(0)
É0에서 lim   É0
x-0 x`Ú0- x-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f(x)-f(0)
Ú, Û에서 lim   =0, 즉  f '(0)=0
x`Ú0 x-0
참고 ㄷ은 모든 이차함수에 대하여 성립하는 성질이다. 즉, 이차함수
또한 2x+1-f(x)Ég(x)É2x+1+f(x)에서
 f(b)-f(a)
=f '{
a+b
 f(x)에 대하여 }이다. 1-f(0)Ég(0)É1+f(0)
b-a 2
 f(0)=0이므로
1Ég(0)É1
25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은  g(0)=1
 f(b)-f(a)
이고 이는 두 점 (a, f(a)), (b, f(b))를 지나는 직선의 (가) x>0일 때
b-a
2x-f(x) g(x)-g(0) 2x+f(x)
기울기를 나타낸다.  É É 에서
x x x
 f(x)-f(a)
또한 lim  =f '(a)이고 이는 x좌표가 a인 점에서의 접선 2x-f(x) g(x)-g(0) 2x+f(x)
x`Úa x-a lim   É lim   É lim  
x`Ú0+ x x`Ú0+ x x`Ú0+ x
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g(x)-g(0)
2-f '(0)É lim   É2+f '(0)
lª lª x`Ú0+ x
y=f(x)
y=f(x)
lÁ lÁ g(x)-g(0)
lÁ lÁ 2É lim   É2
lª lª x`Ú0+ x
y=f(x)
y=f(x) g(x)-g(0)
lim   =2
a a b b x x a a b xb x x`Ú0+ x

[그림 1] [그림 2] (나) x<0일 때


2x-f(x)  g(x)-g(0) 2x+f(x)
 f(b)-f(a) ¾ ¾ 에서
즉, 그림에서 직선 lÂ의 기울기는 , 직선 lª의 기울기는 x x x
b-a
2x-f(x)  g(x)-g(0) 2x+f(x)
 f '(a)이고 lim   ¾ lim   ¾ lim  
x`Ú0- x x`Ú0- x x`Ú0- x
 f(b)-f(a)  g(x)-g(0)
[그림 1]에서 <f '(a), 2-f '(0)¾ lim   ¾2+f '(0)
b-a x`Ú0- x
 f(b)-f(a)  g(x)-g(0)
[그림 2]에서 >f '(a)이다. 2¾ lim   ¾2
b-a x`Ú0- x
 f(b)-f(a)  g(x)-g(0)
따라서 < f '(a)를 만족시키는 함수 y=f(x)의 그래프는 lim   =2
b-a x`Ú0- x
[그림 1]과  같은 형태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로 가장 적당한 것 (가), (나)에서  g '(0)=2
은 ③이다.  ⑤
 ③

28 조건 (가)에서  f(-x)=-f(x)이므로
26 f(x)=xÜ`-2xÛ`-3x+6=(xÛ`-3)(x-2)이므로  f(2)=0  f(1)=-f(-1)
| f(2+hÛ`)|-| f(2-hÛ`)|
lim  조건 (나)에 의하여
h`Ú0 hÛ`
 f(-1+3h)+f(1)  f(-1+3h)-f(-1)
 f(2+hÛ`)  f(2-hÛ`) lim  =lim 
=lim [| |-| _(-1)|] h`Ú0 2h h`Ú0 2h
h`Ú0 hÛ` -hÛ`
 f(-1+3h)-f(-1)
 f(2+hÛ`)-f(2)  f(2-hÛ`)-f(2) =lim  _;2#;
=lim [| |-| _(-1)|] h`Ú0 3h
h`Ú0 hÛ` -hÛ`
=| f '(2)|-|-f '(2)|=0 =f '(-1)_;2#;=18

 ③  f '(-1)=12

정답과 풀이 37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37 2017-11-02 오후 3:33:57


정답과 풀이

 f(x)+f(1)  f(x)-f(-1)  f(x+2)-f(3)


lim   = lim   = lim  
x`Ú-1 xÜ`+1 x`Ú-1 (x+1)(xÛ`-x+1) x`Ú1- x-1
 f(x)-f(-1)
= lim  [ ]
1 =f '(3)
_
x`Ú-1 x-(-1) xÛ`-x+1 에서 f '(-1)=f '(3) yy ㉡
=f '(-1)_;3!;  f(x)=xÜ`+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에서
-1+a-b+c=27+9a+3b+c
=12_;3!;=4
2a+b+7=0 yy ㉢
 ⑤  f '(x)=3xÛ`+2ax+b이므로 ㉡에서
3-2a+b=27+6a+b
8a=-24, a=-3
29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려면 x=0, x=1 a=-3을 ㉢에 대입하면
에서 미분가능해야 한다.
-6+b+7=0, b=-1
Ú x=0, x=1에서 연속
따라서 f '(x)=3xÛ`-6x-1이므로
lim `f(x)= lim `f(x)=f(0)=0이므로 x=0에서 연속이다.
x`Ú0+ x`Ú0-
 f '(2)=12-12-1=-1
lim `f(x)= lim `f(x)=f(1)에서 1+a+b+c=1  ②
x`Ú1+ x`Ú1-

Û 미분계수  f '(0),  f '(1)이 존재


( 0  (x>1) `` (x+2)(xÛ`+ax+b+2) (x¾0)
 f '(x)={ 4xÜ`+3axÛ`+2bx+c (0<x<1)이므로 31 h(x)=f(x)g(x)=à (-x-2)(xÛ`+ax+b+2) (x<0)
9 0  (x<0) `` 이고 함수 h(x)가 x=0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0에서 연속이다.
lim `f '(x)= lim `f '(x)에서 c=0 즉, lim  h(x)= lim  h(x)=h(0)이므로
x`Ú0+ x`Ú0-
x`Ú0+ x`Ú0-
lim `f '(x)= lim `f '(x)에서 4+3a+2b+c=0 lim `h(x)= lim  (x+2)(xÛ`+ax+b+2)=2b+4
x`Ú1+ x`Ú1-
x`Ú0+ x`Ú0+
Ú, Û 에서 a+b=0, 3a+2b=-4 lim `h(x)= lim  (-x-2)(xÛ`+ax+b+2)=-2b-4
x`Ú0- x`Ú0-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b=4
에서 2b+4=-2b-4, b=-2
aÛ`+bÛ`+cÛ`=16+16+0=32
(x+2)(xÛ`+ax) (x¾0)
 ② 따라서 h(x)=à
(-x-2)(xÛ`+ax) (x<0)
참고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함수 h(x)가
 f(x) (x¾a)  f '(x) (x>a) 또한 함수 h(x)의 x=0에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해야 하므로
h(x)=à 일 때 h '(x)=à 이다. h(x)-h(0) h(x)
 g(x) (x<a)  g '(x) (x<a) lim   = lim  
x`Ú0+ x-0 x`Ú0+ x
또한 함수 h(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x+2)(xÛ`+ax)
= lim  
h'(a)= lim `f '(x)= lim `g '(x)이다. x`Ú0+ x
x`Úa+ x`Úa-
= lim  (x+2)(x+a)
x`Ú0+

30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삼차함수이고 =2a


x¾1일 때 g(x)=f(x-2), h(x)-h(0) h(x)
lim   = lim  
x`Ú0- x-0 x`Ú0- x
x<1일 때 g(x)=f(x+2)
(-x-2)(xÛ`+ax)
이므로 함수 g(x)는 x+1일 때 미분가능하다. = lim  
x`Ú0- x
따라서 함수 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
= lim  (-x-2)(x+a)
x`Ú0-
분가능하다.
=-2a
Ú g(x)가 x=1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에서 2a=-2a, a=0
lim `g(x)= lim `g(x)=g(1)에서
x`Ú1+ x`Ú1-
따라서 aÛ`+bÛ`=0+4=4
lim `f(x-2)= lim `f(x+2)=f(-1)
x`Ú1+ x`Ú1-  ②
 f(-1)=f(3) yy ㉠
Û 미분계수 g '(1)이 존재해야 하므로 32 g(x)=(xÇ`+k)f(x)라 하면
 g(x)-g(1)  f(x-2)-f(-1) (xÇ`+k)(xÛ`+1) (x<0)
lim   = lim   =f '(-1)
x`Ú1+ x-1 x`Ú1+ x-1  g(x)=à
(xÇ`+k)(x+2) (x¾0)
 g(x)-g(1)  f(x+2)-f(-1)
lim   = lim   함수 g(x)가 x=0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x`Ú1- x-1 x`Ú1- x-1

3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38 2017-11-02 오후 3:33:57


lim  g(x)= lim  g(x)=g(0)에서 이므로 lim g(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Ú0- x`Ú0+ x`Ú0

lim  g(x)= lim  (xÇ`+k)(xÛ`+1)=k 즉, g(x)는 x=0에서 연속이 아니다. (거짓)


x`Ú0- x`Ú0-

lim  g(x)= lim  (xÇ`+k)(x+2)=2k ㄷ. ‌ f(x)g(x)가 x=0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g(x)의 x=0에


x`Ú0+ x`Ú0+
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한다. 즉
 g(0)=2k
 f(x)g(x)-f(0)g(0)  f(x)g(x)
이므로 k=2k, k=0 lim   =lim 
x`Ú0 x-0 x`Ú0 x
xÇ`(xÛ`+1) (x<0) 의 값이 존재한다.
따라서  g(x)=à
xÇ`(x+2) (x¾0)  f(x)g(x)
이때 =h(x)라 하면
x
또한 함수 g(x)의 x=0에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해야 하므로
lim h(x)
 g(x)-g(0) xÇ`(xÛ`+1) h(x) x`Ú0
lim   = lim   lim g(x)=lim  = =lim h(x)
x`Ú0- x-0 x`Ú0- x x`Ú0 x`Ú0  f(x)  f(x) x`Ú0
lim 
= lim  xn-1(xÛ`+1) x x`Ú0 x
x`Ú0-
이므로 lim g(x)의 값이 존재한다. (참)
 g(x)-g(0) xÇ`(x+2) x`Ú0
lim   = lim  
x`Ú0+ x-0 x`Ú0+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lim  xn-1(x+2)  ③
x`Ú0+

에서 lim  x n-1
(xÛ`+1)= lim  x n-1
(x+2) yy ㉠
x`Ú0- x`Ú0+

따라서 n¾2일 때, ㉠이 성립하므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2이다.


 ② 35 ㄱ. 함수  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g(x)는 x=1에서
 f(x)
연속이다. 즉,  lim  의 값이 존재해야 하고 x Ú 1일 때
x`Ú0 (x-1)û`
33 lim  { f(x)-f(a)}=0에서 lim `f(x)=f(a)이므로 집합 A는
x`Úa x`Úa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1<x<6에서 연속인 점들의 x좌표 중 정수를 원소로 갖는다. lim`f(x)=f(1)=0 (참)
x`Ú1
 f(x)-f(b)
lim  의 값이 존재하므로 집합 B는 -1<x<6에서 미분 ㄴ. [반례] k=1, f(x)=(x-1)(xÛ`-1)이라 하면
x`Úb x-b
가능한 점들의 x좌표 중 정수를 원소로 갖는다. (x-1)(xÛ`-1)
 g(x)= =xÛ`-1`(x+1)이고
x-1
따라서 집합 A-B는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들의 x좌표 중
 g(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정수를 원소로 가지므로 그 원소는 2, 3, 5이고 그 합은
 g(1)=lim (xÛ`-1)=0=a
2+3+5=10 x`Ú1
 g(x)-g(1) xÛ`-1
 ③  g '(1)=lim  =lim 
x`Ú1 x-1 x`Ú1 x-1

=lim (x+1)=2+a (거짓)
x`Ú1
 f(x)
34 lim  =1에서 x Ú 0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 ‌
ㄷ. k=2이고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며 g(x)는
x`Ú0 x
이어야 한다.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x-1)Û`(x+p) (p는 상수)로

즉, lim`f(x)=0 놓을 수 있다.
x`Ú0
 f(x) (x-1)Û`(x+p)
이때  f(0)=0이므로 lim`f(x)=f(0)=0  g(x)= = =x+p (x+1)이고
x`Ú0 (x-1)Û` (x-1)Û`
따라서  f(x)는 x=0에서 연속이다.  g(1)=lim (x+p)=p+1=a이므로 p=a-1
x`Ú1

 f(x)-f(0)  f(x) 따라서 f(x)=(x-1)Û`(x+a-1)이므로


 f '(0)=lim  =lim  =1
x`Ú0 x-0 x`Ú0 x
 f(2)=a+1 (참)
ㄱ. lim g(x)=lim { f(x)+g(x)-f(x)}
x`Ú0 x`Ú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lim { f(x)+g(x)}-lim`f(x)  ③
x`Ú0 x`Ú0

={ f(0)+g(0)}-f(0)=g(0)
이므로 g(x)는 x=0에서 연속이다. (참) ( (x-t)x(x-3) (x<0) ``
1 (x¾0) 36 `f(x)={ -(x-t)x(x-3) (0Éx<3)
9 (x-t)x(x-3) (x¾3)
ㄴ. [반례]  f(x)=x이고 g(x)=à 일 때,
-1 (x<0) ``
lim`f(x)g(x)=f(0)g(0)=0이지만 이때 x+0, x+3일 때는 도함수 f '(x)가 존재하므로 미분가능하다.
x`Ú0
 f(x)-f(0) (x-t)x(x-3)
lim  g(x)= lim  1=1, lim  g(x)= lim  (-1)=-1 lim   = lim  
x`Ú0+ x`Ú0+ x`Ú0- x`Ú0- x`Ú0- x-0 x`Ú0- x

정답과 풀이 39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39 2017-11-02 오후 3:33:58


정답과 풀이

= lim  (x-t)(x-3)=3t yy ㉠ =2aÛ`xÛ`+2abx-4a+b


x`Ú0-
 f( f '(x))=f '( f(x))이므로
 f(x)-f(0) -(x-t)x(x-3)
lim   = lim  
x`Ú0+ x-0 x`Ú0+ x 4aÜ`xÛ`+(4aÛ`b+2ab)x+abÛ`+bÛ`-2=2aÛ`xÛ`+2abx-4a+b
= lim  {-(x-t)(x-3)}=-3t yy ㉡ 위의 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Ú0+

 f(x)-f(3) -(x-t)x(x-3) 4aÜ`=2aÛ` yy ㉠


lim   = lim  
x`Ú3- x-3 x`Ú3- x-3 4aÛ`b+2ab=2ab yy ㉡
= lim  {-(x-t)x}=-3(3-t) yy ㉢ abÛ`+bÛ`-2=-4a+b yy ㉢
x`Ú3-

 f(x)-f(3) (x-t)x(x-3) ㉠에서 2aÛ`(2a-1)=0


lim   = lim  
x-3 x-3
x`Ú3+ x`Ú3+
a+0이므로 a=;2!;
= lim  {(x-t)x}=3(3-t) yy ㉣
x`Ú3+
a=;2!;을 ㉡에 대입하면 b=0
Ú t+0이고 t+3일 때, ㉠+㉡, ㉢+㉣이므로 g(t)=2
Û t=0일 때, ㉠=㉡,㉢+㉣이므로 g(t)=1 이때 a=;2!;, b=0은 ㉢을 만족시키므로
Ü t=3일 때, ㉠+㉡, ㉢=㉣이므로 g(t)=1
( 2 (t<0) y
a+b=;2!;

| 1 (t=0)  ①
2 y=g(t)
 g(t)={ 2 (0<t<3)
| 1 (t=3) 39 함수 h(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
1

9 2 (t>3)
O 3 t 가능하다.
ㄱ. g(0)=1 (참)  f(x)=-(x-a)Û`+1, g(x)=(x-1)Û`+b이므로
ㄴ. lim g(t)=2 (참) -(x-a)Û`+1 (x¾2)
t`Ú3 h(x)=à
(x-1)Û`+b (x<2)
‌
ㄷ. t=0, t=3일 때, 함수 g(t)가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인 점은 2개이
다. (참) Ú h(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lim  h(x)= lim  h(x)=h(2)에서


x`Ú2+ x`Ú2-

 ⑤ -(2-a)Û`+1=b+1
b=-(a-2)Û`  yy ㉠
 f(x)+2g(x) Û 미분계수 h'(2)가 존재하므로
37 lim  x`Ú¦ xÜ`+1
=2이므로 함수 f(x)+2g(x)는 최고차항
h(x)-h(2) -(x-a)Û`+1+(2-a)Û`-1
lim   = lim  
의 계수가 2인 삼차함수이다. x`Ú2+ x-2 x`Ú2+ x-2
두 다항함수  f(x), g(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모두 1이므로  f(x)는 이 (x-2a+2)(2-x)
= lim  
x`Ú2+ x-2
차 이하의 함수이고, g(x)는 삼차함수이다.
=2a-4
이때  f(x)가 상수함수 또는 일차함수이면  f '(1)=6을 만족시킬 수 없
h(x)-h(2) (x-1)Û`+b-1-b
으므로  f(x)는 이차함수이다. lim   = lim  
x`Ú2- x-2 x`Ú2- x-2
 f(x)=xÛ`+ax+b`(a, b는 상수)라 하면 x(x-2)
= lim   = lim  x=2
 f '(x)=2x+a이므로   x`Ú2- x-2 x`Ú2-

 f '(1)=2+a=6, a=4 에서 2a-4=2, a=3


또한  f(x)+g(x)=xÜ`+4xÛ`-3에서 a=3을 ㉠에 대입하면 b=-1
 g(x)=xÜ`+4xÛ`-3-f(x)=xÜ`+4xÛ`-3-(xÛ`+4x+b) 따라서 aÛ`+bÛ`=9+1=10
=xÜ`+3xÛ`-4x-3-b  ④
따라서  g '(x)=3xÛ`+6x-4이므로
 g '(2)=3_2Û`+6_2-4=20 40 조건 (가)에서
 ④  f(x)=(x-1)Û`g(x)+ax+b`(a, b는 상수) yy ㉠
로 놓을 수 있고 조건 (나)에서

38 `f(x)=axÛ`+bx-2에서  f '(x)=2ax+b g(2)=4

 f( f '(x))=a(2ax+b)Û`+b(2ax+b)-2 조건 (다)에서 x Ú 2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4aÜ`xÛ`+(4aÛ`b+2ab)x+abÛ`+bÛ`-2 즉, lim { f(x)-g(x)}=0이므로
x`Ú2

 f '( f(x))=2a(axÛ`+bx-2)+b  f(2)=g(2)

4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40 2017-11-02 오후 3:33:58


 f(x)-g(x)  f(x)-f(2)-g(x)+g(2) p=5
lim  =lim 
x`Ú2 x-2 x`Ú2 x-2 p=5를 ㉡에 대입하면 q=-2
 f(x)-f(2)  g(x)-g(2)
=lim  -lim  따라서  f(x)=4xÛ`+5x-2이므로
x`Ú2 x-2 x`Ú2 x-2
 f(1)=7
=f '(2)-g '(2)=12
 ⑤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2)=g(2)+2a+b
2a+b=0 yy ㉡  f(3h)g(0)-f(0)g(-3h)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42 lim 
h`Ú0 h
 f '(x)=2(x-1)g(x)+(x-1)Û`g '(x)+a  f(3h)g(0)-f(0)g(0)+f(0)g(0)-f(0)g(-3h)
=lim 
h`Ú0 h
위의 식에 x=2를 대입하면
{ f(3h)-f(0)}g(0)  f(0){ g(-3h)-g(0)}
 f '(2)=2g(2)+g '(2)+a =lim  -lim 
h`Ú0 h h`Ú0 h
a=f '(2)-g '(2)-2g(2)  f(3h)-f(0)
=lim [ _3g(0)]
=12-2_4=4 h`Ú0 3h
 g(-3h)-g(0)
a=4를 ㉡에 대입하면  +lim [3f(0)_ ]
h`Ú0 -3h
8+b=0, b=-8
=3f '(0)g(0)+3f(0)g '(0)=12
따라서  f(x)=(x-1)Û`g(x)+4x-8이므로
이므로  f '(0)g(0)+f(0)g '(0)=4
 f(1)=-4
따라서 함수 y=f(x)g(x)의 x=0에서의 미분계수는 4이다.
 ①
 ⑤

41 다항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이므로 최고차항을 4xÇ` (n


은 자연수)으로 놓으면 조건 (가)에서  f(xÛ`)의 최고차항은 4x2n,
2n-2
43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2, 4)에서 원점을 지나는 직선에
{ f '(x)}Û`의 최고차항은 16nÛ`x 이다. 접하므로
이때 2n>2n-2이므로 분모의 최고차항의 차수는 2n이다. 4-0
 f(2)=4,  f '(2)= =2
한편, xÛ`f(x)의 최고차항은 4x n+2
이다. 2-0
 g(x)=(xÜ`-2x+1) f(x)에서
xÛ`f(x)
그런데 조건 (가)에서 lim   =1이므로 분자의 차수와
x`Ú¦  f(xÛ`)+{ f '(x)}Û`  g '(x)=(3xÛ`-2) f(x)+(xÜ`-2x+1) f '(x)이므로
분모의 차수가 같다.  g '(2)=10 f(2)+5 f '(2)
따라서 n+2=2n이므로 n=2 =10_4+5_2=50
즉,  f(x)는 이차함수이므로  ②
 f(x)=4xÛ`+px+q`(p, q는 상수)
로 놓으면 조건 (나)에서 x Ú -3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
어야 한다. 44 g(x)=xÛ`f(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 '(x)=2xf(x)+xÛ`f '(x)
 f(x)+f '(x)=4xÛ`+px+q+8x+p
이때
=4xÛ`+(p+8)x+(p+q) yy ㉠
 f '(x)g(x)-f(x)g '(x)
lim  { f(x)+f '(x)}= lim  {4xÛ`+(p+8)x+(p+q)}
x`Ú-3 x`Ú-3 = f '(x)_xÛ`f(x)-f(x){2xf(x)+xÛ`f '(x)}
=36-3(p+8)+(p+q)=0 =-2x{ f(x)}Û`=-8xÜ`
12-2p+q=0, q=2p-12 yy ㉡ 이므로 { f(x)}Û`=4xÛ`
㉡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f(x)=-2x 또는  f(x)=2x
 f(x)+f '(x)=4xÛ`+(p+8)x+(p+2p-12)  f(x)=-2x일 때, g(x)=-2xÜ`
=4xÛ`+(p+8)x+3(p-4)  f(x)=2x일 때, g(x)=2xÜ`
=(4x+p-4)(x+3)  f(x)g(x)=4xÝ` yy ㉠
이므로 조건 (나)에서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f '(x) (4x+p-4)(x+3)  f '(x)g(x)+f(x)g '(x)=16xÜ` yy ㉡
lim   = lim  
x`Ú-3 x+3 x`Ú-3 x+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lim  (4x+p-4)  f '(1)g(1)+f(1)g '(1)=16
x`Ú-3

=-12+p-4=-11  ②

정답과 풀이 41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41 2017-11-02 오후 3:33:59


정답과 풀이

 f(x)
45 조건 (가)에서 lim (x-1)Û` 의 값이 존재하고, x Ú 1일 때  f(x)-f(-x) 2f(x)  f(x)
= =
x`Ú1 x-(-x) 2x x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f(x) -2
Ú x¾1일 때, -2É = <0
x x
따라서  f(x)=(x-1)g(x)`(g(x)는 이차식)라 하면
 f(x) 2
 f(x) (x-1)g(x) Û xÉ-1일 때, -2É = <0
lim  =lim  x x
x`Ú1 (x-1)Û` x`Ú1 (x-1)Û`
Ü -1<x<1`(x+0)일 때,
 g(x)
=lim   f(x)  g(x)
x`Ú1 x-1 = =xÛ`-3이므로
x x
위의 식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f(x)
(분자) Ú 0이어야 한다. -3<
x
<-2
즉, lim g(x)=0이므로  g(1)=0 Ú, Û, Ü에 의하여
x`Ú1

 f(x)=(x-1)Û`(px+q) ( p, q는 상수, p+0)라 하자.  f(x)-f(-x)


-3< <0 (참)
조건 (나)에서 x Ú 2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x-(-x)
( 2 (xÉ-1)
즉, lim { f(x)-5}=0에서  f(2)=5
x`Ú2
ㄷ.  f(x)={ xÜ`-3x (-1<x<1)이므로
9 -2
2p+q=5 yy ㉠
(x¾1)
( 2(xÜ`-3x) (xÉ-1)
또한  f '(x)=2(x-1)(px+q)+p(x-1)Û`이므로

lim 
 f(x)-5
=lim 
 f(x)-f(2)
=f '(2)  f(x)g(x)={ (xÜ`-3x)Û` (-1<x<1)
x-2 x-2
9 -2(xÜ`-3x) (x¾1)
x`Ú2 x`Ú2

=2(2p+q)+p=5p+2q=11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 2(3xÛ`-3) (x<-1)

p=1, q=3  f '(x)g(x)+f(x)g '(x)={ 2(3xÛ`-3)(xÜ`-3x) (-1<x<1)

따라서  f '(x)=2(x-1)(x+3)+(x-1)Û`이므로 9 -2(3xÛ`-3) (x>1)

 f '(0)=-6+1=-5 이므로  f '(2)g(2)+f(2)g '(2)=-2_9=-18 (참)


 ④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 2 (xÉ-1)
46 `f(x)={ g(x) (-1<x<1)에서 47 `f(x)=xÛ`-3x-4=(x+1)(x-4)에서
9 -2 (x¾1) ``
 f '(x)=2x-3
( 0 (x<-1) h(x)={ f(x)}Û`으로 놓으면
 f '(x)={ g '(x) (-1<x<1) h'(x)=2f(x)f '(x)
9 0 (x>1) h(x)-h(t)
 g(t)=lim  =h'(t)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Út x-t
 g '(-1)=g '(1)=0 =2f(t)f '(t)
 g(x)=xÜ`+axÛ`+bx+c`(a, b, c는 상수)로 놓으면 함수  f(x)가 실수 한편, g(t)<0에서 2f(t)f '(t)<0, 즉  f(t)f '(t)<0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가)
따라서 g(-1)=2, g(1)=-2이므로 Ú  f(t)<0,  f '(t)>0일 때,
 g(-1)=-1+a-b+c=2 yy ㉠  f(t)<0에서 (t+1)(t-4)<0
 g(1)=1+a+b+c=-2 yy ㉡ -1<t<4
한편, g '(x)=3xÛ`+2ax+b이므로
 f '(t)>0에서 2t-3>0, t>;2#;
 g '(-1)=3-2a+b=0 yy ㉢
 g '(1)=3+2a+b=0 yy ㉣ 이므로 ;2#;<t<4
㉠, ㉡, ㉢, ㉣에서 a=0, b=-3, c=0
 (나)
 g(x)=xÜ`-3x,  g '(x)=3xÛ`-3
Û  f(t)>0,  f '(t)<0일 때,
ㄱ. g '{;2!;}=;4#;-3=-;4(; (참)  f(t)>0에서 (t+1)(t-4)>0
t<-1 또는 t>4
ㄴ. g(-x)=-g(x)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  f '(t)<0에서 2t-3<0, t<;2#;

4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42 2017-11-02 오후 3:33:59


이므로 t<-1

 (다)
49 Dy
Dx
=
f(b)-f(a)
b-a
4x (xÉ1)
따라서 열린구간 (-5, 5)에서 구하는 정수 t는 -4, -3, -2, 2, 3의 양수 t와 함수  f(x)=à 에 대하여 닫힌구간 [0, t]
5-2x (x>1)
5개이다.
tÛ`+at+b
에서의 평균변화율을 g(t)라 하자. 함수 가 t=1에서
 (라)  g(t)+2
 5 미분가능할 때, aÛ`+bÛ`의 값은? (단, a, b는 상수이다.)

① 1 ② 2 ③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④ 4 ⑤5
(가) f(t)f '(t)<0을 구한 경우 30`%
(나) f(t)<0, f '(t)>0일 때 t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20`%
풀이전략
(다) f(t)>0, f '(t)<0일 때 t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20`%
t의 값에 따라 g(t)를 구한 후 h'(1)이 존재하도록 a, b의 값을 정한다.
(라) 정수 t의 개수를 구한 경우 30`%
문제풀이

함수 g(t)를 구한다.
48 `f(x)+g(x)=2xÛ`+3x+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f '(x)+g '(x)=4x+3
y
이므로
4
(2xÛ`+3x+1)(4x+3) 3
={ f(x)+g(x)}{ f '(x)+g '(x)}
y=f(x)
=f(x)f '(x)+f(x)g '(x)+g(x)f '(x)+g(x)g '(x)
O1 5 x
따라서 2
 f(x)f '(x)+g(x)g '(x)
Ú 0<tÉ1일 때,
=(2xÛ`+3x+1)(4x+3)-{ f(x)g '(x)+g(x)f '(x)} yy ㉠
함수  f(x)의 닫힌구간 [0, t]에서의 평균변화율은 직선의 기울기
 (가) 4t
와 같으므로 =4
t-0
 f(1+h)g(1+h)-f(1)g(1)  g(t)=4
또한 lim  은 함수  f(x)g(x)의 x=1에
h`Ú0 h
Û t>1일 때,
서의 미분계수이고 { f(x)g(x)}'=f '(x)g(x)+f(x)g '(x)이므로
함수  f(x)의 닫힌구간 [0, t]에서의 평균변화율은
 f '(1)g(1)+f(1)g '(1)=6
 f(t)-f(0) 5-2t 5
 g(t)= = = -2
 (나) t-0 t-0 t
㉠에 x=1을 대입하면 Ú, Û에서 y=g(t)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f(1)f '(1)+g(1)g '(1)=6_7-6=36 y
4
 (다)
3
  36 y=g(t)

단계 채점 기준 비율 O 1 5 t
-
2
(가) f(x)f '(x)+g(x)g '(x)를 구한 경우 30`% -2

(나) f '(1)g(1)+f(1)g '(1)의 값을 구한 경우 40`%


함수 h(t)를 구한 후 t=1에서의 연속과 미분가능을 이용하여 a, b의
(다) f(1)f '(1)+g(1)g '(1)의 값을 구한 경우 30`%
값을 구한다.
tÛ`+at+b
h(t)= 라 하면
 g(t)+2
(
;6!;(tÛ`+at+b) (0<tÉ1)
상위 h(t)={
내신 4% 변별력 문항 본문 45~46쪽 ;5!;(tÜ`+atÛ`+bt) (t>1)
9
49 ⑤ 50 ② 51 ③ 52 ③ 53 ② 함수 h(t)가 t=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t=1에서 연속이다.
54 ② 즉, ;6!;(1+a+b)=;5!;(1+a+b)이므로

정답과 풀이 43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43 2017-11-02 오후 3:33:59


정답과 풀이

a+b=-1 yy ㉠ ㄴ. lim `f(x)g(x)= lim `f(x)_ lim  g(x)


x`Ú2- x`Ú2- x`Ú2-
(
;6!;(2t+a) (0<t<1) =2_0=0
또한 h'(t)={ 이므로 lim `f(x)g(x)= lim `f(x)_ lim  g(x)
;5!;(3tÛ`+2at+b) (t>1)
x`Ú2+ x`Ú2+ x`Ú2+

9 =(-2)_0=0

h'(1)=;6!;(2+a)=;5!;(3+2a+b) 이므로 lim `f(x)g(x)= lim `f(x)g(x)=f(2)g(2)=0


x`Ú2- x`Ú2+

7a+6b=-8 yy ㉡ 따라서 함수  f(x)g(x)는 x=2에서 연속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h(x)=f(x)g(x)라 하면


h(x)-h(2)
aÛ`+bÛ`=4+1=5 h'(2)=lim  
x`Ú2 x-2
 ⑤  f(x)g(x)-f(2)g(2)
=lim 
x`Ú2 x-2
 f(x)g(x)
=lim 
x`Ú2 x-2
50 이때 g(x)=|2x-4|에서
x (x<2)  f(x)g(x)  f(x)_(2x-4)
두 함수  f(x)=à , g(x)=|2x-4|의 그래프가 lim   = lim  
2x-6 (x¾2) x`Ú2+ x-2 x`Ú2+ x-2
그림과 같다. = lim  2f(x)
x`Ú2+

y
y=f(x)
y y=g(x) =2_(-2)=-4
2 4
 f(x)g(x)  f(x)_(-2x+4)
lim   = lim  
x`Ú2- x-2 x`Ú2- x-2
O 2 3 x = lim  {-2f(x)}
x`Ú2-

-2 O 2 4 x
=(-2)_2=-4
불연속이거나 뾰 이므로 h'(2)=-4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족한 점에서 미분 즉, 함수  f(x)g(x)는 x=2에서 미분가능하다. (참)
보기
가능하지 않다.
함수 | f(x)|g(x)의 x=2에서의 연속을 확인한 후 x=2에서의 미분
ㄱ. 두 함수  f(x), g(x)는 모두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계수를 구한다.
ㄴ. 함수  f(x)g(x)는 x=2에서 미분가능하다.
ㄷ. 함수 | f(x)|g(x)는 x=2에서 미분가능하다. ㄷ. lim |f(x)|g(x)= lim |f(x)|_ lim  g(x)
x`Ú2- x`Ú2- x`Ú2-

=2_0=0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lim |f(x)|g(x)= lim |f(x)|_ lim  g(x)
x=2에서 연속이고 미분계수의 x`Ú2+ x`Ú2+ x`Ú2+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좌, 우극한이 일치한다. =2_0=0
이므로 lim |f(x)|g(x)= lim |f(x)|g(x)=|f(2)|g(2)=0
풀이전략 x`Ú2- x`Ú2+

x=2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따라서 함수 | f(x)|g(x)는 x=2에서 연속이다.


h(x)=| f(x)|g(x)라 하면
문제풀이
h(x)-h(2)
함수  f(x)의 x=2에서의 연속을 확인하고, 함수 g(x)의 x=2에서의 h'(2)=lim  
x`Ú2 x-2
미분계수의 존재성을 확인한다.
| f(x)|g(x)-| f(2)|g(2)
ㄱ. ‌함수  f(x)는 x=2에서 불연속이므로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 =lim 
x`Ú2 x-2
다.
| f(x)|g(x)
 g(x)-g(2) |2x-4| =lim 
lim   = lim   =2 x`Ú2 x-2
x`Ú2+ x-2 x`Ú2+ x-2
이때 g(x)=|2x-4|에서
 g(x)-g(2) |2x-4|
lim   = lim   =-2 | f(x)|g(x) | f(x)|(2x-4)
x`Ú2- x-2 x`Ú2- x-2 lim   = lim  
x`Ú2+ x-2 x`Ú2+ x-2
따라서 g '(2)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g(x)는 x=2에서 미분
y=g(x)의 그래프가 x=2에서 뾰족하다. = lim 2|f(x)|
가능하지 않다. (참) x`Ú2+

함수  f(x)g(x)의 x=2에서의 연속을 확인한 후 x=2에서의 미분계 =2_2


수를 구한다. =4

4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44 2017-11-02 오후 3:34:00


| f(x)|g(x) | f(x)|(-2x+4)
lim   = lim  
x`Ú2- x-2 x`Ú2- x-2
52 lim f(x)=f(0)=0
x`Ú0

= lim  {-2|f(x)|}  f(0)=0이고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x`Ú2-

=(-2)_2  f((x-1)Û`)
lim =a`(a는 상수)를 만족시킬 때, <보기>에서 옳
x`Ú1 (x-1)Û`
=-4
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므로 h'(2)는 존재하지 않는다.
보기
즉, 함수 | f(x)|g(x)는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거짓)
ㄱ. a=0이고
‌  f(-x)=f(x)이면 함수  f(x)는 x=0에서 미분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가능하다.
 ②
ㄴ. a+0이고
‌  f(-x)=f(x)이면 함수 f (x)는 x=0에서 미분
가능하다.
ㄷ.  f(-x)=-f(x)이면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51
계수가 모두 정수인 두 다항함수  f(x), g(x)가 모든 실수 x에 대 ① ㄱ ② ㄴ ③ ㄱ, ㄷ
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x에 대한 항등식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가)  f '(x)g(x)=2xÝ`+xÜ`+4xÛ`+4x+1
풀이전략
(나)  f(x)g '(x)=3xÝ`+3xÜ`-xÛ`+2x-2
x=0에서의 미분계수를 확인한다.

 f(2)+g(2)의 값은? 문제풀이

① 14 ② 16 ③ 18 (x-1)Û`=t로 치환하여  f '(0)을 구한다.


 f((x-1)Û`)
④ 20 ⑤ 22 lim   =a에서 (x-1)Û`=t라 하면 x Ú 1일 때 t Ú 0+
x`Ú1 (x-1)Û`
이고,  f(0)=0이므로
풀이전략
 f((x-1)Û`)  f(t)-f(0)
우변을 두 다항식의 곱으로 인수분해하여 f(x), g(x)를 정한다. lim   = lim   =a
x`Ú1 (x-1)Û` t`Ú0+ t
문제풀이
 f(x)-f(0)
이때 t=x로 놓으면 lim   =a  yy ㉠
다항식 2xÝ`+xÜ`+4xÛ`+4x+1을 인수분해한다. x`Ú0+ x

조건 (가)에서  f(x)-f(0)
함수  f(x)가 x=0에서 미분가능하려면 lim   의 값이
x`Ú0- x
 f '(x)g(x)=2xÝ`+xÜ`+4xÛ`+4x+1
존재하고 이 값이 a와 같아야 한다.
=xÜ`(2x+1)+(2x+1)Û`
 f(x)-f(0)
=(2x+1)(xÜ`+2x+1) lim   에서 x=-t라 하면 x Ú 0-일 때 t Ú 0+이
x`Ú0- x
 f '(x)와 g(x)를 구한다. 므로
Ú  f '(x)=xÜ`+2x+1, g(x)=2x+1일 때  f(x)-f(0)  f(-t)-f(0) f(0)=0
lim   = lim  
x`Ú0- x t`Ú0+ -t
 g '(x)=2이므로  f(x)g '(x)=2f(x)이다.
2f(x)=2xÜ`+4x+2  f(-t)
따라서 조건 (나)를 만족시킬 수 없다. = lim  
t`Ú0+ -t
Û  f '(x)=2x+1, g(x)=xÜ`+2x+1일 때
 f(-x)
 g '(x)=3xÛ`+2이고 조건 (나)에서 이때 t=x로 놓으면 lim     yy ㉡
x`Ú0+ -x
 f(x)g '(x)=3xÝ`+3xÜ`-xÛ`+2x-2
좌극한과 우극한을 확인하여 미분가능을 확인한다.
=(3xÛ`+2)(xÛ`+x-1)
ㄱ.  f(-x)=f(x)이므로 ㉡에서
이므로  f(x)=xÛ`+x-1
 f(-x)  f(x)
이것은  f '(x)=2x+1을 만족시킨다. lim    = lim    =-a yy ㉢
x`Ú0+ -x x`Ú0+ -x

Ú, Û 에서  f(x)=xÛ`+x-1, g(x)=xÜ`+2x+1이므로 이때 a=0이므로 ㉠과 ㉢의 값이 같다.


 f(2)+g(2)=5+13=18 그러므로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참)
x=0에서 미분계수의
 ③ ㄴ. a+0이면 ㉠과 ㉢의 값이 다르다.
좌, 우극한이 일치한다.
그러므로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거짓)
ㄷ.  f(-x)=-f(x)이므로 ㉡에서 a+0일 때 a+-a이므로 x=0
에서 미분계수의 좌, 우극한이
일치하지 않는다.

정답과 풀이 45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45 2017-11-02 오후 3:34:01


정답과 풀이

 f(-x) -f(x)
lim    = lim    =a yy ㉣ 다항식의 나눗셈에 의해
x`Ú0+ -x x`Ú0+ -x
54 f(x)=(x-1)Û`QÁ(x)+2x+1은 x에 대한 항등식이다.
이때 ㉠과 ㉣의 값이 같으므로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 두 다항함수  f(x),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가)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x+1이다.
 ③ (나) xf(x)+g(x)는 (x-1)Ü`으로 나누어떨어진다.

 g(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h(x)라 할 때,


이차식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일차식 또는
53 h(3)의 값은?
상수이다.
삼차함수  f(x)=xÜ`+axÛ`+bx와 두 실수 p, q`(p<q)에 대하여 ① -11 ② -13 ③ -15
 f '(p)+f '(q) p+q  f(q)-f(p)
   A= , B= f '{ }, C= ④ -17 ⑤ -19
2 2 q-p
라 할 때, A, B, C의 대소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다항식의 나눗셈에 의해 xf(x)+g(x)=(x-1)Ü`Qª(x)
풀이전략
는 x에 대한 항등식이다.
 (단, a, b는 상수이다.)
다항식의 나눗셈을 이용하여 f(x), g(x)를 구한다.
① A>B>C ② A>C>B ③ B>C>A
문제풀이
④ C>A>B ⑤ C>B>A
다항식의 나눗셈과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f '(1)의 값을 구한다.

풀이전략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Á(x)라 하면
조건 (가)에서  f(x)=(x-1)Û`QÁ(x)+2x+1로 놓을 수 있으므로
함수  f(x)의 도함수를 구한 후 A-C, C-B의 값의 부호를 확인한다.
x=1을 대입하면  f(1)=3 x에 대한 항등식 yy ㉠
문제풀이
 f(x)=(x-1)Û`QÁ(x)+2x+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A, B, C의 값을 구한다.
 f '(x)=2(x-1)QÁ(x)+(x-1)Û`QÁ'(x)+2
 f(x)=xÜ`+axÛ`+bx에서  f '(x)=3xÛ`+2ax+b이므로
x=1을 대입하면  f '(1)=2 x에 대한 항등식 yy ㉡
 f '(p)+f '(q)
A= 다항식의 나눗셈과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f(1)+f '(1)+g '(1)의
2
(3pÛ`+2ap+b)+(3qÛ`+2aq+b) 값을 구한다.
=
2 xf(x)+g(x)를 (x-1)Ü`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ª(x)라 하면
=;2#;(pÛ`+qÛ`)+a(p+q)+b 조건 (나)에서 xf(x)+g(x)=(x-1)Ü`Qª(x)로 놓을 수 있으므로
p+q p+q Û` p+q x=1을 대입하면 x에 대한 항등식
B=f '{ }=3{ } +2a{ }+b
2 2 2  f(1)+g(1)=0 yy ㉢
곱의 미분법
=;4#;(p+q)Û`+a(p+q)+b xf(x)+g(x)=(x-1)Ü`Qª(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f '(x)+g '(x)=3(x-1)Û`Qª(x)+(x-1)Ü`Qª'(x)
 f(q)-f(p) (qÜ`+aqÛ`+bq)-(pÜ`+apÛ`+bp)
C= = x=1을 대입하면 x에 대한 항등식
q-p q-p
(qÜ`-pÜ`)+a(qÛ`-pÛ`)+b(q-p)  f(1)+f '(1)+g '(1)=0 yy ㉣
=
q-p ㉠, ㉢에서 g(1)=-3
=(qÛ`+qp+pÛ`)+a(p+q)+b ㉠, ㉡, ㉣에서 g '(1)=-5
A-C, C-B의 값의 부호를 확인한다. 다항식의 나눗셈과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g '(1)의 값을 구한 후

A-C=;2!; pÛ`-pq+;2!; qÛ`=;2!;(p-q)Û`>0이므로 h(3)의 값을 구한다.


 g(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A>C A-C>0이면 A>C yy ㉠
h(x)=ax+b ( a, b는 상수)라 하면
C-B=;4!;pÛ`-;2!;pq+;4!;qÛ`=;4!; (p-q)Û`>0이므로  g(x)=(x-1)Û`Q£(x)+ax+b
C>B yy ㉡ 이므로 x=1을 대입하면 x에 대한 항등식
㉠, ㉡에 의하여 A>C>B g(1)=a+b=-3 yy ㉤
 ②  g(x)=(x-1)Û`Q£(x)+ax+b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 '(x)=2(x-1)Q£(x)+(x-1)Û`Q£'(x)+a 곱의 미분법
x=1을 대입하면 x에 대한 항등식
 g '(1)=a=-5
a=-5를 ㉤에 대입하면

4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46 2017-11-02 오후 3:34:02


b=2 (x-4)(x+2)=0
따라서 h(x)=-5x+2이므로 x=4 또는 x=-2
h(3)=-13 함수  f(x)의 x=2에서의 미분계수와 함수 h(x)의 x=4 또는
 ② x=-2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음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다.
따라서 x=2에서 함수  f(x)의 미분계수와 x=4 또는 x=-2에서의
함수 h(x)의 미분계수가 같으므로
내신 상위 4% of 4% 본문 47쪽 a=-2 또는 a=4
이때 a+4이므로 a=-2
한편, g(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55  f(2)=-f(-2-2)+b에서
함수  f(x)=xÜ`+3xÛ`-9x+3에 대하여 함수 g(x)를 다음과 같
5=-23+b, b=28
이 정의한다. y=f(x)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
한 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따라서 a+b=-2+28=26
 f(x) (xÉ2)   26
   g(x)=à b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f(-x+a)+b (x>2)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4) 26

함수 g(x)가 x=2에서 미분가능할 때


문항 파헤치기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곡선 y=f(x)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곡선과 미분계수가 같도록 평행이
동한 곡선 구하기

실수 point 찾기
‌대칭이동 후 평행이동했을 때 미분계수는 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평행이동 후에도 변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미분계수가 같은 점을 구한다.

풀이전략

‌대칭이동, 평행이동을 이용하여 미분계수가 같은 점을 찾는다.


문제풀이

x=2에서의 미분가능을 이용하여  f '(2)의 값을 구한다.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려면 x=2에서 미분가
능하면 된다. 즉, g '(2)가 존재해야 하므로
lim  g '(x)= lim  g '(x)
x`Ú2- x`Ú2+
 g(x)-g(2)  g(x)-g(2)
lim = lim
 f(x)=xÜ`+3xÛ`-9x+3에서 x`Ú2- x-2 x`Ú2+ x-2

 f '(x)=3xÛ`+6x-9이므로
 f '(2)=15
y=f(x)의 그래프의 대칭이동과 평행이동을 이용하여 y=-f(-x)
를 구한다. -y=f(-x)
y=-f(-x+a)+b의 그래프는 y=f(x)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다. -(y-b)=f(-(x-a)), 즉 y=-f(-x+a)+b
곡선 y=f(x)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곡선은 y=-f(-x)이므로
h(x)=-f(-x)=xÜ`-3xÛ`-9x-3이라 하면
h'(x)=3xÛ`-6x-9
이때 h'(x)=15에서
3xÛ`-6x-9=15
xÛ`-2x-8=0

정답과 풀이 47

해 33-47 올림포스(고난도)_수2_03강-오1.indd 47 2017-11-02 오후 3:34:02


정답과 풀이

04
y '=3xÛ`+a에서 곡선 y=xÜ`+ax+9 위의 점 (t, tÜ`+at+9)에서의
도함수의 활용 ⑴ 접선의 기울기는 3tÛ`+a이므로
3tÛ`+a=3 yy ㉠
기출 기울기가 3이고 점 (t, tÜ`+at+9)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내신 우수 문항 본문 50~53쪽
y-(tÜ`+at+9)=3(x-t)
01 ② 02 ③ 03 ① 04 ⑤ 05 ② y=3x+tÜ`+(a-3)t+9
06 ④ 07 ④ 08 ③ 09 ④ 10 ⑤ 이 직선이 y=3x-7과 일치하므로

11 ④ 12 ④ 13 ⑤ 14 ① 15 ② tÜ`+(a-3)t+9=-7 yy ㉡

16 ⑤ 17 ④ 18 ④ 19 ③ 20 ① ㉠에서 a-3=-3tÛ`을 ㉡에 대입하면


tÜ`+(-3tÛ`)_t+9=-7
21 ③ 22 -;3*; 23 1 -2tÜ`=-16, tÜ`=8
t=2
01 삼차함수  f(x)=xÜ`+xÛ`-4x-1의 그래프 위의 점 (-2, 3)에서 ㉠에서 3_2Û`+a=3이므로
의 접선의 방정식은 a=3-12=-9
y-3=f '(-2)(x+2) yy ㉠ ⑤
이때  f '(x)=3xÛ`+2x-4이므로
`f '(-2)=4 05 `f(x)=xÛ`+ax+b`(a, b는 상수)라 하면
이것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두 곡선 y=xÜ`+xÛ`+3, y=f(x)는 x좌표가 1인 점 P에서 만나므로
y=4x+11 1Ü`+1Û`+3=f(1),  f(1)=5
따라서 a=4, b=11이므로 1+a+b=5
a+b=15 a+b=4 yy ㉠
② y=xÜ`+xÛ`+3에서 y '=3xÛ`+2x이고 점 P에서의 접선이 서로 일치하
므로
02 y=xÜ`+xÛ`-3x+5에서 y '=3xÛ`+2x-3 3_1Û`+2=f '(1),  f '(1)=5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두 점 A, B의 x좌표는 이차방정 `f '(x)=2x+a이므로
식 3xÛ`+2x-3=m, 즉 3xÛ`+2x-3-m=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 `f '(1)=2+a=5, a=3
수의 관계에 의하여 a=3을 ㉠에 대입하면 b=1
-3-m 따라서  f(x)=xÛ`+3x+1이므로
=-2, -3-m=-6
3
`f(2)=2Û`+3_2+1=11
따라서 m=3
②
③
다른풀이

xÜ`+xÛ`+3-f(x)=(x-1)Û`(x-a)`(a는 상수)에서 좌변의 이차항의


03 y=xÜ`-3xÛ`+2에서 y '=3xÛ`-6x 계수는 0이고 우변의 이차항의 계수는 -(2+a)이므로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3tÛ`-6t=m
0=-(2+a), a=-2
3tÛ`-6t-m=0
xÜ`+xÛ`+3-f(x)=(x-1)Û`(x+2) yy ㉠
접선이 오직 하나이려면 t의 값도 오직 하나이어야 한다.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따라서 이차방정식 3tÛ`-6t-m=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8+4+3-f(2)=4
D
=(-3)Û`-3_(-m)=0 `f(2)=11
4
m=-3
① 06 `f(x)=xÜ`-3xÛ`+kx-1에서  f '(x)=3xÛ`-6x+k
평행한 두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방정식 3xÛ`-6x+k=m의 두
04 `f(x)=xÛ`-3x+2로 놓으면  f '(x)=2x-3이므로 점 (3, 2)에 근이 x=p 또는 x=q이다.
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f '(3)=2_3-3=3 p+q=2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3,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④
y-2=3(x-3), y=3x-7
직선 y=3x-7과 곡선 y=xÜ`+ax+9의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면 07 `f(x)=-xÜ`+3xÛ`+9x에서

4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48 2017-11-02 오후 3:34:17


`f '(x)=-3xÛ`+6x+9 `f(0)-f(-1)
‌ =f '(cª), 즉 `f '(cª)=2인 실수 cª가 열린구간 
이므로 원점 O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0)=9이다. 0-(-1)
삼각형 OAP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점 P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9이 (-1, 0)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방정식  f '(x)=2는 적어도
어야 한다. 두 개의 실근을 갖는다. (참)
점 P의 x좌표를 t`(t+0)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f '(t)=-3tÛ`+6t+9=9 ⑤
3tÛ`-6t=0, 3t(t-2)=0
t=2 11 삼차함수  f(x)=-xÜ`+3axÛ`-9ax+1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2, 22)이므로 함수  f(x)가 구간 (-¦, ¦)에서 감소해야 하므로 모든 실수 x에 대
a+b=2+22=24 하여 `f '(x)É0이어야 한다.
④ `f(x)=-xÜ`+3axÛ`-9ax+1에서  f '(x)=-3xÛ`+6ax-9a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08 `f(x) f '(x)<0에서 -3xÛ`+6ax-9aÉ0, xÛ`-2ax+3a¾0


 f(x)>0,  f '(x)<0 또는  f(x)<0,  f '(x)>0 이차방정식 xÛ`-2ax+3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Ú  f(x)>0,  f '(x)<0일 때 D
=aÛ`-3aÉ0, a(a-3)É0
4
‌함숫값은 양수이고 접선의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구하는 정수 x는 2,
0ÉaÉ3
3, 9이다.
따라서 정수 a는 0, 1, 2, 3의 4개이다.
Û  f(x)<0,  f '(x)>0일 때
④
‌함숫값은 음수이고 접선의 기울기는 양수이므로 구하는 정수 x는 없
다.
Ú, Û 에서 모든 정수 x의 값의 합은 2+3+9=14 12 함수  f(x)=xÜ`-xÛ`-5x+4가 열린구간 (-1, a)에서 감소하려
면 열린구간 (-1, a)의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한다.
③
`f(x)=xÜ`-xÛ`-5x+4에서
`f '(x)=3xÛ`-2x-5
09 `f(x)=-xÜ`-5xÛ`+3에서 `f '(x)É0에서 3xÛ`-2x-5É0
 f '(x)=-3xÛ`-10x이므로
(x+1)(3x-5)É0
 f(2)-f(-1)=3 f '(c)에서
-1ÉxÉ;3%;
(-8-20+3)-(1-5+3)=3(-3cÛ`-10c)
-8=-3cÛ`-10c, 3cÛ`+10c-8=0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3%; 이다.
(3c-2)(c+4)=0
④
-1<c<2이므로 c=;3@;

④
13 `f(x)=;3!;xÜ`-xÛ`+ax+5에서
`f '(x)=xÛ`-2x+a
10 ㄱ.  f(-x)=-f(x)에서 x=0을 대입하면 함수  f(x)가 열린구간 (a, 2)에서 감소하므로 열린구간 (a, 2)의 모든
 f(0)=-f(0),  f(0)=0 (참)
실수 x에 대하여  f '(x)=xÛ`-2x+aÉ0이다.
ㄴ. ‌다항함수  f(x)는 닫힌구간 [0,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0, 3)에
따라서  f '(a)É0,  f '(2)É0
서 미분가능하며  f(0)=f(3)=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a)=aÛ`-2a+aÉ0에서
 f '(c)=0을 만족시키는 실수 c가 열린구간 (0, 3)에 적어도 하나
aÛ`-aÉ0, a(a-1)É0
존재한다. 즉, 방정식  f '(x)=0은 열린구간 (0, 3)에서 적어도 하
0ÉaÉ1 yy ㉠
나의 실근을 갖는다. (참)
`f '(2)=4-4+aÉ0에서
ㄷ.  f(1)=2이므로  f(-1)=-f(1)=-2
aÉ0 yy ㉡
‌함수 f(x)는 닫힌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0, 1)에서
㉠, ㉡에서 a=0이므로
`f(1)-f(0)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 '(cÁ), 즉
1-0  f(x)=;3!;xÜ`-xÛ`+5
`f '(cÁ)=2인 실수 cÁ이 열린구간 (0, 1)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또한 함수  f(x)는 닫힌구간 [-1, 0]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f(3)=;3!;_3Ü`-3Û`+5=5

(-1, 0)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⑤

정답과 풀이 49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49 2017-11-02 오후 3:34:18


정답과 풀이

xÜ`+k(x-2) (x¾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4 `f(x)=à xÜ`-k(x-2) (x<2)이므로
x y -1 y 0 y 2 y
3xÛ`+k (x>2) `f '(x) - 0 + 0 - 0 +
`f '(x)=à
3xÛ`-k (x<2) `f(x) ↘ 극소 ↗ 극대 ↘ 극소 ↗
Ú x>2일 때,  f '(x)=3xÛ`+k¾0이어야 하므로
이때 함수  f(x)의 극댓값이 10이므로
f '(2)=12+k¾0, k¾-12
`f(0)=a=10
Û x<2일 때,  f '(x)=3xÛ`-k¾0이어야 하므로
함수  f(x)의 극솟값은
f '(0)=-k¾0, kÉ0
`f(-1)=3_(-1)Ý`-4_(-1)Ü`-12_(-1)Û`+10=5
Ú, Û에서 -12ÉkÉ0
`f(2)=3_2Ý`-4_2Ü`-12_2Û`+10=-22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0, 최솟값은 -12이므로 그 합은
따라서 모든 극솟값의 합은
0+(-12)=-12
5+(-22)=-17
①
④

15 ㄱ.  f(x)=xÜ`+ax-a-1에서  f '(x)=3xÛ`+a
a가 음이 아닌 실수이므로 f '(x)¾0 18 `f(x)=xÜ`-kx-1이 x=a, x=b에서 극값을 갖는다고 하면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에서 증가한다. (참) `f '(x)=3xÛ`-k=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ㄴ. ‌`f(x)는 구간 (-¦, ¦)에서 증가하고, g(x)는 구간 (-¦, ¦) a+b=0, ab=-;3K; 


에서 감소하므로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xÁ<xª이면
b=-a, ab=-aÛ`=-;3K; 에서 k=3aÛ`
`f(xÁ)< f(xª), g(xÁ)>g(xª)
즉, 두 부등식  f(xÁ)< f(xª), -g(xÁ)<-g(xª)를 변끼리 더하면 한편, 두 극값의 차가 108이므로
`f(xÁ)-g(xÁ)< f(xª)-g(xª) |`f(b)-f(a)|=|(bÜ`-kb-1)-(aÜ`-ka-1)|
따라서 함수  f(x)-g(x)는 구간 (-¦, ¦)에서 증가한다. (참) =|(-a)Ü`-k_(-a)-1-(aÜ`-ka-1)|
ㄷ. ‌[반례] h(x)=x라 하면 h'(x)=1>0이므로 함수 h(x)는 구간   =|-2aÜ`+2ka|
(-¦, ¦)에서 증가한다. =|-2aÜ`+6aÜ`|
F(x)=f(x)h(x)라 하면 F(x)=xÝ`+axÛ`-(a+1)x이므로 =|4aÜ`|
F '(x)=4xÜ`+2ax-a-1 =108
‌그런데 x<0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는 구간 (-¦, 0) |a|=3
에서 감소한다. (거짓) 따라서 k=3aÛ`=27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④
②

19 `f(x)=xÜ`-3xÛ`+4에서
16 `f(x)=xÜ`+(a-2)xÛ`-;3!; (ab-4)Û`x+1에서 `f '(x)=3xÛ`-6x=3x(x-2)
`f '(x)=0에서 x=0 또는 x=2
`f '(x)=3xÛ`+2(a-2)x-;3!; (ab-4)Û`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
x y 0 y 2 y
성립해야 한다.
`f '(x) + 0 - 0 +
이차방정식 3xÛ`+2(a-2)x-;3!;(ab-4)Û`=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x) ↗ 4 ↘ 0 ↗

D
=(a-2)Û`+3_;3!; (ab-4)Û`É0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므로 점 A의 좌표는 (0, 4)이다.
4
접점의 좌표를 (t, tÜ`-3tÛ`+4)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a-2)Û`+(ab-4)Û`É0
y-(tÜ`-3tÛ`+4)=(3tÛ`-6t)(x-t) yy ㉠
따라서 a=b=2이므로 a+b=4
㉠은 점 A(0, 4)를 지나므로
⑤
4-(tÜ`-3tÛ`+4)=(3tÛ`-6t)(-t)
2tÜ`-3tÛ`=0, tÛ`(2t-3)=0
17 `f(x)=3xÝ`-4xÜ`-12xÛ`+a에서
`f '(x)=12xÜ`-12xÛ`-24x=12x(x-2)(x+1) t=0 또는 t=;2#;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t=0일 때, 접점은 A(0, 4)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4이다.

5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0 2017-11-02 오후 3:34:18


따라서 t=;2#; 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단계 채점 기준 비율
(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30`%
 f '{;2#;}=3_{;2#;}Û`-6_;2#;=-;4(;
(나) 접점의 x좌표를 구한 경우 40`%
③ (다) mÁ+mª의 값을 구한 경우 30`%

다른풀이

20 g(x)=xÛ` f(x)가 다항함수이고 x=3에서 극솟값 27을 가지므로 y=xÛ`+4x에서 y '=2x+4이므로 곡선 CÁ 위의 점 (t, tÛ`+4t)에서의
 g(3)=9 f(3)=27,  f(3)=3 접선의 방정식은
 g '(x)=2x f(x)+xÛ` f '(x)이므로 y-(tÛ`+4t)=(2t+4)(x-t)
 g '(3)=6 f(3)+9 f '(3)=18+9 f '(3)=0 y=(2t+4)x-tÛ` yy ㉠
따라서  f '(3)=-2
한편, y=;4!;xÛ`에서 y '=;2!;x이므로 곡선 Cª 위의 점 {s, ;4!;sÛ`}에서의 접
①
선의 방정식은

y-;4!;sÛ`=;2!;s(x-s)
21 `f(x)=xÝ`+axÛ`+b에서
`f '(x)=4xÜ`+2ax=2x(2xÛ`+a) y=;2!;sx-;4!;sÛ` yy ㉡
함수  f(x)가 단 한 개의 극값만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2xÛ`+a=0이 x=0을 중근으로 갖거나 허근을 갖는다. ㉠, ㉡에서 2t+4=;2!;s, tÛ`=;4!;sÛ` 이므로 tÛ`=(2t+4)Û`

따라서 a¾0 3tÛ`+16t+16=0, (3t+4)(t+4)=0


또한 f(x)가 x=0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t=-;3$; 또는 t=-4
`f(0)=b=6
따라서 두 접선의 방정식은
a+b¾6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6이다. y=;3$;x-:Á9¤:, y=-4x-16
③
mÁ+mª=;3$;+(-4)=-;3*;

22 y=xÛ`+4x에서 y '=2x+4이므로 곡선 CÁ 위의 점 (t, tÛ`+4t)에 xÜ`+3axÛ`-1 (x<1)


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3 `f(x)=à -a(x-4)  (x¾1)에서
y-(tÛ`+4t)=(2t+4)(x-t)
3x(x+2a) (x<1)
y=(2t+4)x-tÛ` `f '(x)=à
-a  (x>1)
 (가) `f '(x)=0에서 x=0 또는 x=-2a
이 직선이 곡선 Cª`:`y=;4!;xÛ`에 접하므로 ;4!;xÛ`=(2t+4)x-tÛ`에서  (가)
a>0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차방정식 ;4!;xÛ`-(2t+4)x+tÛ`=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x y -2a y 0 y 1 y
=(t+2)Û`-;4!;tÛ`=0
4 `f '(x) + 0 - 0 + -
3tÛ`+16t+16=0 `f(x) ↗ 극대 ↘ 극소 ↗ 극대 ↘
(3t+4)(t+4)=0
 (나)
t=-;3$; 또는 t=-4
`f(-2a)=(-2a)Ü`+3a_(-2a)Û`-1=4aÜ`-1
 (나) `f(0)=-1
따라서 두 접선의 방정식은 `f(1)=-a(1-4)=3a
이때 모든 극값의 합이 5이므로
y=;3$;x-:Á9¤:, y=-4x-16
(4aÜ`-1)+(-1)+3a=5, 4aÜ`+3a-7=0
mÁ+mª=;3$;+(-4)=-;3*; (a-1)(4aÛ`+4a+7)=0
따라서 a=1
 (다)
 (다)
 -;3*;
1

정답과 풀이 51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1 2017-11-02 오후 3:34:18


정답과 풀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또한  f '(2)는 x=2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가)  f '(x)=0인 x의 값을 구한 경우 20`% y=f(x)

(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낸 경우 40`%


(다)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1 2 x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의해 두 점 (-1,  f(-1)), (2,  f(2))를 지나는


상위
직선은 x=2인 점에서의 접선과 같다.
내신 7% 고득점 문항 본문 54~58쪽
이때 방정식  f(x)=f '(2)(x-2)+f(2)의 실근은 곡선 y=f(x)와 곡
24 ① 25 ③ 26 ② 27② 28③ 선 y=f(x) 위의 x=2인 점에서의 접선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서
29 ② 30 ③ 31 ② 32 ① 33 ④ 로 다른 실근은 x=-1 또는 x=2이다.
34 ③ 35 ③ 36 ② 37 ② 38 ⑤ 따라서 구하는 두 실근의 합은

39 ⑤ 40 ④ 41 ③ 42 ① 43 ② (-1)+2=1

44 ④ 45 ⑤ 46 ③ 47 ⑤ 48 ③ ③

49 ⑤ 50 :Á6£: 51 :°3¥:
=-1에서 x Ú 0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f(x)-3
26 lim 
x`Ú0 x
(분모) Ú 0이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24 y y=xÜ`+2
즉, lim{`f(x)-3}=0에서 lim`f(x)=3
P x`Ú0 x`Ú0

이때 함수  f(x)가 미분가능한 함수이므로  f(x)는 연속함수이다.


y=xÜ`-2
`f(0)=lim`f(x)=3
x`Ú0
O x
`f(x)-f(0) `f(x)-3
`f '(0)=lim  =lim  =-1
x`Ú0 x x`Ú0 x
Q
F(x)=(xÛ`-3x+1) f(x)로 놓으면
F(0)=1_f(0)=1_3=3이고
y=xÜ`+2에서 y '=3xÛ`이므로 곡선 y=xÜ`+2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의
F '(x)=(2x-3) f(x)+(xÛ`-3x+1) f '(x)
방정식은
이므로 x=0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y-(aÜ`+2)=3aÛ`(x-a)
F '(0)=(-3)_f(0)+1_f '(0)=(-3)_3+1_(-1)=-10
y=3aÛ`x-2aÜ`+2 yy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은 점 (0, 3)을 지나고 기울기가 -10이므로
y=xÜ`-2에서 y '=3xÛ`이므로 곡선 y=xÜ`-2 위의 점 Q에서의 접선의
y-3=-10(x-0), y=-10x+3
방정식은
즉, a=-10, b=3이므로
y-(cÜ`-2)=3cÛ`(x-c)
a+b=-10+3=-7
y=3cÛ`x-2cÜ`-2 yy ㉡
②
㉠, ㉡은 같은 직선이므로
3aÛ`=3cÛ` yy ㉢
b b-0 b
-2aÜ`+2=-2cÜ`-2 yy ㉣ 27 a = a-0 이므로 a
는 두 점 (0, 0), (a, b)를 지나는 직선의
㉢에서 a>0, c<0이므로 a=-c yy ㉤ 기울기를 의미한다.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4aÜ`=4, 4cÜ`=-4 b
따라서 제 1사분면 위의 점 (a, b)에 대하여 가 최소가 될 때는 원점
a=1, c=-1 a
이때 b=aÜ`+2=3, d=cÜ`-2=-3이므로 과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이 점 (a, b)에서  곡선 y=xÜ`-3xÛ`+27에
aÛ`+bÛ`+cÛ`+dÛ`=1Û`+3Û`+(-1)Û`+(-3)Û`=20 접할 때이다.
① y '=3xÛ`-6x이므로 곡선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b=(3aÛ`-6a)(x-a)  yy ㉠
`f(2)-f(-1) `f(2)-f(-1) ㉠은 원점을 지나고 b=aÜ`-3aÛ`+27이므로
25 3
=
2-(-1)
은 함수  f(x)에 대하여 x의
-aÜ`+3aÛ`-27=-3aÜ`+6aÛ`
값이 -1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므로 두 점 2aÜ`-3aÛ`-27=0
(-1,  f(-1)), (2,  f(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다. (a-3)(2aÛ`+3a+9)=0

5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2 2017-11-02 오후 3:34:19


a=3이므로 b=27
30 삼차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므
따라서 a+b=3+27=30 로  f(x)=axÜ`+bx`(a, b는 상수, a+0)로 놓을 수 있다.
② 조건 (나)에서  f(2)=0이므로
8a+2b=0 yy ㉠
28 그림과 같이 점 Q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직선 AB의 기울기가 같 또한  f '(2)=-8이므로  f '(x)=3axÛ`+b에서
을 때, 선분 PQ의 길이가 최대이다.
12a+b=-8 yy ㉡
y ㉠, ㉡을 연립하여 풀면
B

1 4`
a=-1, b=4
y=-xÜ`+3x+-
3 3` `f(x)=-xÜ`+4x,  f '(x)=-3xÛ`+4이므로
`f(1)=3, `f '(1)=1
P
Q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x-1)+3, 즉 y=x+2이므로

O x m=1, n=2
A mÛ`+nÛ`=1Û`+2Û`=5
③
y=;3!;xÜ`+3x+;3$; 에서 y '=xÛ`+3이므로 직선 AB의 기울기는

(-1)Û`+3=4 31 `f(x)=xÜ`-3x에서
점 Q의 x좌표를 q라 하면 점 Q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x)=3xÛ`-3=3(x-1)(x+1)

qÛ`+3=4, (q-1)(q+1)=0 이때  f '(0)=-3이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y=-3x

이때 q+-1이므로 q=1 따라서 원점을 지나고 직선 l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y=;3!;x이다.


직선 AB의 방정식은 y=4(x+1)-2, 즉 4x-y+2=0이고,
곡선 y=xÜ`-3x와 직선 y=;3!;x의 교점을 A라 하면 점 A의 x좌표는
점 Q의 좌표는 {1, :Á3¢:}이다.
xÜ`-3x=;3!;x에서
따라서 선분 PQ의 길이의 최댓값은
3xÜ`-10x=0, x(3xÛ`-10)=0
|4_1-:Á3¢:+2| ;3$;
= =
4'1Œ7 '¶30`
"Ã4Û`+(-1)Û` '¶17 51 따라서 x=0 또는 x=Ñ
3
③ 즉, 원점을 지나는 원의 중심의 좌표는
'¶30` '¶30` '¶30` '¶30`
{ , } 또는 {- ,- }
29 `f(x)=xÜ`-3x+2에서 3 9 3 9
`f '(x)=3xÛ`-3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OÕA이
Ó 므로
P(m,  f(m))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m)=3mÛ`-3이므로 구하는 10'3`
OÕAÓ=¾¨
30 30
+ =
접선의 방정식은 9 81 9

y-(mÜ`-3m+2)=(3mÛ`-3)(x-m) ②
y=(3mÛ`-3)x-2mÜ`+2
이 직선과 함수  f(x)=xÜ`-3x+2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방정식 32 y=xÜ`-ax에서 y '=3xÛ`-a
xÜ`-3x+2=(3mÛ`-3)x-2mÜ`+2의 실근과 같다. 점 P의 좌표를 (t, tÜ`-at)라 하면 점 P에서의 접선 lÁ의 방정식은
xÜ`-3mÛ`x+2mÜ`=0에서 y-(tÜ`-at)=(3tÛ`-a)(x-t)
(x-m)Û`(x+2m)=0 y=(3tÛ`-a)x-2tÜ`
x=m 또는 x=-2m 곡선 y=xÜ`-ax와 직선 lÁ의 교점의 x좌표는
따라서 n=-2m이므로 xÜ`-ax=(3tÛ`-a)x-2tÜ`에서
`f(m)-f(n) `f(m)-f(-2m) xÜ`-3tÛ`x+2tÜ`=0
= =3mÛ`-3=1
m-n m-(-2m) (x-t)Û`(x+2t)=0
mÛ`=;3$;, nÛ`=:Á3¤: x=t 또는 x=-2t
따라서 점 Q의 x좌표는 -2t이다.
mÛ`+nÛ`=;3$;+:Á3¤:=:ª3¼: 점 P, Q에서의 접선 lÁ, lª의 기울기는 각각 3tÛ`-a, 12tÛ`-a이므로
② (3tÛ`-a)_(12tÛ`-a)=-1

정답과 풀이 53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3 2017-11-02 오후 3:34:19


정답과 풀이

3tÛ`=X라 하면 (X-a)(4X-a)=-1 `f(xª)-f(xÁ)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 '(c)를 만족시키는 c가 열린
xª-xÁ
4XÛ`-5aX+(aÛ`+1)=0
구간 (xÁ, xª)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즉,  f '(c)É10 
두 직선 lÁ, lª가 서로 수직이 되는 점 P의 개수가 4이므로 방정식  
xÁ, xª가 2 이상의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실수이므로 x>2에서
4XÛ`-5aX+(aÛ`+1)=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양의 근을 갖는다.
`f '(x)É10이다.
이차방정식 4XÛ`-5aX+(aÛ`+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4a+bÉ10
D=25aÛ`-16(aÛ`+1)=9aÛ`-16>0이므로 a<-;3$; 또는 a>;3$;
이때 a, b는 자연수이므로 순서쌍 (a, b)는
5a (2, 1), (2, 2), (1, 6), (1, 5), (1, 4), (1, 3), (1, 2), (1, 1)
(두 근의 합)= >0이므로 a>0
4
의 8개이다.
aÛ`+1
(두 근의 곱)= >0 ③
4

따라서 a>;3$;이므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35 `f(x)=xÜ`+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① `f '(x)=3xÛ`+2ax+b
조건 (가)에서  f(x)가 구간 (-¦, ¦)에서 증가하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한다.
33 1<t<3인 실수 t에 대하여 함수  f(x)가 닫힌구간 [1, t]에서 연 이차방정식 3xÛ`+2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속이고 열린구간 (1, t)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D
`f(t)-f(1) =aÛ`-3bÉ0 yy ㉠
=f '(cÁ) (1<cÁ<t)인 cÁ이 존재한다. 4
t-1
조건 (나)에서  f(1)=1+a+b+c=3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f '(cÁ)É4이므로
a+b+c=2 yy ㉡
`f(t)-f(1)
É4,  f(t)-f(1)É4(t-1) 또한 f '(1)=3+2a+b=3이므로
t-1
 f(t)-5É4t-4 2a+b=0 yy ㉢

따라서  f(t)É4t+1 yy ㉠ ㉠, ㉢에서 aÛ`+6aÉ0, a(a+6)É0

또한 함수  f(x)가 닫힌구간 [t,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t, 3)에서 -6ÉaÉ0 yy ㉣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 ㉢에서 c=a+2

`f(3)-f(t) 따라서  f(x)=xÜ`+axÛ`-2ax+a+2이므로


=f '(cª)`(t<cª<3)인 cª가 존재한다.
3-t  f(2)=8+4a-4a+a+2=a+10
조건 (나)에 의하여  f '(cª)É4이므로 ㉣에서 4Éa+10É10, 즉 4É f(2)É10
`f(3)-f(t) 따라서  f(2)의 최댓값은 10, 최솟값은 4이므로 그 합은
É4,  f(3)-f(t)É4(3-t)
3-t 10+4=14
13-f(t)É12-4t ③
따라서  f(t)¾4t+1 yy ㉡
㉠, ㉡에서  f(t)=4t+1`(1<t<3)이므로 36 `f(x)=xÜ`+axÛ`+bx+3에서
`f '(x)=3xÛ`+2ax+b
 f {;2#;}=4_;2#;+1=7
조건 (가), (나)에서 함수  f(x)가 구간 (-¦, -2], [3, ¦)에서 증가
④ 하고 닫힌구간 [-2, 3]에서 감소하므로 부등식  f '(x)<0의 해는
-2<x<3이다.

34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2에서 미 즉, 3xÛ`+2ax+b<0에서

분가능하다. 3(x+2)(x-3)<0, 3xÛ`-3x-18<0

조건 (가)에서 xÉ2일 때,  f(x)=axÛ`+bx이므로 따라서 2a=-3, b=-18이므로

`f(x)-f(2) a=-;2#;, b=-18


`f '(2)= lim  
x`Ú2- x-2
axÛ`+bx-4a-2b 즉,  f(x)=xÜ`-;2#;xÛ`-18x+3이므로
= lim  
x`Ú2- x-2
`f(2)=8-6-36+3=-31
a(x-2)(x+2)+b(x-2)
= lim   ②
x`Ú2- x-2
= lim {a(x+2)+b}
x`Ú2- 37 함수  f(x)가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f(x)는 구간
=4a+b (-¦, ¦)에서 증가 또는 감소해야 한다.

5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4 2017-11-02 오후 3:34:20


Ú  f(x)가 구간 (-¦, ¦)에서 증가할 때 정사각형 OABC의 둘레 및 내부를 T라 하면 곡선 y=f(x)의 일부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3axÛ`+2bx+4¾0이므로 T를 지나고, T를 지나는 구간 [0, 4]에서 감소하려면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Ú [그림 1]과 같이 2a¾4, 즉 a¾2인 경우

`f(4)=64-48a+6É4, a¾ :Á8Á:
D
a>0, =bÛ`-12aÉ0이어야 한다.
4
Û  f(x)가 구간 (-¦, ¦)에서 감소할 때 따라서 a¾2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3axÛ`+2bx+4É0이므로 y y=f(x)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6

D C B
a<0, =bÛ`-12aÉ0이어야 한다.
4
T
‌그런데 a<0, bÛ`¾0이므로 bÛ`-12a>0이 되어 bÛ`-12aÉ0을 만족 A
O x
시키지 않는다.
Ú, Û 에 의하여 a>0이고 bÛ`É12a이므로 [그림 1]
a=1일 때, b=0, Ñ1, Ñ2, Ñ3의 7개 Û [그림 2]와 같이 0<2a<4, 즉 0<a<2인 경우
a=2일 때, b=0, Ñ1, Ñ2, y, Ñ4의 9개
`f(4)=64-48a+6É0, a¾ ;2#4%;
a=3일 때, b=0, Ñ1, Ñ2, y, Ñ6의 13개
a=4일 때, b=0, Ñ1, Ñ2, y, Ñ6의 13개 그런데 0<a<2이므로 ;2#4%; Éa<2
a=5일 때, b=0, Ñ1, Ñ2, y, Ñ7의 15개 y
y=f(x)
a=6일 때, b=0, Ñ1, Ñ2, y, Ñ8의 17개 6
a=7, 8, 9일 때, b=0, Ñ1, Ñ2, y, Ñ9의 19개 C B
따라서 구하는 모든 순서쌍 (a, b)의 개수는 T
7+9+13_2+15+17+19_3=131 O x
A
②
[그림 2]

38 조건 (가)에 의하여 함수  f(x)는 역함수 g(x)를 가지므로 Ú, Û 에서 a¾;2#4%; 이므로 양수 a의 최솟값은 ;2#4%; 이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3xÛ`+2ax+(12-aÛ`)¾0이어야 한다.
⑤
이차방정식 3xÛ`+2ax+(12-aÛ`)=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aÛ`-3(12-aÛ`)É0
4
4aÛ`-36É0
40 g(x)={`f(x)}Û` 이라 하면
g '(x)=f '(x) f(x)+f(x) f '(x)=2 f(x) f '(x)
4(a+3)(a-3)É0
g '(x)=0에서  f(x)=0 또는  f '(x)=0
-3ÉaÉ3 yy ㉠
방정식  f '(x)=0의 한 실근이 1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
또한 조건 (나)에서 g(3)=1이므로  f(1)=3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a+(12-aÛ`)+2=3
aÛ`-a-12=0, (a-4)(a+3)=0 x y -1 y 1 y 3 y

㉠에 의하여 a=-3 `f '(x) - - - 0 + + +

따라서  f '(x)=3xÛ`-6x+3이므로 `f(x) + 0 - - - 0 +

`f '(2)=12-12+3=3 g '(x) - 0 + 0 - 0 +
g(x) ↘ 극소 ↗ 극대 ↘ 극소 ↗
⑤
따라서 구하는 실수 k는 -1, 3이므로 그 합은

39 `f(x)=xÜ`-3axÛ`+6에서 -1+3=2
`f '(x)=3xÛ`-6ax=3x(x-2a) ④
`f '(x)=0에서 x=0 또는 x=2a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1 `f(x)=xÜ`-3xÛ`+2x+2에서  f '(x)=3xÛ`-6x+2이므로
x y 0 y 2a y 점 P(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 '(x) + 0 - 0 + y-(tÜ`-3tÛ`+2t+2)=(3tÛ`-6t+2)(x-t)
`f(x) ↗ 6 ↘ -4aÜ`+6 ↗ y=(3tÛ`-6t+2)x-2tÜ`+3tÛ`+2

정답과 풀이 55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5 2017-11-02 오후 3:34:20


정답과 풀이

따라서 g(t)=-2tÜ`+3tÛ`+2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솟값은 3이다.


g '(t)=-6tÛ`+6t=-6t(t-1) ②
g '(t)=0에서 t=0 또는 t=1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4 `f(x)=-xÜ`+pxÛ`+qx+r`( p, q, r는 상수)라 하면
`f '(x)=-3xÛ`+2px+q
t y 0 y 1 y
함수  f(x)가 x=a, x=b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a, b는 이차방정식
g '(t) - 0 + 0 -
-3xÛ`+2px+q=0의 두 근이다.
g(t) ↘ 2 ↗ 3 ↘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함수 g(t)는 t=0에서 극솟값 2를 갖고, t=1에서 극댓값 3을 2p q
a+b= , ab=-  yy ㉠
가지므로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은 3 3
3+2=5 두 점 (a,  f(a)), (b,  f(b))가 모두 직선 y=4x 위에 있으므로
③ -aÜ`+paÛ`+qa+r=4a, -bÜ`+pbÛ`+qb+r=4b
두 식을 변끼리 빼면

42 조건 (가), (나)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aÜ`+paÛ`+qa+r-(-bÜ`+pbÛ`+qb+r)=4a-4b


-(a-b)(aÛ`+ab+bÛ`)+p(a-b)(a+b)+q(a-b)=4(a-b)
y
y=f(x) -(aÛ`+ab+bÛ`)+p(a+b)+q=4
57
㉠에서 p=;2#; (a+b), q=-3ab이므로

a b -aÛ`-ab-bÛ`+;2#; (a+b)Û`-3ab=4
O 1 x
-24 (a-b)Û`=8
a<b이므로 b-a=2'2 
x=a, x=b`(a<b)에서 극솟값을 갖는다고 하면
따라서 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f(x)+24=(x-a)Û`(x-b)Û`으로 놓을 수 있다.
`f(b)-f(a)=4(b-a)=4_2'2  
`f(x)=(x-a)Û`(x-b)Û`-24에서
=8'2
`f '(x)=2(x-a)(x-b)Û`+2(x-a)Û`(x-b)
④
=2(x-a)(x-b)(2x-a-b)
a+b
`f '(x)=0에서 x=a 또는 x=b 또는 x=
2
45 F(x)=f(x)-g(x)라 하면 g(x)=-f(x)+b이므로
a+b F(x)=2 f(x)-b
=1이므로 a+b=2 yy ㉠
2 F '(x)=2 f '(x)=2(3xÛ`+2ax+a+6)
`f(1)=57에서 (1-a)Û`(1-b)Û`-24=57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1-a)Û`(1-b)Û`=81 yy ㉡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에서 b=-a+2이므로 ㉡에 대입하면 이차방정식 3xÛ`+2ax+a+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a)Û`(-1+a)Û`=81 D
=aÛ`-3 (a+6)>0
(a-1)Ý`=81 4
aÛ`-3a-18>0, (a+3)(a-6)>0
a-1=-3 또는 a-1=3
a<-3 또는 a>6
a=-2 또는 a=4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7이다.
a<b이므로 ㉠에서 a=-2, b=4
⑤
따라서  f(x)=(x+2)Û`(x-4)Û`-24이므로
`f(5)=7Û`_(5-4)Û`-24=25
① 46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1)에서
x`Ú1- x`Ú1+

43 `f '(-3) f '(-2)<0에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 '(x)=0을 a+b+3=1


만족시키는 x의 값이 -3<x<-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하고 그때 적어 a+b=-2 yy ㉠
도 하나의 극값을 갖는다. 또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또한  f '(0) f '(1)<0,  f '(2) f '(3)<0에서도 각각 같은 방법으로 lim `f(x)= lim `f(x)=f(-1)에서
x`Ú-1- x`Ú-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0<x<1, 2<x<3에 적어도 하나 a-b+3=-1


존재하고 그때 적어도 하나의 극값을 갖는다. a-b=-4 yy ㉡

5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6 2017-11-02 오후 3:34:21


㉠, ㉡을 연립하여 풀면  f(a+b)=f {-;3@; p}={-;3@; p}_{-;3%; p}_;3$; p
a=-3, b=1
x (|x|¾1) =;2$7); pÜ`
따라서  f(x)=à 이고 함수 y=f(x)의 그래프
-3xÛ`+x+3 (|x|<1)
p_f(a+b)=p_;2$7); pÜ`=;2$7); pÝ`>0 (참)
는 그림과 같다.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3 y=f(x)
⑤

1
-1
x
48 `f(x)=xÜ`+kxÛ`+(k+3)x+2에서
O 1
`f '(x)=3xÛ`+2kx+k+3
-1
이차방정식  f '(x)=0의 두 실근이 a, b`(a<b)이고 0<a<1,
b>1이므로 다음 그림에서  f '(0)>0,  f '(1)<0이다.
이때 -1<x<1에서  f '(x)=-6x+1이므로
y
y=f`'(x)
`f '(x)=0에서 x=;6!;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O a b x
x y -1 y ;6!; y 1 y

`f '(x) + + 0 - + `f '(0)=k+3>0에서 k>-3


`f '(1)=3k+6<0에서 k<-2
`f(x) ↗ -1 ↗ ;1#2&; ↘ 1 ↗
위의 두 부등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3<k<-2
따라서 극댓값 M=;1#2&;, 극솟값 m=1이므로
따라서 p=-3, q=-2이므로
M+m=;1#2&;+1=;1$2(; p+q=(-3)+(-2)=-5

③ ③

49 `f(x)=xÜ`-;2#;xÛ`-6x+k에서
47 `f(x)=x(x-p)(x+2p)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f '(x)=3xÛ`-3x-6=3(x+1)(x-2)
같이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난다. `f '(x)=0에서 x=-1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 b
-2p a 0 p x p a 0 -2p x x y -1 y 2 y
`f '(x) + 0 - 0 +
p>0일 때 p<0일 때 `f(x) ↗ k+;2&; ↘ k-10 ↗
ㄱ. a<0, b>0이므로 ab<0이다. (참)
ㄴ.  f(x)=x(x-p)(x+2p)=xÜ`+pxÛ`-2pÛ`x이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k+;2&;, x=2에서 극
 f '(x)=3xÛ`+2px-2pÛ` 솟값  f(2)=k-10을 갖는다.
-pÑ"7pÛ`` 함수  g(x)=| f(x)|가 x=a, x=b`(a<b)에서 극댓값을 가지려면
 f '(x)=0에서 x=
3
k+;2&;>0, k-10<0이어야 하므로
-p-p'7` -p+p'7`
이때 p>0이면 a= , b=
3 3
-;2&; <k<10 yy ㉠
-p+p'7` -p-p'7`
p<0이면 a= , b=
3 3 y
k+;2&; y=f(x)
따라서 p가 유리수이면 a, b는 모두 무리수이다. (참)
ㄷ. ‌a, b는 방정식  f '(x)=0의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2
-1 O x
관계에 의하여

a+b=-;3@; p k-10

정답과 풀이 57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7 2017-11-02 오후 3:34:21


정답과 풀이

a+c a c 3 2 13
Ú k+;2&;>-(k-10)일 때 따라서 = + = + =
b b b 2 3 6
y
y=|f(x)|
 (마)
k+;2&;
13

6
-k+1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 O 2 x
(가) 점 (a, 2aÜ`)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20`%
a
(나)  의 값을 구한 경우 20`%
Û k+;2&;<-(k-10)일 때 b
(다) 점 (b, 2bÜ`)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20`%
y
c
-k+10
y=|f(x)|
(라)  의 값을 구한 경우 20`%
b
k+;2&; a+c
(마) 의 값을 구한 경우 20`%
b

-1 O 2 x
51 주어진 조건에 의해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개형
을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g(a)=f(-1)=k+;2&;, g(b)=-f(2)=-k+10이므로 y=f(x)

|g(a)-g(b)|=|k+;2&;+k-10|=|2k-:Á2£:|>;2&; y=g(x)

Ú 2k-:Á2£:>;2&; 에서 k>5이므로 ㉠과 공통 범위는

5<k<10
따라서 정수 k는 6, 7, 8, 9이다. 1 4 x

Û 2k-:Á2£: <-;2&; 에서 k<;2#; 이므로 ㉠과 공통 범위는 따라서  f(x)-g(x)=(x-1)(x-4)Û`=(x-1)(xÛ`-8x+16)으로


놓을 수 있다.
-;2&; <k<;2#;
 (가)
  따라서 정수 k는 -3, -2, -1, 0, 1이다.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Ú, Û에서 정수 k의 개수는
`f '(x)-g '(x)=3xÛ`-18x+24
4+5=9
그런데 g '(x)=1이므로
⑤
`f '(x)-1=3xÛ`-18x+24
`f '(x)=3xÛ`-18x+24+1=3xÛ`-18x+25
50 y=2xÜ`에서 y '=6xÛ`이므로 곡선 y=2xÜ` 위의 점 (a, 2aÜ`)에서의  (나)
접선의 방정식은
y-2aÜ`=6aÛ`(x-a) 따라서 방정식 3xÛ`-18x+25=0의 두 실근이 a, b 이므로 이차방정식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가)
a+b=6, ab=:ª3°:
이 직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3@; a, 0}이므로
 (다)
a
b=;3@; a, 즉 =;2#;
aÛ`+bÛ`=(a+b)Û`-2ab=6Û`-2_:ª3°:=:°3¥:
b
 (나)
 (라)
마찬가지로 곡선 y=2xÜ` 위의 점 (b, 2bÜ`)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bÜ`=6bÛ`(x-b)  :°3¥:

 (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이 직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3@; b, 0}이므로 (가)  f(x)-g(x)를 구한 경우 30`%
(나)  f '(x)를 구한 경우 20`%
c
c=;3@; b, 즉 =;3@; (다) a+b, ab의 값을 구한 경우 30`%
b
 (라) (라) aÛ`+bÛ`의 값을 구한 경우 20`%

5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8 2017-11-02 오후 3:34:22


상위 3] 중 하나이다.
내신 4% 변별력 문항 본문 59~60쪽
y y y

52 ② 53 ② 54 ④ 55 ③ 56 ⑤ 1
O 1 x
O x
O 1 x

52 [그림 1] [그림 2] [그림 3]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g(x)를
[그림 1], [그림 2], [그림 3]의 각 경우에 대하여 함수 y=g(x)의 그래
-f(x) (x<1)
   g(x)=à 두 함수 y=f(x), y=-f(x)의 프는 그림과 같다.
`f(x) (x¾1)
그래프는 x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y y y
이라 하자. 함수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은?
x=1에서 미분가능해야 한다.

(가) 함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x x O 1 x
O 1 O 1
(나) 함수 g(x)는 x=-2에서 극값을 갖는다.

함수 g(x)가 x=-2에서 극값을 갖는 조건을 이용하여 함수 f(x)를


① 5 ② :Á2Á: ③6
구한다.

④ :Á2£: ⑤7 조건 (나)에서 함수 g(x)가 x=-2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y=g(x)의 그래프
풀이전략
y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의 그래프의 성질을 파악하고,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함수 y=-f(x)의 그래프를 -2
O 1 x
그린다. -2 O 1 x

문제풀이
`f(x)=xÜ`+axÛ`+bx+c`(a, b, c는 상수)라 하면
함수 g(x)의 x=1에서의 연속, 미분가능을 이용하여  f(1),  f '(1)의
x=1에서 연속이고 미분계수의 `f '(x)=3xÛ`+2ax+b이므로
값을 구한다.
좌, 우극한이 일치한다. `f '(x)=3(x-1)(x+2)=3xÛ`+3x-6에서
조건 (가)에서 함수 g(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Ú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g(x)=g(1)에서 a=;2#;, b=-6
x`Ú1

lim  g(x)= lim  g(x)=g(1) 즉,  f(x)=xÜ`+;2#;xÛ`-6x+c이므로


x`Ú1- x`Ú1+

lim {-f(x)}= lim `f(x)=f(1)


x`Ú1- x`Ú1+ `f(1)=1+;2#;-6+c=0, c=;2&;
-f(1)=f(1), 2 f(1)=0이므로
따라서  f(x)=xÜ`+;2#;xÛ`-6x+;2&; 이므로
 f(1)=0 yy ㉠
Û 함수  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2)=8+6-12+;2&;=:Á2Á:
 g(x)-g(1)
g '(1)=lim  의 값이 존재한다. ②
x`Ú1 x-1
 g(x)-g(1) `f(x)-f(1)
lim   = lim   =f '(1)
x`Ú1+ x-1 x`Ú1+ x-1
 g(x)-g(1) -f(x)-f(1)
lim   = lim  
x`Ú1- x-1 x`Ú1- x-1
`f(x)-f(1)
  =- lim   (㉠에 의해)
x`Ú1- x-1
  =-f '(1)
  `f '(1)=-f '(1)에서 2 f '(1)=0이므로
   f '(1)=0 y=f(x)의 그래프는 x=1에서 x축에 접한다. yy ㉡

함수 y=f(x)의 그래프에 따른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


린다.
㉠, ㉡에 의하여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1], [그림 2], [그림

정답과 풀이 59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59 2017-11-02 오후 3:34:24


정답과 풀이

[단계 3]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린다.


53 [단계 3]
함수  f(x)=xÛ`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단계별로 함수를 만들어 나 y y
간다. 3
-1 1
O x
2
-1
[단계 1] ‌함수 y=f(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
1
이동시킨 다음, y¾0인 부분은 그대로 두고 y<0인 부분 -2
은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다. y=|xÛ`-1| -1 O 1 x
-3
[단계 2] ‌[단계 1]에서 얻은 함수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2
y=|||xÛ`-1|-2|-3|
g(3)=3_2+2_1
만큼 평행이동시킨 다음, y¾0인 부분은 그대로 두고
y<0인 부분은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다. [단계 4]를 이용하여 g(4)를 구하고 g(5), g(6), g(7), y의 값을 추
   y=||xÛ`-1|-2| 론한다.

[단계 n] ‌[단계 (n-1)]에서 얻은 함수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 [단계 4]에서는 g(4)=4_2+3_2
로 -n만큼 평행이동시킨 다음, y¾0인 부분은 그대로 [단계 5]에서는 g(5)=5_2+4_2+3_1
두고 y<0인 부분은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다. [단계 6]에서는 g(6)=6_2+5_2+4_2
(n=2, 3, 4, y) [단계 7]에서는 g(7)=7_2+6_2+5_2+4_1
[단계 8]에서는 g(8)=8_2+7_2+6_2+5_2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은 [단계 2]에서 얻어 y

진 함수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 2
에 의해 추론한 g(9), g(10)의 값을 이용하여 값을 구한다.
n]에서 얻어진 함수에서 모든 극댓값의 합
1 따라서 g(9)=9_2+8_2+7_2+6_2+5_1,
을 g(n)이라 할 때, g(10)-g(9)의 값은? -1 O 1 x
g(10)=10_2+9_2+8_2+7_2+6_2이므로
① 10 ② 15 ③ 20 g(10)-g(9)=­10_2+9_2+8_2+7_2+6_2  
④ 25 ⑤ 30 -(9_2+8_2+7_2+6_2+5_1)
=15
풀이전략
②
단계별 그래프를 그린 후 극댓값을 구한다. 참고 [단계 n]에서 극대인 점의 개수는 n, 극소인 점의 개수는
문제풀이 n+1이다. 자연수 k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보면서 극대인 점의 개수와 극댓값 n=2k-1일 때,
을 살펴본다. g(n)=n_2+(n-1)_2+y+(k+1)_2+k_1
[단계 1]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린다. n=2k일 때,
[단계 1] g(n)=n_2+(n-1)_2+(n-2)_2+y+(k+1)_2
y y

1 54
-1 O 1 x 0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1 -1 O 1 x g(x)
g(x)와 자연수 k에 대하여  f(x)= 일  때 두 함수  f(x),
xû`
y=|xÛ`-1|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g(x)=xû` f(x)
g(1)=1_1
[단계 2]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린다.
(가) g(1)+0, g(3)+0, g '(3)=0
[단계 2]
(나)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 (3,  f(3))에서의 접선의 x
y y
절편이 :Á3¼: 이다. 

-1 1 2
O x g '(1) `f '(1)
-1 1
- 의 값은?
g(1) f(1)
-2 -1 O 1 x
① 6 ② 7 ③ 8

g(2)=2_2 y=||xÛ`-1|-2| ④ 9 ⑤ 10

6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60 2017-11-02 오후 3:34:25


풀이전략 문제풀이

‌g '(3)=0을 이용하여 곡선 y=f(x) 위의 점 (3,  f(3))에서의 접선의 방정 네 점 A, B, C, D의 좌표를 구한다.


식을 구한다. y=xÜ`-3aÛ`x에서 y '=3xÛ`-3aÛ`=3(x+a)(x-a)
문제풀이 y '=0에서 x=-a 또는 x=a이므로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g '(3)의 값을 구한다. A(-a, 2aÜ`), B(a,-2aÜ`) 두 점 A, B는 곡선 y=xÜ`-3aÛ`x 위에 있다.
g(x)=xû` f(x)이므로 g '(x)=kx k-1
 f(x)+xû` f '(x) 따라서 두 직선 lÁ, lª의 방정식은 각각 y=2aÜ`, y=-2aÜ`이다.
문제의 조건으로부터 g '(3)=0이고 g(3)+0이므로 곱의 미분법 곡선 y=xÜ`-3aÛ`x와 직선 lÁ의 교점의 x좌표는
g '(3)=k_3 k-1
 f(3)+3û` f '(3)=0이고  f(3)+0이다. xÜ`-3aÛ`x=2aÜ`에서
`f(3) 3û` ÑÚ`>0, 3û`>0 xÜ`-3aÛ`x-2aÜ`=0, (x+a)Û`(x-2a)=0
따라서  f '(3)+0이고 =-;k#; yy ㉠
`f '(3) x=-a 또는 x=2a
곡선 y=f(x) 위의 점 (3,  f(3))에서의 접선을 이용하여 k의 값을 구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2a, 2aÜ`)이다. 두 점 C, D도 곡선
한다. 같은 방법으로 점 D의 좌표는 (-2a, -2aÜ`)이다. y=xÜ`-3aÛ`x 위에 있다.
한편,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 (3,  f(3))에서의 접선의 방정 y y=xÜ`-3aÛ`x

식은 y-f(3)=f '(3)(x-3)
F A 2aÜ C

이 접선이 점 {:Á3¼:, 0}을 지나므로 a
-2a -a O 2a x
`f(3)
=-;3!; 0-f(3)=f '(3){:Á3¼:-3} yy ㉡ D -2aÜ B E

`f '(3)

㉠, ㉡에서 -;k#;=-;3!;, k=9


사각형 FDEC의 넓이를 구한다.

g '(1)의 값을 이용하여
`g '(1)
의 값을 구한다.
선분 OB를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넓이는
`g(1)
a_2aÜ`=2aÝ`=6, aÝ`=3
이때 g '(1)=9 f(1)+f '(1)이고 g(1)=f(1)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사각형 FDEC의 넓이는
 g '(1) `f '(1)  g '(1)-f '(1) 9 f(1) 4a_4aÜ`=16aÝ`=16_3=48
- = = =9
 g(1) `f(1) `f(1) `f(1)
③
 ④

55
그림과 같이 양수 a에 대하여 함수 y=xÜ`-3aÛ`x의 극대, 극소인 56
점을 각각 A, B라 하고 두 점 A, B를 지나고 y축에 수직인 직선 그림과 같이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의 도함수 y=f '(x),

을 각각 lÁ, lª라 하자. 두 직선 lÁ, lª가 이 곡선과 만나는 점 중에 y=g '(x)의 그래프가 모두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x좌표가 -2,

서 A, B가 아닌 점을 각각 C, D라 하고, 두 점 C, D를 지나고 x 0, 2인 세 점에서만 만난다. 함수 h(x)=f(x)-g(x)라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f '(-x)=f '(x)
축에 수직인 직선이 두 직선 lª, lÁ과 만나는 점을 각각 E, F라 하
g '(-x)=g '(x)
자. 선분 OB를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어두운 부분)의 넓이가 y y=g`'(x)
6일 때, 사각형 FDEC의 넓이는? (단, O는 원점이다.)
y y=xÜ`-3aÛ`x
-2 O 2 x

F A C
lÁ y=f`'(x)

O x
보기

D B E ㄱ. -2ÉxÉ2에서 함수 h(x)는 증가한다. h '(x)¾0
ㄴ. 함수 h(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은 0이다.
ㄷ. ‌h(-2)h(2)>0이면 방정식 h(x)=0은 오직 하나의 실근
① 24 ② 36 ③ 48
을 갖는다.
④ 60 ⑤ 72

① ㄱ ② ㄴ ③ ㄷ
풀이전략
④ ㄱ, ㄴ ⑤ ㄱ, ㄷ
lÁ, lª를 구한 후 두 점 C, D의 좌표를 구한다.

정답과 풀이 61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61 2017-11-02 오후 3:34:27


정답과 풀이

풀이전략
내신 상위 4% of 4% 본문 61쪽
h '(x)를 이용하여 함수 y=h(x)의 그래프를 그린다.
문제풀이

 h(x)=f(x)-g(x)의 도함수의 그래프를 그린다. 57


함수 h(x)=f(x)-g(x)의 도함수 h '(x)=f '(x)-g '(x)의 그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g(x)를
프는 그림과 같고,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f '(-2)=g '(-2), `f(x) (x¾0)
   g(x)=à
y f '(0)=g '(0)=0, `f(-x) (x<0)
y=h'(x) f '(2)=g '(2)이므로 라 하자. 함수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
h'(-2)=h'(0)=h'(2)=0
하시오.  24
-2 O 2 x
함수 g(x)는 x=0에서 미분가능하고
(가) g(0)=g '(0)=0 그래프는 원점을 지난다.
ㄱ. -2ÉxÉ2에서 h '(x)¾0이므로 함수 h(x)는 증가한다. (참) (나) 함수 |g(x)-27|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x축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그래프를 그릴 때
함수 y=f(x)-g(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린다.
꺾여 올라가는 점에서 미분가능하다.
ㄴ. ‌h(0)+0이면 함수 y=h(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으므로 극댓값
y=h'(x)의 그래프가 y축에
문항 파헤치기
과 극솟값의 합은 0이 될 수 없다. (거짓) ‌사차함수의 그래프의 미분가능한 구간에서의 곡선의 변화를 조사하기
대하여 대칭이므로 y=h(x)
y
y=h(x) 의 그래프는 h(0)=0일 때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실수 point 찾기
‌꺾인 점에서 미분가능할 때 곡선의 모양을 파악한다.
-2
O 2 x
풀이전략

사차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이동한 부분과 평행이동한 후 다시 x축에 대하여 대


h(-2)h(2)>0일 때, 함수 y=f(x)-g(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
칭인 그래프에서 미분가능한 경우를 찾는다.
린다.
문제풀이
ㄷ. ‌h(-2)h(2)>0, 즉 h(-2)>0, h(2)>0 또는 h(-2)<0,
함수 y=g(x)-27의 그래프와 x축과의 교점을 확인한다.
h(2)<0일 때, 함수 y=h(x)의 그래프는 각각 [그림 1], [그림 2]
함수 y=g(x)의 그래프는 x¾0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와 같
와 같다.
고, x<0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의 x>0인 부분을 y축에 대하
y y g(0)=f(0)=0이고  f(x)가 극값을 갖지
y=h(x) -2 2 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O x 않으면 g '(0)이 존재하지 않는다.
함수 y=g(x)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고 x=0에서 미분가능하며
y=h(x)
g '(0)=0이므로 사차함수  f(x)는 x=0에서 극값 0을 갖는다.
-2 O 2 x 함수 y=f(x)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함수 y=g(x)-27의 그래프는 x축과 적어도 두 점에서 만난다.
[그림 1] [그림 2] y=g(x)의 그래프
함수 y=|g(x)-27|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린다.
그러므로 방정식 h(x)=0은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참) 는 x축과 접한다.
함수 y=|g(x)-27|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려면 함수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y=g(x)-27의 그래프는 [그림 1]과 같아야 한다.
 ⑤
함수 y=|g(x)-27|이 x=a, x=-a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2]와 같다.
y y=g(x)-27 y y=f(x)

   y=27
-a O a x

b O a x
-27

[그림 1] [그림 2]

함수 y=f(x)-27의 그래프의 개형을 이용하여  f(x)와  f '(x)를 구


한 후  f(2)의 값을 구한다. `
f(x)-27=(x-a)Ü`(x-b) (a>0, b<0)라 하면

6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62 2017-11-02 오후 3:34:28


05
`f(x)-27=(xÜ`-3axÛ`+3aÛ`x-aÜ`)(x-b)`
위의 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도함수의 활용  ⑵
`f(0)-27=aÜ`b
aÜ`b=-27 yy ㉠ 기출
내신 우수 문항 본문 64~67쪽
또한 f '(x)=(3xÛ`-6ax+3aÛ`)(x-b)+(xÜ`-3axÛ`+3aÛ`x-aÜ`)이
므로 x=0을 대입하면 곱의 미분법에 의해 01 ② 02 ③ 03 ④ 04 ① 05 ②
`f '(0)=-3aÛ`b-aÜ` 06 ⑤ 07 ① 08 ① 09 ⑤ 10 ①
0=-3aÛ`b-aÜ` 11 ③ 12 ③ 13 ② 14 ① 15 ④
a=-3b  yy ㉡ 16 ③ 17 ① 18 ① 19 ⑤ 20 ④
a
㉡에서 b=-
3
이므로 ㉠에 대입하면 21 ④ 22 5 23 5
a
aÜ`_{- }=-27, aÝ`=81
3
a>0, b<1
01 f(x)=2xÜ`-9xÛ`+12x에서
a=3, b=-1 f '(x)‌=6xÛ`-18x+12  
따라서  f(x)=(x-3)Ü`(x+1)+27이므로 =6(x-1)(x-2)
`f(2)=(2-3)Ü`_3+27=24 f '(x)=0에서 x=1 또는 x=2
  24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음과 같다.

x -1 y 1 y 2 y 3
`f '(x) + + 0 - 0 + +
`f(x) -23 ↗ 5 ↘ 4 ↗ 9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3에서 최댓값 9,


x=-1에서 최솟값 -23을 가지므로
M=9, m=-23
따라서 M-m=9-(-23)=32
 ②

02 Ú x>0일 때
f(x)=xÜ`-12x+2이므로
f '(x)=3xÛ`-12=3(x+2)(x-2)
f '(x)=0에서 x>0이므로 x=2
Û x<0일 때
f(x)=xÜ`+12x+2이므로
f '(x)=3xÛ`+12>0
Ü x=0일 때
f(0)=2
Ú, Û, Ü 에 의하여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
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1 y 0 y 2 y 3
`f '(x) + + - 0 + +
`f(x) -11 ↗ 2 ↘ -14 ↗ -7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 2, x=2


에서 최솟값 -14를 가지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2-(-14)=16
 ③

정답과 풀이 63

해 48-63 올림포스(고난도)_수2_04강-오2.indd 63 2017-11-02 오후 3:34:29


정답과 풀이

참고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xÜ`-12|x|+2의 그래프 V(x)=xÛ`y


는 다음과 같다. =xÛ`(10-xÛ`)
y =10xÛ`-xÝ`
2 V'(x)=20x-4xÜ`
O 2 3
-1 x =-4x(x+'5 )(x-'5 )
V'(x)=0에서 0<x<'1Œ0 이므로 x='5
-7 함수 V(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1 x (0) y '5 y ('1Œ0)


y=f(x)
-14 V'(x) + 0 -
V(x) ↗ 25 ↘

03 f(x)=xÜ`-6xÛ`+9x+a에서 이때 V(x)는 x='5 에서 최댓값 25를 갖는다.


f '(x)=3xÛ`-12x+9 따라서 직육면체의 부피의 최댓값은 25이다.
=3(x-1)(x-3)  ②
f '(x)=0에서 x=1 또는 x=3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06 삼각형 AQP의 밑변의 길이는 2a이고, 높이는 36-aÛ`이므로 삼
음과 같다. 각형 AQP의 넓이를 f(a)라 하면

x -1 y 1 y 3 f(a)‌= ;2!;_2a_(36-aÛ`)
`f '(x) + + 0 - 0 = 36a-aÜ`
`f(x) a-16 ↗ a+4 ↘ a f '(a)‌=36-3aÛ`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a+4, =-3(a+2'3 )(a-2'3 )
x=-1에서 최솟값 a-16을 가지므로 f '(a)=0에서 0<a<6이므로 a=2'3
(a+4)+(a-16)=0, 2a-12=0 함수 f(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6 a (0) y 2'3 y (6)
 ④ f '(a) + 0 -
f(a) ↗ 48'3 ↘
04 f(x)=2xÜ`-6x+a에서
f '(x)=6xÛ`-6 이때 f(a)는 a=2'3 에서 최댓값 48'3 을 갖는다.

=6(x+1)(x-1) 따라서 삼각형 AQP의 넓이의 최댓값은 48'3 이다.

f '(x)=0에서 x=-1 또는 x=1  ⑤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07 f(x)=2xÜ`+3xÛ`-12x+k라 하면
f '(x)‌=6xÛ`+6x-12=6(x+2)(x-1)
x -1 y 1 y 3
f '(x)=0에서 x=-2 또는 x=1
`f '(x) 0 - 0 +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a+4 ↘ a-4 ↗ a+36
x y -2 y 1 y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3에서 최댓값
`f '(x) + 0 - 0 +
M=a+36, x=1에서 최솟값 m=a-4를 가지므로
`f(x) ↗ k+20 ↘ k-7 ↗
M_m=(a+36)(a-4)=84
aÛ`+32a-228=0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a+38)(a-6)=0 f(-2)_ f(1)<0

a는 양수이므로 a=6 즉, (k+20)(k-7)<0이므로

 ① -20<k<7
따라서 정수 k는 -19, -18, y, 6의 26개이다.
05 xÛ`+y=10이므로  ①
y=10-xÛ` (0<x<'1Œ0 )
직육면체의 부피를 V(x)라 하면 08 f(x)=xÜ`-3xÛ`-9x+k라 하면

6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64 2017-11-02 오후 3:34:32


f '(x)=3xÛ`-6x-9  f '(x)=12xÜ`-24xÛ`-12x+24
=3(x+1)(x-3) =12(x+1)(x-1)(x-2)
f '(x)=0에서 x=-1 또는 x=3  f '(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3 y x y -1 y 1 y 2 y
`f '(x) + 0 - 0 + `f '(x) - 0 + 0 - 0 +
`f(x) ↗ k+5 ↘ k-27 ↗ `f(x) ↘ -19 ↗ 13 ↘ 8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k+5, x=3에서 극솟값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k-27을 갖는다. y y=f(x)
방정식 f(x)=0이 한 개의 양의 실근과 서로 다른 두 개의 음의 실근을 13

갖기 위해서는 f(-1)>0, f(0)<0이어야 한다. 8

f(-1)=k+5>0이므로 O
12 x
k>-5 yy ㉠ -1

f(0)=k<0이므로
k<0 yy ㉡
㉠, ㉡에서 -5<k<0 -19
따라서 모든 정수 k의 값의 합은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
(-4)+(-3)+(-2)+(-1)=-10
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①
k=8 또는 k=13

09 f(x)=xÜ`-6xÛ`+9x-3에서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8+13=21


f '(x)=3xÛ`-12x+9  ①
=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11 도함수 y=f '(x)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의 x좌표가 x=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또는 x=3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3 y x y 0 y 3 y
`f '(x) + 0 - 0 + `f '(x) - 0 - 0 +
`f(x) ↗ 1 ↘ -3 ↗ `f(x) ↘ ↘ 극소 ↗

따라서 함수 y=f(x)와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f(0)> f(3)이고 f(0)_ f(3)<0이므로


y y f(0)>0, f(3)<0
y=f(x) y=|f(x)|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 y
3 y=f(x)
3
O 1 x   

-3 O 1 3 x 3
O x

x에 대한 방정식 | f(x)|=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와 같다.
따라서 A(1)=5, A(2)=4, A(3)=3이므로 따라서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A(1)+A(2)+A(3)=12  ③
 ⑤
1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0 두 곡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3xÝ`-6xÛ`-k=8xÜ`-24x, 즉 3xÝ`-8xÜ`-6xÛ`+24x=k가 서로 다른 세 x y 0 y 2 y
실근을 가져야 한다. `f '(x) + 0 - 0 +
 f(x)=3xÝ`-8xÜ`-6xÛ`+24x라 하면 `f(x) ↗ 극대 ↘ 극소 ↗

정답과 풀이 65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65 2017-11-02 오후 3:34:34


정답과 풀이

ㄱ.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참)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ㄴ. ‌[반례]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은 경우  ①
f(2)>0 (거짓)

15  f(x)=-xÜ`+3x+n이라 하면
y y=f(x)

 f '(x)=-3xÛ`+3
=-3(x+1)(x-1)
 f '(x)=0에서 x=-1 또는 x=1
O 2 x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ㄷ. ‌f(0)>0이므로 f(2)<0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x 0 y 1 y 3
`f '(x) + + 0 - -
y y=f(x)
`f(x) n ↗ n+2 ↘ n-18

따라서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n+2, x=3


2
O x 에서 최솟값 n-18을 가지므로
n-18É-xÜ`+3x+nÉn+2
한편, |-xÜ`+3x+n|<15에서 -15<-xÜ`+3x+n<15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방 -15<n-18이고 n+2<15
정식 f(x)=0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참) 따라서 3<n<13이므로 자연수 n의 개수는 9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③

16 점 P의 위치를 x(t)=tÜ`-6tÛ`+9라 하면 점 P의 속도는


13  f(x)=xÜ`-6xÛ`+k라 하면 v(t)=x'(t)=3tÛ`-12t=3t(t-4)
 f '(x)=3xÛ`-12x
이고 점 P의 가속도는
=3x(x-4)
a(t)=v'(t)=6t-12
 f '(x)=0에서 x=0 또는 x=4
속도와 가속도의 곱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 0 y 2 y 4 y
x (0) y 4 y
v(t) 0 - -12 - 0 +
`f '(x) - 0 +
a(t) -12 - 0 + 12 +
`f(x) ↘ k-32 ↗
v(t)_a(t) 0 + 0 - 0 +
함수 f(x)는 x=4에서 최솟값 k-32를 가지므로 x>0인 모든 실수 x
따라서 구하는 t의 값의 범위는 2<t<4
에 대하여 f(x)>0이려면 k-32>0, k>32
 ③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33이다.
 ②
17  f(0)=4, g(0)=0이므로 t=0일 때, 두 점 P, Q는 서로 다른 위
14  f(x)=2xÜ`-3xÛ`-12x-7이라 하면 치에 있다.
 f '(x)=6xÛ`-6x-12 두 점 P, Q가 만나는 시각 t는 방정식 tÜ`+4=3tÛ`의 해와 같다.
=6(x+1)(x-2) 즉, tÜ`-3tÛ`+4=0에서 (t+1)(t-2)Û`=0
 f '(x)=0에서 x=-1 또는 x=2 t>0이므로 t=2일 때 두 점 P, Q가 만난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점 P의 속도를 vÁ(t)라 하면 vÁ(t)=f '(t)=3tÛ`이고,
가속도는 vÁ'(t)=6t이다.
x y -1 y 2 y
점 Q의 속도를 vª(t)라 하면 vª(t)=g '(t)=6t이고,
`f '(x) + 0 - 0 +
가속도는 vª'(t)=6이다.
`f(x) ↗ 0 ↘ -27 ↗
따라서 t=2에서의 점 P의 가속도 aÁ=12, 점 Q의 가속도 aª=6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0을 가지므로 x<k인 모든 실수 x에 aÁ-aª=12-6=6
대하여 f(x)<0이려면 kÉ-1이어야 한다.  ①

6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66 2017-11-02 오후 3:34:35


18 선분 PQ를 2 : 1로 내분하는 점 R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h(t)라 그림에서 두 삼각형은 서로 닮음이므로
하면 x : (x+t)=1.6 : 2.8

2 g(t)+ f(t) 2.8x=1.6x+1.6t
h(t)=
2+1 1.2x=1.6t
2(tÜ`-5tÛ`-10t)+(tÜ`+tÛ`-7t)
= x=;3$; t
3
=tÜ`-3tÛ`-9t 가로등 바로 밑에서 그림자 끝까지의 거리를 f(t)라 하면
h '(t)=3tÛ`-6t-9  f(t)=;3$; t+t=;3&; t
=3(t+1)(t-3)
h '(t)=0에서 t=-1 또는 t=3 따라서 그림자 끝이 움직이는 속도는 f '(t)=;3&;
t>0이므로 t=3에서 점 R의 운동 방향이 바뀐다.  ④
t=3일 때 점 P의 위치는 f(3)=27+9-21=15이고,
점 Q의 위치는  g(3)=27-45-30=-48이다.
따라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22 3xÝ`-4xÜ`-12xÛ`+k=0에서
15-(-48)=63 3xÝ`-4xÜ`-12xÛ`=-k
 ①  f(x)=3xÝ`-4xÜ`-12xÛ`이라 하면
 f '(x)=12xÜ`-12xÛ`-24x

19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의 넓이는 정삼각형 6개 =12x(x+1)(x-2)


의 넓이의 합과 같다.  (가)
정육각형의 t초 후의 넓이를 S(t)라 하면 t초 후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의 정육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3+t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
S(t)=6_ _(3+t)Û` x y -1 y 0 y 2 y
4
3'3 `f '(x) - 0 + 0 - 0 +
= (tÛ`+6t+9) `f(x) ↘ -5 ↗ 0 ↘ -32 ↗
2
3'3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S '(t)= (2t+6)
2
y
=3'3 (t+3) y=f(x)

한 변의 길이가 10이려면 3+t=10, 즉 t=7일 때이므로 -1 O 2


x
S '(7)=30'3
 ⑤ -5

20 t초 후의 밑면의 한 변의 길이는 t+2이고, 높이는 t+4이므로 직 -32


육면체의 부피를 V(t)라 하면
V(t)=(t+2)Û`(t+4)  (나)
=tÜ`+8tÛ`+20t+16
주어진 사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
V'(t)=3tÛ`+16t+20
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따라서 t=5일 때의 부피의 변화율은
k=0 또는 k=5
V'(5)=75+80+20=175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5이다.
 ④
 (다)

21 t초 후의 그림자의 길이를 x`m라 하면 가로등과 사람의 위치, 그  5


림자의 길이는 그림과 같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가)  f(x)를 설정하고  f(x)의 도함수를 옳게 구한 경우 30`%
2.8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그린
(나) 40`%
1.6 경우
x t (다) 실수 k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30`%

정답과 풀이 67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67 2017-11-02 오후 3:34:36


정답과 풀이

23  f(x)=xÝ`-4aÜ`x+48이라 하면 t¾-2에서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4xÜ`-4aÜ` t -2 y 2 y
=4(x-a)(xÛ`+ax+aÛ`)  f '(t) 0 + 0 -
 (가)  f(t) -16 ↗ 16 ↘

이차방정식 xÛ`+ax+aÛ`=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3aÛ`É0이므로 t¾-2에서 함수 f(t)는 t=2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함수 f(t)의
 f '(x)=0에서 x=a 최댓값은 f(2)=16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 f½g)(x)의 최댓값은 16이다.

x y a y  ③

`f '(x) - 0 +
`f(x) ↘ 48-3aÝ` ↗
25  f(x)=-xÝ`+6xÛ`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¾0이 성립하려면  f '(x)=-4xÜ`+12x
f(a)=48-3aÝ`¾0이어야 하므로 =-4x(x+'3 )(x-'3 )
3aÝ`-48É0, 3(aÛ`+4)(a+2)(a-2)É0  f '(x)=0에서 x=-'3 또는 x=0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나)
aÛ`+4>0이므로 -2ÉaÉ2 x y -'3 y 0 y '3 y

따라서 구하는 정수 a의 개수는 5이다. `f '(x) + 0 - 0 + 0 -


`f(x) ↗ 9 ↘ 0 ↗ 9 ↘
 (다)
 5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단계 채점 기준 비율 9 y=f(x)
(가) f(x)를 설정하고 f(x)의 도함수를 옳게 구한 경우 30`%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부등식을 제시
(나) 40`%
한 경우
(다) 부등식을 풀어 정수 a의 개수를 구한 경우 30`%
-"3 O "3 x

따라서 M(1)= f(1)=5, M(2)=M(3)= f('3)=9이므로


M(1)+M(2)+M(3)=5+9+9=23
상위
내신 7% 고득점 문항 본문 68~71쪽  ③

24 ③ 25 ③ 26 ⑤ 27 ⑤ 28 ;1°6; p
3'3 26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29 2
30 ⑤ 31 ② 32 ① 33 52  f '(x)=3xÛ`+2ax+b
34 ③ 35 ③ 36 ① 37 ④ 38 ③ =3(x+2)(x-1)
=3xÛ`+3x-6
39 ③ 40 ② 41 ③ 42 ② 43 ;2!;
이므로 a=;2#;, b=-6
44 120p 45 64 46 -4
따라서  f(x)=xÜ`+;2#;xÛ`-6x+c
24 g(x)=xÛ`-2x-1
=(x-1)Û`-2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이므로 g(x)=t라 하면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t¾-2 같다.

 f(x)=-xÜ`+12x에서
x 0 y 1 y 3
( f½g)(x)‌=f(g(x))
`f '(x) - - 0 + +
=f(t)=-tÜ`+12t
`f(x) c ↘ c-;2&; ↗ c+:¢2°:
 f '(t)=-3tÛ`+12
=-3(t+2)(t-2)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솟값  c-;2&;을 가지므로
 f '(t)=0에서 t=-2 또는 t=2

6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68 2017-11-02 오후 3:34:37


c-;2&;=2, c=:Á2Á:   f '(t)=0에서 t=-1 또는 t=;2!;

따라서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3)=:Á2Á:+:¢2°:=28
t y -1 y ;2!; y

 ⑤  f '(t) - 0 - 0 +

 f(t) ↘ ↘ ;1°6; ↗

27 선분 OP의 길이를 x (0<x<1)라 하자. 따라서 함수 f(t)는 t= ;2!;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원의 넓이의 최
PQÓ : QOÓ=1 : 4이므로 QOÓ=;5$; x

QHÓ Û`=1-QOÓ Û`에서 QHÓ Û`=1-{;5$; x}2`
솟값은 

prÛ`=p_ f {;2!;}=;1°6; p
사각형 OIPH의 넓이를 S(x)라 하면
  ;1°6; p
S(x)=;2!;_HIÓ_POÓ

=;2!;_2_¾Ð1-{;5$; x}2` _x

=x¾Ð1-{;5$; x}2`
29 직선 y=m(x+1)이 함수 f(x)의 그래프와 제1사분면에서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m>0

이때 {S(x)}Û`= f(x)라 하면 f(x)가 최댓값을 가질 때 S(x)도 최댓  f(x)=-(xÛ`-3x-4)(x-1)

값을 가진다. =-(x+1)(x-1)(x-4)
에서 -(x+1)(x-1)(x-4)=m(x+1)이라 하면
 f(x)=xÛ`-;2!5^; xÝ`이므로
x+-1일 때 -(x-1)(x-4)=m
 f '(x)=2x-;2^5$; xÜ`=2x {1-;2#5@; xÛ`} 방정식 xÛ`-5x+4+m=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5)Û`-4(4+m)>0이어야 하므로
5'2
f '(x)=0에서 x=0 또는 x=
8 0<m<;4(;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직선 y=m(x+1)과 함수 y=f(x)의 그래프가 모두 점 (-1, 0)을 지
5'2 나므로 점 (-1, 0)을 D라 하면 삼각형 ABC의 넓이는 삼각형 DAC
x (0) y y (1)
8 의 넓이에서 삼각형 DAB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f '(x) + 0 - 두 점 B, C의 x좌표를 각각 a, b (a<b)라 하면
`f(x) ↗ 극대 ↘
(삼각형 DAC의 넓이)=;2!;_2_ f(b)=m(b+1)
5'2
함수 f(x)는 x= 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함수 S(x)도
8 (삼각형 DAB의 넓이)=;2!;_2_ f(a)=m(a+1)
5'2
x= 에서 최대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8
따라서 사각형 OIPH의 넓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선분 OP의 길이는 m(b+1)-m(a+1)=m(b-a)

5'2 또한 a, b는 방정식 xÛ`-5x+4+m=0의 두 근이므로


이다.
8 a+b=5, ab=4+m
 ⑤ b-a="Ã(a+b)Û`-4ab
='Ä25-16-4m
='Ä9-4m
28 점 P의 좌표를 (t, tÛ`+t-1)이라 하고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 삼각형 ABC의 넓이를 S(m)이라 하면
라 하면
S(m)=m(b-a)=m'Ä9-4m
rÛ`=tÛ`+(tÛ`+t-1)Û`
이때 m>0, 9-4m>0이므로  g(m)={S(m)}Û`이라 하면 g(m)이
=tÝ`+2tÜ`-2t+1
최댓값을 가질 때 S(m)도 최댓값을 갖는다.
 f(t)=tÝ`+2tÜ`-2t+1이라 하면
 g(m)=mÛ`(9-4m)이므로
 f '(t)=4tÜ`+6tÛ`-2
 g '(m)=-6m(2m-3)
=2(2tÜ`+3tÛ`-1)
=2(t+1)Û`(2t-1)  g '(m)=0에서 m=0 또는 m=;2#;

정답과 풀이 69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69 2017-11-02 오후 3:34:37


정답과 풀이

0<m<;4(;에서 함수 g(m)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ÉxÉ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1 y 1 y 2
m (0) y ;2#; y {;4(;} `f '(x) - - 0 + +
 g '(m) + 0 - `f(x) 12 ↘ -4 ↗ 3

 g(m) ↗ :ª4¦: ↘ 따라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솟값 -4를 가지므로 -1ÉxÉ2에


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g(m)은 m=;2#;일 때 최댓값을 가지므로 S(m)의 최댓값은 y
12
3'3
S{;2#;}=
y=f(x)
2
3'3
 
2 3

-1 1
O 2 x
30  f(x)=xÜ`-3xÛ`이라 하면 -4
 f '(x)=3xÛ`-6x
접점의 좌표를 (t, tÜ`-3tÛ`)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는 -4<-kÉ3일 때 서로 다
y-(tÜ`-3tÛ`)=(3tÛ`-6t)(x-t) 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 직선이 점 (-1, k)를 지나므로 -3Ék<4
k-(tÜ`-3tÛ`)=(3tÛ`-6t)(-1-t) 따라서 모든 정수 k의 값의 합은
2tÜ`-6t+k=0 (-3)+(-2)+(-1)+0+1+2+3=0
점 (-1, k)에서 주어진 곡선에 서로 다른 세 개의 접선을 그을 수 있으  ②
려면 방정식 2tÜ`-6t+k=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g(t)=2tÜ`-6t+k라 하면
 g '(t)=6tÛ`-6=6(t+1)(t-1) 32 xÜ`-kx+2k-8=0에서 xÜ`-8=k(x-2)
방정식 xÜ`-8=k(x-2)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g '(t)=0에서 t=-1 또는 t=1
함수 f(x)=xÜ`-8의 그래프와 직선  g(x)=k(x-2)가 한 점에서 접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하고 다른 한 점에서 만나야 한다.
t y -1 y 1 y 직선 y=k(x-2)는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2, 0)을 지나고, 곡선
 g '(t) + 0 - 0 + y=xÜ`-8도 점 (2, 0)을 지난다.
 g(t) ↗ k+4 ↘ k-4 ↗ Ú 점 (2, 0)에서 접하는 경우
삼차방정식 g(t)=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f(x)=xÜ`-8에서 f '(x)=3xÛ`이므로 f '(2)=12
 g(-1)_g(1)=(k+4)(k-4)<0 따라서 k=12
-4<k<4 Û 점 (2, 0)이 아닌 점에서 접하는 경우
따라서 구하는 정수 k의 개수는 7이다. x=t (t+2)에서 직선 y=g(x)가 곡선 y=f(x)와 접한다고 하면
 ⑤  f(t)=g(t), f '(t)=g '(t)를 만족해야 하므로
 f(t)=g(t)에서
tÜ`-8=k(t-2), (t-2)(tÛ`+2t+4)=k(t-2)
31 두 점 A(-1, -3), B(2,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k=tÛ`+2t+4 yy ㉠
y=2x-1
 f '(t)=g '(t)에서
삼차함수 y=xÜ`+3xÛ`-7x+k의 그래프와 선분 AB가 서로 다른 두 점
3tÛ`=k yy ㉡
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xÜ`+3xÛ`-7x+k=2x-1이 -1ÉxÉ2에서 서
㉠, ㉡에서 t=-1 (t+2), k=3
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면 된다.
Ú, Û에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즉, xÜ`+3xÛ`-9x+1=-k에서  f(x)=xÜ`+3xÛ`-9x+1이라 하면
12+3=15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1ÉxÉ2에서 서로 다른
 ①
두 점에서 만나면 된다.
 f '(x)=3xÛ`+6x-9=3(x+3)(x-1)이므로
 f '(x)=0에서 33 조건 (가)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므로
x=-3 또는 x=1  f(x)=axÜ`+bx (a, b는 실수, a+0)라 하자.

7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0 2017-11-02 오후 3:34:38


 f '(x)=3axÛ`+b이므로  f '(x)가 x=0에서 최솟값 -3을 가지려면 Û t=0,
‌ t>2일 때
a>0, b=-3이어야 한다. 방정식 2xÝ`-4xÛ`+2=t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
 f '(x)=0에서 3axÛ`-3=0 Ü 0<t<2일
‌ 때
방정식 2xÝ`-4xÛ`+2=t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
x=Ñ®;a!;
Ý t=2일
‌ 때
방정식 | f(x)|=2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므로 y=f(x)의 그래프 방정식 2xÝ`-4xÛ`+2=t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
와 직선 y=2, y=-2의 위치 관계는 그림과 같다. Ú~Ý에 의하여 함수 y=f(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y y=kt+2
y=2 4
3
¾;a!; 2
O x y=f(t)
-¾;a!;

y=-2 O 2 t

즉, 함수  f(x)의 극댓값이 2, 극솟값이 -2이어야 하므로 실수 t에 대한 방정식 f(t)=kt+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3이 되


려면 함수 y=f(t)의 그래프와 직선 y=kt+2는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
 f {®;a!;  }=-2 나야 한다.

a_{®;a!;  }3`-3®;a!;  =-2
이때 y=kt+2는 k의 값에 관계없이 점 (0, 2)를 지나는 직선이므로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a!;  =1, a=1 k=;2!; 또는 k>1

따라서 f(x)=xÜ`-3x이므로 따라서 정수 k의 최솟값은 2이다.


 f(4)=64-12=52  ③
  52

35 ㄱ.  f '(x)=4xÜ`-12x+8이므로
 f '(1)=4-12+8=0 (참)
34 방정식 2xÝ`-4xÛ`+2=t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사차함수 ㄴ. f '(x)=4(xÜ`-3x+2)
y=2xÝ`-4xÛ`+2의 그래프와 직선 y=t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 =4(x+2)(x-1)Û`
와 같다. f '(x)=0에서 x=-2 또는 x=1
 g(x)=2xÝ`-4xÛ`+2라 하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 '(x)=8xÜ`-8x
x y -2 y 1 y
=8x(x+1)(x-1)
`f '(x) - 0 + 0 +
 g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f(x) ↘ -24 ↗ 3 ↗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x y -1 y 0 y 1 y
y y=f(x)
 g '(x) - 0 + 0 - 0 +
 g(x) ↘ 0 ↗ 2 ↘ 0 ↗ 3
-2
따라서 y=g(x)의 그래프와 직선 y=t의 위치 관계는 그림과 같다. O 1 x

y y=g(x)
y=t`(t>2)

y=2 2
-24
y=t`(0<t<2)

y=0
 f(x) ( f(x)¾-12)
k=-12이면  g(x)=à 이고
-1 O 1 x -24-f(x) ( f(x)<-12)
y=t`(t<0)
함수 y=g(x)의 그래프는 f(x)¾-12일 때 함수 y=f(x)의 그래
Ú t<0일
‌ 때 프와 같고,  f(x)<-12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에 대
방정식 2xÝ`-4xÛ`+2=t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0 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24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와

정답과 풀이 71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1 2017-11-02 오후 3:34:39


정답과 풀이

같으므로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y=h(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g(x) y
y=h(x) 21
3
-2
O 1 x

12
-3 O x
-4
-12
-11
따라서 방정식  g(x)=-1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는다. (거짓)
 f(x) ( f(x)¾k) -3ÉxÉ2에서 -kÉh(x)Ék를 만족시키려면 k¾21이어야 하므로
ㄷ.  g(x)=à 에서
2k-f(x) ( f(x)<k) k의 최솟값은 21이다.
함수 y=g(x)의 그래프는 f(x)¾k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  ①
와 같고,  f(x)<k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
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2k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와 같다.
37  f(x)=x n+1
-(n+1)x+2라 하면
방정식  g(x)=3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g(-2)=30이  f '(x)=(n+1)xn-(n+1)
어야 하므로 =(n+1)(xn-1)
2k-f(-2)=30  f '(x)=0에서 x¾0 이므로 x=1
2k=30+f(-2)=30-24=6 x¾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k=3
x 0 y 1 y
또한
`f '(x) - - 0 +
 f(x)-3=xÝ`-6xÛ`+8x-3
`f(x) 2 ↘ -n+2 ↗
=(x-1)Ü`(x+3)
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최솟값 -n+2를 갖는다.

y
xn+1-(n+1)x+2¾k에서 k의 최댓값이 -10이므로
y=g(x)
30 -n+2=-10, n=12
 ④

3
38 x+ x1 =t라 하면 x>0이므로
-3 O 1 x
1 1
-2 t=x+ ¾2¾¨x_ =2
x x
따라서 함수 g(x)는 x=-3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참)
이때

={x+ }3-3_x_ _{x+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 1 1 1
xÜ`+
 ③ xÜ` x x x
=tÜ`-3t

-24{x+ }+60이라 하면
1 1
이므로  f(x)=xÜ`+
36  g(x)-kÉ f(x)É g(x)+k에서 xÜ` x
-kÉ f(x)-g(x)Ék  f(x)=(tÜ`-3t)-24t+60
h(x)=f(x)-g(x)=xÜ`+3xÛ`-9x-6이라 하면 =tÜ`-27t+60 (t¾2)
h'(x)=3xÛ`+6x-9  g(t)=tÜ`-27t+60이라 하면
=3(x+3)(x-1)  g '(t)=3tÛ`-27
h'(x)=0에서 x=-3 또는 x=1 =3(t+3)(t-3)
닫힌구간 [-3, 2]에서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g '(t)=0에서 t=-3 또는 t=3
과 같다. t¾2에서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3 y 1 y 2 t 2 y 3 y
h'(x) 0 - 0 + +  g '(t) - - 0 +
h(x) 21 ↘ -11 ↗ -4  g(t) 14 ↘ 6 ↗

7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2 2017-11-02 오후 3:34:40


따라서 함수  g(t)는 t=3에서 극소이면서 최솟값 6을 갖는다.
41 t초 후의 두 점 P, Q가 움직인 거리의 차를 f(t)라 하면
즉, x>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6이므로 부등식  f(t)=|2tÜ`+2tÛ`-(6tÛ`+8t)|
-24{x+ }+60>n
1 1 =|2tÜ`-4tÛ`-8t|
xÜ`+
xÜ` x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가 20이므로 두 점이 움직인 거리의 차가 20의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1, 2, 3, 4, 5의 5개이다.
배수일 때 두 점은 만난다.
 ③
 g(t)=2tÜ`-4tÛ`-8t라 하면
 g '(t)=6tÛ`-8t-8
=2(3t+2)(t-2)
39 시각 t에서의 점 P와 원점 사이의 거리를 f(t)라 하면
f(t)=|2tÜ`-15tÛ`+24t|  g '(t)=0에서 t=-;3@; 또는 t=2
 g(t)=2tÜ`-15tÛ`+24t라 하면 0<tÉ5에서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 '(t)=6tÛ`-30t+24
t (0) y 2 y 5
=6(t-1)(t-4)
g '(t) - 0 + +
 g '(t)=0에서 t=1 또는 t=4
g(t) ↘ -16 ↗ 110
닫힌구간 [0, 5]에서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두 점이 움직인 거리의 차가 0, 20, 40, 60, 80, 100일 때 만나
므로 6번 만난다.
t 0 y 1 y 4 y 5
 ③
 g '(t) + + 0 - 0 + +
 g(t) 0 ↗ 11 ↘ -16 ↗ -5

따라서 함수 y=|g(t)|, 즉 y=f(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42 t초 후의 선분 AB의 길이는 (2+2t) cm, 선분 BC의 길이는
(2+3t) cm이다.
y
16
t초 후의 삼각형 ABC의 넓이를 S(t) cmÛ`라 하면
y=f(t)
S(t)=;2!;(2+2t)(2+3t)=3tÛ`+5t+2이므로
11
S'(t)=6t+5
5 또한 3tÛ`+5t+2=70에서
3tÛ`+5t-68=0, (3t+17)(t-4)=0
O 1 45 t
따라서 t=4일 때, 삼각형 ABC의 넓이가 70`cmÛ`이므로
따라서 t=4일 때 점 P가 원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구 S '(4)=29
하는 거리는 16이다.  ②
 ③

43 t초 후 점 P의 좌표는 (3t, 0)이므로 두 점 O, P를 지나고 이차항


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는
40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y=-x(x-3t)
v(t)=x '(t)=3tÛ`-2nt+(n+6)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A(t, 0), B(2t, 0)이고, 점 C의 좌표는
점 P가 출발 후 운동 방향을 두 번 바꾸려면 방정식 v(t)=0이 서로 다
C {;2#; t, ;4(; tÛ`} 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를 S(t)라 하면
른 두 양의 실근을 가져야 한다.
방정식 3tÛ`-2nt+(n+6)=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라 하면 S(t)=;2!;_t_;4(; tÛ`=;8(; tÜ`
n+6
a+b=;3@;n, ab=
3 S'(t)=:ª8¦: tÛ`
이므로 a, b는 모두 양수이다.
삼각형 ABC가 정삼각형이려면
방정식 3tÛ`-2nt+(n+6)=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 2'3
D  t=;4(; tÛ`에서 t=
=nÛ`-3(n+6)>0 2 9
4
따라서
2'3 2`
nÛ`-3n-18>0, (n+3)(n-6)>0
S '¦ ¥=:ª8¦:_¦ ¥ =;2!;
n<-3 또는 n>6 2'3
9 9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7이다.
 ②   ;2!;

정답과 풀이 73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3 2017-11-02 오후 3:34:41


정답과 풀이

44 그림과 같이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cm,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수면까지의 높이를 h`cm라 하면 (가)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20`%
r`cm
(나) OAÓ, OB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30`%
r : h=3 : 5, h=;3%; r h`cm
(다) 넓이 S(a)의 도함수 S '(a)를 구한 경우 30`%
물의 부피를 V`cmÜ`라 하면
(라) S(a)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20`%
V=;3!;prÛ`h=;3!;prÛ`_;3%; r=;9%;prÜ` yy ㉠

또한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매초 2`cm씩 늘어나므로


r=2t yy ㉡
46  f(x)=xÜ`+axÛ`+bx+c에서
㉡을 ㉠에 대입하면 V=:¢9¼:ptÜ`  f '(x)=3xÛ`+2ax+b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조건 (가)에서 f '(1)=3+2a+b=0, f '(3)=27+6a+b=0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3¼:ptÛ`
dV
dt a=-6, b=9
r=6일 때 t=3이므로 t=3에서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가)
:¢3¼:p_9=120p (cmÜ`/초) 따라서 f(x)=xÜ`-6xÛ`+9x+c이므로
따라서 a=120p  f(1)=c+4, f(3)=c
  120p 함수 | f(x)|가 x=1, x=3에서 극댓값을 갖기 위해서는
c+4>0이고 c<0이어야 한다.
즉, -4<c<0

45 y=xÛ`-12x+36이므로 y '=2x-12  (나)

곡선 y=xÛ`-12x+36 위의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c+4, x=3에서 극솟값 c를 갖는다.
y-(aÛ`-12a+36)=(2a-12)(x-a) 또한 함수 | f(x)|는 x=1에서 극댓값 c+4, x=3에서 극댓값 -c를
y=2(a-6)x-aÛ`+36 갖는다.
 (가) 조건 (나)에서 방정식 | f(x)|=3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므로
c=-1 또는 c=-3
이 직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a+6  (다)
OAÓ= , OBÓ=-aÛ`+36
2
Ú c=-1일 때
 (나)  f(x)=xÜ`-6xÛ`+9x-1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를 S(a)라 하면  f(3)=-1
Û c=-3일 때
S(a)=;4!;(a+6)(-aÛ`+36)
 f(x)=xÜ`-6xÛ`+9x-3이므로
=;4!;(-aÜ`-6aÛ`+36a+216)  f(3)=-3
Ú, Û에 의하여 모든 f(3)의 값의 합은
S '(a)=;4!;(-3aÛ`-12a+36)
-1+(-3)=-4
=-;4#;(a+6)(a-2)  (라)

 (다)   -4

S '(a)=0에서 a=-6 또는 a=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0<a<6에서 함수 S(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가) a, b의 값을 구한 경우 20`%
(나) c의 범위를 구한 경우 30`%
a (0) y 2 y (6)
(다) c의 값을 구한 경우 30`%
S'(a) + 0 -
S(a) ↗ 64 ↘ (라)  f(3)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20`%

따라서 S(a)는 a=2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고 최댓값은 64이다.


 (라)
  64

7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4 2017-11-02 오후 3:34:41


상위 따라서 30m=10
내신 4% 변별력 문항 본문 72~74쪽
  10
11+'5  g(t)=(|t-a|+|t-b|)Û`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50 -;4!;
참고
47 10 48 25 49 -6 51 2
y
53 -:Á9¢: 54 128
y=g(t)
52 1 55 -;4!; 56 ④
57 36 58 15
4
9;
;3!;

47 O 1 ;2#; 2 t

1ÉtÉ3인 실수 t에 대하여 함수 f(x)=(xÛ`-3x+2)(x-t)라


하자. 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 (a<b)라 할
때, 1ÉtÉ3에서 함수 g(t)=(|t-a|+|t-b|)Û`의 최솟값은 m
이다. 30m의 값을 구하시오.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10

풀이전략 48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최솟값을 구한다. 그림과 같이 열린구간 (0, 3)에서 정의된 함수 f(x)=xÛ`에 대하여
문제풀이 곡선 y=f(x) 위의 점 P와 곡선 y=f(x) 위에 있지 않은 점 A(6, 9)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b, ab의 값을 계산한다.


가 있다.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점 A에서 x축에 내
린 수선의 발을 B라 할 때, 사각형 PQBA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
 f(x)=xÜ`-(t+3)xÛ`+(3t+2)x-2t에서
하시오. 곡선 위의 점이므로 P(t, tÛ`)이다. 25
 f '(x)=3xÛ`-2(t+3)x+3t+2
방정식 f '(x)=0의 두 근이 a, b (a<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y y=f(x) A
의하여
2(t+3) 이차방정식 axÛ`+bx+c=0에서
3t+2
a+b= , ab= P
3 3 a+b=-;aB;, ab=;aC;
t의 범위를 나눈 후  g(t)의 최솟값을 구한다.
 f(x)=(xÛ`-3x+2)(x-t) O Q B x
=(x-1)(x-2)(x-t)
이므로
풀이전략
Ú 1Ét<2일 때
 g(t)=(|t-a|+|t-b|)Û` y=f(x)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어 최솟값을 구한다.

=(b-a)Û`=(a+b)Û`-4ab b 문제풀이
1 a t 2 x
사각형 PQBA의 넓이를 구한다.
=;9$;(tÛ`-3t+3)

=;9$;{t-;2#;}2`+;3!;
점 P의 좌표를 (t, tÛ`) (0<t<3)이라 하면
PQÓ=tÛ`, ABÓ=9, QBÓ=6-t
사각형 PQBA의 넓이를  g(t)라 하면
따라서 t=;2#;일 때 최솟값 ;3!; 을 갖는다.
 g(t)=;2!;(6-t)(tÛ`+9)
Û 2ÉtÉ3일 때
 g(t)=(|t-a|+|t-b|)Û`
y=f(x)
=-;2!;(tÜ`-6tÛ`+9t-54)
={2t-(a+b)}Û` b

={;3$; t-2}2`
1 a 2 t3 x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어 함수  g(t)의 최솟값을 구한다.

 g '(t)=-;2!;(3tÛ`-12t+9)
=:Á9¤: {t-;2#;}2` t=;2#;은 2ÉtÉ3이 아니므로 =-;2#;(tÛ`-4t+3)
t= 2와 t=3에서의 g(t)의
따라서 t=2일 때 최솟값 ;9$;를 갖는다. =-;2#;(t-1)(t-3)
값을 조사한다.
Ú, Û에서 함수  g(t)는 t=;2#;일 때 최솟값 ;3!; 을 가지므로  g '(t)=0에서 t=1 또는 t=3
0<t<3에서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m=;3!; 열린구간이므로 양 끝점의 함숫값은 고려하지 않는다.

정답과 풀이 75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5 2017-11-02 오후 3:34:44


정답과 풀이

y y aÛ`
t (0) 1 (3) É3에서 -6Éa<0
12
 g '(t) - 0 +
Ú, Û에 의하여  g(t)É3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¾-6
 g(t) ↘ 25 ↗
이므로 a의 최솟값은 -6이다.
따라서 함수  g(t)는 t=1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 -6
 g(1)=25
  25

49 50
함수 f(x)=xÝ`+axÛ`+ax에 대하여 곡선 y=f(x) 위의 실수 k에 대하여 닫힌구간 [-1, 1]에서 정의된 함수
점 (t, f(t))에서의 접선의 y절편을 g(t)라 하자. 함수 g(t)가 모  f(x)=xÜ`-3kÛ`x의 최댓값을 M(k)라 하자. 함수 M(k)가
든 실수 t에 대하여 g(t)É3을 만족시킬 때, 실수 a의 최솟값을 구 k=a, k=b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을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4!;
하시오. 접선의 방정식은 -6
y-f(t)=f '(t)(x-t)
풀이전략

풀이전략 양 끝점과 극댓값을 비교하여 최댓값을 구한다.


a의 값의 범위를 나눈 후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어 최솟값을 구한다. 문제풀이

문제풀이 k=0일 때 M(k)를 구한다.


접선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g(t)를 구한다. Ú k=0이면
‌ f(x)=xÜ`이므로 닫힌구간 [-1, 1]에서 최댓값은
 f(x)=xÝ`+axÛ`+ax에서 f(1)=1이다.
 f '(x)=4xÜ`+2ax+a 따라서 M(0)=1
점 (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k>0일 때 M(k)를 구한다.
y-(tÝ`+atÛ`+at)=(4tÜ`+2at+a)(x-t)  f '(x)=3(xÛ`-kÛ`)=3(x-k)(x+k)
즉, y=(4tÜ`+2at+a)x-3tÝ`-atÛ`이므로 Û k>0이면
‌ x=-k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f(-k)와 구간의 양 끝
 g(t)=-3tÝ`-atÛ` 점에서의 함숫값 f(-1), f(1)의 값을 비교하자.
a의 값의 범위를 나눈 후 a의 최솟값을 구한다.  f(-k)=2kÜ`, f(-1)=3kÛ`-1, f(1)=1-3kÛ`이고
 g '(t)=-12tÜ`-2at=-2t(6tÛ`+a)에서  f(-k)-f(-1)=2kÜ`-3kÛ`+1=(k-1)Û`(2k+1)
Ú a¾0일 때 이므로 k>0일 때, f(-k)-f(-1)=(k-1)Û`(2k+1)¾0
 g '(t)=0에서 t=0 즉,  f(-k)¾ f(-1)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또한 f(-k)와 f(1)의 관계는
① f(-k)- f(1)¾0이면 (k+1)Û`(2k-1)¾0이므로
t y 0 y
 g '(t) + 0 - k>0에서 ;2!;ÉkÉ1일 때, M(k)=2kÜ`
 g(t) ↗ 0 ↘ x=-k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② f(1)- f(-k)>0이면
-1ÉkÉ1
따라서 함수  g(t)는 t=0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고 최댓값은 0이다. (k+1)Û`(2k-1)<0이므로
Û a<0일 때 a<0이면 6tÛ`+a=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k>0에서 0<k<;2!;일 때, M(k)=1-3kÛ`
 g '(t)=0에서 t=0 또는 t=Ñ®É-;6A; k<0일 때 M(k)를 구한다.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Ü k<0이면
‌ x=k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f(k)와 구간의 양 끝점에서
의 함숫값 f(-1), f(1)의 값을 비교하자.
t y -®É-;6A; y 0 y ®É-;6A; y  f(k)=-2kÜ`, f(-1)=3kÛ`-1, f(1)=1-3kÛ`이고
g '(t) + 0 - 0 + 0 -  f(k)-f(-1)=-2kÜ`-3kÛ`+1=-(k+1)Û`(2k-1)
aÛ` aÛ` 이므로 k<0일 때, f(k)-f(-1)=-(k+1)Û`(2k-1)¾0
g(t) ↗ ↘ 0 ↗ ↘
12 12 즉,  f(k)¾ f(-1)
또한  f(k)와 f(1)의 관계는
따라서 함수 g(t)는 t=Ñ®É-;6A; 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고 최댓
① f(k)-f(1)¾0이면 -(k-1)Û`(2k+1)¾0이므로
aÛ`
값은
12
이다.  k<0에서 -1ÉkÉ-;2!;일 때, M(k)=-2kÜ`
x=k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1ÉkÉ1

7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6 2017-11-02 오후 3:34:44


② f(1)-f(k)>0이면 (k-1)Û`(2k+1)>0이므로  f(0)=0, f(1)=2-6+6=2이므로

k<0에서 -;2!;<k<0일 때, M(k)=1-3kÛ` 함수 | f(x)|의 최댓값은 2이다. (모순)


Û a+1일 때
그래프를 그리고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을 구한다.
① ;a!;>1, 즉 0<a<1이면
Ú, Û, Ü에 의하여
‌ f '(x)=6(ax-1)(x-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
-1ÉkÉ-;2!;일 때, M(k)=-2kÜ`
댓값, x=;a!;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2!;<k<;2!;일 때, M(k)=1-3kÛ`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M(0)=1-3_0Û`=1이므로 Ú의 범위를 포함한다.
;2!;ÉkÉ1일 때, M(k)=2kÜ` x 0 y 1 y ;a!; y

또한 |k|>1일 때, f(-1)의 값이 최대이므로 `f '(x) + 0 - 0 +


k의 추가 범위를 조사한다. 3a-1
`f(x) 0 ↗ -a+3 ↘ ↗
M(k)=3kÛ`-1 aÛ`
따라서 함수 y=M(k)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닫힌구간 [0, 1]에서  f(x)=2axÜ`-3(a+1)xÛ`+6x¾0이므로
y=3kÛ`-1 y y=3kÛ`-1 함수 | f(x)|의 최댓값은 함수 f(x)의 최댓값과 같다.
따라서 -a+3=1에서 a=2 (모순)

② ;a!;<1, 즉 a>1이면
y=-2kÜ 1 y=2kÜ
y=1-3kÛ ‌ f '(x)=6(ax-1)(x-1)이므로 함수 f(x)는 x= ;a!;에서 극
-1-;2!; O ;2!; 1 k
댓값, x=1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함수 M(k)는 k=-1, k=1에서 미분가능하고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2!;, k=;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x 0 y ;a!; y 1 y


k=-1, k=1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여
ab=-;2!;_;2!;=-;4!; 비교한다.
`f '(x) + 0 - 0 +
3a-1
`f(x) 0 ↗ ↘ -a+3 ↗
  -;4!; aÛ`

따라서 닫힌구간 [0, 1]에서 함수 | f(x)|의 최댓값이 1이기 위


해서는 절댓값이 있으므로 함수 f(x)의
값이 음수인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
| f {;a!;}|=1이고 | f(1)|É1 또는
51 | f {;a!;}|É1이고 | f(1)|=1이어야 한다.
함수 f(x)=2axÜ`-3(a+1)xÛ`+6x에 대하여 함수 |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모든 양수 a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 | f {;a!;}|=1이고 | f(1)|É1인 경우

닫힌구간 [0, 1]에서 함수 | f(x)|의 최댓값은 1이다. | f {;a!;}|= f {;a!;}=1에서

11+'5 aÛ`=3a-1, aÛ`-3a+1=0


 2
3+'5
a= (a>1)
2
풀이전략
3-'5
a의 값의 범위를 나눈 후 절댓값 그래프의 성질을 활용한다. 또한 |f (1)|=|-a+3|=| |É1이므로
2
문제풀이 3+'5
a=
2
f(x)의 도함수를 구한다.
 f(x)=2axÜ`-3(a+1)xÛ`+6x에서 ㉡ | f {;a!;}|É1이고 | f(1)|=1인 경우
 f '(x)‌=6axÛ`-6(a+1)x+6
| f(1)|=|-a+3|=1에서
=6(ax-1)(x-1)
a=2 또는 a=4
a의 값의 범위를 나눈 후 | f(x)|의 최댓값을 조사한다.
a=2이면 | f {;2!;}|=;4%;이므로 모순이다.
Ú a=1일 때,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f '(x)=6(x-1)Û`¾0 | f {;a!;}|É1이어야 한다.

정답과 풀이 77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7 2017-11-02 오후 3:34:45


정답과 풀이

a=4이면 | f {;4!;}|=;1!6!;É1이므로 성립한다.


y y=(g½f)(x)

3+'5
Ú, Û에서 a= 또는 a=4
2 -1
O 1 x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3+'5 11+'5 -1
+4=
2 2
11+'5
   1
2

53
52 곡선 y=3xÜ`-12xÛ`+11x+a와 두 점 A(2, 0), B(0, 2)를 이은
두 함수 f(x)=xÝ`-2xÛ`, g(x)=xÛ`-k에 대하여 x에 대한 방정식
선분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실수 a의 값을 구하시오. -:Á9¢:
( g½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4일 때, 양수 k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 g½f)(x)의 그래프와 x축이 1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난다. 풀이전략

주어진 구간에서 삼차함수의 그래프와 선분 AB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


풀이전략
수를 구한다.
두 그래프의 교점을 이용하여 실근의 개수를 구한다.
문제풀이
문제풀이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합성함수의 성질을 활용하여 그래프를 해석한다.
두 점 A(2, 0), B(0,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f(x)=t라 하면 방정식 ( g½f)(x)=0에서 g(t)=0을 만족시키는 t
y=-x+2
의 값은 tÛ`-k=0에서 g( f(x))=g(t)=0 0-2
y=  (x-2)
t=Ñ'§k 2-0
선분 AB와 곡선 y=3xÜ`-12xÛ`+11x+a가 만나는 점의 개수를 구
즉, xÝ`-2xÛ`='§k  또는 xÝ`-2xÛ`=-'§k 를 만족시키는 x의 개수가 4이
한다.
어야 한다.
곡선 y=3xÜ`-12xÛ`+11x+a가 선분 AB와 만나는 점의 개수는 곡선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어 그래프의 개형을 그린 후 함수 y=3xÜ`-12xÛ`+11x+a가 직선 y=-x+2와 0ÉxÉ2에서 만나는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 , 직선 y=-'§k  의 교점을 확인한다. 점의 개수와 같다.
 f(x)=xÝ`-2xÛ`에서 따라서 3xÜ`-12xÛ`+11x+a=-x+2라 하면
 f '(x)=4xÜ`-4x 방정식 -3xÜ`+12xÛ`-12x+2=a (0ÉxÉ2)의 실근의 개수가 1이
=4x(x+1)(x-1) 어야 한다.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f(x)=-3xÜ`+12xÛ`-12x+2라 하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9xÛ`+24x-12=-3(x-2)(3x-2)
x y -1 y 0 y 1 y  f '(x)=0에서 x=;3@; 또는 x=2
`f '(x) - 0 + 0 - 0 +
0ÉxÉ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 -1 ↗ 0 ↘ -1 ↗

y x 0 y ;3@; y 2
y=f(x)
`f '(x) - 0 + 0
1 y=1
직선 y=-'§ k  와 `f(x) 2 ↘ -:Á9¢: ↗ 2
-1 O 1
y=f(x)의 그래 x

프가 f(x)가 극소 0ÉxÉ2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1
-1 y
인 점에서 접한다. y=f(x)
2
따라서 방정식 xÝ`-2xÛ`='§k 또는 xÝ`-2xÛ`=-'§k를 만족시키는 x의
개수가 4가 되도록 하는 양수 k의 값은 ;3@;
k=1 O 2 x

참고  f(x)=xÝ`-2xÛ`, g(x)=xÛ`-1일 때, 함수 y=( g½f)(x)의


-;;Á9¢;;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7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8 2017-11-02 오후 3:34:46


따라서 0ÉxÉ2에서 방정식 3xÜ`-12xÛ`+11x+a=-x+2의 실근이 문제풀이

1개이려면 k>0일 때, 함수 f(x)=xÜ`+3kxÛ`+1의 그래프의 개형을 추론하여


a=-:Á9¢: 문제를 해결한다.
 f(x)=xÜ`+3kxÛ`+1이라 하면
  -:Á9¢:  f '(x)‌=3xÛ`+6kx
=3x(x+2k)
Ú k>0일 때
함수 f(x)는 x=-2k에서 극댓값, x=0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54 ( f(x)의 최댓값)É(g(x)의 최솟값)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두 함수 f(x)=-xÝ`-4xÜ`+8xÛ`, g(x)=xÛ`+a가 있다.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f(xÁ)É g(xª)가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x y -2k y 0 y
a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128 `f '(x) + 0 - 0 +
`f(x) ↗ 4kÜ`+1 ↘ 1 ↗
풀이전략
0<kÉx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 1=f(0)< f(k)
 f(x)의 최댓값과 g(x)의 최솟값을 비교한다. 따라서 x¾k에서 xÜ`+3kxÛ`+1¾0은 항상 성립한다.
문제풀이
k=0일 때, 함수  f(x)=xÜ`+1의 그래프의 개형을 추론하여 문제를
 f(x)의 최댓값을 구한다. 해결한다.
 f(x)=-xÝ`-4xÜ`+8xÛ`에서 Û k=0일 때
 f '(x)=-4xÜ`-12xÛ`+16x  f '(x)=3xÛ`이므로  f(x)는 증가함수이고 f(0)=1
=-4x(xÛ`+3x-4) 따라서 x¾0에서 xÜ`+3kxÛ`+1¾0은 항상 성립한다.
=-4x(x-1)(x+4) k<0일 때, 함수  f(x)=xÜ`+3kxÛ`+1의 그래프의 개형을 추론하여
 f '(x)=0에서 x=-4 또는 x=0 또는 x=1 문제를 해결한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Ü k<0일 때
x y -4 y 0 y 1 y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x=-2k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f '(x) + 0 - 0 + 0 -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 ↗ 128 ↘ 0 ↗ 3 ↘
x k y 0 y -2k y
함수 f(x)는 x=-4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함수 f(x)의 최댓 `f '(x) + 0 - 0 +
값은 `f(x) 4kÜ`+1 ↗ 1 ↘ 4kÜ`+1 ↗
 f(-4)=128  f(k)=f(-2k)=4kÜ`+1에서 x¾k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의 최솟값을 구한다. xÜ`+3kxÛ`+k¾0이려면 4kÜ`+1¾0이어야 한다.
꼭짓점이 (0, a)인 이차함수
한편,  g(x)=xÛ`+a에서 함수  g(x)는 x=0에서 최솟값 a를 갖는다.
즉, kÜ`¾-;4!;
 f(x)의 최댓값과  g(x)의 최솟값을 비교한다.
임의의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f(xÁ)Ég(xª)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Ú, Û, Ü에서 kÜ`의 최솟값은 -;4!;이다.

( f(x)의 최댓값)É(g(x)의 최솟값)이어야 하므로   -;4!;


128Éa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128이다.
  128

55
x¾k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Ü`+3kxÛ`+1¾0이 항상 성
립할 때, 실수 k에 대하여 kÜ`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4!;

풀이전략

미분과 함수의 그래프를 활용하여 부등식을 해결한다.

정답과 풀이 79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79 2017-11-02 오후 3:34:47


정답과 풀이

문제풀이

56 두 점 사이의 거리를 함수로 표현한다.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를 f(t)라 하면
를 v(t)라 할 때, 함수 y=v(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f(t)=|tÜ`-12tÛ`+36t-(tÛ`-4t)|
0<t<t¢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tÜ`-13tÛ`+40t|=|t(t-5)(t-8)|
y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최댓값을 구한다.
tÁ tª t£ t¢
O t  g(t)=tÜ`-13tÛ`+40t라 하면
 g '(t)=3tÛ`-26t+40
=(t-2)(3t-20)
y=v(t)
 g '(t)=0에서 t=2 또는 t=:ª3¼: 

0ÉtÉ6에서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보기
ㄱ. 점 P는 운동 방향을 1번 바꾼다. t 0 y 2 y 6
ㄴ. ‌t=tÁ일 때 점 P의 속력은 t=t£일 때의 점 P의 속력보다 크 `g '(t) + + 0 - -
다. `g(t) 0 ↗ 36 ↘ -12
ㄷ. 점 P의 가속도의 부호는 3번 바뀐다.
 0ÉtÉ6에서 y=g(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① ㄴ ② ㄷ ③ ㄱ, ㄷ 36
y=g(t)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풀이전략

속력과 속도, 가속도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래프를 해석한다. 6


O 2 t
문제풀이
-12
속도 함수의 그래프에서 운동 방향을 해석한다.
ㄱ. 0<t<t¢인
‌ t에 대하여 v(t)É0이므로 운동 방향은 바뀌지 않는 따라서 y=f(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다. (거짓) y=g(t)의 그래프에서
y y<0인 부분은 t축에 대
속력과 속도의 관계를 파악한다. 36
하여 대칭이동시킨다.
ㄴ. |v(tÁ)|>|v(t£)| (참) y=f(t)

속력은 속도에 절댓값을 취한 값이다.


속도 함수를 미분하여 가속도의 부호를 결정한다. 12

ㄷ. ‌함수 v(t)의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기가 가속도 a(t)이므로 접선의


O 2 6 t
기울기의 부호가 바뀌는 때는 t=tÁ, t=tª, t=t£의 좌우에서의
3번이다. (참) v'(t)=a(t) 따라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36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 36

58
57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원점에서 동시에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의 시
(가) 시각 t에서의 점 P의 위치는 atÜ`+btÛ`+ct+4이다.
각 t (0ÉtÉ6)에서의 위치는 각각 P(t)=tÜ`-12tÛ`+36t,
(나) 점 P는 t=1과 t=4일 때 운동 방향을 바꾼다.
Q(t)=tÛ`-4t이다. 두 점 P, Q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구하시
거리를 f(t)라 하고 f(t)=|P(t)-Q(t)|의 (다) t>0에서 점 P의 위치의 최솟값은 -12이다.
오.   36
최댓값을 구한다.
0<tÉ4에서 원점과 점 P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5
풀이전략
 점 P의 좌표가 양수일 (단, a, b, c는 상수이다.)
두 점 P, Q의 위치의 차가 거리임을 알고 그래프를 그린다. 때와 음수일 때 모두를 생각한다.

8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80 2017-11-02 오후 3:34:49


풀이전략
내신 상위 4% of 4% 본문 75쪽
위치를 미분하면 속도임을 이해하고 삼차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추론한다.
문제풀이

점 P의 위치를 f(t)라 하고 미분하여 운동 방향이 바뀌는 지점을 찾는 59


다. 세 정수 a, b, c에 대하여 함수 f(x)=xÜ`+axÛ`+bx+c가 다음 조
 f(t)=atÜ`+btÛ`+ct+4라 하면 건을 만족시킨다.
 f '(t)=3atÛ`+2bt+c yy ㉠
(가)  f(-1)=f(1)=0 f(x)에 x=-1, x=1을 대입하여
조건 (나)에서  f '(1)=f '(4)=0이므로 정리하면 미지수의 값을 구할 수 있다.
 f '(t)=3a(t-1)(t-4) (나) |x|É1일 때, f(x)¾1-|x|
=3a(tÛ`-5t+4) -1ÉxÉ1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함수
=3atÛ`-15at+12a yy ㉡ y=1-|x|의 그래프와 만나거나 위에 있다.

미정계수를 결정한다.
aÛ`+bÛ`+cÛ`의 최솟값은?
㉠, ㉡에서 2b=-15a, c=12a
① 1 ② 3 ③5
15a
f(t)=atÜ`- tÛ`+12at+4 ④ 7 ⑤9
2
위치의 최솟값이 존재하므로 그래프의 개형을 추론할 수 있다.
조건 (다)에서 t>0에서 점 P의 위치의 최솟값이 존재하므로
문항 파헤치기
함수 y= f(t)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조건 (가), (나)에 해당되는 삼차함수 f(x)의 그래프와 함수 y=1-|x|의
위치의 최솟값이 t>0
y y=f(t) 그래프의 위치 관계를 판단하기
에서 존재하므로 함수
f(t)의 극솟값이 t>0
실수 point 찾기
4 에서 존재하고 함수
4 조건에 해당되는 함수의 그래프가 하나가 아닌 여러 개 나올 수 있음을 생각하
O 1 t f(t)의 극솟값이 최솟
고, 방정식 f(x)=1-|x|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짐에 유의하여 문제를 해
값이어야 한다.
결한다.
-12

즉, 함수  f(t)는 t=4에서 최솟값 -12를 가지므로 풀이전략

 f(4)=64a-120a+48a+4=-12 조건에 값을 대입하여 미정계수를 결정한다.


-8a+4=-12, a=2 문제풀이

따라서  f(t)=2tÜ`-15tÛ`+24t+4 미정계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주어진 값을 대입한다.


이때  f(1)=15이므로 0<tÉ4에서 원점과 점 P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 조건 (가)에서
은 15이다. | f(1)|>| f(4)|이므로 거리의 최댓값은 f(1)이다.  f(-1)=-1+a-b+c=0
  15  f(1)=1+a+b+c=0
이므로
c=-a이고 b=-1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미정계수를 결정한다.
 f(x)=xÜ`+axÛ`-x-a
=(xÛ`-1)(x+a)
=(x-1)(x+1)(x+a)
 f '(x)=3xÛ`+2ax-1
함수 y=f(x)와 y=1-|x|의 그래프의 위치 관계를 추측한다.
조건 (나)에서  f(0)=-a¾1이고, f(-1)=f(1)=0이므로
조건을 만족하려면 함수 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아야 한다.
-1ÉxÉ1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함수
y=1-|x|의 그래프와 만나거나 위에 있다.

정답과 풀이 81

해 64-81 올림포스(고난도)_수2_05강-오1.indd 81 2017-11-02 오후 3:34:50


정답과 풀이

06
y y
부정적분과 정적분
y=f(x)

y=f(x)
1 1
또는

-1 O 1 x 내신 기출 우수 문항
-1 O 1 x 본문 78~81쪽

y=1-ÈxÈ y=1-ÈxÈ
01 ④ 02 ③ 03 ② 04 ② 05 ①
 f(x)=xÜ`+axÛ`-x-a=(x-1)(x+1)(x+a)에서
06 ⑤ 07 ⑤ 08 ② 09 ③ 10 ④
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1, -1, -a이다. 이때 a의 값을 알 수 없으므로 함수 11 ④ 12 ④ 13 ③ 14 ;2#; 15 ①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임을 파악하여 위와 같이 두 가지
16 ② 17 ③ 18 ② 19 ⑤ 20 ②
형태의 그래프를 추측해야 한다.
함수 y=f(x)와 y=1-|x|의 그래프의 위치 관계를 결정한다.
21 ② 22 5 23 14
즉, f '(-1)=2-2a¾1, f '(1)=2+2aÉ-1이어야 하므로
x=-1과 x=1에서의 y=f(x)의 접선의 기울기로 01  f(x)g(x)는 h(x)의 부정적분이므로
y=1-|x|의 그래프와의 위치 관계를 파악한다. d
h(x)= { f(x)g(x)}
aÉ-;2#; dx
=f '(x)g(x)+f(x)g '(x)
a가 정수이므로 aÉ-2이고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또한 f(x)=xÛ`+2x, g(x)=2xÛ`-3에서
y
 f '(x)=2x+2, g '(x)=4x
y=f(x) 이때 f(2)=8, f '(2)=6, g(2)=5,  g '(2)=8이므로
1
h(2)=f '(2)g(2)+f(2)g '(2)  
=30+64  
-1 O 1 -a x
=94
y=1-ÈxÈ
 ④
즉,  f '(1)=2+2a<-1이어야 하므로 두 함수 y=f(x), y=1-|x|
접선의 기울기로 그래프의 위치

02 dx : f(x)dx=f(x)이므로
의 그래프는 x=1에서 접하지 않는다.
관계를 결정한다. d
따라서 aÉ-2이므로 aÛ`+bÛ`+cÛ`의 최솟값은
(-2)Û`+(-1)Û`+2Û`=9  f(x)=xÛ`-2x-3
 ⑤  f(x+3)=3 f(x)에서
(x+3)Û`-2(x+3)-3=3(xÛ`-2x-3)
xÛ`+4x=3xÛ`-6x-9
2xÛ`-10x-9=0
방정식 2xÛ`-10x-9=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5)Û`-2_(-9)=43>0
4
이므로 방정식 2xÛ`-10x-9=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2xÛ`-10x-9=0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x의 값의 합
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5이다.
 ③

03  f(x)=: [ dx (3xÛ`-6x)]dx
d

=3xÛ`-6x+C (C는 적분상수)


 f(2)=12-12+C=2이므로 C=2
따라서 f(x)=3xÛ`-6x+2
방정식 f(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9-3_2=3>0
4
이므로 방정식 3xÛ`-6x+2=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8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82 2017-11-02 오후 3:34:49


따라서 방정식 3xÛ`-6x+2=0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은  f(0)=2 f(0)+2, f(0)=-2
함수 f(x)가 미분가능하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 이다.
 f(x+h)-f(x)
 ②  f '(x)=lim 
h`Ú0 h
 f(x)+f(h)+4xh+2-f(x)
=lim 
h`Ú0 h
2x-3 (x<1)
04  f '(x)=à xÛ`-x+k (x>1)이므로 =lim [
 f(h)+2
+4x]
h`Ú0 h
( xÛ`-3x+CÁ (x<1)  f(0+h)-f(0)
 f(x)={ (CÁ, Cª는 적분상수) =lim [ +4x] ( f(0)=-2)
;3!;xÜ`-;2!;xÛ`+kx+Cª (x>1) h
9
h`Ú0

=f '(0)+4x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4x+3
lim  f '(x)= lim  f '(x)에서
x`Ú1+ x`Ú1-
 f(x)=:`(4x+3)dx
lim (xÛ`-x+k)= lim (2x-3)
x`Ú1+ x`Ú1-

1-1+k=2-3이므로 k=-1 =2xÛ`+3x+C (C는 적분상수)

 f(0)=2에서 f(0)=CÁ=2  f(0)=-2에서 C=-2

또한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따라서 f(x)=2xÛ`+3x-2이므로

lim  f(x)= lim  f(x)에서  f(5)=50+15-2=63


x`Ú1+ x`Ú1-
 ⑤
lim  {;3!;xÜ`-;2!;xÛ`-x+Cª}= lim (xÛ`-3x+2)
x`Ú1+ x`Ú1-

;3!;-;2!;-1+Cª=1-3+2이므로 07 함수 f(x)가 미분가능하므로


 f(x+h)-f(x-2h)
lim 
Cª=;6&; h`Ú0 h
( xÛ`-3x+2 (x<1) =lim 
 f(x+h)-f(x)
+2lim 
 f(x-2h)-f(x)
따라서  f(x)={ 이므로 h`Ú0 h h`Ú0 -2h
;3!; ; ;
9 xÜ`-;2! xÛ`-x+;6& (x¾1) =3f '(x)
에서 3f '(x)=9xÛ`-6x+3
 f(2)=;3*;-2-2+;6&;=-;6!;
 f '(x)=3xÛ`-2x+1
 ②
 f(x)=: f '(x)dx

2x+3 (x<1)
05  f '(x)=à 3xÛ`-4x (x>1)이므로 =: (3xÛ`-2x+1)dx

=xÜ`-xÛ`+x+C (C는 적분상수)


xÛ`+3x+CÁ (x<1)
 f(x)=à (CÁ, Cª는 적분상수)  f(-2)=-8-4-2+C=0 이므로
xÜ`-2xÛ`+Cª(x>1)
C=14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따라서 f(x)=xÜ`-xÛ`+x+14이므로
 f(0)=CÁ=-1
 f(2)=8-4+2+14=20
또한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⑤
lim  f(x)= lim  f(x)=f(1)에서
x`Ú1+ x`Ú1-

lim  (xÜ`-2xÛ`+Cª)= lim (xÛ`+3x-1)


x`Ú1+ x`Ú1-
08 주어진 도함수 y=f '(x)의 그래프에서
Cª-1=3이므로 Cª=4 ( x+4 (x<-2)
xÛ`+3x-1 (x<1)  f '(x)={ 2 (-2Éx<2)
따라서  f(x)=à 이므로
xÜ`-2xÛ`+4 (x¾1) 9 -x+4 (x¾2)
 f(-2)=4-6-1=-3, f(2)=8-8+4=4이고 이므로
 f(-2)+f(2)=1 (
;2!;xÛ`+4x+CÁ (x<-2)
 ① |
 f(x)=Ò 2x+Cª (-2Éx<2) (CÁ, Cª, C£은 적분상수)
|
-;2!;xÛ`+4x+C£ (x¾2)
06  f(x+y)=f(x)+f(y)+4xy+2에 x=0, y=0을 대입하면 9

정답과 풀이 83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83 2017-11-02 오후 3:34:50


정답과 풀이

함수 y=f(x)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f(x)=xÛ`+1, g(x)=xÛ`-2x


 f(0)=Cª=0 따라서 f(3)-g(3)=10-3=7
또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④
 f(-2)=2-8+CÁ=-4에서 CÁ=2

11 dx :_/! f(t)dt=f(x)이고
 f(2)=-2+8+C£=4에서 C£=-2 d
(
;2!;xÛ`+4x+2
:_/![  f(t)]dt=[f(t)]/_!
(x<-2)
| d
 f(x)=Ò 2x (-2Éx<2) dt
|
-;2!;xÛ`+4x-2 (x¾2) =f(x)-f(-1)
9
이므로

:_/! f(t)dt-:_/! [  f(t)]dt=f(x)-{ f(x)-f(-1)}


따라서
d d
 f(-3)+f(1)+f(5)={;2(;-12+2}+2+{-:ª2°:+20-2} dx dt
=f(-1)
={-:Á2Á:}+2+:Á2Á: =27
=2  ④
 ②

12 :A/ f(t)dt=xÜ`-4ax+7a-6

09  f '(x)=6xÛ`-6x+k에서 위의 식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f(x)=: (6xÛ`-6x+k)dx=2xÜ`-3xÛ`+kx+C (C는 적분상수) :Aa f(t)dt=aÜ`-4aÛ`+7a-6

 f(x)가 xÛ`-1, 즉 (x+1)(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0=(a-2)(aÛ`-2a+3)


 f(-1)=-2-3-k+C=0 yy ㉠ 방정식 aÛ`-2a+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1)=2-3+k+C=0 yy ㉡ D
=1-1_3<0
4
㉠, ㉡을 연립하여 풀면
이므로 방정식 aÛ`-2a+3=0의 실근은 존재하지 않는다.
k=-2, C=3
따라서 a=2

:@/ f(t)dt=xÜ`-8x+8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f(x)=2xÜ`-3xÛ`-2x+3이므로
 f(2)=16-12-4+3=3
 ③
 f(x)=3xÛ`-8이므로
 f(2)=12-8=4
d  ④
10 dx { f(x)+g(x)}=4x-2에서
 f(x)+g(x)=2xÛ`-2x+CÁ (CÁ은 적분상수)
 f(0)=1, g(0)=0이므로 위의 식에 x=0을 대입하면
13 3 f(x)=3xÛ`-4x+:)/ f '(t)dt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CÁ=1 3 f(0)=0, f(0)=0 


 f(x)+g(x)=2xÛ`-2x+1 yy ㉠ 3 f(x)=3xÛ`-4x+:)/ f '(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 f(x)g(x)}=4xÜ`-6xÛ`+2x-2에서
dx 3 f '(x)=6x-4+f '(x)
 f(x)g(x)=xÝ`-2xÜ`+xÛ`-2x+Cª (Cª는 적분상수) 2 f '(x)=6x-4
 f(0)=1, g(0)=0이므로 위의 식에 x=0을 대입하면 따라서 f '(x)=3x-2
Cª=0
 f(x)=: f '(x)dx=: (3x-2)dx
 f(x)g(x)=xÝ`-2xÜ`+xÛ`-2x yy ㉡
㉠, ㉡에서 f(x), g(x)의 최고차항의 차수는 2이다. =;2#;xÛ`-2x+C (C는 적분상수)
 f(x)g(x)=xÝ`-2xÜ`+xÛ`-2x  
 f(0)=0이므로 C=0
=(xÛ`+1)(xÛ`-2x)
 f(x)+g(x)=2xÛ`-2x+1   따라서 f(x)=;2#;xÛ`-2x이므로

=(xÛ`+1)+(xÛ`-2x)  f(4)=24-8=16
이고  f(0)=1,  g(0)=0이므로  ③

8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84 2017-11-02 오후 3:34:50


14 :@ 이때 g(x)=:_/! f(t)dt에서 g(x)는 사차함수이므로 x=-1, x=1,
a+2 a+2
(2x+a)dx=[xÛ`+ax]@

=(a+2)Û`+a(a+2)-(4+2a) x=2, x=6은 방정식 g(x)=0의 모든 실근이다.


=2aÛ`+4a=a+9 따라서 사차방정식 g(x)=0의 모든 실근의 합은
2aÛ`+3a-9=0, (2a-3)(a+3)=0 (-1)+1+2+6=8
 ③
a>0이므로 a=;2#;

  ;2#;
( xÛ`-2x (x<0)
18 |xÛ`-2x|={ -xÛ`+2x (0Éx<2) 이므로

15 :_0! (xÜ`+2xÛ`+3x+4)dx+:)1 (xÜ`+2xÛ`+3x+4)dx 9 xÛ`-2x (x¾2)

:)4 |x2-2x|dx=:)2 (-xÛ`+2x)dx+:@4 (xÛ`-2x)dx


=:_1! (xÜ`+2xÛ`+3x+4)dx
=[-;3!;xÜ`+xÛ`]2)+[;3!;xÜ`-xÛ`]4@

=2 :)1 (2xÛ`+4)dx


={-;3*;+4}+{:¤3¢:-16}-{;3*;-4}
=2 [;3@;xÜ`+4x]1)


=8
=2 {;3@;+4}  ②

=:ª3¥:

19 f(x)=(|x|+1)Ü`이라 하면
 ①  f(x)=|x|Ü`+3xÛ`+3|x|+1이고,
 f(-x)‌=|-x|Ü`+3(-x)Û`+3|-x|+1  
d =|x|Ü`+3xÛ`+3|x|+1  
16 dx {(xÜ`+x)f(x)}=(3xÛ`+1)f(x)+(xÜ`+x)f '(x)이므로 =f(x)

:_3! (3xÛ`+1)f(x)dx+:_3! (xÜ`+x)f '(x)dx 이므로

:_2@ (|x|+1)Ü`dx=2:)2 (|x|+1)Ü`dx


=:_3! {(3xÛ`+1)f(x)+(xÜ`+x)f '(x)}dx

=:_3! 
d =2:)2 (xÜ`+3xÛ`+3x+1)dx

=2[;4!;xÝ`+xÜ`+;2#;xÛ`+x]2)
{(xÜ`+x)f(x)}dx
dx

=[(xÜ`+x)f(x)]3_!

=2(4+8+6+2)=40
=30 f(3)-(-2)f(-1)=64  ⑤
이때  f(-1)=2이므로
30 f(3)+4=64, 30 f(3)=60 2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므로
:_aA f(x)dx=0
따라서  f(3)=2
 ②

:_2# f(x)dx=:_-# 2 f(x)dx+:_2@ f(x)dx

17  g(-1)=:_-!1 f(t)dt=0이고, =:_-# 2 f(x)dx


:_1! f(x)dx=:!2 f(x)dx=:@6 f(x)dx=0이므로 =-5

 g(1)=:_1! f(t)dt=0
따라서

:_5# f(x)dx=:_-# 2 f(x)dx+:_5@ f(x)dx


 g(2)=:_2! f(t)dt=:_1! f(t)dt+:!2 f(t)dt
=(-5)+12=7
=0+0=0  ②

 g(6)=:_6! f(t)dt=:_2! f(t)dt+:@6 f(t)dt

=0+0=0 21 : (4xÜ`+2x-3)dx=F(x)+C (C는 적분상수)라 하면

정답과 풀이 85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85 2017-11-02 오후 3:34:50


정답과 풀이

F '(x)=4xÜ`+2x-3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3h 1+3h
(4xÜ`+2x-3)dx=[F(x)] (가) 함수 f(x)를 구한 경우 30`%

1-2h 1-2h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Ü`+b3, a2+b2의 값을
=F(1+3h)-F(1-2h) (나) 40`%

lim ;h!;: (4xÜ`+2x-3)dx
1+3h
구한 경우
h`Ú0 1-2h
(다)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F(1+3h)-F(1-2h)

23 :@/ xf(t)dt=:@/ tf(t)dt+axÜ`-2xÛ`-4x+8의 양변에 x=2를


=lim 
h`Ú0 h
F(1+3h)-F(1)+F(1)-F(1-2h)
=lim 
h`Ú0 h 대입하면 
F(1+3h)-F(1) F(1-2h)-F(1)
=lim  -lim  0=0+8a-8-8+8에서 a=1
h`Ú0 h h`Ú0 h
F(1+3h)-F(1) F(1-2h)-F(1)  (가)

:@/ xf(t)dt=:@/ tf(t)dt+xÜ`-2xÛ`-4x+8에서


=3_lim  +2_lim 
h`Ú0 3h h`Ú0 -2h
=3F'(1)+2F'(1)
=5F'(1)
x:@/ f(t)dt=:@/ tf(t)dt+xÜ`-2xÛ`-4x+8
=5(4+2-3)
=15 이므로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② :@/ f(t)dt+xf(x)=xf(x)+3xÛ`-4x-4

:@/ f(t)dt=3xÛ`-4x-4
22 곡선 y=f(x)가 원점을 지나므로 f(0)=0이고
 f '(x)=3xÛ`-6x+a이므로  (나)

 f(x)=: f '(x)dx 위의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6x-4
=: (3xÛ`-6x+a)dx 따라서 f(3)=14

=xÜ`-3xÛ`+ax+C (C는 적분상수)


 (다)

 (가)   14

 f(0)=C=0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x)=xÜ`-3xÛ`+ax (가)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방정식 f '(x)=0, 즉 3xÛ`-6x+a=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 (나) :@/ f(t)dt=3xÛ`-4x-4임을 보인 경우 40`%
수의 관계에 의하여
(다) f(3)의 값을 구한 경우 30`%
a+b=2, ab=;3A;

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이 6이므로


 f(a)+f(b)=6
이때 aÜ`+bÜ`‌=(a+b)Ü`-3ab(a+b)=8-2a,

aÛ`+bÛ`‌=(a+b)Û`-2ab=4-;3@;a이므로

 (나)
 f(a)+f(b)‌=(aÜ`+bÜ`)-3(aÛ`+bÛ`)+a(a+b)

=(8-2a)-3{4-;3@;a}+2a

=2a-4
=6
따라서 a=5
 (다)
 5

8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86 2017-11-02 오후 3:34:51


상위 따라서 g(x)=xÜ`+2xÛ`이므로 g(3)=27+18=45
내신 7% 고득점 문항 본문 82~85쪽
 ②

24 ③ 25 ② 26 ① 27 ③ 28 ④
29 ⑤ 30 -;3@; 31 ③ 32 4 33 ① 26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 F(x)이므로 F'(x)=f(x)이고,
4F(0)=0에서 F(0)=0
34 235 35 ② 36 ① 37 ⑤ 38 ①
4F(x)=x{ f(x)+12}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39 ③ 40 ② 41 ⑤ 42 ③ 43 ④
4F'(x)={ f(x)+12}+xf '(x)
44 ③ 45 -4 46 14
4f(x)=f(x)+12+xf '(x)

24 : { f '(x)}Û`dx=4f(x)+k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3f(x)=xf '(x)+12 yy ㉠
함수 f(x)의 차수를 n (n은 자연수)이라 하면 함수 xf '(x)+12의 차수
{ f '(x)}Û`=4f '(x) 도 n이다.
 f '(x){ f '(x)-4}=0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3f(x)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3
 f '(x)=0 또는 f '(x)=4 이고, xf '(x)+12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n이므로 n=3
함수 f(x)가 상수함수가 아니므로 f '(x)=4 즉, f(x)는 삼차함수이다.
 f(x)=xÜ`+axÛ`+bx+c (a, b, c는 상수) yy ㉡
따라서 f(x)=: 4dx=4x+C (C는 적분상수)
라 하면 f '(x)=3xÛ`+2ax+b yy ㉢
조건 (나)에서 ㉡, ㉢을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3 (4x+C)dx=3:)2 (4x+C)dx


3xÜ`+3axÛ`+3bx+3c=3xÜ`+2axÛ`+bx+12

[2xÛ`+Cx]3!=3[2xÛ`+Cx]2)
a=0, b=0, c=4
즉, f(x)=xÜ`+4이므로

(18+3C)-(2+C)=3(8+2C) F(x)=: f(x)dx


16+2C=24+6C, C=-2
따라서 f(x)=4x-2이므로 =: (xÜ`+4)dx
 f(5)=18
=;4!;xÝ`+4x+C (C는 적분상수)
 ③
F(0)=0에서 C=0

25 다항함수 f(x)의 차수를 n (n은 자연수)이라 하면 함수 xf(x)의 따라서 F(x)=;4!;xÝ`+4x이므로

차수는 n+1이고, 함수  g(x)= : xf(x)dx의 차수는 n+2이다. F(2)=4+8=12


 ①
함수 f(x)g(x)의 차수가 4이므로
n+(n+2)=4, n=1
즉, f(x)는 일차함수이므로  f(x)=ax+b (a, b는 상수, a+0)라 하 27 f(x)=xÞ`+xÝ`+3x에서 f '(x)=5xÝ`+4xÜ`+3
lim ;[!;:)/ (x+t+2)f '(t)dt

=lim ;[!;[ :)/ xf '(t)dt+:)/ (t+2)f '(t)dt]


x`Ú0
 f(0)>0에서 b>0

 g(x)=: xf(x)dx x`Ú0

=lim ;[!;[x:)/ f '(t)dt+:)/ (t+2)f '(t)dt]


=: (axÛ`+bx)dx x`Ú0

=;3A;xÜ`+;2B;xÛ`+C (C는 적분상수) =lim :)/ f '(t)dt+lim ;[!;:)/ (t+2)f '(t)dt


x`Ú0 x`Ú0

 f(x)g(x)=(ax+b){;3A;xÜ`+;2B;xÛ`+C} =lim { f(x)-f(0)}+lim ;[!;:)/ (t+2)f '(t)dt


x`Ú0 x`Ú0

=lim ;[!;:)/ (t+2)f '(t)dt
aÛ` ab ab
}xÜ`+ xÛ`+aCx+bC
bÛ`
= xÝ`+{ +
3 2 3 2 x`Ú0

=3xÝ`+10xÜ`+8xÛ` 함수 (t+2)f '(t)의 부정적분 중 하나를 F(t)라 하면


aÛ` 5ab bÛ` F'(t)=(t+2)f '(t)이므로

lim ;[!;:)/ (t+2)f '(t)dt=lim 
에서 =3, =10, =8, aC=0, bC=0
3 6 2 F(x)-F(0)
a+0, b>0이므로 C=0이고 a=3, b=4 x`Ú0 x`Ú0 x

정답과 풀이 87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87 2017-11-02 오후 3:34:51


정답과 풀이

=F'(0)=2f '(0)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따라서 lim ;[!;:)/ (x+t+2)f '(t)dt=2f '(0)=2_3=6


같다.
x`Ú0 y y
y=|f(x)|
 ③ y=f(x)

64 61 64
61

28 직선 y=4와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접하고, 직선 y=4의 기 -2


16
울기가 0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4는 f '(a)=0을 만 O 2 3 x -2 O 2 3 x
족시키는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x=a인 점에서 접한다.
즉, f '(x)=12(x+1)Û`(x-1)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64

x=-1 또는 x=1인 점에서 직선 y=4와 접한다.


따라서 방정식 | f(x)|=k가 서로 다른 6개의 실근을 갖도록 하는 정수
따라서 f(-1)=4 또는 f(1)=4이다.
k는 62, 63이므로 그 합은 62+63=125
 f(x)=: {12(x+1)Û`(x-1)}dx  ⑤

=: (12xÜ`+12xÛ`-12x-12)dx

=3xÝ`+4xÜ`-6xÛ`-12x+C (C는 적분상수) 30 :)2 f(x)dx=:)a f(x)dx+:A2 f(x)dx이므로


:)2 f(x)dx=:A2 f(x)dx에서:)a f(x)dx=0
 f(0)>0이므로 C>0
Ú ‌f(-1)=4인 경우  

:)a f(x)dx=:)a (xÜ`+2xÛ`-ax)dx


f(-1)=3-4-6+12+C=4에서 C=-1
Û ‌f(1)=4인 경우  
f(1)=3+4-6-12+C=4에서 C=15 =[;4!;x4+;3@;x3-;2A;x2]a)
Ú, Û에서 f(x)=3xÝ`+4xÜ`-6xÛ`-12x+15이므로
 f(2)=48+32-24-24+15=47 =;4!;a4+;3@;a3-;2!;aÜ`

 ④ =;4!;aÝ`+;6!;aÜ`

=;4!;aÜ` {a+;3@;}=0
29 함수 y=f '(x)의 그래프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가 -2, 2, 3
이므로 따라서 0이 아닌 실수 a의 값은 -;3@; 이다.
 f '(x)‌=a(x+2)(x-2)(x-3) (a>0)  
=a(xÜ`-3xÛ`-4x+12)   -;3@;

 f(x)=: f '(x)dx

=a: (xÜ`-3xÛ`-4x+12)dx
31 이차함수 f(x)의 그래프에 의하여
 f(x)=a(x-1)(x-3) (a>0)이라 하면
=a{;4!;xÝ`-xÜ`-2xÛ`+12x}+C (C는 적분상수)  f(0)=3a=6, a=2
따라서 f(x)=2(x-1)(x-3)
또한
한편,

[:_/! f(t)dt]
 f(-2)=a(4+8-8-24)+C
d
=-20a+C=-64 yy ㉠ G'(x)=
dx
 f(3)=a{:¥4Á:-27-18+36}+C =f(x)=2(x-1)(x-3)
G'(x)=0에서 x=1 또는 x=3
=:¢4°:a+C=61 yy ㉡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4, C=16이므로
x y 1 y 3 y
 f(x)=xÝ`-4xÜ`-8xÛ`+48x+16
G'(x) + 0 - 0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x) ↗ 극대 ↘ 극소 ↗
x y -2 y 2 y 3 y
따라서 G(x)의 극솟값은

G(3)=:_3! f(t)dt
 f '(x) - 0 + 0 - 0 +
 f(x) ↘ -64 ↗ 64 ↘ 61 ↗

8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88 2017-11-02 오후 3:34:51


=:_3! 2(t-1)(t-3)dt ={:£3ª:-16+16}-{;3$;-4+8}+(25-20)-(16-16)

=:_3! (2tÛ`-8t+6)dt =:£3Á:

=[;3@;tÜ`-4tÛ`+6t]3_!
 ①

=(18-36+18)-{-;3@;-4-6} 34 y '=2x이므로 점 A에서 곡선 y=xÛ`에 접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2t이다.
=:£3ª: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③ y-tÛ`=2t(x-t), y=2tx-tÛ`

이 직선의 x절편과 y절편은 각각 ;2T;, -tÛ`이므로

32 h(x)=f(x)-g(x)라 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OPÓ=;2!;|t|, OQÓ=t2


 f '(x)>g '(x)
즉, h'(x)=f '(x)-g '(x)>0이므로 함수 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  f(t)=;2!;|t|, g(t)=t2이라 하면 방정식 ;2!;|t|=t2의 해는
서 증가한다.
t=Ñ;2!; (t+0)이므로 t+0에서 두 함수 y=f(t), y=g(t)의 그래프
또한 f(0)=g(0)=0이므로 h(0)=0
따라서 x<0일 때 h(x)<0, x>0일 때 h(x)>0이므로 는 그림과 같다. 

:_0@| f(x)-g(x)|dx=-:_0@ { f(x)-g(x)}dx=4 y y=g(t)

:)3 | f(x)-g(x)|dx=:)3 { f(x)-g(x)}dx=8 y=f(t)

따라서

:_3@ { f(x)-g(x)}dx
1` O 1 t
-- -
2` 2

=:_0@ { f(x)-g(x)}dx+:)3 { f(x)-g(x)}dx


(
 f(t)  {|t|¾;2!;}
따라서 h(t)={ 이므로
=(-4)+8=4  g(t)  {-;2!;Ét<0, 0<tÉ;2!;}
9

:_! h(t)dt=:_!  f(t)dt+: g(t)dt


 4
-;4!; -;2!; -;4!;

-;2!;

33 Ú 0É;2{;<2일 때, 0Éx<4이고
-;2!;
=:_!  ;2!;|t|dt+: tÛ`dt
-;4!;

 f(x)=:)   (x-2t)dt+:  (2t-x)dt


-;2!;

=-[;4!;tÛ`]_! +[;3!;t3]
;2{; 2
-;2!; -;4!;
;2{;

=[xt-tÛ`]) +[tÛ`-xt]2
;
-;2!
;2{;

;2{; =-{;1Á6;-;4!;}+;3!;{-;6Á4;+;8!;}

={;2!;x2-;4!;xÛ`}+(4-2x)-{;4!;x2-;2!;xÛ`}
=;1£6;+;19&2;
=;2!;x -2x+4
2

=;1¢9£2;
Û ;2{;¾2일 때, x¾4이고
즉, a=43, b=192이므로
 f(x)=:)2 (x-2t)dt a+b=235

=[xt-t2]2)
  235

2x-1 (x<-1)
=2x-4
35 f '(x)=à 4x+1 (x¾-1) 이므로
Ú, Û에 의하여

:@5 f(x)dx=:@4 {;2!;xÛ`-2x+4}dx+:$5 (2x-4)dx ㄱ. :_2@ xÛ` f '(x)dx=:_-@1 (2x3-x2)dx+:_2! (4x3+x2)dx

=[;6!;x3-x2+4x]4@+[xÛ`-4x]5$ =[;2!;x4-;3!;x3]-_1@+[x4+;3!;x3]2_!

정답과 풀이 89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89 2017-11-02 오후 3:34:52


정답과 풀이

={;2!;+;3!;}-{8+;3*;}+{16+;3*;}-{1-;3!;} 37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2)- f(x)=4x+2이므로


 f(x+4)- f(x+2)=4(x+2)+2=4x+10
=:¢6»: (거짓) 따라서 f(x+4)- f(x)=8x+12

ㄴ. ‌f '(x)=0에서 x=-;4!;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_4@ f(x)dx

=:_0@ f(x)dx+:)2 f(x)dx+:@4 f(x)dx


타내면 다음과 같다. 

=:_0@ f(x)dx+:_0@ f(x+2)dx+:_0@ f(x+4)dx


x y -1 y -;4!; y

=:_0@ f(x)dx+:_0@ { f(x)+4x+2}dx+:_0@ { f(x)+8x+12}dx


f '(x) - - - 0 +
f (x) ↘ 4 ↘ 극소 ↗

따라서 함수 f(x)는 x=-;4!;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고, x=-1에 =3:_0@ f(x)dx+:_0@ (12x+14)dx

=3:_0@ f(x)dx+[6xÛ`+14x]0_@
서는 극솟값을 갖지 않는다. (거짓)
xÛ`-x+C1 (x<-1)

=3:_0@ f(x)dx+4
ㄷ. f(x)=à (CÁ, Cª는 적분상수)
2xÛ`+x+Cª (x¾-1)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는 x=-1에
=24

따라서 :_0@ f(x)dx=:ª3¼:


서 연속이다.
즉, lim  f(x)= lim  f(x)= f(-1)에서
x`Ú--1- x`Ú--1+

1+1+CÁ=2-1+Cª=4  ⑤
CÁ=2, Cª=3이므로
xÛ`-x+2 (x<-1)
f(x)=à 38 조건 (나)에서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2_K f(x)dx=:@
2xÛ`+x+3 (x¾-1)
k+1
f(x)dx가 성립하므로 k=1+t라 하면
ㄴ에 의하여 함수 f(x)의 최솟값은  f {-;4!;}=:ª8£:<3이므로 방정
:#2_
(1+t)+1
식 f(x)=3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참)  f(x)dx=:@ f(x)dx
(1+t)

:@2_T f(x)dx=:@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2+t
 f(x)dx
 ②
따라서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축의 방정식은 x=2이다.
또한 조건 (가)에서 f(2)=4이므로
36 조건 (가)에서 F(x)=f(x)+ f(-x)라 하면  f(x)‌=a(x-2)Û`+4 (a는 0이 아닌 상수)라 하면

:)3 f(x)dx=:)3 {axÛ`-4ax+4(a+1)}dx


F(-x)=f(-x)+ f(x)=F(x)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_2@ { f(x)+ f(-x)}dx=2:)2 { f(x)+ f(-x)}dx=32에서 =[;3A;x3-2ax2+4(a+1)x]3)

:)2 { f(x)+ f(-x)}dx=16 yy ㉠ =(9a-18a+12a+12)-0


=3a+12
조건 (나)에서 G(x)=f(x)-f(-x)라 하면
이므로 3a+12=21, a=3
G(-x)=f(-x)-f(x)=-G(x)
따라서 f(x)=3(x-2)Û`+4이므로 f(5)=31
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_0@ { f(x)-f(-x)}dx=-8에서


 ①

:)2 { f(x)-f(-x)}dx=8 yy ㉡ 39 조건 (가)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


로 f(x)는 x=-2에서 극솟값 -5를 갖는다.
㉠, ㉡에서:)2 2 f(x)dx=24이므로 또한 f '(-x)=f '(x)이므로 함수 y=f '(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2 f(x)dx=12
대칭이다.

:_2@ (x+3)f '(x)dx=:_2@ x f '(x)dx+3:_2@ f '(x)dx


 ①

9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0 2017-11-02 오후 3:34:52


 g(x)=xf '(x)라 하면 g(-x)=-g(x)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 따라서 :_5! f(x)dx=10
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_2@ (x+3)f '(x)dx=3:_2@ f '(x)dx


 ⑤

=3[f(x)]2_@ 42 :!/ (x+1)f(t)dt=xÝ`+xÛ`+;2!;:)1 f(t)dt-3 yy ㉠

=3 { f(2)-f(-2)}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3{5-(-5)}=30 :!0 f(t)dt=;2!;:)1 f(t)dt-3

:!0 f(t)dt=-:)1 f(t)dt이므로


 ③

40 f(-x)=-f(x), g(-x)=g(x)이므로
 f(-x)g(-x)=-f(x)g(x) -:)1` f(t)dt=;2!; :)1` f(t)dt-3

;2#;:)1 f(t)dt=3
따라서 함수 y=f(x)g(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_aA f(x)g(x)dx=0
:)1 f(t)dt=2
:_1@ f(x)g(x)dx=:_2@ f(x)g(x)dx-:!2 f(x)g(x)dx
yy ㉡

㉠, ㉡에서
=-:!2 f(x)g(x)dx=5 (x+1):!/ f(t)dt=xÝ`+xÛ`-2

:!2 f(x)g(x)dx=-5 yy ㉠ =(x+1)(xÜ`-xÛ`+2x-2)

또한 이므로 :!/ f(t)dt=xÜ`-xÛ`+2x-2

:_4! f(x)g(x)dx=:_1! f(x)g(x)dx+:!4 f(x)g(x)dx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xÛ`-2x+2이므로


 f(3)=27-6+2=23
=:!4 f(x)g(x)dx=8 yy ㉡  ③

43 xf(x)=4xÜ`+xÛ`:)2 f '(t)dt+:@/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 ㉡에서

:@4 f(x)g(x)dx=:!4 f(x)g(x)dx-:!2 f(x)g(x)dx

=8-(-5)=13 분하면 

 ②  f(x)+xf '(x)=12xÛ`+2x:)2 f '(t)dt+f(x)

41 함수 y=f(x)의 그래프와 함수 y=f(4-x)의 그래프는 직선 xf '(x)=12xÛ`+2x:)2 f '(t)dt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_5! f(x)dx=:_5! f(4-x)dx


 f '(x)=12x+2:)2 f '(t)dt

이때 :)2 f '(t)dt=a (a는 상수)라 하면


 f(x)=3xÛ`-12x+8-2f(4-x)에서

:_5! f(x)dx=:_5! {3xÛ`-12x+8-2f(4-x)}dx


 f '(x)=12x+2a

:)2 f '(t)dt=:)2 (12t+2a)dt


=:_5! (3xÛ`-12x+8)dx-2:_5! f(4-x)dx
=[6tÛ`+2at]2)

=:_5! (3xÛ`-12x+8)dx-2:_5! f(x)dx





3:_5! f(x)dx=:_5! (3xÛ`-12x+8)dx
=24+4a
=a

따라서 :)2 f '(t)dt=a=-8


=[x3-6xÛ`+8x]5_!

=(125-150+40)-(-1-6-8) xf(x)=4xÜ`+xÛ`:)2 f '(t)dt+:@/ f(t)dt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15-(-15)
2f(2)=32+4:)2 f '(t)dt+:@2 f(t)dt
=30

정답과 풀이 91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1 2017-11-02 오후 3:34:52


정답과 풀이

2f(2)=32-32=0 또한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두 함수 y=xÛ`-4x+3,


따라서 f(2)=0 y=kx-k의 x=1에서의 미분계수가 서로 같아야 한다.
또한  f '(x)=12x-16에서 즉, 2_1-4=k이어야 하므로 k=-2이고

 f(x)=: (12x-16)dx  (나)


xÛ`-4x+3  (x<1)
=6xÛ`-16x+C (C는 적분상수)  f(x)=à
-2x+2 (x¾1)
 f(2)=0에서 24-32+C=0, C=8
따라서 f(x)=6xÛ`-16x+8이므로 따라서  f(3)=-2_3+2=-4
 f(3)=54-48+8=14  (다)
 ④   -4

ㄱ. g(x)=:_/! f(t)dt에서 g '(x)=f(x)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44 (가) 함수  f '(x)를 적분하여  f(x)를 나타낸 경우 20`%


(나) 상수 k의 값을 구한 경우 50`%
g '(a)=f(a)=0 (참)
(다)  f(3)의 값을 구한 경우 30`%
ㄴ. g '(x)=f(x)이고, f(0)=f(a)=0이므로 함수 g(x)의 증가와 감 
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0 y a y 46 F'(x)=f(x)이므로
g '(x) + 0 - 0 + xf(x)=F(x)-xÜ`(x-2)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x) ↗ 극대 ↘ 극소 ↗  f(x)+xf '(x)=f(x)-4xÜ`+6xÛ`
xf '(x)=-4xÜ`+6xÛ`
따라서 함수 g(x)의 극댓값은 M=g(0)이다.

이때 g(x)=:_/! f(t)dt에서 g(-1)=0이고, g(x)는 (-∞, 0)에


f '(x)=-4xÛ`+6x

 f(x)=: f '(x)dx=: (-4xÛ`+6x)dx


서 증가하므로  
M=g(0)>g(-1)=0 (참) =-;3$;xÜ`+3xÛ`+C (C는 적분상수)

ㄷ. ­[반례] 그림과 같이 함수 g(x)의 극솟값이 0보다 큰 경우 방정식  (가)


g(x)=0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지 않는다. (거짓)
 f(0)=3이므로 C=3

따라서 f(x)=-;3$;xÜ`+3xÛ`+3이므로 f(1)=:Á3¢:


y
y=g(x)

 (나)
:! f(t)dt=lim 
1 xÜ` F(xÜ`)-F(1)
lim 
x`Ú1 x-1 x`Ú1 x-1

=lim[(xÛ`+x+1)_ ]
O a x F(xÜ`)-F(1)

x`Ú1 xÜ`-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3F'(1)=3f(1)
 ③ =3_:Á3¢:

=14
2x-4  (x<1)
45  f '(x)=à k (x>1)
이므로  (다)
  14
xÛ`-4x+CÁ  (x<1)
 f(x)=à (CÁ, Cª는 적분상수)
kx+Cª (x>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가)  f(x)를 구한 경우 40`%
 (가)
(나)  f(1)의 값을 구한 경우 30`%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다)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30`%
즉, 1-4+CÁ=k+Cª=0이어야 하므로
CÁ=3, Cª=-k이고
xÛ`-4x+3  (x<1)
 f(x)=à
kx-k (x¾1)

9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2 2017-11-02 오후 3:34:53


상위
내신 4% 변별력 문항 본문 86~88쪽
48
다항함수 f(x)와 일차함수 g(x)=x+a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47 23 48 6 49 ;2%; 50 ;4¢5; 51 7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52 -16 53 :Á3¼: 54 40 55 ④ 56 :;!3);£: 이다.) 6

57 -;2#; (가) : xf '(x)dx=;3@;xÜ`+xÛ`

dx :
d
xf '(x)dx=xf '(x)
47 (나)
d
{ f(x)g(x)}=3xÛ`+6x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f(3)의 값을 구하시오. dx
d
dx { 
f(x)g(x)}=f '(x)g(x)+f(x)g '(x)
(가)  f(x)=: (3xÛ`-3)dx

(나) 0ÉxÉ2에서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0이다.


풀이전략
 23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문제풀이
풀이전략
미분을 활용하여 f '(x)를 구한다.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하여 삼차함수의 최대, 최소를 구한다.
조건 (가)에서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문제풀이
xf '(x)=2xÛ`+2x이므로
부정적분을 활용하여 f(x)를 구한다.
 f '(x)=2x+2
조건 (가)에서  f '(x)=3xÛ`-3이고 따라서 f(x)=xÛ`+2x+C (C는 적분상수)
 f(x)=: (3xÛ`-3)dx 곱의 미분을 활용하여 f(x)와 g(x)를 구한다.
=xÜ`-3x+C (C는 적분상수) g(x)=x+a이므로 조건 (나)에서

미분을 활용하여 최대, 최소를 구한다. d


{ f(x)g(x)}‌=f '(x)g(x)+f(x)g '(x)  
dx
f '(x)=0에서 3xÛ`-3=0 =(2x+2)(x+a)+(xÛ`+2x+C)_1
3(x+1)(x-1)=0 =3xÛ`+(4+2a)x+2a+C  
x=-1 또는 x=1 =3xÛ`+6x
0ÉxÉ2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2a=6, 2a+C=0에서 a=1, C=-2

x 0 y 1 y 2 따라서  f(x)=xÛ`+2x-2 이므로 f(2)=6


 f '(x) - - 0 + +  6
 f(x) C ↘ -2+C ↗ 2+C

따라서 0ÉxÉ2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f(2)=2+C x=2에서 최대 49
함수 f(x)의 최솟값은 f(1)=-2+C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f '(x)=xÛ`-2, g '(x)=x이
x=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 고, 함수 y=f(x)와 y=g(x)의 그래프는 서로 다른 두 점 A, B
 f(1)+ f(2)=2C=10이므로 C=5 에서 만난다. 한 점에서는 접하고 다른 한 점에서는
접하지 않으면서 만난다.
따라서 f(x)=xÜ`-3x+5이므로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 (a<b)라 할 때, a+b의 값을
 f(3)=23
구하시오. (단, a+b>0) ;2%;
  23

풀이전략

부정적분을 활용하여 그래프의 교점을 구한다.


문제풀이

부정적분을 활용하여 그래프를 추론한다.


부정적분을 활용하여 f(x), g(x)를 구하면

정답과 풀이 93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3 2017-11-02 오후 3:34:53


정답과 풀이

 f(x)=;3!;xÜ`-2x+CÁ, g(x)=;2!;xÛ`+Cª (CÁ, Cª는 적분상수)


50
두 실수 p, q에 대하여 ;2!;:_1! (xÛ`+px+q)Û`dx의 최솟값을 구하
함수 y=f(x)와 y=g(x)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3!;xÜ`-2x+CÁ=;2!;xÛ`+Cª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시오.  ;4¢5;
h(x)= ;3!;xÜ`-;2!;xÛ`-2x+CÁ-Cª라 하면 함수 y=h(x)의 그래프
풀이전략  f(x)의 그래프가 y축 대칭이면 :_1! f(x)dx=2:)1 f(x)dx 이고,
는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그래프가 y축 대칭 또는 원점 대칭인 함수의 성질을 활용하여 최솟값을 구한다.

 f(x)의 그래프가 원점 대칭이면 :_1! f(x)dx=0


h(x)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구하여 만나는 점의 x좌표를 비교한다.
문제풀이
h'(x)=xÛ`-x-2이므로 h'(x)=0에서
주어진 함수를 적분한다.
(x+1)(x-2)=0
x=-1 또는 x=2 ;2!;:_1! (xÛ`+px+q)Û`dx

=;2!;:_1! (xÝ`+2pxÜ`+pÛ`xÛ`+2qxÛ`+2pqx+qÛ`)dx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2 y
h'(x) + 0 - 0 + =:)1 (xÝ`+pÛ`xÛ`+2qxÛ`+qÛ`)dx

=[;5!;xÞ`+;3!;pÛ`xÜ`+;3@;qxÜ`+qÛ`x]1)
h(x) ↗ 극대 ↘ 극소 ↗

따라서 함수 h(x)는 x=-1에서 극댓값, x=2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3!;pÛ`+qÛ`+;3@;q+;5!;
함수 y=h(x)의 그래프가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
qÛ`+;3@;q={q+;3!;}2`-;9!;
2
는 극댓값 또는 극솟값이 0이어야 한다. =;3!;pÛ`+{q+;3!;} +;4¢5;
Ú 극댓값이 0인 경우
이차식의 최대·최소의 조건을 이용하여 최솟값을 구한다.
h(-1)=;6&;+CÁ-Cª=0이므로
따라서 p=0, q=-;3!;일 때 최솟값 ;4¢5;를 갖는다.
h(x)=;3!;xÜ`-;2!;xÛ`-2x-;6&;
  ;4¢5;
이때 방정식 h(x)=0, 즉 ;3!;xÜ`-;2!;xÛ`-2x-;6&;=0에서

2xÜ`-3xÛ`-12x-7=0
(x+1)Û`(2x-7)=0
51
따라서 a=-1, b=;2&;이므로 a+b=-1+;2&;=;2%; 상수함수가 아닌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Û 극솟값이 0인 경우  f( f(x)+x)=:)/ f(t)dt-xÛ`+3x+9 를 만족시킬 때, f(2)의
h(2)=-:Á3¼:+CÁ-Cª=0이므로 값을 구하시오.  7

h(x)=;3!;xÜ`-;2!;xÛ`-2x+:Á3¼:
풀이전략

이때 방정식 h(x)=0, 즉 ;3!;xÜ`-;2!;xÛ`-2x+:Á3¼:=0에서 f(x)의 차수를 결정하고 주어진 식의 양변을 미분한다.


문제풀이
2xÜ`-3xÛ`-12x+20=0
(x-2)Û`(2x+5)=0 f(x)의 차수를 구한다.
함수  f(x)의 차수를 n (n¾2인 자연수)이라 하면 함수  f( f(x)+x)
따라서 a=-;2%;, b=2이므로 a+b=-;2%;+2=-;2!;
a+b>0에 모순 의 차수는 nÛ`이고, 함수  :)/ f(t)dt-xÛ`+3x+9의 차수는 n+1이다.
Ú, Û에서 a+b=;2%;
주어진 등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nÛ`=n+1이고 이를 만족하는
  ;2%; n (n¾2)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일차함수이다.
양변을 미분하여 f(x)를 구한다.
 f(x)=ax+b (a, b는 상수, a+0)라 하면

a(ax+b+x)+b=:)/ (at+b)dt-xÛ`+3x+9

위의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f(x)+x)


aÛ`+a=ax+b-2x+3 =a( f(x)+x)+b

9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4 2017-11-02 오후 3:34:53


(a-2)x-aÛ`-a+b+3=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위의 식이 성립하므로 53
두 실수 a, b에 대하여 삼차함수  f(x)=xÜ`+axÛ`+bx가 다음 조
a-2=0, -aÛ`-a+b+3=0
건을 만족시킨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따라서 f(x)=2x+3이므로
(가) f(1)=16
`f(2)=7 (나) x¾0일 때 f(x)¾0
 7

:_1! f(x)dx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시오. :Á3¼:

52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풀이전략

:!/ (t-x) f(t)dt=-xÜ`+xÛ`+ax+b를 만족시킬 때,


삼차방정식의 근의 위치를 고려하여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결정한다.

:!3 (t-3) f(t)dt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실수이다.) -16


문제풀이

a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조건 (가)에서 a+b=15
풀이전략  f(x)=xÜ`+axÛ`+bx=x(xÛ`+ax+b)이므로 조건 (나)에서
적분변수가 t이므로 x는 상수 취급한다. x¾0일 때 xÛ`+ax+b¾0
문제풀이 방정식 xÛ`+ax+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Ú ‌방정식 xÛ`+ax+b=0이 허근 또는 중근을 가질 때
양변에 x=1을 대입한다.

:!/ (t-x) f(t)dt=-xÜ`+xÛ`+ax+b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D=aÛ`-4bÉ0이므로 b=15-a를 대입하면
a2+4a-60É0에서 (a+10)(a-6)É0
0=a+b 적분구간의 양끝이 같으면 -10ÉaÉ6
정적분의 값은 0이다. Û ‌방정식 xÛ`+ax+b=0의 두 실근이 모두 음수이거나 한 개의 음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한다.

:!/ (t-x)f(t)dt=-xÜ`+xÛ`+ax+b에서
근과 0을 근으로 가질 때
‌이차함수 y=xÛ`+ax+b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가 음수이고

:!/ tf(t)dt-x:!/ f(t)dt=-xÜ`+xÛ`+ax+b


y절편이 0 이상이므로
a>0, b¾0이고 D=aÛ`-4b>0
x:!/ f(t)dt의 미분은
위의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b=15-a를 대입하면 aÛ`+4a-60>0에서
곱의 미분법을 따른다.
xf(x)-:!/ f(t)dt-x f(x)=-3xÛ`+2x+a (a+10)(a-6)>0
yy ㉠
:!/ f(t)dt=3xÛ`-2x-a
a<-10 또는 a>6
또한 15-a¾0이므로 aÉ15 yy ㉡
㉠, ㉡의 공통 범위는 6<aÉ15
위의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정적분을 활용하여 함숫값을 구한다.
0=1-a, a=1
a+b=0에서 b=-1 Ú, Û에서 -10ÉaÉ15이고

:_1! f(x)dx=:_1! (xÜ`+axÛ`+bx)dx=2:)1 axÛ`dx


x=3을 대입하여 값을 구한다.

따라서 :!/ (t-x)f(t)dt=-xÜ`+xÛ`+x-1이므로 양변에 x=3을


=2[;3A;xÜ`]1)=;3@; a
대입하면 

:!3 (t-3)f(t)dt=-27+9+3-1=-16
이므로 최댓값은 a=15일 때 10이고, 최솟값은 a=-10일 때 -:ª3¼: 

직선 y=;3@; a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므로


  -16
a=15에서 최댓값, a=-10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0+{-:ª3¼:}=:Á3¼:

  :Á3¼:

정답과 풀이 95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5 2017-11-02 오후 3:34:54


정답과 풀이

54 55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g(x)를

g(x)=:)/ f(t)dt라 하자.   f(0)>0, f '(0)<0이고 방정식


(가) f '(0)=0
(나) ‌양수 t와 실수 s에 대하여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g(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y=x는 서로 다른 세 점 O(0, 0), P(t, t), Q(s, s)에서 만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난다. f(x)-x=x(x-t)(x-s) 보기

:)t f(x)dx=0일 때, f(4)의 값을 구하시오.


ㄱ. 방정식 g(x)=0은 x=0을 중근으로 갖는다.
40 ㄴ. ‌방정식 f(x)-g(x)=0을 만족시키는 양수 x가 존재한다.
ㄷ. ‌방정식 g(x)+ f(x)=0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풀이전략
① ㄱ ② ㄴ ③ ㄱ, ㄷ
조건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위치 관계를 추론하여 관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계식을 세운다.
문제풀이
풀이전략
도함수를 활용하여 f(x)를 구한다.
삼차함수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조건은 극댓값 또는 극솟값이 0인 것이다.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는 서로 다른 세 점 O(0, 0),
문제풀이
P(t, t), Q(s, s)에서 만나므로
삼차함수 g(x)의 개형을 이해한다.
 f(x)-x=x(x-t)(x-s)
 f(x)=x(x-t)(x-s)+x  g(x)=:)/ f(t)dt에서 g '(x)=f(x)이므로 g(x)는 최고차항의 계수
 f(x)=xÜ`-(t+s)xÛ`+(ts+1)x
가 ;3!;인 삼차함수이다. 
이때  f '(x)=3xÛ`-2(t+s)x+ts+1이므로

 f '(0)=0에서 s=-;t!;  g(0)=:)0 f(t)dt=0이므로 x=0은 방정식 g(x)=0의 한 실근이고

방정식 g(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하나의 실근과 중근


따라서 f(x)=x(x-t){x+;t!;}+x=xÜ`+{-t+;t!;}xÛ`
을 갖는다.
정적분을 활용하여 함숫값을 구한다. 방정식 g(x)=0의 0이 아닌 실근을 a라 하면

:)t f(x)dx=:)t [xÜ`+{-t+;t!;}xÛ`]dx  g(x)=;3!;xÛ`(x-a) 또는 g(x)=;3!;x(x-a)Û`

=[;4!;xÝ`+;3!;{-t+;t!;}xÜ`]t) Ú g(x)=;3!;xÛ`(x-a)일 때

=;4!;tÝ`-;3!;tÝ`+;3!;tÛ` f(x)=xÛ`-;3@;ax이므로

=-;1Á2;tÝ`+;3!;tÛ` f(0)=0 (모순)

Û g(x)=;3!;x(x-a)Û`일 때
이므로 -;1Á2;tÝ`+;3!;tÛ`=0에서
aÛ`
-;1Á2;tÛ`(t+2)(t-2)=0 f(x)=xÛ`-;3$;ax+ 이므로
3
t>0이므로 t=2 aÛ`
 f(0)= >0
3
따라서 f(x)=xÜ`-;2#;xÛ`이므로
aÛ`
Ú, Û에서 g(x)=;3!;x(x-a)Û`, f(x)=xÛ`-;3$;ax+
 f(4)=64-24=40 3

  40 ㄱ. ‌방정식 g(x)=0, 즉 ;3!;x(x-a)Û`=0은 x=a (a+0)를 중근으로

갖는다. (거짓) 

ㄴ. f '(x)=2x-;3$;a이고 f '(0)=-;3$;a<0이므로 a>0

또한 방정식 f(x)-g(x)=0에 x=a를 대입하면 f(a)=0,  


 g(a)=0이므로  
 f(a)-g(a)=0 (참)

9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6 2017-11-02 오후 3:34:54


=[2tÛ`]4#+[;3!;tÜ`]5$
삼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질 조건을 구한다.
aÛ`
ㄷ.  g(x)+ f(x)=;3!;x(x-a)Û`+{xÛ`-;3$;ax+ }
-:¤3¢:}
3 125
=(32-18)+{
3
a
=;3!;x(x-a)Û`+(x-a){x- }
3 =14+:¤3Á:
a
=(x-a)[;3!;x(x-a)+{x- }] =:;!3):#;
3
a  :;!3):#;
=(x-a)[;3!;xÛ`-{;3!;a-1}x- ] 
3

=;3!;(x-a){xÛ`-(a-3)x-a}

h(x)=xÛ`-(a-3)x-a라 하면
h(a)=a2-a2+3a-a=2a+0 (a>0) 57
이므로 a는 방정식 h(x)=0의 근이 아니다. 연속함수 f(x)의 도함수 f '(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이 직선과,

또한 방정식 h(x)=0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대칭축의 방정식이 x=1인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일부분으로 이루

D=(a-3)Û`+4a=a2-2a+9=(a-1)Û`+8>0 어져 있다.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이므로 h(x)=0은 x+a인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f(-1)+ f(2)의 값을 구하시오. -;2#;

따라서 방정식 g(x)+ f(x)=0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가) f(-2)=0 함수를 구체적으로 결정할 때, 주어진 조건에
 x=a와 h(x)=0을 만족하는 (참) 의하여 미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f(x) 함수 f(x)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a가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 (나) lim =1
x`Ú1 x-1
 f(1)의 값을 알 수 있다.
 ④
y
2
y=f '(x)

56 -1 O 1 x
2 
함수 f(x)=|x|와 양수 t에 대하여 닫힌구간 [-4t, t ]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을 g(t)라 할 때, :#5 g(t)dt의 값을 구하시오. ;:!3):#;

풀이전략

풀이전략 함수 f(x)가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의 연속의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x=-4t, x=tÛ`일 때의 f(x)의 값을 비교하여 g(t)를 정의한다. 구한다.

문제풀이 문제풀이

함수 g(t)를 정의한다. 함수의 미분가능성과 연속성을 이용하여 그래프가 지나는 점을 찾는다.

x=-4t, x=tÛ`에서의 f(x)의 값은 f(x)


lim  =1에서 lim(x-1)=0 이므로
x`Ú1 x-1 x`Ú1
 f(-4t)=|-4t|=4t (t>0)
lim f(x)=0
 f(tÛ`)=|tÛ`|=tÛ` x`Ú1

따라서 닫힌구간 [-4t, tÛ` ]에서 f(x)의 최댓값은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4t 또는 tÛ`이다. x¾0에서 f(x)는 증가하고,  f(1)=lim f(x)=0


x`Ú1

Ú ‌tÛ`¾4t, 즉 t¾4일 때 x<0에서


  f(x)는 감소한다. 함수 f(x)가 연속이므로 함숫값과 극한값이 같다
 g(t)=tÛ`  f(x)  f(x)-f(1)
따라서 lim =lim =f '(1)=1이므로
x`Ú1 x-1 x`Ú1 x-1
Û ‌tÛ`<4t, 즉 0<t<4일 때  
함수 f(x)가 미분가능하므로 주어진 극한은
 g(t)=4t
미분계수의 정의와 같다.
구간을 나누어 정적분을 계산한다.  f '(x)의 그래프의 직선의 연장선은 두 점 (-1, 2), (0, 1)을 지나고
Ú, Û에 의하여 이차함수의 부분은 점 (1, 1)을 꼭짓점으로 갖는다.

:#5 g(t)dt=:#4 g(t)dt+:$5 g(t)dt x의 값에 따라 함수가 다르므로 범위를 구분하여 함수를 결정한다.
Ú x<0일 때
=:#4 4tdt+:$5 tÛ`dt f '(x)=-x+1이므로

정답과 풀이 97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7 2017-11-02 오후 3:34:55


정답과 풀이

f(x)‌=: f '(x)dx 내신 상위 4% of 4% 본문 89쪽

=: (-x+1)dx

=-;2!;x2+x+CÁ (CÁ은 적분상수)


58
닫힌구간 [0, 10]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
f(-2)=0 이므로 -4+CÁ=0, CÁ=4 다.

따라서 f(x)=-;2!;xÛ`+x+4
(가) ‌0ÉnÉ10인 정수 n에 대하여 함수  f(x)의 그래프는 점
Û x>0일 때 (n, nÛ`)을 지난다.
f '(x)=a(x-1)Û`+1 (a<0)이라 하면 (나) ‌1ÉkÉ10인 자연수 k에 대하여 닫힌구간 [k-1, k]에서 함
이차함수의 축의 방정식이 x=1이므로 f(1)=1임을 고려하여 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 또는 -1인 이차함수의 일부
이차함수의 식을 세운다. 최고차항의 계수가 달라짐에 따라 이차함수의
이다.
구간에서의 정적분 값의 변화를 추론한다.
 f(x)=: f '(x)dx=: {a(x-1)Û`+1}dx
:)9 f(x)dx=244일 때, :)6 f(x)dx의 최댓값은 M, 최솟값은
=: (axÛ`-2ax+a+1)dx
m이다. M+m의 값을 구하시오.. 145
=;3A;xÜ`-axÛ`+(a+1)x+Cª (Cª는 적분상수)

 f(1)=0이므로 ;3A;-a+a+1+Cª=0 문항 파헤치기


‌함수 f(x)가 이차함수의 일부로 주어지는 조건을 파악하고 구간에 따른 함수
Cª=-1-;3A;
f(x)를 결정하기
따라서  f(x)=;3A;xÜ`-axÛ`+(a+1)x-1-;3A;
실수 point 찾기
함수 f(x)가 연속임을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결정한다.
‌닫힌구간 [k-1, k]에서 k의 값에 따라 함수 f(x)를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지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를 조사한다.
lim  f(x)= lim {-;2!;xÛ`+x+4}=4
x`Ú0- x`Ú0-

lim  f(x)= lim [;3A;xÜ`-axÛ`+(a+1)x-1-;3A;]=-1-;3A;


풀이전략
x`Ú0+ x`Ú0+
두 점을 지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한다.
에서 -1-;3A;=4, a=-15 문제풀이

함수 f(x)가 연속이므로 극한값이 존재하고 좌극한과 직선과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을 이용하여 이차함수의 식을
우극한이 같아야 한다. 구한다.
따라서 x>0일 때 f(x)=-5xÜ`+15xÛ`-14x+4 1ÉkÉ10인 자연수 k에 대하여 닫힌구간 [k-1, k]에서 두 점
( (k-1, (k-1)Û`), (k, kÛ`)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2!;xÛ`+x+4 (x<0) kÛ`-(k-1)Û`
즉,  f(x)={ 이므로 y=(2k-1)x-kÛ`+k이므로 y-kÛ`= (x-k)
k-(k-1)
9 -5xÜ ` +15xÛ ` -14x+4 (x¾0) Ú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를 g(x)라 하면
f(-1)+f(2)=;2%;-4=-;2#; g(x)-{(2k-1)x-kÛ`+k}={x-(k-1)}(x-k)
함수 y=g(x)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x좌표는 k-1, k이다.
  -;2#;
g(x)‌={x-(k-1)}(x-k)+{(2k-1)x-kÛ`+k}  
=xÛ`
따라서

:Kk_! xÛ`dx=[;3!;xÜ`]kK_!

=;3!;{kÜ`-(k-1)Ü`}

=;3!;(3kÛ`-3k+1)

=kÛ`-k+;3!;

Û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를 h(x)라 하면


h(x)-{(2k-1)x-kÛ`+k}=-{x-(k-1)}(x-k)

9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8 2017-11-02 오후 3:34:55


07
h(x)‌=-{x-(k-1)}(x-k)+{(2k-1)x-kÛ`+k}
=-xÛ`+(4k-2)x-2kÛ`+2k
정적분의 활용
따라서

:Kk_! {-xÛ`+(4k-2)x-2kÛ`+2k}dx 내신 기출 우수 문항 본문 92~95쪽

=[-;3!;xÜ`+(2k-1)xÛ`+(-2kÛ`+2k)x]kK_! 01 ① 02 ② 03 ④ 04 ③ 05 ③
06 ④ 07 ② 08 ③ 09 ② 10 ①
=-;3!;kÜ`+(2k-1)kÛ`+(-2kÛ`+2k)k
11 ④ 12 ;9*; 13 ① 14 6 15 ③
-[-;3!;(k-1)Ü`+(2k-1)(k-1)Û`+(-2kÛ`+2k)(k-1)]
16 ⑤ 17 ④ 18 ③ 19 ④ 20 ①
=kÛ`-k+;3@;
21 ③ 22 ;1#2&; 23 3
즉, 닫힌구간 [k-1, k]에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를 선
택하여 적분한 값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를 선택하여 적분
01 f(x)=xÜ`-x|x|라 하면
한 값보다 ;3!; 크다.  xÜ`-xÛ` (x¾0)
f(x)=à
xÜ`+xÛ` (x<0)
kÛ`-k+;3@;-{kÛ`-k+;3!;}=;3!;
이고, f(-1)=f(0)=f(1)=0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조건에 맞게 함수를 선택한다.

:)9 xÛ`dx=[;3!;xÜ`]9)=243이므로 :)9 f(x)dx=244가 되려면 9개의 구


같다.
y
y=f(x)
간 에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를 6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를 3개 선택해야 한다. ;3!;_3=1

따라서  :)6 f(x)dx의 값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를 3개, 최


-1 O 1 x

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를 3개 선택할 때 최대이고, 최고차항 따라서 곡선 y=xÜ`-x|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_1! | f(x)|dx=:_0! (xÜ`+xÛ`)dx+:)1 (-xÜ`+xÛ`)dx


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를 6개 선택할 때 최소이다.

즉, :)6 xÛ`dxÉ:)6 f(x)dxÉ:)6 xÛ`dx+;3!;_3


=[;4!; xÝ`+;3!; xÜ`]0_!+[-;4!; xÝ`+;3!; xÜ`]1)
이때 :)6 xÛ`dx‌=[;3!;xÜ`]6)=72이므로
=0-{;4!;-;3!;}+{-;4!;+;3!;}-0
72É:)6 f(x)dxÉ73
=;1Á2;+;1Á2;=;6!;
따라서 M+m=73+72=145
  145  ①

02 f(x)=x(x-3)Û`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O 3 x

Ú x¾0인 경우
 f(|x|)=f(x)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f(x)
의 그래프와 같다.
Û x<0인 경우
 f(|x|)=f(-x)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와 같다.

정답과 풀이 99

해 82-99 올림포스(고난도)_수2_06강-오1.indd 99 2017-11-02 오후 3:34:56


정답과 풀이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그림과 같이 곡선 y=xÛ`과 직선 x=-1, y=4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y
y=f(|x|)
를 SÁ, 세 직선 x=-1, y=4, y=x+2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ª
라 하고 구하는 부분의 넓이를 S라 하면
S=SÁ+Sª

-3 O 3 x SÁ=:_-@1 (4-xÛ`)dx=[4x-;3!; xÜ`]-_1@

위의 그림에서 어두운 두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4+;3!;}-{-8+;3*;}
하면

S=2:)3 (xÜ`-6xÛ`+9x)dx =;3%;

=2 [;4!; xÝ`-2xÜ`+;2(;xÛ`]3) Sª=;2!;_3_3=;2(;

=2 {:¥4Á:-54+:¥2Á:} 따라서 S=;3%;+;2(;=:£6¦:

 ③
=:ª2¦:

 ②
05 곡선 y=-xÛ`+4x와 직선 y=2x의 교점의 x좌표는
-xÛ`+4x=2x에서 x(x-2)=0
03 함수 y='Äx+3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함 x=0 또는 x=2
수의 그래프는 함수 y='§x 의 그래프와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 따라서 구하는 두 부분의 넓이의 합을 S라 하면
면 S는 곡선 y='§x 와 x축 및 직선 x=9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같
S=:)2 {(-xÛ`+4x)-2x}dx+:@4 {2x-(-xÛ`+4x)}dx
다.
y =:)2 (-xÛ`+2x)dx+:@4 (xÛ`-2x)dx

=[-;3!; xÜ`+xÛ`]2)+[;3!; xÜ`-xÛ`]4@
y=1x
3

={-;3*;+4}+{:¤3¢:-16}-{;3*;-4}
O 9 x

또한 y='§x 에서 x=yÛ`이고 '9=3이므로 곡선 x=yÛ`과 y축 및 직선


=;3$;+:Á3¤:+;3$;
y=3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 '이라 하면
=8
S=27-S '=27-:)3 yÛ`dy  ③

=27-[;3!; yÜ`]3)
참고 그림에서 SÁ의 넓이와 Sª의 넓이 y
x=4
y=2x
가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8
=27-9=18
S=;2!;_8_2=8
 ④ SÁ


x

04 곡선 y=xÛ`과 직선 y=x+2의 교점의 x좌표는 O 2 4


y=-xÛ`+4x
xÛ`=x+2에서 xÛ`-x-2=0
(x+1)(x-2)=0
x=-1 또는 x=2 06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 g(x)이므로 주어진 도형의 넓이는
따라서 곡선 y=xÛ`과 직선 y=x+2는 두 점 (-1, 1), (2, 4)에서 만 :)t { f(x)-g(x)}dx=tÜ`+2tÛ`+3t
난다.
위의 식의 양변에 t=3을 대입하면

:)3 { f(x)-g(x)}dx=27+18+9=54
y
y=xÛ
4 y=x+2

즉, :)3 f(x)dx-:)3 g(x)dx=54


y=4
SÁ Sª

1 이때 :)3 f(x)dx=73이므로 :)3 g(x)dx=19


-2
-1 O 2 x
g(x)¾0이므로 곡선 y=g(x)와 두 직선 x=0, x=3으로 둘러싸인

10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0 2017-11-06 오후 2:32:03


도형의 넓이는 19이다.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y y=xÛ`-4x+5

 ④ S=:)3 {(xÛ`-4x+5)-(2x-4)}dx y=2x-4

2
07 g(x)=f(x)+k이고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는 두 곡선 =:)3 (xÛ`-6x+9)dx

=[;3!; xÜ`-3xÛ`+9x]3)
y=f(x), y=g(x)와 두 직선 x=-1, x=5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O 2 3 x

이므로

S=:_5! { g(x)-f(x)}dx=:_5! { f(x)+k-f(x)}dx


=(9-27+27)-0 -4

=9

=:_5! kdx=[kx]5_!  ②

=5k-(-k)
=6k=27
10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a, aÜ`-2a)이다.
f(x)=xÜ`-2x라 하면 f '(x)=3xÛ`-2이므로
따라서 k=;2(;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a)=3aÛ`-2
 ② 곡선 y=xÜ`-2x 위의 점 (a, aÜ`-2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aÜ`-2a)=(3aÛ`-2)(x-a)

08 f(x)=xÜ`+3xÛ`에서 y=(3aÛ`-2)x-2aÜ`
f '(x)=3xÛ`+6x 이 직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2=-2aÜ`, aÜ`+1=0
xÜ`+3xÛ`=3xÛ`+6x에서 (a+1)(aÛ`-a+1)=0
xÜ`-6x=0 이때 방정식 aÛ`-a+1=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4<0이므로
x(x-'6 )(x+'6 )=0 a=-1
x=-'6  또는 x=0 또는 x='6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x+2이다.
두 함수 y=f(x), y=f '(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곡선과 접선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Ü`-2x=x+2에서
y xÜ`-3x-2=0, (x+1)Û`(x-2)=0
x=-1 또는 x=2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y y=xÜ`-2x

S=:_2! {(x+2)-(xÜ`-2x)}dx
y=f`'(x) y=f(x) y=x+2

=:_2! (-xÜ`+3x+2)dx
-2 2
-3
16 x

=[-;4!; xÝ`+;2#; xÛ`+2x]2_!
O -2 O
-16 -1 2 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4+6+4)-{-;4!;+;2#;-2}
'6
|(xÜ`+3xÛ`)-(3xÛ`+6x)|dx
-'6

=:
'6
|xÜ`-6x|dx =6-{-;4#;}=:ª4¦:
-'6

=: 0 (xÜ`-6x)dx+: ) (6x-xÜ`)dx
'6  ①
-'6

=[;4!; xÝ`-3xÛ`]0  +[3xÛ`-;4!; xÝ`]) 11 곡선 y=(x-1)Û`과 곡선 


'6 y
-'6
y=-a x(x-1)로 둘러싸인 부분 A의
=0-(9-18)+(18-9)-0 넓이와 곡선 y=(x-1)Û`과 곡선 B
=18 y=-ax(x-1)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부 A
y=(x-1)Û
C
 ③ 분 B의 넓이가 같으므로 두 곡선 O 1 x
y=(x-1)Û`, y=-ax(x-1)과 x축으
09 y=xÛ`-4x+5에서 y'=2x-4이므로 점 (3, 2)에서의 접선의 기
y=-ax(x-1)
로 둘러싸인 부분을 C라 하면
울기는 2이다.
(A의 넓이)+(C의 넓이)=(B의 넓이)+(C의 넓이)

즉, :)1 (x-1)Û`dx=:)1`{-ax(x-1)}dx이므로
따라서 곡선 y=xÛ`-4x+5 위의 점 (3,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2(x-3), y=2x-4

정답과 풀이 101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1 2017-11-06 오후 2:32:05


정답과 풀이

:)1`{(xÛ`-2x+1)-(-axÛ`+ax)}dx y

y=xÛ`-4x
=:)1 {(a+1)xÛ`-(a+2)x+1}dx

 xÛ`+x]1)
a+1 a+2
=[  xÜ`- B
3 2
O 4 x
A
a+1 a+2 x=k
= - +1
3 2
그림과 같이 어두운 두 부분을 각각 A, B라 하면 A, B의 넓이가 같으
=-;6!;a+;3!;=0 므로

:)k (xÛ`-4x)dx=[;3!; xÜ`-2xÛ`]k)
따라서 a=2
 ④
=;3!; kÜ`-2kÛ`

12 곡선 y=3xÛ`-4x+a는 직선 x= ;3@;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닫힌구 =;3!; kÛ`(k-6)=0

간 [0,  ;3@;]에서 그림과 같이 곡선 y=3xÛ`-4x+a와 x축 및 직선 k>4이므로 k=6


 6
x= ;3@;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도형 A의 넓이는 같다.
y
y=3xÛ`-4x+a
15 구하는 넓이 SÁ과 Sª는 그림과 같다.
y

;3@;
x y=xÛ`-ax
O

즉, :) (3xÛ`-4x+a)dx=0이므로
;3@; O SÁ a 2 x

x=2

[xÜ`-2xÛ`+ax]) =0 SÁ=-:)a (xÛ`-ax)dx=-[;3!; xÜ`-;2A; xÛ`]a)


;3@;

;2¥7;-;9*;+;3@; a=0 =-{;3!; aÜ`-;2!; aÜ`}

따라서 a=;9*; =;6!; aÜ`

  ;9*; Sª=:A2 (xÛ`-ax)dx=[;3!; xÜ`-;2A; xÛ`]2A

={;3*;-2a}-{;3!; aÜ`-;2!; aÜ`}
13 그림에서 어두운 부분의 두 도형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4 {-(x-4)(x-a)}dx=0 =;6!; aÜ`-2a+;3*;

:)4 {-xÛ`+(a+4)x-4a}dx 이므로 SÁ+Sª=;3!; aÜ`-2a+;3*;

xÛ`-4ax]4)
a+4 S(a)=SÁ+Sª라 하면 S '(a)=aÛ`-2이고,
=[-;3!; xÜ`+
2   S '(a)=0에서 aÛ`-2=0
=-:¤3¢:+(8a+32)-16a=0 a=-'2 또는 a='2
0<a<2에서 함수 S(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8a=:£3ª:
a (0) y '2 y (2)
따라서 a=;3$; S '(a) - 0 +
S(a) ↘ 극소 ↗
 ①
따라서 함수 S(a)는 a='2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구하는 a의 값은
14 곡선 y=|xÛ`-4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함수 '2이다.
y=xÛ`-4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같다.  ③

10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2 2017-11-06 오후 2:32:06


16 함수 y=f(x)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 =(-27+27+27)+(64-48-36)

하여 대칭이므로 그림에서  :!4 f(x)dx는 A부분의 넓이와 같고,


-(27-27-27)
=27-20+27=34 (참)

:!8 g(x)dx는 B부분의 넓이와 같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y
y=f(x)
8

19 물체의 t초 후의 높이를 h(t)라 하면


B
h(t)=h(0)+:)t (20-12t)dt

1 A =20+[20t-6tÛ`]t)
O 1 4 x
=20+20t-6tÛ`

따라서 :!4 f(x)dx+:!8 g(x)dx=4_8-1_1=31


따라서 h(4)=20+80-96=4
 ④
 ⑤

20 t=0에서 t=6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v(t)의 그래프와 t축으


17 f(x)=xÜ`+2x-2에서 f(1)=1, f(2)=10이고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구하는 거리를 s라 하면
 f '(x)=3xÛ`+2>0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s=;2!;_(1+3)_3+;2!;_3_3

=:ª2Á:
y
y=f(x)
10

 ①

21 출발 후 t=8일 때의 점 P의 위치가 5이므로


;2!;_(1+3)_k+;2!;_2_k-;2!;_3_2=5
1 A
O 1 2 x 3k-3=5

:!2 f(x)dx는 그림의 A부분의 넓이와 같고, g(x)가 f(x)의 역함수이


따라서 k=;3*;

 ③
므로 :!1`0 g(x)dx는 그림의 B부분의 넓이와 같다. 

따라서 :!2 f(x)dx+:!1`0 g(x)dx=2_10-1_1=19


22 x=2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f '(2)=6
 (가)
 ④
 f(x)=xÜ`-xÛ`+ax에서
 f '(x)=3xÛ`-2x+a이므로
18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f '(2)=12-4+a=6
v(t)=x '(t)=3tÛ`-6t-9
따라서 a=-2이고
ㄱ. v(3)=27-18-9=0이므로 출발 후 3초 후의 속력은 0이다. (참)
 f(x)=xÜ`-xÛ`-2x =x(x+1)(x-2)
ㄴ. v(t)=3tÛ
‌ `-6t-9=3(t+1)(t-3)에서 v(t)=0을 만족하는 양수
 (나)
t의 값은 3이고, t=3의 좌우에서 v(t)의 부호가 변하므로 운동 방향
이 바뀐다. y y=f(x)
즉, 점 P는 움직이는 동안 운동 방향을 한 번 바꾼다. (거짓)
ㄷ. 점 P가 출발 후 4초 동안 움직인 거리는

:)4 |v(t)|dt=:)4 |3tÛ`-6t-9|dt -1 O 2 x

=:)3 (-3tÛ`+6t+9)dt+:#4 (3tÛ`-6t-9)dt

=[-tÜ`+3tÛ`+9t]3)+[tÜ`-3tÛ`-9t]4#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정답과 풀이 103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3 2017-11-06 오후 2:32:07


정답과 풀이

S=:_0! (xÜ`-xÛ`-2x)dx+:)2 (-xÜ`+xÛ`+2x)dx


상위
내신 7% 고득점 문항 본문 96~99쪽

=[;4!; xÝ`-;3!; xÜ`-xÛ`]0_!+[-;4!; xÝ`+;3!; xÜ`+xÛ`]2) 24 ④ 25 ② 26 ③ 27 ⑤ 28 ④
=0-{;4!;+;3!;-1}+{-4+;3*;+4}-0 29 ① 30 ② 31 ;2#; 32 ;3@; 33 60
=;1°2;+;3*; 34 ;3$; 35 ① 36 ② 37 ③ 38 ③
=;1#2&; 39 ③ 40 62 41 ⑤ 42 ;1$6(; 43 108

24  f(x)=:_/? g(t)dt
 (다)

  ;1#2&;
=:_/? (3-2|t|)dt
단계 채점 기준 비율
(가) 접선의 기울기를 구한 경우 30`% =2:)/ (3-2|t|)dt
(나) 함수 f(x)의 식을 구한 경우 40`%
Ú x¾0일 때
(다) 넓이를 옳게 구한 경우 30`%
 f(x)=2:)/ (3-2t)dt
23
=2 [3t-tÛ`]/)
y=xÛ`에서 y '=2x이므로 곡선 y=xÛ` 위의 점 (a, aÛ`)에서의 접선
의 방정식은
y-aÛ`=2a(x-a)
=-2xÛ`+6x
y=2ax-aÛ`
Û x<0일 때
 (가)
 f(x)=2:)/ (3+2t)dt
a>0이므로 곡선 y=xÛ`과 직선 l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a {xÛ`-(2ax-aÛ`)}dx =2 [3t+tÛ`]/)

=2xÛ`+6x
 (나)
Ú, Û 에 의하여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a (xÛ`-2ax+aÛ`)dx y

=[;3!; xÜ`-axÛ`+aÛ`x]a)
y=-2xÛ`+6x`(x¾0)

-3 O 3 x
=;3!; aÜ`-aÜ`+aÜ`
y=2xÛ`+6x`(x<0)
=;3!; aÜ`=9

따라서 a=3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다) S=-:_0# (2xÛ`+6x)dx+:)3 (-2xÛ`+6x)dx

=-[;3@; xÜ`+3xÛ`]0_#+[-;3@; xÜ`+3xÛ`]3)
 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8+27)+(-18+27)
(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경우 30`%
=18
곡선 y=xÛ`과 직선 l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나) 40`%  ④
를 식으로 나타낸 경우
(다)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2x  (0ÉxÉ1)
25 f(x)=à 2 (1ÉxÉ2)
이므로

g(x)=(f ç f)(x)=f(f(x))
2 f(x)  (0Éf(x)É1)

2 (1Éf(x)É2)

10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4 2017-11-06 오후 2:32:07


( 4x  {0ÉxÉ;2!;}  f(x)=xÛ`+1이라 하면  f '(x)=2x이므로
={ x=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a)=2a
9 2 {;2!;ÉxÉ2} 즉, 접점 (a, aÛ`+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0ÉxÉ2에서 g(x)¾0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y-(aÛ`+1)=2a(x-a)

:)2 |g(x)|dx=:)2 g(x)dx


y=2ax-aÛ`+1
이 직선이 점 (1, -2)를 지나므로

=:) 4xdx+: 2 2dx


;2!;
-2=2a-aÛ`+1
;2!;

=[2xÛ`] )`+[2x]2
aÛ`-2a-3=0, (a+1)(a-3)=0
;2!;
a=-1 또는 a=3
;2!;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2!;+(4-1)=;2&; y=-2x 또는 y=6x-8
 ② 이때 곡선 y=xÛ`+1과 직선 y=-2x가 만나는 점의 좌표는 (-1, 2)
이고, 곡선 y=xÛ`+1과 직선 y=6x-8이 만나는 점의 좌표는 (3, 10)
26 조건 (가)에서  f '(x)=3(x+1)(x-3)이므로 이다.
y=xÛ`+1 y
 f(x)=:  f '(x)dx
10

=: (3xÛ`-6x-9)dx
y=-2x
=xÜ`-3xÛ`-9x+C (C는 적분상수)
2
 f '(x)=0에서 x=-1 또는 x=3 1
-1 O 3 x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6x-8
-2
x y -1 y 3 y
 f '(x) + 0 - 0 +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1!{(xÛ`+1)-(-2x)}dx+:!3`{(xÛ`+1)-(6x-8)}dx
 f(x) ↗ C+5 ↘ C-27 ↗

=:_1! (xÛ`+2x+1)dx+:!3 (xÛ`-6x+9)dx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C+5, x=3에서 극솟값
C-27을 가지므로
(C+5)+(C-27)=32
=2:)1 (xÛ`+1)dx+:!3 (xÛ`-6x+9)dx
2C-22=32, C=27

=2 [;3!; xÜ`+x]1)+[;3!; xÜ`-3xÛ`+9x]3!
f(x)=xÜ`-3xÛ`-9x+27=(x-3)Û`(x+3)이고 함수 y=f(x)의 그
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f(x) =2 {;3!;+1}+(9-27+27)-{;3!;-3+9}
27
=;3*;+9-:Á3»:=:Á3¤:

 ⑤

-3 -1 O 3 x

28  f(x)=axÛ`+bx+c (a, b, c는 상수, a+0)라 하자.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함수 f(x)의 그래프가 세 점 O, A, B를 지나므로
S=:_3# (xÜ`-3xÛ`-9x+27)dx  f(0)=c=0
 f(1)=a+b=1
=2:)3 (-3xÛ`+27)dx  f(2)=4a+2b=2Ç`

=2 [-xÜ`+27x]3)
따라서 a= 2n-1-1  , b=2-2n-1, c=0이고
 f(x)=(2n-1-1)xÛ`+(2-2n-1)x
=2(-27+81)=108  f '(x)=2(2n-1-1)x+(2-2n-1)
 ③ g(x)=xn이라 하면 g '(x)=nxÇ` ÑÚ`
 f '(1)= 2n-1  , g '(1)=n
27 접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접점의 좌표는 (a, aÛ`+1)이다. n>2이면  f '(1)+ g '(1)이고 두 곡선 y=f(x), y=g(x)가 x=0,

정답과 풀이 105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5 2017-11-06 오후 2:32:08


정답과 풀이

x=1, x=2인 점에서 만나므로 열린구간 (0, 1)에서  g(x)> f(x), 열 위의 식의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린구간 (1, 2)에서  f(x)>g(x)이다. 즉, 매우 작은 양수 h에 대하여  f(t)=-6tÛ`-1
 g(1-h)-f(1-h)>0,  g(1+h)-f(1+h)<0 따라서  f(a)= f(1)=-7

따라서 SÁ=Sª에서 :)2 (xÇ`-axÛ`-bx)dx=0이므로


 ②

[ -;3A; xÜ`-;2B; xÛ`]2)=0
xn+1

31 :)2`{ f(x)-x}dx=7에서
n+1
a=2n-1-1, b=2-2n-1, c=0이므로
2n+1 2Ç`
= +;3$; :)2`{ f(x)-x}dx=:)2 f(x)dx-[;2!; xÛ`]2)
n+1 3
2n+1 2Ç` =:)2 f(x)dx-2=7
;3$;>0이므로 > 이고 n<5

이므로 :)2 f(x)dx=9


n+1 3
2n+1 2Ç`
n=3일 때 = +;3$; 를 만족시키므로 구하는 자연수 n의 값

또한 :@5 {x-f(x)}dx=18에서
n+1 3
은 3이다.

:@5 {x-f(x)}dx=[;2!; xÛ`]5@-:@5 f(x)dx


n+1
2
따라서 F(n)=2n-1-1, G(n)=2n-1, H(n)= 이므로
n+1
{G(2)-F(2)}_H(3)=H(3)=4
 ④ =:ª2Á:-:@5 f(x)dx=18

이므로 :@5 f(x)dx=-:Á2°:


29 곡선 y=2xÛ`-3x-2와 직선 y=;3$; x+1의 교점의 x좌표를
따라서

:)5 f(x)dx=:)2 f(x)dx+:@5 f(x)dx


a, b (a<b)라 하면  곡선 y=2xÛ`-3x-2와 직선 y=;3$; x+1로 둘러

싸인 부분의 넓이 S는 
=9+{-:Á2°:}=;2#;
S=:òÕ [{;3$; x+1}-(2xÛ`-3x-2)]dx
  ;2#;
=:òÕ  {-2xÛ`+:Á3£: x+3}dx

한편, -2aÛ`+:Á3£: a+3=-2bÛ`+:Á3£: b+3=0이므로 S는 곡선
32 곡선 y=xÛ`과 직선 y=kÛ`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Û`=kÛ`에서
y=-2xÛ`+:Á3£: x+3 x=-k 또는 x=k이므로 양수 k에 대하여

=-2 {x-;1!2#;}2`+:£7¥2°: SÁ+Sª=:_kK (kÛ`-xÛ`)dx+:K2 (xÛ`-kÛ`)dx

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와 같고 그 넓이는 직선 x= ;1!2#;에 의 =2:)k (kÛ`-xÛ`)dx+:K2 (xÛ`-kÛ`)dx

=2[kÛ`x-;3!; xÜ`]k)+[;3!; xÜ`-kÛ`x]2K
하여 이등분된다. 

따라서 a=;1!2#;
=2 {kÜ`-;3!;kÜ`}+{;3*;-2kÛ`}-{;3!;kÜ`-kÜ`}
 ①
=2kÜ`-2kÛ`+;3*;
30 x>0일 때, f(x)<0이므로 S(k)=SÁ+Sª라 하면
조건 (나)의 도형의 넓이를 S(t)라 하면 S '(k)=6kÛ`-4k=2k(3k-2)
S(t)=:)t | f(x)|dx=-:)t f(x)dx S '(k)=0에서 k=0 또는 k=;3@;
=2tÜ`+t+1-a k>0에서 함수 S(k)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im  S(t)= lim  (2tÜ`+t+1-a)=0이어야 하므로
t`Ú0+ t`Ú0+
k (0) y ;3@; y
1-a=0, a=1

따라서 :)t f(x)dx=-2tÜ`-t


S'(k) - 0 +
S(k) ↘ 극소 ↗

10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6 2017-11-06 오후 2:32:08


따라서 함수 S(k)는 k=;3@;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구하는 양수 k 이므로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2SÁ=;3$;이다.

의 값은 ;3@;이다.    ;3$;
  ;3@;

2x+6 (xÉ6)
33  f(x)=à -3x+36 (x>6) 이고, 35 조건 (가)에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므로 그
래프의 개형을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0ÉxÉ6에서 0É g(x)É6이므로 y
0ÉxÉ6에서 ( f½g)(x)=f( g(x))=2 g(x)+6 7
닫힌구간 [0, 6]에서 곡선 y=g(x)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12이므로  :)6 g(x)dx=12


y=f(x)
C
A

따라서 2

:)6 ( f½g)(x)dx=:)6`{2g(x)+6}dx
B

O 1 4 x

=2:)6 g(x)dx+:)6 6dx 함수 y=f(x)의 그래프와 두 직선 x=1, y=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2_12+[6x]6)
를 A, 네 직선 x=1, x=4, y=0, y=2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넓이
를 B, 네 직선 x=0, x=1, y=2, y=7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넓이
를 C라 하면

:!4 f(x)dx=17=A+B=A+6이므로
=24+36=60
  60

A=11
34 두 함수 f(x), g(x)는 서로 역함수 관계에 있으므로 그림과 같이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때 :@7 g(x)dx의 값은 A+C와 같으므로

:@7 g(x)dx=11+5=16
y
2

y=f(x)
 ①

Sª y=g(x)

O 2 x 36 삼차함수 f(x)=xÜ`+axÛ`+2ax가 역함수를 가져야 하므로  f(x)


y=x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한다.
즉,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은 함수 y=f(x)  f '(x)=3xÛ`+2ax+2a에서  f '(x)¾0이어야 하므로
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만나는 점과 같으므로 두 함수 y=f(x), 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g(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좌표는 (2, 2)이고, 함수 y=f(x)의 D
=aÛ`-6aÉ0
4
그래프와 직선 y=x가 만나는 점의 좌표가 (2, 2)이므로 함수 y=f(x)
a(a-6)É0, 0ÉaÉ6
위의 점 (2, 2)에서의 접선이 직선 y=x이다.
따라서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댓값은 6이고
 f(x)=axÛ`+b (x¾0)에서  f '(x)=2ax이므로
 f(x)=xÜ`+6xÛ`+12x
 f(2)=4a+b=2,  f '(2)=4a=1
함수  f(x)의 역함수를  f -1(x)라 하면 두 함수 y=f(x)와 y=f -1(x)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b=1 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와 직선
y=-x+20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4!;xÛ`+1 (x¾0)
y
y=f(x)
y=x
한편, 위의 그림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 및 y축으로 19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Á, 함수 y=g(x)의 그래프와 직선 y=x 및 x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ª라 하면 SÁ=Sª이고

SÁ=:)2` [{;4!; xÛ`+1}-x]dx=[;1Á2; xÜ`-;2!; xÛ`+x]2)
10
y=-x+20
y=f`ÑÚ`(x)
O
=;3@;-2+2=;3@; 1 10 x

정답과 풀이 107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7 2017-11-06 오후 2:32:09


정답과 풀이

함수 y=f(x)의 그래프와 두 직선 y=x, y=-x+20으로 둘러싸인 이므로 출발 후 두 번째로 다시 만나는 시각은


-1
부분의 넓이를 SÁ, 함수 y=f  (x)의 그래프와 두 직선 y=x, tÜ`-5tÛ`=6tÛ`-24t
y=-x+20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ª라 하면 SÁ=Sª이므로 구 tÜ`-11tÛ`+24t=0
하는 넓이를 S라 하면 t(t-3)(t-8)=0에서 t=8
S=SÁ+Sª=2SÁ 또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를 d라 하면
한편, xÜ`+6xÛ`+12x=-x+20에서 d=|tÜ`-11tÛ`+24t|
xÜ`+6xÛ`+13x-20=0  f(t)=tÜ`-11tÛ`+24t라 하면
(x-1)(xÛ`+7x+20)=0  f '(t)=3tÛ`-22t+24=(3t-4)(t-6)
이므로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20은 점 (1, 19)에서 만난  f '(t)=0에서 t=;3$; 또는 t=6
다.
닫힌구간 [0, 8]에서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또한 두 직선 y=x, y=-x+20은 점 (10, 10) 에서 만난다.
같다.
함수 y=f(x)의 그래프와 두 직선 y=x, x=1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이를 S£, 세 직선 y=x, y=-x+20, x=1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t 0 y ;3$; y 6 y 8
S¢라 하면

S£=:)1` {(xÜ`+6xÛ`+12x)-x}dx
 f '(t) + 0 - 0 +

f(t) 0 ↗ :¢2¼7¼: ↘ -36 ↗ 0

=:)1 (xÜ`+6xÛ`+11x)dx
따라서 함수 f(t)는 t=;3$;에서 극댓값  :¢2¼7¼:, t=6에서 극솟값 -36을
=[;4!; xÝ`+2xÜ`+:Á2Á: xÛ`]1)
가지므로 d의 최댓값은 36 이다.

=;4!;+2+:Á2Á:=:£4Á:
 ③

S¢=;2!;_18_9=81
39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x(t)라 하면 x(0)=-4
따라서 SÁ=S£+S¢=:£4Á:+81=
355
이므로
4 x(t)=x(0)+:)t v(t)dt
355
S=2SÁ=
2 =-4+:)t 3(t-1)(t-3)dt
 ②
=-4+:)t (3tÛ`-12t+9)dt

=-4+[tÜ`-6tÛ`+9t]t)
37 t=6일 때 점 P의 위치가 원점이므로 :)6 v(t)dt=0이다.

:)6 v(t)dt=:)2` 3tÛ`dt+:@6` {a(t-2)+12}dt
=tÜ`-6tÛ`+9t-4
점 P가 원점을 지나려면 x(t)=0이므로

=[tÜ`]2)+[;2!; atÛ`-2at+12t]6@
tÜ`-6tÛ`+9t-4=0
(t-1)Û`(t-4)=0
=8+(18a-12a+72)-(2a-4a+24) t=1 또는 t=4
=8a+56=0 따라서 점 P는 t=1일 때 처음으로 원점을 지나고 t=4일 때 두 번째로
따라서 a=-7 원점을 지나므로 점 P가 원점을 처음 지날 때부터 두 번째 지날 때까지
 ③ 움직인 거리는

:!4 |3(t-1)(t-3)|dt
38 시각 t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를 각각 xP(t), xQ(t)라 하면
=:!3 (-3tÛ`+12t-9)dt+:#4 (3tÛ`-12t+9)dt

=[-tÜ`+6tÛ`-9t]3!+[tÜ`-6tÛ`+9t]4#
xP(t)=:)t (3tÛ`-10t)dt

=[tÜ`-5tÛ`]t)=tÜ`-5tÛ`
=(-27+54-27)-(-1+6-9)
xQ(t)=:)t (12t-24)dt +(64-96+36)-(27-54+27)

=[6tÛ`-24t]t)=6tÛ`-24t
=8
 ③

10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8 2017-11-06 오후 2:32:10


40 점 P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t=2일 때,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므로 ㄱ. t=0에서
‌ t=c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SÁ+Sª+S£이고,

:)2 v(t)dt=0
2Sª=SÁ+S£이므로
SÁ+Sª+S£=3Sª

:)2 v(t)dt=:)1 v(t)dt+:!2 v(t)dt에서 :!2 v(t)dt=-4이므로 이때 :Ab |v(t)|dt=Sª이므로 t=0에서 t=c까지 점 P가 움직인

:)1 v(t)dt=4 거리는  3:Ab |v(t)|dt이다. (참)

또한 t=6일 때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므로 :)6 v(t)dt=0


ㄴ. ‌속도 v(t)의 그래프에서 점 P가 방향을 바꾸는 시각은 t=a, t=b
일 때이다.
:)6 v(t)dt=:)a v(t)dt+:A6 v(t)dt에서 :)a v(t)dt=16이므로 :)a v(t)dt=SÁ>0, :)b v(t)dt=SÁ-Sª<0,

:@a v(t)dt=16, :A6 v(t)dt=-16 :)c v(t)dt=Sª>0

:A7 v(t)dt=6이므로 이므로 점 P는 t=a에서 t=b 사이에 한 번, t=b에서 t=c 사이에

:A7 v(t)dt=:A6 v(t)dt+:^7 v(t)dt에서


한 번, 총 두 번 원점을 지난다. (참)
ㄷ. ‌ㄴ에서 시각 t=a, t=b, t=c일 때의 점 P의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는 각각 SÁ, Sª-SÁ, Sª이다.
6=-16+:^7 v(t)dt
이때 SÁ<Sª이므로 점 P는 t=c일 때, 원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7 v(t)dt=22
있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따라서 t=0에서 t=7까지 점 P가 실제로 움직인 거리는  ⑤

:)7 |v(t)|dt
42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1
=:)1 v(t)dt-:!2 v(t)dt+:@a v(t)dt-:A6 v(t)dt+:^7 v(t)dt 인 사차함수 f(x)가 x=a, x=b에서 극솟값 0을 가지므로 f(x)를
=4-(-4)+16-(-16)+22 f(x)=(x-a)Û`(x-b)Û`이라 하자.
=62  (가)
  62 조건 (가)에 의하여
f(x)­=(x-a)Û`(x-b)Û`=(x+a)Û`(x+b)Û`
이므로 a+b=0, 즉 b=-a

41 :)a` |v(t)|dt=SÁ, :Ab` |v(t)|dt=Sª, :Bc` |v(t)|dt=S£이라 하면


 f(x)=(x-a)Û`(x+a)Û`=(xÛ`-aÛ`)Û`
=xÝ`-2aÛ`xÛ`+aÝ`

:)b v(t)dt=:)a v(t)dt+:Ab v(t)dt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1*0!;이므로

=SÁ-Sª<0 :_Óò (xÝ`-2aÛ`xÛ`+aÝ`)dx=2:)Ó (xÝ`-2aÛ`xÛ`+aÝ`)dx

=2 [;5!; xÞ`-  xÜ`+aÝ`x]Ó)
이므로 SÁ<Sª 2aÛ`
3
|:)b v(t)dt|=|:)a v(t)dt+:Ab v(t)dt|
=;1!5^; aÞ`=;1*0!;
=|SÁ-Sª|
=Sª-SÁ aÞ`=:ª3¢2£:이므로 a=;2#;
또한 (나)
:Ac v(t)dt=:Ab v(t)dt+:Bc v(t)dt


따라서 f(x)=xÝ`-;2(; xÛ`+;1*6!;이므로
=-Sª+S£
f(2)=16-18+;1*6!;=;1$6(;
이므로 |:)b v(t)dt|=:Ac v(t)dt에서
 (다)
Sª-SÁ=S£-Sª
따라서 2Sª=SÁ+S£   ;1$6(;

정답과 풀이 109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09 2017-11-06 오후 2:32:10


정답과 풀이

상위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내신 4% 변별력 문항 본문 100~102쪽
(가) 함수 f(x)의 식을 세운 경우 30`%
(나)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44 225
2 45 ;2(; 46 :Á3Á: 47 ;3$; 48 9
(다) f(2)의 값을 구한 경우 30`%
49 37 '2 ;1#8&; 52 :Á2¦: 53 512
6 50 51 3

43  f(x)=xÜ`-12x에서 54 ⑤ 55 3
 f '(x)=3xÛ`-12=3(x+2)(x-2)
 f '(x)=0에서 x=-2 또는 x=2
x=-2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x=-2 44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곡선 y=|xÛ`-9x+18|과 직선 y=18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225
따라서 M=f(-2)=16 구하시오. 2
 (가)
풀이전략
곡선 y=f(x)와 직선 y=M의 교점의 x좌표는 방정식 f(x)=M에서
절댓값이 있는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고 넓이를 계산한다.
xÜ`-12x=16
문제풀이
xÜ`-12x-16=0
(x+2)Û`(x-4)=0 곡선 y=|xÛ`-9x+18|과 직선 y=18을 그린다.

x=-2 또는 x=4 y=|xÛ`-9x+18|=|(x-3)(x-6)|이므로

 (나) (x-3)(x-6) (xÉ3, x¾6)


y=|xÛ`-9x+18|=à
-(x-3)(x-6) (3<x<6)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4@ {16-(xÜ`-12x)}dx
곡선 y=|xÛ`-9x+18|과 직선 y=18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Û`-9x+18=18에서 곡선 y=-xÛ`+9x-18 (3<x<6)과

=:_4@ (-xÜ`+12x+16)dx
xÛ`-9x=0 직선 y=18은 만나지 않는다.
x=0 또는 x=9

=[-;4!; xÝ`+6xÛ`+16x]4_@ 곡선 y=|xÛ`-9x+18|과 직선 y=18은 그림과 같다.


y y=|xÛ`-9x+18|
=(-64+96+64)-(-4+24-32)
18
=96-(-12)=108 y=18

 (다)
  108

단계 채점 기준 비율
(가) M의 값을 구한 경우 30`% O 3 6 9 x

(나) x=-2, x=4를 구한 경우 40`% 곡선 y=|xÛ`-9x+18|과 직선 y=18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


(다) 넓이를 옳게 구한 경우 30`% 한다.

참고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16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그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림과 같다. S=:)9 (18-|xÛ`-9x+18|)dx
y
y=f(x)
16 =:)9 (-xÛ`+9x)dx+2:#6 (xÛ`-9x+18)dx

=[-;3!;xÜ`+;2(;xÛ`]9)+2 [;3!;xÜ`-;2(;xÛ`+18x]6#
-2 O 4 x 243
+2_{-;2(;}=
225
=
2 2
곡선 y=xÛ`-9x+18과 직선 y=18로 둘러싸인 넓이에서 225
 
2
곡선 y=xÛ`-9x+18과 x축으로 둘러싸인 넓이의 2배를
뺀다.

110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0 2017-11-06 오후 2:32:11


45 46
곡선 y=-2xÛ`+6 (0ÉxÉ'3 ) 위의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 좌표평면 위의 점 P(-1, 1)에서 함수 f(x)=xÜ`-;2&; xÛ`+x+2
의 발을 Q,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R라 하자. 사각형 OQPR가 의 그래프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을 각각 Q(a, f(a)),  
정사각형일 때, 곡선 y=-2xÛ`+6  (0ÉxÉ'3 )과 직선 PR 및 y R(b, f(b)) 라 할 때, 두 선분 PQ, PR와 곡선 y=f(x)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시오. (단, O는 원점이다.) ;2(; (aÉxÉb)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시오. (단, 0Éa<b)
 :Á3Á:
풀이전략

사각형 OQPR가 정사각형이 되도록 하는 점 P의 좌표를 구한 후, 정적분을 풀이전략

활용하여 넓이를 구한다. 접점의 위치를 찾아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문제풀이 문제풀이

사각형 OQPR가 정사각형이 되도록 하는 점 P의 좌표를 구한다. 접점의 좌표를 구한다.


점 P의 좌표를 (t, -2tÛ`+6) (0ÉtÉ'3 )이라 하면 PRÓ=PQÓ일 때
f(x)=xÜ`-;2&; xÛ`+x+2에서
사각형 OQPR는 정사각형이다.
 f '(x)=3xÛ`-7x+1
즉, t=-2tÛ`+6이어야 하므로
2tÛ`+t-6=0 점 P의 x좌표와 y좌표가 같다. 접점의 좌표를 {t, tÜ`-;2&; tÛ`+t+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
(t+2)(2t-3)=0 식은
0ÉtÉ'3이므로 t=;2#;  y-{tÜ`-;2&; tÛ`+t+2}=(3tÛ`-7t+1)(x-t)

따라서 P {;2#;, ;2#;}, Q {;2#;, 0}, R {0, ;2#;}이다. 이 직선이 점 P(-1, 1)을 지나므로

1-{tÜ`-;2&; tÛ`+t+2}=(3tÛ`-7t+1)(-1-t)
곡선 y=-2xÛ`+6 (0ÉxÉ'3 )과 직선 PR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부
분의 넓이를 구한다. 4tÜ`-tÛ`-14t=0
t(t-2)(4t+7)=0
직선 PR의 방정식이 y=;2#;이므로 곡선 y=-2xÛ`+6 (0ÉxÉ'3 )
t=-;4&; 또는 t=0 또는 t=2
과 직선 y=;2#;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그림과 같다. 
접점의 x좌표가 0보다 크거나 같은 점이 각각 Q(a, f(a)),
y R(b, f(b)) (a<b)이므로
y=-2xÛ`+6
Q(0, 2), R(2, -2) f(0)=2, f(2)=-2

곡선 y=f(x)와 직선 PQ, 직선 PR를 그려 넓이를 구한다.


곡선 y=f(x)와 직선 PQ, 직선 PR는 그림과 같다.
R P y=;2#;
y
13
O Q x y=f(x)

Q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2xÛ`+6)-;2#;]dx=:)  {-2xÛ`+;2(;}dx


P
;2#; ;2#; 2
-1 O x

=[-;3@; xÜ`+;2(; x])
;2#; R

직선 PR는 원점을 지나므로 선분 PQ, 선분 PR와 곡선


=-;4(;+:ª4¦:=;2(;
y=f(x) (0ÉxÉ2)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삼각형 OQP의 넓이
와 선분 OR, 곡선 y=f(x) (0ÉxÉ2)와 y축으로 둘러싸인 넓이의
  ;2(;
합과 같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2!;_2_1+:)2`{ f(x)-(-x)}dx
직선 PR의 방정식은 y=-x

=;2!;_2_1+:)2 {xÜ`-;2&; xÛ`+2x+2}dx

정답과 풀이 111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1 2017-11-06 오후 2:32:12


정답과 풀이

=1+[;4!;xÝ`-;6&; xÜ`+xÛ`+2x]2) {x-;4%;}2`+;2!;=x에서

=1+{4-:ª3¥:+4+4} xÛ`-;2&;x+;1#6#;=0

=:Á3Á: {x-;4#;}{x-:Á4Á:}=0이므로 b=:Á4Á:

  :Á3Á: 곡선 C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x-{x-;4%;}2`-;2!;]dx
:Á4Á:
S=:
;4#;

47 =:
:Á4Á:
{-xÛ`+;2&;x-;1#6#;}dx
;4#;
그림과 같이 곡선 C : y=(x-a)Û`+;2!;과 직선 y=x가 서로 다른
:Á4Á:

두 점 A, B에서 만난다. 점 A를 지나 고 곡선 C에 접하는 직선과 =[-;3!;xÜ`+;4&;xÛ`-;1#6#;x]


;4#;

직선 y=x가 서로 수직일 때, 곡선 C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 163


=-;3!;_ +;4&;_7-;1#6#;_2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다. 8
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단, a>0)  ;3$; 세제곱의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y
=;3$;
1`
y=(x-a)Û`+-
2`

y=x  ;3$;
B
A
O x

48
그림과 같이 0<t<3인 실수 t에 대하여 함수 f(x)=xÛ`-6x+9
풀이전략
의 그래프 위의 점 P(t, tÛ`-6t+9)에서의 접선을 l이라 하자. 곡
두 직선이 수직일 때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임을 이용한다.
선 y=f(x)와 직선 l 및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Á, 곡선
문제풀이
y=f(x)와 직선 l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ª라 할 때,
곡선 C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한다.
SÁ+Sª의 값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t의 개수를 구하시오. 9
곡선 C : y=(x-a)Û`+;2!;과 직선 y=x의 교점 A, B의 x 좌표를 각 y y=f(x)
l
각 a, b (a<b)라 하면 
y 1`
y=(x-a)Û`+-
2`

y=x P
O 3 x
B
A
O
a b x 풀이전략

SÁ+Sª를 t에 대한 함수로 나타낸 후 함수의 그래프를 그린다.


a, b는 이차방정식 (x-a)Û`+;2!;=x의 해이므로 문제풀이

(a-a)Û`+;2!;=a yy ㉠ 접선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다.


 f(x)=xÛ`-6x+9에서
a가 방정식의 해이므로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한다.
 f '(x)=2x-6
곡선 C : y=(x-a)Û`+;2!;에서 y '=2x-2a이고 점 A에서의 접선이
따라서 점 P(t, tÛ`-6t+9)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직선 y=x에 수직이므로  y-(tÛ`-6t+9)=(2t-6)(x-t) y-f(t)= f '(t)(x-t)

2(a-a)=-1 yy ㉡ y=(2t-6)x-tÛ`+9
두 직선이 수직이고 기울기가 각각 2(a-a), 1이므로 그 곱은 -1이다. 접선 l이 x축과 만나는 점을 Q라 하면

Q {
t+3 직선 l의 방정식에 y=0을 대입한다.
㉠, ㉡에서 a=;4#;, a=;4%; , 0}
2

112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2 2017-11-06 오후 2:32:14


접선 l이 y축과 만나는 점을 R라 하면
R(0, -tÛ`+9) 직선 l의 방정식에 x=0을 대입한다. 49
따라서 삼각형 OQR의 넓이는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g(x)=:`f(x)dx라 하자. g(0)=0이고
t+3
;2!;_ _(-tÛ`+9)=-;4!;(tÜ`+3tÛ`-9t-27)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등식  f(x)`g(x)=g(x)+2xÜ`+2xÛ`이 성
2
립할 때, 다음은 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
SÁ+Sª의 넓이를 구한다.
형의 넓이를 구하는 과정이다.
SÁ+Sª=:)3 f(x)dx-(삼각형 OQR의 넓이)이므로
f(x)g(x)=g(x)+2xÜ`+2xÛ`에서
SÁ+Sª=:)3 (xÛ`-6x+9)dx+;4!; (tÜ`+3tÛ`-9t-27) { f(x)-1}g(x)=` (가)

=[;3!; xÜ`-3xÛ`+9x]3)+;4!; (tÜ`+3tÛ`-9t-27)
f(x)를 n차 함수라 하면  g(x)는 (n+1)차 함수이므로
 f(x)는 일차함수이고,  g(x)는 이차함수이다.
{ f(x)-1}g(x)는 n+(n+1)차 함수이다.
=;4!; (tÜ`+3tÛ`-9t+9)
g(x)=axÛ`+bx (a, b는 상수, a+0)라 하면
SÁ+Sª의 그래프를 그리고 실수 t의 개수를 구한다. (나) _xÜ`+(3ab-a)xÛ`+b(b-1)x=2xÜ`+2xÛ`
위의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g(t)=;4!; (tÜ`+3tÛ`-9t+9)라 하면
(나) =2, 3ab-a=2, b(b-1)=0``
따라서 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g '(t)=;4!; (3tÛ`+6t-9)
는 (다) 이다.

=;4#; (t+3)(t-1)
위의 과정에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을 각각 F(x), G(a), (다)
이므로 0<t<3에서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에 알맞은 수를 p라 할 때, F(1)+G(1)+p의 값을 구하시오. :£6¦:
과 같다.

t (0) y 1 y (3) 풀이전략

g '(t) - 0 + 함수 f(x)와 g(x)의 차수를 파악하고 미정계수를 결정한다.

g(t) ↘ 1 ↗ 문제풀이

두 함수 f(x), g(x)의 차수를 결정한다.


따라서 함수 g(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f(x)g(x)=g(x)+2xÜ`+2xÛ`에서
y=g(t)
9 { f(x)-1}g(x)= 2xÜ`+2xÛ`  yy ㉠
 f(x)를 n (n은 자연수)차 함수라 하면 g(x)는 (n+1)차 함수이므
로 { f(x)-1}g(x)는 n+(n+1)차 함수이다.
{ f(x)-1}은 n차 함수이고 g(x)는 (n+1)차 함수이므로
;4(;
{ f(x)-1}g(x)는 (2n+1)차 함수이다.
1
n+(n+1)=3에서 n=1
O 1 3 t
f(x)=g'(x)임을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결정한다.
직선 y=1이 함수 y=g(t)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의 개수는 1 따라서 g(x)는 이차함수이고 g(0)=0이므로
직선 y=2가 함수 y=g(t)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의 개수는 2 g(x)=axÛ`+bx (a, b는 상수, a+0)라 하면
직선 y=3, y=4, y, y=8이 함수 y=g(t)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의  f(x)=g '(x)=2ax+b
개수는 각각 1이므로 SÁ+Sª의 값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t의 이것을 ㉠에 대입하면 (2ax+b-1)(axÛ`+bx)=2xÜ`+2xÛ`
개수는 2aÛ` _xÜ`+(3ab-a)xÛ`+b(b-1)x=2xÜ`+2xÛ`
1+2+6_1=9 위의 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9 2aÛ` =2, 3ab-a=2, b(b-1)=0에서 a=b=1
따라서 g(x)=xÛ`+x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
싸인 도형의 넓이는

-:_0! (xÛ`+x)dx=-[;3!; x`Ü +;2!; x`Û ]0_!

=-{;3!;-;2!;}= ;6!;

정답과 풀이 113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3 2017-11-06 오후 2:32:15


정답과 풀이

따라서 F(x)=2xÜ`+2xÛ`, G(a)=2aÛ`, p=;6!;이므로 두 곡선 y=f(x), y=g(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라
F(1)+G(1)+p=4+2+;6!;=:£6¦: 하면
SÁ+2Sª+S£=24aÜ` 두 곡선 y=f(x), y=g(x)와 직선 x=2a로

SÁ=2:A2`a (12aÛ`-3xÛ`)dx
  :£6¦: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Sª와 같다.

=2[12aÛ`x-xÜ`]2Aa`
SÁ의 넓이는 직선 x=a에 의하여
이등분된다.

=2(24aÜ`-8aÜ`-12aÜ`+aÜ`)
50 =10aÜ`

S£=2:)a 3xÛ`dx=2[xÜ`]a)=2aÜ`
그림과 같이 두 함수 f(x)=3xÛ`, g(x)=3(x-2a)Û` (a>0)에 대
하여 곡선 y=g(x)가 y축과 만나는 점을 P, 점 P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제 1사분면 위의 곡선 y=f(x)와 만나는 점을 Q라
이므로 Sª=;2!;{24aÜ`-(10aÜ`+2aÜ`)}=6aÜ`
하자. 두 곡선 y=f(x), y=g(x)와 선분 PQ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Á, 두 곡선 y=f(x), y=g(x)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SÁ-Sª=8a이므로
넓이를 Sª라 할 때, SÁ-Sª=8a이다.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 10aÜ`-6aÜ`=8a
y=f(x)
y y=g(x) 4aÜ`=8a
따라서 a='2
 '2
P Q


O x
51
정수 a에 대하여 삼차함수 f(x)=;3!; (xÜ`-4xÛ`+ax)와 그 역함
풀이전략

두 그래프 사이의 대칭성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에 활용한다. 수 f  -1(x)가 있다. 두 곡선  y=f(x), y=f  -1(x)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날 때, 두 곡선 y=f(x), y=f  -1(x)로 둘러싸인 도
문제풀이
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1#8&;
두 점 P, Q의 좌표를 구한다.
곡선 y=g(x)가 y축과 만나는 점은 (0, 12aÛ`)이므로
풀이전략
P(0, 12aÛ`)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넓이를 구한다.
점 P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제 1사분면 위의 곡선 y=f(x)와
문제풀이
만나는 점이 Q이므로 3xÛ`=12aÛ`에서
x=2a (x>0) 미분을 활용하여 a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따라서 Q(2a, 12aÛ`)  f(x)의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f(x)의 도함수  f '(x)가
두 곡선 y=f(x), y=g(x)가 만나는 점을 R라 하면 f '(x)¾0이어야 한다. 상수함수가 아닌 다항함수 f(x)가
 f '(x)¾0 또는  f '(x)É0
3xÛ`=3(x-2a)Û`에서 x=a이므로  f(x)=;3!; (xÜ`-4xÛ`+ax)에서
HjK 일대일대응
R(a, 3aÛ`)
 f '(x)=xÛ`-;3*; x+;3A; HjK 역함수 존재
SÁ과 Sª의 값을 구한다.
y 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 '(x)¾0이기 위해서는
y=f(x) y=g(x)
D=:¤9¢:-
4
aÉ0
Q
3
P
;3$;a¾:¤9¢:, a¾:Á3¤: yy ㉠

R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다.

O aS x 두 곡선 y=f(x)와 y=f -1(x)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면 곡선


y=f(x)와 직선 y=x도 세 점에서 만나므로
점 Q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S라 하면
방정식 ;3!; (xÜ`-4xÛ`+ax)=x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S(2a, 0)
두 곡선 y=f(x)와 y=f -1(x)는
따라서 사각형 OSQP의 넓이는 xÜ`-4xÛ`+ax=3x에서
직선 y=x에 대칭이다.
2a_12aÛ`=24aÜ` xÜ`-4xÛ`+(a-3)x=0

114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4 2017-11-06 오후 2:32:17


이때 g(x)=xÜ`-4xÛ`+(a-3)x라 하면 함수 y=g(x)의 그래프가 x
축과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52
 g(x)=xÜ`-4xÛ`+(a-3)x=x{xÛ`-4x+(a-3)}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P, vQ가
에서 방정식 xÛ`-4x+(a-3)=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 각각 vP=2t-5, vQ=3이고, t=0일 때 두 점 P, Q의 위치는 각
져야 하므로 방정식 xÛ`-4x+(a-3)=0의 판별식을 D '이라 하면 각 10, -10이다. 두 점 P, Q가 동시에 출발하여 두 점 사이의 거
D '=16-4(a-3)>0, a+3 리가 최소가 될 때의 시각은 t=a이다. 점 P가 출발하여 t=a일
a<7, a+3 a=3이면 xÛ`-4x=0이 되어 yy ㉡ 때까지 움직인 거리를 구하시오. :Á2¦:
g(x)=0은 x=0을 중근으로 갖는다.
㉠, ㉡에서 :Á3¤:Éa<7이므로 a=6
풀이전략

따라서 f(x)=;3!;(xÜ`-4xÛ`+6x) 위치와 적분, 거리와 적분의 관계를 이용하여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구한다.
문제풀이
함수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의 관계를 이용하여 넓이를 구한다.
-1
두 곡선 y=f(x), y=f  (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곡선 시각 t에 따른 두 점의 위치를 구한다.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두 배이다. 시각 t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는

;3!; (xÜ`-4xÛ`+6x)=x에서 10+:)t (2t-5)dt=tÛ`-5t+10에서

xÜ`-4xÛ`+6x=3x P(tÛ`-5t+10)
xÜ`-4xÛ`+3x=0
또한 -10+:)t 3dt=3t-10에서
x(x-1)(x-3)=0
x=0 또는 x=1 또는 x=3 Q(3t-10)
h(x)=xÜ`-4xÛ`+3x라 하면 y=h(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일 때의 t의 값을 구한다.
y tÛ`-5t+10=3t-10에서 tÛ`-8t+20=0
y=h(x)
방정식 tÛ`-8t+20=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16-20<0이므로 tÛ`-8t+20>0
O 1 3 x 4
두 점 사이의 거리를  f(t)라 하면
f(t)=|(tÛ`-5t+10)-(3t-10)|
=tÛ`-8t+20 함수 y=f(t)의 그래프가 t축과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y=h(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3 |h(x)|dx=:)1 |h(x)|dx+:!3 |h(x)|dx


=(t-4)Û`+4
이므로  f(t)는 t=4일 때 최솟값을 가진다.
따라서 점 P가 출발하여 t=4일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4 |2t-5|dt=:) (-2t+5)dt+: 4 (2t-5)dt


=:)1 (xÜ`-4xÛ`+3x)dx-:!3 (xÜ`-4xÛ`+3x)dx ;2%;

=[;4!; xÝ`-;3$; xÜ`+;2#; xÛ`]1)-[;4!; xÝ`-;3$; xÜ`+;2#; xÛ`]3!
;2%;

;2%;
=[-tÛ`+5t]) +[tÛ`-5t]4 t¾;2%;이면 2t-5¾0
=;1#2&; ;2%;

이므로 두 곡선 y=f(x), y=f -1(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ª4°:+:ª2°:}+{16-20-:ª4°:+:ª2°:}

;3!;_2_;1#2&;=;1#8&; =:Á2¦:

  ;1#8&;   :Á2¦:
-1
참고 a=6일 때, 두 곡선 y=f(x), y=f  (x)와 직선 y=x는 그림
과 같다.
y y=f(x)
y=x
53
3 y=f`ÑÚ`(x)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f(t)와 점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 g(t)는
1    f(t)=4t(t-1)(t-3), g(t)=12t
이다. 두 점 P, Q가 원점을 동시에 출발한 후 t=a일 때 만난다.
x
;:%3!:@;
O 1 3
t=a일 때, 점 Q의 위치를 구하시오. (단, a>0)

정답과 풀이 115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5 2017-11-06 오후 2:32:18


정답과 풀이

풀이전략 문제풀이

속도함수를 적분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두 점의 위치를 구한다.

문제풀이 시각 t에서의 점 P의 위치는


시각 t에서의 두 점의 위치를 구한다. :)t (-tÛ`+2t)dt=-;3!; tÜ`+tÛ`
시각 t에서의 점 P의 위치는

:)t 4t(t-1)(t-3)dt=:)t (4tÜ`-16tÛ`+12t)dt


시각 t에서의 점 Q의 위치는 t의 값에 따라 속도가 다르므로
Ú 0ÉtÉ1일 때 구간을 나누어서 생각한다.

=tÝ`-:Á3¤: tÜ`+6tÛ` :)t t`dt=;2!; tÛ`

Û 1ÉtÉ2일 때

:!t 1`dt+;2!;=(t-1)+;2!;=t-;2!;
에서 P{tÝ`-:Á3¤: tÜ`+6tÛ`}

점 Q의 위치는 :)t 12tdt=6tÛ`에서 Q(6tÛ`) t=1일 때의 점 Q의 위치는 ;2!; 이다.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두 점의 위치가 같을 때의 시각 t를 구한다. 0ÉtÉ2에서 vP(t)¾0, vQ(t)¾0
ㄱ. t=1일 때, 두 점 P, Q의 위치는 각각
두 점의 위치가 같을 때의 시각은 tÝ`-:Á3¤: tÜ`+6tÛ`=6tÛ`에서
:)1 (-tÛ`+2t)dt=;3@;, :)1 t`dt=;2!;이므로
tÝ`-:Á3¤: tÜ`=0, tÜ` {t-:Á3¤:}=0

:)1 (-tÛ`+2t)dt>:)1 t`dt (참)


t>0이므로 t=:Á3¤: 
ㄴ. t=2일 때, 두 점 P, Q의 위치는 각각
따라서 t=:Á3¤: 일 때, 점 Q의 위치는
:)2 (-tÛ`+2t)dt=;3$;, :!2 1`dt+;2!;=;2#;
6_{:Á3¤: }2`=
512
3
시각 t에서 점 P의 위치를 f(t), 점 Q의 위치를 g(t),
512
  h(t)=f(t)-g(t)라 하면 h(t)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3
h(1)=f(1)-g(1)=;3@;-;2!;=;6!;

h(2)=f(2)-g(2)=;3$;-;2#;=-;6!;

54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열린구간 (1, 2)에 h(c)=0인 c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P, Q의 y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참)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y=vÎ(t) ㄷ. Ú 0ÉtÉ1일 때
1
   vP(t)=-tÛ`+2t (0ÉtÉ2), h(t)=-;3!; tÜ`+tÛ`-;2!; tÛ`=-;3!; tÜ`+;2!; tÛ`이므로
t (0ÉtÉ1) y=v¸(t)
   vQ(t)=à O 1 2 t h'(t)=-tÛ`+t=-t(t-1)
1 (1ÉtÉ2) h'(t)=0에서 t=0 또는 t=1
라 할 때, 그림은 함수 vP(t), vQ(t)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t=1일 때 h(t)는 최댓값을 가지므로 h(1)=;6!;
두 점 P, Q가 원점에서 동시에 출발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Û 1ÉtÉ2일 때
보기 h(t)=-;3!; tÜ`+tÛ`-t+;2!;이므로
ㄱ. t=1일
‌ 때, 점 P는 점 Q보다 원점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h'(t)=-tÛ`+2t-1=-(t-1)Û`
있다.
h'(t)=0에서 t=1
ㄴ. 두 점 P, Q의 위치가 같아지는 시각 c가 1<c<2에 존재한다.
또한 t=2일 때 h(2)=-;6!;
ㄷ. 두 점 P, Q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6!; 이다.
Ú, Û에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 |h(t)|의 최댓값은 ;6!;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참)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풀이전략

사잇값의 정리를 활용한다.

116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6 2017-11-06 오후 2:32:19


내신 상위 4% of 4%
55 본문 103쪽

자연수 a에 대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


도는 v(t)=(t-a)(t-2a)이고, t=0일 때 점 P의 위치는 -18
56
이다. 점 P가 원점을 두 번 지날 때, a의 값을 구하시오. 3 한 변의 길이가 3인 정사각형 ABCD의 둘레 및 내부의 점 P를 지
나고 서로 수직인 두 직선 l, m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풀이전략

점 P의 위치 x(t)의 극댓값 또는 극솟값이 0일 때, 원점을 두 번 지난다. (가) ‌직선 l은 변 DA와 점 E에서 만나고 직선 m은 변 BC와 점
문제풀이 F에서 만난다.
(나) ∠AEP=45ù
시각 t에 대한 점의 위치를 구한다.
시각 t에서의 점 P의 위치를 x(t)라 하면
도형 EPF가 정사각형 ABCD의 넓이를 이등분하며 움직일 때,
x(t)=-18+:)t (t-a)(t-2a)dt 선분 PE가 움직이는 부분의 넓이는?
도형 EPF는 선분 EP와 선분 PF로 이루어진 꺾인 선이다.
시각 t에서의 위치는 m
=;3!; tÜ`-;2#; atÛ`+2aÛ`t-18 D C
x(0)+:)t v(t)dt l
F
함수 x(t)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구하여 원점을 두 번 지날 때의 시각
을 구한다. E

함수 x(t)=;3!; tÜ`-;2#; atÛ`+2aÛ`t-18의 도함수는 P
A B
v(t)=(t-a)(t-2a)
① 1 ② 3 ③5
이므로 함수 x(t)는 t=a에서 극댓값, t=2a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④ 7 ⑤9
또한 점 P가 원점을 두 번 지나려면 함수 x(t)의 극댓값 또는 극솟값
이 0이어야 한다.
문항 파헤치기
x(t)=;3!; tÜ`-;2#; atÛ`+2aÛ`t-18 (t¾0)에서 직선 l과 직선 m의 기울기가 각각 -1, 1임을 파악하고 도형 EPF가 정사각
Ú x(a)=0인 경우 형 ABCD의 넓이를 이등분함을 이용하여 도형 EPF에 의하여 나누어지는
두 영역의 넓이를 식으로 나타내기
;3!; aÜ`-;2#; aÜ`+2aÜ`-18=0

;6%; aÜ`-18=0 실수 point 찾기
‌두 점 E, F가 각각 선분 AD, 선분 BC 위에 있으므로 점 E, F가 움직일 수
108
즉, aÜ`= 이므로 자연수 a는 존재하지 않는다. 있는 범위가 제한된다. 이 점을 인지하고 두 점 E, F가 움직이는 영역을 부등
5
Û x(2a)=0인 경우 식으로 제한하지 못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3*; aÜ`-6aÜ`+4aÜ`-18=0
풀이전략

;3@; aÜ`-18=0 점 P가 조건을 만족시키며 움직이는 영역을 생각한다. 점 P를 사각형 내부의


여러 곳으로 이동시켜 봄으로써 직관적으로 두 직선 l, m의 움직임을 관찰한
즉, aÜ`=27이므로 a=3
다.
Ú, Û에 의하여 a=3
문제풀이
 3
참고 a=3일 때, y=x(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정사각형을 포함하는 좌표평면을 설정하고 두 직선 l, m의 방정식을

y 구한다.
y=x(t)
그림과 같이 선분 AB의 연장선을 x축, 선분 AD의 연장선을 y축으로
x(3) 하는 좌표평면을 생각하자.
y
m
C
O 3 6 t l D
F

P
A H B x

정답과 풀이 117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7 2017-11-06 오후 2:32:20


정답과 풀이

직선 l과 직선 m의 기울기는 각각 -1, 1이므로


P(a, b)라 하면 직선 l이 선분 AD와 이루는 각의 크기가 45ù이고
두 직선 l, m은 수직으로 만난다.
l`:`y-b=-(x-a) yy ㉠
m`:`y-b=x-a yy ㉡
㉠에 x=0을 대입하면 y=a+b
㉡에 x=3을 대입하면 y=3-a+b
따라서 E(0, a+b), F(3, 3-a+b)
도형 EPF에 의하여 정사각형의 넓이가 이등분되도록 관계식을 만든다.
점 P에서 변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오각형 ABFPE의 넓이)
=(사각형 AHPE의 넓이)+(사각형 HBFP의 넓이)

=;2!; a(a+b+b)+;2!;(3-a)(b+3-a+b)

또한 오각형 ABFPE의 넓이는 사각형 ABCD의 넓이의 ;2!;이므로

;2!;a(a+b+b)+;2!;(3-a)(b+3-a+b)=;2(;

aÛ`+ab+ab+aÛ`-6a-2ab+6b+9=9
aÛ`-3(a-b)=0 yy ㉢
두 점 E, F는 각각 변 DA, 변 BC 위에 있으므로
0É3-a+bÉ3, 0Éa+bÉ3에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3이므
로 점 E와 점 F의 y좌표를 부등식
-3É-a+bÉ0, 0Éa+bÉ3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에서 곡선 b=-;3!; aÛ`+a 위의 점 (a, b)가 위에서 정한 부등식의
영역이 ㉢을 만족시키
-3É-a+bÉ0, 0Éa+bÉ3을 만족시키므로 는지 확인한다.

점 P는 곡선 y=-;3!; xÛ`+x 위를 움직인다.

점 P가 움직이는 도형을 구하고 답을 도출한다.

f(x)=-;3!; xÛ`+x라 하면  f '(x)=-;3@; x+1이므로

 f '(0)=1이고  f '(3)=-1

즉, 곡선  y=-;3!;xÛ`+x 위의 점 (0, 0)과 (3, 0)에서의 접선의 기울

기는 각각  1, -1이다.
l y

C
D

A
B x

y=-;3!;xÛ`+x

따라서 선분 PE가 움직이는 부분의 넓이는

-:)3 {-;3!; xÛ`+x}dx=;2(;+[;9!; xÜ`-;2!; xÛ`]3)
3Û`
2

=;2(;+3-;2(;=3

 ②

118 올림포스 고난도•수학Ⅱ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8 2017-11-06 오후 2:32:21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19 2017-11-06 오후 2:32:22
해 100-120 올림포스(고난도)_수2_07강-오3.indd 120 2017-11-06 오후 2:32:2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