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4

올 림 포 스 수학(상)

정답과 풀이
정답과 풀이

Ⅰ. 4. 3x-3
xÛ`+x-1 3xÜ` +ax +b
01 다항식의 연산
3xÜ`+3xÛ` -3x
-3xÛ`+(a+3)x +b
기본 유형 본문 8~9쪽
-3xÛ` -3x +3
1. 4xÜ`-5xÛ`+x+13 2. -29 3. 144 4. ① (a+6)x +b-3
나머지가 2x+3이므로 a+6=2, b-3=3
1. A-2B+3C 따라서 a=-4, b=6이므로
=(xÜ`+xÛ`-3x)-2(3xÛ`+x-5)+3(xÜ`+2x+1) a+b=-4+6=2
=(xÜ`+xÛ`-3x)+(-6xÛ`-2x+10)+(3xÜ`+6x+3) ①
=(1+3)xÜ`+(1-6)xÛ`+(-3-2+6)x+(10+3)
=4xÜ`-5xÛ`+x+13
 4xÜ`-5xÛ`+x+13
유형 본문 10~11쪽

2. (x+3)(2xÛ`-4x+7)(xÝ`+3xÛ`-2x-5) 01 ⑤ 02 ② 03 20 04 ⑤ 05 ②
=x(2xÛ`-4x+7)(xÝ`+3xÛ`-2x-5) 06 4xÛ`+9yÛ`+zÛ`-12xy-6yz+4zx 07 ③
+3(2xÛ`-4x+7)(xÝ`+3xÛ`-2x-5) 08 48 09 -1 10 ① 11 3 12 ④
yy ㉠
(2xÛ`-4x+7)(xÝ`+3xÛ`-2x-5)의 전개식에서 xÛ`항은 01 2(-A+B)-{B-(A-2B)}
(2xÛ`)(-5)+(-4x)(-2x)+7(3xÛ`)=(-10+8+21)xÛ` =-2A+2B-(B-A+2B)
=19xÛ` =-2A+2B-3B+A
(2xÛ`-4x+7)(xÝ`+3xÛ`-2x-5)의 전개식에서 xÜ`항은 =-A-B
(2xÛ`)(-2x)+(-4x)(3xÛ`)=(-4-12)xÜ`=-16xÜ` =-(4xÛ`-x+1)-(-xÛ`+3x-4)
따라서 (x+3)(2xÛ`-4x+7)(xÝ`+3xÛ`-2x-5)의 전개식에 =-4xÛ`+x-1+xÛ`-3x+4
서 xÜ`항은 ㉠에서 =-3xÛ`-2x+3
x(19xÛ`)+3(-16xÜ`)=(19-48)xÜ`=-29xÜ` ⑤
이므로 xÜ`의 계수는 -29이다.
 -29 02 2A+B=xÛ`+8x-3 yy ㉠
A-B=2xÛ`+x-12 yy ㉡
㉠+㉡을 하면
3A=3xÛ`+9x-15
3. ab+bc+ca=;2!;{(a+b+c)Û`-(aÛ`+bÛ`+cÛ`)} A=xÛ`+3x-5
㉡에서
=;2!;(0Û`-24)=-12
xÛ`+3x-5-B=2xÛ`+x-12
이므로 B=-xÛ`+2x+7
aÛ`bÛ`+bÛ`cÛ`+cÛ`aÛ`=(ab+bc+ca)Û`-2abc(a+b+c) X-A=2B에서
=(-12)Û`-0=144 X=A+2B
 144 =(xÛ`+3x-5)+2(-xÛ`+2x+7)

2 올림포스•수학 (상)
=xÛ`+3x-5-2xÛ`+4x+14
07 (x+3)Ü`-(x+2)(xÛ`-2x+4)
=-xÛ`+7x+9 =(xÜ`+9xÛ`+27x+27)-(xÜ`+8)
② =9xÛ`+27x+19
다른풀이 따라서 x의 계수는 27이다.
위의 풀이에서 ㉠-㉡을 하면 ③
A+2B=-xÛ`+7x+9

03 (x+a)(x+b)(x+1) 08 ABÓ=a, BCÓ=b, BFÓ=c라 하자.


={xÛ`+(a+b)x+ab}(x+1)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94이므로
=xÜ`+(a+b+1)xÛ`+(ab+a+b)x+ab 2(ab+bc+ca)=94
이므로 xÛ`의 계수는 a+b+1, x의 계수는 ab+a+b이다. ab+bc+ca=47 yy ㉠
xÛ`의 계수가 7이므로 DBÓ `Û +BGÓ `Û +GDÓ `Û =100이므로
a+b+1=7 (aÛ`+bÛ`)+(bÛ`+cÛ`)+(cÛ`+aÛ`)=100
a+b=6 aÛ`+bÛ`+cÛ`=50 yy ㉡
x의 계수가 14이므로 ㉠, ㉡에서
ab+a+b=14 (a+b+c)Û`=aÛ`+bÛ`+cÛ`+2(ab+bc+ca)
ab=14-6=8 =50+2_47=144
따라서 이때 a+b+c>0이므로 a+b+c=12
aÛ`+bÛ`=(a+b)Û`-2ab=6Û`-2_8=36-16=20 따라서 직육면체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 20 4(a+b+c)=4_12=48
 48

04 (1+x+2xÛ`+3xÜ`+4xÝ`)Û`
=(1+x+2xÛ`+3xÜ`+4xÝ`)(1+x+2xÛ`+3xÜ`+4xÝ`)
이 식의 전개식에서 xÝ` 항은
09 1000=a로 놓으면
999_(1000Û`+1000+1)=(a-1)(aÛ`+a+1)
1_4xÝ`+x_3xÜ`+2xÛ`_2xÛ`+3xÜ`_x+4xÝ`_1=18xÝ`
=aÜ`-1Ü`
따라서 xÝ`의 계수는 18이다.
=1000Ü`-1
⑤
=10á`-1
따라서 k=-1
05 <xÛ`+1, xÛ`+x>  -1
=(xÛ`+1)Û`-(xÛ`+1)(xÛ`+x)+(xÛ`+x)Û`
=(xÝ`+2xÛ`+1)-(xÝ`+xÜ`+xÛ`+x)+(xÝ`+2xÜ`+xÛ`)
=xÝ`+xÜ`+2xÛ`-x+1
따라서 xÛ`의 계수는 2이다.
10 aÛ`-bÛ`='2, ab=-;2!;이므로
② (aÜ`-bÜ`)(aÜ`+bÜ`)=aß`-bß`=(aÛ`-bÛ`)Ü`+3aÛ`bÛ`(aÛ`-bÛ`)

=('2)Ü`+3{-;2!;}2`_'2
06 (2x-3y+z)Û`={2x+(-3y)+z}Û` 3'2
=(2x)Û`+(-3y)Û`+zÛ`+2_2x_(-3y)+2_(-3y)_z =2'2+
4
+2_z_2x 11'2
=
=4xÛ`+9yÛ`+zÛ`-12xy-6yz+4zx 4
 4xÛ`+9yÛ`+zÛ`-12xy-6yz+4zx ①

정답과 풀이 3
정답과 풀이

따라서 X-2A=B에서
11 3x+1
xÛ`-x+2 3xÜ`-2xÛ`+3x+7 X=2A+B=(A+B)+A
3xÜ`-3xÛ`+6x =(-xÛ`+3xy-4yÛ`)+(-2xÛ`+2xy-2yÛ`)
xÛ`-3x+7 =-3xÛ`+5xy-6yÛ` yy ➌
xÛ` -x+2  -3xÛ`+5xy-6yÛ`
-2x+5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위의 나눗셈에서 a=3, b=-3, c=-2, d=5이므로 ➊ 3A+3B를 구한 경우 30`%
a+b+c+d=3-3-2+5=3 ➋ 주어진 식을 연립하여 A를 구한 경우 40`%
3 ➌ 다항식 X를 구한 경우 30`%

12 2x-1
xÛ`-x+b 2xÜ`-3xÛ` +ax -2
2xÜ`-2xÛ` +2bx 02 xÜ`+xÛ`+x=A라 하면
-xÛ`+ (a-2b)x -2 (주어진 식)=(A+2)(A-2)=AÛ`-4 yy ➊
-xÛ` +x -b =(xÜ`+xÛ`+x)Û`-4
(a-2b-1)x+b-2 =xß`+xÝ`+xÛ`+2(xÞ`+xÜ`+xÝ`)-4 yy ➋
위의 나눗셈에서 2xÜ`-3xÛ`+ax-2를 xÛ`-x+b로 나누었을 =xß`+2xÞ`+3xÝ`+2xÜ`+xÛ`-4 yy ➌
때의 몫이 2x-1, 나머지가 (a-2b-1)x+b-2이다.  xß`+2xÞ`+3xÝ`+2xÜ`+xÛ`-4
이때 나머지가 0이어야 하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2b-1=0, b-2=0 ➊ 공통 부분을 A로 놓고 식을 간단히 한 경우 30`%
따라서 a=5, b=2이므로 ➋ 전개 공식을 이용한 경우 40`%
a+b=5+2=7 ➌ 다항식을 정리한 경우 30`%
④

03 다항식 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3x+2이


고 나머지가 2이므로
f(x)=(x+3)(3x+2)+2=3xÛ`+11x+8 yy ➊
서술형 본문 12쪽
3x+5
x+2 3xÛ`+11x +8
01 -3xÛ`+5xy-6yÛ`
3xÛ` +6x
02 xß`+2xÞ`+3xÝ`+2xÜ`+xÛ`-4
5x +8
03 몫: 3x+5, 나머지: -2
5x+10
-2 yy ➋
01 A+B=-xÛ`+3xy-4yÛ`에서 따라서 몫은 3x+5, 나머지는 -2이다. yy ➌
3A+3B=-3xÛ`+9xy-12yÛ` yy ➊
 몫: 3x+5, 나머지: -2
이므로 다음과 같이 다항식 A를 구할 수 있다.
3A+3B=-3xÛ`+9xy-12yÛ` 단계 채점 기준 비율
- 3B-2A= 7xÛ`-xy-2yÛ` ➊ `f(x)를 구한 경우 30`%
5A=-10xÛ`+10xy-10yÛ` ➋ 나눗셈을 계산한 경우 40`%

A=-2xÛ`+2xy-2yÛ` yy ➋ ➌ 몫과 나머지를 구한 경우 30`%

4 올림포스•수학 (상)
+
내신 수능 본문 13쪽 03 2017=a, '¶2018=b로 놓으면
(2017+'¶2018)Ü`+(2017-'¶2018)Ü`
01 ③ 02 -63 03 ④ =(a+b)Ü`+(a-b)Ü`
=(aÜ`+3aÛ`b+3abÛ`+bÜ`)+(aÜ`-3aÛ`b+3abÛ`-bÜ`)
=2aÜ`+6abÛ`
01 ;a!;+;b!;+;c!;=-1에서
=2a(aÛ`+3bÛ`)
ab+bc+ca
;a!;+;b!;+;c!;= =-1 이므로
abc
이므로 (2017+'¶2018)Ü`+(2017-'¶2018)Ü`
ab+bc+ca=-abc 2017

aÛ`+bÛ`+cÛ`=24에서 (a+b)Ü`+(a-b)Ü`
=
a
aÛ`+bÛ`+cÛ`=(a+b+c)Û`-2(ab+bc+ca)
24=(-4)Û`-2(ab+bc+ca) 2a(aÛ`+3bÛ`)
=
a
따라서 ab+bc+ca=-4, abc=4이므로
=2(aÛ`+3bÛ`)
1 1 1 bÛ`cÛ`+aÛ`cÛ`+aÛ`bÛ`
{;a!;}2`+{;b!;}2`+{;c!;}2`= + + = =2(2017Û`+3_2018)
aÛ` bÛ` cÛ` aÛ`bÛ`cÛ`
(ab+bc+ca)Û`-2abc(a+b+c) 이때 2017Û`의 일의 자리의 수는 9이고, 3_2018의 일의 자리
= 의 수는 4이며, 2_(9+4)의 일의 자리의 수는 6이므로
(abc)Û`
(-4)Û`-2_4_(-4) 2_(2017Û`+3_2018)의 일의 자리의 수는 6이다.
=
4Û` 따라서 구하는 일의 자리의 수는 6이다.
=3 ④
③

02 m+n=(ax+by)+(bx+ay)
=a(x+y)+b(y+x)=(x+y)(a+b)
=(-3)_1
=-3
한편
xÛ`+yÛ`=(x+y)Û`-2xy=(-3)Û`-2_1=7
aÛ`+bÛ`=(a+b)Û`-2ab=1Û`-2(-1)=3
이므로
mn=(ax+by)(bx+ay)=abxÛ`+aÛ`xy+bÛ`xy+abyÛ`
=ab(xÛ`+yÛ`)+(aÛ`+bÛ`)xy
=(-1)_7+3_1
=-4
따라서
mÜ`+nÜ`=(m+n)Ü`-3mn(m+n)
=(-3)Ü`-3_(-4)_(-3)
=-27-36
=-63
 -63

정답과 풀이 5
정답과 풀이

Ⅰ. 진다.
인수정리에 의해 두 등식 f(1)=0, f(2)=0이 모두 성립한다.
02 나머지정리
f(1)=1+a-7+b=0에서
a+b=6 yy ㉠
기본 유형 본문 16~17쪽 f(2)=8+4a-14+b=0에서
1. 9 2. 78 3. 12 4a+b=6 yy ㉡

4. 몫: xÛ`-x+1, 나머지: 9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6이므로


f(x)=xÜ`-7x+6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2xÛ`-1=a+b(x-1)+c(x-1)(x-2)의 우변을 정리
하면 f(-2)=(-2)Ü`-7_(-2)+6
2xÛ`-1=cxÛ`+(b-3c)x+a-b+2c =12
양변의 동류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 12
c=2, b-3c=0, a-b+2c=-1 다른풀이

따라서 a=1, b=6, c=2이므로 f(x)=xÜ`+axÛ`-7x+b를 xÛ`-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a+b+c=9 Q(x)라 하면
9 f(x)=xÜ`+axÛ`-7x+b=(xÛ`-3x+2)Q(x)
다른풀이 =(x-1)(x-2)Q(x)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1=a이므로 f(1)=1+a-7+b=0 yy ㉠
a=1 f(2)=8+4a-14+b=0 yy ㉡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8-1=a+b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6이므로
b=6 f(x)=xÜ`-7x+6
또한 양변의 이차항의 계수가 서로 같아야 하므로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c=2 f(-2)=(-2)Ü`-7_(-2)+6
따라서 a=1, b=6, c=2이므로 =12
a+b+c=9

2. 나머지정리에 의해 4. 먼저 2xÜ`-5xÛ`+5x+6을 x-;2#;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

RÁ=f(1)=1+a+3=a+4 과 나머지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자.


Rª=f(-1)=1-a+3=-a+4 ;2#; 2 -5 5 6
이때 RÁ-Rª=20이므로
3 -3 3
(a+4)-(-a+4)=20, 2a=20
a=10이므로 2 -2 2 9
f(x)=xÛ`+10x+3
몫은 2xÛ`-2x+2, 나머지는 9이므로
따라서 f(x)를 x-5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해 2xÜ`-5xÛ`+5x+6={x-;2#;}(2xÛ`-2x+2)+9
f(5)=5Û`+10_5+3=78
 78 ={x-;2#;}_2(xÛ`-x+1)+9

=(2x-3)(xÛ`-x+1)+9
3. f(x)가 xÛ`-3x+2=(x-1)(x-2)로 나누어떨어지므 따라서 구하는 몫은 xÛ`-x+1, 나머지는 9이다.
로 f(x)는 x-1로도 나누어떨어지고, x-2로도 나누어떨어  몫: xÛ`-x+1, 나머지: 9

6 올림포스•수학 (상)
유형 본문 18~19쪽 04 다항식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4이므
로 나머지정리에 의해
01 ⑤ 02 ④ 03 -9 04 ② 05 1 f(-1)=-4
06 39 07 ③ 08 -16 09 -27 10 ① 따라서 다항식 xÛ`f(x)+3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1 ③ 12 -4 나머지정리에 의해
(-1)Û`_f(-1)+3=1_(-4)+3=-1
01 등식 (x-2)(xÛ`+2)P(x)=xÝ`+axÛ`+b는 x에 대한 ②
항등식이고, 우변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P(x)=x+c(c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05 f(x)를 xÛ`-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x-2)(xÛ`+2)(x+c)=xÝ`+axÛ`+b에서 f(x)=(x-1)(x-2)Q(x)+3x-2 …… ㉠
(xÜ`-2xÛ`+2x-4)(x+c)=xÝ`+axÛ`+b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1
xÝ`+(c-2)xÜ`+(2-2c)xÛ`+(2c-4)x-4c=xÝ`+axÛ`+b 따라서 다항식 f(2x-3)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이 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해
c-2=0, 2-2c=a, 2c-4=0, -4c=b f(2_2-3)=f(1)=1
즉, a=-2, b=-8, c=2이므로 1
a+b=-10 다른풀이
⑤ f(x)를 xÛ`-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f(x)=(x-1)(x-2)Q(x)+3x-2 …… ㉠
㉠의 x 대신 2x-3을 대입하면
02 (xÛ`+3x-2)Ü`=a¤xß`+a°xÞ`+y+aÁx+a¼의 양변에 f(2x-3)=(2x-4)(2x-5)Q(2x-3)+6x-11
x=1을 대입하면 =2(x-2)(2x-5)Q(2x-3)+6(x-2)+1
(1+3-2)Ü`=a¤+a°+y+aÁ+a¼ =(x-2){2(2x-5)Q(2x-3)+6 }+1
따라서 a¼+aÁ+y+a°+a¤=2Ü`=8 따라서 f(2x-3)을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다.
④
06 항등식 f(2x)=g(x)(x-2)+3에 x=2를 대입하면
f(4)=3
g(x)-2x를 x-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5이므로 나머지
03 xÜ`+ax+b를 xÛ`+3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라 하면 나머지가 3x+1이므로 정리에 의해
xÜ`+ax+b=(xÛ`+3x+2)Q(x)+3x+1 g(4)-2_4=5
xÜ`+ax+b=(x+1)(x+2)Q(x)+3x+1 …y ㉠ g(4)=13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다항식 f(x)g(x)를 x-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a+b=-2 나머지정리에 의해
a-b=1 yy ㉡ f(4)g(4)=3_13=39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 39
-8-2a+b=-5
2a-b=-3 yy ㉢ 07 다항식 f(x)=xÜ`+axÛ`+bx+6을 x-1로 나누었을 때
㉡, ㉢을 연립하여 풀면 의 나머지가 3이므로 나머지정리에 의해
a=-4, b=-5 f(1)=1+a+b+6=3
따라서 a+b=-9 a+b=-4 yy ㉠
 -9 f(x)가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해

정답과 풀이 7
정답과 풀이

f(-2)=-8+4a-2b+6=0 b=0
2a-b=1 yy ㉡
또, r=a_2=;2!;_2=1이고, -1+r=-1+1=c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이므로
ab=(-1)_(-3)=3 c=0
③ 따라서 a+b+c=;2!;+0+0=;2!;

①
08 f(x)=xÜ`-3xÛ`+kx+4가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해
f(-2)=-8-12-2k+4=0 11 다항식 xÝ`+axÛ`+1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 Q(x)를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구하면
k=-8이므로
f(x)=xÜ`-3xÛ`-8x+4 -1 1 0 a 0 1
따라서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1 1 -a-1 a+1
의해 1 -1 a+1 -a-1 a+2
f(2)=8-12-16+4=-16
Q(x)=xÜ`-xÛ`+(a+1)x-a-1
 -16
이때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이므로 나머지
정리에 의해
09 다항식 f(x-2)가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
Q(-1)=-1-1-(a+1)-a-1=2
에 의해
즉, -2a-4=2이므로 a=-3이다.
f(-1-2)=f(-3)=0
③
다항식 f(x+2)가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해
f(1+2)=f(3)=0
따라서 f(x)=xÜ`+2xÛ`+ax+b에서
12 f(x)=a(x-1)Ü`+b(x-1)Û`+c(x-1)+d로 놓으면
f(x)=(x-1){a(x-1)Û`+b(x-1)+c}+d
f(-3)=-27+18-3a+b=0
이므로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3a+b=9 yy ㉠
a(x-1)Û`+b(x-1)+c이고 나머지는 d이다.
f(3)=27+18+3a+b=0
3a+b=-45 yy ㉡ 1 1 -1 -3 4

㉠, ㉡을 연립하여 풀면 a=-9, b=-18이므로 1 0 -3


a+b=-9-18=-27 1 1 0 -3 1=d
 -27
1 1

1 1 1 -2=c
10 a 2 3 b -1
1
p q r
1=a 2=b
2 4 2 c
첫 번째 조립제법에서
위의 조립제법에서 3+p=4이므로 a(x-1)Û`+b(x-1)+c=xÛ`-3이고 d=1
p=1 또, a(x-1)Û`+b(x-1)+c=(x-1){a(x-1)+b}+c이
이때 2a=p=1이므로 므로 xÛ`-3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은 a(x-1)+b이고
a=;2!; 나머지는 c이다.
두 번째 조립제법에서
또, q=a_4=;2!;_4=2이고, b+q=b+2=2이므로 a(x-1)+b=x+1이고 c=-2

8 올림포스•수학 (상)
또, a(x-1)+b=x+1에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1, b=2 ➊ 나머지정리를 활용한 경우 30`%
따라서 a=1, b=2, c=-2, d=1이므로 ➋ f(x-2)를 몫과 나머지로 나타낸 경우 40`%
abcd=-4 ➌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 -4

03 다항식 f(x)를 xÛ`-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4x+2이므로
f(x)=(xÛ`-x+1)Q(x)+4x+2 yy ㉠ yy ➊
이때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이므로 몫을
서술형 본문 20쪽
Q'(x)라 하면

01 1 02 6 03 2xÛ`+2x+4 Q(x)=(x+1)Q'(x)+2 yy ㉡ yy ➋
㉠, ㉡에서
f(x)=(xÛ`-x+1){(x+1)Q'(x)+2}+4x+2
01 `f(x)=xÛ`â`+xÚ`â`+xÞ`+1이라 하고 f(x)를 x-1로 나누 =(xÜ`+1)Q'(x)+2xÛ`+2x+4 yy ➌
었을 때의 나머지를 R라 하면
따라서 f(x)를 xÜ`+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xÛ`+2x+4
f(x)=(x-1)Q(x)+R yy ➊
이다. yy ➍
이때 f(1)=R이고 f(1)=1Û`â`+1Ú`â`+1Þ`+1=4이므로
 2xÛ`+2x+4
R=4 yy ➋
즉, xÛ`â`+xÚ`â`+xÞ`+1=(x-1)Q(x)+4이므로 이 항등식의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를 Q(x)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로
➊ 30`%
(-1)Û`â`+(-1)Ú`â`+(-1)Þ`+1=(-1-1)Q(-1)+4 나타낸 경우

2=-2Q(-1)+4 ➋ Q(x)를 몫과 나머지로 나타낸 경우 30`%

따라서 Q(-1)=1이므로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 f(x)를 Q '(x)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


➌ 30`%
로 나타낸 경우
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해 1이다. yy ➌
➍ 나머지를 구한 경우 10`%
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f(x)를 몫과 나머지로 나타낸 경우 30`%
➋ R의 값을 구한 경우 30`% +
➌ Q(x)를 x+1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 경우 40`% 내신 수능 본문 21쪽

01 ④ 02 6xÛ`-11x+1 03 ①
02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8이므로 나머지
정리에 의해 f(-1)=8 yy ➊ 01 (2xÛ`-3x-1)Ü`=a¤xß`+a°xÞ`+y+aÁx+a¼ yy ㉠
f(x-2)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 은 x에 대한 항등식이다.
머지가 ax+2이므로 ㉠에 x=1을 대입하면
f(x-2)=(x-1)Û` Q(x)+ax+2 yy ㉠ yy ➋ (2_1Û`-3_1-1)Ü`=a¤+a°+y+aÁ+a¼
㉠에 x=1을 대입하면 a¼+aÁ+y+a°+a¤=-8 yy ㉡
f(-1)=a+2 ㉠에 x=-1을 대입하면
이때 f(-1)=8이므로 a+2=8에서 {2_(-1)Û`+3-1}Ü`=a¤-a°+y-aÁ+a¼
a=6 yy ➌ a¼-aÁ+aª-y-a°+a¤=64 yy ㉢
6 ㉡+㉢에서 2(a¼+aª+a¢+a¤)=56이므로

정답과 풀이 9
정답과 풀이

a¼+aª+a¢+a¤=28 Ⅰ.
④
03 인수분해

02 다항식 f(x)를 (x-1)Û`(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R(x)라 하면 기본 유형 본문 24~25쪽

f(x)=(x-1)Û`(x-2)Q(x)+R(x) 1. ⑴ (x-y-5z)Û` ⑵ (x+y)(x-y)Û`


이때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x-5이고, 2. ⑴ (x+1)Û`(xÛ`+2x+3)
R(x)는 이차 이하의 다항식이므로 R(x)를 (x-1)Û`으로 나 ⑵ (xÛ`-4x+5)(xÛ`+4x+5)
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x-5이어야 한다.
3. (aÛ`+bÛ`)(a+b+1)
R(x)=a(x-1)Û`+x-5(a는 상수)로 놓으면
4. (x+1)(x-2)(xÛ`+x+1)
f(x)=(x-1)Û`(x-2)Q(x)+a(x-1)Û`+x-5
한편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이므로 나머지
1. ⑴ xÛ`+yÛ`+25zÛ`-2xy+10yz-10zx
정리에 의해 =xÛ`+(-y)Û`+(-5z)Û`+2x(-y)+2(-y)(-5z)
f(2)=a-3=3 +2(-5z)x
따라서 a=6이므로 구하는 나머지는 =(x-y-5z)Û`
R(x)=6(x-1)Û`+x-5=6xÛ`-11x+1 ⑵ xÜ`+yÜ`-xy(x+y)=(x+y)(xÛ`-xy+yÛ`)-xy(x+y)
 6xÛ`-11x+1 =(x+y)(xÛ`-xy+yÛ`-xy)
=(x+y)(xÛ`-2xy+yÛ`)
03 A, B, C, D의 부피는 각각 xÜ`, 2xÛ`, 4x, 2Ü`이므로 =(x+y)(x-y)Û`
A 1개, B 12개, C p개, D q개의 부피의 총합은  ⑴ (x-y-5z)Û` ⑵ (x+y)(x-y)Û`
xÜ`+12_2xÛ`+p_4x+q_2Ü`=xÜ`+24xÛ`+4px+8q
한편 한 모서리의 길이가 x+k인 정육면체의 부피는
(x+k)Ü`=xÜ`+3kxÛ`+3kÛ`x+kÜ` 2. ⑴ xÛ`+2x=X로 놓으면
이때 등식 xÜ`+24xÛ`+4px+8q=xÜ`+3kxÛ`+3kÛ`x+kÜ`이 x에 (xÛ`+2x)Û`+4xÛ`+8x+3=(xÛ`+2x)Û`+4(xÛ`+2x)+3
대한 항등식이므로 =XÛ`+4X+3
24=3k, 4p=3kÛ`, 8q=kÜ` =(X+1)(X+3)
따라서 k=8, p=48, q=64이므로 =(xÛ`+2x+1)(xÛ`+2x+3)
k+p+q=8+48+64=120 =(x+1)Û`(xÛ`+2x+3)
① ⑵ xÝ`-6xÛ`+25=(xÝ`+10xÛ`+25)-16xÛ`
=(xÛ`+5)Û`-(4x)Û`
=(xÛ`+5-4x)(xÛ`+5+4x)
=(xÛ`-4x+5)(xÛ`+4x+5)
 ⑴ (x+1)Û`(xÛ`+2x+3) ⑵ (xÛ`-4x+5)(xÛ`+4x+5)

3. aÛ`+bÛ`+(aÜ`+bÜ`)+ab(a+b)
=aÛ`+bÛ`+(a+b)(aÛ`-ab+bÛ`)+ab(a+b)
=aÛ`+bÛ`+(a+b){(aÛ`-ab+bÛ`)+ab}
=aÛ`+bÛ`+(a+b)(aÛ`+bÛ`)
=(aÛ`+bÛ`)(a+b+1)
 (aÛ`+bÛ`)(a+b+1)

10 올림포스•수학 (상)
4. f(x)=xÝ`-2xÛ`-3x-2라 하면 03 aÛ`-8bÛ`+cÛ`+2ab-2bc-2ca
f(-1)=1-2+3-2=0, =aÛ`+bÛ`+cÛ`+2ab-2bc-2ca-9bÛ`
f(2)=16-8-6-2=0 =(a+b-c)Û`-(3b)Û`
이므로 f(x)는 x+1, x-2를 인수로 갖는다. ={(a+b-c)+3b}{(a+b-c)-3b}

-1 1 0 -2 -3 -2 =(a+4b-c)(a-2b-c)
 (a+4b-c)(a-2b-c)
-1 1 1 2
2 1 -1 -1 -2 0
04 xÛ`-x=X로 놓으면
2 2 2 (xÛ`-x)Û`+3xÛ`-3x-10=(xÛ`-x)Û`+3(xÛ`-x)-10
1 1 1 0 =XÛ`+3X-10=(X+5)(X-2)

따라서 위의 조립제법에 의하여 =(xÛ`-x+5)(xÛ`-x-2)

xÝ`-2xÛ`-3x-2=(x+1)(x-2)(xÛ`+x+1) =(xÛ`-x+5)(x-2)(x+1)

 (x+1)(x-2)(xÛ`+x+1) 따라서 a=-1, b=5, c=-2, d=1 또는


a=-1, b=5, c=1, d=-2이므로
a+b+c+d=3
③
유형 본문 26~27쪽

01 270 02 ② 03 (a+4b-c)(a-2b-c) 05 xÛ`=X, yÛ`=Y로 놓으면


3xÝ`-11xÛ`yÛ`-4yÝ`=3XÛ`-11XY-4YÛ`
04 ③ 05 ① 06 (xÛ`+5x+5)Û` 07 ⑤ =(3X+Y)(X-4Y)
08 a+b, b+c, a=c인 이등변삼각형 09 17 =(3xÛ`+yÛ`)(xÛ`-4yÛ`)
10 ④ =(3xÛ`+yÛ`)(x-2y)(x+2y)
11 ⑴ (3x-1)(xÛ`+x+1) ⑵ (x-1)Û`(x+2)(x-3) 따라서 a=1, b=2이므로
12 ④ a+b=1+2=3
①
01 a=28이므로 인수분해 공식에 의해
N=aÜ`+6aÛ`+12a+8=(a+2)Ü`
=(28+2)Ü`=30Ü`=27000
06 (x+1)(x+2)(x+3)(x+4)+1
={(x+1)(x+4)}{(x+2)(x+3)}+1
N =(xÛ`+5x+4)(xÛ`+5x+6)+1
따라서 =270
100
이때 xÛ`+5x=X로 놓으면
 270 (xÛ`+5x+4)(xÛ`+5x+6)+1=(X+4)(X+6)+1
=XÛ`+10X+25
02 3x+y=a, 3y=b라 하면
(3x+y)Ü`-27yÜ` =(X+5)Û`

=aÜ`-bÜ` =(xÛ`+5x+5)Û`

=(a-b)(aÛ`+ab+bÛ`) 따라서

=(3x+y-3y){(3x+y)Û`+(3x+y)_3y+9yÛ`} (x+1)(x+2)(x+3)(x+4)+1=(xÛ`+5x+5)Û`

=(3x-2y)(9xÛ`+15xy+13yÛ`)  (xÛ`+5x+5)Û`

따라서 p=15, q=13이므로 다른풀이

pq=15_13=195 (xÛ`+5x+4)(xÛ`+5x+6)+1에서 xÛ`+5x+4=Y로 놓으면


② (xÛ`+5x+4)(xÛ`+5x+6)+1=Y(Y+2)+1

정답과 풀이 11
정답과 풀이

=YÛ`+2Y+1
09 aÛ`b+2ab-2aÛ`-4a+b-2를 b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Y+1)Û`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xÛ`+5x+5)Û` (aÛ`+2a+1)b-2(aÛ`+2a+1)=(a+1)Û`b-2(a+1)Û`
=(a+1)Û`(b-2)
위의 식의 값이 275=5Û`_11이므로
07 4xÛ`+yÛ`-4xy-2x+y-6 (a+1)Û`(b-2)=5Û`_11
=(4xÛ`-4xy+yÛ`)-(2x-y)-6 a, b는 자연수이므로
=(2x-y)Û`-(2x-y)-6 a+1=5, b-2=11
이때 2x-y=X로 놓으면 따라서 a=4, b=13이므로
(2x-y)Û`-(2x-y)-6=XÛ`-X-6 a+b=4+13=17
=(X-3)(X+2)  17
=(2x-y-3)(2x-y+2)
즉,
10 f(x)=2xÜ`-11xÛ`+20x-12라 하면
4xÛ`+yÛ`-4xy-2x+y-6=(2x-y-3)(2x-y+2) f(2)=16-44+40-12=0
따라서 주어진 다항식의 인수인 것은 ⑤ 2x-y-3이다. 이므로 f(x)는 x-2를 인수로 갖는다.
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다른풀이
2 2 -11 20 -12
주어진 식을 y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4 -14 12
yÛ`-(4x-1)y+4xÛ`-2x-6
=yÛ`-(4x-1)y+2(2xÛ`-x-3) 2 -7 6 0

=yÛ`-(4x-1)y+2(x+1)(2x-3) 이때 2xÛ`-7x+6=(x-2)(2x-3)이므로
=(y-2x-2)(y-2x+3) f(x)=(x-2)(2xÛ`-7x+6)=(x-2)Û`(2x-3)
=(2x-y+2)(2x-y-3) 따라서 a=-2, b=2, c=-3이므로
a+b+c=-2+2+(-3)=-3
④

08 조건 (가)에서
(b-c)a+bc-bÛ`=(b-c)a-b(b-c) 11 ⑴ f(x)=3xÜ`+2xÛ`+2x-1이라 하면
=(b-c)(a-b)+0
f {;3!;}=;9!;+;9@;+;3@;-1=0
이므로
b+c, a+b yy ㉠ 이므로 f(x)는 x-;3!;을 인수로 갖는다.
조건 (나)에서
따라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b-c)aÛ`-(bÛ`-cÛ`)a+bÛ`c-cÛ`b
=(b-c)aÛ`-(b-c)(b+c)a+bc(b-c) ;3!; 3 2 2 -1
=(b-c){aÛ`-(b+c)a+bc}
1 1 1
=(b-c)(a-b)(a-c)
(b-c)(a-b)(a-c)=0이므로 3 3 3 0
a=b 또는 b=c 또는 c=a yy ㉡
f(x)={x-;3!;}(3xÛ`+3x+3)=(3x-1)(xÛ`+x+1)
따라서 ㉠, ㉡에서 주어진 삼각형은 a+b, b+c, a=c인 이등
변삼각형이다. ⑵ f(x)=xÝ`-3xÜ`-3xÛ`+11x-6이라 하면
 a+b, b+c, a=c인 이등변삼각형 f(1)=1-3-3+11-6=0

12 올림포스•수학 (상)
이므로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f(2)+g(2)=(2+2)(2+1)+(2+2)(2-3)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2-4=8

1 1 -3 -3 11 -6 ④

1 -2 -5 6
1 -2 -5 6 0

따라서 f(x)=(x-1)(xÜ`-2xÛ`-5x+6)
서술형 본문 28쪽

이때 g(x)=xÜ`-2xÛ`-5x+6이라 하면
01 1084 02 (a+b)(b+c)(a+c)
g(1)=1-2-5+6=0
03 a=-14, b=-2
이므로 g(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다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01 30=x로 놓으면
1 1 -2 -5 6 'Ä30_32_34_36+16
1 -1 -6 ='Äx(x+2)(x+4)(x+6)+16 yy ➊

1 -1 -6 0 ='Ä{x(x+6)}{(x+2)(x+4)}+16
=¿¹(xÛ`+6x)(xÛ`+6x+8)+16
따라서
이때 xÛ`+6x=X라 하면
f(x)=(x-1)Û`(xÛ`-x-6)=(x-1)Û`(x+2)(x-3)
"Ã(xÛ`+6x)(xÛ`+6x+8)+16='ÄX(X+8)+16
 ⑴ (3x-1)(xÛ`+x+1) ⑵ (x-1)Û`(x+2)(x-3)
="ÃXÛ`+8X+16
="Ã(X+4)Û`
=|X+4|
=X+4=xÛ`+6x+4 yy ➋
=30Û`+6_30+4=1084
이므로
12 h(x)=xÝ`+2xÜ`-7xÛ`-20x-12라 하자. 'Ä30_32_34_36+16=1084 yy ➌
h(-1)=0, h(-2)=0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해 h(x)는  1084
x+1과 x+2를 인수로 가진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 1 2 -7 -20 -12 ➊ 주어진 식을 x에 관한 식으로 나타낸 경우 30`%
-1 -1 8 12 ➋ 다항식을 인수분해한 경우 40`%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30`%
-2 1 1 -8 -12 0
-2 2 12
1 -1 -6 0 02 (b+c)aÛ`+(bÛ`+2bc+cÛ`)a+bÛ`c+bcÛ`
=(b+c)aÛ`+(b+c)Û`a+bc(b+c)
위의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h(x)를 인수분해하면
=(b+c){aÛ`+(b+c)a+bc} yy ➊
h(x)=(x+1)(x+2)(xÛ`-x-6)
=(b+c)(a+b)(a+c)
=(x+1)(x+2)(x+2)(x-3)
=(a+b)(b+c)(a+c) yy ➋
=(x+1)(x-3)(x+2)Û`
 (a+b)(b+c)(a+c)
이때 f(x)와 g(x)가 모두 x-a를 인수로 가져야 하므로
f(x)=(x+2)(x+1) f(x)=(x+2)(x-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 또는 [ ➊ 공통인수를 찾은 경우 50`%
g(x)=(x+2)(x-3) g(x)=(x+2)(x+1)
따라서 ➋ 다항식을 인수분해한 경우 50`%

정답과 풀이 13
정답과 풀이

03 xÜ`-2xÛ`+4x-8을 인수분해하면 -2 2 a 2a+4 24


xÜ`-2xÛ`+4x-8=xÛ`(x-2)+4(x-2)=(x-2)(xÛ`+4) -4 -2a+8 -24
xÜ`-2xÛ`+4x-8이 일차식 x+b( b는 정수)를 인수로 가지므로
2 a-4 12 0
b=-2 yy ➊
위의 조립제법에서
f(x)=xÜ`+3x+a라 할 때, f(x)가 일차식 x-2를 인수로
2xÜ`+axÛ`+(2a+4)x+24=(x+2){2xÛ`+(a-4)x+12}
가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해
이때 2xÜ`+axÛ`+(2a+4)x+24가 계수가 모두 정수인 세 개
f(2)=2Ü`+3_2+a=0, 14+a=0
의 일차식으로 인수분해되므로
따라서 a=-14 yy ➋
2xÛ`+(a-4)x+12=(2x+m)(x+n)(m, n은 정수)
 a=-14, b=-2
즉, 2xÛ`+(a-4)x+12=2xÛ`+(m+2n)x+mn에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4=m+2n, 12=mn이어야 한다.
➊ b의 값을 구한 경우 50`%
mn=12를 만족시키는 두 정수 m, n의 순서쌍 (m, n)은
➋ a의 값을 구한 경우 50`%
(12, 1), (6, 2), (4, 3), (3, 4), (2, 6), (1, 12),
(-1, -12), (-2, -6), (-3, -4), (-4, -3),
(-6, -2), (-12, -1)
의 12개이다. 위의 각 순서쌍에 대하여 정수 a(=m+2n+4)
의 값을 구해 보면 차례로
18, 14, 14, 15, 18, 29, -21, -10, -7, -6, -6, -10
이다.
따라서 정수 a는 -21, -10, -7, -6, 14, 15, 18, 29의 8
개이다.
+
내신 수능 본문 29쪽 ②

01 16 02 ② 03 ③
03 조건 (가)에서
01 (xÛ`-4x+3)(xÛ`-12x+35)+k (a-b)cÛ`+(2aÛ`-ab-bÛ`)c+aÜ`-abÛ`
=(x-1)(x-3)(x-5)(x-7)+k =(a-b)cÛ`+(a-b)(2a+b)c+a(a-b)(a+b)
={(x-1)(x-7)}{(x-3)(x-5)}+k =(a-b){cÛ`+(2a+b)c+a(a+b)}
=(xÛ`-8x+7)(xÛ`-8x+15)+k =(a-b)(c+a)(c+a+b)
이때 xÛ`-8x=X로 치환하면 =0
(xÛ`-8x+7)(xÛ`-8x+15)+k=(X+7)(X+15)+k 이때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XÛ`+22X+105+k c+a>0, c+a+b>0
=(X+11)Û`+k-16 따라서 a=b이다.
=(xÛ`-8x+11)Û`+k-16 조건 (나)에서 4a+2b-5c=4a+2a-5c=0이므로
이때 주어진 식이 x에 대한 이차식의 완전제곱꼴로 인수분해되
6a=5c, c=;5^; a
려면 k-16=0이어야 하므로 k=16이다.
 16 즉, 삼각형 ABC는 세 변의 길이가 각 A

각 a, a, ;5^;a인 이등변삼각형이다. a a
h
02 f(x)=2xÜ`+axÛ`+(2a+4)x+24라 하면
f(-2)=-16+4a-4a-8+24=0 이때 밑변의 길이가 ;5^;a인 삼각형
B 3 C
a
이므로 다항식 f(x)는 x+2를 인수로 갖는다. ABC의 높이를 h라 하면 피타고라스 5

14 올림포스•수학 (상)
정리에 의해 02 (x+y)Û`=xÛ`+2xy+yÛ`=(xÛ`+xy+yÛ`)+xy
"Ã25aÛ`-9aÛ` 3Û`=10+xy에서 xy=-1이므로
h=¾¨aÛ`-{;5#;a}2`= =;5$;a
5 xÜ`+yÜ`=(x+y)Ü`-3xy(x+y)=3Ü`-3_(-1)_3=36
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⑤

;2!;_;5^;a_;5$;a=;2!5@;aÛ`=48

에서 aÛ`=100, 즉 a=10이다.
03 (a-2)(a+2)(aÛ`-2a+4)(aÛ`+2a+4)
={(a+2)(aÛ`-2a+4)}{(a-2)(aÛ`+2a+4)}
따라서 삼각형 ABC의 세 변의 길이는 각각 a=10, b=10,
=(aÜ`+2Ü`)(aÜ`-2Ü`)
c=12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10+8)(10-8)
a+b+c=10+10+12=32
=36
③
 36

04 주어진 등식은
xÜ`+axÛ`+3x+1=(x-1)(x+1)P(x)+bx yy ㉠
대단원 본문 30~33쪽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5=b, a-b=-5 yy ㉡
01 5xÛ`-7x+10 02 ⑤ 03 36 04 ②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5 ① 06 ④ 07 (x-5)Ü `
a-3=-b, a+b=3 yy ㉡
08 (x+a)(x+2a)(x-2a) 09 ④ 10 8 ㉡, ㉢을 연립하여 풀면
11 ⑤ 12 -7x-8 13 ① 14 17 a=-1, b=4
15 ① 16 ⑤ 17 ① 18 46 19 4 따라서 주어진 등식은
20 ③ 21 ② 22 8 23 ② xÜ`-xÛ`+3x+1=(xÛ`-1)P(x)+4x
24 xÜ`-2xÛ`-4x+11 25 3(x+y)(y+z)(z+x) a+b=3이므로 위 등식에 x=3을 대입하면
3Ü`-3Û`+3_3+1=(3Û`-1)P(3)+4_3
01 (A★B)A=(A-2B)A 28=8P(3)+12
=2(A-2B)-A=A-4B 따라서 P(3)=2
=xÛ`-3x+2-4(-xÛ`+x-2) ②
=xÛ`-3x+2+4xÛ`-4x+8
=5xÛ`-7x+10
05 f(x)를 x-2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가 4
 5xÛ`-7x+10 이므로
다른풀이 f(x)=(x-2)Q(x)+4 yy ㉠
A★B=A-2B Q(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이므로 나머지정
=(xÛ`-3x+2)-2(-xÛ`+x-2) 리에 의해
=xÛ`-3x+2+2xÛ`-2x+4 Q(-3)=3
=3xÛ`-5x+6 따라서
이므로 f(-3)=(-3-2)Q(-3)+4=(-5)_3+4=-11
(A★B)A=(3xÛ`-5x+6)(xÛ`-3x+2) 이므로 xf(x)를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
=2(3xÛ`-5x+6)-(xÛ`-3x+2) 리에 의해
=6xÛ`-10x+12-xÛ`+3x-2 (-3)_f(-3)=(-3)_(-11)=33
=5xÛ`-7x+10 ①

정답과 풀이 15
정답과 풀이

즉, f(x)=g(x)_x+x이므로 f(x)를 g(x)로 나누었을


06 27xÜ`+64yß`=(3x)Ü`+(4yÛ`)Ü`
=(3x+4yÛ`)(9xÛ`-12xyÛ`+16yÝ`) 때의 몫은 Q(x)=x, 나머지는 R(x)=x이다.
이때 9xÛ`-12xyÛ`+16yÝ`은 정수 계수 범위에서 더 이상 인수분 그런데 xÜ`+x=x(xÛ`+1)이므로 f(x)를 Q(x)=x로 나
해되지 않으므로 누었을 때의 몫은 xÛ`+1, 나머지는 0이다.
p=-12, q=16 ㄷ. f(x)-Q(x)=g(x)Q(x)+R(x)-Q(x)
따라서 ={ g(x)-1}Q(x)+R(x)
p+q=-12+16=4 이때 R(x)의 차수는 g(x)-1의 차수보다 작으므로
④ f(x)-Q(x)를 g(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R(x)
이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07 x-7=X라 하면
(x-7)Ü`+6(x-7)Û`+12(x-7)+8
=XÜ`+6XÛ`+12X+8
=XÜ`+3_XÛ`_2+3_X_2Û`+2Ü`
10 P(x)를 x-2로 나눈 몫이 Q(x), 나머지가 5이므로
P(x)=(x-2)Q(x)+5 yy ㉠
=(X+2)Ü`=(x-7+2)Ü`=(x-5)Ü`
또한 Q(x)를 x-1로 나눈 몫을 QÁ(x)라 하면 나머지가 3이
 (x-5)Ü`
므로
Q(x)=(x-1)QÁ(x)+3 yy ㉡
㉡을 ㉠에 대입하면
08 xÜ`+axÛ`-4aÛ`x-4aÜ`=xÛ`(x+a)-4aÛ`(x+a) P(x)=(x-2){(x-1)QÁ(x)+3}+5
=(x+a)(xÛ`-4aÛ`)
=(x-2)(x-1)QÁ(x)+3x-1
=(x+a)(x+2a)(x-2a)
따라서 R(x)=3x-1이므로
 (x+a)(x+2a)(x-2a)
R(3)=3_3-1=8
다른풀이 8
f(x)=xÜ`+axÛ`-4aÛ`x-4aÜ`이라 하자.
f(-a)=0이므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11 f(x)를 2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6이므로 나머
-a 1 a -4aÛ` -4aÜ` 지정리에 의해
-a 0` 4aÜ`
f {-;2!;}=16
1 0 -4aÛ` 0
(x-1)Û` f(x)를 2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R라 하면
f(x)=xÜ`+axÛ`-4aÛ`x-4aÜ` 나머지정리에 의해
=(x+a)(xÛ`-4aÛ`)
R={-;2!;-1}2 f {-;2!;}=;4(;_16=36
=(x+a)(x-2a)(x+2a)
(x-1)Û` f(x)를 2x+1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나머지
는 36이므로
09 ㄱ. 다항식 f(x)를 g(x)로 나누었을 때의 몫이 Q(x), (x-1)Û` f(x)=(2x+1)Q(x)+36 yy ㉠
나머지가 R(x)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g(x)Q(x)+R(x) 0=3_Q(1)+36
이때 R(x)의 차수는 g(x)의 차수보다 작다. 따라서 Q(1)=-12이므로 Q(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
ㄴ. f(x)=xÜ`+x, g(x)=xÛ`이면 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해 -12이다.
xÜ`+x=xÛ`_x+x ⑤

16 올림포스•수학 (상)
의 나머지는 0이고, ㉠의 몫을 x+1로 다시 나누었을 때의 나
12 다항식 f(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
라 하면 나머지가 2x+1이므로 머지도 0이어야 한다.
f(x)=(x+2)Û`Q(x)+2x+1 -1 1 a b -4
xf(x)=x(x+2)Û`Q(x)+2xÛ`+x -1 -a+1 a-b-1
=x(x+2)Û`Q(x)+2(xÛ`+4x+4)-7x-8
-1 1 a-1 -a+b+1 a-b-5
=x(x+2)Û`Q(x)+2(x+2)Û`-7x-8
=(x+2)Û`{xQ(x)+2}-7x-8 -1 -a+2
따라서 xf(x)를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a-2 -2a+b+3
-7x-8이다.
위의 조립제법에서 xÜ`+axÛ`+bx-4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 -7x-8
나머지는 a-b-5이고, 이때의 몫 xÛ`+(a-1)x-a+b+1
을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a+b+3이다.
다항식 xÜ`+axÛ`+bx-4가 (x+1)Û`으로 나누어떨어지려면 두
13 f(x)=xÜ`-axÛ`-bx+9a, g(x)=xÛ`-b라 하자.
g(x)가 일차식 x-a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인수정리에 의해 등식 a-b-5=0, -2a+b+3=0이 모두 성립해야 한다.
g(a)=aÛ`-b=0 위의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7이므로
b=aÛ` yy ㉠ a+b=-9
이때 f(x)=xÜ`-axÛ`-bx+9a가 xÛ`-b로 나누어떨어지므로 ①
f(x)는 일차식 x-a로도 나누어떨어진다.
따라서 인수정리에 의해
f(a)=aÜ`-aÜ`-ab+9a 16 xÜ`-xÛ`y-xyÛ`+yÜ`=xÛ`(x-y)-yÛ`(x-y)
=-a(b-9)=0 =(x-y)(xÛ`-yÛ`)
이때 a>0이므로 =(x-y)Û`(x+y)
b=9 이때 x='5+'3, y='3-'5이므로
따라서 ㉠에서 a=3 (a>0)이므로 x+y=2'3, x-y=2'5
a+b=3+9=12 따라서
① xÜ`-xÛ`y-xyÛ`+yÜ`=(x-y)Û`(x+y)
=(2'5)Û`_2'3=40'3
⑤
14 f(2x)=g(x)(x-2)+3에 x=2를 대입하면
f(4)=3
다항식 f(x)g(x-1)을 x-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
지정리에 의해 17 f(x)=3xÜ`+7xÛ`-4라 하면 f(-1)=-3+7-4=0이
므로 f(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f(4)g(4-1)=f(4) g(3)=3 g(3)=24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f(x)를 인수분해하면
따라서 g(3)=8이므로 g(x)+xÛ`을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의해 -1 3 7 0 -4
g(3)+3Û`=8+9=17 -3 -4 4
 17 3 4 -4 0

f(x)=(x+1)(3xÛ`+4x-4)=(x+1)(x+2)(3x-2)
15 다항식 xÜ`+axÛ`+bx-4가 (x+1)Û`을 인수로 가지려면 따라서 a=1, P(x)=3x-2이므로
나눗셈 P(a)=P(1)=3-2=1
(xÜ`+axÛ`+bx-4)Ö(x+1) yy ㉠ ①

정답과 풀이 17
정답과 풀이

이므로
18 f(x)를 x-9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f(9)이므로
f(9)=a_10Ü`+b_10Û`+c_10+d=2438 g(5)=k(5+1)(5-4)(5+3)=48k=96
이때 a, b, c, d는 각각 10보다 작은 자연수이므로 k=2
a=2, b=4, c=3, d=8 따라서 g(x)=2(x+1)(x-4)(x+3)이므로
f(x)=2(x+1)Ü`+4(x+1)Û`+3(x+1)+8 g(2)=2_3_(-2)_5=-60
따라서 f(x)를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정리에 ③
의해 f(1)=2_2Ü`+4_2Û`+3_2+8=16+16+6+8=46
 46 21 p(x)=xÜ`+3xÛ`-13x-15라 하면
p(-1)=-1+3+13-15=0
19 f(x)=xÛ`+ax+b라 하고 다항식 xÇ` f(x)를 (x+2)Û`으 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해 다항식 p(x)는 x+1을 인수로 갖는다.
n+1
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지는 2 (x+2)이 -1 1 3 -13 -15
므로
-1 -2 15
xn f(x)=(x+2)Û`Q(x)+2n+1(x+2) yy ㉠
1 2 -15 0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위의 조립제법에서
(-2)n f(-2)=(-2+2)Û`Q(-2)+2n+1(-2+2)이므로
xÜ`+3xÛ`-13x-15=(x+1)(xÛ`+2x-15)
f(-2)=0
=(x+1)(x-3)(x+5)
f(x)=xÛ`+ax+b=(x+2)(x-c)(c는 상수)로 놓을 수 있
다항식 f(x)를 x Ü`+3x Û`-13x-15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으므로
Q(x)라 하면
xn f(x)=xn(xÛ`+ax+b)=xn(x+2)(x-c) yy ㉡
f(x)=(x+1)(x-3)(x+5)Q(x)+xÛ`+x
한편 ㉠에서
이므로
xn f(x)=(x+2){(x+2)Q(x)+2n+1} yy ㉢
f(xÛ`)=(xÛ`+1)(xÛ`-3)(xÛ`+5)Q(xÛ`)+(xÛ`)Û`+xÛ`
이므로 ㉡, ㉢에서
=(xÝ`-2xÛ`-3)(xÛ`+5)Q(xÛ`)+xÝ`+xÛ`
xn(x-c)=(x+2)Q(x)+2n+1
=(xÝ`-2xÛ`-3)(xÛ`+5)Q(xÛ`)+(xÝ`-2xÛ`-3)+3xÛ`
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n n+1 +3
(-2) (-2-c)=2 yy ㉣
=(xÝ`-2xÛ`-3){(xÛ`+5)Q(xÛ`)+1}+3xÛ`+3
그런데 n이 홀수일 때 (-2)n=-2n이므로 ㉣에서
즉, 다항식 f(xÛ`)을 xÝ`-2xÛ`-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n(-2-c)=2n+1
3xÛ`+3이므로
-(-2-c)=2, 2+c=2
R(x)=3xÛ`+3
c=0이므로 f(x)=xÛ`+ax+b=(x+2)(x-c)에서
따라서 R(2)=3_2Û`+3=15
xÛ`+ax+b=(x+2)x=xÛ`+2x
②
따라서 a=2, b=0이므로
aÛ`+bÛ`=4
4 22 h(x)=xÝ`+2xÜ`-7xÛ`-20x-12라 하자.
h(-1)=0, h(-2)=0이므로 h(x)는 x+1과 x+2를 인수

20 xÛ`-3x-4=(x+1)(x-4), 로 가진다.
x Û`+4x+3=(x+1)(x+3)이므로 조건 (가)에서 f(x)는 -1 1 2 -7 -20 -12
x+1, x-4, x+3을 모두 인수로 가져야 한다. -1 -1 8 12
즉, f(x) 중에서 가장 차수가 낮은 것은 삼차식이고, -2 1 1 -8 -12 0
g(x)=k(x+1)(x-4)(x+3)(k는 0이 아닌 상수)
-2 2 12
로 놓을 수 있다.
이때 조건 (나)에서 나머지정리에 의해 f(5)=96, 즉 g(5)=96 1 -1 -6 0

18 올림포스•수학 (상)
위와 같이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h(x)를 인수분해하면 이 직육면체의 면 중에서 넓이가 가장 큰 면의 넓이는
h(x)=(x+1)(x+2)(xÛ`-x-6) (2x+3)(x+y)이므로 구하는 두 면의 넓이의 합은
=(x+1)(x+2)(x+2)(x-3) 2(2x+3)(x+y)=4xÛ`+4xy+6x+6y
=(x+1)(x-3)(x+2)Û` 따라서 xy의 계수는 4이다.
따라서 f(x)g(x)=(x+1)(x-3)(x+2)Û ` 이므로 f(x), ②
g(x)가 될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f(x)=(x+1)(x+2)
Úà
g(x)=(x-3)(x+2)
24 삼차 다항식 P(x)-3은 (x-2)Û`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P(x)-3=(x-2)Û`(ax+b)(단, a, b는 상수) y ㉠ y ➊
f(x)=(x-3)(x+2)
Ûà 로 놓을 수 있다.
g(x)=(x+1)(x+2)
㉠에 x=1을 대입하면
f(x)=(x+1)(x-3)
Üà P(1)-3=a+b, 6-3=a+b
g(x)=(x+2)Û`
a+b=3 yy ㉡
f(x)=(x+2)Û`
Ýà ㉠에 x=3을 대입하면
g(x)=(x+1)(x-3)`
P(3)-3=3a+b, 8-3=3a+b
위의 모든 경우에 대하여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실수 a는
3a+b=5 yy ㉢
-2, -1, 3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의 3개가 존재한다.
a=1, b=2 yy ➋
그런데 Ú 또는 Û인 경우에는
따라서 P(x)-3=(x-2)Û`(x+2)이므로
f(x)+g(x)=(x+2){(x+1)+(x-3)}
P(x)=(x-2)Û`(x+2)+3
=2(x+2)(x-1)
=(xÛ`-4x+4)(x+2)+3
이므로 ㉠ 중에서 (나)를 만족시키는 실수 a는 -2의 한 개가
=xÜ`-2xÛ`-4x+11 yy ➌
존재한다.
 xÜ`-2xÛ`-4x+11
한편 Ü 또는 Ý인 경우에는
f(x)+g(x)=(x+1)(x-3)+(x+2)Û`=2xÛ`+2x+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P(x)-3=(x-2)Û`(ax+b)로 놓은 경우 30`%
이므로 ㉠ 중에서 (나)를 만족시키는 실수 a는 존재하지 않는
➋ a, b의 값을 구한 경우 40`%
다.
➌ P(x)를 내림차순으로 나타낸 경우 30`%
따라서 f(x)+g(x)=2(x+2)(x-1)이므로
f(-3)+g(-3)=2(-3+2)(-3-1)=8
8
25 y+z=w라 하면
(x+y+z)Ü`=(x+w)Ü`
23 2xÜ`+(2y+5)xÛ`+(5y+3)x+3y를 y에 대한 내림차순 =xÜ`+wÜ`+3xw(x+w)
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xÜ`+(y+z)Ü`+3x(y+z)(x+y+z)
(2xÛ`+5x+3)y+2xÜ`+5xÛ`+3x =xÜ`+yÜ`+zÜ`+3yz(y+z)+3x(y+z)(x+y+z) yy ➊
=(2xÛ`+5x+3)y+x(2xÛ`+5x+3) 이므로
=(2xÛ`+5x+3)(x+y) (x+y+z)Ü`-xÜ`-yÜ`-zÜ`
=(x+1)(2x+3)(x+y) =3yz(y+z)+3x(y+z)(x+y+z) yy ➋
즉, 이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는 x+1, 2x+3, x+y이 =3(y+z)(yz+xÛ`+xy+xz)
다. =3(y+z){xÛ`+(y+z)x+yz}
이때 x>1, y>1이므로 세 모서리의 길이 중 가장 작은 것은 =3(y+z)(x+y)(x+z)
x+1이다. =3(x+y)(y+z)(z+x) yy ➌

정답과 풀이 19
정답과 풀이

 3(x+y)(y+z)(z+x) . 정 과
단계

채점 기준
(x+y+z)Ü`을 전개한 경우
비율
30`%
04 수 이 정식

➋ 주어진 식을 전개한 경우 30`%


기본 유형 본문 37~39쪽
➌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한 경우 40`%
1. ⑤ 2. ② 3. 416 4. 3
5. ⑴ 11 ⑵ -36 6. 3xÛ`-x+2=0

1. (x-1)+x(x-3) =y에서
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x-1=y, x(x-3)=0
x(x-3)=0에서 x=0 또는 x=3
x=0이면 y=-1
x=3이면 y=2
y>0에서 x=3, y=2이므로
x+y=3+2=5
⑤

2. = 에서 수 의 ( 수부분)=0
=- 에서 수 의 (실수부분)=0
즉, 실수 a, b에 대하여 =a, =b 꼴로 나타나므로
+ =2+3 에서 a+b =2+3
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2, b=3이므로
=2, =3
그 므로
2 2 2 2
= = = =-
3 3 Û` -3 3
2
{ }=
3
따라서
2 2 4 4
_{ }=- _ =- Û`=
3 3 9 9
②

1448+14-86
3. 14-36(12+15-12)+
14-26
1448+18
=13 (12+1412 )+
12
1448 +18 Û`
=13 (12+213 )+
12 Û`
413 1
=16 -6- +
12 12

20 올림포스•수학 (상)
=16 -6-216 +2 1 1 1
3[xÛ`-{ + }x+ =0
=-4-16
따라서 a=-4, b=-16이므로 ab=416 3{xÛ`-; ; x+; ;}=0
 416
3xÛ`-x+2=0
 3xÛ`-x+2=0
4. 이차 정식 xÛ`+2x+2k-3=0의 식을 라 하면
서로 다 두 을 가지므로

=1Û`-(2k-3)<0
4
-2k+4<0 유형 본문 40~41쪽

k>2
따라서 정수 k의 최 값은 3이다.
01 ① 02 -1 03 ② 04 -5 05 ①
3
06 ③ 07 ④ 08 ④ 09 ③ 10 ②
11 ② 12 3xÛ`+8x-16=0 13 ① 14 ③

5. 이차 정식의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1 z=z에서 z는 실수이어야 한다.
+ =3, =-1 z가 실수가 되려면 z의 ( 수부분)=0이어야 하므로
⑴ Û`+ Û`=( + )Û`-2 =3Û`-2_(-1) x+1=0에서 x=-1
=9+2=11 ①
Û` Û` Ü`+ Ü`
⑵ + = =-( Ü`+ Ü`)

이때
Ü`+ Ü`=( + )Ü`-3 ( + ) 02 (1+ )xÛ`-(1-3 )x=2-2 에서
(xÛ`-x)+(xÛ`+3x) =2-2
=3Ü`-3_(-1)_3
x가 실수이므로 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36
xÛ`-x=2, xÛ`+3x=-2
이므로
xÛ`-x=2에서
Û` Û`
+ =-( Ü`+ Ü`)=-36 xÛ`-x-2=0, (x+1)(x-2)=0
 ⑴ 11 ⑵ -36 이므로 x=-1 또는 x=2 yy ㉠
xÛ`+3x=-2에서
xÛ`+3x+2=0, (x+1)(x+2)=0
6. 이차 정식 2xÛ`-x+3=0의 두 이 , 이므로 과
이므로 x=-1 또는 x=-2 yy ㉡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에서 x=-1
+ =; ;, =; ;
 -1
그 므로
; ;
1 1 +
+ = = =; ;
; ; 03 z=a+b (단, a, b는 실수, a+0, b+0)라 하면
z=a-b 이다.
1 1 1
_ = =; ; ㄱ. z+z=(a+b )+(a-b )=2a

1 1 따라서 z+z는 실수이다.


따라서 xÛ`의 계수가 3이고 , 을두 으로 하는 이차 정
ㄴ. (1+z)(1+z)=1+z+z+zz=1+(z+z)+zz
식은 이때 ㄱ에서 z+z는 실수이고

정답과 풀이 21
정답과 풀이

zz=(a+b )(a-b )=aÛ`-(b )Û` 1a


=aÛ`-(-bÛ`)=aÛ`+bÛ`
06 !b
=-&'¾;b; 이고 a+0, b+0이므로 a>0, b<0에서

이므로 zz는 실수이다. !#ab-1a 1b+!#2b!#2b-!$4bÛ`


따라서 z+z, zz가 모두 실수이므로 (1+z)(1+z)도 실 =!#ab-!#ab+!$-2b _!$-2b -|2b|
수이다. =-2b Û`+2b=2b+2b=4b
z a+b ③
ㄷ. =
z a-b
(a+b )Û`
=
(a-b )(a+b )
aÛ`+2ab +bÛ` Û`
07 (1+2 )x+(1- )y=-3에서
= (x+y)+(2x-y) =-3
aÛ`+bÛ`
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aÛ`-bÛ` 2ab
= + x+y=-3, 2x-y=0
aÛ`+bÛ` aÛ`+bÛ`
z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b+0이므로 는 실수가 아 다.
z x=-1, y=-2
이상에서 실수인 것은 ㄱ, ㄴ이다. 148x 14-8
142x1y+ =14-2 14-2+
② 1y 14-2
18
=12 _12 +
12
=2 Û`+14
5 =-2+2=0
04 (3+2 )(-1+ )+
1+3
④
5(1-3 )
=-3+3 -2 +2 Û`+
(1+3 )(1-3 )
5(1-3 )
=-5+ +
1Û`-(3 )Û` 08 이차 정식 xÛ`-6x+a+1=0이 실 을 가지려면
식을 라 할 때,
5(1-3 )
=-5+ +
10 =(-3)Û`-(a+1) 0, 8-a 0
4
=-5+ +; ;-; ; =-; ;-; ; a 8
따라서 따라서 정수 a의 최 값은 8이다.
④
a+b=-; ;-; ;=-5

 -5
09 이차식 xÛ`+2kx+2k+3이 완전제곱식이므로 이차 정
식 xÛ`+2kx+2k+3=0은 중 을 갖는다.
이차 정식 xÛ`+2kx+2k+3=0의 식을 라 할 때,
1- (1- )Û` -2
05 z=
1+
=
(1+ )(1- )
=
2
=- 이므로
4
=kÛ`-(2k+3)=0

1+z+zÛ`+y+zÚ`â` kÛ`-2k-3=0
=1+(- )+(- )Û`+(- )Ü`+y+(- )Ú`â` (k-3)(k+1)=0
=(1- + Û`- Ü`)+( Ý`- Þ`+ ß`- `)+ `- á`+ Ú`â` k=3 또는 k=-1
=(1- -1+ )+(1- -1+ )+1- -1=- 이때 k>0이므로 k=3이다.
① ③

22 올림포스•수학 (상)
그 므로 정식 f(2x-3)=0의 두 의 합은
10 주어진 이차 정식이 중 을 가지므로 식을 라 할 때,
+3 +3 + +6 -5+6 1
={-(k+a)}Û`-(kÛ`+2k+aÛ`)=0 + = = =
4 2 2 2 2 2
2ak-2k=0 ①
2k(a-1)=0
이 식이 k의 값에 관계 이 항상 성립하므로 14 이차 정식 xÛ`+ax+b=0의 계수가 실수이므로 한 이
a-1=0 1+2 이면 다 한 은 1-2 이다.
따라서 a=1 이차 정식의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② (1+2 )+(1-2 )=-a에서 a=-2
(1+2 )(1-2 )=1Û`-(2 )Û`=1+4=5=b
따라서 a+b=-2+5=3
11 이차 정식 4xÛ`-2x+1=0에서 과 계수의 관계에 의 ③
-2
하여 + =- =; ;, =; ;이므로
4
Û`- + Û`=( + )Û`-3

={; ;}2`-3_; ;
서술형 본문 42쪽
=; ;-; ;=-; ;

② 01 8-3 02 =1, m=-2 03 -3

01 z=a+b (a, b는 실수)라 하면 z=a-b 이므로


12 이차 정식의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z+ z=(1- )(a+b )+ (a-b )
+ =-4, =-3이므로 =(a+b -a -b Û`)+(a -b Û`)
1 1 + 4
+ = = =(a+b -a +b)+(a +b)
3
=(a+2b)+b yy ➊
그 므로
1 1 4 8 즉, (a+2b)+b =2-3 이므로 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 + )+{ + }=-4+ =-
3 3 의하여
1 1 4 16 a+2b=2, b=-3 yy ➋
( + ){ + }=-4_ =-
3 3
따라서 a=8, b=-3이므로 구하는 수 z는
1 1
따라서 + , + 을두 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3인 z=8-3 yy ➌
 8-3
이차 정식은 3[xÛ`-{-; ;}x-;; ;; =0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3xÛ`+8x-16=0 ➊ 수의 연산을 한 경우 50`%
 3xÛ`+8x-16=0 ➋ 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한 경우 20`%
➌ 수 z를 구한 경우 30`%

13 이차 정식 f(x)=0의 두 을 , 라 하면
f( )=0, f( )=0이고 + =-5 02 이차 정식 xÛ`-x+k-1=0이 서로 다 두실 을가
이때 정식 f(2x-3)=0의 두 은 2x-3= , 2x-3= 지려면 식을 Á이라 할 때,
를 만족시키므로 Á=1-4(k-1)>0, 4k<5
+3 +3
x= , x= k<; ;
2 2

정답과 풀이 23
정답과 풀이

에서 정수 k의 최 값은 1이므로 =1 yy ➊ 자연수 k에 대하여 z4k-3=- , z4k-2=-1, z4k-1= , z4k=1


이차 정식 2xÛ`-x+k+3=0이 서로 다 두 을 가지려 이므로 z4k-3+z4k-2+z4k-1+z4k=0에서
면 식을 ª라 할 때, z4k-3+z4k-2+z4k-1=-1
ª=1-4_2_(k+3)<0, 8k>-23 그 므로 f(1)+f(2)+f(3)+y+f(n)=-1을 만족시키는

k>-;; ;; 자연수 n은 n=4k-1(k는 자연수) 꼴이므로 이 한 150 이


하의 자연수 n은 k=1에서 k=37 지 총 37개이다.
에서 정수 k의 최 값은 -2이므로 m=-2 yy ➋
②
 =1, m=-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의 값을 구한 경우 50`%
02 0이 아닌 수 에 대하여 =a+b (a, b는 실수)라
하자.
➋ m의 값을 구한 경우 50`%
ㄱ. Û`+ Û`=0을 만족시키는 수 는
(a+b )Û`+(a-b )Û`=2aÛ`-2bÛ`=2(aÛ`-bÛ`)=0

03 이차 정식 xÛ`-(kÛ`+2k-3)x+4k-3=0의 두 을 에서 a=b 또는 a=-b를 만족시키는 수 는 수히


, 라 하면 두 실 의 값이 같고 부 가 서로 다 므로 다.
+ =0, <0 yy ➊ ㄴ. =-1에서 (a+b )(a-b )=aÛ`+bÛ`=-1을 만족시
이차 정식의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키는 실수 a, b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수 는 존재하지
+ =kÛ`+2k-3=0, =4k-3<0 yy ➋ 않는다.
kÛ`+2k-3=0에서 (k+3)(k-1)=0이므로 Û` (a+b )Û`
ㄷ. b+0일 때 =
- (a+b )-(a-b )
k=-3 또는 k=1 yy ➌
이중 =4k-3<0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은 k=-3이다. aÛ`+2ab -bÛ`
=
2b
yy ➍
aÛ`-bÛ` (bÛ`-aÛ`)
 -3 = +a= +a
2b 2b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이므로
➊ , 의 조건을 구한 경우 30`% (bÛ`-aÛ`)
➋ 두 의 합과 곱을 구한 경우
a+ =a-b
20`% 2b
➌ 이차 정식의 해를 구한 경우 30`% bÛ`-aÛ`
두 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b에서
➍ k의 값을 구한 경우 20`% 2b
bÛ`-aÛ`=-2bÛ`
즉, aÛ`=3bÛ`을 만족시키는 실수 a, b는 수히 으므로
수 는 수히 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
내신 수능 본문 43쪽
03 이차 정식 xÛ`+3x-1=0의 두 이 , 이므로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01 ② 02 ⑤ 03 2'5
1 1
=- , =-
1- (1- )Û`
01 z= 1+ =
(1+ )(1- )
이때 f( )=1, f( )=1이므로 f( )=- , f( )=-
에서
1-2 + `Û -2
= = =- f( )+ =0, f( )+ =0
1Û`- Û` 2

24 올림포스•수학 (상)
즉, , 는 이차 정식 f(x)+x=0의 두 이다. . 정 과
f(x)+x=a(xÛ`+3x-1) (a+0)이라 하면
f(0)=-a=1에서 a=-1이므로
05 이 정식과 이 수
f(x)+x=-(xÛ`+3x-1)
f(x)=-xÛ`-4x+1 기본 유형 본문 46~47쪽

그 므로 이차 정식 f(x)=0은 -xÛ`-4x+1=0이므로 과 1. 24 2. ⑤ 3. 13 4. 11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p+q=-4, pq=-1 1. 이차 수 y=2xÛ`+kx+3k+1의 그 가 x 에 하
(p-q)Û`=(p+q)Û`-4pq 므로 이차 정식 2xÛ`+kx+3k+1=0의 식을 라 할 때,
=(-4)Û`-4_(-1)=20 =kÛ`-4_2_(3k+1)=0
따라서 kÛ`-24k-8=0
|p-q|=!$(p-q)Û`=1320=215 이 정식은 서로 다 두 실 을 가지므로 이차 정식의 과
 215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24이다.
 24

2. 수 y=-2xÛ`-5x+8의 그 와 직 y=3x+k가
만나므로 이차 정식 -2xÛ`-5x+8=3x+k, 즉
2xÛ`+8x+k-8=0의 식을 라 할 때,

=4Û`-2_(k-8) 0
4
32-2k 0
k 16
따라서 정수 k의 최 값은 16이다.
⑤

3. y=2xÛ`-6x+k
=2(xÛ`-3x)+k

=2 {x-; ;}2`+k-; ;

이차 수 y=2xÛ`-6x+k는 최 값 2k-3을 가지므로

k-; ;=2k-3에서

k=-; ;

한편 y=-xÛ`+4kx+4=-(x-2k)Û`+4+4kÛ`에서 이차
수 y=-xÛ`+4kx+4는 x=2k일 때 최 값 4+4kÛ`을 갖는다.
따라서 구하는 최 값은

4+4kÛ`=4+4_{-; ;}2`=4+9=13

 13

정답과 풀이 25
정답과 풀이

㉠이 k의 값에 관계 이 성립하므로
4. f(x)=axÛ`-2ax+b=a(x-1)Û`-a+b에서 a>0이
고, 의x 가 1이므로 x=1에서 최 값, x=-2에서 2a+5=0
최 값을 갖는다. 즉, a=-; ;
f(1)=-a+b=-1
⑤
f(-2)=8a+b=26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따라서 f(x)=3xÛ`-6x+2이므로
04 이차 정식 xÛ`+ax-3=0의 두
은 이차 수 f(x)=xÛ`+ax-3의
f(-1)=3+6+2=11
그 와 x 의 교 의 x 와 같으 x
 11
므로 <-2, 1< <2가 성립하려면
이차 수 y=f(x)의 그 는
그림과 같다.
유형 본문 48~49쪽 이차 수 y=f(x)의 그 에서 f(-2)<0, f(1)<0, f(2)>0
이므로
01 ④ 02 2 03 ⑤ 04 ① 05 ③
f(-2)=(-2)Û`+a(-2)-3=1-2a<0에서 a>; ;
06 ① 07 ④ 08 ⑤ 09 3 10 ⑤
11 ② 12 10 13 ④ 14 45` yy ㉠
f(1)=1Û`+a-3=a-2<0에서 a<2 yy ㉡

01 이차 수 y=xÛ`-2x+a의 그 와 x 이 만나는 의 f(2)=2Û`+2a-3=2a+1>0에서 a>-; ; yy ㉢


x 는 정식 xÛ`-2x+a=0의 실 과 같으므로 이차 정식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는
의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b=2, -2b=a가 성립한
다. ; ;<a<2

따라서 a=-8, b=4이므로 따라서 정수 a는 1로 1개이다.


a+b=-8+4=-4 ①
④

02 이차 수 y=xÛ`-2ax+aÛ`+a-2의 그 가x 과만 05 이차 수 y=xÛ`+ax의 그 와직 y=bx+c가 만나


나 위해서는 이차 정식 xÛ`-2ax+aÛ`+a-2=0이 실 을 는 의x 는 이차 정식 xÛ`+ax=bx+c,
가져야 하므로 식을 라 할 때, 즉 xÛ`+(a-b)x-c=0의 실 과 같다.
=(-a)Û``-(aÛ`+a-2) 0, -a+2 0 이때 이차 정식 xÛ`+(a-b)x-c=0의 한 은 2+'3이고,
4
a, b, c가 리수이므로 다 한 은 2-13이다.
a 2
이차 정식의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정수 a의 최 값은 2이다.
(2+'3)+(2-'3)=-a+b
2
(2+'3)(2-'3)=-c
따라서 a-b=-4, c=-1이므로
03 이차 수 y=xÛ`-2(k+a)x+kÛ`-5k+aÛ`의 그 가
a-b+c=-4-1=-5
x 에 하려면 이차 정식
③
xÛ`-2(k+a)x+kÛ`-5k+aÛ`=0의 식을 라 할 때,
a, b, c가 리수일 때, 이차 정식 axÛ`+bx+c=0의
={-(k+a)}Û`-(kÛ`-5k+aÛ`)=0, 2ak+5k=0 한 이 p+q1r이면 다 한 은 p-q1r이다. (단, p, q는
4
k(2a+5)=0 yy ㉠ 리수, 'r 는 리수이다.)

26 올림포스•수학 (상)
그 므로 이차 수 y=xÛ`-2x+4=(x-1)Û`+3은 x=1일
06 이차 수 y=xÛ`-3x+4의 그 와직 y=m(x-1)
이 하려면 xÛ`-3x+4=mx-m에서 이차 정식 때, 최 값 3을 갖는다.
xÛ`-(3+m)x+(4+m)=0의 식을 라 할 때, 3
={-(3+m)}Û`-4(4+m)=0
mÛ`+2m-7=0 10 y=xÛ`-2kx-kÛ`+k+1
이 이차 정식은 서로 다 두 실 을 가지므로 이차 정식의 =(x-k)Û`-2kÛ`+k+1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수 m의 값의 합은 -2이다. 에서 주어진 이차 수는 x=k일 때, 최 값 -2kÛ`+k+1을
① 갖는다. 즉,
f(k)=-2kÛ`+k+1

07 이차 수 y=xÛ`+3x+k의 그 가직 y=-x-1보 =-2 {kÛ`-; ; k}+1


다 항상 위 에 있으려면 이차 수 y=xÛ`+3x+k의 그 가
직 y=-x-1과 만나지 않아야 하므로 =-2 {k-; ;}2`+; ;

xÛ`+3x+k=-x-1, 즉 이차 정식 xÛ`+4x+k+1=0의
따라서 이차 수 f(k)는 k=; ;일 때, 최 값 ; ;를 갖는다.
식을 라 할 때,
⑤
=2Û`-(k+1)<0
4
k>3
따라서 정수 k의 최 값은 4이다.
11 이차 수 y=xÛ`-3x+a의 그 와 직 y=2x-1의
한교 의x 가 1이므로 x=1은 이차 정식
④
xÛ`-3x+a=2x-1, 즉 xÛ`-5x+a+1=0의 한 실 이다.
x=1을 대입하면 1-5+a+1=0에서
08 이차 수 a=3
y=xÛ`+4x+aÛ`+a
따라서 y=xÛ`-3x+3={x-; ;}2`+; ;이므로 x=; ;일 때, 최
=(x+2)Û`+aÛ`+a-4
는 x=-2에서 최 값 aÛ`+a-4를 갖는다.
값 ; ;을 갖는다.
b=-2, aÛ`+a-4=2에서
aÛ`+a-6=0 ②

(a+3)(a-2)=0
a<0이므로 a=-3 12 xÛ`-2x= 로 놓으면 =(x-1)Û`-1이므로 -1 x 2
y=-3xÛ`-2x+5 일 때 -1 3
=-3{x+; ;}2`+5+; ; 이때 주어진 수는
y= Û`-6 +3=( -3)Û`-6
=-3{x+; ;}2`+;; ;; 따라서 -1 3이므로 =-1일 때, 최 값 10을 갖는다.
 10
따라서 x=-; ;일 때, 최 값 ;; ;;을 갖는다.

⑤
13 수 y y=|xÛ`-4x-5|

y=|xÛ`-4x-5|
09 이차 수 y=xÛ`+2x+a+3의 그 가x 에 하므로
=|(x+1)(x-5)|
이차 정식 xÛ`+2x+a+3=0의 식을 라 할 때,
=|(x-2)Û`-9|
=1Û`-(a+3)=0
4 의그 는 그림과 같다. x

a=-2 x=-1 또는 x=5일 때 y=0,

정답과 풀이 27
정답과 풀이

x=2일 때 y=9, x=6일 때 y=|4Û`-9|=7이므로


=1-(3k+4) 0, 3k -3
4
-1 x 6에서 수 y=|xÛ`-4x-5|는 x=2일 때 최 값
k -1 yy ➊
9, x=-1 또는 x=5일 때 최 값 0을 갖는다.
Û f(2)>0에서 4-4+3k+4>0
따라서 구하는 최 값과 최 값의 합은
3k>-4
9+0=9
④ k>-; $; yy ➋

Ü f(x)=xÛ`-2x+3k+4=(x-1)Û`+3k+3에서 대 이
14 정 각형 구 의 한 변의 x=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 다. yy ➌
길이를 x` 라 하면 x>0 Ú Ü 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x` x` x`
yy ㉠
-; $;<k -1 yy ➍
직 각형 구 의 가로의 길이는
x`
(270-4x)`  -; $;<k -1
이때 270-4x>0에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35
x< yy ㉡ ➊ 식을 만족시키는 조건을 구한 경우 30`%
2
두 구 의 넓이의 합을 y` Û`라 하면 ➋ f(2)>0을 만족시키는 조건을 구한 경우 30`%
y=(x+270-4x)x ➌ 대 조건을 구한 경우 30`%
=(270-3x)x ➍ k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10`%

=-3xÛ`+270x
=-3(x-45)Û`+3_45Û`
따라서 ㉠, ㉡의 조건을 만족하는 x의 값에 대하여 두 개의 구
의 넓이의 합은 x=45일 때 최 값을 가지므로 구하는 정
각형 구 의 한 변의 길이는 45` 이다. 02 f(x)=-xÛ`+2kx-3k
 45` =-(x-k)Û`+kÛ`-3k yy ➊
Ú k<-3일 때
-3 x 3에서 이차 수 f(x)=-xÛ`+2kx-3k의 최
값은 f(-3)이므로
f(-3)=-9-6k-3k=4, 9k=-13
서술형 본문 50쪽
k=-

01 -; $;<k -1 02 k=-1 k=;; ;; 이때 k<-3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yy ➋


9'3 Û -3 k<3일 때
03 2
` Û`
-3 x 3에서 이차 수 `f(x)=-xÛ`+2kx-3k의 최
값은 `f(k)이므로
01 이차 정식 xÛ`-2x+3k+4=0에서 kÛ`-3k=4, kÛ`-3k-4=0
f(x)=xÛ`-2x+3k+4라 하자. (k-4)(k+1)=0
이차 정식 f(x)=0의 두 이 모두 y=f(x) k=4 또는 k=-1
2보다 작으려면 이차 수 y=f(x)의 -3 k<3에서 k=-1 yy ➌
그 가 그림과 같아야 한다. x Ük 3일 때
Ú 이차 정식 f(x)=0의 식을 -3 x 3에서 이차 수 `f(x)=-xÛ`+2kx-3k의 최
라 할 때, 값은 `f(3)이므로

28 올림포스•수학 (상)
f(3)=-9+6k-3k=4, 3k=13 +
내신 수능 본문 51쪽
k=

이때 k 3이므로 조건을 만족시 다. yy ➍


01 ④ 02 ② 03 ②
Ú Ü에서
01 두 삼각형 AA', BB'는 은 삼각형이고, 두 삼각형
k=-1 또는 k=;; ;; yy AA', BB'의 넓이의 비가 1`:`4이므로 A'`:` B'=1`:`2
이다.
 k=-1 또는 k=;; ;;
그 므로 A'의 x 를 ( >0)라 하면 B'의 x 는
단계 채점 기준 비율 -2 이다.
➊ f(x)의 식을 변형한 경우 10`% 4-2xÛ`=kx에서 이차 정식 2xÛ`+kx-4=0은 과 계수의
k<-3일 때 조건을 만족하는 k의 값이 존재 관계에 의하여
➋ 20`%
하지 않음을 경우 -4
_(-2 )= =-2, -2 Û`=-2이므로 =1
➌ -3 k<3일 때 k의 값을 구한 경우 30`% 2
➍ k 3일 때 k의 값을 구한 경우 30`%
+(-2 )=-;2;, -1=-;2;
k의 값을 구한 경우 10`%
따라서 k=2
④

03 그림과 같이 을 삼각형 A

A B C라 하고, 입 을 직 각형
6 m
D FG라 하자.
D G
변 F의 중 을 ,
y`m 02 f(x)=|xÛ`-3x-4|
=
Ó FÓ=x , B E x`m x`m F C
M xÛ`-3x-4 (x -1 또는 x 4)
D =
Ó y 라 하면 =à
-xÛ`+3x+4 (-1<x<4)
B Ó=(3-x)` 이고 `60 =13 이므로
직 y=2x+k가 (-1, 0) y=f(x) y y=2x+k
D Ó y
= =13 에서 을 지 때의 k의 값을 kÁ,
B Ó 3-x
수 f(x)=-xÛ`+3x+4의 그
y=13 (3-x) yy ➊ y=2x+k
와 직 y=2x+k가 할
그 므로 입 의 넓이 는 x
때 k의 값을 kª라 하면
=2xy=213x(3-x) yy ➋
kÁ<k<kª일 때, y=f(x)의 그 와직 y=2x+k가 서로
=213 [-{x-; ;}2`+; ;
다 에서 만 다.
9'3 Ú직 y=2x+kÁ이 (-1, 0)을 지 때, kÁ=2
따라서 입 의 넓이 는 x=; ; 일 때 최 값 ` Û`를 갖
2
Û 수 f(x)=-xÛ`+3x+4의 그 와직 y=2x+kª가
는다. yy ➌
할 때 이차 정식 -xÛ`+3x+4=2x+kª, 즉
9'3 xÛ`-x+kª-4=0의 식을 라 하면
 ` Û`
2
=1-4(kª-4)=0, kª=;;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입 의 높이를 식으로 나타낸 경우 30`% Ú, Û에서 2<k<;; ;;
➋ 입 의 넓이를 식으로 나타낸 경우 30`%
따라서 정수 k는 3, 4로 2개이다.
➌ 넓이의 최 값을 구한 경우 40`%
②

정답과 풀이 29
정답과 풀이

03 f(x)=xÛ`+5x+2에서 f(a)=b, f(b)=a를 만족시키 . 정 과


므로
aÛ`+5a+2=b yy ㉠
06 지 정식과 식

bÛ`+5b+2=a yy ㉡
기본 유형 본문 55~57쪽
㉠-㉡에서
(aÛ`-bÛ`)+5(a-b)=-(a-b) 3 1413
1. ⑴ x=1 x=
2
(aÛ`-bÛ`)+6(a-b)=0
-1 17 1 17
(a-b)(a+b+6)=0 ⑵ x= x=
2 2
a+b이므로 2. ①
a+b=-6 yy ㉢
x=-3 x=1
㉠+㉡에서 3. ⑴ à à
y=-2 y=2
(aÛ`+bÛ`)+5(a+b)+4=a+b x=-1 x=-2
(a+b)Û`-2ab+4(a+b)+4=0 ⑵à à
y=-2 y=-1
㉢에서
4. 1 5. ⑤ 6. ①
36-2ab-24+4=0
ab=8 yy ㉣
1. ⑴ xÜ`-4xÛ`+2x+1=0에서 f(x)=xÜ`-4xÛ`+2x+1이
㉢, ㉣에서 라 하면 f(1)=1-4+2+1=0이므로 f(x)는 인수정리에
y=(x-a)(x-b)=xÛ`-(a+b)x+ab 의하여 x-1을 인수로 갖는다.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정식
=xÛ`+6x+8=(x+3)Û`-1 의 변을 인수분해하면
이므로 x=-3일 때, 최 값 -1을 갖는다.
1 1 -4 2 1
②
1 -3 -1
1 -3 -1 0

f(x)=(x-1)(xÛ`-3x-1)=0에서
x-1=0 또는 xÛ`-3x-1=0
3 149+4 3 1313
따라서 x=1 또는 x= = 이다.
2 2
⑵ xÝ`+3xÛ`+4=0에서 xÛ`=X로 치환하여도 인수분해가 어려
우므로 주어진 식을 AÛ`-BÛ`의 꼴로 변형한다.
(xÝ`+4xÛ`+4)-xÛ`=0, (xÛ`+2)Û`-xÛ`=0
(xÛ`+x+2)(xÛ`-x+2)=0이므로
-1 17
xÛ`+x+2=0에서 x=
2
1 17
xÛ`-x+2=0에서 x=
2
-1 17 1 17
따라서 x= 또는 x= 이다.
2 2
3 1313
 ⑴ x=1 또는 x=
2
-1 17 1 17
⑵ x= 또는 x=
2 2

30 올림포스•수학 (상)
따라서 연립 정식의 은
2. xÜ`-1=0에서 (x-1)(xÛ`+x+1)=0이므로 Ü`=1,
Û`+ +1=0이다. x=-1 x=-2
à 또는 à
또한 자연수 n에 대하여 3n
=( Ü`)Ç` =1Ç` =1이므로 y=-2 y=-1
1+ + Û`+ Ü`+y+ Þ`â`
=1+ + Û`+ Ü`(1+ + Û`)+y+ Ý``(1+ + Û`)
=0 2x-3 x-1 yy ㉠
4. à
5x-2 2x+4 yy ㉡
①
㉠에서 x 2 yy ㉢
㉡에서 3x 6, x 2 yy ㉣
x-y=-1 yy ㉠
3. ⑴à
xÛ`-2xy-yÛ`=-7 yy ㉡
㉢, ㉣을 수직 위에 나타내면 ㉢

그림과 같으므로 ㉢, ㉣
㉠에서 y=x+1 yy ㉢ 2 x
에서 공통 부분은 x=2이다.
㉢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주어진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는 1이다.
xÛ`-2x(x+1)-(x+1)Û`=-7
1
xÛ`-2xÛ`-2x-xÛ`-2x-1=-7
-2xÛ`-4x+6=0
xÛ`+2x-3=0
(x+3)(x-1)=0
5. Ú x<-1일 때,

x=-3 또는 x=1 -3(x+1)-2(x-1) 5, 5x -6, x -;5;

㉢에 대입하면 연립 정식의 은
즉, -;5; x<-1 yy ㉠
x=-3 x=1
à 또는 à Û -1 x<1일 때,
y=-2 y=2
3(x+1)-2(x-1) 5, x 0
x+y=-3 yy ㉠
⑵à 즉, -1 x 0 yy ㉡
xy=2 yy ㉡
Üx 1일 때,
㉠에서 y=-3-x yy ㉢
3(x+1)+2(x-1) 5, 5x 4, x ;5$;
㉢을 ㉡에 대입하면
x(-3-x)=2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Ú Ü에 의해 ㉠ ㉡
xÛ`+3x+2=0
(x+1)(x+2)=0 -;5; x 0 6 -1 0 x
-
5
x=-1 또는 x=-2
㉢에 대입하면 연립 정식의 은 따라서 최 값과 최 값의 합은 0+{-;5;}=-;5;
x=-1 x=-2
à 또는 à ⑤
y=-2 y=-1
x=-3 x=1 x=-1 x=-2
⑴à 또는 à ⑵à 또는 à
y=-2 y=2 y=-2 y=-1 xÛ`-2x-8<0 yy ㉠
다른풀이
6. à
xÛ`-5x-6 0 yy ㉡
x+y=-3 ㉠에서 (x-4)(x+2)<0
⑵à 에서 x, y를 두 으로 갖는 에 대한 이차 정
xy=2 -2<x<4 yy ㉢
식은 Û`+3 +2=0이므로 ( +1)( +2)=0에서 ㉡에서 (x-6)(x+1) 0
=-1 또는 =-2 x -1 또는 x 6 yy ㉣

정답과 풀이 31
정답과 풀이

㉢, ㉣을 수직 위에 나타내 ㉣ ㉣
㉢ 03 xÝ`-6xÛ`+1=0에서
면 그림과 같으므로 xÝ`-2xÛ`+1-4xÛ`=0
-2 -1 4 6 x
㉢, ㉣의 공통 범위는 (xÛ`-1)Û`-(2x)Û`=0
-2<x -1 (xÛ`+2x-1)(xÛ`-2x-1)=0
따라서 정수 x는 -1로 1개이다. xÛ`+2x-1=0 또는 xÛ`-2x-1=0이므로
① x=-1 12 또는 x=1 12
이 중 양수인 것은 -1+12 , 1+12이므로 양수인 모든 실
의 합은
(-1+12)+(1+12)=212
①
유형 본문 58~59쪽

01 ⑤ 02 ③ 03 ① 04 ① 05 ③
06 ⑤ 07 ② 08 ③ 09 11 10 ① 04 삼차 정식 xÜ`-1=0의 모든 계수가 실수이고
xÜ`-1=(x-1)(xÛ`+x+1)=0의 한 이 이면 레
11 ③ 12 ④ 13 ④ 14 ①
수 도 이다.
Ü`=1, `=1이므로
01 f(x)=xÝ`+2xÜ`+3xÛ`-2x-4라 하면 f(1)=0,
``= á`_ = , Þ`= Ü`_ Û`= Û`
f(-1)=0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f(x)는 (x-1)(x+1)
``= á`_ = , Þ`= Ü`_ Û`= Û`
을 인수로 갖는다.
이 성립하고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변을 인수분해하면
Û`+ +1=0이므로 Û`+1=-
1 1 2 3 -2 -4 Û`+ +1=0이므로 Û`+1=-
1 3 6 4 이다. 따라서
-1 1 3 6 4 0 `` ``
+ = +
1+ Þ` 1+ Þ` 1+ Û` 1+ Û`
-1 -2 -4
= +
1 2 4 0 -
-
=-1-1=-2
(x-1)(x+1)(xÛ`+2x+4)=0
①
주어진 차 정식의 두 , 는 이차 정식 xÛ`+2x+4=0
의두 이므로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
05 xÜ`=-1에서 xÜ`+1=0, 즉 (x+1)(xÛ`-x+1)=0이므
⑤ 로 이차 정식 xÛ`-x+1=0의 한 이 이다.
이때 이차 정식 xÛ`-x+1=0의 모든 계수가 실수이므로
02 계수가 모두 실수이고 한 이 1+ 이므로 레 수 도 이 이차 정식의 이다.
1- 도 이다. 이차 정식의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 , 1- 를 두 으로 하는 이차 정식은 xÛ`-2x+2=0이 + =1, =1
므로 주어진 삼차 정식의 변은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 다. +1 +1 +( + )+1
_ =
xÜ`+axÛ`+bx-6=(xÛ`-2x+2)(x-3) 2 +1 2 +1 4 +2( + )+1
1+1+1
=xÜ`-5xÛ`+8x-6 =
4+2+1
따라서 a=-5, b=8이므로
=; #;
a+b=-5+8=3
③ ③

32 올림포스•수학 (상)
4xÛ`-yÛ`=0 yy ㉠ 식의 해가 되어야 하므로 그림과 같이 -3<k+1 -2
06 à 8xÛ`-xy-yÛ`=12 yy ㉡ 따라서 -4<k -3이다.
㉠의 변을 인수분해하면 (2x+y)(2x-y)=0에서 ③
y=-2x 또는 y=2x
Ú y=-2x일 때, ㉡에 대입하면 09 주어진 연립부등식은
8xÛ`+2xÛ`-4xÛ`=12, 6xÛ`=12, xÛ`=2 7x-a<2x-1 yy ㉠
à
x= 12 2x-1<4x-5 yy ㉡
x=12일 때, y=-212 a-1
㉠에서 5x<a-1, x< yy ㉢
x=-12일 때, y=212 5
Û y=2x일 때, ㉡에 대입하면 ㉡에서 2x>4, x>2 yy ㉣
8xÛ`-2xÛ`-4xÛ`=12, 2xÛ`=12, xÛ`=6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으려면 ㉢ ㉣

x= 16 그림과 같이 두 부등식 ㉢, ㉣ a-1 2 x


x=16일 때, y=216 의 공통 부분이 어야 하므로 5

x=-16일 때, y=-216 a-1


2, a-1 10
Ú, Û 에서 연립 정식의 해는 5

x=12 x=-12 x=16 a 11


à 또는 à 또는 à 따라서 정수 a의 최 값은 11이다.
y=-212 y=212 y=216
 11
x=-16
또는 à
y=-216
따라서 x+2y의 값은 차례로 -312, 312, 516, -516이므로 10 Ú x<3일 때,
x+2y의 최 값은 516이다. -2(x-3)+3x 4

⑤ x+6 4
x -2이므로 -2 x<3
Ûx 3일 때,
07 y=2-x를 xÛ`+yÛ`=a에 대입하면
xÛ`+(2-x)Û`=a 2(x-3)+3x 4

2xÛ`-4x+4-a=0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존재하려면 이 이 5x-6 4

차 정식의 식을 라 할 때, 5x 10
x 2이므로 x 3
=(-2)Û`-2_(4-a) 0
4 Ú, Û에서
2a-4 0, a 2 x -2
따라서 정수 a의 최 값은 2이다. 따라서 정수 x의 최 값은 -2이다.
② ①

3x-3<x-1 yy ㉠
08 à 2x-1 11 Ú x<-1일 때,
x+k yy ㉡ -(x+1)-(x-2) 7, -2x 6, x -3이므로
㉠에서 2x<2, x<1 yy ㉢ -3 x<-1
㉡에서 x k+1 yy ㉣ Û -1 x<2일 때,
연립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
㉣ (x+1)-(x-2) 7, 3 7
x의 개수가 3이 되려면 정수 항상 성립하므로
-3 k+1 -2 1 x
중 -2, -1, 0만이 연립부등 -1 x<2

정답과 풀이 33
정답과 풀이

Ü x 2일 때, ㉠, ㉡의 공통 부분은 1<a<3
(x+1)+(x-2) 7, 2x 8, x 4이므로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하는 정수 a의 개수는 1이다.
2 x 4 ①
Ú Ü 에서
-3 x 4
따라서 정수 x의 개수는 4-(-3)+1=8
서술형 본문 60쪽
③

01 -;3@; 02 0, 1 03 2 x 5

12 xÛ`-|x|-12<0에서
|x|Û`-|x|-12<0 01 xÜ`+(2a+1)xÛ`+ax-a=0에서
(|x|-4)(|x|+3)<0 f(x)=xÜ`+(2a+1)xÛ`+ax-a라 하면 f(-1)=0이므로 인
그런데 |x|+3>0이므로 |x|-4<0 수정리에 의하여 x+1을 인수로 갖는다.
|x|<4에서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정식의 변을 인수분해하면
-4<x<4 -1 1 2a+1 a -a
따라서 a=-4, b=4이므로
-1 -2a a
b-a=4-(-4)=8
1 2a -a 0
④
(x+1)(xÛ`+2ax-a)=0이므로
x=-1 또는 xÛ`+2ax-a=0 yy ➊
13 f(x)=xÛ`-(k-1)x+(k+2)라 하면 수 y=f(x)의 주어진 삼차 정식이 중 을 가지려면 이차 정식
그 는아 로 하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0이 xÛ`+2ax-a=0의 한 이 x=-1이 나 -1이 아닌 중 을
위해서는 수 y=f(x)의 그 가x 과 하 나x 보 가져야 한다.
다 위에 있어야 한다, Ú x=-1을 으로 가 때
즉, 이차 정식 f(x)=0의 식을 라 할 때,
(-1)Û`-2a-a=0이므로 a=; ; yy ➋
={-(k-1)}Û`-4(k+2) 0, kÛ`-6k-7 0
(k+1)(k-7) 0 xÛ`+;3@;x-;3!;=0
-1 k 7
따라서 정수 k의 개수는 7-(-1)+1=9 (x+1){x-;3!;}=0
④
따라서 주어진 식은 (x+1)Û`{x-;3!;}=0으로 x=-1을 중

으로 가진다.
14 이차 정식 xÛ`+2x+(aÛ`-8)=0이 서로 다 두 실 Û 중 을가 때
을 가지므로 식을 Á이라 할 때, 이차 정식 xÛ`+2ax-a=0의 식을 라 하면
Á
=1Û`-(aÛ`-8)>0, 9-aÛ`>0, (a+3)(a-3)<0 =aÛ`+a=0, a(a+1)=0
4 4
-3<a<3 yy ㉠ a=0 또는 a=-1 yy ➌
이차 정식 xÛÛ`+(a-1)x+(a-1)=0이 서로 다 두 a=0이면 f(x)=(x+1)xÛ`=0으로 x=0을 중 으로 갖
을 가지려면 식을 ª라 할 때, 는다.
ª=(a-1)Û`-4(a-1)<0 a=-1이면 f(x)=(x+1)(xÛ`-2x+1)=0
(a-1)(a-5)<0 (x+1)(x-1)Û`=0으로 x=1을 중 으로 갖는다.
1<a<5 yy ㉡ Ú, Û 에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34 올림포스•수학 (상)
; ;+0+(-1)=-; ; yy ➍ xÛ`+15x-34 0
(x+17)(x-2) 0
 -; ; x -17 또는 x 2
x>0이므로 x 2 yy ➋
단계 채점 기준 비율
Û xÛ`+15x 100
➊ 삼차식을 인수분해한 경우 30`%
xÛ`+15x-100 0
➋ -1을 중 으로 가 때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x+20)(x-5) 0
➌ 이차 정식이 중 을 가 조건을 구한 경우 30`%
-20 x 5
➍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10`%
x>0이므로 0<x 5 yy ➌
Ú, Û 에서 공통 부분은 2 x 5 yy ➍
x+2 2x+a yy ㉠ 2 x 5
02 à 3x-5 -x+2a-1 yy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에서 x 2-a 산 로의 넓이를 식으로 나타내어 부등식을 세
➊ 30`%
㉡에서 4x 2a+4 경우
a+2 ➋ 이차부등식의 해를 구한 경우 30`%
x yy ➊
2 ➌ 이차부등식의 해를 구한 경우 30`%
a+2
Ú 2-a , 즉 a ; ;일 때 ➍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립부등식의 해를 구한 경우 10`%
2
연립부등식의 해가 x 1이 되려면
a+2
=1에서 a=0 yy ➋
2
a+2 2
Û 2-a< , 즉 a> 일 때
2 3
연립부등식의 해가 x 1이 되려면 +
내신 수능 본문 61쪽
2-a=1에서 a=1 yy ➌
Ú, Û에서 실수 a의 값은 0 또는 1이다. yy ➍ 01 14 02 ④ 03 9
 0, 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01 xÝ`-(2a+1)xÛ`+aÛ`+a-6=0에서 xÛ`=X라 하면
➊ 각 부등식의 해를 구한 경우 30`% XÛ`-(2a+1)X+(a+3)(a-2)=0
{X-(a-2)}{X-(a+3)}=0
➋ a ; ; 일 때,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X=a-2 또는 X=a+3
➌ a>; ; 일 때, a의 값을 구한 경우 30`% xÛ`=a-2 또는 xÛ`=a+3
a<-3일 때 f(a)=0
➍ a의 값을 구한 경우 10`%
a=-3일 때 f(a)=1
-3<a<2일 때 f(a)=2
03 산 로의 이 x` 이므로 x>0 a=2일 때 f(a)=3
산 로의 넓이는 a>2일 때 f(a)=4
(18+2x)(12+2x)-18_12=4xÛ`+60x 따라서
이므로 f(-5)+f(-3)+f(-1)+f(2)+f(4)+f(6)
136 4xÛ`+60x 400 =0+1+2+3+4+4
34 xÛ`+15x 100 yy ➊ =14
Ú xÛ`+15x 34에서  14

정답과 풀이 35
정답과 풀이

02 이차 정식 xÛ`-(2m+4)x-m=0이 -2 x 2에서
03 ABÓ=3x, ADÓ=3x+6이라 하자.
실 을 가지려면 f(x)=xÛ`-(2m+4)x-m이라 할 때 삼각형 BC 의 넓이 Á은
y=f(x)의 그 가 -2 x 2에서 x 과 만나야 한다.
Á=; ;_(3x+6)_3x
Ú f(-2) f(2) 0인 경우
그림과 같이 y=f(x)의 그 가 -2 x 2에서 x 과 =; ;(xÛ`+2x)
만 다.
각형 의 넓이 ª는 삼각형 D의 넓이에서 삼
y y
y=f(x) y=f(x)
각형 D의 넓이를 값과 같으므로

ª=; ;{2x(2x+4)-x(x+2)}=; ;(xÛ`+2x)


x x
그 므로

Á- ª=;2(;(xÛ`+2x)-;2#;(xÛ`+2x)=3(xÛ`+2x)
f(2)=2Û`-2(2m+4)-m=-5m-4, 9 Á- ª 24에서 9 3(xÛ`+2x) 24
f(-2)=(-2)Û`+2(2m+4)-m=3m+12이므로 3 xÛ`+2x 8
(-5m-4)(3m+12) 0 xÛ`+2x 3 yy ㉠
à
(5m+4)(3m+12) 0에서 m -4 또는 m -;5$; xÛ`+2x 8 yy ㉡

Û f(-2) f(2)>0인 경우 ㉠에서 xÛ`+2x-3 0


이차 정식 xÛ`-(2m+4)x-m=0 y (x+3)(x-1) 0
y=f(x)
의 식을 라 할 때, x -3 또는 x 1 yy ㉢
㉡에서 xÛ`+2x-8 0
={-(m+2)}Û`+m 0
4 x (x+4)(x-2) 0
mÛ`+5m+4 0 -4 x 2 yy ㉣
(m+4)(m+1) 0 ㉢, ㉣에서 -4 x -3 또는 1 x 2
m -4 또는 m -1 yy ㉠ x>0이므로 1 x 2

f(2)=-5m-4>0에서 m<-;5$; yy ㉡ 변 AB의 길이 3x는 1 x 2에서 x=1일 때 최 값 3, x=2


일 때 최 값 6을 갖는다.
f(-2)=3m+12>0에서 m>-4 yy ㉢
따라서 최 값과 최 값의 합은
대 이 x=m+2이므로 -2<m+2<2가 성립해야 한
3+6=9
다.
9
-2<m+2<2에서 -4<m<0 yy ㉣
㉠, ㉡, ㉢, ㉣에서 ㉡
㉠ ㉣


-1 m<-;5$; x
-4 4`
--
5`
Ú, Û에서 m -4 또는
m -1이다. 대단원 본문 62~65쪽
이 중 -5 m 5를 만족시키는 m의 값의 범위는
-5 m -4 또는 -1 m 5이므로 정수 m의 개수는 01 7 02 ⑤ 03 ① 04 ⑤ 05 ①
2+{5-(-1)+1}=9 06 7 07 ⑤ 08 -2 09 ④ 10 ⑤
④ 11 ③ 12 4 13 ④ 14 ① 15 ③
16 ③ 17 ② 18 9 19 ⑤ 20 ⑤
21 1 22 x 3 x 9

36 올림포스•수학 (상)
x x(1- ) x-x 2mÛ`-9m-18=0
01 1+
=
(1+ )(1- )
=
2
,
따라서 모든 상수 m의 값의 합은 과 계수의 관계에서 ; ; 이다.
y y(1+ ) y+y
= = 이므로
1- (1- )(1+ ) 2 ⑤
x y x-x y+y
+ = +
1+ 1- 2 2
x+y -x+y 3x+y=5 yy ㉠
=
2
+
2 05 à xÛ`+yÛ`=5 yy ㉡
=4+3
㉠에서 y=5-3x yy ㉢
수가 서로 같을 조건에 의하여
㉢을 ㉡에 대입하면
x+y -x+y
=4, =3 xÛ`+(5-3x)Û`=5, xÛ`+25-30x+9xÛ`=5
2 2
x+y=8, -x+y=6 10xÛ`-30x+20=0, xÛ`-3x+2=0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x-1)(x-2)=0

x=1, y=7 x=1 또는 x=2

따라서 xy=7 ㉢에 대입하면

7 x=1일 때 y=2이므로 x-y=-1


x=2일 때 y=-1이므로 x-y=3
따라서 x-y의 최 값은 -1이다.
02 이차 정식 xÛ`+2(2-m)x+3m=0의 식을 라
①
할 때,

=(2-m)Û`-3m=0
4
06 이차 수 y=xÛ`+(k-3)x+k의 그 가 x 과 만나
mÛ`-4m+4-3m=0 지 않으려면 이차 정식 xÛ`+(k-3)x+k=0이 실 을 갖지
mÛ`-7m+4=0 않아야 한다.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m의 값의 합은 7이다. 이차 정식 xÛ`+(k-3)x+k=0의 식을 라 할 때,
⑤ =(k-3)Û`-4k<0, kÛ`-6k+9-4k<0
kÛ`-10k+9<0
03 f(x)=xÛ`-(k-3)x+k-2라 하면 (k-1)(k-9)<0
f(0)<0일 때, x 과 서로 다 두 에서 만나고 두 의x 1<k<9
의 부 가 다 다. 따라서 정수 k의 개수는
f(0)=k-2<0 9-1-1=7
k<2 7
따라서 정수 k의 최 값은 1이다.
①
07 z=(x+ )(x-3 )+(xÛ`+4x )
=xÛ`-2x -3 Û`+xÛ` +4x Û`
04 x에 대한 이차 정식 xÛ`-mx+m+2=0의 한 이다 =(xÛ`-4x+3)+(xÛ`-2x)
의 2 이므로 두 을 , 2 라 하면 과 계수의 관계에서 z가 실수가 되려면 ( 수부분)=0이 되어야 하므로
+2 =m yy ㉠ xÛ`-2x=0, x(x-2)=0
_2 =m+2 yy ㉡ x=0 또는 x=2
m 이때 x=0이면 z=3, x=2이면 z=-1이므로 z가 음의 실수
㉠에서 = 이고 이 식을 ㉡에 대입하면
3
가 되도 하는 x의 값은 2이다.
2mÛ`
=m+2 ⑤
9

정답과 풀이 37
정답과 풀이

1+ 1+ 2
08 { 12
}`=[{
12
}2` 2`={ }2`= Û`=-1
2 12 정식 | f(x)|=2에서 f(x)=2 또는 f(x)=-2이고,
수 y=f(x)의 그 는x 과두 (-1, 0), (3, 0)에서
1- 1- -2
{ }`=[{ }2` 2`={ }2`=(- )Û`=-1 만 다.
12 12 2
f(x)=a(x+1)(x-3)으로 놓으면 y y=f(x)
n이 홀수이므로
f(x)=a(xÛ`-2x-3)
1+ 4n 1- 4n
{ } +{ } =(-1)Ç`+(-1)Ç` =a(x-1)Û`-4a y=2
12 12
=-1+(-1) 에서 의 정식이 x=1이므로 그 x
y=-2
=-2 림에서 정식 f(x)=2는 서로 다
 -2 두실 x= 또는 x= 를 가지
+
며 =1에서 + =2
2
09 x=1+13 에서 x-1=13 …… ㉠ 한편 정식 f(x)=-2는 서로 다 두실 x= 또는 x=
㉠의 양변을 제곱하면 +
를 가지며 =1에서 + =2
xÛ`-2x+1=-3 2
xÛ`-2x+4=0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모든 서로 다 실 의 합은
xÜ`+4xÛ`-8x+16=x(xÛ`-2x+4)+6xÛ`-12x+16 + + + =( + )+( + )=2+2=4
=6(xÛ`-2x+4)-8 4
=-8
④
13 이차 수 y=xÛ`-x+3의 그 와직 y=kx-1이
하려면 xÛ`-x+3=kx-1, 즉 이차 정식
10 이차 정식 xÛ`-4x-3=0의 두 이 , 이므로 과
xÛ`-(k+1)x+4=0 yy ㉠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의 식을 라 할 때,
+ =4, =-3
=(k+1)Û`-4_4=0
한편 Û`-4 -3=0에서 Û`-4 =3이므로
(k+1-4)(k+1+4)=0, (k-3)(k+5)=0
Ü`-4 Û`+ ( +3)= ( Û`-4 )+ +3
k=3 또는 k=-5
=3 + +3
k는 양수이므로 k=3
=3( + )+
k=3을 ㉠에 대입하여 의 를 구하면
=3_4+(-3)
xÛ`-4x+4=0
=12-3=9
(x-2)Û`=0에서 x=2
⑤
x=2를 y=3x-1에 대입하면
y=5
11 이차 정식 xÛ`-(aÛ`-3a-18)x-a+3=0의 두 실 따라서 a=2, b=5이므로
의 값은 같고 부 가 서로 다 므로 두 을 , - 라 하면 k+ab=3+2_5=13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④
+(- )=aÛ`-3a-18=0
(a+3)(a-6)=0
a=-3 또는 a=6 14 xÜ`=1의 한 이 이므로 Ü`=1이다.
또한 _(- )=-a+3<0이므로 a>3 xÜ`=1에서 xÜ`-1=(x-1)(xÛ`+x+1)=0
따라서 a=6 즉, xÛ`+x+1=0의 한 이 이므로
③ Û`+ +1=0

38 올림포스•수학 (상)
1+2 +3 Û`+4 Ü`+5 Ý`=1+2 +3 Û`+4+5 ㄷ. 이차 정식 f(x)=0의 두 을 , 라 하면
=5+7 +3 Û` f( )=0, f( )=0이므로 f(x-2)=0의 두 은 +2,
=5+7 +3(- -1) +2이다. 즉,
=2+4 ( +2)+( +2)=( + )+4=2+4=6
따라서 a=2, b=4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a+b=2+4=6 ②
①

15 -xÛ`+ax+b>2x+1에서 xÛ`+(2-a)x+(1-b)<0 18 f(x)=a(x+2)(x-4)라 하면 y=f(x)의 그 가


(0, -8)을 지나므로 -8=a_2_(-4)에서 a=1
의 해가 -1<x<3이고 이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f(x)=(x+2)(x-4)
(x+1)(x-3)<0
=xÛ`-2x-8
xÛ`-2x-3<0
=(x-1)Û`-9
2-a=-2, 1-b=-3
로 의 가 (1, -9)이다.
따라서 a=4, b=4이므로
(x-1)Û`-9 (x 0)
a+b=4+4=8 f(|x|)= à
(-x-1)Û`-9 (x<0)
③
이고 f(|x|)+k=0의 서로 다 실 의 개수는
y=f(|x|)와 직 y=-k의 교 의 개수와 같다.
16 이차 수 f(x)=xÛ`-2kx+3-k y y=f(x)
그 에서 y y=f(|x )
에 대하여 0 x 2일 때 항상 f(x) 0
k=6, 7일 때 g(6)=g(7)=2 x
을 만족시키려면 그림에서
k=8일 때 g(8)=3
f(0) 0, f(2) 0이어야 한다. x
y=-6
y=f(x)의 이 (1, -9)이므로 y=-7
f(0) 0에서 y=-8
g(9)=2, g(10)=0 y=-9
3-k 0, k 3 yy ㉠ y=-10
따라서
f(2) 0에서
g(6)+g(7)+g(8)+g(9)+g(10)=2+2+3+2+0
4-4k+3-k 0, 5k 7, k ;5; yy ㉡ =9
㉠, ㉡에서 k 3 9
따라서 상수 k의 최 값은 3이다.
③
x+y+xy=-5 yy ㉠
19 à xÛ`+yÛ`-(x+y)=12 yy ㉡
17 이차 수 y=f(x)의 그 는 아 y x=1
y=f(x) x+y= , xy= 라 하면
로 이고 조건 (가)에서 직 x=1
㉠에서 + =-5 yy ㉢
에 대하여 대 이고 조건 (나)에서 x 과
㉡에서 Û`- -2 =12 yy ㉣
서로 다 두 에서 만 다. x
㉢에서 =- -5를 ㉣에 대입하면
ㄱ. 0 x 4에서 y=f(x)는 x=1일
Û`- -2(- -5)=12
때 최 값, x=4일 때 최 값을 갖
Û`+ -2=0, ( +2)( -1)=0
는다.
=-2 또는 =1
ㄴ. 이차부등식 f(x)<0의 해가 <x< 이면 이차 정
이때 ㉢에서
식 f(x)=0의 두 이 , 이고, 그 가 x=1에 대하여
=-2일 때 =-3
+
대 이므로 =1에서 + =2이다. =1일 때 =-6
2

정답과 풀이 39
정답과 풀이

Ú x+y=-2, xy=-3인 경우
3 {x-; ;}(x+5)<0, (3x-5)(x+5)<0
x, y를 두 으로 하는 에 대한 이차 정식은
3xÛ`+10x-25<0
Û`+2 -3=0, ( +3)( -1)=0
⑤
=-3 또는 =1
x=-3 x=1
à 또는 à
y=1 y=-3
Û x+y=1, xy=-6인 경우
x, y를 두 으로 하는 에 대한 이차 정식은 21 f(x)=xÜ`-(a+3)xÛ`+4ax-aÛ`이라 하면
Û`- -6=0, ( +2)( -3)=0 f(a)=aÜ`-(a+3)aÛ`+4aÛ`-aÛ`=0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2 또는 =3 x-a를 인수로 갖는다.
x=-2 x=3 조립제법을 이용하여 인수분해하면
à 또는 à
y=3 y=-2 a 1 -a-3 4a -aÛ`
Ú, Û 에서 a -3a aÛ`
x=-3 x=1 x=-2 x=3
à 또는 à 또는 à 또는 à 1 -3 a 0
y=1 y=-3 y=3 y=-2
(x-a)(xÛ`-3x+a)=0 yy ➊
따라서 xÛ`+yÛ`의 값은 10 또는 13이므로 최 값은 13이다.
서로 다 세 실 을 가지려면 xÛ`-3x+a=0이 a가 아닌 서로
⑤
다 두 실 을 가져야 하므로
aÛ`-3a+a+0, aÛ`-2a+0, a(a-2)+0
a+0이고 a+2 yy㉠ yy ➋
또한 xÛ`-3x+a=0의 식을 라 할 때,

20 |x-1|+2|x+3|<10에서 =9-4a>0
Ú x<-3일 때, a<; ; yy㉡
-(x-1)-2(x+3)<10, -3x-5<10
㉠, ㉡을 만족하는 자연수 a는 1로 1개이다. yy ➌
x>-5
1
그런데 x<-3이므로 -5<x<-3 yy ㉠
Û -3 x<1일 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1)+2(x+3)<10, x+7<10 ➊ 삼차식을 인수분해한 경우 40`%


➋ x=a와 다 두 을가 조건을 구한 경우 30`%
x<3
식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 a
그런데 -3 x<1이므로 -3 x<1 yy ㉡ ➌ 30`%
의 개수를 구한 경우
Ü x 1일 때,
(x-1)+2(x+3)<10, 3x+5<10

x<; ;

그런데 x 1이므로 1 x<; ; yy ㉢


22 이차항의 계수가 a(a>0)이며 해가 -3<x<3인 이차
㉠, ㉡, ㉢에 의하여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부등식은 a(x+3)(x-3)<0이므로 yy ➊
-5<x<; ; f(x)=a(x+3)(x-3)이라 하면
f(6-x)=a(6-x+3)(6-x-3)
따라서 해가 -5<x<; ; 이고 이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부등
=a(9-x)(3-x)
식은 =a(x-9)(x-3) yy ➋

40 올림포스•수학 (상)
따라서 f(6-x) 0은 a(x-9)(x-3) 0이므로 주어진 부 . 정
등식의 해는 x 3 또는 x 9이다. yy ➌
 x 3 또는 x 9
07 의 정식

단계 채점 기준 비율
기본 유형 본문 69~71쪽
➊ 해가 주어 때 부등식을 구한 경우 30`%
➋ `f(6-x)를 구한 경우 40`% 1. ② 2. ⑤ 3. (10, 4) 4. ③ 5. ③
➌ 이차부등식의 해를 구한 경우 30`% 6.

1. a b 는x 위의 이므로 b=0
a 은두 A(-2, 4), B(3, 5)에서 같은 리에 있
으므로
Ó 서 A Ó `Û B Ó `Û
A Ó B 에
(a+2)Û`+(-4)Û`=(a-3)Û`+(-5)Û`
aÛ`+4a+4+16=aÛ`-6a+9+25

10a=14, a=;5;

따라서 의 는 {;5;, 0}이므로

a+b=;5;+0=;5;

②

2. 변형의 대각 은 서로 다 것을 이등분하므로
분 AC의 중 과 분 BD의 중 은 일치한다.
1+(-3) 5+3
분 AC의 중 은 { , }에서
2 2
(-1, 4)
-5+a -1+b
분 BD의 중 은 { , }
2 2
-5+a -1+b
즉, =-1, =4에서 a=3, b=9이므로
2 2
a+b=3+9=12
⑤

3. 세 A(4, 7), B(a, b), C(c, d)를 으로 하는


4+a+c 7+b+d
삼각형 ABC의 중 의 는{ , }
3 3
이므로
4+a+c
=8에서 a+c=20
3
7+b+d
=5에서 b+d=8
3

정답과 풀이 41
정답과 풀이

a+c b+d
분 BC의 중 의 는{
2
,
2
}이므로 유형 본문 72~73쪽

a+c 20
2
=
2
=10 01 ④ 02 ② 03 ① 04 ② 05 ②
b+d 8
06 22 07 12 08 1 09 ⑤ 10 1
= =4 11 ⑤ 12 ② 13 ①
2 2
따라서 분 BC의 중 의 는 (10, 4)이다.
 (10, 4) 01 (a, b)가 직 y=x+1 위의 이므로
b=a+1
a-b=-1 yy ㉠
4. x 의 양의 과 60 의 각을 이 는 직 의 는
A Ó Ó 서 A Ó Û`
B 에 B Ó Û`이므로
60 ='3이므로 (-2, 1)을 지나고 가 '3인 직
(a-1)Û`+(b+2)Û`=(a-3)Û`+(b-1)Û`
의 정식은 y-1='3(x+2)에서 y='3x+2'3+1
4a+6b=5 yy ㉡
이직 이 (-1, a)를 지나므로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3+2'3+1='3+1
a=-; ;, b=; ;
③
따라서

a+b=-; ;+; ;=;5$;


5. 두 A(-1, 1), B(5, 3)을 지나는 직 의 는
3-1 ④
=; @;=;3!;
5-(-1)
이므로 이 직 에 수직인 직 의 는 -3이다.
그 므로 가 -3이고 y 편이 6인 직 의 정식은
02 A(-1, 2), B(3, 0), C(-2, -5)에서
ABÓ='Ä16+4='20,
y=-3x+6
BCÓ='Ä25+25='50,
따라서 a=-3, b=6이므로
CAÓ='Ä1+49='50
a+b=-3+6=3
이므로 BCÓ CA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③
②

6. 3x-4y+1=0의 가 ;4#;이므로 구하는 직 의 03 세 A(2, 0), B(7, -2), C(3, -1)을 으로


하는 삼각형 ABC의 의 를 (a, b)라 하면
는 -;3$;이다. AÓ BÓ CÓ
AÓ Û` BÓ Û`에서
구하는 직 의 정식을 y=-;3$;x+n으로 놓으면 (a-2)Û`+bÛ`=(a-7)Û`+(b+2)Û`

4x+3y-3n=0 yy ㉠ 10a-4b=49 yy ㉠

과직 ㉠ 이의 리가 1이므로 AÓ Û` CÓ Û`에서
(a-2)Û`+bÛ`=(a-3)Û`+(b+1)Û`
|-3n|
=1
"Ã Û` Û` a-b=3 yy ㉡
|3n|=5 ㉠, ㉡을 연립하여 풀면
양변을 제곱하면 9nÛ`=25에서 a= , b=
nÛ`=
따라서 a+b= =

①

42 올림포스•수학 (상)
04 세 A(2, 1), B(4, 5), C(4, 0)에 대하여 A의 이 07 세 A(2, 0), B(3, 1), C(1, 5)에 대하여 각 변의 내
등분 이 변 BC와 만나는 이 D(a, b)이므로 분 을 구하면
ABÓ ACÓ=BDÓ : DCÓ 1_3+2_2 1_1+2_0
{ , }에서 {;3;, ;3!;}
ABÓ="Ã(4-2)Û`+(5-1)Û`=2'5 1+2 1+2

ACÓ="Ã(4-2)Û`+(0-1)Û`='5 1_1+2_3 1_5+2_1


{ , }에서 {;3;, ;3;}
1+2 1+2
ABÓ : ACÓ=2 : 1이므로 D는 분 BC를 2 : 1로 내분한다.
1_2+2_1 1_0+2_5
따라서 D(a, b)에 대하여 두 B(4, 5), C(4, 0)의 x { , }에서 {;3$;, }
1+2 1+2
가 4로 같으므로
삼각형 의 중 G(a, b)에 대하여
2_0+1_5 5
a=4, b= =
2+1 3 3a=;3;+;3;+;3$;= =6,
따라서
3b=;3!;+;3;+ = =6
a+b=4+;3;=
이므로 3(a+b)=3a+3b=6+6=12
②
 12
삼각형 ABC에서 A의 이등분 A
다른풀이
이 변 BC와 만나는 을 D라 하면
삼각형 ABC의 각 변 AB, BC, CA를 각각 m : n으로 내분
ABÓ : ACÓ=BDÓ : DCÓ가 성립한다.
B C
하는 을 각각 , , 라 할 때, 삼각형 의 중
D
G(a, b)는 삼각형 A B C의 중 과 일치하므로 세
A(2, 0), B(3, 1), C(1, 5)에 대하여 삼각형 ABC의 중
을 구하면
05 두 A(-3, 2), B(6, -4)에 대하여 분 AB를
a=
2+3+1
=2, b=
0+1+5
=2
m : n으로 내분하는 의 는 3 3
6m-3n -4m+2n 따라서
{ , }
m+n m+n
3(a+b)=3(2+2)=12
이 이x 위의 이므로 y 가 0이 다.
-4m+2n=0, n=2m
에서 m : n=1 : 2 08 직 (a+1)x+by-3=0이 x 의 양의 과이 는
a+1
m, n이 서로 인 두 자연수이므로 m=1, n=2 각의 가 45 이므로 b+0이고 y=- x+;b#; 에서
b
따라서 m-n=1-2=-1 a+1
- = 45 =1, a+1=-b yy ㉠
② b
이직 이 (3, 0)을 지나므로
3(a+1)+0-3=0에서 a=0
a=0을 ㉠에 대입하면 b=-1
06 세 A(2, 3), B(a, -2b), C(3-b, a-1)을
으로 하는 삼각형 ABC의 중 의 가 (7, 5)이므로 따라서 a-b=0-(-1)=1

2+a+3-b 1
=7에서 a-b=16
3
3-2b+a-1
3
=5에서 a-2b=13 09 세 A(-1, 2), B(4, 2-k), C(k+1, -5)가 한 직
위에 있으려면 두 직 AB, AC의 가 서로 같아야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9, b=3이므로
하므로
a+b=19+3=22
(2-k)-2 -5-2 -k -7
 22 = , =
4-(-1) (k+1)-(-1) 5 k+2

정답과 풀이 43
정답과 풀이

-kÛ`-2k=-35, kÛ`+2k-35=0
12 (0, k)에서 두 직 2x+3y=1, 3x-2y=4에 이
따라서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수 k의 값의 곱은 는 리가 같으므로
-35이다. |0+3k-1| |0-2k-4|
=
⑤ "Ã2Û`+3Û` "Ã3Û`+(-2)Û`
|3k-1|=|2k+4|
3k-1= (2k+4)
10 두 직 의 정식 2x+y+4=0, x-y+2=0을 연립하
여 풀면 두 직 의 교 은 (-2, 0)이다. 3k-1=2k+4에서
직 x+2y+7=0에 하면 가 같으므로 k=5
3k-1=-(2k+4)에서
y=-;2!;x-;2;에서 구하는 직 의 는 -;2!;이다.
5k=-3, k=-;5#;
그 므로 (-2, 0)을 지나고, 가 -;2!;인 직 의 정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식은 y-0=-;2!;(x+2)에서 y=-;2!;x-1
5+{-;5#;}= 5
따라서 A(-2, 0), B(0, -1)이므로 삼각형 AB의 넓이는
②
;2!;_2_1=1
다른풀이

1 (0, k)에서 두 직 2x+3y=1, 3x-2y=4에 이 는


다른풀이 리가 같으므로
두직 2x+y+4=0, x-y+2=0의 교 을 지나는 직 의 |0+3k-1| |0-2k-4|
=
정식은 "Ã2Û`+3Û` "Ã3Û`+(-2)Û`
2x+y+4+k(x-y+2)=0(k는 실수) |3k-1|=|2k+4|
으로 나타 수 있다. 양변을 제곱하면
(2+k)x+(1-k)y+(4+2k)=0 yy ㉠ 9kÛ`-6k+1=4kÛ`+16k+16
이직 이직 x+2y+7=0과 하므로 5kÛ`-22k-15=0
2+k 1-k 4+2k 따라서 주어진 이차 정식은 서로 다 두 실 을 가지고, 과
= +
1 2 7
4+2k=1-k, 3k=-3에서 k=-1 계수의 관계에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5 이다.

1-k 4+2k
이때 + 이다.
2 7
k=-1을 ㉠에 대입하면
x+2y+2=0 13 3x-2y+2-k(x+2y)=0에서
따라서 A(-2, 0), B(0, -1)이므로 삼각형 AB의 넓이는 (3-k)x-2(k+1)y+2=0

;2!;_2_1=1 과이직 이의 리는
2 2
=
"Ã(k-3)Û`+4(k+1)Û` "Ã5kÛ`+2k+13
11 두 직 x+ay-1=0, 5x+(2-3a)y+2=0이 서로 이므로 이 값이 최대가 될 때 분모 "Ã5kÛ`+2k+13 은 최 가
수직이 되려면 다. 즉,
1_5+a_(2-3a)=0
5kÛ`+2k+13=5 {k+;5!;}2`+ 5
3aÛ`-2a-5=0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 ;이다. 에서 k=-;5!;일 때 분모가 최 가 되므로 리는 최대가 다.

⑤ ①

44 올림포스•수학 (상)
서술형 본문 74쪽
03 구하는 각의 이등분 위 3x-4y-2=0

의 의의 (X, Y)에 대
하여 에서 두 직
01 (4, 5) 02 44
3x-4y-2=0,
03 x+y=0 7x-7y-4=0 4x-3y-2=0
4x-3y-2=0에 내 수 의 을 각각 , 라 하면
Ó Ó yy ➊
01 A(1, 2), B(4, 8), C(7, 5)에서 (a, b)라 하면
이므로
AÓ Û`=(a-1)Û`+(b-2)Û`
BÓ Û`=(a-4)Û`+(b-8)Û` |3X-4Y-2| |4X-3Y-2|
= yy ➋
'Ä9+16 'Ä16+9
CÓ Û`=(a-7)Û`+(b-5)Û` yy ➊
3X-4Y-2= (4X-3Y-2)
AÓ `
Û BÓ `
Û `
Û
CÓ =3aÛ`-24a+66+3bÛ`-30b+93
즉, 3X-4Y-2=4X-3Y-2
=3(aÛ`-8a+16)+3(bÛ`-10b+25)+36
또는 3X-4Y-2=-(4X-3Y-2)
=3(a-4)Û`+3(b-5)Û`+36 yy ➋
이므로
이때 a, b가 실수이므로 (a-4)Û` 0, (b-5)Û` 0
X+Y=0 또는 7X-7Y-4=0
즉, AÓ Û` BÓ Û` CÓ Û` 36
따라서 구하는 직 의 정식은
따라서 AÓ Û` BÓ Û` CÓ Û`의 값이 최 일 때 의 는
x+y=0 또는 7x-7y-4=0 yy ➌
(4, 5)이다. yy ➌
 x+y=0 또는 7x-7y-4=0
 (4, 5)
삼각형 ABC와 의의 에 대하여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Ó Û ` BÓ `
Û `
Û
CÓ 의 값이 최 가 되는 는 삼각형 ABC ➊ 각의 이등분 의 성 을 경우 30`%
과 직 이의 리 공식을 이용하여 식을
의 중 이다. ➋ 30`%
나타낸 경우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➌ 각을 이등분하는 직 의 정식을 구한 경우 40`%
➊ `
Û `
Û `
Û
A , B , C 을 각각 구한 경우 30`%
➋ 리의 제곱의 합을 정리하여 식으로 나타낸 경우 40`%
➌ 최 값을 갖는 의 를 구한 경우 30`%

02 두 직 ax+3y+3=0, (b-2)x-3y+5=0이 서로
하므로
+
a
=
3
+;5#; 에서 a=-b+2, a+b=2 yy ➊ 내신 수능 본문 75쪽
b-2 -3
두직 ax+3y+3=0, bx+2y+1=0이 서로 수직이므로 01 ② 02 (0, -1) 03 ③
ab+6=0에서 ab=-6 yy ➋
따라서 01 삼각형 A 의 넓이가 삼각형 B 의 넓이의 4 가 되
aÜ`+bÜ`=(a+b)Ü`-3ab(a+b) 도 하는 는 분 AB를 4 : 1로 내분하는 과 4 : 1로
=2Ü`-3_(-6)_2=44 yy ➌ 분하는 이다.
 44 y y
B
B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두 직 이 서로 할 조건을 구한 경우 40`%
➋ 두 직 이 서로 수직일 조건을 구한 경우 40`% x
x
➌ 식의 값을 구한 경우 20`% A
A

정답과 풀이 45
정답과 풀이

두 A(-2, -1), B(3, 4)에서 분 AB를 4 : 1로 내분하 y


A
y
A
는 을 xÁ, yÁ)이라 하면 B B
4_3+1_(-2) D D
xÁ= = 5 =2,
4+1
4_4+1_(-1) x x
yÁ= = 5 =3 C C
4+1
이므로 Á(2, 3) 즉, AÓ BÓ CÓ DÓ가 최 가 되려면 는 두 직
분 AB를 4 : 1로 분하는 을 xª, yª)라 하면 AC와 BD의 교 에 위치해야 한다.
4_3-1_(-2) A(2, 4), B(3, 3), C(2, -1), D(1, 2)에 대하여 직
xª= =
4-1
AC의 정식은 두 의x 가 2로 같으므로
4_4-1_(-1)
yª= = x=2 yy ㉠
4-1
3-2
직 BD의 정식은 y-2= (x-1)에서
이므로 { , } 3-1

y=;2!;x+;2#; yy ㉡
따라서
812 ㉠, ㉡을 연립하여 풀면 의 는
Ó=¾¨{ -2}2`+{ -3}2`=
3
{2, ;2;}
②
따라서 분 A 의 길이는

02 y 위를 직이는 에 대하여 y A Ó= 4-;2; =;2#;


세 A, B, 가 삼각형을 이 때, B ③
A Ó<ABÓ B 이
Ó 므로
A Ó B Ó ABÓ A

한편 A Ó ABÓ B 이
Ó 므로
x
A Ó B Ó ABÓ
즉, ABÓ A Ó B Ó ABÓ에서
A Ó B Ó ABÓ yy ㉠
직 AB가 y 과 만나는 을 '이라 하면 가 '과 일
치할 때
A Ó B Ó A Ó B Ó ABÓ yy ㉡
㉠, ㉡에서 A Ó B Ó ABÓ이므로 A Ó B Ó 의 최 값은
ABÓ이다.
두 A(2, 3), B(4, 7)을 지나는 직 의 정식은
7-3
y-3= (x-2)
4-2
따라서 y=2x-1이므로 (0, -1)이다.
 (0, -1)

03 AÓ CÓ가 최 가 되려면 는 분 AC 위에 있어
야 하고 BÓ DÓ가 최 가 되려면 는 분 BD 위에 있
어야 한다.

46 올림포스•수학 (상)
. 정 따라서 k>0이므로 k=3이다.
3
08 의 정식
다른풀이

(x-1)Û`+yÛ`=5의 중 의 를 C(1, 0)이라 하고 C


기본 유형 본문 78~79쪽
와직 y=2x+k, 즉 2x-y+k=0 이의 리를 d라 하면
1. (x-2)Û`+(y-3)Û`=9 (x+4)Û`+(y+3)Û`=9
d=
|2_1-0+k|
=
|k+2|
"Ã2Û`+(-1)Û` '5
2. ① 3. 3 4.
이때 k는 양수이므로
k+2
d=
1. x 에 하는 의중 의 를 (a, b)라 하면 지 '5
의 길이는 |b|이므로 의 정식은 (x-a)Û`+(y-b)Û`=bÛ` 의 지 의 길이는 '5 이므로 과직 이 하려면 d='5,
이다. k+2
즉 ='5 이어야 한다.
중 (a, b)는 직 y=x+1 위에 있으므로 '5
b=a+1 yy ㉠ 따라서
지 의 길이가 3이므로 k=5-2=3
|b|=3, 즉 b= 3 yy ㉡
㉠, ㉡에서 4. (x-2)Û`+yÛ`=5의 중 의 를 C(2, 0)이라 하자.
a=2, b=3 또는 a=-4, b=-3 2-0
직 C의 는 =2이고 과직 C는 서로
3-2
따라서 구하는 의 정식은
수직이므로 의 는 -;2!; 이다.
(x-2)Û`+(y-3)Û`=9 또는 (x+4)Û`+(y+3)Û`=9
따라서 구하는 은 (3, 2)를 y
 (x-2)Û`+(y-3)Û`=9 또는 (x+4)Û`+(y+3)Û`=9 1 7`
y=--x+-
2 2`
7
지나고 가 -;2!;인 직 이므로 2

2. xÛ`+yÛ`+ax+4y=0에서
이직 의 정식은 C x
aÛ`
{x+;2;}2`+(y+2)Û`= +4
4 y-2=-;2!;(x-3) (x-2)Û`+yÛ`=5

즉, 중 의 는 {-;2;, -2}이고 지 의 길이는


y=-;2!;x+;2;
aÛ`
¾¨ +4이므로 이때 직 y=-;2!;x+;2;이 x , y 과 만나는 의 는각
4
aÛ` 각 (7, 0), {0, ;2;}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2;=3, b=-2, r=¾¨ +4
4
따라서 a=-6, b=-2, r='13 이므로 ;2!;_7_;2;=
aÛ`+bÛ`+rÛ`=36+4+13=53
① 

3. (x-1)Û`+yÛ`=5에 y=2x+k를 대입하면


(x-1)Û`+(2x+k)Û`=5 유형 본문 80~81쪽
5xÛ`+2(2k-1)x+kÛ`-4=0 yy ㉠
이차 정식 ㉠의 식을 라 할 때, 01 25 02 ⑤ 03 ② 04 ③ 05 4
=(2k-1)Û`-5(kÛ`-4)=0, -kÛ`-4k+21=0 06 ① 07 9 08 ③ 09 23 10 16
4
11 ④ 12 12
kÛ`+4k-21=0, (k+7)(k-3)=0

정답과 풀이 47
정답과 풀이

01 의중 의 를 (0, b), 지 의 길이를 r라 하면 (1-r)Û`+(2-r)Û`=rÛ`


의 정식은 rÛ`-6r+5=0, (r-1)(r-5)=0
xÛ`+(y-b)Û`=rÛ` 따라서 r=1 또는 r=5이므로 구하는 두 의 둘레의 길이의
이 이두 (-3, 0), (4, -1)을 지나므로 합은
9+bÛ`=rÛ` yy ㉠ 2 +10 =12
16+(-1-b)Û`=rÛ` yy ㉡ ②
㉠, ㉡에서
9+bÛ`=16+(b+1)Û`, 9+bÛ`=16+bÛ`+2b+1 04 xÛ`+yÛ`+8x-2ay+4a-1=0에서
9=2b+17, b=-4 (x+4)Û`+(y-a)Û`=aÛ`-4a+17
따라서 rÛ`=25이므로 구하는 의 넓이는 따라서 주어진 도형은 중 이 (-4, a)이고 지 의 길이가
rÛ`=25 "ÃaÛ`-4a+17인 이다.
 25 이때 aÛ`-4a+17=(a-2)Û`+13은 a=2일 때 최 값 13을
다른풀이 갖는다.
구하는 의중 의 를 A(0, b)라 하고 B(-3, 0), 따라서 이 의 넓이의 최 값은 13 이다.
C(4, -1)이라 하면 ABÓ ACÓ이어야 하므로 ③
"Ã(-3)Û`+(-b)Û`="Ã4Û`+(-1-b)Û`
양변을 제곱하면 05 xÛ`+yÛ`+8x-6y-2k+15=0에서
y
9+bÛ`=16+bÛ`+2b+1 (x+4)Û`+(y-3)Û`=2k+10 xÛ`+yÛ`+8x-6y-2k+15=0
b=-4 이 정식이 을 나타내려면
따라서 의 지 의 길이는 ABÓ="Ã(-3)Û`+4Û`=5이므로 2k+10>0, 즉 k>-5
의 넓이는 25 이다. yy ㉠
x
이어야 한다.
이 의 중 이 (-4, 3)이고 지 의
02 중 이직 y=-x+2 위에 있으므로 중 의 y 를
a라 하면 x 는 2-a이다. 길이가 'Ä2k+10이므로 이 위의 모든 이 제2 분면 위에
이때 이 이 직 y=-1에 하고 (2, 7)을 지나므로 있으려면
a>-1이고 지 의 길이는 a-(-1)=a+1이어야 한다. 'Ä2k+10<3 yy ㉡
따라서 의 정식은 이어야 한다.
(x-2+a)Û`+(y-a)Û`=(a+1)Û` ㉡의 양변을 제곱하면
이 이 (2, 7)을 지나므로 2k+10<9, k<-;2!; yy ㉢
(2-2+a)Û`+(7-a)Û`=(a+1)Û`
㉠, ㉢을 동시에 만족시 야 하므로
aÛ`+49-14a+aÛ`=aÛ`+2a+1, aÛ`-16a+48=0
-5<k<-;2!;
(a-4)(a-12)=0
따라서 a=4 또는 a=12이므로 따라서 정수 k는 -4, -3, -2, -1의 4개이다.
p+q=4+12=16 4
⑤
06 직 2x+ay+3=0이 두 xÛ`+yÛ`+2bx=0,
03 주어진 의 중 이 제 1 분면 위에 있어야 하므로 지 xÛ`+yÛ`+4x-6y+1=0의 넓이를 모두 이등분하려면 직
의 길이를 r라 하면 의 정식은 2x+ay+3=0이 두 의 중 을 모두 지나야 한다.
(x-r)Û`+(y-r)Û`=rÛ` (단, r>0) xÛ`+yÛ`+2bx=0, 즉 (x+b)Û`+yÛ`=bÛ`의 중 의 는
이 이 (1, 2)를 지나므로 (-b, 0)이고, xÛ`+yÛ`+4x-6y+1=0, 즉

48 올림포스•수학 (상)
(x+2)Û`+(y-3)Û`=12의 중 의 는 (-2, 3)이다. 분 의 길이는 의중 (0, 0)과 직 x-2y+5=0
따라서 직 2x+ay+3=0이 (-b, 0)을 지나야 하므로 이의 리와 같으므로

-2b+3=0, b=;2#; |5|


Ó= ='5
"Ã1Û`+(-2)Û`
또, 직 2x+ay+3=0이 (-2, 3)을 지나야 하므로 분 A의 길이는 의 지 의 길이인 3과 같으므로 직각
-4+3a+3=0, a=;3!; 삼각형 A 에서
A Ó AÓ Û` Ó Û` ¿¹ Û` ' Û`
따라서 ab=;3!;_;2#;=;2!;
따라서 AB A
①
③
다른풀이
07 y=x+k를 (x-3)Û`+(y-2)Û`=8에 대입하면 x=2y-5를 xÛ`+yÛ`=9에 대입하면
(x-3)Û`+(x+k-2)Û`=8
(2y-5)Û`+yÛ`=9, 5yÛ`-20y+16=0
xÛ`-6x+9+xÛ`+kÛ`+4+2kx-4k-4x=8
10 "Ã10Û`-5_16 2'5
2xÛ`+2(k-5)x+kÛ`-4k+5=0 yy ㉠ y= =2
5 5
이차 정식 ㉠의 식을 라 할 때, 2'5 4'5
y=2+ 일 때, x=-1+
=(k-5)Û`-2(kÛ`-4k+5) 0, -kÛ`-2k+15 0 5 5
4 2'5 4'5
y=2- 일 때, x=-1-
kÛ`+2k-15 0, (k+5)(k-3) 0 5 5
-5 k 3 따라서 과 직 이 만나는 두 의 는
따라서 정수 k의 개수는 4'5 2'5 4'5 2'5
{-1+ , 2+ }, {-1- , 2- }
5 5 5 5
3-(-5)+1=9
이므로 이 두 교 이의 리는
9
8'5 4'5 64_5+16_5
다른풀이 { }`2 +{ }`2 =
5 5 25
(x-3)Û`+(y-2)Û`=8의 중 을 C, 지 의 길이를 r라
하면 = 5

C(3, 2), r='8=2'2 ='16=4


이때 이 이직 y=x+k와 만나려면 C와 직
x-y+k=0 이의 리 d는 r 이하이어야 한다. 09 20개의 xÛ`+yÛ`=R(R=1, 2, 3, y, 20)는 중 의
|3-2+k| |k+1| 가 모두 (0, 0)이고 지 의 길이가 'R이다.
d= =
"Ã1Û`+(-1)Û` '2
의중 (0, 0)과 직 3x+4y-15=0 이의 리는
|k+1| |-15| 15
이므로 2'2에서 = =3
'2 "Ã3Û`+4Û` 5
|k+1| 4, -4 k+1 4 이므로 직 3x+4y-15=0은 xÛ`+yÛ`=3Û`, 즉 xÛ`+yÛ`=9
따라서 -5 k 3이므로 정수 k의 개수는 와 한다.
3-(-5)+1=9 즉, 직 3x+4y-15=0은 11개의 xÛ`+yÛ`=R(R=10,
11, y, 20)과 서로 다 두 에서 만나고, xÛ`+yÛ=9와 한
08 그림과 같이 주어 y
B
에서 만나며 나머지 8개의 xÛ`+yÛ`=R(R=1, 2, y, 8)
진 과 직 의 두 교 을 A, 과는 만나지 않는다.
A
B라 하고 의중 에서 직 따라서 구하는 교 의 개수는
x
x-2y+5=0에 내 수 x-2y+5=0 1_1+11_2=23
의 을 라 하자. xÛ`+yÛ`=9
 23

정답과 풀이 49
정답과 풀이

10 xÛ`+yÛ`=40 위의 (a, b)에서의 의 정식은 12 에서 직 AB에 내 수 의 을 라 하면 삼각


ax+by=40 형 A B의 넓이는
b=0일 때의 은y 에 하므로 b+0이다. 즉,
;2!;_ABÓ Ó
y=-;b;x+ b
ABÓ "Ã Û` Û` ' 이므로 의
Ó 값이 최대일 때 삼각형
직 x+2y=1과 한직 의 는 -;2!;이므로 AB의 넓이가 최대이다.
한편 가
Ó 최대일 때는 그 y
-;b;=-;2!; B
림과 같이 직 AB와 한직
b=2a yy ㉠ 이 xÛ`+yÛ`=2와 하는 이
xÛ`+yÛ`=2
한편 (a, b)는 xÛ`+yÛ`=40 위에 있으므로 일 때이다.
aÛ`+bÛ`=40 yy ㉡ 직 AB의 는 A x

㉠을 ㉡에 대입하면 4-0 y=x-2


=1이고,
aÛ`+4aÛ`=40, aÛ`=8 0-(-4)

따라서 a=2'2 , b=4'2 또는 a=-2'2 , b=-4'2 이므로 xÛ`+yÛ`=2에 하고 가 1인 직 의 정식은

ab=16 y=x '2"Ã1Û`+1 , 즉 y=x 2

 16 의
Ó 값이 최대일 때의 의 정식은 y=x-2이고, Ó
의 최 값은 A(-4, 0)과 직 y=x-2 이의 리인
|-4-0-2| 6
11 (x-2)Û`+(y+1)Û`=1의 중 y
"Ã1Û`+(-1)Û`
=
'2
=3'2이다.
의 가 (2, -1)이므로 구하는 xÛ`+yÛ`=4
따라서 삼각형 A B의 넓이의 최 값은
직 은 (2, -1)에서
x
xÛ`+yÛ`=4에 그은 이다. ;2!;_4'2_3'2=12
의 를 (xÁ, yÁ)이라 하면 (x y)
 12
의 정식은
다른풀이
xÁx+yÁy=4 yy ㉠
에서 직 AB에 내 수 의 을 라 하자.
직 ㉠은 (2, -1)을 지나므로
삼각형 AB의 넓이가 최대일 때는 분 의 길이가 최대
2xÁ-yÁ=4 yy ㉡
일 때이다.
(xÁ, yÁ)은 xÛ`+yÛ`=4 위의 이므로
분 의 길이가 최대일 때는 위의 그림과 같이 분 가
xÁÛ`+yÁÛ`=4 yy ㉢
의중 (0, 0)을 지 때이다.
㉡에서 yÁ=2xÁ-4를 ㉢에 대입하면
직 AB의 는 1이므로 직 AB의 정식은
xÁÛ`+(2xÁ-4)Û`=4, 5xÁÛ`-16xÁ+12=0
y=x+4
(xÁ-2)(5xÁ-6)=0
따라서 (0, 0)과 직 AB 이의 리는
xÁ=2 또는 xÁ=;5^; yy ㉣ |4|
=2'2
㉣을 ㉡에 대입하면 "Ã1Û`+(-1)Û`
또, Ó='2이므로 분 의 길이의 최 값은
xÁ=2일 때 yÁ=0이고 xÁ=;5^;일 때 yÁ=-;5;
2'2+'2=3'2
따라서 xÁ, yÁ의 값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의 정식은 이다.
x=2 또는 3x-4y=10 ABÓ="Ã4Û`+4Û`=4'2이므로 삼각형 A B의 넓이의 최 값은
이때 직 x=2는 y 에 하므로 구하는 직 의 정식은
;2!;_4'2_3'2=12
3x-4y=10이고 이 직 의 y 편은 -;2; 이다.

④

50 올림포스•수학 (상)
서술형 본문 82쪽
03 의 중 을 C라 하면 y

C(1, 2)이므로
C ="Ã(3-1)Û`+(a-2)Û`
01 : 8, :2 02 03 7 ="ÃaÛ`-4a+8 yy ➊ C
x
의 지 의 길이는 4이므로
(x-1)Û`+(y-2)Û`=16
01 xÛ`+yÛ`-8x-6y+16=0에서 (x-4)Û`+(y-3)Û`=9 C =
Ó 4
이므로 주어진 의 중 을 C라 하면 C의 는 (4, 3) 따라서 직각삼각형 C 에서
이고, 의 지 의 길이는 3이다. yy ➊ Ó C Ó Û` C Ó Û`
Ó의 최 값은 ="ÃaÛ`-4a+8-16="ÃaÛ`-4a-8 yy ➋
CÓ+( 지 의 길이)="Ã4Û`+3Û`+3=8 yy ➋ Ó ' 이므로
Ó의 최 값은 "ÃaÛ`-4a-8='13
CÓ-( 지 의 길이)="Ã4Û`+3Û`-3=2 yy ➌ 위 등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 최 값: 8, 최 값: 2 aÛ`-4a-8=13, aÛ`-4a-21=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7)(a+3)=0
➊ 의중 의 와 지 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이때 a>0이므로
➋ 의
Ó 최 값을 구한 경우 30`% a=7 yy ➌
➌ 의
Ó 최 값을 구한 경우 30`% 7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C Ó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➋ 의
Ó 값을 구한 경우 30`%
➌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02 xÛ`+yÛ`=5 위의 두 2x+y=5 y -2x+y=5


(2, 1), (-2, 1)에서의 의
정식은 각각 (-2 1) (2 1)

2x+y=5, -2x+y=5 yy ➊ 5 5
-2 2 +
이때 두 직 이 x 과 만나는 의 x 내신 수능 본문 83쪽

는 각각 {;2;, 0}, { ;2;, 0}이고,


01 ③ 02 ③ 03 ⑤
두 직 이 y 과 만나는 의 는 (0, 5)이다. yy ➋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01 x 과 y 에 동시에 하는 의중 은직 y=x 또는
y=-x 위에 있다.
;2!;_5_5= yy ➌
따라서 구하는 모든 의중 은두직 y=x, y=-x와
(x-2)Û`+(y-2)Û`=32가 만나는 이다.

Ú중 이직 y=x 위에 있고 x 과 y 에 동시에 하는
단계 채점 기준 비율 y=x를 (x-2)Û`+(y-2)Û`=32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➊ 의 정식을 구한 경우 30`% (x-2)Û`+(x-2)Û`=32, (x-2)Û`=16
두 이 과 만나는 의 를 구한 x-2= 4이므로
➋ 40`%
경우 x=6 또는 x=-2
➌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 경우 30`% 따라서 이 경우의 은 중 이 (6, 6)이고 지 의 길이가

정답과 풀이 51
정답과 풀이

6인 과 중 이 (-2, -2)이고 지 의 길이가 2인 다른풀이

이 있으므로 이 두 의 넓이의 합은 xÛ`+yÛ`=16의 중 을 , 지 의 길이를 rÁ이라 하면


_6Û`+ _2Û`=40 (0, 0), rÁ=4
Û 중 이직 y=-x 위에 있고 x 과 y 에 동시에 하는 와직 y=-x+k 이의 리를 dÁ이라 하면
y=-x를 (x-2)Û`+(y-2)Û`=32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k|
dÁ=
(x-2)Û`+(-x-2)Û`=32 '2
xÛ`-4x+4+xÛ`+4x+4=32 조건 (가)에서 dÁ<rÁ이어야 하므로
xÛ`=12 |k|
<4, |k|<4'2
'2
x=2'3 또는 x=-2'3
-4'2 <k<4'2 yy ㉠
따라서 이 경우의 은 중 이 (2'3, -2'3)이고 지 의
(x-4)Û`+yÛ`=kÛ`의 중 을 C, 지 의 길이를 rª라 하면
길이가 2'3인 과 중 이 (-2'3, 2'3)이고 지 의길
C(4, 0), rª=|k|
이가 2'3인 이 있으므로 이 두 의 넓이의 합은
C와 직 y=-x+k 이의 리를 dª라 하면
_(2'3)Û`+ _(2'3)Û`=24
|4+0-k| |k-4|
Ú, Û 에서 구하는 모든 의 넓이의 합은 dª= =
'2 '2
40 +24 =64
조건 (나)에서 dª>rª이어야 하므로
③
|k-4|
>|k|
'2
|k-4|>'2|k|의 양변을 제곱하면
02 y=-x+k를 xÛ`+yÛ`=16에 대입하면 kÛ`-8k+16>2kÛ`
xÛ`+(-x+k)Û`=16 kÛ`+8k-16<0
2xÛ`-2kx+kÛ`-16=0 yy ㉠ -4-4'2<k<-4+4'2 yy ㉡
이차 정식 ㉠의 식을 Á이라 할 때, 조건 (가)에서 Á>0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이어야 하므로 -4'2 <k<-4+4'2
Á
=(-k)Û`-2(kÛ`-16)>0, -kÛ`+32>0 이므로 정수 k의 값의 범위는 -5 k 1이다.
4
그런데 k+0이므로 정수 k의 개수는 -5, -4, -3, -2,
kÛ`-32<0, -4'2<k<4'2 yy ㉡
-1, 1의 6이다.
y=-x+k를 (x-4)Û`+yÛ`=kÛ`에 대입하면
(x-4)Û`+(-x+k)Û`=kÛ`
xÛ`-(k+4)x+8=0 y… ㉢
이차 정식 ㉢의 식을 ª라 할 때, 조건 (나)에서 ª<0이 03 xÛ`+yÛ`=36에 하고 y
어야 하므로 가 m인 직 의 정식 B
xÛ`+(y-6)Û`=16
ª={-(k+4)}Û`-4_8<0, kÛ`+8k-16<0 은 C
A
-4-4'2<k<-4+4'2 y… ㉣ y=mx 6"ÃmÛ`+1
x
이때 5<4'2='32<6이므로 ㉡, ㉣에서 그런데 의 y 편은 양수
-4-4'2<-4'2<-4+4'2<4'2 이므로 직 의 정식은 xÛ`+yÛ`=36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y=mx+6"ÃmÛ`+1 (m<0)


-4'2<k<-4+4'2 xÛ`+(y-6)Û`=16의 중 을 C(0, 6)이라 하고 분 AB의
따라서 정수 k의 값의 범위는 -5 k 1이다.
중 을 이라 하면 A Ó=;2!; ABÓ=2'3 이므로
그런데 k+0이므로 정수 k의 개수는 -5, -4, -3, -2,
-1, 1의 6이다. C Ó= CAÓ Û`-A Ó Û`=¿¹4Û`-(2'3)Û`=2
③ 따라서 C(0, 6)과 직 : mx-y+6"ÃmÛ`+1=0 이의

52 올림포스•수학 (상)
리가 2이어야 하므로 . 정
|-6+6"ÃmÛ`+1|
"ÃmÛ`+1
=2, |-3+3"ÃmÛ`+1|="ÃmÛ`+1 09 의이

이때 -3+3"ÃmÛ`+1 0이므로
기본 유형 본문 86~87쪽
-3+3"ÃmÛ`+1="ÃmÛ`+1
2"ÃmÛ`+1=3 1. (6, 5) 2. -8 3. ⑤ 4. -;3;
위 등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mÛ`+1=;4(;, mÛ`=;4; 1. 삼각형 ABC의 중 G의 는


0+2+7 3+3+6
이때 m<0이므로 { , }, 즉 (3, 4)이다.
3 3
'5
m=- A(0, 3)을 G(3, 4)로 이동시키는 이동은 x 의
2
으로 3만 , y 의 으로 1만 이동시키는 이동이다.
⑤
따라서 이 이동에 의하여 G(3, 4)가 지는 을
(x ', y ')이라 하면
x '=3+3, y '=4+1, 즉 x '=6, y '=5
따라서 G(3, 4)가 지는 의 는 (6, 5)이다.
 (6, 5)

2. xÛ`+yÛ`-8x+ay-6=0은
aÛ`
(x-4)Û`+{y+;2;}2`=22+ 이고 이를 x 의 으로 b만
4
,y 의 으로 -2만 이동시 의 정식은
aÛ`
(x-b-4)Û`+{y+2+;2;}2`=22+
4

이 의 중 은 {b+4, -2-;2;}이고 이 이 과 일치하

므로

b+4=0, -2-;2;=0

따라서 a=-4, b=-4이므로


a+b=-4-4=-8
 -8

3. (-1, 2)를 x 에 대하여 대 이동시 은


(-1, -2)이고, 다시 직 y=x에 대하여 대 이동시 은
(-2, -1)이다.
(-2, -1)이 (x-1)Û`+(y-1)Û`=R 위에 있으려면
(-2-1)Û`+(-1-1)Û`=R가 성립해야 하므로
R=9+4=13
⑤

정답과 풀이 53
정답과 풀이

따라서 c=-5, d=0이므로 구하는 의 는 (-5, 0)이


4. 직 x-2y+3=0을 y 에 대하여 대 이동시 도형의
정식은 다.
-x-2y+3=0 ①
이 직 을 다시 에 대하여 대 이동시 도형의 정식은
x+2y+3=0 yy ㉠ 03 직 y=-2x+2를 x 의 으로 2만 , y 의
으로 -3만 이동시 직 의 정식은
이때 직 ㉠이 두 (x-a)Û`+(y-b)Û`=4,
y+3=-2(x-2)+2
(x+a+4)Û`+(y-2b)Û`=9의 넓이를 동시에 이등분하려면 직
y=-2x+3 yy ㉠
㉠이 두 의중 (a, b), (-a-4, 2b)를 모두 지나야 하
직 y=mx-4를 y 의 으로 k만 이동시 직 의
므로
정식은
a+2b+3=0에서 a+2b=-3
y=mx-4+k yy ㉡
-a-4+4b+3=0에서 -a+4b=1
두직 ㉠, ㉡이 서로 일치하므로
위의 두 등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3!; 이므로
m=-2, -4+k=3

a+b=-;3; 따라서 m=-2, k=7이므로


m+k=5
 -;3; ⑤

04 직 y=ax+b를 x 의 으로 2만 , y 의 으
로 -3만 이동시 직 의 정식은
y+3=a(x-2)+b
유형 본문 88~89쪽 y=ax-2a+b-3 yy ㉠
직 ㉠과 직 y=-x+6이 서로 수직이므로
01 -3 02 ① 03 ⑤ 04 12 05 ④ a_(-1)=-1, 즉 a=1
06 ④ 07 ② 08 (1, -2) 09 ③ 이때 직 ㉠은 y=x+b-5이고, 이 직 과 y=-x+6이 y
10 ① 11 -2'3 12 6 위의 한 에서 만나므로 직 y=x+b-5는 (0, 6)을
지 다.
01 (2, 3)을 x 의 으로 m만 , y 의 으로 따라서 6=b-5, 즉 b=11이므로
-2m만 이동시 의 는 (2+m, 3-2m)이고, a+b=1+11=12
이 이직 y=x+10 위의 이므로  12
3-2m=2+m+10
따라서 m=-3 05 xÛ`+yÛ`=4를 x 의 으로 2만 , y 의 으로
 -3 1만 이동시 의 정식은
(x-2)Û`+(y-1)Û`=4 yy ㉠
02 주어진 이동을 x 의 으로 m만 , y 의 으 ㉠의 중 은 (2, 1)이고 지 의 길이는 2이다.
로 n만 이동시키는 이동이라 하면 ㉠이 직 ax+y+5=0에 하므로 의중 (2, 1)과 직
1+m=4, a+n=3, 2+m=b, -4+n=1이므로 ax+y+5=0 이의 리가 지 의 길이 2와 같다.
m=3, n=5, a=-2, b=5 |2a+1+5| |2a+6|
=2, =2
이 이동에 의하여 (a, b), 즉 (-2, 5)로 지는 "ÃaÛ`+1Û` "ÃaÛ`+1
의 를 (c, d)라 하면 |a+3|="ÃaÛ`+1
c+3=-2, d+5=5 위 등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이어야 한다. aÛ`+6a+9=aÛ`+1

54 올림포스•수학 (상)
따라서 a=-;3$; 09 의 를 (a, b)라 하면 두 , 는 에 대하
여 대 이므로 의 는 (-a, -b)이다.
④
(a, b)는 (x-1)Û`+(y-3)Û`=rÛ` 위의 이므로
(a-1)Û`+(b-3)Û`=rÛ`
06 xÛ`+yÛ`-2x+2ay+1=0에서 (x-1)Û`+(y+a)Û`=aÛ` aÛ`+bÛ`-2a-6b+10-rÛ`=0 yy ㉠
이므로 이 의 중 은 (1, -a)이고 지 의 길이는 |a|이다.
또, (-a, -b)도 (x-1)Û`+(y-3)Û`=rÛ` 위의 이
이 을x 의 으로 b만 , y 의 으로 2b만 이
므로
동시 C의 중 은 (1+b, -a+2b)이다.
(-a-1)Û`+(-b-3)Û`=rÛ`
그런데 C의 중 은 (3, 8)이므로
aÛ`+bÛ`+2a+6b+10-rÛ`=0 yy ㉡
1+b=3, -a+2b=8
㉠에서 ㉡을 변 리 면
에서 b=2, a=-4이다.
-4a-12b=0, a+3b=0
C는 중 이 (3, 8)이고 지 의 길이가 |-4|=4이므로
이때 a=0이면 b=0이므로 두 , 가 일치하 되어 조건
의중 (3, 8)과 직 x=c 이의 리는 |c-3|이고,
에 모순이다.
C와 직 x=c가 하려면
따라서 a+0이므로 직 의 는
|c-3|=4, c-3= 4
b-(-b) b b
따라서 c=7 또는 c=-1이므로 양수 c의 값은 7이다. = = =-;3!;
a-(-a) a -3b
④
③

07 (a, b)를 y 에 대하여 대 이동시 은


(-a, b)이고, 를 에 대하여 대 이동시 은 10 직 ax-y+2=0을 x 의 으로 2만 , y 의
(-a, -b)이다. 으로 -1만 이동시 직 의 정식은
를x 의 으로 -2만 , y 의 으로 6만 a(x-2)-(y+1)+2=0
이동시 은 (-a-2, -b+6)이고 이 을직 y=x에 ax-y-2a+1=0
대하여 대 이동시 은 (-b+6, -a-2)이다. 또, 직 ax-y-2a+1=0을 직 y=x에 대하여 대 이동
이때 (-b+6, -a-2)와 (-a, b)가 일치하므로 시 직 의 정식은
-b+6=-a, -a-2=b ay-x-2a+1=0
위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4, b=2이므로 x-ay+2a-1=0
a_b=-8 두직 x-ay+2a-1=0과 2x+by+8=0이 서로 일치하
② -a 2a-1
므로 ;2!;= = 이 성립한다.
b 8
2a-1
08 n=1, 2, 3, y일 때, A과 B의 는 다음과 따라서 ;2!;=
8
에서 a=;2;이고, 이때 ;2!;=-;b; 에서
같다.
b=-2a=-5이므로
AÁ(2, -1), B (-1, 2)
Aª(1, -2), B (-2, 1) a+b=;2;-5=-;2;

A (2, -1), B (-1, 2) ①


A (1, -2), B (-2, 1)
y
즉, A , A , A , y, A 의 는 모두 같으므로 A
11 직 y=ax+6은 (0, 6)을 지나고 제 4 분면을 지나
므로 a는 음수이다.
은 A (1, -2)와 일치한다.
직 y=ax+6을 y 에 대하여 대 이동시 직 의 정식
따라서 A 의 는 (1, -2)이다.
 (1, -2) 은 y=-ax+6이므로 A{;a^;, 0}이다.

정답과 풀이 55
정답과 풀이

이때 직 에 수직인 직 의 는 ;a!; 이므로 A를 지나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B의 를 구한 경우 30`%
고직 에 수직인 직 의 정식은
➋ C의 를 구한 경우 30`%
6
y-0=;a!; {x-;a^;}, y=;a!;x- ➌ a, b의 값을 구한 경우 40`%
aÛ`

이 직 의 y 편이 -;2!; 이므로

6
02 (3, 4)를 지나는 직 의 를 m이라 하면 이 직
- =-;2!;, aÛ`=12 의 정식은
aÛ`
그런데 a<0이므로 y-4=m(x-3), 즉 y=mx-3m+4 yy ➊

a=-'12=-2'3 이직 을x 의 으로 2만 이동시 직 의 정식은

 -2'3 y=m(x-2)-3m+4, 즉 y=mx-5m+4 yy ➋


다시 이 직 을 y 에 대하여 대 이동시 직 의 정식은
y=-mx-5m+4 yy ➌
12 y=xÛ`-6x+5의 그 를 에 대하여 대 이동시키
이직 이 (0, -2)를 지나므로 -2=-5m+4에서
면 -y=(-x)Û`-6(-x)+5, y=-xÛ`-6x-5이다.
이 을 다시 y 의 으로 m만 이동시키면 m=;5^;
y-m=-xÛ`-6x-5
따라서 음직 의 는 ;5^;이다. yy ➍
y=-xÛ`-6x-5+m
이때 y=-xÛ`-6x-5+m=-(x+3)Û`+m+4이므로  ;5^;
f(x)=-(x+3)Û`+m+4
수 f(x)의 최 값은 m+4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직 의 정식을 세 경우 20 %
m+4=10
x 의 으로 이동시 직 의 정식
따라서 m=6 ➋ 30 %
을 구한 경우
6
y 에 대하여 대 이동시 직 의 정식을
➌ 30 %
구한 경우
➍ 음직 의 를 구한 경우 20 %

서술형 본문 90쪽
03 A(-8, 4)를 x 에 대하여 대 이동시 을A이
라 하면
01 a=3, b=3 02 ;5^; 03 12'5 A (-8, -4) yy ➊
가x 위의 이므로 y B
A
01 A(1, -2)를 x 의 으로 a만 , y 의 으로 A Ó=A 에
Ó 서
x
1만 이동시 은 A Ó B Ó A Ó B Ó A
B(1+a, -2+1), 즉 B(1+a, -1) yy ➊ 따라서 A Ó B 의
Ó 최 값은
B(1+a, -1)을 x 의 으로 -3만 , y 의 으로 A Ó B 의
Ó 최 값과 같다. yy ➋
b만 이동시 은 그런데 A Ó B Ó A Ó B Ó A BÓ이므로 A Ó B 의
Ó 최
C(1+a-3, -1+b), 즉 C(a-2, b-1) yy ➋ 값은 A BÓ의 값과 같다. (단, 등 는 분 A B와 x 의 교
두 A, C가 x 에 대하여 대 이므로 이 일 때 성립한다.)
1=a-2, -2=-(b-1) 즉, A Ó B 의
Ó 최 값은
따라서 a=3, b=3이다. yy ➌ A BÓ="Ã(16+8)Û`+(8+4)Û`=12'5 yy ➌
 a=3, b=3  12'5

56 올림포스•수학 (상)
단계 채점 기준 비율 -15-20
y-20= (x-15)
20-15
➊ A의 를 구한 경우 30`%
즉, y=-7x+125이므로 이 직 과 x 이 만나는 의
➋ A Ó B Ó A Ó B Ó 을 경우 40`%
➌ A Ó B 의
Ó 최 값을 구한 경우 30`% 는 {;;; ;, 0}이다.

이상에서 의 최 값은 m=25'2이고, 이때의

의 는 {;;; ;, 0}이므로

+ a= Ó=;;; ;
내신 수능 본문 91쪽

따라서
01 10'5 02 ④ 03 ③ m 25'2 7'2
= =
a 125 5
7
01 주어진 대로 A , B 을 정하면 다음과 같다.
A (1, 0), B (0, 1), ④
A (0, 2), B (2, 0),
A (3, 0), B (0, 3), 03 (x-1)Û`+(y+2)Û`=10을 y 에 대하여 대 이동시
A (0, 4), B (4, 0), 도형의 정식은
(-x-1)Û`+(y+2)Û`=10
n이 홀수이면 A (n, 0), B (0, n)이고, (x+1)Û`+(y+2)Û`=10 yy ㉠
n이 수이면 A (0, n), B (n, 0) 을 할 수 있다. 이므로 '은 ㉠ 위의 이다.
따라서 A (0, 10), B (20, 0)이므로 (x-1)Û`+(y+2)Û`=10을 직 y=x에 대하여 대 이동시
A B ="Ã(20-0)Û`+(0-10)Û`='500=10'5 도형의 정식은
 10'5 (y-1)Û`+(x+2)Û`=10
(x+2)Û`+(y-1)Û`=10 yy ㉡
이므로 '은 ㉡ 위의 이다.
02 를 으로 하고 직 를 x 으로 하는
면을 정하면 직 Á은 을 지나고 x 의 양의 과이 이때 두 ㉠, ㉡의 y

는 각의 가 45 이므로 직 Á의 정식은 y=x이고, 두 중 을 각각 A, B라 (x+2)Û`+(y-1)Û`=10

하면 B
, 의 는 (20, 15), (20, 0)이다. -1 1
-2 x
(20, 15)를 직 y=x에 대하여 대 이동시 을 Á이 A(-1, -2),
A -2
라 하면 (15, 20)이고, (20, 15)를 x 에 대하여 대 B(-2, 1) (x+1)Û`+(y+2)Û`=10
이동시 을 라 하면 (20, -15)이다. ABÓ
이때 = ,Ó = 이
Ó 므로 y ="Ã(-2+1)Û`+(1+2)Û`
Ó ='10
= Ó Ó 이고 두 ㉠, ㉡의 지 의 길이는 모두 '10이므로
Ó Ó AÓ ABÓ B Ó='10+'10+'10=3'10
x
"Ã Û` Û` (단, 등 는 두 A, B가 분 위에 있을 때 성립한다.)
' yy ㉠ 따라서 분 의 길이의 최 값은 3'10이다.
직 가직 y=x x 과 만나는 을 각각 , 라 ③
하면 ㉠에서 등 는 두 , 가 각각 , 와 일치할 때
성립한다.
직 의 정식은

정답과 풀이 57
정답과 풀이

4+2 3-3
대단원 분 AB의 중 { , }, 즉 (3, 0)을 지나므로
본문 92~95쪽 2 2
수직이등분 의 정식은
01 ⑤ 02 ① 03 ④ 04 2 05 ①
y-0=-;3!;(x-3)
06 ;5!; 07 ④ 08 ④ 09 x+y=0
10 ① 11 12 ⑤ 13 ② y=-;3!;x+1
14 64 15 ④ 16 y=xÛ`-6x+5 17 12 이직 이 (-1, a)를 지나므로 직 의 정식에 대입하면
7110
18 ② 19 ⑤ 20 10
21 14139 a=;3!;+1=;3$;
4115
22 5
23 ④ 24 y=-x+2 ④

25 : 5, : 15
04 의중 (0, 0)에서 직 y
r A
y=x+2

y=x+2에 내 수 의 을 라 하면 2'2
01 변형 ABCD에서 분 AC의 중 과 분 BD의 r
중 이 일치하므로 A(4, 1), B(1, -2), C(-2, 3), |2| 2 -r
Ó= = ='2 B r x
"Ã1Û`+(-1)Û` '2
D(a, b)에 대하여
이때 는 분 AB의 중 이고,
4-2 1+a -r
= 직각삼각형 A 에서 AÓ=r,
2 2
1+3 -2+b A Ó=;2!; ABÓ='2이므로
=
2 2
즉, a=1, b=6이므로 D(1, 6)이다. AÓ Û` Ó Û` A Ó `Û 에서
이때 두 B, D의 x 가 1로 같으므로 rÛ`=('2 )Û`+('2 )Û`=4
BDÓ=6-(-2)=8 따라서 양수 r의 값은 2이다.
⑤ 2

02 A를 지나는 직 이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 05 xÛ`+yÛ`=4에 하고 가 ;2!; 인 직 의 정식은


려면 변 BC의 중 을 지나야 한다.
변 BC의 중 을 이라 하면 B(4, 5), C(2, 3)에서 y=;2!;x 2¾{;2!;}2`+1
4+2 5+3
{ , }이므로 (3, 4) 즉, y=;2!;x '5
2 2
A를 지나고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 의 이때 직 은 제2 분면을 지나므로 직 의 정식은
정식은 두 A(1, 1), (3, 4)를 지나는 직 이므로
y=;2!;x+'5
4-1
y-1= (x-1)
3-1
이때 직 y=;2!;x+'5 가 xÛ`+(y-a)Û`=4에 하므로 이
3x-2y-1=0

따라서 이 직 의 x 편은 ;3!; 이다. 의중 (0, a)와 직 y=;2!;x+'5, 즉 x-2y+2'5=0

① 이의 리는 의 지 의 길이인 2와 같아야 한다.


|0-2a+2'5|
=2
"Ã1Û`+(-2)Û`
03 두 A(4, 3), B(2, -3)에서 직 AB의 가
|2a-2'5|=2'5
3-(-3)
=3이므로 수직이등분 의 는 -;3!; 이다. |a-'5 |='5
4-2

58 올림포스•수학 (상)
a-'5= 15 2b+4
y= 에서
2+1
이때 a+0이므로
a=2'5 b=;2#;y-2 yy ㉢
① ㉡, ㉢을 ㉠에 대입하면

;2#;x-1+;2#;y-2+3=0
06 A(2, 3)을 x 에 대하여 대 이동시 은
(2, -3)이고, (2, -3)을 직 y=x에 대하여 대 이동시 x+y=0
은 B(-3, 2)이다.  x+y=0
따라서 직 AB의 는
2-3
=;5!; 10 (k-1)x+(5-k)y+2k+1=0을 k에 대하여 정리하면
-3-2 k(x-y+2)+(-x+5y+1)=0
 ;5; 이 직 이 k의 값에 관계 이 한 (a, b)를 지나므로
k(a-b+2)+(-a+5b+1)=0에서
a-b+2=0, -a+5b+1=0
07 직 y=2x+1을 x 의 으로 -2만 , y 의
으로 3만 이동하면 직 과 일치해야 한다.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b=-;4#;이므로
따라서 직 의 정식은
a+b={- }+{-;4#;}=-;2;
y-3=2(x+2)+1
①
즉, y=2x+8이므로 y 편은 8이다.
④
11 ax+by+c=0에서
by=-ax-c
08 (x, y)에 대하여 A

"ÃxÛ`+yÛ`은 와 이의 y=-;b;x-;b;
리이고 "Ã(x-3)Û`+(y-5)Û` 은
주어진 직 의 와 y 편이 모두 양수이므로
A(3, 5)와 이의 리이
-;b;>0, -;b;>0
므로
"ÃxÛ`+yÛ`+"Ã(x-3)Û`+(y-5)Û` a와 b의 부 는 다 고, b와 c의 부 가 y

= Ó A Ó 다 므로 a와 c의 부 는 같다.
AÓ bx-cy+a=0에서 y=;c;x+;c;
가 성립한다.
x
즉, 가 분 A 위에 있을 때 주어진 식은 최 값 ;c; <0, ;c;>0이므로 가 음수이고
AÓ="Ã(3-0)Û`+(5-0)Û`='34를 갖는다. y 편이 양수이다. 그림과 같이 제 1, 2, 4 분면을 지나므로 지
④ 나지 않는 분면은 제3 분면이다.
 제3 분면
09 직 x+y+3=0 위의 의 를 (a, b)라 하면
a+b+3=0 yy ㉠
12 직 3x+2y-6=0이 x , y 과 만나는 두 의
분 A 를 2 : 1로 내분하는 의 를 (x, y)라 하면 는 A(2, 0), B(0, 3)이므로 ABÓ="Ã2Û`+3Û`='13
두 A(2, 4), (a, b)에 대하여 분 AB를 밑변으로 하면 C(4, 5)와 직 3x+2y-6=0
2a+2 이의 리가 삼각형 ABC의 높이가 되므로
x= 에서
2+1
|12+10-6| 16
=
a=;2#;x-1 yy ㉡ "Ã3Û`+2Û` '13

정답과 풀이 59
정답과 풀이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14 aÛ`+bÛ`의 값은 (0, 0)과 (a, b) 이의 리의
16 제곱과 같다.
;2!;_'13_ =8
'13 y
즉, (x-3)Û`+(y+4)Û`=9 위의
⑤ x
(a, b)에 대하여 aÛ`+bÛ`의 최 값은
분 의 길이의 제곱의 최 값과 같다.
C
(x-3)Û`+(y+4)Û`=9의 중 을
C라 하면 C(3, -4)이므로
13 xÛ`+yÛ`+2ax-4y+4=0, 즉 (x+a)Û`+(y-2)Û`=aÛ` CÓ="Ã3Û`+(-4)Û`=5이고, C Ó=3이다.
은 중 이 A(-a, 2)이고 지 의 길이가 |a|인 이다. 이때
xÛ`+yÛ`+2x-6y+9=0, 즉 (x+1)Û`+(y-3)Û`=1은 중 Ó CÓ C Ó=5+3=8
이 B(-1, 3)이고 지 의 길이가 1인 이다. (단, 등 는 분 위에 C가 있을 때 성립한다.)
y
이므로 Ó의 최 값은 8이다.
B (x+1)Û`+(y-3)Û`=1
따라서 aÛ`+bÛ`의 최 값은 64이다.
 64
A
(x+a)Û`+(y-2)Û`=aÛ
x
15 y 에 하고 지 의 길이가 '3이고 중 이 제1 분면
xÛ`+yÛ`+2ax-4y+4=0이 xÛ`+yÛ`+2x-6y+9=0의 위에 있는 의 정식은
둘레를 이등분하려면 두 의교 을 , 라 할 때, 분 (x-'3)Û`+(y-b)Û`=3(b>0)
가 xÛ`+yÛ`+2x-6y+9=0의 중 인 B(-1, 3)을 지 으로 놓을 수 있다.
나야 하므로 분 AB는 분 를 수직이등분한다. y='3x를 (x-'3)Û`+(y-b)Û`=3에 대입하면
따라서 삼각형 AB 는 AB =90 인 직각삼각형이다. (x-'3)Û`+('3x-b)Û`=3
xÛ`-2'3x+3+3xÛ`-2'3bx+bÛ`=3
이때 ABÓ="Ã(-1+a)Û`+(3-2)Û`="ÃaÛ`-2a+2, B Ó=1,
4xÛ`-2'3(b+1)x+bÛ`=0 yy ㉠
A Ó=|a|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주어진 과직 이 하려면 이차 정식 ㉠이 중 을 가져야
|a|Û`=(aÛ`-2a+2)+1
하므로 식을 라 할 때,
aÛ`=aÛ`-2a+3
={-'3(b+1)}Û`-4bÛ`=0
따라서 a=;2#; 4
3(bÛ`+2b+1)-4bÛ`=0, bÛ`-6b-3=0
②
따라서 b=3 "Ã(-3)Û`+3=3 2'3인데 b>0이므로
다른풀이
b=3+2'3
xÛ`+yÛ`+2ax-4y+4=0이 xÛ`+yÛ`+2x-6y+9=0의
따라서 의중 의y 는
둘레를 이등분하려면 두 의 두 교 을 지나는 직 이
b=3+2'3
xÛ`+yÛ`+2x-6y+9=0의 중 을 지나야 한다.
④
두 의 두 교 을 지나는 직 의 정식은
다른풀이
xÛ`+yÛ`+2ax-4y+4-(xÛ`+yÛ`+2x-6y+9)=0
y 에 하고 지 의 길이가 '3이고 중 이 제1 분면 위에
(2a-2)x+2y-5=0 yy ㉠
있는 의 정식은 (x-'3)Û`+(y-b)Û`=3(b>0)으로 놓을
한편 xÛ`+yÛ`+2x-6y+9=0, 즉 (x+1)Û`+(y-3)Û`=1의
수 있다.
중 은 (-1, 3)이므로 직 ㉠이 (-1, 3)을 지나야 한다.
이 의중 은 ('3, b)이므로 이 이직 y='3x에
따라서 (2a-2)_(-1)+2_3-5=0이므로
하려면 ('3, b)와 직 '3x-y=0 이의 리는 의
a=;2#;
지 의 길이인 '3과 같아야 한다.

60 올림포스•수학 (상)
|'3_'3-b| |3-b| 8 +2(1-2 )
= a=
¿¹('3)Û`+(-1)Û` 2 +(1-2 )

='3 4 +2
=
1-
에서 |b-3|=2'3이므로
5 -(1-2 )
b=3 2'3 b=
+(1-2 )
그런데 b>0이므로
7 -1
b=3+2'3 =
1-
가 제 1 분면에 하므로 a>0, b>0
16 y=2xÛ`-4x-3을 x 에 대하여 대 이동시
0< <;2!; yy ㉠
은 -y=2xÛ`-4x-3, 즉 y=-2xÛ`+4x+3이고, 이
에서 1- >0이므로
을 다시 x 의 으로 m만 , y 의 으로 n만 이
4 +2
동시 은 a= >0, 4 +2>0
1-
y-n=-2(x-m)Û`+4(x-m)+3
>-;2!; yy ㉡
y=-2xÛ`+(4m+4)x-2mÛ`-4m+n+3
이 이 y=-2xÛ`-8x+1과 일치하므로 7 -1
b= >0, 7 -1>0
1-
4m+4=-8, -2mÛ`-4m+n+3=1
따라서 m=-3, n=4이고, 이 이동에 의하여 y=xÛ` >; !; yy ㉢

으로 지는 은 y=xÛ`을 x 의 으로 3만 , y ㉠, ㉡, ㉢에서 ; !; < <;2!;


의 으로 -4만 이동시 과 일치한다.
1
따라서 구하는 의 정식은 y+4=(x-3)Û`, 즉 따라서 =; !;, =;2!;이므로 =14이다.
y=xÛ`-6x+5이다. ②
 y=xÛ`-6x+5

17 직 2x-y+a=0을 직 y=x에 대하여 대 이동시 19 세 직 이한 면을 6개의 으로 나누는 경우는 그림


직 의 정식은 과 같이 세 직 중두직 이 하 나세직 이한 에서
2y-x+a=0 만나는 경우이다.
다시 이 직 을 x 의 으로 -2만 , y 의 으로 1만
이동시 직 의 정식은
2(y-1)-(x+2)+a=0
x-2y+4-a=0 yy ㉠
Ú직 y=mx가 직 2x-y-5=0과 한 경우
한편 xÛ`+yÛ`-4x+6y+9=0은 (x-2)Û`+(y+3)Û`=4이므
m=2
로 중 이 (2, -3)이고 지 의 길이가 2인 이다.
Û직 y=mx가 직 x-y+5=0과 한 경우
직 ㉠이 이 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의중 (2, -3)을
m=1
지나야 하므로
Ü직 y=mx가 두 직 2x-y-5=0, x-y+5=0의 교
2-2_(-3)+4-a=0
을 지나는 경우
따라서 a=12
2x-y-5=0, x-y+5=0을 연립하여 풀면
 12
x=10, y=15

이를 y=mx에 대입하면 m=;2#;


18 분 AB를 : (1-2 )로 내분하는 을 (a, b)라 하
면두 A(2, -1), B(8, 5)에서 Ú Ü 에서 모든 실수 m의 값의 곱은

정답과 풀이 61
정답과 풀이

2_1_;2#;=3 ABÓ="Ã(3-1)Û`+(-6+5)Û`='5
'5
⑤ 이므로 A Ó=
2
이때 A 이고, A =
Ó 6이므로 직각삼각형 A 에서
20 A(2, 4), B(3, 2)에서 ABÓ='¶1+4='5이고
Ó A Ó Û` A Ó Û`
직 AB의 정식은
'5
2-4 =¾¨6Û`-{ }2`
y-4= (x-2) 2
3-2
y=-2x+8 = 36-;4;
D(a, b)라 하면 D와 직 AB 이의 리는 '5이므로
'139
|2a+b-8| =
='5 2
'¶4+1
따라서 Ó=2 Ó='¶139
2a+b-8= 5 yy ㉠
b-4  '¶139
두직 AB와 AD는 서로 수직이므로 =;2!; 에서
a-2
a-2=2b-8 22 x Û ` +y Û ` =6의 중 은 y

a-2b=-6 yy ㉡ (0, 0)이고 지 의 길이는 A


㉠, ㉡을 연립하여 풀면 '6 이므로 B

D(0, 3) 또는 D(4, 5) x
AÓ='6
이때 D의 x 는 A의 x 보다 므로 ="Ã1Û`+3Û`='10,
xÛ`+yÛ`=6
D(4, 5) 직각삼각형 A에서
직 BD의 정식은 A Ó= Ó Û` AÓ Û`
5-2 =¿¹('10)Û`-('6)Û`
y-2= (x-3)
4-3
=2
y=3x-7
분 와 분 AB의 교 을 라 하면 Ó ABÓ이므로 삼
3x-y-7=0
각형 A의 넓이에서
따라서 과이직 이의 리는
|-7| 7'10 ;2!;_A Ó_ AÓ=;2!;_ Ó_A
=
"Ã3Û`+(-1)Û` 10
7'10 즉, ;2!;_2_'6=;2!;_'10_A 이므로

10
2'3 2'15
A Ó= =
'5 5
21 xÛ`+yÛ`-2x+10y-10=0에서 따라서 ABÓ=2A =
Ó
4'15
(x-1)Û`+(y+5)Û`=36은 중 을 A라 하면 A(1, -5), 5
지 의 길이가 6인 이다. 4'15

5
이때 직 를 는 으로 y
(x-1)Û`+(y+5)Û`=36
하여 부분은 (3, 0)에
x
서 x 에 하고 의 과 A 23 A(a, a+4)는 제1 분면 위의 이므로 a>0
합동인 의 일부이다. B A(a, a+4)를 직 y=x에 대하여 대 이동시 B의
부분을 장한 은 지 는 B(a+4, a)이고, B(a+4, a)를 에 대하여 대
의 길이가 6이고 x 과 이동시 C의 는 (-a-4, -a)이므로
(3, 0)에서 하므로 중 B의 는 (3, -6)이다. ABÓ="Ã(a+4-a)Û`+(a-a-4)Û`=4'2
분 AB의 중 을 이라 하면 ACÓ="Ã(-a-4-a)Û`+(-a-a-4)Û`=2'2|a+2|

62 올림포스•수학 (상)
a>0이므로 이므로 중 을 D라 하면 D(-3, -2)이고 지 의 길이는
ACÓ=2'2(a+2) 2이다. yy ➋
이때 두 A(a, a+4), y
A
이때 그림과 같이 분 y
(x-5)Û`+(y-4)Û`=9
a+4
C(-a-4, -a)를 지나는 직 a
CD가 두 ㉠, ㉡과 만나는 G
B
AC의 는 -a-4 을 각각 , F라 하고, 분 C
a a+4 x F
-a-(a+4) CD의 연장 이 두 ㉠, ㉡과
=1 C -a x
(-a-4)-a 만나는 을 각각 G, 라 하 D
a-a-4 면 분 의 길이의 최 값 (x+3)Û`+(y+2)Û`=4
이고, 직 AB의 는 =-1이므로
a+4-a
은 FÓ이고 최 값은 G 이
Ó 다.
BAC 이다.
CDÓ="Ã(-3-5)Û`+(-2-4)Û`=10 yy ➌
직각삼각형 ABC의 넓이는
이므로 분 의 길이의 최 값은
;2!;_ABÓ_ACÓ=;2!;_4'2_2'2(a+2) FÓ=CDÓ-3-2=10-3-2=5
=8(a+2) 이고, 최 값은
=48 G =
Ó CDÓ+3+2=10+3+2=15
따라서 a=4 이다. yy ➍
④  최 값: 5, 최 값: 15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를 지나는 의 중 과 지 의 길이를
24 3x+2y-5=0, x-2y+1=0을 연립하여 풀면 ➊
구한 경우
20 %
두 직 의 교 은 (1, 1) yy ➊
를 지나는 의 중 과 지 의 길이를
(1, 1)을 지나는 직 중 으로부 의 리가 가장 먼 ➋ 20 %
구한 경우
직 은 에 수직인 직 이다. yy ➋ ➌ 두 의중 이의 리를 구한 경우 30 %
직 의 가 1이므로 이 y 3 5` ➍ 의
Ó 길이의 최 값과 최 값을 구한 경우 30 %
y=--x+-
2 2`
직 에 수직인 직 의 는
1 1`
-1 y=-x+-
2 2`
그 므로 구하는 직 의 정식은
x
y-1=-(x-1)
y=-x+2 yy ➌
 y=-x+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교 의 를 구한 경우 30 %
➋ 리가 가장 먼 직 이 될 조건을 구한 경우 30 %
➌ 직 의 정식을 구한 경우 40 %

25 xÛ`+yÛ`-10x-8y+32=0에서
(x-5)Û`+(y-4)Û`=9 yy ㉠
이므로 중 을 C라 하면 C(5, 4)이고 지 의 길이는 3이
다. yy ➊
xÛ`+yÛ`+6x+4y+9=0에서
(x+3)Û`+(y+2)Û`=4 yy ㉡

정답과 풀이 63
/ O/
/ E/M
M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