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0

최상위 수학

3
1
정답과 풀이

Ⅰ1
실수와 그 연산

제곱근과 실수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7~12쪽

9 ㄱ, ㄷ, ㅁ ㄱ, ㄷ 8-5'2 ⑴ 2c-2a ⑵ 3a-3b

(0, 0), (1, 0), (0, 1), (1, 1), (0, 4), (4, 0) 19 54 7

12 ④, ⑤ A>B>C A>B c>a>b

1
;a!;, , 'a, a, aÛ` p, 'Ä14.4, 2-'6 ②, ⑤ ① 10개
'a

2'2 4'2-2 풀이 참조 ⑴ 3, 2'3-3 ⑵ 3, 3'2-4 ⑶ 2, 3'2-4

2 3-'2 ;7$; -a-5

최상위 01
NOTE '2 가 무리수임을 증명하기

'2가 유리수라면 '2=;aB;(a, b는 서로소인 자연수)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aÛ`은 2의 배수이므로 짝수이고, aÛ`이 짝수이므로 a도 짝수이다.
그런데 a, b가 모두 짝수이면 a, b는 2로 약분될 수 있으므로 a, b
양변에 a를 곱하면 a'2=b
는 서로소인 자연수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양변을 제곱하면 2aÛ`=bÛ` yy`㉠
따라서 '2 는 유리수가 아니므로 무리수이다.
㉠에서 2aÛ`은 2의 배수이므로 짝수이고, 우변인 bÛ`도 짝수이다. bÛ`이
짝수이므로 b도 짝수임을 알 수 있다.
※ 이처럼 결론을 부정하여 모순을 보이고, 결국은 결론을 부정하
따라서 b=2k(k는 자연수)로 표현할 수 있고 이를 ㉠에 대입하면
즉, 2aÛ`=(2k)Û`, 2aÛ`=4kÛ`, aÛ`=2kÛ` 지 않는 것이 옳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법을 귀류법이라고 한다.

2 Ⅰ 실수와 그 연산
문제 풀이

⑵ ab<0, a>b이면 a>0, b<0이므로 b-a<0


(-12)Û`=144이므로 이것의 제곱근은 Ñ12이다.
|a|=a, "Ã(b-a)Û`=-(b-a)=a-b,
∴ x=12
"Ã(-2b)Û`=-2b, "Ã(-a)Û`=-(-a)=a
'8Œ1=9이므로 이것의 제곱근은 Ñ3이다.
∴ (주어진 식)=a+(a-b)+(-2b)+a
∴ y=-3
=3a-3b
∴ x+y=12+(-3)=9

a, b가 모두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ㄱ, ㄷ, ㅁ. (-'a)Û`=('a)Û`="Ã(-a)Û`=a Ú 'a+'b=0인 경우 a=b=0

ㄴ. -"aÛ`=-a Û 'a+'b=1인 경우

ㄹ. -"Ã(-a)Û`=-"aÛ`=-a a=1, b=0 또는 a=0, b=1


Ü 'a+'b=2인 경우
a=1, b=1 또는 a=0, b=4 또는 a=4, b=0
ㄱ. x<-1일 때,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는
x-1<0, x+1<0이므로 (0, 0), (1, 0), (0, 1), (1, 1), (0, 4), (4, 0)
A=-(x-1)-(x+1)=-2x
ㄴ. -1Éx<1일 때, 'Ä891-81a="Ã81(11-a)=9'Ä11-a 가 자연수이므로

x-1<0, x+1¾0이므로 0<11-a<11이고, 'Ä11-a 는 자연수이므로 11-a는

A=-(x-1)+(x+1)=2 11보다 작은 제곱수이어야 한다.

ㄷ. x¾1일 때, x-1¾0, x+1>0이므로 11보다 작은 제곱수는 1, 4, 9이므로

A=(x-1)+(x+1)=2x 11-a=1, 4, 9 ∴ a=2, 7, 1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따라서 자연수 a의 값의 합은


2+7+10=19
"Ã(a-b)Û` 의 꼴을 포함한 식을 계산할 때는 a-b의 부호를 판단하
여 근호를 없앤 후 간단히 정리한다.
(수)
⑴ a-b¾0이면 "Ã(a-b)Û`=a-b "Ã(수)-n, "Ã(수)+n, ¾¨ 가 자연수이면 근호 안의 수는 1, 4,
n
⑵ a-b<0이면 "Ã(a-b)Û`=-(a-b) 9, y와 같은 제곱수이다.
즉, "Ã(수)-n이 자연수이면 (수)-n=(자연수)Û`

3-2'2='9-'8>0이므로
'Ä384-12x="Ã12(32-x)=2"Ã3(32-x)가 자연수이
"Ã(3-2'2)Û`=3-2'2
므로 0<32-x<32이고 "Ã3(32-x)는 자연수이므로
3'2-5='1Œ8-'2Œ5<0이므로
32-x=3_(자연수)Û`의 꼴이어야 한다.
"Ã(3'2-5)Û`=5-3'2
즉, 32-x=3_1Û`, 3_2Û`, 3_3Û`
∴ "Ã(3-2'2)Û`+"Ã(3'2-5)Û`
32-x=3, 12, 27
=3-2'2+5-3'2
∴ x=5, 20, 29
=8-5'2
따라서 자연수 x의 값의 합은
5+20+29=54

⑴ a<b이므로 a-b<0
252=2Û`_3Û`_7=(2_3)Û`_7이고, 252는 x에 의해
"Ã(a-b)Û`=|a-b|=-(a-b)=b-a
약분되어 완전제곱수가 되어야 하므로 x의 값은 7_aÛ`의
b<c이므로 b-c<0
꼴이고, a의 값은 2_3의 약수이다.
"Ã(b-c)Û`=|b-c|=-(b-c)=c-b
∴ x=7, 7_2Û`, 7_3Û`, 7_2Û`_3Û`
a<c이므로 c-a>0
따라서 가장 작은 자연수 x의 값은 7이다.
"Ã(c-a)Û`=|c-a|=c-a
∴ "Ã(a-b)Û`+"Ã(b-c)Û`+"Ã(c-a)Û` (수) (수)
¾¨ 에서 n이 가장 작은 자연수이면 는 가장 큰 제곱수이
n n
=(b-a)+(c-b)+(c-a)
(수) (수)
고, ¾¨ 에서 n이 가장 큰 자연수이면 는 가장 작은 제곱수이다.
=2c-2a n n

1. 제곱근과 실수 3
따라서 cÛ`>aÛ`>bÛ`이므로
21600=2Ý`_3Û`_5Û`_6=(2Û`_3_5)Û`_6이고,
21600은 x에 의해 약분되어 완전제곱수가 되어야 하므로 c>a>b

x의 값은 6_aÛ`의 꼴이고, a의 값은 2Û`_3_5의 약수이다.


2Û`_3_5의 약수의 개수는 (2+1)_(1+1)_(1+1)=12 0<a<1이므로 'a>a, a>aÛ`

따라서 정수 x의 개수는 12이다. 1


또한, 0<'a<1이므로 'a<
'a
1 'a-a 1
;a!;- = >0이므로 ;a!;>
① 3-('3+2)=1-'3<0 'a a'a 'a
1
∴ 3<'3+2 ∴ ;a!;> >'a>a>aÛ`
'a
② '2-('4-'2)=2'2-2='8-'4>0
1
따라서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a!;, , 'a, a, aÛ`이다.
∴ '2>'4-'2 'a
다른 풀이
③ -'¶0.8-(-'¶0.7)=-®Â;1¥0;+®Â;1¦0;
구체적인 예를 들어 a=;10!0;이라 하면
'7-'8
= <0
'1Œ0 1
'a=;1Á0;, aÛ`=;100!00;, ;a!;=100, =10
∴ -'¶0.8<-'¶0.7 'a
1
④ (2'3)Û`-(3'2-1)Û`=12-(18-6'2+1) ∴ ;a!;> >'a>a>aÛ`
'a
=6'2-7
='7Œ2-'4Œ9>0 0<a<1일 때, ;a!;>1이므로 0<a<1<;a!;이다.

∴ 2'3>3'2-1
⑤ (5'3)Û`-(3'5+2)Û`=75-(45+12'5+4)
p=3.14159y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무리수
=26-12'5
'¶0.16=0.4:유리수
='¶676-'¶720<0
∴ 5'3<3'5+2 ®É;:!9$:$;=:Á3ª:=4:유리수

따라서 대소 관계가 옳은 것은 ④, ⑤이다. '1Œ0


'¶14.4=®É144_;1Á0;=12®Â;1Á0;=12 =;5^;'1Œ0:무리수
10
2-'6=(유리수)-(무리수):무리수
A-B=(5'2-2)-5=5'2-7='5Œ0-'Œ4Œ9>0
따라서 무리수인 것은 p, '¶14.4, 2-'6이다.
∴ A>B
B-C=5-(4'3-2)=7-4'3='4Œ9-'4Œ8>0
② '4=2이므로 다에 속하지 않는다.
∴ B>C
∴ A>B>C ⑤ ;3@; 는 다에 속하지 않고, 나에 속한다.

A=3'5-2'2='4Œ5-'8>0 ㄱ. 무한소수는 순환소수(유리수)와 순환하지 않는


B=2'1Œ0-3='4Œ0-'9>0 무한소수(무리수)로 나뉜다.`
이므로 ㄴ. 4=3.H9, 2.15=2.14H9, -8.37=-8.36H9`
AÛ`-BÛ`=(3'5-2'2)Û`-(2'1Œ0-3)Û` ㄷ. 유리수 중 순환소수는 무한소수이다.
=(53-12'1Œ0)-(49-12'1Œ0)=4>0 ㄹ. 'Ä10000=100의 제곱근은 Ñ10이다.
∴ A>B ㅁ. 0의 제곱근은 0뿐이므로 1개이다.`
ㅂ. '1Œ6=4`
(a-b)Û`=aÛ`-2ab+b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의 1개이다.

a>0, b>0, c>0이므로 2<'x<4에서 각 변을 제곱하면 4<x<16


aÛ`=30+2'¶209 'x가 무리수이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 x는 완전제곱
bÛ`=30+2'¶200 수 9를 제외한 5, 6, 7, 8, 10, 11, 12, 13, 14, 15이다.
cÛ`=30+2'¶216 따라서 자연수 x는 모두 10개이다.

4 Ⅰ 실수와 그 연산
⑶ 3'2='1Œ8, 4<'1Œ8<5에서 2<'1Œ8-2<3이므로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 ABCD의 대각선의 길
(정수 부분)=2
이는 ACÓ="Ã1Û`+1Û`='2이다.
(소수 부분)=(3'2-2)-2=3'2-4
따라서 ACÓ=APÓ=AQÓ='2이므로
x=2-'2, y=2+'2 무리수의 정수 부분은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무리수를 연속하는 두
정수 사이의 수로 나타내어 구한다.
∴ y-x=2+'2-(2-'2)=2'2

점 Q는 점 A에서 오른쪽으로 선분 AC의 길이만큼 떨어진 점이다.

1<'3<2에서 -2<-'3<-1, 2<4-'3<3이므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ABCD의 대각선의 길
로 4-'3의 정수 부분은 2이고, 소수 부분
이는
a=(4-'3)-2=2-'3 ∴ a-2=-'3
ACÓ=BDÓ="Ã2Û`+2Û`=2'2
∴ (주어진 식)=(a-2)Û`-1
따라서 BDÓ=BQÓ=CAÓ=CPÓ=2'2
=(-'3)Û`-1=2
∴ PQÓ=PCÓ+CQÓ
=PCÓ+(BQÓ-BCÓ)
=2'2+(2'2-2)
1 '2+1
=4'2-2 = ='2+1에서
'2-1 ('2-1)('2+1)
1<'2<2, 2<'2+1<3이므로
△APSª△BQPª△CRQª△DSR`(SAS 합동) a=2, b=('2+1)-2='2-1
이므로 SPÓ=PQÓ=QRÓ=RSÓ yy`㉠ ∴ a-b=2-('2-1)=3-'2
또, △APS와 △BQP에서 ∠ASP=∠BPQ이므로
∠BPQ+∠APS=∠ASP+∠APS=90ù
∴ ∠SPQ=90ù yy`㉡ 1<'2<2에서 -2<-'2<-1, 3<5-'2<4이므로
㉠, ㉡에서 PQRS는 정사각형이므로 a=3, b=(5-'2)-3=2-'2
PQÓ=x라 하면 1 1 1 1
∴ + = +
ABCD= PQRS+4_△APS b+2 2a-b 4-'2 4+'2
4+'2+4-'2
=xÛ`+4_{;2!;_1_2}=9 = =;1¥4;=;7$;
(4-'2)(4+'2)
xÛ`=5 ∴ x='5 (∵ x>0)

⑴ 2'3='1Œ2에서 3<'1Œ2<4이므로 4'2='3Œ2에서 5<'3Œ2<6이므로 정수 부분은 5이고,


(정수 부분)=3 a+5
소수 부분 a=4'2-5 ∴ '2=
4
(소수 부분)=2'3-3
∴ '1Œ8-'9Œ8=3'2-7'2=-4'2
⑵ 3'2='1Œ8, 4<'1Œ8<5에서 3<'1Œ8-1<4이므로
a+5
(정수 부분)=3 =-4_
4
(소수 부분)=(3'2-1)-3=3'2-4 =-a-5

1. 제곱근과 실수 5
STEP
실력 높이기 13~17쪽

① ④ ② 41 915 ⑤

aÛ`-ab -3a-1 a ① ;a@; -197

'2+'3 '3-'2
3 x= , y= 6'3-7 15'3 4a-2
5 5

-5-6'5
5 2'2+1 -20'2
5

문제 풀이

Û '2Œn이 무리수이어야 하므로 n+2_kÛ (k는 자연수)


ㄱ. 4의 제곱근은 Ñ2이다.`
∴ k+1, 2, 3, y, 22
ㄴ. 0의 제곱근은 0이다.`
Ü '3Œn이 무리수이어야 하므로 n+3_kÛ (k는 자연수)
ㄷ. 0의 제곱근은 0 하나 뿐이고, a<0일 때, a의 제곱근은
∴ k+1, 2, 3, y, 18
실수의 범위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Ý '5Œn이 무리수이어야 하므로 n+5_kÛ (k는 자연수)
ㅂ, ㅅ. -4의 제곱근은 실수의 범위에서 존재하지 않는
∴ k+1, 2, 3, y, 14
다.`
Ú, Û, Ü, Ý에서 서로 공통인 경우가 없으므로
ㅇ. a>0이면 a의 제곱근은 Ñ'a로 2개이다.`
1000-(31+22+18+14)=1000-85
ㅈ. '4=2이므로 제곱근은 Ñ'2이다.`
=915
ㅊ. '1Œ6=4
따라서 옳은 것은 ㄹ, ㅁ의 2개이다.

② '3-(4-'3)=2'3-4='1Œ2-'1Œ6<0

①, ④ a+b, a-b는 항상 무리수이다. ∴ '3<4-'3`(참)

②, ⑤ ab, aÖb는 a=0이면 유리수, a+0이면 무리수이다. ⑤ 2'2-'3-(3'3-3'2)=5'2-4'3

③ bÛ`은 b=p이면 무리수이다. ='5Œ0-'4Œ8>0


∴ 2'2-'3>3'3-3'2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100É'n<1000이므로 10000Én<1000000
A-B>0이면 A>B
∴ 5자리 또는 6자리 A-B<0이면 A<B

서술형
|a|>|b|이면 aÛ`>bÛ`이므로 aÛ`-bÛ`>0
표현 단계 'Ä500-x 는 최대 정수가 되고, 'Ä200+y 는 최소
∴ "Ã(aÛ`-bÛ`)Û`=aÛ`-bÛ`
정수가 될 때, 'Ä500-x-'Ä200+y 가 가장 큰 정
a<0<b이면 a-b<0
수가 된다.
∴ "Ã(a-b)Û`=b-a
변형 단계 x, y는 자연수이므로 500-x는 500보다 작은 제
∴ (주어진 식)=(aÛ`-bÛ`)+b(b-a)
곱수 중 최대인 수이어야 한다.
=aÛ`-ab
즉, 500-x=484에서 x=16
또한, 200+y는 200보다 큰 제곱수 중 최소인 수
이어야 하므로 3(2-a)>5a+7에서 6-3a>5a+7
200+y=225에서 y=25
-8a>1 ∴ a<-;8!;
풀이 단계 ∴ x+y=16+25=41
-2a>0, 1-a>0이고
||a|-a|=|-a-a|=|-2a|=-2a이므로
Ú 'n이 무리수이어야 하므로 n+kÛ (k는 자연수) (주어진 식)=-2a-(1-a)+(-2a)
∴ k+1, 2, 3, y, 31 =-3a-1

6 Ⅰ 실수와 그 연산
서술형
Û '2x+'3y=1의 양변에 '2를 곱하면

표현 단계 a<b, ab<0에서 a<0, b>0이므로 2x+'6y='2 yy`㉢

a-b<0, -2a>0, -b<0 '3x-'2y=1의 양변에 '3을 곱하면

변형 단계 즉, "Ã(a-b)Û`=-(a-b) 3x-'6y='3 yy`㉣


㉢+㉣에서
"Ã(-2a)Û`=-2a
'2+'3
"Ã(-b)Û`=-(-b) 5x='2+'3 ∴ x=
5
이므로
풀이 단계 (주어진 식)=-(a-b)-(-2a)+(-b)
=-a+b+2a-b 1<'3<2에서 2<4-'3<3

=a ∴ a=2, b=(4-'3)-2=2-'3
∴ '3a-bÛ`=2'3-(2-'3)Û`
① 3-x>0이므로 "Ã(3-x)Û`=3-x =2'3-7+4'3
② x-3<0이므로 -"Ã(x-3)Û`=x-3 =6'3-7
③ 3+y>0이므로 "Ã(3+y)Û`=3+y
④ -y>0이므로 -"Ã(-y)Û`=-(-y)=y
서술형
⑤ y-3<0이므로 -"Ã(y-3)Û`=y-3
변형 단계 1<'3<2이므로
이때 ①, ③은 양수, ②, ④, ⑤는 음수이고 3-x>3+y이
-2<-'3<-1, 5<7-'3<6
므로 가장 큰 것은 ①이다.
에서 7-'3의 정수 부분 a=5
5<'2Œ7<6이므로
0<a<1이므로 ;a!;>1 ∴ ;a!;>a
2<'2Œ7-3<3에서
'2Œ7-3의 정수 부분은 2이므로
"ÃxÛ`-4=¾¨{a+;a!;}Û`-4
'2Œ7-3의 소수 부분
=¾¨{a-;a!;}Û`+4-4 b=('2Œ7-3)-2=3'3-5
풀이 단계 ∴ aÛ`+5b=5Û`+5(3'3-5)
=¾¨{a-;a!;}Û`=;a!;-a
=25+15'3-25=15'3

∴ (주어진 식)={a+;a!;}+{;a!;-a}=;a@;

1<'3<2이므로 a='3-1

®É1.0H2_;bA;=®É;9(0@;_;bA;=®É;4$5^bA; 이므로 ∴ '3=a+1


6<'4Œ8<7에서 '4Œ8의 소수 부분은 '4Œ8-6이므로
®É;4$5^bA;=;9@;, ;4$5^bA;=;8¢1; ∴ ;bA;=;2Á0¼7; '4Œ8-6=4'3-6=4(a+1)-6=4a-2

그런데 10, 207은 서로소이므로 a=10, b=207


∴ a-b=-197 2<'5<3에서 1<'5-1<2이므로 [a]=1
'5-1 1
∴ (주어진 식)= +
'3Œx가 양의 정수이므로 x=3_kÛ``(k는 자연수) 1+'5-1 1-('5-1)
그런데 100ÉxÉ200이므로 k=6, 7, 8 '5-1 1
= +
따라서 x는 3_6Û`=108, 3_7Û`=147, 3_8Û`=192로 3개이다. '5 2-'5
5-'5
= -(2+'5)
5
Ú '2x+'3y=1의 양변에 '3을 곱하면
-5-6'5
'6x+3y='3 yy`㉠ =
5
'3x-'2y=1의 양변에 '2를 곱하면
'6x-2y='2 yy`㉡
5<'n<7에서 각 변을 제곱하면
㉠-㉡에서
25<n<49이고 n은 자연수 중 가장 큰 수이므로
'3-'2
5y='3-'2 ∴ y= 'n='4Œ8이다.
5
1. 제곱근과 실수 7
6<'4Œ8<7이므로 p=6, q='4Œ8-6=4'3-6 ='2+(1+'2)
6 3 =2'2+1
따라서 ;qP;= = =2'3+3이므로
4'3-6 2'3-3
(점 Q의 좌표)=(점 F의 좌표)+(선분 FH의 길이)
a=2, b=3
(점 P의 좌표)=(점 C의 좌표)-(선분 CA의 길이)
∴ a+b=5

서술형
ABED, BCFE는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

표현 단계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이므로 대각선의 길이는 "Ã1Û`+1Û`='2

"Ã1Û`+1Û`='2이므로 ∴ BDÓ=BFÓ='2

CPÓ=CAÓ='2, FQÓ=FHÓ='2 ∴ a=5-'2, b=5+'2

변형 단계 점 P의 좌표는 0-'2=-'2이고, ∴ aÛ`-bÛ`=(a+b)(a-b)

점 Q의 좌표는 1+'2이다. =10_(-2'2)

풀이 단계 ∴ PQÓ=PCÓ+CQÓ =-20'2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18~20쪽

⑤ 'a+'b>'Äa+b bc 0 2 10-'3Œ4

6 6자리 3 m=39, n=38 또는 m=9, n=2 '2

풀이 참조

문제 풀이

a=11, b=-11이므로 'Äa-2b+3='3Œ6=6 x<y, xy<0이므로 x<0, y>0이다.


따라서 구하는 제곱근은 Ñ'6이다. 따라서 ('Ä-x)Û`=-x, "Ã(x-1)Û`=1-x,
"Ã(y-x)Û`=y-x, "Ã(1-x+y)Û`=1-x+y이므로
'a+'b>0, 'Äa+b>0이므로 양변을 제곱하여 빼면 (주어진 식)
('a+'b)Û`-('Äa+b)Û`=(a+b+2'aŒb)-(a+b) =-x-(1-x)-(y-x)+(1-x+y)
=2'aŒb>0 (∵ a>0, b>0) =-x-1+x-y+x+1-x+y=0
∴ 'a+'b>'Äa+b

Ú a>0일 때, b<0, c<0이므로 bc>0


7<"20xÛ`<10이므로 각 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ÃbÛ`cÛ`="Ã(bc)Û`=bc
Û a<0일 때, b>0, c>0이므로 bc>0 49<20xÛ`<100, ;2$0(;(=2.45)<xÛ`<5

∴ "ÃbÛ`cÛ`="Ã(bc)Û`=bc x는 자연수이므로 xÛ`=4


따라서 Ú, Û에 의해 "Ãb`Û cÛ`=bc ∴ x=2

8 Ⅰ 실수와 그 연산
'Ä3_3+'4=3+2=5에서 ㈎에서 nx=1, 2, 3, y
a=3, b=4이므로 "Ã2aÛ`+bÛ`='3Œ4 1 2 3
∴ x= , , ,y
n n n
그런데 5<'3Œ4<6이므로
㈏에서 3É'nŒx<4이므로 각 변을 제곱하면
x=5, y='3Œ4-5
9 16
∴ x-y=5-('3Œ4-5)=10-'3Œ4 9Énx<16 ∴ Éx<
n n
따라서 ㈎, ㈏를 동시에 만족하는 x의 값은
54 9 10 11 15
54=2_3Ü`이므로 ¾Ð =;n#;®;n^;이고 ®;n^;이 유리수가 , , , y,
nÜ` n n n n
이때 x의 값의 합이 28이므로
되어야 하므로 ;n^; 은 완전제곱수의 꼴이 되어야 한다.
1
(9+10+11+…+15)=28
따라서 n=6_kÛ``(k는 자연수)의 꼴이므로 n의 최솟값은 n
6이다. 84
=28 ∴ n=3
n

1_2_3_y_10=2¡`_3Ý`_5Û`_7
양변을 제곱하면 nÛ`+77=mÛ`이므로
=(2Ý`_3Û`_5)Û`_7
mÛ`-nÛ`=(m+n)(m-n)=77
=720Û`_7
이때 m, n은 자연수이므로 m+n>m-n
∴ 125'Ä1_2_3_y_10=125_"Ã720Û`_7
따라서 (m+n, m-n)=(77, 1), (11, 7)이므로
=90000'7
m=39, n=38 또는 m=9, n=2
그런데 2<'7<3이므로
180000<90000'7<270000
자연수 : 정의된 수학적 개념이 없다.(대학 수학에서
따라서 구하는 정수 부분의 자릿수는 6이다.
페아노의 공리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정수: 자연수와 이들의 음수 및 0으로 이루어진 수
n
유리수: m, n이 정수이고 m+0일 때, 분수 의 꼴로 나
m
타낼 수 있는 수
n
자연수, 정수, 유리수는 m, n이 정수일 때, 분수 의꼴
m
로 나타낼 수 있지만 무리수는 나타낼 수 없다.

1. 제곱근과 실수 9
2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22~27쪽

'2+2-'6
5 4'6 '2Œ1+'1Œ5-'1Œ4-'1Œ0 8
4

23'2
-6 '6 7 ⑴ 6 ⑵ 15'2 ⑶ -2 13-9'3
6

aÛ`+2
2'3+3 ⑴ 34+24'2 ⑵ 11-4'6 ⑶ -1 ⑷ 1 3+2'2
2a

24 -'3 8 ;3@; ;3!; 5

a=1, b=-;3@; x=;9!;, y=-;9!; x=-;3@;, y=;3!; ③ ⑴ 83.67 ⑵ 0.8367 ⑶ 52.92

①, ③ ;3!; 209 47.42

최상위 02
NOTE 제곱근의 곱셈과 나눗셈 원리 확인하기

a>0, b>0일 때, 'a


⑵ 'aÖ'b= =®;bA;
'b
⑴ 'a 'b='aŒb
'a Û 'a 'a
해설 ('a 'b )Û`=('a 'b )('a 'b ) 해설 { }`={ }_{ }
'b 'b 'b
=('a 'a )('b 'b )
'a 'a
=ab =
'b 'b
따라서 'a 'b 는 ab의 양의 제곱근이다.
=;bA;
또, ('aŒb)Û`=ab이므로 'aŒb도 ab의 양의 제곱근이다.
∴ 'a 'b='aŒb 'a
따라서 는 ;bA;의 양의 제곱근이다.
'b

또, {®;bA; }Û`=;bA;이므로 ®;bA;도 ;bA;의 양의 제곱근이다.

'a
∴ =®;bA;
'b

10 Ⅰ 실수와 그 연산
문제 풀이

3+2'2 3+2'2 3+2'2 1 2+'3


= _ x= = =2+'3,
3-2'2 3-2'2 3+2'2 2-'3 (2-'3)(2+'3)
(3+2'2)Û` 11 11(2'3+1)
= y= = =2'3+1이므로
9-8 2'3-1 (2'3-1)(2'3+1)
=9+12'2+8 xÛ`-yÛ`=(2+'3)Û`-(2'3+1)Û`
=17+12'2 =7+4'3-(13+4'3)
이므로 a=17, b=12 =-6
∴ a-b=17-12=5

1 5-2'6 'Ä1+x_'Ä1+x 'Ä1-x_'Ä1-x


(주어진 식)=5+2'6- _ (주어진 식)= +
5+2'6 5-2'6 'Ä1-x_'Ä1+x 'Ä1+x_'Ä1-x
5-2'6 1+x+1-x
=5+2'6- =
25-24 "Ã1-xÛ`
=5+2'6-5+2'6 2
=
=4'6 "Ã1-xÛ`
2
= ='6
1 (1+'2)-'3 ®;3@;
(주어진 식)= _
(1+'2)+'3 (1+'2)-'3
1+'2-'3
=
(1+'2)Û`-3
1+'2-'3 1 1 'Äx+1-'§x
= = _
2'2 `f(x) 'Äx+1+'§x 'Äx+1-'§x

'2+2-'6 ='Äx+1-'§x
=
4 ∴ (주어진 식)
=('2-'1)+('3-'2)+('4-'3)+y
분모, 분자에 (1+'2)-'3 을 각각 곱한다.
+('6Œ4-'6Œ3)
='6Œ4-'1=7
(주어진 식)
1
의 분모를 유리화한 후 x에 1, 2, 3, y, 63의 값을 각각 대입
2 f(x)
=
('2Œ1-'1Œ0)-('1Œ5-'1Œ4) 한다.

('2Œ1-'1Œ0)+('1Œ5-'1Œ4)
_
('2Œ1-'1Œ0)+('1Œ5-'1Œ4)
2('2Œ1-'1Œ0+'1Œ5-'1Œ4)
=
(31-2'¶210)-(29-2'¶210) ⑴ (주어진 식)
='2Œ1+'1Œ5-'1Œ4-'1Œ0 =2'3(5'3-6'3+4'3)-2'2(4'2-6'2+5'2)

'2Œ1-'1Œ0=A, '1Œ5-'1Œ4=B라 놓고, =2'3_3'3-2'2_3'2


(A+B)(A-B)=AÛ`-BÛ` 임을 이용하면 계산이 더 편리하다. =18-12=6
⑵ (주어진 식)

y x 5'3
+ =10'3-6{ -2'2}+3'2
x-1 y-1 3
3-'2 3+'2 =10'3-10'3+12'2+3'2
= +
(3+'2)-1 (3-'2)-1 =15'2
3-'2 3+'2 ⑶ (주어진 식)
= +
2+'2 2-'2
'2
(3-'2)(2-'2)+(3+'2)(2+'2) ='3('6-'3)+(1+'2)-
= 6
(2+'2)(2-'2)
'2
(8-5'2)+(8+5'2) =3'2-3+1+'2-
= 6
2
23'2
=8 = -2
6
2.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11
이므로 a=40, b=-16
B='3('1Œ2-1)='3(2'3-1)=6-'3
∴ a+b=40-16=24
C='1Œ8+'2Œ4=3'2+2'6이므로
A+3B-'2C
=1-2'3+3(6-'3)-'2(3'2+2'6)
xÛ`-3x-1=('3+1)Û`-3('3+1)-1
=1-2'3+18-3'3-6-4'3
=4+2'3-3'3-3-1
=13-9'3
=-'3
다른 풀이

x½y='3(2-'3)-'3+2-'3 x-1='3의 양변을 제곱하면


=2'3-3-'3+2-'3 (x-1)Û`=('3)Û`, xÛ`-2x+1=3
=-1 xÛ`-2x-2=0
∴ (x½y)Cy=(-1)C(2-'3) ∴ xÛ`-3x-1=(xÛ`-2x-2)-x+1
2_(-1)+2-'3 =-x+1
=
-1_(2-'3)
=-('3+1)+1=-'3
-'3 -2-'3
= _
-2+'3 -2-'3
2'3+3
=
4-3 2<'5<3에서 '5의 정수 부분은 2이므로 x='5-2
=2'3+3 xÛ`+4x에 대입하면
xÛ`+4x=('5-2)Û`+4('5-2)
=9-4'5+4'5-8=1
'5=a-'7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xÛ`+4x-3)(xÛ`+4x-5)=(1-3)_(1-5)=8
5=aÛ`-2'7a+7 ∴ aÛ`-2'7a+2=0
다른 풀이
따라서 aÛ`+2=2'7a이므로
x='5-2이므로 x+2='5의 양변을 제곱하면
aÛ`+2
'7=
2a (x+2)Û`=('5)Û`, xÛ`+4x+4=5, xÛ`+4x=1
∴ (xÛ`+4x-3)(xÛ`+4x-5)=(1-3)_(1-5)=8

⑴ (주어진 식)=16+24'2+18=34+24'2
⑵ (주어진 식)=3-4'6+8=11-4'6
(2+x'2)(3-'2)=6-2x+(3x-2)'2
⑶ (주어진 식)=24-25=-1
⑷ (주어진 식)=2-'2+'2-1=1 가 유리수이므로 3x-2=0 ∴ x=;3@;

(1-'2)¡`(1+'2)10
a+'2 a+'2 3'2-1
={(1-'2)(1+'2)}¡`_(1+'2)Û` = _
3'2+1 3'2+1 3'2-1
=(1-2)¡`_(1+'2)Û` 6-a+(3a-1)'2
=
=1_(1+2'2+2) 17

=3+2'2 가 유리수이므로 3a-1=0 ∴ a=;3!;

(1-'3+'2)Û`(1+'3-'2)Û`
2'2+a-5 2'2+a-5 a'2+3
={(1-'3+'2)(1+'3-'2)}Û` = _
a'2-3 a'2-3 a'2+3
=[{1-('3-'2)}{1+('3-'2)}]Û`
7a-15+(aÛ`-5a+6)'2
=
={1Û`-('3-'2)Û`}Û` 2aÛ`-9
=(-4+2'6)Û` 가 유리수이므로 aÛ`-5a+6=0에서
=16-16'6+24 (a-2)(a-3)=0 ∴ a=2 또는 a=3
=40-16'6 따라서 a의 값의 합은 2+3=5

12 Ⅰ 실수와 그 연산
(3-'3)(2a-b'3)=4를 전개하여 정리하면 ⑴ 'Ä7000=10'7Œ0=10_8.367=83.67
(6a+3b)-(2a+3b)'3=4 '7Œ0 8.367
⑵ '¶0.7=®Â;1¦0;=®É;1¦0¼0;= = =0.8367
10 10
∴ 6a+3b=4, 2a+3b=0
두 식을 연립해서 풀면 ⑶ 'Ä2800=20'7=20_2.646=52.92

a=1, b=-;3@;
① '¶196='Ä1.96_100="Ã1.4Û`_10Û`=1.4_10=14
② 'Ä19.6='Ä1.96_10="Ã1.4Û`_10=1.4'1Œ0
1<'3<2이므로 1.96 1.4Û` 1.4
③ 'Ä0.0196=®É =¾¨ = =0.14
100 10Û` 10
1 '3+1
a='3-1, b=;a!;= =
'3-1 2 ④ '1Œ4='Ä1.4_10
a, b의 값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⑤ '¶140="Ã1.4_10Û`=10'¶1.4
('3-2)x+('3+7)y+1=0 따라서 그 값을 구할 수 있는 것은 ①, ③이다.
(-2x+7y+1)+(x+y)'3=0
∴ -2x+7y+1=0, x+y=0 "Ã326+316
(주어진 식)=
두 식을 연립해서 풀면 "Ã318+328
"Ã316_(310+1)
x=;9!;, y=-;9!; =
"Ã318_(1+310)
1
=® =;3!;
3Û`
x ◎ 2y='2x-2y이므로
('2x-2y)◎ y+1='2x-2y
13=x라 하면
'2('2x-2y)-y+1='2x-2y
(주어진 식)="Ãx(x+1)(x+2)(x+3)+1
2x-2'2y-y+1='2x-2y
="Ã(xÛ`+3x)(xÛ`+3x+2)+1
(2x+y+1)-(x+2y)'2=0
xÛ`+3x=t라 하면
∴ 2x+y+1=0, x+2y=0
(주어진 식)="Ãt(t+2)+1
두 식을 연립해서 풀면
="Ã(t+1)Û`
x=-;3@;, y=;3!; =t+1`(∵ t>0)
=xÛ`+3x+1

'2 1.414 =13Û`+3_13+1


1
① '¶0.5=®;2!;= = =
'2 2 2 =209
'2 1.414
② 'Ä0.02=®É;10@0;= = aÛ`+2ab+bÛ`=(a+b)Û` 이다.
10 10
③ '1Œ2=2'3
④ '3Œ2=4'2=4_1.414 'Ä2248=2'¶562
⑤ '¶200=10'2=10_1.414 =2'Ä5.62_100
따라서 그 값을 구할 수 없는 것은 ③이다. =20'Ä5.62=20_2.371=47.42

2.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13
STEP
실력 높이기 28~32쪽

'2+'3 1 2'1Œ3-1 2 -6 2

'2-1
6 155 ;2#; 13 0, -1, Ñ'2
2

4+3'2 -32 0<xÉ'2 또는 x=-'2 6 '3+'2

③ 87300

문제 풀이

7<'5Œ0<8에서 6<'5Œ0-1<7이므로
xÛ`-yÛ`=(x+y)(x-y)
(1+'2+'3)+(1-'2-'3) a=('5Œ0-1)-6=5'2-7
=
2 a+7=5'2의 양변을 제곱하면
(1+'2+'3)-(1-'2-'3) aÛ`+14a+49=50이므로
_
2
aÛ`+14a=1
=1_('2+'3)
∴ aÛ`+14a+1=1+1=2
='2+'3

서술형

1 5a-4b
(주어진 식)='2- 표현 단계 =2에서 5a-4b=2(5b-a)
1 5b-a
'2-
'2-('2+1) 5a-4b=10b-2a, 7a=14b ∴ a=2b
1 변형 단계 a=2b를 주어진 식에 각각 대입하면
='2-
'2+1
6a+3b 15b
='2-('2-1)=1 ¾¨ =¾¨ ='5
2a-b 3b
'4<'5<'¶6.25에서 2<'5<2.5이므로
서술형 '5에 가장 가까운 정수 m=2
1 1 6a+3b 15b
표현 단계 = -¾¨ =-¾¨ =-'5
`f(x) 'Äx+2+'Äx+1 2a-b 3b
1 'Äx+2-'Äx+1 2<'5<3에서 -3<-'5<-2이므로
= _
'Äx+2+'Äx+1 'Äx+2-'Äx+1 -'5를 넘지 않는 최대의 정수 n=-3
'Äx+2-'Äx+1 확인 단계 ∴ mn=2_(-3)=-6
=
('Äx+2)Û`-('Äx+1)Û`
'Äx+2-'Äx+1
=
x+2-(x+1) 전체 식을 t로 놓으면

='Äx+2-'Äx+1 ¿¹6-¿¹6-"Ã6-'Ä6-… =t`(t>0)


1 1 1 1 'Ä6-t=t
변형 단계 ∴ + + +y+
`f(0) `f(1) `f(2) `f(50)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2-1)+('3-'2)+('4-'3)+y tÛ`+t-6=0, (t+3)(t-2)=0
+('5Œ2-'5Œ1) ∴ t=2`(∵ t>0)
풀이 단계 ='5Œ2-1
=2'1Œ3-1 4<"ÃxÛ`+yÛ`<5에서 16<xÛ`+yÛ`<25이므로
(x, y)는 (1, 4), (2, 4), (3, 3), (4, 1), (4, 2)이다.
따라서 x+y의 값은 5 또는 6이므로 최댓값은 6이다.
1 'Än+1-'n
=
'n+'Än+1 ('Än+1+'n)('Än+1-'n)
='Än+1-'n xÁ=2'2에서 yÁ=2'2-2

∴ (주어진 식)=('2-1)+('3-'2)+('4-'3) 1 1 2'2+2 '2+1


xª= = = = 에서
yÁ 2'2-2 4 2
+y+('5Œ0-'4Œ9)
'2+1 '2-1
='5Œ0-1 yª= -1=
2 2
14 Ⅰ 실수와 그 연산
1 2 변형 단계 ∴ xÛ`-xy+yÛ`
x£= = =2('2+1)에서
yª '2-1
=xÛ`+yÛ`-xy
y£=2('2+1)-4=2'2-2, …
=(x+y)Û`-3xy
따라서 yÁ=y£=y°=y=2'2-2,
풀이 단계 =(2+'3+2-'3)Û`-3(2+'3)(2-'3)
'2-1
yª=y¢=y¤=y= 이므로 =16-3=13
2
'2-1
y2020=
2
'a가 실수가 될 조건은 a¾0이므로 주어진 식의 값이
2<2'2<3이므로 2'2의 소수 부분 yÁ은 2'2-2이다. 실수가 되려면 -xÛ`(x+1)Û`|2-xÛ`|¾0에서
xÛ`(x+1)Û`|2-xÛ`|É0
완전제곱식과 절댓값은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f(n)=('n 이하의 자연수의 개수)이므로 xÛ`(x+1)Û`|2-xÛ`|=0
Ú 1Én<4일 때, f(n)=1 즉, xÛ`=0 또는 (x+1)Û`=0 또는 |2-xÛ`|=0이므로
f(1)=f(2)=f(3)=1 x=0 또는 x=-1 또는 x=Ñ'2
Û 4Én<9일 때, f(n)=2 따라서 실수 x의 값을 모두 구하면 0, -1, Ñ'2이다.
f(4)=f(5)=y=f(8)=2
Ü 9Én<16일 때, f(n)=3
f(9)=f(10)=y=f(15)=3 1<'2<2에서 2<'2+1<3이므로 [x]=2
Ý 16Én<25일 때, f(n)=4 2 2('2+1)+2
∴ (주어진 식)= +
('2+1)-2 2
f(16)=f(17)=y=f(24)=4
2
Þ 25Én<36일 때, f(n)=5 = +'2+2
'2-1
f(25)=f(26)=y=f(35)=5 =2('2+1)+'2+2
ß 36ÉnÉ40일 때, f(n)=6 =4+3'2
f(36)=f(37)=y=f(40)=6
∴ f(1)+f(2)+…+f(40)
=1_3+2_5+3_7+4_9+5_11+6_5 ('5-'7)Ü`=m, ('5+'7)Ü`=n이라 하면
=155 (주어진 식)=(m+n)Û`-(m-n)Û`
=(mÛ`+2mn+nÛ`)-(mÛ`-2mn+nÛ`)
=4mn
4x_4y=(4+2'2)(4-2'2)
=4('5-'7)Ü`('5+'7)Ü`
=16-8=8
=4{('5-'7)('5+'7)}Ü`
4x_4y=4x+y=8에서
=4_(-2)Ü`=-32
4x+y=(22)x+y=22x+2y이고 8=2Ü`이므로
22x+2y=2Ü`

따라서 2x+2y=3이므로 x+y=;2#; 2-xÛ`¾0이므로 -'2ÉxÉ'2 (단, x+0)


Ú 0<xÉ'2일 때,
2
"Ã2-xÛ`=¾¨xÛ`{ -1}="Ã2-xÛ`
서술형
xÛ`
이므로 항상 성립한다.
표현 단계 x, y의 분모를 각각 유리화하면
∴ 0<xÉ'2
'6+'2 '6+'2 ('6+'2)Û`
x= _ =
'6-'2 '6+'2 6-2 Û -'2Éx<0일 때,
8+4'3 2
= =2+'3 "Ã2-xÛ`=-¾¨xÛ`{ -1}=-"Ã2-xÛ`이므로
4 xÛ`
'6-'2 '6-'2 ('6-'2)Û` 2"Ã2-xÛ`=0, xÛ`=2
y= _ =
'6+'2 '6-'2 6-2
∴ x=-'2`(∵ -'2Éx<0)
8-4'3
= =2-'3 Ú, Û에서 0<xÉ'2 또는 x=-'2
4
2.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15
(2+3'2)(x-2'2)=(2x-12)+(3x-4)'2 ① 'Ä3610='Ä361_10="Ã19Û`_10=19'1Œ0
가 유리수이므로 :알 수 없다.

3x-4=0 ∴ x=;3$; 19Û` 19


② '¶36.1=®É:£1¤0Á:=¾¨ =
10 '1Œ0
∴ a=1, b=;3!; :알 수 없다.

n'3 19Û`
따라서 m+n®;3!;=m+ =3+'3이므로 ③ '¶3.61=®É;1#0^0!;=¾¨ =;1!0(;=1.9
3 10Û`
m=3, n=3 ∴ m+n=3+3=6 ④ '1Œ9:알 수 없다.
⑤ '¶190='Ä19_10:알 수 없다.
(a+b)(c+d)=ac+ad+bc+bd

x+y='6, x-y='2, xy=1이므로


'x+'y 'x+'y 'x+'y 서술형
= _
'x-'y 'x-'y 'x+'y 표현 단계 (295.5)Û`=(2.955_100)Û`
x+y+2'¶xy
= =(2.955)Û`_10000
x-y
'6+2_1
변형 단계 =('Ä8.73)Û`_10000
=
'2 풀이 단계 =8.73_10000
='3+'2 =87300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33~34쪽

3 2 ㄹ, ㅁ -10 4 9'6-18

3+'1Œ1 -3+'1Œ1
5'3 60 x= , y=
2 2

문제 풀이

1-xy=xÛ`-xy+yÛ`
x=¿¹3+"Ã3+'Ä3+y`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xÛ`=3+"Ã3+'Ä3+y 이므로 ={xÛ`-xy+;4!;yÛ`}+;4#;yÛ`
xÛ`=3+x ∴ xÛ`-x=3
={x-;2!;y}Û`+;4#;yÛ`¾0

xÛ`+yÛ`=1이므로 ∴ "Ã(1-xy)Û`=1-xy
1+xy=xÛ`+xy+yÛ` ∴ (주어진 식)=(1+xy)+(1-xy)=2

={xÛ`+xy+;4!;yÛ`}+;4#;yÛ`
무리수가 되지 않는 예를 찾는다.
={x+;2!;y}Û`+;4#;yÛ`¾0
ㄱ. a=2, b=-'2일 때, 'a+b=0이므로 유리수이다.
∴ "Ã(1+xy)Û`=1+xy ㄴ. a=2, b='2일 때, b-'a=0이므로 유리수이다.

16 Ⅰ 실수와 그 연산
ㄷ. a=-2, b='2일 때, a+bÛ`=0이므로 유리수이다. ∴ (주어진 식)
ㄹ, ㅁ. 항상 무리수이다. =(xÁ+x£+y+xÁÁ)+(xª+x¢+y+xÁª)
ㅂ. a=0일 때, ;bA;=0이므로 유리수이다. '6-2
=6('6-2)+6_
2
ㅅ. a=0일 때, a'b=0이므로 유리수이다.
=9'6-18
ㅇ. a=0일 때, b'a=0이므로 유리수이다.
['6 ]='6 을 넘지 않는 최대 정수이므로
따라서 항상 무리수인 것은 ㄹ, ㅁ이다.
'6-['6 ]='6-('6의 정수 부분)
=('6의 소수 부분)

a<0, b<0이므로
x='3-1에서 x+1='3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a®;aB;=-®Éa`Û _;aB;=-'aŒb (x+1)Û`=3, xÛ`+2x-2=0
∴ xÛ`+2x=2
b®;bA;=-®ÉbÛ`_;bA;=-'ŒaŒb ∴ (주어진 식)=x(xÛ`+2x)+3x+5
∴ (주어진 식)=-2'aŒb=-10 =5x+5
=5('3-1)+5=5'3

'2의 값은 1.414이므로 1.5Û`=2.25, 즉 '¶2.25=1.5이므로


'2 '2 '2-1 n<2.25인 자연수 n에 대하여 f(n)=1이다.
= _
'2+1 '2+1 '2-1 ∴ f(1)=f(2)=1
=2-'2=2-1.414=0.586 2.5Û`=6.25, 즉 '¶6.25=2.5이므로

'2
< >'2
'2+1
'2
=1

'2+1
2.25Én<6.25인 자연수 n에 대하여 f(n)=2이다.
∴ f(3)=f(4)=f(5)=f(6)=2
= _ 3.5Û`=12.25에서 6.25Én<12.25인 자연수 n에 대하여
'2-1 '2-1 '2+1
=2+'2=2+1.414=3.414 f(n)=3이고, 4.5Û`=20.25에서


< >'2
'2-1
=3

∴ (주어진 식)=1+3=4
12.25Én<20.25인 자연수 n에 대하여 f(n)=4이다.
∴ f(7)=f(8)=y=f(12)=3
f(13)=f(14)=y=f(20)=4
∴ f(1)+f(2)+y+f(20)
=1_2+2_4+3_6+4_8=60

2<'6<3이므로 xÁ='6-2
1 1 x=n+y (n은 음이 아닌 정수, 0Éy<1)로 놓으면
∴ xª= -[ ]
'6-2 '6-2
0ÉyÛ`<1이므로 xÛ`+yÛ`=10에서
'6+2 '6+2
= -[ ] 0É10-xÛ`<1, 9<xÛ`É10
2 2
'6+2 '6-2 9<(n+y)Û`É10
= -2=
2 2 ∴ 3<n+yÉ'1Œ0
같은 방법으로 따라서 n=3일 때만 성립하므로
2 2 x=3+y yy`㉠
x£= -[ ]
'6-2 '6-2
xÛ`+yÛ`=10에 ㉠을 대입하면
='6+2-['6+2]
(3+y)Û`+yÛ`=10, 2yÛ`+6y-1=0
='6+2-4='6-2
-3+'1Œ1
즉, xÁ=x£=x°=y=xÁÁ='6-2 ∴ y= `(∵ 0Éy<1)
2
'6-2 -3+'1Œ1 3+'1Œ1
xª=x¢=x¤=y=xÁª= ∴ x=3+ =
2 2 2
2.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17
Ⅰ 단원 종합 문제 35~38쪽

①. ⑤ 4자리 1 ⑤ 4-'2 -a+6

;a@; 7-2a 14 ⑤ 2'3+'2<3'6-2

a>c>b ④ 4, 11, 16, 19 6 22 -3

5'5+6
0 30 ⑤ 4 17.89
2

6 a=3, b=-1 ④ 3 14 2x

5'5+'3

문제 풀이

① '4=2이므로 제곱근은 Ñ'2이다. "ÅaÛ`=[


`a (a¾0)
-a (a<0)
② '4=2이므로 '2는 '4의 제곱근이다.
③ 2-'3>0이므로 제곱근은 2개이다.
④ "'8Œ1='9=3이므로 제곱근은 Ñ'3이다.
0<a<1이면 a<;a!;이므로 ¾¨{a-;a!;}Û`=;a!;-a
⑤ 0의 제곱근은 1개, 음의 정수의 제곱근은 실수의 범위에
서는 없다.
∴ (주어진 식)={;a!;-a}+{a+;a!;}=;a@;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①, ⑤이다.

10à`Éx<10¡`이므로 1000'1Œ0É'§x<10000 '§x=2-a의 양변을 제곱하면 x=aÛ`-4a+4


따라서 '§x 의 정수 부분의 자릿수는 4자리이다. '§x=2-a¾0에서 aÉ2
∴ (주어진 식)="ÃaÛ`-6a+9+"ÃaÛ`-8a+16

4<'1Œ9<5에서 a='1Œ9-4이므로 1-a=5-'1Œ9>0 ="Ã(a-3)Û`+"Ã(a-4)Û`

∴ a+"Ã(1-a)Û`=('1Œ9-4)+(5-'1Œ9)=1 =(3-a)+(4-a)=7-2a

a>1 0<a<1 -1<a<0 a<-1 'Ä144-18n="Ã18(8-n)="Ã2_3Û`(8-n)


a>'a a<'a =3"Ã2(8-n)
이 정수가 되려면 0É8-n<8이고 2(8-n)이 0 또는 완
a>;a!; a<;a!; a>;a!; a<;a!;
전제곱의 형태가 되어야 하므로
a<aÛ`<aÜ`<y a>aÛ`>aÜ`>y a<aÜ`<aÞ`<y a>aÜ`>aÞ`>y
8-n=0, 2 ∴ n=8, 6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따라서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8+6=14

10-'2>0, '8-3<0이므로
① a=-2, b=0일 때, a+b'3=-2
(1+'2)Û`
(주어진 식)=(10-'2)-(3-'8)+ ② a=b=0일 때, a+b'3=0
(1-'2)(1+'2)
③ a=4, b=2일 때, a+b'3=4+2'3=4+'1Œ2
=10-'2-3+2'2-3-2'2=4-'2
④ a=0, b=;3!;일 때,

-2<a<2이므로 a-2<0, 2+a>0, 2-a>0 '3 1


a+b'3= = =®;3!;
즉, "Ã(a-2)Û`=-(a-2) 3 '3
'3 '2
"Ã(2+a)Û`=2+a, "Ã(2-a)Û`=2-a이므로 ⑤ 2-®;2#;=2- =2- _'3
'2 2
(주어진 식)=-(a-2)+(2+a)+(2-a) '2
- 는 유리수가 아니므로 2-®;2#; 은 x의 값이 될 수
=-a+2+2+a+2-a 2
=-a+6 없다.

18 Ⅰ 실수와 그 연산
2'3+'2>0, 3'6-2>0이므로 2<'Ä2x+3<7의 각 변을 제곱하면
두 수의 제곱의 차를 구하여 부호를 조사한다. 4<2x+3<49 ∴ ;2!;<x<23
(2'3+'2)Û`-(3'6-2)Û`
그런데 x는 자연수이므로
=(12+4'6+2)-(54-12'6+4)
x=1, 2, y, 22의 22개이다.
=14+4'6-58+12'6
=-44+16'6
=-'Ä1936+'Ä1536<0
∴ 2'3+'2<3'6-2 (주어진 식)=4'3-5-3'3+(2-'3)=-3

두 수가 모두 양수이므로 제곱의 차를 구하여 부호를 조사한다.

4<'2Œ0<5이므로 a=4, b='2Œ0-4=2'5-4


a-b=(3'2+1)-(2'3+1)='1Œ8-'1Œ2>0 2'5-4 4
∴ ;aB;+;bA;= +
4 2'5-4
∴ a>b
'5-2 4(2'5+4)
b-c=(2'3+1)-5=2'3-4='1Œ2-'1Œ6<0 = +
2 (2'5-4)(2'5+4)
∴ b<c '5-2 5'5+6
= +2'5+4=
a-c=(3'2+1)-5=3'2-4='1Œ8-'1Œ6>0 2 2
∴ a>c
따라서 a>c>b이다.
2'3='1Œ2이므로
3<2'3<4, -4<-2'3<-3, 1<5-2'3<2
① a=1, b='2일 때, aÛ`+b=1+'2이므로 유리수가
에서 5-2'3의 소수 부분은
아니다.
x=(5-2'3)-1=4-2'3
② a=1, b=3+'2일 때, aÛ`bÛ`=11+6'2이므로 유리수가
x=4-2'3이므로 x-4=-2'3의 양변을 제곱하면
아니다.
xÛ`-8x+16=12 ∴ xÛ`-8x+4=0
③ b='2-1일 때, bÛ`=3-2'2이므로 유리수가 아니다.
0
⑤ a=0, b='2일 때, aÖb=;bA;= =0이므로 무리수가
'2
아니다. 'Ä40_a=2'Ä10_a=b이므로
a=10, 10_2Û`, 10_3Û`, 10_4Û`, y

근호 안의 수가 제곱수이면 근호가 없어지고 자연수 즉, (a, b)=(10, 20), (40, 40), (90, 60), y

가 된다.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10+20=30


다른 풀이
'Ä20-x 가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20-x>0
즉, x<20인 자연수이다. a=10kÛ`(k는 자연수)의 꼴이고 b=20k이다.

20보다 작은 제곱수는 1, 4, 9, 16이므로 이때 a, b는 자연수이므로 k=1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20-x=1에서 x=19, 20-x=4에서 x=16 따라서 a=10, b=20이므로 a+b의 최솟값은

20-x=9에서 x=11, 20-x=16에서 x=4 10+20=30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x는 4, 11, 16, 19이다.

주어진 식의 각 변을 제곱하면 4<|x-5|<9이므로


y x
+
x-2 y-2 4<x-5<9 또는 -9<x-5<-4
5-'3 5+'3 ∴ 9<x<14 또는 -4<x<1
= +
3+'3 3-'3
그런데 x는 정수이므로
(5-'3)(3-'3)+(5+'3)(3+'3)
= x=10, 11, 12, 13, -3, -2, -1, 0
(3+'3)(3-'3)
따라서 구하는 x의 값의 합은
18-8'3+18+8'3
= =:£6¤:=6
6 10+11+12+13-3-2-1=40
단원 종합 문제 19
1024=210=(2Þ`)Û`이므로 ADÓ="Ã1`Û +2Û`='5이고, 점 A에 대응하는 수가 2이므
'Ä1024="Ã(2Þ`)Û`=2Þ` 로 점 P에 대응하는 수는 2-'5`이다.
¿¹2¿¹4"Ã8'Ä1024=¿¹2¿¹4"Ã2Ü`_2Þ``
=¿¹2¿¹4"Ã(2Ý`)Û` '2Œa=a의 양변을 제곱하면
=¿¹2"Ã2Û`_2Ý`` 2a=aÛ` ∴ a=2`(∵ a+0)
=¿¹2"Ã(2Ü`)Û` b '3
c=a+ =2+
a+b 2+'3
="Ã2_2Ü``
=2+'3`(2-'3)
="Ã(2Û`)Û`
=-1+2'3
=2Û`=4
∴ a+2b-c=2+2'3-(-1+2'3)=3
근호 안의 수를 2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어 근호를 차례대로 풀어
낸다.
3É'a<4에서 9Éa<16이므로
9É33-|x|<16
∴ 17<|x|É24
'¶320="Ã3.2_10Û`=10'¶3.2
따라서 17<xÉ24 또는 -24Éx<-17이므로
=10_1.789=17.89
x는 Ñ18, Ñ19, Ñ20, Ñ21, Ñ22, Ñ23, Ñ24의 14개이
다.

(3+2'3)(a-4'3)=3a-12'3+2a'3-24
Ú x¾0일 때, "xÛ`=x이므로
=(3a-24)+(2a-12)'3
(주어진 식)="Ã(x+x)Û`-"Ã(x-x)Û`
주어진 식이 유리수가 되려면
="Ã(2x)Û`=2x
2a-12=0, 2a=12 ∴ a=6
Û x<0일 때, "xÛ`=-x이므로
a, b가 유리수일 때, a+b'3이 유리수가 되려면 b=0이어야 한다. (주어진 식)="Ã(x-x)Û`-"Ã(x+x)Û`
=-"Ã(2x)Û`=-(-2x)=2x
Ú, Û에서 (주어진 식)=2x
(a+'2)+(3+b'2)=(a+3)+(b+1)'2
가 유리수가 되려면 (x+y)Û`=7'5-'3 yy`㉠
b+1=0 ∴ b=-1 yy`㉠ (x-y)Û`=7'3-'5 yy`㉡
(a+'2)(3+b'2)=(3a+2b)+(ab+3)'2 ㉠+㉡에서 xÛ`+yÛ`=3('5+'3)
가 유리수가 되려면 ㉠-㉡에서 xy=2('5-'3)
ab+3=0 yy`㉡ ∴ (주어진 식)=(xÛ`+yÛ`)+xy
㉠을 ㉡에 대입하면 =3('5+'3)+2('5-'3)
-a+3=0 ∴ a=3 =5'5+'3

20 Ⅰ 실수와 그 연산
ⅠⅠ 1
식의 계산

다항식의 곱셈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41~47쪽

⑴ -6aÛ`+13ab-6bÛ` ⑵ xÝ`-3xÜ`+7xÛ`-7x+6 ⑶ 2 ⑷ 9+4'2-2'6-4'3 ⑸ 16aÜ`+12abÛ` ⑹ aÚ`ß`-2a¡`b¡`+bÚ`ß`

⑴ xÛ`-x-2+'2 ⑵ -5-4'3 ⑶ xÜ`-2xÛ`-5x+6 ⑷ -13+12'2 ④

⑴ 4a ⑵ xÝ`+10xÜ`+35xÛ`+50x+24 ⑶ xÝ`+4xÜ`-17xÛ`-24x+36 ⑷ 8aÛ`-8ab+2bÛ`+2 ⑴ 20 ⑵ 40

-4 ⑴ '3 ⑵ ;4!; ⑶ ;2%; ⑷ -'6 ⑴ 12 ⑵ 40 ⑶ 8 ⑷ 136

⑴ 13 ⑵ 17 ⑶ 45 ⑷ 161 ⑴ 1 ⑵ 52 ⑶ 194 82 -10

⑴ 7 ⑵ 18 ⑶ 5 ⑴ 6 ⑵ 14 ⑶ 8 ⑴3 ⑵0 -9+8'2

a=32, b=7 ⑴ ;1*6!;yÛ` ⑵ 4 ⑶ 20y, -20y 1 6 -4, 4

37 a=0, b=0, c=0

최상위 03
NOTE 다항식의 계수의 총합 구하기

다항식 axÛ`+bx+c(단, a, b, c는 상수)에 대하여 상수항을 포함한 예를 들어 다항식 (x+1)Û`(x-2)Û`을 전개하면


계수의 총합은 a+b+c이므로 다항식에 x=1을 대입하여 구할 수 (x+1)Û`(x-2)Û`=(xÛ`+2x+1)(xÛ`-4x+4)
있다. 마찬가지로 다항식 axÛ`+bxy+cyÛ`(단, a, b, c는 상수)에 대 =xÝ`-2xÜ`-3xÛ`+4x+4
하여 상수항을 포함한 계수의 총합은 a+b+c이므로 다항식에 이므로 상수항을 포함한 계수의 총합은 1-2-3+4+4=4이다.
x=y=1을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다항식 (x+1)Û`(x-2)Û`을 전개하지 않아도 다항식에
따라서 다항식의 모든 미지수에 1을 대입하면 상수항을 포함한 계수 x=1을 대입하면 상수항을 포함한 계수의 총합이
의 총합을 구할 수 있다. (1+1)Û`(1-2)Û`=2Û`_(-1)Û`=4임을 알 수 있다.
즉, 다항식을 굳이 전개하지 않아도 미지수에 1을 대입하면 상수
항을 포함한 계수의 총합을 구할 수 있다.

1. 다항식의 곱셈 21
문제 풀이

⑴ (2a-3b)(-3a+2b) ⑴ (주어진 식)
=-6aÛ`+4ab+9ab-6bÛ` ={(a+1)-b}{(a+1)+b}
=-6aÛ`+13ab-6bÛ` +{b+(a-1)}{b-(a-1)}
⑵ (xÛ`-x+2)(xÛ`-2x+3) a+1=X, a-1=Y로 치환하면
=xÝ`-2xÜ`+3xÛ`-xÜ`+2xÛ`-3x+2xÛ`-4x+6 (X-b)(X+b)+(b+Y)(b-Y)
=xÝ`-3xÜ`+7xÛ`-7x+6 =XÛ`-bÛ`+bÛ`-YÛ`
1 =XÛ`-YÛ`
⑶ {1+ }(3-'3)=3-'3+'3-1=2
'3 =(a+1)Û`-(a-1)Û`
⑷ (2+'2-'3)Û`=4+2+3+2(2'2-'6-2'3) =aÛ`+2a+1-(aÛ`-2a+1)
=9+4'2-2'6-4'3 =4a
⑸ (2a-b)Ü`+(2a+b)Ü` ⑵ (주어진 식)={(x+1)(x+4)}{(x+2)(x+3)}
=(2a)Ü`-3_(2a)Û`_b+3_2a_bÛ`-bÜ` =(xÛ`+5x+4)(xÛ`+5x+6)
+(2a)Ü`+3_(2a)Û`_b+3_2a_bÛ`+bÜ` xÛ`+5x=A로 치환하면
=8aÜ`-12aÛ`b+6abÛ`-bÜ`+8aÜ`+12aÛ`b+6abÛ`+bÜ` (A+4)(A+6)
=16aÜ`+12abÛ` =AÛ`+10A+24
⑹ (a-b)Û`(a+b)Û`(aÛ`+bÛ`)Û`(aÝ`+bÝ`)Û` =(xÛ`+5x)Û`+10(xÛ`+5x)+24
={(a-b)(a+b)(aÛ`+bÛ`)(aÝ`+bÝ`)}Û` =(xÝ`+10xÜ`+25xÛ`)+(10xÛ`+50x)+24
={(aÛ`-bÛ`)(aÛ`+bÛ`)(aÝ`+bÝ`)}Û` =xÝ`+10xÜ`+35xÛ`+50x+24
={(aÝ`-bÝ`)(aÝ`+bÝ`)}Û`=(a¡`-b¡`)Û` ⑶ (주어진 식)={(x-1)(x+6)}{(x+2)(x-3)}
=(a¡`)Û`-2_a¡`_b¡`+(b¡`)Û` =(xÛ`+5x-6)(xÛ`-x-6)
=aÚ`ß`-2a¡`b¡`+bÚ`ß`` xÛ`-6=A로 치환하면
(2+'2-'3)Û` 에서 -'3 과 같이 -를 포함한 항이 있는 경우 (A+5x)(A-x)
(2+'2-'3)Û`={2+'2+(-'3)}Û`로 변형하여 공식을 적용하면 된다.
=AÛ`+4xA-5xÛ`
=(xÛ`-6)Û`+4x(xÛ`-6)-5xÛ`
⑴ (x-'2)(x+'2-1) =(xÝ`-12xÛ`+36)+(4xÜ`-24x)-5xÛ`
=xÛ`+(-'2+'2-1)x-'2('2-1) =xÝ`+4xÜ`-17xÛ`-24x+36
=xÛ`-x-2+'2 ⑷ 2a-b=X로 치환하면
⑵ (2+'3)(2-3'3) (주어진 식)=(X-1)Û`+(X+1)Û`
=2Û`+('3-3'3)_2+'3_(-3'3) =XÛ`-2X+1+XÛ`+2X+1
=-5-4'3 =2XÛ`+2
⑶ (x-1)(x+2)(x-3) =2(2a-b)Û`+2
=xÜ`+(-1+2-3)xÛ`+(-2-6+3)x =2(4aÛ`-4ab+bÛ`)+2
+(-1)_2_(-3) =8aÛ`-8ab+2bÛ`+2
=xÜ`-2xÛ`-5x+6
⑷ (1-'2)(1-2'2)(1+3'2)
⑴ (x+2)Û`(2x-1)(x+1)Û`
=1Ü`+(-'2-2'2+3'2)_1Û`+(4-12-6)_1
=(xÛ`+4x+4)(2x-1)(xÛ`+2x+1)
+(-'2)_(-2'2)_3'2
=(xÛ`+4x+4)(2xÜ`+3xÛ`-1)
=-13+12'2 ㉡

(어두운 부분의 넓이)=(2+3'2+'3)(2+3'2-'2) 따라서 xÜ` 항은 ㉠과 ㉡에서 만들어지므로 xÜ` 항의 계수


2+3'2를 x로 생각하면 는 12+8=20이다.
(x+'3)(x-'2)=xÛ`+('3-'2)x-'6 ⑵ (x+2)Û`(2x-1)(x+1)Û`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어두운 부분의 넓이를 구할 때 이 =axÞ`+bxÝ`+cxÜ`+dxÛ`+ex+f
용되는 전개식은 ④이다. 라 하고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2 ⅠⅠ 식의 계산
a+b+c+d+e+f=(1+2)Û`(2-1)(1+1)Û`=36 ⑶ (a-b)Û`=(a+b)Û`-4ab
상수항은 2Û`_(-1)_1=-4이므로 상수항을 제외한 =4Û`-4_2
계수의 총합은 =16-8=8
36-(-4)=40 ⑷ aÝ`+bÝ`=(aÛ`+bÛ`)Û`-2(ab)Û`
=12Û`-2_2Û`
=144-8=136
Ú (2x-y+z)Ü`의 전개식에서 계수의 총합은 x, y, z
에 모두 1을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와 같으므로 x, y, z
⑴ aÛ`+bÛ`=(a-b)Û`+2ab
에 모두 1을 대입하면
=3Û`+2_2
(2-1+1)Ü`=8
=9+4=13
∴ a=8
⑵ (a+b)Û`=(a-b)Û`+4ab

=3Û`+4_2
Û (2x-y+z)Ü`=(2x-y+z)(2x-y+z)(2x-y+z)
㉡ =9+8=17
xyz항의 계수는 ㉠에서 2_(-1)_1=-2 ⑶ aÜ`-bÜ`=(a-b)Ü`+3ab(a-b)
㉡에서 2_1_(-1)=-2 =3Ü`+3_2_3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2가 모두 6번이 만들어지므 =27+18=45
로 xyz항의 계수는 ⑷ aÝ`+bÝ`=(aÛ`+bÛ`)Û`-2(ab)Û`
-2_6=-12 =13Û`-2_2Û`
∴ b=-12 =169-8=161
Ú, Û에서
a+b=8+(-12)=-4 ⑴ xÛ`+yÛ`=(x+y)Û`-2xy이므로
14=16-2xy, 2xy=2
∴ xy=1
'3-'2 '3+'2
⑴ x+y= + ⑵ xÜ`+yÜ`=(x+y)Ü`-3xy(x+y)=64-12=52
2 2
2'3 ⑶ xÝ`+yÝ`=(xÛ`)Û`+(yÛ`)Û`=(xÛ`+yÛ`)Û`-2(xy)Û`
= ='3
2 =14Û`-2_1Û`
'3-'2 '3+'2 =194
⑵ xy= _
2 2
3-2 ⑵ (x+y)(xÛ`+yÛ`)=xÜ`+yÜ`+xÛ`y+xyÛ`에서
= =;4!;
4 xÜ`+yÜ`=(x+y)(xÛ`+yÛ`)-xy(x+y)이므로
'3-'2 Û '3+'2 Û xÜ`+yÜ`=4_14-1_4=52로 계산할 수도 있다.
⑶ xÛ`+yÛ`={ }`+{ }`
2 2
('3)Û`+('2)Û` xÝ`+yÝ`=(xÛ`+yÛ`)Û`-2(xy)Û`
=
2
=10Û`-2_3Û`
=;2%;
=100-18=82
'3-'2 Û '3+'2 Û
⑷ xÛ`-yÛ`={ }`-{ }`
2 2 (a+b)Û`=aÛ`+bÛ`+2ab에서
-4_'3_'2
= 4=5+2ab ∴ ab=-;2!;
4
=-'6 aÛ`+bÛ` 5
∴ ;aB;+;bA;= = =5_{-;1@;}=-10
ab
-;2!;

⑴ aÛ`+bÛ`=(a+b)Û`-2ab
1
=4Û`-2_2 ⑴ xÛ`+ ={x+;[!;}Û`-2=9-2=7
xÛ`
=16-4=12
1
⑵ aÜ`+bÜ`=(a+b)Ü`-3ab(a+b) ⑵ xÜ`+ ={x+;[!;}Ü`-3{x+;[!;}=27-9=18
xÜ`
=4Ü`-3_2_4
⑶ {x-;[!;}Û`={x+;[!;}Û`-4=9-4=5
=64-24=40
1. 다항식의 곱셈 23
1
⑴ xÛ`+ ={x-;[!;}Û`+2=4+2=6 xÛ`=4xÛ`
xÛ`
∴ =4
1
⑵ xÜ`- ={x-;[!;}Ü`+3{x-;[!;}=8+6=14 ⑶ 4xÛ`+ x+25yÛ`=(2x)Û`+ x+(5y)Û`
xÜ`
x=Ñ2_2x_5y
⑶ {x+;[!;}Û`={x-;[!;}Û`+4=4+4=8
x=Ñ20xy
∴ =Ñ20y

⑴ xÛ`-3x+1=0에 x=0을 대입하면 1=0이므로


x+0이다. (주어진 식)
따라서 양변을 x로 나누면 ={(x+1)(x+4)}{(x+2)(x+3)}+m
=(xÛ`+5x+4)(xÛ`+5x+6)+m
x-3+;[!;=0 ∴ x+;[!;=3
xÛ`+5x=t로 치환하면
⑵ xÛ`-3x+1=0에서 xÛ`=3x-1
(t+4)(t+6)+m=tÛ`+10t+24+m
∴ xÜ`-4xÛ`+4x-1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x_xÛ`-4_xÛ`+4x-1
24+m={:Á2¼:}Û`=5Û`
=x(3x-1)-4(3x-1)+4x-1
=3xÛ`-9x+3 ∴ m=1
=3(3x-1)-9x+3
=0 (a+b+c)Û`=aÛ`+bÛ`+cÛ`+2(ab+bc+ca)에서

xÛ`=3x-1을 통하여 xn(n¾2)을 모두 일차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16=aÛ`+bÛ`+cÛ`+2_5
∴ aÛ`+bÛ`+cÛ`=6

x=-1+'2이므로 x+1='2
(a+b+c)Û`=aÛ`+bÛ`+cÛ`+2(ab+bc+ca)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Û`+2x-1=0
=6+2_5=16
따라서 xÛ`=-2x+1이므로
∴ a+b+c=Ñ4
xÜ`-2xÛ`-x+3
=x(-2x+1)-2(-2x+1)-x+3
a-b=3, b-c=4를 변끼리 더하면
=-2xÛ`+4x+1
a-c=7
=-2(-2x+1)+4x+1=8x-1
∴ aÛ`+bÛ`+cÛ`-ab-bc-ca
=8(-1+'2)-1=-9+8'2
=;2!;{(a-b)Û`+(b-c)Û`+(c-a)Û`}

x-;[!;=5에서 x+0이므로 양변에 x를 곱하면 =;2!;(9+16+49)

xÛ`-1=5x ∴ xÛ`=5x+1 =37

xÜ`+xÛ`+x+1=x_xÛ`+xÛ`+x+1
=x(5x+1)+(5x+1)+x+1 aÛ`+bÛ`+cÛ`+ab+bc+ca
=5xÛ`+7x+2 =;2!;{(a+b)Û`+(b+c)Û`+(c+a)Û`}=0
=5(5x+1)+7x+2
즉, (a+b)Û`+(b+c)Û`+(c+a)Û`=0이고 a+b, b+c,
=32x+7
c+a는 실수이므로
∴ a=32, b=7
a+b=0, b+c=0, c+a=0 yy`㉠
세 식을 변끼리 더하면
⑴ 4xÛ`-9xy+ =(2x)Û`+2_2x_{-;4(;y}+ 2(a+b+c)=0
∴ a+b+c=0 yy`㉡
∴ ={-;4(;y}Û`=;1*6!;yÛ`
㉠을 ㉡에
⑵ xÛ`+4xy+yÛ`= xÛ`+2_2x_y+yÛ` 각각 대입하면
xÛ`=(2x)Û` a=b=c=0
24 ⅠⅠ 식의 계산
STEP
실력 높이기 48~52쪽

⑴ 2Ú`ß`-1 ⑵ xß`-yß` -10 99 -12xÛ`-4x+8 90

3Ú`Þ`-1
55 648 4aß`-12aÝ`bÛ`+12aÛ`bÝ`-4bß` -11xÛ`+6xy+yÛ`
2

13'3
100 54 2'6 22 - 151
6

8 -2 4aÛ`+4bÛ`+4cÛ` 6 10 3

문제 풀이

⑴ 주어진 식에 (2-1)을 곱해도 식의 값은 변하지 A=2xÛ`+(1-2)x-1=2xÛ`-x-1


않으므로 8xÜ`+2xÛ`-6x
B= =-4xÛ`-x+3
-2x
(2+1)(2Û`+1)(2Ý`+1)(2¡`+1)
8xÚ`Û`yß`
=(2-1)(2+1)(2Û`+1)(2Ý`+1)(2¡`+1) C=8xÚ`Û`yß`Ö4xÚ`â`yß`= =2xÛ`
4xÚ`â`yß`
=(2Û`-1)(2Û`+1)(2Ý`+1)(2¡`+1) ∴ (주어진 식)=2A-{C-(2B-A+B)}
=(2Ý`-1)(2Ý`+1)(2¡`+1) =2A-(C-2B+A-B)
=(2¡`-1)(2¡`+1) =2A-(C-3B+A)
=2Ú`ß`-1 =2A-C+3B-A
⑵ (x+y)(x-y)(xÛ`+xy+yÛ`)(xÛ`-xy+yÛ`) =A+3B-C
={(x+y)(x-y)}{(xÛ`+yÛ`)+xy}{(xÛ`+yÛ`)-xy} =(2xÛ`-x-1)+3(-4xÛ`-x+3)-2xÛ`
=(xÛ`-yÛ`)(xÝ`+yÝ`+2xÛ`yÛ`-xÛ`yÛ`) =-12xÛ`-4x+8
=(xÛ`-yÛ`)(xÝ`+yÝ`+xÛ`yÛ`)
=xß`+xÛ`yÝ`+xÝ`yÛ`-xÝ`yÛ`-yß`-xÛ`yÝ`
=xß`-yß`
{2xÛ`+3x+4+;[%;}Û``
다른 풀이

(x+y)(x-y)(xÛ`+xy+yÛ`)(xÛ`-xy+yÛ`) ={2xÛ`+3x+4+;[%;}{2xÛ`+3x+4+;[%;}
={(x-y)(xÛ`+xy+yÛ`)}{(x+y)(xÛ`-xy+yÛ`)}
이므로 상수항은
=(xÜ`-yÜ`)(xÜ`+yÜ`)
3x_;[%;+4_4+;[%;_3x=46
=(xÜ`)Û`-(yÜ`)Û`
=xß`-yß` 이고 x항은

2xÛ`_;[%;+3x_4+4_3x+;[%;_2xÛ`=44x

(2x+A)(Bx+5)=2BxÛ`+(10+AB)x+5A ∴ a=46, b=44 ∴ a+b=90


=4xÛ`+6x+C
각 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2B=4, 10+AB=6, 5A=C이므로
(x+aÁ)(x+aª)(x+a£)_y_(x+an)
A=-2, B=2, C=-10
=xn`+(aÁ+aª+y+an)xn-1`
∴ A+B+C=-2+2-10=-10
+(aÁaª+aÁa£+y+an-1an)xn-2+y
=xn+(각 상수항의 합)xn-1
(1+2x+3xÛ`+4xÜ`)Û`=aÁ+aª x+y+a¦ xß`이라 하면 +(두 상수항의 곱의 합)xn-2
계수의 총합은 양변에 x=1을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와 같다. +(세 상수항의 곱의 합)xn-3+y
즉, aÁ+aª+y+a¦=(1+2+3+4)Û`=10Û`=100 따라서 다항식의 전개식에서 xá` 항은 `
그런데 주어진 식에서 상수항 aÁ=1이므로 구하는 값은 (1+2+3+…+10)xá`이다.
100-1=99이다. ∴ A=1+2+3+y+10=55
1. 다항식의 곱셈 25
서술형 (주어진 식)
변형 단계 (주어진 식) =abxÛ`+aÛ`xy+bÛ`xy+abyÛ`
=(1+x+1+2x+xÛ`+1+3x+3xÛ`+xÜ`)Ý` =ab(xÛ`+yÛ`)+xy(aÛ`+bÛ`)
=(3+6x+4xÛ`+xÜ`)Ý` =ab{(x+y)Û`-2xy}+xy{(a+b)Û`-2ab}
풀이 단계 구하는 일차항은 4xÛ`, xÜ`을 사용하여 전개된 항과 =5(16-8)+4(25-10)=100
는 관계가 없으므로 (3+6x)Ý`의 전개식에서 일차
항을 구하면 된다.
(주어진 식)=(ab)_aÛ`+(ab)Û`+(ab)_bÛ`
(3+6x)Ý`={(3+6x)Û`}Û`
=3aÛ`+9+3bÛ`
=(9+36x+36xÛ`)Û`
=3(aÛ`+bÛ`)+9
같은 방법으로 일차항은 36xÛ`을 사용하여 전개된
=3{(a-b)Û`+2ab}+9
항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9+36x)Û`의 전개식에서
=3(9+6)+9=54
일차항을 구하면 된다.
(9+36x)Û`=81+648x+1296xÛ`
확인 단계 따라서 x의 계수는 648이다. x+y='5, x-y='2-'3이므로
(x+y)Û`-(x-y)Û`=5-('2-'3)Û`
=5-(5-2'6)=2'6
주어진 식의 양변에 (3-1)을 곱하면
(3-1)A=(3-1)(3+1)(3Û`+1)(3Ý`+1)(3¡`+1)
-(3-1)_3Ú`Þ` x=2+'5에서 x-2='5
2A=(3Û`-1)(3Û`+1)(3Ý`+1)(3¡`+1)-2_3Ú`Þ`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Û`-4x-1=0
=(3Ý`-1)(3Ý`+1)(3¡`+1)-2_3Ú`Þ` 양변을 x로 나누어 정리하면 x-;[!;=4
=(3¡`-1)(3¡`+1)-2_3Ú`Þ`
∴ (주어진 식)=[{x-;[!;}Û`+2]+{x-;[!;}=22
=3Ú`ß`-1-2_3Ú`Þ`
=3_3Ú`Þ`-2_3Ú`Þ`-1
=(3-2)_3Ú`Þ`-1
('3-1)('3-1) 4-2'3
=3Ú`Þ`-1 x= = =2-'3
('3+1)('3-1) 2
3Ú`Þ`-1 ('3+1)('3+1) 4+2'3
∴ A= y= = =2+'3
2 2
('3-1)('3+1)
이므로 x+y=4, xy=1, x-y=-2'3
(x+y)Û`-3xy 13
(a+b)Ü`=X, (a-b)Ü`=Y로 치환하면 ∴ (주어진 식)= =
x-y -2'3
(주어진 식)=(X+Y)Û`-(Y-X)Û` 13'3
13
=- =-
=4XY 2'3 6
=4(a+b)Ü`(a-b)Ü`
=4{(a+b)(a-b)}Ü`
xÛ`-5x+1=0에서 x+0이므로 양변을 x로 나누면
=4(aÛ`-bÛ`)Ü`
=4(aß`-3aÝ`bÛ`+3aÛ`bÝ`-bß`) x-5+;[!;=0 ∴ x+;[!;=5

=4aß`-12aÝ`bÛ`+12aÛ`bÝ`-4bß` 1
이때 xÛ`+ ={x+;[!;}Û`-2
xÛ`
=5Û`-2=23
3x-y 2(x+y) 1
xÜ`+ ={x+;[!;}Ü`-3{x+;[!;}
| | xÜ`
x-y -3x+y
=5Ü`-3_5=110
=(3x-y)(-3x+y)-2(x+y)(x-y)
3 2 1 1
=-(3x-y)Û`-2(x+y)(x-y) ∴ 2xÜ`-3xÛ`- + =2{xÜ`+ }-3{xÛ`+ }
xÛ` xÜ` xÜ` xÛ`
=-9xÛ`+6xy-yÛ`-2(xÛ`-yÛ`) =2_110-3_23
=-11xÛ`+6xy+yÛ` =151
26 ⅠⅠ 식의 계산
('5+'3)('5+'3) 8+2'1Œ5 ㉠에서 xyz=-4
x= = =4+'1Œ5
('5-'3)('5+'3) 2
∴ (주어진 식)
이므로 x-4='1Œ5
=27-9(x+y+z)+3(xy+yz+zx)-xyz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Û`-8x=-1
=27-9-12+4=10
∴ (주어진 식)=(-1+4)_(4+1)-7=8

(|a|+|b|)Û`=aÛ`+bÛ`+2|ab|
=(a+b)Û`-2ab+2|ab|
(주어진 식)
=9-2+2=9
1 1
={xÜ`- }-2{xÛ`+ }
xÜ` xÛ` |a|¾0, |b|¾0이므로
=[{x-;[!;}Ü`+3{x-;[!;}]-2[{x-;[!;}Û`+2] |a|+|b|¾0
∴ |a|+|b|=3
=(1+3)-2(1+2)
=4-6=-2 |a||b|=|ab|
|-3|=3, |0|=0과 같이 어떤 수에 절댓값을 취하면 음수는 양수가 되
고 0은 0이다. 따라서 두 수 a, b 각각에 절댓값을 취하여 곱한 값 |a||b|
와 두 수 a, b를 곱한 뒤에 절댓값을 취한 값 |ab|는 반드시 같을 수밖에
서술형 없다. 엄밀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Ú a¾0, b¾0인 경우
표현 단계 a+b+c=s라 하면
|ab|=ab (∵ ab¾0), |a||b|=ab
변형 단계 a+b=s-c Û a¾0, b<0인 경우
|ab|=-ab (∵ abÉ0), |a||b|=a(-b)=-ab
b+c=s-a
Ü a<0, b¾0인 경우
c+a=s-b |ab|=-ab (∵ abÉ0), |a||b|=(-a)b=-ab
풀이 단계 (주어진 식) Ý a<0, b<0인 경우
|ab|=ab (∵ ab>0), |a||b|=(-a)(-b)=ab
=sÛ`+(s-2c)Û`+(s-2b)Û`+(s-2a)Û` 위와 같이 a, b의 값에 관계없이 |a||b|=|ab|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sÛ`+sÛ`-4sc+4cÛ`+sÛ`-4sb+4bÛ` 따라서 (|a|+|b|)Û`=aÛ`+2|a||b|+bÛ`=aÛ`+2|ab|+bÛ`이다.

+sÛ`-4sa+4aÛ`
=4(aÛ`+bÛ`+cÛ`)+4sÛ`-4s(a+b+c) 서술형
=4(aÛ`+bÛ`+cÛ`)+4sÛ`-4sÛ` (∵ a+b+c=s) 표현 단계 aÛ`+bÛ`+cÛ`=12, a+b+c=6이므로`
=4(aÛ`+bÛ`+cÛ`) 변형 단계 2(ab+bc+ca)=(a+b+c)Û`-(aÛ`+bÛ`+cÛ`)
=4aÛ`+4bÛ`+4cÛ` =36-12=24
확인 단계 따라서 주어진 식을 전개하면 4aÛ`+4bÛ`+4cÛ`이다. ∴ ab+bc+ca=12
따라서 aÛ`+bÛ`+cÛ`=ab+bc+ca이므로
aÛ`+bÛ`+cÛ`-ab-bc-ca=0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16`cm이므로
4(x+y+z)=16 ∴ x+y+z=4 ;2!;(2aÛ`+2bÛ`+2cÛ`-2ab-2bc-2ca)=0

직육면체의 겉넓이가 10`cmÛ`이므로 ;2!;{(a-b)Û`+(b-c)Û`+(c-a)Û`}=0


2(xy+yz+zx)=10 ∴ xy+yz+zx=5
a-b=0, b-c=0, c-a=0 ∴ a=b=c
∴ xÛ`+yÛ`+zÛ`=(x+y+z)Û`-2(xy+yz+zx)
풀이 단계 이때 a+b+c=6이므로 a=b=c=2
=4Û`-2_5=6
확인 단계 ∴ abc=2_2_2=8

xy+yz+zx
;[!;+;]!;+;z!;= =1
xyz
∴ xy+yz+zx=xyz yy`㉠
한편, xÛ`+yÛ`+zÛ`=(x+y+z)Û`-2(xy+yz+zx)이므로
(x+y+z)Û`-(xÛ`+yÛ`+zÛ`)
xy+yz+zx=
2
1-9
= (∵ x+y+z=1, xÛ`+yÛ`+zÛ`=9)
2
=-4

1. 다항식의 곱셈 27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53~55쪽

-4xÛ`+4xy 4 ② 512 40 40

;2¥7; 1 ;2!5^; xÛ`+yÛ`+zÛ` 775

⑴ 214_21 또는 21_214 ⑵ 풀이 참조 ⑶ 풀이 참조

문제 풀이

A=(8xÜ`yÝ`-16xÜ`yÞ`-4xÛ`yÞ`)Ö(-2xyÛ`)Û` (x+1)n의 전개식에서 계수의 총합 구하기


(x+1)n=a¼+aÁx+aªxÛ`+y+anxn에서
1 x=1을 대입하면 2n=a¼+aÁ+aª+y+an
=(8xÜ`yÝ`-16xÜ`yÞ`-4xÛ`yÞ`)_ yy`㉠
4xÛ`yÝ` x=-1을 대입하면 0=a¼-aÁ+aª-y+(-1)nan yy`㉡
=2x-4xy-y ㉠+㉡에서 2n=2(a¼+aª+a¢+y)이므로 2n-1=a¼+aª+a¢+y
B=(2x-y)(1-2x+y) ㉠-㉡에서 2n=2(aÁ+a£+a°+y)이므로 2n-1=aÁ+a£+a°+y
즉, (x+1)n의 전개식에서 상수항을 포함한 계수의 총합은 2n이다. 또한
=(2x-y){1-(2x-y)} 홀수차항의 계수의 총합과 상수항을 포함한 짝수차항의 계수의 총합은 모
=2x-y-(2x-y)Û` 두 2n-1이다.

=2x-y-4xÛ`+4xy-yÛ`
∴ B-A=2x-y-4xÛ`+4xy-yÛ`-(2x-4xy-y)
=-4xÛ`+8xy-yÛ` (|x|-|y|)Û`=xÛ`+yÛ`-2|xy|이므로
B-(A+C)=4xy-yÛ`에서 16=xÛ`+yÛ`-24
B-A-C=4xy-yÛ`이므로 ∴ xÛ`+yÛ`=40
C=B-A-(4xy-yÛ`)
=-4xÛ`+8xy-yÛ`-4xy+yÛ`
=-4xÛ`+4xy (x+y)Û`=xÛ`+yÛ`+2xy
=10+6=16
∴ x+y=4 (∵ x>0, y>0)
(a+b)n=X, (a-b)n=Y로 치환하면
∴ (주어진 식)=xÜ`+yÜ`+xÛ`y+xyÛ`
(주어진 식)=(X+Y)Û`-(X-Y)Û`
=(xÜ`+yÜ`)+xy(x+y)
=4XY
={(x+y)Ü`-3xy(x+y)}+xy(x+y)
=4(a+b)n(a-b)n
=(x+y)Ü`-2xy(x+y)
=4{(a+b)(a-b)}n
=64-2_3_4
=4(aÛ`-bÛ`)n
=40
=4_1n=4
다른 풀이

(주어진 식)=xÛ`(x+y)+yÛ`(x+y)
(x+xÜ`+xÞ`+xà`)Ü`={x(1+xÛ`+xÝ`+xß`)}Ü`
=(x+y)(xÛ`+yÛ`)
=xÜ`(1+xÛ`+xÝ`+xß`)Ü`
=4_10=40
따라서 g(n)=f(n-3) 또는 f(n)=g(n+3)이므로
② `f(4)=g(7)이 옳다.

x+y+z=1에서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x+y=1-z, y+z=1-x, x+z=1-y
2Ú`â`=aÁ+aª+a£+y+aÁÁ yy`㉠ 이므로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주어진 식)=(1-z)(1-x)(1-y)
0=aÁ-aª+a£-y+aÁÁ yy`㉡ =1-(x+y+z)+(xy+yz+zx)-xyz
㉠, ㉡을 변끼리 더하면 =1-1+;3!;-;2Á7;
2(aÁ+a£+y+aÁÁ)=2Ú`â`
∴ aÁ+a£+y+aÁÁ=2á`=512 =;2¥7;

28 ⅠⅠ 식의 계산
aÛ`+bÛ`=1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31_25를 선 긋기 곱셈법을 이용하
bÛ`=1-aÛ` yy`㉠ 여 풀면
cÛ`+dÛ`=1에서
dÛ`=1-cÛ`` yy`㉡
ac+bd=0에서
ac=-bd`
∴ aÛ`cÛ`=bÛ`dÛ` yy`㉢
㉠, ㉡에 의해 31_25=(6_100)+{(15+2)_10}+(5_1)

bÛ`dÛ`=(1-aÛ`)(1-cÛ`) =600+170+5

aÛ`cÛ`=1-(aÛ`+cÛ`)+aÛ`cÛ` (∵ ㉢) =775

0=1-(aÛ`+cÛ`)
∴ aÛ`+cÛ`=1

다음 그림에서
(aÛ`+bÛ`)(cÛ`+dÛ`)=1이므로
1
aÛ`cÛ`+aÛ`dÛ`+bÛ`cÛ`+bÛ`dÛ`=1 yy`㉠ 3
2
∴ (ad-bc)Û`=aÛ`dÛ`+bÛ`cÛ`-2abcd 4 5

=(1-aÛ`cÛ`-bÛ`dÛ`)-2abcd`(∵ ㉠) 6

=1-(aÛ`cÛ`+2abcd+bÛ`dÛ`)
=1-(ac+bd)Û`
⑴ 선이 2개, 1개, 4개이고 반대 방향으로 2개, 1개이므로
=1-{;5#;}Û``
나타내는 곱셈식은
=;2!5^; 214_21 또는 21_214
⑵ 1은 천의 자리의 수, 2와 3은 백의 자리의 수, 4와 5는

x+y+z 십의 자리의 수, 6은 일의 자리의 수를 나타낸다.


=t로 치환하면
3 ⑶ 1에 교차점의 개수가 4개이므로 천의 자리의 숫자는 4
(x+y+z)Û` (x+y+z)Û` 2와 3에 교차점의 개수가 각각 2개, 2개이므로 백의 자
=3_
3 9
리의 숫자는 2+2=4
x+y+z Û
=3{ }``
3 4와 5에 교차점의 개수가 각각 1개, 8개이므로 십의 자
=3tÛ` 리의 숫자는 1+8=9
∴ (주어진 식) 6에 교차점의 개수가 4개이므로 일의 자리의 숫자는 4
=(x-t)Û`+(y-t)Û`+(z-t)Û`+3tÛ` 따라서 계산 과정은
=xÛ`+yÛ`+zÛ`-2(x+y+z)t+3tÛ`+3tÛ` (4_1000)+{(2+2)_100}+{(1+8)_10}+(4_1)
=xÛ`+yÛ`+zÛ`-6tÛ`+6tÛ``(∵ x+y+z=3t) =4000+400+90+4
=xÛ`+yÛ`+zÛ` =4494

1. 다항식의 곱셈 29
2 인수분해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57~60쪽

⑴ b(aÛ`-bc-dÛ`) ⑵ (a-1)(b-1) ⑶ (x-1)(x-2)(x+2) ⑴ (a+2b-1)(a-2b+1)

⑵ (x+y-z)(x-y-z) ⑴ (x+y+3)(x-y-1) ⑵ (ab+a+b-1)(ab-a-b-1) ⑤

⑴ (a-b)(a+b)(aÛ`+bÛ`)(aÝ`+bÝ`) ⑵ (x-2y)(x+2y)(xÛ`+4yÛ`) ⑶ (2a+3b)(4aÛ`-6ab+9bÛ`) ⑷ (a-2b)(aÛ`+2ab+4bÛ`)

㈎ 2(xy)Û` ㈏ (xy)Û` ㈐ xÛ`-xy+yÛ ⑴ (3x-8y)(9x-y) ⑵ (2x-y)(7x+13y)

⑶ ;3Á6;(2x-9)(2x+5) {;[!;-3}{;[!;-4} ⑴ (x-1)(x+1)(xÛ`+4)

⑵ (x-2)(x+1)(xÛ`+2x+4)(xÛ`-x+1) ⑶ (xÛ`+x-3)(xÛ`-x-3) ⑷ (xÛ`-2x+2)(xÛ`+2x+2)

⑴ (2a+b+4c)(2a+b+6c) ⑵ x(x+3)(xÛ`+3x+11) ⑶ (x-y-2)(x-y+1)

⑴ x(x+5)(xÛ`+5x+10) ⑵ (xy+x+1)(xy+y+1) ⑶ -3(a-x)(b-x)(a+b-2x)

㈎ (b-c)aÛ`-(bÛ`-cÛ`)a+bÛ`c-bcÛ` ㈏ (b-c)aÛ`-(b-c)(b+c)a+bc(b-c) ㈐ (b-c){aÛ`-(b+c)a+bc}

㈑ (b-c)(a-b)(a-c) ⑴ (x+2y+3)(x-y+2) ⑵ (a+b)(b+c)(c+a)

⑶ (x-y)(xÛ`+yÛ`+zÛ`+xy+yz+zx) ⑷ (a-c)(b-c)(ab+bc+ca)

⑸ (a+b+x+y)(a+b-x-y)(a+b+x-y)(a+b-x+y) -7

최상위 04
NOTE 인수분해 공식의 원리 확인하기

곱셈 공식의 변형으로부터 인수분해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 ⑵ aÜ`-bÜ`=(a-b)(aÛ`+ab+bÛ`)


⑴ aÜ`+bÜ`=(a+b)(aÛ`-ab+bÛ`) 곱셈 공식의 변형에 의해
곱셈 공식의 변형에 의해 aÜ`-bÜ`=(a-b)Ü`+3ab(a-b)
aÜ`+bÜ`=(a+b)Ü`-3ab(a+b) =(a-b){(a-b)Û`+3ab}
=(a+b){(a+b)Û`-3ab} =(a-b)(aÛ`-2ab+bÛ`+3ab)
=(a+b)(aÛ`+2ab+bÛ`-3ab) =(a-b)(aÛ`+ab+bÛ`)
=(a+b)(aÛ`-ab+bÛ`)

30 ⅠⅠ 식의 계산
문제 풀이

⑶ 8aÜ`+27bÜ`=(2a)Ü`+(3b)Ü`
⑴ 공통인수 b를 묶어내면
=(2a+3b)(4aÛ`-6ab+9bÛ`)
aÛ`b-bÛ`c-bdÛ`=b(aÛ`-bc-dÛ`)
⑷ aÜ`-8bÜ`=aÜ`-(2b)Ü`=(a-2b)(aÛ`+2ab+4bÛ`)
⑵ ab-a-b+1=(ab-a)+(-b+1)
=a(b-1)-(b-1)
xÝ`+xÛ`yÛ`+yÝ`=(xÝ`+yÝ`)+xÛ`yÛ`
=(a-1)(b-1)
={(xÛ`+yÛ`)Û`- 2(xy)Û` }+(xy)Û`
⑶ xÜ`-xÛ`-4x+4=(xÜ`-xÛ`)-4(x-1)
=(xÛ`+yÛ`)Û`- (xy)Û`
=xÛ`(x-1)-4(x-1)
=(xÛ`+xy+yÛ`)( xÛ`-xy+yÛ` )
=(x-1)(xÛ`-4)
=(x-1)(x-2)(x+2)
⑴ 27xÛ`-75xy+8yÛ`
3x -8y 1Ú -72xy
⑴ aÛ`-4bÛ`+4b-1=aÛ`-(4bÛ`-4b+1)
9x -y 1Ú -3xy >³+
=aÛ`-(2b-1)Û`
-75xy
=(a+2b-1)(a-2b+1)
∴ 27xÛ`-75xy+8yÛ`=(3x-8y)(9x-y)
⑵ xÛ`-yÛ`+zÛ`-2xz=(xÛ`-2xz+zÛ`)-yÛ`
⑵ 14xÛ`+19xy-13yÛ`
=(x-z)Û`-yÛ`
2x -y 1Ú -7xy
=(x+y-z)(x-y-z)
7x 13y 1Ú ``26xy >³+
`19xy
⑴ xÛ`-yÛ`+2x-4y-3
∴ 14xÛ`+19xy-13yÛ`=(2x-y)(7x+13y)
=(xÛ`+2x+1)-(yÛ`+4y+4)
=(x+1)Û`-(y+2)Û` ⑶ ;9!;xÛ`-;9@;x-;4%;=;3Á6;(4xÛ`-8x-45)
=(x+1+y+2)(x+1-y-2) 2x -9 1Ú -18x
=(x+y+3)(x-y-1) 2x 5 1Ú 10x >³+
⑵ (1-aÛ`)(1-bÛ`)-4ab -8x
=1-aÛ`-bÛ`+aÛ`bÛ`-4ab
`∴ ;9!;xÛ`-;9@;x-;4%;=;3Á6;(2x-9)(2x+5)
={(ab)Û`-2ab+1}-(aÛ`+2ab+bÛ`)
=(ab-1)Û`-(a+b)Û` ;9!;xÛ`-;9@;x-;4%; 는 식에 등호가 없다. 즉, 등식이 아니므로 식에 36
=(ab+a+b-1)(ab-a-b-1)
을 곱하면 안되고 ;9!;xÛ`-;9@;x-;4%;=;3Á6;(4xÛ`-8x-45)와 같이 변형해야

인수분해는 하나의 다항식을 두 개 이상의 인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한다.


것이므로 (1-aÛ`)(1-bÛ`)-4ab를
(1+a)(1-a)(1+b)(1-b)-4ab와 같이 잘못 인수분해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1
-;[&;+12={;[!;}Û`-7{;[!;}+12
xÛ`
={;[!;-3}{;[!;-4}
(주어진 식)=xÛ`(yÛ`+4y+4)-(yÛ`+4y+4)
=(xÛ`-1)(yÛ`+4y+4) 다른 풀이

=(x-1)(x+1)(y+2)Û` ;[!;=t로 치환하면


따라서 인수가 아닌 것은 ⑤ y+4이다.
(주어진 식)=tÛ`-7t+12=(t-3)(t-4)

={;[!;-3}{;[!;-4}
⑴ a¡`-b¡`=(aÝ`)Û`-(bÝ`)Û`
=(aÝ`-bÝ`)(aÝ`+bÝ`)
=(aÛ`-bÛ`)(aÛ`+bÛ`)(aÝ`+bÝ`) ⑴ xÛ`=t로 치환하면
`=(a-b)(a+b)(aÛ`+bÛ`)(aÝ`+bÝ`) xÝ`+3xÛ`-4=tÛ`+3t-4
⑵ xÝ`-16yÝ`=(xÛ`)Û`-(4yÛ`)Û` =(t+4)(t-1)
=(xÛ`-4yÛ`)(xÛ`+4yÛ`) =(xÛ`+4)(xÛ`-1)
=(x-2y)(x+2y)(xÛ`+4yÛ`) =(x-1)(x+1)(xÛ`+4)

2. 인수분해 31
⑵ xÜ`=t로 치환하면 =(xy+x+1)(xy+y+1)
xß`-7xÜ`-8=tÛ`-7t-8 ⑶ a-x=m, b-x=n으로 치환하면
=(t-8)(t+1) a+b-2x=m+n
=(xÜ`-8)(xÜ`+1) (주어진 식)=mÜ`+nÜ`-(m+n)Ü`
=(x-2)(xÛ`+2x+4)(x+1)(xÛ`-x+1) =-3mn(m+n)
=(x-2)(x+1)(xÛ`+2x+4)(xÛ`-x+1) =-3(a-x)(b-x)(a+b-2x)
⑶ xÝ`-7xÛ`+9=(xÝ`-6xÛ`+9)-xÛ`
=(xÛ`-3)Û`-xÛ` (주어진 식)
=(xÛ`-3+x)(xÛ`-3-x) =aÛ`b-abÛ`+bÛ`c-bcÛ`+cÛ`a-caÛ`
=(xÛ`+x-3)(xÛ`-x-3) =(b-c)aÛ`-(bÛ`-cÛ`)a+bÛ`c-bcÛ`:(가)
⑷ xÝ`+4=(xÝ`+4xÛ`+4)-4xÛ` =(b-c)aÛ`-(b-c)(b+c)a+bc(b-c):(나)
=(xÛ`+2)Û`-(2x)Û` =(b-c){aÛ`-(b+c)a+bc}:(다)
=(xÛ`-2x+2)(xÛ`+2x+2) =(b-c)(a-b)(a-c):(라)
=-(a-b)(b-c)(c-a)
⑴ 2a+b=t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tÛ`+10tc+24cÛ` ⑴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t+4c)(t+6c) (주어진 식)=xÛ`+(y+5)x-2yÛ`+y+6
=(2a+b+4c)(2a+b+6c) =xÛ`+(y+5)x-(2yÛ`-y-6)
⑵ xÛ`+3x=t로 치환하면 =xÛ`+(y+5)x-(2y+3)(y-2)
(주어진 식)=(t+4)(t+7)-28 =(x+2y+3)(x-y+2)
=tÛ`+11t ⑵ (주어진 식)
=t(t+11) =aÛ`b+caÛ`+abÛ`+bÛ`c+bcÛ`+cÛ`a+2abc
=(xÛ`+3x)(xÛ`+3x+11)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x+3)(xÛ`+3x+11) (주어진 식)=(b+c)aÛ`+(bÛ`+cÛ`+2bc)a+bÛ`c+bcÛ`
⑶ (주어진 식)=(x-y)Û`-(x-y)-2 =(b+c)aÛ`+(b+c)Û`a+bc(b+c)
이므로 x-y=t로 치환하면 =(b+c){aÛ`+(b+c)a+bc}
(주어진 식)=tÛ`-t-2 =(b+c)(a+b)(a+c)
=(t-2)(t+1) =(a+b)(b+c)(c+a)
=(x-y-2)(x-y+1) ⑶ 주어진 식을 z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주어진 식)=(x-y)zÛ`+(xÛ`-yÛ`)z+xÜ`-yÜ`
⑴ (주어진 식) =(x-y)zÛ`+(x-y)(x+y)z
={(x+1)(x+4)}{(x+2)(x+3)}-24 +(x-y)(xÛ`+xy+yÛ`)
=(xÛ`+5x+4)(xÛ`+5x+6)-24 =(x-y){zÛ`+(x+y)z+xÛ`+xy+yÛ`}
xÛ`+5x=t로 치환하면 =(x-y)(xÛ`+yÛ`+zÛ`+xy+yz+zx)
(주어진 식)=(t+4)(t+6)-24 ⑷ (주어진 식)=acÜ`+bcÜ`-aÛ`cÛ`-abcÛ`-bÛ`cÛ`+aÛ`bÛ`
=tÛ`+10t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t(t+10) (주어진 식)
=(xÛ`+5x)(xÛ`+5x+10) =(bÛ`-cÛ`)aÛ`+(cÜ`-bcÛ`)a+bcÜ`-bÛ`cÛ`
=x(x+5)(xÛ`+5x+10) =(b-c)(b+c)aÛ`-cÛ`(b-c)a-bcÛ`(b-c)
⑵ (주어진 식)=(xy+1)(xy+x+y+1)+xy =(b-c){(b+c)aÛ`-cÛ`a-bcÛ`}
=(xy+1){(xy+1)+x+y}+xy =(b-c)(aÛ`b+aÛ`c-cÛ`a-bcÛ`)
xy+1=t로 치환하면 =(b-c){(aÛ`-cÛ`)b+ac(a-c)}
(주어진 식)=t(t+x+y)+xy =(b-c)(a-c){(a+c)b+ac}
=tÛ`+(x+y)t+xy =(a-c)(b-c)(ab+bc+ca)
=(t+x)(t+y) ⑸ (a+b)Û`=A로 치환하면

32 ⅠⅠ 식의 계산
(주어진 식)=AÛ`-2(xÛ`+yÛ`)A+(xÛ`-yÛ`)Û`
주어진 식을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AÛ`-2(xÛ`+yÛ`)A+(x+y)Û`(x-y)Û`
(주어진 식)=xÛ`-2(2y+3)x+3yÛ`+2y-16
={A-(x+y)Û`}{A-(x-y)Û`}
=xÛ`-2(2y+3)x+(3y+8)(y-2)
={(a+b)Û`-(x+y)Û`}{(a+b)Û`-(x-y)Û`}
=(x-3y-8)(x-y+2)
=(a+b+x+y)(a+b-x-y)
따라서 A=-8, B=-1, C=2이므로
(a+b+x-y)(a+b-x+y)
A+B+C=-7

STEP
실력 높이기 61~64쪽

① ㄱ, ㄴ, ㄷ, ㄹ, ㅁ (x-y+1)Û` -7 xyÛ`+2xy-1 (x-3y+1)Û`

4 (x+y-1)(x+y+1) (x+y+z)(xy+yz+zx)

-(a-b)(b-c)(c-a) ⑴ -715 ⑵ 4950 46 ⑴ 2003 ⑵ :ª1°6°:

⑴ (xÛ`+5)(x+3)(x-3) ⑵ (xÛ`+3x+1)(xÛ`-3x+1) (xÛ`+2x-4)(xÛ`+x-4)

(x+y)(x-y)(y-z) (x-1)(xÛ`-x+1)(xÛ`+x+1)

문제 풀이

(x-y+1)Û`으로 인수분해된다.
각각을 인수분해하면
① (x-2)(x-3) ② (x+2)(x+1)
③ (2x+3)(x+2) ④ (2x-1)(x+2) 2xÛ`+cx+3=2bxÛ`+(ab-2)x-a
⑤ (3x+1)(x+2)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따라서 ②, ③, ④, ⑤는 x+2를 공통인수로 갖는다. 2b=2, ab-2=c, -a=3
∴ a=-3, b=1, c=-5
ㄱ. (x-2)(x+3) ㄴ. (x+2)(x-2) ∴ a+b+c=-3+1-5=-7
ㄷ. (x-2)(xÛ`+2x+4) ㄹ. (2x-1)(x-2)
ㅁ. (x-2)(x+2)(xÛ`+4) ㅂ. (x+2)(x-3) (주어진 식)=(xyÛ`-x)+(1-yÛ`)
따라서 ㅂ만 x-2를 인수로 갖지 않는다. =x(yÛ`-1)-(yÛ`-1)

xÛ`-x-6에 x=2를 대입하면 2Û`-2-6=-4+0이므로


=(x-1)(yÛ`-1)
xÛ`-x-6은 x-2를 인수로 갖지 않는다. =(x-1)(y-1)(y+1)
따라서 인수는 x-1, y-1, y+1

서술형 (x-1)(y-1)=xy-y-x+1

표현 단계 x, y에 대하여 모두 이차식이므로 x에 대하여 내 (x-1)(y+1)=xy-y+x-1

림차순으로 정리하면 (y-1)(y+1)=yÛ`-1

변형 단계 yÛ`-2y+xÛ`-2xy+2x+1 (x-1)(y-1)(y+1)=xyÛ`+1-x-yÛ`

=xÛ`-2(y-1)x+yÛ`-2y+1 ∴ (x-1)+(y-1)+(y+1)+(xy-y-x+1)

=xÛ`-2(y-1)x+(y-1)Û` +(xy-y+x-1)+(yÛ`-1)+(xyÛ`+1-x-yÛ`)

풀이 단계 ={x-(y-1)}Û` =xyÛ`+2xy-1

=(x-y+1)Û`
확인 단계 따라서 주어진 식은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2. 인수분해 33
(주어진 식)=xÛ`+2(1-3y)x+9yÛ`-6y+1 x+y+z=t라 하면
=xÛ`-2(3y-1)x+(3y-1)Û` (x+y)(y+z)(z+x)+xyz
=(t-x)(t-y)(t-z)+xyz
=(x-3y+1)Û` =tÜ`-(x+y+z)tÛ`+(xy+yz+zx)t-xyz+xyz
다른 풀이 =t{tÛ``-(x+y+z)t+(xy+yz+zx)}
=(x+y+z)(xy+yz+zx)
(주어진 식)=(xÛ`+2x+1)-6(x+1)y+9yÛ`
위와 같이 치환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x+1)Û`-6(x+1)y+9yÛ`
x+1=A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AÛ`-6Ay+9yÛ` 서술형

=(A-3y)Û` 표현 단계 [a, b, c]=aÛ`(b-c)


=(x-3y+1)Û` [b, c, a]=bÛ`(c-a)
[c, a, b]=cÛ`(a-b)
변형 단계 [a, b, c]+[b, c, a]+[c, a, b]
xÛ`-xy-2yÛ`+5x-y+6
=aÛ`(b-c)+bÛ`(c-a)+cÛ`(a-b)
=xÛ`+(5-y)x-2yÛ`-y+6
풀이 단계 =aÛ`b-aÛ`c+bÛ`c-abÛ`+acÛ`-bcÛ`
=xÛ`+(5-y)x-(2yÛ`+y-6)
=(b-c)aÛ`-(bÛ`-cÛ`)a+bÛ`c-bcÛ``
=xÛ`+(5-y)x-(2y-3)(y+2)
=(b-c)aÛ`-(b-c)(b+c)a+bc(b-c)
=(x-2y+3)(x+y+2)
=(b-c){aÛ`-(b+c)a+bc}
∴ a+b+c+d=-2+3+1+2=4
=(b-c)(a-b)(a-c)
=-(a-b)(b-c)(c-a)
서술형 확인 단계 따라서 주어진 식은 -(a-b)(b-c)(c-a)로 인
표현 단계 x+ay-1은 xÛ`+yÛ`+bxy-1의 인수이므로 수분해된다.
xÛ`+yÛ`+bxy-1=(x+ay-1)(x+cy+1)
로 나타낼 수 있다.
⑴ 356=t로 치환하면
변형 단계 xÛ`+yÛ`+bxy-1
(주어진 식)
=(x+ay-1)(x+cy+1)
=tÛ`+(t+2)t-(t+2)Û`-(t+1)(t-1)
=xÛ`+cxy+x+axy+acyÛ`+ay-x-cy-1
=tÛ`+tÛ`+2t-tÛ`-4t-4-tÛ`+1
=xÛ`+acyÛ`+(a+c)xy+(a-c)y-1
=-2t-3=-2_356-3
풀이 단계 yÛ`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1=ac
=-715
xy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b=a+c
⑵ (주어진 식)
y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0=a-c
=1Û`+(3Û`-2Û`)+(5Û`-4Û`)+y+(99Û`-98Û`)
확인 단계 b>0이므로 a=c=1, b=2
=1Û`+(3+2)(3-2)+(5+4)(5-4)+y
xÛ`+yÛ`+2xy-1
+(99+98)(99-98)
=xÛ`+2xy+yÛ`-1
=1+(3+2)+(5+4)+y+(99+98)
=(x+y)Û`-1
=1+2+3+4+5+y+99
=(x+y-1)(x+y+1)
99_100
=
2
=4950
(주어진 식)
=xÛ`y+xzÛ`+xÛ`z+yÛ`z+xyÛ`+yzÛ`+3xyz
=(y+z)xÛ`+(yÛ`+3yz+zÛ`)x+yz(y+z) aÛ`-bÛ`=(a+b)(a-b)이므로
y+z `yz Ú yz 3¡`-1=(3Ý`+1)(3Ý`-1)
``1 ` y+z Ú (y+z)Û` >³+` =(3Ý`+1)(3Û`+1)(3Û`-1)
yÛ`+3yz+zÛ` =(3Ý`+1)(3Û`+1)(3+1)(3-1)
={(y+z)x+yz}(x+y+z) 즉, 3¡`-1의 약수 중 10 이상 20 이하의 자연수는
=(x+y+z)(xy+yz+zx) 2_5=10
34 ⅠⅠ 식의 계산
2_2_2_2=16
(주어진 식)
2_2_5=20
={(x-1)(x+4)}{(x-2)(x+2)}+2xÛ`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의 합은
=(xÛ`+3x-4)(xÛ`-4)+2xÛ`
10+16+20=46
xÛ`-4=t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t+3x)t+2xÛ`
⑴ 2002=t로 치환하면
=tÛ`+3xt+2xÛ`
tÜ`+1
(주어진 식)= =(t+2x)(t+x)
(t-1)t+1
(t+1)(tÛ`-t+1) =(xÛ`+2x-4)(xÛ`+x-4)
=
tÛ`-t+1
=t+1
=2003
254_256+1 z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⑵ (주어진 식)=¾¨
256
(주어진 식)=(yÛ`-xÛ`)z+xÛ`y-yÜ`
(255-1)(255+1)+1
=¾¨ =(y+x)(y-x)z+y(xÛ`-yÛ`)
256
255Û`-1+1 =(y+x)(y-x)z+y(x+y)(x-y)
=¾¨
256 =-(x+y)(x-y)z+y(x+y)(x-y)
255Û` =(x+y)(x-y)(y-z)
=¾¨
256

=:ª1°6°:

⑴ (주어진 식)=(xÛ`+5)(xÛ`-9) (주어진 식)=xÝ`(x-1)+xÛ`(x-1)+(x-1)


=(xÛ`+5)(x+3)(x-3) =(x-1)(xÝ`+xÛ`+1)
⑵ (주어진 식)=(xÝ`+2xÛ`+1)-9xÛ` =(x-1){(xÝ`+2xÛ`+1)-xÛ`}
=(xÛ`+1)Û`-(3x)Û` =(x-1){(xÛ`+1)Û`-xÛ`}
=(xÛ`+3x+1)(xÛ`-3x+1) =(x-1)(xÛ`-x+1)(xÛ`+x+1)

2. 인수분해 35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65~67쪽

(xÛ`+x+a+1)(xÛ`-x-a+1) b=c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빗변의 길이가 a인 직각삼각형

(ac-d)(ab+c+d) a=b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삼각형 64

571 (xÛ`-4x+1)(xÛ`-x+1) 1, 3 p<0 풀이 참조

10`m ⑴ 1`m ⑵ 1`m

문제 풀이

따라서 2Þ`+1=33과 2Þ`-1=31에 의해 나누어 떨어진다.


주어진 식을 a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 33+31=64
(주어진 식)=-aÛ`-2xa+(xÝ`+xÛ`+1)
=-aÛ`-2xa+(xÛ`+x+1)(xÛ`-x+1)
24=t로 치환하면
=(a+xÛ`+x+1)(-a+xÛ`-x+1)
(주어진 식)="Ã(t-3)(t-1)(t+1)(t+3)+16
=(xÛ`+x+a+1)(xÛ`-x-a+1)
="Ã{(t-1)(t+1)}{(t-3)(t+3)}+16
="Ã(tÛ`-1)(tÛ`-9)+16
주어진 식을 정리하면
="ÃtÝ`-10tÛ`+25
aÛ`cÛ`+bÛ`cÛ`-cÝ`=bÛ`cÛ`+aÛ`bÛ`-bÝ`
="Ã(tÛ`-5)Û`="Ã(24Û`-5)Û`
bÝ`-cÝ`+aÛ`cÛ`-aÛ`bÛ`=0
="Ã571Û`
(bÛ`+cÛ`)(bÛ`-cÛ`)-aÛ`(bÛ`-cÛ`)=0
=571
(bÛ`-cÛ`)(bÛ`+cÛ`-aÛ`)=0
(b-c)(b+c)(bÛ`+cÛ`-aÛ`)=0 (a-b)(a+b)=aÛ`-bÛ` 를 이용하기 위해 24=t로 치환한다.

∴ b=c 또는` aÛ`=bÛ`+cÛ`


따라서 b=c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빗변의 길이가 a인 직각 상반식의 인수분해는 가운데 항 xÛ`으로 묶어낸다.
삼각형이다.
xÝ`-5xÜ`+6xÛ`-5x+1

1
b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xÛ`{xÛ`-5x+6-;[%;+ }
xÛ`
(주어진 식)=(aÛ`c-ad)b+(acÛ`+acd-cd-dÛ`) 1
=xÛ`[xÛ`+ -5{x+;[!;}+6]
xÛ`
=a(ac-d)b+{ac(c+d)-d(c+d)}
=a(ac-d)b+(c+d)(ac-d) =xÛ`[{x+;[!;}Û`-5{x+;[!;}+4]

=(ac-d)(ab+c+d)
=xÛ`[{x+;[!;}-4][{x+;[!;}-1]

주어진 식을 정리하면 =x{x+;[!;-4}x{x+;[!;-1}


(a-b)cÝ`-2(a-b)(aÛ`+ab+bÛ`)cÛ` =(xÛ`-4x+1)(xÛ`-x+1)
+(a-b)(a+b)Û`(aÛ`+bÛ`)=0
(a-b){cÝ`-2(aÛ`+ab+bÛ`)cÛ`+(aÛ`+bÛ`)(a+b)Û`}=0 nÝ`+nÛ`+1=(nÝ`+2nÛ`+1)-nÛ`
(a-b)(cÛ`-aÛ`-bÛ`){cÛ`-(a+b)Û`}=0 =(nÛ`+1)Û`-nÛ`
(a-b)(cÛ`-aÛ`-bÛ`)(c+a+b)(c-a-b)=0 =(nÛ`+n+1)(nÛ`-n+1)
a+b+c+0, c-a-b+0(∵ c<a+b)이므로 따라서 nÝ`+nÛ`+1이 소수가 되려면
a=b 또는 cÛ`=aÛ`+bÛ` nÛ`+n+1=1 또는` nÛ`-n+1=1
따라서 a=b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빗변의 길이가 c인 직각 Ú nÛ`+n+1=1일 때
삼각형이다. n(n+1)=0 ∴ n=0 또는 n=-1
Û nÛ`-n+1=1일 때
40 20 20
2 -1=(2 +1)(2 -1) n(n-1)=0 ∴ n=0 또는 n=1
20 10 10
=(2 +1)(2 +1)(2 -1) Ú, Û에 의해 n=1 (∵ n은 자연수)
20 10
=(2 +1)(2 +1)(2Þ`+1)(2Þ`-1) ∴ p=1+1+1=3

36 ⅠⅠ 식의 계산
p=aÝ`-2(bÛ`+cÛ`)aÛ`+(bÝ`-2bÛ`cÛ`+cÝ`) 세로의 길이를 x`m라 하면 가로의 길이는
=aÝ`-2(bÛ`+cÛ`)aÛ`+(bÛ`-cÛ`)Û` (x+10)`m이고 넓이가 200`mÛ`이므로
=aÝ`-2(bÛ`+cÛ`)aÛ`+(b+c)Û`(b-c)Û` x(x+10)=200에서 xÛ`+10x-200=0
={aÛ`-(b+c)Û`}{aÛ`-(b-c)Û`} 이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10)(x+20)=0
=(a+b+c)(a-b-c)(a+b-c)(a-b+c) ∴ x=-20 또는 x=10
한편, a>0, b>0, c>0이므로 a+b+c>0 이때 x는 양수이므로 x=10이고 구하는 세로의 길이는
또, 삼각형의 어느 두 변의 길이의 합도 다른 한 변의 길이 10`m이다.
보다 크므로 a<b+c, b<a+c, c<a+b
∴ a-b-c<0, a+c-b>0, a+b-c>0 ⑴ 가로의 길이를 x`m라 하면 세로의 길이는
∴ p<0 (5-x)`m이고 넓이가 6`mÛ`이므로
x(5-x)=6에서 xÛ`-5x+6=0
이 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x-2)(x-3)=0
∴ x=2 또는 x=3
따라서 가로와 세로의 길이의 차는 3-2=1(m)이다.
어떤 동물원에 갔더니 맹수 우리는 총 8개였고, 각각 ⑵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x`m, y`m라 하면 주어진 조
암수 한 쌍이 있었다. 건에서 x+y=5, xy=6이므로
따라서 이 동물원에는 총 2_8=16(마리)의 맹수가 있다 |x-y|="Ã(x+y)Û`-4xy="Ã5`Û -4_6=1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로와 세로의 길이의 차는 1`m이다.

2. 인수분해 37
ⅠⅠ 단원 종합 문제 68~70쪽

11xÛ`+2x-7 a=3, b=4, c=6 ③ -:Á3Á: 0 ①

-6 0 -1 18 -3 8

-256pÛ`qÛ` -;5(; ⑤ ㄱ, ㄷ 2x+2y-1 -10

5 (x+y+z)Û` 9-4'5 {aÛ`+;:ª:;-1}Û` (x+1)(m-x-1)(m-x+1)


aÛ`

(x-2)(3x+4)

문제 풀이

A=(2x+1)(3x-4) x, y에 1을 대입하여 전개식에서 상수항을 포함한 계


=6xÛ`+(-8+3)x-4 수의 총합을 구하면 (2+a+5)(1+2+3)=6a+42이고,
=6xÛ`-5x-4 상수항은 5_3=15이므로
B=(x+1)(x-1) (6a+42)-15=5, 6a=-22
=xÛ`-1 ∴ a=-:Á3Á:
C=(3x-1)Û`-(3x+1)Û`
=(9xÛ`-6x+1)-(9xÛ`+6x+1)
=-12x 3a+2b=1에서 2b=1-3a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 (주어진 식) 9aÛ`-(2b)Û`+3a+3_2b-2
=3A-2B-(2C-B-C+A) =9aÛ`-(1-3a)Û`+3a+3(1-3a)-2
=3A-2B-A+B-C =9aÛ`-1+6a-9aÛ`+3a+3-9a-2
=2A-B-C =0
=2(6xÛ`-5x-4)-(xÛ`-1)-(-12x)
xÛ`-yÛ`=(x+y)(x-y)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도 있다.
=12xÛ`-10x-8-xÛ`+1+12x 9aÛ`-4bÛ`=(3a)Û`-(2b)Û`
=11xÛ`+2x-7 =(3a+2b)(3a-2b)
=3a-2b (∵ 3a+2b=1)
이므로
9aÛ`-4bÛ`+3a+6b-2=3a-2b+3a+6b-2
(ax-5)(2x+b)=2axÛ`+(ab-10)x-5b =6a+4b-2
=2(3a+2b)-2
=cxÛ`+2x-20
=2_1-2=0
이므로
2a=c, ab-10=2, -5b=-20
-5b=-20에서 b=4 364=t라 하면
ab-10=2에서 366=t+2, 728=2t, 363=t-1, 365=t+1이므로
4a-10=2 ∴ a=3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2a=c에서 6=c (주어진 식)=t(t+2)-2t-(t-1)(t+1)
∴ a=3, b=4, c=6 =tÛ`+2t-2t-tÛ`+1
=1

1002_998=(1000+2)(1000-2)
=1000Û`-2Û` x=2-'3, 즉 x-2=-'3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
=1000000-4 하면
=999996 xÛ`-4x=-1
따라서 곱셈 공식 (a+b)(a-b)=aÛ`-bÛ`을 이용하는 것이 ∴ xÛ`-4x-5=-1-5
가장 좋다. =-6
38 ⅠⅠ 식의 계산
A
(1+x+xÛ`+xÜ`+xÝ`)Ü`을 전개할 때, xÜ` 항의 계수는 이므로 -4pq=
4
( ) 안의 xÝ` 항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A=-16pq
즉, (1+x+xÛ`+xÜ`+xÝ`)Ü`의 xÜ` 항의 계수와 ∴ =-AÛ`
(1+x+xÛ`+xÜ`)Ü`의 xÜ` 항의 계수는 서로 같다. =-(-16pq)Û`
따라서 a=b이므로 a-b=0 =-256pÛ`qÛ`

(a+b)Û`=aÛ`+2ab+bÛ`이므로
(a+b)Û`-(aÛ`+bÛ`)
ab=
2 ;4!;xÛ`-;3!;xy+;9!;yÛ`=0의 양변에 36을 곱하면
9-5
= =2 9xÛ`-12xy+4yÛ`=0
2
(주어진 식)=-{(ab)Û`-2ab+1} (3x-2y)Û`=0
=-(ab-1)Û` ∴ 3x=2y
=-(2-1)Û` 즉, y=;2#;x이므로
=-1
3x+;2#;x
3x+y
=
2x-3y
x+0이므로 xÛ`-4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2x-3_;2#;x

x-4+;[!;=0 ∴ x+;[!;=4 ;2(;x


= =-;5(;
1 -;2%;x
∴ (주어진 식)={xÛ`+ }+{x+;[!;}
xÛ`
=[{x+;[!;}Û`-2]+{x+;[!;}

=(16-2)+4
=18 aÝ`-bÝ`=(aÛ`-bÛ`)(aÛ`+bÛ`)
=(a-b)(a+b)(aÛ`+bÛ`)

(x-2y)Û`=(x+2y)Û`-8xy 이므로 aÝ`-bÝ`의 인수가 아닌 것은 ⑤ (a+b)Û`이다.

=49-8_5
=9
이때 x<2y, 즉 x-2y<0이므로
ㄱ. ;9$;xÛ`-;3@;xy+;4!;yÛ`
x-2y=-3
={;3@;x}Û`-2_;3@;x_;2!;y+{;2!;y}Û`
xy+yz+zx=3에서
={;3@;x-;2!;y}Û`
xy+yz=3-zx,
ㄴ. xÛ`+9yÛ`-1-6xy=(xÛ`-6xy+9yÛ`)-1
yz+zx=3-xy,
=(x-3y)Û`-1Û`
zx+xy=3-yz
=(x-3y-1)(x-3y+1)`
∴ (xy+yz)(yz+zx)(zx+xy)
ㄷ. (a+2b)Û`-(3a-b)Û`
=(3-zx)(3-xy)(3-yz)
={(a+2b)-(3a-b)}{(a+2b)+(3a-b)}
=27-9(xy+yz+zx)+3xyz(x+y+z)-(xyz)Û`
=(-2a+3b)(4a+b)
=27-9_3+3_1_3-1
=-(2a-3b)(4a+b)
=8
ㄹ. x-3=t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2tÛ`+5t-3
;6Á4;-4pq- ={;8!;+A}Û`
=(t+3)(2t-1)
=;6Á4;+2_;8!;_A+AÛ` ={(x-3)+3}{2(x-3)-1}
=x(2x-7)
A
=;6Á4;+ +AÛ`
4 따라서 인수분해가 바르게 된 것은 ㄱ, ㄷ이다.
단원 종합 문제 39
2-a-aÛ` aÛ`+12a+27 6-a-aÛ`
xÛ`+2xy+yÛ`-x-y-2=(x+y)Û`-(x+y)-2 Ö _
-aÛ`+10a-9 81-aÛ` (a+2)Û`
x+y=t로 치환하면
-(aÛ`+a-2) -(aÛ`-81) -(aÛ`+a-6)
= _ _
(주어진 식)=tÛ`-t-2 -(aÛ`-10a+9) aÛ`+12a+27 (a+2)Û`
=(t-2)(t+1) (a+2)(a-1) (a-9)(a+9) (a-2)(a+3)
= _ _
=(x+y-2)(x+y+1) (a-1)(a-9) (a+3)(a+9) (a+2)Û`

따라서 두 일차식의 합은 a-2 '5-2 ('5-2)Û`


= = = =9-4'5
a+2 '5+2 ('5+2)('5-2)
(x+y-2)+(x+y+1)=2x+2y-1

4 4
aÝ`-2aÛ`+5- +
aÛ` aÝ`
두 이차식 xÛ`-mx+n, 2xÛ`+3x-m은 x-2를 공통 4 2
={aÝ`+ }-2{aÛ`+ }+5
aÝ` aÛ`
인수로 갖으므로
2 Û 2
x=2를 2xÛ`+3x-m에 대입하면 =[{aÛ`+ }`-4]-2{aÛ`+ }+5
aÛ` aÛ`
8+6-m=0 2 Û 2
={aÛ`+ }`-2{aÛ`+ }+1
∴ m=14 aÛ` aÛ`
m=14, x=2를 xÛ`-mx+n에 대입하면 2
이므로 aÛ`+ =A로 치환하면
aÛ`
4-28+n=0
2
∴ n=24 (주어진 식)=AÛ`-2A+1=(A-1)Û`={aÛ`+ -1}Û`
aÛ`
∴ m-n=14-24=-10

다항식 f(x)가 x-a를 인수로 가지면 f(a)=0이다. xÜ`-(2m-1)xÛ`-(1+2m-mÛ`)x-1+mÛ`


다항식 f(x)가 x-a를 인수로 가지면 적당한 다항식 Q(x)가 존재하여 =xÜ`-2mxÛ`+xÛ`-x-2mx+mÛ`x-1+mÛ`
f(x)=(x-a)Q(x)가 성립한다.
∴ f(a)=0
=(x+1)mÛ`-2(xÛ`+x)m+(xÜ`+xÛ`-x-1)
=(x+1)mÛ`-2x(x+1)m+{xÛ`(x+1)-(x+1)}
=(x+1)mÛ`-2x(x+1)m+(x+1)Û`(x-1)
=(x+1){mÛ`-2xm+(x+1)(x-1)}
xÛ`+6x+k=xÛ`+(a+b)x+ab =(x+1)(m-x-1)(m-x+1)
이므로 a+b=6인 자연수 (a, b)는
(1, 5), (2, 4), (3, 3), (4, 2), (5, 1) 처음 이차식을 3xÛ`+ax+b라 하면
이때 k=ab이므로 k=5, 8, 9 A는 x의 계수를 잘못 보았으므로 xÛ`의 계수와 상수항은 바
따라서 k의 최솟값은 5이다. 르게 보았다.
즉, (x+2)(3x-4)=3xÛ`+2x-8에서 b=-8
B는 상수항을 잘못 보았으므로 xÛ`의 계수와 x의 계수는 바
약속에 따라 식을 변형하면 르게 보았다.
(주어진 식)=(xÛ`+2yz)+(yÛ`+2zx)+(zÛ`+2xy) 즉, (x-1)(3x+1)=3xÛ`-2x-1에서 a=-2
=xÛ`+yÛ`+zÛ`+2(xy+yz+zx) 따라서 처음 이차식은 3xÛ`-2x-8이므로 인수분해하면
=(x+y+z)Û` 3xÛ`-2x-8=(x-2)(3x+4)

40 ⅠⅠ 식의 계산
ⅠⅠⅠ 1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73~77쪽

② x=2 a=3, b=1 1 ⑴ x=Ñ'2 ⑵ 근이 없다.

⑶ x=0 또는 x=2'2 ⑷ x=-;3@; 또는 x=3 ⑸ x=-;3!; 또는 x=1 ⑹ x=-'2 또는 x='2+1

-3Ñ'3
a=1 또는 b=1 a=-2, 다른 한 근:3 -5, -1, 1, 5 ;3$;, x=
3

'3Ñ'7
x= ④ ② 13 5, 1-'6 -;4#;
2

1Ñ'1Œ7
x= ⑴ 2개 ⑵ 0개 ⑶ 1개 10 9 -8
4

⑴ m<1 ⑵ m>1

최상위 05
NOTE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

이차방정식의 좌변이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되면 다음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AB=0 HjjK A=0 또는 B=0
그러나 이차방정식 xÛ`-5x+1=0과 같이 좌변이 쉽게 인수분해되지 않으면 좌변을 완전제곱식으로 변형하여 해를 구할 수 있다.
이를 공식화한 것이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이다.
완전제곱식을 이용하여 xÛ`-5x+1=0의 해를 구하는 과정과 근의 공식을 유도하는 과정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완전제곱식을 이용한 풀이] [근의 공식을 이용한 풀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5x+1=0에서 x에 대한 이차방정식 axÛ`+bx+c=0(a+0)에서
xÛ`-5x=-1
xÛ`+;aB;x=-;aC;
xÛ`-5x+{-;2%;}Û`=-1+{-;2%;}Û`
xÛ`+;aB;x+{;2õa;}Û`=-;aC;+{;2õa;}Û`
{x-;2%;}Û`=:ª4Á: bÛ`-4ac
{x+;2õa;}Û`=
4aÛ`
'2Œ1
x-;2%;=Ñ "ÃbÛ`-4ac
2 x+;2õa;=Ñ
2a
5Ñ'2Œ1
∴ x= -bÑ"ÃbÛ`-4ac
2 ∴ x= yy`㉠
2a
특히 일차항의 계수가 짝수인 이차방정식 axÛ`+2b'x+c=0의 근은 b 대신 2b'을 위의 공식 ㉠에 대입하면 된다. 즉
-2b'Ñ"Ã(2b')Û`-4ac -2b'Ñ2"Ãb'Û`-ac -b'Ñ"Ãb'Û`-ac
x= = =
2a 2a a

1. 이차방정식 41
문제 풀이

ㄱ. 2xÛ`-2xÛ`+2x=0, 2x=0`:`일차방정식 ab-a-b+1=0에서


ㄴ. xÛ`-2x-1=0`:`이차방정식 a(b-1)-(b-1)=0
ㄷ. xÜ`-xÛ`-1=0`:`삼차방정식 (a-1)(b-1)=0
ㄹ. xÛ`+1=2xÛ`-4x, xÛ`-4x-1=0`:`이차방정식 ∴ a=1 또는 b=1
ㅁ. 3xÜ`-3xÛ`+x-3xÛ`=0, 3xÜ`-6xÛ`+x=0`:`삼차방정식
따라서 이차방정식은 ㄴ, ㄹ의 2개이다.
xÛ`+ax-3=0에 x=-1을 대입하면
1-a-3=0 ∴ a=-2

xÛ`-2x-3=-3x+3에서 xÛ`+x-6=0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xÛ`-2x-3=0이므로

xÛ`+x-6=0의 x에 -1, 0, 1, 2를 차례로 대입하면 2만 (x-3)(x+1)=0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하므로 해는 x=2이다. ∴ x=3 또는 x=-1


따라서 다른 한 근은 3이다.

x=-1을 방정식에 대입하면


xÛ`+ax-6=0을 X자형 분리법으로 인수분해하면 가
2-a+b=0, a-b=2 yy`㉠
능한 경우는
x=-;2!; 을 방정식에 대입하면 (x-1)(x+6)=0, (x+1)(x-6)=0,
(x-2)(x+3)=0, (x+2)(x-3)=0
;2!;-;2!;a+b=0, a-2b=1 yy`㉡
의 4가지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1
∴ a=Ñ5 또는 a=Ñ1

x=2는 두 방정식을 동시에 만족하는 근이므로 x=2 3xÛ`+6x+2=0의 양변을 3으로 나누면
를 두 방정식에 각각 대입하면
xÛ`+2x+;3@;=0
8+2m-6=0에서 m=-1
상수항을 우변으로 이항하면
4-6-n=0에서 n=-2
∴ m-n=-1-(-2)=1 xÛ`+2x=-;3@;

양변에 1을 더하면

xÛ`+2x+1=;3!; ∴ (x+1)Û`=;3!;
⑴ 주어진 식을 정리하면
2xÛ`=4, xÛ`=2 따라서 A=1, B=;3!;이므로 A+B=;3$;이고,
∴ x=Ñ'2
x+1=Ñ®;3!;이므로
⑵ xÛ`=-4 ∴ 근이 없다.
⑶ 2x(x-2'2)=0 '3 -3Ñ'3
x=-1Ñ =
3 3
∴ x=0 또는` x=2'2
⑷ 3xÛ`-7x-6=0, (3x+2)(x-3)=0

∴ x=-;3@; 또는` x=3 근의 공식에 의해

⑸ 양변에 6을 곱하면 -(-'3)Ñ"Ã(-'3)Û`-4_1_(-1)


x=
2_1
3xÛ`-2x-1=0, (3x+1)(x-1)=0
'3Ñ'7
∴ x=
∴ x=-;3!; 또는 x=1 2

⑹ 양변에 '2+1을 곱하면


xÛ`-x-'2('2+1)=0 -(-1)Ñ"Ã(-1)Û`-2_(-1) 1Ñ'3
x= =
2 2
(x+'2)(x-'2-1)=0 이므로 A=1, B=3
∴ x=-'2 또는 x='2+1 ∴ A+B=4
42 ⅠⅠⅠ 이차방정식
x-y=X라 하면 주어진 이차방정식을 정리하면
X(X-5)-3=0이므로 xÛ`+2x+k-9=0
5Ñ'3Œ7 중근을 가지려면
XÛ`-5X-3=0에서 X=
2
D=2Û`-4_1_(k-9)=0, 4-4k+36=0
그런데 x>y에서 x-y>0이므로 X>0
4k=40 ∴ k=10
5+'3Œ7
∴ x-y= 다른 풀이
2
D
=1Û`-(k-9)=0
4
1-k+9=0 ∴ k=10
1Ñ'Ä1+3a 1Ñ'b
x= = 이므로
a 3 이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a=3, 1+3a=b ∴ a=3, b=10 일차항의 계수가 짝수인 이차방정식 axÛ`+2b'x+c=0의 판별식을 구하면
D=(2b')Û`-4ac=4(b'Û`-ac)
∴ a+b=13
이므로 b'Û`-ac의 부호로도 근을 판별할 수 있다.
D
이 식을 로 나타내고, 일차항의 계수가 짝수인 경우에는 주로
4
D
주어진 방정식에 x=1+'6을 대입하면 4
=b'Û`-ac

(1+'6)Û`-2(1+'6)-a=0 의 부호를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의 근을 판별한다.

7+2'6-2-2'6-a=0
5-a=0 ∴ a=5
xÛ`-2x-5=0에서 근의 공식을 이용하면 x=1Ñ'6 주어진 방정식의 근이 중근 x=3이므로

따라서 다른 한 근은 1-'6 3(x-3)Û`=0, 즉 3xÛ`-18x+27=0


따라서 3xÛ`+ax+b=0과 계수를 비교하면
a=-18, b=27
p, q를 각각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 a+b=-18+27=9

2pÛ`-2p-1=0 ∴ pÛ`-p=;2!;

2qÛ`-2q-1=0 ∴ qÛ`-q=;2!; xÛ`-(k+2)x+4=0이 중근을 가지므로


D={-(k+2)}Û`-4_1_4=0
∴ (주어진 식)={;2!;-1}{;2!;+1}=-;4#;
kÛ`+4k-12=0, (k+6)(k-2)=0
∴ k=-6 또는 k=2
따라서 -6, 2가 xÛ`+ax+b=0의 두 근이므로 x에 -6, 2
주어진 기호에 따라 식을 변형하면
를 각각 대입하면
{(x+1)-(2x-1)}△{(3x+1)-(x-1)}=0
36-6a+b=0 ∴ -6a+b=-36 yy`㉠
(-x+2)△(2x+2)=0
4+2a+b=0 ∴ 2a+b=-4 yy`㉡
(-x+2)(2x+2)-(-x+2)-(2x+2)+2=0
㉠, ㉡을 연립하여 풀면
-2xÛ`+2x+4+x-2-2x-2+2=0
a=4, b=-12
2xÛ`-x-2=0
∴ a+b=4-12=-8
1Ñ'1Œ7
∴ x=
4

⑴ D=(-2)Û`-4_1_m>0이므로
⑴ D=(-3)Û`-4_'2_(-4)=9+16'2>0 4-4m>0 ∴ m<1
∴ 서로 다른 두 개의 실근, 즉 2개 ⑵ D=(-2)Û`-4_1_m<0이므로
⑵ D=(-3)Û`-4_1_4=-7<0 4-4m<0 ∴ m>1
∴ 근이 없다. 즉, 0개 다른 풀이

⑶ 양변을 9로 나누면 xÛ`-4x+4=0 D


⑴ =(-1)Û`-m>0 ∴ m<1
4
D=(-4)Û`-4_1_4=0
D
⑵ =(-1)Û`-m<0 ∴ m>1
∴ 중근, 즉 1개 4

1. 이차방정식 43
STEP
실력 높이기 78~82쪽

5Ñ'3Œ3 2+3'2
11+8'2 ⑤ x= x='2 또는 x='2-1
4 2

10 -;9*; x=2Ñ'7 또는 x=1 또는 x=3 x=-2 또는 x=2

x=-2 또는 x=6 x=-3, x=1 -3, 0, 3 2kÛ`+4 :£2£:

a=-4, b=-2 서로 다른 2개 a=-4, b=5 a=c인 이등변삼각형 -1

문제 풀이

2+'2
주어진 방정식에 x=1+'2를 대입하면 ='2+
2
3(1+'2)Û`+2(1+'2)-a=0 2+3'2
=
3(3+2'2)+2+2'2-a=0 2
9+6'2+2+2'2-a=0
11+8'2-a=0 ∴ a=11+8'2
주어진 식의 양변에 '2-1을 곱하면
xÛ`+(1-2'2)x+'2('2-1)=0
① (x-2)Û`=0 ∴ x=2 (중근)
(x-'2)(x-'2+1)=0
② (x-2)(x+6)=0 ∴ x=2 또는 x=-6
∴ x='2 또는 x='2-1
③ (x+6)(x-5)=0 ∴ x=-6 또는 x=5
인수분해, 완전제곱식, 근의 공식을 바로 적용하여 풀기에는 주어진
④ (2x+1)(x-1)=0 ∴ x=-;2!; 또는 x=1 방정식의 꼴이 복잡하다. 이와 같이 xÛ`의 계수가 무리수인 이차방정식은
양변에 적당한 무리수를 곱하여 xÛ`의 계수를 유리화하여 풀면 계산이 좀
⑤ 근의 공식을 이용하면 x=2Ñ'3
더 간단해진다.
따라서 ⑤는 유리수인 해를 갖지 않는다.

서술형 a+0이므로 aÛ`-3a+1=0의 양변을 a로 나누면


표현 단계 2xÛ`-5x-1=0의 양변을 2로 나누면
a-3+;Œ!;=0 ∴ a+;Œ!;=3
xÛ`-;2%;x-;2!;=0
1
∴ (주어진 식)={aÛ`+ }+{a+;Œ!;}
aÛ`
변형 단계 -;2!; 을 우변으로 이항하면
={a+;Œ!;}Û`-2+{a+;Œ!;}
xÛ`-;2%;x=;2!;
=3Û`-2+3=10
풀이 단계 완전제곱식을 만들기 위해 양변에 x의 계수의 ;2!;의

제곱인 [{-;2%;}_;2!;]Û`=;1@6%; 를 각각 더하면 서술형

표현 단계 3xÛ`-6x-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xÛ`-;2%;x+;1@6%;=;2!;+;1@6%;
a, b를 각각 대입하면
'3Œ3
{x-;4%;}Û`=;1#6#;, x-;4%;=Ñ 3aÛ`-6a-2=0
4
5Ñ'3Œ3 3bÛ`-6b-2=0
∴ x=
4
변형 단계 즉 aÛ`-2a=;3@;, bÛ`-2b=;3@;이므로

xÛ`-2'2x+2=0에서 aÛ`-2a-1=;3@;-1=-;3!;
(x-'2)Û`=0 ∴ x='2`(중근)
bÛ`-2b+2=;3@;+2=;3*;
즉 a='2이고, 1<'2<2이므로
n=1, m='2-1 풀이 단계 ∴ (aÛ`-2a-1)(bÛ`-2b+2)={-;3!;}_;3*;
1 1
∴ a+ ='2+ =-;9*;
n-m 2-'2

44 ⅠⅠⅠ 이차방정식
xÛ`-3x-b=0에서
|xÛ`-4x|=3 HjK xÛ`-4x=3 또는 xÛ`-4x=-3
xÛ`-3x+2=0이므로
Ú xÛ`-4x=3, 즉 xÛ`-4x-3=0일 때
(x-1)(x-2)=0
x=2Ñ'7
∴ x=1 또는 x=2
Û xÛ`-4x=-3, 즉 xÛ`-4x+3=0일 때
확인 단계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의 나머지 근은 각각
(x-1)(x-3)=0
x=-3, x=1이다.
∴ x=1 또는 x=3
Ú, Û에서 x=2Ñ'7 또는 x=1 또는 x=3

서술형
서술형
표현 단계 정수해를 가지려면 상수항에서 16이 1_16,
표현 단계 xÛ`=|x|Û`이므로
2_8, 4_4로 인수분해되어야 한다.
2|x|Û`-3|x|-2=0
변형 단계 즉 주어진 이차방정식 xÛ`+2ax-16=0을 다음과
변형 단계 2|x|Û`-3|x|-2=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같이 변형하면
풀이 단계 (2|x|+1)(|x|-2)=0
(x-1)(x+16)=0에서
∴ |x|=-;2!; 또는 |x|=2
2a=15 ∴ a=:Á2°:
확인 단계 그런데 |x|¾0이므로 |x|+-;2!; (x+1)(x-16)=0에서
따라서 |x|=2에서 x=Ñ2 2a=-15 ∴ a=-:Á2°:

(x-2)(x+8)=0에서
f(x)가 이차식이므로 f(x)=axÛ`+bx+c(a+0)로
2a=6 ∴ a=3
놓으면
(x+2)(x-8)=0에서
㈎에서 f(0)=1이므로 c=1
2a=-6 ∴ a=-3
㈏에서
(x-4)(x+4)=0에서
f(x+2)-f(x)
2a=0 ∴ a=0
=a(x+2)Û`+b(x+2)+c-(axÛ`+bx+c)
확인 단계 따라서 정수 a의 값은 -3, 0, 3이다.
=axÛ`+4ax+4a+bx+2b+c-axÛ`-bx-c
=4ax+4a+2b
4ax+4a+2b=4x-2이므로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x에 a, b를 각각 대입하면
4a=4 ∴ a=1 aÛ`-ka-1=0, bÛ`-kb-1=0
4a+2b=-2, 4+2b=-2 ∴ b=-3 a+0, b+0이므로 양변을 각각 a, b로 나누면
따라서 f(x)=xÛ`-3x+1이므로
a-;Œ!;=k, b-;º!;=k
xÛ`-3x+1=x+13, xÛ`-4x-12=0
(x+2)(x-6)=0 또한, a<0, b>0이므로

∴ x=-2 또는 x=6 a+;Œ!;=-¾¨{a-;Œ!;}Û`+4=-"ÃkÛ`+4

서술형
b+;º!;=¾¨{b-;º!;}Û`+4="Ãk`Û +4

표현 단계 x=2는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이므로 1 1


aÛ`+a+;Œ!;+ ={aÛ`+ }+a+;Œ!;
aÛ` aÛ`
x=2를 두 방정식에 각각 대입한다.
풀이 단계 x=2를 xÛ`-ax-6=0에 대입하면 ={a-;Œ!;}Û`+2+a+;Œ!;

4-2a-6=0 ∴ a=-1 =kÛ`+2-"Ãk`Û +4


x=2를 xÛ`-3x-b=0에 대입하면 1 1
bÛ`+b+;º!;+ ={bÛ`+ }+b+;º!;
bÛ` bÛ`
4-6-b=0 ∴ b=-2
xÛ`-ax-6=0에서 ={b-;º!;}Û`+2+b+;º!;

xÛ`+x-6=0이므로 =kÛ`+2+"Ãk`Û +4
(x+3)(x-2)=0 ∴ (주어진 식)=kÛ`+2-"Ãk`Û +4+kÛ`+2+"ÃkÛ`+4
∴ x=-3 또는 x=2 =2kÛ`+4
1. 이차방정식 45
다른 풀이
xÛ`-2ax+bÛ`+1=0이 실근을 가지므로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a, b이므로 D
=(-a)Û`-1_(bÛ`+1)=aÛ`-bÛ`-1¾0
(x-a)(x-b)=xÛ`-(a+b)x+ab=0 4
즉 xÛ`-(a+b)x+ab=xÛ`-kx-1이고 ∴ aÛ`¾bÛ`+1 yy`㉠

a+b=k, ab=-1이다. 또한 xÛ`+4ax+2b=0에서

따라서 곱셈 공식의 변형에 의해 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D'


=(2a)Û`-1_2b=4aÛ`-2b
4
1 1
(주어진 식)=(aÛ`+bÛ`)+(a+b)+{;Œ!;+;º!;}+{ + } ㉠에 의해
aÛ` bÛ`
=(a+b)Û`-2ab+(a+b)+
a+b 4aÛ`-2b¾4(bÛ`+1)-2b=4{b-;4!;}Û`+:Á4°:>0
ab
(a+b)Û`-2ab 이므로 서로 다른 2개의 실근을 갖는다.
+
(ab)Û`
k kÛ`+2
=kÛ`+2+k+ +
-1 1
xÛ`+ax+b-1=0이 중근 x=2를 가지므로
=2kÛ`+4
(x-2)Û`=0, 즉 xÛ`-4x+4=0
따라서 a=-4, b-1=4이므로
x=-;2#;을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a=-4, b=5

4_{-;2(;}Û`=bÛ`, bÛ`=81

∴ b=9 (∵ b>0)
서술형
따라서 4(x-3)Û`=81이므로
표현 단계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므로
(x-3)Û`=:¥4Á:, x-3=Ñ;2(; D
={-(a+b)}Û`-(bÛ`+2ab+cÛ`)=0에서
4
∴ x=:Á2°: 또는 x=-;2#; 풀이 단계 aÛ`+2ab+bÛ`-bÛ`-2ab-cÛ`=0

∴ a=:Á2°: aÛ`-cÛ`=0, (a+c)(a-c)=0


그런데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므로
∴ a+b=:Á2°:+9=:£2£: a+c+0
∴ a-c=0
서술형 확인 단계 따라서 a=c이므로 세 변의 길이가 a, b, c인 삼각
표현 단계 2xÛ`+ax+b=0에 x=1-'2를 대입하면 형은 a=c인 이등변삼각형이다.
변형 단계 2(1-'2)Û`+a(1-'2)+b=0
2(3-2'2)+a-a'2+b=0
(a+b+6)-(a+4)'2=0에서 a, b가 유리수이 D=(2k-1)Û`-4kÛ`¾0에서
므로 -4k+1¾0 ∴ kÉ;4!;
a+b+6=0, a+4=0
이때 이차방정식이므로 k+0
풀이 단계 a=-4이므로 a+b+6=0에 대입하면
-4+b+6=0 ∴ b=-2 ∴ k<0 또는 0<kÉ;4!;

확인 단계 ∴ a=-4, b=-2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46 ⅠⅠⅠ 이차방정식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83~85쪽

-1Éx<0 또는 2Éx<3 x=-2 또는 x='2 161 x=1, y=3

-5Ñ'7
정삼각형 (2, 1), (4, 4), (6, 9) x= 또는 x=1 또는 x=-6 ;3$; 또는 :Á3¢:
2

x=1, y=-2 a=0, b+0 또는 a+0, bÛ`-4ac가 0 또는 제곱수 (2x-3)(3x-4)

문제 풀이

주어진 방정식은 ([x]+1)([x]-2)=0 x+y=m, x-y=n이라 하면


∴ [x]=-1 또는 [x]=2 mÛ`-2m-8=0, (m+2)(m-4)=0
Ú [x]=-1일 때, -1Éx<0 ∴ m=4 (∵ m>0)
Û [x]=2일 때, 2Éx<3 nÛ`+4n+4=0, (n+2)Û`=0
Ú, Û에 의해 ∴ n=-2
-1Éx<0 또는 2Éx<3 따라서 x+y=4, x-y=-2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실수 x에 대하여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를 [x]로 나타내고,
이를 가우스 기호라 한다. 만일 x가 정수 n이면 n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x=1, y=3
정수는 n이므로 [x]=n이다. 또 x가 정수가 아니면 [x]는 수직선 위에
서 x를 나타내는 점을 기준으로 왼쪽 첫 번째 정수이므로 x가 두 정수 n
과 n+1 사이의 실수이면 [x]=n이다. 따라서 정수 n에 대하여 다음이 xÛ`-(a+b)x+ab+xÛ`-(b+c)x+bc
성립한다. +xÛ`-(c+a)x+ca=0
nÉx<n+1 HjK [x]=n
3xÛ`-2(a+b+c)x+ab+bc+ca=0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므로

"ÅxÛ`=|x|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D


=(a+b+c)Û`-3(ab+bc+ca)=0
4
xÛ`+|x|=|x-1|+3 aÛ`+bÛ`+cÛ`-ab-bc-ca=0
Ú x<0일 때 양변에 2를 곱하면
xÛ`-x=-x+1+3 2aÛ`+2bÛ`+2cÛ`-2ab-2bc-2ca=0
xÛ`=4 ∴ x=-2 (∵ x<0) (a-b)Û`+(b-c)Û`+(c-a)Û`=0
Û 0Éx<1일 때 a-b=b-c=c-a=0
xÛ`+x=-x+1+3 ∴ a=b=c
xÛ`+2x-4=0, x=-1Ñ'5 따라서 세 변의 길이가 같은 정삼각형이다.
∴ 근이 없다. (∵ 0Éx<1)
Ü x¾1일 때 x=a-'b 를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xÛ`+x=x-1+3 (a-'b)Û`-a(a-'b)+b=0
xÛ`=2 ∴ x='2 (∵ x¾1) aÛ`-2a'b+b-aÛ`+a'b+b=0, a'b=2b
Ú, Û, Ü에 의해 x=-2 또는 x='2 ∴ a=2'b
그런데 a가 자연수이면 b는 제곱수이므로

a+0이므로 aÛ`-5a+1=0의 양변을 a로 나누면 b=1일 때, a=2


b=4일 때, a=4
a+;Œ!;=5
b=9일 때, a=6
∴ (주어진 식)
∴ (a, b)=(2, 1), (4, 4), (6, 9)
1 1
={aÜ`+ }+2{aÛ`+ }+{a+;Œ!;}
aÜ` aÛ`
2(xÛ`+5x)Û`-3(xÛ`+5x)-54=0이므로 주어진 방정
={a+;Œ!;}Ü`-3{a+;Œ!;}+2[{a+;Œ!;}Û`-2]+{a+;Œ!;}
식을 xÛ`+5x=t로 치환하면
={a+;Œ!;}Ü`+2{a+;Œ!;}Û`-2{a+;Œ!;}-4 2tÛ`-3t-54=0, (2t+9)(t-6)=0

=125+50-10-4=161 ∴ t=-;2(; 또는 t=6

1. 이차방정식 47
Ú t=-;2(;일 때, xÛ`+5x=-;2(; y는 실수이므로 (y+2)Û`<0일 수 없다.

-5Ñ'7 즉 y+2=0 ∴ y=-2


2xÛ`+10x+9=0 ∴ x=
2 이것을 ㉠에 대입하면
Û t=6일 때, xÛ`+5x=6 5xÛ`-10x+5=0, xÛ`-2x+1=0
xÛ`+5x-6=0, (x-1)(x+6)=0 (x-1)Û`=0 ∴ x=1
∴ x=1 또는 x=-6
Ú, Û에 의해 Ú a=0일 때, 주어진 방정식은 bx+c=0
-5Ñ'7
x= 또는 x=1 또는 x=-6 b+0이면 x=-;bC;`(유리수)
2
c+0이면 근이 없다.
b=0일 때, [
c=0이면 근이 무수히 많다. (항등식)
aÛ`-6ab+8bÛ`=0에서 -bÑ"ÃbÛ`-4ac
Û a+0일 때 x= 가 유리수가 되려면
2a
(a-2b)(a-4b)=0 ∴ a=2b 또는 a=4b
bÛ`-4ac가 0 또는 제곱수이어야 한다.
Ú a=2b일 때
Ú, Û에 의해 a=0, b+0 또는 a+0, bÛ`-4ac가 0 또는
4_4bÛ`-8bÛ` 8bÛ`
(주어진 식)= = =;3$; 제곱수이어야 한다.
3_2b_b 6bÛ`
Û a=4b일 때
4_16bÛ`-8bÛ` 56bÛ`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 6xÛ`-17x+12=0
(주어진 식)= = =:Á3¢:
3_4b_b 12bÛ` 의 두 근을 구하면
Ú, Û에 의해 구하는 값은 ;3$; 또는 :Á3¢:이다. -(-17)Ñ"Ã(-17)Û`-4_6_12
x=
2_6
17Ñ'1
=
12
x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면 ∴ x=;2#; 또는 x=;3$;
5xÛ`+2(2y-1)x+2yÛ`+4y+5=0 yy`㉠
㉠에서 x가 실수이므로 즉 6xÛ`-17x+12=a{x-;2#;}{x-;3$;}이고

D
=(2y-1)Û`-5(2yÛ`+4y+5)¾0 xÛ`의 계수가 6이므로 a=6
4
따라서 6xÛ`-17x+12는
-6yÛ`-24y-24¾0
yÛ`+4y+4É0, (y+2)Û`É0 6{x-;2#;}{x-;3$;}=(2x-3)(3x-4)로 인수분해된다.

48 ⅠⅠⅠ 이차방정식
2 이차방정식의 활용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87~92쪽

-45 ⑴ -;3$; ⑵ 22 ⑶ :Á;9);¼: ⑷ -103 68 -12 '5Œ7

⑴ xÛ`-6x+1=0 ⑵ xÛ`-x-2=0 ⑶ xÛ`+6x+1=0 -;2%; -3 a=Ñ'3, b=1

xÛ`-23x+126=0 -1Éa<0 -;8!;Éa<0 a>0 -2 a=1 또는 a=3

⑴ x=Ñ3 ⑵ x=1Ñ'6 또는 x=1Ñ'2 7 6

x=4, y=16 또는 x=16, y=4 (10, 1), (18, 15), (50, 49) (3+'5)`cm 28`cmÛ`

20분 (8-4'2)`cm

최상위 06
NOTE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면 두 근을 직접 구하지 않아도 두 근의 합, 곱, 차를 구할 수 있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를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방법 1]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을 [방법 2]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을 a, b라 하고


-b+"ÃbÛ`-4ac -b-"ÃbÛ`-4ac axÛ`+bx+c=a(x-a)(x-b)이고, a+0이므로 양변을
a= , b= 라 하면
2a 2a a로 나누면
-b+"ÃbÛ`-4ac -b-"ÃbÛ`-4ac
a+b= + =-;aB; xÛ`+;aB;x+;aC;=(x-a)(x-b)
2a 2a
-b+"ÃbÛ`-4ac -b-"ÃbÛ`-4ac
ab= _ ∴ xÛ`+;aB;x+;aC;=xÛ`-(a+b)x+ab
2a 2a
bÛ`-(bÛ`-4ac)
= =;aC;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a+b=-;aB;, ab=;aC;
4aÛ`
-b+"ÃbÛ`-4ac -b-"ÃbÛ`-4ac |a-b|="Ã(a-b)Û`="Ã(a+b)Û`-4ab
|a-b|=| - |
2a 2a "ÃbÛ`-4ac
=¾¨{-;aB;}Û`-4_;aC;=
"ÃbÛ`-4ac |a|
= (단, a, a, b는 실수)
|a| (단, a, a, b는 실수)

2. 이차방정식의 활용 49
문제 풀이

xÛ`-3x-6=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a+b=3, ab=-6 ;2!;+;3!;=-m, ;2!;_;3!;=n
이므로 3xÛ`+ax+b=0의 두 근은 x=3 또는 x=-6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m=-;6%;, n=;6!;

3+(-6)=-;3A;, 3_(-6)=;3B; m
따라서 xÛ`+3nx+2=0은
5
∴ a=9, b=-54
-;6!;xÛ`+;2!;x+2=0에서
∴ a+b=-45
xÛ`-3x-12=0 yy`㉠
㉠의 두 근을 a, b라 하면
a+b=3, ab=-12이므로 두 근의 차는
xÛ`-4x-3=0의 두 근이 a, b이므로
|a-b|="Ã(a+b)Û`-4ab
a+b=4, ab=-3
='Ä9+48='5Œ7
a+b
⑴ ;Œ!;+;º!;= =-;3$;
ab
⑵ aÛ`+bÛ`=(a+b)Û`-2ab=4Û`+6=22 a+b=2, ab=-1이므로


b a
+ =
aÜ`+bÜ` ⑴ xÛ`-(aÛ`+bÛ`)x+aÛ`bÛ`=0에서
aÛ` bÛ` aÛ`bÛ`
aÛ`+bÛ`=(a+b)Û`-2ab
(a+b)Ü`-3ab(a+b)
= =2Û`-2_(-1)=6
(ab)Û`
aÛ`bÛ`=(ab)Û`=1
4Ü`-3_(-3)_4
= =:Á;9);¼:
(-3)Û` ∴ xÛ`-6x+1=0
⑷ (a-3b+1)(b-3a+1) ⑵ xÛ`-(a+b+ab)x+(a+b)ab=0에서
=ab-3aÛ`+a-3bÛ`+9ab-3b+b-3a+1 a+b+ab=2-1=1
=-3(aÛ`+bÛ`)-2(a+b)+10ab+1 (a+b)ab=2_(-1)=-2
=-3_22-2_4+10_(-3)+1 ∴ xÛ`-x-2=0
=-103 ⑶ xÛ`-{;Œ©;+;ºÄ;}x+;Œ©;_;ºÄ;=0에서

aÛ`+bÛ` 6
;Œ©;+;ºÄ;= = =-6
ab -1
a+b=6, ab=-8이므로
;Œ©;_;ºÄ;=1
(a-b)Û`=(a+b)Û`-4ab
∴ xÛ`+6x+1=0
=6Û`-4_(-8)
=36+32=68
2xÛ`+3x-3=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a+b=-;2#;, ab=-;2#;

두 근을 a, b라 하면 a+b=1, ab=;2K;이므로 따라서 xÛ`+ax+b=0의 두 근이 a+1, b+1이므로


a+b+2=-a에서
|a-b|="Ã(a+b)Û`-4ab=5에서
'Ä1-2k=5, 1-2k=25 -;2#;+2=-a ∴ a=-;2!;

∴ k=-12 (a+1)(b+1)=b에서
다른 풀이 b=ab+a+b+1
두 근의 차가 5이므로 두 근을 a, a+5라 하면
=-;2#;-;2#;+1=-2
(두 근의 합)=a+(a+5)=1에서
2a=-4 ∴ a=-2 ∴ a+b=-;2!;-2=-;2%;

(두 근의 곱)=a(a+5)=;2K;에서
계수가 유리수인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1+'2이면 다
;2K;=-6 ∴ k=-12
른 한 근은 1-'2이므로

50 ⅠⅠⅠ 이차방정식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a=(1+'2)+(1-'2)=2 a+b=3에서 a=1, b=2 또는 a=2, b=1이므로
b=(1+'2)(1-'2)=-1 ab=a+4=2 ∴ a=-2
따라서 a=-2, b=-1이므로 a+b=-3

이차방정식 axÛ`+bx+c=0에서 a, b, c가 유리수이면 두 근의 곱은 -3<0이므로 두 근은 절댓값은 같고


-b -b
x= +;2Áa;"ÃbÛ`-4ac 또는 x= -;2Áa;"ÃbÛ`-4ac 부호가 서로 다르다.
2a 2a
유리수 유리수 따라서 (두 근의 합)=0이므로
따라서 한 근이 p+q'¶m(p, q는 유리수, '¶m은 무리수)이면 다른 한 근
(두 근의 합)=(a-1)(a-3)=0에서
은 p-q'¶m이다.
a=1 또는 a=3

a+b=-a, ab=b이고 aÛ`+bÛ`=1, aÛ`bÛ`=1이므로 ⑴ 2|x|Û`-|x|-15=0이므로


aÛ`+bÛ`=(a+b)Û`-2ab (2|x|+5)(|x|-3)=0
=aÛ`-2b=1 yy`㉠ |x|=3 (∵ |x|¾0)
(ab)Û`=bÛ`=1 ∴ b=Ñ1 ∴ x=Ñ3
Ú b=1일 때, ㉠에서 aÛ`=3 ⑵ xÛ`-2x-3=2 또는 xÛ`-2x-3=-2
∴ a=Ñ'3 Ú xÛ`-2x-3=2에서
Û b=-1일 때, ㉠에서 aÛ`=-1 (부적합) xÛ`-2x-5=0 ∴ x=1Ñ'6
따라서 Ú, Û에 의해 a=Ñ'3, b=1 Û xÛ`-2x-3=-2에서
xÛ`-2x-1=0 ∴ x=1Ñ'2

p+q=9에서 p, q가 모두 소수이므로 Ú, Û에 의해 x=1Ñ'6 또는 x=1Ñ'2

p=2, q=7 또는 p=7, q=2


∴ pq=14 두 근을 a, a+5로 놓으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따라서 9, 14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은 a+(a+5)=7 ∴ a=1
xÛ`-(9+14)x+9_14=0 a(a+5)=k-1, k-1=6
∴ xÛ`-23x+126=0 ∴ k=7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두 근을 2a, 3a로 놓으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Ú D=4+4a¾0 ∴ a¾-1 2a+3a=5 ∴ a=1

Û a+b=2>0 2a_3a=2_3=m ∴ m=6

Ü ab=-a>0 ∴ a<0
Ú, Û, Ü에 의해 -1Éa<0 xy-3x-3y=4에서
x(y-3)-3(y-3)-9=4
(x-3)(y-3)=13이므로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x-3=1, y-3=13 또는 x-3=13, y-3=1
Ú D=1+8a¾0 ∴ a¾-;8!;
∴ x=4, y=16 또는 x=16, y=4
Û a+b=-;2!;<0
"ÃmÛ`-99=n의 양변을 제곱하면
Ü ab=-;2A;>0 ∴ a<0
mÛ`-99=nÛ`, mÛ`-nÛ`=99
Ú, Û, Ü에 의해 -;8!;Éa<0 ∴ (m+n)(m-n)=99
그런데 m+n>0이고, m+n>m-n이므로
(m+n, m-n)=(99, 1), (33, 3), (11, 9)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Ú m+n=99, m-n=1일 때,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b=-;2A;<0 ∴ a>0 (m, n)=(50, 49)

2. 이차방정식의 활용 51
Û m+n=33, m-n=3일 때,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m, n)=(18, 15) (x+2)Û`-xÛ`=64-36=28(cmÛ`)
Ü m+n=11, m-n=9일 때,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m, n)=(10, 1) 원의 둘레의 길이를 l`m라 하면 한 바퀴를 돌 때에는
따라서 순서쌍 (m, n)은 (10, 1), (18, 15), (50, 49) t=14일 때이므로
l=14Û`+14=210`(m)
따라서 두 바퀴째까지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x분으로 놓
처음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cm로 놓으면 각
으면 xÛ`+x=420이므로
변의 길이를 2`cm씩 늘린 정사각형의 넓이는 (x+2)Û``cmÛ`
xÛ`+x-420=0, (x-20)(x+21)=0
이고, 각 변의 길이를 2`cm씩 줄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 x=20 (∵ x>0)
(x-2)Û``cmÛ`이다.
따라서 걸리는 시간은 20분이다.
(x+2)Û`=5(x-2)Û`이므로
xÛ`+4x+4=5xÛ`-20x+20
큰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cm라 하면 작은 정
4xÛ`-24x+16=0, xÛ`-6x+4=0
12-3x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4-x(cm)이다.
∴ x=3+'5`(∵ x>2) 3
따라서 처음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3+'5)`cm이다.
(4-x)`cm (4-x)`cm x`cm x`cm

(4-x)`cm x`cm
가장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
의 길이를 x`cm로 놓으면 중간 크 두 정삼각형은 항상 닮은 도형이므로 길이의 비의 제곱은
1`cm 1`cm 1`cm 1`cm
기의 정사각형의 넓이는 넓이의 비이다.
(x+2)Û``cmÛ`이고, 가장 큰 정사각 x`cm 따라서 (4-x)Û``:`xÛ`=1`:`2에서
형의 넓이는 (x+4)Û``cmÛ`이다. (x+2)`cm 2xÛ`-16x+32=xÛ`, xÛ`-16x+32=0
(x+4)Û`=(x+2)Û`+xÛ`이므로 (x+4)`cm ∴ x=8Ñ4'2
xÛ`-4x-12=0, (x-6)(x+2)=0 이때 4-x>0, 4-x<x이므로 2<x<4
∴ x=6 (∵ x>0) 따라서 큰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8-4'2)`cm이다.

STEP
실력 높이기 93~98쪽

5Ñ'1Œ7
14 1, 0 p=-25, q=156 ② 24 x=
2

6 a=0, b=-;2!; a=c xÛ`-4'3x+8=0 m=1 또는 m=:ª9°:

-7Ñ'7Œ3
x= 6, 7 2 0<a<;2#; xÛ`+43x+42=0 xÛ`+:ª5ª:x+;5!;=0
2

-1Ñ'1Œ3
x=2 또는 x=-1 x= ;4(; 4 -2+2'5 960`m
2

문제 풀이

aÛ`+bÛ`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a, b를 대입하면 ∴ (주어진 식)=;Œ©;+;ºÄ;=
ab
aÛ`-4a+1=0 ∴ aÛ`-3a+1=a
(a+b)Û`-2ab 4Û`-2_1
= = =14
bÛ`-4b+1=0 ∴ bÛ`-3b+1=b ab 1
또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a+b=4, ab=1

52 ⅠⅠⅠ 이차방정식
은정이가 구한 두 근이 2+'2, 2-'2이므로 은정이
이차방정식 f(x)=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가 푼 이차방정식은
f(a)=0, f(b)=0이고
xÛ`-{(2+'2)+(2-'2)}x+(2+'2)(2-'2)=0
a+b=4, ab=3
∴ xÛ`-4x+2=0
또한 이차방정식 f(2x+1)=0에서 2x+1=a 또는
현정이가 구한 두 근이 6, -1이므로 현정이가 푼 이차방
2x+1=b를 만족하는 x가 f(2x+1)=0의 근이다.
정식은
a-1
2x+1=a에서 x= xÛ`-(6-1)x+6_(-1)=0
2
b-1 ∴ xÛ`-5x-6=0
2x+1=b에서 x=
2 이때 은정이는 상수항 2를, 현정이는 일차항의 계수 -5를
a-1 b-1
따라서 이차방정식 f(2x+1)=0의 두 근은 , 옳게 보았으므로
2 2
이므로 a=-5, b=2

Ú 두 근의 합은 따라서 원래의 이차방정식은 xÛ`-5x+2=0이므로

a-1 b-1 a+b-2 5Ñ'1Œ7


+ = x=
2 2 2 2
4-2
= =1 이차항의 계수가 a인 이차방정식에서
2
① 일차항의 계수를 잘못 보고 풀었을 때 두 근이 a, b이면
Û 두 근의 곱은 ⇨ a{xÛ`-(a+b)x+ab}=0
a-1 b-1 ab-(a+b)+1 ② 상수항을 잘못 보고 풀었을 때 두 근이 p, q이면
_ =
2 2 4 ⇨ a{xÛ`-(p+q)x+pq}=0
3-4+1 따라서 ①, ②에 의해 처음 이차방정식은 ⇨ a{xÛ`-(p+q)x+ab}=0
= =0
4

두 근을 a, a+1(a>0)이라 하면 두 근이 a, b이고 a+b=2, ab=-1이므로 xÛ`의 계


(a+1)Û`-aÛ`=25에서 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2a+1=25 ∴ a=12 xÛ`-2x-1=0
즉 두 근은 12, 13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근이 a이므로 대입하면
12+13=-p, 12_13=q aÛ`-2a-1=0
∴ p=-25, q=156 a+0이므로 양변을 a로 나누면

a-;Œ!;=2
axÛ`+bx+c=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1
∴ aÛ`+ ={a-;Œ!;}Û`+2=6
a>0, b>0에서 a+b=-;aB;>0, ab=;aC;>0 aÛ`

∴ ab<0, ac>0
즉 a, b는 서로 다른 부호이고 a, c는 서로 같은 부호이므 서술형

로 b, c는 서로 다른 부호이다. 표현 단계 xÛ`+ax+b=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이차방정식


따라서 bxÛ`+cx+a=0의 두 근을 c, d라 하면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a+b=-a, ab=b이고

c+d=-;bC;>0, cd=;bA;<0 구하는 이차방정식의 두 근은 a+;º!;, b+;Œ!;이므로

이므로 cd<0에서 두 근의 부호는 서로 다르고, 변형 단계 두 근의 합은


c+d>0에서 양의 근이 음의 근보다 절댓값이 크다. a+b
{a+;º!;}+{b+;Œ!;}=a+b+
ab
ab+a
연속된 두 홀수를 2a-1, 2a+1로 놓으면 =-a-;bA;=-
b
(2a-1)(2a+1)=143이므로 두 근의 곱은
4aÛ`-1=143, aÛ`=36 1
{a+;º!;}{b+;Œ!;}=ab+ +2=b+;b!;+2
ab
∴ a=6`(∵ a>0)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따라서 두 홀수는 11, 13이므로 합은
a+ab
11+13=24 xÛ`+ x+{b+;b!;+2}=0
b
2. 이차방정식의 활용 53
풀이 단계 이 이차방정식이 xÛ`+ax+b=0과 같으므로 (3m-5)Û` 4
풀이 단계 ㉠, ㉡에서 =
mÛ` m
a+ab
a= 에서 ab=a+ab ∴ a=0 (3m-5)Û`=4m, 9mÛ`-34m+25=0
b
(m-1)(9m-25)=0
b=b+;b!;+2에서 ;b!;=-2 ∴ b=-;2!;
∴ m=1 또는 m=:ª9°:
확인 단계 ∴ a=0, b=-;2!;

axÛ`+bx+c=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계수가 유리수인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3+'2이면 다


른 한 근은 3-'2이므로
a+b=-;aB;, ab=;aC; …… ㉠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또 axÛ`+bx+c=0의 두 근이 ;Œ!;, ;º!;이므로 -a=(3+'2)+(3-'2)=6
b=(3+'2)(3-'2)=7
;Œ!;+;º!;=-;aB;, ;ŒÁº;=;aC; …… ㉡
따라서 a=-6, b=7이므로 이차방정식
㉠, ㉡에서
-7Ñ'7Œ3
a+b xÛ`+7x-6=0의 근은 x=
;Œ!;+;º!;= =-;cB;=-;aB; 2
ab
∴ a=c`(∵ b+0) …… ㉢
또 ㉠, ㉡에서 서술형

표현 단계 xÛ`+ax+b=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ŒÁº;=;cA;=;aC;이므로
4.5Éa<5.5, 2.5Éb<3.5
aÛ`=cÛ`, (a-c)(a+c)=0 7Éa+b<9
변형 단계 즉[ yy`㉠
∴ a=c 또는 a=-c …… ㉣ 11.25Éab<19.25
따라서 ㉢, ㉣에서 a=c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a+b=-a, ab=b이므로 ㉠에서
a+b=4, ab=-8이므로 7É-a<9 -9<aÉ-7
[ jK [
(|a|+|b|)Û`=aÛ`+bÛ`+2|ab| 11.25Éb<19.25 11.25Éb<19.25
이때 a, b가 정수이므로 a=-8, -7
=(a+b)Û`-2ab+2|ab|
b=12, 13, 14, 15, 16, 17, 18, 19 yy`㉡
=16+16+16=48
풀이 단계 그런데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 |a|+|b|=4'3 (∵ |a|+|b|>0)
가지므로 판별식 D=aÛ`-4b>0
|a|_|b|=|ab|=8
aÛ`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즉 b< yy`㉢
4
xÛ`-4'3x+8=0 ㉡에서 ㉢을 만족하는 a와 b의 값을 순서쌍
(a, b)로 나타내면
서술형
(-7, 12), (-8, 12), (-8, 13), (-8, 14),
24 (-8, 15)이고, 이 중에서 xÛ`+ax+b=0에 대입
표현 단계 m>0이므로 두 근의 곱은 - <0이 된다.
m
하여 구한 두 실근을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서로 부호가 다른 두
하였을 때, 각각 5, 3이 되는 순서쌍은 (-8, 14),
근을 갖는다.
(-8, 15)이다.
변형 단계 두 근의 절댓값의 비가 3`:`2이므로 한 근을 3a라
확인 단계 따라서 a+b의 값을 모두 구하면 6, 7이다.
하면 다른 한 근은 -2a가 된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3m-5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두 근의 합)=3a+(-2a)=-
m
한 근만 0이므로 a+b+0, ab=0
3m-5
∴ a=- yy`㉠
m Ú a+b=2k+0 ∴ k+0
24 Û ab=kÛ`-2k=k(k-2)=0
(두 근의 곱)=3a_(-2a)=-
m
∴ k=0 또는 k=2
24 4
-6aÛ`=- ∴ aÛ`= yy`㉡
m m 따라서 Ú, Û에 의해 k=2

54 ⅠⅠⅠ 이차방정식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Ú x¾2일 때,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a+b<0, ab<0이다. xÛ`-(x-2)=1, xÛ`-x+1=0
a+b=-a<0에서 a>0 이때 D=(-1)Û`-4_1_1=-3<0이므로 근이 없다.

ab=2a-3<0에서 a<;2#; Û x<2일 때,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xÛ`+(x-2)=1, xÛ`+x-3=0
∴ 0<a<;2#; -1Ñ'1Œ3
∴ x=
2
-1Ñ'1Œ3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따라서 Ú, Û에 의해 x=
2
;2#;+2=-;2P;, ;2#;_2=;2Q;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방정식은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
∴ p=-7, q=6 는 x의 값에 주목해야 한다.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0이 되는 x의 값
을 경계로 x의 값의 범위를 나누어 절댓값 기호를 없앤 후 해를 구한다.
따라서 p+q=-1, pq=-42를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 이때 구한 해가 각 범위에 적합한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가 1인 이차방정식은
xÛ`-(-1-42)x+(-1)_(-42)=0
잘라낸 직각이등변삼각 9`cm
∴ xÛ`+43x+42=0
x`cm
형의 빗변의 길이가
(9-2x)`cm
(9-2x)`cm이므로 직각을 9`cm
a+b=3, ab=-5이므로
b+1 a+1 aÛ`+bÛ`+a+b 낀 두 변의 길이는 x`cm
+ = x`cm
a b ab 9-2x
`cm이다.
(a+b)Û`-2ab+(a+b) '2
=
ab 따라서 잘라낸 부분의 넓이 S는
9+10+3 9-2x Û
= =-:ª5ª: S=[;2!;_{ }`]_4=(9-2x)Û`
-5
'2
b+1 a+1 ab+a+b+1
_ = 잘라낸 부분의 넓이는 처음 정사각형의 넓이의
a b ab
-5+3+1 1-;4#;=;4!;이므로
= =;5!;
-5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9-2x)Û`=81_;4!;, 4xÛ`-36x+81=:¥4Á:

xÛ`-{-:ª5ª:}x+;5!;=0 ∴ xÛ`+:ª5ª:x+;5!;=0 16xÛ`-144x+243=0, (4x-9)(4x-27)=0

∴ x=;4(; {∵ 0<x<;2(;}
이차방정식 axÛ`+bx+c=0 yy`㉠
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길의 넓이)=15x+x(15-x)=-xÛ`+30x
a+b=-;aB;, ab=;aC; 이므로
(꽃밭의 넓이)=15Û`-(-xÛ`+30x)
그런데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이 -;aB;, ;aC;이
=xÛ`-30x+225
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따라서 xÛ`-30x+225=121에서
(두 근의 합)=-;aB;+;aC;=;aB; yy`㉡ xÛ`-30x+104=0, (x-4)(x-26)=0
∴ x=4 (∵ 0<x<15)
(두 근의 곱)={-;aB;}_;aC;=;aC; yy`㉢

㉢에서 ac+0이므로 -;aB;=1에서 b=-a


오른쪽 그림에서 `cm ( -x)`cm
x`cm
㉡에서 c=2b=-2a =(4-x)`cm,
b=-a, c=-2a를 ㉠에 대입하면 =x`cm이므로 x`cm

axÛ`-ax-2a=0 `:` = `:`


x`cm
a+0이므로 x`:`(4-x)=4`:`x
xÛ`-x-2=0, (x-2)(x+1)=0 xÛ`=4(4-x), xÛ`+4x-16=0
∴ x=2 또는 x=-1 ∴ x=-2+2'5 (∵ 0<x<4)

2. 이차방정식의 활용 55
x-200 2x-120
서술형 즉 =
200 x+120
표현 단계 트랙의 둘레의 길이를 2x`m라 하면 첫 번째 만났 풀이 단계 (x-200)(x+120)=200(2x-120)
을 때의 갑, 을 두 사람의 이동 거리는 각각 xÛ`-80x-24000=400x-24000
(x-200)`m, 200`m이고, 두 번째 만났을 때의 xÛ`-480x=0, x(x-480)=0
갑, 을 두 사람의 이동 거리는 각각 ∴ x=0 또는 x=480
(2x-120)`m, (x+120)`m이다. 그런데 x>0이므로 x=480
변형 단계 두 사람의 속력이 일정하므로 같은 시간 동안 움직 확인 단계 따라서 트랙의 둘레의 길이는 2_480=960(m)
인 거리의 비는 일정하다.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99~100쪽

3 3 9 p=3, q=2 ;1!2!; -1

3+'1Œ1
324 80분 -2<a<-1
2

문제 풀이

주어진 식을 변형하면 두 근을 a, a+1이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xÛ`-2ax+aÛ`)+2(x-a)-3b+3=0 a+(a+1)=-p, a(a+1)=q
(x-a)Û`+2(x-a)-3(b-1)=0 yy`㉠ q가 소수이므로 a=Ñ1 또는 a+1=Ñ1
x+1=a+b이므로 x-a=b-1을 ㉠에 대입하면 이 중에서 a(a+1)이 소수가 되는 것은
(b-1)Û`+2(b-1)-3(b-1)=0 a=1 또는 a=-2인 경우이다.
(b-1)Û`-(b-1)=0, (b-1)(b-2)=0 Ú a=1일 때 p=-3, q=2
∴ b=1 또는 b=2 Û a=-2일 때 p=3, q=2
따라서 b의 값들의 합은 1+2=3 Ú, Û에서 p=3, q=2

xÛ`+x+1=0의 양변에 x-1을 곱하면


(x-1)(xÛ`+x+1)=0 (x+y)(x-y)=5_7_11에서
xÜ`-1=0 ∴ xÜ`=1 x+y>0, x+y>x-y이므로
∴ aÜ`=bÜ`=1 Ú x+y=385, x-y=1일 때, x=193, y=192
10 10
즉 a =(aÜ`)Ü`a=a, b =(bÜ`)Ü`b=b Û x+y=77, x-y=5일 때, x=41, y=36
aÞ`=aÜ`_aÛ`=aÛ`, bÞ`=bÜ`_bÛ`=bÛ`이고 Ü x+y=55, x-y=7일 때, x=31, y=24
a+b=-1, ab=1이므로 Ý x+y=35, x-y=11일 때,
(주어진 식)=a+b+aÛ`+bÛ`+5 x=23, y=12
=(a+b)+(a+b)Û`-2ab+5 ∴ a=193+41+31+23=288
=-1+(-1)Û`-2+5=3 b=192+36+24+12=264

∴ ;aB;=;2@8^8$;=;1!2!;
두 근을 m, n이라 하면
m+n=-1이므로 m=-1-n x, y가 정수(또는 자연수)일 때, 미지수 x, y를 포함하는 부정방정
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를 구하는 경우가 많다.
mn=-a에서 a=n(n+1)
Ú 부정방정식 xy+ax+by=m(a, b, m은 정수) 꼴로 주어지는 경우
그런데 1ÉaÉ100인 자연수이므로 (x+b)(y+a)=k(k는 정수) 꼴로 변형한다.
Û 약수와 배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a=1_2, 2_3, y, 9_10의 9개이다.

56 ⅠⅠⅠ 이차방정식
x+y=1, xy=1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버스와 열차가 동시에 달린 시간을 t라 하면
x, y가 이차방정식 tÛ`-t+1=0의 두 근이라 하면 버스가 달린 거리는 at, 열차가 달린 거리는 btÛ`이다.
xÛ`-x+1=0이므로 (x+1)(xÛ`-x+1)=0 버스와 열차는 20분 후와 30분 후에 각각 만나므로
xÜ`+1=0 ∴ xÜ`=-1 20a=400b+6
[
마찬가지로 yÜ`=-1 30a=900b+6
∴ x104+y98=(xÜ`)Ü`Ý`xÛ`+(yÜ`)Ü`Û`yÛ` ∴ a=;2!;, b=;10!0;
=xÛ`+yÛ`=(x+y)Û`-2xy
즉 x분 동안 버스가 달린 거리는 ;2!;x`km, 열차가 달린 거
=1Û`-2_1=-1
리는 `;10!0;xÛ``km이고, 열차가 6`km 앞에서 출발하므로
세 자리의 양의 정수를 100a+10b+c라 하면
;10!0;xÛ`+6=;2!;x+30
a_(10b+c)=(10b+c)+48 yy`㉠
[
10b+c=8a yy`㉡ xÛ`-50x-2400=0, (x-80)(x+30)=0
㉡을 ㉠에 대입하면 ∴ x=80 (∵ x>0)
8aÛ`=8a+48, aÛ`-a-6=0 따라서 출발한 지 80분 후에 열차가 버스보다 30`km 앞서
(a+2)(a-3)=0 달리게 된다.
∴ a=-2 또는 a=3
그런데 a>0이므로 a=3이고 ㉡에서 10b+c=24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을 xÛ`=t로 치환하면
b=2, c=4 tÛ`+2at+a+2=0 yy`㉠
따라서 구하는 정수는 324이다. ㉠의 근을 a, b라 하면 t=a 또는 t=b, 즉 xÛ`=a 또는
xÛ`=b이므로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려면
xÛ`+yÛ`=10에서 xÛ`=10-yÛ` a+b, a>0, b>0이어야 한다. 즉
0Éy<1이므로 0ÉyÛ`<1, -1<-yÛ`É0 Ú a+b=-2a>0 ∴ a<0
9<10-yÛ`É10, 9<xÛ`É10 ∴ 3<xÉ'1Œ0 Û ab=a+2>0 ∴ a>-2
즉 x의 정수 부분은 3이므로 소수 부분은 y=x-3 D
Ü a+b, 즉 =aÛ`-(a+2)>0이므로
4
xÛ`+yÛ`=10에 y=x-3을 대입하면
aÛ`-a-2>0, (a-2)(a+1)>0
xÛ`+(x-3)Û`=10, 2xÛ`-6x-1=0
∴ a<-1 또는 a>2
3+'1Œ1
∴ x= (∵ x>0) Ú, Û, Ü에서 -2<a<-1
2

ⅠⅠⅠ 단원 종합 문제 101~104쪽

5Ñ'3Œ3
② ;1!6#;, x= 5 a=3, b=0
4

13Ñ'¶193
x=-1 또는 x=0 또는 x=3 또는 x=4 -;4!; x=2 서로 다른 2개 x=
2

8 x=-1Ñ'2 6xÛ`+3x-1=0 m=-4, n=2 -6 ②

2'1Œ5 m=-1 또는 m=7 14 -;2!; ①

-3Éx<-2 2 21 3 50`cmÛ`

2. 이차방정식의 활용 57
문제 풀이

① x=2Ñ'2 Û t=4일 때, xÛ`-3x-4=0

② (2x-1)(x+1)=0 (x-4)(x+1)=0 ∴ x=4 또는 x=-1


따라서 Ú, Û에서 x=-1, 0, 3, 4
∴ x=;2!; 또는 x=-1

2Ñ'7
③ x= xÛ`-4mx+m=0이 중근을 가지려면
3
D D
④ =2Û`-1_5=-1<0이므로 실수의 범위에서 근이 =(-2m)Û`-m=0
4 4
없다. 4mÛ`-m=0, m(4m-1)=0
1Ñ'1Œ1 ∴ m=0 또는 m=;4!;
⑤ x=
5
따라서 유리수의 범위에서 해를 갖는 것은 ②이다.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0, ;4!;이므로

x{x-;4!;}=0, xÛ`-;4!;x=0에서
2xÛ`-5x-1=0의 양변에 ;2!; 을 곱하면

xÛ`-;2%;x-;2!;=0, xÛ`-;2%;x=;2!; a=-;4!;, b=0

xÛ`-;2%;x+;1@6%;=;2!;+;1@6%; ∴ a+b=-;4!;

{x-;4%;}Û`=;1#6#;
2x+1=A라 하면
∴ A=-;4%;, B=;1#6#;
AÛ`-7A+10=(A-2)(A-5)=0에서 A=2 또는 A=5
∴ A+B=;1!6#; 2x+1=2, 2x+1=5에서 x=;2!; 또는 x=2
또한 주어진 방정식의 근은 x+3=B라 하면 3BÛ`-14B-5=(3B+1)(B-5)=0에서
5Ñ'3Œ3
x= B=-;3!; 또는 B=5이므로
4

x+3=-;3!;, x+3=5에서
근의 공식을 이용하면
-1Ñ'Ä1-3a 1Ñ'b x=-;;Á3¼;; 또는 x=2
x= =
a 2
그러므로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해는 x=2이다.
이므로 a=-2, b=1-3a에서 b=7
∴ a+b=5
xÛ`-ax+b=0이 근을 가지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x|Û`-|x|-6=0이므로 D=(-a)Û`-4b=aÛ`-4b¾0

(|x|-3)(|x|+2)=0 xÛ`+(a-2)x+b-a=0에서

∴ |x|=3 (∵ |x|>0) D=(a-2)Û`-4(b-a)=aÛ`-4a+4-4b+4a

∴ x=Ñ3 =aÛ`-4b+4

따라서 axÛ`+bx-27=0은 그런데 aÛ`-4b¾0이므로 aÛ`-4b+4¾4

a(x+3)(x-3)=0, a(xÛ`-9)=0, axÛ`-9a=0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개의 근을 갖는

이므로 -9a=-27, b=0 다.

∴ a=3, b=0
(x+1)(x-2)=-2x+4에서
(xÛ`-3x)Û`-4(xÛ`-3x)=0이므로 xÛ`+x-6=0
xÛ`-3x=t로 치환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tÛ`-4t=0, t(t-4)=0 a+b=-1, ab=-6이므로
∴ t=0 또는 t=4 aÛ`+bÛ`=(a+b)Û`-2ab
Ú t=0일 때, xÛ`-3x=0이므로 =(-1)Û`-2_(-6)
x(x-3)=0 ∴ x=0 또는 x=3 =13
58 ⅠⅠⅠ 이차방정식
따라서 이차방정식 xÛ`-13x-6=0을 풀면 두 근을 a, b라 하면
13Ñ'¶193 a-1
x= a+b=- `, ab=-;2A;
2 2
다른 풀이
두 근의 차 |a-b|='2이므로
xÛ`+x-6=(x-2)(x+3)=0에서 (a-b)Û`=(a+b)Û`-4ab
a=2, b=-3이라 하고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a-1 Û
={- }`-4_{-;2A;}
13Ñ'¶193 2
xÛ`-13x-6=0 ∴ x= (a-1)Û`
2 aÛ`+6a+1
= +2a= =2
4 4
따라서 aÛ`+6a+1=8에서 aÛ`+6a-7=0이므로
a가 이차방정식 xÛ`-2x-2=0의 근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a의 값들의 합은 -6이다.
aÛ`-2a-2=0
a+0이므로 양변을 a로 나누면

a-2-;Œ@;=0 ∴ a-;Œ@;=2 이차방정식 3xÛ`+mx+n=0의 두 근이 2, ;3!;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의 의해
4
∴ aÛ`+ ={a-;Œ@;}Û`+4
aÛ` m
(두 근의 합)=- =2+;3!;=;3&; ∴ m=-7
3
=2Û`+4=8
(두 근의 곱)=;3N;=2_;3!;=;3@; ∴ n=2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의 합이 2, 곱이 따라서 -7xÛ`-2x+3=0의 두 근의 합은


-1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2
- =-;7@;
-7
-;aB;=2, 즉 b=-2a yy`㉠

;aC;=-1, 즉 c=-a yy`㉡ 이차방정식 xÛ`-7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

㉠, ㉡을 이차방정식 cxÛ`+bx+a=0에 대입하면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axÛ`-2ax+a=0 a+b=7, ab=1

a+0이므로 양변을 -a로 나누면 "ÃaÛ`+a+"ÃbÛ`+b 를 제곱하면

xÛ`+2x-1=0 ("ÃaÛ`+a+"ÃbÛ`+b)Û`

-1Ñ"Ã1Û`-1_(-1) =aÛ`+a+2"Ã(aÛ`+a)(bÛ`+b)+bÛ`+b
∴ x= =-1Ñ'2
1 =aÛ`+bÛ`+a+b+2"ÃaÛ`bÛ`+aÛ`b+abÛ`+ab
=aÛ`+bÛ`+a+b+2"ÃaÛ`bÛ`+ab(a+b)+ab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a+b)Û`-2ab+(a+b)+2"Ã(ab)Û`+ab(a+b)+ab
a+b=3, ab=-6이므로
=7Û`-2_1+7+2"Ã1Û`+1_7+1
a+b 3
;Œ!;+;º!;= = =-;2!; =49-2+7+2'9=54+6=60
ab -6
1 "ÃaÛ`+a+"ÃbÛ`+b>0이므로
;Œ!;_;º!;= =-;6!;
ab "ÃaÛ`+a+"ÃbÛ`+b='6Œ0=2'1Œ5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합이 -;2!;, 곱이

-;6!;이고 xÛ`의 계수가 6이므로 두 근을 a, b(a, b는 정수)라 하면


a+b=1-m, ab=m+1
6{xÛ`+;2!;x-;6!;}=0 ∴ 6xÛ`+3x-1=0
두 식을 더하여 m을 소거하면
ab+a+b=2에서
계수가 유리수인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2+'2이면 다 a(b+1)+(b+1)=3, (a+1)(b+1)=3
른 한 근은 2-'2이므로 이고 m=ab-1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Ú a+1=1, b+1=3일 때
(2+'2)+(2-'2)=-m, -m=4 a=0, b=2이므로 m=-1
(2+'2)(2-'2)=n Û a+1=3, b+1=1일 때
∴ m=-4, n=2 a=2, b=0이므로 m=-1
단원 종합 문제 59
Ü a+1=-1, b+1=-3일 때
¿¹2+"Ã2+'Ä2+y=x라 하면
a=-2, b=-4이므로 m=8-1=7
¿¹2+"Ã2+'Ä2+y=x이므로 x='Ä2+x
Ý a+1=-3, b+1=-1일 때 ↳ x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a=-4, b=-2이므로 m=8-1=7
xÛ`=2+x, xÛ`-x-2=0, (x-2)(x+1)=0
Ú ~ Ý에서 m=-1 또는 m=7
∴ x=2 또는 x=-1

이차방정식 5xÛ`-x-10=0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그런데 x>0이므로 x=2

의해
-1 x=-3이 공통인 근이므로 두 이차방정식
(두 근의 합)=- =;5!;
5
xÛ`+ax-6=0, xÛ`-2ax+b=0에 각각 대입하면
-10
(두 근의 곱)= =-2
5 (-3)Û`+a_(-3)-6=0에서

따라서 이차방정식 10xÛ`+ax+b=0의 두 근이 ;5!;, -2이 -3a+3=0 ∴ a=1


(-3)Û`-2a_(-3)+b=0에서
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6a+b=-9 yy`㉠
(두 근의 합)=-;10;=;5!;+(-2)=-;5(; a=1을 ㉠에 대입하면 b=-15
∴ a=18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의 근은

(두 근의 곱)=;1õ0;=;5!;_(-2)=-;5@; xÛ`+x-6=0, (x+3)(x-2)=0에서


x=2 또는 x=-3
∴ b=-4
xÛ`-2x-15=0, (x+3)(x-5)=0에서
∴ a+b=18+(-4)=14
x=-3 또는 x=5
이때 a=1, b=-15, c=5이므로
이차방정식 2xÛ`-5x+1=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a-b+c=1-(-15)+5=21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a+b=;2%;, ab=;2!;
도로를 제외한 땅의 넓이는
이때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근이 a+1, b+1이
(30-x)(24-x)=567, xÛ`-54x+720=567
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xÛ`-54x+153=0, (x-51)(x-3)=0
(두 근의 합)=-a=(a+1)+(b+1)=a+b+2
∴ x=3 (∵ 0<x<24)
=;2%;+2=;2(;
직사각형 모양의 땅에 폭이 일정한 길을 내는 경우의 넓이의 활용

∴ a=-;2(; 문제는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같은 다음의 세 직사각형에서 색칠한 부


분의 넓이는 모두 같음을 이용한다.
(두 근의 곱)=b=(a+1)(b+1)=ab+a+b+1 x x x

=;2!;+;2%;+1=4 = =
x x
x
∴ a+b=-;2(;+4=-;2!;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하면 AEÓ=x`cm라 하면 EBÓ=(15-x)`cm


([x]+2)([x]-3)=0 △ADE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따라서 [x]=-2 또는 [x]=3이므로
△ADE=;2!;_x_x=;2!;xÛ`
-2Éx<-1 또는 3Éx<4
DFBE=(15-x)_x=15x-xÛ`

2[x]Û`+[x]-15=0, (2[x]-5)([x]+3)=0 △ADE`: DFBE=1`:`4이므로

∴ [x]=;2%; 또는 [x]=-3 ;2!;xÛ``:`(15x-xÛ`)=1`:`4

그런데 [x]는 정수이어야 하므로 [x]=-3 15x-xÛ`=2xÛ`, 3xÛ`-15x=0, 3x(x-5)=0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의해 -3Éx<(-3)+1이므로 ∴ x=5 (∵ x+0)
-3Éx<-2 ∴ DFBE=10_5=50(cmÛ`)

60 ⅠV 이차방정식
ⅠV 1
이차함수

이차함수의 그래프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107~113쪽

㉣ ③ ⑤ ㄱ, ㄹ ;4(; y=-(x-4)Û`

3 ㄴ, ㄹ ⑤ 2 a=-12, b=13 15

④ ③ ② 제3사분면 ⑤ ③

① ⑴ y=-;2!;(x+4)Û`+2 ⑵ y=;3!;xÛ`-;3@;x-1

⑴ y=-4(x+3)Û`+11 ⑵ y=-2xÛ`+5x-6 ⑶ y=-xÛ`-x+6 (1, -4) -4

-;2!; 21 y=xÛ`+8x+14 -7

최상위 07
NOTE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계수의 부호는 다음과 같이 정할 수 있다.

a의 부호 ⇨ 그래프의 모양 b의 부호 ⇨ 축의 위치 c의 부호 ⇨ y축의 교점의 위치

y y y y
O x

O x

아래로 볼록 위로 볼록 축이 y축의 오른쪽 축이 y축의 왼쪽 y절편>0 y절편<0


⇩ ⇩ ⇩ ⇩ ⇩ ⇩
a>0 a<0 c>0 c<0
-;2õa;>0 -;2õa;<0

⇩ ⇩
a, b는 서로 a, b는 서로
다른 부호 같은 부호

1. 이차함수의 그래프 61
문제 풀이

a<0이므로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고 |a|<1이므로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y=-xÛ`+4의


y=-xÛ`의 그래프보다 폭이 더 넓다. 그래프와 폭이 같으므로 a=-1 또는 a=1이다.
따라서 구하는 y=axÛ`의 그래프는 ㉣이다. 또한 꼭짓점의 좌표가 (1, 3)이므로 y=axÛ`+bx+c는 다
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y=-(x-1)Û`+3=-xÛ`+2x+2
주어진 y=ax+b의 그래프에서 (기울기)<0,
y=(x-1)Û`+3=xÛ`-2x+4
(y절편)<0이므로 a<0, b<0이다.
∴ a+b+c=3
따라서 y=axÛ`+b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좌
표가 (0, b)(b<0)인 포물선이므로 ③이다.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a<0이고 꼭짓점 (p, q)가


이차함수 y=axÛ`+b의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 제1사분면 위에 존재하므로` p>0, q>0이다.
는 경우는 다음 그림과 같다. ㄱ. p+q>0 ㄴ. a-p-q<0
y y=axÛ +b y ㄷ. a-pq<0 ㄹ. apq<0
y=axÛ +b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또는
O x O x

⇨ a>0, b<0 ⇨ a<0, b>0 y=-2xÛ`+4x-5 y

∴ ab<0 =-2(x-1)Û`-3 O x

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점 (a, b)가 어느 사분면 위에 있는가에 따라 a, b의 부호는 다음과
⑤ x<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같다.
값도 증가한다.
제1사분면 제2사분면 제3사분면 제4사분면
a>0, b>0 a<0, b>0 a<0, b<0 a>0, b<0

xÛ`의 계수가 a이고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꼭짓점이 x축 위에 있으려면 y=a(x-p)Û`의 꼴로 변 (3, -1)인 이차함수의 식은
형할 수 있어야 한다. y=a(x-3)Û`-1=axÛ`-6ax+9a-1
ㄱ. y=xÛ`-4x+4=(x-2)Û`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식과 비교하면
ㄴ. y=-xÛ`-6x+9=-(x+3)Û`+18 aÛ`+5a+3=9a-1, aÛ`-4a+4=0
(a-2)Û`=0 ∴ a=2
ㄷ. y=4xÛ`+2x+1=4{x+;4!;}Û`+;4#;
다른 풀이

ㄹ. y=-4xÛ`+4x-1=-4{x-;2!;}Û` y=axÛ`-6ax+aÛ`+5a+3
따라서 ㄱ, ㄹ의 꼭짓점이 x축 위에 있다. =a(xÛ`-6x)+aÛ`+5a+3
=a(x-3)Û`+aÛ`-4a+3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3, aÛ`-4a+3)이다.
y=xÛ`+3x+m={x+;2#;}Û`+m-;4(;의 그래프가 따라서 aÛ`-4a+3=-1에서
x축과 접하기 위해서는 aÛ`-4a+4=0, (a-2)Û`=0

m-;4(;=0 ∴ m=;4(; ∴ a=2

축의 방정식은 x=4이고 x축에 접하므로 이 포물선을 y=-2xÛ`+8x-7=-2(x-2)Û`+1에서 꼭짓점의 좌


그래프로 하는 이차함수의 식은 y=a(x-4)Û`이다. 표가 (2, 1)이다.
점 (2, -4)를 지나므로 x=2, y=-4를 대입하면 따라서 y=3xÛ`+ax+b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4=a(2-4)Û` ∴ a=-1 (2, 1)이므로 y=3(x-2)Û`+1=3xÛ`-12x+13
∴ y=-(x-4)Û` ∴ a=-12, b=13

62 ⅠV 이차함수
y=xÛ`+6x+a=(x+3)Û`+a-9이므로 꼭짓점의 좌 ④ x=1일 때 y=a+b+c>0이다.

표는 (-3, a-9)이다. ⑤ bÛ`>0이고 ac<0이므로 bÛ`-4ac>0

이 꼭짓점이 직선 y=-2x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다른 풀이
a-9=-2_(-3) ∴ a=15
y=axÛ`+bx+c에 y=0을 대입하면
주어진 그림에서 y=axÛ`+bx+c의 그래프는 위로 볼 0=axÛ`+bx+c

록하므로 a<0, y절편이 양수이므로 c>0, 축이 y축의 왼 이때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x절편

쪽에 있으므로 ab>0, 즉 b<0이다. 이고, 주어진 그래프에서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

① ac<0 ② bc<0 ③ abc>0 므로 이차방정식의 근의 개수는 2개이다.

④ x=-1일 때, y=a-b+c>0이다. 따라서 판별식 D=bÛ`-4ac>0

⑤ x=1일 때, y=a+b+c=0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모든 사분면을 지나는 y=axÛ`+bx+c의 그래프는 다

주어진 그래프의 모양을 보고 a<0, b<0, c>0임을 알 수 있지만, 음 그림과 같다.


이것으로부터 a-b+c, a+b+c의 부호는 알 수 없다. 이와 같이 함수의 y y y y
계수로 이루어진 식의 부호는 그 식이 어떤 수를 함수
f(x)=axÛ`+bx+c의 x에 대입한 것과 같아지는지를 파악하고, 그래프에 O x O x O x O x
서 그 함숫값의 부호를 조사한다.

즉 b의 부호에 관계없이 a>0, c<0 또는 a<0, c>0인 경


제2사분면을 제외한 모든 사분면을 y
우에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 ac<0
지나는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O x
위로 볼록하고 꼭짓점은 제1사분면 위에
존재하고 y절편은 0 또는 음수이면 된다. 주어진 그림에서 y=axÛ`+bx+c의 그래프는 위로 볼

③ y=-xÛ`+4x-3=-(x-2)Û`+1 록하므로 a<0이고,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에서 꼭짓점의 좌표는 (2, 1)이고, y절편은 -3이다. ab<0 ∴ b>0

④ y=-xÛ`-4x-3=-(x+2)Û`+1 또 y절편이 양수이므로 c>0이다.

에서 꼭짓점의 좌표가 (-2, 1)이다. ① x=1일 때, y=a+b+c>0


② x=-1일 때, y=a-b+c<0
주어진 그림에서 y=axÛ`+bx+c의 그래프는 위로 볼 ③ 축의 방정식 x=-;2õa;<1이고, 2a<0이므로
록하고 y절편이 양수이므로 a<0, c>0이고, 축이 y축의
b<-2a ∴ 2a+b<0
오른쪽에 있으므로 ab<0, 즉 b>0이다.
④ a<0, b>0, c>0이므로 abc<0
따라서 y=cxÛ`+bx+a의 그래프는 아래 y
⑤ x=-2일 때, y=4a-2b+c<0
로 볼록하고, y절편은 음수이다.
따라서 식의 부호가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①이다.
또한 bc>0이므로 축이 y축의 왼쪽에 있다. O x
따라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⑴ 꼭짓점의 좌표가 (-4, 2)이므로
y=axÛ`+bx+c에서 a>0이므로 아래로 볼록하고, y=a(x+4)Û`+2 yy`㉠
b>0에서 ab>0이므로 축이 y축의 왼쪽 y ㉠에 점 (0, -6)을 대입하면
에 있다. -6=16a+2 ∴ a=-;2!;
또 c<0이므로 y절편은 음수이다. x
O
∴ y=-;2!;(x+4)Û`+2
따라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꼭짓점은 제3사분면 위에 있다. ⑵ x절편이 -1, 3이므로
y=a(x+1)(x-3) yy`㉠
주어진 그림에서 y=axÛ`+bx+c의 그래프는 위로 볼 ㉠에 점 (0, -1)을 대입하면
록하므로 a<0이고,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1=-3a ∴ a=;3!;
ab<0 ∴ b>0
또 y절편이 양수이므로 c>0이다. ∴ y=;3!;(x+1)(x-3)=;3!;xÛ`-;3@;x-1

1. 이차함수의 그래프 63
⑴ 축의 방정식이 x=-3이므로 ㉠-㉡을 하면 3a=3 ∴ a=1

y=a(x+3)Û`+q로 놓고 yy`㉠ a=1을 ㉡에 대입하면 q=-4

㉠에 점 (-2, 7), (-5, -5)의 좌표를 대입하면 따라서 이차함수의 식은 y=(x-1)Û`-4=xÛ`-2x-3

a+q=7 yy`㉡ 이므로 a+b+c=1+(-2)+(-3)=-4

4a+q=-5 yy`㉢
㉢-㉡을 하면 3a=-12 ∴ a=-4 y=p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a=-4를 ㉡에 대입하면 -4+q=7 ∴ q=11 그래프의 식은 y=p(x-2)Û`이다.
∴ y=-4(x+3)Û`+11
즉, y=pxÛ`-4px+4p와 y=-;2!;xÛ`+2x-2가 일치하므로
⑵ 이차함수의 식을 y=axÛ`+bx+c로 놓고
점 (1, -3), (2, -4), (0, -6)의 좌표를 대입하면 p=-;2!;
a+b+c=-3 yy`㉠ 참고
4a+2b+c=-4 yy`㉡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도 그래프의 폭과 모양
c=-6 yy`㉢ 은 변하지 않으므로 이차항의 계수는 변하지 않는다.
㉢을 ㉠, ㉡에 대입하면
a+b-6=-3에서 a+b=3 yy`㉣
y=xÛ`-2x+3=(x-1)Û`+2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4a+2b-6=-4에서 4a+2b=2
(1, 2)이다.
2a+b=1 yy`㉤
또 y=xÛ`+4x-1=(x+2)Û`-5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을 하면 a=-2
(-2, -5)이다.
a=-2를 ㉣에 대입하면 -2+b=3 ∴ b=5
∴ y=-2xÛ`+5x-6 즉 꼭짓점 (1, 2)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

⑶ x절편이 -3, 2이므로 y=a(x+3)(x-2)이고 점 로 b만큼 평행이동한 점 (1+a, 2+b)가 점 (-2, -5)와

(0, 6)의 좌표를 대입하면 일치하면 되므로

6=-6a ∴ a=-1 1+a=-2, 2+b=-5

∴ y=-(x+3)(x-2)=-xÛ`-x+6 ∴ a=-3, b=-7 ∴ ab=21

점 (-1, 0)을 지나므로 y=xÛ`+ax-3에 대입하면 y=xÛ`-4x+3=(x-2)Û`-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0=1-a-3 ∴ a=-2 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 y=xÛ`-2x-3=(x-1)Û`-4 y+1=(x-2-2)Û`-1

따라서 꼭짓점의 좌표는 (1, -4)이다. ∴ y=xÛ`-8x+14


또 y=xÛ`-8x+14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y=(-x)Û`-8_(-x)+14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축 x=1에 대하여 대칭
∴ y=xÛ`+8x+14
이므로 점`(3, 0)의 직선 x=1에 대한 대칭점 (-1, 0)을
지난다.
따라서 x절편이 -1, 3이므로 y=a(x+1)(x-3)이고 점 y=a(x-1)Û`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0, -3)을 지나므로 대입하면 -y=a(x-1)Û`, y=-a(x-1)Û`
-3=-3a ∴ a=1 또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 y=(x+1)(x-3)=xÛ`-2x-3 -q만큼 평행이동하면
∴ a+b+c=1+(-2)+(-3)=-4 y+q=-a(x-1-1)Û`
다른 풀이 y=-a(x-2)Û`-q
축의 방정식이 x=1이므로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 y=-axÛ`+4ax-4a-q
y=a(x-1)Û`+q로 놓는다. 이 그래프가 y=2xÛ`+px+5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이때 두 점`(3, 0), (0, -3)을 지나므로 각각 대입하면 -a=2, 4a=p, -4a-q=5에서
4a+q=0 yy`㉠ a=-2, p=-8, q=3
a+q=-3 yy`㉡ ∴ a+p+q=-7

64 ⅠV 이차함수
STEP
실력 높이기 114~119쪽

④ y=2xÛ`+8x+9 1`:`6 a=-1, b=-5 y=5(x-1)Û`-2 y=xÛ`-x-2

6 2 4 2 P(4, 8) ;9!;

;2¢5;ÉaÉ;9$; 16 2'3 P(4, 10) 5 제1사분면

a>0, b<0 풀이 참조 ㄱ, ㄷ ⑤ (2, -2)

문제 풀이

y=2xÛ`-4x-6=2(x-1)Û`-8
풀이 단계 (-a, -aÛ`-4)=(1, b)에서

이므로 E(1, -8) -a=1, -aÛ`-4=b

두 점 A와 B는 x절편이므로 y=0을 대입하면


확인 단계 ∴ a=-1, b=-5

2xÛ`-4x-6=0에서 xÛ`-2x-3=0
(x+1)(x-3)=0
꼭짓점의 좌표가 (1, -2)이므로
∴ x=-1 또는 x=3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 A(-1, 0), B(3, 0)
y=a(x-1)Û`-2
y절편이 -6이므로 C(0, -6)
로 나타낼 수 있고, 점 (0, 3)을 지나므로
축이 x=1이고 점 C와 D는 x=1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
x=0, y=3을 대입하면
D의 x좌표는 2이다.
3=a-2에서 a=5
y=2xÛ`-4x-6에 x=2를 대입하면 y=-6
따라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은
∴ D(2, -6)
y=5(x-1)Û`-2

서술형
x축과의 교점의 좌표가 (-1, 0), (2, 0)이므로
표현 단계 x 대신 x+2, y 대신 y-3을 각각 대입하면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변형 단계 y-3=2{(x+2)Û`-3}+4
y=a(x+1)(x-2)
=2(xÛ`+4x+1)+4
로 나타낼 수 있고, 점 (0, -2)를 지나므로
=2xÛ`+8x+6
x=0, y=-2를 대입하면
확인 단계 ∴ y=2xÛ`+8x+9
-2=-2a에서 a=1
따라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은
y=axÛ`-bx+3 y=(x+1)(x-2)
b Û bÛ`
=a{x- }`- +3 =xÛ`-x-2
2a 4a
b
에서 축의 방정식이 x= 이므로`
2a
b 서술형
=3, b=6a
2a
표현 단계 세 점의 좌표를 주어진 식에 각각 대입하면
∴ a`:`b=1`:`6
변형 단계 4a-2b+c=3 yy`㉠
c=3 yy`㉡
서술형 a+b+c=0 yy`㉢
표현 단계 주어진 식을 완전제곱의 꼴로 변형하면 풀이 단계 ㉡을 ㉠, ㉢에 각각 대입하면
변형 단계 y=xÛ`+2ax-4 4a-2b=0
[
=xÛ`+2ax+aÛ`-aÛ`-4 a+b=-3
=(x+a)Û`-aÛ`-4 위의 연립방정식을 풀면 a=-1, b=-2
즉 꼭짓점의 좌표는 (-a, -aÛ`-4)이다. 확인 단계 ∴ abc=(-1)_(-2)_3=6

1. 이차함수의 그래프 65
주어진 그래프에서 일차함수의 식은 y=x-2이고, y=kxÛ`에 x=6을 대입하면 B(6, 36k)
이때 점 A와 B의 y좌표는 같으므로
y축에 대하여 대칭인 그래프의 식은 y=-x-2이므로
a=-1, b=-2 4=36k ∴ k=;9!;
따라서 y=axÛ`+bx=-xÛ`-2x=-(x+1)Û`+1이므로 꼭
짓점의 좌표는 (m, n)=(-1, 1)이다.
∴ mÛ`+nÛ`=(-1)Û`+1Û`=2 y=axÛ`+2ax+a-2 y
㉠ ㉡

=a(xÛ`+2x+1)-2
A B
2
서술형 =a(x+1)Û`-2
-1 2
표현 단계 y=-2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포물 O 4 x
-2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하므로 x대신 선의 꼭짓점의 좌표가
x-m, y대신 y-n을 각각 대입하면 (-1, -2)로 일정하다.
y-n=-2(x-m)Û` ㉠과 같이 점 (2, 2)를 지날 때
이고, 이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므로 2=9a-2 ∴ a=;9$;
x대신 -x, y대신 -y를 각각 대입하면
㉡과 같이 점 (4, 2)를 지날 때
-y-n=-2(-x-m)Û`
변형 단계 즉 y=2(x+m)Û`-n 2=25a-2 ∴ a=;2¢5;

=2(xÛ`+2mx+mÛ`)-n ∴ ;2¢5;ÉaÉ;9$;
=2xÛ`+4mx+2mÛ`-n
풀이 단계 y=2xÛ`+4x-1과 계수를 비교하면
4m=4에서 m=1
y=a(xÛ`-3x+2)=a(x-1)(x-2)
2mÛ`-n=-1에서 n=3
이므로 x절편은 1, 2이다.
확인 단계 ∴ m+n=1+3=4
또, y=a(xÛ`-3x+2)=a{x-;2#;}Û`-;4!;a

y=-xÛ`-2x+3=-(x+1)Û`+4이므로 C(-1, 4) 이므로 꼭짓점은 C{;2#;, -;4!;a}이다.


y=0을 대입하면 -xÛ`-2x+3=0에서
오른쪽 그림에서 y
xÛ`+2x-3=0, (x+3)(x-1)=0 ;2#;
△ABC=;2!;_1_;4!;a O B(2 0) x
∴ x=-3 또는 x=1
A(1 0)
∴ A(-3, 0), B(1, 0) =;8!;a
또한 y절편이 3이므로 D(0, 3)
이므로 ;8!;a=2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C¦;2#; -;4!;a¥

∴ a=16
△ABC=;2!;_4_4=8

△ABD=;2!;_4_3=6
x축을 자르는 선분의 길 y x=2
따라서 두 삼각형의 넓이의 차는
이가 2이고 축이 x=2이므로
8-6=2 O (3 0) x
오른쪽 그림과 같이 그래프를 (1 0)

그리면 삼각형의 넓이는


aÛ`
점 P의 좌표를 P{a, }이라 하면
2 ;2!;_2_p=2'3 (2 -p)
aÛ`
△POA=;2!;_8_ 2 =32
∴ p=2'3
aÛ`=16 ∴ a=4 (∵ a>0) 따라서 꼭짓점의 좌표가 (2, -2'3)이므로
∴ P(4, 8) y=axÛ`+bx+c=a(x-2)Û`-2'3 yy`㉠
㉠에 점 (1, 0)의 좌표를 대입하면
점 A의 x좌표가 2이므로 A(2, 4) 0=a-2'3
ABÓ=2ACÓ이므로 점 B의 x좌표는 6이고 ∴ a=2'3

66 ⅠV 이차함수
두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를 각각 구하면 y=axÛ`+2abx=a(x+b)Û`-abÛ`
y=xÛ`-4x+8=(x-2)Û`+4 Ú a<0이면 위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y
-abÛ
에서 (2, 4) y좌표인 -abÛ ` ¾0이므로 오른쪽
y=-xÛ`+12x-20=-(x-6)Û`+16 그림과 같이 꼭짓점이 제4사분면 O x

에서 (6, 16) 위에 있을 수 없다.


두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P(a, b)에 대하여 대칭이면 두 Û a>0이면 -abÛ`É0
꼭짓점도 점 P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꼭짓점이 제4사분면 y

점 P는 두 꼭짓점의 중점이다. 즉 위에 있을 때,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


O x
2+6 4+16 으므로 x=-b>0
=a, =b -abÛ
2 2
∴ b<0 x=-b
∴ a=4, b=10
Ú, Û에서 a>0, b<0
∴ P(4, 10)
다른 풀이

y=axÛ`+2abx=a(x+b)Û`-abÛ`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b, -abÛ`)
y=-xÛ`-2x+8=-(x+1)Û`+9
이때 꼭짓점이 제4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이므로 A(-1, 9)
-b>0, -abÛ`<0
y=0을 대입하면
즉 b<0이고, bÛ`>0이므로 -abÛ`<0에서 -a<0
-xÛ`-2x+8=0에서 xÛ`+2x-8=0
∴ a>0
(x+4)(x-2)=0 ∴ x=-4 또는 x=2
∴ B(-4, 0), C(2, 0)
서술형
직선 l이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ACÓ의 중점
-1+2 9+0
표현 단계 y=xÛ`-2ax+b를 완전제곱의 꼴로 변형하면
{ , }={;2!;, ;2(;}를 지나면 된다.
2 2 변형 단계 y=(xÛ`-2ax+aÛ`-aÛ`)+b
따라서 점 B(-4, 0)과 점 {;2!;, ;2(;}를 지나는 직선 l의 방 =(x-a)Û`-aÛ`+b
즉 꼭짓점의 좌표는 (a, -aÛ`+b)이다.
정식은
이차함수 y=xÛ`-2ax+b의 그래프가 점 (1, 4)를
;2(;-0
y= (x+4)=x+4 지나므로 x=1, y=4를 대입하면
;2!;+4 4=1-2a+b
∴ a=1, b=4 ∴ a+b=5 ∴ b=2a+3 yy`㉠
또한 꼭짓점이 직선 y=-2x+7 위에 있으므로
x=a, y=-aÛ`+b를 대입하면
부등식 a(x-2)-b<0, 즉 ax<2a+b의 해가 -aÛ`+b=-2a+7 yy`㉡
2a+b 풀이 단계 ㉠을 ㉡에 대입하면
x>-1이므로 a<0이고, x> 에서
a
-aÛ`+(2a+3)=-2a+7
2a+b
=-1, 2a+b=-a
a aÛ`-4a+4=0, (a-2)Û`=0 ∴ a=2
∴ b=-3a a=2를 ㉠에 대입하면
y=axÛ`-bx+a b=2_2+3=7
=axÛ`+3ax+a ∴ y=axÛ`+4x-b

=a{xÛ`+3x+;4(;-;4(;}+a =2xÛ`+4x-7
=2(xÛ`+2x+1-1)-7
=a{x+;2#;}Û`-;4%;a
=2(x+1)Û`-9
y
에서 꼭짓점의 좌표는 {-;2#;, -;4%;a}이 y 확인 단계 따라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
-1
-;4%;a 는 꼭짓점의 좌표가 (-1, -9)이 O x
고, a<0이므로 그래프의 모양은 오른쪽 O
x
-;2#;
a
고 y절편이 -7이므로 오른쪽 그
그림과 같이 그릴 수 있다.
-7
림과 같다.
따라서 제1사분면은 지나지 않는다. -9

1. 이차함수의 그래프 67
x절편이 -2, 1이므로 ㈐ 점 {;3%;, 0}을 지나므로 x절편이 ;3%;이고 축을 중심으로

y=axÛ`+bx+c 대칭이므로 다른 x절편의 좌표는 {;3!;, 0}이다.


=a(x+2)(x-1)
조건`Ⅰ,`Ⅱ,`Ⅲ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 y
=axÛ`+ax-2a
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b=a, c=-2a
② c<0 O ;3!; ;3%;
x
ㄱ.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축이 y축의 왼쪽에 있으므로 ab>0 ∴ b>0 ③ 다른 한 x절편은 ;3!;이다.
x=1
ㄴ. x=-1일 때, y=a-b+c<0 ④ 꼭짓점은 제1사분면 위에 있다.
ㄷ. a+2b+3c=a+2a-6a=-3a<0 ⑤ 그래프는 제2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b 선분 AB의 길이가 4이므로 축의 방정식은 x=2이다.


㈎ =-1이므로 축의 방정식은
2a
∴ y=xÛ`+ax+b=(x-2)Û`+q
b
x=- =1 또 점 (0, 2)를 지나므로
2a
㈏ y의 값의 범위가 yÉq이므로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위로 2=4+q ∴ q=-2
볼록한 포물선이다. ∴ a<0 따라서 꼭짓점의 좌표는 (2, -2)이다.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120~122쪽

;2(; :Á3¢: -;3@; 12 24 2'2

-;4#; -4 ;3@; 12-8'2 ㈎–⑵, ㈏–⑴, ㈐–⑷, ㈑–⑶

서치라이트(탐조등),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랜턴 등

문제 풀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R y=axÛ y y=;2!;xÛ y=-;2!;xÛ`+ax+4의 그래프가 점 (6, 0)을 지나므로


의 x좌표를 t라 하면 점 Q의 x 0=-18+6a+4
좌표는 -t이므로 QRÓ = 2t가
P Q R S 6a=14 ∴ a=;3&;
된다.
-t O t 3t x
또 QRÓ=RSÓ이므로 y=-;2!;xÛ`+;3&;x+4
점 S의 x좌표는 3t가 된다.
=-;2!;{xÛ`-:Á3¢:x+:¢9»:-:¢9»:}+4
∴ R(t, atÛ`), S{3t, ;2(;tÛ`}
=-;2!;{x-;3&;}Û`+;1$8(;+4
이때 점 R와 점 S의 y좌표는 같으므로

atÛ`=;2(;tÛ` ∴ a=;2(; =-;2!;{x-;3&;}Û`+:Á1ª8Á:

∴ A{;3&;, :Á1ª8Á:}

y=-;2!;xÛ`+ax+4에 x=0을 대입하면 y=4 ∴ △ABO=;2!;_4_;3&;=:Á3¢:


∴ B(0, 4)

68 ⅠV 이차함수
ABCD가 평행사변형이므로 BCÓ=ADÓ=6이고 =a(xÛ`-4x+3)

ADÓ∥BCÓ이므로 BCÓ⊥(y축)이다. =axÛ`-4ax+3a yy`㉠

또한 주어진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 C의 ㉠과 y=axÛ`+bx+ab+1이 같은 식이므로

x좌표는 3이다. b=-4a, ab+1=3a에서

따라서 C(3, -6)이므로 y=axÛ`에 대입하면 a_(-4a)+1=3a, 4aÛ`+3a-1=0

(4a-1)(a+1)=0 ∴ a=;4!; (∵ a>0)


-6=9a ∴ a=-;3@;

따라서 a=;4!;, b=-1이므로


y=-xÛ`+2x+3=-(x-1)Û`+4
a+b=-;4#;
에서 A(1, 4)
y=-xÛ`+8x-12=-(x-4)Û`+4
에서 B(4, 4) 교점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면 교점의 x좌표의 합이
오른쪽 그림에서 그래프의 폭 y 0이므로
A(1 4) B(4 4)
이 같으므로 어두운 부분의 2xÛ`+ax-6=-xÛ`-4x+3
넓이는 서로 같다. 즉, 3xÛ`+(a+4)x-9=0에서 두 근의 합이 0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a+4)
x - =0 ∴ a=-4
ACDB=(4-1)_4 O C D 3

=3_4=12
y=(x-2)Û`에서 x=0이면 y=4이므로 A(0, 4)이고,

y=-2x+k의 x절편이 ;2K;이고, APÓ`:`PBÓ=2`:`1이 축의 방정식이 x=2이므로 B(4, 4)이다.


직선 y=x+a가 선분 AB와 만나므로
1
므로 점 P의 x좌표는 ;2K;_ =;6K;
2+1 Ú 직선 y=x+a가 점 A(0, 4)를 지날 때,
kÛ` 4=0+a ∴ a=4
점 P{;6K;, }은 직선 y=-2x+k 위의 점이므로
36
Û 직선 y=x+a가 점 B(4, 4)를 지날 때,
kÛ` 2k
=- +k 4=4+a ∴ a=0
36 6
kÛ`=-12k+36k, k(k-24)=0 Ú, Û에서 a의 값의 범위는 0ÉaÉ4
∴ k=24 (∵ k+0) 따라서 a=1, 2, 3, 4일 때, 직선 y=x+a가 선분 AB와
만나므로 구하는 확률은
y=xÛ`-ax+1의 그래프의 x절편을 a, b라 하면 ;6$;=;3@;
xÛ`-ax+1=0의 두 근이 a, b이므로
a+b=a, ab=1
ABÓ=|b-a|="Ã(a+b)Û`-4ab y=-xÛ`+2x=-(x-1)Û`+1
="ÃaÛ`-4 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 y

오른쪽 그림에서 y 림과 같다. D C


C(0 1) A(a 0) B(2-a 0)
A(a, 0)(단, 0<a<1)으
△ABC=;2!;_"ÃaÛ -4_1=1 x
O 2
로 놓으면 B(2-a, 0)이므
이므로 O B(b 0) x x=1

A(a 0) y=-xÛ +2x
"ÃaÛ`-4=2, aÛ`-4=4, aÛ`=8
ABÓ=(2-a)-a=2-2a이고
∴ a=2'2 (∵ a>0)
D(a, -aÛ`+2a)
그런데 ABCD가 정사각형이므로 ABÓ=ADÓ에서
이차함수 y=axÛ`+bx+ab+1의 그 y
2-2a=-aÛ`+2a, aÛ`-4a+2=0
래프를 그려 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a=2-'2 (∵ 0<a<1)
따라서 a>0이고 x축과 두 점
O 1 3 x 따라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 0), (3, 0)에서 만나므로
2-2a=2-2(2-'2)=2'2-2
y=a(x-1)(x-3)
∴ ABCD=(2'2-2)Û`=12-8'2

1. 이차함수의 그래프 69
2 이차함수의 활용
STEP
주제별 실력다지기 124~127쪽

7 ㄴ, ㄷ -240 -16ÉyÉ8 ⑴ ㄷ, ㅂ ⑵ ㄱ, ㄹ ⑶ ㄴ, ㅁ

⑴ m>-5 ⑵ -5 ⑶ m<-5 k<-7 y=;2#;x+;2%; -2 yÉ9

-3 ④ a<0, b>0, aÛ`-4b>0 ;4#; 8'5`cm

208`m 20000원 562500원

최상위 08
NOTE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는 이차방정식 axÛ`+bx+c의 실근의 개수와 같다. 이때 이차방정식 axÛ`+bx+c=0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의 부호에 따라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 axÛ`+bx+c=0의 근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
가 성립한다.

D>0 D=0 D<0

axÛ`+bx+c=0의 근 서로 다른 두 실근 중근 근이 없다.
y=axÛ`+bx+c의 그래프와
2 1 0
x축의 교점의 개수

a>0
x x x
y=axÛ`+bx+c
의 그래프
x
x
x
a<0

70 ⅠV 이차함수
문제 풀이

y=4xÛ`-8x+a ㄱ. x축과 접하므로 한 점에서 만난다.


=4(xÛ`-2x+1)+a-4 ㄴ. x축과 만나지 않는다.
=4(x-1)Û`+a-4 D
ㄷ. =2Û`-(-1)_0>0
4
따라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y¾a-4이므로 (1, a-4)
이므로 x축과 두 점에서 만난다.
a-4=3 ∴ a=7
D
ㄹ. =(-2)Û`-1_4=0
4
이므로 x축과 한 점에서 만난다.

ㅁ. D=0Û`-4_{-;2!;}_(-1)<0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꼭짓점의 좌표가 (2, 2)이 이므로 x축과 만나지 않는다.
므로 D
ㅂ. =1Û`-1_(-1)>0
y=-(x-2)Û`+2=-xÛ`+4x-2 4
이므로 x축과 두 점에서 만난다.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면 오른 y

쪽 그림과 같다.
ㄱ. 그래프는 제2사분면을 지나지 않
x
는다. xÛ`-2x-1=2x+m에서
ㄷ. a=4, b=-2이므로 a+b=2 xÛ`-4x-m-1=0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D
=(-2)Û`-(-m-1)=m+5
4
꼭짓점의 좌표, 축의 방정식, x축과의 두 교점 중 어떤 조건이 주어
D
졌느냐에 따라 이차함수의 식을 놓는 방법이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이 ⑴ >0에서 m+5>0
4
차함수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2이므로 이차함수의 식을
y=a(x-2)`+b로 놓는다. ∴ m>-5
D
⑵ =0에서 m+5=0
4
∴ m=-5
D
⑶ <0에서 m+5<0
4
x축과의 교점의 좌표가 (-5, 0), (-1, 0)이고, 이 ∴ m<-5
차항의 계수가 a이므로
y=a(x+5)(x+1)=axÛ`+6ax+5a
에서 b=6a, c=5a
또 y=axÛ`+6ax+5a=a(x+3)Û`-4a x축과의 교점이 없으므로 2xÛ`-8x+1-k=0의 판별식
D
꼭짓점의 좌표는 (-3, -4a)이고, yÉ8이므로 <0이다.
4
-4a=8 ∴ a=-2 D
=(-4)Û`-2(1-k)<0 ∴ k<-7
따라서 a=-2, b=-12, c=-10이므로 4
다른 풀이
abc=-240
y=2xÛ`-8x+1-k=2(x-2)Û`-7-k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2, -k-7)
따라서 그래프가 x축보다 위쪽에만 그려지므로
-k-7>0 ∴ k<-7
y=-xÛ`-4x+5=-(x+2)Û`+9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2, 9)이다.
이때 꼭짓점의 x좌표가 -1ÉxÉ3의 범위 안에 있지 않으
므로 2xÛ`=3x+5에서 xÛ`=;2#;x+;2%;
`f(-1)=-1+4+5=8
따라서 y=xÛ`외에 필요한 다른 일차함수의 식은
f(3)=-9-12+5=-16
따라서 y의 값의 범위는 -16ÉyÉ8 y=;2#;x+;2%;

2. 이차함수의 활용 71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축 x=-1에 대하여 대 f(x)=xÛ`+ax+b y f(x)=xÛ +ax+b

칭이므로 x축과의 두 교점은 (-3, 0), (1, 0)이다. aÛ`


={x+;2A;}Û`- +b
4
따라서 axÛ`+bx+c=0의 두 근이 -3, 1이므로 두 근의
의 그래프와 x축이 x축의 양의 부 x
합은 -3+1=-2 O
분에서 만나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축은 y축의 오른쪽에 있고,
y=-xÛ`-4x+c y
(y절편)>0, (꼭짓점의 y좌표)<0이어야 한다.
=-(x+2)Û`+4+c aÛ`
-;2A;>0, b>0, - +b<0
이므로 꼭짓점의 x좌표가 -2이고, 4
A P B
ABÓ=6이므로 축의 대칭성에 의해 -2 O x ∴ a<0, b>0, aÛ`-4b>0
다른 풀이
PAÓ=PBÓ=3
∴ A(-5, 0), B(1, 0) 이차방정식 xÛ`+ax+b=0의 두 실근을 각각 a, b라 하면

y=-xÛ`-4x+c에 점 B(1, 0)을 대입하면 서로 다른 두 양의 근을 가질 조건은

-1-4+c=0 ∴ c=5 D=aÛ`-4b>0, a+b=-a>0, ab=b>0

따라서 y=-xÛ`-4x+5=-(x+2)Û`+9에 대하여 대응하는 ∴ a<0, b>0, aÛ`-4b>0

y의 값이 범위는 yÉ9
다른 풀이 y=3-;2#;x이므로 점 P의 x좌 y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x축과의 교점의 x좌표가 표를 a(0ÉaÉ2)라 하면 3


-5, 1이므로 P¦a 3-;2#;a¥
P{a, 3-;2#;a}, H(a, 0)이므로
y=-(x+5)(x-1)
O H 2 x
=-xÛ`-4x+5 △OPH=;2!;_a_{3-;2#;a}
=-(x+2)Û`+9
=-;4#;aÛ`+;2#;a
따라서 y의 값이 범위는 yÉ9
=-;4#;(a-1)Û`+;4#;

y=xÛ ` , y=ax+b의 두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인


따라서 △OPHÉ;4#;이므로
-3, 1은 xÛ`=ax+b의 두 근이다.
따라서 xÛ`-ax-b=0의 두 근은 -3, 1이므로 구하는 △OPH의 최대의 넓이는 ;4#;이다.

두 근의 곱은 -3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Ó를 y축, y

BCÓ를 x축, 점 B를 원점에 대응시키 20 A D


이차항의 계수가 a이고, 두 근이 -1, 2이므로 P(0 20-x)
a(x+1)(x-2)=0, axÛ`-ax-2a=0 면 A(0, 20), B(0, 0), C(24, 0)이
C
∴ b=-a, c=-2a 고, x초 후의 점 P, Q의 좌표는 O(B) Q(2x 0) 24 x

즉 y=cxÛ`+bx+a P(0, 20-x), Q(2x, 0)이다.

=-2axÛ`-ax+a PQÓ="Ã(2x)Û`+(20-x)Û`

=-a(2xÛ`+x-1) yy`㉠ ="Ã5xÛ`-40x+400

따라서 ㉠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Ã5(x-4)Û`+320

2xÛ`+x-1=-a(x+1)(2x-1)=0의 두 근인 이므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PQÓ¾'¶320이므로 PQÓ의

`x=-1 또는` x=;2!;이다. 최소 거리는 '¶320=8'5`(cm)이다.

또 주어진 조건에서 a>0이므로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 y
c=-2a<0 C 100
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꼭짓 1 +100¥
따라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y D
P¦a -;16;aÛ
점이 C(0, 100)이고, 점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B(40, 0)을 지나는 포물선 B
O(A) 40 x
O x
;2!; 이 된다.
이때 포물선의 식은

72 ⅠV 이차함수
y=-;1Á6;xÛ`+100 (0<x<40) 가격을 x원 올렸다고 하면 2x개가 덜 팔리므로 총 판

이고, 점 P의 x좌표를 a라 하면 P{a, -;1Á6;aÛ`+100} 매 금액 P는


P=(50+x)(300-2x)
이므로 상가 밑면의 둘레의 길이 l은
=-2xÛ`+200x+15000
l=2{a-;1Á6;aÛ`+100} =-2(x-50)Û`+20000

=-;8!;aÛ`+2a+200 따라서 PÉ20000이므로 구하는 최대 매출액은 20000원이


다.
=-;8!;(aÛ`-16a)+200

가격을 500x원 내리면 20x개가 더 팔리므로 이익 S는


=-;8!;(a-8)Û`+208
S=(20000-500x)(100+20x)-15000(100+20x)
따라서 lÉ208이므로 구하는 l의 최대 길이는 208`m이다.
=-10000xÛ`+50000x+500000
=-10000(xÛ`-5x)+500000

=-10000{x-;2%;}Û`+562500

따라서 SÉ562500이므로 최대 이익은 562500원이다.

STEP
실력 높이기 128~132쪽

3 a=5, b=-5 a=-2, b=-4, c=6 a+b¾-;4%; -4É2x+yÛ`É5

a>;1#2&; B(2, 4) 1 -13 -4 k<:ª8°:

b+c
2<b<3 2, 8, 18 a=2, b=-4, c=-7 2
2

2 y=x+4 b=3, c=2 5일

문제 풀이
r

꼭짓점의 좌표가 (1, 3)이고, 이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고, y의 값의 범위는

y=xÛ`+2ax+b -5ÉyÉ4이다.

=(x-1)Û`+3 ∴ a=5, b=-5

=xÛ`-2x+4
따라서 2a=-2, b=4이므로
x축과 두 점 (-3, 0), (1, 0)에서 만나므로
a=-1, b=4
y=a(x+3)(x-1)
∴ a+b=3
이고, 축의 대칭성에 의해 축의 방정식은 x=-1이다.
또한 yÉ8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1, 8)이다.
y=xÛ`-4x-1=(x-2)Û`-5
즉 8=a_2_(-2) ∴ a=-2
이므로 y¾-5이다.
따라서 y=-2(x+3)(x-1)=-2xÛ`-4x+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진 조건에 의 y
4 ∴ a=-2, b=-4, c=6
해 f(a)=4이므로
12
aÛ`-4a-1=4, aÛ`-4a-5=0 O a x
-1
∴ a=5 (∵ a>2) 점 P(a, b)는 y=xÛ`-4x+1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5
따라서 x의 값의 범위는 1ÉxÉ5이 b=aÛ`-4a+1

2. 이차함수의 활용 73
∴ a+b=aÛ`-3a+1 서술형

={a-;2#;}Û`-;4%; 표현 단계 축의 방정식이 x=-1이고, y

x축과 만나는 두 점 사이의


따라서 a+b¾-;4%;이다.
거리가 8이므로 주어진 이차 x
-5 O 3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이 x축과 두 점 x=-1

yÛ`=4-xÛ`이고 4-xÛ`¾0이므로 y (-5, 0), (3, 0)에서 만난다.


5
xÛ`-4É0 ∴ -2ÉxÉ2 4 변형 단계 즉 두 점 (-5, 0), (3, 0)은 y=xÛ`+ax+b의 그
2x+yÛ`=2x+4-xÛ` 래프 위의 점이므로 각각 대입하면
-2
O 1 2 x
=-xÛ`+2x+4 -5a+b+25=0
[
=-(x-1)Û`+5 (-2ÉxÉ2) -4 3a+b+9=0
오른쪽 그림에서 -4É2+yÛ`É5 풀이 단계 위의 연립방정식을 풀면 a=2, b=-15
확인 단계 ∴ a+b=-13
다른 풀이

이차함수 y=3xÛ`-5x+a-1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 변형 단계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x축과 두 점`(-5, 0),
지 않으므로 x절편이 존재하지 않는다. (3, 0)에서 만나므로
따라서 3xÛ`-5x+a-1=0에서 y=(x+5)(x-3)=xÛ`+2x-15 yy`㉠
D=(-5)Û`-4_3(a-1)<0이므로 37-12a<0 풀이 단계 ㉠과 y=xÛ`+ax+b를 비교해 보면
a=2, b=-15
∴ a>;1#2&;
확인 단계 ∴ a+b=-13

서술형 y=axÛ`, y=-bx-c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이


표현 단계 점 A(-1, a)는 y=xÛ`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차방정식 axÛ`+bx+c=0의 근이므로 두 근은 2, -1이다.

대입하면 a=1 따라서 a(x-2)(x+1)=0에서 axÛ`-ax-2a=0

∴ A(-1, 1) b=-a, c=-2a


변형 단계 또한 점 A(-1, 1)은 직선 y=x+k 위의 점이므 이때 y=axÛ`, y=ax+2a의 교점의 좌표가 (-1, 2)이므

로 대입하면 1=-1+k에서 k=2 로 y=axÛ`에 x=-1, y=2를 대입하면 a=2


풀이 단계 따라서 y=xÛ`의 그래프와 직선 y=x+2의 교점의 ∴ b=-2, c=-4

x좌표는 ∴ a+b+c=-4

xÛ`=x+2, xÛ`-x-2=0
(x-2)(x+1)=0 ∴ x=2 또는 x=-1
교점이 2개이므로 2xÛ`-6x+3=x-k
즉 x=2를 y=xÛ`에 대입하면 y=4
즉 2xÛ`-7x+3+k=0의 근이 2개이다.
확인 단계 ∴ B(2, 4)
따라서 D=(-7)Û`-4_2(3+k)>0이므로
49-24-8k>0

∴ k<:ª8°:
xÛ`-2ax+a=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x축과 만나는 두 점은 (a, 0), (b, 0)이고
a+b=2a, ab=a
y=axÛ`-2ax+b
|a-b|="Ã(a+b)Û`-4ab
=a(xÛ`-2x)+b
="Ã4aÛ`-4a='5 y
=a(x-1)Û`-a+b
∴ 4aÛ`-4a-5=0
이므로 축의 방정식은 x=1이다.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a의 값들의 합은 a b
따라서 -1<a<0이므로 축의 대칭 -1 O 2 3 x
-4
- =1 성에 의해 2<b<3이다. x=1
4
74 ⅠV 이차함수
a=4, b=4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따라서 ㉠에서
;2!;xÛ`-k=0에서
2xÛ`+4x-4=0, xÛ`+2x-2=0
xÛ`=2k ∴ x=Ñ'2Œk ∴ x=-1Ñ'3
따라서 x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y=-xÛ`+b=-xÛ`+4이므로
('2Œk, 0), (-'2Œk, 0)이므로 P(-1+'3, 2'3), Q(-1-'3, -2'3)
ABÓ='2Œk-(-'2Œk)=2'2Œk 2'3-(-2'3)
∴ ( PQê의 기울기)=
이고 k는 자연수이므로 '2Œk가 정수가 되면 된다. (-1+'3)-(-1-'3)
따라서 2k는 제곱수가 되어야 하고 k는 20보다 작은 자연 4'3
=
2'3
수이므로 k=2, 8, 18
=2
다른 풀이
y=axÛ`+bx+c
㉠에서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1+'3이고 a, b가 유리수
b bÛ`
=a{x+ }Û`- +c 이므로 다른 한 근은 켤레근인 -1-'3이다.
2a 4a
b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에서 축의 방정식이 x=- =1이므로`
2a
(두 근의 합)=(-1+'3)+(-1-'3)=-;2A;
b=-2a
포물선 y=axÛ`-2ax+c와 직선 y=2x+1의 교점의 x좌 이므로 -2=-;2A; ∴ a=4
표가 4, -1이므로 axÛ`-2ax+c=2x+1, 즉
(두 근의 곱)=(-1+'3)_(-1-'3)=-;2B;
axÛ`-2(a+1)x+c-1=0의 두 근이 -1, 4이다.
2(a+1) 이므로 -2=-;2B; ∴ b=4
Ú (두 근의 합)= =3이므로
a
3a=2a+2 ∴ a=2, b=-4
c-1
Û (두 근의 곱)= =-4이므로
a △CAD:△CDB=1:2에서
c-1=-4a, c-1=-8 ∴ c=-7 ACÓ`:`CBÓ=1`:`2이므로
∴ a=2, b=-4, c=-7 y=xÛ`과 y=ax+8의 교점의 x좌표를 -k, 2k(k>0)라 하
면 xÛ`=ax+8, 즉 xÛ`-ax-8=0의 두 근이 -k, 2k이므로

이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Ú (두 근의 합)=-k+2k=a에서 k=a

f(x)=(x-a)(x-b) Û (두 근의 곱)=-k_2k=-8에서 kÛ`=4

g(x)=(x-a)(x-c) ∴ k=2`(∵ k>0)

로 놓으면 Ú, Û에서 a=2

f(x)+g(x)=(x-a)(2x-b-c)
이므로 방정식 f(x)+g(x)=0의 두 근은
서술형
b+c
`x=a 또는 x=
2 표현 단계 y=-xÛ`-2x+8
b+c =-(xÛ`+2x+1-1)+8
따라서 a 이외의 근은 이다.
2
=-(x+1)Û`+9
이므로 꼭짓점은 A(-1, 9)
두 식을 연립하면
x축과의 교점인 점 B와 C의 좌표는 y=0을 대입
xÛ`+ax=-xÛ`+b
하면
∴ 2xÛ`+ax-b=0 yy`㉠
-xÛ`-2x+8=0에서 xÛ`+2x-8=0
이 방정식의 한 근이 -1+'3이고, a, b가 유리수이므로
(x+4)(x-2)=0 ∴ x=-4 또는 x=2
대입하여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한다.
∴ B(-4, 0), C(2, 0)
2(-1+'3)Û`+a(-1+'3)-b=0
변형 단계 직선 l이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ACÓ의
(8-a-b)+(a-4)'3=0
-1+2 9+0
중점 { , }={;2!;, ;2(;}를 지나면 된다.
에서 8-a-b=0, a-4=0이므로 2 2

2. 이차함수의 활용 75
풀이 단계 두 점 (-4, 0), {;2!;, ;2(;}를 지나는 직선을 그래프 -b+c=-1, 3b+c=11

로 하는 일차함수의 식을 구하면 ∴ b=3, c=2

;2(;-0
(기울기)= =1 현재의 사과의 양과 가격을 각각 m, p라 할 때,
;2!;-(-4)
x일 후의 사과의 양과 가격은 각각 m{1+;1Á0;x},
즉 y=x+k가 점 (-4, 0)을 지나므로
0=-4+k ∴ k=4 p{1-;2Á0;x}이다.

확인 단계 따라서 구하는 일차함수의 식은 y=x+4이다. 이때 x일 후의 수입을 y원이라 하면

y=mp{1+;1Á0;x}{1-;2Á0;x}
y=x-1과 y=-xÛ`+bx+c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
표가 -1, 3이므로 x-1=-xÛ`+bx+c, 즉 =mp{1+;2Á0;x-;20!0;xÛ`}

xÛ`+(1-b)x-1-c=0의 두 근이 -1, 3이다. mp


=- (xÛ`-10x-200)
200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mp
(두 근의 합)=-1+3=-(1-b) ∴ b=3 =- (x-5)Û`+;8(;mp
200
(두 근의 곱)=-1_3=-1-c ∴ c=2
따라서 yÉ;8(;mp이고, 그때의 x의 값은 5이므로 5일 후에
다른 풀이
팔면 최대의 수입을 얻을 수 있다.
그래프를 그려 보면 오른쪽 그림과 y
y=x-1
같고 y=x-1에서 A(-1, -2),
B
B(3, 2)이다.
-1 O
3 x
y=-xÛ`+bx+c에 점 A, B의 좌
A
표를 각각 대입하면
y=-xÛ +bx+c

STEP
최고 실력 완성하기 133~134쪽

yÉ3 (a-b)Û`¾7 f(m)É-3 150원, 4500원 B{;3@;, ;9!;} y=x+1

P(2, 6) 2 2'5

문제 풀이

(a-b)Û`=(a+b)Û`-4ab
a에 관한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므로
D =(2a)Û`-4(a-2)
=4(x-1)Û`-4(2x-y)=0
4 =4aÛ`-4a+8
(x-1)Û`-(2x-y)=0
=4{a-;2!;}Û`+7
xÛ`-2x+1-2x+y=0
따라서 (a-b)Û`¾7이다.
∴ y=-xÛ`+4x-1
=-(x-2)Û`+3
따라서 yÉ3이다. y=xÛ`-2mx-8m-19
=(xÛ`-2mx+mÛ`-mÛ`)-8m-19
이차방정식 xÛ`-2ax+a-2=0의 두 근이 a, b이므로 =(x-m)Û`-mÛ`-8m-19
a+b=2a, ab=a-2 따라서 y¾-mÛ`-8m-19이므로

76 ⅠV 이차함수
f(m)=-mÛ`-8m-19
△ABP는 밑변을 ABÓ로 갖는 삼각 y
=-(mÛ`+8m+16-16)-19 형이므로 높이가 최대가 되는 경우를 찾
=-(m+4)Û`-3 는다. A P
따라서 f(m)É-3이다.
즉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AB에 평행
하고 포물선에 접하는 직선이 있을 때,
O B x
그 접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가 최
주어진 조건에 의해 상품 한 개당 판매 가격을 대가 되므로 이 경우에 △ABP의 넓이
(100+x)원으로 정하면 판매 개수는 (400-2x)개가 된다. 가 최대가 된다.
총 판매 금액을 f(x)라 하면 따라서 두 함수 y=-3x+m, y=-3xÛ`+9x의 그래프가
f(x)=(100+x)(400-2x) 접하므로 연립하면 중근을 갖는다.
=-2xÛ`+200x+40000 -3x+m=-3xÛ`+9x에서 3xÛ`-12x+m=0
=-2(xÛ`-100x+2500-2500)+40000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2(x-50)Û`+45000 D
=36-3m=0 ∴ m=12
4
이므로 x=50일 때, 총 판매 금액은 최대 금액 45000이다.
그러므로 점 P의 x좌표는 3xÛ`-12x+12=0에서
따라서 총 판매 금액을 최대로 하는 상품 한 개당 판매 가격
xÛ`-4x+4=0, (x-2)Û`=0 ∴ x=2
은 100+50=150(원)이고, 총 판매 금액은 45000원이다.
x=2를 y=-3xÛ`+9x에 대입하면 y=6이므로
P(2, 6)

점 A의 좌표를 (a, aÛ`)(a>0)이라 하면


점 D의 좌표는 (a, 4aÛ`)이므로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점 C의 y좌표는 4aÛ`이 되고 점 C는 y=xÛ` 위의 점이므로 xÛ`+(a-4)x-1=0의 두 근이다.
4aÛ`=xÛ`에서 x=2a`(∵ a>0) xÛ`+(a-4)x-1=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2a, 4aÛ`)이 된다. a+b=-a+4, ab=-1
ABCD는 정사각형이므로 ADÓ=CDÓ이고 두 교점 사이의 거리는
ADÓ=4aÛ`-aÛ`=3aÛ`, CDÓ=2a-a=a이므로 |a-b|="Ã(a+b)Û`-4ab

3aÛ`=a ∴ a=;3!; ="Ã(-a+4)Û`+4="Ã(a-4)Û`+4`


따라서 구하는 최소거리는 '4=2이다.
따라서 점 B(2a, aÛ`)이므로 B {;3@;, ;9!;}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B

2x-10
OPÓ=x라 하면
CDÓ=PQÓ=10-x, C 10-x D
직선 PQ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BCÓ=x-(10-x) P
점 (1, 2)를 지나므로 O Q
x
=2x-10 10-x
y-2=m(x-1) ∴ y=mx-m+2 10
△BCD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포물선 y=xÛ`, 직선 y=mx-m+2의 교점의 x좌표를
BDÓ="Ã(2x-10)Û`+(10-x)Û`
a, b라 할 때, a, b는 방정식
="Ã5xÛ`-60x+200
xÛ`=mx-m+2, 즉 xÛ`-mx+m-2=0 yy`㉠
="Ã5(x-6)Û`+20 (0<x<10)
의 두 근이다.
따라서 BDÓ¾'2Œ0=2'5이다.
점 P(a, aÛ`), Q(b, bÛ`)이고 직선 PO와 QO의 기울기는 각
aÛ` bÛ`
각 =a, =b이고, POÓ⊥QOÓ이므로
a b
ab=-1 yy`㉡
㉠, ㉡에서 ab=m-2=-1 ∴ m=1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x+1

2. 이차함수의 활용 77
ⅠV 단원 종합 문제 135~138쪽

④ 5 y=;2!;xÛ`-2x+3 x>-3 -4 또는 3 ③

제4사분면 제3사분면 풀이 참조 y=1 (-1, 0) 3

k<0, 0<k<;3!; Q(3-3'2, 0) B(4, 16) -2, 2 ;3@;<a<;2#; y=-;2#;x+2

-3 y=-xÛ`+4x+5 a+b¾2 P(2, -2) 15 2750

1시간 24분

문제 풀이

이차항의 계수의 절댓값이 클수록 포물선의 폭은 좁 따라서 kÛ`+k=12, kÛ`+k-12=0이므로

아진다. (k+4)(k-3)=0

따라서 이차항의 계수의 절댓값이 가장 작은 것은 ④이다. ∴ k=-4 또는 k=3

주어진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y=-xÛ`+2x=-(x-1)Û`+1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1, 1)
ab<0 ∴ b<0
y=-xÛ`-4x+5=-(x+2)Û`+9이므로
또 y절편이 음수이므로 c<0
꼭짓점의 좌표는 (-2, 9)
① ab<0 ② bc>0 ③ ac<0
따라서 점 (1, 1)을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
④ f(1)=a+b+c<0
로 n만큼 평행이동한 점의 좌표가 (-2, 9)이므로
⑤ f(2)=4a+2b+c>0
m=-3, n=8 ∴ m+n=5
다른 풀이
a>0이므로 아래로 볼록하고, a, b의 부호가 다르므
y=-(x-1)Û`+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
로 축은 y축의 오른쪽에 있으며 y절편은 0이다.
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하면 y
따라서 이차함수 y=axÛ`+bx의 그래
y=-(x-m-1)Û`+1+n
프를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y=-xÛ`+2(m+1)x-(m+1)Û`+1+n
꼭짓점은 제4사분면 위에 위치한다.
x
이 식이 y=-xÛ`-4x+5와 같으므로 O

2(m+1)=-4, -(m+1)Û`+1+n=5
∴ m=-3, n=8 ∴ m+n=5
주어진 그래프가 아래로 볼록하므로 a>0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x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 대신 -y를 대입한다. ab<0 ∴ b<0

-y=-;2!;xÛ`+2x-3 ∴ y=;2!;xÛ`-2x+3 또, y절편이 음수이므로 c<0


y
∴ ;aB;<0, ;bC;>0

따라서 직선 y=;aB;x+;bC;는 오른쪽 그림


y=-;3@;xÛ`-4x-7=-;3@;(xÛ`+6x)-7
O x
과 같으므로 제3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3@;(x+3)Û`-1

따라서 꼭짓점의 좌표가 (-3, -1)이고, 위로 볼록한 포 주어진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a>0, b>0이다.
물선이므로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이 감소하는 x의 값 따라서 y=axÛ`+2abx+abÛ`=a(x+b)Û`에서 이차항의 계
의 범위는 x>-3이다. 수 a>0이므로 아래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좌표는
(-b, 0)이다. y

주어진 이차함수는 꼭짓점의 y의 값이 12이므로 이때 -b<0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

y=-xÛ`+2kx+k=-(xÛ`-2kx+kÛ`-kÛ`)+k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b O x
=-(x-k)Û`+kÛ`+k

78 ⅠV 이차함수
y=xÛ`-4x+5=(x-2)Û`+1 y=;3!;xÛ`-2x+3=;3!;(x-3)Û`
이므로 꼭짓점의 좌표는 (2, 1)이다. 이므로 꼭짓점 P(3, 0)
따라서 두 점 (2, 1), (3,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절편이 3이므로 A(0, 3)
y=1이다. 따라서 APÓ="Ã3Û`+3Û`='1Œ8=3'2이므로
Q(3-3'2, 0)

y=-xÛ`+2x+a에 점 (3, 0)을 대입하면 두 식을 연립하면 xÛ`=ax+8이고, 이 방정식의 한 근


0=-9+6+a ∴ a=3 이 -2이므로 `대입하면
즉, y=-xÛ`+2x+3의 그래프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4=-2a+8 ∴ a=2
-xÛ`+2x+3=0에서 xÛ`=2x+8에서 xÛ`-2x-8=0, (x+2)(x-4)=0
xÛ`-2x-3=0, (x-3)(x+1)=0 ∴ x=-2 또는` x=4
∴ x=3 또는 x=-1 따라서 점 B의 x좌표는 4이고 y=xÛ`에 x=4를 대입하면
따라서 다른 한 점의 좌표는 (-1, 0)이다. y=16이므로 B(4, 16)이다.

두 함수 y=xÛ`과 y=a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를


y=xÛ`+2x-3=(x+1)Û`-4
구하면
이므로 꼭짓점 C(-1, -4)
xÛ`=ax에서 xÛ`-ax=0, x(x-a)=0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xÛ`+2x-3=0에서
∴ x=0 또는` x=a
(x+3)(x-1)=0
따라서 두 교점의 좌표는 (0, 0), (a, aÛ`)이므로
∴ x=1 또는 x=-3
ABÓ="ÃaÛ`+aÝ`=2'5에서
즉, A(-3, 0)
aÝ`+aÛ`-20=0, (aÛ`-4)(aÛ`+5)=0
y절편이 -3이므로 B(0, -3)
aÛ`=4 (∵ aÛ`>0) ∴ a=Ñ2
△ABC=3_4-{;2!;_3_3+;2!;_1_1+;2!;_4_2}
=12-9=3 y=xÛ`+4x+3과 y=-x-3의 그래프의 두 교점의 x

다른 풀이 좌표는 xÛ`+4x+3=-x-3에서
-3 0 -1 -3 xÛ`+5x+6=0, (x+2)(x+3)=0
△ABC=;2!;| |
0 -3 -4 0 ∴ x=-2 또는` x=-3

=;2!;|9-15|=3 즉 두 교점의 좌표는 y ㉡



(-2, -1),(-3, 0)이고, 직선 2
참고
y=ax+2는 y절편이 2이므로 오
세 점 (xÁ, yÁ), (xª, yª), (x£, y£)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넓 -3 -2
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과 ㉡ O x
이 S는
사이에 있다. -1
xÁ xª x£ xÁ
S=;2!;| | Ú (-3, 0), (0, 2)를 지날 때
yÁ yª y£ yÁ
=;2!;|(xÁyÁ+xª y£+x£ yÁ)-(xªyÁ+x£ yª+xÁ y£)| 0-2
(직선 ㉠의 기울기)= =;3@;
점선 부분의 곱의 합 실선 부분의 곱의 합
-3-0
Û (-2, -1), (0, 2)를 지날 때
-1-2
(직선 ㉡의 기울기)= =;2#;
-2-0
kxÛ`-2(k-1)x+k+1=0 따라서 Ú, Û에서 직선 y=ax+2의 기울기인 a의 값의
이 서로 다른 두 근을 가지려면
범위는 ;3@;<a<;2#;
D
=(k-1)Û`-k(k+1)>0
4

-3k+1>0 ∴ k<;3!; -2xÛ`=3x-4에서 양변을 -2로 나누면

그런데 y=kxÛ`-2(k-1)x+k+1은 이차함수이므로 k+0 xÛ`=-;2#;x+2이므로

∴ k<0, 0<k<;3!; y=xÛ`, y=-;2#;x+2의 그래프가 필요하다.

단원 종합 문제 79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x+2
물건의 처음 가격을 a원, 판매량을 b개라 하면 x일 후

의 가격은 a{1+;10%0;x}원, 판매량은 b{1-;10@0;x}개이므로

두 교점은 세 그래프를 모두 지나므로 y=-xÛ`+9와 (판매 수입)=(가격)_(판매량)


y=-2x+6의 교점을 구하면
=ab{1+;10%0;x}{1-;10@0;x}
-xÛ`+9=-2x+6에서
xÛ`-2x-3=0, (x+1)(x-3)=0 =;10A0B0;(20+x)(50-x)
∴ x=-1 또는 x=3
=;10A0B0;(-xÛ`+30x+1000)
즉, 두 교점은 (-1, 8), (3, 0)이므로
y=axÛ`+bx+3에 각각 대입하면 =-;10A0B0;(x-15)Û`+;4$0(;ab(원)
a-b+3=8, 9a+3b+3=0
따라서 yÉ;4$0(;ab에서 판매 수입의 최대는 ;4$0(;ab이고 그때
즉, a-b=5, 3a+b=-1이므로
의 x의 값은 15이므로 x=15일 때, 판매 수입은 최대이다.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 a+b=-3
가격이 (3000+10x)원이면 판매량은 (100-2x)kg
이므로 판매 금액은 (3000+10x)(100-2x)원이고, 원가
x축과 두 점 (-1, 0), (5, 0)에서 만나므로 는 2000(100-2x)원이다.
y=a(x+1)(x-5)로 놓으면 대칭축은 x=2이므로 꼭짓 따라서 하루의 이익 P는
점의 좌표는 (2, 9)이다. P=(3000+10x)(100-2x)-2000(100-2x)
y=a(xÛ`-4x-5)=a(x-2)Û`-9a =(1000+10x)(100-2x)
따라서 -9a=9에서 a=-1이므로 구하는 포물선의 방정 =-20(x+100)(x-50)
식은 y=-xÛ`+4x+5 =-20(xÛ`+50x-5000)
=-20(x+25)Û`+112500

점 P(a, b)가 y=2xÛ`+3x+4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 따라서 x=-25일 때 P는 최대가 되므로

로 x=a, y=b를 각각 대입하면 b=2aÛ`+3a+4 a=3000+10_(-25)=2750(원)씩 판매할 때 최대 이익

∴ a+b=a+(2aÛ`+3a+4)=2aÛ`+4a+4 을 낸다.

=2(aÛ`+2a+1-1)+4=2(a+1)Û`+2
∴ a+b¾2
교차점의 좌표를 O(0, 0) y

으로 하면
O x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y
y=xÛ -2x-2
-5
A(-5, 0), B(0, -4) A(-5+4t 0) B(0 -4+2t)
y=2x-8
y=2x-8에 평행하고 포물선
1 이므로 t시간 후의 점 A, -4
y=xÛ`-2x-2=(x-1)Û`-3에 O 4 x
P
-2 B의 좌표는
-3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A(-5+4t, 0),
y=2x+m이라고 하면
y=2x+m -8 B(0, -4+2t)이다.
xÛ`-2x-2=2x+m
ABÓ="Ã(4t-5)Û`+(2t-4)Û`
즉, xÛ`-4x-m-2=0에서 판별식 D=0이므로
="Ã20tÛ`-56t+41
D
=4-(-m-2)=0 ∴ m=-6
4 =¾¨20{t-;5&;}Û`+;5(;
따라서 y=xÛ`-2x-2와 y=2x-6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
표를 구하면 따라서 대응하는 ABÓ의 값의 범위는 ABÓ¾®;5(;이므로

xÛ`-2x-2=2x-6에서 xÛ`-4x+4=0 ABÓ가 최소인 ®;5(;일 때의 t의 값은 ;5&;이다.


(x-2)Û`=0 ∴ x=2
x=2를 y=2x-6에 대입하면 y=-2 즉 t=;5&;=1.4(시간)=(1시간 24분)일 때, A와 B의 거리

∴ P(2, -2) 가 가장 짧아진다.

80 ⅠV 이차함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