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0

수학Ⅱ 5 n(A'B)=n(A)+n(B)-n(A;B)에서

n(A;B)=n(A)+n(B)-n(A'B)
=5+6-8

01 집합
=3
n(U)=10, A‚` 'B‚` =(A;B)‚` 에서
n(A‚` 'B‚` )=n((A;B)‚` )
유제 본문 7~11쪽 =n(U)-n(A;B)
=10-3
1③ 2② 3④ 4 15 5③ =7 ③
66

6 조건 (나)에서
(A'B) B‚` =(A B‚` )'(B B‚` )
' ' '
1 A={a, a+1}이므로 B={2a, 2a+1, 2a+2}
=(A
'
B‚` )'∅=A;B‚`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이 12이므로
이때 (A'B);B‚` =A이므로
2a+(2a+1)+(2a+2)=12, a=;2#;
A;B‚` =A
따라서 A=[;2#;, ;2%;]이므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A B‚` =A-(A B)=A이므로
' '

A B=∅
'
;2#;+;2%;=4 ③ 즉, 집합 B는 집합 A의 원소 3, 6을 모두 원소로 갖지 않는다.
또 조건 (가)에서 집합 B의 원소의 개수는 2이므로 집합 B
2 A=B이려면 이차부등식 xÛ`+bx+b+3É0의 해가 x=a
는 1, 2, 4, 5 중 서로 다른 두 수를 원소로 갖는다.
뿐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B는 집합 {1, 2}, {1, 4},
xÛ`+bx+b+3=(x-a)Û`=xÛ`-2ax+aÛ`
{1, 5}, {2, 4}, {2, 5}, {4, 5}의 6개이다. 6
따라서 b=-2a, b+3=aÛ`
이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a+3=aÛ`, aÛ`+2a-3=0
(a+3)(a-1)=0
a=-3 또는 a=1
a>0이므로 a=1, b=-2
따라서 a+b=1+(-2)=-1 ②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2쪽
3 A‚` ={2, 6}이므로
A=U-A‚` ={1, 3, 4, 5} 1② 2④ 3② 47 58
따라서 A-B=A-(A;B)={3, 4}
이므로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합은
1 A B={4, 8}이므로
'
3+4=7 ④
n(A;B)=2 ②
4 U={1, 2, 3, y, 10}, A={1, 2, 4, 8}이고, A'B=U
이므로 집합 B는 3, 5, 6, 7, 9, 10을 모두 원소로 갖는다. 2 두 집합 A, B는 자연수 전체의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a,
A-B+∅에서 AøB이므로 집합 B는 1, 2, 4, 8 중 어 b는 자연수이다.
느 것도 원소로 갖지 않거나 일부를 원소로 가질 수는 있지 Ú a=b이고
 a+2=2이면 a=0, b=0이 되어 a, b가 자
만 모두를 원소로 가지면 안된다. 연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집합 B는 원소 3, 5, 6, 7, 9, 10을 모두 원소로 가 Û a=2이고 a+2=b이면 b=4
지면서 전체집합 U의 진부분집합이어야 하므로 그 개수는 Ú, Û에서 a=2, b=4
210-6-1=15  15 따라서 ab=2_4=8 ④

정답과 풀이 1
정답과 풀이

3 A={1, 3, 5}, B={1, 2, 3, 6}이므로 2 ㄱ. 집합 (A;B)'(A-C)를 벤 6


"
A-B‚` =A (B‚` )‚` =A;B
'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
={1, 3} 쪽과 같다.
따라서 집합 A-B‚` 의 모든 원소의 합은
# $
1+3=4 ②
ㄴ. A;(B'C)‚
 ` =A-(B'C) 6
4 A'B‚` =(A‚` ;B)‚` =(B-A)‚` 이므로 이 집합을 벤 다이어그
"

n(B-A)=n(A'B)-n(A)=8-5=3이므로 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


n(A'B‚` )=n((B-A)‚` )=n(U)-n(B-A) 다.
# $
=10-3=7 7

ㄷ. 집합 A-(C-B)를 벤 다이어 6


5 xÛ`-3x+2=(x-1)(x-2)=0에서
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
"
x=1 또는 x=2
다.
A={1, 2, 3, 4, 5}, B={1, 2}이므로
A-B={3, 4, 5} # $

X-(A-B)=∅에서 X,(A-B)
이상에서 문제에 주어진 벤 다이어그램의 색칠된 부분을 나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타내는 집합과 항상 같은 것은 ㄱ, ㄷ이다. ④
2Ü`=8 8

3 X;B=(A'C) B
'

=(A;B)'(C B)
'

={2, 3}'(C B)
'

n(X;B)=3이려면 집합 C B는 2가 아니고 3도 아닌
'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13쪽
원소 1개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 따라서 a, a+2 중 하나는
1⑤ 2④ 3 10 4 54 5 또는 7이고, 나머지 하나는 전체집합 U의 원소 중 5, 7이
아닌 원소인 1, 2, 3, 4, 6, 8, 9, 10 중 하나이다.
따라서 집합 C가 될 수 있는 집합은 집합 {3, 5}, {7, 9}이
1 T=(A'B)-(A;B) 므로 모든 a의 값의 합은
=(A'B) (A;B)‚`
'
3+7=10  10
={2, 5}
6 6 4 전체집합 U의 모든 원소의 합은
" # " # 1+2+3+4+5+6+7+8+9+10=55
조건 (가)에서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합은
27+30-12=45
그러므로 집합 (A'B)‚` 의 모든 원소의 합은
"# "# .aP
55-45=10
두 집합 A'B, (A;B)‚` 을 벤 다이어그램에 각각 나타내 조건 (나)에서
면 위와 같으므로 n((A'B)‚` )=n(U)-n(A'B)=10-6=4
(A'B)'(A;B)‚` =U 전체집합 U의 원소 중 합이 10이 되는 4개의 수는 1, 2, 3,
즉, U={1, 2, 3, 4, 5, 6} 4뿐이므로
따라서 T‚` =U-T={1, 3, 4, 6} (A'B)‚` ={1, 2, 3, 4}
이므로 집합 T‚` 의 모든 원소의 합은 따라서 A'B={5, 6, 7, 8, 9, 10}이고 5, 6, 7, 8, 9, 10
1+3+4+6=14 ⑤ 중에서 합이 12가 되는 수는 5, 7뿐이므로

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A;B={5, 7} 따라서 6Én(A;B)É13이므로 n(A B)의 최솟
'

이고, 두 집합 A-B, B-A의 모든 원소의 합이 각각 값과 최댓값의 합은 6+13=19 (참)


27-12=15, 30-12=18이 되려면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A-B={6, 9}, B-A={8, 10}
따라서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곱은 구분 파란색(A‚` ) 빨간색(A)
6_9=54  54 홀수(B) 4 x
짝수(B‚` ) 3 13-x
두 집합 A-B, B-A의 모든 원소의 합이 각각 계 7 13
27-12=15, 30-12=18이다.
세 집합 A-B, B-A, A;B의 모든 원소의 합이 모두
10보다 크고, n(A'B)=6이므로
2 20 이하의 자연수 x에 대하여 xÛ`+x=x(x+1)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n(A-B)=n(B-A)=n(A;B)=2
수 있다.
세 집합 A-B, B-A, A;B의 모든 원소의 합이 각각
Ú x 또는 x+1이 3의 배수일 때,
15, 18, 12를 만족하는 경우는
즉, x=3k`(k=1, 2, 3, y, 6) 또는 x=3k-1`(k=1,
A-B={6, 9}, B-A={8, 10}, A;B={5, 7}
2, 3, y, 7)의 꼴일 때, xÛ`+x=x(x+1)을 3으로 나
이므로 집합 A-B의 모든 원소의 곱은
눈 나머지는 0이다.
6_9=54
Û x와 x+1이 모두 3의 배수가 아닐 때,
즉, x=3k-2`(k=1, 2, 3, y, 7)의 꼴일 때, x,
x+1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각각 1, 2이므로
xÛ`+x=x(x+1)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2이다.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14쪽 Ú, Û에서 집합 B의 원소가 될 수 있는 수는 0 또는 2이
다.
1⑤ 2③ 3② 4④
따라서 n(B)=1인 경우는 B={0} 또는 B={2}이다.
이때 B={0}이려면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1 전체집합을 U라 하면 n(U)=20 3k`(k=1, 2, 3, y, 6) 또는 3k-1`(k=1, 2, 3, y, 7)
파란색 공의 집합은 A‚` , 짝수가 적혀 있는 공의 집합은 B‚` 의 꼴이어야 하고, B={2}이려면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이므로 3k-2`(k=1, 2, 3, y, 7)의 꼴이어야 한다.
n(A‚` )=7, n(A‚` ;B‚` )=3 집합 A 중에서 원소의 개수가 가장 큰 집합 X는
ㄱ. A'B=(A‚
 ` ;B‚` )‚` 이므로 3k`(k=1, 2, 3, y, 6)의 꼴의 모든 자연수와
n(A'B)=n(U)-n(A‚` ;B‚` ) 3k-1`(k=1, 2, 3, y, 7)의 꼴의 모든 자연수를 모두 원
=20-3=17 (거짓) 소를 가질 때이고, 이때 B={0}이다.
ㄴ. n(A)=n(U)-n(A‚
 ` )=20-7=13이므로 따라서 n(X)=13 ③
n(A)=n(B)이면 n(B)=13
홀수가 적혀 있는 파란색 공의 개수는 7-3=4이므로 3 72=2Ü`_3Û`이므로
n(B-A)=4 n(B)=(3+1)_(2+1)=12
이때 n(B-A)=n(B)-n(A;B)이므로 n(A‚` B)=n(B-A)=n(B)-n(A;B)이므로
'

4=13-n(A;B), 즉 n(A B)=9 (참) B)=n(B)-n(A‚` ;B)=12-8=4


'
n(A
'

ㄷ. n(A;B)=x로
 놓으면 그러므로 72의 약수 중 k의 배수인 수의 개수가 4가 되도록
n(B)=n(A B)+n(B-A)=x+4
'
하는 k의 값을 구하면 된다.
n(B‚` )=n(U)-n(B)=20-(x+4)=16-x 이때 k는 72의 약수이므로
n(B)¾n(B‚` )이려면 x+4¾16-x, x¾6 k=2m_3n`(m=0, 1, 2, 3, n=0, 1, 2)
또 n(A;B)Én(A)이므로 xÉ13 라 하면

정답과 풀이 3
정답과 풀이

02
72=2Ü`_3Û`=(2m_3n)_(23-m_32-n)
이때 72의 약수 중 k의 배수인 수의 개수는 23-m_32-n의 명제
약수의 개수와 같으므로
{(3-m)+1}_{(2-n)+1}=4
(4-m)(3-n)=4 유제 본문 17~21쪽

Ú 4-m=4이고 3-n=1일 때, 1④ 2③ 3⑤ 4④ 5②
m=0이고 n=2이므로
6④
k=3Û`=9
Û 4-m=2이고 3-n=2일 때,
m=2이고 n=1이므로 1 4<P;Q‚` 이므로 x=4는 조건 p를 만족시키지만 조건 q
k=2Û`_3=12 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Ú, Û에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x=4는 조건 p를 만족시키므로
9+12=21 ② -3<4<k-1, 즉 k>5
x=4는 조건 q를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4 X'A‚` =X B에서 |2_4-2|¾k, 즉 kÉ6
'

X,(X'A‚` )이고 (X;B),X이므로 따라서 5<kÉ6인 자연수 k의 값은 6이다. ④


X'A‚` =X B=X
'

X'A‚` =X에서 A‚` ,X, 2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 하면


X;B=X에서 X,B P={(x, y)|y¾xÛ`, x, y는 실수}
이므로 A‚` ,X,B 6 Q={(x, y)|yÉx-1, x, y는 실수}
#
이때 B-A=B;A‚` =A‚` 이고 R={(x, y)|xÛ`+yÛ`É1, x, y는 실수}
9
n(B-A)=1이므로 "a 이다. 이때 세 조건의 진리집합 ZY™
Z ZY
n(A‚` )=1 이 나타내는 영역을 좌표평면
X={1, 3, 5, 7}이고 A‚` ,X이므 1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로 집합 A‚` 은 집합 {1} 또는 {3} 또는 {5} 또는 {7}이다. 같다. 2

집합 A‚` 의 개수가 4이므로 집합 A의 개수는 4이다. ① PøQ이므로
 명제 p 2Ú q 0  Y
3 
이때 두 집합 A, B의 순서쌍 (A, B)의 개수가 128이므로 는 거짓이다.
집합 B의 개수를 m이라 하면 ② QøP이므로 명제 q 2Ú p는 거짓이다.
4_m=128에서 m=32 ③ P,Q‚` 이므로 명제 p 2Ú ~q는 참이다.
한편, X,B에서 집합 B는 집합 X의 원소 1, 3, 5, 7을 ④ PøR이므로 명제 p 2Ú r는 거짓이다.
모두 원소로 가지므로 이러한 집합 B의 개수 m=2n(U)-4 ⑤ R‚` øQ이므로 명제 ~r 2Ú q는 거짓이다. ③
이다.

ㄱ. 명제 p 2Ú q가 참이더라도 이 명제의 역 q 2Ú p는 참


따라서 2n(U)-4=32에서
n(U)-4=5, 즉 n(U)=9 ④
3
이 아닐 수 있다. [반례] p`:`x¾2, q`:`x¾0
ㄴ. 명제 r 2Ú ~q가 참이므로 이 명제의 대우 q 2Ú ~r도
참이다.
ㄷ. 두 명제 p 2Ú q, q 2Ú ~r가 참이면 명제 p 2Ú ~r가
참이고, 이 명제의 대우 r 2Ú ~p도 참이다.
이상에서 항상 참인 명제는 ㄴ, ㄷ이다. ⑤

4 f(x)=xÛ`+2x-k+8로 놓으면
f(x)=(x+1)Û`+7-k

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그러므로 x>0일 때, f(x)>f(0)이다. -3+(-2)+(-1)+0+1+2=-3 ①
따라서 주어진 명제가 참이 되려면
f(0)=-k+8¾0, 즉 kÉ8 2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¾0이므로 xÛ`=5-a를 만족시키
이므로 자연수 k의 개수는 8이다. ④ 는 실수 x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려면
xÛ`=5-a¾0, aÉ5
5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a}이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5이다. ④
고,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려면 P,Q이어야 하므
로 a<Q이다. 3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 하면
따라서 aÛ`+aÛ`-8=0, 즉 aÛ`=4 P={3}, Q={-3, 3}, R={x|0ÉxÉ3}
a>0이므로 a=2 ② ① QøP이므로 명제 p 2Ú q의 역 q 2Ú p는 거짓이다.
② RøP이므로 명제 p 2Ú r의 역 r 2Ú p는 거짓이다.
'x+2  ` øQ이므로 명제 q 2Ú ~r의 역 ~r 2Ú q는 거짓이다.
6 ¾¨
x+k
2
>0,
2
>0이므로 모든 양수 x에 대하여 ③ R‚
④ QøR‚` 이므로 명제 ~r 2Ú q의 역 q 2Ú ~r는 거짓이다.
x+k 'x+2
부등식 ¾¨ ¾ 가 성립할 필요충분조건은  ` ,P‚` 이므로 명제 ~p 2Ú ~q의 역 ~q 2Ú ~p는 참
⑤ Q‚
2 2
'x+2 Û
이다. ⑤
x+k Û
{¾¨ }`-{ }`¾0
2 2
이다. 4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자.
x+k Û 'x+2 Û x+k x+4'x+4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려면 Q,P이어야 한다.
{¾¨ }`-{ }`= -
2 2 2 4 따라서 a<4이므로 자연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③
x-4'x+2k-4
=
4 aÛ`
5 xÛ`+axy+yÛ`¾0에서 {x+;2A;y}Û`+{1- }yÛ`¾0yy`㉠
4
{('x)Û`-4'x+4}+2k-8
=
4 x=-;2A;y일 때도 부등식 ㉠이 성립해야 하므로
('x-2)Û`+2k-8 aÛ`
= ¾0 {1- }yÛ`¾0 yy`㉡
4 4
('x-2)Û`+2k-8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부등식 ㉡이 성립하려면
이때 은 'x=2, 즉 x=4일 때 최솟값
4 aÛ`
1- ¾0, aÛ`-4É0, (a+2)(a-2)É0
2k-8 4
을 가지므로 모든 양수 x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이
4 -2ÉaÉ2
성립하려면 따라서 정수 a는 -2, -1, 0, 1, 2이므로 그 개수는 5이다.
2k-8
¾0, 즉 k¾4  ⑤
4
따라서 양수 k의 최솟값은 4이다. ④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23쪽

1④ 2③ 3④ 4③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22쪽

1① 2④ 3⑤ 4③ 5⑤
1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 하자.
P={x|xÉ-1}
1 조건 p에 대하여 ~p`:`x¾-3이고 xÉ2 xÛ`>0에서 x+0이므로
즉, ~p`:`-3ÉxÉ2 Q={x|x<0 또는 x>0}
따라서 조건 ~p의 진리집합이 {-3, -2, -1, 0, 1, 2}이 |x|<2에서 -2<x<2이므로
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R={x|-2<x<2}

정답과 풀이 5
정답과 풀이

① QøP이므로 명제 q 2Ú p는 거짓이다. Û k>0일 때,


② PøR이므로 명제 p 2Ú r는 거짓이다. P;Q+∅이려면 k<7이어야 한다.
③ Q‚` ={0}이고 Q‚` øP이므로 명제 ~q 2Ú p는 거짓이 1 1
다. 2 2

④ R‚` ={x|xÉ-2 또는 x¾2}이고 R‚` ,Q이므로 명제  L L™  Y  L  L™ Y


~r 2Ú q는 참이다.
그러므로 0<k<7
⑤ R‚` øP이므로 명제 ~r 2Ú p는 거짓이다. ④
Ú, Û에서 k<7 ③

2 p`:`xÛ`-2x>0에서 ~p`:`xÛ`-2xÉ0
x(x-2)É0에서 0ÉxÉ2이고 x는 자연수이므로
x=1 또는 x=2
~p가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되려면 이차방정식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24쪽

xÛ`+ax+b=0의 두 근은 x=1과 x=2이어야 한다.


1③ 2⑤ 3⑤ 47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1+2에서 a=-3
b=1_2=2 1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조건 ‘~p 또
이므로 ab=-6 ③ 는 q’의 진리집합은 P‚` 'Q이다.
조건 p가 조건 ‘~p 또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되려면
P,(P‚` 'Q)이어야 한다.
3 ㄱ. P;Q=P에서
 P,Q이므로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
이때 P;P‚`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P,Q이어
이다. (참)
야 한다.
 ` 'R=Q‚` 에서 R,Q‚` , 즉 Q,R‚` 이므로 q는 ~r이
ㄴ. Q‚
P={1, 2, 3, 6}이고 자연수 k는 1, 2, 3, 6과 각각 서로소
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거짓)
ㄷ. ㄱ, ㄴ에서 p jjK q, q jjK ~r이므로 p jjK ~r
이어야 하므로, k는 2의 배수도 아니고 3의 배수도 아닌 수

명제가 참이면 그 대우도 참이므로 r jjK ~p


이다.
두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90이다. 두 자리의 자연수 중 2
그러므로 r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참)
의 배수, 3의 배수, 6의 배수인 수의 개수는 각각 45, 30,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15이므로 2의 배수 또는 3의 배수인 수의 개수는
45+30-15=60
6
2 3 따라서 두 자리의 자연수 k의 개수는 90-60=30 ③
1

2 부등식 xÛ`-7x+6<0에서
(x-1)(x-6)<0, 1<x<6
그러므로 (가)의 명제가 참이려면 집합 X는 집합
4 두 조건 p`:`kÉxÉkÛ`+1, q`:`0<x<7의 진리집합을 각
{2, 3, 4, 5}의 부분집합이어야 한다.
각 P, Q라 할 때, 주어진 명제가 참이 되려면
부등식 xÛ`-4x¾0에서
P;Q+∅이어야 한다.
x(x-4)¾0, xÉ0 또는 x¾4
Ú kÉ0일 때,
그러므로 (나)의 명제가 참이려면 집합 X의 원소 중 적어도
kÛ`+1¾1이므로 항상 P;Q+∅을 만족시킨다.
하나는 0 이하의 정수이거나 4 이상의 정수이어야 한다.
1 1 따라서 집합 X가 될 수 있는 집합은 집합 {2, 3, 4, 5}의
2 2
부분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2이면서 4 또는 5를 원소로 갖
L  L™   Y L   L™ Y
는 집합이므로 집합 {2, 4}, {3, 4}, {2, 5}, {3, 5}, {4, 5}
그러므로 kÉ0 의 5개이다. ⑤

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3 P(x, xÛ`+x+4), H(x, 0)`(x¾0)이라 하면 A(-1, 0) 이때 ㉠에서 1<Q이므로
이므로 b=|2_1-3|=1
PHÓ xÛ`+x+4 x(x+1)+4 따라서 조건 q에서
= =
AHÓ x+1 x+1 |2x-3|=1
4 4 2x-3=1 또는 2x-3=-1
=x+ =x+1+ -1
x+1 x+1
x=2 또는 x=1
x+1>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이므로 Q={1, 2}이다.
4 4
x+1+ ¾2¾¨(x+1)_ =4 그러므로 ㉠을 만족시키려면 이차방정식
x+1 x+1
PHÓ 4 xÛ`-(a-4)x+4=0   yy`㉡
따라서 =x+1+ -1¾4-1=3
AHÓ x+1 의 실근의 집합은 집합 {1, 2}의 부분집합이어야 한다.
4 Ú ㉡이 x=1과 x=2를 근으로 가질 때,
여기서 등호는 x+1= , (x+1)Û`=4, 즉 x=1일 때
x+1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1_2이므로 이러한 경
성립한다.
우는 없다.
따라서 mÉ3이므로 실수 m의 최댓값은 3이다. ⑤
Û ㉡이 x=1을 중근으로 가질 때,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1_1이므로 이러한 경
PHÓ
는 두 점 A, P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다. 우는 없다.
AHÓ
Ü ㉡이 x=2를 중근으로 가질 때,
PHÓ
=a라 하면 a>0이고, 직선 AP가 함수 y=f(x)의 그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4=2+2, 4=2_2이므
AHÓ
래프에 접할 때의 a의 값이 최소이다. 로 a=8

직선 AP의 방정식은 y=a(x+1)이고, 직선 AP가 이차 Ý ㉡이 실근을 가지지 않을 때,

함수 y=xÛ`+x+4의 그래프에 접할 때의 a의 값을 구하면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Û`+x+4=a(x+1) D=(a-4)Û`-16=aÛ`-8a=a(a-8)<0

xÛ`+(1-a)x+4-a=0 0<a<8
ZG Y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 Z ZB Y  Ú ~ Ý에서 0<aÉ8

라 하면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 M=8, 최솟값 m=1이므로

D=(1-a)Û`-4(4-a)=0 M-m=8-1=7 7

aÛ`+2a-15=0
1
(a+5)(a-3)=0
a>0이므로 a=3
PHÓ
그러므로 ¾3 "
AHÓ 0 ) Y
따라서 mÉ3이므로 실수 m
의 최댓값은 3이다.

4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자.
명제 p 2Ú q가 참이 되려면 P,Q이어야 한다. yy`㉠
조건 p에서 f(x)=xÜ`-(a-3)xÛ`+ax-4로 놓으면
f(1)=0이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x-1){xÛ`-(a-4)x+4}=0
x=1 또는 xÛ`-(a-4)x+4=0
이므로 1<P이다.

정답과 풀이 7
정답과 풀이

03
f(4)=g(1)+h(1)에서
함수 4=1+h(1), h(1)=3
함수 h가 상수함수이고, h(1)=3이므로 h(x)=3
따라서
유제 본문 27~31쪽
( f½h)(4)+g(2)=f(h(4))+g(2)

1③ 2② 3⑤ 4① 5④ =f(3)+2=1+2=3 ①

6②
5 ( f ÑÚ`½g)(-1)=3에서 f ÑÚ`(g(-1))=3
g(-1)=(-1)Ü`=-1이므로 f ÑÚ`(-1)=3
1 함수 f(x)=x+b에서 -1ÉxÉa이면 따라서 f(3)=-1이므로
-1+bÉx+bÉa+b, 즉 -1+bÉf(x)Éa+b f(3)=6+a=-1
치역이 {y|2ÉyÉ5}이므로 a=-7 ④
-1+b=2, a+b=5
b=3, a=2 6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f 는 일대일 대응이다.
따라서 ab=6 ③ 치역이 X이므로 f(5)-f(3)=4이려면
f(5)=5, f(3)=1 yy`㉠
( f ÑÚ`½f ÑÚ`)(3)=2에서
2 두 함수 f, g가 서로 같으려면 f(0)=g(0), f(2)=g(2)
이어야 한다. ( f½f) ÑÚ`(3)=2, ( f½f)(2)=3, f( f(2))=3
f(0)=g(0)에서 1=aÛ` f(2)=a라 하면 f(a)=3이다.   yy`㉡
a=-1 또는 a=1 yy`㉠ f 는 일대일 대응이므로 ㉠에서 f(2)+5, f(2)+1이다.
f(2)=g(2)에서 4a+1=-4+aÛ` 즉, a+5, a+1
aÛ`-4a-5=0, (a+1)(a-5)=0 한편 f(2)=2이면 ㉡에서 f(2)=3이 되어 f 가 함수라는
a=-1 또는 a=5   yy`㉡ 조건에 모순이므로
따라서 ㉠, ㉡을 모두 만족시키는 a의 값은 a=-1  ② a+2
f(2)=3이면 ㉡에서 f(3)=3이 되어 ㉠에 모순이므로
a+3
3 (h½f)(x)=g(x)에서
그러므로 f(2)=4, 즉 a=4이고, ㉡에서 f(4)=3
h( f(x))=g(x)
이상에서 f(2)=4, f(3)=1, f(4)=3, f(5)=5이므로
h(-3x+5)=4x+2
f(1)=2 ②
h(-1)의 값은
-3x+5=-1, 즉 x=2
일 때이므로
h(-1)=4_2+2=10 ⑤

h(-3x+5)=4x+2에서 -3x+5=t로 놓으면


5-t
x= 이므로
Level 1
3 기초 연습 본문 32쪽
5-t 26
h(t)=4_ +2=-;3$;t+
3 3 1① 2① 3 12 4③ 5⑤
26
따라서 h(x)=-;3$;x+
3
1 f(3)=1, f(1)=2이므로
4 함수 g가 항등함수이므로 g(x)=x ( f½f)(3)=f( f(3))=f(1)=2
f(4)=4, g(1)=1이므로 따라서 f(3)+( f½f)(3)=1+2=3 ①

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2 두 함수 f, g가 서로 같으려면 f(2)=g(2), f(a)=g(a) 1 함수 f½g가 상수함수가 되려면 함수 g가 상수함수이거나
이어야 한다. 함수 g의 치역이 {1, 3}이어야 한다.
f(2)=g(2)에서 4=2+b, b=2 Ú 함수 g가 상수함수일 때,
f(a)=g(a)에서 aÛ`=a+2 g(x)=1 또는 g(x)=2 또는 g(x)=3의 3개이다.
aÛ`-a-2=0, (a+1)(a-2)=0 Û 함수 g의 치역이 {1, 3}일 때,
a+2이므로 a=-1 함수 g는 다음 표와 같이 6개이다.
따라서 a+b=-1+2=1 ①
g(1) g(2) g(3)

3 함수 g가 항등함수이므로 g(2)=2, g(4)=4, g(6)=6 1 1 3

f(2)=g(2)=h(2)이고 g(2)=2이므로 1 3 1
f(2)=2, h(2)=2 3 1 1
함수 h가 상수함수이고 h(2)=2이므로
1 3 3
h(4)=2, h(6)=2
3 1 3
그러므로 f(4)=g(4)+h(4)=4+2=6
함수 f 가 일대일 대응이고 f(2)=2, f(4)=6이므로 3 3 1
f(6)=4
Ú, Û에서 구하는 함수 g의 개수는 9이다. ④
따라서 f(6)+g(6)+h(6)=4+6+2=12  12

함수 g의 개수는
4 f(-1)=-a+b=5   yy`㉠
Ú 함수 g의 치역이 {2}일 때:1
f ÑÚ`(1)=3에서 f(3)=1
Û 함수 g의 치역이 집합 {1, 3}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f(3)=3a+b=1   yy`㉡
일 때:2Ü`=8
㉠, ㉡을 연립하여 풀면
Ú, Û에서 구하는 함수 g의 개수는 9이다.
a=-1, b=4
따라서 a+b=-1+4=3 ③
2 (g ÑÚ`½( f½g))(2)=((g ÑÚ`½f)½g)(2)
=(g ÑÚ`½f)(g(2))=(g ÑÚ`½f)(3)
5 ( f½g) ÑÚ`=g ÑÚ`½f ÑÚ`이고, g½g ÑÚ`는 항등함수이므로 =( f ÑÚ`½g) ÑÚ`(3)
g½( f½g) ÑÚ`½g=g½g ÑÚ`½f ÑÚ`½g=f ÑÚ`½g ( f ÑÚ`½g) ÑÚ`(3)=a로 놓으면 ( f ÑÚ`½g)(a)=3이므로
그러므로 4a+11=3, a=-2
(g½( f½g) ÑÚ`½g)(2)=(f ÑÚ`½g)(2) 따라서 (g ÑÚ`½( f½g))(2)=( f ÑÚ`½g) ÑÚ`(3)=-2  ②
=f ÑÚ`(g(2))=f ÑÚ`(8)
f ÑÚ`(8)=k로 놓으면 f(k)=8이므로 3 방정식 f(x)=0의 두 근이 x=-1 또는 x=3이므로 방정
3k-1=8, k=3 식 ( f½f)(x)=f( f(x))=0에서
따라서 (g½( f½g) ÑÚ`½g)(2)=3 ⑤ f(x)=-1 또는 f(x)=3   yy`㉠
방정식 ( f½f)(x)=0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실수 x의
개수가 3이고, f(x)=3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실수 x의
개수가 2이므로 f(x)=-1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실수
x의 개수는 1이어야 한다.
Z ZG Y
 Z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33쪽
0 
1④ 2② 3⑤ 4⑤ 5④   Y Z


정답과 풀이 9
정답과 풀이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 5 함수 y=f ÑÚ ` (x)의 그래 Z


ZG ‘˜ Y ZY
고 직선 y=-1과 접하므로 이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프는 함수 y=f(x)의 그 
(1, -1)이다. 래프와 직선 y=x에 대하 

f(x)=a(x-1)Û`-1`(a>0)으로 놓으면 f(-1)=0이므로 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

4a-1=0, a=;4!; 림과 같이 점 (5, 0),  ZG Y
(2, 1), (1, 4), (0, 5) 0      Y
즉, f(x)=;4!;(x-1)Û`-1이다. 를 지난다. B

㉠에서 이때 두 함수 y=f(x), y=f ÑÚ`(x)의 그래프는 세 점에서


f(x)=-1일 때, x=1 만난다. 이 세 교점 중 x좌표가 0, 5가 아닌 점의 x좌표를 a
라 하면
f(x)=3일 때, ;4!;(x-1)Û`-1=3
f(0)-f ÑÚ`(0)=0, f(1)-f ÑÚ`(1)=-2,
xÛ`-2x-15=0, (x+3)(x-5)=0 f(a)-f ÑÚ`(a)=0, f(5)-f ÑÚ`(5)=0
x=-3 또는 x=5 0Éx<1, 1Éx<2, 2Éx<4, 4ÉxÉ5에서 함수 f(x),
따라서 방정식 ( f½f)(x)=0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세 f ÑÚ`(x)는 각각 일차함수이다.
실근은 1, -3, 5이므로 그 곱은 0Éx<1, 1Éx<2, 4ÉxÉ5에서 두 직선 y=f(x),
1_(-3)_5=-15 ⑤ y=f ÑÚ`(x)의 기울기가 다르므로 함수 f(x)-f ÑÚ`(x)는 각
범위에서 일차함수이다. 2Éx<4에서 두 직선 y=f(x),

4 정의역이 {x|x<0}인 함수 y=-x의 치역은 {y|y>0} y=f ÑÚ`(x)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함수 f(x)-f ÑÚ`(x)는 이
이므로 이 함수의 역함수는 범위에서 상수함수이고, 1<f(2)<2, f ÑÚ`(2)=1이므로
x=-y에서 x와 y를 바꾸면 y=-x (x>0) 0<f(2)-f ÑÚ`(2)<1이다.
따라서 함수 Z
정의역이 {x|x¾0}인 함수 y=-;2!;x의 치역은 {y|yÉ0}
y=f(x)-f ÑÚ`(x)의 그래 
이므로 이 함수의 역함수는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B
0    Y
x=-2y에서 x와 y를 바꾸면 y=-2x (xÉ0) 따라서 f(x)-f ÑÚ ` (x)의 
그러므로 함수 f(x)의 역함 Z ZY 값 중 정수인 것은 0, -1,  ZG Y G ‘˜ Y
수 f ÑÚ`(x)는 -2이고 이때의 x의 개수는
-2x (xÉ0) 각각 3, 2, 1이므로 구하는 실수 x의 개수는 3+2+1=6이
f ÑÚ`(x)=[ Y
-x (x>0) 다. ④
0 ZG Y
방정식 f(x)_f ÑÚ`(x)=8에
ZG ‘˜ Y
서 ( -2x (0Éx<1)
Ú x<0일 때, | 8x-14 (1Éx<2)
3
f(x)-f ÑÚ`(x)={
f(x)_f ÑÚ`(x)=(-x)_(-2x)=2xÛ`=8
xÛ`=4이고 x<0이므로 x=-2 ;3@;
|
(2Éx<4)
Û x=0일 때,
9 -2x+10 (4ÉxÉ5)
f(x)_f ÑÚ`(x)=0_0=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 3
는다.
Ü x>0일 때,

f(x)_f ÑÚ`(x)={-;2!;x}_(-x)=;2!;xÛ`=8

xÛ`=16이고 x>0이므로 x=4


Ú, Û, Ü에서 x=-2 또는 x=4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34쪽

따라서 방정식 f(x)_f ÑÚ`(x)=8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1③ 2 21 3②
합은 -2+4=2 ⑤

1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1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Z ZG Y Ú t=tÁ 또는 t=tª일 때,
른쪽 그림과 같고, [그림 2]에서 Z
f(x)=tÁ을 만족시
xÉ-1 또는 x¾;2!;일 때, 
키는 실수 x의 개수 
f(x)¾0이다.  0 Y
Å 는 4이다. 이 x의 값 
그러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  ZG Y
을 작은 수부터 차례
여 ( f½g)(x)¾0, 즉  ZUm
로 aÁ, aª, a£, a¢라
f(g(x))¾0이 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하자. ZU„

g(x)É-1 또는 g(x)¾;2!;이어야 한다. 0ÉxÉ2에서 함수 0 Bs   Bf   Be  Y


B„ Bg Bm Bi Bh
y=f(x)의 그래프
그런데 g(0)=-2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¾;2!; [그림 2]
는 직선 x=1에 대
이 되도록 하는 정수 a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여 대칭이므로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É-1이 되도록 하는 aÁ+aª
=1, 즉 aÁ+aª=2
정수 a를 구하면 된다. 2
Ú a=0일 때, 2ÉxÉ5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g(x)=-2É-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대하여 대칭이므로
Û a+0일 때, a£+a¢
=;2&;, 즉 a£+a¢=7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É-1이려면 2
axÛ`+ax-2É-1, 즉 axÛ`+ax-1É0 같은 방법으로 f(x)=tª를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개수
이므로 a<0이고, 이차방정식 axÛ`+ax-1=0의 판별 는 4이고 이 x의 값을 작은 수부터 차례로 a°, a¤, a¦, a¥
식을 D라 하면 DÉ0이어야 한다. 이라 하면
D=aÛ`+4aÉ0, a(a+4)É0 a°+a¤=2, a¦+a¥=7
-4ÉaÉ0 Û t=3일 때,
따라서 -4Éa<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그림 3]에서 Z
Z
-4, -3, -2, -1이다. f(x)=3을 만족시키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4, -3, -2, 는 실수 x의 개수는 2 
-1, 0이므로 그 개수는 5이다. ③ 이다. 이 x의 값을 작 Z

은 수부터 차례로 a», ZG Y

aÁ¼이라 하자.
2 방정식 f(x)+( f½f)(x)=5에서
0 É x É 2에서 함수


f( f(x))=5-f(x) 0 B~ B„     Y
y=f(x)의 그래프는
f(x)=t로 놓으면
직선 x=1에 대하여 [그림 3]
f(t)=5-t Z
ZU ZG U 대칭이므로
이고, 이 방정식의 실근  a»+aÁ¼
=1, 즉 a»+aÁ¼=2
은 두 함수 y = f ( t ) ,  2
y=5-t의 그래프의 교  Ü t=5일 때,
점의 t좌표와 같다.  [그림 3]에서 f(x)=5를 만족시키는 실수 x는 x=1이다.
두 함수 y=f(t), 
Ú, Û, Ü에서 방정식 f(x)+( f½f)(x)=5의 실근은
y=5-t의 그래프의 교 aÁ, aª, y, aÁ¼, 1이고 이들의 합은
0      U
점은 [그림 1]과 같이 4 U„ Um (aÁ+aª)+(a£+a¢)+(a°+a¤)
개이다. [그림 1]  +(a¦+a¥)+(a»+aÁ¼)+1
이 네 교점의 t좌표를 tÁ, tª, 3, 5`(0<tÁ<1, 1<tª<2)라 =2+7+2+7+2+1
하자. =21  21

정답과 풀이 11
정답과 풀이

3
04
점 A의 좌표를 (a, a)라 하자.
일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이 A이므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로 함수 y=f(x)의 역함수인 y=g(x)의 그래프도 점 A를
지난다.
직선 y=g(x-3)+3은 직선 y=g(x)를 x축의 방향으로 유제 본문 37~41쪽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이다. 이때 13 2④ 3② 4④ 5④


직선 y=g(x) 위의 점 A(a, a)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6③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시키면 점 (a+3, a+3)은
직선 y=g(x-3)+3 위의 점이면서 직선 y=x 위의 점이
kÛ`-3k+4
다. 1 함수 y=
x
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러므로 점 B의 좌표는 (a+3, a+3)이다.
kÛ`-3k+4
두 점 A(a, a), B(a+3, a+3)에서 곡선은 함수 y=- 의 그래프이다.
x
ABÓ="Ã3Û`+3Û`=3'2 이 함수의 그래프가 함수 y=-;[@;의 그래프와 일치하려면
두 직선 y=f(x), y=x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30ù이므
kÛ`-3k+4=2, kÛ`-3k+2=0
로 두 직선 y=g(x), y=x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도 30ù이
(k-1)(k-2)=0, k=1 또는 k=2
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또 두 직선 y=g(x), y=g(x-3)+3이 서로 평행하므로
1+2=3 3
두 직선 y=g(x-3)+3, y=x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도
30ù이다.
그러므로 삼각형 APB는 ∠BAP=∠ABP=30ù, 2 두 함수 y=;[#;, y=-;[#;의 Z
ABÓ=3'2인 이등변삼각형이다. Z:Ä
그래프와 두 직선 x=1, y=1
 "
Z ZH Y ZH Y  은 오른쪽 그림과 같고, 네 점
ZY %  # Z
A, B, C, D의 좌표는 각각
#  0   Y
(1, 3), (3, 1), (1, -3),
)  &
ZG Y (-3, 1)이다. $
" Z:Ä
1 사각형 ADCB의 두 대각선의 Y

교점을 E, 사각형 ADCB의 넓이를 S라 하면 ACÓ⊥DBÓ이


0 Y
므로

점 P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S=;2!;_DBÓ_AEÓ+;2!;_DBÓ_ECÓ


3'2 '3 '6
PHÓ=AHÓ_tan`30ù=
2
_
3
=
2 =;2!;_6_2+;2!;_6_4=18 ④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APB의 넓이는
'6 3'3 4x-11
;2!;_ABÓ_PHÓ=;2!;_3'2_
2
=
2
 ② 3 함수 y=
x-3
에서

xy-3y=4x-11, (y-4)x=3y-11
3y-11
x=
y-4
이 식에서 x와 y를 서로 바꾸면
3x-11
y=
x-4
4x-11 3x-11
즉, 함수 y= 의 역함수는 y= 이다.
x-3 x-4
3x-11 3(x-4)+1 1
이때 = = +3이므로
x-4 x-4 x-4

1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3x-11 그림과 같다.
함수 y=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은
x-4
따라서 2ÉxÉ5에서 함수 g(x)의 최댓값은
x=4, y=3   yy`㉠
g(5)=3-'Ä6-5=2 ④
ax+3
한편 함수 y= 에서
x+b
ax+3 a(x+b)+3-ab 3-ab
= = +a
x+b x+b x+b
ax+3 6 y='Ä4-2x+2="Ã-2(x-2)+2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은
x+b 이므로 함수 y='Ä4-2x+2는 정의역 {x|xÉ2}에서
x=-b, y=a   yy`㉡ 공역 {y|y¾2}로의 일대일 대응이다.
3x-11 ax+3 따라서 역함수가 존재한다.
두 함수 y= , y=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이
x-4 x+b
함수 y='Ä4-2x+2를 x에 대하여 풀면
'Ä4-2x=y-2, 4-2x=(y-2)Û` (y¾2)
서로 일치하므로 ㉠, ㉡에서
a=3, b=-4
따라서 a+b=3+(-4)=-1 ② x=-;2!;(y-2)Û`+2 (y¾2)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ax
4 함수 y=
x+b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이 x=-2, y=c이
y=-;2!;(x-2)Û`+2=-;2!;xÛ`+2x (x¾2)
ax
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점 (-2, c)에 대하여 대
x+b Ú 함수 y=-;2!;xÛ`+2x`(x¾2)의 그래프와 직선
칭이다.
y=-2x+k가 접하면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ax
이때 함수 y= 의 그래프가 직선 y=x+3에 대하여
x+b 이때 이차방정식 -;2!;xÛ`+2x=-2x+k, 즉
대칭이므로 직선 y=x+3은 점 (-2, c)를 지난다.
xÛ`-8x+2k=0은 중근을 갖는다.
즉, c=-2+3=1
이차방정식 xÛ`-8x+2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x
따라서 함수 y=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은 D
x+b =(-4)Û`-1_2k=0, k=8
4
x=-2, y=1   yy`㉠
ax Û 직선 y=-2x+k가 함수 y=-;2!;xÛ`+2x의 그래프의
한편 함수 y= 에서
x+b
꼭짓점 (2, 2)를 지나면
ax a(x+b)-ab -ab
= = +a 2=-2_2+k, k=6
x+b x+b x+b
이므로 함수 y=
ax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은 k<6일 때, 함수 y=-;2!;xÛ`+2x`(x¾2)의 그래프와
x+b
x=-b, y=a   yy`㉡ 직선 y=-2x+k는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 ㉡에서 a=1, b=2 Z
ZY 
따라서 a+b+c=1+2+1=4 ④ 
 ZY 

5 f(x)=5-'Ä3x-6=-"Ã3(x-2)+5

이므로 함수 f(x)의 정의역은 {x|x¾2},
0  Y
치역은 {y|yÉ5}이다.
즉, a=2, b=5
g(x)=3-'Ä6-x=-"Ã-(x-6)+3이므로 함수 ZÅY™ Y Yy
y=g(x)의 그래프는 함수 Z
y=-'¶-x의 그래프를 ZH Y Ú, Û에서 구하는 k의 값의 범위는

x축의 방향으로 6만큼,  k<6 또는 k=8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1, 2, 3, 4, 5, 8이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
 0    Y
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고, 그 개수는 6이다. ③

정답과 풀이 13
정답과 풀이

2x (2x-3)+3 3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42쪽
2x-3
=
2x-3
=
2x-3
+1

1⑤ 2④ 3③ 4④ 5① 3
= +1
2{x-;2#;}
2x 3
1 함수 y=;[*;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이므로 함수 y=
2x-3
의 그래프는 함수 y=
2x

;[*;=x에서 xÛ`=8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

x=-2'2 또는 x=2'2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x
점 A의 x좌표는 양수이므로 따라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그
2x-3
A(2'2, 2'2), C(-2'2,-2'2)
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일치시킬 수 없다.
ACÓ="Ã(-2'2-2'2)Û`+(-2'2-2'2)Û`
2x+3
="Ã(4'2)Û`+(4'2)Û`=8 ㄷ. 함수 y= 에서
x+1
함수 y=-;[$;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만나는 점의 2x+3 2(x+1)+1 1
= = +2
x+1 x+1 x+1
x좌표는 2x+3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그
x+1
-;[$;=-x에서 xÛ`=4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
x=-2 또는 x=2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점 D의 x좌표는 양수이므로 2x+3
따라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그
B(-2, 2), D(2, -2) x+1
BDÓ="Ã{2-(-2)}Û`+(-2-2)Û`="Ã4Û`+4Û`=4'2 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각형 Z ZY 이상에서 함수 y=;[!;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일치시킬


ABCD를 오른쪽 그 "
# 수 있는 그래프를 나타내는 함수는 ㄱ, ㄷ이다. ④
Z:
림과 같이 나타낼 수 Z:
b
있다.
0
Y 3 함수 y=
x-a
+c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이 x=a, y=c이
두 직선 AC, BD는
% ZY 므로
서로 수직이므로 사 $
a=2, c=-1
각형 ABCD의 넓이는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0, -2)를 지나므로
;2!;_ACÓ_BDÓ=;2!;_8_4'2=16'2 ⑤ b
-2= -1, b=2
0-2
따라서
a+b+c=2+2+(-1)=3 ③
-2x+3
2 ㄱ. 함수 y=
x-1
에서

-2x+3 -2(x-1)+1 1
4 무리함수 y=-'2Œx의 정의역은 {x|x¾0}이고,
= = -2 치역은 {y|yÉ0}이므로 함수 y=-'2Œx의 그래프는 원점
x-1 x-1 x-1
-2x+3 과 제4사분면을 지난다.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x-1 한편 함수 y=-'2Œx는 정의역 {x|x¾0}에서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 공역 {y|yÉ0}으로의 일대일 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하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고, 그 역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2Œx의 그래프를 직선
-2x+3
따라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함수 y=-'2Œx
x-1
의 역함수의 그래프는 원점과 제2사분면을 지난다.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m=4, n=2이므로
2x
ㄴ. 함수 y= 에서 10m+n=10_4+2=42
2x-3 ④

1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5 y=1-a'Ä2-2x=-a"Ã-2(x-1)+1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도형의 넓이는
이므로 함수 y=1-a'Ä2-2x`(a>0)의 그래프는 원점과 ABÓ_{2-;5@;}=2_;5*;=:Á5¤: ③
제3사분면을 지나는 함수 y=-a'Ä-2x`(a>0)의 그래프
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
3x-1
한 것이다. 2 함수 y=
x-1
에서
함수 y=1-a'Ä 2 -2x의 Z
3x-1 3(x-1)+2 2
그래프가 네 개의 사분면 = = +3
 x-1 x-1 x-1
중 두 개의 사분면만을 지 3x-1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그래프
나기 위해서는 오른쪽 그 x-1
0  Y 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
림과 같이 함수
ZBY 한 것이다.
y=1-a'Ä 2 -2x의 그래
3x-1
프가 원점을 지나야 하고, 이때 함수 y=1-a'Ä2-2x의 그 이때 함수 y= 의 그래프는 점 (1, 3)에 대하여 대칭
x-1
래프는 제1사분면, 제3사분면을 지난다. 이므로 두 직선 y=x+a, y=-x+b는 모두 점 (1, 3)을
따라서 구하는 양수 a의 값은 지난다. 따라서
'2 3=1+a에서 a=2
0=1-a'2, a=  ①
2
3=-1+b에서 b=4
이므로 a+b=2+4=6 ⑤

-3x+5
3 함수 y=
x-2
에서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43쪽
-3x+5 -3(x-2)-1 1
= =- -3
x-2 x-2 x-2
1③ 2⑤ 3⑤ 4② 5③
-3x+5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그
x-2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
1 Z
Z: Z

행이동한 것이고, 이 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은 x=2,
Y
y=-3이다.
따라서 a=-1, b=2, c=-3이고, 함수 f(x)는
" # Z f(x)='Ä-x+2-3="Ã-(x-2)-3

ㄱ.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 % Z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
$ 이동한 것이다. (참)
0 Y
ㄴ. f (0)='2-3<0이므 Z
로 ㄱ에 의하여 함수 
2 ZG Y
두 함수 y=;[@;, y= 의 그래프가 직선 y=2와 만나는  
x-2 y=f(x)의 그래프는 오  0 Y
점을 각각 A, B라 하고, 직선 y=;5@;와 만나는 점을 각각 C, 른쪽 그림과 같이 제3사

분면을 지난다. (참)
2
D라 하면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그래 ㄷ. 함수 f(x)는 정의역 ZY 
x-2
ZG‘˜ Y
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사각형 {x|xÉ2}에서 공역
ACDB는 평행사변형이고 ABÓ=CDÓ=2이다. {y|y¾-3}으로의 일대일 대응이므로 역함수 f ÑÚ`(x)
이때 위의 그림에서 빗금친 두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으므 가 존재한다. 함수 y=f ÑÚ`(x)의 그래프는 함수
로 구하고자 하는 색칠된 도형의 넓이는 평행사변형 ACDB y=f(x)의 그래프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의 넓이와 같다. 것이므로 위의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

정답과 풀이 15
정답과 풀이

래프는 함수 y=f ÑÚ`(x)의 그래프와 오직 한 점에서 만 즉, k=-2 또는 k=1일 때, 주어진 함수는 ㉠에서
난다. (참) 0
y= -4=-4 (x+-1)
x+1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제3사분면, 제4사분면만을
지난다.
4 함수 y=;4!;(x+1)Û`-1`(x¾-1)은 정의역 {x|x¾-1}
Û kÛ`+k-2+0인 경우
에서 공역 {y|y¾-1}로의 일대일 대응이므로 역함수가 (k+2)(k-1)+0에서 k+-2이고 k+1
존재한다. 즉, k+-2이고 k+1일 때, 주어진 함수는 ㉠에서
함수 y=;4!;(x+1)Û`-1을 x에 대하여 풀면 y=
kÛ`+k-2
-4
x+1
x='Ä4y+4-1`(y¾-1)이고, x와 y를 서로 바꾸면 이므로 유리함수이고 그 그래프의 점근선이 x=-1,
y='Ä4x+4-1=2'Äx+1-1 (x¾-1) y=-4이므로 제2사분면, 제3사분면, 제4사분면만을
즉, f ÑÚ`(x)=2'Äx+1-1 (x¾-1) 항상 지난다.
이므로 a=2, b=-1이다. ⓐ kÛ`+k-2<0일 때,
따라서 f ÑÚ`(2a+b)=f ÑÚ`(3)=2'4-1=3 ② (k+2)(k-1)<0에서 -2<k<1
kÛ`+k-2
즉, -2<k<1일 때, 함수 y= 의 그래프
5 함수 y=3-'Äx+2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x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 는 제2사분면, 제4사분면을 지나므로 이를 x축의 방
한 것이다. 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
함수 y=3-'Äx+2의 그 -4x+kÛ`+k-6
ZY L Z 한 함수 y= 의 그래프는 [그림 1]
x+1
래프와 직선 y=-x+k  과 같이 제1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ZY 
만날 때, 실수 k의 값이 L™ L Z Y Z Z L™ L

L Z  Y 
Y 
최대인 경우는 오른쪽 그  0 Y
  L™ L
림과 같이 직선
0 Y  0 Y
y=-x+k가 점 (-2, 3)을 지나는 경우이다. Z Z
 
따라서 구하는 실수 k의 최댓값은
Y
3=-(-2)+k, k=1 ③
[그림 1]
ⓑ kÛ`+k-2>0일 때,
(k+2)(k-1)>0에서
k<-2 또는 k>1   yy`㉡
kÛ`+k-2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44쪽 즉, k<-2 또는 k>1일 때, 함수 y= 의
x
그래프는 제1사분면, 제3사분면을 지나므로 이를
1④ 2③ 3③ 4 11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4x+kÛ`+k-6
평행이동한 함수 y= 의 그래프는
-4x+kÛ`+k-6 -4(x+1)+kÛ`+k-2 x+1
1 y=
x+1
=
x+1 제2사분면, 제3사분면, 제4사분면은 반드시 지난다.
kÛ`+k-2 -4x+kÛ`+k-6
= -4   yy`㉠ 이때 함수 y= 의 그래프가 제1사
x+1 x+1
이므로 실수 k의 값에 따라 함수 ㉠의 그래프가 지나는 사 분면을 지나기 위해서는 이 함수의 그래프와 y축의
분면은 다음과 같다. 교점 (0, kÛ`+k-6)이 [그림 2]와 같이 x축보다 윗
Ú kÛ`+k-2=0인 경우 부분에 있어야 한다.
(k+2)(k-1)=0에서 k=-2 또는 k=1 즉, kÛ`+k-6>0, (k+3)(k-2)>0

1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k<-3 또는 k>2   yy`㉢ ㄴ. 함수 y=;[$;의 그래프는 두 직선 y=x, y=-x에 대하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여 대칭이고,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y=;[$;의
k<-3 또는 k>2
따라서 k+-2이고 k+1일 때 함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x+kÛ`+k-6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
y= 의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
x+1 는 두 직선 y+1=x+2, y+1=-(x+2)에 대하여
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3 또는 k>2이다. 대칭이다. 즉, 함수 y=g(x)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L™ L Z Y Z Z L™ L
 같이 두 직선 y=x+1, y=-x-3에 대하여 대칭이
Z  Y 
Y  다. (참)
  L™ L
ㄷ. 점 (-2, -1)은 함수 y=g(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
0 Y  0 Y
Z Z
의 교점이다. 따라서 점 (-2, -1)에서 함수 y=g(x)
 
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나는 직선을 그을 수 없다.
Y  (거짓)
[그림 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Ú, Û에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3 또는 k>2이다.


따라서 10 이하의 자연수 k는 3, 4, 5, 6, 7, 8, 9, 10이므 함수 y=;[K;`(k+0)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x축, y축)의 교
로 그 개수는 8이다. ④ 점인 원점에서는 이 함수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나는 직
선을 그을 수 없다.
2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2, 0)을 지나므로
Ú x축, y축은 점근선이므로 함수 y=;[K;의 그래프와 한 점
a'Ä2-b+c=0   yy`㉠
한편 함수 y=f(x)의 그래프가 두 점 (b, c), (2, 0)을 지 에서 만나지 않는다.
나므로 함수 y=f ÑÚ`(x)의 그래프는 두 점 (c, b), (0, 2) Û 원점에서 함수 y=;[K;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나는 직
를 지난다. 따라서
선 y=mx`(m+0)을 그을 수 있다고 가정하면 방정식
;4!;(c-2)Û`+b=b이므로 c=2
;[K;=mx는 중근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k+0, m+0인
;4!;(0-2)Û`+b=2이므로 b=1
k
모든 실수 k, m에 대하여 방정식 xÛ`= 는 중근을 가
b=1, c=2를 ㉠에 대입하면 m
a'Ä2-1+2=0, a=-2 질 수 없으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a=-2, b=1, c=2이므로 함수 g(x)는
이와 같이 함수 y=;[K;`(k+0)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
x-2 (x+2)-4 4
g(x)=- =- = -1 점인 원점에서는 이 함수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나는 직
x+2 x+2 x+2
k
ㄱ.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y=;[$;의 그래프를 x축 선을 그을 수 없고, 같은 이유로 함수 y= +q
x-p
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 (k+0, p, q는 상수)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 (p, q)
동한 것이고, g(0)=1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 에서는 이 함수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나는 직선을 그을
는 다음 그림과 같이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참) 수 없다.

Y Z ZY 
ZY 3x-4 3x-4

3 함수 y=
x
에서
x
=-;[$;+3

0 3x-4
 Y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의 그래
x
 Z
Z  프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 
함수 y='Ä2a-x+a에서

정답과 풀이 17
정답과 풀이

'Ä2a-x+a="Ã-(x-2a)+a m=4Ñ"Ã4Û`-4=4Ñ2'3
이므로 함수 y='Ä2a-x+a의 그래프는 함수 y='Ä-x의 m>1이므로 m=4+2'3   yy`㉠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a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한편 직선 y=(4-2'3)(x-2)+2를 l£이라 하면 함수
평행이동한 것이다. y=xÛ`+1`(x¾0)의 그래프와 접하고 점 (2, 2)를 지나는

한편 점 (2a, a)는 직선 y=;2!;x 위의 점이므로 실수 a의 값 직선은 lÁ과 l£뿐이다. 두 함수 y='Äx-1, y=xÛ`+1`(x¾0)


은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
이 변할 때 함수 y='Ä2a-x+a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에 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함수 y='Äx-1의 그래프와 접
B Y Z 하고 점 (2, 2)를 지나는 직선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
Z
Y
이동한 직선은 lÁ 또는 l£이고 그 기울기는 ;k!;이다.
B ZÆY
Z 이때 k>1에서 0<;k!;<1이므로 직선 lª를 직선 y=x에 대
 #
B "
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은 l£이다.
0 = B >  Y
Z ZY™  Yy

3x-4 Mm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2!;x의 두 교점을 A, ZY
x
3x-4
B라 하면 함수 y= 의 그래프와 함수 Mf
x
y='Ä2a-x+a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는 경
우는 점 (2a, a)가 선분 AB 위의 점인 경우이다. ZY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a<b)라 하면 방정식
3x-4
=;2!;x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a, b이다. 따라서 Y
x
0
6x-8=xÛ`, xÛ`-6x+8=0 확대
(x-2)(x-4)=0, x=2 또는 x=4
즉, a=2, b=4이므로 2É2aÉ4, 1ÉaÉ2
따라서 M=2, m=1이므로 Z ZY™  Yy M„ Mm
ZY
M+m=2+1=3 ③
Mf


3x-4
점 (2a, a)`(a>0)이 함수 y= 의 그래프의 아래쪽
x
에 위치하거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ZY

3_2a-4
aÉ , 2(a-1)(a-2)É0
2a
에서 a의 값의 범위 1ÉaÉ2를 구할 수도 있다. 0   Y

4 두 직선 lÁ, lª의 기울기를 각각 m, k라 하면 조건을 만족시


키는 두 직선 lÁ, lª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k!;=4-2'3이므로
lÁ`:`y=m(x-2)+2 (m>1) 1 4+2'3 2+'3
k= = =    yy`㉡
lª`:`y=k(x-2)+2 (k>1) 4-2'3 4 2
함수 y=xÛ`+1의 그래프와 직선 lÁ이 접하므로 이차방정식 ㉠, ㉡에서
xÛ`+1=m(x-2)+2가 중근을 갖는다. 즉, 이차방정식 2+'3
m_k=(4+2'3)_
xÛ`-mx+2m-1=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2
=(2+'3)Û`=7+4'3
DÁ=(-m)Û`-4_(2m-1)
즉, a=7, b=4이므로 a+b=7+4=11  11
=mÛ`-8m+4=0

1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05
따라서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SÁ¼=
10(2_1+9_4)
=190 ④
2

유제 본문 47~53쪽 4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자.


a£+a»=54에서
1② 27 3④ 4 297 5④
(aÁ+2d)+(aÁ+8d)=54
6 92 7 43 8①
aÁ+5d=27
이때 aÁ+aÁÁ=aÁ+(aÁ+10d)=2(aÁ+5d)=54

1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이므로


a¢-aª=2d=4에서 d=2 11_(aÁ+aÁÁ) 11_54
SÁÁ= = =297  297
2 2
또 aÁ+a£+a°=27에서
aÁ+(aÁ+2d)+(aÁ+4d)=27
등차수열 {an}에서
3aÁ+6d=27, 3aÁ+6_2=27
aÁ+aÁÁ=a£+a»=54이므로
aÁ=5
11_(aÁ+aÁÁ) 11_54
따라서 SÁÁ= = =297
2 2
a¥=aÁ+7d=5+7_2=19 ②

5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r>0)이라 하자.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ªa£=a¤에서
a¢-aª=2d=4에서 d=2 (2r)_(2rÛ`)=2rÞ`, 즉 rÜ`(rÛ`-2)=0
또 aÁ+a£+a°=3a£=27에서 이때 r>0이므로
a£=9이므로 rÛ`=2, r='2
a£=aÁ+2_2=9에서 따라서
aÁ=5 a¥=2_('2)à`=16'2 ④
따라서 a¥=aÁ+7d=5+7_2=19

6 이차방정식 xÛ`-2kx+k-1=0의 두 실근이 a, b이므로


2 an=nÛ`+n`(n=1, 2, 3, y)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Á=1Û`+1=2
a+b=2k
ak=kÛ`+k
ab=k-1   yy`㉠
aÁ¼=10Û`+10=110
한편 세 수 a, 2,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세 수 aÁ, ak, aÁ¼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ab=4   yy`㉡
2ak=aÁ+aÁ¼에서
㉠, ㉡에서
2(kÛ`+k)=2+110
k-1=4이므로 k=5
kÛ`+k-56=0, (k+8)(k-7)=0
따라서 a+b=2k=2_5=10이므로
이때 k는 자연수이므로 k=7 7
aÛ`+bÛ`=(a+b)Û`-2ab=10Û`-2_4=92  92

3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자.


aª=aÁ+d=5   yy`㉠ 7 S¢-Sª=(aÁ+aª+a£+a¢)-(aÁ+aª)

5(2aÁ+4_d) =a£+a¢
S°= =45에서 이므로
2
5aÁ+10d=45, 즉 aÁ+2d=9   yy`㉡ S¢-Sª=aªÛ`에서
㉠, ㉡을 연립하여 풀면 a£+a¢=aªÛ`
aÁ=1, d=4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r+0)이라 하면

정답과 풀이 19
정답과 풀이

;2!;rÛ`+;2!;rÜ`={;2!;r}Û`, rÜ`=-;2!;rÛ` 4d=28, d=7

이때 r+0이므로 양변을 rÛ`으로 나누면 따라서 a¥=a°+3d=29+3_7=50

r=-;2!;
2 2와 20 사이에 n개의 수를 넣어 만든 등차수열의 합을 S라
이때 하면

;2!;[1-{-;2!;}Þ`] S=
(n+2)(2+20)
=11(n+2)=165
S°= =;3!;{1+;3Á2;}=;3!2!; 2
1-{-;2!;} n+2=15, n=13
한편 주어진 등차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따라서 p=32, q=11이므로
p+q=32+11=43  43 20=2+14_d이므로 d=;7(;

따라서 a¦=2+7_;7(;=11 ③
8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r>0)이라 하자.
aÁ+aª=24에서
aÁ+aÁr=24   yy`㉠ 3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aÁ+a£=aÁ+aÁrÛ`=aÁ(1+rÛ`)=7   yy`㉠
a£+a¢=6에서
a¢+a¤=aÁrÜ`+aÁrÞ`=aÁrÜ`(1+rÛ`)=35   yy`㉡
aÁrÛ`+aÁrÜ`=6
㉠을 ㉡에 대입하면
rÛ`(aÁ+aÁr)=6   yy`㉡
7_rÜ`=35, rÜ`=5
㉠을 ㉡에 대입하면
a¥ aÁrà`
따라서 = =rß`=(rÜ`)Û`=5Û`=25 ④
rÛ`_24=6, rÛ`=;4!; aª aÁr

이때 r>0이므로 r=;2!;
4 세 수 2, a, bÛ`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a=2+bÛ`, 즉 bÛ`=2a-2   yy`㉠
r=;2!; 을 ㉠에 대입하면
세 수 b, 12, a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Á+aÁ_;2!;=24, aÁ=16 12Û`=b_ab, 즉 abÛ`=144   yy`㉡

따라서 ㉠을 ㉡에 대입하면
a(2a-2)=144
16[1-{;2!;}à`] aÛ`-a-72=0, (a+8)(a-9)=0
127
S¦= =32-;4!;=  ①
4
1-;2!; a>0이므로 a=9
a=9를 ㉠에 대입하면
bÛ`=2_9-2=16
b>0이므로 b=4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54쪽 따라서 a+b=9+4=13 ①

1④ 2③ 3④ 4① 5 16
5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r>0)이라 하자.
S¢ aÁ+aÁr+aÁrÛ`+aÁrÜ`
=
Sª aÁ+aÁr
1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Á(1+r)+aÁrÛ`(1+r)
a°=1+4d=29이므로 =
aÁ(1+r)
4d=28, d=7
=1+rÛ`
따라서 a¥=1+7_7=50 ④
5a¢ 5aÁrÜ`
= =5rÛ`
aª aÁr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S¢ 5a¢
이때 = 에서
a°=1+4d=29이므로 Sª aª

2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1+rÛ`=5rÛ`, rÛ`=;4!; 등비수열 {an}의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a£=4
이때 r>0이므로 r=;2!;
a£+a°=12에서
따라서 4+a°=12, a°=8
aÁ aÁ 1
= = ={;r!;}Ý`=2Ý`=16  16 이때 a°=a£_rÛ`=4rÛ`=8에서
a° aÁrÝ` rÝ` rÛ`=2
따라서 a»=a°_rÝ`=8_2Û`=32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55쪽
3 Sn=
n{2_1+(n-1)_4}
=2nÛ`-n
2
1② 2③ 3② 44 Tn=aÁ-aª+a£-a¢+y+(-1)n+1an+y+aªn-1-a2n
=(aÁ-aª)+(a£-a¢)+y+(a2n-1-a2n)
=(-4)+(-4)+y+(-4)
1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
|
|
{
|
|
9
n개
aÁ=aª+3에서 aª-aÁ=-3이므로
=(-4)_n
d=-3
=-4n
a¢+2aÁÁ=0에서 a¢=-2aÁÁ이므로
Sk+Tk=63에서
aÁ+3d=-2(aÁ+10d)
(2kÛ`-k)-4k=63
aÁ+3_(-3)=-2aÁ-20_(-3)
2kÛ`-5k-63=0, (2k+9)(k-7)=0
3aÁ=69, aÁ=23
이때 k는 자연수이므로 k=7 ②
이때 등차수열 {an}의 일반항 an은
an=23+(n-1)_(-3)=-3n+26
ak=-3k+26>0에서
4 세 점 A, B, C의 좌표는
A(k, 0), B(k, 3'k), C(k, k+5)
k<:ª3¤:=8.6y 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k의 최댓값은 8이다. ② OAÓ=k, ABÓ=3'k, ACÓ=k+5
세 수 k, 3'k, k+5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2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r>0)이라 하면 k(k+5)=(3'k)Û`, 즉 kÛ`+5k=9k
aÁa°=16에서 k(k-4)=0
aÁ_(aÁrÝ`)=16,(aÁrÛ`)Û`=16 이때 k>0이므로
이때 aÁ>0, r>0에서 aÁrÛ`>0이므로 k=4 4
aÁrÛ`=4   yy`㉠
또 a£+a°=12에서
aÁrÛ`+aÁrÝ`=12   yy`㉡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56쪽

㉠을 ㉡에 대입하면
1① 2③ 37
4+4rÛ`=12
rÛ`=2
이때 r>0이므로 r='2 1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d>0), 등비수열 {bn}의 공비
r='2를 ㉠에 대입하면 를 r`(r>0)이라 하자.
aÁ_('2)Û`=4, aÁ=2 조건 (가)에서
따라서 a»=2_('2)¡`=32 ③ a£=1+bª이므로
1+2d=1+r, 즉 2d=r   yy`㉠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r>0)이라 하자. 조건 (나)에서
aÁa°=a£Û`=16 b£=2+a°이므로

정답과 풀이 21
정답과 풀이

rÛ`=2+(1+4d), 즉 rÛ`=3+4d   yy`㉡


㉠, ㉡에서 c¾f(31)이면 곡선 y=f(k)`(k>0)과 직선 y=c는 한 점
rÛ`=3+2r 에서 만나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rÛ`-2r-3=0
(r+1)(r-3)=0 3 직선 x=2n과 두 직선 y=cx, y=;c!;x가 만나는 점이 각각
이때 r>0이므로 r=3
Pn, Qn이므로
r=3을 ㉠에 대입하면 d=;2#; Pn(2n, c_2n), Qn{2n, ;c!;_2n}
따라서 이때
a¦=1+6_;2#;=10, b¢=3Ü`=27 an=PnQnÓ =c_2n-;c!;_2n={c-;c!;}_2n   yy`㉠
이므로 한편 수열 {an}에서
a¦+b¢=10+27=37 ①
a¢=a£+12이므로

{c-;c!;}_2Ý`={c-;c!;}_2Ü`+12
2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Á=a£+4, 즉 a£-aÁ=-4에서 (2Ý`-2Ü`){c-;c!;}=12
2d=-4, d=-2
8{c-;c!;}=12, c-;c!;=;2#;
또 aª=aÁ-2=28에서 aÁ=30
수열 {An}은 첫째항이 aÁ=30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 2cÛ`-3c-2=0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므로 (2c+1)(c-2)=0
n{2_30+(n-1)_(-4)} c>1이므로 c=2
An= =-2nÛ`+32n
2 c=2를 ㉠에 대입하면
또 수열 {Bn}은 첫째항이 aª=28이고 공차가 -4인 등차
an={2-;2!;}_2n=3_2n-1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므로
n{2_28+(n-1)_(-4)} 이므로 수열 {an}은 첫째항이 3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
Bn= =-2nÛ`+30n
2 이다. 이때
AkBk=4ckÛ`에서 3(2û`-1)
Sk= =3_2k-3
(-2kÛ`+32k)(-2kÛ`+30k)=4ckÛ` 2-1
4kÛ`(k-16)(k-15)=4ckÛ` 이므로 Sk>297에서
k>0이므로 양변을 4kÛ`으로 나누면 3_2k-3>297
(k-16)(k-15)=c 2k>100
f(k)=(k-16)(k-15)로 놓으면 이때 2ß`=64, 2à`=128이므로 2k>100을 만족시키는 자연
이차함수 y=f(k)의 그래프는 직 Z ZG L 수 k의 최솟값은 7이다. 7
15+16
선 k= , 즉 k=:£ 2 Á : 에
2
대하여 대칭이다. 이때
f(1)=f(30), f(2)=f(29),
f(3)=f(28), y, f(15)=f(16) 0    L
이므로 방정식 
L
(k-16)(k-15)=c를 만족시
키는 자연수 k의 개수가 2가 되도록 하는 상수 c의 값은
f(1), f(2), f(3), y, f(15)
이다.
따라서 구하는 상수 c의 개수는 15이다. ③

2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Á +Á
kÜ` 1

06 4
15 15

k=1 5k+5 k=1 5k+5

=Á{
수열의 합 kÜ` 1
}
15
+
k=1 5k+5 5k+5
=;5!; Á
15
kÜ`+1
유제 본문 59~63쪽 k=1 k+1

=;5!; Á
15 (k+1)(kÛ`-k+1)
1① 2④ 3③ 4⑤ 5② k+1
=;5!;{ Á kÛ`- Á k+ Á 1}
k=1

6② 15 15 15

k=1 k=1 k=1

Á (3ak-2bk+1)=3 Á ak-2 Á bk+ Á 1


15_16_31 15_16
=;5!;{ - +1_15}
6 2
1
10 10 10 10

k=1 k=1 k=1 k=1 =227 ⑤


=3_15-2_12+1_10
=31 ①

Á (ak+1)=20에서 Á
6
5
20
2
12

'Ä3n+1+'Ä3n+4
Á (ak+1)= Á ak+ Á 1
k=1 n=1


12 12 12
20 6('Ä3n+1-'Ä3n+4)

= Á ak+1_12
k=1 k=1 k=1
n=1 ('Ä3n+1+'Ä3n+4)('Ä3n+1-'Ä3n+4)


12
20 6('Ä3n+1-'Ä3n+4)

= Á ak+12
k=1
-3

=2 Á ('Ä3n+4-'Ä3n+1)
12 n=1

20
k=1

이므로
Á ak+12=20, 즉 Á ak=8
n=1

12 12 =2{('7-'4)+('1Œ0-'7)+('1Œ3-'1Œ0)+y

한편 Á (5ak+p)=112에서
k=1 k=1 +('6Œ1-'5Œ8)+('6Œ4-'6Œ1)}
12
=2(-'4+'6Œ4)

Á (5ak+p)=5 Á ak+ Á p
k=1
12 12 12 =12 ②
k=1 k=1 k=1

=5_8+p_12
=40+12p
이므로 n{2_4+(n-1)_4}
40+12p=112, 12p=72
6 Sn=
2
따라서 p=6 ④ =2n(n+1)
따라서

Á =Á
Á (k-2)Û`= Á (kÛ`-4k+4)
20
1 20
1
3
10 10
SÇ n=1 2n(n+1)

=;2!; Á {
n=1

= Á kÛ`-4 Á k+ Á 4
k=1 k=1
1 1
}
20
10 10 10 -
n=1 n n+1
k=1 k=1 k=1

=
10_11_21
-4_
10_11
+4_10 =;2!;[{1-;2!;}+{;2!;-;3!;}+{;3!;-;4!;}+y
6 2
=205 ③  +{;2Á0;-;2Á1;}]

Á (k-2)Û`=1+0+ Á kÛ` =;2!;{1-;2Á1;}


10 8

k=1 k=1

=1+0+
8_9_17
=205 =;2!1); ②
6

정답과 풀이 23
정답과 풀이

Á
40
1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64쪽 5 k=1 'Ä2k+1+'Ä2k-1


1④ 2⑤ 3① 4③ 5② 40 'Ä2k+1-'Ä2k-1
k=1 ('Ä2k+1+'Ä2k-1)('Ä2k+1-'Ä2k-1)


'Ä2k+1-'Ä2k-1
Á (2ak-1)Û`= Á (4akÛ`-4ak+1)
40
10 10

1 k=1 2

=4 Á akÛ`-4 Á ak+ Á 1
k=1 k=1
10 10 10 =;2!;{('3-'1)+('5-'3)+('7-'5)+y
k=1 k=1 k=1
 +('8Œ1-'7Œ9)}
=4_9-4_5+1_10
=26 ④ =;2!;(-'1+'8Œ1)

=4 ②

Á (k+1)Û`- Á (k-1)Û`
10 9

2 k=2 k=1

=(3Û`+4Û`+5Û`+y+11Û`)-(0Û`+1Û`+2Û`+3Û`+y+8Û`)
=9Û`+10Û`+11Û`-1Û`-2Û`
=297 ⑤

Á (k+1)Û`- Á (k-1)Û`
10 9

Level 2
=[ Á (k+1)Û`-2Û`+11Û`]- Á (k-1)Û`
k=2 k=1 기본 연습 본문 65쪽
9 9

1⑤ 2 127 3② 4④
=117+ Á {(k+1)Û`-(k-1)Û`}
k=1 k=1
9

=117+4 Á k
k=1
9
1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k=1
a°-a£=2d=8에서
9_10
=117+4_ d=4
2
=117+180=297 이때 등차수열 {an}의 일반항 an은
an=2+(n-1)_4=4n-2

Á (2 +3k-7)= Á 2 +3 Á k- Á 7
따라서
Á ak= Á ak- Á ak
6 6 6 6

3 k=1
k
k=1
k
k=1 k=1
15 15 7

= Á (4k-2)- Á (4k-2)
k=8 k=1 k=1
2(2ß`-1) 6_7 15 7
= +3_ -7_6
2-1 2 k=1 k=1

=126+63-42 15_16 7_8


={4_ -2_15}-{4_ -2_7}
=147 ① 2 2
=450-98

Á =Á
=352 ⑤
8
1 8
1
4 k=1 kÛ`+2k k=1 k(k+2)

=;2!; Á {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1 1
}
8
- a°-a£=2d=8에서
k=1 k k+2
d=4
=;2!;[{1-;3!;}+{;2!;-;4!;}+{;3!;-;5!;}+y
이때
 +{;7!;-;9!;}+{;8!;-;1Á0;}] a¥=2+7_4=30,
aÁ°=2+14_4=58
=;2!;{1+;2!;-;9!;-;1Á0;}=;4@5(; ③ 이므로

2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Á ak= Á{
8(a¥+aÁ°) 1 1
+ }
15 10

2 aû bû

=Á[
k=8 k=1

8(30+58) 1 1
]
10
= -
2 k=1 kÛ` (k+1)Û`
=352 1 1 1 1 1
=[{1- }+{ - }+{ - }+y
2Û` 2Û` 3Û` 3Û` 4Û`
2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r+0)이라 하면
 +{
1
-
1
}]
a¢-2a£=0에서 10Û` 11Û`
1
a¢=2a£이고 r+0이므로 r=2 =1- =;1!2@1); ④
등비수열 {an}의 일반항 an은 11Û`

aÁ=1, an=2n-1 (단, n=2, 3, 4, y)


이차방정식 xÛ`+(2n+1)x-nÝ`-2nÜ`-nÛ`=0의 두 근이
따라서

Á
6 aû*Á-aû an, bn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k=1 aûaû*Á an+bn=-(2n+1), anbn=-nÝ`-2nÜ`-nÛ`

=Á{
1 1 따라서
}
Á{
6
-
aû aû*Á 1 1
+ }
k=1 10

1 1 1 1 1 1 aû bû
- }+{ - }+{ - }+y

k=1
={
aÁ aª aª a£ a£ a¢ 10 aû+bû
1 1 aûbû
- }

k=1
 +{
a¤ a¦ 10 -(2k+1)
1 1 -kÝ`-2kÜ`-kÛ`


k=1
= -
aÁ a¦ 10
2k+1
1 kÛ`(k+1)Û`

=Á[
k=1
=1- =;6^4#;
2ß` 1 1
]
10
-
즉, p=64, q=63이므로 k=1 kÛ` (k+1)Û`
1 1 1 1 1
p+q=64+63=127  127 =[{1- }+{ - }+{ - }+y
2Û` 2Û` 3Û` 3Û` 4Û`

3 다항식 f(x)=;5!;xÛ`-x를 x-n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  +{


1
-
1
10Û` 11Û`
}]

지는 f(n)=;5!;nÛ`-n이다. =1-
1
=;1!2@1);
11Û`
따라서 an=;5!;nÛ`-n이므로

Á ak= Á {;5!;kÛ`-k}
10 10

=;5!; Á kÛ`- Á k
k=1 k=1
10 10

k=1 k=1

=;5!;_
10_11_21 10_11
-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66쪽
6 2
=22 ② 1⑤ 2 23 3④

4 이차방정식 xÛ`+(2n+1)x-nÝ`-2nÜ`-nÛ`=0에서
1 삼각형 AnOBn의 무게중심 Gn의 좌표를 (xn, yn)이라 하면
xÛ`+(2n+1)x-nÛ`(n+1)Û`=0
n+2n+0
{x+(n+1)Û`}(x-nÛ`)=0 xn= =n,
3
x=-(n+1)Û` 또는 x=nÛ` 2'n+'n+0
yn= ='n
이때 an=nÛ`, bn=-(n+1)Û` 3
또는 an=-(n+1)Û`, bn=nÛ`이므로 이므로

정답과 풀이 25
정답과 풀이

an=OÕGnÓ="ÃnÛ`+('n)Û`="ÃnÛ`+n =Á{ -
1 1
}
11

k=1 k k+1
한편 nÛ`<nÛ`+n<nÛ`+2n+1, 즉
nÛ`<nÛ`+n<(n+1)Û`에서 ={1-;2!;}+{;2!;-;3!;}+{;3!;-;4!;}+y
n<"ÃnÛ`+n<n+1이므로
n<an<n+1  +{;1Á1;-;1Á2;}
이때 m=n이므로
=1-;1Á2;
bn=an-n="ÃnÛ`+n-n
따라서 =;1!2!;
Á =Á
120 bû 120 "ÃkÛ`+k-k

k=1 'k 'k 따라서 p=12, q=11이므로

= Á ('Äk+1-'k)
k=1

120
p+q=12+11=23  23
k=1

=('2-1)+('3-'2)+('4-'3)+y
점 An+1에서 직선 x=n에 내린 수선의 발을 Bn이라 하자.
 +('¶121-'¶120)
Z
=-1+'¶121=10 ⑤ Z:Å

1
2 점 An의 좌표는 {n, }이고, 2‰
n "‰
1
점 An+1의 좌표는 {n+1, }이다. #‰ "‰ ƒ
n+1
두 점 An, An+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0 1‰ Y
1 1 YO YO 
-
1 n+1 n
y- = (x-n) △OPnQn»△BnAn+1An이므로
n (n+1)-n
1 1 1
즉, y- =- (x-n)   yy`㉠ ;n!;-
n n(n+1) OQÇÓ BÇAÇÓ n+1 1
= = =;n!;-
㉠에 y=0을 대입하면 OPÇÓ BnAn+1Ó 1 n+1
1 1 이때

Á =Á{ -
- =- (x-n)
n n(n+1) OQûÓ 1 1
}
11 11

x=2n+1 k=1 OPûÓ k=1 k k+1


또 ㉠에 x=0을 대입하면
={1-;2!;}+{;2!;-;3!;}+{;3!;-;4!;}+y
1 1
y- =- _(-n)
n n(n+1)
 +{;1Á1;-;1Á2;}
2n+1
y=
n(n+1)
=1-;1Á2;
이때 두 점 Pn, Qn의 좌표는

Pn(2n+1, 0), Qn{0,


2n+1
} =;1!2!;
n(n+1)
따라서 p=12, q=11이므로
따라서
p+q=12+11=23
2n+1
OPnÓ=2n+1, OQnÓ=
n(n+1)
이므로

3 원 Cn은 중심이 점 An{n, ;4!;nÛ`}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n이


Á =Á
2k+1
11 OQûÓ 11
k(k+1)
k=1 OPûÓ 2k+1 므로 원 Cn의 방정식은


k=1

1 nÛ` Û
}`=nÛ`
11
(x-n)Û`+{y-
k=1 k(k+1) 4

2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07
Z
ZÅY™
수학적 귀납법


2‰ "‰ 유제 본문 69~71쪽

0 Y 1 64 2④ 3① 4 19

원 Cn의 중심에서 x축,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Pn,


Qn이라 하면 1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2an
nÛ`
Pn(n, 0), Qn{0, } 을 만족시키므로 수열 {an}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다.
4
nÛ` 이때
이때 AnPnÓ= , AnQnÓ=n이므로 원 Cn은 n의 값에 관계
4 an=aÁ_(-2)n-1 (n=2, 3, 4, y)
없이 항상 y축에 접한다. 이므로
한편 원 Cn과 x축의 교점의 개수를 알아보자. aª+a£=8에서
Ú 원 Cn이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aÁ_(-2)+aÁ_(-2)Û`=8
nÛ` 2aÁ=8, aÁ=4
<n이어야 한다.
4
따라서 a°=4_(-2)Ý`=64  64
즉 nÛ`-4n<0, n(n-4)<0에서
0<n<4
Û 원 Cn이 x축에 접하려면 2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nÛ` an+2-an+1=an+1-an
=n이어야 한다.
4 즉, 2an+1=an+2+an
즉 nÛ`-4n=0, n(n-4)=0 을 만족시키므로 수열 {an}은 등차수열이다.
n>0이므로 n=4 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Á=1이므로
Ü 원 Cn이 x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a¦=5aª에서
nÛ` 1+6d=5(1+d), d=4
>n이어야 한다.
4
따라서 aÁ¼=1+9_4=37 ④
즉 nÛ`-4n>0, n(n-4)>0
n>0이므로 n>4
Ú, Û, Ü에 의하여 수열 {an}은 다음과 같다. 3 (2n-1)an+1=nan에서
n
aÁ=aª=a£=3, a¢=2, an=1 (n¾5) an+1= a
2n-1 n
따라서
Á ak=(aÁ+aª+a£)+a¢+ Á ak
위 등식의 n에 1, 2, 3, 4를 차례로 대입하면
10 10

aª=;1!;_aÁ=3
=(3+3+3)+2+ Á 1
k=1 k=5
10

k=5 a£=;3@;_aª=;3@;_3=2
=9+2+1_6=17 ④
a¢=;5#;_a£=;5#;_2=;5^;

a°=;7$;_a¢=;7$;_;5^;=;3@5$; ①

4 an+an+1+an+2=8n yy`㉠
㉠의 n에 1, 2를 차례로 대입하면
aÁ+aª+a£=8 yy`㉡

정답과 풀이 27
정답과 풀이

an+1=1+ Á ak   yy`㉠


n
yy`㉢
aª+a£+a¢=16
4 k=1
㉢-㉡을 하면
㉠에 n=1을 대입하면
a¢-aÁ=8
aª=1+aÁ=1+2=3
a¢=8+aÁ=8+3=11
㉠에 n=2를 대입하면
또 ㉠의 n에 4, 5를 차례로 대입하면
a£=1+(aÁ+aª)
a¢+a°+a¤=32 yy`㉣
=1+(2+3)=6
a°+a¤+a¦=40 yy`㉤
㉠에 n=3을 대입하면
㉤-㉣을 하면
a¢=1+(aÁ+aª+a£)
a¦-a¢=8
=1+(2+3+6)
따라서 a¦=8+a¢=8+11=19  19
=12  12

1
5 an+1=an+
n(n+1)
에서

1 1
an+1=an+ -
n n+1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73쪽
위의 등식의 n에 1, 2, 3, 4를 차례로 대입하면
1④ 2⑤ 3④ 4 12 5③ aª=aÁ+1-;2!;

a£=aª+;2!;-;3!;={aÁ+1-;2!;}+;2!;-;3!;=aÁ+1-;3!;
1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Û`=anan+2 a¢=a£+;3!;-;4!;={aÁ+1-;3!;}+;3!;-;4!;=aÁ+1-;4!;
를 만족시키므로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다.
a°=a¢+;4!;-;5!;={aÁ+1-;4!;}+;4!;-;5!;=aÁ+1-;5!;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a£=2aª에서 r=2 이때 aÁ=;5!;이므로
따라서 a¥=;4!;_2à`=32 ④
a°=;5!;+1-;5!;=1 ③

2 수열 {an}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3
을 만족시키므로 수열 {an}은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다.
aÁ=5이므로 등차수열 {an}의 일반항은
an=5+(n-1)_3=3n+2
따라서 ak=3k+2=35에서
k=11 ⑤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74쪽

1① 2② 3④
3 aÁ=1이고
an+1+an=2n-1에서
an+1=-an+2n-1 1 조건 (가)에서 an+1=an+6
이므로 위 등식의 n에 1, 2, 3, 4, 5를 차례로 대입하면 이므로 수열 {an}은 공차가 6인 등차수열이다.
aª=-aÁ+2_1-1=-1+2-1=0 조건 (나)에서 aªÛ`=2+aÁÁ
a£=-aª+2_2-1=0+4-1=3 이므로 (aÁ+6)Û`=2+(aÁ+10_6)
a¢=-a£+2_3-1=-3+6-1=2 aÁÛ`+11aÁ-26=0
a°=-a¢+2_4-1=-2+8-1=5 (aÁ+13)(aÁ-2)=0
a¤=-a°+2_5-1=-5+10-1=4 ④ aÁ>0이므로 aÁ=2

2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이때 등차수열 {an}의 일반항은 이므로 (C)이 성립한다.
an=2+(n-1)_6=6n-4 Û n=k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따라서 1!+2!+3!+y+k!<2_k!
Á ak= Á (6k-4)
10 10
이므로

=6 Á k- Á 4
k=1 k=1
1!+2!+3!+y+k!+(k+1)!<2_k!+(k+1)!
10 10

k=1 k=1
=( k+3 )_k!
10_11 이다. 이때 자연수 k에 대하여
=6_ -4_10
2 2(k+1)-( k+3 )= k-1 ¾0
=330-40=290 ① 이므로
1!+2!+3!+y+k!+(k+1)!<2_(k+1)!
Á ak=
10 10(aÁ+aÁ¼) 10(2+56) 이다. 따라서 n=k+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 =290
k=1 2 2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C)이 성립한다.
이상에서 f(k)=k+3, g(k)=k-1이므로
2 anan+2=an+1에서
an+1 f(7)+g(10)=10+9=19 ④
an>0이므로 an+2=
an
위 등식의 n에 1, 2, 3, y을 대입하면

a£= =;2*;=4


a¢= =;8$;=;2!;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75쪽

a¢ ;2!;
a°= = =;8!; 1⑤ 2 42 3④ 4①
a£ 4

a° ;8!;
a¤= = =;4!;

;2!; 1 조건 (가)에서 an+2=;2!;an이므로

수열 aÁ, a£, a°, y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고,


a¤ ;4!;
a¦= = =2

;8!; 수열 aª, a¢, a¤, y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다.

a¦ 2 aÁ=1이므로 a£=;2!;_aÁ=;2!;
a¥= = =8

;4!;
조건 (나)에서 세 수 a£, aÁ, a¢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
⋮ 루므로
이므로 2aÁ=a£+a¢
an+6=an (n=1, 2, 3, y)
즉, 2=;2!;+a¢에서 a¢=2-;2!;=;2#;
따라서

aÁ¼¼=a»¢=y=a¢=;2!; 이때 a¢=;2!;aª이므로 aª=2_;2#;=3

따라서
Á ak= Á a2k-1+ Á a2k
aÁ¼Á=a»°=y=a°=;8!; 11 6 5

이므로 k=1 k=1 k=1

aÁ¼¼+aÁ¼Á=;2!;+;8!;=;8%; ② 1-{;2!;}ß` 3[1-{;2!;}Þ`]


= +
1-;2!; 1-;2!;
3 Ú n=1일 때,
(좌변)=1!=1, (우변)=2_1!=2 =;3^2#;+;1(6#;=:ª3¢2»: ⑤

정답과 풀이 29
정답과 풀이

2 aª=aÁ+1=5+1=6 이고,
Á akbk= Á {-8(k+1)(k-5)}
aª 5 5
a£= =;2^;=3
2
=-8 Á (kÛ`-4k-5)
k=1 k=1

a¢=a£+1=3+1=4 5

=-8{ Á kÛ`-4 Á k- Á 5}
a¢ k=1
a°= =;2$;=2 5 5 5
2
a° k=1 k=1 k=1
a¤= =;2@;=1 5_6_11 5_6
2 =-8_{ -4_ -5_5}
6 2
a¦=a¤+1=1+1=2
a¦ =240,
a¥= =;2@;=1 a¤b¤=-8(6+1)(6-5)=-56,
2
⋮ a¦b¦=-8(7+1)(7-5)=-128
이므로 수열 {an}은 다음과 같다. 이므로
Á |akbk|= Á akbk-(a¤b¤+a¦b¦)
7 5
aÁ=5, aª=6, a£=3, a¢=4,
k=1 k=1
a2n-1=2`(n¾3),
=240-(-56-128)=424 ④
a2n=1 (n¾3)
따라서
Á ak=5+6+3+4+2_8+1_8=42
20
 42
k=1
4 점 Pn의 좌표를 (xn, yn)이라 하자.
2xn+1-xn
xn+2= =2xn+1-xn에서
3 an+1=an-2이므로 수열 {an}은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 2-1
다. 2xn+1=xn+2+xn

또 bn+1=bn+4이므로 수열 {bn}은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 이므로 수열 {xn}은 등차수열이다.

다. 이때 xÁ=3, xª=6이므로 등차수열 {xn}의 공차를 dÁ이라

두 등차수열 {an}, {bn}의 첫째항을 p라 하면 하면

4a£=b£에서 dÁ=xª-xÁ=6-3=3

4{p+2_(-2)}=p+2_4 따라서 등차수열 {xn}의 일반항 xn은

4p-16=p+8, 3p=24 xn=3+(n-1)_3=3n

p=8 2yn+1-yn
또 yn+2= =2yn+1-yn에서
2-1
두 등차수열 {an}, {bn}의 일반항은 각각
2yn+1=yn+2+yn
an=8+(n-1)_(-2)=-2n+10,
이므로 수열 {yn}은 등차수열이다.
bn=8+(n-1)_4=4n+4
이때 yÁ=3, yª=5이므로 등차수열 {yn}의 공차를 dª라 하
이므로

akbk=(-2k+10)(4k+4)
dª=yª-yÁ=5-3=2
=-8(k+1)(k-5)
따라서 등차수열 {yn}의 일반항 yn은
akbk¾0에서
yn=3+(n-1)_2=2n+1
-8(k+1)(k-5)¾0, (k+1)(k-5)É0
점 Gn의 좌표를 (an, bn)이라 하면
-1ÉkÉ5
xn+xn+1+0
즉, k는 자연수이므로 1ÉkÉ5일 때 akbk¾0이고, an=
3
k¾6일 때 akbk<0이다. 3n+(3n+3)
= =2n+1
따라서 3

Á |akbk|= Á akbk- Á akbk


7 5 7 yn+yn+1+0
bn=
3

= Á akbk-(a¤b¤+a¦b¦)
k=1 k=1 k=6
5 (2n+1)+(2n+3)
=
k=1 3

3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4n+4 4(n+1)

08
= =
3 3
지수
이때 an의 값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정수이다.
한편 bn의 값이 정수가 되려면 n+1이 3의 배수이어야 하므
로 n은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2이어야 한다. 즉, n의 유제 본문 79~83쪽
값은 2, 5, 8, y, 98이다.
이때 수열 2, 5, 8, y, 98은 첫째항이 2, 공차가 3인 등차 1① 2④ 3③ 4② 5③
수열이므로 98을 k번째 항이라 하면 6⑤
98=2+(k-1)_3에서 k=33
따라서 100개의 점 GÁ, Gª, y, GÁ¼¼ 중 x좌표와 y좌표가
1 Þ'4_Þ'8=Þ'Ä4_8=Þ'3Œ2=Þ"Å2Þ`=(Þ'2)Þ`=2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33이다. ①
(Þ'3)Ú`â`={(Þ'3)Þ`}Û`=3Û`=9
따라서
Þ'4_Þ'8+(Þ'3)Ú`â`=2+9=11 ①

2 a의 세제곱근 중에서 실수인 것이 -4이므로 방정식 xÜ`=a


의 근 중에서 실근이 -4이다.
즉, a=(-4)Ü`=-64
b의 네제곱근 중에서 양수인 것이 3이므로 방정식 xÝ`=b의
근 중에서 양수인 근이 3이다.
즉, b=3Ý`=81
따라서 a+b=-64+81=17 ④

3 125ß`Ö25ß`_5Ñß`=(5Ü`)ß`Ö(5Û`)ß`_5Ñß`
=5Ú`¡`Ö5Ú`Û`_5Ñß`
=518-12-6=50=1 ③

4 a가 이차방정식 xÛ`-3x+1=0의 한 근이므로


aÛ`-3a+1=0
a>1이므로 양변을 a로 나누면
1
a-3+ =0, a+a-1=3
a
(a-aÑÚ`)Û`=(a+aÑÚ`)Û`-4_(a_aÑÚ`)
=3Û`-4=5
a>1이므로 a-aÑÚ`='5
따라서
aÛ`-aÑÛ`=(a+aÑÚ`)(a-aÑÚ`)
QR코드 앱을 사용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세요. =3_'5=3'5 ②
;3!;

5 (Ü'2);5^;_(2'2);5@;Ö{;8!;}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2;3!;);5^;_(2;2#;);5@;Ö(2-3);3!;
=2;3!;_;5^;_2;2#;_;5@;Ö2-3_;3!;
수능특강 지문·자료 분석 능력을
=2;5@;_2;5#;Ö2-1=2;5@;+;5#;-(-1)
단번에 올리는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2Û`=4 ③

정답과 풀이 31
정답과 풀이

'2
6 12x+;]@;=12x_12;]@;=12x_(12'2) y 이므로
2'2 2y
'2
2'2 2'2 2'2 2'2 aÞ`=16, a=Þ'1Œ6 ④
=2 _(3 ) =2 _3 =(2_3) =6
y

a=Ü®É-;2Á7;=-Ü®Â;2Á7;=-Ü®É{;3!; }Ü`=-{Ü®;3!; }Ü`=-;3!;


 ⑤
4
b=Ý'1Œ6=Ý"Å2Ý`=(Ý'2)Ý`=2
따라서
1 1
ba=2-;3!;= =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84쪽 2 ;3!; Ü'2
'
Ü 4 Ü'4
1② 26 3④ 4③ 5② = =
Ü'2_Ü'4 Ü'Ä2_4
Ü'4 Ü'4 Ü'4
= = =  ③
1 -2의 세제곱근 중 실수 Ü'¶-2는 거듭제곱근의 정의에 의하 Ü"2Ü` (Ü'2)Ü` 2
여 x에 대한 방정식 xÜ` =-2의 실근이고, 이는 함수
2
y= xÜ` 의 그래프와 직선 y=-2의 교점의 x좌표이므로 오 5 2'3
_21+'3=21-'3_21+'3
직 하나 존재한다.
=2(1-'3)+(1+'3)
한편 거듭제곱근의 성질에 의하여
=2Û`
(-Ü'2)Ü`=-(Ü'2)Ü`= -2
따라서
즉, -Ü'2는 방정식 xÜ`=-2의 실근이고 이 실근은 오직 하
2
나 존재하므로 ܾ¨ _21+'3=Ü"Å2Û`=(2Û`);3!;=2;3@; ②
2'3
Ü'¶-2=-Ü'2
따라서 f(x)=xÜ`, a=-2이므로
f(-2)=(-2)Ü`=-8 ②

일반적으로 n이 홀수일 때
Ç '¶-a=-Ç 'a

2 ('2-1)-2+('2+1)-2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85쪽


1 1
= + 1③ 2② 3⑤ 4③ 5③
('2-1)Û` ('2+1)Û`
1 1
= +
3-2'2 3+2'2
1 Þ'6, '2, Ü'3은 모두 1보다 큰 수이므로 거듭제곱을 하여도
(3+2'2)+(3-2'2)
= 세 수의 대소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3-2'2)(3+2'2)
aÚ`â`=(Þ'6)Ú`â`={(Þ'6)Þ`}Û`=6Û`=36,
6
=
3Û`-(2'2)Û` bÚ`â`=('2)Ú`â`={('2)Û`}Þ`=2Þ`=32
6 이므로 b<a   yy`㉠
= =6 6
9-8 bß`=('2)ß`={('2)Û`}Ü`=2Ü`=8,
cß`=(Ü'3)ß`={(Ü'3)Ü`}Û`=3Û`=9
(aÛ`)Ü`_{;a!;} ÖaÝ`
-3

3 이므로 b<c   yy`㉡


=(aÛ`)Ü`_(a ) ÖaÝ`-1 -3
aÚ`Þ`=(Þ'6)Ú`Þ`={(Þ'6)Þ`}Ü`=6Ü`=216,
=a 2_3
_a (-1)_(-3)
ÖaÝ` cÚ`Þ`=(Ü'3)Ú`Þ`={(Ü'3)Ü`}Þ`=3Þ`=243
=aß`_aÜ`ÖaÝ` 이므로 a<c   yy`㉢
=a 6+3-4
=aÞ` ㉠, ㉡, ㉢에서 b<a<c ③

3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2 (¡'2-1)(¡'2+1)=(¡'2)Û`-1=Ý'2-1, 4 xÛ`+yÛ`=4;n!;=(2Û`);n!;=(2;n!;)Û` Z
(Ý'2-1)(Ý'2+1)=(Ý'2)Û`-1='2-1,
MÅ
;n!; MÅ 
이므로 원 xÛ`+yÛ`=4 은 중 Y™ Z™  "
('2-1)('2+1)=('2)Û`-1=2-1=1 심이 원점 O이고 반지름의 길 MÅ MÅ
이므로  ) 
이가 2;n!;인 원이다. 0 Y
1 
MÅ

(¡'2+1)(Ý'2+1)('2+1) 2 ;n!; 


또 x=2;n!;-1= 이므로 #
2
'
MÅ
¡ 2-1  Y
MÅ 

= ;n!;-1
(¡'2-1)(¡'2+1)(Ý'2+1)('2+1) 직선 x=2 이원
¡'2-1
;n!;
xÛ`+yÛ`=4 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B라 하고, x축과
=
(Ý'2-1)(Ý'2+1)('2+1) 만나는 점을 H라 하면 직각삼각형 AOH에서
¡'2-1 2;n!;
= OAÓ=2;n!;, OHÓ= 이다.
('2-1)('2+1) 2
=¡'2-1 이때 cos(∠AOH)=
OHÓ
=;2!;이므로
따라서 OAÓ
1
∠AOH=60ù이고, ∠AOB=2∠AOH=2_60ù=120ù
[1+ ]Ú`ß`
(¡'2+1)(Ý'2+1)('2+1) 따라서
={1+(¡'2-1)}Ú`ß`=(¡'2)Ú`ß` (부채꼴 AOB의 넓이)
={(¡'2)¡`}Û`=2Û`=4 ② =p_(2;n!;)Û`_;3!6@0);=;3Ò;_2;n@;

이고,
(삼각형 AOB의 넓이)
3 n n
an=(2 ) Ö16 _8 -n
=2_(삼각형 AOH의 넓이)
=2n_nÖ(2Ý`)-n_2Ü`
=2_{;2!;_OHÓ_AHÓ}
=2nÛ`Ö2-4n_2Ü`
=2nÛ`-(-4n)+3 2;n!;
=2_[;2!;_ _(2;n!;_sin`60ù)]
2
=2nÛ`+4n+3=2(n+1)(n+3)
2;n!; '3
이므로 =2_{;2!;_ _2;n!;_ }
2 2
aÁ_aª_a£_y_aÁ¼
'3 '3
=22_4_23_5_24_6_y_211_13 = _(2;n!;)Û`= _2;n@;
4 4
=22_4+3_5+4_6+y+11_13 이므로
이때 Sn=(부채꼴 AOB의 넓이)-(삼각형 AOB의 넓이)
2_4+3_5+4_6+y+11_13 '3
= Á (k+1)(k+3)
=;3Ò;_2;n@;- _2;n@;
10
4
'3
= Á (kÛ`+4k+3)
}_2;n@;
k=1
={;3Ò;-
10
4

= Á kÛ`+4 Á k+ Á 3
k=1
따라서
10 10 10
'3
k=1 k=1 k=1 {;3Ò;- }_2;4!;
S¥ 4
10_11_21 10_11 = =2;4!;-;2!;=2-;4!; ③
= +4_ +3_10 S¢ '3
6 2 {;3Ò;- }_2;2!;
4
=385+4_55+30=635
따라서
5 '2_3_4'2_4_5'2_y_31_32'2
2_3

aÁ_aª_a£_y_aÁ¼ 1 1 1 1
=22_4+3_5+4_6+y+11_13 =2 2_3 _2 3_4 _2 4_5 _y_2 31_32
1 1 1 1
=2635 ⑤ =2 2_3 + 3_4 + 4_5 +y+ 31_32

정답과 풀이 33
정답과 풀이

한편 이때
1
+
1
+
1
+y+
1 (Ü'2-1)(Ü'4+Ü'2+1)=(Ü'2-1){(Ü'2)Û`+Ü'2+1}
=(Ü'2)Ü`-1
2_3 3_4 4_5 31_32


31
1
=2-1=1,
k=2 k(k+1)

=Á{
(Ü'2+1)(Ü'4-Ü'2+1)=(Ü'2+1){(Ü'2)Û`-Ü'2+1}
1 1
}
31

k=2
-
k k+1 =(Ü'2)Ü`+1
=2+1=3
={;2!;-;3!;}+{;3!;-;4!;}+{;4!;-;5!;}+y+{;3Á1;-;3Á2;}
이므로
=;2!;-;3Á2; (Ü'4+Ü'2+1)-3+27(Ü'4-Ü'2+1)-3
(Ü'2-1)Ü`
이므로 =
{(Ü'2-1)(Ü'4+Ü'2+1)}Ü`
2_3
'2_3_4'2_4_5'2_y_31_32'2
27(Ü'2+1)Ü`
1 1 1 1
 +
=2 2_3 + 3_4 + 4_5 +y+ 31_32 {(Ü'2+1)(Ü'4-Ü'2+1)}Ü`
=2;2!;-;3Á2;=2;3!2%;=Ü`Û"21Þ` 27(Ü'2+1)Ü`
=(Ü'2-1)Ü`+
③
3Ü`
=(Ü'2-1)Ü`+(Ü'2+1)Ü`
={(Ü'2)Ü`-3_(Ü'2)Û`+3_Ü'2-1}
 +{(Ü'2)Ü`+3_(Ü'2)Û`+3_Ü'2+1}
=2{(Ü'2)Ü`+3_Ü'2 }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86쪽
=2(2+3 Ü'2)
1② 2③ 3 12 4③ =4+6 Ü'2 ③

1 n=2k_3l`(k, l은 자연수)라 하면 3 2ÑÚ`-2ÑÛ`+2ÑÜ`-y+(-1)n-1_2-n


1 1
=;2!;- + -y+;2!;_{-;2!;}
n-1
n ¾¨ 2û`_3Â`
Ü® =Ü =Ü¿¹2k-1_3l 2Û` 2Ü`
2 2
;2!;[1-{-;2!;} ]
n
k-1 l
=(2k-1_3l);3!;=2 _3 3    yy`㉠
=;3!;[1-{-;2!;} ]
3 n
=
n ¾¨ 2û`_3Â` 1-{-;2!;}
Ý® =Ý =Ý¿¹2k_3l-1
3 3
k l-1 2(2Ç`-1)
=(2k_3l-1);4!;=2 4 _3 4    yy`㉡ 2+2Û`+2Ü`+y+2Ç`=
2-1
=2(2Ç`-1)
㉠, ㉡의 값이 모두 자연수가 되려면 k-1은 0 또는 3의 배 이므로
수이고, k는 4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2ÑÚ`-2ÑÛ`+2ÑÜ`-y+(-1)Ç` ÑÚ`_2ÑÇ`
3_
k=4, 16, 28, y   yy`㉢ 2+2Û`+2Ü`+y+2Ç`
l은 3의 배수이고, l-1은 0 또는 4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3!;[1-{-;2!;} ]
n

l=9, 21, 33, y   yy`㉣ =3_


2(2Ç`-1)
㉢, ㉣에서 n의 최솟값은 2Ý`_3á`이다.
1-{-;2!;}
n
따라서 a=4, b=9이므로
a+b=4+9=13 ② = =2-13
2(2Ç`-1)
에서 1-{-;2!;} =2-12(2n-1)   yy`㉠
n

2 (Ü'4+Ü'2+1) +27(Ü'4-Ü'2+1)
-3 -3

1 27 Ú n이 짝수일 때, ㉠에서
= +
(Ü'4+Ü'2+1)Ü` (Ü'4-Ü'2+1)Ü` 1
1- =2-12(2n-1),
2n-1 2n-1
= 12
2Ç` 2Ç` 2

3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1 1

09
2n-1+0이므로 =
2Ç` 212
로그
2n=212에서 n=12
Û n이 홀수일 때, ㉠에서
1 2n+1 2n-1 유제
1+ =2-12(2n-1), = 12 본문 89~93쪽
2Ç` 2Ç` 2
2n+1 2n n-12 1② 2① 3④ 4④ 5⑤
= 12 =2
2Ç`-1 2
6②
n=1, 3, 5, y일 때, 2n+1, 2n-1은 모두 홀수이다.
ⓐ n이 12보다 큰 홀수인 경우
2n+1=2n-12(2n-1)에서 좌변은 홀수, 우변은 짝 1 log¢`x=;2!;에서 x=4;2!;='4=2
수이므로 모순이다. logy`8=3에서 yÜ`=8=2Ü`, 즉 yÜ`-2Ü`=0
ⓑ n이 12보다 작은 홀수인 경우 (y-2)(yÛ`+2y+4)=0
212-n(2n+1)=2n-1에서 좌변은 짝수, 우변은 홀 이때 y는 실수이므로 yÛ`+2y+4=(y+1)Û`+3>0
수이므로 모순이다. 즉, y=2
2n+1 따라서 x+y=2+2=4 ②
따라서 =2n-12을 만족시키는 홀수 n은 존재
2Ç`-1
하지 않는다.
Ú, Û에서 자연수 n의 값은 12이다.  12
2 x=(logª`6)Û`-(logª`3)Û`
=(logª`6+logª`3)(logª`6-logª`3)
4
1 1
36 xÛ` =k_6 2yÛ` 에서
1 1
=logª`(6_3)_logª`;3^;
k=36 xÛ` Ö6 2yÛ`
1 1
=logª`18_logª`2
=36 xÛ` Ö(36;2!;) 2yÛ` =logª`18
1 1
=36 Ö36 xÛ` 4yÛ` 따라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2x=18 ①
1 1
-
=36 xÛ` 4yÛ`
x=(logª`6)Û`-(logª`3)Û`
=36{;[!;+;2Á];}{;[!;-;2Á];} =(logª`2+logª`3)Û`-(logª`3)Û`
=(36;[!;+;2Á];);[!;-;2Á]; =(1+logª`3)Û`-(logª`3)Û`
x
한편 3 =36에서 36 =3, ;[!; ={1+2`logª`3+(logª`3)Û`}-(logª`3)Û`
=logª`2+logª`3Û`
144y=36에서 36;]!;=144, 36;2Á];=144;2!;=12
=logª`(2_3Û`)=logª`18
이므로
따라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2x=18
36;[!;+;2Á];=36;[!;_36;2Á];=3_12=36

36;[!;-;2Á];=36;[!;Ö36;2Á];=3Ö12=;4!;

따라서
3 log4`144-log;2!;`18+3`logª`;3!;

=log2Û``12Û`-log2ÑÚ``18+3`logª`3-1
k=(36;[!;+;2Á];);[!;-;2Á];
1
=;2@;_logª`12- _logª`18+3_(-1)_logª`3
=36;[!;-;2Á];=;4!; ③ -1
=logª`12+logª`18-3`logª`3
=logª`(2Û`_3)+logª`(2_3Û`)-logª`3Ü`
(2Û`_3)_(2_3Û`)
=logª` `
3Ü`
=logª`2Ü`=3`logª`2=3 ④

정답과 풀이 35
정답과 풀이

4 ;2!;`log'3`(k+1)=log('3)Û``(k+1)=log£`(k+1),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94쪽

2`log9`k=2`log3Û``k=;2@;`log£`k=log£`k 1⑤ 2③ 3④ 4② 5②
이므로
Á [;2!;`log'3`(k+1)-2`log9`k]
15

1 logª`16+log;3!;`9=logª`2Ý`+log3ÑÚ``3Û`

= Á {log£`(k+1)-log£`k}
k=1
15
2
=4`logª`2+ _log£`3

= Á `log£`
k=1 -1
15
k+1 =4-2=2 ⑤
k=1 k
=log£`2+log£`;2#;+log£`;3$;+y+log£`;1!5^;
1
2 logª`6-logª`;4#;+log£`
'2Œ7
=log£`{2_;2#;_;3$;_y_;1!5^;}
=logª`(2_3)-logª`;4#;+log£`3-;2#;
=log£`16
따라서 =(logª`2+logª`3)-(logª`3-logª`4)-;2#;`log£`3
(logª`3) Á [;2!;`log'3`(k+1)-2`log9`k]
15

k=1 =(1+logª`3)-(logª`3-2)-;2#;
=logª`3_log£`16=logª`16
=logª`2Ý`=4`logª`2=4 ④ =;2#; ③

log°`3
5 점 (p, q)가 직선 y=-;2!;x+1 위의 점이므로 3 a=1+
log°`2
=1+logª`3
q=-;2!;p+1, 즉 p+2q=2   yy`㉠ =logª`2+logª`3
log`K=5+p에서 p=log`K-5   yy`㉡ =logª`(2_3)=logª`6
log`L=3+q에서 q=log`L-3   yy`㉢ 따라서 4a=4logª`6=6logª`4=6Û`=36 ④
㉡, ㉢을 ㉠에 대입하면
(log`K-5)+2(log`L-3)=2
log`K+2`log`L-11=2
4 2x='3에서

log`K+log`LÛ`=13, log`KLÛ`=13 x=logª`'3=logª`3;2!;=;2!;`logª`3이고,

따라서 KLÛ`=10Ú`Ü` ⑤ y=log£`2'5이므로

xy=;2!;`logª`3_log£`2'5

6 2`log100`a=2`log10Û``a=;2@;`logÁ¼`a=log`a, =;2!;(logª`3_log£`2'5)
logª`2'5
;2!;`log'1Œ0`b=log('1Œ0)Û``b=logÁ¼`b=log`b =;2!;{logª`3_ }
logª`3
이므로
=;2!;`logª`2'5
2`logÁ¼¼`a-;2!;`log'1Œ0`b=log`a-log`b=log`;bA;=1
=;2!;(logª`2+logª`'5)
즉, ;bA;=10이므로 a=10b   yy`㉠
=;2!;(1+logª`5;2!;)
a, b는 50 이하의 두 자연수이므로 ㉠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는 =;2!;{1+;2!;`logª`5}
(10, 1), (20, 2), (30, 3), (40, 4), (50, 5)
따라서 a+b의 최댓값은 50+5=55 ② =;2!;+;4!;`logª`5 ②

3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다른 풀이 1 ;[^;+;]#;+;z@;=logª`a+logª`b+logª`c
2x='3에서 4x=(2x)Û`=('3)Û`=3이고, =logª`abc=logª`2Þ`=5
y=log£`2'5에서 3y=2'5이므로
4xy=(4x)y=3y=2'5
2 p=1+log'2`3=1+log('2)Û``3Û`=1+logª`9
따라서 =logª`2+logª`9=logª`18
xy=log¢`2'5=log2Û``2'5=;2!;`logª`2'5 이므로 2p=18
q=2-log»`4=2-log3Û``2Û`=2-log£`2
=;2!;{1+;2!;`logª`5}=;2!;+;4!;`logª`5
=log£`3Û`-log£`2=log£`;2(;
다른 풀이 2

2xy=(2x)y=('3)log£`2'5=(2'5)log£`'3=(2'5);2!;이므로 이므로 3q=;2(;

xy=logª`(2'5);2!;=;2!;`logª`2'5=;2!;+;4!;`logª`5 따라서 2p_3q=18_;2(;=81 ④

2`log`2 2`log`2
5 1-log`2
_log¢`25=
log`10-log`2
_log2Û``5Û` p=1+log'2`3=log'2`'2+log'2`3=log'2`3'2에서
2`log`2 ('2)p=3'2이므로
= _;2@;`logª`5 2p={('2)Û`}p={('2)p}Û`=(3'2)Û`=18
log`:Á2¼:
2`log`2 q=2-log»`4=log£`3Û`-log3Û``2Û`=log£`9-log£`2=log£`;2(;
= _logª`5
log`5
2`log`2 log`5 이므로 3q=;2(;
= _ =2 ②
log`5 log`2
따라서 2p_3q=18_;2(;=81

3 log`(p_10aû)=log`p+ak
=log`p+(-1)k_k
이므로
Á log`(p_10aû)= Á {log`p+(-1)k_k}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95쪽 10 10

= Á log`p+ Á {(-1)k_k}
k=1 k=1
1⑤ 2④ 3② 4② 10 10

k=1 k=1

=10`log`p+(-1+2-3+y-9+10)
1 ax=b2y=c3z=2ß`에서 a=2;[^;, b=2;]#;, c=2;z@;
=10`log`p+5=7
이므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에서 log`p=;5!;
;[^;=logª`a, ;]#;=logª`b, ;z@;=logª`c
따라서 p=10;5!;=Þ'1Œ0 ②
;[^;+;]#;+;z@;=logª`a+logª`b+logª`c

=logª`abc=logª`2Þ`=5 ⑤ 4 log`(x-1)에서 x-1>0, x>1   yy`㉠


1
log` 에서 y-2>0, y>2   yy`㉡
y-2
ax=b2y=c3z=2ß`에서 a, b, c는 a+1, b+1, c+1인 양수
1
이므로 log`(x-1)-log` =1에서
y-2
x=loga`2ß`=6`loga`2, ;6{;=loga`2, ;[^;=logª`a log`(x-1)-log`
1
=log`(x-1)-log`(y-2)ÑÚ`
y-2
2y=logb`2ß`=6`logb`2, ;3};=logb`2, ;]#;=logª`b =log`(x-1)+log`(y-2)
=log`(x-1)(y-2)
3z=logc`2ß`=6`logc`2, ;2Z;=logc`2, ;z@;=logª`c 이므로

정답과 풀이 37
정답과 풀이

log`(x-1)(y-2)=1 따라서
즉, (x-1)(y-2)=10   yy`㉢ logª`b-logª`c=logª`;cB;
x, y는 자연수이므로 ㉠, ㉡, ㉢에서 x-1과 y-2는 10의
=logª`{;bC;}
-1
양의 약수이다.

x-1 1 2 5 10 =-logª`;bC;
y-2 10 5 2 1 =-3 ①

주어진 두 식을 변끼리 더하면
x 2 3 6 11

y 12 7 4 3
{logª`;aB;+log;2!;`;cB;}+{logª`;bC;+log;2!;`;aC;}=2+1

따라서 위의 표에서 xy의 값은 {logª`;aB;+logª`;bC;}+{log;2!;`;cB;+log;2!;`;aC;}=3

2_12=24, 3_7=21, 6_4=24, 11_3=33 logª`;aC;+log;2!;`;aB;=3


이므로 xy의 최댓값은 33이다. ②
logª`;aC;-logª`;aB;=3

(logª`c-logª`a)-(logª`b-logª`a)=3
따라서 logª`c-logª`b=3이므로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96쪽 logª`b-logª`c=-3

1① 2④ 3① 4③

1 logª`;aB;+log;2!;`;cB;=logª`;aB;+log2ÑÚ``;cB; 2 an=
2`logª (n+1)-logª (nÛ`+2n)
(n+2)-n
=logª`;aB;-logª`;cB; =;2!;{logª (n+1)Û`-logª (nÛ`+2n)}

=logª`{;aB;Ö;cB;} (n+1)Û` (n+1)(n+1)


=;2!;`logª` =;2!;`logª`
nÛ`+2n n(n+2)
Á ak= Á ;2!;`logª`
=logª`{;aB;_;bC;} 7 7 (k+1)(k+1)
k=1 k=1 k(k+2)
=logª`;aC;=2   yy`㉠ 2_2 3_3 4_4
=;2!;{logª` +logª` +logª` +y
1_3 2_4 3_5
logª`;bC;+log;2!;`;aC;=logª`;bC;+log2ÑÚ``;aC;
8_8
 +logª` }
7_9
=logª`;bC;-logª`;aC;
2_2 3_3 4_4 8_8
=;2!;`logª`{ _ _ _y_ }
=logª`{;bC;Ö;aC;} 1_3 2_4 3_5 7_9

=;2!;`logª`{;1@;_;9*;}
=logª`{;bC;_;cA;}

=logª`;bA;=1   yy`㉡ =;2!;`logª`{;3$;}Û`

㉠, ㉡에서 =logª`;3$;
logª`;bC;=logª`{;aC;_;bA;}
즉, m=logª`;3$;이므로
=logª`;aC;+logª`;bA;
2m=;3$; ④
=2+1=3

3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수학Ⅱ


2nÛ`
3 logaÇ`5
-logª°`an=2nÛ``log°`an-log5Û``an 따라서 aÁ=aª=a£=0
Û n=4인 경우
=2nÛ``log°`an-;2!;`log°`an
;pQ;=10Û`을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두 자연수 p, q의 순
=;2!;(4nÛ`-1)log°`an 서쌍 (p, q)는
이고, (1, 100)
1-log°`5aÇ 1-(1+log°`aÇ) 이므로 그 개수는 1이다.
1- =1-
2`log¢`an 2`log¢`an 따라서 a¢=1
log°`aÇ Ü n=5인 경우
=1+
2`log¢`an
;pQ;=10을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두 자연수 p, q의 순
log`aÇ log`4
=1+;2!;_ _
log`5 log`aÇ 서쌍 (p, q)는
2`log`2 (1, 10), (2, 20), (3, 30), y, (10, 100)
=1+;2!;_
log`5 이므로 그 개수는 10이다.
log`2 log`5+log`2 따라서 a°=10
=1+ =
log`5 log`5
Ú, Û, Ü에서
Á ak=0+0+0+1+10=11
1
= 5
log`5 ③
k=1
2nÛ` 1-log°`5aÇ
이므로 -logª°`an=1- 에서
logaÇ`5 2`log¢`an
1
;2!;(4nÛ`-1)log°`an=
log`5
(4nÛ`-1)log`aÇ 1
=
2`log`5 log`5
2
log`an=
4nÛ`-1
2
=
(2n-1)(2n+1)
1 1
= -
2n-1 2n+1
1 1
따라서 an=10 2n-1 - 2n+1 이므로

a°_a¤=10;9!;-;1Á1;_10;1Á1;-;1Á3;=10{;9!;-;1Á1;}+{;1Á1;-;1Á3;}

=10;9!;-;1Á3;=10;11$7; ①

32
4 log`q=log`p+
2Ç`
에서
32
log`q-log`p=
2Ç` QR코드 앱을 사용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세요.
32
log`;pQ;=
2Ç`
즉,`;pQ;=10 2Ç`
32 기출의 미래
Ú n=1, 2, 3인 경우
EBS 수능 기출을 제대로 풀면
;pQ;=10 2Ç` 을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두 자연수 p, q의
32

수능을 보는 눈이 열린다.
순서쌍 (p, q) 는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과 풀이 39
정답과 풀이

lim 2bn=2
미적분Ⅰ n`Ú¦

따라서 lim bn=;2!; lim 2bn=;2!;_2=1 1


n`Ú¦ n`Ú¦

01 수열의 극한
4 lim
3n+2
n`Ú¦ "Ã4nÛ`+1
=lim
3n+2
n
n`Ú¦ "Ã4nÛ`+1
=lim
3+
2
n
¾¨
n`Ú¦ 4nÛ`+1
n nÛ`
유제 본문 101~107쪽
2 2
3+ lim {3+ }
1② 2③ 31 4⑤ 5④ n n`Ú¦ n
=lim =
¾¨4+ lim ¾¨4+
6⑤ 7⑤
n`Ú¦ 1 1
nÛ` n`Ú¦ nÛ`
3+0
= =;2#; ⑤
'Ä4+0
1 ㄱ. 수열 {an}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1, 1, 1, 1, 5, 6, 7, 8, y, n, y 5 점 (3, 4)와 점 (0, n) 사이의 거리는
이므로 n이 한없이 커질 때 an의 값도 한없이 커진다. an="Ã(0-3)Û`+(n-4)Û`="ÃnÛ`-8n+25
따라서 lim an=¦ (발산) 이므로
n`Ú¦

ㄴ. 수열 {an}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lim (n-an)


n`Ú¦

1, 2, 3, 4, 1, 1, 1, 1, y =lim (n-"ÃnÛ`-8n+25)
n`Ú¦
이므로 n이 한없이 커질 때 an의 값은 1로 일정하다.
(n-"ÃnÛ`-8n+25)(n+"ÃnÛ`-8n+25)
따라서 lim an=1 (수렴) =lim
n`Ú¦ n`Ú¦ n+"ÃnÛ`-8n+25
ㄷ. 수열 {an}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nÛ`-(nÛ`-8n+25)
=lim
1, 1, 3, 1, 5, 1, 7, 1, y n`Ú¦ n+"ÃnÛ`-8n+25
이므로 n이 한없이 커질 때 an의 값이 한없이 가까워지 8n-25
=lim
는 일정한 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n`Ú¦ n+"ÃnÛ`-8n+25
따라서 수열 {an}은 발산(진동)한다. 8n-25
이상에서 수렴하는 수열은 ㄴ이다. ② n
=lim
n`Ú¦
n "ÃnÛ`-8n+25
+
n n
2 an+0이므로
25
bÇ+1 8-
lim bn=lim { _an-1} =lim
n
n`Ú¦ n`Ú¦ aÇ n`Ú¦ 8 25
bÇ+1 1+¾¨1- +
n nÛ`
=lim _lim an-lim 1
n`Ú¦ aÇ n`Ú¦ n`Ú¦
8-0
= =4 ④
=;2!;_2-1=0 ③ 1+'Ä1-0+0

3 lim 2an=8이므로 (-3)Û`+2{-;3@;}Ç`


(-3)n+2+2n+1
n`Ú¦
6 lim n
n`Ú¦ (-3) +2
n-1 =lim
aÇ 1+;2!;{-;3@;}Ç`
n`Ú¦
lim =;4!; lim 2an=;4!;_8=2
n`Ú¦ 2 n`Ú¦

lim (-3)Û`+2lim {-;3@;}Ç`


이때
n`Ú¦ n`Ú¦
aÇ 1 aÇ 1
lim { - }=lim -lim =2-0=2, =
n`Ú¦ 2 n n`Ú¦ 2 n`Ú¦ n lim 1+;2!; lim {-;3@;}Ç`
n`Ú¦ n`Ú¦
aÇ 1 aÇ 1
lim { + }=lim +lim =2+0=2 9+2_0
n`Ú¦ 2 n n`Ú¦ 2 n`Ú¦ n = =9  ⑤
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1+;2!;_0

4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2n+1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 |<{;3@;} 이므로
n

7 n
2 +1
따라서
10 1
2n+1 100_lim n{®É4+ -®É4+ }=100_;4(;=225
-{;3@;} <an- n <{;3@;}    yy`㉠
n n
n`Ú¦ n n
2 +1
  225
이때 lim {;3@;} =0이므로
n

n`Ú¦

lim [-{;3@;} ]=-lim {;3@;} =0


n n

n`Ú¦ n`Ú¦
1
따라서 ㉠에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3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0<
n+1
É;2!;

1
} É{;2!;}
n n
2n+1
lim {an- }=0이므로 이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0<{
n+1
n`Ú¦ 2n+1
이때 lim 0=0, lim {;2!;} =0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n
2n+1 2n+1
lim an=lim [{an- }+ n ]
n`Ú¦ n`Ú¦ 2n+1 2 +1 n`Ú¦ n`Ú¦

2 n+1
2 n+1 관계에 의하여
=lim {an- }+lim n
2n+1 n`Ú¦ 2 +1 1
lim { } =0
n`Ú¦ n
①
2 n`Ú¦ n+1
=0+lim
n`Ú¦ 1
1+
2Ç`
2 1
=0+
1+0
=2 ⑤ 4 lim an=¦이므로 lim
n`Ú¦ aÇ
=0이다.
n`Ú¦


1+
aÇ+bÇ aÇ
an+0이므로 =
2aÇ+1 1
2+


1+

=cn이라 하면 lim cn=3이고,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08쪽 이때
1 n`Ú¦
2+

1③ 2 225 3① 45 5②
bÇ 1
6 18 =cn{2+ }-1이므로
aÇ aÇ
bÇ 1
lim =lim c _{lim 2+lim }-lim 1
n`Ú¦ aÇ n`Ú¦ n n`Ú¦ n`Ú¦ aÇ n`Ú¦
1 2 1 2
1 lim { + +3}= lim +lim +lim 3 =3_(2+0)-1=5 5
n`Ú¦ nÛ` n n`Ú¦ nÛ` n`Ú¦ n n`Ú¦

=0+0+3=3 ③

10 1
2 lim n{®É4+ -®É4+ } 5 aß`=2Ý`=16, bß`=3Ü`=27이므로 1<a<b
n`Ú¦ n n
따라서 0<;bA;<1이므로 lim {;bA;} =0이다.
n
10 1
n[{4+ }-{4+ }]
n n n`Ú¦
=lim
10 1 그러므로
®É4+ +®É4+
n`Ú¦

n n
aÜ`{;bA;}Ç`+bÑÛ`
9 an+3+bn-2 0+bÑÛ`
=lim lim =lim = =bÑÛ`
aÇ`+bÇ` 0+1
®É4+
10 1 {;bA;}Ç`+1
n`Ú¦ n`Ú¦ n`Ú¦
+®É4+
n n

=
9 b=3;2!;에서 b-2=(3;2!;)-2=3-1=;3!;이므로
'Ä4+0+'Ä4+0
an+3+bn-2
=
9
=;4(; lim =b-2=;3!; ②
2+2 n`Ú¦ aÇ`+bÇ`

정답과 풀이 41
정답과 풀이

xn x n xn
2n ={ 2 } ={;9{;} 이므로 수열 [ 2n ]이 수렴하기 위한 3
n

6 3 3 3
|an-5nÛ`-n|<10에서 -10<an-5nÛ`-n<10이므로
5nÛ`+n-10<an<5nÛ`+n+10
필요충분조건은
5nÛ`+n-10 aÇ 5nÛ`+n+10
< <
-1<;9{;É1, 즉 -9<xÉ9 nÛ` nÛ` nÛ`
이때
따라서 정수 x는 -8, -7, -6, y, 8, 9이므로 그 개수는
5nÛ`+n-10 1 10
18이다.  18 lim =lim {5+ - }=5+0-0=5,
n`Ú¦ nÛ` n`Ú¦ n nÛ`
5nÛ`+n+10 1 10
lim =lim {5+ + }=5+0+0=5
n`Ú¦ nÛ` n`Ú¦ n nÛ`
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evel 2 기본 연습 aÇ
본문 109쪽 lim =5
n`Ú¦ nÛ`

1③ 26 3② 4① 5② 따라서

+1
aÇ+nÛ` nÛ` 5+1
lim =lim = =;2#;
1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n`Ú¦ aÇ-nÛ` n`Ú¦ aÇ
-1
5-1
②

an=aÁ+(n-1)d=dn+aÁ-d이므로 nÛ`
a2n=d_2n+aÁ-d=2dn+aÁ-d
4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때 an+a2n=12n`(n=1, 2, 3, y)이므로 (n-1)Û`ÉnÛ`-1<nÛ`이므로
(dn+aÁ-d)+(2dn+aÁ-d)=3dn+2aÁ-2d=12n n-1É"ÃnÛ`-1<n yy`㉠
에서 3d=12, 2aÁ-2d=0 또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따라서 d=4, aÁ=d이므로 an=4n (2n+1)Û`<4nÛ`+4n+3<(2n+2)Û`이므로
따라서 2n+1<"Ã4nÛ`+4n+3<2n+2 yy`㉡
lim
an+1
=lim
4(n+1) 4
=lim {4+ }=4+0=4 ㉠, ㉡에서 "ÃnÛ`-1<x<"Ã4nÛ`+4n+3을 만족시키는 정수
n`Ú¦ n n`Ú¦ n n`Ú¦ n
x는 n, n+1, n+2, y, 2n+1이므로 그 개수는
 ③
an=(2n+1)-n+1=n+2
따라서
1
2 p는 상수이고 lim
n`Ú¦ n
=0이므로 자연수 m에 대하여 aÇ n+2 2
lim =lim =lim {1+ }=1+0=1 ①
n=2m-1일 때, n`Ú¦ n n`Ú¦ n n`Ú¦ n
1
lim a2m-1= lim {pÛ`+ }=pÛ`
Á ak= Á [1+;2!;_(-1)k]
2m-1 n n
5
m`Ú¦ m`Ú¦

n=2m일 때, k=1 k=1

lim a2m=4p-4 (-1){1-(-1)Ç` }


m`Ú¦ =n+;2!;_
1-(-1)
이때 수열 {an}이 q에 수렴하므로
1-(-1)Ç`
lim a2m-1= lim a2m=q =n-
4

Á = Á ak=1-
m`Ú¦ m`Ú¦
n aû 1-(-1)Ç`
이어야 한다. 1 n
k=1 n n k=1 4n
따라서
1-(-1)Ç`
pÛ`=4p-4, 즉 pÛ`-4p+4=(p-2)Û`=0 이때 0É É;2Án;이고 lim 0=lim ;2Án;=0이므로
4n n`Ú¦ n`Ú¦
이어야 하므로 1-(-1)Ç`
p=2 lim =0
n`Ú¦ 4n
이때 lim an=pÛ`=4이므로 따라서
n`Ú¦

lim Á
q=4 aû 1-(-1)Ç`
=lim [1- ]=1-0=1
n

따라서 p+q=2+4=6 6 ②
n`Ú¦ k=1 n n`Ú¦ 4n

4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Û x=1일 때, lim xn=1이므로
n`Ú¦
수열 {an}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하면 1+2+1
f(1)= =2
1+1
;2!;, ;2#;, ;2!;, ;2#;, y
Ü |x|<1일 때, lim xn=0이므로
n`Ú¦
과 같이 ;2!;, ;2#;이 반복되어 나타난다. 0+2x+1

이제 Tn= Á = Á ak라 하자.


f(x)= =2x+1
aû 1 n
n 0+1
k=1 n n k=1 이상에서 함수 y=f(x)의 그래 Z
Ú n=2m`(m은 자연수)일 때,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ZG Y

Á ak=m{;2!;+;2#;}=2m이므로
2m
직선 y=mx가 함수 y=f(x)의 

Á ak= lim
k=1
그래프와 만나지 않으려면 
1 2m 2m
lim T2m= lim =1 1<m<2 또는 2<mÉ3 
m`Ú¦ m`Ú¦ 2m k=1 m`Ú¦ 2m
0  Y
Û n=2m-1`(m은 자연수)일 때, 이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정

Á ak=(m-1){;2!;+;2#;}+;2!;=2m-;2#;

2m-1 수 m은 3뿐이고 그 개수는 1이
k=1 다. ①
이므로
Áa
1 2m-1
lim T2m-1= lim aÇ
2m-1 k=1 k
2
m`Ú¦ m`Ú¦
an과 bn은 각각 n에 대한 이차식이고, lim =1이므로
n`Ú¦ bÇ
2m-;2#; an=pnÛ`+qn+r, bn=pnÛ`+q'n+r'`
= lim
m`Ú¦ 2m-1  (p, q, r, q', r'은 상수, p+0)
3 으로 놓을 수 있다.
1-
4m 1-0
= lim = =1 이때 두 수열 {an}, {bn}의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m`Ú¦ 1 1-0
1- p>0
2m
Ú, Û에서 lim T2m= lim T2m-1=1이므로 'ÄaÇ+bÁ¼¼ "ÃpnÛ`+qn+r+bÁ¼¼
ㄱ. lim =lim
m`Ú¦ m`Ú¦ n`Ú¦ 'ÄbÇ+aÁ¼¼ n`Ú¦ "ÃpnÛ`+q'n+r'+aÁ¼¼
lim Tn=1

따라서 lim Á =lim Tn=1


=lim ¾¨
n`Ú¦ pnÛ`+qn+r+bÁ¼¼
aû n
n`Ú¦ pnÛ`+q'n+r'+aÁ¼¼
n`Ú¦ k=1 n n`Ú¦
q r+bÁ¼¼
+
p+
n nÛ`
=lim `
n`Ú¦ q' r'+aÁ¼¼
p+ +
n nÛ`
p+0+0
=¾¨ =1 (참)
p+0+0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110쪽 ㄴ. (반례) an=nÛ`+n, bn=nÛ`이면 lim =1이지만
n`Ú¦ bÇ

1① 2④ 3① lim (an-bn)=lim n=¦


n`Ú¦ n`Ú¦

따라서 수열 {an-bn}은 발산한다. (거짓)


1 ㄷ. lim ('§an-'§bn)
1 Ú |x|>1일 때, lim
n`Ú¦ xÇ`
=0이므로 n`Ú¦

('§aÇ-'§bÇ)('§aÇ+'§bÇ)
=lim
x+
2
+
1 n`Ú¦ '§aÇ+'§bÇ
xÇ` ÑÚ` xÇ` aÇ-bÇ
f(x)=lim =lim
n`Ú¦ '§aÇ+'§bÇ
n`Ú¦ 1
1+
xÇ`
x+0+0 (q-q')n+r-r'
=lim
=
1+0
=x n`Ú¦ "ÃpnÛ`+qn+r+"ÃpnÛ`+q'n+r'

정답과 풀이 43
정답과 풀이

02
r-r'
q-q'+
n
=lim 급수
¾¨p+ n + +¾¨p+ n +
n`Ú¦ q r q' r'
nÛ` nÛ`
q-q'+0 유제 본문 113~117쪽
=
'Äp+0+0+'Äp+0+0
q-q' 1② 2② 3② 4 10 5①
=
2'p 6 125
따라서 수열 {'§an-'§bn}은 수렴한다. (참)

급수 Á an의 부분합이 Á ak=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
2n+1+3
n
1 이므로

Á an=lim Á ak=lim
n=1 k=1 2Ç`-1
3 자연수 중에서 k번째로 작은 홀수는 ¦ n n+1
2 +3
n`Ú¦ 2Ç`-1
2k-1 n=1 n`Ú¦ k=1

이고, 0보다 크고 6n+6보다 작은 홀수는 3


2+
2Ç` 2+0
1, 3, 5, y, 6n-1, 6n+1, 6n+3, 6n+5 yy`㉠ =lim =
1-0
=2 ②
n`Ú¦ 1
이다. 1-
2Ç`
㉠에서 맨 왼쪽에서부터 2n번째에 있는 홀수는
aÇ-aÇ*Á 1 1
2_2n-1=4n-1이므로 ㉠의 홀수 중 2n개의 합의 최솟
2 aÇaÇ*Á
= - 이므로
aÇ*Á aÇ

Á{
값은 첫째항이 1,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2n
1 1
- }
n
항까지의 합과 같다. 즉,
k=1 aû*Á aû
mn=1+3+5+y+(4n-1)
1 1 1 1 1 1
2n{1+(4n-1)} ={ - }+{ - }+{ - }+y
= =4nÛ` aª aÁ a£ aª a¢ a£
2
1 1
㉠에서 맨 오른쪽에서부터 2n번째에 있는 홀수는  +{ - }
aÇ*Á aÇ
(6n+5)+(2n-1)_(-2)=2n+7이므로 ㉠의 홀수
1 1
중 2n개의 합의 최댓값은 첫째항이 2n+7, 공차가 2인 등 =- +
aÁ aÇ*Á
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2n항까지의 합과 같다. 즉, 3_1Û`
이때 aÁ= =;2#;이다.
Mn=(2n+7)+(2n+9)+(2n+11)+y+(6n+5) 1Û`+1
2n{(2n+7)+(6n+5)} 3nÛ` 3 3
= 한편 lim an=lim =lim = =3
2 n`Ú¦ n`Ú¦ nÛ`+1 n`Ú¦ 1 1+0
1+
=8nÛ`+12n nÛ`
따라서 이므로
MÇ 8nÛ`+12n lim an+1=lim an=3
lim =lim n`Ú¦ n`Ú¦
n`Ú¦ mÇ 4nÛ`
n`Ú¦
1 1
따라서 lim = =;3!;이므로
3 aÇ*Á lim aÇ*Á
=lim {2+ }
n`Ú¦

Á =Á{
n`Ú¦
n`Ú¦ n ¦ aÇ-aÇ*Á ¦
1 1
=2+0=2 - }
n=1 aÇaÇ*Á n=1 aÇ*Á aÇ

=lim Á {
 ① 1 1
- }
n

n`Ú¦ k=1 aû*Á aû


1 1
=lim {- + }
n`Ú¦ aÁ aÇ*Á
1 1
=-lim +lim
n`Ú¦ aÁ n`Ú¦ aÇ*Á
1
=- +;3!;

4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3@;+;3!;=-;3!; ② 6 등비수열 {an}의 첫째항과 공비를 모두 r라 하면
an=rn

급수 Á =Á
¦ aÇ-2n+1 ¦
rÇ`-2n+1
이 수렴하므로
n=1 3Ç` n=1 3Ç`

Á {ak-
rÇ`-2n+1
=lim [{;3R;} -2{;3@;} ]=0
n n

"Ã4kÛ`+1 9n+5 lim


}=
n
3 k=1 k 2n
에서 n`Ú¦ 3Ç` n`Ú¦

이때 lim 2{;3@;} =0이므로


n

9n+5 5
=lim {;2(;+ }=;2(;+0=;2(;
lim {;3R;} =lim [[{;3R;} -2{;3@;} ]+2{;3@;} ]
lim n`Ú¦
n`Ú¦ 2n n`Ú¦ 2n n n n n

이므로

lim Á {ak-
n`Ú¦ n`Ú¦

"Ã4kÛ`+1 9n+5
}=lim
n
=lim [{;3R;} -2{;3@;} ]+lim 2{;3@;}
n n n
=;2(;
n`Ú¦ k=1 k n`Ú¦ 2n n`Ú¦ n`Ú¦

따라서 급수의 정의에 의하여 =0+0=0

Á {an- }=lim Á {ak-


"Ã4nÛ`+1 "Ã4kÛ`+1
따라서 |;3R;|<1이므로 -3<r<3
¦
}=;2(;
n

n k

즉, 급수 Á {an-
n=1 n`Ú¦ k=1

¦ "Ã4nÛ`+1 이때 급수의 성질에 의하여


}은 수렴한다.
Á = Á [{;3R;} -2{;3@;} ]
n=1 n aÇ-2n+1
¦ ¦ n n

"Ã4nÛ`+1 3Ç`
따라서 lim {an- }=0이므로
= Á {;3R;} -2 Á {;3@;}
n=1 n=1

n`Ú¦ n ¦ n ¦ n

"Ã4nÛ`+1 "Ã4nÛ`+1
lim an=lim [{an- }+ ]
n=1 n=1

n n
;3R; ;3@;
n`Ú¦ n`Ú¦

"Ã4nÛ`+1 "Ã4nÛ`+1 r
=lim {an- }+lim = -2_ =
3-r
-4
n`Ú¦ n n`Ú¦ n 1-;3R; 1-;3@;
4nÛ`+1
=0+lim ¾¨ r r
n`Ú¦ nÛ` 이므로 -4=1, 즉 =5이다.
3-r 3-r
1
=lim ¾Ð4+ 따라서 r=15-5r에서 r=:Á6°:=;2%;이므로
n`Ú¦ nÛ`
=2
8a£=8_{;2%;}Ü`=125
②
 125

4 수열 {an}이 수렴하므로 lim an=a`(a는 상수)라 하면


n`Ú¦

lim (an+10)=a+10

이때 Á an=a+10이므로 급수 Á an은 수렴한다.


Level 1
n`Ú¦
¦ ¦
기초 연습 본문 118쪽

n=1 n=1
1④ 2① 3 15 4③ 54
따라서 lim an=0에서 a=0이므로

Á an=a+10=10
n`Ú¦

Á{
¦
 10 k+1 k+2
}
n
n=1
1 k=1 k
-
k+1

={;1@;-;2#;}+{;2#;-;3$;}+{;3$;-;4%;}+y

Á 4-n+1= Á {;4!;}
n+1 n+2
}
¦ ¦ n-1

5 n=1 n=1
 +{
n
-
n+1
1 1 n+2
= = =;3$; ① =2-
n+1
1-;4!; ;4#;
이므로

정답과 풀이 45
정답과 풀이

Á{ }=lim Á { -1<;3R;<1이면 수열 [{;3R;} ]은 0에 수렴한다.


n-1
¦
n+1 n+2 k+1 k+2
}
n
- -
n=1 n n+1 n`Ú¦ k=1 k k+1
따라서 ;3A;_lim {;3R;}
n-1
n+2
=lim {2- } =2이려면
n`Ú¦ n+1 n`Ú¦

=lim 2-lim
n+2 ;3R;=1, 즉 r=3이고 ;3A;=2, 즉 a=6이어야 한다.
n`Ú¦ n`Ú¦ n+1
1 1 1
=;6!;_{;3!;} 이므로 수열 [ ]은
n-1
이때 =
1+;n@; aÇ 6_3n-1 aÇ
=2-lim
n`Ú¦
1+;n!; 첫째항이 ;6!;이고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다.

따라서 Á
=2-
1+0
=1 ④ ¦ ;6!;
1
1+0 = =;4!; ③
n=1 aÇ
1-;3!;
급수 Á an의 부분합이 Á ak=
¦
2n+1 n
2 n+3
이므로

Á an=lim Á ak=lim
n=1 k=1
¦
2n+1 5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Á an이 수렴하므로 -1<r<1이고
n

n=1 n`Ú¦ k=1 n`Ú¦ n+3 ¦

Á an=
2+;n!;
n=1

2+0 ¦
4
=lim =
1+0
=2 =:Á3¤:이므로 12=16-16r, 즉 r=;4!;이다.
n`Ú¦
1+;n#; n=1 1-r

따라서 급수 Á an이 수렴하므로 lim an=0


이때 an=4_{;4!;}
n-1

¦ =42-n이므로

한편 Á bn=5이므로 lim Á bk= Á bn=5


'¶an="Ã42-n=4
n=1 n`Ú¦ 2-n
¦ n ¦
2 =22-n
n=1 n`Ú¦ k=1 n=1 따라서 수열 {'¶an }은 첫째항이 22-1=2, 공비가 2ÑÚ`=;2!;인
따라서 극한의 성질에 의하여

lim {an+ Á bk}= lim an+lim Á bk


등비수열이므로

Á '¶an=
n n
¦
n`Ú¦ k=1 n`Ú¦ n`Ú¦ k=1 2
=4 4
=0+5=5 ① n=1
1-;2!;

Á (2an-15)=3이므로 Á (2an-15)는 수렴한다.


¦ ¦
3 n=1 n=1

따라서 lim (2an-15)=0이므로


n`Ú¦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119쪽

lim an=lim [;2!;(2an-15)+:Á2°:]


n`Ú¦ n`Ú¦ 19 2② 3④ 4②
=;2!; lim (2an-15)+lim :Á2°:
n`Ú¦ n`Ú¦

=;2!;_0+:Á2°:=:Á2°: 1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자.


Á an= Á an이면 Á an= Á an+ Á an=2 Á an
5 ¦ ¦ 5 ¦ 5

이때 lim an+1=lim a2n=lim an=:Á2°:이므로


이고, 2 Á an은 상수이므로 Á an은 수렴한다.
n=1 n=6 n=1 n=1 n=6 n=1
n`Ú¦ n`Ú¦ n`Ú¦ 5 ¦

lim (an+1+a2n)=lim an+1+lim a2n=:Á2°:+:Á2°:=15 n=1 n=1


n`Ú¦ n`Ú¦ n`Ú¦
따라서 -1<r<1이다.

Á an=2 Á an에서
  15
¦ 5
5 5(1-rÞ`)
=2_
n=1 n=1 1-r 1-r
4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1=2(1-rÞ`), rÞ`=;2!;
aÇ arn-1
=;3A;_lim {;3R;} =2
n-1
lim =lim
따라서 aÁÁ=5r10=5_{;2!;}Û`=;4%;이므로
n`Ú¦ 3Ç` n`Ú¦ 3Ç` n`Ú¦

이때 ;3R;>1 또는 ;3R;É-1이면 수열 [{;3R;} ]은 발산하고,


n-1

p+q=4+5=9 9

4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Á x-n= Á {;[!;} =k로 수렴하므로 Á an(bn+1)이 수렴하므로 lim an(bn+1)=0
¦ ¦ n ¦
2 n=1 n=1 n=1 n`Ú¦

-1<;[!;<1
따라서
1
즉, x<-1 또는 x>1이다. lim an=lim [an(bn+1)_ ]
n`Ú¦ n`Ú¦ bÇ+1

이때 Á x-n= Á {;[!;} =
;[!; 1
¦ ¦ n
1 =lim an(bn+1)_lim
= =k이므로 n`Ú¦ n`Ú¦ bÇ+1
x-1
n=1 n=1
1-;[!; 1
=0_
=0 (참)
0+1
k+1
x=;k!;+1=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k
k+1
따라서 ak=
k
이므로
4 정삼각형 AnBnCn의 넓이를 Tn이라 하면

Á log£`ak
80
BnBn+1Ó=CnCn+1Ó=;4!; BnCnÓ이므로

= Á log£`
k=1
80
k+1 Sn=2_;4!;Tn=;2!;Tn yy`㉠
k
= Á {log£`(k+1)-log£`k}
k=1
80
또 Bn+1Cn+1Ó=;2!; BnCnÓ이므로
k=1

=(log£`2-log£`1)+(log£`3-log£`2) Tn+1={;2!;}Û`Tn=;4!;Tn yy`㉡


 +(log£`4-log£`3)+y+(log£`81-log£`80)
㉠, ㉡에서
=log£`81-log£`1=log£`3Ý`-0=4 ②
Sn+1=;2!;Tn+1=;2!;_;4!;Tn=;2!;_{;4!;_2Sn}=;4!;Sn
k+1 한편 삼각형 AÁBÁCÁ에서
위의 풀이에서 ak= 이므로
k
Á log£`ak= Á `log£`
'3
80 80
k+1 TÁ= _4Û`=4'3이므로
4
k=1 k=1 k
SÁ=;2!;TÁ=;2!;_4'3=2'3
=log£`;1@;+log£`;2#;+log£`;3$;+y+log£`;8*0!;
따라서 수열 {Sn}은 첫째항이 SÁ=2'3, 공비가 ;4!;인 등비
=log£`{;1@;_;2#;_;3$;_y_;8*0!;}
수열이므로

Á Sn=
=log£`81=log£`3Ý`=4
¦ 2'3 8'3
=  ②
1-;4!;
3
3
n=1
ㄱ. 급수의 성질에 의하여
Á an= Á {an(bn+1)-anbn}
¦ ¦

= Á an(bn+1)- Á anbn
n=1 n=1
¦ ¦

n=1 n=1

=2019-2000=19 (참)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120쪽
ㄴ. (반례) an={;2!;} , bn+1=2019이면
n

1② 2⑤ 3①

Á an=
¦ ;2!;
=1,
1-;2!; 3n+1
1
n=1
Sn=an+ +c에 n=1을 대입하면

Á an(bn+1)=2019 Á an=2019_1=2019
3 +2n
n-1

¦ ¦
3Û`
SÁ=aÁ+ +c=aÁ+3+c
이지만 Á (bn+1)은 발산한다. (거짓)
n=1 n=1
¦
3â`+2Ú`
SÁ=aÁ이므로 c=-3

ㄷ. Á bn=1이면 Á bn이 수렴하므로 lim bn=0이다.


n=1
¦ ¦ 3n+1
따라서 Sn-an= -3에서
n=1 n=1 n`Ú¦ 3 +2n
n-1

정답과 풀이 47
정답과 풀이

n¾2일 때, Sn-an=Sn-1이므로 따라서


Á ('Äyn+1-'§yn)=lim ('Äyn+1-'§y1)
¦
3n+1
Sn-1= n-1 n -3 (n¾2)
3 +2 n=1 n`Ú¦

이때 =lim 'Äyn+1-lim '§y1


n`Ú¦ n`Ú¦

3n+1
lim Sn-1=lim { n-1 -3} =2-1=1 ⑤
n`Ú¦ n`Ú¦ 3 +2n
3
[ 1+2{;3@;} ]
3Û` Z
=lim n-1
-3 ZÅY 
n`Ú¦


#f
9 $m
= -3=6 $f
1+0 #„ #m "
이므로 lim Sn=lim Sn-1=6 0   Y

따라서 Á an=lim Sn=6


n`Ú¦ n`Ú¦ 3f
¦ 3m
②
n=1 n`Ú¦ 3„

직선 y=-;2!;x+3이 x축과 만나는 점을 A라 하면 점 A

2 등차수열 {an}의 공차가 양수이므로 n의 값이 한없이 커지 의 좌표는 (6, 0)이다.


면 an의 값도 한없이 커진다. 정사각형 Rn의 x축 위에 있는 꼭짓점 중 x좌표가 작은 점
4x+2 4(x-1)+6 6 을 Bn이라 하면
y= = = +4이므로
x-1 x-1 x-1 BÁ(0, 0), Bª(3, 0)
4x+2 정사각형 Rn의 제1사분면에 있는 꼭짓점을 Cn이라 하면 점
곡선 y= 의 두 점근선은 x=1, y=4이다.
x-1
Z CÁ의 x좌표는
그런데 직선 x=a n과 곡선
4x+2 Y  -;2!;x+3=x에서 x=2
y= 의 교점의 x좌표 Z
x-1 Y
 이므로 정사각형 RÁ이 x축과 만나는 점 중 원점이 아닌 점
는 an이고 n의 값이 한없이 Z
의 좌표는 (4, 0)이다.
커질 때 an의 값도 한없이 커
따라서 두 정사각형 RÁ, Rª의 내부의 공통부분은 대각선의
지므로 직선 x=an과 곡선 0 B‰ Y
4x+2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이고, 이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y= 의 교점은 점근 Y YB‰ 1
x-1 이다.
선 y=4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2
1 Û
즉, lim yn=4이다. 따라서 SÁ={ }`=;2!;
'2
Á ('Äyk+1-'§yk)
n`Ú¦
n
한편 두 삼각형 ACÁBÁ, ACªBª는 닮음비가
k=1
ABÁÓ`:`ABªÓ=6`:`3=2`:`1인 닮은 도형이고
=('§yª-'§yÁ)+('§y£-'§yª)+y+('Äyn+1-'§yn)
ABÁÓ`:`ABªÓ=BÁCÁÓ`:`BªCªÓ=aÁ`:`aª이므로 aÁ`:`aª=2`:`1
='Äyn+1-'§y1
이다.
이므로 급수의 정의에 의하여
Á ('Äyn+1-'§yn)=lim Á ('Äyk+1-'§yk) 따라서 조건 (다)에 의하여 수열 {an}은 공비가 ;2!;인 등비수
¦ n

n=1 n`Ú¦ k=1

=lim ('Äyn+1-'§y1) 열이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Sn+1={;2!;}Û`Sn이다.


n`Ú¦

그런데 lim yn=4이므로


n`Ú¦ 즉, 수열 {Sn}은 SÁ=;2!;이고 공비가 {;2!;}Û`=;4!;인 등비수
lim 'Äyn+1=lim '§yn='4=2 열이므로
n`Ú¦ n`Ú¦

Á Sn=
4aÁ+2 -4+2
이고, yÁ= = =1이므로 ¦ ;2!;
aÁ-1 -1-1 =;3@; ①
lim '§yÁ=lim '1=1 n=1
1-;4!;
n`Ú¦ n`Ú¦

4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03
따라서
함수의 극한 lim
{ f(x)}Û`-4
x`Ú 2 `f(x)g(x)+f(x)-2g(x)-2
{ f(x)-2}{ f(x)+2}
=lim
유제 본문 123~129쪽 x`Ú 2 { f(x)-2}{g(x)+1}
`f(x)+2
1② 2① 3① 4① 5④ =lim
g(x)+1
x`Ú 2

6 34 7② 2+2
= =1 ①
3+1

1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a+;[!;+
1
x Ú 1+일 때 f(x) Ú 1이므로 axÛ`+x+1 xÛ`
4 lim
x`Ú¦ 2xÛ`+1
=lim
x`Ú¦ 1
lim `f(x)=1 2+
x`Ú 1+ xÛ`
x Ú -1-일 때 f(x) Ú 0이므로 a+0+0
= =;2A;=b
lim `f(x)=0 2+0
x`Ú -1-
즉, a=2b`(a+0)이므로 ;aB;=;2õb;=;2!; ①
lim `f(x)-2
x`Ú 1+ 1-2
따라서 = =-1 ②
lim `f(x)+1 0+1
x`Ú -1-
x
5 lim`f(x)=lim
x`Ú 0 x`Ú 0 'Äa+x-'Äa-x

2 0<x<1일 때,
=lim
x('Äa+x+'Äa-x)
|x-1|=-(x-1), |x-2|=-(x-2) x`Ú 0 ('Äa+x-'Äa-x)('Äa+x+'Äa-x)
이므로 x('Äa+x+'Äa-x)
=lim
-(x-1) (x+2)(x-2) x`Ú 0 (a+x)-(a-x)
lim `f(x)= lim [ + ]
x`Ú 1- x`Ú 1- x-1 -(x-2) x('Äa+x+'Äa-x)
=lim
= lim {-1-(x+2)} x`Ú 0 2x
'Äa+x+'Äa-x
x`Ú 1-

= lim (-x-3) =lim


x`Ú 1- x`Ú 0 2
=-1-3=-4 2'a
= ='a
2<x<3일 때, 2
|x-1|=x-1, |x-2|=x-2 이고, lim`f(x)='6이므로
x`Ú 0

이므로 'a='6, 즉 a=6 ④


x-1 (x+2)(x-2)
lim `f(x)= lim [ + ]
x`Ú 2+ x-1 x-2
x`Ú 2+
3xÛ`-f(x)
= lim {1+(x+2)} 6 lim
x`Ú¦ 2x+1
=6이므로 3xÛ`-f(x)는 x의 계수가 12인
x`Ú 2+

= lim (x+3) 일차함수이다.


x`Ú 2+
즉, 3xÛ`-f(x)=12x+a`(a는 상수)로 놓으면
=2+3=5
f(x)=3xÛ`-12x-a
따라서 lim `f(x)+ lim `f(x)=-4+5=1 ①
x`Ú 1- x`Ú 2+ f(1)=3-12-a=10에서
a=-19

3 lim{ f(x)-2}=0이므로
x`Ú 2
따라서 f(x)=3xÛ`-12x+19이므로
f(-1)=3+12+19=34  34
lim`f(x)=lim[{ f(x)-2}+2]
x`Ú 2 x`Ú 2

=lim{ f(x)-2}+lim 2 `f(x)+1


7
x`Ú 2 x`Ú 2
lim =5에서 lim(x-2)Û`=0이므로
=0+2=2 x`Ú 2 (x-2)Û` x`Ú 2

정답과 풀이 49
정답과 풀이

lim{ f(x)+1}=f(2)+1=0 f(x)g(x)+1


x`Ú 2 lim
{ f(x)}Û`+f(x)g(x)+1
x`Ú 0
즉, f(2)=-1  
1
f(x)=(x-2)g(x)-1`(g(x)는 이차식)으로 놓으면 f(x)+
g(x)
`f(x)+1 (x-2)g(x) =lim
x`Ú 0 { f(x)}Û` 1
lim =lim +f(x)+
x`Ú 2 (x-2)Û` x`Ú 2 (x-2)Û` g(x) g(x)
g(x) 1
=lim =5   yy`㉠ lim`f(x)+lim
x`Ú 2 x-2
x`Ú 0 x`Ú 0 g(x)
㉠에서 lim(x-2)=0이므로 =
1 1
x`Ú 2 lim{ f(x)}Û`_lim +lim`f(x)+lim
x`Ú 0 x`Ú 0 g(x) x`Ú 0 x`Ú 0 g(x)
lim g(x)=g(2)=0   yy`㉡
x`Ú 2
2+0
= =1 ①
㉡에 의하여 2Û`_0+2+0
g(x)=(x-2)(ax+b) (a, b는 상수, a+0)
으로 놓을 수 있으므로 ㉠에서 'Ä2x+1-3
g(x) (x-2)(ax+b) 3 lim
x`Ú 4 x-4
lim =lim
x`Ú 2 x-2 x`Ú 2 x-2
('Ä2x+1-3)('Ä2x+1+3)
=lim(ax+b)=2a+b=5 =lim
x`Ú 2
x`Ú 4 (x-4)('Ä2x+1+3)
즉, b=-2a+5이므로 (2x+1)-3Û`
=lim
f(x)=(x-2)Û`(ax-2a+5)-1 x`Ú 4 (x-4)('Ä2x+1+3)
이때 f(0)=3에서 2(x-4)
=lim
f(0)=(0-2)Û`(0-2a+5)-1=-8a+19=3 x`Ú 4 (x-4)('Ä2x+1+3)
즉, a=2, b=1이므로 2
=lim
f(x)=(x-2)Û`(2x+1)-1
x`Ú 4 'Ä2x+1+3
2
따라서 f(3)=(3-2)Û`(6+1)-1=6 ② = =;3!; ④
'9+3

4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를 xÝ`으로 각각 나누면


2 (xÛ`+1)Û`
+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30쪽
lim
2xÛ`+(xÛ`+1)Û`
=lim
xÛ` xÝ`
x`Ú¦ 2xÝ`+xÛ` x`Ú¦ 1
1② 2① 3④ 4① 5② 2+
xÛ`
2 xÛ`+1 Û
+{ }`
xÛ` xÛ`
1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lim
x`Ú¦
2+
1
x Ú 1+일 때 f(x) Ú -2이므로 xÛ`
lim `f(x)=-2 2 1
x`Ú 1+ +{1+ }Û`
xÛ` xÛ`
-1<x<0일 때 f(x)=1이므로 =lim
x`Ú¦ 1
lim `f(x)=1 2+
x`Ú -1+
xÛ`
0+(1+0)Û`
따라서 lim `f(x)+ lim `f(x)=-2+1=-1 ② = =;2!; ①
x`Ú 1+ x`Ú -1+ 2+0

1
2 lim g(x)=¦이므로 lim
g(x)
=0
`f(x)
5
x`Ú 0 x`Ú 0
2xÛ`+1< <2xÛ`+5에서
f(x)g(x)+1 xÛ`+1
lim 에서 분모, 분자를 g(x)로
x`Ú 0 { f(x)}Û`+f(x)g(x)+1 (2xÛ`+1)(xÛ`+1)<f(x)<(2xÛ`+5)(xÛ`+1) yy`㉠
각각 나누면 x+0일 때, ㉠의 각 변을 xÝ`으로 나누면

5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2xÛ`+1)(xÛ`+1) `f(x) (2xÛ`+5)(xÛ`+1) 9(2-x) -3
< < b=lim =lim
xÝ` xÝ` xÝ` x`Ú 2 3(x-2)(x+1) x`Ú 2 x+1
이때 =-1
(2xÛ`+1)(xÛ`+1) 1 1 따라서 a+b=3+(-1)=2
=lim [{2+ }{1+ }]=2,
④
lim
x`Ú¦ xÝ` x`Ú¦ xÛ` xÛ`
(2xÛ`+5)(xÛ`+1) 5 1
lim =lim [{2+ }{1+ }]=2 `f(x)-2xÝ`
x`Ú¦ xÝ` x`Ú¦ xÛ` xÛ`
3 lim
x`Ú¦ xÜ`+1
=3에서 f(x)-2xÝ`은 xÜ`의 계수가 3인
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f(x) 삼차함수이다.
lim =2 ②
f(x)-2xÝ`=3xÜ`+axÛ`+bx+c`(a, b, c는 상수)로 놓으
x`Ú¦ xÝ`

f(x)=2xÝ`+3xÜ`+axÛ`+bx+c
`f(x) 2xÝ`+3xÜ`+axÛ`+bx+c
lim =lim
x`Ú 0 xÜ` x`Ú 0 xÜ`

Level 2
b c
기본 연습 본문 131쪽 =lim{2x+3+;[A;+ + }
x`Ú 0 xÛ` xÜ`
1① 2④ 3 56 4④ `f(x)
이때 lim 의 값이 존재하므로
x`Ú 0 xÜ`
a=0, b=0, c=0
1 ㄱ.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x Ú 0+일 때 f(x) Ú 2 이어야 한다.
이므로 lim `f(x)=2이다. (참) 따라서 f(x)=2xÝ`+3xÜ`이므로
x`Ú 0+

ㄴ.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x Ú 1+일 때 f(x) Ú 2 f(2)=32+24=56  56


이므로
lim `f(x)=2   yy`㉠
x`Ú 1+
4 사각형 ABCD는 평행사변형이고 ABÓ=BCÓ이므로 사각형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t=x-1로 놓으면 ABCD는 마름모이다.
x Ú 4-일 때, t Ú 3-이고 f(x-1)=f(t) Ú 2이 따라서 마름모 ABCD의 두 대각선 AC, BD는 서로 수직
므로 이며 두 선분 AC, BD의 중점이 일치한다.
lim `f(x-1)= lim `f(t)=2   yy`㉡ 즉, 직선 BD는 중심이 O인 원의 현 AC의 수직이등분선이
x`Ú 4- t`Ú 3-

㉠, ㉡에서 므로 선분 BD는 원의 중심 O를 지난다.


lim `f(x)+ lim `f(x-1)=2+2=4 (거짓) "
x`Ú 1+ x`Ú 4- %
ㄷ. lim `f(x)의 값은 x=a에서 함수 f(x)의 우극한이고, )
x`Ú a+

lim `f(x)의 값은 x=a에서 함수 f(x)의 좌극한이므


x`Ú a- 0
# $
로 부등식 lim `f(x)> lim `f(x)를 만족시키는 실수
x`Ú a+ x`Ú a-

a는 0<a<4에서 a=1뿐이다. (거짓)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이다. ① AOÓ=BOÓ=1이고 두 선분 AC, BD의 교점을 H라 하면
문제의 조건에서 ACÓ=t이므로
"Ã4-tÛ`
OHÓ=¿¹AOÓ Û`-AHÓ Û`=¾¨1-{
t Û
}`=
9 1 9(a-x-1)
2 lim { -;a!;}=lim 2 2
x`Ú 2 x-2 x+1 x`Ú 2 a(x-2)(x+1)

=b ODÓ=2BHÓ-BOÓ=2(1+OHÓ)-1
이고 lim a(x-2)(x+1)=0이므로 =2OHÓ+1="Ã4-tÛ`+1
x`Ú 2
따라서
lim 9(a-x-1)=9(a-3)=0
x`Ú 2
ODÓ-3 "Ã4-tÛ`-2
즉, a=3이므로 lim = lim
t`Ú 0+ tÛ` t`Ú 0+ tÛ`

정답과 풀이 51
정답과 풀이

= lim
("Ã4-tÛ`-2)("Ã4-tÛ`+2)
2 조건 (가)에서
t`Ú 0+ tÛ`("Ã4-tÛ`+2) f(1)=0, g(2)=0
(4-tÛ`)-4 이므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모두 1인 삼차함수 f(x)와 이차
= lim
t`Ú 0+ tÛ`("Ã4-tÛ`+2)
함수 g(x)는 각각
-1 f(x)=(x-1)(xÛ`+ax+b)`(a, b는 상수) yy`㉠
= lim
t`Ú 0+ "Ã4-tÛ`+2
g(x)=(x-2)(x-c)`(c는 상수) yy`㉡
-1
= =-;4!; ④
'4+2 로 놓을 수 있다.
`f(x)
조건 (나)에서 lim 의 값이 존재하고,
x`Ú 2 g(x)
lim g(x)=g(2)=0이므로
x`Ú 2

lim`f(x)=f(2)=0 yy`㉢
x`Ú 2

g(x-1)
또 lim 의 값이 존재하고
x`Ú 2 `f(x)
lim`f(x)=f(2)=0이므로
Level 3
x`Ú 2
실력 완성 본문 132쪽
lim g(x-1)=g(1)=0 yy`㉣
x`Ú 2
1⑤ 2 12 3② ㉠, ㉢에서
f(x)=(x-1)(x-2)(x-d) (d는 상수)

1 lim `f(a+x)에서 a+x=t로 놓으면 x Ú 0+일 때,


로 놓을 수 있다.
x`Ú 0+
㉡, ㉣에서
t Ú a+이므로
g(x)=(x-1)(x-2)
lim `f(a+x)= lim `f(t)
x`Ú 0+ t`Ú a+ x+1, x+2, x+d일 때,
이고, lim `f(a-x)에서 a-x=t로 놓으면 g(x) (x-1)(x-2) 1
x`Ú 0+ = =
`f(x) (x-1)(x-2)(x-d) x-d
x Ú 0+일 때, t Ú a-이므로
g(x)
lim `f(a-x)= lim `f(t) 조건 (다)에서 lim 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x`Ú 0+ t`Ú a- x`Ú 3 `f(x)

이다. lim(x-d)=0이어야 한다.


x`Ú 3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즉, 3-d=0에서 d=3
lim { f(a+x)+f(a-x)}
x`Ú 0+ 따라서
= lim `f(a+x)+ lim `f(a-x) f(x)=(x-1)(x-2)(x-3), g(x)=(x-1)(x-2)
x`Ú 0+ x`Ú 0+

즉, lim `f(t)+ lim `f(t)=4   yy`㉠ 이므로


t`Ú a+ t`Ú a-
f(4)+g(4)=3_2_1+3_2=12  12
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Ú lim `f(t)= lim `f(t)일 때,
t`Ú a+ t`Ú a-
1
㉠에서 lim `f(t)= lim `f(t)=2이어야 하므로
t`Ú a+ t`Ú a-
3 두 식 y=
|x|
, xÛ`+yÛ`=t를 연립하여 풀면

1
2a-1=2에서 a=;2#; xÛ`+
xÛ`
=t, (xÛ`)Û`-txÛ`+1=0   yy`㉠

Û lim `f(t)+ lim `f(t)일 때, 사차방정식 ㉠의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a, b`(a<b)라


t`Ú a+ t`Ú a-
하면 aÛ`, bÛ`은 s에 대한 이차방정식 sÛ`-ts+1=0의 서로
lim `f(t)=1, lim `f(t)=3이므로 ㉠을 만족시킨다.
t`Ú 2+ t`Ú 2-
다른 두 실근이다.
따라서 a=2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aÛ`+bÛ`=t
;2#;+2=;2&; ⑤ aÛ`bÛ`=1, 즉 ab=1

5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04
이 성립한다.
네 교점 A, B, C, D의 좌표는 차례로 함수의 연속
1 1 1 1
{a, }, {-a, }, {-b, }, {b, }, 즉
|a| |a| |b| |b|
1 1 1 1 유제
{a, }, {-a, }, {- , a}, { , a}
본문 135~139쪽
a a a a
이므로
1③ 26 36 4④ 5①
2
BAÓ=2a, CDÓ=
a
이고 서로 평행한 두 직선 BA, CD 사이의 거리는 1 lim `f(x)= lim (xÛ`-x+3)=3Û`-3+3=9,
x`Ú 3- x`Ú 3-

1 lim `f(x)= lim (2x+a)=2_3+a=a+6,


-a x`Ú 3+ x`Ú 3+
a
f(3)=2_3+a=a+6
이다. 이때 사각형 ABCD는 사다리꼴이므로 그 넓이 f(t)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려면

2 1 lim `f(x)= lim `f(x)=f(3)
f(t)=;2!;_{2a+ }_{ -a} x`Ú 3- x`Ú 3+
a a 이어야 하므로
1 1
=;2!;_2{a+ }_{ -a} 9=a+6
a a
1 따라서 a=3 ③
= -aÛ`
aÛ`
1 1
이때 { -aÛ`}Û`={aÛ`+ }Û`-4=tÛ`-4이고,
aÛ` aÛ` 2 함수 g(x)가 x=2에서 연속이려면 lim g(x)=g(2), 즉
x`Ú 2
1
>aÛ`이므로 `f(x)
aÛ` lim =2
x`Ú 2 x-2
1
f(t)= -aÛ`="ÃtÛ`-4 가 성립해야 한다.
aÛ`
`f(x)
`f(t) "ÃtÛ`-4 4 lim =2에서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lim =lim =lim¾¨1- =1 ② x`Ú 2 x-2
t t tÛ`
존재하므로 (분자) Ú 0이어야 한다.
t`Ú¦ t`Ú¦ t`Ú¦

즉, lim `f(x)=0이고 이차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


aÛ`은 s에 대한 이차방정식 sÛ`-ts+1=0의 두 실근 중 작은 x`Ú 2

근이므로 근의 공식에 의하여 므로


t-"ÃtÛ`-4 f(2)=0
aÛ`=
2 따라서 f(x)=(x-2)(ax+b)`(a, b는 상수, a+0)으로
이다. 놓으면
`f(x) (x-2)(ax+b)
lim =lim =lim(ax+b)=2
x`Ú 2 x-2 x`Ú 2 x-2 x`Ú 2

이어야 하므로
2a+b=2   yy`㉠
또 lim g(x)=-2에서
x`Ú 1

`f(x)
lim =lim(ax+b)=-2
x-2 x`Ú 1
x`Ú 1

이므로
a+b=-2   yy`㉡
㉠, ㉡에서 a=4, b=-6이므로
f(x)=(x-2)(4x-6)
따라서 f(3)=(3-2)(12-6)=6 6

정답과 풀이 53
정답과 풀이

xÛ`-4
3 a+2이면
x-2
는 x=2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함수 lim `f(x)= lim (xÛ`+2x+2)
x`Ú -1 x`Ú -1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1)Û`+2_(-1)+2=1


즉, a=2 한편 x=-1이면 xÛ`+2x+2=1이므로
xÛ`-4 (x-2)(x+2) 1n+1+a_(-1) 1-a
x+2일 때, = =x+2이므로 f(-1)=lim =
x-2 x-2 n`Ú¦ 1n+1 2
x+2 (x+2)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f(x)=[ 1-a
b (x=2) f(-1)= lim `f(x)에서 =1
x`Ú -1 2
이때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
따라서 a=-1 ①
서 연속이다.
lim `f(x)=lim (x+2)=2+2=4, f(2)=b
x`Ú 2 x`Ú 2

이때 lim `f(x)=f(2)이어야 하므로 b=4


x`Ú 2

따라서 a+b=2+4=6 6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40쪽

1④ 2③ 33 4④ 5③
4 f(x)='¶2x+x-6이라 하면 함수 f(x)는 음이 아닌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f(0)=-6<0 1 lim `f(x)= lim (x+3)=1+3=4,
x`Ú 1- x`Ú 1-

f(1)='2+1-6<0 lim `f(x)= lim a=a,


x`Ú 1+ x`Ú 1+
f(2)='4+2-6<0 f(1)=a
f(3)='6+3-6<0 이때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f(4)='8+4-6>0
lim `f(x)= lim `f(x)=f(1)이 성립해야 하므로
x`Ú 1- x`Ú 1+
f(5)='1Œ0+5-6>0
a=4 ④
이때 함수 f(x)는 닫힌 구간 [3, 4]에서 연속이고,
f(3)<0, f(4)>0
이므로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 구간 2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3)이 성립해야 한다.
(3, 4)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x`Ú 3- x`Ú 3+

그런데 방정식 f(x)=0은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로 이 따라서 a-1=2a+1에서 a=-2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3, 4)이다. ④ 이므로 f(3)= lim `f(x)=a-1=-3 ③
x`Ú 3-

5 xÛ`+2x+2=(x+1)Û`+1이므로 3 x+-1일 때,
x=-1이면 xÛ`+2x+2=1이고, g(x)-g(-1) xÜ`+xÛ`+2x-(-2)
f(x)= =
x+-1이면 xÛ`+2x+2>1이다. x+1 x+1
따라서 x+-1일 때, lim (xÛ`+2x+2)n=¦이므로 xÛ`(x+1)+2(x+1)
n`Ú¦ = =xÛ`+2
x+1
x+-1일 때,
이므로 lim `f(x)= lim (xÛ`+2)=(-1)Û`+2=3
(xÛ`+2x+2)n+1+ax x`Ú -1 x`Ú -1
f(x)=lim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n`Ú¦ (xÛ`+2x+2)n+1
ax f(-1)= lim `f(x)=3 3
xÛ`+2x+2+ x`Ú -1
(xÛ`+2x+2)n
=lim
n`Ú¦ 1
1+
(xÛ`+2x+2)n 4 함수 f(x)는 x+-1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고, 일차함
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xÛ`+2x+2+0
= =xÛ`+2x+2 따라서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이면 실수 전체
1+0
따라서 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5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im `f(x)= lim (x+a)=-1+a g(4)=f(4)+4=-1<0
x`Ú -1- x`Ú -1-

lim `f(x)= lim xÛ`=(-1)Û`=1 g(5)=f(5)+5=-3<0


x`Ú -1+ x`Ú -1+
이므로 g(2)g(3)<0
f(-1)=(-1)Û`=1
따라서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 즉
한편 일차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f(x)+x=0은 열린 구간 (2, 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
lim g(x)= lim g(x)=g(-1)=-1-a
x`Ú -1- x`Ú -1+ 을 갖는다.
따라서 그런데 방정식 f(x)+x=0은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
lim `f(x)g(x)= lim `f(x)_ lim g(x) 로 실근 a가 존재하는 구간은 (2, 3)이다. ③
x`Ú -1- x`Ú -1- x`Ú -1-

=(-1+a)(-1-a)
=-(a-1)(a+1)
lim `f(x)g(x)= lim `f(x)_ lim g(x)
x`Ú -1+ x`Ú -1+ x`Ú -1+

=1_(-1-a)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141쪽
=-(a+1)
f(-1)g(-1)=1_(-1-a)=-(a+1) 1⑤ 2② 3 22 4④
이때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f(x)g(x)= lim `f(x)g(x)=f(-1)g(-1)
x`Ú -1- x`Ú -1+
1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이어야 하므로 lim `f(x)= lim `f(x)=f(1)
x`Ú 1- x`Ú 1+
-(a-1)(a+1)=-(a+1)
이어야 한다.
즉, (a+1)(a-2)=0
lim `f(x)= lim (2x+7)=2_1+7=9,
a=-1 또는 a=2 x`Ú 1- x`Ú 1-

따라서 구하는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lim `f(x)= lim (bx+bÛ`-b)=b+bÛ`-b=bÛ`,


x`Ú 1+ x`Ú 1+

-1+2=1 ④ f(1)=a
이므로 9=bÛ`=a에서
함수 f(x)는 x+-1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고, 일차함 a=9, b=Ñ3
수 g(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이때 반직선 y=2x+7`(x<1)의 기울기 2가 양수이므로
이때 lim `f(x), lim `f(x), f(-1)의 값이 모두 존재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반직선
x`Ú -1- x`Ú -1+

하므로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인 경우는 다음 y=bx+bÛ`-b`(x>1)의 기울기 b도 양수이어야 한다.


두 가지가 있다. 즉, b=3이다.
Ú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일 때 따라서 a+b=9+3=12 ⑤
lim `f(x)= lim `f(x)=f(-1)
2
x`Ú -1- x`Ú -1+
함수 f(x)는 x=-1, x=0, x=1에서만 불연속이므로
이어야 하므로 -1+a=1에서 a=2
함수 f(x)-k도 x=-1, x=0, x=1에서만 불연속이다.
Û g(-1)=0일 때
따라서 함수 | f(x)-k|가 불연속이 될 수 있는 x의 값은
g(-1)=-1-a=0에서 a=-1
x=-1, x=0, x=1뿐이다.
따라서 함수 | f(x)-k|가 불연속인 실수 x의 개수가 1이 되
5 g(x)=f(x)+x라 하면 함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
려면 x=-1, x=0, x=1 중 두 개의 x에서 연속이어야
서 연속이므로 모든 정수 n에 대하여 닫힌 구간 [n, n+1]
한다.
에서도 연속이다.
Ú 함수 | f(x)-k|가 x=-1에서 연속일 조건
g(0)=f(0)+0=1>0
lim | f(x)-k|=|1-k|,
g(1)=f(1)+1=5>0 x`Ú -1-

g(2)=f(2)+2=1>0 lim |f(x)-k|=|0-k|=|k|,


x`Ú -1+

g(3)=f(3)+3=-1<0 | f(-1)-k|=|1-k|

정답과 풀이 55
정답과 풀이

이므로 |1-k|=|k|, 즉 (1-k)Û`=kÛ`이어야 한다. 가 성립해야 한다.


따라서 1-2k+kÛ`=kÛ`이어야 하므로 이때 k가 자연수이므로 조건 (가)에서 k=;3N;일 때이다.
k=;2!; 따라서 n=3k이므로
Û 함수 | f(x)-k|가 x=0에서 연속일 조건 f(k)=n+1=3k+1
lim | f(x)-k|=|1-k|,
x`Ú 0- 한편 x Ú k일 때 x+k, 즉 x+;3N;이므로
lim | f(x)-k|=|1-k|,
x`Ú 0+
lim`f(x)=lim`:ª7ª:x=:ª7ª:k
x`Ú k x`Ú k
| f(0)-k|=|0-k|=|k|
이므로 |1-k|=|k|, 즉 (1-k)Û`=kÛ`이어야 한다. 3k+1=:ª7ª:k, 즉 21k+7=22k에서

따라서 k=;2!; k=7


따라서
Ü 함수 | f(x)-k|가 x=1에서 연속일 조건
lim`f(x)=f(k)=f(7)
lim | f(x)-k|=|2-k|, x`Ú k
x`Ú 1-
=3_7+1=22  22
lim |f(x)-k|=|0-k|=|k|,
x`Ú 1+

2x+1 2(x-1)+3
| f(1)-k|=|0-k|=|k|
4 y=
x-1
=
x-1
이므로 |2-k|=|k|, 즉 (2-k)Û`=kÛ`이어야 한다.
3
따라서 4-4k+kÛ`=kÛ`이어야 하므로 = +2
x-1
k=1 이므로 유리함수 Z Y 
Z
Ú, Û, Ü에서 3 Y
y= +2의 그래프의 점
x-1
k=;2!;이면 함수 | f(x)-k|는 x=1에서만 불연속, U ZU
근선 중 x축과 평행한 점근선
k=1이면 함수 | f(x)-k|는 x=-1, x=0에서만 불연 
의 방정식은 y=2이다. Z
속, k+;2!;, k+1이면 함수 | f(x)-k|는 x=-1, x=0, 따라서 유리함수
0  Y
x=1에서만 불연속이다. 2x+1 Y
y= 의 그래프와 직선
x-1
따라서 함수 | f(x)-k|가 불연속인 실수 x의 개수가 1이
y=t의 교점의 개수 f(t)는
되도록 하는 상수 k의 값은 k=;2!;이다. ②
1 (t+2)
f(t)=[
0 (t=2)
함수 y=| f(x)-k|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 이다.
를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시킨 후 x축보다 아래 함수 f(t)는 t+2인 모든 실수 t에서 연속이고 일차함수
에 있는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그래프이다. g(t)=3t+a는 모든 실수 t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따라서 k=;2!;일 때, 함수 y=| f(x)-;2!;|의 그래프는 다 f(t)g(t)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함수

음 그림과 같이 x=1에서만 불연속이다. f(t)g(t)가 t=2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이때
Z
lim`f(t)g(t)=lim{1_(3t+a)}
 ]
Z G Y Å© ] t`Ú 2 t`Ú 2

=lim(3t+a)
Å t`Ú 2

=6+a,
  0   Y f(2)g(2)=0_(6+a)=0
이므로 lim`f(t)g(t)=f(2)g(2)에서
t`Ú 2

3 자연수 k에 대하여 함수 f(x)가 x=k에서 연속이려면 6+a=0


lim`f(x)=f(k) 따라서 a=-6 ④
x`Ú k

5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2a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142쪽 g(-2)=
`-2-a
이때 lim g(x)= lim g(x)=g(-2)이어야 하므로
1⑤ 2① 3⑤ x`Ú -2- x`Ú -2+

-2-a -2a
= 가 성립해야 한다.
`-2a `-2-a
1 3xÛ`+4x-4É0에서 즉, (a+2)Û`=(2a)Û`, 3aÛ`-4a-4=0
(3a+2)(a-2)=0
(3x-2)(x+2)É0이므로 -2ÉxÉ;3@;
a=-;3@; 또는 a=2   yy`㉡
즉, A=[x|-2ÉxÉ;3@;]
Û 함수 g(x)가 x=;3@;에서 연속일 조건
한편

f(x)=
ax
=
a(x-a)+aÛ`
=a+
aÛ` ;3@;a
x-a x-a x-a ax
lim g(x)= lim =
`x-a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Ú ;3@;- x`Ú ;3@;- ;3@;-a
x=a, y=a
;3@;-a
또 x+0일 때, x-a
lim g(x)= lim =
`ax
1
=
x-a
=
x
-
a
=;a!;-;[!;
x`Ú ;3@;+ x`Ú ;3@;+ ;3@;a
`f(x) ax ax ax

이므로 함수 y=
1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3@;a
`f(x) g{;3@;}=
;3@;-a
x=0, y=;a!;

함수 g(x)가 -2ÉxÉ;3@;에서 연속이려면 함수 f(x)가 이때 lim g(x)= lim g(x)=g{;3@;}이어야 하므로


x`Ú ;3@;- x`Ú ;3@;+

-2ÉxÉ;3@;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3@;a ;3@;-a


= 가 성립해야 한다.
이때 함수 f(x)=
ax
는 x=a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3@;-a ;3@;a
x-a
a<-2 또는 a>;3@;이어야 한다. 즉, {a-;3@;}Û`={;3@;a}Û`, aÛ`-;3$;a+;9$;=;9$;aÛ`

1 5aÛ`-12a+4=0, (5a-2)(a-2)=0
한편 함수 은 x²A, 즉 x<-2 또는 x>;3@;인 모
`f(x)
a=;5@; 또는 a=2   yy`㉢
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 ㉡, ㉢에서 a=2 ⑤
( ax {-2ÉxÉ;3@;}
\ `x-a
g(x)={
a=2일 때,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x-a
9 `ax {x<-2 또는 x>;3@;}
Z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a<-2 또는 a>;3@;   yy`㉠ 


! ZH Y
 0 Y
이고, x=-2와 x=;3@;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Ú 함수 g(x)가 x=-2에서 연속일 조건
x-a -2-a
lim g(x)= lim =
x`Ú -2- x`Ú -2- `ax `-2a
ax -2a 2 함수 f(x)는 x+0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고,
lim g(x)= lim = 함수 g(x)는 x+b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x`Ú -2+ x`Ú -2+ `x-a `-2-a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0과

정답과 풀이 57
정답과 풀이

x=b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g(xÁ)=f(2xÁ)>f(2xª)=g(xª)


Ú x=0에서 연속일 조건 따라서 함수 y=g(x)의 그래프 Z
b>0이므로 는 열린 구간 (0, 1)에서 x축과
lim `f(x)g(x)= lim (-x+2)(x+a+1)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x`Ú 0- x`Ú 0-
그러므로 방정식 g(x)=0, 즉 ZG Y
=2(a+1)
lim `f(x)g(x)= lim (-x+4)(x+a+1) f(2x)=0은 열린 구간 (0, 1)
x`Ú 0+ x`Ú 0+ 0  Y
에서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갖는
=4(a+1)
다. (참)
f(0)g(0)=4(a+1)
ㄴ. 함수 f(1-x)는 다항함수이므로 h(x)=f(1-x)라
이때 lim `f(x)g(x)= lim `f(x)g(x)=f(0)g(0)이
x`Ú 0- x`Ú 0+ 하면 함수 h(x)는 닫힌 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어야 하므로 h(0)=f(1)<0, h(1)=f(0)>0
2(a+1)=4(a+1) 한편 xÁ<xª이면 1-xÁ>1-xª이므로 조건 (가)에 의
즉, a=-1이다. 하여
Û x=b에서 연속일 조건 h(xÁ)=f(1-xÁ)<f(1-xª)=h(xª)
b>0이므로 따라서 함수 y=h(x)의 Z
ZG Y
lim `f(x)g(x)= lim (-x+4)(x+a+1) 그래프는 열린 구간
x`Ú b- x`Ú b-

=(-b+4)(b+a+1) (0, 1)에서 x축과 오직


lim `f(x)g(x)= lim (-x+4)(x+a) 한 점에서 만난다.
x`Ú b+ x`Ú b+
그러므로 방정식 Y
=(-b+4)(b+a) 0 
h(x)=0, 즉
f(b)g(b)=(-b+4)(b+a)
f(1-x)=0은 열린 구
이때 lim `f(x)g(x)= lim `f(x)g(x)=f(b)g(b)
x`Ú b- x`Ú b+ 간 (0, 1)에서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참)
이어야 하므로 ㄷ. 함수 f(xÛ`)은 다항함수이므로 i(x)=f(xÛ`)이라 하면
(-b+4)(b+a+1)=(-b+4)(b+a) 함수 i(x)는 닫힌 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b+4){(b+a+1)-(b+a)}=(-b+4)_1=0 i(0)=f(0)>0, i(1)=f(1)<0
즉, b=4이다. 한편 0<xÁ<xª이면 xÁÛ`<xªÛ`이므로 조건 (가)에 의하
Ú, Û에서 a=-1, b=4이므로 여
a+b=-1+4=3 ① i(xÁ)=f(xÁÛ`)>f(xªÛ`)=i(xª)
따라서 함수 y=i(x)의 그래프는 열린 구간 (0, 1)에
3 다항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서 x축과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방정식 f(x)=0이 열린 구간 Z
그런데 i(-x)=f((-x)Û`)=f(xÛ`)=i(x)이므로 함
(0, 1)에서 실근을 갖고 조건 (가)
수 y=i(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에서 x의 값이 증가할수록 y의 값은
따라서 함수 y=i(x)의 그래프는 열린 구간 (-1, 0)
감소하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 ZG Y
에서도 x축과 오직 한 점에서 만난다.
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열린 구간
0  Y 즉, 함수 y=i(x)의 그래프는 열린 구간 (-1, 1)에서
(0, 1)에서 x축과 오직 한 점에서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Z
만난다.
난다. ZG Y™
따라서 f(0)>0, f(1)<0이고, 방정식 f(x)=0은 열린
그러므로 방정식 i(x)=0, 즉
구간 (0, 1)에서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Y
f(xÛ`)=0은 열린 구간  0 
ㄱ. 함수 f(2x)는 다항함수이므로 g(x)=f(2x)라 하면
(-1, 1)에서 서로 다른 두 실
함수 g(x)는 닫힌 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근을 갖는다. (참)
g(0)=f(0)>0, g(1)=f(2)<f(1)<0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한편 xÁ<xª이면 2xÁ<2xª이므로 조건 (가)에 의하여

5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05
aÛ`+a=b   yy`㉠
미분계수와 도함수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f(a) `f(x)-f(a)
lim = lim 이고,
x`Ú a- x-a x`Ú a+ x-a
유제 본문 145~149쪽 `f(x)-f(a) (xÛ`+3x)-(2a+b)
lim = lim
x`Ú a- x-a x`Ú a- x-a
1① 2② 3① 44 5 24 (xÛ`+3x)-(aÛ`+3a)
= lim
6② x`Ú a- x-a
(x-a)(x+a+3)
= lim
x`Ú a- x-a
2-1
1 직선 AB의 기울기는
3-1
=;2!;이므로
= lim (x+a+3)
x`Ú a-
직선 AB와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다.
=2a+3
즉,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f(x)-f(a) (2x+b)-(2a+b)
기울기가 -2이므로 lim = lim
x`Ú a+ x-a x`Ú a+ x-a
f '(-1)=-2
2(x-a)
따라서 = lim =2
x`Ú a+ x-a
`f(x)-f(-1)
lim
x`Ú -1 xÜ`+1 따라서 2a+3=2에서 a=-;2!;
`f(x)-f(-1)
= lim ㉠에서 b=aÛ`+a=;4!;-;2!;=-;4!;
x`Ú -1 (x+1)(xÛ`-x+1)

= lim
`f(x)-f(-1)
_ lim
1 따라서 a+b={-;2!;}+{-;4!;}=-;4#; ①
x`Ú -1 x-(-1) x`Ú -1 xÛ`-x+1

=f '(-1)_;3!;=(-2)_;3!;=-;3@; ①
4 h(x)=f(x)g(x)라 하자.
0 (x<1)
`f(2+mh)-f(2-nh) h(x)=[ 이고,
2 lim
h`Ú 0 h
(x-1)(ax+b) (x¾1)
함수 h(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2+mh)-f(2) f(2-nh)-f(2)
=lim -lim h(x)-h(1) h(x)-h(1)
h`Ú 0 h h`Ú 0 h lim = lim
x`Ú 1- x-1 x`Ú 1+ x-1
f(2+mh)-f(2)
=lim _m 이때
h`Ú 0 mh
h(x)-h(1) 0-0
f(2-nh)-f(2) lim = lim =0,
 +lim _n x`Ú 1- x-1 x`Ú 1- x-1
h`Ú 0 -nh
h(x)-h(1) (x-1)(ax+b)
=f '(2)_m+f '(2)_n lim = lim
x`Ú 1+ x-1 x`Ú 1+ x-1
=3(m+n)
= lim (ax+b)=a+b
따라서 3(m+n)=15에서 m+n=5 x`Ú 1+

이므로 두 자연수 m, n의 순서쌍 (m, n)은 이므로 a+b=0   yy`㉠

(1, 4), (2, 3), (3, 2), (4, 1) g(-1)=-4이므로

이고 그 개수는 4이다. ② -a+b=-4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따라서 g(x)=2x-2이므로
3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g(3)=4 4
lim `f(x)= lim `f(x)=f(a)
x`Ú a- x`Ú a+

즉, lim (xÛ`+3x)= lim (2x+b)=2a+b에서


x`Ú a- x`Ú a+ 5 f(0)=0이므로 f(x)=xÜ`+axÛ`+bx`(a, b는 상수)로 놓
aÛ`+3a=2a+b 을 수 있다.

정답과 풀이 59
정답과 풀이

f '(x)=3xÛ`+2ax+b이므로 1 f '(2)=3이므로
`f(x)+xf '(x) `f(2+2h)-f(2-2h)
lim lim
x`Ú 0 xÛ` h`Ú 0 4h
(xÜ`+axÛ`+bx)+(3xÜ`+2axÛ`+bx) { f(2+2h)-f(2)}-{ f(2-2h)-f(2)}
=lim ` =lim
x`Ú 0 xÛ` h`Ú 0 4h
4xÛ`+3ax+2b `f(2+2h)-f(2)
=lim =12 =lim _;2!;
x`Ú 0 x h`Ú 0 2h
즉, x Ú 0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Ú 0이므로 `f(2-2h)-f(2)
 +lim _;2!;
(분자) Ú 0이어야 한다. h`Ú 0 -2h
따라서 lim(4xÛ`+3ax+2b)=2b=0에서
x`Ú 0
=;2!; f '(2)+;2!; f '(2)=f '(2)=3 ④
b=0
4xÛ`+3ax
lim =lim(4x+3a)=3a=12
x`Ú 0 x x`Ú 0

이므로 a=4 `f(x)-f(1) xÛ`-1


2 lim
x`Ú 1- x-1
= lim
x`Ú 1- x-1
= lim (x+1)=2
x`Ú 1-
따라서 f(x)=xÜ`+4xÛ`이므로
f(2)=8+16=24  24 `f(x)-f(1) (2x-1)-1
lim = lim = lim 2=2
x`Ú 1+ x-1 x`Ú 1+ x-1 x`Ú 1+

g(x) `f(x)-f(1)
6 lim =-3에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므로 따라서 f '(1)=lim
x-1
=2 ④
x`Ú 1 x-1
x`Ú 1

(분자) Ú 0이어야 한다. 즉, lim g(x)=0이고,


x`Ú 1

함수 g(x)는 연속함수이므로 g(1)=0이다.


f(x)=xÛ`+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3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g(1)=3f(1)=0에서 f(1)=0이므로 lim `f(x)= lim `f(x)=f(1)이다.
x`Ú 1- x`Ú 1+
1+a+b=0   yy`㉠
즉, lim (xÛ`+a)= lim (-xÛ`+bx)=-1+b에서
x`Ú 1- x`Ú 1+
함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g(x) g(x)-g(1) 1+a=-1+b, a-b=-2   yy`㉠
lim =lim =g'(1)=-3이고,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Ú 1 x-1 x`Ú 1 x-1
g'(x)=(2x+2)f(x)+(xÛ`+2x)f '(x)   yy`㉡ `f(x)-f(1) `f(x)-f(1)
lim = lim 이고,
x`Ú 1- x-1 x`Ú 1+ x-1
g'(1)=4f(1)+3f '(1)=-3
`f(x)-f(1) (xÛ`+a)-(-1+b)
f(1)=0이므로 f '(1)=-1 lim = lim
x`Ú 1- x-1 x`Ú 1- x-1
f '(x)=2x+a에서 f '(1)=2+a=-1
(xÛ`+a)-(1+a)
a=-3 = lim
x`Ú 1- x-1
㉠에서 b=2 = lim (x+1)=2
x`Ú 1-
따라서 f(x)=xÛ`-3x+2이므로 ㉡에서
`f(x)-f(1) (-xÛ`+bx)-(-1+b)
g'(0)=2f(0)=2_2=4 ② lim = lim
x`Ú 1+ x-1 x`Ú 1+ x-1
(x-1)(-x-1+b)
= lim
x`Ú 1+ x-1
= lim (-x-1+b)=-2+b
x`Ú 1+

이므로 2=-2+b에서 b=4


㉠에서 a=2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50쪽 xÛ`+2 (x<1)
따라서 f(x)=[ 이므로
-xÛ`+4x (x¾1)
1④ 2④ 3④ 4② 5③
f(-1)+f(2)=3+4=7 ④

6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4 f(x)=2xÜ`-5x라 하면
f '(x)=6xÛ`-5이고, 다항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f(kx)=kf(x)
2(a+h)Ü`-5(a+h)-2aÜ`+5a 를 만족시키므로
lim
h`Ú 0 h f(x)=anxn+an-1xn-1+y+aÁx+a¼`
f(a+h)-f(a)  (a¼, aÁ, aª, y, an은 상수)
=lim =f '(a)
h`Ú 0 h
라 하면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등식
이므로
anknxn+an-1kn-1xn-1+y+aÁkx+a¼
f '(a)=6aÛ`-5=7에서 aÛ`=2
=kanxn+kan-1xn-1+y+kaÁx+ka¼
a>0이므로 a='2 ②
이 성립한다.
따라서 an=an-1=y=aª=a¼=0이므로
5 f '(x)=(3xÛ`+2ax)(xÛ`-ax+3)
f(x)=aÁx
 +(xÜ`+axÛ`+1)(2x-a)
이므로
f '(1)=(3+2a)(4-a)+(2+a)(2-a)
`f(xÛ`)-f(1) `f(xÛ`)-f(1)
=-2aÛ`+5a+12+4-aÛ` 2 lim =lim[ _(x+1)]
x`Ú 1 x-1 x`Ú 1 xÛ`-1
=-3aÛ`+5a+16
`f(xÛ`)-f(1)
따라서 f '(1)=4에서 =lim _lim(x+1)
xÛ``Ú 1 xÛ`-1 x`Ú 1

-3aÛ`+5a+16=4 =f '(1)_2=4
3aÛ`-5a-12=0, (a-3)(3a+4)=0 에서 f '(1)=2
a>0이므로 a=3 ③ `f(1+hÛ`)-f(1) `f(1+hÛ`)-f(1)
lim =lim[ _h]
h`Ú 0 h h`Ú 0 hÛ`
`f(1+hÛ`)-f(1)
=lim _lim h
hÛ``Ú 0 hÛ` h`Ú 0

=f '(1)_0=0,
`f(3+2h)-f(3) `f(3+2h)-f(3)
lim =lim[ _2]
h 2h
Level 2
h`Ú 0 h`Ú 0
기본 연습 본문 151쪽
=2f '(3)
1③ 2② 3② 4③ 5 108 이므로 2f '(3)=0에서 f '(3)=0
따라서 f '(1)+f '(3)=2+0=2 ②

1 다항함수 f(x)가 f(kx)=kf(x)를 만족시키므로


x=1일 때, f(k)=kf(1)   yy`㉠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이 성립하므로 3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f(1)=a`(a는 상수)로 놓으면 f(x)=ax이다. lim `f(x)= lim `f(x)=f(2)이다.
x`Ú 2- x`Ú 2+
이때 f '(x)=a이므로 f '(2)=8에서 a=8 즉, lim 1= lim (axÛ`+bx+9)=4a+2b+9
x`Ú 2- x`Ú 2+
즉, f(x)=8x, f '(x)=8이므로
에서 4a+2b+9=1
`f(1+3h)-f(1)
lim 2a+b=-4   yy`㉠
h`Ú 0 4h
`f(1+3h)-f(1)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lim[ _;4#;]
h`Ú 0 3h `f(x)-f(2) `f(x)-f(2)
lim = lim 이고
x`Ú 2- x-2 x`Ú 2+ x-2
=f '(1)_;4#;
`f(x)-f(2) 1-(4a+2b+9)
lim = lim
x-2 x-2
=8_;4#;
x`Ú 2- x`Ú 2-

1-1
=6 = lim =0
③ x`Ú 2- x-2

정답과 풀이 61
정답과 풀이

`f(x)-f(2) F(x)-F(3) (x-3)(x+a)


lim lim = lim
x`Ú 2+ x-2 x`Ú 3+ x-3 x`Ú 3+ x-3
(axÛ`+bx+9)-(4a+2b+9) = lim (x+a)=3+a
= lim x`Ú 3+
x`Ú 2+ x-2
이므로 -3=3+a에서 a=-6
a(xÛ`-4)+b(x-2)
= lim G(x)=xÛ`g(x)라 하면
x`Ú 2+ x-2
= lim {a(x+2)+b}=4a+b x<3일 때 G(x)=xÜ`, G'(x)=3xÛ`이므로
x`Ú 2+
G'(a)=G'(-6)=108  108
따라서 4a+b=0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8
따라서 a-b=10이고,
x>2에서 f '(x)=2ax+b=4x-8이므로
f '(a-b)=f '(10)=32 ②

Level 3
`f(x)
4 lim =9에서 x Ú 0일 때 (분모) Ú 0이므로 실력 완성 본문 152쪽
x`Ú 0x
(분자) Ú 0이어야 한다. 1③ 2② 39
따라서 lim`f(x)=f(0)=0이고,
x`Ú 0

`f(x) `f(x)-f(0)
lim
x`Ú 0 x
=lim
x`Ú 0 x-0
=f '(0)=9이다. 1 함수 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
다.
f(x)=xÜ`+axÛ`+bx`(a, b는 상수)로 놓으면
즉, lim g(x)= lim g(x)=g(1)   yy`㉠
f '(x)=3xÛ`+2ax+b이고, x`Ú 1- x`Ú 1+

f '(0)=9에서 b=9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1, a는 이차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므로 `f(x)-f(1)
lim g(x)= lim =f '(1)이고,
x`Ú 1- x`Ú 1- x-1
f '(1)=0, f '(a)=0
f '(1)=3+2a+b=0에서 3+2a+9=0 f '(x)=3xÛ`+a에서 f '(1)=3+a이므로
a=-6 lim g(x)=3+a,
x`Ú 1-

f '(x)=3xÛ`-12x+9=0에서 3(x-1)(x-3)=0 lim g(x)= lim (bx+3)=b+3,


x`Ú 1+ x`Ú 1+
x=1 또는 x=3이므로 a=3 g(1)=b+3
f(x)=xÜ`-6xÛ`+9x이므로 따라서 ㉠에 의하여
f(a)=f(3)=27-54+27=0 ③ 3+a=b+3, a=b   yy`㉡
x<1일 때,
-x+3 (x<3)
5 f(x)=[
x-3 (x¾3)
이므로 `f(x)-f(1) (xÜ`+ax+2)-(a+3)
=
x-1 x-1
F(x)=f(x)g(x)라 하면 (x-1)(xÛ`+x+1+a)
-xÛ`+3x (x<3) =
x-1
F(x)=[
(x-3)(x+a) (x¾3) =xÛ`+x+1+a
함수 F(x)가 x=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이므로
F(x)-F(3) F(x)-F(3) xÛ`+x+1+a (x<1)
lim = lim g(x)=[
x`Ú 3- x-3 x`Ú 3+ x-3
ax+3 (x¾1)
이때
함수 g(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F(3) -xÛ`+3x
lim = lim g(x)-g(1) g(x)-g(1)
x`Ú 3- x-3 x`Ú 3- x-3 lim = lim
x`Ú 1- x-1 x`Ú 1+ x-1
= lim (-x)=-3,
x`Ú 3- 이때

6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g(x)-g(1) (xÛ`+x+1+a)-(a+3) 이므로 a=2, c=-2
lim = lim
x`Ú 1- x-1 x`Ú 1- x-1
한편 b, d는 정수이고 b=-1+k, d=1+k이므로 k는 정
(x+2)(x-1)
= lim 수이다.
x`Ú 1- x-1
f(1)=k>0이므로 k는 양의 정수이다.
= lim (x+2)=3,
x`Ú 1-
k의 최솟값이 1이므로 f(1)의 최솟값은 1이고, 이때
g(x)-g(1) (ax+3)-(a+3)
lim = lim f(p)=-(p-1)Û`+1=0에서 (p-1)Û`=1
x`Ú 1+ x-1 x`Ú 1+ x-1
p<1이므로 p=0
= lim a=a
x`Ú 1+ 따라서 a-c+p=4이고,
이므로 a=3 x>1일 때 f '(x)=2x-2이므로
㉡에서 b=3 f '(a-c+p)=f '(4)=6 ②
따라서 a+b=6 ③

2 조건 (가)에 의하여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고, 3 사각형 ABCD의 두 변


ZG Y
Z
 " %
AB, CD의 중점을 지
조건 (나)에 의하여 x¾1일 때 f(x)¾0이므로 함수 
나는 직선의 방정식이 Z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의 경우로 # $
y=1이고, 두 변 BC,   0    Y
구분된다.
DA의 중점을 지나는
⑴ ZG Y ⑵ ZG Y
직선의 방정식이 x=2 
이다.
Q  Y Ú x<-2일 때, Y
Q  Y
g
 (x)는 두 점

⑶ ZG Y ⑷ P(x, 2), C(3, 0) 사이의 거리의 제곱이므로


ZG Y
g(x)=(x-3)Û`+2Û`=xÛ`-6x+13
Û -2Éx<-1일 때,
Q  Y Q  Y g(x)는 두 점 P(x, -x), C(3, 0) 사이의 거리의 제
곱이므로
g(x)=(x-3)Û`+(-x)Û`=2xÛ`-6x+9
각각의 그림에서 f '(1)의 값의 범위는
Ü -1Éx<2일 때,
⑴ f '(1)<0 ⑵ f '(1)<0 ⑶ f '(1)=0 ⑷ f '(1)>0
 (x)는 두 점 P(x, -x), D(3, 2) 사이의 거리의 제
g
이므로 조건 (다)를 만족시키는 함수 y=f(x)의 그래프의
곱이므로
개형은 ⑶과 같고, f(1)=0이면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p
g(x)=(x-3)Û`+(-x-2)Û`=2xÛ`-2x+13
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f(1)>0이다. 이때 함수
Ý x¾2일 때,
|| f(x)|-f(1)|의 x=1에서의 미분계수는 0이어야 한다.
g(x)는 두 점 P(x, -x), A(1, 2) 사이의 거리의 제
Z]G Y ]G  Z]]G Y ]G  ]
곱이므로
Q g(x)=(x-1)Û`+(-x-2)Û`=2xÛ`+2x+5
 Y Q  Y 따라서 Ú ~ Ý에 의하여
( xÛ`-6x+13 (x<-2)
\ 2xÛ`-6x+9 (-2Éx<-1)
g(x)={
따라서
-(x-1)Û`+k (x<1) \ 2xÛ`-2x+13 (-1Éx<2)
9
f(x)=[
(x-1)Û`+k (x¾1) 2xÛ`+2x+5 (x¾2)
-xÛ`+2x-1+k (x<1) 이고, 함수 g(x)는 x+-2, x+-1, x+2인 모든 실수 x
=[ (단, k는 상수)
xÛ`-2x+1+k (x¾1) 에서 미분가능하다.

정답과 풀이 63
정답과 풀이

g(x)-g(-2) (xÛ`-6x+13)-29

06
lim = lim
x`Ú -2- x-(-2) x`Ú -2- x+2
도함수의 활용
= lim (x-8)=-10
x`Ú -2-

g(x)-g(-2) (2xÛ`-6x+9)-29
lim = lim
x`Ú -2+ x-(-2) x`Ú -2+ x+2 유제 본문 155~163쪽
= lim 2(x-5)=-14
x`Ú -2+
1① 2③ 3③ 4② 5③
이므로 함수 g(x)는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6② 7③ 8② 9① 10 ③
g(x)-g(-1) (2xÛ`-6x+9)-17
lim = lim
x`Ú -1- x-(-1) x`Ú -1- x+1
= lim 2(x-4)=-10
x`Ú -1- 1 y=3x-1에서 x=-1일 때, y=-4이므로 곡선 y=f(x)
g(x)-g(-1) (2xÛ`-2x+13)-17 는 점 (-1, -4)를 지난다.
lim = lim
x`Ú -1+ x-(-1) x`Ú -1+ x+1 따라서 f(-1)=-4
= lim 2(x-2)=-6 곡선 y=f(x) 위의 점 (-1,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x`Ú -1+

이므로 함수 g(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y=3x-1이므로


g(x)-g(2) (2xÛ`-2x+13)-17 f '(-1)=3
lim = lim g(x)={`f(x)}Û`=f(x)_f(x)로 놓으면
x`Ú 2- x-2 x`Ú 2- x-2
= lim 2(x+1)=6 g'(x)=f '(x)f(x)+f(x)f '(x)=2f(x)f '(x)
x`Ú 2-
이므로
g(x)-g(2) (2xÛ`+2x+5)-17
lim = lim g'(-1)=2f(-1)f '(-1)=2_(-4)_3=-24
x`Ú 2+ x-2 x`Ú 2+ x-2
= lim 2(x+3)=10 따라서 곡선 y={`f(x)}Û` 위의 점 (-1, { f(-1)}Û`)에서
x`Ú 2+
의 접선의 기울기는 -24이다. ①
이므로 함수 g(x)는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함수 g(x)가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모든 a
의 값의 제곱의 합은
(-2)Û`+(-1)Û`+2Û`=9 9 2 f(x)=xÜ`+6x-1로 놓으면 f '(x)=3xÛ`+6
곡선 y=f(x) 위의 x=1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3_1Û`+6=9
이므로 이 접선과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9이다.
제3사분면에서 곡선 y=f(x)에 접하고 기울기가 9인 접선
의 접점의 좌표를 (t, f(t))`(t<0)으로 놓으면
f '(t)=3tÛ`+6=9에서 tÛ`=1
이때 t<0이므로 t=-1이고
f(-1)=(-1)Ü`+6_(-1)-1=-8
따라서 이 접선의 방정식은
y-(-8)=9_(x+1), 즉 y=9x+1
이 접선이 점 (0, a)를 지나므로
a=9_0+1=1 ③

3 f(x)=2xÜ`+6xÛ`-12에서
f '(x)=6xÛ`+12x=6x(x+2)
f '(x)=0에서 x=-2 또는 x=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6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x y -2 y 0 y 2a+16=10
a=-3 ③
f '(x) + 0 - 0 +

f(x) ↗ -4 ↘ -12 ↗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고, x=0에서 극


6 함수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므로 함수
xf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인 사차함수이다.
소이므로 두 점 (-2, -4), (0, -12)를 지나는 직선의
이때 함수 y=xf '(x)의 그래프가 x=0, x=2인 점에서
기울기는
x축과 접하므로
-12-(-4) -8
= =-4 ③ xf '(x)=4xÛ`(x-2)Û`
0-(-2) 2
이다. f '(x)는 삼차함수이므로
f '(x)=4x(x-2)Û`
4 조건 (가), (나)에서
f '(x)=0에서 x=0 또는 x=2
함수 f(x)가 -3<x<-1에서 증가하고, -1<x<2에
-1ÉxÉ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서 감소하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f '(-1)=0   yy`㉠
또 함수 f(x)가 -1<x<2에서 감소하고, 2<x<4에서 x -1 y 0 y 2 y 3
증가하므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f '(x) - 0 + 0 +
따라서 f '(2)=0   yy`㉡ f(x) f(-1) ↘ f(0) ↗ f(2) ↗ f(3)
또 f(0)=0이므로
f(x)=xÜ`+axÛ`+bx`(a, b는 상수)로 놓으면 따라서 -1ÉxÉ3에서 함수 f(x)의 최솟값과 같은 것은
f '(x)=3xÛ`+2ax+b f(0)이다. ②
㉠, ㉡에서
f '(-1)=3-2a+b=0   yy`㉢
f '(2)=12+4a+b=0   yy`㉣ 7 곡선 y=xÜ`-3kxÛ`+x와 직선 y=x-32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 ㉣에서 a=-;2#;, b=-6 xÜ`-3kxÛ`+x=x-32, 즉 xÜ`-3kxÛ`+32=0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f(x)=xÜ`-;2#;xÛ`-6x이므로
즉, f(x)=xÜ`-3kxÛ`+32로 놓으면 함수 f(x)의 극댓값
f(2)=8-6-12=-10 ②
과 극솟값이
(극댓값)_(극솟값)<0
5 f(x)=xÜ`-3x+a에서 을 만족시켜야 한다.
f '(x)=3xÛ`-3=3(x+1)(x-1) f '(x)=3xÛ`-6kx=3x(x-2k)
f '(x)=0에서 x=-1 또는 x=1 k는 자연수이므로 f '(x)=0에서
-2ÉxÉ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x=0 또는 x=2k
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2 y -1 y 1 y 3 x y 0 y 2k y

f '(x) + 0 - 0 + f '(x) + 0 - 0 +

f(x) a-2 ↗ a+2 ↘ a-2 ↗ a+18 f(x) ↗ 32 ↘ 32-4kÜ` ↗

따라서 닫힌 구간 [-2, 3]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대, x=2k에서 극소이므로
a+18이고, 최솟값은 a-2이다. 32(32-4kÜ`)<0, kÜ`>8=2Ü`
M=a+18, m=a-2이므로 M+m=10에서 k>2
a+18+a-2=10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3이다. ③

정답과 풀이 65
정답과 풀이

8 2xÜ`-3x¾3x+a에서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64쪽
2xÜ`-6x¾a
f(x)=2xÜ`-6x로 놓으면 1② 2④ 3③ 4② 5 59
f '(x)=6xÛ`-6=6(x+1)(x-1)
f '(x)=0에서 x=-1 또는 x=1
x¾0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1 f(x)=2xÜ`-x+3이라 하면
f '(x)=6xÛ`-1이고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
과 같다.
의 접선의 기울기는
x 0 y 1 y f '(-1)=6_(-1)Û`-1=5
f '(x) - 0 + 이므로 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5!;이다.
f(x) 0 ↘ -4 ↗
기울기가 -;5!;이고 점 (0,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즉, x¾0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
y=-;5!;x+1, 즉 x+5y-5=0
므로 x¾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2xÜ`-6x¾a를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따라서 a=5, b=-5이므로
aÉ-4 aÛ`+bÛ`=25+25=50 ②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4이다. ②
2 f '(x)=4xÜ`-4ax=4x(xÛ`-a)
f '(x)=0에서
9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라 하면
x=0 또는 x=-'a 또는 x='a
dx
v= =tÛ`-4t+6 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x=-'a,
dt
v=2에서 tÛ`-4t+6=2 x='a에서 극소이다.
(t-2)Û`=0, t=2 함수 f(x)=xÝ`-2axÛ`-1이 x=b, x=2-2b에서 극소이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라 하면 고 b>1이므로
dv b='a, 2-2b=-'a
a= =2t-4
dt
2-2b=-b에서 b=2이므로
이므로 시각 t=2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a=bÛ`=4
a=2_2-4=0 ①
따라서 a+b=4+2=6 ④

10 점 P가 원점을 지날 때의 위치는 x=0이므로 3 조건 (가)에 의하여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삼차함수


a(tÜ`-4tÛ`+3t)=0 f(x)는 x=2에서 극대이고, x=4에서 극소이다.
at(t-1)(t-3)=0 따라서 f(2)>f(4), f(6)>f(4)이므로 조건 (나)에서
a+0, t>0이므로 t=1 또는 t=3 f(6)-f(4)=f(2)-f(4)+2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즉, f(6)=f(2)+2
dx 따라서 닫힌 구간 [0, 6]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v= =a(3tÛ`-8t+3)
dt
f(6)=f(2)+2=0 ③
이므로 시각 t=1에서의 속도는
v=a(3-8+3)=-2a
이고 시각 t=3에서의 속도는 4 f(x)=xÜ`+3xÛ`+1이라 하면
v=a(27-24+3)=6a f '(x)=3xÛ`+6x=3x(x+2)
vÁ+vª=24에서 f '(x)=0에서 x=-2 또는 x=0
-2a+6a=24 -1<x<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a=6 ③ 면 다음과 같다.

6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x (-1) y 0 y (1) 2 방정식 f(x)=2x, 즉 ;4!;xÛ`(xÛ`-6x+12)=2x에서

f '(x) - 0 + x(xÜ`-6xÛ`+12x-8)=0
x(x-2)Ü`=0
f(x) ↘ 1 ↗
x=0 또는 x=2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최솟값 f(0)을 갖는다.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2, 4)이 Z ZG Y
ZY
f(0)=1이므로 -1<x<1에서 고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
"
f(x)¾ f(0)=1 선 y=2x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
따라서 부등식 f(x)>k가 항상 성립하려면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1>k, 즉 k<1 직선 y=2x와 점 P 사이의 거리 1
이어야 하므로 정수 k의 최댓값은 0이다. ② 가 최대일 때, 삼각형 OPA의 넓 0 Y

이가 최대이다.
5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 하면 이때 삼각형 OPA의 넓이가 최대일 때의 점 P는 0<x<2
dx dv 에서 곡선 y=f(x)의 기울기가 2인 접선의 접점이다.
v= =3tÛ`-2, a= =6t
dt dt
시각 t=k에서의 점 P의 가속도가 12이므로 f '(x)=xÜ`-;2(;xÛ`+6x이므로
6k=12에서 k=2 f '(x)=2에서
따라서 시각 t=k+2=4에서의 점 P의 위치는 2xÜ`-9xÛ`+12x-4=0
x=4Ü`-2_4+3=59  59 (x-2)Û`(2x-1)=0

0<x<2이므로 x=;2!;

따라서 삼각형 OPA의 넓이는 t=;2!;일 때 최대이므로

a=;2!; ②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165~166쪽

3 f '(x)=3axÛ`+2bx+c   yy`㉠
1③ 2② 3② 4 24 5⑤ 조건 (가)에서 곡선 y=f '(x)는 x축과 두 점 (0, 0), (1, 0)
6 50 7① 8 22 에서 만나고,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므로
f '(x)=3ax(x-1) (a는 상수, a>0)

1
으로 놓을 수 있다.
f(x)=xÜ`-2x+3으로 놓으면 f '(x)=3xÛ`-2
곡선 y=f(x) 위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곡선 y=f(x) 위의 x=-1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x)이고
f '(-1)=3_(-1)Û`-2=1
이므로 이 접선과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1이다. f '(x)=3ax(x-1)=3a(xÛ`-x)=3a[{x-;2!;}Û`-;4!;]
제1사분면에서 곡선 y=f(x)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의 접점의 좌표를 (t, f(t))`(t>0)으로 놓으면
f '(x)¾3a_{-;4!;}=-:£4:
f '(t)=3tÛ`-2=1에서 tÛ`=1
이때 t>0이므로 t=1이고 이고, 조건 (나)에서 f '(x)의 최솟값이 -1이므로
f(1)=1Ü`-2_1+3=2 -:£4:=-1, 즉 a=;3$;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f '(x)=4x(x-1)=4xÛ`-4x이므로 ㉠에서
y-2=1_(x-1)
b=-2, c=0
y=x+1   yy`㉠
따라서 접선 ㉠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는 1이다.  ③ 따라서 f(x)=;3$;xÜ`-2xÛ`이고 함수 f(x)는 x=0에서 극

정답과 풀이 67
정답과 풀이

댓값 f(0)=0을 갖고, x=1에서 극솟값 함수 f(x)가 상수함수이거나 다항함수가 아니면 모든 실수

f(1)=;3$;-2=-;3@;를 가지므로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x에 대하여 f '(x)¾0이어도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


한다고 말할 수 없다.
0-{-;3@;}=;3@; ② xÛ` (x¾0)
(반례) 함수 f(x)=[ 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0 (x<0)
4 조건 (가)에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삼차함수 f '(x)¾0이지만 역함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다. 따라서 함수 f(x)의 도함수 f '(x)는 최고차항의 계
수가 -6인 이차함수이다. 6 y=-xÛ`+2x에서 y'=-2x+2
또 조건 (나)에서 함수 f(x)는 x=-2와 x=1에서 극값을 이므로 곡선 y=-xÛ`+2x 위의 점 P(t, -tÛ`+2t)에서의
가지므로 f '(-2)=0, f '(1)=0이다. 접선의 기울기는 -2t+2이다.
그러므로 인수정리에 의하여 이차식 f '(x)는 x+2와 t+1일 때, 점 P를 지나고 점 P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
x-1을 인수로 갖는다. 의 방정식은
1
따라서 f '(x)=-6(x+2)(x-1)이므로 y-(-tÛ`+2t)= (x-t)   yy`㉠
2t-2
`f(h)-f(-h)
lim ㉠에 y=0을 대입하면
h`Ú 0 h
{ f(h)-f(0)}-{ f(-h)-f(0)} x=(tÛ`-2t)(2t-2)+t=2tÜ`-6tÛ`+5t
=lim
h`Ú 0 h
따라서 f(t)=2tÜ`-6tÛ`+5t
`f(h)-f(0) `f(-h)-f(0)
=lim +lim 또 t=1일 때, y'=0이므로 점 P(1, 1)에서의 접선의 방정
h`Ú 0 h h`Ú 0 -h
식은 y=1이고, 점 P를 지나고 이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방
=2f '(0)
정식은 x=1이다.
=2_12
따라서 직선 x=1이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1, 0)이므
=24  24
로 f(1)=1이다.

5 f(x)=2xÜ`+2kxÛ`+3kx-2에서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f(t)=2tÜ`-6tÛ`+5t가 성립하므로

f '(x)=6xÛ`+4kx+3k g(t)=2f(t)+tÛ`=4tÜ`-11tÛ`+10t
삼차함수 f(x)가 역함수를 가지려면 f(x)는 일대일 대응 g'(t)=12tÛ`-22t+10=2(6t-5)(t-1)
이어야 한다. g'(t)=0에서 t=;6%; 또는 t=1
즉,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해
0ÉtÉ1에서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
야 한다. 음과 같다.
그런데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실
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한다. t 0 y ;6%; y 1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한다.
g'(t) + 0 -
이차방정식 6xÛ`+4kx+3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2k)Û`-6_3k=2k(2k-9)É0 g(t) 0 ↗ g{;6%;} ↘ 3
4
0ÉkÉ;2(; 즉, 0ÉtÉ1에서 함수 g(t)는 t=;6%;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따라서 구하는 정수 k의 값은
따라서 a=;6%;이므로
0, 1, 2, 3, 4
이므로 그 개수는 5이다. ⑤ 60a=60_;6%;=50  50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고 상수함수가 아닌 다항함수 7 h(x)=f(x)-3g(x)로 놓으면


f(x)에 대하여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한다. h(x)=2xÜ`+3xÛ`-3(-xÛ`+2)
HjK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 =2xÜ`+6xÛ`-6

6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h'(x)=6xÛ`+12x=6x(x+2) -f(1)=f '(1)(t-1)
h'(x)=0에서 x=-2 또는 x=0 t-1+0이므로
-3ÉxÉ1에서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f(1)
f '(1)=
면 다음과 같다. 1-t
곡선 y=g(x) 위의 점 R(1, g(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x -3 y -2 y 0 y 1 은
h'(x) + 0 - 0 + y-g(1)=g'(1)(x-1)
h(x) -6 ↗ 2 ↘ -6 ↗ 2 이 직선이 점 Q(t, 0)을 지나므로
-g(1)=g'(1)(t-1)
따라서 -3ÉxÉ1에서 함수 Z g(1)
 ZI Y g'(1)=
h(x)의 최솟값은 -6이므로 부 1-t
등식 f(x)-3g(x)¾k가 성립하  따라서
0 Y
려면  f(1)

f '(1) 1-t `f(1)
kÉ-6 | |= =| |=;3$; ④
g'(1) g(1) g(1)
이어야 한다. 1-t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6이 
다. ① 2 함수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므로 함수
f(x)의 도함수 f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인 삼차함수
8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라 하면 이다.
dx 조건 (나), (다)에 의하여 f '(1)=0, f '(a)=0, f '(b)=0
v= =-12tÛ`+24t
dt
이고 a<1<b이다.
v=0에서 -12t(t-2)=0
그러므로 f '(x)=4(x-1)(x-a)(x-b)로 놓을 수 있
t>0에서 t=2
다.
이때 t=2의 좌우에서 v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뀐다.
조건 (가)에서 f '(-1)=8이므로
따라서 점 P의 운동 방향이 바뀌는 시각 t=2에서의 점 P
-8(a+1)(b+1)=8
의 위치는
a+b=-2-ab   yy`㉠
x=-4_2Ü`+12_2Û`+6=22  22
(b-a)Û`=(a+b)Û`-4ab이고, 조건 (다)와 ㉠에 의하여
13=(-2-ab)Û`-4ab
(ab)Û`=9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167~168쪽
그런데 (a+1)(b+1)=-1이고 a<1<b이므로
1④ 2④ 3③ 41 5② a+1<0, 즉 a<-1, b>1에서 ab<0이므로
6⑤ ab=-3
이것을 ㉠에 대입하면 a+b=1
따라서
1 점 H는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이므로 f '(2)=4(2-a)(2-b)=4{ab-2(a+b)+4}=-4
PHÓ=| f(1)|, RHÓ=|g(1)|  ④
PHÓ `f(1)
즉, =| |=;3$;이다.
RHÓ g(1) 3 점 A의 좌표는 A(t, -tÛ`+t+2)이고, 점 B의 좌표는
조건 (가)에서 곡선 y=f(x) 위의 점 P(1, f(1))에서의 B(t, tÜ`-3t-2)이다.
접선의 방정식은 (-tÛ`+t+2)-(tÜ`-3t-2)=-tÜ`-tÛ`+4t+4
y-f(1)=f '(1)(x-1) =-tÛ`(t+1)+4(t+1)
점 Q의 좌표를 (t, 0)이라 하면 이 직선이 점 Q(t, 0)을 지 =(t+1)(4-tÛ`)
나므로 -1<t<2에서 (t+1)(4-tÛ`)>0이므로

정답과 풀이 69
정답과 풀이

-tÛ`+t+2>tÜ`-3t-2 Ú (극댓값)=1, (극솟값)<-1인 경우


따라서 삼각형 ACB의 넓이는 Z]G Y ]
;2!;_(t+1)_{(-tÛ`+t+2)-(tÜ`-3t-2)}
Z
=;2!;(t+1)Û`(4-tÛ`)
Y

f(t)=;2!;(t+1)Û`(4-tÛ`)={;2!;tÛ`+t+;2!;}(4-tÛ`)으로 놓

으면
(극댓값)=b+4=1이면 b=-3이므로
f '(t)=(t+1)(4-tÛ`)-t(t+1)Û`
(극솟값)=b<-1이 된다.
=(t+1)(4-tÛ`-tÛ`-t)
그런데 f(0)=b<-2가 되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t+1)(-2tÛ`-t+4)
Û (극댓값)>1, (극솟값)=-1인 경우
-1Ñ'3Œ3
f '(t)=0에서 t=-1 또는 t=
4 Z]G Y ]
-1<t<2에서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

Y
-1+'3Œ3
t (-1) y y (2)
4

f '(t) + 0 -
( 극솟값)=b=-1이면 (극댓값)=b+4=3>1이 된다.
-1+'3Œ3
f(t) ↗ f{ } ↘ 이때 f(0)=b>-2가 되어 조건을 만족시킨다.
4
위의 Ú, Û에서 b=-1이므로
-1+'3Œ3 f(x)=xÜ`-6xÛ`+9x-1
따라서 삼각형 ACB의 넓이는 t= 일 때 최대이
4 따라서 f(2)=8-24+18-1=1 1
므로
-1+'3Œ3
a=  ③
4

5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a라 하면 함수 f(x)


4 함수 f(x)는 다항함수이므로 조건 (가)에서 의 도함수 f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a인 이차함수이다.
f(x)-xÜ`=-6xÛ`+ax+b`(a,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조건 (나)에서 방정식 f '(x)=0이 두 실근 -1, 2를 가지
f(x)=xÜ`-6xÛ`+ax+b에서 므로
f '(x)=3xÛ`-12x+a f '(x)=3a(x+1)(x-2)
이고 조건 (나)에서 로 놓을 수 있다.
f '(1)=3-12+a=0 이때 조건 (가)에서 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두 양의
즉, a=9이므로 f(x)=xÜ`-6xÛ`+9x+b이고 실근을 가지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f '(x)=3xÛ`-12x+9=3(x-1)(x-3)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다.
f '(x)=0에서 x=1 또는 x=3 Ú a>0일 때, Û a<0일 때,
f(1)=1-6+9+b=b+4
Z Z
f(3)=27-54+27+b=b ZG Y ZG Y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b+4를 갖고, x=3

에서 극솟값 b를 갖는다. 0  Y
조건 (다)에서 방정식 | f(x)|=1이 서로 다른 5개의 실근 
 0 Y
을 가지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
이 두 가지 경우가 있다.

7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ㄱ. Û에서 a<0일 때, f(0)<0이다. (거짓) -4(8-k)+28=4k-4
ㄴ. Ú, Û에서 f(-1)f(2)<0이다. (참) 이므로 두 속도의 곱을 h(k)라 하면
ㄷ. f '(1)=3a(1+1)(1-2)=-6a>0 h(k)=(-2k+4)(4k-4)
즉, a<0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Û와 같다. =-8kÛ`+24k-16

f(x)=-xÜ`+;2#;xÛ`+6x-9로 놓으면 =-8{k-;2#;}Û`+2

f '(x)=-3xÛ`+3x+6=-3(x+1)(x-2) 따라서 1ÉkÉ2에서 함수 h(k)의 최댓값은 2이다.


가 되어 문제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참)
이때 f '(1)=6>0이지만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f(1)=-1+;2#;+6-9=-;2%;<0 (거짓)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이다. ②

6 시각 t에서의 점 P의 위치 x가
(`-tÛ`+4t (0ÉtÉ4)
x={`2tÛ`-20t+48 (4<tÉ6)
9`-2tÛ`+28t-96 (6<tÉ8)
이므로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 v는
(`-2t+4 (0<tÉ4)
v={`4t-20 (4<tÉ6)
9`-4t+28 (6<t<8)
W


 
0   U



ㄱ. 0<t<4일 때, 점 P의 가속도 a는
dv
a= =-2<0 (참)
dt
ㄴ. v=0에서
t=2 또는 t=5 또는 t=7
이때 t=2의 좌우에서 속도 v의 부호가 반대이므로 점
P는 시각 t=2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QR코드 앱을 사용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세요.
마찬가지로 t=5, t=7일 때에도 점 P는 운동 방향을
바꾼다.
따라서 0<t<8에서 점 P는 운동 방향을 세 번 바꾼다. 수학의 왕도
 (참)
ㄷ. 1ÉkÉ2일 때 6É8-kÉ7이므로 수학 공부에 길이 있다면
점 P의 시각 t=k에서의 속도는 -2k+4이고,
그것은 [수학의 왕도]
시각 t=8-k에서의 속도는

정답과 풀이 71
정답과 풀이

07
-4+(a-2)=2a-4, a=-2
부정적분과 정적분 f(x)는 다항함수이므로 ㉡에서 f(x)는 이차함수이고,
f(x)=3xÛ`+bx+c`(b, c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f '(x)=6x+b이므로
유제 본문 171~175쪽
f '(1)=6+b=-4에서 b=-10

1② 2⑤ 3 35 4② 5① 한편 f(1)=a-2=-4이므로
f(1)=3+b+c=-4에서 c=3
64
따라서 f(x)=3xÛ`-10x+3이므로
f(a)=f(-2)=35  35
1 f '(x)=2x-4이므로

f(x)=: (2x-4)dx=xÛ`-4x+C (C는 적분상수) 4 f(x)+:)/ {tÛ`+f '(t)}dt=-;3%;xÜ`+6xÛ`-8x+5

f '(x)=0에서 x=2  yy`㉠


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고 동시에 최소이다.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곡선 y=f(x)가 x축과 점 P에서 접하므로 점 P의 좌표는 f '(x)+xÛ`+f '(x)=-5xÛ`+12x-8
(2, 0)이다. f '(x)=-3xÛ`+6x-4
즉, f(2)=0이므로 f(x)=: (-3xÛ`+6x-4)dx
f(2)=4-8+C=0에서 C=4
=-xÜ`+3xÛ`-4x+C (C는 적분상수)
따라서 f(x)=xÛ`-4x+4이고,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5이므로
f(0)=4이므로 점 Q의 좌표는 (0, 4)이다.
f(0)=C=5
따라서 삼각형 OPQ의 넓이는
따라서 f(x)=-xÜ`+3xÛ`-4x+5이고,
;2!;_2_4=4 ② f(x)+f '(x)=-xÜ`+2x+1이므로

:)2 { f(x)+f '(x)}dx=:)2 (-xÜ`+2x+1)dx


2
=[-;4!;xÝ`+xÛ`+x]2)`=2
f '(x)=xÛ`+2x+a이므로
②
f(x)=: (xÛ`+2x+a)dx

=;3!;xÜ`+xÛ`+ax+C (C는 적분상수)


3(x+2)-1 (x+2<0)
점 P는 직선 y=3x+2와 y축의 교점이므로 점 P의 좌표는 5 f(x+2)=[
(x+2)Û`+2(x+2)-1 (x+2¾0)
(0, 2)이다. 3x+5 (x<-2)
=[
또 직선 y=3x+2는 곡선 y=f(x) 위의 점 P(0, 2)에서 xÛ`+6x+7 (x¾-2)
의 접선이므로 f(0)=2, f '(0)=3이다. 3(x-2)-1 (x-2<0)
즉, f '(0)=a=3, f(0)=C=2이므로 f(x-2)=[
(x-2)Û`+2(x-2)-1 (x-2¾0)
f(x)=;3!;xÜ`+xÛ`+3x+2 3x-7 (x<2)
=[
xÛ`-2x-1 (x¾2)
따라서 f(3)=29 ⑤
이므로

3 f(x)+:!/ f(t)dt=xÜ`+axÛ`-7x+4   yy`㉠ :_1! x{`f(x+2)+f(x-2)}dx

=:_1! x{(xÛ`+6x+7)+(3x-7)}dx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y`㉡
=:_1! (xÜ`+9xÛ`)dx
f '(x)+f(x)=3xÛ`+2ax-7  
㉠에 x=1을 대입하면 f(1)=a-2

=2:)1 9xÛ``dx=2[3xÜ`]1)=2_3=6
㉡에 x=1을 대입하면 f '(1)+f(1)=2a-4
f '(1)=-4이므로 ①

72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6 이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라고 하면 2 :!/ f(t)dt=xÛ`+ax-5   yy`㉠
f(1)=0이므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과 같은 세 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0=1+a-5, a=4
ZG Y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ZG Y ZG Y f(x)=2x+a=2x+4
따라서 f(a)=f(4)=12 ④
Y Y  Y

:_aA`(3xÛ`+5x-3)dx=2:)a (3xÛ`-3)dx
 

3
=2[xÜ`-3x]a)
[그림 1] [그림 2] [그림 3]

이때 :)1 f(x)dx=:#4 f(x)dx를 만족시키려면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2]와 같고, f(3)=0이어야 한다. =2(aÜ`-3a)=4

이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경우도 같은 에서 aÜ`-3a-2=0, (a+1)Û` (a-2)=0

방법으로 생각하면 f(3)=0이어야 하므로 a>0이므로 a=2 ②

f(x)=a(x-1)(x-3) (a는 상수, a+0)


으로 놓을 수 있다. 4
:)1 f(x)dx=:)1 a(x-1)(x-3)dx
-1Éx<0이면
|x|+|x-2|=-x-(x-2)=-2x+2
0Éx<2이면
=a:)1 (xÛ`-4x+3)dx |x|+|x-2|=x-(x-2)=2

=a[;3!;xÜ`-2xÛ`+3x]1)
2ÉxÉ4이면
|x|+|x-2|=x+(x-2)=2x-2
=;3$;a=2 이므로

에서 a=;2#; :_4!`(|x|+|x-2|)dx

따라서 f(x)=;2#;xÛ`-6x+;2(;이므로 =:_0!`(-2x+2)dx+:)2 2`dx+:@4 (2x-2)dx

:!4 | f(x)|dx=:!3 {-f(x)}dx+:#4 f(x)dx =[-xÛ`+2x]0_!+[2x]2)+[xÛ`-2x]4@

=3+4+8=15 ⑤
=:!3 {-;2#;xÛ`+6x-;2(;} dx+2

=[-;2!;xÜ`+3xÛ`-;2(;x]3!+2 5 이차함수 f(x)가 x=2에서 극소이므로 f '(2)=0이고,


=2+2=4 4 x<2에서 f '(x)<0, x>2에서 f '(x)>0이다.
따라서

:)4 | f '(x)|dx=:)2 | f '(x)|dx+:@4 | f '(x)|dx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76쪽

1② 2④ 3② 4⑤ 5④ =:)2 {-f '(x)}dx+:@4 f '(x)dx

=[-f(x)]2)+[f(x)]4@`

1 f '(x)=6xÛ`-1이므로 =-f(2)+f(0)+f(4)-f(2)

f(x)=: (6xÛ`-1)dx=2xÜ`-x+C (C는 적분상수)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0)=f(4)이고, f(2)=1이므로

:)4 | f '(x)|dx=2f(4)-2f(2)=2f(4)-2=16
f(1)=2-1+C=0에서 C=-1
따라서 f(x)=2xÜ`-x-1이므로
f(2)=16-2-1=13 ② 에서 f(4)=9 ④

정답과 풀이 73
정답과 풀이

:_/ ? f(t)dt=0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177쪽
이므로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
1⑤ 2② 3③ 4④
이다. 즉, f(0)=0이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므로

1 {xf(x)}'=f(x)+xf '(x)이므로 f(x)=axÜ`+bx (a, b는 상수, a+0)


조건 (나)에서 {xf(x)}'=4xÜ`+9xÛ`-8x+3 으로 놓을 수 있다.
f '(x)=3axÛ`+b이므로
xf(x)=: (4xÜ`+9xÛ`-8x+3)dx
조건 (나)에 의하여
=xÝ`+3xÜ`-4xÛ`+3x+CÁ (CÁ은 적분상수) f '(0)=b=1
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0=CÁ f '(1)=3a+1=7, a=2
따라서 xf(x)=xÝ`+3xÜ`-4xÛ`+3x이고, 따라서 f(x)=2xÜ`+x이므로

:@4 f(x)dx=:@4 (2xÜ`+x)dx=[;2!;xÝ`+;2!;xÛ`]4@`


f(x)는 다항함수이므로
f(x)=xÜ`+3xÛ`-4x+3
f '(x)=3xÛ`+6x-4이므로 =136-10=126 ③
조건 (다)에서 3xÛ`+6x-4+g'(x)=8x+2
2
g'(x)=-3xÛ`+2x+6 4 n
=Dx라 하면 xk=kDx이고

lim Á `f(xk)Dx=:)2 f(x)dx=:)2 (ax+b)dx


n
g(x)=: (-3xÛ`+2x+6)dx

=[;2A;xÛ`+bx]2)=2a+2b
n`Ú¦ k=1

=-xÜ`+xÛ`+6x+Cª (Cª는 적분상수)

lim Á g(xk)Dx=:)2 g(x)dx=:)2 ;2!;xÛ``dx


조건 (가)에 의하여 g(0)=f(0)=3이므로 Cª=3
n
따라서 g(x)=-xÜ`+xÛ`+6x+3이므로

=[;6!;xÜ`]2)=;3$;
n`Ú¦ k=1
g(1)=9 ⑤

이므로

lim Sn=lim Á { f(xk)-g(xk)}Dx


2 2xÛ`f(x)-:!/ 4tf(t)dt=xÝ`-2xÜ`-3   yy`㉠ n

=lim Á `f(xk)Dx-lim Á g(xk)Dx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n`Ú¦ n`Ú¦ k=1
n n
2f(1)-0=1-2-3=-4
n`Ú¦ k=1 n`Ú¦ k=1
f(1)=-2
=2a+2b-;3$;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4xf(x)+2xÛ`f '(x)-4xf(x)=4xÜ`-6xÛ` 따라서 2a+2b-;3$;=:Á3¢:에서
2xÛ`f '(x)=4xÜ`-6xÛ`   yy`㉡
a+b=3   yy`㉠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2)=2a+b=2   yy`㉡
2f '(1)=4-6=-2, f '(1)=-1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
따라서 aÛ`+bÛ`=(-1)Û`+4Û`=17 ④
기는 -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2=-(x-1), 즉 y=-x-1
따라서 접선의 y절편은 -1이다. ②

3 조건 (가)에서

:)/ f(t)dt=:) `f(t)dt=-:_0? f(t)dt Level 3


-x
실력 완성 본문 178쪽

:_0? f(t)dt+:)/ f(t)dt=0 1① 2③ 3④

74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1 곡선 y=f(x) 위의 임의의 점 P(t, f(t))에서의 접선의 a+0이므로 n=3
방정식은 따라서
y-f(t)=f '(t)(x-t)   yy`㉠ f(x)=axÜ`+bxÛ`+cx+d`(a, b, c, d는 상수, a+0)
이고, 조건 (가)에 의하여 으로 놓을 수 있다.
접선 ㉠이 점 (2t, g(2t))를 지나므로 f '(x)=3axÛ`+2bx+c이므로
g(2t)-f(t)=f '(t)(2t-t) 조건 (나)의 등식에 대입하면
g(2t)=f(t)+tf '(t) 3axÜ`+3bxÛ`+3cx+3d=3axÜ`+2bxÛ`+cx+2x+k
따라서 이므로 3b=2b, 3c=c+2, 3d=k
d
{tf(t)}=f(t)+tf '(t)=g(2t) 따라서 b=0, c=1, d=;3K;이므로
dt
=3_(2t)Û`+a_2t+4=12tÛ`+2at+4 f(x)=axÜ`+x+;3K;
이므로

tf(t)=: (12tÛ`+2at+4)dt
f '(x)=3axÛ`+1에서 f '(1)=3a+1이므로
조건 (가)에 의하여 3a+1=7, a=2
=4tÜ`+atÛ`+4t+C (C는 적분상수) :)2 f(x)dx=:)2 {2xÜ`+x+;3K;}`dx

=[;2!;xÝ`+;2!;xÛ`+;3K;x]2)=10+;3@;k
위 등식의 양변에 t=0을 대입하면 0=C
따라서 tf(t)=4tÜ`+atÛ`+4t이고, f(t)는 다항함수이므로

:_1! xf(x)dx=:_1!`{2xÝ`+xÛ`+;3K;x}`dx
f(t)=4tÛ`+at+4이다.
f(0)=4이고, a>0이므로 t>0일 때 점 P(t, f(t))는 제
1사분면 위의 점이다. =2:)1 (2xÝ`+xÛ`)dx

=2[;5@;xÞ`+;3!;xÜ`]1)=;1@5@;
따라서 조건 (나)에서 사각형 OQPR의 넓이 S(t)는
S(t)=tf(t)=4tÜ`+atÛ`+4t이므로

:!2 S(t)dt=:!2 (4tÜ`+atÛ`+4t)dt 이므로 조건 (다)에서

=[tÝ`+;3A;tÜ`+2tÛ`]2!
10+;3@;k=5_;1@5@;, k=-4

따라서 f(x)=2xÜ`+x-;3$;이므로
={24+;3*;a}-{3+;3A;}
119 f(2)=:°3¼: ③
=21+;3&;a=
3
에서 a=8
3 조건 (가)의 등식의 양변에 b 대신 t를 대입하면

:At f(x)dx=
따라서 f(x)=4xÛ`+8x+4, g(x)=3xÛ`+8x+4이므로
t-a
f(1)+g(1)=16+15=31 ① { f(a)+f(t)}   yy`㉠
2
㉠의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2 조건 (가)에 의하여 다항함수 f(x)는 상수함수가 아니므로
f(t)=;2!;{ f(a)+f(t)+(t-a)f '(t)}
함수 f(x)의 차수를 n이라 하면 n¾1이다.
n=1일 때, f(x)=px+q`(p, q는 상수, p+0)으로 놓으면 f(t)=f(a)+(t-a)f '(t)   yy`㉡
조건 (나)에서 ㉡에 a 대신 x를 대입하면
3(px+q)=x_p+2x+k=(p+2)x+k f(t)=f(x)+(t-x)f '(t)
이므로 3p=p+2, p=1 즉, f(x)=f '(t)(x-t)+f(t)   yy`㉢
그런데 f '(x)=p=1이 되어 조건 (가)에 모순이다. 이때 y=f '(t)(x-t)+f(t)는 함수 y=f(x)의 그래프 위
따라서 n>1이다. 의 점 (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고, ㉢에서 이 접선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a라 하면 조건 (나)의 등식 이 함수 y=f(x)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함수 y=f(x)의
에서 양변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각각 3a, na이므로 그래프는 직선이다.
3a=na 따라서 f(x)=px+q`(p, q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정답과 풀이 75
정답과 풀이

08
조건 (나)에서

:_aA f(x)dx=:_aA`(px+q)dx 정적분의 활용

=2:)a q`dx=2[qx]a)=2aq=4a
유제 본문 181~185쪽
이고, a는 임의의 실수이므로 q=2
즉, f(x)=px+2이고, 1④ 2⑤ 3④ 4③ 5⑤
f(2)=2p+2=8에서 p=3이므로

A=B이므로 :)6` f '(x)dx=0이다.


f(x)=3x+2
따라서 f(4)=14 ④ 1
:)6 (xÛ`-ax)dx=[;3!;xÜ`-;2A;xÛ`]6)=72-18a=0
조건 (가)에 의하여

:_aA f(x)dx=
a-(-a) 에서 a=4
{ f(-a)+f(a)}이므로
2
f(x)=: f '(x)dx=: (xÛ`-4x)dx
조건 (나)에 의하여 4a=a{ f(-a)+f(a)}

:_aA f(x)dx=:_0A f(x)dx+:)a f(x)dx =;3!;xÜ`-2xÛ`+C (C는 적분상수)

이므로 조건 (가), (나)에 의하여 이므로

4a=
0-(-a)
{ f(-a)+f(0)}+
a-0
{ f(0)+f(a)} f(0)=C, f(4)=-:£3ª:+C, f(6)=C
2 2
따라서 세 점 P, Q, R의 좌표는 각각
=af(0)+;2!;_a{ f(-a)+f(a)}
P(0, C), Q{4, -:£3ª:+C}, R(6, C)
=af(0)+;2!;_4a=af(0)+2a
이고, 점 Q에서 선분 PR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2a=af(0)
PRÓ=6, QHÓ=C-{-:£3ª:+C}=:£3ª:
a는 임의의 실수이므로 f(0)=2

:)4 f(x)dx=:)2 f(x)dx+:@4 f(x)dx이므로 조건 (가),


따라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2!;_6_:£3ª:=32 ④
(다)에 의하여
4-0
{ f(0)+f(4)}
2
=
2-0
2
{ f(0)+f(2)}+
4-2
2
{ f(2)+f(4)} 2 f(x)=xÜ`-4xÛ`+4x라 하면
f '(x)=3xÛ`-8x+4이므로
2{2+f(4)}=(2+8)+{8+f(4)}
f '(0)=4
따라서 f(4)=14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0, 0)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은 y=4x이다.
곡선 y=xÜ`-4xÛ`+4x와 직선 y=4x의 교점의 x좌표는
xÜ`-4xÛ`+4x=4x에서 xÛ`(x-4)=0
x=0 또는 x=4
이고, 닫힌 구간 [0, 4]에서 4x¾xÜ`-4xÛ`+4x이므로 구하
는 넓이는

:)4 {4x-(xÜ`-4xÛ`+4x)}dx

=:)4 (-xÜ`+4xÛ`)dx

=[-;4!;xÝ`+;3$;xÜ`]4)`=:¤3¢: ⑤

76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3 f(x)=4(x-1)Û`, g(x)=(x-3)Û`이라 하자.
Level 1 기초 연습 본문 186쪽
두 곡선 y=f(x), y=g(x)의 교점의 x좌표는
f(x)=g(x)에서 1③ 2④ 3① 4⑤ 5④
f(x)-g(x)=4(x-1)Û`-(x-3)Û`
=3xÛ`-2x-5
=(x+1)(3x-5)=0
1 y=-x(x-a)에서 0ÉxÉa일 때, y¾0이므로
곡선 y=-xÛ`+a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a (-xÛ`+ax)dx=[-;3!;xÜ`+;2A;xÛ`]a)
x=-1 또는 x=;3%;

-1ÉxÉ;3%;에서 f(x)-g(x)É0, 즉 f(x)Ég(x), aÜ` aÜ` aÜ`


=- + =
3 2 6
x¾;3%;에서 f(x)-g(x)¾0, 즉 f(x)¾g(x)이므로 aÜ`
따라서 =36에서 aÜ`=216
6
A-B

=:_! {g(x)-f(x)}dx-: a { f(x)-g(x)}dx


a=6 ③
;3%;

;3%;

=:_a!`{g(x)-f(x)}dx
2 A=:_2@`(-xÛ`+4)dx
=:_a!`(-3xÛ`+2x+5)dx
Z ZY™ 

=[-xÜ`+xÛ`+5x]a_!=-aÜ`+aÛ`+5a+3
=2:)2 (-xÛ`+4)dx,
#
B=:@a (xÛ`-4)dx
 0  B Y
이고, A-B=0에서
이고, A=2B이므로

:)2 (-xÛ`+4)dx=:@a (xÛ`-4)dx


aÜ`-aÛ`-5a-3=0, (a+1)Û`(a-3)=0
 "
a>;3%;이므로 a=3
즉, :)a (xÛ`-4)dx=0이므로
④

[;3!;xÜ`-4x]a)=0
4 시각 t=0에서의 점 P의 위치가 원점이므로
;3!;aÜ`-4a=0, ;3!;a(a-2'3)(a+2'3)=0
시각 t=a에서의 점 P의 위치는

:)a v(t)dt=:)a (10-4t)dt


a>2이므로 a=2'3 ④

=[10t-2tÛ`]a)=10a-2aÛ`

따라서 10a-2aÛ`=0에서 a(a-5)=0 3 두 곡선 y=xÜ`+1, y=xÛ`+x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a>0이므로 a=5 ③ xÜ`+1=xÛ`+x에서
xÜ`-xÛ`-x+1=0, (x+1)(x-1)Û`=0
x=-1 또는 x=1
-1ÉxÉ1에서 (x+1)(x-1)Û`¾0
5 f(t)=2t-6=0에서 t=3
즉, xÜ`+1¾xÛ`+x
이므로 점 P는 시각 t=3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이므로 두 곡선 y=xÜ`+1, y=xÛ`+x로 둘러싸인 부분의
시각 t=0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가 모두 원점이므로
넓이는

:_1!`(xÜ`+1-xÛ`-x)dx=2:)1 (-xÛ`+1)dx
시각 t=3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는 각각

xÁ=:)3 (2t-6)dt=[tÛ`-6t]3)`=-9
=2[-;3!;xÜ`+x]1)
xª=:)3 (3tÛ`-2t)dt=[tÜ`-tÛ`]3)`=18

따라서 |xÁ-xª|=|-9-18|=27 ⑤ =;3$; ①

정답과 풀이 77
정답과 풀이

xÛ`-x (xÉ0 또는 x¾1) Z


4 y=|xÛ`-x|=[
-xÛ`+x (0<x<1) ZG Y

이고, 곡선 y=|xÛ`-x|와 직선 y=2의 교점의 x좌표는
xÛ`-x=2에서 xÛ`-x-2=0 0         Y

(x+1)(x-2)=0 Z Z]Y™ Y]


x=-1 또는 x=2 따라서 곡선 y=f(x)`(0ÉxÉ8)과 x축으로 둘러싸인 부
 Z 분의 넓이는

:)8 f(x)dx
따라서 곡선 y=|xÛ ` -x|와
직선 y=2로 둘러싸인 부분
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 Y
 0  
=4:)2 f(x)dx
분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_2!`{2-(xÛ`-x)}dx-2:)1 (-xÛ`+x)dx =4[ :)1 (-xÛ`+2x)dx+:!2 (xÛ`-4x+4)dx]

=[-;3!;xÜ`+;2!;xÛ`+2x]2_!-2[-;3!;xÜ`+;2!;xÛ`]1) =4{[-;3!;xÜ`+xÛ`]1)+[;3!;xÜ`-2xÛ`+4x]2!}

={:Á3¼:+;6&;}-2_;6!;=:ª6°: ⑤ =4{;3@;+;3*;-;3&;}=4 ③

5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3 v(t)dt=:)3 (tÛ`+2t+a)dt


2 두 곡선 y=-xÛ`+4, y=axÛ`의 교점의 x좌표는
2

=[;3!;tÜ`+tÛ`+at]3)=18+3a
-xÛ`+4=axÛ`에서 x=Ñ
'Äa+1
따라서
2
따라서 18+3a=9에서 a=-3
SÁ=2:) 'Äa+1 (-xÛ`+4-axÛ`)dx
v(t)=tÛ`+2t-3=(t+3)(t-1)이므로
2
a+1 32
0Ét<1일 때 v(t)<0, =2[- xÜ`+4x])'Äa+1 =
3 3'Äa+1
t¾1일 때 v(t)¾0
따라서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Sª=:)2 (-xÛ`+4)dx-;2!;SÁ

:)3 |v(t)|dt =[-;3!;xÜ`+4x]2)-;2!;SÁ=:Á3¤:-;2!;SÁ

=:)3 |tÛ`+2t-3|dt S£=:)2 axÛ`dx-Sª

=:)1 (-tÛ`-2t+3)dt+:!3 (tÛ`+2t-3)dt =[;3A;xÜ`]2)-{:Á3¤:-;2!;SÁ}=;3*;a-:Á3¤:+;2!;SÁ

=[-;3!;tÜ`-tÛ`+3t]1)+[;3!;tÜ`+tÛ`-3t]3! SÁ+Sª-S£=SÁ+{:Á3¤:-;2!;SÁ}-{;3*;a-:Á3¤:+;2!;SÁ}

=;3%;+{9+;3%;}=:£3¦: ④ =:£3ª:-;3*;a=6

에서 a=;4&; ⑤

1 k
3 Sk= `f { }이므로
n n
lim Á Sk=lim Á `f {
Level 2 기본 연습 본문 187쪽
k 1
} =:)1 f(x)dx
n n

n`Ú¦ k=1 n`Ú¦ k=1 n n


1③ 2⑤ 3③ 4 80
=:)1 (2xÜ`-3xÛ`+2)dx

=[;2!;xÝ`-xÜ`+2x]1)=;2#;
1 0ÉxÉ8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78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lim Á S2k=lim Á `f { } =;2!; lim Á `f {
2k 1 2k 2
} SÁ=:)1 (-3xÛ`+3x)dx=[-xÜ`+;2#;xÛ`]1)=;2!;
n n n

n n n n
=;2!;:)2 f(x)dx=;2!;:)2 (2xÜ`-3xÛ`+2)dx
n`Ú¦ k=1 n`Ú¦ k=1 n`Ú¦ k=1

닫힌 구간 [n, n+1]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2!;[;2!;xÝ`-xÜ`+2x]2)`=2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Tn은 닫힌 구간 [0, 1]에서 함

수 y={-;2!;} g(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n

따라서

lim Á S2k-lim Á Sk=2-;2#;=;2!;


넓이와 같으므로
n n

Tn=:)1 |{-;2!;} g(x)|dx


n
③
n`Ú¦ k=1 n`Ú¦ k=1

=:)1 {;2!;} (-3xÛ`+3x)dx


n

4 시각 t=0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가 모두 원점이므로 시


={;2!;} _;2!;={;2!;}
n n+1
각 t=10에서의 점 P의 위치는

:)1`0 v¸(t)dt=:)2 2t`dt+:@1`0``{-;2!;t+5} dt 따라서

=[tÛ`]2)+[-;4!;tÛ`+5t]1@0 Sª=SÁ+TÁ=;2!;+{;2!;}Û`

=4+(25-9)=20 S£=SÁ+TÁ+Tª=;2!;+{;2!;}Û`+{;2!;}Ü`
시각 t=10에서의 점 Q의 위치는

:)1`0 vÎ(t)dt=:)1`0 {-;5£0;tÛ`+at} dt


Sn= Á {;2!;} (n=1, 2, 3, y)


n k

=[-;5Á0;tÜ`+;2§A;tÛ`]1)0`=-20+50a
k=1

이므로

lim Sn=lim Á {;2!;} =


따라서 20=-20+50a에서 n k
;2!;
=1 ③
a=;5$;이므로 n`Ú¦ n`Ú¦ k=1
1-;2!;

100a=100_;5$;=80  80
2 곡선 y=(x+1)(x-1)Û`과 직선 y=3(x-1)의 교점의
x좌표는
(x+1)(x-1)Û`=3(x-1)에서
Level 3 실력 완성 본문 188쪽
(x-1)(xÛ`-4)=0, (x+2)(x-1)(x-2)=0
1③ 2② 3⑤ x=-2 또는 x=1 또는 x=2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A(2, 3), B(-2, -9)
함수 y={-;2!;} g(x-n)의 그래프는 함수
n

1 이다.
g(x)=axÛ`+bx+c`(a, b, c는 상수, a<0)으로 놓으면
y={-;2!;} g(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
n

두 곡선 y=(x+1)(x-1)Û`, y=axÛ`+bx+c가 세 점에서


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 만나고, 세 교점의 x좌표가 -2, t, 2이므로 방정식
다. f(x)=g(x)의 세 근이 -2, t, 2이다. 즉,
Z f(x)-g(x)
ZG Y =(x+1)(x-1)Û`-(axÛ`+bx+c)
=xÜ`-(a+1)xÛ`-(b+1)x+1-c
0     Y 또한,
f(x)-g(x)
=(x+2)(x-t)(x-2)
닫힌 구간 [0, 1]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으로 =xÜ`-txÛ`-4x+4t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따라서 a+1=t, b+1=4, 1-c=4t

정답과 풀이 79
정답과 풀이

즉, a=t-1, b=3, c=1-4t   yy`㉠ =:)1 (tÛ`-4t+3)dt+:!3 (-tÛ`+4t-3)dt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두 부분의 넓이의
 +:#/ (tÛ`-4t+3)dt
합을 S(t)라 하면

S(t)=:_t@`(xÜ`-txÛ`-4x+4t)dx =[;3!;tÜ`-2tÛ`+3t]1)+[-;3!;tÜ`+2tÛ`-3t]3!`

 -:T2 (xÜ`-txÛ`-4x+4t)dx  +[;3!;tÜ`-2tÛ`+3t]/#

=[;4!;xÝ`- xÜ`-2xÛ`+4tx]t_@
t =;3$;+;3$;+;3!;xÜ`-2xÛ`+3x
3
-[;4!;xÝ`- xÜ`-2xÛ`+4tx]2T =;3!;xÜ`-2xÛ`+3x+;3*;
t

3
따라서
=-;6!;tÝ`+4tÛ`+8
h(x)=g(x)-f(x)
=-;6!;(tÛ`-12)Û`+32 ( 0 (0<xÉ1)
|
이고, 0ÉtÛ`É;4!;이므로 = { -;3@;xÜ`+4xÛ`-6x+;3*; (1<x<3)
|
;3*; (x¾3)
S(t)는 tÛ`=0, 즉 t=0일 때 최소이고, tÛ`=;4!;, 즉 t=;2!;일 9
때 최대이다. ㄱ. h(2)=-:Á3¤:+16-12+;3*;=;3$; (참)

t=;2!;일 때, ㉠에서 a=-;2!;, b=3, c=-1이므로 ㄴ. :!3 h(x)dx=:!3 {-;3@;xÜ`+4xÛ`-6x+;3*;} dx

gÁ(x)=-;2!;xÛ`+3x-1이고, =[-;6!;xÝ`+;3$;xÜ`-3xÛ`+;3*;x]3!`
t=0일 때, ㉠에서 a=-1, b=3, c=1이므로
=;2&;-;6%;=;3*;
gª(x)=-xÛ`+3x+1이다.

따라서 gÁ(1)+gª(1)=;2#;+3=;2(; ② :#4 h(x)dx=:#4 ;3*;`dx=[;3*;x]4#=;3*;

이므로

:!3 h(x)dx=:#4 h(x)dx (참)


3 f(x)=:)/ v(t)dt=:)/ (tÛ`-4t+3)dt

=[;3!;tÜ`-2tÛ`+3t]/)=;3!;xÜ`-2xÛ`+3x h(x)-h(1)
ㄷ. lim =0
v(t)=(t-1)(t-3)<0에서 1<t<3이므로 x`Ú 1- x-1
0<xÉ1일 때,
h(x)-h(1) -;3@;xÜ`+4xÛ`-6x+;3*;
lim = lim
g(x)=:)/ |v(t)|dt=:)/ v(t)dt=;3!;xÜ`-2xÛ`+3x x`Ú 1+ x-1 x`Ú 1+ x-1

1<x<3일 때, -;3@;(x-1)Û`(x-4)
= lim
x`Ú 1+ x-1
g(x)=:)/ |v(t)|dt
= lim [-;3@;(x-1)(x-4)]=0
=:)1 (tÛ`-4t+3)dt+:!/ (-tÛ`+4t-3)dt x`Ú 1+

=[;3!;tÜ`-2tÛ`+3t]1)+[-;3!;tÜ`+2tÛ`-3t]/!
따라서 h'(1)=0이므로 함수 h(x)는 x=1에서 미분가
능하다. (참)

=;3$;-;3!;xÜ`+2xÛ`-3x+;3$;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3!;xÜ`+2xÛ`-3x+;3*;

x¾3일 때,

g(x)=:)/ |v(t)|dt

80 EBS 수능특강 수학영역 l 미적분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