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0

올 림 포 스 수학(하)

정답과 풀이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 2017-11-01 오전 10:49:24


정답과 풀이

Ⅳ. 집합과 명제 따라서 집합 AC의 모든 원소의 합은


1+4+6+8+9+10=38
10 집합
 38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9~12쪽
6. A;C=A에서 A,C, B;C=C에서 C,B이므로
1. 7 2. 3 3. -2 4. 8 5. 38 A,C,B

6. 8 7. 18 8. 12 이때 n(A)=3, n(B)=6이므로 구하는 집합 C의 개수는


26-3=8

1. 집합 A의 원소는 -2, 1, 4, a이고 모든 원소의 합이 10 8


이므로 -2+1+4+a=10, a+3=10
따라서 a=7 7. U={x|x는 9 이하의 자연수} U
A B
7 ={1, 2, 3, y, 8, 9} 1 3
2
이고 주어진 조건을 벤다이어그램으로 5 7 9

2. a=1, b=-1일 때, a-b=2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4 6 8

a=1, b=0일 때, a-b=1 즉, A'B={1, 2, 3, 5, 7, 9}이므로


a=2, b=-1일 때, a-b=3 AC;BC=(A'B)C=U-(A'B)
a=2, b=0일 때, a-b=2 ={1, 2, 3, y, 8, 9}-{1, 2, 3, 5, 7, 9}
따라서 C={a-b|a<A, b<B}={1, 2, 3}이므로 ={4, 6, 8}
n(C)=3 따라서 집합 AC;BC의 모든 원소의 합은 4+6+8=18
3  18

3. 집합 A={a, a+2, 4}의 원소의 개수가 3이므로 a+2, 8. n(BC)=n(A'BC)-n(A;B)=22-10=12


a+4이고, 두 집합 A={a, a+2, 4}, B={-1, b, 4}에 대  12
하여 A=B이고 a+b이므로 a=-1이다.
즉, A={-1, 1, 4}이므로 b=1이면 B={-1, 1, 4}로 유형 확인 본문 13~15쪽
A=B이다.
따라서 a-b=-1-1=-2 01 ⑤ 02 ③ 03 4 04 23 05 ⑤
 -2 06 ④ 07 4 08 ④ 09 10 10 ②
11 -4 12 4 13 -1 14 5 15 ②
4. 집합 A={1, 2, 3, 4, 5, 6}의 부분집합 중 2는 원소로 16 ⑤ 17 ③ 18 16 19 15 20 2
갖고 4, 6은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 X의 개수는 21 ②
26-1-2=2Ü`=8
8 01 키가 크다, 예쁘다, 무섭다, 가깝다 등은 기준이 확실하지
않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5. U={x|x는 10 이하의 자연수} 따라서 집합인 것은 ⑤ 10보다 작은 자연수의 모임이다.
={1, 2, 3, y, 9, 10} ⑤
이고 A={x|x는 소수}={2, 3, 5, 7}이므로
AC=U-A={1, 2, 3, y, 10}-{2, 3, 5, 7} 02 ①, ② a, b는 자연수이므로 2, 3은 2 _3 의 꼴로 나타낼
a b

={1, 4, 6, 8, 9, 10} 수 없다. 즉, 2²A, 3²A이다.

2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 2017-11-01 오전 10:49:24


③ 6=2_3<A B={x||x|<a}
④ 12=2Û`_3<A ={x|-a<x<a}
⑤ 18=2_3Û`<A 따라서 A,B가 성립하기 위해서 B
A
③ 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a -1 3 a x
즉, a>3이므로 자연수 a의 최솟
03 0Û`+2Û`=4, 0Û`+(-2)Û`=4, 2Û`+0Û`=4, (-2)Û`+0Û`=4 값은 4이다.
이므로 4
A={(x, y)|xÛ`+yÛ`=4, x, y는 정수}
={(0, 2), (0, -2), (2, 0), (-2, 0)}
08 집합 A={1, 2, 3, 4, 5, 6, 7, 8}의 원소 중 소수는 2,
따라서 n(A)=4 3, 5, 7이다.
4 집합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256
이 중에서 소수가 아닌 4개의 원소로 만들 수 있는 부분집합의
04 A={x|x는 100 이하의 3의 양의 배수} 개수는 2Ý`=16
={3, 6, 9, y, 99}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56-16=240
={3_1, 3_2, 3_3, y, 3_33}
④
이므로 n(A)=33
B={x|x=2n, n은 10 이하의 자연수}
={2_1, 2_2, 2_3, y, 2_10}
09 2n-2-2
=2n-4=2ß`이므로 n-4=6
따라서 n=10
이므로 n(B)=10
 10
따라서 n(A)-n(B)=33-10=23
 23
10 A={x|(x-1)(x-2)=0}={1, 2}
B={x|x는 16의 양의 약수}
05 집합 A={1, 2, {1, 2}}의 원소는 1, 2, {1, 2}이다.
ㄱ. 1<A (참) ={1, 2, 4, 8, 16}

ㄴ. {1, 2}<A (참) 따라서 A,X,B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는

ㄷ. {1, 2},A (참) 25-2=2Ü`=8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②

⑤
11 두 집합 A={a, 1, aÛ`-4}, B={-3, 2aÛ`+a, a+4}
06 B={x||x|<1, x는 정수} 에 대하여 A;B={-3, 1}이므로
={x|-1<x<1, x는 정수} Ú a=-3일 때,
={0} A={a, 1, aÛ`-4}={-3, 1, 5},
C={x|xÜ`-x=0} B={-3, 2aÛ`+a, a+4}={-3, 1, 15}
={x|x(x-1)(x+1)=0} 이므로 A;B={-3, 1}이다.
={-1, 0, 1} Û aÛ`-4=-3, aÛ`=1에서 a+1이므로 a=-1일 때,
따라서 B,A,C이다. A={a, 1, aÛ`-4}={-1, 1, -3},
④ B={-3, 2aÛ`+a, a+4}={-3, 1, 3}
이므로 A;B={-3, 1}이다.
07 A={x|xÛ`-2x-3É0} Ú, Û에 의하여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x|(x-3)(x+1)É0} -3+(-1)=-4
={x|-1ÉxÉ3}  -4

정답과 풀이 3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 2017-11-01 오전 10:49:24


정답과 풀이

12 A={x|x는 10보다 작은 짝수인 자연수} 17 A★B=(A'B)-(A;B)를 벤 U


A
={2, 4, 6, 8}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의 원소 중 집합 B={1, 2, 3, 4}의 원소가 아닌 것은 6, 8이
므로 구하는 집합의 개수는 2Û`=4 B C

4
따라서 집합 (A★B)★C는 오른쪽과 같 U
A
다.
13 U={x||x|É5}={x|-5ÉxÉ5}이므로
AC=U-A={x|-5ÉxÉ5}-{x|-1<x<3}
B C
={x|-5ÉxÉ-1 또는 3ÉxÉ5}
따라서 ③
A 'B={x|-5ÉxÉ-1 또는 3ÉxÉ5}'{x|1<xÉ4}
C

={x|-5ÉxÉ-1 또는 1<xÉ5} 18 (Aª¢'AÁ¤);A¥=(Aª¢;A¥)'(AÁ¤;A¥)이고


Aª¢;A¥은 24와 8의 공통된 양의 약수의 집합이므로
이므로 정수인 모든 원소의 합은
Aª¢;A¥=A¥
-5+(-4)+(-3)+(-2)+(-1)+2+3+4+5=-1
같은 방법으로 AÁ¤;A¥은 16과 8의 공통된 양의 약수의 집합
 -1
이므로 AÁ¤;A¥=A¥
(Aª¢'AÁ¤);A¥=(Aª¢;A¥)'(AÁ¤;A¥)
14 A;B=A-{(A-B)'(B-A)} =A¥'A¥=A¥={1, 2, 4, 8}
={2, 4, 6, 8, 10}-{1, 2, 3, 4, 5, 6}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8, 10}
2Ý`=16
B-A={(A-B)'(B-A)}-A
 16
={1, 2, 3, 4, 5, 6}-{2, 4, 6, 8, 10}
={1, 3, 5}
이므로
19 n(A-B )=n(A;B)=3이므로
C

n(A'B)=n(A)+n(B)-n(A;B)
B=(A;B)'(B-A)={8, 10}'{1, 3, 5}
=10+8-3
={1, 3, 5, 8, 10}
=15
따라서 n(B)=5
 15
5

20 (A;B),A, (A;B),B에서
15 A-B=A이므로 A;B=∅이다. n(A;B)Én(A)=10, n(A;B)Én(B)=6
ㄱ. ‌A={1, 2}, B={3}이면 이므로 n(A;B)É6 yy ㉠
A-B=A이지만 AøB이다. (거짓) 또, n(A'B)Én(U)=12에서
ㄴ. A;B=∅이므로 B-A=B (참) n(A'B)=n(A)+n(B)-n(A;B)
ㄷ. U={1,
‌ 2, 3, 4}, A={1, 2}, B={3}이면 =10+6-n(A;B)
BC={1, 2, 4}이므로 BCøA (거짓) É12
따라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이므로
② n(A;B)¾4 yy ㉡
㉠, ㉡에서 4Én(A;B)É6이므로
16 (A'B);(AC'BC)=(A'B);(A;B)C m=4, M=6
=(A'B)-(A;B) 따라서 M-m=6-4=2
⑤ 2

4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4 2017-11-01 오전 10:49:25


21 학급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휴대폰을 갖고 있는 학생의 Ú, Û 에 의하여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집합을 A, 태블릿PC를 갖고 있는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12_2=24 yy ➌
n(U)=35, n(A)=24, n(B)=12, n(A ;B )=6
C C  24
이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n(A ;B )=n((A'B) )
C C C
➊ n(A), n(B)의 값을 구한 경우 30`%
=n(U)-n(A'B) n(A)=1, n(B)=2와 n(A)=2,
➋ 60`%
=35-n(A'B)=6 n(B)=1일 때의 순서쌍의 개수를 구한 경우
이므로 n(A'B)=29 ➌ 순서쌍 (A, B)의 개수를 구한 경우 10`%
따라서
n(A;B)=n(A)+n(B)-n(A'B)
=24+12-29=7
03 AÁª={1, 2, 3, 4, 6, 12},
Aª¢={1, 2, 3, 4, 6, 8, 12, 24} yy ➊
② 이므로
AÁª;B£={3, 6, 12}
Aª¢;B¢={4, 8, 12, 24} yy ➋
서술형 연습장 본문 16쪽
따라서
(AÁª;B£)'(Aª¢;B¢)‌={3, 6, 12}'{4, 8, 12, 24}
01 7 02 24 03 57
={3, 4, 6, 8, 12, 24} yy ➌

01 A={x|xÛ`-7x+6É0, x는 자연수} 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x|(x-1)(x-6)É0, x는 자연수} 3+4+6+8+12+24=57 yy ➍
={x|1ÉxÉ6, x는 자연수}  57
={1, 2, 3, 4, 5, 6} yy ➊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1, 3, 5로 만들 수 있는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의 개수는 ➊ AÁª, Aª¢를 구한 경우 20`%
2Ü`-1=7 yy ➋ ➋ AÁª;B£, Aª¢;B¢를 구한 경우 20`%
7 ➌ (AÁª;B£)'(Aª¢;B¢)를 구한 경우 50`%
➍ 모든 원소의 합을 구한 경우 1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집합 A를 구한 경우 50`%
➋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한 경우 50`%

+
02 A-B=A에서 A;B=∅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17쪽
그런데 n(A'B)=3이므로
n(A)=1, n(B)=2 또는 n(A)=2, n(B)=1 yy ➊ 01 ③ 02 ④ 03 23
Ú n(A)=1, n(B)=2인 집합은
A={-2} 01 AÁ={x|1ÉxÉ12, x는 자연수}
‌ ={-1, 0} 또는 B={-1, 1} 또는 B={0, 1}로 3개
B Aª={x|3ÉxÉ12, x는 자연수}
같은 방법으로 A={-1} 또는 A={0} 또는 A={1}도 A£={x|5ÉxÉ12, x는 자연수}
모두 3개씩이므로 순서쌍 (A, B)의 개수는 
3_4=12 따라서 AÁ.Aª.A£.y이므로 AÁ;Aª;y;AÇ=∅이 되
Û n(A)=2, n(B)=1인 집합은 도록 하는 경우는 Ak(k=1, 2, y, n)가 공집합이 될 때이다.
Ú과 같은 방법으로 생각하면 12가지이다. yy ➋ 즉, 2n-1>12에서 n>6.5이므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7이다.

정답과 풀이 5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5 2017-11-01 오전 10:49:25


정답과 풀이

A7-2=A5­={x|9ÉxÉ12, x는 자연수}={9, 10, 11, 12} Ⅳ. 집합과 명제


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9+10+11+12=42
11 명제
③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21~24쪽

02 ㄱ. A;B={1, 2, 3, 4, 5};{2, 4, 6, 8}={2, 4} 1. 8 2. 2ÉxÉ4 3. 풀이 참조 4. -3


이므로 5. -2 6. 풀이 참조 7. -4 8. 8
S(A, B)=n(AC'BC)=n((A;B)C)
=n(U)-n(A;B)
1. xÛ`-8x+7=0에서 (x-1)(x-7)=0
=20-2=18 (참) x=1 또는 x=7
ㄴ. S(A, B)ÉS(B, C)에서 따라서 조건 p의 진리집합은 {1, 7}이므로 진리집합의 모든 원
n(U)-n(A;B)Én(U)-n(B;C) 소의 합은
n(A;B)¾n(B;C) (거짓) 1+7=8
ㄷ. A,B이면 A;B=A이고 n(A)Én(B)이므로 8
S(A, B)=n(U)-n(A;B)
=n(U)-n(A)
¾n(U)-n(B)
2. ‘p 또는 q’의 부정은 ‘~p이고 ~q’이므로
2ÉxÉ4
=n(BC) (참)
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2ÉxÉ4
④

03 조사한 사람 전체의 집합을 U, 예금을 거래한 사람의 집 3. ‘어떤 자연수 x에 대하여 x는 홀수이다’의 부정은
합을 A, 펀드를 거래한 사람의 집합을 B, 주식을 거래한 사람 ‘모든 자연수 x에 대하여 x는 홀수가 아니다.’, 즉 ‘모든 자연수
의 집합을 C라 하면 x에 대하여 x는 짝수이다.’이다.
n(A;B;C)=6, n(C)=37  풀이 참조
n(A ;B ;C)=8
C C

B,A
4.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자.
위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벤다이 U
또, |x|<3에서 -3<x<3이 Q
A C P
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B 므로 명제 p`2Ú q가 참이 되기
이때 펀드는 거래하지 않고 예금과 주 6 x 8 위해서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a -3 3 4 x

식만 거래한 사람의 집합은 한다.


A;BC;C이고 따라서 aÉ-3이므로 실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n(A;BC;C)=x라 하면  -3
6+x+8=37, x=23
따라서 n(A;BC;C)=23
 23 5. 명제 ‘-2<x<1이면
x¾k이다.’의 대우는 ‘x<k이
k -2 1 x
면 xÉ-2 또는 x¾1이다.’이
고 이것이 참이 되기 위해서는 그림과 같아야 한다.
즉, kÉ-2이므로 정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 -2

6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6 2017-11-01 오전 10:49:25


6. '2가 유리수라고 가정하면 01 ①, ②, ③은 조건이고 ④는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없으므
'2=;pQ; ( p, q는 서로소인 자연수) 로 명제가 아니고 ⑤는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명제이
다.
로 나타낼 수 있다.
⑤
'2p=q의 양변을 제곱하면 2pÛ`=qÛ` yy ㉠
좌변은 짝수이므로 우변도 짝수이어야 한다.
q=2k (k는 자연수) 02 P={3, 6, 9, 12, 15, y, 99}, Q={5, 10, 15, y, 100}
라 하고 ㉠에 대입하면 이므로 집합 P;Q는 15의 배수인 집합이다.

2pÛ`=4kÛ`, pÛ`=2kÛ` 즉, P;Q={15, 30, 45, 60, 75, 90}이므로

따라서 우변이 짝수이므로 좌변인 p도 짝수이어야 한다. n(P;Q)=6

이것은 p, q는 서로소라는 가정에 모순이므로 '2가 유리수라는 6

가정은 거짓이다.
즉, 귀류법에 의하여 '2는 유리수가 아니다. 03 ‘세 실수 x, y, z에 대하여 xyz=0이다.’의 부정은
 풀이 참조 ‘세 실수 x, y, z에 대하여 xyz+0이다.’이다.
즉, ‘세 실수 x, y, z에 대하여 x+0이고 y+0이고 z+0이다.’
7. q`:`|x|=2에서 x=-2 또는 x=2이고 p가 q이기 위한 이다.
필요충분조건이므로 x=-2, x=2는 이차방정식  풀이 참조
xÛ`+ax+b=0의 두 근이어야 한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2+2, b=-2_2
04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1, 2, 5, 10}
이므로 a=0, b=-4
xÛ`+2x-24<0, (x-4)(x+6)<0에서 -6<x<4이므로
따라서 a+b=-4
Q={1, 2, 3}이다.
 -4
따라서 조건 ‘~p 또는 q’의 진리집합은
PC'Q={3, 4, 6, 7, 8, 9}'{1, 2, 3}
8.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 2, 3, 4, 6, 7, 8, 9}
x+;[$;¾2®Éx_;[$;=2_2=4
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1+2+3+4+6+7+8+9=40
이때 등호는 x=;[$;, xÛ`=4, 즉 x=2일 때 성립하므로
 40
a=2, b=4
따라서 ab=2_4=8
8 05 ① 모든 홀수는 2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므로 거짓이다.
② x=0이면 xÛ`=0이므로 거짓이다.
③ 2는 소수이면서 짝수이므로 거짓이다.
④ 12의 양의 약수 중에서 1, 3은 짝수가 아니므로 거짓이다.
유형 확인 본문 25~27쪽 ⑤ x=i이면 xÛ`=i Û`=-1<0이므로 참이다.
⑤
01 ⑤ 02 6 03 풀이 참조 04 40
05 ⑤ 06 ③ 07 51 08 ④ 09 ④
10 ③ 11 ① 12 3 13 ㄱ, ㄴ 06 ‘모든 자연수는 2 또는 3 중 적어도 하나의 배수이다.’의
부정은 ‘어떤 자연수는 2의 배수도 아니고 3의 배수도 아니다.’
14 풀이 참조 15 ⑤ 16 ㄱ, ㄷ 17 ②
이다.
18 9 19 ③ 20 ②
③

정답과 풀이 7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7 2017-11-01 오전 10:49:26


정답과 풀이

07 명제 ‘n이 3의 배수이면 n은 4의 배수이다.’가 거짓임을 Û -a+5¾3이므로 aÉ2 P P


Q
보이기 위해서는 3의 배수 중에서 4의 배수가 아니어야 하므로
-1 3 -a+5 a+5 x
n=3 또는 n=6 또는 n=9 또는 n=15 또는 n=18이다.
Ú, Û에 의하여 0<aÉ2이므로 모든 자연수 a의 값의 합은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1+2=3
3+6+9+15+18=51
3
 51

13 ㄱ. ~p`2Ú q가 참이므로 대우인 ~q`2Ú p도 참이다.


08 ㄱ. a<0, b<0이면 ab>0이다. (참) ㄴ. ~p`2Ú 
‌ q, q`2Ú r가 모두 참이므로 삼단논법에 의하여
ㄴ. [반례] a=-1, b=-2, c=-3이면
~p`2Ú r도 참이다. 즉, 대우인 ~r`2Ú p도 참이다.
a>b>c이지만 ac<bc이다. (거짓)
ㄷ. q`2Ú 
‌ r가 참이라고 해서 r`2Ú q가 반드시 참인 것은 아니다.
ㄷ. a,
‌ b, c가 실수이므로 aÛ`+bÛ`+cÛ`=0이면 a=b=c=0이
따라서 반드시 참인 것은 ㄱ, ㄴ이다.
다. (참)
 ㄱ, ㄴ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④
14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두 실수 x, y에 대하여 x<1이고
y<1이면 x+y<2이다.’이다.
09 ㄱ. R,Q이므로 r`2Ú q는 참이다. x<1이고 y<1에서 x-1<0, y-1<0이므로
ㄴ. P;R=∅이므로 RCøP이다.
(x-1)+(y-1)<0
즉, 명제 ~r`2Ú p는 거짓이다.
즉, x+y<2이다.
ㄷ. R,Q이면 QC,RC이므로 명제 ~q`2Ú ~r는 참이다.
따라서 대우가 참이므로 원래 명제도 참이다.
따라서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 풀이 참조
④

15 ① 명제 p`2Ú q ‘xy>0이면 x>0, y>0’은 거짓이다.


10 명제 ~p`2Ú q가 참이므로 PC,Q이다. [반례] x=y=-1
즉, PC-Q=PC;QC=(P'Q)C=∅이므로 또한 명제 q`2Ú p ‘x>0, y>0이면 xy>0’은 참이다.
P'Q=U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③ ② 명제
‌ p`2Ú q ‘xy=0이면 x=0, y=0’은 거짓이다.
[반례] x=2, y=0
11 명제 p`2Ú ~q의 역은 ~q`2Ú p, 또한 명제 q`2Ú p ‘x=0, y=0이면 xy=0’은 참이다.
대우는 ~(~q)`2Ú ~p, 즉 q`2Ú ~p이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① ③ 명제
‌ p`2Ú q ‘|x|+|y|=0이면 x=0, y=0’은 참이다.
또한 명제 q`2Ú p ‘x=0, y=0이면 |x|+|y|=0’은 참이
12 p`:`|x-5|>a에서 다.
p`:`x<-a+5 또는 x>a+5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q`:`|x-1|<2에서 -1<x<3 ④ 명제
‌ p`2Ú q ‘|xy|=xy이면 x>0, y>0’은 거짓이다.
따라서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명제 [반례] x=y=0
p`2Ú q의 역은 q`2Ú p이므로 역이 참이 되기 위해서는 Q,P 명제 q`2Ú p ‘x>0, y>0이면 |xy|=xy’는 참이다.
이어야 한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Ú a+5É-1이므로
‌ aÉ-6 P P ⑤ 명제 p`2Ú q ‘x=y이면 xÛ`=yÛ``’은 참이다.
Q
그런데 a>0이므로 조건을 명제 q`2Ú p ‘xÛ`=yÛ`이면 x=y’는 거짓이다.
-a+5 a+5 -1 3 x
만족시키지 못한다. [반례] x=1, y=-1

8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8 2017-11-01 오전 10:49:26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다. ㉠에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⑤ 3x+2y
¾'Ä3x_2y, 4¾'¶6xy
2

16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p jjK ~q  yy ㉠ 6xyÉ16, 3xyÉ8
q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단, 등호는 3x=2y, 즉 x=;3$;, y=2일 때 성립한다.}
r jjK q yy ㉡
따라서 큰 직사각형 모양의 땅의 둘레의 길이는
ㄱ. 명제 p`2Ú ~q의 대우는 q`2Ú ~p이므로
q JjjK ~p (참) 6x+2y=6_;3$;+2_2=12(m)
ㄴ. 명제 r`2Ú q의 대우는 ~q`2Ú ~r이므로 ②
~q JjjK ~r (거짓)
ㄷ. p JjjK ~q, ~q JjjK ~r이므로 p JjjK ~r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ㄱ, ㄷ 서술형 연습장 본문 28쪽

17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Q,P yy ㉠ 01 256 02 a-b=-2


r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Q,R yy ㉡ 03 a=b=c, 최솟값: 6
따라서 ㉠, ㉡에 의하여
Q,(P'R) 01 P={1, 2, 5, 10}, Q={2, 4, 6, 8, 10}이므로
② P;Q={2, 10} yy ➊
따라서 P 'Q =(P;Q) ={1, 3, 4, 5, 6, 7, 8, 9}이므로
C C C

n(PC'QC)=8 yy ➋
18 {a+;b!;}{b+;a$;}=ab+4+1+;a¢b;
즉, 집합 P 'Q 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C C

=5+ab+;a¢b; 2¡`=256 yy ➌
 256
¾5+2®Éab_;a¢b;
단계 채점 기준 비율
=5+2_2=9 ➊ P;Q를 구한 경우 30`%
{단, 등호는 ab=;a¢b; , 즉 ab=2일 때 성립한다.} ➋ n(P‚` 'Q‚` )의 값을 구한 경우 50`%
➌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한 경우 20`%
9

19 x+y=16이므로
x+y
2
¾'¶xy에서 8¾'¶xy 02 ‘a<x<a+2이면 b-2<x<b이다.’의 역과 대우가 모
두 참이라는 것은 조건 a<x<a+2가 조건 b-2<x<b이기
따라서 xyÉ64이고 등호가 성립할 조건은 x=y, 즉 x=y=8
위한 필요충분조건임을 뜻한다.  yy ➊
일 때이다.
{x|a<x<a+2}={x|b-2<x<b}이므로
즉, a=64, b=c=8이므로 a+b+c=80
a=b-2
③
따라서 a-b=-2 yy ➋
 a-b=-2
20 작은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x`m, 세로의 길이를 y`m
라 하면 단계 채점 기준 비율
6x+4y=16, 3x+2y=8 yy ㉠ ➊ 필요충분조건임을 구한 경우 50`%
또, 큰 직사각형의 넓이는 3xy`mÛ`이다. ➋ a-b=-2를 구한 경우 50`%

정답과 풀이 9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9 2017-11-01 오전 10:49:26


정답과 풀이

Ú a=b=0인 경우
03 b+c
a
+
c+a
b
+
a+b
c 순서쌍 (a, b)는 (0, 0)의 1개이다.
={;aB;+;bA;}+{;bC;+;cB;}+{;aC;+;cA;} yy ➊ Û a+0인 경우
a>0이고 방정식 axÛ`+bx+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¾2®É;aB;_;bA;+2®É;bC;_;cB;+2®É;aC;_;cA; D<0이어야 하므로

=2+2+2=6 yy ➋ D=bÛ`-12a<0
순서쌍 (a, b)는
이때 등호는 ;aB;=;bA;, ;bC;=;cB;, ;aC;=;cA; 에서 aÛ`=bÛ`=cÛ`이므로
(1, 0), (1, 1), (1, 2), (1, 3)
a=b=c일 때 성립한다. yy ➌ (2, 0), (2, 1), (2, 2), (2, 3), (2, 4)
 a=b=c, 최솟값: 6 (3, 0), (3, 1), (3, 2), (3, 3), (3, 4), (3, 5)
단계 채점 기준 비율 (4, 0), (4, 1), (4, 2), (4, 3), (4, 4), (4, 5)
➊ 식을 전개한 경우 20`% (5, 0), (5, 1), (5, 2), (5, 3), (5, 4), (5, 5)
➋ 최솟값을 구한 경우 40`% 이므로 4+5+6+6+6=27
➌ 최솟값을 가질 조건을 구한 경우 40`% Ú, Û에 의하여 순서쌍 (a, b)의 개수는
1+27=28
 28
+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29쪽
03 A가 거짓말을 했으므로 A는 P 또는 Q 중에 한 편을 관
람했다.
01 2 02 28 03 ④
B는 진실을 말한 것이므로 P를 관람했다.
P, Q를 관람한 사람이 각각 1명이므로 P, Q를 관람한 사람과
01 ~p`:`x는 2의 배수가 아니다. 어느 것도 관람하지 못한 사람을 차례대로 나열하면 B, A, C
이므로 2의 배수가 아닌 수는 제곱해도 2의 배수가 아니므로
이다.
~p`2Ú q는 거짓이다.
④
따라서 f(~p, q)=0이다.
~q`2Ú ~r의 대우는 r`2Ú q이다.
이때 'x가 2의 배수이므로 'x=2k (k는 정수)로 놓으면
x=4kÛ` yy ㉠
xÛ`=16kÝ`=2(8kÝ`)이므로 xÛ`도 2의 배수이다. 대단원 종합 문제 본문 30~33쪽
즉, 명제 r`2Ú q가 참이므로 ~q`2Ú ~r도 참이다.
따라서 f(~q, ~r)=1이다. 01 ⑤ 02 ⑤ 03 29 04 ③ 05 ④
또, ㉠에서 x=4kÛ`=2(2kÛ`)이므로 x는 2의 배수이다. 06 ① 07 ④ 08 16 09 ② 10 ②
즉, 명제 r`2Ú ~p는 거짓이므로  f(r, ~p)=0이다. 11 16 12 35 13 15 14 7 15 ③
따라서 16 ④ 17 ① 18 24 19 ④ 20 ④
 f(~p, q)+2_f(~q, ~r)+3_f(r, ~p) 21 ④ 22 ② 23 84 24 341
=0+2_1+3_0=2
2 01 A={x|x는 8의 양의 약수}
={1, 2, 4, 8}
02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axÛ`+bx+3É0이다.’의 부정은 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axÛ`+bx+3>0이다.’이고 이 명제가 1+2+4+8=15
참이므로 ⑤

10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0 2017-11-01 오전 10:49:26


02 ① 0²A 08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② 3<B x+4y¾2'¶x_4y=4'¶xy=4'¶16=16
③ {3},A (단, 등호는 x=4y일 때 성립한다.)
④ -2<A이지만 -2²B이므로 AøB이다. 따라서 x+4y의 최솟값은 16이다.
⑤ -1<B, 3<B이므로 {-1, 3},B이다.  16
⑤

09 A=B이므로 삼차방정식 xÜ`+axÛ`+bx+c=0의 세 실


03 A'B={1, 2, 3, 4, 5, 6}'{4, 5, 6, 7, 8} 근이 -2, -1, 1이다. 즉,
={1, 2, 3, 4, 5, 6, 7, 8}
xÜ`+axÛ`+bx+c=(x+2)(x+1)(x-1)
이므로
=(x+2)(xÛ`-1)
(A'B);C
=xÜ`+2xÛ`-x-2
={1, 2, 3, 4, 5, 6, 7, 8};{1, 3, 4, 6, 7, 8, 9} 따라서 a=2, b=-1, c=-2이므로
={1, 3, 4, 6, 7, 8}
abc=2_(-1)_(-2)=4
따라서 모든 원소의 합은
②
1+3+4+6+7+8=29
 29
10 2<A, 4<A, 2<B, 4<B이고 집합 A-B의 모든 원
소의 합이 10이므로
04 A;B =A-B
C

1+3+a+2b=10
={1, 3, 5, 7}-{2, 3, 4, 5, 6}
a+2b=6 yy ㉠
={1, 7}
또, 집합 B-A의 모든 원소의 합이 9이므로
따라서 n(A;BC)=2
2a+b=9 yy ㉡
③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1이므로
aÛ`+bÛ`=4Û`+1Û`=17
05 조건 p`:`-2<xÉ5의 진리집합을 P라 하면 ②
P={x|-2<xÉ5, x는 정수}
={-1, 0, 1, 2, 3, 4, 5}
따라서 진리집합의 모든 원소의 합은 11 A¢={x|x는 4의 배수}={4, 8, 12, 16, 20, y}
-1+0+1+2+3+4+5=14 A¤={x|x는 6의 배수}={6, 12, 18, 24, y}
④ 이므로 집합 A¢;A¤은 12의 배수의 집합이다.
즉, A¢;A¤={12, 24, 36, 48, y},
A¥={x|x는 8의 배수}={8, 16, 24, 32, y}이므로
06 명제 ‘p`2Ú ~q’가 거짓임을 보이는 반례는 집합 P의 원 (A¢;A¤)'A¥={12, 24, 36, 48, y}'{8, 16, 24, 32, y}
C
소이면서 집합 Q 의 원소는 아니어야 하므로 집합 P;Q에 속
={8, 12, 16, 24, 32, 36, y}
한다.
따라서 세 번째로 작은 원소는 16이다.
①
 16

07 명제 ‘xÛ`=a이면 x=2이다.’의 역은 ‘x=2이면 xÛ`=a이


다.’이므로 역이 참이 되기 위해서는 12 A시리즈를 운전해 본 사람의 집합을 A, B시리즈를 운전
a=2Û`=4 해 본 사람의 집합을 B라 하자.
④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n(A)=40, n(B)=65, n(A'B)É100

정답과 풀이 11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1 2017-11-01 오전 10:49:26


정답과 풀이

이므로 따라서 최솟값은 ;2(;이다.


n(A'B)=n(A)+n(B)-n(A;B)
④
=40+65-n(A;B)É100
n(A;B)¾5
17 A,C,B를 만족시키는 세 집합 U
B
따라서 A, B, C의 포함 관계를 벤다이어그램으
C
A
n(A-B)=n(A)-n(A;B) 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40-n(A;B) 즉, n(B-C)=n(C-A)=3을 만족
É40-5=35 시키는 집합 C의 원소의 개수가 최소일 때와 최대일 때는
 35 n(A)가 각각 최소일 때와 최대일 때이므로
1Én(A)É4에서
13 A ;B;C =B;(A ;C ) 
C C C C
U
A m=1+3=4
=B;(A'C)C
M=4+3=7
=B-(A'C)
따라서 M+m=7+4=11
이므로 B C
①
n(AC;B;CC)
=n(B-(A'C))
=n(A'B'C)-{n(A;B)+n(C-A)+n(A-B)}
18 zÁ+zÁÕ=(2+i)+(2-i)=4,
zÁzÁ=(2+i)(2-i)=2Û
Õ `-i Û`=5,
=30-(4+8+3)=15
zÁ 2+i (2+i)Û`
 15 = = =;5#;+;5$;i
zÁÕ 2-i (2-i)(2+i)
이므로
14 명제 ‘xÛ`>9이면 x+a이다.’의 대우는
‘x=a이면 xÛ`É9이다.’ yy ㉠ A=[4, 5, ;5#;+;5$; i]
이고 ㉠이 참이 되려면 aÛ`É9이다. zª-zªÕ=(1+2i)-(1-2i)=4i,
즉, -3ÉaÉ3이므로 정수 a의 개수는 -3, -2, …, 2, 3으 zªzª=(1+2i)(1-2i)=1Û `-4i Û`=5,
Õ
로 7이다. zª 1+2i (1+2i)Û`
= = =-;5#;+;5$; i
7 zªÕ 1-2i (1-2i)(1+2i)
이므로
15 ㄱ. R,Q이므로 r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참)
B=[4i, 5, -;5#;+;5$; i]
ㄴ. P,QC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거짓)
ㄷ. R,PC이므로 r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참) 따라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A'B=[4, 5, ;5#;+;5$; i]'[4i, 5, -;5#;+;5$; i]


③
=[4, 5, 4i, ;5#;+;5$; i, -;5#;+;5$; i]

16 (1+x){;2!;+;[@;}=;2!;+;[@;+;2{;+2 이고 이 중에서 실수인 것은 4, 5의 2개이므로 구하는 부분집합


의 개수는
=;2%;+;[@;+;2{; 2Þ`-2Ü`=32-8=24
 24
¾;2%;+2®É;[@;_;2{;

=;2%;+2=;2(; 19 A={1, 2, 3}
B={x|x=a+b, a<A, b<A, a+b}
{단, 등호는 ;[@;=;2{;, 즉 x=2일 때 성립한다.} ={3, 4, 5}

12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2 2017-11-01 오전 10:49:27


이므로 등식 A;X=B;X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집합 X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댓값은 집합 A가
는 1, 2, 4, 5를 원소로 가지면 안되고 3, 6, 7, 8 중 적어도 하 A={2, 6, 7, 8, 9, 10}
나는 원소로 가져야 한다. 일 때이고 그때의 최댓값은
따라서 모든 원소의 합이 가장 큰 집합 X는 2+6+7+8+9+10=42
X={3, 6, 7, 8} ④
이므로 모든 원소의 합은
3+6+7+8=24
22 명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p 또는 ~q이다.’의 부정
④ 은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p이고 q이다.’이고 이 부정이 참이 되
어야 하므로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20 n(A)=33, n(B)=36, n(C)=37에서 P;Q+∅이어야 한다.
n(A)<n(B)<n(C)이고 n(B;C)와 n(A;B;C)가 xÛ`-2kx+kÛ`-1<0, xÛ`-2kx+(k-1)(k+1)<0
최댓값을 가질 조건은 A,B,C일 때이다. (x-k+1)(x-k-1)<0
즉, A-B=∅, B-C=∅이므로 에서 k-1<x<k+1
n(A-B)+n(B-C)+n(C-A)
|x-;2K;|<5에서 ;2K;-5<x<;2K;+5
=0+0+n(C)-n(A;C)
=37-33 이고 k가 자연수이므로
=4 k-1>;2K;-5
④ P
즉, P;Q+ ∅이기 위해서는 Q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k k-1 k k+1 x
21 a=1<A이면 ;2!;²A, a=2<A이면 1²A k-1<;2K;+5 2
-5
2
+5

a=3<A이면 ;2#;²a, a=4<A이면 2²A 2k-2<k+10


k<12
a=5<A이면 ;2%;²A, a=6<A이면 3²A
따라서 k<12이므로 자연수 k의 개수는 1, 2, y, 10, 11의 11
a=7<A이면 ;2&;²A, a=8<A이면 4²A 이다.
②
a=9<A이면 ;2(;²A, a=10<A이면 5²A

또한 명제 ‘a<A이면 ;2A;²A’의 대우 23 두 집합 A,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면


‘;2A;<A이면 a²A’도 참이므로 A=[;2!;, ;2@;, ;2#;, ;2$;, …, :°2¼:]

a=2일 때 1<A이면 2²A B=[;3!;, ;3@;, ;3#;, ;3$;, …, :°3¼:] yy ➊


a=4일 때 2<A이면 4²A
따라서 A;B={1, 2, 3, … 16}이므로 yy ➋
a=6일 때 3<A이면 6²A
n(A'B)=n(A)+n(B)-n(A;B)
a=8일 때 4<A이면 8²A
=50+50-16=84 yy ➌
a=10일 때 5<A이면 10²A
 84
a=12일 때 6<A이면 12²A
a=14일 때 7<A이면 14²A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16일 때 8<A이면 16²A ➊ A, B를 구한 경우 40`%
a=18일 때 9<A이면 18²A ➋ A;B를 구한 경우 30`%
a=20일 때 10<A이면 20²A ➌ n(A'B)의 값을 구한 경우 30`%

정답과 풀이 13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3 2017-11-01 오전 10:49:27


정답과 풀이

Ⅴ. 함수와 그래프
24 {a+;b@;}{b+;a*;}=ab+8+2+;a!b^;
=10+ab+;a!b^;
12 함수

¾10+2®Éab_;a!b^;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37~40쪽

=10+2_4 1. ;2%; 2. -1 3. 풀이 참조 4. 5
=18 yy ➊
5. :Á4Á: 6. 27 7. -2 8. 12
{단, 등호는 ab=;a!b^;, (ab)Û`=16, 즉 ab=4일 때 성립한다.}

 yy ➋
1. '2는 무리수이고 ;2#;은 유리수이므로
그런데 a+b=5이므로
a=4, b=1 (a>b) yy ➌  f('2)+f {;2#;}=('2)Û`+{;2#;-1}=2+;2!;=;2%;
따라서
mÛ`+nÛ`+lÛ`=16+1+324=341  yy ➍  ;2%;

 34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2.  f(1)=1-1=0이므로
g(1)=1+b=0, b=-1
➊ 최솟값을 구한 경우 50`%
또한  f(a)=a-1, g(a)=aÛ`-1이므로
➋ 최소일 조건을 구한 경우 30`%
➌ a, b의 값을 구한 경우 10`% a-1=aÛ`-1, a(a-1)=0

➍ mÛ`+nÛ`+lÛ`의 값을 구한 경우 10`% a=0 또는 a=1


그런데 a+1이므로 a=0
따라서 a+b=0+(-1)=-1
 -1

3.  f(x)=|2x-4|=0에서 x=2이 y
y=f(x)
므로 4

 f(x)=|2x-4|
-2x+4 (0Éx<2)

2x-4 (2ÉxÉ4) O 2 4 x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
과 같다.
 풀이 참조

4. 함수  f는 항등함수이므로  f(1)=1


또, 함수 g는 상수함수이고 g(2)=k라 하면
 f(1)+g(2)=1+k=3이므로 k=2
따라서  f(3)+g(3)=3+2=5
5

5. (g½f)(x)=g( f(x))=g(2x+1)
=(2x+1)Û`-(2x+1)+3=4xÛ`+2x+3

14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4 2017-11-01 오전 10:49:27


=4{x+;4!;}2`+:Á4Á: 01 ①  f(-1)=0,  f(0)=1,  f(1)=2
에서 0²Y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함수 (g½f)(x)의 최솟값은 x=-;4!;일 때 :Á4:Á 이다. ②  f(-1)=1,  f(0)=0,  f(1)=1
에서 0²Y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 :Á4Á:
③  f(-1)=1,  f(0)=0,  f(1)=1
에서 0²Y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6. ( f½(g½h))(2)=(( f½g)½h)(2)
④  f(-1)=-1,  f(0)=0,  f(1)=1
=( f½g)(h(2))
에서 -1²Y, 0²Y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 f½g)(4)
⑤  f(-1)=2,  f(0)=2,  f(1)=4이므로 함수이다.
=4Û`+3_4-1=27
⑤
 27

02 2를 3으로 나눈 나머지는 2, 3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0,


7.  f(x)=2x+a에서 y=2x+a라 하면 4를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5를 3으로 나눈 나머지는 2이므로
y-a
2x=y-a, x=
2  f(2)+f(3)+f(4)+f(5)=2+0+1+2=5
x-a ⑤
x, y를 서로 바꾸면 y= =;2!;x-;2A;이므로
2

 f -1(x)=;2!;x-;2A; 03 y=xÛ`-2x+a=(x-1)Û`+a-1
이고 정의역이 {x|0ÉxÉ3}이므로 치역은
즉, b=;2!;, -;2A;=2에서 a=-4이므로 {y|a-1ÉyÉa+3}이다.
ab=-2 즉, a-1=-1, b=a+3이므로 a=0, b=3
 -2 따라서 a+b=3
3

8. 함수  f(x)=;2!;x+3의 그래 y y=x

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래
1
y=-x+3
04  f(xy)=f(x)+f(y)+1에서
2
3 x=y=1을 대입하면
프는 직선 y=x와 한 점에서 만나 O x  f(1)=f(1)+f(1)+1,  f(1)=-1
므로 y=f`ÑÚ`(x)
x=y=-1을 대입하면
;2!;x+3=x, ;2!;x=3, x=6  f(1)=f(-1)+f(-1)+1,  f(-1)=-1

즉, 점 (6, 6)에서 만나므로 따라서  f(-1)+f(1)=-1+(-1)=-2

a+b=6+6=12  -2

 12
05 ㄱ.  f(-2)=-2, g(-2)=2에서  f(-2)+g(-2)이
므로  f+g이다.
유형 확인 본문 41~43쪽
ㄴ.  f(-2)=|-2|=2, g(-2)=
(-2)Û`
=2
2
01 ⑤ 02 ⑤ 03 3 04 -2 05 ②  f(0)=0, g(0)=0
06 7 07 ㄱ, ㄷ 08 ④ 09 29 10 4  f(2)=2, g(2)=
2Û`
=2
2
11 ④ 12 3 13 20 14 ① 15 ④
따라서  f=g이다.
16 ② 17 -1 18 12 19 풀이 참조
ㄷ.  f(-2)=-|-2|+2=0,
20 ④ 21 ⑤ 22 ①
 g(-2)=-(-2)Û`+2=-2

정답과 풀이 15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5 2017-11-01 오전 10:49:27


정답과 풀이

 에서  f(-2)+g(-2)이므로  f+g이다. 따라서 a+b+c=24+1+4=29


따라서  f=g인 것은 ㄴ이다.  29
②
10  f(-1)=2, ( f½f)(2)=f( f(2))= f(-1)=2이므로
06 f(x)=g(x)이어야 하므로 xÜ`=x, x(x-1)(x+1)=0  f(-1)+( f½f)(2)=2+2=4

x=-1 또는 x=0 또는 x=1 4

즉, 집합 X의 원소는 -1 또는 0 또는 1로 이루어진 집합이므


로 집합 X의 개수는 2Ü`-1=7 11 ( f½f)(x)=f( f(x))=f(x+a)=(x+a)+a
=x+2a=x+8
7
즉, a=4이므로  f(x)=x+4이다.
따라서  f(10)=10+4=14
07 ㄱ. 직선 x=a(a는 실수)와 함수의 그래프는 단 한 점에 ④
서 만나므로 함수의 그래프이다.
ㄴ. 오른쪽
‌ 그림과 같이 직선 x=a와 함수 y

의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나는 경우가


12 ( f½h)(x)=f(h(x))
=2h(x)-5=2xÛ`-2x-3
x
있으므로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다. O
에서 h(x)=xÛ`-x+1
ㄷ. ‌직선 x=a(a는 실수)와 함수의 그래프 x=a 따라서 h(2)=2Û`-2+1=3
는 단 한 점에서 만나므로 함수의 그래
3
프이다.
ㄹ.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x=a와 함수
13  f(1)=4이고 함수  f의 치역의 원소의 합이 15이므로
y

의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나는 경우가 있  f(2)=5,  f(3)=6 또는  f(2)=6,  f(3)=5


으므로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다. O x
또한 함수 g의 치역의 원소의 합이 14이므로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인 것은 ㄱ, ㄷ이다.  g(4)=g(5)=g(6)=14
x=a
 ㄱ, ㄷ 따라서  f(2)+(g½f)(3)의 값이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f(2)=6,  f(3)=5일 때이다.
08 ㄱ. 서로 다른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f(2)+(g½f)(3)=f(2)+g( f(3))
 f(xÁ)-f(xª)=(xÁ-2)-(xª-2)=xÁ-xª+0 É6+14=20
즉,  f(xÁ)+f(xª)이므로 일대일대응이다.  20
ㄴ. g(-1)=g(1)=1이므로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ㄷ. h(x)=x|x|=à
-xÛ` (x<0)

14 ( f½(g½h))(x)=(( f½g)½h)(x)=( f½g)(h(x))
y y=h(x)
`xÛ` (x¾0) =h(x)+1=2x+4
이므로 함수 y=h(x)의 그래프는 오 y=a 따라서 h(x)=2x+3이므로 h(4)=2_4+3=11
른쪽 그림과 같다. O x ①
즉, 직선 y=a(a는 실수)와 함수
y=h(x)의 그래프는 한 점에서만 만나므로 함수 h(x)는 15  f  {;2!;}=f {;2!;}=-;2!;
1

일대일대응이다.
 f Û`{;2!;}=f {f {;2!;}}=f {-;2!;}=;2!;
따라서 일대일대응인 것은 ㄱ, ㄷ이다.
④  f Ü`{;2!;}=f Û`{f {;2!;}}=f Û`{-;2!;}=f {f {-;2!;}}

=f {;2!;}=-;2!;
09 n(X)=4이므로
a=4_3_2_1=24, b=1, c=4 

16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6 2017-11-01 오전 10:49:28


따라서 자연수 k에 대하여  f 2k{;2!;}=;2!;,  f 2k-1{;2!;}=-;2!;이 ㉠에서 aÛ`=1이므로 a=-1 또는 a=1
a=-1을 ㉡에 대입하면 b는 임의의 상수이다.
므로  f  {;2!;}=;2!;
10
a=1을 ㉡에 대입하면 b=0이다.
 풀이 참조
④

16 함수  f(x)=ax+3의 그래프가 점 (-1, 2)를 지나므로 20 (g½f)-1


(2)=a라 하면 (g½f)(a)=2이므로
 f(-1)=-a+3=2 g( f(a))=g(a+1)=2
즉, a=1이다. x (x<0)
그런데 g(x)=à 이므로
-1
또, 역함수 y=f  (x)의 그래프가 점 (b, 3)을 지나므로 xÛ` (x¾0)
 f -1(b)=3에서  f(3)=b이다. 즉, a+1¾0이고 (a+1)Û`=2
b=f(3)=3a+3=3_1+3=6 따라서 a+1='2이므로 a='2-1
따라서 a+b=1+6=7 즉, (g½f)-1(2)='2-1이다.
② ( f -1½g -1)(-2)=(g½f)-1(-2)=b라 하면
(g½f)(b)=g( f(b))=g(b+1)=-2
17  f(x+2)=2x+a에서 x+2=t라 하면 그런데 g(x)=à
x (x<0)
이므로
 f(t)=2(t-2)+a=2t+a-4 xÛ` (x¾0)
이므로  f(x)=2x+a-4 b+1<0이고 g(b+1)=b+1=-2
이때 y=2x+a-4라 하면 따라서 b=-3이므로

2x=y-a+4, x=;2!;y-;2!;a+2 ( f -1½g -1)(-2)=-3


그러므로
x, y를 서로 바꾸면 y=;2!;x-;2!;a+2 (g½f)-1(2)+( f -1½g -1)(-2)=('2-1)+(-3)
='2-4
즉,  f -1(x)=;2!;x-;2!;a+2이므로 b=;2!;, -;2!;a+2=3
④
따라서 a=-2, b=;2!;이므로 ab=-2_;2!;=-1

 -1 21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y
y=x
-1
역함수 y=f  (x)의 그래프는 직 y=f`ÑÚ`(x)
2

18  f  -1
(3)=a라 하면  f(a)=3이므로 a=2 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오른 -3 -2
1
1
-1
g  (5)=b라 하면 g(b)=5이므로 b=5 쪽 그림과 같다. -1 O 2 x
-1
y=f(x)
( f½g)(2)=f(g(2))=f(4)=5 따라서 -2ÉxÉ2에서 -2
따라서 0Éf -1(x)É2이므로 최댓값과 최 -3
-1 -1
 f  (3)+g  (5)+( f½g)(2)=2+5+5 솟값의 합은
=12 2+0=2
 12 ⑤

19  f(x)=ax+b에서 y=ax+b이므로 x=;a!;y-;aB; 22 함수 y=xÛ`-2x+2 (x¾1) y y=xÛ`-2x+2 y=x

의 그래프와 역함수의 그래프는 직 Q y=f`ÑÚ`(x)


x, y를 서로 바꾸면 y=;a!;x-;aB;이므로  f -1(x)=;a!;x-;aB;
2
선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교점 P
1
즉, ax+b=;a!;x-;aB;이므로 은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교점
의 x좌표는 O 1 2 x
a=;a!; yy ㉠, b=-;aB; yy ㉡
xÛ`-2x+2=x, xÛ`-3x+2=0

정답과 풀이 17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7 2017-11-01 오전 10:49:28


정답과 풀이

(x-1)(x-2)=0
 h(x)=-;2!;x+5
따라서 x=1 또는 x=2이므로 P(1, 1), Q(2, 2)라 하면
PQÓ="Ã(2-1)Û`+(2-1)Û`='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① ➊ h=g½f ÑÚ`를 구한 경우 20`%
➋  f ÑÚ`(x)를 구한 경우 50`%
➌ h(x)를 구한 경우 30`%

다른풀이
서술형 연습장 본문 44쪽
(h½f )(x)=h( f(x))=g(x)
h(2x+4)=-x+3
01 -:Á2¦: 02 h(x)=-;2!;x+5 03 8 t-4
2x+4=t라 하면 x= 이므로
2
t-4
01 g(2x-1)=2f {x+;2!;}-1에서 2x-1=t라 하면 h(t)=- +3=-;2!;t+5
2

x=
t+1
이므로 따라서 h(x)=-;2!;x+5
2

g(t)=2f {;2T;+1}-1 yy ➊
03  f(x)=xÛ`-4x+8=(x-2)Û`+4
=2[{;2T;+1}2`-3{;2T;+1}-2]-1
yy ➊
이므로 x¾2일 때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한다.  yy ➋
이때 함수  f(x)의 최솟값은 4이므로  f(x)¾4이다.  yy ➌
tÛ`
=2{ +t+1-;2#;t-5}-1 따라서 a=2, b=4일 때, ab의 최솟값은
4
2_4=8  yy ➍
=;2!;tÛ`-t-9=;2!;(t-1)Û`-:Á2»: yy ➋
8
따라서 함수 g(x)의 최솟값은 t=1, 즉 x=1일 때 -:Á2:» 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b=1+{-:Á2»:}=-:Á2¦: yy ➌ ➊  f(x)=(x-2)Û`+4를 구한 경우 20`%


➋ 역함수가 존재할 때 x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40`%
 -:Á2¦: ➌ 역함수가 존재할 때  f(x)의 최솟값을 구한 경우 20`%
➍ ab의 최솟값을 구한 경우 2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g(t)를 구한 경우 20`%

➋  g(t)=;2!;(t-1)Û`-:Á2»:를 구한 경우 30`%

➌ a+b의 값을 구한 경우 50`% +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45쪽

02 h½f=g에서 h=g½f  -1
이다. yy ➊ 01 7 02 ② 03 ⑤
 f(x)=2x+4에서 y=2x+4라 하면 x=;2!;y-2
01  f(x)=4x-3+|ax+a|=4x-3+|a||x+1|
x, y를 서로 바꾸면 y=;2!;x-2 Ú xÉ-1일 때
 f(x)=4x-3+|a||x+1|=4x-3-|a|(x+1)
즉,  f -1(x)=;2!;x-2이므로 yy ➋
=(4-|a|)x-|a|-3
h(x)=(g½f  )(x)=g( f  (x))=g {;2!;x-2}
-1 -1 Û x>-1일 때
 f(x)=4x-3+|a||x+1|=4x-3+|a|(x+1)
=-{;2!;x-2}+3=-;2!;x+5 yy ➌ =(4+|a|)x+|a|-3

18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8 2017-11-01 오전 10:49:28


Ú, Û에 의하여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기 Ⅴ. 함수와 그래프
울기의 부호가 서로 같아야 하므로 (4-|a|)(4+|a|)>0
이때 4+|a|>0이므로
13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4-|a|>0, |a|<4
즉, -4<a<4이므로 정수 a의 개수는 -3, -2, -1, 0, 1,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50~53쪽

2, 3의 7이다. 1
1. (x+1)(x+2)
2. 3'5 3. 80 4. 3
7
5. 'Äx+2 6. ;3*; 7. -18 8. 7
( x+1 (0Éx<1)
\ `2 (1Éx<2) x+2 x+1 xÛ`+3x+2
02 g(x)= { 이므로 1. x+1
_
xÛ`-x-6
Ö
x-3
\ 2x-2 (2Éx<3) (x+1)(x+2)
x+2 x+1
9 `4 (x¾3) =
x+1
_ Ö
x-3
(x-3)(x+2)
(g½g){;2%;}=g {g {;2%;}}=g(3)=4 =
x+2
_
x+1
_
x-3
x+1 (x-3)(x+2) (x+1)(x+2)
( f½f)-1(1)=a라 하면 ( f½f)(a)=1이므로  f( f(a))=1 1
=
 f(2)=1에서  f(a)=2이므로 a=3 (x+1)(x+2)
따라서 1

(x+1)(x+2)
(g½g){;2%;}+( f½f)-1(1)=4+3=7

②
2. 유리함수 y=;[A;의 그래프가 점 A(2, 2)를 지나므로

03 박테리아의 수가 1190마리일 때의 온도는 2=;2A;, a=4


10xÛ`-20x+200=1190
xÛ`-2x-99=0, (x-11)(x+9)=0 또한 유리함수 y=;[$;의 그래프가 점 B(-1, b)를 지나므로
1ÉxÉ21에서 x=11이므로 x=11일 때의 시간은 4
b= =-4
-1
2t+1=11, t=5
따라서
즉, 박테리아의 수가 1190마리였을 때는 실험이 시작된 후 5시
ABÓ="Ã(-Ã1-2Ã)Û`+Ã(-4Ã-2)Û`
간이 지났을 때이다.
='Ä9+36='4Œ5=3'5
⑤
 3'5

3. 유리함수 y=;[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시키면


k
y= -1
x-2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0, 0)을 지나므로
k
0= -1, k=-2
0-2
-2
또한 유리함수 y= -1의 그래프가 점 (a, -4)를 지나므로
x-2
-2 -2
-4= -1, -3= , -3a+6=-2
a-2 a-2

정답과 풀이 19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19 2017-11-01 오전 10:49:28


정답과 풀이

따라서 a=;3*;이므로 7. 무리함수 y='Ä-2x+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


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30a=30_;3*;=80
y='Ä-2(x+2)+1+3
 80 y='Ä-2x-3+3 yy ㉠
㉠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3x+2 -y='Ä-2x-3+3
4. y=
x-a
에서
y=-'Ä-2x-3-3
yx-ya=3x+2, (y-3)x=ya+2 따라서 a=-2, b=-3, c=-3이므로
ay+2 abc=-18
x=
y-3
 -18
ax+2
이때 x, y를 서로 바꾸면 y= 이므로 구하는 역함수는
x-3

 f -1(x)=
ax+2
x-3
이다. 8. y=f(x)로 놓으면 y='Ä2x-4-3 (y¾-3)에서
y+3='Ä2x-4
따라서  f(x)=f -1(x)이려면 a=3이다.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3
(y+3)Û`=2x-4
다른풀이
x=;2!;(y+3)Û`+2
함수 y=f(x)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a, y=3이므로 함수
y=f ÑÚ`(x)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3, y=a이다. x, y를 서로 바꾸면

이때  f(x)=f ÑÚ`(x)이므로 a=3이다. y=;2!;(x+3)Û`+2

즉,  f -1(x)=;2!;(x+3)Û`+2 (x¾-3)이므로
1 'Äx+2+'x 'Äx+2+'x
5. 'Äx+2-'x
=
('Äx+2)Û`-('x)Û`
=
2  f -1(-1)=;2!;(-1+3)Û`+2=4
1 'Äx+2-'x 'Äx+2-'x
= = 이고  f(20)='Ä2_20-4-3=6-3=3이므로
'Äx+2+'x ('Äx+2)Û`-('x)Û` 2
 f(20)+f -1(-1)=3+4=7
따라서
7
1 1 'Äx+2+'x 'Äx+2-'x
+ = +
'Äx+2-'x 'Äx+2+'x 2 2
='Äx+2
 'Äx+2

6. 무리함수  f(x)='¶ax의 그래프가 점 (-3, 2)를 지나므로


유형 확인
 f(-3)='Ä-3a=2 본문 54~57쪽

-3a=4, a=-;3$; 01 ⑤ 02 ① 03 ① 04 ④ 05 3
따라서 06 최댓값: ;4!;, 최솟값: -2 07 ④ 08 ④
 f(4a)='Äa_4a="4aÛ`
09 ④ 10 ① 11 ② 12 ① 13 ⑤
=|2a|=|2_{-;3$;}| 215x+1
14 -2+ x
15 ③ 16 ② 17 ④
=|-;3*;|=;3*;
18 15 19 ③ 20 ② 21 ⑤ 22 ②
 ;3*; 23 ① 24 22

20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0 2017-11-01 오전 10:49:29


xÛ`+3x+1 1 xÛ`+2x-3 가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이다. 
01 x
-
x+1
-
x-1
즉, ;[@;=x에서
1 1 (x+3)(x-1)
=x+3+ - -
x x+1 x-1 xÛ`=2, x=Ñ'2
1 1 x+1-x 1
= -
x x+1
= = 따라서 ABÓ의 값이 최소가 되는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x(x+1) x(x+1)
⑤ ('2, '2), (-'2, -'2)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Á°(12+12)Û`+(12+12)Û`='Ä8+8='1Œ6=4
a bx-1 ④
02 x-1 + xÛ`+x+1
=
a(xÛ`+x+1)+(bx-1)(x-1)
(x-1)(xÛ`+x+1)
05 점근선의 방정식이 x=-1, y=2이므로
p=-1, q=2`
(a+b)xÛ`+(a-b-1)x+(a+1)
= k
xÜ`-1 유리함수 y= +2의 그래프가 점 (1, 3)을 지나므로
x+1
x+2 k k
= 3= +2, 1= , k=2
xÜ`-1 1+1 2
항등식의 성질에 의해 a+b=0, a-b-1=1, a+1=2이므로 따라서
a=1, b=-1 p+q+k=-1+2+2=3
따라서 aÛ`+bÛ`=2 3
①
x-1 (x+2)-3 y
06 y= x+2 =  x-1`
03 유리함수 y=;[A;의 그래프가 점 {;2!;, 4}를 지나므로 x+2 y=----
x+2`
1
-3 -
a = +1 1 4
x+2 -1
4= , a=2 -2 O 2x
;2!; 이므로 유리함수 y= 
x-1
의 그래프 -2
x+2
1
즉, 유리함수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y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2x
3 1 x-1
y= 따라서 -1ÉxÉ2에서 유리함수 y= 은 x=2일 때 최댓
그림과 같이  ;3!;ÉxÉ4에서 x의 값이 증 1
2 2x
x+2
8 2-1 -1-1
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O 4 x 값 =;4!;, x=-1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1 2+2 -1+2
1 3
따라서 x=;3!;일 때 최댓값 =;2#;,  최댓값: ;4!;, 최솟값: -2
2_;3!;

1
x=4일 때 최솟값   =;8!;을 가지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2x-1 2(x-1)+1 y
2_4
07 y=
y=x+1
= 
x-1 x-1
합은 ;2#;+;8!;=;;Á8£;; 1 y=
2x-1
= +2 2 x-1
x-1
  ① 1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1 x
ㄱ.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y=2이
04 유리함수 y=;[@;의 역함수는 자기  y y=x 다. (거짓)
2 2x-1
자신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2 y=
x ㄴ. ‌유리함수 y= 의 그래프는 직선 y=x+1에 대하여
-'2 x-1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O '2 x
대칭이다. (참) 
두 점 A, B에 대하여 ABÓ의 최솟값은 -'2
2x-1
유리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x ㄷ. ‌유리함수 y=
x-1
의 그래프는 제 1, 2, 4사분면을 지나

정답과 풀이 21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1 2017-11-01 오전 10:49:29


정답과 풀이

고, 제 3사분면은 지나지 않는다. (참)  ①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4x+1
11 y=f -1
(x)라 하면 y=
x+2
에서 yx+2y=4x+1
-2y+1
08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1, y=2 (y-4)x=-2y+1, x=
y-4
이므로 주어진 함수를 -2x+1
x, y를 서로 바꾸면 y=
k x-4
y= +2 yy ㉠
x-1 -2x+1
 f -1(x)의 역함수  f(x)는  f(x)= 이므로 주어진 함
로 놓으면 ㉠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x-4
k 수  f(x)와 계수를 비교하면
3= +2, 3=-k+2, k=-1
0-1 a=-2, b=1, c=-4
k=-1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1 -1+2x-2 2x-3 a+b+c=-2+1+(-4)=-5
y= +2= =
x-1 x-1 x-1
②
따라서 a=2, b=-3, c=-1이므로
abc=6 ax+1
④
12 y= 3x+b  yy ㉠

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

09 g(x)=t라 하면 는 역함수의 그래프와 일치한다.


( f½g)(x)=f(g(x))=f(t) ax+1
㉠의 역함수를 구하면 y= 에서
3x+b
2t+1
= =x+1 3yx+by=ax+1, (3y-a)x=-by+1
t-2
2t+1=(x+1)(t-2)=xt-2x+t-2 -by+1
x=
3y-a
(x-1)t=2x+3 -bx+1
2x+3 x, y를 서로 바꾸면 y=
3x-a
따라서 g(x)=t= 이므로
x-1 -bx+1
4+3 즉, ㉠의 역함수는 y= 이므로 이것이 ㉠과 일치하려면
3x-a
g(2)= =7
2-1
a=-b
④
따라서 a와 b의 관계식은
다른풀이 ( f½g)(2)=f(g(2))=2+1=3 a+b=0
2t+1 ①
 g(2)=t라 하면  f(t)= =3
t-2
2t+1=3(t-2)=3t-6, t=7 ax+2
따라서  g(2)=7
13 유리함수 y= -x+b 의 역함수의 그래프가 두 직선
ax+2
x=-2, y=3과 만나지 않으므로 유리함수 y= 의그
-x+b
k
10 유리함수 y= x+1 +2의 그래 y 래프의 점근선은 두 직선 x=3, y=-2이다.
y=
k ax+2 -a(-x+b)+ab+2
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y=2 2 x+1
+2 y= =
-x+b -x+b
이고, 이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 ab+2
= -a
기 위해서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x=0 -1 O x -x+b
일 때의 함숫값이 음수이어야 한다. ax+2
이므로 유리함수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두 직선
-x+b
k
+2<0, k+2<0 x=b, y=-a이다.
0+1
따라서 k<-2 따라서 a=2, b=3이므로

22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2 2017-11-01 오전 10:49:29


a+b=5
17 ① -2x¾0에서 xÉ0이므로 정의역은 {x|xÉ0}이다.
⑤ ② -'Ä-2xÉ0이므로 -'Ä-2x+1É1
따라서 치역은 {y|yÉ1}이다.
③ y =-'Ä-2x+1의 그래프는 오른 y
14 각각 분모를 유리화하면 쪽 그림과 같다.
1

x+1 (x+1)(1-'Äx+1) O x
= 따라서 그래프는 제4사분면을 지나
1+'Äx+1 (1+'Äx+1)(1-'Äx+1)
y=-14-2x+1
(x+1)-(x+1)'Äx+1 지 않는다.
=-
x ④ y=-'Ä-2x+1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키면
x-1 (x-1)(1+'Äx+1) -y=-'Ä-2x+1, 즉 y='Ä-2x-1의 그래프와 일치한다.
=
1-'Äx+1 (1-'Äx+1)(1+'Äx+1) ⑤ y=-'Ä-2x+1에서 y-1=-15-2x, (y-1)Û`=-2x
(x-1)+(x-1)'Äx+1
=-
x x=-;2!;(y-1)Û`
따라서
x, y를 서로 바꾸면 y=-;2!;(x-1)Û`
x+1 x-1
+
1+'Äx+1 1-'Äx+1 따라서 구하는 역함수는 y=-;2!;(x-1)Û` (xÉ1)이다.
(x+1)-(x+1)'Äx+1 (x-1)+(x-1)'Äx+1
=- - ④
x x
2'Äx+1
=-2+
x
18 -3x+a¾0에서 3xÉa이므로 xÉ;3A;
2'Äx+1
 -2+ 주어진 무리함수의 정의역이 {x|xÉ2}이므로
x
;3A;=2, a=6

'x+1 'x-1 ('x+1)Û`+('x-1)Û` 따라서 주어진 무리함수는 y='Ä-3x+6+;2%;이고,


15 'x-1 + 'x+1 = ('x-1)('x+1)
x+2'x+1+x-2'x+1 '¶-3x+6¾0이므로 치역은 {y|y¾b}에서 b=;2%;
=
x-1
그러므로 ab=6_;2%;=15
2(x+1)
=
x-1  15
③
19 y='Ä3-x-2='Ä-(x-3)-2에서
ㄱ. 3-x¾0이므로 xÉ3
16 ㄱ. 3x¾0이므로 x¾0, y¾0이다. 'Ä3-x¾0이므로 y='Ä3-x-2¾-2
즉, 정의역은 {x|x¾0}, 치역은 {y|y¾0}이다. (참)
따라서 정의역은 {x|xÉ3}, 치역은 {y|y¾-2}이다. (참)
ㄴ. y=-'Ä
‌ - 3x를 변형하면 -y=!% 3 (-x)이므로 함수
ㄴ.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무리함수 y='¶-x 의 그래프를 x
y=13x의 그래프는 y=-'Ä-3x의 그래프와 원점에 대하
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여 대칭이다. (참)
것이다. (참)
ㄷ. [반례] a=12, b=3일 때,
ㄷ. ‌ㄴ에 의해 무리함수  y
y='34-3x-2
'¶3a-'¶3b='¶36-'9=6-3=3, O 3
y='Ä3-x-2의 그래프는 그림
a-b=12-3=9이므로 '3-2 x
과 같고 제 1사분면을 지나지 않
'¶3a-'¶3b<a-b (거짓) -2
는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③

정답과 풀이 23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3 2017-11-01 오전 10:49:30


정답과 풀이

20 y=-'Ä2x+a+4` y
y=;2!;(x-2)Û`-;2A;
4 y=-152x34+2a+4
=-¾¨2{x+;2A;}+4 즉,  f -1(x)=;2!;(x-2)Û`-;2A; (x¾2)이고  f(x)의 역함수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무리 O
-
a x y= f -1(x)의 그래프가 점 (5, 3)을 지나므로
2
함수 y=-'¶2x의 그래프를 x축의
 f -1(5)=;2!;(5-2)Û`-;2A;=3
방향으로 - ;2A;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9-a=6

그런데 x=-;2A;일 때 최댓값 4를 가지므로 -;2A;=1에서 따라서 a=3


②
a=-2이고 M=4이다.
다른풀이
따라서 a_M=-8
 f(x)='Ä2x+a+2의 역함수의 그래프가 점 (5, 3)을 지나므
②
로 역함수의 성질에 의해 f(3)=5이다.

21 곡선 y='Ä4-2x 와 직선 y 즉,  f(3)='Ä6+a+2=5


y=-x+k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 y=154-23x
y=-x+k
'Ä6+a=3
2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양변을 제곱하면 6+a=9
곡선과 직선이 두 점에서 만나려면 O 2 x 따라서 a=3이다.
직선이 그림에서의 두 직선과 평행하면서 어두운 부분에 있어야
한다.
Ú 직선 y=-x+k가 점 (2, 0)을 지날 때 23 y=f  -1
(x)로 놓으면 y=xÛ`-6x+5 (x¾3)에서
y=(x-3)Û`-4, y+4=(x-3)Û`
0=-2+k
x='Äy+4+3
k=2
x, y를 서로 바꾸면
Û 곡선 y='Ä4-2x 와 직선 y=-x+k가 접하는 경우
y='Äx+4+3
'Ä4-2x =-x+k
즉,  f(x)='Äx+4+3이고 a=4, b=3이므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f -1(a+b)=f -1(7)
xÛ`-2(k-1)x+kÛ`-4=0  yy ㉠
=7Û`-6_7+5=12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①
D
=(k-1)Û`-(kÛ`-4)=0
4
kÛ`-2k+1-kÛ`+4=0

-2k+5=0, k=;2%;
24 두 함수의 그래프가 점 (1, 4)에서 만나므로
 f(1)=4에서 'Äa+b=4
Ú, Û에서 곡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a+b=16 yy ㉠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g(1)=4에서 역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f(4)=1이므로
2Ék<;2%; 'Ä4a+b=1
4a+b=1 yy ㉡
⑤
㉠, ㉡을 연립하여 풀면
a=-5, b=21
22 y=f(x)로 놓으면 y='Ä2x+a+2 (y¾2)에서 따라서  f(x)='Ä-5x+21이고  f(-3)='¶36 =6이므로
(y-2)Û`=2x+a
a+b+f(-3)=-5+21+6
x=;2!;(y-2)Û`-;2A;
=22
x, y를 서로 바꾸면  22

24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4 2017-11-01 오전 10:49:30


x=a, y=b를 y='Äx+2+4에 대입하면
서술형 연습장 본문 58쪽
b='Äa+2+4
b-4='Äa+2
01 -;2#; 02 5 03 4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b-4)Û`=a+2, bÛ`-8b+16=a+2
4x+a 4(x-1)+a+4 a+4
01 y=
x-1
=
x-1
=
x-1
+4 yy ➊ bÛ`-8b-a+14=0 yy ㉡
㉠, ㉡에서
5
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 y= 의 그래프와 일치하도록 하 aÛ`-9a+14=0 yy ➋
2x
려면  따라서
(a-3)(b-6)=ab-6a-3b+18
a+4=;2%; yy ➋
=(aÛ`-9a+14)+4
따라서 a=-;2#;  yy ➌ =0+4=4 yy ➌
4
 -;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a=b임을 보인 경우 20`%
k 점 (a, b)를 f(x)='Äx+2+4에 대입하여
➊ y= +q 꼴로 바꾼 경우 50`% ➋ 50`%
x-p
a에 관한 관계식을 만든 경우
➋ 두 그래프가 일치하기 위한 조건을 구한 경우 30`%
➌ (a-3)(b-6)의 값을 구한 경우 30`%
➌ a의 값을 구한 경우 20`%

2x+1 2(x-3)+7 7
02 y= x-3
=
x-3
=
x-3
+2 yy ➊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점근선 x=3, y=2의 교점 (3, 2)를 +


지나고 기울기가 1 또는 -1인 직선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59쪽

y=-x+k는 점 (3, 2)를 지난다. yy ➋


y=-x+k에 x=3, y=2를 대입하면
01 ② 02 2 03 ③ 04 ②
2=-3+k
따라서 k=5 yy ➌ 01 직사각형 OAPB의 네 변의 길이의 합을 l이라 하면
l=2(a+b)
5
5
점 P(a, b)가 유리함수 y= +3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x-2
k 5
➊ y= +q 꼴로 바꾼 경우 30`% b= +3
x-p a-2
직선 y=-x+k가 점 (3, 2)를 지나는 이유 a>2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해
➋ 50`%
를 밝힌 경우 5
l=2{a+ +3}
➌ k의 값을 구한 경우 20`% a-2
5
=2{a-2+ +5}
a-2
5
03 두 함수 y=f(x)와 y=g(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은 함 ¾2[2¾¨(a-2)_
a-2
+5]
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으므로 점
=4'5+10
(a, b)는 직선 y=x 위의 점이다. 즉,
{단, 등호는 a-2=
5
, 즉 a=2+'5일 때 성립한다.}
a=b yy ㉠   yy ➊ a-2

정답과 풀이 25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5 2017-11-01 오전 10:49:30


정답과 풀이

따라서 l의 값은 a=2+'5, b=3+'5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 따라서 구하는 실수 n의 최솟값은 2이다.



a+b=5+2'5
② 03 무리함수 y=2'x+3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시키면 y=2'Äx-a+3이므로  f(x)=2'Äx-a+3
두 함수 y=f(x)와 y=f -1(x)의 그래프가 접하기 위한 필요
x+2 (x+1)+1
02 y=
x+1
=
x+1
 x+2` y
y=----
x+1` y=mx+n
충분조건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접하는 것
1 2 이다.
= +1
x+1 1 즉, 2'Ä x-a+3=x에서 2'Ä x-a=x-3의 양변을 제곱하여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O x 정리하면
-1
림과 같고, 이 그래프는 점 (0, 2)를 4(x-a)=xÛ`-6x+9
지난다. xÛ`-10x+4a+9=0
또, 직선 y=mx+n의 y절편이 n¾2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2 D
이면 기울기 m의 값에 관계없이 이 직선은 유리함수 y= =25-(4a+9)=0, 4a=16
x+1 4
의 그래프와 교점을 갖는다. 따라서 a=4
그러나 n<2이면 직선과 유리함수의 y
③
그래프는 만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오 2 x+2`
y=----
x+1`
른쪽 그림과 같이 반드시 생긴다. 1
-2 O x
따라서 교점을 갖도록 하는 n의 값의 -1 04 원 (x-2)Û`+(y-2)Û`=1은 직 y (x-2)Û`+(y-2)Û`=1
범위는 n¾2이므로 구하는 실수 n의 y=mx+n 선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함수 D
y=x

최솟값은 2이다.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2 B


A
2 -1
y=f  (x)의 그래프도 직선 y=x에 C
다른풀이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직선 AB, CD O 2 x

x+2 는 서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유리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mx+n이 교점을 가
x+1
따라서 직선 AB의 방정식을 y=mÁx+n이라 하면
지려면
직선 CD의 방정식은 x=mÁy+n
x+2
=mx+n, mxÛ`+nx+mx+n=x+2 1 n
x+1 즉, y= x- 이다.
mÁ mÁ
x에 대한 이차방정식 mxÛ`+(m+n-1)x+n-2=0의 판별
1
식을 D라 하면 따라서 mª= 이므로 mÁmª=1

D=(m+n-1)Û`-4m(n-2)¾0 ②
이어야 한다. 다른풀이
mÛ`+nÛ`+1+2mn-2n-2m-4mn+8m¾0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a, b), (c, d)라 하면
mÛ`-2(n-3)m+nÛ`-2n+1¾0 두 점 C, D의 좌표는 각각 (b, a),``(d, c)이므로
이 부등식이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m에 대 d-b c-a
mÁ= , mª=
한 이차방정식 mÛ`-2(n-3)m+nÛ`-2n+1=0의 판별식을 c-a d-b
DÁ이라 하면 d-b c-a
따라서 mÁmª= _ =1
c-a d-b

=(n-3)Û`-(nÛ`-2n+1)É0
4
nÛ`-6n+9-nÛ`+2n-1É0, -4nÉ-8
n¾2

26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6 2017-11-01 오전 10:49:30


대단원 종합 문제 본문 60~63쪽 05 유리함수 y=;[K;+1의 그래프가 점 {;3!;, 7}을 지나므로
k
01 ⑤ 02 ① 03 ③ 04 ① 05 ③ 7= +1, 6=3k
;3!;
06 ④ 07 ② 08 9 09 ② 10 ④
11 3 12 ② 13 ② 14 ② 15 ④ k=2

16 8 17 ④ 18 ⑤ 19 0<mÉ;5!; 유리함수 y=;[@;+1의 그래프는 y=;[@;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

20 ③ 21 2 22 a<-1 또는 a>1 23 9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2!;ÉxÉ4에서 x의 값이 증가

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01 ① 함수  f(x)는 일차함수이다.
② 함수  f(x)는 상수함수이다. 따라서 x=;2!;일 때 최댓값 M=5, x=4일 때 최솟값 m=;2#; 

③ 정의역
‌ R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함숫값  f(x)가 존재하 을 가지므로
므로 함수이다.
M+m=5+;2#;=;;Á2£;;
④ ‌x¾0일 때 |x|=x이므로  f(x)=xÛ`+x이고,
③
x<0일 때 |x|=-x이므로  f(x)=-xÛ`+x이다.
따라서 정의역 R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함숫값  f(x)가
존재하므로 함수이다. 06 2x-4¾0에서 x¾2, y
y=-152x-24+1
⑤ ‌x=1일 때, 분모가 0이 되어  f(1)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 -'Ä 2x-4É0에서 y É1이므로 1
O 2 3 4
로 R에서 R로의 함수가 아니다. 무리함수 y=-'Ä2x-4+1의 그 1-'2 x
-1
⑤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3ÉxÉ4에서 무리함수

02  f(-3)=f(-1)=1,  f(-2)=0,  f(0)=2 y=-'Ä2x-4+1은 x=3일 때 최댓값 M=1-'2, x=4일


 f(1)=3,  f(2)=4 때 최솟값 m=-1을 가지므로
따라서 함수  f의 치역은 {0, 1, 2, 3, 4}이므로 구하는 모든 원 M-m=1-'2-(-1)=2-'2
소의 합은 ④

0+1+2+3+4=10
① 07  f(1)=3이므로 ( f½f)(1)=f( f(1))=f(3)=1
마찬가지로  f(2)=4이므로

03  f(x)=xÛ`-2x+5에서  f(2)=5이므로 ( f½f)(2)=f( f(2))=f(4)=2


( f½f)(2)=f( f(2)) 이때 함수  f는 일대일함수이므로
=f(5)  f(5)=5
=25-10+5 따라서
=20  f(4)-f(5)=2-5=-3
③ ②

04  f  -1
(2)=3에서 역함수의 성질에 의해  f(3)=2이므로
08  f {
2x+3
}=x+;2!;에서
2x+3
=t라 하면 x=
5t-3
 f(3)=3_3+k=2 5 5 2

k=-7 이므로
5t-3
따라서  f(x)=3x-7이므로  f(t)= +;2!;=;2%;t-1
2
 f(5)=3_5-7=8
따라서  f(x)=;2%;x-1이므로
①

정답과 풀이 27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7 2017-11-01 오전 10:49:31


정답과 풀이

 f(4)=;2%;_4-1=9 12 유리함수 y=
ax+b
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x+2
9
;2B;=1, b=2
다른풀이
또한
2x+3
=4라 하면 x=;;Á2¦;; ax+b ax+2
5 y= =
x+2 x+2
이것을  f {
2x+3
}=x+;2!;의 양변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a(x+2)-2a+2
5 =
x+2
 f(4)=;;Á2¦;;+;2!;=9 -2a+2
= +a
x+2
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이 x=-2`, y=a이므로

09 (g½f  -1
)(3)+( f½g  )(3)=g( f  (3))+f(g  (3))
-1 -1 -1
c=-2, a=-3
=g(1)+f(3) 따라서
=2+1 a+b+c=-3+2+(-2)=-3
=3 ②
②

13  f(g(x))=x이므로  f(x)와 g(x)는 역함수의 관계에 있


다.
10 (h½f)(x)=g  -1
(x)에서 h( f(x))=g  (x) -1

2x-1
h(2x+1)=g -1(x) yy ㉠ y= 에서
x+2
-1
㉠에 x=4를 대입하면 h(9)=g  (4)
xy+2y=2x-1, (y-2)x=-2y-1
이때 g -1(4)=k라 하면 g(k)=4이므로 -2y-1
x=
-3k+10=4, 3k=6 y-2
k=2 -2x-1
x, y를 서로 바꾸면 y= 이므로
x-2
따라서 h(9)=2
-2x-1
④ g(x)=
x-2
따라서 a=-2, b=-1, c=-2이므로
abc=-4`
2x+5
11 y= x+3
 y
y=
2x+5 ②
M 2 x+3
2(x+3)-1
=
x+3 m

=
-1
+2 -3 O 1 a x 14 (g½f  ) =( f -1)-1½g -1=f½g -1이므로
-1 -1

x+3 ( f -1½(g½f -1)-1)(4)=( f -1½f½g -1)(4)
이므로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g -1(4)
2x+5 -1 g -1(4)=k로 놓으면 g(k)=4이므로
유리함수 y= 는 x=a일 때 최댓값 M= +2,
x+3 a+3
'Ä2k-4=4, 2k-4=16, 2k=20
-1
x=1일 때 최솟값 m= +2=;4&;을 갖는다. 따라서 k=10
1+3
1 ②
즉, M-m=- +;4!;=;1Á2;에서
a+3
1
=;4!;-;1Á2;=;6!;, a+3=6
a+3 15 무리함수 y='Ä6-x+3='Ä-(x-6)+3의 그래프는
따라서 a=3 무리함수 y='Äx+3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키고
3 다시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시

28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8 2017-11-01 오전 10:49:31


킨 것이다. -xÛ`+4x+k=x에서 이차방정식 xÛ`-3x-k=0이 중근을
오른쪽 그림에서 어두운 두 y 가져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 6-x+3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두 D=(-3)Û`-4_1_(-k)=0
3 C
곡선과 직선 x=-3으로 둘 D y= x+3 9+4k=0
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직사각 A B
따라서 k=-;4(; 
-3 O 6 x
형 ABCD의 넓이와 같다. x=-3
④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9_3=27
x-1
④
18  f(x)= x+1 에서
x-1
-1
16 조건 (가)에서 g(x)가 항등함수이므로  f Û`(x)=f( f(x))=f {
x-1
x+1
}=
x+1
x-1
=-;[!;
 f(2)=g(3)=h(4)=3 yy ㉠ +1
x+1
조건 (나)에서  f(1)+ f(3)=f(2)이고  f(x)가 일대일대응이
 f Ü`(x)=f Û`( f(x))=f Û`{
x-1
}=-
1 1+x
=
므로 x+1 x-1 1-x
x+1
 f(1)=1,  f(2)=3,  f(3)=2
x-1
또는 1+
x+1
 f Ý`(x)=f Ü`( f(x))=f Ü`{
x-1
}= =x
 f(1)=2,  f(2)=3,  f(3)=1 x+1 x-1
1-
x+1
조건 (다)에서  f(1)_g(2)_h(3)=12이고 g(x)는 항등함
따라서 자연수 n에 대하여  f n(x)=f n+4(x)이고
수, h(x)는 상수함수이므로 ㉠에 의해
3-1
 f(3)= =;4@;=;2!;,
 f(1)_2_3=12 3+1
 f(1)=2  f Û`(3)=-;3!;,
따라서  f(1)=2,  f(2)=3,  f(3)=1,  f(4)=4이므로
1+3
 f(3)+g(4)+h(2)=1+4+3=8  f Ü`(3)= =-2,
1-3
8  f Ý`(3)=3
이므로

17 함수 y=f(x)의 그래프는  y
2
 f(3)+f Û`(3)+f Ü`(3)+y+f 100(3)=25_{;2!;-;3!;-2+3}
y=f(x)
오른쪽 그림과 같고,
x
=25_;6&;
O 2 6

(  f(x) ( f(x)É2) =
175
( f½f)(x)= Ò
6

9 -;2!;f(x)+3 ( f(x)>2) ⑤

그런데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É2이므로


( f½f)(x)=f(x)이다. 19 무리함수 y=-'Ä5-x+2의 y
y=mx+1
이차함수  y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1
y=-xÛ`+4x+k 2 y=f(x) 직선 y=mx+1은 m의 값에 관계 O
=-(x-2)Û`+k+4 O 없이 점 (0, 1)을 지나므로 함수 y=-1455-x+2 5 x
2 6 x
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y=-'Ä5-x+2의 그래프와 직선
대칭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 y=-xÛ`+4x+k y=mx+1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직선의 기울기는
프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나기 위해서는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0보다 크고 점 (5, 2)를 지날 때의 기울기보다 작거나 같아야
y=-xÛ`+4x+k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접해야 한다. 한다.

정답과 풀이 29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29 2017-11-01 오전 10:49:31


정답과 풀이

직선 y=mx+1이 점 (5, 2)를 지날 때 ab=2

2=5m+1, m=;5!; 2

따라서 구하는 m의 값의 범위는


22 Ú x<2일 때,
 f(x)=-(x-2)+ax+3
0<mÉ;5!; =(a-1)x+5
Û x¾2일 때, yy ➊
 0<mÉ;5!;
 f(x)=x-2+ax+3
=(a+1)x+1 yy ➋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려면 Ú, Û의 직선의 기울기의 부
20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에서 a<0이고 호가 서로 같아야 하므로
y='Äax+2+ab에서 치역은 {y|y¾ab}이므로 ab<0 (a-1)(a+1)>0
따라서 b>0이다. 따라서 a<-1 또는 a>1이다. yy ➌
ax+1 a(x+b)-ab+1  a<-1 또는 a>1
y= =
x+b x+b
-ab+1 단계 채점 기준 비율
= +a
x+b ➊ x<2일 때,  f(x)를 구한 경우 30`%
y
이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➋ x¾2일 때,  f(x)를 구한 경우 30`%
1
-
x=-b(<0), y=a이고, -ab+1>0 b
➌ a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40`%
-b O x
이며 y절편은 ;b!;(>0)이므로 그래프의 a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③
23 유리함수 y=;[A;+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시키면
a a
21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a, b(a<b)라 하면 두 점 y=
x-2
+1+3=
x-2
+4 yy ➊
P, Q의 y좌표는 각각 'Äa-1+3, 'Äb-1+3이고 선분 PQ의 이고 이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4이다.
중점의 y좌표가 4이므로 a
유리함수 y= +4의 그래프가  y a
'Äa-1+3+'Äb-1+3 x-2 y=----̀
x-2
` +4
=4
2 좌표평면 위의 모든 사분면을 지나므
4
'Äa-1+'Äb-1=2 로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직선 PQ의 기울기는 같아야 한다. 즉, yy ➋ O 2 x
'Äb-1+3-('Äa-1+3) 'Äb-1-'Äa-1 a a
= +4<0, >4
b-a b-a -2 2
b-a a>8
=
(b-a)('Äb-1+'Äa-1 )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a의 최솟값은 9이다. yy ➌
1
= 9
'Äb-1+'Äa-1
=;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평행이동시킨 그래프의 함수식을 구한 경우 20`%
따라서 기울기가 ;2!;이고 점 (-2, 3)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모든 사분면을 지나도록 그래프의 개형을 추론
➋ 40`%
한 경우
y-3=;2!;(x+2), y=;2!;x+4
➌ 자연수 a의 최솟값을 구한 경우 40`%

따라서 a=;2!;, b=4이므로

30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0 2017-11-01 오전 10:49:32


Ⅵ. 경우의 수 (n+1)!
5. ⑴ n+1C2=
2!(n-1)!
14 순열과 조합 =
(n+1)_n
=21
2
nÛ`+n=42, (n-6)(n+7)=0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67~69쪽
n+1¾2이므로 n=6
1. 9 2. 20 3. 100 4. 432 n! n!
⑵ ÇC£= , ÇCª= 이므로
5. ⑴ 6  ⑵ 5 6. 15 3!(n-3)! 2!(n-2)!
n! n! 1
= , ;3!;=
3!(n-3)! 2!(n-2)! n-2
1. Ú 눈의 수의 합이 4가 되는 경우 따라서 n=5
(1, 3), (2, 2), (3, 1)의 3가지  ⑴ 6  ⑵ 5
Û ‌눈의 수의 합이 8이 되는 경우
(2, 6), (3, 5), (4, 4), (5, 3), (6, 2)의 5가지
Ü ‌눈의 수의 합이 12가 되는 경우
6. 1과 8이 적혀 있는 공을 제외한 6개의 공에서 2개를 꺼내
는 경우의 수와 같으므로
(6, 6)의 1가지 6_5
¤Cª= =15
Ú ~ Ü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_1
3+5+1=9  15
9

유형 확인
2. 432=2Ý`_3Ü`이므로 양의 약수는 1, 2, 2Û`, 2Ü`, 2Ý` 중 하나 본문 70~73쪽

와 1, 3, 3Û`, 3Ü` 중 하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구하는 양


01 11 02 ① 03 ③ 04 ⑤ 05 ⑤
의 약수의 개수는
06 ⑤ 07 5 08 720 09 ④ 10 ①
(4+1)_(3+1)=5_4=20
11 ④ 12 ⑤ 13 144 14 ④ 15 ⑤
 20
16 ⑤ 17 ③ 18 ④ 19 ④ 20 ⑤
21 ④ 22 ④ 23 ⑤ 24 ③
3. 백의 자리에는 0이 올 수 없으므로 백의 자리에 올 수 있
는 수는 1, 2, 3, 4, 5의 5가지
나머지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에는 백의 자리에 놓인 숫자를 제
01 Ú 바닥에 닿은 밑면에 적힌 세 수의 합이 6인 경우
‌(1, 1, 4), (1, 4, 1), (4, 1, 1), (1, 2, 3), (1, 3, 2),
외한 5개의 숫자 중 2개를 택하여 일렬로 나열하면 되므로 구하
(2, 1, 3), (2, 3, 1), (3, 1, 2), (3, 2, 1), (2, 2, 2)
는 자연수의 개수는
의 10가지
5_°Pª=5_5_4=100
Û 바닥에 닿은 밑면에 적힌 세 수의 합이 12인 경우
 100
(4, 4, 4)의 1가지
Ú, Û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 1학년 2명을 한 명, 2학년 3명을 한 명, 3학년 3명을 한 10+1=11
명으로 생각하여 3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 11
3!=6
그 각각에 대하여 같은 학년 학생들끼리 서로 자리를 바꿀 수 02 x+2y=14-4z>0에서 1Éz<4
있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Ú z=1일 때
6_2!_3!_3!=6_2_6_6=432 ‌x+2y=10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 432 (8, 1), (6, 2), (4, 3), (2, 4)의 4가지

정답과 풀이 31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1 2017-11-01 오전 10:49:32


정답과 풀이

Û z=2일 때 의 자리의 두 숫자를 제외한 7개의 숫자 중 하나가 와야 하


‌x+2y=6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므로 경우의 수는 7이다.
(4, 1), (2, 2)의 2가지 그러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Ü z=3일 때 2_4_7=56
‌x+2y=2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존재하지 않는다. Û ‌백의 자리의 수가 2 또는 4인 경우
Ú ~~ Ü에서 구하는 순서쌍의 개수는 4+2=6 세 자리의 자연수가 짝수이어야 하므로 일의 자리의 숫자는
① 짝수이어야 한다.
이때 일의 자리에는 2(4), 6, 8 중 하나가 와야 하므로 경우

03 모든 원소의 곱이 15의 배수가 되기 위해서는 부분집합에 의 수는 3, 이 각각에 대하여 십의 자리에는 백의 자리와 일


5가 반드시 속하고 3 또는 6이 속해야 한다. 의 자리의 두 숫자를 제외한 7개의 숫자 중 하나가 와야 하
Ú 3과
‌ 5가 속해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므로 경우의 수는 7이다.
2ß` ÑÛ`=2Ý`=16 그러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Û 5와
‌ 6이 속해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_3_7=42
2ß`ÑÛ`=2Ý`=16 Ú, Û에서 구하는 짝수의 개수는
Ü 3,
‌ 5, 6이 모두 속해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56+42=98
2ß`ÑÜ`=2Ü`=8 ⑤
Ú ~~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6+16-8=24
07 A 도시를 출발하여 B 도시를 거쳐 C 도시까지 갔다가 B
③ 도시로 돌아오는 경우의 수는 80이고
A 도시에서 B 도시로 가는 경우의 수는 4,
04 문학책 4권, 역사책 3권, 과학책 3권 중에서 문학책 한 권 B 도시에서 C 도시로 가는 경우의 수는 n,
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4, 역사책 한 권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C 도시에서 B 도시로 가는 경우의 수는 (n-1)
3, 과학책 한 권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3이다. 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_n_(n-1)=80, nÛ`-n-20=0, (n-5)(n+4)=0
4_3_3=36 따라서 자연수 n은 5이다.
⑤ 5

05 식을 전개하여 나오는 항은 세 개의 괄호 안의 문자 중 각 08 A, B, C, D, E의 순서로 색을 칠한다고 할 때, A 영역


각 하나씩 선택하여 곱하여 얻을 수 있다.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5가지이고,
따라서 구하는 항의 개수는 그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B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 영역에
2_2_4=16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⑤ 그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C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A, B의
두 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06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짝수의 백의 자리의 숫자는 1 그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D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C 영역에
또는 2 또는 3`또는 4이어야 한다. 칠한 색을 제외한 4가지,
Ú ‌백의 자리의 숫자가 1 또는 3인 경우 그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E 영역에 칠할 수 있는 색은 C, D의
세 자리의 자연수가 짝수이어야 하므로 일의 자리의 숫자는 두 영역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이다.
짝수이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이때 일의 자리에는 2, 4, 6, 8 중 하나가 와야 하므로 경우 5_4_3_4_3=720
의 수는 4, 이 각각에 대하여 십의 자리에는 백의 자리와 일  720

32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2 2017-11-01 오전 10:49:32


09 일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1, 3, 5의 3가지이다. ‌ A   B 가 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C   D 에 놓인 두 수
그 각각에 대하여 백의 자리, 십의 자리에는 일의 자리에 놓인 를 제외한 나머지 5개의 숫자에서 2개를 택하여 일렬로 나
숫자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숫자에서 2개를 택하여 일렬로 나 열하는 순열의 수에서 A 에 0이 오는 경우를 제외한 것과
열하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같으므로
¢Pª=4_3=12 ‌°Pª-4=20-4=16
따라서 구하는 세 자리의 홀수의 개수는 그러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_12=36 8_16=128
④ Ú, Û에서 구하는 4의 배수인 자연수의 개수는
80+128=208

10 Ú 만의 자리의 숫자가 4인 경우 ④
나머지 0, 1, 2, 3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4!=24
Û ‌만의 자리의 숫자가 3인 경우 12 맨 처음과 맨 마지막에 남자 가수가 노래하는 경우의 수는
남자 가수 3명 중 2명을 선택하여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와
나머지 0, 1, 2, 4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같으므로
4!=24
£Pª=3_2=6
Ü ‌만의 자리의 숫자가 2인 경우
나머지 5명의 가수가 노래를 부르는 순서를 정하는 경우의 수는
나머지 0, 1, 3, 4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5!=5_4_3_2_1=120
4!=24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Ý ‌만의 자리의 숫자는 1이고 천의 자리의 숫자가 4인 경우
6_120=720
나머지 0, 2, 3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⑤
3!=6
Þ ‌만의 자리의 숫자는 1이고 천의 자리의 숫자가 3인 경우
나머지 0, 2, 4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3!=6
13 남자 4명과 여자 3명이 교대로 서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
로 서야 한다.
Ú ~ Þ에서 구하는 13000보다 큰 수의 개수는
남 여 남 여 남 여 남
24+24+24+6+6=84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①
4!_3!=24_6=144
 144
11 네 자리의 자연수가 4의 배수이려면 네 자리의 자연수
A   B   C   D 에서 두 자리의 자연수 C   D 가 4의 배
수이어야 한다. 14 MASTER의 여섯 개의 문자 중에서 모음은 A, E의 2
Ú C   D 가 04, 20, 40, 60인 경우 개, 자음은 M, S, T, R의 4개이다.
홀수 번째의 자리 세 군데 중에서 두 군데에 모음을 나열하는
A   B 가 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C   D 에 놓인 두 수
경우의 수는
를 제외한 나머지 5개의 숫자에서 2개를 택하여 일렬로 나
£Pª=3_2=6
열하는 순열의 수와 같으므로
남은 자리에 4개의 자음을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Pª=5_4=20
4!=4_3_2_1=24
그러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_20=80
6_24=144
Û C   D 가 12, 32, 52, 24, 64, 16, 36, 56인 경우 ④

정답과 풀이 33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3 2017-11-01 오전 10:49:32


정답과 풀이

15 Ú A가 1 의 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2n=k{


n-3
6
1
+ }, 2n=
2
nk
6
‌B는 2 의 자리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나머지 3명을 3 , 따라서 k=12
4 , 5 의 자리에 배치하는 경우의 수는 3!=6

Û A가
‌ 2 의 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19 8개의 점에서 3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8_7_6
B는
‌ 1 또는 3 의 자리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나머지 3명 a=¥C£= =56
3_2_1
을 빈 자리 세 곳에 배치하는 경우의 수는 2_3!=12 또, 정팔각형의 대각선 중에서 네 개가 원의 지름이 된다.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12=18 이때 원의 지름을 삼각형의 한 변으로 하는
⑤ 삼각형은 모두 직각삼각형이므로 원의 지름
한 개당 6개의 직각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16 남학생 5명 중 2명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구하는 직각삼각형의 개수는


5_4 b=4_6=24
°Cª= =10
2_1 따라서 a+b=56+24=80
이고, 그 각각에 대해 여학생 4명 중 2명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④
4_3
¢Cª= =6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0_6=60
2_1
⑤ 20 주어진 선분 9개의 선분 중에서 가로 방향으로 평행한 선
분 4개에서 2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한 선분 5개 중에서 2개를
택하면 하나의 평행사변형을 만들 수 있다.
17 여학생의 수를 n이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_3 n(n-1)
¢Cª_ÇCª=60, _ =60, n(n-1)=20 4_3 5_4
2_1 2_1 ¢Cª_°Cª= _
2_1 2_1
nÛ`-n-20=0, (n+4)(n-5)=0
=6_10=60
n¾2이므로 n=5
⑤
따라서 이 동아리의 여학생의 수는 5이다.
③
21 Ú 남학생 2명, 여학생 1명이 뽑히는 경우
4_3
C+ C ¢Cª_£CÁ= _3=18
2_1
18 ÇP£=k_ n-1 3 n-1 2 에서 ÇP£=;2K;_ÇC£
2
Û 남학생 1명, 여학생 2명이 뽑히는 경우
n(n-1)(n-2)
n(n-1)(n-2)=;2K;_ 3_2
3_2_1 ¢CÁ_£Cª=4_ =12
2_1
그런데 n¾3이므로 양변을 n(n-1)(n-2)로 나누면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1ð2; 18+12=30
따라서 k=12 ④
다른풀이
참고 ÇC¨=ÇÐÁC¨ÐÁ+ÇÐÁC¨ (1<rÉn-1)
④ Ú 7명의 학생 중에서 3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7_6_5
다른풀이 ¦C£= =35
3_2_1
n-1C3+n-1C2 Û ‌남학생만 3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ÇP£=k_ 에서
2
¢C£=¢CÁ=4
2n(n-1)(n-2)
(n-1)(n-2)(n-3) (n-1)(n-2) Ü ‌여학생만 3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k[ + ] £C£=1
3_2_1 2_1

34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4 2017-11-01 오전 10:49:32


Ú ~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Cª_;2!;=3
35-4-1=30
Ú ~ Ü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1+6+3=10
22 1과 3이 적힌 카드를 제외한 나머지 4장의 카드에서 2장 ③
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Cª=6
선택된 4장의 카드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4!=24`
서술형 연습장 본문 74쪽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_24=144 01 5 02 20 03 24
④

01 2100원을 지불할 때 사용한 100원짜리 동전의 개수를 x,


23 Ú 1부터 10까지의 자연수가 각각 하나씩 적힌 구슬 10개 500원짜리 동전의 개수를 y, 1000원짜리 지폐의 개수를 z라
에서 4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하면
10_9_8_7 100x+500y+1000z=2100
Á¼C¢= =210
4_3_2_1
x+5y+10z=21 yy ➊
Û 1에서
‌ 10까지에는 3의 배수가 3, 6, 9의 3개이므로 3의 배
Ú z=2인
‌ 경우
수가 적힌 구슬을 제외한 나머지 7개의 구슬에서 4개를 택
x+5y=1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하는 경우의 수는
(1, 0)의 1가지
7_6_5
¦C¢=¦C£= =35 Û z=1인
‌ 경우
3_2_1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x+5y=11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210-35=175 (1, 2), (6, 1)의 2가지
⑤ Ü z=0인
‌ 경우
x+5y=21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yy ➋
24 집합 A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x)=f  -1
(x)인 경우 (1, 4), (6, 3)의 2가지
는 다음과 같다. Ú ~ Ü에 의하여 지불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Ú ‌집합 A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x)=x인 경우 1+2+2=5 yy ➌
1가지 5
Û ‌그림과 같이 집합 A의 원소 중 두 개 f
A A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는 자기 자신에 대응되고 나머지 두 개 1 1 2100원을 지불할 때 사용되는 동전과 지폐의
2 2 ➊ 30`%
는 서로 엇갈려 대응되는 경우 개수를 미지수로 놓고 방정식을 세운 경우
3 3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Cª=6 4 4 사용되는 지폐의 개수에 따라 사용되는 동전의
➋ 50`%
개수를 구한 경우
Ü ‌그림과 같이 집합 A의 원소 중 두 개 A
f
A ➌ 지불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한 경우 20`%
씩 서로 대응되는 경우 1 1
이때 1, 2를 선택하면 1과 2는 서로 엇 2 2
3 3
갈려 대응되고, 나머지 3, 4는 서로 엇 4 4 02 세 자리의 자연수가 3의 배수가 되려면 각 자리의 숫자의
갈려 대응시키면 된다. 즉, 1, 2를 선 합이 3의 배수가 되면 된다.
택하는 경우와 3, 4를 선택하는 경우는 같은 경우이므로 구 Ú ‌각 자리의 숫자가 0, 1, 2 또는 0, 2, 4인 경우
하는 경우의 수는 백의 자리에는 0이 올 수 없으므로 경우의 수는

정답과 풀이 35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5 2017-11-01 오전 10:49:33


정답과 풀이

2_2_ªPª=8` yy ➊ 람이 앉을 수 있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Û ‌각 자리의 숫자가 1, 2, 3 또는 2, 3, 4인 경우 3_2!_3!=36
구하는 경우의 수는 ④
2_£P£=12 yy ➋
Ú, Û 에 구하는 3의 배수의 개수는
8+12=20 yy ➌
02 1이 포함된 부분집합 중에서 원소의 개수가 3인 것의 개
수는 원소 1을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원소에서 2개를 택하는 조
 20
합의 수과 같으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Cª
각 자리의 숫자에 0이 포함되는 경우의 수를 또한 1 이외의 나머지 원소들에 대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➊ 40`%
구한 경우 따라서 부분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3인 부분집합들의 모든 원소
각 자리의 숫자에 0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의 합은
➋ 40`%
수를 구한 경우
1_¦Cª+2_¦Cª+3_¦Cª+y+8_¦Cª
➌ 3의 배수의 개수를 구한 경우 20`%
=(1+2+3+y+8)_¦Cª
7_6
=36_
2
03  f(4)=5이고 a<b이면  f(a)<f(b)이므로
=756
Y의 원소 1, 2, 3, 4 중 3개를 뽑아 작은 수부터 차례로
⑤
 f(1),  f(2),  f(3)에 대응시키는 경우의 수는
¢C£=4 yy ➊
Y의 원소 6, 7, 8, 9 중 2개를 뽑아 작은 수부터 차례 03 Ú 조건 (가)에서  f(1)<f(3)이므로 5, 6, 7, 8, 9에서 2
로  f(5),  f(6)에 대응시키는 경우의 수는 개를 뽑아 작은 수부터 차례로  f(1),  f(3)에 대응시키는 경
¢Cª=6 yy ➋ 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5_4
°Cª= =10
2_1
4_6=24 yy ➌
Û ‌조건 (나)에서  f(2)-f(4)¾2이므로
 24
 f(2)¾f(4)+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f(4)=5일 때,  f(2)는 7 또는 8 또는 9
X의 원소 1, 2, 3이 대응되는 경우의 수를 구  f(4)=6일 때,  f(2)는 8 또는 9
➊ 40`%
한 경우
 f(4)=7일 때,  f(2)=9
X의 원소 5, 6이 대응되는 경우의 수를 구한
➋ 40`% Ú, Û 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경우
10_(3+2+1)=60
➌ 함수  f의 개수를 구한 경우 20`%
①

+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75쪽
04 두 팀 P와 Q가 결승전에서 만날 수 있으려면 다음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 쪽에 편성이 되어야 한다.
01 ④ 02 ⑤ 03 ① 04 ④
결승전

01 A와 B가 서로 이웃하여 앉는 경 1 2 3
우는 그림에서 1과 2, 2와 3, 4와 5의
세 가지이고, A와 B가 서로 자리를 바
꿀 수 있다. P Q

나머지 세 개의 의자에 C, D, E 세 사 4 5
[그림 1]

36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6 2017-11-01 오전 10:49:33


결승전 2+5+4+1=12
⑤

8_7_6
02 C - P = 3_2_1 -6_5=56-30 =26
8 3 6 2

P Q
③
[그림 2]
P팀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03 남학생 4명 중 2명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Ú ‌[그림 1]과 같이 P와 Q가 놓이는 경우 ¢Cª=6
P, Q를 제외한 나머지 세 팀 중에서 Q의 상대만 정하면 나머 여학생 3명 중 2명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지 두 팀은 자연히 두 빈 자리에 놓이게 되므로 경우의 수는 £Cª=3
£CÁ=3 선택된 4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Û ‌[그림 2]와 같이 P와 Q가 놓이는 경우 ¢P¢=4!=24
P, Q를 제외한 나머지 세 팀 중에서 P와 Q의 상대를 정하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면 나머지 한 팀은 자연히 빈 자리에 놓이게 되므로 경우의 6_3_24=432
수는 ①
£Pª=3_2=6
따라서 Ú, Û와 P와 Q가 서로 자리를 바꾸는 경우를 생각하
04 홀수는 1, 3, 5, 7이다.
홀수를 묶어서 하나로 생각하고,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면 구하는 경우의 수는
4!
(3+6)_2=18
이 각각에 대하여 홀수는 홀수끼리 자리를 바꿀 수 있으므로 구
④
하는 경우의 수는
4!_4!=576
⑤

대단원 종합 문제 본문 76~79쪽
05 Ú 신입사원 1명, 경력사원 4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6_5
¢CÁ_¤C¢=4_¤Cª=4_ =60
2_1
01 ⑤ 02 ③ 03 ① 04 ⑤ 05 ①
Û 신입사원 3명, 경력사원 2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06 16 07 ③ 08 288 09 ④ 10 ② 6_5
¢C£_¤Cª=¢CÁ_¤Cª=4_ =60
11 ④ 12 11 13 ② 14 ③ 15 360 2_1
16 ⑤ 17 ④ 18 ④ 19 ① 20 630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1 22 22 252 23 21 60+60=120
①
01 Ú 눈의 수의 합이 3인 경우
(1, 2), (2, 1)의 2가지 06 구하는 경우의 수는 각 동아리에서 한 명씩을 택하는 경우
Û ‌눈의 수의 합이 6인 경우 의 수와 같으므로

(1, 5), (2, 4), (3, 3), (4, 2), (5, 1)의 5가지 ªCÁ_ªCÁ_ªCÁ_ªCÁ=2_2_2_2=16

Ü ‌눈의 수의 합이 9인 경우  16

(3, 6), (4, 5), (5, 4), (6, 3)의 4가지


Ý ‌눈의 수의 합이 12인 경우
07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2ax+b=0이 실근을 가지려
D
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aÛ`-b¾0이어
(6, 6)의 1가지 4
Ú~Ý 는 동시에 일어날 수 없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야 한다. 즉, aÛ`¾b 

정답과 풀이 37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7 2017-11-01 오전 10:49:33


정답과 풀이

Ú a=1일
‌ 때, 1¾b이므로 b=1의 1개
11 두 선생님 사이에 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을 뽑는 경우의 수는
Û a=2일
‌ 때, 4¾b이므로 b=1, 2, 3, 4의 4개 ªCÁ_£CÁ=6
Ü a=3일
‌ 때, 9¾b이므로 b=1, 2, 3, 4, 5, 6의 6개 1열에 서는 두 선생님이 자리를 바꿀 수 있고, 두 선생님 사이
Ú ~ Ü은 동시에 일어날 수 없으므로 구하는 순서쌍 (a, b)의 의 남학생과 여학생도 자리를 바꿀 수 있으므로 경우의 수는
개수는 2!_2!=4
1+4+6=11 남아 있는 세 명의 학생들이 2열에 서는 경우의 수는
③ 3!=6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08 오른쪽 그림에서  2 6_4_6=144
①에는 서로 다른 4가지 색을 칠할 수 있고, 3 ④
②에는 ①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색을 1
4
칠할 수 있고,
③에는 ①, ②에 칠한 색을 제외한 2가지
6 5
12 서로 다른 종류의 반찬 n가지 중에서 (n-3)가지의 반찬
을 택하는 경우의 수가 165이므로
색을 칠할 수 있고,
n(n-1)(n-2)
④에는 ①, ③에 칠한 색을 제외한 2가지 색을 칠할 수 있고, nCn-3=nC3= =165
3_2_1
⑤에는 ①, ④에 칠한 색을 제외한 2가지 색을 칠할 수 있고, n(n-1)(n-2)=990=11_10_9
⑥에는 ⑤에 칠한 색을 제외한 3가지 색을 칠할 수 있으므로 이므로 자연수 n의 값은 11이다.
구하는 경우의 수는  11
4_3_2_2_2_3=288
 288
13 10개의 점 중에서 3개의 점을 택하는 경우의 수는
10_9_8
09 Cn-2=nC2이므로 ÇPª+ÇCª=63에서
n
Á¼C£=
3_2_1
=120
n(n-1) 이때 한 변 위에 있는 4개 또는 5개의 점에서 점 3개를 택하여
n(n-1)+ =63, 3n(n-1)=126
2_1
연결하면 삼각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nÛ`-n-42=0, (n-7)(n+6)=0
이와 같이 각각의 한 변에서 3개의 점을 택하는 모든 경우의 수는
n¾2이므로 n=7 5_4
¢C£_2+°C£=4_2+ =18
④ 2_1
따라서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10 a `:`4!=24 120-18=102
b `:`4!=24 ②
c a `:`3!=6
c b `:`3!=6
14 n-1Cr-1+n-1Cr
c d `:`3!=6 (n-1)! (n-1)!
= +
c e a `:`2!=2 (r-1)! (n-r)! r!(n-r-1)!
c e b `:`2!=2
r(n-1)! (n-r)(n-1)!
cedab = +
r!(n-r)! r!(n-r)!
cedba
(n-1)! {r+(n-r)}
이므로 24+24+6+6+6+2+2+2=72번째 나오는 문자 =
r!(n-r)!
이다. n!
= = Cr
따라서 k=72 r!(n-r)! n

② ③

38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8 2017-11-01 오전 10:49:33


15 A와 B가 서로 같은 동아리에 가입하는 경우의 수는 를 배치하는 경우의 수는
¤CÁ=6 °P£=5_4_3=60
C, D, E가 각각 A, B가 가입한 동아리를 제외한 나머지 동아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리에 가입하는 경우의 수는 24_60=1440
°P£=5_4_3=60 ④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6_60=360 18 A와 B를 한 사람, C와 D를 한 사람으로 보고 4명을 일
 360 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4!_2!_2!=96

16 4개의 버스 노선을 그림과 같이 1 이때 조건 (가), (나)를 만족시키면서 B와 C가 서로 이웃하는


각각 ①, ②, ③, ④라 하자. 2 경우는 ABCD, DCBA의 경우이므로 A, B, C, D를 한 사람
P Q
3 으로 보고 3명을 일렬로 세우는 경우의 수는
P 지역에서 Q 지역으로 갈 때, A,
B, C, D 4명이 이용한 버스 노선을 2_3!=12
4
각각 ①, ②, ③, ④라 하자.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Q 지역에서 P 지역으로 올 때, A, B, C, D 4명이 이용할 수 96-12=84
있는 버스 노선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으므로 구하는 경우 ④
의 수는 9이다.

A B C D 19 세 분야 중 한 분야에서는 두 개의 동아리를 택해야 하므로


Ú ‌학술 분야에서 두 개의 동아리를 택하는 경우
갈때 ① ② ③ ④
£Cª_°CÁ_°CÁ=75
② ① ④ ③
Û ‌예술 분야에서 두 개의 동아리를 택하는 경우
② ③ ④ ①
£CÁ_°Cª_°CÁ=150
② ④ ① ③
Ü ‌스포츠 분야에서 두 개의 동아리를 택하는 경우
③ ① ④ ②
£CÁ_°CÁ_°Cª=150
올때 ③ ④ ① ②
Ú ~ Ü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③ ④ ② ①
75+150+150=375
④ ① ② ③
①
④ ③ ① ②
④ ③ ② ①
20 Ú n(A;B)=1인 경우
A, B, C, D 4명이 P 지역에서 Q 지역으로 갈 때, 버스 노선 집합 A의 원소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C¢=¦C£=35
4!=24 집합 B의 원소는 집합 A에서 한 개, 집합 A‚` 에서 한 개를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택하여 만들어야 하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9_24=216 ¢CÁ_£CÁ=12
⑤ 그러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5_12=420
17 홀수 1, 3, 5, 7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Û n(A;B)=2인
‌ 경우
4!=24 집합 A의 원소를 택하는 경우의 수는
∨홀∨홀∨홀∨홀∨ ¦C¢=¦C£=35
홀수가 나열된 그 사이사이와 맨 앞과 맨 뒤의 자리 ∨에 짝수 집합 B의 원소는 집합 A에서 두 개를 택하여 만들어야 하

정답과 풀이 39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39 2017-11-01 오전 10:49:34


정답과 풀이

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Cª=6 300-48=252 yy ➌
그러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252
35_6=21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Ú, Û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➊ 네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를 구한 경우 30`%
420+210=630 천의 자리와 일의 자리에 모두 짝수가 놓이는
➋ 50`%
 630 경우의 수를 구한 경우
천의 자리 또는 일의 자리 중 적어도 한 자리에
➌ 20`%
홀수가 놓이는 경우의 수를 구한 경우
21 조건 (가)에서 함수  f는 일대일함수이고, 조건 (나)에
서  f(2)_f(5)의 값이 홀수이므로  f(2)와  f(5)의 값은 모두
홀수이어야 한다.
23 2장의 카드에 적힌 수가 모두 2 또는 3 또는 5의 배수이면
Ú ‌ f(2)=1,  f(5)=5인 경우 두 수는 1 이외의 공약수를 갖는다.
 f(1)=0이고,  f(3)과  f(4)의 값은 2, 3, 4 중에서 두 개를 Ú ‌선택한 두 장의 카드에 적힌 수가 모두 2의 배수인 경우의
택하여 작은 수는  f(3), 큰 수는  f(4)에 대응하면 되므로 수는 2, 4, 6, 8, 10, 12가 적힌 카드에서 2장을 택하는 경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우의 수와 같으므로
£Cª=3 ¤Cª=15 yy ➊
Û ‌ f(2)=1,  f(5)=7인 경우 Û ‌선택한 두 장의 카드에 적힌 수가 모두 3의 배수인 경우의
 f(1)=0이고,  f(3)과  f(4)의 값은 2, 3, 4, 5, 6 중에서 수는 3, 6, 9, 12가 적힌 카드에서 2장을 택하는 경우의 수
두 개를 택하여 작은 수는  f(3), 큰 수는  f(4)에 대응하면 와 같으므로
되므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Cª=6 yy ➋
°Cª=10 Ü ‌선택한 두 장의 카드에 적힌 수가 모두 5의 배수인 경우의
Ü ‌ f(2)=3,  f(5)=7인 경우 수는 5, 10이 적힌 카드에서 2장을 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
 f(1)의 값은 0, 1, 2 중 하나이고,  f(3)과  f(4)의 값은 4, 으므로
5, 6 중에서 두 개를 택하여 작은 수는  f(3), 큰 수는  f(4) ªCª=1 yy ➌
에 대응하면 되므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Ú, Û에서 6, 12가 적힌 카드를 택하는 경우가 중복되므로 구
£CÁ_£Cª=3_3=9 하는 경우의 수는
Ú ~ Ü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15+6+1-1=21 yy ➍
3+10+9=22  21
 2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선택한 2장의 카드에 적힌 수가 모두 2의 배수
➊ 30`%
22 Ú 6개의 숫자 0, 1, 2, 3, 4, 5에서 서로 다른 4개를 택 인 경우의 수를 구한 경우
하여
‌ 만들 수 있는 네 자리의 자연수의 개수는 천의 자리에 선택한 2장의 카드에 적힌 수가 모두 3의 배수
➋ 30`%
0이 올 수 없으므로 인 경우의 수를 구한 경우

¤P¢-°P£‌=6_5_4_3-5_4_3 선택한 2장의 카드에 적힌 수가 모두 5의 배수


➌ 30`%
인 경우의 수를 구한 경우
=360-60=300 yy ➊
선택된 2장의 카드에 적힌 두 수가 1 이외의 공
Û ‌천의 자리와 일의 자리에 모두 짝수가 놓이는 경우의 수는 ➍ 10`%
약수를 갖는 경우의 수를 구한 경우
0, 1, 2, 3, 4, 5에서 짝수는 0, 2, 4이고 천의 자리에는 0이
올 수 없으므로
=3_2_4_3-2_4_3
£Pª_¢Pª-ªPÁ_¢Pª
=48  yy ➋

40 올림포스•수학 (하)

(하) 해 01-40 올림기본-오3.indd 40 2017-11-01 오전 10:49:3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