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0

수학영역

정답과 해설
수학 II
‌ {X, y{Y에 대하여 x+y의 값
⑵ x y
Ⅰ 집합과 명제
을 구하면 오른쪽 표와 같다.
x
1
1
2
2
3
이때 x+y>3을 만족하는 x, y의 2 3 4
1. 집합
순서쌍 {x, y}는 {2, 2}, {3, 1}, 3 4 5

01 집합의 뜻과 표현 p.7 ~ 9 {3, 2}이므로


B=93, 4, 60
1 ㄷ, ㄹ
2 집합: ⑴, ⑵, ⑷, 유한집합: ⑵, ⑷, 무한집합: ⑴
3 ⑴ C=9-3, -2, -1, 0, 1, 20 5 ㄱ. A=900은 원소가 1개인 집합이므로 n{A}=1

1 1 ㄴ. A=98, 16, 24, y, 960이므로 n{A}=12


⑵ D=--1, - , 0, , 1=
2 2 ㄷ. A=9∅0은 원소가 1개인 집합이므로 n{A}=1
4 ⑴ A=91, 2, 30 ⑵ B=93, 4, 60 ㄹ. A=9x|0<x<10은
‌ 무한집합이므로 원소의 개수를 셀
5 ㄴ, ㄷ 6 16 수 없다.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 ‌‘잘하는’, ‘깨끗한’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그 대상을 분명하
게 정할 수 없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6 A=9{-1, 0}, {0, -1}, {0, 1}, {1, 0}0이므로
따라서 보기 중 집합인 것은 ㄷ, ㄹ이다.
n{A}=4
B=9-20, -10, -5, -4, -2, -1, 1, 2, 4, 5, 10, 200

2
x@+x+3=[x+ ]@+ >0이므로 x@+x+3<0을 만족
‌‘작은’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그 대상을 분명하게 정할 수 이므로 n{B}=12
1 11
없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2 4
따라서 집합인 것은 ⑴, ⑵, ⑷이고, 이때 ⑴은 원소가 무한 하는 실수 x는 존재하지 않는다.
히 많으므로 무한집합, ⑵는 원소가 2의 1개이므로 유한집 따라서 C=∅이므로 n{C}=0
합, ⑷는 공집합이므로 유한집합이다. ∴ n{A}+n{B}-n{C}=16

3 x@-x-2=0을 풀면
{x+1}{x-2}=0
∴ x=-1 또는 x=2
∴ B=9-1, 20
02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p.11 ~ 13

⑴ ‌a{A, b{B에 대하여 a-b의 값 1 풀이 참조 2 풀이 참조


a b -1 2
을 구하면 오른쪽 표와 같으므로 -1 0 -3 3 ⑴ 3 ⑵ a=3, b=-2 4 a=0, b=2
C=9-3, -2, -1, 0, 1, 20 0 1 -2 5 ⑴ 127 ⑵ 16 ⑶ 32 6 ⑴ 48 ⑵ 56
1 2 -1

‌ {A, b{B에 대하여


⑵ a
a
의 값을 1 ⑴ A
‌ =93, 5, 7, 90의 부분집합을 원소의 개수에 따라 구
b a b -1 2
하면
구하면 오른쪽 표와 같으므로 -1 1 -2!
원소가 0개인 것: ∅
1 1

2!
D=--1, - , 0, , 1= 0 0 0 원소가 1개인 것: ‌930, 950, 970, 990
2 2
1 -1 원소가 2개인 것: ‌93, 50, 93, 70, 93, 90, 95, 70,
95, 90, 97, 90
원소가 3개인 것: ‌93, 5, 70, 93, 5, 90, 93, 7, 90,
4 X=91, 2, 30, Y=91, 20 95, 7, 90
x 원소가 4개인 것: 93, 5, 7, 90
‌ {X, y{Y에 대하여 의 값을
⑴ x y

2!
y x 1 2
따라서 집합 A의 부분집합은
구하면 오른쪽 표와 같다. 1 1
이때 a는 정수이므로 ∅
 , 930, 950, 970, 990, 93, 50, 93, 70, 93, 90,

2#
2 2 1
95, 70, 95, 90, 97, 90, 93, 5, 70, 93, 5, 90,
A=91, 2, 30
3 3
93, 7, 90, 95, 7, 90, 93, 5, 7, 90

2 정답과 해설
⑵ B
‌ =97, 14, 210의 부분집합 중 원소 7을 포함하지 않는 ⑵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적어도 한 개의 짝수를 포함하는
부분집합을 원소의 개수에 따라 구하면 부분집합은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짝수를 한 개도 포함
원소가 0개인 것: ∅ 하지 않는 집합 91, 3, 90의 부분집합을 제외시키면 된다.
원소가 1개인 것: 9140, 9210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원소가 2개인 것: 914, 210 2^-2#=56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은 ∅, 9140, 9210, 914, 210

2 A=9-2, -1, 0, 1, 20
이때 집합 B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이고 원소가 3개이며 원
소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집합 9-2, -1, 1, 20의 부분
03 집합의 연산 p.15 ~ 17

집합 중 원소가 3개인 것과 같다. 1 ⑴ 90, 10 ⑵ 9-2, 2, 40 ⑶ 9-2, 40


따라서 구하는 집합 B는 2 ⑤ 3 9c, e, f 0 4 92, 11, 130
9-2, -1, 10, 9-2, -1, 20, 9-2, 1, 20, 9-1, 1, 20 5 ⑴ 92, 5, 7, 120 ⑵ 9120 6 91, 3, 50

3 ⑴ 3{A에서
‌ 3{B이므로 1 집합 B에서 x@-2x-3=0을 풀면

! a=0일 때,
2a+3=3 또는 3a-6=3 ∴ a=0 또는 a=3 {x+1}{x-3}=0
∴ x=-1 또는 x=3

@ a=3일 때,
A=92, 30, B=9-6, 3, 50이므로 A;B 집합 C에서 x@-2x-8<0을 풀면
{x+2}{x-4}<0

!, @에서 a=3
A=93, 50, B=93, 5, 90이므로 A[B ∴ -2<x<4
따라서 전체집합 U와 세 부분집합 A, B, C를 원소나열법
⑵ 5{A에서 5{B이므로 3a+2b=5 y`㉠ 으로 나타내면
8{B에서 8{A이므로 2a-b=8 y`㉡ U=9-2, -1, 0, 1, 2, 3, 40, A=9-1, 0, 10,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B=9-1, 30, C=9-1, 0, 1, 2, 30
‌ 5C=9-1, 30이므로
⑴ B
4 C[B[A가 성립하도록 세 A
B
A-{B5C}=90, 10
집합 A, B, C를 수직선 위 C
‌ 6B=9-1, 0, 1, 30이므로
⑵ A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1 a 0 2 b 3 x {A6B}C=9-2, 2, 40
같으므로 -1<a<0, 2<b<3 ‌ C=9-2, 2, 3, 40이므로
⑶ A
그런데 a, b는 정수이므로 a=0, b=2 AC-C=9-2, 40

5 A=95, 10, 15, 20, 25, 30, 350


2 주어진 집합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⑴ ‌집합 X는 집합 A의 진부분집합이므로 집합 X의 개수 ① ②
U U
A A
는 2&-1=127
⑵ ‌집합 X는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원소 10은 포함하고
원소 25, 30은 포함하지 않는 집합이므로 집합 X의 개 B C B C
수는 2&_!_@=2$=16
③ U ④ U
⑶ ‌집합 X는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원소 5, 35를 포함하 A A

는 집합이므로 집합 X의 개수는 2&_@=2%=32


B C B C
6 A=91, 2, 3, 6, 9, 180
⑴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원소 2 또는 9를 포함하는 부분 ⑤ U
A
집합은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원소 2, 9를 모두 포함하
지 않는 집합 91, 3, 6, 180의 부분집합을 제외시키면
B C
된다.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2^-2$=48 따라서 색칠한 부분을 나타내는 집합은 ⑤이다.

Ⅰ. 집합과 명제 3
3 전체집합 U와 주어진 조건을 만족 U 04 집합의 연산 법칙 p.19 ~ 21
A B
하는 두 부분집합 A, B를 벤 다이 a b c
e 1 ⑴ 32 ⑵ 8 2 n=-3, 0<m<2
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d g f
3 ⑴ B-A ⑵ A ⑶ A6B ⑷ C
같다.
∴ AC=9c, e, f 0
4 4 5 ⑴ 55 ⑵ 36 6 32명

1 ⑴ {A5BC}6X=X에서
‌ {A5BC}[X 

4 {A6BC}-{A5B}C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 이때 A5BC=A-B=9a0이므로 9a0[X


그림과 같다. 따라서 집합 X는 전체집합 U의 부분집합 중 원소 a를
U U U 포함하는 집합이므로 집합 X의 개수는
A B A B A B
2^_!=2%=32
-
‌ 6X=B6X를 만족하려면 집합 X는 두 집합
⑵ A
A6BC {A5B}C A5B A=9a, e, f 0, B=9c, d, e, f 0의 공통인 원소 e, f 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 a, c, d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즉, {A6BC}-{A5B}C=A5B이므로
따라서 집합 X는 전체집합 U의 부분집합 중 원소 a, c,
A5B‌=91, 2, 4, 11, 130-91, 4, 5, 7, 80
d를 포함하는 집합이므로 집합 X의 개수는
=92, 11, 130
2^_#=2#=8

5 A5B=92, 70이므로 7{B


2 X-A=∅에서 X[A y`㉠
a@-a-5=7이어야 하므로 {A-B}5XC=∅에서 {A-B}-X=∅
a@-a-12=0, {a+3}{a-4}=0 ∴ {A-B}[X y`㉡

! a=-3일 때,
∴ a=-3 또는 a=4 ㉠, ㉡에서 {A-B}[X[A
이때 A-B=9x|-3<x<00이므로 {A-B}[X[A를
A=9-5, -2, 70, B=92, 5, 70이므로 만족하도록 세 집합 A-B, X, A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

@ a=4일 때,
A5B=970 면 다음 그림과 같다.
A
X
A=92, 7, 120, B=92, 5, 70이므로 A-B

!, @에서
A5B=92, 70 -3=n 0 m 2 x

∴ n=-3, 0<m<2
A=92, 7, 120, B=92, 5, 70
⑴ A6B=92, 5, 7, 120
⑵ A-B=9120 3 ⑴ {A6B}5AC‌
‌ ={A5AC}6{B5AC}
=∅6{B-A}
=B-A
6 B[{A6B}이므로 ⑵ {A5BC}6{A5B}‌
‌ =A5{BC6B}

! a=0일 때,
a+1=1 또는 a+1=2 ∴ a=0 또는 a=1 =A5U
=A
A=9-3, 1, 40, B=91, 3, 4, 50이므로 ⑶ {AC-B}C6{B5C}
‌

@ a=1일 때,
A6B=9-3, 1, 3, 4, 50 ={AC5BC}C6{B5C}
={A6B}6{B5C}
A=91, 2, 40, B=92, 3, 4, 50이므로 =A6B`{∵ {B5C}[B[{A6B}}

!, @에서
A6B=91, 2, 3, 4, 50 ⑷ 9‌ B5{C6BC}069C5{C6A}0
=9{B5C}6{B5BC}06C`{∵ C[{C6A}}
A=91, 2, 40, B=92, 3, 4, 50 =9{B5C}6∅06C
따라서 A-B=910, B-A=93, 50이므로 ={B5C}6C
{A-B}6{B-A}=91, 3, 50 =C`{∵ {B5C}[C}

4 정답과 해설
4 {A26A3}‌5A4={A25A4}6{A35A4} p.22 ~ 23
A25A4는 2와 4의 공배수, 즉 4의 배수의 집합이므로
01 ③ 02 ② 03 13 04 ㄱ, ㄷ 05 32
A25A4=A4
06 ⑤ 07 ④ 08 60 09 4명
A35A4는 3과 4의 공배수, 즉 12의 배수의 집합이므로
10 최댓값: 25, 최솟값: 11 11 ⑤ 12 ⑤
A35A4=A12
13 39
∴ {A26A3}5A4‌={A25A4}6{A35A4}
=A46A12
01 ②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A
이때 4는 12의 약수이므로 A46A12는 4의 배수의 집합이다. ③ 3{A이므로 930[A
따라서 {A26A3}5A4=A4이므로 n=4 ⑤ 3{A, 5{A이므로 93, 50[A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5 ‌ C6BC={A5B}C이므로
⑴ A
n{AC6BC}=n{{A5B}C}=n{U}-n{A5B} 02 ㄱ. A[B이면
‌ 집합 B는 집합 A의 모든 원소를 포함하므
∴ n{A5B}‌=n{U}-n{AC6BC} 로 n{A}<n{B}
=75-62=13 ㄴ. ‌[반례] A=910, B=92, 30인 경우
n{A6B}=n{A}+n{B}-n{A5B}에서 n{A}=1, n{B}=2이므로 n{A}<n{B}이지만
n{A}+n{B}‌=n{A6B}+n{A5B} A;B
=42+13=55 ㄷ. A=B이면
‌ 집합 A와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같으므로
‌ C6B={A5BC}C={A-B}C이므로
⑵ A n{A}=n{B}
n{AC6B}‌=n{{A-B}C} ㄹ. ‌[반례] A=91, 20, B=93, 40인 경우
=n{U}-n{A-B} y`㉠ n{A}=n{B}=2이지만 A=B
한편 A6B={A-B}6{B-A}6{A5B}이고, 세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집합 A-B, B-A, A5B는 모두 서로소이므로
n{A6B}=n{A-B}+n{B-A}+n{A5B} 03 A=91, 2, 30, B=92, 40이므로
∴ n{A-B}‌=n{A6B}-n{A5B}-n{B-A} AC=94, 50, A-B=91, 30
=47-7-26=14 ∴ AC6{A-B}=91, 3, 4, 50
따라서 ㉠에서 따라서 구하는 모든 원소의 합은 1+3+4+5=13
n{AC6B}‌=n{U}-n{A-B}
=50-14=36 04 ㄱ. A A A

6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산을 좋아한다고 응답한 학생의 집 B C B C B C


A-B C {A-B}-C 서로 같다.
합을 A, 바다를 좋아한다고 응답한 학생의 집합을 B라고
A A A
하면
n{U}=40, n{A}=17, n{B}=21 -

산과 바다를 모두 좋아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의 집합은 B C B C B C


A B6C A-{B6C}
AC5BC={A6B}C이므로
n{{A6B}C}=5 ∴ {A-B}-C=A-{B6C}

∴ n{A6B}‌=n{U}-n{{A6B}C} ㄴ. A A A

=40-5=35 -
산과 바다 중 한 곳만 좋아한다고 응답한 학생의 집합은 B C B C B C
{A-B}6{B-A}이므로 A6B C {A6B}-C 같지 않다.

n{{A-B}6{B-A}}={n{A6B}-n{B}} A A A

+{n{A6B}-n{A}} 6
={35-21}+{35-17} B C B C B C
=32 A-B B-C {A-B}6{B-C}

따라서 구하는 학생은 32명이다. ∴ {A6B}-C={A-B}6{B-C}

Ⅰ. 집합과 명제 5
ㄷ. A A A 또 n{A}<n{A6B}이므로 n{A}<4 y`㉡

- ㉠, ㉡에서 2<n{A}<4

! n{A}=3일 때, n{B}=3, n{A5B}=2 K 3-4=2


B C B C B C
∴ n{A}=3 또는 n{A}=4

@ n{A}=4일 때, n{B}=4, n{A5B}=2 K 4-4=4


A5B A5C {A5B}-{A5C} 서로 같다.

그런데 @에서 n{A}=n{B}=n{A5B}이면 두 집합 A,


A A A

5
B C B C B C
B가 서로 같으므로 n{A}=3
A B-C A5{B-C} 전체집합 U의 부분집합 중 집합 A가 될 수 있는 것은

∴ {A5B}-{A5C}=A5{B-C} 9a, b, c0, 9a, b, d0, 9a, b, e0, 9a, c, d0, 9a, c, e0,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9a, d, e0, 9b, c, d0, 9b, c, e0, 9b, d, e0, 9c, d, e0
의 10개이고, 집합 B는 그 각각에 대하여 n{B}=3,
n{A5B}=2를 만족해야 한다.
05 A5{A-B}‌=A5{A5BC} 예를 들어 A=9a, b, c0일 때, 집합 B가 될 수 있는 것은
=A5BC
9a, b, d0, 9a, b, e0, 9a, c, d0, 9a, c, e0, 9b, c, d0,
=A-B=A
9b, c, e0의 6개이다.
∴ A5B=∅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따라서 집합 B는 전체집합 U=93, 4, 5, y, 110의 부분
10 K 6=60
집합 중 원소 4, 8, 9, 11을 포함하지 않는 집합이므로 그
개수는
2(_$=2%=32
09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앱 a, b, c를 사용하는 학생의 집
합을 각각 A, B, C라고 하면
06 A5B=A에서 A[B U
B n{U}=30, n{A}=10, n{B}=10, n{C}=12
⑤ AC-BC‌=AC5{BC}C A
세 개의 앱 중 어느 것도 사용하지 않는 학생이 8명이므로
=AC5B
n{AC5BC5CC}=n{{A6B6C}C}=8
=B5AC
∴ n{A6B6C}‌=n{U}-n{{A6B6C}C}
=B-A=∅ B-A
=30-8=22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n{A6B6C)=‌n{A}+n{B}+n{C}-n{A5B}
-n{B5C}-n{C5A}+n{A5B5C}
07 ① AsU={A-U}6{U-A}=∅6AC=AC 에서
② AsB‌={A-B}6{B-A} n{A5B}+n{B5C}+n{C5A}-n{A5B5C)
={B-A}6{A-B}=BsA =n{A}+n{B}+n{C}-n{A6B6C}
③ As∅={A-∅}6{∅-A}=A6∅=A =10+10+12-22=10 y`㉠
④ AsAC‌={A-AC}6{AC-A} 한 개의 앱만 사용하는 학생이 15명이므로
=A6AC=U=∅ n{A6B6C}-n{A5B}-n{B5C}-n{C5A}
⑤ ACsBC‌={AC-BC}6{BC-AC} +2\n{A5B5C}=15
={AC5B}6{BC5A} ∴ ‌n{A5B}+n{B5C}+n{C5A}-2\n{A5B5C}
={B5AC}6{A5BC} =n{A6B6C}-15
={B-A}6{A-B} =22-15=7 y`㉡
={A-B}6{B-A}=AsB ㉠, ㉡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n{A5B}+n{B5C}+n{C5A}=13
n{A5B5C}=3
08 A5B=∅에서 n{A5B}>0이므로 두 개의 앱만 사용하는 학생의 수는
n{A5B}‌=n{A}+n{B}-n{A6B} n{A5B}+n{B5C}+n{C5A}-3\n{A5B5C}
=2\n{A}-4>0 =13-3\3=4
∴ n{A}>2 y`㉠ 따라서 구하는 학생은 4명이다.

6 정답과 해설
10 회원 전체의 집합을 U, 국내 봉사 활동 경험이 있는 회원의 2. 명제
집합을 A, 해외 봉사 활동 경험이 있는 회원의 집합을 B라
고 하면
01 명제와 조건 p.25 ~ 27

n{U}=45, n{A}=31, n{B}=20 1 풀이 참조 2 풀이 참조


∴ n{A6B}‌=n{A}+n{B}-n{A5B} 3 ⑴ 9-3, -2, -1, 1, 20 ⑵ 930
=31+20-n{A5B} 4 ⑴∅ ⑵ 910 5 ⑴ 거짓 ⑵ 참 ⑶ 참 ⑷ 거짓
=51-n{A5B} 6 a>3
이때 n{A}<n{A6B}<n{U}이므로
31<51-n{A5B}<45 1 ⑴ 2x=2x이므로 참인 명제이다.

⑶ j9=3은 유리수이므로 거짓인 명제이다.


∴ 6<n{A5B}<20 ⑵ x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달라지므로 명제가 아니다.
국내 봉사 활동 경험만 있는 회원의 집합은 A-B이므로
n{A-B}=n{A}-n{A5B}=31-n{A5B} ⑷ 참, 거짓을 분명하게 판별할 수 없으므로 명제가 아니다.
이때 6<n{A5B}<20이므로 따라서 명제인 것은 ⑴, ⑶이고, ⑴은 참, ⑶은 거짓이다.
11<31-n{A5B}<25
∴ 11<n{A-B}<25 2 ⑴ 12는 2의 배수도 아니고 3의 배수도 아니다.
따라서 구하는 회원 수의 최댓값은 25, 최솟값은 11이다. ⑵ a, b는 모두 짝수가 아니다.
⑶ 1은 합성수이거나 소수이다.
11 ㄱ. ‌3!=3, 3@=9, 3#=27, 3$=81, 3%=243, y이므로 ⑷ x<-4 또는 x>5
A{3}=91, 3, 7, 90 ∴ 1{A{3}
ㄴ. 6‌ !=6, 6@=36, 6#=216, y이므로 3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A{6}=960 ∴ A{6};A{3}  @-3x=0에서 x{x-3}=0
p: x ∴ x=0이고 x=3
ㄷ. n
‌ =3일 때, A{27}=91, 3, 7, 90 ∴ P=9-3, -2, -1, 1, 20
∴ A{3#}=A{3}  @+x-2>0에서 {x+2}{x-1}>0
q: x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 x<-2 또는 x>1 ∴ Q=9-3, 2, 30
⑴ ‌조건 ‘~{~p}’의 진리집합은 {PC}C=P이므로
12 A6B=A에서 B[A P=9-3, -2, -1, 1, 20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집합 B가 공집합인 ⑵ ‌조건 ‘~p 그리고 q’의 진리집합은 PC5Q이므로

! B=∅인 경우
경우와 공집합이 아닌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PC5Q=Q-P=930

4
@ B=∅인 경우
mx+1=x, {m-1}x=-1에서 m=1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 x@+3>0에서 P=U=9x|x는 자연수0
집합 B의 원소는 -1 또는 2이다. q:`|x-1|<1에서 -1<x-1<1
-1{B이면 -m+1=-1에서 m=2 ∴ 0<x<2 ∴ Q=910
1 ⑴ ‌조건 ‘~( p 또는 q)’의 진리집합은 {P6Q}C이므로
2{B이면 2m+1=2에서 m=

!, @에 의하여 모든 실수 m의 값의 합은
2
{P6Q}C=UC=∅
⑵ ‌조건 ‘~( p 그리고 ~q)’의 진리집합은 {P5QC}C이므로
1 7
1+2+ = {P5QC}C=PC6Q=∅6Q=910
2 2

13 An5A2=A2n에서 n과 2의 최소공배수는 2n이다. 5 ⑴ ‌[반례] x=6일 때, x는 2의 배수이지만 4의 배수는 아니


즉, n과 2는 서로소이므로 n은 홀수인 자연수이다. 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90{{A2-An}이므로 90{A2, 90:An ⑵ ‌두 조건 p: x@+y@=0, q: xy=0의 진리집합을 각각 P,
즉, 90은 n의 배수가 아니므로 n은 90의 약수가 아니다. Q라고 하면
따라서 90 이하의 홀수는 45개이고, 90의 약수 중 홀수는 P=9{x, y}|x=0, y=00
1, 3, 5, 9, 15, 45의 6개이므로 구하는 자연수 n의 개수는 Q=9{x, y}|x=0 또는 y=00
45-6=39 따라서 P[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Ⅰ. 집합과 명제 7
⑶ ‌두 조건 p: x@-7x+10<0, q: 1<x<5의 진리집합을 3 ⑴ ‌역: 3x+1<13이면 x<3이다. (거짓)
각각 P, Q라고 하면 [반례] x=4이면 3x+1<13이지만 x>3이다. 
x@-7x+10<0에서 대우: 3x+1>13이면 x>3이다. (참)
{x-2}{x-5}<0 ∴ 2<x<5 ⑵ ‌역: 자연수 x, y에 대하여 xy가 짝수이면 x 또는 y가
∴ P=9x|2<x<50, Q=9x|1<x<50 짝수이다. (참)
따라서 P[Q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대우: 자연수 x, y에 대하여 xy가 홀수이면 x, y가 모
⑷ ‌[반례] x=1, y=3일 때, x+y=4는 짝수이지만 x, y 두 홀수이다. (참)
는 홀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4 주어진 명제가 참이므로 그 대우 ‘x>k이고 y>-2이면
6 두 조건 p: -2<x<4, q: 1-a<x<a+2의 진리집합을 x+y>5이다.’도 참이다.
각각 P, Q라고 하면 x>k, y>-2에서 x+y>k-2이므로
P=9x|-2<x<40, Q=9x|1-a<x<a+20 k-2>5 ∴ k>7
명제 p`2!`q가 참이 되려면 P[Q이어야 한다. 따라서 k의 최솟값은 7이다.
P[Q를 만족하도록 두 집 Q
P
합 P, Q를 수직선 위에 나 5 ㄱ. ‌명제 r`2!`~q가 참이므로 그 대우인 명제 q`2!`~r
1-a -2 4 a+2 x
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도 참이다. 따라서 두 명제 p`2!`q, q`2!`~r가 모두
따라서 1-a<-2, 4<a+2이어야 하므로 a>3 참이므로 명제 p`2!`~r도 참이다.
ㄷ. ‌두 명제 r`2!`~q, ~q`2!`s가 모두 참이므로 명제
r`2!`s도 참이다. 따라서 명제 r`2!`s가 참이므로 그
대우인 명제 ~s`2!`~r도 참이다.

02 ‘모든’이나 ‘어떤’이 있는 명제 / 명제의 역과 대우 p.29 ~ 31


따라서 보기 중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1 ⑴ 거짓 ⑵ 거짓 ⑶ 참 ⑷ 참 2 64
6 조사에서 얻은 결과를 명제라 하고, 명제에 나타나는 각 조
3 풀이 참조 4 7 5 ㄱ, ㄷ 건 p, q, r, s를 다음과 같이 정하자.
6 ⑤ p: 10대, 20대에게 선호도가 낮다. q: 판매량이 적다.
r: 가격이 비싸다. s: 기능이 적다.
1 ⑴ ‌조건 ‘x+1>0’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주어진 결과 ㈎, ㈏, ㈐의 세 명제 p`2!`q, r`2!`~q,
P=90, 1, 2, 3, 40
s`2!`p는 모두 참이다.
따라서 P=U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각각의 보기를 조건 p, q, r, s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⑵ ‌조건 ‘x@-3=0’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P=∅이므
① ~r`2!`q ② s`2!`~q ③ ~q`2!`s
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④ p`2!`s ⑤ p`2!`~r
⑶ ‌조건 ‘|x|<5’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이때 명제 r`2!`~q가 참이므로 그 대우인 명제 q`2!`~r
P=9-2, -1, 0, 1, 2, 3, 40
도 참이다. 두 명제 p`2!`q, q`2!`~r가 모두 참이므로 명
따라서 P=U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제 p`2!`~r도 참이다.
⑷ ‌조건 ‘x+y=0’의 진리집합을 P라고 하면
따라서 항상 옳은 것은 ⑤이다.
P‌=9{x, y}|x+y=00
=9{-2, 2}, {-1, 1}, {0, 0}, {1, -1}, {2, -2}0
따라서 P=∅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03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 명제의 증명 p.33 ~ 35


2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16x+k>0이다.’ 1 ⑴ 필요조건 ⑵ 충분조건 ⑶ 필요충분조건
이차방정식 x@-16x+k=0의 판별식을 D라고 할 때, 주 2 ⑴ 필요 ⑵ 충분 ⑶ 충분
어진 명제의 부정이 참이 되려면 D<0이어야 하므로 3 a의 최댓값: 1, b의 최솟값: 1
D
=64-k<0 ∴ k>64 4 6 5 풀이 참조
4
6 ㈎ 유리수 ㈏ 서로소 ㈐ 2k ㈑ 2k@
따라서 상수 k의 최솟값은 64이다.

8 정답과 해설
1 ⑴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Q[P 5 주어진 명제의 대우 ‘자연수 n에 대하여 n이 3의 배수가 아니
따라서 q`jjk`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면 n@도 3의 배수가 아니다.’가 참임을 보이면 된다.
⑵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P[Q n이 3의 배수가 아니므로 n=3k-1 또는 n=3k-2{k는 자

! ‌n=3k-1일 때,
따라서 p`jjk`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연수}라고 하면
⑶ x
‌ @=y@``hjk``x=-y``hjk``|x|=|y|

@ ‌n=3k-2일 때,
따라서 p`hjk`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n@={3k-1}@=9k@-6k+1=3{3k@-2k}+1

!, @에 의하여 n@도 3의 배수가 아니다.


n@={3k-2}@=9k@-12k+4=3{3k@-4k+1}+1
2 P[QC에서 P5Q=∅
Q6R=Q에서 R[Q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도록 U
P Q
세 집합 P, Q, R를 벤 다이어그램 R 6 ㈎ 유리수 ㈏ 서로소 ㈐ 2k ㈑ 2k@
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⑴ ‌P[QC이므로 p`jjk`~q
따라서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04 절대부등식의 증명 p.37 ~ 39

‌ [Q이므로 r`jjk`q
⑵ R 2
1 풀이 참조 2 풀이 참조 3 ⑴ 16 ⑵ 5
따라서 r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⑶ ‌P[RC이므로 p`jjk`~r 9
4 6 5 ⑴ 5+5j2 ⑵ 5 6 10+10j2
따라서 p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1 ⑴ a
‌ @+b@+c@-ab-bc-ca

3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고 하면 1
= {2a@+2b@+2c@-2ab-2bc-2ca}
2
P=9x|x>a0, Q=9x|1<x<60, R=9x|b<x<50
1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Q[P y`㉠ = 9{a@-2ab+b@)+(b@-2bc+c@)+(c@-2ca+a@}0
2
r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R[Q y`㉡ 1
= 9{a-b}@+{b-c}@+{c-a}@0>0
㉠, ㉡에서 R[Q[P 2
∴ a@+b@+c@-ab-bc-ca>0
따라서 R[Q[P를 만족하도 P
Q 이때 등호는 a-b=0, b-c=0, c-a=0, 즉 a=b=c
록 세 집합 P, Q, R를 수직선 위 R

⑵ ‌ja+jb>0, ja+bl>0이므로 
일 때 성립한다.
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a 1 b 5 6 x
∴ a<1, 1<b<5
{ja+jb}@-{ja+bl}@‌={a+2jabk+b}-{a+b}
따라서 a의 최댓값은 1, b의 최솟값은 1이다.

따라서 {ja+jb}@>{ja+bl}@이므로 ja+jb>ja+bl


=2jabk>0

4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고 하면 이때 등호는 ab=0, 즉 a=0 또는 b=0일 때 성립한다.

! ‌|a|>|b|일 때,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PC[Q
p: x@-9x+18>0에서 {x-3}{x-6}>0 2
∴ x<3 또는 x>6 ∴ P=9x|x<3 또는 x>60 |a-b|>0, |a|-|b|>0이므로
∴ PC=9x|3<x<60 |a-b|@-{|a|-|b|}@={a@-2ab+b@}
q: {x-1}{x-a}<0에서 -{a@-2|ab|+b@}
a<1일 때, Q=9x|a<x<10 =2{|ab|-ab}
a=1일 때, Q=910 |ab|>ab이므로 2{|ab|-ab}>0
a>1일 때, Q=9x|1<x<a0 따라서 |a-b|@>{|a|-|b|}@이므로

@ |a|<|b|일
이때 PC[Q를 만족하도록 두 Q |a-b|>|a|-|b|
PC
집합 PC, Q를 수직선 위에 나 ‌ 때,
1 3 6 a x

!, @에 의하여 |a-b|>|a|-|b|
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a-b|>0, |a|-|b|<0이므로 |a-b|>|a|-|b|
∴ a>6
따라서 a의 최솟값은 6이다. 이때 등호는 |ab|=ab, 즉 ab>0일 때 성립한다.

Ⅰ. 집합과 명제 9
오른쪽 그림과 같이 sABC에서
⑴ [x+ ][x+ ]=x@+10+  6
1 9 9
3 ‌
x x x@ x
A
y
ABZ=x, ACZ=y라고 하면
x@>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10+ ‌>10+2qx@ K e
CA=90!이므로 x@+y@=100 B C
9 9 5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 부
x@ x@
=10+2 K 3=16 등식에 의하여

[단, 등호는 x@=


9 {1@+1@}{x@+y@}>{x+y}@ (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
, 즉 x=j3일 때 성립]
x@ 2 K 100>{x+y}@, {x+y}@<200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6이다. ∴ -10j2<x+y<10j2
1 1 x+y 10
⑵ ‌ + = = y`㉠ 그런데 ABZ+ACZ>BCZ에서 x+y>10이므로
x y xy xy

이때 sABC의 둘레의 길이는 x+y+10이므로


10<x+y<10j2

x+y>2jxyk`(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이때 x+y=10이므로 10>2jxyk, jxyk<5


20<x+y+10<10+10j2

1 1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10+10j2이다.


양변을 제곱하면 xy<25 ∴ > 
xy 25
1 1 10 2
㉠에서 + = > 
x y xy 5
2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이다.
5

p.40 ~ 41
4 a>0, b>0, c>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
하여 01 ⑤ 02 1등: C, 3등: A 03 ④ 04 ㄱ, ㄹ
b+c c+a a+b b c c a a b 05 ③ 06 ㄱ 07 ③ 08 풀이 참조
+ + ‌= + + + + + 
a b c a a b b c c 09 ② 10 ③ 11 ⑤ 12 23
=[ + ]+[ + ]+[ + ]
b a c a c b
a b a c b c
01 ① ‌[반례]
K e+2q K e+2q K e
2는 소수이지만 짝수이다. (거짓)
b a c a c b
>2q ② ‌[반례] x=0일 때, x는 실수이지만 x@=0이다. (거짓)
a b a c b c
‌ =2이므로 x@+5x-9>0이다. (거짓)
③ x
=2+2+2=6
④ ‌[반례] x=2, y=4일 때, xy도 짝수이고 x@+y@도 짝수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
이다. (거짓)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6이다.
⑤ ‌x+y=0 y`㉠, y+z=0 y`㉡, z+x=0 y`㉢
㉠+㉡+㉢을 하면 2{x+y+z}=0
5 ⑴ x
‌ @+y@=5이므로 ∴ x+y+z=0
x@+3x+y@+y=3x+y+5 이 식에 ㉠, ㉡, ㉢을 각각 대입하면 x=y=z=0 (참)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 의하여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⑤이다.
{3@+1@}{x@+y@}>{3x+y}@
(단, 등호는 x=3y일 때 성립) 02 C의 답변에 대하여 다음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 C
1 0 K 5>{3x+y}@ ∴ -5j2<3x+y<5j2 있다.
∴ 5-5j2<3x+y+5<5+5j2 ‌ 가 3등(참), D가 4등(거짓)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5+5j2이다. D의 답변: D가 3등(거짓) SG B가 2등(참)
‌ ,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 의하여
⑵ x B의 답변: B가 1등(거짓) SG A가 3등(참)

@ C
{1@+2@}{x@+y@}>{x+2y}@ 이때 A와 C가 모두 3등이므로 모순이다.
(단, 등호는 2x=y일 때 성립) ‌ 가 3등(거짓), D가 4등(참)
이때 x+2y=3이므로 5{x@+y@}>3@ D의 답변: D가 3등(거짓) SG B가 2등(참)
9
∴ x@+y@>  B의 답변: B가 1등(거짓) SG A가 3등(참)
5
A의 답변: A가 4등(거짓) SG C가 1등(참)
!, @에서 1등은 C, 2등은 B, 3등은 A, 4등은 D이다.
9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이다.
5

10 정답과 해설
03 명제 ‘~p이면 09 5x+7y=14이므로
{j5xk+j7yk}@‌=5x+7y+2j5xkj7yk
q이다.’가 거짓이면 PC;Q이므로 집합 PC
의 원소 중 집합 Q의 원소가 아닌 것을 찾으면 된다.
따라서 반례인 원소가 속하는 집합은 =14+2j35xyl y`㉠

5x+7y‌>2j5x K 7yl
PC-Q=PC5QC 5x>0, 7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04 P[{Q5R}를
14>21352xy32
만족하도록 세 집 U =2j35xyl (단, 등호는 5x=7y일 때 성립)
R
합 P, Q, R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Q y`㉡
P

{j5xk+j7yk}@=14+2j35xyl<14+14=28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 ㉡에 의하여
ㄱ. ‌P[Q이므로 p`2!`q는 참이다.
ㄴ. ‌Q;R이므로 q`2!`r는 거짓이다. ∴ 0<j5xk+j7yk<2j7
‌ C;Q이므로 ~r`2!`q는 거짓이다.
ㄷ. R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2j7이다.
ㄹ. ‌RC[PC이므로 ~r`2!`~p는 참이다.

10 p`jjk`q이므로 P[Q y`㉠


05 ③ ‌벤 다이어그램에서 A-B=∅이므로 x{A이지만 ~p`jjk`q이므로 PC[Q y`㉡
x:B인 원소 x가 존재한다. ~r`jjk`p이므로 RC[P y`㉢
따라서 거짓인 명제는 ③이다. ㄱ. ㉡에서 PC[Q
ㄴ. ‌㉢에서 RC[P이므로 PC[R
06 ㄱ. ‌역: 자연수 x, y에 대하여 xy가 홀수이면 x, y는 홀수
이때 R=PC이면 R-PC=∅이다.
이다. (참) 
ㄷ. ‌㉠, ㉢에서 RC[P[Q
대우: 자연수 x, y에 대하여 xy가 짝수이면 x 또는 y
따라서 RC[Q이고 ㉡에서 PC[Q이므로
는 짝수이다. (참)
{RC6PC}[Q
ㄴ. ‌역: 삼각형 ABC에서 CA=CC이면 삼각형 ABC는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정삼각형이다. (거짓)
대우: 삼각형 ABC에서 CA=CC이면 삼각형 ABC
11 p: a=0, b=0
는 정삼각형이 아니다. (참)
a@-2ab+b@=0에서 {a-b}@=0
ㄷ. ‌역: 실수 x, y에 대하여 x@=y@이면 x#=y#이다. (거짓)
∴ a=b ∴ q: a=b
[반례] x=-2, y=2일 때, x@=y@이지만 x#=y#이다.
|a+b|=|a-b|에서 |a+b|@=|a-b|@, ab=0
대우: 실수 x, y에 대하여 x@=y@이면 x#=y#이다. (참)
∴ a=0 또는 b=0 ∴ r: a=0 또는 b=0
따라서 역과 대우가 모두 참인 명제는 ㄱ이다.
ㄱ. p`jjk`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ㄴ. ~p:
‌ a=0 또는 b=0, ~r: a=0, b=0
07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jjk`q
따라서 ~r`jjk`~p이므로 ~p는 ~r이기 위한 필요조
~r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q`jjk`~r
건이다.
ㄴ. ‌두 명제 p`2!`q, q`2!`~r가 모두 참이므로 명제
ㄷ. {q이고
‌ r}: a=b=0
p`2!`~r도 참이다.
따라서 {q이고 r}`hjk`p이므로 {q이고 r}는 p이기 위
ㄷ. ‌명제 q`2!`~r가 참이므로 그 대우인 명제 r`2!`~q
한 필요충분조건이다.
도 참이다.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따라서 보기 중 항상 참인 명제는 ㄴ, ㄷ이다.

49
08 소수가 유한개라고 가정하자. 12 x>3에서 x-3>0이므로 x@-9>0,
x@-9
>0
유한개인 모든 소수를 p1, p2, p3, y, pn이라 하고, 그 중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최대의 소수를 pn이라고 하자. 49 49
x@+ ‌=x@-9+ +9

49 e+9=2 K 7+9=23
N=p1p2p3 y pn+1이라고 하면 자연수 N은 p1, p2, p3, x@-9 x@-9
y, pn 중 어떠한 소수로도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므로 N은 >2q{x@-9} K

[단, 등호는 x@-9=


x@-9
소수이다.
49
이때 N>pn이므로 pn이 최대의 소수라는 것에 모순이다. , 즉 x=4일 때 성립]
x@-9
따라서 소수의 개수는 무한히 많다.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3이다.

Ⅰ. 집합과 명제 11
5 f{1}=g{1}에서 2+a=3-b, a+b=1 y`㉠
Ⅱ 함수
f{2}=g{2}에서 4+a=10-2b, a+2b=6 y`㉡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5
1. 함수
∴ b-a=9

01 함수의 뜻과 그래프 p.43 ~ 45

1 ㄱ, ㄴ 2 ㄴ, ㄷ 3 9-5, -3, -1, 10


6 두 함수 f{x}=x @+2x, g{x}=x+6에 대하여 f=g가 되
기 위해서는 정의역 X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x}=g{x}
4 -2 5 9 6 3
이어야 한다.
x @+2x=x+6에서 x @+x-6=0
1 각 대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
{x+3}{x-2}=0 ∴ x=-3 또는 x=2
ㄱ. f ㄴ. X Y
X Y 따라서 X는 집합 9-3, 20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어
0 0
0 0
1 1 야 하므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1 1
2 2 2@-1=3
2 2 3
3

ㄷ. h
X Y
0
0
1
1
2
2
3
02 여러 가지 함수 p.47~49
이때 ㄷ은 X의 원소 0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1 ⑴ ㄱ, ㄷ ⑵ ㄱ ⑶ ㄹ 2 4
따라서 X에서 Y로의 함수인 것은 ㄱ, ㄴ이다. 3 0 4 -1<a<1 5 65
6 9
2 주어진 그래프 위에 직선 x=a(a는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
를 그어 교점이 1개인 것을 찾는다. 1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를 각각 좌표평면 위에 나타낸 후 직선

ㄱ. y ㄴ. y y=a (a는 상수)를 그어 교점을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ㄱ. y y=x ㄴ. y y=2x@

O a x a a
O a x
O x
O x
ㄷ. y ㄹ. y
ㄷ. y ㄹ. y
3
O a x
O a x O x
O 3 x
-2
a a y=-2
따라서 보기 중 함수의 그래프인 것은 ㄴ, ㄷ이다. y=-x+3
⑴ ‌일대일 대응의 그래프는 공역의 임의의 원소 a에 대하여
3 X=91, 2, 3, 40이므로 직선 y=a와 한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ㄱ, ㄷ이다.
f{1}=-2 K 1+3=1, f{2}=-2 K 2+3=-1  ⑵ ‌정의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일 때, 항등함수의 그래프는
f{3}=-2 K 3+3=-3, f{4}=-2 K 4+3=-5 직선 y=x이므로 ㄱ이다.
따라서 함수 f 의 치역은 9-5, -3, -1, 10 ⑶ ‌정의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의 그래프는 x
축에 평행한 직선이므로 ㄹ이다.
4 f{x+y}=f{x}+f{y}에 x=0, y=0을 대입하면
f{0}=f{0}+f{0} ∴ f{0}=0 2 함수 f 가 항등함수이므로 f{1}=1, f{3}=3
f{x+y}=f{x}+f{y}에 x=3, y=-3을 대입하면 f{3}=g{1}이므로 g{1}=3
f{0}=f{3}+f{-3} 이때 함수 g가 상수함수이므로 g{x}=3
0=2+f{-3} ∴ f{-3}=-2 따라서 g{5}=3이므로 f{1}+g{5}=4

12 정답과 해설
3 함수 f 가 일대일 대응이 되려면 치역과 공역이 같아야 한다. 2 {g J f}{1}=g{ f{1}}=2이고 f{1}=2이므로 g{2}=2
따라서 f{x}=-x+b에서 함수 y { f J g}{3}=f{g{3}}=1이고 g{3}=3이므로 f{3}=1
3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이때 두 함수 f, g는 X에서 X로의 일대일 대응이므로
같이 두 점 {-2, 3}, {a, -1}을 지나 f{2}=3, g{1}=1
O
야 하므로 -2 a x ∴ f{2}+g{1}=4
-1
2+b=3, -a+b=-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3 f J g=g J f에서 { f J g}{x}={g J f}{x}
∴ a-2b=0 { f J g}{x}=f{g{x}}=f{2x-1}=2x-1-a
{g J f}{x}=g{ f{x}}=g{x-a}
4 함수 f 가 일대일 대응이 되려면 함 y=f{x} y =2{x-a}-1=2x-2a-1
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 f J g}{x}={g J f}{x}이므로
림과 같아야 한다. 2 2x-1-a=2x-2a-1
따라서 x<0일 때, 직선의 기울기 O x -a=-2a에서 a=0
가 음수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f{x}=x이므로 f{-1}=-1
a @-1<0, {a+1}{a-1}<0 ∴ -1<a<1

일대일함수를 f : X 2! Y라고 하면
4 { f J f}{x}=f{ f{x}}=f{ax+b}
5 =a{ax+b}+b=a @x+ab+b
f{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 4, 5 중 하나이므로
이므로
5개,
{ f J f J f}{x}=f{{ f J f}{x}}=f{a @x+ab+b}
f{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1}의 값을 제외한 4개,
=a{a @x+ab+b}+b=a #x+a @b+ab+b
f{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1}, f{2}의 값을 제외한 3개
{ f J f J f}{x}=-8x+6이므로
이다.
a #x+a @b+ab+b=-8x+6
따라서 일대일함수의 개수는 a=5 K 4 K 3=60
따라서 a #=-8, a @b+ab+b=6이므로
상수함수는 정의역의 모든 원소 1, 2, 3에 1 또는 2 또는 3
a=-2, b=2 ∴ a+b=0
또는 4 또는 5를 대응시키는 함수이므로 상수함수의 개수는
b=5
5 ⑴ ‌f J h=g에서 { f J h}{x}=g{x}
∴ a+b=65
{ f J h}{x}=f{h{x}}=3h{x}+2이므로
3h{x}+2=6x-4, 3h{x}=6x-6
6 f{-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0, 1 중 하나이므로 3개,
f{x}=f{-x}에서 f{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1}의 ∴ h{x}=2x-2
⑵ ‌h J f=g에서 {h J f}{x}=g{x}
값과 같으므로 1개,
{h J f}{x}=h{ f{x}}=h{3x+2}이므로
f{0}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0, 1 중 하나이므로 3개
h{3x+2}=6x-4
이다.
t-2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f의 개수는 3x+2=t로 놓으면 x= 이므로
3
3 K 1 K 3=9 t-2
h{t}=6 K -4=2t-8
3
∴ h{x}=2x-8

03 합성함수 p.51~53
6 {{h J g} J f}{x}={h J {g J f}}{x}이고

1 22 2 4 3 -1 1
{g J f}{x}=g{ f{x}}=g[ x+1]
2
4 0 5 ⑴ h{x}=2x-2 ⑵ h{x}=2x-8 1
=2[ x+1]-5=x-3
6 h{x}=x @-7 2
이므로 h{{g J f}{x}}=h{x-3}=x @-6x+2
1 { f J g}{3}=f{g{3}}=f{7}=20 x-3=t로 놓으면 x=t+3이므로
{g J f}{1}=g{ f{1}}=g{2}=2 h{t}={t+3}@-6{t+3}+2=t @-7
∴ { f J g}{3}+{g J f}{1}=22 ∴ h{x}=x @-7

Ⅱ. 함수 13
04 역함수 p.55~57 5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y=f{x} y y=x
역함수 y=f _!{x}의 그래프는
1 2
1 2 2 -6 3 -2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

6 j2
1 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4 g{x}= 3 x+2 5 1 2
x
이때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 O
3 y=f _!{x}
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1 f _!{2}=5에서 f{5}=2이므로
직선 y=x의 교점과 같으므로
5+a=2 ∴ a=-3 1
-3x+2=x, 4x=2 ∴ x=
2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 , ]이므로 a= , b=


따라서 f{x}=x-3이므로 f{6}=3
또 g{x}=-3x-5이므로 g_!{-2}=k로 놓으면 1 1 1 1
2 2 2 2
g{k}=-2에서 -3k-5=-2
∴ a+b=1
-3k=3 ∴ k=-1
∴ g_!{-2}=-1
∴ f{6}+g_!{-2}=2
6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 y y=f{x} y=x

수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


3 y=g{x}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림
2
2
g_!{2}=1에서 g{1}=2이므로
과 같다.
-1+b=2 ∴ b=3
이때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은 O 2 3 x
따라서 g{x}=-x+3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 f J g}{x}=f{g{x}}=f{-x+3}
y=x의 교점과 같으므로
=a(-x+3)-1
{x-2}@+2=x, x @-5x+6=0
=-ax+3a-1
{x-2}{x-3}=0 ∴ x=2 또는 x=3
{ f J g}{x}=2x+c이므로

의 거리는 1{3-2}@+{3-2}@3=j2  k
따라서 두 교점의 좌표는 {2, 2}, {3, 3}이므로 두 점 사이
-ax+3a-1=2x+c
따라서 -a=2, 3a-1=c이므로
a=-2, c=-7
∴ a+b+c=-6

p.58~59
3 { f _! J { f _! J g}_! J f _!}{1}={ f _! J g_! J f J f _!}{1}
={ f _! J g_!}{1} 01 9-4, -20 02 f{3x+1}=6x+1
03 ④ 04 5 05 ③ 06 ②

07 f _!{x}=[
` 1
={g J f}_!{1}
x-5 {3<x<6}
{g J f}_!{1}=k로 놓으면 {g J f}{k}=1이므로
08 ④
{g J f}{k}=g{ f{k}}=g{-2k+3} x-1 {x>6}
3
1
= {-2k+3}-1 09 ⑤ 10 134 11 ①
2
1
=-k+ =1
2 01 f{-1}=g{-1}에서 -1-2a+b=-a+3b

1 a+2b=-1 y`㉠
∴ k=-
2 f{1}=g{1}에서 1-2a+b=a+3b
3a+2b=1 y`㉡
4 h J g J f=h J {g J f}=h에서 g J f 는 항등함수이고 f 가 일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대일 대응이므로 g는 f 의 역함수이다. 즉, f{x}=x #-2x @-1이므로 f{-1}=-4, f{1}=-2
y=3x-6으로 놓고 x에 대하여 풀면 따라서 함수 f 의 치역은 9-4, -20
1
3x=y+6 ∴ x= y+2
3
3-x
1 02 2
=t로 놓으면 x=-2t+3이므로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2
3
f{t}=-{-2t+3}+2=2t-1
1
∴ g{x}= x+2 ∴ f{3x+1}=2{3x+1}-1=6x+1
3

14 정답과 해설
03 !   f{1}=1이면 { f J f }{1}=f{ f{1}}=f{1}=1=2 ! -
‌ 2<x<1일 때, y=x+5로 놓으면 3<y<6

@ ‌  f{1}=2이면 { f J f }{1}=f{ f{1}}=f{2}=2


∴ f{1}=1 x에 대하여 풀면 x=y-5

@ x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y=x-5 {3<x<6}
즉, f{1}=f{2}이므로 일대일 대응이 아니다.  ‌ >1일 때, y=3x+3으로 놓으면 y>6

# ‌ f{1}=3이면 { f J f }{1}=f{ f{1}}=f{3}=2


∴ f{1}=2 1
x에 대하여 풀면 x= y-1
3
1
{ f J f }{3}=f{ f{3}}=f{2}=3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y= x-1 {x>6}

!, @에 의하여 구하는 역함수는


3
즉, f{1}=f{2}이므로 일대일 대응이 아니다.

!, @, #에 의하여 f{1}=4 f _!{x}=[


` 1
∴ f{1}=3   x-5   {3<x<6}

x-1 {x>6}
∴ { f J f }{1}=f{ f{1}}=f{4}=2 3

이때 함수 f 가 일대일 대응이므로 정의역의 원소 2, 3은 공


08
! f{x}=x인 함수는 1개
역의 원소 1, 3에 각각 하나씩 대응하여야 한다. f=f _!이므로 f J f 가 항등함수인 것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자기
그런데 f{3}=1이면 { f J f }{3}=f{ f{3}}=f{1}=4=3
이므로 f{3}=1 ∴ f{3}=3 f f
X X X
따라서 f{2}=1이므로 자신에 대응되는 원소가 a a a
f{2}+2 f{3}+3 f{4}=1+6+6=13 1개이고 나머지 2개는 b b b
c c c
서로 엇갈려 대응되는 함

04 f !{1}=f{1}=3 수는 자기 자신에 대응되

!, @에 의하여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f @{1}=f{ f{1}}=f{3}=2 는 원소가 a, b, c인 3가지 경우가 있으므로 3개

f #{1}=f{ f @{1}}=f{2}=1
f ${1}=f{ f #{1}}=f{1}=3 1+3=4

f %{1}=f{ f ${1}}=f{3}=2
⋮ 09 { f J f}_!{c}={ f _! J f _!}{c}=f _!{ f _!{c}}
즉, f N{1}의 값은 3, 2, 1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f _!{c}=k로 놓으면 f{k}=c
이때 100=3 K 33+1, 200=3 K 66+2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f{d}=c이므로 y y=f{x}
f !)){1}=f !{1}=3, f @)){1}=f @{1}=2 k=d ∴ f _!{c}=d y=x
d
c
∴ f !)){1}+f @)){1}=5 ∴ { f J f}_!{c}=f _!{d}
b
f _!{d}=L로 놓으면 f{L}=d a

05 {g J f}{x}=g{ f{x}}=g{ax+b}=ax+b+c=2x-3 오른쪽 그림에서 f{e}=d이므로 O a b c de x

∴ a=2, b+c=-3 y`㉠ L=e ∴ f _!{d}=e


f{1}=3에서 a+b=3 y`㉡ ∴ { f J f}_!{c}=f _!{ f _!{c}}=f _!{d}=e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c=-4
∴ a+b-c=7 10 f{n}이 최댓값을 가지려면 조건 ㈏에서
f{2n+1}=f{n}+1의 규칙을 따라야 한다.
06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하면 f 는 일대일 대응이다. 이때 조건 ㈎에서 f{1}=1이므로
따라서 f{x}=-3x+4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두 f{3}=f{1}+1=1+1=2
점 {-2, b}, {3, a}를 지나므로 f{7}=f{3}+1=2+1=3
b=10, a=-5 ∴ 2a+b=0 f{15}=f{7}+1=3+1=4
f{31}=f{15}+1=4+1=5
07 f{x}=|x-1|+|2x+4|에서 f{63}=f{31}+1=5+1=6
-2<x<1일 때, f{x}=-{x-1}+2x+4=x+5 f{127}=f{63}+1=6+1=7
x>1일 때, f{x}=x-1+2x+4=3x+3 이때 1<n<128이므로 f{n}은 n=127일 때, 최댓값 7을

∴ f{x}=[
x+5 {-2<x<1} 갖는다.
3x+3 {x>1} 따라서 a=127, M=7이므로 a+M=134

Ⅱ. 함수 15
11
! x<1일 때, f{x}=1이므로 y=g{ f{x}}=g{1}=1
y={g J f}{x}=g{ f{x}} 2 2 3
3 ⑴ ‌ + +
x @+2x x @+6x+8 x @+11x+28


@ x>1일 때, f{x}=3이므로 y=g{ f{x}}=g{3}=1


2 2 3

따라서 !, @에 의하여 모든 실수 x에
= + + 
x{x+2} {x+2}{x+4} {x+4}{x+7}

]+[ ]+[ ]
y
1 1 1 1 1 1
1 =[ - - -
대하여 y={g J f}{x}=1이므로 그래프 x x+2 x+2 x+4 x+4 x+7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x 1 1 x+7-x 7
= - = =
x x+7 x{x+7} x{x+7}
x-1 x+1 {x-1}@-{x+1}@
- {x+1}{x-1}
x+1 x-1
⑵ = 
x-1 x+1 {x-1}@+{x+1}@
+
2.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x+1 x-1 {x+1}{x-1}
-4x
01 유리식 p.61~63 =
{x+1}{x-1}
2x @+2


1 8 2 -6 {x+1}{x-1}
7 2x -4x{x+1}{x-1} 2x
3 ⑴ x{x+7} ⑵ -
x@+1
4 6 =
2{x @+1}{x+1}{x-1}
=-
x @+1
1 7
5 ⑴ 2 ⑵
30 6
1 12 5 1 1
4 7
=1+ =1+ =1+
7 7 2

1+
5 5
a bx+c a{x @-x+1}+{bx+c}{x+1}
1 +
x+1 x @-x+1
=
{x+1}{x @-x+1}
 =1+
1
=1+
1
1 1
1+ 1+
{a+b}x @-{a-b-c}x+a+c 5 1
= 2+
x #+1 2 2
{a+b}x @-{a-b-c}x+a+c 6 따라서 a=1, b=1, c=2, d=2이므로 a+b+c+d=6
즉, = 이 x에 대한
x #+1 x #+1
항등식이므로 a+b=0, a-b-c=0, a+c=6 5 ⑴ ‌3{x+3y}=5{2x-y} ∴ x=2y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c=4 x @+y @ {2y}@+y @ 5y @ 1
∴ = = =
5xy 5 K 2y K y 10y @ 2
∴ a-b+c=8
x+y y+z z+x
⑵ ‌ = = =k{k=0}로 놓으면
x+2 x-2 x+3 x-3 3 7 6
2 - - +
x+1 x-1 x+2 x-2

x+y=3k y`㉠
{x+1}+1 {x-1}-1 {x+2}+1 {x-2}-1 y+z=7k y`㉡
= - - + 
x+1 x-1 x+2 x-2

]-[1- ]-[1+ ]+[1- ]


z+x=6k y`㉢
1 1 1 1
=[1+ ㉠+㉡+㉢을 하면 2{x+y+z}=16k
x+1 x-1 x+2 x-2
1 1 1 1 ∴ x+y+z=8k y`㉣
=1+ -1+ -1- +1- 
x+1 x-1 x+2 x-2

]+[ ]
㉠, ㉡, ㉢을 각각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1 1 1 1 x=k, y=2k, z=5k
=[ - -
x+1 x+2 x-1 x-2
xy+yz-zx k K 2k+2k K 5k-5k K k 7k @ 7
1 1 ∴ = = =
= -  x @+y @+z @ k @+{2k}@+{5k}@ 30k @ 30
{x+1}{x+2} {x-1}{x-2}
{x-1}{x-2}-{x+1}{x+2} b+c c+a a+b
=
{x+1}{x+2}{x-1}{x-2} 6 a
=
b
=
c
=k에서
-6x b+c=ak, c+a=bk, a+b=ck
=
{x+1}{x-1}{x+2}{x-2}

! a+b+c=0일 때, k=2
세 식을 더하면 2{a+b+c}={a+b+c}k
따라서 주어진 등식은

@ ‌a+b+c=0일 때, 
-6x
{x+1}{x-1}{x+2}{x-2}
ax+b b+c -a
= b+c=-a이므로 = =-1 ∴ k=-1

!, @에 의하여 k의 값이 될 수 있는 모든 수의 합은
{x+1}{x-1}{x+2}{x-2} a a
이 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a=-6, b=0 ∴ a+b=-6 2+{-1}=1

16 정답과 해설
02 유리함수의 뜻과 그래프 p.65~67 3 주어진 그래프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이 x=-2, y=3이므
로 함수를
1 3 2 ㄱ, ㄷ 3 6 k
y= +3 {k<0} y`㉠
4 1 5 -1 6 10 x+2

이때 ㉠의 그래프가 점 [0, ]을 지나므로


으로 놓을 수 있다.
1
bx+3
1 함수 y=
x+a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 2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1 k


= +3 ∴ k=-5
2 2
b{x-2}+3 b{x-2+a}-ab+3
y= -1= -1 k=-5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2}+a x-2+a
5 3x+1
-ab+3 y=- +3=
= +b-1 x+2 x+2
x+a-2
따라서 a=3, b=1, c=2이므로 a+b+c=6
1
이 함수의 그래프가 함수 y= 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x
-ab+3=1, a-2=0, b-1=0 a a a
{2x+1}- +1 - +1

2[x+ ]
ax+1 2 2 2 a
∴ a=2, b=1 ∴ a+b=3
4 y=
2x+1
=
2x+1
=
1
+ 
2
1 2
함수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x
1 a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 , y=
2 2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 [- , ]


1 x+3
y= +1= 1 a
x+2 x+2
2 2
bx+3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가 함수 y= 의 그래프와 일치해야
x+a
1 a 1
하므로 - =b, =-1 ∴ a=-2, b=-
2 2 2
a=2, b=1 ∴ a+b=3 ∴ ab=1

4x-5 2{2x-2}-1 1
2 ㄱ. ‌y=
2x-2
=
2x-2
=-
2{x-1}
+2
5 y=
ax
2x+1
로 놓고 x에 대하여 풀면
4x-5 1 -y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y{2x+1}=ax, {2y-a}x=-y ∴ x=
2x-2 2x 2y-a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 -x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x-a
2x+1 {2x+2}-1 1 -x
ㄴ. ‌y=- =- = -1 ∴ f _!{x}=
2x+2 2x+2 2{x+1} 2x-a
2x+1 1 ax -x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f=f _!이므로 = ∴ a=-1
2x+2 2x 2x+1 2x-a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3x-2
4x-1 2 K 2x-1 1
6 함수 f{x}=
ax+b
의 그래프가 점 {2, -4}를 지나므로
ㄷ. ‌y= = =- +2
2x 2x 2x 6-2
-4= ∴ 2a+b=-1 y`㉠
4x-1 1 2a+b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2x 2x 함수 y=f _!{x}의 그래프가 점 {2, -4}를 지나므로 함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f{x}의 그래프는 점 {-4, 2}를 지난다.
2x-3 {2x-4}+1 1 -12-2
ㄹ. ‌y= = = +1 2= ∴ -4a+b=-7 y`㉡
2x-4 2x-4 2{x-2} -4a+b
2x-3 1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
2x-4 2x
3x-2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 f{x}=
x-3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때 f _!{4}=k로 놓으면 f{k}=4이므로
1 3k-2
따라서 함수 y=- 의 그래프와 평행이동하여 겹쳐지는 =4, 3k-2=4k-12 ∴ k=10
2x k-3
것은 ㄱ, ㄷ이다. ∴ f _!{4}=10

Ⅱ. 함수 17
jx k-1 jx k+1 {jx k-1}@+{jx k+1}@ 2{x+1}
jx k+1 jx k-1 {jx k+1}{jx k-1}
03 무리식 p.69~71
5 + = =
x-1


j2-2
2 2 K {-1+j2+1}
1 -x+7 2 a 3 ⑴ -1 ⑵ 2x+5 2j2

6 j3
= = 
-1+j2-1
4 10 5 -2-2j2 2j2{j2+2} 4+4j2
= = 

j1-x+
l j2x+4의
l 값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의 범위는
{j2-2}{j2+2} 2-4
1 =-2-2j2

jx k+jy {jx k+jy}@


1-x>0, 2x+4>0

jx k-jy {jx k-jy}{jx k+jy}


x+y+2jxyk
6
1x @+6x+93+14x @-16x+163
=1{x+3}@ 3+14{x-2}@ 3
∴ -2<x<1 = =
x-y
1 2+j3
x= = =2+j3
=|x+3|+2|x-2| 2-j3 {2-j3}{2+j3}

∴ 1x @+6x+93+14x @-16x+163
이때 -2<x<1이므로 x+3>0, x-2<0 1 2-j3
y= = =2-j3
=|x+3|+2|x-2| 2+j3 {2+j3}{2-j3}

jx k+jy x+y+2jxyk 4+2


따라서 x+y=4, x-y=2j3, xy=1이므로
=x+3-2{x-2}

jx k-jy j3
3
=-x+7 = = = =j3
x-y 2j3

1x @-4 3+1x @2=r[a+ ]@-4y+r[a+ ]@y


1 1
2 a a 04 무리함수의 뜻과 그래프 p.73~75

=r[a- ]@y+r[a+ ]@y


1 1

4 [2, - 2 ]
a a 1 2 2 2 3 0

=|a- |+|a+ |
1
1 1 5 -1 6 3
a a
1 1 1
이때
2
<a<1에서 1< <2이므로 a<
a a 1 함수 y=-jax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b만큼, y축의

1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동하면


∴ a- <0
a y=-1a{x-b}3+c
1 이 함수의 그래프가 함수 y=-j3x-6l+1=-13{x-2}3+1
또 a>0이므로 a+ >0

2 |a- 1 |+|a+ 1 |
a

∴ 1x @-43+1x @ =
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a a a=3, b=2, c=1 ∴ a-b+c=2

=-[a- ]+a+ =
1 1 2
a a a 2 함수 y=j-x+2l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
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⑴ ‌{1x @-13+x}{1x @-13-x}={1x @-13}@-x @


y=1-{x-1}+23-2=j-x+3l-2
3
이 함수의 그래프를 다시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jx+3l jx+2l
=x @-1-x @=-1

jx+3l-jx+2l jx+3l+jx+2l
y=jx+3l-2
⑵ ‌ - 

jx+3l{jx+3l+jx+2l}-jx+2l{jx+3l-jx+2l}
이 함수의 그래프가 함수 y=jax+bl+c의 그래프와 일치

{jx+3l-jx+2l}{jx+3l+jx+2l}
=  하므로

x+3+jx+3l jx+2l-jx+2l jx+3l+x+2


a=1, b=3, c=-2 ∴ a+b+c=2
= 
x+3-{x+2}
3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y=-jaxk {a<0}의 그래프를 x축의
=2x+5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

jx k-jx-1l
로 함수를

jx k+jx-1l {jx k+jx-1l}{jx k-jx-1l}


1
4 f{x}= =  y=-1a{x-2}3+2 {a<0} y`㉠

jx k-jx-1l
=jx k-jx-1l
로 놓을 수 있다.

0=-j-ak+2, j-ak=2, -a=4


= 이때 ㉠의 그래프가 점 {1, 0}을 지나므로
x-{x-1}

={j1-j0}+{j2-j1}+{j3-j2}+y+{j100l-j99k}
∴ ‌f{1}+f{2}+f{3}+y+f{100} ∴ a=-4
a=-4를 ㉠에 대입하면 y=-1-4{x-2}3+2
=j100l=10 따라서 a=-4, b=-2, c=2이므로 a-bc=0

18 정답과 해설
4 주어진 그래프는 함수 y=jaxk {a<0}의 그래프를 x축의 p.76~77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01 ⑤ 02 10j2 03 2 04 ③ 05 0
므로 함수를
3
y=1a{x-2}3-3 {a<0} y`㉠ 06 ① 07 ⑤ 08 ② 09 -2<k<- 2
으로 놓을 수 있다. 25
10 2 11 ④ 12 ④

-1=j-2al-3, j-2al=2
이때 ㉠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2x+2 x @+6x+8 2x @+5x-12


-2a=4 ∴ a=-2 01 x @-4
\
x @+x
_
x @-2x
a=-2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2{x+1} {x+2}{x+4} x{x-2}
= \ \ 
y=1-2{x-2}3-3=j-2x+4l-3 {x+2}{x-2} x{x+1} {x+4}{2x-3}
∴ a=-2, b=4, c=-3 2
=
2x-3
x-c
y= 에서
ax+b
x+3 {x-2}+5
y= = 
-2x+4 -2{x-2} 02 x=0이므로 x @-2x-1=0의 양변을 x로 나누면
5 1 1 1
=- - x-2- =0 ∴ x- =2
2{x-2} 2 x x

[x+ ]@=[x- ]@+4이므로


1 1 1
따라서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 이므로 두 점
2 x x

근선의 교점의 좌표는 [2, - ] [x+ ]@=2@+4=8


1 1
2 x
1
이때 x>0이므로 x+ =2j2
x

=[x+ ]#-3 K x K K [x+ ]


5 함수 y=j3x-1l+2의 치역이 9y|y>20이므로 역함수의 1 1 1 1
∴ x #+
정의역은 9x|x>20이다. x# x x x

j3x-1l=y-2, 3x-1={y-2}@
y=j3x-1l+2를 x에 대하여 풀면 ={2j2}#-3 K 2j2
=10j2
1 1
∴ x= {y-2}@+
3 3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2x-7 2{x-2}-3 3
1 1 03 y= x-2
=
x-2
=-
x-2
+2
y= {x-2}@+ 
3 3 2x-7 3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
1 4 5 x-2 x
= x @- x+ {x>2}
3 3 3 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
4 5 동한 것이다.
따라서 a=- , b= , c=2이므로
3 3
2x-7 y
a-b+c=-1 3<x<5에서 함수 y= 의
x-2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2
6 함수 y=jx-al+b의 치역이 9y|y>b0이므로 역함수의 정 x=5일 때 최댓값은 1 1
3
의역은 9x|x>b0이다. x=3일 때 최솟값은 -1 O 2 5 x
-1
따라서 M=1, m=-1이므로

jx-al=y-b, x-a={y-b}@
y=jx-al+b를 x에 대하여 풀면
M-m=2

∴ x={y-b}@+a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y y={x-b}@+a 3x+5 3{x+1}+2 2
y={x-b}@+a {x>b} 04 y= x+1
=
x+1
=
x+1
+3
이 역함수가 x=2일 때, 최솟값 1을 3x+5 2
에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를
가지므로 x+1 x
a
a=1, b=2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
O b x
∴ a+b=3 한 것이므로 점 {-1, 3}에 대하여 대칭이다.

Ⅱ. 함수 19
07 ① ‌y=j6-3x l-1=1-3{x-32}3-1
이므로 함수 y=j6-3x l-1의 그래
2 y
이때 함수 y= 의 그래프는 두 직선 y=x, y=-x에 대
x

프는 함수 y=j-3x l의 그래프를 x
3x+5 2
하여 각각 대칭이므로 평행이동한 함수 y= 의 그래 x
x+1 O
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 -1
프는 기울기가 1, -1이고 점 {-1, 3}을 지나는 직선에 대
하여 대칭이다. 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직선 y=bx+c의 기울기가 -1이므로 ② 정의역은 9x|x<20이다.

b=-1 ③ 치역은 9y|y>-10이다.

두 직선 y=x+a, y=-x+c가 점 {-1, 3}을 지나므로 ④ 그래프는 점 {2, -1}을 지난다.

3=-1+a, 3=1+c ∴ a=4, c=2 ⑤ ‌x=0일 때, y>0이므로 그래프는 제3사분면을 지나지

∴ a+b+c=5 않는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2x+a-1 2{x+2}+a-5 a-5


05 y= = = +2
x+2 x+2 x+2 08 주어진 그래프의 모양에서 b>0
2x+a-1 a-5 b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함수 y= +c의 그래프에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x x+a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x=-a, y=c이므로
평행이동한 것이다. -a>0, c<0
따라서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 y ∴ a<0, b>0, c<0

! a-5<0이어야 하므로 a<5 는 함수 y=ajx k의 그래프를 x축의 방


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함수 y=ajx+bl+c의 그래프 y
2

@ ‌x=0일 때, y<0이어야 하므로


O x
-2 O x
향으로 -b만큼, y축의 방향으로 c만
a-1 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a<0, -b<0,
<0, a-1<0
2
c<0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 @에 의하여 a<1
∴ a<1

09 함수 y=j2x-4l=12{x-2}3의 !@
그래프는 함수 y=j2x k의 그래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0이다. y
y=x+k

y= 2x-4
x-1 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
06 f1{x}=f{x}=
x 행이동한 것이고, 직선 y=x+k O 2 x
f2{x}={ f J f}{x}=f{ f{x}} 는 기울기가 1, y절편이 k인 직
x-1 x-1-x

! 함
-1 선이다.
x x 1
= = =-

j2x-4l=x+k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x-1 x-1 x-1 ‌ 수 y=j2x-4l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접할 때,
x x
f3{x}={ f J f J f}{x}=f{{ f J f}{x}} 2x-4=x @+2kx+k @
1 -1-{x-1}
- -1 x @+2{k-1}x+k @+4=0
x-1 x-1
= = =x
1 -1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
x-1 x-1 D
={k-1}@-{k@+4}=0
f4{x}={ f J f J f J f}{x} 4
x-1 -2k-3=0
=f{{ f J f J f}{x}}= 
x 3
∴ k=-

@ ‌직선 y=x+k가 점 {2, 0}을 지날 때,


⋮ 2
즉, f3{x}=f6{x}=f9{x}=y=f3n{x}{n은 자연수}는 항

!, @에 의하여 함수 y=j2x-4l의 그래프와 직선 


등함수이므로 0=2+k ∴ k=-2
1
f2000{x}=f3 K 666+2{x}=f2{x}=-
x-1
y=x+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는 k의 값의 범위는
따라서 a=0, b=-1, c=-1이므로
3
a+b+c=-2 -2<k<-
2

20 정답과 해설
10 ! ‌x>0일 때, 기울기가 1, -1이고 점 {2,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
함수 y=1-j2xk의 치역이 9y|y<10이므로 역함수의 식은
정의역은 9x|x<10이다. y={x-2}+2 ∴ y=x

j2xk=1-y, 2x={1-y}@
y=1-j2xk를 x에 대하여 풀면 y=-{x-2}+2 ∴ y=-x+4
따라서 f{x}의 그래프는 두 직선 y=x, y=-x+4에
1 대하여 대칭이다.
∴ x= {1-y}@
2
ㄷ. ‌함수 f{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f{x}의 역함수는 자기 자신이다.
1
y= {1-x}@ {x<1}

@ ‌x<0일 때,
2 따라서 f{x}의 그래프와 f{x}의 역함수의 그래프는 일
치한다.
함수 y=j1-2xl의 치역이 9y|y>10이므로 역함수의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정의역은 9x|x>10이다.
y=j1-2xl를 x에 대하여 풀면
12 함수 f{x}=j2x+3l의 치역이 9y|y>00이므로 역함수의 정
y @=1-2x, 2x=1-y @
의역은 9x|x>00이다.
1 1
∴ x=- y @+  y=j2x+3l으로 놓고 x에 대하여 풀면
2 2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y @=2x+3, 2x=y @-3
1 1 1
y=- x @+ {x>1} ∴ x= {y @-3}
2 2 2

( 1 {1-x}@ {x<1}
!, @에 의하여 f _!{x}=-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2 1
y= {x @-3} {x>0}
1 1 2
9- 2 x @+ 2 {x>1}
따라서 두 함수 f{x}와 g{x}는 서로 역함수의 관계이다.
25 즉, 함수 y=f{x}의 그래프와 함수 y=g{x}의 그래프는
∴ { f _! J f _!}{3}=f _!{ f _!{3}}=f _!{-4}=
2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그래프의 교점은 함수
x>0일 때 함수 y=1-j2xk의 치역은 9y|y<10

j2x+3l=x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y=f{x}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이고, x<0일 때 함수 y=j1-2xl의 치역은 9y|y>10이다.
{ f _! J f _!}{3}=f _!{ f _!{3}}에서
2x+3=x @, x @-2x-3=0

j1-2al=3, 1-2a=9
f _!{3}=a로 놓으면 f{a}=3
{x+1}{x-3}=0 ∴ x=-1 또는 x=3
∴ a=-4 ∴ f _!{3}=-4
그런데 x>0이므로 x=3 ∴ A{3, 3}
∴ { f _! J f _!}{3}=f _!{-4}
1

1-j2bk=-4, j2bk=5, 2b=25


f _!{-4}=b로 놓으면 f{b}=-4 점 C는 점 B[ ,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2

]
1
이므로 C[2,
2

∴ BCZ=r[2- ]@+[ -2]@y=


25 25
∴ b= ∴ f _!{-4}=
2 2 1 1 3j2
25 2 2 2
∴ { f _! J f _!}{3}=f _!{-4}=
2 1
한편 점 B[ , 2]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 L의 방정
2
2x-3 2{x-2}+1 1
11
y=-[x- ]+2
‌f{x}= = = +2 식은
x-2 x-2 x-2
1 5
1 ∴ y=-x+
ㄱ. ‌함수 g{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 2 2
x
점 A{3, 3}에서 직선  y y=g{x}
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함수 f{x}의 그래
5 L
프와 일치한다. y=-x+ , 즉 2x+2y-5=0 y=f{x}
2
1 B A
ㄴ. ‌함수 y= 의 그래프는 두 직선 y=x, y=-x에 대하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12@+2@3
x H
|6+6-5| 7j2 C
2x-3 AHZ= =
여 각각 대칭이므로 평행이동한 함수 f{x}= 의 4 O x
x-2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그래프는 기울기가 1, -1이고 점 {2, 2}를 지나는 직
1 1 3j2 7j2 21
선에 대하여 대칭이다.  K BCZ K AHZ= K K =
2 2 2 4 8

Ⅱ. 함수 21
25 100
Ⅲ 수열 따라서 =
p+1 p+q+2
이므로

p+q+2=4{p+1} ∴ q=3p+2
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01 등차수열 p.79 ~ 81
5 ⑴ a+1은 a-4와 7의 등차중항이므로
a-4+7
a+1=
1 ⑴ 86 ⑵ -25 2 ⑴ 제36항 ⑵ 제19항 2
2a+2=a+3 ∴ a=1
3 8 4 q=3p+2
7은 a+1과 b의 등차중항이고 a=1이므로
5 ⑴ a=1, b=12 ⑵ -4, -2, 0, 2
2+b
6 -18 7=
2
14=2+b ∴ b=12
1 ⑴ 첫째항이 2, 공차가 6인 등차수열이므로 ⑵ 등차수열을 이루는 네 수를 a-3d, a-d, a+d, a+3d
a15=2+14 K 6=86 로 놓으면 네 수의 합이 -4이므로
1 5
⑵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고 하면 a2=- , a5=- 이 {a-3d}+{a-d}+{a+d}+{a+3d}=-4
2 4
므로 4a=-4 ∴ a=-1
1 5 가운데 두 수의 곱은 처음 수와 마지막 수의 곱보다 8이
a+d=- , a+4d=-
2 4 크므로
1 1 {a-d}{a+d}={a-3d}{a+3d}+8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d=-
4 4

∴ a100=- +99 K [- ]=-25


a@-d@=a@-9d@+8
1 1
4 4 d@=1 ∴ d=-1
따라서 구하는 네 수는 -4, -2, 0, 2이다.

2 ⑴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고 하면 a5=10, a10=25에서


a+4d=10, a+9d=25
6 삼차방정식 x#+6x@-x+k=0의 세 실근을 a-d, a,
a+d로 놓으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d=3
{a-d}+a+{a+d}=-6
∴ an=-2+{n-1} K 3=3n-5
3a=-6 ∴ a=-2
3n-5>100에서 n>35
따라서 삼차방정식의 한 근이 -2이므로 방정식에 x=-2
따라서 처음으로 100보다 커지는 항은 제36항이다.
를 대입하면
⑵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고 하면 a3=30, a11=14에서
-8+24+2+k=0 ∴ k=-18
a+2d=30, a+10d=14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4, d=-2
∴ an=34+{n-1} K {-2}=-2n+36
-2n+36<0에서 n>18 02 등차수열의 합 p.83 ~ 85

따라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제19항이다. 1 ⑴ -4 ⑵ 24 2 -450 3 -92


4 -2

3 첫째항이 -18, 공차가 3인 등차수열에서 제{m+2}항이 5 ⑴ an=2n+5 ⑵ a1=2, an=-4n+5 {n>2}


9이므로 6 1560
-18+{m+2-1} K 3=9
3m-15=9 ∴ m=8 1 ⑴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고 하면
n{50+14}
Sn= =320
2
4 공차를 d라고 하면 첫째항이 -2, 제{p+2}항이 23이므로 32n=320 ∴ n=10
25 공차를 d라고 하면 제10항이 14이므로
-2+{p+2-1}d=23 ∴ d=
p+1
50+9d=14
또 제{p+q+3}항이 98이므로
9d=-36 ∴ d=-4
100
-2+{p+q+3-1}d=98 ∴ d=
p+q+2 따라서 주어진 등차수열의 공차는 -4이다.

22 정답과 해설
⑵ ‌첫째항을 a, 공차를 d,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5 ⑴ ! ‌n=1일 때,

@ ‌n>2일 때,
Sn이라고 하면 a1=S1=1+6=7
492a+{4-1}d0
S4=28이므로 =28
2 an‌=Sn-Sn-1
∴ 2a+3d=14 y`㉠ ={n@+6n}-9{n-1}@+6{n-1}0
1292a+{12-1}d0 =2n+5 y`㉠
S12=-12이므로 =-12
2
이때 a1=7은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일반
∴ 2a+11d=-2 y`㉡

⑵ ! ‌n=1일 때,
항은 an=2n+5
㉠, ㉡을 연립하여 풀면 a=10, d=-2
892 K 10+{8-1} K {-2}0

@ ‌n>2일 때,
∴ S8= =24 a1=S1=-2+3+1=2
2

an‌=Sn-Sn-1
2 첫째항을 a, 공차를 d,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
={-2n@+3n+1}-9-2{n-1}@+3{n-1}+10
라고 하면
=-4n+5 y`㉠
1092a+{10-1}d0
S10=-50이므로 =-50 이때 a1=2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지 않으므로
2
일반항은
∴ 2a+9d=-10 y`㉠
a1=2, an=-4n+5`{n>2}
또 S20-S10=-250에서 S20=S10-250=-300이므로

! ‌n=1일 때,
2092a+{20-1}d0
2
=-300
6

@ ‌n>2일 때,
∴ 2a+19d=-30 y`㉡ a1=S1=2-4=-2
㉠, ㉡을 연립하여 풀면 a=4, d=-2
3092 K 4+{30-1} K {-2}0 an‌=Sn-Sn-1
∴ S30= =-750
2 ={2n@-4n}-92{n-1}@-4{n-1}0
따라서 제21항부터 제30항까지의 합은 =4n-6 y`㉠
S30-S20=-750+300=-450 이때 a1=-2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일반항은
an=4n-6
따라서 a2=2, a4=10, a6=18, y, a40=154이므로
3 일반항 an은
an=-22+{n-1} K 3=3n-25 a2+a4+a6+y+a40은 첫째항이 2, 끝항이 154이고 항수가

25 20인 등차수열의 합과 같다.


3n-25<0에서 n< =8.33`y
3 20{2+154}
∴ a2+a4+a6+y+a40= =1560
즉, 제8항까지는 음수이고 제9항부터는 양수이다. 2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8항까지의 합이 최소가 되고, 그때의
최솟값은
03 등비수열 p.87 ~ 89

j3
892 K {-22}+{8-1} K 30
S8= =-92
2
3
1 ⑴ 27 ⑵
8 2 제7항

5 50 K [ 3 ]@)
3 ⑴ 40 ⑵ 1, -2, 4 4 4
4 S5의 값이 임의의 Sn의 값보다 크므로 Sn은 n=5일 때 최
2
대가 된다. 6 243만 명
따라서 a5>0, a6<0이어야 하므로 공차를 d(d는 정수)라

1
j3
고 하면 ⑴ 공비를 r라고 하면
9 1
a5=9+4d>0에서 d>- =-2.25 a5=j3r$= ∴ r$=
4

j3
9 9
9
a6=9+5d<0에서 d<- =-1.8 그런데 r는 실수이므로 r=-
5

j3
3
∴ -2.25<d<-1.8 1
∴ a7=a1r^=j3 K =
이때 d는 정수이므로 d=-2 27 27

Ⅲ. 수열 23
⑵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고 하면 2
a=- 를 ㉠에 대입하면
a2=3에서 ar=3 y`㉠ r
2
a5:a8=8:1에서 - {1+r+r@}=3
r
1
ar$:ar&=8:1, 8ar&=ar$ ∴ r#= 양변에 r를 곱하여 정리하면
8
1 2r@+5r+2=0, {r+2}{2r+1}=0
그런데 r는 실수이므로 r=
2 1
∴ r=-2 또는 r=-
2
1 1 a=3
r= 을 ㉠에 대입하면 ∴ a=6
2 2 1

∴ a5=ar$=6 K [ ]$=
따라서 r=-2일 때 a=1, r=- 일 때 a=4이므로
2
1 3
2 8 구하는 세 수는 1, -2, 4이다.

2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고 하면 4 f{x}=x@+3x+a라고 하면 다항식 f{x}를 x-1, x,


a2+a4=10에서 ar+ar#=10 x+1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나머지 정리에 의하여
∴ ar{1+r@}=10 y`㉠ f{1}=1+3+a=a+4
a3+a5‌=30에서 ar@+ar$=30 f{0}=a
∴ ar@{1+r@}=30 y`㉡ f{-1}=1-3+a=a-2
㉡_㉠을 하면 r=3 세 수 a+4, a, a-2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1 a@={a+4}{a-2}
r=3을 ㉠에 대입하면 3a K 10=10 ∴ a=
3
a@=a@+2a-8, 2a-8=0
1
∴ an= K 3N_!`{n=2, 3, 4, y} ∴ a=4
3
이때 an@의 값이 처음으로 10000보다 커지는 항은 an의 값
이 처음으로 100보다 커지는 항과 같으므로
5 n회 시행 후 남아 있는 선분의 길이를 an이라고 하면
1
K 3N_!>100, 3N_!>300 2
3 a1=50 K
3

K =50 K[ ]@
이때 3%=243, 3^=729이므로
2 2 2
n-1>6 ∴ n>7 a2=50 K
3 3 3

a3=50 K [ ]@ K =50 K[ ]#
따라서 an@의 값이 처음으로 10000보다 커지는 항은 제7항 2 2 2
3 3 3
이다.

∴ an=50 K [ ]N
``⋮
2
3 ⑴ ‌-4x는 x+5와 6x+10의 등비중항이므로 3

a20=50 K [ ]@)
{-4x}@={x+5}{6x+10}  따라서 20회 시행 후 남아 있는 선분의 길이는
x@-4x-5=0, {x+1}{x-5}=0 2
3
∴ x=-1 또는 x=5
그런데 x=-1이면 x+5=-4x=6x+10=4이므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6 이 도시의 올해 인구를 a명, 인구의 증가율을 r라고 하면 n
년 후의 인구는 a{1+r}N명이다.
∴ x=5
10년 후에는 27만 명이므로
따라서 세 수 중 가장 큰 수는
a{1+r}!)=27 K 10$ y`㉠
6x+10=6 K 5+10=40
20년 후에는 81만 명이므로
⑵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실수를 a, ar, ar@으로 놓으면
a{1+r}@)=81 K 10$ y`㉡
세 실수의 합이 3이므로 a+ar+ar@=3
㉡_㉠을 하면 {1+r}!)=3 y`㉢
∴ a{1+r+r@}=3 y`㉠
㉢을 ㉠에 대입하면 3a=27 K 10$
세 실수의 곱이 -8이므로 a K ar K ar@=-8
∴ a=9 K 10$
∴ {ar}#=-8
∴ a{1+r}#)=9 K 10$ K 3#=243 K 10$
그런데 ar는 실수이므로
따라서 30년 후의 인구는 243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2
ar=-2 ∴ a=- 있다.
r

24 정답과 해설
3 ! ‌n=1일 때,
04 등비수열의 합 p.91 ~ 93

@ ‌n>2일 때,
a1=S1=3 K 4@+k=48+k y`㉠
1 ⑴ -341 ⑵ 42 2 2
3 -12 4 682
an‌=Sn-Sn-1={3 K 4N"!+k}-{3 K 4N+k}
5 ⑴ 132만 3천 원 ⑵ 126만 원 6 79만 원 =3 K 4N{4-1}=9 K 4N y`㉡
이때 수열 9an0이 첫째항부터 등비수열을 이루려면 ㉡에
1 ⑴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고 하면 a3=4, a6=-32에서
n=1을 대입하여 얻은 값이 ㉠과 같아야 하므로
ar@=4 y`㉠
9 K 4=48+k ∴ k=-12
ar%=-32 y`㉡

! ‌n=1일 때,
㉡_㉠을 하면 r#=-8
4
그런데 r는 실수이므로 r=-2

@ ‌n>2일 때,
a1=S1=2@-2=2
r=-2를 ㉠에 대입하면
4a=4 ∴ a=1
an‌=Sn-Sn-1={2N"!-2}-{2N-2}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은
=2N{2-1}=2N y`㉠
1-{-2}!) 1023 이때 a1=2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일반항은
=- =-341
1-{-2} 3
an=2N
⑵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고 하면
∴ a1+a3+a5+a7+a9=2+2#+2%+2&+2(
a{rN-1}
Sn=24에서 =24 y`㉠ 29{2@}%-10
r-1 = =682
a{r@N-1} 2@-1
S2n=36에서 =36
r-1
a{rN-1}{rN+1} 5 ⑴ 1‌ 0년 말의 적립금의 원리합계는
=36 y`㉡ y
r-1 1년 초 2년 초 9년 초 10년 초 10년 말

㉠을 ㉡에 대입하면 24{rN+1}=36 10년간


1회 10만 원 10{1+0.05}!)
3 1 9년간
rN+1= ∴ rN= 2회 10만 원 10{1+0.05}(
2 2

y
y

y
a{r#N-1}
∴ S3n= 9회 10만 원
2년간
10{1+0.05}@
r-1
1년간
a{rN-1}{r@N+rN+1} 10회 10만 원 10{1+0.05}
=
r-1 10{1+0.05}+10{1+0.05}@+10{1+0.05}#
a{rN-1}
= K {r@N+rN+1} +y+10{1+0.05}!)
r-1

=24 K -[ ]@+ +1=


10{1+0.05}9{1+0.05}!)-10
1 1 =
2 2 {1+0.05}-1
=42 10\1.05\0.63
= =132.3(만 원)
0.05
따라서 132만 3천 원이다.
⑵ ‌10년 말의 적립금의 원리합계는
2 공비를 r라고 하면
1년 초 1년 말 2년 말 y 9년 말 10년 말
a1+a2+a3+y+a10=15에서
9년간
a1{r!)-1} 1회 10만 원 10{1+0.05}(
=15 y`㉠ 8년간
r-1 2회 10만 원 10{1+0.05}*

수열 a1, a3, a5, y의 공비는 r@이므로


y
y

1년간
9회 10만 원 10{1+0.05}
a1+a3+a5+a7+a9=5에서
10회 10만 원 10
a19{r@}%-10
=5 10+10{1+0.05}+10{1+0.05}@+y+10{1+0.05}(
r@-1
a1{r!)-1} 109{1+0.05}!)-10
=5 y`㉡ =
{r+1}{r-1} {1+0.05}-1
15 10\0.63
㉠을 ㉡에 대입하면 =5 = =126(만 원)
r+1 0.05
r+1=3 ∴ r=2 따라서 126만 원이다.

Ⅲ. 수열 25
6 갚아야 할 3000만 원의 48개월 후의 원리합계는 따라서 수열 9an0은 첫째항부터 제14항까지 양수이고 제15
3000{1+0.01}$*‌=3000\1.61 항부터 음수이다.
=4830(만 원) y`㉠ a14=1, a15=-2, a25=-32이므로
매달 말에 a만 원씩 갚는다고 하면 갚는 금액의 48개월 후 |a1|+|a2|+|a3|+y+|a25|
의 원리합계는 =a1+a2+a3+y+a14-a15-a16-a17-y-a25
a+a{1+0.01}+a{1+0.01}@+y+a{1+0.01}$& ={a1+a2+a3+y+a14}-{a15+a16+a17+y+a25}
a9{1+0.01}$*-10 a\0.61 14{40+1} 11{-2-32}
= =  = -
{1+0.01}-1 0.01 2 2
=61a(만 원) y`㉡ =287+187
㉠과 ㉡이 같아야 하므로 =474
61a=4830 ∴ a=79.180`y(만 원)
따라서 매달 갚아야 할 금액은 79만 원이다.
04 100 이상 20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5로 나누었을 때의 나
머지가 3인 수를 차례로 나열하면
103, 108, 113, 118, y, 198
위의 수열은 첫째항이 103, 공차가 5인 등차수열이므로 제
p.94 ~ 95 n항을 198이라고 하면
103+{n-1} K 5=198 ∴ n=20
01 ③ 02 2 03 474 04 ④ 05 ②
16 따라서 구하는 값은 첫째항이 103, 끝항이 198이고 항수가
06 42 07 ① 08 3 09 ③ 10 ④ 20인 등차수열의 합이므로
11 ② 12 16 13 ④ 20{103+198}
=3010
2
01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고 하면
a6+a9=52에서 {a+5d}+{a+8d}=52
∴ 2a+13d=52 y`㉠ 05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고 하면 S6=42이므로
36a+6=42 ∴ a=1
a8+a11=60에서 {a+7d}+{a+10d}=60

! ‌n=1일 때,
∴ Sn=n@+n
∴ 2a+17d=60 y`㉡
㉠, ㉡을 연립하여 풀면 a=13, d=2

@ ‌n>2일 때,
a1=S1=1+1=2
이때 제n항을 207이라고 하면
13+{n-1} K 2=207
an‌=Sn-Sn-1
∴ n=98
={n@+n}-9{n-1}@+{n-1}0
따라서 207은 제98항이다.
=2n y`㉠
이때 a1=2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일반항은
02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고 하면
an=2n
a2=-a8이므로 a2+a8=0
따라서 a2=4, a4=8, a6=12, y, a2n=4n이므로 수열
{a+d}+{a+7d}=0
9a2n0은 첫째항이 4,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다.
∴ a+4d=0 y`㉠
n92 K 4+{n-1} K 40
또 a4=-2이므로 ∴ a2+a4+a6+y+a2n‌=
2
a+3d=-2 y`㉡ =2n@+2n
㉠-㉡을 하면 d=2

06 공비를 r라고 하면 첫째항이 3, 제5항이 48이므로


03 공차를 d라고 하면
3r$=48 ∴ r$=16
a9=40+8d=16 ∴ d=-3
그런데 r>0이므로 r=2
∴ an‌=40+{n-1} K {-3}=-3n+43
따라서 x1=6, x2=12, x3=24이므로
43
-3n+43<0에서 n> =14.33`y x1+x2+x3=42
3

26 정답과 해설
07 a, b, -3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따라서 첫째항이 1, 공비가 101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2b=a-3 y`㉠ 제101항까지의 합이므로
-1, a,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 f`J`f }{1}=101!))+101((+101(*+y+101+1
a@=-b ∴ b=-a@ y`㉡ 1 K {101!)!-1} 101!)!-1
= =
㉡을 ㉠에 대입하면 -2a@=a-3 101-1 100

2a@+a-3=0, {2a+3}{a-1}=0
3 11 반지름의 길이가 4와 16인 동심원 사이의 동심원의 반지름
∴ a=- 또는 a=1
2 의 길이를 r1, r2, r3, y, r11이라고 하면
3 4, r1, r2, r3, y, r11, 16
그런데 a<0이므로 a=-
2
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3 9
a=- 을 ㉡에 대입하면 b=- 따라서 모든 동심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은
2 4
15 13{4+16}
∴ a+b=- 2p{4+r1+r2+r3+y+r11+16}‌=2p K
4 2
=260p

08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고 하면


1 1 1 1 1 1 1 1
12 수열 9S2n-10은 첫째항이 S1,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고,
+ + + ‌= + + +  S1=a1이므로
a1 a2 a3 a4 a ar ar@ ar#
r#+r@+r+1 S2n-1‌=S1+{n-1} K {-3}=a1-3n+3
= 
ar# 수열 9S2n0은 첫째항이 S2,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고,
a{r#+r@+r+1} 16 S2=a1+a2이므로
= = y`㉠
a@r# 15
S2n‌=S2+{n-1} K 2=a1+a2+2n-2
1 1 1 1 1 1 1
또 K = 에서 K = = 이때 a2=1이므로 S2n=a1+2n-1
a2 a3 5 ar ar@ a@r# 5
∴ a@r#=5 y`㉡ ∴ a8‌=S8-S7

a{r#+r@+r+1} 16 ={a1+2 K 4-1}-{a1-3 K 4+3}


㉡을 ㉠에 대입하면 =
5 15 =16
16
∴ a{r#+r@+r+1}=
3 13 입사 첫째 해의 연봉은 a원
∴ a1+a2+a3+a4‌=a+ar+ar@+ar# 입사 2년째의 연봉은 a{1+0.08}원
=a{1+r+r@+r#} 입사 3년째의 연봉은 a{1+0.08}@원
16
= ⋮
3
입사 19년째의 연봉은 a{1+0.08}!*원
2
09 주어진 등비수열의 첫째항이 1, 공비가 -13이므로 제n항 입사 20년째의 연봉은
3
a{1+0.08}!*원

을 -27j3이라고 하면 ⋮
1 K {-13}N_!=-2713, {-j3}N_!={-j3}& 2
입사 28년째의 연봉은 a{1+0.08}!*원
3
n-1=7이므로 n=8
따라서 이 회사에 입사한 사람이 28년 동안 근무하여 받는
따라서 구하는 합은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8항까지의 합
연봉의 총합은
이므로
a+a{1+0.08}+a{1+0.08}@+y+a{1+0.08}!&
1 K 91-{-13}*0 80
=- 2
1-{-13} 1+13 +a{1+0.08}!*+9 K a{1+0.08)!*
3
80{13-1} a9{1+0.08}!(-10
=-  = +6a{1+0.08}!*
{13+1}{13-1} {1+0.08}-1
=-4013+40 a{1.08!*\1.08-1}
= +24a
0.08
a{4\1.08-1}
10 f{1}=101이므로 =
0.08
+24a
{ f`J`f }{1}‌=f{ f{1}}=f{101}
131
= a
=101!))+101((+101(*+y+101+1 2

Ⅲ. 수열 27
2.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4 수열 {n+1}@, 2{n+2}@, 3{n+3}@, y, n{2n}@의 일반
항을 ak라고 하면
01 수열의 합 p.97 ~ 99
ak=k{n+k}@
1 ⑴ 200 ⑵ 726 2 75 ∴ {n+1}@+2{n+2}@+3{n+3}@+y+n{2n}@
n n
n@{n+1}{17n+7}
= ? ak‌= ? k{n+k}@
9217
3 ⑴ 825 ⑵ 4

⑵ 3j11k-j2+9 6 j2
512 12 k=1 k=1

98 n
5 ⑴ 99 = ? {k#+2nk@+n@k}
k=1
n n n
= ? k#+2n ? k@+n@ ? k

=@+2n K
100 100
⑴ ‌? {k+1}@- ? {k@+2k-1}
k=1 k=1 k=1
1 k=1 k=1 n{n+1} n{n+1}{2n+1} n{n+1}
=- +n@ K 
100 2 6 2
= ? 9{k+1}@-{k@+2k-1}0
k=1 n@{n+1}{17n+7}
=
100 12
= ? {k@+2k+1-k@-2k+1}
k=1
100 5 ⑴ ‌주어진 수열의 분모를 곱의 꼴로 변형하면
= ? 2=2 K 100=200
k=1 1 1 1 1
, , , , y
30 30 5 5 1K2 2K3 3K4 4K5
⑵ ‌? 2 K 3K- ? 2 K 3K‌= ? 2 K 3K=2 ? 3K
k=1 k=6 k=1 k=1 이 수열의 일반항을 an이라고 하면
3{3%-1} 1 1 1
=2 K =726 an= = -
3-1 n{n+1} n n+1
따라서 수열 9an0의 첫째항부터 제98항까지의 합은

? ak‌= ? [ 1 - 1 ]
n n n n
? {3ak+bk+1}‌=3 ? ak+ ? bk+ ? 1
98 98
2 k=1 k k+1

=[1- ]+[ - ]+[ - ]+y+[ - ]


k=1 k=1 k=1 k=1 k=1

=3 K 2n-2n+n=5n

∴ ? - ? {3ak+bk+1}=‌= ? 5n=5 ? n
1 1 1 1 1 1 1
5 n 5 5 2 2 3 3 4 98 99
n=1 k=1 n=1 n=1 1 98
=1- =
5K6 99 99
=5 K =75
2 ⑵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을 an이라고 하면

jnk+jn+2l
2
3 an‌= 

2{jn+2l-jnk}
⑴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을 an이라고 하면

{jn+2l+jnk}{jn+2l-jnk}
an=n{2n+1}=2n@+n
=

=jn+2l-jnk
따라서 수열 9an0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은
10 10 10 10
? ak‌= ? {2k@+k}=2 ? k@+ ? k
k=1 k=1 k=1 k=1
따라서 수열 9an0의 첫째항부터 제98항까지의 합은

? ak‌= ? {jk+2l-jkk}
10 K 11 K 21 10 K 11 98 98
=2 K + =825
6 2 k=1 k=1
⑵ ‌주어진 수열의 일반항을 an이라고 하면

+y+{j99k-j97k}+{j100k-j98k}
={j3-j1}+{j4-j2}+{j5-j3}
1 1 1 1
an‌=1+ + + +y+

=j99k+j100k-j1-j2
2 2@ 2#

1 K -1-[ ]N=
2N_!

=2-2 K [ ]N =3j11k-j2+9
1
2 1
=
1 2
1-
2 n
따라서 수열 9an0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은 6 Sn= ? ak‌=3n@-n이라고 하면

? ak‌= ? -2-2 K [ 1 ]K== ? 2-2 ? [ 1 ]K ! ‌n=1일 때,


k=1
10 10 10 10

2 k=1 2

K -1-[ ]!)=
k=1 k=1 k=1

@ ‌n>2일 때,
a1=S1=3-1=2
1 1
2 2
=20-2 K 
1 an‌=Sn-Sn-1
1-
2
={3n@-n}-93{n-1}@-{n-1}0
1023 9217
=20- = =6n-4 y`㉠
512 512

28 정답과 해설
이때 a1=2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일반항은 3 a1=1
an=6n-4 a2=a1+2=3

jakk+jak'1l j6k-4l+j6k+2l
1 1 a3=a2+3=6
‌= 

j6k+2l-j6k-4l
a4=a3+4=10

{j6k+2l+j6k-4l}{j6k+2l-j6k-4l}
=  `⋮

j6k+2l-j6k-4l
∴ an'1=an+n+1 {n=1, 2, 3, y}
=

j6k+2l-j6k-4l
6
4
jakk+jak'1l
16 16
∴ ? =?
1
6

= 9{j8-j2}+{j14k-j8}
k=1 k=1 ...
1

+{j20k-j14k}+y+{j98k-j92k}0
6 a1=0 a2=1 a3=3 a4=6

n개의 직선에 1개의 직선을 추가하면 이 직선은 기존의 n

= {j98k-j2}
1 개의 직선과 각각 한 번씩 만나므로 n개의 새로운 교점이
6
생긴다.
1
= {7j2-j2} ∴ an'1=an+n {n=1, 2, 3, y}
6

! n=1일
=j2
5 ‌ 때, (좌변)=1, (우변)=1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 n=k일
성립한다.
‌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k{k+1}{2k+1}
02 수학적 귀납법 p.101 ~ 103 1@+2@+3@+y+k@=
6
5 위의 식의 양변에 {k+1}@을 더하면
1 ⑴ 42 ⑵ - 128 2 6
1@+2@+3@+y+k@+{k+1}@
3 an'1=an+n+1 {n=1, 2, 3, y} k{k+1}{2k+1}
4 an'1=an+n {n=1, 2, 3, y} 5 풀이 참조 = +{k+1}@
6
6 풀이 참조 =
{k+1}{2k@+7k+6}

6
{k+1}{k+2}{2k+3}
1 ⑴ 2‌ an'1=an+an'2이므로 수열 9an0은 등차수열이다. =
6

이때 첫째항은 2, 공차는 a2-a1=5이므로 {k+1}9{k+1}+1092{k+1}+10
= 
a9=2+8 K 5=42 6

!, @에 의하여 주어진 등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


‌ n'1@=anan'2이므로 수열 9an0은 등비수열이다.
⑵ a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a2 1
이때 첫째항은 -10, 공비는 =- 이므로
a1 2

a9=-10 K [- ]*=-
립한다.
1 5

! n=4일
2 128
6 ‌ 때, (좌변)=24, (우변)=16이므로 주어진 부등

@ n=k{k>4}일
an'1 1 1 식이 성립한다.
2 an
= 에서 an'1= an이므로 수열 9an0은 등비수열이다.
8 8 ‌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 1 K 2 K 3 K y K k>2K
이때 첫째항은 4$, 공비는 이므로
8

an=4$ K [ ]N_!=2* K [ ]N_! {n=2, 3, 4, y}


위의 식의 양변에 k+1을 곱하면
1 1
8 2# 1 K 2 K 3 K y K k K {k+1}>2K K {k+1}
1 그런데 k>4에서 k+1>5이므로
따라서 ak= 에서

2* K [ ]K_!=
2& 2K K {k+1}>2K K 2=2K"!
1 1
∴ 1 K 2 K 3 K y K {k+1}>2K"!

[ ]K_!= =[ ]%
2# 2&

!, @에 의하여 주어진 부등식은 n>4인 모든 자연수 n에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1 1 1
2# 2!% 2#
k-1=5이므로 k=6 대하여 성립한다.

Ⅲ. 수열 29
5 5
p.104 ~ 105 ∴ ? {ak#+bk#}‌= ? {12k@+2}
k=1 k=1

01 ④ 02 119 03 670 04 ④ 05 ② 5 5
=12 ? k@+ ? 2
1 3
06 ③ 07 22 08 8 09 2 10 310
k=1 k=1

5 K 6 K 11
=12 K +10
11 100 12 23 6
=670
n
? ak@=a1@+a2@+a3@+y+an@
01 ㄱ. ‌k=1
[ ? 2K"N] ? - ? {2K K 2N}=
m n m n
n-1 ? ‌=
04 n=1
? ak'1@=a1@+a2@+a3@+y+an@

= ? [2N ? 2K]
k=1 n=1 k=1
k=0
m n
n n-1
∴ ? ak@= ? ak'1@

= ? -2N K =
n=1 k=1
k=1 k=0
m
n n
2{2N-1}
ㄴ. ‌? a2k+ ? a2k-1={a2+a4+y+a2n} n=1 2-1
k=1 k=1
m
+{a1+a3+y+a2n-1} =2 ? 92N{2N-1}0
n=1
=a1+a2+a3+a4+y+a2n-1+a2n m
2n =2 ? {2@N-2N}
= ? ak n=1
k=1 m m
2n 2n =2 ? 4N-2 ? 2N
ㄷ. ‌? ak- ? ak={a1+a2+y+an-1+an+y+a2n} n=1 n=1
k=1 k=n
4{4M-1} 2{2M-1}
=2 K -2 K 
-{an+an'1+y+a2n} 4-1 2-1
=a1+a2+y+an-1 8
= {a@-1}-4{a-1}
n-1 3
=‌? ak
k=1 8 4
= a@-4a+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이다. 3 3

05 자연수 k에 대하여 4K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k{k+1}{2k+1} 이므로
02 1@+2@+3@+y+k@= 6
이므로
a1=4를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9
1@+2@+3@+y+k@ a2=4+4@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
?
k=1 k a3=4+4@+4#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0
9
1 k{k+1}{2k+1}
=? K a4=4+4@+4#+4$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k=1 k 6
9 `   ⋮
1?
= {k+1}{2k+1} 따라서 수열 9bn0은 1, 2, 0이 이 순서대로 반복되므로
6 k=1
50 48
? bk‌= ? bk+b49+b50
9
1?
= {2k@+3k+1}
6 k=1 k=1 k=1

1? 9 9 9 =16 K {1+2+0}+1+2
k@+ ? k+ ? 1
1 1
=
3 k=1 2 k=1 6 k=1 =51
1 9 K 10 K 19 1 9 K 10 1
= K + K + K9
3 6 2 2 6
=119 06 an=10N-1이므로
9 9
S‌= ? ak= ? {10K-1}
k=1 k=1
9 9
= ? 10K- ? 1
03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k=1 k=1

10 K {10(-1}
an+bn=2, anbn=-2n@+1 = -9
10-1
∴ an#+bn#‌={an+bn}#-3anbn{an+bn}
10!)-91
=2#-3 K {-2n@+1} K 2 =
9
=12n@+2 ∴ 9S=10!)-91

30 정답과 해설
07 a1= 12 이므로 11 주어진 집합을 A라고 하면
A‌=93@K_!|k는 자연수, 1<k<n0
1 1
= +5=2+5=7 =93, 3#, 3%, y, 3@N_#, 3@N_!0
a2 a1
이때 집합 S는 집합 A의 서로 다른 두 원소의 곱의 값을 원
1 1
= +5=7+5=12
a3 a2 소로 하므로
1 1 S‌=93$, 3^, 3*, y, 3@N_#"@N_!0
= +5=12+5=17
a4 a3
=93$, 3^, 3*, y, 3$N_$0
1 1
= +5=17+5=22 n=2일 때, S=93$0이므로 f{2}=1
a5 a4
1 n=3일 때, S=93$, 3^, 3*0이므로 f{3}=3
∴ a5=
22 n=4일 때, S=93$, 3^, 3*, 3!), 3!@0이므로 f{4}=5
n=5일 때, S=93$, 3^, 3*, 3!), 3!@, 3!$, 3!^0이므로

08 a1+a2+a3+y+an=Sn이라고 하면 f{5}=7

S1=a1=3, an'1=Sn {n=1, 2, 3, y} `⋮

이때 an'1=Sn'1-Sn이므로 ∴ f{n}=2n-3`{n>2}
11 11 11
Sn'1-Sn=Sn ∴ Sn'1=2Sn ∴ ? f{n}‌= ? {2n-3}= ? {2n-3}-{-1}
n=2 n=2 n=1
따라서 수열 9Sn0은 첫째항이 3,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11 K 12
Sn=3 K 2N_! {n=2, 3, 4, y} =2 K -33+1=100
2
∴ an‌=Sn-Sn-1
12
선분 PnPn'1의 중점의 좌표는 [ xn+xn'1 , yn+yn'1 ]
점 Pn의 좌표를 Pn{xn, yn}이라고 하면
=3 K 2N_!-3 K 2N_@
=3 K 2N_@{2-1} 2 2
=3 K 2N_@ {n=3, 4, 5, y}

[ ]
선분 Pn'2Pn'3의 중점의 좌표는
3 K 2N_@>100에서 xn'2+xn'3 yn'2+yn'3
,
100 2 2
2N_@> =33.333`y
3 이때 두 중점의 좌표는 같으므로
이때 2%=32, 2^=64이므로 xn+xn'1 xn'2+xn'3 yn+yn'1 yn'2+yn'3
= , =
n-2>6 ∴ n>8 2 2 2 2
‌ n'3=xn+xn'1-xn'2, yn'3=yn+yn'1-yn'2
∴ x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8이다.
x1=-1, x2=1, x3=-1이므로
x4=x1+x2-x3=1
2k 2k+1 2{k+1}
09 ㈎ k+1
,㈏
k+1
,㈐
k+2
이므로 x5=x2+x3-x4=-1

2k 2k+1 2{k+1} x6=x3+x4-x5=1


f{k}= , g{k}= , h{k}=
k+1 k+1 k+2 `` ⋮
4 5 3 3 -1 (n은 홀수)
∴ f{2}+g{2}-h{2}= + - = ∴ xn=-
3 3 2 2
1 (n은 짝수)
또 y1=0, y2=0, y3=2이므로
10 공차를 d라고 하면 a4-a2=4에서 y4=y1+y2-y3=-2
2d=4 ∴ d=2 y5=y2+y3-y4=4
이때 첫째항이 2이므로 y6=y3+y4-y5=-4
an=2+{n-1} K 2=2n y7=y4+y5-y6=6
20 20 10
∴ ? ak‌= ? ak- ? ak y8=y5+y6-y7=-6
k=11 k=1 k=1
``⋮
20 10
= ? 2k- ? 2k n-1 (n은 홀수)
k=1 k=1 ∴ yn=-
-{n-2} (n은 짝수)
20 K 21 10 K 11
=2 K -2 K 따라서 x25=-1, y25=24이므로 P25의 좌표는
2 2
=420-110 P25{-1, 24}
=310 즉, a=-1, b=24이므로 a+b=23

Ⅲ. 수열 31
1
Ⅳ 지수와 로그 4 a=#j3+ 의 양변을 세제곱하면

a #=[#j3+ ]#
#j3
1
1. 지수
]#+3\#j3\ [#j3+ ]
#j3
1 1 1
={#j3}#+[
01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 p.107~109 #j3 #j3 #j3
1
1 ㄷ, ㄹ 2 -27 =3+ +3a
3

⑴ ^j2<!@j5<*j3 ⑵ 14 #j2 3<#16j6 3<15 #j5 3


3 ⑴ 5 ⑵ 1 ⑶ 1 4 3 1
∴ a #-3a- =3
3
5
6 B<C<A
5 ⑴ 8, 6, 12의 최소공배수가 24이므로

1 ㄱ. 세제곱근 -64는 #j-64k=-4이다. *j3=@$13#2=@$j27k

ㄴ. ‌-8의 세제곱근을 x라고 하면 x #=-8이므로 ^j2=@$12$2=@$j16k

x #+8=0, {x+2}{x @-2x+4}=0 !@j5=@$15@2=@$j25k

∴ x=-2 또는 x=1-j3i 이때 16<25<27이므로

⑵ 15 #j5 3=4#15#\536=^15$2=^j625l
ㄷ. ‌n이 홀수일 때, -2의 n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Nj-2k ^j2<!@j5<*j3

#16j6  3=#416@\63 6=^16#2=^j216l
의 1개이다.

14 #j23=12@\#j2 3=4#1{2@}#\236=^12&2=^j128l
ㄹ. 2n은 짝수이므로 -1의 2n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없다.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ㄷ, ㄹ이다.

14 #j23<#16j6  3<15 #j5 3
이때 128<216<625이므로

2 j64k=8의 세제곱근을 x라고 하면 x #=8이므로


x #-8=0, {x-2}{x @+2x+4}=0
∴ x=2 또는 x=-1-j3i 6 B-C={2 #j2-j3}-{2j3-#j2}
=3 #j2-3j3=3{#j2-j3}
∴ a=2
=3{^j4-^j27k}<0
-125의 세제곱근을 x라고 하면 x #=-125이므로
이므로 B<C
x #+125=0, {x+5}{x @-5x+25}=0
C-A={2j3-#j2}-{3j3-2 #j2}
5-5j3i
∴ x=-5 또는 x=
2 =#j2-j3=^j4-^j27k<0
∴ b=-5 이므로 C<A
따라서 a+b=-3이므로 -3이 c의 세제곱근이다. ∴ B<C<A
∴ c={-3}#=-27

3 ⑴ $116#2-!@j81k\#4#13^ 26=$1{2$}# 3-!@13$ 2\(13^ 2


=$1{2#}$ 3-#j3\#13@ 2
=2#-#13\3@ 3=8-#13# 2
02 지수의 확장 p.111~113

5 1
1 ⑴ 125 ⑵ 2 ⑶ 1 ⑷ 3 2 -2
 $j2_$12%2+#q[ ]#w
=8-3=5

⑵ 1j2 2_{$j2}%+#q =
1 1
3
8 2 3 ⑴ 6 ⑵ 14 4 4 5 -3
=$q w+ =$q[ ]$w+ 
2 1 1 1
2% 2 2 2 6 0
1 1
= + =1
1
ja ja 1#ja@k2
2 2 ⑴ {5_#}_@\2#\10_#=5^\2#\{5\2}_#

y\^r y\r y
$ja $1#ja2 ^1$ja*k2 1$ja2
#ja@k $1ja2 ^1ja2 =5^\2#\5_#\2_#
⑶ $r = \ \ 
#ja $ja*k =5#=125
⑵ 2 \14#2_8 =2 \42#_{2#}9*
3@ 9* 3@
*ja !@ja ^ja@k
= \ \ 
=23@\{2@}2#_23*
!@ja @$ja*k *ja

=23@\2#_23*=23@+3-3*=2
*ja !@ja #ja
= \ \ =1
!@ja #ja *ja

32 정답과 해설
⑶ ‌3-j8\9j32k_27j8=3-2j2\{3@}4j2_{3#}2j2 p.114~115
=3-2j2\38j2_36j2
01 ③ 02 ⑤ 03 6 04 ③ 05 ①
=3-2j2+8j2-6j2=3)=1
⑷ ‌{23!-3-3!}{23@+23! 3-3!+3-3@}={23!}#-{3-3!}#
06 90 07 7-5j2 08 ② 09 ③
1
1 5 10 32 배 11 16 12 ② 13 ②
=2-3_!=2- =
3 3

=#q w=#q
$4a1a\#jak 3 6
=$ja k\$1ja k3\$41#ja k36
a #1a#2 a# 1
01 ㄱ. ‌ =
2 a

=$ja k\*ja k\@$ja k


#1a$2 #1a$2 a$
ㄴ. {$ja}!@=$1a!@2=a #
ㄷ. ^1a #ja3=^ja\!*ja=a6!+ 18 =a9@=(1a @2
=a4!\a8!\a 24 
1

ㄹ. 4a1aja36
=ja\$ja\*ja
1

=a4!+8!+ 24 =a 12
1 5

=a2!+4!+8!=a8&=*1a &2
4a\#1aK26
=ja k\4#1aK26=ja k\^1aK2
=a2!\a 6 =a2!+ 6 =a
k k 3+k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ㄹ이다.
6
5 3+k
따라서 a 12 =a 6 이므로
5 3+k 9 32 9 32
12
=
6
, 30=12{3+k} 02 \ = \
4^+8# 3_%+9_# {2@}^+{2#}# 3_%+{3@}_#


1 9 32
∴ k=- = \ 
2 2!@+2( 3_%+3_^
9 32
= \ 
⑴ ‌a 3!-a-3!=2의 양변을 제곱하면
2({2#+1} 3_^{3+1}
3
{a 3!-a-3!}@=2@, a3@-2+a-3@=4
1 8 1 2#
= \ = \ 
2( 3_^ 2( 3_^

=[ ]^
∴ a3@+a-3@=6 3^ 3
⑵ ‌a 3!-a-3!=2의 양변을 세제곱하면
=
2^ 2

{a 3!-a-3!}#=2#
a-a_!-3a3!a-3!{a 3!-a-3!}=8
03 2A=9 y`㉠
a-a_!-3 K 2=8   ∴ a-a_!=14 4A"B=54에서 {2@}A"B=54
∴ 2@A"@B=54 y`㉡

4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에 각각 a X을 곱하면 ㉡_㉠을 하면 2@A"@B_A=6


a X-a_X a X{a X-a_X} a @X-1 ∴ 2A"@B=6
= = 
a X+a_X a X{a X+a_X} a @X+1
7-1 3
3=a5!
= =
7+1 4
04 3%=a에서 1
8$=b에서 {2#}$=b, 2!@=b ∴ 2=b 12
5 15 X=8=2#에서 15=2x# y`㉠ ∴ 6^)={3 K 2}^)=3^) K 2^)
y%
={a5!}^){b 12 }^)
1
120Y=32=2%에서 120=2 y`㉡

=2x#-y%, 2_#=2x#-y%
1 =a!@b%
㉠_㉡을 하면
8
3 5
05 A=30.5=32!=j3
∴ - =-3
x y

B=[ ] ={4_!}-3!=43!=#14
1 -3!
4
6
C=$j6, D=256!={5@}6!=53!=#j5
3X=9Y=27Z=k {k>0}로 놓으면 xyz=0에서 k=1
3X=k에서 3=kx! y`㉠
9Y=k에서 9=ky!
2, 3, 4의 최소공배수가 12이므로
y`㉡
27Z=k에서 27=kz!
A=j3=!@13^2=!@j729l, B=#j4=!@14$2=!@j256l,
y`㉢
㉠\㉡_㉢을 하면 1=k x!+y!-z!
C=$j6=!@16#2=!@j216l, D=#j5=!@15$2=!@j625l

1 1 1 216<256<625<729이므로 C<B<D<A
이때 k=1이므로 + - =0
x y z 따라서 가장 큰 수는 A, 가장 작은 수는 C이다.

Ⅳ. 지수와 로그 33
06 a=#j2=23!, b=%j3=35!, c=^j5=56!이므로 11 어떤 자연수를 N이라고 하면 {#13%2}2!이 자연수 N의 n제
3! 5! 6! 3N 5N 6N
{abc}N={2 3 5 }N=2 3 5 곱근이므로
N=9{#13%2}2!0N=9{33%}2!0N=3 6
5n
n n n
이때 {abc}N이 자연수가 되려면 , , 이 모두 자연수
3 5 6
이때 n이 6의 배수이면 N이 자연수가 되므로 구하는 n의
가 되어야 하므로 n은 3, 5, 6의 공배수이어야 한다.
개수는 2<n<100인 6의 배수의 개수이다.
따라서 3, 5, 6의 최소공배수는 30이므로 두 자리 자연수 n
따라서 자연수 n의 개수는 16이다.
의 최댓값은 90이다.
12 80X=2에서 80=2x! y`㉠
07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에 각각 [ ]Y=4에서 =4y! =2y@
a (을 곱하면 1 1 1
∴ y`㉡
10 10 10
aZ=8에서 a=8z!=2z# ∴ a3!=2z!
a @+a $+a ^+a * a ({a @+a $+a ^+a *}
=  y`㉢
a_!+a_#+a_%+a_& a ({a_!+a_#+a_%+a_&}
㉠\㉡_㉢을 하면 80\ _a3!=2x!+y@-z!
a ({a @+a $+a ^+a *} 1
= =a ( 10
a *+a ^+a $+a @
={#11-j23 )(={1-j2}# 1 2 1
이때 + - =1이므로 2#\a-3!=2 ∴ a-3!=2_@
x y z
=1-{j2}#-3j2{1-j2}
∴ a={2_@}_#=2^=64
=1-2j2-3j2+6
=7-5j2 13 t=20, w=8이므로
Qa 0.01t1.25w0.25 0.01\201.25\80.25
= = 
Qb 0.05t0.75w0.30 0.05\200.75\80.30
08 5@X-5X"!+1=0의 양변을 5X으로 나누면
201.25-0.75 200.5
1 = = 
5X-5+ =0 ∴ 5X+5_X=5 5\80.30-0.25 5\80.05
5X
{2@\5}0.5 2\50.5
이 식의 양변을 세제곱하면 {5X+5_X}#=5# = = 
5\{2#}0.05 5\20.15
5#X+5_#X+3 K 5X K 5_X{5X+5_X}=125 =21-0.15\50.5-1=20.85\5-0.5
5#X+5_#X+3 K 5=125 ∴ 5#X+5_#X=110 따라서 a=0.85, b=-0.5이므로 a+b=0.35
5#X+5_#X+7 110+7 117
∴ = = =13
5X+5_X+4 5+4 9

09 3A=2B=k {k>0}로 놓으면 abc=0에서 k=1


a!
3A=k에서 3=k y`㉠
b!
2. 로그
2B=k에서 2=k y`㉡
㉠\㉡을 하면 6=k a!+b! y`㉢
01 로그의 뜻과 성질 p.117~119

2 ⑴ j5 ⑵ 81
한편 4B=6C에서 2@B=6C
{kb!}@B=6C, k@=6C ∴ 6=kc@
1 ⑴ 9 ⑵ 2
y`㉣
9
㉢, ㉣에서
1 1 2
+ = 3 ⑴ 9 ⑵ 4 4 4-log2 31
a b c
5 ⑴ 1 ⑵ 2 ⑶ 28 6 14

⑴ x={81}2!=j81k=9
1
10 60시간 후 방사성 물질의 양은 처음 양의 4
배가 되므로
1
m0[ ]^)K= m0 ∴ [ ]^)K=
1 1 1 1 ⑵ x 3$=#j16k이므로 x={#j16k}4#={23$}4#=2
2 4 2 4
⑴ log5 x=2_!= 이므로 x=52!=j5
1
2
m150=m0[ ]!%)K=m0-[ ]^)K= 
150시간 후 방사성 물질의 양은
2% 2
1 1
2 2 ⑵ ‌log4 {log3 x}=2)=1이므로 log3 x=4!=4

=m0[ ] =m0[ ]
2% 2 K 2% ∴ x=3$=81

1 1
4 2

=m0[ ]%= m0
5
1 1 3 ⑴ ‌log5 125+2 log5
4
+4 log5 10
2 32
=log5 5#+2{log5 5-log5 2@}+4 log5 {2\5}
1
따라서 150시간 후 방사성 물질의 양은 처음 양의 배가
32 =3 log5 5+2 log5 5-4 log5 2+4 log5 2+4 log5 5
된다. =3+2+4=9

34 정답과 해설
3 log3 27 3 log3 3#
02
2 log3 {94#\13%2}2! log3 9{32\4#\32%}2!0@
⑵ =  상용로그 p.121~123

1 ⑴ 12.1 ⑵ 0.0121 2 -0.02965


9 log3 3 9
= = 3 ⑴ 24자리 ⑵ 소수점 아래 20째 자리
log3 3$ 4 log3 3

=
9 4 14자리 5 1.7 6 122만 원
4

1 ⑴ log x=1.0828=1+0.0828=log 10+log 1.21

? log2 [1- ]
31
1 =log {10\1.21}=log 12.1
4 n@

= ? log2 [ ]
n=2
⑵ ∴ x=12.1
31
n@-1
⑵ log x=-1.9172=-1-0.9172
n@

= ? log2 [ ]
n=2

31
n-1 n+1 ={-1-1}+{1-0.9172}=-2+0.0828
K
n n

=log2 [ K ]+log2 [ K ]+log2 [ K ]


n=2 =log 10_@+log 1.21=log {10_@\1.21}
1 3 2 4 3 5 =log 0.0121
2 2 3 3 4 4

 +y+log2 [ 31 K 31 ]
⑵ ∴ x=0.0121
30 32

=log2 -[ K ][ K ][ K ]y[ K ]=


2 주어진 상용로그표에서 log 7.61=0.8814이므로

log $j0.761l=
1 3 2 4 3 5 30 32
2 2 3 3 4 4 31 31

=log2 [ K ]=log2 
1 1
log 0.761= log {10_!\7.61}
1 32 16 4 4
2 31 31 1
= {log 10_!+log 7.61}
=log2 16-log2 31 4

=log2 2$-log2 31 1


= {-1+0.8814}
4
=4-log2 31
=-0.02965

5 ⑴ ‌log2 3 K log3 7 K log7 2=


log2 3 log2 7 log2 2
K K =1 3 ⑴ ‌3%)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log2 2 log2 3 log2 7
log 3%)=50 log 3=50\0.4771
⑵ ‌log2 6 K log3 6-{log3 2+log2 3}
=23.855=23+0.855
=log2 {2\3} K log3 {2\3}-log3 2-log2 3
⑵ ‌따라서 log 3%)의 정수 부분이 23이므로 3%)은 24자리 자
={log2 2+log2 3}{log3 2+log3 3)-log3 2-log2 3

⑵ ‌[ ]$)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연수이다.
={1+log2 3}{log3 2+1}-log3 2-log2 3
1
=log3 2+log2 3+log2 3 K log3 2+1-log3 2-log2 3 3

log [ ]$)=-40 log 3=-40\0.4771


1 1
=log2 3 K +1
log2 3 3
=1+1=2 =-19.084={-19-1}+{1-0.084}
log2 5 2# log8 9 log2 4 2# log2# 3@
⑶ ‌4 +2 =5 +2 

따라서 log [ ]$)의 정수 부분이 -20이므로 [ ]$)은 소


=-20+0.916
log2 2@ 2# K 3@ log2 3
=5 +2  1 1
3 3
=5 2 log2 2+3 log2 2
수점 아래 20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
=5@+3=28
타난다.

6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 23!))이 137자리 자연수이므로 log 23!))의 정수 부분은 136
log2 a+log2 b=8, log2 a K log2 b=4
이다.
log2 b log2 a
∴ loga b+logb a= +  136<log 23!))<137, 136<100 log 23<137
log2 a log2 b
{log2 a}@+{log2 b}@ ∴ 1.36<log 23<1.37
= 
log2 a K log2 b 각 변에 10을 곱하면 13.6<10 log 23<13.7
{log2 a+log2 b}@-2 log2 a K log2 b 13.6<log 23!)<13.7
= 
log2 a K log2 b
따라서 log 23!)의 정수 부분이 13이므로 23!)은 14자리 자
8@-2 K 4
= =14 연수이다.
4

Ⅳ. 지수와 로그 35
5 pH 4.9인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를 a, pH 6.6인 용액의 수 03 {log2 5+log8 25}{log5 2+log25 8}
소 이온 농도를 b라고 하면 ={log2 5+log2# 5@}{log5 2+log5@ 2#}
4.9=-log a y`㉠ 2 3
=[log2 5+ log2 5][log5 2+ log5 2]
3 2
6.6=-log b y`㉡
5 5
㉠-㉡을 하면 -1.7=-{log a-log b} = log2 5 K log5 2
3 2
a a a
-1.7=-log , log =1.7 ∴ =101.7 =
25
log2 5 K
1
=
25
b b b 6 log2 5 6
따라서 pH 4.9인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는 pH 6.6인 용액
의 수소 이온 농도의 101.7배이므로
k=1.7 1 1 1 1
04 log2 5= log5 2 = a , log3 5= = 이므로
log5 3 b
log5 2=a, log5 3=b
6 10년 후의 원리합계는 100{1+0.02}10만 원이므로 상용로
1

log5 j48k
log5 #j12k 3 log5 12
∴ logj48k #j12k=
그를 취하면
= 
log {100\1.02!)}=log 100+log 1.02!) 1
log5 48
2
=log 100+10 log 1.02
2 log5 {2@\3}
= K 
=log 100+10\0.0086 3 log5 {2$\3}
=log 100+0.086 2 2 log5 2+log5 3
= K 
3 4 log5 2+log5 3
=log 100+log 1.22
2 2a+b 4a+2b
=log {100\1.22}=log 122 = K =
3 4a+b 12a+3b
따라서 log {100\1.02!)}=log 122이므로 10년 후의 원리
합계는 122만 원이다.
05 logc a:logb c=3:1에서 logc a=3 logb c
1 3
= ∴ logc b=3 loga c
loga c logc b
이것을 loga c+logc b=20에 대입하면
loga c+3 loga c=20, 4 loga c=20
p.124~125 ∴ loga c=5
loga c loga c
01 3 02 55 03 ④ 04 ⑤ 05 25 ∴
logc b K logb a
=
loga b loga a

3 7 K
06 2 07 ① 08 1893 09 13 10 ② loga c loga b
={loga c}@=25
11 ③ 12 ④ 13 ④

01 밑의 조건에서 x-1>0, x-1=1


06 8X=36에서 x=log8 36
∴ x>1, x=2 y`㉠
27Y=36에서 y=log27 36
진수의 조건에서 -x@+2x+8>0 1 1 1 1
∴ + = + 
x @-2x-8<0, {x+2}{x-4}<0 x y log8 36 log27 36
∴ -2<x<4 y`㉡ =log36 8+log36 27
㉠, ㉡에서 1<x<2 또는 2<x<4 =log36 {8\27}
따라서 정수 x의 값은 3이다. =log36 {2#\3#}
3
=log6@ 6#=
2
8X=36에서 8=36x!
20
? log6 an=log6 {2\3\2@\3@\2#\3#\y\2!)\3!)}
02 n=1 y`㉠
y!
27Y=36에서 27=36 y`㉡
㉠\㉡을 하면 216=36x!+y!
=log6 {2\2@\2#\y\2!)\3\3@\3#\y\3!)}

6#=62[x!+y!], 3=2[ + ]
1+2+3+y+10 1+2+3+y+10
=log6 {2 \3 }
10 K 11 10 K 11 1 1
=log6 {2 2 \3 2 }
x y
=log6 {2%%\3%%}
1 1 3
∴ + =
=log6 6%%=55 x y 2

36 정답과 해설
07 a#=b$에서 b=a4# 1
11 log 의 소수 부분과 log x @의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4#
3 x
∴ A=loga b=loga a =
4 1
b$=c %에서 c=b5$
log x @-log =2 log x+log x=3 log x
x

∴ B=logb c=logb b5$=


4 에서 3 log x는 정수이다.
5 100<x<1000에서 2<log x<3
a #=c %에서 a=c3% ∴ 6<3 log x<9
∴ C=logc a=logc c3%=
5 이때 3 log x가 정수이므로
3
3 log x=7 또는 3 log x=8
∴ x=103& 또는 x=103*
3 4 5
이때 < < 이므로 A<B<C
4 5 3
따라서 모든 x의 값의 곱은
10 3&\10 3*=103&+3*=10 %
08 1<x<10일 때, 0<log x<1이므로
[log x]=0
10<x<100일 때, 1<log x<2이므로 12 자연수 n에 대하여 6N은 짝수, 3N은 홀수이므로
[log x]=1 f{6N}=log2 6N, f{3N}=log3 3N
100<x<1000일 때, 2<log x<3이므로 ∴ an=f{6N}-f{3N}
[log x]=2 =log2 6N-log3 3N
x=1000일 때, log 1000=3이므로 =log2 {2N\3N}-n
[log x]=3 =log2 2N+log2 3N-n
∴ ‌f{1}+f{2}+f{3}+y+f{1000} =n+n log2 3-n
=0 K 9+1 K 90+2 K 900+3 K 1 =n log2 3
15 15 15
=1893 ∴ ? aN= ? n log2 3=log2 3 ? n
n=1 n=1 n=1

15 K 16
=log2 3 K =120 log2 3
2
09 30이 2자리 자연수이므로 log 30의 정수 부분은 1이다.
즉, n=1이므로
a=log 30-1 13 지반 A의 유효수직응력을 Sa, 저항력을 Ra, 상대밀도를
=log 30-log 10 Da라 하고, 지반 B의 유효수직응력을 Sb, 저항력을 Rb,
30 상대밀도를 Db라고 하자.
=log =log 3
10
이때 Sa=1.44Sb, Ra=1.5Rb, Db=65이므로

jSak
10N-10a 10-10log 3
∴ =  Ra
10N+10a 10+10log 3 Da=-98+66 log 

j1.44Sbl
10-3log 10
=  1.5Rb
10+3log 10 =-98+66 log 
10-3 7
= = 1.5Rb
10+3 13 =-98+66 log 

]
1.2jSbk

jSbk
5 Rb
=-98+66[log +log
4

jSbk
10 x!)이 50자리 자연수이므로 log x!)의 정수 부분은 49이다.
=-98+66 log
Rb 5
+66 log 
49<log x !)<50, 49<10 log x<50 4
∴ 4.9<log x<5 y`㉠ 5
=Db+66 log 
4
1
한편 log =-5 log x이고 ㉠에서 =65+66{log 5-log 4}
x%
-25<-5 log x<-24.5 10
=65+66[log -2 log 2]
2
1 1
따라서 log 의 정수 부분이 -25이므로 은 소수점 아 =65+66{1-3 log 2}
x% x%
래 25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난다. =65+66{1-3\0.3}
∴ n=25 =65+6.6=71.6

Ⅳ. 지수와 로그 37
memo
memo
mem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