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820   {x+;4!

;}2`+yÛ`=;1Á6; (x<0, y>0) 도형의 이동


점 P(-2, a)에서 원 xÛ`+yÛ`=1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 Q, R와
선분 QR의 중점 M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2,`a}
y 821  ④

평행이동 (x, y) Ú (x+a, y+b)에 의하여


점 (1, 3)은 점 (1+a, 3+b)로 옮겨진다.
Q
점 (1+a, 3+b)가 점 (4, 1)과 일치하므로
M a=3, b=-2
O x
R ∴ a+b=1

OPÓ="Ã(-2)Û`+aÛ`="ÃaÛ`+4, OQÓ=1이고, 822  ③


두 삼각형 OPQ, OQM이 닮음이므로
점 (2, 3)이 점 (-1, 5)로 옮겨지므로
OPÓ`:`OQÓ=OQÓ`:`OÕMÓ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즉, "ÃaÛ`+4`:`1=1`:`OÕMÓ에서
것이다.
1
OÕMÓ=  yy ㉠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2, 4)로 옮겨지는 점의 좌표를
"ÃaÛ`+4
(a, b)라 하면 점 (a-3, b+2)가 점 (2, 4)와 일치하므로
∴ PÕMÓ‌=OPÓ-OÕM Ó
a=5, b=2
1 aÛ`+3
="ÃaÛ`+4- =  yy ㉡
"ÃaÛ`+4 "ÃaÛ`+4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5, 2)이다.
㉠, ㉡에서 다른 풀이
1 aÛ`+3
OÕMÓ`:`PÕMÓ= `:` =1`:`(aÛ`+3) 점 (2, 3)이 점 (-1, 5)로 옮겨지므로
"ÃaÛ`+4 "ÃaÛ`+4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이므로 점 M은 선분 OP를 1`:`(aÛ`+3)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것이다.
따라서 두 점 O(0, 0), P(-2, a)에 대하여 점 M의 좌표는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2, 4)로 옮겨지는 점은
-2
{ }
a
, 점 (2, 4)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aÛ`+4 aÛ`+4
-2 a 평행이동한 점과 같다.  yy TIP
x= , y= 라 두면 yy ㉢
aÛ`+4 aÛ`+4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2+3, 4-2), 즉 (5, 2)이다.
양의 실수 a에 대하여 x<0, y>0이므로
TIP
점 M은 제 2 사분면 위의 점이다.

}2`+{ }2`=
-2 1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시키는
이때, {
a
이므로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A가 점 B로 옮겨질 때,
aÛ`+4 aÛ`+4 aÛ`+4
x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xÛ`+yÛ`=- (∵ ㉢)
2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점 B가 점 A로
1 1
{xÛ`+ + }+yÛ`=
x 옮겨진다.
2 16 16

∴ {x+ }2`+yÛ`=
1 1
4 16
따라서 점 M이 그리는 도형의 방정식은 823  ④

{x+ }2`+yÛ`=
1 1
(x<0, y>0)이다. 직선 2x+y+k=0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4 16
2만큼 평행이동한 직선 l의 방정식은
참고
2(x+3)+(y-2)+k=0, 즉 2x+y+k+4=0이고,
점 M이 나타내는 도형 {x+ }2`+yÛ`=
1 1 직선 l이 점 (-2, -2)를 지나므로 대입하면
(x<0, y>0)을
4 16
-4-2+k+4=0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k=2
y

824   10

평행이동 (x, y) Ú (x-1, y+4)는


1 O x
-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하는
2
것이다.

188 수학 <상>

(166-208)해설3-3.indd 188 22. 9. 19. 오후 2:33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y=2x-1은 원 xÛ`+yÛ`+6x-2y-1=0에서
y-4=2{x-(-1)}-1, 즉 y=2x+5로 옮겨진다. yy 참고 (x+3)Û`+(y-1)Û`=11 yy ㉡
따라서 a=2, b=5이므로 ㉠을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한
ab=10 원의 방정식은
(x-p-1)Û`+(y-q+2)Û`=11
참고
이는 ㉡과 일치하므로 -p-1=3, -q+2=-1에서
직선 y=mx+n을
p=-4, q=3   ∴ pq=-4_3=-12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면 III
직선 y-b=m(x-a)+n이다. 참고

따라서 직선을 평행이동하여도 ‘기울기’는 변하지 않는다. 원 xÛ`+yÛ`=rÛ`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면
원 (x-a)Û`+(y-b)Û`=rÛ`이다.
따라서 원을 평행이동하여도 ‘반지름의 길이’는 변하지 않고
825  ①
원이 평행이동한 방향과 원의 중심이 평행이동한 방향이
점 (1, 4)가 점 (3, 3)으로 옮겨지므로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서로 같다.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원의 중심의 평행이동만으로 원의 평행이동을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y=mx+n을 평행이동하면 알 수 있다.
y+1=m(x-2)+n   ∴ y=mx-2m+n-1 이 문제에서 원의 중심 점 (1, -2)에서 점 (-3, 1)로 옮겨진
1 것으로부터 원이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이 직선이 직선 y=3x-6과 수직이므로 m=-
3 평행이동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직선 y=3x-6이 x축과 만나는 점 (2, 0)을 지나므로
0=2m-2m+n-1   ∴ n=1
1 2
∴ m+n=- +1=
3 3 827  ③

다른 풀이 포물선 y=xÛ`-4x+1=(x-2)Û`-3을
직선 y=3x-6이 x축과 점 (2, 0)에서 만나므로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하면
직선 y=3x-6과 x축 위의 한 점 (2, 0)에서 수직으로 만나는 y=(x-p-2)Û`-3+q
1 이 포물선이 y=xÛ`+1과 같다고 하면
직선의 방정식은 y=- (x-2) yy`㉠
3 -p-2=0, -3+q=1에서 p=-2, q=4이다.
점 (1, 4)가 점 (3, 3)으로 옮겨질 때,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즉,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것이다.
직선 ㉠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이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l`:`x-y-2=0을 평행이동하면
평행이동한 직선이 y=mx+n이다. yy TIP (x+2)-(y-4)-2=0이므로
1 1 l'`:`x-y+4=0이다.
y=- {(x+2)-2}+1, 즉 y=- x+1에서
3 3
직선 l 위의 점 (0, -2)와 직선 l'`:`x-y+4=0 사이의 거리를
1
m=- , n=1 구하면 평행한 두 직선 l과 l' 사이의 거리는
3
2 |0-(-2)+4|
=3'2이다.
∴ m+n=
3 '2

참고
TIP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시키는 포물선 y=a(x-b)Û`+c를
평행이동에 의하여 도형 A가 도형 A'으로 옮겨질 때,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하면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포물선 y=a(x-m-b)Û`+c+n이다.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도형 A'이 도형 A로 따라서 포물선을 평행이동하여도 ‘이차항의 계수’는 변하지 않고
옮겨진다. 포물선이 평행이동한 방향과 꼭짓점이 평행이동한 방향이 서로
같다.
이를 이용하면 포물선의 꼭짓점의 평행이동만으로 포물선의
평행이동을 알 수 있다.
826   -12 이 문제에서 포물선의 꼭짓점이 점 (2, -3)에서 점 (0, 1)로
옮겨진 것으로부터 포물선이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원 xÛ`+yÛ`-2x+4y-6=0에서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1)Û`+(y+2)Û`=11 yy ㉠

Ⅲ. 도형의 방정식 189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89 22. 9. 14. 오후 8:21


828  ②
y
3
2
점 A(3, 1)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B(3, -1)
1
점 B(3, -1)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C(-1, 3)
-3-2-1 O 1 2 3 x
따라서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1
-2
3+3-1 1-1+3
{ , } -3
3 3
5
∴ { , 1} ⑶ 함수 y= f(x)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3
y=- f(x)이고, 이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y=- f(x+1)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829  6
3
2
1
점 P(a, b)가 제 1 사분면에 있는 직선 y=x+2 위의 점이므로

b=a+2에서 P(a, a+2)`(a>0)이다. -3-2-1 O 1 2 3 x
-1
y -2
-3
P' P
⑷ y=- f(1-x)에서 y=- f(-(x-1))이다.
함수 y= f(x)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O x
y=- f(-x)이고, 이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y=- f(-(x-1))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P" y
3
점 P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P'(-a, a+2), 2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P"(-a, -a-2)이므로 1
삼각형 PP'P"은 ∠PP'P"=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3-2-1 O 1 2 3 x
-1
따라서 삼각형 PP'P"의 넓이는
-2
1 1 -3
_PÕP'Ó_PÕ'P"Ó‌= _2a_2(a+2)
2 2
=2a(a+2)=16 다른 풀이
aÛ`+2a-8=0, (a+4)(a-2)=0
참고1 , 참고2  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 a=2`(∵ a>0), b=4
⑵ 함수 y= f(2-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직선
∴ a+b=6
x=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y
3
2
830   풀이 참조

1

-3-2-1 O 1 2 3 x
⑴ 함수 y= 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1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2
y= f(x+2)-1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3

y
⑷ y=- f(1-x)에서 0-y= f(1-x)이다.
3
2 즉, 함수 y=- f(1-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1
그래프를 점 { , 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1
-1 2
-3-2 O 1 2 3 x
-1 y
-2 3
-3 2
1
⑵ y= f(2-x)에서 y= f(-(x-2))이다.
-3-2-1 O 1 2 3 x
함수 y= f(x)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
y= f(-x)이고, 이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3
y= f(-(x-2))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190 수학 <상>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90 22. 9. 14. 오후 8:21


참고1 이때, 원 xÛ`+yÛ`-2ax+4y+aÛ`=0은 (x-a)Û`+(y+2)Û`=4에서
<직선 x=a 또는 직선 y=b에 대한 대칭이동> 중심이 (a, -2)이므로
⑴ 점 (x, y)를 직선 x=a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a-2_(-2)-7=0
(2a-x, y)이다. ∴ a=3
⑵ 점 (x, y)를 직선 y=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x, 2b-y)이다. 832  ③
⑶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x=a에 대하여
원 CÁ`:`xÛ`+yÛ`-4x+2y+3=0은 III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f(2a-x, y)=0이다.
(x-2)Û`+(y+1)Û`=2이므로
⑷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직선 y=b에 대하여
중심이 (2, -1)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이다.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f(x, 2b-y)=0이다.
원 CÁ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증명]
원 Cª의 중심은 (-1, 2)이고
⑶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 위의 점 (x, y)를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yy 참고
직선 x=a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x', y')이라 하면
C¡ C™
x+x'
=a, y=y' yy ㉠ 3Â2
2
P Q
즉, x=2a-x', y=y'이므로 f(2a-x', y')=0이다.
따라서 점 (x', y')은 방정식 f(2a-x, y)=0이 나타내는
도형 위에 있다. 두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Ã3Û`+(-3)Û`=3'2이고,
⑴ ㉠에서 x'=2a-x, y'=y이므로 점 (x, y)를 직선 x=a에 두 원 위를 각각 움직이는 두 점 P, Q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2a-x, y)이다. 원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같으므로
3'2+'2+'2=5'2이다.
참고2
참고
<점 (a, b)에 대한 대칭이동>
원 CÁ`:`(x-2)Û`+(y+1)Û`=2를 직선 y=x에 대하여
⑴ 점 (x, y)를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대칭이동한 원 Cª의 방정식은
(2a-x, 2b-y)이다.
(x+1)Û`+(y-2)Û`=2
⑵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을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f(2a-x, 2b-y)=0이다.
[증명] 833  3
⑵ 방정식 f(x, y)=0이 나타내는 도형 위의 점 (x, y)를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x', y')이라 하면
점 (1, -3)을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x+x' y+y'
=a, =b yy ㉡ y=m(x-1)-3   ∴ y=mx-m-3
2 2
즉, x=2a-x', y=2b-y'이므로 이 직선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f(2a-x', 2b-y')=0이다. -y=mx-m-3   ∴ y=-mx+m+3
따라서 점 (x', y')은 방정식 f(2a-x, 2b-y)=0이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하면
나타내는 도형 위에 있다. y=-m(x+4)+m+3   ∴ y=-mx-3m+3
⑴ ㉡에서 x'=2a-x, y'=2b-y이므로 점 (x, y)를 이 직선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2a-x, 2b-y)이다. y=mx-3m+3
이 직선이 처음 직선 y=mx-m-3과 일치하므로
-3m+3=-m-3
∴ m=3

831  ③

직선 2x-y+1=0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834  ②

2(x+3)-y+1=0 곡선 y=xÛ`-4x+10=(x-2)Û`+6을
∴ 2x-y+7=0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이 직선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y=(-x-2)Û`+6   ∴ y=-(x+2)Û`-6
2y-x+7=0 이를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하면
∴ x-2y-7=0 y=-(x+2)Û`-6+k
이 직선이 원 xÛ`+yÛ`-2ax+4y+aÛ`=0의 넓이를 이등분하려면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지 않으려면 그림과 같이
이 원의 중심을 지나야 한다. -6+k<0을 만족시켜야 한다.

Ⅲ. 도형의 방정식 191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91 22. 9. 14. 오후 8:21


-2
y
836  ③

O x 점 A에서 y축 위의 점 P를 거쳐 점 B까지 가는 거리는


-6+k APÓ+PBÓ이다.
점 B(-1, -2)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B'(1, -2)이고, BPÓ=BÕ'PÓ이다.
y
y=-{x+2}@-6+k
A{-3,`2}
따라서 k<6이므로 자연수 k는 1, 2, 3, 4, 5로 5개이다.

O x
P

835  ④
B{-1,`-2} B'{1,`-2}

A(3, 4), B(p, q)라 하면 두 점 A, B가 직선 y=-x+2에 대하여 APÓ+PBÓ=APÓ+PÕB'Ó이고, 세 점 A, P, B'이 일직선 위에


대칭이므로 직선 y=-x+2는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한다.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y APÓ+PÕB'Ó‌¾AÕB'Ó
A ="Ã4Û`+(-4)Û`=4'2  yy TIP
따라서 구하는 최단거리는 4'2이다.

TIP
O x 점 P가 선분 AB' 위에 있지 않을 때, 삼각형 APB'에서
B
APÓ+PÕB'Ó>AÕB'Ó이고, 점 P가 선분 AB' 위에 있을 때,
APÓ+PÕB'Ó=AÕB'Ó이다.
직선 AB가 직선 y=-x+2와 수직이므로
y
q-4
직선 AB의 기울기는 =1에서 A
p-3
q-4=p-3   ∴ p-q=-1 yy ㉠ P
p+3 q+4
또한 직선 y=-x+2가 선분 AB의 중점 { , }를 O x
2 2
지나므로
B'
q+4 p+3
=- +2, q+4=-(p+3)+4
2 2 따라서 APÓ+PÕB'Ó¾AÕB'Ó이고,
∴ p+q=-3 yy ㉡ 세 점 A, P, B'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 ㉡ 을 연립하여 풀면 APÓ+PÕB'Ó이 AÕB'Ó으로 최솟값을 갖는다.
p=-2, q=-1
∴ pÛ`+qÛ`=5
다른 풀이
837  ②
점 (3, 4)와 직선 y=-x+2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점 A(4, 3)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평행이동하면 각각 점 (3, 2)와 직선 y=-x이다.
A'(4, -3)
점 (3,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의 좌표는
점 B(2, 5)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2, -3)이고, 점 (-2, -3)을 다시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B'(-2, 5)
평행이동하면 구하는 점이고 그 좌표는 (-2, -1)이다.
y
∴ p=-2, q=-1
B'{-2,`5} B{2,`5}
∴ pÛ`+qÛ`=5
A{4,`3}

TIP Q

점을 직선 y=mx+n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구할 때,


O P x
m=Ñ1인 경우는 다른 풀이  와 같이 풀 수 있다.
점과 직선을 y축의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하여
A'{4,`-3}
직선 y=Ñx에 대한 대칭이동을 이용한 후 다시 y축의 방향으로
APÓ=AÕ'PÓ, QBÓ=QÕB'Ó이므로
n만큼 평행이동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구할 수 있다.
APÓ+PQÓ+QBÓ=AÕ'PÓ+PQÓ+QÕB'Ó이고,

192 수학 <상>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92 22. 9. 14. 오후 8:21


네 점 A', P, Q, B'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AÕ'PÓ+PQÓ+QÕB'Ó‌¾AÕ'B'Ó 평행이동한 원의 중심은 (k-1, 1)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4이다.
="Ã6Û`+(-8)Û`=10  yy 참고
따라서 APÓ+PQÓ+QBÓ의 최솟값은 10이다. 이 원이 직선 3x+4y+10=0과 접하므로 원의 중심에서 직선까지의
거리가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838   ⑴ '2Œ9  ⑵ {;3*;, ;3*;} {k-1,`1}


4
III
⑴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1, 2) 3x+4y+10=0
y
y=x
|3×(k-1)+4×1+10|
즉, =4에서
"Ã3Û`+4Û`
P B{6,`4}
A'{1,`2}
|3k+11|=20
A{2,`1} 31
∴ k=3 또는 k=-
x
3
O
따라서 구하는 모든 상수 k의 값의 곱은
APÓ=AÕ'PÓ이므로 APÓ+BPÓ=AÕ'PÓ+BPÓ이고, 31
3_{- }=-31
세 점 A', P, B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 yy ㉠ 3
이 값이 최소이므로 참고
AÕ'PÓ+BPÓ‌¾AÕ'BÓ
원 (x+1)Û`+(y-3)Û`=16을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Ã5Û`+2Û`='2Œ9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따라서 APÓ+BPÓ의 최솟값은 '2Œ9이다.
(x-k+1)Û`+(y-1)Û`=16이다.
⑵ ㉠에서 점 P가 직선 A'B 위에 있을 때 APÓ+BPÓ가 최소이므로
점 P는 직선 A'B와 직선 y=x의 교점이다.
직선 A'B의 방정식은
4-2
y= (x-1)+2
6-1
2
∴ y= x+
5
8
5
841  ②

직선 A'B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원 xÛ`+yÛ`-2x+6y+6=0에서 (x-1)Û`+(y+3)Û`=4


2 8 8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x+ =x에서 x=
5 5 3 평행이동하면 C`:`(x+1)Û`+(y-2)Û`=4
8 8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좌표는 { , }이다. 원 C와 직선 x+y-3=0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 3
y
C 4

839  ②
2
점 P를 점 A(3, 8)에서 시작하여 주어진 규칙에 따라 x+y-3=0
이동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A(3, 8) 1Ú (6, 8) 1Ú (9, 8) 1Ú (9, 10) -1 O 1 x
㈎ ㈎ ㈏
1Ú (12, 10) 1Ú B(12, 12)
따라서 두 부분의 넓이의 차는 다음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 ㈏ 반원의 넓이와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가 2'2인
따라서 점 B의 x좌표와 y좌표는 모두 12이므로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다.
구하는 합은 12+12=24이다. y
C 4

840  ② 2

x+y-3=0
원 xÛ`+yÛ`+2x-6y-6=0에서
(x+1)Û`+(y-3)Û`=16 x
-1 O 1
즉, 원의 중심이 (-1,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93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93 22. 9. 14. 오후 8:21


따라서 구하는 넓이의 차는
1 1
844  4
_4p+ _(2'2)Û`=2p+4
2 2 포물선 y=xÛ`+2ax+2aÛ`=(x+a)Û`+aÛ`을
포물선 y=xÛ`+aÛ`-a로 옮기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꼭짓점이 점 (-a, aÛ`)에서 점 (0, aÛ`-a)로 옮겨진다.
즉, 주어진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842  ④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원 xÛ`+yÛ`=2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의 방정식은 원 CÁ`:`xÛ`+(y-5)Û`=9는 중심이 (0, 5)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y=mxÑ'2"ÃmÛ`+1이다. 3이다.
이때, 두 직선 중 한 직선을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이 다른 한 직선이 되므로 원의 중심은 (a, 5-a)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yy 참고
직선 y=mx-"Ã2(mÛ`+1)을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두 원 CÁ, Cª의 중심을 각각 OÁ, Oª라 하고, 두 선분 OÁOª, AB가
것이 직선 y=mx+"Ã2(mÛ`+1)과 같아야 한다. 만나는 점을 H라 하자.
C¡ C™
즉, y=mx-"Ã2(mÛ`+1)+6이 y=mx+"Ã2(mÛ`+1)과 같으므로 A
H
-"Ã2(mÛ`+1)+6="Ã2(mÛ`+1)에서
O¡ O™
"Ã2(mÛ`+1)=3, 2(mÛ`+1)=9
B
7
∴ mÛ`=
2 사각형 AOÁBOª가 마름모이므로 두 선분 OÁOª와 AB는 서로 다른
것을 수직이등분한다.
ABÓ=2에서 AHÓ=1이고, AÕOÁÓ=3이므로 직각삼각형 AHOÁ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843  ①
OÕÁHÓ="Ã3Û`-1Û`=2'2
원 xÛ`+yÛ`-6x+8=0에서 즉, OÕÁOªÓ=2 OÁHÓ=4'2이다.
(x-3)Û`+yÛ`=1 한편, OÁ(0, 5), Oª(a, 5-a)에서
이 원은 중심이 (3,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다. OÕÁOªÓ="ÃaÛ`+(-a)Û`='2a (∵ a>0)
이 원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이므로 '2a=4'2
원을 C라 하면 원 C의 중심은 (a+3, b)이고, 반지름의 길이는 ∴ a=4
1이다.  yy 참고
참고
y
y=-x 원 CÁ`:`xÛ`+(y-5)Û`=9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C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x-3}@+y@=1 Cª`:`(x-a)Û`+(y+a-5)Û`=9이다.

O 3 x

원 C가 y축에 접하므로 중심의 x좌표의 절댓값이 반지름의 길이와 845  8


같다. 이때, 중심이 제 2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삼각형 OAB의 내접원은 x축과 y축에 동시에 접하고 중심이
a+3=-1   ∴ a=-4
제2사분면에 존재하므로 원의 방정식을
또한 원 C가 직선 y=-x에 접하므로
(x+a)Û`+(y-a)Û`=aÛ` (a>0)이라 하자.
원의 중심 (-1, b)와
ABÓ="Ã3Û`+4Û`=5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는
직선 y=-x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다.
1 1
|-1+b| _3_4= a(3+4+5)   ∴ a=1
따라서 =1에서 |b-1|='2 2 2
"Ã1Û`+1Û` 그러므로 원의 방정식은 (x+1)Û`+(y-1)Û`=1이다.
∴ b='2+1 (∵ b>0) 이때, 점 A(-4, 0)이 점 A'(2, 1)로 옮겨지므로 세 점 O(0, 0),
∴ a+b=-4+('2+1)=-3+'2 A(-4, 0), B(0, 3)과 내접원은 각각 x축의 방향으로 6만큼, y축의
참고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다.
원 (x-3)Û`+yÛ`=1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그러므로 삼각형 O'A'B'의 내접원의 방정식은

b만큼 평행이동한 원의 방정식은 {(x-6)+1}Û`+{(y-1)-1}Û`=1, (x-5)Û`+(y-2)Û`=1


(x-a-3)Û`+(y-b)Û`=1이다. 그러므로 p=5, q=2, r=1이다.
∴ p+q+r=5+2+1=8

194 수학 <상>

(166-208)해설3-3.indd 194 22. 9. 19. 오후 2:33


846   10 849  ④

점 P가 점 (5, 2)에서 출발하여 규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동한다. 점 P(a, b)가 직선 y=-2x+3 위의 점이므로
P(5, 2) 1Ú (2, 5) 1Ú (6, -1) 1Ú (6, 1) b=-2a+3`(a<0)이고, yy ㉠
㈎ ㈎ ㈏ Q(b, a), R(-a, -b)이다.
 1Ú (1, 6) 1Ú (5, 0) y
㈎ ㈎ P
그러므로 점 P는 5번 이동하고 점 (5, 0)에서 멈추므로 III
n=5, a=5, b=0이다.
∴ a+b+n=5+0+5=10 O x
Q

R
PQÓ="Ã(b-a)Û`+(a-b)Û`='2|a-b|
QRÓ="Ã(b+a)Û`+(a+b)Û`='2|a+b|
847  ④
PRÓ="Ã(-2a)Û`+(-2b)Û`=2"ÃaÛ`+bÛ`
ㄱ. 직선 x=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x=2이므로 Û
에서 PRÓ `=PQÓ Û `+QRÓ Û `이므로 삼각형 PQR는
자기 자신과 일치한다. ∠PQR=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yy 참고
ㄴ. |x|+|y|=4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따라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x|+|-y|=4   ∴ |x|+|y|=4 1 1
_PQÓ_QRÓ‌= _'2|a-b|_'2|a+b|
2 2
즉, 자기 자신과 일치한다.
=|aÛ`-bÛ`|
ㄷ. y=xÛ`+2|x|-3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aÛ`-(-2a+3)Û`| (∵ ㉠)
-y=xÛ`+2|x|-3   ∴ y=-xÛ`-2|x|+3
=|3aÛ`-12a+9|=45
즉, 자기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다.
즉, |aÛ`-4a+3|=15에서 aÛ`-4a+3=Ñ15
ㄹ. xÛ`+yÛ`-3x+1=0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Ú aÛ`-4a+3=-15일 때
xÛ`+(-y)Û`-3x+1=0   ∴ xÛ`+yÛ`-3x+1=0
aÛ`-4a+18=0의 실근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자기 자신과 일치한다.
Û aÛ`-4a+3=15일 때
따라서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켰을 때 자기 자신과 일치하는
aÛ`-4a-12=0, (a+2)(a-6)=0이므로
도형의 방정식은 ㄱ, ㄴ, ㄹ이다.
a=-2 (∵ a<0)
Ú, Û에서 a=-2이므로 ㉠에서 b=7
∴ a+b=5

참고

x축 또는 y축 또는 직선 y=Ñx 위에 있지 않은 점 A에 대하여
848   풀이 참조
점 A를 x축, y축,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각각 B, C,
직선 2x+y-3=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D라 하고,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E,
2y+x-3=0   ∴ x+2y-3=0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F라 하면 그림과 같이
이 직선을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하면 사각형 ABDC, AEDF는 모두 직사각형이다.
(x-k)+2y-3=0에서 x+2y-k-3=0이다. y
C A
이 직선이 원 (x-2)Û`+yÛ`=5와 만나므로 원의 중심 (2, 0)과
직선 x+2y-k-3=0 사이의 거리가 원의 반지름의 길이 '5보다 E
작거나 같아야 한다.
O x
|2-k-3|
즉, É'5이므로
"Ã1Û`+2Û` F
|k+1|É5, -5Ék+1É5 B
D
∴ -6ÉkÉ4
두 직선 AB, CD는 x축에 수직이고, 두 직선 AC, BD는 y축에
채점 요소 배점
수직이므로 사각형 ABDC는 직사각형이다.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5 %
두 직선 AE, FD는 직선 y=x에 수직이고, 두 직선 AF, ED는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25 %
직선 y=-x에 수직이므로 사각형 AEDF는 직사각형이다.
직선이 원과 만날 조건을 이용하여 답 구하기 50 %

Ⅲ. 도형의 방정식 195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95 22. 9. 14. 오후 8:21


두 점 A, B가 포물선 y=xÛ`-2x-2 위에 있으므로
850  ②
q=pÛ`-2p-2 yy ㉠
곡선 y=xÛ`+3x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하면 p=qÛ`-2q-2 yy ㉡
y=(x-a)Û`+3(x-a)이다. ㉠에서 ㉡을 변끼리 빼면
두 점 P, Q가 직선 y=-x 위의 점이므로 q-p=(pÛ`-qÛ`)-2(p-q)
점 P의 좌표를 (k, -k) (k<0)라 하면 (p+q)(p-q)-(p-q)=0
이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Q(-k, k)이다. 즉, (p+q-1)(p-q)=0이므로
(x-a)Û`+3(x-a)=-x에서 p=q 또는 p+q=1
방정식 xÛ`+(4-2a)x+aÛ`-3a=0의 두 근이 k, -k이므로 이때, p=q이면 두 점 A, B가 서로 같으므로 p+q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p+q=1이다.
두 근의 합은 k+(-k)=2a-4에서 a=2 q=1-p를 ㉠에 대입하면 1-p=pÛ`-2p-2에서
두 근의 곱은 k_(-k)=aÛ`-3a=-2 pÛ`-p-3=0
따라서 두 점 P, Q의 x좌표의 곱은 -2이다. 마찬가지로 p=1-q를 ㉡에 대입하면
qÛ`-q-3=0
따라서 p, q가 이차방정식 xÛ`-x-3=0의 두 근이므로
851   23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점 A(11, k), B(1, 5)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p+q=1, pq=-3
각각 A'(k, 11), B'(5, 1)이고, APÓ=A'PÓ, BPÓ=B'PÓ이므로 두 ∴ ABÓ‌="Ã(q-p)Û`+(p-q)Û`="Ã2(p-q)Û`
삼각형 APA', BPB'는 이등변삼각형이다. ='2_"Ã(p+q)Û`-4pq
즉, 직선 y=x가 두 선분 AA', BB'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점 P는 ='2_'1Œ3='2Œ6
직선 y=x 위의 점이다.
y
A'
y=x 853   ㄱ, ㄹ

ㄱ. 도형 f(x+4, y+3)=0은 도형 f(x, y)=0을


B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A
P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B'
y
O x f{x,`y}=0
2
이때, 두 삼각형 APA', BPB'는 닮음이고, A
1
넓이의 비가 9`:`4이므로 닮음비는 3`:`2이다.
-2 -1
AAÓ'Õ`:`BBÓ'Õ=3`:`2에서 O 2 3 x
-1
"Ã(11-k)Û`+(k-11)Û``:`"Ã4Û`+4Û`=3`:`2
'2(11-k)`:`4'2=3`:`2``(∵ 11-k>0)이므로
-2
f{x+4,`y+3}=0
12'2=2'2(11-k), 6=11-k   ∴ k=5 그러므로 도형 f(x+4, y+3)=0은 도형 B와 같다.
즉, A(11, 5), A'(5, 11)이다. ㄴ. ‌도형 f(-x+2, y+3)=0에서
두 점 A(11, 5), B(1, 5)에서 직선 AB의 방정식은 y=5이므로 f(-(x-2), y+3)=0
직선 y=x와 만나는 점의 좌표는 P(5, 5)이고, 즉, 이 도형은 도형 f(x, y)=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선분 AA'의 중점을 M이라 하면 그 좌표는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11+5 5+11
{ , }, 즉 (8, 8)이다.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2 2
y
그러므로 삼각형 APA'의 넓이는 f{-x,`y}=0 2 f{x,`y}=0
1 1 A
m‌= _AAÓ'Ó_PMÓ= _"Ã6Û`+6Û`_"Ã3Û`+3Û` 1
2 2
1 -1
= _6'2_3'2=18 -3 -2 O 2 3 x
2
-1
∴ k+m=5+18=23
-2
f{-x+2,`y+3}=0

852  ④ 그러므로 도형 f(-x+2, y+3)=0은 도형 B와 같지 않다.


ㄷ. 도형 f(-x, -y+1)=0에서
서로 다른 두 점 A, B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x, -(y-1))=0
A(p, q), B(q, p) (p+q)라 하자. ‌즉, 이 도형은 도형 f(x, y)=0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196 수학 <상>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96 22. 9. 14. 오후 8:21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도형 f(4-x, -y)=0은 도형 f(x, y)=0을 점 (2, 0)에 대하여
y 대칭이동한 것이다.
f{x,`y}=0
2
A TIP
f{-x,`-y+1}=0 1
주어진 도형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을 그릴 때,
-3 -2
O 2 3 x 도형 위의 특정한 점을 대칭이동한 점을 먼저 구한 후 그래프를
-1 그리면 좀 더 편리하다.

f{-x,`-y}=0
-2 예를 들어, 도형 f(x, y)=0 위의 두 점 (-4, 0), (-2, 2)를 III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0, -4), (2, -2)를
그러므로 도형 f(-x, -y+1)=0은 도형 B와 같지 않다.
먼저 찾고 두 점을 지나는 도형 f(y, x)=0을 그린다.
ㄹ. 도형 f(y+4, x+3)=0은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y
855  ②
f{y,`x}=0
3 원 xÛ`+(y+2)Û`=1을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f{x,`y}=0 평행이동하면
2
A (x-a)Û`+{(y-b)+2}Û`=1, 즉 (x-a)Û`+{y-(b-2)}Û`=1
1
이므로 중심이 (a, b-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다.
-2 -1
O 1 2 3 x
이때, aÛ`+bÛ`=4b, 즉 aÛ`+(b-2)Û`=4에서 점 (a, b-2)는 원
-1
xÛ`+yÛ`=4 위의 점이므로 도형의 자취 C는 중심이 원 xÛ`+yÛ`=4
-2 위에 있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을 그리므로 도형 C는 다음과
f{y+4,`x+3}=0
그러므로 도형 f(y+4, x+3)=0은 도형 B와 같다. 같이 색칠된 영역이다.
따라서 도형 B를 나타내는 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y

854  ③ O x

도형 f(4-x, y)=0에서 f(-(x-4), y)=0이므로


도형 f(x, y)=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따라서 구하는 도형 C의 넓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의 넓이에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의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도형 f(4-x, -y)=0은 도형 f(4-x, y)=0을 x축에 대하여 p_3Û`-p_1Û`=8p
대칭이동한 것이다.
도형 f(y, x)=0은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대하여
yy TIP
대칭이동한 것이다. 
즉, 세 도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856  ④

y 도형 f(y+1, -x-3)=0은 도형 f(x, y)=0을 직선 y=x에


f{y,`x}=0
2 f{4-x,`-y}=0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다음,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O 2 6 8 x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y
-2 f{4-x,`y}=0 3
-4 f{y+1,`-x-3}=0

1
따라서 구하는 부분의 넓이는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사각형과 밑변의 -1 2 4
-3 O x
길이가 4이고 높이가 2인 삼각형의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1
1
4_4+ _4_2=20이다. -2
2 f{x,`y}=0
다른 풀이
d-b
는 두 점 (a, b), (c, d)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므로
다음과 같이 해석하여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다. c-a
도형 f(4-x, y)=0은 도형 f(x, y)=0을 직선 x=2에 대하여 점 (a, b)가 점 (0, -2), 점 (c, d)가 점 (-1, 3)일 때 최소이고,
대칭이동한 것이다. 점 (a, b)가 점 (2, 0), 점 (c, d)가 점 (-1, -1)일 때 최대이다.

Ⅲ. 도형의 방정식 197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97 22. 9. 14. 오후 8:21


3-(-2) -1-0 1 a=-3
따라서 최솟값은 =-5, 최댓값은 = 이므로
-1-0 -1-2 3 ∴ l`:`y=-3x+b yy ㉠
1 14 y
구하는 합은 -5+ =-
3 3
y=-3x-3 {p,`q}

{1,`2}
857   ;;Á5¥;;
{-1,`0} O x

b+c b-(-c)
= 에서 두 점 (a, b), (-d, -c)를 지나는 y=-3x+b
a+d a-(-d)
직선의 기울기와 같다. 점 (-d, -c)는 점 Q(c, d)를 원점에 직선 y=-3x-3 위의 한 점 (-1, 0)을 점 (1, 2)에 대하여
대하여 대칭이동한 다음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 한 점과 같다. 대칭이동한 점이 직선 l 위의 점이므로 이 점을 (p, q)라 하면
점 Q가 원 xÛ`+yÛ`+8x+4y+16=0, 즉 (x+4)Û`+(y+2)Û`=4 두 점 (-1, 0)과 (p, q)를 이은 선분의 중점이 점 (1, 2)이다.
위의 점이므로 원의 중심 (-4, -2)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p-1 q
즉, 점 { , }가 점 (1, 2)와 일치하므로
(4, 2)이고, 이 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2, 4)이다. 2 2
즉, 점 (-d, -c)는 중심이 (2, 4)이고 반지름이 2인 원 p=3, q=4
(x-2)Û`+(y-4)Û`=4 위의 점이다. 따라서 직선 l이 점 (3, 4)를 지나므로 x=3, y=4를
그러므로 두 점 (a, b), (-d, -c)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직선이 두 원의 중심 (-4, -2), (2, 4)를 잇는 선분의 4=-9+b   ∴ b=13
-4+2 -2+4 ∴ a+b=10
중점 { , }, 즉 (-1, 1)을 지나며 두 원에 동시에
2 2 다른 풀이
접할 때,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갖는다.
도형 f(x, y)=0을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y
f(2a-x, 2b-y)=0이다.
즉, 직선 y=-3x-3을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의
{2,`4}
{-1,`1} 방정식은 4-y=-3(2-x)-3

x
따라서 y=-3x+13이므로
O
a=-3, b=13
{-4,`-2}
∴ a+b=10

점 (-1,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TIP


y-1=k(x+1)`(k는 상수), 즉 kx-y+k+1=0이고, 직선 l을 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을 l'이라 하자.
이 직선이 원 (x+4)Û`+(y+2)Û`=4에 접하므로 점 (p, q)를 원점으로 옮기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두 직선 l, l'을
|-4k+2+k+1| 평행이동하여도 두 직선 l, l'의 기울기는 변하지 않는다.
=2에서
"ÃkÛ`+(-1)Û` 이때, 두 직선 l, l'을 평행이동한 두 직선은 원점에 대하여
3|-k+1|=2"ÃkÛ`+1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대칭이므로 두 직선의 기울기는 같다.
9kÛ`-18k+9=4kÛ`+4, 5kÛ`-18k+5=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따라서 두 직선 l, l'의 기울기는 서로 같다.
9Ñ"Ã9Û`-25 9Ñ2'1Œ4 y l l'
k= =
5 5
{p,`q}
9-2'1Œ4 b+c 9+2'1Œ4
그러므로 É É 이므로
5 a+d 5
9+2'1Œ4 9-2'1Œ4
M= , m= 이다.
5 5 O x

18
∴ M+m=
5

858   10

직선을 어떤 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였을 때


859  ①

직선의 기울기는 변하지 않으므로  yy TIP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의 꼭짓점을 A(0, 1)이라 하고,
직선 y=-3x-3을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 l의 이 그래프와 점 (2, -1)에 대하여 대칭인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방정식 y=ax+b에서 꼭짓점을 B(p, q)라 하자.

198 수학 <상>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98 22. 9. 14. 오후 8:21


y
y=x@+1
860   풀이 참조

원 xÛ`+yÛ`+6x+4y+4=0에서 (x+3)Û`+(y+2)Û`=9
원 xÛ`+yÛ`+2x-12y+k=0에서 (x+1)Û`+(y-6)Û`=37-k
A
O {2,`-1} x 이때, 두 원이 직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므로 두 원의 반지름의
B 길이는 서로 같다.
따라서 9=37-k에서 k=28이다.
두 원의 중심을 각각 OÁ(-3, -2), Oª(-1, 6)이라 하면
III
두 점이 직선 y=mx+n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선분 AB의 중점이 (2, -1)이므로
직선 y=mx+n은 선분 OÁOª의 수직이등분선이다.
p q+1
점{ , }이 점 (2, -1)과 일치한다. y=mx+n
2 2
∴ p=4, q=-3 O¡

또한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를 점 (2, -1)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를 갖는 이차함수의 이차항의 계수는 -1이다.
 yy TIP O™

따라서 대칭인 이차함수는 y=-(x-4)Û`-3이다.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3+(-1) -2+6
선분 OÁOª의 중점이 { , }, 즉 (-2, 2)이고,
y=-xÛ`-1 2 2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6-(-2)
직선 OÁOª의 기울기가 =4이므로
-1-(-3)
평행이동하면 y=-(x-4)Û`-3이 되므로
선분 OÁOª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a=4, b=-2
1 1 3
∴ a+b=2 y-2=- (x+2)   ∴ y=- x+
4 4 2
다른 풀이 1 3
따라서 m=- , n= 이므로
4 2
도형 f(x, y)=0을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도형의 방정식은 1 3 21
kmn=28_{- }_ =-
f(2a-x, 2b-y)=0이다. 4 2 2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를 점 (2, -1)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채점 요소 배점
-2-y=(4-x)Û`+1   ∴ y=-(x-4)Û`-3 직선에 대하여 대칭인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이용하여 k의 값 구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30 %
하기
y=-xÛ`-1이고,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직선에 대하여 대칭인 두 원의 중심을 이은 선분을 수직이등분하는
60 %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y=-(x-4)Û`-3이 되므로 직선의 방정식 구하기

a=4, b=-2 답 구하기 10 %

∴ a+b=2

TIP
이차함수 y=p(x+q)Û`+r의 그래프를 점 (m, n)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를 갖는 이차함수를 861   x+3y-14=0

y=p'(x+q')Û`+r '이라 하자. l`:`3x-y-2=0, m`:`x-2y+6=0이라 하고,


점 (m, n)을 원점으로 옮기는 평행이동에 의하여 직선 l을 직선 m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직선을 n이라 하자.
두 곡선 y=p(x+q)Û`+r, y=p'(x+q')Û`+r '은 각각 y
l:3x-y-2=0
y=p(x+m+q)Û`+r-n, y=p'(x+m+q')Û`+r '-n으로
B{a,`b} m:x-2y+6=0
옮겨지고, 이 두 곡선은 원점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곡선 y=p(x+m+q)Û`+r-n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2,`4} n
-y=p(-x+m+q)Û`+r-n
∴ y=-p(x-m-q)Û`-r+n
O x
이 곡선이 y=p'(x+m+q')Û`+r '-n과 같으므로 A{0,`-2}
p'=-p이다.
두 직선 l, m의 교점이 (2, 4)이므로 직선 n도 점 (2, 4)를 지난다.
즉, 두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어떤 점에 대하여 대칭일 때,
또한 직선 l 위의 한 점 A(0, -2)를 직선 m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두 이차함수의 이차항의 계수는 서로 절댓값이 같으면서
점을 B(a, b)라 하면 직선 n이 점 B를 지난다.
부호가 반대인 수이다.
점 B의 좌표를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Ⅲ. 도형의 방정식 199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199 22. 9. 14. 오후 8:21


두 점 A, B가 직선 m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m이 선분 AB를 C{-7,`6}
y
수직이등분한다. B{0,`5}
직선 AB가 직선 m:`x-2y+6=0과 수직이므로 직선 AB의 l
b+2
기울기는 =-2 x
a O
A{2,`-1}
∴ 2a+b=-2 yy ㉠

또한 직선 m:`x-2y+6=0이 선분 AB의 중점 { , }를
a b-2
2 2 D{a,`b}
지나므로 따라서 직선 l은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이다.
a b-2 0+2 5+(-1)
-2_ +6=0 선분 AB의 중점이 { , }, 즉 (1, 2)이고,
2 2 2 2
∴ a-2b=-16 yy ㉡ 직선 AB의 기울기가 -3이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6이므로 1
y= (x-1)+2   ∴ l`:`x-3y+5=0
B(-4, 6) 3
따라서 직선 n은 두 점 (2, 4), (-4, 6)을 지나므로 직선 n의 C(-7, 6)이라 하면 모눈종이를 접을 때 점 C와 겹치는 점은
방정식은 직선 l에 대하여 대칭인 점이다.
4-6 이 점을 D(a, b)라 하면 직선 l이 선분 CD를 수직이등분한다.
y= (x-2)+4
2-(-4) 1
직선 l의 기울기가 이므로 직선 CD의 기울기는
∴ x+3y-14=0 3
b-6
다른 풀이 =-3
a-(-7)
직선 3x-y-2=0 위의 점을 직선 x-2y+6=0에 대하여 b-6=-3(a+7)   ∴ 3a+b=-15 yy ㉠

직선 l`:`x-3y+5=0이 선분 CD의 중점 { }을
대칭이동한 점의 자취의 방정식이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이다. a-7 b+6
,
직선 3x-y-2=0 위의 점을 A(xÁ, yÁ)이라 하고, 2 2

이 점을 직선 x-2y+6=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x, y)라 지나므로


a-7 b+6
하면 선분 AB의 수직이등분선이 직선 x-2y+6=0이다. -3_ +5=0   ∴ a-3b=15 yy ㉡
2 2
1
직선 x-2y+6=0의 기울기가 이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2
y-yÁ a=-3, b=-6
직선 AB의 기울기는 =-2 ∴ ab=18
x-xÁ
∴ 2x+y-2xÁ-yÁ=0 yy ㉢
x+xÁ y+yÁ
직선 x-2y+6=0이 선분 AB의 중점 { , }을
2 2
지나므로 863  ④
x+xÁ y+yÁ 점 P(6, 4)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2_ +6=0
2 2
P'(6, -4)이고, 원점 O(0, 0)을 직선 y=6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 x-2y+xÁ-2yÁ+12=0 yy ㉣
점을 O'이라 하면 O'(0, 12)이다.
㉢, ㉣을 연립하여 xÁ항을 소거하면
y
4x-3y+24 12 O'
4x-3y-5yÁ+24=0   ∴ yÁ=
5
㉢, ㉣을 연립하여 yÁ항을 소거하면
3x+4y-12 6
B
3x+4y-5xÁ-12=0   ∴ xÁ=
5
4 P
이때, 점 (xÁ, yÁ)이 직선 3x-y-2=0 위의 점이므로
3x+4y-12 4x-3y+24 6
3_ - -2=0
5 5 O A x
∴ x+3y-14=0
-4 P'
위와 같이 빛이 반사되는 점을 각각 A, B라 하면
PAÓ=PÕ'AÓ, BOÓ=BÕO'Ó이고, 입사각과 반사각의 크기가 서로
862   18
같으므로 네 점 P', A, B, O'은 일직선 위에 있다.
A(2, -1), B(0, 5)라 하고, 두 점이 겹치도록 모눈종이를 따라서 빛이 움직인 거리는
접었을 때 접은 선이 되는 직선을 l이라 하면 두 점 A, B는 직선 l에 PAÓ+ABÓ+BOÓ‌=PÕ'AÓ+ABÓ+BÕO'Ó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PÕ'O'Ó="Ã(-6)Û`+16Û`=2'7Œ3

200 수학 <상>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200 22. 9. 14. 오후 8:21


864  ② 866  ②

직사각형 ABCD를 A(0, 90), B(0, 0), C(180, 0), D(180, 90)이 점 C(p, p)는 직선 y=x 위의 점이다.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고 당구공이 변 BC, CD, DA와 y
y=x
부딪힌 점을 각각 Q, R, S라 하자.
A'{-1,`3} C
y B{6,`3}

5 III
S O x
A D
R A{3,`-1}
P
Q C 삼각형 ABC에서 ABÓ="Ã3Û`+4Û`=5로 일정하므로
O{=B} x BCÓ+CAÓ가 최소일 때,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가 최소이다.
P' P"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당구공의 처음 위치를 점 P라 하면 P(60, 20)이다.
A'(-1, 3)
점 P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BCÓ+CAÓ=BCÓ+CÕA'Ó이고 세 점 A', C, B가 일직선 위에
P'(60, -20)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다.
점 P'을 직선 x=18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이때,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은 y=3이므로 삼각형 ABC의
P"(300, -20)
둘레의 길이가 최소일 때 C(3, 3)이고,
점 P"을 직선 y=9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이때 ∠BCA=90ù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P"'(300, 200)
1 1
따라서 당구공이 움직인 거리는 _BCÓ_ACÓ= _3_4=6이다.
2 2
PQÓ+QRÓ+RSÓ+SBÓ‌=PÕ'QÓ+QRÓ+RSÓ+SBÓ
=PÕ"RÓ+RSÓ+SBÓ
=PÕ"'SÓ+SBÓ
867   4'1Œ3

=PÕ"'BÓ 점 R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R'이라 하면 점 R'는 직선


=OÕP"'Ó y=-2 위에 있고, PRÓ=PRÓ',Ó RQÓ=R'QÓ이다.
="Ã300Û`+200Û`=100'1Œ3 (cm) 또한 점 A를 직선 y=-2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2, -7)
이라 하면 ARÓ'Ó=A'R'Ó이다.
y
865  1
B{6,`5}
A{-2,`3}
점 A(0, 4)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R y=2
P
A'(0, -4) O Q x
y=-2
점 B(5, 3)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B'이라 하면 R'

B'(3, 5)
y y=x A'{-2,`-7}
B'{3,`5}
A{0,`4}
APÓ+PRÓ+RQÓ+QBÓ‌=APÓ+PR'Ó+R'QÓ+QBÓ
B{5,`3} ¾ARÓ'Ó+R'BÓ¾A'BÓ
Q 따라서 APÓ+PRÓ+RQÓ+QBÓ의 최솟값은
O
P x A'BÓ‌="Ã{6-(-2)}Û`+{5-(-7)}Û` ='Ä64+144=4'1Œ3

A'{0,`-4} 868  ②
APÓ=AÕ'PÓ, QBÓ=QÕB'Ó이므로 네 점 A, B, C, D를 각각 A(0, 80), B(0, 0), C(50, 0),
APÓ+PQÓ+QBÓ=AÕ'PÓ+PQÓ+QÕB'Ó이고, 네 점 A', P, Q, B'이 D(50, 80)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자.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다. y
따라서 APÓ+PQÓ+QBÓ가 최솟값을 가질 때 직선 PQ의 방정식은 D
A A'
직선 A'B'의 방정식과 같으므로
5-(-4)
y= x-4에서 y=3x-4
3-0
R
따라서 -3x+y+4=0이므로 P
a=-3, b=4 O{=B} Q C x
∴ a+b=1 P'

Ⅲ. 도형의 방정식 201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201 22. 9. 14. 오후 8:21


선분 AB를 3`:`1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0, 20)이고, ABÓ=PBÓ, CAÓ=CQÓ이므로 만들려는 도로의 길이는
점 P(0, 20)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면 ABÓ+BCÓ+CAÓ=PBÓ+BCÓ+CQÓ이고,
P'(0, -20) 네 점 P, B, C, Q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다.
점 A(0, 80)을 직선 x=50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따라서 PBÓ+BCÓ+CQÓ가 최솟값을 가질 때, 직선 BC의 방정식은
A'(100, 80) 직선 PQ의 방정식과 같으므로
이때, PQÓ=PÕ'QÓ이고 RAÓ=RÕA'Ó이므로 3-(-1)
y= (x-3)-1   ∴ y=-2x+5
PQÓ+QRÓ+RAÓ=PÕ'QÓ+QRÓ+RÕA'Ó이고, 1-3
네 점 P', Q, R, A'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다. 5
따라서 직선 y=-2x+5와 x축이 만나는 점은 B{ , 0},
2
∴ PÕ'QÓ+QRÓ+RÕA'Ó‌¾PÕ'A'Ó
5 5
="Ã100Û`+100Û` 직선 y=-2x+5와 직선 y=x의 교점은 C{ , }이므로
3 3
=100'2 도로의 길이가 최소일 때 두 정류소 B와 C 사이의 거리는

BCÓ=®É{ - }2`+{ -0}2`=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00'2이다. 5 5 5 5'5
3 2 3 6

869   45

점 A(-1, 0)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A'이라 하면


A'(1, 0)이다.
y

B{-3,`8}
871  ③

Q 건물 A의 위치가 점 A(0, 0), 도로의 위, 아래 경계선이


각각 직선 y=10, y=20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고, 건물 B의

P
위치를 점 B라 하면 점 B의 y좌표는 10+10+5=25이므로

A A'
B(b, 25)`(b>0)이라 하자.
-1 O 1 x ABÓ=5'4Œ1이므로 "ÃbÛ`+25Û`=5'4Œ1에서
APÓ+PQÓ=AÕ'PÓ+PQÓ이고, 세 점 A', P, Q가 일직선 위에 있을 때 bÛ`+25Û`=25_41, bÛ`=25_16=20Û`
이 값이 최소이므로 AÕ'PÓ+PQÓ¾AÕ'QÓ ∴ b=20 (∵ b>0)
이때, 점 Q가 원의 중심과 점 A'을 이은 선분 위에 있을 때 y
B{20,`25}
AÕ'QÓ가 최소이다. 20 C
원의 중심을 B(-3, 8)이라 하면 구하는 최솟값은 AÕ'BÓ에서 원의
B'{20,`15}
반지름의 길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10
k="Ã4Û`+(-8)Û`-'5=3'5 D

∴ kÛ`=45 x
O{=A}

870  ⑤ 횡단보도가 도로의 경계선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C, D라 하면


횡단보도는 도로와 수직이므로 CDÓ=10이다.
지점 O가 원점, 직선도로 l이 x축이 되도록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이때, 건물 A에서 이 횡단보도를 거쳐 건물 B로 이동하는 거리는
직선도로 m은 직선 y=x를 나타내고, ADÓ+DCÓ+BCÓ=ADÓ+10+BCÓ yy ㉠
정류소 A의 좌표는 A(3, 1)이다. 이므로 ADÓ+BCÓ가 최소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y 선분 BC를 점 C가 점 D로 옮겨지도록 평행이동할 때, 즉 y축의
Q{1,`3} y=x
방향으로 -10만큼 평행이동할 때, 점 B(20, 25)가 이동되는 점을
B'이라 하면
C A{3,`1} B'(20, 15)
이때, BCÓ=BÕ'DÓ이므로
O B x
ADÓ+BCÓ=ADÓ+BÕ'DÓ
P{3,`-1}
세 점 A, D, B'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점 A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라 하면 ADÓ+BÕ'DÓ‌¾AÕB'Ó
P(3, -1) ="Ã20Û`+15Û`=25
점 A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Q라 하면 따라서 ㉠에서 구하는 최솟값은
Q(1, 3) 25+10=35(m)

202 수학 <상>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202 22. 9. 14. 오후 8:21


선분 AC를 점 A(a, a)가 점 B(a+2, a+2)로 옮겨지도록
872  ④
평행이동하면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다음과 같이 점 P를 직선 OB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 평행이동하는 것과 같으므로 점 C(1, -1)이 이동되는 점을
직선 OA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P"이라 하자. C'이라 하면 C'(3, 1)이다.
P' 또한 점 C'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을 C"이라 하면
B C"(1, 3)이다.
R
ACÓ+BDÓ=BÕC'Ó+BDÓ=BÕC"Ó+BDÓ이고, 세 점 B, C", D가 일직선
P III
O 60±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BÕC"Ó+BDÓ¾CÕ"DÓ="Ã6Û`+(-2)Û`=2'1Œ0
Q
A 따라서 사각형 ACDB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2'2+2'1Œ0+2'1Œ0=2'2+4'1Œ0이다.
P"
PRÓ=PÕ'RÓ, PQÓ=PÕ"QÓ이므로 삼각형 PQR의 둘레의 길이는
PQÓ+QRÓ+RPÓ=PÕ"QÓ+QRÓ+RÕP'Ó이다.
네 점 P', R, Q, P"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이 값이 최소이므로
PÕ"QÓ+QRÓ+RÕP'Ó¾PÕ'P"Ó
874  ⑤

이때, ∠P'OB=∠POB, ∠POA=∠P"OA이므로 원 (x-2)Û`+yÛ`=16은 중심이 (2, 0)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4이고,
∠P'OP"=2(∠POB+∠POA)=120ù 원의 중심 (2, 0)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후
P'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0, 0)이므로 점 Q는 원
4 xÛ`+yÛ`=16 위의 점이다.
이때, 직선 AB의 방정식은
'3-(-'3)
(x-1), '3x-y-2'3=0
O 60±
H y-(-'3)= yy ㉠
3-1
이고, 선분 AB를 밑변으로 할 때 삼각형 ABQ의 높이는 점 Q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이 원점을 지날 때 최대이다.
y
P"
점 O에서 선분 P'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Q
∠P'OH=60ù, OÕP'Ó=4이므로 PÕ'HÓ=2'3 O B
∴ PÕ'P"Ó=2 PÕ'HÓ=4'3 x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4'3이다. A

원 xÛ`+yÛ`=16의 중심 (0, 0)과 직선 '3x-y-2'3=0 사이의


873  ③
거리는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a, a), (b, b)`(b>a)라 하면 |-2'3|
='3
"Ã('3 )Û`+(-1)Û`
ABÓ‌="Ã(b-a)Û`+(b-a)Û`
그러므로 삼각형 ABQ의 넓이의 최댓값 S은
='2|b-a|=2'2
1
에서 b-a=2 (∵ b>a)이므로 S‌= _ABÓ_('3+4)
2
b=a+2
1
즉, 점 A(a, a)에 대하여 B(a+2, a+2)이다. = _"Ã2Û`+(2'3 )Û`_('3+4)=2('3+4)
2
또한 사각형 ACDB에서 ABÓ=2'2, CDÓ="Ã6Û`+2Û`=2'1Œ0으로 ㉠에서 직선 AB의 기울기가 '3이므로 직선 AB와 수직이고 원점을
각각 일정하므로 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ACÓ+BDÓ가 1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x이고, 이 직선이 원
최소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3
y xÛ`+yÛ`=16과 제2사분면에서 만나는 점이 Q이므로
y=x
1 4
B xÛ`+{- x}Û`=16, xÛ`=16, xÛ`=12, x=-2'3` (∵ x<0)이고
C"
'3 3
y=2, 즉 Q(-2'3, 2)이다.
A
점 Q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은 (2, -2'3)이고, 이
D
C' 점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4, -2'3)이다.
O x
즉, 이 점이 P이므로 a=4이다.
C ∴ a+S=4+2('3+4)=12+2'3

Ⅲ. 도형의 방정식 203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203 22. 9. 14. 오후 8:21


점 Q는 점 (1, 2)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2, 1)이고,
875  ②
이 점을 다시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2, 1)이고,
점 A(5-2a, a)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이 점을 다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고,
점 (2a-5, a)이다. 이 점을 다시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므로
이 점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네 점 (2, 1), (-2, 1), (1, -2), (1, 2)를 차례로 반복해서
점 B(a, 2a-5)이다. 이동한다.
이때, OAÓ=OBÓ="ÃaÛ`+(2a-5)Û`이고, y
(직선 OA의 기울기)_(직선 OB의 기울기) [점 Q의 이동]
{1,`2}
a 2a-5 {-2,`1}
= _ =-1
5-2a a {2,`1}
이므로 삼각형 AOB는 ∠AOB=90ù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O x
y
{2a-5,`a} A{5-2a,`a} {1,`-2}

따라서 두 점 P, Q는 점 (1, 2) 또는 (1, -2)에서 일치한다.


O x
P Ú 점 (1, 2)에서 일치하는 경우
점 P는 3, 6, 9, y번 이동했을 때 점 (1, 2)에 위치하고,
B{a,`2a-5}
점 Q는 4, 8, 12, y번 이동했을 때 점 (1, 2)에 위치하므로
따라서 삼각형 OAB의 외심 P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자연수 k에 대하여 12k번째마다 두 점 P, Q가 일치한다.
1 이때, 2000=12_166+8이므로
(삼각형 OBP의 넓이)‌= _(삼각형 OAB의 넓이)
2
2000번 중 166번은 점 (1, 2)에서 일치한다.
1 1
= _ _OBÓ Û` Û 점 (1, -2)에서 일치하는 경우
2 2
1 점 P는 1, 4, 7, 10, y번 이동했을 때 점 (1, -2)에 위치하고,
=  OBÓ Û` yy ㉠
4 점 Q는 3, 7, 11, y번 이동했을 때 점 (1, -2)에 위치하므로
따라서 OBÓ가 최소일 때, 삼각형 OBP의 넓이가 최솟값을 갖는다. 두 점이 각각 7번 이동했을 때 점 (1, -2)로 일치하고,
점 B(a, 2a-5)는 직선 y=2x-5 위의 점이고, 이후 12번째마다 일치한다.
점 O(0, 0)에서 직선 2x-y-5=0까지의 거리는 즉, 자연수 k에 대하여 12k-5번째마다 두 점 P, Q가
|-5| 일치하므로 2000번 중 167번 일치한다.
='5
"Ã2Û`+(-1)Û` Ú, Û에 의하여 두 점이 일치하는 횟수는
따라서 OBÓ의 최솟값은 '5이므로 삼각형 OBP의 넓이의 최솟값은 166+167=333
1 5
_('5 )Û`= (∵ ㉠)이다.
4 4
다른 풀이 877  ③
B(a, 2a-5)이므로 ㉠에서 삼각형 OBP의 넓이는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두 점이
1 1 5 5
 OBÓ Û`‌= {aÛ`+(2a-5)Û`}= (a-2)Û`+ 이차함수 y=xÛ`-2x+2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4 4 4 4
A(a, aÛ`-2a+2), B(b, bÛ`-2b+2)이다. (단, a+b)
5
에서 a=2일 때, 최솟값  를 갖는다. 1
4 두 점 A, B가 직선 y=- x+1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1
직선 y=- x+12가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한다.
876   333 2
1
직선 AB가 직선 y=- x+12와 수직이므로
점 P는 점 (1, 2)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고, 2
이 점을 다시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고, 직선 AB의 기울기는
이 점을 다시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2)이므로 (bÛ`-2b+2)-(aÛ`-2a+2) (bÛ`-aÛ`)-2(b-a)
‌=
세 점 (1, -2), (-1, -2), (1, 2)를 차례로 반복해서 이동한다. b-a b-a
y =a+b-2=2 (∵ a+b)
[점 P의 이동] {1,`2} ∴ a+b=4 yy ㉠
1
또한 직선 y=- x+12가 선분 AB의 중점
O 2
x
a+b aÛ`+bÛ`-2a-2b+4
{ , }를 지나므로
2 2
{1,`-2} aÛ`+bÛ`-2a-2b+4 1 a+b
{-1,`-2} =- _ +12
2 2 2

204 수학 <상>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204 22. 9. 14. 오후 8:21


2{aÛ`+bÛ`-2(a+b)+4}=-(a+b)+48 b-6 1
=-
이 식에 ㉠을 대입하면 2(aÛ`+bÛ`-4)=44 a 3
∴ aÛ`+bÛ`=26 yy ㉡ ∴ a+3b=18 yy ㉠

또한 직선 y=3x가 선분 AA'의 중점 { , }을 지나므로


㉠, ㉡ 을 연립하여 풀면 a b+6
2 2
a=5, b=-1 또는 a=-1, b=5
b+6 a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1, 5), (5, 17)이므로 =3_
2 2
ABÓ="Ã6Û`+12Û`=6'5 ∴ 3a-b=6 yy ㉡
III
다른 풀이 18 24
㉠, ㉡ 을 연립하여 풀면 a= , b= 이므로
5 5
1
두 점 A, B가 직선 y=- x+1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18 24
2 A'{ , }
5 5
1
직선 y=- x+12가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한다. 한편, 직선 BD의 방정식은 y=x이고, 두 점 A'과 C'은
2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1
직선 y=- x+12와 수직인 직선 AB의 방정식을 24 18
2 C'{ , }
5 5

따라서 AÕ'C'Ó=®É{ }2`+{- }2`=  '2이므로


y=2x+k (k는 상수)라 하면 두 점 A, B는 포물선 y=xÛ`-2x+2와
6 6 6
직선 y=2x+k의 교점이다.
5 5 5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p=5, q=6
방정식 xÛ`-2x+2=2x+k, 즉 xÛ`-4x+2-k=0 yy ㉢
∴ p+q=11
의 두 근이 a, b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4 yy ㉣
1
한편, 두 직선 y=- x+12, y=2x+k의 교점의 x좌표는
2
879   ;3@;

1 2 점 B가 원점이고, A(0, 1), C(2, 0), D(2, 1)이 되도록 좌표평면


- x+12=2x+k에서 x= (12-k)
2 5 위에 직사각형 ABCD를 놓고, 점 E의 좌표를 (2, a)라 하자.
이때, 두 직선의 교점은 선분 AB의 중점과 같으므로 y
2 a+b A H
(12-k)= =2 (∵ ㉣)에서 k=7 1 D
5 2
이를 ㉢에 대입하면 E
xÛ`-4x-5=0, (x-5)(x+1)=0
C
∴ a=5, b=-1 또는 a=-1, b=5 O{=B} G 2 x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1, 5), (5, 17)이므로 F
ABÓ="Ã6Û`+12Û`=6'5 점 A가 점 E와 직선 GH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GH는
선분 AE의 수직이등분선이다.

878   11 직선 AE의 기울기가


a-1
2
이고, 선분 AE의 중점이

{1, }이므로 직선 GH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A(0, 6), B(0, 0), C(6, 0), D(6, 6)이 되도록 a+1
2
사각형 ABCD를 좌표평면 위에 놓으면
-2 a+1
E(2, 6), F(6, 2) y=
a-1
(x-1)+
2
y y=x 직선 GH 위의 점 G의 y좌표가 0이므로
E
A6
D -2 a+1
0= (x-1)+ 에서
A' a-1 2
C'
a+1 a-1 aÛ`+3
x=- _ +1=
2 -2 4
F
aÛ`+3
∴ BGÓ=
6
4
O{=B} C x 직선 GH 위의 점 H의 y좌표가 1이므로
직선 BE의 방정식은 y=3x이고, 점 A'은 점 A를 직선 BE에 -2 a+1
1= (x-1)+ 에서
a-1 2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므로 직선 BE는 선분 AA'을
1-a a-1 (a-1)Û`
수직이등분한다. x= _ +1= +1
2 -2 4
A'(a, b)라 하면 직선 AA'이 직선 y=3x와 수직이므로 aÛ`-2a+5
∴ AHÓ=
직선 AA'의 기울기는 4

Ⅲ. 도형의 방정식 205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205 22. 9. 14. 오후 8:21


이때, 사다리꼴 EFGH의 넓이는 사다리꼴 ABGH의 넓이와 f(t)=(직사각형 OOÁTOª의 넓이)-(삼각형 OÁSR의 넓이)
같으므로 -(삼각형 OªPQ의 넓이)
1 1 aÛ`+3 aÛ`-2a+5 1
_(BGÓ+AHÓ)_ABÓ= _{ + }_1 =t_2t-2_ (3t-2)Û`
2 2 4 4 2
aÛ`-a+4 17 =-7tÛ`+12t-4
= =
4 18 6 8
=-7{t- }Û`+
즉, 18(aÛ`-a+4)=4_17에서 9aÛ`-9a+2=0 7 7
(3a-1)(3a-2)=0 6 8
따라서 f(t)는 t= 일 때 최대이고 이때 최댓값은 M= 이다.
1 2 7 7
∴ a= 또는 a=
3 3 2 8 38
∴ a+M= + =
2 1 3 7 21
∴ CEÓ=a= {∵ CEÓ> }
3 2
TIP
y y

T¡ T¡

880  ③
O
T™
x O
T™
x
세 점 O, A, B를 x축의 방향으로 t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0<t< 일 때] [t= 일 때]
각각 OÁ, A', B'이라 하면
OÁ(t, 0), A'(t, 2), B'(-2+t, 0) 2 2
3 3
세 점 O, C, D를 y축의 방향으로 2t만큼 평행이동한 점을
각각 Oª, C', D'이라 하면 y y

Oª(0, 2t), C'(0, -2+2t), D'(2, 2t)


y T¡ T™
T™ T¡
A'
O™ T
D' O x O x
Q
T¡ P

[ <t<1일 때]
S T™
R
B' O O¡ x 2
[t=1일 때]
C' 3

두 삼각형 TÁ, Tª의 내부의 공통부분이 육각형 모양이 되려면 선분 y y


A'B'이 두 선분 OªC', OªD'과 A', B'이 아닌 두 점에서 만나야
T™
한다. 또한 선분 C'D'이 두 선분 OÁB', OÁA'과 C', D'이 아닌 두 T™
점에서 만나야 한다.  yy TIP T¡ T¡
선분 A'B'이 두 선분 OªC', OªD'과 만나는 점을 각각 P, Q라 하고, x x
O O
선분 C'D'이 두 선분 OÁB', OÁA'과 만나는 점을 각각 R, S라 하면
[1<t< 일 때] [t= 일 때]
P(0, 2-t), Q(3t-2, 2t), R(2-2t, 0), S(t, 3t-2) 4 4
3 3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육각형이 만들어지려면
(점 P의 y좌표)<(점 Oª의 y좌표)<(점 A'의 y좌표) y

이어야 하므로 2-t<2t<2이고,


T™
2
2-t<2t에서 t> , 2t<2에서 t<1
3
2 T¡
즉, 두 부등식을 모두 만족시키는 t의 값의 범위는 <t<1이다.
3 O x

[t> 일 때]
또한
(점 C'의 y좌표)<(점 OÁ의 y좌표)<(점 S의 y좌표) 4
3
이어야 하므로 -2+2t<0<3t-2이고,
2
-2+2t<0에서 t<1, 0<3t-2에서 t> 이므로
3
2 2
위와 마찬가지로 <t<1이다. 그러므로 a= 이다.
3 3
이때, 두 선분 A'OÁ, OªD'의 교점을 T라 하고 육각형의 넓이를
2
f(t) { <t<1}라 하면
3

206 수학 <상>

유형내신고쟁시(상)_해설.indb 206 22. 9. 14. 오후 8:2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