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6

수학Ⅱ

정답 및 풀이 Ⅰ 집합과 명제

01 집합의 뜻과 표현 2

02 집합의 연산 9
03 명제 21

Ⅱ 함수

04 함수 39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57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78

Ⅲ 수열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90

08 수열의 합 111
09 수학적 귀납법 128

Ⅳ 지수와 로그

10 지수 146
11 로그 156

정답을 확인하려 할 때에는 <빠른 정답 찾기>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0029 X={3, 6, 9, y}, Y={6, 12, 18, y}이므로
Ⅰ 집합과 명제
Y,X Y,X
01 집합의 뜻과 표현
0030 모든 정사각형은 마름모이므로 X,Y X,Y

0001 × 0002 0031x¤ =4에서에서x=—2


따라서 X={-2, 2}이므로에서Y,X Y,X
0003 0004 ×
0032 X=Δ
0005 0006 < |y|…1에서므므-1…y…1
이때 y는 정수이므로므므y=-1, 0, 1
0007 < 0008 < 따라서 Y={-1, 0, 1}이므로므므X,Y X,Y

0009 ≤ 0010 ≤ 0033 Δ 0034 {0}, {1}, {2}

0011 <
0035 {0, 1}, {0, 2}, {1, 2} 0036 {0, 1, 2}

0012 {4, 8, 12, 16, y}


0037 Δ, {Δ}

0013 {1, 2, 4, 5, 10, 20}


0038 Δ, {0}, {1}, {0, 1}

0014 {x|x는 자연수}


0039 Δ, {x}, { y}, {z}, {x, y}, {x, z}, { y, z}, {x, y, z}

0015 {x|x는 100 이하의 5의 양의 배수}


0040 Δ, {1}, {11}, {1, 11}

0016 A 0017 B
a b 1 3 5 0041 A=B 0042 A+B
c d 7 9

0043 A+B 0044 A=B

0018 A={1, 2, 4, 8}
0045 A+B
0019 A={x|x는 8의 양의 약수}
0046 9의 양의 약수는 1, 3, 9이므로 집합 {1, 3, 9}의 진부분집
0020 A 합은
1 2 Δ, {1}, {3}, {9}, {1, 3}, {1, 9}, {3, 9} 풀이 참조
4 8

0047 n(A)=4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2› =16 16
0021 무 0022 유

0023 유, 공 0024 무 0048 n(A)=4이므로 진부분집합의 개수는


2› -1=15 15

0025 0 0026 1
0049 2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집합 {1, 3, 4}의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다.
0027 3 2› —⁄ =2‹ =8 8

0028 10 이하의 소수는 2, 3, 5, 7의 4개이므로 0050 1, 3을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n({x|x는 10 이하의 소수})=4 4 2› —¤ =2¤ =4 집합 {2, 4}의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다. 4

2 정답 및 풀이
본책 9~13 쪽

01
01 집합의 뜻 본책 12쪽 0058 집합 A의 두 원소 a, b에 대하 b -1

집합의 뜻과 표현
a 0 2
여 a+b의 값을 구하면 오른쪽 표와 같
-1 -2 -1 1
집합 어떤 조건에 의하여 대상을 분명하게 정할 수 있는 것들의 모임 으므로
0 -1 0 2
서서-2, -1, 0, 1, 2, 4 ⇢➊
2 1 2 4
0051‘아름다운’,‘가까운’
,‘작은’,‘잘 어울리는’은 조건이 명확 ∴ X={-2, -1, 0, 1, 2, 4}
하지 않아 그 대상을 분명하게 정할 수 없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➋
⑤ X={-2, -1, 0, 1, 2, 4}

채점 기준표

0052 ‘높은’,‘큰’은 조건이 명확하지 않아 그 대상을 분명하게 정 ➊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80%


할 수 없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➋ 집합 X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20%
따라서 보기 중 집합인 것은 ㄱ, ㄴ, ㄹ의 3개이다. ③

04 유한집합과 무한집합 본책 13쪽

02 집합과 원소 사이의 관계 본책 12쪽


① 유한집합 원소가 유한개인 집합
② 무한집합 원소가 무수히 많은 집합
① a가 집합 A에 속하면 a<A A
③ 공집합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
② b가 집합 A에 속하지 않으면 b≤A a b

0059 ② {1, 3, 5, 7, y}: 무한집합


① '2는 실수이므로에에'2`<R ③ {1}: 유한집합
0053
② i는 허수이므로에에i`≤R ④ [y, -;3!;, -;2!;, 0, ;2!;, ;3!;, y]: 무한집합
③ i› =1은 실수이므로에에i› <R
⑤ {a+b|0<a+b<2}: 무한집합 ③
1 1
④ ='2-1은 무리수이므로에에 ≤Q
1+'2 1+'2
⑤ '9=3은 유리수이므로에에'9`<Q ③ 0060 ① 원소가 1개 있으므로 공집합이 아니다.
③, ④ {x|-1<x<1}이므로 공집합이 아니다.
⑤ {-1}이므로 공집합이 아니다. ②
0054 x‹ +2x¤ -3x=0에서
` x(x¤ +2x-3)=0,에에x(x+3)(x-1)=0
∴ x=-3 또는 x=0 또는 x=1 0061 4의 양의 배수는 4, 8, 12, 16, y이므로 k의 값이 될 수
있는 수는 1, 2, 3, 4이다.
따라서 A={-3, 0, 1}이므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①
따라서 k의 최댓값은 4이다. 4
` k=4일 때, A={x|x는 x<4인 4의 양의 배수}=Δ
03 집합의 표현 방법 본책 12쪽
k=5일 때, A={x|x는 x<5인 4의 양의 배수}={4}+Δ

집합을 나타내는 방법은 원소나열법, 조건제시법,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


10 이하의 짝수인 자연수의 집합을 A라 할 때 05 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 본책 13쪽

① 원소나열법: A={2, 4, 6, 8, 10}


n(A) 유한집합 A의 원소의 개수
② 조건제시법: A={x|x는 10 이하의 짝수인 자연수}
n(Δ)=0, n({Δ})=1, n({1, 2})=2
③ 벤 다이어그램: A
2 4 6
8 10 0062 A={1, 3, 5, 7, 9}, B={11, 22, 33, y, 99}이므로
n(A)=5, n(B)=9
∴ n(B)-n(A)=4 ①

0055① A={1, 5} ② A={1, 2, 5, 10}


③ A={1, 3, 5, 15} ④ A={3, 6, 9, 12, 15} 0063 B={2, 3, 5, 7} ⇢➊
x y 2 3 5 7
⑤ A={5, 10, 15} ③
x<A, y<B인 x, y에 대하여
1 3 4 6 8
x+y의 값을 구하면 오른쪽 표와
2 4 5 7 9
같으므로
0056 ⑤ {2, 3, 4, y, 9} ⑤ 3 5 6 8 10
C={3, 4, 5, 6, 7, 8, 9, 10}
⇢➋
0057 ① 6=2⁄ _3⁄ ② 12=2¤ _3⁄ ③ 18=2⁄ _3¤ ∴ n(C)=8 ⇢➌
④ 45=3¤ _5⁄ ⑤ 54=2⁄ _3‹ ④ 8

01 집합의 뜻과 표현 3
채점 기준표 세 집합 A, B, C가 나타내는 영역은 각 y y=x@+1
➊ 집합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20% 각 직선 y=x의 윗부분(경계선 포함), 포 B

➋ 집합 C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60% 물선 y=x¤ +1의 윗부분(경계선 포함), A 1 C


1
➌ n(C)를 구할 수 있다. 20% 포물선 y=-(x-1)¤ 의 윗부분(경계선 O x
포함)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 B,A,C ③ y=x y=-{x-1}@
0064 ① n({1, 2, 3})=n({4, 5, 6})=3
② A={0}이면 n(A)=1이다.
③ n(A)=0이면 A=Δ이다. 07 기호 <, ,의 사용 본책 14쪽

④ A={1, 2, 3}, B={1, 2, 4}이면 n(A)=n(B)이지만


① 원소와 집합 사이의 관계
A+B
(원소)<(집합), (원소)≤(집합)
⑤ n({Δ})-n(Δ)=1-0=1 ⑤
② 집합과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집합),(집합), (집합)¯(집합)
0065 A={(-1, 0), (1, 0), (0, -1), (0, 1)}이므로
n(A)=4 ⇢➊
또 n(B)=k이므로 n(A)+n(B)=11에서 0070 ㄱ. b<A 또는 {b},A
4+k=11므므∴ k=7 ⇢➋ ㄷ. c<A 또는 {c},A
7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ㄹ, ㅁ이다. ④

채점 기준표
➊ n(A)를 구할 수 있다. 50% 0071 A={1, 2, 3}, B={0, 1, 2, 3, 4}
➋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③ {1, 2, 3},B ③

0072 ① a는 집합 A의 원소이므로 {a},A


06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본책 14쪽 또는 a<A
② {b}는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므로 {b}≤A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는 각 집합을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어 각 원소 ③ {b, c}는 집합 A의 원소이므로 {b, c}<A
를 비교한다. ④ b≤A이므로므로{a, b}¯A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에 속하면 A,B이다. ⑤ b≤A, c≤A이므로므로{a, b, c}¯A ③

0066 X={-1, 0, 1}, Y={0}, Z={0, 1}이므로 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


Y,Z,X |-1|=|1|=1 ④ 집합 A={a, {b, c}}는 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다. 집합 A의 원
소는 a와 {b, c}이고, 집합 {{b, c}}는 {b, c}를 원소로 갖는 집합 A
주어진 벤 다이어그램에서 두 집합 A, B 사이의 포함 관계 의 부분집합이다. 즉
0067
a<A, {b, c}<A, {{b, c}},A
는 A,B이다.
① A¯B, B¯A
② B,A
0073 ①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Δ,A
③ A={1, 2, 3, y, 10}, B={1, 2, 3, y, 9}이므로
②, ④ 1<A, 3<A이므로 {1, 3},A
B,A
⑤ {2}≤A ⑤
④ A={3, 6, 9}, B={1, 3, 5, 15}이므로
A¯B, B¯A
⑤ A,B ⑤ 08 집합의 포함 관계를 이용하여 미지수 구하기 본책 15쪽

집합의 포함 관계를 이용하여 미지수를 구할 때에는


0068À={0, 1, 2}, B={-4, -3, -2, -1, 0, 1, 2}, ① 집합을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어 각 원소를 비교한다.
C={-2, -1, 0, 1, 2}이므로 A,B일 때, A의 원소는 모두 B의 원소이다.
A,C,B ② ② 수직선을 이용하여 나타내고 포함 관계가 성립할 조건을 찾는다.

0069 x-y…0에서 yæx 0074 A,B가 성립하도록 두 집 B


A
x¤ -y+1…0에서 yæx¤ +1 합 A, B를 수직선을 이용하여 나타
x¤ -2x+y+1æ0에서 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a 0 3 2a+9 x

yæ-x¤ +2x-1 ∴ yæ-(x-1)¤ a…0, 2a+9>3

4 정답 및 풀이
본책 13~16 쪽

01
2a+9>3에서 a>-3이므로 0078 주어진 집합은

집합의 뜻과 표현
-3<a…0 {x|x=3n-2, n=2, 3, 5}={4, 7, 13}
따라서 정수 a는 -2, -1, 0의 3개이다. 3 이므로 구하는 부분집합은
Δ, {4}, {7}, {13}, {4, 7}, {4, 13}, {7, 13}, {4, 7, 13}
풀이 참조
0075` ,B,C가 성립하도록 세
A C
B
집합 A, B, C를 수직선을 이용하여 A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0079 ①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다.
2 a 5 x
2…a…5 ② {1, 2, 3},A
따라서 정수 a는 2, 3, 4, 5의 4개이다. ④
③ {1}, {2}, {3}의 3개
④ {1, 2}, {1, 3}, {2, 3}의 3개
⑤ {1, 2, 3}의 1개 ①
0076 x¤ +x-6=0에서은은(x+3)(x-2)=0
∴ x=-3 또는 x=2 ⇢➊ 0080 A={3, 6, 9, 12}에 대하여 B,A이고 n(B)=3을 만족
즉 A={-3, 2}이고 A,B이므로 시키는 집합 B는 A의 부분집합 중에서 원소가 3개인 집합이므로
a>2 ⇢➋ {3, 6, 9}, {3, 6, 12}, {3, 9, 12}, {6, 9, 12}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3이다. ⇢➌ 의 4개이다. 4
3

채점 기준표 서로 같은 집합에서 미지수 구하기


10 본책 16쪽
➊ 방정식 x¤ +x-6=0의 해를 구할 수 있다. 40%
➋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A,B, B,A A=B 두 집합 A, B의 원소가 서로 같다.
➌ a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20%

0081 À=B이므로 a¤ -2a=3


a¤ -2a-3=0, (a+1)(a-3)=0
0077 X,Y가 성립하려면 3<Y, -a<Y이어야 한다. ∴ a=-1 또는 a=3
⁄ 3=a¤ +2, 즉 a=—1일 때, ⁄ a=-1일 때,
⁄ a=1이면 X={-1, 3}, Y={-3, 1, 3}이므로 X¯Y ⁄ A={-2, 3, 4}, B={-2, 3, 4}이므로
⁄ a=-1이면 X={1, 3}, Y={-5, 1, 3}이므로 X,Y ⁄ A=B
¤ 3=a-4, 즉 a=7일 때, ¤ a=3일 때,
⁄ X={-7, 3}, Y={1, 3, 51}이므로므로X¯Y ⁄ A={3, 6, 8}, B={-2, 3, 4}이므로
‹ -a=a¤ +2, 즉 a¤ +a+2=0일 때, ⁄ A+B
실수 a는 존재하지 않는다. ⁄, ¤에서 a=-1 -1
› -a=a-4, 즉 a=2일 때,
X={-2, 3}, Y={-2, 1, 6}이므로므로X¯Y
0082 A,B, B,A, 즉 A=B이므로
fi -a=1, 즉 a=-1일 때,
x-2=3, x+1=6, x+3=8
⁄ ⁄에서 X,Y
∴ x=5 ③
이상에서에서a=-1 -1

` ‹에서 얻은 a에 대한 이차방정식 a¤ +a+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083À=B이므로
a+2b=-5, 2a-3b=4 ⇢➊
D=1¤ -4¥1¥2=-7<0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이므로 이차방정식 a¤ +a+2=0을 만족시키는 실수 a는 존재하지
a=-1, b=-2 ⇢➋
않는다.
∴ a+b=-3 ⇢➌
-3

09 부분집합 구하기 본책 15쪽 채점 기준표


➊ a, b에 대한 연립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40%
집합 A={1, 2, 3}의 부분집합을 모두 구하면
➋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원소의 개수가 0: Δ
➌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원소의 개수가 1: {1}, {2}, {3}
원소의 개수가 2: {1, 2}, {1, 3}, {2, 3}
원소의 개수가 3: {1, 2, 3} 0084A={1, 2, 5, 10}, B={1, 10, a-2, b+2}에 대하여
A=B이므로

01 집합의 뜻과 표현 5
a-2=2, b+2=5 또는 a-2=5, b+2=2 채점 기준표
∴ a=4, b=3 또는 a=7, b=0 ➊ 두 집합 A,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20%
그런데 a, b는 자연수이므로 a=4, b=3 ➋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와 같은 경우를 구할 수 있다. 40%
∴ ab=12 ③ ➌ 집합 X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40%

11 특정한 원소를 갖는`(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 본책 16쪽 0091 집합 X의 개수는 A의 부분집합 중 1, 2, 4를 반드시 원소
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집합 A={a¡, a™, a£, y, a«}에 대하여
2n-3=16=2›``,의의n-3=4의의∴ n=7 7
① A의 부분집합의 개수 2«
② A의 특정한 원소 k개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
2« —˚ (단, k…n) 13 여러 가지 부분집합의 개수 본책 17쪽

③ A의 특정한 원소 l개를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


① {1, 2, 3}의 부분집합 중 1 또는 2를 원소로 갖는 집합의 개수는
2« —¬ (단, l…n)
{1, 2, 3}의 부분집합 중 {3}의 부분집합을 제외한 집합의 개수와
④ A의 원소 중 k개는 반드시 원소로 갖고, l개는 원소로 갖지 않는
같다.
부분집합의 개수 2« —˚ —¬ (단, k+l…n)
2‹ -2=8-2=6
② {1, 2, 3, 4}의 부분집합 중 적어도 한 개의 홀수를 원소로 갖는 부
분집합의 개수는 {1, 2, 3, 4}의 부분집합 중 짝수만 원소로 갖는
0085 A={1, 2, 3, 6, 9, 18}
집합 {2, 4}의 부분집합을 제외한 집합의 개수와 같다.
X는 A의 진부분집합이고, 1, 2를 반드시 원소로 가지므로 집합 X
2› -2¤ =16-4=12
의 개수는 집합 {3, 6, 9, 18}의 진부분집합의 개수와 같다.

2fl —¤ -1=2› -1=15 15
0092 A={3, 6, 9, 12, 15, 18}의 부분집합 중 {9, 12, 15, 18}
0086 2, 3은 반드시 원소로 갖고 7은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 의 부분집합을 제외하면 되므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X의 개수는 2fl -2› =64-16=48 ①
2‡ —¤ —⁄ =2› =16 ④
0093 A={5, 10, 15, 20, 25}
0087 n(A)=k이므로 1, 2는 반드시 원소로 갖고 3, 4, 5는 원 A의 부분집합 중 적어도 한 개의 홀수를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은
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 X의 개수는 A의 부분집합 중 {10, 20}의 부분집합을 제외하면 된다.
2˚ —¤ —‹ =32=2fi 따라서 구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k-5=5 ∴ k=10 ③ 2fi -2¤ =32-4=28 28

A,X,B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 0094 ` 집합 S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고, 주어진 조건을 이


12 본책 17쪽
용하여 나머지 원소를 찾는다.
A,X,B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 집합 S의 원소가 3개이므로 S={0, 5, a} (a+0, a+5)라
B의 부분집합 중 A의 원소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 집합의 개수
하자. 조건 ㈏에 의하여 (5+a)<S이므로
5+a=0 또는 5+a=5 ∴ a=-5 또는 a=0
0088 x¤ -7x+10=0에서서서(x-2)(x-5)=0 그런데 a+0이므로 a=-5
∴ x=2 또는 x=5 따라서 S={-5, 0, 5}이므로 0과 5를 제외한 집합 S의 나머지 원
A={2, 5}, B={1, 2, 4, 5, 10, 20}이므로 집합 X의 개수는 소는 -5이다. -5
{1, 2, 4, 5, 10, 20}의 부분집합 중 2, 5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
분집합의 개수와 같다. 0095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집합 S의 원소를 구해 본다.
∴ 2fl —¤ =2› =16 16 x와 8-x가 모두 자연수이므로
xæ1, 8-xæ1 ∴ 1…x…7
0089 집합 X의 개수는 B의 부분집합 중 a, b, f는 반드시 원소 따라서 집합 S의 원소가 될 수 있는 것은 1, 2, 3, 4, 5, 6, 7이다.
로 갖고 d는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① 6<S이면 8-6=2<S
26-3-1=2¤ =4 ② ② 원소의 개수가 1인 집합 S는 S={4}
4<S이면면8-4=4<S
12의 양의 약수의 집합 ③ 원소의 개수가 2인 집합 S는
1<S이면 7<S, 2<S이면 6<S, 3<S이면 5<S
0090 A={1, 2, 3, 6}, B={1, 2, 3, 4, 6, 12} ⇢➊ ⑤ 포포{1, 7}, {2, 6}, {3, 5} 이므로
⑤ 의 3개이다. 1과 7, 2와 6, 3과 5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1, 2, 3, 4, 6, 12}의 부분집합 중 1, 2,
는 어느 하나가 S의 원소이면 나머지 하나도 반드시 S
3, 6을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➋ ④ 원소의 개수가 5인 집합 S는 의 원소이다.
2fl —› =2¤ =4 ⇢➌ ⑤ 포포{1, 2, 4, 6, 7}, {1, 3, 4, 5, 7}, {2, 3, 4, 5, 6}
4 ⑤ 의 3개이다.

6 정답 및 풀이
본책 16~19 쪽

01
⑤ 1을 원소로 갖는 집합 S는 ¤ 5<A에서 조건 ㈏에 의하여 2¥5<U이므로 10<A

집합의 뜻과 표현
⑤ 포포{1, 7}, {1, 4, 7}, {1, 2, 6, 7}, {1, 3, 5, 7}, 또 조건 ㈏에 의하여 2¥10<U이므로 20<A
⑤ 포포{1, 2, 4, 6, 7}, {1, 3, 4, 5, 7}, {1, 2, 3, 5, 6, 7}, 이와 같이 계속하면 2« ¥5 (n=0, 1, 2, 3, 4)는 집합 A의 원소
2« ¥5…100
⑤ 포포{1, 2, 3, 4, 5, 6, 7} 이다.
⑤ 의 8개이다. ⑤ ¤ ∴ {5, 10, 20, 40, 80},A
⁄, ¤에서
{2, 4, 5, 8, 10, 16, 20, 32, 40, 64, 80},A
0096 최대공약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집합 Ak(n)을 구한다.
이므로 원소의 개수가 최소인 집합 A는
ㄱ. A¢(20)={x|G(20, x)=4}
{2, 4, 5, 8, 10, 16, 20, 32, 40, 64, 80}
ㄴ. 이때 G(20, 8)=4이므로로로8<A¢(20)
따라서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의 최솟값은 11이다. ③
ㄴ. A£(6)={x|G(6, x)=3}의 원소는 3을 인수로 갖고 2를 인수
로 갖지 않는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 0099 ` 각 집합이 나타내는 영역을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어 세
또 A£(12)={x|G(12, x)=3}의 원소는 3을 인수로 갖고 2를 집합의 포함 관계를 생각한다.
인수로 갖지 않는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집합 A가 나타내는 영역은 원 y 1
y= x@-2
2
이이∴ A£(6)=A£(12) x¤ +y¤ =2의 내부(경계선 포함)이고, 집 2
Â2
ㄷ. A¡(7)={x|G(7, x)=1}은 100 이하의 자연수 중 7과 서로소 -Â2 Â2
합 B가 나타내는 영역은 도형 A
인 자연수의 집합이다. |x|+|y|=2의 내부(경계선 포함)이 -2 O 2 x
이때 7과 서로소가 아닌 자연수는 7의 배수뿐이고 100 이하의 고, 집합 C가 나타내는 영역은 포물선 C
자연수 중에서 7의 배수는 14개이므로 -Â2 -2
B
y=;2!;x¤ -2의 윗부분(경계선 포함)이므
이이n(A¡(7))=100-14=86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⑤ 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 A,B,C ①
|x|+|y|…2에서
0097 ` a, b를 각각 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서로 같으려
⁄ xæ0, yæ0일 때, x+y…2 ∴ y…-x+2
면 a-b가 4의 배수가 되어야 한다.
¤ xæ0, y<0일 때, x-y…2 ∴ yæx-2
⁄ 집합 A의 경우 ‹ x<0, yæ0일 때, -x+y…2 ∴ y…x+2
2x™1이므로 2x-1은 4의 배수가 되어야 한다. › x<0, y<0일 때, -x-y…2 ∴ yæ-x-2
그런데 자연수 x에 대하여 2x-1은 홀수이므로 2x-1이 4의 이상에서 집합 B가 나타내는 영역은 위의 그림과 같다.
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x는 존재하지 않는다.
2x-1=4k (k는 자연수)로 놓으면
∴ A=Δ 0100 ` 먼저 집합 P(A)의 원소의 개수를 구한다.
x=2k+;2!;이므로 x는 자연수가 아니다.
¤ 집합 B의 경우 ` P(A)는 집합 A의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므로
x‹ +2x¤ ™x¤ -x이므로 n(P(A))=2‹ =8
x‹ +2x¤ -x¤ +x=x‹ +x¤ +x 따라서 P(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x(x¤ +x+1) 2° =256 256
=x {x(x+1)+1}
‹ 이 4의 배수가 되어야 한다. 0101 ` 먼저 원소의 개수가 2이면서 1을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
‹ 이때 x(x+1)은 짝수이므로 x(x+1)+1은 홀수이다. 을 구한다.
‹ 따라서 x{x(x+1)+1}이 4의 배수이려면 x가 4의 배수이어야 `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2이면서 1을 원소로 갖
한다. 이웃한 두 자연수의 곱은 항상 짝수이다. 는 부분집합은
‹ ∴ B={4, 8, 12, y, 96, 100} {1, 2}, {1, 3}, {1, 4}, {1, 5}
⁄, ¤에서 n(A)=0, n(B)=25이므로 의 4개이다. 즉 B¡, B™, y, B¡º 중에서 1을 원소로 갖는 집합은
n(A)+n(B)=25 ① 위의 4개이다. 마찬가지로 2, 3, 4, 5를 원소로 갖는 집합도 각각 4
개씩 있다.
∴ S¡+S™+y+S¡º=4(1+2+3+4+5)
0098 `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집합 A의 원소가 어떤 꼴인지
=4¥15=60 ②
알아본다.
⁄ 2<A에서 조건 ㈏에 의하여 2¥2<U이므로 0102 짝수인 원소가 1개, 2개, 3개인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
¤ 4<A 다.
또 조건 ㈏에 의하여 2¥4<U이므로 8<A ⁄ 짝수인 원소가 1개일 때,
이와 같이 계속하면 2« (n=1, 2, 3, 4, 5, 6)은 집합 A의 원 ⁄ 2는 반드시 원소로 갖고 4, 6은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
2« …100
소이다. 수는
∴ {2, 4, 8, 16, 32, 64},A ⁄ 는는27-1-2=2› =16

01 집합의 뜻과 표현 7
⁄ 마찬가지로 4는 반드시 원소로 갖고 2, 6은 원소로 갖지 않는 부 따라서 B={2, 4, 8, 40}이므로 집합 B의 원소 중 가장 큰 수
분집합과 6은 반드시 원소로 갖고 2, 4는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 는 40이다.
집합의 개수도 각각 16이므로 ¤ a=8일 때,
⁄ 는는a¡=16¥3=48 2<A, 4<A, 8<A이고 n(A)=4이므로 A={2, 4, 8, c}라
¤ 짝수인 원소가 2개일 때, 하면
⁄ 2, 4는 반드시 원소로 갖고 6은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 으으2+4+8+c=27으으∴ c=13
수는 따라서 B={4, 8, 16, 26}이므로 집합 B의 원소 중 가장 큰 수
⁄ 는는27-2-1=2› =16 는 26이다.
⁄ 마찬가지로 2, 6은 반드시 원소로 갖고 4는 원소로 갖지 않는 부 ‹ a+2, a+8일 때,
분집합과 4, 6은 반드시 원소로 갖고 2는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 a
‹ A=[2, 4, , a]이므로
집합의 개수도 각각 16이므로 2
⁄ 는는a™=16¥3=48 a
‹ 일일2+4+ +a=27일일∴ a=14
‹ 짝수인 원소가 3개일 때, 2
⁄ 2, 4, 6을 반드시 원소로 갖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 따라서 B={4, 8, 14, 28}이므로 집합 B의 원소 중 가장 큰 수
⁄ 는는a£=27-3=2› =16 는 28이다. ⇢➋
이상에서서서a¡+a™+a£=112 112 이상에서일일p+q+r=40+26+28=94 ⇢➌
94

0103 가장 작은 원소가 1, 2, 3, 4, 5인 경우로 각각 나누어 채점 기준표


구한다. ➊ 집합 B의 조건을 이용하여 집합 A, B의 원소를 구할 수 있다. 20%
집합 S의 부분집합 중에서 ➋ a의 값을 기준으로 경우를 나누어 집합 B의 원소 중 가장 큰 수를
60%
구할 수 있다.
⁄ 1이 가장 작은 원소인 경우
➌ p+q+r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1을 반드시 원소로 갖는 집합에서 {1}을 제외하면 되므로 그 개
원소가 1개인 집합
수는
5-1
반반2 -1=2› -1=15 0105 집합 B는 3을 반드시 원소로 갖는 A의 부분집합이다.
¤ 2가 가장 작은 원소인 경우 조건 ㈏에 의하여 3<B이고, 조건 ㈐에 의하여 :¡3™:=4<B
1을 원소로 갖지 않고 2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 집합에서 {2}를
이므로 집합 B는 반드시 3, 4를 원소로 갖는다.
제외하면 되므로 그 개수는
또 조건 ㈐에 의하여 1과 12, 2와 6은 어느 하나가 집합 B의 원소
반반25-2-1=2‹ -1=7
이면 나머지 하나도 반드시 B의 원소이다. ⇢➊
‹ 3이 가장 작은 원소인 경우
⁄ n(B)=2인 경우: {3, 4}
1, 2를 원소로 갖지 않고 3을 반드시 원소로 갖는 집합에서 {3}을
¤ n(B)=4인 경우: {1, 3, 4, 12}, {2, 3, 4, 6}
제외하면 되므로 그 개수는
‹ n(B)=6인 경우: {1, 2, 3, 4, 6, 12} ⇢➋
반반25-3-1=2¤ -1=3
이상에서 집합 B의 개수는 4이다. ⇢➌
› 4가 가장 작은 원소인 경우
4
1, 2, 3을 원소로 갖지 않고 4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 집합에서
{4}를 제외하면 되므로 그 개수는 채점 기준표

반반25-4-1=2-1=1 ➊ 조건 ㈏, ㈐를 이용하여 집합 B의 원소를 구할 수 있다. 20%

fi 5가 가장 작은 원소인 경우 ➋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2, 4, 6일 때, 집합 B를 각각 구할 수 있다. 60%

1, 2, 3, 4를 원소로 갖지 않고 5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 집합은 ➌ 집합 B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20%

{5}뿐이므로 원소가 2개 이상인 부분집합은 없다.


이상에서 구하는 값은 0106 집합 A는 2를 반드시 원소로 갖고, 1은 원소로 갖지
1¥15+2¥7+3¥3+4¥1=42 ① 않는다.
n(A)=3이고 집합 A의 원소 중 가장 작은 수가 2이므로 A
a 의 나머지 원소는 3, 4, 5, 6 중 2개이다. ⇢➊
0104 a, 4가 B의 원소이면
2
, 2가 A의 원소임을 이용한다.
이들 4개 중 서로 다른 2개를 선택하는 방법은
a<A, 4<A이므로므므2a<B, 8<B (3, 4), (3, 5), (3, 6), (4, 5), (4, 6), (5, 6)
a 의 6가지이므로 집합 A의 개수는 6이다. ⇢➋
a<B, 4<B이므로므므 <A, 2<A ⇢➊
2
6
⁄ a=2일 때,
1<A, 2<A, 4<A이고 n(A)=4이므로 A={1, 2, 4, b}라 채점 기준표

하면 ➊ 집합 A의 원소가 될 수 있는 것을 구할 수 있다. 40%

으으1+2+4+b=27으으∴ b=20` ➋ 집합 A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60%

8 정답 및 풀이
본책 19~23 쪽

0132 Δ 0133 U
Ⅰ 집합과 명제

02 집합의 연산 0134 A 0135 U

0136 A,B일 때
③ A;BÇ =A-B=Δ이므로 (A;BÇ ),B
0107 {a, b, c, d, e} 0108 {x|x는 자연수}
④ B;AÇ =B-A¯A ④

0109 {p, q, r, s} 0110 {x, y, z}


0137 (A'B);(A'C)
분배법칙
=A'(B;C)

02
0111 Δ ={1, 2}'{5}

집합의 연산
={1, 2, 5} {1, 2, 5}
0112 A={2, 3, 4, 5}, B={1, 2, 3, 6}이므로 ` (A'B);(A'C)={1, 2, 4, 5};{1, 2, 3, 5}
A;B={2, 3} {2, 3} ={1, 2, 5}

0113 {1, 2} 0114 {1, 2, 3, 4, 8, 12} 0138 ㈎ 드모르간 법칙 ㈏ 결합법칙

0139 AÇ ;BÇ =(A'B)Ç 이고 A'B={1, 2, 3, 5, 6, 7, 9}


0115 서로소이다.
이므로
AÇ ;BÇ ={4, 8, 10} {4, 8, 10}
0116A={1, 3, 9}, B={3, 6, 9}이므로
A;B={3, 9}
따라서 A와 B는 서로소가 아니다. 서로소가 아니다. 0140 n(A;B)=n(A)+n(B)-n(A'B)
=5+4-7=2 2

0117A={x|-1…x…1}, B={-2, 2}이므로


0141 n(AÇ )=n(U)-n(A)
A;B=Δ
=50-32=18 18
따라서 A와 B는 서로소이다. 서로소이다.

0142 n(B-A)=n(B)-n(A;B)
0118 {3, 5, 7, 8} =18-6=12 12

0119 {1, 2, 6, 7, 8} 0143 n(A;BÇ )=n(A-B)=n(A)-n(A;B)


=32-6=26 26
0120 U={1, 2, 3, y, 8}, C={2, 4, 6, 8}이므로
CÇ ={1, 3, 5, 7} {1, 3, 5, 7} 0144 n(A'B)=n(A)+n(B)-n(A;B)
=32+18-6=44 44
0121 {b, c} 0122 {3, 5, 8}
0145 n(A'B)=n(A)+n(B)-n(A;B)
=35+23-10=48 48
0123 A={1, 2, 4}, B={1, 2, 3, 4, 6, 12}이므로
A-B=Δ Δ
0146 n(AÇ ;BÇ )=n((A'B)Ç )=n(U)-n(A'B)
=50-48=2 2
0124 {3, 5, 6, 7, 8, 9} 0125 {1, 3, 4, 8, 9}

0147 n(AÇ 'BÇ )=n((A;B)Ç )=n(U)-n(A;B)


0126 {1, 4} 0127 {5, 6, 7}
=50-10=40 40

0128 {3, 8, 9}
0148 n(X'Y'Z)
=n(X)+n(Y)+n(Z)-n(X;Y)-n(Y;Z)
0129 {1, 3, 4, 5, 6, 7, 8, 9} =-n(Z;X)+n(X;Y;Z)
=20+5+13-3-2-10+2
0130 Δ 0131 A =25 25

02 집합의 연산 9
01 합집합과 교집합 본책 24쪽 03 여집합과 차집합 본책 24쪽

각 집합을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낸 후 주어진 집합의 합집합과 교집합 각 집합을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낸 후 주어진 집합의 연산을 한다. 이
을 구한다. 때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경우 수직선을 이용한다.
① A'B={x|x<A 또는 x<B} ① AÇ ={x|x<U 그리고 x≤A}
두 집합 A, B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속하는 원소를 모두 택한 전체집합 U에서 집합 A의 원소를 제외한다.
다. ② A-B={x|x<A 그리고 x≤B}
② A;B={x|x<A 그리고 x<B} 집합 A에서 집합 B의 원소를 제외한다.
두 집합 A, B에 공통으로 속하는 원소를 택한다.

0155 A={1, 2, 3, 6}, B={2, 4, 6}이므로


0149 A={1, 3, 5, 7, 9}, B={1, 2, 5, 10}, C={1, 2, 4}이므로 BÇ ={1, 3, 5}
(A'B);C={1, 2, 3, 5, 7, 9, 10};{1, 2, 4} ∴ A-BÇ ={1, 2, 3, 6}-{1, 3, 5}={2, 6}
={1, 2} ① 따라서 집합 A-BÇ 의 모든 원소의 합은은은2+6=8 8
A-BÇ =A;(BÇ )Ç =A;B={2, 6}

0150C={1, 2, 4, 8}
③ A'C={1, 2, 3, 4, 5, 8} ③ 0156 수직선에 집합 A, B를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U U
A B
0151집합 B는 b, d를 반드시 원소로 갖고, a, c를 원소로 갖지
않아야 하므로 B가 될 수 있는 것은 ④이다. ④ -5 -2 3 5 x -5 -2 3 5 x

① AÇ ={x|-5…x<-2 또는 3…x…5}
서로소인 집합
③ A-B={-2} ④ AÇ -BÇ ={3}
02 본책 24쪽
⑤ A;B={x|-2<x<3}이므로
두 집합 A, B가 서로소 A;B=Δ 공통인 원소가 하나도 없다. ⑷ (A;B)Ç ={x|-5…x…-2 또는 3…x…5} ②

0152 ㄱ̀. {2, 4, 6, y} ㄴ. {1, 3, 5, y} 0157 A={1, 3, 5, 7, 9}, B={1, 4, 7, 10}이므로 ⇢➊


ㄷ. {3, 6, 9, y} ㄹ. Δ A'B={1, 3, 4, 5, 7, 9, 10}, A;B={1, 7} ⇢➋
ㅁ. {1, 2, 3, 4, 6, 12} ㅂ. {1, 3, 5, 15} ∴ (A'B)-(A;B)={3, 4, 5, 9, 10} ⇢➌
이상에서 집합 {2, 4, 6}과 서로소인 집합은 ㄴ, ㄹ, ㅂ의 3개이다. {3, 4, 5, 9, 10}
③ 채점 기준표
ㄹ. x¤ +2x=0에서서서x(x+2)=0 ➊ 두 집합 A,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40%
ㄹ. 따라∴ x=0 또는 x=-2 ➋ 두 집합 A'B, A;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30%
ㄹ. 따라서 x¤ +2x=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는 존재하지 않으므 ➌ 집합 (A'B)-(A;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30%
로 주어진 집합은 공집합이다.

04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집합의 연산 본책 25쪽


0153 구̀하는 집합은 집합 A의 부분집합 중 a, b를 원소로 갖지
않는 집합이므로 {c, d, e}의 부분집합과 같다. ① 주어진 조건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어 구하는 집합을 찾는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의 개수는 ② 주어진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복잡한 집합의 연산을 한다.
2‹ =8 8

0158주어진 조건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U


0154두̀ 집합 A, B가 서로소이려면 A B 2 A B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➊ 1 5 3 6
1 a 5 x B={3, 6, 8, 9}
a<5 ⇢➋ 7 9 8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4이다. ⇢➌ 4

채점 기준표 0159 주어진 조건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 A B


➊ 두 집합 A, B가 서로소가 되도록 수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다. 50% 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1 2
➋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30% 3
B={2, 3, 4} 4
5
➌ 정수 a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20% {2, 3, 4}

10 정답 및 풀이
본책 24~26 쪽

주어진 조건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U


0160 A B b
0165 A;B={-1, 2}이므로이므2<A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a¤ +a-4=2이므로이므a¤ +a-6=0
c
③ BÇ ={a, b} a e
d
(a+3)(a-2)=0이므∴ a=-3 또는 a=2
③ ⁄ a=-3일 때,
⁄ A={-1, 0, 2}, B={2, 6, 9}이므로
⁄ A;B={2}
⁄ 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0161A'B={a, b, c, d, e}, (A-B)Ç ={c, d, e, f, g}
¤ a=2일 때,
∴ (A'B);(A-B)Ç ={c, d, e} {c, d, e}
⁄ A={-1, 0, 2}, B={-1, 1, 2}이므로
다른풀이 (A'B);(A-B)Ç =(A'B)-(A-B)
⁄ A;B={-1, 2}

02
={a, b, c, d, e}-{a, b}
⁄, ¤에서 a=2 ④
={c, d, e}

집합의 연산
0166A-B={5}이므로 1, 4, 3a-b는 집합 B의 원소이다.
0162 집합 (A-B)'(B-A)는 오른 U
A B 이때 B={1, 7, a-2b}이므로
쪽 벤 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과 같고
1 3 6 3a-b=7, a-2b=4 ⇢➊
A={1, 2, 3, 4, 5}이므로 4
2 5 7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B={3, 4, 5, 6, 7}
a=2, b=-1 ⇢➋
따라서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은
∴ a+b=1 ⇢➌
3+4+5+6+7=25 25
1

채점 기준표

05 벤 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 본책 25쪽 ➊ a, b에 대한 연립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50%


➋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각 집합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후 주어진 벤 다이어그램과 비교 ➌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한다.

① ②
0167 A'B={0, 1, 2, 3}이고 B={2, 3, a-1}이므로
0163 U
X
U
X a-1=0 또는 a-1=1
∴ a=1 또는 a=2
⁄ a=1일 때,
Y Z Y Z
⁄ A={-1, 1, 3}, B={0, 2, 3}이므로
③ U ⑤ U ⁄ A'B={-1, 0, 1, 2, 3}
X X
⁄ 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a=2일 때,
Y Z Y Z ④ ⁄ A={0, 2, 3}, B={1, 2, 3}이므로
⁄ A'B={0, 1, 2, 3}
⁄, ¤에서 A={0, 2, 3}
0164 ① U ③ U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A B A B
0+2+3=5 5

④ U ⑤ U 집합의 연산의 성질
A B A B 07 본책 26쪽

① A'A=A, A;A=A ② A'Δ=A, A;Δ=Δ



③ A'U=U, A;U=A ④ A'AÇ =U, A;AÇ =Δ
⑤ UÇ =Δ, ΔÇ =U ⑥ (AÇ )Ç =A
⑦ A-B=A;BÇ
06 집합의 연산을 이용하여 원소 구하기 본책 26쪽

⁄ 주어진 집합의 연산을 이용하여 미지수의 값을 구한다.


0168 ① U-AÇ =A ③ (A'B),U
¤ 미지수의 값을 대입하여 각 집합의 원소를 구한다.
‹ 구한 집합이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확인한다.
④ UÇ =Δ이므로 UÇ ,A
⑤ A,B이면 A;BÇ =A-B=Δ ②

02 집합의 연산 11
0169 ① A-BÇ =A;(BÇ )Ç =A;B 0175 (B-A)'X=X에서
② A;(U-BÇ )=A;B (B-A),X yy ㉠
③ B-AÇ =B;(AÇ )Ç =A;B A'X=X에서에서A,X yy ㉡
④ A;(B'BÇ )=A;U=A ㉠, ㉡에서 (A'B),X이고 A'B={-2, -1, 0, 1}이므로 집
⑤ (A;B)'(A;AÇ )=(A;B)'Δ=A;B ④ 합 X는 -2, -1, 0, 1을 반드시 원소로 가져야 한다.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2fl —› =2¤ =4 4

0170 ① (AÇ )Ç =A ② A'Δ=A


④ AÇ ;B=B-A ⑤ A,B이면 BÇ ,AÇ
0176A'B=U이므로 집합 B는 AÇ 의 원소 -3, -1, 1, 3을

반드시 원소로 가져야 한다.
따라서 집합 B의 개수는 2‡ —› =2‹ =8 ①
08 집합의 연산과 포함 관계 본책 26쪽

⑴ A,B이면 0177A-X=A이므로포함A;X=Δ ⇢➊
① A'B=B, A;B=A ② A-B=Δ, A;BÇ =Δ 즉 집합 X는 a와 d를 원소로 갖지 않는 집합 U의 부분집합이다.
③ AÇ 'B=U ④ BÇ ,AÇ ⇢➋
⑵ A;B=Δ이면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2fl —¤ =2› =16 ⇢➌
① A-B=A, B-A=B ② A,BÇ , B,AÇ 16
채점 기준표
➊ A;X=Δ임을 알 수 있다. 40%
0171A;B=A이므로므로A,B
③ A,B이면 BÇ ,AÇ 이므로 ➋ ➊을 만족시키기 위한 조건을 구할 수 있다. 30%

③ 므로AÇ ;BÇ =BÇ ➌ 집합 X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30%

⑤ B;AÇ =B-A에서 A,B이지만 A+B이면 B-A+Δ이다.



0178 U={1, 2, 3, 4, 6, 12}이고 U의 부분집합 X가
{1, 2}'X={2, 4, 6}'X를 만족시키려면 X는 두 집합 {1, 2},
0172 AÇ ,BÇ 이면면면B,A {2, 4, 6}에서 공통인 원소 2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 1, 4, 6을 반드
① A'B=A 시 원소로 가져야 한다.
② A;(A'B)=A;A=A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는는2fl —‹ =2‹ =8 ④
③ (A;B)'B=B'B=B 2<A, 2<B이므로
`
④ A'(B-A)=A'Δ=A 2<(A'X), 2<(B'X)
⑤ (A'B)'(A;B)=A'B=A ③ 즉 집합 X가 2를 원소로 갖지 않아도 A'X=B'X가 성립하므
로 집합 X는 1, 4, 6을 반드시 원소로 갖는다는 조건만 만족시키
면 된다.
0173A-B=A이면 U
A;B=Δ A B
이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yy ㉠
0179 A'X=X에서 A,X
그림과 같으므로 B-A={1, 3, 6}이고 (B-A);X={1, 6}이므로
B-A=B, B,AÇ 1<X, 3≤X, 6<X yy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 ㄹ이다. ⑤ ㉠, ㉡에서 집합 X는 1, 2, 4, 6은 반드시 원소로 갖고 3은 원소로
갖지 않아야 한다.
0174(A;BÇ )'(B;AÇ )=(A-B)'(B-A)=Δ이므로 따라서 집합 X의 개수는 27-4-1=2¤ =4 4
A-B=Δ, B-A=Δ
따라서 A,B, B,A이므로 A=B ①
10 집합의 연산법칙 본책 28쪽

집합의 연산과 부분집합의 개수 ① 교환법칙: A'B=B'A, A;B=B;A


09 본책 27쪽
② 결합법칙: (A'B)'C=A'(B'C)=A'B'C,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 (A;B);C=A;(B;C)=A;B;C
다. ③ 분배법칙: A'(B;C)=(A'B);(A'C),
⁄ 집합 X에 반드시 속하는 원소 또는 속하면 안 되는 원소를 찾는다. A;(B'C)=(A;B)'(A;C)
¤ ⁄을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를 구한다. ④ 드모르간 법칙: (A'B)Ç =AÇ ;BÇ , (A;B)Ç =AÇ 'BÇ

12 정답 및 풀이
본책 26~29 쪽

0180(A'B)'(AÇ 'BÇ )Ç =(A'B)'(A;B) 0184 (X;Y),Y이므로 (X;Y)'Y=Y


(A;B),(A'B)
=A'B ① (X-Y)'Y=(X;YÇ )'Y
={1, 3, 4, 5, 6, 7} =(X'Y);(YÇ 'Y)
따라서 구하는 원소의 개수는 6이다. 6 =(X'Y);U=X'Y
② (Y-X)Ç ;Y=(Y;XÇ )Ç ;Y
=(YÇ 'X);Y
0181AÇ ;BÇ =(A'B)Ç ={3, 5} U
A B 3 =(YÇ ;Y)'(X;Y)
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 1 2 6 =Δ'(X;Y)=X;Y
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8 4 7 ③ X-(X;Y)=X;(X;Y)Ç
∴ B={2, 4, 6, 7} 5
=X;(XÇ 'YÇ )

02
{2, 4, 6, 7} =(X;XÇ )'(X;YÇ )

집합의 연산
=Δ'(X;YÇ )=X-Y
④ X;(Y-X)=Δ이므로 X-(Y-X)=X
0182(A-B)'(A-C)=(A;BÇ )'(A;CÇ )
⑤ Y;(X-Y)=Δ이므로 Y-(X-Y)=Y ⑤
=A;(BÇ 'CÇ )
=A;(B;C)Ç
=A-(B;C)={1, 4, 5, 8} 0185 (A'B);B=B, (A;B)'A=A이므로
은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의 색칠한 부분과 U {(A'B);B};{(A;B)'A}Ç =B;AÇ =B-A
A
같고 A={1, 2, 4, 5, 8, 9}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집합을 나타내는 것은 ③이다. ③
2<(B;C), 9<(B;C)
2
임을 알 수 있다. 9

0186(A-B)-(A-C)
B C =(A;BÇ );(A;CÇ )Ç
=(A;BÇ );(AÇ 'C)
={(A;BÇ );AÇ }'{(A;BÇ );C}
A;AÇ =Δ이므로
0183 (B-A)Ç ;{A;(A;B)Ç } =Δ'{(A;C);BÇ } (A;BÇ );AÇ =Δ
=(B-A)Ç ;{A;(AÇ 'BÇ )} =(A;C)-B ⑤
=(B;AÇ )Ç ;{(A;AÇ )'(A;BÇ )}
=(BÇ 'A);{Δ'(A;BÇ )} 0187 ㄱ. (A'B)'(AÇ ;BÇ )=(A'B)'(A'B)Ç
=(A'BÇ );(A;BÇ ) =U
결합법칙
={(A'BÇ );A};BÇ ㄴ. A-(B;C)=A;(B;C)Ç
A,(A'BÇ )이므로로(A'BÇ );A=A
=A;BÇ =A;(BÇ 'C Ç )
=A-B =(A;BÇ )'(A;CÇ )
∴ A-B={1} yy ㉠ ⇢➊ =(A-B)'(A-C)
또 AÇ 'BÇ =(A;B)Ç 이므로 ㄷ. (A;B)-(A;C)=(A;B);(A;C)Ç
(A;B)Ç ={1, 2, 3, 5} =(A;B);(AÇ 'CÇ )
∴ A;B={4} yy ㉡ ⇢➋ ={(A;B);AÇ }'{(A;B);CÇ }
㉠, ㉡에서 A={1, 4} ⇢➌ =Δ'{(A;B);C Ç }
따라서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A;B)-C
1+4=5 ⇢➍ ㄹ. (A-B)'(A;C)=(A;BÇ )'(A;C)
5 =A;(BÇ 'C)
채점 기준표 =A;(B;C Ç )Ç
➊ (B-A)Ç ;{A;(A;B)Ç }를 간단히 할 수 있다. 50% =A-(B-C)
➋ 드모르간 법칙을 이용하여 집합 A;B를 구할 수 있다. 20%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ㄴ, ㄹ
➌ 집합 A를 구할 수 있다. 20%
➍ 집합 A의 모든 원소의 합을 구할 수 있다. 10%
0188(A'BÇ );(AÇ 'B)
={(A'BÇ );AÇ }'{(A'BÇ );B}
={(A;AÇ )'(BÇ ;AÇ )}'{(A;B)'(BÇ ;B)}
11 복잡한 집합의 연산 간단히 하기 본책 28쪽
={ Δ'(BÇ ;AÇ )}'{(A;B)'Δ}
집합의 연산의 성질과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한다. =(AÇ ;BÇ )'(A;B)
이때 A-B=Δ에서 A,B, BÇ ,AÇ 이므로

02 집합의 연산 13
AÇ ;BÇ =BÇ , A;B=A 0192 À£;(A¢'A§)=(A£;A¢)'(A£;A§)
∴ (주어진 식)=BÇ 'A=A'BÇ ② =A¡™'A§=A§
전체집합 U의 원소 중 6의 배수는 16개이므로 구하는 원소의 개수
0189 (X'Y),Z에서 X,Z, Y,Z 는 16이다. 16
∴ (Z-X)Ç ;Y=(Z;XÇ )Ç ;Y
=(ZÇ 'X);Y
=(ZÇ ;Y)'(X;Y) 배수와 약수의 집합

=Δ'(X;Y) 자연수 k에 대하여


=X;Y ① k의 배수의 집합을 A˚라 할 때, 자연수 m이 자연수 n의 배수이
① (Z;X)'(Z;Y)=X'Y 면
② (Z'X)Ç ;(Z'Y)Ç =ZÇ ;ZÇ =ZÇ Aμ,A« Aμ;A«=Aμ, Aμ'A«=A«
③ (Z-X);(Z-Y)=(Z;XÇ );(Z;Y Ç ) 4는 2의 배수이므로
=Z;(XÇ ;Y Ç ) A¢,A™ A¢;A™=A¢, A¢'A™=A™
=Z;(X'Y)Ç ② k의 약수의 집합을 B˚라 할 때, 자연수 m이 자연수 n의 약수이
=Z-(X'Y) 면
④ (X-ZÇ );(Y-ZÇ )=(X;Z);(Y;Z) Bμ,B« Bμ;B«=Bμ, Bμ'B«=B«
=X;Y 2는 4의 약수이므로
⑤ (Z;X)'(ZÇ ;Y Ç )=X'(Z'Y)Ç B™,B¢ B™;B¢=B™, B™'B¢=B¢
=X'ZÇ ④

12 집합의 연산법칙과 포함 관계 본책 29쪽 0193 (A¢'A•);(A£'A¡™)=A¢;A£=A¡™ ④

주어진 집합의 연산에 대한 등식을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간단히 한 후


두 집합의 포함 관계를 구한다.
0194A¡™;(A¡•;A™¢)=A¡™;A§=A§={1, 2, 3, 6}
따라서 집합 A¡™;(A¡•;A™¢)에 속하는 원소가 아닌 것은 ④이다.
① A;B=A A,B

② A'B=B A,B

0195 집합 A§;Aª는 6과 9의 공배수의 집합, 즉 18의 배수의 집


0190{(A;B)'(A-B)};B 합이므로
={(A;B)'(A;BÇ )};B A§;Aª=A¡•
={A;(B'BÇ )};B 따라서 Aπ,A¡•을 만족시키는 p는 18의 배수이므로 자연수 p의 최
=(A;U);B 솟값은 18이다. ⇢➊
=A;B 또 집합 B¡™;B¡•은 12와 18의 공약수의 집합, 즉 6의 약수의 집합
따라서 A;B=A이므로 A,B이다. ② 이므로
B¡™;B¡•=B§
0191 (A-B)Ç ;BÇ =(A;BÇ )Ç ;BÇ 따라서 Bœ,B§을 만족시키는 q는 6의 약수이므로 자연수 q의 최댓
=(AÇ 'B);BÇ 값은 6이다. ⇢➋
=(AÇ ;BÇ )'(B;BÇ ) 따라서 구하는 값은
=(AÇ ;BÇ )'Δ 18+6=24 ⇢➌
=AÇ ;BÇ 24
따라서 AÇ ;BÇ =BÇ 이므로
채점 기준표
BÇ ,AÇ 므므∴ A,B ③
➊ 자연수 p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➋ 자연수 q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40%
13 배수와 약수의 집합의 연산 본책 29쪽 ➌ 답을 구할 수 있다. 20%

① 자연수 p의 배수를 원소로 하는 집합을 Aπ라 하면 자연수 m, n에


대하여 방정식`, 부등식과 집합의 연산
14 본책 30쪽
Aμ;A« m과 n의 공배수의 집합
② 자연수 q의 약수를 원소로 하는 집합을 Bœ라 하면 자연수 m, n에 방정식 또는 부등식의 해의 집합의 교집합은 연립방정식 또는 연립부
대하여 등식의 해의 집합임을 이용한다. 이때 부등식은 수직선에 해를 나타내
Bμ;B« m과 n의 공약수의 집합 면 편리하다.

14 정답 및 풀이
본책 29~31 쪽

이므로 A„(B„ C)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196 x¤ -3x-4…0에서 (x+1)(x-4)…0
-1…x…4 ∴ A={x|-1…x…4} U U U
A A A
A;B={x|2…x…4}이고, B
A' B={x|-1… x… 5}이므로 A

오른쪽 그림에서 -1 2 4 5 x B C B C B C
B={x|2…x…5}
A „ B`„`C = A`„`(B`„`C)
={x|(x-2)(x-5)…0}

={x|x¤ -7x+10…0}
따라서 p=-7, q=10이므로 q-p=17 17
0201 A▷B=(A'B);(AÇ 'B)

02
=(A;AÇ )'B

집합의 연산
0197 A;B={3}이므로 3<A, 3<B
=Δ'B=B ⇢➊
3<A에서 9-6+a=0 ∴ a=-3
∴ (A▷B)▷B=B▷B=B ⇢➋
x¤ -2x-3=0에서 (x+1)(x-3)=0
B
x=-1 또는 x=3에서∴ A={-1, 3}
3<B에서 27+3b+12=0 ∴ b=-13 채점 기준표

x‹ -13x+12=0에서 (x+4)(x-1)(x-3)=0 ➊ 주어진 연산을 정리할 수 있다. 60%

x=-4 또는 x=1 또는 x=3에서∴ B={-4, 1, 3} ➋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40%

∴ A'B={-4, -1, 1, 3} {-4, -1, 1, 3}

16 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 본책 31쪽

0198 x¤ -x-6<0에서서서(x+2)(x-3)<0
① n(A'B)=n(A)+n(B)-n(A;B),
서서-2<x<3서서∴ A={x|-2<x<3}
n(A;B)=n(A)+n(B)-n(A'B)
이때 A;B=A이므로 A,B
② n(A'B'C)=n(A)+n(B)+n(C)-n(A;B)-n(B;C)
한편 x¤ -2(a-1)x-4a<0에서서서(x+2)(x-2a)<0
-n(C;A)+n(A;B;C)
두 집합 A, B를 A,B가 성립하도록 수 B
A ③ n(AÇ )=n(U)-n(A)
직선을 이용하여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④ n(A-B)=n(A)-n(A;B)=n(A'B)-n(B)
같으므로 B={x|-2<x<2a}이고 -2 3 2a x

2aæ3서서∴ aæ;2#;
0202 n(AÇ ;BÇ )=n((A'B)Ç )=n(U)-n(A'B)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a의 최솟값은 ;2#;이다. ;2#; 4=30-n(A'B) ∴ n(A'B)=26
∴ n(A;B)=n(A)+n(B)-n(A'B)
=20+15-26=9 ④
15 새롭게 약속된 집합의 연산 본책 30쪽

새로운 집합의 연산을 약속한 경우 0203 n(A'B)=n(A)+n(B)-n(A;B)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간단한 연산으로 정리한다. ={n(A)-n(A;B)}+n(B)
=n(A-B)+n(B)
=15+10=25 25
0199① U◇A=(U-A)'(A-U)
=AÇ 'Δ=AÇ
② Δ◇A=(Δ-A)'(A-Δ) 0204 A,BÇ 이므로 A;B=Δ
=Δ'A=A ∴ n(A;B)=0
③ A◇A=(A-A)'(A-A)=Δ n(A'B)=n(A)+n(B)-n(A;B)에서
④ U◇Δ =(U-Δ)'(Δ-U) 13=7+n(B) ∴ n(B)=6
=U'Δ=U ∴ n(B-A)=n(B)=6 6
⑤ A◇B=(A-B)'(B-A)
=(B-A)'(A-B)
=B◇A ③ 0205 n(AÇ 'BÇ )=n((A;B)Ç )=n(U)-n(A;B)이므로
25=30-n(A;B) ∴ n(A;B)=5
이때 n(A)=n(U)-n(AÇ )=30-16=14이므로
0200 A„B=(A'B);(A;B)Ç n(A;BÇ )=n(A-B)=n(A)-n(A;B)
=(A'B)-(A;B) =14-5=9 9

02 집합의 연산 15
0206 두 집합 A, C가 서로소이므로 0209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A은행의 통장을 갖고 있는 학생의
A;C=Δ, A;B;C=Δ 집합을 A, B은행의 통장을 갖고 있는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 n(A;C)=0, n(A;B;C)=0 n(U)=40, n(A)=28, n(B)=16, n(AÇ ;BÇ )=4
또 n(A;B)=n(A)+n(B)-n(A'B)=6+5-9=2이고 n(AÇ ;BÇ )=n((A'B)Ç )=n(U)-n(A'B)에서
n(B;C)=n(B)+n(C)-n(B'C)=5+4-6=3이므로 n(A'B)=40-4=36
n(A'B'C)=n(A)+n(B)+n(C)-n(A;B) 따라서 A은행과 B은행의 통장을 모두 갖고 있는 학생 수는
n(A'B'C)=-n(B;C)-n(C;A)+n(A;B;C) n(A;B)=n(A)+n(B)-n(A'B)
=6+5+4-2-3-0+0=10 ② =28+16-36=8 8

0210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야구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A,


17 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본책 31쪽 축구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n(U)=50, n(A)=24, n(B)=32, n(AÇ ;BÇ )=5 ⇢ ➊
전체집합 U의 두 부분집합 A, B에 대하여 n(B)<n(A)일 때
① n(A;B)가 최대가 되는 경우
n(AÇ ;BÇ )=n((A'B)Ç )=n(U)-n(A'B)에서
n(A'B)가 최소가 될 때, 즉 B,A n(A'B)=50-5=45
② n(A;B)가 최소가 되는 경우 ∴ n(A;B)=n(A)+n(B)-n(A'B)
n(A'B)가 최대가 될 때, 즉 A'B=U =24+32-45=11 ⇢➋
따라서 축구만 좋아하는 학생 수는
n(B-A)=n(B)-n(A;B)
0207 ⁄ Y,X일 때, n(X;Y)가 최대이므로
=32-11=21 ⇢➌
⁄ 일일M=n(Y)=8
21
¤ X'Y=U일 때, n(X;Y)가 최소이므로
⁄ n(X;Y)=n(X)+n(Y)-n(X'Y)에서 채점 기준표

⁄ 일일m=14+8-20=2 ➊ 주어진 조건을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30%

⁄, ¤에서일일M-m=6 ④ ➋ n(A;B)를 구할 수 있다. 40%


➌ 축구만 좋아하는 학생 수를 구할 수 있다. 30%

0208 (A;B),A, (A;B),B이므로


0211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인터넷 강의로 수학을 공부하는 학
n(A;B)…n(A), n(A;B)…n(B) 생의 집합을 A, 과학을 공부하는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 3…n(A;B)…6 n(A)=6, n(B)=9이므로로n(A;B)…6 ⇢➊ n(U)=50, n(A)=32, n(A-B)=13, n(AÇ ;BÇ )=10
n(A'B)=n(A)+n(B)-n(A;B)에서 n(A-B)=n(A)-n(A;B)에서
⁄ n(A;B)=3일 때, n(A;B)=32-13=19
⁄ 에서n(A'B)=6+9-3=12 또 n(AÇ ;BÇ )=n((A'B)Ç )=n(U)-n(A'B)에서
¤ n(A;B)=6일 때, n(A'B)=50-10=40
⁄ 에서n(A'B)=6+9-6=9 따라서 n(A'B)=n(A)+n(B)-n(A;B)에서
⁄, ¤에서 9…n(A'B)…12 ⇢➋ 40=32+n(B)-19 ∴ n(B)=27
따라서 n(A'B)의 최댓값은 12, 최솟값은 9이므로 구하는 합은 즉 인터넷 강의로 과학을 공부하는 학생은 27명이다. ⑤
12+9=21 ⇢➌
21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세 문제 A, B, C를 맞힌 학생의 집
0212
채점 기준표 합을 각각 A, B, C라 하면
➊ n(A;B)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n(U)=n(A'B'C)=40, n(A)=16, n(B)=20,
➋ n(A'B)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50% n(C)=22, n(A;B;C)=3
➌ 답을 구할 수 있다. 10% 세 문제 중 두 문제만 맞힌 학생 수는
n(A;B)+n(B;C)+n(C;A)-3_n(A;B;C)
이고,
18, 19 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의 활용 본책 32쪽 n(A'B'C)=n(A)+n(B)+n(C)-n(A;B)
=-n(B;C)-n(C;A)+n(A;B;C)
주어진 모임을 전체집합 U와 그 부분집합 A, B로 나타낸 후 다른 조
에서
건의 모임을 다음을 이용하여 A, B로 나타낸다.
40=16+20+22-n(A;B)-n(B;C)-n(C;A)+3
•둘 다 ~하는 A;B •둘 다 ~하지 않는 AÇ ;BÇ
•~만 ~하는 A-B 또는 B-A
∴ n(A;B)+n(B;C)+n(C;A)=21
•둘 중 하나만 ~하는 (A-B)'(B-A) 따라서 구하는 학생 수는
21-3_3=12 12

16 정답 및 풀이
본책 31~33 쪽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반지를 착용한 학생의 집합을 A, 목 즉 m의 최댓값은 8이므로로로p=8


0213
걸이를 착용한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한편 A•={x|13…x…34, x는 정수}이므로
n(U)=35, n(A)=12, n(B)=18 A¡'A•={x|-1…x…34, x는 정수}
반지와 목걸이 중 어느 것도 착용하지 않은 학생 수는 A¬={x|2l-3…x…3l+10, x는 정수}에 대하여
n(AÇ ;BÇ )=n((A'B)Ç )=n(U)-n(A'B) {1, 2, 3, y, 50},(A¡'A•'A¬)
=n(U)-{n(A)+n(B)-n(A;B)} 이려면 2l-3…35, 3l+10æ50이어야 하므로
=35-12-18+n(A;B) :¢3º:…l…19
=5+n(A;B)
즉 l의 최댓값은 19이므로로로q=19
이때 n(A;B)의 최댓값이 12, 최솟값이 0이므로 x는 정수}이므로
∴ p+q=27 A¡ª={x|35…x…67,
A¡'A•'A¡ª={x|-1…x…67, x는 정수}
27
M=5+12=17, m=5+0=5

02
` 집합 A«`(n은 자연수)을 수직선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M+m=22 22

집합의 연산
… An
n(A)=12, n(B)=18이므로 A,B일 때, A£
n(A;B)=12 A™

n(A)+n(B)=30<35=n(U)이므로 A;B=Δ일 때,
-1 1 3 13 16 19 3n+10 x
n(A;B)=0 2n-3
따라서 n(A;B)의 최댓값은 12, 최솟값은 0이다.
이때 위의 그림과 같이 A«의 원소의 최솟값 2n-3이 13보다 커질
때부터 A¡;A™;A£;y;A«=Δ이 된다.
0214 영지네 반 학생 전체의 집합을 U, 영어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A, 수학을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B라 하면 0217 서로소의 뜻을 이용하여 집합 X의 원소가 되기 위한
n(U)=35, n(A)=21, n(B)=27 조건을 찾는다.
영어와 수학을 모두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은 A;B이므로 조건 ㈏에서 X;B=Δ이므로 집합 X의 모든 원소는 50과
n(A;B)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하면 A,B일 때 서로소가 아니고, 50=2_5¤ 이므로 집합 X의 모든 원소는 2 또는
n(A;B)가 최대이므로 M=21 5의 배수이다.
또 A'B=U일 때 n(A;B)가 최소이므로 조건 ㈐에서 12=2¤ _3이므로 집합 X의 모든 원소는 2의 배수도
35=21+27-m ∴ m=13 아니고 3의 배수도 아니다.
n(A'B)=n(A)+n(B)-n(A;B)
최댓값: 21, 최솟값: 13
따라서 집합 X의 모든 원소는 100 이하의 5의 배수 중에서 2의 배
수도 아니고 3의 배수도 아닌 자연수이다.
0215 주부 전체의 집합을 U, A통조림을 구입해 본 주부의 집합 즉 집합 X의 원소가 될 수 있는 수는
을 A, B통조림을 구입해 본 주부의 집합을 B라 하면 5, 25, 35, 55, 65, 85, 95
n(U)=40, n(A)=23, n(B)=27 이때 조건 ㈎에서 X+Δ이므로 집합 X의 개수는
n(B)…n(A'B)…n(U)이므로
2‡ -1=127 127
27…n(A)+n(B)-n(A;B)…40
27…23+27-n(A;B)…40
-23…-n(A;B)…-10
0218 A-X=Δ이면 A,X이고 B;X=X이면 X,B
임을 이용한다.
∴ 10…n(A;B)…23
A={1, 2, 4, 8, 16}, B={1, 2, 3, 4, 6, 8, 12, 24}이므
이때 B통조림만을 구입해 본 주부의 집합은 B-A이고

n(B-A)=n(B)-n(A;B)
A;B={1, 2, 4, 8},
이므로 n(A;B)가 최소일 때 n(B-A)는 최대가 된다. 그런데
n(A;B)의 최솟값은 10이므로 구하는 주부의 수의 최댓값은 A'B={1, 2, 3, 4, 6, 8, 12, 16, 24}
n(B-A)=27-10=17 ④ 이때 (A;B)-X=Δ, (A'B);X=X에서
(A;B),X,(A'B)
이므로 집합 X는 집합 A'B의 부분집합 중에서 1, 2, 4, 8을 반
0216 n=1, 2, 3, y일 때 A«을 구하여 규칙을 찾는다.
드시 원소로 갖는 집합이다.
` A¡={x|-1…x…13, x는 정수}
A™={x|1…x…16, x는 정수} 그런데 집합 X의 모든 원소의 합이 30이고, 1+2+4+8=15이므
A£={x|3…x…19, x는 정수} 로 1, 2, 4, 8을 제외한 집합 X의 원소의 합은 15이다.
⋮ 3, 6, 12, 16, 24 중에서 몇 개의 수를 선택하여 그 합이 15가 되는
Aμ={x|2m-3…x…3m+10, x는 정수} 경우는 3, 12를 선택하는 경우뿐이므로
A¡;A™;A£;y;Aμ+Δ이려면 X={1, 2, 3, 4, 8, 12}
2m-3…13 ∴ m…8 따라서 집합 X의 원소의 개수는 6이다. ③

02 집합의 연산 17
0219 서로소인 두 집합의 교집합은 공집합임을 이용한다. 0221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A≠B를 파악한다.
A와 BÇ 가 서로소이고 A와 C가 서로소이므로 ` A≠B
A;BÇ =Δ, A;C=Δ =(A-B)Ç ;(B-A)Ç
∴ A,B, A;C=Δ =(A;BÇ )Ç ;(B;AÇ )Ç
ㄱ. B;C=Δ이 항상 성립한다고 할 수 없다. =(AÇ 'B);(BÇ 'A)
ㄴ. A,B이므로 A;B=A ={(AÇ 'B);BÇ }'{(AÇ 'B);A}
A;C=Δ이므로 C,AÇ ={(AÇ ;BÇ )'(B;BÇ )}'{(AÇ ;A)'(B;A)}
∴ (A;B)Ç ;C=AÇ ;C=C C;AÇ =C-A=C ={(AÇ ;BÇ )'Δ}'{Δ'(A;B)}
ㄷ. (B-A)'(B-C)=(B;AÇ )'(B;CÇ ) =(A;B)'(A'B)Ç
=B;(AÇ 'CÇ )=B;(A;C)Ç ㄱ. {1, 2};{2, 3}={2}, {1, 2}'{2, 3}={1, 2, 3}이므로
=B;U=B A;C=Δ, Δ Ç =U ㄱ. {1, 2}≠{2, 3}={2}'{4, 5, 6}={2, 4, 5, 6}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ㄴ. AÇ ≠BÇ =(AÇ ;BÇ )'(AÇ 'BÇ )Ç
세 집합 A, B, C 사이의 포함 관 U ㄴ. AÇ ≠BÇ =(A'B)Ç '(A;B)
계를 만족시키는 한 가지 경우를 벤 다 B C ㄴ. AÇ ≠BÇ =(A;B)'(A'B)Ç =A≠B
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A ㄷ. A≠B=(A;B)'(A'B)Ç =Δ에서
같다. 이 벤 다이어그램에서 ㄱ이 항상 ㄱ. A;B=Δ, (A'B)Ç =Δ
성립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A;B=Δ, A'B=U이므로
B=AÇ
0220 먼저 세 집합 A, B, C가 나타내는 영역을 좌표평면 따라서 A≠B=Δ을 만족시키는 집합 A가 정해지면 집합 B도
위에 나타내어 본다. 정해지므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전체집합 U의 부
집합 A의 영역은 [그림 1]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이고, 분집합 A의 개수와 같다.
두 집합 B, C의 영역은 각각 [그림 2], [그림 3]의 색칠한 부분(경계 ㄱ. ∴ 2fl =64
선 제외)이다.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⑤
y y y
6 0222 ` 집합 A, B는 U의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다.
3 ` 집합 A는 a를 원소로 갖는 U의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
x 합이므로
O 3 x O 6 O 3 x n(A)=2› —⁄ =2‹ =8
[그림 1] [그림 2] [그림 3] 또 집합 B는 b를 원소로 갖는 U의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이
집합 B'C의 영역은 [그림 4]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제외)이므로 므로
집합 (B'C)Ç 의 영역은 [그림 5]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이다. n(B)=2› —⁄ =2‹ =8
y y 이때 A;B는 a와 b를 모두 원소로 갖는 U의 부분집합을 원소로
6 6 갖는 집합이므로
n(A;B)=2› —¤ =2¤ =4
x x ∴ n(A'B)=n(A)+n(B)-n(A;B)
O 3 6 O 3 6
=8+8-4=12 ③
[그림 4] [그림 5]

따라서 집합 A;(B'C)Ç 의 영역은 오른 y 0223 B,U이므로 B의 원소는 모두 자연수임을 이용한다.


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 6 ` 'a, 'b, 'c가 자연수이므로 a, b, c는 모두 자연수의 제곱
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이다.
3 45æ
45 이때 조건 ㈏에서 a<b<c, a+c=53이므로
p¥3¤ ¥ =;8(;p ;8(;p
360 45æ
a=4, c=49
O 3 6 x
∴ A={4, b, 49}, B={2, 'b, 7}
또 n(A)=3, n(B)=3, n(A'B)=5에서
n(A;B)=3+3-5=1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 b=2 또는 b=7 또는 'b=4 또는 'b=49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각의 크기가 x°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그런데 'b 는 자연수이고 a<b<c, 즉 4<b<49이어야 하므로
l, 넓이를 S라 하면
'b=4 ∴ b=16
x x
l=2pr_ , S=pr¤ _ 따라서 B={2, 4, 7}이므로 집합 B의 모든 원소의 합은
360 360
2+4+7=13 ③

18 정답 및 풀이
본책 33~35 쪽

0224 집합 A={a¡, a™, y, a«}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 임을 이때 n(A)+n(B)+n(C)æ42+42+42=126이므로


이용한다. n(A'B'C)æ126-55=71
` ㄱ. s(A)=4이면 ∴ n((A'B'C)Ç )=n(U)-n(A'B'C)
ㄴ. n(A)=2 …83-71=12
따라서 n(U)=5에서 n(AÇ )=3이므로 따라서 모든 개정안을 반대한 대의원 수의 최댓값은 12이다.
s(AÇ )=2‹ =8 12
ㄴ. AÇ ,BÇ 이면 B,A이므로
ㄴ. s(B)…s(A)
ㄷ. n(A)=2, n(B)=3, A;B=Δ이라 하면
0227 어떤 수를 1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그 수의 일
n(A;B)=0 의 자리의 숫자와 같다.
s(A)=2¤ =4, s(B)=2‹ =8
8« -1을 1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8« -1의 일의 자리

02
∴ s(A)+s(B)=12
의 숫자와 같다.

집합의 연산
이때 n(A'B)=2+3=5이므로
n=1, 2, 3, 4, y일 때 8« 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8, 4, 2, 6이 이
ㄴ. s(A'B)=2fi =32
순서대로 반복되므로 8« -1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7, 3, 1, 5가 이
ㄴ. ∴ s(A'B)+s(A)+s(B)
순서대로 반복된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④
∴ A={1, 3, 5, 7} ⇢➊
n=1, 2, 3, 4, y일 때 7« 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7, 9, 3, 1이 이
순서대로 반복되므로
0225 각 집합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벤 다이어그램을 이
용하여 나타내어 본다. B={1, 3, 7, 9} ⇢➋
따라서 A;B={1, 3, 7}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a, b, c를 초과한 사람의 집합을 각각 A
2‹ =8 ⇢➌
A, B, C라 하고 각 부분에 속하는 원소의 x
8
개수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3 2
1
그림과 같다. y 1 z 채점 기준표
적어도 한 항목에서 정상 수치를 초과한 사람 B C ➊ 집합 A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40%
이 15명이므로 ➋ 집합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40%
x+y+z+3+1+2+1=15 ➌ 집합 A;B의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20%
∴ x+y+z=8 yy ㉠
a 또는 b를 초과한 사람이 12명이므로
x+y+3+1+2+1=12 0228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각 집합의 원소를 벤 다

∴ x+y=5 yy ㉡ 이어그램에 나타낸다.

b 또는 c를 초과한 사람이 12명이므로 A;B;C=Δ, A;B={4}, U


A
y+z+3+1+2+1=12 A;C={8}, B;C={3, 7}을 벤 다이어
∴ y+z=5 yy ㉢ 그램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4 8
㉠, ㉡, ㉢에서 ⇢➊
㉠-㉡을 하면면z=3
3
x=3, y=2, z=3 ㉠-㉢을 하면면x=3 이때 7
x=3을 ㉡에 대입하면면y=2 B C
따라서 a 또는 c를 초과한 사람 수는 (A'B)-(A;B)-(A;C)
x+z+3+1+2+1=3+3+7=13 13 -(B;C)
={1, 2, 5},
(A'C)-(A;B)-(A;C)-(B;C)={1, 5, 10},
0226 ` 주어진 조건을 집합으로 나타낸 후 합집합의 원소의 개 (B'C)-(A;B)-(A;C)-(B;C)={2, 10}
수를 구하는 공식을 이용한다. 이므로 1, 2, 5는 ㈎`부분 또는 ㈏`부분 중 어느 한 쪽에만 속하고,
` 개정안 A, B, C를 찬성한 대의원의 집합을 각각 A, B, C 1, 5, 10은 ㈎`부분 또는 ㈐`부분 중 어느 한 쪽에만 속하며, 2, 10
라 하면 은 ㈏`부분 또는 ㈐`부분 중 어느 한 쪽에만 속한다.
n(A)æ42, n(B)æ42, n(C)æ42, 즉 1, 5는 집합 A에만, 2는 집합 B에만,
n(A;B)=20, n(B;C)=17, n(A;C)=18, 10은 집합 C에만 속한다. ⇢ ➋ U
A 6
n(A;B;C)=0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에서 1 5 9
이므로 C={3, 7, 8, 10} ⇢ ➌
4 8
n(A'B'C)=n(A)+n(B)+n(C)-n(A;B) 따라서 집합 C의 원소 중 최댓값은 10이
2 3 10
n(A'B'C)=-n(B;C)-n(A;C)+n(A;B;C) 고, 최솟값은 3이므로 그 합은 13이다. 7
B C
n(A'B'C)=n(A)+n(B)+n(C)-20-17-18+0 ⇢➍
n(A'B'C)=n(A)+n(B)+n(C)-55 13

02 집합의 연산 19
채점 기준표 ` (A'B)-(AÇ 'B)=(A'B);(AÇ 'B)Ç
➊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집합을 벤 다이어그램에 나타낼 수 있다. 20% =(A'B);(A;BÇ )
➋ 각 집합에만 속하는 원소를 구할 수 있다. 40% =(A'B);(A-B)
➌ 집합 C를 구할 수 있다. 20% =A-B
➍ 집합 C의 원소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20% 이므로
A-B={4, 6}
` A'C={1, 3, 4, 5, 7, 8, 10},
∴ B=(A'B)-(A-B)={3, 8, 9}
B'C={2, 3, 4, 7, 8, 10}에서
(A'C);(B'C)={3, 4, 7, 8, 10}
∴ (A;B)'C={3, 4, 7, 8, 10}
이때 A;B;C=Δ이고 A;B={4}이므로
0231 각 집합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벤 다이어그램을 이용
하여 나타내어 본다.
C={3, 7, 8,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벤 다이어그램의 A
각 부분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a, b, c, d, a

0229 A'B=A이면 B,A임을 이용한다. e, f, g로 나타내면 ⇢➊ d


g
f

A'B=A이므로 B,A ⇢➊ n(A'B'C)=65, n(A△B)=36, b e c


n(B△C)=38, n(C△A)=32 B C
⁄ B=Δ인 경우
⁄ 방정식 mx+1=x의 해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이므로
⁄ m=1 ⇢➋ a+b+c+d+e+f+g=65 yy ㉠ ⇢➊
¤ B+Δ인 경우 a+f+b+e=36 yy ㉡ ⇢➊
⁄ -1<B 또는 2<B이어야 하므로 b+d+c+f=38 yy ㉢ ⇢➊
⁄ -m+1=-1 또는 2m+1=2 a+d+c+e=32 yy ㉣ ⇢➋
㉡+㉢+㉣을 하면
⁄ ∴ m=2 또는 m=;2!; ⇢➌
2(a+b+c+d+e+f )=106
∴ a+b+c+d+e+f=53 yy ㉤ ⇢➊
⁄, ¤에서 m=;2!; 또는 m=1 또는 m=2이므로 모든 실수 m의
㉠-㉤을 하면 g=12
값의 합은 ∴ n(A;B;C)=12 ⇢➌
12
;2!;+1+2=;2&; ⇢➍
채점 기준표
;2&; ➊ 벤 다이어그램의 각 부분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문자를 이용하여
20%
나타낼 수 있다.
채점 기준표 ➋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 ㉡, ㉢, ㉣을 구할 수 있다. 30%
➊ 두 집합 A, B의 포함 관계를 알 수 있다. 20% ➌ n(A;B;C)를 구할 수 있다. 50%
➋ B=Δ인 경우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➌ B+Δ인 경우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 n(A'B'C)=65에서
➍ 모든 실수 m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10% n(A)+n(B)+n(C)-n(A;B)-n(B;C)
-n(C;A)+n(A;B;C)
=65 yy ㉠
0230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집합 B를 먼저 구한다. n(A△B)=36에서
(AÇ 'B);(A'B)=(AÇ ;A)'B n(A)+n(B)-2_n(A;B)=36 yy ㉡
=Δ'B=B n(B△C)=38에서
이므로 B={3, 8, 9} ⇢➊ n(B)+n(C)-2_n(B;C)=38 yy ㉢
그런데 3<A이므로 집합 A;B의 원소의 합은 n(C△A)=32에서
A;B=B={3, 8, 9}일 때 최대이고 A;B={3}일 때 최소이다. n(C)+n(A)-2_n(C;A)=32 yy ㉣
따라서 M=20, m=3이므로 ⇢➋ ㉡+㉢+㉣을 하면
2_n(A)+2_n(B)+2_n(C)-2_n(A;B)
M+m=23 ⇢➌
-2_n(B;C)-2_n(C;A)
23
=106
채점 기준표 ∴ n(A)+n(B)+n(C)-n(A;B)-n(B;C)
➊ 집합 B를 구할 수 있다. 50% -n(C;A)
➋ M,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53 yy ㉤
➌ M+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을 하면 n(A;B;C)=12

20 정답 및 풀이
본책 35~37 쪽

0232 세 집합 A, B, C에 대하여 집합 A에만 속하는 원소


의 개수는 n(A'B'C)-n(B'C)임을 이용한다.
Ⅰ 집합과 명제

A, B, C강좌를 신청한 학생의 집합을 각각 A, B, C라 하 03 명제



n(A'B'C)=40-3=37, 어느 강좌도 신청하지 않은 학생 수
n(A)=16, n(B)=16, n(C)=16,
n(A;B)=6, n(B;C)=5, n(A;C)=2 ⇢➊ 0233 0234 ×

이므로
n(A'B)=n(A)+n(B)-n(A;B) 0235 0236 ×
=16+16-6=26
n(B'C)=n(B)+n(C)-n(B;C)
0237 '4 는 무리수가 아니다. (참)
=16+16-5=27
n(A'C)=n(A)+n(C)-n(A;C)
=16+16-2=30 ⇢➋
0238 1은 합성수이거나 소수이다. (거짓)

A강좌만을 신청한 학생 수는
a=n(A'B'C)-n(B'C)=37-27=10 0239 정의 0240 정리
B강좌만을 신청한 학생 수는
b=n(A'B'C)-n(A'C)=37-30=7 0241 정리
C강좌만을 신청한 학생 수는
c=n(A'B'C)-n(A'B)=37-26=11 ⇢➌
0242x¤ +2x-3=0에서

03
∴ a+b-c=10+7-11=6 ⇢➍ (x+3)(x-1)=0 ∴ x=-3 또는 x=1

명제
6 따라서 조건 p의 진리집합은 {-3, 1} {-3, 1}
채점 기준표
➊ 주어진 조건을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20% 10보다 작은 소수는 2, 3, 5, 7이므로 조건 q의 진리집합은
0243
➋ n(A'B), n(B'C), n(A'C)를 구할 수 있다. 30% {2, 3, 5, 7} {2, 3, 5, 7}
➌ a, b, 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➍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0244 ~p: x는 8의 약수가 아니다.
8의 약수는 1, 2, 4, 8이므로 조건 ~p의 진리집합은
`` n(A'B'C)=n(A)+n(B)+n(C)-n(A;B)
-n(B;C)-n(C;A) {3, 5, 6, 7, 9, 10} 풀이 참조
+n(A;B;C)
에서 37=16+16+16-6-5-2+n(A;B;C)이므로 0245 ~q: x¤ -5x+6+0
n(A;B;C)=2 x¤ -5x+6=0에서리리(x-2)(x-3)=0
따라서 각 부분에 속하는 원소의 개수를 U ∴ x=2 또는 x=3
벤 다이어그램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A 3 따라서 조건 ~q의 진리집합은
a
같으므로 {1, 4, 5, 6, 7, 8, 9, 10} 풀이 참조
4 0
a=16-4-2=10, 2
b=16-4-2-3=7, b 3 c

c=16-2-3=11
B C 0246 x+1이고 x+2

0247 x<-2 또는 xæ3

0248 가정: 18의 약수이다., 결론: 9의 약수이다.

0249 가정: x=-1이다., 결론: 3x-2=-1이다.

0250 가정: ab=0이다., 결론: a=0 또는 b=0이다.

0251 [반례] x=0이면 x¤ =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거짓

03 명제 21
0252(홀수)_(홀수)=(홀수), (홀수)_(짝수)=(짝수), 0270Q,P이므로 명제 q 2⁄ p가 참이다.
(짝수)_(홀수)=(짝수), (짝수)_(짝수)=(짝수)이므로 주어 따라서 반드시 참인 명제는 그 대우인 ~p 2⁄ ~q이다.
진 명제는 참이다. 참 ④

0253 [반례] x=1, y=3이면 x+y=4 (짝수)이지만 x, y는 모 0271 ㈎ 유리수 ㈏ 서로소 ㈐ 5의 배수


두 홀수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거짓

0272x¤ =4에서에서x=-2 또는 x=2


0254 xy+0이면 x+0, y+0이므로 x¤ +y¤ +0이다. 참
따라서 p jjK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충분조건

0255 [반례] x=0이면 |x|=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거짓 0273|x|<1에서에서-1<x<1
따라서 q jjK 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필요조건

0256 x¤ +x+1={x+;2!;}¤ +;4#;>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참 0274x>0, y>0이면면면x+y>0, xy>0
x+y>0, xy>0이면면면x>0, y>0
x=0이면 x¤ =0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따라서 p HjjK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0257 참
필요충분조건

0258'x<0을 만족시키는 실수 x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거짓 0275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1, 2, 3, 4, 6, 12}, Q={1, 2, 3, 6}
0259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 +4이다. 이므로 Q,P
따라서 q jjK 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필요조건

0260 어떤 실수 x에 대하여 x¤ +1<0이다.


0276모든 정수는 유리수이므로 p jjK q이다.
026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 …4이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충분조건

0262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 +1+0이다. 0277 a¤ +b¤ =0 HjjK a=0, b=0


⑴ ab=0 HjjK a=0 또는 b=0
0263 ⑴ 역 ⑵ 대우 따라서 ab=0은 a¤ +b¤ =0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⑵ a+b=0 HjjK a=-b
따라서 a+b=0은 a¤ +b¤ =0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0264 역: x=1이면 x¤ =1이다.
⑶ |a|+|b|=0 HjjK a=0, b=0
대우: x+1이면 x¤ +1이다.
따라서 |a|+|b|=0은 a¤ +b¤ =0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⑴ 필요조건 ⑵ 필요조건 ⑶ 필요충분조건
0265 역: x>3이면 x>2이다.
대우: x…3이면 x…2이다.
0278 ㄱ. 2x+5>0에서 x>-;2%;

0266 역: x=0이고 y=0이면 x¤ +y¤ =0이다. ㄴ. x=-1이면 -(x+1)¤ =0이다.


대우: x+0 또는 y+0이면 x¤ +y¤ +0이다. ㄷ. -3|x|…0에서 |x|æ0
ㄹ.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a¤ æ0이므로 (2x+1)¤ æ0
ㅁ. x¤ -x<x¤ 에서 x>0
0267 역: a>0 또는 b>0이면 a+b>0이다.
대우: a…0이고 b…0이면 a+b…0이다. ㅂ. x¤ -1<x¤ 에서 -1<0
이상에서 절대부등식인 것은 ㄷ, ㄹ, ㅂ이다. ㄷ, ㄹ, ㅂ

0268 ⑴ x=0 또는 y=0이면 xy=0이다.다⑵ 참다⑶ 참


0279 a¤ +2b¤ -2ab=a¤ -2ab+b¤ +b¤
0269 명제 p 2⁄ ~q가 참이므로 반드시 참인 명제는 그 대우인 =( a-b )¤ +b¤ æ0
q 2⁄~p이다. ③ ∴ a¤ +2b¤ æ 2ab

22 정답 및 풀이
본책 37~42 쪽

이때 등호는 a-b=0, b=0에서 a=b=0 일 때 성립한다. 0285(a¤ +b¤ )(x¤ +y¤ )-(ax+by)¤
(a-b)¤ æ0, b¤ æ0에서
㈎ a-b ㈏ æ ㈐ a=b=0 =a¤ x¤ +a¤ y¤ +b¤ x¤ +b¤ y¤ -(a¤ x¤ +2abxy+b¤ y¤ )
a-b=0, b=0일 때 등호가
성립한다. =b¤ x¤ -2abxy+a¤ y¤
=( bx-ay )¤ æ0 실수 A에 대하여여A¤ æ0

0280 ('a+'b)¤ -('ƒa+b )¤ =a+b+2'a'b-(a+b) ∴ (a¤ +b¤ )(x¤ +y¤ )æ(ax+by)¤


= 2'∂ab >0
이때 등호는 bx=ay, 즉 ;a{;=;b}; 일 때 성립한다.
∴ ('a+'b )¤ > ('a∂+ßb )¤
그런데 'a+'b`>0, 'ƒa+b >0이므로
㈎ bx-ay ㈏ ;a{;=;b};
'a+'b > 'ƒa+b ㈎ 2'∂aåb ㈏ > ㈐ >

0286 a, b,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0281 a¤ +ab+b¤ ={a¤ +ab+
4
}+;4#;b¤ (a¤ +b¤ )(x¤ +y¤ )æ(ax+by)¤
4¥9æ(ax+by)¤ , (ax+by)¤ …36
0009 a¤ +ab+b¤ ={a+;2B;}2 +;4#;b¤
∴ -6…ax+by…6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a, b가 실수이므로 {a+;2B;}2 æ0, ;4#;b¤ æ0 따라서 ax+by의 최댓값은 6, 최솟값은 -6이다.
∴ a¤ +ab+b¤ æ0 (단, 등호는 a=b=0일 때 성립) 최댓값: 6, 최솟값: -6
풀이 참조

{a+;2B;}¤ æ0에서 a+;2B;=0일 때 등호가 성립한다. 명제


01 본책 42쪽

03
또 ;4#; b¤ æ0에서 b=0일 때 등호가 성립한다. 참인 문장 또는 식

명제
① 명제인 것 [
따라서 a=b=0일 때 a¤ +ab+b¤ =0이 성립한다. 거짓인 문장 또는 식
② 명제가 아닌 것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없는 문장 또는 식

a+b
0282 -'∂ab=;2!;(a+b-2'∂ab ) 0287 ① x의 값이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없
2
다. 따라서 명제가 아니다.
=;2!; {('a)¤ -2'a'b+('b)¤ } ②, ④, ⑤ 참인 명제이다.
③ 거짓인 명제이다. ①
=;2!;('a-'b)¤ æ0
a+b
∴ æ'∂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풀이 참조
2 0288 ㄱ. 거짓인 명제이다.
ㄴ. x-3=x+5에서 -3=5이므로 거짓인 명제이다.
ㄷ. 3x=x+2x에서 3x=3x이므로 참인 명제이다.
0283 x>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ㄹ. x의 값이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명제가 아니다.
x+;[!;æ2Æ…x¥;[!;=2 (단, 등호는 x=1일 때 성립)
이상에서 명제인 것은 ㄱ, ㄴ, ㄷ이다. ②
따라서 x+;[!;의 최솟값은 2이다. 2

등호는 x=;[!;에서 x¤ =1, 즉 x=1`(∵ x>0)일 때 성립한다. 02 명제와 조건의 부정 본책 42쪽

①‘a…x…b’
의 부정 ‘x<a 또는 x>b’
②‘x=a’
의 부정 ‘x+a’
0284 4x>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③‘또는’
의 부정 ‘그리고’
4x+;[(;æ2æ4x–¥;±[;—( ④‘그리고’
의 부정 ‘또는’

=2¥6=12 {단, 등호는 x=;2#;일 때 성립}


0289 (a-b)¤ +(b-c)¤ +(c-a)¤ =0의 부정은
따라서 4x+;[(;의 최솟값은 12이다. 12 (a-b)¤ +(b-c)¤ +(c-a)¤ +0
(a-b)¤ +0 또는 (b-c)¤ +0 또는 (c-a)¤ +0
등호는 4x=;[(;에서 x¤ =;4(;, 즉 x=;2#; (∵ x>0)일 때 성립 ∴ a+b 또는 b+c 또는 c+a
한다. 즉 a, b, c 중에 서로 다른 것이 적어도 하나 있다. ⑤

03 명제 23
0290 명제가 거짓이면 그 부정은 참이다. 0295명제‘p이면 ~q이다.’ 가 거짓임을 보이려면 집합 P의 원
③ 2는 소수이지만 짝수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③ 소 중에서 QÇ 의 원소가 아닌 것을 찾으면 된다.
따라서 반례는 P;(QÇ )Ç =P;Q의 원소인 b이다. ②

0291 ‘p 또는 ~q’
의 부정은부정 ‘~p 그리고 q’
~p: x…-2 또는 x>3, q: -3…x<5이므로‘~p 그리고 q’는 0296 주어진 명제에 대하여 두 조건 p, q를 각각
-3…x…-2 또는 3<x<5 -3…x…-2 또는 3<x<5 p: n은 2의 배수이다.
q: n은 3의 배수이다.
라 하고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03 진리집합 본책 42쪽
P={2, 4, 6, y, 18}, Q={3, 6, 9, 12, 15, 18}
진리집합 전체집합 U의 원소 중에서 조건 p가 참이 되게 하는 모 이때 명제 p 2⁄ q가 거짓임을 보이는 반례는 집합 P;QÇ 의 원소
든 원소의 집합 이므로 구하는 반례는 2, 4, 8, 10, 14, 16이다.
2, 4, 8, 10, 14, 16

0292 20 이하의 자연수 중 4의 배수는 4, 8, 12, 16, 20이고, 16


0297명제‘~p이면 ~q이다.’ 가 거짓임을 보이려면 PÇ 의 원소
의 약수는 1, 2, 4, 8, 16이므로 조건 p의 진리집합은
중에서 QÇ 의 원소가 아닌 것을 찾으면 된다.
{4, 8, 16} {4, 8, 16}
따라서 반례가 속하는 집합은은은PÇ ;(QÇ )Ç =PÇ ;Q ④

0293 두 진리집합 P, Q를 수직선 위에 Q P


0298명제‘p 또는 q이면 r이다.’
가 거짓임을 보이려면 P'Q의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1 3 x 원소 중에서 R의 원소가 아닌 것을 찾으면 된다.
또 조건 -1<x…3의 진리집합을 수직선
따라서 반례는 (P'Q);RC의 원소인 a이다. ①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구
-1 3 x
하는 집합은
PC;QC=(P'Q)C ⑤ 05 명제의 참, 거짓 본책 43쪽

어떤 명제가 거짓임을 보이려면 명제의 반례를 찾는다.


0294 x‹ -x=0에서서서x(x+1)(x-1)=0
∴ x=-1 또는 x=0 또는 x=1
0299 ㄱ. [반례] x=-2, y=-1, z=1이면 x<y<z이지만
조건 p의 진리집합을 P라 하면서서P={-1, 0, 1} ⇢➊
ㄱ. xy>yz이다. 2>-1
x¤ +2x-3=0에서서서(x+3)(x-1)=0
ㄷ. [반례] x=-1, y=0이면 x¤ +y¤ >0이지만 y=0이다.
∴ x=-3 또는 x=1
이상에서 참인 명제인 것은 ㄴ뿐이다. ②
조건 q의 진리집합을 Q라 하면서서Q={-3, 1} ⇢➋
이때 조건‘~p 또는 q’ 의 진리집합은 PC'Q이고
C
P ={-3, -2, 2, 3}이므로 0300 ① [반례] x=-1이면 x¤ +x=0이지만 x<0이다.
PC'Q={-3, -2, 1, 2, 3} ⇢➌ ② 2x-1=3에서 x=2이고 2¤ +2-6=0이므로 참이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의 모든 원소의 합은 ③ [반례] x=3이면 x는 3의 배수이지만 9의 배수는 아니다.
-3+(-2)+1+2+3=1 ⇢➍ ④ [반례] 2는 소수이지만 2¤ =4는 짝수이다.
1 ⑤ [반례] x=0, y=1이면 xy=0이지만 x¤ +y¤ =1+0이다.

채점 기준표
➊ 조건 p의 진리집합을 구할 수 있다. 30%
➋ 조건 q의 진리집합을 구할 수 있다. 30% 0301 ㄴ. [반례] a=1+'2, b=1-'2이면 a, b는 모두 무리수이
➌ 조건‘~p 또는 q’
의 진리집합을 구할 수 있다. 30% 지만 a+b=2는 유리수이다.
➍ 조건‘~p 또는 q’
의 진리집합의 모든 원소의 합을 구할 수 있다. 10% ㅁ. [반례] a=1, b=3이면 a+b는 짝수이지만 a, b는 모두 홀수이다.
이상에서 거짓인 명제는 ㄴ, ㅁ의 2개이다. ②

04 거짓인 명제의 반례 본책 43쪽


06 명제의 참`, 거짓과 진리집합의 포함 관계 본책 44쪽

전체집합 U에서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U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각각 P, Q라 할 때, 명제 p 2⁄ q가 거짓임을 P Q Q
① p 2⁄ q가 참 P,Q P
p 2⁄ q가 참
보이는 반례는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에서 색
② P,Q
칠한 부분, 즉 P-Q=P;QÇ 의 원소이다.

24 정답 및 풀이
본책 42~45 쪽

0302 주어진 벤 다이어그램에서 Q,P, Q,R이므로 q 2⁄ p, 명제 q 2⁄ p가 참이 되려면


q 2⁄ r가 모두 참이다. Q,P
또한 PÇ ,QÇ , RÇ ,QÇ 이므로 ~p 2⁄ ~q, ~r 2⁄ ~q도 모두 이고, 명제 p 2⁄ r가 참이 되려면 R
P P
참이다. P,R Q
그러나 PÇ , / RÇ 이므로 ~p 2⁄ ~r는 거짓이다. ④ 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b -1 3 5 a x

~p 2⁄ ~q는 q 2⁄ p의 대우이고, ~r 2⁄ ~q는 q 2⁄ r aæ5, b…-1 ⇢➋


의 대우이다. 따라서 a의 최솟값은 5, b의 최댓값은 -1이므로 구하는 합은
5+(-1)=4 ⇢➌

명제 ~p 1⁄ q가 참이므로
4
0303 U
C
P ,Q Q 채점 기준표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PC ➊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구할 수 있다. 30%
P'Q=U ② ➋ a, b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50%
➌ a의 최솟값과 b의 최댓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20%

0304 세 집합 P, Q, R에 대하여 U 0308 |x-1|æk에서서서x-1…-k 또는 x-1æk


P Q ∴ x…-k+1 또는 xæk+1
R,(P-Q)를 만족시키도록 벤 다이어그
R
램을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q: |x+2|<4에서 ~q: |x+2|æ4이므로
이때 Q,RÇ , R,P, R,QÇ 이므로 명제 x+2…-4 또는 x+2æ4
q 2⁄ ~r, r 2⁄ p, r 2⁄ ~q는 모두 참 ∴ x…-6 또는 xæ2
이다.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03
이상에서 참인 명제인 것은 ㄴ, ㄹ, ㅁ이다. ④ P={x|x…-k+1 또는 xæk+1}

명제
QC={x|x…-6 또는 xæ2}
명제 ~q 2⁄ p가 참이 되려면 P P
07 명제가 참이 되도록 하는 상수 구하기 본책 44쪽 C QC QC
Q ,P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
에서 -6 -k+1 k+1 2 x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명제‘p이면 q이
다.’
가 참이 되려면 P,Q -k+1æ-6, k+1…2
∴ 0<k…1 (∵ k>0)
따라서 k의 최댓값은 1이다. 1
0305 |x-3|<k에서에서-k<x-3<k
∴ -k+3<x<k+3 ‘모든’
이나‘어떤’
이 있는 명제
08 본책 45쪽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k+3<x<k+3} ①‘모든 x에 대하여 p이다.’
가 참이면
Q={x|-2…x…6} 전체집합의 원소 중 한 개도 빠짐없이 p를 만족시킨다.
명제 p 2⁄ q가 참이 되려면 P,Q이 Q
②‘어떤 x에 대하여 p이다.’
가 참이면
P 전체집합의 원소 중 한 개 이상이 p를 만족시킨다.
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k+3æ-2, k+3…6 -2 -k+3 k+3 6 x
∴ 0<k…3 (∵ k>0) ⑤ [반례] x=1+'2이면 x¤ =3+2'2는 무리수이다.
0309
따라서 자연수 k는 1, 2, 3의 3개이다. 3 ⑤

0306 주어진 명제가 참이 되려면 031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1 또는 xæ4이다.


{x|1<x…4},{x|a-3<x<a+2}
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0311 ① x=1이면 2x=2이고 2< / U이므로 거짓이다.
a-3…1, a+2>4 ② x=0이면 x¤ =0이므로 거짓이다.
a-3 1 4 a+2 x
∴ 2<a…4 a+2=4, 즉 a=2이면 ③ 가장 큰 원소인 x=1일 때도 x-1=0이므로 거짓이다.
므{x|1<x…4}¯{x|-1<x<4}
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2<a…4 ④ x=0이면 x¤ =0이므로 참이다.
⑤ x=1, y=-1이면 x¤ +y¤ =2이므로 거짓이다. ④

0307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 하면
P={x|-1…x…3 또는 xæ5} 09, 10 명제와 역`, 대우의 참`, 거짓 본책 45쪽

Q={x|xæa} 명제가 참이면 그 명제의 대우도 참이다.


R={x|xæb} ⇢➊

03 명제 25
0312 ① 역: xy=0이면 x=0이다. p: |x-1|æ2에서 x-1…-2 또는 x-1æ2
① [반례] x=3, y=0이면 xy=0이지만 x+0이다. ∴ x…-1 또는 xæ3
② 역: x>2이면 3x-7>0이다. q: |x-a|æ4에서 x-a…-4 또는 x-aæ4
① [반례] x=;3&;이면 x>2이지만 3x-7=0이다. ∴ x…a-4 또는 xæa+4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P P
③ 역: xy가 짝수이면 x, y가 짝수이다. Q Q
Q라 하면 Q,P이어야 하므로 오
① [반례] x=2, y=3이면 xy=6은 짝수이지만 y는 홀수이다. x
른쪽 그림에서 a-4 -1 3 a+4
④ 역: x+y>0이면 x>0이고 y>0이다.
a-4…-1, a+4æ3 ∴ -1…a…3
① [반례] x=5, y=-4이면 x+y>0이지만 x>0, y<0이다.
⑤ 역: x=0이고 y=0이면 |x|+|y|=0이다. (참) ⑤
11 삼단논법 본책 46쪽

0313 ㄱ. 명제: ab가 유리수이면 a, b가 모두 유리수이다. 세 조건 p, q, r에 대하여 두 명제 p 2⁄ q, q 2⁄ r가 모두 참이면


[반례] a='3, b=-'3이면 ab=-3은 유리수이지만 a, b는 명제 p 2⁄ r도 참이다.
유리수가 아니다.

명제 p 2⁄ ~q와 r 2⁄ q가 참이므로 각각의 대우


주어진 명제가 거짓이므로 그 대우도 거짓이다.
0317
q 2⁄ ~p와 ~q 2⁄ ~r도 참이다.
ㄴ. 대우: a…0 또는 b…0이면 ab…0이다.

또 p 2⁄ ~q와 ~q 2⁄ ~r가 참이므로 p 2⁄ ~r가 참이고, 그


[반례] a=-2, b=-3이면 ab=6>0이다.

대우 r 2⁄ ~p도 참이다.
ㄷ. 대우: a¤ -4a+3<0이면 -1…a<3이다. (참)

따라서 반드시 참이라고 할 수 없는 명제는 p 2⁄ r이다.


이상에서 대우가 참인 명제인 것은 ㄷ뿐이다. ③

(a-1)(a-3)<0∴∴ 1<a<3

0314 주어진 명제가 참이므로 그 대우 …… ㉠


0318 P'Q=P에서 Q,P
‘aæk이고 bæ-1이면 a+bæ4이다.’ Q;R=R에서 R,Q …… ㉡
도 참이다. aæk, bæ-1에서 a+bæk-1이므로 ㉠, ㉡에서 R,Q,P
k-1æ4에서∴ kæ5
{(a, b)|a+bæk-1},{(a, b)|a+bæ4} 따라서 ~r 2⁄ ~ p, 즉 p 2⁄ r는 R=Q=P일 때에만 참이므로
따라서 k의 최솟값은 5이다. 5
항상 참이라고 할 수 없다. ⑤

0315 주어진 명제가 참이므로 그 대우


0319 ㄱ. 명제 p 2⁄ ~q가 참이므로 그 대우 q 2⁄ ~p가 참이
‘x=1이면 x¤ +ax-3=0이다.’ 다. 따라서 명제 q 2⁄ p는 거짓이다.
도 참이다. x=1을 x¤ +ax-3=0에 대입하면 ㄴ. 명제 q 2⁄ r, s 2⁄ q가 참이므로 명제 s 2⁄ r는 참이지만 명
1+a-3=0을을∴ a=2 2 제 r 2⁄ s의 참, 거짓은 추론할 수 없다.
ㄷ. p 2⁄ ~q, ~q 2⁄ ~s가 참이므로 p 2⁄ ~s가 참이다.
0316 명제 q 2⁄ p가 참이 되려면 그 대우 ~p 2⁄ ~q가 참이 이상에서 항상 참인 명제인 것은 ㄷ뿐이다. ②
되어야 한다. ⇢➊ s 2⁄ q가 참이므로 그 대우 ~q 2⁄ ~s도 참이다.

~p: |x-1|<2에서에서-2<x-1<2
0320 명제 ~r 2⁄ ~s가 참이므로 그 대우 s 2⁄ r도 참이다.
∴ -1<x<3 ⇢➋ p 2⁄ ~q, s 2⁄ r가 참이므로 명제 p 2⁄ r가 참이 되려면 명제
~q: |x-a|<4에서에서-4<x-a<4 ~q 2⁄ s가 참이어야 한다.
∴ a-4<x<a+4 ⇢➌ 또 명제 ~q 2⁄ s가 참이면 그 대우 ~s 2⁄ q도 참이다.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따라서 명제 p 2⁄ r가 참임을 보이기 위해 필요한 참인 명제는
PÇ ={x|-1<x<3}, QÇ ={x|a-4<x<a+4} ~s 2⁄ q이다. ⑤
명제 ~p 2⁄ ~q가 참이 되려면 QC
PÇ ,QÇ 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 PC
12 삼단논법과 명제의 추론 본책 46쪽
림에서 a-4 -1 3 a+4 x
a-4…-1, a+4æ3 주어진 문장에서 조건 p, q를 찾아 p 2⁄ q 꼴로 나타낸 후 명제가 참
∴ -1…a…3 ⇢➍ 이면 그 대우도 참임과 삼단논법을 이용하여 참인 명제를 찾는다.
-1…a…3

채점 기준표 0321 p: 음악을 좋아한다.


➊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임을 알 수 있다. 30% q: 미술을 좋아한다.
➋ 조건 ~p가 참이 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20% r: 체육을 좋아한다.
➌ 조건 ~q가 참이 되는 x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20% 로 놓으면 명제 p 2⁄ q와 ~p 2⁄ ~r가 참이므로 각각의 대우
➍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30% ~q 2⁄ ~p와 r 2⁄ p도 참이다.

26 정답 및 풀이
본책 45~48 쪽

또 r 2⁄ p와 p 2⁄ q가 참이므로 r 2⁄ q가 참이고, 그 대우 귀류법


14 본책 47쪽
~q 2⁄ ~r도 참이다.
따라서 반드시 참인 명제는 ④이다. ④ 직접 증명이 어려울 때
각 보기를 p, q, r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결론을 부정하여 가정에 모순이 됨을 보인다.
① p 2⁄ r ② q 2⁄ r
③ ~p 2⁄ ~q ⑤ r 2⁄ ~p
0326 "√n(nç+≈1Ω)이 유리수라고 가정하면

0322 ⁄ A가 남학생인 경우 "√n(nç+≈1Ω)=;bA; (a, b는 서로소인 자연수)


¤ ㈏에 의하여 B가 남학생이거나 C가 여학생이어야 하는데 ㈐에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양변을 제곱하면
의하여 C가 남학생이어야 하므로 B가 남학생이다.

즉 A, B, C 모두 남학생이므로 ㈎에 모순이다. n(n+1)= yy ㉠

¤ A가 여학생인 경우 ㉠의 좌변은 자연수이므로 우변도 자연수이어야 하고, a와 b는 서
¤ ㈐에 의하여 C는 여학생이고, ㈑에 의하여 B도 여학생이다. 로소이므로
즉 A, B, C 모두 여학생이다. b¤ =, 1: .: yy ㉡
⁄, ¤에서 A, B, C 모두 여학생이다. A, B, C ㉡을 ㉠에 대입하면 n(n+1)=a¤
양변에 4를 곱하여 정리하면
13 대우를 이용한 명제의 증명 본책 47쪽 4n¤ +4n=, 4La¤ L .
4n¤ +4n+1-4a¤ =1
(2n+1)¤ -(2a)¤ =, 1: .:
명제‘p이면 q이다.’
가 참임을 직접 증명할 수 없을 때
명제의 대우‘~q이면 ~p이다.’
가 참임을 증명한다.
(2n+1+2a)(2n+1-2a)=1

03
따라서 2n+1+2a, 2n+1-2a는 모두 1이거나 모두 -1 이다.

명제
0323 n= 3k-2 또는 n= 3k-1 (k는 자연수)이라 하면 이때 어느 경우에나 n, a가 자연수라는 가정에 모순이므로
⁄ n=3k-2일 때, k가 자연수이므로 n=3k+1 또는 2n+1+2a=—1, 2n+1-2a=—1
n=3k+2이면 n은 3 이상의 3의 "√n(nç+≈1Ω)은 유리수가 아니다. (복호동순)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 a는
⁄ n¤ =(3k-2)¤ =9k¤ -12k+4 배수가 아닌 자연수이다. 존재하지 않는다.

=3( 3k¤ -4k+1 )+1
¤ n=3k-1일 때,
0327 aæ0, bæ0이라 가정하면
⁄ n¤ =(3k-1)¤ =9k¤ -6k+1
a+bæ0
=3( 3k¤ -2k )+1 ②
이때 a+b<0이라는 가정에 모순이므로 실수 a, b에 대하여
a+b<0이면 a, b 중 적어도 하나는 음수이다. 풀이 참조
0324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a+0 또는 b+0이면 a¤ +b¤ +0이다.’
0328 b+0이라 가정하면 a+b'2=0에서
⁄ a+0이면
a
a¤ >0이고 b¤ æ0이므로 a¤ +b¤ >0, 즉 a¤ +b¤ +0이다. '2=-
b
¤ b+0이면 a
b¤ >0이고 a¤ æ0이므로 a¤ +b¤ >0, 즉 a¤ +b¤ +0이다. a, b가 유리수이므로 - , 즉 '2가 유리수이다.
b
⁄, ¤에서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이때 '2가 무리수라는 사실에 모순이므로 b=0이다.
풀이 참조 b=0을 a+b'2=0에 대입하면 a=0이다.
따라서 유리수 a, b에 대하여 a+b'2=0이면 a=b=0이다.
0325 ⑴ 주어진 명제의 대우는 풀이 참조
⑵ 므므‘n이 홀수이면 n¤ 도 홀수이다.’ ⇢➊
⑵ n=2k-1 (k는 자연수)이라 하면
15 필요조건`, 충분조건`, 필요충분조건 본책 48쪽
⑵ 므므n¤ =(2k-1)¤ =4k¤ -4k+1=2(2k¤ -2k)+1
이므로 n¤ 도 홀수이다. ⇢➋ ① p 11⁄
¤11

× q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이다.
② p 11⁄
¤11
×
○ q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➌
풀이 참조 ③ p 11⁄
¤11

○ q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채점 기준표
➊ 주어진 명제의 대우를 구할 수 있다. 30% ① x¤ +y¤ =0이면 x=0, y=0이고, xy=0이면 x=0 또는
0329
➋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임을 보일 수 있다. 50% y=0이므로 p jjK q, q jjK
/ p이다.
➌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가 참임을 알 수 있다. 20%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03 명제 27
② z가 양수이므로 x>y HjjK xz>yz, 즉 p HjjK q이다. 0332 r jjK q, q jjK p이므로 r jjK p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q jjK p이므로 ~p jjK ~q
③ xy=|xy|이면 xyæ0이므로 xæ0, yæ0 또는 x…0, y…0이다. 이상에서 참인 명제인 것은 ㄷ, ㄹ이다. ⑤
따라서 p jjK
/ q, q jjK 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④ x¤ =x이면 x=0 또는 x=1이므로 p jjK q, q jjK
/ p이다.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0333 ㄱ. q jjK p이므로 q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⑤ x¤ =y¤ 이면 x=y 또는 x=-y이므로 p jjK q, q jjK
/ p이다. ㄴ. ~r jjK ~p이므로로로p jjK r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따라서 r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따라서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③이 ㄷ. q jjK p, p jjK r이므로로로q jjK r
다. ③ 따라서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0330 ① p: |x+y|=|x|+|y| Hjj q: xæ0, yæ0


① [2⁄의 반례] x=-1, y=-1이면 |x+y|=|x|+|y|이지만
x<0, y<0이다. 17 집합의 연산과 필요충분조건 본책 48쪽

② p: x¤ =y¤ Hjj q: x=y A,B HjK A;B=A HjK A'B=B


① [2⁄의 반례] x=-1, y=1이면 x¤ =y¤ 이지만 x+y이다. HjK A-B=Δ HjK BÇ ,AÇ
③ p: x¤ >y¤ HjjK q: |x|>|y|
④ p: x¤ +y¤ >0 Hjj q: x+y>0
① [ 2⁄의 반례] x=2, y=-4이면 x¤ +y¤ >0이지만 x+y<0 0334(A'B);(B-A)Ç =(A'B);(B;AÇ )Ç
=(A'B);(BÇ 'A)
이다.
⑤ p: x¤ +y¤ >0 Hjj q: xy<0
=A'(B;BÇ )
=A'Δ
① [2⁄의 반례] x=1, y=2이면 x¤ +y¤ >0이지만 xy>0이다.
=A
따라서 p가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인 것은 ③이다. ③
따라서 A'B=A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B,A이다.

0331 ㄱ. a=b=c=0이면
ㄱ. (a-b)¤ +(b-c)¤ +(c-a)¤ =0
ㄱ. 이므로 0335 두 집합 A, B가 서로소 HjjK A;B=Δ
ㄱ. p jjK q HjjK B,AÇ
ㄱ. (a-b)¤ +(b-c)¤ +(c-a)¤ =0이면 a=b=c이므로 따라서 두 집합 A, B가 서로소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인 것은 ㄱ,
ㄱ. q jjK
/ p a-b=0, b-c=0, c-a=0 ㄹ이다. ③
ㄱ.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ㄴ. a-c>b-c의 양변에 c를 더하면 a>b이므로
ㄱ. 또는p jjK q 18 필요조건`, 충분조건이 되도록 하는 상수 구하기 본책 49쪽
ㄱ. a>b의 양변에 -c를 더하면 a-c>b-c이므로
ㄱ. 또는q jjK p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ㄱ.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① P,Q이면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


② P=Q이면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ㄷ. a=-2, b=-1이면 ab+1>2이지만 a<1, b<1이므로
ㄱ. 또는p jjK
/ q
ㄱ. a>1, b>1이면 ab>1에서 ab+1>2이므로 xæa는 -5…x…7이기 위한 필
0336
ㄱ. 또는q jjK p 요조건이므로 명제‘-5…x…7이면 xæa
a -5 7 x
ㄱ.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이다.’가 참이다.
이상에서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이 아닌 것은 ㄱ ∴ a…-5
뿐이다. ① b…x…4는 -5…x…7이기 위한 충분조
건이므로 명제‘b…x…4이면 -5…x…7
-5 b 4 7 x
이다.’가 참이다.
16 필요조건`, 충분조건과 명제의 참`, 거짓 본책 48쪽
∴ -5…b…4
p jjK q
①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
따라서 a의 최댓값은 -5, b의 최솟값은 -5이므로 구하는 합은
② p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 q jjK p -5+(-5)=-10

28 정답 및 풀이
본책 48~50 쪽

이때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고 ~p는 ~r이기 위한 필요조


B,A가 되도록 하는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건이므로 명제 ~p 2⁄ q와 ~r 2⁄ ~p는 참이다.
A 즉 PÇ ,Q, RÇ ,PÇ 이므로 QÇ ,P, P,R
B
① `a…k ∴ QÇ ,P,R
a k x
오른쪽 그림에서 aæ3, b…-1이므로 R
A P P Ç
aæ3, -bæ1 Q
B
② `a<k ∴ a-bæ4 b -1 0 3 a x
a k x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4이다. 4
A
B
③ `a…k
a k x
19 필요・충분・필요충분조건과 진리집합 본책 49쪽
A
B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④ `a…k
a k x ① P;Q=P P,Q p jjK q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
② P'Q=P Q,P q jjK p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
③ P,Q, Q,P P=Q p HjK q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0337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명제‘4x¤ -4x-3+0이면
2x+a+0이다.’가 참이다.
즉 이 명제의 대우‘2x+a=0이면 4x¤ -4x-3=0이다.’도 참이 0340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Q
다. ⇢➊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Q,R
2x+a=0에서 x=-;2A;이므로 이것을 4x¤ -4x-3=0에 대입하면 따라서 P,Q,R이므로 옳은 것은 ②이다. ②

03
명제
4{-;2A;}2 -4{-;2A;}-3=0
0341 ① R,P이므로 p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a¤ +2a-3=0, (a+3)(a-1)=0 ③ Q,P이므로 q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 a=-3 또는 a=1 ⇢➋ ⑤ PC,RC이므로 ~r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③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2이다. ⇢➌
-2
채점 기준표 0342 (P-RC)'(Q-P)=Δ이므로
➊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임을 이용하여 참인 명제를 찾을 수 있다. 50% P-RC=Δ, Q-P=Δ
C C C
P-R =P;(R ) =P;R=Δ
➋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 P;R=Δ, Q,P
➌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10% 세 집합 P, Q, R 사이의 포함 관계를 벤 U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P
R
같다. Q

0338 |x-a|…1에서오오-1…x-a…1 ① Q,P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


a-1…x…a+1오오∴ P={x|a-1…x…a+1} 이다.
이때 q가 p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명제 p 2⁄ q가 참이다. ④ Q,RC이므로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 P,Q ⑤ R,QC이므로 r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④
⁄ 오른쪽 그림에서 Q Q
P
오오a-1æ-4, a+1…1
∴ -3…a…0 -4 a-1 a+1 1 2 x 20 실수의 성질을 이용한 절대부등식의 증명 본책 50쪽

¤ 오른쪽 그림에서 Q Q
실수 A, B에 대하여
P
오오a-1æ2 ① AæB HjK A-Bæ0
∴ aæ3 -4 1 2 a-1 a+1 x ② A¤ æ0, A¤ +B`¤ æ0 (단, 등호는 A=0, B=0일 때 성립)
⁄, ¤에서 임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3…a…0 또는 aæ3
따라서 a의 최솟값은 -3이다. ③
a¤ +b¤ -ab={a- 1 }2 +;4#; b¤ æ0
b
0343 2
0339 세 조건 p, q, r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 R라 하면
P={x|-1<x<0 또는 xæ3}, 등호는 a-;2B;=0, b=0, 즉 a=b=0 일 때 성립한다.
Q={x|x…a},
R={x|xæb} ㈎ ;2B; ㈏ a=b=0

03 명제 29
0344 A-B=(ab-1)¤ -(a¤ -1)(b¤ -1) ㄷ. ⁄ |a|æ|b|일 때,
=a¤ b¤ -2ab+1-(a¤ b¤ -a¤ -b¤ +1) ㄷ. ⁄ =|a-b|¤ -(|a|-|b|)¤
=a¤ -2ab+b¤ ㄷ. ⁄ =(a-b)¤ -(|a|¤ -2|a||b|+|b|¤ )
=(a-b)¤ =a¤ -2ab+b¤ -(a¤ -2|ab|+b¤ )
a, b가 실수이므로 (a-b)¤ æ0 =2(|ab|-ab)æ0 (∵ |ab|æab)
∴ Aæ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② ㄷ. ⁄ ∴ |a-b|¤ æ(|a|-|b|)¤
ㄷ. ⁄ 그런데 |a-b|æ0, |a|-|b|æ0이므로
ㄷ. ⁄ |a-b|æ|a|-|b|
0345 (a¤ +b¤ +1)-(ab+a+b)
ㄷ. ¤ |a|<|b|일 때,
=;2!; (2a¤ +2b¤ -2ab-2a-2b+2)
ㄷ. ¤ |a-b|>0, |a|-|b|<0이므로
=;2!; {(a¤ -2ab+b¤ )+(a¤ -2a+1)+(b¤ -2b+1)} ㄷ. ¤ |a-b|>|a|-|b|
⁄ ⁄, ¤ 에서
=;2!; {(a-b)¤ +(a-1)¤ +(b-1)¤ }æ0 ⇢➊ ⁄ |a-b|æ|a|-|b|
∴ a¤ +b¤ +1æab+a+b ⇢➋ (단, 등호는 |ab|=ab, |a|æ|b|일 때 성립)
이때 등호는 a-b=0, a-1=0, b-1=0, 즉 a=b=1일 때 성립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한다. ⇢➌
풀이 참조 22 합의 최솟값 구하기; 전개식 이용 본책 51쪽

채점 기준표
양수 a, b에 대하여
➊ (a¤ +b¤ +1)-(ab+a+b)æ0임을 보일 수 있다. 50% (상수)+a+bæ(상수)+2'aåb
➋ a¤ +b¤ +1æab+a+b임을 알 수 있다. 20% 꼴로 변형한 후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한다.
➌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를 구할 수 있다. 30%

0348x>0, y>0에서 x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21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절대부등식 본책 50쪽 에 의하여

실수 A, B, C에 대하여 {x+;]@;}{y+;[*;}=xy+8+2+;[!]^;
① |A|æ|B| |A|¤ -|B|¤ æ0
② |A|+|B|æ|C| (|A|+|B|)¤ -|C|¤ æ0 æ10+2Æ…xy¥;[!]^;

=10+2¥4=18
0346 `
(|a|+|b|)¤ -|a+b|¤ 등호는 xy=;[!]^;일 때 성립하므로 (xy)¤ =16에서
=(|a|¤ +2|a||b|+|b|¤ )-(a+b)¤
xy=4 (∵ x>0, y>0)
=(a¤ +2|ab|+b¤ )-(a¤ +2ab+b¤ )
따라서 a=4, b=18이므로 a+b=22 22
=2( |ab|-ab )æ0 (∵ |ab|æab)
2x 8 8y
`` x+;]@;æ2Æ… yy ㉠, y+ æ2Æ… yy ㉡
모든 실수 A에 대하여여|A|æA
∴ (|a|+|b|)¤ æ|a+b|¤ y x x
그런데 |a|+|b|æ0, |a+b|æ0이므로 2x 8y
㉠, ㉡`을 변끼리 곱하면 {x+;]@;}{y+;[*;}æ4Æ… ¥ =16
|a|+|b|æ|a+b| y x
(단, 등호는 |ab|=ab, 즉 abæ0 일 때 성립)
따라서 {x+;]@;} {y+;[*;}의 최솟값을 16이라 하면 잘못된 풀이이다.

㉠에서 등호가 성립하는 것은 x=;]@;일 때이고 ㉡에서 등호가 성립
0347 ㄱ̀. (|a|+|b|)¤ -|a-b|¤ 하는 것은 y=;[*;일 때인데, ㉠, ㉡의 등호가 동시에 성립하도록 하는
=(|a|¤ +2|a||b|+|b|¤ )-(a-b)¤
=(a¤ +2|ab|+b¤ )-(a¤ -2ab+b¤ ) 양수 x, y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2(|ab|+ab)æ0 (∵ |ab|æ-ab)
ㄱ. ∴ (|a|+|b|)¤ æ|a-b|¤ a>0에서 a¤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
0349
ㄱ. 그런데 |a|+|b|æ0, |a-b|æ0이므로 하여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할 때에는
반드시 두 수 모두 양수인지 확인해야 한다.
|a|+|b|æ|a-b| 4
(단, 등호는 |ab|=-ab, 즉 ab…0일 때 성립) {a-;a!;}{a-;a$;}=a¤ -4-1+

ㄴ. [반례] a=1, b=-1이면 4
|a+b|¤ -|a-b|¤ =4ab의 부호는 {a-;a!;}{a-;a$;}æ-5+2æa¤ ≠¥
|a+b|=0, |a-b|=2 알 수 없으므로 ㄱ과 같은 방법으로 a¤
증명하기 어렵다.
∴ |a+b|<|a-b| {a-;a!;}{a-;a$;}=-5+2¥2=-1

30 정답 및 풀이
본책 50~51 쪽

4 1 4
등호는 a¤ = 일 때 성립하므로 a› =4 따라서 x+y+ + 의 최솟값은 6이다. 6
a¤ x y
a¤ =2 (∵ a¤ >0) ∴ a='2 (∵ a>0) '2
0353 x>2에서 x-2>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 1
0350 (a+b+c){;a!;+
b+c
}={a+(b+c)}{;a!;+
b+c
}
4x-4+
4
=4(x-2)+
4
+4 ⇢➊
x-2 x-2
a b+c
=1+ + +1 4
b+c a æ2æ4(≠x-≠2)¥≠ +4 ⇢➋
x-2 `
a b+c
=2+ + ⇢➊ =2¥4+4=12 (단, 등호는 x=3일 때 성립)
b+c a
a 4
a>0, b>0, c>0에서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따라서 4x-4+ æm이 항상 성립하려면 m…12이어야 하므
b+c x-2
관계에 의하여 로 m의 최댓값은 12이다. ⇢➌

a b+c a b+c 12
2+ + æ2+2æ≠ ¥ =4
b+c a b+c a 채점 기준표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 ➊ 주어진 식을 변형할 수 있다. 30%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4이다. ⇢➋ ➋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40%
4 ➌ m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30%

채점 기준표 4
등호는 4(x-2)= 일 때 성립하므로
➊ 주어진 식을 변형할 수 있다. 50% x-2

03
➋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최솟값을 구 4(x-2)¤ =4, x-2=1 (∵ x-2>0)
50%
할 수 있다. ∴ x=3

명제
즉 등호는 x=3일 때 성립한다.

23 합의 최솟값 구하기; 식의 변형 본책 51쪽


0354 "≈x¤ =x, x+0에서 x>0, x¤ +1>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
f(x)+
1
( f(x)>0) 꼴을 포함하도록 식을 변형한 후 산술평균과 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f(x)
4x x¤ +1 4x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한다. x+;[!;+ = +
x¤ +1 x x¤ +1
x¤ +1 4x
æ2æ≠ ¥
x x¤ +1
0351 x>-1에서 x+1>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2¥2=4 (단, 등호는 x=1일 때 성립)
에 의하여
9 9 4x
따라서 x+;[!;+ 의 최솟값은 4이다. ④
x+ =x+1+ -1 x¤ +1
x+1 x+1
x¤ +1 4x
9 등호는 = 일 때 성립하므로
x+ æ2Æ…(x+1)¥ -1 x x¤ +1
x+1
(x¤ +1)¤ =4x¤ , x› -2x¤ +1=0
x+ =2¥3-1=5(단, 등호는 x=2일 때 성립)
(x¤ -1)¤ =0, x¤ =1 ∴ x=1 (∵ x>0)
9
따라서 x+ 는 x=2일 때 최솟값 5를 가지므로 즉 등호는 x=1일 때 성립한다.
x+1
m=5, n=2는는∴ m+n=7 ③
x
9 0355 x+0이므로 의 분모, 분자를 각각 x로 나누면
등호는 x+1= 일 때 성립하므로 x¤ +2x+9
x+1
x 1
(x+1)¤ =9, x+1=3 (∵ x+1>0) =
x¤ +2x+9 x+2+;[(;
∴ x=2
즉 등호는 x=2일 때 성립한다. 이때 x>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9 9
x+2+ æ2æ≠x¥ +2
x x
0352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3+2=8 (단, 등호는 x=3일 때 성립)
1 4 1 4
x+y+ + ={x+ }+{y+ } 9 1
x y x y 따라서 x+2+ 의 최솟값이 8이므로 ,즉
x x+2+;[(;
1 4
x+y+ + æ2æ≠x¥ +2æ≠y¥ =2+2¥2=6
x y x
의 최댓값은 ;8!;이다. ;8!;
(단, 등호는 x=1, y=2일 때 성립) x¤ +2x+9

03 명제 31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3x+'∂5y )¤ =10+2'ƒ15xy…10+10=20
24 ; 합 또는 곱이 일정할 때
본책 52쪽
∴ '∂3x+'∂5y …'∂20=2'5
따라서 '∂3x+'∂5y 의 최댓값은 2'5이다. 2'5
a>0, b>0일 때, a+bæ2"aΩb 가 항상 성립하므로
a+b가 일정하면 ab는 a=b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ab가 일정하면 a+b는 a=b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25 ; 복잡한 식의 최대・최소
본책 52쪽

0356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a>0, b>0, c>0일 때


2x+3yæ2'ƒ2x¥3y=2'6∂xy ① (a+b)(b+c)(c+a)æ2'aåb ¥2'båc¥2'cåa
그런데 2x+3y=6이므로이이6æ2'6∂xy,이이3æ'6∂xy =8abc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

양변을 제곱하면 9æ6xy ∴ xy…;2#; ② ;bA;+;aB;+;bC;+;cB;æ2Ƭ;bA;¥;aB;+2Ƭ;bC;¥;cB;

한편 등호는 2x=3y일 때 성립하고 2x+3y=6이므로 ② ;bA;+;aB;+;bC;+;cB;=4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

2x=3, 3y=3 ∴ x=;2#;, y=1


0361 a>0, b>0, c>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
따라서 xy는 x=;2#;, y=1일 때 최댓값 ;2#; 을 가지므로
하여
a=;2#;, b=;2#;, c=1 {;bA;+;cB;}{;cB;+;aC;}{;aC;+;bA;}
∴ a+b+c=4 ②
æ2æ;bA≠;¥;cB; ¥2æ;cB;≠¥;aC; ¥2æ;aC≠;¥;bA;

0357 x¤ >0, y¤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8æ;cA; æ;aB; æ;bC; =8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
4x¤ +9y¤ æ2"√4x¤ ¥9y¤ =12xy b¤ =ac, c¤ =ab, a¤ =bc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8이다. a=b=c ④
그런데 4x¤ +9y¤ =48이므로 48æ12xy
∴ xy…4 (단, 등호는 2x=3y일 때 성립)
따라서 xy의 최댓값은 4이다. 4 0362 x>0, y>0, z>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
하여
y+z z+x x+y
a+b + +
yy ㉠ x y z
0358 ;a!;+;b!;= ab =;a¢b;
=;[};+;[Z;+;]Z;+;]{;+;z{;+;z};
한편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a+bæ2'∂ab
={;[};+;]{;}+{;]Z;+;z};}+{;[Z;+;z{;} ⇢➊
그런데 a+b=4이므로
4æ2'∂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æ2Æ…;[};¥;]{; +2Æ…;]Z;¥;z}; +2Æ…;[Z;¥;z{; ⇢➋
양변을 제곱하면 16æ4ab이이∴ ;a¢b;æ1
=2+2+2=6 (단, 등호는 x=y=z일 때 성립)
따라서 ㉠에서 ;a!;+;b!;의 최솟값은 1이다. ③ 따라서 주어진 식의 최솟값은 6이다. ⇢➌
6

채점 기준표
0359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➊ 주어진 식을 변형할 수 있다. 40%
4a+2bæ2'ƒ4a¥2b=2'ƒ8ab ➋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40%
그런데 ab=18이므로 ➌ 주어진 식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20%
4a+2bæ2'ƒ8¥18=24 (단, 등호는 2a=b일 때 성립)
따라서 4a+2b의 최솟값은 24이다. 24
0363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a¤ -2a+;bA;+;aB;=(a-1)¤ +;bA;+;aB;-1 ⇢➊
0360 ('∂3x+'∂5y )¤ =3x+5y+2'∂3x'∂5y
=10+2'ƒ15xy yy ㉠
æ(a-1)¤ +2Æ…;bA;¥;aB;-1 ⇢➋
한편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3x+5yæ2'∂ƒ3x¥5y =2'ƒ15xy =(a-1)¤ +1`(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그런데 3x+5y=10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식은 a=b=1일 때 최소이므로
10æ2'ƒ15xy (단, 등호는 3x=5y일 때 성립) yy ㉡ a+b=2 ⇢➌
㉠, ㉡에 의하여 2

32 정답 및 풀이
본책 52~53 쪽

채점 기준표 ㉠에서 등호는 2x=5y일 때 성립하고 이때 구역의 전체 넓이 xy가 최


➊ 주어진 식을 변형할 수 있다. 30% 대가 되므로 2x+5y=100에서
➋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40% x=25, y=10
➌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따라서 가로의 길이가 25 m, 세로의 길이가 10 m일 때, 구역 전체
테두리인 바깥쪽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70m이다. 70 m
2x+2y=2¥25+2¥10=70

0364 x=a+;b@;, y=b+;a@;이므로


0366 창고의 밑면에서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를 각각 x m, y m
x¤ +y¤ ={a+;b@;}2 +{b+;a@;}2 라 하면
x¤ +y¤ =12¤ =144
4a 4 4b 4
x¤ +y¤ ={a¤ + + }+{b¤ + + } x¤ >0, y¤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b b¤ a a¤
4 4a 4b 4 x¤ +y¤ æ2øπx¤ ¥y¤ =2xy
x¤ +y¤ ={a¤ + }+{ + }+{b¤ + }
a¤ b a b¤ 그런데 x¤ +y¤ =144이므로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144æ2xy
4 4 ∴ xy…72 (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
a¤ + æ2Æ…a¤ ¥ =2¥2=4 (단, 등호는 a='2일 때 성립)
a¤ a¤ 따라서 창고의 밑면의 넓이를 S m¤ 라 하면
4a 4b 4a ≠ 4b S=;2!;xy…;2!;¥72=36
+ æ2æ≠ ¥ =2¥4=8
b a b a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이므로 넓이의 최댓값은 36 m¤ 이다.
4 4 ∴ k=36 36
b¤ + æ2Æ…b¤ ¥ =2¥2=4 (단, 등호는 b='2일 때 성립)
b¤ b¤

03
∴ x¤ +y¤ æ4+8+4=16 (단, 등호는 a=b='2일 때 성립) 0367두 점 B, C의 좌표는 각각 (a, 0), (0, b)이므로 △OBC

명제
따라서 x¤ +y¤ 은 a=b='2일 때 최솟값 16을 가지므로 의 넓이를 S라 하면
a=16, b='2, c='2
` S=;2!;ab yy ㉠
a 16
∴ = =8 8
bc '2'2 또 점 A(2, 3)이 직선 ;a{;+;b};=1 위의 점이므로
x¤ >0, y¤ >0,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의 관계에 의하여 ;a@;+;b#;=1
x¤ +y¤ æ2"çx¤ ç¥y¤Ω yy ㉠ a>0, 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xy=2 {a+;b@;}{b+;a@;} ;a@;+;b#;æ2Æ…;a@;¥;b#;=2Æ…;a§b;
4
=2 {ab+ +4} 그런데 ;a@;+;b#;=1이므로
ab
4
æ2 {2Æ…ab¥ +4} yy ㉡ 1æ2Æ…;a§b; (단, 등호는 3a=2b일 때 성립)
ab
;a@;=;b#;에서서3a=2b
=2(2¥2+4)=16
양변을 제곱하면 1æ4¥;a§b;
㉠에서 등호는 x=y일 때, ㉡에서 등호는 ab=2일 때 성립하므로
등호는 a=b='2일 때 성립한다. ∴ abæ24 yy ㉡
㉠, ㉡에서

S=;2!;abæ;2!;¥24=12
26 도형에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의 활용 본책 53쪽
따라서 △OBC의 넓이의 최솟값은 12이다. 12
변하는 값을 각각 x, y로 놓고 주어진 값 또는 구하는 값을 x+y, xy
로 나타낸다.
27~30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 본책 53, 54쪽

0365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바깥쪽 ① a, b, x, y가 실수일 때,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x m, 세 y`m x y
①호호(a¤ +b¤ )(x¤ +y¤ )æ(ax+by)¤ {단, 등호는 = 일 때 성립}
로의 길이를 y m라 하면 줄의 전체 a b

길이가 100 m이므로 ② a, b, c, x, y, z가 실수일 때,


x`m
2x+5y=100 ①호호(a¤ +b¤ +c¤ )(x¤ +y¤ +z¤ )æ(ax+by+cz)¤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 y z


{단, 등호는 = = 일 때 성립}
a b c
2x+5yæ2'ƒ2x¥5y=2'ƒ10xy yy ㉠

03 명제 33
0368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그런데 ;2A;+;3B;='1å3 이므로로로;3!6#;(a¤ +b¤ )æ13
(2¤ +3¤ )(x¤ +y¤ )æ(2x+3y)¤
∴ a¤ +b¤ æ36 (단, 등호는 2a=3b일 때 성립)
그런데 x¤ +y¤ =52이므로
따라서 a¤ +b¤ 의 최솟값은 36이다. ④
13¥52æ(2x+3y)¤ , 13¤ ¥2¤ æ(2x+3y)¤
∴ -26…2x+3y…26
한편 등호는 ;2{;=;3};일 때 성립하므로 y=;2#;x
0374 x+y+z=1에서
y+z=1-x 구하는 것이 x의 최댓값이므로 x 이외의 yy ㉠
문자들을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이것을 x¤ +y¤ =52에 대입하면 x¤ +y¤ +z¤ =3에서
x¤ +{;2#;x}2 =52, x¤ =16 y¤ +z¤ =3-x¤ yy ㉡
y, z는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 x=—4, y=—6 (복호동순)
(1¤ +1¤ )(y¤ +z¤ )æ(y+z)¤ yy ㉢
따라서 2x+3y는 x=4, y=6일 때 최댓값 26을 가지므로
㉠, ㉡`을 ㉢에 대입하면
a=26, b=4, c=6
2(3-x¤ )æ(1-x)¤ , 6-2x¤ æ1-2x+x¤
∴ a+b+c=36 ⑤
3x¤ -2x-5…0, (x+1)(3x-5)…0
∴ -1…x…;3%; (단, 등호는 y=z일 때 성립)
0369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1¤ +2¤ )(x¤ +y¤ )æ(x+2y)¤ 따라서 x의 최댓값은 ;3%;이다. ;3%;
그런데 x¤ +y¤ =5이므로 25æ(x+2y)¤
` x+y+z=1에서
∴ -5…x+2y…5 {단, 등호는 x=;2};일 때 성립} y+z=1-x yy ㉠
따라서 x+2y의 최댓값은 5, 최솟값은 -5이므로 구하는 곱은 x¤ +y¤ +z¤ =3에서
5¥(-5)=-25 ① y¤ +z¤ =3-x¤ yy ㉡
(y+z)¤ =y¤ +z¤ +2yz에 ㉠, ㉡`을 대입하면
(1-x)¤ =3-x¤ +2yz
0370 x¤ +y¤ =3이므로
x¤ +4x+y¤ +3y=4x+3y+3 ∴ yz=x¤ -x-1 yy ㉢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 ㉢에서 y, z는 t에 대한 이차방정식
(4¤ +3¤ )(x¤ +y¤ )æ(4x+3y)¤ t¤ -(y+z)t+yz=0, 즉 t¤ -(1-x)t+x¤ -x-1=0
75æ(4x+3y)¤ 의 두 실근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x)¤ -4(x¤ -x-1)æ0
-5'3…4x+3y…5'3 {단, 등호는 ;4{;=;3};일 때 성립}
3x¤ -2x-5…0, (x+1)(3x-5)…0
∴ 3-5'3…4x+3y+3…3+5'3
∴ -1…x…;3%;
따라서 x¤ +4x+y¤ +3y의 최댓값은 3+5'3이다. 3+5'3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0375 x, y, z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0371
(3¤ +1¤ )(x¤ +y¤ )æ(3x+y)¤ {1¤ +(-2)¤ +3¤ }(x¤ +y¤ +z¤ )æ(x-2y+3z)¤
그런데 x¤ +y¤ =a이므로로로10aæ(3x+y)¤ 그런데 x¤ +y¤ +z¤ =2이므로
x 28æ(x-2y+3z)¤
∴ -'∂10a…3x+y…'∂10a {단, 등호는 =y일 때 성립} ∴ -2'7…x-2y+3z…2'7
3
따라서 3x+y의 최댓값은 '∂10a, 최솟값은 -'∂10a이고 그 차가 20 {단, 등호는 x=-;2};=;3Z;일 때 성립}
이므로
따라서 x-2y+3z의 최솟값은 -2'7이다. ①
2'∂10a=20,로로10a=100은은∴ a=10 10
a>0, b>0, c>0이므로 'a, 'b, 'c는 실수이다.

0376 'a, 'b, 'c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0372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1¤ +2¤ +3¤ ){('a )¤ +('b)¤ +('c )¤ }æ('a+2'b+3'c )¤
(3¤ +4¤ )(x¤ +y¤ )æ(3x+4y)¤
14(a+b+c)æ('a+2'b+3'c )¤
그런데 3x+4y=5이므로 25(x¤ +y¤ )æ25
그런데 a+b+c=14이므로
∴ x¤ +y¤ æ1 {단, 등호는 ;3{;=;4};일 때 성립} 14¤ >('a+2'b+3'c )¤
따라서 x¤ +y¤ 의 최솟값은 1이다. ① 이때 a>0, b>0, c>0이므로
0<'a+2'b+3'c…14

0373 a, b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단, 등호는 'a=


'b
=
'c
일 때 성립}
2 3
[{;2!;}2 +{;3!;}2 ](a¤ +b¤ )æ{;2A;+;3B;}2 따라서 'a+2'b+3'c의 최댓값은 14이다. 14

34 정답 및 풀이
본책 53~55 쪽

0377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x, y라 하면 원의 지 ㄷ. Q,R이므로로로RC,QC


름이 직사각형의 대각선이므로 ㄱ.따라서 명제 ~r 2⁄ ~q는 참이다.
x¤ +y¤ =2¤ =4 ㄱ.므므∴ ~r ⇨ q
한편 x, y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1¤ +1¤ )(x¤ +y¤ )æ(x+y)¤
2¥4æ(x+y)¤ , (x+y)¤ …8
이때 x>0, y>0이므로
0381 조건 p의 진리집합을 P라 할 때,‘어떤 x에 대하여 p
이다.’
가 참이 되려면 P+Δ이어야 함을 이용한다.
0<x+y…2'2 (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
조건 k-1…x…k+3의 진리집합을 P라 하면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2(x+y)이므로
P={x|k-1…x…k+3}
0<2(x+y)…4'2
조건 0…x…2의 진리집합을 Q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4'2이다. ④
Q={x|0…x…2}
주어진 명제가 참이 되려면 P;Q+Δ이어야 한다.
0378직육면체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를 각각 a, b, c라
⁄ k-1æ0, 즉 kæ1일 때,
하면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 오른쪽 그림에서 P
"√a¤ +b¤ +c¤ =3'3의의∴ a¤ +b¤ +c¤ =27 ⇢➊ ⁄ 오오k-1…2 Q
한편 a, b, c는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 오오∴ 1…k…3 (∵ kæ1) 0 k-1 2 k+3 x
(1¤ +1¤ +1¤ )(a¤ +b¤ +c¤ )æ(a+b+c)¤ ¤ k-1<0, 즉 k<1일 때,
3¥27æ(a+b+c)¤ , (a+b+c)¤ …81 ⁄ 오른쪽 그림에서 P
이때 a>0, b>0, c>0이므로 ⁄ 오오k+3æ0 Q
0<a+b+c…9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 ⇢➋ ⁄ 오오∴ -3…k<1 (∵ k<1) k-1 0 k+3 2 x

03
직육면체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은 4(a+b+c)이므로 ⁄, ¤에서 k의 값의 범위는

명제
0<4(a+b+c)…36 -3…k…3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36이다. ⇢➌ 따라서 정수 k는 -3, -2, -1, y, 3의 7개이다. ④
36

채점 기준표
➊ a¤ +b¤ +c¤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0382 A, B, C, D가 유리창을 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네
사람의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알아본다.
➋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을 이용할 수 있다. 40%
` ⁄ A가 유리창을 깬 경우
➌ 직육면체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30%
⁄ A: 거짓, B: 참, C: 참, D: 참
¤ B가 유리창을 깬 경우
0379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 A: 참, B: 거짓, C: 거짓, D: 참
'3
¥2¤ ='3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삼각형의 넓이는는
'3
4
a¤ ‹ C가 유리창을 깬 경우
4 ⁄ A: 거짓, B: 참, C: 거짓, D: 참
오른쪽 그림에서 A › D가 유리창을 깬 경우
△ABC=△ABP+△BCP+△CAP ⁄ A: 거짓, B: 참, C: 거짓, D: 거짓
이므로 a c
이상에서 네 명 중 한 명의 진술만 참인 경우는 ›이므로 유리창을
'3=;2!;¥2¥a+;2!;¥2¥b+;2!;¥2¥c bP 깬 사람은 D, 옳게 진술한 사람은 B이다. D, B
B C
` A의 진술이 참이면 B가 유리창을 깼으므로 D의 진술은
∴ a+b+c='3
참이 된다.
한편 a, b, c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즉 A의 진술은 거짓이므로 B의 진술은 참이고, C와 D의 진술은 거
(1¤ +1¤ +1¤ )(a¤ +b¤ +c¤ )æ(a+b+c)¤
짓이다.
3(a¤ +b¤ +c¤ )æ3
따라서 유리창을 깬 사람은 D이고, 옳게 진술한 사람은 B이다.
∴ a¤ +b¤ +c¤ æ1 (단, 등호는 a=b=c일 때 성립)
따라서 a¤ +b¤ +c¤ 의 최솟값은 1이다. 1
0383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B팀이 어느 팀과의 경기에서
0380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이겼는지 생각해 본다.
P,Q이면 p 2⁄ q가 참임을 이용한다. ㈑에서 C팀이 F팀을 이겼고, ㈎에서 B팀은 무승부가 없으므
ㄱ. P,Q 이므로 명제 p 2⁄ ~q는 참이다.
C
로 ㈏에 의하여 B팀은 C팀을 이겼다.
ㄱ.므므∴ p ⇨ q` 또 ㈎, ㈐에 의하여 B팀은 D팀을 이겼으므로 B팀은 A, E, F의 세
ㄴ. P¯R이므로 명제 p 2⁄ r는 거짓이다. 팀에 졌다.
ㄱ.므므∴ p ⇨
/ ~r 따라서 E팀은 B팀과의 경기에서 이겼다. ②

03 명제 35
0384 두 조건 p, q에 대하여 q jjK p이고, p jjK
/ q인 것을
찾는다.
이차부등식이 절대부등식이 되기 위한 조건
` ㄱ. p: A;B=A에서 A,B 이차방정식 ax¤ +bx+c=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모든 실수 x
ㄱ. q: A-B=Δ에서 A,B 에 대하여
ㄱ. 따라서 p HjjK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① ax¤ +bx+c>0 a>0, D<0
ㄴ. A,B 또는 A,C이면 A,(B'C)이므로 ② ax¤ +bx+cæ0 a>0, D…0
ㄱ. q jjK p ③ ax¤ +bx+c<0 a<0, D<0
B C
ㄱ. 그러나 오른쪽 벤 다이어그램에서 ④ ax¤ +bx+c…0 a<0, D…0
ㄱ. p jjK
/ q A

ㄱ.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ㄷ. |a-b|는 수직선 위에서 a를 나타내는 점과 b를 나타내는 점 사
이의 거리이므로 a<b<c이면 |a-b|<|a-c|이다.
0387 이차부등식 ax¤ +bx+c>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려면 a>0, b¤ -4ac<0이어야 한다.
ㄱ. ∴ q jjK p
f(x)=ax¤ +2bx+c, g(x)=px¤ +2qx+r라 하자.
ㄱ. 그러나 a=2, b=1, c=4이면 |a-b|<|a-c|이지만 b<a<c
p jjK
ㄱ. 주어진 두 부등식은 이차부등식이므로
이므로 / q
ㄱ. a+0, p+0
ㄱ. 따라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ㄱ.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 g(x)>0이므로
ㄹ. a¤ +b¤ -ab=0 HjjK {a-;2!; b}¤ +;4#; b¤ =0 ㄱ. a>0, p>0
ㄹ. a¤ +b¤ -ab=0 HjjK a=b=0 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므로 이차방정식 f(x)=0의
ㄱ. 따라서 p HjjK q이므로 p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판별식을 D¡이라 하면
이상에서 p는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ㄴ, D¡
ㄱ. =b¤ -ac<0 ∴ b¤ <ac …… ㉠
ㄷ이다. ③ 4
ㄱ.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0이므로 이차방정식 g(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385 ` P>0, Q>0일 때 P¤ >Q¤ 이면 P>Q임을 이용한다. D™
ㄱ. =q¤ -pr<0 ∴ q¤ <pr …… ㉡
`` A>0, B>0이므로 4
A, B는 a에 대한 식이므로
A, B의 대소를 먼저 비교한다. ㄱ. ㉠, ㉡`을 변끼리 더하면 b¤ +q¤ <ac+pr
B¤ -A¤ ={1+;2A;}¤ -('ƒ1+a)¤
ㄷ.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 g(x)>0이므로
a¤ ㄱ. f(x)+g(x)>0
B¤ -A¤ =1+a+ -(1+a)
4 ㄱ. ∴ (a+p)x¤ +2(b+q)x+(c+r)>0
a¤ ㄱ. 이차방정식 (a+p)x¤ +2(b+q)x+(c+r)=0의 판별식을 D
B¤ -A¤ = >0 (∵ a>0)
4 라 하면
∴ B>A …… ㉠ D
ㄱ. =(b+q)¤ -(a+p)(c+r)<0
1 1 4
한편 b=1- 에서 1-b= 이므로
a+1 a+1 ㄱ. ∴ (b+q)¤ <(a+p)(c+r)
1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ƒ1+a, 즉 A=C …… ㉡
'ƒ1-b
㉠, ㉡에서 B>A=C ③

0388 ` 근호를 포함한 식은 제곱의 차를 이용하여 부등식이 성


립하는지 확인한다.
0386 이차부등식 ax¤ +bx+cæ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려면 a>0, b¤ -4ac…0이어야 한다. ㄱ. (a+b)¤ -3ab=a¤ -ab+b¤
부등식 -1…(a-1)x+b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 ㄱ. ={a-;2!; b}¤ +;4#; b¤ æ0
므로
(단, 등호는 a=b=0일 때 성립)
a=1, bæ-1 yy ㉠
ㄱ. ∴ (a+b)¤ æ3ab
또 부등식 `b…x¤ +2x+2, 즉 x¤ +2x+2-bæ0이 모든 실수 x에
ㄴ. ("ç|a|+"ç|b|)¤ -{"√2(|a|+|b|)}¤
대하여 성립하므로 이차방정식 x¤ +2x+2-b=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b|+2"ç|a|"ç|b|-2(|a|+|b|)
D =-(|a|-2"ç|a|"ç|b|+|b|)
=1-2+b…0차차∴ b…1 yy ㉡ =-{("ç|a|)¤ -2"ç|a|"ç|b|+("ç|b|)¤ }
4
㉠, ㉡에서차차a=1, -1…b…1 =-("ç|a|-"ç|b|)¤ …0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따라서 점 (a, b)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2이다. ④ ㄴ. ∴ "ç|a|+"ç|b|…"√ç2(|a|+|b|)

36 정답 및 풀이
본책 55~57 쪽

ㄷ. (|a|+|b|)¤ -("√a¤ +b¤ )¤ 0391 A, B, C 세 밭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x m, y m,


=|a|¤ +2|a||b|+|b|¤ -(a¤ +b¤ ) z m라 하고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을 이용한다.
=a¤ +2|ab|+b¤ -a¤ -b¤ A, B, C 세 밭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x m, y m, z m라 하면
=2|ab|æ0 (단, 등호는 ab=0일 때 성립) x¤ +y¤ +z¤ =800
ㄱ. ∴ |a|+|b|æ"ça¤ +b¤ A, B, C 세 밭에서 수확한 옥수수의 양은 각각 3x kg, 4y kg,
ㄹ. a¤ +b¤ +1-2(a+b-ab) 5z kg이므로 수확한 옥수수의 무게는
=a¤ +b¤ +(-1)¤ +2a¥(-1)+2b¥(-1)+2ab 3x+4y+5z `(kg)
=(a+b-1)¤ æ0 (단, 등호는 a+b=1일 때 성립) x, y, z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ㄱ. ∴ a¤ +b¤ +1æ2(a+b-ab) (3¤ +4¤ +5¤ )(x¤ +y¤ +z¤ )æ(3x+4y+5z)¤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 ㄹ이다. ④ 50¥800æ(3x+4y+5z)¤ ,르르(3x+4y+5z)¤ …200¤
이때 x>0, y>0, z>0이므로
x y z
0389 부등식의 좌변을 전개하여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 0<3x+4y+5z…200 {단, 등호는
3
= = 일 때 성립}
4 5
계를 이용한다.
따라서 농부가 수확할 수 있는 최대의 수확량은 200 kg이므로
` 주어진 부등식의 좌변을 전개하면
M=200 200
4 4x
(x-y){;[!;- y }=1- y -;[};+4

4x 0392 결론을 부정하여 가정에 모순이 생기는 것을 보인다.


(x-y){;[!;-;]$;} =5-{ y +;[};} yy ㉠
` a, b가 모두 홀수라고 가정하자. ⇢➊
이때 x>0, y>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방정식 x¤ +ax-b=0의 정수인 해를 x=m이라 하면
4x 4x
m¤ +am=b
y +;[};æ2 y ¥[}; =4 (단, 등호는 2x=y일 때 성립)

03
Æ…
⁄ m이 홀수일 때,

명제
yy ㉡
⁄ m¤ 은 홀수이고, am은 두 홀수의 곱이므로 홀수이다.
㉠, ㉡에 의하여
⁄ 따라서 m¤ +am, 즉 b가 짝수이므로 가정에 모순이다.
4x
5-{ y +;[};}…5-4=1 ¤ m이 짝수일 때,
⁄ m¤ 은 짝수이고, am은 홀수와 짝수의 곱이므로 짝수이다.
즉 (x-y){;[!;-;]$;}…1이므로 (x-y){;[!;-;]$;}…k가 항상 성립하 ⁄ 따라서 m¤ +am, 즉 b가 짝수이므로 가정에 모순이다. ⇢➋
려면 ⁄, ¤에서 a, b 중 적어도 하나는 짝수이다. ⇢➌
kæ1 풀이 참조
따라서 k의 최솟값은 1이다. ① 채점 기준표
➊ 결론을 부정할 수 있다. 20%

` ➋ 가정에 모순임을 보일 수 있다. 60%


0390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한다.
➌ 주어진 명제가 참임을 알 수 있다. 20%
1 1
ㄱ. f(2)g(2)=(a¡+a™){ + }`
a¡ a™
a¡ a™ 0393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 -2axy+by¤ =0의 판별식을
=2+ +
a™ a¡
D라 할 때, D…0이면 주어진 부등식이 항상 성립함을 이용한다.
a¡ a™ 부등식 x¤ -2axy+by¤ æ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
æ2+2æ≠ ¥
a™ a¡
려면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 -2ayx+by¤ =0의 판별식을 D라 할
=4 (단, 등호는 a¡=a™일 때 성립)
때,
1 1 1
ㄴ. f(n)+g(n)=(a¡+a™+y+a«)+{ + +y+ } D
a¡ a™ a« =(ay)¤ -by¤ …0 ⇢➊
4
1 1 1
ㄴ. f(n)+g(n)={a¡+ }+{a™+ }+y+{a«+ } ∴ y¤ (a¤ -b)…0
a¡ a™ a«
이때 y는 실수이므로로로y¤ æ0
1 1 1
ㄴ. f(n)+g(n)æ2æ≠a¡¥ +2æ≠a™¥ +y+2æ≠a«¥ 따라서 a¤ -b…0이므로로로a¤ …b ⇢➋
a¡ a™ a«
⁄ a=1이면로로b=1, 2, 3, y, 10
ㄴ. f(n)+g(n)=2+2+y+2=2n
¤ a=2이면로로b=4, 5, 6, y, 10
(
|
{
|
9

n개
(단, 등호는 a¡=a™=y=a«=1일 때 성립) ‹ a=3이면로로b=9, 10 ⇢➌
ㄷ. f(n), g(n)이 모두 n보다 작으면 ㄴ에 모순이 된다. 이상에서 10 이하의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의 개수는
따라서 f(n), g(n) 중 적어도 하나는 n보다 크거나 같다. 10+7+2=19 ⇢➍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19

03 명제 37
채점 기준표 0396 OA”=a, OB”=b, OC”=c, OD”=d로 놓고 ABCD의
➊ 주어진 부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할 조건을 구할 수 있다. 30% 넓이를 a, b, c, d로 나타낸 후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한다.
➋ a,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20%
OA”=a, OB”=b, OC”=c, OD”=d라 하면
➌ a=1, 2, 3일 때,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➍ 순서쌍 (a, b)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20%
△OAB=;2!; ab, △OBC=;2!; bc,

△OCD=;2!; cd, △ODA=;2!; da ⇢➊

그런데 △OAB, △OCD의 넓이가 각각 2, 8이므로


0394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식을 ;2!;ab=2, ;2!;cd=8
변형한다.
` a>-1, b>-1에서 a+1>0, b+1>0이므로 산술평균과 ∴ b=;a$;, d=:¡c§: ⇢➋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사각형 ABCD의 넓이를 S라 하면
1 1
(a+b+2){ + } S=2+8+;2!;bc+;2!;da
a+1 b+1
1 1 S=10+;2!;¥;a$;¥c+;2!;¥:¡c§:¥a
={(a+1)+(b+1)} { + } ⇢➊
a+1 b+1
8a
a+1 b+1 S=10+:™aÇ:+
=1+ + +1 c
b+1 a+1
8a
a+1 b+1 Sæ10+2Æ…:™aÇ:¥ ⇢➌
æ2+2æ≠ ¥ ⇢➋ c
b+1 a+1
=2+2=4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 S=10+2¥4=18 (단, 등호는 2a=c일 때 성립)
따라서 사각형 ABCD의 넓이의 최솟값은 18이다. ⇢➍
1 1
따라서 (a+b+2){ + }의 최솟값은 4이다. ⇢➌ 18
a+1 b+1
4 채점 기준표

채점 기준표 ➊ △OAB, △OBC, △OCD, △ODA의 넓이를 각각 a, b, c,


30%
d로 나타낼 수 있다.
➊ 주어진 식을 변형할 수 있다. 40%
➋ b, d를 각각 a, c로 나타낼 수 있다. 20%
➋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40%
➌ 사각형 ABCD의 넓이를 a, b, c, d로 나타낸 후 산술평균과 기
➌ 주어진 식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20% 40%
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➍ 사각형 ABCD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10%

0395 S(A)+S(B)의 값이 일정함을 이용한다.


A'B={1, 2, 3, 4, 5, 6, 7, 8, 9, 10}, A;B={1, 4}
이므로
0397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 높이를 각
각 a, b, c로 놓고 식을 세운다.
S(A)+S(B)=S(A'B)+S(A;B)
직육면체의 밑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a, b, 높이를
=(1+2+3+y+10)+(1+4)
c라 하면 전개도의 둘레의 길이는 2a+2b+8c이므로
=60 ⇢➊
2a+2b+8c=108 ∴ a+b+4c=54 ⇢➊
S(A)>0, S(B)>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a, b, c가 실수이므로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S(A)+S(B)æ2"ç√S(A)S(B)
(1¤ +1¤ +4¤ )(a¤ +b¤ +c¤ )æ(a+b+4c)¤ ⇢➋
60æ2"ç√S(A)S(B) 18(a¤ +b¤ +c¤ )æ54¤ ∴ a¤ +b¤ +c¤ æ162
∴ S(A)S(B)…900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a¤ +b¤ +c¤ 이므로
(단, 등호는 S(A)=S(B)=30일 때 성립)
"√a¤ +b¤ +c¤ æ'∂162
따라서 S(A)S(B)의 최댓값은 900이다. ⇢➋
c
900 "√a¤ +b¤ +c¤ =9'2 {단, 등호는 a=b=
일 때 성립}
4
채점 기준표 따라서 직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의 최솟값은 9'2이다. ⇢➌
➊ S(A)+S(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9'2
➋ S(A)S(B)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60%
채점 기준표

A={1, 2, 3, 4, 5, 6, 9}, B={1, 4, 7, 8, 10}일 때, ➊ 주어진 둘레의 길이를 이용하여 식을 세울 수 있다. 20%

S(A)=S(B)=30이므로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가 존재함을 확인 ➋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을 이용할 수 있다. 50%

할 수 있다. ➌ 대각선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30%

38 정답 및 풀이
본책 57~63 쪽

04
0408 y

함수
Ⅱ 함수 2
1
04 함수 O 1 2 3 x
-1

0398X의 원소 2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4, 5의 2개이므로 함수


가 아니다. 함수가 아니다. 0409 ㄴ, ㄹ 0410 ㄴ, ㄹ

0399X의 각 원소에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하므로 함수 0411 ㄹ 0412 ㄱ


이다.
∴ 정의역: {1, 3, 5, 7}, 공역: {1, 2}, 치역: {1, 2}
풀이 참조
0413 ㄱ, ㄷ 0414 ㄱ, ㄷ

0400 X의 각 원소에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하므로 함수 0415 ㄷ 0416 ㄴ


이다.
∴ 정의역: {-1, 0, 1}, 공역: {1, 3, 5, 7}, 치역: {1, 5, 7} 0417 (gΩf )(6)=g( f(6))=g(a)=6 6
풀이 참조

0401 X의 원소 2, 4에 대응하는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 0418 (gΩf )(8)=g( f(8))=g(d)=6 6

니다. 함수가 아니다.

0419 ( fΩg)(b)=f(g(b))=f(8)=d d
0402f(x)=2x+1에 대하여
f(-1)=-1, f(0)=1, f(1)=3
따라서 치역은 {-1, 1, 3}이다. {-1, 1, 3} 0420 ( fΩg)(c)=f(g(c))=f(2)=b b

0403f(x)=x¤ -1에 대하여 0421 (g Á f )(x)=g( f(x))=g(3x-1)


f(-1)=0, f(0)=-1, f(1)=0 =(3x-1)¤ =9x¤ -6x+1
따라서 치역은 {-1, 0}이다. {-1, 0} (g Á f )(x)=9x¤ -6x+1

0404 f(x)=|x|+1에 대하여


0422 (f Á g)(x)=f( g(x))=f(x¤ )=3x¤ -1
f(-1)=|-1|+1=2, f(0)=|0|+1=1,
( f Á g)(x)=3x¤ -1
f(1)=|1|+1=2
따라서 치역은 {1, 2}이다. {1, 2}
0423 (f Á f )(x)=f( f(x))=f(3x-1)
=3(3x-1)-1=9x-4
0405 f(x)와 g(x)의 정의역과 공역이 각각 서로 같고
( f Á f`)(x)=9x-4
f(-1)=g(-1)=-1, f(1)=g(1)=1
∴ f=g 서로 같은 함수이다.
0424 (g Á g)(x)=g(g(x))=g(x¤ )=x› (g Á g)(x)=x›

0406 두 함수 f(x), g(x)의 정의역과 공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


이고 정의역과 공역이 각각 서로 같다.
0425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일대일 대응이어야 하므로 구하는 것
-x (xæ0) -x (xæ0)
f(x)=|x|=[ , g(x)="çx¤ =[ 은 ㄴ, ㄷ이다. ㄴ, ㄷ
-x (x<0) -x (x<0)
이므로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g(x) ∴ f=g 서로 같은 함수이다. 0426 f —⁄ (3)=a에서 f(a)=3이므로
-a+4=3 ∴ a=1 1

0407f(x)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g(x)의 정의역은


x+-2인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로 f와 g의 정의역이 서로 다르다. 0427 f —⁄ (a)=5에서 f(5)=a이므로
∴ f+g 서로 같은 함수가 아니다. a=-5+4=-1 -1

04 함수 39
함수 y=2x+3은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일 ⑶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
0428 y=f{x}
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같고, 치역은 {`y|yæ-1}이다.
-1 1
y=2x+3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2
-3 O x
-1
2x=y-3 ∴ x=;2!; y-;2#; 풀이 참조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y=;2!;x-;2#; y=;2!;x-;2#;

0438 ⑴ y ⑵ y y=f{|x|}
y=|f{x}|
1
0429 함수 y=;2!;x-;4!;은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로의 일대
1
일 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2 O x
-2 O x
y=;2!;x-;4!;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0428 ⑶ y ⑷ y
;2!;x=y+;4!; ∴ x=2y+;2!; |y|=f{x}
1
1 |y|=f{|x|}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2 O x -2 O x
-1
-1
y=2x+;2!; y=2x+;2!;

0430 f —⁄ (1)=3 3
y
0439 ⑴ y=|f{x}|

0431 ( f —⁄ )—⁄ (3)=f(3)=1 1

O 2 x

0432 ( f Á f —⁄ )(5)=f(f—⁄ (5))=f(2)=5 5

0428 ⑵ y y=f{|x|}

0433 ( f —⁄ Á f)(4)=f —⁄ ( f(4))=f —⁄ (7)=4 4

O
-2 2 x
0434 주어진 그래프의 x절편이 2, y절편이 1이므로
x y 1 1
2
+ =1
1
∴ y=-
2
x+1 y=-
2
x+1 0428 ⑶ y
|y|=f{x}

O 2
1
0435 y=- x+1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x
2
-;2!;x=y-1 ∴ x=-2y+2

x와 y를 서로 바꾸면 구하는 역함수는 0428 ⑷ y


|y|=f{|x|}
y=-2x+2 y=-2x+2

-2 O 2 x
0436 y
2
y=-2x+2

O 1 x

0440 y=|x+1|의 그래프는 y=x+1의 그 y=|x+1| y

0437⑴ xæ-2일 때, x+2æ0이므로 래프에서 yæ0인 부분은 그대로 두고, y<0인


f(x)=x+2-1=x+1 |x+2|=x+2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오 1

⑵ x<-2일 때, x+2<0이므로 른쪽 그림과 같다. -1 O x


|x+2|=-(x+2)
f(x)=-(x+2)-1=-x-3 풀이 참조

40 정답 및 풀이
본책 63~65 쪽

04
0441y=2|x|-3의 그래프는 y 0446y=|x|+x-3에서

함수
y=2|x|-3
y=2x-3의 그래프에서 xæ0인 부분만 ⁄ xæ0일 때,
y
남기고, x<0인 부분은 xæ0인 부분을 y 때때y=x+x-3때때∴ y=2x-3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O ¤ x<0일 때,
3 3 x 3
-
그림과 같다. 2 2 때때y=-x+x-3때때∴ y=-3 2
-3 O x
풀이 참조 ⁄, ¤에서 y=|x|+x-3의 그래프는 -3
y=|x|+x-3
오른쪽 그림과 같다. 풀이 참조

|y|=x¤ +4x+3의 그래프는 이 y


0442 |y|=x@+4x+3
0447y=|x+2|+|x-1|에서
차함수 y=x¤ +4x+3=(x+2)¤ -1의
⁄ x<-2일 때, x+2<0, x-1<0이므로
그래프에서 yæ0인 부분만 남기고, y<0 3 ⁄ 일일y=-(x+2)-(x-1)이이∴ y=-2x-1
인 부분은 yæ0인 부분을 x축에 대하여
-2 O ¤ -2…x<1일 때, x+2æ0, x-1<0이므로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3 x
꼭짓점이 (-2, -1)이고 두 점 (-1, 0),
-1 ⁄ 일일y=x+2-(x-1)이이∴ y=3
(-3, 0)에서 x축과 만나면서 아래로 볼록한
-3
‹ xæ1일 때, x+2>0, x-1æ0
포물선이다. 풀이 참조
이므로 y=|x+2|+|x-1| y
⁄ 일일y=x+2+x-1이이
∴ y=2x+1
3
0443 |y|=|x¤ |-6|x|+5 y 이상에서 y=|x+2|+|x-1|의
=|x|¤ -6|x|+5 5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O 1 x
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O
13 풀이 참조
y=x¤ -6x+5=(x-3)¤ -4의 그래프에서 -5 -1 5 x

xæ0, yæ0인 부분만 남기고, 이 그래프를 -5


-4 0448 1…1.21<2이므로 [1.21]=1 1
x축, y축, 원점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y|=|x@|-6|x|+5
0449 0…0.8<1이므로 [0.8]=0 0
풀이 참조

0450 -1…-;2!;<0이므로 [-;2!;]=-1 -1


0444|x|+|y|=1에서
⁄ xæ0, yæ0일 때,서서x+y=1서서∴ y=-x+1
0451 -3…-2.9<-2이므로 [-2.9]=-3 -3
¤ xæ0, y<0일 때,서서x-y=1서서∴ y=x-1
‹ x<0, yæ0일 때,
0452 x가 정수가 되는 값을 경계로 범위를 나누어 [x ]의 값을 계
‹ 서서-x+y=1서서∴ y=x+1
y 산하면
› x<0, y<0일 때, 1
|x|+|y|=1

‹ 서서-x-y=1서서∴ y=-x-1
-2…x<-1일 때, [x ]=-2
이상에서 |x|+|y|=1의 그래프는 오 -1 O 1 x -1…x<0일 때, [x ]=-1
른쪽 그림과 같다.
0…x<1일 때, [x ]=0 y
-1
풀이 참조 y=[x]
1…x<2일 때, [x ]=1 2
|x|+|y|=1의 그래프는 x+y=1(xæ0, yæ0)의 그
2…x<3일 때, [x ]=2 1
래프를 x축, y축, 원점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동하여 그릴 수도 있다.
⋮ -2 -1
O 1 2 3x
따라서 y=[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1
0445|x|-|y|=2에서 과 같다. -2
⁄ xæ0, yæ0일 때,일일x-y=2일일∴ y=x-2 풀이 참조
¤ xæ0, y<0일 때,일일x+y=2일일∴ y=-x+2
‹ x<0, yæ0일 때, 0453 ;2{;가 정수가 되는 값을 경계로 범위를 나누어 [;2{;]의 값을
‹ 서서-x-y=2일일∴ y=-x-2 y
계산하면
› x<0, y<0일 때,

‹ 서서-x+y=2일일∴ y=x+2 O
이상에서 |x|-|y|=2의 그래프는 오 -2 2 x -4…x<-2일 때, [;2{;]=-2
른쪽 그림과 같다.
|x|-|y|=2 -2…x<0일 때, [;2{;]=-1
풀이 참조

04 함수 41
-0…x<2일 때, [;2{;]=0 02 함숫값 본책 66쪽

-2…x<4일 때, [;2{;]=1 ① 함수 f(x)에서 f(k)의 값 구하기


x 대신 k를 대입한다.
⋮ y x
y=[ ] ② 함수 f(ax+b)에서 f(k)의 값 구하기
2
따라서 y=[;2{;]의 그래프는 오른 ax+b=k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하여 x 대신 그 수를 대입


1
-4 -2
한다.
O 2 4 x
쪽 그림과 같다. -1
-2
풀이 참조


0458 이차방정식 x¤ +6x-3=0에서 x=-3—2'3이므로 a, b
는 무리수이고,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0454x가 정수가 되는 값을 경계로 범위를 나누면 a+b=-6, ab=-3
⋮ ∴ f(a)+f(b)-f(ab)=-a-b-(ab+1)
-2…x<-1일 때, [x ]=-2이므로 y=x+2 =-(-6)+2=8 ③
-1…x<0일 때, [x ]=-1이므로 y=x+1
-0…x<1일 때, [x ]=0이므로 y=x
-1…x<2일 때, [x ]=1이므로 y=x-1 0459 f(3)=3+1=4
⋮ y f(29)=f(29-4)=f(25-4)
1 y=x-[x] =y=f(1)=1+1=2
따라서 y=x-[ 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f(3)+f(29)=4+2=6 6
-2 -1 O 1 2 x
풀이 참조

0460 ⑴ x-2=4에서에서x=6
함수의 뜻 ⑵ f(x-2)=x¤ -5에 x=6을 대입하면
01 본책 66쪽
⑵ 로로f(4)=6¤ -5=31 ⇢➊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대응이 함수이려면 ⑵ x-2=t로 놓으면에서x=t+2
X의 각 원소에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만 대응해야 한다. ⑵ f(x-2)=x¤ -5에 x 대신 t+2를 대입하면
⑵ 로로f(t)=(t+2)¤ -5=t¤ +4t-1
⑵ 로로∴ f(x)=x¤ +4x-1 ⇢➋
0455 각 대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⑴ 31이⑵ f(x)=x¤ +4x-1
ㄱ. X Y ㄴ. X Y ㄷ. X Y
-2 0 -2 0 -2 0 채점 기준표
-1 1 -1 1 -1 1 ➊ f(4)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0 2 0 2 0 2 ➋ f(x)를 구할 수 있다. 40%
X의 원소 -2와 0에 대응하는 Y
이상에서 함수인 것은 ㄱ, ㄷ이다. 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0461 2n-1=999에서 n=500


0456 ㄱ, ㄹ f(2n-1)=n-1에 n=500을 대입하면 f(999)=499
조건 ㈎에 의하여
f(1000)=f(500)=f(250)=f(125)
0457① -1…x…1에서에서0…x+1…2
2n-1=125에서여여n=63
① 에서∴ 0… f(x)…2
f(2n-1)=n-1에 n=63을 대입하면 f(125)=62
② -1…x…1에서에서-2…-2x…2
∴ f(999)+f(1000)=499+62=561 561
① 에서-1…-2x+1…3에서∴ -1… f(x)…3
③ -1…x…1에서에서-2…x-1…0

① 에서0…|x-1|…2,에서0…
1
|x-1|…1 0462 427=3¥5‹ +2¥5¤ +2이므로
2 f(427)=f(3¥5‹ +2¥5¤ +2)=f(3+2+2)=f(7)
① 에서∴ 0…`f(x)…1 =f(1¥5+2)=f(1+2)=f(3)=3 ③
④ -1…x…1에서에서0…x¤ …1
① 에서2…x¤ +2…3에서∴ 2…`f(x)…3
⑤ -1…x…1에서에서0…x+1…2 03 함수의 정의역`, 공역`, 치역 본책 67쪽

① 에서0…(x+1)¤ …4,에서-2…(x+1)¤ -2…2


함수 f : X 1⁄ Y에 대하여
① 에서∴ -2… f(x)…2 정의역: 집합 X, 공역: 집합 Y, 치역: { f(x)|x<X}
따라서 X에서 Y로의 함수가 아닌 것은 ⑤이다. ⑤

42 정답 및 풀이
본책 65~68 쪽

04
0463 ⁄ a>0일 때, f(-1)=-1, f(3)=3이므로 ㄱ.㉠의 양변에 x=-1, y=1을 대입하면

함수
-a+b=-1, 3a+b=3 ∴ a=1, b=0 ㄱ.에에f(0)=f(-1)+f(1)
그런데 ab=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ㄱ.에에0=f(-1)+2 ∴ f(-1)=-2
¤ a<0일 때, f(-1)=3, f(3)=-1이므로 ㄷ.f(2x)=f(x+x)=f(x)+f(x)=2f(x)
-a+b=3, 3a+b=-1 ∴ a=-1, b=2 ㄱ.f(3x)=f(x+2x)=f(x)+f(2x)=f(x)+2f(x)=3f(x)
∴ ab=-2 ㄱ.f(4x)=f(x+3x)=f(x)+f(3x)=f(x)+3f(x)=4f(x)
⁄, ¤에서 ab=-2 -2 ㄱ. ⋮
ㄱ.에에∴ f(nx)=f(1+(n-1)x)=f(1)+f ((n-1)x)
0464 음이 아닌 정수 k에 대하여 =f(1)+(n-1)f(x)=nf(x)
⁄ x=2k일 때, x¤ =(2k)¤ =4k¤ 이므로 f(x)=0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⑤
¤ x=2k+1일 때,
x¤ =(2k+1)¤ =4k¤ +4k+1=4(k¤ +k)+1 0468 주어진 식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 이므로 f(x)=1 3f(a)+2f(1-a)=5a
⁄, ¤에서 함수 f의 치역은 {0, 1}이다. ③ f(a)=13이므로에에39+2f(1-a)=5a
5a-39
∴ f(1-a)= yy ㉠
2
0465 ⁄ a>0일 때, a+1æ2, 2a+1…6이므로
치역`: {y|a+1…y…2a+1}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a를 대입하면
¤ 1…a…;2%; ⇢➊ 3f(1-a)+2f(a)=5(1-a)
¤ a<0일 때, 2a+1æ2, a+1…6이므로 f(a)=13이므로에에3f(1-a)+26=5-5a
치역`: {y|2a+1…y…a+1}
5a+21
¤ ;2!;…a…5 ∴ f(1-a)=- yy ㉡
3
¤ 그런데 a<0이어야 하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➋ 5a-39 5a+21
㉠, ㉡에서서서 =-
⁄, ¤에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2 3
1…a…;2%; ⇢ ➌는 1…a…;2%; 15a-117=-10a-42
25a=75여여∴ a=3 3
채점 기준표
➊ a>0일 때,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05 서로 같은 함수 본책 68쪽
➋ a<0일 때,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➌ a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20% 집합 X를 정의역으로 하는 두 함수 f, g가 서로 같다.
집합 X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f(x)=g(x)

04 조건을 이용하여 함숫값 구하기 본책 67쪽

0469 f(-1)=g(-1)에서 -a+b=-5 yy ㉠


f(x+y)=f(x)f(y) 또는 f(x+y)=f(x)+f(y)의 조건이 주어졌을
f(1)=g(1)에서 a+b=1 yy ㉡
때, f(a)의 값 구하기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적당한 x, y의 값을 대입하여 f(a)의 값을 유도한다.
∴ ab=-6 -6

0466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 y=1을 대입하면 0470 ㄱ. f(1)=1, g(1)=-1이므로 f(1)+g(1)
f(1+1)=f(1)f(1)=2¥2=4을을∴ f(2)=4 ㄱ. ∴ f+g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 y=2를 대입하면 ㄴ. f(-1)=g(-1)=1, f(0)=g(0)=0, f(1)=g(1)=1이므
f(1+2)=f(1)f(2)=2¥4=8을을∴ f(3)=8 로 f=g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 y=3을 대입하면 ㄷ. f(-1)=g(-1)=-1, f(0)=g(0)=0, f(1)=g(1)=1이
f(1+3)=f(1)f(3)=2¥8=16을을∴ f(4)=16 므로 f=g
주어진 식의 양변에 x=3, y=4를 대입하면 이상에서 f=g인 것은 ㄴ, ㄷ이다. ④
f(7)=f(3+4)=f(3)f(4)=8¥16=128 ③
0471 f(1)=g(1)에서 1+2a+3b=-a+b
0467 f(x+y)=f(x)+f(y) yy ㉠ ∴ 3a+2b=-1 yy ㉠
ㄱ. ㉠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2)=g(2)에서 8+8a+3b=-2a+b
ㄱ. 에에f(0)=f(0)+f(0) ∴ f(0)=0 ∴ 10a+2b=-8 yy ㉡
ㄴ. ㉠의 양변에 x=1, y=1을 대입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1
ㄱ. 에에f(2)=f(1)+f(1) ∴ f(1)=g(1)=2, f(2)=g(2)=3
ㄱ. 에에2`f(1)=4 ∴ f(1)=2 따라서 함수 f의 치역은 {2, 3} {2, 3}

04 함수 43
0472 x¤ =4x-3에서 x¤ -4x+3=0 0477 f(x)=x¤ -2x+a=(x-1)¤ +a-1이므로 xæ3일 때
(x-1)(x-3)=0 ∴ x=1 또는 x=3 ⇢➊ x의 값이 증가하면 f(x)의 값도 증가한다.
따라서 구하는 집합 X는 공집합이 아닌 {1, 3}의 부분집합이므로 따라서 함수 f가 일대일 대응이 되려면 f(3)=2이어야 하므로
{1}, {3}, {1, 3} ⇢➋ 9-6+a=2 ∴ a=-1
{1}, {3}, {1, 3} 즉 f(x)=x¤ -2x-1이므로
f(4)=4¤ -2¥4-1=7 ②
채점 기준표
➊ f(x)=g(x)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➋ 집합 X를 구할 수 있다. 50%
08 항등함수와 상수함수 본책 69쪽

① 항등함수: 함수 f : X 1⁄ X에서 f(x)=x (x<X)


06, 07 일대일 대응 본책 68쪽
② 상수함수: 함수 f : X 1⁄ Y에서 f(x)=c (x<X, c<Y)

함수 f : X 1⁄ Y가 일대일 대응
① x¡+x™이면 f(x¡)+f(x™) (x¡<X, x™<X)
0478 ㄱ. f(0)=0, f(1)=1, f(2)=2, f(3)=3, f(4)=4
② { f(x)|x<X}=Y
ㄴ. 따라서 f는 항등함수이다.
ㄴ. g(0)=g(1)=g(2)=g(3)=g(4)=0
ㄴ. [반례] f(x)=x+|x|로 놓으면 x¡=-1, x™=-2일 때 ㄴ. 따라서 g는 상수함수이다.
0473
x¡+x™이지만 ㄷ. h(0)=0, h(1)=h(2)=h(3)=1, h(4)=2
ㄷ. f(x¡)=-1+|-1|=0, f(x™)=-2+|-2|=0 ㄴ. 따라서 h는 항등함수도 상수함수도 아니다.
이므로 y=x+|x|는 일대일 대응이 아니다. 이상에서 항등함수인 것은 ㄱ뿐이다. ①
ㄷ. [반례] f(x)=-x¤ +2x로 놓으면 x¡=-1, x™=3일 때 x¡+x™
이지만 0479 함수 g 는 항등함수이므로
ㄷ. f(x¡)=-(-1)¤ -2=-3, f(x™)=-3¤ +2¥3=-3 g(-1)=-1, g(0)=0, g(1)=1 ⇢➊
ㄷ. 이므로 y=-x¤ +2x는 일대일 대응이 아니다. f(-1)=g(1)=h(0)에서
이상에서 일대일 대응인 것은 ㄱ뿐이다. ① f(-1)=h(0)=1
f(-1)+f(1)=f(0)에서
0474 보기의 함수의 그래프 중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직선 1+f(1)=f(0)
y=k와 오직 한 점에서 만나는 그래프는 ㄴ, ㄹ이다. 이때 함수 f 는 일대일 대응이므로
따라서 일대일 대응인 것은 ㄴ, ㄹ이다. ㄴ, ㄹ f(0)=-1, f(1)=0 또는 f(0)=0, f(1)=-1
그런데 f(0)=-1, f(1)=0이면 1+f(1)+f(0)이므로
0475a>0이므로 함수 f가 일대일 대응이 되려면 f(0)=0, f(1)=-1 ⇢➋
f(-3)=1, f(3)=13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도 증가해야 한다. 또 함수 h는 상수함수이므로
-3a+b=1, 3a+b=13 h(-1)=h(0)=h(1)=1 ⇢➌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7 ∴ f(1)g(-1)h(-1)=-1¥(-1)¥1=1 ⇢➍
∴ a+b=9 9 1

채점 기준표
0476 함수 f가 일대일 대응이 되려면 y=f(x) y y=f{x} ➊ g(-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즉 직선 ➋ f(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6
y=ax+b가 점 (2, 6)을 지나야 하므로 ➌ h(-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2a+b=6 yy ㉠ ⇢➊ ➍ f(1)g(-1)h(-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또 xæ2에서 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x<2 x
O2
에서의 직선의 기울기도 양수이어야 한다. ⇢ ➋
0480 함수 f가 항등함수이므로
즉 a>0이어야 하므로 ㉠에서
⁄ x<2일 때,가가x=1 f(x)=x
2a=6-b>0 ∴ b<6
a>0이므로로2a>0 ¤ 2…x<6일 때,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5이다. ⇢➌
¤ 때때3x-8=x,가가2x=8때때∴ x=4
5
‹ xæ6일 때,
채점 기준표 ¤ 때때x¤ -8x+14=x,가가x¤ -9x+14=0
➊ a, b 사이의 관계식을 세울 수 있다. 50% ¤ 때때(x-2)(x-7)=0때때∴ x=7 (∵ xæ6)
➋ x<2에서 직선의 기울기가 양수임을 알 수 있다. 20% 이상에서 X={1, 4, 7}이므로
➌ 정수 b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30% a+b+c=1+4+7=12 12

44 정답 및 풀이
본책 68~70 쪽

04
09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 본책 69쪽 `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f(3), f(-3), f(0)의 값을 수형

함수
도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집합 X의 원소의 개수가 n, 집합 Y의 원소의 개수가 m일 때
① X에서 Y로의 함수의 개수 m«
f(3) f(-3) f(0)
② X에서 Y로의 일대일함수의 개수 -3
m(m-1)(m-2)y(m-n+1)`(단, mæn) -3 -3 0
③ X에서 X로의 일대일 대응의 개수 3
n(n-1)(n-2)y2¥1 -3
④ X에서 Y로의 상수함수의 개수 m 0 0 0
3

일대일 대응을 f : X 1⁄ X라 하면
-3
0481 3 3 0
f(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1, 2, 3 중 하나이므로 3개
3
f(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1)의 값을 제외한 2개
f(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1), f(2)의 값을 제외한 1개
따라서 일대일 대응의 개수는
10 합성함수의 함숫값 본책 70쪽
3¥2¥1=6
또 항등함수는 1개, 상수함수는 3개이므로 두 함수 f, g에 대하여 ( fΩg)(a)의 값 구하기
p+q+r=6+1+3=10 10 합성함수 ( fΩg)(x)를 구하여 a를 대입할 수도 있지만
( fΩg)(a)=f(g(a))이므로 g(a)의 값을 구하여 f(x)의 x에 대
입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0482 조건 ㈎에서 함수 f는 일대일함수이고, 조건 ㈏에서 즉 g(a)=m, f(m)=n이면면면( fΩg)(a)=f(g(a))=f(m)=n
-2…f(x)…2이다.
f(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1, 0, 1, 2 중 하나이므로 5개
f(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1, 0, 1, 2 중 f(1)의 값을 0485 '2 는 무리수이므로 f('2 )=('2 )¤ =2
2는 유리수이므로 f(2)=-2¥2=-4
제외한 4개
∴ (fΩf)('2 )=f( f('2 ))=f(2)=-4 ①
f(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1, 0, 1, 2 중 f(1), f(2)의
값을 제외한 3개
f(4)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1, 0, 1, 2 중 f(1), f(2),
0486 f(3)=1이고
f(3)의 값을 제외한 2개
( fΩf )(3)=f( f(3))=f(1)=2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의 개수는
( fΩfΩf )(3)=f(( fΩf )(3))=f(2)=4
5¥4¥3¥2=120 120
이므로로로(주어진 식)=1+2+4=7 ②

0483 -1+(-1)=-2, -1+0=-1, -1+1=0, 0+0=0,


0+1=1, 1+1=2이므로 표로 나타내면 0487(hΩ(gΩf))(x)=((hΩg)Ωf )(x)

Y={-2, -1, 0, 1, 2} y x -1 0 1
⇢➊ 0569(hΩ(gΩf))(x)=(hΩg)(f(x)) 합성함수에서는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따라서 상수함수의 개수는 5이다.


-1 -2 -1 0
⇢➋ 0569(hΩ(gΩf))(x)=(hΩg)(x+2)
0569
0 -1 0 1
(hΩ(gΩf))(x)=7(x+2)-6=7x+8
1 0 1 2 5
따라서 7x+8=-6에서
채점 기준표 7x=-14에서∴ x=-2 -2
➊ 집합 Y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70%
➋ 상수함수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30%

0488 f(x)=f(x+4)이므로
f(14)=f(10)=f(6)=f(2)
0484 f(x)-f(-x)=0에서 =2¤ -2¥2+3=3
f(x)=f(-x) ∴ (fΩf)(14)=f(f(14))=f(3)=12-2¥3=6 6
f(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 0, 3 중 하나이므로 3개
f(-3)=f(3)에서 f(-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3)의 값과
같으므로 1개 0489 (gΩf )(3)=g(f(3))=g(1)=2
f(0)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3, 0, 3 중 하나이므로 3개 ( fΩg)(2)=f(g(2))=f(1)=2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의 개수는 이때 f(3)=g(2)=1이고 두 함수 f, g는 각각 일대일 대응이므로
3¥1¥3=9 9 f(2)=3, g(3)=3 ∴ f(2)+g(3)=6 ⑤

04 함수 45
fΩg=gΩf 인 경우 (fΩf)(x)가 x-2로 나누어떨어지므로
11 본책 70쪽
(fΩf )(2)=16-8a+a¤ -a=0
합성함수 fΩg와 gΩf를 각각 구하여 각 항의 계수를 비교한다. ∴ a¤ -9a+16=0 (판별식)>0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ax¤ +bx+c=a'x¤ +b'x+c'이 x에 대한 항등식이면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모든 실수 a의 값
함함a=a', b=b', c=c' 의 합은 9이다. ⑤

0490 f(x)=ax+1, g(x)=-x-2에서


0495 ( fΩf )(x)=f( f(x))=a(ax-b)-b=a¤ x-ab-b
( fΩg)(x)=f(g(x))=a(-x-2)+1=-ax-2a+1 fΩf=f이므로 a¤ x-ab-b=ax-b
( gΩf )(x)=g( f(x))=-(ax+1)-2=-ax-3 a¤ =a, -ab-b=-b
fΩg=gΩf 이므로 -ax-2a+1=-ax-3 a(a-1)=0또∴ a=0 또는 a=1
∴ a=1, b=0 (∵ a+0)
양변의 동류항의 계수를
-2a+1=-3 ∴ a=2 ② ∴ a+b=1 ④
비교한다.

0491 주어진 그림에서


0496 g(x)=(fΩfΩf)(x)=f(f(f(x)))
f(1)=4, f(2)=1, f(3)=2, f(4)=3 =f(f(-2x+a))=f(-2(-2x+a)+a)
fΩg=gΩf 에서 f( g(x))=g(f(x)) yy ㉠ =f(4x-a)=-2(4x-a)+a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 g(1))=g( f(1)) =-8x+3a ⇢➊
f(3)=g(4) ∴ g(4)=2 함수 g(x)는 x의 값이 증가하면 g(x)의 값은 감소하므로 함수
㉠의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f( g(4))=g( f(4)) g(x)는 x=4에서 최솟값 -17을 갖는다.
f(2)=g(3) ∴ g(3)=1 -8¥4+3a=-17,함함3a=15함함∴ a=5 ⇢➋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f(g(3))=g(f(3)) 따라서 g(x)=-8x+15이고 x=b에서 최댓값 7을 가지므로
f(1)=g(2) ∴ g(2)=4 -8b+15=7,함함8b=8함함∴ b=1 ⇢➌
∴ g(2)-g(4)=4-2=2 ② ∴ ab=5 ⇢➍
5

0492 f(x)=2x+3, g(x)=ax+b에서 채점 기준표


( fΩg)(x)=f(g(x))=2(ax+b)+3=2ax+2b+3 ➊ g(x)를 구할 수 있다. 30%
(gΩf )(x)=g( f(x))=a(2x+3)+b=2ax+3a+b ➋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fΩg=gΩf이므로 2ax+2b+3=2ax+3a+b ➌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2b+3=3a+b므므∴ b=3a-3 ➍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b=3a-3을 g(x)에 대입하면
g(x)=ax+b=ax+3a-3=a(x+3)-3
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a의 값에 관계없이 점 13 fΩg=h를 만족시키는 함수 f 또는 g 구하기 본책 71쪽

(-3, -3)을 지난다. (-3, -3)


① f(x), h(x)가 주어진 경우
f(g(x))=h(x)임을 이용하여 g(x)를 구한다.
② g(x), h(x)가 주어진 경우
12 fΩf에 대한 조건이 주어진 경우 본책 71쪽
f(g(x))=h(x)이므로 g(x)=t로 치환하여 f(t)를 구한다.
함수 f(x)=ax+b일 때
( fΩf )(x)=f( f(x))=f(ax+b)
=a(ax+b)+b=a¤ x+ab+b 0497 (gΩh)(x)=g(h(x))=2h(x)-3
(gΩh)(x)=f(x)이므로 2h(x)-3=2x¤ +1
2h(x)=2x¤ +4 ∴ h(x)=x¤ +2 ③
0493 ( fΩf )(x)=f( f(x))=a(ax+b)+b
=a¤ x+ab+b
즉 a¤ x+ab+b=9x+4이므로 a¤ =9, ab+b=4 0498 ⑴ ( fΩh)(x)=g(x)이므로
∴ a=3, b=1`(∵ a>0) 3h(x)-2=-x+1, 3h(x)=-x+3
따라서 f(x)=3x+1이므로
∴ h(x)=-;3!;x+1 ⇢➊
f(-2)=3¥(-2)+1=-5 -5
⑵ (kΩf )(x)=g(x)이므로
k(3x-2)=-x+1
0494 ( fΩf)(x)=f(f(x))=(x¤ -a)¤ -a
=x› -2ax¤ +a¤ -a 3x-2=t로 놓으면 x=;3!;t+;3@; 이므로

46 정답 및 풀이
본책 70~72 쪽

04
k(t)=-{;3!;t+;3@;}+1=-;3!;t+;3!; 따라서 f£(x)=f(x), f¢(x)=f™(x), y이므로

함수
-x+2 (n은 홀수)
f«(x)=[ ⇢➋
∴ k(x)=-;3!;x+;3!; ⇢➋ x ( n은 짝수)
-x+2 ( n은 홀수)
⑴ h(x)=-;3!;x+1 ⑵ k(x)=-;3!;x+;3!; f «(x)=[
x ( n은 짝수)

채점 기준표 채점 기준표
➊ h(x)를 구할 수 있다. 40% ➊ f¡(x), f™(x)를 구할 수 있다. 40%
➋ k(x)를 구할 수 있다. 60% ➋ fn(x)를 구할 수 있다. 60%

3
0499 (gΩf )(x)=-2x+1에서서서g {
2x+1
}=-2x+1 0502 f {;2#;}=-2¥
2
+4=1이므로
3
2x+1 f ¤ {;2#;}=( fΩf ){;2#;}=f(1)=1+1=2
=t로 놓으면 2x+1=3t ∴ x=;2#;t-;2!;
3
따라서 g(t)=-2 {;2#;t-;2!;}+1=-3t+2이므로 f ‹ {;2#;}=( fΩf ¤ ){;2#;}=f(2)=-2¥2+4=0

g(3)=-3¥3+2=-7 -7 f › {;2#;}=( fΩf ‹ ){;2#;}=f(0)=0+1=1


2x+1
g{ }=-2x+1 yy ㉠
3 f fi {;2#;}=( fΩf › ){;2#;}=f(1)=2
2x+1
=3에서 2x+1=9 ∴ x=4 ⋮
3
x=4를 ㉠에 대입하면 g(3)=-7 즉 f « {;2#;}은 1, 2, 0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이때 100=3¥33+1이므로
14 합성함수의 추정 본책 72쪽
∴ f ⁄ ‚ ‚ {;2#;}=f ⁄ {;2#;}=1 1
함수 f 에 대하여 f « =f « —⁄ Ωf일 때, f « (a)의 값 구하기
[방법 1] f ¤ (x), f ‹ (x), f › (x), y를 직접 구하여 f « (x)를 추정한
100
다음, x 대신 a를 대입한다. 0503 f(100)=
2
=50이므로
[방법 2] f (a), f ¤ (a), f ‹ (a), y에서 규칙을 찾아 f « (a)의 값을
f ¤ (100)=( fΩf )(100)=f( f(100))
추정한다.
50
f ¤ (100)=f(50)= =25
2
f ‹ (100)=( f ¤ Ωf )(100)=f ¤ ( f(100))
0500 f ⁄ (2)=f(2)=1
f ¤ (100)=f ¤ (50)=( fΩf )(50)=f( f(50))
f ¤ (2)=f( f(2))=f(1)=4
25+1
f ‹ (2)=f( f ¤ (2))=f(4)=3 f ¤ (100)=f(25)= =13
2
f › (2)=f( f ‹ (2))=f(3)=2 f › (100)=( f ‹ Ωf )(100)=f ‹ (f(100))
f fi (2)=f( f › (2))=f(2)=1 f ¤ (100)=f ‹ (50)=( f ¤ Ωf )(50)=f ¤ ( f(50))
⋮ f ¤ (100)=f ¤ (25)=( f Ωf )(25)=f( f(25))
즉 f « (2)는 1, 4, 3, 2가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13+1
f ¤ (100)=f(13)= =7
이때 2016=4¥504이므로 f 2016(2)=f › (2)=2 2
f ⁄ (3)=f(3)=2 7+1
f fi (100)=f › (50)=f ‹ (25)=f ¤ (13)=f(7)= =4
f ¤ (3)=f( f(3))=f(2)=1 2
f ‹ (3)=f( f ¤ (3))=f(1)=4 f fl (100)=f fi (50)=f › (25)=f ‹ (13)=f ¤ (7)=f(4)=2
f › (3)=f( f ‹ (3))=f(4)=3 f ‡ (100)=f fl (50)=f fi (25)=f › (13)
f fi (3)=f( f › (3))=f(3)=2 f ¤ (100)=f ‹ (7)=f ¤ (4)=f(2)=1
⋮ ⋮
즉 f « (3)은 2, 1, 4, 3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7이다. ③
이때 2017=4¥504+1이므로 f 2017(3)=f (3)=2
∴ f 2016(2)+f 2017(3)=2+2=4 4 15 함수의 그래프와 합성함수 본책 72쪽

함수 y=f(x)의 그래프가 두 점 (a, b), (b, c)를 지나면


0501 f(x)=-x+2에서 f¡(x)=f(x)=-x+2 ( fΩf)(a)=f(f(a))=f(b)=c
f™(x)=( fΩf )(x)=-(-x+2)+2=x ⇢➊

04 함수 47
0504 오른쪽 그림에서 y y=x 채점 기준표

( fΩfΩf )(b)=f( f( f(b))) e y=f{x} ➊ f(x)를 구할 수 있다. 60%


d
=f(f(c)) ➋ f—⁄ (0)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c
=f(d) b
a
=e x<5일 때,
Oa b c d e x 0509 f(x)=x+3<8
⑤ xæ5일 때, f(x)=2x-2æ8
f —⁄ (6)=m이라 하면 f(m)=6이므로
f(a)=b라 하면 ( fΩf )(a)=4에서 ∴ m=3 6<8이므로로f(x)=x+3에 대입한다.
0505 m+3=6
f( f(a))=f(b)=4 f —⁄ (12)=n이라 하면 f(n)=12이므로
주어진 그래프에서 f(b)=4를 만족시키는 b의 값은 2n-2=12 ∴ n=7 12æ8이므로로f(x)=2x-2에 대입한다.

b=2 또는 b=4 ∴ f —⁄ (6)+f —⁄ (12)=3+7=10 ②


이므로로로f(a)=2 또는 f(a)=4
⁄ f(a)=2일 때,로로a=3
17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 본책 73쪽
¤ f(a)=4일 때,로로a=2 또는 a=4
⁄, ¤에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함수 f 의 역함수 f —⁄ 가 존재한다.
2+3+4=9 ⑤ f 가 일대일 대응이다.
① 정의역의 임의의 두 원소 x¡, x™에 대하여
x¡+x™이면 f(x¡)+f(x™)
16 역함수의 정의 본책 73쪽
② 치역과 공역이 서로 같다.

함수 f 의 역함수가 f —⁄ 일 때
f(x)=y HjK f —⁄ (y)=x
0510 함수 f의 역함수가 존재하면 f는 일대일 대응이다.
y=f(x)의 그래프의 기울기가 양수이므로
f(2)=a, f(6)=b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도 증가한다.
0506 f—⁄ (4)=2이므로 f(2)=4
∴ 2a+b=4 yy ㉠ 이때 f(2)=3¥2-2=4, f(6)=3¥6-2=16이므로
f—⁄ (-5)=-1이므로 f(-1)=-5 a=4, b=16
∴ -a+b=-5 yy ㉡ ∴ a+b=20 ③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2
∴ a¤ +b¤ =3¤ +(-2)¤ =13 13 0511 f(x)=x¤ -2x-40=(x-1)¤ -41이고, 함수 f의 역함수가
존재하면 f는 일대일 대응이므로
f(x)=ax¤ +bx+c (a, b, c는 상수)로 놓으면 aæ1, f(a)=a
0507
f(0)=0에서서서c=0 yy ㉠ f(a)=a에서 a¤ -2a-40=a
f -1(-10)=-2이므로서서f(-2)=-10 a¤ -3a-40=0, (a+5)(a-8)=0
∴ 4a-2b+c=-10 yy ㉡ ∴ a=8 (∵ aæ1) 8
f -1(32)=4이므로서서f(4)=32
∴ 16a+4b+c=32 yy ㉢ 0512 f(x)=kx+|x-1|+2에서
1 ⁄ xæ1일 때,
㉠, ㉡, ㉢을 연립하여 풀면면면a= , b=6, c=0
2 f(x)=kx+x-1+2=(k+1)x+1 ⇢➊
1 ¤ x<1일 때,
따라서 f(x)= x¤ +6x이므로
2 f(x)=kx-(x-1)+2=(k-1)x+3 ⇢➋
1 ⁄, ¤에서 함수 f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f가 일대일 대응이어야
f(2)= ¥2¤ +6¥2=14 ③
2
하므로 xæ1일 때와 x<1일 때의 직선의 기울기의 부호가 서로 같
k+1>0, k-1>0 또는 k+1<0, k-1<0
아야 한다.
3-x
0508 =t로 놓으면 x=-2t+3 따라서 (k+1)(k-1)>0이므로
2
따라서 f(t)=4(-2t+3)+1=-8t+13이므로 k<-1 또는 k>1 ⇢➌
f(x)=-8x+13 ⇢➊ k<-1 또는 k>1
f —⁄ (0)=k라 하면 f(k)=0이므로 채점 기준표

-8k+13=0 ∴ k=;;¡8£;; ∴ f —⁄ (0)=;;¡8£;; ⇢➋ ➊ xæ1일 때, f(x)를 구할 수 있다. 30%


➋ x<1일 때, f(x)를 구할 수 있다. 30%
;;¡8£;; ➌ k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48 정답 및 풀이
본책 72~74 쪽

04
0513 함수 f의 역함수가 존재하면 f 는 일대일 대응이다. f(x)=;2!;x-1에서 y=;2!;x-1로 놓으면 x=2y+2

함수
따라서 3+a=3¥3-1이므로 a=5
x와 y를 서로 바꾸면 y=2x+2
x<3일 때, f(x)=x+5<8
∴ f —⁄ (x)=2x+2
xæ3일 때, f(x)=3x-1æ8
f —⁄ (11)=k라 하면 f(k)=11이므로 1 a
g(x)=2x+a에서 y=2x+a로 놓으면 x= y-
11æ8이므로로f(x)=3x-1에 대입한다.
2 2
3k-1=11 ∴ k=4
1 a
f —⁄ (4)=m이라 하면 f(m)=4이므로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
2 2
4<8이므로로f(x)=x+5에 대입한다.
m+5=4 ∴ m=-1
1 a
∴ ( f —⁄ Ωf —⁄ )(11)=f —⁄ ( f —⁄ (11))=f —⁄ (4)=-1 -1 ∴ g—⁄ (x)= x-
2 2
∴ (g—⁄ Ωf —⁄ )(x)=g—⁄ ( f —⁄ (x))
1 a a
18 역함수 구하기 본책 74쪽 ∴ (g—⁄ Ωf —⁄ )(x)= (2x+2)- =x+1-
2 2 2
일차함수 y=ax+b의 역함수 구하기 a
(gΩf )—⁄ =g—⁄ Ωf —⁄ 에서 x+2-a=x+1-
2
1 b
①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x= y- a a
a a
따라서 2-a=1- 이므로 - =-1 ∴ a=2 ⑤
2 2
1 b
② x와 y를 서로 바꾼다. y= x-
a a

0517f(x)=|2x-2|+|x-4|에서
0514 y=ax-6으로 놓으면 ax=y+6 1…x<4일 때, f(x)=2x-2-(x-4)=x+2
∴ x=;a!; y+;a^; xæ4일 때, f(x)=2x-2+x-4=3x-6
x+2 (1…x<4)
x와 y를 서로 바꾸면 y=;a!;x+;a^; ∴ f(x)=[ ⇢➊
3x-6 (xæ4)

따라서 f —⁄ (x)=;a!;x+;a^;=;2!;x+b이므로 ⁄ 1…x<4일 때, y=x+2로 놓으면 3…y<6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x=y-2
;a!;=;2!;, ;a^;=b ∴ a=2, b=3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 ab=6 ④ y=x-2 (3…x<6) ⇢➋
¤ xæ4일 때, y=3x-6으로 놓으면 yæ6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x=;3!;y+2


0515 2x-1=t로 놓으면 2x=t+1
x와 y를 서로 바꾸면 역함수는
∴ x=;2!;t+;2!;
y=;3!;x+2 (xæ6) ⇢➌
따라서 f(t)=4{;2!;t+;2!;}+3=2t+5이므로
⁄, ¤에서 구하는 역함수는
f(x)=2x+5
x-2 (3…x<6)
y=2x+5로 놓으면 2x=y-5 f —⁄ (x)=‡ ⇢➍
;3!;x+2 (xæ6)
∴ x=;2!; y-;2%;
x-2 (3…x<6)
x와 y를 서로 바꾸면 y=;2!;x-;2%; f —⁄ (x)=‡
;3!;x+2 (xæ6)
∴ f —⁄ (x)=;2!;x-;2%;
채점 기준표
➊ f(x)를 구할 수 있다. 20%
따라서 y=f —⁄ (x)의 그래프의 x절편은 5, y절편은 -;2%;이므로 구
➋ 1…x<4일 때, f(x)의 역함수를 구할 수 있다. 30%
하는 합은 ➌ xæ4일 때, f(x)의 역함수를 구할 수 있다. 30%
5+{-;2%;}=;2%; ;2%; ➍ f(x)의 역함수를 구할 수 있다. 20%

0516 (gΩf )(x)=g( f(x))=2 {;2!;x-1}+a=x-2+a 19 f=f —⁄ 인 함수 본책 74쪽

y=x-2+a로 놓으면 x=y+2-a


함수 f와 f의 역함수 f —⁄ 에 대하여
x와 y를 서로 바꾸면
f=f —⁄ HjK ( fΩf )(x)=x
y=x+2-a
∴ (gΩf )—⁄ (x)=x+2-a

04 함수 49
0518 f(x)=f —⁄ (x)이면 ( fΩf )(x)=f( f(x))=x 0522 ( f —⁄ Ωg)(a)=f —⁄ (g(a))=1에서 f(1)=g(a)
ㄱ. f(x)=x+1이므로 f( f(x))=f(x+1)=x+2 3¥1-2=a-1 ∴ a=2 ⑤
ㄴ. f(x)=-x+1이므로 f( f(x))=f(-x+1)=x

ㄷ. f(x)=-;[!;이므로 f( f(x))=f{-;[!; }=x 0523 (fΩg—⁄ )(1)=f( g—⁄ (1))이고, g(2)=1이므로


이상에서 f(x)=f —⁄ (x)인 것은 ㄴ, ㄷ이다. ④ g—⁄ (1)=2
∴ ( fΩg—⁄ )(1)=f(2)=4 ⑤

0519 ( fΩf)(x)=x이므로로로f -1(x)=f(x)


0524 (gΩf )(x)=g(f(x))=a(x-a)+b
∴ f(2)=f -1(2)=-3 -3 =ax-a¤ +b
즉 ax-a¤ +b=2x-1이므로
a=2, -a¤ +b=-1므므∴ a=2, b=3
0520 f=f —⁄ 이므로 ( fΩf )(x)=f(f(x))=x ∴ g(x)=2x+3
f(x)=a(x-6)-2=ax-6a-2 (a+0)로 놓으면 g-1(5)=k라 하면 g(k)=5이므로
그래프가 점 (6, -2)를
f( f(x))=a(ax-6a-2)-6a-2=x 반드시 지난다. 2k+3=5하하∴ k=1므므∴ g—⁄ (5)=1 ①
∴ a¤ x-6a¤ -8a-2=x g(x)=2x+3에서 y=2x+3으로 놓고 x를 y에 대한
즉 a¤ =1, -6a¤ -8a-2=0이므로
1 3
a=-1 3a¤ +4a+1=0이므로로(3a+1)(a+1)=0 식으로 나타내면하하x= y-
2 2
∴ a=-;3!; 또는 a=-1
따라서 f(x)=-x+4이므로 1 3
x와 y를 서로 바꾸면하하y= x-
f(-1)=-(-1)+4=5 ⑤ 2 2
두 함수 y=f(x), y=f —⁄ (x)의 그래프가 일치하므로 1 3
따라서 g-1(x)= x- 이므로하하g-1(5)=1
y=f(x)의 그래프는 두 점 (6, -2), (-2, 6)을 지난다. 2 2
f(x)=ax+b (a+0)로 놓으면
6a+b=-2, -2a+b=6
0525 ⑴ g—⁄ (3)=2이므로 g(2)=3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1, b=4
1 7
따라서 f(x)=-x+4이므로 f(-1)=5 즉 ¥2+b=3이므로 b=
3 3
(fΩg)(x)=f( g(x))=x+c이므로
1 7 a 7
f=f —⁄ 이므로 fΩf가 항등함수인 것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a{ x+ }-3=x+c, 즉 x+ a-3=x+c
0521 3 3 3 3
⁄ f(x)=x인 함수: 1개 a 7
따라서 =1, a-3=c이므로 a=3, c=4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자기 자신에 f f 3 3
X X X
대응되는 원소가 1개이고 나머지 2 28
a a a ∴ a+b+c= ⇢➊
개는 서로 엇갈려 대응되는 함수 3
b b b
: 자기 자신에 대응되는 원소가 a, ⑵ f(x)=3x-3에서 f(-1)=-6
c c c
b, c인 3가지 경우가 있으므로 g—⁄ (-6)=k라 하면 g(k)=-6
3개 자기 자신에 대응되는
원소가 c인 경우이다. g(x)=;3!;x+;3&;에서 ;3!;k+;3&;=-6
⁄, ¤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1+3=4 4 ∴ k=-25
∴ g—⁄ (f(-1))=g -⁄ (-6)=-25 ⇢➋

⑴ ;;™3•;; ⑵ -25
20 합성함수와 역함수 본책 75쪽
채점 기준표
두 함수 f, g의 역함수가 각각 f —⁄ , g—⁄ 일 때 ➊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① ( f —⁄ Ωg)(a)의 값 구하기 ➋ g—⁄ (f(-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 g(a)의 값을 구한다.
¤ f —⁄ (g(a))=k로 놓으면 f(k)=g(a)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k
의 값을 구한다. 21 역함수의 성질 본책 75쪽
② ( fΩg—⁄ )(a)의 값 구하기
⁄ g—⁄ (a)=k로 놓으면 g(k)=a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k의 값 두 함수 f, g의 역함수가 각각 f —⁄ , g—⁄ 일 때
을 구한다. ① (f —⁄ Ωf)(x)=x, (fΩf -1)(y)=y
¤ f(x)에 x 대신 k의 값을 대입한다. ② ( fΩg)—⁄ =g—⁄ Ωf —⁄ +f —⁄ Ωg—⁄

50 정답 및 풀이
본책 74~76 쪽

04
0526 ( fΩ(gΩf )—⁄ Ωf )(8)=( fΩf —⁄ Ωg—⁄ Ωf )(8) 0529 두 함수 f, g 의 대응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g—⁄ Ωf )(8) f g
X Y X Y
=g—⁄ ( f(8))
1 1 1 1
=g—⁄ (-23)
2 3 2 3
g—⁄ (-23)=k라 하면 g(k)=-23 3 5 3 5
4k+1=-23 ∴ k=-6 4 7 4 7
∴ ( fΩ(gΩf )—⁄ Ωf )(8)=-6 -6
∴ ( fΩg)—⁄ (5)+(gΩf )—⁄ (7)
=(g —⁄ Ωf —⁄ )(5)+( f —⁄ Ωg —⁄ )(7)
( g Á f )—⁄ = f —⁄ Ωg—⁄ 이므로 =g —⁄ ( f —⁄ (5))+f —⁄ (g —⁄ (7))
0527
( g Á f )—⁄ (2)+( f —⁄ Ωg—⁄ )(2) =g —⁄ (3)+f —⁄ (1)=3+1=4 4
=( f —⁄ Ωg—⁄ )(2)+( f —⁄ Ωg—⁄ )(2)
=2( f —⁄ Ωg—⁄ )(2)=2f —⁄ (g-1(2)) 0530 g-1Ωf -1=(fΩg)-1이므로
g—⁄ (2)=a라 하면 g(a)=2 (fΩg)(x)=f(g(x))=2(-3x+4)=-6x+8
a-3=2 ∴ a=5 y=-6x+8로 놓으면므므x=-;6!;y+;3$;
f —⁄ (5)=b라 하면 f(b)=5
b¤ +1=5, b¤ =4 ∴ b=2 (∵ bæ0) x와 y를 서로 바꾸면므므y=-;6!;x+;3$;
∴ (주어진 식)=2 f —⁄ (g—⁄ (2))=2 f —⁄ (5)=2¥2=4 ①
∴ (fΩg)-1(x)=-;6!;x+;3$;

∴ (g-1Ωf -1Ωh)(x)=(fΩg)-1(h(x))=-;6!;h(x)+;3$;
-1
0528 ( fΩh)(x)=g (x)에서
즉 -;6!;h(x)+;3$;=f(x)이므로
( f -1ΩfΩh)(x)=( f -1Ωg-1)(x)
∴ h(x)=(gΩf)-1(x) ⇢➊ -;6!;h(1)+;3$;=f(1),므므-;6!;h(1)+;3$;=2
⁄ xæ3일 때,
∴ h(1)=-4 ④
⁄ 때때( gΩf)(x)=g( f(x))=g(2x-3)
((fΩg)-1Ωh)(x)=f(x)에서
=(2x-3)+4=2x+1
((fΩg)Ω(fΩg)-1Ωh)(x)=(fΩgΩf)(x)
⁄ y=2x+1로 놓으면때때yæ7
∴ h(x)=(fΩgΩf)(x)=f(g(f(x)))=f(g(2x))
⁄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때때x=;2!;y-;2!; =f(-6x+4)=-12x+8
∴ h(1)=-4
⁄ x와 y를 서로 바꾸면때때y=;2!;x-;2!;

⁄ 때때∴ (gΩf)-1(x)=;2!;x-;2!; (xæ7) ⇢➋ 22 함수의 그래프와 역함수 본책 76쪽

¤ x<3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a, b)를 지난다.
⁄ 때때( gΩf)(x)=g( f(x))=g(x)=x+4
y=f —⁄ (x)의 그래프가 점 (b, a)를 지난다.
⁄ y=x+4로 놓으면때때y<7 f —⁄ (b)=a
⁄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때때x=y-4
⁄ x와 y를 서로 바꾸면때때y=x-4
⁄ 때때∴ (gΩf)-1(x)=x-4 (x<7) ⇢➌ 0531 f —⁄ (c)=k라 하면 y y=f{x}
⁄, ¤에서 f(k)=c ∴ k=d y=x
e
f —⁄ (d)=l로 놓으면 d
;2!;x-;2!; (xæ7) c
f(l)=d ∴ l=e b
h(x)= [ ⇢➍
a
x-4 (x<7) ∴ ( f —⁄ Ωf —⁄ )(c)=f —⁄ ( f —⁄ (c))
Oa b c d e x
=f —⁄ (d)
;2!;x-;2!; (xæ7)
h(x)= [ =e ⑤
x-4 (x<7)
채점 기준표 0532 f —⁄ (3)=a, f —⁄ (5)=b라 하면
➊ h(x)=(gΩf)-1(x)임을 알 수 있다. 30% f(a)=3, f(b)=5
➋ xæ3일 때, (gΩf)-1(x)를 구할 수 있다. 30%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하면 f는 일대일 대응이므로
-1
➌ x<3일 때, (gΩf) (x)를 구할 수 있다. 30% a=3, b=4 또는 a=4, b=3
➍ h(x)를 구할 수 있다. 10% ∴ f —⁄ (3)+f —⁄ (5)=7 7

04 함수 51
역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따라서 이차방정식 x¤ -2x+a=x, 즉 x¤ -3x+a=0이 1보다 크
23 본책 76쪽
거나 같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함수 f와 역함수 f —⁄ 에 대하여 ⁄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① y=f(x)의 그래프와 y=f —⁄ (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9
대칭이다.
⁄ 이차D=(-3)¤ -4a>0이이∴ a<
4
②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은 y=f(x)의 그래프와 ¤ 1-3+aæ0이므로이이aæ2
y=f —⁄ (x)의 그래프의 교점과 같다.
-3
‹- >1
2
y 9 9
0533 y=f —⁄ (x)의 그래프는 함수 이상에서이이2…a< 2…a<
12 y=f`—!{x} y=x 4 4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에 대
하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교점의 좌표는 y=f(x)의 그래프와 y=f{x} 0536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y y=x
-4 O -3
직선 y=x의 교점의 좌표와 같으므로 12 x 른쪽 그림과 같고, 함수 y=f(x)의 18 y=f{x}
-4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 9
;4!;x-3=x, -;4#;x=3
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9
∴ x=-4 O 18 x
함수 y=f(x)와 y=g(x)의 그래프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4, -4)이므로 a=-4, b=-4 -9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함수
∴ a+b=-8 -8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로 둘
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2배이다.
0534 y=f —⁄ (x)의 그래프는 함수 y y=f{x} y=x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에 대 3
2 P y=f`—!{x} ⁄ xæ0일 때, ;2!;x+9=x ∴ x=18
하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교점의 좌표는 y=f(x)의 그래프와 O ¤ x<0일 때, 2x+9=x ∴ x=-9
3 x
직선 y=x의 교점의 좌표와 같으므로 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
2x-;2#;=x의의∴ x=;2#; ⇢➊ 2 2{;2!;¥9¥9+;2!;¥9¥18}=243 243

따라서 P{;2#;, ;2#;}이므로 y=g(x)의 그래프는 함수 y y=f{x} y=x


점 P는 직선 y=x 위의 점이다.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에 대 18
3'2
OP”=æ≠{;2#;}¤ +{;2#;}¤ = ⇢➋ 하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9
2 y=g{x}
3'2 함수 y=f(x)와 y=g(x)의 그래프 -9 O
9 18 x
2 로 둘러싸인 부분은 마름모이므로 구
-9
하는 넓이는
채점 기준표
➊ 교점의 x좌표를 구할 수 있다. 70% ;2!;¥"√(9-0)¤ +(0-9)¤ ¥"√(18+9)¤ +(18+9)¤
➋ OP”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30% 두 대각선의 길이가 a, b인
=;2!;¥9'2¥27'2=243 마름모의 넓이는 ;2!;ab이다.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① 좌표평면 위의 두 점 A(x¡, y¡), B(x™, y™) 사이의 거리는 24, 25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식의 그래프 본책 77쪽

AB”="√(x™-x¡)¤ √+(y™-y¡)¤
① y=|f(x)|의 그래프 y=f(x)의 그래프에서 y<0인 부분을 x
② 원점 O와 점 A(x¡, y¡) 사이의 거리는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다.
OA”="√x¡¤ +y¡¤ ② y=f(|x|)의 그래프 y=f(x)의 그래프에서 x<0인 부분은
xæ0인 부분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다.
y ③ |y|=f(x)의 그래프 y=f(x)의 그래프에서 y<0인 부분은
0535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y=f{x} y=x yæ0인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다.
그림과 같고, y=f -1(x)의 그래프는
④ |y|=f(|x|)의 그래프 y=f(x)의 그래프에서 xæ0, yæ0인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 y=f`—!{x} 부분을 x축, y축, 원점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동한다.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f(x)의 그
a-1
래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래 1
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O 1 a-1 x 0537 y=|f(x)|의 그래프는 y=f(x)의 그래프에서 yæ0인 부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서 분은 그대로 두고, y<0인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로 ④와 같다. ④

52 정답 및 풀이
본책 76~78 쪽

04
따라서 0…x…2에서 함수 y=(`fΩf`)(x)의 y
0538 y=f(|x|)의 그래프는 y=f(x)의 그래프에서 xæ0인 부

함수
분만 남기고, x<0인 부분은 xæ0인 부분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교점의 개수 1

동한 것이므로 ㄴ과 같다. 가 무수히 많으려면 직선의 방정식은


O 1 2 x
또 |y|=f(x)의 그래프는 y=f(x)의 그래프에서 yæ0인 부분만 y=x 또는 y=-x+2
남기고, y<0인 부분은 yæ0인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런데 b+0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것이므로 ㄱ과 같다. y=-x+2 ⇢➋
따라서 구하는 그래프는 차례대로 ㄴ, ㄱ이다. ㄴ, ㄱ 따라서 a=-1, b=2이므로
a¤ +b¤ =(-1)¤ +2¤ =5 ⇢➌
5
0539y=|2x-3|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y y=|2x-3|
림과 같고, 직선 y=m(x+1)-2는 m의 3 채점 기준표
값에 관계없이 점 (-1, -2)를 지난다. ➊ (fΩf)(x)를 구할 수 있다. 30%
-1 ➋ 직선 y=ax+b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50%
이때 두 그래프가 만나려면 3 x
O
⁄ m<-2 2 ➌ a¤ +b¤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m=-2이면 -2
0-(-2)
¤ mæ =;5$; y=|2x-3| {x<;2#;}
y
;2#;-(-1) 의 그래프와 평행하다. 0544 y=|2x-4|-4=|2(x-2)|-4 y=|2x-4|-4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이 그래 2 y=a
⁄, ¤에서 m<-2 또는 mæ;5$;이므로 m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O 4 x
프와 직선 y=a (a>0)의 교점의 x의 좌
;4!;이다. ③ 표는 y=|2x-4|-4의 그래프와 x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가
|2x-4|-4=a -4
;2!;¥4¥4=8이므로 a>0이다.
|2x-4|=a+4
0540 함수 y=|x¤ -2x|의 그래프는 y y= x@-2x
2x-4=a+4 또는 2x-4=-a-4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직선 y=a와 서
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1 y=a ∴ x=;2!;a+4 또는 x=-;2!;a
a=1
O 1 2 x 이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18이므로
1
;2!;[;2!;a+4-{-;2!;a}]{a-(-4)}=18
a>0이므로로;2!;a+4>-;2!;a
2|x|+|y|=8의 그래프는 2x+y=8, (a+4)¤ =36, a+4=—6
0541 y
8
즉 y=-2x+8의 그래프에서 xæ0, yæ0인 ∴ a=2 (∵ a>0) 2
부분만 남기고 이 그래프를 x축, y축, 원점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 -4 O 4 x 26 두 개 이상의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 본책 78쪽

과 같은 마름모이다.
y=|x-p|+|x-q|의 그래프 (단, p<q)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8
x<p, p…x<q, xæq일 때로 나누어 그래프를 그린다.
;2!;¥8¥16=64 ④

0545 y=|x+1|+|x-5|+|x-7|에서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y-2|=x+a의 그래프는 |y|=x y |y-2|=x+a
0542 값을 0으로 하는 x의 값이 -1, 5, 7이므로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 ⁄ x<-1일 때,
a+2
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으므 y=-(x+1)-(x-5)-(x-7)=-3x+11
2
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 -1…x<5일 때,
-a x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2-a y=x+1-(x-5)-(x-7)=-x+13
1 ‹ 5…x<7일 때,
{a+2-(2-a)}¥a=9
2
y=x+1+x-5-(x-7)=x+3
a¤ =9그그∴ a=3 (∵ a>0) 3 › xæ7일 때,
y=x+1+x-5+x-7
y
0543 방정식 ( fΩf`)(x)=ax+b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3x-11
14
y=(`fΩf`)(x)의 그래프와 직선 y=ax+b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이상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10
f(x)=|x-1|에서 그림과 같으므로 x=5일 때 최솟값 8을
y=5+3=8 8
(`fΩf`)(x)=||x-1|-1| ⇢➊ 갖는다.
0…x<1일 때,에에( fΩf`)(x)=|-(x-1)-1|=|-x|=x 따라서 a=5, b=8이므로
1…x…2일 때,에에( fΩf`)(x)=|x-1-1|=|x-2|=-x+2 a+b=13 ② -1 O 5 7 x

04 함수 53
0546 y=|x+3|-|x-2|에서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을 0으 채점 기준표

로 하는 x의 값이 -3, 2이므로 ➊ h(x)를 구할 수 있다. 20%


⁄ x<-3일 때,일일y=-(x+3)+x-2=-5 ➋ -1…x<0, 0…x<1, x=1일 때의 함숫값을 구할 수 있다. 60%

¤ -3…x<2일 때,일일y=x+3+x-2=2x+1 ➌ 치역의 모든 원소의 합을 구할 수 있다. 20%

‹ xæ2일 때,일일y=x+3-(x-2)=5
y
이상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0550 f(a)=-1이므로 -1…a<0 yy ㉠
5
림과 같으므로 f(b)=3이므로 3…b<4 yy ㉡
-3 1 O
M=5, m=-5 2 x f(c)=4이므로 4…c<5 ∴ -5<-c…-4 yy ㉢
∴ Mm=-25 ㉠, ㉡, ㉢에서 -3<a+b-c<0
-5
-25 따라서 f(a+b-c)=[`a+b-c`] 의 최댓값은 -1, 최솟값은 -3이
므로 구하는 합은
-1+(-3)=-4 ③
0547y=|x+4|+|x-1|에서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을 0으
로 하는 x의 값이 -4, 1이므로
⁄ x<-4일 때, y=-(x+4)-(x-1)=-2x-3 0551 f(n)=(n의 소인수의 개수)임을 이용한다.

¤ -4…x<1일 때, y=x+4-(x-1)=5 ㄱ. 90=2¥3¤ ¥5이므로 f(90)=3 6=2¥3이므로 소인수의


ㄴ. [반례] 6<7이지만 f(6)=2>1=f(7)이다. 개수는 2이다.
‹ xæ1일 때,
y=x+4+x-1=2x+3 y ㄷ. m=c¡d¡ c™d™ y c‘d‘, n=e¡f¡ e™f™ y e˚f˚ (cß, e†는 소수, cß+e†,
이상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 y=8 8 1…s…i, 1…t…k)이라 하면 m, n이 서로소이므로
mn=(c¡d¡ c™d™ y c‘d‘)(e¡ f¡ e™f™ y e˚ f˚) 로c +e
쪽 그림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s t

5
∴ f(mn)=i+k=f(m)+f(n)
;2!;¥(8+5)¥3= ;;£2ª;;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11 -4 O 1 5 x
;;£2ª;; -
2 2
0552 x<A이면 x≤AÇ 이고, x≤A이면 x<AÇ 임을 이용
한다.
27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 본책 78쪽 ㄱ. [반례] A=Δ이면 fÅ(x)=1이다.
fÅ(x)의 치역은 {1}이다.
ㄴ. x<A일 때,때때fÅ(x)+fAÇ (x)=2+1=3
정수 n에 대하여 n…x<n+1일 때, [`x`]=n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ㄴ. x≤A일 때,때때fÅ(x)+fAÇ (x)=1+2=3
ㄴ. 따라서 fÅ(x)+fAÇ (x)=3이므로 fAÇ (x)=3-fA(x)
ㄷ. [반례] x<(A;B)이면 x<A, x<B, x<(A'B)
0548 ⁄ -2…x<-1일 때, ㄴ. fA'B(x)=2, fÅ(x)+fı(x)=2+2=4
¤ [`x`]=-2이므로 y=-2x ㄴ. ∴ fA'B(x)+fÅ(x)+fı(x)
y=x x y
¤ -1…x<0일 때, 4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②
¤ [`x`]=-1이므로 y=-x
‹ 0…x<1일 때, 2 0553 주어진 조건의 식에 n=0, 2, 4를 대입한다.
¤ [`x`]=0이므로 y=0 1 f(5-n)+f(5+n)=10에 n=0을 대입하면
이상에서 -2…x<1에서 함수 y=x [`x`] 의 2`f(5)=10을을∴ f(5)=5
-2 -1 O 1x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치역의 원 n=2를 대입하면을을f(3)+f(7)=10
소가 아닌 것은 2이다. ③ n=4를 대입하면을을f(1)+f(9)=10
따라서 순서쌍 ( f(1), f(3), f(7), f(9))는
(1, 3, 7, 9), (1, 7, 3, 9), (3, 1, 9, 7), (3, 9, 1, 7),
0549h(x)=(gΩf )(x)=g(f(x))
=g(x+3)=[`x+3`] ⇢➊ (7, 1, 9, 3), (7, 9, 1, 3), (9, 3, 7, 1), (9, 7, 3, 1)
⁄ -1…x<0일 때, 2…x+3<3이므로 의 8개이므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8이다. 8
[`x+3`]=2
¤ 0…x<1일 때, 3…x+3<4이므로 0554 함수 y=f(x)의 그래프는 x=4를 기준으로 그 모양
[`x+3`]=3 이 달라지므로 함수 g(x)의 치역을 먼저 구한다.
‹ x=1일 때, x+3=4이므로 두 상수 k¡, k™ (0<k™<k¡)에 대하여
[`x+3`]=4 ⇢➋ k¡ (x>4)
f(x)=[
이상에서 함수 h(x)의 치역은 {2, 3, 4}이므로 치역의 모든 원소의 k™ (x…4)
합은 2+3+4=9 ⇢➌ k¡ (g(x)>4)
로 놓으면 (fΩg)(x)=f(g(x))=[
9 k™ (g(x)…4)

54 정답 및 풀이
본책 78~80 쪽

04
그런데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0…g(x)…3이므로 f ⁄ {-;2!;}=f {-;2!;}=0

함수
( fΩg)(x)=k™
따라서 y=( fΩg)(x)의 그래프의 개형은 ②이다. ② f ¤ {-;2!;}=f {f {-;2!;}}=f(0)=1

f ‹ {-;2!;}=f {f ¤ {-;2!;}}=f(1)=-1
0555 음이 아닌 정수 N을
N=am¥10m+y+a™¥10¤ +a¡¥10+aº으로 놓고 f(N)을 구한다. f › {-;2!;}=f {f ‹ {-;2!;}}=f(-1)=1
m
N=am¥10 +y+a™¥10¤ +a¡¥10+aº (0…ai…9인 정수,
f fi {-;2!;}=f {f › {-;2!;}}=f(1)=-1
0…i…m)이라 하면 조건 ㈏에 의하여
f(N)=f(am¥10m+y+a™¥10¤ +a¡¥10+aº) ⋮
=f(am¥10m-1+y+a™¥10+a¡)+aº ∴ f 2016
{-;2!;}=1
=f(am¥10m-2+y+a™)+a¡+aº
f(N)⋮ 같은 방법으로 하면 f 2017 {;2!;}=-1이므로
f(N)=am+y+a™+a¡+aº
f 2016 {-;2!;}+f 2017 {;2!;}=1+(-1)=0 0
ㄱ. f(100)=1
ㄴ. (`fΩf`)(999)=f( f(999))=f(9+9+9)=f(27)=2+7=9 0 (n=1)
ㄷ. [반례] n=15이면 f(n)=6이지만 n은 6의 배수가 아니다. ` f « {;2!;}=f « {-;2!;}= [ 1 (n=2, 4, 6, y)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1 (n=3, 5, 7, y)

0559 f (n)(x), g (n)(x)가 x를 점 O를 중심으로 시곗바늘이


0556 항등함수와 일대일함수의 정의를 이용한다.
도는 반대 방향으로 몇 도 회전시킨 것인지를 알아본다.
ㄱ. f, g가 모두 항등함수이면 f(x)=x, g(x)=x이므로
( gΩf )(x)=g( f(x))=g(x)=x ㄱ. f (3)(x), g(2)(x)는 모두 x를 점 O를 중심으로 시곗바늘
따라서 gΩf 는 항등함수이다. ㄴ. 이 도는 반대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시키는 것이므로
ㄴ. gΩf 가 항등함수이면 gΩf 는 일대일함수이다. (f (3) Á g(2))(x)는 x를 점 O를 중심으로 시곗바늘이 도는 반대
f 가 일대일함수가 아니라고 가정하면 x¡+x™에 대하여 방향으로 360°만큼 회전시키는 것이다.
f(x¡)=f(x™)인 x¡, x™가 존재한다. 귀류법을 이용한다. ㄴ. ∴ (f (3) Á g(2))(x)=x
이때 g( f(x¡))=g( f(x™)), 즉 (gΩf )(x¡)=(gΩf )(x™)이므 ㄴ. g(3)(x)는 x를 점 O를 중심으로 시곗바늘이 도는 반대 방향으
로 gΩf 가 일대일함수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로 270°만큼 회전시키는 것이므로
따라서 f 는 일대일함수이다. g(3)(1)=4
ㄷ. [반례] 두 함수 f, g가 오른쪽 그림 f g 또 f—⁄ (x)는 x를 점 O를 중심으로 시곗바늘이 도는 방향으로
X X X
과 같으면 g Á f 는 일대일함수이지 60°만큼 회전시키는 것이므로
1 1 1
만 f, g는 모두 항등함수가 아니다. f —⁄ (2)=4
2 2 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g(3)(1)=f—⁄ (2)
3 3 3
③ ㄷ. h(x)는 x를 점 O를 중심으로 시곗바늘이 도는 반대 방향으로
150°만큼 회전시키는 것이므로 h(6)(x)는 x를 점 O를 중심으로
시곗바늘이 도는 반대 방향으로 900°만큼 회전시키는 것이다.
0557 f(x+y)=f(x)+f(y)에 적당한 값을 대입한다.
∴ h(6)(x)+x
ㄱ. f(x+y)=f(x)+f(y)에 x=0, y=0을 대입하면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ㄴ.을을f(0)=f(0)+f(0)을을∴ f(0)=0
ㄴ.f(x+y)=f(x)+f(y)에 y=-x를 대입하면
ㄴ.을을f(0)=f(x)+f(-x)
0560 f(0)>0에서 f(0)=1 또는 f(0)=2이고, f(1)<0에
서 f(1)=-2 또는 f(1)=-1임을 이용한다.
ㄴ.을을∴ f(x)=-f(-x) (∵ f(0)=0)
조건 ㈎에 의하여 두 함수 f(x), g(x)는 서로 역함수 관계
ㄷ.(`fΩf`)(x+y)=f(`f(x+y))=f(`f(x)+f(y))
이면서 서로 같은 함수이므로 f(x)=f —⁄ (x)이다.
=f(`f(x))+f(`f(y))
∴ f(a)=b HjK f(b)=a
=(`fΩf`)(x)+(`fΩf`)(y)
⁄ f(0)=1, f(1)=-2일 때, f(1)=0, f(-2)=1이므로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 f(1)=-2에 모순이다.
¤ f(0)=1, f(1)=-1일 때, f(1)=0, f(-1)=1이므로
0558 f ⁄ {-;2!;}, f ¤ {-;2!;}, f ‹ {-;2!;}, y과 f ⁄ {;2!;}, f ¤ {;2!;}, ⁄ f(1)=-1에 모순이다.
‹ f(0)=2, f(1)=-2일 때, f(2)=0, f(-2)=1이고 f 는 일대
f ‹ {;2!;}, y을 차례대로 구하여 규칙성을 찾는다.
일 대응이므로 f(-1)=-1
f n+1(x)=f n( f(x))=f( f n(x))이므로 ∴ g(-2)+g(1)=f(-2)+f(1)=1+(-2)=-1

04 함수 55
› f(0)=2, f(1)=-1일 때, f(2)=0, f(-1)=1이고 f 는 일대 f(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1)의 값을 제외한 1개
일 대응이므로 f(-2)=-2 따라서 함수 f의 개수는 2¥1=2
∴ g(-2)+g(1)=f(-2)+f(1)=-2+(-1)=-3 g(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0, 1 중 하나이므로 2개
이상에서 g(-2)+g(1)의 최솟값은 -3이다. ① g(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g(2)의 값의 1개
따라서 함수 f에 대하여 함수 g의 개수는 2¥1=2
따라서 순서쌍 ( f, g)의 개수는 2¥2=4 ⇢➊
0561 함수 g의 역함수가 존재하면 g는 일대일 대응임을 이
용한다. ¤ 함수 f의 치역의 원소가 1개일 때,
f(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3 중 하나이므로 2개
f(4)=5이므로
f(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f(1)의 값의 1개
(gΩf`)(4)+(`fΩg)(4)=g(5)+f(g(4))
따라서 함수 f의 개수는 2¥1=2
함수 g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g(4)의 값은 1, 2, 4 중 하나이다.
g(2)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0, 1 중 하나이므로 2개
g(4) 1 2 4
g(3)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0, 1 중 하나이므로 2개
f(g(4)) 2 1 5 따라서 함수 f에 대하여 함수 g의 개수는 2¥2=4
g(5) 2 4 1 4 1 2 따라서 순서쌍 ( f, g)의 개수는 2¥4=8 ⇢➋
위의 표에서 g(4)=4, g(5)=2일 때 구하는 최댓값은 7이다. ③ ⁄, ¤에서 순서쌍 ( f, g)의 개수는 4+8=12 ⇢➌
12

0562 y=f(x)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y=f —⁄ (x)의 그래프를 채점 기준표


그린다. ➊ 함수 f의 치역의 원소가 2개일 때, 순서쌍 ( f, g)의 개수를 구할
40%
수 있다.
함수 y=f —⁄ (x)의 그래프는 y y=f`—!{x}
1 ➋ 함수 f의 치역의 원소가 1개일 때, 순서쌍 ( f, g)의 개수를 구할
y=f(x)의 그래프를 직선 y=x에 대하여 40%
수 있다.
-1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1 x ➌ 순서쌍 ( f, g)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20%
x (xæ0)
∴ f —⁄ (x)=[ ¤에서 f (1)=2, f (2)=2이고 g(2)=0이라 하면 g(3)=1
2x (x<0) -2 `
y=;2!;x x=2y
ㄱ. ( f —⁄ Ωf —⁄ Ωf —⁄ Ωf —⁄ )(-1) 이어도 (gΩf )(x)=0이므로 gΩf는 상수함수이다.
y=2x
=f —⁄ ( f —⁄ ( f —⁄ ( f —⁄ (-1))))
=f —⁄ ( f —⁄ ( f —⁄ (-2)))
=f —⁄ ( f —⁄ (-4)) 0564 역함수 y=f —⁄ (x)의 식을 이용하여 y=g(4x+3)의
=f —⁄ (-8) 식을 구한 후 y=g(x)의 식을 구한다.
=-16 f(x)=2x+4에서 y=2x+4로 놓으면
ㄴ. y=f (x)의 그래프와 y=f —⁄ (x)의 그래프는 xæ0에서 일치하 1
2x=y-4 ∴ x= y-2
므로 교점은 무수히 많다. 2
ㄷ. y=g(x)의 그래프는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 1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2
2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ㄷ. 따라서 y=g—⁄ (x)의 그래프는 [그림 1]과 같고, y=f —⁄ (x)의 그 1 1
즉 f —⁄ (x)= x-2이므로 g(4x+3)= x-2 ⇢➊
2 2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는 [그림 2]
t-3
와 같으므로 두 그래프는 서로 다르다. y=f —⁄ (x+1)의 그래프 이때 4x+3=t로 놓으면 x= 이므로
4
y y=g{x} y
1 t-3
1 y=f`—!{x+1} g(t)= ¥ -2=;8!;t-;;¡8ª;;
1 y=g—!{x} 2 4
-2 -1
-3 -1 x
x O ∴ g(x)=;8!;x-;;¡8ª;; ⇢➋
O 1
-1
따라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오른쪽 y
-2
y=g{x}
그림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y=x -3
O 19 x
;2!;¥19¥;;¡8ª;;=;;£1§6¡;; ⇢➌
[그림 1] [그림 2] -
19
8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①
;;£1§6¡;;

0563 함수 f의 치역의 원소가 2개일 때와 1개일 때로 나누 채점 기준표


어 순서쌍 (f, g)의 개수를 구한다. ➊ g(4x+3)을 구할 수 있다. 40%

⁄ 함수 f의 치역의 원소가 2개일 때, ➋ g(x)를 구할 수 있다. 30%

f(1)의 값이 될 수 있는 것은 2, 3 중 하나이므로 2개 ➌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30%

56 정답 및 풀이
본책 80~83 쪽

0565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그린다.
Ⅱ 함수

f(1-x)=f(3+x)의 양변에 x 대신 x-1을 대입하면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f(2-x)=f(2+x)
즉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다. ⇢ ➊
또 f(x)=f(-x)에서 함수 y

y=f(x)의 그래프는 y축에 4 y=f{x} 0567 ㄴ, ㄷ 0568 ㄱ, ㄹ, ㅁ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18x¤ yz‹ 3z 3z
-8-6-4-2 O 2 4 6 8 x 0569 24x¤ y¤ z¤
=
4y 4y
그림과 같다. ⇢➋

05
따라서 -8…x…8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

유리식과 유리함수
인 도형의 넓이는 x‹ -2x¤ -8x x(x+2)(x-4)
1
0570 x¤ -4x
=
x(x-4)
4¥ ¥4¥4=32 ⇢➌
2 =x+2 x+2
32

채점 기준표 b 1
0571 , 의 분모의 최소공배수는 6a¤ bx¤ y이므로
➊ y=f(x)의 그래프가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임을 알 수 있다. 30% 2a¤ xy 3abx¤
➋ y=f(x)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40% 3b¤ x 2ay 3b¤ x 2ay
, ,
➌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30% 6a¤ bx¤ y 6a¤ bx¤ y 6a¤ bx¤ y 6a¤ bx¤ y

0572 x¤ -3x+2=(x-1)(x-2), x¤ -4=(x+2)(x-2)이므


로 두 식을 통분하면
0566 x<-1, -1…x<2, xæ2일 때로 나누어 주어진 함
수의 그래프를 그린다. (x+1)(x+2) (x-1)¤
,
(x-1)(x-2)(x+2) (x-1)(x-2)(x+2)
y=|x+1|-|x-2|에서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을 0으
(x+1)(x+2) (x-1)¤
로 하는 x의 값이 -1, 2이므로 ,
(x-1)(x-2)(x+2) (x-1)(x-2)(x+2)
⁄ x<-1일 때,때때y=-(x+1)+x-2=-3
¤ -1…x<2일 때,때때y=x+1+x-2=2x-1
‹ xæ2일 때,때때y=x+1-(x-2)=3 x-3 5x+3 x-3 5x+3
0573 x-1
+
x¤ +2x-3
=
x-1
+
(x+3)(x-1)
이상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y
3 (x+3)(x-3)+5x+3
그림과 같다. ⇢➊ 0007 + =
(x+3)(x-1)
한편 직선 mx-y+3m-4=0에서 -3 -1O
-1 2
x x¤ +5x-6
y=m(x+3)-4 yy ㉠ 0007 + =
(x+3)(x-1)
이므로 직선 ㉠은 m의 값에 관계없이 항 -3
(x+6)(x-1)
0007
-4
상 점 (-3, -4)를 지난다. ⇢➋ + =
(x+3)(x-1)
1 직선 ㉠이 점 (2, 3)을 지날 때,
x+6 x+6
7 0007 + =
x+3 x+3
⁄ 을을3=5m-4을을∴ m=
5
2 직선 ㉠이 점 (-1, -3)을 지날 때,
x+3 3x¤ +2x-8 3x¤ +5x-12
⁄ 을을-3=2m-4을을∴ m=
1 0574 x¤ +x-2
_
2x¤ +x-1
÷
x¤ -1
2
x+3 (x+2)(3x-4) (x+1)(x-1)
1, 2에서 직선이 y=|x+1|-|x-2|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세 = _ _
(x+2)(x-1) (x+1)(2x-1) (x+3)(3x-4)
점에서 만나려면
1 1
1 7 =
<m< ⇢➌ 2x-1 2x-1
2 5
1 7
<m< 1 1
2 5
0575 +
(x+1)(x+2) (x+2)(x+3)
채점 기준표
1 1 1 1
➊ y=|x+1|-|x-2|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30% = - + -
x+1 x+2 x+2 x+3
➋ 직선 mx-y+3m-4=0이 점 (-3, -4)를 지남을 알 수 있다. 20%
x+3-(x+1) 2 2
➌ m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50% = =
(x+1)(x+3) (x+1)(x+3) (x+1)(x+3)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57
1 2 비례식에서는 비의 값이 일정하므로 일정한 비의 값을 비례상
0576 +
x(x+1) (x+1)(x+3) 수 k로 놓고 각 문자를 k에 대한 식으로 표현한 후 주어진 식에 대
2 1 1
-
1 1 1 1 {
(x+3)-(x+1) x+1 x+3
}
입하여 식의 값을 계산한다.
= - + -
x x+1 x+1 x+3 =
1
-
1
x+1 x+3
x+3-x 3 3 x y z
= = = = =k(k+0)로 놓으면
x(x+3) x(x+3) x(x+3) 0582 2 4 5
x=2k, y=4k, z=5k
x+2 x-1 x-3+5 x-2+1 (x-2y+3z)¤ (2k-8k+15k)¤
∴ =
0577 x-3
-
x-2
=
x-3
-
x-2 x¤ +y¤ +z¤ 4k¤ +16k¤ +25k¤
5 1 81k¤ 9 9
∴ = =
0013
분자의 차수가 분모의 차수보다
-
높거나 같으면 분자의 차수가
=1+ -{1+ } 45k¤ 5 5
x-3 x-2
분모의 차수보다 낮아지도록 변
5 1
0013
형한다.
- = - a b c
x-3 x-2 = = 에서 가비의 리에 의하여
0583 3 4 7
5(x-2)-(x-3)
0013 - =
(x-3)(x-2) 3a -2b c 3a-2b+c 3a-2b+c
= = = =
3¥3 -2¥4 7 9-8+7 8
4x-7 4x-7
0013 - =
(x-3)(x-2) (x-3)(x-2) ∴ k=8 8

0584 ㄱ, ㄹ 0585 ㄴ, ㄷ, ㅁ
0578 x¤ +4x+7=x(x+1)+3(x+1)+4
=(x+1)(x+3)+4
x¤ +2x-2=x(x-1)+3(x-1)+1=(x-1)(x+3)+1
0586 2x+3=0에서 x=-;2#;

x¤ +4x+7 x¤ +2x-2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 -
x+1 x-1
[x|x+-;2#;인 실수] [x|x+-;2#; 인 실수`]
(x+1)(x+3)+4 (x-1)(x+3)+1
= -
x+1 x-1
4 1
=x+3+
x+1
-(x+3)-
x-1
0587 x-5=0에서 x=5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4(x-1)-(x+1)
= {x|x+5인 실수} {x|x+5인 실수`}
(x+1)(x-1)
3x-5 3x-5
=
(x+1)(x-1) (x+1)(x-1) 0588 x¤ -4=0에서 x=—2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x|x+—2인 실수} {x|x+—2인 실수`}
1 1 x x
0579 = =
1515
1 x-1 x-1 x-1
1-15 0589 x¤ +1>0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
x x 주어진 함수의 분모를 0으로 하는
이다. 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실수 전체의 집합

155155
1 x¤ -1 0590 0591
x-15 y y= 2 y=- 1
y
1
x x (x+1)(x-1) x x
2
0580 x+1 = x+1 = =x-1 x-1 1 2
1515 1515
x+1 -2-1
1
1 2 x
x x O 1 2 x -2-1 O
분자, 분모에 각각 x를 곱한다.
-2
-1 - 1 -1
2

x y
0581 x : y=2 : 3이므로
2
=
3
0592 y y= 1 0593 y=- 4
y
x y 1 2x x 4
이때 = =k (k+0)로 놓으면 x=2k, y=3k -1 1
2 3 2 2
-1 2 12 x
2x-y 4k-3k k O 1 1 x -2 O
⑴ = = =;5!; 2 1 -1 -2
x+y 2k+3k 5k -1 - 2 -4
x¤ +xy+y¤ 4k¤ +6k¤ +9k¤ 19k¤ 19
⑵ = = =
x¤ +y¤ 4k¤ +9k¤ 13k¤ 13
1 2
⑴ ;5!;⑵⑵ ;1!3(; 0594 y=
x-1
+2 0595 y=-
x+2
-1

58 정답 및 풀이
본책 83~85 쪽

3 3 3 -2 5-2x -2(x-3)-1 1
0596 y= -2의 그래프는 y= 의 그 y y= x 0602 y= = =- -2
x x x-3 x-3 x-3
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 O 3 x 5-2x
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2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y y= 5-2x
x-3 x-3
-2 5
정의역은 {x|x+0인 실수},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 2
치역은 { y|y+-2인 실수} 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 O 3 x

풀이 참조 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2


- 53
x=3, y=-2
1 y 풀이 참조
0597 y= 의 그래프는 y=;[!;의 그
x+1
y= 1

05
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 1 x+1
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유리식과 유리함수
-1 O x x-1 (x+1)-2 2
정의역은 {x|x+-1인 실수}, 0603 y=
x+1
=
x+1
=-
x+1
+1

치역은 { y|y+0인 실수} x-1 y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의 y= x-1
풀이 참조 x+1 x+1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1
1 y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
0598 y= +3의 그래프는 1
x+2 른쪽 그림과 같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1 O x
1 7 -1
y= +3 2 x=-1, y=1 풀이 참조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 x+2
3

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7 -2 O x
- 2x+3 (2x-1)+4 2
3
정의역은 {x|x+-2인 실수}, 0604 y=
2x-1
=
2x-1
= +1
x-;2!;
치역은 { y|y+3인 실수} 풀이 참조
2x+3 y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의 2x+3
2 2x-1 y=
-1의 그래프는 2x-1
0599 y=-
x-2 y y=- 2 -1
x-2 1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O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3 1 x
O 2 x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 -2 2
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1
른쪽 그림과 같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3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정의역은 {x|x+2인 실수}, x=;2!;, y=1 풀이 참조
치역은 { y|y+-1인 실수}
풀이 참조
3x+2 (3x+1)+1 1
0605 y=
3x+1
=
3x+1
= +1
2x+1 2(x-1)+3 3 3{x+;3!;}
0600 y= x-1 = x-1 = x-1 +2
2x+1 3 1 y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y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 의
x-1 x 2x+1 3x y= 3x+2
y= 2 3x+1
x-1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1
2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 -1
른쪽 그림과 같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3
1 O 1 x 쪽 그림과 같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2 O x
x=1, y=2 풀이 참조 - 2 -1 3
x=-;3!;, y=1 풀이 참조
x -x -(x-3)-3 3
0601 y=
3-x
=
x-3
=
x-3
=-
x-3
-1

x 3 y x 01 유리식의 덧셈과 뺄셈 본책 86쪽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y=
3-x x 3-x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 O 3 ① 분자의 차수가 분모의 차수보다 낮을 때
x 분모를 통분하여 계산한다.
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 -1
른쪽 그림과 같고, 점근선의 방정식은 ② 분자의 차수가 분모의 차수보다 높거나 같을 때
분자를 분모로 나누어 계산한다.
x=3, y=-1 풀이 참조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59
x 2x+3 x+3 2x-3 a¤ -6a a¤ +5a+6 a¤ -3a-18
0606 x-1
+
x+1
-
x+2
-
x-2 0609 _
a+1
÷
a-1
a¤ +a-2
(x-1)+1 2(x+1)+1 (x+2)+1 a(a-6) (a+2)(a+3) a-1
= + - = _ _
x-1 x+1 x+2 (a+2)(a-1) a+1 (a+3)(a-6)
2(x-2)+1 a a
=- =
x-2 a+1 a+1
1 1 1 1
={1+ }+{2+ }-{1+ }-{2+ }
x-1 x+1 x+2 x-2
1 1 1 1 a+b a-b (a+b)¤ +(a-b)¤ 2(a¤ +b¤ )
={ - }+{ - } 0610 + = =
x-1 x+2 x+1 x-2 a-b a+b (a-b)(a+b) (a-b)(a+b)
간단한 식이 되도록 적당히
3 -3 두 개씩 짝지어 계산한다. a+b a-b (a+b)¤ -(a-b)¤ 4ab
= + - = =
(x-1)(x+2) (x+1)(x-2) a-b a+b (a-b)(a+b) (a-b)(a+b)
3(x¤ -x-2)-3(x¤ +x-2) a+b a-b a+b a-b
= ∴ { + -
(x-1)(x+2)(x+1)(x-2) a-b a+b
}÷{
a-b a+b
}

, -6x
;;;; . 2(a¤ +b¤ ) (a-b)(a+b)
= ① = _
(x+2)(x+1)(x-1)(x-2) (a-b)(a+b) 4ab
a¤ +b¤
= =;6%; ;6%;
2ab
a b c
0607 + +
(a-b)(a-c) (b-a)(b-c) (c-a)(c-b)
-a(b-c)-b(c-a)-c(a-b) (x¤ △x)÷{x¤ △(-5x+6)}
=
(a-b)(b-c)(c-a)
⇢➊ 0611
x¤ -x x¤ +5x-6
-ab+ca-bc+ab-ca+bc = ÷
= x¤ +x x¤ -5x+6
(a-b)(b-c)(c-a)
x(x-1) (x-2)(x-3)
=0 ⇢➋ = _
x(x+1) (x+6)(x-1)
0 (x-2)(x-3) x¤ -5x+6 x¤ -5x+6
= =
채점 기준표 (x+1)(x+6) x¤ +7x+6 x¤ +7x+6
➊ 주어진 식을 통분할 수 있다. 50%
➋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50%
03 유리식과 항등식 본책 86쪽

x‹ x‹ 주어진 유리식이 항등식일 때


0608 x¤ +x+1
+
x¤ -x+1
-2x
유리식의 분모를 양변에 곱하여 정리한 후 동류항의 계수를 비교한다.

x‹ -1+1 x‹ +1-1
= + -2x
x¤ +x+1 x¤ -x+1 x‹ +1=(x+1)(x¤ -x+1)이므로 주어진 식의 양변에
0612
(x-1)(x¤ +x+1)+1 (x+1)(x¤ -x+1)-1 x‹ +1을 곱하여 정리하면
= + -2x
x¤ +x+1 x¤ -x+1 x+7=a(x¤ -x+1)+(bx+c)(x+1)
1 1
={x-1+ }+{x+1- }-2x ∴ x+7=(a+b)x¤ +(-a+b+c)x+a+c
x¤ +x+1 x¤ -x+1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1 1
= - -a+b+c=1
x¤ +x+1 x¤ -x+1
∴ a-b-c=-1 ③
x¤ -x+1-(x¤ +x+1)
=
(x¤ +x+1)(x¤ -x+1)
-2x -2x
= 항등식의 성질
x› +x¤ +1 x› +x¤ +1
① ax¤ +bx+c=0이 x에 대한 항등식
HjjK a=b=c=0
02 유리식의 곱셈과 나눗셈 본책 86쪽 ② ax¤ +bx+c=a'x¤ +b'x+c'이 x에 대한 항등식
HjjK a=a', b=b', c=c'
⁄ 각 유리식의 분자, 분모를 인수분해한다. ③ ax+by+c=0이 x, y에 대한 항등식
¤ 분자와 분모에 공통인 인수가 있을 때에는 분자, 분모를 약분하여 HjjK a=b=c=0
간단히 한다. ④ ax+by+c=a'x+b'y+c'이 x, y에 대한 항등식
‹ 유리식의 곱셈`, 나눗셈을 한다. HjjK a=a', b=b', c=c'

60 정답 및 풀이
본책 86~87 쪽

0613 주어진 식의 양변에 x(x+1)¤ 을 곱하여 정리하면 1 1 1


1=a(x+1)¤ +bx(x+1)+cx
0617 f(n)=
(x+n)(x+n+1)
=
x+n
-
x+n+1
∴ 1=(a+b)x¤ +(2a+b+c)x+a ⇢➊ 이므로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f(3)+f(4)+f(5)+y+f(10)
a+b=0, 2a+b+c=0, a=1 1 1 1 1 1 1
={ - }+{ - }+{ - }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x+3 x+4 x+4 x+5 x+5 x+6
a=1, b=-1, c=-1 ⇢➋ 1 1
=+y+{ - }
x+10 x+11
∴ abc=1 ⇢➌
1 1 8
1 = - =
x+3 x+11 (x+3)(x+11)
채점 기준표

05
8 c
➊ 주어진 식을 정리할 수 있다. 30%
따라서 = 이고, 이 식이 x에 대
(x+3)(x+11) (x+a)(x+b)

유리식과 유리함수
➋ a, b, 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한 항등식이므로
➌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a=3, b=11, c=8 또는 a=11, b=3, c=8
∴ a+b-c=6 6

1 1 2 4
0614 x-1
-
x+1
-
x¤ +1
-
x› +1 1 1 1 1
2 2 4 0618 8
+
24
+
48
+y+
440
= - -
x¤ -1 x¤ +1 x› +1 1 1 1 1
= + + +y+
4 4 8 2¥4 4¥6 6¥8 20¥22
= - =
x› -1 x› +1 x° -1 1 1 1 1 1 1 1
= [{ - }+{ - }+{ - }
8 a 2 2 4 4 6 6 8
따라서 = b 이고,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x° -1 x -1 1 1
= [+y+{ - }]
a=8, b=8 20 22
∴ ab=64 ⑤ 1 1 1 5
= { - }= ③
2 2 22 22

0615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 ‚ 을 곱하여 정리하면


x· +1=a¡(x-1)· +a™(x-1)° +y+aª(x-1) 1 1 1
0619 x¤ +3x
+
x¤ +9x+18
+
x¤ +15x+54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2· +1=a¡+a™+y+aª 1 1 1
= + +
x(x+3) (x+3)(x+6) (x+6)(x+9)
∴ a¡+a™+y+aª=513 ②
1 1 1 1 1 1 1
= [{ - }+{ - }+{ - }]
3 x x+3 x+3 x+6 x+6 x+9
1 1 1 3
부분분수로의 변형 = { -
04 본책 87쪽 3 x x+9
}=
x(x+9)
1 1 1 1 3 1
= - } (단, A+B) 따라서 = 에서
{
AB B-A A B x(x+9) 30
x¤ +9x-90=0,에서(x+15)(x-6)=0
∴ x=6 (∵ x>0) ③
2 3 4
0616 + +
x(x+2) (x+2)(x+5) (x+5)(x+9)
1 1 1 1 1
={;[!;- - -
x+2
}+{
x+2 x+5
}+{
x+5 x+9
}
0620 f(x)=4x¤ -1=(2x-1)(2x+1)이므로
1 1 1 1 1 1
=;[!;- = = { - } ⇢➊
x+9 f(x) (2x-1)(2x+1) 2 2x-1 2x+1
9 1 1 1 1
∴ + + +y+
=
x(x+9) f(1) f(2) f(3) f(49)
9 a =;2!; [{1-;3!;}+{;3!;-;5!;}+{;5!;-;7!;}+y+{;9¡7;-;9¡9;}]
따라서 = 이고,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
x(x+9) x(x+b)
므로 =;2!; {1-;9¡9;}=;9$9(; ⇢➋
a=9, b=9
∴ a+b=18 ④ ;9$9(;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61
채점 기준표 1 1
0624 a¡=;4!;, a™= =;3$;, a£= =-3,
1- 15

1
을 구할 수 있다.
1 4
f(x)
40% 1-15
4 3
➋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1
a¢= =;4!;, a∞=;3$;, y
1-(-3)
따라서 a£˚–™=;4!;, a£˚–¡=;3$;, a£˚=-3 (k는 자연수)이므로
05, 06 번분수식 본책 88쪽

⑴ 번분수식: 분자 또는 분모에 또 다른 분수식이 포함되어 있는 분수식


a™º¡§=a£¥§¶™=-3, a™º¡¶=a£¥§¶£–™=;4!;
⑵ 번분수식의 계산
∴ a™º¡§ a™º¡¶=-;4#; -;4#;
① 하나하나 차례로 통분하여 계산한다.
② 분자, 분모에 적당한 식을 곱하여 간단히 한다. 1 1 1
a™= , a£= , a¢= , y이므로
1-a¡ 1-a™ 1-a£
1
a«≠¡= (n은 자연수)
1- 1111111 = 1- 1111111
1 1 1-a«
0621
1- 155155511
1 1
1-155155511
1- 1151 1- 1151
1 1
1- 15 1515
1 x-1 30 8 1 1
x x 0625 =2+ =2+ =2+
155 1+ 15
11 11 11 3
8 8
= 1- 11155111
1
0713 1
1- 1551555551
1 1
=2+ =2+
1- 1515 1+ 15555 1+ 11555555
x 1 1
15
x-1 8 2
2+15
3 3
= 1- 11115445555
1
0713
1- 155155545
1
= 2+111111 = 2+ 11115111
1 1
11554
-1
1+ 1551155551
1 1
x-1 1+15515551
1 1
2+55551 2+55515551
15
1 3 1
0713 =1-
1+x-1 2
1+15
2
1 x-1 x-1 따라서 a=2, b=1, c=2, d=1, e=2이므로
0713 =1-
x
=
x x a+b+c+d+e=8 8

1 1
0622 f(x)=1+
1
=1+
x+2 0626
1
=2+
1
1+ ;1$9#;=2+ ;1∞9;=2+
155 3+ 15
1+x 1+x 19 4
5 5
x+1 2x+3
f(x)=1+ = 1 1
x+2 x+2 =2+ =2+
3+ 11555555
1 1
2x+3 11 3+155
1
따라서 = 에서서서12x+18=11x+22 5 1
x+2 6 1+15
4 4
∴ x=4 ④
따라서 a=2, b=3, c=1, d=4이므로
abcd=24 24
1 1 3
-
n+2 n+5 (n+2)(n+5) n+8
0623 1 1
=
3
=
n+2 1
- 07 유리식의 값; x— 의 값 이용 본책 88쪽
n+5 n+8 (n+5)(n+8) x
n+8 1 1
=k (k는 자연수)로 놓으면 ⁄ 주어진 식을 변형하여 x+ , x- 의 값을 구한다.
n+2 x x
n+8=k(n+2),서서(k-1)n=-2k+8 ¤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한다.
-2k+8 -2(k-1)+6 6 1 1 ¤ 1 ¤
∴ n= = =-2+ ① x¤ + ={x+ } -2={x- } +2
x x
k-1 k-1 k-1 x¤
n이 정수이려면 k-1이 6의 양의 약수이어야 하므로 ② x‹ +
1 1 ‹ 1
={x+ } -3{x+ }
x‹ x x
k-1=1, 2, 3, 6
∴ k=2, 3, 4, 7 1 1 ‹ 1
③ x‹ - ={x- } +3{x- }
x‹ x x
따라서 정수 n은 4, 1, 0, -1의 4개이다. 4

62 정답 및 풀이
본책 87~89 쪽

0627 x¤ -2x-1=0에서 x+0이므로 양변을 x로 나누면 0630 a+b+c=0에서 a+b=-c, b+c=-a, c+a=-b이므
x¤ -2x-1=0의 좌변에 x=0을 대입하면
x-2-;[!;=0에에∴ x-;[!;=2 0¤ -2¥0-1=-1+0

이므로로x+0
3 a {;b!;+;c!;}+b{;c!;+;a!;}+c {;a!;+;b!;}
∴ 3x¤ +2x-1-;[@;+

1 =;bA;+;cA;+;cB;+;aB;+;aC;+;bC;
=3 {x¤ + }+2 {x-;[!;}-1
x¤ b+c c+a a+b
= + +
=3 [{x-;[!;}2 +2]+2 {x-;[!;}-1 a b c
-a -b -c
=3¥(2¤ +2)+2¥2-1=21 21 = + + =-3 -3
a b c

05
a+b+c=0이므로

유리식과 유리함수
0628 ab+0이므로 a¤ -3ab+b¤ =0의 양변을 ab로 나누면 a {;b!;+;c!;}+b{;c!;+;a!;}+c {;a!;+;b!;}
a b a b
-3+ =0 ∴ + =3 b+c c+a a+b
b a b a =a¥ +b¥ +c¥
a‹ b‹ a b a b bc ca ab
∴ + ={ + }3 -3 { + } -a -b -c
b‹ a‹ b a b a =a¥ +b¥ +c¥
∴ + =3‹ -3¥3=18 ③
bc ca ab
a‹ +b‹ +c‹
=-
abc
0629 -1<x<0에서 x+0이므로 x¤ +3x+1=0의 양변을 x로 이때 인수분해 공식
나누면 a‹ +b‹ +c‹ -3abc=(a+b+c)(a¤ +b¤ +c¤ -ab-bc-ca)
1 1 에서 a+b+c=0이면
x+3+ =0 ∴ x+ =-3 ⇢➊
x x a‹ +b‹ +c‹ -3abc=0
1 1 ∴ a‹ +b‹ +c‹ =3abc
한편 {x- }2 ={x+ }2 -4이므로
x x 3abc
∴ (주어진 식)=- =-3
1 abc
{x- }2 =(-3)¤ -4=5
x
이때 -1<x<0에서 x<0, x¤ -1<0이므로 1 1 1 ab+bc+ca
1 x¤ -1 1 0631 a
+ + =0에서에서
b c abc
=0
x- = >0 ∴ x- ='5 ⇢➋
x x x ∴ ab+bc+ca=0
1 1 1 a b c
∴ x› - ={x¤ + }{x¤ - } ∴ + +
x› x¤ x¤ (a+b)(a+c) (b+c)(b+a) (c+a)(c+b)
1 1 1 a(b+c)+b(c+a)+c(a+b)
=[{x+ }2 -2]{x+ }{x- } =
x x x (a+b)(b+c)(c+a)
={(-3)¤ -2}¥(-3)¥'5 2(ab+bc+ca)
=-21'5 ⇢➌ = =0 ③
(a+b)(b+c)(c+a)
-21'5

채점 기준표 1 1 1
1
➊ x+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0632 {;a!;+;b!;+;c!;}2 =

+ + +2{;a¡b;+;b¡c;+;c¡a;}
b¤ c¤
x
1
이므로
➋ x-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x
;a¡b;+;b¡c;+;c¡a;=0
1
➌ x› -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x› a+b+c
=0이므∴ a+b+c=0 ⇢➊
abc
따라서 인수분해 공식
08 유리식의 값; a+b+c=0 이용 본책 89쪽 a‹ +b‹ +c‹ -3abc=(a+b+c)(a¤ +b¤ +c¤ -ab-bc-ca)
에서
a+b+c=0이 주어질 때
a‹ +b‹ +c‹ -3abc=0
① 주어진 식에 a+b=-c, b+c=-a, c+a=-b를 대입하여 식을
간단히 한다.
∴ a‹ +b‹ +c‹ =3abc ⇢➋
② a‹ +b‹ +c‹ -3abc=(a+b+c)(a¤ +b¤ +c¤ -ab-bc-ca)에 a‹ +b‹ +c‹ 3abc
∴ = =3 ⇢➌
a+b+c=0을 대입하여 a‹ +b‹ +c‹ =3abc임을 이용한다.
abc abc
3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63
채점 기준표 1+;10{0;={1+;10P0;}{1+;10Q0;}
➊ a+b+c=0임을 알 수 있다. 40%
➋ a‹ +b‹ +c‹ =3abc임을 알 수 있다. 40% pq
1+;10{0;=1+;10P0;+;10Q0;+
10000
a‹ +b‹ +c‹
➌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abc pq
∴ x=p+q+ ⑤
100

09 유리식의 활용 본책 89쪽
10 유리식의 값; 비례식이 주어질 때 본책 90쪽
(용질의 양)
⑴ (농도)= _100 (%)
HjK a=dk, b=ek, c=fk(k+0)
(용액의 양) a b c
= =
d e f
(용질의 양)
⑴ (농도)= _100 (%)
(용매의 양)+(용질의 양)
⑵ 처음 양이 a일 때 x+y y+z z+x
0636 = = =k (k+0)로 놓으면
x x 3 4 5
① x % 증가 a{1+ } ② x % 감소 a{1- }
100 100 x+y=3k, y+z=4k, z+x=5k yy ㉠
세 식을 변끼리 더하면 2(x+y+z)=12k
지난달 유색 생물의 수를 X, 무색 생물의 수를 Y라 하면 ∴ x+y+z=6k yy ㉡
0633
Y ㉠, ㉡에서 x=2k, y=k, z=3k
_100=20, 5Y=X+Y
X+Y xyz 6k‹
∴ =
∴ X=4Y yy ㉠ x‹ +y‹ +z‹ 8k‹ +k‹ +27k‹
이번 달 이 호수의 유색 생물의 수는 지난달의 2배이므로 2X, 무색 6k‹
∴ = =;6!; ;6!;
생물의 수는 지난달의 4배이므로 4Y이다. 36k‹
따라서 이번 달 이 호수의 생물학적 지표는
4Y
_100=
4Y
_100 (∵ ㉠)
0637 2x=3y이므로 x=;2#;y
2X+4Y 2¥4Y+4Y
4Y 100 5z=4y이므로 z=;5$;y
_100= _100=
12Y 3
∴ x : y : z=;2#;y : y : ;5$;y=15 : 10 : 8 ⇢➊
_100=33.333×××(%)
즉 이번 달 이 호수의 생물학적 지표는 약 33 %이다. 33 % x=15k, y=10k, z=8k(k+0)로 놓으면
3x-y-3z 45k-10k-24k
=
x+y+z 15k+10k+8k
0634 오렌지 원액 전체의 양은 (농도)
(용질의 양)=(용액의 양)_
100
11k
= =;3!; ⇢➋
100_;10A0;+x_;10B0;=a+;1ı0”0; 33k
이고 오렌지 주스 전체의 양은 (100+x) L이므로 새로운 오렌지 주 ;3!;
스의 농도는
채점 기준표
a+;1ı0”0;100a+bx ➊ x : y : z를 구할 수 있다. 40%
c= _100=
100+x 100+x 3x-y-3z
➋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x+y+z
이 식을 x에 대하여 풀면면면100c+cx=100a+bx
100(c-a)
(b-c)x=100(c-a)면면∴ x= ④
b-c 3x-y+3z x-2y+2z
0638 =2x-2y+z= =k (k+0)로 놓
6 2
0635 휴대폰 단말기의 처음 가격을 a원이라 하면 p % 인상한 가 으면
격은 3x-y+3z=6k, 2x-2y+z=k, x-2y+2z=2k
위의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a+a_;10P0;=a {1+;10P0;} (원)
x=;3@;k, y=k, z=;3%;k
a{1+;10P0;}=b라 하면 b원을 q % 인상한 가격은 이것을 구하는 유리식에 대입하여도 된다.
이때 k=3l(l+0)로 놓으면
x=2l, y=3l, z=5l
b+b_;10Q0;=b{1+;10Q0;}=a{1+;10P0;} {1+;10Q0;} (원)
xy-yz-zx 6l¤ -15l¤ -10l¤
∴ =
이 가격이 처음 가격의 x %를 인상한 것과 같으므로 x¤ +y¤ +z¤ 4l¤ +9l¤ +25l¤
19l¤
a {1+;10{0;}=a{1+;10P0;}{1+;10Q0;} ∴ =- =-;2!; -;2!;
38l¤

64 정답 및 풀이
본책 89~91 쪽

11 유리식의 값; 방정식이 주어질 때 본책 90쪽 12, 13 가비의 리 본책 90, 91쪽

주어진 방정식을 이용하여 각 문자를 한 문자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a c e


b
= d = f 일때
후 구하는 유리식에 대입한다.
① b+d+f=0이면 b+d+f=0을 변형하여 구하는 식에 대입한다.
② b+d+f+0이면 가비의 리를 이용한다.
x+y-2z=0 yy ㉠
0639 [ 3x-3y+2z=0 yy ㉡
㉠+㉡을 하면 4x-2y=0 ∴ y=2x 3a-b 2b-c 4c+3a
0642 = = 에서 가비의 리에 의하여
4 3 2
y=2x를 ㉠에 대입하면 분모의 합이 4+3+2=9+0이므로
3a-b 2(2b-c) 4c+3a 가비의 리를 적용할 수 있다.
= =
4 2¥3 2

05
x+2x-2z=0,하하2z=3x하하∴ z=;2#;x
3a-b+2(2b-c)+4c+3a 6a+3b+2c

유리식과 유리함수
515x¤
13 = =
2x¤ +3x¤ +;2#;x¤ 4+6+2 12
xy+yz+zx 2 26
∴ = = = ∴ k=12 ③
155x¤
x¤ +y¤ +z¤ 29 29
x¤ +4x¤ +;4(;x¤
4

;2@9^;
x+2y 3y-2z z+x
0643 = = 에서 가비의 리에 의하여
` y=2x, z=;2#;x이므로 3 4 5
3(x+2y) -2(3y-2z) z+x
x : y : z=x : 2x : ;2#;x=2 : 4 : 3 = =
3¥3 -2¥4 5
x=2k, y=4k, z=3k(k+0)로 놓으면 3(x+2y)-2(3y-2z)+z+x 4x+5z
= =
xy+yz+zx 8k¤ +12k¤ +6k¤ 26k¤ 9-8+5 6
= = =;2@9^; ∴ k=6 ①
x¤ +y¤ +z¤ 4k¤ +16k¤ +9k¤ 29k¤

1 1 2y-1
0640 x+
2y
=1에서서서x=1-
2y
=
2y
0644 ⁄ a+2b+3c=0일 때, 2b+3c=-a이므로
4 4 4 2b+3c -a
2y+ =1에서서서 =1-2y에서∴ z= ⁄ = =-1
z z 1-2y a a
4 8y 4 ∴ k=-1
∴ +z= +
x 2y-1 1-2y
¤ a+2b+3c+0일 때, 가비의 리에 의하여
8y-4 4(2y-1) 2b+3c 3c+a a+2b 2(a+2b+3c)
∴ +z= = =4 ④
2y-1 2y-1 ⁄ = = = =2
a 2b 3c a+2b+3c
⁄ ∴ k=2
2x+y-3z=0 yy ㉠
0641
` x-3y+z=0
[
yy ㉡
⁄, ¤에서 구하는 모든 k의 값의 합은
-1+2=1 ③
㉠-㉡_2를 하면
7y-5z=0 ∴ z=;5&;y ⇢➊

z=;5&;y를 ㉡에 대입하면 0645 (-2a+3b+3c)+(-2b+3c+3a)+(-2c+3a+3b)


=4a+4b+4c=4(a+b+c)
x-3y+;5&;y=0 ∴ x=;5*;y ⇢➋ ⁄ a+b+c=0일 때, b+c=-a이므로
a a
⁄ =
;5*; y-y ;5#; y -2a+3b+3c -2a+3(b+c)
x-y
∴ = = =;5!; ⇢➌ a a
x+z ;5*; y+;5&; y :¡5∞:y ⁄ = = =-;5!;
-2a-3a -5a

;5!; ⁄ ∴ k=-;5!; ⇢➊

¤ a+b+c+0일 때, 가비의 리에 의하여


채점 기준표
a b c
➊ z=
7 ⁄ = =
5
y임을 알 수 있다. 30% -2a+3b+3c -2b+3c+3a -2c+3a+3b
8 a+b+c
➋ x= y임을 알 수 있다. 30% ⁄ = =;4!;
5 4(a+b+c)
x-y
➌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 ∴ k=;4!; ⇢➋
x+z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65
⁄, ¤에서 구하는 모든 k의 값의 합은
-;5!;+;4!;=;2¡0; ⇢➌
닮은 도형의 성질
;2¡0; ⑴ 닮은 두 평면도형의 닮음비가 m : n일 때
① 둘레의 길이의 비 m : n
채점 기준표 ② 넓이의 비 m¤ : n¤
➊ a+b+c=0일 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⑵ 닮은 두 입체도형의 닮음비가 m : n일 때
➋ a+b+c+0일 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① 겉넓이의 비 m¤ : n¤
➌ k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20% ② 부피의 비 m‹ : n‹

0646 ⁄ a+b+c=0일 때, b+c=-a, c+a=-b, a+b=-c


⁄ 이므로
0649 1학년의 남학생과 여학생 수를 각각 k, 2k (k+0)로 놓고,
2학년의 남학생과 여학생 수를 각각 l, 5l(l+0)로 놓으면 방송반
b+c c+a a+b
⁄ m= + + 전체의 남학생과 여학생 수는 각각 k+l, 2k+5l이다.
a b c
이때 (k+l):(2k+5l)=4:11이므로
-a -b -c
⁄ m= + + =-3 11(k+l)=4(2k+5l),는는11k+11l=8k+20l
a b c
k
¤ a+b+c+0일 때, 가비의 리에 의하여 9l=3k남남∴ l=
3
-a+b+c a-b+c a+b-c a+b+c
⁄ = = = =1 따라서 방송반 전체의 학생 수는
a b c a+b+c
k
⁄ 이 식에서 -a+b+c=a, a-b+c=b, a+b-c=c이므로 (k+l)+(2k+5l)=3k+6l=3k+6¥ =5k
3
⁄ b+c=2a, a+c=2b, a+b=2c 이고 1학년 학생 수는 3k이므로 1학년 학생 수의 비율은
b+c c+a a+b 3k k+2k=3k
⁄ ∴ m= + + =;5#; ②
a b c 5k
2a 2b 2c
⁄ ∴ m= + + =6
a b c
⁄, ¤에서 구하는 모든 m의 값의 곱은 15~17 유리함수의 그래프 본책 91, 92쪽

-3¥6=-18 -18
bx+c -ab+c
함수 y= 의 그래프 y= +b로 변형한다.
x+a x+a
-ab+c
14 비례식의 활용 본책 91쪽 ①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
x
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x : y=a : b이면
② 점근선의 방정식은 x=-a, y=b
x=ak, y=bk (k+0)로 놓는다.
③ 점 (-a, b)에 대하여 대칭이다.
④ 직선 y=x+a+b와 y=-x-a+b에 대하여 각각 대칭이다.
0647 A, B 두 학교의 합격자 수를 각각 3k, 4k (k+0)로 놓고,
불합격자 수를 각각 2l, 5l (l+0)로 놓으면 지원자 수는 각각
1 1
3k+2l, 4k+5l이다. 0650 ㄱ. y= =
5x-5 5(x-1)
이때 (3k+2l) : (4k+5l)=1 : 2이므로 1 1
ㄱ.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2(3k+2l)=4k+5l, 6k+4l=4k+5l 5x-5 5x
∴ l=2k ㄱ.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A학교의 지원자 수는 3k+2l=3k+4k=7k, 합격자 수는 10x+1 2¥5x+1 1
ㄴ. y= = = +2
3k이므로 A학교의 합격률은 5x 5x 5x
3k 10x+1 1
=;7#; ;7#; ㄱ.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y축의 방
7k 5x 5x
ㄱ. 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0x+3 2(5x+5)-7 7
0648 넓이가 A, B, C, D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a, ㄷ. y= = =- +2
5x+5 5x+5 5(x+1)
b, c, d라 하면 10x+3 7
c=2d, b=c+d, a=b+c ㄱ.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5x+5 5x
∴ a=(c+d)+2d=2d+d+2d=5d ㄱ.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a : d=5 : 1이므로 x-2 (x-1)-1 1
ㄹ. y= = = -;5!;
A : D=25 : 1 ④ 5-5x -5(x-1) 5(x-1)

66 정답 및 풀이
본책 91~92 쪽

x-2 1 ax+b a(x+c)-ac+b


ㄱ.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y= =
5-5x 5x x+c x+c
ㄱ. 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ac+b
y= +a yy ㉠
x+c
1
이상에서 평행이동에 의하여 y= 의 그래프와 겹쳐지는 것은 ㄱ, 이므로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5x
x=-c, y=a ∴ c=1, a=2 yy ㉡
ㄴ, ㄹ이다. ④
또 ㉠의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나므로
-ac+b
1= +a yy ㉢
0651원의 중심인 점 (-2, 3)이 점 (1, -2)로 옮겨지므로 주어 2+c
진 평행이동은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 ㉡을 ㉢에 대입하면 b=-1

05
행이동하는 것이다.

유리식과 유리함수
1 3x-2 -3(-x+2)+4 4
따라서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0654 y= = = -3이므로 점
x -x+2 -x+2 -x+2
-5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근선의 방정식은
1 1-5(x-3) -5x+16 x=2, y=-3 ⇢➊
y= -5= =
x-3 x-3 x-3
b ab ab
즉 a=-3, b=-5, c=16이므로 (2x+a)- -1 - -1
bx-1 2 2 2 b
y= = = + 이므로 점
a+b+c=8 8 2x+a 2x+a 2x+a 2
근선의 방정식은
a b
bx+7 x=- , y= ⇢➋
0652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 2 2
x+a
a b
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따라서 - =2, =-3이어야 하므로
2 2
b(x-3)+7
y= -2 a=-4, b=-6이이∴ ab=24 ⇢➌
(x-3)+a
24
b(x-3+a)+7-ab
y= -2
x-3+a 채점 기준표
7-ab 3x-2
y= +b-2 ➊ y= 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40%
x-3+a -x+2
bx-1
➋ y= 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40%
이 식의 그래프가 y=;[!;의 그래프와 일치해야 하므로 2x+a
➌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3+a=0, b-2=0, 7-ab=1
∴ a=3, b=2
∴ a+b=5 ⑤ x (x+a)-a a
0655 y=- =- = -1이므로 점근선
x+a x+a x+a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
의 방정식은은은x=-a, y=-1
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ax+1 a(x-2)+2a+1 2a+1
1 1+2(x+3) 2x+7 y= = = +a이므로 점근선의
y= +2= = x-2 x-2 x-2
x+3 x+3 x+3 방정식은
bx+7 x=2, y=a
이 식의 그래프가 y= 의 그래프와 일치해야 하므로
x+a y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오른
a=3, b=2 a
쪽 그림과 같고,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20
이므로
0653 점근선의 방정식이 x=-1, y=2이므로 주어진 함수를 (a+2)(a+1)=20 -a O 2 x
k a¤ +3a-18=0 -1
y= +2
x+1 (a+6)(a-3)=0
로 놓을 수 있다.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나므로 ∴ a=3 (∵ a>0) 3
k
1= +2 ∴ k=-3
2+1
-3 -3+2(x+1) 2x-1 0656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
∴ y= +2= =
x+1 x+1 x+1 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은x=-1, y=-;2!;
따라서 a=2, b=-1, c=1이므로 k
y= -;2!;
a¤ +b¤ +c¤ =2¤ +(-1)¤ +1¤ =6 6 x+1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67
로 놓을 수 있다.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1이므로 5 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b=
2 2
1=k-;2!; ∴ k=;2#;
1 5 3
∴ 2b-a=2¥ - =- -;2#;
2 2 2
;2#;
3-(x+1) -x+2
∴ y= -;2!;=
=
x+1
2(x+1) 2x+2
따라서 a=-1, b=1, c=2이므로 3x-5 3(x-2)+1 1
0659 y= = = +3이므로 점근선의
a+b+c=2 ② x-2 x-2 x-2
방정식은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1이므로
x=2, y=3
2b
1= ∴ c=2b 3x-5
c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 의그 y 3x-5
x-2 y= x-2
ax+2b
c=2b를 y= 에 대입하면 래프와 중심의 좌표가 (2, 3)인 원이 만나 P
2x+c S
는 네 점을 각각 P, Q, R, S라 하면 두 점 3
;2A;x+b ;2A;(x+b)+b-;;;Å2ı;; Q
ax+2b P, R와 S, Q는 각각 점 (2, 3)에 대하여
y= = = R
2x+2b x+b x+b 대칭이다. x
O 2
따라서 네 점 P, Q, R, S의 x좌표를 각각
b-;;;Å2ı;;
x¡, x™, x£, x¢라 하면
y= +;2A;
x+b x¡+x£ x™+x¢
=2, =2표표∴ x¡+x£=4, x™+x¢=4
2 2
이때 그래프가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PR”, SQ”의 중점의 x좌표가 2이다.
∴ x¡+x™+x£+x¢=8 8
-b=-1, ;2A;=-;2!; ∴ a=-1, b=1, c=2

18 유리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본책 93쪽

4x-3 2(2x+1)-5 5 주어진 조건에 맞는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그린 후 정의역 또는 치역을


0657 y= = =- +2이므로 점근
2x+1 2x+1 2x+1 구한다. 이때 정의역은 분모가 0이 되는 x의 값을 포함하지 않는다.
선의 방정식은
x=-;2!;, y=2 ⇢➊ 2x+1 2(x-1)+3 3
0660 y= = = +2이므로 함수
x-1 x-1 x-1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는 점 {-;2!;, 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x+1 3 y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
x-1 x
a=-;2!;, b=2 ⇢➋
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5 2x+1
또 점 {-;2!;, 2}는 직선 y=x+c 위의 점이므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 x-1
2
2x+1
2=-;2!;+c는는∴ c=;2%; ⇢➌ 따라서 2<y…5에서 y= 의 그래
x-1 O1 2 x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정의역은
∴ abc=-;2%; ⇢➍
{x|xæ2} ④
-;2%;

채점 기준표 bx+4 -b(a-x)+ab+4 ab+4


➊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30%
0661 y=
a-x
=
a-x
=
a-x
-b이므로

➋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정의역은 { x|x+a인 실수},


➌ 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치역은 {y|y+-b인 실수}
➍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따라서 a=1, b=4이므로
ab=4 ⑤

bx+2 b(x+a)-ab+2 -ab+2


0658 y=
x+a
=
x+a
=
x+a
+b이므로 19 유리함수의 최대・최소 본책 93쪽

점근선의 방정식은 함수 y=f(x)의 정의역이 주어졌을 때


x=-a, y=b 주어진 정의역에서 y=f(x)의 그래프를 그리고, y의 최댓값과 최
이때 점 (-a, b)가 두 직선 y=x+3, y=-x-2의 교점이므로 솟값을 구한다.
b=-a+3, b=a-2

68 정답 및 풀이
본책 92~93 쪽

2x-1 2(x-1)+1 1 20 유리함수의 그래프가 지나는 사분면 본책 93쪽


0662 y= = = +2이므로 함수
x-1 x-1 x-1
2x-1 bx+c
y= 의 그래프는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함수 y= 의 그래프
x+a
x-1
k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 +q 꼴로 변형한다.
x-p
2x-1 y
따라서 -2…x…;2!;에서 y= 의그 y= 2x-1
x-1 x-1
5 -2x-1 -2(x+2)+3 3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0665 y= = = -2
2 3 x+2 x+2 x+2
x=-2일 때 최댓값 ;3%;, 1 -2x-1
1 2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
x+2 - 12

05
-2 O 1 x
x=;2!;일 때 최솟값 0 -2 O
3

유리식과 유리함수
y=
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12 x
을 갖는다.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 -2

즉 a=;3%;, b=0이므로로로a+b=;3%; ;3%; 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


다. y=-2x-1
x+2
즉 그래프가 지나지 않는 사분면은 제
3 3 1 사분면이다. 제1 사분면
0663 y= +a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
x+2 x
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3 3x+k-2 3(x+1)+k-5 k-5
따라서 -1…x…2에서 y= +a의 3 +a y
y= x+2 0666 y= = = +3 ⇢➊
x+2 x+1 x+1 x+1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2 3x+k-2 y
-2 O 2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3 x+1
일 때 최솟값 +a를 갖는다. -1 x
4 k-5
a
- 34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 3 x 3
즉 +a=- 이므로
4 4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
O
3 한 것이므로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 -1 x
a=- ①
2 려면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➋
⁄ k-5<0이어야 하므로 k<5
¤ x=0일 때 y<0이어야 하므로
0664 점근선의 방정식이 x=3, y=1이므로 k-2<0 ∴ k<2
k ⁄, ¤에서 k<2이므로 정수 k의 최댓값은 1이다. ⇢➌
f(x)= +1 (k+0)로 놓을 수 있다. ⇢➊
x-3
1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k 채점 기준표
0= +1 ∴ k=3 l
-3 y=;[#;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➊ 주어진 함수를 y= +q 꼴로 변형할 수 있다. 20%
x-p
3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f(x)= +1 ⇢➋ ➋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40%
x-3
y y=f{x}
➌ 정수 k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40%
따라서 -3…x…2에서 y=f(x)의 그래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1 k-5
k-5>0, 즉 k>5이면 y= +3의 그래프는 x>-1,
1 2 x+1
x=-3일 때 최댓값 ;2!;,
-3 O 23 x y>3인 부분과 x<-1, y<3인 부분만 지나므로 제4 사분면을 지
x=2일 때 최솟값 -2 -2
나지 않는다.
를 갖는다.
즉 구하는 합은
3 3
;2!;+(-2)=- ⇢ ➌은 -
2 2 21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미정계수 구하기 본책 94쪽

채점 기준표
점근선의 방정식이 x=p, y=q이고, 점 (a, b)를 지나는 유리함수의 식
k
➊ 주어진 함수를 f(x)= +1로 놓을 수 있다. 30% k
x-3 y= +q (k+0)로 놓고 x=a, y=b를 대입하여 상수 k의 값
x-p
➋ f(x)를 구할 수 있다. 30%
을 구한다.
➌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40%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69
0667 점근선의 방정식이 x=-2, y=1이므로 주어진 함수를 ③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제`2, 3, y
k 4`사분면을 지난다. -2 O x
y= +1 (k>0)
x+2 -3x-5
④ y=0을 y= 에 대입하면
로 놓을 수 있다. 그래프가 점 (0, 2)를 지나므로 x+2 -3

k -3x-5
2= +1그그∴ k=2 0= , -3x-5=0
0+2 x+2
2 2+x+2 x+4 ∴ x=-;3%;
∴ y= +1= =
x+2 x+2 x+2
따라서 a=1, b=4, c=2이므로 따라서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좌표는 {-;3%;, 0}이다.
abc=8 8 1
⑤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
x
k 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③
0668 y= +b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3, y=2이
x+a
므로
a=-3, b=2 2+;[#;
ㄱ. f(x)= 11234 =
k 2x+3
따라서 함수 y= +2의 그래프가 점 (1, 0)을 지나므로 0671 이므로 정의역은
x-3 x-2
1-;[@;
k
0= +2 ∴ k=4 {x|x+0, x+2인 실수}이다.
1-3
2x+3 2(x-2)+7 y y=f{x}
∴ a+b+k=3 ② ㄴ. f(x)= =
x-2 x-2
7 2
ㄴ. f(x)= +2 O
0669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m, y=n x-2
3 2 x
이고 m>0, n<0이므로 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2
a>0, c<0 림과 같다.
b 따라서 그래프는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또 y= 의 그래프가 제`2`사분면, 제`4`사분면을 지나므로
x
ㄷ. 그래프가 점 {-;2#;, 0}은 지나지만 점 {0, -;2#;}은 지나지 않으
b<0
ㄱ. a>0, c<0이므로로로a-c>0 ㄷ. 므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 아니다.
b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②
ㄴ. 함수 y= +c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x-a
b
가가- +c=0가가-b+ac=0가가
a
a b
가가∴ b=ac 0672 y= , y= 의 그래프는 제2 사분면을 지나므로
x x
b a b a a<0, b<0 ⇢➊
ㄷ. <0, <0이므로가가 + <0
a c a c
a b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이때 y= 의 그래프가 y= 의 그래프보다 원점에서 멀리 떨어
x x
져 있으므로
|a|>|b| ∴ a<b<0
22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본책 94쪽
음수끼리는 절댓값이 클수록 작다.
c d
y= , y= 의 그래프는 제1 사분면을 지나므로
k x x
함수 y= +q (k+0)의 그래프
x-p
c>0, d>0
k
① y= (k+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 d c
x 이때 y= 의 그래프가 y= 의 그래프보다 원점에서 멀리 떨어
x x
로 q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② 정의역: {x|x+p인 실수}, 치역: { y|y+q인 실수}
져 있으므로
③ 점근선의 방정식은식은x=p, y=q |d|>|c| ∴ d>c>0 ⇢➋
④ 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다. ∴ a<b<c<d 양수끼리는 절댓값이 클수록 크다. ⇢➌
a<b<c<d

-3x-5 -3(x+2)+1 1 채점 기준표


0670 y=
x+2
=
x+2
=
x+2
-3
➊ a<b<0임을 알 수 있다. 40%
① 그래프는 점 (-2, -3)에 대하여 대칭이다. ➋ d>c>0임을 알 수 있다. 40%
② 정의역은 {x|x+-2인 실수}이다. ➌ a, b, c, d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20%

70 정답 및 풀이
본책 94~95 쪽

23 유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본책 95쪽 따라서 a의 최댓값은 ;6!;, b의 최솟값은 1이므로 구하는 합은

①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g(x)가 한 점에서 만난다. ;6!;+1=;6&; ;6&;


방정식 f(x)=g(x)가 이차방정식일 때 판별식을 D라 하면
D=0
② y=f(x)의 그래프를 그리고, 직선 y=g(x)가 반드시 지나는 점을 24 유리함수의 합성 본책 95쪽

이용한다.
f « (k)의 값 구하기 (단, n은 자연수)
[방법 1] f ⁄ (x), f ¤ (x), f ‹ (x), y를 차례대로 구하여 f « (x)를 추
x-2 정한 다음 x 대신 k의 값을 대입한다.
0673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kx+1이 한 점에서 만
x+1 [방법 2] f ⁄ (k), f ¤ (k), f ‹ (k), y의 값을 차례대로 구하여 규칙을

05
x-2 찾는다.
나므로 =kx+1에서

유리식과 유리함수
x+1
x-2=(kx+1)(x+1)
x-1
x-2=kx¤ +(k+1)x+1 ∴ kx¤ +kx+3=0 0677 f(x)= 에서
x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f ¤ (x)=( f Ω f )(x)=f(f(x))
D=k¤ -12k=0
1154-1
x-1
k(k-12)=0의의∴ k=12 (∵ k>0) ④ x -1
f ¤ (x)= =
1154
x-1 x-1
x x
0674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mx-2m이 만나지 않
x-2 f ‹ (x)=( f ¤ Ωf)(x)=f ¤ (f(x))

f ¤ (x)= 115411 =x
x -1
으므로 =mx-2m에서
1154-1
x-2 x-1
m(x-2)
x=m(x-2)¤ x
∴ mx¤ -(4m+1)x+4m=0 따라서 함수 f ‹ (x)=f fl (x)=f · (x)=y=f 3n(x) (n은 자연수)는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항등함수이므로
D=(4m+1)¤ -16m¤ <0 f 100(x)=f 3_33+1(x)=f(x)
8m+1<0그래∴ m<-;8!; 8-1
∴ f 100(8)=f(8)= =;8&; ;8&;
8
따라서 정수 m의 최댓값은 -1이다. ⑤
f ⁄ (8)=;8&;, f ¤ (8)=-;7!;, f ‹ (8)=8, f › (8)=;8&;, y이므로
2x-1 f « (8)은 ;8&;, -;7!;, 8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0675 A;B+Δ이므로 y= 의 그래프와 직선 y=ax+2
x
가 만난다.
2x-1 x+1
1 +1
y= , 즉 y=- +2의 그래프 y=ax+2 y x-1
x x 0678 (`fΩf`)(x)=f(`f(x))= =x
x+1
는 오른쪽 그림과 같고, 직선 y=ax+2 -1
y= 2x-1 x-1
는 a의 값에 관계없이 점 (0, 2)를 지나 x
1
2 즉 (`fΩf`)(k)= 에서
므로 k
a<0 a<0 O 1 x
2 1
k= ,에서k¤ =1에서∴ k=-1 (∵ k+1) ③
k

2x+4 2(x+1)+2 2
0676 x+1
=
x+1
=
x+1
+2 x
에서
0679 f(x)=
1-x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에서 2
ax+2…
x+1
+2…bx+2의 f ¤ (x)=( f Á f )(x)=f(f(x))
2
ax… …bx yy ㉠
1154
x+1 각 변에서 2를 뺀다. x
1-x x
2 f ¤ (x)= = ⇢➊
1…x…3에서 y= 의 그래프는 2 y y=bx x 1-2x
x+1 y= 1-1154
x+1 1-x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부등식 ㉠이 1 f ‹ (x)=(f Á f Á f)(x)=f((f Á f )(x))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 b의 값 2 y=ax
115455
-1 1 x
의 범위는 x x
O 1 3 f ¤ (x)=
1-2x
= ⇢➋
a…;6!;, bæ1 x 1-3x
1-155154
1-2x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71
x ax
같은 방법으로 하면면면f ⁄ ‚ (x)= ⇢➌ a¥111
1-10x af(x) 2x+3 a¤ x
f(f(x))= = = =x
따라서 a=1, b=0, c=-10이므로 2f(x)+3 ax 2(a+3)x+9
2¥111+3
a+b+c=-9 ⇢➍
2x+3
-9 이므로 2(a+3)x¤ +9x=a¤ x
∴ 2(a+3)x¤ +(9-a¤ )x=0
채점 기준표
이 식이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➊ f ¤ (x)를 구할 수 있다. 20%
a+3=0, 9-a¤ =0
➋ f ‹ (x)를 구할 수 있다. 20%
∴ a=-3
➌ f ⁄ ‚ (x)를 구할 수 있다. 40%
➍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ax+b
x 0682 f(x)= 의 그래프가 점 (3, -2)를 지나므로
x-2
f « (x)= (단, n은 자연수)
1-nx 3a+b
-2= ∴ 3a+b=-2 yy ㉠
3-2
0680 주어진 그래프에서 ax+b
또 f(x)= 의 역함수의 그래프가 점 (3, -2)를 지나므로
f ⁄ (0)=f(0)=1, f ⁄ (1)=f(1)=0 x-2
이므로 ax+b
f(x)= 의 그래프는 점 (-2, 3)을 지난다. 즉
x-2
f ¤ (1)=( fΩf⁄ )(1)=f(f⁄ (1))=f(0)=1
f ‹ (1)=( fΩf ¤ )(1)=f(f ¤ (1))=f(1)=0 -2a+b
3= 이므∴ -2a+b=-12 yy ㉡
-2-2
f › (1)=( fΩf ‹ )(1)=f( f ‹ (1))=f(0)=1
㉠, ㉡을 연립하여 풀면이므a=2, b=-8
f fi (1)=( fΩf › )(1)=f( f › (1))=f(1)=0
∴ a+b=-6 ③

0 (n은 홀수)
∴ f « (1)=[
1 (n은 짝수)
함수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 사이의 관계
∴ f ¤ ‚ ⁄ fl (1)=1 1
함수 y=f(x)의 역함수 y=f —⁄ (x)가 존재할 때, 함수 y=f(x)의
` 함수 y=f(x)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y=2이 그래프 위의 임의의 점을 (a, b)라 하면
고 두 점 (1, 0), (0, 1)을 지나므로 b=f(a) HjjK a=f —⁄ (b)
2 가 성립한다.
f(x)= +2
x-2

0683 두 직선 y=x+5, y=-x-3의 교점의 x좌표는


25 유리함수의 역함수 본책 96쪽
x+5=-x-3의의∴ x=-4
유리함수 y=
ax+b
(c+0, ad-bc+0)의 역함수 구하기 ∴ y=1
cx+d
즉 y=f(x)의 그래프는 점 (-4, 1)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그 역함
dy-b 수의 그래프는 점 (1, -4)에 대하여 대칭이다.
⁄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x=
-cy+a
따라서 점 (1, -4)는 두 직선 y=ax+b, y=cx+d의 교점이므
dx-b
¤ x와 y를 서로 바꾼다. y= 로
-cx+a
a+b=-4, c+d=-4
∴ a+b+c+d=-8 -8
ax
0681 y= 로 놓으면 y(2x+3)=ax
2x+3
-3y x+5 (x-2)+7 7
(2y-a)x=-3y ∴ x=
2y-a 0684 f(x)=
x-2
=
x-2
=
x-2
+1

-3x 이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2x-a 한 그래프의 식은
-3x 7
∴ f —⁄ (x)= y= +1+b yy ㉠ ⇢➊
2x-a x-a-2
ax -3x x+5
f=f—⁄ 이므로 = 한편 y= 로 놓으면 y(x-2)=x+5
2x+3 2x-a x-2
∴ a=-3 ① 2y+5
(y-1)x=2y+5 ∴ x=
f=f —⁄ 이므로 y-1
2x+5
(`fΩf`)(x)=x {단, x+-;2#;, f(x)+-;2#;}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1

72 정답 및 풀이
본책 95~97 쪽

∴ f—⁄ (x)=
2x+5
=
2(x-1)+7 0687 (f —⁄ Á g)—⁄ (3)=(g—⁄ Á f)(3)=g—⁄ (f(3))
x-1 x-1 3
f(3)= =;2#;이므로 g—⁄ (f(3))=g—⁄ {;2#;}
7 3-1
∴ f—⁄ (x)= +2 yy ㉡ ⇢➋
x-1
g—⁄ {;2#;}=k라 하면 g(k)=;2#;
㉠, ㉡의 그래프가 일치하므로
-a-2=-1, 1+b=2 2k-1
=;2#;, 4k-2=3k로로∴ k=2
따라서 a=-1, b=1이므로 k
b-a=2 ⇢➌ ∴ (f —⁄ Á g)—⁄ (3)=2 ③
2

채점 기준표 0688 `` 주어진 저항이 직렬 연결인지 병렬 연결인지 확인하여

05
➊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할 수 있다. 30% 식에 대입한다.

유리식과 유리함수
➋ f-1(x)를 구할 수 있다. 50% ` 병렬 연결된 부분의 전체 저항의 크기를 R'(X)이라 하면
➌ b-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1 1 1 2R+(R+1) 3R+1
= + = =
R' R+1 2R 2R(R+1) 2R¤ +2R
2R¤ +2R
∴ R'= (X)
3R+1
26 유리함수의 합성함수와 역함수 본책 96쪽
따라서 구하는 전체 저항의 크기는
2R¤ +2R 3R¤ +R+2R¤ +2R
두 함수 f(x), g(x)와 그 역함수 f —⁄ (x), g—⁄ (x)에 대하여 R+R'=R+ =
3R+1 3R+1
(gΩf —⁄ )(x)=g( f —⁄ (x))
5R¤ +3R
(g—⁄ Ωf )—⁄ (x)=( f —⁄ Ωg)(x)=f —⁄ (g(x)) R+R'= (X) ④
3R+1

1
0685 f —⁄ Á f=I (항등함수)이므로 0689 f(n)f(101-n)=1임을 이용하여
1+f(n)
을 구한다.
( f —⁄ Á f Á f —⁄ )(5)=(I Á f —⁄ )(5)=f —⁄ (5)
1
f —⁄ (5)=k라 하면 f(k)=5 f(n)f(101-n)=1이므로로로f(n)=
f(101-n)
2k-3
=5, 2k-3=5k-15 1 1 f(101-n)
k-3 ∴ = =
1+f(n) 1 1+f(101-n)
∴ k=4 4 1+
f(101-n)
따라서
1 1 f(101-n)+1
( fΩg)(x)=x이므로 g(x)는 f(x)의 역함수이다. + = =1
0686 1+f(n) 1+f(101-n) 1+f(101-n)
g(3)=k라 하면 f(k)=3 이므로
2k-4 1 1 1 1
=3, 2k-4=3k-3므므∴ k=-1 + + +y+ =50
k-1 1+f(1) 1+f(2) 1+f(3) 1+f(100)
즉 g(3)=-1이므로 50
(gΩg)(3)=g(g(3))=g(-1)
g(-1)=t라 하면 f(t)=-1 1
0690 ``` x+ =1의 양변에 적당한 식을 곱하여 변형한다.
2t-4 x
=-1, 2t-4=-t+1므므∴ t=;3%;
t-1 1 1
`` ㄱ. x+ x =1에서 x+0이므로 양변에 x 을 곱하면
∴ (gΩg)(3)=;3%; ;3%;
1 1 1 1
2x-4 ㄴ. 1+ =x ∴ 1- x + =0
y= 로 놓으면 y(x-1)=2x-4 x¤ x¤
x-1
1
y-4 ㄴ. x+ x =1의 양변에 x를 곱하면
(y-2)x=y-4 ∴ x=
y-2
ㄴ. x¤ +1=x ∴ x¤ -x+1=0 yy ㉠
x-4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1 1 1
x-2 ㄴ. ∴ {x+ x }-{x¤ + }+{x‹ + }
x¤ x‹
x-4
∴ g(x)= 1 1 1
x-2 =(x-x¤ +x‹ )+{ x - + }
x¤ x‹
3-4 -1-4
따라서 g(3)= =-1, g(-1)= =;3%;이므로 x¤ -x+1
3-2 -1-2 =x(1-x+x¤ )+
x‹
(gΩg)(3)=g(g(3))=g(-1)=;3%; =0+0=0 (∵ ㉠)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73
ㄷ. ㉠의 양변에 x+1을 곱하면면면 ¤ a=3b일 때,
ㄷ. (x+1)(x¤ -x+1)=0 (a+b)¤ (3b+b)¤ 16b¤ 8
⁄에에 = = = 에에
ㄷ. x‹ +1=0 ∴ x‹ =-1 a¤ +b¤ 9b¤ +b¤ 10b¤ 5
ㄷ. ⁄ n이 짝수일 때, x‹ « ±¤ =x¤ , x‹ « ±⁄ =x이므로 8
⁄에에∴ k=
1 1-x
5
1
ㄷ. ⁄ (좌변)=x¤ -x+ - =(x¤ -x)+ ⁄, ¤에서 구하는 모든 k의 값의 합은
x¤ x x¤
㉠에서 8 18
-x¤ 2+ =
ㄷ. ⁄ (좌변)=-1+ =-1-1=-2 x¤ -x=-1
5 5
;;¡5•;;
x¤ 1-x=-x¤
ㄷ. ¤ n이 홀수일 때, x‹ « ±¤ =-x¤ , x‹ « ±⁄ =-x이므로
1 1 1-x
ㄷ. ⁄ (좌변)=-x¤ +x- + =-(x¤ -x)-
x¤ x x¤ 0693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a, b, h 사이의 관계식을
-x¤ 구한다.
ㄷ. ⁄ (좌변)=-(-1)- =1+1=2
x¤ 가로등을 AB”, 아버지와 연준이의 A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위치를 각각 D와 F, 그림자 끝을 G라 하
C
1 1 면 오른쪽 그림에서 △CDG∽△EFG이 h
` ㄴ. x¤ + ={x+ }¤ -2=1-2=-1 E
x¤ x 므로 1.8
1.5
1 1 1
ㄴ. x‹ + ={x+ }‹ -3 {x+ }=1-3=-2 1.8 : (a+b)=1.5 : b B 6 D aF b G
x‹ x x
1.5(a+b)=1.8b 단위를 m로 나타내면
180 cm=1.8 m,
ㄴ. ∴ (좌변)=1-(-1)+(-2)=0
1.5a=0.3b 150 cm=1.5 m

∴ b=5a
b d 또 △ABGª△EFG이므로 h : (6+a+b)=1.5 : b
0691 ` = =k(k>0)로 놓고 b=ak, d=ck임을 이용
a c ∴ bh=1.5(6+a+b)=1.5(6+6a)=9(a+1)
하여 식을 정리한다. bh 9(a+1)
∴ = =9 9
ㄱ. ad-bc=0에서 ad=bc이므로 양변을 ac로 나누면 a+1 a+1
b d
ㄴ. =
a c

ㄴ.
b d
= =k (k>0)로 놓으면 b=ak, d=ck이므로
0694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을 이용하여 k의 값을 구
a c 한다.
a¤ +c¤ a¤ +c¤ a¤ +c¤ 1 3x+k 3(x+4)+k-12 k-12
ㄴ. = = = f(x)= = = +3
ab+cd a¥ak+c¥ck (a¤ +c¤ )k k x+4 x+4 x+4
2ac 2ac 2ac 1 이 함수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
ㄴ. = = =
ad+bc a¥ck+ak¥c 2ack k 큼 평행이동한 곡선이 y=g(x)이므로
a¤ +c¤ 2ac k-12 k-12
ㄴ. ∴ = g(x)= +3+3= +6
ab+cd ad+bc x+2+4 x+6
ㄷ. ㄴ에서 b=ak, d=ck이므로 곡선 y=g(x)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6, y=6이므로 두 점근
b‹ +d‹ a‹ k‹ +c‹ k‹ (a‹ +c‹ )k‹ 선의 교점의 좌표는 (-6, 6)이다.
ㄴ. = = =k‹
a‹ +c‹ a‹ +c‹ a‹ +c‹ 이때 점 (-6, 6)이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b+d)‹ (ak+ck)‹ (a+c)‹ k‹ 3¥(-6)+k
ㄴ. = = =k‹ f(-6)= =6
(a+c)‹ (a+c)‹ (a+c)‹ -6+4
b‹ +d‹ (b+d)‹ ∴ k=6 ⑤
ㄴ. ∴ = 3x+k k-12
a‹ +c‹ (a+c)‹ f(x)= = +3에서 곡선 y=f(x)의 점
x+4 x+4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⑤
근선의 방정식은 x=-4, y=3이므로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는
(-4, 3)이다.
0692 주어진 방정식의 좌변을 인수분해하여 a를 b에 대한 곡선 y=g(x)는 곡선 y=f(x)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식으로 나타낸다.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곡선이므로 곡선 y=g(x)의 두 점근선
a¤ -4ab+3b¤ =0에서 의 교점은 점 (-4, 3)을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
(a-b)(a-3b)=0에에∴ a=b 또는 a=3b 로 3만큼 평행이동한 점 (-6, 6)과 같다.
⁄ a=b일 때, 이때 점 (-6, 6)은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a+b)¤ (b+b)¤ 4b¤ 3¥(-6)+k
⁄에에 = = =2에에 f(-6)= =6
a¤ +b¤ b¤ +b¤ 2b¤ -6+4
⁄에에∴ k=2 ∴ k=6

74 정답 및 풀이
본책 97~98 쪽

0695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1 2x-3


y= +2= (x>2)
x-2 x-2
1 1+2(x-2) 2x-3
k k x-2
+2=
x-2
=
x-2
y= +8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따라서 a=2, b=-2이므로
x-4 x
a+b=0 0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8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1
⁄ y ¤ y 점 B의 좌표를 {t, }이라 하고, 점 D의 좌표를 (x, y)
t
라 하면
8
8 x=t+2, y=;t!;+2 ∴ t=x-2, ;t!;=y-2

O 4 x O 4 x 1
따라서 y-2= (x>2)이므로
x-2

05
1 2x-3

유리식과 유리함수
k y= +2= (x>2)
⁄ k<0일 때, k의 값에 관계없이 y= +8의 그래프가 제 x-2 x-2
x-4
1, 2, 4 사분면을 지난다. 점 B는 제`1`사분면에서의 함수 y=;[!;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
¤ k>0일 때, 그래프가 제1, 2, 4 사분면만을 지나려면 x=0일 때
t>0이다.
yæ0이어야 하므로 y<0이면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 x=t+2>2
k k
+8æ0, …8
0-4 4
∴ 0<k…32`(∵ k>0) 점의 자취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
⁄, ¤에서 k<0 또는 0<k…32 yy ㉠ ⁄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좌표를 (x, y)로 놓는다.
k k ¤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x, y 사이의 관계식을 세운다.
한편 y= -3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x+5 x ‹ x, y 이외의 문자는 소거하고 제한된 범위를 생각한다.
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x, y 사이의 관계식에서 자취의 방정식을 구한다.
‹ y › y

x
-5 x -5
O O 0697 y=f(x)의 그래프를 그려 f(a)=f(b)를 만족시키는
-3 -3
a, b의 위치를 구한다.
2-x 2 y
f(x)=| |=| -1|이므로 y=f{x}
x x
k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k<0일 때, k의 값에 관계없이 y= -3의 그래프는 제`1 사
x+5 ㄱ. f(a)=f(b)이려면 0<a<2, b>2이 1
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어야 한다.
› k>0일 때, 그래프가 모든 사분면을 지나려면 x=0일 때 y>0 O a 2 b x
ㄴ. 오른쪽 그림에서에서0<f(b)<1
이어야 하므로 y…0이면 제`1사분면을
2-a b-2
지나지 않는다. ㄷ. f(a)= , f(b)= 이므로
k k a b
› -3>0, >3 ∴ k>15
0+5 5 2-a b-2
에서f(a)+f(b)= +
‹, ›에서 k>15 yy ㉡ a b
㉠, ㉡에서 15<k…32 2b-ab+ab-2a 2(b-a)
에서f(a)+f(b)= =
따라서 구하는 정수 k는 16, 17, 18, y, 32의 17개이다. ab ab
32-15=17
④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y=|f(x)|의 그래프는 y=f(x)의 그래프에서 y<0인 부분
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켜 그린다.
0696 점 B의 좌표를 이용하여 점 D가 나타내는 도형의 방
정식을 구한다.
0698 함수 y=f(x)의 그래프를 그려 m의 값의 범위를 구
1 한다.
점 B의 좌표를 {t, }이라 하면 점 D의 좌표는
t
1 |x+1|-1
+2} (x+0)
{t+2,
t |x|
f(x)= [ 에서
1 1 (x=0)
즉 점 D의 자취는 y= (x>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
x x+1-1
⁄ x>0일 때,때때f(x)= =1
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으므로 자취의 방정 x
식은 ¤ x=0일 때,때때f(x)=1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75
x+1-1 ax
‹ -1…x<0일 때,때때f(x)= =-1 ⁄ 두 함수 y=f(x), y=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가 무수히
-x x+2
-(x+1)-1 ⁄ 많으려면 앞의 그림과 같아야 하므로
2
› x<-1일 때,일일f(x)= = +1 ⁄ 무수2…a…6
-x x
이상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y=g{x} y ⁄, ¤에서 정수 a의 값은 2, 3, 4, 5, 6이므로 구하는 합은
그림과 같다. 5 2+3+4+5+6=20 ④
g(x)=mx+2m+5=m(x+2)+5의 그
래프는 m의 값에 관계없이 점 (-2, 5)를 1 y=f{x} 0700 a¡, a™, a£, y의 값을 구하여 규칙을 찾는다.
지난다. -1 x-1
-2 O x f(x)= 이라 하면
오른쪽 그림에서 x
-1
1 y=g(x)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날 때, 1 2-1
2 a¡=f(2)= =;2!;
5-1 2
1 일일m= =-2
-2-0 ;2!;-1
2 y=g(x)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날 때, a™=f {;2!;}= =-1
;2!;
5-(-1)
1 일일m= =-3
-2-0
-1-1
1, 2에서일일-3…m<-2 a£=f(-1)= =2
-1
따라서 a=-3, b=-2이므로일일ab=6 6 ⋮
따라서 a« (n은 자연수)의 값은 ;2!;, -1, 2가 이 순서대로 반복되
0699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므로
개수를 구한다.
a¡º¡=a3¥33+2=a™=-1 ②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y
y=f{x} -4x+6y+a
0701 3x-by+2
=k (k는 실수)로 놓고 식을 변형하여
6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한다.
2 -4x+6y+a
=k (k는 실수)로 놓으면
-10 -6 -2 O 2 6 10 x 3x-by+2
-4x+6y+a=k(3x-by+2)
ax a(x+2)-2a -2a (3k+4)x-(bk+6)y+2k-a=0 ⇢➊
y= = = +a에서 그래프의 점근선의
x+2 x+2 x+2 이 식이 x,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방정식은 3k+4=0, bk+6=0, 2k-a=0
x=-2, y=a
∴ k=-;3$;, a=-;3*;, b=;2(; ⇢➋
⁄ a<0일 때,
y
y=f{x} ∴ a+b=;;¡6¡;; ⇢➌
6
;;¡6¡;;

2 2 채점 기준표
-10 -6 -2 O 6 10 x -4x+6y+a
➊ =k`(k는 실수)로 놓고 식을 변형할 수 있다. 40%
a 3x-by+2
ax
y=x+2 ➋ a, b,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➌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ax
⁄ a의 값에 관계없이 두 함수 y=f(x), y= 의 그래프의 교
x+2
⁄ 점의 개수는 1이다. 0702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를 그려 도형의
¤ a>0일 때, 넓이를 구한다.
ax y 10 10
y=x+2 함수 y= +1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를 y축
y=f{x}
x x
6 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a 10 10
또 함수 y= -10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를 y축
2
10-x x
-10 -6 -2 O2 6 10 x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10만큼, y축의 방향으로
-10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76 정답 및 풀이
본책 98~99 쪽

따라서 y=f(x), y=g(x)의 그래프는 y y=f{x} ∴ m=PQ¡”=PQ™”=OQ¡'”=OQ™'”


11
오른쪽 그림과 같다. ⇢➊ 이때 곡선 y=;[#;은 직선 y=x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이때
A 3
(A의 넓이)=(B의 넓이) ⇢➋ 1 =x에서 x¤ =3 ∴ x=—'3
O 1 9 x x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C 따라서 두 점 Q¡', Q™'의 좌표는 각각 (-'3, -'3` ), ('3, '3`)이
(A의 넓이)+(C의 넓이) y=g{x}
B 므로
=(B의 넓이)+(C의 넓이) -10
=8¥11=88 ⇢➌ m=OQ™'”="√('3`)¤ +√('3`)¤ ='6
88
l
채점 기준표 0704 함수 y=
x
의 그래프는 l>0인 경우 제`1, 3 사분면을

05
➊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40% 지나고, l<0인 경우 제`2, 4 사분면을 지남을 이용한다.

유리식과 유리함수
➋ (A의 넓이)=(B의 넓이)임을 알 수 있다. 30% 2x+k 2(x+1)+k-2 k-2
y= = = +2 ⇢➊
➌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30% x+1 x+1 x+1
⁄ k>2일 때,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y
0703 점 P가 점근선의 교점임을 이용하여 점 Q의 위치를
찾는다. 과 같고, 0…x…2에서 x=0일 때 최 y= 2x+k
x+1
-x+1 -(x+2)+3 3 대이므로 2
y=
x+2
= x+2
= x+2 -1이므로 점근선의 ⁄ k=1 -1

방정식은 x=-2, y=-1이다. 즉 점 P(-2, -1)은 두 점근선 ⁄ 그런데 k>2이어야 하므로 모순이다. O 2 x
의 교점이다. ⇢➊ ⇢➋
점 P가 두 점근선의 교점이므로 PQ” -x+1 y
y=x+1
¤ k<2일 때,
y=
의 길이가 최소일 때의 점 Q는 오른 x+2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y

쪽 그림과 같이 Q¡, Q™로 두 개가 존 과 같고, 0…x…2에서 x=2일 때 최


-2 Q™ y= 2x+k
재한다. 대이므로 2 x+1
O x
-x+1 P -1 4+k 1
한편 곡선 y= 은점 ⁄ =1 ∴ k=-1 ⇢ ➌
x+2 3 -1 O 2 x

P(-2, -1)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에서 k=-1 ⇢➍
직선 y+1=x+2, 즉 y=x+1에 대 -1
하여 대칭이다. 채점 기준표
-x+1 l
=x+1에서서서-x+1=(x+1)(x+2) ➊ 주어진 함수를 y= +q 꼴로 나타낼 수 있다. 20%
x+2 x-p
x¤ +4x+1=0서서∴ x=-2—'3 ➋ k>2일 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따라서 두 점 Q¡, Q™의 좌표는 각각 (-2-'3, -1-'3 ), ➌ k<2일 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2+'3, -1+'3 )이고 P’Q¡”=P’Q™”이므로 ⇢➋
m=P’Q¡”=øπ(-2+2π+'3`)¤ +(π-1+1+'3`)¤ ='6 2x+2
k=2이면 y= =2이므로 최댓값이 1이 아니다.
∴ m¤ =6 ⇢➌ x+1
6
1
채점 기준표
0705 두 점 A, B의 x좌표는 방정식
x
=2x+k의 실근과

➊ 점 P가 두 점근선의 교점임을 알 수 있다. 30% 같다.


➋ 점 Q¡, Q™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50%
;[!;=2x+k에서 1=2x¤ +kx
➌ m¤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 2x¤ +kx-1=0 yy ㉠
3 y 3 y=x
곡선 y= -1을 y= x
x+2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a, ;å!;}, {b, ;∫!;}이라 하면 a, b는 ㉠의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 Q™'{Â3,Â3} 두 근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하면 곡선은 -2 Q™
P O x a+b=-;2K;, ab=-;2!; ⇢➊
y=;[#;이 되고, 점근선의 교점은 원 -1 -x+1
y=
Q¡ x+2 이때 선분 AB의 중점 P의 좌표는
점으로 옮겨지며, 두 점 Q¡, Q™도 Q¡'{-Â3,-Â3}

¶ a+b , •, 즉 { a+b ,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각각 두 점 Q¡', ;å!;+;∫!; a+b
}
Q™'으로 옮겨진다. 2 2 2 2ab

05 유리식과 유리함수 77
이므로
Ⅱ 함수
-;2K; -;2K;
ª , º, 즉 {-;4K;, ;2K;} ⇢➋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2
2¥{-;2!;}

따라서 x=-;4K;, y=;2K;이므로 y=-2x ⇢➌


0707 x+2æ0 ∴ xæ-2 xæ-2
y=-2x

채점 기준표
0708 x-1æ0, x+4æ0이므로 xæ1, xæ-4
➊ 방정식 ㉠에서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40% ∴ xæ1 xæ1
➋ 점 P의 좌표를 k로 나타낼 수 있다. 30%
➌ 점 P의 자취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30%
0709 x-2æ0, 3-x>0이므로 xæ2, x<3
∴ 2…x<3 (근호 안의 식의 값)æ0, 2…x<3
(분모)+0

0706 f`—⁄ (x), (`fΩf`)(x)를 구하여 각 항의 계수를 비교한 0710 x+1æ0, 5-x>0이므로로로xæ-1, x<5
다. ∴ -1…x<5 -1…x<5

3x+a
y= 로 놓으면으으y(x-2)=3x+a 0711 a<0일 때, -a>0이므로
x-2
2y+a ㄱ. "ça¤ =|a|=-a
(y-3)x=2y+a으으∴ x=
y-3 ㄴ. -"ça¤ =-|a|=-(-a)=a
2x+a ㄷ. "ç(-a)¤ =|-a|=-a
x와 y를 서로 바꾸면으으y=
x-3
ㄹ. -"ç(-a)¤ =-|-a|=-(-a)=a
2x+a
∴ f`—⁄ (x)= ⇢➊ ㅁ. (-"ç-a`)¤ =("ç-a`)¤ =-a
x-3
이상에서 그 값이 양수인 것은 ㄱ, ㄷ, ㅁ이다. ㄱ, ㄷ, ㅁ
3x+a
+a 3¥
(a+9)x+a
x-2
(`fΩf`)(x)=f(`f(x))= = ⇢➋
3x+a
-2
x+a+4 0712 a>0, 2b<0, a-b>0이므로
x-2 "ça¤ +"ç4b¤ +"ç(a-b)¤ =|a|+|2b|+|a-b|
2x+a (a+9)x+a =a-2b+a-b
따라서 = 이므로
x-3 x+a+4
=2a-3b 2a-3b
a+9=2, a+4=-3으으
∴ a=-7 ⇢➌
0713 1-'2<0이므로
-7 "√(1-'2`)¤ `=|1-'2|=-(1-'2`)=-1+'2 -1+'2
채점 기준표
➊ f`—⁄ (x)를 구할 수 있다. 40% 0714 x-10>0이므로
➋ (`fΩf`)(x)를 구할 수 있다. 40% "√(x-10)¤ =|x-10|=x-10 x-10
➌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0715 x-1>0, x-2<0이므로
"√(x-1)¤ +"√(x-2)¤ `=|x-1|+|x-2|
=(x-1)-(x-2)
=1 1

0716 ('∂x-2+'∂x )('∂x-2-'∂x )


=('∂x-2)¤ -('∂x )¤
=x-2-x=-2 -2

0717 ('ƒx+1-'ƒx-1 )('ƒx+1+'ƒx-1 )


=('∂x+1 )¤ -('∂x-1 )¤
=(x+1)-(x-1)=2 2

2 2'3 2'3 2'3


0718 '3
=
'3'3
=
3 3

78 정답 및 풀이
본책 99~103 쪽

1 '2+1 '2+1 0727 ㄴ. y=-'3x는 다항함수이다.


0719 =
'2-1 ('2-1)('2+1)
=
2-1
='2+1 '2+1
ㄹ. y="√(x+2)¤ , 즉 y=|x+2|는 다항함수이다.
이상에서 무리함수는 ㄱ, ㄷ, ㅁ이다. ㄱ, ㄷ, ㅁ
x x('ƒx+1-1)
0720 'ƒx+1+1
=
('ƒx+1+1)('ƒx+1-1)
x('ƒx+1-1)
0728 x+1æ0에서 xæ-1
=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x+1-1
{x|xæ-1} {x|xæ-1}
='ƒx+1-1 'ƒx+1-1

0729 -xæ0에서 x…0


4 4('ƒx+2+'ƒx-2`)
0721 =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ƒx+2-'ƒx-2 ('ƒx+2-'ƒx-2`)('ƒx+2+'ƒx-2`)
{x|x…0} {x|x…0}
4('ƒx+2+'ƒx-2`)
=
x+2-(x-2`)
3
='ƒx+2+'ƒx-2 'ƒx+2+'ƒx-2 0730 2x-3æ0에서 xæ
2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a-'b ('a-'b )¤
0722 'a+'b
=
('a+'b )('a-'b )
[x|xæ;2#;] [x|xæ;2#;]

a+b-2'∂a b a+b-2'∂a b
= 0731 4-x¤ æ0에서 x¤ -4…0
a-b a-b
(x+2)(x-2)…0 ∴ -2…x…2

06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은
'ƒx-1+'ßßx ('ƒx-1+'ßßx )¤

무리식과 무리함수
0723 = {x|-2…x…2} {x|-2…x…2}
'ƒx-1-'ßx ('ƒx-1-'ßx )('ƒx-1+'ßx )
x-1+2"√x(x-1)+x
= 0732 y='ß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y y=Âx`°
x-1-x

=-2x+1-2"√x(x-1) 1
정의역은 {x|xæ0},
-2x+1-2"√x(x-1)
치역은 { y|yæ0} O 1 x
풀이 참조
1 1 'ßa -'b+'ßa +'b
0724 + =
('ßa +'b )('ßa -'b )
'a+'b 'a-'b
0733 y=-'ß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
1
2'ßa 2'ßa 같고 O x
+ =
a-b a-b 정의역은 {x|xæ0}, -1
치역은 { y|y…0}
y=-Âx`°
x-1 x+1 풀이 참조
0725 'ƒx+1+1
-
'ƒx+1-1

=
(x-1)('ƒx+1-1)-(x+1)('ƒx+1+1) 0734 y='ƒ-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y=´-x
y
('ƒx+1+1)('ƒx+1-1) 같고
1
-2(x+'ƒx+1 ) -2(x+'ƒx+1 ) 정의역은 {x|x…0},
= =
x+1-1 x 치역은 { y|yæ0} -1 O x

-2(x+'ƒx+1 ) 풀이 참조
x
0735 y=-'ƒ-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y
-1 O
과 같고 x
1 1 1-'ßx+1+'ßx 2
0726 1+'ßx
+
1-'ßx
=
(1+'ßx )(1-'ßx )
=
1-x 정의역은 {x|x…0}, -1
먼저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한다. 치역은 { y|y…0} y=-´-x
'2
x= 를 대입하면 풀이 참조
2
2 4 4(2+'2 )
= = =2(2+'2 )
'2 2-'2 (2-'2 )(2+'2 ) 0736 ㄱ. 함수 y='ß∂ax (a+0)의 정의역은
1-551
2 ㄱ. a>0일 때 {x|xæ0}
2(2+'2 ) ㄱ. a<0일 때 {x|x…0}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79
ㄹ. a<0이면 함수 y='ß∂ax (a+0)의 그래프는 원점과 제2 사분면 0745 y=-"√4-3x-1=-æ≠-3{x-;3$;}-1
을 지난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ㄴ, ㄷ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ß3ßx y 4
O 3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 -1 x

y 대신 -y를 대입하면 -3
0737 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y='∂-3x ∴ y=-'∂-3x y=-'∂-3x 그림과 같고
y=-´4-3x-1
정의역은 [x|x…;3$;],
0738 x 대신 -x를 대입하면 치역은 { y|y…-1} 풀이 참조
y="√-3(-x) ∴ y='ƒ3x y='ƒ3x

01 무리식의 값이 실수가 되기 위한 조건 본책 104쪽


0739 x 대신 -x, y 대신 -y를 대입하면
-y="√-3(-x) ∴ y=-'ƒ3x y=-'ƒ3x ① '∂A`의 값이 실수이려면 Aæ0
1
② `의 값이 실수이려면 A>0
'∂A
0740 y='5ß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1="√5 {x-(-1)} ∴ y="5√(x+≈1Ω)+1 0746 6x¤ +5x-4æ0에서서서(3x+4)(2x-1)æ0

y="5√(x+≈1Ω)+1 ∴ x…-;3$; 또는 xæ;2!; x…-;3$; 또는 xæ;2!;

0741y="4√-2x +2="√-2√(x-≈2Ω)+2 0747 4-3xæ0에서에에x…;3$;


따라서 y="4√-2x+2의 그래프는 y='ƒ-2x의 그래프를 x축의
x+3>0에서에에x>-3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a=2, b=2 a=2, b=2 ∴ -3<x…;3$;
따라서 정수 x는 -2, -1, 0, 1의 4개이다. ④

0742 y="√3x-≈6 ="√3√(x-≈2)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3ßx 의 y
제곱근의 성질
02 본책 104쪽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 y=´3x-6
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a (aæ0)
a가 실수일 때 "ça¤ =|a|=‡
정의역은 {x|xæ2}, -a (a<0)

치역은 {y|yæ0} 풀이 참조 O 2 x

0748 -;2!;<a<1에서 a-1<0, 2a+1>0이므로

"√a¤ -2a+1="√(a-1)¤ =|a-1|=-a+1


0743 y=-"√2x+≈3+1=-æ2 ≠{x+–;2#;±} +1
y "√4a¤ +4a+1="√(2a+1)¤ =|2a+1|=2a+1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2ß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 ∴ "√a¤ -2a+1+"√4a¤ +4a+1
=(-a+1)+(2a+1)=a+2 ③
x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 -3 O
1-Â3
2
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y=-Â2°x·+·3·+1 0749 -1…a…1에서 a+1æ0이므로
정의역은 [x|xæ-;2#;], 'ßx="(√a+1≈)Ω¤ =|a+1|=a+1
치역은 {y|y…1} 풀이 참조 x-4a=(a+1)¤ -4a=(a-1)¤ 이고 a-1…0이므로
'ƒx-4a ="√(a-1)¤ =|a-1|=-a+1
∴ 'ßx+'ƒx-∂4a =(a+1)+(-a+1)=2 ①
0744 y="√1-≈x-2="√-(√x-≈1Ω)-2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
y=Â1-·°x`·-2
y='∂-ß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 1 0750x+y=a¤ +2+2a=(a+1)¤ +1>0
-3 O x
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 x-y=a¤ +2-2a=(a-1)¤ +1>0
-1
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고 -2 ∴ "(√x+y≈)Ω¤ -"(√x-y≈)Ω¤ =|x+y|-|x-y|
정의역은 {x|x…1}, =(x+y)-(x-y)
치역은 {y|yæ-2} 풀이 참조 =2y=4a 4a

80 정답 및 풀이
본책 103~105 쪽

0751 'ƒx+3 에서 x+3æ0 ∴ xæ-3 yy ㉠ 1


0756 f(x)=
'∂x+'ƒx-1
'ƒ3-x 에서 3-xæ0 ∴ x…3 yy ㉡
㉠, ㉡에서 'ƒx+3-'ƒ3-x 의 값이 실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의 범 '∂∂x-'ƒx-1
f(x)=
위는는는-3…x…3 ⇢➊ ('∂x+'ƒx-1 )('∂x-'ƒx-1 )
-3…x…3일 때, 2x-7<0, x-4<0이므로 f(x)=-'ƒx-1+'∂x ⇢➊
|2x-7|-"çx¤ -ç8x+16 =|2x-7|-"√(x-4)¤ ∴ f(1)+f(2)+f(3)+y+f(100)
|2x-7|-"çx¤ -ç8x+16 =|2x-7|-|x-4| =(-0+1)+(-1+'2)+(-'2+'3 )
|2x-7|-"çx¤ -ç8x+16 =-(2x-7)+(x-4) =+y+(-'9ß9 +'1∂00)
|2x-7|-"çx¤ -ç8x+16 =-x+3 ⇢➋ ='1∂00=10 ⇢➋
-x+3 10
채점 기준표 채점 기준표
➊ x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➊ f(x)를 간단히 할 수 있다. 40%
➋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60% ➋ f(1)+f(2)+f(3)+y+f(100)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03 음수의 제곱근의 성질 본책 104쪽


1 '5+2
0757 4+a¡= =
('5-2)('5+2)
='5+2
① 'a'b=-'ßßab 가 성립할 조건 '5-2
① a<0, b<0 또는 a=0 또는 b=0 ∴ a¡='5+2-4='5-2


'a
=-Ƭ
a
가 성립할 조건 a>0, b<0 또는 a=0
1 1
b 4+a™= = 이므로 a™='5-2
'b a¡

06
'5-2
1 1

무리식과 무리함수
4+a£= = 이므로 a£='5-2
a™ '5-2
0752 'a∂-ß3 '1∂-ßa =-"(√a-3√)(1ç-≈aΩ)에서
a-3…0, 1-a…0 ∴ 1…a…3 ` ⋮
따라서 a+2>0, a-4<0이므로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5-2

"(√a+2≈)Ω¤ +"(√a-4≈)Ω¤ =|a+2|+|a-4| ∴ a¶+a•=('5-2)+('5-2)=2'5-4 ②

=(a+2)-(a-4)=6 ③

05 무리식의 값 구하기 본책 105쪽


'a 'a
0753 =- 에서 a>0, b<0이므로
'b 'b ① 식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면 식을 간단히 한 후 수를 대입한다.
"√a¤ -2ab+b¤ +2|a|-"çb¤ ② 식을 간단히 할 수 없으면 수를 먼저 대입한다.
="√(a-b)¤ +2|a|-"çb¤
=|a-b|+2|a|-|b|
"3√+x -"3√-x
=(a-b)+2a-(-b)=3a 3a 0758 '3ƒ+x +'3ƒ-x
식을 간단히 한 후 x='5를 대입한다.

('∂3+x-'∂3-x )¤
분모의 유리화 =
04 본책 105쪽 ('∂3+x+'∂3-x )('∂3+x-'∂3-x )

분모에 근호를 포함한 수 또는 식 3+x+3-x-2"√9-x¤


=
('a-'b )('a+'b )=a-b임을 이용하여 분모를 유리화한다. (3+x)-(3-x)
6-2"ç9-x¤ 3-"ç9-x¤
= =
2x x
1 1
0754 'ƒx-1-'∂x
+
'ƒx-1+'∂x 3-'4 1 '5 '5
= = =
'5 '5 5 5
('ƒx-1+'∂x )+('ƒx-1-'∂x )
=
('ƒx-1-'∂x )('ƒx-1+'∂x )
2'ƒx-1 'ƒ1-x 'ƒ1+x ('ƒ1-x )¤ +('ƒ1+x )¤
= =-2'ƒx-1 ⑤ 0759 'ƒ1+x
+
'ƒ1-x
=
'ƒ1+x 'ƒ1-x
통분한다.
(x-1)-x
(1-x)+(1+x) 2
= =
'∂x-'3 '∂x+'3 ('∂x-'3 )¤ +('∂x+'3 )¤ "√1-x¤ "√1-x¤
0755 '∂x+'3
+
'∂x-'3
=
('∂x+'3 )('∂x-'3 ) 2 2
= = =4 ④
2(x+3) 2(x+3)
+ = æ≠1-;4#; ;2!;
x-3 x-3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81
0760 "√x+"√x+'ƒx+y`=2이므로로로'ƒx+2=2

'ßx-'y
+
'ßx+'y
=
('ßx-'y )¤ +('ßx+'y )¤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면면x+2=4을을∴ x=2 ⇢➊ 'ßx+'y 'ßx-'y ('ßx+'y )('ßx-'y )
1 1 2(x+y) 2'6
∴ = ∴ = = =
1 1 x-y '2
'x- '2-
1 1
'x- '2- ∴ = =2'3 ③
'x-1 '2-1
1
∴ =
1 07 무리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본책 106쪽
'2-
2-'2-1
'2-1 함수 y='ƒax+b +c (a>0)에 대하여
1 '2-1 b
∴ = = 정의역: [x|xæ-
a
], 치역: { y|yæc}
'2+1 ('2+1)('2-1)
∴ ='2-1 ⇢➋
'2-1 0764-2x+2æ0에서 2x…2 ∴ x…1
채점 기준표
즉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이 {x|x…1}이므로 a=1
➊ 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또 'ƒ-2x∂+ß2 æ0이므로 함수 y='ƒ-2x∂+ß2+b의 치역은
➋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 y|yæb} ∴ b=3
∴ ab=3 ④

무리식의 값 구하기
06 본책 105쪽 9
; x='a+'b, y='a-'b 꼴 0765 ax+9æ0에서에에axæ-9에에∴ xæ-
a
x, y가 x='a+'b, y='a-'b 와 같이 주어지면 9 정의역이 {x|xæ-3}이므로로a>0
즉- =-3이므로에에a=3
x+y, x-y, xy의 값을 이용한다. a
또 y=-'ƒ3x+9+b의 그래프가 점 (9, -4)를 지나므로
-4=-'ƒ3¥9+9+b에에∴ b=2
0761 x+y=2'3, xy=1이므로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치역은에에{y|y…2} {`y|y…2}
'y 'x x+y 2'3
+ = = =2'3 ③
'ßx 'ßy 'ßxy 'ß1
4x+13 4(x+5)-7 7
0766 y= = =- +4이므로 점근
x+5 x+5 x+5
'2+1 ('2+1)¤ 선의 방정식은 x=-5, y=4
0762 x=
'2-1
=
('2-1)('2+1)
=3+2'2,
∴ a=-5, b=4 ⇢➊
'2-1 ('2-1)¤ f(x)='ƒ-5x+4+c에 대하여 f(0)=1이므로
y= = =3-2'2이므로
'2+1 ('2+1)('2-1) 2+c=1 ∴ c=-1 ⇢➋
x+y=6, xy=1 ⇢➊ ∴ f(x)='ƒ-5x+4-1
'ƒ2x-'ƒ2y를 제곱하면 따라서 함수 y=f(x)의 정의역은 [x|x…;5$;]이고, 치역은
('ƒ2x-'ƒ2y`)¤ =2x-2'ƒ2x'ƒ2y+2y
=2(x+y)-4'ƒxy { y|yæ-1}이다. ⇢➌

=2¥6-4¥1=8 ⇢➋ 정의역: [x|x…;5$;], 치역: { y|yæ-1}


이때 x>y에서 'ƒ2x >'ƒ2y이므로로로'ƒ2x-'ƒ2y>0
채점 기준표
∴ 'ƒ2x-'ƒ2y=2'2 ⇢➌
➊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2'2
➋ 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채점 기준표 ➌ y=f(x)의 정의역과 치역을 구할 수 있다. 40%
➊ x+y, 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➋ ('∂2x-'∂2y`)¤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ax+3 a(x+b)+3-ab 3-ab
0767 y= = = +a이고, 점
➌ '∂2x-'∂2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x+b x+b x+b
근선의 방정식이 x=4, y=-1이므로
'3+1 ('3+1)'2 '6+'2 a=-1, b=-4
0763 x= = =
2
,
'2 '2 '2 ∴ y='ƒ-4x-1=æ≠-4{x+;4!;}
'3-1 ('3-1)'2 '6-'2
y= = = 이므로 따라서 함수 y='ƒ-4x-1의 정의역은 [x|x…-;4!;]이므로 구하는
'2 '2 '2 2
x+y='6, x-y='2 최댓값은 -1이다. -1

82 정답 및 풀이
본책 105~107 쪽

무리함수의 그래프 따라서 a=1, b=3, c=-1이므로


08~11 본책 106~108쪽
a+b+c=3 ⇢➌
함수 y='ƒax+b+c (a>0)의 그래프 3
b
① y='ƒax+b+c=æ≠a {x+ }+c 채점 기준표
a
➊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할 수 있다. 40%
b
y='∂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y축의 방향으 ➋ 대칭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할 수 있다. 40%
a
로 c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➌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b
② 정의역: [x|xæ- ], 치역: { y|yæc} y='ƒ2x+4-3="√2(x+2)-3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
a 0772
③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y=-'ƒax+b-c 프는 y='∂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y='ƒ-ax+b+c 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 y=-'ƒ-ax+b-c 따라서 y='ƒ2x+4-3의 그래프는 오른 y
y=´ 2x+4-3
쪽 그림과 같으므로 제 1, 3, 4 사분면을 -2
O 5 x
지난다. -1 2
0768 y='ƒ3x-2+1=æ––≠3 {x-;3@;} +1이므로 함수 ⑤
-3
y='ƒ3x-2+1의 그래프는 y='ß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0773 ① y ② y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Âx-1
y=Â-̧
¸ x+1
따라서 a=;3@;, b=1이므로 O 1 x 1
-1 x
O

06
a+b=;3%; ;3%;
③ y ④ y

무리식과 무리함수
y=Â-x˛+1˛-1 1
0769 ㄱ. y=-'x의 그래프는 y='ƒ-x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 O x
1
ㄱ. 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O x -1
ㄷ. y=-'ƒ3-x=-"√-(x-3) -1
y=-´-{¨x¨-¨1¨}¨
ㄱ. 따라서 y=-'ƒ3-x의 그래프는 y='∂-x의 그래프를 x축의
⑤ y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1
ㄹ. y=;2!;'ƒ4x-3+1=æ≠;4!;(4x-3)+1=æ≠x-;4#;+1
O 1 x

따라서 y=;2!;'ƒ4x-3+1의 그래프는 y='∂-x의 그래프를 y축 y=-Âx+1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 따라서 그래프가 제`4`사분면을 지나지 않는 것은 ②이다. ②

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0774 y=-'ƒ-2x+2+a=-"√ -2(x-1)+a이므로 이 함수


이상에서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에 의하여 y='∂-x의 그래프와 의 그래프는 y=-'ƒ-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
겹쳐지는 것은 ㄱ, ㄷ, ㄹ이다. ④ 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함수 y=-'ƒ-2x+2+a의 그래프가 y
a
0770 y="√a(x-1)+3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b만큼, y축 제`1, 2, 3`사분면을 지나려면 오른쪽 그
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림과 같이 x=0일 때 y>0이어야 하므 O 1 x
y="√a(x-b-1)+3+c 로 y…0이면 제`2`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y=-Â-2˛¸x+2˛+a
이 함수의 그래프가 y='ƒ6-3x="√-3(x-2)의 그래프와 일치하 -'2+a>0
므로 ∴ a>'2
a=-3, -b-1=-2, 3+c=0 따라서 정수 a의 최솟값은 2이다. 2
따라서 a=-3, b=1, c=-3이므로
0775 y='∂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
abc=9 9
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a(x-1)+1
0771 y='ƒ-ƒx+1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 2x-3 2(x-1)-1 1 2x-3
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 = =- +2이므로 y= 의
x-1 x-1 x-1 x-1
y="√-(√x-√2)+1-1='ƒ-x+3 -1 ⇢➊ 1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
이 함수의 그래프를 다시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x
y='ƒx+3 -1 ⇢➋ 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83
2x-3 0779 주어진 그래프의 모양에서 b>0
따라서 y= 의 그래프는 y=´a{¨x¨-¨1¨}¨+1 y 2x-3
x-1 y= x-1 b
오른쪽 그림과 같고, y= +c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a, y=c이므로
x+a
3
y="√a(x-1)+1의 그래프가 -a<0, c<0 ∴ a>0, c<0
2
2x-3 1
y= 의 그래프와 제`1`사 y="√ax+b+c=æ≠a{x+;aB;} +c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x-1
O 1 x
분면에서 만나려면 x=0일 때
y='∂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B;만큼, y축의 방향으로
y>3이어야 한다.
'ƒ-a+1>3,어어'ƒ-a`>2 c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a>4어어∴ a<-4 ① 이때 a>0, -;aB;<0, c<0이므로 함수 y="√ax+b+c의 그래프의
a>0, b>0이므로로-;aB;<0
개형으로 알맞은 것은 ⑤이다. ⑤
0776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aßx (a>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y="a√(x+≈1Ω)-1 yy ㉠ 0780 ① 6-2xæ0에서 x…3이므로 정의역은 {x|x…3}
㉠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나므로 ② 'ƒ6-2ßx æ0에서 'ƒ6-2ßx -1æ-1이므로 치역은
1='a-1, 'a=2 ∴ a=4 ④ 따라{ y|yæ-1}
③ x=3을 y='ƒ6-2ßx -1에 대입하면 y=-1
a=4를 ㉠에 대입하면
④ 따라서 점 (3, -1)을 지난다.
y="4√(x+≈1Ω)-1="√4x+≈4 -1
따라서 a=4, b=4, c=-1이므로 ④ y='ƒ6-2ßx -1="√-2(√x-≈3Ω)-1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a+b+c=7 7 y='ƒ-2x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⑤ y='6ƒ-2x-1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y
0777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aßx (a<0)의 그래프를 x축
과 같으므로 제3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y=Â6-·2·x·-1
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y="a√(x-≈pΩ)+q ⇢➊ 3
O x
이 함수가 y="√a(x+b)+c와 같으므로 -1
b=-p, c=q ⇢➋
이때 p>0, q<0이므로 a<0, b<0, c<0 ⇢➌
a<0, b<0, c<0 0781 ㄱ. a>0, b<0이면 정의역이 {x|x…0}, 치역이 {y|yæ0}
ㄱ. 이므로 그래프는 제2 사분면을 지난다.
채점 기준표
ㄷ. 그래프는 y=-a'∂bx의 그래프와 x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➊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의 식을 y="√a(x-p)+q로 나타낼 수 있다. 40%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➋ b, c를 p, q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30%
➌ a, b, c의 부호를 구할 수 있다. 30%

12 무리함수의 최대・최소 본책 108쪽


주어진 함수의 정의역이 {x|x…p}이므로
a<0 정의역이 {x|p…x…q}인 함수 y='ƒax+b+c의 최대・최소
임을 알 수 있다. ① a>0일 때, 최솟값은 f(p), 최댓값은 f(q)
② a<0일 때, 최솟값은 f(q), 최댓값은 f(p)
0778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aßx (a>0)의 그래프를 x축
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y="a√(x+≈1Ω)+2 yy ㉠ 0782 y=3-'2ƒx+3=-æ2 {≠x+—–;2#;±} +3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그래프는 y=-'2ß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3='a+2, 'a=1 ∴ a=1
a=1을 ㉠에 대입하면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ƒx+1+2 -1…x…3에서 y=3-'2ƒx+3의 그 y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3
∴ b=1, c=2
2
cx+3 2x+3 2(x+1)+1 1 x=-1일 때 최댓값 2, 3 y=3-Â2°x·+·3·
즉 y= = = = +2이므로 점 -
2 x
ax+b x+1 x+1 x+1 x=3일 때 최솟값 0
-1 O 3
근선의 방정식은 을 갖는다.
x=-1, y=2 따라서 a=2, b=0이므로
따라서 두 점근선의 교점의 좌표는 (-1, 2)이다. (-1, 2) a+b=2 2

84 정답 및 풀이
본책 107~109 쪽

0783 y='ƒ3x-6+a="√3(x-2)+a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 ⁄ 4-2x=x¤ -2kx+k¤


프는 y='∂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a ⁄ ∴ x¤ -2(k-1)x+k¤ -4=0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x=2일 때 최솟값 a를 가지므로가가a=4 D
⁄ =(k-1)¤ -(k¤ -4)=0
따라서 점 (b, 7)은 y="√3(x-2)+4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4
7="√3(b-2)+4,가가"√3(b-2)=3 5
⁄ -2k+5=0 ∴ k=
2
3(b-2)=9가가∴ b=5
∴ a+b=9 ③
5
⁄, ¤에서 2…k< ⑤
2

y='ƒ3x+a-5=æ≠3 {x+;3A;}-5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 0787 A;B+Δ이므로 함수 y='ƒx-2 의 그래프와 직선


0784
y=-3x+k가 만나야 한다.
래프는 y='∂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A;만큼, y축의 방향 y='ƒx-2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 y

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므로 직선 y=-3x+k가 점 (2, 0)을 지 y=Âx°-·2·

즉 x=2일 때 최솟값을 갖고, x=17일 때 최댓값 2를 가지므로 날 때,


0=-6+k ∴ k=6
2='ƒ3¥17+a-5, 7='ƒ51+a ∴ a=-2 O 2 x
따라서 직선 y=-3x+k가 함수
따라서 y='ƒ3x-2-5는 x=2일 때 최솟값 -3을 갖는다. y=-3x+k
'ƒ3¥2-2-5=2-5=-3
y='ƒx-2 의 그래프와 만나려면
-3
kæ6
이어야 하므로 k의 최솟값은 6이다. ④
0785 y='ƒ1-4x+5=æ≠-4 {x-;4!;}+5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래프는 y='ƒ-4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 0788 함수 y='ƒx+1의 그래프는 y {ii} {i}
y='∂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 y=x+k
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y=x+k는 기
-2…x…a에서 y='ƒ1-4x+5의 그래 y=´ 1-4x+5 y y=Âx°+·1·
울기가 1이고 y절편이 k인 직선이다. 1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정의역이
b ⁄ 직선 y=x+k가 점 (-1, 0)을 지
x=-2일 때 최댓값 b, [x|x…;4!;] 6 -1 O x
5
1
날 때,
이므로로a…;4!;
x=a일 때 최솟값 6 4 0=-1+k가가∴ k=1 ⇢ ➊
을 갖는다. 즉 -2 O x ¤ y='ƒx+1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접할 때,
b='ƒ1-4¥(-2)+5=8 'ƒx+1 =x+k의 양변을 제곱하면
'ƒ1-4a+5=6 'ƒ1-4a=1,로1-4a=1,로-4a=0로∴ a=0 x+1=x¤ +2kx+k¤
따라서 a=0, b=8이므로로로a+b=8 8 ∴ x¤ +(2k-1)x+k¤ -1=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2k-1)¤ -4(k¤ -1)=0
13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 관계 본책 109쪽
-4k+5=0 ∴ k=;4%; ⇢➋
① 무리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g(x)의 위치 관계
⁄, ¤에서
그래프를 직접 그려 본다.
② 무리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g(x)가 접할 때 (0
|
{k>;4%;}
이차방정식 { f(x)}¤ ={ g(x)}¤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0
f(k)= “ 1 {k=;4%; 또는 k<1}
|
9
0786 y='ƒ4-2ßx ="√ -2(x-2)이 {ii} y 2 {1…k<;4%;}
{i} ⇢➌
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y='ƒ-2x의
y=-x+k ∴ f`{;4!;}+f(1)+f`{;4%;}+f(2)=1+2+1+0=4 ⇢➍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
이동한 것이고, y=-x+k는 기울기 y=Â4°-·2·x· 2
4
가 -1이고 y절편이 k인 직선이다. O 2 x 채점 기준표
⁄ 직선 y=-x+k가 점 (2, 0)을 지
➊ 직선 y=x+k가 점 (-1, 0)을 지날 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날 때,
➋ 두 함수의 그래프가 접할 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 0=-2+k때때∴ k=2
➌ f(k)를 구할 수 있다. 20%
¤ y='ƒ4-2ßx 의 그래프와 직선 y=-x+k가 접할 때, 1 5
➍ f`{ }+f(1)+f`{ }+f(2)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ƒ4-2ßx=-x+k의 양변을 제곱하면 4 4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85
0789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함수 0791 y='ƒax+b의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나므로
y="√2-x¤```의 그래프와 직선 y=k(x-2)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1='ƒ2a+b의의∴ 2a+b=1 yy ㉠
만난다. 또 역함수의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나므로 함수 y='ƒax+b의
y="√2-x¤```의 양변을 제곱하면 y¤ =2-x¤` 그래프는 점 (1, 2)를 지난다.
∴ x¤ +y¤ =2 (yæ0) 따라서 2='ƒa+b이므로
즉 함수 y="√2-x¤```의 그래프는 중심이 (0, 0)이고, 반지름의 길이 a+b=4 yy ㉡
가 '2인 원에서 yæ0인 부분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또 직선 y=k(x-2)는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2, 0)을 지난다. a=-3, b=7
⁄ 직선 y=k(x-2)가 ∴ ab=-21 ①
원 x¤ +y¤ =2 (yæ0)에 접할 때, {i} y
2
원의 중심 (0, 0)과 직선
0792 y=2'ƒx-3+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
y=k(x-2), 즉 kx-y-2k=0 y=´ 2-x@
2 동한 그래프의 식은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ii} x
-´2 O ´2 y=2'ƒx-a-3+1 ⇢➊
와 같으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y
y=f —!{x} y=x
|-2k|
¤ ='2, |-2k|="√2(k¤ +1)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k¤ +(-1)¤ 양변을 제곱한다. y=f{x}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f(x)의
¤ 4k¤ =2(k¤ +1), k¤ =1
그래프는 직선 y=x에 접한다. ⇢ ➋ a+3
∴ k=-1`(∵ k<0) 위의 그림에서 k<0임을 알 수 있다.
1
2'ƒx-a-3+1=x에서
¤ 직선 y=k(x-2)의 기울기가 0일 때, x
2'ƒx-a-3=x-1 O 1 a+3
¤ k=0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 ¤에서 -1<k…0 -1<k…0
4(x-a-3)=x¤ -2x+1하하∴ x¤ -6x+4a+13=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0790 y="1ç-≈xΩ¤ 의 양변을 제곱하면 y¤ =1-x¤
D
∴ x¤ +y¤ =1 (yæ0) =(-3)¤ -(4a+13)=0하하
4
즉 함수 y="1ç-≈xΩ¤ 의 그래프는 중심이 (0, 0)이고, 반지름의 길이 -4a-4=0하하∴ a=-1 ⇢➌
가 1인 원에서 yæ0인 부분이다. -1
또 y="√-x¤ +10x-16의 양변을 제곱하면
채점 기준표
y¤ =-x¤ +10x-16이이∴ (x-5)¤ +y¤ =9 (yæ0) ➊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을 구할 수 있다. 20%
즉 함수 y="√-x¤ +10x-16의 그래프는 중심이 (5, 0)이고, 반지 ➋ y=f(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접함을 알 수 있다. 30%
름의 길이가 3인 원에서 yæ0인 부분이다. ➌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따라서 주어진 두 함수의 그래프는 y
l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D(5, 0)이
B
라 하고 원점 O에서 선분 BD에 내 0793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 y
y=f —!{x} y=x
A C -1
린 수선의 발을 C라 하면 함수 y=f (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D
CD”=BD”-BC”=3-1=2 O 1 2 5 8 x 과 같이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f{x}
직각삼각형 ODC에서
BC”=AO”=1 두 함수 y=f(x), y=f -1(x)의 그래프
1
의 교점은 함수 y='ƒx-a+1의 그래프
OC”=øπOD” ¤ π-C∑D” ¤ ='2ƒ5-4 ='2å1
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O a x
∴ AB”=OC”='2å1 '2å1
'ƒx-a+1=x에서서서'ƒx-a=x-1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14 무리함수의 역함수와 그 성질 본책 110쪽 x-a=x¤ -2x+1서서∴ x¤ -3x+a+1=0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함수 y='ƒax+b+c (a+0)의 역함수 구하기
a+b=3, ab=a+1
①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y-c='ƒax+b의 양변을 제곱하면 (y-c)¤ =ax+b 이때 두 교점의 좌표는 (a, a), (b, b)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1 "√(b-a)¤ +√(b-a)¤ `="√2(b-a)¤
∴ x= {(y-c)¤ -b}
a "√(b-a)¤ +√(b-a)¤ `="√2`{(a+b)¤ -4ab}
1 "√(b-a)¤ +√(b-a)¤ `="√2{3¤ -4(a+1)}
② x와 y를 서로 바꾼다. y= {(x-c)¤ -b}
a
"√(b-a)¤ +√(b-a)¤ `='ƒ10-8a
③ y='ƒax+b+c의 치역이 { y|yæc}이므로 역함수의 정의역은
{x|xæc} 따라서 "√10-8a='2이므로서서
10-8a=2서서∴ a=1 1

86 정답 및 풀이
본책 109~111 쪽

0794 f(x)='ƒax+b+c의 역함수의 그래프가 두 점 (3, 4), g—⁄ (2)=k라 하면 g(k)=2


(5, 0)을 지나므로 f(x)='ƒax+b+c의 그래프는 두 점 (4, 3), '3ƒk-2 =2, 3k-2=4 ∴ k=2
(0, 5)를 지난다. ∴ (f Á (g Ω f )—⁄ Á f )(3)=2 ②
b
즉 y='ƒax+b+c=æ≠a {x+ }+c는 y='∂ax의 그래프를 x축의
a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이 0796 (fΩg)(x)=x이므로 g(x)는 f(x)의 역함수이다.
므로 g(4)=k라 하면면면f(k)=4
b 'ƒ2k-4=4,서서2k-4=16서서∴ k=10
=-4, c=3
a g(10)=m이라 하면서서f(m)=10
또 y='ƒax+b+c의 그래프가 점 (0, 5)를 지나므로 'ƒ2m-4=10,서서2m-4=100서서∴ m=52
5='b+c,의의5='b+3 ∴ (gΩg)(4)=g(g(4))=g(10)=52 ③
'b=2의의∴ b=4
b 4
b=4를 =-4에 대입하면하하 =-4의의∴ a=-1
a a 0797 (f —⁄ Á g)—⁄ (2)=(g—⁄ Á f)(2)=g—⁄ ( f(2))
∴ a+b+c=6 ① f(2)='ƒ2-1 +4=5이므로
f —⁄ (x)=k(x-3)¤ +4`(k<0, xæ3)라 하면 g—⁄ (f(2))=g—⁄ (5)
y=f —⁄ (x)의 그래프가 점 (5, 0)을 지나므로 꼭짓점이 (3, 4)이고 위로 볼 g—⁄ (5)=k라 하면 g(k)=5
록한 이차함수의 그래프 중
k(5-3)¤ +4=0, 4k=-4 xæ3인 부분이다. 'ƒ2k+å1=5, 2k+1=25 ∴ k=12
∴ k=-1 ∴ (f —⁄ Á g)—⁄ (2)=12 12
∴ f —⁄ (x)=-(x-3)¤ +4
y=-(x-3)¤ +4라 하면 (x-3)¤ =-y+4

06
x-3='ƒ-y+4 (∵ xæ3)
x-3=—'ƒ-y+4
0798 ( f —⁄ Ωf —⁄ )—⁄ =fΩf이므로 ( f —⁄ Ωf —⁄ )(a)=16에서

무리식과 무리함수
( fΩf )(16)=a ⇢➊
∴ x='ƒ-y+4+3
이때 f(16)=1-'∂16=1-4=-3이고,
x와 y를 서로 바꾸면 y='ƒ-x+4+3
f(-3)='ƒ1-(-3)='4=2이므로
∴ f(x)='ƒ-x+4+3
a=( fΩf )(16)=f(f(16))=f(-3)=2 ⇢➋
따라서 a=-1, b=4, c=3이므로
2
a+b+c=6
채점 기준표
y='ƒax+b+c (yæc)로 놓으면
➊ (fΩf)(16)=a임을 알 수 있다. 40%
y-c='ƒax+b, (y-c)¤ =ax+b
➋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 x=;a!; {(y-c)¤ -b}

x와 y를 서로 바꾸면 y=;a!; {(x-c)¤ -b}


(거리)
0799 ` (시간)= 임을 이용하여 t¡, t™의 값을 구한다.
(속력)
즉 y='ƒax+b+c (a+0)의 역함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r>0)라 하면
y=;a!; (x-c)¤ -;aB;`(xæc) AC”=BD”=2r AB” ¤ +BC” ¤ =AC” ¤ 이므로로2AB” ¤ =4r¤
AB” ¤ =2r¤ 로∴ AB”='2r (∵ r>0)
따라서 주어진 함수 f(x)='ƒax+b+c의 역함수를 AB”=BC”=CD”=DA”='2 r
f—⁄ (x)=k(x-3)¤ +4`(k<0, xæ3)로 놓을 수 있다. 갑의 속력을 v라 하면 갑이 코스를 한 번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4'2 r
t¡=
v
을이 코스를 한 번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15 무리함수의 합성함수와 역함수 본책 110쪽
2r '2r 2r '2r (2+2'2)r
t™= + + + =
2v v 2v v v
두 함수 f(x), g(x)와 그 역함수 f —⁄ (x), g—⁄ (x)에 대하여
① (gΩf —⁄ )(x)=g( f —⁄ (x))
t™ 2+2'2 2+'2
따라서 = = 이므로
t¡ 4'2 4
② (g—⁄ Ωf)—⁄ (x)=( f —⁄ Ωg )(x)=f —⁄ (g(x))
③ g—⁄ ( f(a))=k이면면면g(k)=f(a) 7t¡ 7 7
= =
t¡+2t™ t™ 2+'2
1+2¥13 1+2¥12312
t¡ 4
0795 ( f Á (g Ω f )—⁄ Á f )(3)=( f Á f—⁄ Á g—⁄ Á f )(3)
=
14
=
14(4-'2 )
=(g—⁄ Á f )(3)=g—⁄ (f(3)) 4+'2 (4+'2 )(4-'2 )
3+1 14(4-'2 )
이때 f(3)= =2이므로 g—⁄ ( f(3))=g—⁄ (2) = =4-'2 ①
3-1 14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87
0800 ` 지름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90°이다. 0803 주어진 두 관계식을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사분원 O'이 a't
A x=b't+2를 y= 에 대입하면
원 O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A, B라 하면 x
∠AO'B가 직각이므로 선분 AB는 원 O a't a
O y= =
b't+2 2
의 지름이다. 1
b+
't
즉 OO'”=OB”=1이므로
즉 t의 값이 증가할수록 y의 값이 증가하므로 t=1일 때 y=8이고,
O'B”='2 O' Â2 B
t=4일 때 y=9이다.
사분원 O'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A a a
를 r라 하면 오른쪽 그림에서 8= , 9=
b+2 b+1
('2+1)r='2 r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Â2
∴ r=
'2
Â2r a=72, b=7
'2+1 r
72 48
r B 따라서 t=16일 때 y= = =9.6이므로
∴ r=
'2('2-1) O' 2 5
('2+1)('2-1) Â2 7+
'∂16
∴ r=2-'2 ③ S=9.6_1000=9600
S
∴ =96 96
` 100
0801 b, c를 간단히 정리한 후 주어진 식에 대입한다.
1 a('a-'∂a+1 )-a('a+'∂a+1 )
b= ¥
2 a-(a+1) 0804 xæ1, x<1인 경우로 나누어 함수 y="√|x-1|의 그
1 래프를 그린다.
= ¥2a'∂a+1=a'∂a+1
2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가 3이므로 함수 y="√|x-1|
1 b('b-'∂b+1)-b('b+'∂b+1) 의 그래프와 직선 y=kx는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난다.
c= ¥
2 b-(b+1) y="√|x-1|에서
1 ⁄ xæ1일 때,서서y="√x-1
c= ¥2b'∂b+1=b'∂b+1
2 ¤ x<1일 때,서서y="√1-x
따라서 b¤ =a¤ (a+1), c¤ =b¤ (b+1)이므로 이므로 y="√|x-1|의 그래프는 오른쪽 y
b¤ c¤ a¤ (a+1)b¤ (b+1) 그림과 같고, 직선 y=kx는 원점을 지나 y=´|x¨-¨1¨|¨
=
(a+1)(b+1) (a+1)(b+1)
므로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a¤ b¤ =a¤ ¥a¤ (a+1) x
k>0 yy ㉠ O 1
=afi +a› ④ y=kx
또 y="√x-1의 그래프와 직선 y=kx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0802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무리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x-1=kx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본다. x-1=k¤ x¤ 서서∴ k¤ x¤ -x+1=0
-2x+4 -2(x-1)+2 2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 = = -2이므로 함수
x-1 x-1 x-1
D=(-1)¤ -4k¤ >0,서서k¤ <;4!;
-2x+4 2
y= 의 그래프는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
x-1 x ∴ -;2!;<k<;2!; yy ㉡
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3…x…5에서 정의된 함수 y ㉠, ㉡에서서서0<k<;2!; ④
-2x+4 y=¸3x+k k…0이면 함수 y='ƒ|x-1|의 그래프와 직선 y=kx는 한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x-1 O 1 3 5
x 점에서 만난다.
림과 같으므로 함수 y='∂3x+k의 그 -1
-2
래프가 점 (3, -1)을 지날 때 k가 최 3 -2x+4
- y= x-1
2
대이다. 즉
k 0805 y='x와 y='ƒ-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임을

-1='ƒ3¥3+k때때∴ k=-4 이용하여 연립부등식의 영역의 넓이를 구한다.

따라서 M=-4이므로때때M¤ =16 16 y…f(x) y y=f{x}


연립부등식 [ 의
x¤ +(y-1)¤ …1 2
함수 y='∂3x+k의 그래프가 점 {5, -;2#;}을 지날 때 영역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경계
1
k=-;2#;-'∂15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가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선 포함)과 같다.
한편 y=x¤ (xæ0)의 역함수는 y='x이
-1 O 1 x
k의 값의 범위는로로-;2#;-'∂15…k…-4 고, y='x와 y='∂-x의 그래프는 y축에

88 정답 및 풀이
본책 111~112 쪽

대하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빗 y y=f{x}


0808 무리함수의 정의역을 이용하여 세 점 A, B, C의 좌표
금친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다. 2 y=x 를 구한 후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한다.
따라서 구하는 영역의 넓이는 1 x¤ -2x-3æ0에서 (x+1)(x-3)æ0
y=Âx
1 1 p ∴ x…-1 또는 xæ3
¥p¥1¤ - ¥2¥1= -1
2 2 2
-1 1 x 이때 x…-1 또는 xæ3에서 y y=x@-2x-3
① O
y=-x x¤ -2x-3=(x-1)¤ -4
1
(곡선 y=x¤ (xæ0)과 직선 y=x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 가 최소일 때 함수 f(x)="√x¤ -2x-3 -1 O 3 x
=(곡선 y='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 이 최소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x=-1
=(곡선 y='∂-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 또는 x=3일 때 최솟값 0을 갖는다. -3
-4
∴ A(-1, 0), B(3, 0)
0806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1(x)의 그
또는 A(3, 0), B(-1, 0) ⇢➊
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임을 이용한다.
또 -x¤ +2x+8æ0에서 x¤ -2x-8…0
함수 y=f(x)의 그래프는 y='∂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
(x+2)(x-4)…0 ∴ -2…x…4
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이때 -2…x…4에서 y
y='ƒx+4+1 9 y=-x@+2x+8
∴ f(x)='ƒx+4+1 -x¤ +2x+8=-(x-1)¤ +9 8

∴ a=4, b=1 가 최대일 때 함수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y=x g(x)=-"√-x¤ +2x+8이 최소이므
-1
y=f (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로 오른쪽 그림에서 x=1일 때 최솟값
3 y=f{x}
같이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9=-3을 갖는다. -2 O 1 4x
1
함수 y=f(x), y=f -1(x)의 그래프의 ∴ C(1, -3) ⇢➋

06
-4 O 1 3 x
교점의 좌표는 y=f(x)의 그래프와 직 ∴ △ABC=;2!;¥4¥3=6

무리식과 무리함수
⇢➌
선 y=x의 교점의 좌표와 같다. -4 y=f—!{x}
6
'ƒx+4+1=x에서
채점 기준표
'ƒx+4=x-1
➊ 두 점 A, B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40%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➋ 점 C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40%
x+4=x¤ -2x+1,면면x¤ -3x-3=0
➌ △ABC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20%
3+'∂21
∴ x= (∵ xæ1)
2
3+'∂21 3+'∂21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 , }이므로
2 2 0809 △ABP의 넓이는 점 P가 직선 AB와 평행한 접선 위
3+'∂21 3+'∂21 의 접점일 때 최대가 됨을 이용한다.
p= , q=
2 2
△ABP의 넓이는 점 P가 직선 AB와 평행한 접선 위의 접
∴ p+q=3+'∂21 ③
점일 때 최대이다. ⇢➊
3-0
aæ0, b<0 HjK
'a 직선 AB의 방정식은 y= (x-1), 즉 y=x-1이므로 직선
0807 ` =-Æ;bA; 임을 이용한다. 4-1
'b
AB와 평행한 접선의 방정식을 y=x+k (k는 실수)라 하면
'z
` 0이 아닌 세 실수 x, y, z가 'ßx 'y='∂xy, =-Æ;]Z; 를 'ƒ3x-3=x+k
'y
동시에 만족시키므로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x>0, y<0, z>0 x<0이면 'ßx 'y=-'∂xy이므로 모순이다. ⇢➊ 3x-3=x¤ +2kx+k¤
따라서 x-y>0, y-z<0, x-y+z>0이므로 ⇢➋ ∴ x¤ +(2k-3)x+k¤ +3=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y|+"ç(y-z)¤ -"√(x-y+z)¤
D=(2k-3)¤ -4(k¤ +3)=0
=|x-y|+|y-z|-|x-y+z|
=x-y-(y-z)-(x-y+z) -12k-3=0의의∴ k=-;4!; ⇢➋
=x-y-y+z-x+y-z=-y ⇢➌
두 직선 y=x-1, y=x-;4!; 사이의 거리는 직선 y=x-1 위의 점
-y

채점 기준표 (1, 0)과 직선 y=x-;4!;, 즉 4x-4y-1=0 사이의 거리와 같으


➊ x, y, z의 부호를 구할 수 있다. 40% 므로
➋ x-y, y-z, x-y+z의 부호를 구할 수 있다. 30%
|4-1| 3'2
➌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30% =
`"√4¤ +(-4)¤ 8

06 무리식과 무리함수 89
이때 AB’”="√(4-1)¤ +3¤ =3'2이므로 △ABP의 넓이의 최댓값은
3'2 Ⅲ 수열
;2!;¥3'2¥ =;8(; ⇢➌
8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8(;

채점 기준표
➊ △ABP의 넓이가 최대일 때의 점 P의 위치를 알 수 있다. 20% 0811 a«=8n-7에 n=1, 2, 3, 4, 5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➋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a¡=8¥1-7=1, a™=8¥2-7=9, a£=8¥3-7=17,
➌ △ABP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40% a¢=8¥4-7=25, a∞=8¥5-7=33
1, 9, 17, 25, 33

0810 먼저 함수 f(x)의 역함수 g(x)를 구한다. n+5


0812 a«= 에 n=1, 2, 3, 4, 5를 차례대로 대입하면
2n
1
y= 'ƒx-3+1 (yæ1)로 놓으면
2 1+5 2+5 7 3+5 4
'ƒx-3æ0이므로로y=;2!;'ƒx-3+1æ1 a¡= =3, a™= = , a£= = ,
2(y-1)='ƒx-3 2¥1 2¥2 4 2¥3 3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4+5 9 5+5
a¢= = , a∞= =1
2¥4 8 2¥5
4(y-1)¤ =x-3 ∴ x=4(y-1)¤ +3
x와 y를 서로 바꾸면 y=4(x-1)¤ +3 7 4 9
3, , , ,1
4 3 8
∴ g(x)=4(x-1)¤ +3 (xæ1) ⇢➊
따라서 y=g(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 n
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xæ0인 범위에서 y=4x¤ 의 그래프와
0813 a«=(-1)« ¥`n 0814 a«=
n+2
겹쳐지므로
a=-1, b=-3, k=4 ⇢➋ 0815 a«=n(n+1)
∴ abk=12 ⇢➌
12 4-1=3에서 공차가 3이므로 주어진 수열은
0816
채점 기준표 1, 4, , 7 .L , ,10L., 13, y 7, 10
➊ g(x)를 구할 수 있다. 50%
➋ a, b,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0817 14-16=-2에서 공차가 -2이므로 주어진 수열은
20, ,18L., 16, 14, ,12L., y
➌ ab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18, 12

0818 an=6n-3에서
a¡=6¥1-3=3
이므로 첫째항은 3이다.
또 a™=6¥2-3=9이므로 공차는
a™-a¡=9-3=6 첫째항: 3, 공차: 6

0819 an=-;4!;n+1에서

a¡=-;4!;¥1+1=;4#;

이므로 첫째항은 ;4#;이다.

또 a™=-;4!;¥2+1=;2!;이므로 공차는

a™-a¡=;2!;-;4#;=-;4!; 첫째항: ;4#;, 공차: -;4!;

0820 an=15+(n-1)¥(-3)=-3n+18 a«=-3n+18

-2-2=-6-(-2)
0821 첫째항이 2, 공차가 -4이므로 =-10-(-6)=y
an=2+(n-1)¥(-4)=-4n+6 a«=-4n+6

90 정답 및 풀이
본책 112~117 쪽

07
0822 ⑴ 첫째항이 72, 공차가 -6이므로 0831 ⁄ n=1일 때,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⑴ 첫첫an=72+(n-1)¥(-6)=-6n+78 a¡=S¡=2¥1¤ +3¥1=5
⑴ 첫첫∴ a¶=-6¥7+78=36 ¤ næ2일 때,
⑵ -18을 제`n`항이라 하면 an=Sn-Sn-1
⑴ 첫첫-18=-6n+78,이라6n=96이라∴ n=16 an=2n¤ +3n-{2(n-1)¤ +3(n-1)}
⑴ 따라서 -18은 제`16`항이다. ⑴ 36항⑵ 제`16`항 an=2n¤ +3n-(2n¤ -n-1)
an=4n+1 yy ㉠
0823공차를 d라 하면 a•=35에서 이때 a¡=5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7+7d=35, 7d=28 an=4n+1 a«=4n+1
∴ d=4 4
0832 ⁄ n=1일 때,
0824 공차를 d라 하면 a¡º=-5에서 a¡=S¡=1¤ -3¥1+1=-1
13+9d=-5, 9d=-18 ¤ næ2일 때,
∴ d=-2 -2 an=Sn-Sn-1
an=(n¤ -3n+1)-{(n-1)¤ -3(n-1)+1}
an=(n¤ -3n+1)-(n¤ -5n+5)
0825x가 3과 -5의 등차중항이므로
an=2n-4
3+(-5)
x= =-1 -1 ⁄, ¤에서 구하는 수열의 일반항은
2
a¡=-1, an=2n-4 (næ2)
1 a¡=-1, an=2n-4 (næ2)
0826 각 항의 역수로 이루어진 수열 [ ]은

;6!;, ;3!;, ;2!;, ;3@;, ;6%;, y 0833 ⁄ n=1일 때,
a¡=S¡=3¥1¤ +1=4
이것은 첫째항이 ;6!;, 공차가 ;6!;인 등차수열이므로 ¤ næ2일 때,
1 n an=Sn-Sn-1
=;6!;+(n-1)¥;6!;=
a« 6 an=3n¤ +n-{3(n-1)¤ +(n-1)}
6 6 an=3n¤ +n-(3n¤ -5n+2)
∴ an= a«=
n n =6n-2 yy ㉠
이때 a¡=4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12 {(-2)+40} an=6n-2
0827 2
=228 228
∴ a¡º=6¥10-2=58 58
a¡º=S¡º-Sª=(3¥10¤ +10)-(3¥9¤ +9)=58
20 {2¥11+(20-1)¥(-2)}
0828 2
=-160 -160
4
0834 =2에서 공비가 2이므로 주어진 수열은
2
0829 3, 12, 21, y, 93은 첫째항이 3, 공차가 9인 등차수열이므 2, 4, 8 , 16 , 32, y 8, 16
로 일반항 an은
an=3+(n-1)¥9=9n-6
1 1 1 1
93을 제n 항이라 하면 0835 - ÷ =- 에서 공비가 - 이므로 주어진 수열은
27 9 3 3
93=9n-6,은은9n=99은은∴ n=11
1 1 1 1 1 1
11(3+93) 1, `- `, , - ,` `, y - ,
∴ 3+12+21+y+93= =528 528 3 9 27 81 3 81
2

0836 a«=5n-1
0830 64, 59, 54, y, -16은 첫째항이 64, 공차가 -5인 등차수
열이므로 일반항 an은
0837 첫째항이 4, 공비가 ;2!;이므로
an=64+(n-1)¥(-5)=-5n+69
n-1
-16을 제`n 항이라 하면 an=4¥{;2!;}
n-1
a«=4¥{;2!;}
-16=-5n+69,은은5n=85은은∴ n=17
17{64+(-16)}
∴ 64+59+54+y+(-16)=
2 0838 첫째항이 3, 공비가 -1이므로
∴ 64+59+54+y+(-16)=408 408 an=3¥(-1)n-1 a«=3¥(-1)n-1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91
1 ⁄ n=1일 때,
0839 ⑴ 첫째항이
3
, 공비가 '3이므로 0848
a¡=S¡=3⁄ -1=2
1
⑴ 이이an= ¥('3`)n-1 ¤ næ2일 때,
3
an=Sn-Sn-1=(3n-1)-(3n-1-1)
1
⑴ 이이∴ a∞= ¥('3`)› =3 an=3n-1(3-1)=2¥3n-1 yy ㉠
3
⑵ 81이 제`n`항이라 하면 이때 a¡=2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an=2¥3n-1
1-1
2¥3 =2¥3‚ =2¥1=2
a«=2¥3« —⁄
1
⑴ 이이81= ¥('3`)n-1,라라('3`)n-1=243=3fi =('3`)⁄ ‚
3
⑴ 이이n-1=10이이∴ n=11
0849 ⁄ n=1일 때,
⑴ 따라서 81은 제`11`항이다. ⑴ 3제⑵ 제`11`항
a¡=S¡=2¤ -5=-1
¤ næ2일 때,
0840 공비를 r라 하면 a¢=1에서
an=Sn-Sn-1=(2n+1-5)-(2n-5)
1 1 1 an=2n(2-1)=2n
8¥r‹ =1, r‹ = ∴ r=
8 2 2
⁄, ¤에서 구하는 수열의 일반항은
a¡=-1, an=2n (næ2) a¡=-1, a«=2« `(næ2)
0841 공비를 r라 하면 a∞=80에서
5¥r› =80, r› =16 ∴ r=—2 -2 또는 2
01 등차수열의 공차 본책 118쪽

0842 x가 3과 12의 등비중항이므로 x=6이면 공비가 2, ① 등차수열 {a«}의 공차가 d이면


x¤ =3¥12=36 ∴ x=—6 x=-6이면 공비가 -6 또는 6
-2인 등비수열이다. d=a™-a¡=a£-a™=a¢-a£=y
②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에서 aμ이 p이면
2(3⁄ ‚ -1) aμ=a¡+(m-1)d=p
0843 3-1
=3⁄ ‚ -1 3⁄ ‚ -1
③ 등차수열 {a«}의 일반항이 pn+q이면
공차는 p이다.
1¥[1-{;2!;}8 ] a«=pn+q=p+q+(n-1)p
0844 =2[1-{;2!;}8 ] 2[1-{;2!;}8 ]
1-;2!;
0850 공차를 d라 하면 제`5 항이 13+9'2이므로
(1+'2)+4d=13+9'2
0845 첫째항이 1,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
4d=13+9'2 -(1+'2)=12+8'2
지의 합이므로
∴ d=3+2'2 ④
1¥{1-(-2)« }
=;3!; {1-(-2)« } ;3!; {1-(-2)« }
1-(-2)
0851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등차수열
0846 첫째항이 3,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의 제`n`항을 ;24!3;이라 하면 {a™«}은 a™, a¢, a§, y이고 공차가 8이므로
a¢-a™=8, (a+3d)-(a+d)=8
n-1 n-1 1
3¥{;3!;} =;24!3;, {;3!;} = ={;3!;}6 2d=8 ∴ d=4
729
등차수열 {a£«≠¡}은 a¢, a¶, a¡º, y이므로
이때 n-1=6이므로 n=7
a¶-a¢=(a+6d)-(a+3d)
3[1-{;3!;}7 ] =3d=3¥4=12
∴ 3+1+;3!;+y+;24!3;= =;2(;[1-{;3!;}‡ ]
1-;3!; 따라서 등차수열 {a£«≠¡}의 공차는 12이다. 12


∴ 3+1+;3!;+y+;24!3; ;2(;[1-{;3!;} ]
0852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a¡=a£-a™=y=a¡ºº-aªª=d
0847 첫째항이 0.1, 공비가 0.1인 등비수열의 제n 항을 ∴ a¡-a™+a£-a¢+y+aªª-a¡ºº
0.00000001이라 하면 =-{(a™-a¡)+(a¢-a£)+y+(a¡ºº-aªª)}
(
|
|
|
|
{
|
|
|
|
9

0.1_0.1« —⁄ =0.00000001, 0.1« —⁄ =0.1‡ 50개

이때 n-1=7이므로 n=8 =-50d


∴ 0.1+0.01+0.001+y+0.00000001 즉 -50d=250이므로므로d=-5
0.1_(1-0.1° ) ∴ a¶-a£=(a+6d)-(a+2d)
= =;9!;(1-0.1° ) ;9!;(1-0.1° ) =4d=4¥(-5)=-20 -20
1-0.1

92 정답 및 풀이
본책 117~119 쪽

07
등차수열의 일반항과 제``k`항 (2a¡+4d) : (2a¡+8d)=1 : 5
02 본책 118쪽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5(2a¡+4d)=2a¡+8d
등차수열 {a«}에서 일반항 구하기
8a¡+12d=0의의∴ d=-;3@;a¡
⁄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고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
운다. ∴ a¡§=a¡+15d=a¡+15¥{-;3@;a¡}=-9a¡ ③
¤ ⁄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어 a, d의 값을 구한다.
‹ an=a+(n-1)d에 a, d의 값을 대입하여 일반항을 구한다.
0858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이 5, 공차가 3이므로
a«=5+(n-1)¥3=3n+2
0853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이때 a¢-a™=a§-a¢=a•-a§=y=a¡•-a¡§=2¥3=6이므로
a£+a¡º=(a+2d)+(a+9d)=2a+11d=63 y㉠
1 1 1 1 1 1 1 1
a§+a¡∞=(a+5d)+(a+14d)=2a+19d=103 y㉡ + + +y+ AB
= { - }
B-A A B
a™a¢ a¢a§ a§ a• a¡§ a¡•
㉠, ㉡을 연립하여 풀면 a=4, d=5
1 1 1 1 1 1
따라서 a«=4+(n-1)¥5=5n-1이므로 =;6!;[{ - }+{ - }+{ - }
a™ a¢ a¢ a§ a§ a•
a™¶=5¥27-1=134 ⑤ 1 1
=;6!;[+y+{ - }]
a¡§ a¡•
1 1
0854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6!; { - }
a™ a¡•
a∞=a+4d=9 yy ㉠
a™=3¥2+2=8, a¡•=3¥18+2=56이므로 구하는 값은
a¡™=a+11d=23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d=2 ;6!; {;8!;-;5¡6;}=;5¡6; ①
따라서 an=1+(n-1)¥2=2n-1이므로
a¡ºº=2¥100-1=199 199
03 등차수열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항 본책 119쪽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에서


0855
aª=3a§에서 a+8d=3(a+5d) ① 처음으로 양수가 되는 항
a+(n-1)d>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을 구한다.
∴ 2a+7d=0 yy ㉠
②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
a¢+a¶=-4에서 (a+3d)+(a+6d)=-4
a+(n-1)d<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을 구한다.
∴ 2a+9d=-4 yy ㉡
③ a˚=p를 만족시키는 항
㉠, ㉡을 연립하여 풀면 a=7, d=-2
a+(k-1)d=p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값을 구한다.
∴ a«=7+(n-1)¥(-2)=-2n+9
-31을 제`n `항이라 하면
-2n+9=-31, 2n=40 ∴ n=20 0859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따라서 -31은 제`20`항이다. ② a¶=a+6d=29 yy ㉠
a¡º=a+9d=20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47, d=-3
0856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a¶=0
∴ a«=47+(n-1)¥(-3)=-3n+50
이므로 (a+d)+(a+6d)=0 a™=-a¶
50
∴ 2a+7d=0 yy ㉠ ⇢➊ -3n+50<0에서 3n>50 ∴ n> =16.___
3
또 a¢=-2이므로 a+3d=-2 yy ㉡ ⇢➊ 따라서 처음으로 음수가 되는 항은 제`17`항이다. ③
㉠, ㉡을 연립하여 풀면 a=-14, d=4 ⇢➋
∴ a«=-14+(n-1)¥4=4n-18 ⇢➌
0860주어진 등차수열의 일반항 a«은
a«=4n-18
a«=1005+(n-1)¥(-4)=-4n+1009
채점 기준표 -4n+1009<10에서 4n>999 ∴ n>249.75
➊ a, d에 대한 연립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40%
따라서 처음으로 10보다 작게 되는 항은 제250 항이다.
➋ a, 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a™¢ª=13, a™∞º=9
제`250`항
➌ an을 구할 수 있다. 30%

0861 수열 {a«}은 첫째항이 6,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0857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6+(n-1)¥(-2)=-2n+8 4-6=2-4=y=-2
(a™+a¢) : (a£+a¶)=1 : 5에서 수열 {b«}은 첫째항이 8,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이므로
7-8=6-7=y=-1
{(a¡+d)+(a¡+3d)} : {(a¡+2d)+(a¡+6d)}=1 : 5 b«=8+(n-1)¥(-1)=-n+9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93
a˚…3b˚에서 -2k+8…3(-k+9) 수열 {bn}에서 첫째항이 x, 제`8`항이 y이므로
-2k+8…-3k+27 ∴ k…19 y-x
x+7d'=y서서∴ d'=
따라서 자연수 k는 1, 2, 3, y, 19의 19개이다. ⑤ 7
y-x
m£-m™ d 5 7 7
0862 A={2, 4, 6, 8, 10, 12, 14, 16, y}, ∴ = = y-x =
n™-n¡ d' 5 5
B={4, 7, 10, 13, 16, y} 7
이므로로로A;B={4, 10, 16, y}
따라서 수열 {cn}은 첫째항이 4, 공차가 6인 등차수열이므로 주어진 등차수열의 공차를 d라 하자.
0867
cn=4+(n-1)¥6=6n-2 수열 4, a¡, a™, y, aμ, 16에서 16은 제 (m+2) 항이므로
6n-2æ100에서서서6næ102서서∴ næ17 첫째항은 4이다.
12
따라서 구하는 n의 값은 17이다. 17 4+(m+1)d=16 ∴ d= yy ㉠
m+1
또 수열 16, b¡, b™, y, b«, 40에서 16을 첫째항으로 생각하면 40
0863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라 하면 은 제`(n+2)`항이므로
a™£=a+22¥4=23 ∴ a=-65 24
16+(n+1)d=40 ∴ d= yy ㉡
∴ a«=-65+(n-1)¥4=4n-69 ⇢➊ n+1
4n-69=0에서 n=17.25 ⇢➋ 12 24
㉠, ㉡에서 = 이므로
이때 a¡¶=4¥17-69=-1, a¡•=4¥18-69=3이므로 m+1 n+1
|a¡¶|<|a¡•| 12(n+1)=24(m+1),므므n+1=2(m+1)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값은 17이다. ⇢➌ ∴ n=2m+1 ②
17

채점 기준표 등차중항
05 본책 120쪽
➊ an을 구할 수 있다. 30%
➋ an=0이 되는 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➌ |an|의 값이 최소가 되는 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a+c
b= , 즉 2b=a+c
2
주어진 등차수열 {a«}에서
y>|a¡∞|>|a¡§|>|a¡¶|, |a¡¶|<|a¡•|<|a¡ª|<y
0868 세 수 2a, a¤ +2a, 4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이므로 |a¡¶|의 값이 최소가 된다.
2(a¤ +2a)=2a+4, a¤ +a-2=0
(a+2)(a-1)=0 ∴ a=-2 또는 a=1
04 두 수 사이에 수를 넣어서 만든 등차수열 본책 119쪽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1이다. ②
a=-2일 때, 주어진 세 수는 -4, 0, 4이므로 공차가 4인 등
두 수 a, b 사이에 n개의 수를 넣어서 등차수열을 만들면
차수열을 이루고, a=1일 때, 주어진 세 수는 2, 3, 4이므로 공차가
a는 첫째항이고, b는 제``(n+2)`항이다.
b=a+(n+1)d (단, d는 공차) 1인 등차수열을 이룬다.

주어진 등차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첫째항이 1, 제21 항이 0869 ax¤ -x+3을 x+1, x-2, x-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
0864
101이므로 지는 각각
1+20d=101, 20d=100 ∴ d=5 5 a+1+3, 4a-2+3, 9a-3+3, 즉 a+4, 4a+1, 9a
따라서 세 수 a+4, 4a+1, 9a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3 2(4a+1)=(a+4)+9a,가가2a=-2
0865 첫째항이 -3, 공차가 인 등차수열의 제`(n+2)`항이 15 ∴ a=-1 -1
2
이므로
3
-3+(n+1)¥ =15 나머지 정리
2
3 다항식 f(x)를 일차식 x-a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R라 하면
(n+1)=18, n+1=12 ∴ n=11 11 R=f(a)
2

0866 등차수열 {an}, {bn}의 공차를 각각 d, d'이라 하자.


수열 {an}에서 첫째항이 x, 제`6`항이 y이므로 0870 네 수 1-4'3, a, 1, b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y-x (1-4'3)+1 2-4'3
x+5d=y로로∴ d= a= = =1-2'3
5 2 2

94 정답 및 풀이
본책 119~121 쪽

07
2¥1=a+b에서 2=(1-2'3 )+b 따라서 세 수는 4, 7, 10이므로 세 수의 곱은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 b=2-(1-2'3 )=1+2'3 ⇢➊ 4¥7¥10=280 280
또 다섯 수 10, c, 2, d, -6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10+2 2+(-6)
c= =6, d= =-2 ⇢➋ 0874 네 수를 a-3d, a-d, a+d, a+3d로 놓으면
2 2
(a-3d)+(a-d)+(a+d)+(a+3d)=12 yy ㉠
∴ abcd=(1-2'3 )(1+2'3 )¥6¥(-2)=132 ⇢➌
(a-3d)(a+3d)=-135 yy ㉡
132
㉠에서 4a=12 ∴ a=3 ⇢➊
채점 기준표 a=3을 ㉡에 대입하면
➊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3-3d)(3+3d)=-135
➋ c, 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9-9d¤ =-135, 9d¤ =144, d¤ =16
➌ abc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 d=—4 ⇢➋
따라서 네 수는 -9, -1, 7, 15이므로 가장 큰 수는 15이다. ⇢➌
15
0871a, b가 이차방정식 x¤ -4x-8=0의 두 근이므로 근과 계
수의 관계에 의하여여여a+b=4, ab=-8 채점 기준표
이때 m은 a, b의 등차중항이므로 ➊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a+b 4 ➋ 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m= = =2
2 2 ➌ 네 수 중 가장 큰 수를 구할 수 있다. 20%
1 1
n은 , 의 등차중항이므로
a b
1 1 1 a+b 4 1 0875 삼차방정식의 세 실근을 a-d, a, a+d로 놓으면 삼차방
n= { + }= = =-
2 a b 2ab 2¥(-8) 4 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세 근의 합은
1 1 (a-d)+a+(a+d)=15
∴ mn=- -
2 2 3a=15 ∴ a=5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의 한 근이 5이므로 방정식에 x=5를 대입하
0872 세 수 a, b, 14와 세 수 14, d, f가 각각 이 순서대로 등 면
차수열을 이루므로 5‹ -15¥5¤ +5k-105=0, 5k=355
2b=a+14 yy ㉠ ∴ k=71 ③
2d=14+ f yy ㉡
㉠-㉡을 하면 2(b-d)=a- f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한편 세 수 b, c, 0과 세 수 6, c, d가 각각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
삼차방정식 ax‹ +bx¤ +cx+d=0의 세 근을 a, b, c라 할 때,
을 이루므로로로2c=b, 2c=6+d
b=6+d ∴ b-d=6 a+b+c=-;aB;, ab+bc+ca=;aC;, abc=-;aD;
∴ a+b-d- f=(a- f)+(b-d)
∴ a+b-d- f=3(b-d)=3¥6=18 ④
0876 직육면체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를 각각 a-d,
a, a+d로 놓으면 모든 모서리의 길이의 합이 84이므로
06 등차수열을 이루는 수 본책 121쪽
4{(a-d)+a+(a+d)}=84,길길3a=21
등차수열을 이루는 ∴ a=7
세 수는 a-d, a, a+d 또 겉넓이가 244이므로
네 수는 a-3d, a-d, a+d, a+3d 2{a(a-d)+(a+d)(a-d)+a(a+d)}=244
다섯 수는 a-2d, a-d, a, a+d, a+2d 3a¤ -d¤ =122
로 놓고 식을 세운다.
a=7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면면147-d¤ =122
d¤ =25의의∴ d=—5
세 수를 a-d, a, a+d로 놓으면 따라서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는 각각 2, 7, 12 또는 12, 7,
0873
(a-d)+a+(a+d)=21 yy ㉠ 2이므로 구하는 부피는
(a-d)¤ +a¤ +(a+d)¤ =165 yy ㉡ 2¥7¥12=168 168
㉠에서서서3a=21입입∴ a=7
a=7을 ㉡에 대입하면 0877 각 학생이 받은 공책 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a-2d,
(7-d)¤ +7¤ +(7+d)¤ =165 a-d, a, a+d, a+2d (d>0)로 놓으면
2d¤ +147=165,서서d¤ =9서서∴ d=—3 (a-2d)+(a-d)+a+(a+d)+(a+2d)=60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95
5a=60 ∴ a=12 d=-3을 ㉠에 대입하면 a-6=-4
1 ∴ a=2 ⇢➋
또 (a-2d)+(a-d)= {a+(a+d)+(a+2d)}이므로
3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은
1 15{ 2¥2+(15-1)¥(-3)}
2a-3d= (3a+3d) ∴ a=4d yy ㉠ =-285 ⇢➌
3 2
a=12를 ㉠에 대입하면 4d=12 ∴ d=3 -285
따라서 가장 많이 받은 학생의 공책 수는
채점 기준표
a+2d=12+2¥3=18 ③
➊ 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➋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등차수열의 합 ➌ 첫째항부터 제`15`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다. 30%


07 본책 121쪽

첫째항이 a, 제`n`항이 l,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


0882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이 -40, 공차가 6이므로
까지의 합을 S«이라 할 때
n{2¥(-40)+(n-1)¥6}
n(a+l) Sn= =3n¤ -43n
① 첫째항과 제 n 항이 주어지면 S«= 2
2
Sn>0에서서서3n¤ -43n>0,서서n(3n-43)>0
n {2a+(n-1)d}
② 첫째항과 공차가 주어지면 S«= 43
2
∴ n> =14.___ (∵ n은 자연수)
3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15이다. ③
0878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a+d=4 yy ㉠
0883 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a∞=a+4d=22 yy ㉡
a¡º=50+9d=23, 9d=-27 ∴ d=-3
㉠, ㉡을 연립하여 풀면 a=-2, d=6
∴ a«=50+(n-1)¥(-3)=-3n+53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20 항까지의 합은
20{2¥(-2)+(20-1)¥6} a«<0에서 -3n+53<0 ∴ n>;;∞3£;;=17.___
=1100 ④
2
따라서 수열 {a«}은 첫째항부터 제17 항까지 양수이고, 제18 항부터
음수이다.
0879 a¡=3¥1-6=-3, aª=3¥9-6=21이므로 첫째항부터 제` a¡¶=2, a¡•=-1, a£º=-37이므로
9`항까지의 합은 |a¡|+|a™|+|a£|+y+|a£º|
9(-3+21) =(a¡+a™+a£+y+a¡¶)-(a¡•+a¡ª+a™º+y+a£º)
=81 81 17(50+2) 13 {-1+(-37)} 제`18항부터 제`30항까지의 항수는
2 = - 30-18+1=13
2 2
=442+247=689 ⑤
0880 첫째항이 50, 제 n 항이 -10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n 항까지의 합이 220이므로
08 두 수 사이에 수를 넣어서 만든 등차수열의 합 본책 122쪽
n{50+(-10)}
=220, 20n=220 ∴ n=11
2
두 수 a, b 사이에 n개의 수를 넣어서 만든 등차수열의 합을 S라 하면
즉 a¡¡=-10이므로 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S는 첫째항이 a, 끝항이 b, 항수가 n+2인 등차수열의 합이다.
50+10d=-10, 10d=-60 ∴ d=-6 -6 (n+2)(a+b)
S=
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2
a«=50+(n-1)d=-10
∴ (n-1)d=-60 yy ㉠ 첫째항이 4, 끝항이 56, 항수가 n+2인 등차수열의 합이
0884
n{100+(n-1)d} 660이므로
S«= =220에 ㉠을 대입하면
2
(n+2)(4+56)
n(100-60) =660, n+2=22
=220 ∴ n=11 2
2
∴ n=20 ③
n=11을 ㉠에 대입하여 풀면 d=-6

0885 첫째항이 -3, 끝항이 33, 항수가 30인 등차수열의 합은


0881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30(-3+33)
=450
a£=a+2d=-4 yy ㉠ 2
a∞º-a¢º=10d=-30에서 따라서 -3+x¡+x™+x£+y+x™•+33=450이므로
d=-3 ⇢➊ x¡+x™+x£+y+x™•=450-(-3+33)=420 420

96 정답 및 풀이
본책 121~123 쪽

07
0886 10+a¡+a™+a£+y+an+(-24)=10-91-24 ㉠, ㉡을 연립하여 풀면 a=5, d=2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105 30{2¥5+(30-1)¥2}
∴ S£º= =1020 ④
즉 첫째항이 10, 끝항이 -24, 항수가 n+2인 등차수열의 합이 2
-105이므로
0890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n+2)(10-24)
=-105,수수n+2=15 5{2a+(5-1)d}
2 S∞= =160
2
∴ n=13 13
∴ a+2d=32 yy ㉠
15{2a+(15-1)d}
09 두 개 이상의 등차수열의 합 본책 122쪽 S¡∞= =630
2
∴ a+7d=42 yy ㉡
등차수열 {a«}의 공차가 d, 등차수열 {b«}의 공차가 d'이면
수열 {a«+b«}은 공차가 d+d'인 등차수열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28, d=2
∴ a§+a¶+a•+y+a¢º=S¢º-S∞
40{2¥28+(40-1)¥2}
∴ a§+a¶+a•+y+a¢º= -160
0887 등차수열 {a«}, {b«}의 공차를 각각 d, d'이라 하면 2
a¡+b¡=4, d+d'=2 ∴ a§+a¶+a•+y+a¢º=2680-160=2520 ③
∴ (a¡+a™+a£+y+a15)+(b¡+b™+b£+y+b15)
15(2a¡+14d) 15(2b¡+14d') 0891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이 1, 공차가 ;4!;이므로
= +
2 2 1
5[2¥1+(5-1)¥ ]
15{2(a¡+b¡)+14(d+d')} 4 15
= S∞= =
2 2 2
15(2¥4+14¥2) 1
= =270 ④ (n+3)[2¥1+(n+3-1)¥ ] (n+3)(n+10)
2 4
Sn+3= =
2 8
수열 {a«+b«}은 첫째항이 4,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1
(주어진 식)=(a¡+b¡)+(a™+b™)+y+(a¡∞+b¡∞) 2n[2¥1+(2n-1)¥ ] n(2n+7)
4
15 {2¥4+(15-1)¥2} S2n= =
(주어진 식)= =270 2 4
2 이때 S∞, Sn+3, S2n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Sn+3=S∞+S2n
10(a¡+a¡º) 10(b¡+b¡º)
0888 S¡º+T¡º=
2
+
2 2¥
(n+3)(n+10)
=
15
+
n(2n+7)
8 2 4
=5(a¡+a¡º)+5(b¡+b¡º)
n¤ +13n+30=30+2n¤ +7n
=5{(a¡+b¡)+(a¡º+b¡º)}
n¤ -6n=0,에서n(n-6)=0
=5{(a¡+b¡)+42}=160
∴ n=6 (∵ n은 자연수) ②
이므로므로(a¡+b¡)+42=32므로∴ a¡+b¡=-10 ①

11 등차수열의 합의 최대・최소 본책 123쪽


10 부분의 합이 주어진 등차수열 본책 123쪽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 첫째항부터 제 n 항까지의 합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을 S«이라 할 때
합을 S«이라 하면
① a˚>0, a˚≠¡<0
( S«=
n {2a+(n-1)d} 제(k+1) 항부터 음수 S«의 최댓값`: S˚
{
2
② a˚<0, a˚≠¡>0
9 S™«=
2n {2a+(2n-1)d}
제(k+1) 항부터 양수 S«의 최솟값`: S˚
` 2
두 식을 연립하여 a, d의 값을 구한다.

0892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 첫째항부터 제`n`항 a∞=a+4d=8 yy ㉠
0889
까지의 합을 S«이라 하면 a¡£=a+12d=-16 yy ㉡
10{2a+(10-1)d} ㉠, ㉡을 연립하여 풀면 a=20, d=-3
S¡º= =140 ∴ a«=20+(n-1)¥(-3)=-3n+23
2
∴ 2a+9d=28 yy ㉠ 23
-3n+23<0에서 n> =7.___
20{2a+(20-1)d} 3
S™º= =480 즉 수열 {a«}은 제 8항부터 음수이므로 첫째항부터 제`7`항까지의 합
2
∴ 2a+19d=48 yy ㉡ 이 최대이다.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97
이때 a¶=-3¥7+23=2이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a•=112+7d>0에서 d>-16
7(20+2) aª=112+8d<0에서 d<-14
S¶= =77 77
2 ∴ -16<d<-14
이때 d는 정수이므로 d=-15 -15

0893a«æ0에서 100'2-'6 næ0


100'2 100 100
∴ n… = = =57.___ 12 나머지가 같은 자연수의 합 본책 124쪽
'6 '3 1.73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57 항까지의 합이 최대이므로 ① 자연수 d의 양의 배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n=57 57 d, 2d, 3d, y
첫째항과 공차가 d인 등차수열
② 자연수 d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a (0…a<d)인 자연수를 작은
0894 주어진 등차수열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4(2a+3d) 10(2a+9d)
=24, =0 a, a+d, a+2d, y
2 2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2a+3d=12, 2a+9d=0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하하a=9, d=-2 ⇢➊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n 항까지의 합은 0897 10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1
n{2¥9+(n-1)¥(-2)} 인 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n¤ +10n
2 1, 4, 7, 10, y, 97, 100
=-(n-5)¤ +25 ⇢➋ 이때 100=1+3¥33에서 구하는 값은 첫째항이 1, 끝항이 100, 항
이므로 n=5일 때 최댓값 25를 갖는다. 수가 34인 등차수열의 합이므로 33=34-1

즉 p=5, q=25이므로 p+q=30 ⇢➌ 34(1+100)


=1717 ④
30 2

채점 기준표
➊ a, 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0898 100과 200 사이에 있는 7의 배수는
➋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40% 105, 112, 119, y, 196
➌ p+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이때 196=105+7¥13에서 구하는 값은 첫째항이 105, 끝항이
196, 항수가 14인 등차수열의 합이므로 13=14-1

14(105+196)
0895 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2107 ②
2
3 {2¥(-4)+2d}
S£= =3d-12
2
8 {2¥(-4)+7d} 0899 5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3의 배수는
S•= =28d-32
2 51, 54, 57, y, 99 yy ㉠
S£=S•에서 3d-12=28d-32 이때 99=51+3¥16이므로 ㉠은 첫째항이 51, 끝항이 99, 항수가
16=17-1
4 17인 등차수열이다.
25d=20 ∴ d=
5 17(51+99)
즉 그 합은 =1275 ⇢➊
4 4 24 2
∴ a«=-4+(n-1)¥ = n-
5 5 5 5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5의 배수는
4 24 55, 60, 65, y, 95 yy ㉡
n- >0에서 n>6
5 5 이때 95=55+5¥8이므로 ㉡은 첫째항이 55, 끝항이 95, 항수가 9
즉 수열 {a«}은 제`7`항부터 양수이므로 첫째항부터 제`6항까지의 합 인 등차수열이다. 8=9-1

이 최소이다. 9(55+95)
즉 그 합은 =675 ⇢➋
4 24 2
따라서 a§= ¥6- =0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5 5 한편 5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15의 배수는
6(-4+0) 60, 75, 90 yy ㉢
S§= =-12 ④
2
이므로 ㉢의 세 수의 합은
60+75+90=225 ⇢➌
0896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따라서 5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3 또는 5로 나누
a«=112+(n-1)d 어떨어지는 수의 총합은
이때 S•의 값이 임의의 S«의 값보다 크려면 a•>0, aª<0이어야 1275+675-225=1725 ⇢➍
한다. 1725

98 정답 및 풀이
본책 123~125 쪽

07
채점 기준표 0903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직각삼 P10 l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P9
➊ 5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3의 배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30% …
각형은 모두 합동이므로 P™ P£
빗변의 길이와 한 예각의 P¡
➋ 5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5의 배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30% P™Q™”-P¡Q¡” 10
크기가 각각 같다. …
➌ 5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15의 배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30% 6
=P£Q£”-P™Q™”
➍ 답을 구할 수 있다. 10% m
⋮ Q¡ Q™ Q£ … Qª Q10
=P¡ºQ¡º”-PªQª”
0900 4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3인 자연수를 작은 것부터 차 즉 P¡Q¡”, P™Q™””, y, P¡ºQ¡º”의 길이는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
례대로 나열하면 므로 이 수열의 공차를 d라 하면
3, 7, 11, 15, 19, 23, 27, 31, 35, 39, 43, 47, y P™Q™”=6+d, PªQª”=10-d
5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2인 자연수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8{(6+d)+(10-d)}
∴ P™Q™”+P£Q£”+P¢Q¢”+y+PªQª”=
나열하면 2
2, 7, 12, 17, 22, 27, 32, 37, 42, 47, y ∴ P™Q™”+P£Q£”+P¢Q¢”+y+PªQª”=64 ⑤
즉 {an}: 7, 27, 47, y에서 수열 {an}은 첫째항이 7이고 공차가 20 P¡Q¡”, P™Q™”, y, P¡ºQ¡º”의 길이는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
인 등차수열이므로 구하는 합은 4와 5의 최소공배수 을 이루므로
10{2¥7+(10-1)¥20} P¡Q¡”+P™Q™”+P£Q£”+y+PªQª”+P¡ºQ¡º”
=970 ①
2 10(6+10)
= =80
2
∴ P™Q™”+P£Q£”+y+PªQª”=80-(P¡Q¡”+P¡ºQ¡º”)
13 등차수열의 합의 활용 본책 124쪽
=80-(6+10)=64
차가 일정한 수들은 차례대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l, m 사이에 일 l m 등차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
a¡ 14 본책 125쪽
정한 간격으로 평행이 되도록 그은 선분의 a™
길이를 차례대로 a¡, a™, a£, y, a«이라 하 a£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주어진 경우
면 a¡, a™, a£, y, a«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 ⁄ n=1일 때, a¡=S¡

을 이룬다. an ¤ næ2일 때, a«=S«-S«–¡


임을 이용하여 일반항 a«을 구한다.
이때 제 k`항 (kæ2)은
0901 연속하는 20개의 자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a라 하면 S˚-S˚–¡=(a¡+a™+y+a˚–¡+a˚)-(a¡+a™+y+a˚–¡)=a˚
20개의 자연수는 첫째항이 a,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0 {2a+(20-1)¥1}
=530, 2a+19=53 0904 S«=n¤ +2n에서
2
2a=34 ∴ a=17 ⁄ n=1일 때,
따라서 구하는 가장 큰 수는는는17+19=36 ④
a¡=S¡=1¤ +2¥1=3
¤ næ2일 때,
an=Sn-Sn-1
0902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an=n¤ +2n-{(n-1)¤ +2(n-1)}
180°_(n-2)=180°_n-360° ⇢➊
an=2n+1 yy ㉠
첫째항이 40°, 공차가 20°, 항수가 n인 등차수열의 합은 이때 a¡=3은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n {2_40°+(n-1)_20°}
=10°_n¤ +30°_n ⇢➋ an=2n+1
2
따라서 a¡=3, a£=7, a∞=11, y, aªª=199이므로
따라서 10°_n¤ +30°_n=180°_n-360°이므로
a¡+a£+a∞+y+aªª는 첫째항이 3, 끝항이 199, 항수가 50인 등차
n¤ -15n+36=0, (n-3)(n-12)=0 199=3+(50-1)¥4
수열의 합과 같다.
∴ n=3 또는 n=12
50(3+199)
이때 n=12이면 가장 큰 내각의 크기가 40°+11_20°=260°이므 ∴ a¡+a£+a∞+y+aªª=
2
=5050 5050
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n=3 ⇢➌
0905 Sn=2n¤ +2n-4에서
3 ⁄ n=1일 때,
채점 기준표 ⁄ 일일a¡=S¡=2¥1¤ +2¥1-4=0
➊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을 알 수 있다. 20% ¤ næ2일 때,
➋ 등차수열의 합의 공식을 이용하여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을 구 ⁄ 일일an=Sn-Sn-1
40%
할 수 있다. =2n¤ +2n-4-{2(n-1)¤ +2(n-1)-4}
➌ 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4n yy ㉠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99
⁄, ¤에서서서a¡=0, an=4n`(næ2) ㉡÷㉠을 하면 r‹ =27 ∴ r=3
따라서 ak=4k=48에서서서k=12 ③
r=3을 ㉠에 대입하면 a=;3@;

따라서 an=;3@;¥3n-1이므로
0906 S«=2n¤ +12n이므로
a¢=S¢-S£
a§=;3@;¥3fi =162 ④
=(2¥4¤ +12¥4)-(2¥3¤ +12¥3)=26
a•=S•-S¶
3
=(2¥8¤ +12¥8)-(2¥7¤ +12¥7)=42 0910 an= 에서
42n-1
∴ a¢+a•=68 ①
3 3 3 3
S«=2n¤ +12n이므로 a¡= = , a™= =
4⁄ 4 4‹ 64
⁄ n=1일 때, a™ 3 3 1
∴ = ÷ =
⁄ a¡=S¡=2¥1¤ +12¥1=14 a¡ 64 4 16
¤ næ2일 때, 3 1
따라서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은 , 공비는 이다.
⁄ a«=S«-S«–¡ 4 16
=2n¤ +12n-{2(n-1)¤ +12(n-1)} 3 1
첫째항`: , 공비`:
4 16
=4n+10 yy ㉠
이때 a¡=14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등비수열 {a«}의 공비를 r라 하면
0911
a«=4n+10 a¡+a™+a£=6에서서서a¡+a¡r+a¡r¤ =6
∴ a¢+a•=(4¥4+10)+(4¥8+10)=68 ∴ a¡(1+r+r¤ )=6 yy ㉠
또 a¢+a∞+a§=48에서 a¡r‹ +a¡r› +a¡rfi =48
0907 S«=n¤ +kn+2, S'«=2n¤ -3n이라 하면 ∴ a¡r‹ (1+r+r¤ )=48 yy ㉡
a¡º=S¡º-Sª=(10¤ +10k+2)-(9¤ +9k+2)=19+k ㉡÷㉠을 하면 r‹ =8 ∴ r=2
b¡º=S'¡º-S'ª=(2¥10¤ -3¥10)-(2¥9¤ -3¥9)=35 6
이때 a¡º=b¡º이므로 r=2를 ㉠에 대입하면 a¡¥7=6 ∴ a¡=
7
19+k=35 ∴ k=16 16 ∴ a™+a¢+a§=a¡r+a¡r‹ +a¡rfi =a¡r(1+r¤ +r› )
6
∴ a™+a¢+a§= ¥2¥21=36 36
7
0908 Sn=n¤ -6n에서
⁄ n=1일 때,
0912 수열 {a«}은 등비수열이므로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S¡=1¤ -6¥1=-5
a™=ar=10 yy ㉠
¤ næ2일 때,
a¢=ar‹ =100 yy ㉡
an=Sn-Sn-1
㉡÷㉠을 하면 r¤ =10 ∴ r='∂10 (∵ r>0)
an=n¤ -6n-{(n-1)¤ -6(n-1)}
r='∂10을 ㉠에 대입하면 '∂10 a=10 ∴ a='∂10
an=2n-7 yy ㉠
n-1 n
이때 a¡=-5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따라서 a«='∂10¥('∂10) =('∂10) 이므로 a™«=10n
an=2n-7 ∴ a™ a¢a§ya™º=10⁄ ¥10¤ ¥10‹ ¥y¥10⁄ ‚
1…an…40에서 1…2n-7…40 =10 1+2+3+y+10=1055 10(1+10) =55 ①
2
8…2n…47 ∴ 4…n…23.5
따라서 자연수 n은 4, 5, 6, y, 23의 20개이다. ③ 0913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 a¡§ a¡¶ a£¢
= = =y= =r⁄ ‚
a∞ a§ a¶ a™¢
15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제``k``항 본책 126쪽 이므로 주어진 식의 값은
r⁄ ‚ +r⁄ ‚ +r⁄ ‚ +y+r⁄ ‚ =60
등비수열 {a«}에서 일반항 구하기
(
|
|
{
|
|
9

20개
⁄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고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 20r⁄ ‚ =60의의∴ r⁄ ‚ =3
운다.
a™∞
¤ ⁄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어 a, r의 값을 구한다. ∴ =r20=(r10)¤ =3¤ =9 9
a∞
n-1
‹ an=ar 에 a, r의 값을 대입하여 일반항을 구한다.

16 등비수열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항 본책 126쪽

0909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에서 제n 항이 k 이상이다.
a™=ar=2 yy ㉠ ar« —⁄ æk를 만족시키는 n의 값을 구한다.
a∞=ar› =54 yy ㉡

100 정답 및 풀이
본책 125~127 쪽

07
0914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0918 주어진 등비수열의 공비를 r`(r>0)라 하면 첫째항이 2, 제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a£=ar¤ =3 yy ㉠ `11`항이 64이므로
a∞=ar› =9 yy ㉡ 2¥r⁄ ‚ =64,진진r⁄ ‚ =32=2fi =('2`)⁄ ‚
㉡÷㉠을 하면 r¤ =3 ∴ r='3 (∵ r>0) ∴ r='2 (∵ r>0)
r='3 을 ㉠에 대입하면 3a=3 ∴ a=1 따라서 x¡=2'2, x™=2¥('2`)¤ , x£=2¥('2`)‹ , y, xª=2¥('2`)· 이
따라서 a«=1¥('3 )n-1=('3 )n-1이므로 a«¤ =3n-1 므로
a«¤ >1000, 즉 3n-1>1000에서 3fl =729, 3‡ =2187이므로 x¡x™x£yxª=2· `{'2¥('2`)¤ ¥('2`)‹ ¥y¥('2`)· }
n-1æ7 ∴ næ8 x¡x™x£yxª=2· ¥('2`)1+2+3+y+9
9(1+9)
=45
즉 구하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8이다. ③ x¡x™x£yxª=2· ¥('2`)› fi 2

∴ k=45 45

0915 등비수열 {a«}의 공비를 r라 하면


5 1 18 등비중항 본책 127쪽
a£=5 ¥r¤ = , r¤ =
4 4
0이 아닌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룬다.
1
∴ r= (∵ r>0) ⇢➊ b¤ =ac
2
1 « —⁄
따라서 a«=5 ¥{ } 이므로
2 x, x+12, 9x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0919
1 1
5 ¥{ }« —⁄ < (x+12)¤ =x¥9x, 8x¤ -24x-144=0
2 200
x¤ -3x-18=0, (x+3)(x-6)=0
1 « —⁄ 1 ∴ x=6 (∵ x>0) 6
{ } < , 2« —⁄ >1000
2 1000
이때 2· =512, 2⁄ ‚ =1024이므로
n-1æ10 ∴ næ11 ⇢➋ sin h, , cos 60°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6
0920 6
따라서 구하는 항은` 제``11`항이다. ⇢➌
'6 2 1
제`11`항 { } =sin h¥ ∴ sin h=;3!;
6 2
채점 기준표 1
∴ sin h+ =;3!;+3=:¡3º: ⑤
➊ r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sin h
➋ n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1 다항식 f(x)=x¤ +2x+a를 일차식 x+1, x-1, x-2로
➌ 처음으로
200
보다 작아지는 항이 제 몇 항인지 구할 수 있다. 20% 0921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각각
R¡=f(-1)=a-1, R™=f(1)=a+3, R£=f(2)=a+8
17 두 수 사이에 수를 넣어서 만든 등비수열 본책 126쪽 ⇢➊
따라서 a-1, a+3, a+8이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두 수 a, b 사이에 n개의 수를 넣어서 등비수열을 만들면
(a+3)¤ =(a-1)(a+8) ⇢➋
a는 첫째항이고, b는 제(n+2) 항이다.
b=ar n+1 (단, r는 공비)
a¤ +6a+9=a¤ +7a-8 ∴ a=17 ⇢➌
17

채점 기준표
0916 주어진 등비수열의 공비를 r (r>0)라 하면 첫째항이 2, 제
➊ R¡, R™, R£을 구할 수 있다. 40%
5항이 162이므로
➋ a에 대한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40%
2r› =162, r› =81
➌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 r=3 (∵ r>0)
따라서 a=6, b=18, c=54이므로
a+b+c=78 78 a b c a b c
0922 0.Ha= , 0.0Hb= , 0.00Hc= 에서 , ,
9 90 900 9 90 900
2 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0917 주어진 등비수열의 첫째항이 81, 공비가 , 제`(n+2)`항
3 b ¤ a c
{ }= ¥ ∴ b¤ =ac
90 9 900
128
이 이므로 이때 a, b, c는 서로 다른 한 자리 자연수이므로 순서쌍 (a, b, c)
27
2 n+1
128 2 n+1
2 ‡ 는
81¥{ } = ,가가{ } ={ }
3 27 3 3 (1, 2, 4), (1, 3, 9), (2, 4, 8), (4, 6, 9)
n+1=7이이∴ n=6 ④ 의 4개이다. 4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101


19 등차중항과 등비중항 본책 127쪽 20 등비수열을 이루는 수 본책 128쪽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는 세 수는 a, ar, ar¤ 으로 놓고 식을 세운다.


① 등차수열을 이룬다. 2b=a+c
② 등비수열을 이룬다. b¤ =ac
0926 세 실수를 a, ar, ar¤ 으로 놓으면
a+ar+ar¤ =7 ∴ a (1+r+r¤ )=7 yy ㉠
0923 2, a,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ar¥ar¤ =8 ∴ (ar)‹ =8 yy ㉡
a¤ =2b yy ㉠
㉡에서 ar=2 ∴ a=;r@;
a, b, 12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b=a+12 yy ㉡ a=;r@; 를 ㉠에 대입하면
㉠을 ㉡에 대입하면
a¤ =a+12, a¤ -a-12=0 ;r@; (1+r+r¤ )=7
(a+3)(a-4)=0 ∴ a=4 (∵ a>0) 양변에 r를 곱하여 정리하면
a=4를 ㉠에 대입하면 16=2b ∴ b=8 2r¤ -5r+2=0, (2r-1)(r-2)=0
∴ a+b=12 ②
∴ r=;2!; 또는 r=2

20, x-9, y+3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r=;2!;일 때 a=4, r=2일 때 a=1이므로 세 실수는 1, 2, 4이다.
0924
2(x-9)=20+(y+3) yy ㉠ ⇢➊ 따라서 가장 큰 수는 4이다. ⑤
x-9, y+3, 2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y+3)¤ =2(x-9) yy ㉡ ⇢➊
0927 삼차방정식의 세 실근을 a, ar, ar¤ 으로 놓으면 삼차방정식
㉠을 ㉡에 대입하면 (y+3)¤ =20+(y+3)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y¤ +5y-14=0, (y+7)(y-2)=0
a+ar+ar¤ =p
∴ y=2 (∵ y>0)
a¥ar+ar¥ar¤ +ar¤ ¥a=156 yy ㉠
y=2를 ㉠에 대입하면 2(x-9)=25
a¥ar¥ar¤ =216 yy ㉡
25 43 ㉡에서 (ar)‹ =216 ∴ ar=6
x-9= ∴ x= ⇢➋
2 2
㉠에서 ar(a+ar+ar¤ )=156이므로
∴ xy=43 ⇢➌
6p=156 ∴ p=26 26
43

채점 기준표
0928 네 자연수를 a, ar, ar¤ , ar‹` (a, r는 자연수, r>1)으로 놓
➊ x, y에 대한 식을 세울 수 있다. 40%
으면
➋ x, 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ar‹ …100
➌ 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100
⁄ r=2일 때, a… =12.5에서
8
1 1 1 ⁄ 으으a=1, 2, 3, y, 12
0925 , , 이 이 순서대로 조화수열을 이루므로 a, b, c
a b c 100
¤ r=3일 때, a… =3.×××에서
27
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 2b=a+c yy ㉠ ⁄ 으으a=1, 2, 3
b, a,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100
‹ r=4일 때, a… =1.5625에서
64
a¤ =bc yy ㉡
⁄ 으으a=1
또 세 수의 곱이 27이므로 abc=27 yy ㉢
› ræ5일 때, ar‹ …10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는 존재하지 않는
㉡을 ㉢에 대입하면 a‹ =27 ∴ a=3
다.
a=3을 ㉠에 대입하면 2b=3+c, 즉 c=2b-3
이상에서 구하는 경우는
이것을 ㉡에 대입하면
12+3+1=16`(가지) 16가지
9=b(2b-3), 2b¤ -3b-9=0

(2b+3)(b-3)=0 ∴ b=-;2#; 또는 b=3


21 등비수열과 도형 본책 128쪽

그런데 a+b이므로 b=-;2#;, c=-6


도형의 길이, 넓이, 부피 등이 일정한 비율로 변할 때
c=2¥{-;2#;}-3=-6
처음 몇 개의 항을 나열하여 규칙성을 파악한다.
∴ a+2b+3c=3+2¥ {-;2#;}+3¥(-6)=-18 ③

102 정답 및 풀이
본책 127~129 쪽

07
0929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P¡P™” 1
cos 4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0932 = 이므로
'3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삼각형의 넓이 S는 OP¡” '2
¥4¤ =4'3
4 S=
'3
4
a¤ 1 1
P¡P™”= OP¡”=
1회 시행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2 '2
3 1 1 ¤
4'3¥ P™P£”= P¡P™”={ }
4 '2 '2
2회 시행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
1 n
4'3¥;4#;¥;4#;=4'3¥{;4#;}2 ∴ PnPn+1”={ }
'2
1 n 1 1 ¤ 1
⋮ { } ={ }1 0 =[{ } ]1 0 ={ }2 0 에서 n=20
n회 시행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2 2 '2 '2
따라서 구하는 선분은 P™ºP™¡”이다. ④
4'3 ¥{;4#;}n

따라서 10회 시행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22 등비수열의 활용 본책 129쪽

4'3¥{;4#;}1 0 ③
처음의 양을 a, 매시간(또는 매년) 일정한 증가율을 r라 하면
n시간(또는 n년) 후의 양은 a(1+r)«

0930 주어진 정사각형의 넓이가 8이므로 한 변의 길이는


'8=2'2 0933 2016년 1월의 회원 수를 a라 하고 매월 회원 수의 증가율을
첫 번째 그린 정사각형 T¡의 한 변의 길이는 r라 하자.
2016년 1월로부터 n개월 후의 회원 수는
"√('2 )¤ +('2 )¤ =2
a(1+r)n
두 번째 그린 정사각형 T™의 한 변의 길이는
5개월 후인 6월의 회원 수가 1월의 회원 수의 3배이므로
"√1¤ +1¤ ='2
a(1+r)fi =3a의의∴ (1+r)fi =3
세 번째 그린 정사각형 T£의 한 변의 길이는
10개월 후인 11월의 회원 수가 a(1+r)⁄ ‚ 이므로 5개월 동안 증가한
æ≠{ '2 }2 +{ '2 }2 =1 ⇢➊ 회원 수는
2 2
a(1+r)⁄ ‚ -a(1+r)fi =a(1+r)fi {(1+r)fi -1}
⋮ =3a(3-1)=6a=24000
따라서 n번째 그린 정사각형 T«의 한 변의 길이는 ∴ a=4000
'2 n-1 따라서 2016년 1월의 회원 수는 4000명이다. ④
2¥{ } ⇢➋
2
'2
∴ a= ⇢➌ 0934 처음 빛의 양을 A라 하면 n장의 유리를 통과한 후의 빛의
2
n
'2 양은 A{;5$;} 이므로 두 장의 유리를 통과한 후의 빛의 양은
2
64
A¥{;5$;}2 =A¥;2!5^;=A¥
채점 기준표 100
➊ 정사각형 T¡, T™, T£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50% 따라서 두 장의 유리를 통과한 후의 빛의 양은 처음 빛의 양의 64 %
➋ 정사각형 Tn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40% 이다. 64 %
➌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0935 처음 식염수의 농도를 a라 하면 A, B가 p번, q번 반복하


여 얻은 식염수의 농도는 각각
한 번 시행할 때마다 가지고 있던 식염수의
0931 한 변의 길이가 3인 정사각형의 넓이가 9이므로 1 p 1 q
a{ } , a{ } ;4!;만 남기고 물을 넣으므로 한 번 시행할 ⇢➊
2 4
때마다 농도는 ;4!;배가 된다.
첫 번째 시행 후 남아 있는 도형의 넓이는넓이9¥;9*;=8
1 p 1 q 1 2q
a{ } =a { } =a { } 에서 p=2q
2 4 2
두 번째 시행 후 남아 있는 도형의 넓이는 8¥;9*;
∴ p : q=2 : 1 ⇢➋
⋮ 2:1
n-1
n번째 시행 후 남아 있는 도형의 넓이는 8¥{;9*;} 채점 기준표
따라서 20번째 시행 후 남아 있는 도형의 넓이는 ➊ A, B가 각각 p번, q번 시행을 반복하여 얻은 식염수의 농도를 구
50%
20-1 20 60 할 수 있다.
8 (2‹ )¤ ‚ 2
8¥{;9*;} = 19 = = 38 ② ➋ p : q를 가장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50%
9 (3¤ )⁄ · 3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103


등비수열의 합 따라서 a¡¤ +a™¤ +a£¤ +y+a¡º¤ 은 첫째항이 a¡¤ =9, 공비가 r¤ =2
23 본책 129쪽
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첫째항 a와 공비 r의 값을 구한다. 9(2⁄ ‚ -1)
a¡¤ +a™¤ +a£¤ +y+a¡º¤ = =9(2⁄ ‚ -1) ④
a(r« -1) 2-1
¤ S«= 에 a, r의 값을 대입한다. (단, r+1)
r-1

0941 주어진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은


0936 일반항이 a«=22n-1이므로 3+33+333+y+33y3

[
a¡=2, a™=2‹ , a£=2fi , y, a¡º=2⁄ · 10개
1
따라서 수열 {a«}은 첫째항이 2,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므로 = (9+99+999+y+99y9)
3

[
10개
2(4⁄ ‚ -1) 2(2¤ ‚ -1) 1
a¡+a™+a£+y+a¡º= = = {(10-1)+(10¤ -1)+(10‹ -1)+y+(10⁄ ‚ -1)}
4-1 3 3
2¤ ⁄ -2 1
a¡+a™+a£+y+a¡º= = {(10+10¤ +10‹ +y+10⁄ ‚ )-10}
3 3
∴ p=21 21 1
= (10¤ +10‹ +y+10⁄ ‚ )
3

0937 주어진 수열은 첫째항이 -2,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1 100(10· -1)
= ¥
3 10-1
-2 {1-(-3)« } 1
S«= =- {1-(-3)« } 100
1-(-3) 2 = (10· -1) ④
27
1
S˚=364에서 - {1-(-3)˚ }=364
2
1-(-3)˚ =-728, (-3)˚ =729=(-3)fl 24 부분의 합이 주어진 등비수열 본책 130쪽
∴ k=6 6
a(r« -1) a(r¤ « -1) a(r« -1)(r« +1)
S«= 에서 S™«= =
r-1 r-1 r-1
0938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S™«÷S«=r« +1`(단, r+1)
a™+a¢=ar+ar‹ =10 yy ㉠
a¢+a§=ar‹ +arfi =r¤ (ar+ar‹ )=40 yy ㉡
0942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을 하면 r¤ =4 ∴ r=2 (∵ r>0)
a(r« -1)
r=2를 ㉠에 대입하면 2a+8a=10 ∴ a=1 S«= =30 yy ㉠
r-1
따라서 주어진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은
a(r¤ « -1) a(r« -1)(r« +1)
1¥(2⁄ ‚ -1) S™«= = =50 yy ㉡
=2⁄ ‚ -1=1023 1023 r-1 r-1
2-1
㉡÷㉠을 하면

0939 주어진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20`항까지의 합은 r« +1=;3%; ∴ r« =;3@;


1 1 1 1 a(r‹ « -1) a(r« -1)(r¤ « +r« +1)
{1+ }+{2+ }+{3+
3 9 27
}+y+{20+
3¤ ‚
} ∴ S£«= =
r-1 r-1
1 1 1 1 a(r« -1)
=(1+2+3+y+20)+{ + + +y+ } ∴ S£«=30[{;3@;}2 +;3@;+⁄] =
r-1
¥(r2n+rn+1)=S«(r2n+rn+1)
3 3¤ 3‹ 3¤ ‚
1 1 ¤‚ 190 190
20(1+20) 3
[1-{ } ]
3 ∴ S£«=30¥;;¡9ª;;=
= + 3 3
2 1
1-
3
1 1 ¤‚ 0943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210+ [1-{ } ]
2 3 a(r‹ -1)
=21 yy ㉠
421 1 1 ¤‚ r-1
= - ¥{ } ④
2 2 3 a(rfl -1) a(r‹ -1)(r‹ +1)
= =-147 yy ㉡
r-1 r-1
0940 등비수열 {a«}의 공비를 r라 하면 ㉡÷㉠을 하면 r‹ +1=-7, r‹ =-8
a£=a¡r¤ =6 yy ㉠ ∴ r=-2
a¶=a¡rfl =24 yy ㉡ r=-2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을 하면 r› =4 3a=21 ∴ a=7
r는 실수이므로 r¤ =2 따라서 a«=7¥(-2)« —⁄ 이므로
r¤ =2를 ㉠에 대입하면 2a¡=6 ∴ a¡=3 a∞=7¥(-2)› =112 ⑤

104 정답 및 풀이
본책 129~131 쪽

07
0944 등비수열 {a«}의 공비를 r라 하면 0947 2016년에 감염된 환자 수를 a라 하고, 매년 에이즈에 감염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a¡(r⁄ ‚ -1) 되는 환자 수가 전년도에 감염된 환자 수의 r배라 하면 2016년부터
a¡+a™+a£+y+a¡º= =12 yy ㉠
r-1 2035년까지 발생하는 환자 수는
수열 a¡, a£, a∞, y의 공비는 r¤ 이므로 a(1-r¤ ‚ )
a+ar+y+ar⁄ · = =500000 yy ㉠
a¡{(r¤ )fi -1} 1-r
a¡+a£+a∞+a¶+aª=
r¤ -1 또 2026년부터 2035년까지 발생하는 환자 수는
a¡(r⁄ ‚ -1) ar⁄ ‚ (1-r⁄ ‚ )
a¡+a£+a∞+a¶+aª= =8 yy ㉡ ar⁄ ‚ +ar⁄ ⁄ +y+ar⁄ · = =100000 yy ㉡
r¤ -1 1-r
r¤ -1 3 (r-1)(r+1) 3 ㉠÷㉡을 하면
㉠÷㉡을 하면 = ,하하 =
r-1 2 r-1 2 (1+r⁄ ‚ )(1-r⁄ ‚ )
1-r¤ ‚
= =5
3 1 r⁄ ‚ (1-r⁄ ‚ ) r⁄ ‚ (1-r⁄ ‚ )
r+1= ∴ r= ;2!;
2 2
1+r⁄ ‚
=5, 1+r⁄ ‚ =5r⁄ ‚ ∴ r⁄ ‚ =;4!;
r⁄ ‚
0945 등비수열 {a«}의 공비를 r라 하면 따라서 2036년에 발생하는 환자 수는
a™+a¢+a§+y+a™˚ ar¤ ‚ =a(r⁄ ‚ )¤ =a¥{;4!;}2 =;1¡6;a
=r+r‹ +rfi +y+r2k-1
r{(r¤ )˚˚ -1} r(r¤ ˚ -1) 이므로 2016년에 발생한 환자 수의 ;1¡6;배이다. ⑤
= = =170 yy ㉠ ⇢➊
r¤ -1 r¤ -1
a¡+a£+a∞+y+a™˚–¡
=1+r¤ +r› +y+r¤ ˚ —¤` 0948 ;8$;+;8!;_1.1+;8!;_1.1¤ +y+;8!;_1.1fl
1¥{(r¤ )˚˚ -1} r¤ ˚ -1
= = =85 yy ㉡ ⇢➋ ;8!;_1.1_(1.1fl -1)
r¤ -1 r¤ -1
=;2!;+
㉠÷㉡을 하면 r=2 ⇢➌ 1.1-1
4˚ -1 ;8!;_1.1_0.8
r=2를 ㉡에 대입하면 =85
4-1 =;2!;+ =;5*;
0.1 ;5*;_60=96`(분)
4˚ -1=255, 4˚ =256=4› ∴ k=4 ⇢➍
4 따라서 완주하는 데 걸린 시간은 ;5*;시간, 즉 1시간 36분이다. ④

채점 기준표
➊ a™+a¢+y+a2k를 r, k로 나타낼 수 있다. 30% 26 등비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 본책 131쪽

➋ a¡+a£+y+a2k-1을 r, k로 나타낼 수 있다. 30%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S«=p¥r« +q일 때
➌ r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a¡=S¡
➍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a«=S«-S«–¡=(p¥r« +q)-(p¥r« —⁄ +q)
=p¥r« —⁄ (r-1) (næ2)
1 수열 {a«}은 공비가 r인 등비수열
0946 수열 {an}이 등비수열이므로 수열 [ a ]도 등비수열이다.
n

1
등비수열 [ a ]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0949 S«=2¥3 +k에서
n+1
n

a(r‹ -1) 1 ⁄ n=1일 때,


S£= = yy ㉠ a¡=S¡=2¥3¤ +k=18+k yy ㉠
r-1 27
a(rfl -1) a(r‹ -1)(r‹ +1) ¤ næ2일 때,
S§= = =3 yy ㉡
a«=S«-Sn-1=2¥3 +k-(2¥3n+k)
n+1
r-1 r-1
n+1 n
3 =3¥3
㉡÷㉠을 하면면면r‹ +1=81면면∴ r‹ =80 a«=2¥3« (3-1)=4¥3n yy ㉡
a(r⁄ ¤ -1) a(rfl -1)(rfl +1) 이때 이 수열이 첫째항부터 등비수열을 이루려면 ㉡에 n=1을 대입
∴ S¡™= =
r-1 r-1 한 것과 ㉠이 같아야 하므로 4¥3=12

∴ S¡™=3¥(80¤ +1)=19203 19203 12=18+k ∴ k=-6 -6

25 등비수열의 합의 활용 본책 131쪽 0950 ㄱ. a¡=S¡=5⁄ -2=3


a£=S£-S™=5‹ -2-(5¤ -2)=5‹ -5¤ =100
처음의 양을 a, 매시간(또는 매년) 일정한 증가율을 r라 하면 ㄴ. 에서∴ a¡+a£=103
a(1-r« )
a+ar+ar¤ +y+ar« —⁄ =k ∴ =k ㄴ. an=Sn-Sn-1=5n-2-(5n-1-2)
1-r
=5n-1(5-1)=4¥5n-1 (næ2) yy ㉠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105


ㄴ. 이때 a¡=3은 ㉠에 n=1을 대입한 것과 다르므로 원리합계; 적립
27 본책 132쪽
ㄴ. 에서a¡=3, an=4¥5n-1 (næ2)
ㄷ. 수열 {an}은 둘째항부터 공비가 5인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수열 ① 연이율 r의 복리로 매년 초에 a원씩 n년 동안 적립할 때, n년 말
{a2n}은 첫째항이 a™=4¥52-1=20, 공비가 5¤ =25인 등비수열이 의 원리합계 S«은
다. S«=a(1+r)« +a(1+r)« —⁄ +y+a(1+r)
a(1+r){(1+r)« -1}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S«= `(원)
r
② 연이율 r의 복리로 매년 말에 a원씩 n년 동안 적립할 때, n년 말
0951 S«+100=10n+2에서 S«=10n+2-100 의 원리합계 S«은
⁄ n=1일 때, S«=a(1+r)« —⁄ +a(1+r)« —¤ +y+a
a¡=S¡=10‹ -100=900 a{(1+r)« -1}
S«= `(원)
¤ næ2일 때, r

a«=S«-S«-1=10n+2-100-(10n+1-100)
a«=10n+1(10-1)=9¥10n+1 yy ㉠ 0954 매년 초에 적립하는 금액을 a만 원이라 하면 3년 후의 원리
이때 a¡=900은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합계는
a«=9¥10n+1
1+1
9¥10 =900
a(1+0.05)+a(1+0.05)¤ +a(1+0.05)‹
따라서 p=9, q=10이므로로로p-q=-1 ② a_1.05(1.05‹ -1) a_1.05(1.16-1)
= =
1.05-1 0.05
=3.36a`(만 원)
0952 S«=2« ±⁄ -2에서
이때 3.36a=420이어야 하므로로로a=125`
⁄ n=1일 때,
따라서 매년 초에 125만 원씩 적립해야 한다. ④
⁄ a¡=S¡=2¤ -2=2 ⇢➊
¤ næ2일 때,
⁄ a«=S«-S«–¡=2« ±⁄ -2-(2« -2) 0955 지우와 민석이가 각각 10년 후, 5년 후에 받는 금액을 A만
⁄ a«=2« `(2-1)=2n yy ㉠ ⇢➋ 원, B만 원이라 하면
이때 a¡=2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A=10(1+0.03)+10(1+0.03)¤ +y+10(1+0.03)⁄ ‚
a«=2« ⇢➌ 10_1.03(1.03⁄ ‚ -1)
A=
∴ a¡+a£+a∞+a¶+aª=2+2‹ +2fi +2‡ +2· 1.03-1
2 {(2¤ )fi -1} 1030(1.03⁄ ‚ -1)
∴ a¡+a£+a∞+y+aª= =682 ⇢➍ A=
2¤ -1 3
682 B=20(1+0.03)+20(1+0.03)¤ +y+20(1+0.03)fi
20_1.03(1.03fi -1)
채점 기준표 A=
1.03-1
➊ a¡을 구할 수 있다. 10%
2060(1.03fi -1)
➋ næ2일 때, an을 구할 수 있다. 30% A=
3 (1.03fi -1)(1.03fi +1)
➌ an을 구할 수 있다. 20%
A 1030(1.03⁄ ‚ -1) 3
➍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 = _
B 3 2060(1.03fi -1)
1.03fi +1 1.16+1
∴ = = =1.08
Sn=pn+q에서 2 2
0953
⁄ n=1일 때, 따라서 지우가 받는 금액은 민석이가 받는 금액의 1.08배이다.
⁄ a¡=S¡=p+q ④
¤ næ2일 때,
⁄ an=Sn-Sn-1=pn+q-(pn-1+q)=(p-1)pn-1
0956 매년 초에 적립하는 금액의 원리합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이때 등비수열 {an}의 공비가 4이므로므로p=4 ⇢➊ 다음과 같다.
또 수열 {an}이 첫째항부터 등비수열을 이루려면
2016 2017 2018 2025 2025
므로p+q=p-1므로∴ q=-1 ⇢➋ 1 1 1 1 1 1 … 1 1 12 31
∴ p¤ +q¤ =4¤ +(-1)¤ =17 ⇢➌
10
17 5\10^ 5\10^\1.1!)
9
5\10^\1.1 5\10^\1.1!)
채점 기준표

➊ p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2
5\10^\1.1* 5\10^\1.1!)
➋ 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1
➌ p¤ +q¤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5\10^\1.1( 5\10^\1.1!)

106 정답 및 풀이
본책 131~133 쪽

07
따라서 2025년 12월 31일까지 적립한 금액의 원리합계는 1400=40a야야∴ a=3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5_10fl _1.1⁄ ‚ _10=5_1.1⁄ ‚ _10‡ 따라서 매달 35만 원씩 갚아야 한다. ⇢➌
=5_2.6_10‡ 35만 원
=13_10‡ (원) 1억 3천만 원 채점 기준표
➊ 1000만 원의 36개월 후의 원리합계를 구할 수 있다. 40%
➋ 매달 갚는 금액의 36개월 후의 원리합계를 구할 수 있다. 40%
28 원리합계; 상환・연금 본책 132쪽
➌ 매달 갚아야 하는 금액을 구할 수 있다. 20%

① A원을 n년에 걸쳐 상환할 때


(A원의 n년 후의 원리합계)
=(n년 동안 상환한 금액의 원리합계)
0960 수열 {a«}이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이면
a™-a¡=a£-a™=y=a«-a«–¡=d임을 이용한다.
② a원씩 n년 동안 받는 연금을 일시불로 받을 때
(a원씩 n년 동안 적립한 금액의 원리합계) 1 1 1
+ +y+
=(일시불로 받은 금액의 n년 후의 원리합계) 'aå¡ +'aå™ 'aå™ +'aå£ '∂a¡™+'∂a¡£ 유리화한다.
'aå™ -'aå¡ 'aå£ -'aå™ '∂a¡£-'∂a¡™
= + +y+
a™-a¡ a£-a™ a¡£-a¡™
0957 이달 말부터 a만 원씩 갚는다고 하면 갚는 금액의 12개월 이때 수열 {a«}은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후의 원리합계는
a™-a¡=a£-a™=y=a¡£-a¡™=2
a+a_1.015+y+a_1.015⁄ ⁄
'aå™ -'aå¡ 'aå£ -'aå™
a(1.015⁄ ¤ -1) a(1.2-1) ∴ (주어진 식)= +
= = 2 2
1.015-1 0.015
'∂a¡£-'∂a¡™
40 ∴ (주어진 식)=+y+
= a`(만 원) yy ㉠ 2
3
'∂a¡£-'aå¡
한편 20만 원의 12개월 후의 원리합계는 ∴ (주어진 식)=
2
20_1.015⁄ ¤ =20_1.2=24`(만 원) yy ㉡ a¡£=1+12¥2=25이므로 주어진 식의 값은
㉠과 ㉡이 같아야 하므로 '2å5-'1
40 =2 2
a=24하하∴ a=1.8 2
3
따라서 매달 18000원씩 갚아야 한다. ③
0961 점 Pn의 x좌표와 y좌표의 규칙을 각각 찾아본다.
점 Pn의 x좌표를 차례대로 나열하면
0958 매년 말에 500만 원씩 10년 동안 연이율 5 %의 복리로 적 5, 2, -1, -4, y
립한 금액의 원리합계는 즉 첫째항이 5,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므로 그 일반항은
500+500_1.05+y+500_1.05· 5+(n-1)¥(-3)=-3n+8
500(1.05⁄ ‚ -1) 500(1.63-1) ∴ a=-3¥30+8=-82
= =
1.05-1 0.05 점 Pn의 y좌표를 차례대로 나열하면
=6300`(만 원) yy ㉠ -3, -1, 1, 3, y
올해 초에 한꺼번에 연금 a만 원을 받는다고 하면 a만 원의 10년 후 즉 첫째항이 -3,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그 일반항은
의 원리합계는 -3+(n-1)¥2=2n-5
a_1.05⁄ ‚ =1.63a`(만 원) yy ㉡ ∴ b=2¥30-5=55
㉠과 ㉡이 같아야 하므로 6300=1.63a ∴ a+b=-27 -27
6300
∴ a= =3865.03×××?3865
1.63
따라서 한꺼번에 받으면 약 3865만 원을 받는다. ② 0962 2a«≠¡=a«+a«≠™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한다.
수열 {a«}이 등차수열이므로 세 수 a«, a«≠¡, a«≠™는 이 순서
0959 갚아야 할 1000만 원의 36개월 후의 원리합계는 대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1000_1.01‹ fl =1000_1.4=1400`(만 원) yy ㉠ ⇢➊ ∴ 2a«≠¡=a«+a«≠™ yy ㉠
매달 a만 원씩 갚는다고 하면 갚는 금액의 36개월 후의 원리합계는 ㉠을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a+a_1.01+y+a_1.01‹ fi a« x¤ -(a«+a«≠™)x+a«≠™=0
a(1.01‹ fl -1) a(1.4-1) a«≠™
= = (x-1)(a« x-a«≠™)=0대대∴ x=1 또는 x=
1.01-1 0.01 a«
=40a`(만 원) yy ㉡ ⇢➋ a«≠™
㉠과 ㉡이 같아야 하므로 그런데 b«+1이므로 b«=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107


11+1
a«≠™ k+1>0이므로
= 1111 =
b«+1 a« a«≠™+a« 2a«≠¡
∴ = (∵ ㉠) 60
11-1
b«-1 a«≠™ a«≠™-a« a«≠™-a« (2m+k-2)d=60므므∴ 2m+k=2+
d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 k가 존재하려면 d는 60의 양의
이때 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약수이어야 한다.
b«+1 2(a¡+nd)
= 이때 60=2¤ ¥3¥5이므로 구하는 d의 개수는
b«-1 {a¡+(n+1)d}-{a¡+(n-1)d}
3¥2¥2=12 ②
2a¡+2nd a¡
= =n+
2d d
a¡ 0965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
={ +1}+(n-1)¥1 n{2a+(n-1)d}
d
항까지의 합 Sn은 Sn= 임을 이용한다.
b«+1 2
따라서 등차수열 [ ]의 공차는 1이다. ④
b«-1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이 a이고 공차가 -4이므로
n{2a+(n-1)¥(-4)}
Sn= =-2n¤ +(a+2)n
2
0963 등차수열을 이루는 세 수를 a-d, a, a+d로 놓는다.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Sn<200이어야 하므로
두 곡선 y=x‹ +a¤ x+2a, y=6x¤ +8의 세 교점의 x좌표는
-2n¤ +(a+2)n<200,이때2n¤ +200>(a+2)n
방정식
x‹ +a¤ x+2a=6x¤ +8, 즉 x‹ -6x¤ +a¤ x+2(a-4)=0 200
2n+ >a+2`(∵ n>0) yy ㉠
n
의 세 실근과 같다.
이때 n>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이 방정식의 세 실근을 a-d, a, a+d로 놓으면 삼차방정식의 근
200 200
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n+ æ2æ≠2n¥ =2¥20=40
n n
(a-d)+a+(a+d)=6 yy ㉠
(단, 등호는 n=10일 때 성립)
(a-d)a+a(a+d)+(a+d)(a-d)=a¤ yy ㉡
따라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하려면
(a-d)a(a+d)=-2(a-4) yy ㉢
a+2<40, 즉 a<38
㉠에서 3a=6 ∴ a=2
이어야 하므로 구하는 자연수 a의 최댓값은 37이다. 37
a=2를 ㉡에 대입하면
(2-d)¥2+2(2+d)+(2+d)(2-d)=a¤
∴ 12-d¤ =a¤ yy ㉣
0966 두 수열 {a«}, {b«}이 등차수열이면 수열 {a«-b«}도 등
차수열임을 이용한다.
a=2를 ㉢에 대입하면
두 등차수열 {a«}, {b«}의 공차를 각각 d, d'이라 하면 수열
(2-d)¥2¥(2+d)=-2(a-4)
{a«-b«}은 첫째항이 a¡-b¡, 공차가 d-d'인 등차수열이고
∴ a=d¤ yy ㉤
S¡º-S'¡º=(a¡+a™+y+a¡º)-(b¡+b™+y+b¡º)
㉤을 ㉣에 대입하면 12-d¤ =d›
=(a¡-b¡)+(a™-b™)+y+(a¡º-b¡º)
d› +d¤ -12=0, (d¤ +4)(d¤ -3)=0
에서 S¡º-S'¡º은 수열 {a«-b«}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과
d¤ +4>0이므로 d¤ =3 ∴ d='3 (∵ d>0) ②
같다.
10{2(a¡-b¡)+9(d-d')}
즉 =40이므로
2
함수의 그래프와 방정식의 해
①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방정식
9(d-d')=-72 ∴ d-d'=-8
f(x)=0의 실근과 같다. ∴ |a™º-b™º|=|40+19¥(-8)|=112 112
②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방정식 an=a¡+(n-1)d, bn=b¡+(n-1)d'이므로
f(x)=g(x), 즉 f(x)-g(x)=0의 실근과 같다. an-bn=(a¡-b¡)+(n-1)(d-d')

0967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


0964 수열 {an}의 일반항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m, k, d
항까지의 합 S«은 S«=
n{2a+(n-1)d}
임을 이용한다.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2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이 30이고 공차가 -d이므로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n=30+(n-1)¥(-d)=30-(n-1)d 10(2a+9d)
S¡º= =430
∴ am+am+1+am+2+y+am+k 2
(k+1){30-(m-1)d+30-(m+k-1)d} ∴ 2a+9d=86 yy ㉠
= 20(2a+19d)
2
S™º= =660
(k+1){60-(2m+k-2)d} 2
= =0 ∴ 2a+19d=66 yy ㉡
2

108 정답 및 풀이
본책 133~134 쪽

07
㉠, ㉡을 연립하여 풀면 a=52, d=-2 0970 N=p¬ ¥qμ (p, q는 서로 다른 소수, l, m은 자연수)일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 a«=52+(n-1)¥(-2)=-2n+54 때, N의 양의 약수의 총합은 (1+p+y+p¬ )(1+q+y+qμ )임을
따라서 a™«=-4n+54=50+(n-1)¥(-4)에서 수열 {a™«}은 첫 이용한다.
째항이 50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ab=2⁄ ‚ ¥3⁄ ‚ 의 양의 약수의 총합은
n {2¥50+(n-1)¥(-4)} (1+2⁄ +y+2⁄ ‚ )(1+3⁄ +y+3⁄ ‚ )
|a™+a¢+a§+y+a™«|=| |
2
1¥(2⁄ ⁄ -1) 1¥(3⁄ ⁄ -1) 3⁄ ⁄ -1
|a™+a¢+a§+y+a™«|=|-2n¤ +52n| `````= ¥ =(2⁄ ⁄ -1)¥
2-1 3-1 2
-2n¤ +52n=0에서 n(n-26)=0
`````=;2!;(2¥2⁄ ‚ -1)(3¥3⁄ ‚ -1)=;2!;(2a-1)(3b-1) ①
∴ n=26 (∵ n은 자연수)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값은 26이다. 26
|k|æ0이므로 |k|가 최소가 되는 것은 k=0일 때이다.
0971 1회, 2회, 3회, y의 시행에서 그려진 모든 원의 개수
를 차례대로 구하여 규칙을 찾는다.
n회까지의 시행에서 그려진 모든 원의 개수를 a«이라 하면
0968 b«=2a«임을 이용하여 조건 ㈏`에서 수열 {a«}의 공차를
a¡=4
구한다.
a™=4+4¥4=4+4¤
b«=2a«이므로 조건 ㈏에서
a£=4+4¤ +4¥4¤ =4+4¤ +4‹
2a¡=;1¡6; ¥2a∞, 16¥2a¡=2a∞ a¢=4+4¤ +4‹ +4¥4‹ =4+4¤ +4‹ +4›
2› ¥2a¡=2a¡+4=2a∞
즉 a¡+4=a∞이므로 a∞-a¡=4 ⋮
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 a¡º=4+4¤ +4‹ +y+4⁄ ‚
(a¡+4d)-a¡=4 4(4⁄ ‚ -1) 4⁄ ⁄ -4
∴ a¡º= = ③
4-1 3
4d=4 ∴ d=1
따라서 a«=a¡+(n-1)¥ 1이므로 조건 ㈎에서
2a¡+2a™+2a£+2a¢+2a∞=124 0972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수열 {a2n-1}의 일반항을 구하
2a¡+2a¡+1+2a¡+2+2a¡+3+2a¡+4=124 고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를 이용한다.
2a¡(1+2⁄ +2¤ +2‹ +2› )=124 수열 {a2n-1}은 첫째항이 a¡=1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
1¥(2fi -1) 므로
2a¡¥ =124
2-1 a2n-1=2n-1
2a¡=4 ∴ a¡=2 수열 {S2n-1}은 첫째항이 S¡=a¡=1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
∴ aª=a¡+8d=2+8=10 10 므로
S2n-1=(-2)n-1
이때 S¡¶-S¡∞=a¡§+a¡¶이므로
1 ·· a¡§=S¡¶-S¡∞-a¡¶
0969 a¡ºº=a¥{
3 이
} 자연수임을 이용하여 a를 3의 거듭
=(-2)° -(-2)‡ -2°
제곱으로 나타낸다.
=2° +2‡ -2°
1 =128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이 a`(a>0), 공비가 이므로 128
3
1 n-1
an=a¥{ }
3 공비가 1보다 작으므로로a >a 0973 (2006+n)년 초에 통장에 남아 있는 금액을 a«원이
n n+1

1 라 하고 a¡º의 값을 구한다.
an>an+1이고 a¡ºº=a¥{ }· · 이 자연수인 항 중에서 가장 작은 항이
3 (2006+n)년 초에 통장에 남아 있는 금액을 a«원이라 하면
므로 3과 서로소인 자연수 k에 대하여 a=3· · ¥k로 놓을 수 있다. a¡=10° _1.05-10‡
1 n-1 a™=a¡_1.05-10‡ =10° _1.05¤ -10‡ (1.05+1)
즉 an=3· · ¥k¥{ } 에서 자연수인 항은 a¡, a™, a£, y, a¡ºº이므로
3
a£=a™_1.05-10‡ =10° _1.05‹ -10‡ (1.05¤ +1.05+1)
S=a¡+a™+a£+y+a¡ºº

1 ⁄‚‚ ∴ a¡º=aª_1.05-10‡
a[1-{ } ]
3 1
S= =;2#;a[1-{ }⁄ ‚ ‚ ] ∴ a¡º=10° _1.05⁄ ‚ -10‡ (1.05· +y+1.05+1)
1 3
1-
3 1.05⁄ ‚ -1
∴ a¡º=10° _1.05⁄ ‚ -10‡ _
이때 S의 최솟값은 a가 최소일 때이고 a의 최솟값은 k=1일 때 1.05-1
a=3· · 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1.63-1
∴ a¡º=10° _1.63-10‡ _
1 ⁄‚‚ 3⁄ ‚ ‚ -1 0.05
;2#;¥3· · ¥[1-{ } ]= ④
3 2 ∴ a¡º=3.7_10‡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109


따라서 2016년 초에 통장에 남아 있는 금액은 3700만 원이다. a¡+a™+a£+y+an 5n-1
∴ = ⇢➊
3700만 원 n 2
a¡+a™+a£+y+an
bn= 으로 놓으면 수열 {bn}은 첫째항이
n
0974 수열 {b«}의 홀수 번째 항의 합과 짝수 번째 항의 합을
b¡=
5-1
=2,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수열 b¡, b£, b∞, y는
각각 구한 다음 a™-a¡=a¢-a£=a§-a∞=(공차)임을 이용한다. 2
b™-b¡=;2(;-2=;2%;
b¡+b£+b∞=a¡+(a¡-2a£)+(a¡-2a£+3a∞) 첫째항이 2, 공차가 5인 등차수열이다.
=3a¡-4a£+3a∞ 5¥25-1
이때 b™∞= =62이므로
b™+b¢+b§=-a™+(-a™+2a¢)+(-a™+2a¢-3a§) 2
=-3a™+4a¢-3a§ ⇢➊ 13(b¡+b™∞)
(주어진 식)=b¡+b£+b∞+y+b™∞=
2
등차수열 {a«}의 공차를 d라 하면
13(2+62)
b¡+b™+b£+b¢+b∞+b§ (주어진 식)= =416 ⇢➋
2
=3a¡-4a£+3a∞-3a™+4a¢-3a§
416
=-3(a™-a¡)+4(a¢-a£)-3(a§-a∞)
=-3d+4d-3d=-2d 채점 기준표
a¡+a™+a£+y+an
즉 -2d=10이므로 d=-5 ➊ 을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40%
n
따라서 수열 {a«}의 공차는 -5이다. ⇢➋
➋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5
an=2+(n-1)¥5=5n-3이고
채점 기준표
➊ b¡+b£+b∞, b™+b¢+b§을 a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2n-1)(a¡+a2n-1)
50% a¡+a™+a£+y+a2n-1=
2
➋ 수열 {an}의 공차를 구할 수 있다. 50%
이때 an은 a¡과 a2n-1의 등차중항이므로
a¡+a2n-1
an=
2
0975 5개의 삼각형의 넓이를 a-2d, a-d, a, a+d,
a+2d로 놓는다. ∴ a¡+a™+a£+y+a2n-1=(2n-1)an
3a™ 5a£ 25a¡£
a¡, a™, a£, a¢, a∞를 차례대로 ∴ (주어진 식)=a¡+ + +y+
3 5 25
a-2d, a-d, a, a+d, a+2d (d>0)
∴ (주어진 식)=a¡+a™+a£+y+a¡£
라 하면 5개의 삼각형의 넓이의 합은 정삼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13(a¡+a¡£)
∴ (주어진 식)=
5a=
'3
¥10¤ ∴ a=5'3 ⇢➊ 2
4
13(2+62)
∴ (주어진 식)= =416
a∞=1.5a¡, 즉 a∞=;2#; a¡에서 a+2d=;2#; (a-2d)이므로 2

a a '3
5d= 즉즉∴ d= = ⇢➋
2 10 2 0977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 n항까지의 합을 S«이라 할
∴ a™ a¢=(a-d)(a+d)=a¤ -d¤ 때, S«=pn¤ +qn(p, q는 상수) 꼴임을 이용한다.
'3 297 S« : T«=(3n-4) : (n+2)이므로
∴ a™ a¢=(5'3 )¤ -{ }2 = ⇢➌
2 4 S«=kn(3n-4), T«=kn(n+2)(k+0)
297 로 놓을 수 있다. ⇢➊
4 a§=S§-S∞
채점 기준표 =k¥6(3¥6-4)-k¥5(3¥5-4)
➊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29k ⇢➋
➋ 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b§=T§-T∞
➌ a™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k¥6(6+2)-k¥5(5+2)
=13k ⇢➌
∴ a§ : b§=29k : 13k=29 : 13 ⇢➍
0976 등차수열의 합의 공식을 이용하여 a¡+a™+a£+y+an 29 : 13
을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채점 기준표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이 2, 공차가 5이므로
➊ Sn=kn(3n-4), Tn=kn(n+2)`(k+0)로 놓을 수 있다. 50%
n{2¥2+(n-1)¥5}
a¡+a™+a£+y+an= ➋ a§을 k로 나타낼 수 있다. 20%
2
➌ b§을 k로 나타낼 수 있다. 20%
n(5n-1)
a¡+a™+a£+y+an= ➍ a§`:` b§을 가장 간단한 자연수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10%
2

110 정답 및 풀이
본책 134~137 쪽

0978 삼각형의 닮음비를 이용하여 수열 {a«}이 등비수열임을


알고, 공비를 구한다.
Ⅲ 수열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삼각형 A 2-a¡ 08 수열의 합


T¡과 삼각형 ABC는 닮음이므로 T¡
(2-a¡) : a¡=AB” : B’C’=2 : 3 2 a¡
T™ T£
6-3a¡=2a¡ a™

… 0980 ;K5+! 3k=3¥1+3¥2+3¥3+3¥4+3¥5
6 B C
∴ a¡= ⇢➊
5 3 =3+6+9+12+15 3+6+9+12+15
삼각형 T™와 삼각형 ABC는 닮음이므로
(a¡-a™) : a™=2 : 3에서 0981 ;N7+! 2n=2⁄ +2¤ +2‹ +y+2‡

08
3a¡-3a™=2a™ =2+4+8+y+128 2+4+8+y+128

수열의 합
3 3 6
∴ a™= a¡= ¥
5 5 5
¡ (4i+3)=(4¥1+3)+(4¥2+3)+(4¥3+3)
n

같은 방법으로 (a™-a£) : a£=2 : 3에서 0982 i=1

3a™-3a£=2a£ = +y+(4n+3)
3 3 6 =7+11+15+y+(4n+3)
∴ a£= a™={ }2 ¥
5 5 5 7+11+15+y+(4n+3)
6 3
따라서 수열 {a«}은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므로
5 5
¡ j(j+2)=1¥3+2¥4+3¥5+y+n(n+2)
n

6 3
0983
¥{ }« —⁄
j=1
a«= ⇢➋
5 5 =3+8+15+y+n(n+2)
1 1 6 3 3 3+8+15+y+n(n+2)
∴ aª= ¥ ¥{ }° ={ }· ⇢➌
2 2 5 5 5
3 · 0984 3+5+7+y+(2n+1)=;Kn+!(2k+1) ;Kn+!(2k+1)
{ }
5
채점 기준표
¡ 3k
n
3+3¤ +3‹ +y+3« = ¡ 3k
n

➊ a¡을 구할 수 있다. 30% 0985 k=1 k=1

➋ an을 구할 수 있다. 60%

➌ ;2!;aª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0986 주어진 수열의 제`k 항을 a˚라 하면


1
a˚= 일반항
k
1 1
= 에서 k=100 항수
k 100
0979 a만 원씩 9년 동안 적립한 금액의 원리합계와 일시금
¡ ;k!;
100
∴ 1+;2!;+;3!;+y+;10!0;= ¡ ;k!;
100
의 9년 후의 원리합계가 같음을 이용한다.
k=1 k=1
3개월마다 a만 원씩 9년 동안 3개월 이율 1 %의 복리로 적
립한 금액의 원리합계는 0987 주어진 수열의 제`k항을 a˚라 하면
a_1.01‹ fi +a_1.01‹ › +y+a_1.01+a a˚=1+(k-1)¥3=3k-2 일반항
a(1.01‹ fl -1) a(1.4-1) 3k-2=28에서 3k=30 ∴ k=10 항수
= =
1.01-1 0.01
¡ (3k-2)
10
∴ 1+4+7+y+28= ¡ (3k-2)
10

=40a`(만 원) yy ㉠ ⇢➊ k=1 k=1

일시금으로 연금 1억 원을 받는다고 하면 9년 후의 원리합계는


10› _1.01‹ fl =14000 (만 원) yy ㉡ ⇢➋ 0988 주어진 수열의 제`k 항을 a˚라 하면
㉠과 ㉡이 같아야 하므로 1 1 k-1 1 k
a˚={- }¥{- } ={- } 일반항
40a=14000 3 3 3
∴ a=350 ⇢➌ 1 k 1 1 6
{- }= ={- } 에서 k=6 항수
350 3 729 3
1 1 1 1 k 1 k
채점 기준표 ∴- + -;2¡7;+y+ =;K6+! {- } ;K6+! {- }
3 9 729 3 3
➊ 3개월마다 a만 원씩 9년 동안 적립한 금액의 원리합계를 구할 수
40%
있다.
¡ (5a˚+1)=5 ¡ a˚+ ¡ 1
10 10 10
➋ 1억 원의 9년 후의 원리합계를 구할 수 있다. 30% 0989 k=1 k=1 k=1
➌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5¥4+1¥10=30 30

08 수열의 합 111
¡ (-a˚+3b˚)=- ¡ a˚+3 ¡ b˚
10 10 10
0999 주어진 수열의 제`k 항을 a˚라 하면
0990 k=1 k=1 k=1
a˚=(2k-1)¤
=-4+3¥7=17 17
∴ ;Kn+!a˚=;Kn+!(2k-1)¤ =;Kn+!(4k¤ -4k+1)

∴ ;Kn+!a˚=4 ¡ k¤ -4 ¡ k+ ¡ 1
n n n

¡ (a˚+2)¤ = ¡ (a˚¤ +4a˚+4)


100 100
0991 k=1 k=1
k=1 k=1 k=1

n(n+1)(2n+1) n(n+1)
= ¡ a˚¤ +4 ¡ a˚+ ¡ 4 ∴ ;Kn+!a˚=4¥
100 100 100
-4¥ +1¥n
k=1 k=1 k=1
6 2
=10+4¥5+4¥100=430 430 ∴ ;Kn+!a˚=;3N; {2(n+1)(2n+1)-6(n+1)+3}
n(4n¤ -1) n(2n+1)(2n-1)
∴ ;Kn+!a˚= =
¡ (2a˚+1)(2a˚-1)= ¡ (4a˚¤ -1)
100 100
0992 3 3
k=1 k=1
n(2n+1)(2n-1)
=4 ¡ a˚¤ - ¡ 1
100 100
3
k=1 k=1

=4¥10-1¥100=-60 -60
4¤ +5¤ +6¤ +y+20¤ = ¡ k¤ = ¡ k¤ - ¡ k¤
20 20 3
1000 k=4 k=1 k=1

¡ (k¤ +3)- ¡ (k¤ -2)= ¡ {(k¤ +3)-(k¤ -2)}


10 10 10
0993 k=1 k=1 k=1 =
20¥21¥41
-
3¥4¥7
6 6
= ¡ 5=5¥10=50
10
50 =2870-14=2856 2856
k=1

주어진 수열의 제k 항을 a˚라 하면 a˚=(k+3)¤

0994 ;Kn+!(k-2)¤ -;Kn+!(k¤ -4k)=;Kn+! {(k-2)¤ -(k¤ -4k)} (k+3)¤ =20¤` 에서 k=17
∴ (주어진 식)= ¡ (k+3)¤ = ¡ (k¤ +6k+9)
17 17

0946 ;Kn+!(k+2)¤ -;Kn+!(k¤ +4k)=;Kn+! {(k¤ -4k+4)-(k¤ -4k)} k=1 k=1

= ¡ k¤ +6 ¡ k+ ¡ 9
17 17 17

0946 ;Kn+!(k+2)¤ -;Kn+!(k¤ +4k)=;Kn+! 4=4n 4n k=1 k=1 k=1

17¥18¥35 17¥18
= +6¥ +9¥17
6 2
10¥11
¡ (2k+3)=2 ¡ k+ ¡ 3=2¥
10 10 10
=1785+918+153=2856
0995 k=1 k=1 k=1 2
+3¥10
=110+30=140 140
2‹ +3‹ +4‹ +y+7‹ = ¡ k‹ = ¡ k‹ -1‹
7 7
1001 k=2 k=1

¡ (k¤ -k+1)= ¡ k¤ - ¡ k+ ¡ 1
10 10 10 10
0996 7¥8 ¤
2‹ +3‹ +4‹ +y+7‹ ={ } -1
k=1 k=1 k=1 k=1 2
10¥11¥21 10¥11 2‹ +3‹ +4‹ +y+7‹ =784-1=783 783
0996 (k¤ -k+1)=
6
-
2
+1¥10
=385-55+10=340 340
1 1 1
1002 (주어진 식)=;Kn+! =;Kn+!{ - }
k(k+1) k k+1
¡ k(k-1)(2k+1)= ¡ (2k‹ -k¤ -k)
10 10
0997 k=1 k=1 ={1-;2!;}+{;2!;-;3!;}+{;3!;-;4!;}
k(k-1)(2k+1)=2 ¡ k‹ - ¡ k¤ - ¡ k
10 10 10
0997 k=1 k=1 k=1 1 1
=+y+{ - }
10¥11 ¤ 10¥11¥21 10¥11 n n+1
0997 k(k-1)(2k+1)=2¥{
2
}-
6
-
2 1 n n
=1- =
k =6050-385-55=5610 5610 n+1 n+1 n+1

1
0998 주어진 수열의 제`k항을 a˚라 하면
1003 (주어진 식)=;Kn+!
(2k-1)(2k+1)
a˚=k(k+1)
1 1
∴ ;Kn+!a˚=;Kn+!k(k+1)=;Kn+!(k¤ +k)=;Kn+! k¤ +;Kn+! k =;2!;;Kn+! { - }
2k-1 2k+1
n(n+1)(2n+1) n(n+1)
;∴ Kn+!a˚= + =;2!;[{1-;3!;}+{;3!;-;5!;}+{;5!;-;7!;}
6 2
n(n+1) 1 1
;∴ Kn+!a˚= {(2n+1)+3} =;2!;[+y+{ - }]
6 2n-1 2n+1
n(n+1)(n+2) n(n+1)(n+2) 1 n n
∴ ;Kn+!a˚= 3
=;2!; {1- }= 2n+1
3 2n+1 2n+1

112 정답 및 풀이
본책 137~139 쪽

1004 (주어진 식) 1
¡
20
1009 k=1 '∂k-1+'k
1 1 1
=;Kn+! =;2!;;Kn+!{ - }
(k+1)(k+3) k+1 k+3 '∂k-1-'k

20

k=1 ('∂k-1+'k )('∂k-1-'k )


=;2!;[{;2!;-;4!;}+{;3!;-;5!;}+{;4!;-;6!;}
= ¡ ('k-'∂k-1)
20

1 1 1 1 k=1
=;2!;[+y+{ - }+{ - }] =(1-0)+('2-1)+('3-'2`)+y+('ß20-'ß19)
n n+2 n+1 n+3
1 1 ='ß20=2'5 2'5
=;2!; {;2!;+;3!;- - }
n+2 n+3
5(n+2)(n+3)-6(n+3)-6(n+2)
= 1
¡
10
12(n+2)(n+3) 1010

08
k=1 'ƒk+1+'ƒk+3
5n¤ +13n 5n¤ +13n

수열의 합
= 'ƒk+1-'ƒk+3

10
12(n+2)(n+3) 12(n+2)(n+3)
k=1 ('ƒk+1+'ƒk+3 `)('ƒk+1-'ƒk+3 `)
=;2!; ¡ ('ƒk+3-'ƒk+1`)
10
2
1005 (주어진 식)=;Kn+!
'k+'ƒk+1 k=1

'k-'ƒk+1
=2;Kn+! =;2!; {('4-'2)+('5-'3)+('6-'4)
('k+'ƒk+1 )('k-'ƒk+1 )
= +y+('1å2-'1å0 )+('1å3-'1å1 )}
=2;Kn+!('ƒk+1-'k)
= ;2!; (-'2-'3+'1å2+'1å3)
=2{('2-1)+('3-'2 )+('4-'3 )
=2{+y+('ƒn+1-'n)} -'2+'3+'1å3 -'2 +'3+'1å3
=
=2('ƒn+1-1) 2('ƒn+1-1) 2 2

1
1006 (주어진 식)=;Kn+! 1011주어진 식을 S로 놓으면
'ƒ2k-1+'ƒ2k+1
S=1¥2+2¥2¤ +3¥2‹ +y+n¥2« yy ㉠
'ƒ2k-1-'ƒ2k+1
=;Kn+! ㉠의 양변에 2 를 곱하면
('ƒ2k-1+'ƒ2k+1`)('ƒ2k-1-'ƒ2k+1`)
2S=1¥2¤ +2¥2‹ +3¥2› +y+n¥2n+1 yy ㉡
=;2!; ;Kn+!('ƒ2k+1-'ƒ2k-1 ) ㉠-㉡을 하면
-S=2+2¤ +2‹ +y+ 2« -n¥2n+1
=;2!; {('3-1)+('5-'3`)+('7-'5`)
2(2« -1)
-S= -n¥2n+1
= +y+('ƒ2n+1-'ƒ2n-1)} 2-1
-S=(1-n)¥2n+1-2
=;2!;('ƒ2n+1-1) ;2!;('ƒ2n+1-1)
∴ S= (n-1)¥2n+1+2
2 ㈎ 2 ㈏ 2n ㈐ (n-1)¥2n+1+2
¡
10
1007k=2 (k-1)k

1 1
=2 ¡ {
10

k-1
- }
k 1012주어진 식을 S로 놓으면
k=2
S=1+2¥5+3¥5¤ +y+n¥5n-1 yy ㉠
=2[{1-;2!;}+{;2!;-;3!;}+{;3!;-;4!;}+y+{;9!;-;1¡0;}] ㉠의 양변에 5를 곱하면
5S=5+2¥5¤ +3¥5‹ +y+n¥5n yy ㉡
=2 {1-;1¡0;}=;5(; ;5(; ㉠-㉡을 하면
-4S=1+5+5¤ +y+5n-1-n¥5«
1
¡
8
1008 1¥(5« -1) (1-4n)¥5« -1
k(k+2) -2S= -n¥5« =
k=1
5-1 4
1 8 1 1
= ¡{ - } (4n-1)¥5« +1 (4n-1)¥5« +1
2 k=1 k k+2 ∴ S= 16
16
1 1 1 1 1 1
= [{1- }+{ - }+{ - }
2 3 2 4 3 5
1 1 1 1 1013 ⑴ 모든 군의 첫째항이 1이므로 제`n 군의 첫째항도 1이다.
= [+y+{ - }+{ - }] ⑵ 제`n군은 (1, 2, 3, y, n)이므로 제`n군의 합을 S«이라 하면
7 9 8 10
1 1 1 1 29 29 n(n+1) n¤ +n
S«= ¡ k=
n
= {1+ - - }= ⑵ =
2 2 9 10 45 45 k=1 2 2

08 수열의 합 113
ㄴ. 1-1+1-1+1-1= ¡ (-1)k-1
6
⑶ 제`1 군부터 제`n군까지의 합은
k=1
¡ S˚= ¡ k¤ +k
n n

ㄷ. ¡ (k-1)‹ =1‹ +2‹ +3‹ +y+10‹ = ¡ k‹
11 10
k=1 k=1 2
k=2 k=1
1 n(n+1)(2n+1) 1 n(n+1)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⑤
⑵ S˚= 2 ¥ 6 +2¥
2
n(n+1)(2n+1+3) n(n+1)(n+2)
¡ (ak+ak+1)
30
⑵ S˚= = 1018
12 6 k=1

n¤ +n n(n+1)(n+2) =(a¡+a™)+(a™+a£)+(a£+a¢)+y+(a£º+a£¡)
⑴1 ⑵ ⑶
2 6 =a¡+2(a™+a£+y+a£º)+a£¡
=60 yy ㉠
1014⑴ 주어진 수열은 분모와 분자의 합이 같은 항끼리 묶은 군
= ¡ (a2k-1+a2k)
15

수열로, 제`n군의 분모와 분자의 합은 n+1이다. k=1

⑴ ∴ a+b=n+1 =(a¡+a™)+(a£+a¢)+(a∞+a§)+y+(a™ª+a£º)
=40 yy ㉡
⑵ 5+8=13에서 ;8%;는 제`12군의 항이고, 분자가 5이므로 제`12군의
㉠-㉡을 하면
⑴ 5번째 항이다. a™+a£+a¢+y+a£º+a£¡=20
⑶ 제`n`군의 항의 개수는 n이므로 제`1 군부터 제11 군까지의 항의 즉 a™+a£+a¢+y+a£º=20-a£¡을 ㉠에 대입하면
개수는 a¡+2(20-a£¡)+a£¡=60
∴ a¡-a£¡=20 20
¡ k= 11¥12 =66
11

k=1 2

¡ (2k+1)¤ + ¡ (2k)¤
9 10
⑵ 따라서 66+5=71이므로 ;8%; 는 제`71`항이다. 1019 k=0 k=1

⑴ n+1 ⑵ 제`12`군의 5번째 항 ⑶ 제`71`항 =(1¤ +3¤ +5¤ +y+19¤ )+(2¤ +4¤ +6¤ +y+20¤ )
=1¤ +2¤ +3¤ +y+20¤ = ¡ k¤ = ¡ (k+1)¤
20 19

k=1 k=0

01 합의 기호 ¡ 본책 140쪽

n 1020 a•=S•-S¶
① ¡ a˚=a¡+a™+a£+y+a«
a•=[ ¡ (2k+1)¤ - ¡ (2k-1)¤ ]
9 8
k=1
n
② ¡ a™˚=a™+a¢+a§+y+a™«
k=1 k=1

a•=-[ ¡ (2k+1)¤ - ¡ (2k-1)¤ ]


k=1 8 7

n
③ ¡ ka˚=a¡+2a™+3a£+y+na«
k=1 k=1

a•=[ ¡ (2k+1)¤ - ¡ (2k+1)¤ ]


k=1 9 8
n 2n
④ ¡ (a™˚–¡+a™˚)=a¡+a™+a£+a¢+y+a™«–¡+a™«= ¡ a˚ k=1 k=1

a•=-[ ¡ (2k-1)¤ - ¡ (2k-1)¤ ]


k=1 k=1 8 7

k=1 k=1

a•=(2¥9+1)¤ -(2¥8-1)¤ =19¤ -15¤


1015 ;Kn+!(a™˚–¡+a™˚)=(a¡+a™)+(a£+a¢)+y+(a™«–¡+a™«)
a•=(19+15)(19-15)
= ¡ a˚
2n
a•=34¥4=136 136
k=1

¡ a˚=4n¤
2n
이므로 특정한 값이 반복되는 수열의 합
k=1 02 본책 140쪽

∴ ¡ a˚=4¥10¤ =400
20
③ n
k=1 수열 {a«}의 각 항이 특정한 값이 반복되어 나타날 때, ¡ a˚는 같은
k=1

값을 갖는 항의 개수를 이용하여 구한다.

¡ f(k+2)- ¡ f(k-1)
18 20
1016 k=1 k=3

={ f(3)+ f(4)+ f(5)+y+ f(20)} 1021 자연수 k에 대하여


=-{ f(2)+ f(3)+ f(4)+y+ f(19)} ⁄ n이 홀수, 즉 n=2k-1일 때,
= f(20)- f(2)=30-4=26 26 n¤ =(2k-1)¤ =4(k¤ -k)+1이므로이이a™˚–¡=1
¤ n이 짝수, 즉 n=2k일 때,
n¤ =(2k)¤ =4k¤ 이므로이이a™˚=0
ㄱ. ¡ ak=a¡+a™+a£+a¢+y+aª+a¡º
10
1017
∴ ¡ a«=a¡+a™+a£+y+a¡ªªª+a™ººº
2000
k=1

ㄱ. ak=(a¡+a£+y+aª)+(a™+a¢+y+a¡º) n=1

∴ a«=1+0+1+y+1+0
ak= ¡ a2k-1+ ¡ a2k
5 5
ㄱ. 1이 1000개, 0이 1000개
k=1 k=1 ∴ a«=1¥1000=1000 ③

114 정답 및 풀이
본책 139~142 쪽

1022 x¡, x™, x£, y, x« 중 1이 a개, 2가 b개 있다고 하면 1026 ;Kn+!a˚=7n, ;Kn+!b˚=-3n¤ 에 n=10을 각각 대입하면
;In+! xi=1¥a+2¥b=13
양변 ¡ a˚=7¥10=70, ¡ b˚=-3¥10¤ =-300
10 10

∴ a+2b=13 yy ㉠ k=1 k=1

;In+! xi¤ =1¤ ¥a+2¤ ¥b=23 양변∴ ¡ (2a˚-b˚+6)=2 ¡ a˚- ¡ b˚+ ¡ 6


10 10 10 10

k=1 k=1 k=1 k=1

∴ a+4b=23 yy ㉡ =2¥70-(-300)+6¥10=500 500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5
∴ ;In+! xifi =1fi ¥3+2fi ¥5=163 163
¡ (3bk-2ak)=3 ¡ bk-2 ¡ ak
20 20 20
1027 k=11 k=11 k=11

(3bk-2ak)=3`{ ¡ bk- ¡ bk}-2`{ ¡ ak- ¡ ak}


20 10 20 10

08
1+'3 i k=1 k=1 k=1 k=1
1023 x= 2 에서 2x-1='3 i

수열의 합
(3bk-2ak)=3(60-20)-2(42-12)
양변을 제곱하면 4x¤ -4x+1=-3, x¤ -x+1=0 (3bk-2ak)=120-60=60 60
양변에 x+1을 곱하면 (x+1)(x¤ -x+1)=0
x‹ +1=0 ∴ x‹ =-1
a˚ 1+a˚-1 1
따라서 k가 3의 배수일 때, x˚ 은 실수이므로 1028 ;Kn+! =;Kn+! =;Kn+!{1- }
1+a˚ 1+a˚ 1+a˚
f(1)=f(2)=0, 1 1 이 나타나도록
f(3)=f(4)=f(5)=1, ;Kn+! =;Kn+! 1-;Kn+! 1+a˚
1+a˚ 식을 변형한다.
f(6)=f(7)=f(8)=2, ;Kn+! =n-(n¤ +n)=-n¤ -n¤
f(9)=f(10)=f(11)=3,

¡ r˚ 꼴의 계산
n

f(27)=f(28)=f(29)=9, 04 k=1
본책 141쪽

f(30)=10 n
r(r« -1)
¡ r˚ =r+r¤ +r‹ +y+r« = (단, r+1)
r-1
∴ ¡ f(n)=3¥1+3¥2+3¥3+y+3¥9+10
30 k=1

n=1

∴ f(n)=3(1+2+3+y+9)+10
1029 주어진 수열의 제k항을 a˚라 하면
∴ f(n)=3¥45+10=145 145
a˚=10˚ -1

∴ S= ¡ a˚= ¡ (10˚ -1)


10 10

03 ¡의 성질 본책 141쪽 k=1 k=1

10(10⁄ ‚ -1) 10⁄⁄ ⁄ -100


n n n
∴ S= -10=
① ¡ (pa˚+qb˚)=p ¡ a˚+q ¡ b˚ (단, p, q는 상수) 10-1 9
k=1 k=1 k=1
n n n ∴ 9S=10⁄ ⁄ -100 ④
② ¡ (a˚+c)¤ = ¡ a˚¤ +2c ¡ a˚+c¤ n (단, c는 상수)
k=1 k=1 k=1

3˚ -2˚
¡ = ¡ {;4#;}k - ¡ {;2!;}k
100 100 100
1030
¡ (3a˚-1)¤ = ¡ (9a˚¤ -6a˚+1)
10 10
k=1 4˚ k=1 k=1
1024 k=1 k=1
;4#;[1-{;4#;}⁄ ‚ ‚ ] ;2!;[1-{;2!;}⁄ ‚ ‚ ]
=9 ¡ a˚¤ -6 ¡ a˚+ ¡ 1
10 10 10

k=1 k=1 k=1


= -
=9¥8-6¥4+1¥10=58 ② 1-;4#; 1-;2!;

3 ⁄‚‚ 1
=3[1-{ } ]-[1-{ }⁄ ‚ ‚ ]
;Kn+!(a˚+b˚)¤ =;Kn+!(a˚¤ +2a˚ b˚+b˚¤ )
4 2
1025
=2-3 {;4#;}⁄ ‚ ‚ +{;2!;}⁄ ‚ ‚
0925 ;Kn+!(a˚+b˚)¤ =;Kn+!(a˚¤ +b˚¤ )+2;Kn+! a˚ b˚ ⇢➊
따라서 a=2, b=-3, c=1이므로
이므로 ;Kn+!(a˚¤ +b˚¤ )+2¥30=100 a+b+c=0 0

∴ ;Kn+!(a˚¤ +b˚¤ )=40 ⇢➋


1031 주어진 수열의 제k 항을 a˚라 하면 첫째항이 1,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의
40 첫째항부터 제 k항까지의 합이다.
1¥(2˚ -1)
a˚=1+2+2¤ +y+2k-1= =2˚ -1
채점 기준표 2-1
n
➊ ¡ (ak+bk)¤ 을 변형할 수 있다. 50%
따라서 주어진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0 항까지의 합은
k=1
2(2⁄ ‚ ‚ -1)
¡ a˚= ¡ (2˚ -1)=
100 100
➋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100=2101-102 ③
k=1 k=1 2-1

08 수열의 합 115
1032 다항식 f(x)=x¤ « —⁄ (x-2)를 x-5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 따라서 ¡ (k-c)¤ 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c의 값은 ;;¡2¡;;이다.
10

k=1
지는 f(5)이므로

a«=52n-1¥3=3¥5¥52(n-1)=15¥25« —⁄
25« -1 5(25« -1)
∴ ;Kn+!a˚=15;Kn+! 25˚ —⁄ =15¥ = ②
25-1 8
¡ k¤ + ¡ k¤ + ¡ k¤ +y+ ¡ k¤
7 7 7 7
1038 k=1 k=2 k=3 k=7

=(1¤ +2¤ +3¤ +y+7¤ )+(2¤ +3¤ +4¤ +y+7¤ )


05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본책 142쪽
+(3¤ +4¤ +5¤ +6¤ +7¤ )+y+(6¤ +7¤ )+7¤
nn(n+1) n n(n+1)(2n+1) =1¤ ¥1+2¤ ¥2+3¤ ¥3+y+7¤ ¥7
① ¡ k= ② ¡ k¤ =
k=1 2 k=1 6 =1‹ +2‹ +3‹ +y+7‹
n
n(n+1) ¤
③ ¡ k‹ =[ = ¡ k‹ ={
7¥8 ¤
7
2
] } =784 784
k=1
k=1 2

1115444 ¡를 여러 개 포함한 식
k(k+1)
1+2+3+y+k 2
06 본책 143쪽

¡ =¡
30 30
1033 k=1 k k=1 k 상수인 것과 상수가 아닌 것을 구별하여 계산한다.
k+1
=¡ =;2!; ¡ (k+1)
30 30
n n n n(n+1)
2 ① ¡ (k+n)= ¡ k+ ¡ n= +n¥n
k=1 k=1 k=1 k=1 k=1 2
30¥31 495 n l n l n l(l+1) 1 n
=;2!; {
2
+1¥30}=
2
③ ② ¡ { ¡ kl}= ¡ {l ¡ k}= ¡ l¥ = ¡ (l‹ +l¤ )
l=1 k=1 l=1 k=1 l=1 2 2 l=1
1 n(n+1) n(n+1)(2n+1)
= [[ ]2 + ]
(n-1)n 2 2 6
¡ (4k+3)=4¥
n-1
1034 k=1 2
+3(n-1)

(4k+3)=2n¤ +n-3
¡ [ ¡ { ¡ 6}]= ¡ { ¡ 6l}
n m l n m

따라서 2n¤ +n-3=52이므로 2n¤ +n-55=0 1039 m=1 l=1 k=1 m=1 l=1

(2n+11)(n-5)=0연연∴ n=5 (∵ n은 자연수) 5 m(m+1)


6}]= ¡ [6¥ ]=3 ¡ (m¤ +m)
n n
[ {
m=1 2 m=1

1035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n(n+1)(2n+1) n(n+1)


[ { 6}]=3[ + ]
6 2
a˚+b˚=k, a˚ b˚=-k
이므로 n(n+1)
[ { 6}]= ¥(2n+1+3)
2
a˚‹ +b˚‹ =(a˚+b˚)‹ -3a˚b˚(a˚+b˚)
=n(n+1)(n+2) ①
a˚‹ +b˚‹ =k‹ -3¥(-k)¥k=k‹ +3k¤
∴ ;K6+!(a˚‹ +b˚‹ )=;K6+!(k‹ +3k¤ )
¡ [ ¡ (i+j)]= ¡ { ¡ i+ ¡ j}
m n m n n

6¥7 6¥7¥13 1040 i는 상수이다.


={ }2 +3¥ i=1 j=1 i=1 j=1 j=1
2 6
n(n+1)
(i+j)]= ¡ [in+
m

=441+273=714 ② [
i=1 2
]

n(n+1)
(i+j)]=n ¡ i+ ¡
m m
[
1036 an=-2+(n-1)¥(-3)=-3n+1, i=1 i=1 2
n은 상수이다.
bn=4+(n-1)¥2=2n+2이므로 m(m+1) n(n+1)
[ (i+j)]=n¥ + ¥m
2 2
¡ akbk= ¡ (-3k+1)(2k+2)= ¡ (-6k¤ -4k+2)
10 10 10

k=1 k=1 k=1 mn(m+n+2)


[ (i+j)]=
10¥11¥21 10¥11 2
akbk=-6¥ -4¥ +2¥10
6 2 40¥15
[ (i+j)]= =300 ⑤
akbk=-2310-220+20=-2510 -2510 2

n(n+1)
¡ (k-c)¤ = ¡ (k¤ -2ck+c¤ )
10 10
¡ { ¡ mn}= ¡ {n ¡ m}= ¡ [n¥
5 n 5 n 5
1037 k=1 k=1
1041 n=1 m=1 n=1 m=1 n=1 2
] ⇢➊
10¥11¥21 10¥11
mn}=;2!; ¡ (n‹ +n¤ )
5
(k-c)¤ = -2c¥ +c¤ ¥10
6 2 {
n=1

(k-c)¤ =10c¤ -110c+385 5¥6 5¥6¥11


{ mn}=;2!; [{ }2 + ]=140 ⇢➋
165 2 6
(k-c)¤ =10{c-;;¡2¡;;}2 +
2 140

116 정답 및 풀이
본책 142~144 쪽

채점 기준표 1 1 1
따라서 = = ¥{;4!;}˚ —⁄ 이므로
n a˚ 9¥4˚ —⁄ 9
➊ ¡ mn을 계산할 수 있다. 50%
m=1
1 1 15
¡ = ¡ {;4!;}˚ —⁄
15
➋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k=1 a˚ 9 k=1

1-{;4!;}⁄ fi
1
;N4+! { ;Kn+! 2˚ ±« }=;N4+! {2 ;Kn+! 2˚ }=;N4+![2« ¥
n 2(2« -1) = ¥ =;2¢7;[1-{;4!;}⁄ fi ] ③
1042 2-1
] 9
1-;4!;
n은 상수이다.
;N4+! { ;Kn+! 2˚ ±« }=;N4+! 2« (2« ±⁄ -2)=;N4+!(2¤ « ±⁄ -2« ±⁄ )
2¥2«
;N4+! { ;Kn+! 2˚ ±« }=2;N4+! 4n-2;N4+! 2n 2¥2¤ « =2¥4« 1046 등차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a+(n-1)d
¡ a¢˚≠¡=a∞+aª+a¡£+a¡¶+a™¡
5

08
4(4› -1) 2(2› -1)
;N4+! { ;Kn+! 2˚ ±« }=2¥ -2¥ k=1

수열의 합
4-1 2-1 =(a+4d)+(a+8d)+(a+12d)
;N4+! { ;Kn+! 2˚ ±« }=680-60=620 ① +(a+16d)+(a+20d)
=5a+60d=70
an을 이용하여 ¡ apk+q의 값 구하기 ∴ a+12d=14 yy ㉠
n

07 k=1
본책 143쪽

¡ a¢˚≠™=a§+a¡º+a¡¢+a¡•+a™™
5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 항까지의 합을 S«이라 하면 k=1

⁄ S¡=a¡ =(a+5d)+(a+9d)+(a+13d)
n n-1 +(a+17d)+(a+21d)
¤ S«-S«–¡= ¡ a˚- ¡ a˚=a« (næ2)
k=1 k=1
=5a+65d=80
∴ a+13d=16 yy ㉡
1043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 하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10, d=2
S«=n¤ +n이므로 ∴ a«=-10+(n-1)¥2=2n-12
⁄ n=1일 때, a¡=S¡=2 따라서 a£˚=2¥3k-12=6k-12이므로
15¥16
¡ a£˚= ¡ (6k-12)=6¥
15 15
¤ næ2일 때, -12¥15
k=1 k=1 2
a«=S«-S«–¡
a£˚=720-180=540 540
=n¤ +n-{(n-1)¤ +(n-1)}=2n yy ㉠
이때 a¡=2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a«=2n 08 제``k 항을 찾아 수열의 합 구하기 본책 144쪽

따라서 a™˚–¡=2(2k-1)=4k-2이므로
⁄ 주어진 수열의 제k항 a˚를 k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a™˚–¡= ¡ (4k-2)
10 10
¤ R의 성질을 이용하여 수열의 합을 구한다.
k=1 k=1

10¥11
a™˚–¡=4¥ -2¥10
2 수열 1¥3, 2¥5, 3¥7, y, 12¥25의 제`k항을 a˚라 하면
1047
a™˚–¡=220-20=200 200 a˚=k(2k+1)=2k¤ +k
∴ (주어진 식)= ¡ a˚= ¡ (2k¤ +k)
12 12

k=1 k=1
1044 a«=3n-2에서 a™˚=3¥2k-2=6k-2
12¥13¥25 12¥13
∴ ¡ a™˚= ¡ (6k-2)
2n 2n
∴ (주어진 식)=2¥ +
k=1 k=1
6 2
2n(2n+1) ∴ (주어진 식)=1300+78=1378 ②
∴ a™˚=6¥ -2¥2n
2
∴ a™˚=12n¤ +2n ④ 1048 주어진 수열의 제`k 항을 a˚라 하면
a˚=2k(k+1)¤ =2k‹ +4k¤ +2k ⇢➊
1045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 하면 이므로
Sn= ¡ a˚= ¡ (2k‹ +4k¤ +2k)
n n
S«=3¥4« -3이므로
k=1 k=1
⁄ n=1일 때, a¡=S¡=9
n(n+1) n(n+1)(2n+1) n(n+1)
¤ næ2일 때, Sn=2[ ]2 +4¥ +2¥
2 6 2
⁄ a«=S«-S«–¡=3¥4« -3-(3¥4« —⁄ -3)
n(n+1)
=3¥4« —⁄ (4-1)=9¥4« —⁄ yy ㉠ Sn= {3n(n+1)+4(2n+1)+6}
6
이때 a¡=9는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n(n+1)
a«=9¥4« —⁄ Sn= (3n¤ +11n+10) ⇢➋
6

08 수열의 합 117
따라서 f(n)=3n¤ +11n+10이므로
¡ a˚= ¡ {-k¤ +(n+1)k}
n n

f(5)=3¥5¤ +11¥5+10=140 ⇢➌ k=1 k=1

a˚=- ¡ k¤ +(n+1) ¡ k
n n
140
k=1 k=1

채점 기준표 n(n+1)(2n+1) n(n+1)


a˚=- +(n+1)¥
➊ 주어진 수열의 제`k항을 구할 수 있다. 30% 6 2
➋ Sn을 구할 수 있다. 50% n(n+1)(n+2) n(n+1)(n+2)
a˚=
➌ f(5)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6 6

n+1 n+2 n+3 2n


1052 수열 { }2 , { }2 , { }2 , y, { }2 의 제`k항
n n n n
1049 a¡=1
을 a˚라 하면
a™=2+2¥2
n+k k 2k k¤
a£=3+2¥3+3¥3 a˚={ }2 ={1+ }2 =1+ +
n n n n¤
a¢=4+2¥4+3¥4+4¥4
이므로 주어진 수열의 합은

2k k¤ 2 n 1 n
¡ a˚=;Kn+! {1+ }= ¡ 1+ ¡ k+ ¡ k¤
n n
이므로 +
k=1 n n¤ k=1 n k=1 n¤ k=1
an=n+2n+3n+y+n¤
2 n(n+1) 1 n(n+1)(2n+1)
an= ¡ kn=n ¡ k
n n
;Kn+!a˚ =n+ ¥ + ¥
n 2 n¤ 6
k=1 k=1
(2n+1)(7n+1)
;Kn+!a˚ =
n(n+1) n‹ +n¤ (2n+1)(7n+1)
an=n¥ = ⇢➊ 6n 6n
2 2
k‹ +k¤
∴ ¡ ak= ¡
10 10

2 1053 수열 1¥(2n-1), 2¥(2n-3), 3¥(2n-5), y, n¥1의 제`k


k=1 k=1
항을 a˚라 하면
10¥11 ¤ 10¥11¥21
∴ ak=;2!;[{ }+ ] a˚=k {2n-(2k-1)}=(2n+1)k-2k¤
2 6
주어진 식의 좌변은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므로
∴ ak=;2!;(3025+385)=1705 ⇢➋
(좌변)=;Kn+! a˚=;Kn+!{(2n+1)k-2k¤ }
1705
(좌변)=(2n+1);Kn+!k-2;Kn+! k¤
채점 기준표
➊ an을 구할 수 있다. 50% n(n+1) n(n+1)(2n+1)
(좌변)=(2n+1)¥ -2¥
10
➋ ¡ a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2 6
k=1
n(n+1)(2n+1)
(좌변)=
6
따라서 a=2, b=1이므로 a+2b=4 ②
1050 7층 탑의 위에서부터 k번째 층에 놓이는 정육면체의 개수는
k(k+1) k¤ +k
1+2+3+y+k= = 가우스 기호가 포함된 수열의 합
2 2 10 본책 145쪽

따라서 7층 탑을 쌓는 데 필요한 정육면체의 개수는


[`x`]=n`(n은 정수)이면 n…x<n+1임을 이용하여 x의 값의 범위를
k¤ +k 1 7¥8¥15 7¥8
¡
7
= { + } 나눈다.
k=1 2 2 6 2
[`'ßx `] 꼴인 경우
=;2!;(140+28)=84 ③ 1…x<2¤ [`'ßx `]=1
2¤ …x<3¤ [`'ßx `]=2
3¤ …x<4¤ [`'ßx `]=3

09 제``k 항이 n에 대한 식일 때의 수열의 합 본책 144쪽
∴ n¤ …x<(n+1)¤ [`'ßx `]=n`(n은 음이 아닌 정수)
⁄ 주어진 수열의 제k 항 a˚를 k와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n
¤ ¡ a˚에서 n은 상수임에 유의하여 수열의 합을 구한다. n n
k=1
1054 1…n<3일 때, ;3!;… <1이므로 [ ]=0
3 3
n n
3…n<6일 때, 1… <2이므로 [ ]=1
1051 수열 1¥n, 2¥(n-1), 3¥(n-2), y, n¥1의 제`k 항을 a˚ 3 3
라 하면 n n
6…n<9일 때, 2… <3이므로 [ ]=2
a˚=k {n-(k-1)}=-k¤ +(n+1)k 3 3
이므로 주어진 수열의 합은 ⋮

118 정답 및 풀이
본책 144~146 쪽

n n n¤ (n+1)+3
48…n…50일 때, 16… …;;∞3º;;이므로 [ ]=16 1057
n‹ +n¤ +3
a«= =
3 3 n¤ +n n(n+1)
n
∴ ¡[ ]=0¥2+1¥3+2¥3+y+16¥3
50
3 1 1
3 a«=n+ =n+3 { - }
n=1
n(n+1) n n+1
=3(1+2+y+16) 1 1
∴ ¡ a˚= ¡ [k+3{ -
10 10
16¥17
=3 ¡ k=3¥
16 }]
=408 ① k=1 k=1 k k+1
k=1 2
1 1
a˚= ¡ k+3 ¡ {
10 10
∴ - }
k=1 k=1 k k+1
1055 1…k<4일 때, 1…'k<2이므로 [`'k`]=1 10¥11
∴ a˚=
4…k<9일 때, 2…'k<3이므로 [`'k `]=2 2
1 1 1 1 1

08
9…k<16일 때, 3…'k<4이므로 [`'k `]=3 ∴ a˚=+3[{1- }+{ - }+y+{ - }]
2 2 3 10 11

수열의 합
81…k<100일 때, 9…'k<10이므로 [`'k `]=9 1 635
∴ a˚=55+3{1- }= ③
11 11
k=100일 때, [`'k `]=10 ⇢➊
16-9=7

∴ ¡ [`'k`]=1¥3+2¥5+3¥7+y+9¥19+10
100
2k+1
an=;2!; ¡
n
k=1 4-1=3 9-4=5 100-81=19 1058 1¤ +2¤ +3¤ +y+k¤
k=1
[`'k`]= ¡ k(2k+1)+10
9
∴ 2k+1
an=;2!; ¡
n
k=1
k=1 k(k+1)(2k+1)
[`'k`]= ¡ (2k¤ +k)+10
9
∴ 6
k=1

9¥10¥19 9¥10 6
an=;2!; ¡
n
∴ [`'k`]=2¥ + +10
6 2 k(k+1)
k=1

∴ [`'k`]=570+45+10=625 ⇢➋ 1 1
an=3 ¡ { -
n
}
625 k=1 k k+1
1 1
채점 기준표 an=3[{1-;2!;}+{;2!;-;3!;}+y+{ - }]
n n+1
➊ k의 값의 범위에 따른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1
100 an=3{1-
➋ ¡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
60% n+1
k=1
3n
an=
n+1
3m 120
11 분수 꼴인 수열의 합 본책 145쪽 따라서 = 이므로로로m=40 40
m+1 41
⁄ 수열 {a«}의 제k 항 a˚를 부분분수로 변형한다.
1
=
1
{
1
-
1
} (단, a+b)
1059 (gΩf`)(n)=g( f(n))=g(n+1)
(k+a)(k+b) b-a k+a k+b =(2n+2-1)(2n+2+1)
¤ k=1, 2, 3, y, n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한다. =(2n+1)(2n+3)
12 12
∴ ¡ =¡
15 15

n=1 (gΩf`)(n) n=1 (2n+1)(2n+3)


1 1 1 1
1056 수열 , , , y, 의 제 k 항을 a˚라 1 1
=6 ¡ {
15
3¤ -1 5¤ -1 7¤ -1 25¤ -1 ∴ - }
n=1 2n+1 2n+3
하면
1 1 1 1
1 1 ∴ =6[{ - }+{ - }
a˚= = 3 5 5 7
(2k+1)¤ -1 4k¤ +4k
1 1
1 1 1 1 ∴ =6[+y+{ - }]
a˚= = { - } 31 33
4k(k+1) 4 k k+1
1 1
이므로 주어진 수열의 합은 ∴ =6`{ - }
3 33
1
¡ a˚= ¡ ;4!; {;k!;-
12 12
20 20
k=1 k=1 k+1
} ∴ =
11 11
1 1 1 1
a˚= [{1- }+{ - }+y+{;1¡2;-;1¡3;}]
4 2 2 3
1060 S«=n¤ +2n에서
a˚=;4!; {1-;1¡3;} ⁄ n=1일 때,므로a¡=S¡=1¤ +2¥1=3
¤ næ2일 때,
a˚=;1£3;
a«=S«-S«–¡=n¤ +2n-{(n-1)¤ +2(n-1)}
따라서 p=13, q=3이므로 p+q=16 16 a«=2n+1 yy ㉠

08 수열의 합 119
이때 a¡=3은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1063 ak='ƒk+2+'k이므로
a«=2n+1 2 2
¡ a =¡
n n

1
∴ ;Kn+! k=1 'ƒk+2+'k
k=1 k
a˚ a˚≠¡ 2('ƒk+2-'k`)

n

1 k=1 ('ƒk+2+'k`)('ƒk+2-'k`)
=;Kn+!
(2k+1)(2k+3)
= ¡ ('ƒk+2-'k`)
n

1 1
=;2!;;Kn+! { - } k=1
2k+1 2k+3 =('3-1)+('4-'2`)+('5-'3`)
1 1 =+y+('ƒn+1-'ƒn-1`)+('ƒn+2-'n`)
=;2!; [{;3!;-;5!;}+{;5!;-;7!;}+y+{ - }]
2n+1 2n+3
=-1-'2+'ƒn+1+'ƒn+2
1 n 따라서 -1-'2+'ƒn+1+'ƒn+2=2+'2이므로
=;2!; {;3!;- }= ⑤
2n+3 3(2n+3)
'ƒn+1+'ƒn+2=3+2'2
∴ n=7 '9+'8
7

1061 자연수 k에 대하여


1 1 1
f(k¤ )= = = 1064 P’kQk”='ƒk+1+'k이므로
k¤ +'ƒ4k¤ k¤ +2k k(k+2)
1 1
¡ =¡
48 48
1
f(k¤ )=;2!; {;k!;- } k=1 P’kQk” k=1 'ƒk+1+'k
k+2
'ƒk+1-'k

48
이므로
k=1 ('ƒk+1+'k`)('ƒk+1-'k`)
f(1)+f(4)+f(9)+y+f(64)
= ¡ ('ƒk+1-'k`)
48
1
= ¡ f(k¤ )=;2!; ¡ {;k!;-
8 8
} k=1
k=1 k=1 k+2
=('2-1)+('3-'2`)+y+('∂49-'∂48`)
=;2!; [{1-;3!;}+{;2!;-;4!;}+{;3!;-;5!;}+y+{;7!;-;9!;}+{;8!;-;1¡0;}] ='∂49-1=7-1=6 6

=;2!; {1+;2!;-;9!;-;1¡0;}
13 (등차수열`)_(등비수열`)의 합 본책 146쪽

=;2!; ¥;4%5*;=;4@5(; ;4@5(;


⁄ 주어진 수열의 합 S에 등비수열의 공비 r를 곱한다.
¤ S-rS를 계산하여 S를 구한다. (단, r+1)

12 근호가 포함된 수열의 합 본책 146쪽


1065 S=1+2¥;2!;+3¥{;2!;}2 +y+30¥{;2!;}¤ · yy ㉠
⁄ 수열 {a«}의 제k 항 a˚의 분모를 유리화한다.
1 'k-'∂k+c ㉠의 양변에 ;2!; 을 곱하면
⁄ a˚= =
'k+'∂k+c ('k+'∂k+c)('k-'∂k+c)
;2!;S=;2!;+2¥{;2!;}2 +3¥{;2!;}3 +y+30¥{;2!;}‹ ‚ yy ㉡
1
⁄ a˚= ('∂k+c-'k) (단, c+0)
c ㉠-㉡을 하면
¤ k=1, 2, 3, y, n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한다.
;2!;S=1+;2!;+{;2!;}2 +{;2!;}3 +y+{;2!;}¤ · -30¥{;2!;}‹ ‚

1
수열
1 1 1
의 1¥[1-{;2!;}‹ ‚ ]
1062 '2+'3
,
'3+'4
,
'4+'5
, y,
'4å8+'4å9 = -30¥{;2!;}‹ ‚
제k 항을 a˚라 하면 1-;2!;
1
a˚= =2[1-{;2!;}‹ ‚ ]-30¥{;2!;}‹ ‚ =2-{;2!;}¤ fi
'ƒk+1+'ƒk+2
'ƒk+1-'ƒk+2 2-2¥{;2!;}‹ ‚ -30¥{;2!;}‹ ‚
a˚= ∴ S=4-{;2!;}¤ ›
('ƒk+1+'ƒk+2 )('ƒk+1-'ƒk+2 ) =2-32¥{;2!;}‹ ‚ =2-2fi ÷2‹ ‚

a˚='ƒk+2-'ƒk+1 따라서 a=4, b=24이므로


1 1
=2- =2- 25 =2-{;2!;}¤ fi
주어진 식은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47 항까지의 합이므로 a+b=28 230-5 2 ③

¡ a˚= ¡ ('ƒk+2-'ƒk+1 )
47 47

k=1 k=1
1066 S=1¥1-2¥2+3¥2¤ -4¥2‹ +y-10¥2· yy ㉠
=('3-'2 )+('4-'3 )+y+('4ß9-'4ß8 )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4ß9 -'2=7-'2 ② -2S=-1¥2+2¥2¤ -3¥2‹ +4¥2› -y+10¥2⁄ ‚ yy ㉡

120 정답 및 풀이
본책 146~148 쪽

㉠-㉡을 하면 이때 제`n`군의 항의 개수는 n이므로 제`1`군부터 제`6`군까지의 항의


3S=1-2+2¤ -2‹ +y-2· -10¥2⁄ ‚ 6¥7
¡ k=
6
개수는 =21
1-(-2)⁄ ‚ 1-31¥2⁄ ‚ k=1 2
3S= -10¥2⁄ ‚ =
1-(-2) 3 따라서 21+5=26이므로 10010000은 제`26`항이다. 제`26`항
1-31¥2⁄ ‚
∴ 9S=3¥3S=3¥ =1-31¥2⁄ ‚ ①
3 주어진 수열을
1071
(1), (1, 3, 1), (1, 3, 3¤ , 3, 1), (1, 3, 3¤ , 3‹ , 3¤ , 3, 1), y
1067 f(x)=1+4x+7x¤ +10x‹ +y+31x⁄ ‚ yy ㉠ 과 같이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n`군의 항의 개수는 2n-1이므로 제
㉠의 양변에 x를 곱하면 `1`군부터 제`n`군까지의 항의 개수는
xf(x)=x+4x¤ +7x‹ +10x› +y+31x⁄ ⁄ yy ㉡ n(n+1)
¡ (2k-1)=2¥
n
-n=n¤

08
㉠-㉡을 하면 k=1 2

수열의 합
(1-x)f(x)=1+3x+3x¤ +3x‹ +y+3x⁄ ‚ -31x⁄ ⁄ n=11일 때 11¤ =121이므로 제`126`항은 제`12`군의 5번째 항이다.
3x(x⁄ ‚ -1) 따라서 제`126`항은 3› 이다. ③
(1-x)f(x)=1+ -31x⁄⁄ ⁄ (단, x+1)
x-1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1072 주어진 수열을
-3¥f(4)=1+4(4⁄ ‚ -1)-31¥4⁄ ⁄ =-30¥4⁄ ⁄ -3
(x, y), (x¤ , xy, y¤ ), (x‹ , x¤ y, xy¤ , y‹ ),
∴ `f(4)=10¥4⁄ ⁄ +1 ①
(x› , x‹ y, x¤ y¤ , xy‹ , y› ), y
과 같이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n`군에 있는 각 항의 차수가 n이므로
14 정수 또는 문자로 이루어진 군수열 본책 147쪽 x⁄ ¤ y‹ 은 제`15`군의 4번째 항이다.
이때 제`n`군의 항의 개수는 n+1이므로 제`1`군부터 제`14`군까지의
⁄ 주어진 수열을 규칙성을 갖는 군으로 나눈다.
항의 개수는
¤ 각 군의 항의 개수와 규칙성을 조사한다.
14¥15
¡ (k+1)=
14
+14=119
k=1 2
1068 주어진 수열을 따라서 119+4=123이므로 x⁄ ¤ y‹ 은 제`123`항이다. 제`123`항
(1), (-2, -1), (3, 2, 1), (-4, -3, -2, -1),
(5, 4, 3, 2, 1), y 분수로 이루어진 군수열
15 본책 148쪽
과 같이 군수열로 생각하면 처음으로 나타나는 20은 제`21`군의 2번
째 항이다. 제``20군은 모든 항이 음수이다. 분모 또는 분자가 같은 것끼리 군으로 묶거나 분모 또는 분자가 수열
이때 제`n`군의 항의 개수는 n이므로 제`1`군부터 제`20`군까지의 항 을 이루는 것끼리 군으로 묶는다.

의 개수는 1 1 2 1 2 3
①{ }, { , }, { , , }, y
1 2 2 3 3 3
¡ k=
20
20¥21
=210 분모가 같은 것끼리 묶는다.
k=1 2
따라서 210+2=212이므로 처음으로 나타나는 20은 제`212`항이다. 1 1 1 1 1 1 1 1 1 1
② { }, { , }, { , , }, { , , , }, y
1 2 1 4 2 1 8 4 2 1

분모가 등비수열을 이루는 것끼리 묶는다.

1069 주어진 수열을


(1), (3, 3), (5, 5, 5), (7, 7, 7, 7), y 1073 주어진 수열을
과 같이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 n군에 있는 각 항은 2n-1이다.
{;2!;}, {;3!;, ;3@;}, {;4!;, ;4@;, ;4#;}, {;5!;, ;5@;, ;5#;, ;5$;}, y
2n-1=21에서 n=11이므로 21은 제 11군의 항이다.
이때 제 n군의 항의 개수는 n이므로 제 1군부터 제 `10 군까지의 항 와 같이 분모가 같은 항끼리 묶은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n 군의 분
의 개수는 모는 n+1이므로 ;1£02¶ ;은 제101군의 37번째 항이다.
¡ k=
10
10¥11
=55 이때 제`n`군의 항의 개수는 n이므로 제1 군부터 제100군까지의 항
k=1 2 55+11=66
따라서 21은 제 56 항부터 제 66항까지 계속되므로 의 개수는
p=56, q=66 55+1=56 ¡ k= 100¥101 =5050
100

k=1 2
∴ p+q=122 122
따라서 5050+37=5087이므로 ;1£0¶2;은 제5087항이다. ⑤

1070 주어진 수열을


(11), (101, 110), (1001, 1010, 1100), y 1074 주어진 수열을
과 같이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n`군은 (n+1)자리 수이므로
{;1!;}, {;2!;, ;1#;}, {;4!;, ;2#;, ;1%;}, {;8!;, ;4#;, ;2%;, ;1&;}, y
10010000은 제`7`군의 5번째 항이다.

08 수열의 합 121
과 같이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n군의 항의 개수는 n이므로 제`1군부 채점 기준표
터 제`n 군까지의 항의 개수는 ➊ 제``54`항이 제 몇 군의 몇 번째 항인지 구할 수 있다. 40%
n(n+1) ➋ 제``1`군부터 제``9`군까지의 모든 항의 곱을 구할 수 있다. 40%
¡ k=
n

k=1 2 ➌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11¥12
n=11일 때 =66이므로 제65항은 제`11군의 끝에서 2번째
2
항이다. 16 순서쌍으로 이루어진 군수열 본책 148쪽

1 3 5 19 21 각 성분의 합 또는 곱이 같은 것끼리 군으로 묶는다.


이때 제`11군은 , , , y, , 이므로 제`65항은
2⁄ ‚ 2· 2° 2 1 ① {(1, 1)}, {(2, 1), (1, 2)}, {(3, 1), (2, 2), (1, 3)}, y
19 성분의 합이 같은 것끼리 묶는다.
이다. ④
2 ② {(1, 1)}, {(1, 2), (2, 1)}, {(1, 4), (2, 2), (4, 1)}, y
1, 3, 5, y, 2k-1, y에서 제`n`군의 k번째 항의 분자는 2k-1 성분의 곱이 같은 것끼리 묶는다.
이다. 또 제`n`군의 첫 번째 항의 분모는 2« —⁄ 이므로 k번째 항의 분모
는 2« —˚ 이다.
1077 주어진 수열을
주어진 수열을 {(1, 1)}, {(1, 2), (2, 1)}, {(1, 3), (2, 2), (3, 1)},
1075
{(1, 4), (2, 3), (3, 2), (4, 1)}, y
{;1!;}, {;2!;, ;2@;, ;2!;}, {;3!;, ;3@;, ;3#;, ;3@;, ;3!;}, y 과 같이 두 수의 합이 같은 순서쌍끼리 묶은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
과 같이 분모가 같은 항끼리 묶은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n 군의 항의 n 군의 순서쌍의 두 수의 합은 n+1이므로 (10, 11)은 제20 군의
개수는 2n-1이므로 제`1 군부터 제`n 군까지의 항의 개수는 10번째 항이다. 순서쌍 (a, b)에서 a+b-1은 군의 수, a는 군 안에서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때 제 n 군의 항의 개수는 n이므로 제`1군부터 제`19군까지의 항의
¡ (2k-1)=2¥ n(n+1) -n=n¤
n

k=1 2 개수는
n=10일 때 10¤ =100이므로 제`100항은 제`10군의 마지막 항이다.
¡ k= 19¥20 =190
19

1 2 3 n 3 2 1 k=1 2
이때 제`n`군은 { , , , y, , y, , , }이므로 제`n`군
n n n n n n n 따라서 190+10=200이므로 (10, 11)은 제200항이다. ③
의 항의 합은


n-1
k 2 n(n-1) 1078 주어진 수열을
+1= ¥ +1=n
k=1 n n 2 {(1, 2), (2, 1)}, {(1, 4), (2, 2), (4, 1)},
따라서 첫째항부터 제`100`항까지의 합은 {(1, 8), (2, 4), (4, 2), (8, 1)}, y
¡ k=
10
10¥11 과 같이 두 수의 곱이 같은 순서쌍끼리 묶은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
=55 55
k=1 2
n군의 순서쌍의 두 수의 곱은 2« 이고, 항의 개수는 n+1이므로 제
`1군부터 제 n 군까지의 항의 개수는
1076 주어진 수열을
n(n+1) n(n+3)
1 1 1
,
1 1
, ,
1
}, y ;Kn+!(k+1)= +n=
{1,
3
}, {1,
3 9
}, {1,
3 9 27 2 2
과 같이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 n 군의 항의 개수는 n+1이므로 제 1 12¥15
n=12일 때 =90이므로 제`100항은 제13 군의 10번째 항
2
군부터 제 n 군까지의 항의 개수는
이다. ⇢➊
n(n+1) n(n+3)
¡ (k+1)=
n
+n= 이때 제n군의 k번째 항은 (2˚ —⁄ , 2« —˚ ±⁄ )이므로 제13 군의 10번째
k=1 2 2
9¥12 항은 (2· , 2› ) ⇢➋
n=9일 때 =54이므로 제54항은 제9군의 마지막 항이다.
2 따라서 a=2· , b=2› 이므로로로a-b=2· -2› =496 ⇢➌
⇢➊ 496
따라서 제 1 군부터 제 9 군까지의 모든 항의 곱은
;3!;이 9개, ;9!;이 8개, 채점 기준표
1 9 1 8 1 7 1 1 1 ➊ 제`100`항이 제 몇 군의 몇 번째 항인지 구할 수 있다. 60%
1· _{ } _{ } _{ } _y_{ 9 } ;2¡7;이 7개, y, 이 1개
3 3¤ 3‹ 3 3·
곱해진다. ➋ 제`100`항을 구할 수 있다. 30%
1 1¥9+2¥8+3¥7+y+9¥1
={ } ⇢➋ ➌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3
∴ m=1¥9+2¥8+3¥7+y+9¥1
= ¡ k(10-k)=10 ¡ k- ¡ k¤
9 9 9
17 삼각형 모양으로 주어진 군수열 본책 148쪽
k=1 k=1 k=1

9¥10 9¥10¥19 ⁄ 각 줄을 하나의 군으로 묶어 생각한다.


=10¥ -
2 6 ¤ 첫 번째 줄에서 n번째 줄까지의 항의 개수를 파악한다.
=450-285=165 ⇢➌ ‹ 각 줄에서 k번째의 수를 구한다.
165

122 정답 및 풀이
본책 148~150 쪽

1079 위에서 k번째 줄에 나열된 수들은 첫째항이 k이고 공차가 1 2 3 4 5 y


k, 항수가 k인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위에서 k번째 줄에 나열된 수 2 4 6 8 10
의 합은 6
3 9 12 15
k{2k+(k-1)k} k‹ +k¤
= 4 8 12 16 20 p q
2 2
5 10 15 20 25 r s
따라서 첫 번째 줄부터 10번째 줄까지 나열된 모든 수의 합은

y
¡
10
k‹ +k¤ 10¥11 ¤ 10¥11¥21
=;2!;[{ }+ ]
k=1 2 2 6
이때 p를 위에서 m번째 줄의 왼쪽에서 n번째에 있는 수라 하면
=;2!;(3025+385)=1705 1705 p=mn, q=m(n+1), r=(m+1)n, s=(m+1)(n+1)
이므로

08
p+s=2mn+m+n+1, q+r=2mn+m+n

수열의 합
1080위에서 n번째 줄에 있는 순서쌍의 두 수의 합은 2« 이고, 위
∴ p+s=q+r+1
에서 n번째 줄의 왼쪽에서 k번째 순서쌍은 (k, 2« -k)이다.
따라서 a+400=b+c+1이므로로로b+c-a=399
이때 순서쌍 (28, 100)에서
28+100=128=2‡
1084 오른쪽 그림과
이므로 (28, 100)은 위에서 7번째 줄의 왼쪽에서 28번째에 있다. 같이 1의 오른쪽 대각
17 16 15 14 13 y
따라서 p=7, q=28이므로 p+q=35 35 선 아래 방향에
18 5 4 3 12
(2k-1)¤ 이 쓰여진다.
19 6 1 2 11
1081 위에서 k`번째 줄에 나열된 수의 개수는 2k-1이므로 위에 이때 121=11¤ 에서 11¤
의 왼쪽 대각선 방향으 20 7 8 9 10
서 14`번째 줄까지 나열된 수의 개수는
14¥15 로 바로 위에 오는 수가 21 22 23 24 25
¡ (2k-1)=2¥
14
-14=196

y
2 9¤ 이므로 구하는 수는 83

y
k=1

이때 196=5¥39+1이므로 제`15`행에 나열된 수는 4, 6, 8, 10, 2의 9¤ +1=82 81 82


순서로 반복된다. 82 120 121
위에서 15`번째 줄에 나열된 수의 개수는 2¥15-1=29이므로 나열
29=5¥5+4
된 모든 수의 합은
(4+6+8+10+2)¥5+(4+6+8+10)=178 178
1085 위에서 m번째 줄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은 첫째항이 1, 공차
가 3(m-1)인 등차수열이므로 위에서 m번째 줄의 n번째에 있는
18 바둑판 모양으로 주어진 군수열 본책 149쪽 수는
1+(n-1){3(m-1)}=3(m-1)(n-1)+1
① 수가 나열되는 방향에 따른 규칙을 찾는다. 3(m-1)(n-1)+1=31에서 (m-1)(n-1)=10
② 놓인 위치에 따른 규칙을 찾는다.
이때 m, n은 자연수이므로
첫 번째 줄의 수, 각 줄의 첫 번째의 수, 대각선 위의 수 등
m-1 1 2 5 10
n-1 10 5 2 1
1082 첫 번째 줄의 수는 차례대로 1¤ , 2¤ , 3¤ , 4¤ , y이므로 첫 번
째 줄의 왼쪽에서 10번째에 있는 수는 10¤ =100 즉 순서쌍 (m, n)은 (2, 11), (3, 6), (6, 3), (11, 2)
첫 번째 줄의 왼쪽에서 10번째 수부터 10번째 줄의 왼쪽에서 10번 따라서 위에서 2번째 줄의 왼쪽에서 11번째에 있는 수, 3번째 줄의
째 수까지 1씩 작아지므로 3번째 줄의 왼쪽에서 10번째에 있는 수는 왼쪽에서 6번째에 있는 수, 6번째 줄의 왼쪽에서 3번째에 있는 수,
100-2=98 ③ 11번째 줄의 왼쪽에서 2번째에 있는 수가 모두 31이므로 31은 총 4
번 나타난다. 4번
1083 위에서 m 번째 줄의 왼쪽에서 n번째에 있는 수는 mn이고
400은 대각선 위의 수이므로 400=20¤ 에서 400은 20번째 줄의 왼 1086 먼저 'n이 자연수가 되는 n의 값을 구한다.
쪽에서 20번째에 있는 수이다. 'n이 자연수가 되는 n의 값은 1, 4, 9, 16, y이므로 a¡=1,
따라서 a는 19번째 줄의 왼쪽에서 19번째에 있는 수, b는 19번째 a¢=2, aª=3, a¡§=4, y이고 나머지 항들은 모두 0이다. 즉
줄의 왼쪽에서 20번째에 있는 수, c는 20 번째 줄의 왼쪽에서 19번 ¡ ak= ¡ ak= ¡ ak=1
1 2 3

째에 있는 수이므로 k=1 k=1 k=1

¡ ak= ¡ ak=y= ¡ ak=1+2


4 5 8
a=19¤ =361, b=19¥20=380, c=20¥19=380
k=1 k=1 k=1
∴ b+c-a=380+380-361=399 ⑤
¡ ak= ¡ ak=y= ¡ ak=1+2+3
9 10 15

다음 그림에서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된 네 개의 칸에 k=1 k=1 k=1

들어가는 수를 각각 p, q, r, s라 하자. ⋮

08 수열의 합 123
n(n+1)
따라서 i가 50 이하의 자연수일 때 ¡ ak< ¡ ak를 만족시키는 i의
i i+1
¡ k=45에서
n

k=1 k=1 2 =45


k=1

최댓값은 48이므로로로m=48 n(n+1)=90, n¤ +n-90=0


∴ ¡ ak= ¡ ak=1+2+3+4+5+6=21
m 48
(n+10)(n-9)=0 ∴ n=9 (∵ n은 자연수) 9
k=1 k=1

∴ m+ ¡ ak=69
m
69
k=1 1090 점 Pn의 좌표가 ('n, n)임을 이용하여 Qn, Rn의 좌
표를 구한다.

n>m일 때, aμ+aμ≠¡+y+a«=;Kn+!a˚- ¡ a˚임을


m-1
점 Pn('n, n)을 지나고 직선 y='nx에 수직인 직선의 방
1087 k=1 x¤ ='nx에서에x(x-'n )=0에∴ x='n `(∵ x>0)
정식은
이용한다.
1 1
(x-'n)+n, 즉 y=- x+n+1
y=-
f(n)= ¡ a˚이므로
n
'n 'n
k=1
이므로로로Qn((n+1)'n, 0), Rn(0, n+1)
aμ+aμ≠¡+aμ≠™+y+a™º= ¡ a˚
20

k=m
∴ Sn=;2!;(n+1)'n¥(n+1)=;2!;(n+1)¤ 'n
aμ+aμ≠¡+aμ≠™+y+a™º= ¡ a˚- ¡ a˚
20 m-1

Sn 1 (n+1)¤ 'n
∴ ¡ =¡[ ¥
k=1 k=1 10 10

aμ+aμ≠¡+aμ≠™+y+a™º=f(20)-f(m-1) n=1 'n n=1 'n 2


]
f(20)-f(m-1)>0에서 f(20)=0이므로
=;2!; ¡ (n+1)¤ =;2!; ¡ (n¤ +2n+1)
10 10

f(m-1)<0 n=1 n=1

주어진 그래프에서 4<m-1<20 ∴ 5<m<21 10¥11¥21 10¥11


따라서 =;2!;`{ +2¥ +10}
따라서 자연수 m의 최솟값은 6이다. 4<x<20일 때,에f(x)<0 6 2
∴ p=6 0-f(m-1)=-f(m-1) 505
따라서 =;2!;`(385+110+10)= ②
또 f(m-1)의 값이 최소일 때 f(20)-f(m-1)의 값은 최대이므 2
로 주어진 그래프에서 f(20)-f(m-1)의 최댓값은
f(20)-f(12)=-f(12) 1091 n=2, 3, 4, y일 때 f(n)의 값을 구하여 규칙을 찾는
즉 m-1=12에서 m=13이므로 q=13 다.
∴ p+q=19 19 n=2일 때, {3, 3‹ }이므로
S={3› } ∴ f(2)=1
n=3일 때, {3, 3‹ , 3fi }이므로
1088 정삼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60°이므로 정삼각형을 6
S={3› , 3fl , 3° } ∴ f(3)=3
번 회전시킨 정삼각형은 정삼각형 OAB와 일치한다.
n=4일 때, {3, 3‹ , 3fi , 3‡ }이므로
정삼각형 OAB를 원점 O를 중 y=-x+1 y y=x+1
Â3 S={3› , 3fl , 3° , 3⁄ ‚ , 3⁄ ¤ } ∴ f(4)=5
심으로 시곗바늘이 도는 반대 방향으로 B

60°_n만큼 회전시킨 정삼각형과 직선 1
-1 A n=k일 때, {3, 3‹ , 3fi , y, 32k-1}이므로
y=(-1)nx+1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O 1 2 x
S={3› , 3fl , 3° , y, 34(k-1)}

∴ f(k)=2(k-1)-1=2k-3`(kæ2)
a¡=2, a™=2, a£=0, a¢=0, -Â3
∴ ¡ f(n)= ¡ (2n-3)= ¡ (2n-1)
11 11 10

a∞=2, a§=0, y n=2 n=2 n=1

이므로 10¥11
∴ f(n)=2¥ -10=100 100
2
¡ an=8(a¡+a™+a£+a¢+a∞+a§)+a¢ª+a∞º
50

n=1

an=8¥6+2+2=52 52
1092 n=1, 2, 3, y일 때 a«의 값을 구하여 규칙을 찾는다.
3⁄
a¡=3⁄ -10[ ]=3
1089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R를 사용하여 나타낸 후 10
;Kn+!k‹ ={`;Kn+!k}2 임을 이용한다. a™=3¤ -10[

]=9
10
(1‹ -2)+(2‹ -4)+(3‹ -6)+y+(n‹ -2n) 3‹
a£=3‹ -10[ ]=27-20=7
10
= ¡ (k‹ -2k)= ¡ k‹ -2 ¡ k={ ¡ k}2 -2 ¡ k
n n n n n

3›
]=81-80=1
k=1 k=1 k=1 k=1 k=1
a¢=3› -10[
10
이므로 ¡ k=t로 놓으면 주어진 등식은
n

3fi
]=243-240=3
k=1
a∞=3fi -10[
t¤ -2t=44¤ -1, t¤ -2t-(44-1)(44+1)=0 10
(t+43)(t-45)=0 ∴ t=45 (∵ t>0) ⋮

124 정답 및 풀이
본책 150~151 쪽


따라서 a«=3« -10 [ ]은 3« 을 1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1095 나열된 수를 자릿수가 같은 것끼리 묶은 군수열로 생
10 3« 의 일의 자리의 숫자 각해 본다.
와 같다.
주어진 수열을
3« 을 1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 9, 7, 1이 이 순서대로 반복
(1, 2, 3), (11, 12, 13, 21, 22, 23, 31, 32, 33),
3⁄ =3, 3¤ =9, 3‹ =27,
되므로
3› =81, 3fi =243, 3fl =729, y (111, 112, 113, 121, y, 333), y
¡ a˚=(3+9+7+1)¥10=200
40
④ 과 같이 자릿수가 같은 것끼리 묶은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n군의 항
k=1
의 개수는 3« 이므로 제`1 군부터 제`n 군까지의 항의 개수는
3(3« -1) 3(3« -1)
¡ 3˚ = 3-1 =
n

가우스 기호를 사용한 나머지의 표현 k=1 2


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a를 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q, 나머지를 3(3› -1)
n=4일 때 =120이므로 제`200 항은 제`5 군의 80번째

08
2
r라 하면 a=bq+r (0…r<b) yy ㉠ 200-120=80

수열의 합
항, 즉 다섯 자리 수 중에서 80번째 수이다.
양변을 b로 나누면 ;bA;=q+;bR; {0…;bR;<1}
다섯 자리 수 중에서 13333은 81번째 수이므로 80번째 수는
∴ [;bA;]=q 13332이다. 11111에서 13333까지의 수는 제`4`군의 항인 1111부터 ②
yy ㉡ 3333까지의 총 개수와 같다.

㉡을 ㉠에 대입하면 a=b[;bA;]+r ∴ r=a-b[;bA;]


1096 an+1+an+2+y+am=Sm-Sn임을 이용한다.
제 n 군의 항의 개수가 2n-1이므로 제`1`군부터 제`4`군까지
1093 두 점 P«, Q«의 좌표를 이용하여 a«을 n에 대한 식으 의 항의 개수는
로 나타낸다. 4¥5
¡ (2k-1)=2¥
4
-4=16
점 P«은 직선 x=n과 함수 y=x¤ -2x의 그래프의 교점이므 k=1 2
로로로P«(n, n¤ -2n) 따라서 제`5`군은 (a¡¶, a¡•, a¡ª, y, a™∞)이므로 제`5`군의 모든 항
2 의 합은
따라서 점 Q«의 y좌표가 n¤ -2n이고, 점 Q«은 함수 y= 의 그래
x a17+a18+a19+y+a25=S™∞-S¡§
두 점 P«, Q«의 y좌표는 서로 같다.
프 위의 점이므로 =(5¥3¤ fi -5)-(5¥3⁄ fl -5)
2 2 =5¥3⁄ fl (3· -1)
n¤ -2n= ∴ x=
x n¤ -2n 즉 m=16, n=1이므로므로m+n=17 17
2
∴ a«=
n(n-2)
2 1 1
∴ ¡ a«= ¡ = ¡{
12 12 12
- } 1097 주어진 수열에서 분모가 같은 것끼리 묶은 군수열을
n=3 n=3 n(n-2) n=3 n-2 n
생각해 본다.
a«={1-;3!;}+{;2!;-;4!;}+{;3!;-;5!;} 주어진 수열을
1 3 1 3 5 7
{ , }, { , , , },
a«=+y+{;9!;-;1¡1;}+{;1¡0;-;1¡2;} 2¤ 2¤ 2‹ 2‹ 2‹ 2‹
1 3 5 15
{ , , , y, }, y
a«=1+;2!;-;1¡1;-;1¡2;=;1!3&2%; ;1!3&2%; 2› 2› 2› 2›
와 같이 분모가 같은 것끼리 묶은 군수열로 생각하면 제`n`군의 항의
1
개수는 2« 이므로 제`1`군부터 제`n`군까지의 항의 개수는
1094 먼저 의 분모를 유리화하여 식을 간단히 한다. 2(2« -1)
¡ 2˚ =
n

=2(2« -1)
R«='ßn+'ƒn+1에서 k=1 2-1
1 1 'ßn-'ƒn+1 n=6일 때 2(2fl -1)=126이므로 제 1 군부터 제 6 군까지의 항의
= = 개수가 126이다.
R« 'ßn+'ƒn+1 ('ßn+'ƒn+1`)('ßn-'ƒn+1`)
='ƒn+1-'n 즉 구하는 합은 제 1군부터 제 6군까지의 합이다.
이므로 제 n 군의 분자의 합은
2« (2« +1)
¡ (2k-1)=2¥

1 1 1 1 -2« =22n
+ + +y+ 2
R¡ R™ R£ R¡∞ k=1

1 이므로 제 n군의 항의 합은
=¡ = ¡ ('ƒk+1-'k`)
15 15

k=1 R˚ k=1 22n 2n¥2n 2n


n+1 = n = =2n÷2=2n-1
=('2-1)+('3-'2 )+y+('1åß6 -'1å5`) 2 2 ¥2 2
='1ß6 -1=3 따라서 구하는 합은
26-1
¡ 2n-1=
6
따라서 구하는 합성 저항은 ;3!;이다. ② =63 63
n=1 2-1

08 수열의 합 125
1098 점 A¢«의 x좌표와 y좌표를 각각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 자연수 k에 대하여
어 본다. ⁄ n이 홀수, 즉 n=2k-1일 때,
점 A«의 좌표를 (x«, y«)이라 하면 n(n-1)
⁄ 이 n의 배수이므로
2
x¢=1+1-2-3=-3,
n(n-1) n(n+1)
x•=x¢+4+5-6-7=-3+4+5-6-7=-7, ⁄ 의의an= +n=
2 2
x¡™=x•+8+9-10-11=-7+8+9-10-11=-11,
(2k-1)(2k-1+1)
⋮ ⁄ 의의∴ a2k-1= =2k¤ -k
2
즉 수열 {x¢«}은 첫째항이 -3,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 n이 짝수, 즉 n=2k일 때,
x¢«=-3+(n-1)¥(-4)=-4n+1 n(n-1) n-2 n
또 ⁄ =n¥ + 이므로
2 2 2
y¢=0+1+2-3=0,
n(n-1) n
y•=y¢-4+5+6-7=0-4+5+6-7=0, ⁄ 의의an= + =;2!;n¤
2 2
y¡™=y•-8+9+10-11=0-8+9+10-11=0,
`⋮ ⁄ 의의∴ a2k=;2!;¥(2k)¤ =2k¤
∴ y¢«=0
점 A¡§의 좌표가 (-4¥4+1, 0), 즉 (-15, 0)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점 A¡¶의 좌표는 1100 위에서 `(n+1)번째 줄의 마지막 수부터 5개의 항이
이루는 규칙을 찾는다.
(-15+4¥4, 0-4¥4), 즉 (1, -16)
또 점 A£™의 좌표가 (-4¥8+1, 0), 즉 (-31, 0)이므로 조건 ㈒, 1 3 5 7 9
조건 ㈏에 의하여 점 A£¢의 좌표는 1 4 6 8 10 12
(-31+4¥8+4¥9-3, 0-4¥8+4¥9-3), 즉 (34, 1) 1 4 7 9 11 13 15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A¡A¡¶A£¢의 y
A¡ 1 4 7 10 12 14 16 18
넓이는 1 A34
1 4 7 10 13 15 17 19 21
O 1 34 x
;2!;¥16¥33=264 ⋮

y
264 -16
A17 위에서 n번째 줄에 나열된 모든 수의 합을 S«이라 하면
S¡=1+3+5+7+9=25
S™=1+(S¡+5¥3) 5개의 수 1, 3, 5, 7, 9에 각각 3씩 더해졌다.
S£=1+4+(S¡+5¥3¥2) 5개의 수 1, 3, 5, 7, 9에 각각 3씩
1099 n이 홀수일 때와 짝수일 때로 나누어 a2k-1, a2k
2번 더해졌다.
(k는 자연수)를 각각 구한다. S¢=1+4+7+(S¡+5¥3¥3)
자연수 k에 대하여 `⋮
⁄ n이 홀수, 즉 n=2k-1일 때, S«=1+4+7+y+(3n-5)+{S¡+5¥3¥(n-1)}
5개의 수 1, 3, 5, 7, 9에 각각
⁄ a¡=1=1¥1, a£=6=2¥3, a∞=15=3¥5, y이므로 3씩 (n-1)번 더해졌다.
(n=2, 3, 4, y)
⁄ 므로a2k-1=k(2k-1)=2k¤ -k ∴ S¡º=1+4+7+y+25+(S¡+3¥5¥9)
25=1+(9-1)¥3이므로 1을
¤ n이 짝수, 즉 n=2k일 때, 9(1+25)
∴ S¡º= +(25+135) 첫째항으로 하면 25는 첫째항이
⁄ a™=2=1¥2, a¢=8=2¥4, a§=18=3¥6, y이므로 2 1,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의 제``9항
이다.
⁄ 므로a2k=k¥2k=2k¤ ∴ S¡º=117+160=277 277
⁄, ¤에서
¡ an= ¡ (a2k-1+a2k)
30 15

n=1 k=1
1101 10<An을 만족시키는 n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 n의
값에 따른 an을 구한다.
an= ¡ (2k¤ -k+2k¤ )
15

k=1 집합 An={x|(x-'n)(x-n¤ )…0, n은 자연수}에서


an=4 ¡ k¤ - ¡ k
15 15
(x-'n)(x-n¤ )…0하하∴ 'n…x…n¤
k=1 k=1
∴ An={x|'n…x…n¤ , n은 자연수}
15¥16¥31 15¥16 10<An인 n의 값의 범위를 구하면하하'n…10…n¤ ⇢➊
an=4¥ -
6 2
10…n¤``에서서서næ4`(∵ n은 자연수)
an=4960-120=4840 ③
'n…10에서서서n…100
næ2일 때, 제`(n-1)`행의 가장 오른쪽 끝의 수는
-1 (1…n…3 또는 næ101)
n(n-1) ∴ an= [ ⇢➋
1+2+3+y+(n-1)= ¡ i=
n-1

i=1 2 -1 (4…n…100)
n(n-1) 따라서 Sn은 n=100일 때 최댓값 94를 갖는다. ⇢➌
이므로 an은 보다 큰 수 중 가장 작은 n의 배수이다. -1¥3+1¥97
94
2
제`n행에 나열된 수의 개수는 n이므로
제`n행에 있는 n의 배수는 1개이다.

126 정답 및 풀이
본책 152~153 쪽

채점 기준표 121 11
따라서 제 10항은 = 이므로
➊ 10<An일 조건을 구할 수 있다. 40% 341 31
➋ an을 구할 수 있다. 40% p=31, q=11 ∴ p+q=42 ⇢➌
➌ Sn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20% 42

채점 기준표
➊ 제`10`항의 분자를 구할 수 있다. 40%
1102 n=1, 2, 3, y일 때 a«의 값을 구하여 규칙을 찾는다.
➋ 제`10`항의 분모를 구할 수 있다. 50%
a¡=2, a™=0, a£=0, a¢=2, a∞=0, a§=0, y
➌ p+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즉 연속된 두 자연수의 곱을 6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 0, 0
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제`n`항의 분자는 첫째항이 1,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의 첫째항

08
∴ a3n-2=2, a3n-1=0, a3n=0 ⇢➊ 부터 제`(n+1)항까지의 합이므로

수열의 합
이때 a3n-1=0, a3n=0이므로 (n+1){2¥1+(n+1-1)¥2}
=(n+1)¤
2
¡ a˚= ¡ a˚= ¡ a˚=2n
3n-2 3n-1 3n
⇢➋
k=1 k=1 k=1 제`n`항의 분모는 첫째항이 2n+1,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의 첫째항
2n=100에서 n=50이므로로로 ¡ a˚= ¡ a˚= ¡ a˚=100
148 149 150
부터 제`(n+1)항까지의 합이므로
k=1 k=1 k=1
(n+1){2(2n+1)+(n+1-1)¥2}
따라서 구하는 합은 =(n+1)(3n+1)
2
148+149+150=447 ⇢➌
447 1105 주어진 식에 n 대신 n-1을 대입한다.
채점 기준표 na¡+(n-1)a™+(n-2)a£+y+2a«–¡+a«
➊ an의 규칙을 찾을 수 있다. 40% =n‹ -n¤ +n yy ㉠ ⇢➊
3n-2 3n-1 3n ㉠에 n 대신 n-1을 대입하면
➋ ¡ ak= ¡ ak= ¡ ak=2n임을 알 수 있다. 40%
k=1 k=1 k=1
(n-1)a¡+(n-2)a™+(n-3)a£+y+2a«–™+a«–¡
➌ 모든 n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20%
=(n-1)‹ -(n-1)¤ +(n-1) yy ㉡ ⇢➊
㉠-㉡을 하면
a¡+a™+a£+y+a«–¡+a«=3n¤ -5n+3 ⇢➋
1103 집합 A의 원소 (i, j)의 각 i에 대하여
즉 ¡ a˚=3n¤ -5n+3이므로
n
a‘¡+a‘™+a‘£+a‘¢+a‘∞의 값을 구한다.
k=1
집합 A의 원소 (i, j)의 각 i에 대하여
¡ a˚=3¥20¤ -5¥20+3=1103
20
⇢➌
a‘¡+a‘™+a‘£+a‘¢+a‘∞ k=1

=(i ¤ -1¤ )+(i ¤ -2¤ )+(i ¤ -3¤ )+(i ¤ -4¤ )+(i ¤ -5¤ ) 1103

= ¡ (i¤ -j ¤ )
5
⇢➊ 채점 기준표
j=1
➊ 주어진 등식에 n 대신 n-1을 대입할 수 있다. 30%
이므로 집합 A의 원소 (i, j)에 대하여 모든 a‘Δ의 값의 합은
➋ a¡+a™+a£+y+an을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40%
¡ [ ¡ (i ¤ -j ¤ )]= ¡ { ¡ i ¤ - ¡ j¤ }
5 5 5 5 5
20
i=1 j=1 i=1 j=1 j=1 ➌ ¡ a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i ¤ 은 상수 k=1

5¥6¥11
(i ¤ -j ¤ )]= ¡ {5i ¤ - }= ¡ (5i ¤ -55)
5 5
[
i=1 6 i=1

5¥6¥11
1106 수열의 일반항을 부분분수로 변형하여 나타낸다.
[ (i ¤ -j ¤ )]=5¥ -55¥5=0 ⇢➋ 1 1 1
6 수열 , , , y의 제`k`항을 a˚라
4¥1¤ -1 4¥2¤ -1 4¥3¤ -1
0
하면
채점 기준표 1 1
a˚=
➊ ai1+ai2+ai3+ai4+ai5를 ¡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
40% 4k¤ -1 (2k-1)(2k+1)
➋ 모든 aij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60% 1 1 1
a˚= { - } ⇢➊
2 2k-1 2k+1
1 n 1 1
∴ ¡ a˚= ¡{
n

1104 수열의 제`10`항의 분자, 분모를 각각 구한다. k=1 2 k=1 2k-1


-
2k+1
}
제 10항의 분자는 1+3+5+y+21이므로 1 1 1 1 1 1
∴ a˚= [{1- }+{ - }+{ - }
11¥12 2 3 3 5 5 7
¡ (2k-1)=2¥
11
-11=121 ⇢➊
k=1 2 1 1
∴ a˚= [+y+{ - }]
제 10항의 분모는 21+23+25+y+41이므로 2n-1 2n+1
11¥12 1 1 n
¡ (2k+19)=2¥
11
+19¥11=341 ⇢➋ ∴ a˚= {1- }= ⇢➋
k=1 2 2 2n+1 2n+1

08 수열의 합 127
주어진 부등식에서
n n 49 Ⅲ 수열
>0.49, >
2n+1 2n+1 100
100n>49(2n+1), 2n>49
09 수학적 귀납법
∴ n>24.5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25이다. ⇢➌
25 1108 a«≠¡=a«+(-1)« 에서
a™=a¡+(-1)=10-1=9
채점 기준표
a£=a™+(-1)¤ =9+1=10
➊ ak를 구할 수 있다. 30%
n ∴ a¢=a£+(-1)‹ =10-1=9 9
➋ ¡ ak를 구할 수 있다. 40%
k=1

➌ n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30% 1


1109 a«≠¡=a«+ 에서
n
a™=a¡+1=1+1=2

1107 먼저 1+2+3+y+k (k=1, 2, 3, y)로 나타낼 수 a£=a™+;2!;=2+;2!;=;2%;


있는 자연수 n을 찾는다.
∴ a¢=a£+;3!;;=;2%;+;3!;=;;¡6¶;; ;;¡6¶;;
위에서 첫 번째 줄부터 25 번째 줄까지 [규칙 1]에 의하여 1,
2, 3, y, n이 차례대로 나열된 줄은
1=1
1110 a«≠¡=na«에서
a™=1¥a¡=1¥2=2
1+2=3
a£=2¥a™=2¥2=4
1+2+3=6
∴ a¢=3¥a£=3¥4=12 12
1+2+3+4=10
1+2+3+4+5=15
1111 a«≠™=a«≠¡+a«에서
1+2+3+4+5+6=21 a£=a™+a¡=2+1=3
에서 1, 3, 6, 10, 15, 21번째 줄이다. ⇢➊ ∴ a¢=a£+a™=3+2=5 5
위에서 n번째 줄에 1, 2, 3, y, n이 차례대로 나열되었을 때, `n번
n(n+1) 1112 an+2=an+1 an에서
째 줄의 모든 수의 합은 이므로 1, 3, 6, 10, 15, 21 번
2 a£=a™ a¡=3¥(-1)=-3
째 줄의 모든 수의 합은 각각 순서대로 ∴ a¢=a£ a™=(-3)¥3=-9 -9
1¥2 3¥4 6¥7 10¥11
=1, =6, =21, =55,
2 2 2 2 첫째항 a¡은 a¡=1이고, 이웃하는 항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
1113
15¥16 21¥22 보면
=120, =231 ⇢➋
2 2 a™-a¡=4-1=3
위에서 첫 번째 줄부터 `25 번째 줄까지 모두 1만 나열되었다고 가정 a£-a™=7-4=3
하면 위에서 첫 번째 줄부터 25 번째 줄까지 나열된 모든 수의 합은 a¢-a£=10-7=3
25¥26 ⋮
1+2+3+y+25= =325
2
a«≠¡-a«=3 (næ1)
이므로 구하는 합은
따라서 수열 {a«}의 귀납적 정의는
325-(1+3+6+10+15+21)
1, 3, 6, 10, 15, 21번째 줄에 놓인 1의 합 a¡=1, a«≠¡=a«+3 (n=1, 2, 3, y)
+(1+6+21+55+120+231)
a¡=1, a«≠¡=a«+3 (n=1, 2, 3, y)
=325-56+434=703 ⇢➌
703 첫째항 a¡은 a¡=-9이고, 이웃하는 항들 사이의 관계를 살
1114
채점 기준표 펴보면
➊ 1, 2, 3, y, n이 나열된 줄을 구할 수 있다. 30% a™-a¡=-4-(-9)=5
➋ ➊의 줄의 모든 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30% a£-a™=1-(-4)=5
➌ 답을 구할 수 있다. 40% a¢-a£=6-1=5

a«≠¡-a«=5 (næ1)
따라서 수열 {a«}의 귀납적 정의는
a¡=-9, a«≠¡=a«+5 (n=1, 2, 3, y)
a¡=-9, a«≠¡=a«+5 (n=1, 2, 3, y)

128 정답 및 풀이
본책 153~155 쪽

1115 첫째항 a¡은 a¡=5이고, 이웃하는 항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 1122 첫째항 a¡은 a¡=8이고, 이웃하는 항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
보면 보면
a™-a¡=3-5=-2 a™÷a¡=4÷8=;2!;
a£-a™=1-3=-2
a¢-a£=-1-1=-2 a£÷a™=2÷4=;2!;

a¢÷a£=1÷2=;2!;
a«≠¡-a«=-2 (næ1)
따라서 수열 {a«}의 귀납적 정의는 ⋮
a¡=5, a«≠¡=a«-2 (n=1, 2, 3, y) a«≠¡÷a«=;2!; (næ1)
a¡=5, a«≠¡=a«-2 (n=1, 2, 3, y)
따라서 수열 {a«}의 귀납적 정의는

1116 첫째항 a¡은 a¡=20이고, 이웃하는 항들 사이의 관계를 살 a¡=8, a«≠¡=;2!;a« (n=1, 2, 3, y)
펴보면
a¡=8, a«≠¡=;2!;a« (n=1, 2, 3, y)
a™-a¡=17-20=-3
a£-a™=14-17=-3
a¢-a£=11-14=-3 첫째항 a¡은 a¡=2이고, 이웃하는 항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
1123
⋮ 보면
a«≠¡-a«=-3 (næ1) a™÷a¡=(-6)÷2=-3
따라서 수열 {a«}의 귀납적 정의는 a£÷a™=18÷(-6)=-3
a¡=20, a«≠¡=a«-3 (n=1, 2, 3, y) a¢÷a£=(-54)÷18=-3

09
a¡=20, a«≠¡=a«-3 (n=1, 2, 3, y) ⋮

수학적 귀납법
a«≠¡÷a«=-3 (næ1)
1117 a«≠¡-a«=-1에서 주어진 수열은 공차가 -1인 등차수열 따라서 수열 {a«}의 귀납적 정의는
이다. 이때 첫째항이 a¡=2이므로 a¡=2, a«≠¡=-3a« (n=1, 2, 3, y)
a«=2+(n-1)¥(-1)=-n+3 a«=-n+3 a¡=2, a«≠¡=-3a« (n=1, 2, 3, y)

1118a«≠¡=a«+3에서 주어진 수열은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다.


1124 첫째항 a¡은 a¡=3이고, 이웃하는 항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
이때 첫째항이 a¡=4이므로
보면
a«=4+(n-1)¥3=3n+1 a«=3n+1
a™÷a¡=(-1)÷3=-;3!;
11192a«≠¡=a«+a«≠™에서 주어진 수열은 등차수열이고,
a£÷a™=;3!;÷(-1)=-;3!;
a¡=1, a™-a¡=3-1=2
이므로 첫째항이 1, 공차가 2이다. a¢÷a£={-;9!;}÷;3!;=-;3!;
∴ a«=1+(n-1)¥2=2n-1 a«=2n-1

a«≠¡-a«=a«≠™-a«≠¡에서 주어진 수열은 등차수열이고, a«≠¡÷a«=-;3!; (næ1)


1120
a¡=4, a™-a¡=1-4=-3 따라서 수열 {a«}의 귀납적 정의는
이므로 첫째항이 4, 공차가 -3이다.
a¡=3, a«≠¡=-;3!;a« (n=1, 2, 3, y)
∴ a«=4+(n-1)¥(-3)=-3n+7 a«=-3n+7
a¡=3, a«≠¡=-;3!;a« (n=1, 2, 3, y)
1121 첫째항 a¡은 a¡=1이고, 이웃하는 항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
보면
a™÷a¡=3÷1=3 1125a«≠¡÷a«=2에서 주어진 수열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다.
a£÷a™=9÷3=3 이때 첫째항이 a¡=1이므로
a¢÷a£=27÷9=3 a«=1¥2« —⁄ =2« —⁄ a«=2« —⁄


a«≠¡÷a«=3 (næ1) a«≠¡=;3!;a«에서 주어진 수열은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다.
1126
따라서 수열 {a«}의 귀납적 정의는
이때 첫째항이 a¡=3이므로
a¡=1, a«≠¡=3a« (n=1, 2, 3, y) n-1

a¡=1, a«≠¡=3a« (n=1, 2, 3, y) a«=3¥{;3!;}« —⁄ a«=3¥{;3!;}

09 수학적 귀납법 129


1127 a«≠¡=-5a«에서 주어진 수열은 공비가 -5인 등비수열이 n
1133 a«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
a«≠¡=
다. 이때 첫째항이 a¡=2이므로 n+1
a«=2¥(-5)« —⁄ a«=2¥(-5)« —⁄ 입하여 변끼리 곱하면
a™=;2!; a¡
1128a«≠¡¤ =a« a«≠™에서 주어진 수열은 등비수열이고,
a¡=1, a™÷a¡=4÷1=4 a£=;3@; a™
이므로 첫째항이 1, 공비가 4이다.
a¢=;4#; a£
∴ a«=1¥4« —⁄ =4« —⁄ a«=4« —⁄

a«≠¡ a«≠™ n-1
_ a«= a«–¡
1129 a« = a«≠¡ 에서 주어진 수열은 등비수열이고, n
>≥ ≥ ≥ ¯
n-1
a¡=-2, a™÷a¡=2÷(-2)=-1 a«=;2!;¥;3@;¥;4#;¥y ¥ a¡
n
이므로 첫째항이 -2, 공비가 -1이다.
1 4 4
∴ a«=-2¥(-1)« —⁄ a«=-2¥(-1)« —⁄ a«= ¥4= a«=
n n n

1130 a«≠¡=a«+n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 1134 a«≠¡=2« a«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
여 변끼리 더하면
여 변끼리 곱하면
a™=a¡+1
a™=2a¡
a£=a™+2
a£=2¤ a™
a¢=a£+3
a¢=2‹ a£


+>≥ a«=≥a«–¡≥+(n≥-1)
_> ≥a«=≥2« —⁄ ≥a«–¡
(n-1)n
a«=a¡+;nK-+1! k=1+ `a«=2¥2¤ ¥2‹ ¥y ¥2« —⁄ ¥a¡
2
`a«=21+2+3+y+(n-1)¥1
n¤ -n+2 n¤ -n+2
a«= a«= n(n-1) n(n-1)
2 2 `a«=2 2 a«=2 2

1131a«≠¡-a«=2n-1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1135 a«≠¡=2a«-1에서 a«≠¡-1=2(a«-1)
대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a«-1=b«으로 놓으면 b«≠¡=2b«, b¡=a¡-1=1
a™-a¡=2¥1-1 따라서 수열 {b«}은 첫째항이 1,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a£-a™=2¥2-1 b«=1¥2« —⁄ =2« —⁄
a¢-a£=2¥3-1 ∴ a«=b«+1=2« —⁄ +1 a«=2« —⁄ +1

a«≠¡=2a«-1 yy ㉠
+>≥ a≥«-a≥«–¡ ≥=2(≥n-1≥)-1 a«≠™=2a«≠¡-1 yy ㉡
(n-1)n
`a«-a¡=;nK-+1!(2k-1)=2¥ -(n-1) ㉡-㉠을 하면 a«≠™-a«≠¡=2(a«≠¡-a«)
2
`a«-a¡=n¤ -2n+1 a«≠¡-a«=b«으로 놓으면 b«≠¡=2b«
∴ a«=3+n¤ -2n+1 이때 a™=2a¡-1=2¥2-1=3이므로
∴ a«=n¤ -2n+4 a«=n¤ -2n+4
b¡=a™-a¡=3-2=1
따라서 수열 {b«}은 첫째항이 1,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b«=1¥2n-1=2n-1
1132a«≠¡-a«=3« 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
a«≠¡-a«=2n-1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
하여 변끼리 더하면
끼리 더하면
a™-a¡=3
a™-a¡=1
a£-a™=3¤ 2 =1 0

a£-a™=2
a¢-a£=3‹
a¢-a£=2¤


+> ≥a«-≥a«–¡≥=3« ¯—⁄
3(3« —⁄ -1) 3« -3 +>≥ ≥a«-a«–¡=2« —¤
`a«-a¡=;nK-+1! 3˚ = = 1¥(2« —⁄ -1)
3-1 2 a«-a¡=;nK-+1! 2˚ —⁄ = =2n-1-1
2-1
3« -3 3« -1 3« -1
∴ a«=1+ = a«=
∴ a«=2+2n-1-1=2n-1+1
2 2 2

130 정답 및 풀이
본책 155~158 쪽

⁄ n=, 2 :.일 때, p(n)이 성립함을 보인다.


1136 a«≠¡=;3@; a«+1에서 a«≠¡-3=;3@;(a«-3)
¤ 4=2¥2, 8=2¥4, 16=2¥8, y, 2μ =2¥2μ —⁄ 이므로 n=k
a«-3=b«으로 놓으면면면b«≠¡=;3@; b«, b¡=a¡-3=-1 (kæ2)일 때, p(n)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n=, 2kL: :.일 때도
p(n)이 성립함을 보인다. ㈎ 2 ㈏ 2k
따라서 수열 {b«}은 첫째항이 -1,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b«=(-1)¥{;3@;}« —⁄ =-{;3@;}« —⁄ 1141 ¤ n=k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k(k+1)(2k+1)
∴ a«=b«+3=3-{;3@;}« —⁄ a«=3-{;3@;}« —⁄ ⁄ 1¤ +2¤ +3¤ +y+k¤ =
6
⁄ 위의 식의 양변에 (k+1)¤ 을 더하면
⁄ 1¤ +2¤ +3¤ +y+k¤ +(k+1)¤
1137 a«≠™-5a«≠¡+4a«=0에서서서a«≠™-a«≠¡=4(a«≠¡-a«)
k(k+1)(2k+1)
a«≠¡-a«=b«으로 놓으면 b«≠¡=4b«, b¡=a™-a¡=1 = +(k+1)¤
6
따라서 수열 {b«}은 첫째항이 1,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므로
(k+1){k(2k+1)+6(k+1)}
b«=1¥4« —⁄ =4« —⁄ =
6
a«≠¡-a«=4n-1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
(k+1)(,2k¤ L+L7LkL+L6L.)
끼리 더하면 =
6
,(kL+L1L)L(LkL+L2L)L(L2LkL+L3L)L.
a™-a¡=1 0
4 =1
a£-a™=4 =
6
a¢-a£=4¤ ⁄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 ⁄, ¤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 ≥ a «-a«–¡=4« —¤ ㈎ 2k¤ +7k+6 ㈏ (k+1)(k+2)(2k+3)

09
1¥(4« —⁄ -1) 4« —⁄ -1
a«-a¡=;nK-+1! 4˚ —⁄ = =

수학적 귀납법
4-1 3
1142⁄ n=1일 때, 가장 작은 자연수인 1일 때부터 확인한다.
4« —⁄ -1 4« —⁄ +2 4« —⁄ +2
∴ a«=1+ = a«= (좌변)=2¥1-1=1, (우변)=1¤ =1
3 3 3
따라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 n=k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a« 1 a«+1 1
1138 a«≠¡= 에서 = = +1 1+3+5+y+(2k-1)=k¤
a«+1 a«≠¡ a« a«
1 1 위의 식의 양변에 2k+1을 더하면
=b«으로 놓으면 b«≠¡=b«+1, b¡= =;3!; 1+3+5+y+(2k-1)+(2k+1)=k¤ +2k+1
a« a¡
=(k+1)¤
따라서 수열 {b«}은 첫째항이 ;3!;,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이므로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3n-2 ⁄, ¤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b«=;3!;+(n-1)¥1 =n-;3@;=
3 풀이 참조
1 3 3
∴ a«= = a«=
b« 3n-2 3n-2
01 등차수열의 귀납적 정의 본책 158쪽

a« 1 3+2a« 3 수열 {a«}에서
1139 a«≠¡= 에서 = = +2
3+2a« a«≠¡ a« a« a«≠¡-a«=d`(일정) 또는 a«≠¡=a«+d 또는 2a«≠¡=a«+a«≠™
1 수열 {a«}은 등차수열
=b«으로 놓으면 b«≠¡=3b«+2

∴ b«≠¡+1=3(b«+1)
따라서 수열 {b«+1}은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고, 첫째항은 1143 a«≠¡-a«=-3이므로 수열 {a«}은 공차가 -3인 등차수열
1 이다. 이때 첫째항이 a¡=100이므로
b¡+1= +1=1+1=2
a¡ a«=100+(n-1)¥(-3)=-3n+103
이므로 b«+1=2¥3« —⁄ a˚=13에서 -3k+103=13
∴ b«=2¥3« —⁄ -1 3k=90 ∴ k=30 ③
1 1 1
∴ a«= = a«=
b« 2¥3« —⁄ -1 2¥3« —⁄ -1
1144 a«≠™-a«≠¡=a«≠¡-a«에서 수열 {a«}은 등차수열이므로 첫째
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1140명제 p(n)이 n=2, 4, 8, y, 2μ , y(m은 자연수)일 때 a£=a+2d=2 yy ㉠
성립함을 보이려면 a•=a+7d=17 yy ㉡

09 수학적 귀납법 131


㉠, ㉡을 연립하여 풀면 a=-4, d=3 즉 b«=-3이므로
∴ a«=-4+(n-1)¥3=3n-7
¡ b˚= ¡ (-3)=-30
10 10

3n-7>100에서서서3n>107 k=1 k=1

∴ n>35.×××
따라서 구하는 n의 최솟값은 36이다. ⑤
이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계수가 실수인 이차방정식 ax¤ +bx+c=0의 판별식을
1145 a«≠™-2a«≠¡+a«=0, 즉 2a«≠¡=a«≠™+a«에서 수열 {a«}은 D=b¤ -4ac라 하면
등차수열이고 ① D>0 HjK 서로 다른 두 실근
a¡=-62, a™-a¡=-58-(-62)=4 ② D=0 HjK 중근
이므로 첫째항이 -62, 공차가 4이다. ③ D<0 HjK 서로 다른 두 허근
∴ a«=-62+(n-1)¥4=4n-66
4n-66>0에서 n>16.5
따라서 제17 항부터 양수이므로 첫째항부터 제16 항까지의 합이 최
a«≠¡
소가 된다. 음수인 항만 모두 더한 것이다.
② 1149 =;4!;에서 a«≠¡=;4!;a«이므로 수열 {a«}은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다. ⇢➊
02 등비수열의 귀납적 정의 본책 158쪽 이때 첫째항이 a¡=8° 이므로
1 2¤ ›
수열 {a«}에서 a«=8° ¥ {;4!;}« —⁄ =(2‹ )° ¥{ }« —⁄ = ⇢➋
2¤ 2¤ « —¤
a«≠¡÷a«=r (일정) 또는 a«≠¡=ra« 또는 a«≠¡¤ =a« a«≠™
1 1
수열 {a«}은 등비수열 a˚= = 에서
8° 2¤ ›
2¤ › 1
= , 2¤ ˚ —¤ =2› °
a«≠¡=;2!;a«이므로 수열 {a«}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다. 2¤ ˚ —¤ 2¤ ›
1146 2k-2=48, 2k=50
A B
2 =2 이면면A=B

이때 첫째항이 a¡=2이므로 ∴ k=25 ⇢➌


2
a«=2¥{;2!;}« —⁄ = 25
2« —⁄
채점 기준표
2 1
따라서 a¡ºº= = 이므로 k=98 98 ➊ 수열 {an}이 등비수열임을 알 수 있다. 30%
2· · 2· °
➋ an을 구할 수 있다. 40%
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1147 an+1='ƒanan+2, 즉 a«≠¡¤ =a«a«≠™에서 수열 {a«}은 등비수열
이고 첫째항이 a¡=1이므로 공비를 r라 하면
a¢=1¥r‹ =125이이∴ r=5
03 an+1=an+ f(n) 꼴 본책 159쪽
a¡º a¡¡ a¡™ a¡£
따라서 = = = =r› =625이므로
a§ a¶ a• aª
a«≠¡=a«+f(n) 또는 a«≠¡-a«=f(n)의 n에 1, 2, 3, y, n-1을 차
a¡º a¡¡ a¡™ a¡£ 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더한다.
+ + + =4¥625=2500 2500
a§ a¶ a• aª

1148 이차방정식 a« x¤ +2a«≠¡x+a«≠™=0이 중근을 가지므로 이 1150 a«≠¡=a«+3n+2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대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D a™=a¡+3¥1+2
=a«≠¡¤ -a« a«≠™=0
4 a£=a™+3¥2+2
∴ a«≠¡¤ =a« a«≠™ yy ㉠ a¢=a£+3¥3+2
따라서 수열 {a«}은 등비수열이고 ⋮
a™ 6
a¡=2, = =3 +>≥ ≥a«=a«–¡≥+3(n-1)+2
a¡ 2 a«≠¡
a«=a¡+;nK-+1! (3k+2)
=3
이므로 첫째항이 2, 공비가 3이다. a«

한편 주어진 이차방정식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n-1)n
-a«≠¡—"√a«≠¡¤ -a« a«≠™ a«-a¡=1+3¥ +2(n-1)
x= 2
a« 3n¤ +n-2
a«≠¡ a«-a¡=
x=- (∵ ㉠) 2
a« 3¥11¤ +11-2
x=-3 (중근) ∴ a¡¡= =186 186
2

132 정답 및 풀이
본책 158~159 쪽

1151an+1=an+f(n)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 a™=a¡+'2 -'1


하여 변끼리 더하면 a£=a™+'3 -'2
a™=a¡+f(1) a¢=a£+'4 -'3
a£=a™+f(2) ⋮
a¢=a£+f(3) +>≥ ≥a«=a«–¡≥+'ßn -'ƒn-1
⋮ a«=a¡+'ßn -'ß1 =3+'ßn -1='ßn+2
+>≥ ≥an=an-1+f(n-1) ∴ a¡ºº='1∂00+2=12 12

an=a¡+ ¡ f(k)=2+{(n-1)¤ -2}=(n-1)¤


n-1

k=1

∴ a∞º=(50-1)¤ =49¤ ①
1155 f(n+1)=f(n)-4n+8의 n에 1, 2, 3, y, n-1을 차례
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f(2)=f(1)-4¥1+8
1 1 1 f(3)=f(2)-4¥2+8
1152 a«≠¡-a«= = - 의 n에 1, 2, 3, y,
n(n+1) n n+1 f(4)=f(3)-4¥3+8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
1 +>≥ ≥f(n)=f(n-≥1)-4(n-1)+8
a™-a¡=1-
2
f(n)=f(1)+ ¡ (-4k+8)
n-1

1 1 k=1
a£-a™= -
2 3 (n-1)n
=20+(-4)¥ +8(n-1)
1 1 2
a¢-a£= -
3 4 =-2n¤ +10n+12 ⇢➊

09
f(n)<0에서 -2n¤ +10n+12<0, n¤ -5n-6>0
1 1 (n+1)(n-6)>0 ∴ n>6 (∵ n은 자연수) ⇢➋

수학적 귀납법
+ a«-a«–¡= n-1 - n
>≥ ≥≥≥ ≥ ≤≥ 따라서 구하는 n의 최솟값은 7이다. ⇢➌
1 7
a«-a¡=1-
n
1 1 채점 기준표
∴ a«=a¡+{1- }=3- ➊ f(n)을 구할 수 있다. 60%
n n
a¡=2
1 1 1 ➋ n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30%
∴ a£º-a∞={3- }-{3- }= ②
30 5 6 ➌ n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10%

1153 a«-a«–¡=2« —⁄ 의 n에 2, 3, 4, y, n을 차례대로 대입하 04 an+1=an`f(n) 꼴 본책 159쪽

여 변끼리 더하면
a«≠¡=a« f(n)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a™-a¡=2
곱한다.
a£-a™=2¤
a¢-a£=2‹
⋮ n+3
1156 a«≠¡=a«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
n+1
+>≥ ≥ a «-a«–¡ =
≥ 2« —⁄
입하여 변끼리 곱하면
2¥(2« —⁄ -1)
a«-a¡=;nK-+1! 2˚ = =2« -2 a™=;2$; a¡
2-1
∴ a«=a¡+(2« -2)=2« -1
a¡=1 a£=;3%; a™
a˚=1023에서 2˚ -1=1023
2˚ =1024=2⁄ ‚ a¢=;4^; a£
∴ k=10 10 ⋮
n+1
a«–¡= a«–™
n-1
1 'ƒn+1-'ßn
1154 'ƒn+1+'ßn
=
('ƒn+1+'ßn )('ƒn+1-'ßn ) a«=
n+2
a«–¡
_ >≥ ≥n ≥ ¯¯
='ƒn+1-'ßn n+1 n+2
1 a«=;2$;¥;3%;¥;4^; ¥y ¥
¥ ¥a¡
a«≠¡=a«+ =a«+'ƒn+1-'ßn 의 n에 1, 2, 3, y, n-1 n
a¡=1
'ƒn+1+'ßn (n+1)(n+2)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a«=
6

09 수학적 귀납법 133


1 6 1 1 1159a«≠¡=3« a«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 ¡ =¡ =6 ¡ {
18 18 18
- }
k=1 a˚ k=1 (k+1)(k+2) k=1 k+1 k+2 변끼리 곱하면
1 1 1 1 1 1 a™=3 a¡
=6[{ - }+{ - }+{ - }
2 3 3 4 4 5 a£=3¤ a™
1 1 a¢=3‹ a£
= +y+{- }]
19 20

1 1 27
=6{ - }=
2 20 10
④ _>≥ a«=3≥« —⁄ a≥«–¡
a«=3¥3¤ ¥3‹ ¥ y ¥3« —⁄ ¥a¡

n a«=31+2+3+y+(n-1)¥3
1157 '∂nß∂+ß2 a«≠¡='ßn a«에서 a«≠¡=æ≠
n+2
a« ⇢➊ (n-1)n n¤ -n+2
a«=3 2 ¥3=3 2

위의 식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곱하면 k¤ -k+2


a˚=3› fl 에서 3 2 =3› fl
a™=Æ;3!; a¡ k¤ -k+2
=46, k¤ -k-90=0
2
a£=Æ;4@; a™ (k+9)(k-10)=0는는∴ k=10`(∵ k는 자연수) ④

a¢=Æ;5#; a£
1160a«≠¡=(n+1)a«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
⋮ 입하여 변끼리 곱하면
n-2 a™=2¥a¡
a«–¡=æ≠ a«–™
n a£=3¥a™
n-1 a¢=4¥a£
_ a«=æ≠ a«–¡
>≥ ≥ n+1 ≥ ≤ ⋮
n-2 n-1 _>≥ a«= n
≥ ¥≥ a
≥ «–¡
a«=æ;3!; ¥æ;4@; ¥æ;5#; ¥`y`¥æ≠ ¥æ≠ ¥a¡
n n+1
`a«=2¥3¥`y`¥n¥a¡
'2
a«= ⇢➋ `a«=1¥2¥3¥`y`¥n a¡=1
'ßn 'ƒn+1
이때 1¥2¥3¥4¥5=120이므로 a∞, a§, y, a™º¡§은 모두 120으로 나
'2
∴ a¢ª= =;3¡5; ⇢➌ 누어떨어진다.
'ß4å9 '5å0
즉 a¡+a™+a£+y+a™º¡§을 12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3¡5; a¡+a™+a£+a¢를 12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와 같다.
따라서 a¡+a™+a£+a¢=1+2+6+24=33이므로 구하는 나머지
채점 기준표 1¥2 1¥2¥3¥4
는 33이다. 33
➊ 주어진 식을 변형할 수 있다. 20% 1¥2¥3

➋ an을 구할 수 있다. 60%


➌ a¢ª를 구할 수 있다. 20% 05 a«≠¡=pa«+q`(p+1, pq+0) 꼴 본책 160쪽

q
⁄ a«≠¡-a=p(a«-a) 꼴로 변형한다. {단, a= }
1-p
1 n¤ -1 (n-1)(n+1)
1158 a«={1- n¤ }a«–¡= n¤ a«–¡= n¥n
a«–¡의 ¤ 수열 {a«-a}는 첫째항이 a¡-a, 공비가 p인 등비수열이다.
a«-a=(a¡-a)p« —⁄ a«=(a¡-a)p« —⁄ +a
n에 2, 3, 4, y, n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곱하면
1¥3
a™= a¡
2¥2 1 1
2¥4 1161 a«≠¡=-3a«+2에서서서a«≠¡-
2
=-3{a«- }
2
a£= a™
3¥3 1 1 1
a«- =b«으로 놓으면 b«≠¡=-3b«, b¡=a¡- =
3¥5 2 2 2
a¢= a£
4¥4 1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 2
(n-1)(n+1) 1
_ a«= a«–¡ b«= ¥(-3)« —⁄
> n¥n 2
n-1 n+1 1 (-3)« —⁄ +1
a«=;2!;¥;2#;¥;3@; ¥;3$;¥;4#;¥;4%;¥y¥ ¥ ¥a¡ 따라서 a«=b«+ = 이므로
n n 2 2
a¡=4
n+1 2(n+1) 2(n+1) (-3)fl +1
a«= ¥4= a«= a¶= =365 ④
2n n n 2

134 정답 및 풀이
본책 159~160 쪽

1162 a«≠¡=2a«+5에서서서a«≠¡+5=2(a«+5)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1,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a«+5=b«으로 놓으면 b«≠¡=2b«, b¡=a¡+5=3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3,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b«=1¥{;3!;}« —⁄ ={;3!;}« —⁄
b«=3¥2n-1 ⇢➊
∴ a«=b«-5=3¥2n-1-5 ⇢➋ a«≠¡-a«={;3!;}« —⁄ 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a˚≠¡-a˚=384에서 변끼리 더하면
(3¥2k-5)-(3¥2k-1-5)=384 a™-a¡=1
3¥2k-1=384, 2k-1=128=2‡
3¥2˚ -3¥2˚ —⁄ =6¥2˚ —⁄ -3¥2˚ —⁄ =3¥2˚ —⁄ a£-a™=;3!;
k-1=7 ∴ k=8 ⇢➌
8 a¢-a£={;3!;}2
채점 기준표 ⋮
➊ 수열 {bn}의 일반항을 구할 수 있다. 50%
➋ 수열 {an}의 일반항을 구할 수 있다. 20% + a«-a«–¡={;3!;}« —¤
>
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1¥[1-{;3!;}« —⁄ ]
a«-a¡=;nK-+1! {;3!;}˚ —⁄ =
1-;3!;
1163 2a«≠¡-a«+2=0에서 a«≠¡=;2!;a«-1
a«-a¡=;2#;[1-{;3!;}« —⁄ ]
∴ a«≠¡+2=;2!;(a«+2)
∴ a«=1+;2#;[1-{;3!;}« —⁄ ]=;2%;-;2#;¥{;3!;}« —⁄
a«+2=b«으로 놓으면 b«≠¡=;2!;b«, b¡=a¡+2=3

09
따라서 5-2a«=5-5+3¥{;3!;}« —⁄ =3¥{;3!;}« —⁄ 이므로

수학적 귀납법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3,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1 1
= =729 729
b«=3¥{;2!;}« —⁄ 5-2a•
3¥{;3!;}7
따라서 a«=b«-2=3¥{;2!;}« —⁄ -2이므로

;Kn+! a˚=;Kn+![3¥{;2!;}˚ —⁄ -2] 1165 a«≠™-3a«≠¡+2a«=0에서


a«≠™-a«≠¡=2(a«≠¡-a«)
3[1-{;2!;}« ] a«≠¡-a«=b«으로 놓으면 b«≠¡=2b«, b¡=a™-a¡=2a¡
;Kn+! a˚= -2n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2a¡,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1-;2!; b«=2a¡¥2« —⁄ =a¡¥2« ⇢➊

1 a«≠¡-a«=a¡¥2« 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Kn+! a˚=6 {1- }-2n ② 변끼리 더하면

a™-a¡=a¡¥2
a£-a™=a¡¥2¤
pa«≠™+qa«≠¡+ra«=0 a¢-a£=a¡¥2‹
06 (p+q+r=0, pqr+0) 꼴
본책 160쪽

⁄ a«≠™-a«≠¡=
r
(a«≠¡-a«) 꼴로 변형한다. +>≥ ≥a«-a«–¡≥=a¡¥2« —⁄
p
2(2« —⁄ -1)
¤ a«≠¡-a«=b«으로 놓고 수열 {b«}의 일반항을 구한다. a«-a¡= ;nK-+1! (a¡¥2˚ )=a¡¥
2-1
r « —⁄
b«=(a™-a¡)¥{
p
} a«-a¡=a¡(2« -2)
r « —⁄ ∴ a«=a¡+a¡¥(2« -2)=(2« -1)a¡ ⇢➋
‹ a«≠¡-a«=(a™-a¡)¥{ } 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
p
로 대입하여 변끼리 더한다. 이때 a•=85이므로
(2° -1)a¡=85, 255a¡=85
∴ a¡=;3!; ⇢➌
1164 3a«≠™-4a«≠¡+a«=0에서
3(a«≠™-a«≠¡)=a«≠¡-a«
따라서 a«=;3!;(2« -1)이므로
∴ a«≠™-a«≠¡=;3!;(a«≠¡-a«)
a¡º=;3!;(2⁄ ‚ -1)=341 ⇢➍
a«≠¡-a«=b«으로 놓으면 b«≠¡=;3!;b«, b¡=a™-a¡=1
341

09 수학적 귀납법 135


채점 기준표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1,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므로
➊ 수열 {bn}의 일반항을 구할 수 있다. 40% b«=1+(n-1)¥3=3n-2
➋ 수열 {an}의 일반항을 구할 수 있다. 30% 1
∴ ¡ akak+1= ¡ b b
20 20

➌ a¡을 구할 수 있다. 20% k=1 k=1 k k+1

1
akak+1= ¡
20
➍ a¡º을 구할 수 있다. 10%

k=1 (3k-2)(3k+1)
1 1
akak+1=;3!; ¡ {
20

1166 4a«≠¡=a«≠™+3a«에서 ∴ - }
k=1 3k-2 3k+1
a«≠™-a«≠¡=3(a«≠¡-a«) 1 1
a«≠¡-a«=b«으로 놓으면 b«≠¡=3b«, b¡=a™-a¡=3 ∴ akak+1=;3!;[{1-;4!;}+{;4!;-;7!;}+y+{ - }]
58 61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3,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므로 1 20
∴ akak+1=;3!;`{1- }= ③
b«=3¥3« —⁄ =3« 61 61
a«≠¡-a«=3« 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
리 더하면 2a« 1 1+a« 1
a™-a¡=3 1169 a«≠¡= 에서 = =;2!;¥ +;2!;
1+a« a«≠¡ 2a« a«
a£-a™=3¤ 1
=b«으로 놓으면 b«≠¡=;2!;b«+;2!;
a¢-a£=3‹ a«

∴ b«≠¡-1=;2!;(b«-1)
+>≥ ≥ a «-a«–¡ =
≥ 3« —⁄
3(3« —⁄ -1) 즉 수열 {b«-1}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고, 첫째항은
a«-a¡= ;nK-+1! 3˚ =
3-1
1
b¡-1= -1=;2!;-1=-;2!;
a«-a¡=;2!;(3« -3) a¡
이므로 b«-1={-;2!;}¥{;2!;}« —⁄ =-{;2!;}«
∴ a«=a¡+;2!;(3« -3)=2+;2!;(3« -3)=;2!;(3« +1)
2« -1
a˚=122에서 ;2!;(3˚ +1)=122 ∴ b«=1-{;2!;}« =

3˚ +1=244, 3˚ =243=3fi 1 2«
따라서 a«= = 이므로
b« 2« -1
∴ k=5 ②
2⁄ ‚
a¡º= =;1!0)2@3$; ;1!0)2@3$;
2⁄ ‚ -1
ra«
07 a«≠¡= 꼴 본책 161쪽
pa«+q

1 q 1 p 08 특수한 꼴; 항을 나열하는 경우 본책 161쪽


⁄ = ¥ + 꼴로 변형한다.
a«≠¡ r a« r
1 주어진 식의 n에 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규칙을 찾는다.
¤ =b«으로 놓고 수열 {b«}의 일반항 b«을 구한다.
a« ① 같은 숫자가 반복되는 경우
‹ ¤에서 구한 b«에 역수를 취하여 a«을 구한다. ② 짝수 번째 항, 홀수 번째 항끼리 규칙이 있는 경우

a« 1 2a«+1 1
1167 a«≠¡= 에서 = = +2 1170 a¡+a™=-1에서 a™=-2
2a«+1 a«≠¡ a« a«
a™+a£=1에서 a£=3
1 1 a£+a¢=-1에서 a¢=-4
=b«으로 놓으면 b«≠¡=b«+2, b¡= =1
a« a¡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1,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따라서 a«=(-1)« —⁄ ¥n이므로
b«=1+(n-1)¥2=2n-1
a¡ºº=(-1)· · ¥100=-100 -100
1 1
따라서 a«= = 이므로 a«+a«≠¡=(-1)n의 n에 1, 3, 5, y, 99를 차례대로 대
b« 2n-1
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1
a¡ºº= =;19!9; ② a¡+a™=-1
2¥100-1
a£+a¢=-1
a∞+a§=-1
a« 1 1+3a« 1
1168 a«≠¡= 에서 = = +3 ⋮
1+3a« a«≠¡ a« a«
1 1 +> ≥aªª+a¡ºº=-1
=b«으로 놓으면 b«≠¡=b«+3, b¡= =1
a« a¡ a¡+a™+y+a¡ºº=-50 yy ㉠

136 정답 및 풀이
본책 160~162 쪽

a«+a«≠¡=(-1)n의 n에 2, 4, 6, y, 98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 1174 수열 {a«}의 각 항을 차례대로 나열하면


끼리 더하면 1, 1, 2, 3, 5, 8, 13, 21, 34, 55, y
a™+a£=1 a˚ a˚≠™-a˚≠¡
∴ ¡ =¡
8 8

a¢+a∞=1 k=1 a˚≠¡ a˚≠™ k=1 a˚≠¡ a˚≠™


1 1
=¡{
8
a§+a¶=1 ∴ - }
⋮ k=1 a˚≠¡ a˚≠™
+> ≥aª•+aªª=1 1 1 1 1 1 1
∴ ={ - }+{ - }+{ - }
a™ a£ a£ a¢ a¢ a∞
a™+a£+y+aªª=49 yy ㉡
1 1
㉠-㉡을 하면 a¡+a¡ºº=-99 ∴ =+y+{ - }
aª a¡º
∴ a¡ºº=-99-a¡=-99-1=-100
1 1
∴ = -
a™ a¡º
1171 a¡=3에서 1 54 54
∴ =1- =
a™=(27을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6 55 55 55

a£=(54를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5


a¢=(45를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3 09 특수한 꼴; 식을 변형하는 경우 본책 162쪽

a∞=(27을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6


양변에 같은 식을 곱하거나 양변을 같은 식으로 나누어 익숙한 형태로

변형한다.
( 3는(n=3k-2)
∴ a«={ 6는(n=3k-1) (단, k는 자연수)
9 5는(n=3k) 1175 a«≠¡=3a«+3« ±⁄ 의 양변을 3« ±⁄ 으로 나누면

09
a«≠¡ a«
이때 98=3¥33-1, 99=3¥33, 100=3¥34-2이므로

수학적 귀납법
= +1
3« ±⁄ 3«
aª•+aªª+a¡ºº=6+5+3=14 ④
a« a¡
=b«으로 놓으면 b«≠¡=b«+1, b¡= =1
3« 3
1172 a¡+a™+a£=a™+a£+a¢=10이므로서서a¡=a¢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1,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이므로
a™+a£+a¢=a£+a¢+a∞=10이므로서서a™=a∞ b«=1+(n-1)¥1=n
a£+a¢+a∞=a¢+a∞+a§=10이므로서서a£=a§ 따라서 a«=b«¥3« =n¥3« 이므로
⋮ a¡º=10¥3⁄ ‚ ④
( a¡는(n=3k-2)
∴ a«={ a™는(n=3k-1) (단, k는 자연수) 1176 4a«a«≠¡=a«-a«≠¡의 양변을 a«a«≠¡로 나누면
9 a£는(n=3k) 4=
1
-
1
⇢➊
a«≠¡ a«
이때 7=3¥3-2, 12=3¥4이므로
1 1
a¡=a¶=3, a£=a¡™=5 즉 수열 [ ]은 첫째항이 =1,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a« a¡
a¡+a™+a£=10에서서서a™=10-a¡-a£=10-3-5=2
1
따라서 101=3¥34-1, 106=3¥36-2이므로 =1+(n-1)¥4=4n-3 ⇢➋

a¡º¡a¡º§=a™a¡=2¥3=6 6 1 10¥11
∴ ¡ = ¡ (4k-3)=4¥
10 10
` -3¥10=190 ⇢➌
k=1 a˚ k=1 2
190
1173 a¡=9에서
채점 기준표
a™=a¡+1=10, a£=;2!;a™=5,
➊ 주어진 식을 변형할 수 있다. 30%
a¢=a£+1=6, a∞=;2!;a¢=3, ➋ 수열 [ 1 ]의 일반항을 구할 수 있다. 40%
an
10
a§=a∞+1=4, a¶=;2!;a§=2, ➌ ¡ 1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k=1 ak

a•=;2!;a¶=1, aª=a•+1=2,

a¡º=;2!;aª=1, a¡¡=a¡º+1=2, y
1177 a«≠™-2a«≠¡+a«=5에서
a«≠™-a«≠¡=a«≠¡-a«+5
1은(n은 짝수) a«≠¡-a«=b«으로 놓으면 b«≠¡=b«+5, b¡=a™-a¡=2
따라서 næ7일 때, a«=‡ 이므로
2은(n은 홀수) 즉 수열 {b«}은 첫째항이 2, 공차가 5인 등차수열이므로
a¡•=1 1 b«=2+(n-1)¥5=5n-3

09 수학적 귀납법 137


a«≠¡-a«=5n-3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a«-1=(-2)¥2« —⁄ =-2«
변끼리 더하면 ∴ a«=1-2n ∴ aªª=1-299 ④
a™-a¡=5¥1-3
a£-a™=5¥2-3 1181 S«≠¡=2S«+3에서 S«≠¡+3=2(S«+3)
a¢-a£=5¥3-3 따라서 수열 {S«+3}은 첫째항이 S¡+3=4, 공비가 2인 등비수열
⋮ 이므로
+> ≥a«-a«–¡=≥5(n-1)-3 S«+3=4¥2n-1=2n+1항항∴ S«=2n+1-3
∴ aª=Sª-S•=210-3-(2· -3)=512 ②
(n-1)n
a«-a¡= ;nK-+1! (5k-3)=5¥ -3(n-1)
2
5n¤ -11n+6
1182 (Sn+1-Sn-1)¤ =4anan+1+4에서 Sn+1-Sn-1=an+1+an
a«-a¡= 이므로
2
(an+1+an)¤ =4anan+1+4
5n¤ -11n+6 5n¤ -11n+6
∴ a«=a¡+ =1+ an+1¤ +2an+1an+an¤ =4anan+1+4
2 2
5n¤ -11n+8 an+1¤ -2an+1an+an¤ =4
∴ a«= (an+1-an)¤ =4
2
5¥20¤ -11¥20+8 ∴ an+1-an=2 (∵ an+1-an>0)
∴ a™º= =894 894
2 따라서 수열 {an}은 첫째항이 1,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므로
an=1+(n-1)¥2=2n-1
30¥31
∴ ¡ ak= ¡ (2k-1)=2¥
30 30
1178 (n+1)an-nan+1=anan+1의 양변을 anan+1로 나누면 -30=900 900
k=1 k=1 2
n+1 n
- =1
an+1 an
a¡a™
n 1 1183 ㄱ. S¡=a¡=;2#;이므로 S¡= 에서
=bn으로 놓으면면면bn+1-bn=1, b¡= a =2 3
an 1

즉 수열 {bn}은 첫째항이 2,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이므로 ;2#;a™


ㄱ. 므로;2#;= 이이∴ a™=3
bn=2+(n-1)¥1=n+1 3
n n anan+1
따라서 an= = 이므로 ㄴ. Sn= 에서
bn n+1 3
1 2 3 49 1 ㄱ. 므로3Sn=anan+1 yy ㉠
a¡a™a£ya¢ª= ¥ ¥ ¥y¥ = ①
2 3 4 50 50 ㄱ. 므로∴ 3Sn-1=anan-1 yy ㉡
ㄱ. ㉠-㉡을 하면
1179 a«≠¡=a¡+2a™+3a£+y+(n-1)a«–¡+na« yy ㉠ ㄱ. 므로3(Sn-Sn-1)=an(an+1-an-1)
㉠에 n 대신 n-1을 대입하면 ㄱ. 므로3an=an(an+1-an-1)
a«=a¡+2a™+3a£+y+(n-1)a«–¡ yy ㉡ ㄱ. 므로∴ an+1-an-1=3`(n=2, 3, 4, y)
㉠-㉡을 하면 ㄷ. a¡=;2#;, a™=3, an+1-an-1=3에서 an+1=an-1+3이므로
a«≠¡
a«≠¡-a«=na«, a«≠¡=(n+1)a« ∴ =n+1
a« ㄱ. 므로a£=a¡+3=;2#;+3=;2(;
a£º ㄱ. 므로a¢=a™+3=3+3=6
∴ =29+1=30 30
a™ª
ㄱ. 므로a∞=a£+3=;2(;+3=;;¡2∞;;
ㄱ. 므로a§=a¢+3=6+3=9
10 S«이 포함된 식의 꼴 본책 162쪽

a¡=S¡, a«=S«-S«–¡ (næ2)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등식을 a« 또는
ㄱ. 즉 수열 {an}은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다.
S«에 대한 식으로 변형한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1180 S«=2a«+n (n=1, 2, 3, y)에서 1184 a¡+a™+a£+y+a«=S«으로 놓으면 주어진 식은


S«≠¡=2a«≠¡+n+1 3S«≠¡=(n+3)a«≠¡ yy ㉠
한편 a«≠¡=S«≠¡-S« (n=1, 2, 3, y)이므로 ∴ 3S«=(n+2)a« yy ㉡
a«≠¡=2a«≠¡+n+1-(2a«+n) ㉠-㉡을 하면
a«≠¡=2a«-1 ∴ a«≠¡-1=2(a«-1) 3(S«≠¡-S«)=(n+3)a«≠¡-(n+2)a«
따라서 수열 {a«-1}은 첫째항이 a¡-1=-2, 공비가 2인 등비수열 3a«≠¡=(n+3)a«≠¡-(n+2)a«
이므로 na«≠¡=(n+2)a«

138 정답 및 풀이
본책 162~164 쪽

n+2 1186 오른쪽 그림과 같이 n각형의 꼭짓점 P¡


∴ a«≠¡= a« ⇢➊ P™
n 을 각각 P¡, P™, y, Pn이라 하고 두 꼭짓점 Pˆ≠¡
위의 식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곱하면 P¡과 P n 사이에 꼭짓점 P n+1을 추가하여 P£ Pˆ
a™=;1#; a¡ (n+1)각형을 만들면 추가되는 대각선은
P¢ …
P’¡Pn”, P™ÚP’n+1”, P’£P”n+1”, y, P’n-1”P’n+1”
a£=;2$; a™ 의 (n-1)개이므로
an+1=an+n-1`(n=4, 5, 6, y)
a¢=;3%; a£
an+1=an+n-1`(n=4, 5, 6, y)

n
a«–¡= a«–™
n-2 1187 n번 시행 후 기름 탱크에 남아 있는 경유의 양을 a« L라 하면
n+1 a¡=;2!;¥50+5=30
_ a«= a«–¡
>≥ ≥n-1 ≥ ¯¯
n n+1 a«≠¡=;2!;a«+5 ∴ a«≠¡-10=;2!;(a«-10)
a«=;1#;¥;2$;¥;3%;¥y¥ ¥ ¥a¡
n-2 n-1
a¡=1
n(n+1) 즉 수열 {a«-10}은 첫째항이 a¡-10=20,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
a«= ⇢➋
2 므로
k(k+1)
a˚=55에서 =55 a«-10=20¥{;2!;}
n-1
∴ a«=20¥{;2!;}
n-1
+10
2
k¤ +k-110=0, (k+11)(k-10)=0 7
∴ k=10 (∵ k는 자연수) ⇢➌ 이때 a•=20¥{;2!;} +10=;;£32™ ;∞ ;이므로 8번 시행 후 기름 탱크에 남아

09
10
있는 경유의 양은 ;;£3™2∞;; L이다. ①

수학적 귀납법
채점 기준표
➊ an과 an+1 사이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40%
➋ an을 구할 수 있다. 30% 1188 n회 반복하고 난 후 색종이의 조각 수를 a«이라 하면
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a¡=(7-2)¥2=10
a«≠¡=2(a«-2) ∴ a«≠¡-4=2(a«-4)
즉 수열 {a«-4}는 첫째항이 a¡-4=6,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수열의 귀납적 정의의 활용 a«-4=6¥2n-1
11, 12 본책 163, 164쪽
∴ a«=6¥2n-1+4=3¥2n+4 ⑤
⁄ 제 n 항과 제`(n+1)항 사이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낸다.
¤ ⁄의 식을 변형하여 일반항을 구한다.
1189an %의 소금물 100 g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은 an g, 10 %
의 소금물 100 g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은 10 g이므로
1185 n개의 직선에 1개의 직선을 추가하면 이 직선은 기존의 n 30+10
a¡= _100=20
개의 직선과 각각 한 번씩 만나므로 (n+1)개의 새로운 평면이 생 200
긴다. 즉 (n+1)개의 직선에 의하여 분할된 평면은 n개의 직선에 a +10
an+1= n _100=;2!;an+5
의하여 분할된 평면보다 (n+1)개가 많다. 200
∴ a«≠¡=a«+n+1 ∴ an+1-10=;2!;(an-10)
a«≠¡=a«+n+1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
끼리 더하면 즉 수열 {an-10}은 첫째항이 a¡-10=10,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
a™=a¡+1+1
므로
a£=a™+2+1 n-1 n-1

a¢=a£+3+1 an-10=10¥{;2!;} 이이∴ an=10¥{;2!;} +10


⋮ · 1
따라서 a¡º=10¥{;2!;} +10=10{ +1}이므로
+>≥ ≥a«=a«–¡≥+(n-1)+1 2·
(n-1)n p=10, q=9
a«=a¡+;nK-+1!(k+1)=2+ +(n-1)
2 ∴ pq=90 90
n¤ +n+2
=
2 `
10¤ +10+2 1190 꼭대기 층에서부터 각 층에 놓이는 정육면체의 개수를 차례
∴ a¡º= =56 ①
2 대로 a¡, a™, a£, y이라 하면

09 수학적 귀납법 139


a¡=1 1193 ㄱ. p(1)이 참이면
a™=a¡+4 p(3), p(5), p(7), y, p(2l+1) (l은 자연수)
a£=a™+4¥2 도 참이므로 p(31)=p(2¥15+1)은 참이다.
a¢=a£+4¥3 ㄴ. p(1)이 참이면
⋮ p(2), p(2¤ ), y, p(2l ) (l은 자연수)
∴ a«≠¡=a«+4n 은 참이지만 31은 2의 거듭제곱의 꼴이 아니므로 p(31)이 참인
a«≠¡=a«+4n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 지는 알 수 없다.
리 더하면 ㄷ. 대우‘p(k)가 참이면 p(2k+1)도 참이다.’ 에 의하여 p(1)이
a™=a¡+4¥1 참이면
a£=a™+4¥2 p(2¥1+1)=p(3), p(2¥3+1)=p(7),
a¢=a£+4¥3 p(2¥7+1)=p(15), p(2¥15+1)=p(31), y
⋮ 도 참이다.
+>≥ ≥a«=a«–¡≥+4(n-1) 이상에서 ㈏의 조건이 될 수 있는 것은 ㄱ, ㄷ이다. ㄱ, ㄷ
(n-1)n
a«=a¡+;nK-+1!4k=1+4¥
2
a«=2n¤ -2n+1
14 수학적 귀납법; 등식의 증명 본책 165쪽
따라서 10층 탑을 쌓을 때 필요한 정육면체의 총 개수는
10¥11¥21 10¥11
¡ (2k¤ -2k+1)=2¥
10
-2¥ +10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등식이 성립함을 증명할 때에는
k=1 6 2
⁄ n=1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확인한다.
=770-110+10=670 670 ¤ n=k일 때,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 n=k일 때의 등식의 양변에 적당한 식을 더하여 n=k+1일 때도
등식이 성립함을 보인다.
13 수학적 귀납법 본책 164쪽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명제 p(n)이


1194¤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① p(1)이 참이다.
1+2+2¤ +y+2˚ —⁄ =2˚ -1
위의 식의 양변에 , 2˚ L.을 더하면
② p(k)가 참이면 p(k+n)이 참이다.
를 모두 만족시키면
p(1), p(1+n), p(1+2n), y이 모두 참이다.
1+2+2¤ +y+2˚ —⁄ +2˚ =2˚ -1+2˚
1+2+2¤ +y+2˚ —⁄ +2˚ =2¥2˚ -1
1+2+2¤ +y+2˚ —⁄ +2˚ =,2˚ ±⁄ L-L1L.
1191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음이 아닌 정수 a, b에 대하여 따라서 n=k+1일 때도 ㉠이 성립한다.
p(2å _3∫ )은 참이다. ⁄, ¤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①
① p(42)=p(2¥3¥7) ② p(45)=p(3¤ ¥5)
③ p(66)=p(2¥3¥11) ④ p(108)=p(2¤ ¥3‹ )
⑤ p(120)=p(2‹ ¥3¥5) ⁄ n=1일 때,
1195
따라서 반드시 참인 명제는 p(108)이다. ④ 1 1 1 1
⁄ 일일(좌변)= = , (우변)= =
1¥2 2 1+1 2
ㄱ. p(1)이 참이면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 따라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1192
ㄱ. p(4), p(7), p(10), y, p(3l+1) (l은 자연수) ¤ n=k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ㄱ. 이 모두 참이지만 p(3l)이 참인지는 알 수 없다. 1 1 1 1 k
⁄ 일일 + + +y+ =
1¥2 2¥3 3¥4 k(k+1) k+1
ㄴ. p(3)이 참이면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1
ㄱ. p(6), p(9), y, p(3l) (l은 자연수) ⁄ 위의 식의 양변에 을 더하면
(k+1)(k+2)
ㄱ. 이 모두 참이므로 모든 3의 양의 배수 k에 대하여 p(k)는 참
1 1 1 1 1
이다. ⁄ 일일 + + +y+ +
1¥2 2¥3 3¥4 k(k+1) (k+1)(k+2)
ㄷ. p(1)이 참이면 ㄱ에서 k=3l+1`(l은 자연수)일 때, p(k)는 k(k+2)+1
k 1
참이다. = + =
k+1 (k+1)(k+2) (k+1)(k+2)
ㄱ. 또 p(2)가 참이면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k+1)¤ k+1 k+1
= = =
ㄱ. p(5), p(8), p(11), y, p(3l+2) (k+1)(k+2) k+2 (k+1)+1
ㄱ. 가 참이므로 k=3l+2일 때, p(k)는 참이다.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ㄱ. 그러나 k=3l일 때, p(k)가 참인지는 알 수 없다. ⁄, ¤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② 풀이 참조

140 정답 및 풀이
본책 164~168 쪽

k+1 2˚ ±¤ +3¤ ˚ ±⁄ =2¥2˚ ±⁄ + 9 ¥3¤ ˚ —⁄


1196 ¤ n=k일 때, a˚= 이라 가정하면
k =3¤ ˚ ±⁄ =2¥2˚ ±⁄ +2¥3¤ ˚ —⁄ +7¥3¤ ˚ —⁄
=3¤ ˚ —⁄ ±¤
1 1 =3¤ ˚ —⁄ ¥3¤ =2(2˚ ±⁄ +3¤ ˚ —⁄ )+7¥3¤ ˚ —⁄
a˚≠¡=1+ =1+
ka˚ k+1
k¥112 =2¥, 7N
;;.+7¥, 3¤;˚ ;;—⁄ .
k
=7(2N+3¤ ˚ —⁄ )
1 k+1+1 ,k+
;'2:. 이므로 n=k+1일 때도 2« ±⁄ +3¤ « —⁄ 이 7의 배수이다.
,k+
;'1:.
a˚≠¡=1+ = =
k+1 k+1
⁄, ¤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2« ±⁄ +3¤ « —⁄ 은 7의 배수이다.
따라서 n=k+1일 때도 성립한다. ③
n+1
⁄, ¤에서 수열 {a«}의 일반항은 a«= 이다. ④
n 수학적 귀납법; 부등식의 증명
16 본책 167쪽

næa 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이 성립함을 증명할 때에는


15 수학적 귀납법; 배수의 증명 본책 166쪽
(단, a는 자연수)
⁄ n=a일 때, 부등식이 성립함을 확인한다.
næa인 자연수 n에 대하여 f(n)이 l의 배수임을 증명할 때에는
¤ n=k (kæa)일 때,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단, a는 자연수)
‹ A>B, B>C이면 A>C임을 이용하여 n=k+1일 때도 부등식
⁄ f(a)가 l의 배수임을 확인한다.
이 성립함을 보인다.
¤ n=k `(kæa)일 때, f(n)이 l의 배수라 가정한다.
‹ n=k+1일 때, f(k+1)=l( +▲) 꼴로 정리하여 f(k+1)도 l의
배수임을 보인다.
1200 ¤ n=k (kæ5)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
하면 2˚ >k¤

09
1197 ¤ n=k`(kæ2)일 때, 8n-7n-1이 49의 배수라 가정하면 위의 식의 양변에 2를 곱하면 좌변은 2˚ ±⁄ , 우변은 (k+1)¤ 인
부등식이 되도록 식을 변형해야

수학적 귀납법
¤ 8˚ -7k-1=49N (N은 자연수) 2˚ ±⁄ >2k¤ 한다. yy ㉠
ㄱ. 으로 놓을 수 있다. 그런데 kæ5이면
ㄱ. 이때 n=k+1이면 k¤ -2k-1=,(kL-L1L)¤ L.-2>0
ㄱ. 8˚ ±⁄ -7(k+1)-1=8¥8˚ -7k-7-1 이므로 k¤ >2k+1 yy ㉡
=,8¥:8:˚ :.-7k-8 ㉠, ㉡에서
=8¥8˚ -(8-7)¥7k-8 2˚ ±⁄ >2k¤ =k¤ +k¤ >k¤ +2k+1=,(kL+L1L)¤ L.
8˚ ±⁄ -7(k+1)-1=8(8˚ -7k-1)+,49:k:.
7k=1¥7k
ㄱ. =(8-7)¥7k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ㄱ. 8˚ ±⁄ -7(k+1)-1=8¥49N+49k ⁄, ¤에서 næ5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

8˚ ±⁄ -7(k+1)-1=49 (,8; :; :k:.)


한다. ④
ㄱ. N+
ㄱ. 이므로 n=k+1일 때도 8« -7n-1이 49의 배수이다.
1201 ¤ n=k (kæ2)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에서 næ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8« -7n-1은 49의 배
1 1 1
수이다. ⑤ 1+ + +y+ <2-;k!;
2¤ 3¤ k¤
1
위의 식의 양변에 을 더하면
¤ n=k일 때, n‹ +5n이 6의 배수라 가정하면 (k+1)¤
1198
¤ 일일k‹ +5k=6N(N은 자연수) 1 1 1 1
1+ + +y+ +
¤ 으로 놓을 수 있다. 2¤ 3¤ k¤ (k+1)¤
1
¤ 이때 n=k+1이면 <2-;k!;+ yy ㉡
(k+1)¤
¤ 일일(k+1)‹ +5(k+1)=k‹ +3k¤ + 8k+6
이때
¤ 일일(k+1)‹ +5(k+1)= k‹ +5k +6+3k(k+1)
1 1
¤ 일일(k+1)‹ +5(k+1)=6(N+1)+3k(k+1) [2-;k!;+ ]-{ 2-113 } 우변에는 n=k+1일 때의
(k+1)¤ k+1 1
꼴인 2- 이 나타나야
¤ 이고, 3k(k+1)이 6 의 배수이므로 n=k+1일 때도 n‹ +5n k+1
1 1 하므로 두 식의 대소를 비교
이 6의 배수이다. =-;k!;+ +
k+1
(k+1)¤ 한다.
⁄, ¤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n‹ +5n은 6의 배수이다. ③
-(k+1)¤ +k+k(k+1)
=
k(k+1)¤
1199 ¤ n=k일 때, 2« ±⁄ +3¤ « —⁄ 이 7의 배수라 가정하면
<, 0 :.
1
=-
2˚ ±⁄ +3¤ ˚ —⁄ =7N (N은 자연수) k(k+1)¤ kæ2, (k+1)¤ æ9이므로로k(k+1)¤ >0
으로 놓을 수 있다. 1 1
∴ 2-;k!;+ <2- yy ㉢
이때 n=k+1이면 (k+1)¤ k+1

09 수학적 귀납법 141


㉡, ㉢에서 1204 주어진 관계식을 a«≠¡-a=p(a«-a) 꼴로 변형한다.
1 1 1 1 1 a«≠¡=4a«+3에서 a«≠¡+1=4(a«+1)
1+ + +y+ + <2-
2¤ 3¤ k¤ (k+1)¤ k+1
즉 수열 {a«+1}은 첫째항이 a¡+1=4,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므로
따라서 n=k+1일 때도 부등식 ㉠이 성립한다.
a«+1=4¥4« —⁄ =4« =2¤ «
⁄, ¤에서 næ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이 성립한
따라서 b«=2n이므로
다. ③
1 1 1
;Kn+! =;Kn+! =;4!;;Kn+! {;k!;- }
b˚b˚≠¡ 2k¥2(k+1) k+1
1202¤ n=k`(kæ6)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 1
=;4!;[{1-;2!;}+{;2!;-;3!;}+y+{;n!;- }]
¤ 하면 n+1
k k 1 n
{ } >k(k-1)(k-2)¥`y`¥1 yy ㉠ =;4!; {1- }=
2 n+1 4(n+1)
k+1 k+1 (k+1)k+1 (k+1)(k+1)˚ ∴ p=4 4
∴{ } = =
2 2k+1 2k+1
주어진 부등식에서 k+1
k+1 (k+1)˚
∴ {때의 좌변 } = k+1 ¥
n=k+1일 ¥k˚ k˚ 을 곱하고 나눈다. 1205 a¡=5이므로 ak=5를 만족시키는 100 이하의 자연수
2 kk
k+1
k+1 1 k+1 k k의 개수가 34이려면 an=an+3`(n=1, 2, 3, y)이어야 한다.
∴{ } = ¥ k ¥{ } ¥k˚
2 2 k an=an+3`(n=1, 2, 3, y)일 때 ak=5를 만족시키는 100
k+1
k+1 1 k k 이하의 자연수 k의 개수가 34이다.
∴{ } = ¥{1+ } ¥ {`;2K;`} yy ㉡
2 k 즉 a¡을 제외하고 처음으로 5의 값을 갖는 항은 a¢이다.
1 k a¡=5에서
그런데 {1+ } >2이므로 ㉠, ㉡에서
k 5+p
a™=
k+1 k+1 k+1 2
{ } > ¥2¥k(k-1)(k-2)¥`y`¥1
2 2 5+p
( 4 (a™가 짝수)
a£= “
k+1
= ¥ 2k(k-1)(k-2)¥`y`¥1
9 5+3p 홀(a™가 홀수)
2
=(k+1)k(k-1)¥`y`¥1 4

( 8
따라서 n=k+1일 때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 5+p
(a™가 짝수, a£이 짝수)
⁄, ¤에서 næ6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
한다. ⑤ | 5+5p 홀(a™가 짝수, a£이 홀수)
a¢= “
8
5+3p
1203 a«과 b«을 각각 구한 후 n의 값에 따라 비교한다.
| 8 (a™가 홀수, a£이 짝수)

ª 5+7p (a™가 홀수, a£이 홀수)


a«≠¡=3a«에서 수열 {a«}은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다. 이때
첫째항이 1이므로 8
a«=1¥3n-1=3n-1 5+p
⁄ =5이면서서p=35
한편 b«≠¡=(n+1)b«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 8
여 변끼리 곱하면 ⁄ 이때 a¡=5, a™=20, a£=10, a¢=5, a∞=20, a§=10, y이므로
b™=2b¡ ak=5를 만족시키는 k는 1, 4, 7, y, 100의 34개이다.
b£=3b™ 5+5p
¤ =5이면서서p=7
b¢=4b£ 8
⋮ ⁄ 이때 a¡=5, a™=6, a£=3, a¢=5, a∞=6, a§=3, y이므로
_> ≥b«=n b«–¡ ak=5를 만족시키는 k는 1, 4, 7, y, 100의 34개이다.
b«=2¥3¥4¥ y ¥n¥b¡ 5+3p 35
‹ =5이면서서p=
=1¥2¥3¥ y ¥n b¡=1 8 3
1…n…4일 때, a«æb«이므로 ‹ 그런데 p는 홀수이어야 하므로 모순이다.
c«=b« {a«}: 1, 3, 9, 27, 81, y 5+7p
{b«}: 1, 2, 6, 24, 120, y › =5이면서서p=5
8
næ5일 때, a«<b«이므로
c«=a« ‹ 이때 a¡=5, a™=5, a£=5, y이므로 ak=5를 만족시키는 k는
1, 2, 3, y, 100의 100개이다.
∴ ¡ 2c«=2 [ ¡ (1¥2¥3¥ y ¥n)+ ¡ 3n-1]
50 4 50

n=1 n=1 n=5 첫째항이 3fi —⁄ =3› , 이상에서 구하는 모든 p의 값의 합은


항수는 50-4=46이다.
3› (3› fl -1) 35+7=42 ①
2c«=2[1+2+6+24+ ]
3-1 5+p
2c«=3fi ‚ -15 ③ ‹ a™= 가 자연수이므로 p는 홀수이다.
2

142 정답 및 풀이
본책 168~170 쪽

1206 n=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수열 {a«}의 규칙 ∴ a¡º=5⁄ ‚ —⁄ =5· ②


을 찾는다.
ㄱ. a«≠™=-a«≠¡-a«에서
ㄱ. a£=-a™-a¡=-1-(-1)=0, 1209 주어진 부등식을 변형하여 k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ㄱ. a¢=-a£-a™=0-1=-1,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의 역수를 취하면
ㄱ. a∞=-a¢-a£=-(-1)-0=1, k
n… …n+1
ㄱ. a§=-a∞-a¢=-1-(-1)=0, 2a«
⋮ ∴ 2na«…k…2(n+1)a«
⁄ 이므로 수열 {a«}은 -1, 1, 0이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이때 2na«, 2(n+1)a«은 자연수이므로 위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ㄱ. ∴ a¡™¡=a3¥40+1=a¡=-1 자연수 k의 개수는
ㄴ. a¡ºº=a3¥33+1=a¡=-1, a™ºº=a3¥66+2=a™=1이므로 2(n+1)a«-2na«+1=2a«+1
ㄱ. a¡ºº+a™ºº=0 ∴ a«≠¡=2a«+1
ㄷ. S¡=-1, S™=0, S£=0, S¢=-1, S∞=0, S§=0, y이므로 a«≠¡=2a«+1에서
⁄ S£«–¡=0, S£«=0 a«≠¡+1=2(a«+1)
ㄱ. ∴ S£«–¡=S£« 즉 수열 {a«+1}은 첫째항이 a¡+1=4,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a«+1=4¥2« —⁄ =2« ±⁄
따라서 a«=2« ±⁄ -1이므로
aª=2⁄ ‚ -1=1024-1=1023 ④
1207 n=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수열 {an}의 규칙
을 찾는다.
a™=-a¡+3=-1+3=2

09
a£=a™+3=2+3=5
1210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일반항을 구한다.

수학적 귀납법
주어진 식에 의하여
a¢=-a£+3=-5+3=-2
ak
an=(n-1)¥2n-1+ ¡
n-1
a∞=a¢+3=-2+3=1 `(næ2)
k=1 k
a§=-a∞+3=-1+3=2
이다. 따라서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an+1-an
이므로 수열 {an}은 1, 2, 5, -2가 이 순서대로 반복된다. 이때
a n-1 a
={n¥2n+ ¡ k }-[(n-1)¥2n-1+ ¡ k ]
n

¡ ak=9(a¡+a™+a£+a¢)+a£¶+a£•+a£ª
39
k=1 k k=1 k
k=1
a
ak=9¥6+(1+2+5)=62 = (n+1)¥2n-1 + n
n
이므로로로n=39 39
이므로
(n+1)an
an+1= +(n+1)¥2n-1
1208 수열 {a«+b«}의 일반항을 구한다. n
an+1 an
양변을 n+1로 나누면면 = +2n-1
a«≠¡=3a«+2b« yy ㉠ an n+1 n
이다. bn= 이라 하면
[
b«≠¡=2a«+3b« yy ㉡ n
㉠+㉡을 하면면면a«≠¡+b«≠¡=5(a«+b«) (n+1)¥2n-1
bn+1=bn+
n+1
따라서 수열 {a«+b«}은 첫째항이 a¡+b¡=2, 공비가 5인 등비수열
bn+1=bn+2n-1`(næ2)
이므로
이므로 bn+1=bn+2n-1의 n에 2, 3, 4, y, n-1을 차례대로 대
a«+b«=2¥5« —⁄ yy ㉢
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을 ㉠에 대입하면
b£=b™+2
an+1=3an+2bn=an+2an+2bn=an+2(an+bn)
b¢=b£+2¤
=a«+4¥5« —⁄
b∞=b¢+2‹
a«≠¡=a«+4¥5« —⁄ 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n-2
a™=a¡+4¥1 +>≥ ≥ n=bn-1+2
b
2(2n-2-1)
bn=b™+ ¡ 2k-1=3+
n-1
a£=a™+4¥5
k=2 2-1
a¢=a£+4¥5¤
bn= 2n-1+1 (næ2)

따라서 f(n)=(n+1)¥2n-1, g(n)=2n-1+1이므로
+>≥ ≥a«=a«–¡≥+4¥5« —¤
4(5« —⁄ -1) f(4)=5¥2‹ =40, g(7)=2fl +1=65
a«=a¡+;nK-+1!4¥5˚ —⁄ =1+ =5« —⁄ ∴ f(4)+g(7)=105 ④
5-1

09 수학적 귀납법 143


1211 점 Pn의 좌표를 an이라 하고 수열 {an}의 일반항을 구 1213 {k(k-1)(k-2)¥ y ¥1}‹ ¥27˚ 에 어떤 식을 곱하면
한다. {(k+1)k(k-1)¥ y ¥1}‹ ¥27˚ ±⁄ 이 되는지 생각해 본다.
점 Pn의 좌표를 an이라 하면 ⁄ n=1일 때,
5a -3an ⁄ (우변)=3¥2¥1= 6
an+2= n+1 ,이이2an+2=5an+1-3an
5-3 ¤ n=k일 때, 부등식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an+2-an+1=;2#;(an+1-an) ⁄ {k(k-1)(k-2)¥y¥1}‹ ¥27˚
>3k(3k-1)(3k-2)¥y¥1 yy ㉡
an+1-an=bn으로 놓으면 수열 {bn}은 첫째항이 a™-a¡=3, 공비가
⁄ ㉡의 양변에 27(k+1)‹ 을 곱하면
;2#;인 등비수열이므로
⁄ {(k+1)k(k-1)¥y¥1}‹ ¥27˚ ±⁄
n-1
bn=3¥{;2#;} >27(k+1)‹ ¥3k(3k-1)(3k-2)¥`y`¥1
=3‹ ¥(k+1)‹ ¥3k(3k-1)(3k-2)¥`y`¥1
n-1
an+1-an=3¥{;2#;} 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 =(3k+3)‹ ¥3k(3k-1)(3k-2)¥`y`¥1
>(3k+3)¥ (3k+2)(3k+1) ¥3k`¥`y`¥1
여 변끼리 더하면
⁄ 이므로 n=k+1일 때도 부등식 ㉠이 성립한다.
a™-a¡=3
⁄, ¤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이 성립한다.
a£-a™=3¥;2#; 따라서 a=6, f(k)=27(k+1)‹ , g(k)=(3k+2)(3k+1)이므로
2 a+f(1)+g(2)=6+216+56=278 ③
a¢-a£=3¥{;2#;}


n-2
1214 식을 변형하고 n=1, 2, 3, y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 an-an-1=3¥{;2#;} 변끼리 더한다.


>≥ ≥≥≥ ≥ ≤≥ 2n+1 n+(n+1)
n-1 a«≠¡-a«=(-1)« ¥ =(-1)« ¥
k-1 3[{;2#;} -1] n(n+1) n(n+1)
an-a¡= ¡ 3¥{;2#;}
n-1
= 1 1
k=1 a«≠¡-a«=(-1)« `{ + } ⇢➊
;2#;-1 n n+1
1 1
n-1
a«≠¡-a«=(-1)« `{ + }의 n에 1, 2, 3, y, 29를 차례
an-a¡=6[{;2#;} -1] n n+1
n-1 n-1 대로 대입하여 변끼리 더하면
∴ an=1+6[`{;2#;} -1]=6¥{;2#;} -5 1
a™-a¡=-{1+ }
2
이때 a¡º=6¥{;2#;}· -5, a¡™=6¥{;2#;}⁄ ⁄ -5이므로 P’¡º’P¡™”의 길이는 1 1
a£-a™= +
2 3
⁄⁄ ·
|a¡™-a¡º|=6¥{;2#;} -5-[6¥{;2#;} -5] 1 1
a¢-a£=-{ + }
3 4
27 · ·
|a¡™-a¡º|= ¥{;2#;} -6¥{;2#;} ⋮
2
1 1
15 · ⁄‚ ⁄‚ + a£º-a™ª=-{ 29 + 30 }
|a¡™-a¡º|= ¥{;2#;} =5¥{;2#;} 5¥{;2#;} >≥ ≥ ≥ ≥ ≥ ≥
2
1 31
a£º-a¡=-1- =-
a¡=3 30 30
1212 a«과 a«≠¡ 사이의 관계식을 찾는다.
31 59
a«=na¡+(n-1)+a«–¡=a«–¡+3n-1 ∴ a£º=3- = ⇢➋
30 30
n층 카드탑의 가장 아래 층에 세운 카드 수
∴ a«≠¡=a«+3n+2 따라서 p=30, q=59이므로 p+q=89 ⇢➌
a«≠¡=a«+3n+2의 n에 1, 2, 3, y, 19를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 89
리 더하면
채점 기준표
a™=a¡+3¥1+2
➊ 주어진 식을 변형할 수 있다. 40%
a£=a™+3¥2+2
➋ a£º을 구할 수 있다. 50%
a¢=a£+3¥3+2
➌ p+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 ≥ a ™º=a¡ª+3¥ 1≥ 9+2
19¥20 n
a™º=a¡+ ¡ (3k+2)=2+3¥
19
+2¥19 1215 f(n)=an, ¡ ak=Sn으로 놓고 an=Sn-Sn-1 (næ2)
k=1 2 k=1

=2+570+38=610 610 임을 이용하여 수열 {an}의 일반항을 구한다.

144 정답 및 풀이
본책 170~171 쪽

S¡¤ =1이므로로S¡=1 (∵ Sn>0)

f(n)=an이라 하면 ¡ f(k)=n¤ f(n)에서서서


n
∴ an=Sn-Sn-1='n-'ƒn-1 (næ2) yy ㉠
k=1
a¡=S¡=1은 ㉠에 n=1을 대입한 것과 같으므로
¡ ak=n¤ an
n

k=1
an='n-'ƒn-1 ⇢➋
따라서 a∞º='∂50-'∂49=5'2-7이므로
¡ ak=Sn이라 하면
n

k=1 p=5, q=7


Sn=n¤ an yy ㉠ ∴ pq=35 ⇢➌
Sn-1=(n-1)¤ an-1 yy ㉡ 35
㉠-㉡을 하면
채점 기준표
Sn-Sn-1=n¤ an-(n-1)¤ an-1
➊ Sn을 구할 수 있다. 40%
an=n¤ an-(n-1)¤ an-1
➋ an을 구할 수 있다. 40%
(n¤ -1)an=(n-1)¤ an-1
➌ p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n-1)(n+1)an=(n-1)¤ an-1
n-1
∴ an= a (næ2) ⇢➊
n+1 n-1
n-1 1217 P«P”«≠¡”의 길이를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S«을 구한다.
an= a 의 n에 2, 3, 4, y, n-1, n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n+1 n-1 P«P«≠¡”=a«이라 하면
변끼리 곱하면 n
a¡=1, a«≠¡= a«
n+2
a™=;3!;a¡
n
a«≠¡= a«의 n에 1, 2, 3, y, n-1을 차례대로 대입하여 변끼
a£=;4@;a™ n+2
리 곱하면

09
a¢=;5#;a£
a™=;3!; a¡

수학적 귀납법

n-2 a£=;4@; a™
an-1= an-2
n
a¢=;5#; a£
n-1
_ an= a
>≥ ≥≥≥ n+1 n-1
≤≥ ⋮
n-2 n-1 n-2
an=;3!;¥;4@;¥;5#;¥`y`¥ ¥ ¥a¡ a«–¡= a«–™
n n+1 a¡=f(1)=1
n
2 n-1
an= ⇢➋ _ a«= a«–¡
n(n+1) >≥ ≥n+1 ≥ ≥
2 1 n-2 n-1
∴ f(100)=a¡ºº= = ⇢➌ a«=;3!;¥;4@;¥;5#;¥`y`¥ ¥ ¥a¡
100¥101 5050 n n+1 a¡=1
1 2
5050 a«= ⇢➊
n(n+1)
채점 기준표 이때 점 R«은 Q«Q«≠¡”의 중점이므로
➊ 수열 {an}을 귀납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40% 1
Q«’R«”=;2!; Q«Q«≠¡”=;2!; P«P«≠¡”=;2!;a«=
➋ an을 구할 수 있다. 40% n(n+1)
➌ f(100)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1 2 3
∴ S«=;2!;[ + ]¥1= ⇢➋
n(n+1) n(n+1) 2n(n+1)
3 1 1
∴ ¡ S«= ¡ =;2#; ¡ { -
20 20 20
1216 an=Sn-Sn-1`(næ2)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Sn
n=1 n=1 2n(n+1) n=1 n n+1
}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1 =;2#;[{1-;2!;}+{;2!;-;3!;}+y+{;2¡0;-;2¡1;}]
an=Sn-Sn-1`(næ2)이므로 Sn=;2!; {an+ }에서
an
1 =;2#; {1-;2¡1;}=;;¡7º;; ⇢➌
Sn=;2!;`{Sn-Sn-1+ }
Sn-Sn-1
;;¡7º;;
∴ Sn¤ -Sn-1¤ =1 (næ2)
또 a¡=S¡이므로 채점 기준표
1 ➊ an을 구할 수 있다. 40%
S¡=;2!;`{S¡+ }로로∴ S¡¤ =1
S¡ ➋ Sn을 구할 수 있다. 30%
즉 수열 {Sn¤ `}은 첫째항이 1,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이므로 20
➌ ¡ S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Sn¤ =1+(n-1)¥1=n,로로Sn='n ⇢➊ n=1

09 수학적 귀납법 145


1227 ‹ 'ƒ0.027=‹ "ç0.3‹ =0.3 0.3
Ⅳ 지수와 로그

10 지수 1228 fl "√(-2)fl =fl "≈2fl =2 2

1229 ‹ Ƭ-;12*5;=‹ æ≠{-;5@;}3 =-;5@; -;5@;


1218 x¤ =-4라 하면하하x=—2i -2i, 2i

1230 ‹ '4_‹ '∂16 =‹ '4ƒ _1å6 =‹ '∂64=‹ "≈4‹ =4 4


1219 x‹ =27이라 하면하하x‹ -27=0
(x-3)(x¤ +3x+9)=0
› 'ƒ3125 3125
-3—3'3i -3—3'3i 1231 › '5
=› æ≠
5
=› '∂625=› "≈5› =5 5
∴ x=3 또는 x= 3,
2 2

x‹ =-8이라 하면하하x‹ +8=0


1232 (fl '9 )‹ =fl "9Ω‹ =fl "(√ 3¤ )‹ =fl "3Ωfl =3 3
1220
(x+2)(x¤ -2x+4)=0
∴ x=-2 또는 x=1—'3i -2, 1—'3i 1233 ‹ øπ‹ '∂51ß2 =· '5∂12=· "≈2· =2 2

1221 x› =81이라 하면하하x› -81=0 1234 ⁄ ¤ "≈9› _fl "≈3¤ =‹ '9_‹ '3=‹ '2ß7 =‹ "3Ω‹ =3 3
3¥4
øμ9› _3¥2øμ3¤ =‹'9_‹'3
(x¤ +9)(x¤ -9)=0
(x¤ +9)(x+3)(x-3)=0 1235 ('5 )‚ =1 1
∴ x=—3i 또는 x=—3 -3i, 3i, -3, 3

1236 {-;3!;}0 =1 1
1222 x¤ =9라 하면하하x=—3
따라서 9의 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3, 3이다. -3, 3
1
1237 2—‹ =
2‹
=;8!; ;8!;

1223 x‹ =0.008이라 하면
x‹ -0.008=0, (x-0.2)(x¤ +0.2x+0.04)=0 1 1
1238 {-;4!;}—¤ = = =16 16
'3
∴ x=0.2 또는 x=-0.1— i {-;4!;}2 ;1¡6;
10
따라서 0.008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0.2이다. 0.2

1239 › '∂a=a;4!; a;4!;


1224 x› =(-2)› , 즉 x› =16이라 하면
x› -16=0, (x¤ +4)(x¤ -4)=0
1240 fi "≈a3`=a;5#; a;5#;
(x¤ +4)(x+2)(x-2)=0
∴ x=—2i 또는 x=—2
따라서 (-2)› 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2, 2이다. -2, 2 1 1
1241 = ;4#; =a-;4#; a-;4#;
› "≈a‹ a
81
1225 x› = 이라 하면
16 1 1 1
81 9 9
1242 fl "ç≈a—¤
= -;6@; = -;3!; =a;3!; a;3!;
x› - =0, {x¤ + }`{x¤ - } =0 a a
16 4 4
9 3 3
{x¤ + }`{x+ }`{x- } =0 1243 1000.25=(10¤ );4!;=10;2!;='1å0 '1å0
4 2 2
3 3
∴ x=— i 또는 x=—
2 2 1244 8;6%;=(2‹ );6%;=2;2%;=22+;2!;=2¤ ¥2;2!;=4'2 4'2
81 3 3
따라서 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 , 이다.
16 2 2
1 1 '3
27-;6!;=(3‹ )-;6!;=3-;2!;=
'3
3 3 1245 = =
3 3
- ,
2 2
3 ;2!; '3

-;9!;

1226 › '∂256=› "≈4› =4 4 1246 {;8!;} =(2—‹ )-;9!;=2;3!;=‹ '2 ‹'2

146 정답 및 풀이
본책 175~176 쪽

10
(2;4(; )¤ _2;2!;=2;2(;_2;2!;=2;2(;+;2!;=2fi =32 ⁄, ¤에서
1247 32

지수
C={`'2, '3, ‹'∂-3, ‹'∂-2, ‹'2, ‹'3 }
이므로 집합 C의 원소의 개수는 6이다. ⇢➍
1248 (3;4#;)¤ _'ß3 ÷(3;3!;)fl =3;2#;_3;2!;÷3¤
6
=3;2#;+;2!;-2=3‚ =1 1
채점 기준표
➊ 집합 B를 원소나열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10%
1249 (· "≈afl _› "≈b¤ )fl =(‹ "aΩ¤ _'b )fl =(a;3@;_b;2!;)fl =a› b‹ a› b‹
➋ b=2일 때의 원소를 구할 수 있다. 40%
➌ b=3일 때의 원소를 구할 수 있다. 40%
1250 (a¤ b‹ ) _(a b )¤ =a b _a b
;6!; ;3!; ;4#; ;3!; ;2!; ;3@; ;2#;

➍ 집합 C의 원소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10%


=a;3!;+;3@; b;2!;+;2#;=ab¤ ab¤

2'∂12_2'3=22'3+'3=23'3 23'3 1259 10의 10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방정식 x⁄ ‚ =10의 실근이므


1251
로 2개이다.
∴ R(10, 10)=2
1252 5'3å2÷5'1å8_5'8=54'2-3'2+2'2=53'2 53'2
'∂10의 5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방정식 xfi ='∂10의 실근이므로 1개
이다.
1253 (a'5 )'2å0=a'∂100=a⁄ ‚ a⁄ ‚
∴ R('∂10, 5)=1
-'∂10의 5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방정식 xfi =-'∂10의 실근이므로
1 1 '2

1254 (a '6 _bÆ;3@;)'6=(a '6 _b '3 )'6=ab2 ab2 1개이다.


∴ R(-'∂10, 5)=1
01 거듭제곱근 본책 176쪽 -10의 10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R(-10, 10)=0
⑴ a의 n제곱근 방정식 xn=a를 만족시키는 x ∴ R(10, 10)+R('∂10, 5)+R(-'∂10, 5)+R(-10, 10)
⑵ 실수 a의 n제곱근 중 실수인 것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2+1+1+0=4 4
a>0 a=0 a<0
n이 짝수 2개 1개 0개
02 거듭제곱근의 계산 본책 176쪽
n이 홀수 1개 1개 1개

⁄ 근호 안의 수를 소인수분해한다.
¤ 거듭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한다.
1255 ① 64의 세제곱근은 방정식 x‹ =64의 근이므로 3개이다.
a>0, b>0이고 m, n이 2 이상의 정수일 때,
② -8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2이다. « 'a a
« 'a « 'b=« 'å∂ab, =« æ , (« 'a )μ =« "çaμ ,
③ 8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 '8, › '8 이다. « 'b b
⑤ n이 짝수일 때, -4의 n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μ "ç« 'a =μ « '∂a =« "çμ 'a, « π "çaμ π =« "çaμ (단, p는 양의 정수)

1260 ① ‹ '2_› '2=⁄ ¤ "≈2Ω› _⁄ ¤ "≈2‹Ω =⁄ ¤ "√2› _2‹ =⁄ ¤ "≈2‡


1256 ㄱ. -36의 네제곱근은 방정식 x› =-36의 근이므로 4개
이다. ② ‹ "√-'6å4 =‹ '∂-8 =‹ "√(-2)‹ =-2
ㄴ. '∂64=8이고 8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2이다. ③ ‹ ø∑fi '8 =fi ø∑‹ "2Ω‹ =fi '2
ㄷ. -125의 세제곱근은 3개이고 그중 실수인 것은 -5의 1개이므 ‹ 'ƒ-27 ‹ "√(-3)‹ -3
로 허수인 것은 2개이다. ④ = = =;2#;, ‹ Ƭ;;™8;¶ ; =‹ æ≠{;2#;}3 =;2#;
‹ '∂-åß8 ‹ "√(-2)‹ -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②
‹ 'ƒ-27
∴ =‹ Ƭ;;™8;¶ ;
‹ '∂-8
1257 a=ø‹∑ '4 =fl '4=fl "≈2¤ =‹ '2
1 6 1 1
b=‹ '1å6 =‹ "ç2‹ _2 =2 ‹ '2 ⑤ {‹ '7_ } =(‹ '7 )fl _ ={(‹ '7 )‹ }¤ _
'7 ('7 )fl {('7 )¤ }‹
∴ a+b=‹ '2+2 ‹ '2=3 ‹ '2 ③ 1 1
=7¤ _ = ⑤
7‹ 7
1258 B={2, 3}이므로 ⇢➊
⁄ b=2일 때, 1261 (‹ '4+‹ '3 )(‹ 'ß16-‹ 'ß12+‹ '9 )
'∂-3, '∂-2`는 실수가 아니고, '2, '3`은 실수이다. ⇢➋ =(‹ '4+‹‹ '3 )(‹ "ç4¤ -‹ '4 ‹ '3+‹ "ç3¤ )
¤ b=3일 때, =(‹ '4 )‹ +(‹ '3 )‹ (a+b)(a¤ -ab+b¤ )=a‹ +b‹

‹'∂-3, ‹'∂-2, ‹'2, ‹'3은 모두 실수이다. ⇢➌ =4+3=7 7

10 지수 147
‹ '1å6 +fl '3å6 ‹ "≈2‹ _2 +fl "≈6¤ 2 ‹ '2+‹ '6 1268 ㄱ. R(2, 4)=› '2="ç'2=R('2, 2)
1262 ‹ '4 ‹ '2 +ø∑‹ '9
=
‹ "2Ω‹ +fl "≈3¤
=
2+‹ '3 ㄴ. R(a, 3)R(a, 3)R(a, 3)=‹ 'a ‹ 'a ‹ 'a=‹ "ça‹ =R(a‹ , 3)
‹ '2(2+‹ '3 ) ㄷ. R(R(a, n), n)=n"çn'a=n¤'a=R(a, n¤ )
= =‹ '2 ①
2+‹ '3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①

‹ 'ß8å1 'ß8å1 ⁄ ¤ "3Ω› › "3Ω› ‹ '3 3


1263 › æ– 81 +æ–
‹ '8ß1
=
› "3Ω›
+
fl "3Ω›
=
3
+
‹ "3Ω¤
04 거듭제곱근의 대소 비교 본책 177쪽

‹ "3Ω‹ +9 12 4 ① A<B이면 ˚ "çA <˚ "çB 임을 이용하여 대소를 비교한다.


= = = ⑤
3 ‹ "3Ω¤ 3 ‹ '9 ‹ '9 (단, A>0, B>0, k는 2 이상의 정수)
② (μ "çA )˚ <(« "çB )˚ 이면 μ "çA<« "çB 임을 이용하여 대소를 비교한다.
(단, A>0, B>0, k, m, n은 2 이상의 정수)
1
1264 a=‹ '3- 에서
‹ '3
1 3 (x-y)‹ =x‹ -3x¤ y+3xy¤ -y‹ 1269 3, 4, 6의 최소공배수가 12이므로
a‹ ={‹ '3- } =x‹ -y‹ -3xy(x-y)
‹ '3
‹ '5=⁄ ¤ "≈5› =⁄ ¤ '6∂25, › '1ß0 =⁄ ¤ "ç10‹ =⁄ ¤ 'ƒ1000,
1 3 1 1
a‹ =(‹ '3 )‹ -{ } -3_‹ '3_ {‹ '3- } fl '2ß0=⁄ ¤ "ç20¤ =⁄ ¤ '4ß0å0
‹ '3 ‹ '3 ‹ '3
⁄ ¤ '4ß0å0<⁄ ¤ '6∂25<⁄ ¤ 'ƒ1000이므로
a‹ =3-;3!;-3a ⇢➊
fl '2ß0<‹ '5<› '1ß0 ④
∴ a‹ +3a+;3!;=3 ⇢➋ (‹ '5)⁄ ¤ =‹ "ç5⁄ ¤ =5› =625, (› '∂10)⁄ ¤ =› "ç10⁄ ¤ =10‹ =1000,

3 (fl '∂20)⁄ ¤ =fl "ç20⁄ ¤ =20¤ =400이므로


fl '∂20<‹ '5<› '∂10
채점 기준표
➊ a‹ 을 전개할 수 있다. 60%

➋ a‹ +3a+;3!;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1270 øπ3 ‹ '3 =ø‹ π"3√‹ _3 =fl '8å1, ø4∑ ‹ '2 =øπ‹ "ç4‹ _≈2 =fl '∂12å8,
‹ ø∑5'5 =‹ ø∑"5ç¤ _5 =fl '∂12å5에서
fl '8å1<fl '∂12å5<fl '∂12å8
03 문자를 포함한 거듭제곱근의 계산 본책 177쪽
∴ a=fl '8å1, b=fl '∂12å8
거듭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한다. 이때 근호가
따라서 부등식 fl '8å1<fl 'n<fl '∂12å8에서 81<n<128이므로 자연수 n
여러 개인 경우는 μ øπ« 'a =m« 'a 임을 이용하여 근호를 하나로 변형한다. 128-81-1=46
은 82, 83, 84, y, 127의 46개이다. ⑤

‹ 'ßx 'ßx › 'ßx › ø∑‹ 'ßx ‹ ø∑'ßx ø∑› 'ßx


1265 ›æ≠ 'ßx _‹æ≠ › 'ßx _æ≠ ‹ 'ßx = _ _ 1271⁄ A-B=(2 ‹ '3+'2 )-(‹ '3+2'2 )
› ø∑'ßx ‹ ø∑› 'ßx ø∑‹ 'ßx =‹ '3-'2=fl '9-fl '8>0
⁄ ¤ 'ßx fl 'ßx ° 'ßx ∴ A>B ⇢➊
= _ _
° 'ßx ⁄ ¤ 'ßx fl 'ßx ¤ C-D=(3'2-2 ‹ '3 )-(3 ‹ '3-2'2 )
=1 1 =5('2-‹ '3 )=5(fl '8-fl '9 )<0
∴ C<D ⇢➋
‹ B-D=(‹ '3+2'2 )-(3 ‹ '3-2'2 )
⁄ ¤ "√4‹ a‹ bfl _⁄ ¤ "çafi b›
1266 › "ç4ab¤ _⁄ ¤ "çafi b› ÷fl "√8a‹ b =
⁄ ¤ "√8¤ afl b¤
=4'2-2 ‹ '3=2(2'2-‹ '3 )
=2('8-‹ '3 )=2(fl '5ß1å2-fl '9 )>0
64a°° b⁄ ‚ ∴ B>D ⇢➌
=⁄ ¤æ≠
64afl b¤ 이상에서 C<D<B<A이므로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의 합은
=⁄ ¤ "ça¤ b° =fl "çab› ④ A+C=(2 ‹ '3+'2 )+(3'2-2 ‹ '3 )=4'2 ⇢➍
4'2

‹ øa“ › øπa fi 'a ‹ 'a_⁄ ¤ 'a_fl ‚ 'a fl ‚ "√a¤ ‚ _afi _a 채점 기준표


1267 =
fi 'a_¤ ‚ 'a_fl ‚ 'a
=
fl ‚ "√a⁄ ¤ _a‹ _a ➊ A와 B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30%
fi øa“ › øπa ‹ 'a
➋ C와 D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30%
a¤ fl
=fl ‚æ≠
=fl ‚ "ça⁄ ‚ =fl 'a ➌ B와 D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30%
a⁄ fl
따라서 m=1, n=6이므로로로m+n=7 7 ➍ 가장 큰 수와 가장 작은 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10%

148 정답 및 풀이
본책 177~179 쪽

10
a—¤ +a—› +a—fl +a—° +a—⁄ ‚

지수
두 수 또는 두 식의 대소 관계의 판정 1275 a¤ +a› +afl +a° +a⁄ ‚
① 차의 부호를 조사한다.
a—⁄ ‚ (a° +afl +a› +a¤ +1)
의의A-B>0 HjjK A>B,한A-B=0 HjjK A=B, =
a¤ (1+a¤ +a› +afl +a° )
의의A-B<0 HjjK A<B
② 제곱의 차의 부호를 조사한다. a—⁄ ‚
= =a—⁄ ¤
A>0, B>0일 때, a¤
의의A¤ -B¤ >0 HjjK A¤ >B¤ HjjK A>B =(fl øμ2-'3 )—⁄ ¤ =(2-'3 )—¤
③ 비를 조사한다. 1 1
= =
A>0, B>0일 때, (2-'3)¤ 7-4'3
의의;bA;>1 HjjK A>B,한;bA;=1 HjjK A=B, =
7+4'3
=7+4'3 ⑤
(7-4'3 )(7+4'3 )
의의;bA;<1 HjjK A<B

06 지수가 실수인 식의 계산 본책 178쪽

05 지수가 음의 정수인 식의 계산 본책 178쪽 a>0, b>0이고 x, y가 실수일 때


① a≈ a¥ =a≈ ±¥ ② a≈ ÷a¥ =a≈ —¥
a+0이고 n이 양의 정수일 때 ③ (a≈ )¥ =a≈ ¥ ④ (ab)≈ =a≈ b≈
1
① a—« =

② a—« +a—« ±⁄ =a—« (1+a) ;4%; ;5@; -;2#; ;3$; ;4%;_;5@; -;2#;_;3$;

1 1 a«
1276 [{;2ª5;} ] _[{;3!;} ] ={;2ª5;} _{;3!;}
③ = =
a—« +a—« ±⁄ a—« (1+a) a+1 ;4%; ;5@; -;2#; ;3$; ;2!; -2
[{;2ª5;} ] _[{;3!;} ] ={;2ª5;} _{;3!;}
;4%; ;5@; -;2#; ;3$; ;2!;
3—fi +27—¤ 3—fi +(3‹ )—¤ 3—fi +3—fl 3—fl (3+1) [{;2ª5;} ] _[{;3!;} ] =[{;5#;}2 ] _(3—⁄ )—¤
1272 4
=
4
=
4
=
4
=3—fl
;4%; ;5@; -;2#; ;3$;
9 9 9 9 1 [{;2ª5;} ] _[{;3!;} ] =;5#;_3¤ =;;™5¶;; ;;™5¶;;
= = = = =2—fl
4‹ +8‹ (2¤ )‹ +(2‹ )‹ 2fl +2· 2fl (1+2‹ ) 2fl
∴ (주어진 식)=3—fl _2—fl =(3_2)—fl =6—fl ②
1277 3;4#; 2-;3$;_(3-;2!; 2;3!; )-;2!;=3;4#; 2-;3$;_3;4!; 2-;6!;
=3;4#;+;4!;_2-;3$;+{-;6!;}
1273 4—‹ ÷(4—fl ÷2—fi )—›
3
1 1 1 -4 1 1 -4 =3_2-;2#;=
= ÷{ ÷ } = ÷{ _2fi } 2_2;2!;
4‹ 4fl 2fi 2fl 2⁄ ¤
1 1 -4 1 3 3'2
= ÷{ } = ÷2 28 = = ②
2fl 2‡ 2fl 2'2 4
1 —›
{ } =(2—‡ )—› =2¤ °
1 1 1 2‡
= _ = =2—‹ ›
2fl 2¤ ° 2‹ › 1278 (a'3)'∂12+1_(a'5)2'5-'∂15÷(a› )2-'3
∴ n=-34 ② =a'3('∂12+1)_a'5(2'5-'∂15)÷a› (2-'3 )
=a6+'3_a10-5'3÷a8-4'3
1 1 1 1 =a6+'3+10-5'3-(8-4'3 )=a°
1274 2—› +1
+
2—¤ +1
+
2¤ +1
+
2› +1 ∴ k=8 8
분모, 분자에 2¤ 을 곱한다.
분모, 분자에 2› 2¤ 1 1
2› 을 곱한다. = + + +
1+2› 1+2¤ 2¤ +1 2› +1 1 -;n!; 6

2› +1 2¤ +1 1279 { } =64;n!;=(2fl );n!;=2 n 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정수


= + =1+1=2 2
64
2› +1 2¤ +1 n은 6의 양의 약수이다. ⇢➊
1 1 1 1 따라서 모든 정수 n의 값의 합은
(주어진 식)={ + }+{ + }
2—› +1 2› +1 2—¤ +1 2¤ +1 1+2+3+6=12 ⇢➋
2› +1+2—› +1 2¤ +1+2—¤ +1 12
= +
(2—› +1)(2› +1) (2—¤ +1)(2¤ +1)
채점 기준표
2› +2—› +2 2¤ +2—¤ +2
= + ➊ n의 조건을 알 수 있다. 60%
1+2—› +2› +1 1+2—¤ +2¤ +1
2—› ¥2› =2‚ =1
=1+1=2 2—¤ ¥2¤ =2‚ =1
➋ 모든 정수 n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40%

10 지수 149
1280 (‹ "ç5⁄ ‚ ) 이 자연수 N의 n제곱근이라 하면 1285
;3!;
3› =a에서 3=a;4!;
n
;3!;
[(‹ "ç5⁄ ‚ ) ] =(5;;¡3º;;) 3 =5
n 10n
9 =N 8¤ =b에서 (2‹ )¤ =b, 2fl =b ∴ 2=b;6!;
10n
∴ 12 =(2¤ _3) =2 _311
11 11 22

따라서 5 9 이 자연수가 되려면 10n이 9의 배수이어야 하고 9와 10


∴ 12⁄ ⁄ =(b;6!;)22_(a;4!;)11=a;;¡4¡;; b;;¡3¡;; ④
은 서로소이므로 n이 9의 배수이어야 한다.
이때 2…n…100이므로 구하는 n은 9, 18, 27, y, 99의 11개이다.
④ 1286 a=9‹ =(3¤ )‹ =3fl 이므로 3=a;6!;
∴ 27‡ =(3‹ )‡ =321

거듭제곱근을 유리수인 지수로 나타내기 ∴ 27‡ =(a;6!;)21=a;2&; ④


07 본책 179쪽

a>0이고 m, n이 2 이상의 정수일 때


1 1
1287 a='5=5;2!;에서 a¤ =5
① « 'a=a n ② μ "ç« 'a=a mn
b=‹'3=3;3!;에서 b‹ =3
∴ fl'1å5=15;6!;=(3_5);6!;=(a¤ _b‹ );6!;
1281 øπøπø∑'ßa =⁄ fl 'aß =a
;1¡6;
, › ø∑› ø∑› 'ßa =fl ›'ßa =a 이므로 ;6¡4;

∴ fl'1å5=a;3!; b;2!; ③
(주어진 식)=a _a =a ;1¡6; ;6¡4; ;1¡6;+;6¡4;
=a ;6∞4;

∴ k=;6∞4; ②
1288 a¤ =3, bfi =7, cfl =11에서
a=3;2!;, b=7;5!;, c=11;6!; ⇢➊
n ;6!; n
1282 øπaøπaø∑a'ßa ='ßa_› 'ßa_° 'ßa_⁄ fl 'ßa 이므로 (abc) =(3 _7 _11 ) 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2!; ;5!;

øπaøπaø∑a'ßa =a;2!;_a;4!;_a;8!;_a;1¡6; n의 값은 2, 5, 6의 공배수이다. ⇢➋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30이다. ⇢➌
øπaøπaø∑a'ßa =a;2!;+;4!;+;8!;+;1¡6;=a;1!6%;
30
∴ k=;1!6%; ;1!6%;
채점 기준표
➊ a, b, c를 구할 수 있다. 30%
1283 ‹ øπa'a › "≈a‹ =‹ 'a_fl 'a _⁄ ¤ "≈a‹ =a;3!;_a;6!;_a;1£2; ➋ n의 조건을 알 수 있다. 50%
=a ;3!;+;6!;+;1£2;
=a ;4#;
⇢➊ ➌ n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20%
2+m
m m ;6!;+;12M;
fl øπa"ça =fl 'a_⁄ ¤ "ça =a _a =a ;6!; ;12M;
=a 12 ⇢➋
2+m 곱셈 공식과 지수법칙
따라서 ;4#;=
12
이므로 09 본책 180쪽

8+4m=36, 4m=28 ∴ m=7 ⇢➌ a>0, b>0이고 r, s가 유리수일 때


7 ① (a® +bß )(a® -bß )=a¤ ® -b¤ ß
② (a® —bß )¤ =a¤ ® —2a® bß +b¤ ß (복호동순)
채점 기준표
③ (a® —bß )‹ =a‹ ® —3a¤ ® bß +3a® b¤ ß —b‹ ß (복호동순)
➊ ‹`"√a'a``› "ça‹ 을 ar 꼴로 나타낼 수 있다. 40%
➋ fl`"√a'∂am 을 ar 꼴로 나타낼 수 있다. 40%
➌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1289 (a;2!;+a-;2!;)¤ -(a;2!;+a-;2!;)(a;2!;-a-;2!;)
=(a;2!;)¤ +2a;2!;a-;2!;+(a-;2!;)¤ -{(a;2!;)¤ -(a-;2!;)¤ }
128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2+a-1-(a-a-1)
=2a—⁄ +2 ④
a+b=3, ab=-;2&;
a+b
따라서 ‹ "≈5a_‹ "≈5b=5;3ƒ;_5;3©;=5 3 =5;3#;=5, 3;3!;=A, 3-3@;=B로 놓으면
a b ab -;2&;
1290
(25 ) =25 =(5¤ ) =5—‡ 이므로 (주어진 식)
‹ "≈5a_‹ "≈5b 5 =(A+B)‹ +(A-B)‹
= =5° 5°
(25a)b 5—‡ =(A‹ +3A¤ B+3AB¤ +B‹ )+(A‹ -3A¤ B+3AB¤ -B‹ )
=2(A‹ +3AB¤ )
08 유리수인 지수로 나타내기 본책 179쪽 =2{(3;3!;)‹ +3¥3;3!;¥(3-;3@;)¤ }
=2(3+31+;3!;-;3$;)
a>0, k>0이고 x는 0이 아닌 정수일 때 a≈ =k HjjK a=k;[!; 3 1+;3!;-;3$;
=3‚ =1
=2(3+1)=8 ④

150 정답 및 풀이
본책 179~181 쪽

10
1291 (주어진 식) 1 1 1 1

지수
이때 {'a+ }`{a+ }=a'a+ +'a+ 에서
'a a a'a 'a
=(x;4!;-x-;4!; )(x;4!;+x-;4!; )(x;2!;+x-;2!; )(x+x—⁄ )
1
3¥7=a'a+ +3
=(x;2!;-x-;2!; )(x;2!;+x-;2!; )(x+x—⁄ ) a'a
=(x-x—⁄ )(x+x—⁄ ) 1
∴ a'a+ =18
1 a'a
=x¤ -x—¤ =x¤ -

1 1 15 15 1296 (x+x-1)¤ =x¤ +x-2+2=34+2=36에서
=2¤ - =4- =
2¤ 4 4 4
x+x-1=6 (∵ x+x—⁄ >0) ⇢➊
x>0이므로로x+x—⁄ >0
-;2!; -1
또 (x +x;2!;
)¤ =x+x +2=6+2=8에서
1292 (a+b+c)¤ =a¤ +b¤ +c¤ +2(ab+bc+ca)이므로 x +x;2!; -;2!;
=2'2 (∵ x;2!;+x-;2!;>0) ⇢➋
22=18+2(ab+bc+ca)이이∴ ab+bc+ca=2 ⇢➊
x;2!;+x-;2!; 2'2
∴ (2a)b+c_(2b)c+a_(2c)a+b=2ab+ac_2bc+ba_2ca+cb
'2
∴ = = ⇢➌
x+x—⁄ 6 3
=22(ab+bc+ca)=2› =16 ⇢➋
16 '2
3
채점 기준표
채점 기준표
➊ ab+bc+c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➊ x+x-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➋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60%
➋ x;2!;+x-;2!;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10 ax+a-x 꼴의 식의 값 구하기 본책 180쪽

1297 x;3!;+x-;3!;=2+'3의 양변을 세제곱하면


양수 x에 대하여
x+x—⁄ +3(x;3!;+x-;3!;)=26+15'3
① (x;2!;—x-;2!;)¤ =x+x—⁄ —2 (복호동순) (2+'3 )‹ =8+3¥4¥'3+3¥2¥3+3'3
∴ x+x—⁄ =26+15'3-3(2+'3 ) =8+12'3+18+3'3
② (x;3!;—x-;3!;)‹ =x—x—⁄ —3(x;3!;—x—;3!;) (복호동순)
=20+12'3 =26+15'3

따라서 a=20, b=12이므로


x;2!;+x-;2!;=4의 양변을 제곱하면 a-b=8 8
1293
x+x-1+2=16 ∴ x+x-1=14
위의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a‹ +a¤ a—‹ +a—¤
1298 a+1
-
a—⁄ +1
x¤ +x—¤ +2=196 ∴ x¤ +x—¤ =194 194
a¤ (a+1) a—¤ (a—⁄ +1)
= -
a+1 a—⁄ +1
1294 3≈ +3⁄ —≈ =10의 양변을 제곱하면
=a¤ -a—¤ =(a+a-1)(a-a-1) yy ㉠
9≈ +9⁄ —≈ +2¥3=100
1
∴ 9≈ +9⁄ —≈ =94 ④ 'a- =2의 양변을 제곱하면
'a
3
3≈ =t (t>0)로 놓으면 3⁄ —≈ = 이므로 a+;a!;-2=4 ∴ a+a-1=6 yy ㉡
t
9≈ +9⁄ —≈ =(3≈ )¤ +(3⁄ —≈ )¤ -1
한편 (a-a )¤ =(a+a )¤ -4이므로 -1

9 3 (a-a—⁄ )¤ =6¤ -4=32


9≈ +9⁄ —≈ =t¤ + ={t+ }2 -6
t¤ t
1-x 1
9≈ +9⁄ —≈ =10¤ -6=94 3≈ +3 =10이므로로t+;t#;=10
그런데 'a- >0에서 a>1이므로 a-a-1>0
'a 1 1
'a- >0에서서'a>
-1
∴ a-a ='3å2 =4'2 yy ㉢
'a 'a
에('a )¤ >1에∴ a>1
1 1 ‹ ㉡, ㉢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식의 값은
1295 a'a+
a'a
=('a )‹ +{ }`
'a 6¥4'2=24'2 ⑤
1 ‹ 1
a'a+ ={'a+ }` -3{'a+ }
'a 'a
a'a+ =3‹ -3¥3=18 18 a≈ -a—≈
11 꼴의 식의 값 구하기 본책 181쪽
a≈ +a—≈
1
'a+ =3의 양변을 제곱하면
'a 주어진 식의 값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하는 식의 분모와 분자에
1 1 a≈ (a>0)을 곱한다.
a+ +2=9의의∴ a+ =7
a a

10 지수 151
3 3
1299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에 a≈ 을 곱하면 2 m -;n%;=;8!;, 2 m -;n%;=2—‹
a≈ -a—≈ a≈ (a≈ -a—≈ ) a¤ ≈ -1
= = 3
a≈ +a—≈ a≈ (a≈ +a—≈ ) a¤ ≈ +1 ∴ -;n%;=-3 -3
m
3-1
= =;4@;=;2!; ;2!;
3+1
1304 5≈ =10에서 5=10;[!; yy ㉠

13005;[!;=9에서 9≈ =5 ∴ 3¤ ≈ =5 2¥ =10에서 2=10 ;]!;


yy ㉡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에 3≈ 을 곱하면 ㉠_㉡을 하면 10=10;[!;_10;]!;=10;[!;+;]!;
3≈ +3—≈ 3≈ (3≈ +3—≈ ) 3¤ ≈ +1 1 1
= = ∴ + =1 ①
3≈ -3—≈ 3≈ (3≈ -3—≈ ) 3¤ ≈ -1 x y
5+1
= =;4^;=;2#; ③
5-1
1305 {;1¡0;}/ =9에서서서;1¡0;=9;[!;=(3¤ );[!;=3;[@; yy ㉠

1301 a› ≈ =(a2x)¤ =(3+2'2 )¤ =17+12'2 20y=27에서서서20=27 ;]!;=(3‹ );]!;=3;]#; yy ㉡


1
주어진 식의 분모, 분자에 a≈ 을 곱하면 3+2'2
3-2'2
㉠_㉡을 하면 ;1¡0;_20=3;[@;_3;]#;
a‹ ≈ +a—‹ ≈ a≈ (a‹ ≈ +a—‹ ≈ ) a› ≈ +a—¤ ≈ =
= = (3+2'2 )(3-2'2 )
a≈ +a—≈ a≈ (a≈ +a—≈ ) a¤ ≈ +1 =3-2'2 ∴ 3;[@;+;]#;=2 2
1 1
a› ≈ +12 17+12'2+1112
a¤ ≈ 3+2'2 1306 ax=3에서 a=3;[!; yy ㉠
= =
a¤ ≈ +1 (3+2'2 )+1 y
(ab) =3¤ 에서 ab=3 ;]@;
yy ㉡
17+12'2+3-2'2 20+10'2 z
= = (abc) =3‹ 에서 abc=3 ;z#;
yy ㉢
4+2'2 4+2'2
㉠_㉡÷㉢을 하면
10(2+'2 )
= =5 ④ a_ab÷abc=3;[!;_3;]@;÷3;z#;
2(2+'2 )
a_ab
∴ 3;[!;+;]@;-;;z#;= =;cA; ④
abc
m -m
a -a
1302 =;5#;에서 좌변의 분모, 분자에 am을 곱하면
am+a-m
1307 a≈ =64에서 a=64;[!; yy ㉠
am(am-a-m) a¤ μ -1
=;5#;, =;5#; ⇢➊ b¥ =64에서 b=64 yy ㉡
a2m+1
;]!;
am(am+a-m)
2m
5a¤ μ -5=3a¤ μ +3, 2a¤ μ =8 ∴ a =4 ⇢➋ cΩ =64에서 c=64 ;z!;
yy ㉢
6m
∴ a =(a )‹ =4‹ =64 2m
⇢➌ ㉠_㉡_㉢을 하면
64 abc=64;[!;_64;]!;_64;z!;=64;[!;+;]!;+;z!;
채점 기준표 abc=8이므로 64;[!;+;]!;+;z!;=8
➊ 분모, 분자에 am을 곱하여 정리할 수 있다. 40% {;[!;+;]!;+;z!;} 1 1 1
8¤ =8, 2{ + + }=1
➋ a2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x y z
➌ a6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1 1 1 yz+zx+xy
+ + =;2!;, =;2!;
x y z xyz
xyz
∴ =2 2
ax=k 또는 ax=by의 조건이 주어진 경우 xy+yz+zx
12, 13 식의 값 구하기
본책 182쪽

a≈ =k, b¥ =k (a>0, b>0, xy+0)일 때 1308 3x=4y=12z=k (k>0)로 놓으면 xyz+0에서


1 1 k+1 밑을 k로 통일한다. x+0, y+0, z+0
a=k , b=k
x y

1 1 a 1 1 3x=k에서 3=k;[!; yy ㉠
ab=k x + y , =k x - y
b y
4 =k에서 4=k ;]!;
yy ㉡
z
12 =k에서 12=k ;z!;
yy ㉢
1 1 3
1303 23μ =8에서 23=8 m =(2‹ ) m =2 m yy ㉠ ㉠_㉡÷㉢을 하면
184« =32에서 184=32;n!;=(2fi );n!;=2;n%; yy ㉡ 3_4÷12=k;[!;_k;]!;÷k;z!; ∴ k;[!;+;]!;-;z!;=1
3
㉠÷㉡을 하면 ;1™8£4;=2 m ÷2;n%; 그런데 k+1이므로 ;[!;+;]!;-;z!;=0 0

152 정답 및 풀이
본책 181~184 쪽

10
1309 x¥ =y≈ 에서 x=y;]{;=y;3@; H-65
_1.05T에서

지수
1313 G=
14
이때 ;]{;=;3@;에서 x=;3@;y이므로 ;3@;y=y;3@;
80-65
y H=80, T=30일 때, G¡= _1.05‹ ‚
14
=;2#;, y =;2#;
;3!;

y;3@; 75-65
H=75, T=15일 때, G™= _1.05⁄ fi
14
∴ y={;2#;}3 =:™8¶: ③
;1!4%;_1.05‹ ‚

∴ = =;2#;_1.05⁄ fi =;2#;_2=3 3
1310 a≈ =b¥ =3Ω =k(k>0)로 놓으면 a+1, b+1, xyz+0에서 G™
;1!4);_1.05⁄ fi
k+1
a≈ =k에서 a=k;[!;
1314 원본의 글자 크기를 a, 확대 배율을 r`(r>1)라 하면 6회째
b¥ =k에서 b=k;]!;
복사본의 글자 크기가 원본의 2배이므로
3Ω =k에서 3=k;z!; ⇢➊ arfl =2a자자∴ rfl =2
1 1 4 8회째 복사본의 글자 크기는 ar° 이므로
이때 + = 이므로
x y z
ar° ÷arfl =r¤ =(rfl );3!;=2;3!;
;[!;+;]!;
k =k , k _k =(k )›
;z$; ;[!; ;]!; ;z!;
⇢➋ 따라서 p=3, q=1이므로
∴ ab=3› =81 ⇢➌ p+q=4 4
81

채점 기준표
1315 △AQB에서 PQ”가 ∠AQB의 이등분선임을 이용한다.
➊ a, b, 3을 kr `꼴로 나타낼 수 있다. 40%
한 원에서 길이가 같은 현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➋ 주어진 식을 k에 대한 식으로 변형할 수 있다. 40%
∠PQA=∠PQB
➌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따라서 △AQB에서 PQ”는 ∠AQB의 이등분선이므로
AQ” : BQ”=AR” : BR”
1311 2≈ =3—¥ =k (k>0)로 놓으면 xyz+0에서 =4‹ '3 : 3‹ '3
k+1 =4`:`3`
2≈ =k에서 2=k;[!; yy ㉠ AQ”=4k, `BQ”=3k (k>0)로 놓으면 △AQB는 ∠AQB=90°인
3—¥ =k에서 3=k -;]!;
yy ㉡ 직각삼각형이므로 지름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90°이다.
㉠_㉡을 하면 6=k ;[!;-;]!;
yy ㉢ AB”="√(4k)¤ +(3k)¤ =5k
한편 3—¥ =k에서 9¥ =(3—¥ )—¤ =k—¤ 이므로 또 AB”=AR”+BR”=4‹ '3+3‹ '3=7‹ '3`이므로

6Ω =k—¤ ∴ 6=k-;z@; yy ㉣ 5k=7‹ '3에서∴ k=;5&; ‹ '3


9¥ =6Ω
;[!;-;]!; -;z@;
㉢, ㉣에서 k =k 이고 k+1이므로 ∴ ;7%; BQ”=;7%;¥3k=;7%;¥3¥;5&; ‹ '3
;[!;-;]!;=-;z@; ② =3‹ '3=‹ '∂81 ①

14 지수법칙의 실생활에의 활용 본책 183쪽 1316 n=3, 4, 5, y, 10일 때, a« <121<(a+1)« 을 만족


시키는 자연수 a의 값을 각각 구한다.
① 식이 주어진 경우 주어진 식에 알맞은 값을 대입한다.
11¤ =121이므로 [ '∂121 ]=[11]=11
② 식에 미정계수가 포함된 경우
문자가 나타내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주어진 조건을 식에
64=4‹ <121<5‹ =125이므로
대입한다. 4<‹ '∂121<5 ∴ [ ‹ '∂121 ]=4
81=3› <121<4› =256이므로
3<› '∂121<4 ∴ [ › '∂121 ]=3
1312 3년 후 방사성 물질의 양이 ;2!; mº이므로 32=2fi <121<3fi =243이므로
2<fi '∂121<3 ∴ [ fi '∂121 ]=2
;2!; mº=mº¥a—‹ ∴ a—‹ =;2!; 64=2fl <121<3fl =729이므로
따라서 12년 후의 방사성 물질의 양은 2<fl '∂121<3 ∴ [ fl '∂121 ]=2
m¡™=mº¥a—⁄ ¤ =mº¥(a—‹ )› =mº¥{;2!;}4 =;1¡6; mº 2‡ =128이므로 [ ‡ '∂121 ]=[ ° '∂121 ]=[ · '∂121 ]=[ ⁄ ‚ '∂121 ]=1
∴ [ '∂121 ]+[ ‹ '∂121 ]+[ › '∂121 ]+y+[ ⁄ ‚ '∂121 ]
∴ k=;1¡6; ;1¡6; =11+4+3+2¥2+4¥1=26 26

10 지수 153
1
1317 x+y, xy의 값을 먼저 구한다. a≈ >1, a—≈ =
a≈
<1에서 a≈ -a—≈ >0`이므로로로a≈ -a—≈ =2
x=3+'6, y=3-'6에서
∴ a¤ ≈ -a—¤ ≈ =(a≈ +a—≈ )(a≈ -a—≈ )
므로x+y=(3+'6 )+(3-'6 )=6 =2'2_2 =4'2 ④
므로xy=(3+'6 )(3-'6 )=9-6=3
{(afi )≈ }¥ (afi )≈ ¥ a5xy a5¥3 a⁄ fi 1
∴ = x+y
= = = =a⁄ ¤ 1321 먼저 x=›'2+ 의 양변을 제곱한다.
"√a≈ a ¥ "√≈a a;2!;(x+y)
a;2!;¥6 a‹ ›'2
1
따라서 a⁄ ¤ =10이므로 a=10;1¡2; (∵ a>0) ① x=› '2+ , 즉 x=2;4!;+2-;4!; 의 양변을 제곱하면
› '2
x¤ =2;2!;+2—;2!;+2
1318 정육면체 1개의 부피를 x라 하면
(두 금속 덩어리의 부피의 합)ænx가 성립한다. ∴ x¤ -4=2;2!;+2—;2!;-2=(2;4!;-2-;4!; )¤
두 금속 덩어리의 부피의 합은 ∴ 2(x+"√x¤ -4 )=2 [2;4!;+2-;4!;+»π(2;4!;-2-;4!;)¤ ]
‹ "ç2⁄ › +‹ "ç2⁄ ‡ =2:¡3¢:+2:¡3¶:=2:¡3¢:+2:¡3¢:+1 ∴ 2(x+"√x¤ -4 )=2(2;4!;+2-;4!;+2;4!;-2-;4!; )
‹ "ç2⁄ › +‹ "ç2⁄ ‡ =2 (1+2)=3¥2
:¡3¢: :¡3¢:
∴ 2(x+"√x¤ -4 )=2¥2¥2;4!;=2;4(; ⑤
한 모서리의 길이가 · "≈2° 인 정육면체 1개의 부피는
(· "≈2° )‹ =(2;9*;)‹ =2;3*; 1322 2å =3∫ =6ç =k (k>0)로 놓고 k와 a, b, c 사이의 관
이므로 3¥2:¡3¢:æ2;3*; n 계식을 구한다.

3¥2:¡3¢: 2å =3∫ =6ç =k`(k>0)로 놓으면 abc+0에서


∴ n… =3¥2:¡3¢:-;3*;=3¥2¤ =12
2 ;3*; k+1
따라서 정육면체를 최대 12개 만들 수 있다. 12 2å =k에서 2=k;a!; yy ㉠
3∫ =k에서 3=k ;b!;
yy ㉡
m
1319 m=1, 2, 3, 4일 때, › "çnμ =n 이 자연수가 되도록 4
6ç =k에서 6=k;c!; yy ㉢
하는 n의 값을 구한다.
m ㉠_㉡÷㉢을 하면 2_3÷6=k _k ÷k
;a!; ;b!; ;c!;

⁄ m=1일 때, › "n
ç μ =n 4 =n;4!;에서 n은 어떤 자연수의 네
;a!;+;b!;-;c!;
⁄ 제곱이어야 하므로 ∴k =1
n=1 또는 n=2› =16 그런데 k+1이므로 ;a!;+;b!;-;c!;=0 yy ㉣
m
¤ m=2일 때, › "n
ç μ =n 4 =n;4@;=n;2!;에서 n은 어떤 자연수의 제곱 이때 (a-4)(b-4)=16에서
이어야 하므로 ab-4a-4b+16=16, ab-4a-4b=0
n=1 또는 n=2¤ =4 또는 n=3¤ =9 또는 n=4¤ =16 ab+0이므로 양변을 ab로 나누면
m
‹ m=3일 때, › "çnμ =n 4 =n;4#;에서 n은 어떤 자연수의 네제곱이 1-;b$;-;a$;=0, ;a$;+;b$;=1,즉즉;a!;+;b!;=;4!;
어야 하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n=1 또는 n=2› =16
› m=4일 때, › "çnμ =n 4 =n;4$;=n이므로
m
;4!;-;c!;=0 ∴ c=4 4
n=1, 2, 3, y, 16
이상에서 구하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1323 주어진 식에 A, B지역의 값을 각각 대입한다.
2+4+2+16=24 24 A지역에서 지면으로부터 12 m인 높이에서 풍속이 2 m/초
이고, 36 m인 높이에서 풍속이 8 m/초이므로
2
1320 곱셈 공식과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한다.
8=2_{
36 2-k
}
2
서서∴ 4=3 2-k yy ㉠
a‹ ≈ +a—‹ ≈ a‹ ≈ -a—‹ ≈ 12
+
a≈ +a—≈ a≈ -a—≈ B지역에서 지면으로부터 10 m인 높이에서 풍속이 a m/초이고,
(a≈ +a—≈ )(a¤ ≈ -1+a—¤ ≈ ) (a≈ -a—≈ )(a¤ ≈ +1+a—¤ ≈ ) 90 m인 높이에서 풍속이 b m/초이므로
= +
a≈ +a—≈ a≈ -a—≈ 2
90 2-k
=(a¤ ≈ -1+a—¤ ≈ )+(a¤ ≈ +1+a—¤ ≈ ) b=a_{ }
10
=2(a¤ ≈ +a—¤ ≈ ) b 2 2

즉 2(a¤ ≈ +a—¤ ≈ )=12이므로로로a¤ ≈ +a—¤ ≈ =6 yy ㉠ ∴ =9 2-k =(3 2-k )¤ =4¤ =16 (∵ ㉠) ③


a
(a≈ +a—≈ )¤ -2=6,로로(a≈ +a—≈ )¤ =8
a≈ +a—≈ >0이므로므로a≈ +a—≈ =2'2 1324 n이 홀수이면 fn(x)=1이고, n이 짝수, x가 음수이면
또 ㉠에서므로(a≈ -a—≈ )¤ +2=6,므로(a≈ -a—≈ )¤ =4 fn(x)=0임을 이용한다.

154 정답 및 풀이
본책 184~185 쪽

10
-1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1 하나뿐이다.

A=f£(fi"√(-1)fi )=f£(-1)=1 ⇢➊ 1327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와 곱셈 공식의 변형을

지수
3 이용한다.
B=f¢ {‹æ≠-;;™8¶;; }=f¢ {- }=0 ⇢➋
2 삼차방정식 x‹ +2x+22=0의 세 근이 a, b, c이므로 근과
음수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없다.
1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C=f∞ {{-;3!;}› }=f∞ { }=1 ⇢➌
81 a+b+c=0, ab+bc+ca=2, abc=-22 ⇢➊
∴ A+B+C=1+0+1=2 ⇢➍ a‹ +b‹ +c‹ =(a+b+c)(a¤ +b¤ +c¤ -ab-bc-ca)+3abc에서
2 a+b+c=0이므로
채점 기준표 a‹ +b‹ +c‹ =3abc=3¥(-22)=-66 ⇢➋
➊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 ‹ "‘‘a‹ +‘‘b‹ +c‹ +‘‘ab‘+bc+ca=‹ 'ƒ-66+2
➋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 ‹ "‘‘a‹ +‘‘b‹ +c‹ +‘‘ab‘+bc+ca=‹ '∂-64=-4 ⇢➌
➌ 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4
➍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채점 기준표
➊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30%
1325 a, b를 3r(r는 유리수) 꼴로 나타내고 지수법칙을 이용 ➋ a‹ +b‹ +c‹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하여 {;bA;}« 을 구한다.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a="ç› '3=° '3=3;8!;, b=‡ "ç'3 =⁄ › '3=3;1¡4;이므로 a, b, c가 삼차방정식 x‹ +2x+22=0의 세 근이므로


3n a‹ +2a+22=0, b‹ +2b+22=0, c‹ +2c+22=0
;bA;=3;8!;÷3;1¡4;=3;8!;-;1¡4;=3;5£6; 되되∴ {;bA;}« =3 56 ⇢➊
위의 세 식을 변끼리 더하면
3n 3n a‹ +b‹ +c‹ +2(a+b+c)+66=0
3 56 이 100보다 큰 정수가 되려면 이 5 이상의 자연수이어야 하
56 이때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 =81, 3fi =243
3n a+b+c=0, ab+bc+ca=2
므로 =k (k는 5 이상의 자연수)로 놓으면되되n=;;∞3§;;k ⇢ ➋
56 이므로로로a‹ +b‹ +c‹ =-66
따라서 k=6일 때 n이 최소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 ‹ "‘‘a‹ +‘‘b‹ +c‹ +‘‘ab‘+bc+ca=‹ 'ƒ-66+2
;;∞3§;;_6=112 ⇢ ➌되되 112 ∴ ‹ "‘‘a‹ +‘‘b‹ +c‹ +‘‘ab‘+bc+ca=‹ '∂-64=-4

채점 기준표
n
➊ {;bA;} 을 3r`꼴로 나타낼 수 있다. 40%
1328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하여 x+y, x-y를 간단히 한다.
➋ n의 조건을 알 수 있다. 40% x+y=(a+3a;3!;b;3@; )+(b+3a;3@;b;3!; )
➌ n의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20%
=(a;3!; )‹ +3(a;3!; )¤ b;3!;+3a;3!;(b;3!; )¤ +(b;3!; )‹
=(a;3!;+b;3!; )‹ ⇢➊
1326 지수법칙과 부분분수로의 변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등
식의 좌변을 간단히 한다. x-y=(a+3a b )-(b+3a b )
;3!; ;3@; ;3@; ;3!;

(A™) _(A£) _(A¢) _y_(A™º)


;3!; ;4!; ;5!; ;2¡1;
x-y=(a;3!; )‹ -3(a;3! )¤ b;3!;+3a;3!;(b;3!; )¤ -(b;3!; )‹
`=(3;2!;);3!;_(3;3!;);4!;_(3;4!;);5!;_y_(3;2¡0;);2¡1; x-y=(a;3!;-b;3!; )‹ ⇢➋
1 1 1 1
+ + +y+
`=3 2¥3 3¥4 4¥5 20¥21
∴ (x+y) +(x-y)
;3@; ;3@;

{;2!;-;3!;}+{;3!;-;4!;}+{;4!;-;5!;}+y+{;2¡0;-;2¡1;}
`=3 ={(a;3!;+b;3!;)‹ };3@;+{(a;3!;-b;3!;)‹ };3@;
`=3;2!;-;2¡1;=3;4!2(; ⇢➊ =(a;3!;+b;3!; )¤ +(a;3!;-b;3!; )¤
q q q q
(A™¡) =(3 ) =3 이므로 3 =3
;2¡1; ;4!2(;
p p 21p 21p
=a;3@;+2a;3!;b;3!;+b;3@;+a;3@;-2a;3!;b;3!;+b;3@;
19 q q 19
즉 = 이므로 = ⇢➋ =2(a;3@;+b;3@; )=2¥2=4 ⇢➌
42 21p p 2
4
따라서 p=2, q=19이므로로로p+q=21 ⇢➌
21 채점 기준표
➊ x+y를 인수분해할 수 있다. 30%
채점 기준표
➋ x-y를 인수분해할 수 있다. 30%
➊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간단히 할 수 있다. 60%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➋ ;p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➌ p+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10 지수 155
1
1344 log;1¡0; =x로 놓으면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Ⅳ 지수와 로그 10000
1 x 1
11 로그 {
10
}=
10000
,로로10-x=10—› 로로∴ x=4

1
∴ log;1¡0; =4 4
10000

1329 2=log¢16 1330 -2=log™ 0.25


1345 log£ x=-3에서 3—‹ =x ∴ x=;2¡7; ;2¡7;

1331 ;2!;=log¡ºº 10 1332 0=log£ 1

1346 log'5 x=4에서 ('5 )› =x ∴ x=25 25


1333 2fi =32 1334 {;3!;}—› =81

1347 logx 81=3에서 x‹ =81 ∴ x=‹ '8å1=3;3$; 3;3$;


-;2#;
1335 ('3 )› =9 1336 4 =;8!;

logx ;2!;=4에서
;4!; ;4!;
1348 x› =;2!; ∴ x={;2!;} {;2!;}
1337 진수의 조건에서 x-5>0 ∴ x>5 x>5
(진수)>0

1349 log∞ 5-log£ 1=1-0=1 1


1338 진수의 조건에서서서-x¤ +4x>0
x¤ -4x<0, x(x-4)<0서서∴ 0<x<4 0<x<4
1350 log™ 8+log∞ 125-log£ '3=log™ 2‹ +log∞ 5‹ -log£ 3;2!;
(밑)>0, (밑)+1

1339 밑의 조건에서 x-3>0, x-3+1 log™ 8+log∞ 125-log£ '3=3 log™ 2+3 log∞ 5-;2!; log£ 3
x>3, x+4 ∴ 3<x<4 또는 x>4
log™ 8+log∞ 125-log£ '3=3+3-;2!;=:¡2¡: :¡2¡:
3<x<4 또는 x>4

1340밑의 조건에서 x+4>0, x+4+1 1351 log£ 72+3 log£ ;2#;


x>-4, x+-3
=log£(2‹ ¥3¤ )+3(log£ 3-log£ 2)
∴ -4<x<-3 또는 x>-3 yy ㉠
=3 log£ 2+2 log£ 3+3 log£ 3-3 log£ 2
진수의 조건에서 (x-2)¤ >0
=2+3=5 5
∴ x+2 yy ㉡
따라서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4<x<-3 또는 -3<x<2 또는 x>2 1352 ;3!; log™ 125+log™ ;5!;=;3!; log™ 5‹ +log™ 5—⁄
-4<x<-3 또는 -3<x<2 또는 x>2
;3!; log™ 125+log™ ;5!;=;3!;¥3 log™ 5-log™ 5
;3!; log™ 125+log™ ;5!;=0 0
1341 log∞ 25=x로 놓으면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x
5 =25로로∴ x=2
∴ log∞ 25=2 2 1353 ⑴ log¡º 144=log¡º(2› ¥3¤ )=4 log¡º 2+2 log¡º 3=4a+2b
2fl
⑵ log¡º ;2§4¢3;=log¡º =6 log¡º 2-5 log¡º 3=6a-5b
3fi
1
1342 log™
8
=x로 놓으면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⑶ log¡º 300=log¡º(3¥10¤ )=log¡º 3+2 log¡º 10=b+2

2x=
1
로로∴ x=-3 ⑷ log¡º 5=log¡º :¡2º:=log¡º 10-log¡º 2=1-a
8
⑴ 4a+2b ⑵ 6a-5b ⑶ b+2 ⑷ 1-a
1
∴ log™ =-3 -3
8
log∞ 2
1354 ⑴ log£ 2= =;bA;
log;3!; 9=x로 놓으면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log∞ 3
1343
log∞ 24 log∞(2‹ ¥3)
1 x ⑵ log§ 24= =
{ } =9,로로3-x=3¤ 로로∴ x=-2 log∞ 6 log∞(2¥3)
3
3 log∞ 2+log∞ 3 3a+b a 3a+b
∴ log;3!; 9=-2 -2 ⑵ log§ 24= = ⑴ ⑵ a+b
log∞ 2+log∞ 3 a+b b

156 정답 및 풀이
본책 187~190 쪽

1 1370 0 1371 -3
1355 log£ 8¥log™ 3=3 log£ 2¥
log£ 2
=3 3

1372 5 1373 -2
log¡º 5 log¡º 7 log¡º 3
1356 log£ 5¥log∞ 7¥log¶ 3= ¥ ¥
log¡º 3 log¡º 5 log¡º 7
=1 1 1374 ⑴ 정수 부분: 4, 소수 부분: 0.8854
⑵ 정수 부분: -2, 소수 부분: 0.8854

1357 log8 32=log2‹ 2fi =;3%; log2 2=;3%; ⑴ log x=3.6646에서 log 4.62와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x
;3%;
1375
⑵ 는 4.62와 숫자의 배열이 같고, 정수 부분이 3이므로 정수 부분이

11
네 자리인 수이다.
1358 log;1¡0; ‹ 'ƒ100=log10—⁄ 10;3@;=-;3@; log10 10=-;3@;

로그
∴ x=4620 4.62_10‹
-;3@;

⑵ log x=-0.3354=-1+0.6646에서 log 4.62와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x는 4.62와 숫자의 배열이 같고, 정수 부분이 -1이므
1359 2 log™ 3=3log™ 2=3 3
로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
난다.
1360 3 logª 5=5 logª 3=5 log3¤ 3=5;2!; log£ 3=5;2!;='5 '5 ∴ x=0.462 4.62_10—⁄
⑶ x=log 46200=log (4.62_10› )=log 4.62+log 10›
log 1000=log 10‹ =3 =0.6646+4=4.6646
1361 3
⑷ x=log '∂462=log 462;2!;=;2!; log 462

log ‹ '1∂00 =log ‹ "1≈0¤ =log 10 ;3@;=;3@; ⑸ x=;2!; log (4.62_10¤ )=;2!; (log 4.62+2)
1362 ;3@;

⑸ x=;2!;_2.6646=1.3323
1 1 ⑴ 4620 ⑵ 0.462 ⑶ 4.6646 ⑷ 1.3323
1363 log =log =log 10 -;5#;=-;5#; -;5#;
fi 'ƒ1000 fi "1ç0‹

1376 ㄴ. 2 log 15=log 15¤ =log 225


1 1 1 ㄷ. ;2!; log 45=log '∂45=log 3'5
1364 log
50
+log
20
=log
1000
=log 10—‹ =-3 -3
1
ㄹ. -log 2.25=log 2.25—⁄ =log
=log(0.444y)
2.25
1365 0.5527 1366 0.8609 이상에서 log 0.0225와 소수 부분이 같은 것은 ㄱ, ㄴ이다.
ㄱ, ㄴ

1367 ⑴ log 25.4=log(2.54_10)=log 2.54+log 10


=0.4048+1=1.4048 로그의 정의
01 본책 190쪽
⑵ log 25400=log(2.54_10› )=log 2.54+log 10›
=0.4048+4=4.4048 a>0, a+1, N>0일 때,
⑶ log 0.0254=log(2.54_10—¤ )=log 2.54+log 10—¤ a≈ =N HjK x=logå N

=0.4048-2=-1.5952
⑷ log 0.254=log(2.54_10—⁄ )=log 2.54+log 10—⁄
1377 logå 3=2에서 a¤ =3 yy ㉠
=0.4048-1=-0.5952
log£ 5=b에서 3∫ =5 yy ㉡
⑴ 1.4048 ⑵ 4.4048 ⑶ -1.5952 ⑷ -0.5952
㉠을 ㉡에 대입하면 (a¤ )∫ =5
(a∫ )¤ =5 ∴ a∫ ='5 (∵ a>0) ②
1368 log N=3.1426=3+0.1426이므로
정수 부분: 3, 소수 부분: 0.1426
1378 a=log£ 6에서 3å =6
정수 부분: 3, 소수 부분: 0.1426 ∴ 9å =(3¤ )å =(3å )¤ =6¤ =36 ④

1369 log N=-4.3651=-5+0.6349이므로 1379 log™ {log£ (log¢ n)}=0에서


정수 부분: -5, 소수 부분: 0.6349 0…(소수 부분)<1 log£ (log¢ n)=2‚ =1, log¢ n=3⁄ =3
정수 부분: -5, 소수 부분: 0.6349 ∴ n=4‹ =64 64

11 로그 157
1380 x=log£ ('3+'2 )에서 1
'3+'2
=
'3-'2
('3+'2 )('3-'2 )
03 로그의 성질 본책 190쪽

3≈ ='3+'2 ='3-'2
a>0, a+1, M>0, N>0일 때
1 1
∴ 3≈ -3—≈ =3≈ - =('3+'2 )- ① logå 1=0, logå a=1
3≈ '3+'2
② logå MN=logå M+logå N
∴ 3≈ +3—≈ =('3+'2 )-('3-'2 )=2'2 ③
M
③ logå =logå M-logå N
N
④ logå N˚ =k logå N (단, k는 실수)
02 로그의 밑과 진수의 조건 본책 190쪽

log f(x) g(x)가 정의되려면


1384` log™ 4'3 +log2 6-;2#; log™ 3
① f(x)>0, f(x)+1 밑의 조건
② g(x)>0 진수의 조건 =log™ 4'3+log2 6-log™ 3;2#;
=log™ 4'3+log2 6-log™ 3'3
4'3¥6
밑의 조건에서 =log™ =log2 8=log™ 2‹ =3 ④
1381 x-1>0, x-1+1 3'3
x>1, x+2 ∴ 1<x<2 또는 x>2 yy ㉠
진수의 조건에서 -x¤ +6x-5>0 1385 log¡™`x+log¡™`2y+log¡™`3z=1에서
x¤ -6x+5<0, (x-1)(x-5)<0 log¡™(x¥2y¥3z)=1,서서log¡™`6xyz=1
∴ 1<x<5 yy ㉡ 6xyz=12서서∴ xyz=2 2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1<x<2 또는 2<x<5
따라서 정수 x는 3, 4이므로 구하는 합은 1
¡ log™ {1-
31

3+4=7 ②
1386 n=1 n+1
}

n
= ¡ log™
31

n=1 n+1
1382 밑의 조건에서 a-2>0, a-2+1
a>2, a+3 ∴ 2<a<3 또는 a>3 yy ㉠ =log™ ;2!;+log™ ;3@;+log™ ;4#;+y+log™ ;3#2!;
진수의 조건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 +ax+2a>0이어야 하므
=log™ {;2!;¥;3@;¥;4#; ¥ y ¥ ;3#2!;}=log™ ;3¡2;
로 이차방정식 x¤ +a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a¤ -4¥2a<0, a(a-8)<0 =log™ 2—fi =-5 -5
∴ 0<a<8 yy ㉡ 1
¡ log™ {1-
31
}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2<a<3 또는 3<a<8 n=1 n+1
따라서 정수 a는 4, 5, 6, 7의 4개이다. n
= ¡ log™ = ¡ { log™ n-log™(n+1)}
31 31

n=1 n+1 n=1
=(log™ 1-log™ 2)+(log™ 2-log™ 3)
1383 밑의 조건에서 y>0, y+1 =+(log™ 3-log™ 4)+y+(log™ 31-log™ 32)
∴ 0<y<1 또는 y>1 yy ㉠ =log™ 1-log™ 32=0-5=-5
진수의 조건에서 6x-8-x¤ -y¤ >0 log™ 32=log™ 2fi =5

x¤ +y¤ -6x+8<0 ∴ (x-3)¤ +y¤ <1 yy ㉡ 216=6‹ 이므로 216의 양의 약수를 작은 수부터 차례대로
y
1387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점 (x, y)가 a¡, a™, a£, y, a¡§이라 하면 216=2‹ ¥3‹ 이므로 양의 약수의 개수는는4¥4=16

나타내는 영역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1 a¡a¡§=a™a¡∞=y=a•aª=6‹


부분(경계선 제외)과 같다. ∴ log§ a¡+log§ a™+log§ a£+y+log§ a¡§
O 2 3 4 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반지름의 길이가 1 -1 =log§ a¡a™a£ya¡§
{x-3}@+y@=1
인 반원의 넓이와 같으므로 =log§ {(a¡a¡§)(a™a¡∞)y(a•aª)}
p p =log§ (6‹ )° =log§ 6¤ › =24 24
;2!;p¥1¤ =
2 2

¡ log¡º an= ¡ log¡º a2n-1+ ¡ log¡º a2n


10 5 5
1388 n=1 n=1 n=1
원의 내부와 외부 log¡º a¡+log¡º a£+log¡º a∞ log¡º a™+log¡º a¢+log¡º a§
log¡º an= ¡ log¡º 2« + ¡ log¡º 5«
5 5
y +log¡º a¶+log¡º aª
① 부등식 x¤ +y¤ <r¤ 의 영역 +log¡º a•+log¡º a¡º
x@+y@<r@ x@+y@=r@ n=1 n=1
원 x¤ +y¤ =r¤ 의 내부(경계선 제외)
log¡º an= ¡ (log¡º 2« +log¡º 5« )= ¡ log¡º (2« ¥ 5« )
5 5
② 부등식 x¤ +y¤ >r¤ 의 영역 O x
n=1 n=1
원 x¤ +y¤ =r¤ 의 외부(경계선 제외) x@+y@>r@
5¥6
log¡º an= ¡ log¡º 10« = ¡ n=
5 5
=15 ②
n=1 n=1 2

158 정답 및 풀이
본책 190~192 쪽

¡ log¡º an
10
05 로그의 여러 가지 성질 본책 192쪽
n=1

=log¡º a¡+log¡º a™+log¡º a£+y+log¡º a¡º a>0, a+1, b>0일 때


=log¡º (a¡ a™ a£ya¡º) n
① logaμ b« = m logå b (단, m+0)
=log¡º {(a¡ a£ a∞ a¶ aª)(a™ a¢ a§ a• a¡º)}
=log¡º {(2⁄ ¥2¤ ¥2‹ ¥2› ¥2fi )(5⁄ ¥5¤ ¥5‹ ¥5› ¥5fi )} ② alogç b=blogç a (단, c>0, c+1)
③ alogå b=b
=log¡º (21+2+3+4+5¥51+2+3+4+5)
=log¡º (215¥515)=log¡º 1015=15

1393 {log™ '3+;4#; log'2 3}¥ logª 2'2


04 로그의 밑의 변환 본책 191쪽

11
={log™ 3;2!;+;4#; log2 3} ¥log3¤ 2;2#;
;2!;

a>0, a+1, b>0, b+1, N>0일 때

로그
① logå N=
log∫ N
② logå b=
1 ={;2!; log™ 3+;2#; log™ 3}¥;4#; log£ 2
log∫ a log∫ a
=2 log™ 3¥;4#; log£ 2=;2#; ③
1
2¥;4#;¥log™ 3¥ =;2#;
log™ 3
1389 log™`6¥log£`6-log™`3-log£`2
=log™`(2¥3)¥log£`(2¥3)-log™`3-log£`2 1394 (log£ 5+log™¶ 25)(log∞ 3+log™∞ 27)
=(log™`2+log™`3)(log£`2+log£`3)-log™`3-log£`2 =(log£ 5+log3‹ 5¤ )(log∞ 3+log5¤ 3‹ )
=(1+log™`3)(log£`2+1)-log™`3-log£`2
={log£ 5+;3@; log£ 5}{log∞ 3+;2#; log∞ 3}
=log£`2+1+log™`3¥log£`2+log™`3-log™`3-log£`2
=1+log™`3¥log£`2 =;3%; log£ 5¥;2%; log∞ 3=:™6∞: ⑤
1
=1+log™`3¥
log™`3
=1+1=2 2 1395 주어진 식의 지수에서
2 log£ 5-3 log;3!; 4-2 log£ 20
1 1 =log£ 5¤ +log£ 4‹ -log£ 20¤
1390 logxy a=
loga xy
=
loga x+loga y 5¤ ¥4‹
=log£ =log£ 4 ⇢➊
1 20¤
logxy a= =;4!; ;4!;
2.4+1.6
∴ (주어진 식)=9log£ 4=4log£ 9=42 log£ 3
=4¤ =16 ⇢➋
1391 세 수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16
b¤ =ac
1 1 채점 기준표
∴ + =logx a+logx c ➊ 주어진 식의 지수를 간단히 할 수 있다. 60%
loga x logc x
∴ + =logx ac=logx b¤ ➋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2
∴ + =2 logx b= ③
logb x
1396 log£ 4+log£ 2=log£ (4¥2)=log£ 2‹ =3log£ 2
∴ (주어진 식)=(33 log£ 2)¤ +(23 log£ 2)log™ 3
1
1392 loga`b=logb`a에서서서loga`b=
loga`b ∴ (주어진 식)=(23 log£ 3)¤ +23 log£ 2¥log™ 3
∴ (주어진 식)=(2‹ )¤ +2‹
(loga`b)¤ =1,로로loga`b=—1
∴ (주어진 식)=2fl +2‹ =72 ③
1
∴ b= (∵ a+b)
a
1 1397 (주어진 식)
a>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a =log∞ (log£ 2¥log¢ 3¥log∞ 4¥`y`¥log£™ 31)
1 1 log£ 3 log£ 4 log£ 31
(a+1)(b+4)=(a+1){ +4}=5+4a+ =log∞ {log£ 2¥ ¥ ¥`y`¥
a a log£ 4 log£ 5 log£ 32
}
1 log£ 2
(a+1)(b+4)æ5+2æ≠4a¥ =log∞ { }=log∞ (log£™ 2)
a log£ 32
1 =log∞ (log2fi 2)
(a+1)(b+4)=5+2¥2=9{단, 등호는 a= 일 때 성립}
2 ;5!; log™ 2=;5!;
1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9이다. ④ =log∞ =-1 -1
5

11 로그 159
로그에 대한 증명 log™ 4<log™ 5<log™ 8, 즉 2<log™ 5<3이므로
06 본책 192쪽
a=2, b=log™ 5-2 ⇢➋
로그의 정의와 성질을 이용하여 빈칸에 알맞은 식을 구한다. 16
∴ 2a-b=22-(log™ 5-2)=24-log™ 5=2log™ ;;¡5§;;= ⇢➌
5
16
1398 logå x=r로 놓으면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x=a® 이므로 5
x« =(a® )« = anr
채점 기준표
따라서 x« =a« ® 에서 로그의 성질에 의하여 logå x« =logå anr= nr
➊ 밑의 조건과 진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이므로
➋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logå x« =n logå x ③
➌ 2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1399 x=a`log∫ c으로 놓고 양변에 b를 밑으로 하는 로그를 취하면


log∫ c
logb`x=logb`a =logb`c¥ logb a 08, 09 로그의 성질의 활용 본책 193, 194쪽

=logb`a¥logb`c=logb`c log∫ a ⁄ 주어진 식과 구하는 식의 밑을 통일한다.


즉 x=c log∫ a 이므로 a`log∫ c=c`log∫ a이다. logb a ¤ 구하는 식의 진수를 곱의 형태로 바꾸고, 로그의 합으로 나타낸다.
‹ ¤의 식에 주어진 식을 대입한다.

1400 log¡º`5가 유리수 라고 가정하면 서로소인 두 자연수 m,


m
n (m<n)에 대하여 log¡º 5= 으로 나타내어진다. 1404 log£ 2=a, log£ 5=;b!;이므로
n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10 ;nM;=5,로로10m=5n log£ 180 log£ (2¤ ¥3¤ ¥5)
log¡∞º 180= =
10 m
5 n log£ 150 log£ (2¥3¥5¤ )
= m 하하∴ 2m =5n-m
5m 5 2 log£ 2+2 log£ 3+log£ 5
log¡∞º 180=
이때 2m은 짝수 이고 5n-m은 홀수이므로 2m과 5n-m은 항상 같지 log£ 2+log£ 3+2 log£ 5
않다. 2a+2+;b!; 2ab+2b+1 2ab+2b+1
따라서 log¡º 5는 무리수이다. ㈎ 유리수수㈏ 2m수㈐ 짝수
log¡∞º 180= =
ab+b+2 ab+b+2
a+1+;b@;

07 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 본책 193쪽

1405 log™ 15=a에서 log™ 3+log™ 5=a yy ㉠


a>0, a+1이고 양수 M과 정수 n에 대하여 a« …M<a« ±⁄ 일 때,
logå a« …logå M<logå a« ±⁄ ∴ n…logå M<n+1 log™ ;5(;=b에서 log™ 3¤ -log™ 5=b
logå M의 정수 부분은 n, 소수 부분은 logå M-n이다. ∴ 2 log™ 3-log™ 5=b yy ㉡
a+b
㉠+㉡을 하면 3 log™ 3=a+b ∴ log™ 3=
3
1401 log£ 9<log£ 20<log£ 27, 즉 2<log£ 20<3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a=2, b=log£ 20-2 log£ 20-2=log£ 20-log£ 9=log£ ;;™9º;;
a+b 2a-b
∴ 9(2å +3∫ )=9(2¤ +3log£ 20-2)=9(4+3log£ ;;™9º;; ) +log™ 5=a ∴ log™ 5=
3 3
∴ 9(2å +3∫ )=9{4+;;™9º;;}=56 ④ ∴ log™ 75=log™(3¥5¤ )=log™ 3+2 log™ 5
a+b 2a-b 5a-b
∴ log™ 75= +2¥ = ①
3 3 3
1402 log™ 8<log™ 12<log™ 16, 즉 3<log™ 12<4이므로
a=log™ 12-3
log£ 7
∴ 4a=4log™ 12-3=22 log™ ;;¡8™;;=2 log™ {;2#;}2 ={;2#;}¤ =;4(; 1406 log£ 2=;a!;이고, log∞ 7= 에서
④ log£ 5
log£ 7=log£ 5¥log∞ 7=bc
밑의 조건에서 이므로
1403 x-3>0, x-3+1
x>3, x+4 ∴ 3<x<4 또는 x>4 yy ㉠ log£ 105 log£ (3¥5¥7)
log¡¢ 105= =
log£ 14 log£ (2¥7)
진수의 조건에서 -x¤ +8x-12>0
log£ 3+log£ 5+log£ 7
x¤ -8x+12<0, (x-2)(x-6)<0 log¡¢ 105=
log£ 2+log£ 7
∴ 2<x<6 yy ㉡
1+b+bc a+ab+abc a+ab+abc
㉠, ㉡의 공통 범위를 구하면 3<x<4 또는 4<x<6이므로 자연 log¡¢ 105= =
1+abc 1+abc
수 x의 값은 5이다. ⇢➊ ;a!;+bc

160 정답 및 풀이
본책 192~194 쪽

1407 3å =x, 3∫ =y, 3ç =z에서 1410 8x=18y=12에서


log£ x=a, log£ y=b, log£ z=c x=log•`12, y=log¡•`12
log£ y¤ z‹ 2 log£ y+3 log£ z 1 1
∴ logxy y¤ z‹ = = 이므로로로 =log¡™`8, =log¡™`18
log£ xy log£ x+log£ y x y
2b+3c 1 1
∴ logxy y¤ z‹ = ③ ∴ + =log¡™`8+log¡™`18=log¡™ (8¥18)
a+b x y
xy=3å ¥3∫ =3a+b, y¤ z‹ =32b¥33c=32b+3c이므로 ∴ + =log¡™12¤ =2 ④
2b+3c 8x=18y=12에서
logxy y¤ z‹ =log3å ±∫ 32b+3c=
a+b
8=12;[!;, 18=12;]!;
이므로로로8¥18=12;[!;+;]!;,로로12¤ =12;[!;+;]!;

11
1408 aμ =b« =5에서 logå 5=m, log∫ 5=n 1 1

로그
1 + =2
∴ log∞ a= , log∞ b=;n!; x y
m
log∞ b¤ 2 log∞ b 1411 a‹ b¤ =1의 양변에 a를 밑으로 하는 로그를 취하면
∴ logå∫ b¤ = =
log∞ ab log∞ a+log∞ b logå a‹ b¤ =logå 1, logå a‹ +logå b¤ =0
;n@; ;n@;
2m 2m 3+2 logå b=0 ∴ logå b=-;2#;
∴ logå∫ b¤ = = =
m+n m+n m+n
;m!;;+;n!;
mn ∴ logå afi b‹ =logå afi +logå b‹ =5+3 logå b

∴ logå afi b‹ =5+3¥{-;2#;}=;2!; ①
1409 4≈ =a, 4¥ =b, 4Ω =c에서
a‹ b¤ =1에서 b¤ =a—‹ ∴ b=a-;2#;
log¢ a=x, log¢ b=y, log¢ c=z
log2¤ a=x, log2¤ b=y, log2¤ c=z ∴ logå afi b‹ =logå afi ¥(a-;2#; )‹ =logå afi ¥a-;2(;=logå a5-;2(;

;2!; log™ a=x, ;2!; log™ b=y, ;2!; log™ c=z ∴ logå afi b‹ =logå a;2!;=;2!; logå a=;2!;

∴ log™ a=2x, log™ b=2y, log™ c=2z ⇢➊


1412 log™ x+log¢ y¤ =2에서
a¤ b›
∴ log™ =2 log™ a+4 log™ b-;2!; log™ c log™ x+log2¤ y¤ =2, log™ x+log™ y=2
'c
log™ xy=2 ∴ xy=2¤ =4 yy ㉠ ⇢➊
∴ log™ =2¥2x+4¥2y-;2!;¥2z ∴ 4 log™ x¥2 log y=x log™ 4y log 2=x 2 log™ 2y 2 log™ 2
'2 '2

∴ log™ =4x+8y-z ⇢➋ ∴ 4 log™ x¥2 log y=x¤ y¤ =(xy)¤ log 2= 1 log™ 2=2 log™ 2
'2
2;2!; ⇢➋
∴ 4 log™ x¥2 log y=4¤ =16 (∵ ㉠)
;2!;
따라서 p=4, q=8, r=-1이므로 '2
⇢➌
pqr=-32 ⇢➌ 16
-32 채점 기준표
채점 기준표 ➊ xy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➊ 지수를 로그로 나타낼 수 있다. 40% ➋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40%
a¤ b›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➋ log™ 을 x, y, z로 나타낼 수 있다. 40%
'c
➌ pqr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1413 logå b : logç b=1 : 3에서
1 3
a=4≈ =22x, b=4¥ =22y, c=4Ω =22z이므로 logç b=3 logå b, =
log∫ c log∫ a
a¤ b› (22x)¤ (22y)› 4x+8y
log∫ a=3 log∫ c
log™ =log™ =log™ 2 z ∴ a=c‹
"ç2 2z 2 log∫ c‹
'c ∴ logå c+logç a=logc‹ c+logc c‹
=log™ 24x+8y-z=4x+8y-z 1 10 10
∴ logå c+logç a= +3=
3 3 3
따라서 p=4, q=8, r=-1이므로
pqr=-32 1414 log§ (3a¤ +b¤ )-log§ (a+b)=log§ (a+3b)에서
3a¤ +b¤
log§ =log§ (a+3b)
a+b
10 조건을 이용하여 식의 값 구하기 본책 194쪽
3a¤ +b¤
=a+3b, 3a¤ +b¤ =(a+3b)(a+b)
⁄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관계식 또는 미지수의 값을 구한다. a+b
¤ 구하는 식을 변형하여 ⁄에서 구한 관계식 또는 값을 대입한다. 3a¤ +b¤ =a¤ +4ab+3b¤ , 2a¤ -4ab-2b¤ =0
∴ a¤ -2ab-b¤ =0

11 로그 161
양변을 b¤ 으로 나누면
2
{;bA;} -2¥;bA;-1=0 log™ a+log™ b=-a, log™ ab=log™ 8=-a
∴ a=-log™ 2‹ =-3
이때 ;bA;=t (t>0)로 놓으면 위의 식은 ∴ ab=-3¥2=-6 ①

t¤ -2t-1=0 ∴ t=1+'2 (∵ t>0)


근의 공식에 의하여
∴ ;bA;=1+'2 t=-(-1)—øπ(-1)¤ -1¥(-1)=1—'2 ④ 12 로그의 성질의 도형에의 활용 본책 195쪽

a>0, a+1, A>0, B>0일 때, 실수 k에 대하여


11 이차방정식과 로그 본책 195쪽 ① logå A=k A=a˚
② logå A=k logå B A=B˚
이차방정식 px¤ +qx+r=0의 두 근이 logå a, logå b이면

① logå a+logå b=logå ab=-;pQ;


1419 logç (a+b)+logç (a-b)=2에서
② logå a¥logå b=;pR; logç (a+b)(a-b)=2, logç (a¤ -b¤ )=2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c¤ =a¤ -b¤` ∴ a¤ =b¤ +c¤
1415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ABC는 빗변의 길이가 a인 직각삼각형이다. ④
log™ a+log™ b=5, log™ a¥log™ b=1
log™ b log™ a (log™ a)¤ +(log™ b)¤
∴ logå b+log∫ a= + =
log™ a log™ b log™ a¥log™ b 1420 삼각형의 내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에 의하여
(log™ a+log™ b)¤ -2 log™ a¥log™ b log£ x : logª y=3 : 2 ⇢➊
∴ logå b+log∫ a=
log™ a¥log™ b 3
2 log£ x=3 logª y, 2 log£ x= log£ y
5¤ -2¥1 2
∴ logå b+log∫ a= =23 23
1 3
log£ x= log£ y ∴ x=y;4#; ⇢➋
4
3 log£ y ;4#;

1416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k= ⇢➌


4
1+log™ 5=-a, 1¥log™ 5=b
1+log™ 5=log™ 2+log™ 5=log™ 10 3
∴ a=-log™ 10, b=log™ 5 4
log™ 5
∴ ;aB;=- =-log¡º 5 ③ 채점 기준표
log™ 10
➊ 삼각형의 내각의 이등분선의 성질을 이용할 수 있다. 40%
➋ 식을 정리할 수 있다. 50%
1417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➌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a+b=6, ab=;2(; ⇢➊

∴ a¤ +b¤ =(a+b)¤ -2ab=6¤ -2¥;2(;=27 ⇢➋ 삼각형의 내각의 이등분선의 성질


오른쪽 그림과 같은 △ABC에서 A
∴ loga¤ +b¤ 2a+loga¤ +b¤ b=loga¤ +b¤ 2ab=log™¶ {2¥;2(;} ∠BAD=∠CAD이면 a b
a : b=c : d
∴ loga¤ +b¤ 2a+loga¤ +b¤ b=log3‹ 3¤ =;3@; ⇢➌
B C
2 c D d
3
채점 기준표
➊ a+b,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➋ a¤ +b¤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13 로그의 대소 관계 본책 195쪽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A, B, C의 값을 구하여 대소 관계를 찾는다.

1418 조건 ㈎에서 b=2


1421 a¤ =b‹ 에서 b=a;3@; ∴ A=logå b=logå a;3@;=;3@;
조건 ㈏에서 방정식 (log™ x)¤ +a log™ x+b=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b‹ =cfi 에서 c=b;5#; ∴ B=log∫ c=log∫ b;5#;=;5#;
ab=8
log™ x=X로 놓으면 X¤ +aX+b=0의 두 근이 log™ a, log™ b이 a¤ =cfi 에서 a=c;2%; ∴ C=logç a=logç c;2%;=;2%;
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B<A<C ③
;5#;<;3@;<;2%;

162 정답 및 풀이
본책 194~197 쪽

1422 A=5log∞ 9-log∞ 6=5log∞ ;6(;=5 log∞ ;2#;=;2#; ⇢➊ 15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 본책 196쪽

B=log¢ 2+logª 3=log2¤ 2+log3¤ 3=;2!;+;2!;=1 ⇢➋ 양수 N에 대하여 log N의 정수 부분이 n, 소수 부분이 a이면
① 10« …N<10« ±⁄ ` ② a=log N-n
C=log•(log'2 4)=log•(log2 2¤ )=log• 4=log2‹ 2¤ =;3@;
;2!; ⇢➌
2
log™ 2=4
∴ C<B<A ⇢➍
log › "çA =;4!; log A=;4!;_(-5.6)
;2!;
;3@;<1<;2#; C<B<A 1426
채점 기준표
log › "A
ç =-1.4=-2+0.6
➊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따라서 log › "çA 의 정수 부분은 -2, 소수 부분은 0.6이다. ④
➋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11
➌ 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N
1427 log N=1+a이므로 1+log N=a+log™ 에서

로그
4
➍ A, B, C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10%
1+(1+a)=a+(log™ N-log™ 2¤ )
2=log™ N-2,므므log™ N=4
∴ N=2› =16 ③
14 상용로그의 값 본책 196쪽

양수 A에 대하여 n은 실수, log`A=k일 때 1428 f(2)=f(3)=y=f(9)=0


① log`An=n`log`A=nk f(10)=f(11)=y=f(99)=1
② log(10n_A)=log`10n+log`A=n+k f(100)=f(101)=y=f(111)=2
∴ f(2)+f(3)+f(4)+y+f(111)
=0¥8+1¥90+2¥12=114 ③
10
1423 log 5+log 72=log
2
+log (2‹ ¥3¤ ) 99-10+1=90 111-100+1=12

log 5+log 72=log`10-log`2+log`2‹ +log`3¤ 1429 log 10<log 40<log 100에서 1<log 40<2이므로
log 5+log 72=1-log`2+3`log`2+2`log`3 n=1, a=log 40-1=log 4
log 5+log 72=1+2`log`2+2`log`3 10n+10a 10+10log 4 10+4 7 7
∴ = = =
log 5+log 72=1+2_0.3010+2_0.4771 10n-10a 10-10log 4 10-4 3 3
log 5+log 72=2.5562 ③ 10log 4=4log 10=4

16 숫자의 배열이 같은 양수의 상용로그 본책 197쪽

log`'x+log`x¤ =;2!;`log`x+2`log`x=;2%;`log`x log a.bc=n+a (n은 정수, 0…a<1)이면


1424
① log ab.c=(n+1)+a ② log abc=(n+2)+a
log`'x+log`x¤ =;2%;_0.8=2 2 ③ log 0.abc=(n-1)+a ④ log 0.0abc=(n-2)+a

상용로그표에서 log 2.31=0.3636이므로


1430 a=log 473=log(4.73_10¤ )=log 4.73+log 10¤
1425 =0.6749+2=2.6749
1 1
log 'ƒ0.0231= log 0.0231= log (2.31_10—¤ ) 한편 log b=-1.3251=-2+0.6749에서 log b와 log 4.73의 소수
2 2
부분이 같으므로 b는 4.73과 숫자의 배열이 같다. 또 정수 부분이
1
log 'ƒ0.0231= (log 2.31+log 10—¤ ) -2이므로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2
1 나타난다.
log 'ƒ0.0231= (0.3636-2)
2 ∴ b=0.0473
log 'ƒ0.0231=-0.8182=-1+0.1818 ⇢➊ ∴ a+b=2.7222 ④
이때 log 1. 52=0.1818이므로
log 'ƒ0.0231=-1+log 1.52=log 10—⁄ +log 1.52 ③ log 0.761=log (76.1_10—¤ )=log 76.1+log 10—¤
1431
=log (1.52_10—⁄ )=log 0.152 ⇢➋
=1.8814-2=-0.1186 ③
∴ 'ƒ0.0231=0.152 ⇢➌
0.152
1432 log x=-0.2190=-1+0.7810에서 log x와 log 60.4의
채점 기준표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x는 60.4와 숫자의 배열이 같다. 또 정수 부
➊ log'ƒ0.0231=n+a (n은 정수, 0…a<1) 꼴로 나타낼 수 있다. 40% 분이 -1이므로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
➋ 상용로그의 값이 a인 수를 찾아 n+a를 로그로 나타낼 수 있다. 40% 가 나타난다.
➌ 'ƒ0.0231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 x=0.604 0.604

11 로그 163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의 조건이 ㄹ. g(2)+g(4)+g(8)+g(16)+g(32) log 16의 정수 부분은 1
17 주어진 경우
본책 197쪽
=log 2+log 4+log 8+(log 16-1)+(log 32-1)
log 32의 정수
`=log 2+2 log 2+3 log 2+4 log 2+5 log 2-2 부분은 1
양수 A에 대하여 log A의 정수 부분을 f(A)라 할 때,
`=15 log 2-2=log 2⁄ fi -2
f(A)=n (n은 정수) HjK 10« …A<10« ±⁄
한편 log 64의 정수 부분은 1이므로 64=2fl
2g(64)=2(log 64-1)=2 log 64-2=log 2⁄ ¤ -2
1 ∴ g(2)+g(4)+g(8)+g(16)+g(32)+2g(64)
1433 log
의 정수 부분이 -3이므로
n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③
1
-3…log <-2, -3…-log n<-2
n
각 변에 -1을 곱하면
2<log n…3, log 10¤ <log n…log 10‹ 부등호의 방향이 바뀐다. 18 몇 자리 정수인지 구하기 본책 198쪽

∴ 100<n…1000
A˚ 이 몇 자리 정수인지 구하기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은 900개이다. ③
1000-100=900 ⁄ A를 소인수분해하여 log A˚ 의 정수 부분을 구한다.
¤ log A˚ 의 정수 부분이 n A˚ 은 (n+1)자리 정수이다.
1434 'ƒ(-n-1)(n-4)=-'ƒ-n-1 'ƒn-4에서
-n-1<0, n-4<0 ∴ -1<n<4 n+-1, n+4

1437 log 1820=20 log (2_3¤ )=20(log 2+2 log 3)


즉 n=0, 1, 2, 3이므로 log x=n+;2!;에서
=20(0.3010+2_0.4771)=25.104
x=10;2!;, 10;2#;, 10;2%;, 10;2&; 따라서 log 1820의 정수 부분이 25이므로 1820은 26자리 정수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은 ④
;2!;+;2#;+;2%;+;2&;
10 ¥10 ¥10 ¥10 =10
;2!; ;2#; ;2%; ;2&;
=10° ①
1438 N이 세 자리 양의 정수이므로 log N의 정수 부분은 2이다.
1435 f(n)은 정수이므로 조건 ㈎에서 즉 log N=2+a이고 0.2<a<0.3이므로
f(n)=1 또는 f(n)=2 2.2<log N<2.3 yy ㉠
∴ 10…n<1000 yy ㉠ ⇢➊ 한편 log Nfi =5log N이고 ㉠에서
한편 g(2n)=g(12)에서 2n과 12의 숫자의 배열이 같으므로 5_2.2<5log N<5_2.3
2n=1.2_10μ (m은 정수) 11<5 log N<11.5
∴ n=0.6_10μ (m은 정수) yy ㉡ ⇢➋ 따라서 log Nfi 의 정수 부분이 11이므로 Nfi 은 12자리 정수이다.
㉠, ㉡에서 n=60 또는 n=600 ②
따라서 모든 n의 값의 합은은은60+600=660 ⇢➌
660 3« 이 30자리 정수이면 log 3« 의 정수 부분이 29이므로
1439
채점 기준표 29…log 3« <30, 29…n log 3<30
➊ n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29…0.48n<30 ∴ 60.×××…n<62.5
➋ n을 10의 거듭제곱 꼴로 나타낼 수 있다. 40% 따라서 이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값은 61, 62이므로 구
➌ 모든 n의 값의 합을 구할 수 있다. 20% 하는 합은
61+62=123 123

1436 log A=f(A)+g(A) ( 단, f(A)는 정수, 0…g(A)<1)


ㄱ. f(A)=g(A)인 경우는 f(A)=g(A)=0일 때뿐이다. 1440 log 6⁄ ‚ ‚ 의 정수 부분이 77이므로
ㄱ. 즉 log A=0이므로 A=1 77…log 6⁄ ‚ ‚ <78, 77…100 log 6<78
ㄴ. log 10A=1+log A이므로 ∴ 0.77…log 6<0.78 yy ㉠ ⇢➊
f(10A)=f(A)+1, g(10A)=g(A) log 11100의 정수 부분이 104이므로
10A와 A는 숫자의 배열이
∴ f(10A)g(10A)={ f(A)+1} g(A) 같으므로 g(10A)=g(A) 104…log 11100<105, 104…100 log 11<105
=f(A)g(A)+g(A) ∴ 1.04…log 11<1.05 yy ㉡ ⇢➋
ㄷ. f(A)=log A-g(A)이므로 log 6610=10 log 66=10(log 6+log 11)이고, ㉠, ㉡에서
ㄷ. f(AB)=log AB-g(AB) yy ㉠ 0.77+1.04…log 6+log 11<0.78+1.05
ㄷ. 또 f(AB)=f(A)+f(B)에서 1.81…log 66<1.83, 10_1.81…10 log 66<10_1.83
10
ㄷ. f(AB)=log A-g(A)+log B-g(B) yy ㉡ ∴ 18.1…log 66 <18.3 ⇢➌
ㄷ. ㉠, ㉡에서 f(A) f(B) 따라서 log 6610의 정수 부분이 18이므로 6610은 19자리 정수이다.
ㄷ. log AB-g(AB)=log A-g(A)+log B-g(B) ⇢➍
ㄷ. ∴ g(AB)=g(A)+g(B) log A+log B=log AB 19자리

164 정답 및 풀이
본책 197~199 쪽

채점 기준표 최고 자리의 숫자 구하기


20 본책 199쪽
➊ log 6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20%
➋ log 11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20% a˚ 의 최고 자리의 숫자 구하기
➌ log 66⁄ ‚ 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40% ⁄ log a˚ 의 소수 부분 a를 구한다.
➍ 66⁄ ‚ 이 몇 자리 정수인지 구할 수 있다. 20% ¤ log N<a<log (N+1)을 만족시키는 한 자리 자연수 N의 값을
구한다.
a˚ 의 최고 자리의 숫자는 N이다.

소수점 아래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19 숫자가 나타나는 자리 구하기
본책 198쪽

1444 log 630=30 log (2¥3)=30(log 2+log 3)


1 1 =30(0.3010+0.4771)=23.343
0<{ }˚ <1일 때, { }˚ 이 소수점 아래 몇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11
A A
이때 log 2=0.3010, log 3=0.4771이므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나는지 구하기

로그
1 ˚ log 2<0.343<log 3
⁄{ } =A—˚ 임을 이용하여 log A—˚ 의 정수 부분을 구한다.
A 23+log 2<23.343<23+log 3
1 log (2¥10¤ ‹ )<log 6‹ ‚ <log (3¥10¤ ‹ )
¤ log A—˚ 의 정수 부분이 -n { }˚ 은 소수점 아래 n째 자리에
A
∴ 2¥10¤ ‹ <6‹ ‚ <3¥10¤ ‹
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난다.
따라서 6‹ ‚ 의 최고 자리의 숫자는 2이다. ②

1 30
1441 log { } =log 2-30=-30 log 2=-30_0.3010
2 10
log { }30=-9.03=-10+0.97 1445 ⑴ log 515=15 log =15(log 10-log 2)
2
1 30 1 30 =15(1-0.3010)=10.485 ⇢➊
따라서 log { } 의 정수 부분이 -10이므로 { } 은 소수점 아
2 2 ⑵ log 5 의 정수 부분이 10이므로 515은 11자리 정수이다.
15
⇢➋
래 10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난다. ⑶ log 3=0.4771, log 4=2 log 2=0.602이므로
∴ n=10 ② log 3<0.485<log 4
10+log 3<10.485<10+log 4
log (3¥10⁄ ‚ )<log 5⁄ fi <log (4¥10⁄ ‚ )
1442 log x‹ y› =log x‹ +log y› =3 log x+4 log y
∴ 3¥10⁄ ‚ <5⁄ fi <4¥10⁄ ‚
=3_0.36+4_0.54=3.24
⑶ 따라서 5⁄ fi 의 최고 자리의 숫자는 3이다. ⇢➌
에서 log x‹ y› 의 정수 부분이 3이므로 x‹ y› 은 정수 부분이 4자리인
⑴ 10.485 ⑵ 11자리 ⑶ 3
수이다. 또
1 채점 기준표
log =-log x¤ y‹ =-log x¤ -log y‹
x¤ y‹ ➊ log 5⁄ fi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log =-2 log x-3 log y ➋ 5⁄ fi 이 몇 자리 정수인지 구할 수 있다. 20%
log =-2_0.36-3_0.54 ➌ 5⁄ fi 의 최고 자리의 숫자를 구할 수 있다. 50%
log =-2.34=-3+0.66
1 1
에서 log 의 정수 부분이 -3이므로 은 소수점 아래 셋
x¤ y‹ x¤ y‹
1446 log x=-;5$; 이므로
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난다.
따라서 m=4, n=3이므로 mn=12 12 log x¤ =2 log x=2¥{-;5$;}=-;5*;
log x¤ =-1.6=-2+0.4
a 이 100자리 정수이므로 log a 의 정수 부분은 99이다.
20 20 즉 log x¤ 의 정수 부분이 -2이므로 x¤ 은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에
1443
즉 99…log a20<100이므로 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난다.
99…20 log a<100 ∴ a=2
∴ 4.95…log a<5 yy ㉠ 한편 log 2=0.30, log 3=0.48이므로
1 log 2<0.4<log 3
한편 log =-5 log a이고 ㉠에서 -2+log 2<-2+0.4<-2+log 3
afi
-25<-5 log a…-24.75 log(2¥10—¤ )<log x¤ <log(3¥10—¤ )
1 1 ∴ 2¥10—¤ <x¤ <3¥10—¤
따라서 log 의 정수 부분이 -25이므로 은 소수점 아래 25
afi afi 따라서 x¤ 의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의 숫자는 2이므로
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난다. b=2
∴ n=25 ④ ∴ a+b=4 4

11 로그 165
1447 log 2¤ ° =28 log 2=28_0.3010=8.428 log x=2 또는 log x=;3&; 또는 log x=;3*;
이때 log 2=0.3010, log 3=0.4771이므로
log 2<0.428<log 3 ∴ x=10¤ 또는 x=10;3&; 또는 x=10;3*; ⇢➋
2+;3&;+;3*;
8+log 2<8.428<8+log 3 따라서 M=10¤ ¥10 ¥10 =10
;3&; ;3*;
=10‡ 이므로
log(2¥10° )<log 2¤ ° <log(3¥10° ) log M= log 10‡ =7 ⇢➌
∴ 2¥10° <2¤ ° <3¥10° 7
따라서 2¤ ° 의 최고 자리의 숫자는 2이므로
채점 기준표
a=2
➊ 3`log`x가 정수임을 알 수 있다. 30%
한편 2⁄ =2, 2¤ =4, 2‹ =8, 2› =16, 2fi =32, 2fl =64, y이므로
➋ 모든 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2« `(n은 자연수)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2, 4, 8, 6이 이 순서대로
➌ log 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반복된다. 이때 28=4¥7이므로 2¤ ° 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2› 의 일의
자리의 숫자와 같은 6이다.
∴ b=6 1451 log 'ßx 의 소수 부분과 log x¤ 의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 ab=12 1 3
⑤ log x¤ -log 'ßx=2 log x- log x= log x
2 2
3
에서 log x가 정수이다.
2
21 소수 부분이 같은 상용로그 본책 199쪽
10<x<100에서 1<log x<2
log A=m+a, log B=n+a (m, n은 정수, 0…a<1)이면 3 3
∴ < log x<3
log A-log B=m-n (정수) 2 2
3
이때 log x가 정수이므로
2
1448 log x‹ 의 소수 부분과 log xfi 의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3 4
log xfi -log x‹ =5 log x-3 log x=2 log x log x=2, log x= ∴ x=10;3$;
2 3
에서 2 log x가 정수이다. ∴ x‹ =10› =10000 10000
log x의 정수 부분이 2이므로
2…log x<3이이∴ 4…2 log x<6
22 소수 부분의 합이 1인 상용로그 본책 200쪽
이때 2 log x가 정수이므로
2 log x=4 또는 2 log x=5 log x=m+a, log y=n+b (m, n은 정수, 0…a<1, 0…b<1)의
소수 부분의 합이 1이면
log x=2 또는 log x=;2%;
a+b=1
∴ x=10¤ 또는 x=10;2%; log x+log y=m+n+1 (정수)
log x의 소수 부분이 a (0<a<1)이면 log y의 소수 부분은 1-a
따라서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은
이다.
10¤ ¥10;2%;=102+;2%;=10;2(; ⑤

1452 log x의 소수 부분과 log x¤ 의 소수 부분의 합이 1이므로


1449 조건 ㈐에 의하여 logx, logy의 소수 부분을 a (0…a<1) log x+log x¤ =log x+2 log x=3 log x
라 하면 조건 ㈎, ㈏에 의하여 에서 3 log x가 정수이다.
log y-log x=2+a-(1+a)=1 10<x<100에서 1<log x<2 ∴ 3<3 log x<6
log y=1+1og x=log 10x 이때 3 log x가 정수이므로
∴ y=10x 3 log x=4 또는 3 log x=5
∴ x : y=x : 10x=1 : 10 ②
log x=;3$; 또는 log x=;3%;

∴ x=10;3$; 또는 x=10;3%;
1450 log x¤ 의 소수 부분과 log ;[!;의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따라서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은

log x¤ -log ;[!;=2 log x+log x=3 log x 10;3$;¥10;3%;=10;3$;+;3%;=10‹ ④


10<x<100에서 1<log x<2
에서 3 log x가 정수이다. ⇢➊
log x의 소수 부분을 a라 하면
log x의 정수 부분이 2이므로
log x=1+a (0<a<1)
2…log x<3 ∴ 6…3 log x<9
∴ log x¤ =2 log x=2(1+a)=2+2a
이때 3 log x가 정수이므로 0<2a<2이므로 2a의 값의 범위에
3 log x=6 또는 3 log x=7 또는 3 log x=8 ⁄ 0<a<;2!;일 때, 따라 log x¤ 의 소수 부분이 달라진다.

166 정답 및 풀이
본책 199~200 쪽

0<2a<1에서 log x¤ 의 소수 부분은 2a이므로 이때 m, n은 0 또는 1이므로 log ab의 값은 1 또는 2 또는 3이다.


⁄ log ab=1, 즉 ab=10일 때,
a+2a=1, 3a=1 ∴ a=;3!;
⁄ (2, 5)의 1개
따라서 log x=1+;3!;=;3$;이므로 x=10;3$; ¤ log ab=2, 즉 ab=100일 때,
⁄ (2, 50), (4, 25), (5, 20)의 3개
¤ ;2!;…a<1일 때, ‹ log ab=3, 즉 ab=1000일 때,
1…2a<2에서 log x¤ 의 소수 부분은 2a-1이므로 ⁄ (20, 50), (25, 40)의 2개
a+2a-1=1, 3a=2 ∴ a=;3@; 이상에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6이다. ③

` ⁄에서 a=1, b=10인 경우는 log a의 소수 부분과 log b의


따라서 log x=1+;3@;=;3%;이므로 x=10;3%; 소수 부분의 합이 0이므로 주어진 조건에 모순이다. 0

11
0
⁄, ¤에서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은

로그
10;3$;¥10;3%;=10‹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23 근으로 갖는 방정식
본책 200쪽

1453 log x의 소수 부분과 log ‹ 'ßx 의 소수 부분의 합이 1이므로 log A=n+a`(n은 정수, 0…a<1)일 때, log A의 정수 부분과 소수
log x+log ‹ 'ßx =log x+;3!; log x=;3$; log x 부분이 이차방정식 px¤ +qx+r=0의 두 근이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에서 ;3$; log x가 정수이다.
n+a=-;pQ;, na=;pR;
log x의 정수 부분이 3이므로 3<log x<4
log x=3이면 log ‹'x=1이므로
∴ 4<;3$; log x<:¡3§: 소수 부분 조건에 모순이다.
1456 log A=n+a (n은 정수, 0…a<1)라 하면 이차방정식
이때 ;3$; log x가 정수이므로 4x¤ -13x+k=0의 두 근이 n, a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n+a=:¡4£:=3+;4!; yy ㉠
;3$; log x=5 ∴ log x=:¡4∞:
따라서 log x의 소수 부분은 na=;4K; yy ㉡
log x-3=:¡4∞:-3=;4#;=0.75 0.75 이때 n은 정수이고 0…a<1이므로 ㉠에서 n=3, a=;4!;
log x의 소수 부분을 a라 하면
이것을 ㉡에 대입하면 3¥;4!;=;4K; ∴ k=3 3
log x=3+a (0<a<1)
a
∴ log ‹ 'ßx =;3!; log x=;3!;(3+a)=1+
3
1457 log 200=log(10¤ ¥2)=2+log 2이므로 log 200의 정수 부
이때 0<a<1이므로
a
0< <;3!; 분은 2, 소수 부분은 log 2이다.
3
따라서 이차방정식 x¤ +ax+b=0의 두 근이 2, log 2이므로 근과
a
따라서 log ‹ 'x
ß 의 소수 부분이 이므로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
2+log 2=-a, 2log 2=b
a
a+ =1, ;3$; a=1 ∴ a=;4#;=0.75 ∴ a+b=(-2-log 2)+2log 2=-2+log 2
3
=log 10—¤ +log 2=log 0.02 ①

1454 log x의 소수 부분을 a (0<a<1), log y의 정수 부분을 n


a=0이면 조건 ㈏에 모순이다.
(n은 정수)이라 하면 조건 ㈎, ㈏에 의하여 1458 log 30=log(10¥3)=1+log 3이므로
log x=1+a, log y=n+(1-a) n=1, a=log 3
조건 ㈐에서 log xy¤ =4.6이므로 1
이때 ;å!;= =log£ 10이므로 3;å!;=3 log£ 10=10
log x+2 log y=4.6, 1+a+2(n+1-a)=4.6 log 3
∴ 2n+2+1-a=4.6 따라서 x¤ 의 계수가 1이고 3« 과 3;å!;, 즉 3과 10을 두 근으로 하는 이
정수 부분: 2n+2, 소수 부분: 1-a
이때 0<1-a<1이므로 차방정식은
2n+2=4, 1-a=0.6 ∴ n=1, a=0.4 x¤ -(3+10)x+3¥10=0
따라서 log y의 정수 부분은 1이다. ③ ∴ x¤ -13x+30=0 ⑤

1455 log a=m+a (m=0 또는 m=1, 0<a<1), 1459 log N=n+a (n은 정수, 0…a<1)라 하면 N의 정수 부
log b=n+b (n=0 또는 n=1, 0<b<1)라 하면 분이 두 자리 수이므로 n=1 ⇢➊
log a+log b=(m+a)+(n+b) 즉 3x‹ -10x¤ +9x+k=0의 한 근이 1이므로
∴ log ab=m+n+1 (∵ a+b=1) 3-10+9+k=0 ∴ k=-2 ⇢➋

11 로그 167
3x‹ -10x¤ +9x-2=0에서서서(3x-1)(x-1)(x-2)=0 1463 2n >1, 3n>1이므로 log 2n>0, log 3n>0
∴ x=;3!; 또는 x=1 또는 x=2 즉 [log 2n ], [log 3n ]은 0 이상의 정수이므로 주어진 등식에서
[log 2n]=1, [ log 3n]=1
[log`2n]=0, [log`3n]=2를 만족시키는
이때 0…a<1이므로 a=;3!; ⇢➌ ⁄ [ log 2n]=1에서 1…log 2n<2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는다.
10…2n<10¤ ∴ 5…n<50
따라서 log N=1+;3!;=;3$;이므로 N=10;3$; ⇢➍
¤ [log 3n]=1에서 1…log 3n<2
10;3$; 10 100
¤ 10…3n<10¤ ∴ …n<
3 3
채점 기준표
100
➊ 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 ¤에서 5…n<
3
➋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따라서 자연수 n은 5, 6, 7, y, 33의 29개이다. ③
➌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33-5+1=29
➍ N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25 상용로그의 실생활에의 활용; 관계식이 주어질 때 본책 201쪽

가우스 기호와 상용로그 ⁄ 주어진 관계식에 알맞은 문자 또는 값을 대입한다.


24 본책 201쪽
¤ ⁄의 관계식에서 로그의 정의 및 성질을 이용한다.
[ x]가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를 나타낼 때, log N=n+a
(n은 정수, 0…a<1)이면
① [ log N]은 log N의 정수 부분이다. 1464 규모가 5인 지진의 에너지를 E¡, 규모가 4인 지진의 에너지
[ log N]=n 를 E™라 하면
② log N-[ log N ]은 log N의 소수 부분이다. log E¡=11.8+1.5_5=19.3 ∴ E¡=1019.3
log N-[log N ]=a log E™=11.8+1.5_4=17.8 ∴ E™=1017.8
E¡ 1019.3
∴ = 17.8 =101.5=10'∂10
E™ 10
1460 ⁄ 1…n<10일 때,
따라서 규모가 5인 지진의 에너지는 규모가 4인 지진의 에너지의
¤ 0…log n<1이므로 [ log n ]=0
10'∂10배이다. ③
¤ 10…n<100일 때,
¤ 1…log n<2이므로 [ log n ]=1
‹ n=100일 때, 1465 합쳐진 소리의 크기를 x dB이라 하면
¤ log n=2이므로 [ log n ]=2 x=10`log (10;;¡1º0º;;+10;;¡1º0º;;)=10`log (2¥10⁄ ‚ )
이상에서 구하는 식의 값은 x=10`(log 2+10`log 10)=10(0.3+10)=103
[log 1]+[log 2]+[log 3]+y+[log 100] 따라서 합쳐진 소리의 크기는 103 dB이다. 103 dB
=0¥9+1¥90+2¥1=92 92
100-10=90
1466 2등급인 별의 밝기를 I¡, 5등급인 별의 밝기를 I™라 하면
1461 log x의 소수 부분을 a (0…a<1)라 하면 5
2=- log I¡+C yy ㉠
log x=-1+a 2
∴ [ log x]=-1, log x-[log x ]=a 5
5=- log I™+C yy ㉡
따라서 log x-[ log x ]는 log x의 소수 부분이다. 2
주어진 등식에서 log x와 log 12의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x는 12와 ㉠-㉡을 하면
숫자의 배열이 같다. 또 log x의 정수 부분이 -1이므로 x는 소수점 -3=-
5
(log I¡-log I™), log

=
6
아래 첫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난다. 2 I™ 5
∴ x=0.12 0.12 I¡ 5 125
∴ =10;5^;=(10;5@;)‹ ={ }3 =
I™ 2 8
10;5@;=fi'∂100=;2%;
125
log a=m+a, log b=n+b (m, n은 정수, 0…a<1, 따라서 2등급인 별의 밝기는 5등급인 별의 밝기의 배이다.
1462 8
0…b<1)라 하면 0…a+b<2 yy ㉠ 125

3<log ab<8에서 3<log a+log b<8 8
∴ 3<(m+a)+(n+b)<8 yy ㉡
㉠, ㉡에서 1<m+n<8 온도가 15 °C일 때의 포화 증기압이 P¡, 온도가 45 °C일 때
1467
이때 [log a]=m, [log b]=n이므로 의 포화 증기압이 P™이므로
1<[log a]+[log b]<8 정수 1750
따라서 p=2, q=7이므로 p+q=9 9 log P¡=8.11- =1.11이이∴ P¡=101.11
15+235

168 정답 및 풀이
본책 200~203 쪽

1750 10마리의 세균을 3시간, 즉 180분 동안 배양하면 전체 세균


log P™=8.11-
45+235
=1.86이이∴ P™=101.86 1471
의 수는 10¥2⁄ ° 마리이다.
P™ 101.86
∴ = 1.11 =100.75=10;4#; ③ 10¥2⁄ ° 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P¡ 10
log(10¥2⁄ ° )=1+18 log 2=1+18_0.3=6.4
∴ 10¥2⁄ ° =106.4
26 상용로그의 실생활에의 활용; 일정하게 증가할 때 본책 202쪽
따라서 3시간 후의 세균의 수는 106.4마리이므로
올해의 양이 A이고 매년 a %씩 증가할 때, k년 후의 양 k=6.4 6.4
a ˚
A {1+ }
100 처음 빛의 밝기를 A라 하면 유리를 5장 통과한 빛의 밝기는
1472
10 fi
A{1- } =A_0.9fi ⇢➊

11
100
1468 올해 산유량을 A, 산유량의 증가율을 a %라 하면

로그
0.9fi 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a 20 a 20
A{1+ } =2A ∴ {1+ } =2 log 0.9fi =5`log 0.9=5 log (9_10—⁄ )=5`(log 9-1)
100 100
=5`(2`log 3-1)=5(2_0.48-1)
a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20 log {1+ }=log 2 =-0.2=-1+0.8=-1+log 6.31
100
a 1 1 =`log (10—⁄ _6.31)=log 0.631 ⇢➋
log {1+ }= log 2= _0.3=0.015
100 20 20 즉 0.9fi =0.631에서 유리를 5장 통과한 빛의 밝기는 0.631A이므로
이때 log 1.035=0.015이므로 처음 밝기의 63.1%이다. ⇢➌
a 63.1%
1+ =1.035 ∴ a=3.5
100
채점 기준표
따라서 산유량을 매년 3.5 %씩 증가시켜야 한다. ④
➊ 식을 세울 수 있다. 30%
➋ log 0.9fi 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50%
1469 15년 전 매출액을 A원이라 하고, 매출액의 증가율을 a %라 ➌ 답을 구할 수 있다. 20%
하면
a 15 a 15 현재의 인구는
A{1+
100
} =3A ∴ {1+
100
} =3 1473
A(1-0.1)fi (1+0.1)fi =A(1-0.1¤ )fi =A_0.99fi
a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15 log {1+ }=log 3 0.99fi 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100
log 0.99fi =5 log 0.99=5 log (9.9_10—⁄ )=5(log 9.9-1)
a 1 1
log {1+ }= log 3= _0.48=0.032 log 0.99fi =5 (0.996-1)=-0.02=-1+0.98
100 15 15
이때 log 1.077=0.032이므로 log 0.99fi =-1+log 9.55=log (10—⁄ _9.55)=log 0.955
a ∴ k=0.99fi =0.955 0.955
1+ =1.077 ∴ a=7.7
100
따라서 15년 동안 이 인터넷 쇼핑몰의 매출액은 매년 7.7 %씩 증가 1474 k=1, 2, 3, y, 63을 대입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하였다. 7.7 % 한다.
1
¡ (-1)˚ log ¢
63

n k=1 k(k+1)
3
1470 n년 후 원리합계는 A{1+ } 만 원이고 원리합계가 원
100 1 1 1 1
=-log¢ +log¢ -log¢ +log¢
금의 2배가 넘으려면 1¥2 2¥3 3¥4 4¥5
3 n 1 1
A{1+ } >2A려려∴ 1.03n>2 =-y+log¢ -log¢
100 62¥63 63¥64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려려n log 1.03>log 2 1 1
=log¢ (1¥2)+log¢ +log¢ (3¥4)+log¢
2¥3 4¥5
log 2 0.301
∴ n> = =23.××× 1
log 1.03 0.013 =+y+log¢ +log¢ (63¥64)
62¥63
따라서 원금의 2배가 넘는 것은 24년 후이다. 24년
1 1 1
=log¢ {1¥2_ _3¥4_ _y_ _63¥64}
2¥3 4¥5 62¥63
27 상용로그의 실생활에의 활용; a˚ 의 값 구하기 본책 202쪽 =log¢ 64=log¢ 4‹ =3 ⑤

상용로그를 이용하여 a˚ 의 값 구하기


⁄ log a˚ 의 값을 구한다. log a˚ =t 1475 주어진 식의 양변에 2를 반복하여 곱한다.
¤ log A=t인 A의 값을 구한다. a˚ =A a¡ a™ a£ a¢
log∞`2= + + + +y yy ㉠
2 2¤ 2‹ 2›

11 로그 169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loga`n-logb`n
a™ a£ a¢
1477 logb`n-logc`n
을 n을 밑으로 하는 로그로 변환한다.
2`log∞`2=a¡+ + + +y
2 2¤ 2‹ a, b,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 a£ a¢ b c
∴ log∞`4=a¡+ + + +y yy ㉡ b¤ =ac , 즉 =
2 2¤ 2‹ a b
이때 0<log∞`4<1이므로로로a¡=0 1 1
-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loga`n-logb`n logn`a logn`b
∴ =
a£ a¢ logb`n-logc`n 1 1
2`log∞`4=a™+ + +y -
2 2¤ logn`b logn`c
a£ a¢ logn`b-logn`a
∴ log∞`16=a™+ + +y logn`a¥logn`b
2 2¤ ∴ =
이때 1<log∞`16<2이므로로로a™=1 logn`c-logn`b
logn`b¥logn`c
a£ a¢
즉 log∞`16=1+ + +y이므로 b
2 2¤ logn`c¥logn
a
a£ a¢ ∴ =
log∞`16-1= + +y c
2 2¤ logn`a¥logn
b
16 a£ a¢ logn`c
∴ log∞` = + +y yy ㉢ b c
5 2 2¤ ∴ = `{∵ = }
logn`a a b
㉢의 양변에 2를 곱하면
∴ =loga c
16 a¢ 즉 loga c=2에서 c=a¤ 이므로
2`log∞` =a£+ +y
5 2
b¤ =ac=a‹ 서서∴ b=a'∂a
256 a¢
∴ log∞` =a£+ +y c=a¤ <100에서 a<10이고 b=a'∂a가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a는 제
25 2
곱수이다.
256
이때 1<log∞` <2이므로므로a£=1 ∴ a=4 또는 a=9
25
∴ a¡+a™+a£=0+1+1=2 2 ⁄ a=4일 때,는는b=8, c=16
¤ a=9일 때,는는b=27, c=81
⁄, ¤에서 a+b+c의 최댓값은
9+27+81=117 117
1476 log™ n-log™ k=log™ ;kN;이 정수임을 이용한다.

주어진 집합을 A라 하면
n 1478 연산 ≠의 정의를 이용하여 좌변과 우변을 비교한다.
log™ n-log™ k=log™ =(정수)
k ㄱ. a≠1=a log™ 1=a‚ =1
n ㄴ. a≠b=alog™ b=blog™ a=b≠a
이므로 =2m (m은 정수) 꼴이어야 한다.
k ㄷ. (a≠b)≠c=alog™ b≠c=(alog™ b)log™ c=alog™ b log™ c
log ™ c
⁄ 1…n…50일 때, ㄷ. a≠(b≠c)=a≠(blog™ c)=alog™ b =alog™ c log™ b=alog™ b log™ c
n n ∴ (a≠b)≠c=a≠(b≠c)
k=n이면 = =1=2‚ 이므로 n<A
k n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n n 1
k=2n이면 = = =2—⁄ 이므로 2n<A
k 2n 2
따라서 집합 A의 원소의 개수는 2 이상이다.
1479 x의 범위를 나누어 f(x)의 값을 구한다.
¤ n>50인 짝수일 때,
log£ x=f(x)+g(x)에서 `f(x)가 정수이므로
n n
k=n이면 = =1=2‚ 이므로 n<A ⁄ x=1일 때,
k n
⁄ log£ 1=0이므로 f(1)=0
n n 2n n
k= 이면 = =2이므로 <A
2 n n 2 ¤ ;3!;…x<1일 때,
2
따라서 집합 A의 원소의 개수는 2 이상이다. ⁄ log£ ;3!;…log£ x<log£ 1에서 -1…log£ x<0이므로
‹ n>50인 홀수일 때,
f(x)=-1
n n
=2m에서 k= 을 만족시키는 정수 m은 m=0뿐이므로 ‹ ;9!;…x<;3!;일 때,
k 2μ
집합 A의 원소의 개수는 1이다.
⁄ log£ ;9!;…log£ x<log£ ;3!;에서 -2…log£ x<-1이므로
이상에서 구하는 자연수 n은 51, 53, 55, y, 99의 25개이다.
25 f(x)=-2

170 정답 및 풀이
본책 203~204 쪽

이상에서 ¤ n=2일 때,

f(1)=0, f {;2!;}=f {;3!;}=-1, f {;4!;}=f {;5!;}=-2 a=log 4이므로 log k=2+log 4=log 400에서
k=400
한편 log£ x=f(x)+g(x)에서
‹ n=3일 때,
g(x)-f(x)=log£ x-2f(x)이므로
a=log 9이므로 log k=3+log 9=log 9000에서
g(1)-f(1)=log£ 1-2f(1)=0
k=9000
g {;2!;}-f {;2!;}=log£ ;2!;-2f {;2!;}=log£ ;2!;-2¥(-1) 이상에서 모든 k의 값의 합은
10+400+9000=9410 ⑤
g {;2!;}-f {;2!;}=log£ ;2!;+2=log£ ;2(;
log£ 3¤ =log£ 9

11
g {;3!;}-f {;3!;}=log£ ;3!;-2f {;3!;}=log£ ;3!;-2¥(-1)=1 1482 a의 값에 따라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b, c의 값을

로그
log£ 3—⁄ =-1
찾는다.
g {;4!;}-f {;4!;}=log£ ;4!;-2f {;4!;}=log£ ;4!;-2¥(-2) 조건 ㈎에서 a, b, c는 한 자리 자연수이므로 log a, log b,
log c의 정수 부분은 모두 0이다.
g {;2!;}-f {;2!;}=log£ ;4!;+4=log£ :•4¡:
log£ 3› =log£ 81
log a의 소수 부분을 a (0…a<1)라 하면 조건 ㈐에 의하여
log a=a, log b=2a
g {;5!;}-f {;5!;}=log£ ;5!;-2f {;5!;}=log£ ;5!;-2¥(-2)
따라서 log b=2 log a, 즉 log b=log a¤ 이므로
g {;2!;}-f {;2!;}=log£ ;5!;+4=log£ :•5¡: b=a¤
또 조건 ㈏에서 a+b+c=12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값은
⁄ a=1일 때,
1¥3‚ +2¥3log£ ;2(;+3¥3⁄ +4¥3log£ :•4¡:+5¥3log£ :•5¡: ⁄ b=1, c=10이므로 조건 ㈎에 모순이다.
=1+2¥;2(;+9+4¥:•4¡:+5¥:•5¡: ¤ a=2일 때,
⁄ b=4, c=6
=1+9+9+81+81=181 181
‹ a=3일 때,
⁄ b=9, c=0이므로 조건 ㈎에 모순이다.
1480 눈금 4에서 눈금 8까지의 거리와 눈금 y에서 눈금 4까 이상에서 a=2, b=4, c=6이므로
지의 거리가 서로 같음을 이용한다. abc=48 48
log 8-log 4=log 4-log y에서 aæ4이면 bæ16이므로 조건 ㈎에 모순이다.
4 4
log ;4*;=log y , 2= y
∴ y=2
1483 10« =2« ¥5« 임을 이용하여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의 관
계식을 구한다.
log 8-log x=log 4-log 3에서
ㄱ. 2000은 네 자리 정수이므로 log 2000의 정수 부분은 3이
8 8
log x =log ;3$;, x =;3$; ㄴ. 다.
∴ x=6 ㄴ. ∴ f(2000)=3
∴ x+y=8 8 ㄴ. f(x)=m에서 log x의 정수 부분이 m이므로
ㄴ. m…log x<m+1
ㄴ. ∴ 10μ …x<10μ ±⁄
1481 점 P˚가 곡선 y=('1å0 )≈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n의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x의 개수는
값을 구한다. 10μ ±⁄ -10μ =10μ (10-1)=9¥10μ
log k의 정수 부분 n과 소수 부분 a (0…a<1)에 대하여 점 ㄷ. log 2« =n¡+a, log 5« =n™+b (n¡, n™는 정수, 0…a<1,
P˚(a, n)이 곡선 y=('1å0 )≈ 위의 점이므로 0…b<1)라 하면 log 10« =log 2« +log 5« 이므로
n=('1å0 )a n=(n¡+a)+(n™+b)
∴ n=n¡+n™+(a+b)
이때 0…a<1이므로 1…('1å0 )a<'1å0
이때 0…a+b<2이므로
즉 1…n<'1å0이므로 n=1, 2, 3 n, n¡, n™ 모두 정수이므로
'1å0=3.×××이므로 1…n<'1å0을 즉즉a+b=0 또는 a+b=1 a+b도 정수이다.
한편 n=('1å0 )a에서 만족시키는 정수 n은 1, 2, 3이다. 그런데 두 수 2« , 5« 은 10˚ (k는 정수) 꼴이 될 수 없으므로
a=log'1å0 n=2 log n=log n¤ a+0, b+0이다.
⁄ n=1일 때, 즉 a+b=1이므로
a=0이므로 log k=1에서 즉즉f(10« )=f(2« )+f(5« )+1
k=10 log k=n+a=1+0=1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n=n¡+n™+1 ⑤

11 로그 171
1484 f(100)은 100을 100번 나열하여 만든 자연수의 상용 따라서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는
로그의 정수 부분이고, g(n)=0이면 Nn=10 f(n)
임을 이용한다. (340, 102), (350, 105), (360, 108), … , (990, 297)
990-340
N100은 100을 100번 나열하여 만든 자연수이고, 100은 세 의 66개이다. 10
+1=66 66
자리 자연수이므로 N100은 300자리 자연수이다. ㉡에서 a는 10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순서쌍 (a, b)의 개수는
∴ a=f(100)=299 334 이상 999 이하의 10의 배수의 개수와 같다.
한편 g(n)=0이면 log Nn=f(n)+g(n)=f(n)이므로
Nn=10`f(n) 1487 f(x)가 log x의 소수 부분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순서
⁄ n=1이면 N¡=1이므로로로log N¡=log 1=0 쌍이 집합 S의 원소가 되는지 알아본다.
⁄ 은은∴ g(1)=0 ㄱ. (a, b)<S이므로 f(a)+f(b)=1
¤ n+1이면 자연수 Nn은 10k(k는 자연수) 꼴이 될 수 없으므로 ㄱ. 즉 f(b)+f(a)=1이므로 (b, a)<S
g(n)+0이다.
ㄴ. [반례] log a=;2!;, log b=1+;2!;이면 f(a)=;2!;, f(b)=;2!;에서
⁄, ¤에서 g(n)=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은 1의 1개이므로
b=1 ㄱ. f(a)+f(b)=1이지만
∴ a+b=300 300 ㄱ. log a¤ =2 loga=1, log b¤ =2 logb=2+1=3
ㄱ. 이므로 f(a¤ )+f(b¤ )=0
ㄱ. ∴ (a¤ , b¤ )≤S
1485 a, b를 간단히 한 후 log ;bA; 를 구한다.
ㄷ. (a, b)<S이므로 f(a)+f(b)=1 yy ㉠
a={2-;5¡0;}1 0 0 ={;5(0(;}1 0 0 , b={2+;5!;}1 0 0 ={:¡5¡:}1 0 0 이므로 ㄱ. (b, c)<S이므로 f(b)+f(c)=1 yy ㉡
ㄱ. ㉠, ㉡에서 f(a)=f(c)
;bA;={;5(0(;}1 0 0 _{;1∞1;}1 0 0 ={;5(0(;_;1∞1;}1 0 0 ={;1ª0;}1 0 0 ㄱ. 따라서 log a=m+a (m은 정수, 0<a<1)라 하면
log c=n+a (n은 정수)이므로
∴ log ;bA;=log {;1ª0;}1 0 0 =100 log ;1ª0;
ㄱ. log ;c!;=-log c=-n-a=(-n-1)+(1-a)
∴ log ;bA;=100(2 log 3-1)
∴ log ;bA;=100(2_0.4771-1) ㄱ. 즉 f {;c!;}=1-a이므로
∴ log ;bA;=-4.58=-5+0.42
ㄱ. f(a)+f {;c!;}=a+(1-a)=1
log ;bA;의 정수 부분이 -5이므로 ;bA;는 소수점 아래 5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나타난다. ㄱ. ∴ {a, ;c!;}<S
∴ m=5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한편 log 2=0.3010, log 3=0.4771이므로
log 2<0.42<log 3
-5+log 2<-5+0.42<-5+log 3 1488 시간이 지나도 환기량 Q는 일정함을 이용한다.
V c(0)-0.03
log 2¥10—fi <log ;bA;<log 3¥10—fi Q=k_ log yy ㉠
t c(t)-0.03
t=1, c(0)=0.83, c(1)=0.43을 ㉠에 대입하면
∴ 2¥10—fi <;bA;<3¥10—fi
V 0.83-0.03
Q=k_ log =kV log 2 yy ㉡
따라서 ;bA;의 소수점 아래 5째 자리의 숫자는 2이므로 n=2 1 0.43-0.03
c(0)=0.83, c(t)=0.08을 ㉠에 대입하면
∴ m+n=7 ④
V 0.83-0.03 kV
Q=k_ log = log 2› yy ㉢
t 0.08-0.03 t
1486 상용로그의 정수 부분이 다른 두 수는 정수 부분의 자 ㉡, ㉢에서 환기량 Q는 일정하므로
리의 수가 서로 다름을 이용한다. kV
kV log 2= log 2› ∴ t=4 ②
a, b가 세 자리 자연수이고 log 3a와 log b의 정수 부분이 다 t
르므로 3a는 네 자리 자연수이어야 한다.
100…a…999와 1000…3a…9999, 즉 334…a…3333을 동시에 만 r «
1489 A가 매년 r%씩 증가할 때, n년 후에는 A{1+
100
} 이
족시키는 자연수 a의 값의 범위는
334…a…999 yy ㉠ 된다.
이때 log 3a와 log b의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올해 신생아의 수를 A명이라 하면 10년 후 전체 신생아의
3a 수에 대한 남자 신생아의 비율은
log 3a-log b=1, log =1
b
정수 부분: 3 정수 부분: 2 ;2!;A(1+0.1)⁄ ‚
3a 1.1⁄ ‚
=10 ∴ 3a=10b yy ㉡ =
b A(1+0.07)⁄ ‚ 2_1.07⁄ ‚

172 정답 및 풀이
본책 204~206 쪽

1.1⁄ ‚ 채점 기준표
=k로 놓고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1.07⁄⁄ ‚ ➊ 조건 ㈎의 식을 변형할 수 있다. 30%
log k=10 log 1.1-10 log 1.07 ➋ a, b를 각각 c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30%
=10_0.0414-10_0.0294=0.12 ➌ a+b+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이때 log 1.32=0.12이므로 k=1.32
1.1⁄ ‚ 1
따라서 = _1.32=0.66이므로 10년 후 신생아 100명
2_1.07⁄ ‚ 2 1493 주어진 등식을 log£ a와 log£ b에 대한 식으로 변형한다.
중 남자 신생아는 66명이다. 66명 b
=9의 양변에 밑이 3인 로그를 취하면
a
b
1490 두 집합 A, B의 원소는 모두 자연수임을 이용한다. log£ =log£ 9에에∴ log£ b-log£ a=2 ⇢➊
a

11
집합 B의 원소는 모두 자연수이므로 a, b, c, d는 모두 2˚ a log£ b=‹'3의 양변에 밑이 3인 로그를 취하면

로그
(k는 자연수) 꼴이다. ⇢➊
1
이때 a+b=12이므로 a=4, b=8 (∵ a<b) ⇢➋ log£ a log£ b=log£ ‹'3 ∴ log£ a¥log£ b= ⇢➋
3
따라서 A={4, 8, c, d}, B={2, 3, log™ c, log™ d}이고 ∴ (log£ a)‹ -(log£ b)‹ x‹ -y‹ =(x-y)‹ +3xy(x-y)
log™ 4=2, log™ 8=3
A;B={4, 8}이므로 log™ c=4, log™ d=8 =(log£ a-log£ b)‹ +3 log£ a¥log£ b¥(log£ a-log£ b)
∴ c=2› =16, d=2° =256 ⇢➌ 1
=(-2)‹ +3¥ ¥(-2)
∴ d-c=240 ⇢➍ 3
240 =-8-2=-10 ⇢➌
채점 기준표
-10
➊ a, b, c, d의 조건을 알 수 있다. 20% 채점 기준표
➋ a,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b
➊ =9의 양변에 밑이 3인 로그를 취한 후 정리할 수 있다. 30%
➌ c, 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a
log£ b
➋a =‹ '3의 양변에 밑이 3인 로그를 취한 후 정리할 수 있다. 30%
➍ d-c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1491 log∞ '2=0.abcy의 양변에 10을 곱한다.


log∞ '2=0.abcy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1494 원뿔과 구의 부피를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식을 세
10 log∞ '2=a.bcy ⇢➊ 운 다음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한다.
이때 10 log∞ '2=log∞('2 )⁄ ‚ =log∞ 2fi =log∞ 32이고, 5¤ <32<5‹ 이 1 160 4
원뿔의 부피는 p¥4¤ ¥10= p, 구의 부피는 pr‹ 이므로
므로 log∞ 5¤ <log∞ 32<log∞ 5‹ 3 3 3
2<10 log∞ '2<3 ⇢➋ 160 4
p= pr‹ ∴ r‹ =40 ⇢➊
3 3
∴ a=2 ⇢➌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2
3 log r=log 40=log(2¤ _10)=2 log 2+1
채점 기준표
1
➊ 10 log∞`'2=a.bcy로 나타낼 수 있다. 30% ∴ log r= (2_0.3010+1)=0.5340 ⇢➋
3
➋ 10 log∞`'2의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50% 이때 log 3.42=0.5340이므로
➌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r=3.42 ⇢➌
3.42
1492 로그의 성질 logå x« =n logå x, logå x+logå y=logå xy 채점 기준표
를 이용한다. ➊ r‹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30%
a log∞ºº 2+b log∞ºº 5=c에서 ➋ log r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log∞ºº 2å +log∞ºº 5∫ =c ➌ r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log∞ºº 2å 5∫ =c, 2å 5∫ =500ç ⇢➊
이때 500c=(2¤ 5‹ )ç =22c53c이므로
10
a=2c, b=3c ⇢➋ 1495 log`x+log`
x
=1, 즉 정수임을 이용한다.
a, b, c, 즉 2c, 3c, c의 최대공약수는 c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10
c=2 log`x와 log 의 소수 부분을 각각 a, b (0…a<1,
x
따라서 a=4, b=6, c=2이므로 0…b<1)라 하면
a+b+c=12 ⇢➌ 10
log x=m+a, log =n+b
12 x

11 로그 173
본책 206 쪽

이므로 1497 보험료의 인상률이 p일 때, 사고를 n번 내면 보험료는


10 10 처음 보험료의 (1+p)« 배가 된다.
log x+log =log {x¥ }=log 10=1
x x
처음 보험료를 P원, 사고 시마다의 보험료 인상률을 p라
∴ m+n+a+b=1 yy ㉠
하면
이때 m, n이 정수이므로 ㉠에서 a+b도 정수이고 0…a+b<2이
P(1+p)fi =2P ∴ (1+p)fi =2
므로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a+b=0 또는 a+b=1 ⇢➊
5 log (1+p)=log 2
⁄ a+b=0일 때,
1 1
㉠에서 m+n=1, 즉 n=1-m이므로 ∴ log (1+p)= log 2= _0.3=0.06 ⇢➊
5 5
에서m¤ -2n¤ =m¤ -2(1-m)¤ B의 보험료는 P(1+p)‹ 원이므로 (1+p)‹ =k로 놓고 양변에 상용
=-m¤ +4m-2 로그를 취하면 A, B의 처음 보험료는 동일하다.

=-(m-2)¤ +2 log k=3 log (1+p)=3_0.06=0.18


⁄ m¤ -2n¤ 은 m=2일 때 최댓값 2를 갖는다. 이때 log 1.51=0.18이므로
¤ a+b=1일 때, k=1.51 ⇢➋
㉠에서 m+n=0, 즉 n=-m이므로 따라서 B의 보험료는 처음 보험료의 151 %이다. ⇢➌
에서m¤ -2n¤ =m¤ -2(-m)¤ =-m¤ 151 %
m¤ -2n¤ 은 m=0일 때 최댓값 0을 갖는다.
채점 기준표
⁄, ¤에서 m¤ -2n¤ 은 m=2일 때 최댓값 2를 갖고 이때
➊ log (1+p)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a+b=0에서 a=b=0이므로
➋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log x=2+0에서∴ x=100 ⇢➋
➌ 답을 구할 수 있다. 20%
따라서 p=100, q=2이므로로로p+q=102 ⇢➌
102

채점 기준표
➊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➋ m¤ -2n¤ 이 최대일 때의 x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➌ p+q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1496 log x‹ 의 정수 부분을 이용하여 log x의 정수 부분을


구한다.
x‹ 이 15자리 수이므로 log x‹ 의 정수 부분은 14이다.
즉 14…log x‹ <15이므로 14…3 log x<15
∴ :¡3¢:…log x<5 yy ㉠
따라서 log x의 정수 부분이 4이므로 x는 5자리 수이다.
∴ a=5 ⇢➊
또 xy¤ 이 20자리 수이므로 log xy¤ 의 정수 부분은 19이다.
즉 19…log xy¤ <20이므로
19…log x+2 log y<20 yy ㉡
㉡-㉠을 하면 14<2 log y<:¢3§:

∴ 7<log y<:™3£:
따라서 log y의 정수 부분이 7이므로 y는 8자리 수이다.
∴ b=8 ⇢➋
∴ a+b=13 ⇢➌
13

채점 기준표
➊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40%
➋ 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50%
➌ a+b의 값을 구할 수 있다. 10%

174 정답 및 풀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