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6

올 림 포 스 수학Ⅰ

정답과 풀이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1 2017-11-01 오후 5:46:23


정답과 풀이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5. 밑의 조건에서 x-1>0, x-1+1이므로

01 지수와 로그 x>1, x+2


진수 조건에서 -xÛ`+4x+12>0, xÛ`-4x-12<0
yy ㉠

(x+2)(x-6)<0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10~13쪽
즉, -2<x<6 yy ㉡
1. 4 2. ② 3. ④ 4. ② 5. 12 ㉠, ㉡에서
6. ③ 7. ③ 8. 0.8572 1<x<6, x+2
따라서 구하는 정수 x의 값은 3, 4, 5이므로 이들의 합은
1. 5와 -5의 다섯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각각 Þ`'5, Þ`'§-5이 3+4+5=12
므로 a=b=1  12
6의 여섯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ß`'6, -ß`'6이므로 c=2
2Ü`_3
-6의 여섯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없으므로 d=0
6. log°`;2@5$;=log°`
5Û`
따라서 (a+b)(c+d)=(1+1)(2+0)=4
=log°`2Ü`+log°`3-log°`5Û`
4
=3log°`2+log°`3-2

Ü ¿¹"abÞ`"aÞ`bà`­=Ü ¿¹"ÃabÞ`_aÞ`bà`
=3x+y-2
2.
=Ü ¿¹"aß`bÚ`Û`
이므로 a=3, b=1, c=-2
따라서 a+b+c=3+1+(-2)=2
=ß "aß`bÚ`Û`
③
=ß "Åaß``ß "ÅbÚ`Û`
=ßß "Åaß`(ß "Åbß`)Û`=abÛ`
②
7. logª`3_log£`4+log»`2_log¢`9
=logª`3_log£`4+log¢`9_log»`2
=logª`4+log¢`2
3. (aÛ`b)Ü`_(aÜ`bÛ`)ÑÛ`­=(aÛ`)Ü`bÜ`_(aÜ`)ÑÛ`(bÛ`)ÑÛ`
=log2`2Û`+log2Û` 2
=aß`bÜ`_aÑß`bÑÝ`
=aß`Ñß`bÜ`ÑÝ` =2 logª`2+;2!;logª`2
=aâ`bÑÚ`
=2+;2!;=;2%;
=;b!;
③
④ 다른풀이

logª`3_log£`4+log»`2_log¢`9
4. Ü "ÅabÛ`_Ý "aÛ`bÖß "aÞ`bÝ`=(abÛ`);3!;_(aÛ`b);4!;Ö(aÞ`bÝ`);6!; log`3 2`log`2 log`2 2`log`3
= _ + _
;3!; ;4!; -;6!; log`2 log`3 2`log`3 2`log`2
=(abÛ`) _(aÛ`b) _(aÞ`bÝ`)
=a;3!;b;3@;_a;2!;b;4!;_a-;6%;b-;3@; =2+;2!;=;2%;

=a;3!;+;2!;-;6%;_b;3@;+;4!;-;3@;
2Ü`_3Û`
8.
2+3-5
=a 6 _b;4!; log`7.2=log`;1&0@;=log`
10
=aâ`_b;4!; =3 log`2+2 log`3-log`10
=b =Ý 'b
;4!;
=3_0.3010+2_0.4771-1=0.8572
②  0.8572

2 올림포스•수학Ⅰ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2 2017-11-01 오후 5:46:23


Ü "ÅaÛ` Ý 'a Ý ¿µÜ "ÅaÛ` ß "ÅÅÝ 'a
유형 확인 본문 14~17쪽 05 Ý 78 'a _ß 78 a
=
Ý ¿µ'a
_
ß 'a
01 ⑤ 02 34 03 ③ 04 ④ 05 ① Ú`Û "ÅaÛ` Û`Ý 'a
= _
06 ⑤ 07 2 08 ① 09 43 10 ① ¡ 'a ß 'a
ß 'a Û`Ý 'a
11 ;4(; 12 ② 13 ② 14 9 15 ③ =
¡ 'a
_
ß 'a
16 ② 17 ② 18 ⑤ 19 ③ 20 ③ Û`Ý 'a
=
21 ① 22 ④ 23 572 24 ④ ¡ 'a
Û`Ý 'a
=
01 ① 4의 제곱근은 Ñ'4=Ñ2이다.(거짓) Û`Ý "ÅaÜ`
② ­-8의 세제곱근은 모두 세 개이며 이 중 실수인 것은 -2이
=Û`Ý ®Â
1
다.(거짓) aÛ`
③ Ý '1Œ6은 16의 양의 네제곱근이므로 2이다.(거짓)
=Ú`Û ®;a!;
④ xÝ`=-4인 실수 x는 존재하지 않는다.(거짓)
⑤ -5의 다섯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Þ '¶-5=-Þ '5이다.(참) ①
⑤

06 8Ý`_(4ÑÜ`Ö16ÑÛ`)Ü`­=(2Ü`)Ý`_{(2Û`)ÑÜ`Ö(2Ý`)ÑÛ`}Ü`
=2Ú`Û`_(2Ñß`Ö2Ñ¡`)Ü`

02 a=Ü '¶-64=Ü "Ã(-4)Ü`=-4 =2Ú`Û`_{2-6-(-8)}Ü`


81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을 x라 하면 =2Ú`Û`_(2Û`)Ü`
xÝ`=81 =2Ú`Û`_2ß`
x­=ÑÝ '8Œ1=ÑÝ "Å3Ý`=Ñ3 =2Ú`¡`
b=3, c=-3 또는 b=-3, c=3 ⑤
따라서 aÛ`+bÛ`+cÛ`=16+9+9=34
 34
07 (abÑÚ`)¡`_(aÑÛ`)Ç`Ö{ a }ÑÝ`
bÛ`

=(a¡`_bÑ¡`)_a-2nÖ(aÑÚ`_bÛ`)ÑÝ`
03 ¡ "Å5Ý`_(Ú`â '5)Þ`=¡ "Å5Ý`_Ú`â "Å5Þ` =(a8-2n_bÑ¡`)Ö(aÝ`_bÑ¡`)
= 4_2
"Å5Ý`_5_2
"Å5Þ` =a8-2n-4_b-8+8
='5_'5 =a4-2n_bâ`=a4-2n
=5 aâ`=1이므로 4-2n=0에서 n=2
③ 2

08 '3_Ü '6_ß '4Œ8=3 ;2!;


_6;3!;_48;6!;
Ü '8Œ1
04 =Ü ®Â:¥3Á:=Ü '2Œ7=Ü "Å3Ü`=3 =3;2!;_(2_3);3!;_(2Ý`_3);6!;
Ü '3
Ý "'8Œ1=2_4"Å3Ý`='3
=3;2!;_(2;3!;_3;3!;)_(2;3@;_3;6!;)

Ý '9=2_2"Å3Û`='3 =2;3!;+;3@;_3;2!;+;3!;+;6!;

Ü '¶81 =2_3
따라서 -Ý "'8Œ1+Ý '9=3-'3+'3=3
Ü '3 =6
④ ①

정답과 풀이 3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3 2017-11-01 오후 5:46:24


정답과 풀이

-;3@; ;4(; -;3@;_;4(; -;2#;


따라서 ;[#;-;]@;=3_;3!; log£`5-2_;2!; log£`45
09 [{;9$;} ] ={;9$;} ={;9$;}

=[{;3@;}2` ] ={;3@;}-` 3`={;2#;}3`=:ª8¦:


-;2#; =log£`5-log£`45

=log£`;4°5;
p=8, q=27이므로 2p+q=16+27=43
 43 =log£`;9!;

=log£`3ÑÛ`
1 =-2
10 aÑÛ`= aÛ` , 64 ;3@;
=(2ß`);3@;=2Ý`이므로

1 1
=2Ý`에서 aÛ`=
aÛ` 2Ý`
이때 a>0이므로 13
log'2`a=4에서 a=('2)Ý`=2Û`
a=;4!;
logº`2=3에서 2=bÜ`이므로
① a=2Û`=(bÜ`)Û`=bß`
따라서 logº`a=logº`bß`=6 logº`b=6
②
11 2 x+1
=3에서 2_2x=3이므로

2x=;2#;

14
-x 2
따라서 {;4!;} =(2-2)-x=22x=(2x)Û`={;2#;} =;4(;
밑의 조건에서
 ;4(; x>0, x+1 yy ㉠
진수 조건에서 5-x>0이므로
x<5 yy ㉡

12 5Å`=27=3Ü`에서 5=(3Ü`) ;[!;


=3  ;[#;
yy ㉠ ㉠, ㉡에서 0<x<5, x+1
;]!; ;]@; 따라서 구하는 정수 x의 값은 2, 3, 4이므로 이들의 합은
45´`=9=3Û`에서 45=(3Û`) =3  yy ㉡
㉠, ㉡을 변끼리 나누면 2+3+4=9
9
3;[#;-;]@;=;4°5;

;4°5;=;9!;={;3!;}2`=3ÑÛ`
15
따라서 ;[#;-;]@;=-2 밑의 조건에서 a-2>0, a-2+1이므로

② a>2, a+3 yy ㉠
진수 조건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ax+2a>0이려면
다른풀이
방정식 xÛ`+ax+2a=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5Å`=27에서 x=log°`27이므로
D=aÛ`-8a<0, a(a-8)<0
;[!;=logª¦`5=log3Ü``5=;3!; log£`5 즉, 0<a<8 yy ㉡
45´`=9에서 y=log¢°`9이므로 ㉠, ㉡에서 2<a<8, a+3
따라서 구하는 정수 a는 4, 5, 6, 7의 4개이다.
;]!;=log»`45=log3Û``45=;2!; log£`45
③

4 올림포스•수학Ⅰ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4 2017-11-01 오후 5:46:24


logª`5
16 log¤`16Û`+log¤`9Ý`=log¤ (2Ý`)Û`+log¤ (3Û`)Ý` 20 logÁ¼¼`5= logª`100
=log¤`2¡`+log¤`3¡`
logª`10-logª`2
=log¤`(2¡`_3¡`) =
2 logª`10
=log¤`(2_3)¡`
a-1
=log¤`6¡`=8 log¤`6=8 =
2a
② ③

17 logª`;4#;+logª`'8-;2!; logª`18
21 xÛ`='y=zÜ`=k(k는 양의 실수)라 하면
=logª`;4#;+logª`'8-logª`'1Œ8
x=k;2!;, y=kÛ`, z=k;3!;

=logª`;4#;+logª`2'2-logª`3'2 따라서
logx`y+logy`z+logz`x=logk `kÛ`+logkÛ``k;3!;+logk `k;2!;
;2!; ;3!;

=logª {;4#;_2'2_ }
1
3'2 =4+;6!;+;2#;=:Á3¦:

=logª`;2!; ①

=logª`2ÑÚ`
=-1
② 22 log`50+log`4000-log`0.002
=log`;;Á;2);¼;;+log (4_1000)-log (2_0.001)
"½bÜ`
18 `logŒ` aÛ`
=logŒ`"½bÜ`-logŒ`aÛ`
10Û`
=log +log (2Û`_10Ü`)-log(2_10ÑÜ`)
;2#; 2
=logŒ`b -logŒ`aÛ`
=2-log`2+2 log`2+3-log`2+3=8
=;2#; logŒ`b-2 logŒ`a ④
다른풀이
=;2#; logŒ`b-2
log`50+log`4000-log`0.002
따라서 ;2#; logŒ`b-2=7에서 ;2#; logŒ`b=9이므로 =log`
50_4000
=log`
200000
0.002 0.002
logŒ`b=6 2_10Þ`
=log` =log`10¡`=8
⑤ 2_10ÑÜ`

1
19 log£`35- log¦`3 =log£`35-log£`7
23 log`a=2.716=2+0.716=log`10Û`+log`5.2
=log£`:£7°: =log (5.2_10Û`)=log`520
=log£`5 이므로 a=520
따라서 -0.284­=-1+0.716=log`10ÑÚ`+log`5.2
=log (5.2_10ÑÚ`)=log`0.52
{log£`35-
1
}_log°`9=log£`5_log°`9
log¦`3 이므로 b=0.52
=log£`9=log£`3Û`=2 따라서 a+100b=520+52=572
③  572

정답과 풀이 5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5 2017-11-01 오후 5:46:24


정답과 풀이

1
24 log`x-log` xÛ` =log`x-log`xÑÛ` 02 log£`4=b에서 log£`4를 밑이 2인 로그로 변환하면
logª`4 2
=log`x+2 log`x=3 log`x log£`4= = =b
logª`3 logª`3
1Élog`x<2이므로
3É3 log`x<6 logª`3=;b@; yy ➊
3 log`x가 정수이므로 logª`45
따라서 log¤`45=
3 log`x=3 또는 3 log`x=4 또는 3 log`x=5 logª`6
2 logª`3+logª`5
즉, log`x=1 또는 log`x=;3$; 또는 log`x=;3%;이므로 =
logª`2+logª`3
 yy ➋

x=10 또는 x=10;3$; 또는 x=10;3%; ;b$;+a


따라서 모든 x의 값의 곱은 =
1+;b@;
10_10;3$;_10;3%;=10Ý`
ab+4
④ =  yy ➌
b+2
ab+4

b+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logª`3의 값을 b로 나타낸 경우 30`%
➋ log¤`45를 밑이 2인 로그로 변환한 경우 30`%
➌ log¤`45를 a, b로 나타낸 경우 40`%

서술형 연습장 본문 18쪽

'2Œ1 ab+4
03 logŒ`'b=log 'b `a에서
01 5
02 b+2
03 8 ;2!; logŒ`b=2 logº`a

2
;2!; logŒ`b=  yy ➊
01 (a;2!;+a-;2!;)Û`=a+aÑÚ`+2=7 logŒ`b
a+aÑÚ`=5 yy ➊ (logŒ`b)Û`=4
(a-aÑÚ`)Û`=(a+aÑÚ`)Û`-4=25-4=21 logŒ`b=2 또는 logŒ`b=-2
1
a>1이므로 a-aÑÚ`=a-;a!;>0 즉, b=aÛ` 또는 b=aÑÛ`=  yy ➋
aÛ`
1
a-aÑÚ`='2Œ1 yy ➋ a, b는 1보다 큰 자연수이므로 b= 을 만족시키는 a, b의 값
aÛ`
a-aÑÚ` '2Œ1
따라서 =  yy ➌ 은 없다.
a+aÑÚ` 5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a, b)는 (2, 4), (3, 9), (4, 16), y,
'2Œ1
 (9, 81)의 8개이다. yy ➌
5
8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a+aÑÚ`의 값을 구한 경우 3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➋ a-aÑÚ`의 값을 구한 경우 50`% ➊ 주어진 식을 밑이 a인 로그로 나타낸 경우 30`%

a-aÑÚ` ➋ a와 b의 관계식을 구한 경우 30`%


➌ 의 값을 구한 경우 20`%
a+aÑÚ` ➌ 순서쌍 (a, b)의 개수를 구한 경우 40`%

6 올림포스•수학Ⅰ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6 2017-11-01 오후 5:46:24


+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19쪽

01 ② 02 ③ 03 ⑤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기본 유형 익히기
01 a=6Â`(l은 자연수), b=µ   '1Œ2 (m은 2 이상의 자연수)라 유제 본문 23~25쪽

하면 1. ④ 2. 8 3. ② 4. ⑤ 5. ②
abß`=6Â`_(µ  '1Œ2)ß`=(2_3)Â`_(2Û`_3) =2
6 12 6
m
l+
m _3l+
m 6. 4
81c=2Ç`_3Ý`

l+
6
=4에서 (l, m)은 (1, 2), (2, 3), (3, 6)이므로
1. y
20
y=10Å
m
12
l+ 의 값은 l=3, m=6일 때 5로 최소이다.
m
5
따라서 n의 최솟값은 5이다.
O a b x
②
그래프에서 10Œ`=5, 10º`=20이므로
로그의 정의에서
a=log`5, b=log`20
02 alogª`9=9logª`a=32 logª`a=3logª`aÛ`에서 따라서 b-a=log`20-log`5
alogª`9의 값이 정수가 되려면
=log`:ª5¼:=log`4=2 log`2
aÛ`=2Ç` (n=0, 1, 2, y)의 꼴이어야 한다.
④
a=2;2ÇN; (n=0, 1, 2, y) yy ㉠
따라서 ㉠을 만족시키는 10보다 작은 양수 a의 값을 차례대로
나열하면 1, '2, 2, 2'2, 4, 4'2, 8이므로
2. y=9(3x-1+1)
=9_3x-1+9
모든 a의 값의 곱은
=3Û`_3x-1+9
;2!;+1+;2#;+2+;2%;+3 :ª2Á:
2 =2 =3x+1+9
③ 이므로 이 그래프는 함수 y=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9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a=-1, b=9이므로
a+b=-1+9=8
03 규모가 6.2인 지진의 최대 진폭을 xÁ`lm, 규모가 3.7인 8
지진의 최대 진폭을 xª`lm라 하면
6.2=log`xÁ yy ㉠
3. log1.3`A=10, log1.3`B=6이므로
3.7=log`xª yy ㉡
log1.3`;bA;=log1.3`A-log1.3`B=10-6=4
㉠-㉡에서 6.2-3.7=log`xÁ-log`xª
xÁ 그래프에서 log1.3`b=4이므로 y
2.5=log` y=logÁ £`x
xª 10
ù`
;bA;=b 8

=102.5=100'1Œ0 6
xª 4
2
따라서 규모가 6.2인 지진의 최대 진폭은 규모가 3.7인 지진의
O ab c d e x
최대 진폭의 100'1Œ0배이다.
⑤ ②

정답과 풀이 7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7 2017-11-01 오후 5:46:25


정답과 풀이

4. A=-log;5!;`6=log;5!;`;6!;, B=1=log;5!;`;5!;
01 ①, ②, ③은 ;a!;의 값이 0과 1 사이이므로 a의 값의 범위
C=2 log;5!;`;2!;=log;5!;`{;2!;}2`=log;5!;`;4!;
는 1보다 크다.

④, ⑤는 ;a!;의 값이 1보다 크므로 a의 값의 범위는 0과 1 사이


함수 y=log;5!;`x의 그래프는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
이다.
하므로
④, ⑤에서 ;a!;의 값이 클수록 함수의 증가폭이 크므로 ④의 ;a!;
log;5!;`;4!;<log;5!;`;5!;<log;5!;`;6!;
의 값이 제일 크다.
따라서 C<B<A 따라서 a의 값이 가장 작은 것은 ④이다.
⑤ ④

{;4!;} >{;8!;}2`에서 {;2!;}2` /` >{;2!;}6` 02


x

5. f(x)=aÅ`에서

f(2)=;4!;이므로 aÛ`=;4!;
밑 ;2!;은 1보다 작은 수이므로 2x<6, x<3 yy ㉠
a>0이므로 a=;2!;
1
x+1 <3에서 3-2x-2<3
9 x
따라서 f(x)={;2!;} 이므로
밑 3은 1보다 큰 수이므로 -2x-2<1, x>-;2#; yy ㉡
f(-3)={;2!;} =8
-3

㉠, ㉡에서 구하는 x의 값의 범위는


⑤
-;2#;<x<3

따라서 정수 x는 -1, 0, 1, 2의 4개이다.


03 f(x)=2;2{;이므로
②
f(a)=m에서 2;2A;=m,  f(b)=n에서 2;2B;=n
a+b
mn=2;2A;_2;2B;=2
6.
2
진수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a+b=6이므로 mn=2Ü`=8
x>0, x-3>0에서 x>3 yy ㉠
③
주어진 방정식에서 logª`x(x-3)=2
x(x-3)=2Û`, xÛ`-3x-4=0, (x+1)(x-4)=0
xÛ`-2x-1
x=-1 또는 x=4 04 y={;2!;} 은 밑이 1보다 작으므로 xÛ`-2x-1의 값
㉠에서 x>3이므로 x=4
이 최소일 때, y는 최댓값을 갖는다.
4
xÛ`-2x-1=(x-1)Û`-2이므로 xÛ`-2x-1의 값은 x=1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따라서 y의 최댓값은
-2
유형 확인 본문 26~29쪽 y={;2!;} =4

01 ④ 02 ⑤ 03 ③ 04 ⑤ 05 ③ ⑤

06 ⑤ 07 ② 08 ③ 09 ③ 10 15
11 ③ 12 ③ 13 ④ 14 ② 15 ③ 05 y=3 x-1
+k의 그래프가 점 (3, 6)을 지나므로
3-1
6=3 +k=9+k에서 k=-3
16 ③ 17 ④ 18 2 19 100 20 7
따라서 y=3x-1-3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y=-3이다.
21 ② 22 ④ 23 ① 24 1000
③

8 올림포스•수학Ⅰ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8 2017-11-01 오후 5:46:25


06 y=a Å`+1 (a>0, a+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09 y
2
y=log¢`x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1
y=ax+2+1 O 1 4 16 x
이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x=16

y=a-x+2+1 y좌표가 0인 점의 x좌표는 1, 2, 3, y, 16의 16개


aâ`=1이므로 y=a-x+2+1의 그래프는 a의 값에 관계없이 항 y좌표가 1인 점의 x좌표는 4, 5, 6, y, 16의 13개
상 점 (2, 2)를 지난다. 따라서 p=2, q=2이므로 y좌표가 2인 점의 x좌표는 16의 1개
p+q=4 따라서 구하는 점의 개수는 16+13+1=30(개)
⑤ ③

10 점 A의 좌표를 {;4!;, p}라 하면


07 2Å`=t(t>0)라 하면
y=tÛ`-4t+8=(t-2)Û`+4 p=log;2!;`;4!;=log;2!;`{;2!;}2`=2 log;2!;`;2!;=2
정의역이 xÉ2이므로 0<tÉ2Û`=4
점 D의 y좌표는 2이므로 점 D의 좌표를 (q, 2)라 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y는 t=4일 때  y
y=(t-2)Û`+4
2=logª`q에서 q=2Û`=4
최댓값 M=8, t=2일 때 최솟값
8 함수 y=logª`x의 그래프는 함수 y=log;2!;`x의 그래프를 x축
m=4를 갖는다.
4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두 점 A, B는 x축에 대하여
따라서 M+m=8+4=12
서로 대칭이다.
O 2 4 t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넓이는
②
ABÓ_ADÓ=(2_2)_{4-;4!;}=4_:Á4°:=15

 15

08 y y=log `x
Œ`
m y=log `x
º`
11 함수 y=log 2a-1`x가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이 감소
하려면 로그함수의 밑 2a-1의 값의 범위가 0<2a-1<1이
O x
n 어야 한다.
y=log x
``
y=log``x 즉, 1<2a<2에서 ;2!;<a<1

그림에서 y=logŒ`x, y=logº`x의 그래프는 x의 값이 증가하 ③


면 y의 값도 증가하므로 a>1, b>1이고, m>0일 때 aµ  <bµ  
이므로 a<b 12 진수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즉, 1<a<b 'x>0, 16-x>0에서 0<x<16 yy ㉠
y=log`x, y=log¶`x의 그래프는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 f(x)­=logª`'x+log¢ (16-x)
은 감소하므로 =log¢`x+log¢ (16-x)
0<c<1, 0<d<1이고, =log¢`x(16-x)
n<0일 때 dÇ`<cÇ` 이므로 c<d 밑 4는 1보다 크므로 진수 x(16-x)가 최대일 때, 함수 f(x)
즉, 0<c<d<1 의 값도 최대이다.
따라서 0<c<d<1<a<b이므로 x(16-x)=-xÛ`+16x=-(x-8)Û`+64
c<d<a<b 따라서 x=8일 때 함수 f(x)는 최댓값 log¢`64=3을 갖는다.
③ ③

정답과 풀이 9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9 2017-11-01 오후 5:46:26


정답과 풀이

13 함수 y=logª`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 밑이 1보다 큰 수이므로 2x<;2#;


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즉, x<;4#;
y=logª (x-1)+3
이 그래프가 점 (p, 7)을 지나므로 A={x|x>-2}, B=[x|x<;4#;]이므로
7=logª (p-1)+3, logª (p-1)=4
p-1=2Ý` A;B=[x|-2<x<;4#;]
따라서 p=2Ý`+1=17
따라서 a=-2, b=;4#;이므로
④
ab=(-2)_;4#;=-;2#;
14 함수 y=logª`4x=logª`x+2의 그래프는 함수 y=logª`x ④
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y=logª`4x의 그래프는 점 (1, 2)를 지나고 y=logª`x의 그래
프는 점 (4, 2)를 지나므로 구하는 넓이는 다음과 같다. 18 4 =(2 ) =(2 ) 이고 2
x 2 x x 2 x+1
=2_2x이므로
2x=t(t>0)로 놓으면

=
주어진 방정식은 tÛ`-2t-8=0
(t+2)(t-4)=0, t=-2 또는 t=4
t=2x>0이므로 t=4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따라서 2x=4=22에서 x=2
2_3=6
2
②
참고

x 항이 세 개 이상인 지수방정식에서 aÅ`으로 나타낼 수 있는 항이


15 {;8!;} =16'2, (2ÑÜ`)Å`=2Ý`_2 ;2!;
=2;2(;
반복되어 나오는 경우는 aÅ`=t로 치환하여 풀면 편리한 경우가
2ÑÜ`Å`=2 에서 -3x=;2(;
;2(; 많다. t의 값이 양수임에 주의하여 먼저 t의 값을 구한 후 x의
값을 구하면 된다.
따라서 x=-;2#;

③ 19 a분 후의 유산균의 수가 32000마리라 하면
a
1000_2 20 =32000
É0.25x-2, (5Û`)xÛ`-5É{;5!;}
5x-2

16 25 xÛ`-5
a a
2 20 =32, 2 20 =2Þ`
52xÛ`-10É5-5x+2 a
따라서 =5에서 a=100이므로 100분 후이다.
밑 5가 1보다 크므로 2xÛ`-10É-5x+2 20
2xÛ`+5x-12É0, (x+4)(2x-3)É0  100

-4ÉxÉ;2#;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4, -3, -2,


20 진수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xÛ`-3x-10>0에서
-1, 0, 1의 6개이다.
(x+2)(x-5)>0
③
x<-2 또는 x>5 yy ㉠
x x x-1>0에서 x>1 yy ㉡
17 {;3!;} <9에서 {;3!;} <{;3!;}
-2

㉠, ㉡을 동시에 만족해야하므로 x>5 yy ㉢


밑이 1보다 작은 수이므로 x>-2 log£ (xÛ`-3x-10)=log£ (x-1)+1에서
4Å`<2'2에서 2 <2 2x ;2#; log£ (xÛ`-3x-10)=log£ (x-1)+log£`3

10 올림포스•수학Ⅰ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10 2017-11-01 오후 5:46:26


log£ (xÛ`-3x-10)=log£`3(x-1) ab=2ÑÞ`=;3Á2;
즉, xÛ`-3x-10=3(x-1)
①
xÛ`-6x-7=0, (x+1)(x-7)=0
x=-1 또는 x=7 참고

㉢에서 x>5이므로 x=7 logŒ`x가 반복될 때는 logŒ`x=t로 치환하여 풀면 편리한 경우


7 가 많다. t에 관한 방정식을 풀어 먼저 t의 값을 구한 후 x의 값
을 구하면 된다.

21 진수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x>0


}에서
a
logª`x-2>0에서 x>4 yy ㉠ 24 90=10{12+log` 1000Û `
log¢ (logª`x-2)É;2!;, logª`x-2É4;2!;=2 a a
9=12+log` , log` =-3
(10Ü`)Û` 10ß`
logª`xÉ4에서 xÉ2Ý`=16 yy ㉡
a
따라서 ㉠, ㉡을 모두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4<xÉ16 =10ÑÜ`
10ß`
이므로 구하는 정수의 개수는 따라서 a=10ß`_10ÑÜ`=10Ü`=1000
16-4=12  1000
②

22 진수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x>0, x-15>0에서 x>15 yy ㉠
log`x+log (x-15)É2
log`x(x-15)Élog`10Û`
밑이 10으로 1보다 크므로 서술형 연습장 본문 30쪽
x(x-15)É100, xÛ`-15x-100É0
(x+5)(x-20)É0 01 -4 02 x=-3 또는 x=4 03 33
-5ÉxÉ20 yy ㉡
㉠, ㉡을 모두 만족해야 하므로 구하는 부등식의 해는
15<xÉ20
01 y=log ;2!; (xÛ`+4x+8)에서 밑이 1보다 작으므로 x의 값
이 커지면 y의 값은 작아진다.
따라서 정수 x는 16, 17, 18, 19, 20의 5개이다.
즉, 진수가 최소일 때, y의 값은 최대가 된다. yy ➊
④
xÛ`+4x+8=(x+2)Û`+4에서
x=-2일 때 진수의 최솟값은 4이므로

23 (logª`4x)(logª`8x)-12=0 y의 최댓값은 log;2!;`4=log2ÑÚ``2Û`=-2


(2+logª`x)(3+logª`x)-12=0 따라서 a=-2, b=-2이므로 yy ➋
logª`x=t로 놓으면 a+b=-4 yy ➌
(t+2)(t+3)-12=0  -4
tÛ`+5t-6=0, (t-1)(t+6)=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t=1 또는 t=-6 진수가 최소일 때, y의 값이 최대임을 나타낸
➊ 30`%
즉, t=1일 때 logª`x=1에서 x=2 경우
t=-6일 때 logª`x=-6에서 x=2Ñß` ➋ a, b의 값을 구한 경우 60`%
따라서 주어진 로그방정식의 두 근 a, b는 2, 2Ñß`이므로 ➌ a+b의 값을 구한 경우 10`%

정답과 풀이 11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11 2017-11-01 오후 5:46:27


정답과 풀이

02 20Å`=(4_5)Å`=4Å`_5Å`=(2Û`)Å`_5Å`=2Û`Å`_5Å` 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2x
2 _5 xÛ`-12 2x
=2 _5 x
yy ➊ ➊ 함수  f(x)의 식을 구한 경우 30`%
22x>0이므로 양변을 22x으로 나누면 ➋ b의 값을 구한 경우 30`%

5xÛ`-12
=5 x ➌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xÛ`-12=x yy ➋
xÛ`-x-12=0, (x+3)(x-4)=0
따라서 x=-3 또는 x=4 yy ➌
 x=-3 또는 x=4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31쪽

➊ 주어진 식의 밑을 2와 5로 나타낸 경우 30`%


➋ x에 대한 방정식을 구한 경우 30`%
01 2018 02 ③ 03 37
➌ x의 값을 구한 경우 40`%
01 P(4, 2)이므로 PÁ (4, 0)
2Å`=2에서 x=1이므로 Pª (1, 2), P£ (1, 0)
03 함수 y=f(x)의 그래프와 함수 y=logª (x-1)의 그래 a=2Ç` 일 때
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 P(2, b)를 직선 y=x Q(2Ç`, n)이므로 QÁ (2Ç`, 0)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 P'(b, 2)는 곡선 y=logª (x-1) 위 2Å`=n에서 x=logª`n이므로 Qª (logª`n, n), Q£ (logª`n, 0)
의 점이다. yy ➊ S(2Ç`)=PPÁÓ_PÁQ£Ó=2_(4-logª`n)=2에서
2=logª (b-1)에서 b-1=2Û`=4 logª`n=3이므로 n=2Ü`=8
b=5 yy ➋ 따라서 D(2Ç` )=D(2¡`)­= QÁQQªQ£- PÁPPªP£
점 Q(a, b)는 곡선 y=logª (x-1) 위의 점이므로 =QQÁÓ_QQªÓ-PPÓÁÕ_PPÓªÕ
5=logª (a-1)에서 a-1=2Þ` =8_(2¡`-logª`8)-2_(4-1)
따라서 a=2Þ`+1=33 yy ➌ =8_(256-3)-6
 33 =2018
단계 채점 기준 비율  2018
점 (b, 2)가 곡선 y=logª (x-1) 위의 점임
➊ 30`%
을 나타낸 경우
➋ b의 값을 구한 경우 30`% 02 ACÓ=logª`k, BCÓ=-logŒ`k이고
ACÓ : BCÓ=2 : 5이므로
➌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2 logŒ`k=5logª`k=c(c는 상수)

-2 logŒ`k=c에서 logŒ`k=-;2C;, k=a-;2C;


다른풀이
yy ㉠
y=logª (x-1)에서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2´`=x-1, x=2´`+1 5logª`k=c에서 logª`k=;5C;, k=2;5C; yy ㉡
여기서 x와 y를 바꾸면 y=2Å`+1
㉠, ㉡에서 a-;2C;=2;5C;, a=2-;5@;
따라서  f(x)=2Å`+1 yy ➊
점 P(2, b)는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aÇ`<;10!0;에서 (2-;5@;)Ç` <10ÑÛ`, 2-;5N;<10ÑÚ`, 2;5N;>10
b=2Û`+1=5 yy ➋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점 Q(a, b)는 곡선 y=logª (x-1) 위의 점이므로 5 5
;5N; log`2>1, n> = =16.6y
5=logª (a-1) log`2 0.3010
a-1=2Þ` 따라서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17이다.
따라서 a=2Þ`+1=33 yy ➌ ③

12 올림포스•수학Ⅰ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12 2017-11-01 오후 5:46:27


03 정수 작업을 1회 할 때마다 x%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 02 A='2= 2_6
"Å2ß`=Ú`Û '6Œ4
으므로 남아있는 불순물의 양은 (100-x)%이다. B=Ü '3= 3_4
"Å3Ý`=Ú`Û '8Œ1
정수 작업 전 불순물의 양을 A(A>0)라 하면 C=Ý '5=4_3"Å5Ü`=Ú`Û '1§25
1회 정수 작업을 한 후 남아있는 불순물의 양은 따라서 A<B<C
x ①
}A={
100-x
A-;10{0;A={1- }A
100 100 참고
2회 정수 작업을 한 후 남아있는 불순물의 양은 '2, Ü '3, Ý '5에서 2, 3, 4의 최소공배수는 12이므로
{
100-x
}A-;10{0; {
100-x
}A Ç "Åaµ  =Ç  ¹ "Åaµ  ¹`을 이용하여 A, B, C를 모두 Ú`Û 'a의 꼴로 고친다.
100 100
100-x 100-x 2` 03 logª`A=21에서 A=2Û`Ú`
={1-;10{0;}{ }A={ }A
100 100 log¢`B=6에서 B=4ß`=(2Û`)ß`=2Ú`Û`

100-x 5`
 2Û`Ú`
따라서 ;bA;= =2Û`Ú`ÑÚ`Û`=2á`이므로
5회 정수 작업을 한 후 남아있는 불순물의 양은 { }A 2Ú`Û`
100
n=9
따라서
100-x 5`
④
(100-x)Þ`
{ } AÉ;1Á0;A, É;1Á0;, (100-x)Þ`É10á`
100 10Ú`â` 04 log 'a` Ý '8=3에서 ('a)Ü`=Ý '8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a;2#;=2;4#;
5 log (100-x)É9
따라서 a=(2;4#;);3@;=2;2!;='2
log (100-x)É1.8­=1+0.8
④
=log`10+log`6.31 다른풀이
=log`63.1
log'a Ý '8=loga 2;4#;=;2#; logŒ`2=3
;2!;

따라서 100-xÉ63.1에서 x¾36.9이므로 자연수 x의 최솟값


은 37이다. logŒ`2=2, aÛ`=2
 37 이때 a>0이므로 a='2

logª`'8
05 logª`9_log£`'8=2logª`3_ logª`3
=2 logª`'8
대단원 종합 문제 본문 32~35쪽
=logª`8
01 ③ 02 ① 03 ④ 04 ④ 05 ③ =logª`2Ü`=3
06 4 07 ③ 08 3 09 39 10 13 ③

11 ④ 12 ① 13 28 14 ① 15 12 06 y=2 x-1
_33-x
16 ④ 17 ③ 18 99 19 ② 20 ③ =2Å`_2ÑÚ`_3Ü`_3ÑÅ`
21 ③ 22 22 23 5 24 14 25 5 3Ü`_2Å`
=
2_3Å`
x

01 Ü`"Å'8="Ü`'8='2 =:ª2¦: {;3@;}


Ý '3Œ6 Ý "Å6Û` '6 밑이 1보다 작으므로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 = =®;3^; ='2
'3 '3 '3 따라서 -1ÉxÉ3에서 y의 최솟값은 x=3일 때이므로
Ý '3Œ6
따라서 Ü "Å'8+
3
='2+'2=2'2 :ª2¦: {;3@;} =4
'3
③ 4

정답과 풀이 13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13 2017-11-01 오후 5:46:27


정답과 풀이

-x-1

07 3 <'¶27<{;9!;}
x-5
에서 10 aÜ`Å`-aÑÜ`Å`
=
(aÜ`Å`-aÑÜ`Å`)_aÅ`
aÅ`+aÑÅ` (aÅ`+aÑÅ`)_aÅ`
3x-5<3;2#;<32x+2 =
a3x+x-a-3x+x
밑이 1보다 큰 수이므로 ax+x+a-x+x
a4x-a-2x
x-5<;2#; <2x+2 =
a2x+1
1
(aÛ``Å )Û`- 2x
x-5<;2#; 에서 x<:Á2£: yy ㉠ a
=
aÛ`Å`+1
;2#;<2x+2에서 -;4!; <x yy ㉡ 1
2Û`-
2
㉠, ㉡에서 =
2+1

-;4!; <x<:Á2£: ;2&;


= =;6&;
3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는 0, 1, 2, 3, 4, 5, 6의 7개이다.
따라서 p=6, q=7이므로 p+q=6+7=13
③
 13

11 logª {log£ (log¢`x)}=0에서 log£ (log¢`x)=1


log£ (log¢`x)=1에서 log¢`x=3
08 진수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따라서 x=4Ü`=(2Û`)Ü`=2ß`이므로
3x+7>0, x+1>0
6
log'2`x=log2 `2ß`=
;2!; logª`2=12
즉, x>-;3&;, x>-1이므로 ;2!;

x>-1 yy ㉠ ④
주어진 방정식에서
1 1
log£ (3x+7)=log£ (x+1)Û`
12 logŒ`c+logŒ`d
+
logº`c+logº`d
3x+7=(x+1)Û`, xÛ`-x-6=0
1 1
(x+2)(x-3)=0, x=-2 또는 x=3 = +
logŒ`cd logº`cd
㉠에서 x>-1이므로 x=3
=log¶`a+log¶`b
3
=log¶`ab
=2
이므로 ab=(cd)Û`
;2!; log`c+;2!; log`d
09 a가 3의 거듭제곱이므로 a=3Ç` (n은 자연수)이라 놓으면 따라서
log`'c+log`'d
log`a+log`b
=
log`a+log`b
18Ý`_(2a)ÑÜ`Ö24ÑÛ`=(2_3Û`)Ý`_(2_3Ç`)ÑÜ`_(2Ü`_3)Û`
=24-3+6_38-3n+2 ;2!; log`cd
10-3n =
=2à`_3 log`ab
따라서 18Ý`_(2a)ÑÜ`Ö24ÑÛ`의 값이 정수가 되려면 10-3n¾0 ;2!; log`cd
이어야 하므로 =
log`(cd)Û`
n=1, 2, 3
즉, a는 3, 3Û`, 3Ü`이므로 그 합은 ;2!; log`cd
= =;4!;
3+9+27=39 2 log`cd
 39 ①

14 올림포스•수학Ⅰ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14 2017-11-01 오후 5:46:27


13 y=2Å`-5의 그래프는 y=2Å`의 그 y y=2Å`-5
다른풀이

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 y=logª (x-5)+8에서 x-5=2y-8, x=2y-8+5


9
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f(x)=2x-8+5
y-2 y-2
y=-3Å`+10의 그래프는 y=3Å`의 그래
O x y=log;3!; (3-x)+2에서 3-x={;3!;} , x=-{;3!;} +3
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고 y축의 -4 y=-3Å`+10 x-2
방향으로 10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즉, g(x)=-{;3!;} +3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f(x)>5, g(x)<3이므로  y
y=f(x)
따라서 두 곡선 y=2Å`-5, y=-3Å`+10과 y축으로 둘러싸인
g(x)<n<f(x)를 만족시키는 정수 n은
부분은 그림의 어두운 부분이다.
3, 4, 5이고 그 합은 12이다.
5
f(x)=2Å`-5, g(x)=-3Å`+10이라 하고 3
x=k(k=0, 1, 2, y)일 때, f(k)ÉyÉg(k)를 만족시키는 O x
y=g(x)
정수 y의 개수를 aû라 하면
x=0일 때, g(0)- f(0)=9-(-4)=13에서 a¼=14
x=1일 때, g(1)- f(1)=7-(-3)=10에서 aÁ=11
16 4 -3_2 x x+1
+k+5=0에서
x x x+1
4 =(2 )Û`이고 2 =2_2x이므로
x=2일 때, g(2)- f(2)=1-(-1)=2에서 aª=3 x
2 =t (t>0)로 놓으면
x=3일 때, g(3)< f(3)이므로 a£=0
tÛ`-6t+k+5=0 yy ㉠
a¢=a°=a¤=y=0
따라서 방정식 ㉠이 t>0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다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 (x, y)의 개수는
음 세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a¼+aÁ+aª=14+11+3=28
D D
 28 Ú >0에서 =9-(k+5)>0
4 4
k<4 yy ㉡

14 y=logŒ`x와 y=logº`x는 모두 감소함수이므로 Û (두 근의 합)=6>0


0<a<1, 0<b<1 Ü (두 근의 곱)=k+5>0, k>-5 yy ㉢
즉, 0<aº`<1 ㉡, ㉢에서 -5<k<4
0<x<1일 때 logº`x>logŒ`x이므로 a<b이다. 따라서 정수 k는 -4, -3, -2, -1, 0, 1, 2, 3의 8개이다.
y y ④
즉, ;aB;>1
x 17 2019년도 가격을 a원이라 하면
따라서 함수 y={;aB;} -aº`의 그래프의 1년 후의 가격은 (1+0.08)a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x 2년 후의
O 가격은x(1+0.08)Û`a

y ① n년 후의
y 가격은 (1+0.08)Ç`a가 되므로
1.08Ç`a¾2a에서 1.08Ç`¾2

15 y=logª (x-5)+8의 정의역은 x>5이므로 역함수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n log`1.08¾log`2


x
y=f(x)의 치역은 y>5이다. n log`;1!0)0*;¾log`2
x
O O
y=log;3!; (3-x)+2의 정의역은 x<3이므로 역함수 y=g(x)
n log (3Ü`_2Û`_10ÑÛ`)¾log`2
의 치역은 y<3이다.
y n(3 log`3+2
y log`2-2)¾log`2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n< f(x)를 만족시키는
n(3_0.4771+2_0.3010-2)¾0.3010
정수 n은 3, 4, 5이고 그 합은 12이다.
0.3010
 12 n¾ =9.03y
0.0333
O x O x

정답과 풀이 15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15 2017-11-01 오후 5:46:28


정답과 풀이

따라서 최소 10년 후인 2029년부터 놀이공원 입장료의 가격이


21 ㄱ. ­1<a<b에서 logº`a<1, 1<logŒ`b
2배 이상이 된다. 따라서 logº`a<logŒ`b (참)
③ ㄴ. ­0<a-1<b-1<1에서
0<log(a-1)(b-1)<1 (거짓)

7 8 Ü "ÅnÝ`` _Ý 78 'n` =¦ n ¥ _¦ n ¥
;3$; ;2!; ;2!; ;4!; ㄷ. ­0<a-1<b-1<1이므 y
18 Ý 'Œn Ü "½nÝ` n;4!; n;3$;
로 y=log(a-1)`x,
y=log(b-1)`x의 그래프는
=(n;3$;-;4!;);2!;_(n;2!;-;3$;);4!; a b
오른쪽과 같다. O 1 x
;1!2#;_;2!;-;6%;_;4!;
=n log(a-1)`a>log(b-1)`b y=log[ŒÐÁ]``x
;3!;
=n (참) y=log[ºÐÁ]``x

즉, n=kÜ`Â`(k, l은 자연수)의 꼴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따라서 n은 2 이상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n=2Ü`, 2ß`(=4Ü`), ③
3Ü`이고, 그 합은
8+64+27=99
 99

22 함수 y=log `2{x-;2P;}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x=;2P;


;2!;

19 2 x+1
+2 =ay
yy ㉠
이므로 이 점 근선이 직선 x=4보다 왼쪽에 있을 때 함수
2x-2y+1=1 yy ㉡
y=log;2!;`(2x-p)의 그래프와 직선 x=4가 한 점에서 만난다.
㉠_2+㉡에서 2x+2+2x=2a+1, 5_2x=2a+1 yy ㉢ y
㉠-㉡_2에서 2y+2y+2=a-2, 5_2y=a-2 yy ㉣
㉢_㉣에서 25_2x+y=(2a+1)(a-2)
위 식에 x+y=2를 대입하면 100=2aÛ`-3a-2
O x
따라서 2aÛ`-3a=102 y=log 1 `(2x-p)
②
2

p
x= 2 x=4

20 ㄱ. 2Ü`=8_10â`이므로  f(3)=0 즉, ;2P; <4에서 p<8 yy ㉠


2Ý`=16=1.6_10Ú`이므로  f(4)=1
p>0일 때 함수 y=|2ÑÅ`-p|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p
따라서 f(3)< f(4) (참)
이므로 이 점근선이 직선 y=3보다 위쪽에 있을 때, 함수
ㄴ. 2ß`=64=6.4_10Ú`이므로 g(6)=log 6.4
y=|2ÑÅ`-p|의 그래프와 직선 y=3이 두 점에서 만난다.
2à`=128=1.28_10Û`이므로 g(7)=log 1.28
y=|2ÑÅ`-p| y
log`6.4>log`1.28이므로 g(6)>g(7) (거짓)
ㄷ.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y=p
y=3
log`2Ç`=log (b_10Œ`)=a+log`b= f(n)+g(n)
O x
log`2n+1=log (b'_10Œ` ')=a'+log`b'
y=-p
=f(n+1)+g(n+1)
log`2n+1>log`2n이므로 즉, p>3 yy ㉡
f(n+1)+g(n+1)> f(n)+g(n) ㉠, ㉡에서 p의 값의 범위는 3<p<8
따라서  f(n+1)-f(n)>g(n)-g(n+1) (참) 따라서 정수 p의 값은 4, 5, 6, 7이므로 그 합은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4+5+6+7=22
③  22

16 올림포스•수학Ⅰ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16 2017-11-01 오후 5:46:29


23 조건 (가), (나)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실수 Ⅱ. 삼각함수
전체의 집합에서 다음 그림과 같다.
y
03 삼각함수의 뜻과 그래프

2 y=logª `x
Ç`
... ... ...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40~43쪽
y=f(x)

4. -;;Á4Á;; 5. 4
-1 O 1 2 3 4 (2n)Û x
1. ③ 2. 3 3. ④
y=logªÇ`x의 그래프는 두 점 (1, 0), ((2n)Û`, 2)를 지나므로 6. ③ 7. ① 8. ;6&; p
y=f(x)의 그래프와 {(2n)Û`-1}개의 점에서 만난다.
(2n)Û`-1=99, (2n)Û`=100, 2n=10, n=5 1. h를 나타내는 동경과 3h를 나타내는 동경이 y축에 대하여
5 대칭이므로 h+3h=2np+p (n은 정수)에서
2n+1
24 "µ '4_Ç "Ü '2=(2Û`)
1 1 1 1
2m _2 3n =2 m
+
3n =2;4!; h=
4
p
1 1
+ =;4!; yy ➊ 0<h<p이므로
m 3n
p
12n+4m=3mn, (m-4)(3n-4)=16 yy ㉠ n=0일 때 h=
4
m,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므로
n=1일 때 h=;4#;p
등식 ㉠을 만족시키는 m, n의 값은
따라서 h의 값을 모두 합하면
m=6, n=4 또는 m=12, n=2 yy ➋
p
따라서 m+n의 최댓값은 m=12, n=2일 때 +;4#;p=p
4
m+n=12+2=14 yy ➌ ③
 1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등식을 구한 경우 40`%
2. 원뿔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원뿔의 밑면의
둘레의 길이는 2pr
➋ m, n의 값을 구한 경우 40`%
옆면의 전개도인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는 원뿔의 모선의 길
➌ m+n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20`%
이인 10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5#; p이므로

25 y=log£ (x+1)에서 3 =x+1, x=3 -1 y y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10_;5#; p=6p


x와 y를 서로 바꾸면 y=3x-1
따라서  f(x)=3x-1 yy ㉠   yy ➊ 원뿔의 밑면의 둘레의 길이는 옆면의 전개도인 부채꼴의 호의
f(2x)+f(x+1)-52=0 길이와 같으므로
32x-1+3x+1-1-52=0 2pr=6p에서 r=3
x x
(3 )Û`+3_3 -54=0, (3 -6)(3 +9)=0 x x 3
3 >0이므로 3 =6, 즉 a=log£`6
x x
yy ➋
이것을 ㉠에 대입하면
f(a)=3a-1=3log£`6-1=6-1=5 yy ➌
3. sin`h`cos`h<0을 만족시키려면
sin`h>0, cos`h<0 또는 sin`h<0, cos`h>0
5 sin`h>0, cos`h<0인 각 h는 제2사분면의 각이고,
단계 채점 기준 비율 sin`h<0, cos`h>0인 각 h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➊ f(x)를 구한 경우 30`% 따라서 sin`h`cos`h<0인 각 h는 제2사분면 또는 제4분면의 각
➋ a의 값을 구한 경우 50`% 이다.
➌ f(a)의 값을 구한 경우 20`% ④

정답과 풀이 17

해 01-17 올림기본(수-1)_1단원-ok1.indd 17 2017-11-01 오후 5:46:29


정답과 풀이

13
4. xÛ`-x+k=0의 두 근이 sin`h+2`cos`h, 7. 방정식 2`cos`x+13=0에서 cos`x=-
2
이므로
sin`h-2`cos`h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는 그림과 같이 함수 y=cos`x의 그래프와
(두 근의 합)=2`sin`h=1, sin`h=;2!; 13
직선 y=- 과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2
(두 근의 곱)=sinÛ``h-4`cosÛ``h=k
y
따라서 y=cos`x
1
k=sinÛ``h-4(1-sinÛ``h)=5`sinÛ``h-4 5p 7p

=5_{;2!;}2`-4=-:Á4Á:
-
6 p -
6
O 2p x
'3 '3
- y=-
2 2
-1
 -:Á4Á:
5 7
즉, 구하는 방정식의 해는 x= p 또는 x= p
6 6
5 7
5. f(x)=2`cos (4x-3)이라 하면 a<b 이므로 a=
6
p, b= p
6
f(x)=2`cos (4x-3)=2`cos (4x-3+2p) 7 5 p
따라서 b-a= p- p=
6 6 3
=2`cos [4 {x+;2Ò;}-3]=f {x+;2Ò;}
①
이므로 함수 y=2`cos (4x-3)의 주기는 ;2Ò; 이다. 즉, a=;2!;
1
g(x)=tan`;2{;+2라 하면 8. 부등식 2`sin`x-1<0에서 sin`x<
2
이므로
1
주어진 부등식의 해는 함수 y=sin`x의 그래프가 직선 y=
g(x)=tan`;2{;+2=tan {;2{;+p}+2 2
보다 아래에 있는 x의 값의 범위와 같다.
=tan`;2!;(x+2p)+2=g(x+2p) y
y=sin`x
1 1
y=-
Ú 2
이므로 함수 y=tan`;2{;+2의 주기는 2p이다. 즉, b=2 -
2 3p
-
2 2p
O - p Þp p
p - x
2 6 2 -
따라서 ;aB;= =4 6
;2!; -1
4
p 5
즉, 구하는 부등식의 해는 0Éx< 또는 p<x<2p
6 6

6. sin`330ù=sin (360ù-30ù)=sin (-30ù) 따라서 a=


p
6
5
, b= p이므로
6
=-sin`30ù=-;2!; p 5 7
2a+b=2_ + p= p
6 6 6
cos`120ù=cos (90ù+30ù)=-sin`30ù=-;2!;  ;6&; p
tan`225ù=tan (180ù+45ù)=tan`45ù=1
따라서 유형 확인 본문 44~47쪽

sin`330ù+cos`120ù+tan`225ù=-;2!;+{-;2!;}+1=0
01 ④ 02 ③ 03 ⑤ 04 ② 05 ②
③ 06 ④ 07 ② 08 ⑤ 09 ⑤ 10 ②
참고 11 ② 12 ④ 13 ③ 14 ⑤ 15 ③
sin`330ù=sin (180ù+150ù)=-sin`150ù 16 ② 17 ③ 18 ③ 19 ③ 20 ⑤
=-sin (90ù+60ù)=-cos`60ù=-;2!; 21 ④ 22 ④ 23 ③ 24 ①

18 올림포스•수학Ⅰ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18 2017-11-01 오후 5:45:56


01 ① -1000ù=360ù_(-3)+80ù Ü n=3k+2이면
② -500ù=360ù_(-2)+220ù 11p h
2kp+ < <2kp+2p
6 3
③ 500ù=360ù_1+140ù
h
이므로 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④ 1000ù=360ù_2+280ù 3
⑤ 2000ù=360ù_5+200ù h
Ú, Û, Ü 에서 의 동경이 존재할 수 있는 사분면은 제2, 3,
3
따라서 a의 값이 가장 큰 것은 ④이다.
4사분면이다.
④
⑤
02 -460ù=360ù_(-2)+260ù
이므로 -460ù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04 부채꼴의 호의 길이가 p, 넓이가 ;2#; p이므로
4 4 180ùù
ㄱ. p= p_ =240ù이므로
3 3 p rh=p, ;2!; rÛ`h=;2#; p
4
p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3 두 식을 변끼리 나누면 ;2!; r=;2#; 에서 r=3
7 7 180ùù
ㄴ. p= p_ =315ù이므로 p
4 4 p 3h=p에서 h=
3
7
p는 제4사분면의 각이다. 따라서
rp 3p
= p =9
4
h
9 p p p 180ùù 3
ㄷ. - p=-2p+ 이고 = _ =36ù이므로
5 5 5 5 p ②
9
- p는 제1사분면의 각이다.
5
29 7 7 7 180ùù
05 반지름의 길이를 r, 호의 길이를 l이라 하면
ㄹ. - p=-6p+ p이고 p= p_ =210ù 2r+l=20 yy ㉠
6 6 6 6 p
1
이므로 -
29
p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S= rl yy ㉡
6 2
㉠에서 l=20-2r (0<r<10)을 ㉡에 대입하면
따라서 -460ù와 같은 사분면에 속하는 각은 ㄱ, ㄹ이다.
1
③ S= r(20-2r)=-rÛ`+10r=-(r-5)Û`+25
2
따라서 넓이가 최대일 때의 반지름의 길이는 5이다.
03 h가 제4사분면의 각이므로 ②
3p
2np+ <h<2np+2p(n은 정수)에서
2
2np p h
+ < <
2np
+
2p 06 삼각형 OAB는 이등변삼각형 B
3 2 3 3 3 이므로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M

h 하면 A
정수 k에 대하여 의 동경이 존재하는 사분면은 다음과 같다. h
3
OÕMÓ⊥ABÓ, AÕMÓ=BÕMÓ O
Ú n=3k이면
∠AOM=h라 하면
p h 2p
2kp+
2
< <2kp+
3 3 AÕMÓ 213 13 p p
sin`h= = = 이고, 0<h< 이므로 h=
OAÓ 4 2 2 3
h
이므로 는 제2사분면의 각이다.
3 부채꼴 OAB의 넓이를 SÁ이라 하면
Û n=3k+1이면 1 2 16
SÁ= _4Û`_ p= p
7p h 4p 2 3 3
2kp+ < <2kp+
6 3 3 삼각형 OAB의 넓이를 Sª라 하면
h 1 p
이므로 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Sª= _413_4`cos` =413
3 2 3

정답과 풀이 19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19 2017-11-01 오후 5:45:57


정답과 풀이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cos`h>0, tan`h>0 또는 cos`h<0, tan`h<0


16 16p-1213 cos`h>0, tan`h>0인 각 h는 제1사분면의 각이고,
SÁ-Sª= p-413=
3 3 cos`h<0, tan`h<0인 각 h는 제2사분면의 각이다.
④ 따라서 cos`h`tan`h<0인 각 h는 제1사분면 또는 제2사분
면의 각이다.
07 OPÓ=Á°(-12)Û`+5Û`=13이므로 Ú, Û 에서 각 h는 제2사분면의 각이다.
5 12 ㄱ. sin`h>0, cos`h<0이므로
sin`h= , cos`h=-
13 13
sin`h+cos`h>0 또는 sin`h+cos`h<0이다. (거짓)
5 12 7
따라서 sin`h+cos`h= - =- ㄴ. sin`h>0, tan`h<0이므로 sin`h-tan`h>0이다. (참)
13 13 13
② ㄷ. cos`h<0, tan`h<0이므로 cos`h+tan`h<0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08 sin`h=-;5$;<0, cos`h<0이므로 h는 제3사분면의 각 참고
이다. sin`h
cos`h`tan`h=cos`h_ =sin`h이므로
각 h를 나타내는 동경이 반지름의 길이가 5인 원과 만나는 점을 cos`h
P(a, -4)라 하면 a<0이다. cos`h`tan`h>0인 각 h는 제1사분면 또는 제2사분면의 각이다.
Á°aÛ`+(-4)Û` =5에서 aÛ`=9, a=-3

따라서 cos`h=-;5#;, tan`h=


-4
-3
=;3$;이므로 10 sin`h+cos`h=;2!; 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5`cos`h+9`tan`h=5_{-;5#;}+9_;3$;=-3+12=9 sinÛ``h+2`sin`h`cos`h+cosÛ``h=;4!;

⑤ sinÛ``h+cosÛ``h=1이므로 1+2`sin`h`cos`h=;4!;

따라서 sin`h`cos`h=-;8#; 이므로


다른풀이

sinÛ``h+cosÛ``h=1이므로
1 sin`h cos`h sinÛ``h+cosÛ``h
tan`h+ = + =
cosÛ``h=1-sinÛ``h=1-{-;5$;}Û`=;2»5; tan`h cos`h sin`h sin`h`cos`h
1
= =-;3*;
그런데 cos`h<0이므로 cos`h=-;5#; sin`h`cos`h
②
-;5$;
sin`h
tan`h= 이므로 tan`h= =;3$;
cos`h -;5#; tan`h tan`h
11 1-cos`h
-
1+cos`h
따라서 5`cos`h+9`tan`h=5_{-;5#;}+9_;3$; 1 1
=tan`h { - }
1-cos`h 1+cos`h
=-3+12=9
1+cos`h-(1-cos`h)
=tan`h [ ]
1-cosÛ``h
09 Ú sin`h`tan`h<0이면 =tan`h_
2`cos`h
sin`h>0, tan`h<0 또는 sin`h<0, tan`h>0 sinÛ``h
sin`h 2`cos`h
sin`h>0, tan`h<0인 각 h는 제2사분면의 각이고, = _
cos`h sinÛ``h
sin`h<0, tan`h>0인 각 h는 제3사분면의 각이다. 2
=
따라서 sin`h`tan`h<0인 각 h는 제2사분면 또는 제3사분 sin`h
면의 각이다. 따라서 a=2
Û cos`h`tan`h>0이면 ②

20 올림포스•수학Ⅰ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0 2017-11-01 오후 5:45:57


12 (sin`h+cos`h)Û`+(sin`h-cos`h)Û` a+b, 최솟값은 -a+b이다.
=sinÛ``h+2`sin`h`cos`h+cosÛ``h f(x)=a`sin (px+1)+b라 하면
 +sinÛ``h-2`sin`h`cos`h+cosÛ``h f(x)=a`sin (px+1)+b=a`sin (px+1+2p)+b
=2(sinÛ``h+cosÛ``h)=2 =a`sin {p(x+2)+1}+b=f(x+2)
이므로 a=2 이므로 함수 y=a`sin (px+1)+b의 주기는 2이다. 즉, p=2
cosÛ``h(1+tan`h)Û`-2`sin`h`cos`h 따라서 a+b=10, -a+b¾2이므로 순서쌍 (a, b)는

sin`h 2` (1, 9), (2, 8), (3, 7), (4, 6)의 4개이다.
=cosÛ``h {1+ } -2`sin`h`cos`h
cos`h ③
cos`h+sin`h 2`
=cosÛ``h { } -2`sin`h`cos`h
p p 13
cos`h
16 cos` 6 p=cos`{p+ 6 }=-cos` 6 =-
7
2
=(cos`h+sin`h)Û`-2`sin`h`cos`h
4 p p 13
=1+2`sin`h`cos`h-2`sin`h`cos`h=1 sin` p=sin`{p+ }=-sin` =-
3 3 3 2
이므로 b=1
4 p p
p}=cos` p=cos`{p+ }=-cos` =-
4 1
따라서 a+b=2+1=3 cos`{-
3 3 3 3 2
④ 따라서
7 4 4
p cos` p`sin` p+cos`{- p}
13 f(x)=sin {2x- }라 하면 6 3 3
3
13 13
}+{- }=;4!;
1
p p =- _{-
f(x)=sin {2x- }=sin {2x- +2p} 2 2 2
3 3
②
p
=sin [2(x+p)- ]=f(x+p)
3
p
17 sin`h+sin`2h+sin`3h+y+sin`20h
이므로 함수 y=sin {2x- }의 주기는 p이다. 즉, a=1 =(sin`h+sin`11h)+(sin`2h+sin`12h)+
3
y=|sin`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으므로 주기는 p이다.  y+(sin`10h+sin`20h)

b=1 ={sin`h+sin (p+h)}+{sin`2h+sin (p+2h)}+


y  y+{sin`10h+sin (p+10h)}
1 y=|sinx| =(sin`h-sin`h)+(sin`2h-sin`2h)+
 y+(sin`10h-sin`10h)
O p 2p x =0
③
따라서 a+b=1+1=2
③ p
18 sinÛ``h+sinÛ``{ 2 +h}+sinÛ` (p+h)+cosÛ` (p-h)
p
14 함수 y=2`cos`{x+ 2 }-1의 그래프는 =sinÛ``h+cosÛ``h+(-sin`h)Û`+{-cos (-h)}Û`
=sinÛ``h+cosÛ``h+sinÛ``h+cosÛ``h
p
y=2`cos`{x+ }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 =1+1=2
2
이동한 것이므로 ③

최댓값은 M=2-1=1, 최솟값은 m=-2-1=-3


12
따라서 M-2m=1-2_(-3)=7 19 방정식 2`sin`x+12=0에서 sin`x=- 2
이므로
⑤ 주어진 방정식의 해는 그림과 같이 함수 y=sin`x의 그래프와
12
15 a>0이므로 함수 y=a`sin (px+1)+b의 최댓값은 직선 y=-
2
와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정답과 풀이 21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1 2017-11-01 오후 5:45:58


정답과 풀이

y y y=cos`x
y=sin`x
1 1
1 1
5p-
3p 7p - y=-
- 2 2
4 2 -4 2p p
O p p x O p 5p 2p x
- - -
'2 2 '2 3 3
- y=-
2 2
-1 -1

5 7 즉, 구하는 방정식의 해는
즉, 구하는 방정식의 해는 x= p 또는 x= p
4 4
p 5
5 7 x= 또는 x= p
a<b 이므로 a= p, b= p 3 3
4 4
p 5
7 5 p a<b이므로 a= , b= p
따라서 b-a= p- p= 3 3
4 4 2
5 p 4
③ 따라서 b-a= p- = p
3 3 3
④
3
20 방정식 4 cosÛ`x-3=0에서 cosÛ`x= 4 이므로
13 13
cos`x= 또는 cos`x=-
2 2 22 부등식 tan`x>-13의 해는 함수 y=tan`x의 그래프가
13 직선 y=-13보다 위에 있는 x의 값의 범위와 같다.
방정식 cos`x= 의 해는 함수 y=cos`x의 그래프와
2 y y=tanx
13 13
직선 y= 과의 교점의 x좌표와 같고 방정식 cos`x=-
2 2 2p
-
5p
-
3 3
13 O p
- p 3p
-
2p x
의 해는 함수 y=cos`x의 그래프와 직선 y=- 과의 교점 2 2
2 -'3 y=-'3

의 x좌표와 같다.
y
y=cos`x 즉, 구하는 부등식의 해는
'3 1 '3
y=
2 2 p 2 3 5
5p 0Éx< 또는 p<x< p 또는 p<x<2p
-
6 p 2 3 2 3
O p p x p 2 5
- -
'3
6 2
'3
따라서 a= , b= p. c= p이므로
- y=-
2 3 3
2-1 2
p 2 5 17
a+b+c= + p+ p= p
p 5 2 3 3 6
즉, 구하는 방정식의 해는 x= 또는 x= p
6 6 ④
p 5
a<b이므로 a= , b= p
6 6
p 5
따라서 a+2b= +2_ p=
11
p 1 12
6 6 6 23 부등식 - 2 <cos`x< 2
의 해는
⑤
1
함수 y=cos`x의 그래프가 직선 y=- 보다 위에,
2
21 2`sinÛ``x-3`cos`x=0에서
12
2(1-cosÛ``x)-3`cos`x=0, 2`cosÛ``x+3`cos`x-2=0 직선 y= 보다 아래에 있는 x의 값의 범위와 같다.
2
(cos`x+2)(2`cos`x-1)=0
y
y=cos`x
1 1
'2
-1Écos`xÉ1이므로 cos`x= 122
2 -
2
y=
2
2p 4p
- -
1 3 p 3
그림과 같이 방정식 cos`x= 의 해는 함수 y=cos`x의 그래 O p 7 p 2p x
2 1` -
4
-
4 1
-- y=--
2` 2
1
프와 직선 y= 과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1
2

22 올림포스•수학Ⅰ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2 2017-11-01 오후 5:45:58


즉, 구하는 부등식의 해는 (sin`h-cos`h)Û`=(sin`h+cos`h)Û`-4`sin`h`cos`h
p 2 4 7 9 2
<x< p 또는 p<x< p = -4_
4 3 3 4 5 5
따라서 1
=  yy ➋
2 p 5
p- }+{ p- p}= p
7 4 5
(b-a)+(d-c)={
3 4 4 3 6 p p
<h< 이므로 sin`h-cos`h>0
4 2
③
1 15
따라서 sin`h-cos`h= =  yy ➌
'5 5
24 2x=t로 놓으면 0Éx<p이므로 0Ét<2p 15
13 
5
함수 y=sin`t의 그래프가 직선 y=- 보다 아래에 있는 t의
2
단계 채점 기준 비율
값의 범위를 구하면
➊ sin`h`cos`h의 값을 구한 경우 40`%
4 5
p<t< p ➋ (sin`h-cos`h)Û`의 값을 구한 경우 30`%
3 3
y ➌ sin`h-cos`h의 값을 구한 경우 30`%
y=sin`t
1

02 OPÓ=Á°rot{(-3)Û`+4Û`=5이므로
4 p-
3 p5 p
-
3 2 - 3
O p 2p t
4 3
13`` y13`` sin`h= , cos`h=-  yy ➊
--
2`-1
y=--
2`
5 5
따라서
2 5 sin (-h)+cos (p+h)=-sin`h-cos`h yy ➋
따라서 부등식의 해는 p<x< p이고
3 6
4 3 1
2 5 =- + =-  yy ➌
a= p, b= p이므로 5 5 5
3 6
1
5 2 p -
5
b-a= p- p=
6 3 6
①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sin`h, cos`h의 값을 각각 구한 경우 40`%
sin (-h), cos (p+h)를 각각 sin`h, cos`h로
➋ 40`%
나타낸 경우
➌ sin (-h)+cos (p+h)의 값을 구한 경우 20`%

0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2x`cos`h+2`cos`h>0
서술형 연습장 본문 48쪽
이 성립하므로 이차방정식 xÛ`-2x`cos`h+2`cos`h=0은 실근
을 갖지 않는다.
'5 p 3p
01 02 -;5!; 03 0Éh< 2 또는 <h<2p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5 2
D
=cosÛ``h-2`cos`h<0 yy ➊
3'5 4
01 sin`h+cos`h=
5
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cos`h (cos`h-2)<0

sinÛ``h+2`sin`h`cos`h+cosÛ``h=
9 cos`h-2<0이므로 cos`h>0 yy ➋
5
p 3p
sinÛ``h+cosÛ``h=1이므로 0Éh<2p이므로 0Éh< 또는 <h<2p yy ➌
2 2
9 2 p 3p
1+2`sin`h`cos`h= , sin`h`cos`h=  yy ➊  0Éh< 또는 <h<2p
5 5 2 2

정답과 풀이 23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3 2017-11-01 오후 5:45:59


정답과 풀이

단계 채점 기준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하여 부등식을 구한
비율
02 f(x)=sin`;2K; x라 하면
➊ 40`%
경우 f(x)=sin`;2K; x=sin {;2K; x+2p}
➋ 부등식을 풀어 cos`h의 범위를 구한 경우 30`%
=sin`;2K; {x+ }=f {x+
4p 4p
➌ h의 값의 범위를 구한 경우 30`% }
k k
4p
이므로 함수 y=sin`;2K; x의 주기는 이다.
k
+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49쪽 2p 2p
a+b=a+{ -a}=
k k
01 ③ 02 ④ 03 14 c+d={
2p
+a}+{
4p
-a}=
6p
k k k

01 함수 y=a`sin (bx-c)의 최댓값이 3이고 a>0이므로 a+b+c+d=


8p
k
a=3
f(x)=a`sin (bx-c)라 하면 cos (a+b+c+d)=;2!;에서
f(x)=a`sin (bx-c)=a`sin (bx-c+2p) 8p p 8p 5p 8p 7p
= 또는 = 또는 = 또는 y
k 3 k 3 k 3
=a`sin [b {x+
}-c]=f {x+
2p 2p
}
b b 8p
따라서 =;3Ò; 일 때 k=24로 최대이다.
2p k
이므로 함수 y=a`sin (bx-c)의 주기는 이다.
b ④
p p
그래프에서 2_{ p- }=2_ =p,
2 2p
=p에서 b=2
3 6 2 b 03 t월의 월평균 기온이 영하이려면
주어진 함수는 y=3`sin (2x-c)
6+12`cos`;6Ò; (t-1)É0에서 cos`;6Ò; (t-1)É-;2!;
y=3`sin (2x-c)=3`sin [2{x- }]
c
2 이 부등식의 해는 함수 y=cos`;6Ò; (t-1)의 그래프가 직선
이므로 함수 y=3`sin (2x-c)의 그래프는 함수 y=3`sin`2x의
c y=-;2!;보다 아래쪽에 있는 t의 값의 범위와 같다.
그래프를 x축의 양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다.
2
함수 y=3`sin`2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함수 y=cos`;6Ò; (t-1)의 그래프는 함수 y=cos`;6Ò; t의 그래
y
y=3sin`2x
프를 t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다.
3
p` f(x)=cos`;6Ò; t라 하면
-- p
2`
O p
f(t)=cos`;6Ò; t=cos {;6Ò; t+2p}=cos`;6Ò; (t+12)=f (t+12)
x
-
2

-3
이므로 함수 y=cos`;6Ò; t의 주기는 12이다.

즉, 함수 y=3`sin (2x-c)의 그래프는 함수 y=3`sin`2x의 y p (t-1)


y=cos -
1 6
p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np(n은 정수)만큼 평행이동한
6
5 6 7 8 9 11
것과 같다. 1O 1234 10 1213 t 1
-- y=--
2 2
c p p -1
따라서 양수 의 최솟값은 이므로 c의 최솟값은 이다.
2 6 3
3_2_;3Ò; 따라서 월평균 기온이 영하인 달은 5월부터 9월까지이다.
abc
그러므로 의 최솟값은 =2
p p m=5, M=9이므로 m+M=5+9=14
③  14

24 올림포스•수학Ⅰ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4 2017-11-01 오후 5:46:00


Ⅱ. 삼각함수 1 1
5. S=
2
_ABÓ_ACÓ_sin`A= _813_sin`30ù=213
2
04 삼각함수의 활용 이므로
1 1
S= _ABÓ_BCÓ_sin`B= _8_sin`B=213 에서
2 2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52~54쪽
13
sin`B=
'3 2
1. 3 2. ② 3. ③ 4. ④ 5. 2 13

6. 6'6 2

1.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 6. 코사인법칙의 변형에서


인법칙에 의하여 ACÓ Û`+ABÓ Û`-BCÓ Û`
cos`A=
a 2_ACÓ_ABÓ
=2R에서
sin`A 6Û`+7Û`-5Û` 5
= =
a a 2_6_7 7
R= = =3
2`sin`A 2_;6A; sin`A>0이므로
3 25 216
sin`A="Ã1-cosÛ`A=®É1- =
49 7
2. BCÓ`:`ACÓ`:`ABÓ=sin`A`:`sin`B`:`sin`C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ACÓ`:`ABÓ=sin`B`:`sin`C 216
;2!;_ABÓ_ACÓ_sin`A=;2!;_7_6_ =6'6
=sin`60ù`:`sin`45ù 7
13 12
= `:`  6'6
2 2
=13`:`12
②

11Œ4 Û` 12
3. cos`A=¿¹1-sinÛ``A=718-{ }=
4 4
코사인법칙에서
유형 확인 본문 55~57쪽
BCÓ Û`=ABÓ Û`+ACÓ Û`-2_ABÓ_ACÓ_cos`A
12 01 ⑤ 02 ② 03 ① 04 ③ 05 ④
=1Û`+(12)Û`-2_1_'2_ =2
4
06 ② 07 ⑤ 08 ④ 09 ③ 10 ⑤
따라서 BCÓ='2
11 ② 12 ③ 13 ② 14 ② 15 ⑤
③
16 ③ 17 ② 18 ②
4. AÕIÕ=Á°2Û`+1Û`=15, IGÕ=Á°1Û`+2Û`=15
직각삼각형 ACG에서 01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pRÛ`=50p에서 R=512
AGÓ=ÚÞACÓ Û`+CGÓ Û`=Á°(212)Û`+2Û`=213 a
사인법칙에서 =2R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AIG에서 sin`A
('5 )Û`+('5 )Û`-(2'3 )Û` a
cos (∠AIG)= =1012
2_15_15 sin`;4Ò;
5+5-12 1 p 1
= =- a=1012_sin` =1012_ =10
2_15_15 5 4 12
④ ⑤

정답과 풀이 25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5 2017-11-01 오후 5:46:00


정답과 풀이

02 사인법칙에서
ACÓ
sin`B
=
ABÓ
sin`C
이므로 05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인법칙에서
a=2R`sin`A, b=2R`sin`B, c=2R`sin`C이므로
4`sin`;3Ò; aÜ`+bÜ`+cÜ`
ACÓ 4
= 에서 ACÓ= =6
sin`;3Ò; 1 1 sinÜ``A+sinÜ``B+sinÜ``C
13 13 (2R`sin`A)Ü`+(2R`sin`B)Ü`+(2R`sin`C)Ü`
=
16 sinÜ``A+sinÜ``B+sinÜ``C
cos`C="Ã1-sinÛ``C=®Â1-;3!; = 이고
3 =8RÜ`=64
직각삼각형 AHC에서 에서 (2R)Ü`=4Ü`, 2R=4
CHÓ ④
cos`C= 이므로
ACÓ

CHÓ=ACÓ_cos`C=6_
16
=216
06 BCÓ`:`ACÓ`:`ABÓ=sin`A`:`sin`B`:`sin`C=3`:`6`:`8이
3 므로
② sin`A sin`B sin`C
= = =k (k는 상수)라 하면
3 6 8
sin`A=3k, sin`B=6k, sin`C=8k
03 cos (B+C)=cos (p-A)=-cos`A이므로 sin`A+sin`B+sin`C=2에서
4 cos (B+C)`cos`A=-1에서 2
17k=2, 즉 k= 이므로
1 17
-4 cosÛ``A=-1, 즉 cosÛ``A=
4 6 12 16
sin`A=3k= , sin`B=6k= , sin`C=8k=
17 17 17
3 13
sinÛ``A=1-cosÛ``A= 에서 sin`A>0이므로 sin`A= 따라서
4 2
사인법칙에 의하여 32-6-12 14
2`sin`C-sin`A-sin`B= =
17 17
BCÓ 213
=2R이므로 2R= =4 ②
sin`A 13
2
따라서 R=2이므로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넓이는 07 ∠A=p-2h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4Û`=(1120)Û`+(1120)Û`-2_1120_1120_cos (p-2h)
p_2Û`=4p
16=20+20`cos`2h
①
1
따라서 cos`2h=-
5
⑤
04 삼각형 ABC의 세 변을 a, b, c, 외접원의 반지름을 R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08 중심각을 h라 하면 호 PQ의 길이는 5h이므로
a b c 5 p
sin`A= , sin`B= , sin`C= p=5h, 즉 h=
2R 2R 2R 4 4
a b c 코사인법칙에서
sin`A+sin`B+sin`C= + +
2R 2R 2R
p
PRÓ Û`=5Û`+(12)Û`-2_5_12_cos` =17
a+b+c 4
=  yy ㉠
2R 따라서 PRÓ=1127
삼각형 ABC가 지름의 길이가 412인 원에 내접하므로 ④
a+b+c
㉠에서 =12+1
412 09 ACÓ=k라 하면 코사인법칙에서
a+b+c=412 (12+1)=8+412 (15)Û`=3Û`+kÛ`-2_3_k_cos`45ù이므로
따라서 m+n=8+4=12 kÛ`-312k+4=0
③ k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에서

26 올림포스•수학Ⅰ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6 2017-11-01 오후 5:46:01


k=
312ÑÁ°(-312)Û`-4_1_4
2
13 삼각형 ABC의 넓이가 5이므로
1
즉, k=212 또는 k=12 _ABÓ_ACÓ_sin`A=5에서
2
ABÓ>ACÓ이므로 k=12 1
_5_4_sin`A=5
2
'2 '5
사인법칙에서 =
sin`B sin`45ù 10`sin`A=5이므로 sin`A=;2!;
12 12 1 15 p
sin`B= `sin`45ù= _ =
15 15 12 5 따라서 A=
6
③ ②

10 ∠B=∠C에서 삼각형 ABC는 A


14 그림에서 ∠AOB=h(0<h<p)라 하면
ABÓ=A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는 O
ABÓ+ACÓ=8에서 ABÓ=ACÓ=4이다. 4 4
코사인법칙의 변형에서 ;2!;_rÛ`_sin`h=12, 즉 rÛ``sin`h=24 r h r

4Û`+4Û`-3Û` 23 sin`h=1일 때 넓이가 최대이므로 rÛ`=24 A B


cos`A= =
2_4_4 32 B C
3 따라서 r=216
⑤ ②

11 코사인법칙에서 3
BCÓ Û`=8Û`+7Û`-2_8_7_{-;2!;}
A 15 OÕAÓ : ACÓ=3 : 1이므로 OÕAÓ= 4 OCÓ
7 8
2
OBÓ : BDÓ=2 : 1이므로 OBÓ= ODÓ
=169 B C 3
이므로 BCÓ=13 ∠AOB=h라 하면 삼각형 OBA의 넓이는
코사인법칙의 변형에서 1
_OÕAÓ_OBÓ_sin`h
2
7Û`+13Û`-8Û` 11
cos`B= = 1 3 2
2_7_13 13 = _ OCÓ_ ODÓ_sin`h
2 4 3
13Û`+8Û`-7Û` 23 1 1
cos`C= = = _ _OCÓ_ODÓ_sin`h
2_13_8 26 2 2
45 1
cos`B+cos`C= = _Sª
2
26
따라서 k=45 그러므로 사각형 ABDC의 넓이
② 1 1
SÁ=Sª- Sª= Sª
2 2

12 가장 긴 변의 길이는 mÛ`+m+1이므로 이 변에 대하여 따라서 Sª=2SÁ이므로 k=2


마주보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⑤

(mÛ`-1)Û`+(2m+1)Û`-(mÛ`+m+1)Û`
cos`h=
2(mÛ`-1)(2m+1) 16 ABÓ=c, ACÓ=b, BCÓ=a,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2mÜ`-mÛ`+2m+1 라 하면 삼각형의 넓이의 변형에서
=
2(mÛ`-1)(2m+1) abc
S= 이므로
4R
-(2m+1)(mÛ`-1)
= =-;2!; 913 181221
2(mÛ`-1)(2m+1) =
2 4R
따라서 h=;3@; p
따라서 R='7
③ ③

정답과 풀이 27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7 2017-11-01 오후 5:46:01


정답과 풀이

CHÓ=212`cos`60ù=12
17 A 이므로 BCÓ=BHÓ+CHÓ=16+12 yy ➋
사인법칙에서
5 13 13
O BCÓ ACÓ 16+12 212
= ,즉 =
13 sin`A sin`B sin`A sin`45ù
B C
8 1 1
따라서 sin`A= _('6+'2)_
2'2 '2
그림에서 점 O는 내접원의 중심이고 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16+12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13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
4
 yy ➌

16+12
1 1 1
_8_'3+ _ACÓ_13+ _5_13
2 2 2 
4
13(ACÓ+13)
= =101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2
에서 ACÓ+13=20 ➊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를 구한 경우 40`%

따라서 ACÓ=7 ➋ BC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② ➌ sin`A의 값을 구한 경우 20`%

18 BDÓ=x라 하면
xÛ`=3Û`+5Û`-2_3_5_cos`120ù 02 삼각형 ABC의 넓이 S는
1
=9+25+15=49 S= _3_5_sin`120ù
2
에서 x=7 1 13 1513
= _3_5_ =  yy ➊
따라서 삼각형 BCD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2 2 4
삼각형 BCD의 넓이 S는 코사인법칙에서

S=;2!;_r_(3+5+7)=;2!;_3_5_sin`120ù BCÓÓ Û`=3Û`+5Û`-2_3_5_cos`120ù=49


이므로 BCÓ=7 yy ➋
13
에서 r=sin`120ù= 1
2 삼각형 ABC의 넓이 S는 S= _7_AHÓ이므로
2
따라서 삼각형 BCD에 내접하는 원의 넓이는 1 1513
13 Û` 3 _7_AHÓ= 에서
p_{ }= p 2 4
2 4
1513
② AHÓ=  yy ➌
14
1513

14

서술형 연습장 본문 58쪽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 경우 30`%
16+12 1513 ➋ BC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40`%
01 4 02 14 03 1`:`2
➌ AHÓ의 길이를 구한 경우 30`%

01 ∠A+∠B+∠C=180ù이고,
A`:`B`:`C=5`:`3`:`4이므로
03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a라 하면 삼각형의 넓이 S는
∠A=75ù, ∠B=45ù, ∠C=60ù yy ➊ 1 13
S= _aÛ`_sin`60ù= aÛ`
꼭짓점 A에서 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2 4
BHÓ=213`cos`45ù=16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r이므로

28 올림포스•수학Ⅰ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8 2017-11-01 오후 5:46:02


1 3 ㄴ. 삼각형 ABC에서 ∠A=60ù이므로
S= (a+a+a)_r= ar
2 2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3 3 13 yy Ú
즉, aÛ`= ar이므로 r= a yy ➊ aÛ`=bÛ`+cÛ`-2bc`cos`60ù=bÛ`+cÛ`-bc
4 2 6
bÛ`=cÛ`+aÛ`-2ca`cos`B yy Û
a a
사인법칙에서 2R= = yy Ü
13
sin`60ù cÛ`=aÛ`+bÛ`-2ab`cos`C
2 Ú, Û, Ü 을 변끼리 더하면
a 13 aÛ`+bÛ`+cÛ`
R= = a yy ➋
13 3
=2(aÛ`+bÛ`+cÛ`)-(2ab`cos`C+bc+2ca`cos`B)
13 13 aÛ`+bÛ`+cÛ`=2ab`cos`C+bc+2ca`cos`B (참)
따라서 r`:`R= a`:` a=1`:`2 yy ➌
6 3
ㄷ. aÛ`=bÛ`+cÛ`-bc이므로
 1`:`2
c b c(a+c)+b(a+b)
+ =
단계 채점 기준 비율 a+b a+c (a+b)(a+c)
➊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r를 a로 나타낸 경우 40`% ab+ac+bÛ`+cÛ`
=
➋ 사인법칙을 이용하여 R를 a로 나타낸 경우 40`% aÛ`+ab+ac+bc
➌ r`:`R를 구한 경우 20`% ab+ac+bÛ`+cÛ`
=
bÛ`+cÛ`+ab+ac
=1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59쪽

01 27 02 ③ 03 ⑤ 03 사각형 ABCD가 원에 내접하므로


∠B=h이면 ∠D=p-h이고 A
4
1
01 원의 성질에 의하여 지름에 대한 원 A 변 AD가 원의 지름이므로 ∠ACD=90ù B h p-h D

주각의 크기는 90ù이므로 점 D는 BCÓ를 직각삼각형 ACD에서 2 3

ACÓ=Á°4Û`-3Û`=17
30ù C
지름으로 하는 원 위의 점이다.
그림의 삼각형 ABD에서 ∠BDA=90ù이 17
sin (p-h)= 이므로
4
므로 ∠ABD=60ù
17
지름의 길이가 6인 원은 삼각형 BDE의 sin`h=
4
E D
외접원이므로 60ù 삼각형 ABC의 넓이는
B C
DEÓ
사인법칙에 의하여
sin`60ù
=6 6
1 1 17 17
_1_2_sin`h= _1_2_ =  yy ㉠
2 2 4 4
따라서 DEÓ=6`sin`60ù=313이므로
직각삼각형 ACD의 넓이는
DEÓ Û`=27
1 317
 27 _3_'7=  yy ㉡
2 2
따라서 사각형 ABCD의 넓이는 두 삼각형 ABC와 ACD의
02 ㄱ. a=3이므로 사인법칙에서 넓이의 합이므로
3 c 3 c ㉠과 ㉡에서
= 이므로 = ,즉
sin`60ù sin`C 13 sin`C
2 17 317 717
+ =
4 2 4
c
213= 에서 c=213`sin`C (참) ⑤
sin`C

정답과 풀이 29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29 2017-11-01 오후 5:46:02


정답과 풀이

대단원 종합 문제 05 f(x)=sin`;2#;x
본문 60~63쪽

01 ④ 02 ② 03 ⑤ 04 3 05 ④ =sin`{;2#;x+2p}

06 ⑤ 07 ③ 08 3 09 ② 10 ;;Á9Á;; =sin`;2#; {x+;3$;p}


11 3 12 ② 13 ④ 14 ④ 15 8
에서  f(x)의 주기는 ;3$;p이다.
16 ④ 17 ④ 18 4 19 ② 20 6
21 ⑤ 22 ③ 23 ;;Á3¼;; 24 ;4!; f`{x+;3$;p}=f(x)

따라서  f(x+a)=f(x)를 성립시키는 최소의 양수는 ;3$; p이므로


p
01 1500ù=360ù_4+60ù=8p+
3
a=;3$; p
p
이므로 a=
3 ④
④

06 2(1-sinÛ``x)-sin`x-1=0
1 p p 2`sinÛ``x+sin`x-1=0, (sin`x+1)(2`sin`x-1)=0
02 S= 2 rÛ`h에서 h= 6 , S= 2 이므로
p 1 p sin`x=-1 또는 sin`x=;2!;
= rÛ`_ , 즉 rÛ`=6
2 2 6
p 5 3
r>0이므로 r=16 따라서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근은 , p, p이므로 그 합은
6 6 2
② p 5 3 5
+ p+ p= p
6 6 2 2
⑤
03 OPÓ=Á°2Û`+(-15)Û`=3이므로
'5 '5
, cos`h=;3@;, tan`h=-
sin`h=-
3 2 07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5 '5 5 ACÓ
따라서 cos`h+sin`h`tan`h=;3@;+{- }_{- }=;2#; sin`30ù
=
sin`45ù
이므로
3 2
⑤ 5 5 '2
ACÓ= _sin`45ù= _ =512
sin`30ù 2
다른풀이 ;2!;
sin`h ③
cos`h+sin`h`tan`h=cos`h+sin`h_
cos`h
cosÛ``h+sinÛ``h
=
cos`h 08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ù이므로 ∠A=30ù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1
= =;2#; 1 1 1
cos`h _ABÓ_ACÓ_sin`30ù= _4_3_ =3
2 2 2
3
3sin`h
04 3cos`h
=9cos`h에서

3sin`h-cos`h=32`cos`h, 즉 sin`h-cos`h=2`cos`h
09 B
sin`h
3 cos`h=sin`h에서 =3 O
cos`h
D
따라서 tan`h=3 p
-
3
3
A C

30 올림포스•수학Ⅰ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30 2017-11-01 오후 5:46:03


원의 중심 O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 하면 p p
2`sin`a_4`cos`b+2`cos`{ +c}_sin`{ +d}
p 2 2
ADÓ=3, ∠OAD= 이므로
6 =2`sin`a_4(-sin`a)+2`sin`a_sin`a
p 2 =-8`sinÛ``a+2`sinÛ``a
∠AOD= 이고 ∠AOB= p
3 3
=-6`sinÛ``a=-4
직각삼각형 ADO에서 2
에서 sinÛ``a=
3
p ADÓ 3 1
cos` = = 이므로 원의 반지름은 따라서 cosÛ``a=1-sinÛ``a= 이므로
6 OÕAÓ OÕAÓ 3
3 9`cosÛ``a=9_;3!;=3
OAÓ= =213
13
2 3
따라서 부채꼴 OAB의 넓이는
1
2
2
_(213)Û`_ p=4p
3
12 f(x)­=cos`px=cos`(px+2p)
=cos`p(x+2)= f(x+2)에서
②
함수 y=cos`px의 그래프의 주기는 2이므로
y=cos`px의 그래프는 x=n (n은 정수)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러므로
b 1
10 sin (p+h)=-sin`h=- OAÓ = 3  yy ㉠ a+4b
=1에서 a+4b=2 yy ㉠
1 2
OAÓ=1이므로 b=-
3 4b+5b
=2에서 9b=4 yy ㉡
p 2
sin { +h}=cos`h>0이고
2
㉠과 ㉡에서 a=;9@;, b=;9$;
1
㉠에서 sin`h=- 이므로
3

cos`h="Ã1-sinÛ``h=\®É1-{- }2`=
y=tan (a+b)px+3=tan`;3@; px+3
1 212
3 3
g(x)=tan`;3@; px+3=tan {;3@; px+p}+3
a 212
그런데 cos`h= = 이고 OAÓ=1이므로
=tan`;3@; p{x+;2#;}+3=g {x+;2#;}
OÕAÓ 3
212
a=
3 따라서 구하는 주기는 ;2#; 이다.
따라서 aÛ`-b= -{- }=
8 1 11
9 3 9 ②
11

9
13 1+2a=(sinÛ``h+cosÛ``h)+2`sin`h`cos`h
=(sin`h+cos`h)Û`
1-2a=(sinÛ``h+cosÛ``h)-2`sin`h`cos`h
p 3
11 b= +a, c=p+a, d= p+a이므로
2 2
=(sin`h-cos`h)Û`
p p
p <h< 에서 sin`h>cos`h>0
cos`b=cos`{ +a}=-sin`a 4 2
2
151+2a+151-2a=Á°(sin`h+cos`h)Û`+Á°(sin`h-cos`h)Û`
p p p
cos`{ +c}=cos`{ +p+a}=-cos`{ +a} =(sin`h+cos`h)+(sin`h-cos`h)
2 2 2
=-(-sin`a)=sin`a =2 sin`h
따라서 k=2
p p 3
sin`{ +d}=sin`{ + p+a}=sin`(2p+a)=sin`a
2 2 2 ④

정답과 풀이 31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31 2017-11-01 오후 5:46:03


정답과 풀이

_{;3!;}
sin`x
14 9 cosÛ``x
-3<0에서 17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각
32`cosÛ``x-sin`x<3Ú`이므로 각 a, b, c라 하고 삼각형의 넓이를 S라 하면
A
2`cosÛ`-sin`x<1,
2`cosÛ`-sin`x-1<0, c
b
O
2(1-sinÛ``x)-sin`x-1<0, r
B C
2`sinÛ``x+sin`x-1>0, a

(2`sin`x-1)(sin`x+1)>0 위의 그림에서
0Éx<2p에서 sin`x+1¾0이므로 (a+b+c)r
S= 이므로
2
2`sin`x-1>0, sin`x+1+0, 즉 sin>;2!;
r
18=12_
p 5 2
따라서 <x< p이므로
6 6 r=3이므로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 즉 삼각형 DEF
a+b=p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3이다.
④ 사인법칙에 의하여
d e sin`F 1
+ + =2r+2r+
15 sin`A=12`sin`B=212`sin`C=k (k+0)라 하면 sin`D sin`E f 2r
k k 1 73
sin`B= , sin`C= 이므로 A =6+6+ =
12 212 6 6

1 1
c b ④
sin`A`:`sin`B`:`sin`C=1`:` `:`
12 212
B C
a
=212`:`2`:`1 p BHÓ
사인법칙의 변형에 의하여 a`:`b`:`c=212`:`2`:`1이므로
18 BHÓ='6 이므로 sin` 3 = OBÓ 에서
가장 긴 변의 길이는 a, 가장 짧은 변의 길이는 c이고, BHÓ 16
OBÓ= = =212
sin`;3Ò; 13
a=2'2l, c=l(l은 양의 실수)로 놓을 수 있다. 2
따라서 {
m 2
} ={ } =8
212l 2 그러므로 부채꼴 OAB의 호의 길이는
n l
p 212
8 212_ = p
3 3
한편 직각삼각형 OBH에서
16 B
OÕHÓ=Á°(212)Û`-(16)Û`='2 이고 OBÓ=OÕAÓ이므로
15ù AÕHÓ=OÕAÓ-OHÓ
15ù
O
=OBÓ-OHÓ
2
30ù 30ù =212-12=12
A Aª
AÁ 212
따라서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16+12+ p이므로
그림에서 ∠ABAÁ=15ù이므로 3
중심각 ∠AOAÁ=30ù a+b=2+2=4
마찬가지로 ∠AÁOAª=30ù 4
AÕAÁÓ=AÕÁÕAªÓ이고 삼각형 OAAÁ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ÕAÁÓ Û`=2Û`+2Û`-2_2_2_cos`30ù 19 12`sin`hÁ+14`sin`hª-16`cos`h£-26`cos`h¢
=4(2-13) p
=12`sin`hÁ+14`sin (p+hÁ)-16`cos`{ +hÁ}
2
따라서 AÕAÁÓ Û`+AÕÁÕAªÓ Û`=8(2-13)
④ 3
 -26`cos`{ p-hÁ}
2

32 올림포스•수학Ⅰ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32 2017-11-01 오후 5:46:04


=12`sin`hÁ-14`sin`hÁ+16`sin`hÁ+26`sin`hÁ 따라서 a=6
=40`sin`hÁ=8 6
1
에서 sin`hÁ= =0.2이므로 hÁ=d
5
p
한편 ∠PªOP¢= -2d이므로
2 21 ㄱ.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구하는 부채꼴 OPªP¢의 넓이는 4
사인법칙에 의하여 =2R에서
sin`120ù
1 p p
_1Û`_{ -2d}= -d 4 4 813
2 2 4
2R= = = (참)
②
sin`60ù 13 3
2
참고 ㄴ. CPÓ=1일 때, 삼각형 BCP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cos {;2#; p-hÁ}=cos [p+{;2Ò;-hÁ}] BPÓ Û`=4Û`+1Û`-2_4_1_cos`30ù
=17-413 (참)
=-cos {;2Ò;-hÁ} ㄷ. CPÓ=x라 하면
=-sin`hÁ A

120ù P
x
B C
4
20 이차방정식 5xÛ`-15x-k=0의 두 근이 sin`h, cos`h이 삼각형 BCP에서
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PÓ Û`+CPÓ Û`=(4Û`+xÛ`-2_4_x_cos`30ù)+xÛ`
15
sin`h+cos`h= , sin`h`cos`h=-;5K; yy ㉠ =2xÛ`-413x+16
5
이차방정식 5xÛ`-315x+k=0의 두 근이 =2(x-13)Û`+10
sin`h, |cos`h|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그러므로 x=13 일 때, 최솟값은 10이다. (참)

315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sin`h+|cos`h|= , sin`h|cos`h|=;5K; yy ㉡
5 ⑤

㉠에서 sin`h`cos`h=-;5K; 이므로

(sin`h+cos`h)Û`=sinÛ``h+2`sin`h`cos`h+cosÛ``h
22 AÕIÕ=AÕJÕ=Á°2Û`+1Û`=15
=1+2_{-;5K; }=
1
5 IJÕ=CFÓ=ÚÞCGÓ Û`+FGÓ Û`=Á°2Û`+2Û`='8
에서 k=2 삼각형 AJI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과 ㉡에서 AÕIò Û`+AÕJò Û`-IJÕ Û` '5 Û`+'5 Û`-'8 Û` 1
cos`h= = =
15 315 2_AÕIÕ_AÕJÕ 2_15_15 5
sin`h+cos`h= 이고 sin`h+|cos`h|= 이므로
5 5 sinÛ``h=1-cosÛ``h이므로
cos`h<0이어야 한다. 즉, 1 2` 24
sinÛ``h=1-{ }=
315 5 25
sin`h+|cos`h|=sin`h-cos`h=  yy ㉢
5 이때 0<h<p에서 sin`h>0이므로
415 215 216
㉠과 ㉢에서 2`sin`h= , 즉 sin`h= sin`h=
5 5 5

15 따라서 삼각형 AIJ의 넓이는


㉠에서 cos`h=-
5 1 1 216
_AÕIÕ_AÕJÕ_sin`h= _15_15_ ='6
15
2 2 5
k(2`sin`h+cos`h)=2 {2_ }=
215 615
-
5 5 5 ③

정답과 풀이 33

해 18-33 올림기본(수-1)_2단원-ok1.indd 33 2017-11-01 오후 5:46:04


정답과 풀이

p Ⅲ. 수열
sin`{ +h}
cos`h 2
23 1+sin`h
+
p 05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1-cos`{ -h}
2
cos`h cos`h
=
1+sin`h
+
1-sin`h
 yy ➊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67~69쪽

=
2`cos`h 1. ② 2. ④ 3. ④ 4. ③ 5. 10
(1+sin`h)(1-sin`h)
6. ④
2`cos`h
=
1-sinÛ``h
2`cos`h 2
1.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 =  yy ➋ aª¼-aÁ°=(a+19d)-(a+14d)=5d=-10이므로
cosÛ``h cos`h
4 p d=-2
sin`h= 이고 0<h< 이므로
5 2 따라서 aÁ¼-aÁ=(aÁ+9d)-aÁ=9d=-18
4 2` 3 ②
cos`h=Áª°ª1-sinÛ``h=®É1-{ }=
5 5

따라서
2
cos`h
2
= =
10
 yy ➌ 2. 세 실수 a, 2+13, 2-13 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
;5#; 3
루므로
a+2-13
 :Á3¼: 2+13=
2
a+2-13=2(2+13)=4+213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따라서 a=2+313
➊ 주어진 식을 h를 이용하여 나타낸 경우 30`%
④
➋ 주어진 식을 cos`h를 이용하여 나타낸 경우 30`%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40`%
3.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첫째항부터 제 10항까지의
합을 SÁ¼이라 하면
10(2a+9_2)
SÁ¼= =5(2a+18)=100
2
24 y=(sinÛ``x+cosÛ``x)Ü`-3`sinÛ``x`cosÛ``x(sinÛ``x+cosÛ``x) 2a+18=20이므로 a=1
=1-3`sinÛ``x(1-sinÛ``x) 따라서 aÁ+aª=1+(1+2)=4
=3`sinÝ``x-3`sinÛ``x+1 yy ➊ ④

sinÛ``x=t로 놓으면 0ÉxÉ;2Ò;이므로 0Ésin`xÉ1, 즉

0ÉtÉ1이고
4. a£=2, a¥r=4에서 arÛ`=2, ar¡`=4이므로

f(t)=3tÛ`-3t+1=3 {t-;2!;}2`+;4!;
ar¡` 4
= 에서 rß`=2, 즉 r=ß 12
yy ➋ arÛ` 2

=rÝ`=(ß 12)Ý`=ß "½2Ý`=Ü "½2Û`=Ü 14
arÝ`
따라서 최솟값은 t=;2!; 일 때 ;4!;이다. yy ➌ 따라서
a
=
a
③
 ;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5. 세 수 x, 4, y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➊ 식을 정리하여 sinÛ``x를 이용하여 나타낸 경우 30`% xy=4Û`=16
➋ sinÛ``x=t로 치환하여 나타낸 경우 30`% x, y는 서로 다른 두 자연수이므로
➌ 최솟값을 구한 경우 40`% x=1, y=16 또는 x=16, y=1 또는

34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34 2017-11-06 오후 2:03:33


x=2, y=8 또는 x=8, y=2
03 두 등차수열 {aÇ}, {bÇ}의 공차를 각각 dÁ, dª라 하면
따라서 x+y의 최솟값은 2+8=10 a°-aª=3dÁ=6에서 dÁ=2
 10 b£-b°=-2dª=6에서 dª=-3이므로
aÇ=-10+(n-1)_2=2n-12,
6.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r>0 bÇ=25+(n-1)_(-3)=-3n+28
a¦=4에서 2rß`=4이므로 rß`=2에서 aÇbÇ>0에서 (2n-12)(-3n+28)>0, 즉
rÜ`='2, r=ß '2 2(n-6)(3n-28)<0에서
첫째항부터 제 9항까지의 합을 S»라 하면 28
6<n<
2(rá`-1) 2{(rÜ`)Ü`-1} 3
S»= =
ß '2-1 ß '2-1 따라서 자연수 n의 최댓값은 9이다.
2{('2)Ü`-1} 2(212-1) ⑤
= =
ß '2-1 ß '2-1
따라서 k=2(2'2-1)
④ 04 주어진 수열에서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log¦`13, log¦`xÛ`, log¦`yÜ`, log¦`1122, y
등차수열이므로
log¦`xÛ`-log¦`'3=log¦`1122-log¦`yÜ`
유형 확인 xÛ` 1122
본문 70~73쪽 log¦` =log¦` 이므로
13 yÜ`
01 ② 02 ② 03 ⑤ 04 ① 05 ⑤ xÛ` 1122
=
13 yÜ`
06 ② 07 ③ 08 ⑤ 09 ② 10 ⑤
따라서 xÛ`yÜ`=1326=6
11 ② 12 ③ 13 ② 14 ⑤ 15 ③
①
16 ② 17 ③ 18 ⑤ 19 5 20 ②
21 ④ 22 ③ 23 ③ 24 ②
05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01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조건 (가)에서 a¤=2a£이므로
aÁ¼-a¢
=(a+9d)-(a+3d)=6d=-18 aÁ+5d=2(aÁ+2d), 즉 aÁ=d yy ㉠
에서 d=-3 조건 (나)의
a¢-2aª=(a+3d)-2(a+d) aª+a¢+a¤+y+aÁª=aÁ+a£+a°+y+aÁÁ+24에서
=-a+d=-6 yy ㉠
(aª-aÁ)+(a¢-a£)+(a¤-a°)+y+(aÁª-aÁÁ)=24
d=-3을 ㉠에 대입하면 a=3
이므로 6d=24, 즉 d=4
따라서 a°=a+4d=3+4_(-3)=-9
㉠에서 aÁ=4
②
따라서 aÁ¼=4+9_4=40
⑤
02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라 하면
a°=12에서 a+4d=12
a»+aÁÁ=(a+8d)+(a+10d) 06 등차수열 {aÇ}은 공차가 p이므로
=2a+18d aÁ°-a£=12p에서
=2(a+4d)+10d aÁ°=a£+12p=(p-4)+12p=13p-4
=24+10d aÁ°=p+12이므로
따라서 k=24
4
② 13p-4=p+12, 즉 p= 에서
3

정답과 풀이 35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35 2017-11-06 오후 2:03:34


정답과 풀이

4 4 4 28 다른풀이
aû=6p+ =6_ + =
3 3 3 3
aÇ=2n+3에서
aû=a£+(k-3)p a£=9, aª¼=43이므로
4 4 18(9+43)
={ -4}+(k-3)_ a£+a¢+a°+y+aª¼= =468
3 3 2
8 4 4 20
=- + (k-3)= k-
3 3 3 3
4 20 28
10 aÁ¼=50, aÁÁ=45이므로
따라서 k- = 에서 수열 {aÇ}의 공차 d=aÁÁ-aÁ¼=-5
3 3 3
aÁ¼=aÁ+9d=aÁ+9_(-5)=50에서 aÁ=95
k=12
n{190+(n-1)_(-5)}
② aÁ+aª+y+aÇ=
2
n(195-5n)
= =0
07 a, b, 4, d, e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2
b+d 195
=4에서 b+d=8 따라서 n= =39
2 5

a+e ⑤
=4에서 a+e=8
2

따라서
b+d
+
a+e 8 8
= + =
20 11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2 3 2 3 3 d=aÇ*Á-aÇ=3(n+1)+k-(3n+k)=3
③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Ç이라 하면
a¤+a¦+a¥+y+aÁ°
08 12, a, b, c, d, e, 4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SÁ°-S°
12+4=2c, a+e=2c, b+d=2c에서 15(2aÁ+14_3) 5(2aÁ+4_3)
= -
12+4=a+e=b+d=2c 2 2
따라서 =10aÁ+285=255
2a+3b+4c+3d+2e=2(a+e)+3(b+d)+2_2c 에서 aÁ=-3이므로
=2_2c+3_2c+2_2c aÇ=-3+(n-1)_3=3n-6
=7_2c 156
3n-6>150, 즉 n> =52
3
=7(12+4)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53이다.
=28+712
②
⑤

12 SÇ=nÛ`+kn이므로
09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aª¢+aª°+aª¤+aª¦=Sª¦-Sª£
aÇ=2n+3에서 aÁ=5, aª=7이고
=27Û`+27k-(23Û`+23k)
d=aª-aÁ=7-5=2
=200+4k
수열 {aÇ}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Ç이라 하면
200+4k=80, k=-30
a£+a¢+a°+y+aª¼=Sª¼-(aÁ+aª)
따라서 SÇ=nÛ`-30n이므로
20(10+19_2)
= -(5+7) S£¼=0
2
③
=480-12
=468 다른풀이

② 등차수열 aÁ, aª, a£, y, a°¼에서

36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36 2017-11-06 오후 2:03:34


aÁ+a°¼=aª+a¢»=y=aª¢+aª¦=aª°+aª¤이므로
15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2(aª°+aª¤)=80에서 aª°+aª¤=40 a£+a¢=arÛ`+arÜ`=3
50(aÁ+a°¼) a°+a¤=arÝ`+arÞ`=rÛ`(arÛ`+arÜ`)=4이므로
S°¼=
2
4
50(aª°+aª¤) 3rÛ`=4에서 rÛ`=
= 3
2
따라서
50_40
= =1000 yy ㉠ a¦+a¥=arß`+arà`=rÝ`(arÛ`+arÜ`)
4 2` 16
2
SÇ=nÛ`+kn (k는 상수)에서 =3rÝ`=3_{ }=
3 3
S°¼=50Û`+k_50 yy ㉡
③
㉠, ㉡에서 50Û`+50k=1000, 즉 k=-30
다른풀이
따라서 SÇ=nÛ`-30n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S£¼=0
a£+a¢=arÛ`+arÜ`=arÛ`(1+r)=3  yy ㉠
a°+a¤=arÝ`+arÞ`=arÝ`(1+r)=4  yy ㉡
13 주어진 등비수열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4
a£Öa¤_a¦
=arÛ`ÖarÞ`_arß` ㉡Ö㉠에서 rÛ`=
3
=arÜ`=a¢=12 9
㉠에서 a(1+r)=
② 4

다른풀이
따라서
a¦+a¥=arß`+arà`=arß`(1+r)=a(1+r)rß`

_{ }3`=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a¦ 9 4 16
a£Öa¤_a¦=a£_ ¤ =a£_r=a¢=12 =
a 4 3 3

14 주어진 등비수열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16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rà` a¢=arÜ`=4 yy ㉠
logª`a¥-logª`a°=logª`
arÝ` a¢ arÜ`
a¤-a£=arÞ`-arÛ`이고 = =rÛ`
=logª`rÜ` aª ar
=3 logª`r=6 a¢
a¤-a£= 에서
에서 logª`r=2 aª

aª¼ arÞ`-arÛ`=rÛ`, 즉 arÞ`-(a+1)rÛ`=0


logª`aª¼-logª`aÁÁ=logª`
aÁÁ rÛ`{arÜ`-(a+1)}=0
arÚ`á` rÛ`+0이므로 arÜ`-(a+1)=0 yy ㉡
=logª`
arÚ`â` ㉠을 ㉡에 대입하면 a=3
=logª`rá`
㉠에서 rÜ`=;3$;
=9 logª`r=18
4 2` 16
⑤ 따라서 a¦=arß`=3_{ }=
3 3
다른풀이
②
수열 {aÇ}이 등비수열이면 수열 {logª`aÇ}은 등차수열이다.
수열 {logª`aÇ}의 공차를 d라 하면
logª`a¥-logª`a°=3d=6이므로 d=2 17 등차수열 {log`aÇ}의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d이므로
logª`aª¼-logª`aÁÁ=9d=9_2=18 log`aÇ=1+29d, 즉 aÇ=101+29d

정답과 풀이 37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37 2017-11-06 오후 2:03:34


정답과 풀이

29d+1이 자연수가 되어야 하므로


19 3Å`, 9, 9´`이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k 9Û`=3Å`_9´`=3Å`_3Û`´`=3x+2 y
d= (k=0, 1, 2, 3, y)
29
즉, 3Ý`=3x+2 y에서 x+2y=4
28
따라서 1보다 작은 공차 d의 값 중 최댓값은 이다. x, y는 자연수이므로
29
x=2, y=1
③
따라서 xÛ`+y=2Û`+1=5
참고 등차수열 {log`aÇ}의 첫째항은 1이므로
5
log`aÁ=1에서 aÁ=10
등차수열 {log`aÇ}의 공차가 d이므로
aª 20 등비수열 3, a, b, c, 27의 공비를 r(r>0)라 하면
log`aª-log`aÁ=d, 즉 log` =d 27은 첫째항이 3, 공비가 r인 등비수열의 5번째 항이므로

a£ 27=3rÝ`, rÝ`=9, r='3
log`a£-log`aª=d, 즉 log` =d
aª 5개의 수 a, p, b, q, c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 pÛ`=ab, qÛ`=bc
log`a¢-log`a£=d, 즉 log` =d

qÛ` bc c
따라서 = = =rÛ`=3
 pÛ` ab a
aª a£ a¢ ②
즉, =10¶`, =10¶`, =10¶`, y에서
aÁ aª a£
aª=10¶`_aÁ, a£=10¶`_aª, a¢=10¶`_a£, y
21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r+1)라 하면
10¶`은 일정한 상수이므로 수열 {aÇ}은 등비수열이다. a(rÛ`-1)
그러므로 a£¼=10_(10¶`)Û`á`=10Û`á` ¶` ±Ú` aÁ+aª= =5 yy ㉠
r-1
29d+1이 자연수가 되어야 하므로 a(rÝ`-1)
aÁ+aª+a£+a¢= =20 yy ㉡
29d+1=m이라 하면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자연수이어야 r-1
한다. 29d=k라 하면 k는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므로 ㉡에서
k a(rÛ`-1)(rÛ`+1)
d= 에서 k=0, 1, 2, 3, y =5(rÛ`+1)=20
29 r-1
rÛ`+1=4, rÛ`=3
rÛ`=3을 ㉠에 대입하면
18 조건 (가)의 2a a 5
aª a¢ a¤ a¥ aÁ¼ =5이므로 =
= = = = =4에서 r-1 r-1 2
aÁ a£ a° a¦ a»
따라서
aª=4aÁ, a¢=4a£, a¤=4a°, a¥=4a¦, aÁ¼=4a» yy ㉠
a(rß`-1)
조건 (나)의 aÁ+aª+a£+y+a¤=
r-1
aªÇÐÁ=3n-1 (n=1, 2, 3, 4, 5)에서 a
= _{(rÛ`)Ü`-1}
aÁ=2, a£=5, a°=8, a¦=11, a»=14이므로 r-1
SÁ¼=aÁ+aª+a£+y+a»+aÁ¼
=;2%; (3Ü`-1)
=(aÁ+a£+a°+a¦+a»)+(aª+a¢+a¤+a¥+aÁ¼)
=(2+5+8+11+14)+4(2+5+8+11+14) =65
=5(2+5+8+11+14) ④
5(2+14)
=5_
2 22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200 aÁ¼=6에서 2rá`=6이므로
⑤ rá`=3, 즉 r=á 13

38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38 2017-11-06 오후 2:03:34


aª=aÁr=2 á '3 1
이므로 a=
3
2 á '3{(rÛ`)á`-1}
aª+a¢+a¤+y+aÁ¤+aÁ¥= 따라서
rÛ`-1
2 á '3{(rá`)Û`-1} }4`_2ß`=
1 64
= abcd=a_ar_arÛ`_arÜ`=aÝ`rß`={
rÛ`-1 3 81

2 á '3(3Û`-1) 16 á '3 ②
= =
(á 13)Û`-1 á 19-1
따라서 k=16
③
서술형 연습장 본문 74쪽

23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라 하면 01 1891 02 25 03 80


a(rÇ`-1)
AÇ=
r-1
1
2a {1-
1
rÇ `
} 01 수열 {aÇ}은 aÁ=5Ü`â`이고, 공비가 Ý 15
인 등비수열이므로
BÇ=
1 1 n-1
} =5Ü`â`_5 4 =5 4 
1-n 121-n
1- aÇ=5Ü`â`_{ yy ➊
r Ý 15
rÇ`-1
2a_ 121-n
rÇ` aÇ이 정수가 되려면 이 0 또는 양의 정수가 되어야 하
= 4
r-1
r 므로 n=1, 5, 9, y, 121 yy ➋
2ar(rÇ`-1) 그러므로 만족하는 n의 값은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4인 등차
=
rÇ` (r-1)
수열이다.
2a(rÇ`-1) r
= _ 항의 수를 k라 하면
r-1 rÇ`
1+(k-1)_4=4k-3에서
2AÇ
= 4k-3=121, k=31
rÇ` ÑÚ`
AÇ rÇ` ÑÚ` AÁ¼ rá` 따라서 n의 값의 합은 첫째항이 1이고 제31항이 121인 등차수
따라서 = 이므로 =
BÇ 2 BÁ¼ 2 열의 합이므로
③ 31{1+121}
2 =1891 yy ➌

24 네 양수 a, b, c, d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 1891


공비를 r라 하면 네 양수 a, b, c, d는 a, ar, arÛ`, arÜ`으로 나 단계 채점 기준 비율
타낼 수 있다. ➊ aÇ을 구한 경우 20`%
조건 (가)에서 logª`a-logª`d=-3이므로 ➋ n의 값을 구한 경우 30`%
a a 1 ➌ n의 값의 합을 구한 경우 50`%
logª` =logª` =logª` =-3에서
d arÜ` rÜ`
1 1
=2ÑÜ`= , 즉 r=2
rÜ` 8 02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조건 (나)에서 2Œ`_2º`_2`_2¶`=32이므로 aÁaªa£=aÁ_aÁr_aÁrÛ`
2a+b+c+d
=2Þ`에서 a+b+c+d=5 =(aÁr)Ü`=5 yy ㉠ yy ➊
a(rÝ`-1) a£
a+ar+arÛ`+arÜ`= =1에서
r-1 aÁaª
a(2Ý`-1) a£ aÁrÛ` r
= =5 = = =1
2-1 aÁaª aÁ_aÁr aÁ

정답과 풀이 39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39 2017-11-06 오후 2:03:35


정답과 풀이

이므로 aÁ=r yy ㉡ 2b, 3c, 4d가 차례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을 ㉠에 대입하면 rß`=5 yy ➋ 6c=2b+4d에서 c=
b+2d
=
2d+b
3 2+1
aÁ£ aÁrÚ`Û`
따라서 = =rÚ`Û`=(rß`)Û`=25 yy ➌ 점 C는 선분 BD를 2 : 1로 내분하는 점이다. yy ㉡
aÁ aÁ
 25 q=2
㉠, ㉡에서 점 D는 선분 AB를 3 : 1로 외분하는 점이다.
단계 채점 기준 비율
r=3
➊ (aÁr)Ü`의 값을 구한 경우 30`%
따라서 p+q+r=3+2+3=8
➋ rß`의 값을 구한 경우 50`%
③
aÁ£
➌ 의 값을 구한 경우 20`%
aÁ 참고 수직선 위의 선분의 내분점, 외분점
수직선 위의 두 점 A(xÁ), B(xª)에 대하여
⑴ ‌선분 AB를 m : n(m>0, n>0)으로 내분하는 점 P의 좌
03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mxª+nxÁ
a°+a¤+a¦+a¥=a£rÛ`+a¢rÛ`+a£rÝ`+a¢rÝ` 표는 { }
m+n
=rÛ`(a£+a¢)+rÝ`(a£+a¢)
A m P n B
=rÛ`(1+rÛ`)(a£+a¢)
xÁ xª
=10rÛ`(1+rÛ`)=60
⑵ ‌선분 AB를 m : n(m>0, n>0)으로 외분하는 점 Q의 좌
에서 rÛ`(1+rÛ`)=6 yy ➊
mxª-nxÁ
(rÛ`)Û`+rÛ`-6=(rÛ`+3)(rÛ`-2)=0에서 표는 { } (m+n)
m-n
rÛ`=2 yy ➋ m
따라서 A B Q
xÁ xª n
(m>n일 때)
a»+aÁ¼=a£rß`+a¢rß`
=(a£+a¢)rß` Q m A B
xÁ xª (m<n일 때)
=10_2Ü`=80 yy ➌ n
 8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rÛ`(1+rÛ`)=6의 식을 구한 경우 50`% 02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할 때,
➋ rÛ`의 값을 구한 경우 20`% aÁ+aª=a°에서 a+(a+d)=a+4d이므로
➌ a»+aÁ¼의 값을 구한 경우 30`% a=3d yy ㉠
21(2a+20d)
aÁ+aª+a£+y+aªÁ=
2
=21(a+10d)
=21(3d+10d)
+ =273d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75쪽
한편 8 , 8 , 8 , y, 8aªÁ의 곱이 2이므로
aÁ aª a£

01 ③ 02 821 03 ④ 8aÁ+aª+a£+y+aªÁ=8273d=2819d=2에서
1
819d=1, 즉 d=
819
01 `a, 2b, 3c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1
3c+a 3c+a ㉠에서 a=
4b=a+3c에서 b= = 273
4 3+1
점 B는 선분 AC를 3 : 1로 내분하는 점이다. yy ㉠ 820{2_;27!3;+819_;81!9;}
S¥ª¼ 275
= = 이므로
p=3 820 820_2 546

40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0 2017-11-06 오후 2:03:37


p=546, q=275 Ⅲ. 수열
따라서 p+q=546+275=821
 821
06 수열의 합

03 lÁ=;2#; l, lª=;2#; lÁ={;2#;}2`l, y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78~79쪽

l¦={;2#;}7`l에서
1. ② 2. ③ 3. 485 4. ④

l+{ }2`l+y+{ }7`l Á -Á


k+1 9 n+2
1.
9
3 3 3
lÁ+lª+y+l¦= k n=1 n+1
2 2 2 k=1

;2#;l[{;2#;}7`-1]
2 3 4 10
}-{ + +y+
3 4 10 11
={ + + +y+ + }
1 2 3 9 2 3 9 10
=
;2#;-1 11 9
=2- =
3 7`
10 10
=3l[{ } -1] ②
2

Á 2aû=2 Á aû=10에서 Á aû=5


lÁ+lª+y+l¦=kl¦에서
2.
10 10 10
lÁ+lª+y+l¦

Á (aû+bû)= Á aû+ Á bû
k= k=1 k=1 k=1

3l[{;2#;}7`-1]
10 10 10

=5+ Á bû=-20
k=1 k=1 k=1

{;2#;}7`l
= 10

이므로 Á bû=-25
k=1

3 7`
} -1]_{ }7`
10
2

Á (aû-bû)= Á aû- Á bû
=3[{ k=1
2 3

=3[{ }7`_{ }7`-{ }7`]


10 10 10

3 2 2 k=1 k=1 k=1


2 3 3

=3[1-{ }7`]
=5-(-25)=30
2 ③
3

Á (2kÛ`+3k-2)- Á (kÛ`+k-1)
④
3.
10 10
참고 버튼을 한 번 누를 때마다 글자의 크기는 이전 글자 크기

= Á {(2kÛ`+3k-2)-(kÛ`+k-1)}
k=1 k=1
10
의 1.5배, 즉 ;2#;배가 확대되므로

lÁ= l, lª= lÁ={ }2`l, y이 성립한다. = Á (kÛ`+2k-1)


k=1
10
3 3 3

= Á kÛ`+2 Á k- Á 1
2 2 2 k=1
10 10 10

k=1 k=1 k=1

10_11_21 10_11
= +2_ -10
6 2
=485
 485

Á
1
4.
18

15k+1+15k+2


k=1

18 15k+1-15k+2
k=1 (15k+1+15k+2)(15k+1-15k+2)

정답과 풀이 41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1 2017-11-06 오후 2:03:37


정답과 풀이

=- Á (15k+1-15k+2) 이므로 Á aû=50+20=70


18 100

k=1 k=1

=-{(12-13)+(13-14)+(14-15)+ ⑤
 y+(1129-1220)}
=1220-12 04 공차를 d라 하면 d=2
=215-12 Á a2k-1-10aÁ
10

k=1
④
=(aÁ+a£+a°+y+aÁ¦+aÁ»)-10aÁ
=(aÁ-aÁ)+(a£-aÁ)+(a°-aÁ)+
유형 확인 본문 80~83쪽 y+(aÁ¦-aÁ)+(aÁ»-aÁ)
=0+2d+4d+y+16d+18d
01 ② 02 ② 03 ⑤ 04 ④ 05 ⑤ =(2+4+y+16+18)d
06 ⑤ 07 ③ 08 ③ 09 ⑤ 10 ② 9(2+18)
= _2=180
11 ⑤ 12 ② 13 ② 14 ④ 15 ④ 2
16 ① 17 385 18 ③ 19 ④ 20 ③ ④
21 ④ 22 ③ 23 ①
05 Á a2k-2- Á aªûÐÁ
11 10

Á (aÇ+aÇ*Á)(aÇ-aÇ*Á)
= Á (aªûЪ-aªûÐÁ)+aª¼
k=1 k=1

01
9
10

= Á (aÇÛ`-aÇ*ÁÛ`)
n=1
9 k=1

=(a¼-aÁ)+(aª-a£)+(a¢-a°)+y+(aÁ¥-aÁ»)+aª¼

= Á (-1)k-1ak-1
n=1

=(aÁÛ`-aªÛ`)+(aªÛ`-a£Û`)+(a£Û`-a¢Û`)+y+(a»Û`-aÁ¼Û`) 21

등식 (2x-3)Û`â`= Á ak-1xk-1에 x=-1을 대입하면


=aÁÛ`-aÁ¼Û` k=1
21
=25Û`-2Û`=621

Á (-1)k-1ak-1=(-2-3)Û`â`=5Û`â`이므로
k=1
② 21

Á kn+ Á ln- Á mn Á a2k-2- Á aªû=5Û`â`


k=1

02
10 20 12 11 10
k=1 l=11 m=1
k=1 k=1
=(1+2+3+y+10)n+(11+12+13+y+20)n ⑤
 -(1+2+3+y+12)n

Á (kÛ`+k+1)- Á (kÛ`+k)
=(13+14+15+y+20)n
06
10 10

8(13+20)

= Á kÛ`+ Á k+ Á 1- Á kÛ`- Á k
k=1 k=3
= _n
2 10 10 10 10 10

={ Á kÛ`- Á kÛ`}+{ Á k- Á k}+ Á 1


=132n=660 k=1 k=1 k=1 k=3 k=3
10 10 10 10 10
이므로 n=5
k=1 k=3 k=1 k=3 k=1
②
=(1Û`+2Û`)+(1+2)+10=18

Á k(aû-aû*Á)
⑤
03
100

k=1

=(aÁ-aª)+2(aª-a£)+3(a£-a¢)+y+100(aÁ¼¼-aÁ¼Á)
07 등차수열 {aÇ}이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3이므로
=aÁ+(-aª+2aª)+(-2a£+3a£)+ aÇ=1+(n-1)_3=3n-2

Á{
 y+(-99aÁ¼¼+100aÁ¼¼)-100aÁ¼Á ak+1 a
- k+2 }
8

=(aÁ+aª+a£+y+aÁ¼¼)-100aÁ¼Á aû aû*Á
= Á aû-20=50
k=1

=Á - Á k+2
100
8 ak+1 8 a
k=1
k=1 aû k=1 aû*Á

42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2 2017-11-06 오후 2:03:38


aª a£ a¢ a» a£ a¢ a» aÁ¼
+ + +y+ }-{ + +y+ + } 45 65
={ =1_10+ =
aÁ aª a£ a¥ aª a£ a¥ a» 2 2
aª aÁ¼ 따라서

Á aû= Á aû+ Á aû+ Á aû


= -
aÁ a» 30 10 20 30

4 28 72 k=1 k=1 k=11 k=21


= - =
1 25 25 25+45+65
=
③ 2
135

Á (2aÇ+3bÇ)+3 Á (bÇ-4cÇ)=15+3_(-3)=6
=
2
08
20 20

Á (2aÇ+6bÇ-12cÇ)=6, 2 Á (aÇ+3bÇ-6cÇ)=6
k=1 k=1 ②
20 20

따라서 Á (aÇ+3bÇ-6cÇ)=3 Á {kÜ`+ }- Á kÜ`= Á kÜ`+ Á - Á kÜ`


k=1 k=1
1 100 1
11
100 100 100 100
20
25 k=1 25

={ Á kÜ`- Á kÜ`}+ Á
k=1 k=8 k=1 k=8
k=1

③ 100 100 100 1


k=1 k=8 k=1 25

Á (3aûÛ`+4aû)- Á aû=3 Á (aûÛ`+aû)이므로 = Á kÜ`+100_


7 1
09
10 10 10
25
7_8 2`
k=1

120-6=3 Á (aûÛ`+aû)에서
k=1 k=1 k=1

} +4
10
={
2

Á (aûÛ`+aû)=38
k=1
10
=788
k=1
⑤
따라서

Á (aû-1)Û`+ Á (3aû+1)= Á {(aû-1)Û`+(3aû+1)}


Á (k+1)Û`- Á (kÛ`+4)
10 10 10

12
n n

= Á (aûÛ`+aû+2)
k=1 k=1 k=1

= Á {(kÛ`+2k+1)-(kÛ`+4)}
10 k=1 k=1
n

= Á (aûÛ`+aû)+ Á 2
k=1

= Á (2k-3)
10 10 k=1
n
k=1 k=1
k=1
=38+2_10=58
n(n+1)
⑤ =2_ -3n
2

Á aû= Á 2(-1)û`
=nÛ`-2n
10
10 10

k=1 k=1
nÛ`-2n=80에서
=2ÑÚ`+2+2ÑÚ`+2+2ÑÚ`+y+2 nÛ`-2n-80=0, (n-10)(n+8)=0이므로
1 n=10
= _5+2_5
2 ②
5 25
= +10=
2 2

Á aû= Á (1+ak-10)= Á (1+aû)


20 20 10 13 (1Û`+1)+(2Û`+3)+(3Û`+5)+y+(10Û`+19)
=(1Û`+2Û`+3Û`+y+10Û`)+(1+3+5+y+19)

= Á kÛ`+(1+3+5+y+19)
k=11 k=11 k=1
10
25 45
=1_10+ =
2 2 k=1

Á aû= Á (1+ak-10)
30 30 10_11_21 10(1+19)
= +
6 2

= Á (1+aû)
k=21 k=21
20 =385+100=485
k=11
②

정답과 풀이 43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3 2017-11-06 오후 2:03:38


정답과 풀이

14 Á logª`aªûÐÁ+ Á logª`aªû= Á logª`aû이므로


12 12 24
그러므로 각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 1, ;2#;, y, ;2N;이고 원의

Á logª`aû= Á logª`a£ûЪ+ Á logª`a£ûÐÁ+ Á logª`a£û


k=1 k=1 k=1
24 8 8 8
넓이 aÇ은
1 2`
= Á (logª`a£ûЪ+logª`a£ûÐÁ+logª`a£û)
k=1 k=1 k=1 k=1
8 aÁ=p_{ }
2

= Á logª (a£ûЪ_a£ûÐÁ_a£û)
k=1
8 aª=p_1Û`
3 2`
= Á logª`{
k=1

1 a£=p_{ }
_4û`_16û`}
8
2
2û`
= Á logª`2Þ`û`
k=1

n 2`
8

}
= Á 5k
k=1 aÇ=p_{
2
k 2`
Á aû= Á [p_{ } ]= Á kÛ`
8

k=1
10 10 p 10
8_9 k=1 k=1 2 4 k=1
=5_
2 p 10_11_21 385
= _ = p
=180 4 6 4
④ 따라서 p=385
 385
15 구하는 합을 S라 하면
}이므로
2 1 1
(1+2+3+y+10)Û`=1Û`+2Û`+3Û`+y+10Û`+2S이므로
18
2S={ Á k}2`- Á kÛ`
=2{ -
k(k+1) k k+1

Á
10 10
20 2

{ Á k}2`={ }2`=55Û`=3025,
k=1 k=1

10_11 k=1 kÛ`+k


10

k=1 2 20 2

Á kÛ`=
k(k+1)

=2 Á {
k=1
10 10_11_21
=385이므로 1 1
}
k=1 6 20
-
k=1 k k+1
2S=3025-385=2640에서
=2[{ - }+{ - }+{ - }+y+{
1 1 1 1 1 1 1 1
S=1320 - }]
1 2 2 3 3 4 20 21
④ 1
=2{1- }
21
40
16 한 변의 길이가 n일 때, 만들어지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
21
(10-n)Û`이므로 만들 수 있는 한 변의 길이가 4 이상인 모든 ③
정사각형의 개수는

Á (10-n)Û`=6Û`+5Û`+4Û`+3Û`+2Û`+1Û` 1 1 1 1 1
9

19 + + + +

= Á kÛ`
n=4 3 15 35 63 99
6
1 1 1 1 1
n=1 = + + + +
1_3 3_5 5_7 7_9 9_11
6_7_13
= [{ - }+{ - }+{ - }
= 1 1 1 1 1 1 1
6
2 1 3 3 5 5 7
=91
 +{ - }+{ -
1 1 1 1
}]
① 7 9 9 11
1
{1-
1
= }
2 11
17 각 정사각형의 색칠한 삼각형 AÇ은 직각삼각형이므로 1 10 5
이 삼각형 AÇ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은 각 정사각형의 한 변의 = _ =
2 11 11
길이이다. ④

44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4 2017-11-06 오후 2:03:39


20 aÇ= Á k= 23 첫째항과 공차가 모두 2인 등차수열의 일반항은
n+1 (n+1)(n+2)
이므로
2

Á =Á
k=1
aÇ=2+(n-1)_2=2n

Á
n 1 n 2
k=1 aû k=1 (k+1)(k+2)
15 1

=2 Á {
13aû*Á+13aû
}
1 1 k=1


n
-
k=1 k+1 k+2 15 13aû*Á-13aû
(13aû*Á+13aû)(13aû*Á-13aû)
=2[{ - }+{ - }+{ - }+
1 1 1 1 1 1 k=1

=Á =Á
2 3 3 4 4 5 15 13aû*Á-13aû 15 13aû*Á-13aû

}]
1 1 aû*Á-aû 2
 y+{ - k=1 k=1
n+1 n+2
1
= {(13aª-13aÁ)+(13a£-13aª)+y+(13aÁ¤-13aÁ°)}
}=
1 1 12 2
=2{ -
2 n+2 13
1 1
1 1 6 1 1 6 1 = (13aÁ¤-13aÁ)= (1322-12)
- = , = - = 2 2
2 n+2 13 n+2 2 13 26
1 312
따라서 n=24 = (412-12)=
2 2
③ ①

21 (xÛ`-x)f(x)-1=0에서
1 1 1
x+0, x+1일 때  f(x)= = - 이므로
xÛ`-x x-1 x

f(k)=
1 1
- (k¾2)
서술형 연습장 본문 84쪽
k-1 k

Á `f(k)=f(1)+ Á {
1
- }
n n 1
k=1 k=2 k-1 k 01 50 02 ;2°1; 03 18

01 ;K1 +!0 (aû+bû)+;K1 +!0 (2aû-bû)


=1+[{1- }+{ - }+{ - }+
1 1 1 1 1
2 2 3 3 4

0 {(aû+bû)+(2aû-bû)}
=;K1 +!

1
- }]
1
y+{
n-1 n

=;K1 +!
0 3aû=3 ;K1 +!
0 aû
1
=2-
n

0 aû=18+6=24이므로 ;K1 +!
에서 3 ;K1 +! 0 aû=8
2n-1 13
= =
n 7
yy ➊

;K1 +!
0 (aû+bû)=18에서
14n-7=13n이므로
n=7

;K1 +!
0 aû+;K1 +!
0 bû=18, 8+;K1 +!
0 bû=18이므로
④

Á ;K1 +!
0 bû=10
1
22
10
yy ➋
15k+1+1k

=Á 따라서 ;K1 +!
0 (5aû+bû)=5;K1 +!
0 aû+;K1 +!
0 bû
k=1

10 15k+1-1k
(15k+1+1k)(15k+1-1k)
= Á (15k+1 -'§k )
k=1

10 =5_8+10=50 yy ➌
 50
=- Á ('§k -15k+1 )
k=1
10

단계 채점 기준 비율

;K1 +!
0 aû의 값을 구한 경우
k=1

=-{(11-12)+(12-13)+y+(1120-1121)} ➊ 40`%

;K1 +!
0 bû의 값을 구한 경우
=-(1-1121)=1121-1
➋ 40`%
따라서 n=11
③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20`%

정답과 풀이 45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5 2017-11-06 오후 2:03:39


정답과 풀이

+
02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85쪽
h(n)­=( f½g)(n)
=f(g(n))=f(2n+1) 01 ④ 02 ③ 03 ④
=2n(2n+2)=4n(n+1) yy ➊

;N2 +!
0 =;N2 +!
0
1 1 01 Ú aÁ, aª, a£, y, aª¼ 중 1인 것의 개수를 m개, -1인
h(n) 4n(n+1) 것의 개수를 n개라 하면

=;4!; ;N2 +!
0 {;n!;- Á aû=6, Á |aû|=16에서
20 20
1
} yy ➋
n+1 k=1 k=1

m-n=6, m+n=16이므로
=;4!;[{;1!;-;2!;}+{;2!;-;3!;}+y+{;2Á0;-;2Á1;}] m=11, n=5
그러므로 aÁ, aª, a£, y, aª¼ 중 0인 것의 개수는 4개이다.
Û Á aû=0이므로 aªÁ, aªª, aª£, y, a¢¼ 중 -1인 것은 적어
=;4!;{1-;2Á1;}=;2°1; yy ➌ 40

 ;2°1;
k=1

  ­도 6개가 있고, 나머지 14개의 항에서 -1과 1이 항상 쌍으


로 있어야 한다. 즉, aªÁ, aªª, aª£, y, a¢¼ 중 0은 최대 14개
단계 채점 기준 비율
이고, 최소 0개이다.
➊ h(n)을 구한 경우 30`%

;N2 +!
0
1 Ú, Û에 의해 p의 최댓값은 4+14=18,
➋ 을 부분분수를 이용하여 나타낸 경우 50`%
h(n) 최솟값은 4+0=4이므로
➌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20`% 이들의 합은 18+4=22이다.
④

1
03 aÇ= 'Än+1+'Än+2
02 첫째항이 1, 공차가 ;3!;이므로
'Än+2-'Än+1
=
('Än+2+'Än+1)('Än+2-'Än+1) aÇ=1+(n-1)_;3!;=;3!; n+;3@;이고
='Än+2-'Än+1 yy ➊

;Kn+! aû=;Kn+! ('Äk+2-'Äk+1) aª-aÁ=a£-aª=a¢-a£=y=aÇ-an-1=;3!;

=-;Kn+! ('Äk+1-'Äk+2)
1 1
{ - }=3{ - }
1 1 1 1
=
aÁaª aª-aÁ aÁ aª aÁ aª
=-{('2-'3)+('3-'4)+y+('Än+1-'Än+2)} 1 1
{ - }=3{ - }
1 1 1 1
=
=-'2+'Än+2 yy ➋ aªa£ a£-aª aª a£ aª a£

=2'5-'2     
이므로 'Än+2=2'5 1
=
1
{
1
- }=3{
1 1
- }
1
an-1an an-an-1 an-1 an an-1 an
따라서 n=18 yy ➌
이므로
 18
1 1 1 1
+ + +y+
단계 채점 기준 비율 b1 b2 b3 bn-1
➊ aÇ을 유리화한 경우 40`% 1 1 1 1
;Kn+! aû의 값을 n으로 나타낸 경우
= + + +y+
a1a2 a2a3 a3a4 an-1an
➋ 40`%
- }=3{1- }=:Á4Á:
1 1 1
➌ n의 값을 구한 경우 20`% =3{
aÁ an an
에서
1 1
1- =;1!2!;, =;1Á2;, 즉 aÇ=12
an an

46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6 2017-11-06 오후 2:03:40


따라서 ;3!;n+;3@;=12이므로 ;3!;n=:£3¢:에서 Ⅲ. 수열

n=34 07 수학적 귀납법


③
기본 유형 익히기 유제 본문 89~91쪽

03 이차함수 y=(x-2n)Û`의 그래프와 직선 y=2x-4n이 1. 10 2. ① 3. 17 4. 5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의 x좌표는
(x-2n)Û`=2x-4n의 해와 같다.
(x-2n)Û`-2(x-2n)=0,
1. aÁ=1이고 an+2=an+n에
n=1을 대입하면 a£=aÁ+1=1+1=2
(x-2n)(x-2n-2)=0
n=3을 대입하면 a°=a£+3=2+3=5
an<bn이므로 an=2n, bn=2n+2
n=5를 대입하면 a¦=a°+5=5+5=10

5 logª`aÇ logª`bÇ
;N1 +!
logª  10

2.
=;N1 +!
5
2n+2 2an+1=an+an+2에서
logª
2n
logª`2n logª(2n+2) 수열 {an}은 등차수열이고 공차를 d라 하면

=;N1 +!
5
logª`(2n+2)-logª`2n aÁ=-1, aª=3에서
logª`2n logª`(2n+2) d=aª-aÁ=3-(-1)=4

=;N1 +!
5 [
따라서 an=-1+(n-1)_4=4n-5이므로
]
1 1
-
logª`2n logª`(2n+2) aÁ¼=35

}+{ }+
1 1 1 1 ①
=[{ - -
logª`2 logª`4 logª`4 logª`6

}]
1 1
y+{ -
logª`30 logª`32
3. `Ú n=1일 때, (좌변)=1Ü`=1, (우변)=;4!;_1Û`_2Û`=1
1 1
= - 이므로 n=1일 때 ㉠은 성립한다.
logª`2 logª`32
Û n=k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5!;
1Ü`+2Ü`+3Ü`+y+kÜ`=;4!;kÛ`(k+1)Û` yy ㉡
=;5$; ㉡의 양변에 (k+1)Ü`을 더하면
④ 1Ü`+2Ü`+y+kÜ`+(k+1)Ü`=;4!;kÛ`(k+1)Û`+(k+1)Ü`

=;4!;(k+1)Û`{kÛ`+4(k+1)}

=;4!;(k+1)Û`(k+2)Û`

=;4!;(k+1)Û`{(k+1)+1}Û`

따라서 n=k+1일 때에도 ㉠이 성립한다.


Ú, Û에 의하여 주어진 식은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다.
그러므로 위의 과정에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각각
f(k)=(k+1)Ü`, g(k)=(k+2)Û`이므로
f(1)+g(1)=2Ü`+3Û`=17
 17

정답과 풀이 47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7 2017-11-06 오후 2:03:40


정답과 풀이

4. Ú n=2일 때 03 aÁ=2이고
(좌변)=(1+h)Û`=1+2h+hÛ`>1+2h=(우변)이므로 n
an+1= a +k에서
n=2일 때 ㉠이 성립한다. n+1 n

Û n=k(k¾2)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n=1, 2, 3을 차례로 대입하면


  (1+h)û`>1+kh yy ㉡ aª=;2!; aÁ+k=;2!;_2+k=1+k
  ­n=k+1일 때, ㉠이 성립함을 보여야 하므로
㉡의 양변에 1+h를 곱하면 1+h>0이므로 a£=;3@; aª+k=;3@;_(1+k)+k=;3@;+;3%; k
k+1
  (1+h) >(1+kh)(1+h)
  그런데 a¢=;4#; a£+k=;4#;_{;3@;+;3%;k}+k=;2!;+;4(;k

  ­(1+kh)(1+h)=1+(k+1)h+khÛ`>1+(k+1)h
따라서 ;2!;+;4(;k=:Á4Á:에서 k=1
  그러므로 (1+h)k+1>1+(k+1)h
  따라서 n=k+1일 때에도 ㉠이 성립한다. ③
Ú, Û에 의하여 부등식 ㉠은 n¾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다.
따라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각각
04 a n+1=3an+3(n=1, 2, 3, y)에서
n=1, 2, 3, 4를 차례로 대입하면
f(h)=1+2h, g(k)=k+1이므로 aª=3aÁ+3=3Û`+3
f(1)+g(1)=3+2=5 a£=3aª+3=3(3Û`+3)+3=3Ü`+3Û`+3
5 a¢=3a£+3=3(3Ü`+3Û`+3)+3=3Ý`+3Ü`+3Û`+3
a°=3a¢+3=3Þ`+3Ý`+y+3
a¤=3a°+3=3ß`+3Þ`+3Ý`+y+3
유형 확인 본문 92~93쪽 =
3(3ß`-1)
3-1
01 ③ 02 ③ 03 ③ 04 ① 05 ① =1092
06 ⑤ 07 15 08 16 09 75 10 12 ①

01 aÁ=4이고 aÇ*Á=(-1)Ç`aÇ(n=1, 2, 3, y)에서 05


n=1, 2, 3을 차례로 대입하면 an+1=an-4에서
aª=-aÁ=-4
an+1-an=-4이므로
a£=(-1)Û`aª=-4
수열 {an}은 aÁ=38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므로
a¢=(-1)Ü`a£=4
an­=38+(n-1)_(-4)
③
=-4n+42
따라서 aÁ¼=-4_10+42=2
02 aÁ=2, aª=-3, a£=1이고 ①
an+3=an(n=1, 2, 3, y)에서
n=1을 대입하면 a¢=aÁ=2
an+2 a
n=2를 대입하면 a°=aª=-3
n=3을 대입하면 a¤=a£=1
06 a n+2` na =an+1Û`에서
an+1
= n+1 이므로
an

n=4를 대입하면 a¦=a¢=2 수열 {an}은 등비수열이다. 공비를 r라 하면


n=5를 대입하면 a¥=a°=-3 logªa¢=;3$;에서 a¢=2;3$;
따라서 a¢+a¥=2+(-3)=-1
③ 즉, 2rÜ`=2;3$;에서 rÜ`=2;3!;

48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8 2017-11-06 오후 2:03:41


따라서
09 Ú n=2일 때, (좌변)=;4%;<;2#;=(우변)
aÁ£=2rÚ`Û`
이므로 n=2일 때 부등식이 성립한다.
=2(rÜ`)Ý`
Û n=k(k¾2)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2_2;3$;
1 1 1
=4Ü '2 1+
2Û`
+y+ <2- 
kÛ` k
yy ㉡
⑤ 1
㉡의 양변에 을 더하면
(k+1)Û`
1 1 1
1+ +y+ +
2Û` kÛ` (k+1)Û`
07 Ú n=1일 때, (좌변)=1_2Ú`=2, (우변)=2 1 1 kÛ`+k+1
이므로 주어진 등식은 성립한다. <2- + =2-
k (k+1)Û` k(k+1)Û`
Û ­n=k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kÛ`+k 1
1_3_5_y_(2k-1)_2û` <2- =2-
k(k+1)Û` k+1
=(k+1)(k+2)(k+3)y2k 따라서 n=k+1일 때에도 부등식이 성립한다.
위의 식의 양변에 2(2k+1)을 곱하면 Ú, Û에 의하여 ㉠은 n¾2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성립한
=1_3_5_y(2k-1)(2k+1)_2k+1 다.
=(k+1)(k+2)(k+3)y2k_2(2k+1) 그러므로 위의 과정에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k+2)(k+3)y2k(2k+1){2(k+1)} 1
f(k)= , g(k)=kÛ`+k+1이므로
따라서 n=k+1일 때에도 성립한다. (k+1)Û`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등식이 성립
100f(1)g(1)=100_;4!;_3=75
한다.
따라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 75

f(k)=2(2k+1), g(k)=2k+1이므로
f(2)+g(2)=10+5=15
 15

10 Ú ­n=10일 때,
‌­(좌변)=2Ú`â`=1024, (우변)=10Ü`=1000이므로
08 f(n)=3n+1+42n-1으로 놓으면 ㉠은 성립한다.
Ú n=1일 때 Û ­n=k(k¾10)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f(1)=3Û`+4=13이므로 2û`>kÜ`이 성립하므로 양변에 2를 곱하면
f(1)은 13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2k+1>2kÜ`
Û n=k일 때 k¾10에서 kÜ`¾10kÛ`, kÛ`¾10k, k¾10이므로
f(k)가 13으로 나누어 떨어진다고 가정하면 2kÜ`-(k+1)Ü`=kÜ`-3kÛ`-3k -1¾67k-1>0
f(k+1)=3(k+1)+1+42(k+1)-1=3k+2+42k+1 에서 2k+1>2kÜ`>(k+1)Ü`
=3_3k+1+16_42k-1 따라서 n=k+1일 때에도 성립한다.
=3(3k+1+42k-1)+13_42k-1 Ú, Û에 의하여 주어진 식은 n¾10인 모든 자연수에 대하여
=3 f(k)+13_42k-1 성립한다.
이므로 f(k+1)도 13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따라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따라서 (가), (나)에 들어갈 두 수의 합은 f(k)=2k+1, g(k)=(k+1)Ü`이므로
3+13=16 f(1)+g(1)=4+8=12
 16  12

정답과 풀이 49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49 2017-11-06 오후 2:03:41


정답과 풀이

서술형 연습장 본문 94쪽 Û ­n=k(k¾4)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1_2_3_y_k>2û` yy ㉠
01 -190 02 335 03 풀이 참조 ㉠의 양변에 k+1을 곱하면
1_2_3_y_k_(k+1)>2û`_(k+1) yy ㉡
01 aÁ=2이고  yy ➋
n=1, 2, 3, 4를 차례로 대입하면 ㉡의 우변에서 k+1>2이므로
aª=aÁ-2=2-2=0 yy ➊ 2û`_(k+1)>2k+1, 즉
a£=3aª-4=3_0-4=-4 1_2_3_y_k_(k+1)>2k+1
a¢=5a£-6=5_(-4)-6=-26 그러므로 n=k+1일 때에도 성립한다.
a°=7a¢-8=7_(-26)-8=-190 yy ➋ 따라서 4 이상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주어진 부등식은 성
 -190 립한다. yy ➌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aª를 구한 경우 30`% n=4일 때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인
➊ 20`%
➋ a£, a¢, a°를 구한 경우 70`% 경우
➋ 양변에 k+1을 곱한 경우 30`%
n=k+1일 때에도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함
02 a 2n +a2n-1=(n-1)Û`+5에서 ➌
을 보인 경우
50`%
aª+aÁ=0Û`+5
a¢+a£=1Û`+5
a¤+a°=2Û`+5
 
aÁ¥+aÁ¦=8Û`+5
aª¼+aÁ»=9Û`+5이므로 yy ➊ +
내신 수능 고난도 문항 본문 95쪽
Sª¼­=aÁ+aª+a£+y+aª¼
=(0Û`+5)+(1Û`+5)+(2Û`+5)+y+(9Û`+5)
01 ⑤ 02 4 03 5
=(1Û`+2Û`+3Û`+y+9Û`)+5_10 yy ➋
=;K9+! kÛ`+10_5 01 ㄱ. a n+2=an-4'3에서
9_10_19 an+2-an=-4'3
= +50
6 n=1을 대입하면 a£-aÁ=-4'3 (참)
=285+50=335 yy ➌ ㄴ. aÁ=18'3이고, an+2-an=-4'3이므로
 335 수열 {a2n-1}은 첫째항이 aÁ=18'3이고 공차가 -4'3인

단계 채점 기준 비율 등차수열이다.
➊ n=1부터 대입하여 aª¼+aÁ»의 값까지 구한 경우 20`% a2n-1=18'3+(n-1)(-4'3)=22'3-4'3n
SÁ¼의 값을 1Û`+2Û`+3Û`+y+9Û`과 마찬가지로 a¤=18'3이고, an+2-an=-4'3이므로 수열
➋ 30`%

Á를 이용하여 Sª¼의 값을 구한 경우
5_10으로 나타낸 경우 {a2n}은 첫째항이
➌ 50`% aª=a¢+4'3=(a¤+4'3)+4'3=26'3
이고, 공차가 -4'3인 등차수열이므로
a2n=26'3+(n-1)(-4'3)=30'3-4'3n에서
03 Ú n=4일 때 a2n-1+a2n=52'3-8'3n (참)
5 ak=;K8+!a2k-1+;K7+!a2k
ㄷ. ;K1 +!
(좌변)=1_2_3_4=24, (우변)=2Ý`=16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성립한다. yy ➊

50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50 2017-11-06 오후 2:03:41


=;K8+!(22'3-4'3k)+;K7+!(30'3-4'3k) 셋째 날 오전에는 전날 판매량의 50%의 양이 판매되므로 판매

8_9 7_8 량은 ;2!;aª, 오후에는 전날 판매량의 75%의 양이 판매되므로


=8_22'3-4'3_ +7_30'3-4'3_
2 2
=130'3 (참) 판매량은 ;4#;aª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그러므로 셋째 날 모든 판매량은
⑤
a£=;2!;aª+;4#;aª=;4%;aª

02 Ú n=1일 때, ;2!;+;3!;+;4!;=;1!2#;>1이므로 주어진 따라서 (n+1)째 날의 모든 판매량은 n째 날의 모든 판매량의

부등식이 성립한다. ;4%;배가 판매되므로

Û n=k(k¾2)일 때, ak=
1
+
1
+y+
1 an+1=;4%;an에서 k=;4%;
k+1 k+2 3k+1
이라 하자. 수열 {aÇ}은 aÁ=4Þ`, 공비가 ;4%;인 등비수열이므로
ak>1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여섯번째 항까지의 합은

4Þ`[{;4%;}6`-1]
1 1 1
ak+1= + +y+
k+2 k+3 3k+4
1 1 1 =4ß`[{;4%;}ß`-1]=5ß`-4ß`
}-
1
=ak+{ + + ;4%;-1
3k+2 3k+3 3k+4 k+1
한편 (3k+2)(3k+4)<(3k+3)Û`이므로 20_;4%;
20k
1 1 6(k+1) 따라서 m=5이므로 = =5
+ = m 5
3k+2 3k+4 (3k+2)(3k+4)
5
6(k+1) 2
> =
(3k+3)Û` 3k+3
그런데 ak>1이므로
1 2
}-
1
ak+1>ak+{ + =ak>1
3k+3 3k+3 k+1 대단원 종합 문제 본문 96~99쪽
따라서 (가), (나)에 알맞은 식은 각각
2 01 ① 02 ① 03 ③ 04 ⑤ 05 ①
f(k)=k+1, g(k)= 이므로
3k+3 06 ④ 07 ④ 08 ① 09 ③ 10 ②
f(11)+g(1)=12_;3!;=4 11 ② 12 -122 13 ④ 14 ② 15 3
16 111 17 ④ 18 105 19 ② 20 260
4
3'2
21 125 22 9 23 4

03 aÁ=4Þ`이고 01 aÁ+a¢=a¦에서
둘째 날 오전에는 전날 판매량의 50%의 양이 판매되므로 판매 aÁ+{aÁ+3_(-2)}=aÁ+6_(-2), 즉
량은 ;2!;aÁ, 오후에는 전날 판매량의 75%의 양이 판매되므로 2aÁ-6=aÁ-12에서 aÁ=-6
①
판매량은 ;4#;aÁ이다 다른풀이

그러므로 둘째 날 모든 판매량은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Á+a¢=a¦에서
aª=;2!;aÁ+;4#;aÁ=;4%;aÁ
aÁ=a¦-a¢=3d=3_(-2)=-6

정답과 풀이 51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51 2017-11-06 오후 2:03:42


정답과 풀이

02 aÇ=3n-4에서 06 `가로의 길이가 n인 직사각형 모양의 타일의 넓이가 A n

aÁ=-1, aÁ¼=26 이므로


10(-1+26) AÁ=1_2
따라서 SÁ¼= =125
2 Aª=2_3
①
A£=3_4
다른풀이 A¢=4_5
등차수열 {an}의 공차를 d라 하면 A°=5_6
an=3n-4에서 aÁ=-1이고, A¤=6_7
d­=an+1-an 이므로 An=n(n+1)
=3(n+1)-4-(3n-4)=3 따라서

;K6+! Ak=;K6+! k(k+1)


10(-2+9_3)
따라서 SÁ¼= =125
2
=;K6+! (kÛ`+k)
03 =;K6+! kÛ`+;K6+! k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aÁ¼=2a¤에서
6_7_13 6_7
3rá`=2_3rÞ`, 즉 rÝ`=2 = +
6 2
따라서 aÁ¦=3rÚ`ß`=3(rÝ`)Ý`=3_2Ý`=48
=91+21=112
③
④

04 aÁ+aª+a£+a¢+a°= aÁ(2Þ2-1
`-1)
=2Ú`â`에서 07 a 2n+1 =a2n-1+3에서
n=1, 2, 3을 대입하면
aÁ(2Þ`-1)=2Ú`â` yy ㉠
a£=aÁ+3=1+3=4
aÁ(2Ú`â`-1)
aÁ+aª+a£+y+a»+aÁ¼= a°=a£+3=4+3=7
2-1
a¦=a°+3=7+3=10
=aÁ(2Þ`-1)(2Þ`+1)
a2n+2=a2n+n에서
=2Ú`â`(2Þ`+1)
n=1, 2, 3을 대입하면
=2Ú`Þ`+2Ú`â`
a¢=aª+1=-2+1=-1
⑤
a¤=a¢+2=-1+2=1

Á (kÜ`+5)- Á (kÜ`+4)
a¥=a¤+3=1+3=4
05
100 100
따라서 a¦+a¥=10+4=14

= Á kÜ`+ Á 5- Á kÜ`- Á 4
k=1 k=6
100 100 100 100 ④

=( Á kÜ`- Á kÜ`)+ Á 5- Á 4
k=1 k=1 k=6 k=6

08 x, aÁ, aª, y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이므로 공차를 dÁ이


100 100 100 100

=( Á kÜ`- Á kÜ`)+( Á 5- Á 4)+4_5


k=1 k=6 k=1 k=6
100 100 100 100 라 하면
y=x+3dÁ 즉,
= Á kÜ`+ Á 1+4_5
k=1 k=6 k=1 k=1
5 100
y-x
dÁ= =aª-aÁ
5_6 2`
k=1 k=1 3

={ } +100+20 x, bÁ, bª, b£, y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이므로 공차를 dª라 하면


2
y=x+4dª, 즉
=345
y-x
① dª= =bª-bÁ
4

52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52 2017-11-06 오후 2:03:42


y-x 5회 반복한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8-;9*;-{;9*;}2`-{;9*;}3``-{;9*;}4``
aª-aÁ dÁ 3
따라서 = = =;3$;
bª-bÁ dª y-x

=8-[;9*;+{;9*;}2`+{;9*;}3``+{;9*;}4``]
4
①

;9*;[1-{;9*;}4` ]
=8-8[1-{;9*;}4``]
09 등차수열 {a }의 공차를 d라 하면
n
=8-
S°=5에서 1-;9*;

=8_{;9*;}4``=
5(-6+4d)
=5, 4d=8이므로 d=2 8Þ`
2
9Ý`
n{2_(-3)+(n-1)_2}
Sn=
2 ②

=n(n-4)
에서 S2n=2n(2n-4)=4n(n-2) 12 Ú n=4k일 때
이고 4n(n-2)>480, 즉 46¾4k(k=1, 2, 3 y)에서 kÉ11.YYY
n(n-2)>120 에서 k=1, 2, 3, y, 11
에서 nÛ`-2n-120>0, (n+10)(n-12)>0 Á f(4k)= Á 4k=4 Á k
11 11 11

k=1 k=1 k=1


n은 자연수이므로 n>12
11_12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은 13이다. =4_
2
③ =4_66=264
Û n=4k-1일 때
10 수열 {16 aÇ
}이 공비가 8인 등비수열이므로 46¾4k-1 (k=1, 2, 3, y)에서 kÉ11.YYY
등비수열의 정의에 의하여 에서 k=1, 2, 3, y, 11

Á f(4k-1)= Á 2=2_11=22
16a Ö16aÇ=8에서
n+1
11 11

16an+1-an
=8, 즉 2 4(an+1-an)
=2Ü` k=1 k=1

4(an+1-an)=3, 즉 Ü n=4k-2일 때
46¾4k-2(k=1, 2, 3, y)에서 kÉ12
an+1-an=;4#;
에서 k=1, 2, 3, y, 12

  Á f(4k-2)= Á {-(4k-2)}
12 12
따라서 수열 {an}은 공차 d=;4#;인 등차수열이므로

=-4 Á k+ Á 2
k=1 k=1
12 12
a£¼-aÁ¼=(aÁ+29d)-(aÁ+9d)=20d
k=1 k=1

=20_;4#;=15 12_13
=-4_ +2_12
2
②
=-288
Ý ­n=4k-3일 때
11 1회 오려낸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8 46¾4k-3 (k=1, 2, 3, y)에서 kÉ12.YYY
2회 반복한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8-;9*; 에서 k=1, 2, 3, y, 12

  Á f(4k-3)= Á (-10)=(-10)_12=-120
3회 반복한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8-;9*;-{;9*;}2`
12 12

k=1 k=1

따라서
;N4 +!
6 f(n)=264+22-288-120=-122
4회 반복한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8-;9*;-{;9*;}2`-{;9*;}3``
 -122

정답과 풀이 53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53 2017-11-06 오후 2:03:42


정답과 풀이

13 ;K1 +!0 kÛ`+2;K4+! (2k+1)Û`+2 ;K3+! (2k+3)Û`


kÞ` kÝ` kÜ` k
+ + - 는 정수이다.
5 2 3 30
+2 ;K2+! (2k+5)Û`+2 ;K1+! (2k+7)Û` n=k+1일 때,
(k+1)Þ` (k+1)Ý` (k+1)Ü` k+1
=(1Û`+2Û`+3Û`+y+9Û`+10Û`)+2(3Û`+5Û`+7Û`+9Û`) + + -
5 2 3 30
 +2(5Û`+7Û`+9Û`)+2(7Û`+9Û`)+2_9Û` kÞ`+5kÝ`+10kÜ`+10kÛ`+5k+1
=
=(2Û`+4Û`+6Û`+8Û`+10Û`)+(1Ü`+3Ü`+5Ü`+7Ü`+9Ü`) 5

=;K5+! (2k)Û`+;K5+! (2k-1)Ü`  +


kÝ`+4kÜ`+6kÛ`+4k+1
+
kÜ`+3kÛ`+3k+1
-
k+1

=;K5+! {4kÛ`+(2k-1)Ü`}
2 3 30
kÞ` kÝ` kÜ` k
={ + + - }+(kÝ`+4kÜ`+6kÛ`+4k+1)
=;K5+! (8kÜ`-8kÛ`+6k-1)
5 2 3 30

{
kÞ` kÝ` kÜ` k
}는 정수이므로 주어진 식은
=8 ;K5+! kÜ`-8 ;K5+! kÛ`+6 ;K5+! k- ;K5+! 1
+ + -
5 2 3 30
n=k+1일 때에도 성립한다.
5_6 2`
} -8_
5_6_11 5_6 Ú, Û에 의하여 주어진 식은 음이 아닌 모든 정수 n에 대하여
=8{ +6_ -5
2 6 2
정수이다.
=1445
kÞ` kÝ` kÜ` k
④ a=0, f(k)=k+1, g(k)= + + - 이므로
5 2 3 30
a+ f(1)+g(1)=0+2+1=3
3
14 an=3+(n-1)_2=2n+1

;Kn+! kÛ`=
참고 n=k(k¾0)일 때, 주어진 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n(n+1)(2n+1)
이므로
즉, { + + -
kÞ` kÝ` kÜ` k
6 }가 정수임을 이용하여
5 2 3 30
aÁ aª a£ aª¼
+ + +y+ n=k+1일 때
1Û` 1Û`+2Û` 1Û`+2Û`+3Û` 1Û`+2Û`+3Û`+y+20Û`

=;K2 +!
0
(k+1)Þ` (k+1)Ý` (k+1)Ü` k+1
aû + + - 이 정수임을 증명하
5 2 3 30
1Û`+2Û`+3Û`+y+kÛ`

=;K2 +!
0
2k+1 여야 한다.
k(k+1)(2k+1)
6

=;K2 +!
0
6(2k+1) 16 집합 A의 원소 중 가장 작은 원소는
k(k+1)(2k+1) 10(1+19)

=;K2 +!
0
1+3+5+y+19= =100
2
6
k(k+1) 집합 A의 원소 중 가장 큰 원소는

=6 ;K2 +!
0 {
1 1 10(23+41)
- } 41+39+37+y+23= =320
k k+1 2

=6{1-;2Á1;} 집합 A의 n개의 원소를 작은 것부터 나열하면


첫째항이 100, 끝항이 320이고 공차가 2이므로
=:¢7¼: 320=100+(n-1)_2에서
② 2n=222
따라서 n=111
 111
15 Ú ­n=0일 때, 주어진 식은 정수 0이 된다.
17 ;Kn+!
따라서 n=0일 때, 성립한다. kaû aÁ+2aª+3a£+y+naÇ
Û n=k(k¾0)일 때, 주어진 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2n-1에서
n n

54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54 2017-11-06 오후 2:03:43


aÁ+2aª+3a£+y+naÇ=n(2n-1) yy ㉠ 따라서

Á { f(n)}Û`= Á ;2!;{
1 1
㉠에 n=10을 대입하면 }
10 10
-
n-1 n+1

=;2!; Á {
aÁ+2aª+3a£+y+10aÁ¼=190 yy ㉡ n=2 n=2

1 1
}
10
㉠에 n=9를 대입하면 -
n=2 n-1 n+1
aÁ+2aª+3a£+y+9a»=153 yy ㉢
=;2!;[{;1!;-;3!;}+{;2!;-;4!;}+{;3!;-;5!;}
㉡-㉢에서
10aÁ¼=190-153=37
 +y+{;8!;-;1Á0;}+{;9!;-;1Á1;}]
④
=;2!;{1+;2!;-;1Á0;-;1Á1;}

=;5#5^;
18 부채꼴 OÇAÇBÇ의 반지름 OÇBÇ의 길이와 부채꼴의 호 lÇ
의 길이가 같으므로 중심각 hÇ은 1(라디안)이다. ②
BÇHÇÓ
BÇHÇÓ='Ä2n-1이므로 sin`1= 에서
OÇBÇÓ
20 S =(n+1)Û`+(n+2)Û`+y+(n+10)Û`
=;K1 +!
0 (n+k)Û`
n
BÇHÇÓ 'Ä2n-1
OÇBÇÓ= =
sin`1 sin`1
그러므로 부채꼴의 넓이는 =;K1 +!
0 (nÛ`+2kn+kÛ`)
'Ä2n-1 'Ä2n-1
aÇ=;2!;_ _ 10_11 10_11_21
sin`1 sin`1 =10nÛ`+2n_ +
2 6
2n-1 1 1
= = n- =10nÛ`+110n+385
2 sinÛ``1 sinÛ``1 2 sinÛ``1
이므로 S2n=40nÛ`+220n+385
따라서

;K1 +!
0 a2k=aª+a¢+a¤+y+aª¼
an+an+1+an+2+y+a2n
=S2n-Sn-1
1 10 =40nÛ`+220n+385-{10(n-1)Û`+110(n-1)+385}
= (2+4+6+y+20)-
sinÛ``1 2 sinÛ``1
=30nÛ`+130n+100
1 10(2+20) 5
= _ - 따라서 a=30, b=130, c=100이므로
sinÛ``1 2 sinÛ``1
a+b+c=260
105
=  260
sinÛ``1
따라서 a=105
 105 21 log`a =log`an-log`Ü '5 에서
n+1

aÇ 1
log`an+1=log` 이므로 an+1= aÇ이므로
Ü '5 Ü '5
1
19 원의 중심 (3, 0)에서 직선 ax-y=0에 이르는 거리는 수열 {an}은 aÁ=25=5Û`이고, 공비가
Ü '5
인 등비수열이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1 n-1
aÇ=5Û`_{ }
|3a| 3
= 에서 3"ÃaÛ`+1=|3na| Ü '5
"ÃaÛ`+1 n 1-n
=5Û`_5 3
nÛ`aÛ`=aÛ`+1, 즉 (nÛ`-1)aÛ`=1
7-n
1 =5 3
aÛ`={f(n)}Û`=
nÛ`-1 7-n 7-n
5 3 의 값이 유리수가 되려면 이 정수가 되어야 하므로
1 1 3
=;2!;{
1 1
= - }
nÛ`-1 (n-1)(n+1) n-1 n+1 n=1, 4, 7, 10, 13, 16, 19, y이다.

정답과 풀이 55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55 2017-11-06 오후 2:03:43


정답과 풀이

n=1, 4, 7, 10, 13, 16, 19, 22, 25, 28일 때, 따라서

;N2 +!
4
aÁ+a¢+a¦+y+aª¥ 1
an+an+1
1 1 1 1 1 1
=;N2 +!
4
=5Û`+5+1+;5!;+ + + + + +
5Û` 5Ü` 5Ý` 5Þ` 5ß` 5à` 1

5Û`[1-{;5!;}1`0`]
2'Ä4n-2+2'Ä4n+2

= =-;8!;;N2 +!
4 ('Ä4n-2-'Ä4n+2 )
1-;5!;

[1-{;5!;}1`0`]
=-;8!;{('2-'6)+('6-'1Œ0)+y+('9Œ4-'9Œ8)}
125
=
4
3'2
따라서 k=125 =-;8!;('2-7'2)=  yy ➌
4
 125 3'2

4

단계 채점 기준 비율
22 등차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두 교점 An, Bn의 x좌표를 an, bn으로 놓고
30`%
aª-2aÁ¼=0에서 a+d-2(a+9d)=0 an+bn과 anbn을 n으로 나타낸 경우
이므로 a=-17d yy ㉠ yy ➊ 두 교점 An, Bn 사이의 거리를 n으로 나타낸
➋ 30`%
경우

;N2 +!
4
aû-3aÁ°=0에서
1
a+(k-1)d-3(a+14d)=0이므로 ➌ 의 값을 구한 경우 40`%
an+an+1
(k-43)d
a=  yy ㉡ yy ➋
2
k-43
㉠과 ㉡에서 =-17, 즉
2
k=9 yy ➌
9

단계 채점 기준 비율
➊ aª-2aÁ¼=0에서 a를 d로 나타낸 경우 40`%
➋ aû-3aÁ°=0에서 a를 k와 d로 나타낸 경우 40`%
➌ k의 값을 구한 경우 20`%

23 A (a , a ), B (b , b )이라 하면 a , b 은 이차방정식
n n n n n n n n

xÛ`+(x-2)Û`=4n의 두 근이므로
xÛ`+(x-2)Û`=4n에서
xÛ`-2x+2-2n=0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n+bn=2, anbn=2-2n yy ➊
(an-bn)Û`=(an+bn)Û`-4anbn
=2Û`-4(2-2n)=8n-4
an=AnBnÓ="Ã(an-bn)Û`+(an-bn)Û`
="Ã2(8n-4)
=2'Ä4n-2 yy ➋

56 올림포스•수학Ⅰ

해 34-56 올림기본(수-1)_3단원-ok2.indd 56 2017-11-06 오후 2:03:4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