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024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120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영역 수학Ⅱ

정답과 풀이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2

Ⅱ. 미분 18

Ⅲ. 적분 62

책1.indb 1 2022-12-01 오후 7:15:51


정답과 풀이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05
lim
(x-2)(xÜ`+5)
=lim (xÜ`+5)=2Ü`+5=13
x`Ú2 x-2 x`Ú2
본문 8~25 쪽
 13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01 ③
06 ④
02 ③
07 30
03 ①
08 ②
04 ②
09 ③
05 13
10 ④ 06
11 ② 12 ④ 13 ② 14 ④ 15 ③ ®É1-
2
+3
16 ④ 17 ② 18 ① 19 ⑤ 20 ④ "ÃxÛ`-2+3x xÛ`
lim =lim
x`Ú¦ x+5 x`Ú¦
1+;[%;
21 ① 22 ② 23 ② 24 ⑤ 25 ⑤

26 ⑤ 27 ④ 28 ① 29 ④ 30 ② 'Ä1-0+3
= =4
31 ① 32 ② 33 13 34 ③ 35 ② 1+0
36 ④ 37 ③ 38 ④ 39 ③ 40 27 ④
41 ④ 42 6 43 ④ 44 ① 45 ⑤
46 ② 47 ② 48 ⑤ 49 ④ 50 ④

51 ① 52 ⑤ 53 6 54 ③ 55 ④ 07
56 ④ 57 ③ 58 ① 59 24 60 ③ lim (x+1)f(x)=1이므로
x`Ú1
61 ⑤ 62 8
lim (2xÛ`+1)f(x)‌=lim [(x+1)f(x)_ ]
2xÛ`+1
x`Ú1 x`Ú1 x+1
2xÛ`+1
=lim {(x+1)f(x)}_lim
1
x`Ú1 x`Ú1 x+1
유형 함수의 극한값의 계산
=1_;2#;=;2#;

01 따라서 a=;2#;이므로 20a=20_;2#;=30


xÛ`+2x-8 (x-2)(x+4)
lim ‌
=lim  30
x`Ú2 x-2 x`Ú2 x-2
=lim (x+4)=2+4=6
x`Ú2

③ 08
02 두 점 A, B의 좌표를 각각 (a, aÛ`), (b, bÛ`)이라 하면 x에 대한 이
차방정식 xÛ`-x-t=0의 두 근이 a, b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lim(xÛ`+5)=2Û`+5=9
x`Ú2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③
a+b=1, ab=-t

03 AHÓ
=a-b="Ã(a-b)Û`
3xÛ`-6x 3x(x-2) ="Ã(a+b)Û`-4ab='Ä1+4t
lim  lim
=
x`Ú2 x-2 x`Ú2 x-2 또, 점 C의 좌표가 (-a, aÛ`)이므로
=lim 3x=3_2=6 CHÓ=
 b-(-a)=b+a=1
x`Ú2

① 따라서

04 lim
t`Ú0+
AHÓ-CHÓ
t
= lim
t`Ú0+
'Ä1+4t-1
t
xÛ`+9x+8 (x+1)(x+8)
lim ‌ lim
= ('Ä1+4t-1)('Ä1+4t+1)
x`Ú-1 x+1 x`Ú-1 x+1 = lim
t`Ú0+ t('Ä1+4t+1)
= lim (x+8)=-1+8=7
x`Ú-1
(1+4t)-1
= lim
② t`Ú0+ t('Ä1+4t+1)

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2 2022-12-01 오후 7:15:51



14
4t

함수의 극한과 연속
= lim
t`Ú0+ t('Ä1+4t+1)

4 4 x`2Ú -1-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 lim = =2 ② x`Ú-1-
t`Ú0+ 'Ä1+4t+1 1+1
x`2Ú 1+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Ú1+

따라서 lim `f(x)- lim `f(x)=2-1=1


x`Ú-1- x`Ú1+

④
유형 2 좌극한과 우극한

09 15
x`2Ú 0-일 때,  f(x)`2Ú 0이므로 lim f(x)=0
x`2Ú 0-일 때,  f(x)`2Ú 0이므로 lim `f(x)=0 x`Ú0-
x`Ú0-
x`2Ú 1+일 때,  f(x)`2Ú 3이므로 lim f(x)=3
x`Ú1+
x`2Ú 1+일 때,  f(x)`2Ú -3이므로 lim `f(x)=-3
x`Ú1+
따라서 lim f(x)+ lim f(x)=0+3=3
x`Ú0- x`Ú1+
따라서 lim `f(x)+ lim `f(x)=0+(-3)=-3
x`Ú0- x`Ú1+
③
③

10 16
x`2Ú -1-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2Ú -1-일 때,  f(x)`2Ú 3이므로 lim f(x)=3
x`Ú-1- x`Ú-1-

x`2Ú 1+일 때, f(x)`2Ú 3이므로 lim `f(x)=3 x`2Ú 2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Ú1+ x`Ú2

따라서 lim `f(x)+ lim `f(x)=1+3=4 따라서 lim f(x)+lim f(x)=3+1=4


x`Ú-1- x`Ú1+ x`Ú-1- x`Ú2

④ ④

11 17
x`2Ú 0-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x`Ú0- lim f(x)=2, lim f(x)=3이므로
x`Ú-2+ x`Ú2-
x`2Ú 1+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lim f(x)+ lim f(x)=2+3=5
x`Ú1+
x`Ú-2+ x`Ú2-

따라서 lim `f(x)+ lim `f(x)=-2+1=-1 ②


x`Ú0- x`Ú1+

②

12 18
x`2Ú 0-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2Ú -1+일 때, f(x)`2Ú 4이므로 lim `f(x)=4 x`Ú0-
x`Ú-1+
x`2Ú 1+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x`2Ú 2-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x`Ú1+
x`Ú2-
따라서 lim `f(x)+ lim `f(x)=-1+2=1
따라서 lim `f(x)+ lim `f(x)=4+(-2)=2 x`Ú0- x`Ú1+
x`Ú-1+ x`Ú2-
①
④

13 19
x`2Ú 1-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2Ú 1-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Ú1- x`Ú1-

x`2Ú 2+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2Ú 2+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Ú2+ x`Ú2+

따라서 lim `f(x)+ lim `f(x)=1+1=2 따라서 lim `f(x)+ lim `f(x)=1+1=2
x`Ú1- x`Ú2+ x`Ú1- x`Ú2+

② ⑤

정답과 풀이 ● 3

책1.indb 3 2022-12-01 오후 7:15:52


20 26
x`2Ú -1+일 때, f(x)`2Ú 0이므로 lim `f(x)=0 x`2Ú 1+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x`Ú-1+ x`Ú1+

x`2Ú 1-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2Ú 0-일 때,  f(x)`2Ú 4이므로 lim `f(x)=4
x`Ú1- x`Ú0-

따라서 lim `f(x)+ lim `f(x)=0+1=1 lim `(x-1)=-1


x`Ú-1+ x`Ú1- x`Ú0-

④ 따라서

f(x) lim   f(x)


x`Ú0-
lim `f(x)- lim ` = lim `f(x)-
x-1 x`Ú1+ lim (x-1)
21
x`Ú1+ x`Ú0-
x`Ú0-

4
lim f(x)=-2, lim f(x)=0이므로 =2-{ }=6
x`Ú0- x`Ú2+ -1
lim f(x)+ lim f(x)=-2+0=-2 ⑤
x`Ú0- x`Ú2+

①
27
x`2Ú 0일 때,  f(x)`2Ú 0이므로 lim`f(x)=0

22
x`Ú0

x`2Ú 1+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x`Ú1+
x`2Ú 1+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Ú1+ 따라서 lim`f(x)+ lim `f(x)=0+2=2
x`Ú0 x`Ú1+
x`2Ú 3-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x`Ú3- ④
따라서 lim `f(x)- lim `f(x)=1-2=-1
28
x`Ú1+ x`Ú3-

②
x`2Ú 0+일 때, f(x)`2Ú 0이므로 lim f(x)=0
x`Ú0+

x`2Ú 1-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23 따라서 lim f(x)- lim f(x)=0-2=-2
x`Ú1-

x`2Ú -1+일 때,  f(x)`2Ú 0이므로 lim f(x)=0 x`Ú0+ x`Ú1-


x`Ú-1+
①
x`2Ú 1-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x`Ú1-

따라서 lim f(x)+ lim f(x)=0+2=2


x`Ú-1+ x`Ú1- 29
② x-1=t라 하면 x`2Ú 0+일 때, t`2Ú -1+이므로
lim f(x-1)= lim f(t)=-1
x`Ú0+ t`Ú-1+

f(x)=s라 하면 x`2Ú 1+일 때, s`2Ú -1-이므로


24 lim f( f(x))= lim f(s)=2
x`Ú1+ s`Ú-1-
x`2Ú 0+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x`Ú0+
따라서 lim f(x-1)+ lim f( f(x))=(-1)+2=1
x`Ú0+ x`Ú1+
x`2Ú 2-일 때,  f(x)`2Ú 0이므로 lim `f(x)=0
x`Ú2-
④
따라서 lim `f(x)+ lim `f(x)=2+0=2
x`Ú0+ x`Ú2-

⑤ 30
y y=xÛ -4

25 B
P
x`2Ú 0-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Û +yÛ =4 M
x`Ú0-
O A x
x`2Ú 1+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x`Ú1+

따라서 lim `f(x)+ lim `f(x)=1+1=2


x`Ú0- x`Ú1+

⑤

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4 2022-12-01 오후 7:15:52


두 선분 AB, OP의 교점을 M이라 하면 직선 OP는 선분 AB를 조건 (나)에 의하여
수직이등분하므로 직각삼각형 OAP와 직각삼각형 OMA는 서로 x`2Ú 0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닮음이다. 삼각형 OAP와 삼각형 OMA의 닮음비는 OPÓ : OAÓ이 즉, lim(2xÛ`+ax+b)=b=0에서
x`Ú0

므로 넓이의 비는 OPÓ Û` : OAÓ Û`이다. f(x)=2xÛ`+ax


S(t)+T(t) f(x)
삼각형 OAP의 넓이는 , lim
2xÛ`+ax
2 =lim
x`Ú0 x x`Ú0 x
S(t)
삼각형 OMA의 넓이는 이므로 =lim (2x+a)
2 x`Ú0

S(t)+T(t) S(t) =a=3


OPÓ Û` : OAÓ Û`= :
2 2
이므로
S(t)+T(t) S(t)
OAÓ Û`_ =OPÓ Û`_ f(x)=2xÛ`+3x
2 2
T(t) Û
OPÓ`-OAÓ `Û 따라서  f(2)=2_2Û`+3_2=14
=
S(t) OAÓ `
Û ②
이때 OAÓ=2, OPÓ="ÃtÛ`+(tÛ`-4)Û`이므로
T(t) tÛ`+(tÛ`-4)Û`-2Û`
S(t)
=
2Û`
=;4!;(t+2)(t-2)(tÛ`-3)
33
따라서 조건 (가)에서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T(t) T(t) f(x)=xÜ`+6x+a (a는 상수)라 하자.
lim +lim
t`Ú2+ (t-2)S(t) t`Ú¦ (tÝ`-2)S(t)
조건 (나)에서
(t+2)(tÛ`-3) (t+2)(t-2)(tÛ`-3)
= lim +lim lim`f(x)=f(0)=-7이므로
t`Ú2+ 4 t`Ú¦ 4(tÝ`-2) x`Ú0

a=-7
=1+;4!;=;4%;
즉,  f(x)=xÜ`+6x-7
②
따라서  
f(2)=2Ü`+6_2-7=13
 13

유형 3 미정계수의 결정
34
f(x)
31 lim
x`Ú¦ xÜ`
=1이므로 다항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x`2Ú 1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삼차함수이다. yy ㉠

즉, lim(4x-a)=4-a=0에서 f(x)
lim =2에서 x`2Ú -1일 때 (분모)`2Ú 0이므로
x`Ú1 x`Ú-1 x+1
a=4 (분자)`2Ú 0이어야 한다.
a=4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즉, lim `f(x)=f(-1)=0이어야 한다. yy ㉡
x`Ú-1
4x-4 4(x-1) ㉠, ㉡에서
lim =lim =lim 4=4
x`Ú1 x-1 x`Ú1 x-1 x`Ú1
f(x)=(x+1)(xÛ`+ax+b)`(a, b는 상수)
이므로 b=4
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a+b=4+4=8
f(x)
① 이때 lim =2에서
x`Ú-1 x+1
f(x) (x+1)(xÛ`+ax+b)
lim = lim
x+1 x`Ú-1 x+1
32
x`Ú-1

= lim (xÛ`+ax+b)
x`Ú-1
f(x)
조건 (가)에서 lim =2이므로 다항함수  f(x)는
x`Ú¦ xÛ` =1-a+b=2
f(x)=2xÛ`+ax+b (a, b는 상수) 이므로 b=a+1
로 놓을 수 있다. 이때

정답과 풀이 ● 5

책1.indb 5 2022-12-01 오후 7:15:52


f(1)‌=2(1+a+b) f(x)=;3A;xÜ`-;2A;xÛ`+x+C`(단, C는 적분상수)
=2(2a+2) f(0)=0에서 C=0
=4(a+1)É12
f(1)=0에서 ;3A;-;2A;+1=0, a=6이므로
에서 a+1É3이므로 aÉ2
따라서 f(x)=2xÜ`-3xÛ`+x

f(2)‌=3(4+2a+b) 따라서 f(2)=6

=3(3a+5)
É3(3_2+5)
=33 (단, 등호는 a=2일 때 성립한다.)
이므로  f(2)의 최댓값은 33이다. 36
 ③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므로
f(x)=xÛ`+cx+d ( c, d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lim|x|[ f {;[!;}-f {-;[!;}]=a이므로

35
x`Ú0

lim (-x)[ f {;[!;}-f {-;[!;}]= lim x[ f {;[!;}-f {-;[!;}]


f(x) x`Ú0- x`Ú0+
lim =1에서 x`2Ú 0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
;[!;=t로 치환하면 x=;t!; 이고 x` Ú 0+일 때, t` Ú ¦이므로
x`Ú0 x
이어야 한다.
f(t)-f(-t) (tÛ`+ct+d)-(tÛ`-ct+d)
따라서 f(0)=0 lim =lim
t`Ú¦ t t`Ú¦ t
f(x) 2ct
같은 방법으로 lim =1에서 f(1)=0 =lim =2c
x`Ú1 x-1 t`Ú¦ t
따라서 삼차함수 f(x)를 f(t)-f(-t) (tÛ`+ct+d)-(tÛ`-ct+d)
lim = lim
f(x)=x(x-1)(ax+b)`(a, b는 상수) t`Ú-¦ -t t`Ú-¦ -t

로 놓을 수 있다. 2ct
= =-2c
-t
f(x)
lim =lim(x-1)(ax+b)=-b 에서 2c=-2c, 4c=0
x`Ú0 x x`Ú0

이므로 b=-1 즉, c=0, a=0이므로  f(x)=xÛ`+d

lim `f {;[!;}=lim {
f(x) 1
lim =lim x(ax+b)=a+b +d}=d=3이므로
x`Ú1 x-1 x`Ú1 x`Ú¦ x`Ú¦ xÛ`
이므로 a+b=1 f(x)=xÛ`+3
따라서 a=2이므로 따라서  f(2)=2Û`+3=7
f(x)=x(x-1)(2x-1) ④
따라서 f(2)=2_1_3=6
②
다른 풀이

lim
f(x)
=1에서 x`Ú0일 때 (분모)`Ú0이므로 (분자)`Ú0이어
37
x`Ú0 x 조건 (가), (나)에 의하여 다항함수 f(x)g(x)는
야 한다.
f(x)g(x)=xÛ`(2x+a)`(a는 상수)
따라서 f(0)=0
로 놓을 수 있다.
f(x)
이때 lim = f '(0)=1 조건 (나)에 의하여 a=-4이므로
x`Ú0 x
f(x) f(x)g(x)=2xÛ`(x-2)
같은 방법으로 lim =1에서
x`Ú1 x-1 f(x)g(x)=2xÛ`(x-2)에서 f(2)가 최대가 되는 함수 f(x)는
f(1)=0, f '(1)=1 f(x)=2xÛ`
함수 f(x)는 삼차함수이고 f '(0)= f '(1)=1이므로 이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f '(x)=ax(x-1)+1 (a는 상수), 즉 f(2)=2_2Û`=8
f '(x)=axÛ`-ax+1로 놓으면 ③

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6 2022-12-01 오후 7:15:52


38 lim
x`Ú¦
f(x)-4xÜ`+3xÛ`
xn+1+1
=6, lim
x`Ú0
f(x)
xn
=4

함수의 극한과 연속
lim `f(x)+0이면 를 만족시키려면
x`Úa

f(x)-(x-a) f(x)=6xn+1+cxn (c는 상수)


lim =1+;5#;이므로
x`Úa f(x)+(x-a) 의 꼴이어야 한다. 이때
lim `f(x)=f(a)=0이어야 한다.
x`Úa f(x)
lim =lim (6x+c)=c
따라서 a=a라 하면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는
x`Ú0 xn x`Ú0

이므로 c=4
f(x)=(x-a)(x-b)이므로
즉, f(x)=6xn+1+4xn이므로
f(x)-(x-a)
lim
x`Úa f(x)+(x-a) f(1)=6+4=10
(x-a)(x-b)-(x-a) Ú, Û, Ü에 의하여 f(1)의 최댓값은 14이다.
=lim
x`Úa (x-a)(x-b)+(x-a)  ③
x-b-1
=lim
x`Úa x-b+1

=
a-b-1
a-b+1
=;5#; 40
f(x)-x
즉, 5(a-b)-5=3(a-b)+3에서 lim =8에서 lim (x-5)=0이므로
x`Ú5 x-5 x`Ú5

2(a-b)=8, a-b=4 lim { f(x)-x}=0이어야 한다.


x`Ú5
따라서 |a-b|=4
f(x)-x도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므로
④
f(x)-x=(x-5)(x+a)`(a는 상수)라 하면
f(x)-x (x-5)(x+a)
lim =lim
x`Ú5 x-5 x`Ú5 x-5

39 =lim (x+a)=5+a
x`Ú5

Ú n=1일 때 즉, 5+a=8에서 a=3


f(x)-4xÜ`+3xÛ` f(x) 따라서 f(x)=(x-5)(x+3)+x이므로
lim =6, lim =4
x`Ú¦ xÛ`+1 x`Ú0 x
f(7)=2_10+7=27
를 만족시키려면  27
f(x)=4xÜ`+3xÛ`+ax (a는 상수)
의 꼴이어야 한다. 이때
f(x)
lim =lim (4xÛ`+3x+a)=a
x`Ú0

이므로 a=4
x x`Ú0
유형 4 함수의 그래프와 연속

즉, f(x)=4xÜ`+3xÛ`+4x이므로
f(1)=4+3+4=11
41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Û n=2일 때
므로
f(x)-4xÜ`+3xÛ` f(x)
lim =6, lim =4 lim f(x)= lim f(x)= f(-1)
x`Ú¦ xÜ`+1 x`Ú0 xÛ` x`Ú-1- x`Ú-1+

를 만족시키려면 이 성립해야 한다. 이때


f(x)=10xÜ`+bxÛ` (b는 상수) lim f(x)= lim (2x+a)=-2+a
x`Ú-1- x`Ú-1-

의 꼴이어야 한다. 이때 lim f(x)= lim (xÛ`-5x-a)=6-a


x`Ú-1+ x`Ú-1+
f(x)
lim =lim (10x+b)=b f(-1)=-2+a
x`Ú0 xÛ` x`Ú0

이므로 b=4 이므로


즉, f(x)=10xÜ`+4xÛ`이므로 -2+a=6-a
f(1)=10+4=14 따라서 a=4
Ü`n¾3일 때 ④

정답과 풀이 ● 7

책1.indb 7 2022-12-01 오후 7:15:52


42 즉, lim f(x)= lim f(x)= f(3)
x`Ú3- x`Ú3+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xÛ`+ax+b


lim 의 값이 존재하고, x`Ú3-일 때
x`Ú3- x-3
lim `f(x)= lim `f(x)=f(2) (분모)`Ú0이므로 (분자)`Ú0이어야 한다.
x`Ú2- x`Ú2+

즉, a+2=3a-2=f(2) 즉, lim (xÛ`+ax+b)=0이므로


x`Ú3-

a+2=3a-2에서 a=2 9+3a+b=0, b=-3a-9


이때 f(2)=a+2=2+2=4 xÛ`+ax-3a-9 (x-3)(x+3+a)
lim = lim
따라서 a+f(2)=2+4=6
x`Ú3- x-3 x`Ú3- x-3
= lim (x+3+a)
6 x`Ú3-

=6+a
한편, lim f(x)= f(3)=7이므로 6+a=7
43 x`Ú3+

따라서 a=1, b=-12이므로


x¾2일 때 f(x)=1>0이므로
a-b=13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f(x)>0이다.
⑤
g(x)
그런데 f(x)는 x=2에서만 연속이 아니므로 함수 가 실수
f(x)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기 위해서는 x=2에서 연속이면 된다. 46
g(x) ax+1 2a+1 x+1일 때
lim = lim =
x`Ú2- f(x) x`Ú2- xÛ`-4x+6 2
xÛ`-3x+2 (x-1)(x-2)
g(x) ax+1 f(x)= = =x-2
lim = lim =2a+1 x-1 x-1
x`Ú2+ f(x) x`Ú2+ 1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g(2) 2a+1
=2a+1에서 =2a+1이므로 f(1)= lim f(x)= lim (x-2)
f(2) 2 x`Ú1 x`Ú1

2a+1=4a+2, 2a=-1 =1-2=-1


②
따라서 a=-;2!;

④
47
함수 (xÛ`+ax+b)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44 lim (xÛ`+ax+b) f(x)= lim (xÛ`+ax+b) f(x)
x`Ú1- x`Ú1+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그래프에서 lim f(x)=1, lim f(x)=3이므로
lim f(x)= lim f(x)= f(a) x`Ú1- x`Ú1+
x`Úa- x`Úa+
lim (xÛ`+ax+b) f(x)=(1+a+b)_1=1+a+b,
lim f(x)= lim (-2x+a)=-2a+a=-a x`Ú1-
x`Úa- x`Úa-
lim (xÛ`+ax+b) f(x)=(1+a+b)_3=3(1+a+b)
lim f(x)= lim (ax-6)=aÛ`-6 x`Ú1+
x`Úa+ x`Úa+
에서 1+a+b=3(1+a+b)
f(a)=-2a+a=-a
따라서 a+b=-1
이므로 -a=aÛ`-6
②
aÛ`+a-6=(a+3)(a-2)=0
a=-3 또는 a=2
따라서 구하는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48
-3+2=-1 함수 |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 x=3
① 에서도 연속이어야 한다.
Ú 함수 |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 f(x)|= lim | f(x)|=| f(-1)|
45 x`Ú-1-

이어야 한다. 이때
x`Ú-1+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3에서도 연속


lim | f(x)|= lim |x+a|=|-1+a|
이다. x`Ú-1- x`Ú-1-

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8 2022-12-01 오후 7:15:52


lim | f(x)|= lim |x|=1 이어야 한다. 이때

x`Ú-1+ x`Ú-1+

| f(-1)|=|-1|=1 lim { f(x)}Û`= lim (2x-a)Û`=aÛ`

함수의 극한과 연속
x`Úa+ x`Úa+

이므로 |-1+a|=1 lim { f(x)}Û`= lim (-2x+6)Û`=(-2a+6)Û`


x`Úa- x`Úa-
a>0이므로 a=2 { f(a)}Û`=(2a-a)Û`=aÛ`
Û 함수 |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이므로 aÛ`=(-2a+6)Û`에서
lim | f(x)|= lim | f(x)|=| f(3)|
x`Ú3- x`Ú3+ 3(a-2)(a-6)=0
이어야 한다. 이때 a=2 또는 a=6
lim | f(x)|= lim |x|=3 따라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합은
x`Ú3- x`Ú3-

lim | f(x)|= lim |bx-2|=|3b-2| 2+6=8


x`Ú3+ x`Ú3+
④
| f(3)|=|3b-2|
이므로 |3b-2|=3

b>0이므로 b=
5
3 51
Ú, Û에 의하여 h(x)= f(x)g(x)라 하면

5 11 x+1일 때, 두 함수  f(x)와 g(x)는 연속이므로 함수 h(x)도 연


a+b=2+ =
3 3 속이다.
⑤ 따라서 함수 h(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함수 h(x)
가 x=1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lim h(x)= lim h(x)=h(1)
49 x`Ú1-

을 만족시키면 된다.
x`Ú1+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f(3) 2xÜ`+ax+b
lim h(x)= lim 의 값이 존재하고,
x`Ú3 x`Ú1- x`Ú1- x-1
을 만족시키면 된다. x`2Ú 1-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xÛ`-5x+a 즉, lim (2xÜ`+ax+b)=2+a+b=0에서
lim =b에서 x`Ú1-
x`Ú3 x-3
b=-a-2
x`2Ú 3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즉, lim(xÛ`-5x+a)=9-15+a=0에서 a=6 2xÜ`+ax-a-2
lim h(x)= lim
x`Ú3 x`Ú1- x`Ú1- x-1
xÛ`-5x+a (x-1)(2xÛ`+2x+a+2)
b=lim = lim
x`Ú3 x-3 x`Ú1- x-1
xÛ`-5x+6 = lim (2xÛ`+2x+a+2)=a+6
b=lim x`Ú1-
x`Ú3 x-3
2xÜ`+ax-a-2
(x-3)(x-2) lim h(x)= lim
b=lim x`Ú1+ x`Ú1+ 2x+1
x`Ú3 x-3
(x-1)(2xÛ`+2x+a+2)
b=lim(x-2)=3-2=1 = lim =0
x`Ú3 x`Ú1+ 2x+1
따라서 a+b=6+1=7 lim h(x)= lim h(x)=h(1)이므로
x`Ú1- x`Ú1+
④
a+6=0에서 a=-6
b=-a-2에서 b=-(-6)-2=4

50 따라서 b-a=4-(-6)=10
①
함수  f(x)가 x=a를 제외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
수 { f(x)}Û`이 x=a에서 연속이면 함수 { f(x)}Û`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52
함수 { f(x)}Û`이 x=a에서 연속이려면 x<0일 때, g(x)=-f(x)+xÛ`+4
lim { f(x)}Û`= lim { f(x)}Û`={ f(a)}Û` x>0일 때, g(x)=f(x)-xÛ`-2x-8
x`Úa+ x`Úa-

정답과 풀이 ● 9

책1.indb 9 2022-12-01 오후 7:15:53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최댓값이 1이므로
lim f(x)= lim f(x)=f(0) |x| (|x|É1)
x`Ú0- x`Ú0+
f(x)=à
lim g(x)= lim {-f(x)+xÛ`+4}=-f(0)+4 1 (|x|>1)
x`Ú0- x`Ú0-
이다. 이때 함수 f(x)의 최솟값이 0이다.
lim g(x)= lim { f(x)-xÛ`-2x-8}=f(0)-8
x`Ú0+ x`Ú0+
Ú, Û에 의하여
lim g(x)- lim g(x)=6에서 |x| (|x|É1)
x`Ú0- x`Ú0+
f(x)=à
{-f(0)+4}-{ f(0)-8}=6 1 (|x|>1)
-2f(0)=-6 y

따라서  f(0)=3 1 y=f(x)

⑤
-1 O 1 x

53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도 연속 따라서 f {-;3$;}=1, f(0)=0, f {;2!;}=;2!;이므로

이어야 하므로 f {-;3$;}+f(0)+f {;2!;}=1+0+;2!;=;2#;


lim f(x)= lim f(x)=f(1)
x`Ú1- x`Ú1+
③
lim f(x)=-3+a
x`Ú1-

이므로
x+b
55
lim f(x)= lim =-3+a
x`Ú1+ x`Ú1+ 'Äx+3-2 함수 f(x)는 x=0에서만 불연속이고, 함수 g(x)는 x=a에서만

x`2Ú 1+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불연속이므로 함수 f(x)g(x)가 x=0, x=a에서만 연속이면 실

즉, lim (x+b)=0이므로 b=-1 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x`Ú1+
만일 a<0이면
x-1 (x-1)('Äx+3+2)
lim = lim
x`Ú1+ 'Äx+3-2 x`Ú1+ ('Äx+3-2)('Äx+3+2)
f(0)g(0)=2_(-1)=-2

(x-1)('Äx+3+2) lim f(x)g(x)=2_(-1)=-2


= lim x`Ú0+
x`Ú1+ x-1
lim f(x)g(x)=3_(-1)=-3
x`Ú0-
= lim ('Äx+3+2)
x`Ú1+
이므로 함수 f(x)g(x)가 x=0에서 불연속이다.
=4
즉, a¾0이다.
즉, -3+a=4이므로 a=7
이때 x=a`(a¾0)에서 함수 f(x)g(x)의 연속성을 조사하면
따라서 a+b=7+(-1)=6
f(a)g(a)=(-2a+2)(2a-1)
6
lim f(x)g(x)=(-2a+2)(2a-1)
x`Úa+

lim f(x)g(x)=(-2a+2)_2a
54
x`Úa-

이때 lim f(x)g(x)= lim f(x)g(x)=f(a)g(a)


x`Úa+ x`Úa-
{ f(x)}Ü`-{ f(x)}Û`-xÛ` f(x)+xÛ`=0에서
이어야 하므로
{ f(x)-1}{ f(x)+x}{ f(x)-x}=0이므로
(-2a+2)(2a-1)=(-2a+2)_2a
f(x)=1 또는 f(x)=-x 또는 f(x)=x
2a-2=0
이때 f(0)=1 또는 f(0)=0이다.
따라서 a=1
Ú f(0)=1일 때
④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최댓값이 1이므로
f(x)=1
이다. 이때 함수 f(x)의 최솟값이 0이 아니므로 주어진 조건을 56
만족시키지 않는다.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Û f(0)=0일 때 조건 (가)와 (나)에서

1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10 2022-12-01 오후 7:15:53


f(4)= lim f(x)=16a+4b-24이고  f(0)= f(4)이므로 따라서

x`Ú4-

-24=16a+4b-24에서 ( (x-2)(x-4)  (xÉ2)

함수의 극한과 연속
g(x) x-3
b=-4a   yy ㉠ h(x)= ={
f(x) (x-1)(x-2)
0Éx<4에서  f(x)=a(x-2)Û`-4a-24이므로 함수 y= f(x) 9- x
(x>2)

+{- }=-
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다. 3 2 13
이므로 h(1)+h(3)=-
2 3 6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4)= f(x)이므로
③
1<x<2일 때 방정식  f(x)=0이 실근을 갖지 않으면 1<x<10

58
일 때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4 이하이다.
1<x<2일 때 방정식  f(x)=0이 실근을 1개 가지면 1<x<10
lim f(x)g(x)= lim f(x)_ lim g(x)= lim f(x)
일 때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5이다. x`Ú2+ x`Ú2+ x`Ú2+ x`Ú2+

함수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므로 lim f(x)g(x)= lim f(x)_ lim g(x)=0이고
x`Ú2- x`Ú2- x`Ú2-

f(1) f(2)=(-3a-24)(-4a-24) 함수 f(x)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 연


=12(a+8)(a+6)<0 속이어야 한다.
-8<a<-6이고 a는 정수이므로 a=-7 즉, f(2)= lim f(x)=0
x`Ú2+

㉠에 의하여 b=28 같은 방법으로


따라서 a+b=-7+28=21 f(-2)= lim f(x)=0
x`Ú-2-
④ 그러므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f(2)=f(-2)=0이므로
f(x)=(x+2)(x-2)
57 함수 f(x-a)g(x)=(x-a+2)(x-a-2)g(x)의 그래프가 한
함수  f(x)는  f(1)=0,  f(a)=0이고,
점에서만 불연속이 되기 위해서는
lim f(x)=-1, lim f(x)=-4+2a에서
x`Ú2- x`Ú2+ a-2=2 또는 a+2=-2
lim f(x)+ lim f(x)이므로 x=2에서 불연속이다. 이므로 a=4 또는 a=-4
x`Ú2- x`Ú2+

함수 h(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h(x)는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곱은


x=1, x=a, x=2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4_(-4)=-16
g(x) g(x) ①
lim =h(1), lim =h(a)에서
x`Ú1 f(x) x`Úa f(x)

lim f(x)= f(1)=0, lim f(x)= f(a)=0이므로


x`Ú1 x`Úa 59
lim`g(x)=0, lim`g(x)=0, 즉 g(1)=0, g(a)=0 x
x`Ú1 x`Úa 조건 (가)에서 함수 가 x=1, x=2에서 불연속이므로
`f(x)
g(x) g(x) g(2) g(2) f(x)=a(x-1)(x-2) (a+0)
또, lim = lim 에서 = 이므로
x`Ú2- f(x) x`Ú2+ f(x) -1 -4+2a
으로 놓을 수 있다. 조건 (나)에서
g(2)=0이고 g(x)=(x-1)(x-2)(x-a)이다.
a(x-1)(x-2)
(x-1)(x-2)(x-a) lim =lim a(x-1)=4
lim h(x)=lim
x`Ú2 x-2 x`Ú2
x`Ú1 x`Ú1 (x-1)(x-3)
a_(2-1)=4이므로 a=4
(x-2)(x-a) 1-a
=lim = 따라서  f(x)=4(x-1)(x-2)이므로
x`Ú1 x-3 2
f(4)=4_3_2=24
(x-1)(x-2)(x-a)
lim h(x)=lim  24
x`Úa x`Úa -x(x-a)
(x-1)(x-2) (a-1)(a-2)
60
=lim =-
x`Úa -x a
h(1)=h(a)이므로 ㄱ. lim g(x)‌= lim { f(x)+| f(x)|}
x`Ú0+ x`Ú0+
1-a (a-1)(a-2)
=- = lim `f(x)+ lim | f(x)|
2 a x`Ú0+ x`Ú0+

a>2이므로 a=2(a-2), a=4 =0+0=0

정답과 풀이 ● 11

책1.indb 11 2022-12-01 오후 7:15:53


lim g(x)‌= lim { f(x)+| f(x)|} (-2)+1+3=2
x`Ú0- x`Ú0-

= lim `f(x)+ lim | f(x)| ⑤


x`Ú0- x`Ú0-

=-1+1=0
lim g(x)= lim g(x)=0이므로 lim g(x)=0 (참)
x`Ú0+ x`Ú0- x`Ú0 62
직선 y=mx는 실수 m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원점을 지나므로 직
ㄴ. h(0)=f(0)+f(0)=2 f(0)=2_;2!;=1이므로 |h(0)|=1
x+4 (x<1)
lim h(x)‌= lim { f(x)+f(-x)} 선 y=mx와 함수 f(x)=à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Ú0+ x`Ú0+ 3x+2 (x¾1)
= lim `f(x)+ lim f(x) y
x`Ú0+ x`Ú0- m>3
=0+(-1)=-1
lim h(x)‌= lim { f(x)+f(-x)}
x`Ú0- x`Ú0- 5 m=3
4
= lim `f(x)+ lim f(x)
x`Ú0- x`Ú0+
m=1
y=f(x)
=(-1)+0=-1
m<1
lim h(x)=-1이므로 lim|h(x)|=|-1|=1
x`Ú0 x`Ú0 -4 O1 x
‌즉, |h(0)|=lim|h(x)|=1이므로 함수 |h(x)|는 x=0에
x`Ú0

서 연속이다. (참) 그러므로 함수 g(m)은


ㄷ. ‌g(0)=f(0)+| f(0)|=;2!;+| ;2!; |=1이고 h(0)=1이므로 1`(m<1 또는 m>3)
g(m)=à
0`(1ÉmÉ3)
g(0)|h(0)|=1_1=1
즉, 함수 g(m)은 m=1과 m=3에서 불연속이다.
lim g(x)|h(x)|=lim g(x)_lim|h(x)|=0_1=0
x`Ú0 x`Ú0 x`Ú0
그런데 함수 g(x)h(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
g(0)|h(0)|+lim g(x)|h(x)|이므로 함수 g(x)|h(x)|는
x`Ú0 x=3에서도 연속이어야 한다.
x=0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Ú x=1일 때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lim g(x)h(x)=1_h(1)=h(1),
x`Ú1-
 ③ lim g(x)h(x)=0_h(1)=0
x`Ú1+

함수 g(x)h(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g(x)h(x)의 값


x`Ú1

이 존재한다.
61 즉, lim g(x)h(x)= lim g(x)h(x)에서 h(1)=0
x`Ú1- x`Ú1+
함수 |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려면 x=a에서
Û x=3일 때
연속이어야 하므로
lim g(x)h(x)=0_h(3)=0,
x`Ú3-
lim | f(x)|= lim | f(x)|=| f(a)|
x`Úa+ x`Úa-
lim g(x)h(x)=1_h(3)=h(3)
x`Ú3+
|aÛ`-4|=|a+2|에서
함수 g(x)h(x)는 x=3에서 연속이므로 lim g(x)h(x)의 값
x`Ú3
aÛ`-4=Ñ(a+2)
이 존재한다.
Ú aÛ`-4=a+2일 때
즉, lim g(x)h(x)= lim g(x)h(x)에서 h(3)=0
‌aÛ`-a-6=0 x`Ú3- x`Ú3+

(a+2)(a-3)=0 Ú, Û에 의하여 h(1)=h(3)=0이므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a=-2 또는 a=3 이차함수 h(x)는 h(x)=(x-1)(x-3)

Û aÛ`-4=-(a+2)일 때 따라서 h(5)=4_2=8

‌aÛ`+a-2=0 8

(a+2)(a-1)=0
a=-2 또는 a=1
Ú, Û에서 함수 |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은 -2, 1, 3이므로 그 합은

1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12 2022-12-01 오후 7:15:53


[STEP 4] lim   f(t)의 값을 구한다.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26~27 쪽 t`Ú0+

따라서

함수의 극한과 연속
01 ② 02 ① 03 ① 04 226 05 20 t+4-"ÃtÛ`+4t+8
lim f(t)= lim
06 19 t`Ú0+ t`Ú0+ 2
4-2'2
=
01
2
 정답률 28.7%
=2-'2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②
;0); 꼴의 함수의 극한

⑴ ‌분모, 분자가 모두 다항식이면 수능이 보이는 강의


⇨ 인수분해한 후 공통인 인수를 약분한다.
부정형의 극한은 부정형이 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식을
⑵ ‌분모 또는 분자가 무리식이면
변형해야 돼.
⇨ 근호가 있는 쪽을 유리화한 후 공통인 인수를 약분한다.
① 분자, 분모를 인수분해하기
② 최고차항으로 묶어내기 (최고차항으로 분자, 분모를 나누기)
풀이 전략 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f(t)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③ 근호(' )가 포함된 식을 유리화하기
함정
문제 풀이
직사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은
직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지나.
[STEP 1] 직선 l의 방정식을 구한다.
직선 l이 정사각형 O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점 (-1, 1)을
지난다.
직선 l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직선 l의 방정식은
y=m(x+1)+1, 즉 y=mx+m+1 02  정답률 14.7%

[STEP 2] 직선 l과 선분 AP의 교점 E의 x좌표를 구한다.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직선 l과 y축이 만나는 점을 D라 하면 점 D의 좌표는
함수가 연속일 조건
(0, m+1)
⑴ x+a에서 연속인 함수 g(x)에 대하여
직선 l과 선분 AP가 만나는 점을 E라 하면 g(x) (x+a)
   f(x)=à
직선 AP의 방정식이 y=-;t@;x+2이므로 k (x=a) (k는 상수)
2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면
기울기가 - 이고 y절편이 2인 직선
t
mx+m+1=-;t@;x+2에서    lim g(x)=k
x`Úa

⑵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면


(1-m)t
x=    lim`f(x)=f(a)
mt+2 x`Úa

(1-m)t 분수 꼴의 함수에서 x`Ú a일 때


그러므로 점 E의 x좌표는 이다.
mt+2 ①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면 (분자)`Ú 0이다.
[STEP 3] 넓이를 이용하여 f(t)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② (분자)`Ú 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면 (분모)`Ú 0이다.

삼각형 ADE의 넓이가 삼각형 AOP의 넓이의 ;2!;이므로


풀이 전략 함수의 연속성을 이용한다.
(1-m)t
;2!;_(1-m)_ =;2!;_{;2!;_2_t} 문제 풀이
mt+2
△ADE=;2!;_ADÓ_(점 E의 x좌표) [STEP 1] 함수 g(x)의 식을 구한다.
t+0이므로 (1-m)Û`=mt+2
조건 (가)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mÛ`-(2+t)m-1=0에서
f(x)g(x)=x(x+3)
t+2Ñ"Ã(t+2)Û`-4_(-1)
m=
2 이고 조건 (나)에서 g(0)=1이므로 위의 식에 x=0을 대입하면
t+2Ñ"ÃtÛ`+4t+8 f(0)g(0)=0
=
2 f(0)_1=0
즉,  f(0)=0
직선 l의 y절편은 m+1이고 0<m+1<2이므로
이때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t+4-"ÃtÛ`+4t+8
f(t)=m+1= f(x)=x(xÛ`+ax+b) (a, b는 상수)
2
f(0)=0이므로 x를 인수로 갖는다.
이때 조건 (가)에서

정답과 풀이 ● 13

책1.indb 13 2022-12-01 오후 7:15:53


x(x+3) 풀이 전략 극한으로 표현된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명제의 참, 거짓을
g(x)=
f(x)
판별한다.
f(x)g(x)=x(x+3)
x(x+3)
= 문제 풀이
x(xÛ`+ax+b)
[STEP 1] 함수 g(x)의 정의와 우극한을 이용하여 h(1)의 값을 구한다.
x+3
=
xÛ`+ax+b ㄱ. x>1에서 g(x)=x이므로
한편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h(1)= lim g(1+t)_ lim g(1+t)
t`Ú0+ t`Ú2+
1+t>1 1+t>1
lim g(x)=g(0)에서 = lim (1+t)_ lim (1+t)
t`Ú0+ t`Ú2+
x`Ú0

x+3
lim g(x)=lim =;b#; =1_3
x`Ú0 x`Ú0 xÛ`+ax+b
=3 (참)
또,  g(0)=1이므로 b=3
[STEP 2] 구간을 나누어 함수 y=h(x)의 그래프를 그려 본다.
x+3
이때  g(x)= ㄴ. h(x)= lim g(x+t)_ lim g(x+t)이므로
xÛ`+ax+3 t`Ú0+ t`Ú2+

[STEP 2] g(2)의 최솟값을 구한다. x<-3일 때, h(x)=x_(x+2)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어야 하므로 방정식 x=-3일 때, h(-3)=-3_ f(-1)
주의
xÛ`+ax+3=0 함수 g(x)의 분모가 0이면 xÛ`+ax+3=0인 x의 값에 -3<x<-1일 때, h(x)=x_ f(x+2)
서 불연속이므로 xÛ`+ax+3+0이어야 해.
은 허근을 가져야 한다. x=-1일 때, h(-1)= f(-1)_1
그러므로 -1<x<1일 때, h(x)= f(x)_(x+2)
D=aÛ`-12<0 x=1일 때, h(1)=1_3
(a+2'3)(a-2'3)<0 x>1일 때, h(x)=x_(x+2)
-2'3 <a<2'3   yy ㉠ 즉, x<-3 또는 x¾1일 때, 함수 y=h(x)의 그래프는 다음
한편  f(1)이 자연수이므로 과 같다.
f(1)=1_(1Û`+a+3)=a+4 y
y=h(x)
에서 a+4가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a>-4이고 a는 정수이다.
a+4>0
㉠에서 정수 a의 값은
-3, -2, -1, 0, 1, 2, 3
3
이다. 한편
5
g(2)=
2a+7 g(x)=
x+3
에 x=2를 대입한다.
xÛ`+ax+3
-3 O 1 x
이고 a=3일 때 이 값은 최솟값 ;1°3; 를 갖는다.

① f(-3)+3이면 함수 h(x)는 x=-3에서 불연속이다.


즉, 함수 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라 할 수 없다.

03  정답률 13.3%  (거짓)


[STEP 3]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본다.
⑴ 좌극한 ㄷ. 함수 g(x)가 닫힌구간 [-1, 1]에서 감소하고 g(-1)=-2
‌함수 f(x)에서 x가 a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
일 때,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질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a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a를 x=a
y y=g(x)
에서의 f(x)의 좌극한이라 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f(x)=a 또는 x`Ú a-일 때, f(x)`Ú a
x`Úa-
1
⑵ 우극한
-1
‌함수 f(x)에서 x가 a보다 큰 값을 가지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질 O 1 x
때, f(x)의 값이 일정한 값 b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b를 x=a에 -1
서의 f(x)의 우극한이라 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2
lim `f(x)=b 또는 x`Ú a+일 때, f(x)`Ú b
x`Úa+

1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14 2022-12-01 오후 7:15:54


주의

04
f(-1)=g(-1)=-2
이때
 정답률 10.9%
h(-3)=-3_ f(-1)=-3_(-2)=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h(-1)= f(-1)_1=-2_1=-2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3<x<-1에서 h(x)>0 함수의 극한값


또 -1<x<1에서 h(x)= f(x)_(x+2)이므로 함수 f(x)에서 x=a에서의 좌극한과 우극한이 모두 존재하고 그 값
이 같으면 극한값 lim ` f(x)가 존재한다.
h'(x)= f '(x)_(x+2)+ f(x) x`Úa

f '(x)<0, x+2>0, f(x)<0이므로 또한 그 역도 성립한다.


즉, lim `f(x)=a
h'(x)<0 x`Úa

HjK lim f(x)= lim f(x)=a (단, a는 실수이다.)


(음수)+(음수)<0
즉, -1<x<1에서 함수 h(x)는 감소하고, h(1)=3이므로 x`Úa- x`Úa+

함수 h(x)는 최솟값을 갖지 않는다. (거짓)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이다. 풀이 전략 함수의 극한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문제 풀이
①
다른 풀이 [STEP 1] 조건 (가)를 이용하여 함수 f(x)의 꼴을 구한다.

ㄴ. [반례] f(x)=2라 하자. 조건 (가)에 의하여

-3<x<-1일 때, h(x)=x_2=2x lim | f(x)-1|=0


x`Ú0

x=-1일 때, h(x)=2_1=2 이므로 삼차식  f(x)-1은 x를 인수로 갖는다.


-1<x<1일 때, h(x)=2(x+2) 이차식 g(x)에 대하여  f(x)-1=xg(x)라 하자.
lim h(x)= lim 2x=-2 | f(x)-1| |xg(x)|
x`Ú-1- x`Ú-1- lim = lim
x`Ú0+ x x`Ú0+ x
lim h(x)= lim 2(x+2)=2
x`Ú-1+ x`Ú-1+
|x|| g(x)|
= lim
h(-1)=2 x`Ú0+ x
이므로 lim h(x)+ lim h(x) = lim | g(x)|=| g(0)|
x`Ú-1- x`Ú-1+ x`Ú0+

즉, 함수 h(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 f(x)-1| |xg(x)|


lim = lim 실수
ㄷ. [반례] f(x)=-x-3이라 하자.
x`Ú0- x x`Ú0- x
|x|| g(x)|
lim
x
x<-3일 때, h(x)=x(x+2) |x|| g(x)| x`Ú0-

= lim = lim
-x| g(x)|
x`Ú0- x x`Ú0- x
x=-3일 때, h(-3)=-3_(-2)=6
=- lim | g(x)|=-| g(0)|
-3<x<-1일 때, x`Ú0-

h(x)=x_{-(x+2)-3}=-x(x+5) | g(0)|=-| g(0)|에서 g(0)=0

x=-1일 때, h(-1)=-2_1=-2 이차식 g(x)도 x를 인수로 가지므로


g(x)=x(x+a) ( a는 실수)
-1<x<1일 때, f(x)-1=xÛ`(x+a) (a는 실수)

h(x)=(-x-3)_(x+2)=-(x+3)(x+2) 라 하면  f(x)=xÜ`+axÛ`+1

x=1일 때, h(1)=1_3=3 [STEP 2] 조건 (나)를 이용하여 f(5)의 최댓값을 구한다.

x>1일 때, h(x)=x(x+2) x f(x)¾-4xÛ`+x에서

이때 lim h(x)=-12, h(1)=3이므로 함수 h(x)의 최솟 x(xÜ`+axÛ`+1)¾-4xÛ`+x


x`Ú1-
xÝ`+axÜ`+4xÛ`¾0
값은 없다. (거짓)
xÛ`(xÛ`+ax+4)¾0
y y=h(x)
xÛ`¾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6 xÛ`+ax+4¾0이 성립한다.
4
3 이차방정식 xÛ`+ax+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1
O 1 x D=aÛ`-16É0
-2
-4ÉaÉ4
f(5)=25a+126이므로 구하는 f(5)의 최댓값은
a가 최대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a=4일 때 226이다.
-12  226

정답과 풀이 ● 15

책1.indb 15 2022-12-01 오후 7:15:54


05  정답률 6.9%
 g(x)=ax+b (x<1)

h(x)=cxÛ`+;2%;x (x¾1)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이라 하자.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두 함수 g(x),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g(x), h(x)에 대하여 함수
h(x)도 역함수가 존재한다.
g(x) (x<a)
   f(x)=à [STEP 3] 함수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y=f ÑÚ`(x)의 그래프의 교점의
h(x) (x¾a)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려면 좌표를 이용하여 a, b, c의 값을 구한다.
   lim g(x)= lim h(x)=f(a) ‌함수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y=f ÑÚ`(x)의 그래프의 교점
x`Úa- x`Úa+

중 하나의 x좌표가 -1이므로 직선 y=x 위에 교점이 있다.

풀이 전략 함수의 연속과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한다. ‌ g(-1)=hÑÚ`(-1)


문제 풀이 ‌즉, hÑÚ`(-1)=-a+b이므로
[STEP 1]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일 조건을 구한다. ‌h(-a+b)=-1에서 f(x)=y에서 f -1(y)=x

( ax+b  (x<1)
‌c(-a+b)Û`+;2%;(-a+b)=-1
f(x)=m{
;
9 cxÛ`+;2% x (x¾1) ‌ ‌함수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y=f ÑÚ`(x)의 그래프의 교점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중 하나의 x좌표가 2이므로
lim `f(x)= lim `f(x)=f(1) ‌h(2)=g ÑÚ`(2)
x`Ú1- x`Ú1+

이어야 한다. 이때 ‌즉, g ÑÚ`(2)=4c+5이므로


h(x)=cxÛ`+;2%; x (x¾1)이므로
lim `f(x)= lim (ax+b)=a+b ‌g(4c+5)=2에서
x`Ú1- x`Ú1- g ÑÚ`(2)=h(2)=c_2Û`+;2%;_2
‌a(4c+5)+b=2 yy ㉡
lim `f(x)= lim `{cxÛ`+;2%; x}=c+;2%;
x`Ú1+ x`Ú1+ ‌한편 함수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y=f ÑÚ`(x)의 그래프의

f(1)=c+;2%; 교점 중 하나의 x좌표가 1이므로 h(1)=1이어야 한다.

이므로 ‌즉, h(1)=c+;2%;=1에서 c=-;2#;

a+b=c+;2%;   yy ㉠ ‌c=-;2#; 을 ㉠, ㉡에 대입한 후 연립하면

[STEP 2]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할 조건을 구한다. ㉠: a+b=1, ㉡: -a+b=2


‌a=-;2!;, b=;2#;
한편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Ú, Û에서
a>0, c>0 또는 a<0, c<0
이어야 한다. a=-;2!;, b=;2#;, c=-;2#;

Ú a>0, c>0일 때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증가하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
2a+4b-10c=2_{-;2!;}+4_;2#;-10_{-;2#;}=20
와 역함수 y=f ÑÚ`(x)의 그래프의 교점은 함수 y=f(x)의 그
 20
래프와 직선 y=x의 교점과 일치한다.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와 역함수 y=f ÑÚ`(x)의 그래프의
교점 중 하나의 x좌표가 1이므로
주의 수능이 보이는 강의
함수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는 (a, a)야.
f(1)=f ÑÚ`(1)=1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래프는 직선
이어야 한다.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래프
즉, f(1)=c+;2%;=1에서 c=-;2#; 의 교점이기도 해.
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아.
이것은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래프의 교
즉, a>0, c>0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점이 반드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이 되는
Û a<0, c<0일 때 것은 아니야.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1(x)의 그
( ax+b  (x<1) 래프의 교점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 이외에
함수 f(x)=m{ 에서 더 있을 수도 있어.
;
9 cxÛ`+;2% x (x¾1)

1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16 2022-12-01 오후 7:15:54


06  정답률 3%
이어야 한다.
이때 a>0이므로  f(6-b)=0에서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6-b=-3 또는 6-b=-k
g(x) (x<a) 따라서 b=9 또는 k-b=-6
함수 f(x)=à 에서 함수 g(x)와 h(x)가 다항함수일
h(x) (x¾a) [STEP 3] g(4)의 값을 구한다.
때,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기 위해서는 x=a에서 Ú b=9인 경우
연속이어야 한다.
x<0에서
g(x)=(x+3) f(x)=(x+3)Û`(x+k)
풀이 전략 연속함수의 성질을 이용한다.
이때 x<0에서 g(x)=0의 해는 -3뿐이므로
문제 풀이
-k¾0 또는 k=3 yy ㉣
[STEP 1] 함수 g(x)가 x=0에서 연속일 조건을 구한다.

g(x)=à
x¾0에서
(x+3) f(x) (x<0)
g(x)=(x+a) f(x-9)
(x+a) f(x-b)`(x¾0)
=(x+a)(x-6)(x-9+k)
함수 g(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이때 x¾0에서 g(x)=0의 해는 6뿐이므로
lim g(x)= lim g(x)=g(0)
x`Ú0- x`Ú0+
9-k<0 또는 9-k=6 yy ㉤
이 성립해야 한다.
㉣, ㉤에서 k=3
이때
따라서  f(x)=(x+3)Û`이므로 ㉠에서
lim g(x)= lim (x+3) f(x)=3 f(0)
x`Ú0- x`Ú0- 3_3Û`=a f(-9), 27=36a
lim g(x)= lim (x+a) f(x-b)=a f(-b)
x`Ú0+ x`Ú0+ a=;4#;
g(0)=a f(-b)
g(4)=(4+a) f(4-b)
이므로
} f(-5)=
3 19
={4+ _(-2)Û`=19
3 f(0)=a f(-b) yy ㉠ 4 4
[STEP 2] 주어진 조건의 식을 유리화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나눈다. Û k-b=-6인 경우
한편, x<0에서
"Ã|g(x)|+{ g(t)}Û`-|g(t)| g(x)=(x+3) f(x)=(x+3)Û`(x+k)
lim
x`Ú-3 (x+3)Û` 이때 x<0에서 g(x)=0의 해는 -3뿐이므로
|g(x)| -k¾0 또는 k=3
= lim
x`Ú-3
(x+3)Û`["Ã|g(x)|+{ g(t)}Û`+|g(t)|] x¾0에서
분자가 무리식이므로 근호가
|(x+3) f(x)| g(x)=(x+a) f(x-b)
= lim 있는 쪽을 유리화한다.
x`Ú-3
(x+3)Û`["Ã0+{ g(t)}Û`+|g(t)|] 주의
x`2Ú -3이므로 x<0 =(x+a)(x-b+3)(x-b+k)
|(x+3) f(x)|
= lim yy ㉡ =(x+a)(x-b+3)(x-6)
x`Ú-3 (x+3)Û`_2|g(t)|

이때 x¾0에서 g(x)=0의 해는 6뿐이고, b>3이므로


이때 t+-3이고 t+6인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의 값이 존재하 x=b-3>0
b-3=6에서 b=9
므로
k-b=-6이므로 k=3
f(x)=(x+3)(x+k)`(k는 상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따라서 Ú과 같으므로 g(4)=19
의 꼴이어야 하고, ㉡에서
 19
|(x+3) f(x)| |(x+3)Û`(x+k)|
lim = lim
x`Ú-3 (x+3)Û`_2|g(t)| x`Ú-3 (x+3)Û`_2|g(t)|

|x+k|
= lim yy ㉢
x`Ú-3 2|g(t)|
이때 t=-3과 t=6에서만 ㉢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방정식
g(x)=0이 모든 실근은 x=-3과 x=6뿐이다.
주어진 식에서 g(-3)=0이므로
g(6)=0, 즉 (6+a) f(6-b)=0

정답과 풀이 ● 17

책1.indb 17 2022-12-01 오후 7:15:54



a=10
미분  10

본문 30~55 쪽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04
f(2+h)- f(2)
lim = f '(2)
01 ② 02 ① 03 10 04 ② 05 ③ h`Ú0 h
06 10 07 ③ 08 11 09 ③ 10 3 f(x)=xÜ`+9에서  f '(x)=3xÛ`이므로
11 ① 12 ③ 13 ④ 14 2 15 ⑤
f '(2)=3_2Û`=12
16 ⑤ 17 24 18 ② 19 ⑤ 20 ⑤
②
21 ① 22 ① 23 ④ 24 ③ 25 13

26 4 27 112 28 7 29 22 30 20
31 15 32 24 33 35 34 19 35 ③ 05
36 ③ 37 ① 38 ④ 39 ① 40 ① g(x)=xÛ` f(x)에서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41 ③ 42 ④ 43 ③ 44 ③ 45 ⑤
46 10 47 ② 48 ③ 49 ⑤ 50 15 g '(x)=2x f(x)+xÛ` f '(x)
이때 f(2)=1,  f '(2)=3이므로
51 ⑤ 52 ② 53 11 54 ① 55 ②
g '(2)=4 f(2)+4 f '(2)
56 ③ 57 ③ 58 2 59 ② 60 ①
61 6 62 ⑤ 63 ⑤ 64 ② 65 ① =4_1+4_3
66 ③ 67 ① 68 ③ 69 19 70 ② =16
71 ③ 72 ④ 73 15 74 ⑤ 75 4 ③
76 12 77 ① 78 ③ 79 32 80 21
81 ⑤ 82 3 83 7 84 ① 85 ②
86 ③ 87 ① 88 ② 89 ④ 90 ① 06
91 ④ 92 8 93 22 94 ① 95 27 곱의 미분법에 의해 함수 f(x) g(x)의 도함수는
{ f(x) g(x)}'= f '(x) g(x)+ f(x) g '(x)
f '(x)=4x+5, g '(x)=3xÛ`이므로
유형 1 평균변화율과 미분계수 f '(0) g(0)+ f(0) g '(0)=5_2+3_0=10
 10
01
f '(x)=3xÛ`+4x+3이므로
f '(-1)=3-4+3=2 07
f(a+1)- f(a)
② ‌
={2(a+1)Û `-3(a+1)+5}-(2aÛ`-3a+5)
(a+1)-a
‌
=4a-1=7

02 에서 a=2
f(a+2h)- f(a) f(a+2h)- f(a)
f(2)- f(2) lim =2 lim 
lim = f '(2) h`Ú0 h h`Ú0 2h
x`Ú2 x-2
=2 f '(a)=2 f '(2)
f(x)=2xÛ`+5에서  f '(x)=4x이므로
f '(x)=4x-3이므로 2 f '(2)=2_5=10
f '(2)=4_2=8
③
①

03 08
함수 f(x)=xÜ`-6xÛ`+5x에서 x의 값이 0에서 4까지 변할 때의
f(x)=2xÛ`+ax+3에서
평균변화율은
f '(x)=4x+a
f(4)- f(0) 64-96+20
f '(2)=8+a=18이므로 = =-3
4-0 4

1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18 2022-12-01 오후 7:15:54


또한 f '(x)=3xÛ`-12x+5이므로
f '(a)=3aÛ`-12a+5=-3
11
f(x)+g(x)
3aÛ`-12a+8=0   yy ㉠ lim =3에서
x`Ú0 x
㉠을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a는 0<a<4를 만족시키므로 모든 실 x`2Ú 0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수 a의 값의 곱은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이다. 즉, lim { f(x)+g(x)}=0
x`Ú0

따라서 p=3, q=8이므로 이때 두 다항함수  f(x), g(x)는 연속함수이므로


p+q=11 f(0)+g(0)=0   yy ㉠

 11 따라서
f(x)+g(x) f(x)+g(x)- f(0)-g(0)
lim ‌=lim
09 x x

미분
x`Ú0 x`Ú0

f(x)- f(0) g(x)-g(0)


조건 (가)에서 x`2Ú 1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 =lim [ + ] 
x`Ú0 x x
야 한다. =f '(0)+g '(0)
즉,  f(1)=g(1)   yy ㉠ =3   yy ㉡
f(x)-g(x) { f(x)-f(1)}-{ g(x)-g(1)} f(x)+3
lim =lim =5 또 lim =2에서
x`Ú1 x-1 x`Ú1 x-1 x`Ú0 xg(x)
즉,  f '(1)-g '(1)=5   yy ㉡ x`2Ú 0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조건 (나)에서 즉, lim { f(x)+3}=0이므로
x`Ú0
f(x)+g(x)-2 f(1)
lim f(0)+3=0에서
x`Ú1 x-1
{ f(x)-f(1)}+{ g(x)-g(1)} f(0)=-3이므로 ㉠에서
=lim =7
x`Ú1 x-1 g(0)=3
즉,  f '(1)+g '(1)=7   yy ㉢ 따라서
f(x)-a f(x)+3 f(x)- f(0)
‌=lim [ ]
lim =b_g(1)에서 x`2Ú 1일 때 (분모)`2Ú 0이므로 1
x-1 lim _
x`Ú1 x`Ú0 xg(x) x`Ú0 x g(x)
(분자)`2Ú 0이어야 한다. f '(0)
=  
f(x)-f(1) g(0)
즉, a=f(1)이고 lim =f '(1) f '(0)
x`Ú1 x-1 = =2
3
㉠에서  f(1)=g(1)이므로  f '(1)=b_f(1)=ab 에서  f '(0)=6
㉡, ㉢을 연립하여 풀면  f '(1)=6 따라서 ㉡에서 g'(0)=-3이므로 곱의 미분법에 의해
따라서 ab=6 h'(0)‌= f '(0)g(0)+ f(0)g '(0)
③ =6_3+(-3)_(-3)=27
①
10
함수  f(x)에서 x의 값이 0에서 a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f(a)- f(0) aÜ`-3aÛ`+5a

=
a-0 a
=aÛ`-3a+5
f(x)=xÜ`-3xÛ`+5x에서
f '(x)=3xÛ`-6x+5 유형 2 미분가능성
이므로  f '(2)=3_2Û`-6_2+5=5
따라서 aÛ`-3a+5=5에서 12
f(x) g(x)=à
a(a-3)=0 -(x+3)(2x+a)`(x<-3)
a=0 또는 a=3 (x+3)(2x+a)` (x¾-3)
a>0이므로 a=3 함수 f(x)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3
3 에서 미분가능하다. 즉,

정답과 풀이 ● 19

책1.indb 19 2022-12-01 오후 7:15:55


f(x)g(x)-f(-3)g(-3) lim (axÛ`+1)= lim (xÝ`+a)=1+a
lim x`Ú1- x`Ú1+
x`Ú-3- x+3
즉, a+1=1+a
f(x)g(x)-f(-3)g(-3)
= lim 에서 axÛ`+1 (x<1)
x`Ú-3+ x+3 또한  f(x)=à 이 x=1에서 미분가능하면
lim (-2x-a)= lim (2x+a) xÝ`+a (x¾1)
x`Ú-3- x`Ú-3+
미분계수  f '(1)이 존재해야 하므로
따라서 6-a=-6+a에서 a=6
f(x)-f(1) axÛ`+1-(a+1)
③ lim = lim
x`Ú1- x-1 x`Ú1- x-1
a(xÛ`-1)
= lim
13 x-1
x`Ú1-

a(x+1)(x-1)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면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 = lim
x`Ú1- x-1
서 미분가능하다. = lim a(x+1)=2a
x`Ú1-

f(1)=b+4이므로 f(x)-f(1) xÝ`+a-(1+a)


lim = lim
f(x)- f(1) bx+4-b-4 x`Ú1+ x-1 x`Ú1+ x-1
lim ‌= lim
x`Ú1+ x-1 x`Ú1+ x-1 xÝ`-1
= lim
b(x-1) x`Ú1+ x-1
= lim
x`Ú1+ x-1 (xÛ`+1)(x+1)(x-1)
= lim
= lim b=b …… ㉠ x`Ú1+ x-1
x`Ú1+

f(x)- f(1) xÜ`+ax+b-b-4 = lim {(xÛ`+1)(x+1)}=4


lim ‌= lim x`Ú1+
x`Ú1- x-1 x`Ú1- x-1
f(x)-f(1) f(x)-f(1)
xÜ`+ax-4 lim = lim 에서
= lim  …… ㉡ x`Ú1- x-1 x`Ú1+ x-1
x`Ú1- x-1
2a=4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려면
따라서 a=2
f(x)- f(1)
lim 의 값이 존재해야 하므로 2
x`Ú1 x-1
㉠, ㉡에서

15
xÜ`+ax-4
lim =b …… ㉢
x`Ú1- x-1
이어야 한다.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면 x=-2에서도 미분
이때 x`2Ú 1-일 때 (분모)`2Ú 0이고 ㉢이 수렴하므로 가능하므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이다.
(분자)`2Ú 0이어야 한다. Ú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즉, lim (xÜ`+ax-4)=1+a-4=0에서 lim `f(x)= lim `f(x)=f(-2)
x`Ú1- x`Ú-2- x`Ú--2+

a=3 lim (xÛ`+ax+b)= lim 2x=f(-2)


x`Ú-2- x`Ú--2+

이때 ㉢에서 4-2a+b=-4=f(-2)이므로
xÜ`+3x-4 b=2a-8   yy ㉠
b= lim
x`Ú1- x-1 Û ‌함수  f(x)가 x=-2에서 미분가능하고
(x-1)(xÛ`+x+4) ㉠에서 b=2a-8,  f(-2)=-4이므로
= lim
x`Ú1- x-1
f(x)-f(-2)
= lim (xÛ`+x+4) lim
x`Ú1- x`Ú-2- x-(-2)
=1Û`+1+4=6 (xÛ`+ax+2a-8)-(-4)
= lim
x`Ú-2- x+2
따라서 a+b=3+6=9
xÛ`+ax+2a-4
④ = lim
x`Ú-2- x+2
(x+2)(x+a-2)
= lim
x+2
14
x`Ú-2-

= lim (x+a-2)=a-4
x`Ú-2-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f(x)-f(-2)
즉, lim f(x)= lim f(x)=f(1)에서 lim
x`Ú1- x`Ú1+ x`Ú-2+ x-(-2)

2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20 2022-12-01 오후 7:15:55


2x-(-4) f '(1)=3_1Û`+4_1=7
= lim
x`Ú-2+ x+2
②
2(x+2)
= lim =2
x`Ú-2+ x+2
에서 a-4=2, 즉 a=6
㉠에 대입하면 b=4
19
f(x)=xÜ`+3xÛ`+x-1에서  f '(x)=3xÛ`+6x+1이므로
따라서 a+b=6+4=10
f '(1)=3+6+1=10
 ⑤
⑤

16 20

미분
ㄱ. lim f(x)=0, lim g(x)=-1이므로
x`Ú1- x`Ú1-
f(x)=2xÜ`+4x+5에서 f '(x)=6xÛ`+4이므로
lim f(x)g(x)‌= lim f(x)_ lim g(x) f '(1)=6+4=10
x`Ú1- x`Ú1- x`Ú1-

=0_(-1)=0 (거짓) ⑤
ㄴ. ‌ f(1)=0, g(1)=-1이므로
f(1)g(1)=0_(-1)=0 (참)
ㄷ. lim f(x)=1, lim g(x)=1이므로
x`Ú1+ x`Ú1+
21
f(x)=xÝ`+3x-2에서  f '(x)=4xÜ`+3이므로
lim f(x)g(x)= lim f(x)_ lim g(x)=1_1=1
x`Ú1+ x`Ú1+ x`Ú1+ f '(2)=4_2Ü`+3=35
lim f(x)g(x)=0에서 ①
x`Ú1-

lim f(x)g(x)+ lim f(x)g(x)


x`Ú1+ x`Ú1-

이므로 lim f(x)g(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x`Ú1 22
즉, 함수  f(x)g(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참) f(x)=xÜ`-2x-7에서 f '(x)=3xÛ`-2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f '(1)=3_1Û`-2=1
⑤ ①

17 23
함수 h(x)=f(x)g(x)가 구간 (-2, 2)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xÜ`+7x+1에서  f '(x)=3xÛ`+7이므로
h(x)가 x=-1과 x=1에서 연속이다. f '(0)=7
그러므로 이차함수 g(x)는 g(-1)=0, g(1)=0을 만족시켜야 ④
한다.
이차함수 g(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g(x)=(x+1)(x-1)=xÛ`-1 24
g(x)=(xÛ`+3) f(x)에서
따라서 g(5)=5Û`-1=24
g '(x)=2x f(x)+(xÛ`+3) f '(x)
 24
따라서
g '(1)‌=2 f(1)+4 f '(1)
=2_2+4_1=8
③
유형 3 다항함수의 도함수

18 25
f(x)=xÜ`+2xÛ`에서  f '(x)=3xÛ`+4x f(x)=xÜ`+5xÛ`+1에서  f '(x)=3xÛ`+10x
f '(x)=3xÛ`+4x에 x=1을 대입하면 f '(x)=3xÛ`+10x에 x=1을 대입하면

정답과 풀이 ● 21

책1.indb 21 2022-12-01 오후 7:15:55


f '(1)=3_1Û`+10_1=13
 13
32
f(x)=xÜ`+3xÛ`+3에서  f '(x)=3xÛ`+6x
f '(x)=3xÛ`+6x에 x=2를 대입하면

26 f '(2)=3_2Û`+6_2=24
f(x)=3xÛ`-2x에서  f '(x)=6x-2  24
f '(x)=6x-2에 x=1을 대입하면
f '(1)=6_1-2=4
4
33
f(x)=5xÞ`+3xÜ`+x에서  f '(x)=25xÝ`+9xÛ`+1
f '(x)=25xÝ`+9xÛ`+1에 x=1을 대입하면

27 f '(1)=25_1Ý`+9_1Û`+1=35

f(x)=10xÛ`+12x에서 f '(x)=20x+12  35

f '(x)=20x+12에 x=5를 대입하면


f '(5)=20_5+12=112
 112
34
f(x)=xÝ`+3xÛ`+9x-27에서  f '(x)=4xÜ`+6x+9
따라서  f '(1)=4_1Ü`+6_1+9=19

28  19

f(x)=2xÜ`+x+1에서  f '(x)=6xÛ`+1
f '(x)=6xÛ`+1에 x=1을 대입하면
35
f '(1)=6_1Û`+1=7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f(0)=0
7 다항함수  f(x)의 차수를 n이라 하자.
Ú nÉ1일 때, 주어진 등식의 좌변의 차수는 1 이하이고, 우변의

29 차수는 2이므로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Û n=2일 때, 주어진 등식의 좌변의 이차항의 계수는 -1이고,
f(x)=(2x+3)(xÛ`+5)에서
우변의 이차항의 계수는 2이므로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f '(x)=(2x+3)'_(xÛ`+5)+(2x+3)_(xÛ`+5)'
Ü n¾3일 때, 주어진 등식의 좌변의 n차항의 계수가 n-3이고
=2(xÛ`+5)+(2x+3)_2x
우변의 차수는 2이므로 등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n=3이어야
=6xÛ`+6x+10
한다.
따라서  f '(1)=6_1Û`+6_1+10=22
Ú, Û, Ü에서  f(x)는 삼차함수이므로
 22
f(x)=xÜ`+axÛ`+bx (a, b는 상수)
라 하면  f '(x)=3xÛ`+2ax+b이고
30 x f '(x)-3 f(x)=x(3xÛ`+2ax+b)-3(xÜ`+axÛ`+bx)
f(x)=xÝ`-3xÛ`+8에서  f '(x)=4xÜ`-6x =-axÛ`-2bx
f '(x)=4xÜ`-6x에 x=2를 대입하면 주어진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f '(2)=4_2Ü`-6_2=20 -a=2, -2b=-8
 20 에서 a=-2, b=4이고  f(x)=xÜ`-2xÛ`+4x
따라서 f(1)=1-2+4=3

31 ③

f(x)=xÜ`-2xÛ`+4에서  f '(x)=3xÛ`-4x
f '(x)=3xÛ`-4x에 x=3을 대입하면 36
f '(3)=3_3Û`-4_3=15 이차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함수 y= f(x)의 그래
 15 프는 x축에 접하므로

2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22 2022-12-01 오후 7:15:55


f(x)=(x-a)Û` (a는 상수)라 하면
f '(x)=2(x-a)이므로
유형 4 접선의 방정식

g(x)=(x-3) f '(x)=2(x-a)(x-3)
=2xÛ`-2(a+3)x+6a 39
y=xÜ`-3xÛ`+2x+2에서 y'=3xÛ`-6x+2
곡선 y= g(x)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x의 계수가 0이다.
점 A(0,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이 접선과 수직인 직
즉, a=-3
따라서  f(x)=(x+3)Û`이므로 선의 기울기는 -;2!; 이다.
f(0)=3Û`=9 Z ZYšAY™A Y  Ⅱ
③


미분
"

37
f(x)=axÛ`+b에서  f '(x)=2ax 0 Y

4 f(x)={ f '(x)}Û`+xÛ`+4에  f(x)=axÛ`+b,  f '(x)=2ax를 대


입하면 따라서 점 A(0, 2)를 지나고 기울기가 -;2!; 인 직선의 방정식은

4(axÛ`+b)=(2ax)Û`+xÛ`+4
y-2=-;2!; (x-0)
4axÛ`+4b=4aÛ`xÛ`+xÛ`+4
4axÛ`+4b=(4aÛ`+1)xÛ`+4 즉, y=-;2!; x+2
4a=4aÛ`+1, 4b=4 이므로 이 직선의 x절편은
(2a-1)Û`=0, b=1
0=-;2!; x+2
즉, a=;2!;, b=1
에서 x=4
따라서  f(x)=;2!;xÛ`+1이므로 ①

f(2)=;2!;_2Û`+1=2+1=3

① 40
y=xÜ`-4x+5에서 y '=3xÛ`-4이므로 점 (1,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38 y-2=-(x-1), 즉 y=-x+3 yy ㉠
f(x) 또한, y=xÝ`+3x+a에서 y '=4xÜ`+3
lim =;4!;에서
x`Ú2 (x-2){ f '(x)}Û`
곡선 y=xÝ`+3x+a와 직선 ㉠이 접하므로 접점의 x좌표는
x`Ú2일 때 (분모)`Ú0이므로 (분자)`Ú0이어야 한다.
4xÜ`+3=-1, xÜ`=-1
즉,  f(2)=0이므로 삼차함수 f(x)를
x=-1
f(x)=(x-1)(x-2)(x+a)(a는 상수)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4)이고 이 점은 곡선 y=xÝ`+3x+a
로 놓을 수 있다.
위의 점이므로 4=1-3+a
이때  f '(x)=(x-2)(x+a)+(x-1)(x+a)+(x-1)(x-2)
a=6
f(x) (x-1)(x+a)
lim =lim ①
x`Ú2 (x-2){ f '(x)}Û` x`Ú2 { f '(x)}Û`
2+a 1
= =
(2+a)Û` 2+a

에서
1
=;4!;이므로
41
2+a f(x)=xÜ`-2xÛ`+2x+a에서  f '(x)=3xÛ`-4x+2
a=2 f(1)=a+1,  f '(1)=1이므로
따라서  f(x)=(x-1)(x-2)(x+2)이므로 곡선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3)=2_1_5=10 y=(x-1)+a+1, 즉 y=x+a
④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a, 0), (0, a)이다.

정답과 풀이 ● 23

책1.indb 23 2022-12-01 오후 7:15:55


PQÓ=6에서 "ÔaÛ`+aÛ`=6, aÛ`=18 0<a<6이므로 g'(a)=0에서 a=2
a>0이므로 a=3'2 0<a<6에서 함수 g(a)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③ 같다.

a (0) y 2 y (6)
42 g '(a) - 0 +
y=xÜ`-x+2에서
g(a) ↘ -48 ↗
y'=3xÛ`-1
이때 곡선 y=xÜ`-x+2 위의 점 (t, tÜ`-t+2)에서의 접선의 방 함수 g(a)는 a=2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가 된다.
정식은 따라서 0<a<6에서 함수 g(a)의 최솟값은
y-(tÜ`-t+2)=(3tÛ`-1)(x-t) g(2)=-48
이 직선이 점 (0, 4)를 지나므로 ③
4-(tÜ`-t+2)=(3tÛ`-1)(0-t)
정리하면 tÜ`=-1이므로 t=-1
따라서 점 (0, 4)에서 곡선 y=xÜ`-x+2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44
y-2=2(x+1), 즉 y=2x+4
f(x)=;3!; xÜ`-kxÛ`+1에서
이므로 직선 y=2x+4의 x절편은 -2이다.
④ f '(x)=xÛ`-2kx=x(x-2k)
두 점 A, B의 좌표를

43 A{a, ;3!; aÜ`-kaÛ`+1}, B{b, ;3!; bÜ`-kbÛ`+1} (a<b)


f(x)=x(x-a)(x-6)이라 하면 라 하면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그림과 같다.
f(0)=0이므로 원점은 곡선 y= f(x) 위의 점이고 원점에서 접하 즉, 곡선 y=f(x)에 접하고 x축에 평행한 두 직선과 접선 l, m으
는 접선의 기울기는  f '(0)이다. 로 둘러싸인 도형은 평행사변형이다.
원점이 아닌 점 (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f(x)
y- f(t)= f '(t)(x-t)
y=f(0)
이고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A
- f(t)= f '(t)(-t) B
y=f(2k)
t f '(t)- f(t)=0 yy ㉠
l m
f(x)=xÜ`-(a+6)xÛ`+6ax에서 x=a x=0 x=2k x=b
f '(x)=3xÛ`-2(a+6)x+6a
f '(x)=xÛ`-2kx=3kÛ`에서
이므로 ㉠에서
xÛ`-2kx-3kÛ`=0
t{3tÛ`-2(a+6)t+6a}-{tÜ`-(a+6)tÛ`+6at}=0
(x-3k)(x+k)=0
2tÜ`-(a+6)tÛ`=0, tÛ`{2t-(a+6)}=0
이때 a<0<b이므로
a+6
t+0이므로 t=
2 a=-k, b=3k
f '(0)=6a 8kÜ`
또  f(0)=1,  f(2k)= -4kÜ`+1=1-;3$; kÜ`이므로
3
}=3{ } -2(a+6)_
a+6 a+6 Û` a+6
f '{ +6a
2 2 2
f(0)-f(2k)=1-{1-;3$; kÜ`}=;3$; kÜ` yy ㉠
=-;4!;(aÛ`-12a+36)
점 A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이므로 0<a<6인 실수 a에 대하여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을
f(-k)=-;3$; kÜ`+1에서
g(a)라 하면

g(a)=-;2#;(aÜ`-12aÛ`+36a) y-{-;3$; kÜ`+1}=3kÛ`(x+k)

g'(a)=-;2#;(3aÛ`-24a+36)=-;2(;(a-2)(a-6) 이므로 y=3kÛ`x+;3%; kÜ`+1

2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24 2022-12-01 오후 7:15:56


점 B에서의 접선 m의 방정식은  f(3k)=1에서 따라서 f '(x)=-6xÛ`+4x+2이므로
y-1=3kÛ`(x-3k) f '(2)=-14
이므로 y=3kÛ`x-9kÜ`+1 ⑤
따라서 직선 y=1과 두 접선 l, m의 교점의 x좌표를 각각
xÁ, xª라 하면

xÁ=-;9%; k, xª=3k이므로
46
y=xÜ`-6xÛ`+6에서

xª-xÁ=3k-{-;9%; k}=;;£9ª;; k yy ㉡ y'=3xÛ`-12x Ⅱ


이므로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때 평행사변형의 넓이가 24이므로
3_1Û`-12_1=-9

미분
㉠, ㉡에서
따라서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9ª;;k_;3$;kÜ`=24 y-1=-9(x-1)
y=-9x+10
kÝ`=;1*6!;
이 접선이 점 (0, a)를 지나므로
a=-9_0+10=10
따라서 k>0이므로 k=;2#;
 10
③

47
45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점 (0, 0)이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f(x)=a(x-1)Û`+b (b는 상수)로 놓으면
f(0)=0 yy ㉠ f '(x)=2a(x-1)이므로
이때 점 (0, 0)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f '(x)|É4xÛ`+5에서
y=f '(0)(x-0)+0 |2a(x-1)|É4xÛ`+5   yy ㉠
y=f '(0)x yy ㉡ 즉, ㉠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해야 하므로 두 함수
또, 점 (1, 2)가 곡선 y=x f(x) 위의 점이므로 y=|2a(x-1)|=|2a||x-1|, y=4xÛ`+5
1_f(1)=2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아야 한다.
f(1)=2 yy ㉢ Z ZY 
y=x f(x)에서 y '=f(x)+x f '(x)이므로 점 (1, 2)에서의 접선
의 방정식은 Z]B]]Y]
y={ f(1)+f '(1)}(x-1)+2
={ f '(1)+2}(x-1)+2
={ f '(1)+2}x-f '(1) yy ㉣
이때 f(x)=axÜ`+bxÛ`+cx+d (a, b, c, d는 상수)라 하면
㉠에서 d=0 0  Y

㉢에서 a+b+c=2 yy ㉤
즉, 실수 a의 최댓값은 점 (1, 0)에서 곡선 y=4xÛ`+5에 그은 접선
㉡과 ㉣에서 두 접선이 일치해야 하므로
이 y=-|2a|(x-1)일 때이다. 이때 접점의 좌표를 (k, 4kÛ`+5)
f '(0)=f '(1)+2, f '(1)=0
(k<0)이라 하면 y'=8x에서 기울기는 8k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f '(0)=2, f '(1)=0
y-(4kÛ`+5)=8k(x-k)
f '(x)=3axÛ`+2bx+c이므로
이 접선이 점 (1, 0)을 지나므로
f '(0)=2에서 c=2
4kÛ`-8k-5=0
f '(1)=0에서 3a+2b+2=0 yy ㉥
(2k-5)(2k+1)=0
㉤에 c=2를 대입하면 a+b=0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k<0이므로 k=-;2!;

정답과 풀이 ● 25

책1.indb 25 2022-12-01 오후 7:15:56


즉, 접선의 기울기는 8_{-;2!;}=-4이므로
50
-|2a|=-4, |a|=2 f(x)=xÜ`-3xÛ`+ax+10에서
a=-2 또는 a=2 f '(x)=3xÛ`-6x+a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함수  f(x)는 x=3에서 극소이므로
② f '(3)=27-18+a=0, a=-9
f '(x)=3xÛ`-6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유형 5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최대와 최소
f(-1)=-1-3+9+10=15
 15
48
f(x)=2xÜ`+3xÛ`-12x+1에서
f '(x)=6xÛ`+6x-12=6(x+2)(x-1) 51
f '(x)=0에서 f(x)=xÜ`-3xÛ`+k에서
x=-2 또는 x=1 f '(x)=3xÛ`-6x=3x(x-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0에서
x=0 또는 x=2
x y -2 y 1 y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x y 0 y 2 y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f(x) ↗ 극대 ↘ 극소 ↗
M= f(-2)=-16+12+24+1=21
을 갖고, x=1에서 극솟값 함수  f(x)의 극댓값이 9이므로  f(0)=k=9
m= f(1)=2+3-12+1=-6 따라서  f(x)=xÜ`-3xÛ`+9이고 함수  f(x)의 극솟값은  f(2)이므
을 갖는다. 로 구하는 극솟값은
따라서 M+m=15 f(2)=2Ü`-3_2Û`+9=5
③ ⑤

49 52
f(x)=xÜ`-3x+a에서 f(x)=2xÜ`-9xÛ`+ax+5에서
f '(x)=3xÛ`-3=3(x+1)(x-1) f '(x)=6xÛ`-18x+a
f '(x)=0에서 함수 f(x)가 x=1에서 극대이므로
x=-1 또는 x=1 f '(1)=6-18+a=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12

x y -1 y 1 y f '(x)=6xÛ`-18x+12=6(x-1)(x-2)
f '(x)=0에서
f '(x) + 0 - 0 +
x=1 또는 x=2
f(x) ↗ 극대 ↘ 극소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는 x=-1에서 극대, x=1에서 극소이다.
x y 1 y 2 y
이때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7을 가지므로
f '(x) + 0 - 0 +
f(-1)=-1+3+a=2+a=7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a=5
⑤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므로 b=2

2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26 2022-12-01 오후 7:15:56


따라서 a+b=12+2=14 f(5)- f(1)
= f '(c) yy ㉠
5-1
②
를 만족시키는 상수 c가 열린구간 (1, 5)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조건 (나)에 의해

53 f '(c)¾5이므로 ㉠에서
f(5)-3
4
¾5
f(x)=xÜ`-3x+12에서
f(5)¾23
f '(x)=3xÛ`-3=3(x+1)(x-1)
따라서  f(5)의 최솟값은 23이다.
f '(x)=0에서 Ⅱ
③
x=-1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57

미분
x y -1 y 1 y
방정식 f '(x)=0의 두 실근이 a, b이므로
f '(x) + 0 - 0 +
f '(a)= f '(b)=0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f(a), f(b)는 삼차함수 f(x)의 극값이다.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다. 조건 (나)에서 두 점 (a,  f(a)), (b,  f(b)) 사이의 거리가 26이
따라서 a=1 므로
f(a)= f(1)=1Ü`-3_1+12=10 "Ã(b-a)Û`+{ f(b)-f(a)}Û`=26
이므로 (b-a)Û`+{ f(b)-f(a)}Û`=26Û`
a+ f(a)=1+ f(1)=1+10=11 10Û`+{ f(b)-f(a)}Û`=26Û`
 11 { f(b)-f(a)}Û`=26Û`-10Û`=24Û`
| f(b)-f(a)|=24
따라서 삼차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는 24
54 ③
f(x)=-;3!;xÜ`+2xÛ`+mx+1에서

f '(x)=-xÛ`+4x+m 58
이때 함수  f(x)가 x=3에서 극대이므로  f '(3)=0이다. f(x)=xÝ`+axÛ`+b에서  f '(x)=4xÜ`+2ax
따라서 함수  f(x)가 x=1에서 극소이므로
f '(3)=-3Û`+4_3+m=m+3=0 f '(1)=4+2a=0에서 a=-2
이므로 f '(x)=4xÜ`-4x=4x(x+1)(x-1)=0에서
m=-3 x=-1 또는 x=0 또는 x=1
①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4를 가지므로
f(0)=b=4
따라서 a+b=(-2)+4=2
55 2
함수  f(x)=xÜ`-ax+6에서  f '(x)=3xÛ`-a
이때 함수  f(x)가 x=1에서 극소이므로
f '(1)=3_1Û`-a=0 59
따라서 a=3 f(x)=xÜ`-3axÛ`+3(aÛ`-1)x에서

② f '(x)=3xÛ`-6ax+3(aÛ`-1)
f '(x)=0에서
3xÛ`-6ax+3(aÛ`-1)=0
56 3(x-a+1)(x-a-1)=0
함수  f(x)는 닫힌구간 [1, 5]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5)에서 x=a-1 또는 x=a+1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의 정리에 의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정답과 풀이 ● 27

책1.indb 27 2022-12-01 오후 7:15:56


x y a-1 y a+1 y 따라서 a+b=1+2=3
①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함수  f(x)는 x=a-1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61
f(x)=xÜ`+axÛ`-(aÛ`-8a)x+3에서
이때 함수  f(x)의 극댓값이 4이므로  f(a-1)=4이다. 즉,
f '(x)=3xÛ`+2ax-(aÛ`-8a)
(a-1)Ü`-3a(a-1)Û`+3(aÛ`-1)(a-1)=4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f '(x)¾0이어야
aÜ`-3a-2=0
한다.
(a-2)(a+1)Û`=0 D
이때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É0이어야
a=-1 또는 a=2 4
Ú a=-1일 때 하므로

 f(x)=xÜ`+3xÛ` D
=aÛ`-3(-aÛ`+8a)
4
이때  f(-2)=4>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
=4aÛ`-24a
Û a=2일 때
=4a(a-6)É0
 f(x)=xÜ`-6xÛ`+9x
즉, 0ÉaÉ6
‌이때  f(-2)=-50<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
따라서 a의 최댓값은 6이다.
는다.
6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는
f(x)=xÜ`+3xÛ`
따라서  f(-1)=(-1)Ü`+3_(-1)Û`=2 62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라 하면
②
f '(x)=3xÛ`+2ax+b

이때 함수 g(x)=à
;2!;(x<0)
60 f(x) (x¾0)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

f(x)=-xÝ`+8aÛ`xÛ`-1에서
f '(x)=-4xÜ`+16aÛ`x 하므로  f(0)=;2!;, f '(0)=0이어야 한다.

=-4x(xÛ`-4aÛ`)
즉, c=;2!;, b=0이므로
=-4x(x+2a)(x-2a)
f '(x)=0에서 f(x)=xÜ`+axÛ`+;2!;

x=-2a 또는 x=0 또는 x=2a


ㄱ. g(0)+g '(0)=f(0)+f '(0)=;2!;+0=;2!; (참)
a>0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ㄴ. f '(x)=3xÛ`+2ax=x(3x+2a)=0
같다.
2a
이므로 x=0, x=- 에서 극값을 갖는다.
x y -2a y 0 y 2a y 3
2a
f '(x) + 0 - 0 + 0 - 만일 - É0이면 함수 g(x)의 최솟값이 ;2!;이므로 조건을
3
f(x) ↗ 극대 ↘ 극소 ↗ 극대 ↘ 2a
만족시키지 않는다. 즉, - >0이므로 a<0이다.
3
함수 f(x)는 x=2a, x=-2a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이때
주어진 조건은 x=b, x=2-2b에서 극대이므로
g(1)= f(1)=1+a+;2!;=;2#;+a
즉, b+(2-2b)=2a+(-2a)=0이므로
b=2 이므로
또 b(2-2b)=2a_(-2a)이므로 g(1)<;2#; (참)
-4=-4aÛ`
2a
aÛ`=1 ㄷ. ‌ㄴ에서 함수 g(x)는 x=- 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최솟
3
a>0이므로 a=1 값은

2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28 2022-12-01 오후 7:15:57


f '(x)>0,  f(x)-2É0 또는
g {- }=f {- }
2a 2a
3 3
f '(x)É0, f(x)-2¾0
=-;2¥7;aÜ`+;9$;aÜ`+;2!;=;2¢7;aÜ`+;2!; 주어진 그래프의 개형에서 f '(x)의 부호에 따라 경우를 나누면

이므로 다음과 같다.


Ú ‌f '(x)>0인 경우
;2¢7;aÜ`+;2!;=0
f '(x)>0인 구간 (-3, 2)에서 부등식 f(x)-2É0을 만족
에서 시키는 정수 x의 값은
aÜ`=-:ª8¦:, 즉 a=-;2#; -2, -1 Ⅱ
Û ‌‌f '(x)É0인 경우
따라서  f(x)=xÜ`-;2#;xÛ`+;2!; 이므로
f '(x)É0인 구간 [2, 7)에서 부등식 f(x)-2¾0을 만족시키

미분
g(2)=f(2)=8-6+;2!;=;2%; (참) 는 정수 x의 값은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2, 3, 4

⑤ 따라서 Ú, Û에 의해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


는 5이다.
②
63
f(x)=xÛ`+2x+k=(x+1)Û`+k-1
이므로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k-1
65
함수 g(x)는 x=a에서 미분가능하고 g(a)=0이므로
함수 g( f(x))에서  f(x)=t라 하면 t¾k-1이므로 함수 g(t)는
g(x) g(x)
구간 [k-1, ¦)에서 정의된 함수이다. lim = lim
x`Úa- x-a x`Úa+ x-a
한편 g(x)=2xÜ`-9xÛ`+12x-2에서 |(x-a)f(x)| |(x-a)f(x)|
lim = lim
x`Úa- x-a x`Úa+ x-a
g '(x)=6xÛ`-18x+12=6(x-1)(x-2)
-(x-a)|f(x)| (x-a)|f(x)|
이므로 g '(x)=0에서 x=1 또는 x=2 lim = lim
x`Úa- x-a x`Úa+ x-a
함수 g(x)는 x=1에서 극대, x=2에서 극소이다. 즉, -| f(a)|=| f(a)|에서 f(a)=0
g(t)=2에서 f(x)=(x-a)(x-k)`(k는 상수)라 하면
2tÜ`-9tÛ`+12t-2=2, (2t-1)(t-2)Û`=0 함수 g(x)=|(x-a)Û`(x-k)|가 x=3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
즉, 함수 y=g(t)의 그래프와 직선 y=2는 그림과 같다. 으므로 k=3이다.
y y=g(t) 따라서 g(x)=|(x-a)Û`(x-3)|
h(x)=(x-a)Û`(x-3)이라 하면 a<3이고 함수 g(x)의 극댓값
y=2
이 32이므로 함수 h(x)의 극솟값은 -32이다.
h'(x)=2(x-a)(x-3)+(x-a)Û`
O 1 k-1 2 t =(x-a)(3x-6-a)=0
;2!;
6+a
함수 h(x)는 x= 에서 극솟값 -32를 갖는다.
3

-a}2`{
따라서 함수 g(t)의 최솟값이 2가 되려면 ;2!;Ék-1É2,
}={
6+a 6+a 6+a
h{ -3}
3 3 3

=-4{1-;3A;}3`=-32
즉 ;2#;ÉkÉ3이어야 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최솟값은

{1-;3A;}3`=8이므로 1-;3A;=2에서
;2#;이다.

⑤
a=-3
따라서 f(x)=(x+3)(x-3)에서
64 f(4)=7
부등식 f '(x){ f(x)-2}É0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①

정답과 풀이 ● 29

책1.indb 29 2022-12-01 오후 7:15:57


66 그러므로 함수 y=f(x)=|(xÛ`-9)(x+a)|의 그래프의 개형
은 그림과 같다.
f(x)=xÜ`-3xÛ`-9x-12에서
Z
f '(x)‌=3xÛ`-6x-9=3(x+1)(x-3) ZG Y
f '(x)=0에서 x=-1 또는 x=3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3 y Y
 B 0 
f '(x) + 0 - 0 +
함수  f(x)는 x=-3, x=-a, x=3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
f(x) ↗ 극대 ↘ 극소 ↗
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7을 갖고, x=3에 Û a=3일 때
서 극솟값  f(3)=-39를 갖는다. 함수 y=(xÛ`-9)(x+a)=(x+3)Û`(x-3)의 그래프는 x축
조건 (가)에서 x g(x)=|x f(x-p)+qx|이므로 과 점 (-3, 0)에서 접하고 점 (3, 0)에서 만나므로 그래프의
| f(x-p)+q| (x>0)
g(x)=à 개형은 그림과 같다.
-| f(x-p)+q| (x<0)
Z
함수 g(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Z Y  
Y

| f(-p)+q|=-| f(-p)+q|,
즉 | f(-p)+q|=0이어야 한다.

한편 함수 y=| f(x-p)+q|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 0  Y
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시킨
후, y<0인 부분에 그려진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것
이다. 이때 p, q가 모두 양수이고 조건 (나)에서 함수 g(x)가
x=a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실수 a의 개수가 1이므로 p=1, 그러므로 y=f(x)=|(x+3)Û`(x-3)|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

q=7이어야 한다. 림과 같다.

따라서 p+q=1+7=8 Z
ZG Y
y y=g(x)

O x  0  Y

함수  f(x)는 x=3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조건



을 만족시킨다.
③
Ü a>3일 때
‌함수 y=(xÛ`-9)(x+a)의 그래프는 x축과 세 점 (-a, 0),
67 (-3, 0), (3, 0)에서 만나므로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Ú 0<a<3일 때
Z
Z Y™A Y B
‌함수 y=(xÛ`-9)(x+a)의 그래프는 x축과 세 점 (-3, 0),
(-a, 0), (3, 0)에서 만나므로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Z
Z Y Y B

B  0  Y


B 0  Y

3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30 2022-12-01 오후 7:15:58


그러므로 함수 y=f(x)=|(xÛ`-9)(x+a)|의 그래프의 개형
은 그림과 같다.
68
ㄱ. ‌곡선  f(x)=xÜ` 과 직선 y=-x+t는 한 점에서 만나므로
Z ZG Y
g(t)=1이다.
y
y=xÜ

B  0  Y

‌함수  f(x)는 x=-a, x=-3, x=3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


O x

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y=-x+t

미분
Ú, Û, Ü에 의해 a=3
‌함수 y=(xÛ`-9)(x+3)의 극솟값의 절댓값이 함수 그러므로 함수 g(t)는 상수함수이다. (참)
f(x)=|(xÛ`-9)(x+3)|의 극댓값이다. ㄴ.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1의 교점의 개
y=(xÛ`-9)(x+3)에서 수가 2인 경우는 그림과 같은 경우이다.
y'=2x(x+3)+(xÛ`-9)=3(x+3)(x-1)이므로 y=-x+1 y=f(x) y=f(x)

y'=0에서
x=-3 또는 x=1
‌y=(xÛ`-9)(x+3)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x+t
y=-x+t
x y -3 y 1 y
y=-x+1
y' + 0 - 0 +
그러므로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x+t가
y ↗ 0 ↘ -32 ↗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t가 존재한다. (참)
따라서 함수 y=(xÛ`-9)(x+3)은 x=1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ㄷ.  f(x)=axÜ`+bxÛ`+cx+d (a>0, b, c, d는 상수)라 하자.
-32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함수 g(t)가 상수함수이면 방정식
f(1)=|-32|=32
axÜ`+bxÛ`+cx+d=-x+t
①
의 실근이 1개 존재하여야 한다.
보충 설명
방정식 axÜ`+bxÛ`+(c+1)x+d=t에서
a=3일 때 함수  f(x)가 x=3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음을 알아
함수 y=axÜ`+bxÛ`+(c+1)x+d의 그래프와 직선 y=t가 오
보자.
직 한 점에서 만나야 한다.
f(x)=|(xÛ`-9)(x+3)|=|(x+3)Û`(x-3)|
즉, 함수 y=axÜ`+bxÛ`+(c+1)x+d의 극값이 존재하지 않
(x+3)Û`(x-3) (x¾3)
=[ 아야 하므로
-(x+3)Û`(x-3) (x<3)
y'=3axÛ`+2bx+c+1
함수  f(x)가 구간 (-¦, 3)과 구간 (3, ¦)에서 각각 다항함수
에서 방정식 3axÛ`+2bx+c+1=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이므로 함수  f(x)는 x+3인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다. DÁ
=bÛ`-3a(c+1)=bÛ`-3ac-3aÉ0
그런데 4
f(x)- f(3) -(x+3)Û`(x-3) 이어야 한다.
lim = lim =-36
x`Ú3- x-3 x`Ú3- x-3 한편  f '(x)=3axÛ`+2bx+c에서
f(x)- f(3) (x+3)Û`(x-3) 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lim = lim =36
x`Ú3+ x-3 x`Ú3+ x-3

f(x)- f(3) =bÛ`-3ac
이므로 lim 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4
x`Ú3 x-3
이때 a=2, b=3, c=1이라 하면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오직 한 개

의 x값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bÛ`-3ac-3a=3Û`-3_2_1-3_2=-3<0
4

É0을 만족시키지만
4

정답과 풀이 ● 31

책1.indb 31 2022-12-01 오후 7:15:59


Dª 그러므로 f '(a)=0 (참)
=bÛ`-3ac=3Û`-3_2_1=3>0
4
ㄴ. f‌ '(x)=(x-a)(3x-a-2b)=0에서
이므로 삼차함수  f(x)의 극값은 존재한다. (거짓)
a+2b
x=a 또는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3
③ a+2b
함수 f(x)가 x= 에서 극솟값 -4를 가지므로
3
a+2b a+2b a+2b
f{ }={ -a}Û`{ -b}=-4
69 3
(b-a)Ü`=3Ü`에서
3 3

조건 (나)에 의해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1의


b-a=3
교점의 개수가 2이므로 극값 -1을 갖는다.
그러므로 b=a+3 (참)
f(x)-3
조건 (가)에서 lim =0이므로 lim { f(x)-3}=0이어
x`Ú0 x x`Ú0 ㄷ. f(0)=-aÛ`b=16이고 ㄴ에서 b=a+3이므로
야 한다. aÜ`+3aÛ`+16=(a+4)(aÛ`-a+4)=0
즉, lim f(x)=3이므로 f(0)=3 a=-4이고 b=-1
x`Ú0

f(x)-3 f(x)-f(0) 그러므로 aÛ`+bÛ`=17 (거짓)


또 lim =lim =0
x`Ú0 x x`Ú0 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f '(0)=0
②
f(0)=3, f '(0)=0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값 3을 갖
는다.
그러므로 직선 y=-1과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3 유형 6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y=f(x)
71
O x 방정식 2xÜ`-3xÛ`-12x+k=0, 즉
-1 y=-1 2xÜ`-3xÛ`-12x=-k   yy ㉠
에서 f(x)=2xÜ`-3xÛ`-12x라 하자.
f(x)=xÜ`+axÛ`+bx+3 (a, b는 상수)라 하면
f '(x)=6xÛ`-6x-12=6(x+1)(x-2)
f '(x)=3xÛ`+2ax+b에서 f '(0)=0이므로
f '(x)=0에서 x=-1 또는 x=2
b=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 }={- } +a_{- } +3=-1에서
2a 2a `Ü 2a Û`
3 3 3 x y -1 y 2 y
a=-3 f '(x) + 0 - 0 +
따라서 f(x)=xÜ`-3xÛ`+3이므로
f(x) ↗ 7 ↘ -20 ↗
f(4)=4Ü`-3_4Û`+3=19
 19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7을 갖고, x=2에서 극솟값
-20을 갖는다.
y

70 7
y=f(x)

조건 (가), (나)에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방정식 f(x)=0


2
의 실근이 a, b (a<b)뿐인 함수 f(x)의 극솟값이 -4이므로 -1 O x
y=-k
x=a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따라서 삼차함수 f(x)의 식은
f(x)=(x-a)Û`(x-b)
로 놓을 수 있다.
ㄱ. ‌f '(x)=(x-a)(3x-a-2b) -20

3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32 2022-12-01 오후 7:15:59


방정식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 Z ZYšAY 

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20<-k<7, 즉 -7<k<20
따라서 정수 k의 값은
-6, -5, -4, y, 19
이고, 그 개수는 26이다.
0 
③ Y

 Ⅱ
이때 곡선 y=4xÜ`-12x+7과 직선 y=k의 교점의 개수가 2이므
로 직선 y=k는 점 (-1, 15) 또는 점 (1, -1)을 지나야 한다.

미분
72 따라서 양수 k의 값은 15이다.

f(x)=xÜ`-3xÛ`-9x라 하면  15

f '(x)=3xÛ`-6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74
h(x)= f(x)-g(x)라 하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x)=xÜ`-xÛ`-x+6-a
x y -1 y 3 y 이때 x¾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h(x)¾0이 성립하려
f '(x) + 0 - 0 + 면 x¾0에서 함수 h(x)의 최솟값이 0 이상이어야 한다.
f(x) ↗ 5 ↘ -27 ↗ h '(x)=3xÛ`-2x-1=(3x+1)(x-1)
h '(x)=0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x=-;3!; 또는 x=1
y=f(x)
5
x¾0에서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O 3 x
x 0 y 1 y
y=k h'(x) - 0 +
h(x) 6-a ↘ 5-a ↗
-27
즉, x¾0에서 함수 h(x)의 최솟값이 5-a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직선 y=k는 x축에 평행하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서로 만족시키려면 5-a¾0이어야 한다.
다른 세 점에서 만나기 위한 k의 값의 범위는 -27<k<5 따라서 aÉ5이므로 구하는 실수 a의 최댓값은 5이다.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 M=4, 최솟값 m=-26이므로 ⑤
M-m=4-(-26)=30
④
75
f(x)=3xÝ`-4xÜ`-12xÛ`이라 하면
f '(x)=12xÜ`-12xÛ`-24x
=12x(xÛ`-x-2)=12x(x+1)(x-2)
73 f '(x)=0에서
y=4xÜ`-12x+7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y'=12xÛ`-12=12(x+1)(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므로 y'=0에서
x y -1 y 0 y 2 y
x=-1 또는 x=1
f '(x) - 0 + 0 - 0 +
따라서 함수 y=4xÜ`-12x+7은 x=-1에서 극댓값 15, x=1에
서 극솟값 -1을 갖는다. f(x) ↘ 극소 ↗ 극대 ↘ 극소 ↗

정답과 풀이 ● 33

책1.indb 33 2022-12-01 오후 7:16:00


따라서 사차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f(0)=0을 갖고, 방정식  f(x)=-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2이려면 함수
x=-1, x=2에서 각각 극솟값  f(-1)=3+4-12=-5,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f(2)=48-32-48=-32를 갖는다. 하므로
y
-k=:Á2¦7¤: 또는 -k=-12
y=f(x)

x 즉, k=-:Á2¦7¤: 또는 k=12
-1 O 2

-5 y=-k 이때 k는 양수이므로 k=12


 12

-32
77
조건 (가)에서 f(0)=0이고 g(0)=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곡선 y= f(x)와 직선 g(x)= f(x)+| f '(x)|에서
y=-k의 교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른 4 f '(0)=0
개의 실근을 가지려면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5<-k<0, 즉 0<k<5 f(x)=x(xÛ`+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이어야 한다. f '(x)=(xÛ`+ax+b)+x(2x+a)에서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k는 1, 2, 3, 4의 4개이다. f '(0)=b=0
4 따라서 f(x)=xÛ`(x+a), f '(x)=x(3x+2a)
f '(x)=0에서

x=0 또는 x=-;3@;a
76
방정식 xÜ`-xÛ`-8x+k=0에서 조건 (나)에서 -a>0이므로 -;3@;a>0
xÜ`-xÛ`-8x=-k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x)=xÜ`-xÛ`-8x라 하면
f '(x)=3xÛ`-2x-8=(3x+4)(x-2) x y 0 y -;3@;a y

f '(x)=0에서 f '(x) + 0 - 0 +

x=-;3$; 또는 x=2 f(x) ↗ 0 ↘ ;2¢7;aÜ`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x y -;3$; y 2 y y
y=f(x)
f '(x) + 0 - 0 +
-;3@;a
O
f(x) ↗ 극대 ↘ 극소 ↗ -a x

f {-;3$;}=:Á2¦7¤:,  f(2)=-12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4


27aÜ
Z ZG Y


조건 (다)에서 | f {-;3@;a}|=4이므로

ZL


  f {-;3@;a}=;2¢7;aÜ`=-4이고 aÜ`=-27에서 a=-3
0 Y
그러므로 f(x)=xÛ`(x-3)이고
g(x)=xÛ`(x-3)+|3x(x-2)|
 따라서 g(3)=9
ZL
①

3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34 2022-12-01 오후 7:16:00


78 f(-1)> f(2)
따라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f(2)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2xÜ`+6xÛ`+a라 하면
주어진 부등식이 항상 성립하려면
f '(x)=6xÛ`+12x=6x(x+2)
f(2)=-32+k¾0, 즉 k¾32이어야 하고, 실수 k의 최솟값은
이므로  f '(x)=0에서
32이다.
x=-2 또는 x=0
  3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y y
x -2 0

f '(x) + 0 - 0 +
f(x) ↗ 8+a ↘ a ↗
80

미분
그러므로 방정식  f(x)=0이 -2ÉxÉ2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 xÜ`-3xÛ`+2x-3=2x+k에서
을 갖기 위해서는 함수 y= 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아야 한다. xÜ`-3xÛ`-3=k   yy ㉠
Z ZG Y 따라서 y=xÜ`-3xÛ`-3이라 하면
y '=3xÛ`-6x
이므로 y '=0에서
3xÛ`-6x=3x(x-2)=0
x=0 또는 x=2
 0  Y 이때 함수 y=xÜ`-3xÛ`-3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f(2)=40+a이므로
x y 0 y 2 y
f(2)> f(-2)
y' + 0 - 0 +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y ↗ -3 ↘ -7 ↗
f(-2)¾0이고  f(0)<0
이어야 한다. 따라서 곡선 y=xÜ`-3xÛ`-3은 그림과 같으므로 ㉠이 서로 다른
f(-2)¾0에서 8+a¾0, a¾-8 yy ㉠ 두 실근만을 갖기 위해서는 곡선 y=xÜ`-3xÛ`-3과 직선 y=k가
또,  f(0)<0에서 a<0 yy ㉡ 서로 다른 두 점에서만 만나야 한다.
㉠, ㉡에서 -8Éa<0이므로 정수 a는 y
y=xÜ`-3xÛ`-3
-8, -7, -6, y, -1의 8개이다. 2
O x
③
-3
y=-3

79 -7 y=-7

f(x)=3xÝ`-4xÜ`-12xÛ`+k라 하면
즉, k=-3 또는 k=-7
f '(x)=12xÜ`-12xÛ`-24x=12x(x+1)(x-2)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k의 값의 곱은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3)_(-7)=2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21
x y -1 y 0 y 2 y
f '(x) - 0 + 0 - 0 +
f(x) ↘ ↗ ↘ ↗

함수  f(x)는 x=-1, x=2에서 극소, x=0에서 극대이고, 이때 81


f(-1)=3+4-12+k=-5+k, f(x)=2xÜ`-8x=2x(x+2)(x-2)
f(2)=48-32-48+k=-32+k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정답과 풀이 ● 35

책1.indb 35 2022-12-01 오후 7:16:00


Z ZG Y 면 x<0에서 함수 h(x)는 미분가능해야 한다.
x<0에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접한다고
할 때, 접점의 x좌표를 t라 하자.
 0  Y
 f(t)=g(t),  f '(t)=g '(t)에서
47 4
2tÜ`-8t=- t+  yy ㉠
m mÜ`

ㄱ. m=-1일 때, 47
6tÛ`-8=-  yy ㉡
m
 f {;2!;}=2_;8!;-8_;2!;=-:Á4°: t_㉡-㉠을 하면

g {;2!;}=-2_;2!;-4=-5
4 1
4tÜ`=- , t=-  yy ㉢
mÜ` m

g {;2!;}É f {;2!;}이므로 h{;2!;}=g {;2!;}=-5 (참) ㉢을 ㉡에 대입하면


6 47
47x-4 (x<0) -8=- , 8mÛ`-47m-6=0
mÛ` m
ㄴ. m=-1일 때, g(x)=[
-2x-4 (x¾0) (8m+1)(m-6)=0
Ú ‌x<0일 때, 함수 y=g(x)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양수이고 m은 양수이므로 m=6
y절편이 음수인 직선의 일부이므로 두 함수 y= f(x),  m=6일 때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는
y=g(x)의 그래프는 단 하나의 교점을 갖는다. 
x=-;6!;인 점에서 접한다.
그 교점의 x좌표를 xÁ`(xÁ<0)이라 하면 x<0에서 함수
Ú ‌m=6일 때, x<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¾ f(x)
h(x)는 x=xÁ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이므로 h(x)= f(x)이다.
Û ‌x=0일 때, g(0)=-4,  f(0)=0이므로 g(0)< f(0)
그러므로 x<0에서 함수 h(x)는 미분가능하다.
x=0에서 함수 h(x)의 미분가능성은 함수 g(x)의 미분
Û ‌0<m<6일 때, x<0에서 m의 값이 작아질수록 함수
가능성과 같다. 
y=g(x)의 그래프는 m=6일 때보다 기울기의 절댓값이
즉, 함수 h(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커지고 y절편도 커지므로 x<0에서 두 함수 y= f(x), 
Ü ‌x>0일 때,
y=g(x)의 그래프는 만나지 않는다.
f(x)-g(x)=2xÜ`-6x+4
즉, x<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¾ f(x)이므로
=2(x-1)Û`(x+2)¾0
h(x)= f(x)이다.
즉,  f(x)¾g(x)
그러므로 x<0에서 함수 h(x)는 미분가능하다.
‌x>0에서 h(x)=g(x)이므로 함수 h(x)의 미분가능성은
Ü ‌m>6일 때, x<0에서 m의 값이 커질수록 함수 y=g(x)
함수 g(x)의 미분가능성과 같다.
의 그래프는 m=6일 때보다 기울기의 절댓값이 작아지고
즉, x>0에서 함수 h(x)는 미분가능하다.
y절편도 작아지므로 x<0에서 두 함수 y= f(x), y=g(x)
Ú, Û, Ü에서 함수 h(x)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개수는
의 그래프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이때 두 점의 
2이다. (참)
x좌표를 각각 x£, x¢라 하면 함수 h(x)는 x=x£, x=x¢에
ㄷ. 양수 m에 대하여
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4
x=0일 때, g(0)= > f(0)이므로
mÜ` Ú, Û, Ü에서 함수 h(x)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개수가
x=0에서 함수 h(x)의 미분가능성은 함수  f(x)의 미분가능 1인 양수 m의 최댓값은 6이다. (참)
성과 같다.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즉, 함수 h(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⑤
x>0일 때, 함수 y=g(x)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양수이고 y절
편도 양수인 직선의 일부이므로 두 함수 y= f(x), y=g(x)
의 그래프는 단 하나의 교점을 갖는다.  82
그 교점의 x좌표를 xª`(xª>0)이라 하면 x>0에서 함수 h(x)=f(x)-3g(x)라 하면
h(x)는 x=xª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h(x)=xÜ`-3xÛ`-9x+30-k
그러므로 함수 h(x)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개수가 1이려 이고, 닫힌 구간 [-1, 4]에서

3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36 2022-12-01 오후 7:16:01


f(x)¾3g(x) 즉, 함수  f(x)의 극댓값은 양수이어야 하고 함수  f(x)의 극솟값
이어야 하므로 h(x)¾0이어야 한다. 이때 은 음수이어야 한다.
h'(x)=3xÛ`-6x-9=3(x+1)(x-3) 그러므로 k>0이고 k-8<0이므로
이므로 닫힌 구간 [-1, 4]에서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0<k<8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정수 k는 1, 2, 3, 4, 5, 6, 7로 그 개수는 7이다.

x -1 y 3 y 4 7

h'(x) - 0 +

h(x) ↘ 극소 ↗
84
따라서 함수 y=h(x)의 그래 y y=h(x) ㄱ. ‌함수 g(x)의 역함수가 존재하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

미분
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 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 '(x)=3xÛ`+2ax+b¾0이 성립해

고, 닫힌 구간 [-1, 4]에서 야 한다.

함수 h(x)는 x=3에서 극소 이차방정식 3xÛ`+2ax+b=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이면서 최소이다. DÁ
=aÛ`-3bÉ0
4
닫힌 구간 [-1, 4]에서 함수 -1 O 3 x aÛ`É3b (참)
h(x)의 최솟값은
ㄴ. 2 f(x)= g(x)- g(-x)에서
h(3)=3-k g(x)-g(-x)
f(x)=
이므로 닫힌 구간 [-1, 4]에서 2
h(x)¾0이려면 3-k¾0, 즉 kÉ3이어야 한다. =
(xÜ`+axÛ`+bx+c)-(-xÜ`+axÛ`-bx+c)
2
따라서 구하는 실수 k의 최댓값은 3이다.
=xÜ`+bx
 3
f '(x)=3xÛ`+b이므로 f '(x)=0에서 3xÛ`+b=0
이차방정식 3xÛ`+b=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83 Dª=0Û`-4_3_b=-12b
방정식 2xÜ`-6xÛ`+k=0   yy ㉠ aÛ`
ㄱ에 의해 b¾ ¾0이므로 Dª=-12bÉ0
에서 f(x)=2xÜ`-6xÛ`+k라 하면 방정식의 실근은 함수 y=f(x) 3
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의 x좌표이다. 그러므로 이차방정식 f '(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지

f '(x)=6xÛ`-12x=6x(x-2) 않는다. (거짓)

f '(x)=0에서 ㄷ. ‌방정식 f '(x)=0이 실근을 가지므로 3xÛ`+b=0의 실근이 존

x=0 또는 x=2 재한다. 즉, bÉ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또한 ㄱ에 의해 b¾0이므로 b=0이고 a=0이다.


g '(x)=3xÛ`이므로 g '(1)=3 (거짓)
x y 0 y 2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f '(x) + 0 - 0 +
①
f(x) ↗ k ↘ k-8 ↗

85
이때 ㉠이 2개의 서로 다른 양의 실근을 갖기 위해서는 함수
y=f(x)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아야 한다.
ㄱ. k=0일 때,  f(x)+g(x)=xÜ`+2xÛ`+4
y y=f(x)
hÁ(x)=xÜ`+2xÛ`+4라 하면
hÁ'(x)=3xÛ`+4x=x(3x+4)

2
hÁ'(x)=0에서 x=-;3$; 또는 x=0이므로 함수 hÁ(x)는 
O x
x=-;3$; 에서 극대, x=0에서 극소이다.

이때 hÁ(0)=4>0이므로 방정식 hÁ(x)=0은 오직 하나의 실


근을 갖는다. (참)

정답과 풀이 ● 37

책1.indb 37 2022-12-01 오후 7:16:01


ㄴ.  f(x)-g(x)=0에서
xÜ`-kx+6-(2xÛ`-2)=0, xÜ`-2xÛ`+8=kx
86
조건 (가)에서
hª(x)=xÜ`-2xÛ`+8이라 하면 곡선 y=hª(x)에 직선 y=kx
-1+a-b>-1이므로 a>b
가 접할 때만 방정식 hª(x)=k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2
조건 (나)에서
이다. 접점의 좌표를 (a, aÜ`-2aÛ`+8)이라 하면
(1+a+b)-(-1+a-b)>8
hª'(x)=3xÛ`-4x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2+2b>8이므로 b>3
y-(aÜ`-2aÛ`+8)=(3aÛ`-4a)(x-a)
조건 (가), (나)에서 a>b>3
이 접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ㄱ.  f '(x)=3xÛ`+2ax+b이므로
-(aÜ`-2aÛ`+8)=(3aÛ`-4a)_(-a)
이차방정식 3xÛ`+2ax+b=0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2aÜ`-2aÛ`-8=0

(a-2)(aÛ`+a+2)=0, a=2 =aÛ`-3b
4
따라서 구하는 k의 값은 hª'(2)=12-8=4뿐이다. (참) 이때 aÛ`-3b>bÛ`-3b=b(b-3)>0이므로 방정식  f '(x)=0
ㄷ. ‌|xÜ`-kx+6|=2xÛ`-2에서 2xÛ`-2¾0이므로 x의 값의 범위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참)
는 xÉ-1 또는 x¾1이고, 주어진 방정식은 ㄴ.  f '(-1)‌=3-2a+b
xÜ`-kx+6=-(2xÛ`-2) 또는 xÜ`-kx+6=2xÛ`-2, 즉 =3-(2a-b)=3-{(a-b)+a}
xÜ`+2xÛ`+4=kx 또는 xÜ`-2xÛ`+8=kx a-b>0이고 a>3이므로  f '(-1)<0이다.
hÁ(x)=xÜ`+2xÛ`+4, hª(x)=xÜ`-2xÛ`+8이라 하면 주어진 즉, -1<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 성립하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xÉ-1 또는 x¾1일 때 직선 y=kx 지 않는다. (거짓)
와 두 곡선 y=hÁ(x), y=hª(x)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ㄷ. xÜ`+axÛ`+bx-(3kÛ`+2ak+b)x=0
ㄴ에서 k=4일 때 직선 y=kx와 곡선 y=hª(x)가 접하므로 x(xÛ`+ax-3kÛ`-2ak)=0
kÉ4일 때 xÉ-1 또는 x¾1에서 직선 y=kx와 두 곡선 x=0 또는 xÛ`+ax-3kÛ`-2ak=0
y=hÁ(x), y=hª(x)의 교점의 개수의 최댓값은 3이다. Ú ‌이차방정식 xÛ`+ax-3kÛ`-2ak=0이 x=0을 근으로 갖
y 는 경우
y=hª(x)
y=7x -3kÛ`-2ak=0에서
y=4x 3kÛ`+2ak=k(3k+2a)=0
2a
k=0 또는 k=-
3
이때 방정식  f(x)- f '(k)x=0은 두 실근 x=0, x=-a
y=hÁ(x) 를 갖는다.

x
Û ‌이차방정식 xÛ`+ax-3kÛ`-2ak=0이 0이 아닌 중근을 갖
-1 O1
는 경우
이차방정식 xÛ`+ax-3kÛ`-2ak=0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k>4일 때, xÉ-1에서 직선 y=kx와 두 곡선 y=hÁ(x), Dª=aÛ`+12kÛ`+8ak=0에서
y=hª(x)의 서로 다른 교점의 개수는 2이다. 원점에서 곡선 k에 대한 이차방정식 12kÛ`+8ak+aÛ`=0을 풀면
y=hÁ(x)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y=7x로 놓으면 접점의 좌 -4aÑ"Ã16aÛ`-12aÛ`
k=
표는 (1, 7)이므로 k>4일 때, x¾1에서 직선 y=7x와 두 곡 12

선 y=hÁ(x), y=hª(x)의 서로 다른 교점의 개수는 2이다. -4aÑ2|a|`


=
12
즉, k>4일 때, xÉ-1 또는 x¾1에서 직선 y=kx와 두 곡
이때 a>3이므로
선 y=hÁ(x), y=hª(x)의 서로 다른 교점의 개수는 4이다.
따라서 방정식 | f(x)|=g(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의 최 k=-;2A; 또는 k=-;6A;

댓값은 4이다. (거짓) Ú, Û에서 실수 k의 개수는 4이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② ③

3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38 2022-12-01 오후 7:16:01


87 유형 7 속도와 가속도
함수  f(x)의 삼차항의 계수를 a라 하면 조건 (가)에 의해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함수 88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속도 v(t)를 미분하면 가속도이므로
a>0일 때 a<0일 때 v'(t)=-2t+10
ZG Y ZG Y
t=a에서의 가속도는 v'(a)이므로
v'(a)=-2a+10=0

Y Y 따라서 a=5
②

미분
함수  f(x)는 삼차함수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을 치역으로 갖고,
이차함수 g(x)=xÛ`-6x+10=(x-3)Û`+1은 x=3에서 최솟값
1을 갖는다. 그러므로 조건 (나)에서 함수
89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라 하면
g( f(x))={ f(x)-3}Û`+1
x=tÜ`+ktÛ`+kt에서 v=3tÛ`+2kt+k
은  f(x)=3인 x에서 최솟값 1을 가지므로 m=1
시각 t=1에서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꾸므로 t=1에서 v=0
한편 방정식 g( f(x))=1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2이므로 방
그러므로 3+2k+k=0에서 k=-1
정식  f(x)=3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라 하면
직선 y=3과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a=6t+2k=6t-2
a>0일 때 a<0일 때
따라서 시각 t=2에서 점 P의 가속도는
ZG Y ZG Y
Z Z 6_2-2=10
④
Y Y

즉, 함수  f(x)의 극댓값은 3이다.


90
시각 t=1에서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꾸므로 시각 t에서의 속도를
조건 (다)의 방정식 g( f(x))=17을 풀면
v(t)라 하면 v(1)=0
{ f(x)-3}Û`+1=17, { f(x)-3}Û`=16
한편 x=tÜ`+atÛ`+bt에서 v(t)=3tÛ`+2at+b이므로
f(x)=-1 또는  f(x)=7
v(1)=3+2a+b=0 yy ㉠
방정식 g( f(x))=17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므로 위의 그림
또,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t)라 하면
에서 방정식  f(x)=7의 실근의 개수는 1이고, 방정식  f(x)=-1
a(t)=6t+2a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어야 한다.
이때 a(2)=0이므로
그러므로 세 직선 y=-1, y=3, y=7과 함수 y= f(x)의 그래프
a(2)=12+2a=0
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a=-6 yy ㉡
a>0일 때 a<0일 때
㉡을 ㉠에 대입하면 b=9
ZG Y ZG Y
Z Z 따라서 a+b=(-6)+9=3
①

Z Z

91
Y Y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Z Z
x=tÜ`-12t+k
즉, 함수  f(x)의 극솟값은 -1이다.
이므로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 v는
따라서 함수  f(x)의 극댓값은 3이고 극솟값은 -1이므로 그 합은
v=3tÛ`-12
3+(-1)=2
점 P의 운동 방향이 바뀔 때의 점 P의 속도는 0이므로
①

정답과 풀이 ● 39

책1.indb 39 2022-12-01 오후 7:16:03


3tÛ`-12=0에서 3(t+2)(t-2)=0 이므로 실수 t (t¾0)에 대하여 v(t)É0일 수는 없다.
이때 t>0이므로 t=2 즉, 실수 t (t¾0)에 대하여 v(t)¾0이어야 하므로
점 P의 운동 방향이 원점에서 바뀌므로 t=2일 때 점 P의 위치는 a-:ª3°:¾0
원점이다.
즉, 2Ü`-12_2+k=0에서 k=16 따라서 a¾:ª3°: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의 최솟값은 9

④ 이다.
①

92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95
x=tÜ`-5tÛ`+6t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각각 vÁ, vª라 하면
이므로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라 하면 vÁ=3tÛ`-4t+3, vª=2t+12
dx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는 경우는
v= =3tÛ`-10t+6
dt 3tÛ`-4t+3=2t+12에서 3tÛ`-6t-9=0
또,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라 하면 3(tÛ`-2t-3)=0, 3(t+1)(t-3)=0
dv t¾0이므로 t=3일 때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진다.
a= =6t-10
dt
t=3일 때 점 P의 위치는
따라서 t=3에서 점 P의 가속도는 6_3-10=8
3Ü`-2_3Û`+3_3=18
 8
t=3일 때 점 Q의 위치는
3Û`+12_3=45

93 따라서 구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45-18=27

점 P의 시각 t(t¾0)에서의 위치 x가  27

x=-;3!; tÜ`+3 tÛ`+k

이므로 점 P의 시각 t(t¾0)에서의 속도 v는
v=-tÛ`+6t
이고 점 P의 시각 t(t¾0)에서의 가속도 a는
a=-2 t+6
점 P의 가속도가 0이므로
-2 t+6=0에서 t=3
t=3일 때, 점 P의 위치가 40이므로

-;3!;_3Ü`+3_3Û`+k=40

따라서 k=22
 22

94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v(t)=3tÛ`-10t+a
수능 감(感)잡기
점 P가 움직이는 방향이 바뀌지 않으려면 실수 t (t¾0)에 대하여
감을 잡으면 수능이 두렵지 않다!
v(t)¾0 또는 v(t)É0이어야 한다.
내신에서 수능으로 연결되는
이때
포인트를 잡는 학습 전략
v(t)=3 {t-;3%;} +a-:ª3°:
2

4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40 2022-12-01 오후 7:16:03


따라서 g(x)=à
실수
-7x (x<0) x=0을 기준으로 g(x)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56~61 쪽
xÜ`-9xÛ`+15x (x¾0) 의 식을 정리해야 해.

01 21 02 10 03 ② 04 160 05 34 [STEP 2] 함수 y=g(x)의 그래프를 그린다.


06 108 07 38 08 19 09 13 10 82 h(x)=xÜ`-9xÛ`+15x로 놓으면

g(x)=à
11 61 12 5 13 42 14 243 15 39 -7x (x<0)
16 40 17 65 18 105 19 108 20 39
21 51 22 65 h(x) (x¾0)
h'(x)=3xÛ`-18x+15

01
=3(x-1)(x-5)
 정답률 19.6%
h'(x)=0에서 x=1 또는 x=5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미분
1. 함수의 극대, 극소
x y 1 y 5 y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이고, x=a의 좌우에서
h'(x) + 0 - 0 +
f '(x)의 부호가
⑴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f(a) h(x) ↗ 극대 ↘ 극소 ↗
이다.
즉, 함수 h(x)는 x=1에서 극댓값 h(1)=7, x=5에서 극솟값
⑵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f(a)
h(5)=-25를 갖는다.
이다.
따라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 방정식에의 활용
방정식 f(x)=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곡선 y=f(x)와 직선 y
y=k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y=g(x)
7
풀이 전략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를 추론한 5
O 1 x
다.
문제 풀이


[STEP 1] g(x)=f(x)+|f(x)+x|-6x로 놓고 함수 g(x)를 x의 값의 주의
k<-25일 때, 교점은 0개
범위에 따라 나타낸다. k=-25일 때, 교점은 1개
-25<k<0일 때, 교점은 2개
f(x)+|f(x)+x|=6x+k에서 -25
k=0일 때, 교점은 3개
0<k<7일 때, 교점은 4개
f(x)+|f(x)+x|-6x=k k=7일 때, 교점은 3개
k>7일 때, 교점은 2개
g(x)=f(x)+|f(x)+x|-6x로 놓으면 [STEP 3] 모든 정수 k의 값을 구한다.

g(x)=k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4가 되기 위해서는 곡선

g(x)=à
g(x)=f(x)-{ f(x)+x}-6x=-7x
y=g(x)와 직선 y=k의 교점의 개수가 4이어야 하므로 실수 k의 값
-7x ( f(x)<-x)
의 범위는 0<k<7이다.
2f(x)-5x ( f(x)¾-x)
따라서 모든 정수 k의 값은
g(x)=f(x)+{ f(x)+x}-6x=2f(x)-5x


-7x` ( f(x)<-x) 1, 2, 3, 4, 5, 6
xÜ`-9xÛ`+15x ( f(x)¾-x) 이므로 그 합은
1+2+3+4+5+6=21
f(x)=-x에서
 21
;2!;xÜ`-;2(;xÛ`+10x=-x

;2!;xÜ`-;2(;xÛ`+11x=0

;2!;x(xÛ`-9x+22)=0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9x+22={x-;2(;}2`+;4&;>0

이므로
x=0
즉, 곡선 y=f(x)와 직선 y=-x는 오직 원점 (0, 0)에서만 만난다.

정답과 풀이 ● 41

책1.indb 41 2022-12-01 오후 7:16:03


02  정답률 16.8% y
주의
다항함수 y=f(x)에 대하여 다항식 f(x)가
(x-a)Û`을 인수로 가지면 y=f(x)의 그래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프는 x=a에서 x축에 접해.

삼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조건
O 1 2 x
함수 y=axÜ`+bxÛ`+cx+d의 그래프는 a>0일 때, 다음 3가지 중
어느 하나가 된다.
g(x)=3(x-1)Û (x-2)
① ‌y'=0이 서로 다른 ② ‌y '=0이 중근 a를 ③ y‌ '=0이 허근을
두 실근 a, b를 갖 갖는다. 갖는다.
함수 g(x)=3(x-1)Û`(x-2)는 x=2에서 극값을 갖지 않으
는다.
y y y 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또, 함수 g(x)=3(x-1)Û`(x-3)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
같다.
O a b x O a x O x
y g(x)=3(x-1)Û`(x-3)
따라서 삼차함수 y=f(x)가
Ú ‌극값을 가질 조건은 1
O 3 x
f '(x)=0에서 D>0 (서로 다른 두 실근)
Û ‌극값을 갖지 않을 조건은
f '(x)=0에서 DÉ0 (중근 또는 허근)

풀이 전략 다항함수의 극대, 극소의 성질을 이용하여 함수를 구한 후 g '(x)=6(x-1)(x-3)+3(x-1)Û`


미분계수의 값을 구한다. =3(x-1)(3x-7)
y=f(x)g(x)에 대하여
문제 풀이 이고 g '(x)=0에서 y'=f '(x)g(x)+f(x)g'(x)

다항함수 f(x)가 x=a에서


[STEP 1] 주어진 조건에 맞는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구한다. x=1 또는 x=;3&; 극값을 가지면 f '(a)=0
f(x)g(x)=(x-1)Û`(x-2)Û`(x-3)Û`에서 삼차함수 g(x)의 최
고차항의 계수가 3이고 함수  f(x) g(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 이므로 함수 g(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3&;에서 극

솟값을 갖는다.
므로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3!;이다.
따라서 함수 g(x)=3(x-1)Û`(x-3)은 x=2에서 극값을 갖
[STEP 2] 여러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삼차함수 y= g(x)의 그래프의 개형을
지 않으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x=2에서 극댓값을 갖는 경우를 찾는다.
Ü ‌다항식 g(x)가 (x-2)Û`을 인수로 가질 때
Ú ‌다항식 g(x)가 서로 다른 세 개의 일차식을 인수로 가질 때
g(x)=3(x-1)(x-2)Û`
g(x)=3(x-1)(x-2)(x-3)
또는 g(x)=3(x-2)Û`(x-3)
이므로 함수 g(x)=3(x-1)(x-2)(x-3)의 그래프의 개형
함수 g(x)=3(x-1)(x-2)Û`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은 그림과 같다.
y g(x)=3(x-1)(x-2)Û
y

2
O 1 3 x O 1 2 x

g(x)=3(x-1)(x-2)(x-3)
함수 g(x)=3(x-1)(x-2)Û`은 x=2에서 극솟값을 가지므
따라서 함수 g(x)=3(x-1)(x-2)(x-3)은 x=2에서 극 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값을 갖지 않으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또, 함수 g(x)=3(x-2)Û`(x-3)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Û ‌다항식 g(x)가 (x-1)Û`을 인수로 가질 때 같다.
g(x)=3(x-1)Û`(x-2)
또는 g(x)=3(x-1)Û`(x-3)
함수 g(x)=3(x-1)Û`(x-2)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4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42 2022-12-01 오후 7:16:04


y f(x)=;3!;(x-1)Û`(x-3)이고
g(x)=3(x-2)Û (x-3)

f '(x)=;3!;{2(x-1)(x-3)+(x-1)Û`}=;3!;(x-1)(3x-7)

따라서  f '(0)=;3!;_(-1)_(-7)=;3&;이므로

O 2 3 x p+q=3+7=10
 10

따라서 함수 g(x)=3(x-2)Û`(x-3)은 x=2에서 극댓값을 Ⅱ


가지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
Ý 다항식 g(x)가 (x-3)Û`을 인수로 가질 때
03

미분
 정답률 14.7%
g(x)=3(x-1)(x-3)Û`
또는 g(x)=3(x-2)(x-3)Û`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함수 g(x)=3(x-1)(x-3)Û`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미분가능 조건
y g(x) (x¾a)
함수 `f(x)=à 가 x=a에서 미분가능한 조건
h(x)(x<a)
Ú x=a에서 연속이다. ⇨ lim h(x)=g(a)
x`Úa-

Û g '(a)=h'(a)
O 1 3 x
g(x)=3(x-1)(x-3)Û 풀이 전략 두 함수의 곱의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을 이용한다.
문제 풀이

g'(x)‌=3(x-3)Û`+6(x-1)(x-3) [STEP 1] 다항함수 p(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임을 이용하여 조건


=3(x-3)(3x-5) 을 구한다.
실수
이고 g '(x)=0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 다항함수 p(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형만 보고 x=2에서 극댓값을
x=;3%; 또는 x=3 갖는다고 단정지으면 안돼. lim p(x)= lim p(x)=p(0)
x`Ú0+ x`Ú0-

이 성립한다.
이므로 함수 g(x)는 x=;3%;에서 극댓값을 갖고, x=3에서 극
[STEP 2] 함수 p(x)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임을 이용하여
솟값을 갖는다.
p(0)의 값을 구한다.
함수 g(x)=3(x-1)(x-3)Û`은 x=2에서 극값을 갖지 않으
ㄱ. f(0)=0이고 xÉ0일 때 f(x)=-x이므로
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lim f(x)= lim (-x)=0 f(0)=-0=0
x`Ú0- x`Ú0-
또, 함수 g(x)=3(x-2)(x-3)Û`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lim f(x)= lim (x-1)=-1
같다. x`Ú0+ x`Ú0+

y 이므로
g(x)=3(x-2)(x-3)Û
lim p(x)f(x)= lim p(x)_ lim f(x)=0
x`Ú0- x`Ú0- x`Ú0-
p(0)_0=0
lim p(x)f(x)= lim p(x)_ lim f(x)=-p(0)
x`Ú0+ x`Ú0+ x`Ú0+
p(0)_(-1)=-p(0)
O 2 3 x p(0)f(0)=0
‌이때 함수 p(x)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면 x=0
에서도 연속이므로
lim p(x)f(x)= lim p(x)f(x)=p(0)f(0)
따라서 함수 g(x)=3(x-2)(x-3)Û`은 x=2에서 극값을 갖 x`Ú0- x`Ú0+

지 않으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 성립해야 한다.


[STEP 3] g(x)를 이용하여 삼차함수 f(x)를 구한 후 f '(0)의 값을 구한다. 즉, -p(0)=0이어야 하므로
Ú ~ Ý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g(x)는 p(0)=0 (참)
g(x)=3(x-2)Û`(x-3)이므로 [STEP 3] 함수 p(x)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함을 이용하여
p(2)의 값을 구한다.

정답과 풀이 ● 43

책1.indb 43 2022-12-01 오후 7:16:04


ㄴ.  g(x)=p(x)f(x)라 하자. 또
‌함수 p(x)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면 x=2 h(x)-h(2) h(x)-h(2)
lim = lim =4
g(x)-g(2) x`Ú2- x-2 x`Ú2+ x-2
에서도 미분가능하므로 lim 의 값이 존재해야
x`Ú2 x-2 이므로 함수 h(x)는 x=2에서 미분가능하다.
주의
한다. x=2에서의 미분계수 g '(2)가 존재하려면
따라서 함수 h(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g(x)-g(2) g(x)-g(2)
lim = lim 이어야 돼. 하지만 함수 p(x)는 xÛ`(x-2)Û`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
g(x)-g(2) x`Ú2- x-2 x`Ú2+ x-2
lim
x`Ú2- x-2  (거짓)
p(x)f(x)-p(2)f(2)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lim
x`Ú2- x-2  ②
(x-1)p(x)-p(2)
= lim
x`Ú2- x-2
0<xÉ2일 때 f(x)=x-1

= lim
x`Ú2-
(x-2)p(x)+p(x)-p(2)
x-2 04  정답률 13.3%

p(x)-p(2)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 lim p(x)+ lim
x`Ú2- x`Ú2- x-2
삼차함수 f(x)=axÜ`+bxÛ`+cx+d (a>0)에 대하여
=p(2)+p'(2)
f '(x)=3axÛ`+2bx+c에서 이차방정식 3axÛ`+2bx+c=0이 서로
이고 다른 두 실근 a, b (a<b)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삼차함수 f(x)는
g(x)-g(2) x=a에서 극댓값 f(a)를 갖고, x=b에서 극솟값 f(b)를 갖는다.
lim
x`Ú2+ x-2 삼차방정식 axÜ`+bxÛ`+cx+d=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
p(x)f(x)-p(2)f(2) 면 f(a) f(b)<0이어야 한다.
= lim
x`Ú2+ x-2
(2x-3)p(x)-p(2) 풀이 전략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이용한다.
= lim
x`Ú2+ x-2 문제 풀이
x>2일 때 f(x)=2x-3
2(x-2)p(x)+p(x)-p(2) [STEP 1]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한다.
= lim
x`Ú2+ x-2
f(x)=2xÜ`-3(a+1)xÛ`+6ax에서
p(x)-p(2)
= lim 2p(x)+ lim f '(x)=6xÛ`-6(a+1)x+6a=6(x-1)(x-a)
x`Ú2+ x`Ú2+ x-2
이므로  f '(x)=0에서 x=1 또는 x=a
=2p(2)+p'(2)
[STEP 2] 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식을 세운다.
이므로
g(x)-g(2) g(x)-g(2) f(1)=2-3(a+1)+6a
lim = lim
x`Ú2- x-2 x`Ú2+ x-2 =3a-1 극댓값

가 성립하려면 f(a)=2aÜ`-3aÛ`(a+1)+6aÛ`
p(2)+p'(2)=2p(2)+p'(2) =-aÛ`(a-3) 극솟값
p(2)-2p(2)=0
즉, p(2)=0이어야 한다. (참) -p(2)=0 이므로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기 위해서는
[STEP 4]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p(x){ f(x)}Û`을 만족시키는 f(1)f(a)=-aÛ`(3a-1)(a-3)<0

[STEP 3] Á (bn-an)의 값을 구한다.


p(x)가 xÛ`(x-2)Û`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예를 찾아본다. 10

n=1
ㄷ. (반례) h(x)=p(x){ f(x)}Û`이라 하자.
aÛ`>0이므로 (3a-1)(a-3)>0
p(x)=xÛ`(x-2)이면
그런데 a는 자연수이므로 a>3
( xÝ`(x-2) (xÉ0)
그러므로 aÁ=4, aª=5, y, an=n+3
h(x)=[{ xÛ`(x-1)Û`(x-2) (0<xÉ2)
a=an일 때  f(x)=2xÜ`-3(an+1)xÛ`+6anx이고,
9 xÛ`(2x-3)Û`(x-2) (x>2)
f(x)는 x=1에서 극댓값 bn=f(1)=3an-1
‌이므로 함수 h(x)는 x+0, x+2인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 주의

분가능하다. 따라서 f '(x)=0에서 x=1 또는 x=a이므로 x=1에서 극대, x=a에서 극소야.

Á (bn-an)= Á (2an-1)= Á (2n+5)


10 10 10
한편
n=1 n=1 n=1
h(x)-h(0) h(x)-h(0)
lim = lim =0 10_11
x`Ú0- x x`Ú0+ x =2_ +5_10=160
2
이므로 함수 h(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 160

4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44 2022-12-01 오후 7:16:04


05  정답률 11.6% 06  정답률 6.9%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함수의 최댓값, 최솟값 1. 구간별로 다르게 정의된 함수의 미분가능성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 다항함수 g(x), h(x)에 대하여 함수
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g(x) (x<a)
f(x)=à 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① 주어진 구간에서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구한다. h(x) (x¾a)
② 주어진 구간의 양 끝값에서의 함숫값 f(a), f(b)를 구한다. ⑴ ‌x=a에서 연속이므로
③ ‌위에서 구한 극댓값, 극솟값, f(a), f(b) 중에서 가장 큰 값이 최 lim g(x)= lim h(x)=h(a)
x`Úa- x`Úa+

댓값이고, 가장 작은 값이 최솟값이다.
⑵ x=a에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한다.
g(x)-g(a) h(x)-h(a)
풀이 전략 도함수를 이용하여 부등식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한다.

미분
lim = lim
x`Úa- x-a x`Úa+ x-a
문제 풀이
2. 삼차함수 f(x)=axÜ`+bxÛ`+cx+d`(a>0)의 그래프
[STEP 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É12x+kÉ g(x)를 만족시키는 k y=f '(x) y=f '(x) y=f '(x)
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 +
- x + + +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É12x+kÉ g(x)를 만족시키 극대
y=f(x) y=f(x)
는 k의 값의 범위를 구해 보자. y=f(x)

Ú  f(x)É12x+k일 때 극소 극값 아님

 f(x)É12x+k에서  f(x)-12xÉk
풀이 전략 미분가능하면 연속이고 미분계수가 존재함을 알고 삼차함
h(x)= f(x)-12x라 하면
수의 극값을 이용한다.
h(x)=-xÝ`-2xÜ`-xÛ`-12x
문제 풀이
h'(x)=-4xÜ`-6xÛ`-2x-12
[STEP 1] 함수 g(x)를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간단히 한다.
=-2(x+2)(2xÛ`-x+3)
2xÛ`-x+3=2{x-;4!;}Û`+:ª8£:>0
조건 (가)에서 x+0, x+2일 때,
h'(x)=0에서 x=-2
x(x-2)
함수 h(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g(x)= (| f(x)|-a)
|x(x-2)|
x y -2 y x<0 또는 x>2일 때 x(x-2)>0,
h '(x) + 0 - 0<x<2일 때 x(x-2)<0이므로

g(x)=à
h(x) ↗ 20 ↘ | f(x)|-a`(x<0 또는 x>2)
a-| f(x)|`(0<x<2)
함수 h(x)는 x=-2에서 최대이고 최댓값은 20이다.
[STEP 2] f '(0), f '(2)의 값을 구한다.
‌그러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É12x+k를 만
조건 (나)에 의해 함수 g(x)는 x=0, x=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k¾20
x=0, x=2에서 연속이다.
Û g(x)¾12x+k일 때
즉, lim g(x)= lim g(x)에서 | f(0)|-a=a-| f(0)|
x`Ú0- x`Ú0+
g(x)¾12x+k에서 g(x)-12x-k¾0
그러므로 | f(0)|=a
부등식 3xÛ`-12x+a-k¾0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해
즉, g(0)= lim g(x)=0
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3xÛ`-12x+a-k=0의 판별식을 D라 x`Ú0+

하면 같은 방법으로 | f(2)|=a이고 g(2)=0

그러므로 g(x)=à
D | f(x)|-a`(x<0 또는 x>2)
=(-6)Û`-3_(a-k)É0, kÉa-12
4 a-| f(x)|`(0ÉxÉ2)
그러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g(x)¾12x+k를 만 함수 g(x)가 x=0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kÉa-12 주의 g(x)-g(0) g(x)-g(0)
lim = lim
[STEP 2] a의 값을 구한다.
20, 21, 22 x`Ú0- x x`Ú0+ x

Ú, Û에 의해 20ÉkÉa-12이고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f(x)|-a a-|f(x)|


즉, lim = lim    yy ㉠
x`Ú0- x x`Ú0+ x
개수는 3이므로 22Éa-12<23
Ú f(0)=a인 경우
따라서 34Éa<35이므로 자연수 a의 값은 34이다.
f(x)는 x=0에서 연속이고 f(0)>0이므로 lim f(x)>0이
x`Ú0
 34

정답과 풀이 ● 45

책1.indb 45 2022-12-01 오후 7:16:05


다. 그러므로
|f(x)|-a f(x)-f(0)
07  정답률 6.4%
lim = lim = f '(0)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x`Ú0- x x`Ú0- x
a-|f(x)| f(0)-f(x) 구간별로 다르게 정의된 함수의 미분가능
lim = lim =- f '(0)
x`Ú0+ x x`Ú0+ x
g(x) (x<k)
㉠에 의하여 f '(0)=- f '(0)이므로 f '(0)=0 구간별로 다르게 정의된 함수 f(x)=à 가 경곗값인
h(x) (x¾k)
Û f(0)=-a인 경우 x=k에서 미분가능하면
f(x)는 x=0에서 연속이고 f(0)<0이므로 lim f(x)<0이 ① x=k에서 연속이므로 g(k)=h(k)
x`Ú0
f(k+h)-f(k)
다. 그러므로 ② f '(k)=lim 가 존재한다.
h`Ú0 h
|f(x)|-a - f(x)+f(0)
lim = lim =- f '(0) 풀이 전략 미분가능성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구한다.
x`Ú0- x x`Ú0- x
a-|f(x)| -f(0)+f(x) 문제 풀이
lim = lim = f '(0)
x`Ú0+ x x`Ú0+ x [STEP 1] 이차함수 f(x)의 식의 꼴을 구한다.
㉠에 의하여 - f '(0)= f '(0)이므로 f '(0)=0
이차함수  f(x)가 x=-1에서 극대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
Ú, Û에 의하여 f '(0)=0
프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다.
함수 g(x)가 x=2에서도 미분가능하므로 같은 방법으로 f '(2)=0
함정
f(-2)= f(0)=h(0)
이다. 삼차함수 f(x)는 x=0과 x=2에서 극값을 갖고 |f(0)|=a, 이때 h(0)=k라 하면  f(x)는
|f(2)|=a이므로 극값은 f(0)=Ña, f(2)=Ña 중에서 될 수 있어.
[STEP 3] f(x)를 구한다.
f(x)=ax(x+2)+k 실수
f '(0)= f '(2)=0이므로 삼차함수 f(x)는 x=0과 x=2에서 극 이차함수 f(x)가
=axÛ`+2ax+k`(a<0) 극댓값을 가지므로 a<0
값을 갖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x=0에서 극댓값 f(0)=a,
로 놓을 수 있다.
x=2에서 극솟값 f(2)=-a를 갖는다.
[STEP 2] 삼차함수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경우와 음수인 경우로 나누
f(x)=xÜ`+pxÛ`+qx+a`(p, q는 상수)라 하면 어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h(x)를 구한다.
f '(x)=3xÛ`+2px+q이고 f '(0)= f '(2)=0이므로
한편, g(x)가 삼차함수이므로 h(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
p=-3, q=0 f '(0)=q=0, f '(2)=12+4p=0에서 p=-3
분가능하기 위해서는 x=0에서의 곡선 y=g(x)의 접선의 기울기
즉, f(x)=xÜ`-3xÛ`+a
는 음수이어야 한다.
f(2)=2Ü`-3_2Û`+a=-a에서 a=2이므로
또, 방정식 h(x)=h(0)의 모든 실근의 합이 1이어야 하므로 다
f(x)=xÜ`-3xÛ`+2
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STEP 4] g(3a)의 값을 구한다.
Ú 삼차함수 g(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경우
따라서 Z ZH Y
g(3a)= g(6)=| f(6)|-2=|6Ü`-3_6Û`+2|-2=108
ZG Y
 108
ZL

  0  Y
수능이 보이는 강의 함정
h(x)=h(0)의 모든 실
근의 합이 1이고 두 근은
f(0)= f(2)=a 또는 f(0)= f(2)=-a인 경우에 삼차함수 f(x) x=-2, x=0이므로 나
는 극댓값과 극솟값이 서로 같을 수 없으므로 모순이야. g(x)=px(x-3)(x-q)+k 머지 한 근은 x=3이야.

f(0)=-a, f(2)=a인 경우에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 =p{xÜ`-(q+3)xÛ`+3qx}+k (p>0)


가 1이므로 모순이야. 한편 삼차함수 g(x)의 이차항의 계수가 0이므로
q=-3
g(x)=p(xÜ`-9x)+k
이때 g '(x)=p(3xÛ`-9)이므로 g '(x)=0에서
x=-'3 또는 x='3 p>0이므로 함수 g(x)는 x=-'3 에서 극대,
x='3 에서 극소
그러므로 함수 h(x)는 x='3에서 극소이다.
이때 x=0에서의 곡선 y= f(x)의 접선의 기울기와 x=0에
서의 곡선 y=g(x)의 접선의 기울기가 서로 같아야 하므로

4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46 2022-12-01 오후 7:16:05


f '(x)=2ax+2a, g '(x)=p(3xÛ`-9)에서 그러므로 a-9의 부호에 따라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을
2a=-9p yy ㉠ 그리면 그림과 같다.
또,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h(x)의 최댓값은  f(-1), [STEP 2] a-9의 부호에 따라 y=g(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서 조건을
최솟값은 g('3)이므로 ㉠을 이용하면 만족시키는 t의 값을 구한다.
 f(-1)-g('3)=(-a+k)-(-6'3p+k) Ú a-9>0, 즉 a>9일 때
=-a+6'3p y
t y=t
=;2(;p+6'3p a y=a

9+12'3 ax-9 y=f(x)



= p=3+4'3 y=
2 x-1 9
그러므로

미분

p=;3@;, a=-;2(;p=-3 3

따라서  f '(x)=-6x-6, g'(x)=2xÛ`-6이므로 x


O 2
h'(-3)+h'(4)= f '(-3)+g '(4)
=-6_(-3)-6+2_4Û`-6=38
x=1
Û 삼차함수 g(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인 경우
Z a-9
직선 y=t가 t>a일 때는 곡선 y= +a와 만나지 않는다.
x-1
ZG Y 또, 실수 t의 값이 충분히 크면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ZH Y
ZL
직선 y=t와 한 점에서 만난다.
  0 = > Y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실수 Û a-9=0, 즉 a=9일 때
방정식 h(x)=h(0)의
g(x)=px(x-a)(x-b)+k`(a+b=3) 모든 실근의 합이 1이기 a-9 a=9를 대입하면
y= +a=9 9-9
때문이야. x-1 y= +9=9
로 놓으면 x-1
이 경우에도 직선 y=t가 t>9이고 충분히 크면 직선 y=t와
g(x)=p{xÜ`-(a+b)xÛ`+abx}+k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한 점에서만 만난다.
=p(xÜ`-3xÛ`+abx)+k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이므로 이차항의 계수가 0이 아니다.
Ü a-9<0, 즉 a<9일 때
따라서 Ú, Û에서 구하는 값은 38이다.
a-9
 38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유리함수 y= +a의 그래프의 점
x-1
근선은 y=3이어야 한다. 즉,
a=3

08  정답률 5.9%
또,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두 직선 y=3, y=-1에
접하고 f(1)É-1이어야 한다.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y
ax-9 y=f(x)
방정식 f(x)=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곡선 y=f(x)와 직선 y=
x-1
y=k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9

풀이 전략 실근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차함수를 구한다.


문제 풀이
3 y=3
[STEP 1] x<1일 때 함수 g(x)의 식을 구한다.
x<1일 때, 함수 g(x)는 O 2 x
a(x-1)+a-9
a-9 -1 y=-1
ax-9 a-9 y=
x-1
+a의 그래프는
y= = = +a
x-1 x-1 x-1 점근선이 x=1, y=a인 유
리함수의 그래프이다.
a-9 x=1
이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
x
[STEP 3] 삼차함수 f(x)를 구한다.
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시킨 것이다.

정답과 풀이 ● 47

책1.indb 47 2022-12-01 오후 7:16:06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문제 풀이

f(x)=(x-2)Û`(x-k)+3(k>2)로 놓으면 [STEP 1] 조건 (가)를 이용하여 f '( g(x))를 구한다.


f '(x)=2(x-2)(x-k)+(x-2)Û`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f(0)=-3이므로
=(x-2)(3x-2k-2) f(x)=xÜ`+axÛ`+bx-3 (a, b는 상수)
라 하면
}
2k+2
=3(x-2){x- 주의
3 함수 y=g(x)의 그래프와 f '(x)=3xÛ`+2ax+b
직선 y=-1이 서로 다른
2k+2
f '(x)=0에서 x=2 또는 x= 두 점에서 만나려면 극솟값 조건 (가)에서
3 이 -1이어야 해.
f(x)= f(1)+(x-1) f '( g(x))
2k+2
이때 함수 f(x)는 x= 에서 극솟값 -1을 가져야 하므로
3 이므로 x+1일 때,

-2}2`{
f(x)-f(1)
f{ }={
2k+2 2k+2 2k+2 f '( g(x))=    yy ㉠
-k}+3
3 3 3 x-1
[STEP 2] 평균변화율의 의미를 이용하여 함수 f(x)의 이차항의 계수를 구
=-;2¢7;(k-2)Ü`+3
한다.
에서
이때 두 점 (1, f(1)), (x, f(x))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2¢7;(k-2)Ü`+3=-1이므로 f '( g(x))이고
(k-2)Ü`=27, k=5 조건 (나)에서 g(x)¾;2%; 이므로 두 점 (1, f(1)), {;2%;, f {;2%;}}를
즉,  f(x)=(x-2)Û`(x-5)+3
[STEP 4] (g½g)(-1)의 값을 구한다. 지나는 직선은 점 {;2%;, f {;2%;}}에서 접하는 직선이다.

따라서 g(x)=à
3x-9 그러므로 직선
(x<1)
x-1
(x-2)Û`(x-5)+3 (x¾1)
이므로 y- f {;2%;}= f '{;2%;}{x-;2%;}
(g½g)(-1)=g (g(-1))=g(6)=19 는 점 (1, f(1))을 지난다,
(6-2)Û`_(6-5)+3=4Û`+3
3_(-1)-9 = -12 =6  19 즉,

1+a+b-3-[{;2%;}3`+a{;2%;}2`+b{;2%;}-3]
-1-1 -2

수능이 보이는 강의
=[3_{;2%;}2`+5a+b]{1-;2%;}
y-f {;2%;}=f '{;2%;}{x-;2%;}에
a-9의 부호, 즉 a>9, a=9, a<9인 경우에 따라 함수 g(x)가 주 x=1, y=f(1)을 대입한다.
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야 돼.
이 식을 정리하면

+5a+b}{-;2#;}
117 21 75
- - a-;2#; b={
8 4 4
108
;4(; a=-
8
a=-6

09  정답률 5.5%
[STEP 3] 함수의 연속과 최솟값을 이용하여 f(4)의 값을 구한다.
f(x)=xÜ`-6xÛ`+bx-3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f '(x)=3xÛ`-12x+b
평균변화율 한편, ㉠에서
⑴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 f(x)-f(1)
Dy f(b)-f(a) lim f '( g(x))=lim
   = x`Ú1 x`Ú1 x-1
Dx b-a
이때 g(x)는 연속함수이므로 g(1)=k라 하면 좌변은
를 x의 값이 a에서 b까지 변할 때의 y=f(x)의 평균변화율이라
한다. lim f '( g(x))‌=lim [3{ g(x)}Û`-12 g(x)+b]
x`Ú1 x`Ú1

⑵ ‌함수 y=f(x)의 평균변화율은 곡선 y=f(x) 위의 두 점


=3kÛ`-12k+b yy ㉡
P(a, f(a)), Q(b, f(b))를 지나는 직선 PQ의 기울기이다.
또, 우변은 lim[3{ g(x)}Û`-12 g(x)+b]=3{ g(1)}Û`-12 g(1)+b
x Ú1

풀이 전략 평균변화율과 접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함수 f(x)를 구 f(x)-f(1)


lim ‌ f '(1)
=
x`Ú1 x-1
한다. f '(x)=3xÛ`-12x+b에 x=1을 대입

4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48 2022-12-01 오후 7:16:06


=3-12+b 이고 f '(k)- f '{;2%;}=3{k-;2#;}{k-;2%;}
=b-9   yy ㉢
㉡과 ㉢으로부터 에서 3{k-;2#;}{k-;2%;}=;4(;, kÛ`-4k+3=0
3kÛ`-12k+b=b-9
k=3
3kÛ`-12k+9=0 따라서 f '(1)= f '(3)=a라 하면
kÛ`-4k+3=0
f '(x)‌=3(x-1)(x-3)+a
(k-1)(k-3)=0
=3xÛ`-12x+9+a
k=1 또는 k=3 양변을 x에 대하여 부정적분하면 Ⅱ
즉, g(1)=1 또는 g(1)=3
f(x)=xÜ`-6xÛ`+(9+a)x+C (단, C는 적분상수)
이때 g(1)=1은 함수 g(x)가 최솟값 ;2%; 를 갖는다는 것에 모순 조건 (다)에서 f(0)=-3, f(3)=6이므로 C=-3, a=3

미분
이다. 따라서 f(x)=xÜ`-6xÛ`+12x-3이므로

그러므로 g(1)=3 f(4)=4Ü`-6_4Û`+12_4-3=13

한편, 조건 (다)에서 f( g(1))=6이므로 f(3)=6


27-54+3b-3=6
3b=36
b=12
10  정답률 4%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따라서 f(x)=xÜ`-6xÛ`+12x-3이므로
f(4)=4Ü`-6_4Û`+12_4-3=13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f(x)에 대하여 f '(x)=0의 근
의 개수에 따라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이 3가지 경우
 13
가 있다.
다른 풀이
y y=f(x) y y=f(x) y y=f(x)
두 점 (1, f(1)), {;2%;, f {;2%;}}를 지나는 직선
a c b a
y- f {;2%;}= f '{;2%;}{x-;2%;} O b x a O x O x

는 점 {;2%;, f {;2%;}}에서 접하는 직선이다.


서로 다른 세 실근 a, b, c 서로 다른 두 실근 a (중근), b 오직 하나의 실근 a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풀이 전략 다항함수의 도함수를 활용하여 함수에 대한 문제를 해결

f(x)-[ f '{;2%;}{x-;2%;}+ f {;2%;}]=(x-1){x-;2%;}2` yy ㉠


한다.
문제 풀이

조건 (가)에서 [STEP 1] 사차함수 f(x)가 극솟값을 갖는 x의 값이 2개임을 파악한다.


f(x)-f(1) 사차함수  f(x)가 x=a에서만 극솟값을 갖는다고 하면 
lim =lim f '( g(x))
x`Ú1 x-1 x`Ú1
함수 g(t)는

g(t)=à
이고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t)- f(a)`(t<a)
f '(1)= f '(g(1))
f(a)- f(t)`(t¾a)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 f '{;2%;}={x-;2%;}2`+2(x-1){x-;2%;}
구간 (-¦, a)에서 함수  f(t)가 감소하므로 함수 g(t)도 감소하
고, 구간 [ a,¦)에서 함수  f(t)가 증가하므로 함수 g(t)는 감소
f(a)- f(t)이므로 f(t)가 증가하면 g(t)는 감소한다.
한다.
=3{x-;2#;}{x-;2%;}   yy ㉡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함수 g(t)가 감소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

이고 g(1)=k {k¾;2%;}라 하면 는 양수 k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함수  f(x)는 극댓값을 가져야 한다.
f '(1)= f '(k)
[STEP 2] 두 개의 극솟값의 대소 관계를 나누어 양수 k가 존재하는 경우를
이므로 ㉡에서
구한다.
f '(1)- f '{;2%;}=3_{-;2!;}_{-;2#;}=;4(; 함수  f(x)가 x=a, x=b`(a<b)에서 극솟값을 가지고,
f(a)=a,  f(b)=b라 하자.

정답과 풀이 ● 49

책1.indb 49 2022-12-01 오후 7:16:06


Ú  f(a)= f(b)인 경우 f(x)- f(0)=xÛ`(x-2)(x-p)`(p는 상수)라 하면
y=f(x) f '(x)=2x(x-2)(x-p)+xÛ`(2x-p-2)이므로
f '(4)=0에서 16(4-p)+16(6-p)=0
10-2p=0, p=5
그러므로
f(x)=xÛ`(x-2)(x-5)+ f(0)
a b k‌= f(a)- f(b)= f(0)- f(4)

à
함수  f(x)의 최솟값은 a이므로 = f(0)-{-32+ f(0)}=32
f(t)-a (t<a) g(-1)= f(-1)- f(4)
g(t)= 0 (aÉtÉb) ={18+ f(0)}-{-32+ f(0)}=50
a- f(t) (t>b) 따라서 k+g(-1)=8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수 k가 존재하지 않는다.  82
Û  f(a)< f(b)인 경우
y=f(x) 수능이 보이는 강의
사차함수 f(x)가 극솟값을 갖는 x의 값이 2개 존재하면 극댓값을
갖는다는 것은 함수의 그래프를 생각하면 쉽게 알 수 있어.

a c b

a<x<b일 때,  f(x)= f(b)의 해를 c라 하면


( f(t)-a (t<a)
M a- f(t) (aÉt<c)
11  정답률 3.8%

g(t)= { 주의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M a-b (cÉtÉb) 조건 0ÉtÉ2를 만족시키는
⑴ ‌방정식 f(x)=g(x)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f(x)의 그래프와
9 a- f(t) (t>b)
꼴은 a-b인 경우뿐이야.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 또는 y=f(x)-g(x)의 그래프
a-b<0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수 k가 존재하지 않는다. 와 x축 (y=0)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Ü  f(a)> f(b)인 경우 ⑵ ‌방정식 f(x)=g(x)의 실근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풀이 전략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를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차


함수의 그래프를 찾고 식을 구한다.
문제 풀이

[STEP 1]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경우를 파악한다.


a c b
조건 (가)에서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라 하면
a<x<b일 때,  f(x)= f(a)의 해를 c라 하면
f(x)=k(x-a)Û`(x-b)`(k는 상수)
( f(t)-b (t<a)
로 놓을 수 있다. 주의
M a-b (aÉtÉc) 삼차함수 f(x)에 대하여 f(x)=0이 서로
g(t)= { 조건 (나)에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한 근은 중근이야.

M f(t)-b (c<t<b)
x- f(x)=a 또는 x- f(x)=b
9 b- f(t) (t¾b)
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x의 값의 개수가 3이어야 한다.
a-b>0이므로 k=a-b, a=0, c=2이면 k는 주어진 조건
즉,  f(x)=x-a 또는  f(x)=x-b에서 곡선 y= f(x)와 두 직
을 만족시킨다.
선 y=x-a, y=x-b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가 3이어야
[STEP 3] k+g(-1)의 값을 구한다.
한다.
Ú, Û, Ü에서 f '(a)=0, f(a)= f(c) [STEP 2] 곡선 y=f(x) 위의 점 (1,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f '(0)=0,  f(0)= f(2)
한편 곡선 y= f(x) 위의 점 (1,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1이므
이다. 또 g(4)=0이므로 b=4이고  f '(4)=0이다.
로 점 (1,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x+3

5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50 2022-12-01 오후 7:16:07


[STEP 3] 함수 f(x)의 식을 구한다.
그런데 f(0)>0,  f '(0)>1이므로 곡선 y= f(x)와 직선 y=x+3
12  정답률 4.0%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은 그림과 같다.
함정
y 접선의 방정식
삼차함수 y=f(x)의 y=f(x) y=x+3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할 때, 곡선 y=f(x) 위의 점
그래프 중 f(0)>0,
f'(0)>1을 만족시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키는 그래프를 생각해.
 y-f(a)=f '(a)(x-a)

풀이 전략 곡선 위의 접선 조건을 이용하여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Ⅱ


-3 O 1 x 그려 본다.
주의
문제 풀이 포물선 y=g(x)의 꼭짓점의
곡선 y=f(x)와 직선

미분
좌표가 (2, 0)이라는 말이야.
f(x)-(x+3)=k(x+3)(x-1)Û`이므로 y=x+3은 x=-3인
[STEP 1] 함수 g(x)의 식을 구한다.
점에서 만나고 x=1인
f(x)=k(x+3)(x-1)Û`+x+3 점에서 접한다. 조건 (가)에서 곡선 y=g(x) 위의 점 (2, 0)에서의 접선이 x축이
f '(x)=k(x-1)Û`+k(x+3)_2(x-1)+1 고 함수 g(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므로 g(x)
이때  f '(-3)=0이므로 의 식은 다음과 같다.
f '(-3)=16k+1=0 g(x)=-(x-2)Û`

k=-;1Á6; [STEP 2]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본다.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x<0인 범위에서
따라서  f(x)=-;1Á6;(x+3)(x-1)Û`+x+3
두 곡선 y=f(x), y=g(x)는 반드시 한 점에서 만난다.
[STEP 4] p+q의 값을 구한다. 조건 (다)에서 방정식 f(x)=g(x)는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

f(0)=-;1£6;+3=;1$6%;이므로 로 두 곡선 y=f(x), y=g(x)는 x<0에서 만나는 점을 제외하고


는 만나지 않아야 한다.
p=16, q=45
또, 조건 (가)에서 곡선 y=f(x) 위의 점 (0, 0)에서의 접선이 x
따라서 p+q=16+45=61
축이므로 곡선 y=f(x)는 x축과 접해야 한다.
 61
따라서 삼차함수 y=f(x)가 극값을 갖는 경우와 극값을 갖지 않
는 경우로 나눈 후,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점
수능이 보이는 강의
(2, 0)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개수를 조사하면 다음과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2이므로 y=f(x)로 가 같다.
능한 그래프는 다음의 4가지 경우야.
Ú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는 경우
㉠ ㉡
삼차함수 y=f(x)가 x=0에서 극솟값을 가질 때, 점 (2, 0)
a b
b a x 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개수는 그림과 같이 x축을
포함하여 3개이다.
㉢ ㉣
y ① 접선의 개수 3개

b a x a b

이때 곡선 y=f(x)와 두 직선 y=x-a, y=x-b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가 3이어야 해. 이를 만족시키는 것은 다음의 2가지 ②

경우야. 2 ③
㉢ ㉣ O x

a x y=f(x)
b
a b x y=g(x)

따라서 f(1)=4, f(0)>0, f '(0)>1, f '(-3)=0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뿐이야. 한편 함수  f(x)가 x=0에서 극댓값을 가질 때 다음과 같이 세
‌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 ‌ f(2)>0이면 점 (2, 0)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개수는 그림과 같이 x축을 포함하여 3개이다.

정답과 풀이 ● 51

책1.indb 51 2022-12-01 오후 7:16:07


① 접선의 개수 3개
y [STEP 3] 주어진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직선의 기울기 k의 최댓값 a, 최솟값
b를 구한다.

O 2
② 한편 x>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③
g(x)Ékx-2Éf(x)
y=g(x) 이므로 곡선 y=g(x)는 직선 y=kx-2와 만나거나 아래쪽에 있
y=f(x)
어야 하고 곡선 y=f(x)는 직선 y=kx-2와 만나거나 위쪽에 있
어야 한다.
㉡ ‌ f(2)=0이면 점 (2, 0)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한편 직선 y=kx-2는 점 (0, -2)를 지나는 직선이고 k는 이 직

개수는 그림과 같이 x축을 포함하여 2개이다. 
선의 기울기이므로 k가 최소가 되는 직선과 최대가 되는 직선은
하지만 이때는 두 곡선 y=f(x), y=g(x)는 서로 다른 세
그림과 같이 접선이다.
점에서 만난다.
y
y ① 접선의 개수 2개 y=kx-2
y=f(x)
접선 l

O 2 ② 접선 m
x y=f(x) 2
O x
y=g(x) -2
y=g(x)
-4

㉢ ‌ f(2)<0이면 점 (2, 0)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은



x축뿐이다. 즉, 접선의 개수는 그림과 같이 1개이다. 점 (0, -2)를 지나고 곡선 y=f(x)와의 접점의 좌표를 (p, pÜ`)
y 이라 하면  f '(x)=3xÛ`이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y=3pÛ`_(x-p)+pÜ`
O 2 ① 접선의 개수 1개
x 이다. 이 접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대입하면
y=f(x)
y=g(x) -2=3pÛ`_(-p)+pÜ`
p=1
그러므로 a=3 a=f '(1)=3_1Û`=3

또, 점 (0, -2)를 지나고 곡선 y=g(x)의 접점의 좌표를


Û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는 경우 (q, -(q-2)Û`)이라 하면  g '(x)=-2(x-2)이므로 접선 m의 방
‌삼차함수  f(x)=xÜ`이고 점 (2, 0)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정식은
접선의 개수는 그림과 같이 x축을 포함하여 2개이다. y=-2(q-2)(x-q)-(q-2)Û`
y ① 접선의 개수 2개 이 접선이 점 (0, -2)를 지나므로 대입하면
-2=-2(q-2)(-q)-(q-2)Û`
-2=2qÛ`-4q-qÛ`+4q-4
qÛ`=2
q>0이므로
q='2
2 ②
O x 그러므로
b=-2('2-2)=4-2'2 b=g '('2)
y=f(x) y=g(x)
[STEP 4] a-b=a+b'2 임을 이용하여 a, b의 값을 구한다.
-4 a-b‌=3-(4-2'2)=-1+2'2
따라서 a=-1, b=2이므로
Ú, Û에서 aÛ`+bÛ`=(-1)Û`+2Û`=5
f(x)=xÜ` 5

5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52 2022-12-01 오후 7:16:08


13  정답률 3.8%
㉠, ㉡에서 6(k+1)=6(2-k)이므로
6k+6=12-6k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12k=6
곡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k=;2!;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 y y=f(x)

능할 때, 곡선 y=f(x) 위의 점
[STEP 3] k=;2!;을 이용하여 f(x)의 식을 구하고 f(4k)의 값을 구한다.
P(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 f(a) P(a, f(a))
기는 함수 f(x)의 x=a에서의
O a x ㉠에 k=;2!; 을 대입하면
미분계수 f '(a)와 같다.
y-f(a)=f`'(a)(x-a) Ⅱ
따라서 곡선 y=f(x) 위의 점 ;2!; m+n=9   yy ㉢
P(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
주어진 조건에서  f(2k)=20이므로

미분
식은
y-f(a)=f '(a)(x-a) f(2k)=f(1)=m+n=20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풀이 전략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곡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
m=22, n=-2
의 기울기가 같음을 이용한다.
따라서  f(x)=x(x+1)(x-1)(x-2)+22x-2이므로
문제 풀이
f(4k)=f(2)=22_2-2=42
[STEP 1] 등차수열의 성질과 접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사차함수 f(x)의
  42
식을 세운다.
네 수 -1, 0, 1, 2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고, f(-1),
f(0), f(1), f(2)도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좌표평면에
서 네 점 (-1,  f(-1)), (0,  f(0)), (1,  f(1)), (2,  f(2))는
한 직선 위에 있다. 주의
14  정답률 3.7%

곡선 y=f(x)와 직선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이 직선의 방정식을 y=mx+n의 교점의 x
좌표가 -1, 0, 1, 2이므로 미분법의 공식
y=mx+n`(m, n은 상수)
f(x)-(mx+n)=0
두 함수 f(x), g(x)의 도함수가 존재할 때
라 하자. 의 근이 -1, 0, 1, 2야.
① y=xÇ` (n은 자연수) ⇨ y '=nxn-1
함수  f(x)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므로 ② y=c (c는 상수) ⇨ y '=0
f(x)-(mx+n)=x(x+1)(x-1)(x-2) ③ y=c f(x) (c는 상수) ⇨ y '=c f '(x)
④ y=f(x)+g(x) ⇨ y '=f '(x)+g '(x)
즉,  f(x)=x(x+1)(x-1)(x-2)+mx+n으로 놓을 수 있다.
⑤ y=f(x)-g(x) ⇨ y '=f '(x)-g '(x)
[STEP 2] 접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수 k의 값을 구한다.
f(x)=x(x+1)(x-1)(x-2)+mx+n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풀이 전략 주어진 조건과 미분법의 공식을 이용하여 함숫값을 구한다.
f '(x)=(x+1)(x-1)(x-2)+x(x-1)(x-2) 문제 풀이

+x(x+1)(x-2)+x(x+1)(x-1)+m [STEP 1] 조건 (가)를 이용하여 f(x)-g(x)의 식을 세운다.

이므로  f '(-1)=-6+m,  f '(2)=6+m 조건 (가)에 의하여  f(a)-g(a)=0,  f '(a)-g '(a)=0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이 점 (k, 0)을 방정식  f(x)-g(x)=0은 x=a를 중근으로 갖는다.
지나므로 이때 또 다른 한 근을 c라 하면 다항함수 h(x)에 대하여 h(a)=h'(a)=0이면
h(x)=(x-a)Û`Q(x) 꼴로 나타낼 수 있다.

0-f(-1) f(x)-g(x)=(x-a)Û`(x-c) yy ㉠
f '(-1)= 에서
k-(-1)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두 점 (-1, f(-1)), (k, 0)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m-n f '(x)-g '(x)=2(x-a)(x-c)+(x-a)Û`
-6+m= f(-1)=-m+n
k+1 y‌={ f(x)}Û`
조건 (나)에 의하여  f '(b)-g '(b)=0이므로 =f(x) f(x)
mk+n=6(k+1)   yy ㉠ 이므로
f '(b)-g '(b)=2(b-a)(b-c)+(b-a)Û`=0 y'‌=f '(x) f(x)
곡선 y=f(x) 위의 점 (2,  f(2))에서의 접선이 점 (k, 0)을 지나 +f(x) f '(x)
(b-a){2(b-c)+b-a}=0 =2 f(x) f '(x)
0-f(2)
므로  f '(2)= 에서 (b-a)(3b-a-2c)=0
k-2
-2m-n
두 점 (2, f(2)), (k, 0)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이때 a+b이므로 3b-a-2c=0에서
6+m= f(2)=2m+n
k-2 3b-a
c=
mk+n=6(2-k)  yy ㉡ 2

정답과 풀이 ● 53

책1.indb 53 2022-12-01 오후 7:16:08


이것을 ㉠에 대입하면 h(0)=| f(0)-g(0)|=0에서
f(0)=g(0)
f(x)-g(x)=(x-a)Û` {x- }
3b-a
yy ㉡
2
또한, x<1일 때,
[STEP 2] 이차함수 g(x)의 식을 세워 a와 b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함수 h(x)=| f(x)-g(x)|가 미분가능하고  f(0)=g(0)이므로
또한,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의 대칭축의 방정식은
x=0에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는 접해야 한다.
g '(a)=-16, g '(b)=16에서 주의
즉,  f '(0)=g '(0)
실수 접하지 않으면 x=0에서 함수 h(x)는 미분불가능하게 돼.
a+b
x= g '(a)=-g '(b)이므로 대칭축의 방정식은
[STEP 2] x=1에서 함수 h(x)가 연속임을 이용하여 두 함수 f(x)와
2 a+b
x=
2
이므로 g(x)를 각각 구한다.

a+b Û` 또한, x=1에서 함수 h(x)는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g(x)=2{x- } +k (k는 상수)
2 즉, lim h(x)= lim h(x)에서
주어진 조건에서 g(x)는 x`Ú1- x`Ú1+
로 놓을 수 있다.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함수이다.
lim | f(x)-g(x)|= lim { f(x)+g(x)} yy ㉠
a+b x`Ú1- x`Ú1+
g '(x)=4{x- }이므로
2 Ú ‌1보다 작은 근방 x에서  f(x)>g(x)일 때, 함수 h(x)가 x=1
a+b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g '(a)=4{a- }
2
h(1+Dx)-h(1) h(1+Dx)-h(1)
lim = lim
a-b Dx`Ú0- Dx Dx`Ú0+ Dx
=4_
2
 f '(1)-g '(1)= f '(1)+g '(1)
=2(a-b)=-16
g '(1)=0 g(x)=px+q (p는 0이 아닌 상수)에서
g '(x)=p이므로 g '(1)+0
에서 a-b=-8
그런데 g(x)는 일차함수이므로 모순이다.
[STEP 3] g(b+1)- f(b+1)의 값을 구한다.
Û ‌1보다 작은 근방 x에서  f(x)<g(x)일 때, 함수 h(x)가 x=1
㉡에 x 대신 b+1을 대입하면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b+1)-g(b+1)=(b+1-a)Û` {b+1- }
3b-a
h(1+Dx)-h(1) h(1+Dx)-h(1)
2 lim = lim
Dx`Ú0- Dx Dx`Ú0+ Dx
a-b+2
=(a-b-1)Û` { } -f '(1)+g '(1)= f '(1)+g '(1)
2
a-b=-8을 대입한다.  f '(1)=0
-8+2
=(-8-1)Û`_
2 또한, ㉠에서 -f(1)+g(1)= f(1)+g(1)이므로
=81_(-3)=-243 f(1)=0
따라서 g(b+1)-f(b+1)=243 따라서 f(1)=0, f '(1)=0이므로
f(x)는 (x-1)Û`을 인수로 갖는다.
 243 f(x)=(x-1)Û`(x+a), g(x)=px+q
(a, q는 상수, p는 0이 아닌 상수)
로 놓을 수 있으므로
f '(x)=2(x-1)(x+a)+(x-1)Û`

15
g '(x)=p
 정답률 3.5%
이때  f(0)=g(0),  f '(0)=g '(0)에서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a=q, -2a+1=p yy ㉡
미분가능 조건 h(2)‌= f(2)+g(2)
g(x) (x¾a) =(2+a)+2p+q
함수 `f(x)=à 가 x=a에서 미분가능한 조건
h(x)(x<a)
=2+a+2p+q=5
Ú x=a에서 연속이다. ⇨ lim h(x)= lim g(x)=g(a)
x`Úa- x`Úa+ a+2p+q=3 yy ㉢
Û g '(a)=h'(a)
㉡, ㉢을 연립하여 풀면

풀이 전략 함수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조건을 이용한다. a=-;2!;, p=2, q=-;2!;


문제 풀이
[STEP 3] h(4)의 값을 구한다.
[STEP 1] h(0)=0과 x=0에서 함수 h(x)가 미분가능함을 이용하여 
따라서  f(x)=(x-1)Û` {x-;2!;}, g(x)=2x-;2!;이므로
f(0)=g(0)과 f '(0)=g '(0)임을 구한다.

5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54 2022-12-01 오후 7:16:08


h(4)‌= f(4)+g(4) f(1)=2에서

=3Û`_;2&;+8-;2!; 2-1=k(a-1)(b-1)

=39 ab-(a+b)=;k!;-1 yy ㉠
 39 f(2)=1에서
1-2=2k(a-2)(b-2)
1
ab-2(a+b)=- -4 yy ㉡
16  정답률 3.2%
한편
2k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f(x)=k{xÜ`-(a+b)xÛ`+abx}+x
함수의 증가, 감소 이므로

미분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할 때, 그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f '(x)=k{3xÛ`-2(a+b)x+ab}+1
⑴ f '(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  f '(0)-f '(1)=6에서
⑵ f '(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abk+1-[k{3-2(a+b)+ab}+1]=6
f '(0) f '(1)
풀이 전략 실근 조건을 만족시키는 삼차함수를 구한다. -3k+2k(a+b)=6
문제 풀이
a+b=;k#;+;2#; yy ㉢
[STEP 1]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본다.
㉢을 ㉠, ㉡에 각각 대입하면
x=a가 방정식 ( f½f)(x)=x, 즉  f( f(x))=x의 한 실근이므
11
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 중의 하나이다. ab=;k$;+;2!;이고 ab= -1이므로
2k
Ú  f(a)=a일 때 11
;k$;+;2!;= -1에서
2k
a는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이다.
3
Û  f(a)=b이고  f(b)=a일 때 (단, a+b) =;2#;
2k
두 점 (a, b), (b, a)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이 두 따라서 k=1이므로
점을 모두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a+b=;2(;, ab=;2(;
a-b
=-1
b-a 이때  f(x)‌=kx(x-a)(x-b)+x에 k=1을 대입하면
이다. f(x)=xÜ`-(a+b)xÛ`+(ab+1)x
Ú 또는 Û와 주어진 조건 a+b=;2(;, ab=;2(;를 대입한다.
이므로
f '(1)<0,  f '(2)<0 및 0<1<a<2<b를 모두 만족시키는 a의
f(x)=xÜ`-;2(; xÛ`+:Á2Á: x
개수가 5가 되도록 하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삼차함수
따라서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은 경우뿐이다.
y f(5)=5Ü`-;2(;_5Û`+:Á2Á:_5=40
y=x
 40
y=f(x)
2 다른 풀이

위의 풀이의 그림에서 삼차함수의 그래프의 특성으로부터


1
점 (a, a)가 두 점 (1, 2), (2, 1)의 중점임을 알면 다음과 같이

O 1 a 2 b x 간단히 계산할 수도 있다.


점 (a, a)가 두 점 (1, 2), (2, 1)의 중점이므로
mÁ+mª nÁ+nª
1+2 두 점 (mÁ, nÁ), (mª, nª)의 중점의 좌표는 { }
a= =;2#; 2
,
2
[STEP 2] 삼차방정식 f(x)-x=0의 식을 이용하여 f(x)를 구한다. 2
따라서 삼차방정식  f(x)=x를 만족시키는 실수는 0, a, b의 3개 이고, 두 점 (1, 2), (2, 1)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2
이고,  f(1)=2,  f(2)=1이어야 한다. y=-x+3 y-2=
2-1
(x-1), y=-(x-1)+2

즉, 삼차방정식  f(x)-x=0의 해는 0, a, b이므로 따라서 곡선 y=f(x)와 직선 y=-x+3이 만나는 세 점의 x좌


f(x)-x=kx(x-a)(x-b) (k는 양의 상수) 표는
로 놓을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x=0, x=a, x=b이다.

정답과 풀이 ● 55

책1.indb 55 2022-12-01 오후 7:16:08


1, ;2#;, 2 { g(x)}Û`-4xÛ`-2 g(x)+4x=0 주의
g(x)=2x라는 것은 두
{ g(x)-2x}{ g(x)+2x}-2{ g(x)-2x}=0 함수 y=g(x), y=2x의
이므로 삼차방정식  f(x)-(-x+3)=0의 세 실근은
{ g(x)-2x}{ g(x)+2x-2}=0 그래프가 만나는 점이 있는

1, ;2#;, 2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지 함
따라서 g(x)-2x=0 또는 g(x)+2x-2=0 수 y=f(x)의 역함수가
y=2x라는 의미는 아니야.
이다. 따라서 [STEP 2] g(x)=2x일 때 k의 값을 구한다.
Ú ‌g(x)-2x=0일 때, 즉 g(x)=2x이면  f(2x)=x이므로
f(x)+x-3=k(x-1){x-;2#;}(x-2) (k는 양의 상수)
f ÑÚ`=g이면
8xÜ`-12xÛ`+12x+k=x f( g(x))=x
로 놓을 수 있다. k=-8xÜ`+12xÛ`-11x yy ㉠
f(x)=k(x-1){x-;2#;}(x-2)-x+3이므로 따라서 hÁ(x)=-8xÜ`+12xÛ`-11x라 하면
hÁ'(x)=-24xÛ`+24x-11<0
f '(x)=k[{x-;2#;}(x-2)+(x-1)(x-2) 이므로 닫힌 구간 [0, 1]에서
hÁ'(x)<0이므로 y=hÁ(x)는 닫힌구간
-7ÉhÁ(x)É0 [0, 1]에서 감소한다. 즉, hÁ(0)이 최댓값,
 +(x-1){x-;2#;}]-1 hÁ(1)이 최솟값이 된다.
즉, 방정식 ㉠이 닫힌 구간 [0, 1]에서 실근이 존재하기 위해서
따라서 는 -7ÉkÉ0 방정식 h(x)=k가 실근을 가지면
곡선 y=h(x)와 직선 y=k가 만난다.

f '(0)=k{3+2+;2#;}-1=:Á2£: k-1 [STEP 3] g(x)=-2x+2일 때 k의 값을 구한다.


Û ‌g(x)+2x-2=0일 때, 즉 g(x)=-2x+2이면
f '(1)=;2!; k-1 f(-2x+2)=x이므로
(-2x+2)Ü`-3(-2x+2)Û`+6(-2x+2)+k=x
이므로  f '(0)-f '(1)=6에서
-8xÜ`+12xÛ`-13x+8+k=0
{:Á2£: k-1}-{;2!; k-1}=6k=6 k=8xÜ`-12xÛ`+13x-8 yy ㉡
따라서 hª(x)=8xÜ`-12xÛ`+13x-8이라 하면
따라서 k=1이므로
hª'(x)=24xÛ`-24x+13>0이므로 닫힌 구간 [0, 1]에서
f(x)=(x-1){x-;2#;}(x-2)-x+3
-8Éhª(x)É1 hª'(x)>0이므로 y=hª(x)는 닫힌 구간 [0, 1]에서
증가한다. 즉, hª(0)이 최솟값, hª(1)이 최댓값이 된다.
즉, 방정식 ㉡이 닫힌 구간 [0, 1]에서 실근이 존재하기 위해서
그러므로  f(5)=4_;2&;_3-5+3=40
는 -8ÉkÉ1
[STEP 4] k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다.
Ú, Û에 의하여 -8ÉkÉ1이므로 m=-8, M=1
따라서 mÛ`+MÛ`=(-8)Û`+1Û`=65
17  정답률 3.1%  65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함수의 증가와 감소

18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할 때, 그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정답률 3.0%
⑴ f '(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⑵ f '(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풀이 전략 삼차함수의 그래프가 역함수를 가질 조건을 이용하여 주어 절댓값이 있는 함수의 미분가능성


함수 | f(x)|가 미분가능하려면
진 방정식이 실근을 가질 조건을 구한다.
f(x)=0을 만족시키는 x=a에서 f '(a)=0이어야 한다.
문제 풀이

[STEP 1] 방정식 4 f '(x)+12x-18=( f 'ç g)(x)에서 g(x)를 구한다. 풀이 전략 절댓값이 있는 함수의 미분가능성의 정의를 이용한다.
f(x)=xÜ`-3xÛ`+6x+k에서 문제 풀이

f '(x)=3xÛ`-6x+6이므로 [STEP 1] 조건 (가), (나)를 만족시키는 함수 f(x)의 식의 꼴을 구한다.


4(3xÛ`-6x+6)+12x-18=f '( g(x))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p`(p+0)라 하면
12xÛ`-12x+6=3{ g(x)}Û`-6 g(x)+6 조건 (가)에서  f(x)=p(x-1)(x-3)(x-q)(p, q는 상수)
{ g(x)}Û`-2 g(x)=4xÛ`-4x 로 놓으면 조건 (나)에서

5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56 2022-12-01 오후 7:16:09


q¾1이면 집합 {x|x¾1이고 f '(x)=0} 풀이 전략 함수의 연속성, 미분가능성과 삼차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
q<1 의 원소의 개수가 2이다.
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구한다.
[STEP 2]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도록 하는 함
문제 풀이
수 f(x)의 식과 상수 a의 값을 구한다.
다항함수는 모든 실수 x에 대하
[STEP 1] 함수 g(x)를 변형한다.
f(a-x)=p(a-x-1)(a-x-3)(a-x-q) 여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i(x)=| f(x)|로 놓으면 함수 f(x)는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x의
=-p(x-a+1)(x-a+3)(x-a+q)
i(x+h)-i(x) i(x+h)-i(x)
이므로 값에 대하여 lim , lim 의값
h`Ú0+ h h`Ú0- h
f(x) f(a-x)=-pÛ`(x-1)(x-3)(x-q) 이 항상 존재한다.
 _(x-a+1)(x-a+3)(x-a+q)

따라서
g(x)=| f(x) f(a-x)| |f(x+h)|-|f(x-h)|
lim
h

미분
=pÛ`|(x-1)(x-3)(x-q) h`Ú0+

 _(x-a+1)(x-a+3)(x-a+q)| |f(x+h)|-|f(x)|-|f(x-h)|+|f(x)|
= lim
h`Ú0+ h
이고 q<1<3이고 a-3<a-1<a-q이므로 함수 g(x)가 실수
i(x+h)-i(x) i(x-h)-i(x)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려면 q<1<3에서 = lim + lim
-3<-1<-q이고 h`Ú0+ h h`Ú0+ -h
a-3<a-1<a-q
g(x)=pÛ`|(x-a)Û`(x-b)Û`(x-c)Û`| 이므로
꼴이어야 한다. g(x)
그러므로 a-3=q, a-1=1, a-q=3이어야 한다. |f(x+h)|-|f(x-h)|
=f(x-3)_ lim
따라서 a=2, q=-1
h`Ú0+ h

]
i(x+h)-i(x) i(x-h)-i(x)
[STEP 3]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다. =f(x-3)_[ lim + lim
h`Ú0+ h h`Ú0+ -h
f(x)=p(x+1)(x-1)(x-3)이므로
[STEP 2] 함수 f(x)가 될 수 있는 경우로 나누어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파악
f(a-x)‌=-p(x+1)(x-1)(x-3)=- f(x)
한다.
주의
따라서 함수 y=x|x|는 x=0에서 연속이 Ú 함수 f(x)의 극값이 존재하지 않고 f(a)=0, f '(a)+0인 경우
고 x`Ú`0-일 때와 x`Ú`0+일
g(x)=| f(x) f(a-x)|={ f(x)}Û`
때의 미분계수가 같으므로 x=0에서 y=f(x) y=i(x)
이므로 미분가능한 것과 비슷해.

g(4a) { f(8)}Û` f(8)



= =
f(0)_ f(4a) f(0)_ f(8) f(0) a x a x

à
p_9_7_5
= =105
p_1_(-1)_(-3)
f(x-3)_{-2 f '(x)}`(x<a) 함정
 105 x 의 값의 범위에 따라
g(x)= 0 (x=a) |f(x)|의 부호가 달라져.
f(x-3)_2 f '(x) (x>a)
이때 조건 (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주의
lim g(x)= lim g(x)= g(a) 함수 g(x)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
x`Úa- x`Úa+
려면 x=a에서 연속이어야 해.

19  정답률 3.1%
이어야 하므로
f(a-3)_{-2 f '(a)}= f(a-3)_2 f '(a)=0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그런데 f '(a)+0, f(a-3)+0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두 함수 g(x), h(x)에 대하여 함수 Û 함수 f(x)의 극값이 존재하지 않고 f(a)=0, f '(a)=0인 경우
g(x)`(x<a)
f(x)=[ y=f(x) y=i(x)
h(x)`(x¾a)
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려면
lim g(x)= lim h(x)=h(a) a x a x
x`Úa- x`Úa+

⑵ 함수 y=f(x)에서 x=a에서의 미분계수는

à
f(x)-f(a) f(a+h)-f(a)
f '(a)=lim =lim f(x-3)_{-2 f '(x)}`(x<a)
x`Úa x-a h`Ú0 h
⑶ ‌방정식 f(x)=0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 g(x)= 0 (x=a)
(y=0)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f(x-3)_2 f '(x) (x>a)

정답과 풀이 ● 57

책1.indb 57 2022-12-01 오후 7:16:09


이때 조건 (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STEP 3]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의 식을 구한다.
lim g(x)= lim g(x)= g(a) 조건 (나)에서 서로 다른 네 실근의 합이 7이므로
x`Úa- x`Úa+

이어야 하고 f '(a)=0이므로 a+b+k+(k+3)=7

f(a-3)_{-2 f '(a)}= f(a-3)_2 f '(a)=0 a+b+2k=4   yy ㉡

이 성립한다. 또한 f(x)=(x-a)Û`(x-k)이고
ß에서 f(k)=0, f(a)=0, f '(a)=0
그런데 방정식 g(x)=0을 만족시키는 실근은 x=a 또는 f '(x)=(x-a)(3x-2k-a)이므로 이므로 f(x)=(x-a)Û`(x-k)이다.

x=a+3으로 2개뿐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f '(x)=0에서

Ü ‌함수 f(x)의 극값이 존재하고 f(a)+0, f(b)+0,  2k+a


x=a 또는 x=
3
f '(a)= f '(b)=0인 경우 ß에서 f '(a)= f '(b)=0이므로
2k+a
따라서 b= f '(x)=0에서 x=a 또는 x=b이다.
Ú의 경우와 같이 f(k)=0을 만족시키는 x=k에서 함수 3
g(x)는 연속이 아니므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2k+a
b= 를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3
Ý ‌함수 f(x)의 극값이 존재하고 f(k)=0, f(a)+0, f(b)=0,
a+2k=3   yy ㉢
f '(a)= f '(b)=0`(k<a<b)인 경우
㉠, ㉢을 연립하여 풀면 a=-1, k=2이므로
y=f(x) y=i(x)
f(x)=(x+1)Û`(x-2)
[STEP 4] f(5)의 값을 구한다.
k a b x k a b x 따라서 f(5)=(5+1)Û`_(5-2)=36_3=108

Ú의 경우와 같이 f(k)=0을 만족시키는 x=k에서 함수  108

g(x)는 연속이 아니므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Þ ‌함수 f(x)의 극값이 존재하고 f(k)=0, f(l)=0, f(m)=0, 수능이 보이는 강의
f '(a)= f '(b)=0`(k<a<l<b<m)인 경우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될 수 있는
Ú의 경우와 같이 f(k)=0을 만족시키는 x=k에서 함수 경우에 대하여 모두 생각해 봐야 해.

g(x)는 연속이 아니므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ß ‌함수 f(x)의 극값이 존재하고 f(k)=0, f(a)=0, f(b)+0,
f '(a)= f '(b)=0`(a<b<k)인 경우
y=f(x) y=i(x)
a b

20
k x
 정답률 2.6%

à
a b k x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f(x-3)_{-2 f '(x)}`(x<k)
삼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조건
g(x)= 0 (x=k)
함수 y=axÜ`+bxÛ`+cx+d의 그래프는 a>0일 때, 다음 3가지 중
f(x-3)_2 f '(x) (x>k) 어느 하나가 된다.
이때 조건 (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① ‌y'=0이 서로 다른 ② y‌ '=0이 중근 a를 ③ y‌ '=0이 허근을
주의

lim g(x)= lim g(x)= g(k) 함수 g(x)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 두 실근 a, b를 갖 갖는다. 갖는다.
x`Úk- x`Úk+ 려면 x=k에서 연속이어야 해.
는다.
이어야 하므로 y y y

f(k-3)_{-2 f '(k)}= f(k-3)_2 f '(k)=0


그런데 f '(k)+0이므로 f(k-3)=0이고
k-3=a   yy ㉠ O a b x O a x O x

즉, k=a+3이면 조건 (가)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삼차함수 y=f(x)가


또한 방정식 g(x)=0의 서로 다른 실근은 극값을 가질 조건은 f '(x)=0에서 D>0 (서로 다른 두 실근)

x<k일 때 x=a 또는 x=b 극값을 갖지 않을 조건은 f '(x)=0에서 DÉ0 (중근 또는 허근)

x=k일 때 x=k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방정식


g(x)=0의 해를 구한다.
풀이 전략 삼차함수의 그래프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x>k일 때 x=k+3
공식과 그래프를 이용한다.

5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58 2022-12-01 오후 7:16:09


문제 풀이

[STEP 1] 주어진 조건에서 f(x)의 식의 꼴을 구한다. 수능이 보이는 강의


등식  f(a)+1=f '(a)(a-t) yy ㉠ f(x)=(x-6)Û`(x-m)-1에서
에서 -1=f '(a)(t-a)+f(a)이다. f '(x)‌=2(x-6)(x-m)+(x-6)Û`=(x-6)(3x-2m-6)
이는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 이므로 등식 f(a)+1=f '(a)(a-t)에서
(a-6)Û`(a-m)=(a-6)(3a-2m-6)(a-t)
y=f '(a)(x-a)+f(a)가 점 P(t, -1)을 지난다는 의미이다.
(a-6){2aÛ`-(3t+m)a+2mt+6t-6m}=0
즉, 점 P(t, -1)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
a=6 또는 2aÛ`-(3t+m)a+2mt+6t-6m=0 yy ㉠
가 (a,  f(a))이다. 이 등식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이 6 하나뿐이려면 a에 대한 이차 Ⅱ
조건에서 등식 ㉠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이 6 하나뿐이므로 방정식 ㉠이 중근 6을 가지거나 실근을 갖지 않아야 돼.
f(6)+1=f '(6)(6-t) yy ㉡ Ú ㉠이 중근 6을 가지는 경우

미분
2aÛ`-(3t+m)a+2mt+6t-6m=2(a-6)Û`
-2<t<k인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이 성립하므로
에서 t=6, m=6
f '(6)=0,  f(6)=-1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t는 6 하나뿐이므로
즉,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점 A(6, -1)에서 직선 -2<t<k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아.
y=-1에 접하므로 Û ㉠이 실근을 갖지 않는 경우,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3t+m)Û`-8(2mt+6t-6m)
f(x)=(x-6)Û`(x-m)-1 (m은 상수) yy ㉢
=(t-m)(9t-m-48)<0 yy ㉡
[STEP 2]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본다.
m+48
① m< , 즉 m<6이면 부등식 ㉡의 해는
따라서 두 점 P(t, -1), A(6, -1)에 대하여 ㉢을 만족시키는 9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3가지이다. m<t<
m+48
9
[그림 1] m=6일 때 [그림 2] m>6일 때 이때 실수 t의 값의 범위가 -2<t<k이어야 하므로
y=f(x)
m=-2, k=:¢9¤:
y=f(x)
m+48
② m> , 즉 m>6이면 부등식 ㉡의 해는
P
9
y=-1 P y=-1
A A m+48
<t<m
9
(a, f(a))
(a, f(a)) m+48
이때 >6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아.
9

Ú, Û에서 m=-2, k=:¢9¤:


[그림 3] m<6일 때
y=f(x)

(-2, -1)
P
A
y=-1 21  정답률 2.4%
(k, -1)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그림 1], [그림 2]에서는 6보다 작은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을 접선의 기울기


만족시키는 6이 아닌 실수 a가 존재하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미분계수
f '(a)와 같다.
는다.
[그림 3]에서 k>-2인 상수 k에 대하여 ㉠을 만족시키는 실수 a 풀이 전략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삼차함수의 그래프를 추론하여 함
의 값이 6 하나뿐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2<t<k이려면 함 숫값을 구한다.
수 y=f(x)의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나야 하므로 m=-2 문제 풀이

[STEP 3] f(x)의 식을 구해 f(8)의 값을 구한다. [STEP 1]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삼차함수 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f(x)=(x-6)Û`(x+2)-1이므로 본다.
f(8)=(8-6)Û`_(8+2)-1=39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삼차함수 f(x)를 다음과 같이 놓는다.
 39 f(x)=axÜ`+bxÛ`+cx+d`(a, b, c, d는 상수, a>0)
라 하면 f(0)=0이므로 d=0

정답과 풀이 ● 59

책1.indb 59 2022-12-01 오후 7:16:10


f '(x)=3axÛ`+2bx+c에서 f '(1)=1이므로 풀이 전략 주어진 조건과 사잇값의 정리 등을 이용하여 사차함수를
3a+2b+c=1 yy ㉠ 구한다.
조건 (가)와 조건 (나)에서 곡선 y=f(x)는 두 직선 y=x, y=-x 문제 풀이

와 각각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STEP 1] 조건 (가), (나)에서 f(x)=0인 경우를 구한다.


이때 f(0)=0, f '(1)=1이므로 곡선 y=f(x)는 그림과 같이 직 조건 (가)에서
주의
선 y=x와 원점에서 접하고, 직선 y=-x와 점 (a, f(a)) f(1)=f(1) f(2) 조건 (가)를 이용하여

(a>0)에서 접해야 한다. f(1)+ f(2)=f(2) f(3) 규칙성을 찾을 수 있게


직접 나열해 봐.
y f(1)+ f(2)+f(3)=f(3) f(4)
y=-x y=x f(1)+ f(2)+f(3)+f(4)=f(4) f(5)
y=f(x)
f(1)+ f(2)+f(3)+f(4)+f(5)=f(5) f(6)
1 이므로
x
O
f(1)=f(1) f(2) yy ㉠
f(2)=f(2){ f(3)-f(1)} yy ㉡
f(3)=f(3){ f(4)-f(2)} yy ㉢

[STEP 2] 삼차함수 f(x)의 식을 구한다. f(4)=f(4){ f(5)-f(3)} yy ㉣

그래프에서 f '(0)=1이므로 f(5)=f(5){ f(6)-f(4)} yy ㉤

c=1
x=0에서 곡선 y=f(x)와 직선 y=x가 접한다. 조건 (나)에서
f(x)에서 x의 값이 n에서 n+2까지
이때 ㉠에서 3a+2b+1=1, 즉 3a+2b=0이므로 f(5)-f(3) f(6)-f(4)
É0, É0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5-3 6-4 f(n+2)-f(n)

b=-;2#;a
(n+2)-n
이므로 n=3을 대입한 평균변화율

f(5)-f(3)É0,  f(6)-f(4)É0
따라서 f(x)=axÜ`-;2#;axÛ`+x이다.
f(5)É f(3), f(6)É f(4)
그러므로 ㉣에서
곡선 y=f(x)와 직선 y=-x의 접점의 x좌표가 a이므로
f(4)=0 또는  f(3)=f(5)
f(a)=-a에서 aaÜ`-;2#;aaÛ`+a=-a 또, ㉤에서
이때 a>0이므로 f(5)=0 또는  f(4)=f(6)
주의

2aaÛ`-3aa+4=0 yy ㉡ 곡선 y=f(x)와 직선 y=-x의 그러므로 다음 각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접점의 x좌표 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f '(a)=-1이므로 f '(a)=-1 [STEP 2] f(4)=0이고 f(5)=0인 경우의 사차함수 f(x)를 구한다.

f '(x)=3axÛ`-3ax+1에서 Ú  f(4)=0이고  f(5)=0인 경우


3aaÛ`-3aa+1=-1 ㉢에서 f(3)=-f(3) f(2)이므로
f(3){1+f(2)}=0에서
3aaÛ`-3aa+2=0 yy ㉢ f(3)=0 또는  f(2)=-1 yy ㉥ f(3)=0 또는 f(2)=-1

㉥에서  f(3)=0이면 ㉠, ㉡은
㉡, ㉢을 연립하여 풀면 a=;4#;, a=:£9ª:
f(1)=f(1) f(2)
따라서 f(x)=:£9ª:xÜ`-:Á3¤:xÛ`+x이므로 f(2)=-f(1) f(2)

f(3)=32_3-16_3+3=51 만약  f(1)=0이면  f(2)=0이고  f(2)=0이면  f(1)=0이므

  51 로 사차방정식 f(x)=0은 서로 다른 5개의 근을 갖게 되어 모


순이다.
그러므로  f(1)+0,  f(2)+0

22  정답률 1.9%
이때  f(1)=-1,  f(2)=1
사잇값의 정리에 의해 방정식  f(x)=0은 1과 2 사이에 한 실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근 k를 갖는다.
사잇값의 정리
이때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a)+f(b)일 때,
f(x)=a(x-k)(x-3)(x-4)(x-5) (a+0, 1<k<2)
f(a)와 f(b) 사이의 임의의 값 k에 대하여 f(c)=k인 c가 열린구간
(a, b)에서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라 하면

6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60 2022-12-01 오후 7:16:10


f(1)=-1,  f(2)=1에서 식  f(x)=0은 2와 3 사이에 적어도 한 실근을 갖는다.
a(1-k)_(-24)=-1 f(4)=0,  f(6)=0,  f(1)=0이고
a(1-k)(1-3)(1-4)(1-5)
a(2-k)_(-6)=1 =a(1-k)_(-2)_(-3)_(-4) ㉤에서  f(5)=0이므로 사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5개의 근을 갖

즉, a(1-k)=;2Á4;, a(2-k)=-;6!; 게 되어 모순이다.


[STEP 4] f(3)=f(5)이고 f(5)=0인 경우의 사차함수 f(x)를 구한다.
두 식을 변끼리 빼면 a=-;2°4; Ü  f(3)=f(5)이고  f(5)=0인 경우
이때  f(3)=0이고
이 값을 대입하면 -;2°4;(1-k)=;2Á4;, k=;5^;
㉣에서  f(4)=0 Ⅱ
그러므로
한편 ㉠과 ㉡에서
f(x)=-;2°4;{x-;5^;}(x-3)(x-4)(x-5) f(1)=f(1) f(2),  f(2)=-f(2) f(1)

미분
㉥에서  f(2)=-1인 경우 ㉠에서  f(1)=0 만약  f(1)=0이면  f(2)=0이고 f(2)=0이면  f(1)=0이므

또, ㉡에서 -1=-f(3),  f(3)=1 로 사차방정식  f(x)=0은 서로 다른 5개의 근을 갖게 되어 모

이때  f(2)=-1,  f(3)=1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해 방정 순이다.

식  f(x)=0은 2와 3 사이에 적어도 한 실근 l을 갖는다. 그러므로 f(1)+0,  f(2)+0

f(x)=a(x-l)(x-1)(x-4)(x-5)(a+0, 2<l<3) 이때  f(1)=-1,  f(2)=1

이라 하면  f(2)=-1,  f(3)=1에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해 방정식  f(x)=0은 1과 2 사이에 적어도


한 실근을 갖는다.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a=;1°2;, l=:Á5ª:
y=f(x)
그러나  f(6)-f(4)É0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x
1 2 3 4 5 6
[STEP 3] f(4)=0이고 f(4)=f(6)인 경우의 사차함수 f(x)를 구한다.
Û  f(4)=0이고  f(4)=f(6)인 경우
이때 Ú에서
이때  f(6)=0이고 ㉢에서
f(3)=-f(3)f(2)이므로 f(x)=-;2°4;{x-;5^;}(x-3)(x-4)(x-5)
f(3){1+f(2)}=0
f(3)=0 또는  f(2)=-1 yy ㉦ [STEP 5] f(3)=f(5)이고 f(4)=f(6)인 경우의 사차함수 f(x)를 구한다.
f(3)=0이면 ㉠, ㉡에서 Ý  f(3)=f(5)이고  f(4)=f(6)인 경우
f(1)=f(1) f(2),  f(2)=-f(2) f(1) ㉣과 ㉤에서 f(4)=0,  f(5)=0
이때  f(1)=0이면  f(2)=0이고 f(2)=0이면  f(1)=0이므 그러므로 f(3)=0,  f(6)=0
로 사차방정식  f(x)=0은 서로 다른 5개의 근을 갖게 되어 모 한편 ㉠과 ㉡에서 f(1)=f(1) f(2),  f(2)=-f(2) f(1)
순이다. 만약  f(1)=0이면  f(2)=0이고 f(2)=0이면  f(1)=0이므
그러므로 f(1)+0,  f(2)+0 로 사차방정식  f(x)=0은 서로 다른 6개의 근을 갖게 되어 모
이때 f(1)=-1,  f(2)=1 순이다.
사잇값의 정리에 의해 방정식  f(x)=0은 1과 2 사이에 적어도 그러므로 f(1)+0,  f(2)+0
한 실근을 갖는다.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이때  f(1)=-1,  f(2)=1
y=f(x) 사잇값의 정리에 의해 방정식  f(x)=0은 1과 2 사이에 적어도
x 한 실근을 갖는다. 이는 사차방정식  f(x)=0이 5개 이상의 근
1 2 3 4 5 6
을 갖게 되어 모순이다.

f(5)-f(3) 따라서 Ú~Ý로부터


이때 조건 (나)의 É0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함
128_f {;2%;}
5-3
실수
수  f(x)는 존재하지 않는다. 두 점 (3, f(3)), (5, f(5))를 1 1

㉦에서  f(2)=-1인 경우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야. =2à`_{-;2°


8
4;}_;1!
2
0#;_{-;2!;}_{-;2#;}_{-;2%;}
㉠에서  f(1)=0 5_13 8=2Ü` 이므로
=2à`_ =65 5_13 = 5_13
또, ㉡에서 -1=-f(3),  f(3)=1 2à` 2Ü`_2Ý` 2à`

이때  f(2)=-1,  f(3)=1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해 방정  65

정답과 풀이 ● 61

책1.indb 61 2022-12-01 오후 7:16:10



이때 f(0)=2이므로 C=2
적분 따라서 f(x)=xÜ`+xÛ`+2이므로
f(1)=1+1+2=4
본문 64~79 쪽
4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01 12 02 ④ 03 4 04 8 05 ⑤ 04
06 ② 07 15 08 ① 09 16 10 9 f(x)=:` f '(x) dx
11 15 12 8 13 ① 14 9 15 9
16 86 17 ⑤ 18 ② 19 ③ 20 ⑤ =:`(8xÜ`-12xÛ`+7) dx
21 ② 22 ① 23 10 24 24 25 ⑤
=2xÝ`-4xÜ`+7x+C`(단, C는 적분상수)
26 ② 27 ⑤ 28 ⑤ 29 9 30 ④ 이때 f(0)=3이므로
31 ⑤ 32 ⑤ 33 ② 34 ⑤ 35 ②
C=3
36 ② 37 ④ 38 ④ 39 ③ 40 ④
41 ② 42 ④ 43 ② 44 ③ 45 ③ 따라서 f(x)=2xÝ`-4xÜ`+7x+3이므로
46 ② 47 ① 48 36 49 ① 50 ④ f(1)=2-4+7+3=8

51 ③ 52 ④ 53 ③ 54 ④ 55 ⑤ 8
56 80 57 ③ 58 6 59 ① 60 17

05
유형 1 부정적분과 정적분 f(x)‌=:` f '(x) dx

=:`(3xÛ`-2x) dx
01 =xÜ`-xÛ`+C`(단, C는 적분상수)
f '(x)=3xÛ`+4x+5에서
f(1)=1Ü`-1Û`+C=1에서
f(x)=:` f '(x) dx C=1
따라서  f(x)=xÜ`-xÛ`+1이므로
=:`(3xÛ`+4x+5) dx
f(2)=2Ü`-2Û`+1=5
=xÜ`+2xÛ`+5x+C (단, C는 적분상수) ⑤
f(0)=4이므로 C=4
따라서  f(x)=xÜ`+2xÛ`+5x+4이므로
06
:)2``(2xÜ`+3xÛ`) dx=[;2!; xÝ`+xÜ`]2)
f(1)=1+2+5+4=12
 12
=8+8=16

02 ②

:)2` (3xÛ`+2x) dx‌=[xÜ`+xÛ`]2)


07
=2Ü`+2Û`=12
f(x)=:` f '(x)dx
④

=:`(4xÜ`-2x)dx
03
f(x)=:``f '(x)dx
=xÝ`-xÛ`+C (단, C는 적분상수)
이때  f(0)=3이므로 C=3
따라서  f(x)=xÝ`-xÛ`+3이므로
=:``(3xÛ`+2x) dx
f(2)=16-4+3=15
=xÜ`+xÛ`+C (단, C는 적분상수)  15

6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62 2022-12-01 오후 7:16:10


08 따라서  f(x)=-;4!;xÝ`+3x+8이므로

:)2``(3xÛ`+6x) dx=[xÜ`+3xÛ`]2) f(0)=8


8
=8+12=20
①

13
09 :@-``2``(xÜ`+3xÛ`) dx=[;4!;xÝ`+xÜ`]-@ 2`
f(x)=:` f '(x) dx
=(4-8)-(4+8)=-16

=:`(6xÛ`-4x+3) dx ①

=2xÜ`-2xÛ`+3x+C`(단, C는 적분상수)
f(1)=2-2+3+C=5에서
C=2 14 Ⅲ
f(x)=:` f '(x) dx
따라서  f(x)=2xÜ`-2xÛ`+3x+2이므로

=:`(xÜ`+x) dx
f(2)=16-8+6+2=16

적분
 16

=;4!;xÝ`+;2!;xÛ`+C (단, C는 적분상수)

10 f(0)=3에서
:)3``xÛ``dx=[;3!;xÜ`]3)=9 C=3

9 따라서  f(x)=;4!;xÝ`+;2!;xÛ`+3이므로

f(2)=;4!;_2Ý`+;2!;_2Û`+3=9

11 9

f(x)=:` f '(x) dx

=:`(8xÜ`+6xÛ`) dx
15
=2xÝ`+2xÜ`+C`(단, C는 적분상수)

F(x)=à
F(x)는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므로
f(0)=C=-1 -xÛ`+CÁ (x<0)
따라서  f(x)=2xÝ`+2xÜ`-1이므로 `(단, CÁ, Cª는 적분상수)
k{xÛ`-;3!;xÜ`}+Cª`(x¾0)
f(-2)=32-16-1=15

즉, F(x)=à
그런데 F(x)가 x=0에서 미분가능하므로 CÁ=Cª
 15
-xÛ`+CÁ (x<0)

k{xÛ`-;3!;xÜ`}+CÁ`(x¾0)
12
f(x)=:` f '(x) dx
그러므로 F(2)-F(-3)=21에서

{;3$;k+CÁ}-(-9+CÁ)=21

=:`(-xÜ`+3) dx 따라서 k=9


9
=-;4!;xÝ`+3x+C (단, C는 적분상수) 다른 풀이

f(2)=-;4!;_2Ý`+3_2+C=10에서 F(x)는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므로

C=8 F(2)-F(-3)=[F(x)]2_#=:_2#` f(x)dx

정답과 풀이 ● 63

책1.indb 63 2022-12-01 오후 7:16:11


:_2#` f(x)dx=:_0#` f(x)dx+:)2`` f(x)dx 조건 (나)에서 g(x+2)=g(x)이므로

:_2#` g(x) dx
=:_0#`(-2x)dx+:)2``k(2x-xÛ`)dx

=[-xÛ`]0_#+k[xÛ`-;3!;xÜ`]2) =:_-#1`` g(x) dx+:_1!` g(x) dx+:!2`` g(x) dx

=9+;3$;k=21 =2:_1!` g(x) dx+:_0!` g(x) dx

따라서 k=9 =2_1+;6%;=:Á6¦:

②

16
:!3`(4xÜ`-6x+4)dx+:!3`(6x-1)dx=:!3`(4xÜ`+3)dx
19
=[xÝ`+3x]3! :)1``g(t) dt=a라 하면

=90-4=86 조건 (가)에서 f(x)=2x+2a


 86 g(x)는  f(x)의 한 부정적분이므로

g(x)=:` f(x) dx

17 =xÛ`+2ax+C (단, C는 적분상수)

:%2``2t dt-:%0``2t dt=:%2``2t dt+:)5``2t dt


조건 (나)에서

C-:)1``(tÛ`+2at+C) dt=;3@;
=:)5``2t dt+:%2``2t dt
C-[;3!;tÜ`+atÛ`+Ct]1)`=;3@;
=:)2``2t dt

=[tÛ`]2)=4
C-{;3!;+a+C}=;3@;에서

a=-1

:)1``g(t) dt=a에서 [;3!;tÜ`-tÛ`+Ct]1)`=-1


⑤

18 ;3!;-1+C=-1이므로 C=-;3!;
함수 y=- f(x+1)+1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따라서 g(x)=xÛ`-2x-;3!; 이므로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시킨 것이다. g(1)=1-2-;3!;=-;3$;

f(0)=0,  f(1)=1, :)1`` f(x) dx=;6!;이므로 ③

조건 (가)에서

:_0!` g(x) dx‌=:_0!`{- f(x+1)+1} dx 20


=-:)1``f(x)dx+[x]0_!
삼차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f '(0)= f '(2)=0이
므로
=-;6!;+1=;6%; f '(x)=3x(x-2)=3xÛ`-6x

:)1``` g(x) dx=:)1`` f(x) dx=;6!;


따라서

:_1!` g(x) dx‌=:_0!` g(x) dx+:)1`` g(x) dx


f(x)=:` f '(x) dx

=:`(3xÛ`-6x) dx
=;6%;+;6!;=1 =xÜ`-3xÛ`+C`(단, C는 적분상수)

6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64 2022-12-01 오후 7:16:11


이때 =;2#;pÛ`-2p-;4#;
f(x)- f(0)=xÜ`-3xÛ`
이므로

:_1!` g(x) dx=:_0!` g(x)dx+:)1`` g(x) dx


이고
f(x+p)- f(p)

={-;4%;}+{;2#;pÛ`-2p-;4#;}
=(x+p)Ü`-3(x+p)Û`+C-(pÜ`-3pÛ`+C)
=xÜ`+(3p-3)xÛ`+(3pÛ`-6p)x
이므로 =;2#;pÛ`-2p-2

g(x)=à
xÜ`-3xÛ` (xÉ0)
=;2!;(3p+2)(p-2)

따라서 p ¾2일 때 :_1!` g(x) dx ¾0이다. (참)


xÜ`+(3p-3)xÛ`+(3pÛ`-6p)x`(x>0)
ㄱ. p=1일 때,

g(x)=à
xÜ`-3xÛ``(xÉ0)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xÜ`-3x (x>0) ⑤
이므로 다른 풀이

g'(x)=à
3xÛ`-6x`(x<0)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f '(0)= f '(2)=0 Ⅲ
3xÛ`-3 (x>0) 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고 x=2에서 극소이다.
따라서 g'(1)=3-3=0`(참) 이때 곡선 y= f(x)- f(0)은 곡선 y= f(x)를 y축의 방향으로

적분
ㄴ. ‌lim g(x)= lim g(x)= g(0)=0이므로 함수 g(x)는 x=0 - f(0)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곡선 y= f(x+p)- f(p)는 곡
x`Ú0- x`Ú0+

에서 연속이다. 선 y= f(x)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 f(p)


이때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lim g'(x)= lim (3xÛ`-6x)=0 따라서 두 곡선 y= f(x)- f(0), y= f(x+p)- f(p)는 모두 원
x`Ú0- x`Ú0-
점을 지나고 함수 y= 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lim g'(x)= lim {3xÛ`+2(3p-3)x+(3pÛ`-6p)}
x`Ú0+ x`Ú0+
y y=g(x)
=3pÛ`-6p
y=f(x)
이므로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려면
3pÛ`-6p=0이어야 한다. 2
O x
3pÛ`-6p=3p(p-2)=0에서
p=0 또는 p=2
따라서 양수 p의 값은 p=2뿐이므로 양수 p의 개수는 1이다.
(참)

ㄷ. :_0!` g(x) dx=:_0!`(xÜ`-3xÛ`) dx


ㄱ. ‌p=1일 때, 곡선 y= f(x+1)- f(1)은 곡선 y= f(x)를 x축

=[;4!;xÝ`-xÜ`]0_!
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 f(1)만큼 평행이동
한 것이다.
=0-{;4!;+1} 따라서 g'(1)=0이다. (참)
ㄴ. ‌lim g(x)= lim g(x)= g(0)=0이므로 함수 g(x)는 x=0
=-;4%; x`Ú0- x`Ú0+

에서 연속이다.
이고

:)1`` g(x) dx
이때 lim g'(x)= lim (3xÛ`-6x)=0이므로 g(x)가 실수
x`Ú0- x`Ú0-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려면 lim g'(x)=0이어야 한다.

=:)1``{xÜ`+(3p-3)xÛ`+(3pÛ`-6p)x}dx
x`Ú0+

그런데 f '(x)=0인 양수 x의 값은 2뿐이므로 양수 p의 값은


2뿐이다.

xÛ`]1)
3pÛ`-6p
=[;4!;xÝ`+(p-1)xÜ`+ 따라서 양수 p의 개수는 1이다. (참)
2
ㄷ. p ¾2일 때 함수 y= 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3pÛ`-6p
=;4!;+(p-1)+
2

정답과 풀이 ● 65

책1.indb 65 2022-12-01 오후 7:16:11


y
이때 0<a<;4!;이므로
p>2일 때 p=2일 때
a=;8!;
y=g(x)
y=f(x)
따라서  f(x)=xÜ`-;2!;x이므로
2
O x
f(2)=2Ü`-;2!;_2=7

②

p=2일 때, 함수 y= g(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


22
:)1`` f(t) dt=k로 놓으면
므로

:_1!` g(x) dx=0


f(x)=4xÜ`+kx
p>2일 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때

k=:)1`(4tÜ`+kt) dt
f(x+p)- f(p) ¾ f(x+2)- f(2)이므로

:_1!` g(x) dx ¾0

따라서 p ¾2일 때 :_1!` g(x) dx ¾0이다. (참) =[tÝ`+;2K;tÛ`]1)`

=1+;2K;

21 이므로 k=2

:)1`| f(t)|dt=a라 하면 a>0   yy ㉠


따라서  f(x)=4xÜ`+2x이므로
f(1)=4+2=6
f(x)=xÜ`-4ax ①

f(1)=1-4a>0에서 a<;4!; yy ㉡

㉠, ㉡에서 0<a<;4!;
23
:!4``(x+|x-3|) dx
f(x)=x(xÛ`-4a)=0에서
x=0 또는 x=Ñ2'a
0<x<2'a일 때  f(x)<0이고, x¾2'a일 때  f(x)¾0이다. =:!3` {x-(x-3)}dx+:#4` {x+(x-3)} dx

=:!3``3 dx+:#4` (2x-3) dx


0<a<;4!;에서 0<2'a<1이므로

a=:)1`| f(t)| dt
=[3x]3!+[xÛ`-3x]4#
=:)2` {- f(t)} dt+:@1 ` f(t) dt
'a

'a =(9-3)+{(16-12)-(9-9)}

=:)2` (-tÜ`+4at) dt+:@1 `(tÜ`-4at) dt


'a =6+4=10
'a
 10

=[-;4!;tÝ`+2atÛ`]2) +[;4!;tÝ`-2atÛ`]1@ `
'a

'a

=4aÛ`+{;4!;-2a+4aÛ`}
24
=8aÛ`-2a+;4!; :_2#`(2xÜ`+6|x|) dx-:_-# 2``(2xÜ`-6x) dx

8aÛ`-3a+;4!;=0에서 =:_-# 2``(2xÜ`+6|x|) dx+:_2@`(2xÜ`+6|x|) dx

-:_-# 2``(2xÜ`-6x) dx
32aÛ`-12a+1=0

(8a-1)(4a-1)=0

6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66 2022-12-01 오후 7:16:11


=:_2@`(2xÜ`+6|x|) dx =-
2(a+1)
>0
3

=:_2@`6|x| dx=2:)2``6x`dx 즉, a<-1이므로  f(k)=0을 만족시키는 k<-1인 실수 k

=2 [3xÛ`]2)=2_12=24
가 존재한다. (참)
2(a+1)
ㄷ. g(-1)=- >1에서 a<-;2%;
3
 24
0ÉxÉ1일 때  f(x)É0이므로

g(0)=:)1`` f(x) dx-:)1` | f(x)| dx

25 =:)1`` f(x) dx+:)1`` f(x) dx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f(0)=0,  f(1)=0인 삼차함수  f(x)를
f(x)=x(x-1)(x-a)`(a는 상수) yy ㉠ =2:)1`` f(x) dx

=2:)1``{xÜ`-(a+1)xÛ`+ax}dx
라 하자.

ㄱ. g(0)=:)1`` f(x) dx-:)1``| f(x)| dx=0


xÜ`+ xÛ`]1)
:)1`` f(x) dx=:)1``| f(x)| dx
=2[
1
xÝ`-
a+1 a Ⅲ
4 3 2

+ }
1 a+1 a
따라서 0ÉxÉ1일 때  f(x)¾0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 =2{ -
4 3 2

적분
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3!; a-;6!;<-1 (참)
Ú a>1일 때,
y=f(x)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0 1 a x

Û a=1일 때,

y=f(x)

0 1 x
유형 2 적분과 미분의 관계

Ú, Û에 의하여 :_0!` f(x) dx<0이므로 26


f(x)=:!/``(t-2)(t-3) 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1)=:_0!` f(x)dx-:)1` | f(x)| dx<0 (참)
:!/``(t-2)(t-3) dt
d
f '(x)=
ㄴ. g(-1)>0이면 0ÉxÉ1일 때  f(x)É0이므로 dx

g(-1)=:_0!` f(x) dx-:)1` | f(x)| dx


=(x-2)(x-3)
따라서  f '(4)=(4-2)(4-3)=2_1=2
=:_0!` f(x) dx+:)1`` f(x) dx ②

=:_1!` f(x) dx
27
=:_1!`x(x-1)(x-a) dx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_1!`{xÜ`-(a+1)xÛ`+ax}dx :!1` [
d
f(t)]dt=1Ü`+a_1Û`-2
dt

=2:)1``{-(a+1)xÛ`}dx
0=1+a-2에서
a=1

xÜ`]1)
a+1 d
=2[- 한편 f(t)=f '(t)이므로
3 dt

정답과 풀이 ● 67

책1.indb 67 2022-12-01 오후 7:16:11


:!/` [ f(t)]dt=:!/``f '(t) dt 즉, 0=3a-:)1`` f(t)dt이므로
d
dt

=[ f(t)]/! :)1`` f(t)dt=3a yy ㉢

=f(x)-f(1) f(1)=:)1`` f(t)dt이므로 ㉡, ㉢에서

이때 :!/` [
d 2+4a=3a
f(t)]dt=xÜ`+xÛ`-2에서
dt
즉, a=-2, f(1)=-6
f(x)-f(1)=xÜ`+xÛ`-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f '(x)=3xÛ`+2x이므로
f(x)+x f '(x)=6xÛ`+2ax+ f(x)이므로
f '(a)=f '(1)=3+2=5
f '(x)=6x+2a=6x-4
⑤
따라서

f(x)=:` f '(x)dx
28 =:`(6x-4)dx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 f(t)dt=1Ü`+a_1Û`-3_1+1
=3xÛ`-4x+C`(단, C는 적분상수)
f(1)=3-4+C=-6에서
0=1+a-3+1 C=-5
a=1 즉, f(x)=3xÛ`-4x-5

:!/``f(t)dt=xÜ`+xÛ`-3x+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f(3)=27-12-5=10이므로


a+ f(3)=-2+10=8
f(x)=3xÛ`+2x-3
④
따라서  f(1)=2
⑤

31
29 ㄱ. ‌h(x)=(x-1)f(x)에서

:A/``f(t)dt=;3!; xÜ`-9에 x=a를 대입하면


h'(x)=f(x)+(x-1)f '(x)
따라서 h'(x)=g(x)(참)
0=;3!; aÜ`-9 ㄴ. ‌함수  f(x)가 x=-1에서 극값 0을 가지므로
a는 실수이므로 a=3 f '(-1)=0,  f(-1)=0

:#/``f(t)dt=;3!; xÜ`-9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이다. 이때
f '(x)=3xÛ`+2x+a이므로
f(x)=xÛ`이므로 f '(-1)=3-2+a=0
f(a)=f(3)=9 a=-1
9 또,  f(-1)=-1+1-a+b=0에서
b=a=-1

30
따라서  f(x)=xÜ`+xÛ`-x-1이므로

x` :)1``g(x)dx=:)1``h'(x)dx
x f(x)=2xÜ`+axÛ`+3a+:! f(t)dt   yy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h(x)]1)

=[(x-1)f(x)]1)
f(1)=2+a+3a+0이므로
f(1)=2+4a yy ㉡
=0-{-f(0)}
㉠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0=3a+:!0`` f(t)dt
=f(0)=-1 (참)
ㄷ. ‌함수 h(x)가 닫힌 구간 [0, 1]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6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68 2022-12-01 오후 7:16:11


(0, 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해 ak
f(t)+f(0)={;3A;tÜ`- tÛ`+C}+C
2
h(1)-h(0)
=h'(c)
1-0 ak
f(t)+f(0)=;3A;tÜ`- tÛ`+2C yy ㉢
2
를 만족시키는 c가 열린 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이 같아야 하므로
이때
h'(c)=h(1)-h(0)=0-{-f(0)}=0 akÜ`
C=
6
이므로
ak akÜ`
g(c)=h'(c)=0 즉, f(x)=;3A;xÜ`- xÛ`+ 이므로 극솟값은
2 6
따라서 방정식 g(x)=0은 열린 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 akÜ` akÜ` akÜ`
f(k)= - + =0 (참)
의 실근을 갖는다. (참) 3 2 6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⑤

33
g(x)=:)/`` f(t)dt+ f(x)에서

32
ㄱ. ‌조건 (가)에서 f '(x)=ax(x-k)(a>0)이라 하면 g '(x)= f(x)+ f '(x)

g(0)=:)0`` f(t)dt+ f(0)= f(0)

적분
구간 [0, k]에서 f '(x)É0이므로

:)k``f '(x)dx<0 (참) g '(0)= f(0)+ f '(0)

ㄴ. 조건 (나)에서 조건 (가)에 의해

:)t`|f '(x)|dx=f(t)+f(0)
g(0)= f(0)=0   yy ㉠
g '(0)= f(0)+ f '(0)=0이므로
의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f '(0)=0 yy ㉡
|f '(t)|=f '(t) yy ㉠ ㉠, ㉡에 의해 xÛ`은 삼차식  f(x)의 인수이다.
이때 ㉠은 t>1인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f(x)=xÛ`(x-k) (k는 상수)라 하면
f '(t)¾0`(t>1) f '(x)=3xÛ`-2kx이므로
따라서 조건 (가)에서 f(x)는 x=0에서 극댓값, x=k에서 극 g'(x)=xÜ`-kxÛ`+3xÛ`-2kx
솟값을 가지므로 0<kÉ1이다. (참) =xÜ`+(3-k)xÛ`-2kx
ㄷ. f '(x)=ax(x-k)=axÛ`-akx에서 조건 (나)에 의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t`|f '(x)|dx g '(-x)=-g '(x)이므로

=-:)k`(axÛ`-akx)dx+:Kt`(axÛ`-akx)dx
-xÜ`+(3-k)xÛ`+2kx=-xÜ`-(3-k)xÛ`+2kx
2(3-k)xÛ`=0에서

xÛ`]k)+[;3A;xÜ`- xÛ`]tK
ak ak k=3
=-[;3A;xÜ`-
2 2 따라서  f(x)=xÛ`(x-3)이므로
akÜ` akÜ` atÜ` aktÛ` akÜ` akÜ` f(2)=-4
=-{ - }+{ - - + }
3 2 3 2 3 2
②
akÜ` atÜ` aktÛ` akÜ`
= +{ - + } 다른 풀이
6 3 2 6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atÜ` aktÛ` akÜ`
= - + yy ㉡
3 2 3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로 놓으면
또한 f '(x)=3xÛ`+2ax+b
조건 (가)에 의해  f(0)=0이므로
f(x)=:`(axÛ`-akx)dx
c=0

g(x)=:)/`` f(t) dt+f(x)에서


ak
f(x)=;3A;xÜ`- xÛ`+C (단, C는 적분상수)
2
라 하면

정답과 풀이 ● 69

책1.indb 69 2022-12-01 오후 7:16:12


g '(x)=f(x)+f '(x)이므로 x=0 또는 x=-;4A;`(a+0)
g '(0)=f(0)+f '(0)=0
㉠, ㉡의 함수는 각각 x=-;4A;에서 극값을 갖고 c=-;4A;`이다.

{-;4A;}4`+;3A;_{-;4A;}3`+5=-[{-;4A;}4`+;3A;_{-;4A;}3`-;;Á3£;;]
f '(0)=0이므로 b=0
즉,  f(x)=xÜ`+axÛ`
g '(x)= f(x)+ f '(x) 이를 정리하여 풀면

à 또는 à
=xÜ`+axÛ`+3xÛ`+2ax a=4 a=-4
=xÜ`+(a+3)xÛ`+2ax c=-1 c=1
조건 (나)에 의해 함수 y=g '(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
그러므로 a=4일 때 g(1)=|1+;3$;-;;Á3£;;|=2,
이므로 xÛ`의 계수는 0이다.
즉, a=-3 a=-4일 때 g(1)=|1-;3$;-;;Á3£;;|=;;Á3¢;;
따라서  f(x)=xÜ`-3xÛ`이므로
따라서 g(1)의 최댓값은 ;;Á3¢;;이다.
f(2)=2Ü`-3_2Û`=-4
⑤

34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이고 f(0)=0이므로 35
g(x)=:)/`` f(t) dt-x f(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4xÜ`+axÛ`+bx`(a, b는 상수)라 하면
f '(x)=12xÛ`+2ax+b에서 f '(0)=0이므로
g '(x)=f(x)-{ f(x)+x f '(x)}
b=0
=-x f '(x)
즉, f(x)=4xÜ`+axÛ`에서

:) f(t)dt=xÝ`+;3A;xÜ`이므로
x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이므로  f '(x)는 최고차항

à
의 계수가 12인 이차함수이다.
xÝ`+;3A;xÜ`+5` (x<c) 그러므로 g '(x)=-x f '(x)에서 g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g(x)= -12인 삼차함수이다.
|xÝ`+;3A;xÜ`-;;Á3£;;|`(x¾c)
또,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Ég(3)이므로 함수 g(x)는 x=3
a
곡선 y=xÝ`+;3A;xÜ`-;;Á3£;; 은 곡선 y=xÝ`+ xÜ`+5를 y축의 방향 에서 최댓값을 가지고 함수 g(x)는 x=3에서 극값을 가진다.
3
28 즉, g '(3)=0
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3 g '(3)=-3 f '(3)=0에서  f '(3)=0이므로
a
다음은 a의 값에 따른 곡선 y=xÝ`+ xÜ`+5와 곡선 g '(x)=-12x(x-3)(x-a)
3
a
y=|xÝ`+ xÜ`-;;Á3£;;|의 개형 중 c의 개수가 0, 1, 2인 경우이다. 사차함수 g(x)가 오직 1개의 극값만 가지므로 함수 g(x)는 x=0
3
에서 극값을 가질 수 없다.
즉, a=0
g '(x)=-12xÛ`(x-3)
x x x =-12xÜ`+36xÛ`
[c의 개수가 0] [c의 개수가 1] [c의 개수가 2]
따라서

:)1`` g '(x) dx=[-3xÝ`+12xÜ`]1)


함수 g(x)가 연속이 되도록 하는 실수 c의 개수가 1이기 위해서
는 함수
a =-3+12=9
y=xÝ`+ xÜ`+5   yy ㉠
3
②
의 극솟값과 함수
a 13
y=-{xÝ`+ xÜ`- }   yy ㉡
3 3
의 극댓값이 서로 같아야 한다. 36
㉠, ㉡의 함수의 도함수는 각각 f(x), - f(x)이고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x)=xÛ`(4x+a)=0에서 n-1ÉxÉn일 때,

7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70 2022-12-01 오후 7:16:12


f(x)=6(x-n+1)(x-n) g(x)=xÛ`(x-a)`(a는 상수)로 놓으면
또는  f(x)=-6(x-n+1)(x-n) g '(x)=2x(x-a)+xÛ`=x(3x-2a)
함수 g(x)가 x=2에서 최솟값 0을 가지므로 Ú a>0일 때,

g(2)=:)2`` f(t)dt-:@4`` f(t)dt=0  f(x)=à


-x(3x-2a)`(x<0)

:)2`` f(t)dt=:@4`` f(t)dt


x(3x-2a) (x¾0)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x=0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이때 함수 g(x)가 x=2에서 최솟값을 가져야 하므로 닫힌구간
y=f(x)
[0, 4]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0
2a x
;;3;;
y=f(x)

Û a<0일 때,
O 1 2 3 4 x

 f(x)=à
-x(3x-2a)`(x<0) Ⅲ
x(3x-2a) (x¾0)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x=;3A; 에서

적분
따라서

: 4`` f(x)dx
극댓값을 갖는다.
;2!; y=f(x)

=: 1`` f(x)dx+:!2`` f(x)dx+:@3`` f(x)dx+:#4`` f(x)dx


;2!;

=: 1`` f(x)dx-:)1`` f(x)dx+:)1`` f(x)dx-:)1`` f(x)dx


2a a 0 x
;;3;; ;3;
;2!;

;2!;
=-:) ` f(x)dx
Ü a=0일 때,

 f(x)=à
;2!;
=-:) `{-6x(x-1)}dx -3xÛ``(x<0)
3xÛ` (x¾0)
;2!;
=:) `(6xÛ`-6x)dx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극댓값이 존재하지 않는

=[2xÜ`-3xÛ`])
;2!; 다. (거짓)
y=f(x)

=2_{;2!;}3`-3_{;2!;}2`

=-;2!; 0 x

②

ㄷ. Ú ㄴ. Ú의 경우

37 f(1)=3-2a이므로 2<3-2a<4에서
ㄱ. x<0일 때, g '(x)=- f(x) 0<a<;2!;
x>0일 때, g '(x)= f(x)
또한, x<0일 때
그런데, 함수 g(x)는 x=0에서 미분가능하고 함수  f(x)는
f '(x)=-(3x-2a)-3x=-6x+2a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이므로
lim {- f(x)}= lim f(x)
x`Ú0- x`Ú0+ lim f '(x)=2a
x`Ú0-
- f(0)= f(0)에서  f(0)=0 (참)

ㄴ. g(0)=:)0`` f(t) dt=0이고 함수 g(x)는 삼차함수이므로


이때 0<2a<1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는 그림과 같이 세 점에서 만난다.

정답과 풀이 ● 71

책1.indb 71 2022-12-01 오후 7:16:12


y=f(x) y=x ① x<0일 때, -x(3x-2a)=x에서
2a-1
-3x+2a=1, x=
3
② x¾0일 때, x(3x-2a)=x에서
0
2a x x(3x-2a-1)=0
;;3;;
2a+1
x=0 또는 x=
3
따라서 2< f(1)<4일 때, 방정식  f(x)=x는 서로 다른
따라서 2< f(1)<4일 때, 방정식  f(x)=x의 서로 다른
2a-1 2a+1
실근의 개수는 3이다. 실근 , 0, 을 갖는다.
3 3
Û ㄴ. Û의 경우
f(1)=3-2a이므로 2<3-2a<4에서

-;2!;<a<0

또한, x>0일 때
f '(x)=(3x-2a)+3x=6x-2a
유형 3 넓이

이므로
lim f '(x)=-2a
38
x`Ú0+
곡선 y=3xÛ`-x와 직선 y=5x의 교점의 x좌표는
이때 0<-2a<1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3xÛ`-x=5x
y=x는 그림과 같이 세 점에서 만난다.
3xÛ`-6x=0
y=f(x)
y=x 3x(x-2)=0
2a x=0 또는 x=2
;;3;;
0 x 구간 [0, 2]에서 직선 y=5x가 곡선 y=3xÛ`-x보다 위쪽에 있거
나 만나므로 구하는 넓이는

:)2``{5x-(3xÛ`-x)} dx=:)2``(6x-3xÛ`) dx

따라서 2< f(1)<4일 때, 방정식  f(x)=x의 서로 다른 =[3xÛ`-xÜ`]2)=4

실근의 개수는 3이다. ④


Ü ㄴ. Ü의 경우
f(1)=3이고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는 그
림과 같이 세 점에서 만난다.
y=f(x) 39
y=x 곡선 y=xÛ`과 직선 y=ax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Û`=ax에서 x(x-a)=0, x=0 또는 x=a
따라서 곡선 y=xÛ`과 직선 y=a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a` |ax-xÛ`|dx=[ xÛ`-;3!;xÜ`]a)


0 x
a
2
aÜ`
=;2!;aÜ`-;3!;aÜ`=
6
따라서 2< f(1)<4일 때, 방정식  f(x)=x의 서로 다른
③
실근의 개수는 3이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다른 풀이
40
ㄷ. Ú ㄴ. Ú의 경우 x>0일 때, 점 B에서 두 함수 y=axÛ`+2와 y=2x의 그래프가 접
0<a<;2!; 이고 하므로

7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72 2022-12-01 오후 7:16:12


axÛ`+2=2x에서 axÛ`-2x+2=0 따라서 2k=;;ª3¥;; 이므로
이차방정식 axÛ`-2x+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k=;;Á3¢;;
D
=(-1)Û`-2a=0
4 ④

a=;2!;

두 함수 y=;2!; xÛ`+2와 y=2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4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므로 함수 y=f(x)의
;2!; xÛ`+2=2x, xÛ`-4x+4=0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x-2)Û`=0, x=2
그림과 같이 색칠된 부분의 넓이를 각각 SÁ, Sª라 하면
두 함수 y=;2!; xÛ`+2, y=2|x|의 그래프가 모두 y축에 대하여 대 SÁ=Sª
칭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y

2_:)2` {;2!;xÛ`+2-2x} dx=2_[;6!;xÜ`+2x-xÛ`]2)


1

=2_;3$;=;3*;

-1 O 1 x
④

적분
y=f(x)

41 -1

f(x)=xÛ`-4x+6이라 하면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f '(x)=2x-4
1만큼 평행이동시킨 함수 y=g(x)의 그래프에서 빗금 친 부분의
곡선 y= f(x) 위의 점 A(3,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넓이를 S£이라 하면
f '(3)=2이므로 접선 l의 방정식은
y
y-3=2(x-3), y=2x-3
따라서 곡선 y= f(x)와 직선 l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2

이는

:)3` {xÛ`-4x+6-(2x-3)}dx=:)3``(xÛ`-6x+9) dx

1

=[;3!; xÜ`-3xÛ`+9x]3)

S£ y=g(x)

=9-27+27=9 O 1 2 x

②

:)2``g(x)dx=SÁ+S£=Sª+S£

42 =2_1=2
A=B이므로 ②
:)2``{(xÜ`+xÛ`)-(-xÛ`+k)}dx=0

이어야 한다. 이때
44
:)2``{(xÜ`+xÛ`)-(-xÛ`+k)}dx=:)2``(xÜ`+2xÛ`-k)dx f(x)=xÛ`-2x이므로

=[;4!;xÝ`+;3@;xÜ`-kx]2)
-f(x-1)-1‌=-{(x-1)Û`-2(x-1)}-1
=-(xÛ`-4x+3)-1

=4+;;Á3¤;;-2k =-xÛ`+4x-4
두 곡선 y=f(x), y=-f(x-1)-1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ª3¥;;-2k=0 xÛ`-2x=-xÛ`+4x-4에서

정답과 풀이 ● 73

책1.indb 73 2022-12-01 오후 7:16:13


xÛ`-3x+2=0, (x-1)(x-2)=0 Z ZYY
x=1 또는 x=2
따라서 두 곡선 y=f(x), y=-f(x-1)-1로 둘러싸인 부분의
0
넓이는 Y

y y=f(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xÜ`-2xÛ`| dx=:)2``(-xÜ`+2xÛ`) dx
1 2
O x

=[-;4!;xÝ`+;3@;xÜ`]2)=;3$;
-1

y=-f(x-1)-1
②
:!2``[{-f(x-1)-1}-f(x)]dx

=:!2``{(-xÛ`+4x-4)-(xÛ`-2x)}dx
47
=:!2``(-2xÛ`+6x-4)dx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에서

=[-;3@; xÜ`+3xÛ`-4x]2!
0ÉxÉ2인 부분과 2ÉxÉ4인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3$;-{-;3%;}=;3!; S=:)4` { g(x)- f(x)} dx

=2:)2``{(-xÛ`+2x)-(xÛ`-4x)} dx
③

=2:)2``(-2xÛ`+6x) dx
45
구하고자 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 하면 =2[-;3@; xÜ`+3xÛ`]2)

S=:)2``| f(x)- g(x)|dx 16 40


=2{- +12}=

=:)2``{ g(x)- f(x)}dx


3 3
①
g(x)-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이고 삼차방정식
g(x)- f(x)=0은 한 실근 0과 중근 2를 가지므로
g(x)- f(x)=3x(x-2)Û` 48
따라서 곡선 y=xÛ`-7x+10과 직선 y=-x+10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S=:)2``3x(x-2)Û`dx
xÛ`-7x+10=-x+10에서
xÛ`-6x=0
=:)2``(3xÜ`-12xÛ`+12x)dx x(x-6)=0

=[;4#;xÝ`-4xÜ`+6xÛ`]2)
x=0 또는 x=6
Z ZY™AY 
=12-32+24=4 ZY 
③ 

46 0  Y

y=xÜ`-2xÛ`
=xÛ`(x-2) 따라서 곡선 y=xÛ`-7x+10과 직선 y=-x+10으로 둘러싸인
곡선 y=xÜ`-2xÛ`은 그림과 같다. 부분의 넓이는

7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74 2022-12-01 오후 7:16:13


:)6``{(-x+10)-(xÛ`-7x+10)}dx :)6``f(x) dx

=:)6``(-xÛ`+6x) dx =:)3``f(x) dx+:#6``f(x) dx

=[-;3!; xÜ`+3xÛ`]6) =:)3``f(x) dx+:#6` { f(x-3)+4}dx

=-;3!;_6Ü`+3_6Û` =:)3``f(x) dx+:)3` { f(x)+4}dx


=-72+108=36
=2:)3``f(x) dx+12
 36
에서

49 2:)3``f(x) dx+12=0

:)3``f(x) dx=-6
xÛ`-5x=x에서
x(x-6)=0

따라서 :#6``f(x) dx=6이므로


x=0 또는 x=6
곡선 y=xÛ`-5x와 직선 y=x가 만나는 점은 원점과 (6, 6)이다.

y y=x2-5x :^9``f(x) dx=12+:#6``f(x) dx

적분
y=x
6 =12+6=18
④
5
6 x
O

곡선 y=xÛ`-5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6``{x-(xÛ`-5x)}dx=:)6``(6x-xÛ`) dx
유형 4 수직선에서 속도와 거리

=[3xÛ`-;3!;xÜ`]6)=36

51
따라서 직선 x=k가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점 P의 시각 t`(t>0)에서의 가속도를 a(t)라 하면

18=:)k``{x-(xÛ`-5x)}dx
v(t)=-4tÜ`+12tÛ`이므로

=:)k``(6x-xÛ`) dx
a(t)=v'(t)=-12tÛ`+24t
시각 t=k에서 점 P의 가속도가 12이므로

=[3xÛ`-;3!;xÜ`]k)=3kÛ`-;3!;kÜ`
-12kÛ`+24k=12
kÛ`-2k+1=0
kÜ`-9kÛ`+54=0
(k-1)Û`=0
(k-3)(kÛ`-6k-18)=0
k=1
이때 0<k<6이므로
한편 v(t)=-4tÜ`+12tÛ`=-4tÛ`(t-3)이므로 3ÉtÉ4일 때
k=3
v(t)É0이다.
①
따라서 t=3에서 t=4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4``|v(t)|dt=:#4``|-4tÜ`+12tÛ`|dt
50
조건 (가)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함수 y=f(x)의 그래프 =:#4``(4tÜ`-12tÛ`) dt

=[tÝ`-4tÜ`]4#
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그래
프가 일치해야 한다.

또, 조건 (나)에서 :)6``f(x) dx=0이므로


=0-(-27)=27
③

정답과 풀이 ● 75

책1.indb 75 2022-12-01 오후 7:16:13


52 t(t-4)=0
따라서 t=4이므로 출발한 시각부터 점 P가 원점으로 돌아올 때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x(t)라 하면

x(t)=11+:#t``(-4t+5) dt
까지 점 Q가 움직인 거리는

:)4` |3t|dt=:)4``3t`dt

=11+[-2tÛ`+5t]t#
=[;2#; tÛ`]4)
=-2tÛ`+5t+14
따라서 x(0)=14 =;2#;_16=24

④ ⑤

53 56
k>3이므로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t)는
:#k``|2t-6|dt=:#k`(2t-6) dt a(t)=v '(t)=12tÛ`-48

=[tÛ`-6t]k#
a(k)=12(kÛ`-4)=0에서 k>0이므로 k=2이다.
0ÉtÉ2일 때 v(t)É0이므로 시각 t=0에서 t=2까지 점 P가 움

=(kÛ`-6k)-(9-18) 직인 거리는

=kÛ`-6k+9=25 :)2``|v(t)| dt=:)2``(-4tÜ`+48t) dt

=[-tÝ`+24tÛ`]2)=-16+96=80
kÛ`-6k-16=0
(k+2)(k-8)=0
따라서 k>3이므로 k=8  80
③

54 57
점 P가 움직이는 방향을 바꾸는 시각을 t=k (k>0)이라 하면
시각 t=2에서 점 P의 위치는

:)2``v(t) dt=:)2``(3tÛ`+at) dt
v(k)=kÛ`-ak=0에서
k=a

=[tÜ`+;2A; tÛ`]2)=8+2a
따라서 점 P가 시각 t=0일 때부터 시각 t=a일 때까지 움직인 거
리는

:)a``|v(t)| dt=:)a``(-tÛ`+at) dt
점 P(8+2a)와 점 A(6) 사이의 거리가 10이므로

=[-;3!; tÜ`+;2A; tÛ`]a)


|(8+2a)-6|=10, 즉 2a+2=Ñ10
따라서 양수 a의 값은 2a+2=10에서
a=4
=-;3!; aÜ`+;2!; aÜ`
④
=;6!; aÜ`

55 =;2(;
점 P의 시각 t`(t¾0)에서의 위치를 xÁ(t)라 하면 aÜ`=27

xÁ(t)=:)t``(2-t) dt 따라서 a=3

=[2t-;2!; tÛ`]t)=2t-;2!; tÛ`


③

출발 후 점 P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온 시각은

2t-;2!; tÛ`=0, tÛ`-4t=0


58
시각 t에서 점 P의 위치를 x(t)라 하면

7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76 2022-12-01 오후 7:16:14


x(t)=0+:)t``v(t) dt :)3``|v(t)|dt

=:)t``(3tÛ`-4t+k) dt
=:)2``|v(t)|dt+:@3``|v(t)|dt
=[tÜ`-2tÛ`+kt]t)
=-:)2``v(t)dt+:@3``v(t)dt

=-:)2``(2tÜ`-8t)dt+:@3``(3tÛ`+4t-20)dt
=tÜ`-2tÛ`+kt
이때 x(1)=-3에서

=-[;2!;tÝ`-4tÛ`]2)+[tÜ`+2tÛ`-20t]3@
-1+k=-3, k=-2
x(t)=tÜ`-2tÛ`-2t이므로
x(3)=27-18-6=3 =-(-8)+9
따라서 시각 t=1에서 t=3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17
x(3)-x(1)=3-(-3)=6  17
6


59
시각 t=0에서의 점 P의 위치와 시각 t=6에서의 점 P의 위치가

적분
서로 같으므로 시각 t=0에서 t=6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이
0이다.

:)6``v(t)dt=:)6``(3tÛ`+at) dt

=[tÜ`+;2A; tÛ`]6)

=36{6+;2A;}=0

a=-12
따라서 v(t)=3tÛ`-12t이므로 점 P가 시각 t=0에서 t=6까지 움
직인 거리는

:)6` |v(t)|dt=:)6` |3tÛ`-12t|dt

=:)4``(-3tÛ`+12t) dt+:$6``(3tÛ`-12t) dt

=[-tÜ`+6tÛ`]4)+[tÜ`-6tÛ`]6$

=32+32=64
①

60
t¾2일 때
v(t)=3tÛ`+4t+C (단, C는 적분상수)
이때 v(2)=0이므로 수능특강 Light
12+8+C=0에서 C=-20
수능 영어 대비를 Light 하게!
즉, 0ÉtÉ3에서
수능특강을 풀기 전
2tÜ`-8t (0ÉtÉ2)
v(t)=à 가볍고 부담 없이 시작하자
3tÛ`+4t-20(2ÉtÉ3)
따라서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정답과 풀이 ● 77

책1.indb 77 2022-12-01 오후 7:16:14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80~84 쪽 02  정답률 27.8%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01 5 02 ③ 03 8 04 ③ 05 8
06 ② 07 80 08 ④ 09 14 10 13 직선 운동에서의 위치의 변화량과 움직인 거리
11 110 12 16 13 41 14 7 15 340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16 80 17 4 18 9 19 432 20 58 ① 시각 t=a에서 시각 t=b (a≤b)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

⇨ :Ab``v(t) dt

01  ② 시각 t=a에서 시각 t=b (a≤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 :Ab``|v(t)|dt
정답률 28.2%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다항함수의 정적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시각 t에 따른 위치의 변화량,
⑴ :Aa`` f(x) dx=0
풀이 전략

움직인 거리를 구하여 주어진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한다.

⑵ :Ab`` f(x) dx=-:Ba`` f(x) dx


문제 풀이

:A ` f(t) dt=f(x)
[STEP 1] t=0, t=1일 때, 점 P의 위치를 파악한다.
d x
⑶ x(0)=0, x(1)=0이므로 점 P의 위치는 x(t)=t(t-1)(at+b)에
dx t=0, t=1을 대입한다.
t=0일 때 수직선의 원점이고, t=1일 때도 수직선의 원점이다.

[STEP 2] :)1``|v(t)|dt=2의 의미를 파악한다.


풀이 전략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한다.

:)1``|v(t)|dt=2이므로 점 P가 t=0에서 t=1까지 움직인 거리


문제 풀이

[STEP 1] 함수 g'(x)를 구해 y=g'(x)의 그래프를 그려 본다.


f(x)=-xÛ`-4x+a이므로
가 2이다.
g(x)=:)/`` f(t) dt에서 [STEP 3] 보기에서 옳은 것을 찾는다.
ㄱ. 점 P의 t=0에서 t=1까지 위치의 변화량이 0이므로

:)1``v(t)dt=0 (참)
g'(x)= f(x)
실수
=-xÛ`-4x+a x(0)=0, x(1)=0을 이용해!

=-(x+2)Û`+a+4 ㄴ. ‌|x(tÁ)|>1이면 점 P와 원점 사이의 거리가 1보다 큰 시각 tÁ


-xÛ`-4x+a=-(xÛ`+4x+4-4)+a
Z =-(x+2)Û`+a+4
이 존재하므로 점 P가 t=0에서 t=1까지 움직인 거리가 2보
다 크다. (거짓) :)1``|v(t)|dt=2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B 
ZH Y ㄷ. ‌0ÉtÉ1인 모든 시각 t에서 |x(t)|<1이면 점 P와 원점 사이
의 거리가 1보다 작고, 점 P가 t=0에서 t=1까지 움직인 거리
가 2이므로 점 P는 0<t<1에서 적어도 한 번 원점을 지나간
 0  Y
다. 즉, x(tª)=0인 tª가 열린구간 (0, 1)에 존재한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STEP 2] a의 최솟값을 구한다. ③
함수 g(x)가 닫힌구간 [0, 1]에서 증가해야 하므로
주의
g'(1)=a-5¾0 g '(0)>g '(1)이므로 닫힌구간 [0, 1]에서
g '(x)¾0이려면 g '(1)¾0이면 돼.
즉, a¾5
따라서 a의 최솟값은 5이다.
5

7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78 2022-12-01 오후 7:16:14


03  정답률 24.7% x y 3 y 5 y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g'(x) - 0 + 0 +


g(x) ↘ 극소 ↗ ↗
⑴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A/`` f(t) dt= f(x) (단, a<x<b)


d 즉, 함수 g(x)는 x=3에서만 극값을 갖는다.
dx
⑵ 함수의 극대, 극소 Ú, Û, Ü에서 함수 g(x)가 오직 하나의 극값을 갖도록 하는 a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이고, x=a의 좌우에 의 값은 3 또는 5이다.
서 f '(x)의 부호가 [STEP 3] 모든 a의 값의 합을 구한다.
①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f(a)이다.
3+5=8
②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f(a)이다. 8

풀이 전략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적분으로 나타내어진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고 함수가 극값을 하나만 갖는 경우를 파악한다.
문제 풀이 Ⅲ
[STEP 1] g '(x)=0을 만족시키는 조건을 구한다.
f(x)=xÜ`-12xÛ`+45x+3에서
04  정답률 24.5%

적분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f '(x)=3xÛ`-24x+45
=3(x-3)(x-5) a<b<c인 실수 a, b, c에 대하여

g(x)=:A/``{ f(x)- f(t)}_{ f(t)}Ý`dt


f(x) (aÉx<b)
함수 h(x)=à 일 때,
g(x) (bÉx<c)

:Ac``h(x) dx=:Ab`` f(x) dx+:Bc`` g(x) dx


= f(x):A/``{ f(t)}Ý`dt-:A/``{ f(t)}Þ`dt
함정
t에 대하여 적분하므로
f(x)는 상수로 생각해.

이므로 풀이 전략 구간별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구한 후 정적

g'(x)= f '(x):A/``{ f(t)}Ý`dt+{ f(x)}Þ`-{ f(x)}Þ` 분의 값을 구한다.

= f '(x):A/``{ f(t)}Ý`dt
문제 풀이

[STEP 1] 조건 (나), (다)를 이용하여 두 함수 f(x), g(x)를 찾고 두 함수의


x=3 또는 x=5
:Aa`` f(x)dx=0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한다.
g'(x)=0에서 f '(x)=0 또는 x=a
[STEP 2] 오직 하나의 극값을 갖도록 하는 a의 값을 구한다. 조건 (나), (다)에 의해 xÛ`+3x=(xÛ`+1)+(3x-1)

Ú a+3, a+5일 때 두 함수 y=xÛ`+1, y=3x-1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g'(x)=0에서 x=3 또는 x=5 또는 x=a xÛ`+1=3x-1에서

따라서 함수 g(x)는 x=3, x=5, x=a에서 모두 극값을 갖는 xÛ`-3x+2=0, (x-1)(x-2)=0

다. x=1 또는 x=2

Û a=3일 때 두 함수 y=xÛ`+1, y=3x-1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g'(x)=0에서 x=3 또는 x=5 ZY  Z


ZY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3 y 5 y

g'(x) - 0 - 0 +
g(x) ↘ ↘ 극소 ↗ 0   Y


즉, 함수 g(x)는 x=5에서만 극값을 갖는다.


[STEP 2]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함수 f(x), g(x)를 각각 구한다.
Ü a=5일 때 주의
xÉ1 또는 x¾2일 때, xÛ`+1¾3x-1 두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면 구간별
g'(x)=0에서 x=3 또는 x=5 함수의 대소 관계를 알 수 있어.
1<x<2일 때, xÛ`+1<3x-1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함수  f(x), g(x)는

정답과 풀이 ● 79

책1.indb 79 2022-12-01 오후 7:16:15


à
2:!3``|v(t)| dt=2:!3``(-3tÛ`+12t-9) dt
xÛ`+1 (xÉ1)

=2[-tÜ`+6tÛ`-9t]3!
f(x)= 3x-1 (1<x<2)
시각 t=a에서 t=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Ab``|v(t)| dt
두 함수 y=xÛ`+1, y=3x-1은
xÛ`+1 (x¾2)

à
xÉ1에서 xÛ`+1¾3x-1
1<x<2에서 3x-1>xÛ`+1
3x-1 (xÉ1) x¾2에서 xÛ`+1¾3x-1 =2{(-27+54-27)-(-1+6-9)}
g(x)= xÛ`+1 (1<x<2) =8
3x-1 (x¾2) 8
[STEP 3] :)2`` f(x) dx의 값을 구한다. 다른 풀이

점 P가 다시 A로 돌아올 때의 시각을 t=a (a>1)이라 하면


따라서
:!a``v(t) dt=0이므로
:)2`` f(x) dx=:)1``(xÛ`+1) dx+:!2``(3x-1) dx

:!a``v(t) dt=:!a``(3tÛ`-12t+9) dt
=[;3!; xÜ`+x]1)+[;2#; xÛ`-x]2!`

=[tÜ`-6tÛ`+9t]a!
=;3$;+{4-;2!;}=:ª6»:
=aÜ`-6aÛ`+9a-4
③
=(a-1)Û`(a-4)
=0
따라서 t=4일 때 점 P가 다시 A로 돌아오므로 구하는 거리는
05 :!4``|v(t)| dt=-:!3``(3tÛ`-12t+9) dt+:#4``(3tÛ`-12t+9) dt
 정답률 24.0%

=-[tÜ`-6tÛ`+9t]3!+[tÜ`-6tÛ`+9t]4#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1<t<3에서 v(t)<0,
t>3에서 v(t)>0
직선 운동에서의 위치의 변화량과 움직인 거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를 v(t)라 하면 =4+4
① 시각 t=a에서 시각 t=b (aÉb)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 =8
⇨ :Ab``v(t) dt

② 시각 t=a에서 시각 t=b (aÉ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 :Ab` |v(t)| dt

풀이 전략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를 적분하여 움직인 거리


06  정답률 23.6%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를 구한다.
문제 풀이 ⑴ 정적분
‌함수 f(x)는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함수 f(x)의 부정적
[STEP 1]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시각을 구한다.
분 중의 하나를 F(x)라 하면

:Ab`` f(x) dx=[F(x)]bA


함정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꿀 때 속도는 0이므로
운동 방향이 바뀌는 것은 v의
값의 부호가 바뀌는 것이므로
v(t)=3tÛ`-12t+9=3(t-1)(t-3) v=0일 때야.
       =F(b)-F(a)
v(t)=0에서 t=1 또는 t=3
⑵ 다항함수의 정적분
0Ét<1에서 v(t)>0,
n이 음이 아닌 정수일 때,

:Ab``xÇ``dx=[ xÇ` ±Ú`]bA=


1<t<3에서 v(t)<0, 1 1
(bÇ` ±Ú`-aÇ` ±Ú`)
t>3에서 v(t)>0 n+1 n+1

이므로 점 P는 t=1일 때 처음으로 운동 방향을 바꾸고 t=3일 때 풀이 전략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함수를 추론한다.
다시 운동 방향을 바꾼다. 문제 풀이
[STEP 2] 점 P가 A에서 방향을 바꾼 순간부터 다시 A로 돌아올 때까지 움
[STEP 1]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고 g(t)의 의미를 파악
직인 거리를 구한다.
한다.
따라서 점 P가 A에서 방향을 바꾼 순간부터 다시 A로 돌아올 때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은

:T/`` f(s) ds=F(x)-F(t)=0이므로 F(x)=F(t)이다.


까지 움직인 거리는 점 P가 t=1부터 t=3까지 이동한 거리의 2
배이므로 구하는 거리는

8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80 2022-12-01 오후 7:16:15


따라서 g(t)는 곡선 y=F(x)와 직선 y=F(t)의 서로 다른 교
점의 개수와 같다.
07  정답률 20.7%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STEP 2]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이용하여 g(1)의 값을 구한다.
xÛ`¾0이므로 x>1,
두 곡선 사이의 넓이
ㄱ. F'(x)= f(x)=xÛ`(x-1)이다. x<1인 경우로 생각한다.
두 함수 y=f(x), y=g(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두 곡
‌함수 F(x)는 x<1에서 감소, x>1에서 증가하므로 x=1에
선 y=f(x), y=g(x)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부분의
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다. 넓이 S는

S=:Ab``|f(x)-g(x)| dx
‌따라서 곡선 y=F(x)와 직선 y=F(1)은 오직 한 점에서 만
나므로 g(1)=1이다. (참)
⇨ ‌두 함수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하여 적분 구간을 정한
곡선 y=F(x)와 직선 y=F(t)의
[STEP 3] 함수 y=F(x)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후 {(위쪽의 식)-(아래쪽의 식)}을 정적분한다.
교점의 개수가 3
ㄴ.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3일 때, 함수
F(x)의 두 극솟값이 같은 경우와 두 극솟값이 다른 경우가
풀이 전략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구한 후 두 곡선으로 둘

있다. 각 경우 곡선 y=F(x)와 직선 y=F(a)가 서로 다른 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한다.


문제 풀이
세 점에서 만나는 실수 a가 존재한다.
[STEP 1]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본다.
y=F(x) y=F(x)
f(x)=xÜ`+xÛ`-x에서

f '(x)=3xÛ`+2x-1=(x+1)(3x-1)

적분
f '(x)=0에서 x=-1 또는 x=;3!;
따라서 g(a)=3인 실수 a가 존재한다. (참)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STEP 4] 함수 y=F(x)의 그래프와 미분을 이용하여 f(x)를 구한다.
ㄷ. ‌함수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거나, 극댓값을 갖지만 두 극 x y -1 y ;3!; y
솟값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는 lim `g(t)+g(b)=6인 실수 b
t`Úb f '(x) + 0 - 0 +
가 존재하지 않는다.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곡선 y=F(x)의 개형은 다음과 같고, F(0)=F(3)
이다. [STEP 2]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가 2이기 위

y=F(x) 한 k의 값을 구한다.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이 f(-1)=1, x=;3!;에서 극솟


f {;3!;}=;2Á7;+;9!;-;3!;=-;2°7; f(-1)=-1+1+1=1
값이 f {;3!;}=-
5
이므로 두 함수  f(x)=xÜ`+xÛ`-x,
함정 27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g(x)=4|x|+k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개수가 2이기 위해서는
xÛ`(x-3)Û`
F(x)=
4 0 3 그림과 같이 x>0인 부분에서 두 함수  f(x)=xÜ`+xÛ`-x, 
f(0)=F'(0)=0이고  f(3)=F'(3)=0이므로 g(x)=4|x|+k의 그래프가 접해야 한다.
‌
xÛ`(x-3)Û` y y=f(x)
‌F(x)-F(0)=
4
y=g(x)
xÝ`-6xÜ`+9xÛ`
=
4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3;

 f(x)=xÜ`-;2(; xÛ`+;2(; x -1 O x

이므로  f(4)=64-72+18=10 (거짓)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x>0일 때 g(x)=4x+k이므로
f '(x)=3xÛ`+2x-1=4에서
3xÛ`+2x-5=0, (3x+5)(x-1)=0

정답과 풀이 ● 81

책1.indb 81 2022-12-01 오후 7:16:15


즉, x=1이므로 접점의 좌표는 (1, 1)이고 f(x)=(x+1)(x-1)(x-a)`(a>1)
g(1)=4+k=1, k=-3 접점 (1, 1)이 직선 y=g(x) 위의 점이므로
이므로 함수 g(x)가 오직 하나의 극값을 가지려면
[STEP 3] 두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고 30_S의 값 g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좌우에서 g '(x)의 부호가 변하
을 구한다. 는 값이 오직 한 개만 존재해야 한다.
또한, x<0일 때 g(x)=-4x-3이므로 두 함수 y= f(x), 이때 g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0 또는 방정식

:)/`` f(t)dt=0의 실근이다.


주의

a<0이므로 :)Ó` f(t)dt=-:ò0`` f(t)dt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xÜ`+xÛ`-x=-4x-3, xÜ`+xÛ`+3x+3=0
[STEP 2] 함수 g(x)가 오직 하나의 극값을 갖는 경우를 구한다.

Ú ‌`:)Ó`` f(t)dt=0을 만족시키는 실수 a`(a<-1)가 반드시 존


(x+1)(xÛ`+3)=0, x=-1
따라서 구하는 넓이 S는

S=:_0!`{(xÜ`+xÛ`-x)-(-4x-3)} dx 재하고, x=a의 좌우에서 g'(x)의 부호는 음에서 양으로 바뀌

+:)1``{(xÜ`+xÛ`-x)-(4x-3)} dx
함정

g '(x)=2x:)/`` f(t)dt
므로 함수 g(x)는 x=a에서 극값을 갖는다.

Û `:)0`` f(t)dt=0이고,


=:_0!`(xÜ`+xÛ`+3x+3) dx+:)1``(xÜ`+xÛ`-5x+3) dx
에서x<0임을 기억해.

-1<x<0인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 f(t)dt<0,


=[;4!; xÝ`+;3!; xÜ`+;2#; xÛ`+3x]0_!+[;4!; xÝ`+;3!; xÜ`-;2%; xÛ`+3x]1)

` 0<x<1인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 f(t)dt>0이므로


=;1!2(;+;1!2#;=;3*;

이므로 30_S=30_;3*;=80 x=0의 좌우에서 :)/`` f(t)dt의 부호는 음에서 양으로 바뀐다.
x<0일 때 :)/`` f(t)dt<0, x>0일 때 :)/`` f(t)dt>0
 80 ‌따라서 g '(x)=2x:)/`` f(t)dt의 부호는 x=0의 좌우에서 항

상 0 이상이므로 함수 g(x)는 x=0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08
[STEP 3] a의 최댓값을 구한다.
 정답률 20.6%
따라서 a가 최대가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그림과 같이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색칠된 두 부분의 넓이가 같을 때이다.
1. 미분가능한 함수의 극대, 극소 ZG Y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f '(a)=0이고 x=a의 좌우에서
⑴ ‌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 
  B Y
이다.

즉, :)a`` f(x)dx=0이어야 하므로


⑵ ‌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
이다.

:)a``(x+1)(x-1)(x-a)dx
2. 적분과 미분의 관계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aÉxÉb일 때,

:A/``f(t)dt=f(x)
=:)a``(xÜ`-axÛ`-x+a)dx
d
dx

=[;4!; xÝ`-;3A; xÜ`-;2!; xÛ`+ax]a)


풀이 전략 정적분으로 표현된 함수가 오직 하나의 극값을 가질 조건을
이용한다.
문제 풀이 =;4!; aÝ`-;3!; aÝ`-;2!; aÛ`+aÛ`
[STEP 1] g '(x)=0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구한다.
=-;1Á2; aÝ`+;2!; aÛ`=-;1Á2;aÛ`(aÛ`-6)=0
g(x)=xÛ`:)/`` f(t)dt-:)/``tÛ`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
a>1이므로 aÛ`=6
하면 즉, a의 최댓값은 '6 이다.

g'(x)=2x:)/`` f(t)dt+xÛ` f(x)-xÛ` f(x) ④

g '(x)=(xÛ`)':)/`` f(t)dt+xÛ` { :)/`` f(t)dt}'


=2x:)/`` f(t)dt
다른 풀이

-{ :)/``tÛ` f(t)dt}'
함수 h(x)=:)/`` f(t)dt라 하면 두 함수 y=h'(x), y=h(x)의

이고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8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82 2022-12-01 오후 7:16:16


y=h'(x) x<1일 때, g(x)=-x이므로 ;3!;x(4-x)=-x에서 x=0
x<1일 때 |x-1|=-x+1이므로 g(x)=-x+1-1=-x
x¾1일 때, g(x)=x-2이므로 ;3!;x(4-x)=x-2에서
-1 1 a x x¾1일 때 |x-1|=x-1이므로 g(x)=x-1-1=x-2
4x-xÛ`=3x-6, xÛ`-x-6=0, (x-3)(x+2)=0, x=3

[STEP 2]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S


y=h(x)
를 구한다.
따라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1 넓이 S는 :)1``[-;3!;xÛ`+;3$;x-(-x)]dx+:!3``[-;3!;xÛ`+;3$;x-(x-2)]dx

S=:)1``{ f(x)-g(x)}dx+:!3``{ f(x)-g(x)}dx


0 1 a x

따라서 h(a)=:)a`` f(t)dt¾0이어야 하므로


=:)1``{-;3!;xÛ`+;3&;x}dx+:!3``{-;3~!;xÛ`+;3!;x+2}dx

:)a``(x+1)(x-1)(x-a)dx =[-;9!;xÜ`+;6&;xÛ`]1)+[-;9!;xÜ`+;6!;xÛ`+2x]3!

=[;4!; xÝ`-;3A; xÜ`-;2!; xÛ`+ax]a) ={-;9!;+;6&;}+[{-3+;2#;+6}-{-;9!;+;6!;+2}] Ⅲ


=;4!; aÝ`-;3!; aÝ`-;2!; aÛ`+aÛ` =;2&;

적분
이므로
=-;1Á2; aÝ`+;2!; aÛ`¾0
4S=4_;2&;=14
aÛ`(aÛ`-6)É0
a>1이므로 1<aÉ'6   14
따라서 a의 최댓값은 '6 이다.

09  정답률 19.6%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두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10  정답률 14.0%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Ú 두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위치 관계를 파악한다.
Û ‌두 함수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하여 적분 구간을 정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적분
한다.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는 절댓값 기호 안의 부호에 따라 구간을
Ü {(위쪽의 식)-(아래쪽의 식)}을 정적분한다. 나누어 적분한다.

풀이 전략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여 넓이를 구한다. 풀이 전략 정적분으로 나타낸 함수를 이해하고 극솟값을 가질 조건을
문제 풀이 구한다.
[STEP 1]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를 그리고, 두 함수의 그래 문제 풀이

프가 만나는 점의 x좌표를 구한다. [STEP 1]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y=f(x)의 그래프의 모양을 파악한다.

두 함수 f(x)=;3!;x(4-x), g(x)=|x-1|-1의 그래프는 그림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면


과 같다. g(x)=:?/` Ñ` 1` | f(t)|dt=:?/` Ñ` 1`` f(t) dt
y y=g(x) 이므로 g(x)는 이차함수이고, 이때 g(x)가 극소인 x의 값은 1개
뿐이다. :` f(x) dx=F(x)로 놓으면 g(x)=F(x+1)-F(x)이므로 이차식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1
3 4 x f(x)=2(x-a)(x-b)`(a<b)라 하면
O
-1 함수 y=|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x=1, x=4에서 함수
y=f(x)
g(x)가 극소이므로 g '(1)=0, g '(4)=0이다.

정답과 풀이 ● 83

책1.indb 83 2022-12-01 오후 7:16:16


y=|f(x)|
11  정답률 12.1%

주의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a<x<x+1<b이면 g(x)
가 극소가 될 수 없어. 1. 다항함수의 도함수
⑴ ‌ y=xÇ`` (x¾2인 정수)이면 y'=nxn-1
x a x+1 x b x+1 x ⑵ ‌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  f(x)Ñg(x)}'=f '(x)Ñg '(x)
[STEP 2] f(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기준으로 각 경우를 나눈다.
2. 다항함수의 정적분
Ú x<a<x+1일 때, ⑴ n이
‌ 음이 아닌 정수일 때,

  :Ab``xndx=[ xn+1]bA=
g(x) 1 1

=:?/` Ñ` 1` | f(t)| dt
(bn+1-an+1)
n+1 n+1
⑵ ‌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Ab``{  f(x)Ñg(x)}dx=:Ab``f(x)dxÑ:Ab``g(x)dx
=:?Ó`` f(t) dt+:ò/` Ñ` 1``{-f(t)}dt

=-:ò/`` f(t) dt-:ò/` Ñ` 1`` f(t) dt


a<x<b일 때, f(x)<0
풀이 전략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를 구하고 f(x)의 정적분의

=-:ò/``2(t-a)(t-b) dt-:ò/` Ñ` 1``2(t-a)(t-b) dt


값을 구한다.
문제 풀이

=-:ò/``2(t-a)(t-b) dt-:ò/ _!`2(t+1-a)(t+1-b) dt


[STEP 1] b의 값을 구한다.
f(x+1)-x f(x)=ax+b에 x=0을 대입하면
이므로 f(1)=b
g '(x)=-2(x-a)(x-b)-2(x+1-a)(x+1-b) 닫힌구간 [0, 1]에서 f(x)=x이므로 b=1
g '(1)=-2(1-a)(1-b)-2(2-a)(2-b) [STEP 2] a의 값을 구한다.
=6a+6b-4ab-10=0 f(x+1)-x f(x)=ax+1이므로
3a+3b-2ab-5=0 yy ㉠ 0ÉxÉ1에서
f(x)=x
Û x<b<x+1일 때, f(x+1)=x f(x)+ax+1
g(x) =xÛ`+ax+1

=:?/` Ñ` 1` | f(t)|dt
x+1=t로 치환하면 x=t-1

=:?Õ``{- f(t)}dt+:ø/` Ñ` 1`` f(t)dt


f(t)=(t-1)Û`+a(t-1)+1
=tÛ`+(a-2)t+2-a   yy ㉠

=:ø/`` f(t)dt+:ø/` Ñ` 1`` f(t)dt


a<x<b일 때, f(x)<0 이므로
f '(t)=2t+(a-2)

=:ø/``2(t-a)(t-b)dt+:ø/` Ñ` 1``2(t-a)(t-b)dt
닫힌구간 [0, 1]에서 f(x)=x이고,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
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이므로 f '(1)=1
=:ø/``2(t-a)(t-b)dt+:ø/ _!`2(t+1-a)(t+1-b)dt 즉, a=1

이므로 [STEP 3] 60_:!2``f(x) dx의 값을 구한다.

g '(x)=2(x-a)(x-b)+2(x+1-a)(x+1-b) ㉠에서 1ÉxÉ2일 때


주의
조건 (나)에 의하여 구간
g '(4)=2(4-a)(4-b)+2(5-a)(5-b) f(x)=xÛ`-x+1 [0, 2]에서 f(x)=xÛ`-x+1

:!2``f(x)dx=:!2``(xÛ`-x+1) dx
=82-18a-18b+4ab=0

=[;3!;xÜ`-;2!;xÛ`+x]2!
9a+9b-2ab-41=0 yy ㉡
13
㉠, ㉡에서 ab= 이므로
2
13 =;3*;-;6%;=:Á6Á:
f(0)=2ab=2_ =13

따라서 60_:!2``f(x) dx=60_:Á6Á:=110


2
  13

 110

8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84 2022-12-01 오후 7:16:16


주의

12
g(2)는 닫힌구간 [0, 2]에서의 적분이므
 닫힌구간 [0, 2]에서 |t|=t이므로

g(2)=;2A;`:)2``(tÛ`-4)(t-2)dt
정답률 10.4% 로 구간 [0, 2]에서 |t|=t임을 이용해.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⑴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2A;`:)2``(tÜ`-2tÛ`-4t+8)dt


:A/`` f(t)dt= f(x)`(단, a<x<b)
=;2A;[;4!;tÝ`-;3@;tÜ`-2tÛ`+8t]2)
d
dx
⑵ ‌사잇값의 정리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a)+ f(b)이면 =;2A;_{4-;;Á3¤;;-8+16}=;;Á3¼;;a
f(a)와 f(b) 사이에 있는 임의의 값 k에 대하여 f(c)=k를 만족
10
시키는 c가 열린구간 (a, b)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조건 (나)에서 g(2)=5이므로 a=5, a=;2#;
3

:Aa``h(x)dx=0
[STEP 4] g(0)- g(-4)의 값을 구한다.

g(0)=:)0``(tÛ`-4){;4#;|t|-;2#;}dt=0이고
풀이 전략 정적분으로 나타내어진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고 함수가 극
값을 갖지 않는 조건을 파악한다. 주의
g(-4)는 닫힌구간 [-4, 0]에
문제 풀이 닫힌구간 [-4, 0]에서 |t|=-t이므로

g(-4)=:)-` 4``(tÛ`-4){;4#;|t|-;2#;}dt
서의 적분이므로 구간 [-4, 0]에
서 |t|=-t임을 이용해.
[STEP 1] x의 값에 따른 g'(x), xÛ`-4, | f(x)|-a의 부호를 파악한다.

g(x)=:A/``(tÛ`-4){| f(t)|-a}dt에서
=;4#;:)-` 4``(tÛ`-4)(-t-2)dt
함정 Ⅲ
극값을 갖지 않는 경우를

=;4#;:)-` 4``(-tÜ`-2tÛ`+4t+8)dt
생각해.
g '(x)=(xÛ`-4){| f(x)|-a}
x=-2, x=2가 방정식 g '(x)=0의 근이지만 조건 (가)에서 함

적분
=;4#; :_0$`(tÜ`+2tÛ`-4t-8)dt :Ab``h(x)dx=-:Ba``h(x)dx
수 g(x)가 극값을 갖지 않아야 하므로 x=-2와 x=2의 좌우에
실수

=;4#; [;4!;tÝ`+;3@;tÜ`-2tÛ`-8t]0_$
서 g '(x)의 부호가 변하지 않아야 하고, f(x)는 일차함수이므로
lim | f(x)|= lim | f(x)|
lim {| f(x)|-a}= lim {|f(x)|-a}=¦ x`Ú¥ x`Ú-¥

x`Ú¦ x`Ú-¦ =¦

이므로 g '(x), xÛ`-4, | f(x)|-a의 부호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16


과 같다. 따라서 g(0)-g(-4)=0-(-16)=16  16

x y -2 y 2 y
수능이 보이는 강의
g'(x) + 0 + 0 +
xÛ`-4 + 0 - 0 + 사잇값의 정리에 의해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a) f(b)<0이면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a, b)에서 적어도
| f(x)|-a + 0 - 0 +
하나의 실근을 가져. 문제에서 함수 | f(x)|-a는 연속함수이고

[STEP 2] | f(x)|의 식을 구한다. x=-2, x=2의 좌우에서 부호가 변하므로 x=-2, x=2를 해로
가져. 따라서 | f(-2)|-a=0, | f(2)|-a=0이 성립해.
함수 | f(x)|-a는 연속함수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 f(-2)|-a=0, | f(2)|-a=0
두 실수 m, n에 대하여 일차함수 f(x)=mx+n`(m+0)이라
하면
|-2m+n|=|2m+n|=a | f(-2)|-a=0, | f(2)|-a=0에서
| f(-2)|=a, | f(2)|=a이므로
가 성립한다.
Ú -2m+n=2m+n인 경우
| f(-2)|=| f(2)|=a
13  정답률 8.7%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m=0이 되어 성립하지 않는다.
Û -2m+n=-(2m+n)인 경우 y축 또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의 정적분
⑴ ‌연속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면, 즉
n=0이고 |m|=;2A;이다. 함수 y=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면

Ú, Û에서 | f(x)|=|mx|=;2A;|x|    :_aA` f(x)dx=2:)a`` f(x)dx

[STEP 3] a의 값을 구한다. ⑵ ‌연속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이면,

g(2)=:)2``(tÛ`-4){| f(t)|-a}dt
즉 함수 y=f(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면

   :_aA` f(x)dx=0
=:)2``(tÛ`-4){;2A;|t|-a}dt

정답과 풀이 ● 85

책1.indb 85 2022-12-01 오후 7:16:16


:#5`` g(x) dx=2_12=24
가로의 길이가 2이고 세로의 길이가 12인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다.
풀이 전략 평행이동을 이용하여 정의된 함수의 그래프를 추론한다.
문제 풀이 조건 (나)에 n=3을 대입
닫힌구간 [5, 7]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STEP 1]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f(1)=3, :)1` f(x)dx=1이고,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원점에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6만큼, y축의 방향으로 18만큼 평행이
동한 그래프이므로

:%6`` g(x) dx=1_15+2


대하여 대칭이다.
주의
Z
f(-x)=-f(x)이므로 ZG Y =17
y=f(x)의 그래프는 원점 
에 대하여 대칭이야.
따라서

:#6`` g(x) dx=:#5`` g(x) dx+:%6`` g(x) dx

=24+17=41

0  Y  41

14  정답률 7.4%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위의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다항함수의 정적분

1_3-1=2 ⑴ :Aa`` f(x)dx=0

⑵ :Ab`` f(x)dx=-:Ba`` f(x)dx (단, a>b)


[STEP 2] 평행이동을 이용하여 닫힌구간 [3, 6]에서의 함수 y=g(x)의 그
래프를 추론한다.
:A ` f(t)dt=f(x)
조건 (나)에 n=1을 대입
d x
조건 (나)에 의해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⑶
dx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풀이 전략 적분과 미분의 관계와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함수식을

그러므로 닫힌구간 [3, 6]에서 :#6`` g(x) dx=:#6``|g(x)| dx는 곡


구한다.
문제 풀이

선 y=g(x)와 x축 및 두 직선 x=3, x=6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STEP 1] 조건 (가)를 이용하여 함수 f(x)의 식을 추론해 본다.
넓이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와 구하는 영역을 나타내면 그 조건 (가)에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림과 같다. x-1
f(x)=;2!; f(x)+;2!; f(1)+ `f '(x)
Z 2
ZH Y
 즉,
 f(x)=f(1)+(x-1)f '(x) yy ㉠


㉠의 좌변인 f(x)의 최고차항을
axÇ``(a는 0이 아닌 상수, n은 자연수)


:!/``f(t)dt=f(x)
라 하면 ㉠의 우변의 최고차항은 d
 dx
x_anxn-1=anxÇ`
[ f(x)-;2!; f(x)+ f(1)-;2!; f(1)]
d x x
 dx 2 2
이므로 axÇ` =anxÇ` 에서
x
 =;2!; f(x)+ f '(x)-;2!; f '(x)+;2!; f(1)
n=1 2

0  Y 이때 f(0)=1이므로 일차함수 f(x)는


f(x)=ax+1`(a는 0이 아닌 상수)
[STEP 3] :#5`` g(x) dx와 :%6`` g(x) dx의 값을 각각 구한 후 :#6`` g(x) dx의 로 놓을 수 있다.
값을 구한다. [STEP 2] 조건 (나)를 이용하여 f(x)의 식을 구한다.

:)2`` f(x)dx=:)2``(ax+1)dx
조건 (나)에 n=2를 대입
닫힌구간 [3, 5]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2A;xÛ`+x]2)=2a+2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12만큼 평행이
동한 그래프이므로

8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86 2022-12-01 오후 7:16:17


:_1!`xf(x)dx=:_1!`(axÛ`+x)dx [STEP 4] 두 곡선 y=f(x), y=g(x)의 교점을 구해 정적분의 값을 구한다.
:_1!`xf(x) dx=:_1!`x(ax+1) dx=:_1!`(axÛ`+x) dx
=2:)1``axÛ``dx
두 곡선 y=f(x), y=g(x)의 교점을 구하면
xÛ`=x(x-6)Û`을 연립하여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0, 0), (4, 16), (9, 81)

=2 [;3A;xÜ`]1)=:ª3: :)6``| f(x)-g(x)|dx


xÜ`-13xÛ`+36x=0, x(x-4)(x-9)=0이므로
x=0 또는 x=4 또는 x=9

=:)4``{ g(x)-f(x)}dx+:$6``{ f(x)-g(x)}dx


이므로 조건 (나)에서

2a+2=5_:ª3:, 6a+6=10a
=[;4!;xÝ`-:Á3£:xÜ`+18xÛ`]4)+[-;4!;xÝ`+:Á3£:xÜ`-18xÛ`]6$
4a=6, a=;2#;
=:£`3$`¼:
따라서 f(x)=;2#;x+1이므로
따라서

3:)a``| f(x)-g(x)|dx=3:)6``| f(x)-g(x)|dx


f(4)=;2#;_4+1=7

7
=3_:£`3$`¼:=340

  340

적분
수능이 보이는 강의
15  정답률 7.4% 상수 a의 값을 구한 후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f(x)¾ g(x)인 경우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와 f(x)<g(x)인 경우를 나누어 :)a``|f(x)-g(x)| dx의 값을 구
해야 돼.
절댓값 기호가 포함된 함수의 정적분
⑴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을 0으로 하는 x의 값을 경계로 적분 구간을
나눈다.
⑵ ‌함수 f(x)가 세 실수 a, b, c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연속일 때

:Ab``f(x)dx=:Ac``f(x)dx+:Cb``f(x)dx임을 이용한다.

풀이 전략 함수의 극한을 이용한 미정계수의 결정을 활용한다. 16  정답률 6.3%


문제 풀이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STEP 1] 조건 (가), (나)를 이용하여 함수 f(x)의 식을 구한다.
적분과 미분의 관계

⑴ ‌정적분으로 나타내어진 함수가 주어진 경우 :Aa`` f(x) dx=0임을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는 조건 (가), (나)에서
f(0)=0, f '(0)=0이므로 f(x)=xÛ`
f(x)-f(0)
lim =f '(0)=0 이용한다.

⑵ ‌ :A/`` f(t) dt=f(x)임을 이용한다.


x`Ú0 x-0

[STEP 2] 조건 (가), (나)를 이용하여 함수 g(x)의 식을 구한다. d


dx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g(x)는 조건 (가), (나)에서
주의
g(0)=0, g(a)=0, g '(a)=0이므로 풀이 전략 함수의 연속성과 적분의 성질을 이용한다.
g(x)
lim =0에서
x-a 문제 풀이
g(x)=x(x-a)ÛÛ` x`Úa

x`Úa일 때 (분모)`Ú0이므로
[STEP 1] g '(x)를 이용하여 g(x)의 식을 구한다.

g(x)=:)/``(t-1)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분자 lim g(x)=0이어야 해.
[STEP 3] 조건 (다)를 이용하여 상수 a의 값을 구한다. x`Úa

:)a``{ g(x)-f(x)}dx=:)a``{xÜ`-(2a+1)xÛ`+aÛ`x}dx
즉, g(a)=0

-3xÜ`+3xÛ` (x<1)
=[;4!;xÝ`- xÜ`+ xÛ`]a)
2a+1 aÛ` g '(x)=(x-1)f(x)=à
2xÛ`-8x+6 (x¾1)
3 2
위의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적분하면

à
=;1Á2;aÝ`-;3!;aÜ`=36
-;4#;xÝ`+xÜ`+CÁ (x<1)
aÝ`-4aÜ`-36_12=0
그러므로 (a-6)(aÜ`+2aÛ`+12a+72)=0 g(x)= (CÁ, Cª는 적분상수)
a>0이므로 a=6 ;3@;xÜ`-4xÛ`+6x+Cª (x¾1)

정답과 풀이 ● 87

책1.indb 87 2022-12-01 오후 7:16:17


조건 (가)의 x| g(x)|=:@/A`(a-t) f(t) dt의 양변에 x=2a를 대
함정
x=1에서 미분가능
g '(1)=0이므로 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다. 하므로 연속이야.
g(0)=0에서 CÁ=0 입하면
x=1에서 연속이므로 -;4#;+1=;3@;-4+6+Cª 2a| g(2a)|=0
x=1에서 연속이므로 이때 a가 양의 상수이므로 g(2a)=0이고 g(x)는 (x-2a)를 인
에서 Cª=-;1@2(; lim g(x)= lim g(x)

à
x`Ú1- x`Ú1+
수로 갖는다. yy ㉡
-;4#;xÝ`+xÜ` (x<1) ㉠, ㉡에서 g(x)=x(x-2a)(x-b)`(단, b는 실수)
g(x)= 함수 (a-x)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3@;xÜ`-4xÛ`+6x-;1@2(; (x¾1)
함수 :@/A`(a-t) f(t) dt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고,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A`(a-t) f(t) dt=(a-x) f(x)이다.


Z d
 ZH Y dx
 
0  Y 즉, 함수 x| g(x)|는 x=2a에서 미분가능하다.
x|g(x)|-2a|g(2a)| x|x(x-2a)(x-b)|
lim = lim 
x`Ú2a+ x-2a x`Ú2a+ x-2a
= lim xÛ`|x-b|
x`Ú2a+


 =4aÛ`|2a-b|

[STEP 2] 함수 h(t)를 구하여 30S의 값을 구한다. x|g(x)|-2a|g(2a)| x|x(x-2a)(x-b)|


lim = lim 

à
x`Ú2a- x-2a x`Ú2a- x-2a
위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함수 h(t)를 구하면
= lim (-xÛ`|x-b|)
x`Ú2a-

1 {t<-;1@2(; 또는 t>;4!;} =-4aÛ`|2a-b|


이므로 4aÛ`|2a-b|=-4aÛ`|2a-b|에서 b=2a이다.
h(t)= 2 {t=-;1@2(; 또는 t=;4!;}
|2a-b|=-|2a-b|이므로 b=2a
따라서 g(x)=x(x-2a)Û`
3 {-;1@2(;<t<;4!;} [STEP 2] 양의 상수 a의 값을 구한다.

:@/A`(a-t) f(t) dt=à


이므로 | lim h(t)- lim h(t)|=2를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은 -xÛ`(x-2a)Û``(x<0)
t`Úa+ t`Úa-
xÛ`(x-2a)Û``(x¾0)
;4!;, -;1@2(; 이다.
이고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따라서 S=|;4!;|+|-;1@2(;|=;3*; 이므로 (a-x) f(x)=à


-4x(x-a)(x-2a)`(x<0)

:@/A`(a-t) f(t) dt의


4x(x-a)(x-2a)`(x¾0)

f(x)=à
30S=30_;3*;=80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한다. 4x(x-2a)`(x<0) {xÛ`(x-2a)Û`}'
=2x(x-2a)Û`+xÛ`_2(x-2a)
  80 -4x(x-2a)`(x¾0) =2x(x-2a)(x-2a+x)
=4x(x-a)(x-2a)
방정식 g( f(x))=0에서
g(x)=0의 해는 x=0 또는 x=2a

17  정답률 6%
f(x)=0 또는  f(x)=2a
방정식  f(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 0, 2a를 가지므로 조건 (나)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에 의해 방정식  f(x)=2a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y

⑴ ‌정적분으로 나타내어진 함수가 주어진 경우 :Aa`` f(x)=0임을 이 y=2a

용한다. y=f(x)

⑵ ‌ :A/`` f(t) dt=f(x)임을 이용한다.


d
dx

풀이 전략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를 이용하여 함수를 구한다. O a 2a x

문제 풀이
곡선 y= f(x)와 직선 y=2a의 교점의 개수가 2이어야 하므로
[STEP 1]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삼차함수 g(x)의 꼴을 구한다. f(a)=-4a(a-2a)=4aÛ`=2a
삼차함수 g(x)의 상수항이 0이므로 g(x)는 x를 인수로 갖는
a=;2!;
다. yy ㉠ g(x)‌=xÜ`+axÛ`+bx
=x(xÛ`+ax+b)

8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88 2022-12-01 오후 7:16:18


[STEP 3] :_2@aA` f(x) dx의 값을 구한다. Û ‌b>a+2일 때
따라서 함수 y=g(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_2@aA` f(x) dx=:_1!` f(x) dx


y
y=g(t)

=:_0!`(4xÛ`-4x) dx+:)1` (-4xÛ`+4x) dx


1

=[;3$; xÜ`-2xÛ`]0_!+[-;3$; xÜ`+2xÛ`]1)


O a-2 a b-2 b t

이는 조건 (나)에서 g(t)가 함숫값 2를 가지므로 모순이다.


=:Á3¼:+;3@;=4
Ü ‌b<a+2일 때
 4
함수 y=g(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2 y=g(t)

18
1
 정답률 5.2%
O a-2 a a+2 t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Ⅲ
b-2 b
1. 삼차함수 f(x)=axÜ`+bxÛ`+cx+d (a>0)의 그래프
이때 b-2ÉaÉa인 a에 대하여 조건 (가)를 만족시키지 못

적분
y=f'(x)
y=f'(x) y=f '(x)
한다.
a b x
a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Ú의 경우이다.
x
x 이차방정식 f '(x)=0은 서로 다른
[STEP 3] f(x)의 식을 구한다. 두 실근 a, a+2를 갖는다.
y=f(x) y=f(x)
y=f(x)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이므로 함수 f '(x)의 최고차항

서로 다른 두 실근 a, b     중근 a        허근 의 계수는 ;2#;이다. 그러므로


2. 다항함수의 부정적분
n이 음이 아닌 정수일 때, f '(x)=;2#;(x-a){x-(a+2)}

:``xndx=
1
n+1
xn+1+C (단, C는 적분상수) =;2#;{xÛ`-(2a+2)x+aÛ`+2a}

로 놓을 수 있다.
풀이 전략 함수의 극한을 이용하여 도함수의 특징을 찾고 조건을 만
이때
족시키는 함수를 구한다.
문제 풀이 f(x)=:``f '(x)dx=;2!;xÜ`-;2#;(a+1)xÛ`+;2#;(aÛ`+2a)x+C

[STEP 1] 이차방정식 f '(x)=0의 근의 성질을 파악한다.  (단, C는 적분상수)   yy ㉠


이차방정식 f '(x)=0이 실근을 갖지 않거나 중근을 갖는 경우에 한편, 조건 (나)에서
는 조건 (나)에서 함수 g(t)가 함숫값 1과 2를 모두 갖는다는 조건 g( f(1))=g( f(4))=2
에 모순이다. 이고 g(t)의 함숫값이 2인 t의 값의 개수는 1이므로
따라서 이차방정식 f '(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f(1)=f(4)
[STEP 2]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y=g(t)의 그래프를 그린다. 즉, ㉠에서
이차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a, b(a<b)라 하자.
;2!;-;2#;(a+1)+;2#;(aÛ`+2a)+C
Ú ‌b=a+2일 때
=32-24(a+1)+6(aÛ`+2a)+C
함수 y=g(t)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2!;-;2#;(a+1)+;2#;(aÛ`+2a)=32-24(a+1)+6(aÛ`+2a)
2 y=g(t)
양변에 2를 곱하면
1
1-3(a+1)+3(aÛ`+2a)=64-48(a+1)+12(aÛ`+2a)
O a-2 a a+2 t 3aÛ`+3a-2=12aÛ`-24a+16
9aÛ`-27a+18=0, aÛ`-3a+2=0
이는 조건 (가)를 만족시킨다. (a-1)(a-2)=0, a=1 또는 a=2

정답과 풀이 ● 89

책1.indb 89 2022-12-01 오후 7:16:18


Ú-① a=1일 때
19  정답률 4.5%
f(x)=;2!;xÜ`-3xÛ`+;2(;x+C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주의
이때 f(1)=a에서 f(1)=1이어야 하므로 g(t)=2일 때 t=a이고 조건 정적분으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과 극한
(나)에서 t=f(1)일 때이므로
;2!;-3+;2(;+C=1 ⑴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A/``f(t)dt=f(x)`(단, a<x<b)
f(1)=a
d
2+C=1, C=-1 dx
이때 f(0)=-1이므로 g(f(0))=g(-1)=1 ⑵ 연속함수 f(x)와 상수 a에 대하여

:A f(t) dt=f(a)
y 1 x+a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① lim
2 x`Ú0 x

:A/``f(t) dt=f(a)
Ú-② a=2일 때 1
y=g(t)
1
② lim
x-a
f(x)=;2!;xÜ`-;2(;xÛ`+12x+C
x`Úa
-1 O 1 3 t

이때 f(1)=a에서 풀이 전략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를 이용한다.


f(1)=2이어야 하므로 문제 풀이

[STEP 1] 함수 y=g(x)의 그래프와 직선 y=g(a)의 위치 관계를 파악한다.


;2!;-;2(;+12+C=2
g(x)=:T/`` f(s) ds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8+C=2, C=-6
이때 f(0)=-6이므로 g( f(0))=g(-6)=0 g '(x)=f(x)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이므로

따라서 Ú-①에서 f(x)=;2!;xÜ`-3xÛ`+;2(;x-1 g(x)=:T/`` f(s) ds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이고 실수

[STEP 4] f(5)의 값을 구한다. 전체의 집합에서 함수 g(x)-g(a)는 미분가능하다.

f(5)=;2!;_5Ü`-3_5Û`+;2(;_5-1=9 g(x)¾g(a)일 때 |g(x)-g(a)|=g(x)-g(a),


g(x)<g(a)일 때 |g(x)-g(a)|=-{ g(x)-g(a)}
9
이므로 함수 |g(x)-g(a)|는 g(x)-g(a)+0인 모든 실수 x에
서 미분가능하다.
수능이 보이는 강의
g(x)-g(a)=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k라 하면
이차방정식 f '(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 a, y=f(x)
g(k)=g(a)이므로
a+2를 가지므로 삼차함수 y=f(x)의 그래
|g(x)-g(a)|-|g(k)-g(a)| |g(x)-g(k)|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 =
x-k x-k
a a+2 Ú x=k의 좌우에서 g(x)-g(a)의 부호가 같을 때
이때 f(1)=f(4)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Ú-①, Ú-②의 |g(x)-g(k)| |g(x)-g(k)|
lim = lim
두 가지 개형을 생각할 수 있어. x`Úk- x-k x`Úk+ x-k

y=f(x)
y=f(x)
이므로 함수 |g(x)-g(a)|는 x=k에서 미분가능하다.
Û x=k의 좌우에서 g(x)-g(a)의 부호가 다르고  f(k)=0일
y=1 y=2
1 4

  
1 4 |g(x)-g(k)| |g(x)-g(k)|
lim = lim
x`Úk- x-k x`Úk+ x-k
Ú-① Ú-②
그런데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Ú-①이야. 이므로 함수 |g(x)-g(a)|는 x=k에서 미분가능하다.
Ü x=k의 좌우에서 g(x)-g(a)의 부호가 다르고  f(k)+0일

|g(x)-g(k)| |g(x)-g(k)|
lim + lim
x`Úk- x-k x`Úk+ x-k
이므로 함수 |g(x)-g(a)|는 x=k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조건 (나)에서 함수 |g(x)-g(a)|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개
수가 1이므로
g(x)-g(a)=0,

9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90 2022-12-01 오후 7:16:19


함정

=[sÝ`-;3*;(a+1)sÜ`+2(aÛ`+4a)sÛ`-8aÛ`s]3@
극솟값을 2개 가지는 경우에
g '(x)= f(x)+0 는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개수가 0 또는 2 또는 4야.
인 x가 단 하나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사차함수 y=g(x)는 단 하나의 극솟값을 갖고 함수  =65-;:!3%:@;(a+1)+10(aÛ`+4a)-8aÛ`
y=g(x)의 그래프와 직선 y=g(a)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2aÛ`-:£3ª:a+:¢3£:=27
g '(x)=0인 방정식 g(x)-g(a)=0의 근을 a, 함수 g(x)가 극
이므로
솟값을 가질 때의 x의 값을 b라 하면 a, b의 대소 관계에 따라 다
3aÛ`-16a-19=0
음과 같이 두 경우로 나눌 수 있다.
(a+1)(3a-19)=0
[STEP 2] a<b인 경우 함수 f(x)의 식을 구한다.
Ú a<b인 경우 (단, g(c)=g(a), b<c) a=-1 또는 a=:Á3»:
ZH Y a<2이므로 a=-1
따라서  f(x)=4(x+1)Û`(x-2)
>
ZH B
= ? [STEP 3] a>b인 경우 함수 f(x)의 식을 구한다.
Û a>b인 경우 (단, g(c)=g(a), c<b)
ZH Y Ⅲ
함수 y=g(x)의 도함수 y= f(x)의 그래프를 그려 보면 그림
>
‌
ZH B
과 같다. ? =

적분
ZG Y

함수 y=g(x)의 도함수 y= f(x)의 그래프를 그려 보면 그림



=
> ?Y 과 같다.
ZG Y

?
g(a)=g(c)=g(a)이므로 a=a 또는 c=a > = Y

조건 (가)에서  f '(a)=0이므로 a=a


따라서  f(x)=4(x-a)Û`(x-b)

h(t)=g(a)=:Ta`` f(s) ds=-:At`` f(s) ds에서


조건 (가)에서  f '(a)=0이므로 a=a
h'(t)=- f(t) 따라서  f(x)=4(x-a)Û`(x-b)
함수 h(t)가 t=2에서 최댓값, 즉 극댓값을 가지므로 a<b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b=2
h'(2)=- f(2)=0  f(x)=4(x-a)Û`(x-2)

a+3이면 h(3)=:#a`` f(s) ds+0이므로 a=3


따라서 a=2 또는 b=2

a=2이면 h(2)=:@2`` f(t) dt=0+27


따라서  f(x)=4(x-3)Û`(x-2)이고

h(2)=:@a`` f(s) ds
이므로 a+2 :@3``4(s-3)Û`(s-2) ds

=:@3``(4sÜ`-32sÛ`+84s-72) ds
b=2이면

h(3)=:#a`` f(s) ds=0이고, =:@3``4(s-3)Û`(s-2) ds =[sÝ`-:£3ª: sÜ`+42sÛ`-72s]3@

h(2)=:@a`` f(s) ds=27이므로 =;3!;

h(2)-h(3)=:@3`` f(s) ds=27


h(2)+27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STEP 4] f(5)의 값을 구한다.

:@3`` f(s) ds=:@3``4(s-a)Û`(s-2) ds 따라서  f(x)=4(x+1)Û`(x-2)이므로

=:@3``4{sÜ`-2(a+1)sÛ`+(aÛ`+4a)s-2aÛ`} ds
f(5)=4_6Û`_3=432
 432

정답과 풀이 ● 91

책1.indb 91 2022-12-01 오후 7:16:20


20  정답률 4.0%
y=f(x) 함정

x<t인 부분에서 x축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과 교점(접점)이 생길
때마다 불연속인 점 a
aÁ aª a£ x 의 개수가 늘어나
xÇ``(n은 음이 아닌 정수)의 부정적분
n이 음이 아닌 정수일 때,

:``xÇ` `dx=
따라서 불연속인 a의 값이 aÁ, aª, a£으로 3개이므로 조건을 만
1


xn+1+C`(단, C는 적분상수)
n+1 족시키지 않는다.
Ü x축과 만나는 교점의 개수가 1인 경우
풀이 전략 삼차함수의 그래프와 함수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f '(x)를
t=aª일 때 y=f(x)
구한 후 적분한다. y=g(x)
문제 풀이 (3, 8)

[STEP 1] x<t에서 함수 y=g(x)의 그래프의 의미를 파악한다.

g(x)=à
t=aÁ일 때
    f(x) (x¾t) y=g(x) (aª, 4)

- f(x)+2 f(t)`(x<t) aª x
에서
lim `g(x)= lim `g(x)=g(t)= f(t) ( 2 (t<aÁ)
x`Út- x`Út+

이므로 함수 g(t)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M 1 (t=aÁ)


h(t)={ 0 (aÁ<t<aª)
함수  f(x)가 x=k에서 극솟값을 갖는다고 하자.
M 1 (t=aª)
이때 함수 y=- f(x)+2 f(t)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
9 0 (t<aª)
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2 f(t)만큼 평
따라서 불연속인 a의 값은 aÁ, aª로 2개이므로 조건을 만족시
행이동한 것이다.
킨다.
즉, 함수 y=g(x)의 그래프는 점 (t,  f(t))에서 x<t인 부분을
직선 y=f(t)에서 [STEP 3] f(8)의 값을 구한다.
y=f(t)인 직선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접어올린 그래프
위의 Ü의 경우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STEP 2] 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교점의 개수를 기준으로
경우를 나눈다.
f '(x)=3(x-3)(x-aª)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이므로
로 놓을 수 있다.
삼차함수  f(x)에 대하여  f(3)=8,  f '(3)=0
f '(x)=3(x-3)(x-aª)=3xÛ`-3(3+aª)x+9aª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교점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양변을 적분하면
Ú x축과 만나는 교점의 개수가 3인 경우
3
f(x)=xÜ`- (3+aª)xÛ`+9aªx+C`(C는 적분상수)
2
y=f(x)
27
f(3)=27- (3+aª)+27aª+C=8   yy ㉠
2
aÁ aª a£ x 3
f(aª)=aªÜ`- (3+aª)aªÛ`+9aªÛ`+C=4   yy ㉡
2
㉠, ㉡을 연립하여 풀면 ㉠에서 C=:¢2£:-:ª2¦: aª이므로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aªÜ`-9aªÛ`+27aª-35=0
aª=5, C=-46
(4
(aª-5)(aªÛ`-4aª+7)=0
(t<aÁ) 따라서  f(x)=xÜ`-12xÛ`+45x-46이므로
M3 (t=aÁ)
M
f(8)=512-768+360-46=58
M2 (aÁ<t<aª)  58
h(t)={ 3 (t=aª)
M2 (aª<t<a£)
M
M1 (t=a£)
90 (t>a£)
따라서 불연속인 a의 값이 aÁ, aª, a£으로 3개이므로 조건을 만
족시키지 않는다.
Û x축과 만나는 교점의 개수가 2인 경우

9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책1.indb 92 2022-12-01 오후 7:16:20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영역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정답과 풀이

책1.indb 93 2022-12-01 오후 7:16:20


( 2(aÛ`+1) (a<2)


본문 86~89 쪽
g(a)={ 2a+b+5(a=2)
함수의 극한과 연속 9 2(aa+b)(a>2)
a<2이면 g(a)=4는 a=-1 또는 a=1을 근으로 가진다.

01 11 02 ④ 03 ① 04 ④ 05 ① a>2이면 a에 대한 방정식 g(a)=4, aa+b=2의 근의 개수는 0,


06 ① 07 ④ 08 ⑤ 09 ① 10 6 1 또는 무수히 많다.
11 ① 12 ③ 13 5 a에 대한 방정식 g(a)=4가 4개의 근을 가지므로 a=2는 방정식
g(a)=4의 근이고, aa+b=2는 1개의 근 aÁ을 가진다.
방정식 g(a)=4의 네 근의 합이 8이므로
유형 1 함수의 극한값의 계산 -1+1+2+aÁ=8, aÁ=6

g(2)=4이고 g(6)=4에서 à
2a+b+5=4
01 xÛ`+22x-xÛ`
2(6a+b)=4
이므로

lim ("ÃxÛ`+22x-x)= lim


x`Ú¦ x`Ú¦
"ÃxÛ`+22x+x a=;4#;, b=-;2%;
22 22
= lim = =11 따라서 a+b=;4#;+{-;2%;}=-;4&;
1+1
®Â1+:ª[:ª +1
x`Ú¦

①
 11

유형 2 좌극한과 우극한 유형 3 미정계수의 결정

02 06
x`2Ú 1+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xÛ`-x+a
lim =b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2Ú2일 때 (분모)`2Ú0
x`Ú1+ x`Ú2 x-2
x`2Ú 3-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x`Ú3-

따라서 lim `f(x)+ lim `f(x)=2+2=4 즉, lim (xÛ`-x+a)=2+a=0에서 a=-2


x`Ú2
x`Ú1+ x`Ú3-

④ xÛ`-x-2 (x-2)(x+1)
lim ‌
=lim
x`Ú2 x-2 x`Ú2 x-2

03 =lim (x+1)=3
x`Ú2

x`2Ú -1+일 때,  f(x)`2Ú 1이므로 lim `f(x)=1 이므로 b=3


x`Ú-1+
따라서 a+b=-2+3=1
x`2Ú 0-일 때,  f(x)`2Ú 0이므로 lim `f(x)=0
x`Ú0- ①
따라서 lim `f(x)+ lim `f(x)=1+0=1
x`Ú-1+ x`Ú0-

①
07
함수  f(x)가 다항함수이므로 조건 (가)에서 함수  f(x)-axÛ`은
04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다.
x`2Ú 0-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f(x)-axÛ`=xÛ`+bx+c (b, c는 상수)로 놓으면
x`Ú0-

x`2Ú 2+일 때,  f(x)`2Ú 2이므로 lim f(x)=2 f(x)=(a+1)xÛ`+bx+c


x`Ú2+
f(x)
따라서 lim f(x)+ lim f(x)=2+2=4 조건 (나)에서 lim =2이고 lim (xÛ`-ax)=0이므로
x`Ú0- x`Ú2+
x`Ú0 xÛ`-ax x`Ú0

④ lim f(x)=0
x`Ú0

즉, lim {(a+1)xÛ`+bx+c}=c=0
05 x`Ú0

f(x) (a+1)xÛ`+bx
g(a)= f(a)+ lim `f(x)라 하면 lim ‌
=lim 
x`Úa+ x`Ú0 xÛ`-ax x`Ú0 xÛ`-ax

9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94 2022-12-01 오후 7:16:21


=lim
x`Ú0
(a+1)x+b
x-a
=-;aB; 10
f(x)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lim =2에서 -;aB;=2, b=-2a
x`Ú0 xÛ`-ax lim f(x)= lim f(x)=f(a)
x`Úa+ x`Úa-
따라서  f(x)=(a+1)xÛ`-2ax이므로
xÛ`+ax+4a
f(2)=4(a+1)-4a=4 즉, lim =aÛ`-10   yy ㉠
x`Úa+ x-a
④ ㉠에서 x`2Ú a+일 때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
다. 즉,
lim (xÛ`+ax+4a)‌=aÛ`+aÛ`+4a=2aÛ`+4a=2a(a+2)=0
x`Úa+

유형 4 함수의 그래프와 연속 에서 a=-2 또는 a=0


Ú a=-2일 때, ㉠에서

08 lim f(x)= lim


x`Ú-2+ x`Ú-2+
xÛ`-2x-8
x+2
g(x)=(x-a)f(x)라 하면
(x+2)(x-4)
= lim = lim (x-4)=-6
a(x-a) (x<1) x`Ú-2+ x+2 x`Ú-2+
g(x)=à
(x+3)(x-a) (x¾1)  f(-2)=(-2)Û`-10=-6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면 함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 따라서 lim f(x)= f(-2)이므로 함수  f(x)는 x=-2에
x`Ú-2+

에서 연속이다. 서 연속이다.
이때 lim g(x)=a(1-a), lim g(x)=4(1-a), Û a=0일 때, ㉠에서
x`Ú1- x`Ú1+

g(1)=4(1-a)이므로 xÛ`
lim f(x)= lim = lim x=0
x`Ú0+ x`Ú0+ x x`Ú0+
lim g(x)= lim g(x)=g(1)이려면
x`Ú1- x`Ú1+
 f(0)= lim f(x)=-10
x`Ú0-

경찰대학 사
a(1-a)=4(1-a)
따라서  f(0)+ lim f(x)가 되어 함수  f(x)는 x=0에서 불연
(a-4)(1-a)=0 x`Ú0+

a=1 또는 a=4 속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관학교 기출 문제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1+4=5이다. Ú, Û에서 a=-2이고,

f(x)=[ xÛ`-2x-8
xÛ`-10 (xÉ-2)
=[
⑤ xÛ`-10 (xÉ-2)
 (x>-2) x-4 (x>-2)
x+2
09 이므로  f(2a)= f(-4)=(-4)Û`-10=6
함수  f(-x) 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6
lim f(-x) f(x)= lim f(-x) f(x)= f(-a) f(a)
x`Úa+ x`Úa-

이어야 한다.
a>0에서 -a<0이므로 11
f(x)-xÜ`
lim f(-x) f(x)‌= f(-a)_ lim (-2x+4) f(x)가 다항함수이고 lim =2에서 함수  f(x)-xÜ`은
x`Úa+ x`Úa+ x`Ú¦ xÛ`
=(aÛ`-5a)(-2a+4)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함수이므로
lim f(-x) f(x)‌= f(-a)_ lim (xÛ`-5a) f(x)=xÜ`+2xÛ`+ax+b`(a,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x`Úa- x`Úa-

=(aÛ`-5a)Û` 어떤 실수 p에 대하여  f(p)=0이라 하면 함수 g(x)가 실수 전체

f(-a) f(a)=(aÛ`-5a)(-2a+4) 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p에서도 연속이다. 따라서


x-1
즉, (aÛ`-5a)(-2a+4)=(aÛ`-5a)Û`에서 lim g(x)= g(p), 즉 lim =;n!; yy ㉠
x`Úp x`Úp f(x)
(aÛ`-5a){(aÛ`-5a)-(-2a+4)}=0
이 성립한다. 이때 lim f(x)= f(p)=0이므로
(aÛ`-5a)(aÛ`-3a-4)=0 x`Úp

a(a-5)(a-4)(a+1)=0 lim (x-1)=p-1=0에서 p=1


x`Úp

a>0이므로 a=4 또는 a=5 f(1)=1+2+a+b=0에서 a=-b-3


따라서 구하는 모든 a의 값의 합은 4+5=9 ① f(x)=xÜ`+2xÛ`+ax+b=(x-1)(xÛ`+3x-b)이므로

정답과 풀이 ● 95

책1.indb 95 2022-12-01 오후 7:16:21


13
x-1 x-1
lim ‌
=lim
x`Ú1 f(x) x`Ú1 (x-1)(xÛ`+3x-b)
1 1 y
=lim = 3 A
x`Ú1 xÛ`+3x-b 4-b
1
㉠에서 =;n!;, 4-b=n
4-b
1
즉, b=4-n {-;5$;, ;5#;} C
h(x)=xÛ`+3x-b=xÛ`+3x+n-4로 놓자. -1
O 1 3 x
만약 어떤 실수 q에 대하여 h(q)=0이면 X
{;5$;, -;5#;}
x-1 1 B -1
lim g(x)=lim =lim
x`Úq x`Úq f(x) x`Úq h(x)

ABÓ="Ã(0-3)Û`+(-1-3)Û` =5
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g(x)는 x=q에서 불연속이 되
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직선 AB의 방정식은 y=;3$; x-1, 즉 4x-3y-3=0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xÛ`+3x+n-4+0이어야
원점을 지나고 직선 AB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y=-;4#; x
하므로 이차방정식 xÛ`+3x+n-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3Û`-4(n-4)<0 원 C의 방정식은 xÛ`+yÛ`=1이므로 y=-;4#; x를 xÛ`+yÛ`=1에 대

-4n<-25, n>:ª4°: 입하면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7이다. xÛ`+{-;4#; x}Û`=1, ;1@6%; xÛ`=1, x=Ñ;5$;


①
점 {-;5$;, ;5#;}과 직선 4x-3y-3=0 사이의 거리는

12 |4_{-;5$;}-3_;5#;-3|
=;5*;
정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원 S의 중심을 I라 하자. "Ã4Û`+(-3)Û`
원 S의 반지름의 길이가 1이므로
점 {;5$;, -;5#;}과 직선 4x-3y-3=0 사이의 거리는
1
IAÓ=IBÓ=ICÓ= =2
sin`;6Ò; |4_;5$;-3_{-;5#;}-3|
=;5@;
정삼각형 ABC 위의 점 P에 대하여 원 S 위의 점 X가 선분 PI와 "Ã4Û`+(-3)Û`

원 S의 교점일 때, 선분 PX의 길이가 최소이다. 원 C 위의 점 X와 직선 4x-3y-3=0 사이의 거리 d의 값에 따

따라서 점 P와 원 S의 거리가 t`(0ÉtÉ1)인 점 P의 개수  f(t)는 라 삼각형 ABX의 넓이 t는 다음과 같다.

중심이 I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t+1인 원과 정삼각형 ABC의 서 d=;5@; 인 점 X의 개수는 3이고, t=;2!;_5_;5@;=1
로 다른 교점의 개수와 같다.
d=;5*; 인 점 X의 개수는 1이고, t=;2!;_5_;5*;=4
A

0<d<;5@; 인 점 X의 개수는 4이고, 0<t<1


I
P ;5@;<d<;5*; 인 점 X의 개수는 2이고, 1<t<4
B C
따라서 삼각형 ABX의 넓이가 t`(0<tÉ4)가 되도록 하는 점 X

( 3 (t=0) 의 개수  f(t)는

f(t)={ 6 (0<t<1) ( 4 (0<t<1)


9 3 (t=1) f(t)={
3 (t=1)

f(0)=3, lim `f(t)=6이므로 함수  f(t)는 t=0에서 불연속이다. 2 (1<t<4)


9 1 (t=4)
t`Ú0+

또,  f(1)=3, lim `f(t)=6이므로 함수  f(t)는 t=1에서 불연속


t`Ú1- lim f(t)=2, lim f(t)=4,  f(1)=3, lim f(t)=2,  f(4)=1
t`Ú1+ t`Ú1- t`Ú4-
이다.
에서 함수  f(t)가 연속하지 않은 t의 값은 1, 4이고 그 합은 5이다.
따라서 a=2, b= lim `f(t)=6이므로 a+b=2+6=8
t`Ú1- 5
③

9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96 2022-12-01 오후 7:16:21



본문 90~97 쪽 f(1)=a+b=1에서 b=1-a
f(x)=axÛ`+(1-a)x에서  f '(x)=2ax+1-a이므로
미분 f '(0)=1-a
f(x)-x axÛ`+(1-a)x-x
lim =lim
x`Ú1 x-1 x`Ú1 x-1
01 18 02 ⑤ 03 30 04 ② 05 ②
ax(x-1)
06 ② 07 ② 08 ⑤ 09 ③ 10 ① =lim
x`Ú1 x-1
11 6 12 ① 13 ② 14 ③ 15 ①
16 ④ 17 ② 18 ⑤ 19 ③ 20 ③ =lim ax=a
x`Ú1

21 7 22 ⑤ 23 ④ 24 ④ 25 ②
㉠에서 1-a=a, a=;2!;
26 ④ 27 ③ 28 21 29 ② 30 ⑤
31 36 32 9 33 ④ 34 ③
따라서  f '(0)=1-a=1-;2!;=;2!;이므로

60_f '(0)=60_;2!;=30
유형 1 평균변화율과 미분계수  30

01
f(x)=(x+3)(xÜ`+x)에서
04
함수  f(x)=xÛ`+px+q`(p, q는 상수)라 하면  f '(x)=2x+p
f '(x)=(xÜ`+x)+(x+3)(3xÛ`+1)이므로
ㄱ.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g(x)는
f '(1)=2+4_4=18
x<1 또는 x>1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 18
lim `g(x)= lim f(x)= f(1)
x`Ú1- x`Ú1-

lim `g(x)= lim {2 f(1)- f(x)}=2 f(1)- f(1)= f(1)


02

경찰대학 사
x`Ú1+ x`Ú1+

g(1)=2 f(1)- f(1)= f(1)


f(2+h)- f(2) f(2+h)- f(2)
[ ]
1
lim ‌
=lim _ 이므로 lim`g(x)=g(1)이다. 
h_ f(h) h f(h)

·관학교 기출 문제
h`Ú0 h`Ú0 x`Ú1

1 따라서 함수 g(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


= f '(2)_
f(0)
에서 연속이다. (참)
=;6!; f '(2)=1
g(-1+h)+g(-1-h)-6
ㄴ. lim
이므로  f '(2)=6 h`Ú0+ h

f(x)=xÜ`-4xÛ`+ax+6에서  f '(x)=3xÛ`-8x+a f(-1+h)+ f(-1-h)-6


= lim
h`Ú0+ h
따라서  f '(2)=12-16+a=6이므로
이 수렴하므로
a=10
lim { f(-1+h)+ f(-1-h)-6}=2 f(-1)-6=0
h`Ú0+
⑤
즉,  f(-1)=3에서 -p+q=2 yy ㉠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03 lim
f(-1+h)+ f(-1-h)-6
h`Ú0+ h
이차함수 f(x)가 f(0)=0이므로 f(x)=axÛ`+bx (a, b는 상수,
f(-1+h)- f(-1) f(-1-h)- f(-1)
a+0)으로 놓을 수 있다. = lim [ - ]
h`Ú0+ h -h
f(x) f(x)-f(0)
lim =lim =f '(0)이므로 = f '(-1)- f '(-1)=0
x`Ú0 x x`Ú0 x-0
f(x) f(x)-x a=0 yy ㉡
lim =lim 에서
x`Ú0 x x`Ú1 x-1 g(1)=1에서  f(1)=1이므로
f(x)-x p+q=0 yy ㉢
f '(0)=lim    yy ㉠
x`Ú1 x-1
㉠, ㉢에서 p=-1, q=1이므로  f(x)=xÛ`-x+1
x`2Ú 1일 때 (분모)`2Ú 0이고 이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에서 g(a)=g(0)= f(0)=1 (참)
lim {`f(x)-x}=0, f(1)=1
x`Ú1 ㄷ. ㄴ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b+1일 때 g(b)=3이고

정답과 풀이 ● 97

책1.indb 97 2022-12-01 오후 7:16:21


g(b+h)+g(b-h)-6
lim
h`Ú0+ h
=0이므로 b=1 유형 3 다항함수의 도함수
g(1+h)+g(1-h)-6
lim 이 수렴하므로
h`Ú0+ h
06
lim { f(1+h)+ f(1-h)-6}=2 f(1)-6=0 f(x)=(xÜ`-2xÛ`+3)(ax+1)에서
h`Ú0+

즉,  f(1)=3에서 p+q=2 yy ㉣ f '(x)=(3xÛ`-4x)(ax+1)+(xÜ`-2xÛ`+3)_a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 '(0)=3a=15
g(1+h)+g(1-h)-6 따라서 a=5
lim
h`Ú0+ h
②
2 f(1)- f(1+h)+ f(1-h)-6
= lim
h`Ú0+ h

= lim
h`Ú0+
- f(1+h)+ f(1-h)
h 07
f(1-h)- f(1) f(1+h)- f(1) f(x)=(xÜ`-2x+3)(ax+3)에서
= lim [- - ]
h`Ú0+ -h h f '(x)=(3xÛ`-2)(ax+3)+(xÜ`-2x+3)_a
=-2 f '(1)=4 f '(1)‌=(a+3)+2a=3a+3=15
즉,  f '(1)=-2 이므로 a=4
f '(1)=2+p=-2, p=-4 ②
㉣에서 q=6이므로  f(x)=xÛ`-4x+6
따라서 g(4)=2 f(1)- f(4)=6-6=0 (거짓)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08
② f(1+h)-3
lim =2에서 h`2Ú 0일 때 (분모)`2Ú 0이므로
h`Ú0 h
(분자)`2Ú 0이어야 한다.
즉, lim { f(1+h)-3}=0이므로 f(1)-3=0, f(1)=3
h`Ú0

f(1+h)-3 f(1+h)-f(1)
lim =lim =f '(1)=2
h`Ú0 h h`Ú0 h
유형 2 미분가능성 g(x)=(x+2)f(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 '(x)=f(x)+(x+2)f '(x)이므로
05 g '(1)=f(1)+(1+2)f '(1)=3+3_2=9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실수 전체의 ⑤
집합에서 연속이다.
lim f(x)=aÛ`-2a, lim f(x)=2a+b,  f(a)=2a+b
09
x`Úa- x`Úa+

즉, aÛ`-4a-b=0
또, 함수  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1
t= 로 놓으면 x`2Ú ¦일 때, t`2Ú 0+이다.
x
f(a+h)- f(a) (a+h)Û`-2(a+h)-(2a+b)
lim ‌= lim  h(x)= f(x)g(x)로 놓으면
h`Ú0- h h`Ú0- h
=2a-2 h '(x)= f '(x)g(x)+ f(x)g '(x)

f(a+h)- f(a) 2a+2h+b-(2a+b) h(1)= f(1)g(1)=0


lim = lim =2
h`Ú0+ h h`Ú0+ h h '(1)= f '(1)g(1)+ f(1)g '(1)
따라서 a=2, b=-4이므로 =3_0+2_2=4
a+b=2+(-4)=-2 f(1+3û`t)g(1+3û`t)
lim `x f {1+ } g {1+ }‌= lim
3û 3û

② x`Ú¦ x x t`Ú0+ t
h(1+3û`t)-h(1)
= lim _3û`
t`Ú0+ 3û`t
=3û`h '(1)=4_3û`
이므로

9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98 2022-12-01 오후 7:16:22


lim ` Á [x f {1+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이라 하면
} g {1+ }]
4 3û 3û
x`Ú¦ k=1 x x

= Á [lim `x f {1+ } g {1+ }]



=1-8=-7<0이므로 실근을 갖지 않는다.
4 3û 3û 4
k=1 x`Ú¦ x x
따라서 두 곡선 y= f(x), y=g(x)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 Á (4_3û`)
4
나지 않는다.
k=1
Ú, Û, Ü에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두 함수  f(x), g(x)는
12(3Ý`-1)
= =480 f(x)=xÛ`(x+4), g(x)=(x+2)(x-4)(x-2)
3-1
③ 이고 두 교점의 x좌표의 합은 이차방정식 ㉡의 근과 계수의 관계

에 의하여 -;2!;이다.

10 ①

조건 (나)에서 5개의 수 -4, aÁ, aª, a£, 4는 이 순서대로 등차수 참고 f(x)=x(x+4)(x+2) 또는  f(x)=(x+4)(x+2)(x-2)
열을 이루므로 공차를 d라 하면 또는  f(x)=x(x+4)(x-2)일 때
4-(-4)=4d, d=2 f '(-2)+0,  f '(0)+0,  f '(2)+0
따라서 aÁ=-2, aª=0, a£=2이므로 방정식  f(x) g(x)=0의 서 이므로 조건 (다)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로 다른 실근은 -4, -2, 0, 2, 4이다.
조건 (가)에서  f(4)+0이고 조건 (다)에서 f(x)는 (x+2)Û` 또는
xÛ` 또는 (x-2)Û`을 인수로 가지므로
f(x)=(x+4)(x+2)Û` 또는  f(x)=xÛ`(x+4) 또는
f(x)=(x+4)(x-2)Û`
유형 4 접선의 방정식

11
Ú f(x)=(x+4)(x+2)Û`일 때,

경찰대학 사
g(x)=x(x-4)(x-2)이고 조건 (다)를 만족시킨다.
f '(x)=9xÛ`-1이므로 곡선 y= f(x) 위의 점 (1,  f(1))에서의
 f(x)=g(x)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관학교 기출 문제
xÜ`+8xÛ`+20x+16=xÜ`-6xÛ`+8x
y- f(1)= f '(1)(x-1)
14xÛ`+12x+16=0, 7xÛ`+6x+8=0 yy ㉠
y-(2+a)=8(x-1), y=8x-6+a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9-56=-47<0이므로 실근을 갖지 않는다. 0=-6+a, a=6
4
따라서 두 곡선 y= f(x), y=g(x)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6

나지 않는다.
Û f(x)=xÛ`(x+4)일 때,
12
g(x)=(x+2)(x-4)(x-2)이고 조건 (다)를 만족시킨다. f(x)=-xÜ`+3xÛ`+4라 하면
 f(x)=g(x)에서 f '(x)=-3xÛ`+6x=-3(x-1)Û`+3
xÜ`+4xÛ`=xÜ`-4xÛ`-4x+16 접선의 기울기  f '(x)는 x=1일 때, 최댓값 3을 갖는다.
8xÛ`+4x-16=0, 2xÛ`+x-4=0 yy ㉡ 이때  f(1)=6이므로 직선 l의 방정식은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y=3(x-1)+6, 즉 y=3x+3
Dª=1+32=33>0이므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직선 l과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따라서 두 곡선 y= f(x), y=g(x)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2!;_1_3=;2#;
난다.
①
Ü f(x)=(x+4)(x-2)Û`일 때,
g(x)=x(x-4)(x+2)이고 조건 (다)를 만족시킨다.
 f(x)=g(x)에서 13
xÜ`-12x+16=xÜ`-2xÛ`-8x 곡선 y=xÛ` 위의 점 (t, tÛ`)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t이므로 접선
2xÛ`-4x+16=0, xÛ`-2x+8=0 yy ㉢ 의 방정식은

정답과 풀이 ● 99

책1.indb 99 2022-12-01 오후 7:16:22


y=2t(x-t)+tÛ` xÜ`+kxÛ`+(2k-1)x+k+3=2x+5
이 접선이 점 (a, b)를 지나므로 b=2t(a-t)+tÛ` xÜ`+kxÛ`+(2k-3)x+k-2=0
tÛ`-2at+b=0 yy ㉠ 이때 x=-1은 삼중근이므로
t에 대한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Ü`+kxÛ`+(2k-3)x+k-2‌=(x+1)Ü`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Ü`+3x+3x+1
D 따라서 k=3
=aÛ`-b>0, b<aÛ`
4
③
이차방정식 ㉠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각각 tÁ, tª라 하면 점 (a, b)
에서 그은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2tÁ_2tª=-1, tÁtª=-;4!;
15
f(x)=xÜ`+xÛ`에서  f '(x)=3xÛ`+2x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점 (t,  f(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tÁtª=b이므로 b=-;4!; yy ㉡ y- f(t)= f '(t)(x-t)
y= f '(t)x+ f(t)-t f '(t) yy ㉠
aÛ`+bÛ`É;1#6&; 에서 aÛ`É;1#6&;-{-;4!;}Û`=;1#6^;=;4(;
접선 ㉠의 y절편이 g Á(t)이므로
-;2#;ÉaÉ;2#; 이므로 g Á(t)‌= f(t)-t f '(t)
=tÜ`+tÛ`-t(3tÛ`+2t)
-;2#;+{-;4!;}Éa+bÉ;2#;+{-;4!;}
=-2tÜ`-tÛ` yy ㉡
-;4&;Éa+bÉ;4%; 마찬가지로 점 (t+1,  f(t+1))에서의 접선의 y절편이 g ª(t)이
므로
따라서 a+b의 최댓값은 ;4%; 이고, 최솟값은 -;4&; , 즉
g ª(t+1)=-2(t+1)Ü`-(t+1)Û` yy ㉢
p=;4%;, q=-;4&;이므로 ㉡, ㉢에서
g Á(t)- g ª(t)‌=(-2tÜ`-tÛ`)-{-2(t+1)Ü`-(t+1)Û`}
pq=;4%;_{-;4&;}=-;1#6%;
=2{(t+1)Ü`-tÜ`}+(t+1)Û`-tÛ`
② =2(3tÛ`+3t+1)+2t+1
=6tÛ`+8t+3
14 =6{t+;3@;}Û`+;3!;¾;3!;
y=xÜ`+kxÛ`+(2k-1)x+k+3에서
따라서 함수 h(t)=| g Á(t)- g ª(t)|= g Á(t)- g ª(t)의 최솟값은
(xÛ`+2x+1)k+(xÜ`-x+3-y)=0 yy ㉠
등식 ㉠이 실수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려면 t=-;3@; 일 때 ;3!; 이다.

xÛ`+2x+1=0, xÜ`-x+3-y=0 ①
이어야 한다.
xÛ`+2x+1=0에서 (x+1)Û`=0, x=-1
xÜ`-x+3-y=0에서
16
y=xÜ`+1에서 y '=3xÛ`
y=xÜ`-x+3=(-1)Ü`-(-1)+3=3
곡선 y=xÜ`+1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 l의 방정식은
따라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k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점
y-2=3(x-1), 즉 y=3x-1
P(-1, 3)을 지난다.
점 (1, 2)를 지나고 직선 l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f '(x)=3xÛ`+2kx+(2k-1)에서
f '(-1)=3-2k+2k-1=2 y-2=-;3!; (x-1), 즉 y=-;3!; x+;3&;   yy ㉠

곡선 y= f(x) 위의 점 P(-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중심이 y축 위에 있고 점 (1, 2)에서 직선 l과 접하는 원의 중심은
y-3= f '(-1)(x+1) 직선 ㉠이 y축과 만나는 점과 같다.
y=2(x+1)+3=2x+5 yy ㉡ ㉠에 x=0을 대입하면 y=;3&;
곡선 y= f(x)와 접선 ㉡이 오직 한 점, 즉 점 P(-1, 3)에서만
만나므로 방정식  f(x)=2x+5의 실근은 x=-1뿐이다. 이때 이 원의 반지름의 길이 r는 두 점 {0, ;3&;}, (1, 2) 사이의 거

10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00 2022-12-01 오후 7:16:22


리와 같으므로
'¶10
유형 5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최대와 최소
r=¾©1¨ Û`+{2-;3&;}`Û =
3
따라서 이 원의 넓이는 18
f '(x)=2xÜ`+2ax=2x(xÛ`+a)이고, x=a에서 극소이므로
prÛ`=:Á9¼: p
f '(a)=2a(aÛ`+a)=2aÛ`(a+1)=0
④
a=0이면  f(x)=;2!; xÝ`+b이므로 극댓값을 갖지 않는다.

a=-1이면  f(x)는 x=0에서 극대이므로  f(0)=b=a+8=7


17 따라서 a+b=-1+7=6
f(x)=xÜ`-xÛ`으로 놓으면 ⑤
f '(x)=3xÛ`-2x=8에서
3xÛ`-2x-8=0, (3x+4)(x-2)=0

x=-;3$; 또는 x=2
19
곡선 y=2-xÛ` 위의 점 P(t, 2-tÛ`)과 점 A(1, 0)에 대하여
점 A는 제1사분면에 있는 점이므로 점 A의 좌표는 (2, 4)이다. ‌
kÛ`=APÓ Û`=(t-1)Û`+(2-tÛ`)Û`
원 S의 중심을 C(0, 2)라 하고,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자. =tÝ`-3tÛ`-2t+5
원 S 위의 점 X를 지나고 직선 OA에 평행한 직선을 l이라 하고 f(t)=tÝ`-3tÛ`-2t+5로 놓자.
점 B에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BXH=h이다. f '(t)=4tÜ`-6t-2=0에서
y
2(t+1)(2tÛ`-2t-1)=0

l 1Ñ'3
B t=-1 또는 t=
S
4 A l' 2

경찰대학 사
H 함수  f(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 H'
2
1-'3 1+'3
D x y -1 y y y

·관학교 기출 문제
2 2
O x
f '(t) - 0 + 0 - 0 +
X f(t) ↘ 극소 ↗ 극대 ↘ 극소 ↗

BXÓ`sin`h=BHÓ이므로 직선 XH가 원 S의 접선일 때, BHÓ의 값 f(-1)=1-3+2+5=5


이 최대이다. 1+'3 1+'3 Ý` 1+'3 Û` 1+'3
f{ }‌={ } -3{ } -2_ +5
직선 OA에 평행한 원 S의 접선 중 y절편이 음수인 것을 l '이라 2 2 2 2
하고, 점 B에서 접선 l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이라 하자. 2+'3 Û` 2+'3
={ } -3_ +4-'3
4-0 2 2
직선 OA의 기울기가 =2이므로 직선 l '의 방정식을
2-0 7+4'3 6+3'3
= - +4-'3
y=2x+k`(k는 음수)로 놓으면 4 2
6'5 6'5 11-6'3
BXÓ`sin`h의 최댓값이 이므로 BH 'Ó= 이고 =
5 5 4
|2_0-4+k| |k-4| 11-6'3
BH 'Ó= = 이므로 따라서 함수  f(t), 즉 kÛ`의 최솟값은 이다.
"Ã2Û`+(-1)Û` '5 4

|k-4| 6'5 ③
= 에서 |k-4|=6
'5 5
k<0에서 k=-2
따라서 원 S의 반지름의 길이는 점 C(0, 2)와 접선 y=2x-2 사 20
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f Á(x)=xÜ`-6xÛ`+5,  f ª(x)=xÛ`-4x+a라 하자.

|2_0-2-2| 4 4'5 f Á'(x)=3xÛ`-12x=3x(x-4)=0에서


r= = =
"Ã2Û`+(-1)Û` '5 5 x=0일 때, 극댓값을 갖는다.
② f ª'(x)=2x-4=0에서

정답과 풀이 ● 101

책1.indb 101 2022-12-01 오후 7:16:22


x=2일 때, 극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함수  f(x)=xÝ`-6xÛ`+7의 극솟값은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0일 때 최댓값 5를 갖고 f(-'3)‌= f('3)=9+(-6)_3+7=-2
x=2일 때 최솟값 a-4를 가지므로 ⑤
5+(a-4)=0, a=-1
따라서 lim f(x)= lim (xÛ`-4x-1)=-4
x`Ú1+ x`Ú1+ 23
③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
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이므로
g(x)= f(-x) yy ㉠
21 조건 (가)에서 lim
f(x)
의 값이 존재하고 x`2Ú 1일 때,
f(x)=xÛ`+ax+b`(a, b는 상수)로 놓자. x`Ú1 x-1
lim `g(x)= lim (-xÛ`+2x+2)=3 (분모)`2Ú 1이므로
x`Ú1- x`Ú1-
lim f(x)=0, 즉  f(1)=0 yy ㉡
lim `g(x)= lim f(x)= f(1) x`Ú1
x`Ú1+ x`Ú1+
f(x)
g(1)= f(1) 조건 (나)에서 lim =k이고, x`2Ú 3일 때,
x`Ú3 (x-3)g(x)
함수 g(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분모)`2Ú 0이므로
f(1)=1+a+b=3
lim f(x)=0, 즉  f(3)=0 yy ㉢
x`Ú3
b=-a+2
1
f(x)=xÛ`+ax-a+2 조건 (다)에서 lim =¦이므로
x`Ú-3+ g '(x)
-2x+2 (x<1) -2x+2 (x<1)
g '(x)=à =à lim `g '(x)=0, 즉 g '(-3)=0
x`Ú-3+
f '(x) (x>1) 2x+a (x>1)
㉠의 양변을 미분하면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g '(x)=-f '(-x)이므로  f '(3)=0 yy ㉣
x>1일 때, g '(x)¾0, 즉  f '(x)¾0이어야 한다.
㉡, ㉢, ㉣에서
f '(1)=2+a¾0에서 a¾-2이므로
f(x)=(x-1)(x-3)Û`h(x)`(h(x)는 다항식)
f(3)=9+3a-a+2=2a+11¾7
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f(3)의 최솟값은 7이다.
조건 (나)에서
7
f(x)
k=lim
x`Ú3 (x-3)g(x)

22 =lim
x`Ú3
(x-1)(x-3)Û`h(x)
(x-3)(-x-1)(-x-3)Û`h(-x)
조건 (가)에 의해 (x-1)(x-3)h(x)
=-lim yy ㉤
f(x)=xÝ`+axÛ`+b로 놓으면 (단, a, b는 상수) x`Ú3 (x+1)(x+3)Û`h(-x)
f '(x)=4xÜ`+2ax=2x(2xÛ`+a) 이때 k가 0이 아닌 상수이므로
조건 (나)에 의해 lim`h(-x)=0, 즉 h(-3)=0
x`Ú3
함수  f(x)의 극댓값이 존재하므로 a<0
h(x)=(x+3)hÁ(x)`(hÁ(x)는 다항식)으로 놓으면 ㉤에서
f '(x)=0에서 x=0 또는 x=Ѿ±-;2A; (x-1)(x-3)(x+3)hÁ(x)
k=-lim
x`Ú3 (x+1)(x+3)Û`(-x+3)hÁ(-x)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1)hÁ(x)
=lim
x`Ú3 (x+1)(x+3)hÁ(-x)
x y -¾±-;2A; y 0 y ¾±-;2A; y 따라서 조건 (가), (나), (다)를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f(x)는
f '(x) - 0 + 0 - 0 + f(x)=(x-1)(x-3)Û`(x+3)hÁ(x)`(hÁ(x)는 다항식)

f(x) ↘ 극소 ↗ 극대 ↘ 극소 ↗ 이때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다항함수  f(x)의 차수가 최소이


려면 hÁ(x)=a`(a는 양의 상수)이어야 하므로 m=4이다.
조건 (나)에 의해  f(0)=b=7
f(x)=a(x-1)(x-3)Û`(x+3)일 때
또,  f(1)=2이므로
a(x-1) 2 1
k=lim` = =
f(1)=1+a+7=2에서 a=-6 x`Ú3 a(x+1)(x+3) 4_6 12

10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02 2022-12-01 오후 7:16:22


1 49 f '(x)=ax(x-1)(x-3)
따라서 m+k=4+ =
12 12
f '(4)=12a=-24에서 a=-2
④
f '(x)=-2(xÜ`-4xÛ`+3x)

f(x)=-2{;4!; xÝ`-;3$; xÜ`+;2#; xÛ`}+C`(C는 적분상수)


24 조건 (가)에서  f(0)=C=2
점 (18, -1)을 지나는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r>0)이라
하고, 원 C와 곡선 y=xÛ`-1이 만나는 점의 좌표를 (t, tÛ`-1)로 따라서  f(x)=-2{;4!; xÝ`-;3$; xÜ`+;2#; xÛ`}+2이므로
놓자. 32 10
f(2)=-2{4- +6}+2=
두 점 (18, -1), (t, tÛ`-1)은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 위의 점 3 3
②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원의 지름의 길이보다는 작거나 같
다. 즉,
"Ã(t-18)Û`+{(tÛ`-1)-(-1)}Û`É2r 26
"Ã(t-18)Û`+tÝ`É2r 각 구간 (-¦, -1), (-1, a), (a, ¦)에서 함수 h(x)는 미분
이때  f(t)=(t-18)Û`+tÝ`=tÝ`+tÛ`-36t+18Û`으로 놓으면 가능하므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려면 x=-1과 x=a에서 미분
f '(t)=4tÜ`+2t-36=2(t-2)(2tÛ`+4t+9) 가능해야 한다.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2tÛ`+4t+9=2(t+1)Û`+7>0이므로 직선 y= g(x)의 기울기는
함수  f(t)는 t=2에서 극소이고 최소이다. f(a)- f(-1) f(a)
= =a(a-1)이고
a-(-1) a+1
f(t)¾ f(2)=16Û`+2Ý`=272이므로
h(x)-h(-1) f(x)- f(-1)
r¾;2!;"Ã f(t)¾;2!;'¶272=2'¶17 lim ‌= lim
x`Ú-1- x-(-1) x`Ú-1- x-(-1)
f(x)
따라서 원 C의 반지름의 길이의 최솟값은 2'¶17이다. = lim
x+1

경찰대학 사
x`Ú-1-
④ = lim x(x-1)=2
x`Ú-1-
다른 풀이
이므로

·관학교 기출 문제
f(x)=xÛ`-1로 놓으면 곡선 y= f(x) 위의 점 (t,  f(t))를 지나
a(a-1)=2, (a-2)(a+1)=0
고 이 점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a>-1이므로 a=2
1 1
y=- (x-t)+ f(t)=- (x-t)+(tÛ`-1)
f '(t) 2t 직선 y= g(x)의 기울기는 2이고 한 점 (-1, 0)을 지나므로
이 직선이 점 (18, -1)을 지날 때 g(x)=2x+2
1 f '(x)=3xÛ`-1이고  f '(x)=2에서 x=-1 또는 x=1
-1=- (18-t)+(tÛ`-1), 2tÜ`+t-18=0
2t
함수 h(x)가 x=2에서 미분가능하므로 h'(2)=2
(t-2)(2tÛ`+4t+9)=0
함수 h(x)가 미분가능하고 일대일대응이므로 점 (1, 0)을 x축의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2tÛ`+4t+9=2(t+1)Û`+7>0이므로 t=2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시켜야 한다.
두 점 (2, 3), (18, -1)의 중점의 좌표는 (10, 1)이다.
x>a일 때,  f(x-m)+n= f(x-1)+6이므로
이때 점 (18, -1)을 지나고 곡선 y=xÛ`-1과 만나는 원 중 반지
m=1, n=6
름의 길이가 최소인 경우는 원의 중심이 (10, 1)일 때이다.
따라서 m+n=7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최솟값은
④
"Ã(18-10)Û`+(-1-1)Û`=2'¶17

25 27
g(x)‌=(xÛ`-4)(xÛ`+n)=xÝ`+(n-4)xÛ`-4n이라 하면
조건 (나)에서
f(x)=| g(x)|
x<0이면  f '(x)>0
g(x)=0에서 xÛ`-4=0, 즉 x=-2 또는 x=2
0<x<1 또는 x>3이면  f '(x)<0
g '(x)=4xÜ`+2(n-4)x=2x(2xÛ`+n-4)=0에서
1<x<3이면  f '(x)>0
4-n
이므로 x=0 또는 xÛ`=
2

정답과 풀이 ● 103

책1.indb 103 2022-12-01 오후 7:16:23


Ú 1ÉnÉ3일 때 y=f(x)

4-n
함수 g(x)는 x=0, x=Ѯ 에서 극값을 갖는다.
2
g(0)=-4n

g {-®Â }‌= g {®Â }


4-n 4-n
2 2
4-n 4-n x=-2 x=0 x=1
={ -4}{ +n}
2 2
(n+4)Û` f(x)=xÝ`+axÜ`+bxÛ`+c`(a, b, c는 상수)라 하면
=-
4 f '(x)=4xÜ`+3axÛ`+2bx
이므로 함수  f(x)=| g(x)|는 f '(-2)=0에서 3a-b=8 yy ㉠
4-n 4-n f '(1)=0에서 3a+2b=-4 yy ㉡
x=0, x=-2, x=2, x=-®Â , x=®Â
2 2
에서 극값을 갖는다. 따라서 a의 개수는 5이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4

Û n=4일 때 f(1)=30에서 c=:»3°:


함수 g(x)는 x=0에서만 극값을 갖는다.
g(0)=-4n=-16 따라서 f(x)=xÝ`+;3$; xÜ`-4xÛ`+:»3°:

이므로 함수  f(x)=| g(x)|는 f(-2)=k이므로 k=21


x=0, x=-2, x=2  21
에서 극값을 갖는다. 따라서 a의 개수는 3이다.
Ü n¾5일 때
함수 g(x)는 x=0에서만 극값을 갖는다.
g(0)=-4n<0 29
이므로 함수  f(x)=| g(x)|는 두 함수 f(x), 2a-f(x)는 모두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
x=0, x=-2, x=2 하므로 함수 g(x)가 미분가능하지 않는 실수 x의 값은 f(x)=a
에서 극값을 갖는다. 따라서 a의 개수는 3이다. 를 만족시키는 실수 x의 값 중에 있다.
Ú, Û, Ü에서 a의 개수가 4 이상인 경우는 1ÉnÉ3 Ú ‌함수 f(x)에서 극소 또는 극대가 되는 실수 x의 값의 개수가 3
이때 함수  f(x)의 모든 극값의 합은 인 경우
| g(0)|+| g(-2)|+| g(2)| 그림과 같이 a의 값에 따라 미분가능하지 않은 실수 x의 개수
는 0 또는 2 또는 4이므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 g {-®Â }|+| g {®Â }|
4-n 4-n

2 2 y=f(x)
(n+4)Û` (n+4)Û` y=a
=4n+0+0+ +
4 4
(n+4)Û`
= +4n
2
따라서 함수  f(x)의 모든 극값의 합은 n=3일 때 최대이다.
Û ‌함수  f(x)에서 극소 또는 극대가 되는 실수 x의 값의 개수가 1
③
이고  f '(x)=0인 실수 x의 개수가 1인 경우
a의 값에 따라 미분가능하지 않은 실수 x의 개수는 0 또는 2이

28 므로 조건 (가)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함수 g(t)가 t=k, t=30에서 불연속이고 주어진 조건에서 y=f(x)

lim g(t)=-2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k를 갖는다.


t`Úk+
y=a
lim g(t)=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30을 갖는다.
t`Ú30+

또 사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f '(0)=0이므로 함


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이 x=-2, x=0, Ü ‌함수  f(x)에서 극소 또는 극대가 되는 실수 x의 개수가 1이
x=1에서 극값을 갖고 f(-2)=k< f(1)=30이 성립한다. 고  f '(x)=0인 실수 x의 개수가 2인 경우

10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04 2022-12-01 오후 7:16:23


‌서로 다른 두 실수 a, b에 대하여 함수 f(x)의 도함수 f '(x)는
f '(x)=(x-a)Û`(x-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0
f(x)=(x-2)Ü`이므로 함수 g(x)는 다음과 같다.
‌이때 함수 f(x)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그림과 같고 a=f(a)일
(x-2)Ü` (-a<x<a)
때, 함수 f(x)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실수 x의 개수가 1이 된다. g(x)=à
mx+n (xÉ-a 또는 x¾a)
y=f(x)
ㄱ. a=1일 때,
y=a (x-2)Ü` (-1<x<1)
g(x)=à
mx+n (xÉ-1 또는 x¾1)
a b c x ‌x=-1과 x=1에서 함수 g(x)가 연속이려면 직선

방정식 g(x)=a의 a가 아닌 다른 한 실근을 c라 하면 x=c에서 y=mx+n은 두 점 (1,  f(1)), (-1,  f(-1))을 지나야 한

함수 g(x)가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c=4이고 다. 즉, 두 점 (1, -1), (-1, -27)을 지나야 하므로

g(4)=2a-f(4)=a에서 -1-(-27)
m= =13 (참)
1-(-1)
f(4)=a
ㄴ. ‌함수 g(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직선
‌x=a와 x=4는 사차방정식  f(x)-a=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y=mx+n은 두 점 (a, f(a)), (-a, f(-a))를 지나야 한
므로
다. 따라서
f(x)=(x-a)Ü`(x-4)+a
f(a)-f(-a)
조건 (나)에서 함수  g(x)-f(x)는 m=
a-(-a)
0  ( f(x)¾a) 2aÜ`+24a
g(x)-f(x)=[ =
2a-2f(x) ( f(x)<a) 2a
=aÛ`+12   yy ㉠
이고, g(x)-f(x)가 최댓값을 가지는 실수 x에서 함수 f(x)는
x=a에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하고 x=a에서 연속이므로
최소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경찰대학 사
ma+n=(a-2)Ü`
f '(x)‌=3(x-a)Û`(x-4)+(x-a)Ü` 또한
=(x-a)Û`(3x-12+x-a) (mx+n)-(ma+n)

·관학교 기출 문제
 g '(a)= lim
=(x-a)Û`(4x-12-a) x`Úa+ x-a

12+a (x-2)Ü`-(a-2)Ü`
f(x)는 x= 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 lim
4 x`Úa- x-a
12+a 에서
=;2&;, a=2
4 (x-2)Ü`-(a-2)Ü`
m= lim
즉,  f(x)=(x-2)Ü`(x-4)+a x`Úa- x-a

함수  g(x)-f(x)는 x=;2&;에서 최댓값 2a를 가지므로 = lim


(x-a){(x-2)Û`+(x-2)(a-2)+(a-2)Û`}
x`Úa- x-a
2a-f {;2&;}=2a-:ª8¦:_{-;2!;}-a=2a에서 a=;1@6&; = lim {(x-2)Û`+(x-2)(a-2)+(a-2)Û`}
x`Úa-

=3(a-2)Û`   yy ㉡
즉,  f(x)=(x-2)Ü`(x-4)+;1@6&;
㉠, ㉡에서 aÛ`+12=3(a-2)Û`, 2a(a-6)=0
따라서
a>0이므로 a=6
f {;2%;}={;2%;-2}Ü`_{;2%;-4}+;1@6&; ㉠에서 m=48 (참)
ㄷ. 점 (a, f(a))에서의 접선 y=f '(a)(x-a)+f(a)를 lÁ, 직선
={;2!;}Ü`_{-;2#;}+;1@6&;
y=mx+n을 lª라 하자.
=;8!;_{-;2#;}+;1@6&; ‌x=-a일 때의 직선 lÁ의 y좌표는  f(a)-2af '(a),
직선 lª의 y좌표는 n-ma이다.
=;1@6$;=;2#;
‌두 직선 lÁ, lª는 점 (a,  f(a))에서 만나고 기울기가 모두 양
②
수이므로  f(a)-2af '(a)>n-ma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은  f '(a)<m이다.

정답과 풀이 ● 105

책1.indb 105 2022-12-01 오후 7:16:23


ㄴ의 ㉠, ㉡에서 3(a-2)Û`<aÛ`+12, 2a(a-6)<0 곡선 y=x(x-a)Û`=xÜ`-2axÛ`+aÛ`x에 접하고 기울기가 4인 직
0<a<6 선은 2개이고 그 두 접점의 x좌표를 각각 p, q`(0<p<q)라 하자.
따라서 자연수 a는 1, 2, 3, 4, 5이고 그 개수는 5이다. (참) y '=3xÛ`-4ax+aÛ`에서 방정식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3xÛ`-4ax+aÛ`=4, 즉 3xÛ`-4ax+aÛ`-4=0
⑤ 의 두 근이 p, q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aÛ`-4
p+q=;3$; a, pq=
3

31 이때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접선 l이 곡선 y=x(x+a)Û`에도

x(x+a)Û` (x<0) 접해야 하며 그 접점은 점 (q,  f(q))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점


f(x)=[ ,즉
x(x-a)Û` (x¾0) 이므로 그 좌표는 (-q, - f(q))이다.

xÜ`+2axÛ`+aÛ`x (x<0) 두 점 (-q, - f(q)), (p,  f(p))를 지나는 직선 l의 기울기가 4


f(x)=[
xÜ`-2axÛ`+aÛ`x (x¾0) 이므로

3xÛ`+4ax+aÛ` (x<0) f(p)+ f(q)


=4,  f(p)+ f(q)=4(p+q)
에서  f '(x)=[ p+q
3xÛ`-4ax+aÛ` (x>0)
x>0일 때,  f(x)=xÜ`-2axÛ`+aÛ`x이므로
ZG Y (pÜ`-2apÛ`+aÛ`p)+(qÜ`-2aqÛ`+aÛ`q)=4(p+q)
Z
M
(pÜ`+qÜ`)-2a(pÛ`+qÛ`)+(aÛ`-4)(p+q)=0 yy ㉠
pÜ`+qÜ`=(p+q)Ü`-3pq(p+q)

={;3$; a}3`-3_ _;3$; a=;2@7*; aÜ`+:Á3¤: a


aÛ`-4
0 Y 3
pÛ`+qÛ`=(p+q)Û`-2pq

={;3$;a}2`-2_ =:Á9¼: aÛ`+;3*;


aÛ`-4
3
이므로 ㉠에 대입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곡선 y= f(x)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접하는 두
접선 중 y절편이 양수인 접선을 l이라 하자. ;2@7*; aÜ`+:Á3¤: a-2a{:Á9¼: aÛ`+;3*;}+(aÛ`-4)_;3$; a=0

조건 (나)에서 함수 g(t)가 불연속인 a의 개수는 접선 l의 기울기


;2¢7; aÜ`-:Á3¤: a=0, aÜ`-36a=0
에 따라 그림과 같다.
a(a+6)(a-6)=0
Z Z
a>0에서 a=6
M M
ZY U ZY U
따라서  f '(0)=aÛ`=36
 36
  
0 Y 0 Y

(l의 기울기)=4일 때 (l의 기울기)<4일 때 유형 6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Z
M
ZY U 32
f(x)=xÜ`-5xÛ`+3x+n이라 하자.
0
  
Y f '(x)=3xÛ`-10x+3=(3x-1)(x-3)=0에서

x=;3!; 또는 x=3

(l의 기울기)>4일 때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 n-9를 갖는다.



조건 (가), (나)를 모두 만족시키려면 접선 l의 기울기가 4이어야 lim f(x)=n>n-9이므로 함수  f(x)는 n-9를 최솟값으로
x`Ú0+

한다. 갖는다.

10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06 2022-12-01 오후 7:16:24


n-9¾0에서 n¾9 이때 g(x)=xÜ`-12x-16É0에서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9이다. (x+2)Û`(x-4)É0, xÉ4
9 따라서 양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④

33
삼차함수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x=1, x=-1에서 34
극값을 가지므로 f(x) f(x)
lim =4, lim =2에서 극한값이 존재하고
x`Ú2 x-2 x`Ú4 x-4
f '(1)=0,  f '(-1)=0
(분모)`2Ú 0이므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f '(x)=3(x-1)(x+1)=3xÛ`-3
lim f(x)=lim f(x)=0, 즉  f(2)= f(4)=0   yy ㉠
x`Ú2 x`Ú4
f(x)=:` f '(x) dx=:`(3xÛ`-3) dx=xÜ`-3x+C`(C는 적분상수)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yy ㉠ f(x) f(x)- f(2)
lim =lim =  f '(2)=4>0
{x| f(x)É9x+9}=(-¦, a]에서 부등식  f(x)É9x+9의 해 x`Ú2 x-2 x`Ú2 x-2
가 xÉa임을 알 수 있다. f(x) f(x)- f(4)
lim =lim =  f '(4)=2>0
x`Ú4 x-4 x`Ú4 x-4
g(x)= f(x)-(9x+9)=xÜ`-12x-9+C로 놓으면
즉, 2<xÁ<xª<4인 어떤 두 실수 xÁ, xª에 대하여 함수  f(x)는
g '(x)=3xÛ`-12=3(x-2)(x+2)
두 닫힌구간 [2, xÁ], [xª, 4]에서 증가한다.
y=g(x)
y 따라서  f(xÁ)>0,  f(xª)<0이 성립하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a)=0   yy ㉡
2
을 만족시키는 실수 a가 열린구간 (xÁ, xª)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2 O x

경찰대학 사
㉠, ㉡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닫힌구간 [2, 4]에서 서로 다
른 세 수 2, a, 4를 포함하여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실근을 가지

·관학교 기출 문제
므로 m=3
③
[그림 1]

[그림 1]과 같이 함수 y=g(x)의 그래프가 x축과 서로 다른 세 점


에서 만나면 부등식 g(x)É0의 해가 xÉa`(a는 양수)의 꼴이 아
니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x축과 두 점 또는 한 점에서만
만나야 한다.
이때 부등식 g(x)É0의 해가 xÉa`(a는 양수)의 꼴이 되려면
[그림 2]와 같이 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이 x좌표가 양수인
점에서만 만나거나 x좌표가 음수인 점에서 접해야 한다.

y=g(x) y=g(x)
y y

O x O x

[그림 2]

이때 양수 a의 값이 최소일 때, 함수 g(x)의 극댓값이 0이므로


g(-2)=(-2)Ü`-12_(-2)-9+C=0
C=-7 yy ㉡

정답과 풀이 ● 107

책1.indb 107 2022-12-01 오후 7:16:24



본문 98~104 쪽 h(x)=;2!;{ f(x)+g(x)+ f(x)-g(x)}= f(x)

적분 f(x)< g(x)일 때

h(x)=;2!;{ f(x)+g(x)- f(x)+g(x)}= g(x)

01 ⑤ 02 ① 03 13 04 ④ 05 ② f(x)=3, 즉 -xÛ`+4x=3
06 ⑤ 07 50 08 21 09 ③ 10 ② xÛ`-4x+3=0, (x-1)(x-3)=0
11 ④ 12 11 13 56 14 10 15 ② x=1 또는 x=3
16 ④ 17 ③ 18 290 19 17 20 ⑤
y
21 21 22 ② 23 34 24 ④ 25 ③
26 ① 27 ② 28 14 3

O1 3 4 x
유형 1 부정적분과 정적분

01 y=-xÛ`+4x

f(x)=:`(4xÜ`+ax)dx
함수 y=g(x)의 그래프가 점 (1, 3)을 지날 때,
=xÝ`+;2A; xÛ`+C`(단, C는 적분상수)
3=2-a에서 a=-1
f(0)=-2에서 C=-2 즉, g(x)=2x+1
f(1)=1에서 1+;2A;-2=1, a=4 이때  f(x)=g(x), 즉 -xÛ`+4x=2x+1

따라서  f(x)=xÝ`+2xÛ`-2이므로 xÛ`-2x+1=0, (x-1)Û`=0

f(2)=22 따라서 두 함수  f(x), g(x)의 그래프는 x=1인 점에서 접한다.

⑤ 함수 h(x)가 극솟값 3을 가지려면 위의 그림과 같이 함수


y=g(x)의 그래프가 점 (3, 3)을 지나야 하므로

02 3=6-a에서
a=3
사차함수  f(x)가 x=1에서 극값 2를 가지므로
f(x)=g(x), 즉 -xÛ`+4x=2x-3
f '(1)=0,  f(1)=2
xÛ`-2x-3=0, (x+1)(x-3)=0
사차식  f(x)가 xÜ`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x=-1 또는 x=3
f(x)=xÜ`(ax+b)`(a, b는 상수이고, a+0)
-xÛ`+4x (-1ÉxÉ3)
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h(x)=à 이므로
2x-3 (x<-1 또는 x>3)
yy ㉠
:)4``h(x) dx=:)3``(-xÛ`+4x) dx+:#4``(2x-3) dx
f(1)=2에서 a+b=2
f '(x)=4axÜ`+3bxÛ`이고,  f '(1)=0에서

xÜ`+2xÛ`]3)+[xÛ`-3x]4#
4a+3b=0 yy ㉡
1
㉠, ㉡에서 a=-6, b=8이므로 =[-
3
f(x)=xÜ`(-6x+8)=-6xÝ`+8xÜ` =(-9+18)+(16-12)-(9-9)
따라서 =13

:)2`` f(x-1)dx=:_1!` f(x)dx=:_1!`(-6xÝ`+8xÜ`)dx  13

=2:)1``(-6xÝ`)dx=-12[ ]1)=-
xÞ` 12
5 5

04
①

03 f '(x)=3(x-k)(x-2k)=3xÛ`-9kx+6kÛ`에서

f(x)¾ g(x)일 때 f(x)=xÜ`-;2(;kxÛ`+6kÛ`x+C (C는 적분상수)라 하면

10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08 2022-12-01 오후 7:16:25


1<x<4에서 함수 y=g(x)=
f(4)-f(1)
(x-1)+f(1)의 그 =2x[ :_0!` f(t) dt+:)/`` f(t) dt]
3
래프는 두 점 (1,  f(1)),(4,  f(4))를 지나는 직선과 같다.  -[ :_0! { f(t)}Û``dt+:)/` { f(t)}Û``dt]

=2x[ :_0! (1+t) dt+:)/` (1-t) dt]


이때 함수 g(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그림과 같이 1Ék<2kÉ4
이고  f(1)< f(4)가 되어야 한다.

-[ :_0! (1+t)Û``dt+:)/` (1-t)Û``dt]


ZG Y


=2x[;2!;_1_1-:!1` -` / `t`dt]-[ :)1``tÛ``dt+:_/! -` 1``tÛ``dt]

]1!- `/`]-{[ ]1)+[ ]/ _-! 1`}


tÛ` tÜ` tÜ`
=2x[;2!;-[
2 3 3
Y YL YL Y
(x-1)Ü`
+ ]
1 1
1Ék<2kÉ4에서 1ÉkÉ2   yy ㉠ =(-xÜ`+2xÛ`+x)-[ +
3 3 3
f(4)- f(1) 4 1
=- xÜ`+3xÛ`-
3 3
=(64-72k+24kÛ`+C)-{1-;2(;k+6kÛ`+C}
Ý x>1일 때,

g(x)=2x:_/!` f(t) dt-:_/! { f(t)}Û``dt


135
=18kÛ`- k+63
2

=2x[ :_1!` f(t) dt+:!/`` f(t) dt]


=;2(;(4kÛ`-15k+14)

-[ :_1! { f(t)}Û``dt+:!/` { f(t)}Û``dt]


=;2(;(k-2)(4k-7)>0

에서 k<;4&; 또는 k>2 yy ㉡
1 2 2
=2x{ _2_1+0}-{ +0}=2x-
2 3 3
㉠, ㉡에서 1Ék<;4&;이므로 a=1, b=;4&;

경찰대학 사
따라서
따라서 b-a=;4&;-1=;4#; ( 0 (x<-1)

·관학교 기출 문제
④ | ;3@;xÜ`+xÛ`-;3!; (-1Éx<0)
g(x)={
-;3$; xÜ`+3xÛ`-;3!; (0ÉxÉ1)
|
05
9 2x-;3@;
g(x)=2x:_/!` f(t) dt-:_/! { f(t)}Û``dt
(x>1)

(
yy ㉠
0 (x<-1)

이므로 g '(x)={
Ú x<-1일 때,  f(x)=0이므로 g(x)=0 2xÛ`+2x (-1Éx<0)
Û -1Éx<0일 때, -4xÛ`+6x (0ÉxÉ1)

g(x)=2x:_/!` f(t) dt-:_/! { f(t)}Û``dt 9 2 (x>1)

=2x:_/! (1+t) dt-:_/! (1+t)Û``dt


y
y=g`'(x)
2

=2x:)/` Ñ` 1``t`dt-:)/` Ñ` 1``tÛ``dt

]/) Ñ` 1`-[ ]/) Ñ` 1`


tÛ` tÜ`
=2x[
2 3 -1 O 1 x
(x+1)Û` (x+1)Ü`
=2x_ -
2 3 x>-1일 때, g '(x)=0에서 x=0
1 2 1 함수 g(x)는 x=0에서 극소이고 최소이므로 함수 g(x)의 최솟
= (x+1)Û`(2x-1)= xÜ`+xÛ`-
3 3 3
Ü 0ÉxÉ1일 때, 값은 g(0)=-;3!;

g(x)=2x:_/!` f(t) dt-:_/! { f(t)}Û``dt


②

정답과 풀이 ● 109

책1.indb 109 2022-12-01 오후 7:16:25


㉠, ㉡에서
유형 2 적분과 미분의 관계
g(x)‌=;3!;(x+1)(x-1)(x-a)

06 =;3!;(xÜ`-axÛ`-x+a) (a는 상수)

:!/`` f(t) dt=xÜ`+ax-3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로 놓자.


g(x) g(x)- g(1)
0=1+a-3, a=2 lim =lim

:!/`` f(t) dt=xÜ`+2x-3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Ú1 x-1 x`Ú1 x-1
=g '(1)=2
즉,  f(1)=2
f(x)=3xÛ`+2
따라서  f(a)= f(2)=3_2Û`+2=14 2a 1
g '(x)= f(x)=xÛ`- x- 에서
3 3
⑤
2a 1
f(1)=1- - =2이므로 a=-2
3 3

07 따라서 f(x)=xÛ`+;3$;x-;3!;이므로

:!/` (2x-1)f(t)dt=xÜ`+ax+b에서 16 1
f(4)=16+ - =21

(2x-1):!/` f(t)dt=xÜ`+ax+b   yy ㉠
3 3
 21

㉠의 양변에 x=;2!;을 대입하면

0=;8!;+;2!;a+b, 4a+8b=-1
09
F'(x)= f(x)+xÛ`+2ax-3으로 놓으면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조건 (가)에서

:!/``F'(t) dt=:!/``[
0=1+a+b, a+b=-1 d d
(2 f(t)-3t+7)] dt
두 식 4a+8b=-1, a+b=-1을 연립하여 풀면 dx dt

{F(x)-F(1)}=:!/``{2 f '(t)-3} dt
d
a=-;4&;, b=;4#; dx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2 f(t)-3t]/!
2:!/` f(t)dt+(2x-1)f(x)=3xÛ`+a
f(x)+xÛ`+2ax-3=2 f(x)-3x-2 f(1)+3
이 등식에 x=1을 대입하면 f(x)=xÛ`+(2a+3)x+2 f(1)-6
0+f(1)=3+a f '(x)=2x+2a+3 yy ㉠

f(1)=3+{-;4&;}=;4%; 조건 (나)에서
f(3+h)- f(3-h)
lim
따라서 40_f(1)=40_;4%;=50 h`Ú0 h
f(3+h)- f(3) f(3-h)- f(3)
 50 =lim [ + ]
h`Ú0 h -h
= f '(3)+ f '(3)=2 f '(3)
08 이므로

g(x)=:_/!` f(t) dt에서 g '(x)=f(x)이고


2 f '(3)=6,  f '(3)=3 yy ㉡
㉠, ㉡에 의하여
g(-1)=0 yy ㉠ 6+2a+3=3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이므로 g(x)는 최고차항 따라서 a=-3
의 계수가 ;3!;인 삼차함수이다. ③

g(x)
lim =2이고 lim (x-1)=0이므로
x`Ú1 x-1 x`Ú1
10
lim g(x)=g(1)=0 yy ㉡ f(x)=xÜ`-xÛ`, g(x)=px-1로 놓자.
x`Ú1

11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10 2022-12-01 오후 7:16:25


m<a<b인 모든 실수 a, b에 대하여 방정식 | f(x)- f(-3)|=k의 서로 다른 실근은 많아야 2개이므

:Ab``{ f(x)-g(x)} dx>0


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f '(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이려면 x>m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 g(x)가 성립해야
이때 g(x)= f(x)- f(-3)으로 놓고 함수 g(x)의 극댓값을 A,
한다.
극솟값을 a라 하자.
따라서 삼차함수 y= f(x)의 그래프는 직선 y= g(x)와 점
Ú A=-a일 때,
(m,  f(m))에서만 만나거나 점 (m,  f(m))을 포함한 두 점에서
두 함수 y=g(x), y=| 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만나야 한다.
y
y=|g(x)|
y y=f(x)
y=g(x)

-1
O 1 x O x

-1

이때 방정식 | g(x)|=k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도록 하는


위의 그림에서 곡선 y= f(x)와 직선 y= g(x)가 접할 때, m의


실수 k의 값은
값이 최소이다.
k=A
점 (0, -1)에서 곡선 y= f(x)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x좌표를 t
뿐이다.
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Û 0<-a<A일 때,
y- f(t)= f '(t)(x-t)
두 함수 y=g(x), y=| 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3tÛ`-2t)(x-t)+(tÜ`-tÛ`) yy ㉠
y y=|g(x)|

경찰대학 사
접선 ㉠이 점 (0, -1)을 지나므로
-1=(3tÛ`-2t)(0-t)+(tÜ`-tÛ`)
2tÜ`-tÛ`-1=0

·관학교 기출 문제
(t-1)(2tÛ`+t+1)=0
O x
2tÛ`+t+1=2{t+;4!;}Û`+;8&;>0

이므로 t=1이고 ㉠에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x-1이다.


xÜ`-xÛ`=x-1에서 이때 방정식 | g(x)|=k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도록 하는

xÜ`-xÛ`-x+1=0 실수 k의 값은
(x+1)(x-1)Û`=0 -a<k<A
x=-1 또는 x=1 Ü 0<A<-a일 때,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m의 범위가 m¾-1이므로 m의 두 함수 y=g(x), y=| 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최솟값은 -1이다. y=|g(x)| y

②

O x

11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그 도함수  f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함수이다.
이때 방정식 | g(x)|=k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도록 하는
f '(x)가 x=-1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함수 y= f '(x)의 그래

실수 k의 값은
프는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다.
A<k<-a
만약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면 함수 y= f(x)의 그래
Ý A=0일 때,
프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므로

정답과 풀이 ● 111

책1.indb 111 2022-12-01 오후 7:16:26


두 함수 y=g(x), y=| 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g(x)는 x=-2에서 극대이므로

y y=|g(x)| m=g(-2)=(-2+3)(4+3-3)=4
따라서 실수 m의 최댓값은 32이다.
④

-3 O x

12
F(x)= f(x)-1, G(x)=g(x)-1이라 하면
F(1)=F'(1)=0 yy ㉠
이때 방정식 | g(x)|=k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도록 하는 이고

실수 k의 값은 0 (F(x)<0)
0<k<-a G(x)=F(x)+|F(x)|=à
2F(x) (F(x)¾0)
Þ a=0일 때, 조건 (가)에서 방정식  f(x)=g(x)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이
두 함수 y=g(x), y=| 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3이므로  f(x)=g(x)에서
y=|g(x)| y f(x)-1=g(x)-1, F(x)=G(x)
F(x)=F(x)+|F(x)|,|F(x)|=0
즉, F(x)=0
따라서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은 3이다.
함수 F(x)는 삼차함수이고 조건 (가)와 ㉠에 의하여
-3 O x F(x)=a(x-1)Û`(x-2)`(a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이때 방정식 | g(x)|=k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도록 하는 g(x)=G(x)+1이므로

:)n` {G(x)+1}dx=:)n``G(x) dx+n



실수 k의 값은
0<k<A
조건 (나)에서

0<:)n``G(x) dx<16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가 0<k<m이려면
A=0이고 m=-a 또는 a=0이고 m=A yy ㉡

이어야 한다. a>0이면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f '(x)=3(x+1)Û`+b=3xÛ`+6x+3+b`(b는 양수) y y=G(x)
로 놓으면

f(x)=:``f '(x) dx

=xÜ`+3xÛ`+(3+b)x+C`(단, C는 적분상수) O 1 2 x

g(x)‌= f(x)- f(-3)


0 (x<2)
=xÜ`+3xÛ`+(3+b)x+3(3+b) 이때 G(x)=à 이므로 n=1일 때 ㉡을 만족시키
2F(x) (x¾2)
=(x+3)(xÛ`+3+b)
지 못한다.
이고 g'(x)= f '(x)이다.
y
① A=0일 때, g'(-3)=g(-3)=0에서 b=-12
 f '(x)=3xÛ`+6x-9=3(x+3)(x-1)
g'(x)=0, 즉  f '(x)=0에서 x=-3 또는 x=1
따라서 함수 g(x)는 x=1에서 극소이므로
m=-g(1)=-(1+3)(1+3-12)=32 y=G(x)
② a=0일 때, g'(0)=g(0)=0에서 b=-3 O 1 2 x
 f '(x)=3xÛ`+6x=3x(x+2)
2F(x) (x<2)
g'(x)=0, 즉  f '(x)=0에서 x=-2 또는 x=0 따라서 a<0이고 G(x)=à
0 (x¾2)

11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12 2022-12-01 오후 7:16:26


0ÉxÉ2이면 F(x)¾0이고 따라서 g(x)=-;2!; x(x-2)Û`에서 g(4)=-8
:)2``G(x) dx=:)2``2F(x) dx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함수 g(x)에 대하여

=:)2``2a(x-1)Û`(x-2) dx
g(4)의 값의 합은
64+(-8)=56

=2a:)2` (xÜ`-4xÛ`+5x-2) dx  56

- xÜ`+ xÛ`-2x]2)
xÝ` 4 5
=2a[
4 3 2
32 4
=2a{4- +10-4}=- a
3
3 3
유형 넓이
이므로 ㉡에서

14
4
0<- a<16, -12<a<0
3
따라서 구하는 정수 a는 -11, -10, y, -1의 11개이다. xÜ`+2x=3x+6에서 xÜ`-x-6=0
 11 (x-2)(xÛ`+2x+3)=0
이므로 곡선 y=xÜ`+2x와 직선 y=3x+6은 x=2에서만 만난다.
0ÉxÉ2에서 직선 y=3x+6은 곡선 y=xÜ`+2x보다 위에 있으

13 므로 구하는 넓이는

:)2` |xÜ`+2x-(3x+6)|dx=:)2` (3x+6-xÜ`-2x) dx


g(x)=(x-2):)/`` f(s) ds에서 g(x)는 삼차함수이다.

직선 y=tx가 곡선 y=g(x)와 점 (a, ta)에서 접하면 함수 h(t) =:)2` (-xÜ`+x+6) dx

xÝ`+ xÛ`+6x]2)=10
는 t=a에서 불연속이다.

경찰대학 사
1 1
=[-
이때 g(0)=0, g(2)=0이므로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함수 h(t) 4 2
는 t=0, t=-2에서 불연속이다.  10

·관학교 기출 문제
따라서 두 직선 y=0, y=-2x는 모두 곡선 y=g(x)의 접선이
다.
15
Ú곡
 선 y=g(x)가 점 (0, 0)에서 직선 y=0, 즉 x축과 접하는
두 곡선 y=xÛ`, y=(x-4)Û`의 교점은 (2, 4)이므로

SÁ=:)2` {(x-4)Û`-xÛ`}dx
경우
g(x)=axÛ`(x-2) (a는 0이 아닌 상수)로 놓을 수 있다.
이때 곡선 y=g(x)가 직선 y=-2x와 접하므로 =:)2` (-8x+16)dx

=[-4xÛ`+16x]2)
axÛ`(x-2)=-2x, x(axÛ`-2ax+2)=0
이때 이차방정식 axÛ`-2ax+2=0이 x=0이 아닌 중근을 가
져야 하므로 판별식을 D라 하면 =-16+32=16

Sª=:@4` {xÛ`-(x-4)Û` }dx


D
=aÛ`-2a=0, a=2
4
따라서 g(x)=2xÛ`(x-2)에서 g(4)=64 =:@4` (8x-16)dx

=[4xÛ`-16x]4@
Û곡
 선 y=g(x)가 점 (2, 0)에서 직선 y=0, 즉 x축과 접하는
경우
g(x)=ax(x-2)Û` (a는 0이 아닌 상수)로 놓을 수 있다. =48-32=16
이때 곡선 y=g(x)가 직선 y=-2x와 접하므로 따라서 SÁ+Sª=16+16=32
ax(x-2)Û`=-2x, x(axÛ`-4ax+4a+2)=0 ②
이때 이차방정식 axÛ`-4ax+4a+2=0이 중근 x=0을 가져
야 하므로
16
4a+2=0, a=-;2!; y=xÛ`-1에서 y '=2x

정답과 풀이 ● 113

책1.indb 113 2022-12-01 오후 7:16:26


곡선 y=xÛ`-1 위의 점 (t, tÛ`-1) (0<t<1)에서의 접선 l의 방 따라서
정식은 (4+2)Ü` (4-1)Ü`
h(-2)+h(1)= +
3 3
y-(tÛ`-1)=2t(x-t), y=2tx-tÛ`-1
=72+9=81
곡선 y=xÛ`-1과 직선 l 및 두 직선 x=0, x=1로 둘러싸인 도형
③
의 넓이를  f(t)라 하면

f(t)=:)1``{(xÛ`-1)-(2tx-tÛ`-1)} dx
18
=:)1``(xÛ`-2tx+tÛ`) dx=:)1``(x-t)Û` dx
-aÉxÉa에서  f(x)=;a#; xÛ`, x<-a 또는 x>a에서  f(x)=3a

]1)=
(x-t)Ü` (1-t)Ü`-(-t)Ü`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_3#`| f(x)| dx=:_3#` f(x) dx=8에서 :)3`` f(x) dx=4


3 3

={t-;2!;}Û`+;1Á2;
1-3t+3tÛ`
=
3
Ú a¾3인 경우

:)3``` f(x) dx=:)3``;a#; xÛ``dx=[;a!; xÜ`]3)=:ªa¦:=4


0<t<1이므로 함수  f(t)의 최솟값은

f {;2!;}=;1Á2;
에서 a=:ª4¦:
④
Û a<3인 경우

:)3`` f(x) dx‌=:)a``;a#; xÛ``dx+:A3``3a`dx


17 =[;a!; xÜ`]a)+[3ax]3A
함수 y=-(x-2)Û`+8의 그래프는 함수 y=(x+2)Û`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 =aÛ`+9a-3aÛ`
으로 8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aÛ`+9a=4
y y=f(x) 2aÛ`-9a+4=0, (2a-1)(a-4)=0
y=mx+4
a=;2!; 또는 a=4

4
a<3이므로 a=;2!;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a의 값의 합 S는

m-4 O x S=:ª4¦:+;2!;=:ª4»:

따라서 곡선 y= f(x)는 점 (0, 4)에 대하여 대칭인 그래프이다. 따라서 40S=290

(x+2)Û`=mx+4에서  290

xÛ`+(4-m)x=0
x=0 또는 x=m-4
곡선 y=(x+2)Û`과 직선 y=mx+4`(m<4)로 둘러싸인 부분의
19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면 x=0에서 연속이
넓이와 곡선 y=-(x-2)Û`+8과 직선 y=mx+4`(m<4)로 둘
므로
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서로 같으므로
lim f(x)= lim f(x)= f(0)
h(m)=2:M0 _ $ {mx+4-(x+2)Û`}dx
x`Ú0+ x`Ú0-

lim f(x)= f(0)=0

=2:M0 _ $ {(m-4)x-xÛ`}dx
x`Ú0+

x`2Ú 0-일 때, (x+1)`2Ú 1-이므로

xÛ`- ]0`M _ $
조건 (나)에 의해
m-4 xÜ`
=2[ lim f(x)= lim { f(x+1)-aÛ`}= lim { f(t)-aÛ`}
2 3 x`Ú0- x`Ú0- t`Ú1-

(m-4)Ü` (m-4)Ü` = lim {(2tÛ`+at)-aÛ`}


=2[- + ] t`Ú1-
2 3
=2+a-aÛ`
(m-4)Ü` (4-m)Ü`
=- = 2+a-aÛ`=0, 즉 aÛ`-a-2=0에서
3 3

11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14 2022-12-01 오후 7:16:26


(a+1)(a-2)=0 aÝ`
= -(a+1)aÜ`+3aÜ`
2
a=-1 또는 a=2
aÜ`(4-a)
a>0이므로 a=2 = yy ㉡

:)1`` f(x) dx=:)1``(2xÛ`+2x) dx


2
t`2Ú 0일 때, a`2Ú 0이므로 ㉠, ㉡에서

=[;3@; xÜ`+xÛ`]1)=;3%;
:)a`` f(x) dx‌=lim
aÜ`(4-a)
1 2
lim
t`Ú0 g(t) a`Ú0 aÜ`(3-a)

조건 (나)에서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2


4-a
f(x+n)‌= f(x+n-1)+4 =lim =;3$;
a`Ú0 3-a
= f(x+n-2)+4_2
⑤

= f(x)+4n
이 성립한다.
따라서 곡선 y= f(x)와 x축 및 직선 x=3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21
넓이는 이차함수  f(x)의 도함수를

:)3`` f(x) dx=:)1`` f(x) dx+:!2`` f(x) dx+:@3`` f(x) dx


f '(x)=ax+b(a, b는 상수, a+0)라 하면

=:)1`` f(x) dx+:)1`{ f(x)+4} dx+:)1`{ f(x)+8} dx


h'(2)=1이므로
2a+b=1, b=1-2a

=:)1``{3 f(x)+12} dx
f '(x)=ax+1-2a
양변을 x에 대하여 부정적분하면

=3:)1`` f(x) dx+[12x]1)` f(x)=;2A; xÛ`+(1-2a)x+CÁ`(단, CÁ은 적분상수)

경찰대학 사
=3_;3%;+12=17 이고  f(2)=2이므로
f(2)=2a+(1-2a)_2+CÁ=2에서
 17

·관학교 기출 문제
CÁ=2a
따라서
20 f(x)=;2A; xÛ`+(1-2a)x+2a
f(x)=2xÜ`-(t+3)xÛ`+2tx에서
이차함수 g(x)의 도함수를
f '(x)=6xÛ`-2(t+3)x+2t
g '(x)=cx+d(c, d는 상수, c+0)라 하면
=2(3x-t)(x-1)
h'(4)=1이므로
f '(x)=0에서 x=;3T; 또는 x=1 g '(4)=4c+d=1, d=1-4c
g '(x)=cx+1-4c
0<t<3에서 0<;3T;<1이므로 함수  f(x)는 x=;3T; 에서 극댓값을
또한  f '(3)=g '(3)이므로
갖는다.
3a+1-2a=3c+1-4c
따라서 a=;3T;, 즉 t=3a이고 c=-a
f(a)=2aÜ`-(3a+3)aÛ`+6aÛ` 따라서
=aÛ`(3-a)>0 g '(x)=-ax+1+4a
이므로 세 점 (0, 0), (a, 0), (a,  f(a))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 양변을 x에 대하여 부정적분하면
형의 넓이는 g(x)=-;2A; xÛ`+(1+4a)x+Cª`(단, Cª는 적분상수)
aÜ`(3-a)
g(t)=;2!;_a_ f(a)= yy ㉠ f(3)=g(3)이므로
2

:)a`` f(x) dx=:)a``{2xÜ`-(3a+3)xÛ`+6ax}dx


;2(;a+(1-2a)_3+2a=-;2(;a+(1+4a)_3+Cª에서

-(a+1)xÜ`+3axÛ`]a)
Cª=-7a
xÝ`
=[ 따라서
2

정답과 풀이 ● 115

책1.indb 115 2022-12-01 오후 7:16:26


g(x)=-;2A; xÛ`+(1+4a)x-7a 따라서 p=4, q=17이므로
p+q=4+17=21
조건 (가)에서 상수 k에 대하여 h(x)=h(x-4)+k를 만족시키
 21
므로 함수 y=h(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h(x)

22
Ú a>1일 때,
y y=f(x)
O 2 3 4 6 7 8 x y=x-1

:)2` h(x) dx=2이고 x


O

:@3` h(x) dx=:@3` f(x) dx

=:@3` [;2A; xÛ`+(1-2a)x+2a]dx

xÛ`+2ax]3@
1-2a
=[;6A; xÜ`+ 위의 그림과 같이 직선 y=x-1은 함수 y= f(x)의 그래프에
2 
접하지 않는다.
={;2#; a+;2(;}-{;3$; a+2}
Û 0Éa<1일 때,
=;6A;+;2%; y y=f(x)

:#4` h(x) dx=:#4` g(x) dx


y=x-1

=:#4` [-;2A; xÛ`+(1+4a)x-7a]dx O x

xÛ`-7ax]4#
1+4a
=[-;6A; xÜ`+
2

={-:ª3¼:a+8}-{-:Á2°:a+;2(;}
위의 그림과 같이 직선 y=x-1은 함수 y= f(x)의 그래프에
=;6%; a+;2&;

접하지 않는다.
즉, Ü a<0일 때,
:)4` h(x) dx=:)2` h(x) dx+:@3` h(x) dx+:#4` h(x) dx y y=f(x)
y=x-1
=2+{;6A;+;2%;}+{;6%;a+;2&;}

=a+8=6 x
O
따라서 a=-2
즉, 2Éx<3에서
h(x)=-xÛ`+5x-4
3Éx<4에서
위의 그림과 같이 직선 y=x-1은 함수 y= f(x)의 그래프에
h(x)=xÛ`-7x+14

접하지 않는다.
h(4)=2이므로
Ú, Û, Ü에 의하여 직선 y=x-1이 함수 y= f(x)의 그래프에
k=2
접하려면
h{:Á2£:}=h{;2%;}+2 a=1 yy ㉠

=-:ª4°:+5_;2%;-4+2
이어야 한다.
f(x)=xÞ`-xÝ`에서  f '(x)=5xÝ`-4xÜ`이므로
=:Á4¦: f '(1)=5-4=1

11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16 2022-12-01 오후 7:16:27


곡선  f(x)=xÝ`(x-1) 위의 점 (1, 0)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x)=xÝ`(x-a)¾x-a>x-1
y=x-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a<xÉ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한편, g(x)=x-1에서  f(x)=xÝ`(x-a)>0¾x-1
k(x-1)(x-b)=x-1 yy㉡ 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때 이차방정식 ㉡은 중근을 가지므로 k+0  f(x)=xÝ`(x-a)>x-a>x-1
(x-1)(kx-kb-1)=0 따라서 x>0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kb+1  f(x)>x-1
x=1 또는 x=
k
kb+1 1
k
=1에서 k=
1-b
   yy ㉢
23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집합 A에서

:)1``|xÝ`(x-1)| dx=:)1``(xÝ`-xÞ`) dx x=2+2`cos`h, y=2+2`sin`h`{-


p p
ÉhÉ }
3 3

xß`]1)= -
1 1 1
로 놓으면 { } +{ } =cosÛ``h+sinÛ``h=1
=[;5!; xÞ`- x-2 Û` y-2 Û`
6 5 6 2 2
1 p p 1 '3 '3
= - ÉhÉ 에서 Écos`hÉ1, - Ésin`hÉ 이므로
30 3 3 2 2 2
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집합 A의 원소인 점 (x, y)는 원 (x-2)Û`+(y-2)Û`=4 위의 점

:!b``|k(x-1)(x-b)| dx
이고 3ÉxÉ4, 2-'3ÉyÉ2+'3 을 만족시킨다.
집합 B에서
=k:!b``{xÛ`-(b+1)x+b} dx x=-2+2`cos`h, y=2+2`sin`h`{
2p
ÉhÉ
4p
}
3 3
xÛ`+bx]b!
1 b+1
로 놓으면 { } +{ } =cosÛ``h+sinÛ``h=1
=k[ xÜ`- x+2 Û` y-2 Û`

경찰대학 사
3 2 2 2
=k[
1
bÜ`-
bÛ`(b+1)
+bÛ`-;3!;+
b+1
-b] 2p 4p 1 '3 '3
3 2 2 ÉhÉ 에서 -1Écos`hÉ- , - Ésin`hÉ 이
3 3 2 2 2

·관학교 기출 문제
bÜ`+ bÛ`- + }
1 1 b 1 므로 집합 B의 원소인 점 (x, y)는 원 (x+2)Û`+(y-2)Û`=4 위
=k{-
6 2 2 6
의 점이고 -4ÉxÉ-3, 2-'3ÉyÉ2+'3 을 만족시킨다.
k
=- (bÜ`-3bÛ`+3b-1) y
6
2+13
k (b-1)Û`
=- (b-1)Ü`= X
6 6
1 (b-1)Û`
= 에서 (b-1)Û`=;5!; (-2, 2) (2, 2)
30 6
'5
b=1Ñ 2-13
5
-3 O 3 x
5+'5 1
b>1이므로 b= 이고 ㉢에서 k= =-'5 -1 1
5 1-b y=-13xÛ`+2
따라서
5+'5 그림은 좌표평면에 집합 A'B'C의 모든 원소를 나타낸 도형
abk=1_ _(-'5)
5 X이다.
=-1-'5 이때 도형 X와 곡선 y=-'3xÛ`+2가 만나는 점은 직선
② y=2-'3 위의 점이므로
참고 c=2-'3
Û 0Éa<1일 때, 따라서 집합 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0<xÉa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6_2'3
1 2p 1 2p
a=2{ _2Û`_ - _2Û`_sin`
0<xÝ`<1, x-aÉ0, a<1 2 3 2 3

이므로 8p
= +10'3
3

정답과 풀이 ● 117

책1.indb 117 2022-12-01 오후 7:16:27


:!5``|v(t)| dt=:!4``v(t) dt+:$5``{-v(t)} dt
또, -'3xÛ`+2=2-'3에서 xÛ`=1
x=-1 또는 x=1
곡선 y=-'3xÛ`+2와 직선 y=2-'3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4``(-5tÛ`+20t) dt+:$5``(5tÛ`-20t) dt

=[-;3%; tÜ`+10tÛ`]4!+[;3%; tÜ`-10tÛ`]5$


이는

b=:_1! {(-'3xÛ`+2)-(2-'3)}dx

=:_1! (-'3xÛ`+'3)dx=2'3 :)1` (1-xÛ`)dx


={-;3%;_4Ü`+10_4Û`}-{-;3%;+10}

 +{;3%;_5Ü`-10_5Û`}-{;3%;_4Ü`-10_4Û`}
=2'3 [x- ]1)=2'3_ =
xÜ` 2 4'3
3 3 3 160 25 125 160
= - - +
3 3 3 3
8p 4'3 8p+26'3
a-b={ +10'3}- =
3 3 3 170
=
3
따라서 p=8, q=26이므로 p+q=8+26=34
 34 ③

26
시각 t=0일 때 동시에 원점을 출발한 두 점 P, Q가 시각 t=3에

유형 4 수직선에서 속도와 거리 서 만나므로 t=3에서 두 점 P, Q의 위치가 같다.

:)3``vÁ(t) dt=:)3``vª(t) dt
24 :)3``(2t+3) dt=:)3``at(6-t) dt
시각 t`(t¾0)에서의 두 점 P, Q의 위치를 각각 x¸(t), xÎ(t)로

:)3``(2t+3) dt=a:)3``(6t-tÛ`) dt
놓으면

x¸(t)=:)t``v¸(s)ds=:)t` (3sÛ`+2s-4)ds=tÜ`+tÛ`-4t
[tÛ`+3t]3)=a[3tÛ`-;3!;tÜ`]3)
xÎ(t)=:)t``vÎ(s)ds=:)t` (6sÛ`-6s)ds=2tÜ`-3tÛ`
18=18a
x¸(t)=xÎ(t)에서 따라서 a=1
tÜ`+tÛ`-4t=2tÜ`-3tÛ` ①
tÜ`-4tÛ`+4t=0, t(t-2)Û`=0
t=0 또는 t=2
따라서 출발한 후 두 점 P, Q가 처음으로 만나는 시각은 t=2이므
27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위치를 각각 xÁ(t), xª(t)라 하면
로 그때의 위치는
xÁ(0)=0, xª(0)=0
x¸(2)=2Ü`+2Û`-4_2=4
vÁ(t)=3tÛ`-6t, vª(t)=2t에서

xÁ(t)=:)t``vÁ(s) ds
④

25 =:)t``(3sÛ`-6s) ds

v(1)=15, v(2)=20에서 =tÜ`-3tÛ`

xª(t)=:)t``vª(s) ds
a+b=15, 4a+2b=20

=:)t``2s ds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5, b=20이므로
v(t)=-5tÛ`+20t=-5t(t-4) =tÛ`
0ÉtÉ4일 때 v(t)¾0 xÁ(t)=xª(t)에서
t>4일 때 v(t)<0 tÜ`-3tÛ`=tÛ`
따라서 시각 t=1에서 t=5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tÛ`(t-4)=0

11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Ⅱ-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책1.indb 118 2022-12-01 오후 7:16:27


t=0 또는 t=4 따라서 시각 t=1에서 t=6까지 점 P의 위치의 변화량은

:!6``v(t) dt=:!3``v(t) dt+:#6``v(t) dt


따라서 a=4이고 시각 t=0에서 t=4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4``|vÁ(t)| dt‌=:)4``|3tÛ`-6t| dt
=-:!3` |v(t)|dt+:#6``v(t) dt
=:)2``(-3tÛ`+6t) dt+:@4``(3tÛ`-6t) dt

=[-tÜ`+3tÛ`]2)+[tÜ`-3tÛ`]4@
=-;2!;_2_4+;2!;_3_12

=-4+18=14
=-8+12+(64-48)-(8-12)  14
=24
②

28
v(t)=|at-b|-4=0에서
b-4 b+4
t= 또는 t=
a a
b-4 b+4
a= , b= 라 하면 a>0이므로 a<b
a a

s(k)-x(k)=:)k` |v(t)|dt-:)k``v(t) dt

=:)k` {|v(t)|-v(t)}dt

( 0 (0Ék<a)

2:òk` |v(t)|dt (aÉk<b)

경찰대학 사
={ yy ㉠

9 2:òÕ` |v(t)|dt (bÉk)

·관학교 기출 문제
조건 (나)에서 k¾3이면 s(k)-x(k)=8이므로

2:òÕ` |v(t)|dt=8에서 :òÕ` |v(t)|dt=4

:òÕ` |v(t)|dt=
1 16
_(b-a)_4= =4
2 a
이므로 a=4
조건 (가)에서 0Ék<3이면 s(k)-x(k)<8이므로 bÉ3이다.
b+3
0Éb<3이라 가정하면 b< 이므로 ㉠에서
2
b+3
b+3 b+3
s{ }-x{ }=2:ò 2 |v(t)|dt
2 2

=2:òÕ` |v(t)|dt=8

b+3
그런데 <3이므로 조건 (가)에서
2

s{
b+3
}-x{
b+3
}<8
수능개념
2 2
이므로 모순이다. EBS 대표강사들과 함께 하는
b+4 b+4 수능의 개념을 잡아주는 필수 기본서
따라서 b=3이고, b= 에서 3=
a 4
b-4
b=8, a= =1
a

정답과 풀이 ● 119

책1.indb 119 2022-12-01 오후 7:16:27


한눈에 보는 정답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Ⅲ 적분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본문 8~25 쪽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본문 64~79 쪽

01 ③ 02 ③ 03 ① 04 ② 05 13 06 ④ 01 12 02 ④ 03 4 04 8 05 ⑤ 06 ②
07 30 08 ② 09 ③ 10 ④ 11 ② 12 ④ 07 15 08 ① 09 16 10 9 11 15 12 8
13 ② 14 ④ 15 ③ 16 ④ 17 ② 18 ① 13 ① 14 9 15 9 16 86 17 ⑤ 18 ②
19 ⑤ 20 ④ 21 ① 22 ② 23 ② 24 ⑤ 19 ③ 20 ⑤ 21 ② 22 ① 23 10 24 24
25 ⑤ 26 ⑤ 27 ④ 28 ① 29 ④ 30 ② 25 ⑤ 26 ② 27 ⑤ 28 ⑤ 29 9 30 ④
31 ① 32 ② 33 13 34 ③ 35 ② 36 ④ 31 ⑤ 32 ⑤ 33 ② 34 ⑤ 35 ② 36 ②
37 ③ 38 ④ 39 ③ 40 27 41 ④ 42 6 37 ④ 38 ④ 39 ③ 40 ④ 41 ② 42 ④
43 ④ 44 ① 45 ⑤ 46 ② 47 ② 48 ⑤ 43 ② 44 ③ 45 ③ 46 ② 47 ① 48 36
49 ④ 50 ④ 51 ① 52 ⑤ 53 6 54 ③ 49 ① 50 ④ 51 ③ 52 ④ 53 ③ 54 ④
55 ④ 56 ④ 57 ③ 58 ① 59 24 60 ③ 55 ⑤ 56 80 57 ③ 58 6 59 ① 60 17
61 ⑤ 62 8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80~84 쪽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26~27 쪽
01 5 02 ③ 03 8 04 ③ 05 8 06 ②
01 ② 02 ① 03 ① 04 226 05 20 06 19 07 80 08 ④ 09 14 10 13 11 110 12 16
13 41 14 7 15 340 16 80 17 4 18 9
19 432 20 58

Ⅱ 미분
부록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본문 30~55 쪽

01 ② 02 ① 03 10 04 ② 05 ③ 06 1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본문 86~89 쪽

07 ③ 08 11 09 ③ 10 3 11 ① 12 ③
13 ④ 14 2 15 ⑤ 16 ⑤ 17 24 18 ② 01 11 02 ④ 03 ① 04 ④ 05 ① 06 ①
19 ⑤ 20 ⑤ 21 ① 22 ① 23 ④ 24 ③ 07 ④ 08 ⑤ 09 ① 10 6 11 ① 12 ③
25 13 26 4 27 112 28 7 29 22 30 20 13 5
31 15 32 24 33 35 34 19 35 ③ 36 ③
37 ① 38 ④ 39 ① 40 ① 41 ③ 42 ④
43 ③ 44 ③ 45 ⑤ 46 10 47 ② 48 ③ Ⅱ 미분 본문 90~97 쪽
49 ⑤ 50 15 51 ⑤ 52 ② 53 11 54 ①
55 ② 56 ③ 57 ③ 58 2 59 ② 60 ① 01 18 02 ⑤ 03 30 04 ② 05 ② 06 ②
61 6 62 ⑤ 63 ⑤ 64 ② 65 ① 66 ③ 07 ② 08 ⑤ 09 ③ 10 ① 11 6 12 ①
67 ① 68 ③ 69 19 70 ② 71 ③ 72 ④ 13 ② 14 ③ 15 ① 16 ④ 17 ② 18 ⑤
73 15 74 ⑤ 75 4 76 12 77 ① 78 ③ 19 ③ 20 ③ 21 7 22 ⑤ 23 ④ 24 ④
79 32 80 21 81 ⑤ 82 3 83 7 84 ① 25 ② 26 ④ 27 ③ 28 21 29 ② 30 ⑤
85 ② 86 ③ 87 ① 88 ② 89 ④ 90 ① 31 36 32 9 33 ④ 34 ③
91 ④ 92 8 93 22 94 ① 95 27

Ⅲ 적분 본문 98~104 쪽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56~61 쪽
01 ⑤ 02 ① 03 13 04 ④ 05 ② 06 ⑤
01 21 02 10 03 ② 04 160 05 34 06 108 07 50 08 21 09 ③ 10 ② 11 ④ 12 11
07 38 08 19 09 13 10 82 11 61 12 5 13 56 14 10 15 ② 16 ④ 17 ③ 18 290
13 42 14 243 15 39 16 40 17 65 18 105 19 17 20 ⑤ 21 21 22 ② 23 34 24 ④
19 108 20 39 21 51 22 65 25 ③ 26 ① 27 ② 28 14

책1.indb 120 2022-12-01 오후 7:16:2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