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0

문제기본서

수학

정답과 풀이
없이 커지므로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lim   =-¦

01
답 -¦
함수의 극한 x`Ú 1 |x-1|

0007  f(x)=x-3으로 놓으면 y=f(x)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x의 값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7쪽, 9쪽
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도 한없이 커
지므로
0001  f(x)=2x-1로 놓으면 y=f(x)
lim  (x-3)=¦ 답¦
x`Ú¦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x의 값
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3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0008  f(x)=xÛ`으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x의 값이
lim (2x-1)=-3 답 -3
x`Ú-1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도 한없이 커지
므로
0002  f(x)=xÛ`+1로 놓으면 y=f(x)
lim `xÛ`=¦ 답¦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x의 x`Ú¦

값이 3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1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0009  f(x)=;[!;로 놓으면 y=f(x)의 그
lim (xÛ`+1)=10 답 10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x의 값이 음
x`Ú 3

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0003  f(x)='Äx-1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lim `;[!;=0 답0
x`Ú-¦

다. 즉, x의 값이 2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지 0010  f(x)=2+;[!;로 놓으면 y=f(x)
므로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x의
lim  'Äx-1=1 답1
x`Ú 2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질
때, `f(x)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1
0004  f(x)= x+2  로 놓으면 y=f(x)
lim  {2+;[!;}=2 답2
x`Ú-¦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
|x| -x
0011 ⑴ lim   = lim   = lim (-1)=-1
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x`Ú 0- x x`Ú 0- x x`Ú 0-

|x| x
1 ⑵ lim   = lim   = lim  1=1
x`Ú 0+ x x`Ú 0+ x x`Ú 0+
lim   =;2!; 답 ;2!;
x`Ú 0 x+2
답 ⑴ -1 ⑵1

1
0005  f(x)=  로 놓으면 y=f(x)의
xÛ` 0012 ⑸ x`Ú-2+
lim `f(x)=0, lim `f(x)=2
x`Ú-2-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x의 값 즉, lim `f(x)+ lim `f(x)이므로 lim `f(x)는 존재하지
x`Ú-2+ x`Ú-2- x`Ú-2
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의 값은
않는다.
한없이 커지므로 답⑴0 ⑵ 2 ⑶ 2 ⑷ 2 ⑸ 존재하지 않는다. ⑹ 2
1
lim   =¦ 답¦
x`Ú 0 xÛ`

-1 0013 x`Ú-1
lim (1-3x)=1-3´(-1)=4 답4
0006  f(x)= |x-1|  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즉, x의 값이 1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0014 lim
x`Ú 1
(xÛ`-4)(x+1)=(1-4)´(1+1)=-6
`f(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 답 -6

002 정답과 풀이
xÛ`-3` 9-3 xÛ`+1-xÛ`
0015 lim  
x`Ú 3 x-1
= =3 답3 0027 x`Ú¦
lim ("ÃxÛ`+1-x)=lim  
3-1 x`Ú¦
"ÃxÛ`+1+x
1 답0
=lim   =0
0016 lim`7=7 답7 x`Ú¦
"ÃxÛ`+1+x
x`Ú 4

xÛ`-1` (x+1)(x-1)
0017 x`Ú 
lim  
-1 x+1
= lim  
x`Ú -1 x+1 xÛ`+10x-xÛ`
0028 x`Ú¦
lim ("ÃxÛ`+10x-x)=lim  
  = lim (x-1)=-2 답 -2
x`Ú¦
"ÃxÛ`+10x+x
x`Ú -1
10x
=lim  
x`Ú¦
"ÃxÛ`+10x+x
xÛ`-5x+6` (x-2)(x-3)
0018 lim
x`Ú 2

x-2
=lim 
x`Ú 2 x-2 =lim  
10
x`Ú¦ 10
  =lim(x-3)=-1 답 -1 ®É1+ +1
x`Ú 2 x
=5 답5
xÛ`+5x+4` (x+1)(x+4)
0019 x`Ú 
lim  
-1 x+1
= lim  
x`Ú -1 x+1
  = lim (x+4)=3 답3
x`Ú -1 1 x
0029 lim
x`Ú 0
 ;[!; {1-
x+1
}=lim {;[!;´
x`Ú 0 x+1
}

'§x-2` ('§x-2)('§x+2) 1 답1
0020 lim   =lim  =lim  =1
x`Ú 4 x-4 x`Ú 4 (x-4)('§x+2) x`Ú 0 x+1

x-4`
  =lim 
x`Ú 4 (x-4)('§x+2)

1 2 2 xÛ`-9
  =lim 
x`Ú 4 '§x+2
=;4!; 답 ;4!; 0030 lim  
x`Ú 3 x-3
{x-;[(;}=lim {
x`Ú 3 x-3
´
x
}

2 (x-3)(x+3)
=lim [ ´ ]
x`Ú 3 x-3 x
x x('ħx+4+2)`
0021 lim   =lim  2(x+3)
x`Ú 0 'ħx+4-2 x`Ú 0 ('ħx+4-2)('ħx+4+2) =lim  =4 답4
x`Ú 3 x
x('ħx+4+2)
  =lim 
x`Ú 0 x
  =lim ('Äx
§ +4+2)
x`Ú 0 ax+b
  =4 답4 0031 lim  
x`Ú 2 x-2
=3이고, lim(x-2)=0이므로
x`Ú 2

lim (ax+b)=0
x`Ú 2

;[%;- 2 즉, 2a+b=0이므로 b=-2a


5x-2` xÛ`
0022 x`Ú 
lim  
¦ 3xÛ`+1
= lim  
x`Ú ¦ 1 =0
답0 b=-2a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3+
xÛ` ax-2a a(x-2)
lim  =lim  =a=3
x`Ú 2 x-2 x`Ú 2 x-2
∴ a=3, b=-6 답 a=3, b=-6
3+;[%;- 2
3xÛ`+5x-2` xÛ`
0023 x`Ú 
lim   = lim   1 =;2#; 답 ;2#;
¦ 2xÛ`+1 x`Ú ¦
2+
xÛ`
x-1
0032 lim   =-1이고, lim(x-1)=0이므로
x`Ú 1 xÛ`+ax-b x`Ú 1

2+;[!; lim (xÛ`+ax-b)=0


2x+1
0024 x`Ú-¦
lim  
3x-1
= lim  
x`Ú-¦
=;3@; 답 ;3@; x`Ú 1

3-;[!; 즉, 1+a-b=0이므로 b=a+1


b=a+1을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면
3xÛ`-2x 3x-2 x-1 x-1
0025 x`Ú¦
lim   =lim   =¦ 답¦ lim  =lim 
x+2 x`Ú¦ x`Ú 1 xÛ`+ax-(a+1) x`Ú 1 (x-1)(x+a+1)
1+;[@;
1
  =lim 
x`Ú 1 x+a+1

2 1
0026 x`Ú¦
lim (xÛ`-3x+2)=lim  xÛ` {1-;[#;+ }=¦   =
a+2
=-1
x`Ú¦ xÛ`
답¦ ∴ a=-3, b=-2 답 a=-3, b=-2

01. 함수의 극한 003


003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lim `f(x)= lim (-xÛ`-4x+3)=7
x`Ú-2- x`Ú-2-
-xÛ`+2x-3Éf(x)ÉxÛ`-2x-1이고
lim (-xÛ`+2x-3)=-2, lim (xÛ`-2x-1)=-2이므로 lim `f(x)의 값이 존재하려면 lim `f(x)= lim `f(x)이어
x`Ú 1 x`Ú 1
x`Ú-2 x`Ú-2+ x`Ú-2-
lim`f(x)=-2 답 -2
야 하므로
x`Ú 1

-2+k=7 ∴ k=9
0034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1>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xÛ`+1로 나누면
답9
4xÛ`-1 4xÛ`+5
É f(x)É 단계 채점요소 배점
xÛ`+1 xÛ`+1
4xÛ`-1 4xÛ`+5 lim `f(x)의 값 구하기 30 %
이때 lim  
x`Ú -2+
=4, lim   =4이므로
x`Ú¦ xÛ`+1 x`Ú¦ xÛ`+1
lim `f(x)의 값 구하기
x`Ú -2-
30 %
lim `f(x)=4 답4 k의 값 구하기 40 %
x`Ú¦

0039 x`Ú-1-
lim `f(x)+ lim `f(x)+lim`f(x)
x`Ú 0+ x`Ú 1

=3+0+3=6 답②
유형 익 히 기 / /
본문 10~16 쪽

0040 x`Ú 
lim `f(x)= lim (-x+1)=1
0035 ① x`Ú 
lim `f(x)=0
0+
0- x`Ú 0-

lim `f(x)= lim  3=3


② lim `f(x)=1 x`Ú 1+ x`Ú 1+
x`Ú 4+
∴ lim `f(x)+ lim `f(x)=1+3=4 답4
③ lim `f(x)=4 x`Ú 0- x`Ú 1+
x`Ú 5-

④ lim `f(x)=0, lim `f(x)=-3


x`Ú 2+ x`Ú 2-
2xÛ`-3x-2 (x-2)(2x+1)
즉, lim `f(x)+ lim `f(x)이므로 lim`f(x)는 존재하지 않 0041  f(x)= |x-2| = |x-2|
x`Ú 2+ x`Ú 2- x`Ú 2

는다. 2x+1 (x>2)


=[
⑤ lim `f(x)=2, lim `f(x)=2이므로 lim`f(x)=2 -2x-1 (x<2)
x`Ú 3+ x`Ú 3- x`Ú 3
lim `f(x)= lim (2x+1)=5 ∴ a=5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④이다. 답④ x`Ú 2+ x`Ú 2+

lim `f(x)= lim (-2x-1)=-5 ∴ b=-5


x`Ú 2- x`Ú 2-

0036 ① x`Ú 
lim `f(x)=¦, lim `f(x)=-¦이므로 ∴ a-b=5-(-5)=10 답⑤
a+ x`Ú a-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a

②, ③, ④ lim `f(x)+ lim `f(x)이므로 lim`f(x)는 존재하지


0042 x`Ú 
lim `f(x)=2
1-
x`Ú a+ x`Ú a- x`Ú a
1-x=t로 놓으면 x`Ú 1+일 때 t`Ú 0-이므로
않는다.
lim `f(1-x)= lim `f(t)=0
⑤ lim `f(x)= lim `f(x)이므로 lim`f(x)의 값이 존재한다. x`Ú 1+ t`Ú 0-
x`Ú a+ x`Ú a- x`Ú a
∴ lim `f(x)+ lim `f(1-x)=2+0=2 답⑤
따라서 lim`f(x)의 값이 존재하는 것은 ⑤이다. 답⑤ x`Ú 1- x`Ú 1+
x`Ú a

0037 ㄱ. x`Ú-1+
lim `f(x)=1, lim `f(x)=1이므로
x`Ú-1-
0043  f(x)=t로 놓으면 x`Ú 1-일 때 t`Ú 0+이므로
lim `f(x)=1 lim  g( f(x))= lim  g(t)=1
x`Ú 1- t`Ú 0+
x`Ú-1

ㄴ. lim `f(x)=-1, lim `f(x)=-1이므로 lim`f(x)=-1 g(x)=p로 놓으면 x`Ú 0+일 때 p=1이므로


x`Ú 1+ x`Ú 1- x`Ú 1
lim `f( g(x))=f(1)=0
ㄷ. lim `f(x)=3, lim `f(x)=2 x`Ú 0+
x`Ú 2+ x`Ú 2-
∴ lim  g( f(x))- lim `f( g(x))=1-0=1 답④
즉, lim `f(x)+ lim `f(x)이므로 lim`f(x)는 존재하지 않 x`Ú 1- x`Ú 0+
x`Ú 2+ x`Ú 2- x`Ú 2

는다.
0044 ㄱ. f(x)=t로 놓으면 x`Ú 1-일 때 t`Ú -1+이므로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ㄱ, ㄴ이다. 답 ㄱ, ㄴ
lim `f( f(x))= lim `f(t)=1
x`Ú 1- t`Ú-1+

0038 x`Ú-2+
lim `f(x)= lim (x+k)=-2+k ㄴ. f(x)=t로 놓으면 x`Ú 1+일 때 t=-1이므로
x`Ú-2+
lim `f( f(x))=f(-1)=-1
x`Ú 1+

004 정답과 풀이
ㄷ. f(x)=t로 놓으면 x`Ú --1+일 때 t`Ú -1-이므로 단계 채점요소 배점
lim `f( f(x))= lim `f(t)=-1 g(x)를 h(x), f(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40 %
x`Ú-1+ t`Ú 1-

따라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답③ lim`g(x)의 값 구하기


x`Ú 2
60 %

0045 2 f(x)-g(x)=h(x)로 놓으면


0049 x-5=t로 놓으면 x`Ú 5일 때 t`Ú 0이므로
g(x)=2 f(x)-h(x)이고 lim h(x)=3
x`Ú 1 lim`f(x-5)=lim`f(t)=3 ∴ lim`f(x)=3
x`Ú 5 t`Ú 0 x`Ú 0
`f(x)-3 g(x)
∴ lim  1+4 f(x) 1+4´3
x`Ú 1 3 f(x)-g(x) ∴ lim   = =-13 답 -13
x`Ú 0 2-f(x) 2-3
`f(x)-3{2 f(x)-h(x)}
=lim 
x`Ú 1 3 f(x)-{2 f(x)-h(x)}
-5 f(x)+3h(x) 0050 x-3=t로 놓으면 x`Ú 3일 때 t`Ú 0이므로
=lim
x`Ú 1f(x)+h(x)
 f(x-3) f(x-3)
h(x) lim  =lim 
-5+3´ x`Ú 3 xÛ`-9 x`Ú 3 (x-3)(x+3)
f(x)
=lim  f(t)
x`Ú 1 h(x)   =lim 
1+ t`Ú 0 t(t+6)
`f(x)
=-5  답 -5 `f(t) 1
  =lim  ´lim 
t`Ú 0 t t`Ú 0 t+6
다른풀이 lim`f(x)=¦, lim{2 f(x)-g(x)}=3이므로
x`Ú 1 x`Ú 1
  =2´;6!;=;3!; 답 ;3!;
`2 f(x)-g(x)
lim  =0
x`Ú 1 f(x)
g(x) g(x)
즉, lim[2- ]=2-lim  =0이므로 0051 lim `f(x)=a라 하면
x`Ú 1 f(x) x`Ú 1 f(x) x`Ú 2

g(x) xÛ`-4 (x-2)(x+2)


lim  =2 lim  =lim 
x`Ú 1 f(x) f(x)}Û`-25 x`Ú 2 { f(x)-5}{ f(x)+5}
x`Ú 2 { 

g(x) x+2
1-3´   =lim 
`f(x)-3 g(x) f(x) x`Ú 2 `f(x)-5
∴ lim  =lim  ´{ f(x)+5}
x`Ú 1 3 f(x)-g(x) x`Ú 1 g(x) x-2
3-
f(x) lim`(x+2)
x`Ú 2
1-3´2   = 
= =-5 `f(x)-5
3-2 lim  ´lim { f(x)+5}
x`Ú 2 x-2 x`Ú 2

4
  =
0046 lim `f(x)=2, lim g(x)=a이므로 10(a+5)
x`Ú 1 x`Ú 1

`f(x)+3 g(x) 2+3a 4
lim  = =;2!; 즉, =;2Á0;이므로 a=3
x`Ú 1 f(x)g(x)-4 2a-4 10(a+5)
4+6a=2a-4 ∴ a=-2 답 -2 ∴ lim`f(x)=3 답③
x`Ú 2

`f(x)
5x-3´ 0 (x¾a) 1 (x¾a)
5xÛ`-3 f(x) x
0047 lim   =lim  0052 ㄱ. [반례] f(x)=[ , g(x)=[
x`Ú 0 7xÛ`+f(x) x`Ú 0 `f(x) 1 (x<a) 0 (x<a)
7x+
x 이면 lim`f(x)와 lim g(x)는 모두 존재하지 않지만
x`Ú a x`Ú a
0-3´3 답 -3
      = =-3  f(x)+g(x)=1이므로 lim{ f(x)+g(x)}=1이다.
0+3 x`Ú a

ㄴ. lim{ f(x)+2 g(x)}=a, lim{2 f(x)+g(x)}=b라 하면
x`Ú a x`Ú a
0048 2 f(x)+g(x)=h(x)로 놓으면
lim`f(x)=lim ;3!; [ 2{2 f(x)+g(x)}-{ f(x)+ 2 g(x)}]
g(x)=h(x)-2 f(x)이고 lim h(x)=6 x`Ú a x`Ú a
x`Ú 2

=;3!;(2b-a)
∴ lim`g(x)=lim{h(x)-2 f(x)} 0 (x¾a)
x`Ú 2 x`Ú 2
ㄷ. [반례] f(x)=0, g(x)=[ 이면
=lim h(x)-2 lim`f(x) 1 (x<a)
x`Ú 2 x`Ú 2
lim`f(x)=0, lim`f(x)g(x)=0이지만
=6-2´(-2)=10 x`Ú a x`Ú a

lim`g(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a

답 10 따라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답②

01. 함수의 극한 005


xÜ`+8 (x+2)(xÛ`-2x+4) `f(x)(x-1) `f(x)(x-1)('§x+1)
0053 x`Ú-2
lim   = lim   0059 lim   =lim 
2xÛ`+3x-2 x`Ú-2 (x+2)(2x-1) x`Ú 1 '§x-1 x`Ú 1 ('§x-1)('§x+1)
xÛ`-2x+4 `f(x)(x-1)('§x+1)
= lim   =lim 
x`Ú-2 2x-1 x`Ú 1 x-1
답 -:Á5ª: =lim`f(x)('§x+1)
=-:Á5ª: x`Ú 1

=lim`f(x)´lim('§x+1)
x`Ú 1 x`Ú 1

=3´2=6 답②
8(xÝ`-1) 8(xÛ`-1)(xÛ`+1)
0054 lim   =lim 
x`Ú 1 (xÛ`-1)f(x) x`Ú 
1 (xÛ`-1) f(x)
8(xÛ`+1) 0060 x=-t로 놓으면 x`Ú-¦일 때 t`Ú ¦이므로
  =lim 
x`Ú 1 f(x) "ÃxÛ`-3x+x "ÃtÛ`+3t-t
lim   =lim 
16 x`Ú-¦"ÃxÛ`-1- 'Ä 3 -x t`Ú¦ "ÃtÛ`-1-'Ä3+t 
  =
f(1)
¾Ð1+;t#;-1
16
즉, =2이므로 f(1)=8 답①   =lim 
f(1) t`Ú¦
1 3 1
¾Ð1- -¾Ð +
tÛ` tÛ` t
{ f(x)}Û`+3 f(x) `f(x){ f(x)+3} 1-1
0055 lim   =lim    = =0 답④
x`Ú 1 xÛ` f(x)-f(x) x`Ú 1 f(x)(xÛ`-1) 1-0
f(x)+3
=lim 
x`Ú 1 (x-1)(x+1) ` f(x+1)- f(x)
0061 x`Ú 
lim  
¦ x-1
`f(x)+3 1
=lim  ´lim 
x`Ú 1 x-1 x`Ú 1 x+1 (x+1)(x+2)-x(x+1)
= lim  
x`Ú ¦ x-1
=2´;2!;=1 답1
2(x+1) 2+;[@;
= lim   = lim   =2 답2
x x x`Ú ¦ x-1 x`Ú 
¦
lim   = lim   =;2!; ∴ a=;2!; 1-;[!;
0056 x`Ú  0+ x+|x| x`Ú 0+ x+x

xÛ`+x xÛ`+x x(1+x)


lim   = lim   = lim  
x`Ú -1+ |xÛ`-1| x`Ú -1+ 1-xÛ` x`Ú -1+ (1+x)(1-x) 2xÛ`+3x+5 "Ãx`Û +1-2
0062 x`Ú 
lim   + lim  
x
x ¦ xÛ`-2x+1x`Ú ¦
= lim   =-;2!;
x`Ú -1+ 1-x 5
2+;[#;+
xÛ` 1
∴ b=-;2!; = lim   + lim {¾Ð1+ -;[@;}
x`Ú ¦ 1 x`Ú ¦ xÛ`
1-;[@;+
xÛ`
∴ a+b=;2!;+{-;2!;}=0 답0
=2+1=3 답3

"ÃxÛ`+5-3 ("ÃxÛ`+5-3)("ÃxÛ`+5+3)  f(x)


0057 lim   =lim  3+ ´;[$;
x`Ú 2 x-2 x`Ú 2 (x-2)("ÃxÛ`+5+3) 3xÛ`+4 f(x) x
0063 x`Ú 
lim  
¦ 2xÛ`-f(x)
= lim
x`Ú ¦  f(x)
xÛ`-4 2- ´;[!;
=lim  x
x`Ú 2 (x-2)("ÃxÛ`+5+3)
3+3´0 답②
(x-2)(x+2) = =;2#;
=lim  2-3´0
x`Ú 2 (x-2)("ÃxÛ`+5+3)

x+2
=lim  =;3@; 답④ 0064 x=-t로 놓으면 x`Ú-¦일 때 t`Ú¦이므로
x`Ú 2 "ÃxÛ`+5+3

lim ("ÃxÛ`+2x+3+x)
x`Ú-¦

'Ä1-x-'Ä1+x =lim("ÃtÛ`-2t+3-t)
t`Ú¦
0058 lim  
x`Ú 0 'ħ4+x-'ħ4-x ("ÃtÛ`-2t+3-t)("ÃtÛ`-2t+3+t)
=lim 
('Ä1-x-'Ä1+x )('Ä1-x+'Ä1+x )('Ä4+x+'Ä4-x ) t`Ú¦
"ÃtÛ`-2t+3+t
=lim 
x`Ú 0 ('ħ4+x-'Ä4
§ -x )('Ä4§ +x+'ħ4-x )('Ä1§ -x+'ħ1+x ) 3
-2+
-2x('Ä4+x+'Ä4-x ) -2t+3 t
=lim  =lim  =lim  
x`Ú 0 2x('ħ1-x+'ħ1+x )
t`Ú¦
"ÃtÛ`-2t+3+t t`Ú¦ 2 3
¾Ð1Ð- + +1
t tÛ`
'Ä4+x+'Ä4-x
=lim {- }=-2 답 -2 -2 답③
x`Ú 0 'Ä1§ -x+'ħ1+x = =-1
1+1
006 정답과 풀이
`1 axÜ`+x-a-1 (x-1)(axÛ`+ax+a+1)
0065 ⑴ x`Ú¦
lim   lim  =lim 
x`Ú 1 x-1 x`Ú 1 x-1
"Ã4xÛ`+x-2x
`"Ã4xÛ`+x+2x   =lim (axÛ`+ax+a+1) 
x`Ú 1
=lim  
x`Ú¦
("Ã4xÛ`+x-2x)("Ã4xÛ`+x+2x)   =3a+1
`"Ã4xÛ`+x+2x 3a+1=7에서 a=2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b=-3
=lim  
x`Ú¦ x ∴ ab=-6 답①
lim  {®É4+;[!;+2}
=x`Ú¦

=2+2=4 0069 x`Ú 2일 때,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다.
`1 `1 `1 -xÛ`-2x+3
⑵ lim  [ -;4!;]=lim [ ´ ]
x`Ú 1 x-1 (x+1)Û` x`Ú 1 x-1 4(x+1)Û 즉, lim ('Äx+§a-b)=0이므로 'Ä2+§a-b=0
x`Ú 2
-(x-1)(x+3) ∴ b='Ä2+§a yy`㉠
=lim 
x`Ú 1 4(x-1)(x+1)Û`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3)
=lim  =-;4!; 'Äx+§a-'Ä2+a x-2
x`Ú 1 4(x+1)Û` lim  =lim 
x`Ú 2 x-2 x`Ú 2 (x-2)('Äx+§a+'Ä2+a 
)
답⑴4 ⑵ -;4!; 1
  =lim 
x`Ú 2 'Äx+§a+'Ä2+a

1
  =
0066 x=-t로 놓으면 x`Ú-¦일 때 t`Ú¦이므로 2'Ä2+§a
x -t 1
lim  xÛ`{1+ }=lim tÛ`{1+ } =;4!;에서 a=2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b=2
2'Ä2+§a
x`Ú-¦
"ÃxÛ`+2 t`Ú¦
"ÃtÛ`+2
∴ a-b=0 답0
"ÃtÛ`+2-t
=lim {tÛ`´ }
t`Ú¦
"ÃtÛ`+2
- 3일 때,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0070 x`Ú -
("ÃtÛ`+2-t)("ÃtÛ`+2+t)
=lim [tÛ`´ ] (분자)`Ú 0이다.
t`Ú¦
"ÃtÛ`+2 ("ÃtÛ`+2+t)
2tÛ` 즉, lim ("ÃxÛ`-x-3+ax)=0이므로 'Ä9+3-3-3a=0
x`Ú -3
=lim 
t`Ú¦
"ÃtÛ`+2 ("ÃtÛ`+2+t) ∴ a=1
2
=lim  
t`Ú¦
2 2 a=1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¾Ð1+  {¾Ð1+ +1}
tÛ` tÛ`
2 "ÃxÛ`-x-3+x -(x+3)
= =1 답1 lim   = lim  
1´(1+1) x`Ú -3 x+3 x`Ú -3
(x+3)("ÃxÛ`-x-3-x)
-1
  = lim   =-;6!;
x`Ú -3
"ÃxÛ`-x-3-x
0067 x`Ú¦
lim ("ÃxÛ`+ax-"ÃxÛ`-ax`)
∴ b=-;6!;
("ÃxÛ`+ax-"ÃxÛ`-ax )("ÃxÛ`+ax+"ÃxÛ`-ax )
=lim   
x`Ú¦
"ÃxÛ`+ax +"ÃxÛ`-ax
2ax ∴ a+b=1+{-;6!;}=;6%;
=lim  
x`Ú¦
"ÃxÛ`+ax +"ÃxÛ`-ax
2a
=lim  
x`Ú¦ a a 답 ;6%;
¾Ð1+ +¾Ð1-
x x
2a 단계 채점요소 배점
= =3
1+1
a의 값 구하기 40 %
∴ a=3 답3
b의 값 구하기 50 %
a+b의 값 구하기 10 %

0068 x`Ú 1일 때,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다. 0071 x`Ú -1일 때, (분자)`Ú 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
즉, lim (axÜ`+x+b)=0이므로 a+1+b=0 재하므로 (분모)`Ú 0이다.
x`Ú 1

∴ b=-a-1 yy`㉠ 즉, lim (3xÛ`-x-a)=0이므로 3+1-a=0 ∴ a=4


x`Ú -1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a=4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01. 함수의 극한 007


xÛ`-1 (x-1)(x+1)
lim   = lim   1+;[!;
3xÛ`-x-4 x`Ú -1 (x+1)(3x-4)
x`Ú -1 x+1
lim   =lim  
x-1 x`Ú¦
"Ã2xÛ`+x+1+'2x x`Ú¦ 1 1
  = lim   =;7@; ¾2Ð+ +Ð +'2`
x`Ú -1 3x-4 x xÛ`

∴ b=;7@; 1 '2
  = =
'2+'2  4
∴ ab=4´;7@;=;7*; 답 ;7*; '2
∴ b=
4
'2
∴ ab='2´ =;2!; 답③
4
xÛ`+x-6
0072 lim   에서 x`Ú 2일 때 (분자)`Ú 0이고 0이 아
x`Ú 2xÛ`-a
axÛ`+bx+c
닌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모)`Ú 0이다. 0075 x`Ú¦
lim `f(x)=lim   =1에서
x`Ú¦ xÛ`+x-2
즉, lim (xÛ`-a)=0이므로 4-a=0 ∴ a=4  c
x`Ú 2 a+;[B;+
xÛ`-1 xÛ`-1 xÛ`
∴ lim  =lim  lim   =1 ∴ a=1
x`Ú 1 xÛ`-ax+3 x`Ú 1 xÛ`-4x+3 x`Ú¦ 2
1+;[!;-
xÛ`
(x-1)(x+1)
=lim 
x`Ú 1 (x-1)(x-3) xÛ`+bx+c
또, lim`f(x)=lim   =-1에서 x`Ú 1일 때,
x`Ú 1 x`Ú 1 xÛ`+x-2
x+1
=lim  =-1 답①
x`Ú 1 x-3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다.
즉, lim(xÛ`+bx+c)=0이므로 1+b+c=0
x`Ú 1
∴ c=-b-1
xÛ`+bx-b-1
0073 x`Ú 0일 때,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 lim`f(x)=lim 
x`Ú 1 x`Ú 1 xÛ`+x-2
(분자)`Ú 0이다.
(x-1)(x+1+b)
즉, lim ("ÃxÛ`+ax+b-a)=0이므로 =lim 
x`Ú 0
x`Ú 1 (x-1)(x+2)
'b-a=0 ∴ b=aÛ` yy`㉠ x+1+b
=lim 
x`Ú 1 x+2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2+b
"ÃxÛ`+ax+aÛ`-a =
lim  3
x`Ú 0 'Äa+§x-'Äa-§x
2+b
(xÛ`+ax)('Äa+§x+'Äa-§x ) 즉, =-1에서 b=-5이므로 c=-b-1=5-1=4
=lim  3
x`Ú 0
2x("ÃxÛ`+ax+aÛ`+a) ∴ a-b+c=1-(-5)+4=10 답⑤
(x+a)('Äa+§x+'Äa-§x )
=lim 
x`Ú 0
2("ÃxÛ`+ax+aÛ`+a)
f(x)
2a'a 'a 0076 x`Ú¦
lim   =2에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인 일
= = 2x-1
4a 2
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a
=1에서 a=4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즉, f(x)=4x+a`(a는 상수)로 놓으면
2
b=16 lim `f(x)= lim (4x+a)=-4+a=-3 ∴ a=1
x`Ú -1 x`Ú -1

∴ a+b=20 답 20 따라서 f(x)=4x+1이므로
f(3)=12+1=13 답 13

0074 x`Ú¦
lim ("Ã2xÛ`+x+1-ax) `f(x)
0077 lim   =4에서 x`Ú 0일 때, (분모)`Ú 0이고 극한
2xÛ`+x+1-aÛ`xÛ` x`Ú 0 x
=lim  
x`Ú¦
"Ã2xÛ`+x+1+ax 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다.
(2-aÛ`)xÛ`+x+1 즉, lim`f(x)=0이므로 f(0)=0 yy`㉠
=lim   yy`㉠ x`Ú 0
x`Ú¦
"Ã2xÛ`+x+1+ax `f(x)
lim  =-2에서 x`Ú 1일 때,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x`Ú 1 x-1
㉠의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2-aÛ`=0
aÛ`=2 ∴ a='2`(∵ a>0)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다.

a='2 를 ㉠에 대입하면 즉, lim`f(x)=0이므로 f(1)=0 yy`㉡


x`Ú 1

008 정답과 풀이
㉠, ㉡에 의하여 f(x)=x(x-1)(ax+b)`(a, b는 상수)로 놓 따라서 Q(x)=2x-3이므로
으면 g(x)=(x-1)(x-2)(2x-3)
`f(x) `x(x-1)(ax+b) ∴ g(3)=2´1´3=6 답⑤
lim  =lim 
x`Ú 0 x x`Ú 0 x
  =lim (x-1)(ax+b) x+2 xÛ`+5x+3
x`Ú 0
0080 x`Ú¦
lim   =;3!;, lim   =;3!;이므로
3x+1 x`Ú¦ 3xÛ`+2x+1
  =-b=4
∴ b=-4 lim `f(x)=;3!; 답①
x`Ú¦
`f(x) `x(x-1)(ax+b)
lim  =lim 
x`Ú 1 x-1 x`Ú 1 x-1
008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2>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lim x(ax+b)
x`Ú 1 각 변을 xÛ`+2로 나누면
  =a+b=a-4=-2
3xÛ`+1 3xÛ`+5
<f(x)<
∴ a=2 xÛ`+2 xÛ`+2
따라서 f(x)=x(x-1)(2x-4)이므로 3xÛ`+1 3xÛ`+5
이때 lim   =3, lim   =3이므로
x`Ú¦ xÛ`+2 x`Ú¦ xÛ`+2
`f(x) `x(x-1)(2x-4)
lim  =lim 
x`Ú 2 x-2 x`Ú 2 x-2 lim `f(x)=3 답3
x`Ú¦
  =lim 2x(x-1)=4 답4
x`Ú 2

0082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xÛ`>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


의 각 변을 xÛ`으로 나누면
0078 ㈎에서  f(x)-2xÜ`=2xÛ`+ax+b`(a, b는 상수)로 놓
xÛ`-x-1 `f(x) xÛ`-x+1
을 수 있으므로 f(x)=2xÜ`+2xÛ`+ax+b < <
xÛ` xÛ` xÛ`
㈏에서 x`Ú 0일 때,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Û`-x-1 xÛ`-x+1
이때 lim   =1, lim   =1이므로
(분자)`Ú 0이다. x`Ú¦ xÛ` x`Ú¦ xÛ`
즉,`lim`f(x)=0이므로 f(0)=0 ∴ b=0 `f(x)
x`Ú 0 lim   =1 답③
`f(x) 2xÜ`+2xÛ`+ax
x`Ú¦ xÛ`
∴ lim  =lim 
x`Ú 0 x x`Ú 0 x
=lim (2xÛ`+2x+a) 0083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0<3x+2<f(x)<3x+4
x`Ú 0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제곱하면
=a=-3
(3x+2)Û`<{ f(x)}Û`<(3x+4)Û`
따라서 f(x)=2xÜ`+2xÛ`-3x이므로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xÛ`+1>0이므로 각 변을 xÛ`+1로 나
f(-1)=-2+2+3=3 답3
누면
(3x+2)Û` { f(x)}Û` (3x+4)Û`
< <
0079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f(1)=0, f(2)=0이므로 xÛ`+1 xÛ`+1 xÛ`+1
f(x)=(x-1)(x-2)Q(x) (Q(x)는 다항함수) yy`㉠ (3x+2)Û` (3x+4)Û`
이때 lim   =9, lim   =9이므로
로 놓을 수 있다.
x`Ú¦ xÛ`+1 x`Ú¦ xÛ`+1
{ f(x)}Û`
f(x) lim   =9 답9
㉠을 lim  =1에 대입하면 x`Ú¦ xÛ`+1
x`Ú 1 x-1

(x-1)(x-2)Q(x)
lim  =lim (x-2)Q(x)=1
x`Ú 1 x-1 x`Ú 1

∴ Q(1)=-1 yy`㉡
f(x) 유형 본문 17쪽
㉠을 lim  =1에 대입하면
x`Ú 2 x-2

(x-1)(x-2)Q(x) 0084 ① 1<x<2일 때, [x]=1이므로


lim  =lim (x-1)Q(x)=1
x`Ú 2 x-2 x`Ú 2 [x]
lim   =;1!;=1
∴ Q(2)=1 yy`㉢ x`Ú 1+ x
㉠에서 Q(x)의 차수가 낮을수록 f(x)의 차수도 낮고, ㉡, ㉢을 ② 0<x<1일 때, 1<x+1<2이므로 [x+1]=1
모두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Q(x) 중 차수가 가장 낮은 것은 일차 `x+1
∴ lim   =;1!;=1
x`Ú 0+ [x+1]
함수이므로 Q(x)=ax+b`(a, b는 상수)로 놓으면
③ -1<x<0일 때, -2<x-1<-1이므로 [x-1]=-2
Q(1)=a+b=-1, Q(2)=2a+b=1
[x-1] -2
위의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3 ∴ lim   = =2
x`Ú 0- x-1 -1
01. 함수의 극한 009
④ -xÛ`+6x-9=-(x-3)Û`이고, x`Ú 3일 때 -(x-3)Û`은 0089 OPÓ="ÃtÛ`+tÝ` 이므로 OPÓ=OQÓ에서 Q("ÃtÛ`+tÝ`, 0)
0보다 작은 값을 가지면서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따라서 직선 PQ의 방정식은
lim [-xÛ`+6x-9]=-1 -tÛ`
x`Ú 3 y-tÛ`= (x-t) yy`㉠
"ÃtÛ`+tÝ`-t
⑤ 0<x<1일 때, -1<x-1<0이므로 [x-1]=-1
`x-1 -1 ㉠에 x=0을 대입하면
∴ lim   = =1 yy`㉠
x`Ú 0+ [x-1] -1
-1<x<0일 때, -2<x-1<-1이므로 [x-1]=-2 -tÛ` tÛ`
y-tÛ`= ´(-t)=
"ÃtÛ`+tÝ`-t "Ã1+tÛ`-1
`x-1 -1
∴ lim   = =;2!; yy`㉡ tÛ`
x`Ú 0- [x-1] -2 ∴ f(t)= +tÛ``
`x-1 `x-1 "Ã1+tÛ`-1
㉠, ㉡에서 lim   + lim   이므로
x`Ú 0+ [x-1] x`Ú 0- [x-1]

`x-1 점 P가 원점 O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t`Ú 0이므로


lim   은 존재하지 않는다.
x`Ú 0 [x-1] tÛ`
lim`f(t)=lim { +tÛ`}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 ⑤이다. 답 ④, ⑤ t`Ú 0 t`Ú 0
"Ã1+tÛ`-1
tÛ`("Ã1+tÛ`+1)
=lim [ +tÛ`]
0085 x`Ú 
lim [x]=3, lim [x]=2이므로 t`Ú 0 tÛ`
3+ x`Ú 3-
=lim ("Ã1+tÛ`+1+tÛ`)=2
[x]Û`+[x] [x]Û`+[x] 3Û`+3 2Û`+2 t`Ú 0
lim   + lim   = +
x`Ú 3+ xÛ`-x x`Ú 3- [x] 3Û`-3 2
=2+3=5 답5 답2

단계 채점요소 배점
0086 ① x`Ú 2+일 때 f(x)`Ú 0-이므로 직선 PQ의 방정식 구하기 30 %
lim [ f(x)]=-1 f(t) 구하기 30 %
x`Ú 2+

② x`Ú 2-일 때 f(x)`Ú 0+이므로 f(t)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값 구하기 40 %

lim [ f(x)]=0
x`Ú 2-
③ x`Ú -2-일 때 f(x)`Ú 0+이므로
lim [ f(x)]=0
x`Ú-2-
④ x`Ú -2+일 때 f(x)`Ú 0+이므로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18~21쪽
lim [ f(x)]=0
x`Ú-2+

⑤ lim [ f(x)]= lim [ f(x)]=0이므로


x`Ú-2+ x`Ú-2- 0090 ㄱ. f(x)=2-;[!;로 놓으면
lim [ f(x)]=0
x`Ú-2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따라서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①이다. 답①
같다.

즉, lim {2-;[!;}=-¦,
x`Ú 0+
0087 A(x)=;2!;´1´y=;2!;y=;2!;xÛ`
lim {2-;[!;}=¦
x`Ú 0-
B(x)=;2!;´4´x=2x
이므로 lim {2-;[!;}은 존재하지 않는다.
A(x) ;2!;xÛ` xÛ` x`Ú 0
∴ lim   = lim   = lim   =;4!; 답 ;4!;
x-2 x-2
x`Ú ¦ xB(x) x`Ú ¦ 2xÛ` x`Ú ¦ 4xÛ`
ㄴ. lim   = lim   =-1
x`Ú 2- |x-2| x`Ú 2- -(x-2)

xÛ`-5x+6 (x-2)(x-3)
0088 점 P의 좌표를 (t, 2tÛ`)`(t>0), 점 Q의 좌표를 (0, y) ㄷ. lim  =lim  =lim (x-2)=1
x`Ú 3 x-3 x`Ú 3 x-3 x`Ú 3
로 놓으면 PQÓ=QOÓ=y이므로 |x|
ㄹ. f(x)= 로 놓으면 y=f(x)의
"Ã\tÛ`+(2tÛ`-y)Û`=y xÛ`
양변을 제곱하면 tÛ`+4tÝ`-4ytÛ`+yÛ`=yÛ`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
4ytÛ`=4tÝ`+tÛ` ∴ y=tÛ`+;4!; lim  =¦
x`Ú 0 xÛ`

점 P가 원점 O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t`Ú 0이므로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ㄴ, ㄷ의


2개이다. 답③
lim`y=lim {tÛ`+;4!;}=;4!;
t`Ú 0  t`Ú 0 

따라서 원의 중심 Q는 점 {0, ;4!;}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답① 0091 ⑤ lim`f(x)=3 답⑤


x`Ú 3

010 정답과 풀이
( x-2 (x¾2) f(x)
0097 ㄱ. lim  g(x)=a, lim 
x`Ú a g(x)
=b`(a, b는 실수)라 하고
0092 `f(x)={ -x+2 (1Éx<2) 이므로 x`Ú a

9 -xÛ`+3`(x<1) f(x)
=h(x)로 놓으면 f(x)=g(x)h(x)이므로
g(x)
lim `f(x)+ lim `f(x)+lim`f(x)
x`Ú 1- x`Ú 1+ x`Ú 3 lim`f(x)=lim`g(x)h(x)=lim`g(x)´lim`h(x)=ab
x`Ú a x`Ú a x`Ú a x`Ú a
= lim  (-xÛ`+3)+ lim  (-x+2)+lim (x-2)
x`Ú 1- x`Ú 1+ x`Ú 3 1 (x¾a)
=2+1+1=4 답4 ㄴ. [반례] f(x)=0, g(x)=[ 이면
2 (x<a)
f(x)
lim`f(x)=0, lim  =0이지만 lim`g(x)는 존재하지
x`Ú a x`Ú a g(x) x`Ú a

0093 g(x)=t로 놓으면 x`Ú 1-일 때 t=-1이므로 않는다.


lim `f(g(x))=f(-1)=0 ∴ a=0 ㄷ. lim { f(x)+ g(x)}=a, lim { f(x)- g(x)}=b
x`Ú 1- x`Ú a x`Ú a

f(x)=p로 놓으면 x`Ú 1+일 때 p`Ú 1+이므로 (a, b는 실수)라 하고


lim  g( f(x))= lim  g(p)=1 ∴ b=1  f(x)+ g(x)=h(x), f(x)- g(x)=k(x)로 놓으면
x`Ú 1+ p`Ú 1+

∴ a+b=1 답1 lim h(x)=a, lim k(x)=b이다.


x`Ú a x`Ú a

h(x)+k(x)
이때 f(x)= 이므로
2
h(x)+k(x) a+b
0094 ① lim {-2 f(x)}=-2 lim`f(x)=-2´3=-6 lim`f(x)=lim  =
x`Ú a x`Ú a x`Ú a x`Ú a 2 2
② lim 3 f(x)g(x)=3 lim`f(x)´lim g(x)=3´3´2=18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x`Ú a x`Ú a x`Ú a

2 f(x) `f(x) lim``f(x)


x`Ú a
③ lim   =2 lim  =2´ =2´;2#;=3
x`Ú a g(x) x`Ú a g(x) lim g(x)
x`Ú a
4(xÜ`-1) 4(x-1)(xÛ`+x+1)
④ lim g(x)=2이므로 lim`f(g(x))= f(2) 0098 lim   =lim 
x`Ú a x`Ú a
x`Ú 1 (xÛ`-1) f(x) x`Ú 1 (x+1)(x-1) f(x)
그런데 f(2)의 값은 알 수 없다. 4(xÛ`+x+1)
  =lim 
x`Ú 1 (x+1)  f(x)
⑤ lim[3{ f(x)}Û`+2 g(x)]=3{lim`f(x)}Û`+2 lim g(x)
x`Ú a x`Ú a x`Ú a 12
  = =2
=3´3Û`+2´2=31 2 f(1)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답④ ∴ f(1)=3 답3

0095 3 f(x)-2 g(x)=h(x)로 놓으면 'Ä1+§x-'Ä1-§x


0099 lim  
x
3f(x)-h(x) x`Ú 0
g(x)= 이고 lim  h(x)=1
2 x`Ú ¦ ('Ä1+§x-'Ä1-§x )('Ä1+§x+'Ä1-§x )
=lim 
3 f(x)-h(x) x`Ú 0 x('Ä1+x+'Ä1-x )
f(x)-2´
`f(x)-2 g(x) 2 2x 2
∴ lim   =lim   =lim  =lim 
x`Ú ¦ -2f(x)+g(x) x`Ú¦ 3 f(x)-h(x) x`Ú 0 x('Ä1+x+'Ä1-x 
) x`Ú 0 'Ä1+x+'Ä1-x
-2 f(x)+
2
2
4 f(x)-2h(x) = =1 답1
=lim   1+1
x`Ú¦ f(x)+h(x)
h(x)
4-2´
f(x)
=lim   1
x`Ú¦ h(x) ;[#;+
1+ 3x+1 xÛ`
f(x) 0100 ㄱ. x`Ú 
lim   =lim   =0
1+;[@;- 3
¦ xÛ`+2x-3 x`Ú¦
=4 답4 xÛ`
2xÛ` 2
ㄴ. lim   = lim   =;3@;
x`Ú ¦ 3xÛ`-1
3- 1
x`Ú¦

xÛ`
0096 x-2=t로 놓으면 x`Ú 2일 때 t`Ú 0이므로
`f(x-2) `f(x-2) `f(t) 1
¾Ð1+ +1
lim  =lim  =lim  "ÃxÛ`+½1+x xÛ`
x`Ú 2 xÛ`-4 x`Ú 2 (x-2)(x+2) t`Ú 0 t(t+4) ㄷ. lim   =lim   =1
x`Ú ¦ 2x x`Ú¦ 2
`f(t) 1
  =lim  ´lim  =4´;4!;=1 답③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t`Ú 0 t t`Ú 0 t+4 답④

01. 함수의 극한 011


0101 x`Ú 
lim ("ÃxÛ`+3x+4-x)
¦
b=a'2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ÃxÛ`+3x+4-x)("ÃxÛ`+3x+4+x) a'¶x+1-a'2 a('¶x+1-'2)
= lim   lim  =lim 
x`Ú ¦ "ÃxÛ`+3x+4+x x`Ú 1 x-1 x`Ú 1 x-1
a('¶x+1-'2)('¶x+1+'2)
3+;[$;   =lim 
3x+4 x`Ú 1 (x-1)('¶x+1+'2)
= lim   =lim  
x`Ú ¦ "ÃxÛ`+3x+4+x x`Ú¦
3 4 a
¾1Ð+ +Ð  +1`   =lim 
x xÛ` x`Ú 1 '¶x+1+'2

3 a
= =;2#; 답 ;2#;   =  ='2
1+1
2'2
따라서 a=4, b=4'2이므로
1 2
0102 lim  ;[!;{ - } aÛ`+bÛ`=16+32=48 답 48
x`Ú 0 '¶1-x '¶4-x
'¶4-x-2'¶1-x
=lim {;[!;´ }
x`Ú 0 '¶1-x '¶4-x
`f(x)-xÜ`
('¶4-x-2'¶1-x )('¶4-x+2'¶1-x ) 0106 x`Ú 
lim   =2에서
=lim [;[!;´ ]
¦ 5xÛ`
x`Ú 0 '¶1-x '¶4-x`('¶4-x+2'¶1-x ) f(x)-xÜ`=10xÛ`+ax+b`(a, b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3 f(x)=xÜ`+10xÛ`+ax+b
=lim 
x`Ú 0 '¶1-x 
'¶4-x`('¶4-x+2'¶1-x ) `f(x)
3 lim   =-8에서 x`Ú -1일 때, (분모)`Ú 0이고 극한값
= =;8#; 답③
x`Ú-1x+1
2(2+2)
이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다.
즉, lim `f(x)=0이므로 f(-1)=-1+10-a+b=0
x`Ú-1
0103 x`Ú 3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 b=a-9
(분자) Ú 0이다.
`f(x) xÜ`+10xÛ`+ax+a-9
즉, lim (xÛ`-4x+a)=0이므로 9-12+a=0 ∴ a=3 lim   = lim  
x`Ú 3 x`Ú-1x+1 x`Ú-1 x+1
a=3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1)(xÛ`+9x+a-9)
    = lim  
xÛ`-4x+3 `(x-1)(x-3)('¶x+1+2) x`Ú-1 x+1
lim  =lim 
x`Ú 3 '¶x+1-2 x`Ú 3 x-3 = lim  (xÛ`+9x+a-9)
x`Ú-1
  =lim (x-1)('¶x+1+2)
x`Ú 3 =1-9+a-9=-8
  =8 ∴ a=9, b=0
∴ b=8 따라서 f(x)=xÜ`+10xÛ`+9x이므로
∴ a+b=11 답⑤ f(2)=8+40+18=66 답 66

0104 x`Ú 1일 때, (분자) Ú 0이고 0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


0107 Ú x>1일 때, x-1>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
하므로 (분모) Ú 0이다.
을 x-1로 나누면
즉, lim (xÛ`+ax+b)=0이므로 1+a+b=0
x`Ú 1
xÛ`-1 `f(x) 3xÛ`-4x+1
É É
∴ b=-(a+1) x-1 x-1 x-1
b=-(a+1)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1)(x+1) `f(x) (x-1)(3x-1)
É É
x-1 x-1 x-1
x-1 x-1
lim  =lim  `f(x)
x`Ú 1 xÛ`+ax-(a+1) x`Ú 1 (x-1)(x+a+1) ∴ x+1É É3x-1
x-1
1
  =lim 
x`Ú 1 x+a+1
이때 lim (x+1)=2, lim (3x-1)=2이므로
x`Ú 1+ x`Ú 1+

1 `f(x)
  = =;3!; lim   =2
x`Ú 1+ x-1
a+2
따라서 a=1, b=-2이므로 ab=-2 답② Û x<1일 때, x-1<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x-1
로 나누면
3xÛ`-4x+1 `f(x) xÛ`-1
0105 x`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1
É
x-1
É
x-1
(분자) Ú 0이다. `f(x)
∴ 3x-1É Éx+1
즉, lim (a'¶x+1-b)=0이므로 x-1
x`Ú 1
이때 lim (3x-1)=2, lim (x+1)=2이므로
a'2-b=0 ∴ b=a'2 x`Ú1- x`Ú 1-

012 정답과 풀이
`f(x)
lim   =2 단계 채점요소 배점
x-1
x`Ú 1-
g(x)를 h(x), f(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40 %
`f(x)
Ú, Û에서 lim  =2 답2 f(x)+4g(x)
x`Ú 1 x-1 lim 의 값 구하기 60 %
x`Ú ¦
-2f(x)+6g(x)

0108 [;2{;]=;2{;-h`(0Éh<1)로 놓으면


lim ;[$; [;2{;]= lim  ;[$; {;2{;-h} xÛ`-5x+1
0112 x`Ú¦
lim `f(x)=lim  
x`Ú¦ x`Ú¦ x`Ú¦ 2xÛ`-7x+1
4h 1
=lim {2- }=2 답2 1-;[%;+
x`Ú¦ x xÛ`
=lim   =;2!;
x`Ú¦ 1
2-;[&;_
0109 ① -1<x<0일 때, [x]=-1이므로 xÛ`
x x
lim   = lim   =0
[x] x`Ú 0- -1
x`Ú 0-
lim  g(x)=lim ("Ã9xÛ`-x-3x)
② 0<x<1일 때, [x]=0이므로 x`Ú¦ x`Ú¦

[x] 0 ("Ã9xÛ`-x-3x)("Ã9xÛ`-x+3x)
lim   = lim   =0 =lim  
x`Ú 0+ x x`Ú 0+ x x`Ú¦
"Ã9xÛ`-x+3x
③ -1<x<0일 때, -2<x-1<-1이므로 [x-1]=-2 -x
=lim  
x`Ú¦
[x-1] -2 "Ã9xÛ`-x+3x
∴ lim   = lim   =2
x`Ú 0- x-1 x`Ú 0- x-1 -1
=lim   =-;6!;
④ 0<x<1일 때, 1<x+1<2이므로 [x+1]=1 x`Ú¦
®É9-;[!;+3
x+1 x+1
∴ lim   = lim   =1
x`Ú 0+ [x+1] x`Ú 0+ 1
⑤ -1<x<0일 때, [x]=-1이므로 ∴ lim `f(x)+lim  g(x)=;2!;+{-;6!;}=;3!;
x`Ú¦ x`Ú¦
x 1 x 1
lim  { ´ }= lim  { ´ }=0 답③
x`Ú 0- [x] [x] x`Ú 0- -1 -1
답 ;3!;
0110 OAÓ="ÃxÛ`+2x, OBÓ=x이므로
단계 채점요소 배점
f(x)=OAÓ-OBÓ="ÃxÛ`+2x-x
lim `f(x)의 값 구하기 40 %
∴ `lim `f(x)=lim ("ÃxÛ`+2x-x) x`Ú ¦
x`Ú¦ x`Ú¦ lim `g(x)의 값 구하기 50 %
x`Ú ¦
("ÃxÛ`+2x-x)("ÃxÛ`+2x+x)
=lim   lim `f(x)+ lim `g(x)의 값 구하기 10 %
x`Ú ¦ x`Ú ¦
x`Ú¦
"ÃxÛ`+2x+x
2x
=lim  
x`Ú¦
"ÃxÛ`+2x+x
2 0113 aÉ0이면 x`Ú¦
lim {"ÃxÛ`+x+1-(ax-1)}=¦이므로
=lim   =1 답1
x`Ú¦
®É1+;[@;+1 a>0이어야 한다.
lim {"ÃxÛ`+x+1-(ax-1)}
x`Ú¦

3 f(x)-2 g(x)=h(x)로 놓으면 (xÛ`+x+1)-(ax-1)Û`


0111 =lim  
x`Ú¦
"ÃxÛ`+x+1+(ax-1)
2 g(x)=3 f(x)-h(x)이고 lim  h(x)=3
x`Ú¦
(1-aÛ`)xÛ`+(1+2a)x
=lim   yy`㉠
x`Ú¦
"ÃxÛ`+x+1+(ax-1)
`f(x)+4 g(x) ㉠의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 lim  
x`Ú¦ -2  f(x)+6 g(x)
1-aÛ`=0 ∴ a=1 (∵ a>0)
`f(x)+2{3 f(x)-h(x)}
=lim  
x`Ú¦ -2  f(x)+3{3 f(x)-h(x)}
7f(x)-2h(x) a=1을 ㉠에 대입하면
=lim  
x`Ú¦ 7f(x)-3h(x) 3x 3
lim   =lim  
h(x) x`Ú¦
"ÃxÛ`+x+1+x-1 x`Ú¦
1 1 1
7-2´ ¾1¨+ + +1- `
f(x) x xÛ` x
=lim   =1
x`Ú¦ h(x) 3
7-3´   = =;2#;
f(x) 1+1
∴ b=;2#;
답1

01. 함수의 극한 013


∴ a+b=1+;2#;=;2%;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다.
즉, lim`f(x)=lim(7x+b)=0이므로
x`Ú 2 x`Ú 2

답 ;2%; 14+b=0 ∴ b=-14


따라서 f(x)=7x-14이므로
단계 채점요소 배점
`7x-14 7(x-2)
a의 값 구하기 50 % a=lim  =lim 
x`Ú 2 xÛ`-3x+2 x`Ú 2 (x-2)(x-1)

b의 값 구하기 40 %
7
a+b의 값 구하기 10 % =lim  =7
x`Ú 2 x-1

∴ f(a)=f(7)=7´7-14=35 답 35

`f(x)+2
0114 lim   =2에서 x`Ú 1일 때, (분모)`Ú 0이고
x`Ú 1 x-1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다. 0117 Ú n<x<n+1일 때, [x]=n이므로
즉, lim {`f(x)+2}=0이므로 lim`f(x)=-2 [x]Û`+x nÛ`+n
x`Ú 1 x`Ú 1
  lim   = =n+1
x`Ú n+ [x] n
{ f(x)}Û`+2 f(x) { f(x)+2}f(x) Û n-1<x<n일 때, [x]=n-1이므로
∴ lim  =lim 
x`Ú 1 xÛ`-1 x`Ú 1 (x-1)(x+1) [x]Û`+x (n-1)Û`+n nÛ`-n+1
  lim   = =
`f(x)+2 `f(x) x`Ú n- [x] n-1 n-1
=lim  ´lim 
x`Ú 1 x-1 x`Ú 1 x+1 nÛ`-n+1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n+1=
n-1

-2 nÛ`-1=nÛ`-n+1 ∴ n=2
=2´ =-2
1+1 이때 k=n+1=3
∴ n+k=5  답5
답 -2

단계 채점요소 배점
lim`f(x)의 값 구하기
x`Ú 1
50 % 0118 점 P의 좌표가 (a, a)이므로 Q('§a, a), R(a, aÛ`)
주어진 식 변형하기 40 % Ú 0<a<1일 때, PQÓ='§a-a, PRÓ=a-aÛ``
{ f(x)}Û`+2 f(x)
lim 의 값 구하기 10 % PRÓ a-aÛ`
x`Ú 1
xÛ`-1 ∴ lim   = lim  
a`Ú 1- PQÓ a`Ú 1- '§a-a

(a-aÛ`)('§a+a)
  = lim  
a`Ú 1- ('§a-a)('§a+a)
t-1
0115 =m으로 놓으면 t`Ú¦일 때 m`Ú1-이므로   = lim ('§a+a)=2
t+1 a`Ú 1-

t-1 Û a>1일 때, PQÓ=a-'§a, PRÓ=aÛ`-a


lim `f { }= lim `f(m)=2
t`Ú¦ t+1 m`Ú 1-
PRÓ aÛ`-a
∴ lim   = lim  
4t-1 a`Ú 1+ PQÓ a`Ú 1+ a-'§a
=n으로 놓으면 t`Ú-¦일 때 n`Ú 4+이므로
t+1
(aÛ`-a)(a+'§a )
  = lim
4t-1 a`Ú 1+ (a-'§a )(a+'§a )
lim  `f { }= lim  `f (n)=3
t`Ú-¦ t+1 n`Ú 4+
  = lim (a+'§a )=2
a`Ú 1+
t-1 4t-1
∴ lim `f { }+ lim  `f { }=2+3=5  답③ PRÓ
t`Ú¦ t+1 t`Ú-¦ t+1 Ú, Û에서 lim  =2   답2
a`Ú 1 PQÓ

0116 ;[!;=t로 놓으면 x`Ú 0+일 때 t`Ú ¦이므로


x f {;[!;}-1 ;t!; f(t)-1
`f(t)-t
lim   =lim  =lim  =2
x`Ú 0+ 3-x t`Ú ¦
3-;t!;
t`Ú ¦ 3t-1

이때 f(t)-t=6t+b`(b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f(t)=7t+b ∴ f(x)=7x+b
`f(x)
lim  =a에서 x`Ú 2일 때,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x`Ú 2 xÛ`-3x+2

014 정답과 풀이
0134 함수  f(x)='Ä3-x의 정의역은 3-x¾0, 즉 xÉ3인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x의 값들의 집합이므로 반닫힌 구간 (-¦, 3]이다.

02 함수의 연속
1
답 -¦, 3]

0135 함수  f(x)= x+1 의 정의역은 x+1+0, 즉 x+-1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23쪽, 25쪽 인 x의 값들의 집합이므로 열린구간 (-¦, -1), (-1, ¦)이
다. 답 -¦, -1 , -1, ¦
0119 함수 f(x)가 x=0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불연속
이다. 답 풀이 참조 0136 함수 f(x)=x+3은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다. 답 -¦, ¦
0120 x`Ú 
lim `f(x)=2, lim `f(x)=1이므로
0+ x`Ú 0-

lim `f(x)+ lim `f(x) 0137 함수  f(x)='Äx-1은 x-1¾0일 때, 즉 반닫힌 구간


x`Ú 0+ x`Ú 0-
[1, ¦)에서 연속이다. 답 [1, ¦
따라서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연속이다.
x`Ú 0

답 풀이 참조 0138 함수 f(x)=2는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에


서 연속이다. 답 -¦, ¦
0121 f(0)=2, lim
x`Ú 0
`f(x)=1이므로 lim`f(x)+f(0)
x`Ú 0

따라서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답 풀이 참조 0139 함수 f(x)=;[!;은 x+0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0), (0, ¦)에서 연속이다. 답 -¦, 0 , 0, ¦
0122 함수 f(x)가 x=0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고, 극한값
lim`f(x)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연속이다. 답 풀이 참조
x`Ú 0 0140 함수 y=xÛ`-2x는 다항함수이므로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다. 답 -¦, ¦
0123 f(1)=2, lim
x`Ú 1
`f(x)=2이고 lim`f(x)=f(1)이므로
x`Ú 1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답 연속 0141 함수 y=(x+1)(xÛ`+x-2)는 다항함수이므로 열린구


간 (-¦, ¦)에서 연속이다. 답 -¦, ¦

0124 f(1)=0, lim


x`Ú 1
`f(x)=0이고 lim`f(x)=f(1)이므로
x`Ú 1
x-2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답 연속 0142 함수 y= x-3 는 유리함수이므로 x+3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3), (3, ¦)에서 연속이다.
0125 함수 f(x)가 x=1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답 -¦, 3 , 3, ¦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답 불연속
x+1 x+1
0143 함수 y= xÛ`-3x+2 = (x-1)(x-2) 은 유리함수이
0126 f(1)=1,
xÛ`-x x(x-1) 므로 x+1, x+2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1), (1, 2),
lim`f(x)=lim  =lim  =lim x=1
x`Ú 1 x`Ú 1 x-1 x`Ú 1 x-1 x`Ú 1
(2, ¦)에서 연속이다. 답 -¦, 1 , 1, 2 , 2, ¦
이고 lim`f(x)=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Ú 1

답 연속 0144 ⑴ f(x)+g(x)=(x-2)+(xÛ`+4x-5)
=xÛ`+5x-7
0127 답 [-2, 3] 0128 답 1, 5 즉, 함수 f(x)+g(x)는 다항함수이므로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다.

0129 답 [-3, 4 0130 답 -7, 2] ⑵ f(x)g(x)=(x-2)(xÛ`+4x-5)=xÜ`+2xÛ`-13x+10


즉, 함수 f(x)g(x)는 다항함수이므로 열린구간 (-¦, ¦)
에서 연속이다.
0131 답 -¦, 4 0132 답 [3, ¦
f(x) x-2 x-2
⑶ = = 는 유리함수이므로
g(x) xÛ`+4x-5 (x+5)(x-1)
0133 함수 f(x)=xÛ`+2x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므 x+-5, x+1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5),
로 열린구간 (-¦, ¦)이다. 답 -¦, ¦ (-5, 1), (1, ¦)에서 연속이다.
02. 함수의 연속 015
g(x) xÛ`+4x-5 (x+5)(x-1)

f(x)
=
x-2
=
x-2
은 유리함수이므로 유형 익 히 기 / /
본문 26~31 쪽

x+2인 모든 실수, 즉 열린구간 (-¦, 2), (2, ¦)에서 연


속이다. (x-1)(x+1)
0152 ㄱ. x+1일 때, f(x)= x-1
=x+1
답 ⑴ -¦, ¦ ⑵ -¦, ¦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 연속이
⑶ -¦, -5 , -5, 1 , 1, ¦ ⑷ -¦, 2 , 2, ¦
어야 한다.
이때 f(1)=2이고, lim`f(x)=lim(x+1)=2
x`Ú 1 x`Ú 1
0145 함수  f(x)=xÛ`+2x-1은 닫힌 즉, lim`f(x)=f(1)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이
x`Ú 1
구간 [-2, 0]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다. 따라서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x
같다. ㄴ. lim `f(x)= lim `;[{;=1, lim `f(x)= lim   =-1
x`Ú 0+ x`Ú 0+ x`Ú 0- x`Ú 0- -x

따라서 함수 f(x)는 x=-2, x=0에서 ∴ lim `f(x)+ lim `f(x)


x`Ú 0+ x`Ú 0-
최댓값 -1, x=-1에서 최솟값 -2를 갖는다.
즉,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Ú 0
답 최댓값: -1, 최솟값: -2
x=0에서 불연속이다.
ㄷ. f(1), f(-1)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2
0146 함수  f(x)= x-1 는 닫힌구간 x=1, x=-1에서 불연속이다.
[2, 4]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함수 ㄹ.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x=0에서 연속이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어야 한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2, 이때 f(0)=0이고,
lim `f(x)= lim `f(x)=0이므로 lim`f(x)=0
x=4에서 최솟값 ;3@;를 갖는다. 답 최댓값: 2, 최솟값: ; ; x`Ú 0+ x`Ú 0- x`Ú 0

∴ lim`f(x)=f(0)
x`Ú 0

즉,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f(x)는 모든 실수 x


0147 함수 f(x)=1-'Äx+1은 닫힌
에서 연속이다.
구간 [3, 8]에서 연속이고 이 구간에서
따라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ㄹ이다. 답 ㄱ, ㄹ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최댓값 -1, x=8에서 최솟값 -2를 갖는다. 0153 ①, ②, ③  f(0)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함수  f(x)
답 최댓값: -1, 최솟값: -2 는 x=0에서 불연속이다.
④ f(0)=2이고

답 ㈎ 연속 ㈏ 사잇값 lim`f(x)= lim (xÛ`+2)= lim (-x+2)=2


0148 x`Ú 0 x`Ú 0+ x`Ú 0-

즉, lim`f(x)=f(0)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다.


x`Ú 0

|5x| 5x
0149 답 ㈎ 연속 ㈏ 0 ㈐ 0, 1 ⑤ lim `f(x)= lim   = lim   =5
x`Ú 0+ x`Ú 0+ x x`Ú 0+ x

|5x| -5x
lim `f(x)= lim   = lim   =-5
x`Ú 0- x`Ú 0- x x`Ú 0- x
0150 f(x)=xÜ`-xÛ`-2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 lim `f(x)+ lim `f(x)
x`Ú 0+ x`Ú 0-
[1, 2]에서 연속이고 f(1)=-2<0, f(2)=2>0이므로 사잇
즉,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x`Ú 0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방정식 xÜ`-xÛ`-2=0은 열린구간 (1, 2) x=0에서 불연속이다.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답 풀이 참조 따라서 x=0에서 연속인 함수는 ④이다. 답④

0151 f(x)=xÝ`+xÜ`-9x+1이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 0154 f(a)=4a이고


간 [1, 2]에서 연속이고  f(1)=-6<0,  f(2)=7>0이므로 lim `f(x)= lim 4x=4a,
x`Ú a+ x`Ú a+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0인 c가 열린구간 (1, 2)에 적
lim `f(x)= lim (xÛ`-5)=aÛ`-5
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방정식 xÝ`+xÜ`-9x+1=0은 열린 x`Ú a- x`Ú a-

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답 풀이 참조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lim`f(x)가 존재하고
x`Ú a

016 정답과 풀이
lim`f(x)=f(a)이어야 하므로
x`Ú a
0158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이고 주어진 함수 g(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합성함수 g(`f(x))가 닫힌구간 

4a=aÛ`-5, aÛ`-4a-5=0 [-2, 2]에서 연속이려면 x=0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a+1)(a-5)=0 ∴ a=-1 또는 a=5 ㄱ. lim `g(`f(x))=`g(-1)=1


x`Ú 0+

lim `g(`f(x))=`g(1)=1
x`Ú 0-
따라서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은 ∴ lim`g(`f(x))=1
x`Ú 0
-1+5=4
이때 g(`f(0))=g(0)=0이므로 lim`g(`f(x))+g(`f(0))
x`Ú 0

답4 즉, 함수 g(`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ㄴ. lim `g(`f(x))=`g(-1)=-1
단계 채점요소 배점 x`Ú 0+

연속이 되도록 하는 조건 알기 40 % lim `g(`f(x))=`g(1)=-1


x`Ú 0-
a의 값 구하기 50 %
∴ lim`g(`f(x))=-1
x`Ú 0
모든 실수 a의 값의 합 구하기 10 %
이때 g(`f(0))=g(0)=-1이므로
lim`g(`f(x))=g(`f(0))
x`Ú 0
0155 ㄱ. x`Ú 
lim `f(x)=0, lim `f(x)=0
3+ x`Ú 3-
즉, 함수 g(`f(x))는 x=0에서 연속이다.
∴ lim`f(x)=0
x`Ú 3 ㄷ. lim `g(`f(x))=`g(-1)=0
x`Ú 0+
ㄴ. lim `f(x)=2, lim `f(x)=1
x`Ú 1+ x`Ú 1- lim `g(`f(x))=g(1)=0
x`Ú 0-
∴ lim `f(x)+ lim `f(x)
x`Ú 1+ x`Ú 1- ∴ lim`g(`f(x))=0
x`Ú 0
따라서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 1 이때 g(`f(0))=g(0)=1이므로 lim`g(`f(x))+g(`f(0))
x`Ú 0
ㄷ. 함수 y=f(x)의 그래프가 x=1, x=2, x=3에서 끊어져
즉, 함수 g(`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있으므로 x=1, x=2, x=3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함수 g(`f(x))가 닫힌구간  [-2, 2]에서 연속인 것은
즉, 함수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는 3이다.
ㄴ뿐이다. 답②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 ㄴ, ㄷ

0156 x`Ú 
lim `f(x)=1, lim `f(x)=4이므로 0159 ㄱ. x`Ú 
lim `f(x)g(x)=0´0=0
0+
1+ x`Ú 1-

lim `f(x)+ lim `f(x) lim `f(x)g(x)=0´0=0


x`Ú 1+ x`Ú 1- x`Ú 0-

즉,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는다. ∴ a=1 ∴ lim`f(x)g(x)=0


x`Ú 1 x`Ú 0

함수 y=f(x)의 그래프가 x=1, x=2에서 끊어져 있으므로 이때 f(0)g(0)=1´0=0이므로


x=1, x=2에서 불연속이다. ∴ b=2 lim`f(x)g(x)=f(0)g(0)
x`Ú 0

∴ a+b=1+2=3 답②
즉, 함수 f(x)g(x)는 x=0에서 연속이다.
ㄴ. lim `f( g(x))=f(0)=1
x`Ú 0+
0157 ㄱ. f(0)=-2이고
lim `f( g(x))=f(0)=1
x`Ú 0-
lim `f(x)= lim `f(x)=-1이므로 lim`f(x)=-1
x`Ú 0+ x`Ú 0- x`Ú 0
∴ lim`f( g(x))=1
x`Ú 0
즉, lim`f(x)+f(0)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불연속
x`Ú 0
이때 f( g(0))=f(0)=1이므로 lim`f( g(x))=f( g(0))
x`Ú 0
이다.
ㄴ. lim `f(x)=-1, lim `f(x)=1 즉, 함수 f( g(x))는 x=0에서 연속이다.
x`Ú -1+ x`Ú -1-
ㄷ. lim `g(`f(x))= lim `g(`f(x))=0
x`Ú 0+
∴ lim `f(x)+ lim `f(x) f(x)`Ú 0-
x`Ú -1+ x`Ú -1-
lim `g(`f(x))= lim `g(`f(x))=0
x`Ú 0-
따라서 극한값 lim `f(x)는 존재하지 않는다. f(x)`Ú 0+
x`Ú -1
∴ lim`g(`f(x))=0
x`Ú 0
ㄷ. 함수 y=f(x)의 그래프가 x=-1, x=0, x=1에서 끊어
져 있으므로 x=-1, x=0, x=1에서 불연속이다. 이때 g(`f(0))=g(1)=0이므로 lim`g(`f(x))=g(`f(0))
x`Ú 0

즉, 함수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는 3이다. 즉, 함수 g( f(x))는 x=0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답ㄷ 따라서 x=0에서 연속인 함수는 ㄱ, ㄴ, ㄷ이다. 답 ㄱ, ㄴ, ㄷ

02. 함수의 연속 017


1 1 a-5=1-b ∴ a=2
0160 f(x)= 1
=
x+ xÛ
` -2x+1
x-2 x-2 x=-2에서 연속이므로
x-2 x-2 lim `f(x)= lim `f(x)=f(-2)
= = x`Ú -2+ x`Ú -2-
xÛ`-2x+1 (x-1)Û`
4-b=-6+c ∴ c=6
따라서 함수 f(x)는 x-2=0, (x-1)Û`=0인 x의 값에서 정의
∴ abc=2´4´6=48 답 48
되어 있지 않으므로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x의 값은 1, 2의 2개
이다. 답2
0165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lim
x`Ú 2
`f(x)=f(2)
0161 f( g(x))=f(3xÛ`)이므로 xÛ`+ax-4
∴ lim  =b yy`㉠
3xÛ`-1
x`Ú 2 x-2
(3xÛ`+1) x Ú 2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
f( g(x))= |3xÛ`-1|
0 (3xÛ`=1) 이다.
(1 (3xÛ`-1>0) 즉, lim(xÛ`+ax-4)=0이므로
x`Ú 2

= 0 (3xÛ`-1=0) 4+2a-4=0 ∴ a=0


9 -1 (3xÛ`-1<0) a=0을 ㉠에 대입하면
즉, 함수 f( g(x))는 3xÛ`-1=0인 x의 값에서 불연속이므로 xÛ`-4 (x+2)(x-2)
lim  =lim  =lim(x+2)=4=b
x`Ú 2 x-2 x`Ú 2 x-2 x`Ú 2
'3
3xÛ`=1 ∴ x= ∴ a+b=0+4=4 답④
3
따라서 구하는 모든 x의 값의 곱은
'3 '3
3
´{-
3
}=-;3!; 답 -; ; 0166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1,
x=4에서도 연속이다.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0162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도
lim `f(x)= lim `f(x)=f(-1)
연속이다. x`Ú -1+ x`Ú -1-

따라서 lim`f(x)=f(1)이므로 lim (xÛ`-2x+b)= lim (ax+1)


x`Ú 1 x`Ú -1+ x`Ú -1-

xÛ`+ax-3 1+2+b=-a+1 ∴ a+b=-2 yy`㉠


lim  =b yy`㉠
x`Ú 1 x-1 함수 f(x)가 x=4에서 연속이므로
x Ú 1일 때, (분모) 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 0
lim `f(x)= lim `f(x)=f(4)
x`Ú 4+ x`Ú 4-
이다.
lim (ax+1)= lim (xÛ`-2x+b)
즉, lim(xÛ`+ax-3)=0이므로 x`Ú 4+ x`Ú 4-
x`Ú 1
4a+1=16-8+b ∴ 4a-b=7 yy`㉡
1+a-3=0 ∴ a=2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3
a=2를 ㉠에 대입하면
∴ a-b=1-(-3)=4 답④
xÛ`+2x-3 (x-1)(x+3)
lim  =lim  =lim (x+3)=4=b
x`Ú 1 x-1 x`Ú 1 x-1 x`Ú 1

∴ a+b=2+4=6 답6
ax+2 (|x|¾3)
0167 f(x)=
x+1 xÛ`+x-b (|x|<3)
0163 함수  f(x)= xÛ`-2ax+3 이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 ( ax+2 (x¾3)
려면 xÛ`-2ax+3=0이 실근을 갖지 않아야 하므로 = xÛ`+x-b (-3<x<3)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9 ax+2 (xÉ-3)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3, x=3에서도
=aÛ`-3<0 ∴ -'3<a<'3
4 연속이다.
따라서 정수 a는 -1, 0, 1의 3개이다. 답3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3)
0164 f(0)=-4이므로 -b=-4 ∴ b=4 x`Ú -3+ x`Ú -3-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1, x=-2에서도 lim (xÛ`+x-b)= lim (ax+2)


x`Ú -3+ x`Ú -3-

연속이다. 6-b=-3a+2 ∴ 3a-b=-4 yy`㉠


x=1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1) lim `f(x)= lim `f(x)=f(3)
x`Ú 1+ x`Ú 1- x`Ú 3+ x`Ú 3-

018 정답과 풀이
lim (ax+2)= lim (xÛ`+x-b)
x`Ú 3+ x`Ú 3-
0170 함수 f(x)가 x=n에서 연속이므로
3a+2=12-b ∴ 3a+b=10 yy`㉡ lim `f(x)= lim `f(x)=f(n)
x`Ú n+ x`Ú n-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7 lim `f(x)= lim ([x]Û`-3[x]+4)=nÛ`-3n+4


x`Ú n+ x`Ú n+
∴ a+b=1+7=8 답8
lim `f(x)= lim ([x]Û`-3[x]+4)
x`Ú n- x`Ú n-

=(n-1)Û`-3(n-1)+4=nÛ`-5n+8
0168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f(n)=nÛ`-3n+4
lim `f(x)= lim `f(x)=f(1)
x`Ú 1+ x`Ú 1-
이므로 nÛ`-3n+4=nÛ`-5n+8
a'Äx+1-b
∴ lim   =1 yy`㉠ 2n=4 ∴ n=2 답②
x`Ú 1+ x-1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0171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1)
(분자) Ú`0이다. x`Ú -1+ x`Ú -1-

즉, lim (a'Äx+1-b)=0이므로 lim `f(x)=1+(-a+2)´(-1)=a-1


x`Ú 1+ x`Ú -1+

a'2-b=0 ∴ b=a'2 lim `f(x)=4+(-a+2)´(-2)=2a


x`Ú -1-

f(-1)=1+(-a+2)´(-1)=a-1
b=a'2를 ㉠에 대입하면 이므로 a-1=2a ∴ a=-1 답 -1
a'Äx+1-a'2
lim  
x`Ú 1+ x-1
0172 g(x)=xÛ`-4x+1
a('Äx+1-'2`)('Äx+1+'2`)
= lim   (0<x<5)로 놓으면
x`Ú 1+ (x-1)('Äx+1+'2`)
g(x)=(x-2)Û`-3이므로 함수
a a
= lim   = =1
x`Ú 1+ 'Äx+1+'2 2'2 y=g(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따라서 a=2'2, b=4이므로 같다.
ab=8'2 g(x)=-2, -1, 0, y, 5를 만족시
키는 x에서 f(x)가 불연속이다.
답8 2 이때 g(x)=-2, -1, 0을 만족시키
단계 채점요소 배점 는 x의 값은 각각 2개씩 존재하고 g(x)=1, 2, 3, 4, 5를 만족시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일 조건 구하기 20 % 키는 x의 값은 1개씩 존재하므로 열린구간 (0, 5)에서 불연속이
a, b의 관계식 구하기 30 % 되는 x의 값의 개수는 11이다. 답④
ab의 값 구하기 50 %
xÛ`-4x+a
0173 x+1일 때, f(x)= x-1
0169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도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연속이다. xÛ`-4x+a
f(1)=lim`f(x)=lim 
따라서 lim `f(x)= lim `f(x)=f(2)이므로 x`Ú 1 x`Ú 1 x-1
x`Ú 2+ x`Ú 2-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ÃxÛ`+4+bx
lim   =a yy`㉠ (분자) Ú`0이다.
x`Ú 2- x-2
x Ú`2-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즉, lim(xÛ`-4x+a)=0이므로
x`Ú 1
(분자) Ú`0이다. -3+a=0 ∴ a=3
즉, lim ("ÃxÛ`+4+bx)=0이므로 xÛ`-4x+3 (x-1)(x-3)
x`Ú 2- ∴ f(1)=lim  =lim 
x`Ú 1 x-1 x`Ú 1 x-1
2'2+2b=0 ∴ b=-'2 =lim(x-3)=-2 답①
x`Ú 1
b=-'2를 ㉠에 대입하면
"ÃxÛ`+4-'2x -(x-2)(x+2)
lim   = lim   0174 x+2일 때,
x`Ú 2- x-2 x`Ú 2- (x-2)("ÃxÛ`+4+'2x)

4 1 xÛ`+2x-8 (x-2)(x+4)
f(x)= = =x+4
  =- =- =a x-2 x-2
4'2 '2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1
∴ ab={- }´(-'2)=1 답③ f(2)=lim`f(x)=lim(x+4)=6 답6
'2 x`Ú 2 x`Ú 2

02. 함수의 연속 019


x'§x-8 g(x) xÛ`+3x+5
0175 x+4일 때, f(x)= '§x-2 ④
f(x)
=
x-5
 는 x=5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함수 f(x)가 x=4에서 연속이므로 x=5에서 불연속이다.


x'§x-8 ⑤ f(x)g(x)=(x-5)(xÛ`+3x+5)=xÜ`-2xÛ`-10x-25
f(4)=lim`f(x)=lim 
x`Ú 4 x`Ú 4 '§x-2
이므로 함수 f(x)g(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x)Ü`-2Ü` ('§x-2)(x+2'§x+4)
=lim  =lim  따라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가 아닌 것은 ④이다. 답 ④
x`Ú 4 '§x-2 x`Ú 4 '§x-2
=lim(x+2'x+4)
x`Ú 4
0178 두 함수 f(x), g(x)가 x=a에서 연속이므로
=4+4+4=12 답③
lim`f(x)=f(a), lim`g(x)=g(a)
x`Ú a x`Ú a

① lim{2 f(x)-g(x)}=2f(a)-g(a)이므로
x`Ú a
axÛ`+bx
0176 x+1일 때, f(x)= x-1 함수 2 f(x)-g(x)는 x=a에서 연속이다.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② lim`f(x)g(x)=f(a)g(a)이므로 함수 f(x)g(x)는 x=a
x`Ú a

  에서 연속이다.
f(1)=lim`f(x)
x`Ú 1
f(a)
axÛ`+bx ③ [반례] f(a)=g(a)이면  가 x=a에서 정의되어
∴ lim  =2 yy`㉠ f(a)-g(a)
x`Ú 1 x-1
f(x)
있지 않으므로 함수  는 x=a에서 불연속이다.
f(x)-g(x)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④ lim{`f(x)}Û`={`f(a)}Û` 이므로 함수 {`f(x)}Û`은 x=a에서 연속
(분자) Ú`0이다. x`Ú a

즉, lim(axÛ`+bx)=0이므로 이다.
x`Ú 1
⑤ 함수 g( 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a+b=0 ∴ b=-a
lim`g( f(x))=g( f(a))이어야 하므로 함수 g(x)가
x`Ú a

x=f(a)에서 연속이라는 조건이 더 필요하다.


b=-a를 ㉠에 대입하면
axÛ`-ax ax(x-1) 따라서 x=a에서 항상 연속인 함수가 아닌 것은 ③, ⑤이다.
lim  =lim  =lim ax=a
x`Ú 1 x-1 x`Ú 1 x-1 x`Ú 1 답 ③, ⑤
∴ a=2, b=-2

0179 ㄱ. h(x)=f(x)+g(x)로 놓으면


∴ ab=-4 g(x)=h(x)-f(x)
이때  f(x)와 h(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g(x)도
답 -4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단계 채점요소 배점 1 (x>1)
ㄴ. [반례] f(x)= , g(x)=|x|이면
x=1에서 연속임을 이용하기 30 % -1 (xÉ1)
a, b의 관계식 구하기 30 % 함수 g(`f(x))는 x=1에서 연속이지만  f(x)는 x=1에서
a, b의 값 구하기 30 % 불연속이다.
ab의 값 구하기 10 %
1
ㄷ. [반례] f(x)= , g(x)=-;[@;이면
x+2
두 함수 f(x), g(x)는 모두 x=1에서 연속이지만
0177 ① f(x)-3g(x)=-3xÛ`-8x-20이므로 함수  f( g(x))=
x
 는 x=1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
함수 f(x)-3g(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2(x-1)
으므로 x=1에서 불연속이다.
② g( f(x))=g(x-5)=(x-5)Û`+3(x-5)+5
따라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답①
=xÛ`-7x+15
이므로 함수 g(`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f(x) x-5 0180 ① 함수 y=f(x)의 그래프가 x=0, x=1에서 끊어져
③ = 에서
g(x) xÛ`+3x+5 있으므로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은 0, 1의 2개이다.
xÛ`+3x+5={x+;2#;}`Û +:Á4Á:>0 ② 함수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최솟값을 갖지 않는다.
④ lim `f(x)=1, lim `f(x)=3이므로 극한값 lim`f(x)는
f(x) x`Ú 1+ x`Ú 1- x`Ú 1
이므로 함수  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g(x) 존재하지 않는다.

020 정답과 풀이
⑤ 열린구간 (0, 3)에서 x=1일 때 최댓값 3을 갖는다. ㄷ. f(x)=xÝ`+xÜ`-9x+1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답② [1, 2]에서 연속이고  f(1)=-6<0,  f(2)=7>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2)
2x+1 3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0181 f(x)= x-1 = x-1 +2
따라서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 것은
이므로 닫힌구간 [2, 4]에서 함수 ㄱ, ㄴ, ㄷ이다. 답 ㄱ, ㄴ, ㄷ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5, 0186 g(x)=f(x)-1로 놓으면 함수 f(x)가 연속함수이므
x=4에서 최솟값 3을 갖는다. 로 함수 g(x)도 연속함수이다.
답 최댓값: 5, 최솟값: 3

방정식 f(x)=1, 즉 g(x)=0이 열린구간 (1, 3)에서 실근을 가


0182 ㄱ. 함수  f(x)g(x)는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므 지려면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g(1)g(3)<0이어야 한다. 이때
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g(1)=f(1)-1=k-1,
ㄴ. [반례] 두 함수 f(x)=x, g(x)=xÛ`은 닫힌구간 [-1, 1]에 g(3)=f(3)-1=(k-5)-1=k-6
f(x) x 이므로 (k-1)(k-6)<0 ∴ 1<k<6
서 모두 연속이지만 = 는 닫힌구간  [-1, 1]에서
g(x) xÛ`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정수 k는 2, 3, 4, 5의 4개이다.
ㄷ. [반례] 두 함수 f(x)=;[!;, g(x)=x-2는 닫힌구간   
답4
1
[1, 3]에서 모두 연속이지만 f( g(x))=  은 닫힌구간 
x-2 단계 채점요소 배점
[1, 3]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지 않는다. g(x)=f(x)-1로 놓고 함수 g(x)가 연속함수임을 알기 20 %
따라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 함수는 ㄱ뿐이다.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60 %
답① 정수 k의 개수 구하기 20 %

0183 f(x)=2xÜ`-xÛ`-x-1로 놓으면 함수 f(x)는 모든 실 0187 속력이 연속하여 변하므로 속력이 83` m 에서
수 x에서 연속이다. 98` m 로 변하는 11` `30과 12` `00 사이에 속력이 95` m
f(-1)=-3<0, f(0)=-1<0, f(1)=-1<0, 인 순간이 적어도 한 번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12` `00와 12` `30
f(2)=9>0, f(3)=41>0, f(4)=107>0 사이에 속력이 95` m 인 순간이 적어도 한 번 존재한다.
따라서  f(1)f(2)<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주어진 방 따라서 k의 최솟값은 2이다. 답②

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1, 2)이다. 답③


0188 몸무게는 연속하여 변하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② 몸무게가 67` 인 때가 적어도 한 번 있었다. 답②
0184 f(-2)f(-1)<0, f(2)f(3)<0이므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1), (2, 3)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
의 실근을 갖는다.
또, f(1)=0이므로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2, 3)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답 3개
유형 본문 32쪽

0189 함수 g(`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0185 ㄱ. f(x)=xÜ`+x-5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x=1에서도 연속이다.
[1, 2]에서 연속이고  f(1)=-3<0,  f(2)=5>0이므로 ∴ lim `g(`f(x))= lim `g(`f(x))=g(`f(1))
x`Ú 1+ x`Ú 1-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2)
g(3-x) (x¾1)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g(`f(x))= 이므로
g(x+2) (x<1)
ㄴ. f(x)=xÜ`-2x-3으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lim `g(`f(x))= lim `g(3-x)=g(2)=4+2a
x`Ú 1+ x`Ú 1+
[1, 2]에서 연속이고  f(1)=-4<0,  f(2)=1>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f(x)=0은 열린구간 (1, 2) lim `g(`f(x))= lim `g(x+2)=g(3)=9+3a
x`Ú 1- x`Ú 1-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즉, 4+2a=9+3a ∴ a=-5 답①

02. 함수의 연속 021


0190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f(5)의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f(0), f(4), f(8)의 부호는 서로
lim {`f(x)+g(x)}= lim {`f(x)+g(x)}=f(1)+g(1) 같고 이는 f(3), f(5)의 부호와 다르다.
x`Ú 1+ x`Ú 1-

lim {`f(x)+g(x)}= lim {(xÛ`+1)+(x+k)}=3+k 따라서 방정식 f(x)=0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열린구간
x`Ú 1+ x`Ú 1+
(0, 3), (3, 4), (4, 5), (5, 8)이므로 적어도 4개의 실근을 갖
lim {`f(x)+g(x)}= lim {(x-1)+(xÛ`+2)}=3
x`Ú 1- x`Ú 1- 는다.
이므로 3+k=3 ∴ k=0 ∴ k=4 답4
∴ g(5)=5+0=5 답5

0191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면 x=3에서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33~35쪽


도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3)
x`Ú 3+ x`Ú 3-

즉, lim (3x-6)= lim (xÛ`+ax+b)이므로 0194 답④


x`Ú 3+ x`Ú 3-

3=9+3a+b ∴ 3a+b=-6 yy`㉠


이때 f(x)=f(x+5)이므로 f(0)=f(5) 0195 ① f(x)='Äx+1은 정의역 [-1, ¦)에서 연속이다.
∴ b=15-6=9 ② f(x)=2xÛ`-4x+3은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
b=9를 ㉠에 대입하면 3a+9=-6 ∴ a=-5 이다.
3x-6 (3ÉxÉ5) x+3 x+3
③ f(x)= = 은 x=-1, x=2에서
따라서 f(x)= 이므로 xÛ`-x-2 (x+1)(x-2) 
xÛ`-5x+9 (0Éx<3)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x=-1, x=2에서 불연속이다.
f(16)=f(11)=f(6)=f(1)=1-5+9=5 답5
④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x=0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0192 ㈎에서 x`Ú 
lim (x+1)=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1 이때 f(0)=0이고,
lim `f(x)=0 ∴ f(-1)=0 xÜ` xÜ`
x`Ú -1 lim `f(x)= lim   = lim   = lim  xÛ`=0
x`Ú 0+ x`Ú 0+ |x| x`Ú 0+ x x`Ú 0+
㈏에서 lim (x-2)=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Ú 2
xÜ` xÜ`
lim `f(x)= lim   = lim   = lim (-xÛ`)=0
lim`f(x)=0 ∴ f(2)=0 x`Ú 0- x`Ú 0- |x| x`Ú 0- -x x`Ú 0-
x`Ú 2
이므로 lim`f(x)=0 ∴ lim`f(x)=f(0)
이때  f(x)=(x+1)(x-2)g(x) ( g(x)는 다항함수)로 놓으 x`Ú 0 x`Ú 0

면 g(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고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함수  f(x)는 모
f(x) (x+1)(x-2)g(x) 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lim   = lim  
x+1 x`Ú -1
x`Ú -1 x+1 xÛ`-x x(x-1)
⑤ lim `f(x)= lim   = lim  
  = lim {(x-2)g(x)}=-3g(-1)=a x`Ú 1+ x`Ú 1+ |x-1| x`Ú 1+ x-1
x`Ú -1
= lim x=1
x`Ú 1+
∴ g(-1)=-;3;
xÛ`-x x(x-1)
lim `f(x)= lim   = lim  
f(x) (x+1)(x-2)g(x) x`Ú 1- x`Ú 1- |x-1| x`Ú 1- -(x-1)
lim  =lim 
x`Ú 2 x-2 x`Ú 2 x-2 = lim (-x)=-1
x`Ú 1-
  =lim{(x+1)g(x)}=3g(2)=b
x`Ú 2 ∴ lim `f(x)+ lim `f(x)
x`Ú 1+ x`Ú 1-

∴ g(2)=;3B; 즉,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Ú 1
ab x=1에서 불연속이다.
∴ g(-1)g(2)={-;3;}´;3B;=- <0 (∵ ab>0)
9
따라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는 ②, ④이다. 답 ②, ④
이때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f(x)=0은 두 실근 -1, 2를 갖고, 열린구간 0196 f(3)=a, f(1)=b라 하자.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로 닫힌구간 [-1, 2] ㄱ. f(`f(2))=f(3)=a
에서 최소 3개의 실근을 갖는다. 답③ 따라서 f(`f(2))의 값은 존재한다.
ㄴ. x Ú`2+일 때 f(x) Ú`3+이고,

0193 ㈎에서 x=1일 때, f(3)=f(5)이고 x  Ú`2-일 때  f(x)  Ú`1-이므


x=4일 때, f(0)=f(8) 로 f(x)=t라 하면
이때 ㈏에서 f(0)과 f(3)의 부호가 서로 다르고 ㈐에서 f(4)와  lim `f(`f(x))= lim `f(t)=a
x`Ú 2+ t`Ú 3+

022 정답과 풀이
lim `f(`f(x))= lim `f(t)=b xÛ`-x
x`Ú 2- t`Ú 1- f(0)=lim`f(x)=lim 
x`Ú 0 x`Ú 0 'Ä1+x-'Ä1-x

∴ lim `f(`f(x))+ lim `f(`f(x)) x(x-1)('Ä1+x+'Ä1-x`)


x`Ú 2+ x`Ú 2-
=lim 
x`Ú 0 ('Ä1+x-'Ä1-x`)('Ä1+x+'Ä1-x`)
따라서 극한값 lim`f(`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2
x(x-1)('Ä1+x+'Ä1-x`)
ㄷ. ㄴ에 의하여 함수 f(`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lim 
x`Ú 0 2x
따라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답① (x-1)('Ä1+x+'Ä1-x`)
=lim 
참고 합성함수 g(`f(x))의 극한값을 구할 때는 좌극한과 우극한에 x`Ú 0 2
주의하면서 f(x)=t로 치환하여 생각한다. =-1 답②
x Ú`a+일 때, f(x) Ú`b+이면 t Ú`b+이므로
lim `g(`f(x))= lim `g(t)= lim `g(x) 5
x`Ú a+ t`Ú b+ x`Ú b+ 0201 함수  f(x)= x+2  는 x+-2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
이다.
① -5Éx<-2일 때, 최솟값은 없다.
0197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도 ②, ④, ⑤  f(x)는 주어진 닫힌구간에서 연속이므로 최대・최소
연속이다. 즉,
정리에 의하여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xÜ`-8
f(2)=lim`f(x)=lim  5
x`Ú 2 x`Ú 2 x-2 ③ -2<xÉ3일 때, 최솟값은 f(3)= =1
3+2
(x-2)(xÛ`+2x+4) 답①
=lim  따라서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은 ①이다.
x`Ú 2 x-2
=lim(xÛ`+2x+4)=12
x`Ú 2
0202 f(x)=xÜ`+xÛ`-1로 놓으면 함수  f(x)는 모든 실수 x
∴ a=12 답 12
에서 연속이다.
f(-1)=-1+1-1=-1<0

0198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f {-;2!;}=-;8!;+;4!;-1=-;8&;<0


xÛ`+ax+b f(0)=0+0-1=-1<0
lim `f(x)=f(-1) ∴ lim   =2 yy`㉠
x`Ú -1 x`Ú -1 x+1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f {;2!;}=;8!;+;4!;-1=-;8%;<0
(분자) Ú`0이다. f(1)=1+1-1=1>0
즉, lim (xÛ`+ax+b)=0이므로 f(2)=8+4-1=11>0
x`Ú -1

1-a+b=0 ∴ b=a-1 따라서  f {;2!;}f(1)<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주어진


b=a-1을 ㉠에 대입하면
xÛ`+ax+a-1 (x+1)(x+a-1)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2!;, 1}이다. 답④
lim   = lim  
x`Ú -1 x+1 x`Ú -1 x+1
= lim (x+a-1)
x`Ú -1
0203 버스가 A 정류장을 출발한 지 x시간 후의 버스의 속력
=-2+a=2
을 f(x)` m 라 하고 A 정류장을 출발한 지 각각 b시간, c시
따라서 a=4, b=3이므로
간 후에 B 정류장, 정류장에 도착하였다고 하면
a+b=7 답7
f(0)=0, f(b)=0, f(c)=0
이때 0<a<b, b<b<c이고 f(a)=58, f(b)=68인 a, b가
존재하므로 f(k)=30인 k가 구간 (0, a), (a, b), (b, b), (b, c)
0199 열린구간 {-;3$;, 1}에서 함수 f(x)=;3$; [3x]는 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존재한다.

x=-1, -;3@;, -;3!;, 0, ;3!;, ;3@;에서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이 되 따라서 버스의 속력이 30` m 인 순간은 적어도 4번 존재한다.
∴ n=4 답④
는 x의 값의 개수는 6이다. 답④

0204 이차함수 g(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며, 함수 


xÛ`-x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f(x)>0이고 x=2에서만 불연
0200 x+0일 때, f(x)= 'Ä1+x-'Ä1-x
g(x)
열린구간 (-1, 1)에서 함수 f(x)가 연속이므로 x=0에서도 연 속이다. 이때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f(x)
속이다. 즉, x=2에서도 연속이다.

02. 함수의 연속 023


g(2) g(x) g(x) x Ú`2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 lim   = lim    이므로
f(2) x`Ú 2+ f(x) x`Ú 2- f(x)
(분자) Ú`0이다.
g(2) g(x) g(x)
= lim   = lim   즉, lim(axÛ`+bx)=0이므로
f(2) x`Ú 2+ x-2 x`Ú 2- xÛ`-4x+5 x`Ú 2

g(x) 4a+2b=0 ∴ b=-2a


lim   가 존재하고 (분모) Ú`0이므로 (분자) Ú`0이다.
x`Ú 2+ x-2

∴ g(2)=0
b=-2a를 ㉠에 대입하면
이차함수 g(x)를 g(x)=(x-2)(x+a)(a는 상수)로 놓으면 axÛ`-2ax ax(x-2)
lim  =lim  =lim ax=2a=4
g(2) g(2) g(x) g(2) x`Ú 2 x-2 x`Ú 2 x-2 x`Ú 2
= =0, lim   = =0
f(2) 1 x`Ú 
2- xÛ`-4x+5 1 ∴ a=2, b=-4
g(x)
에서 lim   =0이므로
x`Ú 2+ x-2
∴ a+b=-2
(x-2)(x+a)
lim   = lim (x+a)=2+a=0
x`Ú 2+ x-2 x`Ú 2+

∴ a=-2 답 -2

따라서 g(x)=(x-2)Û`이므로 단계 채점요소 배점

g(5)=3Û`=9 답③ x=2에서 연속임을 이용하기 30 %


a, b의 관계식 구하기 30 %
0205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1, a, b의 값 구하기 30 %

x=1에서도 연속이다. a+b의 값 구하기 10 %

Ú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1) 0207 g(x)=f(x)+3x로 놓으면 f(x)가 연속함수이므로
x`Ú -1+ x`Ú -1-

lim (xÛ`-b)= lim (-2x+a)=1-b g(x)도 연속함수이다.


x`Ú -1+ x`Ú -1-
g(1)=f(1)+3=-5+3=-2
1-b=2+a ∴ a+b=-1 yy ㉠
g(2)=f(2)+6=-2+6=4
Û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g(3)=f(3)+9=3+9=12
lim `f(x)= lim `f(x)=f(1)
x`Ú 1+ x`Ú 1-
g(4)=f(4)+12=-14+12=-2
lim (3x+c)= lim (xÛ`-b)=3+c
x`Ú 1+ x`Ú 1-

3+c=1-b ∴ b+c=-2 yy ㉡ 따라서 g(1)g(2)<0, g(3)g(4)<0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


하여 방정식 g(x)=0은 열린구간 (1, 2), (3, 4)에서 각각 적어
또, f(0)=-1이므로 0-b=-1 ∴ b=1 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b=1을 ㉠, ㉡에 각각 대입하면
a=-2, c=-3 즉, 방정식 f(x)+3x=0은 열린구간 (1, 4)에서 적어도 2개의
실근을 갖는다.
∴ abc=(-2)´1´(-3)=6
답 2개
답6
단계 채점요소 배점
단계 채점요소 배점 g(x)=f(x)+3x로 놓고 g(1), g(2), g(3), g(4)의 값
60 %
구하기
조건을 이용하여 a, b, c에 대한 식 세우기 50 %
g(a)g(b)<0인 열린구간 (a, b) 구하기 30 %
a, b, c의 값 구하기 30 %
실근의 최소 개수 구하기 10 %
abc의 값 구하기 20 %

axÛ`+bx 0208 직선 y=x+k가 곡선


0206 x+2일 때, f(x)= x-2
y='Äx-2와 접할 때의 실수 k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x=2에서도 연속이다.
의 값은
따라서 lim`f(x)=f(2)이므로
x`Ú 2
'Äx-2=x+k에서
axÛ`+bx
lim  =4 yy`㉠ x-2=xÛ`+2kx+kÛ``
x`Ú 2 x-2
xÛ`+(2k-1)x+kÛ`+2=0

024 정답과 풀이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3'2
= 일 때, f( )=3
=(2k-1)Û`-4(kÛ`+2) 2

=(4kÛ`-4k+1)-(4kÛ`+8)
=-4k-7=0

∴ k=-;4&;
3'2
또, 직선 y=x+k가 곡선 y='Äx-2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 <'5일 때,
2
나도록 하는 실수 k의 최솟값은 직선 y=x+k가 점 (2, 0)을 지 f( )=4
날 때이므로 k=-2

(0 {k>-;4&;}

1 {k=-;4&;} ='5일 때, f( )=3


∴ f(k)=
2 {-2Ék<-;4&;}
91 (k<-2)
따라서 함수 y=f(k)의 그래프는 오
른쪽 그림과 같고, 함수 f(k)가 불연
>'5일 때, f( )=2
속이 되도록 하는 k의 값은

-2, -;4&;의 2개이다.

답2

Ú 에 의하여 함수 y=f(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3'2
따라서 함수 f( )는 = , ,
2 2
0209 원의 중심 (1, 2)와 직선 x-y=0 사이의 거리는
'5에서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이 되는
|1-2| '2
= 의 값의 개수는 3이다. 답③
"Ã1Û`+(-1)Û` 2
원의 중심 (1, 2)와 직선 x+y=0 사이의 거리는
|1+2| 3'2
=
"Ã1Û`+1Û` 2
원의 중심 (1, 2)와 원점 사이의 거리는 0210 AOB =;2!;´(9+7)´6=48

"Ã1Û`+2Û`='5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y=t와


'2 AOB 가 만나는 점을 , 라 하고
Ú 0< < 일 때, f( )=0
2
OB 의 넓이를 f(t)라 하자.
이때 함수 f(t)는 닫힌구간 [0, 6]에서
연속이고 f(0)=0, f(6)=48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c)=:2:인


'2
Û = 일 때, f( )=1 c가 열린구간 (0, 6)에 존재한다.
2
따라서 AOB 의 넓이를 이등분하고 x축에 평행한 직선 y=c
가 존재한다. 답 풀이 참조

'2 3'2
< < 일 때, f( )=2
2 2

02. 함수의 연속 025


`f(2+ x)-f(2)
Ⅱ. 미분 0219 f (2)= lim
x`Ú0

x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 lim  


x`Ú0
{(2+ x)Û`-2}-2 
x
4 x+( x)Û`
= lim  
x`Ú0 x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39쪽, 41쪽 = lim
x`Ú 0
(4+ x)=4 답4

y `f(2)-f(0) 7-1
0211 x
=
2-0
=
2 
=3 답3 `f(2+ x)-f(2)
0220 f (2)= lim
x`Ú0

x
y `f(2)-f(0) 4-0  (2+ x+3)Û`-25`
0212 x
=
2-0
=
2 
=2 답2 = lim  
x`Ú0 x 
10 x+( x)Û`
y `f(2)-f(0) 20-(-4) = lim  
0213 = = =12 답 12 x`Ú0 x
x 2-0 2 
= lim
x`Ú 0
(10+ x)=10 답 10
y `f(2)-f(0) 1-9
0214 x
=
2-0
=
2  
=-4 답 -4
`f(a+ x)-f(a)
0221 f (a)= lim
x`Ú0

x
y `f(4)-f(1) -14-1
0215 ⑴ x
=
4-1
=
3
=-5 {(a+ x)Û`-2(a+ x)}-(aÛ`-2a)
= lim  
x`Ú0 x 
y `f(3+ x)-f(3) {-(3+ x)Û`+2}-(-7)
⑵ = = (2a-2) x+( x)Û`
x (3+ x)-3 x
= lim  
x`Ú0 x
-6 x-( x)Û`
= =-6- x = lim (2a-2+ x)=2a-2
x x`Ú 0

답 ⑴ -5 ⑵ -6- 즉, 2a-2=6이므로 a=4 답4

y `f(a+ x)-f(a)
0216 ⑴ x
= `f(a+ x)-f(a)
(a+ x)-a 0222 f (a)= lim  
x`Ú0 x
{2(a+ x)+3}-(2a+3) 
= {2(a+ x)Ü`+3}-(2aÜ`+3)
x  = lim  
x`Ú0 x 
2 x 
= =2 6aÛ` x+6a( x)Û`+2( x)Ü`
x  = lim  
x`Ú0 x
y `f(a+ x)-f(a)
⑵ x
= = lim {6aÛ`+6a x+2( x)Û`}=6aÛ`
(a+ x)-a x`Ú 0

{(a+ x)Û`-(a+ x)}-(aÛ`-a) 즉, 6aÛ`=6이므로 a=1 (∵ a>0) 답1


=
x
(2a-1) x+( x)Û`
= =2a-1+ x `f(-1+ x)-f(-1)
x 0223 f (-1)= lim  
x`Ú0 x
답⑴2 ⑵ 2a-1
{3(-1+ x)Û`+1}-4
= lim  
x`Ú0 x 
`f(2+ x)-f(2)
0217 f (2)= lim  
x -6 x+3( x)Û`
x`Ú0 = lim  
x`Ú0 x
3(2+ x)-6 
= lim   = lim (-6+3 x)=-6 답 -6
x`Ú0 x x`Ú 0

3 x 
= lim   =3 답3
x`Ú0 x `f(0+ x)-f(0)
0224 f (0)= lim
x`Ú0

x
`f(2+ x)-f(2)
0218 f (2)= lim  
x
{(0+ x)Û`-2(0+ x)-5}-(-5)
x`Ú0 = lim  
x`Ú0 x 
{-2(2+ x)+5}-1
= lim   -2 x+( x)Û`
x`Ú0 x = lim  
x`Ú0 x
-2 x 
= lim   =-2 답 -2 = lim (-2+ x)=-2 답 -2
x`Ú0 x x`Ú 0

026 정답과 풀이
`f(-1+ x)-f(-1) `f(x+h)-f(x)
0225 f (-1)= lim
x`Ú0

x
0232 f (x)=lim
h`Ú0

h
{-(-1+ x)Ü`-(-1+ x)+7}-9  {(x+h)Û`-1}-(xÛ`-1) 
= lim   =lim 
x`Ú0 x  h`Ú0 h 
-4 x+3( x)Û`-( x)Ü` 2xh+hÛ`
= lim   =lim 
x`Ú0 x h`Ú0 h
= lim
x`Ú 0
{-4+3 x-( x)Û`}=-4 답 -4 = lim
h`Ú 0
(2x+h)=2x 답  =2

`f(x+h)-f(x)
0226 x`Ú2+ 
lim `f(x)= lim (x-2)=0 0233 ㄱ. lim
h`Ú0

h
=f (x)
x`Ú2+ 

lim `f(x)= lim (-x+2)=0 `f(1+ x)-f(1) 


x`Ú2-  x`Ú2-  ㄴ. lim   =f (1)
x`Ú0 x  
따라서 lim`f(x)=f(2)=0이므로 함수 f(x)는 x=2에서 연속
x`Ú2   ㄷ. t-x=h로 놓으면 t=x+h
이다. 답 연속이다.
t`Ú x일 때 h`Ú 0이므로
`f(t)-f(x) `f(x+h)-f(x)
`f(x)-f(2) (x-2)-0 lim  =lim  =f (x)
0227 x`Ú2+ 
lim   = lim   =1 t`Úx t-x  h`Ú0 h
x-2 x`Ú2+  x-2
`f(x)-f( x)  `f(x+ x)-f(x) 
`f(x)-f(2) (-x+2)-0 ㄹ. lim   + lim   =f (x)
lim   = lim   =-1 x`Ú0 x    x`Ú0 x  
x`Ú2-  x-2 x`Ú2-  x-2
따라서 서로 같은 것은 ㄱ, ㄷ이다. 답 ㄱ, ㄷ
이므로  f (2)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함수 f(x)는 x=2에
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답 미분가능하지 않다.
0234 y =(xÜ`) =3xÛ` 답 =3

0228 x`Ú1+ 
lim `f(x)= lim 2xÜ`=2
x`Ú1+ 

lim `f(x)= lim (6x-4)=2


0235 y =(-x`) =-5xÝ`` 답 =-5
x`Ú1-  x`Ú1- 

따라서 lim`f(x)=f(1)=2이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


x`Ú1  
이다. 답 연속이다. 0236 y =(-8) =0 답 =0

`f(x)-f(1) 2xÜ`-2
0229 x`Ú1+ 
lim  
x-1
= lim  
x`Ú1+  x-1
0237 y ={;2!;xÝ`+xÛ`} ={;2!;xÝ`} +(xÛ`)
2(x-1)(xÛ`+x+1) =2xÜ`+2x 답 =2 2
  = lim  
x`Ú1+  x-1
  = lim 2(xÛ`+x+1)=6
x`Ú1+ 
0238 y =(-3xÛ`+9x+10) =(-3xÛ`) +(9x) +(10)
`f(x)-f(1) (6x-4)-2
lim   = lim   =-6x+9 답 =-6 9
x`Ú1-  x-1 x`Ú1-  x-1
6(x-1)
  = lim   =6
x`Ú1-  x-1
0239 ⑴ 함수 f(x)+g(x)의 x=1에서의 미분계수는
이므로 f` (1)이 존재한다.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미분
`f (1)+g (1)=3+(-2)=1
가능하다. 답 미분가능하다.
⑵ 함수 2 f(x)-g(x)의 x=1에서의 미분계수는
2 f (1)-g (1)=2´3-(-2)=8
`f(x+h)-f(x)
0230 f (x)=lim
h`Ú0

h
답⑴1 ⑵8

2-2 답  =0
=lim  =0
h`Ú0 h
0240 y =x (3x+2)+x(3x+2)
=(3x+2)+3x=6x+2 답 =6 2
`f(x+h)-f(x)
0231 f (x)=lim
h`Ú0

h
{2(x+h)+1}-(2x+1) 
=lim  0241 y =(x-4) (3x-1)+(x-4)(3x-1)
h`Ú0 h 
=(3x-1)+3(x-4)
2h
=lim  =2 답  =2 =6x-13
h`Ú0 h  답 =6 -13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27


0242 y =(-xÛ`) (2x-3)+(-xÛ`)(2x-3) 유형 익 히 기 / /
본문 42~49쪽
=-2x(2x-3)-2xÛ`
=-6xÛ`+6x 답 =-6 6 0249 x의 값이 1에서 a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
율은
`f(a)-f(1) aÜ`-2a+5-(1-2+5) aÜ`-2a+1
0243 y =(xÛ`-3) (x+4)+(xÛ`-3)(x+4) = =
a-1 a-1  a-1
=2x(x+4)+(xÛ`-3) (a-1)(aÛ`+a-1)
=3xÛ`+8x-3 = =aÛ`+a-1
답 =3 8 -3 a-1 
즉, aÛ`+a-1=5이므로
aÛ`+a-6=0, (a+3)(a-2)=0
0244 y =x (x-1)(x-2)+x(x-1) (x-2)
∴ a=2 (∵ a>1) 답2
+x(x-1)(x-2)
=(x-1)(x-2)+x(x-2)+x(x-1)
0250 x의 값이 1에서 1+h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
=3xÛ`-6x+2 답 =3 -6 2
변화율은
`f(1+h)-f(1) (1+h)Û`-1Û` hÛ`+2h
= = =h+2
(1+h)-1 h h
0245 y =(x-5) (2x+4)(-x+1)
즉, h+2=3이므로 h=1 답1
+(x-5)(2x+4) (-x+1)
+(x-5)(2x+4)(-x+1)
0251 x의 값이 1에서 a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
=(2x+4)(-x+1)+2(x-5)(-x+1)
율은
-(x-5)(2x+4)
`f(a)-f(1) aÛ`-3a+a-(1-3+a) aÛ`-3a+2
=-6xÛ`+16x+14 = =
답 =-6 16 14 a-1 a-1   a-1   
(a-1)(a-2)
= =a-2
a-1  
0246 y=(3x+2)Û`=(3x+2)(3x+2)이므로 즉, a-2=2a-7이므로 a=5 답5
y =(3x+2) (3x+2)+(3x+2)(3x+2)
=2(3x+2)(3x+2) 0252 직선 AB의 기울기는 x의 값이 2에서 4까지 변할 때의
=6(3x+2) 답 =6 3 2 함수 y=f(x)의 평균변화율과 같으므로
다른풀이 y ={(3x+2)Û`} =2(3x+2)(3x+2) `f(4)-f(2)
=2
=6(3x+2) 4-2 
그런데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
로 f(0)=f(4)
0247 y=(2x-1)Ü`=(2x-1)(2x-1)(2x-1)이므로 따라서 x의 값이 0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
y =(2x-1) (2x-1)(2x-1)+(2x-1)(2x-1) (2x-1) 율은
+(2x-1)(2x-1)(2x-1) `f(2)-f(0) `f(2)-f(4) `f(4)-f(2)
= =- =-2 답 -2
=3(2x-1)Û`(2x-1) 2-0 2 2
=6(2x-1)Û` 답 =6 2 -1
0253 x의 값이 -1에서 4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
변화율은
0248 y=(xÛ`+1)(2x+1)Û` `f(4)-f(-1) 8-3
= =1
=(xÛ`+1)(2x+1)(2x+1) 4-(-1) 5

이므로 함수 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는

y =(xÛ`+1) (2x+1)(2x+1)+(xÛ`+1)(2x+1) (2x+1) `f(a+h)-f(a)


f` (a)=lim 
h`Ú0  h 
+(xÛ`+1)(2x+1)(2x+1)
{(a+h)Û`-2(a+h)}-(aÛ`-2a)
=2x(2x+1)Û`+2(xÛ`+1)(2x+1)(2x+1) =lim 
h`Ú0  h 
=2x(2x+1)Û`+4(xÛ`+1)(2x+1) 2ah+hÛ`-2h 
=lim 
=2(2x+1)(4xÛ`+x+2) h`Ú0  h 
답 =2 2 1 4 2 = lim
h`Ú 0
(2a+h-2)=2a-2

028 정답과 풀이
즉, 2a-2=1이므로 a=;2#; 답 ;2#; 0256 `f(k)-f(1) =-k, f(1)=3이므로
k-1
f(k)=-kÛ`+k+3
따라서 f(x)=-xÛ`+x+3이므로 x=1에서의 미분계수는
0254 x의 값이 1에서 k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 `f(1+h)-f(1)
f (1)=lim 
율은 h`Ú0  h
`f(k)-f(1) (kÜ`-1)-0 {-(1+h)Û`+(1+h)+3}-3
= =lim 
k-1 k-1  h`Ú0  h
(k-1)(kÛ`+k+1) -h-hÛ`
= =kÛ`+k+1 =lim  =lim (-1-h)=-1 답 -1
k-1   h`Ú0  h  h`Ú 0

함수 f(x)의 x='7에서의 미분계수는


`f('7+h)-f('7 ) `f(2+h)-f(2-h)
f ('7 )=lim 
h`Ú0  h
0257 lim  
h`Ú0  3h
{('7+h)Ü`-1}-{('7 )Ü`-1} {`f(2+h)-f(2)}-{`f(2-h)-f(2)}
=lim  =lim 
h`Ú0  h h`Ú0 3h
21h+3'7hÛ`+hÜ` `f(2+h)-f(2) `f(2-h)-f(2)
=lim  =lim  ´;3!;-lim  ´{-;3!;}
h`Ú0  h  h`Ú0 h h`Ú0 -h
= lim
h`Ú 0
(21+3'7h+hÛ`)=21 =;3!;f (2)+;3!;f (2)=;3@;f (2)
즉, kÛ`+k+1=21이므로
=;3@;´6=4 답4
kÛ`+k-20=0, (k+5)(k-4)=0
∴ k=4 (∵ k>1) 답4
`f(1+kh)-f(1) `f(1+kh)-f(1)
0258 lim  
h`Ú0  h
=lim 
h`Ú0 kh
´k

  =kf (1)=3k
0255 x의 값이 a에서 2a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 즉, 3k=6이므로 k=2 답2
화율은
`f(2a)-f(a) `(4aÜ`+4a)-(aÜ`+2a) `3aÜ`+2a
= = `f(a+2h)-f(a-3h)
2a-a a a 0259 lim  
h`Ú0  h
=3aÛ`+2 {`f(a+2h)-f(a)}-{`f(a-3h)-f(a)}
=lim 
h`Ú0 h
함수 f(x)의 x=1에서의 미분계수는 `f(a+2h)-f(a) `f(a-3h)-f(a)
=lim  ´2-lim  ´(-3)
`f(1+h)-f(1) h`Ú0 2h h`Ú0 -3h
f (1)=lim 
h`Ú0  h  =2f (a)+3f (a)=5f (a) 답⑤
{a(1+h)Û`+2(1+h)}-(a+2) 
=lim 
h`Ú0  h 
`f(a+3h)-f(a+hÛ`)
2ah+ahÛ`+2h 0260 lim  
h`Ú0  h
=lim 
h`Ú0  h 
{`f(a+3h)-f(a)}-{`f(a+hÛ`)-f(a)}
=lim  (2a+ah+2)=2a+2 =lim 
h`Ú0  h`Ú0 h
`f(a+3h)-f(a) `f(a+hÛ`)-f(a)
=lim  ´3-lim[ ´h]
즉, 3aÛ`+2=2a+2이므로 h`Ú0 3h h`Ú0 hÛ`
3aÛ`-2a=0, a(3a-2)=0 =3 f (a)+0´f (a)=3 f (a)
=3´(-3)=-9 답 -9
∴ a=;3@; (∵ a>0)

`f(xÜ`)-f(1)
답 ;3@;
0261 lim  
x`Ú1  x-1 
`f(xÜ`)-f(1)
단계 채점요소 배점 =lim [ ´(xÛ`+x+1)]
x`Ú1  (x-1)(xÛ`+x+1) 
x의 값이 a에서 2a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 구하기 30 %
`f(xÜ`)-f(1)
x=1에서의 미분계수 구하기 40 % =lim [ ´(xÛ`+x+1)]
x`Ú1  xÜ`-1
a의 값 구하기 30 % =3 f (1)=3´2=6 답③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29


`f(x)-f(3) `f(1+h)-f(1)
0262 lim   =f (3)이므로 f (3)=1 ∴ f` (1)=lim 
x`Ú3  x-3 h`Ú0  h
`f(3+3h)-f(3) `f(3+3h)-f(3) `f(1)+f(h)-f(1)
∴ lim  =lim  ´3 =lim 
h`Ú0   h h`Ú0   3h h`Ú0  h
=3 f (3)=3´1=3 답3 `f(h) `f(h)-f(0)
=lim  =lim 
h`Ú0  h  h`Ú0  h
=f` (0)=3 답3
xÛ` f(1)-f(xÛ`)
0263 lim  
x`Ú1  x-1
{xÛ` f(1)-f(1)}-{`f(xÛ`)-f(1)}  0267 주어진 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lim 
x`Ú1   x-1 f(0)=f(0)+f(0)-0 ∴ f(0)=0
xÛ`-1 `f(xÛ`)-f(1) `f(2a+h)-f(2a)
=lim  ´f(1)-lim  f (2a)=lim 
x`Ú1   x-1  x`Ú1   x-1   h`Ú0  h
`f(xÛ`)-f(1) `f(2a)+f(h)-2ah-f(2a)
=lim (x+1)´f(1)-lim [ ´(x+1)] =lim 
x`Ú1   x`Ú1   xÛ`-1   h`Ú0  h
=2 f(1)-2 f (1) `f(h)-2ah  `f(h)-`f(0)
=lim  =lim  -2a
=2´3-2´1=4 답4
h`Ú0  h h`Ú0  h 
=f (0)-2a=3-2a
즉, 3-2a=7이므로 a=-2 답 -2
f(x)-3
0264 lim  
x`Ú1  '¶x-1

f(x)- f(1) 0268 주어진 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lim 
x`Ú1   '¶x-1
f(0)=2f(0) f(0) ∴ f(0)=;2!; (∵ f(0)>0)
{ f(x)- f(1)}{ f(x)+ f(1)} '¶x+1
=lim [ ´ ] `f(2+h)-f(2)
x`Ú1   ('¶x-1)('¶x+1) f(x)+ f(1) f` (2)=lim 
h`Ú0  h
`f(x)-f(1) '¶x+1 2 f(2)[ f(h)-;2!;] 
=lim  ´lim  2f(2) f(h)-f(2) 
x`Ú1   x-1 x`Ú1  
f(x)+ f(1) =lim  =lim 
h`Ú0  h h`Ú0  h
2 답2 `f(h)-f(0)
=f (1)´ =6´;3!;=2 =2 f(2)´lim  = 2 f(2) f` (0)
2 f(1) h`Ú0  h
=2 f(2)´3=6 f(2)
0265 주어진 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 (2) `6 f(2)
∴ = =6 답④
f(2) f(2)
f(0)=f(0)+f(0)-1 ∴ f(0)=1
`f(2+h)-f(2)
f (2)=lim 
h`Ú0 h
`f(2)+f(h)-1-f(2) 0269 오른쪽 그림과 같이
=lim  A(a, f(a)), B(b, f(b))라 하자.
h`Ú0 h
`f(h)-1 `f(h)-`f(0) ㄱ. f (a)는 점 A에서의 접선의 기
=lim  =lim  =f (0)
h`Ú0 h h`Ú0 h 울기이고,  f (b)는 점 B에서의
이때 f (2)=1이므로 f (0)=1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f(1+h)-f(1) f (a)>f (b)
∴ f (1)=lim 
h`Ú0 h
`f(b)-`f(a) 
`f(1)+f(h)-1-f(1) ㄴ. 직선 AB의 기울기는 1보다 작으므로 <1
=lim  b-a  
h`Ú0 h 
이때 b-a>0이므로 f(b)-f(a)<b-a
`f(h)-1  `f(h)-`f(0) 
=lim  =lim  `f(a) `f(b)
h`Ú0 h  h`Ú0 h   ㄷ.  는 원점과 점 A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고,
a   b 
=f (0)=1 답①
는 원점과 점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므로
`f(a) `f(b)
>
a   b 
0266 주어진 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답ㄴ
f(0)=f(0)+f(0) ∴ f(0)=0

030 정답과 풀이
0270 미분계수 f (a)는 곡선 lim  
`f(x)-f(1)
= lim  
(x+2)(x-1)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x`Ú1+  x-1  x`Ú1+  x-1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①~⑤의 값은 ②   = lim (x+2)=3
x`Ú1+ 

각각 오른쪽 그림의 접선의 기울기와 ③ ④ `f(x)-f(1) (x+2)(-x+1)
lim   = lim  
같다. 따라서 가장 큰 값은 ⑤이다. x`Ú1-  x-1 x`Ú1-  x-1

 답⑤   = lim (-x-2)=-3
x`Ú1- 

이므로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0271 ㄱ.  f (a)는 점 A에서
의 접선의 기울기이고,  
따라서 f(x)는 x=1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f (b)는 점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답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f (a)<f (b)
ㄴ. 직선 AB의 기울기가 점 B에 단계 채점요소 배점

서의 접선의 기울기보다 작으므로 연속성 조사하기 40 %

`f(b)-f(a) 미분가능성 조사하기 50 %


<f (b)
b-a 답 구하기 10 %

ㄷ. aÉxÉb에서 함수 f(x)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므로


a+b `f(a)+f(b)
 f { }<
2  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ㄱ, ㄴ, ㄷ
0274 ① lim
x`Ú 0
`f(x)=f(0)=5이므로  f(x)는 x=0에서 연속

이다.
0272 ㄱ. lim
x`Ú1 
f(x)=f(1)=1이므로  f(x)는 x=1에서 연 `f(x)-f(0) 5-5
 f (0)=lim  =lim  =0
속이다. x`Ú0  x x`Ú0  x

`f(x)-f(1) xÛ`-1 이므로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lim  =lim 
x`Ú1  x-1 x`Ú 1 x-1
② lim`f(x)=f(0)=0이므로 f(x)는 x=0에서 연속이다.
x`Ú 0
  = lim (x+1)=2
x`Ú 1 `f(x)-f(0) x|x|
 f (0)=lim  =lim  =lim|x|=0
이므로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x`Ú0  x  x`Ú0  x   x`Ú0 
ㄴ. lim f(x)=f(1)=0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이므로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x`Ú1 

`f(x)-f(1) |xÛ`-x| xÛ`-x` ③ lim`f(x)=f(0)=0이므로 f(x)는 x=0에서 연속이다.


lim   = lim   = lim   x`Ú 0
x`Ú1+   x-1 x`Ú1+   x-1  x`Ú1+   x-1
`f(x)-f(0) |x| x
lim x=1
=x`Ú  lim   = lim   = lim   =1
1+  x`Ú0+   x     x`Ú0+   x  
x`Ú0+   x 

`f(x)-f(1) |xÛ`-x| -xÛ`+x `f(x)-f(0) |x| -x


lim   = lim   = lim   lim   = lim   = lim   =-1
x`Ú1-   x-1 x`Ú1-   x-1  x`Ú1-   x-1 x`Ú0-   x  x`Ú0- x    x`Ú0-   x  
lim (-x)=-1
=x`Ú  이므로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1-
|x|
이므로 f (1)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f(x)는 x=1에서 ④ f(x)=  는 x=0에서 불연속이고 미분가능하지 않다.
x   
미분가능하지 않다.
⑤ lim`f(x)=f(0)=0이므로 f(x)는 x=0에서 연속이다.
lim
ㄷ. x`Ú1  f(x)=f(1)=1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Ú 0

1 `f(x)-f(0) |x|Û`
-1  f (0)=lim  =lim 
`f(x)-f(1) x  x`Ú0  x x`Ú0  x   
lim  =lim  =lim {-;[!;}=-1
x`Ú1   x-1 x`Ú1   x-1 x`Ú1
xÛ`
=lim  =lim x=0
x`Ú0  x    x`Ú0 
이므로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x=1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는 ㄱ, ㄷ이다. 답 ㄱ, ㄷ 이므로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답③

0273 f(x)=(x+2)|x-1|에서
lim `f(x)= lim (x+2)(x-1)=0
x`Ú 1+  x`Ú 1+ 

lim `f(x)= lim (x+2)(-x+1)=0


0275 ㄱ. lim
x`Ú 0
`f(x)=f(0)=0이므로 f(x)는 x=0에서 연속
x`Ú 1-  x`Ú 1- 
이다.
즉, lim`f(x)=f(1)=0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Ú 1 
`f(x)-f(0) x
lim   = lim   =1
x`Ú0+   x x`Ú0+   x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31


`f(x)-f(0) -x 0279 xÛ` f(x)=g(x)로 놓으면 y=g(x)에서
lim   = lim   =-1
x`Ú0-   x x`Ú0+   x  
`g(x+h)-g(x)
y =lim 
이므로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h`Ú0   h
ㄴ. lim`f(x)=f(0)=2이므로 f(x)는 x=0에서 연속이다. (x+h)Û` f(x+h)-xÛ` f(x)
x`Ú 0 =lim 
h`Ú0   h 
`f(x)-f(0) (xÛ`-3x+2)-2
lim   = lim   (x+h)Û`{ `f(x+h)-f(x) `}+f(x){(x+h)Û`-xÛ`} 
x`Ú0+   x   x`Ú0+   x  
=lim 
h`Ú0   h
xÛ`-3x
  = lim   = lim (x-3)=-3
x`Ú0+   x   x`Ú0+   `f(x+h)-f(x) `
=lim(x+h)Û`´lim 
`f(x)-f(0) (xÛ`+3x+2)-2 h`Ú0   h`Ú0   h
lim   = lim  
x`Ú0-   x  x`Ú0-   x   +f(x)´lim( 2x +h)
h`Ú0  
xÛ`+3x = xÛ` f (x)+2x f(x)
  = lim   = lim (x+3)=3
x`Ú0-   x   x`Ú0-  
답 ㈎  - ㈏2 ㈐ 2
이므로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ㄷ. lim`f(x)=f(0)=1이므로 f(x)는 x=0에서 연속이다.
x`Ú 0
0280 f (x)=-xÛ`+x+1이므로
`f(x)-f(0) (x+1)Û`-1  f (2)=-4+2+1=-1 답①
lim   = lim  
x`Ú0+   x   x`Ú0+   x  
xÛ`+2x
  = lim   = lim (x+2)=2
x`Ú0+   x   x`Ú0+   0281 f (x)=3xÛ`-6x+a이므로
`f(x)-f(0) (2x+1)-1 2x f (1)=2에서 3-6+a=2 ∴ a=5 답⑤
lim   = lim   = lim   =2
x`Ú0-   x  x`Ú0-   x    x`Ú0-   x 
  
이므로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다.
0282 f (x)=1+x+xÛ`+ y +x``이므로
따라서 x=0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함수는 ㄱ,
f (1)=1+1+1+ y +1=1´100=100
{ 답 100
ㄴ이다. 답 ㄱ, ㄴ
100개

0276 함수 y=f(x)는 x=-2, x=1에서 불연속이므로 0283 f(1)=1에서 a+b+3=1 ∴ a+b=-2 y`㉠
m=2 f (x)=3axÛ`+b이므로
또, x=-2, x=1,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n=3 f (1)=4에서 3a+b=4 y`㉡
∴ m+n=5 답5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5
∴ ab=-15 답 -15

0277 ① 점 (3, f(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음수이므로


f` (3)<0 0284 f(x)=(x+1)(x+2)(x+3)에서
② lim `f(x)= lim `f(x)이므로 lim`f(x)의 값이 존재한다. f (x)=(x+1) (x+2)(x+3)+(x+1)(x+2) (x+3)
x`Ú 2+  x`Ú 2-  x`Ú 2  
+(x+1)(x+2)(x+3)
③ f` (x)=0인 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x+2)(x+3)+(x+1)(x+3)+(x+1)(x+2)
④ 함수  f(x)는 x=2, x=4에서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인 x의
∴ f (0)=6+3+2=11 답①
값은 2개이다.
⑤ 함수 f(x)는 x=1, x=2, x=4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값은 3개이다. 답⑤ 0285 f(x)=(3xÛ`-1)Ü`=(3xÛ`-1)(3xÛ`-1)(3xÛ`-1)
이므로
f (x)=(3xÛ`-1) (3xÛ`-1)(3xÛ`-1)
0278 {`f(x)}Û`=g(x)로 놓으면 y=g(x)에서
+(3xÛ`-1)(3xÛ`-1) (3xÛ`-1)
`g(x+h)-g(x) {`f(x+h)}Û`-{`f(x)}Û`
y =lim  =lim  +(3xÛ`-1)(3xÛ`-1)(3xÛ`-1)
h`Ú0   h h`Ú0   h 
{`f(x+h)+`f(x)}{`f(x+h)-`f(x)} =3(3xÛ`-1)Û`(3xÛ`-1) =18x(3xÛ`-1)Û`
=lim 
h`Ú0   h   ∴ f (1)=18´4=72 답 72

`f(x+h)-f(x) `
=lim{ `f(x+h)+f(x) }´lim 
h`Ú0   h`Ú0   h     0286 g (x)=(xÛ`+3x) f(x)+(xÛ`+3x)f (x)
= 2`f(x) f (x) =(2x+3) f(x)+(xÛ`+3x)f (x)
답 ㈎  ㈏  - ㈐2 ∴ g (1)=5 f(1)+4 f (1)=5´3+4´2=23 답 23

032 정답과 풀이
0287 f (x)=(x-a) (xÜ`+2xÛ`+8) f(x)=(3x-2)Ü`에서 f(2)=4Ü`=64
+(x-a)(xÜ`+2xÛ`+8) f (x)=3(3x-2)Û`´3=9(3x-2)Û`이므로
=(xÜ`+2xÛ`+8)+(x-a)(3xÛ`+4x) f (2)=9´4Û``=144
=4xÜ`+(6-3a)xÛ`-4ax+8 ∴ (주어진 식)=2 f (2)-f(2)
=2´144-64=224 답 224
f (a)=11에서 aÜ`+2aÛ`+8=11
aÜ`+2aÛ`-3=0, (a-1)(aÛ`+3a+3)=0
∴ a=1 (∵ a는 실수) 0291 f(1)=3, g(1)=3이므로
`f(1+2h)-g(1-h)
lim 
h`Ú0  3h
따라서 f (x)=4xÜ`+3xÛ`-4x+8이므로
`f(1+2h)-3+3-g(1-h)
f (-1)=-4+3+4+8=11 =lim 
h`Ú0  3h 
{`f(1+2h)-f(1)}-{g(1-h)-g(1)}
=lim 
답 11 h`Ú0  3h  
`f(1+2h)-f(1) `g(1-h)-g(1)
단계 채점요소 배점 =lim  ´;3@;-lim  ´{-;3!;}
h`Ú0  2h  h`Ú0  -h
f (x) 구하기 40 %
a의 값 구하기 30 % =;3@; f (1)+;3!; g (1)
f (-1)의 값 구하기 30 %
`f (x)=1+3xÛ`+5xÝ`이므로 f (1)=9
g (x)=2x+4xÜ`+6x`이므로 g (1)=12
`f(1+h)-f(1-h) 
0288 lim   ∴ (주어진 식)=;3@; f (1)+;3!; g (1)
h`Ú0  h
{`f(1+h)-f(1)}-{`f(1-h)-f(1)} =;3@;´9+;3!;´12=10 답⑤
=lim 
h`Ú0 h
`f(1+h)-f(1) `f(1-h)-f(1)
=lim  -lim  ´(-1) `f(x)
h`Ú0 h h`Ú0 -h 0292 lim   =2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
x`Ú1  x-1 

=f (1)+f (1)=2 f (1)
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f (x)=3xÛ`-4x이므로
즉, lim`f(x)=0이므로 f(1)=0
f (1)=3-4=-1 x`Ú1 

∴ (주어진 식)=2 f (1)=2´(-1)=-2 답① `f(x) `f(x)-`f(1)


∴ lim  =lim  =f (1)=2
x`Ú1  x-1    x`Ú1  x-1  
한편, f(x)=xÜ`+2axÛ`+bx-2b에서
{`f(x)}Û`-{`f(1)}Û` 
0289 lim  
x`Ú1  x-1 `f(1)=1+2a+b-2b=0 ∴ 2a-b=-1 yy`㉠

{`f(x)+f(1)}{`f(x)-f(1)} `f (x)=3xÛ`+4ax+b이므로
=lim 
x`Ú1 x-1 `f (1)=3+4a+b=2 ∴ 4a+b=-1 yy`㉡
`f(x)-f(1)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3!;
=lim{`f(x)+f(1)}´lim 
x`Ú1 x`Ú1 x-1
=2 f(1) f (1) ∴ a+b=0 답③

f(x)=xÜ`-5xÛ`에서 f(1)=1-5=-4
f (x)=3xÛ`-10x이므로 f (1)=3-10=-7
`f(x)-`f(1) `f(x)-`f(1) 1
∴ (주어진 식)=2 f(1) f (1) 0293 lim   =lim [
x-1
´ ]
x+1  
x`Ú1  xÛ`-1   x`Ú1 

=2´(-4)´(-7)=56 답 56
=;2!; f (1)

2 f(x)-x f(2)  즉, ;2!; f (1)=;2;이므로 f (1)=5
0290 lim  
x`Ú2  x-2
한편, f(x)=xÜ`+axÛ`+b, f (x)=3xÛ`+2ax이므로
{2 f(x)-2 f(2)}-{x f(2)-2 f(2)}
=lim  `f(-1)=-1+a+b=3 ……`㉠
x`Ú2 x-2 
`f(x)-f(2) (x-2) f(2) `f (1)=3+2a=5 ∴ a=1
=lim  ´2-lim 
x`Ú2 x-2 x`Ú2 x-2  a=1을 ㉠에 대입하면 b=3
=2 f (2)-f(2) ∴ ab=3 답⑤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33


`f(x) ㉠, ㉡을 연립하여 풀면
0294 lim   =-1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
x`Ú0  x  a=-14, b=22
하므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따라서 f(x)=xÝ`-14xÛ`+22x+1이므로
즉, lim`f(x)=0이므로 f(0)=0 yy`㉠
x`Ú0  f(1)=1-14+22+1=10 답 10
`f(x)
lim  =4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x`Ú1  x-1   
(분자)`Ú 0이어야 한다. 0296 f(x)=xÜ`+ax+b로 놓으면 f (x)=3xÛ`+a
즉, lim`f(x)=0이므로 f(1)=0 yy`㉡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x`Ú1 

㉠, ㉡에 의하여 삼차함수 f(x)는 x(x-1)을 인수로 가지므로 f (1)=3+a=-3 ∴ a=-6


f(x)=x(x-1)(ax+b)로 놓으면 또, 점 (1, 1)은 곡선 y=xÜ`-6x+b 위의 점이므로
1=1-6+b ∴ b=6
`f(x) x(x-1)(ax+b) ∴ ab=-6´6=-36 답①
lim  =lim 
x`Ú0  x  x`Ú0  x
  =lim(x-1)(ax+b)=-b
x`Ú0 
0297 f(x)=xÛ`-3x+2에서 f (x)=2x-3
즉, -b=-1이므로 b=1
점 (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9이므로
f (a)=2a-3=9 ∴ a=6
`f(x) x(x-1)(ax+1)
lim  =lim  또, 점 (6, b)는 함수 f(x)=xÛ`-3x+2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x`Ú1  x-1    x`Ú1  x-1
  =lim x(ax+1)=a+1 b=f(6)=36-18+2=20 답 a=6, b=20
x`Ú1 

즉, a+1=4이므로 a=3
0298 점 (1, 3)은 함수 f(x)=xÛ`+ax+1의 그래프 위의 점
따라서 f(x)=x(x-1)(3x+1)이므로 방정식 f(x)=0의 세 이므로
근의 합은 f(1)=1+a+1=3 ∴ a=1
0+1+{-;3!;}=;3@; 즉, f(x)=xÛ`+x+1에서 f (x)=2x+1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m이므로
m=f (1)=2+1=3
답 ;3@; ∴ a+m=1+3=4 답①

단계 채점요소 배점
f(x)=x(x-1)(ax+b)로 놓기 40 %
0299 f(x)=(2x-1)Ü`(xÛ`+k)로 놓으면
b의 값 구하기 20 %
f (x)={(2x-1)Ü`} (xÛ`+k)+(2x-1)Ü`(xÛ`+k)
a의 값 구하기 20 %
=3(2x-1)Û`(2x-1) (xÛ`+k)+(2x-1)Ü`´2x
방정식 f(x)=0의 모든 근의 합 구하기 20 %
=6(2x-1)Û`(xÛ`+k)+2x(2x-1)Ü`
=2(2x-1)Û`(5xÛ`-x+3k)
`f(x)-f(2) x좌표가 1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16이므로
0295 lim  
x`Ú2  x-2
=f (2)=-2
f (1)=2(4+3k)=-16
`f(1-2h)-f(1+2h) 4+3k=-8 ∴ k=-4 답④
lim 
h`Ú0  h
{`f(1-2h)-f(1)}-{`f(1+2h)-f(1)}
=lim 
h`Ú0  h  0300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f(1-2h)-f(1) `f(1+2h)-f(1) 연속이다. 즉, lim `f(x)=f(-1)이므로
=lim  ´(-2)-lim  ´2 x`Ú-1 
h`Ú0  -2h h`Ú0  2h
-1+1-b=a+3 ∴ a+b=-3 yy`㉠
=-2 f (1)-2 f (1)=-4 f` (1)
또, f (-1)이 존재하므로
즉, -4 f` (1)=8이므로 f (1)=-2
`f(x)-f(-1) (axÛ`+3)-(a+3)
한편, f(x)=xÝ`+axÛ`+bx+1에서 lim   = lim  
x`Ú-1+   x-(-1) x`Ú-1+   x+1
f (x)=4xÜ`+2ax+b이므로 a(x-1)(x+1) 
  = lim  
f (2)=32+4a+b=-2 ∴ 4a+b=-34 yy`㉠ x`Ú-1+   x+1
f (1)=4+2a+b=-2 ∴ 2a+b=-6 yy`㉡   = lim a(x-1)=-2a
x`Ú-1+  

034 정답과 풀이
`f(x)-f(-1) `f(x)-f(1)
lim   lim  
x`Ú-1-   x-(-1) x`Ú1-   x-1 
(xÜ`+xÛ`+bx)-(-1+1-b) (-bxÛ`+3x+1)-(-b+3+1)
= lim   = lim  
x`Ú-1-   x+1 x`Ú1-   x-1 
(x+1)(xÛ`+b) (x-1)(-bx-b+3)
= lim   = lim  
x`Ú-1-   x+1  x`Ú1-   x-1  
= lim (xÛ`+b)=1+b = lim (-bx-b+3)=-2b+3
x`Ú-1-   x`Ú 1- 

즉, -2a=1+b ∴ 2a+b=-1 yy`㉡ 즉, 2+a=-2b+3 ∴ a+2b=1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5 ㉠, ㉡을 연립하여 풀면 a=9, b=-4
∴ a-b=2-(-5)=7 답7 ∴ a-b=9-(-4)=13 답 13
다른풀이 g(x)=axÛ`+3, h(x)=xÜ`+xÛ`+bx로 놓으면
g (x)=2ax, h (x)=3xÛ`+2x+b 0303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a에서 연속
x=1에서 연속이므로 g(-1)=h(-1) 이다. 즉, lim`f(x)=f(a)이므로
x`Ú a 

a+3=-1+1-b ∴ a+b=-3 aÜ`=aÛ`+a+b yy`㉠


x=1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g (-1)=h (-1) 또, f (a)가 존재하므로
-2a=3-2+b ∴ 2a+b=-1 `f(x)-f(a) (xÛ`+x+b)-(aÛ`+a+b)
lim   = lim  
따라서 a=2, b=-5이므로 x`Úa+ x-a  x`Úa+  x-a
a-b=7 (x-a)(x+a+1)
  = lim  
x`Úa+  x-a 
  = lim (x+a+1)=2a+1
x`Úa+ 

0301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 `f(x)-f(a) xÜ`-aÜ`


lim   = lim  
이다. 즉, lim`f(x)=f(1)이므로 x`Úa- x-a  x`Úa-  x-a
x`Ú1 
a+b=1   yy`㉠ (x-a)(xÛ`+ax+aÛ`)
  = lim  
또, f (1)이 존재하므로
x`Úa-  x-a 

`f(x)-f(1) xÛ`-1   = lim (xÛ`+ax+aÛ`)=3aÛ``


x`Úa- 
lim   = lim  
x`Ú1+   x-1  x`Ú1+   x-1
즉, 2a+1=3aÛ`, 3aÛ`-2a-1=0
(x+1)(x-1)
  = lim   (3a+1)(a-1)=0 ∴ a=1 (∵ a>0)
x`Ú1+   x-1 
a=1을 ㉠에 대입하면
  lim (x+1)=2
=x`Ú1+ 

1=1+1+b ∴ b=-1
`f(x)-f(1) (ax+b)-(a+b) ∴ a+b=1-1=0 답②
lim   = lim  
x`Ú1-   x-1  x`Ú1-   x-1  
a(x-1)
  = lim   =a 0304 다항식 xÜ`+axÛ`+bx-5를 (x+1)Û`으로 나눌 때의 몫
x`Ú1-   x-1   

∴ a=2 을 Q(x)라 하면

a=2를 ㉠에 대입하면 b=-1 xÜ`+axÛ`+bx-5=(x+1)Û` Q(x) yy`㉠

∴ ab=2´(-1)=-2 답 -2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a-b-5=0 ∴ a-b=6 yy`㉡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302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는 3xÛ`+2ax+b=2(x+1)Q(x)+(x+1)Û` Q (x)
x=1에서 미분가능하다.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따라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즉, lim`f(x)=f(1)이므로 3-2a+b=0 ∴ 2a-b=3 yy`㉢
x`Ú 1

-b+3+1=1+a-2 ∴ a+b=5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9


또, f (1)이 존재하므로 ∴ a+b=-3-9=-12 답 -12

`f(x)-f(1) (xÛ`+ax-2)-(1+a-2) 다른풀이 `f(x)=xÜ`+axÛ`+bx-5로 놓으면


lim   = lim  
x`Ú1+   x-1  x`Ú1+   x-1 f(-1)=0, f (-1)=0
(x-1)(x+1+a) `f(-1)=0에서 -1+a-b-5=0 ∴ a-b=6
  = lim  
x`Ú1+   x-1 
`f (x)=3xÛ`+2ax+b이므로 f (-1)=0에서
= lim (x+1+a)=2+a
x`Ú 1+  3-2a+b=0 ∴ 2a-b=3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35
0305 다항식 x`-3xÛ ` +a를 (x-b)Û ` 으로 나눌 때의 몫을 1-k+2=0 ∴ k=3
Q(x)라 하면 f(x)=x`-3x로 놓으면 f(1)=-2이므로
x`-3xÛ`+a=(x-b)Û` Q(x) ……`㉠ x`-3x+2 `f(x)-f(1)
lim  =lim  =f (1)=15
㉠의 양변에 x=b를 대입하면
x`Ú1  x-1 x`Ú1  x-1 

b`-3bÛ`+a=0 ……`㉡ 이때 f (x)=nxn-1-3이므로 f (1)=n-3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즉, n-3=15에서 n=18


∴ n+k=18+3=21 답④
6x`-6x=2(x-b)Q(x)+(x-b)Û` Q (x)
위 식의 양변에 x=b를 대입하면
6b`-6b=0, 6b(bÛ`+1)(b+1)(b-1)=0
0309 f(x)=x`-2xÛ`-3x로 놓으면 f(1)=-4이므로
∴ b=1 (∵ b>0)
x`-2xÛ`-3x+4 `f(x)-f(1)
b=1을 ㉡에 대입하면 1-3+a=0 ∴ a=2 lim  =lim  =f (1)=5
x`Ú1  x-1 x`Ú1  x-1  
∴ a-b=2-1=1 답1 이때 f (x)=nxn-1-4x-3이므로 f (1)=n-7
즉, n-7=5에서 n=12 답 12

0306 다항식 x``-2xÜ`+1을 (x+1)Û`으로 나눌 때의 몫을


Q(x), 나머지를 (x)=ax+b (a, b는 상수)라 하면
x`+x-34
x``-2xÜ`+1=(x+1)Û` Q(x)+ax+b yy`㉠ 0310 lim   =k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
x`Ú2  x-2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재하므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a+b=4 yy`㉡ 즉, lim(x`+x-34)=0이므로
x`Ú 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2-34=0, 2`=32=2` ∴ n=5
10x`-6xÛ`=2(x+1)Q(x)+(x+1)Û` Q (x)+a
f(x)=x`+x로 놓으면 f(2)=34이므로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16
x`+x-34 `f(x)-f(2)
a=-16을 ㉡에 대입하면 b=-12 lim  =lim  =f (2)=k
x`Ú2  x-2 x`Ú2  x-2
따라서 (x)=-16x-12이므로 이때 f (x)=5xÝ`+1이므로 k=f (2)=5´16+1=81
(1)=-28 답② ∴ n+k=5+81=86 답 86

0307 다항식 x``+axÜ`+b를 (x-1)Û`으로 나눌 때의 몫을


0311 f(x)=x`-x`+x`-x`+x`으로 놓으면 f(1)=1이므로
Q(x)라 하면 나머지가 4x-9이므로
x`-x`+x`-x`+x`-1 `f(x)-f(1)
x``+axÜ`+b=(x-1)Û` Q(x)+4x-9 yy`㉠ lim  =lim  =f (1)
x`Ú1  x-1  x`Ú1  x-1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이때 f (x)=9x`-8x`+7x`-6x`+5xÝ`이므로
1+a+b=4-9 ∴ a+b=-6 yy`㉡ f (1)=9-8+7-6+5=7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x`+x`-x`+x`-1
∴ lim  =f (1)=7 답7
10x`+3axÛ`=2(x-1)Q(x)+(x-1)Û` Q (x)+4 x`Ú1  x-1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0+3a=4 ∴ a=-2
0312 f(x)가 이차함수이므로
a=-2를 ㉡에 대입하면 b=-4
f(x)=axÛ`+bx+c`(a, b, c는 상수, a+0)로 놓으면
∴ ab=-2´(-4)=8 답8
f (x)=2ax+b
f(x), f (x)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2)(2ax+b)-(axÛ`+bx+c)=3xÛ`+12x
axÛ`+4ax+2b-c=3xÛ`+12x

유형 본문 50쪽
이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a=3, 2b-c=0 yy`㉠
x`-kx+2 또, f (-1)=1이므로 -2a+b=1 yy`㉡
0308 lim   =15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x`Ú1  x-1 ㉠, ㉡에서 a=3, b=7, c=14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따라서 f (x)=6x+7이므로
즉, lim(x`-kx+2)=0이므로
x`Ú 1  f (-2)=-12+7=-5 답②

036 정답과 풀이
0313 f(x)가 이차함수이므로 `f(a+h)-g(a+h)  f(a)=g(a)이므로 식의 값은
0316 lim  
h`Ú0  h
f(x)=axÛ`+bx+c`(a, b, c는 상수, a+0)로 놓으면 변하지 않는다.

f (x)=2ax+b {`f(a+h)-f(a)}-{ g(a+h)-g(a)} 
=lim 
h`Ú0  h
f(x), f (x)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f(a+h)-f(a) `g(a+h)-g(a) 
x(2ax+b)-(axÛ`+bx+c)=xÛ`+3 =lim  -lim 
h`Ú0  h  h`Ú0  h 
axÛ`-c=xÛ`+3 =f (a)-g (a)=1-g (a)
이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즉, 1-g (a)=3이므로 g (a)=-2 답 -2
a=1, c=-3
또, f (1)=3이므로 2a+b=3 ∴ b=1
따라서 f(x)=xÛ`+x-3이므로
0317 점 (1, f(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f (1)=-6
f(2)=4+2-3=3 답⑤
`f(x)-f(1) `f(x)-f(1) 1
∴ lim  =lim [ ´ ]
x`Ú1  xÜ`-1 x`Ú1  x-1 xÛ`+x+1
0314 f(x) f (x)=9x+12 yy`㉠
=;3!; f (1)=;3!;´(-6)
f(x)를 n차식이라 하면 f (x)는 (n-1)차식이고 ㉠의 우변이
일차식이므로 =-2 답 -2

n+(n-1)=1, 2n=2 ∴ n=1


따라서  f(x)는 일차식이므로  f(x)=ax+b`(a, b는 상수, `f(x+2)-6
0318 lim   =3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x`Ú2  xÛ`-4
a+0)로 놓으면 f (x)=a
존재하므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f(x), f (x)를 ㉠에 대입하면
즉, lim`{ f(x+2)-6}=0이므로 f(4)=6
(ax+b)a=9x+12 x`Ú 2 

aÛ`x+ab=9x+12 x+2=a로 놓으면 x`Ú 2일 때 a`Ú 4이므로

이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f(x+2)-6 `f(x+2)-6


lim  =lim 
x`Ú2  xÛ`-4 x`Ú2  (x+2)(x-2)
aÛ`=9, ab=12
`f(a)-f(4)
∴ a=3, b=4 또는 a=-3, b=-4   =lim 
a`Ú4  a(a-4)
Ú a=3, b=4일 때, f(x)=3x+4이므로 `f(a)-f(4)
  =lim [ ´; !;]=;4!; f (4)
f(1) f(2)=7´10=70 a`Ú4  a-4
Û a=-3, b=-4일 때, f(x)=-3x-4이므로 즉, ;4!; f (4)=3이므로 f (4)=12
f(1) f(2)=-7´(-10)=70
∴ f(4)+f (4)=6+12=18 답 18
Ú, Û에서 f(1) f(2)=70 답 70

0319 y=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x)=f(x)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51~53쪽
∴ f (-a)=lim 
`f(-a+h)-f(-a)
h`Ú0  h

0315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 `f(a-h)-f(a)


=lim 
h`Ú0  h 
율은
`f(a-h)-f(a)
`f(3)-f(1) 7-1 =lim  ´(-1)
= =3 h`Ú0  -h 
3-1  2
=-f (a)
함수 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는
즉, f (2)=-3에서 f (-2)=-f (2)=3
`f(a+h)-f(a)
f (a)=lim  `f(xÛ`)-f(4)
h`Ú0  h ∴ lim  
x`Ú-2   `f(x)-f(-2)
{(a+h)Û`-(a+h)+1}-(aÛ`-a+1) 
=lim  `f(xÛ`)-f(4) x-(-2) 
h`Ú0  h = lim  [ ´  ´(x-2)]
hÛ`+2ah-h 
x`Ú-2   xÛ`-4  `f(x)-f(-2)
=lim  1
h`Ú0  h =f (4)´ ´(-4)
`f (-2)
=lim(h+2a-1)=2a-1
h`Ú 0 
=6´;3!;´(-4)=-8 답①
즉, 2a-1=3이므로 a=2 답④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37


0320 y=f(x)의 그래프에서 ∴ f (x)=lim 
`f(x+h)-f(x)
f(1)=0, f (1)<0, f(2)<0, f (2)=0, f(3)=0, f (3)>0 h`Ú0  h

또, g(x)=x f(x)에서 g (x)=f(x)+x f (x)이므로 `f(x)+f(h)-3xh-f(x)


=lim 
h`Ú0  h 
g (1)=f(1)+f (1)<0
`f(h)-3xh
g (2)=f(2)+2 f (2)<0 =lim 
h`Ú0  h  
g (3)=f(3)+3 f (3)>0 `f(h)-f(0)
=lim  -3x
ㄱ. f(1)+g (1)=g (1)<0 h`Ú0  h    
ㄴ. g(2)g (2)=2 f(2)g (2)>0 =f (0)-3x=-3x-2 답  =-3 -2
ㄷ. f(3)+g (3)=g (3)>0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 ㄴ, ㄷ
`f(x)-2
0324 lim   =2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
xÛ`-4
x`Ú2 

0321 ㄱ. f(x)="Ã(x-2)Û`=|x-2| 하므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lim`f(x)=f(2)=0이므로 f(x)는 x=2에서 연속이다. 즉, lim{`f(x)-2}=0이므로 f(2)=2
x`Ú 2  x`Ú2 

`f(x)-f(2) |x-2| `f(x)-2 `f(x)-f(2)


lim   = lim   ∴ lim  =lim 
x`Ú2-   x-2 x`Ú2-  x-2 x`Ú2  xÛ`-4 x`Ú2  xÛ`-4 
-(x-2)  `f(x)-f(2) 1
  = lim   =-1 =lim [ ´ ]=;4!; f (2)
x`Ú2-  x-2 x`Ú2  x-2 x+2
`f(x)-f(2) |x-2| 즉, ;4!; f (2)=2에서 f (2)=8
lim   = lim  
x`Ú2+   x-2 x`Ú2+  x-2
`g(x)-1
x-2 또, lim  =1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
  = lim   =1 x`Ú2  xÜ`-8 
x`Ú2+  x-2
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이므로 f(x)는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즉, lim{ g(x)-1}=0이므로 g(2)=1
ㄴ. lim`f(x)=f(2)=0이므로 f(x)는 x=2에서 연속이다. x`Ú2 
x`Ú 2 
`g(x)-1 `g(x)-g(2)
`f(x)-f(2) (x-2)|x-2|  ∴ lim  =lim 
lim  =lim  x`Ú2  xÜ`-8 x`Ú2  xÜ`-8
x`Ú2   x-2 x`Ú2   x-2
`g(x)-g(2) 1
  =lim|x-2|=0 =lim [ ´ ]
x`Ú 2  x`Ú2  x-2 xÛ`+2x+4 
이므로 f(x)는 x=2에서 미분가능하다.
=; Á2; g (2)
xÛ`-4
ㄷ. f(x)= 는 x=2에서 불연속이므로 미분가능하지
|x-2|  즉, ; Á2; g (2)=1에서 g (2)=12
않다.
따라서 함수 y=f(x)g(x)의 x=2에서의 미분계수는
따라서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함수는 ㄱ, ㄷ이다.
y =f (2)g(2)+f(2)g (2)
답 ㄱ, ㄷ
=8´1+2´12=32 답 32

0322 ① x`Ú 
lim `f(x)= lim `f(x)=2이므로 lim `f(x)=2
3+   x`Ú 3-   x`Ú 3 

② 점 (4, f(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음수이므로 f (4)<0 1


0325 n =h로 놓으면 n`Ú ¦일 때 h`Ú 0이므로
③ 함수  f(x)는 x=2, x=3에서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인 x의
3 2
값은 2개이다. lim  n[`f {1+ }-f {1- }]
n`Ú¦ n n
④ 함수 f(x)는 x=1, x=2, x=3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f(1+3h)-f(1-2h)
=lim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값은 3개이다. h`Ú0   h 
⑤ f (x)=0인 x의 값은 열린구간 (-1, 1), (4, 5)에서 각각 {`f(1+3h)-f(1)}-{`f(1-2h)-f(1)}
=lim 
h`Ú0   h  
한 개씩 존재하고, 열린구간 (1, 2)의 모든 점에서 f (x)=0
`f(1+3h)-f(1) `f(1-2h)-f(1)
이다. 답⑤ =lim  ´3-lim  ´(-2)
h`Ú0   3h h`Ú0   -2h 
=3 f (1)+2 f (1)=5 f (1)

0323 주어진 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f (x)=8xÜ`-3이므로 f (1)=5

`f(0)=f(0)+f(0)-0 ∴ f(0)=0 ∴ (주어진 식)=5 f (1)=5´5=25 답 25

038 정답과 풀이
`f(x) a=20을 ㉡에 대입하면
0326 조건 ㈎에서 x`Ú¦ 
lim   =-3이므로
xÛ`-3x+2
20+b=7 ∴ b=-13
f(x)의 최고차항은 -3xÛ`이다.
따라서 (x)=20x-13이므로
f(x)=-3xÛ`+ax+b (a, b는 상수)라 하면
(2)=40-13=27 답 27
f (x)=-6x+a
조건 ㈏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 0 0330 조건 ㈎에서 주어진 식의 양변에 x=0, y=0을 대입하면
이어야 한다. f(0)=f(0)+f(0)-1 ∴ f(0)=1
즉, lim{`f(x)-5}=0이므로 f(1)=5
x`Ú 1 

`f(x)-5 `f(x)-f(1) `f(1+h)-f(1)


∴ lim  =lim  =f (1)=-6+a f (1)=lim 
x`Ú1  x-1 x`Ú1  x-1 h`Ú0  h

즉, -6+a=-8이므로 a=-2 `f(1)+f(h)+2h-1-f(1) 


=lim 
h`Ú0  h
따라서 f (x)=-6x-2이므로
`f(h)+2h-1 `f(h)-f(0)
f (-1)=6-2=4 답4 =lim  =lim  +2
h`Ú0  h h`Ú0  h 
=f (0)+2

0327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 (3, 1)에서의 접선의


이때 f (1)=1이므로
기울기가 -1이므로
f (0)+2=1 ∴ f (0)=-1
f(3)=1, f (3)=-1
g(x)=xÛ`+x f(x)에서 g (x)=2x+f(x)+x f (x)
답 -1
∴ g (3)=2´3+f(3)+3 f (3)
=6+1+3´(-1)=4 답4 단계 채점요소 배점
f(0)의 값 구하기 30 %
f (1)을 f (0)으로 나타내기 40 %
0328 다항식 x`+axÝ`+b를 (x+1)Û`으로 나눌 때의 몫을 f (0)의 값 구하기 30 %

Q(x)라 하면
x`+axÝ`+b=(x+1)Û` Q(x) yy`㉠ 0331 함수 f(x)가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속이다. 즉,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lim`f(x)=f(1)이므로 b+3=1+a
x`Ú 1 

-1+a+b=0 ∴ a+b=1 yy`㉡ ∴ a-b=2 yy`㉠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5xÝ`+4axÜ`=2(x+1)Q(x)+(x+1)Û` Q (x)
또, f (1)이 존재하므로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x)-f(1) (xÛ`+a)-(1+a) 
lim   = lim  
5-4a=0 ∴ a=;4; x`Ú1+ x-1 x`Ú1+ x-1
xÛ`-1
  = lim   = lim (x+1)=2
a=;4;를 ㉡에 대입하면 x`Ú1+ x-1 x`Ú1+

`f(x)-f(1) (bx+3)-(b+3) 
;4;+b=1 ∴ b=-;4!; lim   = lim  
x`Ú1-   x-1 x`Ú1-   x-1
b(x-1)
∴ a-b=;4;-{-;4!;}=;2#; 답⑤   = lim   =b
x`Ú1-   x-1

∴ b=2

0329 다항식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b=2를 ㉠에 대입하면 a=4


Q(x), 나머지를 (x)=ax+b`(a, b는 상수)라 하면
f(x)=(x-1)Û` Q(x)+ax+b yy`㉠ ∴ a+b=4+2=6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a+b=7 yy`㉡ 답6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단계 채점요소 배점


f (x)=2(x-1)Q(x)+(x-1)Û` Q (x)+a a, b의 관계식 구하기 40 %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 b의 값 구하기 50 %

f (1)=a=20 a+b의 값 구하기 10 %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39


`f(x)-a 따라서 f (x)=15xÛ`+4x이므로
0332 lim   =4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
x`Ú2  x-2 f (1)=15+4=19 답 19
하므로 (분자)`Ú 0이어야 한다.
즉, lim{`f(x)-a}=0이므로 f(2)=a
x`Ú 2 

`f(x)-a `f(x)-f(2) 0334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실


∴ lim  =lim  =f (2)=4
x`Ú2  x-2  x`Ú2  x-2 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한편,  f(x)를 (x-2)Û`으로 나눌 때의 몫을 Q(x)라 하면 나머 lim `f(x)= lim `f(x)
x`Ú -1+   x`Ú -1-  
지가 bx+3이므로
∴ lim `f(x)= lim `f(x) (∵ f(x+2)=f(x))
x`Ú -
- 1+   x`Ú 1-  
f(x)=(x-2)Û` Q(x)+bx+3 yy`㉠
-a+b-1+1=a+b+1+1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2a=-2 ∴ a=-1

f(2)=2b+3=a yy`㉡ ∴ f(x)=-xÜ`+bxÛ`+x+1 (-1Éx<1)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함수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f(-1)
f (x)=2(x-2)Q(x)+(x-2)Û` Q (x)+b lim  
x`Ú -1+  x-(-1)
위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xÜ`+bxÛ`+x+1)-(1+b)
f (2)=b=4 = lim  
x`Ú -1+   x-(-1)
b=4를 ㉡에 대입하면 a=11 -(xÛ`-1)(x-b)
= lim  
x`Ú -1+   x+1
∴ a+b=11+4=15 lim {-(x-1)(x-b)}
=x`Ú -1+  

=-2(b+1)
답 15
x+2=t로 놓으면 x`Ú -1-일 때 t`Ú 1-이므로
단계 채점요소 배점
`f(x)-f(-1)
f(2)를 a로 나타내고 f (2)의 값 구하기 30 % lim  
x`Ú -1-  x-(-1)
f(x)의 식 세우기 20 %
`f(t-2)-f(-1)
a, b의 값 구하기 40 % = lim  
t`Ú 1-   t-1
a+b의 값 구하기 10 % `f(t)-f(-1)
= lim  
t`Ú 1-   t-1
(-tÜ`+btÛ`+t+1)-(1+b)
= lim  
0333 f(x)의 최고차항을 ax``(a+1인 상수)으로 놓으면 t`Ú 1-   t-1
{`f(x)}Û`-f(xÛ`)의 최고차항은 aÛ`xÛ``-axÛ``=a(a-1)xÛ`` -(tÛ`-1)(t-b)
= lim  
xÜ` f(x)의 최고차항은 ax n+3 t`Ú 1-   t-1
이때 조건 ㈎에서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lim {-(t+1)(t-b)}
=t`Ú 
1-  

2n=n+3 ∴ n=3 =2(b-1)


{`f(x)}Û`-f(xÛ`) a(a-1) 즉, -2(b+1)=2(b-1)이므로 b=0
lim   = =a-1
x`Ú¦ xÜ` f(x) a
따라서 f(x)=-xÜ`+x+1이므로 f (x)=-3xÛ`+1
이므로 a-1=4 ∴ a=5
∴ f(101)+f (101)=f(2´51-1)+f (2´51-1)
따라서 f(x)의 최고차항이 5xÜ`이므로
=f(-1)+f (-1)
f(x)=5xÜ`+bxÛ`+cx+ (b, c, 는 상수)로 놓으면
=1+(-2)=-1 답 -1
f (x)=15xÛ`+2bx+c
조건 ㈏에서 (분모)`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Ú 0
이어야 한다. ( x+1 (-2Éx<0)
즉, lim`f (x)=0이므로 0335 f(x)= {0 (x=0)
x`Ú 0 
9 x-1 (0<xÉ2)
f (0)=0 ∴ c=0

`f (x) 15xÛ`+2bx ( -1 (-2ÉxÉ-1)


lim  =lim  =lim(15x+2b)=2b
x`Ú0  x x`Ú0  x x`Ú0  g(x)={ x (-1<x<0, 0<x<1)
이므로 2b=4 ∴ b=2 91 (x=0, 1ÉxÉ2)

040 정답과 풀이
2x+1 (-1ÉxÉ0)
ㄱ. f(x)+g(x)=[ 에서 Ⅱ. 미분
2x-1 (0<xÉ1)
lim { f(x)+g(x)}= lim (2x-1)=-1
x`Ú 0+ 

x`Ú 0- 
x`Ú 0+ 

lim { f(x)+g(x)}= lim (2x+1)=1


x`Ú 0- 
04 도함수의 활용 ( 1 )

이므로  f(x)+g(x)는 x=0에서 불연속이고 미분가능하지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55쪽
않다.
-x-1 (-2ÉxÉ-1)
ㄴ. f(x)g(x)=[ 에서 0336 f(x)=xÛ`-1로 놓으면 f (x)=2x이므로
xÛ`+x (-1<xÉ0)
f (2)=2´2=4
lim  f(x)g(x)=f(-1)g(-1)=0이므로 f(x)g(x)는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x`Ú -1 

x=-1에서 연속이다. y-3=4(x-2)


`f(x)g(x)-f(-1)g(-1) ∴ y=4x-5 답 =4 -5
lim  
x`Ú-1+  x-(-1)
xÛ`+x x(x+1)
= lim  
x`Ú-1+  x+1
= lim  
x`Ú-1+  x+1
0337 f(x)=2xÛ`-3x+7로 놓으면 f (x)=4x-3이므로
f (1)=4´1-3=1
= lim x=-1
x`Ú-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f(x)g(x)-f(-1)g(-1) y-6=1´(x-1)
lim  
x`Ú-1-  x-(-1)
∴ y=x+5 답 = 5
-x-1 -(x+1)
= lim   = lim  
x`Ú-1-  x+1 x`Ú-1-  x+1
=-1 0338 f(x)=;3!;xÜ`+2xÛ`-4로 놓으면 f (x)=xÛ`+4x이므로
이므로 f(x)g(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f (-3)=(-3)Û`+4´(-3)=-3
x-1 (0<x<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ㄷ. (`f g)(x)=f(g(x))=[ 에서
0 (1ÉxÉ2)
y-5=-3(x+3)
lim(`f g)(x)=(`f g)(1)=0이므로 (`f g)(x)는 ∴ y=-3x-4
x`Ú 1  답 =-3 -4
x=1에서 연속이다.
(`f g)(x)-(`f g)(1) 0339 f(x)=-xÜ`+6x+8로 놓으면 f (x)=-3xÛ`+6이므
lim  
x`Ú1+   x-1

0
= lim   =0 f (-1)=(-3)´(-1)Û`+6=3
x`Ú1+  x-1 

(`f g)(x)-(`f g)(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lim   y-3=3(x+1)
x`Ú1-   x-1
x-1  ∴ y=3x+6 답 =3 6
= lim   =1
x`Ú1-  x-1 

이므로 (`f g)(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0340 f(x)=-xÛ`+3x+5로 놓으면 f (x)=-2x+3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 ㄴ, ㄷ
접점의 좌표를 (t, -tÛ`+3t+5)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므

f (t)=-2t+3=1 ∴ t=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은 점 (1, 7)을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이
므로
y-7=x-1 ∴ y=x+6 답 = 6

0341 f(x)=;2!;xÛ`-5x+3으로 놓으면 f (x)=x-5

접점의 좌표를 {t, ;2!;tÛ`-5t+3}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

므로
f (t)=t-5=1 ∴ t=6

03. 도함수의 활용 ( 1 ) 04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은 점 (6, -9)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 ㉡을 각각 ㉠에 대입하면
이므로 y=-x, y=3x-4
y+9=x-6 ∴ y=x-15 답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x, y=3x-4이다.
답 =- , = -
0342 f(x)=xÜ`-2x로 놓으면 f (x)=3xÛ`-2
접점의 좌표를 (t, tÜ`-2t)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0346 f(x)=xÜ`-xÛ`-2로 놓으면 f (x)=3xÛ`-2x
f (t)=3tÛ`-2=1 ∴ t= 1 접점의 좌표를 (t, tÜ`-tÛ`-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Ú t=1일 때 는 f (t)=3tÛ`-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점 (1, -1)을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이므로 y-(tÜ`-tÛ`-2)=(3tÛ`-2t)(x-t)
  y+1=x-1 ∴ y=x-2 ∴ y=(3tÛ`-2t)x-2tÜ`+tÛ`-2 yy ㉠
Û t=-1일 때 이 직선이 점 (-1, 2)를 지나므로
  점 (-1, 1)을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이므로 2=-2tÜ`-2tÛ`+2t-2, tÜ`+tÛ`-t+2=0
  y-1=x+1 ∴ y=x+2 (t+2)(tÛ`-t+1)=0 ∴ t=-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x-2, y=x+2이다. 이것을 ㉠에 대입하면


답 = - , = y=16x+18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16x+18이다.
답 =
0343 f(x)=-xÜ`+4x로 놓으면 f (x)=-3xÛ`+4이므로
f (2)=(-3)´2Û`+4=-8
0347 함수 f(x)=xÛ`-4x는 닫힌구간 [-1, 5]에서 연속이고
따라서 점 (2, 0)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므
열린구간 (-1, 5)에서 미분가능하며 f(-1)= f(5)=5이므로
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1, 5)에 적어
y-0=; !;(x-2) 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2x-4이므로
∴ y=; !;x-;4!; 답 =; ;! -;4!; f (c)=2c-4=0 ∴ c=2 답

0348 함수 f(x)=3x-xÛ`은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0344 f(x)=xÜ`+5로 놓으면 f (x)=3xÛ`
열린구간 (1, 2)에서 미분가능하며 f(1)= f(2)=2이므로 롤의
접점의 좌표를 (t, tÜ`+5)라 하면 직선 y=3x+1에 평행한 접선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하나
의 기울기는 3이므로
존재한다.
f (t)=3tÛ`=3 ∴ t= 1
이때 f (x)=3-2x이므로
Ú t=1일 때
  점 (1, 6)을 지나고 기울기가 3인 직선이므로 f (c)=3-2c=0 ∴ c=;2#; 답 ;2#;

  y-6=3(x-1) ∴ y=3x+3
Û t=-1일 때 0349 함수 f(x)=xÜ`-xÛ`-5x-4는 닫힌구간 [-1, 3]에서
  점 (-1, 4)를 지나고 기울기가 3인 직선이므로 연속이고 열린구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며
  y-4=3(x+1) ∴ y=3x+7 f(-1)= f(3)=-1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3x+3, y=3x+7이다.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답 = , = 이때 f (x)=3xÛ`-2x-5이므로
f (c)=3cÛ`-2c-5=0
0345 f(x)=xÛ`-x로 놓으면 f (x)=2x-1 (3c-5)(c+1)=0 ∴ c=;3; (∵ -1<c<3)
접점의 좌표를 (t, tÛ`-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따라서 실수 c의 개수는 1이다. 답
f (t)=2t-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Û`-t)=(2t-1)(x-t)
0350 함수 f(x)=xÛ`은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고 열린구
∴ y=(2t-1)x-tÛ` yy ㉠ 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f(3)- f(1)
= f (c)인 c가 1과 3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
-1=-tÛ`+2t-1, tÛ`-2t=0 3-1
t(t-2)=0 ∴ t=0 또는 t=2 yy ㉡ 다.

042 정답과 풀이
9-1 0355 f(x)=xÜ`+3axÛ`+bx+c로 놓으면
이때 f (x)=2x이므로 =2c
3-1
f (x)=3xÛ`+6ax+b
2c=4 ∴ c=2 답
점 (-1, 1)이 곡선 y= f(x) 위의 점이므로
f(-1)=-1+3a-b+c=1
0351 함수 f(x)=xÛ`-2x는 닫힌구간 [1, 5]에서 연속이고 ∴ 3a-b+c=2 yy ㉠
열린구간 (1, 5)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15이므로
f(5)- f(1)
= f (c)인 c가 1과 5 사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 f (-1)=3-6a+b=15
5-1
∴ -6a+b=12 yy ㉡
다.
15-(-1) x좌표가 2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이때 f (x)=2x-2이므로 =2c-2
5-1 f (2)=12+12a+b=6
2c-2=4 ∴ c=3 답 ∴ 12a+b=-6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6
이것을 ㉠에 대입하면 c=11
0352 함수 f(x)=;3!;xÜ`-xÛ`은 닫힌구간 [-3, 3]에서 연속이
∴ a-b+c=-1-6+11=4 답
고 열린구간 (-3,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
f(3)- f(-3)
여 = f (c)인 c가 -3과 3 사이에 적어도 하나
3-(-3)
0356 f(x)=-xÜ`+9xÛ`-20x+1로 놓으면
존재한다.
f (x)=-3xÛ`+18x-20=-3(x-3)Û`+7이므로
0-(-18)
이때 f (x)=xÛ`-2x이므로 =cÛ`-2c f (x)는 x=3일 때 최댓값 7을 갖는다.
3-(-3)
cÛ`-2c-3=0, (c+1)(c-3)=0 ∴ =7
∴ c=-1 (∵ -3<c<3) 이때 f(3)=-27+81-60+1=-5이므로 접점의 좌표는
따라서 실수 c의 개수는 1이다. 답 (3, -5)이다.
∴ p=3, =-5
∴ p+ + =3+(-5)+7=5 답

0357 f(x)=xÜ`-xÛ`+ax+2로 놓으면 f (x)=3xÛ`-2x+a


점 (1, 3)이 곡선 y= f(x) 위의 점이므로
f(1)=1-1+a+2=3 ∴ a=1
점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유형 익 /히 /기 본문 56~62쪽 f (1)=3-2+1=2
따라서 점 (1, 3)을 지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0353 f(x)=xÜ`+axÛ`+b로 놓으면 f (x)=3xÛ`+2ax y-3=2(x-1) ∴ y=2x+1
점 (2, 6)이 곡선 y= f(x) 위의 점이므로 ∴ b=2, c=1
f(2)=8+4a+b=6 ∴ abc=1´2´1=2 답②

∴ 4a+b=-2 yy ㉠
점 (2, 6)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8이므로
f (2)=12+4a=8 ∴ a=-1 0358 f(x)=-3xÛ`+7x-4로 놓으면 f (x)=-6x+7
점 (0,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0)=7이므로 직선 의
이것을 ㉠에 대입하면 b=2
방정식은
∴ a+b=-1+2=1 답
y+4=7x ∴ y=7x-4 yy ㉠
또, 점 (2,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2)=-5이므로 직
0354 곡선 y= f(x) 위의 점 (2, f(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선 m의 방정식은
가 -3이므로 f (2)=-3
y+2=-5(x-2) ∴ y=-5x+8 yy ㉡
f(2+5h)- f(2) f(2+5h)- f(2)
∴ lim =lim ´5 ㉠, ㉡을 연립하여 풀면
h Ú0 h h Ú0 5h
=5 f (2) x=1, y=3
=5´(-3)=-15 답- 따라서 두 직선 , m의 교점의 좌표는 (1, 3)이다. 답 ,

04. 도함수의 활용 ( 1 ) 043


0359 f(0)= f(3)= f(4)=a (a는 상수)라 하면 0362 f(x)=2x-;3!;xÜ`으로 놓으면 f (x)=2-xÛ`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식이므로
f(x)=x(x-3)(x-4)+a로 놓을 수 있다. 접점의 좌표를 {a, 2a-;3!;aÜ`}이라 하면 직선 x-2y+10=0,
이때 점 (2, -1)이 곡선 y= f(x) 위의 점이므로
즉 y=;2!;x+5와 수직인 접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f(2)=2´(-1)´(-2)+a=-1 ∴ a=-5
f (a)=2-aÛ`=-2, aÛ`=4 ∴ a=-2 또는 a=2
따라서 f(x)=x(x-3)(x-4)-5=xÜ`-7xÛ`+12x-5이므로
f (x)=3xÛ`-14x+12에서 f (2)=-4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2, -;3;}, {2, ;3;}이므로 구하는 직선
따라서 점 (2, -1)을 지나고 기울기가 -4인 접선의 방정식은 의 방정식은
y+1=-4(x-2) ∴ y=-4x+7 답 =-
y+;3;=-2(x+2), y-;3;=-2(x-2)

16 16
∴ y=-2x- , y=-2x+
3 3
f(x)-3 답 =- - , =-
0360 xlim =-2에서 x Ú`-1일 때, (분모) Ú`0
Ú-1 x+1
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어야 한다.
즉, lim { f(x)-3}=0이므로 f(-1)=3 0363 f(x)=xÜ`-ax, g(x)=xÛ`+bx+c로 놓으면
x Ú-1

f (x)=3xÛ`-a, g (x)=2x+b
f(x)-3 f(x)- f(-1) 두 곡선이 점 (1, -1)에서 만나므로
∴ lim = lim
x Ú-1 x+1 x Ú-1 x-(-1) f(1)=1-a=-1 ∴ a=2 yy ㉠
= f (-1)=-2 g(1)=1+b+c=-1 ∴ b+c=-2 yy ㉡
또, 점 (1, -1)에서의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따라서 곡선 y= 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기 f (1)g (1)=-1에서
울기는 -2이므로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3-a)(2+b)=-1 yy ㉢
y-3=-2(x+1) ∴ y=-2x+1
㉠을 ㉢에 대입하면 b=-3
이것을 ㉡에 대입하면 c=1
따라서 a=-2, b=1이므로
∴ abc=-6 답-
a+b=-1

답- 0364 f(x)=xÜ`+kxÛ`-3으로 놓으면 f (x)=3xÛ`+2kx


f (-1)=3-2k, f (1)=3+2k
단계 채점요소 배점
x좌표가 -1인 점에서의 접선과 x좌표가 1인 점에서의 접선이
f(-1)의 값 구하기 30%
서로 수직이므로
f (-1)의 값 구하기 30%
f (-1) f (1)=-1에서 (3-2k)(3+2k)=-1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a+b의 값 구하기 10% 9-4kÛ`=-1, kÛ`=;2;

'¶10`
∴ k= (∵ k는 양수) 답④
2

0361 f(x)=x(x+1)(2-x)로 놓으면


f (x)=(x+1)(2-x)+x(2-x)-x(x+1) 0365 f(x)=xÜ`-4xÛ`+5로 놓으면 f (x)=3xÛ`-8x
=-3xÛ`+2x+2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5이므로 접선의 방
정식은
점 (2,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y-2=-5(x-1) ∴ y=-5x+7
f (2)=-12+4+2=-6
이 직선이 곡선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이므로 이 점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6!;이다.
-5x+7=xÜ`-4xÛ`+5에서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xÜ`-4xÛ`+5x-2=0, (x-1)Û`(x-2)=0
y-0=;6!;(x-2) ∴ y=;6!;x-;3!; ∴ x=1 또는 x=2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2, -3)이므로
따라서 m=;6!;, n=-;3!;이므로 m+n=-;6!; 답③
a=2, b=-3  ∴ a-b=5 답

044 정답과 풀이
0366 f(x)=-xÜ`+3xÛ`+x-7로 놓으면 이때 점 P는 제1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에서 t=1
f (x)=-3xÛ`+6x+1 t=1을 ㉡에 대입하면 -2+a=b
점 P(2,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2)=1이므로 접선의 ∴ a-b=2 답
방정식은
y+1=x-2 ∴ y=x-3 0370 f(x)=xÜ`+6xÛ`+7x-1로 놓으면
이때 점 Q의 좌표는 (3, 0)이다. f (x)=3xÛ`+12x+7
또, 직선 y=x-3이 주어진 곡선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접점의 좌표를 (a, aÜ`+6aÛ`+7a-1)이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x-3=-xÜ`+3xÛ`+x-7에서 -5이므로
xÜ`-3xÛ`+4=0, (x-2)Û`(x+1)=0 f (a)=3aÛ`+12a+7=-5
∴ x=2 또는 x=-1 3aÛ`+12a+12=0, aÛ`+4a+4=0
따라서 점 R의 좌표는 (-1, -4)이므로 (a+2)Û`=0 ∴ a=-2
PQÓ="Ã(3-2)Û`+(0+1)Û`='2 즉, 접점의 좌표는 (-2, 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PRÓ="Ã(-1-2)Û`+(-4+1)Û`=3'2 y-1=-5(x+2) ∴ y=-5x-9
∴ PQÓ : PRÓ='2` : 3'2 =1 : 3 답② 따라서 구하는 y절편은 -9이다. 답-

0367 f(x)=;3!;xÜ`-2xÛ`+;3;x로 놓으면 0371 f(x)=-xÛ`+3x+2로 놓으면 f (x)=-2x+3


접점의 좌표를 (a, -aÛ`+3a+2)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f (x)=xÛ`-4x+;3; `45 =1이므로
f (a)=-2a+3=1 ∴ a=1
점 O(0,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0)=;3;이므로 접선의 방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4)이다. 답 ,
정식은 y=;3;x

이 직선이 주어진 곡선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0372 f(x)=xÜ`-3xÛ`-9x+a로 놓으면 f (x)=3xÛ`-6x-9


;3;x=;3!;xÜ`-2xÛ`+;3;x에서 xÜ`-6xÛ`=0, xÛ`(x-6)=0 접점의 좌표를 (t, tÜ`-3tÛ`-9t+a)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3tÛ`-6t-9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 x=0 또는 x=6
y-(tÜ`-3tÛ`-9t+a)=(3tÛ`-6t-9)(x-t)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6, 8)이고, 점 은 OAÓ의 중점이므로
∴ y=(3tÛ`-6t-9)x-2tÜ`+3tÛ`+a
"Ã6Û`+8Û``
O =;2!; OA= =5 답 이 직선이 직선 y=-12x+11과 일치해야 하므로
2
3tÛ`-6t-9=-12 yy ㉠
-2tÜ`+3tÛ`+a=11 yy ㉡
0368 f(x)=3xÛ`-4x+1로 놓으면 f (x)=6x-4
㉠에서 3tÛ`-6t+3=0, tÛ`-2t+1=0
접점의 좌표를 (a, 3aÛ`-4a+1)이라 하면 직선 x+y-3=0,
(t-1)Û`=0 ∴ t=1
즉 y=-x+3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1이므로
t=1을 ㉡에 대입하면 -2+3+a=11
f (a)=6a-4=-1 ∴ a=;2!; ∴ a=10 답④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2!;, -;4!;}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0373 곡선 y=xÛ`-4x+a와 직선 y=-2x+1의 접점의
y+;4!;=-{x-;2!;}  ∴ y=-x+;4!; 답② x좌표가 t이므로 x=t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2이다.
f(x)=xÛ`-4x+a로 놓으면 f (x)=2x-4이므로
f (t)=2t-4=-2 ∴ t=1
0369 f(x)=xÜ`-4x+a로 놓으면 f (x)=3xÛ`-4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1)이므로 x=1, y=-1을
점 P의 좌표를 (t, tÜ`-4t+a)라 하면
y=xÛ`-4x+a에 대입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f (t)=3tÛ`-4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1=1-4+a ∴ a=2
y-(tÜ`-4t+a)=(3tÛ`-4)(x-t)
∴ at=2´1=2 답
∴ y=(3tÛ`-4)x-2tÜ`+a
이 직선이 직선 y=-x+b와 일치해야 하므로
3tÛ`-4=-1, tÛ`=1 ∴ t=1 또는 t=-1 yy ㉠ 0374 f(x)=xÜ`+ax+3으로 놓으면 f (x)=3xÛ`+a
-2tÜ`+a=b yy ㉡ 곡선 y= f(x) 위의 점 (-1, c)에서 직선 y=4x+b와 접하므로

04. 도함수의 활용 ( 1 ) 045


f(-1)=-1-a+3=c yy ㉠ t(t+2)=0 ∴ t=0 또는 t=-2
f (-1)=3+a=4 yy ㉡ 따라서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은
㉠, ㉡에서 a=1, c=1 f (0) f (-2)=1´(-3)=-3 답-
따라서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1=4(x+1) ∴ y=4x+5 0378 f(x)=xÜ`-5xÛ`+6x로 놓으면 f (x)=3xÛ`-10x+6
∴ b=5 접점의 좌표를 (t, tÜ`-5tÛ`+6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
∴ abc=1´5´1=5 답④ 기는 f (t)=3tÛ`-10t+6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Ü`-5tÛ`+6t)=(3tÛ`-10t+6)(x-t)
∴ y=(3tÛ`-10t+6)x-2tÜ`+5tÛ` yy ㉠
0375 f(x)=xÜ`+axÛ`+2ax+1로 놓으면
이 직선이 점 (-1, 4)를 지나므로
f (x)=3xÛ`+2ax+2a
4=-(3tÛ`-10t+6)-2tÜ`+5tÛ`, -2tÜ`+2tÛ`+10t-10=0
접점의 좌표를 (t, tÜ`+atÛ`+2at+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
tÜ`-tÛ`-5t+5=0, (t-1)(tÛ`-5)=0
선의 기울기는 f (t)=3tÛ`+2at+2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그런데 접선의 기울기가 유리수이므로 t=1
y-(tÜ`+atÛ`+2at+1)=(3tÛ`+2at+2a)(x-t)
t=1을 ㉠에 대입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x+3
∴ y=(3tÛ`+2at+2a)x-2tÜ`-atÛ`+1
따라서 a=-1, b=3이므로
이 직선이 직선 y=3x+1과 일치해야 하므로
ab=-3 답③
3tÛ`+2at+2a=3 yy ㉠
-2tÜ`-atÛ`+1=1 yy ㉡

㉡에서 tÛ`(2t+a)=0 ∴ t=0 또는 t=-;2; 0379 f(x)=;4!;xÛ`+1로 놓으면 f (x)=;2!;x

접점의 좌표를 {t, ;4!;tÛ`+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Ú t=0일 때, ㉠에 대입하면 a=;2#;
는 f (t)=;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Û t=-;2;일 때, ㉠에 대입하면
y-{;4!;tÛ`+1}=;2!;t(x-t)
  3´{-;2;} +2a´{-;2;}+2a=3

  aÛ`-8a+12=0, (a-2)(a-6)=0 ∴ y=;2!;tx-;4!;tÛ`+1


  ∴ a=2 또는 a=6
이 직선이 점 (0, a)를 지나므로 a=-;4!;tÛ`+1
Ú, Û에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곱은 ;2#;´2´6=18 답
∴ tÛ`+4(a-1)=0 yy ㉠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을 t , t 라 하면 두 접선의 기울기는 ;2!;t ,


0376 f(x)=xÜ`-x+3으로 놓으면 f (x)=3xÛ`-1
;2!;t 이고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접점의 좌표를 (t, tÜ`-t+3)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
기는 f (t)=3tÛ`-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2!;t ´;2!;t =-1 ∴ t t =-4 yy ㉡
y-(tÜ`-t+3)=(3tÛ`-1)(x-t)
또한,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y=(3tÛ`-1)x-2tÜ`+3 yy ㉠
t t =4(a-1) yy ㉢
이 직선이 점 (0, 1)을 지나므로
㉡, ㉢에서 4(a-1)=-4
1=-2tÜ`+3, tÜ`=1 ∴ t=1
∴ a=0 답
t=1을 ㉠에 대입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2x+1
따라서 구하는 y절편은 1이다. 답
0380 f(x)=xÜ`+2xÛ`, g(x)=-xÛ`+4로 놓으면
f (x)=3xÛ`+4x, g (x)=-2x
0377 f(x)=xÛ`+x로 놓으면 f (x)=2x+1 두 곡선이 x좌표가 t인 점에서 공통인 접선을 갖는다고 하면
접점의 좌표를 (t, tÛ`+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f(t)=g(t)에서 tÜ`+2tÛ`=-tÛ`+4
f (t)=2t+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tÜ`+3tÛ`-4=0, (t-1)(t+2)Û`=0
y-(tÛ`+t)=(2t+1)(x-t) ∴ t=1 또는 t=-2
∴ y=(2t+1)x-tÛ` ` f (t)=g (t)에서 3tÛ`+4t=-2t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3tÛ`+6t=0, 3t(t+2)=0
-1=-(2t+1)-tÛ`, tÛ`+2t=0 ∴ t=0 또는 t=-2

046 정답과 풀이
따라서 t=-2일 때, 즉 점 (-2, 0)에서 공통인 접선을 갖고 0384 f(x)=xÜ`+a로 놓으면 f (x)=3xÛ`
` f (-2)=g (-2)=4이므로 공통인 접선의 방정식은 f(2)=8+a, f (2)=12이므로 x좌표가 2인 점에서의 접선의
y-0=4(x+2) 방정식은
∴ y=4x+8 답④ y-(8+a)=12(x-2) ∴ y=12x+a-16
이때 접선 y=12x+a-16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0381 f(x)=xÛ`+ax+b, g(x)=-xÛ`+c로 놓으면 a
각각 {;3;- , 0}, (0, a-16)이므로 x좌표가 2인 점에서의
f (x)=2x+a, g (x)=-2x 12
두 곡선 y= f(x), y=g(x)가 점 (1, 3)을 지나므로 접선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f(1)=1+a+b=3 ∴ a+b=2 yy ㉠ ;2!;´{;3;- a }´(16-a)=;3@;에서
12
g(1)=-1+c=3 ∴ c=4
aÛ`-32a+240=0, (a-12)(a-20)=0
점 (1, 3)에서 두 곡선에 그은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 a=12 또는 a=20
` f (1)=g (1)에서 2+a=-2 ∴ a=-4
그런데 0<a<16이므로 a=12 답
이것을 ㉠에 대입하면 b=6
∴ a-b-c=-14 답① 0385 f(x)=xÛ`+1로 놓으면 f (x)=2x
접점의 좌표를 (t, tÛ`+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0382 f(x)=xÜ`+ax+1, g(x)=xÛ`으로 놓으면 는 f (t)=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f (x)=3xÛ`+a, g (x)=2x
y-(tÛ`+1)=2t(x-t)
두 곡선이 x좌표가 t인 점에서 접한다고 하면
∴ y=2tx-tÛ`+1
f(t)=g(t)에서
이 직선이 점 (0, 0)을 지나므로
tÜ`+at+1=tÛ` yy ㉠
tÛ`-1=0, (t-1)(t+1)=0
∴ t=1 또는 t=-1
f (t)=g (t)에서
따라서 두 접점의 좌표는
3tÛ`+a=2t ∴ a=2t-3tÛ` yy ㉡
(1, 2), (-1, 2)이므로 구하는 삼각형

의 넓이는 ;2!;´2´2=2 답③
㉡을 ㉠에 대입하면
tÜ`+(2t-3tÛ` )t+1=tÛ`, 2tÜ`-tÛ`-1=0
(t-1)(2tÛ`+t+1)=0
0386 f(x)=-xÛ`-3x+4로 놓으면 f (x)=-2x-3
곡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 t=1 (∵ 2tÛ`+t+1>0)
-xÛ`-3x+4=0, (x+4)(x-1)=0
따라서 t=1을 ㉡에 대입하면 a=-1
∴ x=-4 또는 x=1
점 A는 x축의 음의 부분에서 만나므로 A(-4, 0)이다.
답-
곡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B(0, f(0)), 즉 B(0, 4)이다.
단계 채점요소 배점
0-4
f(t)=g(t)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30% 이때 직선 AB의 기울기는 =1
-4-0
f (t)=g (t)임을 이용하여 식 세우기 30% 한편, 직선 가 곡선과 만나는 접점의 좌표를 (t, -tÛ`-3t+4)
t와 a의 값 구하기 40%
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2t-3이고 직
선 AB의 기울기와 같으므로
-2t-3=1 ∴ t=-2
0383 f(x)=-;2!;xÛ`으로 놓으면 f (x)=-x
이때 접점의 좌표는 (-2, 6)이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점 (2,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2)=-2이므로 접선의 y-6=x+2 ∴ y=x+8
방정식은 y+2=-2(x-2)
따라서 (-8, 0), (0, 8)이고, AB 의 넓이는
∴ y=-2x+2
△O 의 넓이에서 △OAB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선 y=-2x+2
∴ AB =△O -△OAB
가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
=;2!;´8´8-;2!;´4´4=24 답
각 (1, 0), (0, 2)이므로 구하는 도형
의 넓이는
0387 f(x)=(x+a)(x-a)=xÛ`-aÛ`으로 놓으면
;2!;´1´2=1 답① f (x)=2x

04. 도함수의 활용 ( 1 ) 047


곡선 y= f(x)가 x축과 만나는 점을 A(-a, 0), B(a, 0)이라 1-a
(직선 의 기울기)= =-;4!; ∴ a=;4;
1-0
하면 ` f (-a)=-2a, ` f (a)=2a
점 A(-a, 0)에서의 접선의 방정 ∴ {0, ;4;}
식은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 는
y=-2a(x+a)=-2ax-2aÛ` '¶17`
= =¾Ð1Û`+{1-;4;} =
점 B(a, 0)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4
은 따라서 원의 넓이는
y=2a(x-a)=2ax-2aÛ` Û`=;1!6&; 답 ; !6;

두 접선의 교점을 라 하면 점 의 x좌표는


-2ax-2aÛ`=2ax-2aÛ`에서 x=0 (∵ a+0) 0390 f(x)=xÜ`으로 놓으면 f (x)=3xÛ`
∴ (0, -2aÛ` ) 곡선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3
원의 중심이 x축 위에 있으므로 중심의 좌표를 (a, 0)이라 하면
이때 △A B의 넓이가 16이므로 두 점 (1, 1), (a, 0)을 지나는 직선은 접선과 수직이다.
1-0
;2!;´AB´O =;2!;´2a´2aÛ`=16 =-;3!; ∴ a=4
1-a
2aÜ`=16, aÜ`=8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 는 두 점 (1, 1), (4, 0) 사이의 거리
∴ a=2 와 같으므로
="Ã(4-1)Û`+1Û`='¶10
답 따라서 구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10이다. 답 '¶

단계 채점요소 배점
두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0391 f(x)=-xÛ`+4로 놓으면 f (x)=-2x
두 접선의 교점의 좌표 구하기 30%
접점의 좌표를 (t, -tÛ`+4)라 하면
a의 값 구하기 30%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2t
0388 f(x)=a(x-1)Û`-2=axÛ`-2ax+a-2로 놓으면 두 점 (t, -tÛ`+4), (0, 0)을 지나
f (x)=2ax-2a 는 직선은 접선과 수직이므로
점 (0, a-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0)=-2a이므로 접선 -tÛ`+4 1
= , tÛ`=;2;
의 방정식은 t 2t
y-(a-2)=-2ax ∴ y=-2ax+a-2 '¶14` '¶14`
∴ t=- 또는 t=
2 2
이때 직선 y=-2ax+a-2의 x절편과 y절편은
따라서 두 접점의 좌표는
a-2
0=-2ax+a-2에서 x= '¶14` '¶14`
2a {- , ;2!;} { , ;2!;}
2 2
y=a-2
a-2
따라서 P{ , 0}, Q(0, a-2)이므로 삼각형 OPQ의 넓이 이때 원의 반지름의 길이 는 원점과 접점 사이의 거리이므로
2a
는 '¶14` '¶15`
=¾Ð{ } +{;2!;} =
2 2
a-2 (a-2)Û`
=;2!;´ ´|a-2|=
2a 4a
(a-2)Û` 따라서 원의 둘레의 길이는
∴ lim a = lim =1 답
a Ú0+ a Ú0+ 4 '¶15`
2 =2 ´ ='¶15`
2

0389 원의 중심을 (0, a), 접점을


(1, 1)이라 하면 와 접선 은 수직 답

이다. 단계 채점요소 배점

f(x)=xÝ`으로 놓으면 f (x)=4xÜ` 두 접점의 좌표 구하기 40%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40%


원의 둘레의 길이 구하기 20%
f (1)=4이므로

048 정답과 풀이
0392 함수 f(x)=(x+2)(x-3)Û`은 닫힌구간 [-2, 3]에서 0397 h(x)= f(x)-g(x)라 하면 함수 h(x)는 닫힌구간
연속이고 열린구간 (-2, 3)에서 미분가능하며 [a, b]에서 연속 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 하다.
f(-2)= f(3)=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a<x<b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g (x)이므로
f (c)=0인 c가 열린구간 (-2,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h (x)= f (x)-g (x)= 0
이때 f (x)=(x-3)(3x+1)이므로 따라서 h(x)는 닫힌구간 [a, b]에서 상수함수이므로
f (c)=(c-3)(3c+1)=0 h(x)= f(x)-g(x)=k (k는 상수)

∴ c=-;3!; (∵ -2<c<3) 답①
즉, f(x)=g(x)+k이다.
답 ㈎ 연속 ㈏ 미분가능 ㈐

0393 함수 f(x)=-2xÛ`+4x는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


이고 열린구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며 0398 함수 f(x)=-xÛ`+5x에 대하여 닫힌구간 [a, 1]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0이 존재하므로
f(-1)= f(3)=-6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1)- f(a)
f (c)=0인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f (0)
1-a
이때 f (x)=-4x+4이므로 이때 f (x)=-2x+5이므로
f (c)=-4c+4=0 4-(-aÛ`+5a)
=5, aÛ`=1
∴ c=1 답④ 1-a
∴ a=-1 (∵ a<0) 답⑤

0394 함수 f(x)=-2xÜ`-4xÛ`+8x+3은 닫힌구간


[-a, a]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므로 f(-a)= f(a)이다. 0399 f(x)=2xÛ`에서 f (x)=4x
2aÜ`-4aÛ`-8a+3=-2aÜ`-4aÛ`+8a+3 f(x+h)- f(x)=h f (x+ h)에서
4aÜ`-16a=0, 4a(a-2)(a+2)=0 2(x+h)Û`-2xÛ`=4h(x+ h)
∴ a=2 (∵ a는 자연수) 2h(2x+h)=4h(x+ h)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2, 2)에 적어 2x+h=2x+2  h
도 하나 존재한다.
∴ =;2!; (∵ h+0) 답①
이때 f (x)=-6xÛ`-8x+8이므로
f (c)=-6cÛ`-8c+8=-2(3c-2)(c+2)=0

∴ c=;3@; (∵ -2<c<2) 0400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므로 f(x)는


닫힌구간 [x-5, x+1]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x-5, x+1)
a 2
∴ = =3 답 에서 미분가능하다.
c
;3@;
따라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x+1)- f(x-5)
= f (c) (x-5<c<x+1)
(x+1)-(x-5)
0395 함수 f(x)=2xÛ`-4x+1은 닫힌구간 [1, 3]에서 연속이 인 c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고 열린구간 (1, 3)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이때 x Ú¦이면 c Ú¦이므로
f(3)- f(1) f(x+1)- f(x-5)
= f (c) lim { f(x+1)- f(x-5)}=6lim
3-1 x Ú¦ x Ú¦ (x+1)-(x-5)
인 c가 열린구간 (1, 3)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6lim f (c)
c Ú¦
7-(-1)
이때 f (x)=4x-4이므로 =4c-4 =6´(-2)=-12 답-
3-1
4c-4=4 ∴ c=2 답

0396 닫힌구간 [a, b]에서 평균값 정


리를 만족시키는 상수 c는 오른쪽 그림에
서 직선 AB의 기울기와 곡선 y= f(x) 유형 본문 63쪽
의 접선의 기울기가 같은 점의 x좌표이다.
이때 직선 AB와 평행한 접선을 3개 그 0401 f(x)=xÛ`으로 놓으면 f (x)=2x
을 수 있으므로 실수 c의 개수는 3이다. 답 곡선 y= f(x)의 접선 중에서 직선 y=2x-11과 평행한 접선의

04. 도함수의 활용 ( 1 ) 049


접점의 좌표를 (t, tÛ` )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 이때 ABÓ="(1+5)Û`+(-5-1)Û`=6'2 이므로
이어야 하므로 삼각형 ABP의 넓이의 최솟값은
f (t)=2t=2 ∴ t=1 3'2
;2!;´6'2 ´ =9 답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1)이고, 점 (1, 1)과 직선 y=2x-11, 2

즉 2x-y-11=0 사이의 거리가 구하는 최솟값이므로


0405 f(x)=xÜ`-4xÛ`+1로 놓으면 f (x)=3xÛ`-8x
|2-1-11|
=2'5 답 접점의 좌표를 (t, tÜ`-4tÛ`+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
"2Û`+(-1)Û`
울기는 f (t)=3tÛ`-8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Ü`-4tÛ`+1)=(3tÛ`-8t)(x-t)

0402 f(x)=xÜ`-2x로 놓으면 f (x)=3xÛ`-2 ∴ y=(3tÛ`-8t)x-2tÜ`+4tÛ`+1


접점의 좌표를 (t, tÜ`-2t)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10이므로 이 직선이 점 (a, 1)을 지나므로
f (t)=3tÛ`-2=10 1=(3tÛ`-8t)a-2tÜ`+4tÛ`+1
3tÛ`-12=0, 3(t+2)(t-2)=0 t{2tÛ`-(4+3a)t+8a}=0
∴ t=-2 또는 t=2 ∴ t=0 또는 2tÛ`-(4+3a)t+8a=0
즉, 접점의 좌표는 (-2, -4), (2, 4)이다. 이때 접선이 오직 한 개 존재하려면 이차방정식
따라서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는 2tÛ`-(4+3a)t+8a=0이 t=0을 중근으로 갖거나 실근을 갖지
"Ã(2+2)Û`+(4+4)Û`=4'5 답 않아야 한다.
Ú 2tÛ`-(4+3a)t+8a=0이 t=0을 중근으로 갖는 경우
2tÛ`=0이므로 4+3a=0, 8a=0
0403 f(x)=xÜ`-3xÛ`+2로 놓으면 f (x)=3xÛ`-6x 그런데 이를 만족시키는 a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이차
접점의 좌표를 (t, tÜ`-3tÛ`+2)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9이므로 방정식은 t=0을 중근으로 갖지 않는다.
f (t)=3tÛ`-6t=9 Û 2tÛ`-(4+3a)t+8a=0이 실근을 갖지 않는 경우
tÛ`-2t-3=0, (t+1)(t-3)=0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t=-1 또는 t=3 =(4+3a)Û`-64a<0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2), (3, 2)이므로 두 접선의 방 9aÛ`-40a+16<0, (9a-4)(a-4)<0
정식은 ∴ ; ;<a<4
y+2=9(x+1) ∴ 9x-y+7=0 yy ㉠
y-2=9(x-3) ∴ 9x-y-25=0 yy ㉡ Ú, Û에서 ; ;<a<4 답①

두 직선 ㉠, ㉡ 사이의 거리는 직선 ㉠ 위의 점 (0, 7)과 직선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0406 f(x)=xÛ`-3x-1로 놓으면 f (x)=2x-3
접점의 좌표를 (t, tÛ`-3t-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
|0-7-25| 32 16'§82
= = 답②
"9Û`+(-1)Û` '§82 41 울기는 f (t)=2t-3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Û`-3t-1)=(2t-3)(x-t)
∴ y=(2t-3)x-tÛ`-1
0404 f(x)=xÛ`+5x+8로 놓으면 f (x)=2x+5 이 직선이 점 (a, -2)를 지나므로
1-(-5) -2=(2t-3)a-tÛ`-1
직선 AB의 기울기는 =-1이므로
-5-1
∴ tÛ`-2at+3a-1=0
직선 AB의 방정식은
위의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t , t 라 하면 t , t 는 각각 두 점 B,
y+5=-(x-1) ∴ x+y+4=0
의 x좌표이다.
곡선의 접점 중에서 직선 AB와 평행한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 +t =2a이므
(t, tÛ`+5t+8)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1이어
로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x좌표는
야 하므로
a+t +t a+2a
f (t)=2t+5=-1 ∴ t=-3 = =3
3 3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3, 2)이므로 P(-3, 2)일 때 삼각형 ∴ a=3 답
ABP의 넓이가 최소이다.
직선 AB와 점 P 사이의 거리는 0407 f(x)=-xÛ`+3으로 놓으면 f (x)=-2x
|-3+2+4| 3 3'2 접점의 좌표를 (t, -tÛ`+3)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
= =
"1Û`+1Û` '2 2 기는 f (t)=-2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050 정답과 풀이
y-(-tÛ`+3)=-2t(x-t) 0410 f(x)=axÜ`-2xÛ`+1로 놓으면 f (x)=3axÛ`-4x
∴ y=-2tx+tÛ`+3 점 (1, b)에서의 접선이 직선 y=-;2!;x+4와 수직이므로 접선
이 직선이 점 P(1, 6)을 지나므로
의 기울기는 f (1)=3a-4=2 ∴ a=2
6=-2t+tÛ`+3, tÛ`-2t-3=0
b= f(1)=2-2+1=1
(t+1)(t-3)=0
∴ a+b=2+1=3 답
∴ t=-1 또는 t=3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Q(-1, 2), R(3, -6) 0411 f(x)=xÜ`-4x+a로 놓으면 f (x)=3xÛ`-4
∴ QRÓ="(-1-3)Û`+(2+6)Û`=4'5 접점의 좌표를 (t, tÜ`-4t+a)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
2-(-6) 기는 f (t)=3tÛ`-4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직선 QR의 기울기는 =-2이므로
-1-3
y-(tÜ`-4t+a)=(3tÛ`-4)(x-t)
직선 QR의 방정식은
∴ y=(3tÛ`-4)x-2tÜ`+a
y-2=-2(x+1) ∴ 2x+y=0
이 직선이 직선 y=ax-4와 일치하므로
직선 QR와 점 P(1, 6) 사이의 거리는
a=3tÛ`-4 yy ㉠
|2´1+6| 8 8'5
= = -2tÜ`+a=-4 yy ㉡
"2Û`+1Û` '5 5
따라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을 ㉡에 대입하면
8'5 -2tÜ`+3tÛ`-4=-4, tÛ`(2t-3)=0
;2!;´4'5 ´ =16 답
5
∴ t=0 또는 t=;2#;

Ú t=0일 때, a=-4

Û t=;2#;일 때, a=;;Á4Á;;

따라서 모든 상수 a의 값의 곱은 -4´;;Á4Á;;=-11 답-

0412 f(x)=xÛ`-x로 놓으면 f (x)=2x-1


접점의 좌표를 (t, tÛ`-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64~65쪽
f (t)=2t-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tÛ`-t)=(2t-1)(x-t)
0408 f(x)=xÜ`+6xÛ`+10x-4로 놓으면
∴ y=(2t-1)x-tÛ`
f (x)=3xÛ`+12x+10=3(x+2)Û`-2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따라서 접선의 기울기는 x=-2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1=2t-1-tÛ`, tÛ`-2t=0
f(-2)=-8이므로 기울기가 최소인 접선의 방정식은
t(t-2)=0 ∴ t=0 또는 t=2
y+8=-2(x+2) ∴ y=-2x-12
이때 접선의 기울기가 음수이어야 하므로 t=0
즉, a=-2, b=-12이므로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x이고 이 직선이 점 (a, -5)를
ab=24 답
지나므로
a=5 답④

0409 f(x)=xÛ`-3x+1로 놓으면


f (x)=2x-3이므로 f (t)=2t-3
0413 f(x)=xÜ`-x+3, g(x)=xÛ`+a로 놓으면
점 (t, tÛ`-3t+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 (x)=3xÛ`-1, g (x)=2x
y-(tÛ`-3t+1)=(2t-3)(x-t)
두 곡선이 x좌표가 t`(t>0)인 점에서 접한다고 하면
∴ y=(2t-3)x-tÛ`+1 ` f(t)=g(t)에서 tÜ`-t+3=tÛ`+a yy ㉠
∴ g(t)=-tÛ`+1 ` f (t)=g (t)에서 3tÛ`-1=2t yy ㉡
g(t+2)-g(t) {-(t+2)Û`+1}-(-tÛ`+1 )
∴ lim =lim ㉡에서 3tÛ`-2t-1=0, (3t+1)(t-1)=0
t Ú¦ t t Ú¦ t
-4t-4 ∴ t=1`(∵ t>0)
=lim =-4 답②
t Ú¦ t t=1을 ㉠에 대입하면 a=2 답

04. 도함수의 활용 ( 1 ) 051


0414 f(x)=xÛ`+2로 놓으면 f (x)=2x 단계 채점요소 배점
접점의 좌표를 (t, tÛ`+2)라 하면 이 점에 a의 값 구하기 30%
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2t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2, 5)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접선의 방정식은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y-(tÛ`+2)=2t(x-t)
∴ y=2tx-tÛ`+2
0418 f(x)=;4!;xÛ`+a로 놓으면 f (x)=;2!;x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1=2t-tÛ`+2, tÛ`-2t-3=0 접점의 좌표를 {t, ;4!; tÛ`+a}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t+1)(t-3)=0
는 f (t)=;2!; t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 t=-1 또는 t=3
따라서 두 접점을 B(-1, 3), (3, 11)이라 하면 y-{;4!; tÛ`+a}=;2!; t(x-t)
삼각형 AB 의 넓이는
∴ y=;2!; tx-;4!; tÛ`+a
12´4-{;2!;´2´4+;2!;´2´12+;2!;´8´4}
이 직선이 점 (-4, 0)을 지나므로
=48-(4+12+16)
0=;2!; t´(-4)-;4!; tÛ`+a
=16 답③
∴ tÛ`+8t-4a=0 yy ㉠

0415 함수 f(x)=xÛ`-(a+b)x+ab는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며 f(a)= f(b)=0 이차방정식 ㉠의 두 근을 t , t 라 하면 두 접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a, b)에
;2!; t , ;2!; t 이고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2x-(a+b)이므로 ;2!; t ´;2!; t =-1 ∴ t  t =-4 yy ㉡
a+b
f (c)=2c-(a+b)=0 ∴ c= 답④
2
또한,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t  t =-4a yy ㉢
0416 곡선의 접점 중에서 직선 와 평행한 접선의 접점의
㉡, ㉢에서 -4=-4a ∴ a=1
좌표를 (t, at(t-2)Û )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3atÛ`-8at+4a

삼각형 OAP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점 P에서의 접선은 직선
단계 채점요소 배점
OA와 평행하므로
t, a의 관계식 세우기 40%
f {;2!;}=3a´{;2!;} -8a´;2!;+4a=1 기울기의 곱을 이용하여 t , t 의 관계식 세우기 30%
a의 값 구하기 30%
;4#;a=1 ∴ a=;3; 답②

0419 f(x)=xÜ`+(a+3)xÛ`-ax+7로 놓으면


0417 점 (2, a)는 곡선 y= f(x) 위의 한 점이므로 f (x)=3xÛ`+2(a+3)x-a
a= f(2)=2Ü`-4´2+5=5
접점의 좌표를 (t, f(t))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t)=3tÛ`+2(a+3)t-a
f (x)=3xÛ`-4에서 f (2)=8
이때 3tÛ`+2(a+3)t-a=-;3!;, 즉
즉, 점 (2, 5)에서 곡선 y= f(x)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y-5=8(x-2) ∴ y=8x-11 yy ㉠ 3tÛ`+2(a+3)t-a+;3!;=0을 만족시키는 실수 t의 값이 존재하

지 않아야 하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따라서 구하는 접선은 직선 ㉠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a+3)Û`-3´{-a+;3!;}<0
x=8y-11 ∴ y=; !;x+;;Á Á;; 4
aÛ`+6a+9+3a-1<0
aÛ`+9a+8<0, (a+1)(a+8)<0
답 =; ;! ;;Á ;Á ; ∴ -8<a<-1

052 정답과 풀이
따라서 정수 a는 -7, -6, -5, -4, -3, -2의 6개이다.
Ⅱ. 미분

0420 함수 f(x)는 닫힌구간 [1, 7]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05 도함수의 활용 (2)
(1, 7)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7)- f(1)
= f (c)인 c가 열린구간 (1, 7)에 적어도 하나 존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67쪽
7-1
재한다.
0422 x <x 인 임의의 두 양수 x , x 에 대하여
f(7)- f(1)
조건 ㈐에서 | f (c)|= É;3!; f(x )-f(x )=x Û`-x Û`=(x +x )(x -x )<0
7-1
a-2 이므로 f(x )<f(x )
É;3!;, |a-2|É2
6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0, ¦)에서 증가한다. 답 증가
-2Éa-2É2 ∴ 0ÉaÉ4
따라서 a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⑤ 5이다. 답⑤
0423 x <x 인 임의의 두 실수 x , x 에 대하여
f(x )-f(x )=-x Ü`-(-x Ü`)
0421 f(x)=xÛ`으로 놓으면 f (x)=2x =-(x -x )(x Û`+x x +x Û`)>0
곡선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f (2)=4이므로 접 x
이므로 f(x )>f(x ) ={x + 2 }Û`+;4#;x Û`>0
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 ¦)에서 감소한다.
y-4=4(x-2) ∴ y=4x-4 답 감소
이 접선과 x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1, 0)이므로 a =1
또한, 곡선 위의 점 (an, anÛ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0424 x <x <3인 임의의 두 실수 x , x 에 대하여
f (an)=2an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f(x )-f(x )=(-x Û`+6x )-(-x Û`+6x )
y-anÛ`=2an(x-an) =-(x Û`-x Û`)+6(x -x )
∴ y=2anx-anÛ` =-(x -x )(x +x -6)<0
x <3, x <3이므로 x +x -6<0
이 접선과 x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2!;an, 0}이므로 이므로 f(x )<f(x )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 3)에서 증가한다. 답 증가
an+ =;2!;an

즉, 0425 f(x)=3x-xÛ`에서 f (x)=3-2x
`f` (x)=0에서 x=;2#; x … ;2#; …
a =;2!;´a =;2!;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구 f (x) + 0 -
a =;2!;´a ={;2!;}Û`
f(x) ↗ ↘
간 {-¦, ;2#;]에서 증가하고,
a =;2!;´a ={;2!;}Ü`
반닫힌 구간 [;2#;, ¦}에서 감소한다. 답 풀이 참조
y

10
이므로 a ={;2!;} 답④
0426 f(x)=xÛ`-x-2에서 f (x)=2x-1
f (x)=0에서 x=;2!; x … ;2!; …
따라서 함수  f(x)는 반닫힌 f (x) - 0 +
f(x) ↘ ↗
구간 {-¦, ;2!;]에서 감소하

고, 반닫힌 구간 [;2!;, ¦}에서 증가한다. 답 풀이 참조

0427 f(x)=;3!;xÜ`+xÛ`-4에서 f (x)=xÛ`+2x=x(x+2)
f (x)=0에서 x … -2 … 0 …
x=-2 또는 x=0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f(x) ↗ ↘ ↗

05. 도함수의 활용 (2) 053


05
반닫힌 구간 (-¦, -2]와 반닫힌 구간 [0, ¦)에서 증가하고, 0434 f(x)=-3xÝ`+4xÜ`-1에서
닫힌구간 [-2, 0]에서 감소한다. 답 풀이 참조 f (x)=-12xÜ`+12xÛ`=-12xÛ`(x-1)
f (x)=0에서 x=0 또는 x=1
0428 함수 f(x)는 x=-1의 좌우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므 따라서 함수 f(x)는 x … 0 … 1 …
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며 극댓값은 x=1에서 극댓값 0을 f (x) + 0 + 0 -
f(-1)=6 갖고, 극솟값은 없다. f(x) ↗ -1 ↗ 0 ↘
또, x=3의 좌우에서 감소하다가 증가하므로 함수 f(x)는 x=3
답 극댓값: 0, 극솟값: 없다.
에서 극소이며 극솟값은 f(3)=-26
답 극댓값: 6, 극솟값: -26
0435 f(x)=-xÜ`+3x+2에서
0429 ⑴ 함수  f(x)는 x=b, x= 의 좌우에서 증가하다가 f (x)=-3xÛ`+3=-3(x+1)(x-1)
감소하므로 x=b, x=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f (x)=0에서 x=-1 또는 x=1
⑵ 함수  f(x)는 x=a, x=c, x=f 의 좌우에서 감소하다가 증 x … -1 … 1 …
가하므로 x=a, x=c, x=f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f (x) - 0 + 0 -
답 ⑴ b, ⑵ a, ,  f(x) ↘ 0 ↗ 4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0430 함수 f(x)는 x=5에서 극댓값 3을 가지므로 f(5)=3
그림과 같다.
x=2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f (2)=0
∴ f(5)+f (2)=3+0=3 답3
답 풀이 참조

0431 f(x)=xÜ`-12x에서
f (x)=3xÛ`-12=3(x+2)(x-2)
0436 f(x)=;3!;xÜ`-xÛ`에서
f (x)=0에서 x=-2 또는 x=2
따라서 함수 f(x)는 f (x)=xÛ`-2x=x(x-2)
x … -2 … 2 …
x=-2에서 극댓값 16, f (x)=0에서 x=0 또는 x=2
f (x) + 0 - 0 +
x=2에서 극솟값 -16 f(x) ↗ 16 ↘ -16 ↗ x … 0 … 2 …
을 갖는다. f (x) + 0 - 0 +

답 극댓값: 16, 극솟값: -16 f(x) ↗ 0 ↘ -;3$;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0432 f(x)=-xÜ`+3x+1에서
그림과 같다.
f (x)=-3xÛ`+3=-3(x+1)(x-1)
f (x)=0에서 x=-1 또는 x=1
따라서 함수 f(x)는 x … -1 … 1 … 답 풀이 참조
x=1에서 극댓값 3, f (x) - 0 + 0 -
x=-1에서 극솟값 f(x) ↘ -1 ↗ 3 ↘
0437 f(x)=xÝ`-4xÜ`+4xÛ`+2에서
-1을 갖는다.
f (x)=4xÜ`-12xÛ`+8x=4x(x-1)(x-2)
답 극댓값: 3, 극솟값: -1
f (x)=0에서 x=0 또는 x=1 또는 x=2

0433 f(x)=xÝ`-2xÛ`에서 x … 0 … 1 … 2 …
f (x)=4xÜ`-4x=4x(x+1)(x-1) f (x) - 0 + 0 - 0 +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f(x) ↘ 2 ↗ 3 ↘ 2 ↗

x … -1 … 0 … 1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f (x) - 0 + 0 - 0 + 그림과 같다.
f(x) ↘ -1 ↗ 0 ↘ -1 ↗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0, x=-1과 x=1에서


극솟값 -1을 갖는다. 답 극댓값: 0, 극솟값: -1 답 풀이 참조

054 정답과 풀이
0438 f(x)=-xÜ`+3xÛ`에서 f (x)=0에서 x=-4 또는 x=2
f (x)=-3xÛ`+6x=-3x(x-2)
x … -4 … 2 …
`f (x)=0에서 x=0 또는 x=2 f (x) - 0 + 0 -
x -2 … 0 … 2 … 3 f(x) ↘ -82 ↗ 26 ↘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닫힌구간 [-4, 2]에서 증가하므로
f(x) 20 ↘ 0 ↗ 4 ↘ 0
a=-4, b=2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20, x=0과 x=3에서 ∴ a+b=-2 답 -2
최솟값 0을 갖는다. 답 최댓값: 20, 최솟값: 0

0439 f(x)=xÜ`-6xÛ`+9x-2에서 0443 f(x)=xÜ`+axÛ`+bx+c에서


f (x)=3xÛ`+2ax+b
f (x)=3xÛ`-12x+9=3(x-1)(x-3)
함수  f(x)가 감소하는 구간이 닫힌구간 [1, 2]이므로 이차방정
f (x)=0에서 x=1 또는 x=3
식 f (x)=0의 두 근은 1, 2이다.
x 0 … 1 … 3 … 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 (x) + 0 - 0 +
2a
f(x) -2 ↗ 2 ↘ -2 ↗ 2 1+2=- , 1´2=;3B;
3

따라서 함수 f(x)는 x=1과 x=4에서 최댓값 2, x=0과 x=3 따라서 a=-;2(;, b=6이므로
에서 최솟값 -2를 갖는다. 2a+b=-3 답 -3
답 최댓값: 2, 최솟값: -2

0440 f(x)=;4!;xÝ`-xÜ`에서 0444 f(x)=2xÜ`+axÛ`+36x+9에서


f (x)=6xÛ`+2ax+36
`f (x)=xÜ`-3xÛ`=xÛ`(x-3)
함수 f(x)가 감소하는 x의 값의 범위가 bÉxÉ3이므로 이차방
`f (x)=0에서 x=0 또는 x=3
정식 f (x)=0의 두 근은 b, 3이다.
따라서 함수 f(x)는 x -2 … 0 … 3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2에서 최댓값 12, f (x) - 0 - 0
x=3에서 최솟값 b+3=-;3;, 3b=6
f(x) 12 ↘ 0 ↘ - 4
- 4 을 갖는다. 따라서 b=2, a=-15이므로
b-a=17 답 17
답 최댓값: 12, 최솟값: -;; ;;

0441 f(x)=3xÝ`-4xÜ`+1에서 0445 f(x)=-xÜ`+axÛ`+bx+3에서


f (x)=12xÜ`-12xÛ`=12xÛ`(x-1) f (x)=-3xÛ`+2ax+b
f (x)=0에서 x=0 또는 x=1 함수 f(x)가 -1ÉxÉ2에서 증가하고 xÉ-1 또는 x¾2에서
감소하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은 -1, 2이다.
x -1 … 0 … 1 … 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f (x) - 0 - 0 +
2a
f(x) 8 ↘ 1 ↘ 0 ↗ 17 -1+2= , (-1)´2=-;3B;
3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17, x=1에서 최솟값 0 따라서 a=;2#;, b=6이므로
을 갖는다. 답 최댓값: 17, 최솟값: 0
ab=9 답9

0446 f(x)=xÜ`-axÛ`+(a+6)x+5에서
유형 익 /히 /기 본문 68~76 쪽 f (x)=3xÛ`-2ax+a+6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0442 f(x)=-xÜ`-3xÛ`+24x-2에서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
f (x)=-3xÛ`-6x+24=-3(x+4)(x-2) 식을 라할때

05. 도함수의 활용 (2) 055


=aÛ`-3(a+6)É0, aÛ`-3a-18É0 =4kÛ`-12É0, kÛ`-3É0
4 4
(a+3)(a-6)É0 ∴ -3ÉaÉ6 (k+'3)(k-'3)É0 ∴ -'3ÉkÉ'3 답③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6이다. 답③

0451 f(x)=;3!;xÜ`-axÛ`+3ax에서
0447 f(x)=-xÜ`+axÛ`-12x-1에서
f (x)=xÛ`-2ax+3a
f (x)=-3xÛ`+2ax-12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한다.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대하여  f (x)É0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
f (x)=0의 판별식을 라할때
식을 라할때
=aÛ`-3aÉ0, a(a-3)É0
=aÛ`-36É0, (a+6)(a-6)É0 4
4
∴ 0ÉaÉ3
∴ -6ÉaÉ6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답3

답 -6 a 6
단계 채점요소 배점 0452 f(x)=xÜ`-3xÛ`+ax+2에서
f (x) 구하기 30 % f (x)=3xÛ`-6x+a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70 % 함수 f(x)가 닫힌구간 [1, 3]에서 감소하
려면 1ÉxÉ3에서  f (x)É0이어야 하

0448 f(x)=axÜ`+xÛ`-x에서 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f (x)=3axÛ`+2x-1 f (1)=a-3É0에서 aÉ3 yy ㉠
함수 f(x)가 열린구간 (-¦, ¦)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 f (3)=a+9É0에서 aÉ-9 yy ㉡
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하므로 a<0 yy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라할때 aÉ-9 답①

=1+3aÉ0 ∴ aÉ-;3!; yy ㉡
4
0453 f(x)=-xÜ`+xÛ`+ax-4에서
㉠, ㉡에서 aÉ-;3!;
f (x)=-3xÛ`+2x+a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1이다. 답③ 함수 f(x)가 닫힌구간 [1, 2]에서 증가하
려면 1ÉxÉ2에서  f (x)¾0이어야 하
0449 f(x)=-xÜ`+axÛ`+ax+7에서 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f (x)=-3xÛ`+2ax+a f (1)=-1+a¾0에서 a¾1 yy ㉠
x <x 인 임의의 두 실수 x , x 에 대하여  f(x )>f(x )가 성 f (2)=-8+a¾0에서 a¾8 yy ㉡
립하려면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해야 한다. 즉,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a¾8 답a 8
f (x)=0의 판별식을 라할때

=aÛ`+3aÉ0, a(a+3)É0
4 0454 f(x)=xÜ`+kxÛ`-8x+4에서
∴ -3ÉaÉ0 답③ f (x)=3xÛ`+2kx-8
함수  f(x)가 -2ÉxÉ1에서 감소하
0450 f(x)=xÜ`+2kxÛ`+4x에서 려면 이 구간에서 `f (x)É0이어야 하
f (x)=3xÛ`+4kx+4 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x +x 이면  f(x )+f(x )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함수  f(x)는 f (-2)=12-4k-8É0에서
일대일함수이어야 하고,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k¾1 yy ㉠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한다. f (1)=3+2k-8É0에서 kÉ;2%; yy ㉡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라할때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1ÉkÉ;2%;

056 정답과 풀이
따라서 실수 k의 최댓값은 ;2%;, 최솟값은 1이므로 구하는 합은 0459 f(x)=xÜ`-3xÛ`-9x+8에서
f (x)=3xÛ`-6x-9=3(x+1)(x-3)
;2%;+1=;2&; 답④
f (x)=0에서 x=-1 또는 x=3
따라서 함수 f(x)는 x … -1 … 3 …
0455 f(x)=xÜ`+axÛ`+3에서
x=-1에서 극댓값 13, f (x) + 0 - 0 +
f (x)=3xÛ`+2ax
x=3에서 극솟값 -19 f(x) ↗ 13 ↘ -19 ↗
함수 f(x)가 닫힌구간 [1, 2]에서 감소하고, 반닫힌 구간 [3, ¦)
를 가지므로
에서 증가하려면 1ÉxÉ2일 때
A(-1, 13), B(3, -19)
f (x)É0, x¾3일 때 f (x)¾0이어야
따라서 ABÓ의 중점의 좌표는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1+3 13-19
{ , }, 즉 (1, -3)이다. 답 1, -3
f (1)=3+2aÉ0에서 aÉ-;2#; y ㉠ 2 2

f (2)=12+4aÉ0에서 aÉ-3 y ㉡
0460 f(x)=xÜ`+axÛ`+bx+3에서
f (3)=27+6a¾0에서 a¾-;2(; y ㉢
f (x)=3xÛ`+2ax+b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f (2)=0에서 12+4a+b=0 yy ㉠
-;2(;ÉaÉ-3 답 -;2; a -3 f(2)=23에서 11+4a+2b=23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9, b=24
0456 f(x)=-2xÜ`+6x+1에서 따라서 f(x)=xÜ`-9xÛ`+24x+3이므로
f (x)=-6xÛ`+6=-6(x+1)(x-1) f (x)=3xÛ`-18x+24=3(x-2)(x-4)
f (x)=0에서 x=-1 또는 x=1 f (x)=0에서 x=2 또는 x=4
따라서 함수 f(x)는 x … -1 … 1 … … … …
x 2 4
x=1에서 극댓값 5, f (x) - 0 + 0 - f (x) + 0 - 0 +
x=-1에서 극솟값 f(x) ↘ -3 ↗ 5 ↘ f(x) ↗ 23 ↘ 19 ↗
-3을 가지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4에서 극솟값 19를 갖는다. 답⑤
=5, m=-3
∴ +m=2 답①
0461 f(x)=-xÜ`+27x+a에서
0457 f(x)=xÝ`-4xÜ`+15에서 f (x)=-3xÛ`+27=-3(x+3)(x-3)
f (x)=4xÜ`-12xÛ`=4xÛ`(x-3) f (x)=0에서 x=-3 또는 x=3
f (x)=0에서 x=0 또는 x=3
x … -3 … 3 …
따라서 함수 f(x)는 x … 0 … 3 … f (x) - 0 + 0 -
x=3에서 극솟값 f (x) - 0 - 0 + f(x) ↘ a-54 ↗ a+54 ↘
-12를 가지므로 f(x) ↘ ↘ -12 ↗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 a-54, x=3에서 극
a=3, b=-12
댓값 a+54를 갖는다.
∴ a+b=-9 답②
이때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이 10이므로

0458 f(x)=-xÝ`+4xÜ`+2xÛ`-12x-7에서 (a+54)+(a-54)=10

f (x)=-4xÜ`+12xÛ`+4x-12 2a=10 ∴ a=5 답5

=-4(x+1)(x-1)(x-3)
f (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0462 f(x)=-2xÜ`-6xÛ`+a에서
f (x)=-6xÛ`-12x=-6x(x+2)
x … -1 … 1 … 3 …
f (x) + 0 - 0 + 0 - f (x)=0에서 x=-2 또는 x=0
f(x) ↗ 극대 ↘ 극소 ↗ 극대 ↘ x … -2 … 0 …

따라서 함수  f(x)는 x=-1, x=1, x=3에서 극값을 가지므 f (x) - 0 + 0 -


f(x) ↘ 극소 ↗ 극대 ↘
로 모든 x의 값의 합은
(-1)+1+3=3 답3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1을 가지므로
05. 도함수의 활용 (2) 057
b=-2, `f(-2)=16-24+a=1 ∴ a=9 그런데 f(0)=1+0이므로 f {;2;}=0
∴ a-b=9-(-2)=11 답③
f {;2;}=2{;2;}Ü`-;2#;a{;2;}Û`+1=0, -;8!;aÜ`+1=0

0463 f(x)=xÜ`+(2a+4)xÛ`-5x에서 ∴ a=2 답2


f (x)=3xÛ`+2(2a+4)x-5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극대인 점과 극소인 점의 x좌표를 0466 함수 f(x)는 x=3에서 극값 1을 가지므로
각각 a, b라 하면 a, b는 이차방정식 3xÛ`+2(2a+4)x-5=0 f(3)=1, f (3)=0
의 두 근이다. 이때 g(x)=(-2x+1)f(x)에서
이때 극대인 점과 극소인 점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g(3)=-5f(3)=(-5)´1=-5
a+b=0 g (x)=-2f(x)+(-2x+1)f (x)에서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g (3)=-2f(3)-5f (3)=-2
2(2a+4) 따라서 곡선 y=g(x) 위의 x=3인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b=- =0
3 y-(-5)=-2(x-3) ∴ 2x+y-1=0
∴ a=-2 답 -2
따라서 원점과 직선 2x+y-1=0 사이의 거리는
|-1| 1 '5 5
0464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 = = 답
"Ã2Û`+1Û` '5 5 5
는 삼차함수이므로 f(x)=xÜ`+axÛ`+bx (a, b는 상수)로 놓으면
f (x)=3xÛ`+2ax+b 0467 조건 ㈎에서 f(0)=0이므로
함수 f(x)가 x=-1과 x=3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이차방정식 f(x)=xg(x) (g(x)는 다항함수)라 하면
f (x)=0의 두 근은 -1과 3이다. `f(x) xg(x)
lim  =lim  =g(0)=-2 yy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x`Ú 0 x x`Ú 0 x
2a 조건 ㈏에서 f (1)=0, f(1)=-3
-1+3=- , (-1)´3=;3B; ∴ a=-3, b=-9
3 한편 f(x)=xg(x)에서 f (x)=g(x)+xg (x)이므로
∴ f(x)=xÜ`-3xÛ`-9x f (1)=g(1)+g (1)=0 yy ㉡
f(1)=g(1)=-3 yy ㉢
이때 f (x)=3xÛ`-6x-9=3(x+1)(x-3)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차수가 가장 낮은 다항함수 g(x)는
f (x)=0에서 x=-1 또는 x=3 이차함수이므로 g(x)=axÛ`+bx+c`(a+0, a, b, c는 상수)로

x … -1 … 3 … 놓으면
f (x) + 0 - 0 + g(0)=c=-2
f(x) ↗ 극대 ↘ 극소 ↗ g(1)=a+b+c=-3 ∴ a+b=-1 yy ㉣
g (x)=2ax+b에서 g (1)=2a+b=3`(∵ ㉡, ㉢) yy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극댓값은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5
f(-1)=-1-3+9=5
∴ g(x)=4xÛ`-5x-2
∴ f(x)=x(4xÛ`-5x-2)=4xÜ`-5xÛ`-2x
답5
답  =4 -5 -2
단계 채점요소 배점
함수 f(x) 구하기 60 %
0468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0, 4
함수 f(x)의 극댓값 구하기 40 %
이므로 f (x)=0에서 x=0 또는 x=4

x … 0 … 4 …
0465 f(x)=2xÜ`-;2#;axÛ`+1에서
f (x) + 0 - 0 +
f (x)=6xÛ`-3ax=3x(2x-a) f(x) ↗ 극대 ↘ 극소 ↗
f (x)=0에서 x=0 또는 x=;2;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구하는 극댓
따라서 함수 f(x)는 x=0, x=;2;에서 극댓값 또는 극솟값을 갖 값은 f(0)=10 답③

는다.
0469 f(x)=axÜ`+bxÛ`+cx+  (a+0, a, b, c, 는 상수)로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므로
놓으면
f(0)=0 또는 f {;2;}=0 f (x)=3axÛ`+2bx+c

058 정답과 풀이
y=f (x)의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가 3이므로 0472 오른쪽 그림에서 x=x 의
f (0)=c=3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양에서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3, 1이므로 음으로 바뀌므로 함수 f(x)는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은 -3과 1이다. x=x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m=1
2b c 또, x=x , x=x 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3+1=- , (-3)´1= =; !;
3a 3a
바뀌므로 함수 f(x)는 x=x , x=x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 a=-;3!;, b=-1 ∴ n=2
이때 f (x)=0에서 x=-3 또는 x=1 ∴ m-n=-1 답 -1

따라서 함수 f(x)는 x … -3 … 1 …
x=-3에서 극솟값, f (x) - 0 + 0 -
0473 주어진 그래프에서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
x=1에서 극댓값을 f(x) ↘ 극소 ↗ 극대 ↘
는 점의 x좌표는 -4, 7이므로 함수  f(x)는 x=-4, x=7에
갖는다.
서 극댓값을 갖는다.
이때 f(x)=-;3!;xÜ`-xÛ`+3x+ 이므로 구하는 차는 따라서 구하는 모든 x의 값의 합은
-4+7=3 답3
f(1)-f(-3)={-;3!;-1+3+ }-(9-9-9+ )

= 3 답
0474 ㄱ.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
뀌므로 함수 f(x)는 x=a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ㄴ. x= 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0470 f(x)=axÜ`+bxÛ`+cx+ (a+0, a, b, c, 는 상수) 함수 f(x)는 x= 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로 놓으면 f (x)=3axÛ`+2bx+c ㄷ. x=a, x= , x=g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극값을 갖는 점은
y=f (x)의 그래프에서 f (0)=0, f (-2)=0이므로 3개이다.
f (0)=c=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⑤
f (-2)=12a-4b=0 ∴ b=3a yy ㉠
이때 f (x)=0에서 x=-2 또는 x=0
0475 ㄱ. 열린구간 (a, b)에서  f (x)>0이므로 함수 f(x)
따라서 함수 f(x)는 x … -2 … 0 …
는 증가한다.
x=0에서 극솟값 -2, f (x) + 0 - 0 +
ㄴ. x=b, x= 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므로 함수 
x=-2에서 극댓값 6 f(x) ↗ 극대 ↘ 극소 ↗
f(x)는 x=b, x= 에서 극값을 갖는다. 즉, 함수  f(x)가
을 가지므로
극값을 갖는 점은 2개이다.
f(0)= =-2
ㄷ. x=b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f(-2)=-8a+4b-2=6 ∴ 2a-b=-2 yy ㉡
함수 f(x)는 x=b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6
따라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답ㄷ
따라서 f(x)=2xÜ`+6xÛ`-2이므로
f(1)=2+6-2=6 답6

0476 f(x)=xÜ`+axÛ`+12x+2에서
f (x)=3xÛ`+2ax+12
0471 ① x>-1일 때, f (x)¾0이므로 f(x)는 증가한다.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
② x=-1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므로  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f(x)는 x=-1에서 극소이다. =aÛ`-36>0, (a+6)(a-6)>0
4
③ f (2)=0이므로 f(x)는 x=2에서 미분가능하다.
∴ a<-6 또는 a>6 답①
④ x=2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므로 f(x)는
x=2에서 극값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f(x)의 극값은
x=-1에서의 극솟값 1개뿐이다. 0477 f(x)=xÜ`+3xÛ`+ax-1에서
⑤ 열린구간 (2, 4)에서 f (x)>0이므로 f(x)는 증가한다. f (x)=3xÛ`+6x+a
답③ 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05. 도함수의 활용 (2) 059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 ={3(a-1)}Û`+3{3(bÛ`-9)}É0
4
별식을 라 하면
9(a-1)Û`+9(bÛ`-9)É0
=9-3a>0 ∴ a<3 답a 3 (a-1)Û`+bÛ`É9
4

Ú a=1일 때
0478 f(x)=3xÜ`+(k+2)xÛ`+kx+1에서 bÛ`É9, -3ÉbÉ3이므로 b=1, 2, 3
`f (x)=9xÛ`+2(k+2)x+k 따라서 순서쌍 (a, b)는 (1, 1), (1, 2), (1, 3)의 3개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 Û a=2일 때
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bÛ`É8, -2'2ÉbÉ2'2 이므로 b=1, 2
=(k+2)Û`-9k>0, kÛ`-5k+4>0 따라서 순서쌍 (a, b)는 (2, 1), (2, 2)의 2개
4
a=3일 때
(k-1)(k-4)>0 ∴ k<1 또는 k>4
bÛ`É5, -'5ÉbÉ'5 이므로 b=1, 2
따라서 a=1, b=4이므로
따라서 순서쌍 (a, b)는 (3, 1), (3, 2)의 2개
a+b=5 답③
a=4일 때
bÛ`É0이므로 순서쌍 (a, b)는 없다.

0479 f(x)=xÜ`+3axÛ`+ax-2에서
f (x)=3xÛ`+6ax+a Ú ~  에서 순서쌍 (a, b)의 개수는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 3+2+2=7
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답7
=9aÛ`-3a>0, 3a(3a-1)>0
4
단계 채점요소 배점
∴ a<0 또는 a>;3!; 극값을 갖지 않을 조건을 이용하여 a, b 사이의 관계식 구하기 30 %

답① 순서쌍 (a, b) 구하기 60 %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1이다.
순서쌍 (a, b)의 개수 구하기 10 %

0480 f(x)=xÜ`+axÛ`+3x+4에서 0483 f(x)=xÜ`+pxÛ`+(p-1)x에서


f (x)=3xÛ`+2ax+3 f (x)=3xÛ`+2px+p-1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중 함수  f(x)가 -1<x<1에서 극댓값과
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극솟값을 모두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aÛ`-9É0, (a+3)(a-3)É0 f (x)=0이 -1<x<1에서 서로 다른
4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 -3ÉaÉ3 답④
Ú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0481 f(x)=xÜ`-;2#;(a-1)xÛ`-3ax+2에서 =pÛ`-3(p-1)>0에서
4
f (x)=3xÛ`-3(a-1)x-3a
pÛ`-3p+3={p-;2#;}Û`+;4#;>0이므로 모든 실수 p에 대하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중
여 성립한다.
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Û f (-1)=2-p>0에서 p<2
=9(a-1)Û`+36aÉ0, 9(a+1)Û`É0
∴ a=-1 답① f (1)=3p+2>0에서 p>-;3@;

이차함수 y=f (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3;이므로

0482 f(x)=xÜ`-3(a-1)xÛ`-3(bÛ`-9)x+a에서 -1<-;3;<1 ∴ -3<p<3


f (x)=3xÛ`-6(a-1)x-3(bÛ`-9)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중 Ú ~  에서 실수 p의 값의 범위는 -;3@;<p<2

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따라서 정수 p는 0, 1의 2개이다. 답2

060 정답과 풀이
0484 f(x)=2xÜ`+3xÛ`+kx-5에서 xÛ`-2x+a=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f (x)=6xÛ`+6x+k 이차방정식 xÛ`-2x+a=0의 판별식을 라 하면
이차방정식 f (x)=0의 두 실근을 a, b a+0, =1-a>0에서
4
(a<b)라 하면
a<0 또는 0<a<1 답a 0 또는 0 a 1
-2<a<0, b>0
이어야 하므로
0488 f(x)=-3xÝ`-8xÜ`+6(k+3)xÛ`-12kx에서
Ú f (-2)=24-12+k>0 ∴ k>-12
f (x)=-12xÜ`-24xÛ`+12(k+3)x-12k
Û f (0)=k<0
=-12(x-1)(xÛ`+3x-k)
Ú, Û에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12<k<0이므로
사차함수 f(x)가 극솟값을 갖지 않으려면 삼차방정식
a=-12, b=0
f (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 또는 한 실근과 중근 또는 삼중근
∴ aÛ`+bÛ`=(-12)Û`+0Û`=144 답 144
을 가져야 한다.
이차방정식 xÛ`+3x-k=0의 판별식을 라 하면
0485 f(x)=xÜ`-3axÛ`+3ax-1에서 Ú -12(x-1)(xÛ`+3x-k)=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갖는
f (x)=3xÛ`-6ax+3a
경우
함수 f(x)가 극값을 가지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
이차방정식 xÛ`+3x-k=0이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9+4k<0 ∴ k<-;4(;
=9aÛ`-9a>0, 9a(a-1)>0
4
Û -12(x-1)(xÛ`+3x-k)=0이 한 실근과 중근을 갖는 경우
∴ a<0 또는 a>1 yy ㉠
이차방정식 xÛ`+3x-k=0이 x=1을 근으로 갖거나 1이 아
이차방정식 f (x)=0의 두 실근을 a, b`(a<b)라 하면
닌 실수를 중근으로 가져야 한다.
f (x)=3(x-a)(x-b)
  xÛ`+3x-k=0이 x=1을 근으로 가지면
즉, `f(x)는 x=b에서 극솟값을 가
1+3-k=0 ∴ k=4
지므로 1ÉbÉ2이어야 한다.
xÛ`+3x-k=0이 1이 아닌 실수를 중근으로 가지면
Ú f (1)=3-6a+3aÉ0
=9+4k=0 ∴ k=-;4(;
∴ a¾1 yy ㉡
Û f (2)=12-12a+3a¾0 Ú, Û에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 aÉ;3$; yy ㉢ k=4 또는 kÉ-;4(;

㉠,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a의 값의 범위는 답 =4 또는 -; ;


1<aÉ;3$; 답④
0489 사차함수  f(x)가 극댓값을 갖지 않으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 또는 한 실근과 중근 또는 삼중근
0486 f(x)=-xÝ`+4xÜ`+4axÛ`에서
을 가져야 한다.
f (x)=-4xÜ`+12xÛ`+8ax=-4x(xÛ`-3x-2a)
이차방정식 xÛ`+ax+2a=0의 판별식을 라 하면
함수 f(x)가 극솟값을 가지려면 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Ú f (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갖는 경우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Û`-3x-2a=0이 0이 아
이차방정식 xÛ`+ax+2a=0이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aÛ`-8a<0, a(a-8)<0
이차방정식 xÛ`-3x-2a=0의 판별식을 라 하면
∴ 0<a<8
a+0, =9+8a>0에서 -;8(;<a<0 또는 a>0 Û f (x)=0이 한 실근과 중근을 갖는 경우

따라서 a=-;8(;, b=0이므로 이차방정식 xÛ`+ax+2a=0이 x=-1을 근으로 갖거나


-1이 아닌 실수를 중근으로 가져야 한다.
a+b=-;8(; 답 -; ; xÛ`+ax+2a=0이 x=-1을 근으로 가지면
1-a+2a=0 ∴ a=-1
0487 f(x)=3xÝ`-8xÜ`+6axÛ`+7에서 이차방정식 xÛ`+ax+2a=0이 -1이 아닌 실수를 중근으로
f (x)=12xÜ`-24xÛ`+12ax=12x(xÛ`-2x+a) 가지면 =a(a-8)=0 ∴ a=0 또는 a=8
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Ú, Û에서 a의 값의 범위는 a=-1 또는 0ÉaÉ8이므로 정수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a는 -1, 0, 1, 2, 3, 4, 5, 6, 7, 8의 10개이다. 답 10

05. 도함수의 활용 (2) 061


0490 f(x)=2xÜ`+3xÛ`-12x+3에서 `f (x)=0에서 x=1 (∵ xÛ`+1>0)
`f (x)=6xÛ`+6x-12=6(x+2)(x-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 x … 1 …
`f (x)=0에서 x=-2 또는 x=1 서 최솟값 -7+a를 가지므로 f (x) - 0 +
-7+a=1 f(x) ↘ -7+a ↗
x -2 … 1 … 2
∴ a=8 답⑤
f (x) 0 - 0 +
f(x) 23 ↘ -4 ↗ 7
0495 f(x)=axÜ`-6axÛ`+b에서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23, x=1에서 최솟값
f (x)=3axÛ`-12ax=3ax(x-4)
-4를 가지므로 =23, m=-4
`f (x)=0에서 x=0 (∵ -1ÉxÉ2)
∴ +m=23+(-4)=19 답②
x -1 … 0 … 2
f (x) + 0 -
0491 f(x)=xÝ`-2xÛ`-2에서
f(x) -7a+b ↗ b ↘ -16a+b
`f (x)=4xÜ`-4x=4x(x+1)(x-1)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a>0이므로 -7a+b>-16a+b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 b, x=2에서 최솟값
x … -1 … 0 … 1 …
f (x) - 0 + 0 - 0 + -16a+b를 가지므로
f(x) ↘ -3 ↗ -2 ↘ -3 ↗ b=3, -16a+b=-13
따라서 a=1, b=3이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1과 x=1에서 최솟값 -3을 가지므
a+b=4 답④
로 a=-1, b=1, =-3
∴ aÛ`+bÛ`+ Û`=(-1)Û`+1Û`+(-3)Û`=11 답 11
0496 f(x)=xÜ`+axÛ`+bx+5에서 f (x)=3xÛ`+2ax+b
닫힌구간 [0, 3]에서 삼차함수 f(x)는 x=2에서 최솟값 3을 가
0492 f(x)=3xÝ`-8xÜ`+6xÛ`+1에서
지므로 x=2에서 극솟값 3을 가져야 한다.
f (x)=12xÜ`-24xÛ`+12x=12x(x-1)Û`
f (2)=12+4a+b=0, 4a+b=-12 yy ㉠
f (x)=0에서 x=0 또는 x=1
f(2)=8+4a+2b+5=3, 2a+b=-5 yy ㉡
x -1 … 0 … 1 … 2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f (x) - 0 + 0 +
f(x) 18 ↘ 1 ↗ 2 ↗ 9 따라서 f(x)=xÜ`-;2&;xÛ`+2x+5이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18, x=0에서 최솟값 f(1)=1-;2&;+2+5=;2(; 답 ;2;


1을 가지므로 =18, m=1
∴ m=18 답 18
0497 f(x)=xÜ`+axÛ`+bx+c에서
f (x)=3xÛ`+2ax+b
0493 xÛ`-4x+2=t로 놓으면
f (1)=f (3)=0에서
t=xÛ`-4x+2=(x-2)Û`-2
3+2a+b=0 yy ㉠
0ÉxÉ4에서 t의 값의 범위는 -2ÉtÉ2
27+6a+b=0 yy ㉡
g(t)=tÜ`-12t+1로 놓으면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9
g (t)=3tÛ`-12=3(t+2)(t-2)
g (t)=0에서 t=-2 또는 t=2
따라서 함수 g(t)는 t=-2에서 x 0 … 1 … 2
t -2 … 2
최댓값 17, t=2에서 최솟값 -15 f (x) + 0 -
g (t) 0 - 0
f(x) ↗ 극대 ↘
를 가지므로 g(t) 17 ↘ -15
=17, m=-15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
∴ +m=2 답2 이므로 최댓값은 f(1)=6
a+b+c+1=6 ∴ c=2
0494 f(x)=3xÝ`-4xÜ`+6xÛ`-12x+a에서 ∴ f(x)=xÜ`-6xÛ`+9x+2
f (x)=12xÜ`-12xÛ`+12x-12=12(x-1)(xÛ`+1)

062 정답과 풀이
따라서 f(0)=2, f(2)=4이므로 함수 f(x)의 최솟값은 2이다. 루에 생산해야 할 제품의 개수는 120이다. 답 120

답2

단계 채점요소 배점
0501 잘라 내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라 하고 상자의
f (1)=f (3)=0에서 a, b의 값 구하기 30 %
부피를 (x)라 하면
c의 값과 f(x) 구하기 40 % (x)=x(12-2x)Û``(단, 0<x<6)
함수 f(x)의 최솟값 구하기 30 %  (x)=(12-2x)Û`+x´2(12-2x)(-2)
=12xÛ`-96x+144=12(x-2)(x-6)
0498 오른쪽 그림과 같이  (x)=0에서 x=2`(∵ 0<x<6)

직사각형 AB 의 한 꼭짓점 의 좌표 따라서 함수 (x)는 x (0) … 2 … (6)


를 (a, 0)`(0<a<2)이라 하면 x=2일 때 극대이면서 최 (x) + 0 -
A(-a, 0), B(-a, aÛ`-4), 대이므로 구하는 부피의 (x) ↗ 극대 ↘

(a, aÛ`-4) 최댓값은

직사각형 AB 의 넓이를 (a)라 하면 (2)=2(12-4)Û`=128 답 128

(a)=2a(-aÛ`+4)=-2aÜ`+8a
(a)=-6aÛ`+8=-2(3aÛ`-4)
2'3 0502 -2xÛ`+8=0에서
(a)=0에서 a= `(∵ 0<a<2)
3 -2(x+2)(x-2)=0
따라서 함수 (a)는 2'3 이므로 x=-2 또는 x=2
a (0) … … (2)
2'3 3 ∴ A(-2, 0), B(2, 0)
a= 일 때 극대이
3 (a) + 0 -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사다리꼴
면서 최대이므로 구하는 (a) ↗ 극대 ↘
AB 의 한 꼭짓점 의 좌표를 (a, -2aÛ`+8)`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
(0<a<2)이라 하면
값은
(-a, -2aÛ`+8)
2'3 2'3 3 2'3 32'3 32 3
{ }=-2´{ } +8´ = 답
3 3 3 9 9
사다리꼴 AB 의 넓이를 (a)라 하면
0499 곡선 y=-xÛ`+3 위의 한 점의 좌표를 (t, -tÛ`+3)으 (a)=;2!;(2a+4)(-2aÛ`+8)=-2aÜ`-4aÛ`+8a+16
로 놓으면 이 점과 점 (5, 4) 사이의 거리는
"Ã(t-5)Û`+(-tÛ`+3-4)Û`="ÃtÝ`+3tÛ`-10t+26
(a)=-6aÛ`-8a+8=-2(3a-2)(a+2)
f(t)=tÝ`+3tÛ`-10t+26으로 놓으면
(a)=0에서
f (t)=4tÜ`+6t-10=2(t-1)(2tÛ`+2t+5) a (0) … ;3@; … (2)
a=;3@; (∵ 0<a<2)
f (t)=0에서 t=1`(∵ 2tÛ`+2t+5>0) (a) + 0 -
따라서 함수 f(t)는 t=1일 때 t … 1 … 따라서 함수 (a)는 (a) ↗ :2Á7ª: ↘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f (t) - 0 + a=;3@;일 때 극대이면
f(1)=20 f(t) ↘ 극소 ↗
서 최대이므로 구하는 넓이의 최댓값은
따라서 구하는 거리의 최솟값은
"Ãf(1)='20=2'5 답2 5 = {;3@;}= 2Á7

0500 A제품 x개를 판매하여 얻는 이익을 g(x)원이라 하면 ∴ 27 =512


g(x)=1000x-f(x)
=-xÜ`+180xÛ`-4000 (단, x>0) 답 512
g (x)=-3xÛ`+360x=-3x(x-120)
단계 채점요소 배점
g (x)=0에서 x=120 (∵ x>0) 네 점 A, B, , 의 좌표 구하기 30 %
따라서 함수 g(x)는 x=120 x (0) … 120 … 사다리꼴 AB 의 넓이 (a) 구하기 30 %
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g (x) + 0 - 의 값 구하기 30 %
이익을 최대로 하기 위해 하 g(x) ↗ 극대 ↘ 27 의 값 구하기 10 %

05. 도함수의 활용 (2) 063


0503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0506 함수 f(x)=axÜ`+bxÛ`+cx+ 의 그래프에서
 (0< <3)라 하고 높이를 h(0<h<15)라 x Ú ¦일 때, f(x) Ú -¦이므로 a<0
하면 오른쪽 그림에서 f(0)>0이므로 >0
15` `3=(15-h)` ` f (x)=3axÛ`+2bx+c에서 이차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3(15-h)=15 ∴ h=15-5 두 실근이 a, b이고 a<0, b<0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원기둥의 부피를 ( )라 할 때 의 관계에 의하여
( )= Û`h= Û`(15-5 )= (15 Û`-5 Ü`)에서 2b
a+b=- <0 ∴ b<0
3a
( )= (30 -15 Û`)=15 (2- )
c
( )=0에서 =2`(∵ 0< <3) ab= >0 ∴ c<0
3a
따라서 함수 ( )는 (0) … 2 … (3) 따라서 그 값이 항상 양수인 것은 ④이다. 답④
=2일 때 극대이면서 ( ) + 0 -
최대이므로 구하는 원 ( ) ↗ 극대 ↘
0507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기둥의 부피의 최댓값은
-1, 1이다.
(2)= ´2Û`´(15-5´2)=20 답 20
따라서 함수 f(x)는
x … -1 … 1 …
증가하다가 x=-1에 f (x) + 0 - 0 -
0504 사각기둥의 밑면의 한 변의 길이를 a, 높이를 x라 하면
서 극댓값을 갖고, f(x) ↗ 극대 ↘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x=-1에서부터 계속
a="Ã144-xÛ` (단, 0<x<12)
감소하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이 될 수 있는 것은
사각기둥의 부피를 (x)라 할 때
④이다. 답④
(x)=x("Ã144-xÛ`)Û`=x(144-xÛ`)
(x)=(144-xÛ`)+x´(-2x)
=-3xÛ`+144=-3(xÛ`-48) 0508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3(x+4'3)(x-4'3) a, b, c이다.
(x)=0에서 x=4'3`(∵ 0<x<12) x … a … b … c …
따라서 함수 (x)는 x (0) … 4'3 … (12) f (x) + 0 - 0 - 0 +
x=4'3일 때 극대이면서 (x) + 0 - f(x) ↗ 극대 ↘ ↘ 극소 ↗
최대이므로 사각기둥의 부피 (x) ↗ 극대 ↘
따라서 함수  f(x)는 x=a에서 극댓값을 갖고, x=c에서 극솟
가 최대가 되게 하는 밑면의
값을 가지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이 될 수 있는 것은
넓이는
③이다. 답③
aÛ`=144-(4'3)Û`=96 답⑤

유형 본문 77쪽

0505 함수 f(x)=axÜ`+bxÛ`+cx+ 의 그래프에서


x Ú ¦일 때, f(x) Ú ¦이므로 a>0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78~81쪽

f(0)>0이므로 >0
f (x)=3axÛ`+2bx+c에서 이차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0509 f(x)=xÜ`+axÛ`+9x-1에서
두 실근이 a, b이고 a<0, b>0, |b|>|a|이므로 이차방정식 f (x)=3xÛ`+2ax+9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함수 f(x)가 감소하는 x의 값의 범위가 1ÉxÉb이므로 이차방
2b 정식 f (x)=0의 두 근은 1, b이다.
a+b=- >0 ∴ b<0
3a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c 2a
ab= <0 ∴ c<0 b+1=- , b=3
3a 3
∴ ab<0, ac<0, b <0, c <0 따라서 a=-6, b=3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답④
a+b=-3 답 -3

064 정답과 풀이
0510 ㄱ. f(x)=xÜ`+3xÛ`+3x에서 x … 0 … 1 … 2 …
f (x)=3xÛ`+6x+3=3(x+1)Û`¾0 f (x) - 0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한다. f(x) ↘ 2 ↗ 3 ↘ 2 ↗

ㄴ. g(x)=;3!;xÜ`-2xÛ`+5x+4에서 따라서 함수  f(x)는 x=0과 x=2에서


g (x)=xÛ`-4x+5=(x-2)Û`+1>0 극솟값 2, x=1에서 극댓값 3을 갖는다.
따라서 함수 g(x)는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한다. A(0, 2), B(1, 3), (2, 2)라 하면
ㄷ. h(x)=2xÜ`+6xÛ`-18x+1에서 이때 △AB 의 넓이는
h (x)=6xÛ`+12x-18=6(x+3)(x-1) ;2!;´2´1=1 답②
따라서 xÉ-3 또는 x¾1일 때만 h (x)¾0이므로 함수
h(x)는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하는 함수는 ㄱ, ㄴ이다. 0515 f(x)=-xÜ`-xÛ`+x+;3!;에서
답③ f (x)=-3xÛ`-2x+1=-(3x-1)(x+1)

f (x)=0에서 x=-1 또는 x=;3!;


0511 f(x)=-xÜ`-axÛ`+2ax+15에서 따라서 함수 f(x)는
f (x)=-3xÛ`-2ax+2a x … -1 … ;3!; …
x=-1에서 극솟값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f (x) - 0 + 0 -
-;3@; 를 갖고,
대하여 f (x)É0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 f(x) ↘ -;3@; ↗ ;2!7$; ↘
을 라할때 x=;3!;에서 극댓값
=aÛ`+6aÉ0  a(a+6)É0
4 ;2!7$; 를 갖는다.
∴ -6ÉaÉ0 답③
g(x)=|f(x)|이므로 g(x)는 x=-1에서 극댓값 ;3@;, x=;3!;

0512 f(x)=2xÜ`+axÛ`에서 f (x)=6xÛ`+2ax 에서 극댓값 ;2!7$; 를 가지므로 g(x)의 모든 극댓값의 합은


함수 f(x)가 닫힌구간 [1, 3]에서 증가하려면 1ÉxÉ3에서
;3@;+;2!7$;=;2#7@; 답 ;2# ;
f (x)¾0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f (1)=6+2a¾0 ∴ a¾-3
f (3)=54+6a¾0 ∴ a¾-9 0516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로 놓으면
∴ a¾-3 f (x)=3xÛ`+2ax+b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3이다. 조건 ㈎에서 f(1)=1+a+b+c=3
답② ∴ a+b+c=2 yy ㉠
f (1)=3+2a+b=0 ∴ 2a+b=-3 yy ㉡
0513 f(x)=2xÜ`-9xÛ`+12x+2에서 조건 ㈏에서 f (2)=12+4a+b=-7
f (x)=6xÛ`-18x+12 ∴ 4a+b=-19 yy ㉢
=6(x-1)(x-2) ㉡, ㉢을 연립하여 풀면 a=-8, b=13
f (x)=0에서 x=1 또는 x=2 이를 ㉠에 대입하면 c=-3
따라서 함수 f(x)는 따라서 f(x)=xÜ`-8xÛ`+13x-3이므로
x … 1 … 2 …
x=1에서 극댓값 7, f (x) + 0 - 0 + f(3)=27-72+39-3=-9 답 -9

x=2에서 극솟값 6을 f(x) ↗ 7 ↘ 6 ↗


가지므로 0517 f(x)=xÜ`-3kxÛ`-9kÛ`x+1에서
=7, m=6 f (x)=3xÛ`-6kx-9kÛ`=3(x+k)(x-3k)
∴ m=42 답 42
f (x)=0에서 x=-k 또는 x=3k
k>0이므로 함수
x … -k … 3k …
0514 f(x)=xÝ`-4xÜ`+4xÛ`+2에서 f(x)는 x=-k에서 f (x) + 0 - 0 +
f (x)=4xÜ`-12xÛ`+8x=4x(x-1)(x-2) 극댓값을 갖고, x=3k f(x) ↗ 극대 ↘ 극소 ↗
f (x)=0에서 x=0 또는 x=1 또는 x=2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05. 도함수의 활용 (2) 065


이때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가 32이므로 =aÛ`-3(a+6)É0
4
f(-k)-f(3k)=32에서
aÛ`-3a-18É0, (a+3)(a-6)É0
(-kÜ`-3kÜ`+9kÜ`+1)-(27kÜ`-27kÜ`-27kÜ`+1)=32
∴ -3ÉaÉ6
32kÜ`=32, kÜ`=1
따라서 정수 a는 -3, -2, -1, y, 4, 5, 6의 10개이다. 답 ④
∴ k=1 답1

0522 f(x)=xÜ`-(a+2)xÛ`+ax에서
0518 조건 ㈎에서  f(x)는 삼차함수이고 삼차항의 계수는 1 f (x)=3xÛ`-2(a+2)x+a
이므로 f (x)는 이차함수이고 이차항의 계수는 3이다.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을 a, b`(a<b)라 하면
이때 조건 ㈏에서 x=-1과 x=2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1<a<0, b>0
f (-1)=f (2)=0 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에서 f (x)는 x+1과 x-2를 인수로 갖는다. f (-1)=3+2(a+2)+a>0
∴ f (x)=3(x+1)(x-2) ∴ a>-;3&;
`f(3+h)-f(3-h)
∴ lim  f (0)=a<0
h`Ú 0 h
{ f(3+h)-f(3)}-{ f(3-h)-f(3)} ∴ -;3&;<a<0
=lim 
h`Ú 0 h
따라서 정수 a는 -2, -1이므로 모든 정수 a의 값의 곱은
`f(3+h)-f(3) `f(3-h)-f(3)
=lim  +lim  -2´(-1)=2 답①
h`Ú 0 h h`Ú 0 -h
=f (3)+f (3)
=2f (3)
0523 f(x)=xÝ`-4xÜ`+2axÛ`+1에서
=2・12=24 답⑤
f (x)=4xÜ`-12xÛ`+4ax=4x(xÛ`-3x+a)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f(x)가 극댓값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
0519 y=f (x)의 x … -1 … 1 … 방정식 xÛ`-3x+a=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그래프가 x축과 만나 f (x) + 0 - 0 + 한다. 이차방정식 xÛ`-3x+a=0의 판별식을 라 하면
는 점의 x좌표는 f(x) ↗ 극대 ↘ 극소 ↗
a+0, =9-4a>0에서
-1, 1이다.
③ f(x)는 -1<x<1에서 감소한다. a<0 또는 0<a<;4(;
①, ②, ④, ⑤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1에서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답③
극솟값을 갖는다. 답④

0524 f(x)=2xÜ`-3xÛ`-12x+k에서
0520 y=f (x)의 f (x)=6xÛ`-6x-12=6(x+1)(x-2)
x … 1 … 5 …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f (x)=0에서 x=-1 또는 x=2
f (x) + 0 - 0 +
점의 x좌표는 1, 5이다. f(x) ↗ 극대 ↘ 극소 ↗ x -2 … -1 … 2 … 3
이때 f(3)=0이고 f (x) + 0 - 0 +
x=1에서 극댓값 f(1)을 가지므로 f(1)>0 f(x) -4+k ↗ 7+k ↘ -20+k ↗ -9+k
x=5에서 극솟값 f(5)를 가지므로 f(5)<0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7+k, x=2에서 최솟
∴ f(1)>f(5), f(1)f(5)<0
값 -20+k를 가지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 ㄱ, ㄷ
=7+k, m=-20+k
∴ -m=7+k-(-20+k)=27 답 27

0521 f(x)=xÜ`-axÛ`+(a+6)x+1에서
f (x)=3xÛ`-2ax+a+6 0525 f(x)=-xÝ`+4aÜ`x-20에서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f (x)=0이 중 f (x)=-4xÜ`+4aÜ`=-4(x-a)(xÛ`+ax+aÛ`)
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f (x)=0에서 x=a (∵ xÛ`+ax+aÛ`>0)

066 정답과 풀이
따라서 함수 f(x)는 x=a에서 x … a … 부피를 (x)라 하면
최댓값 3aÝ`-20을 가지므로 f (x) + 0 - 1
(x)='3(x-5)Û`´ x=x(x-5)Û`=xÜ`-10xÛ`+25x
'3
3aÝ`-20=aÝ`+12 f(x) ↗ 3a`-20 ↘
(x)=3xÛ`-20x+25=(3x-5)(x-5)
aÝ`=16
∴ a=2 (∵ a는 양수) 답2 (x)=0에서 x=;3%;`(∵ 0<x<5)

따라서 함수 (x)는
x (0) … ;3%; … (5)
0526 f(x)=ax(x-3)Û`+b=axÜ`-6axÛ`+9ax+b이므로 x=;3%;일 때 극대이면
(x) + 0 -
f (x)=3axÛ`-12ax+9a=3a(x-3)(x-1) 서 최대이므로 (x) ↗ 극대 ↘
f (x)=0에서 x=1 또는 x=3
a=;3%;
x 0 … 1 … 3 … 5
∴ 3a=5 답5
f (x) + 0 - 0 +
f(x) b ↗ 4a+b ↘ b ↗ 20a+b
0529 함수 f(x)=axÜ`+bxÛ`+cx+ 의 그래프에서
따라서 함수  f(x)는 x=5에서 최댓값 20a+b, x=0과 x=3
x Ú ¦일 때, f(x) Ú ¦이므로 a>0
에서 최솟값 b를 가지므로
f (x)=3axÛ`+2bx+c에서 이차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20a+b=15, b=-5
두 실근이 a, b이고 a<0, b>0, |b|>|a|이므로 이차방정식
따라서 a=1, b=-5이므로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Û`+bÛ`=26 답 26
2b c
a+b=- >0, ab= <0
3a 3a
이때 a>0이므로 b<0, c<0
0527 f(x)=xÛ`-4x+4에서 f (x)=2x-4
∴ |b+c|-|b|+|c|=-(b+c)-(-b)+(-c)=-2c
f (a)=2a-4이므로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답②
y-b=(2a-4)(x-a) ∴ y=(2a-4)x-2aÛ`+4a+b
이때 점 (a, b)는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b=aÛ`-4a+4
∴ y=(2a-4)x-aÛ`+4 0530 y=x 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aÛ`-4 a+2 -1, 0이다.
따라서 접선의 x절편은 = 이고, 접선의 y절편은
2a-4 2 Ú x<-1일 때, x f (x)<0이므로 f (x)>0
-aÛ`+4이다. Û -1<x<0일 때, x f (x)>0이므로 f (x)<0
삼각형의 넓이를 (a)라 하면 x>0일 때, x f (x)>0이므로 f (x)>0
a+2
(a)=;2!;´ ´(-aÛ`+4)=;4!;(-aÜ`-2aÛ`+4a+8)에서
2 x … -1 … 0 …
f (x) + 0 - 0 +
(a)=;4!;(-3aÛ`-4a+4)=-;4!;(a+2)(3a-2)
f(x) ↗ 극대 ↘ 극소 ↗
(a)=0에서
a (0) … ;3@; … (2) ㄱ. 함수 f(x)는 x>0에서 증가한다.
a=;3@; (∵ 0<a<2)
(a) + 0 - ㄴ.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따라서 함수 (a)는 (a) ↗ 극대 ↘ ㄷ. 함수 f(x)는 x=0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a=;3@;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답ㄱ

b={;3@;}Û`-4´;3@;+4= Á
0531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f(x)가 일대일 대응
∴ b-a= Á -;3@;= Á 답③ 이어야 하므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f(x)는 증가하거나 감소해
야 한다. 그런데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f(x)는
증가해야 한다.
0528 삼각기둥의 밑면의 넓이는
'3
(10-2x)Û`='3(x-5)Û`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로
4
이때 상자의 높이는 f (x)=3xÛ`-4ax+a¾0
1
x´ `30 = x이므로 상자의
'3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라할때
05. 도함수의 활용 (2) 067
=4aÛ`-3aÉ0, a(4a-3)É0 Ú, Û, 에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3!;
4
∴ 0ÉaÉ;4#;
답 ; ;

단계 채점요소 배점
답0 a ; #;
판별식을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

단계 채점요소 배점 f (0)의 값을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

함수 f(x)가 증가해야 함을 알기 30 % 축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

f (x)의 조건 알기 30 %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10 %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0534 g(x)=xÛ`+2x=(x+1)Û`-1이므로 g(x)=t로 놓으
면 t¾-1이고
0532 f(x)=xÜ`-6xÛ`+k에서
f (x)=3xÛ`-12x=3x(x-4) ( f g)(x)=f(g(x))=f(t)=-tÜ`+3t

`f (x)=0에서 x=0 또는 x=4 f (t)=-3tÛ`+3=-3(t+1)(t-1)


f (t)=0에서 t=-1 또는 t=1
x … 0 … 4 …
f (x) + 0 - 0 +
f(x) ↗ k ↘ k-32 ↗ t -1 … 1 …
f (t) 0 + 0 -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k, x=4에서 극솟값 k-32를 f(t) -2 ↗ 2 ↘
갖는다.
따라서 함수 f(t)는 t=1에서 최댓값 2를 가지므로

이때 극댓값과 극솟값의 절댓값이 같고 그 부호가 서로 다르므로  ( f g)(x)의 최댓값은 2이다.

f(0)=-f(4)에서
답2
k=-(k-32), 2k=32
∴ k=16 단계 채점요소 배점
g(x)=t로 놓고 ( f g)(x)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30 %

답 16 f (t)=0을 만족시키는 t의 값 구하기 30 %


( f g)(x)의 최댓값 구하기 40 %
단계 채점요소 배점
f (x) 구하기 20 %
극댓값과 극솟값을 k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40 % 0535 반구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
k의 값 구하기 40 % 하자. 반구를 중심 O를 포함하여 밑면
에 수직으로 자르면 단면은 오른쪽 그림
0533 f(x)=xÜ`-3kxÛ`+kx에서 과 같다.
f (x)=3xÛ`-6kx+k h="Ã Û`- Û` 이므로 원기둥의 부피는
함수  f(x)가 x>0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려면 이차 Û`h= Û`"Ã Û`- Û`= "Ã Ý` Û`- `
방정식 f (x)=0이 x>0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f( )= Ý` Û`- `으로 놓으면`
Ú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라 하면 f ( )=4 Ü` Û`-6 `=2 Ü`(2 Û`-3 Û`)
=9kÛ`-3k>0, 3k(3k-1)>0 =2 Ü`('2 +'3 )('2 -'3 )
4
f ( )=0에서 =®;3@;  `(∵ 0< < )
∴ k<0 또는 k>;3!;
즉, =®;3@;  일 때 원기둥의 부피가 최대이다.
Û f (0)=k>0 1
®É Û`-;3@; Û``
h "Ã Û`- Û` '3
∴ = = =
이차함수 y=f (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x=k이므로 ®;3@; ®;3@;
k>0 1 '2 2
= = 답
'2 2 2

068 정답과 풀이
0536 조건 ㈎와 ㈏에서 최고차항의
Ⅱ. 미분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와 그 도함
수  f (x)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06 도함수의 활용 (3)
ㄱ. 방정식 f (x)=0은 열린구간
(0, 2)에서 실근 x=k를 갖는다.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83쪽
ㄴ. 함수 f(x)는 x=k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ㄷ. f(0)=0에서 f(x)=xÜ`(x+a)`(a는 상수)로 놓으면 0538 f(x)=xÜ`-6xÛ`+2로 놓으면
f(x)=xÝ`+axÜ`에서 f (x)=4xÜ`+3axÛ` f (x)=3xÛ`-12x=3x(x-4)
f (2)=32+12a=16 ∴ a=-;3$; f (x)=0에서 x=0 또는 x=4

f (x)=4xÜ`-4xÛ`=4xÛ`(x-1)이므로 x … 0 … 4 …
f (x)=0에서 x=0 또는 x=1 f (x) + 0 - 0 +
f(x) ↗ 2 ↘ -30 ↗
x … 0 … 1 …
f (x) - 0 - 0 + 따라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f(x) ↘ ↘ 극소 ↗ 같으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세 실
근을 갖는다. 답3
따라서 함수 f(x)=xÜ`{x-;3$;}이므로 x=1에서 최솟값

f(1)=1-;3$;=-;3!; 을 가진다.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0539 f(x)=xÜ`-3xÛ`-4로 놓으면
f(x)¾-;3!;이다. f (x)=3xÛ`-6x=3x(x-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f (x)=0에서 x=0 또는 x=2

x … 0 … 2 …
f (x) + 0 - 0 +
0537 x`Ú ¦일 때, f(x)`Ú ¦이고
f(x) ↗ -4 ↘ -8 ↗
f(-4)=f(-1)=f(2)=0이므로
f(x)=a(x+4)(x+1)(x-2) (a>0)로 놓으면 따라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f (x)=3a(xÛ`+2x-2)=3a(x+1+'3 )(x+1-'3 ) 같으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한 실근을 갖는다.
f (x)=0에서 x=-1-'3 또는 x=-1+'3이므로 답1

y=f(x)와 y=f (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0540 f(x)=-xÝ`+2xÛ`+2로 놓으면


f (x)=-4xÜ`+4x=-4x(x+1)(x-1)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x … -1 … 0 … 1 …
f (x) + 0 - 0 + 0 -
Ú f(x)-f (x)<0에서 f(x)<f (x)
f(x) ↗ 3 ↘ 2 ↗ 3 ↘
Û   f(x) f (x)<0에서
f(x)>0, f (x)<0 또는 f(x)<0, f (x)>0 따라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Ú, Û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같으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실
x<-4 또는 -1+'3<x<2 근을 갖는다. 답2

따라서 집합 에 대하여 옳은 것은 ④이다. 답④

0541 3xÝ`+6xÛ`=8xÜ`+1에서 3xÝ`-8xÜ`+6xÛ`-1=0


f(x)=3xÝ`-8xÜ`+6xÛ`-1로 놓으면
f (x)=12xÜ`-24xÛ`+12x=12x(x-1)Û`
f (x)=0에서 x=0 또는 x=1

06. 도함수의 활용 (3) 069


x … 0 … 1 … 0545 f(x)=;4!;xÝ`-xÜ`+xÛ`+k로 놓으면
f (x) - 0 + 0 + f (x)=xÜ`-3xÛ`+2x=x(x-1)(x-2)
f(x) ↘ -1 ↗ 0 ↗ f (x)=0에서 x=0 또는 x=1 또는 x=2
따라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x … 0 … 1 … 2 …
림과 같으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서로 다 f (x) - 0 + 0 - 0 +
른 두 실근을 갖는다. 답2
f(x) ↘ k ↗ k+;4!; ↘ k ↗

따라서 함수  f(x)는 x=0 또는 x=2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


0542 f(x)=xÜ`-6xÛ`-15x+k로 놓으면
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려면 k¾0 답 0
f (x)=3xÛ`-12x-15=3(x+1)(x-5)
f (x)=0에서 x=-1 또는 x=5
⑴ 삼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x
f(-1)f(5)<0이어야 하므로 0546 = t =3tÛ`-8t, a= t =6t-8이므로
(k+8)(k-100)<0 ∴ -8<k<100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는
⑵ 삼차방정식이 한 실근과 중근을 가지려면 =3´2Û`-8´2=-4, a=6´2-8=4 답 =-4, a=4
f(-1)f(5)=0이어야 하므로
(k+8)(k-100)=0 ∴ k=-8 또는 k=100
⑶ 삼차방정식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지려면 x
f(-1)f(5)>0이어야 하므로
0547 = t =3tÛ`-6t+2, a= t =6t-6이므로
(k+8)(k-100)>0 ∴ k<-8 또는 k>100 시각 t=1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는
답 ⑴ -8 100 ⑵ =-8 또는 =100 =3´1Û`-6´1+2=-1, a=6´1-6=0 답 =-1, a=0

⑶ -8 또는 100

x
0543 f(x)=3xÝ`-8xÜ`+18로 놓으면 0548 = t =4tÜ`-4, a= t =12tÛ`이므로
f (x)=12xÜ`-24xÛ`=12xÛ`(x-2)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는
f (x)=0에서 x=0 또는 x=2 =4´2Ü`-4=28, a=12´2Û`=48 답 =28, a=48

x … 0 … 2 …
f (x) - 0 - 0 +
f(x) ↘ 18 ↘ 2 ↗ =2t+4이므로
0549 t
함수 f(x)는 x= 2 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모든 실수 시각 t=2에서의 물체의 길이의 변화율은
x에 대하여 f(x)의 최솟값은 2 이다. 2´2+4=8 답8
즉, f(x) >  0이므로
3xÝ`-8xÜ`+18>0 답㈎2㈏2㈐

0550 ⑴ 구의 겉넓이를 라 하면
0544 f(x)=2xÜ`-3xÛ`+3으로 놓으면 =4 (0 2t)Û`=0 16 tÛ`
f (x)=6xÛ`-6x=6x(x-1) ∴ =0 32 t
t
f (x)=0에서 x=0 또는 x=1
따라서 시각 t=15에서의 구의 겉넓이의 변화율은
x (0) … 1 … 0 32 ´15=4 8
f (x) - 0 + ⑵ 구의 부피를 라 하면
f(x) ↘ 2 ↗ 0 032
=;3$; (0 2t)Ü`= tÜ`
3
x>0일 때 함수 f(x)의 최솟값은 2이므로
f(x)¾2>0, 즉 2xÜ`-3xÛ`+3>0 ∴ =0 032 tÛ`
t
따라서 x>0일 때 부등식 2xÜ`-3xÛ`+3>0이 성립한다. 따라서 시각 t=20에서의 구의 부피의 변화율은
답 풀이 참조 0 032 ´20Û`=12 8 답 ⑴ 4 8   ⑵ 12 8

070 정답과 풀이
유형 익 히 기 / /
본문 84~90 쪽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y=k가

0551 xÜ`-3xÛ`+2-k=0에서 xÜ`-3xÛ`+2=k yy ㉠ 오직 한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곡선 y=xÜ`-3xÛ`+2 k=-100 답 -100

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f(x)=xÜ`-3xÛ`+2로 놓으면 f (x)=3xÛ`-6x=3x(x-2)
f (x)=0에서 x=0 또는 x=2 0554 f(x)-k=0에서 f(x)=k yy ㉠
x … 0 … 2 … 방정식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곡선 y=f(x)와 직
f (x) + 0 - 0 + 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f(x) ↗ 2 ↘ -2 ↗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2, 1이므로 
f (x)=0에서 x=-2 또는 x=1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x … -2 … 1 …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f (x) - 0 + 0 -
-2<k<2 f(x) ↘ -1 ↗ 2 ↘

따라서 정수 k는 -1, 0, 1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3개이다. 답3
림과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
서 만나려면 -1<k<2 답 -1 2
0552 xÝ`-4xÜ`-2xÛ`+12x-a=0에서
xÝ`-4xÜ`-2xÛ`+12x=a yy ㉠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려면 곡선 0555 xÜ`-;2#;xÛ`-a=0에서 xÜ`-;2#;xÛ`=a yy ㉠
y=xÝ`-4xÜ`-2xÛ`+12x와 직선 y=a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
방정식 ㉠이 한 개의 음근과 서로 다른 두 개의 양근을 가지려면
나야 한다.
곡선 y=xÜ`-;2#;xÛ`과 직선 y=a의 교점의 x좌표가 한 개는 음수
f(x)=xÝ`-4xÜ`-2xÛ`+12x로 놓으면
f (x)=4xÜ`-12xÛ`-4x+12=4(x+1)(x-1)(x-3) 이고 다른 두 개는 양수이어야 한다.
f (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f(x)=xÜ`-;2#;xÛ`으로 놓으면
x … -1 … 1 … 3 … f (x)=3xÛ`-3x=3x(x-1)
f (x) - 0 + 0 - 0 + f (x)=0에서 x=0 또는 x=1
f(x) ↘ -9 ↗ 7 ↘ -9 ↗
x … 0 … 1 …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f (x) + 0 - 0 +
그림과 같으므로 곡선 y=f(x)와 f(x) ↗ 0 ↘ -;2!; ↗
직선 y=a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나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9<a<7 답 -9 a 7 과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y=a의 교점의 x좌표가 한
개는 음수이고 서로 다른 두 개는 양수가 되는 실수 a의 값의 범
0553 xÝ`+4xÜ`+28=8xÛ`+k에서
위는 -;2!;<a<0 답 -;2; a 0
xÝ`+4xÜ`-8xÛ`+28=k yy ㉠
방정식 ㉠이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곡선
y=xÝ`+4xÜ`-8xÛ`+28과 직선 y=k가 오직 한 점에서 만나야
0556 2xÜ`-3xÛ`-12x+1-k=0에서
한다. 2xÜ`-3xÛ`-12x+1=k yy ㉠
f(x)=xÝ`+4xÜ`-8xÛ`+28로 놓으면 방정식 ㉠이 한 개의 양근과 서로 다른 두 개의 음근을 가지려면
f (x)=4xÜ`+12xÛ`-16x=4x(x+4)(x-1) 곡선 y=2xÜ`-3xÛ`-12x+1과 직선 k의 교점의 x좌표가 한 개
f (x)=0에서 x=-4 또는 x=0 또는 x=1 는 양수이고 다른 두 개는 음수이어야 한다.
x … -4 … 0 … 1 … f(x)=2xÜ`-3xÛ`-12x+1로 놓으면
f (x) - 0 + 0 - 0 + f (x)=6xÛ`-6x-12=6(x+1)(x-2)
f(x) ↘ -100 ↗ 28 ↘ 25 ↗ f (x)=0에서 x=-1 또는 x=2

06. 도함수의 활용 (3) 071


x … -1 … 2 … 0559 f(x)=xÜ`-3xÛ`+1-k로 놓으면
f (x) + 0 - 0 + f (x)=3xÛ`-6x=3x(x-2)
f(x) ↗ 8 ↘ -19 ↗ f (x)=0에서 x=0 또는 x=2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f(0)f(2)<0, 즉 (1-k)(-3-k)<0에서
과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y=k
(k-1)(k+3)<0 ∴ -3<k<1
의 교점의 x좌표가 한 개는 양수이고 서
따라서 정수 k는 -2, -1, 0이므로 3개이다. 답3
로 다른 두 개는 음수가 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1<k<8 답④ 0560 f(x)=2xÜ`-3xÛ`+a로 놓으면
f (x)=6xÛ`-6x=6x(x-1)
0557 xÜ`-5xÛ`+7x=xÛ`-2x+a에서 f (x)=0에서 x=0 또는 x=1
xÜ`-6xÛ`+9x=a yy ㉠ 삼차방정식 f(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지려면
방정식 ㉠이 서로 다른 세 개의 양근을 가지려면 곡선 f(0)f(1)>0, 즉 a(a-1)>0에서
y=xÜ`-6xÛ`+9x와 직선 y=a의 교점의 x좌표가 서로 다른 세 a<0 또는 a>1 답a 0 또는 a 1
양수이어야 한다.
f(x)=xÜ`-6xÛ`+9x로 놓으면
0561 f(x)=2xÜ`-6xÛ`+k로 놓으면
f (x)=3xÛ`-12x+9=3(x-1)(x-3)
f (x)=6xÛ`-12x=6x(x-2)
f (x)=0에서 x=1 또는 x=3
f (x)=0에서 x=0 또는 x=2
x … 1 … 3 …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f (x) + 0 - 0 + f(0)f(2)=0, 즉 k(k-8)=0에서 k=0 또는 k=8
f(x) ↗ 4 ↘ 0 ↗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0+8=8 답8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과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y=a 0562 xÜ`-2=12x+k에서 xÜ`-12x-2-k=0
의 교점의 x좌표가 서로 다른 세 양수가 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 f(x)=xÜ`-12x-2-k로 놓으면
는 0<a<4 f (x)=3xÛ`-12=3(x+2)(x-2)
따라서 정수 a는 1, 2, 3으로 3개이다. 답3 f (x)=0에서 x=-2 또는 x=2
삼차방정식 f(x)=0이 한 개의 실근을 가지려면
0558 xÝ`-4xÜ`-2xÛ`+12x-k=0에서 f(-2)f(2)>0, 즉 (14-k)(-18-k)>0에서
xÝ`-4xÜ`-2xÛ`+12x=k yy ㉠
(k-14)(k+18)>0 ∴ k<-18 또는 k>14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양근과 서로 다른 두 개의 음근을 답⑤
따라서 a=-18, b=14이므로 b-a=32
가지려면 곡선 y=xÝ`-4xÜ`-2xÛ`+12x와 직선 y=k의 교점의
x좌표가 두 개는 양수이고 두 개는 음수이어야 한다.
0563 주어진 곡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f(x)=xÝ`-4xÜ`-2xÛ`+12x로 놓으면
방정식 xÜ`-11x=x+k, 즉 xÜ`-12x-k=0이 서로 다른 세 실
f (x)=4xÜ`-12xÛ`-4x+12=4(x+1)(x-1)(x-3)
근을 가져야 한다.
f (x)=0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f(x)=xÜ`-12x-k로 놓으면
x … -1 … 1 … 3 … f (x)=3xÛ`-12=3(x+2)(x-2)
f (x) - 0 + 0 - 0 +
f (x)=0에서 x=-2 또는 x=2
f(x) ↘ -9 ↗ 7 ↘ -9 ↗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f(-2)f(2)<0, 즉 (16-k)(-16-k)<0에서
과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y=k (k-16)(k+16)<0
의 교점의 x좌표가 서로 다른 두 개는 양 ∴ -16<k<16 답 -16 16
수, 서로 다른 두 개는 음수가 되는 실수 다른풀이 주어진 곡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방
k의 값의 범위는 정식 xÜ`-12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즉, 곡선
-9<k<0 y=xÜ`-12x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따라서 정수 k는 -8, -7, y, -1로 8개이다. 답8 f(x)=xÜ`-12x로 놓으면

072 정답과 풀이
f (x)=3xÛ`-12=3(x+2)(x-2) f(-2)f(1)=0, 즉 (k+17)(k-10)=0에서
f (x)=0에서 x=-2 또는 x=2 k=-17 또는 k=10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17+10=-7 답 -7
x … -2 … 2 …
f (x) + 0 - 0 +
0567 Ú a=0일 때,
f(x) ↗ 16 ↘ -16 ↗
xÝ`+48¾0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Û a+0일 때,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y=k가 f(x)=xÝ`-4aÜ`x+48로 놓으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16<k<16 f (x)=4xÜ`-4aÜ`=4(x-a)(xÛ`+ax+aÛ`)

이때 xÛ`+ax+aÛ`={x+;2;}Û`+;4#;aÛ`¾0이므로
0564 주어진 두 곡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f (x)=0에서 x=a
xÜ`-5xÛ`+3x+k=-2xÛ`+3x, 즉 xÜ`-3xÛ`+k=0이 서로 다
함수  f(x)는 x=a에서 극소 x … a …
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f (x) - 0 +
f(x)=xÜ`-3xÛ`+k로 놓으면 f (x)=3xÛ`-6x=3x(x-2)
f(a)=aÝ`-4aÝ`+48 f(x) ↘ 극소 ↗
f (x)=0에서 x=0 또는 x=2
=-3aÝ`+48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려면 f(a)>0이어야 하므로
f(0)f(2)=0, 즉 k(k-4)=0에서 k=4 (∵ k>0) 답4
-3aÝ`+48>0, aÝ`-16<0
(a+2)(a-2)(aÛ`+4)<0
0565 주어진 두 곡선이 오직 한 점에서 만나려면 방정식 ∴ -2<a<0 또는 0<a<2 (∵ a+0)
xÜ`+2xÛ`-5x+k=-xÛ`+4x+2, 즉 xÜ`+3xÛ`-9x+k-2=0 Ú, Û에서 -2<a<2 답③
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져야 한다.
0568 xÝ`-4x+aÛ`>2ax(2-x)에서
f(x)=xÜ`+3xÛ`-9x+k-2로 놓으면 xÝ`+2axÛ`-4(a+1)x+aÛ`>0

f (x)=3xÛ`+6x-9=3(x+3)(x-1) f(x)=xÝ`+2axÛ`-4(a+1)x+aÛ`으로 놓으면

f (x)=0에서 x=-3 또는 x=1 f (x)=4xÜ`+4ax-4(a+1)=4(x-1)(xÛ`+x+a+1)

이때 xÛ`+x+a+1={x+;2!;}Û`+a+;4#;>0 (∵ a>0)이므로
삼차방정식 f(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지려면
f (x)=0에서 x=1
f(-3)f(1)>0, 즉 (25+k)(k-7)>0에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면 x … 1 …
k<-25 또는 k>7
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f (x) - 0 +
f(1)=1+2a-4(a+1)+aÛ` f(x) ↘ 극소 ↗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8이다.
=aÛ`-2a-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이려면 f(1)>0이어야 하므로
답8
aÛ`-2a-3>0, (a-3)(a+1)>0
단계 채점요소 배점 ∴ a>3 (∵ a>0)
방정식이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져야 함을 알기 20 % 따라서 양의 정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답④
f (x)=0인 x의 값 구하기 30 %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 0569 f(x)=;4!;xÝ`-xÜ`+;2%;xÛ`-3x+k로 놓으면
자연수 k의 최솟값 구하기 10 %
f (x)=xÜ`-3xÛ`+5x-3=(x-1)(xÛ`-2x+3)
이때 xÛ`-2x+3=(x-1)Û`+2>0이므로
0566 주어진 두 곡선이 한 점에서 만나고 다른 한 점에서 접하 f (x)=0에서 x=1
려면 방정식 -2xÜ`-xÛ`+6x+3=2xÛ`-6x+k, 즉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 x … 1 …
2xÜ`+3xÛ`-12x-3+k=0이 중근과 한 실근을 가져야 한다. 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f (x) - 0 +
f(x)=2xÜ`+3xÛ`-12x-3+k로 놓으면 f(x) ↘ 극소 ↗
f(1)=k-;4%;
f (x)=6xÛ`+6x-12=6(x+2)(x-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려면 f(1)¾0이어야 하므로
f (x)=0에서 x=-2 또는 x=1
삼차방정식 f(x)=0이 중근과 한 실근을 가지려면 k-;4%;¾0 ∴ k¾;4%; 답 ; ;

06. 도함수의 활용 (3) 073


0570 3xÝ`+4aÜ`¾4xÜ`+3aÝ`에서 0574 xÜ`-xÛ`-2x+1¾-xÛ`+x-k에서 xÜ`-3x+1+k¾0
3xÝ`-4xÜ`-3aÝ`+4aÜ`¾0 f(x)=xÜ`-3x+1+k로 놓으면
f(x)=3xÝ`-4xÜ`-3aÝ`+4aÜ`으로 놓으면 f (x)=3xÛ`-3=3(x+1)(x-1)
f (x)=12xÜ`-12xÛ`=12xÛ`(x-1) f (x)=0에서 x=-1 또는 x=1
f (x)=0에서 x=0 또는 x=1
x 0 … 1 … 2
x … 0 … 1 … f (x) - 0 +
f (x) - 0 - 0 + f(x) k+1 ↘ k-1 ↗ k+3
f(x) ↘ ↘ 극소 ↗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이므로 최솟값은 k-1이다.
f(1)=-3aÝ`+4aÜ`-1 즉, f(x)¾0이려면 k-1¾0 ∴ k¾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려면 -3aÝ`+4aÜ`-1¾0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1이다. 답1
이때 g(a)=-3aÝ`+4aÜ`-1로 놓으면
g (a)=-12aÜ`+12aÛ`=-12aÛ`(a-1)
0575 xÜ`-3x+2>6x+k에서 xÜ`-9x+2-k>0
g (a)=0에서 a=0 또는 a=1 f(x)=xÜ`-9x+2-k로 놓으면
a … 0 … 1 … f (x)=3xÛ`-9=3(x+'3`)(x-'3`)
g (a) + 0 + 0 - f (x)=0에서 x=-'3 또는 x='3
g(a) ↗ -1 ↗ 0 ↘
x (0) … '3 … (2)
g(a)는 a=1일 때 최댓값 0을 가지므로 g(a)¾0을 만족시키는 f (x) - 0 +
실수 a의 값은 1이다. 답1 f(x) ↘ -6'3+2-k ↗

0<x<2일 때 함수 f(x)는 x='3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0571 xÜ`+k>3xÛ`에서 xÜ`-3xÛ`+k>0
최솟값은 -6'3+2-k이다.
f(x)=xÜ`-3xÛ`+k로 놓으면
즉, f(x)>0이려면 -6'3+2-k>0
f (x)=3xÛ`-6x=3x(x-2)
∴ k<-6'3+2<-8
x>2일 때 f (x)>0이므로 함수 f(x)는 열린구간 (2, ¦)에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9이다. 답②
서 증가한다.
따라서 x>2일 때 f(x)>0이려면 f(2)¾0이어야 하므로
8-12+k¾0 ∴ k¾4 0576 h(x)=f(x)-g(x)로 놓으면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4이다. 답② h(x)=5xÜ`-10xÛ`+k-(5xÛ`+2)=5xÜ`-15xÛ`+k-2
h (x)=15xÛ`-30x=15x(x-2)
0572 f(x)=xÜ`-;2#;xÛ`-6x+k로 놓으면 h (x)=0에서 x=0 또는 x=2
f (x)=3xÛ`-3x-6=3(x+1)(x-2) x (0) … 2 … (3)
0<x<2일 때 f (x)<0이므로 함수 f(x)는 열린구간 (0, 2) h (x) - 0 +
에서 감소한다. h(x) ↘ k-22 ↗
따라서 0<x<2일 때 f(x)>0이려면 f(2)¾0이어야 하므로
0<x<3일 때 함수 h(x)는 x=2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8-6-12+k¾0 ∴ k¾10 답 10
최솟값은 k-22이다.

0573 h(x)=f(x)-g(x)로 놓으면 즉, h(x) 0이려면 k-22 0 ∴ k 22 답 22

h(x)=4xÜ`-xÛ`-2x-(2xÛ`+4x-k)=4xÜ`-3xÛ`-6x+k
h (x)=12xÛ`-6x-6=6(2x+1)(x-1) 0577 점 P가 원점을 지날 때는 x=0일 때이므로
h (x)=0에서 x=-;2!; 또는 x=1 tÜ`-5tÛ`+6t=0, t(t-2)(t-3)=0
∴ t=0 또는 t=2 또는 t=3
x¾2일 때 h (x)>0이므로 함수 h(x)는 반닫힌 구간 [2, ¦)
따라서 점 P는 t=3일 때 마지막으로 원점을 통과한다.
에서 증가한다.
점 P의 속도를 라 하면
따라서 x¾2일 때 h(x)¾0이려면 h(2)¾0이어야 하므로
x
32-12-12+k¾0 ∴ k¾-8 = =3tÛ`-10t+6
t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8이다. 답 -8 따라서 t=3에서의 점 P의 속도는 3´3Û`-10´3+6=3 답3

074 정답과 풀이
0578 점 P의 속도를 라 하면 0582 점 P의 속도를 라 하면
x x
= =3tÛ`-6t-14 = =-tÛ`+6t+16=-(t-3)Û`+25
t t
속도 가 10이므로 3tÛ`-6t-14=10에서 0ÉtÉ5일 때, 는 시각 t=3에서 최댓값 25를 갖는다.
3tÛ`-6t-24=0, 3(t+2)(t-4)=0 따라서 =25, a=3이므로 -a=22 답 22

이때 t>0이므로 t=4
따라서 시각 t=4에서의 점 P의 위치는 0583 점 P의 속도를 라 하면
4Ü`-3´4Û`-14´4=-40 답② x
= =;4#;tÛ`-3t-1=;4#;(t-2)Û`-4
t
즉, 0ÉtÉ6에서 -4É É8이므로
0579 점 P의 속도를 라 하면 0É| |É8
x
= =3tÛ`+6t+1 따라서 점 P의 속력의 최댓값은 8이다. 답8
t
속도 가 25이므로 3tÛ`+6t+1=25에서
3tÛ`+6t-24=0, 3(t+4)(t-2)=0 0584 두 점 P, Q가 만나는 시각은 xP(t)=xQ(t)일 때이므로
이때 t>0이므로 t=2 2t`+tÛ`=t`+2t, t(t+2)(t-1)=0 ∴ t=1(∵ t>0)
점 P의 가속도를 a라 하면 두 점 P, Q는 출발 후 시각 t=1에서 다시 만난다.
두 점 P, Q의 속도를 각각 P (t), (t)라 하면
Q
a= =6t+6
t x x
(t)= =6tÛ`+2t, (t)= =3tÛ`+2에서
따라서 시각 t=2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P
t Q
t
6´2+6=18 답 18 P (1)=6+2=8, (1)=3+2=5
Q

따라서 a=8, b=5이므로 ab=40 답 40

0580 두 점 P, Q의 속도를 각각 P, Q 라 하면
P=2tÛ`+4t, =8t+30
Q
0585 점 P의 속도를 라 하면
x
= =-3tÛ`+10t-3=-(3t-1)(t-3)
t
이때 두 점 P, Q의 속도가 같아지려면 = Q이므로
P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2tÛ`+4t=8t+30, tÛ`-2t-15=0
=0에서 t=;3!; 또는 t=3
(t+3)(t-5)=0 ∴ t=5 (∵ t>0)
즉, 점 P는 시각 t=;3!;에서 첫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꾸고, 시각
xP(5)=;3@;´5Ü`+2´5Û`-;3!;=133, t=3에서 두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꾼다.
xQ(5)=4´5Û`+30´5=250이므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점 P의 가속도를 a라 하면
250-133=117 a= =-6t+10
t
따라서 시각 t=3에서의 점 P의 가속도는
답 117
-6´3+10=-8 답 -8
단계 채점요소 배점
두 점 P, Q의 속도 구하기 40 %
0586 두 점 P, Q의 속도를 각각 P(t), Q (t)라 하면
속도가 같아지는 시각 구하기 30 %
(t)=8t-3,
P Q(t)=4t-8
두 점 P, Q 사이의 거리 구하기 30 %
두 점 P, Q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P(t) Q(t)<0이므로
(8t-3)(4t-8)<0, (8t-3)(t-2)<0
0581 점 P의 속도를 , 가속도를 a라 하면 ∴ ;8#;<t<2 답②
x
= =-4tÜ`+14tÛ`-8t-1
t
a= =-12tÛ`+28t-8 0587 점 P의 속도를 라 하면
t
x
점 P의 속도가 증가하면 a>0이므로 = =3tÛ`-18t+24=3(t-2)(t-4)
t
-12tÛ`+28t-8>0, (3t-1)(t-2)<0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0에서
∴ ;3!;<t<2 답②
t=2 또는 t=4

06. 도함수의 활용 (3) 075


즉, 점 P는 시각 t=2에서 첫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꾸고, 시각 0592 물체의 t초 후의 속도를 라 하면
t=4에서 두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꾼다. h
= =a-10t
t
최고 지점에 도달했을 때의 속도는 0이므로 =0에서
시각 t=2에서의 점 P의 위치 A는 2`-9´2Û`+24´2=20
시각 t=4에서의 점 P의 위치 B는 4`-9´4Û`+24´4=16 a-10t=0 ∴ t=;10;
따라서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는 20-16=4이다.
즉, t=;10;일 때 물체의 높이가 최대이므로
aÛ`
답4 a´;10;-5´{;10;}Û`¾45, ¾45
20
단계 채점요소 배점
∴ a¾30 (∵ a>0)
점 P의 속도 구하기 30 %
따라서 상수 a의 최솟값은 30이다. 답 30
운동 방향을 바꿀 때의 시각 구하기 20 %
두 점 A, B 사이의 거리 구하기 50 %
0593 돌의 t초 후의 속도를 라 하면
h
= =40-10t
t
0588 자동차가 제동을 건 지 t초 후의 속도를 라 하면 ㄱ. t=2일 때, 속도 는 =40-10´2=20(m/ )
x ㄴ.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의 속도는 0이므로 =0에서
= =18-0 9t
t
40-10t=0 ∴ t=4
자동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는 0이므로 =0에서
ㄷ. 지면에 떨어질 때의 높이는 0이므로 h=0에서
18-0 9t=0 ∴ t=20
45+40t-5tÛ`=0, tÛ`-8t-9=0
따라서 20초 동안 자동차가 움직인 거리는
(t+1)(t-9)=0 ∴ t=9 (∵ t>0)
18´20-0 45´20Û`=180(m) 답 180
즉, 9초 후 돌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속도는
=40-10´9=-50(m/ )
0589 열차가 제동을 건 지 t초 후의 속도를 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답 ㄱ, ㄴ, ㄷ

x
= =a-6t
t
0594 가로등 밑에서 사
이때 열차가 제동을 건 지 2초 후에 정지하므로 t=2일 때의 속
람까지의 거리를 x`m, 그
도가 0이다.
림자의 앞 끝까지의 거리
즉, a-6´2=0에서 a=12 답 12
를 y`m라 하면
4` `1 6=y` `(y-x)

0590 기차가 제동을 건 지 t초 후의 속도를 라 하면 1 6y=4(y-x) ∴ y=;3%;x


x 500
= =9-3tÛ` 그런데 x=100t이므로 y=  t
t 3
기차가 정지할 때의 속도는 0이므로 =0에서 y 500
∴ =
9-3tÛ`=0 ∴ t='3 (∵ t>0) t 3
500
이때까지 기차가 움직인 거리는 따라서 그림자의 앞 끝이 움직이는 속도는 `m/mi 이다.
3
9'3-('3 )Ü`=6'3(m) 답③
따라서 목적지로부터 6'3`m의 지점에서 제동을 걸어야 한다.
답④
0595 t초 후의 고무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가 (4+t) m이므로

고무 풍선의 부피를 mÜ`라 하면


0591 물체의 t초 후의 속도를 라 하면
h =;3$; (4+t)Ü`=;3$; (tÜ`+12tÛ`+48t+64)
= =20-10t
t
최고 지점에 도달했을 때의 속도는 0이므로 =0에서
20-10t=0 ∴ t=2 ∴ =;3$; (3tÛ`+24t+48)
t
따라서 2초 후 이 물체의 지면으로부터 높이는 =4 (t+4)Û`
40+20´2-5´2Û`=60(m) 답②

076 정답과 풀이
따라서 t=6일 때 고무 풍선의 부피의 변화율은 0599 t초 후의 두 점 P, Q의 좌표는 각각 (t, 0), (0, 2t)이
4 (6+4)Û`=400 ( mÜ`/ ) 므로 두 점 P, Q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x y
+ =1 yy`㉠
t 2t
답 400 /
직선 ㉠과 직선 y=2x의 교점 R의 좌표는
단계 채점요소 배점
x 2x t
+ =1에서 x= , y=t
t초 후의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20 % t 2t 2
부피 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20 % t
즉, R{ , t}이므로 ORÓ= 이라 하면
2
구하기 30 %
t t '5 '5
=¾Ð{ }Û`+tÛ`=  t ∴ =
t=6일 때 부피의 변화율 구하기 30 % 2 2 2 t
'5
따라서 선분 OR의 길이의 변화율은 이다. 답
2 2

0596 t초 후의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 m, 높이를 h` m


0600 비가 내리기 전 측정기의 각 모서리의 길이는
라 하면 h=t이므로 높이가 5` m가 되는 시각은
10-5=5(mm)이고, 낮 12시부터 t시간이 지난 후의 측정기의
t=5
각 모서리의 길이는 (5+5t)`mm이므로 이때의 측정기의 부피
또, 오른쪽 그림에서 6` `18= ` `h
를 `mmÜ 라 하면
∴ =;3!;h =(5+5t)Ü`=125(tÜ`+3tÛ`+3t+1)
물의 부피를 mÜ`라 하면 ∴ =125(3tÛ`+6t+3)=375(t+1)Û`
t
=;3!; Û`h=;3!; ´{;3!;h}Û`´h 측정기의 부피의 변화율이 13500`mm`/ 가 되는 순간은
375(t+1)Û`=13500에서
=;2Á7; hÜ`=;2Á7; tÜ`
(t+1)Û`=36 ∴ t=5 (∵ t>0)
∴ =; !; tÛ` 따라서 강수량의 변화율이 13500`mm`/ 가 되는 순간은 낮 12시
t
부터 5시간이 지난 후인 오후 5시이다. 답②
따라서 t=5일 때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 !; ´5Û`=:ª : ( mÜ`/ ) 답 :ª : /

유형 본문 91쪽

0597 t초 후의 맨 바깥쪽 파문의 반지름의 길이를 `m라 하면


원의 넓이는 = Û`(mÛ`) 0601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t)라 하면
이때 반지름의 길이의 일정한 증가율을 k라 하면 a(t)= 이므로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는 시각 t에서의
t
=kt ∴ = (kt)Û`= kÛ`tÛ`
y= (t)의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이때
∴ =2 kÛ`t a(t )<0, a(t )=0, a(t )>0, a(t )=0, a(t )<0
t
이므로 시각 t 에서의 가속도가 가장 크다. 답③
t=2일 때의 파문의 넓이의 증가율은 4 kÛ`= 이므로 kÛ`=;4!;

따라서 t=3일 때 파문의 넓이의 증가율은

2 ´;4!;´3=;2#; (mÛ`/ ) 답② 0602 ㄱ. 시각 t=5의 좌우에서 (t)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므


로 시각 t=5에서 운동 방향을 바꾸지 않는다.
ㄴ. 시각 t=2, t=4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ㄷ. 시각 2<t<4에서 수직선 위를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0598 점 P가 출발한 지 t초 후의 두 점 P, Q의 좌표는
ㄹ. 시각 4<t<5에서 y= (t)는 증가하는 함수가 아니다.
P(3t, 0), Q(0, 4(t-2))이므로 △OPQ의 넓이를 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답ㄷ
=;2!;´3t´4(t-2)=6t(t-2)=6tÛ`-12t (t>2)

∴ =12t-12
t 0603 ㄱ. 시각 t=a에서 점 P의 속도는 0이다.
t=5일 때 삼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은 ㄴ. 시각 t=a, t=c, t= 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12´5-12=48 답 48 ㄷ. 시각 t=c에서 속도는 0이다.

06. 도함수의 활용 (3) 077


ㄹ. 시각 t=a일 때 원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0607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② -1, 3, 5이므로
f (x)=0에서 x=-1 또는 x=3 또는 x=5
0604 ㄱ. 시각 t=a에서 점 P의 속도는 0이므로 점 Q의 속도
가 더 크다. x … -1 … 3 … 5 …
ㄴ. 점 P와 점 Q는 시각 t=b에서 위치가 같으므로 만난다. f (x) - 0 + 0 - 0 +
ㄷ. t=c일 때, 두 곡선 y=xP(t), y=xQ(t) 위의 점에서의 접 f(x) ↘ -2 ↗ ↘ 1 ↗
선의 기울기가 모두 음수이므로 두 점 P, Q는 서로 같은 방향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
으로 움직인다.
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 ㄴ, ㄷ
이때 방정식  f(x)+x+1=0의 실
근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92~95쪽 y=-x-1의 교점 A, B의 x좌표
와 같으므로 1개의 양근과 1개의 음근을 갖는다. 답①

0605 ;4#;xÝ`-xÜ`-3xÛ`+k=0에서
0608 2xÜ`+3xÛ`-12x+a=0에서
;4#;xÝ`-xÜ`-3xÛ`=-k yy ㉠
-2xÜ`-3xÛ`+12x=a yy ㉠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네 개의 실근을 가지려면 곡선 방정식 ㉠이 한 개의 음근과 두 개의 양근을 가지려면 곡선
y=;4#;xÝ`-xÜ`-3xÛ`과 직선 y=-k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나 y=-2xÜ`-3xÛ`+12x와 직선 y=a의 교점의 x좌표가 한 개는
음수이고 다른 두 개는 양수이어야 한다.
야 한다.
f(x)=-2xÜ`-3xÛ`+12x로 놓으면
f(x)=;4#;xÝ`-xÜ`-3xÛ`으로 놓으면
f (x)=-6xÛ`-6x+12=-6(x+2)(x-1)
f (x)=3xÜ`-3xÛ`-6x=3x(x+1)(x-2) f (x)=0에서 x=-2 또는 x=1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x … -2 … 1 …
x … -1 … 0 … 2 … f (x) - 0 + 0 -
f (x) - 0 + 0 - 0 + f(x) ↘ -20 ↗ 7 ↘

f(x) ↘ -;4%; ↗ 0 ↘ -8 ↗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y=a의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교점의 x좌표가 한 개는 음수이고 다른
같으므로 곡선 y=f(x)와 직선 y=-k
두 개는 양수가 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
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나려면

-;4%;<-k<0 ∴ 0<k<;4%; 0<a<7 답0 a 7
따라서 실수 k의 값으로 적당한 것은 ②
이다. 답② 0609 f(x)=2xÜ`-3axÛ`+a로 놓으면
f (x)=6xÛ`-6ax=6x(x-a)
0606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0, a,
b, c이므로 f (x)=0에서 x=0 또는 x=a

f (x)=0에서 x=0 또는 x=a 또는 x=b 또는 x=c 삼차방정식 f(x)=0이 중근과 다른 한 실근을 가지려면


f(0)f(a)=0, 즉 a(a-aÜ`)=0에서
x … 0 … a … b … c …
aÛ`(a+1)(a-1)=0 ∴ a=1 (∵ a>0) 답①
f (x) + 0 + 0 + 0 - 0 +
f(x) ↗ ↗ ↗ 극대 ↘ 극소 ↗
0610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a, c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이므로 f (x)=0에서 x=a 또는 x=c
그림과 같다. 이때 x=a에서는 극값을 갖지 않고, x=c에서는 극값을 갖는다.
방정식 f(x)=k의 실근은 함수 ㄱ. f(a)=0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즉, f(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방정식  갖는다.
f(x)=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의 최댓값은 3이다. 답③

078 정답과 풀이
ㄴ. f(a)f(c)<0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0이려면
즉, f(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f(2)¾0이어야 하므로
갖는다. a-8¾0 ∴ a¾8
ㄷ. f(a)f(c)>0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8이다. 답⑤
⇨ f(a)>0, f(c)>0 또는 f(a)<0, f(c)<0
0614 xÝ`-4x¾-xÛ`+2x-a에서 xÝ`+xÛ`-6x+a¾0
h(x)=xÝ`+xÛ`-6x+a로 놓으면
h (x)=4xÜ`+2x-6=2(x-1)(2xÛ`+2x+3)

이때 2xÛ`+2x+3=2{x+;2!;}Û`+;2%;>0이므로
즉, f(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거나 실근을 갖지 않 h (x)=0에서 x=1
는다. 함수 h(x)는 x=1에서 극소 x … 1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 ㄱ, ㄴ
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h (x) - 0 +
h(1)=a-4 h(x) ↘ 극소 ↗
0611 주어진 곡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방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x)¾0
정식 xÜ`-x=2x+k, 즉 xÜ`-3x-k=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이려면 h(1)¾0이어야 하므로
가져야 한다.
a-4¾0 ∴ a¾4 답a 4
f(x)=xÜ`-3x-k로 놓으면
f (x)=3xÛ`-3=3(x+1)(x-1) 0615 2xÜ`+k¾3xÛ`에서 2xÜ`-3xÛ`+k¾0
f (x)=0에서 x=-1 또는 x=1 f(x)=2xÜ`-3xÛ`+k로 놓으면 f (x)=6xÛ`-6x=6x(x-1)
삼차방정식 f(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f (x)=0에서 x=0 또는 x=1
f(-1)f(1)<0, 즉 (2-k)(-2-k)<0에서 x¾0일 때, 함수 f(x)는 x 0 … 1 …
(k+2)(k-2)<0 ∴ -2<k<2 답③
x=1에서 극소이면서 최 f (x) 0 - 0 +
소이므로 최솟값은 f(x) k ↘ k-1 ↗
0612 f(x)=xÜ`-3xÛ`-2로 놓으면 f (x)=3xÛ`-6x f(1)=k-1
점 (0, a)에서 곡선 y=xÜ`-3xÛ`-2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
따라서 x¾0일 때, f(x)¾0이려면 f(1)¾0이어야 하므로
를 (t, tÜ`-3tÛ`-2)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k-1¾0 ∴ k¾1 답 1
y-(tÜ`-3tÛ`-2)=(3tÛ`-6t)(x-t)
이 직선이 점 (0, a)를 지나므로 0616 4xÛ`-3x<xÜ`+kx에서 -xÜ`+4xÛ`-3x<kx
a-(tÜ`-3tÛ`-2)=(3tÛ`-6t)(-t) f(x)=-xÜ`+4xÛ`-3x=-x(x-1)(x-3)으로 놓으면
∴ 2tÜ`-3tÛ`+2+a=0 yy`㉠ f(x)=0에서 x=0 또는 x=1 또는 x=3
점 (0, a)에서 주어진 곡선에 오직 한 개의 접선만을 그을 수 있 따라서 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으려면 t에 대한 삼차방정식 ㉠이 오직 하나의 실근만을 가져야 이때 곡선 y=f(x)와 x=t에서 접하는
한다. 접선의 방정식
f(t)=2tÜ`-3tÛ`+2+a로 놓으면 f (t)=6tÛ`-6t=6t(t-1) y=(-3tÛ`+8t-3)(x-t)
f (t)=0에서 t=0 또는 t=1 +(-tÜ`+4tÛ`-3t)
삼차방정식 ㉠이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이 원점을 지나므로
f(0)f(1)>0이어야 하므로 2tÜ`-4tÛ`=0, 2tÛ`(t-2)=0 ∴ t=2 (∵ t>0)
(a+2)(a+1)>0 ∴ a<-2 또는 a>-1 답① 즉, 접점 (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x
따라서 4xÛ`-3x<xÜ`+kx가 성립하려면 k>1이어야 한다.
0613 xÝ`-8x+a¾4xÜ`-6xÛ`에서 답②
f(x)=xÝ`-4xÜ`+6xÛ`-8x+a로 놓으면
f (x)=4xÜ`-12xÛ`+12x-8=4(x-2)(xÛ`-x+1) 0617 두 점 P, Q의 시각 t에서의 속도 P(t), (t)는
Q
f (x)=0에서 x=2 (∵ xÛ`-x+1>0) (t)=tÛ`+4, (t)=4t이므로
P Q
함수  f(x)는 x=2에서 극소 x … 2 … 속도가 같아지는 시각은
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f (x) - 0 + tÛ`+4=4t에서 tÛ`-4t+4=0
f(2)=a-8 f(x) ↘ 극소 ↗ (t-2)Û`=0 ∴ t=2

06. 도함수의 활용 (3) 079


따라서 두 점 P, Q의 시각 t=2에서의 위치는 각각 ㄹ. 물체의 가속도를 a라 하면 a= =-10으로 일정하다.
t
xP(2)=;3!;´2`+4´2-;3@;=;3*;+8-;3@;=1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이다. 답 ㄱ, ㄹ

xQ(2)=2´2Û`-10=8-10=-2
이므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10-(-2)=12 답 12
0622 가로등 밑에서 사람까지의 거리를 x`m, 그림자의 앞 끝
까지의 거리를 y`m, 사람의 키를 h`m라 하면
0618 시각 t에서의 중점 의 위치를 x라 하면
x=60t
x=;2!;{(2tÜ`-2tÛ`+3t)+(-4tÛ`-t)}=tÜ`-3tÛ`+t 오른쪽 그림에서
시각 t에서의 중점 의 속도를 라 하면 y` `(y-x)=3` `h
x 3(y-x)=hy
= =3tÛ`-6t+1
t
(3-h)y=3x
따라서 시각 t=3에서의 속도는
3x 180
y= ∴ y=  t
3´3Û`-6´3+1=10 답① 3-h 3-h
y 180
∴ =
t 3-h
0619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를 라 하면 해성이의 키는 180` m이므로
x
= =3tÛ`-12 180 180
t = = =150(m/mi )
3-1 8 12
운동 방향이 바뀌는 순간은 =0이므로
유빈이의 키는 150` m이므로
3tÛ`-12=0에서 t=2 (∵ t>0) 180
= =120(m/mi )
이때 점 P가 원점에 위치하므로 3-1 5
2Ü`-12´2+k=0 ∴ k=16 답④ ∴ ` ` =5` `4 답③

0620 ㄱ. x(1)=;3!;-4+7=:Á3:,
0623 t초 후의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2t)` m이므
x(3)=;3!;´3Ü`-4´3Û`+7´3=-6이므로 시각 t=1, t=3에 로 정삼각형의 넓이를 ` mÛ`라 하면
'3
서의 점 P의 위치는 같지 않다. = (2t+2)Û`='3(t+1)Û`='3(tÛ`+2t+1)
4
x
ㄴ. 시각 t에서의 속도를 라 하면 = =tÛ`-8t+7 ∴ =2'3(t+1)
t t
따라서 시각 t=0에서의 속도는 7이다. 따라서 t=5일 때, 정삼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은
ㄷ. 시각 t에서의 가속도를 a라 하면 a= =2t-8 2'3(5+1)=12'3( mÛ`/ ) 답 12 3 /
t
따라서 시각 t=3에서의 가속도는 2´3-8=-2
ㄹ. =0에서 tÛ`-8t+7=(t-1)(t-7)=0
0624 t초 후의 수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 m, 높이를 h` m
∴ t=1 또는 t=8
라 하면 h=0 5t이므로 높이가 4` m가 되는 시각은
따라서 점 P는 움직이는 동안 시각 t=1, t=8에서 운동 방
4=0 5t ∴ t=8(초)
향을 바꾼다.
또, 오른쪽 그림에서 4` `8= ` `h
따라서 옳은 것은 ㄷ, ㄹ이다. 답③
∴ =;2!;h

h t초 후의 물의 부피를 ` mÜ`라 하면
0621 ㄱ. t초 후의 속도를 라 하면 = t =30-10t
=;3!; Û`h=;3!; {;2!;h}Û`´h
최고 높이에서 물체의 속력은 0이므로 =0에서 t=3
따라서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3초이다. =  hÜ`= {;2!;t}Ü`
12 12
ㄴ. 물체의 최고 높이는 t=3일 때의 높이이므로
35+30´3-5´3Û`=80(m) = t Ü`
96
ㄷ. 물체가 지면에 떨어질 때의 높이는 0이므로 ∴ =  tÛ`
t 32
35+30t-5tÛ`=0, tÛ`-6t-7=0, (t+1)(t-7)=0
따라서 t=8일 때 물의 부피의 변화율은
∴ t=7 (∵ t>0)
따라서 걸리는 시간은 7초이다. ´8Û`=2 ( mÜ`/ ) 답①
32
080 정답과 풀이
0625 ㄱ. 출발 후 2초까지 점 P는 양의 방향으로 이동했으므 1<x<3에서 h(x)¾0이려면 h(2)¾0이어야 하므로
로 위치는 원점이 아니다. a-4¾0 ∴ a¾4
ㄴ. t=2에서 점 P의 속도는 0이고 양의 방향에서 음의 방향으로 따라서 상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움직이는 방향이 바뀐다.
ㄷ. t=2, t=5에서 =0이고, t=2, t=5의 양 옆으로 속도의 답4

부호가 바뀌므로 운동 방향이 2번 바뀐다. 단계 채점요소 배점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⑤ h (x)=0인 x의 값 구하기 30 %
h(x)의 최솟값 구하기 40 %

0626 xÜ`-3xÛ`-k=0에서 xÜ`-3xÛ`=k yy ㉠ a의 최솟값 구하기 30 %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하려면 곡선


y=xÜ`-3xÛ`과 직선 y=k의 교점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0628 시각 t에서 두 점 P, Q의 속도는
f(x)=xÜ`-3xÛ`으로 놓으면
P (t)=2t-6, Q (t)=t+4
f (x)=3xÛ`-6x=3x(x-2)
f (x)=0에서 x=0 또는 x=2
두 점 P, Q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려면
P (t) Q(t)>0
x … 0 … 2 …
f (x) + 0 - 0 + 즉, (2t-6)(t+4)>0에서 t>3 (∵ t>0)
f(x) ↗ 0 ↘ -4 ↗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답 3


같으므로 x=0에서 극댓값 0, x=2에서 단계 채점요소 배점

극솟값 -4를 갖는다. 두 점 P, Q의 속도 구하기 40 %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때의 조건 알기 40 %
t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

이때 -4<k<0에서 곡선 y=f(x)와 직선 y=k의 교점의 개 0629 t분 동안 사람이 움직인 거리는 90t`m이고 시각 t분에서
수가 3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 그림자의 길이를 x`m라 하면
오른쪽 그림에서

답3 3` `1 5=(x+90t)` `x

단계 채점요소 배점
1 5(x+90t)=3x
f (x)=0인 x의 값 구하기 20 %
∴ x=90t
y=f(x)의 그래프 그리기 40 %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구하기 40 %
x
∴ =90
t
0627 h(x)=f(x)-g(x)로 놓으면 따라서 그림자의 길이의 변화율은 90`m/mi 이다.
h(x)=2xÜ`-3xÛ`-(xÜ`-a)=xÜ`-3xÛ`+a에서
h (x)=3xÛ`-6x=3x(x-2) 답 90 /
h (x)=0에서 x=2 (∵ 1<x<3) 단계 채점요소 배점
비례식 세우기 40 %
x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40 %
x (1) … 2 … (3)
그림자의 길이의 변화율 구하기 20 %
h (x) - 0 +
h(x) ↘ 극소 ↗

1<x<3에서 h(x)는 x=2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0630 Ú x¾a일 때, g(x)=x-a


h(2)=2Ü`-3´2Û`+a=a-4 h(x)=6xÜ`-x-(x-a)=6xÜ`-2x+a라 하면
h (x)=18xÛ`-2=2(3x+1)(3x-1)

06. 도함수의 활용 (3) 081


h (x)=0에서 x=-;3!; 또는 x=;3!; Ⅲ. 적분
h(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h{-;3!;}h{;3!;}=0이어야 하므로 07 부정적분

 {-;27;+;3@;+a}{;27;-;3@;+a}=0, {a+; $;}{a-; $;}=0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99쪽

∴ a=-; $; 또는 a=; $;
2
0633 f(x)=(3x +4x+ ) =6x+4 답 =
이때 x¾a이므로 a=-; $;

Û x<a일 때, g(x)=-x+a 3 2 2
0634 f(x)=(x -x + ) =3x -2x
h(x)=6xÜ`-x-(-x+a)=6xÜ`-a라 하면
답 = -
h (x)=18xÛ`
h (x)=0에서 x=0
h(x)=0은 오직 한 개의 근만 갖는다. 4 3 2
0635 f(x)={;4!;x +;3!;x +;2!;x + }
Ú, Û에서 h(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f(x)=x3+x2+x 답 =
a의 값은 -; $;이다. 답④

0636 [  ` f(x) x]= f(x)이므로


0631 직각삼각형 OAB에서 x
OAÓ=1, ∠OBA=30 이므로 `{ `x2 x}=x2 답
x
OBÓ=2
따라서 공이 경사면과 처음으로 충돌하
는 순간의 공의 중심의 높이는 2이므로
0637 `[ x f(x)] x= f(x)+ 이므로
h(t)=74-8tÛ`=2, 8tÛ`=72
∴ t=3 (∵ t>0) `{ x2} x=x2+ 답
x
이때 (t)=h (t)=-16t이므로
(3)=-48(m/ ) 답- /
0638 [ f(x) x]= f(x)이므로
x
0632 선분 OQ가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 t이고,
[ (xÜ`+2x) x]=xÜ`+2x 답
선분 PQ의 높이는 f(t)=-tÛ`-4t이므로 x
만들 수 있는 원뿔의 부피를 (t)라 하면

(t)=;3!; tÛ`´(-tÛ`-4t)=-;3!; tÜ`(t+4) 0639 [ f(x)] x= f(x)+ 이므로


x
(t)=-;3!; (4tÜ`+12tÛ`)=-;3$; tÛ`(t+3) [ (xÜ`+2x)] x=xÜ`+2x+ 답
x
(t)=0에서 t=-3 또는 t=0

t … -3 … 0 …
(t) + 0 - 0 - 0640 ` x= `1  x=x+ 답

(t) ↗ 극대 ↘ ↘

따라서 t=-3일 때 원뿔의 부피가 최대가 되므로 `x3 x=;4!;x4+ 답 ;4!;


0641
(-3)=-;3!; ´(-3)Ü`´(-3+4)=9 답

21 22 1
0642 `x x= 22 x + 답 ;2Á2;

n-1 1
0643 `x x= xn+ 답
n

082 정답과 풀이
0644 `(3x-4) x= `3x  x- `4  x 0651 (x+1)Û` x- (x-1)Û` x

`(3x-4) x=3 `x  x- `4  x = (xÛ`+2x+1) x- (xÛ`-2x+1) x

`(3x-4) x=;2#;x2-4x+ 답 ;2#; - = 4x  x=4 x  x

=2xÛ`+ 답
2 2
0645 `(5x -2x+1) x= `5x x- `2x  x+ ` x

`(5x2-2x+1) x=5 `x2 x-2 `x  x+ ` x x` 8


0652 x- x
x-2 x-2
`(5x2-2x+1) x=;3;x3-x2+x+ =
x`-8
x= (xÛ`+2x+4) x
x-2
답 ;3%; - = xÛ` x+ 2x  x+ 4  x

= xÛ` x+2 x  x+ 4  x
0646 `(x-1)(x+2) x= `(xÛ`+x-2) x
=;3!;xÜ`+xÛ`+4x+ 답 ;3!;
`(x-1)(x+2) x= `xÛ` x+ `x  x- `2  x

`(x-1)(x+2) x=;3!;xÜ`+;2!;xÛ`-2x+

답 ;3!; ;2!; -
유형 익 히 기/ /
본문 100~105쪽

0647 `(2x-3)Û` x= `(4xÛ`-12x+9) x


0653 (x-3) f(x)=(xÜ`-27x) =3xÛ`-27
`(3-2x)Û` x= `4xÛ` x- `12x  x+ `9  x
(x-3) f(x)=3(x+3)(x-3)
`(3-2x)Û` x=4 `xÛ` x-12 `x  x+ `9  x 따라서 f(x)=3(x+3)이므로
f(-1)=3´2=6 답④
`(3-2x)Û` x=;3;xÜ`-6xÛ`+9x+

답 ;3; -
0654 (x)=xÜ`+xÛ`+1로 놓으면
f(x)= (x)=3xÛ`+2x 답②

0648 (x-3)(xÛ`+3x+9) x= (xÜ`-27) x

(x-3)(xÛ`+3x+9) x= xÜ` x- 27 x 0655 (x)={` f(x)g(x)} = f` (x)g(x)+ f(x)g (x)


=4x(4x+3)+(2xÛ`-1)´4
(x-3)(xÛ`+3x+9) x=;4!;xÝ`-27x+
=24xÛ`+12x-4
답 ;4!; - ∴ (0)=-4 답-

x2-4
0649 x+2
x= (x-2) x= x  x- 2  x 0656 f(x)= (x)=3xÛ`+2ax+2이므로
f(0)=2=b
=;2!;xÛ`-2x+ 답 ;2!; -

f (x)=6x+2a이므로
x`+1
0650 x= (xÛ`-x+1) x f (0)=2a=3 ∴ a=;2#;
x+1

= xÛ` x- x  x+ x
∴ ab=;2#;´2=3
=;3!;xÜ`-;2!;xÛ`+x+

답 ;3!; -;2!; 답

07. 부정적분 083


단계 채점요소 배점 (x)=  [   [ f(x)] x] x
0663 x x
b의 값 구하기 40 %
a의 값 구하기 40 % =  [ { f(x)+ 1 }]  x
x
ab의 값 구하기 20 %
= f(x)+ 2

=10x10+9x9+ y +2xÛ`+x+ 2

0657 [  `(axÜ`+2xÛ`+bx-7) x]=axÜ`+2xÛ`+bx-7 (0)=-5이므로 2=-5


x
따라서 (x)=10x10+9x9+ y +2xÛ`+x-5이므로
이므로 axÜ`+2xÛ`+bx-7=xÜ`+cxÛ`+3x+
(1)=10+9+ y +2+1-5=50 답③
위의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a=1, b=3, c=2, =-7
∴ a+b+c+ =-1 답③ { f(x)g(x)}=3xÛ`에서
0664 x

[ { f(x)g(x)}] x= 3xÛ` x
x
0658 [ x f(x) x]=x f(x)이므로
x ∴ f(x)g(x)=xÜ`+
x f(x)=xÝ`+xÜ`+xÛ`+x=x(xÜ`+xÛ`+x+1) f(2)=0, g(2)=12이므로
따라서 f(x)=xÜ`+xÛ`+x+1이므로 f(2)g(2)=8+ =0 ∴ =-8
f(3)=27+9+3+1=40 답 즉, f(x)g(x)=xÜ`-8=(x-2)(xÛ`+2x+4)이므로
f(x)=x-2 f(x)=xÛ`+2x+4
[ 또는 [
g(x)=xÛ`+2x+4 g(x)=x-2
0659 (x)= [ (xÜ`-2x)] x=xÜ`-2x+
x 그런데 f(2)=0, g(2)=12이므로
(0)=2이므로 =2 f(x)=x-2, g(x)=xÛ`+2x+4
따라서 (x)=xÜ`-2x+2이므로 ∴ f(0)+g(1)=-2+7=5 답
(2)=8-4+2=6 답

0665 { f(x)+g(x)}=4에서
x
0660 [ f(x)] x= f(x)+ 1이므로
x [ { f(x)+g(x)}] x= 4  x
f(x)+ =xÜ `-6x+ x
1
∴ f(x)+g(x)=4x+
∴ f(x)=xÜ`-6x+ - 1
1

f(3)=10이므로 27-18+ - =10 ∴ - =1


1 또, { f(x)-g(x)}=4x에서
x
따라서 f(x)=xÜ`-6x+1이므로
[ { f(x)-g(x)}] x= 4x  x
f(-1)=-1+6+1=6 답⑤ x
∴ f(x)-g(x)=2xÛ`+ 2

f(0)=3, g(0)=-4이므로
0661 (x)= [ x f(x) x]=x f(x)=2xÛ`+x f(0)+g(0)= =-1, f(0)-g(0)= =7
x 1 2

즉, f(x)+g(x)=4x-1, f(x)-g(x)=2xÛ`+7이므로
(x)= [ x f(x)] x=x f(x)+ =2xÛ`+x+
x f(x)=xÛ`+2x+3, g(x)=-xÛ`+2x-4
(1)=5이므로 2+1+ =5 ∴ =2
∴ f(1)+g(-1)=6+(-7)=-1 답-
따라서 (x)=2xÛ`+x, (x)=2xÛ`+x+2이므로
(-1)+ (-1)=1+3=4 답

0666 { f(x)+g(x)}=4x+2에서
x

0662 f(x)= [ x (xÛ`-4x)] x=xÛ`-4x+ [ { f(x)+g(x)}] x= (4x+2) x


x
=(x-2)Û`+ -4 ∴ f(x)+g(x)=2xÛ`+2x+ 1

함수 f(x)의 최솟값이 -8이므로 또, { f(x)g(x)}=12xÛ`+4x+4에서


x
-4=-8 ∴ =-4
따라서 f(x)=xÛ`-4x-4이므로 [ { f(x)g(x)}] x= (12xÛ`+4x+4) x
x
f(5)=25-20-4=1 답 ∴ f(x)g(x)=4xÜ`+2xÛ`+4x+ 2

084 정답과 풀이
f(0)=2, g(0)=1이므로
0671 f(x)= ` f (x) x= `(3xÛ`+2ax+1) x
f(0)+g(0)= =3, f(0)g(0)=
1 =2
2
f(x)=xÜ`+axÛ`+x+
즉, f(x)+g(x)=2xÛ`+2x+3=(2xÛ`+2)+(2x+1),
f(0)=1, f(1)=2이므로
f(x)g(x)=4xÜ`+2xÛ`+4x+2=(2xÛ`+2)(2x+1)이므로
f(0)= =1
f(x)=2xÛ`+2 f(x)=2x+1
[ 또는 [ f(1)=1+a+1+1=2 ∴ a=-1
g(x)=2x+1 g(x)=2xÛ`+2
따라서 f(x)=xÜ`-xÛ`+x+1이므로
그런데 f(0)=2, g(0)=1이므로
f(2)=8-4+2+1=7 답
f(x)=2xÛ`+2, g(x)=2x+1
∴ f(1)-g(2)=4-5=-1 답-

0672 f (x)=3xÛ`-1이므로
x2 1
0667 f(x)= ` x-1 x- ` x-1 x f(x)= f (x) x= (3xÛ`-1) x

x2-1 (x-1)(x+1) f(x)=xÜ`-x+


= ` x= ` x
x-1 x-1
f(0)=2이므로 =2
= `(x+1) x=;2!;xÛ`+x+ 따라서 f(x)=xÜ`-x+2이므로
` f(0)=1이므로 =1 f(1)=1-1+2=2 답

따라서 f(x)=;2!;xÛ`+x+1이므로

` f(2)=2+2+1=5 답 x`-27
0673 f(x)= f (x) x= xÛ`+3x+9
` x

(x-3)(xÛ`+3x+9)
f(x)= ` x
0668 f(x)= (1-x)Ü`  x- (1+x)Ü`  x xÛ`+3x+9
f(x)= (x-3) x=;2!;xÛ`-3x+
= (1-3x+3xÛ`-xÜ` ) x
f(0)=1이므로 =1
- (1+3x+3xÛ`+xÜ` ) x
따라서 f(x)=;2!;xÛ`-3x+1이므로
= (-2xÜ`-6x) x f(-2)=2+6+1=9 답

=-;2!;xÝ`-3xÛ`+

f(0)=;2!;이므로 =;2!; 0674 `조건 ㈏에서 x Ú`1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


재하므로 (분자) Ú`0이어야 한다. 즉, f(1)=0이므로
따라서 f(x)=-;2!;xÝ`-3xÛ`+;2!;이므로 f(x) f(x)- f(1)
lim =lim = f (1)=2+a
x Ú1 x-1 x Ú1 x-1
f(1)=-;2!;-3+;2!;=-3 답-
즉, a+2=2a-1이므로 a=3

∴ f(x)= (2x+3) x=xÛ`+3x+


9 (2x+3)(2x-3)
0669 ` ` x+ ` ` x f(1)=0이므로 1+3+ =0 ∴ =-4
x x
9 4x2-9 9 9 따라서 f(x)=xÛ`+3x-4이므로
= ` ` x+ ` ` x= ` ` x+ `{4x- } x
x x x x a+ f(2)=3+(4+6-4)=9 답
= `4x` x=2xÛ`+

따라서 a=2, b=0이므로 a+b=2 답②


0675 (x)=x f(x)+2xÜ`-xÛ`+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분하면
8 f(x)= f(x)+x f (x)+6xÛ`-2x
0670 f(x)= (1+2x+3xÛ`+ y +9x ) x
x f (x)=-6xÛ`+2x ∴ f (x)=-6x+2
f(x)=x+xÛ`+xÜ`+ y +x9+
f(1)=10이므로 9+ =10 ∴ =1 ∴ f(x)= `(-6x+2) x=-3xÛ`+2x+

따라서 f(x)=1+x+xÛ`+xÜ`+ y +x9이므로 f(1)=2이므로 -3+2+ =2 ∴ =3


f(-1)=1-1+1-1+ y -1=0 답 ∴ f(x)=-3xÛ`+2x+3 답②

07. 부정적분 085


f(x) x=x f(x)-2xÜ`+3xÛ`의 양변을 x에 대하여 ∴ axÜ`+bxÛ`+(2a+c)x+b=xÜ`+2xÛ`-5x+2
0676
이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미분하면
a=1, b=2, 2a+c=-5 ∴ a=1, b=2, c=-7
f(x)= f(x)+x f (x)-6xÛ`+6x
따라서 f(x)=xÛ`+2x-7이므로
x f (x)=6xÛ`-6x ∴ f (x)=6x-6
f(3)=9+6-7=8 답④
∴ f(x)= (6x-6) x=3xÛ`-6x+

f(1)=3이므로 3-6+ =3 ∴ =6
0680 3 f(x) x=x f(x)-2 f(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따라서 f(x)=3xÛ`-6x+6이므로
f(-1)=3+6+6=15 분하면

3 f(x)= f(x)+x f (x)-2 f (x)
∴ 2 f(x)=(x-2) f (x) yy ㉠
0677 (x-1) f(x)- (x)=4xÜ`-6xÛ`의 양변을 x에 대하 n
f(x)의 최고차항을 ax (a+0인 상수, n은 자연수)이라 하면
여 미분하면
2 f(x)의 최고차항은 2axn, (x-2) f (x)의 최고차항은 anxn
f(x)+(x-1) f (x)- f(x)=12xÛ`-12x
이므로
(x-1) f (x)=12x(x-1) ∴ f (x)=12x
2a=an, a(n-2)=0 ∴ n=2 (∵ a+0)
즉, f(x)가 이차함수이고 f(0)=2이므로 f(x)=axÛ`+bx+2
∴ f(x)= `12x  x=6xÛ`+ (a, b는 상수, a+0)로 놓을 수 있다.
f(1)=2이므로 6+ =2 ∴ =-4 f(x)=axÛ`+bx+2, f (x)=2ax+b를 ㉠에 대입하면
따라서 f(x)=6xÛ`-4이므로 2(axÛ`+bx+2)=(x-2)(2ax+b)
∴ 2axÛ`+2bx+4=2axÛ`+(b-4a)x-2b
f(-2)=24-4=20 이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2b=b-4a, 4=-2b ∴ a=;2!;, b=-2



따라서 f(x)=;2!;xÛ`-2x+2이므로
단계 채점요소 배점
f (x) 구하기 40 % f(4)=8-8+2=2 답②
f(x) 구하기 40 %
f(-2)의 값 구하기 20 %
2x+4  (x¾0)
0681 f (x)=[ 에서
-xÛ`+4 (x<0)

0678 (x-2) f(x) x+2 (x)=-;2!;xÝ`+;3;xÜ`+xÛ`+ xÛ`+4x+ 1 (x¾0)


f(x)= [ -;3!;xÜ`+4x+ (x<0)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

(x-2) f(x)+2 f(x)=-2xÜ`+8xÛ`+2x f(2)=6이므로 4+8+ =6 ∴ =-6


x f(x)=-2xÜ`+8xÛ`+2x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 f(x)=-2xÛ`+8x+2=-2(x-2)Û`+10
lim {-;3!;xÜ`+4x+ 2 }= f(0) ∴ =
2 =-6
x Ú0-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10을 가지므로
xÛ`+4x-6 (x¾0)
a=2, =10 ∴a =20 답
따라서 f(x)= [ -;3!;xÜ`+4x-6 (x<0)이므로
f(-3)=9-12-6=-9 답-
0679 f(x)+ x f(x) x=;4!;xÝ`+;3@;xÜ`-;2;xÛ`+2x의 양변
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 f(x)=xÜ`+2xÛ`-5x+2 yy ㉠ 2x+2 (x¾1)
0682 f (x)=[ 에서
f(x)를 n차함수라 하면 x f(x)는 (n+1)차함수이므로 3xÛ`+1 (x<1)
n+1=3 ∴ n=2 xÛ`+2x+ 1 (x¾1)
f(x)=[
즉, f(x)가 이차함수이므로 f(x)=axÛ`+bx+c (a, b, c는 상 xÜ`+x+ 2 (x<1)

수, a+0)로 놓을 수 있다.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f(x)=axÛ`+bx+c, f (x)=2ax+b를 ㉠에 대입하면 lim (xÜ`+x+ 2)= f(1)


x Ú1-

2ax+b+x(axÛ`+bx+c)=xÜ`+2xÛ`-5x+2 1+1+ =1+2+


2 1 ∴ 2 - =1
1

086 정답과 풀이
∴ f(0)- f(2)= 2 -(4+4+ 1)=( 2 - 1 )-8 따라서 f(x)=-2xÛ`+2x+2이므로
=1-8=-7 답- k= f(2)=-8+4+2=-2 답-

0687 f (x)=4x+6이므로
0683 f (x)=xÛ`-|x|에서
f(x)= (4x+6) x=2xÛ`+6x+
xÛ`-x (x¾0)
f (x)=[
xÛ`+x (x<0) 곡선 y= f(x)가 점 (1, 3)을 지나므로
;3!;xÜ`-;2!;xÛ`+ (x¾0) f(1)=2+6+ =3 ∴ =-5
1
∴ f(x)= [ ;3!;xÜ`+;2!;xÛ`+ 2 (x<0)
∴ f(x)=2xÛ`+6x-5
따라서 방정식 f(x)=0, 즉 2xÛ`+6x-5=0의 모든 근의 곱은
f(1)=0이므로 ;3!;-;2!;+ =0
1 ∴ 1 =;6!;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이다. 답 -;2%;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lim {;3!;xÜ`+;2!;xÛ`+ 2 }= f(0) ∴ 2=;6!; 0688 f(x)= (kxÛ`-4x+4) 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


x Ú0-
하면
;3!;xÜ`-;2!;xÛ`+;6!; (x¾0)
따라서 f(x)= [ ;3!;xÜ`+;2!;xÛ`+;6!; (x<0) 이므로 f (x)=kxÛ`-4x+4

곡선 y= f(x)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f(-2)+ f(2)={-;3;+2+;6!;}+{;3;-2+;6!;}=;3!; 답 ;3!;
f (1)=k=6

2x+k (x>1) ∴ f(x)= (6xÛ`-4x+4) x=2xÜ`-2xÛ`+4x+


0684 f (x)=[ 에서
6    (x<1)
곡선 y= f(x)가 점 (1, 2)를 지나므로
xÛ`+kx+ 1 (x¾1)
f(x)=[ f(1)=2-2+4+ =2 ∴ =-2
6x+ 2 (x<1)
f(0)=-2이므로 2 =-2 따라서 f(x)=2xÜ`-2xÛ`+4x-2이므로
f(2)=6이므로 4+2k+ =6
1 ∴ 2k+ =2
1 yy ㉠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f(2)=16-8+8-2=14

lim (xÛ`+kx+ 1 )= lim (6x-2)


x Ú1+ x Ú1-

1+k+ 1=4 ∴ k+ 1 =3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k=-1, =4 단계 채점요소 배점
1
f (x) 구하기 20 %
xÛ`-x+4 (x¾1)
따라서 f(x)=[ 이므로 k의 값 구하기 30 %
6x-2 (x<1)
f(x) 구하기 40 %
k+ f(1)=-1+4=3 답
f(2)의 값 구하기 10 %

0685 f (x)=3xÛ`+5이므로 f(-2+h)- f(-2-h)


0689 lim
h Ú0 h
f(x)= (3xÛ`+5) x=xÜ`+5x+
{ f(-2+h)- f(-2)}-{ f(-2-h)- f(-2)}
=lim
곡선 y= f(x)가 점 (0, 3)을 지나므로 h Ú0 h
f(0)= =3 f(-2+h)- f(-2) f(-2-h)- f(-2)
=lim +lim
h Ú0 h h Ú0 -h
따라서 f(x)=xÜ`+5x+3이므로
= f (-2)+ f (-2)
f(1)=1+5+3=9 답⑤
=2 f (-2)

f(x)= (xÜ`-2x+2) 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686 f (x)=-4x+2이므로 f (x)=xÜ`-2x+2
f(x)= (-4x+2) x=-2xÛ`+2x+ ∴ f (-2)=-8+4+2=-2
곡선 y= f(x)가 점 (1, 2)를 지나므로 따라서 구하는 값은
f(1)= =2 2 f (-2)=2´(-2)=-4 답-

07. 부정적분 087


f(x)- f(-2) f(x)- f(-2) f(x+h)- f(x)
0690 xlim = lim f (x)=lim
Ú-2 x+2 x Ú-2 x-(-2) h Ú0 h
= f (-2)=4 f(x)+ f(h)+xh+1- f(x)
f (x)=lim
h Ú0 h
f(x)= (xÛ`-2x+k) 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h)+1
f (x)=lim +x
f (x)=xÛ`-2x+k h Ú0 h
f (x)=x+2 (∵ ㈎ )
f (-2)=4이므로 4+4+k=4 ∴ k=-4
∴ f(x)= (x+2) x=;2!;xÛ`+2x+
f(x)= (xÛ`-2x-4) x=;3!;xÜ`-xÛ`-4x+
이때 f(0)=-1이므로 =-1
f(0)=3이므로 =3
따라서 f(x)=;2!;xÛ`+2x-1이므로
따라서 f(x)=;3!;xÜ`-xÛ`-4x+3이므로
f(1)=;2!;+2-1=;2#; 답 ;2#;
f(3)=9-9-12+3=-9 답①

f(x)- f(a) 0694 f(x+y)= f(x)+ f(y)+xÛ`y+xyÛ`-3에 x=0, y=0


0691 조건 ㈏에서 lim
x Úa x-a
= f (a)이므로 모든 실 을 대입하면
수 a에 대하여 f (a)=6aÛ`-4a-5가 성립한다. f(0)= f(0)+ f(0)+0+0-3 ∴ f(0)=3
즉, f (x)=6xÛ`-4x-5이므로 f (0)=3이므로
f(0+h)- f(0) f(h)-3
f(x)= (6xÛ`-4x-5) x=2xÜ`-2xÛ`-5x+ f (0)=lim =lim =3
h Ú0 h h Ú0 h
조건 ㈎에서 f(0)=4이므로 =4 f(x+h)- f(x)
f (x)=lim
h Ú0 h
∴ f(x)=2xÜ`-2xÛ`-5x+4
f(x)+ f(h)+xÛ`h+xhÛ`-3- f(x)
따라서 방정식 f(x)=0, 즉 2xÜ`-2xÛ`-5x+4=0의 모든 근의 f (x)=lim
h Ú0 h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2이다. 답- f(h)-3
f (x)=lim +xÛ`
h Ú0 h
f (x)=xÛ`+3

0692 f(x+y)= f(x)+ f(y)-2xy에 x=0, y=0을 대입 ∴ f(x)= (xÛ`+3) x=;3!;xÜ`+3x+


하면 이때 f(0)=3이므로 =3
f(0)= f(0)+ f(0)-0 ∴ f(0)=0
∴ f(x)=;3!;xÜ`+3x+3 답 =;3!;
f (0)=4이므로
f(0+h)- f(0) f(h)
f (0)=lim =lim =4
h Ú0 h h Ú0 h
f(x+h)- f(x)
f (x)=lim
h Ú0 h

f (x)=lim
f(x)+ f(h)-2xh- f(x) 유형 본문 106쪽
h Ú0 h
f(h)
f (x)=lim -2x 0695 f (x)=kx(x+2) (k<0)로 놓으면
h Ú0 h
f (x)=-2x+4 f (x)=0에서 x=-2 또는 x=0

∴ f(x)= (-2x+4) x=-xÛ`+4x+ x … -2 … 0 …


f (x) - 0 + 0 -
이때 f(0)=0이므로 =0
f(x) ↘ 극소 ↗ 극대 ↘
따라서 f(x)=-xÛ`+4x이므로
f(3)=-9+12=3 답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을 갖고, x=0에서 극
댓값을 갖는다. 이때

f(x)= kx(x+2) x= (kxÛ`+2kx) x


0693 f(x+y)= f(x)+ f(y)+xy+1에 x=0, y=0을 대
=;3;xÜ`+kxÛ`+
입하면
f(0)= f(0)+ f(0)+0+1 ∴ f(0)=-1 이고 f(-2)=-1, f(0)=3이므로

088 정답과 풀이
f(-2)=-;3;k+4k+ =;3;k+ =-1 x … -1 … 3 …
f(0)= =3 f (x) + 0 - 0 +

∴ k=-3, =3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f(x)=-xÜ`-3xÛ`+3이므로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3에서 극


a=-1, b=-3, c=0, =3 솟값을 갖는다. 이때
∴ a+ =2 답⑤
f(x)= 6(x+1)(x-3) x= (6xÛ`-12x-18) x

=2xÜ`-6xÛ`-18x+
0696 f (x)=xÛ`+2x-8=(x+4)(x-2)이므로
f (x)=0에서 x=-4 또는 x=2 이고 f(-1)=24이므로
f(-1)=-2-6+18+ =24 ∴ =14
x … -4 … 2 …
따라서 f(x)=2xÜ`-6xÛ`-18x+14이므로 극솟값은
f (x) + 0 - 0 +
f(3)=54-54-54+14=-40 답-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함수 f(x)는 x=-4에서 극댓값을 갖고, x=2에서 극 0699 f (x)=(x+1)(3x-1)이므로


솟값을 갖는다. 이때
f (x)=0에서 x=-1 또는 x=;3!;
f(x)= (xÛ`+2x-8) x=;3!;xÜ`+xÛ`-8x+

이고 f(2)=-8이므로 x … -1 … ;3!; …

f (x) + 0 - 0 +
f(2)=;3;+4-16+ =-8 ∴ =;3;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f(x)=;3!;xÜ`+xÛ`-8x+;3;이므로 극댓값은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3!;에서 극
64
f(-4)=- +16+32+;3;=28 답 솟값을 갖는다. 이때
3
f(x)= (x+1)(3x-1) x= (3xÛ`+2x-1) x
0697 f (x)=x(x-4)이므로
f(x)=xÜ`+xÛ`-x+
f (x)=0에서 x=0 또는 x=4
이므로
x … 0 … 4 … f(-1)=-1+1+1+ = +1
f (x) + 0 - 0 +
f {;3!;}=;2Á7;+; !;-;3!;+ = -;27;
f(x) ↗ 극대 ↘ 극소 ↗
y= 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면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을 갖고, x=4에서 극솟
(극댓값)=0 또는 (극솟값)=0이므로
값을 갖는다. 이때
+1=0 또는 -;27;=0 ∴ =-1 또는 =;27;
f(x)= x(x-4) x= (xÛ`-4x) x
∴ f(x)=xÜ`+xÛ`-x-1 또는 f(x)=xÜ`+xÛ`-x+;27;
=;3!;xÜ`-2xÛ`+
답 = - -
64 32
이므로 f(0)= , f(4)= -32+ = -
3 3 또는  = - ;2 ;
극댓값이 극솟값의 3배이므로
32
=3{ - } ∴ =16 0700 f (x)=k(x+1)(x-1) (k>0)로 놓으면
3
f (0)=-2에서 -k=-2 ∴ k=2
따라서 f(x)=;3!;xÜ`-2xÛ`+16이므로
∴ f (x)=2(x+1)(x-1)=2xÛ`-2
f(3)=9-18+16=7 답④ 이때

f(x)= (2xÛ`-2) x=;3@;xÜ`-2x+


0698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이 2xÜ`이므로 f (x)의 최고 이고 f(0)=0이므로 =0
차항은 6xÛ`이다. 또, f (-1)= f (3)=0이므로
f (x)=6(x+1)(x-3) ∴ f(x)=;3@;xÜ`-2x

f (x)=0에서 x=-1 또는 x=3 한편, f (x)=0에서 x=-1 또는 x=1

07. 부정적분 089


x … -1 … 1 … f(0)=;3@;이므로 =;3@;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따라서 f(x)=;2Á ;x21+;7@;x7-xÛ`+;3@;이므로

f(1)=;2Á ;+;7@;-1+;3@;=0 답
즉, 함수 f(x)의 극댓값은
f(-1)=-;3@;+2=;3;, 극솟값은
0705 f` (x)=12xÛ`+4x-2이므로
f(1)=;3@;-2=-;3;이므로
f(x)= `(12xÛ`+4x-2) x=4xÜ`+2xÛ`-2x+
y= 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f(x)가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따라서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기 위한 실수 f(1)=4+2-2+ =0 ∴ =-4


k의 값의 범위는 따라서 f(x)=4xÜ`+2xÛ`-2x-4이므로
f(-1)=-4+2+2-4=-4 답①
-;3;<k<;3; 답 -;3; ;3;

0706 g(x) x=xÜ` f(x)+x+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분하면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107~109쪽 g(x)=3xÛ` f(x)+xÜ` f (x)+1
∴ g(2)=12 f(2)+8 f (2)+1
=12-8+1=5 답⑤
0701 x f(x)={;6;xÜ`-;4!;xÛ`+ } =;2;xÛ`-;2!;x

따라서 f(x)=;2;x-;2!;이므로
0707 (3x+2) f (x) x=xÜ`-2xÛ`-4x+ 의 양변을 x
f(2)=5-;2!;=;2; 답 ;2; 에 대하여 미분하면
(3x+2) f (x)=3xÛ`-4x-4=(3x+2)(x-2)
f (x)=x-2
0702 f(x)= `[ x (3xÜ`-axÛ` )] x=3xÜ`-axÛ`+ y㉠

f(1)=6이므로 3-a+ =6 ∴ a- =-3 yy ㉡ ∴ f(x)= (x-2) x=;2!;xÛ`-2x+ 1

f(x)- f(1) 이때 함수 f(x)의 그래프의 y절편이 1이므로 1=1


또, lim = f (1)이므로 f (1)=-1
x Ú1 x-1
따라서 f(x)=;2!;xÛ`-2x+1이므로 f(x)의 모든 계수의 합은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9xÛ`-2ax ;2!;-2+1=-;2!; 답 -;2!;
이때 f (1)=-1이므로 9-2a=-1 ∴ a=5
a=5를 ㉡에 대입하면 =8이므로 2x-1 (x¾1)
0708 f (x)=[ 에서
f(x)=3xÜ`-5xÛ`+8 -3xÛ`+4x (x<1)
∴ f(2)=24-20+8=12 답 xÛ`-x+ 1 (x¾1)
f(x)=[
-xÜ`+2xÛ`+ 2 (x<1)
0703 f(x)= {;2!;xÜ`+2x+1} x- {;2!;xÜ`+x} x f(0)=1이므로 2=1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f(x)= (x+1) x=;2!;xÛ`+x+
lim (-xÜ`+2xÛ`+1)= f(1)
x Ú1-
f(0)=1이므로 =1
-1+2+1=1-1+ 1 ∴ 1 =2
따라서 f(x)=;2!;xÛ`+x+1이므로 xÛ`-x+2 (x¾1)
따라서 f(x)=[ 이므로
-xÜ`+2xÛ`+1 (x<1)
f(4)=8+4+1=13 답④
f(2)=4-2+2=4 답

20 6
0704 f(x)= x x+2 (x -x) x
2 (x¾1)
0709 f (x)=[ 에서
20 6
f(x)= (x +2x -2x) x 2x (x<1)
2x+ 1 (x¾1)
f(x)=;2Á ;x21+;7@;x7-xÛ`+ f(x)=[
xÛ`+ 2 (x<1)

090 정답과 풀이
y= f(x)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f(x)= (5xÜ`-xÛ`+4x+7) 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0)= 2 =0
f (x)=5xÜ`-xÛ`+4x+7 ∴ f (1)=5-1+4+7=15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x2= f(1) 따라서 구하는 값은 ;3!; f (1)=;3!;´15=5 답⑤
x Ú1-

1=2+ 1 ∴ 1 =-1
2x-1 (x¾1) 0714 f (x)=ax(x-2)`(a>0)로 놓으면
따라서 f(x)=[ 이므로
xÛ` (x<1) f (x)=0에서 x=0 또는 x=2
f(4)=8-1=7 답
x … 0 … 2 …
f (x) + 0 - 0 +
0710 f (x)=3xÛ`-12이므로 f(x) ↗ 극대 ↘ 극소 ↗
f(x)= (3xÛ`-12) x=xÜ`-12x+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을 갖고, x=2에서 극솟
곡선 y= f(x)가 점 (0, 4)를 지나므로 값을 갖는다. 이때
f(0)= =4
f(x)= ax(x-2) x= (axÛ`-2ax) x
따라서 f(x)=xÜ`-12x+4이므로
f(2)=8-24+4=-12 답- =;3;xÜ`-axÛ`+

이고 f(0)=4, f(2)=-4이므로
0711 곡선 y= 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 f(0)= =4
기가 xÛ`에 정비례하므로 f` (x)=axÛ` (a+0)으로 놓으면
f(2)=;3;a-4a+ =-;3;a+4=-4
f(x)= `axÛ` x=;3;xÜ`+
∴ a=6, =4
곡선 y= f(x)가 두 점 (1, 3), (-1, 1)을 지나므로 따라서 f(x)=2xÜ`-6xÛ`+4이므로
f(1)=;3;+ =3, f(-1)=-;3;+ =1 f(1)=2-6+4=0 답①

∴ a=3, =2
따라서 f(x)=xÜ`+2이므로
0715 f(x)= (6xÛ`+ax-12) 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f(3)=27+2=29 답
분하면
f (x)=6xÛ`+ax-12
f(x+3h)- f(x-h)
0712 lim
h Ú0 h f(x)가 x=1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 f(x+3h)- f(x)}-{ f(x-h)- f(x)} f (1)=0, f(1)=3
=lim
h Ú0 h f (1)=0에서 6+a-12=0 ∴ a=6
f(x+3h)- f(x) f(x-h)- f(x) ∴ f (x)=6xÛ`+6x-12=6(x+2)(x-1)
=lim ´3+lim
h Ú0 3h h Ú0 -h
f (x)=0에서 x=-2 또는 x=1
=3 f (x)+ f (x)
=4 f (x) x … -2 … 1 …
즉, 4 f (x)=12xÛ`+8x-8에서 f (x) + 0 - 0 +

f (x)=3xÛ`+2x-2 f(x) ↗ 극대 ↘ 극소 ↗

∴ f(x)= (3xÛ`+2x-2) x=xÜ`+xÛ`-2x+ f(x)= (6xÛ`+6x-12) x=2xÜ`+3xÛ`-12x+


f(1)=3이므로 1+1-2+ =3 ∴ =3 이고 f(1)=3이므로
따라서 f(x)=xÜ`+xÛ`-2x+3이므로 2+3-12+ =3 ∴ =10
f(-1)=-1+1+2+3=5 답 따라서 f(x)=2xÜ`+3xÛ`-12x+10이므로 극댓값은
f(-2)=-16+12+24+10=30 답
f(x)- f(1) f(x)- f(1)
0713 lim
x Ú1 xÜ`-1
=lim
x Ú1 (x-1)(xÛ`+x+1)

f(x)- f(1) 1
=lim [ ´ ] 0716 { f(x)+g(x)}=2x+1에서
x Ú1 x-1 xÛ`+x+1 x

=;3!; f (1) `[ { f(x)+g(x)}] x= `(2x+1) x


x
07. 부정적분 091
∴ f(x)+g(x)=xÛ`+x+ 단계 채점요소 배점
f (x) 구하기 40 %
f(x) 구하기 40 %
{ f(x)g(x)}=3xÛ`-6x+2에서
x 방정식 f(x)=0의 모든 근의 곱 구하기 20 %

`[ { f(x)g(x)}] x= `(3xÛ`-6x+2) x
x
∴ f(x)g(x)=xÜ`-3xÛ`+2x+ 0718 f(x+y)= f(x)+ f(y)+3xy에 x=0, y=0을 대입
하면
f(0)= f(0)+ f(0)+0 ∴ f(0)=0
이때 f(0)=-3, g(0)=2이므로
f(0)+g(0)=-3+2= ∴ =-1
f(0+h)- f(0) f(h)
f(0)g(0)=(-3)´2= ∴ =-6 f (0)=lim =lim =3
h Ú0 h h Ú0 h
f(x+h)- f(x)
f (x)=lim
f(x)+g(x)=xÛ`+x-1=(x-3)+(xÛ`+2), h Ú0 h
f(x)g(x)=xÜ`-3xÛ`+2x-6=(x-3)(xÛ`+2)이므로 f(x)+ f(h)+3xh- f(x)
f (x)=lim
h Ú0 h
f(x)=x-3 f(x)=xÛ`+2
[ 또는 [ f(h)
g(x)=xÛ`+2 g(x)=x-3 f (x)=lim +3x=3x+3
h Ú0 h
그런데 f(0)=-3, g(0)=2이므로
f(x)=x-3, g(x)=xÛ`+2
∴ f(x)= `(3x+3) x=;2#;xÛ`+3x+

∴ f(1)+g(2)=(1-3)+(4+2)=4 이때 f(0)=0이므로 =0

따라서 f(x)=;2#;xÛ`+3x이므로

단계 채점요소 배점
f(2)=6+6=12
f(x)+g(x)를 적분상수 을 써서 나타내기 20 %
f(x)g(x)를 적분상수 를 써서 나타내기 20 %
적분상수 , 의 값 구하기 20 % 답
f(x), g(x) 구하기 20 %
단계 채점요소 배점
f(1)+g(2)의 값 구하기 20 %
f(0)의 값 구하기 30 %
f (x) 구하기 30 %
f(x) 구하기 30 %
f(2)의 값 구하기 10 %

0717 x f(x)- (x)=;3!;xÜ`+3xÛ`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


f (x)
0719 조건 ㈎에서 xlim x
=2이므로 f (x)는 일차항의
하면 Ú¦

f(x)+x f (x)- f(x)=xÛ`+6x 계수가 2인 일차식이다.


x f (x)=x(x+6) ∴ f (x)=x+6 즉, f (x)=2x+k (k는 상수)로 놓을 수 있다.
조건 ㈏에서 x Ú`3일 때 (분모) 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Ú`0이어야 한다. 즉, f(3)=0이므로
∴ f(x)= (x+6) x=;2!;xÛ`+6x+
f(x) f(x)- f(3)
lim =lim = f (3)=6+k
x Ú3 x-3 x Ú3 x-3
` f(1)=;2!;이므로 ;2!;+6+ =;2!; ∴ =-6
즉, 6+k=2이므로 k=-4
∴ f(x)=;2!;xÛ`+6x-6 ∴ f (x)=2x-4

f(x)= (2x-4) x=xÛ`-4x+


따라서 방정식 f(x)=0, 즉 ;2!;xÛ`+6x-6=0의 모든 근의 곱은
이때 f(3)=0이므로 9-12+ =0 ∴ =3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2이다. ∴ f(x)=xÛ`-4x+3=(x-1)(x-3)
따라서 방정식 f(x)=0, 즉 (x-1)(x-3)=0의 해는
답- x=1 또는 x=3 답 = 또는 =

092 정답과 풀이
0720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에 대하여 방정식
Ⅲ. 적분
f(x)=0의 해가 x=0 또는 x=a (중근)이므로
f(x)=x(x-a)Û`
조건 ㈎에서 g (x)= f(x)+x f (x)={x f(x)} 이므로
08 정적분
g (x)= `g (x) x= {x f(x)} x

g(x)=x f(x)+ =xÛ`(x-a)Û`+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본문 111쪽

∴ g (x)=2x(x-a)Û`+2xÛ (x-a)
=2x(x-a){(x-a)+x} 0722 2x  x=[xÛ`] =1 답

=2x(x-a)(2x-a)
a
g (x)=0에서 x=0 또는 x= 또는 x=a 0723 (2y-1) y=[yÛ`-y]
2
=(9-3)-(1-1)=6 답
x … 0 … ;2; … a …

g (x) - 0 + 0 - 0 +
0724 (xÛ`-2x+6) x=[;3!;xÜ`-xÛ`+6x]
g(x) ↘ 극소 ↗ 극대 ↘ 극소 ↗

a ={;3;-4+12}-{;3!;-1+6}
따라서 함수 g(x)는 x=0, x=a에서 극솟값을 갖고, x= 에
2
서 극댓값을 갖는다. =;;Á3;; 답 ;;Á3;;

조건 ㈏에서 g(x)의 극댓값이 81이고 극솟값이 0이므로


g(0)=g(a)= =0
0725 (x-1)(x-2) x= (xÛ`-3x+2) x
a a a a4
g { }={ } { -a} + = =81
2 2 2 16 =[;3!;xÜ`-;2#;xÛ`+2x]
aÝ`=6Ý` ∴ a=6 (∵ a>0)
따라서 g(x)=xÛ`(x-6)Û`이므로 ={;3;-6+4}-{;3!;-;2#;+2}
a
g { }=g(2)=4´16=64 답⑤ =-;6!; 답 -;6!;
3

0721 ㄱ. [반례] f(x)=x+1, g(x)=x-1이면 0726 (xÜ`-xÛ`+4) x=0 답

f (x)=g (x)=1이므로 f (x)=g (x)이지만
f(x)+g(x)이다.
0727 `(xÜ`+3xÛ` )  x=-  (xÜ`+3xÛ` )  x
ㄴ. 주어진 식의 우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4!;xÝ`+xÜ`]
 [{ f(x)}Û`+ ]=2 f(x) f (x)
x
  =-[{;4!;+1}-(4-8)]
∴ f (x) f(x) x+{ f(x)}Û`+

ㄷ. 주어진 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ª4Á;; 답 -;;ª4Á;;

g(x) x+ xg (x) x= { g(x)+xg (x)} x

주어진 식의 우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728 (3xÛ`-x+1) x

 {xg(x)+ }=g(x)+xg (x) =- (3xÛ`-x+1) x=-[xÜ`-;2!;xÛ`+x]


x
∴ g(x) x+ xg (x) x=xg(x)+ =-[{27-;2;+3}-{1-;2!;+1}]=-24 답-

따라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답ㄷ

0729 (xÛ`-1) x+ (xÛ`+1) x

= (xÛ`-1+xÛ`+1) x= 2xÛ` x

=[;3@;xÜ`] =;;Á3;; 답 ;;Á3;;

08. 정적분 093


 (3xÛ`+x-2) x-  (x+3) x 0740 (x)=xÛ`-2x-1이라 하면
0730
1 (h)- (0)
lim   `(xÛ`-2x-1) x=lim
=  (3xÛ`+x-2-x-3) x=  (3xÛ`-5) x h Ú0 h h Ú0 h
= (0)=-1 답-
=[xÜ`-5x] =12-4=8 답
0741 (t)=2tÛ`+3이라 하면
1 (x)- (1)
0731  (x+1)Ü` x-  (x-1)Ü` x lim   `(2tÛ`+3) t=lim
x Ú1 x-1 x Ú1 x-1
= (1)=5 답
=  (xÜ`+3xÛ`+3x+1) x-  (xÜ`-3xÛ`+3x-1) x

=  (xÜ`+3xÛ`+3x+1-xÜ`+3xÛ`-3x+1) x

=  (6xÛ`+2) x=[2xÜ`+2x] =4-(-20)=24 답

0732  (xÛ`+1) x+ (xÛ`+1) x 유형 익 히 기 / /


본문 112~118쪽

=  (xÛ`+1) x=[;3!;xÜ`+x] =;;Á3;;-{-;3;}=6 답


0742  (6t+5)(1-2t) t+ (6t-5)(1+2t) t

0733  (2xÛ`-x+1) x+ `(2xÛ`-x+1) x =  (6t+5)(1-2t) t+0=  (-12tÛ`-4t+5) t

= `(2xÛ`-x+1) x=0 답 =[-4tÜ`-2tÛ`+5t] =-27 답①

-1
0734 (xÛ`-4x+5) x+  (yÛ`-4y+5) y 0743 xÛ` f(x) x= xÛ`(5xÛ`-8x+3) x
-2
-1
= (xÛ`-4x+5) x+  (xÛ`-4x+5) x = (5xÝ`-8xÜ`+3xÛ` )  x
-2

=  (xÛ`-4x+5) x=[;3!;xÜ`-2xÛ`+5x] =[x`-2xÝ`+xÜ`] =8 답

=;;Á3;;-{-;;3ª;;}=24 답
0744  { f (x)+3xÛ` }  x=[ f(x)+xÜ`]

={ f(1)+1}-{ f(-2)-8}
0735 (xÜ`-3xÛ` )  x+ `(3xÛ`-xÜ` )  x
= f(1)+4 (∵ f(-2)=5)
= (xÜ`-3xÛ` )  x+ (xÜ`-3xÛ` )  x 즉, f(1)+4=2이므로 f(1)=-2 답-

= (xÜ`-3xÛ` )  x=[;4!;xÝ`-xÜ`] =-4 답-


0745 (-6xÛ`+6kx-5) x=[-2xÜ`+3kxÛ`-5x]

=12k-26
0736  (x`-xÜ`+3xÛ`+5x+1) x 즉, 12k-26<10이므로 k<3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답
=2 (3xÛ`+1) x=2[xÜ`+x] =2´2=4 답

0746 (3xÛ`+2x-2) x=[xÜ`+xÛ`-2x]


0737 (x`-4xÜ`+3xÛ`-1) x
=aÜ`+aÛ`-2a
=2 (3xÛ`-1) x=2[xÜ`-x] =2´6=12 답 즉, aÜ`+aÛ`-2a=0이므로
a(a+2)(a-1)=0 ∴ a=1 (∵ a>0) 답

0738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747 (6aÛ`xÛ`-8ax-3) x=[2aÛ`xÜ`-4axÛ`-3x]
f(x)=2x-2 답 = -
=2aÛ`-4a-3
0739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a-1)Û`-5
f(x)=3xÛ`+2x-1 답 = ` -

094 정답과 풀이
따라서 주어진 정적분은 a=1일 때 최솟값 -5를 가지므로 0752 f(x) x=-2에서 f(x) x=2
m=1, n=-5
∴ { f(x)-2}Û` x

∴ m+n=1+(-5)=-4 = [{ f(x)}Û`-4 f(x)+4] x

= { f(x)}Û` x-4 f(x) x+ 4  x


답-

단계 채점요소 배점
=6-4´2+8=6 답

주어진 정적분을 간단히 나타내기 40 %


m, n의 값 구하기 40 % xÛ` xÛ` 1
0753     x-     x+    x
m+n의 값 구하기 20 % xÛ`+1 xÛ`+1 xÛ`+1
xÛ` xÛ` 1
=     x+     x+    x
xÛ`+1 xÛ`+1 xÛ`+1
0748 함수 f(x)=axÛ`+bx+c의 그래프가 두 점 (-1, 1), xÛ` 1
=     x+    x
(1, 1)을 지나므로 xÛ`+1 xÛ`+1
xÛ`+1
f(-1)=a-b+c=1 yy ㉠ =     x= x=[x] =2 답
xÛ`+1
f(1)=a+b+c=1 yy ㉡
㉠-㉡을 하면 -2b=0 ∴ b=0
b=0을 ㉠에 대입하면 a+c=1 ∴ c=1-a 0754 (2xÜ`+6xÛ`-2) x+ (2yÜ`+6yÛ`-2) y
따라서 f(x)=axÛ`+1-a이므로
= (2xÜ`+6xÛ`-2) x+ (2xÜ`+6xÛ`-2) x
f(x) x= (axÛ`+1-a) x
= (2xÜ`+6xÛ`-2) x
=[;3;xÜ`+(1-a)x]
=[;2!;xÝ`+2xÜ`-2x] =;;2;; 답 ;;2;;
=-;3@;a+1

즉, -;3@;a+1=-1이므로 a=3 답④
0755 f(x) x- f(x) x+ f(x) x

= f(x) x+ f(x) x+ f(x) x


1 yÜ`
0749     x-    y
x+1 y+1
= f(x) x+ f(x) x= f(x) x
1 xÜ` xÜ`+1
=     x+     x=    x
x+1 x+1 x+1
= (xÛ`-2x) x=[;3!;xÜ`-xÛ`] =;3@; 답 ;3@;
(x+1)(xÛ`-x+1)
=     x= (xÛ`-x+1) x
x+1
=[;3!;xÜ`-;2!;xÛ`+x] =;6; 답 ;6%;
0756  f(x) x=  f(x) x+ f(x) x

=  f(x) x+ f(x) x+ f(x) x


0750 A+B= (3x+1)Û` x+ (3y-1)Û` y
=  f(x) x- f(x) x+ f(x) x
= (3x+1)Û` x- (3x-1)Û` x
=2-8+4=-2 답-
= {(9xÛ`+6x+1)-(9xÛ`-6x+1)} x

= 12x  x=[6xÛ`] =6 답
0757 f(x) x= f(x) x+ f(x) x

= x` x+ (x-2)Û` x
0751 (x+k)Û` x- (x-k)Û` x
= x` x+ (xÛ`-4x+4) x
= {(xÛ`+2kx+kÛ`)-(xÛ`-2kx+kÛ`)} x
=[;2!;xÛ`] +[;3!;xÜ`-2xÛ`+4x]
= 4kx  x=[2kxÛ`] =8k
=;2!;+;3!;=;6; 답 ;6%;
즉, 8k=16이므로 k=2 답④

08. 정적분 095


12  (x¾0) aÜ`
0758 f(x)=[ 즉, -aÛ`+;3;=8이므로
3x+12 (xÉ0) 3
aÜ`-3aÛ`-16=0, (a-4)(aÛ`+a+4)=0
∴  x f(x) x=  (3xÛ`+12x) x+ 12x  x
∴ a=4 (∵ a는 실수) 답②

=[xÜ`+6xÛ`] +[6xÛ`]

=-32+96=64 답 0763 f(x)=|x-3|, g(x)=xÛ`+2에서


( f` `g)(x)= f(g(x))= f(xÛ`+2)
=|(xÛ`+2)-3|=|xÛ`-1|
0759 |xÛ`-1| x-2 |1-xÛ`| x
xÛ`-1 (xÉ-1 또는 x¾1)
=[
= |xÛ`-1| x+2 |xÛ`-1| x  -xÛ`+1 (-1ÉxÉ1)
-1
∴ ( f` `g)(x) x= (xÛ`-1) x+  (-xÛ`+1) x
=3 |xÛ`-1| x -2

xÛ`-1 (xÉ-1 또는 x¾1) =[;3!;xÜ`-x] +[-;3!;xÜ`+x]


한편, |xÛ`-1|=[ 이므로
 -xÛ`+1 (-1ÉxÉ1)
=;3;+;3;=;3; 답 ;3;
|xÛ`-1| x= (-xÛ`+1) x+ (xÛ`-1) x

=[-;3!;xÜ`+x] +[;3!;xÜ`-x] 0764 함수 y= 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3@;+;3;=2

∴ (주어진 식)=3 |xÛ`-1| x=3´2=6 답 함수 f(x)는 x=0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a= f(0)=4
xÛ`+x-2 (xÉ-2 또는 x¾1)
0760 |xÛ`+x-2|=[  -xÛ`-x+2 (-2ÉxÉ1)
∴ f(x) x= (x+2+x+x-2) x= 3x` x
∴ |xÛ`+x-2| x
=[;2#;xÛ`] =18
= (-xÛ`-x+2) x+ (xÛ`+x-2) x

=[-;3!;xÜ`-;2!;xÛ`+2x] +[;3!;xÜ`+;2!;xÛ`-2x] 답

단계 채점요소 배점
=;6;+;;Á6Á;;=3 답
함수 y= f(x)의 그래프 그리기 40 %
a의 값 구하기 20 %
x   (x¾0)
0761 |x|=[ 정적분의 값 구하기 40 %
-x (xÉ0)

∴  (|x|-2k) x=  (-x-2k) x+ (x-2k) x

1 1 0765  (5xÝ`-xÜ`+3x+1) x+ (5xÝ`-xÜ`+3x+1) x


=[- xÛ`-2kx] +[ xÛ`-2kx]
2 2
=  (5xÝ`-xÜ`+3x+1) x=2 (5xÝ`+1) x
=(2-4k)+{;2;-6k}=-10k+;;Á2;;
=2[x`+x] =2´34=68 답①
즉, -10k+;;Á2;;=-;2;이므로 k=1 답①

x-2 (x¾2) 0766  (2xÜ`-3x+4) x=2 4  x=2[4x] =8a


0762 |x-2|=[
-x+2 (xÉ2)
즉, 8a=16이므로 a=2 답
∴ x|x-2| x= x(-x+2) x+ x(x-2) x

= (-xÛ`+2x) x+ (xÛ`-2x) x 0767  x f(x) x=  (axÛ`+bx) x=2 axÛ` x

=[-;3!;xÜ`+xÛ`] +[;3!;xÜ`-xÛ`] =2[;3;xÜ`] =;3@;a

aÜ` aÜ`
=;3;+{ -aÛ`+;3;}= -aÛ`+;3; 즉, ;3@;a=1이므로 a=;2#;
3 3
096 정답과 풀이
 xÛ` f(x) x=  (axÜ`+bxÛ` )  x=2 bxÛ` x 따라서 f(x)=3xÛ`+2x-12이므로
f(2)=12+4-12=4 답⑤
=2[;3B;xÜ`] =;3@;b

0773 t f (t) t=k (k는 상수) yy ㉠


즉, ;3@;b=-1이므로 b=-;2#;
로 놓으면 f(x)=4x+k
∴ a+2b=;2#;+(-3)=-;2#; 답 -;2#;
∴ f (x)=4
이것을 ㉠에 대입하면

0768  (1+2x+3xÛ`+ y +2nx2n-1) x 4t  t=k, [2tÛ`] =k ∴ k=18

=2 {1+3xÛ`+5xÝ`+ y +(2n-1)x2n-2} x 따라서 f(x)=4x+18이므로


f(-3)=-12+18=6 답②
=2[x+xÜ`+x`+ y +x2n-1]

=2(1+1+1+ y +1)=2n 0774 f(t) t=k`(k는 상수) yy ㉠


(

n개
즉, 2n=100이므로 n=50 답 로 놓으면 f(x)=;;Á7ª;;xÛ`-2kx+kÛ`

이것을 ㉠에 대입하면
0769 f(-x)=- f(x)에서 f(x)는 기함수이므로 xÛ` f(x)  {;;Á7ª;;tÛ`-2kt+kÛ`} t=k [;7;tÜ`-ktÛ`+kÛ`t] =k
는 기함수, x f(x)는 우함수이다.
4-3k+kÛ`=k, kÛ`-4k+4=0
∴  (5xÛ`+2x+1) f(x) x (k-2)Û`=0 ∴ k=2

=5  xÛ` f(x) x+2  x f(x) x+  f(x) x ∴ 10 f(x) x=10k=20 답

=4 x f(x) x=4´2=8 답
0775 f(x)=3xÛ`+ (2x-1) f(t) t

=3xÛ`+2x  f(t) t- f(t) t


0770 f(-x)= f(x)에서 f(x)는 우함수이므로
 f(x) x=2 f(x) x=14 ∴ f(x) x=7 이때 f(t) t=k`(k는 상수) yy ㉠

로 놓으면 f(x)=3xÛ`+2kx-k
∴ f(x) x= f(x) x+ f(x) x
이것을 ㉠에 대입하면
=- f(x) x+ f(x) x (3tÛ`+2kt-k) t=k, [tÜ`+ktÛ`-kt] =k
=-5+7=2 답 1+k-k=k ∴ k=1

∴ f(x) x=k=1 답
0771 f(x)는 기함수, g(x)는 우함수이므로
f(-x)g(-x)=- f(x)g(x)
즉, f(x)g(x)는 기함수이다. 0776 a=- f(t) t, b=2 f(t) t이므로

∴  { f(x)+g(x)} x+  f(x)g(x) x a=- (tÛ`+at+b) t=-[;3!;tÜ`+;2;tÛ`+bt]

= f(x) x+ g(x) x+ f(x)g(x) x =-{;3;+2a+2b}=-;3;-2a-2b

=2 g(x) x=2´5=10 답 ∴ 3a+2b=-;3; yy ㉠

b=2 (tÛ`+at+b) t=2[;3!;tÜ`+;2;tÛ`+bt]


0772 f(t) t=k (k는 상수) yy ㉠
=2{;3!;+;2;+b}=;3@;+a+2b
로 놓으면 f(x)=3xÛ`+2x+k
이것을 ㉠에 대입하면 ∴ a+b=-;3@; yy ㉡

(3tÛ`+2t+k) t=k, [tÜ`+tÛ`+kt] =k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3@;


12+2k=k ∴ k=-12 ∴ a-b=-2 답-

08. 정적분 097


0777 f(t) t=xÛ`-ax-3 yy ㉠ 이때 f(x)= (24xÛ`-12x+24) x=8xÜ`-6xÛ`+24x+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이므로


9-3a-3=0 ∴ a=2 f(1)=8-6+24+ =14 ∴ =-1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f(x)=8xÜ`-6xÛ`+24x-12이므로
f(x)=2x-2 f(2)=64-24+48-12=76 답
∴ f(4)=8-2=6 답①
0782 (x-t) f(t) t=xÜ`-2xÛ`-3x-4에서
0778 f(x)= (2t-3)(tÛ`+1) 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x f(t) t- t f(t) t=xÜ`-2xÛ`-3x-4
미분하면
위의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2x-3)(xÛ`+1)
f(1+2h)- f(1) f(1+2h)- f(1) f(t) t+x f(x)-x f(x)=3xÛ`-4x-3
∴ lim =lim ´2
h Ú0 h h Ú0 2h
∴ f(t) t=3xÛ`-4x-3
=2 f (1)=2´(-2)=-4
답- 위의 등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6x-4

0779 f(t) t=xÛ`-2x-8 yy ㉠ ∴ f(2)=12-4=8 답④

㉠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0783 (x-t) f(t) t=-2xÜ`+4ax+b의 양변에 x=2를
aÛ`-2a-8=0, (a-4)(a+2)=0 ∴ a=4 (∵ a>0)
대입하면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6+8a+b=0 ∴ 8a+b=16 yy ㉠
f(x)=2x-2 (x-t) f(t) t=-2xÜ`+4ax+b에서
∴ f(a)= f(4)=8-2=6
x f(t) t- t f(t) t=-2xÜ`+4ax+b

∴ a+ f(a)=4+6=10 위의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t) t+x f(x)-x f(x)=-6xÛ`+4a



∴ f(t) t=-6xÛ`+4a
단계 채점요소 배점
a의 값 구하기 50 % 위의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a)의 값 구하기 40 % -24+4a=0 ∴ a=6
a+ f(a)의 값 구하기 10 % ㉠에 a=6을 대입하면 48+b=16 ∴ b=-32
∴ a-b=6-(-32)=38 답
x+2
0780 f(x)= (tÜ`-t) 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0784 (x-t) f (t) t=;3@;xÜ`에서
f (x)={(x+2)Ü`-(x+2)}-(xÜ`-x)=6xÛ`+12x+6
x f (t) t- t f (t) t=;3@;xÜ`
이때 f(x)= (6xÛ`+12x+6) x=2xÜ`+6xÛ`+6x+ 이므로

f(-1)=-2+6-6+ =0 ∴ =2 위의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f(x)=2xÜ`+6xÛ`+6x+2이므로 f (t) t+x f (x)-x f (x)=2xÛ`


f(1)=2+6+6+2=16 답④
∴ f (t) t=2xÛ`

yy ㉠ 위의 등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781 x f(x)=6xÝ`-4xÜ`+12xÛ`+ f(t) t
f (x)=4x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6-4+12=14 이때 f(x)= 4x  x=2xÛ`+ 이므로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0)= =2


f(x)+x f (x)=24xÜ`-12xÛ`+24x+ f(x) 따라서 f(x)=2xÛ`+2이므로
x f (x)=24xÜ`-12xÛ`+24x ∴ f (x)=24xÛ`-12x+24 f(1)=2+2=4 답

098 정답과 풀이
0785 (x)= f(x)로 놓으면 0791 조건 ㈏에서 양변을 h로 나누면
1 (x)- (2) g(x+h)-g(x) 1 x+h
lim f(t) t=lim = (2)= f(2) = f(t) t
x Ú2 x-2 x Ú2 x-2 h h x
=8-8+3=3 답③ g(x+h)-g(x) 1 x+h
lim =lim f(t) t
h Ú0 h h Ú0 h x

(x)= f(x)로 놓으면


0786 f(x)=xÜ`-xÛ`+2, (x)= f(x)로 놓으면 g(x+h)-g(x) (x+h)- (x)
lim =lim
1 1+2h h Ú0 h h Ú0 h
lim (xÜ`-xÛ`+2) x
h Ú0 h 1 ∴ g (x)= (x)= f(x)=3xÛ`-2x+1
1 1+2h (1+2h)- (1)
=lim f(x) x=lim
h Ú0 h 1 h Ú0 h
(1+2h)- (1) 이때 g(x)= (3xÛ`-2x+1) x=xÜ`-xÛ`+x+ 이므로
=lim ´2=2 (1)=2 f(1)
h Ú0 2h
g(0)= =2
=2(1-1+2)=4 답④
∴ g(x)=xÜ`-xÛ`+x+2

0787 (x)= f(x)로 놓으면 ∴ g (2)+g(2)=9+8=17


1 (x)- (1)
lim f(t) t=lim = (1)= f(1)
x Ú1 x-1 x Ú1 x-1

=6+a
단계 채점요소 배점
즉, 6+a=2이므로 a=-4 답-
g (x) 구하기 40 %
g(x) 구하기 40 %
0788 (x)= f(x)로 놓으면 g (2)+g(2)의 값 구하기 20 %
1 (x)- (2)
lim f(t) t=lim
x Ú2 xÛ`-4 x Ú2 xÛ`-4
(x)- (2) 1
=lim ´
x Ú2 x-2 x+2

=;4!; (2)=;4!; f(2)

=;4!;(8-8+12)=3 답
유형 본문 119~120쪽

0789 (x)= f(x)로 놓으면 0792 f(x+3)= f(x)이므로


1 xÜ` (xÜ` )- (1)  f(x) x= f(x) x= f(x) x= f(x) x=3
lim f(t) t=lim
x Ú1 x-1 1 x Ú1 x-1
11
(xÜ` )- (1) ∴ f(x) x
=lim ´(xÛ`+x+1)
x Ú1 x`-1 -1

=3 (1)=3 f(1) =  f(x) x+ f(x) x+ f(x) x+ f(x) x


=3(1+2-3+1)=3 답
=4 f(x) x=4´3=12 답

0790 (x)= f(x)로 놓으면


1 2+h 0793 f(x+2)= f(x)이므로
lim f(x) x
h Ú0 h 2-3h
f(x) x= f(x) x= y =  f(x) x=10
(2+h)- (2-3h)
=lim 또, f(-x)= f(x)에서 f(x)는 우함수이므로
h Ú0 h
{ (2+h)- (2)}-{ (2-3h)- (2)} 10
f(x) x
=lim
h Ú0 h -10

(2+h)- (2) (2-3h)- (2) =2 f(x) x


=lim -lim ´(-3)
h Ú0 h h Ú0 -3h
= (2)+3 (2)=4 (2) =2[ f(x) x+` f(x) x+ y + f(x) x]
=4 f(2)=40-8k
=2´5 f(x) x=2´5´10=100 답
즉, 40-8k=24이므로 k=2 답

08. 정적분 099


0794 f(x+1)= f(x)이므로 m= f(1)=  t(t-1) t=  (tÛ`-t) t
f(x) x=  f(x) x= f(x) x= f(x) x
=[;3!;tÜ`-;2!;tÛ`] =-;6!;-{-;6;}=;3@;
∴  f(x) x
∴ +m=;6;+;3@;=;2#; 답②
= f(x) x+  f(x) x+ f(x) x+ f(x) x
0798 주어진 그래프에서
=4 f(x) x=4 (-xÛ`+x) x
(x)=ax(x-2)=axÛ`-2ax (a>0)
=4 [-;3!;xÜ`+;2!;xÛ`] =4´;6!;=;3@; 답 ;3@; 로 놓을 수 있다.

(x)= f(t) 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f(x) ∴ f(x)=2ax-2a


0795 f(x)=  (3tÛ`+at+b) 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y= f(x)의 그래프가 점 (2, 4)를 지나므로
분하면 f (x)=3xÛ`+ax+b f(2)=4a-2a=4 ∴ a=2
함수 f(x)가 x=5에서 극솟값 -32를 가지므로 따라서 f(x)=4x-4이므로
f (5)=0, f(5)=-32 f(3)=12-4=8 답④

f (5)=0에서 75+5a+b=0
0799 주어진 그래프에서 f(x)=a(x+1)(x-3)`(a<0)으
∴ 5a+b=-75 yy ㉠
로 놓으면 f(0)=3이므로
f(5)=-32에서
-3a=3 ∴ a=-1
 (3tÛ`+at+b) t=[tÜ`+;2;tÛ`+bt]
∴ f(x)=-(x+1)(x-3)=-xÛ`+2x+3

=125+;;ª2;;a+5b-{-27+;2;a-3b} (x)=  f(t) 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52+8a+8b=-32 (x)= f(x)=-(x+1)(x-3)


∴ a+b=-23 yy ㉡ (x)=0에서 x=-1 또는 x=3
㉠, ㉡을 연립하여 풀면 a=-13, b=-10 x … -1 … 3 …
∴ ab=130 답③ (x) - 0 + 0 -
(x) ↘ 극소 ↗ 극대 ↘

x+a
t(t-2) 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함수 (x)는 x=3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0796 f(x)= x

f (x)=(x+a)(x+a-2)-x(x-2) (x)=  f(t) t=  (-tÛ`+2t+3) t

=2ax+aÛ`-2a =[-;3!;tÜ`+tÛ`+3t] =-;3!;xÜ`+xÛ`+3x+;3;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이므로 (x)의 극댓값은
f (-1)=0에서 aÛ`-4a=0, a(a-4)=0
∴ a=4 (∵ a>0) 답④ (3)=-9+9+9+;3;=;;3ª;; 답 ;;3ª;;

0800 f(x)= (t-a)(t-2) 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


0797 f(x)=  t(t-1) 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하면 f (x)=(x-a)(x-2)
f (x)=x(x-1) f (x)=0에서 x=a 또는 x=2
f (x)=0에서 x=0 또는 x=1 즉, 함수 f(x)는 x=a에서 극대, x=2에서 극소이다.
x … 0 … 1 …
f (x) + 0 - 0 + 함수 f(x)가 x=2에서 극솟값 ;3@;를 가지므로
f(x) ↗ 극대 ↘ 극소 ↗
f(2)= (t-a)(t-2) t= {tÛ`-(a+2)t+2a} t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대, x=1에서 극소이므로
a+2
=[;3!;tÜ`- tÛ`+2at] =2a-;3;=;3@;
= f(0)=  t(t-1) t=  (tÛ`-t) t 2
∴ a=1
=[;3!;tÜ`-;2!;tÛ`] =;6;

100 정답과 풀이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g(x)=:
x+1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f(1)=:)1 (t-1)(t-2)dt=:)1 (tÛ`-3t+2)dt g '(x)= f(x+1)- f(x)

=[;3!;tÜ`-;2#;tÛ`+2t]1)=;6%; =ax(x-3)-a(x-1)(x-4)
=2a(x-2)
g '(x)=0에서 x=2
답 ;6%;
x … 2 …
단계 채점요소 배점 g '(x) - 0 +
극댓값을 갖는 x의 값 구하기 30 % g(x) ↘ 극소 ↗
a의 값 구하기 40 %
따라서 함수 g(x)는 x=2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g(x)의
극댓값 구하기 30 %
최솟값은 g(2)이다. 답②

x+1
0801 f(x)=:x (tÜ`-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1)Ü`-(x+1)}-(xÜ`-x)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121~123쪽
=3x(x+1)
f '(x)=0에서 x=-1 또는 x=0
0804 :)1 (axÛ`+1)dx=[;3A;xÜ`+x]1)=;3A;+1
x -1 … 0 … 1
f '(x) 0 - 0 + 즉, ;3A;+1=4이므로 a=9 답②

f(x) ↘ 극소 ↗

f(-1)=:_0! (tÜ`-t)dt=[;4!;tÝ`-;2!;tÛ`]0_!=;4!;
0805 :)2 (4x+2)dx-:K2 (4t+2)dt

=:)2 (4x+2)dx-:K2 (4x+2)dx


f(0)=:)1 (tÜ`-t)dt=[;4!;tÝ`-;2!;tÛ`]1)=-;4!;
=:)2 (4x+2)dx+:@k (4x+2)dx
f(1)=:!2 (tÜ`-t)dt=[;4!;tÝ`-;2!;tÛ`]2!=;4(;
=:)k (4x+2)dx=[2xÛ`+2x]k)=2kÛ`+2k
따라서 -1ÉxÉ1에서 함수 f(x)의 최댓값 M=;4(;, 최솟값
즉, 2kÛ`+2k=84이므로
m=-;4!;이므로 kÛ`+k-42=0, (k+7)(k-6)=0
∴ k=6 (∵ k>0) 답6
M+m=;4(;+{-;4!;}=2 답2

0806 :_2@ f(x)dx=:_0@ f(x)dx+:)2 f(x)dx이므로

0802 :)/ (x-t) f(t)dt=;4#;xÝ`-xÛ`에서 :_2@ f(x)dx=:_0@ f(x)dx에서 :)2 f(x)dx=0

x:)/ f(t)dt-:)/ t f(t)dt=;4#;xÝ`-xÛ` ∴ :_2@ f(x)dx=:_0@ f(x)dx=:)2 f(x)dx=0

위의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한편, f(0)=1이므로


f(x)=axÛ`+bx+1`(a, b는 상수, a+0)이라 하면
:)/ f(t)dt+x f(x)-x f(x)=3xÜ`-2x
:)2 f(x)dx=:)2 (axÛ`+bx+1)dx=[;3A;xÜ`+;2ºB;xÛ`+x]2)
∴ :)/ f(t)dt=3xÜ`-2x
=;3*;a+2b+2
위의 등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9xÛ`-2 :_0@ f(x)dx=:_0@ (axÛ`+bx+1)dx=[;3A;xÜ`+;2ºB;xÛ`+x]0_@
따라서 함수 f(x)는 x=0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답 -2
=;3*;a-2b+2

즉, ;3*;a+2b+2=0, ;3*;a-2b+2=0이므로 두 식을 연립하여


0803 주어진 그래프에서 f(x)=a(x-1)(x-4)`(a>0)로
놓을 수 있다. 풀면
08. 정적분 101
a=-;4#;, b=0 0811 f(x)=:)/ (2at+1)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f(x)=-;4#;xÛ`+1이므로 f '(x)=2ax+1


이때 f '(2)=17이므로 4a+1=17 ∴ a=4 답4
f(2)=-3+1=-2 답 -2

0812 :)/ (x-t) f(t)dt=2xÝ`-3xÛ`에서


0807 :_2@ f(x)dx=:_1@ xÛ`dx+:!2 (2x-xÛ` ) dx
x:)/ f(t)dt-:)/ t f(t)dt=2xÝ`-3xÛ`
=[;3!;xÜ`]1_@+[xÛ`-;3!;xÜ`]2!
위의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3+;3@;=;;Á3Á; 답 ;;Á3Á;; :)/ f(t)dt+x f(x)-x f(x)=8xÜ`-6x

∴ :)/ f(t)dt=8xÜ`-6x
0808 0<a<1이므로
위의 등식에 x=2를 대입하면
f(a)=:)1 (x+a)|x-a|dx
:)2 f(t)dt=64-12=52 ∴ :)2 f(x)dx=52 답 52
=:)a (aÛ`-xÛ`)dx+:A1 (xÛ`-aÛ`)dx

=[aÛ`x-;3!;xÜ`]a) + [;3!;xÜ`-aÛ`x]1A=;3$;aÜ`-aÛ`+;3!; 0813 F'(x)= f(x)로 놓으면 조건 ㈎에서


1 F(x)-F(2)
f '(a)=4aÛ`-2a=2a(2a-1) lim  :@/ f(t)dt=lim =F'(2)
x`Ú2 x-2 x`Ú2 x-2
f '(a)=0에서 a=;2!; (∵ 0<a<1) = f(2)=8a-b+4
즉, 8a-b+4=2이므로 8a-b=-2 yy ㉠
x (0) … ;2!; … (1) 조건 ㈏에서
f '(a) - 0 + :)1 f(x)dx=:)1 (xÛ`+4ax-b)dx
f(a) ↘ 극소 ↗
=[;3!;xÜ`+2axÛ`-bx]1)=2a-b+;3!;
따라서 함수 f(a)는 a=;2!;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즉, 2a-b+;3!;=1이므로 2a-b=;3@; yy ㉡
f {;2!;}=;6!;-;4!;+;3!;=;4!; 답②
㉠, ㉡을 연립하여 풀면 a=-;9$;, b=-;;Á9¢;;

0809 f(3+x)= f(3-x)에서 함수 f(x)의 그래프는 직선 ∴ a-b=-;9$;-{-;;Á9¢;;}=;;Á9¼;; 답 ;;Á9¼;;

x=3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6 f(x)dx=2:#6 f(x)dx=2[ :#9 f(x)dx+:(6 f(x)dx] 0814 f(x)= f(x+2)이므로


:_1! f(x)dx=:!3 f(x)dx= y =:!1!3 f(x)dx
=2[ :#9 f(x)dx-:^9 f(x)dx]

=2(8-2)=12 답 12 ∴ :!1`3 f(x)dx

=:!3 f(x)dx+:#5 f(x)dx+ y +:!1!3 f(x)dx

0810 f(x)=xÛ`+:)1 (2x+1) f(t)dt =6:_1!` f(x)dx=6:_1! (-xÛ`+1)dx


=xÛ`+2x:)1 f(t)dt+:)1 f(t)dt
=6[-;3!;xÜ`+x]1_!=6´;3$;=8 답8

이때 :)1 f(t)dt=k (k는 상수) yy ㉠

로 놓으면 f(x)=xÛ`+2kx+k 0815 f(x)=:)/ (3tÛ`-6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이것을 ㉠에 대입하면
f '(x)=3xÛ`-6x=3x(x-2)
:)1 (tÛ`+2kt+k)dt=k, [;3!;tÜ`+ktÛ`+kt]1)=k f '(x)=0에서 x=0 또는 x=2

;3!;+2k=k ∴ k=-;3!; x … 0 … 2 …
f '(x) + 0 - 0 +
∴ :)1 f(x)dx=k=-;3!; 답② f(x) ↗ 극대 ↘ 극소 ↗

102 정답과 풀이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 (x-t) f '(t)dt=xÝ`-xÜ`-3xÛ`+5x-2에서
f(2)=:)2 (3tÛ`-6t)dt=[tÜ`-3tÛ`]2)=-4
x:!/ f '(t)dt-:!/ t f '(t)dt=xÝ`-xÜ`-3xÛ`+5x-2
즉, a=2, b=-4이므로 a+b=-2 답①
위의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 '(t)dt+x f '(x)-x f '(x)=4xÜ`-3xÛ`-6x+5


0816 -2<x<-1에서 f(x)는 증가하므로 f '(x)>0
-1<x<1에서 f(x)는 감소하므로 f '(x)<0 ∴ :!/ f '(t)dt=4xÜ`-3xÛ`-6x+5

∴ :_1@ | f '(x)|dx 위의 등식의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12xÛ`-6x-6
=:_-@ 1 f '(x)dx-:_1! f '(x)dx=[ f(x)]-_1@-[ f(x)]1_!`

={` f(-1)- f(-2)}-{` f(1)- f(-1)} ∴ f(x)=:`(12xÛ`-6x-6)dx=4xÜ`-3xÛ`-6x+C


=(4-1)-(1-4)=6 답②
이때 f '(x)=12xÛ`-6x-6=6(2x+1)(x-1)=0에서

x=-;2!; 또는 x=1

0817 :)1 (x-k)Û` f(x)dx x … -;2!; … 1 …

=:)1 (xÛ`-2kx+kÛ` )f(x)dx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1 xÛ` f(x)dx-2k:)1 x f(x)dx+kÛ`:)1 f(x)dx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댓값 M, x=1에서 극솟
=kÛ`-6k+:)1 xÛ` f(x)dx=(k-3)Û`-9+:)1 xÛ` f(x)dx
값 m을 가지므로
이때 정적분 :)1 xÛ` f(x)dx는 상수이므로 k=3일 때 주어진 정 M= f {-;2!;}=-;2!;-;4#;+3+C=;4&;+C

적분의 값이 최소가 된다. 답③ m= f(1)=4-3-6+C=-5+C

∴ M-m={;4&;+C}-(-5+C)=;;ª4¦;;
0818 조건 ㈎에서 f(-x)= f(x)이므로 f(x)는 우함수,
g(-x)=-g(x)이므로 g(x)는 기함수이다.
답 ;;ª4¦;;

∴ :_3# {2 f(x)-3g(x)}dx 단계 채점요소 배점


a의 값 구하기 20 %
=2:_3# f(x)dx-3:_3# g(x)dx
f '(x) 구하기 30 %
f(x)의 극댓값, 극솟값 구하기 40 %
=4:)3 f(x)dx
M-m의 값 구하기 10 %

=4´4=16

답 16

단계 채점요소 배점 0820 주어진 그래프에서


두 함수 f(x), g(x) 파악하기 40 % f(x)=a(x-2)(x-7)`(a<0)
우함수, 기함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적분 간단히 하기 40 % 로 놓을 수 있다.
정적분의 값 구하기 20 %
x+1
g(x)=: 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g '(x)= f(x+1)- f(x)


0819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x-1)(x-6)-a(x-2)(x-7)
0=1-1+a+5-2 ∴ a=-3 =2a(x-4)

08. 정적분 103


g '(x)=0에서 x=4 즉, ax+b=2x+aÛ`-4이므로
x … 4 … a=2, b=0
g '(x) + 0 - 따라서 f(x)=2x이므로
g(x) ↗ 극대 ↘ :@4 f(x)dx=:@4 2xdx=[xÛ`]4@=12 답 12

따라서 함수 g(x)는 x=4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k=4
0823 g(x)=:_/!(t-1) f(t)dt에서
Ú x<1일 때, f(x)=-1이므로
답4
g(x)=:_/!(1-t)dt=[t-;2!;tÛ`]/_!=-;2!;xÛ`+x+;2#;
단계 채점요소 배점
그래프를 이용하여 f(x)의 식 세우기 20 % Û x¾1일 때, f(x)=-x+2이므로
g '(x) 구하기 40 %
g(x)=:_1!(1-t)dt+:!/ (t-1)(-t+2)dt
k의 값 구하기 40 %
=[t-;2!;tÛ`]1_!+[-;3!;tÜ`+;2#;tÛ`-2t]/!

2   (|x|¾1) =-;3!;xÜ`+;2#;xÛ`-2x+;;Á6¦;;


0821 f(x)=[ 의 양변에 x 대신 2-x를 대입
|x| (|x|É1)
-;2!;xÛ`+x+;2#;  (x<1)
하면 Ú, Û에서 g(x)= [ -;3!;xÜ`+;2#;xÛ`-2x+;;Á6¦;; (x¾1)
2    (|2-x|¾1)
f(2-x)=[
|2-x| (|2-x|É1)
한편, g(x)=:_/!(t-1) f(t)dt의 양변을
이때 |2-x|=|x-2|이므로
|2-x|¾1에서 |x-2|¾1 ∴ xÉ1 또는 x¾3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É1에서 |x-2|É1 ∴ 1ÉxÉ3 g '(x)=(x-1) f(x)

2    (xÉ1 또는 x¾3) -(x-1)  (x<1)


즉, f(2-x)=[ 이므로 =[
|2-x| (1ÉxÉ3) (x-1)(-x+2) (x>1)
ㄱ. 1<x<2일 때,
:)2 xÛ` f(2-x)dx=:)1 xÛ` f(2-x)dx+:!2 xÛ` f(2-x)dx
g '(x)=-(x-1)(x-2)>0
=:)1 2xÛ`dx+:!2 xÛ`|2-x|dx 이므로 g(x)는 열린구간 (1, 2)에서 증가한다.
ㄴ. lim {-(x-1)}= lim (x-1)(-x+2)=0
x`Ú1- x`Ú1+
=:)1 2xÛ`dx+:!2 xÛ`(2-x)dx
즉, g '(1)=0이므로 g(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3@;xÜ`]1)+[;3@;xÜ`-;4!;xÝ`]2! ㄷ. y=g(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림과 같으므로 방정식 g(x)=k
=;3@;+{;3$;-;1°2;}=;1!2(;
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따라서 p=19, q=12이므로 하는 실수 k는 존재하지 않는다.
p+q=19+12=31 답 31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③
0822 f(x)의 차수를 2 이상의 자연수 n이라 하면 주어진 등
식의 좌변의 차수는 nÛ`, 우변의 차수는 n+1이므로
nÛ`=n+1 ∴ nÛ`-n-1=0
그런데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 2 이상의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
으므로 f(x)는 일차 이하의 다항식이다.
이때 f(x)=ax+b (a, b는 상수)로 놓으면
f( f(x))= f(ax+b)=a(ax+b)+b=aÛ`x+ab+b
이므로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면

aÛ`x+ab+b=-xÛ`+4x+:)/ f(t)dt

위의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aÛ`=-2x+4+ f(x) ∴ f(x)=2x+aÛ`-4

104 정답과 풀이
Ⅲ. 적분 0828 :_2! -(xÜ`-3xÛ`)dx=-[; ;xÝ`-xÜ`]2_!

09 정적분의 활용 =-{-4-; ;}= ª4Á 답 :ª4Á:

0829 곡선 y=xÛ`+2x-3과 x축의 교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본문 125쪽 점의 x좌표는 xÛ`+2x-3=0에서
(x+3)(x-1)=0
∴ x=-3 또는 x=1
0824 :)2 -(xÛ`-2x)dx=-[;3;xÜ`-xÛ`]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4}=;3; 답 ;3$;
-:)1 (xÛ`+2x-3)dx=-[;3;xÜ`+xÛ`-3x]1)

=;3; 답 ;3%;

0825 곡선 y=1-xÛ`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1-xÛ`=0에서 0830 곡선 y=;2;xÛ`-4와 x축의 교
(1+x)(1-x)=0
점의 x좌표는 ;2;xÛ`-4=0에서
∴ x=-1 또는 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xÛ`-8=0
(x+2 2`)(x-2 2`)=0
:_1!`(1-xÛ`)dx=[x-;3;xÜ`]1_!
∴ x=-2 2 또는 x=2 2
={1-;3;}-{-1+;3;}=;3; 답 ;3$;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2!`{;2;xÛ`-4}dx=-[; ;xÜ`-4x]2_!=-{- ¢6¼ - ª6£ }

0826 곡선 y=xÜ`-x와 x축의 교점 = ª2Á 답 :ª2Á:


의 x좌표는 xÜ`-x=0에서
x(xÛ`-1)=0 0831 곡선 y=-xÛ`과 직선
x(x+1)(x-1)=0 y=x-2의 교점의 x좌표는
∴ x=-1 또는 x=0 또는 x=1 -xÛ`=x-2에서 xÛ`+x-2=0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x+2)(x-1)=0
:_1!`|xÜ`-x|dx=:_0!`(xÜ`-x)dx-:)1 (xÜ`-x)dx ∴ x=-2 또는 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xÝ`-;2;xÛ`]0_!-[; ;xÝ`-;2;xÛ`]1)
:_1@`{-xÛ`-(x-2)}dx=:_1@`(-xÛ`-x+2)dx
=; ;+; ;=;2; 답 ;2!;
=[-;3;xÜ`-;2;xÛ`+2x]1_@

=;2; 답 ;2(;
0827 곡선 y=xÜ`-xÛ`-2x와 x축
의 교점의 x좌표는 xÜ`-xÛ`-2x=0에
0832 곡선 y=xÛ`-3x와 직선
서 x(xÛ`-x-2)=0
y=x-3의 교점의 x좌표는
x(x+1)(x-2)=0
xÛ`-3x=x-3에서 xÛ`-4x+3=0
∴ x=-1 또는 x=0 또는 x=2
(x-1)(x-3)=0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x=1 또는 x=3
:_2!`|xÜ`-xÛ`-2x|d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0!`(xÜ`-xÛ`-2x)dx-:)2 (xÜ`-xÛ`-2x)dx :!3` {(x-3)-(xÛ`-3x)}dx=:!3` (-xÛ`+4x-3)dx

=[; ;xÝ`-;3;xÜ`-xÛ`]0_!-[; ;xÝ`-;3;xÜ`-xÛ`]2) =[-;3;xÜ`+2xÛ`-3x]3!

=; 2;+;3;=; 2; 답 ;1#2&; =;3; 답 ;3$;

09. 정적분의 활용 105


0833 곡선 y=xÜ`과 직선 y=x의 교
0838 :!4` |-tÛ`+4t-3|dt
점의 x좌표는 xÜ`=x에서
xÜ`-x=0 =:!3 (-tÛ`+4t-3)dt
x(x+1)(x-1)=0
-:#4 (-tÛ`+4t-3)dt
∴ x=-1 또는 x=0 또는 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tÜ`+2tÛ`-3t]3!

:_0!`(xÜ`-x)dx+:)1 (x-xÜ`)dx -[-;3;tÜ`+2tÛ`-3t]4#

=[; ;xÝ`-;2;xÛ`]0_!+[;2;xÛ`-; ;xÝ`]1) =;3;-{-;3;}=;3; 답 ;3*;

=; ;+; ;=;2; 답 ;2!;

0834 두 곡선 y=xÛ`-5x+6, 유형 익 히 기 / /
본문 126~132 쪽
y=-xÛ`+3x의 교점의 x좌표는
xÛ`-5x+6=-xÛ`+3x에서 0839 곡선 y=xÛ`-6x와 x축의 교점의
xÛ`-4x+3=0 x좌표는 xÛ`-6x=0에서
(x-1)(x-3)=0 x(x-6)=0
∴ x=1 또는 x=3 ∴ x=0 또는 x=6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 {(-xÛ`+3x)-(xÛ`-5x+6)}dx :_0!`(xÛ`-6x)dx-:)1 (xÛ`-6x)dx

=:!3 (-2xÛ`+8x-6)dx =[;3;xÜ`-3xÛ`]0_!-[;3;xÜ`-3xÛ`]1)

=[-;3;xÜ`+4xÛ`-6x]3! = Á3¼ +;3;=6 답6

=0-{-;3;}=;3; 답 ;3*;
0840 곡선 y=-xÛ`+4x-3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0835 두 곡선 y=xÜ`-xÛ`과 y=xÛ`의 -xÛ`+4x-3=0에서
교점의 x좌표는 xÜ`-xÛ`=xÛ`에서 xÛ`-4x+3=0, (x-1)(x-3)=0
xÜ`-2xÛ`=0 ∴ x=1 또는 x=3
xÛ`(x-2)=0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x=0 또는 x=2 :!2 (-xÛ`+4x-3)dx=[-;3;xÜ`+2xÛ`-3x]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 답②
:)2` {xÛ`-(xÜ`-xÛ`)}dx=:)2 (-xÜ`+2xÛ`)dx

=[-; ;xÝ`+;3;xÜ`]2) 0841 곡선 y=xÜ`+xÛ`-2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3; 답 ;3$;
xÜ`+xÛ`-2x=0에서
x(xÛ`+x-2)=0
x(x+2)(x-1)=0
0836 :)2 (-tÛ`+4t-3)dt=[-;3;tÜ`+2tÛ`-3t]2) ∴ x=-2 또는 x=0 또는 x=1

=-;3; 답 -;3@;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0@`(xÜ`+xÛ`-2x)dx-:)1 (xÜ`+xÛ`-2x)dx

=[; ;xÝ`+;3;xÜ`-xÛ`]0_@-[; ;xÝ`+;3;xÜ`-xÛ`]1)


0837 :!4 (-tÛ`+4t-3)dt=[-;3;tÜ`+2tÛ`-3t]4!
=;3;+; 2;=; 2; 답③
=0 답0

106 정답과 풀이
0842 곡선 y=-xÛ`+ax와 x축의 0846 곡선 y=-xÛ`+6x와 직선
교점의 x좌표는 -xÛ`+ax=0에서 y=2x의 교점의 x좌표는
x(x-a)=0 ∴ x=0 또는 x=a -xÛ`+6x=2x에서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도형의 넓이는 xÛ`-4x=0, x(x-4)=0

:)a (-xÛ`+ax)dx ∴ x=0 또는 x=4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aÜ`
=[-;3;xÜ`+;2A;xÛ`]a)=
6 :)4` {(-xÛ`+6x)-2x}dx=:)4 (-xÛ`+4x)dx
aÜ`
따라서 =;;£3ª;;이므로
6 =[-;3;xÜ`+2xÛ`]4)
aÜ`=64 ∴ a=4 답②
= £3ª 답 :£3ª:

다른풀이 포물선 y=-xÛ`+6x와 직선 y=2x로 둘러싸인 도형


0843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도형의 넓
의 넓이는
이는
|-1|(4-0)Ü`
= £3ª
-:_0!`kxÜ`dx+:)2 kxÜ`dx 6
참고 포물선 y=axÛ`+bx+c와 직선 y=mx+n이 서로 다른 두 점
=-[; ;xÝ`]0_!+[; ;xÝ`]2) 에서 만날 때, 교점의 x좌표를 a, b(a<b)라 하면 포물선과 직선 사
이의 넓이 는
=; ;+4k= Á4¦ k
|a|(b-a)Ü`
⇨ =
따라서 Á4¦ k=17이므로 k=4 답④

0847 곡선 y=3x-xÛ`과 직선
0844 :!/ f(t)dt=;3;xÜ`-;2;xÛ`-;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 y=3-x의 교점의 x좌표는

분하면 3x-xÛ`=3-x에서

f(x)=2xÛ`-x xÛ`-4x+3=0, (x-1)(x-3)=0

곡선 y=f(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 x=1 또는 x=3

2xÛ`-x=0에서 x(2x-1)=0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x=0 또는 x=;2; :!3` {(3x-xÛ`)-(3-x)}dx=:!3 (-xÛ`+4x-3)d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xÜ`+2xÛ`-3x]3!=;3;


;2!; ;2!;
-:) (2xÛ`-x)dx=-[;3;xÜ`-;2;xÛ`]) ` 답②

=;2Á ; 답 ;2Á4;
0848 곡선 y=xÛ`-3x와
직선 y=ax의 교점의 x좌표는
0845 곡선 y=x(x-3)Û`과 직선 xÛ`-3x=ax에서
y=x의 교점의 x좌표는
x{x-(a+3)}=0
x(x-3)Û`=x에서
∴ x=0 또는 x=a+3
x(xÛ`-6x+8)=0
따라서 주어진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
x(x-2)(x-4)=0
인 도형의 넓이는
∴ x=0 또는 x=2 또는 x=4
:)a` `3``{ax-(xÛ`-3x)}dx=:)a` `3``{-xÛ`+(a+3)x}d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a+3
:)2` {x(x-3)Û`-x}dx+:@4` {x-x(x-3)Û`}dx =[-;3;xÜ`+ xÛ`]a) `3``
2

=:)2 (xÜ`-6xÛ`+8x)dx+:@4 (-xÜ`+6xÛ`-8x)dx =; ;(a+3)Ü`

(a+3)Ü`
=[; ;xÝ`-2xÜ`+4xÛ`]2)+[-; ;xÝ`+2xÜ`-4xÛ`]4@ 즉, =36이므로 (a+3)Ü`=6Ü`
6
=4+4=8 답④ a+3=6 ∴ a=3 답3

09. 정적분의 활용 107


0849 두 곡선 y=xÛ`-4x+5, xÜ`-3xÛ`=xÛ`-3x에서
y=-xÛ`+6x-3의 교점의 x좌표는 xÜ`-4xÛ`+3x=0
xÛ`-4x+5=-xÛ`+6x-3에서 x(xÛ`-4x+3)=0
2xÛ`-10x+8=0, xÛ`-5x+4=0 x(x-1)(x-3)=0
(x-1)(x-4)=0 ∴ x=0 또는 x=1 또는 x=3
∴ x=1 또는 x=4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1``{xÜ`-3xÛ`-(xÛ`-3x)}dx=:)1``(xÜ`-4xÛ`+3x)dx
:!4` {(-xÛ`+6x-3)-(xÛ`-4x+5)}dx
=[; ;xÝ`-;3;xÜ`+;2;xÛ`]1)=; 2;
=:!4 (-2xÛ`+10x-8)dx
=:!3``{xÛ`-3x-(xÜ`-3xÛ`)}dx=:!3``(-xÜ`+4xÛ`-3x)dx
=[-;3;xÜ`+5xÛ`-8x]4!=9 답①

=[-; ;xÝ`+;3;xÜ`-;2;xÛ`]3!=;3;
0850 두 곡선 y=xÜ`-4x, y=3xÛ`의
교점의 x좌표는 xÜ`-4x=3xÛ`에서 ∴ =;;Á9¼;;
xÜ`-3xÛ`-4x=0
x(xÛ`-3x-4)=0
답 ;;Á9¼;;
x(x+1)(x-4)=0
∴ x=-1 또는 x=0 또는 x=4 단계 채점요소 배점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 구하기 30 %
, 의 값 구하기 50 %
:_0! {(xÜ`-4x)-3xÛ`}dx+:)4` {3xÛ`-(xÜ`-4x)}dx
의 값 구하기 20 %
=:_0! (xÜ`-3xÛ`-4x)dx+:)4 (-xÜ`+3xÛ`+4x)dx
x(x-1) (x¾1)
0853 y=x|x-1|=
=[; ;xÝ`-xÜ`-2xÛ`]0_!+[-; ;xÝ`+xÜ`+2xÛ`]4) -x(x-1) (xÉ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131 131
=; ;+32= 답
4 4 :)1`{-x(x-1)}dx+:!2 x(x-1)dx

0851 곡선 y=xÛ`-1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1 (-xÛ`+x)dx+:!2 (xÛ`-x)dx


-y=xÛ`-1 ∴ y=-xÛ`+1
=[-;3;xÜ`+;2;xÛ`]1)+[;3;xÜ`-;2;xÛ`]2!
이 곡선을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
동하면 =; ;+; ;=1 답②
y=-(x-1)Û`+4
x(x-1) (xÉ0 또는 x¾1)
두 곡선 y=xÛ`-1, y=-(x-1)Û`+4의 0854 y=|x(x-1)|=
-x(x-1) (0ÉxÉ1)
교점의 x좌표는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xÛ`-1=-xÛ`+2x+3에서
:_0!`{2-(xÛ`-x)}dx
2xÛ`-2x-4=0, xÛ`-x-2=0
(x+1)(x-2)=0 +:)1` {2-(-xÛ`+x)}dx
∴ x=-1 또는 x=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 {2-(xÛ`-x)}dx

:_2! {(-xÛ`+2x+3)-(xÛ`-1)}dx =:_0!`(-xÛ`+x+2)dx+:)1 (xÛ`-x+2)dx

=:_2! (-2xÛ`+2x+4)dx +:!2 (-xÛ`+x+2)dx

=[-;3;xÜ`+xÛ`+4x]2_! =[-;3;xÜ`+;2;xÛ`+2x]0_!+[;3;xÜ`-;2;xÛ`+2x]1)

=9 답9
+[-;3;xÜ`+;2;xÛ`+2x]2!

=; ;+ Á6Á +; ;= ª6° 답④
0852 두 곡선 y=xÜ`-3xÛ`, y=xÛ`-3x의 교점의 x좌표는
108 정답과 풀이
xÛ`-ax (xÉ0 또는 x¾a) 0858 f(x)=x(x-1)(x-4)=xÜ`-5xÛ`+4x로 놓으면
0855 y=|xÛ`-ax|=
-xÛ`+ax (0ÉxÉa) f '(x)=3xÛ`-10x+4이므로 곡선 위의 점 (1, 0)에서의 접선의
곡선 y=|xÛ`-ax|와 직선 y=ax의 교점의 x좌표는 기울기는 3´1Û`-10´1+4=-3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Ú xÉ0 또는 x¾a일 때 y-0=-3(x-1)
xÛ`-ax=ax에서 xÛ`-2ax=0 ∴ y=-3x+3
x(x-2a)=0 ∴ x=0 또는 x=2a
Û 0ÉxÉa일 때 곡선 y=xÜ`-5xÛ`+4x와 직선
-xÛ`+ax=ax에서 xÛ`=0 ∴ x=0 y=-3x+3의 교점의 x좌표는
오른쪽 그림에서 곡선과 직선으로 둘 xÜ`-5xÛ`+4x=-3x+3에서
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xÜ`-5xÛ`+7x-3=0
:)a` {ax-(-xÛ`+ax)}dx (x-1)Û`(x-3)=0
∴ x=1 또는 x=3
+:A2`a` {ax-(xÛ`-ax)}dx

=:)a xÛ` dx+:A2`a` (-xÛ`+2ax)d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3` {(-3x+3)-(xÜ`-5xÛ`+4x)}dx
=[;3;xÜ`]a)+[-;3;xÜ`+axÛ`]2Aa`
=:!3 (-xÜ`+5xÛ`-7x+3)dx
=;3;aÜ`+;3;aÜ`=aÜ`
=[-; ;xÝ`+;3;xÜ`-;2;xÛ`+3x]3!
즉, aÜ`= ª ¦ 이므로 a=;2; 답③

=;3;
0856 f(x)=xÛ`+2로 놓으면
f '(x)=2x이므로 곡선 위의 점
답 ;3$;
(1,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1=2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단계 채점요소 배점
y-3=2(x-1)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30 %
∴ y=2x+1 곡선과 접선의 교점의 x좌표 구하기 30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넓이 구하기 40 %

:)1` {(xÛ`+2)-(2x+1)}dx
0859 f(x)=xÛ`으로 놓으면  f '(x)=2x이므로 곡선 위의 점
=:)1 (xÛ`-2x+1)dx=[;3;xÜ`-xÛ`+x]1)=;3; 답 ;3!;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1=2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1=2(x-1)
0857 f(x)=-xÜ`으로 놓으면 ∴ y=2x-1
f '(x)=-3xÛ`이므로 곡선 위의 점 곡선 y=axÛ`-1 (a>0)과 직선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y=2x-1의 교점의 x좌표는
-3´(-1)Û`=-3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axÛ`-1=2x-1에서
y-1=-3(x+1) axÛ`-2x=0, x(ax-2)=0
∴ y=-3x-2
∴ x=0 또는 x=; ;
곡선 y=-xÜ ` 과 직선 y=-3x-2의
따라서 주어진 접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교점의 x좌표는 -xÜ`=-3x-2에서
; ;  ; ;`
xÜ`-3x-2=0 :) {(2x-1)-(axÛ`-1)}dx=:) (2x-axÛ`)dx
(x+1)Û`(x-2)=0 ∴ x=-1 또는 x=2 ; ;`

따라서 넓이 는 =[xÛ`-;3A;xÜ`])

=:_2!{-xÜ`-(-3x-2)}dx=:_2!`(-xÜ`+3x+2)dx 4 8 4
= - =
aÛ` 3aÛ` 3aÛ`
=[-; ;xÝ`+;2;xÛ`+2x]2_!= ª4¦ 4
즉, =;3;이므로 aÛ`=1
3aÛ`
∴ 4 =4´ ª4¦ =27 답③ ∴ a=1 (∵ a>0) 답1

09. 정적분의 활용 109


0860 f(x)=xÛ`으로 놓으면 f '(x)=2x 오른쪽 그림에서 = 이므로
접점의 좌표를 (t, tÛ`)이라 하면 이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2t이 :)2` {-xÛ`+(k+2)x-2k}dx=0
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k+2
y-tÛ`=2t(x-t) yy`㉠ [-;3;xÜ`+ xÛ`-2kx]2)=0
2
직선 ㉠이 점 (1, -3)을 지나므로
-;3;+2(k+2)-4k=0
-3-tÛ`=2t(1-t)
tÛ`-2t-3=0, (t+1)(t-3)=0 -2k+;3;=0 ∴ k=;3; 답 ;3@;

∴ t=-1 또는 t=3
Ú t=-1일 때, ㉠에서
y-1=-2(x+1) 0863 색칠한 두 도형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 y=-2x-1 :)1 (xÜ`-a)dx=0
Û t=3일 때, ㉠에서
[; ;xÝ`-ax]1)=0, ; ;-a=0
y-9=6(x-3) ∴ y=6x-9
두 직선 y=-2x-1, y=6x-9의 ∴ a=; ; 답 ;4!;
교점의 x좌표는 -2x-1=6x-9에
서 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0864 곡선 y=x(x-1)(x-k)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_1! {xÛ`-(-2x-1)}dx+:!3 {xÛ`-(6x-9)}dx x(x-1)(x-k)=0에서
x=0 또는 x=1 또는 x=k
=:_1!`(xÛ`+2x+1)dx+:!3 (xÛ`-6x+9)dx
오른쪽 그림에서 = 이므로
=2:)1 (xÛ`+1)dx+:!3 (xÛ`-6x+9)dx :)k` x(x-1)(x-k)dx=0

=2[;3;xÜ`+x]1)+[;3;xÜ`-3xÛ`+9x]3! :)k` {xÜ`-(k+1)xÛ`+kx}dx=0

=;3;+;3; k+1
[; ;xÝ`- xÜ`+;2;xÛ`]k)=0
3
= Á3¤ 답⑤ kÝ` kÜ`
- + =0, kÜ`(k-2)=0
12 6
∴ k=2 (∵ k>1) 답2

0861 f(x)=-xÛ`+2x+3으로 놓으면


f '(x)=-2x+2이므로 곡선 위의 점
0865 곡선 y=-xÛ`+3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2,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xÛ`+3x=0에서 x(x-3)=0
-2´2+2=-2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 x=0 또는 x=3
y-3=-2(x-2)
오른쪽 그림에서 = 이므로
∴ y=-2x+7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k (-xÛ`+3x)dx=0

;2;´;2;´7-:)3 (-xÛ`+2x+3)dx [-;3;xÜ`+;2;xÛ`]k)=0

= ¢4 -[-;3;xÜ`+xÛ`+3x]3) -;3;kÜ`+;2;kÛ`=0, kÛ`(2k-9)=0

= ¢4 -9 ∴ k=;2; (∵ k>3) 답 ;2(;

= Á4£ 답 :Á4£:

0866 A` `B=1` `2에서 B=2A


0862 곡선 y=-xÛ`+(k+2)x-2k와 x축의 교점의 x좌표 이고, B는 곡선 y=xÛ`-2x+p의 대
는 -xÛ`+(k+2)x-2k=0에서 칭축 x=1을 경계로 이등분되므로 오
xÛ`-(k+2)x+2k=0, (x-k)(x-2)=0 른쪽 그림에서 빗금친 도형의 넓이는
∴ x=k 또는 x=2 A와 같다.

110 정답과 풀이
∴ :)1 (xÛ`-2x+p)dx=0 ∴ = =;2;´ £3ª = Á3¤

두 곡선 y=axÛ`, y=4x-xÛ`의 교점의 x좌표는


[;3;xÜ`-xÛ`+px]1)=0
axÛ`=4x-xÛ`에서
;3;-1+p=0 ∴ p=;3; 답 ;3@; (a+1)xÛ`-4x=0, x{(a+1)x-4}=0
4
∴ x=0 또는 x=
a+1
0867 곡선 y=xÛ`-2x와 직선 y=mx의 교점의 x좌표는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은
4
xÛ`-2x=mx에서 a+1
=:) {(4x-xÛ`)-axÛ`}dx
xÛ`-(m+2)x=0, x{x-(m+2)}=0
4
∴ x=0 또는 x=m+2 a+1
=:) {4x-(a+1)xÛ`}dx
오른쪽 그림에서 = 이고
4
a+1 a+1
=-:)2 (xÛ`-2x)dx =[2xÛ`-  xÜ`])
3
32
=-[;3;xÜ`-xÛ`]2)=;3; =
3(a+1)Û`
`` Û`  32
+ =:) {mx-(xÛ`-2x)}dx 즉, = Á3¤ 이므로
3(a+1)Û`
`` Û` 
=:) {-xÛ`+(m+2)x}dx (a+1)Û`=2 ∴ a= 2 -1 (∵ a>0) 답①

m+2 `` `Û
=[-;3;xÜ`+ xÛ`]) =; ;(m+2)Ü`
2 0870 (t)=0일 때, 점 는 운동 방향을 바꾸므로
즉, ; ;(m+2)Ü`=2´;3;이므로 tÛ`-7t+10=0, (t-2)(t-5)=0
∴ t=2 또는 t=5
(m+2)Ü`=16 답 16
따라서 t=5에서 점 의 운동 방향이 두 번째로 바뀌므로 이때의
점 의 위치는
0868 곡선 y=-xÛ`+3x와 직선 y=mx의 교점의 x좌표는
-xÛ`+3x=mx에서 :)5 (tÛ`-7t+10)dt=[;3;tÜ`-;2;tÛ`+10t]5)

xÛ`+(m-3)x=0 = ª6° 답②
x(x+m-3)=0
∴ x=0 또는 x=3-m
0871 t=4에서 점 의 위치는
오른쪽 그림에서 = 이고
0+:)4 (t)dt=:)2 (-tÛ`+2t)dt+:@4 (tÛ`-3t+2)dt
=:)3` -` ``{(-xÛ`+3x)-mx}dx
=[-;3;tÜ`+tÛ`]2)+[;3;tÜ`-;2;tÛ`+2t]4@
=:)3` -` ``{-xÛ`+(3-m)x}dx
3-m =;3;+;;Á3¢;;=6 답6
=[-;3;xÜ`+  xÛ`]3) -` `
2
=; ;(3-m)Ü` 0872 3초 후 물체의 높이는
30+:)3 (20-10t)dt=30+[20t-5tÛ`]3)
+ =:)3``(-xÛ`+3x)dx=[-;3;xÜ`+;2;xÛ`]3)=;2;
=30+15=45 (m)
즉, ; ;(3-m)Ü`=;2;´;2;이므로 (3-m)Ü`=;;ª2¦;;
∴ h =45
∴ mÜ`-9mÛ`+27m=;;ª2¦;; 답 ;;ª2¦;;
물체가 최고 지점에 도착할 때의 속도는 0이므로
(t)=20-10t=0에서 t=2
0869 오른쪽 그림에서 곡선
t=2일 때 물체의 높이는
y=4x-xÛ`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30+:)2 (20-10t)dt=30+[20t-5tÛ`]2)

+ =:)4 (4x-xÛ`)dx =30+20=50 (m)


∴ h =50
=[2xÛ`-;3;xÜ`]4)= £3ª

09. 정적분의 활용 111


∴ |h -h |=5 0876 5초 동안 물체가 실제로 움직인 거리는
:)5` | (t)|dt
답5
=:)5` |20-10t|dt
단계 채점요소 배점
h 의 값 구하기 40 % =:)2 (20-10t)dt+:@5 (-20+10t)dt
h 의 값 구하기 40 %
|h -h |의 값 구하기 20 % =[20t-5tÛ`]2)+[-20t+5tÛ`]5@

=20+45
0873 (t)=0일 때, 물이 멈추므로 =65 (m) 답 65`m

4t-tÛ`=0, t(4-t)=0
∴ t=0 또는 t=4
0877 (t)=0일 때 열차가 정지하므로
따라서 구하는 물의 양은
30-3t=0에서 t=10
:)4 (4t-tÛ`)dt= [2tÛ`-;3;tÜ`]4) 따라서 열차는 제동을 건 후 10초 후에 정지하므로 정지할 때까
지 달린 거리는
= £3ª  ( mÜ ) 답 :£3ª:p cmÜ`
:)1`0` |30-3t|dt=:)1`0 (30-3t)dt

0874 자동차 의 출발점을 원점이라 하면 자동차 의 출발점 =[30t-;2;tÛ`]1)0`


의 위치는 24이다. 출발한 지 t초 후의 두 자동차 , 의 위치를
=150 (m) 답②
각각 x (t), x (t)라 하면

x (t)=0+:) 2t dt=[tÛ`])=tÛ`
0878 4` m를 달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x분이라 하면
x (t)=24+:) (t+1)dt
4=:)/ {; ;tÛ`+;2;t+;2;}dt
=24+[;2;tÛ`+t])=;2;tÛ`+t+24
=[; ;tÜ`+; ;tÛ`+;2;t]/)
x (t)=x (t)일 때 자동차 와 자동차 의 위치가 같아지므로
=; ;xÜ`+; ;xÛ`+;2;x
tÛ`=;2;tÛ`+t+24, tÛ`-2t-48=0
즉, xÜ`+xÛ`+2x-16=0에서
(t-8)(t+6)=0
(x-2)(xÛ`+3x+8)=0
∴ t=8 (∵ t>0)
∴ x=2 (∵ xÛ`+3x+8+0)
따라서 자동차 와 자동차 의 위치가 같아지는 것은 출발한 지
8초 후이다. 답③ 이때 (2)=; ;´4+;2;´2+;2;=;2;이므로 2분 후부터는 속력이

;2;` m/mi 으로 일정하다.


0875 점 가 원점을 출발하여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오는 데
따라서 열차가 출발한 후 10분 동안 달린 거리는
걸리는 시간을 a초라 하면 출발한 지 a초 후의 점 의 위치의 변
화량은 0이므로 4+(10-2)´;2;=40 ( m) 답 40`km

:)a (tÛ`-2t)dt=0 `

[;3;tÜ`-tÛ`]a)=0 0879 점 가 움직인 거리는 속도 (t)의 그래프와 t축 및 직선


t=0, t=3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3;aÜ`-aÛ`=0, ;3;aÛ`(a-3)=0
;2;´1´2+1´2+2{;2;´;2;´2}=1+2+1=4 답4
∴ a=3 (∵ a>0)
따라서 3초 동안 점 가 움직인 거리는

:)3` |tÛ`-2t|dt=:)2 (-tÛ`+2t)dt+:@3 (tÛ`-2t)dt 0880 시각 t=2에서 점 의 위치는


0+:)2 (t)dt=;2;´2´1=1
=[-;3;tÜ`+tÛ`]2)+[;3;tÜ`-tÛ`]3@
∴ a=1
=;3;+;3;=;3; (m) 답 ;3*;`m

112 정답과 풀이
시각 t=4에서 점 의 위치는 유형 본문 133쪽

:)4 (t)dt=;2;´2´1-;2;´2´1=0

∴ b=0 0884 곡선 y=x(x-2)(x-a)


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a)라 하면
∴ a+b=1
(a)

답1 =:)a x(x-2)(x-a)dx-:A2 x(x-2)(x-a)dx

단계 채점요소 배점
=:)a` {xÜ`-(a+2)xÛ`+2ax}dx
a의 값 구하기 40 %
b의 값 구하기 40 % -:A2` {xÜ`-(a+2)xÛ`+2ax}dx
a+b의 값 구하기 20 %
a+2 a+2
=[; ;xÝ`- xÜ`+axÛ`]a)-[; ;xÝ`- xÜ`+axÛ`]2A
3 3
=-; ;aÝ`+;3;aÜ`-;3;a+;3;
0881 시각 t=7에서 점 의 위치는 이때 양변을 a에 대하여 미분하면
:)`` (t)dt=;2;´(1+3)´k-;2;´2´2+;2;´2´k '(a)=-;3;aÜ`+2aÛ`-;3;
즉, 2k-2+k=10이므로
=-;3;(aÜ`-3aÛ`+2)
3k=12 ∴ k=4 답④
=-;3;(a-1)(aÛ`-2a-2)

'(a)=0에서 a=1 (∵ 0<a<2)


0882 ㄱ. 출발한 지 4초 후의 점 의 위치는
a (0) … 1 … (2)
0+:)4 (t)dt=;2;´ ´ ;2!;´ ´
'(a) - 0 +
이므로 원점이다. (a) ↘ 극소 ↗
ㄴ. 속도 (t)의 부호가 바뀌는 점에서 점 가 운동 방향을 바꾸
따라서 (a)는 a=1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다. 답1
므로 점 는 시각 t=2와 t=6에서 운동 방향을 2번 바꾼다.
ㄷ. 출발한 지 1초 후의 점 의 위치는

:)1 (t) dt=;2;´ ´ =1

출발한 지 7초 후의 점 의 위치는

:)`` (t)dt=;2!;´ ´ ;2!;´ ´ ;2!;´ ´ ;2!;´ ´ 0885 두 곡선 y=; ;xÜ`, y=-9kxÜ`


즉, 출발한 지 1초 후와 7초 후의 점 의 위치는 다르다. 과 직선 x=1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따라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답①
:)1` [; ;xÜ`-(-9kxÜ`)]dx

={9k+; ;}:)1 xÜ` dx


0883 ① aÉtÉb에서 (t)¾ 이므로 점 가 움직인 거리는
={9k+; ;}[; ;xÝ`]1)
:A`` t dt이다.
=; ;{9k+; ;}
② :)`` (t)dt=0이면 시각 t=0에서 t=c까지의 위치의 변화
¾; ;´2 9k´; ;=;2; (∵ k>0)
량이 0이다. 따라서 시각 t=c일 때 점 는 출발점과 같은 위

치에 있다. {단, 등호는 k=;3;일 때 성립한다.}


③ 시각 t=a일 때 '(t)=0이므로 (t)는 t=a에서 극대이다.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이다. 답 ;2#;
따라서 점 는 t=a일 때 최고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④ (t)의 부호는 운동 방향을 나타낸다. 참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
a>0, b>0일 때,
⑤ (속력)=| (t)|이므로 t=c일 때, 점 의 속력은 최대이다.
a+b
답③ ¾ ab (단, 등호는 a=b일 때 성립한다.)
2
09. 정적분의 활용 113
0886 오른쪽 그림과 같이 구하는 넓 ∴ =2[:)1` {(xÜ`-3xÛ`+3x)-x}dx
이는 직선 y=x에 의하여 이등분되고,
빗금친 도형의 넓이는 +:!2` {x-(xÜ`-3xÛ`+3x)}dx]

;2;(1+3)´2-:!3 f(x)dx =2[ :)1` (xÜ`-3xÛ`+2x)dx+:!2` (-xÜ`+3xÛ`-2x)dx]


=4-3=1
=2{[; ;xÝ`-xÜ`+xÛ`]1)+[-; ;xÝ`+xÜ`-xÛ`]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빗금친 도형의 넓이의 2배이므로
2´1=2 답2 =2{; ;+; ;}=1 답1

0887 함수 f(x)= x의 역함수가


g(x)이므로 두 곡선 y=f(x)와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본문 134~136쪽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
이다. 0890 곡선 y=x(x-2)Û` 과 x축의
오른쪽 그림에서 교점의 x좌표는 x(x-2)Û`=0에서
B=C이므로 x=0 또는 x=2
:!9 `f(x)dx+:!3 g(x)dx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A+B=A+C :)2 x(x-2)Û`dx


=9´3-1´1
=:)2 (xÜ`-4xÛ`+4x)dx
=26 답 26

=[; ;xÝ`-;3;xÜ`+2xÛ`]2)

=;3; 답②
0888 f(x)=3xÛ`+1`(x¾ )의 역
함수가 g(x)이므로 y=f(x)의 그래
프와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 0891 곡선 y=xÛ`-2x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때 구하는 넓이 xÛ`-2x=0에서 x(x-2)=0
는 오른쪽 그림의 A와 같고 A=B이 ∴ x=0 또는 x=2
므로 색칠한 도형의 넓이는

2´13-:)2 (3xÛ`+1)dx -:)2 (xÛ`-2x)dx+:@a (xÛ`-2x)dx

=26-[xÜ`+x]2) =-[;3;xÜ`-xÛ`]2)+[;3;xÜ`-xÛ`]a@

=26-(8+2) =;3;+;3;aÜ`-aÛ`+;3;
=16 답 16
=;3;aÜ`-aÛ`+;3;

따라서 ;3;aÜ`-aÛ`+;3;=;3;이므로
0889 두 곡선 y=f(x)와
;3;aÜ`-aÛ`=0, aÛ`(a-3)=0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
칭이므로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 ∴ a=3 (∵ a>2) 답3

의 넓이 는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 0892 두 곡선 y=xÜ`-2x, y=xÛ`의
이다.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xÜ`-2x=xÛ`에서
교점의 x좌표는 xÜ`-xÛ`-2x=0
xÜ`-3xÛ`+3x=x에서 x(x+1)(x-2)=0
xÜ`-3xÛ`+2x=0, x(x-1)(x-2)=0 ∴ x=-1 또는 x=0 또는 x=2
∴ x=0 또는 x=1 또는 x=2

114 정답과 풀이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0896 두 곡선 y=xÛ`(x-4), y=ax(x-4)는 x축과 x=0,
:_0! {(xÜ`-2x)-xÛ`}dx+:)2` {xÛ`-(xÜ`-2x)}dx x=4인 점에서 만난다.
이때 A=B이므로
=:_0!`(xÜ`-xÛ`-2x)dx+:)2 (-xÜ`+xÛ`+2x)dx
:)4` {xÛ`(x-4)-ax(x-4)}dx=0
=[; ;xÝ`-;3;xÜ`-xÛ`]0_!+[-; ;xÝ`+;3;xÜ`+xÛ`]2)
:)4` {xÜ`-(4+a)xÛ`+4ax}dx=0
=; 2;+;3;=; 2; 답④ 4+a
[; ;xÝ`- xÜ`+2axÛ`]4)=0
3

x(x-2) (xÉ0 또는 x¾2) - ¤3¢ + £3ª a=0 ∴ a=2 답2


0893 y=|x(x-2)|=
-x(x-2) (0ÉxÉ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0897 A=B이므로
:_0!` xÛ`-2x dx
:)2 {kx-;2;xÛ`}dx=0
  +:)2``{3-(-xÛ`+2x)}dx
[;2;xÛ`-; ;xÜ`]2)=2k-;3;=0
  +:@3``{3-(xÛ`-2x)}dx
따라서 k=;3;이므로 30k=20 답 20
=:_0!` -xÛ`+2x+3 dx+:)2`` xÛ`-2x+3 dx

  +:@3`` -xÛ`+2x+3 dx
0898 A` `B=1` `2에서
[ ;3!;xÜ`+xÛ`+3x]0_! [;3!;xÜ`-xÛ`+3x]2) B=2A이고, B는 y=xÛ`-6x+a의
대칭축 x=3에 의하여 이등분되므로
[ ;3!;xÜ`+xÛ`+3x]3@
오른쪽 그림에서 두 도형의 넓이 A와
;3%; Á3¢ ;3%;=8 답8 C는 서로 같다. 즉,

:)3 (xÛ`-6x+a)dx=0
0894 f(0)=c이므로 곡선 y=f(x)와 x=0에서 접하는 직선
의 방정식은 y=c이다. [;3;xÜ`-3xÛ`+ax]3)=0

곡선 y=f(x)와 직선 y=c가 x=0에서 접하고 x=1에서 만나 3a-18=0 ∴ a=6 답6


므로
f(x)-c=xÛ`(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0899 곡선 y=-xÛ`+3x와 직선 y=-2x의 교점의 x좌표는
-xÛ`+3x=-2x에서
:)1` {c-f(x)}dx=:)1` {-xÛ`(x-1)}dx
xÛ`-5x=0, x(x-5)=0 ∴ x=0 또는 x=5
=-:)1 (xÜ`-xÛ`)dx 따라서 곡선 y=-xÛ`+3x와 직선 y=-2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xÝ`-;3;xÜ`]1)
:)5` {(-xÛ`+3x)-(-2x)}dx=:)5 (-xÛ`+5x)dx
=; Á2; 답①
이것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도형의 넓
이와 같다. 이때 이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
0895 f(x)=;2;xÛ`+2로 놓으면  f '(x)=x이므로 곡선 위의 선 x=a는 포물선 y=-xÛ`+5x의 대칭
점 (2, 4)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축이어야 하므로

y-4=2(x-2) ∴ y=2x y=-xÛ`+5x=-{x-;2;}Û`+ ª4°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에서 x=;2;이다. ∴ a=;2; 답 ;2%;
:)2` [{;2;xÛ`+2}-2x]dx

=[; ;xÜ`+2x-xÛ`]2)`
0900 x초 후에 다시 만난다고 하면 두 점 , 의 x초 후의 위
=;3; 답 ;3$; 치는 같다.
09. 정적분의 활용 115
x초 후의 두 점 , 의 위치는 각각 ㄹ. 시각 t=1에서 t=4까지 실제로 움직인 거리는

:)/ t(t-1)dt, :)/ (2t+3)dt이므로 :!4` | (t)|dt=:!3 (t)dt+:#4` {- (t)}dt

:)/ t(t-1)dt=:)/ (2t+3)dt에서 =;2;+;2;=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ㄹ이다. 답④
[;3;tÜ`-;2;tÛ`]/)=[tÛ`+3t]/)

;3;xÜ`-;2;xÛ`=xÛ`+3x
0903 두 곡선 y=f(x)와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
2xÜ`-9xÛ`-18x=0
x(x-6)(2x+3)=0 칭이고, f`'(x)=3xÛ`+2x+1=3{x+;3;}Û`+;3;>0이므로
∴ x=6 (∵ x>0)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따라서 두 점 , 가 다시 만나는 시각은 6초 후이다. 답③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와 같으므로 xÜ`+xÛ`+x=x에서
xÜ`+xÛ`=0, xÛ`(x+1)=0 ∴ x=-1 또는 x=0
0901 점 가 진행 방향을 바꾸는 시각은
이때 두 곡선 y=f(x)와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t)=tÛ`-5t+4=0에서
라 하면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t-1)(t-4)=0 ∴ t=1 또는 t=4
2배이므로
ㄱ. 0ÉtÉ1에서 (t)¾0
1ÉtÉ4에서 (t)É0 =2:_0! {`f(x)-x}dx
t¾4에서 (t)¾0
=2:_0!`(xÜ`+xÛ`)dx
이므로 시각 t=0에서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
는 때는 시각 t=1부터 t=4까지의 3초 동안이다. =2[; ;xÝ`+;3;xÜ`]0_!
ㄴ. 시각 t=2에서 점 의 위치는
=; ; 답 ;6!;
:)2 (t)dt=:)2 (tÛ`-5t+4)dt

=[;3;tÜ`-;2;tÛ`+4t]2)=;3;
0904 곡선 y=axÛ`+bx+c의 y절편이 3이므로 c=3
ㄷ. 시각 t=0에서 t=3까지 점 가 움직인 거리는

:)3` |tÛ`-5t+4|dt 이차방정식 axÛ`+bx+c=0의 두 근이 x=1 또는 x=3이므로


a(x-1)(x-3)=0
=:)1 (tÛ`-5t+4)dt-:!3 (tÛ`-5t+4)dt
axÛ`-4ax+3a=0
=[;3;tÜ`-;2;tÛ`+4t]1)-[;3;tÜ`-;2;tÛ`+4t]3! 3a=c=3이므로 a=1
-4a=b이므로 b=-4
= Á6Á -{- Á3¼ }= £6Á

따라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답②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1 (xÛ`-4x+3)dx-:!3 (xÛ`-4x+3)dx


0902 ㄱ. 0<t<3일 때 (t)>0, 3<t<6일 때 (t)<0
=[;3;xÜ`-2xÛ`+3x]1)-[;3;xÜ`-2xÛ`+3x]3!
즉, 시각 t=3에서 속도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었으므로 t=4
일 때, 물체는 처음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3;+;3;
ㄴ. 물체가 원점을 출발하였으므로 t=0일 때 물체의 위치는 0이
=;3;
고, t=3에서 물체의 위치는

0+:)3 (t)dt=;2;´1´1+1´1+;2;´1´1=2
답 ;3*;
즉, 시각 t=3에서 물체는 원점에 있지 않다.

ㄷ. :!5 (t)dt=:!3 (t)dt+:#5 (t)dt 단계 채점요소 배점


c의 값 구하기 20 %
=;2;+{-;2;}=0 a, b의 값 구하기 30 %

이므로 시각 t=1에서와 t=5에서의 물체의 위치는 같다. 도형의 넓이 구하기 50 %

116 정답과 풀이
0905 f(x)=xÜ`+2로 놓으면 f '(x)=3xÛ` 0907 직사각형의 넓이가 최대이면
접점의 좌표를 (t, tÜ`+2)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3tÛ`이므로 색칠한 도형의 넓이가 최소이다. 오른
접선의 방정식은 쪽 그림과 같이 x축의 양의 부분과 만
y-(tÜ`+2)=3tÛ`(x-t) yy`㉠ 나는 직사각형의 꼭짓점의 x좌표를 a
이 접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0-(tÜ`+2)=3tÛ`(0-t) 라 하면 직사각형의 넓이 g(a)는
tÜ`=1 ∴ t=1 g(a)=2a(-aÛ`+3)
t=1을 ㉠에 대입하면 y-3=3(x-1) =-2aÜ`+6a
∴ y=3x
g '(a)=-6aÛ`+6=0에서 aÛ`=1
이때 접선과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xÜ`+2=3x에서 ∴ a=1 (∵ a>0)
xÜ`-3x+2=0, (x+2)(x-1)Û`=0 따라서 g(a)는 a=1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직사각형의
∴ x=-2 또는 x=1 넓이의 최댓값은
g(1)=4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1@`(xÜ`+2-3x)dx 또한 곡선 y=-xÛ`+3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3`
: `(-xÛ`+3)dx=2:) 3`(-xÛ`+3)dx
=[; ;xÝ`+2x-;2;xÛ`]1_@ -`3

3`
: `(-xÛ`+3)dx=2[-;3;xÜ`+3x]) 3
= ª4¦ -`3
3`
: `(-xÛ`+3)dx=4 3
-`3

답 :ª4¦: 따라서 색칠한 도형의 넓이의 최솟값은


4 3-4
단계 채점요소 배점
접선의 방정식 구하기 40 %
답 4 3-4
접선과 곡선의 교점의 x좌표 구하기 20 %
접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구하기 40 % 단계 채점요소 배점
직사각형의 넓이 구하기 30 %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 구하기 30 %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구하기 30 %
색칠한 도형의 넓이의 최솟값 구하기 10 %

0906 ⑴ x(1)=-2+:)1 (t)dt=-2+;2;=-;2;

x(3)=-2+:)3 (t)dt=-2+4=2

0908 y=2x|x-1|
x(5)=-2+:)5 (t)dt=-2+7=5
2x(x-1) (x¾1)
=
-2x(x-1) (xÉ1)
⑵ :)6` | (t)|dt=;2;(2+5)´ ;2!;´ ´ 이므로 곡선 y=2x|x-1|과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다음과 같다.
Ú x¾1일 때, 2x(x-1)=x에서
답 ⑴ -;2#;, 2, 5 ⑵8
2xÛ`-3x=0, x(2x-3)=0
단계 채점요소 배점 ∴ x=;2; (∵ x¾1)
x(1) 구하기 20 %
Û xÉ1일 때, -2x(x-1)=x에서
x(3) 구하기 20 %
2xÛ`-x=0, x(2x-1)=0
x(5) 구하기 20 %
t=0에서 t=6까지 움직인 거리 구하기 40 % ∴ x=0 또는 x=;2;

09. 정적분의 활용 117


따라서 구하는 넓이의 합은 직선 의 방정식은 y=-x+;2;
;2;
  한편, 접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2xÛ`+2x-x)dx+:` 1 {x-(-2xÛ`+2x)}dx
;2;

;2;
y-;2;=x-1 ∴ y=x-;2;

+:! {x-(2xÛ`-2x)}dx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중심 {0, ;2;}과 접선 y=x-;2;, 즉
;2;

=:) (-2xÛ`+x)dx+:` 1 (2xÛ`-x)dx 2x-2y-1=0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2;

;2;
  ´ ´;2#;
+:! (-2xÛ`+3x)dx
= = 2
;2; ;2;
2Û`+(-2)Û`
=[-;3;xÜ`+;2;xÛ`]) +[;3;xÜ`-;2;xÛ`]1` +[-;3;xÜ`+;2;xÛ`]! ∠ =45 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라 하면
;2;

=;2Á ;+;2 ;+;2 ;=;2 ; 답 ;2!4#; =2[ :)1 {-x+;2;-;2;xÛ`}dx- ´( 2)Û`´ ] 

=2[[-; ;xÜ`-;2;xÛ`+;2;x]1)- ]
4
=;3;-
2
0909 f(x)=xÛ`-1로 놓으면  f '(x)=2x이므로 곡선 위의 따라서 a=;3;, b=-;2;이므로
점 (t, tÛ`-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t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120(a+b)=140 답 140
y-(tÛ`-1)=2t(x-t) ∴ y=2tx-tÛ`-1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0911 곡선 f(x)=-xÛ`+4x-3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도형의 넓이는
-xÛ`+4x-3=0에서 (x-1)(x-3)=0
:)1 {(xÛ`-1)-(2tx-tÛ`-1)}dx ∴ x=1 또는 x=3

=:)1 (xÛ`-2tx+tÛ`)dx :)a f(x)dx=- + - =-2 + =-

=[;3;xÜ`-txÛ`+tÛ`x]1) =-:!3 f(x)dx=-:!3 (-xÛ`+4x-3)dx

=;3;-t+tÛ` =-[ ;3!;xÜ`+2xÛ`-3x]3!=-;3; 답 -;3$;

={t-;2;}Û`+; Á2;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 Á2;이다. 답 ;1Á2;

0910 두 곡선의 교점의


좌표를 각각 {a, ;2;aÛ`},

{-a, ;2;aÛ`}이라 하자.

(단, a>0)

f(x)=;2;xÛ`이라 하면 f '(x)=x이므로

함수 y=;2;xÛ`의 그래프의 접점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f '(a)=a이고 이 접선은 직선 와 수직이다.


;2!;aÛ`-;2#;
1
즉, =- 이므로
a-0 a
aÛ`=1 ∴ a=1 (∵ a>0)

∴ {1, ;2;}, {-1, ;2;}

118 정답과 풀이
memo
mem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