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모의평가

수학 영역 정답과 해설
따라서 자연수 l에 대하여
제1회 4. 삼각함수
Á ak=1, Á ak=1, Á ak=0
정답 ⑤
3l-2 3l-1 3l

〘풀이〙 sinÛ` h+cosÛ` h=1이므로

이므로 m이 3의 배수가 아니면 Á ak=1이다.


k=1 k=1 k=1

sinÛ` h=1-cosÛ` h m
정답
=1-{;5#;}Û`=;2!5^;
k=1

즉, 구하는 100 이하의 모든 자연수 m의 개수는


1 ④ 2 ④ 3 ① 4 ⑤ 5 ③ h가 제4사분면의 각이므로 sin h<0 100-33=67
6 ④ 7 ② 8 ③ 9 ① 10 ⑤ 즉, sin h=-;5$;이고
11 ⑤ 12 ⑤ 13 ① 14 ④ 15 ② sin h
tan h‌
=
cos h
16 2 17 221 18 9 19 5 20 18
4
21 17 22 91 -
5 8. 접선의 방정식 정답 ③
= =-;3$;
3 〘풀이〙 f '(x)=3xÛ`-8x+4이므로 곡선 y=f(x) 위
5
[확률과 통계] 의 점 (t, tÜ`-4tÛ`+4t)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y-(tÜ`-4tÛ`+4t)=(3tÛ`-8t+4)(x-t)
sin h_tan h‌={- }_{- }
23 ④ 24 ③ 25 ④ 26 ⑤ 27 ⑤ 4 4
5 3 점 (0, a)가 이 직선 위의 점이므로
28 ① 29 495 30 77 a-(tÜ`-4tÛ`+4t)=(3tÛ`-8t+4)(0-t)
16
=
15 정리하면
[미적분] a=-2tÜ`+4tÛ`
점 (0, a)에서 곡선 y=f(x)에 그은 서로 다른 접선의
23 ② 24 ④ 25 ④ 26 ① 27 ③
개수가 2가 되려면 방정식 a=-2tÜ`+4tÛ`이 서로 다른
28 ⑤ 29 173 30 49 5. 함수의 극한 정답 ③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풀이〙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에서 즉, g(t)=-2tÜ`+4tÛ`이라 하면 곡선 y=g(t)와 직선
[기하] lim f(x)=1, lim f(x)=0
f(0)=2, x`Ú-1+ y=a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x`Ú1-

23 ① 24 ① 25 ③ 26 ① 27 ④ 따라서 g '(t)=-6tÛ`+8t=-2t(3t-4)이므로

28 ③ 29 24 30 46 lim f(x)+ lim f(x)


f(0)+x`Ú-1+ x`Ú1-
g '(t)=0에서 t=0 또는 t=;3$;
=2+1+0=3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 y 0 y ;3$; y

해설 g '(t) - 0 + 0 -
6. 삼각함수 정답 ④ g(t) ↘ 극소 ↗ 극대 ↘

1. 지수와 로그 정답 ④ 〘풀이〙 cos h-sin h=;3!;의 양변을 제곱하면 함수 y=g(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풀이〙 Ü '2Œ7=27 =(3Ü`) =3Ú`=3
;3!; ;3!;
cosÛ` h-2 sin h cos h+sinÛ` h=;9!;
y=a
log» 27=log3Û` 3Ü`=;2#; log£ 3 이때 sinÛ` h+cosÛ` h=1이므로
y=g(t)
1-2 sin h cos h=;9!;
=;2#;_1=;2#;

따라서 sin h cos h=;9$;


O 4 2 t
Ü '2Œ7_log» 27=3_;2#;=;2(; 따라서 3
1 sin h cos h
tan h+ ‌= +
tan h cos h sin h 따라서 곡선 y=g(t)와 직선 y=a가 서로 다른 두 점
sinÛ` h+cosÛ` h 에서 만나는 양수 a의 값은 g {
4
}이다.
=
sin h cos h 3
2. 미분계수 정답 ④
}‌=-2_{ }Ü`+4_{ }Û`
1 4 4 4
〘풀이〙 f(x)=xÜ`+x+1에서 = 즉, g{
sin h cos h 3 3 3
f '(x)=3xÛ`+1 1 64
= =;4(; =
27
따라서 4
9
f '(1)=3+1=4

3. 정적분 정답 ① 7. 수열의 귀납적 정의 정답 ② 9. 함수의 극한의 활용 정답 ①

〘풀이〙 :)1 (2xÛ`+3)dx+2:!0 (x+1)Û`dx 〘풀이〙 aÁ=1, aª=0, a£=-1, a¢=1, y이므로 〘풀이〙 PMÓÓ=t, PRÓ=-tÛ`+4이고,

Á ak=1, Á ak=1, MNÓ=;2!;_PRÓ이므로 사각형 PMNR의 넓이 f(t)는


1 2

Á ak=1, Á ak=1,
=:)1 (2xÛ`+3)dx-2:)1 (xÛ`+2x+1)dx k=1 k=1
4 5
f(t)=;2!;_(MNÓ+PRÓ)_PMÓ
=:)1 {(2xÛ`+3)-2(xÛ`+2x+1)}dx k=1 k=1

⋮ =;2!;_{;2#;_PRÓ}_PMÓ

Á ak=1, Á ak=1,
=:)1 (-4x+1)dx 97 98

=[-2xÛ`+x]1)`
=;4#; t(4-tÛ`)

Á ak=1
k=1 k=1
100
=;4#; t(2+t)(2-t)
=-2+1=-1 k=1

정답과 풀이 <제 1 회> -1- 수학 영역


따라서 BPÓ="ÃxÛ`-6x+36 이때 xÜ`-2xÛ`=3xÛ`-4x에서 x(x-1)(x-4)=0이
3 이때 삼각형 ABP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므로 두 곡선 y=f(x), y=f '(x)가 만나는 세 점의 x
f(t) ‌ t(2+t)(2-t)
4 BPÓ APÓ 좌표는 각각 0, 1, 4이고, 두 곡선 y=f(x), y=f '(x)
lim = lim =
t`Ú2- 2-t 2-t
t`Ú2-
sin 60ù sin h 는 그림과 같다.
3
= lim t(2+t)
4 t`Ú2- "ÃxÛ`-6x+36 x y
= y=f '(x)
'3 '3Œ9
3
= _2_4 2 8
4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6
xÛ`+26x-156=0
x=-13-5'1Œ3 또는 x=-13+5'1Œ3
10. 지수방정식의 활용 정답 ⑤ x>0이므로
〘풀이〙 두 점 P, R는 곡선 y=2 위의 점이고, 점 Q x APÓ=5'1Œ3-13
x
는 곡선 y=4 위의 점이다. 따라서 m=5, n=13이므로
그림과 같이 세 점 P, Q, R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 m+n=5+13=18
을 각각 P', Q', R'이라 하자.
y y=4Å y=2Å

R 1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그래프 정답 ⑤


O 1
Q 〘풀이〙 f(x)=-log2 x에서 y=-logª x로 놓고, 4 x
x와 y를 바꾸어 쓰면 y=f(x)

}
P
1 x
0ÉxÉ1에서 두 곡선 y=f(x), y=f '(x)로 둘러싸
x=-logª y, y={
2
인 두 부분의 넓이를 SÁ이라 하면
이므로 함수 f(x)의 역함수는 y={ } 이다.
1 x 1

O P' Q' R' x 2 SÁ‌=: {(xÜ`-2xÛ`)-(3xÛ`-4x)}dx


0

} 과 직선 y=-x+2가 제1사분면에서
1 x 1
곡선 y={ =: (xÜ`-5xÛ`+4x)dx
2
사각형 PP'Q'Q의 넓이는
xÝ`- xÜ`+2xÛ`]1)`
0
만나는 점을 R라 하면 R(yÁ, xÁ)이다. 1 5
;2!;_(2a-1+4a)_1=;4!;_2a+;2!;_22a =[
4 3
세 곡선 y=f(x), y=g(x), y={ } 과 직선
1 x
2 7
또, 사각형 QQ'R'R의 넓이는 =
y=-x+2는 그림과 같다. 12
;2!;_(4a+2a+2)_2=22a+4_2a y 1ÉxÉ4에서 두 곡선 y=f(x), y=f '(x)로 둘러싸
또, 사각형 PP'R'R의 넓이는 인 두 부분의 넓이를 Sª라 하면
P
;2!;_(2a-1+2a+2)_3=;;ª4¦;;_2a
4
Sª‌=: {(3xÛ`-4x)-(xÜ`-2xÛ`)}dx
1

이때 두 사각형 PP'Q'Q, QQ'R'R의 넓이의 합에서 4

y=¦ ¥/
=: (-xÜ`+5xÛ`-4x)dx
사각형 PP'R'R의 넓이를 빼면 삼각형 PQR의 넓이이 1

xÝ`+ xÜ`-2xÛ`]4!
1
R
2
므로 1 5
=[-
O
Q y=g(x) x 4 3
{;4!;_2a+;2!;_22a}+(22a+4_2a)-;;ª4¦;;_2a 45
=
4
=;2#;_2 -;2%;_2
2a a
따라서
y=f(x) y=-x+2
삼각형 PQR의 넓이가 6이므로 ㄱ. 점 R의 y좌표가 점 Q의 y좌표보다 크므로 7 45
SÁ+Sª‌= +
12 4
;2#;_22a-;2%;_2a=6 xÁ>yª (참)
71
ㄴ. ‌점 Q의 x좌표가 점 R의 x좌표보다 크므로 =
3_22a-5_2a-12=0 6
xª>yÁ
(3_2a+4)(2a-3)=0
ㄱ에서 xÁ>yª이고, 두 점 Q, R가 모두 제1사분면
에서 2a=3
의 점이므로
따라서
8a=(2a)Ü`=3Ü`=27
xÁ_xª>yÁ_yª>0 14. 수학적 귀납법 정답 ④

xÁ_xª>yÁ_yª의 양변을 xÁ_xª로 나누면 〘풀이〙 Ú n=1일 때,


yÁ_yª aÁ
<1 aÁ= 3 , bÁ=1이므로 =3이고,
xÁ_xª bÁ
yÁ yª
11.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정답 ⑤ 즉,

_

<1 (참) aÁ

2
=3=1+ 가 성립한다.
1
〘풀이〙 ∠ABC=h라 하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 ㄷ. 점 P(xÁ, yÁ)이 직선 y=-x+2 위의 점이므로 a 2
Û n=k일 때, k =1+ 가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법칙에 의하여 xÁ+yÁ=2 bk k
Û
CAÓ `=ABÓ Û`+BCÓ Û`-2_ABÓ_BCÓ_cos h ㄴ에서 xª>yÁ이므로 xÁ+xª>2 ak+1+ibk+1
이므로 또, 점 Q(xª, yª)가 직선 y=-x+2 위의 점이 =(ak+ibk)_{(k+1)Û`+(k+1)+1+i}
25=36+4-2_6_2_cos h 므로 =(ak+ibk)_(kÛ`+3k+3+i)
={( kÛ`+3k+3 )ak-bk}
에서 cos h=;8%; xª+yª=2
ㄴ에서 xª>yÁ이므로 yÁ+yª<2  +i{ak+( kÛ`+3k+3 )bk}
="Ã1-cosÛ` h
sin h‌ ‌
따라서 xÁ+xª>2이고 yÁ+yª<2이다. (참) 이때
5 Û '3Œ9
=¾Ð1-{ }`=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ak+1 (kÛ`+3k+3)ak-bk
8 8 =
‌
bk+1 ak+(kÛ`+3k+3)bk
또, APÓ=x라 하면 삼각형 ABP에서 코사인법칙에
a
의하여 (kÛ`+3k+3)_ k -1
bk
= a
Û =ABÓ Û`+APÓ Û`-2_ABÓ_APÓ_cos 60ù
BPÓ `‌ k
+(kÛ`+3k+3)
bk
=36+xÛ`-2_6_x_
1
2
13. 정적분의 활용 정답 ①
(kÛ`+3k+3)_{1+
2
}-1
〘풀이〙 f(x)=xÛ`(x-2)=xÜ`-2xÛ`이므로 k
=xÛ`-6x+36 =
{1+ }+(kÛ`+3k+3)
2
이므로 f '(x)=3xÛ`-4x k

정답과 풀이 <제 1 회> -2- 수학 영역


kÜ`+5kÛ`+8k+6 1
=
kÜ`+3kÛ`+4k+2 16. 속도 정답 2 따라서 곡선 y=cos x와 직선 y=-
2
이 만나는 서로

( k+3 )(kÛ`+2k+2) 〘풀이〙 원점을 출발한 점 P의 시각 t=2에서의 위치 2


= 다른 점의 개수는 2이고, 곡선 y=cos x와 직선 y=
2 3
kÜ`+3kÛ`+4k+2 가 이므로
3 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는 3이므로 구하는 모

:)2 v(t)dt=
( k+3 )(kÛ`+2k+2)
= 2 든 실근의 개수는
(k+1)(kÛ`+2k+2)
3

:)2 (tÛ`-3t+a)dt=
k+3 2+3=5
= 2
k+1
3

[ tÜ`- tÛ`+at]2)=
2
=1+ 1 3 2
k+1
3 2 3
ak+1 2
이므로 n=k+1일 때도 =1+ 가 성립한다. 8 2
bk+1 k+1 따라서 -6+2a= 에서
a 2
3 3 20. 등비수열의 합 정답 18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n =1+ a=2
bn n 〘풀이〙 모든 ai_aj`(i<j)의 값의 합을 S라 하면
가 성립한다. (aÁ+aª+a£+y+a8)Û`
따라서 p=3, f(k)=kÛ`+3k+3, g(k)=k+3이므로  =aÁÛ`+aªÛ`+a£Û`+y+a8Û`+2S
(Ý '2)¡`-1
17. Á의 성질
p+f(4)+g(5)‌=3+31+8=42
이때 aÁ+aª+a£+y+a8= 이고,
정답 221 Ý '2-1
('2)¡`-1
〘풀이〙 aÁÛ`+aªÛ`+a£Û`+y+a8Û`= 이므로
'2-1
Á (k+1)Û`- Á (k-1)Û`
10 10
(Ý '2)¡`-1 Û ('2)¡`-1
15. 방정식에의 활용 [ ]`=
= Á (k+1)Û`- Á (k-1)Û`+1
+2S
Ý '2-1 '2-1
정답 ② k=1 k=3
10 10

〘풀이〙 조건 (가)에 의하여 9 15

= Á {(k+1)Û`-(k-1)Û`}+1
k=1 k=1
= +2S
3 f(3)-f(1)=2 f(4) 10 (Ý '2-1)Û` '2-1
9(Ý '2+1)Û` 15('2-1)

= Á (4k)+1
f(3)-f(1)=2{ f(4)-f(3)} k=1
= +2S
10 ('2-1)Û` ('2-1)Û`
f(3)-f(1) f(4)-f(3)
=

=4 Á k+1
3-1 4-3 k=1 따라서
이므로 세 점 (1, f(1)), (3, f(3)), (4, f(4))는 한
10
9('2+2 Ý '2+1)-15('2-1)`
2S‌=
k=1 ('2-1)Û`
직선 위에 있다.
이 직선의 방정식을 y=mx+n이라 하자. =4_
10_11
+1 18 Ý '2-6'2+24`
2 =
('2-1)Û`
f(4)-f(3) =220+1=221
조건 (나)에서 f '(1)= 이므로 이므로
4-3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y=mx+n이다. 9 Ý '2-3'2+12`
S=
('2-1)Û`
즉, 곡선 y=f(x)와 직선 y=mx+n은 서로 다른 세
즉, p=9, q=-3, r=12이므로
점 (1, f(1)), (3, f(3)), (4, f(4))에서 만나고
p+q+r=9+(-3)+12=18
점 (1, f(1))에서 접하므로 18. 극값 정답 9

f(x)-(mx+n)=(x-1)Û`(x-3)(x-4) 〘풀이〙 f(x)가 삼차함수이므로 a+1


앙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3(a-1)xÛ`+6(a-1)x+2(2a+3)이고, 함
f '(x)-m=2(x-1)(x-3)(x-4)+(x-1)Û`(x-4) 수 f(x)가 극값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1)Û`(x-3)
f '(x)-m=(x-1)(4xÛ`-23x+31)
3(a-1)xÛ`+6(a-1)x+2(2a+3)=0이 서로 다른
21. 함수의 연속 정답 17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이때 사차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므 〘풀이〙 xÉ0일 때, h(x)=(x+k)Û`+(x+k)
이차방정식 3(a-1)xÛ`+6(a-1)x+2(2a+3)=0
로 방정식 f '(x)=0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x>0일 때, h(x)=(3x-4)Û`+(3x-4)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즉, 곡선 y=(x-1)(4xÛ`-23x+31)과 직선 함수 h(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D
={3(a-1)}Û`-3(a-1)_2(2a+3)>0 함수 h(x)는 x=0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y=-m인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4
g(x)=(x-1)(4xÛ`-23x+31)이라 하면 aÛ`+8a-9<0 lim h(x)= lim {(x+k)Û`+(x+k)}=kÛ`+k
x`Ú0- x`Ú0-

g '(x)‌=4xÛ`-23x+31+(x-1)(8x-23) (a+9)(a-1)<0 lim h(x)= lim {(3x-4)Û`+(3x-4)}=12


x`Ú0+ x`Ú0+
=12xÛ`-54x+54 -9<a<1
h(0)=kÛ`+k
=6(2x-3)(x-3) 따라서 정수 a의 값은 -8, -7, -6, y, 0이고, 그
lim h(x)= lim h(x)=h(0)에서
개수는 9이다. x`Ú0- x`Ú0+

g'(x)=0에서 x=;2#; 또는 x=3 kÛ`+k-12=0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k+4)(k-3)=0
같다. k=-4 또는 k=3
k>0이므로
x y ;2#; y 3 y 19. 삼각방정식 정답 5
k=3
g '(x) + 0 - 0 + 〘풀이〙 6 sinÛ` x+cos x-4=0에서 xÛ`+7x+12 (xÉ0)
h(x)=[ 이고,
g(x) ↗ 극대 ↘ 극소 ↗ 6(1-cosÛ` x)+cos x-4=0 9xÛ`-21x+12 (x>0)
6 cosÛ` x-cos x-2=0 함수 y=h(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함수 g(x)가 극댓값 g { }=
3 11
, 극솟값 g(3)=-4 (2 cos x+1)(3 cos x-2)=0 y
2 4 y=h(x)
를 가지므로 곡선 y=(x-1)(4xÛ`-23x+31)과 직 cos x=-;2!; 또는 cos x=;3@;
선 y=-m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12
5 1
11 0ÉxÉ p에서 곡선 y=cos x와 두 직선 y=- ,
-4<-m< 이어야 한다. 2 2
4
2
11 y= 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 <m<4이고, m=f '(1)이므로 3
4
y
11
- <f '(1)<4 y=cos`x 2
4 1 y= 3
11 p
즉, a=- , b=4이므로 O 2p x
4
-1 1
5p y=- 2
}=
11 27
b-a=4-{- 2 O x
4 4

정답과 풀이 <제 1 회> -3- 수학 영역


이차방정식 xÛ`+7x+12=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의 합 [확률과 통계] {E(X)-48}{E(X)+2}=0
은 -7이고, 이차방정식 9xÛ`-21x+12=0의 서로 다 p>0이므로 E(X)=48

른 두 실근의 합은
7
이므로 방정식 h(x)=0의 모든
23. 중복순열 정답 ④
192p=48에서
3 〘풀이〙 £P¢=3Ý`=81 p=;4!;
실근의 합은

-7+
7
=-
14 즉,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192, ;4!;}을 따른다.
3 3
따라서 p=3, q=14이므로
24. 이항분포 정답 ③ E(X)=48, V(X)=192_;4!;_;4#;=36=6Û`이고,
p+q=3+14=17
〘풀이〙 V(X)=90_;3!;_;3@;=20 192가 충분히 큰 수이므로 확률변수 X는 근사적으로
X-48
정규분포 N(48, 6Û`)을 따르고, Z= 로 놓으
6
면 확률변수 Z는 표준정규분포 N(0, 1)을 따른다.
따라서
25. 사건의 독립 정답 ④
}
66-48
P(X¾66)‌=P{Z¾
22. 정적분 정답 91 〘풀이〙 두 사건 A, B가 서로 독립이므로 두 사건 A, 6
BC도 서로 독립이다. =P(Z¾3)
xÜ`+3xÛ`-tx (x<0)
〘풀이〙 f(x)=[ P(B |A)=P(B )=1-P(B)에서
C C
=0.5-P(0ÉZÉ3)
xÜ`+3xÛ`+tx (x¾0)
=0.5-0.4987
t=0이면 f(x)=xÜ`+3xÛ`이고, 조건 (가)를 만족시키 1-P(B)=;5!;, P(B)=;5$;
=0.0013
지 않으므로 t+0이다. 따라서 P(A;B)=P(A)_P(B)이므로
3xÛ`+6x-t (x<0)
f '(x)=[ ;2¦5;=P(A)_;5$;에서
3xÛ`+6x+t (x>0)
이때 lim f '(x)=-t, lim f '(x)=t이므로 함수 P(A)=;2¦0;
x`Ú0- x`Ú0+

f(x)는 x=0에서 극값을 갖는다.


29. 중복조합 정답 495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 〘풀이〙 부등식 1ÉaÉbÉcÉdÉ10을 만족시키는


네 자연수 a, b, c, d의 모든 순서쌍 (a, b, c, d)의 개
형으로 가능한 것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y=f(x) 26. 이항정리 정답 ⑤ 수는 서로 다른 10개에서 4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
y=f(x)
〘풀이〙 {xÛ`+ } 의 전개식의 일반항은
1 6 와 같으므로
2x H¢‌=10+4-1C¢=13C¢
10

{ } =6Cr_{;2!;} _x12-3r
1 r r
또, 부등식 1ÉaÉb=cÉdÉ10을 만족시키는 네 자
6Cr(xÛ`)
6-r
2x
x=0 x=0 연수 a, b, c, d의 모든 순서쌍 (a, b, c, d)의 개수는
 (단, r=0, 1, 2, 3, 4, 5, 6)
[그림 1] [그림 2] 서로 다른 10개에서 3개를 택하는 중복조합의 수와 같
따라서 12-3r=3에서 r=3이므로 xÜ`의 계수는
두 이차방정식 3xÛ`+6x-t=0, 3xÛ`+6x+t=0이 모 으므로
¤C£_{;2!;}Ü`=20_;8!;=;2%; H£‌=10+3-1C£=12C£
두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10

9+3t>0, 9-3t>0에서 따라서 구하는 모든 순서쌍의 개수는


-3<t<3, t+0 13_12_11_10 12_11_10
C¢-12C£‌= -
13
4_3_2_1 3_2_1
그런데 t>0이면 이차방정식 3xÛ`+6x+t=0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실근이 모두 음수이므로 구
27. 확률 정답 ⑤ =13_11_5-2_11_10
〘풀이〙 9장의 카드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11_5_(13-4)
간 (0, ¦)에서 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는다.
9! =11_45
즉, -3<t<0이다. =1680
3!_3!_3! =495
이때 이차방정식 3xÛ`+6x-t=0의 근과 계수의 관계
한편, 6개의 문자 B, B, B, C, C, C가 적혀 있는 카드 〘다른 풀이〙 aÉb에서 a<b+1, cÉd에서 c<d+1
에 의하여 두 실근이 모두 음수이므로 조건 (가)를 만
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이므로 부등식 1ÉaÉb<cÉdÉ10을 만족시키는 네
족시키는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 2]
6! 자연수 a, b, c, d의 모든 순서쌍 (a, b, c, d)의 개수
와 같고, f(0)=0이므로 조건 (나)를 만족시키려면 함 =20
3!_3!
는 부등식 1Éa<b+1<c+1<d+2É12를 만족시
수 f(x)의 두 극댓값이 모두 0이어야 하고, 함수 이때 B와 C가 적혀 있는 카드의 앞, 뒤와 사이의 7개
키는 모든 순서쌍 (a, b+1, c+1, d+2)의 개수와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의 자리 중 A가 적혀 있는 카드가 들어갈 3자리를 택
같다.
y y=f(x) 하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구하는 모든 순서쌍의 개수는
7_6_5
7C£= =35 12_11_10_9
O 3_2_1 C¢‌= =495
x
12
4_3_2_1
즉, 문자 A가 적혀 있는 카드가 이웃하지 않는 경우의
수는
20_35=700
x<0에서 f(x)=xÜ`+3xÛ`-tx=x(xÛ`+3x-t)이므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로 이차방정식 xÛ`+3x-t=0이 중근을 가져야 한다. 700
=
5 30. 확률 정답 77
9 1680 12
즉, -t= 〘풀이〙 ABÓ Û`=(a+b)Û`
4
BCÓÓ Û`=(b-c)Û`+16
또, 이차방정식 3xÛ`+6x-t=0에서
CAÓ Û`=(a+c)Û`+16
t t
x=-1-®É1+ 또는 x=-1+®É1+ 이므로 Ú AB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인 경우
3 3
28. 이항분포와 정규분포 정답 ①
(a+b)Û`=(b-c)Û`+16에서
t 3
x=-1-®É1+ =- 〘풀이〙 확률변수 X가 이항분포 B(192, p)를 따르
3 2 (a+c)(a-c+2b)=16
그러므로 므로

:
㉠ ‌a+c=2인 경우
E(X)=192p
{xÜ`+3xÛ`+;4(; x}dx
0 0
|f(x)|dx‌=-: 순서쌍 (a, c)는 (1, 1) 뿐이므로
-1-®É1+;3T; -;2#; 한편, E{(X-192p)Û`}=V(X)이고,
xÝ`+xÜ`+ xÛ`]
2b=8에서 b=4
1 9 0
V(X)=E(XÛ`)-{E(X)}Û`이므로
=-[ ㉡ ‌a+c=4인 경우
4 8 -;2#;
E{(X-192p)Û`}=E(XÛ`)-E(46X+96)에서 순서쌍 (a, c)는 (1, 3), (2, 2), (3, 1)
27
= V(X)=E(XÛ`)-E(46X+96) a=1, c=3이면 -2+2b=4에서 b=3
64
E(XÛ`)-{E(X)}Û`=E(XÛ`)-46E(X)-96 a=2, c=2이면 2b=4에서 b=2
따라서 p=64, q=27이므로
{E(X)}Û`-46E(X)-96=0 a=3, c=1이면 2+2b=4에서 b=1
p+q=64+27=91

정답과 풀이 <제 1 회> -4- 수학 영역


㉢ ‌a+c=8인 경우 따라서 등비수열 {a2n+1}의 첫째항과 공비가 모두 rÛ`이
순서쌍 (a, c)는 (2, 6), (3, 5), (4, 4), (5, 3),
24. 방정식에의 활용 정답 ④
므로

Á a2n+1‌=
ex ¦
(6, 2) 〘풀이〙 f(x)= 에서 rÛ`
xÛ`
a=2, c=6이면 -4+2b=2에서 b=3 n=1 1-rÛ`
ex_xÛ`-ex_2x
a=3, c=5이면 -2+2b=2에서 b=2 f '(x)‌= 6
xÝ` 7
a=4, c=4이면 2b=2에서 b=1 ex(x-2) = =6
= 6
1-
순서쌍 (a, c)가 (5, 3), (6, 2)인 경우 b의 값 xÜ` 7
이 존재하지 않는다. f '(x)=0에서 x=2
이상에서 AB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는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x y (0) y 2 y 27. 미분과 적분의 관계 정답 ③

: f '(x)dx=cos 2x+k이
1+3+3=7 d
f '(x) + - 0 + 〘풀이〙 조건 (가)에서
Û BCÓ=CAÓ인 이등변삼각형인 경우 dx

: f '(x) dx=f '(x)이므로


f(x) ↗ ↘ 극소 ↗
(b-c)Û`+16=(a+c)Û`+16에서 d
고,
lim f(x)=0, lim f(x)=¦, lim f(x)=¦이므 dx
(a+b)(a-b+2c)=0 x`Ú-¦ x`Ú0 x`Ú¦
f '(x)=cos 2x+k
a+b+0이므로 2c=b-a 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즉,
㉠ ‌c=1이면 b-a=2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y y=f(x)
는 f(x)=: f '(x)dx
(1, 3), (2, 4), (3, 5), (4, 6)
eÛ =: (cos 2x+k)dx
㉡ ‌c=2이면 b-a=4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4
는 =;2!; sin 2x+kx+C (단, C는 적분상수)
(1, 5), (2, 6)
O 2 x f(x)
이상에서 BCÓ=CAÓ인 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는 한편, 조건 (나)의 lim =-2에서
x`Úp x-p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따라서 방정식 f(x)=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x`2Ú p일 때 (분모)`2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4+2=6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만나는 서로 (분자)`2Ú 0이어야 한다.
Ü CAÓ=ABÓ인 이등변삼각형인 경우 다른 점의 개수이므로 구하는 k의 값은 즉, lim f(x)=0
x`Úp
(a+c)Û`+16=(a+b)Û`에서 eÛ` eÛ`
k=f(2)= =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b-c)(b+c+2a)=16 2Û` 4
f(p)=0  yy ㉠
㉠ ‌b-c=1인 경우
f(x)-f(p)
순서쌍 (b, c)는 (2, 1), (3, 2), (4, 3), (5, 4), 또, lim =f '(p)이므로
x`Úp x-p
(6, 5) f '(p)=-2   yy ㉡
b+c의 값이 모두 홀수이므로 b+c+2a=16을 ㉠에서 f(p)=kp+C=0
만족시키는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25. 속도와 가속도 정답 ④
㉡에서 f '(p)=1+k=-2
㉡ ‌b-c=2인 경우 〘풀이〙 x=tÛ`+ln t, y=tÛ`-ln t에서 따라서 k=-3, C=3p이므로
순서쌍 (b, c)는 (3, 1), (4, 2), (5, 3), (6, 4) dx 1 dÛ`x 1
dt
=2t+ ,
t dtÛ`
=2-
tÛ` f(x)=;2!; sin 2x-3x+3p
b=3, c=1이면 4+2a=8에서 a=2
dy 1 dÛ`y 1
b=4, c=2이면 6+2a=8에서 a=1 dt
=2t- ,
t dtÛ`
=2+
tÛ` 즉, f {;2Ò;}=0-3_;2Ò;+3p=;2#; p
순서쌍 (b, c)가 (5, 3), (6, 4)인 경우 a의 값 이므로 점 P의 가속도의 크기는
이 존재하지 않는다.
㉢ ‌b-c=4인 경우 ¾Ð{ dÛ`x }Û`+{ dÛ`y }Û`‌‌=¾Ð{2- 1 }Û`+{2+ 1 }Û`
순서쌍 (b, c)는 (5, 1), (6, 2)
dtÛ`
2
dtÛ`
tÛ` tÛ`
28. 변화율 정답 ⑤
=®É8+ 〘풀이〙 입체도형 A의 부피를 V라 하면
순서쌍 (b, c)가 (5, 1), (6, 2)인 경우 a의 값 tÝ`
이때 ®É8+ =3에서 =1이므로 점 P의 가속도의
이 존재하지 않는다. 2 2 V=:)a { f(x)}Û`dx
tÝ` tÝ`
이상에서 CAÓ=ABÓ인 이등변삼각형이 되도록 하
크기가 3인 순간은 t=Ý '2일 때이다. 양변을 a에 대하여 미분하면
는 순서쌍 (a, b, c)의 개수는
따라서 점 P의 속력이 dV
2 ={ f(a)}Û`
da
Ú, Û, Ü에서 구하는 확률은 ¾Ð{ dx }Û`+{ dy }Û`‌‌=¾Ð{2t+ 1 }Û`+{2t- 1 }Û` dV dV da
dt dt t t = _ 에서
7+6+2 dt da dt
=;7°2; 2
6Ü` =®É8tÛ`+ dV da
tÛ` ={ f(a)}Û`_ 이므로
따라서 p=72, q=5이므로 dt dt
이므로 t=Ý '2일 때 점 P의 속력은
p+q‌=72+5=77 da dV 1
= _  yy ㉠
®É8'2+ =3 Ý '2
2 dt dt { f(a)}Û`
'2 한편, 조건 (가)에서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f(x)f '(x)={ f(x)}Û`+2xf(x)f '(x)-g '(x)이
므로
{ f(x)}Û`=g '(x)  yy ㉡
dV
[미적분] 26. 등비급수 정답 ① 따라서 a=2인 순간
dt
=15이고, 조건 (나)에서

23. 치환적분법 〘풀이〙 등비수열 {an}에 대하여 급수 Á an, Á a2n이


정답 ②
¦ ¦ g '(2)=3이므로 ㉠, ㉡에서

〘풀이〙 :!5 dx‌= :!5


da
=15_;3!;=5
n=1 n=1
x 1 2x 수렴하므로 등비수열 {an}의 공비를 r라 하면 dt
dx
xÛ`+2 2 xÛ`+2
= :!5
-1<r<1이다.
1 (xÛ`+2)'
dx 이때 등비수열 {a2n}의 첫째항이 r이고 공비가 rÛ`이
2 xÛ`+2
= [ln (xÛ`+2)]5!
므로

Á an= Á a2n+7에서
1
2 ¦ ¦

1 n=1 n=1
29. 등비급수의 활용 정답 173
= _(ln 27-ln 3)
2 1 r 1
= +7 〘풀이〙 SÁ‌= _9p+;4!;_p ‌
1 1-r 1-rÛ` 4
= _ln 9
2 1 5
=7, rÛ`=;7^; =
2
p
=ln 3 1-rÛ`

정답과 풀이 <제 1 회> -5- 수학 영역


그림 Rª에서 AÕÁCÁÓ=5이므로 이 식에 x=1을 대입하면 즉,
AÕªCªÓ=5-(3+1)=1 f '( f -1(1))_( f -1)'(1)=1 FÕF'Ó
sin(∠FPF') 2R
이때 AÕÁCÁÓ`:`AÕªCªÓ=5:1이므로 직사각형 AÁBÁCÁDÁ
+2 }_ =1
1 1 ‌=
f '{®É sin(∠PF'F)+sin(∠F'FP) PFÓ PÕF'Ó
1 a 2 +
과 직사각형 AªBªCªDª의 닮음비는 1`:` 이다. 2R 2R
5 x¾0에서 f '(x)=2ax이므로
FÕF'Ó
5 1 =
따라서 lim Sn은 첫째항이 p이고 공비가 2a_®É +2=2 PFÓ+PÕF'Ó
n`Ú¦ 2 a
이때 F(c, 0), F'(-c, 0) (c>0)이라 하면
{ }`=
1 Û 1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인 등비급수의 합이므로 cÛ`=16-7=9에서 F(3, 0), F'(-3, 0)이므로
5 25 2aÛ`+a-1=0
5 FÕF'Ó=6
p (2a-1)(a+1)=0
2 또,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lim Sn‌= a>0이므로
n`Ú¦ 1
1- PFÓ+PÕF'Ó=2_4=8
25 1
a= 따라서
125 2
= p
48 ( -e +x (x<0) x sin(∠FPF')
‌=
FÕF'Ó
즉, p=48, q=125이므로 따라서 f(x)={ 1 이므로 sin(∠PF'F)+sin(∠F'FP) PFÓ+PÕF'Ó
92
xÛ`-1 (x¾0) 6 3
p+q=48+125=173 = =
8 4
1
f(10)‌= _10Û`-1=49
2

30. 역함수의 미분법 정답 49


26. 벡터의 연산 정답 ①
-bx (x<d)
〘풀이〙 a=0이면 f(x)=[ 이고, p
bx+c (x¾d) 〘풀이〙 삼각형 PAB에서 ∠BPA= 이고, ABÓ=4,
2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APÓ=2이므로
a+0, 즉 a>0 [기하] p
∠PAB=
g(x)=-2aex+(2a-b)x라 하면 3
g'(x)=-2aex+2a-b 23. 공간좌표 정답 ① 따라서
|AB³-3PA³|Û`
g'(x)=0에서 2aex=2a-b, x=ln {1- }
b 〘풀이〙 선분 AB의 중점의 좌표는
2a =|AB³|Û`-6AB³•PA³+9|PA³|Û`
3+(-1) (-1)+5 5+1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 , , }
2 2 2 2
=|AB³|Û`-6|AB³||PA³|cos p+9|PA³|Û`
같다. 즉, (1, 2, 3) 3

}+9_2Û`
1
ln {1- }
b 따라서 a=1, b=2, c=3이므로 =4Û`-6_4_2_{-
x y y 2
2a
a+b+c=1+2+3=6
g '(x) + 0 - =16+24+36

g (x) ↗ 극대 ↘ =76

또, h(x)=axÛ`+bx+c라 하면

h(x)=a{x+ }`-
b Û bÛ`
+c이므로 함수 h(x)는
24. 벡터의 내적 정답 ①
2a 4a
〘풀이〙
x=-
b
2a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A
h
D 27. 공간도형 정답 ④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해야 하므로 〘풀이〙 모서리 AD 위의 점 Q를 AQÓ=BPÓ가 되도록


M 정하면 평면 PQEF와 평면 PQHG가 이루는 예각의
}이고 -
b b
dÉln{1- Éd이어야 한다.
2a 2a 크기가 h이므로 ∠FPG= h이다.
Q
ÉdÉln {1- }이어야 한다.
b b A
D
즉, - h
2a 2a B C
b 두 선분 AB, BC를 두 변으로 하는 직사각형 ABCD B
P
이때 1- =t (t>0)이라 하면 위의 부등식은 C
2a
에서 ∠BCA= h라 하면 ∠DAC= h이고, h
t-1ÉdÉln t  yy ㉠
4
p(t)=ln t-(t-1)이라 하면 cos h= 이다. E
H
5
p'(t)=;t!;-1 따라서
F
G
AM³•BC³‌=AM³•AD³
p'(t)=0에서 t=1 점 P가 선분 BC의 중점일 때 h의 크기가 최대이고,
=|AM³||AD³|cos h
함수 p(t)가 t=1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고, p(1)=0 이때 cos h의 값이 최소이다.
5 4
이므로 = _4_ 따라서 삼각형 PFG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 5
p(t)=ln t-(t-1)É0에서 ln tÉt-1  yy ㉡ Û
FGÓ `=PFÓ Û`+PGÓ Û`-2_PFÓ_PGÓ_cos h
=8
㉠, ㉡에서 ln t=t-1이므로 t=1이고, ㉠에서 d=0 즉, 36=25+25-2_5_5_cos h에서
b 7
1- =1에서 b=0 cos h=
2a 25
-2aex+2ax (x<0)
이상에서 f(x)=[
axÛ`+c (x¾0)
이고, 25. 타원 정답 ③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c=-2a 〘풀이〙 삼각형 PF'F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2aex+2ax (x<0) 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즉, f(x)=[
axÛ`-2a (x¾0) FÕF'Ó
=2R,
PFÓ
=2R, 28. 공간도형 정답 ③
sin(∠FPF') sin(∠PF'F)
한편, f(0)=-2a<0이고,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풀이〙 선분 B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두 삼각형
PÕF'Ó
집합에서 증가하므로 f(k)=1 (k>0)이라 하면 =2R ABC, BCD가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므로
sin(∠F'FP)
1 AMÓ⊥BCÓ, DMÓ⊥BCÓ
akÛ`-2a=1에서 k=®É +2이므로 이므로
a
FÕF'Ó PFÓ 즉, ∠AMD가 두 평면 ABC, BCD가 이루는 각이
1 sin(∠FPF')= , sin(∠PF'F)= ,
f -1(1)=®É +2 2R 2R 다.
a
PÕF'Ó 직각삼각형 ABM에서
f( f -1(x))=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sin(∠F'FP)=
2R Û
-1 -1
f '( f (x))_( f )'(x)=1 AMÓ `=5Û `-2Û`=21

정답과 풀이 <제 1 회> -6- 수학 영역


또, CDÓ=x라 하면 직각삼각형 CDM에서 PF'Ó=FF'Ó=6이고,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Û
DMÓ `=xÛ `-2Û`=xÛ`-4 PFÓ=2이므로 삼각형 PF 'F에서 ∠PF 'F=a라 하
제2회
A 면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Û
PFÓ `=PF'Ó Û `+FF'Ó Û _FF'Ó_cos a
`-2_PF'Ó 정답
4=36+36-2_6_6_cos a에서
h 17 1 ② 2 ② 3 ③ 4 ③ 5 ③
cos a=
M D 18
'3 '3Œ5 6 ① 7 ④ 8 ② 9 ⑤ 10 ①
} `=
삼각형 AMD에서 ADÓ=2'5, cos h= 17 Û
3
이므로 이때 sin a=¾¨ 1 -{ 이므로 삼각형
18 18 11 ④ 12 ⑤ 13 ③ 14 ② 15 ③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F 'F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Á이라 하면 사
16 20 17 3 18 10 19 28 20 39
ADÓ Û`=AMÓ Û`+DMÓ Û`-2_AMÓ_DMÓ_cos h 인법칙에 의하여
'3 PFÓ
21 68 22 24
20=21+(xÛ`-4)-2_'2Œ1_"ÃxÛ`-4_ =2rÁ
3 sin a
2_'7_"ÃxÛ`-4=xÛ`-3 2 [확률과 통계]
=2rÁ에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3Œ5
18 23 ② 24 ① 25 ③ 26 ⑤ 27 ④
x4-34xÛ`+121=0
18 29 261 30 199
따라서 CDÓ Û`=xÛ`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 rÁ= 28 ②
'3Œ5
계에 의하여 모든 CDÓ `의Û 값의 합은 34이다.
Û PFÓ=FF'Ó인 경우
[미적분]
y
P
23 ① 24 ④ 25 ③ 26 ② 27 ②

29. 포물선 정답 24 28 ⑤ 29 21 30 47

〘풀이〙 포물선 yÛ`=4x의 초점을 F라 하면 F(1, 0)이


F' O F x [기하]
고, 준선의 방정식이 x=-1이므로 준선과 x축이 만
xÛ yÛ
- =1
나는 점이 A이다. 4 5 23 ④ 24 ② 25 ④ 26 ① 27 ③
y PFÓ=FF'Ó=6이고,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28 ③ 29 57 30 50
P
PF'Ó=10이므로 삼각형 PF'F에서 ∠PF'F=b라
H
하면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FÓ Û`=PF'Ó Û`+FF'Ó Û`-2_PF'Ó_FF'Ó_cos b
Q
A O F P' x 36=100+36-2_10_6_cos b에서
해설
5
cos b=
6
'1Œ1
}`=
yÛ`=4x 5 Û
x=-1
이때 sin b=¾¨1-{
6 6
이므로 삼각형 1. 로그의 성질 정답 ②

PF 'F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ª라 하면 사인 〘풀이〙 logª 3_log9 16‌=logª 3_log3Û` 2 4

|OP³+OA³|‌=|OP³+FO³|
법칙에 의하여 4
=|FP³| =logª 3_ log£ 2
2
PFÓ
이므로 PFÓ=3 sin b
=2rª 1
=2_logª 3_
점 P에서 준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logª 3
6
=2rª에서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1Œ1 =2
PHÓ=PFÓ=3 6
즉, 점 P의 x좌표가 2이므로 18
rª=
'1Œ1
P(2, 2'2)
18 18
2. 등비수열 정답 ②
이때 점 P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Ú, Û에서 < 이므로
'3Œ5 '1Œ1 〘풀이〙 세 수 a-5, a+3, aÛ`+1이 이 순서대로 등비
2'2y=2(x+2)
18 18 수열을 이루므로
이므로 Q(-2, 0)이다. RÁ= , Rª=
'3Œ5 '1Œ1 (a+3)Û`=(a-5)(aÛ`+1)
따라서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P'이라 하면
Rª '3Œ5 aÜ`-6aÛ`-5a-14=0
PP'Ó=2'2이므로 직각삼각형 PQP'에서 따라서 = 이므로
RÁ '1Œ1 (a-7)(aÛ`+a+2)=0
PQÓ Û`‌=PPÓ'Õ Û`+QPÓ'Õ Û`
{ }`=
Rª Û 35 a는 실수이므로
=(2'2)Û`+4Û` RÁ 11
a=7
=24 즉, m=11, n=35이므로
m+n=11+35=46

3. 함수의 극한 정답 ③

30. 쌍곡선 정답 46 〘풀이〙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에서


〘풀이〙 조건 (가)와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주축의 길 lim f(x)=-1, lim f(x)=2
x`Ú-1+ x`Ú1-
이가 4이므로 따라서
k=4 lim f(x)+ lim f(x)=(-1)+2=1
x`Ú-1+ x`Ú1-
이때 F(c, 0), F'(-c, 0) (c>0)이라 하면
cÛ`=4+5=9에서 F(3, 0), F'(-3, 0)이므로
FF'Ó=6
Ú PF'Ó=FF'Ó인 경우 4. 접선의 방정식 정답 ③

y 〘풀이〙 f(x)=xÜ`-3x+1이라 하면
f '(x)=3xÛ`-3
곡선 y=f(x)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P
f '(2)=3_2Û`-3=9
F' O F x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xÛ yÛ y-3=9(x-2)
- =1
4 5

정답과 풀이 <제 2 회> -7- 수학 영역


즉, y=9x-15 이때 p(t)=3tÛ`-tÜ` (0<t<3)이라 하면 0<t<3일
따라서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8. 함수의 연속 정답 ②
때 p(t)>0이므로 p(t)가 최대일 때 h(t)도 최대가
〘풀이〙 함수 f(x)는 x+3, x+-3일 때 연속이므로
A{;3%;, 0}, B(0, -15) 된다.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려면
한편, p'(t)=6t-3tÛ `=3t(2-t)이므로 t=0 또는
이므로 삼각형 AOB의 넓이는 x=3, x=-3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t=2일 때 p'(t)=0이고 0<t<3에서 함수 p(t)의 증
;2!;_;3%;_15=;;ª2°;; Ú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려면
가와 감소를 조사하면 p(t)는 t=2에서 극대이면서 최
lim f(x)= lim f(x)=f(3)
x`Ú3- x`Ú3+ 대가 된다.
이어야 한다. 이때 따라서 p(t)의 최댓값은 p(2)=4이므로 구하는 사각
xÜ`+xÛ`-9x-9 형 PQRS의 넓이의 최댓값은
lim f(x)‌= lim
x`Ú3- x`Ú3- xÛ`-9
5. 등차수열의 합 정답 ③
(x+3)(x-3)(x+1)
h(2)=10'4=20

〘풀이〙 Á an+ Á an‌= Á an-ak


= lim
k-1 10 10 x`Ú3- (x+3)(x-3)
n=1 n=k+1 n=1 = lim (x+1)=4
x`Ú3-
10
= (aÁ+a10)-ak lim f(x)‌= lim (xÛ`+ax+b)
2 x`Ú3+ x`Ú3+ 10. 정적분의 계산 정답 ①
=5_24-ak =9+3a+b 〘풀이〙 f(x)=axÛ`+bx+c (a, b, c는 상수, a+0)
=120-ak=104 f(3)=9+3a+b 이라 하자.
이므로 ak=16 이므로 조건 (가)에서

:_3# (axÛ`+bx+c)dx‌=2:)3` (axÛ`+c)dx


이때 aÁ+a10=ak+a11-k이므로 9+3a+b=4
24=16+a11-k 3a+b=-5 yy ㉠
따라서 Û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려면 =2[;3A;xÜ`+cx]3)
a11-k=8 lim f(x)= lim f(x)=f(-3)
x`Ú-3- x`Ú-3+
=2(9a+3c)=0
이어야 한다. 이때
이므로
lim f(x)‌= lim (xÛ`+ax+b)
x`Ú-3- x`Ú-3- 9a+3c=0, 즉 c=-3a yy ㉠
=9-3a+b 조건 (나)에서
6. 사인법칙
:_3# (axÜ`+bxÛ`+cx)dx‌=2:)3` bxÛ`dx
정답 ①
xÜ`+xÛ`-9x-9
lim f(x)‌= lim
〘풀이〙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2 xÛ`-9

=2[;3B;xÜ`]3)`
x`Ú-3+ x`Ú-3+

이므로 사인법칙에 의하여 (x+3)(x-3)(x+1)


= lim
2 '2 x`Ú-3+ (x+3)(x-3)
sin (∠ABC)= =
2'2 2 = lim (x+1)=-2 =18b=0
x`Ú-3+
p f(-3)=9-3a+b 이므로 b=0 yy ㉡
이때 삼각형 ABC는 예각삼각형이므로 ∠ABC=
4
㉠, ㉡에 의하여
'6 '3
이므로
또, sin (∠ACB)== 이고 삼각형 ABC는 9-3a+b=-2 f(x)=axÛ`-3a
2'2 2
3a-b=11 yy ㉡ 이고, axÛ`-3a=0에서
p
예각삼각형이므로 ∠ACB= x='3 또는 x=-'3
3 ㉠, ㉡에서 a=1, b=-8이므로 |x|¾3일 때
p p 5 f(x)=xÛ`+x-8 이므로
그러므로 h=p- - = p
4 3 12 l=2'3
따라서
따라서 따라서 lÛ`=12
f(4)=4Û`+4-8=12
sin 100h‌=sin {100_
5 125
p}=sin p
12 3

=sin {2p_20+
5 5
p}=sin p
3 3

=sin {2p-
p
}=-sin
p 11. 삼각함수의 성질 정답 ④
3 3 9. 함수의 최대와 최소 정답 ⑤
〘풀이〙 Ú 0<a<;2Ò;일 때
'3 〘풀이〙 f(-x)='Ä3+x, g(-x)=-4'Ä3+x이므로
=-
2
네 함수 y=f(x), y=g(x), y=f(-x), y=g(-x) sin a=cos {;2Ò;-a}이므로 sin a=cos b에서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cos {;2Ò;-a}=cos b
y=f(x) y=f(-x)

이때 {;2Ò;-a}+b=2p이므로
7. 적분과 미분의 관계 정답 ④ S P

〘풀이〙 xf(x)=3:!/ f(t)dt+xÛ`-2x+3 yy ㉠ -3 O 3 x b-a=;2#;p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a+b=;;Á5Á;; p이므로


f(1)=3_0+1-2+3=2
2b=;1#0&; p, b=;2#0&; p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R Q
f(x)+xf '(x)=3f(x)+2x-2 그러므로 a=;;Á5Á;; p-;2#0&; p=;2¦0; p
xf '(x)=2f(x)+2x-2 yy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y=g(x) y=g(-x) Û ;2Ò;Éa<p일 때
f '(1)=2f(1)=2_2=4 두 함수 y=f(x),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 sin a=cos {a-;2Ò;}이므로 sin a=cos b에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3인 이차함수이므로 여 대칭이고, 두 함수 y=g(x), y=g(-x)의 그래프
f(x)=3xÛ`+ax+b`(a, b는 상수)라 하면 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사각형 PQRS는 직사각 cos {a-;2Ò;}=cos b
f '(x)=6x+a 형이다.
이때 {a-;2Ò;}+b=2p이므로
f '(1)=4이므로 6+a=4에서 a=-2 이때 점 P의 좌표를 (t, 'Ä3-t ) (0<t<3)이라 하면
f(1)=2이므로 3+a+b=2에서 b=1 점 Q의 좌표는 (t, -4'Ä3-t )이고 점 S의 좌표는 a+b=;2%; p
따라서 (-t, 'Ä3-t )이다.
이것은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f(x)=3xÛ`-2x+1 즉, PQÓ=5'Ä3-t, PSÓ=2t이므로 사각형 PQRS의 넓
Ú, Û에 의하여 a=;2¦0; p
=3{x-;3!;}Û`+;3@; 이를 h(t)라 하면
h(t)‌=5'Ä3-t_2t 따라서 p=20, q=7이므로
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3@;이다. =10"Ã3tÛ`-tÜ` (0<t<3) p+q=20+7=27

정답과 풀이 <제 2 회> -8- 수학 영역


4k+1 (2k+2)! 2x-8
12.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정답 ⑤ 이다. 즉,
k+2
<
{(k+1)!}Û`
이므로 n=k+1
x-3
=tx에서 txÛ`-(3t+2)x+8=0 yy ㉢

〘 풀이 〙 함수 y=f(x-2)+2의 그래프는 함수 일 때에도 (C)이 성립한다. ㉢에서 t+0일 때, 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 Ú, Û에 의하여 2 이상의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2x-8
을 D라 하면 직선 y=tx가 곡선 y= 에 접할
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f(x)의 (C)이 성립한다. x-3
그래프는 [그림 1]과 같다. 4(k+1) 때 D=0이므로
따라서 p=6, f(k)= ,
y k+2 D=(3t+2)Û`-32t=0
y=f(x)
3 g(k)=(2k+1)(2k+2)이므로 9tÛ`-20t+4=0
4_7 (9t-2)(t-2)=0
f(6)_g(6)‌= _13_14
8
1
t=;9@; 또는 t=2
=637
-1 그러므로 t의 값의 범위에 따른 함수 f(t)는 다음과
O 1 3 x
같다.
-1
( 1 (tÉ0)
[그림 1]
14. 지수함수의 그래프 정답 ② | 3 {0<t< 2 }
이때 [그림 2]와 같이 함수 y=f(x)의 그래프와 함수 9
〘풀이〙 ax=t (t>0)이라 하면 |
2 {t= }
y=g(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2
f(x)=|tÛ`-at+4| f(t)={ 9
두 곡선 y=f(x)와 y=g(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 1 { <t<2}
g(t)=|tÛ`-at+4| (t>0)이라 하면 함수 y=f(x)의 2
는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9
그래프와 직선 y=2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는
이의 2배이다. | 2 (t=2)
함수 y=g(t)의 그래프와 직선 y=2가 만나는 서로
9 3 (t>2)
y y=x
다른 점의 개수와 같다.
3
y=g(x) 이때 함수 y=g(t)의 그래프가 y축에 수직인 직선과 이때 함수 y=f(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가 3이 되려면 함수 y


y=f(t)
1 y=f(x) y=tÛ`-at+4의 그래프가 t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3
-1
O 1 3 x 만나야 한다.
2
-1 즉, t에 대한 이차방정식 tÛ`-at+4=0의 판별식을 DÁ
이라 하면 DÁ>0이어야 하므로 1
[그림 2]
DÁ=(-a)Û`-16>0
또, [그림 2]의 빗금친 두 부분의 넓이가 같고 함수
(a+4)(a-4)>0
1 1 O 2 2 t
y= (x+1)Ü`-1의 그래프는 함수 y= xÜ`의 그래 a>0이므로 a>4 9
4 4
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 이때 함수 y=g(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ㄱ. t>2일 때, f(t)=3이므로
y
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그림 3]의 색 y=g(t) lim f(t)=3 (참)
t`Ú2+
1
칠한 부분, 즉 곡선 y= xÜ` (0ÉxÉ2)와 직선 y=x 4 2
4 ㄴ. ‌함수 f(t)는 t=0, t= , t=2에서 불연속이므로
9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4배이다.
함수 f(t)가 t=a에서 불연속인 실수 a의 개수는
y y=x
3이다. (거짓)
2
1 O t 2
y= xÜ ㄷ. ‌함수 f(t)는 t=0, t= , t=2에서만 불연속이고
4 9
이 그래프가 직선 y=2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 함수 g(t)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함
O 2 x 면 함수 y=-tÛ`+at-4의 그래프와 직선 y=2가 접 2
수 h(t)가 t=0, t= , t=2에서 연속이면 실수
해야 하므로 t에 대한 이차방정식 -tÛ`+at-4=2가 9
[그림 3] 중근을 가져야 한다.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이때

4:)2` {x- xÝ`]2)


즉, t에 대한 이차방정식 tÛ`-at+6=0의 판별식을 Dª
g(t)‌=9tÜ`-20tÛ`+4t
xÜ`}dx‌=4[ xÛ`-
1 1 1 라 하면 Dª=0이어야 하므로
4 2 16 =t(9t-2)(t-2)
Dª=(-a)Û`-24=0
1 1
에서 g(0)=g { }=g(2)=0이므로
=4{ _4- _16} aÛ`=24 2
2 16 9
=4_1=4 a>4이므로
lim h(t)=1_0=0,
a=2'6 t`Ú0-

lim h(t)=3_0=0,
t`Ú0+

h(0)=1_0=0
즉, 함수 h(t)는 t=0에서 연속이다.
13. 수학적 귀납법 정답 ③
15.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 ③ 또,
16 lim h(t)=3_0=0,
|의 그래프와 t의 값의 범위
〘풀이〙 Ú n=2일 때, (좌변)= 이고 (우변)= 6 2x-8 t`Ú;9@;-
3 〘풀이〙 함수 y=|
x-3
이므로 (C)이 성립한다. 에 따른 직선 y=tx를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im h(t)=1_0=0,
t`Ú;9@;+
Û n=k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y ㉡ y=tx
}=2_0=0
2
4k (2k)! h{
< 9
k+1 (k!)Û`
2
이다. 이때 이므로 함수 h(t)는 t= 에서 연속이다.
9
4k+1 4k 4(k+1) 마찬가지로
= _
k+2 k+1 k+2
y=ì ì lim h(t)=1_0=0,
2x-8
x-3 ㉠
t`Ú2-
4(k+1) 4k+2 lim h(t)=3_0=0,
이고, < 이므로 2
k+2 k+1 t`Ú2+

3 4 x h(2)=2_0=0
4k 4(k+1) O
_ 이므로 함수 h(t)는 t=2에서 연속이다.
k+1 k+2
위 그림의 ㉠, ㉡과 같이 직선 y=tx가 곡선 그러므로 함수 h(t)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
(2k)! (2k+1)(2k+2) (2k+2)! 이다. (참)
< _ = 2x-8
(k!)Û` (k+1)Û` {(k+1)!}Û` y= 에 접할 때의 t의 값을 구해 보자.
x-3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정답과 풀이 <제 2 회> -9- 수학 영역


이때
16. 수열의 귀납적 정의 정답 20
g(x)+2 g(x)-g(2)
22. 도함수의 활용 정답 24
‌=lim [ ]
1
lim _
〘풀이〙 lim xÜ`f { }=2에서 =t라 하면
〘풀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2이면 x`Ú2 xÛ`-4 x`Ú2 x+2 x-2 1 1
1 1 x`Ú0+ x x
1
x 2Ú0+일 때 t 2Ú¦이므로
an+1= a Û`= _2Û`=2 = g '(2)
2 n 2 4
f(t)
lim xÜ`f { }=lim
이때 aÁ=2이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2이다. 1 1
이므로 g '(2)=3에서 g '(2)=12 =2
따라서 4 x`Ú0+ x t`Ú¦ tÜ`

Á an= Á 2=2_10=20
10 10 한편, h'(x)=f '(x)g(x)+f(x)g '(x)이므로 즉,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삼차함수이다.
n=1 n=1 h'(2)‌=f '(2)g(2)+f(2)g '(2)  yy ㉠
=4_(-2)+3_12=28 f(x) ( f(x)<3)
한편, g(x)=[ 이므로 주어진 조건
3 ( f(x)¾3)
을 모두 만족시키려면 함수 f(x)는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져야 하며, 극댓값은 0보다 크고 3보다 작거나
17. 부채꼴의 넓이 정답 3 20. 함수의 연속 정답 39
같아야 한다.
〘풀이〙 ∠POB= h라 하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6이 g(x) x+2
〘풀이〙 = 이때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 중 x축
f(x) (x+1)(xÛ`+ax+b)
므로 색칠한 부채꼴 OBP의 넓이는 보다 위에 있는 부분의 넓이가 최대가 되려면 함수
g(x)
1 이므로 함수 가 x=-1을 제외한 실수 전체의
_6Û`_h=18h f(x) f(x)는 x=-1에서 갖는 극댓값이 3이 되어야 하므
2
집합에서 연속이 되는 경우는 다음 두 가지이다. 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이때 부채꼴 OBP의 넓이가 15p이므로
Ú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ax+b>0인 경우 y y=f(x)
18h=15p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ax+b=0의 판별식을 3
5
h= p D라 하면 D<0이어야 하므로
6
p aÛ`-4b<0 O
그러므로 ∠POH= -1 7 x
6 즉, aÛ`<4b이므로 이것을 만족시키는 1 이상 10 이 2
따라서 선분 PH의 길이는 하인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p 1 (1, 1), (1, 2), (1, 3), y, (1, 10),
PHÓ=POÓ_sin =6_ =3
6 2
(2, 2), (2, 3), (2, 4), y, (2, 10),
(3, 3), (3, 4), (3, 5), y, (3, 10),
즉, f '(-1)=0, f(-1)=3, f { }=3이어야 하므로
7
(4, 5), (4, 6), (4, 7), y, (4, 10), 2
(5, 7), (5, 8), (5, 9), (5, 10),
㉠에 의하여 f(x)-3=2(x+1)Û` {x- }
7
18. 코사인법칙 정답 10 (6, 10) 2
이고 그 개수는 38이다. f(x)=2xÜ`-3xÛ`-12x-4
〘풀이〙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Û xÛ`+ax+b=(x+1)Û`인 경우 f '(x)‌=6xÛ`-6x-12=6(x+1)(x-2)
ABÓ Û`+CAÓ Û`-BCÓ Û`
cos (∠BAC)‌= xÛ`+ax+b=xÛ`+2x+1이므로 이것을 만족시키 f '(x)=0에서 x=-1 또는 x=2
2_ABÓ_CAÓ
3Û`+2Û`-4Û` 1 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2, 1)의 한 -1ÉxÉ3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 =-
2_3_2 4 개뿐이다. 타내면 다음과 같다.
p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순서쌍 (a, b)의 개수
∠BAD=∠DAE=∠CAF= 에서 x -1 y 2 y 3
3
는 f '(x) - 0 +
∠BAD+∠DAE+∠CAF=p이므로
38+1=39 f(x) 3 ↘ -24 ↗ -13
∠EAF=p-∠BAC
즉,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cos (∠EAF)‌=cos (p-∠BAC) |-24|=24
=-cos (∠BAC) 2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그래프 정답 68

}=
1 1 〘풀이〙 함수 y=ax+3에서 x=0일 때 y=1+3=4이
=-{-
4 4
므로 점 A의 좌표는
이때 AEÓ=ADÓ=ABÓ=3, AFÓ=ACÓ=2이므로 삼각
A(0, 4)
형 AFE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함수 y=loga (x-1)에서 y=0일 때 x-1=1, 즉
EFÓ Û`‌=AEÓ Û`+AFÓ Û`-2_AEÓ_AFÓ_cos (∠EAF)
x=2이므로 점 B의 좌표는 [확률과 통계]
1
=3Û`+2Û`-2_3_2_ =10 B(2, 0)
4
따라서
함수 y=loga (x-1)에서 y=4일 때 x-1=a4, 즉 23. 표본평균의 분포 정답 ②

x=a +1이므로 점 C의 좌표는


4
〘풀이〙 정규분포 N(10, 3Û`)을 따르는 확률변수를 X
lÛ`=10
C(a4+1, 4) 라 하면
함수 y=ax+3에서 x=2일 때 y=aÛ`+3이므로 점 D E(X)=10, V(X)=9
의 좌표는 이고, 표본의 크기가 25이므로
D(2, aÛ`+3) V(X)
19. 함수의 곱의 미분법 정답 28 E(XÕ)=E(X)=10, V(XÕ)= =;2»5;
이때 ACÓ⊥BDÓ이고, ACÓ=aÝ`+1, BDÓ=aÛ`+3이므로 25
f(x)-3 사각형 ABCD의 넓이를 S라 하면
=4에서 x 2Ú 2일 때
따라서
〘풀이〙 Ú lim
x-2 1 E(XÕ)_V(XÕ)=10_;2»5;=;;Á5¥;;
x`Ú2
S‌= _ACÓ_BDÓ
(분모) 2Ú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2
(분자) 2Ú 0이어야 한다. =
1
(aÝ`+1)(aÛ`+3)
2
즉, lim { f(x)-3}=0이므로 f(2)=3
x`Ú2
S=30이므로
이때 1
24. 정규분포 정답 ①

f(x)-3 f(x)-f(2) (aÝ`+1)(aÛ`+3)=30


2
}Û`이므로 표준정규
lim =lim =f '(2) 4 2
x-2 x-2 〘풀이〙 ={
x`Ú2 x`Ú2
aß`+3aÝ`+aÛ`-57=0 9mÛ`+6m+1 3m+1
이므로 f '(2)=4 (aÛ`-3)(aÝ`+6aÛ`+19)=0 분포 N(0, 1)을 따르는 확률변수를 Z라 하면

» ¼
g(x)+2
Û ‌‌lim =3에서 x 2Ú 2일 때 (분모) 2Ú 0이 aÛ`은 실수이므로 aÛ`=3 P(XÉ5)‌=P ZÉ
5-(m-1)
x`Ú2 xÛ`-4 2
따라서 두 점 C, D의 좌표는 C(10, 4), D(2, 6)이므
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2Ú 0이어야 한다. 3m+1

}=0.9987
즉, lim {g(x)+2}=0이므로 g(2)=-2 (3m+1)(6-m)
=P{ZÉ
x`Ú2
CDÓ Û`‌=(2-10)Û`+(6-4)Û`=64+4=68 2

정답과 풀이 <제 2 회> - 10 - 수학 영역


이때
P(ZÉ3)‌=0.5+P(0ÉZÉ3)
27. 이항분포 정답 ④ 29. 확률의 덧셈정리 정답 261

}를 따르므
k 〘풀이〙 집합 X에서 X로의 함수 f의 개수는
=0.5+0.4987 〘풀이〙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n,
10 4Ý`=256
=0.9987
로 함수 f 중에서 임의로 하나의 함수를 택하는 시행에서
이므로
k
(3m+1)(6-m) E(X)‌=n_ f(1)<f(2)=f(3)<f(4)인 함수를 택하는 사건을
=3 10
2 A, f(1)<f(2)<f(3)<f(4)인 함수를 택하는 사건
nk
3mÛ`-17m=0 = 을 B라 하자.
10
m(3m-17)=0 Ú f(2)=f(3)인 경우
}
k k
V(X)‌=n_ _{1-
m>0이므로 10 10 ㉠ ‌f(2)=f(3)=2일 때, f(1)과 f(4)의 값을 택하
{1- }
17 nk k 는 경우의 수는
m= =
3 10 10
1_2=2
조건 (가)에 의하여
㉡ ‌f(2)=f(3)=3일 때, f(1)과 f(4)의 값을 택하
{1- }
nk nk k
3_ =5_ 는 경우의 수는
10 10 10
k 3 2_1=2
1- =
25. 수학적 확률 정답 ③ 10 5 ㉠, ㉡에 의하여
k 2
=;6Á4;
= 2+2
〘풀이〙 서로 다른 5개의 점포를 배치하는 모든 경우의 10 5 P(A)=
256
수는 k=4 Û f(2)<f(3)인 경우
5!=120
}를 따르므로 조
2 f(1)=1, f(2)=2, f(3)=3, f(4)=4이어야 하므
즉,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B{n,
Ú 식당과 세탁소가 1층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경우 5
로 이 경우의 수는 1이다.
1층의 세 공간 중 식당과 세탁소가 이웃하게 배치 건 (나)에 의하여
1
즉, P(B)=
}`_{ }
될 공간을 택하여 식당과 세탁소를 배치하는 경우 2 Ú 3 n-1 256
19_nCÁ_{
5 5
의 수는 Ú, Û에서 두 사건 A와 B는 서로 배반사건이므로 구
}`_{ }
2 Û 3 n-2
4 =3_nCª_{ 하는 확률은
5 5
이고, 나머지 세 공간에 다른 3개의 점포를 배치하 3 n(n-1) 2 P(A'B)‌=P(A)+P(B)
19_n_ =3_ _
는 경우의 수는 5 2 5 1 1 5
= + =
n-1=19 64 256 256
3!
n=20 따라서 p=256, q=5이므로
이므로 이 경우의 수는
p+q=256+5=261
4_3!=24 따라서
Û 식당과 세탁소가 2층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경우 n+k=20+4=24 〘다른 풀이〙 f(2)=f(3)인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층의 두 공간에 식당과 세탁소를 배치하는 경우의
f(1)=a, f(2)=f(3)=b, f(4)=c라 하면 a<b<c
수는
이어야 하므로 이 경우의 수는 네 수 1, 2, 3, 4에서 서
2
로 다른 세 수를 택하는 경우의 수와 같다.
이고, 1층의 나머지 세 공간에 다른 3개의 점포를
배치하는 경우의 수는
28. 중복조합 정답 ②
즉, 4C3=4

3! 〘풀이〙 여섯 개의 자연수 1, 2, 3, 4, 5, 6 중 서로 다
른 4개의 수를 택하여 얻은 조합 a, b, c, d에 대하여
이므로 이 경우의 수는
a<b<c<d일 때, a, b-1, c-2, d-3은 세 자연수
2_3!=12
1, 2, 3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4개를 택하여 얻은 중복
Ú, Û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조합이다.
30. 이산확률변수의 확률분포 정답 199
24+12=36
이때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2가 되려면 a, b-1, 〘풀이〙 확률변수 X가 가질 수 있는 값은 0, 2, 3, 4이다.
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c-2, d-3이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두 수로만 이루 X=2인 경우는 상자 A에서 1이 적힌 공 2개를 꺼내고,
36 3
= 상자 B에서도 1이 적힌 공 2개를 꺼내는 경우이므로
120 10 어져야 한다.
Ú ‌B={1, 2}가 되도록 하는 집합 A의 개수는 두 수 ªCª Cª
P(X=2)‌= _a
¤Cª ¤Cª
1, 2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4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
a(a-1)
에서 1만 4개 택하는 경우의 수와 2만 4개 택하는 =
2_15Û`
경우의 수를 빼면 되므로
26. 같은 것이 있는 순열 정답 ⑤
ªH¢-2‌=2+4-1C¢-2
마찬가지 방법으로 생각하면
ªCÁ_¢CÁ CÁ_bCÁ
〘풀이〙 그림과 같이 네 지점을 각각 P, Q, R, S라 하 P(X=3)‌= _a
=5C¢-2 ¤Cª ¤Cª
자. =5-2=3 8ab
=
B 15Û`
Û ‌B={2, 3}이 되도록 하는 집합 A의 개수는 두 수
¢Cª Cª
R 2, 3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4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 P(X=4)‌= _b
¤Cª ¤Cª
에서 2만 4개 택하는 경우의 수와 3만 4개 택하는 3b(b-1)
P =
S
경우의 수를 빼면 되므로 15Û`
ªH¢-2‌=2+4-1C¢-2 이때
=5C¢-2 E(X)=0_P(X=0)+2_P(X=2)
A Q =5-2=3  +3_P(X=3)+4_P(X=4)
Ú A ÚP ÚR ÚB로 가는 경우의 수는 Ü ‌B={1, 3}이 되도록 하는 집합 A의 개수는 두 수 a(a-1) 24ab 12b(b-1) 76
= + + =
4! 3! 1, 3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4개를 택하는 경우의 수 15Û` 15Û` 15Û` 75
_ _2!=6_3_2=36
2!2! 2! 이므로
에서 1만 4개 택하는 경우의 수와 3만 4개 택하는
Û A ÚP ÚS ÚB로 가는 경우의 수는 a(a-1)+24ab+12b(b-1)=228 yy ㉠
경우의 수를 빼면 되므로
4! ㉠에서 a+b=6, 즉 b=6-a이므로
_1_1=6 ªH¢-2‌=2+4-1C¢-2
2!2!
a(a-1)+24a(6-a)+12(6-a)(5-a)=228
Ü A ÚQ ÚB로 가는 경우의 수는 =5C¢-2
=5-2=3 aÛ`-a-12=0
3!
1_ =3 (a+3)(a-4)=0
2! Ú, Û, Ü에 의하여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2가 되
Ú, Û, Ü에 의하여 구하는 경우의 수는 도록 하는 집합 A의 개수는 a¾2에서 a=4이고 b=2이므로 상자 B에는 자연수
36+6+3=45 3+3+3=9 1, 2가 적힌 공이 각각 4개, 2개 들어 있다.

정답과 풀이 <제 2 회> - 11 - 수학 영역


이때 확률변수 Y가 가질 수 있는 값도 0, 2, 3, 4이고, 한편, [그림 2]와 같이 두 곡선 y=f(x)와 y=g(x)
Y=2인 경우는 상자 B에서 1이 적힌 공 2개를 꺼내
25.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력 정답 ③
는 직선 y=x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므로 구하는 넓이
고, 상자 A에서는 1이 적힌 공과 2가 적힌 공을 1개씩 〘풀이〙 x=3t-cos t, y=1+sin t에서 는 직선 y=x와 곡선 y=f(x)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dx dy
꺼내거나 2가 적힌 공을 2개 꺼내는 경우이므로 =3+sin t, =cos t 이의 2배이다.
dt dt
¢Cª ªCÁ_¢CÁ+¢Cª y y=x
P(Y=2)‌= _ 이므로 점 P의 속력은
¤Cª ¤Cª 4
y=g(x)
¾Ð{ }`+{ }`‌="Ã(3+sin t)Û`+cosÛ` t
6(8+6) dx Û dy Û
= dt dt
15Û`
28 ="Ã9+6 sin t+sinÛ` t+cosÛ` t
= 1 y=f(x)
75 ='Ä10+6 sin t
마찬가지 방법으로 생각하면 따라서 구하는 점 P의 속력의 최댓값은 O 1 4 x

P(Y=3)‌=
¢CÁ_ªCÁ
_
ªCª+¢Cª '1Ä0+6='1Œ6=4 [그림 2]
¤Cª ¤Cª
8(1+6) 이때 직선 y=x와 곡선 y=f(x)로 둘러싸인 부분의
=
15Û` 넓이는
56 1 15 25 5
= _(1+4)_3-:!4 f(x)dx= - =
225 2 2 4 4

P(Y=4)‌=
ªCª
¤Cª
_
ªCª+ªCÁ_¢CÁ
¤Cª
26. 등비급수의 활용 정답 ②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5 5
1+8 〘풀이〙 한 변의 길이가 6인 정사각형 AÁBÁCÁDÁ의 넓 2_
4
=
2
=
15Û` 이가 SÁ이므로
1 SÁ=36
=
25 한편, 정사각형 AnBnCnDn의 한 변의 길이를 an이라
이므로 하면 28. 삼각함수의 극한 정답 ⑤
E(Y)=0_P(Y=0)+2_P(Y=2)
AnAÓn+1Ó=;2!; an 〘풀이〙
 +3_P(Y=3)+4_P(Y=4)
28 56 1 또, △AnBn+1An+1»△DnAn+1Pn이므로
=2_ +3_ +4_
75 225 25 AnAn+1Ó : An+1Bn+1Ó=DnPnÓ : PnAn+1Ó Q
124 =4 : 5 f(h)
=
75
따라서 p=75, q=124이므로 즉, ;2!; an : an+1=4 : 5에서 2h
A B
p+q=75+124=199
an+1=;8%; an [그림 1]
이므로 [그림 1]과 같이 AQÓ⊥BQÓ이고 ABÓ=2,
∠BAQ=2h이므로
a }Û`
5
Sn+1‌=(an+1)Û`={
8 n AQÓ=2 cos 2h
25 즉, f(h)=(2 cos 2h)Û`=4 cosÛ` 2h
= (a )Û`
64 n
P
25
[미적분] = S
64 n S
25
23. 여러 가지 함수의 정적분 정답 ① 따라서 수열 {Sn}은 첫째항이 36이고 공비가
64

g(h)

h
〘풀이〙 등비수열이므로 h 2h

:$6 Á Sn‌=
A O R B
4 4 ¦
36
dx‌=:$6 dx
xÛ`-4 (x-2)(x+2) n=1 25 [그림 2]
1-
64 한편, [그림 2]와 같이 선분 AB의 중점을 O라 하면
=:$6 { }dx
1 1
-
x-2 x+2 768

=[ln|x-2|-ln|x+2|]6$
= ∠POR=2h, OPÓ=1이므로
13
PRÓ=sin 2h

|]6$
또, 직각삼각형 PSR에서 ∠PRS= h이므로
x-2
=[ln| RSÓ=sin 2h cos h, PSÓ=sin 2h sin h
x+2
즉,
=ln ;2!;-ln ;3!;
1
27.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정답 ② g(h)‌=
2
_sin 2h cos h_sin 2h sin h
=ln {;2!;_3}
〘풀이〙 1
sin h cos h sinÛ` 2h
Á f {1+ }‌=2 lim Á f {1+
=
2
=ln ;2#;
}
6 n
3k 3 3k n
lim 그러므로
n`Ú¦ n k=1 n n`Ú¦ n k=1 n
f(h)
=2:!4 f(x)dx lim
p
h`Ú;4Ò;-
{ -h}Û`_g(h)
4
이므로 조건 (나)에 의하여
24. 급수와 수열의 극한 사이의 관계
:!4 f(x)dx=
정답 ④ 4 cosÛ` 2h

〘풀이〙 급수 Á {
25 = lim p
{ -h}`_ sin h cos h sinÛ` 2h
h`Ú;4Ò;- Û 1
-;3!;}이 수렴하므로
¦
an 4 4 2
n=1 2n+1
조건 (가)에 의하여 f(1)=1, f(4)=4이고, 조건 (다) 8 cosÛ` 2h
= lim
lim { - }=0
an 1
p
{
에 의하여 곡선 y=f(x)는 열린구간 (1, 4)에서 아래
n`Ú¦ 2n+1 3 h`Ú;4Ò;-
-h}Û`_sin h cos h sinÛ` 2h
로 볼록하므로 닫힌구간 [1, 4]에서 함수 y=f(x)의 4
an 1
즉, lim = 8 cosÛ` 2h
2n+1 3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 1]과 같다. 이때 lim 에서 ;4Ò;-h=t라 하면
n`Ú¦
p
y
h`Ú;4Ò;-
{ -h}Û`_sinÛ` 2h
따라서
y=f(x)
4
4 8 cosÛ` 2h
‌=lim [ ]
4nan an 4n(2n+1)
lim _ lim
n`Ú¦ 2n+1 p
{ -h}Û`_sinÛ` 2h
n`Ú¦ 3nÛ`+1 3nÛ`+1 h`Ú;4Ò;-

an 8nÛ`+4n 4
=lim _lim
n`Ú¦ 2n+1 n`Ú¦ 3nÛ`+1 8 sinÛ` 2t
1 = lim
1 8 tÛ` cosÛ` 2t
t`Ú0+
= _
3 3 sin 2t Û
= lim [32_{ }`_ ]
O 1 4 x 1
8 t`Ú0+ 2t cosÛ` 2t
= [그림 1]
9 =32_1Û`_1=32

정답과 풀이 <제 2 회> - 12 - 수학 영역


이므로
8 cosÛ` 2h
30. 정적분의 활용 정답 47 [기하]
lim
h`Ú;4Ò;-
{
p
-h}Û`_sin h cos h sinÛ` 2h
〘풀이〙 함수 h(x)가 x=2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23. 평면벡터의 성분과 내적 정답 ④
4 h'(2)=0이다.
〘풀이〙 aø+bø‌=(-1, 3)+(2, x)
8 cosÛ` 2h 1
= lim _ lim sin h cos h h(x)=:)/ {g(t)-f(t)}dt에서 =(1, x+3)
p
h`Ú;4Ò;-
{ -h}`_sinÛ` 2h
Û h`Ú;4Ò;-
4 2aø-bø‌=2(-1, 3)-(2, x)
h'(x)=g(x)-f(x)이므로
1 =(-4, 6-x)
=32_ 1 h'(2)=g(2)-f(2)=0
1
_
'2 '2 이때 함수 f(x)는 구간 [0, ¦)에서 증가하므로 두 곡 이므로
=32_2 선 y=f(x), y=g(x)가 만나는 점은 직선 y=x 위에 (aø+bø)•(2aø-bø)‌=(1, x+3)•(-4, 6-x)
=64 있다. =1_(-4)+(x+3)(6-x)
즉, f(2)=g(2)=2 =-xÛ`+3x+14
그러므로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4a+2b=2 -xÛ`+3x+14=10
29. 여러 가지 적분법 정답 21 2a+b=1  yy ㉠ xÛ`-3x-4=0
한편, f(0)=0, f(2)=2이고 두 곡선 y=f(x), (x+1)(x-4)=0
〘풀이〙 3f(x)=(x+2)f '(x)에서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x>0이므로

:)2 f(x)dx+:)2 g(x)dx=4


f '(x) 3
=
f(x) x+2 x=4
yy ㉡
이므로 양변을 x에 대하여 적분하면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ln|f(x)|‌=3 ln|x+2|+CÁ
CÁ 6
=ln|x+2|Ü`+ln e h(2)=2+ 이므로
5eÛ`
:)2 {g(t)-f(t)}dt=2+
=ln(eCÁ|x+2|Ü`) (단, CÁ은 적분상수)
6 24. 구의 방정식 정답 ②
즉, |f(x)|=eCÁ|x+2|Ü` 5eÛ` 〘풀이〙
이때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이므로 즉,

:)2 g(x)dx-:)2 f(x)dx=2+


xÛ`+yÛ`+zÛ`-6x+2y-8z+22=0에서
eCÁ=1, 즉 CÁ=0이고 6
 yy ㉢ (x-3)Û`+(y+1)Û`+(z-4)Û`=4
f(x)=(x+2)Ü` 5eÛ`
이므로 구의 중심을 C라 하면 점 C의 좌표는
㉡, ㉢에서

:)2 f(x)dx=;2!;{2-
조건 (가)에서 F'(x)=f(x)이므로
(3, -1, 4)이고 구의 반지름의 길이는 2이다.
}=1-
6 3
F(x)‌=: f(x)dx 5eÛ` 5eÛ` 이때 점 A와 구 위의 점 P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f(x)=(axÛ`+bx)ex-2이므로 M=ACÓ+2

:)2 f(x)dx
=: (x+2)Ü`dx
이고, 최솟값은

=;4!;(x+2)Ý`+Cª (단, Cª는 적분상수) m=ACÓ-2


=:)2 (axÛ`+bx)ex-2dx 따라서

=[(axÛ`+bx)ex-2]2)-:)2 (2ax+b)ex-2dx
그러므로

:_0$ {2+sin (x+2)}F(x)dx


M_m‌‌=(ACÓ+2)(ACÓ-2)
Û

=(4a+2b)-[(2ax+b)ex-2]2)+:)2 2aex-2dx
=ACÓ `-4

=:_0$ {2+sin (x+2)}[;4!;(x+2)Ý`+Cª]dx


=(4+1+1)-4

+[2aex-2]2)`
=2
b
 yy ㉠ =(4a+2b)-(4a+b)+
eÛ`
㉠에서 x+2=t라 하면 b 2a
:_0$ {2+sin(x+2)}[;4!;(x+2)Ý`+Cª]dx
=b+ +2a-
eÛ` eÛ`
b-2a
25. 포물선
=:_2@ (2+sin t){;4!;t4+Cª} dt
=2a+b+ 정답 ④
eÛ`
㉠에서 2a+b=1이므로 〘풀이〙
=:_2@  {;2!;tÝ`+2Cª} dt+:_2@  sin t{;4!;t +Cª} dt
4 b-2a 3 5PQÓ=4QRÓ이므로 PQÓ=4k, QRÓ=5k (k>0)이라
1+ =1-
eÛ` 5eÛ` 하자.
 yy ㉡
b-2a=-;5#; yy ㉣ 포물선의 정의에 의하여
㉡에서 g(t)=;4!; tÝ`+Cª라 하면 g(-t)=g(t)이고, FQÓ=QRÓ=5k
㉠, ㉣에서
1 이므로 직각삼각형 FPQ에서
h(t)=sin t{ tÝ`+Cª}라 하면 h(-t)=-h(t)이므 a=;5@;, b=;5!;
4 PFÓ="Ã(5k)Û`-(4k)Û`=3k
로 그러므로 이때
:_2@  { tÝ`+2Cª}dt+:_2@  sin t{;4!; tÝ`+Cª}dt
1 f(x)=;5!;(2xÛ`+x)ex-2
2 OFÓ=;2!;(QRÓ-PFÓ)=;2!;(5k-3k)=k

=2:)2`  {
1 이때 이고, 점 P의 좌표가 (8, 0)이므로
tÝ`+2Cª}dt
2

=:)2`  (tÝ`+4Cª)dt
f '(x)=;5!;(4x+1)e x-2
+;5!;(2xÛ`+x)e x-2 OPÓ=OFÓ+PFÓ=k+3k=4k=8
k=2

=[;5!; tÞ`+4Cªt]2)`
=;5!;(2xÛ`+5x+1)ex-2 따라서 구하는 삼각형 FPQ의 넓이는
이므로 ;2!;_PFÓ_PQÓ=;2!;_3k_4k=6kÛ`
=;;£5ª;;+8Cª f '(2)=;;Á5»;; =6_2Û`=24
조건 (나)에 의하여 한편, f(2)=g(2)=2이므로 역함수의 미분법에 의하
;;£5ª;;+8Cª=0 여
1 1
이므로 g '(2)= = =;1°9;

Cª=-;5$;
f '(g(2)) f '(2)
이므로 점 (2, g(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6. 타원 정답 ①

〘풀이〙
즉, F(x)=;4!;(x+2)Ý`-;5$;이므로 y-2=;1°9;(x-2)
xÛ`+9yÛ`-2ax-2by+36=0에서
(x-a)Û`
+{y-;9B;}Û`=;9!; {aÛ`+ -36}
즉, y=;1°9;x+;1@9*; bÛ`
F(0)=;4!;_16-;5$;=;;Á5¤;; 9 9
따라서 p=19, q=28이므로
이므로 타원의 중심의 좌표는 {a, }이다.
따라서 p=5, q=16이므로 b
p+q=19+28=47 9
p+q=5+16=21

정답과 풀이 <제 2 회> - 13 - 수학 영역


p
이 타원이 y축에 접하고 장축의 길이가 6이므로 28. 삼수선의 정리 정답 ③ 이때 h=
2
-a이므로
a=3
〘풀이〙 PQ³•PQ³=4에서 |PQ³|=2이므로 점 Q는 점 p
bÛ` sin h‌=sin{ -a}
aÛ`+ -36=9에서 P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평면 a 위의 2
9
4
원이다. =cos a=
bÛ`
=36, b=18 '4Œ1
9 이 원을 C라 하자.
16
따라서 B 따라서 sinÛ` h= 이므로
41
a+b=3+18=21 p+q=41+16=57
G
A
H
P R
27. 정사영 정답 ③ a C 30. 정사영 정답 50

〘풀이〙 조건 (다)에 의하여 점 B는 평면 a에 대하여 점 A와 〘풀이〙 xÛ`+yÛ`+zÛ`-2x-6y-4z+5=0에서


정사각뿔 A-BCDE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2k라 하 같은 쪽에 있다. (x-1)Û`+(y-3)Û`+(z-2)Û`=9
자. 그림과 같이 점 B에서 평면 a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이므로 구 S의 중심의 좌표는 (1, 3, 2)이고 반지름의
Ú A 라 하고, 선분 PH가 원 C와 만나는 점을 R라 하면 점 길이는 3이다.
Q가 점 R와 일치할 때 두 점 B, Q 사이의 거리가 최 이때 점 (1, 3, 2)에서 xy평면에 내린 수선의 발이 점
M 소가 된다.
E P이고 점 P의 좌표가 P(1, 3, 0)이므로 구 S의 중심
이때 조건 (가), (나)에 의하여 BHÓ=3'5, BRÓ='6Œ1이
B
과 xy평면 사이의 거리는 2이다.
D 므로 직각삼각형 BRH에서 즉, r="Ã3Û`-2Û`='5이고 선분 AB는 반지름의 길이가
C
그림과 같이 선분 AC의 중점을 M이라 하면 RHÓ=¿¹('6§1)Û`-(3'5 )Û`='1Œ6=4 '5인 구 S'의 지름이므로
BMÓ⊥ACÓ, DMÓ⊥ACÓ 한편, 네 점 A, B, P, H는 한 평면 위에 있으므로 점 ABÓ=2'5
이므로 평면 ACD와 평면 a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 A에서 선분 BH에 내린 수선의 발을 G라 하면 한편, 직선 AB는 점 P를 지나므로 점 Q에서 직선
를 hÁ이라 하면 AGÓ=PHÓ=2+4=6,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 하면
∠BMD=p-hÁ BGÓ‌=BHÓ-GHÓ=BHÓ-APÓ PQÓ¾DQÓ
이때 삼각형 MDB에서 =3'5-'5=2'5 이다. 그러므로 삼각형 QAB의 넓이는 점 Q에서 직선
BMÓ=DMÓ='3k, BDÓ=2'2k 이므로 직각삼각형 BAG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이 점 P일 때 최대가 된다.
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ABÓ=¿¹6Û`+(2'5 )Û`='5Œ6 이때 두 점 Q(0, 0, '1Œ5), P(1, 3, 0) 사이의 거리는
BMÓ Û`+DMÓ Û`-BDÓ Û` 따라서 l='5Œ6이므로 ¿¹(1-0)Û`+(3-0)Û`+(0-'1Œ5 )Û`=5
cos (p-hÁ)‌=
2_BMÓ_DMÓ lÛ`=56 이므로 삼각형 QAB의 넓이의 최댓값은
3kÛ`+3kÛ`-8kÛ`
= =-;3!; ;2!;_ABÓ_PQÓ=;2!;_2'5_5=5'5
2_'3k_'3k

즉, cos hÁ=;3!; 또, 평면 QAB와 xy평면의 교선을 l이라 하고 점 Q에


서 직선 l에 내린 수선의 발을 E라 하면, 원점 O에 대
한편, 삼각형 ACD의 넓이는
하여
'3
4
_(2k)Û`='3kÛ`이므로
29. 쌍곡선 정답 57 QOÓ⊥(xy평면), QEÓ⊥l
이므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SÁ='3kÛ`_;3!; 〘풀이〙 xÛ`-yÛ`-4x+8y-16=0에서
OEÓ⊥l
(x-2)Û` (y-4)Û`
'3 - =1 즉, 평면 QAB와 xy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 kÛ` 4 4
3
이므로 주어진 쌍곡선은 그림과 같다. 하면 h=∠QEO이고, ∠QEO¾∠QPO이므로 cos h
Û A
y 5 의 값은 점 E가 점 P와 일치할 때 최대가 된다.
y= x
이때 직각삼각형 QPO에서 PQÓ=5, OPÓ='1§0이므로
4

B 6
(x-2)Û
-
(x-4)Û
=1 '1Œ0
E 4 4 cos hÉ
5
L H N
D 4
C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의 최댓값 M은
그림과 같이 두 선분 BC, DE의 중점을 각각 N, L 2 '1Œ0
M=5'5_ =5'2
5
이라 하면 -2 O 2 6 x
이므로
ANÓ⊥BCÓ, NLÓ⊥BCÓ
이 쌍곡선이 y축에 접하므로 두 직선 lÁ, lª 중 하나는 MÛ`=(5'2 )Û`=50
이므로 평면 BCDE와 평면 a가 이루는 예각의 크
기를 hª라 하면 y축이다.
∠ANL=hª 다른 한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
이때 삼각형 ALN에서 은
ANÓ=ALÓ='3k, NLÓ=2k y-4=m(x-2)Ñ"Ã4mÛ`-4
이므로 점 A에서 선분 NL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이고,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라 하면 -4=-2mÑ"Ã4mÛ`-4
NHÓ=k 2m-4=Ñ"Ã4mÛ`-4
k '3 양변을 제곱하면
즉, cos hª= =
'3k 3 4mÛ`-16m+16=4mÛ`-4
한편, 사각형 BCDE의 넓이는
m=;4%;
(2k)Û`=4kÛ`이므로
'3 즉, 다른 한 접선의 방정식은
Sª‌=4kÛ`_
3 y=;4%;x
4'3
= kÛ` 5
3 직선 y= x와 x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a라 하면
4
Ú, Û에 의하여
5
4'3 tan a= 이므로
kÛ` 4
Sª 3
= =4
SÁ '3 cos a=
4
3
kÛ` '4Œ1

정답과 풀이 <제 2 회> - 14 - 수학 영역


0É h<2p에서 -1Écos hÉ1이므로 lim f(x)g(x)‌=(1+a+b)_2
제 3회 x`Ú1+

함수 y=-{cos h- }`-
1 Û 3
은 cos h=;2!;일 때 최댓 =2(1+a+b)
2 4
f(1)g(1)‌=(1+a+b)_(-1)
3
정답 값- , cos h=-1일 때 최솟값 -3을 갖는다. =-(1+a+b)
4
3 lim f(x)g(x)= lim f(x)g(x)=f(1)g(1)에서
따라서 M=- , m=-3이므로 x`Ú1- x`Ú1+
1 ⑤ 2 ① 3 ② 4 ⑤ 5 ④ 4
-(1+a+b)=2(1+a+b)
3 9
6 ⑤ 7 ③ 8 ③ 9 ① 10 ③ M-m=- -(-3)= a+b=-1  yy ㉡
4 4
11 ⑤ 12 ① 13 ③ 14 ⑤ 15 ① ㉠, ㉡을 연립하여 풀면 a=0, b=-1이므로
f(x)=xÛ`-1
16 20 17 24 18 8 19 13 20 26
따라서
21 142 22 486
5. 함수의 극한 정답 ④ f(2)=4-1=3
〘풀이〙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에서
[확률과 통계]
lim f(x)=0, lim f(x)=2, lim f(x)=2
x`Ú1 x`Ú2- x`Ú3+
23 ④ 24 ③ 25 ① 26 ② 27 ③
따라서
28 ③ 29 724 30 82 lim f(x)+ lim f(x)+ lim f(x) 8. 적분과 미분의 관계 정답 ③

〘풀이〙 4:A/ f(t)dt=:A/`{ f '(t)}Û`dt+2x+3


x`Ú1 x`Ú2- x`Ú3+

=0+2+2=4
[미적분]
 yy ㉠
23 ③ 24 ③ 25 ④ 26 ① 27 ⑤ ㉠에 x=a를 대입하면
28 ② 29 16 30 500 0=0+2a+3, a=-;2#;
6. 로그함수의 그래프 정답 ⑤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기하] 〘풀이〙 4f(x)={ f '(x)}Û`+2  yy ㉡
23 ④ 24 ③ 25 ② 26 ① 27 ① log;3!; (x+2)=0에서 x+2=1, x=-1이므로 점 A f(x)의 차수를 n`(n¾1)이라 하면 f '(x)의 차수는
의 좌표는 (-1, 0)이다. n-1, { f '(x)}Û`의 차수는 2(n-1)이므로
28 ④ 29 8 30 15
곡선 y=2x-1-1을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평행이동시 ㉡의 양변의 차수를 비교하면
킨 도형의 방정식은 n=2(n-1)에서 n=2
y=2x-p-1-1  yy ㉠ 그러므로
이고, ㉠에 x=-1, y=0을 대입하면 f(x)=pxÛ`+qx+r (p, q, r는 상수, p+0)
해설
2-1-p-1-1=0 로 놓을 수 있다.
2-p-2=1 f '(x)=2px+q이므로 ㉡에 대입하여 이차항의 계수
1. 유리수인 지수 정답 ⑤ -p-2=0에서 를 비교하면
;3!;‌ ;3!; p=-2 4p=4pÛ`
〘풀이〙 Ü '6_{;2(;} =6;3!;_{;2(;} 곡선 y=2x-1-1을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시 4p(p-1)=0
;3!;
={6_;2(;}
킨 도형의 방정식은 p=1
y=2x-1-1+q  yy ㉡ 다항함수 f(x)가 x=-1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3Ü`);3!; 이고, ㉡에 x=-1, y=0을 대입하면 f '(-1)=0에서
=3 2-1-1-1+q=0에서 -2+q=0
q=1-2-2 q=2
=1-;4!;=;4#; ㉡에 대입하면
4(xÛ`+2x+r)=(2x+2)Û`+2
2. 미분계수 정답 ① 따라서
4xÛ`+8x+4r=4xÛ`+8x+4+2
〘풀이〙 f(x)=5xÜ`-4xÛ`+3x+1에서 p+q=(-2)+;4#;=-;4%; 이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f '(x)=15xÛ`-8x+3
4r=6
따라서
f '(1)=15-8+3=10 r=;2#;

따라서 f(x)=xÛ`+2x+;2#;이므로
7. 함수의 연속 정답 ③

〘풀이〙 함수 f(x)는 이차함수이므로 실수 전체의 집 f(a)=f {-;2#;}=;4(;-3+;2#;


3. 등차수열 정답 ②
합에서 연속이다. 함수 g(x)는 x=-1과 x=1에서만
=;4#;
〘풀이〙 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불연속이다. 그러므로 함수 y=f(x)g(x)가 x=-1
a¥+a15‌=(a+7d)+(a+14d)
 과 x=1에서 연속이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2a+21d=14 된다.
따라서 lim f(x)g(x)‌=(1-a+b)_(-2-1)
x`Ú-1-
a¦+a10+a13+a16
=-3(1-a+b) 9. 함수의 극한 정답 ①
=(a+6d)+(a+9d)+(a+12d)+(a+15d)
lim f(x)g(x)‌=(1-a+b)_1 〘풀이〙
=4a+42d=2(2a+21d) x`Ú-1+
조건 (가)에서 f(1)=0, g(2)=0이므로
=2_14=28 =1-a+b
lim f(x)=0, lim g(x)=0
f(-1)g(-1)‌=(1-a+b)_(-2-1) x`Ú1 x`Ú2

f(x)
=-3(1-a+b) 조건 (다)에서 lim 의 값이 존재하고 x 2Ú 2일
g(x) x`Ú2
lim f(x)g(x)= lim f(x)g(x)=f(-1)g(-1)
때 (분모) 2Ú 0이므로 (분자) 2Ú 0이어야 한다.
4. 삼각함수의 활용
x`Ú-1- x`Ú-1+
정답 ⑤
에서 즉, lim f(x)=f(2)=0이므로 f(x)는 x-2를 인수
〘풀이〙 y‌=sinÛ`  h+cos h-2 -3(1-a+b)=1-a+b
x`Ú2

=(1-cosÛ` h)+cos h-2 로 갖는다.


a-b=1 yy ㉠
=-cosÛ` h+cos h-1 그러므로
lim f(x)g(x)‌=(1+a+b)_(-1)
x`Ú1-
f(x)‌=(x-1)(x-2)(x-k)
=-{cos h-;2!;}Û`-;4#; =-(1+a+b) =xÜ`-(k+3)xÛ`+(2+3k)x-2k (k는 상수)

정답과 풀이 <제 3 회> - 15 - 수학 영역


조건 (나)에서 -(k+3)=3이므로 k=-6 0Ékx<2p에서 sin kx=-;2!;이면
그러므로
12. 도함수의 활용 정답 ①

〘풀이〙 kx=;6&; p 또는 kx=;;Á6Á;; p


f(x)=(x-1)(x-2)(x+6)
f(x)=-xÜ`+6xÛ`-9x+5에서
g(x-1) 7 11
조건 (다)에서 lim 의 값이 존재하고 x 2Ú 1 f '(x)‌=-3xÛ`+12x-9 즉, x=
6k
p 또는 x=
6k
p이므로
x`Ú1 f(x)
일 때 (분모) 2Ú 0이므로 (분자) 2Ú 0이어야 한다. =-3(x-1)(x-3)
xÁ+xª=
7
p+
11 3
p= p
f '(x)=0에서 x=1 또는 x=3 6k 6k k
즉, lim g(x-1)=g(0)=0이므로 g(x)는 x를 인수
x`Ú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이때 함수 y=sin kx의 주기는 p이므로
로 갖는다. k
그러므로 x y 1 y 3 y 2 2 4
x£+x¢‌={ p+xÁ}+{ p+xª}= p+(xÁ+xª)
g(x)=x(x-2) f '(x) + 0 - 0 + k k k
f (x) ↘ 극소 ↗ 극대 ↘ 4 3
따라서 = p+ p
k k
f(3)+g(3)‌=(2_1_9)+(3_1) f(1)=-1+6-9+5=1 4 3
=18+3=21 x°+x¤= p_2+ p
f(3)=-27+54-27+5=5 k k
f(x)=f(1)에서 4 3
x¦+x¥= p_3+ p
k k
-xÜ`+6xÛ`-9x+5=1
    ⋮
xÜ`-6xÛ`+9x-4=0
4 3
p_(k-1)+ p
10. 로그함수의 그래프 정답 ③ (x-1)Û`(x-4)=0 x2k-1+x2k=
k k
이므로 f(1)=f(4) 따라서
〘풀이〙 곡선 y=loga (x+1)+2는 곡선 y=loga x를
bk= Á [
즉,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k
4 3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 p_(i-1)+ p]
y k k

=p Á {
i=1
이동한 것이고 직선 y=-2x+10의 기울기가 -2이
y=f(x)
_i- }
4 k
1
므로 점 D는 점 C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5 k k
i=1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점이다. 4 k(k+1) 1
=p[ _
그러므로 CDÓ="Ã1Û`+2Û`='5
- _k]
k 2 k
곡선 y=loga x가 x축과 만나는 점이 A이므로 =p(2k+1)
A(1, 0) 이므로

Á {ak+ }‌= Á {2k+(2k+1)}


1 y=1
곡선 y=loga (x+1)+2가 y축과 만나는 점이 B이므 10 bk 10

= Á (4k+1)
로 B(0, 2) k=1 k=1

O 1 3 4 x 10
2-0
직선 AB의 기울기는 =-2이므로 직선 AB는
0-1 k=1
그러므로 닫힌구간 [0, k]에서 함수 f(x)의 최솟값 10_11
직선 CD와 평행하다. 그러므로 두 삼각형 ACD, =4_ +1_10
g(k)는 2
BCD의 넓이는 서로 같다.
( f(k) (0<kÉ1) =230
점 A(1, 0)과 직선 2x+y-10=0 사이의 거리는
g(k)={ 1 (1<kÉ4)
|2+0-10| 8
= 9 f(k) (k>4)
"Ã2Û`+1Û` '5
따라서 곡선 y=g(x)와 x축 및 두 직선 x=0, x=4
따라서 SÁ+Sª의 값은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14. 도함수의 활용
:)1` (-xÜ`+6xÛ`-9x+5)dx+1_(4-1)
}=8
8 정답 ⑤
2_{;2!;_'5_
'5
〘풀이〙

=[-;4!;x +2xÜ`-;2(;xÛ`+5x]1)+3
4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므로 함수 f '(x)
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3이다.
=-;4!;+2-;2(;+5+3=;;ª4Á;; 조건 (가)에서 f '(x)=3(x+1)(x-3)=3xÛ`-6x-9
11. 수열의 귀납적 정의  정답 ⑤ 이고, 함수 f(x)는 x=-1, x=3에서 극값을 갖는다.
〘풀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f(x)‌=: f '(x)dx
an+1=(n+2)an+n!  yy ㉠
이 성립하므로 ㉠의 양변을 (n+2)!로 나누면 13. 삼각함수의 활용 정답 ③ =:` (3xÛ`-6x-9)dx
an+1 an 1 〘풀이〙 =xÜ`-3xÛ`-9x+C (단, C는 적분상수)
‌= +
(n+2)! (n+1)! (n+1)(n+2) 2 cos kx+3 tan kx=0에서 방정식 |f(x)|=|f(3)| …… ㉠의 실근은
an 1 1 3 sin kx
= + - 2 cos kx+ =0 f(x)=f(3) yy ㉡ 또는 f(x)=-f(3) yy ㉢
(n+1)! n+1 n+2 cos kx
an+1 1 an 1 의 실근이다. 방정식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
+ ‌= + 2 cosÛ` kx+3 sin kx=0
(n+2)! n+2 (n+1)! n+1 로 조건 (나)에 의하여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2(1-sinÛ` kx)+3 sin kx=0
a 1 개수가 2 이상이 되어야 한다.
= n-1 + 2 sinÛ` kx-3 sin kx-2=0
n! n 이때 f(3)>0이면 -f(3)<0이 되어 -f(3)의 값이
⋮ (2 sin kx+1)(sin kx-2)=0
함수 f(x)의 극솟값보다 작다. 이 경우에는 방정식 ㉢
aÁ 이때 -1Ésin kxÉ1이므로 sin kx=-;2!;
= +;2!; 의 실근의 개수가 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
2 또한, f(3)=0인 경우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3 1 함수 y=sin kx의 주기는 p이므로 그림과 같이
= + k 개수는 2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 2
0Éx<2p에서 함수 y=sin kx의 그래프와 직선 그러므로 f(3)<0이다.
=2
1 y=f(x)
즉 y=- 은 서로 다른 2k개의 점에서 만난다.
2
an 1 y=-f(3)
+ =2 즉, ak=2k
(n+1)! n+1 3
이 2k개의 교점의 x좌표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xÁ, xª, -1 x
이므로
y, x2k라 하자.
an={ 2 - }(n+1)!
1 y y=f(3)
n+1 y=sin`kx
1
y xªûÐÁ
=( 2n+1 )_n! xÁ xª xªû 0<-f(3)Éf(-1)이고
O x f(3)=27-27-27+C=C-27
따라서 f(n)=n+1, g(n)=2n+1, k=2이므로
1
k_f(3) 2_4 1 y=- f(-1)=-1-3+9+C=C+5
= =;9*; -
2 -1
2
g(4) 9 이므로

정답과 풀이 <제 3 회> - 16 - 수학 영역


0<-C+27ÉC+5에서 ㄴ. ㄱ에서
11ÉC<27  yy ㉣ f(x)-f(k)‌=(x-k)(x-b)Û`
18.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정답 8

〘풀이〙 삼각형 ABC의 넓이는


}`
이때 조건 (다)에서 서로 다른 음의 실근의 개수가 서 9 Û
=(x-k){x-k-
로 다른 양의 실근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2 ;2!;_3_2_sin B=3 sin B
-f(3)¾f(0) 이고 f(b)=f(k)이므로
삼각형 ACD의 넓이는
f(a)-f(b)‌=f {k+ }-f(k)
f(0)=C이므로 3
2 ;2!;_3_4_sin D=6 sin (180ù-B)
-C+27¾C
={k+ -k}{k+ -k- }Û`
3 3 9
=6 sin B
CÉ;;ª2¦;;  yy ㉤ 2 2 2
이므로 두 삼각형 ABC, ACD의 넓이의 차 k는
3
㉣, ㉤에서 = _(-3)Û`
2 k‌=6 sin B-3 sin B ‌
11ÉCÉ;;ª2¦;; =
27
(거짓)
=3 sin B  yy ㉠
2

ㄷ. g(x)=:K/` { f(t)-f(k)}dt  yy ㉠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따라서 M=;;ª2¦;;, m=11이므로 ACÓ Û`‌=3Û`+2Û`-2_3_2_cos B ‌
=13-12 cos B yy ㉡
M+m=;;ª2¦;;+11=;;¢2»;; ㉠에 x=k를 대입하면

g(k)=:Kk` { f(t)-f(k)}dt=0
삼각형 A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Û =3Û`+4Û`-2_3_4_cos (180ù-B)
ACÓ `‌
㉠의 양변을 미분하면 =25+24 cos B yy ㉢
g '(x)=f(x)-f(k) ㉡, ㉢에서
g '(x)=0에서 x=k 또는 x=b=k+;2(; 13-12 cos B=25+24 cos B
15. 도함수의 활용, 정적분과 미분 정답 ①
36 cos B=-12
함수 g(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풀이〙
같다. cos B=-;3!;
조건 (가)에서 방정식 f(x)=f(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므로 함수 f(x)는 극값을 갖고, f(k)는 함 x y k y b y ="Ã1-cosÛ`B
sin B‌ ‌
2'2
}`=
수 f(x)의 극댓값 또는 극솟값과 같다. g '(x) - 0 + 0 + 1 Û
=®É1-{-
3 3
함수 f(x)가 x=a, x=b (a<b)에서 극값을 갖는다 g (x) ↘ 극소 ↗ ↗
이므로 ㉠에서
고 하면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극댓값이 함수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2
f(a), 극솟값이 f(b)이고, 조건 (나)에서 f '(k)>0이 k=3_{ }=2'2
y=g(x) 3
므로 k+a이고 k+b이다. 따라서
함수 f '(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이차함수이 kÛ`=(2'2 )Û`=8
고, 조건 (나)에서 f '(k)>0이고 f '(k)=f '(k+6)이
므로 f(k)=f(b)이고
k<a<b<k+6
k b x
y y=f(x)
따라서 방정식 g(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19. 등비수열 정답 13

는 1이다. (거짓) 〘풀이〙 logª an+1-logª an=logª 3에서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이다. an+1
logª =logª 3
an
an+1
=3
an
an+1=3an
16. 정적분 정답 20

〘풀이〙 :_2@`(3xÛ`+4x+1)dx‌=2:)2 (3xÛ`+1)dx


이므로 수열 {an}은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다.
이때 첫째항이 aÁ=3이므로

=2[xÜ`+x]2)`
k a O b k+6 x
an=3_3n-1=3n
3(3n-1)
[ f(b)>0이고 a<0<b인 경우] S n= =;2!;_3n+1-;2#;
=2(8+2) 3-1
ㄱ. ‌함수 f(x)는 xÉa, x¾b에서 증가하고, aÉxÉb
=20 그러므로
에서 감소하므로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
aÁ+2Sn=3+3n+1-3=3n+1
서 감소한다고 할 때 b-a의 최댓값은 b-a이다.
4_(a¢)Ü`=4_(34)Ü`=4_312
f(x)-f(k)=(x-k)(x-b)Û`에서
aÁ+2Sn>4_(a¢)Ü`에서
f '(x)=(x-b)Û`+2(x-k)(x-b)이므로
f '(k)=f '(k+6)에서
17. 속도와 가속도 정답 24 3n+1>4_312
〘풀이〙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3n-11>4
(k-b)Û`=(k+6-b)Û`+2(k+6-k)(k+6-b)
x=tÜ`-9tÛ`+15t이므로 속도 v는 n=12이면 3>4이므로 성립하지 않고, n=13이면
(k-b)Û`=(k-b+6)Û`+12(k-b+6)
dx 9>4이므로 성립한다.
(k-b)Û`=(k-b)Û`+12(k-b)+36+12(k-b)+72 v= =3tÛ`-18t+15
dt n-11¾2
24(k-b)=-108 운동 방향을 바꿀 때에는 속도의 부호가 바뀌므로 n¾13
k-b=-;2(; v=0인 시각은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13이다.
3tÛ`-18t+15=0
b=k+;2(;이므로 3(t-1)(t-5)=0
f '(a)=(a-b)Û`+2(a-k)(a-b)=0에서 t=1 또는 t=5
a-b+2a-2k=0 0Ét<1일 때 v>0, 1<t<5일 때 v<0, t>5일 때
20. 도함수의 활용 정답 26
v>0이므로 점 P는 시각 t=1 또는 t=5일 때 운동 방
3a‌=b+2k={k+ }+2k=3k+
9 9
2 2 〘풀이〙 f(x)=-xÜ`-3xÛ`+3이라 하면
향을 바꾼다.
3 f '(x)=-3xÛ`-6x
a=k+ 점 P의 시각 t 에서의 가속도 a는
2 접점의 좌표를 (t, -tÜ`-3tÛ`+3)이라 하면 이 점에서
dv
따라서 a= =6t-18이므로 의 접선의 방정식은
dt
b-a‌={k+ }-{k+ }
9 3 t=1일 때 점 P의 가속도는 6-18=-12 y-(-tÜ`-3tÛ`+3)=(-3tÛ`-6t)(x-t)
2 2
t=5일 때 점 P의 가속도는 30-18=12 이 직선이 점 (2, a)를 지나므로
6
= =3 따라서 a-(-tÜ`-3tÛ`+3)=(-3tÛ`-6t)(2-t)
2
이므로 b-a의 최댓값은 3이다. (참) |aÁ-aª|=12-(-12)=24 2tÜ`-3tÛ`-12t+3-a=0  yy ㉠

정답과 풀이 <제 3 회> - 17 - 수학 영역


f{ }‌={
이때 점 (2, a)에서 이 곡선에 서로 다른 3개의 접선을 따라서 2a+1 2a+1 2a+1
-1}Û`{
Á { f(n)+g(n)}
-a}
그을 수 있으려면 방정식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 9 3 3 3

=-;2¢7;(a-1)Ü`=-4
= Á f(n)+ Á g(n)
n=2
져야 한다.
9 9
2tÜ`-3tÛ`-12t+3=a에서
n=2 n=2 즉, (a-1)Ü`=27이므로
g(t)=2tÜ`-3tÛ`-12t+3이라 하면
=(98+8+3+8+2+1)+(4_2+3+4+4+3) a-1=3
g '(t)‌=6tÛ`-6t-12
=120+22=142 a=4
=6(t+1)(t-2)
따라서 f(x)=(x-1)Û`(x-4)이므로
g '(t)=0에서
f(10)=81_6=486
t=-1 또는 t=2
함수 g(t)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 y -1 y 2 y
22. 미분가능과 연속 정답 486

〘풀이〙 조건 (가)에 의하여


g '(t) + 0 - 0 -
f(x)=(x-1)Û`(x-a)`(a는 상수)
g (t) ↗ 10 ↘ -17 ↗
로 놓을 수 있다.
y y=g(t) Ú a=1인 경우
10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므로 방 [확률과 통계]
정식 f(x)+k=0이 x=p를 근으로 가지면 함수
|f(x)+k|는 x=p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23. 중복조합 정답 ④
-1 2 따라서 g(k)=1이고 k=4에서 연속이므로 조건을 〘풀이〙 nH5=n+5-1C5=n+4C5, ¥C£=¥C5
O t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므로 n+4C5=¥C5
Û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 0을 갖는 경우 따라서 n+4=8이므로
양수 k에 대하여 세 함수 y=f(x), y=f(x)+k, n=4
y=a
y=|f(x)+k|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k>0일 때 g(k)=1이고, k=4일 때 연속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y=f(x) 24. 이산확률분포 정답 ③
-17
〘풀이〙 확률의 총합은 1이므로
함수 y=g(t)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방정식 ㉠이
a 1 x ;4!;+a+2a=1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함수 y=g(t)의 그래프
와 직선 y=a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y=f(x)+k 에서 3a=;4#;, a=;4!;
-17<a<10
따라서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10-(-17)-1=26 x E(X)‌=1_;4!;+2_;4!;+3_;2!;=;4(;

y=|f(x)+k|
이므로
E(4X)‌=4E(X)

=4_;4(;=9
x
Ü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0을 갖는 경우
21. 지수와 로그 정답 142 y=f(x)

〘풀이〙 Ú ¿¹"k
 = "k =k
n 6 2n 6 ;2¤n; 1 a
x 25. 확률의 덧셈정리 정답 ①

=k;n#; y=f(x) 〘풀이〙 P(AC'B)=1-P(A;BC)=;8%;에서


1 a
에서 x
a>1이고 k>0일 때, 함수 y=f(x)+k의 그래프
y=f(x)+k P(A;BC)=;8#;
㉠ n이 3의 배수인 경우
n=3m이라 하면 k;n#;=k;3£m;=k;m!;; 이므로 는 k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그림과 같다. 따라서
x
n=3=3_1인 경우, k 이 자연수가 되려면 ;1!; y=f(x)+k P(A)‌=P(A;BC)+P(A;B)

2Ék<100에서 f(3)=98 =;8#;+;3!;


x
n=6=3_2인 경우, k;2!;이 자연수가 되려면 y=f(x)+k
=;2!4&;
k=2Û`, 3Û`, 4Û`, y, 9Û`에서 f(6)=8
n=9=3_3인 경우, k;3!;이 자연수가 되려면 y=f(x)+k
x
k=2Ü`, 3Ü`, 4Ü`에서 f(9)=3
㉡ n이 3의 배수가 아닌 경우 y=f(x)+k x 26. 정규분포 정답 ②
;2#;
n=2인 경우, k 이 자연수가 되려면 k=2Û`, 3Û`, 〘풀이〙 f(a)=P(aÉXÉa+2)가 a=10일 때 최댓
4Û`, y, 9Û`에서 f(2)=8 값을 가지므로
y=f(x)+k
n=4인 경우 k;4#;이 자연수가 되려면 k=2Ý`, 3Ý`에 m=11
x
서 f(4)=2 즉, 확률변수 X는 정규분포 N(11, 2Û`)을 따르므로
n=5인 경우, k;5#;이 자연수가 되려면 k=2Þ`에서 X-11
x Z= 로 놓으면 확률변수 Z는 표준정규분포
f(5)=1 2
함수 f(x)의 극솟값을 m`(m<0)이라 하면
n=7, 8인 경우, f(n)=0 N(0, 1)을 따른다.
0<k<-m일 때 g(k)=3,
Û ‌n logk 2=logk 2n이므로 이 값이 자연수가 되려면 따라서
k¾-m일 때 g(k)=1
}
p
k는 2 꼴이고, 이때 p는 n의 약수이다. 8-11 12-11
조건 (나)에서 함수 g(k)는 k=4에서 불연속이므로 P(8ÉXÉ12)‌=P{ ÉZÉ
1 n
2 2
n=2, 3, 5, 7인 경우, k=2 또는 k=2 으로
-m=4에서 m=-4 =P(-1.5ÉZÉ0.5)
g(n)=2
f(x)=(x-1)Û`(x-a)에서 =P(-1.5ÉZÉ0)+P(0ÉZÉ0.5)
n=4인 경우, k=21, 2Û`, 2Ý`으로 g(4)=3
f '(x)‌=2(x-1)(x-a)+(x-1)Û` =P(0ÉZÉ1.5)+P(0ÉZÉ0.5)
n=6인 경우, k=21, 2Û`, 2Ü`, 26으로 g(6)=4
=(x-1)(3x-2a-1) =0.4332+0.1915
n=8인 경우, k=21, 2Û`, 2Ý`, 28으로 g(8)=4
2a+1 =0.6247
n=9인 경우, k=21, 2Ü`, 29으로 g(9)=3 f '(x)=0에서 x=1 또는 x=
3

정답과 풀이 <제 3 회> - 18 - 수학 영역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27. 여러 가지 순열 정답 ③
P(A;B)
[미적분]
P(B|A)‌=
〘풀이〙 Ú 1을 세 개 뽑은 경우 P(A) 23. 로그함수의 극한 정답 ③
1이 모두 이웃하지 않는 경우는 111과 같이 나 7 ln (1+3x) ln (1+3x)
‌=lim [ _ ]
3
60 〘풀이〙 lim
열한 경우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 3, 4, 5 중 = =;1¦2; x`Ú0 2x x`Ú0 3x 2
1
2개의 숫자를  자리에 나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 5 3
=1_
다. 2
3
그러므로 이 경우의 수는 =
2
4 Pª‌=4_3
=12
Û 1을 두 개 뽑은 경우
29. 신뢰구간 정답 724
두 개의 1이 이웃하지 않는 경
우는 2, 3, 4, 5 중 3개의 숫자
∨∨∨∨
〘풀이〙 모표준편차가 12이고 표본의 크기가 n이므로 24. 무한등비급수 정답 ③

평균 m에 대한 신뢰도 95 %의 신뢰구간은 〘풀이〙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을 a라 하면


를 뽑아  자리에 먼저 나열하고,
12 12 aÁ+aª=16에서
4개의 ∨ 자리 중 2개의 자리에 1을 배치하는 경우 x-
Õ 1.96_ ÉmÉx+
Õ 1.96_
'n 'n a+ar=16  yy ㉠

Á an=37에서
이므로 이 경우의 수는 신뢰구간이 526.32ÉmÉ529.68이므로 6
4_3
P£_4Cª‌=(4_3_2)_ x-
12 n=1
4
2_1 Õ 1.96_ =526.32
'n a+ar+rÛ`(a+ar)+r4(a+ar)=37 yy ㉡
=144 12
x+
Õ 1.96_ =529.68 ㉠을 ㉡에 대입하면
Ü 1을 한 개 뽑은 경우 'n
16+16rÛ`+16r4=37
1, 2, 3, 4, 5를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와 같으 에서
16rÝ`+16rÛ`-21=0
므로 526.32+529.68
x=
Õ =528 (4rÛ`+7)(4rÛ`-3)=0
5!=120 2

Ú, Û, Ü에서 구하는 자연수의 개수는 1.96_


12
=1.68이므로 이므로 rÛ`=;4#;
'n
12+144+120=276 |rÛ`|<1이므로

Á r2n‌=
'n=
1.96_12
=14에서
1.68 ¦
rÛ`
n=196 n=1 1-rÛ`
따라서 3
4
x+
Õ n‌=528+196 = =3
3
1-
=724 4

28. 조건부확률 정답 ③

〘풀이〙 1이 적힌 공이 2개, 2가 적힌 공이 2개 들어 있
는 상자에서 임의로 2개의 공을 꺼내어 두 수의 곱이 25. 속도와 가속도 정답 ④

홀수인 경우는 1이 적힌 공 2개를 꺼내는 경우이므로 30. 독립시행의 확률 정답 82 〘풀이〙


그 확률은 〘풀이〙 x=cos 2t, y=t+sin 2t에서
ªCª dx
=;6!; 꺼낸 공에 적힌 수의 합이 5 이상이 되는 경우를
dt
=-2 sin 2t
¢Cª
(A가 꺼낸 공에 적힌 수, B가 꺼낸 공에 적힌 수)의
이고, 곱이 짝수일 확률은 dy
순서쌍으로 나타내면 =1+2 cos 2t
dt
1
1- =;6%; (2, 3), (3, 2), (3, 3) 이므로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력은
6
즉, 상자 안에 들어 있는 공의 개수를 의 3가지 경우이므로 한 번의 시행에서 A가 3점을 얻
¾Ð{ }`+{ }`
dx Û dy Û
(1이 적힌 공의 개수, 2가 적힌 공의 개수)의 순서쌍으 3 1 dt dt
을 확률은 = 이다.
9 3
로 나타낼 때 각각의 확률은 ="Ã(-2 sin 2t)Û`+(1+2 cos 2t)Û`
A가 승리하는 경우는 B가 2점을 6번 얻기 전에 3점을
(2, 2) → (3, 2): ;6!; ="Ã4 sinÛ` 2t+1+4 cos 2t+4 cosÛ` 2t
4번 얻는 경우이다.
="Ã4(sinÛ` 2t+cosÛ` 2t)+1+4 cos 2t
Ú A가 4회까지 모두 3점을 얻는 경우의 확률은
(2, 2) → (2, 3): ;6%;
='Ä5+4 cos 2t
{ }`
1 Ý
두 번째 시행 후 상자에 들어 있는 1이 적힌 공의 개수 3 2
따라서 점 P의 시각 t= p에서의 속력은
가 3이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2가지 경우가 있고, Û ‌4회까지 B가 1번 2점을 얻고, 5회에 A가 3점을 얻 3
p
®É5+4 cos p‌=®É5+4 cos {p+ }
각각의 확률은 는 경우의 확률은 4
3 3
£Cª
}{ }Ü`_
2 1 1
(3, 2) → (3, 3): 1- =;1¦0; CÁ{ p
°Cª 3 3 3 =®É5+4{-cos }
4

3
ªCª Ü ‌5회까지 B가 2번 2점을 얻고, 6회에 A가 3점을 얻
(2, 3) → (3, 3): =;1Á0;
°Cª
=®É5+4_{- }
는 경우의 확률은 1
두 번째 시행 후 상자에 들어 있는 1이 적힌 공의 개수 2
}`{ }`_
2 Û 1 Ü 1
Cª{ ='3
가 3일 사건을 A, 첫 번째 시행 후 상자에 들어 있는 1 5
3 3 3
이 적힌 공의 개수가 3일 사건을 B라 하자. Ú, Û, Ü에서 A가 최대 6회까지의 시행에서 승리할
사건 A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가 있다. 확률 k는

}`+4CÁ{ }{ }Ü`_ +5Cª{ }Û`{ }Ü`_


(2, 2) → (3, 2) → (3, 3) 1 Ý 2 1 1 2 1 1
k={
(2, 2) → (2, 3) → (3, 3)
3 3 3 3 3 3 3 26. 정적분과 미분 정답 ①

={ }Ý`_{1+ + }
1 8 40
그러므로
3 3 9 〘풀이〙 f(x)‌=:!/ (t-2)(t-x)e3tdt
5 1
P(A)‌=;6!;_;1¦0;+ _
}`_
1 Ý 73
6 10 ={
3 9 =:!/ t(t-2)e3tdt-x:!/ (t-2)e3tdt
12 1
= = 이므로
60 5 에서
73
1 7 81k=
P(A;B)‌= _ 9 f '(x)‌=x(x-2)e3x-:!/ (t-2)e3tdt-x(x-2)e3x
6 10
따라서 p=9, q=73이므로
7
=
60 p+q=9+73=82 =-:!/ (t-2)e3tdt

정답과 풀이 <제 3 회> - 19 - 수학 영역


따라서 S'(r)=0에서 rÛ`+2r-1=0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2)‌=-:!2 (t-2)e dt 3t r=-1Ñ'2 f '(g(ln x))_g '(ln x)_{;[!;}=1

=-[;3!;(t-2)e3t]2!+:!2 ;3!;e3tdt
0<r<1이므로 r=-1+'2
f '(g(ln x))_g '(ln x)=x  yy ㉡
0<r<1에서 함수 S(r)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3!;(t-2)e3t]2!+[;9!;e3t]2!
x=eÜ`을 ㉡에 대입하면
내면 다음과 같다.
f '(g(3))_g '(3)=eÜ`
r (0) y -1+'2 y (1)
조건 (나)의 f(g(3))-f '(g(3))=;1!6%; eÜ`에서
=-;3!;eÜ`+;9!;e6-;9!;eÜ` S'(r) - 0 +
eÜ`
S(r) ↘ 극소 ↗ eÜ`- =;1!6%; eÜ`이므로
=;9!;eÜ`(eÜ`-4) g '(3)
그러므로 0<r<1에서 함수 S(r)는 r=-1+'2일
=;1Á6;
1
때 극소이면서 최소가 된다. g '(3)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따라서
'2 g '(3)=16
S('2-1)‌=
-(3-2'2)+('2-1)
'2
27. 삼각함수의 극한 정답 ⑤ =
3'2-4
〘풀이〙 =3+2'2
직선 PR가 접선 l에 수직이므로 직선 PR는 원의 중 〘다른 풀이〙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심인 원점 O를 지나고, ∠POQ=h이다. 하면
Q(cos h, 0)이므로 a>0, 0<r<1 30. 정적분의 활용 정답 500

PQÓ=sin h an=ar n-1


에서 〘풀이〙 직선 y=x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1이
QRÓ‌=OQÓ sin h anan+1=arn-1_arn=aÛ`r2n-1 1
고, f(1)= 이므로 점 A(1, f(1))를 지나고 기울기
=cos h sin h 이므로 수열 {anan+1}은 첫째항이 aÛ`r, 공비가 rÛ`인 등 2
PRÓ‌=OPÓ-ORÓ 비수열이다. 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Á an=
=1-OQÓ cos h ¦
a y-
1
=-(x-1)
1-r 2
=1-cosÛ` h=sinÛ` h
Á anan+1=
n=1
¦
aÛ`r 3
따라서 즉, y=-x+  yy ㉠
n=1 1-rÛ` 2
f(h)=PRÓ+QRÓ+PQÓ ㉠과 y=x를 연립하여 풀면
에서
=sinÛ` h+cos h sin h+sin h 3 3
a aÛ`r x=-x+ , x=
=sin h(sin h+cos h+1) = 2 4
1-r 1-rÛ`
이므로 a(1-rÛ`)=aÛ`r(1-r) 이므로
f(h) sin h(sin h+cos h+1)
, }
a(1-r){(1+r)-ar}=0 3 3
lim ‌= lim B{
h`Ú0+ h h`Ú0+ h 4 4
이므로
sin h 점 P(t, f(t))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의 방정
= lim [ _(sin h+cos h+1)] 1+r=ar
h`Ú0+ h 식은
=1_(0+1+1) r+1
a= y-f(t)=-(x-t) yy ㉡
r

Á an=
=2 ¦ ㉡과 y=x를 연립하여 풀면
a r+1
= =S라 하면
n=1 1-r r(1-r) t+f(t)
x=
1 r(1-r) 2
‌=
S r+1 이므로
3(r+1)-2-(r+1)Û` t+f(t) t+f(t)
= Q{ , }
r+1 2 2
28. 등비급수 정답 ②
선분 BQ의 길이인 함수 g(t)는 직선 y=x가 x축의
]
2
=3-[(r+1)+
〘풀이〙 r+1 양의 방향과 45ù의 각도를 이루므로
등비수열 {an}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이때 r+1>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t+f(t)
g(t)‌='2 { - }
3
a>0, 0<r<1 의하여 2 4
an=ar n-1
에서 2 2 '2
(r+1)+ ‌¾2®É(r+1)_ = {2t+2f(t)-3}
n-1 n 2n-1 r+1 r+1 4
anan+1=ar _ar =aÛ`r
=2'2 '2
이므로 수열 {anan+1}은 첫째항이 aÛ`r, 공비가 rÛ`인 등 = (tÛ`+2t-3-2 ln t)
따라서 4
비수열이다.

Á an=
y y=g(t)
]‌É3-2'2
2
¦
a 3-[(r+1)+
r+1
1-r

Á anan+1=
n=1

 {단, 등호는 r+1=


¦
2
aÛ`r r+1
일 때 성립한다.}
n=1 1-rÛ`
에서
에서
1
a aÛ`r 0< É3-2'2
= S
1-r 1-rÛ` O 1 e t
1
a(1-rÛ`)=aÛ`r(1-r) S¾ =3+2'2
3-2'2 '2
a(1-r){(1+r)-ar}=0 이므로 S는 r='2-1일 때 최솟값 3+2'2를 갖는다. g(1)=0, g(e)= (eÛ`+2e-5)이고,
4
'2
이므로
{2t+2- }¾0
2
1+r=ar t¾1에서 g '(t)=
4 t

함수 g(t)는 중가하는 함수이므로 :


r+1 g(e)
a= h(t)dt의 값
r

Á an=
g(1)
¦
a r+1 은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와 같다.
n=1 1-r
=
r(1-r) 29. 역함수의 미분법 정답 16
g(e)

r+1 2'2: h(t)dt


S(r)= 이라 하면 〘풀이〙 조건 (가)에서 함수 g(ln x)는 함수 f(x)의 역 g(1)
-rÛ`+r e
함수이므로 =2'2[e_g(e)-: g(t)dt]
(-rÛ`+r)-(r+1)(-2r+1)
S'(r)‌= f(g(ln x))=x  yy ㉠ 1
(-rÛ`+r)Û` e

rÛ`+2r-1 ㉠에 x=eÜ`을 대입하면 =e_(eÛ`+2e-5)-: (tÛ`+2t-3-2 ln t)dt


= 1
rÛ`(r-1)Û` f(g(3))=eÜ`
 yy ㉢

정답과 풀이 <제 3 회> - 20 - 수학 영역


두 벡터 CA³, CB³가 서로 수직이므로
+ =1의 초점 F의 x좌표가 'Ä16-7=3에
이때 xÛ` yÛ`

: (tÛ`+2t-3-2 ln t)dt
타원
e
CA³•CB³=0 16 7
1
(3-x, 4-y)•(5-x, 2-y)=0 서 F(3, 0), F'(-3, 0)이므로
e e
FFÓ'Õ=6
=: (tÛ`+2t-3)dt-: 2 ln t dt (3-x)(5-x)+(4-y)(2-y)=0

=[;3!;tÜ`+tÛ`-3t]e!-[2t ln t]e!+: {2t_


1 1
위의 식을 정리하면 삼각형 AF'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dt
e
1 Û
AFÓ `+AF'Ó Û `-FF'Ó `Û
t (x-4)Û`+(y-3)Û`=('2 )Û` cos (∠FAF')‌=

tÜ`+tÛ`-3t]e!-[2t ln t]e!+[2t]e!
1
2_AFÓ_AF'Ó
1 즉, 점 C는 중심이 (4, 3)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 4Û`+4Û`-6Û`
3 원 위의 점이다. =
2_4_4
eÜ`+eÛ`-3e+;3%;}-(2e-0)+(2e-2)
1 y 1
={ =-
3 8
1 1 한편, BFÓ'=a라 하면
= eÜ`+eÛ`-3e-  yy ㉣ 12
3 3 3
BFÓ=8-a  yy ㉠
㉣을 ㉢에 대입하면 12
5
g(e)
ABÓ=a+4이므로 삼각형 ABF에서 코사인법칙에 의
2'2: h(t)dt 하여
g(1)
e BFÓ Û`=ABÓ Û`+AFÓ Û`-2_ABÓ_AFÓ_cos (∠FAB)
=e_(eÛ`+2e-5)-: (tÛ`+2t-3-2 ln t)dt O 4 x
1 =(a+4)Û`+4Û`-2_(a+4)_4_cos (∠FAB)
따라서 |OC³|의 최댓값은 5+'2, 최솟값은 5-'2이
=(eÜ`+2eÛ`-5e)-{ eÜ`+eÛ`-3e- }
1 1 =aÛ`+8a+32-8(a+4)_cos (∠FAF')
3 3 므로 벡터 OC³의 크기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곱은
2 1 =aÛ`+8a+32-8(a+4)_{-;8!;}
= eÜ`+eÛ`-2e+ (5+'2)(5-'2)‌=25-2
3 3
=23 =aÛ`+9a+36
2 1
따라서 a= , b=1, c=-2, d= 이므로 ㉠에서
3 3
(8-a)Û`=aÛ`+9a+36
+1+4+ }
4 1
90(aÛ`+bÛ`+cÛ`+dÛ`)‌=90_{
9 9 aÛ`-16a+64=aÛ`+9a+36
=500 25. 쌍곡선의 접선 정답 ② 25a=28
〘참고〙 y y=x 28
y=f(x) 〘풀이〙 쌍곡선 xÛ`-yÛ`=1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 a=
25
의 방정식은
28
'2_x-1_y=1, 즉 y='2x-1
Q 즉, BFÓ'Ó=
25
P '2
B 이고, 이 직선의 x절편은 이다.
2
A y
O 1 x

xÛ`-yÛ`=1

1 27. 포물선의 방정식 정답 ①

〘풀이〙 사각형 ACDB는 사다리꼴이고 그 넓이가 42


-12 O 12 x
이므로
12
2
;2!;_(10+4)_CDÓ=42

에서 CDÓ=6  yy ㉠
y
y=12x-1
x=-p x=p yÛ`=4px
H
C
두 직선 x=p, x=-p는 서로 평행하므로 세 직선으 A
로 둘러싸인 두 삼각형은 서로 닮은 삼각형이다.
[기하]
쌍곡선 xÛ`-yÛ`=1의 두 초점의 좌표는 ('2, 0), F
O x
23. 내분점과 외분점 정답 ④ (-'2, 0)이므로 p='2이고, 두 삼각형의 닮음비는
D
B
'2 '2 H'
〘풀이〙 좌표공간의 두 점 A(1, -5, 3), B(a, 1, b) {'2- }:{ -(-'2 )}=1 : 3
2 2
에 대하여 선분 AB를 2 : 1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이고, x축과 직선 l, 직선 x=p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x=-2
2_a+1_1 2_1+1_(-5) 2_b+1_3
{ , , } 넓이는 포물선 위의 두 점 A, B에서 포물선의 준선 x=-p
2+1 2+1 2+1
'2 '2 '2
;2!;_{'2- }_1=;2!;_ 에 내린 수선의 길이는 각각 AFÓ , BFÓ 와 같으므로
즉, { }
2a+1 2b+3 _1=
, -1, 2 2 4
3 3 ACÓ=10, BDÓ=4에서
두 삼각형의 닮음비 1 : 3에서 넓이의 비가 1 : 9이므
이 점이 y축 위의 점이므로 AFÓ‌=ACÓ-2+p
로 x축과 직선 l, 직선 x=-p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2a+1 2b+3 =p+8
=0, =0
3 3 넓이는
BFÓ‌=BDÓ-2+p
'2 9'2
따라서 a=-;2!;, b=-;2#;이므로 _3Û`= =p+2
4 4
이므로 점 A의 y좌표를 양수, 점 B의 y좌표를 음수라
a-b=-;2!;-{-;2#;}=1 따라서 구하ㄴ는 넓이의 합은
'2 9'2 5'2 하면 점 A의 x좌표는 8, 점 B의 x좌표는 2이다.
+ =
4 4 2 초점 F에서 두 직선 AC, BD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
각 H, H'이라 하면
AHÓ=|8-p|, BHÓ'Õ=|2-p|
24. 벡터의 내적 정답 ③
이므로
〘풀이〙 OC³=(x, y)로 놓으면 26. 타원의 방정식 정답 ①
HFÓ=AE AFÓ Û`-AHÓ Û`
CA³‌=OA³-OC³
xÛ` yÛ` ="Ã(p+8)Û`-(8-p)Û`
=(3, 4)-(x, y) 〘풀이〙 타원 + =1의 장축의 길이는
4Û` ('7)Û`
=(3-x, 4-y) =4'¶2p
2_4=8이므로 타원의 정의에 의하여 타원 위의 임의
CB³‌=OB³-OC³ 의 한 점 P에 대하여 FÕH'Ó=AE BFÓ Û`-BHÓ'Õ Û`
=(5, 2)-(x, y) PFÓ+PFÓ'Õ=8 ="Ã(p+2)Û`-(2-p)Û`
=(5-x, 2-y) 그러므로 AFÓ=AFÓ'Ó=4 =2'¶2p

정답과 풀이 <제 3 회> - 21 - 수학 영역


즉, CDÓ=HHÓ'Õ=6'¶2p이고 ㉠에서 CDÓ=6이므로
}]|bø|
1
6'¶2p=6
29. 구의 방정식 정답 8 |PQ³|‌=[2-{-
2

1 〘풀이〙 점 P(a, b, 3)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은 5 5'3


에서 p= 이므로 포물선의 방정식은 yÛ`=2x이고, = |bø|=
2 Q(a, 0, 0) 2 2

두 점 A, B의 좌표는 점 P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은 그러므로 사각형 OBPQ의 넓이는

A(8, 4), B(2, -2) R(0, b, 0) 1


_(|OB³|+|PQ³|)_|OQ³|
2
이므로 점 P를 zx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점은
5'3
}_
1 1
ABÓ="Ã(2-8)Û`+(-2-4)Û` S(a, -b, 3) = _{'3+
2 2 2
=6'2 세 점 P, Q, S의 x좌표의 값이 모두 같으므로 삼각형 1 7'3
= _
PQS는 yz평면과 서로 평행하다. 4 2
직선 AB의 방정식은
'3
z 7
-2-4 =
y-4= (x-8) 8
2-8 S P
따라서 p=8, q=7이므로
즉, x-y-4=0
p+q=8+7=15
1
점 F{ , 0}과 직선 x-y-4=0 사이의 거리는
2
O R y
|
1 7
-0-4|
2 ‌= 2 Q
"Ã1Û`+(-1)Û` '2
x
7'2
= 4 삼각형 PQS의 넓이를 S라 하면

따라서 삼각형 AFB의 넓이는 S=;2!;_2b_3=3b


1 7'2 21 사면체 PQRS의 부피를 V라 하면
_6'2_ =
2 4 2
V=;3!;_S_a=;3!;_3b_a=ab

즉, ab=12  yy ㉠
점 S(a, -b, 3)이 구 xÛ`+yÛ`+zÛ`=49 위의 점이므로
aÛ`+bÛ`+9=49
즉, aÛ`+bÛ`=40 yy ㉡
28. 두 평면이 이루는 각 정답 ④
㉠, ㉡에서
〘풀이〙 (a+b)Û`‌=aÛ`+bÛ`+2ab
B =40+24=64
a+b>0이므로
H a+b=8
a

C
B'

p
C' A 3

직각삼각형 ABC에서 ABÓ=4'3이므로 30. 벡터의 내적 정답 15

p 〘풀이〙 |aø-bø|Û`‌=|aø|Û`-2aø•bø+|bø|Û`
BCÓ‌=4'3 sin
3 =1Û`-2aø•bø+('3)Û`=1
'3
=4'3_
2
=6 에서 aø•bø=;2#;
p 두 벡터 aø, bø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 하면
ACÓ‌=4'3 cos
3
aø•bø
1 cos h‌=
=4'3_ =2'3 |aø||bø|
2
3
BB'Ó=2'6, CC'Ó='6이므로 두 직각삼각형 ABB', '3
= 2 =
ACC'에서 1_'3 2

AB'Ó="Ã(4'3 )Û`-(2'6 )Û`='2Œ4=2'6 p


yy ㉠ h=
6
AC'Ó="Ã(2'3 )Û`-('6 )Û`='6 yy ㉡ |aø+tbø|Û`‌=|aø|Û`+2taø•bø+tÛ`|bø|Û`
점 C에서 선분 B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1+3t+3tÛ`
BHÓ=BBÓ'Õ-CCÓ'Õ='6
}`+
1 Û 1
=3{t+
이므로 직각삼각형 BCH에서 2 4

CHÓ="Ã6Û``-('6 )Û`='3Œ0
이므로

f(t)=¾Ð3{t+ }`+
따라서 1 Û 1
2 4
B'C'Ó=CHÓ='3Œ0 yy ㉢
일 때, 최솟값 ® = 을 가지
1 1 1
p 함수 f(t)는 t=-
㉠, ㉡, ㉢에서 삼각형 AB'C'은 ∠C'AB'= 인 직 2 4 2
2
므로
각삼각형이고, 삼각형 ABC의 평면 a 위로의 정사영
1 1 1 1
은 삼각형 AB'C'이다. k=- , OQ³=aø- bø, |OQ³|=® =
2 2 4 2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1
Q 2 bø A 2bø
P
S=;2!;_6_2'3=6'3 aø
O B
삼각형 AB'C'의 넓이를 S'이라 하면 bø

S'=;2!;_2'6_'6=6 벡터 aø+tbø의 시점이 O일 때 종점은 점 A를 지나고


직선 OB에 평행한 직선 위의 점이므로 |aø+tbø|가 최
따라서 평면 ABC와 평면 a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 h
소가 되는 경우는 벡터 aø+tbø가 벡터 bø와 서로 수직인
에 대하여
경우이다.
S' 6 '3
cos h= = = 즉, OQ³⊥bø
S 6'3 3

정답과 풀이 <제 3 회> - 22 - 수학 영역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