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2023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지 1

제 2 교시 수학 영역

D
5 지선다형 3. 등비수열   이


    ,       



1.  × 

  

의 값은? [2점] 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3점]

V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4
1
E - - an = 4 iba 4 =

2X 모
an
6
=
4 4r . -
16 *

= 2 xZ 수아 16
4127
-


4r를 100 -
1 6

2 27 25
n 르 4~+ 4
-

=
=
2
0

rt 2) 르 . 0
γ= 고


2.
① 
함수        에 대하여  ′ 의 값은? [2점]

② 

fix )
f" =
=


③ 
=
6x 2 가
V
④ 

D
-
⑤ 

4. 다항함수  가 모든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 

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단,  는 상수이다.) [3점]


①  V
② ③  ④  ⑤ 
a =
z
J -

a
= o

fcx = 3가르로 O

f ( 27 w

1 20
2

Q
수학 영역 고3

O

5. cos     이고 sin     일 때, tan  의 값은? [3점]

7. 함수       의 그래프와  축,  축 및 직선   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3점]

①  
 ② 


③  
①  ② 
.

 
④  ⑤ 
 
 

④  ⑤ 


b

8
.

3 설
' OK &

-
?

.- 01( 2 x+1 ) dx

[ -

5 가 4 기로가 ) .


+ 6
5
-

6. 함수
        

-
f
5
+ 518 =
510
  
   ≥ 

에 대하여 함수 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모든 상수  의 값의 합은? [3점]
V
①  ②  ③  ④  ⑤ 
U 2

g
=
르 al + 1
P
-
가 1

fl
ee
-

2a

44 -
2a+ )
= V

a = 2
르 al + ) e 즈e + )

E
(x 1 (

(
-

a+ 1 )( +t1 )
-
l

행 ec
t르 /
-
"

4 2 + 17 L4 -

2에


t or 더

42 at 1 = - 커

4 2a
- = -
2

- 2a =
-
6


a 3 =
2 20
고3 수학 영역 3

ㅇ A
8. 두 점 A   , B     에 대하여 선분 AB 를 10. 공차가 양수인 등차수열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  로 내분하는 점이 곡선   log       위에   의 값은? [4점]
있을 때, 상수  의 값은? [3점]
(가)    
  V 
①  ②  ③  ④  ⑤ 
  ⑤
5 (나)    

V


m s)
1 B( mt 3
-

3 ) ①  ②  ③  ④  ⑤ 
Amimt
.

53 = g4 (
33m+ J :
1
la 4 lt lao 야 f X들다 i) 0 인경우 1 i 1둘

1 +② 인경유
m-
8- +m →
mmm
t

.
3
tidrf
-
6

a 3 d a
latsdltlat5 df
-
- - -

M (2
mt 6 tm ,

52)
m-btmts -

4②= 4
-

fa. ta 9 7
2a
a
-

-
fd f
=
=

O
서 앞항이
i e 인경우

a taztast
l

(m + 10 ) tm
.

" tatbd
V
m y .
3
g
=

4 dtatbd
-

at 3dv
toy
atatdthtidtii
-

4 6
M(
opmx 53 )
m -
s

log
atfdV
+ =래 V

0 ttnd
(m+fol
,

4
-

2 =
e
b
내예 9 a + 36d 7 =

log at4 =d
m -
4

<×)
1
(m세이야 n6 a+ 4 d =
3 mm
4
ai = -

lht 9 d
atfd 8
.
2 =

4 (× 36
a+ 4d 1


=
-

3

9. 함수        는    와    에서 극대이다. - atid


a sd +1
/
-
=
f τ )

   일 때, 실수  의 값은? 2d = 8


(단, ,  는 ≠ 인 상수이다.) [4점] D
= …

 V   a+ 1 b = 3
①  ②  ③  ④  ⑤ 
  m

 Q = - 13

f( - 12 fP기
~

U
f1예 P 미
113 -기누이 힐
y
-
t 4+P 위미
f 'x= 르
3c 6개
4 -

P = p
= llx
31 - 2 ) 1 4
2P =

I
*
= 2
P

1 ~
.

3 20
4 수학 영역 고3

며 D
11. 그림과 같이 ∠BAC  °,  AB   
 , BC  인 삼각형 12. 곡선    과 기울기가  인 직선  이 서로 다른 두 점
ABC 가 있다. 삼각형 ABC 의 내부의 점 P 에 대하여 A , B 에서 만난다.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선분 AB 의 길이가
∠PBC  °, ∠PCB  ° 일 때, 삼각형 APC 의 넓이는? [4점]  가 되도록 하는 직선  의  절편을  라 할 때,
b KRC
K - 2b (2R) Cos600 
1JBC = 로 lim  
의 값은? [4점]
. 12 = b 의 -4 Kb 딜  →∞ 

V
8 .


b 2Rb 4 0 =     O
①  ②  ③  ④  ⑤ 
-

Kx    
8
ox?
= y xtgit


y
-2 )
pt =

5
-
영 . SinB =
fm .

(드 l
~

450 300
.
gt 야
1350 o
ㅡ 되e BXE
-
-

.
) 300
. =
ID [ J

V
2B N …
pe = 영 αH
' β며
     
   
 -

r 히
①  ②  ③  a
13
= -

glt)
  
<C
   .
gt
)
④  ⑤   
 450
=

 =
8


B

t ( β - al 4t
2
finC
2
는 8 β a= =

R2
-
R
-

1
)= 4
B

=
.

Sino = ( β+ a
αβ
)
=
BSineo
114
gt
=

Cβ -p 12
2

* t 4t르
4
g
α= =
2
: Sin = -
-

뽕 tgtk 르로
2t 8gt= -

ta
=

R
=

, :
F
4t
T
tt: ,

- Z
8tz
b르 2 Eb 4
- = 0

K ± rZ
+ = E+ 4 oib 7 )

APCD 레이크

6 ( Etrf ) sinpoo
+E 는 6 로8

,+ ) 후
( 6
β
2

4 20
고3 수학 영역 5


13. 두 함수 14. 세 양수 , ,  에 대하여 함수  를
-
k주 4bk -
sbr k@ =


       ,   sin      
 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 의 값은?         ≥ 
(단, ,  는 상수이고,  ≤  ≤  이다.) [4점]
라 하자. 함수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점]
(가)   
< 보 기 >
(나)  ≤  ≤  일 때, 방정식    의 e ㅇ
ㄱ.    이면  ′  이다.

모든 해의 합은   이다.
 ㅇ
ㄴ.    이면      
 이다.
V
ㄷ.    ′ 이면 함수    의 그래프와  축으로
  
①  ② 

③  V 
④ ⑤ 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 이다.

13 를 '
[
gla
π
Sinq aπ, 48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T) .
,
Q
3
aD
Za
.

fdR ) 구
(D< 3)
O f
야은 탈루
-

30xtz
1

ftn ) = x 4 4bl -

3 bz (U 23)
Y덞
flox=
E9
sinod
y
=

뵤 "
ut 4b

너타 .
-

← 신 1
계 Voa = 6 t 4b a 6t 4국 Y ×


=

취치다
-
= -

.
t =o 도 DM

itb = o 3
없 bpt 4bu 9 + zb 3 br


'
3π t π= =

b 2
고 - -
-

X )

= 1 - 12
3

fLi =
D

o (x ) - 18 + izb 9t /-
b

1
,

3b
= 9
E
-

)
i a =

b르 3

fix= [
수 ixtb sin x
b = B

y
=

(k=- ki44bk 3 bz )k 8bz


로 y "
f
⑧ -

-
k주 al
4b -
-
= o

fck) 2kt4b
4
= -

y i
=
∴8 (=
-

슈오
= : 0

? =
2kt4b
. .

k규 귀 k로4bk 3b
규함
- - -

ㅇ 코파

2

많 … -

k42 ( 2b- 11 k -

3b
르4b =
o

f- 세 )

0
-3 ai π=
=

, *
2

figx
<
)경
PFO

flol

= b
f냐
( x+ 1) l -
-
(
=0

f(리 =
3 ( 3
Z)
=

5 20
6 수학 영역 고3

4 15. 모든 항이 자연수인 수열 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단 답 형

O
            이 홀수인 경우
  

 16.

log   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             이 짝수인 경우
log  

를 만족시킨다.    일 때,     가 되도록 하는 모든  의
응 16

F

값의 합은? [4점]
①  ②  ③  ④  ⑤ 

aft

3
a 1 ( an+ itan 홀수 )
qa
+

ant2 =

코 순 azt lanti fan 짝수)


=1 짝수
GE 31

4

이려 q 4유 어닮 X
azt
"
1

a4 =
68 a4
=
)

학 ay n =

U G6 6
염 , h6 =
9 =

ar =
5 요례 Q= 맛 a계 a2 B=
ac = 5

e= 8
로없다 , 용쳤다담
a3 =
6 e=n
요에 at= l . a4 &3
=


a5 T =
95 15= a5 = 6
h35 = 23 95 = in Q5 31
:

a예 a6 , 3
= 요= 13 a6 = 20 a6 래=
U6 27
=

17. 직선      가 곡선        에 접할 때,
D 25

Ui

리 23
azin 상수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 12
a= 이 B= o 4
fCxF 2제 <bltk
2
16 4a+ 5
35
19 y
=

Q4 =
3 U4 29=

B7
n
fKx 1 =8x 4
K7 55
5GFl 95 = 3①

U6 2 a 6 34 리 $ 48 59 (1 . 0)

= =

wm

3
ㄴ 45
일4
4 fia = fa3 - 4
37

.
찹 22 23

.
0

생 65 f: 11 =
4
X
i

범 맛 34 미

23
뮴 7
마 잇 돼

95
약 -
tk
2
X
KenavD41306271
2
n x
β여
O. 3 =
25 유
=
43 7

68
~
Oel ,

6 20
고3 수학 영역 7

D
18. 20.


 이 자연수일 때,  에 대한 이차방정식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이고    인 삼차함수  와
양의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     

의 두 근을   ,   이라 하자. (가)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을 구하시오. [3점]

 
(나)  

ant Bn 5n =
      ≥ 

ampn =4 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몹은 Han +β n )
+hn 로 80 .

g
[이 = 0
fpx Mf= ax
4b에

fl(x = xfzanxtb
-n + 4nz ?
3

수 1

g
' x=
운머
gi바있다
"

몹 4
tml
n= +)
,
~

,
4
제)
lim f '(o-
, )
p =3( U

- PF20 cxp +b
8 1 cng
~

4
4 7
- n .

- 대
DDo 어 2
+b


.
③P 2 '

-
=
-③
5

. 고건
'

f (x=
.

/B , ? (z
p fll p / E 3prf 2 aptb
fextp fip
-


-

4ap= . PC
ao . >1 ~

( PF)
56 P 3
. + 기 p
에 (
+1 -3 2(l+p ) 3 +P 2
apfb
. - 4 =

2
3p

p주( +-
xz43P(주3/ BP ptb
3 p -
p /류
3 /p PB
-3 + +29
=
/

O
2

2
6 12b
+
3 spox
p
=o

g네
… r
p

2 b = -
6
fP ,
(
(∴43p 2 d떨 2


= -
Bp
.
, mim

↑ 41 p
4
14 =20
[* 이4
% +
=
P.( fpx) =

19.
:

시각    일 때 동시에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ㅡ


51
-

5
,
4
= 20
P
P
-
x+ 며
움직이는 두 점 P , Q 의 시각   ≥  에서의 속도가 각각 5 4=
f .
p ~ f(57 =
125

 
       ,       
@
6

이다. 점 P 와 점 Q 가 출발한 후 한 번만 만날 때, 양수  의
답큼
6
값을 구하시오. [3점]

So . ct) dt= tzz -lyt로kt Sog .
fxF xt@ x( bx + l

- ts 29 t

Sviltdtr )
y t빠 고개 . +
=
y
-
fH 이

가깝네"
+

2
25t4kt= 로올x
tz 2tekt
t

=o
2 =

("
,
= f개가-f너기
8 fo가- fn
=

t (st드 ( 2 tk ) 0

N . . ,

"
=

촘춤 다
"
fau = lltp ) (ol-2ptk
P
-

4
= 36 -
k
2 = o 3 = lt2K(l 4) 바 -


k= f

fly= *9 + =

7

. P

차미기 비마램 = =

4p

ZDP440
2 3
7 4
20
=
4PX 4
p +2
Dp +f. 3 4
=


5p = 88
4 16
P =
P =
2
8 수학 영역 고3

D Y
21. 그림과 같이  보다 큰 두 실수 ,  에 대하여 직선    가 22. 최고차항의 계수가  인 사차함수  가 있다.

두 곡선    log    ,      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 B 라 실수  에 대하여 함수  를     라 할 때,


하고, 직선    가 두 곡선    log    ,      과 만나는  
lim    
의 값이 존재하는 서로 다른 실수  의 개수를
점을 각각 C, D 라 하자. AB× 
→
CD  이고 삼각형 CAD 의
 라 하자.
넓이가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함수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lim  


 →

(나) 함수  는     과    에서만 불연속이다.


k
D


"
- . M    이고 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버김
@

-
-

k [4점]


AM =UD → -

,
=
CM 2
bgek
logak
-

BM =

I -

logaktk -1
앉 l ktk
=

: = -

1
g
.
0

hg ktk .

al k k
-

Ac 1 ik )

B( logaktk k)
미 -

k =

logak
bgaktk
.
1

o =
cck
D미k
,
2
logaktk )

,
1)

DCAID 넓 = DABP +DACM


k 7

k- y
2
-떠
=
P
DABD넓이오 ( k -1 ) k
aloga
3
ylogak q 3
= =
=

k)
DACU법이던(k -y ) ( 2
loga logak =
) q k f =

DCAD널FP 로 코 q

코 p ( pt 81 2
logaf s
=
= = 35

+
=
P(P qFo

(logak Jlogaktk logazz 2


=
-

AB ) xcp =
tk ) ( -

1)
2

logologr력
6 2 3

o + P ) ( q+1
t
=
85 =

P ( p+ q) 70

8+)185

청도Zp & + ,

I
,
p

+
XP
P /& / = 70 = 냐
iiFX 20 , 여 (λ)

모 q로 P= atk 2
29 ( 0) X …

& (q +tp) = 15

30
PX
i)
1 = B
& = 2
( X)
flq +tp)
=

il ) 7 3
( 이 P &
1

= =

(b P ) mm
70
.

7 L0 =

일협 TV ) 며 8
=
5 ( ×1
3 ,
7

5 1
* 확인 사항
,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


했는지 확인하시오.
◦ 이어서,「선택과목(확률과 통계)」문제가 제시되오니,
자신이 선택한 과목인지 확인하시오.

8 20
2023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지 1
제 2 교시 수학 영역(확률과 통계)
5 지선다형 24.  명의 학생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 모양의 탁자에 모두
둘러앉는 경우의 수는? (단, 회전하여 일치하는 것은 같은
것으로 본다.) [3점]
23. P  ∏ 의 값은? [2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9 20
2 수학 영역(확률과 통계) 고3

25.
문자 A , A , A , B, B, B, C, C 가 하나씩 적혀 있는  장의 26.
서로 다른 공  개를 남김없이 세 주머니 A , B, C 에 나누어
카드를 모두 일렬로 나열할 때, 양 끝 모두에 B 가 적힌 카드가 넣을 때, 주머니 A 에 넣은 공의 개수가  이 되도록 나누어
놓이도록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단, 같은 문자가 적혀 있는 넣는 경우의 수는? (단, 공을 넣지 않는 주머니가 있을 수
카드끼리는 서로 구별하지 않는다.) [3점] 있다.)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②  ③  ④  ⑤ 

10 20
고3 수학 영역(확률과 통계) 3
27. 방정식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  , ,  의 28. 원 모양의 식탁에 같은 종류의 비어 있는  개의 접시가
모든 순서쌍     의 개수는? [3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놓여 있다. 이  개의 접시에 서로
①  ②  ③  ④  ⑤  다른 종류의 빵  개와 같은 종류의 사탕  개를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남김없이 나누어 담는 경우의 수는?
(단, 회전하여 일치하는 것은 같은 것으로 본다.) [4점]

(가) 각 접시에는  개 이상의 빵을 담는다.


(나) 각 접시에 담는 빵의 개수와 사탕의 개수의 합은
 이하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11 20
4 수학 영역(확률과 통계) 고3

단답형 30. 집합       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   →  의 개수를 구하시오. [4점]

29. 숫자 ,  ,  중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다음 조건을


(가) 집합  의 임의의 두 원소  ,  에 대하여
만족시키도록 여섯 개를 선택한 후, 선택한 숫자 여섯 개를
   이면 ≤  이다.
모두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시오. [4점]
(나) ≠ 이고 ×   이다.
(가) 숫자 , ,  을 각각 한 개 이상씩 선택한다.
(나) 선택한 여섯 개의 수의 합이  의 배수이다.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
했는지 확인하시오.
◦ 이어서, 「선택과목(미적분)」 문제가 제시되오니, 자
신이 선택한 과목인지 확인하시오.

12 20
2023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지 1
제 2 교시 수학 영역(미적분)
5 지선다형 24. 수열  이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23. lim 

의 값은? [2점] 
→∞   을 만족시킬 때, lim  의 값은? [3점]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

13 20
2 수학 영역(미적분) 고3

25. 등차수열  에 대하여 26. 두 수열 ,  에 대하여

   lim     , lim       


lim 
 
 →∞ →∞
→∞ 

일 때, lim       의 값은? [3점]


일 때,    의 값은? [3점] →∞

①  ②  ③  ④  ⑤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14 20
고3 수학 영역(미적분) 3
27.    ,     인 수열  과 등차수열  이 모든 자연수 28.    , ≠ 인 실수  와 자연수  에 대하여 직선    이
 에 대하여  축과 만나는 점을 A , 직선    이 곡선   log    과
  
만나는 점을 B 이라 하자. 사각형 ABB  A   의 넓이를





   이라 할 때,

을 만족시킬 때, lim  의 값은? [3점] 


BB   
→∞ lim  

 
→∞ 
 
①   ②  ③   ④  ⑤  을 만족시키는 모든  의 값의 합은? [4점]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15 20
4 수학 영역(미적분) 고3

단답형 30. 함수

    
  lim 
29. 자연수  에 대하여  에 대한 부등식        을 
→∞   

만족시키는 정수  의 개수를  이라 하자. 두 상수 ,  에 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 가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lim 
   
→∞
  ≤     일 때,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    × 

  
이다. (단,  는 자연수이다.)

     인 실수  에 대하여 직선    가 함수    의
그래프와 만나지 않도록 하는 모든 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4점]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
했는지 확인하시오.
◦ 이어서, 「선택과목(기하)」 문제가 제시되오니, 자신
이 선택한 과목인지 확인하시오.

16 20
2023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지 1
제 2 교시 수학 영역(기하)
5 지선다형 24. 포물선    의 초점과 준선 사이의 거리는? [3점]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
23. 타원      의 장축의 길이는? [2점]
 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17 20
2 수학 영역(기하) 고3

25. 한 초점이 F  이고 주축의 길이가  인 쌍곡선 26.


포물선        의 초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  길이가  인 원이 포물선과 만나는 두 점을 A , B  라
     의 점근선 중 기울기가 양수인 것을  이라 하자.
  할 때,       의 값은? [3점]
점 F 와 직선  사이의 거리는? (단, ,  는 양수이다.) [3점] ①  ②  ③  ④  ⑤ 
① 
 ②  ③ 
 ④ 
 ⑤ 

18 20
고3 수학 영역(기하) 3
27. 그림과 같이 두 초점이 F , F′      인 쌍곡선 28.
장축의 길이가  이고 두 초점이 F , F′      인
  타원을  이라 하자. 장축의 길이가  이고 두 초점이 A ,
     이 있다. 쌍곡선 위의 제  사분면에 있는 점 P 와
 
 F′   인 타원을  라 하자. 두 타원  과  가 만나는 점
쌍곡선 위의 제  사분면에 있는 점 Q 가 
중 제 사분면에 있는 점 P 에 대하여 cos∠AFP  일 때,

′ 
PF   QF
QF′  , PF 

 삼각형 PFA 의 둘레의 길이는? [4점]

를 만족시킬 때, 
PF 
QF 의 값은? [3점] 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  

19 20
4 수학 영역(기하) 고3

단답형 30. 그림과 같이 두 초점이 F , F′      인 타원  가


있다. 타원  가 두 직선   ,     와 만나는 점 중
 좌표가 양수인 점을 각각 A , B 라 하자.
29. 그림과 같이 꼭짓점이 원점 O 이고 초점이 F     인
두 초점이 A , B 이고 점 F 를 지나는 쌍곡선이 직선    와

포물선이 있다. 점 F 를 지나고 기울기가   인 직선이 만나는 점 중 F 가 아닌 점을 P 라 하고, 이 쌍곡선이 두 직선

BF , BP 와 만나는 점 중  좌표가 음수인 점을 각각 Q, R 라
포물선과 만나는 점 중 제  사분면에 있는 점을 P 라 하자.
직선 FP 위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  가 점 P 를 지나고, 하자.
포물선의 준선에 접한다. 원  의 반지름의 길이가  일 때, 세 점 P , Q, R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원  의 중심의  좌표는 점 P 의
 좌표보다 작다.) [4점] (가) 삼각형 BFP 는 정삼각형이다.
(나) 타원  의 장축의 길이와 삼각형 BQR 의 둘레의 길이
의 차는  이다.

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 × AF

* 확인 사항
◦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
했는지 확인하시오.

20 2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