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9

(3c-1)(c-3)É0 ∴

1
3
ÉcÉ3 V 함수와 그래프
1
따라서 M=3, m= 이므로
3
1 함수
M+3m=3+3_ =4
3
다른 풀이

a+b+c=5 yy ㉠ 201 ②

aÛ`+bÛ`+cÛ`=11 yy ㉡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대응이 함수이기 위해선


(a+b+c)Û`=aÛ`+bÛ`+cÛ`+2(ab+bc+ca)에서 집합 X의 각 원소에 집합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해야 한다.
5Û`=11+2(ab+bc+ca) ㄱ. 집합 X의 원소 3은 집합 Y의 원소에 대응하지 않으므로
ab+bc+ca=7 yy ㉢ 함수가 아니다.
aÛ`¾0, bÛ`¾0이므로 ㄴ. 1, 2는 c에 대응되고, 3, 4는 a에 대응되어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집합 X의 각 원소에 집합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하므로
aÛ`+bÛ`¾2|ab| 함수이다.
11-cÛ`¾2|7-bc-ca| (∵ ㉡, ㉢) ㄷ. 집합 X의 원소 2는 집합 Y의 원소 a와 c에 대응하므로 함수가
=2|7-c(a+b)| 아니다.
=2|7-c(5-c)| (∵ ㉠) 따라서 함수인 것은 ㄴ이다.
=2|cÛ`-5c+7|
=2(cÛ`-5c+7) yy TIP
즉, 11-cÛ`¾2(cÛ`-5c+7)에서 202 ⑤

1 ① 집합 X의 각 원소에 집합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하므로


3cÛ`-10c+3É0, (3c-1)(c-3)É0 ∴ ÉcÉ3
3
이 대응은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함수이다. (참)
1
따라서 M=3, m= 이므로 ② 집합 X의 원소 1은 집합 Y의 원소 0에 대응하므로 f(1)=0이다.
3
1 (참)
M+3m=3+3_ =4
3 ③ 함수 f `:`X`2Ú`Y의 정의역은 X이다. (참)
TIP ④ 함수 f `:`X`2Ú`Y의 공역은 Y이다. (참)
c에 대한 이차방정식 cÛ`-5c+7=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⑤ f(1)=0, f(2)=2, f(3)=0이므로
D=(-5)Û`-4_1_7<0이므로 함수 f 의 함숫값 전체의 집합인 함수 f 의 치역은 {0, 2}이다.
모든 실수 c에 대하여 항상 cÛ`-5c+7>0이다. (거짓)
따라서 2|cÛ`-5c+7|=2(cÛ`-5c+7)이다.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참고

1
203 ⑤
c뿐만 아니라 a, b의 최댓값과 최솟값도 각각 3, 이다. f f②
3 ① fX f
X Y X Y Y X Y
-1 0 -1 -1 0 0 -1 0
0 1 0 0 1 1 0 1
1 2 1 1 2 2 1 2

③ f fX f④ f
X Y X Y Y X Y
-1 0 -1 -1 0 0 -1 0
0 1 0 0 1 1 0 1
1 2 1 1 2 2 1 2

⑤ X f Y X f
Y
-1 0 -1 0
0 1 0 1
1 2 1 2

따라서 선지 중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함수가 아닌 것은 ⑤이다.

42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42 22. 9. 13. 오후 6:58


TIP
204 ②
함수이려면 정의역의 모든 원소에 공역의 원소가 하나씩
주어진 함수 f 의 그래프는 대응되어야 하므로 함수의 그래프가 되려면 정의역의 모든 원소
{(1, 3), (2, 1), (3, 1), (4, 5), (5, 3)}을 나타낸다. k에 대하여 그래프가 직선 x=k와 항상 단 한 개의 점에서만
함수 f 의 정의역은 X={1, 2, 3, 4, 5}, 치역은 {1, 3, 5}이므로 만나야 한다.
a=1+2+3+4+5=15 따라서 y축과 평행한 직선이 그래프와 두 개 이상의 점에서 V
b=1+3+5=9 만나는 경우가 있으면 그 그래프는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다.
∴ a-b=15-9=6

206 ④

정의역이 {-1, 0, 1}인 두 함수 f, g 가 서로 같은 함수이려면


f(-1)=g(-1), f(0)=g(0), f(1)=g(1)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205 ③
ㄱ. f(-1)=g(-1)=1, f(0)=g(0)=0, f(1)=g(1)=1이므로
집합 X의 각 원소에 집합 Y의 원소가 오직 하나씩 대응할 때, f=g이다.
이 대응은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함수이다. ㄴ. f(1)=1, g(1)=3에서 f(1)+g(1)이므로 f+g이다.
x<X, y<Y라 하면 ㄷ. f(-1)=g(-1)=2, f(0)=g(0)=1, f(1)=g(1)=0이므로
① y y f=g이다.
3 따라서 두 함수 f, g 가 서로 같은 함수인 것은 ㄱ, ㄷ이다.
2
1 O a x

O 1 2 3 4 x
207 ④

x=2일y때 대응되는 y의 값이 1과y 3으로 2개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정의역이 {1, 2}인 두 함수 f(x)=ax-1, g(x)=xÛ`+b가
y ② y
서로 같으려면 f(1)=g(1), f(2)=g(2)이어야 한다.
3 f(1)=a-1, g(1)=1+b이므로
2 y O x -a Oy a x
1 O a x a-1=1+b에서 a-b=2 yy ㉠
3
O 1 2 3 4 x 2 f(2)=2a-1, g(2)=4+b이므로
1 y O a x 2a-1=4+b에서 2a-b=5 yy ㉡
y 주어진 그래프를 방정식 x=a의 그래프라 하면 x=a일 때 대응
1 y2 3 4 x
O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1
되는 y의 값이 2개 이상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 a+b=3+1=4
③ Oy x y
y O x -a Oy a x

3
2
y O x -a y
O a x 208 ⑤

1 O a x
y 3 y=xÛ`+2ax+5=(x+a)Û`+5-aÛ`에서 이차함수
O 1 2 3 4 x 2
a x
각1 원소yx에 대응되는 y의 값이 O오직 하나씩이므로 함수이다. y=xÛ`+2ax+5의 그래프는 꼭짓점이 (-a, 5-aÛ`)이고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Oy x y
④ O 1 2 3 4 x
이때 치역이 {y|1ÉyÉb}이므로
y y x=-a에서 최솟값 1을 가진다.
O x
O x -a O a x
5-aÛ`=1, aÛ`=4에서 a=2 (∵ a>0)
x -a a x 즉, 정의역이 {x|-4ÉxÉ3}이므로
O O
주어진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a라 하면 -a<x<a일 때 대응되 이차함수의 축 x=-2에서 가장 먼 x=3에서 최댓값 b를 갖는다.
y
는 y의 값이 각각 2개씩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b=(3+2)Û`+1=26
⑤ y ∴ a+b=2+26=28
O x

O x
209 풀이 참조

⑴ 함수 f `:`R`2Ú`R가 일대일함수이려면
x>0일 때 대응되는 y의 값이 각각 2개씩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정의역 R의 임의의 두 원소 xÁ, xª에 대하여
따라서 선지 중 함수의 그래프가 될 수 있는 것은 ③이다. ‘xÁ+xª이면 f(xÁ)+ f(xª)’

Ⅴ. 함수와 그래프 43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43 22. 9. 13. 오후 6:58


즉, ‘f(xÁ)= f(xª)이면 xÁ=xª’ yy TIP1 ④ f(x)=|x-4|에서 3+5이지만 f(3)= f(5)=1이므로
를 만족시켜야 한다.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x축에 평행한 직선과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1 1
⑤ f(x)=[x]에서 0+ 이지만 f(0)= f { }=0이므로
2 2
개수가 항상 1인 것을 찾으면 yy TIP2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ㄱ, ㄷ, ㄹ, ㅂ이다. 따라서 선지 중 일대일함수인 것은 ②이다.
⑵ 공역이 R이므로 치역이 R인 그래프는 ㄱ, ㄴ, ㄹ, ㅂ이다.
다른 풀이
⑶ 함수 f `:`R`2Ú`R가 일대일대응이려면 일대일함수이고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서 x축과 평행한 직선과 만나는 교점의 개수가
치역과 공역이 같아야 한다. yy TIP3
오직 1인 그래프를 찾으면 된다.
따라서 ⑴, ⑵에 의하여 일대일대응은 y y y② y

ㄱ, ㄹ, ㅂ이다.
⑷ 함수 f `:`R`2Ú`R가 항등함수이려면 x<R에 대하여 y=-2x+3
y=-2x+3
1 1 y=1 y=1
f(x)=x이므로 ㄱ이다.
⑸ 함수 f `:`R`2Ú`R가 상수함수이려면 x<R에 대하여 O O x x O O x x

f(x)=c (c는 상수)이므로 ㅁ이다. y y y y


③ ④
y=|x-4|
y=|x-4|
TIP1
명제 ‘xÁ+xª이면 f(xÁ)+ f(xª)’의 대우는 y=x@-2x
y=x@-2x
‘f(xÁ)= f(xª)이면 xÁ=xª’이다. O 2O 2x x O O 4 4x x

⑤ y
TIP2 y=[x]
3
‘f(xÁ)= f(xª)이면 xÁ=xª’를 만족시키려면 함수 f(x)가 2
일대일함수이어야 한다. 1
-3-2 -1
일대일함수의 그래프가 되려면 치역의 O 1 2 3 4 x
-1
모든 원소 k에 대하여 x축과 평행한 직선 y=k와 함수
-2
y= f(x)의 그래프가 오직 한 점에서만 만나야 한다. -3

TIP3 따라서 선지 중 일대일함수인 것은 ②이다.


일대일대응이려면 일대일함수이면서 치역이 공역과 같아야
하므로 공역의 모든 원소에 대응되는 정의역의 원소가 단
하나씩 존재해야 한다. 211 4
따라서 일대일대응의 그래프는 공역의 모든 원소 k에 대하여
f(1)- f(3)=4를 만족시키려면
그래프가 직선 y=k와 오직 한 점에서만 만난다.
f(1)=5, f(3)=1 또는 f(1)=7, f(3)=3이어야 한다.
이때, f(2)=5이고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f(1)+5이다.
따라서 f(1)=7, f(3)=3이고, 이때 f(4)=1이다.
f
X Y

210 ② 1 1

2 3
실수 전체의 집합 R에 대하여 함수 f `:`R`2Ú`R가
3 5
일대일함수이려면 정의역 R의 임의의 두 원소 xÁ, xª에 대하여
4 7
xÁ+xª이면 f(xÁ)+ f(xª), 즉 f(xÁ)= f(xª)이면 xÁ=xª를
만족시켜야 한다. ∴ f(3)+ f(4)=3+1=4
① f(x)=1에서 1+2이지만 f(1)= f(2)=1이므로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② f(x)=-2x+3에서 f(xÁ)= f(xª)이면
f(xÁ)- f(xª)=(-2xÁ+3)-(-2xª+3)
212 ④

=-2(xÁ-xª)=0 ① 함수 f 가 일대일함수일 때, 공역과 치역이 같으면


에서 xÁ=xª이므로 일대일함수이다. 함수 f 는 일대일대응이다. (참)
③ f(x)=xÛ`-2x에서 0+2이지만 f(0)= f(2)=0이므로 ② 함수 f 가 상수함수이면 치역인 집합 { f(x)|x<X}의 원소의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개수는 1이다. (참)

44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44 22. 9. 13. 오후 6:58


③ 함수 f 가 항등함수이면 f(x)=x이므로 함수 f의 TIP
치역은 정의역과 같다. (참) 직선 y=(aÛ`-5a)x의 기울기가 0인 경우(❶)와 기울기가 음수
④ 함수 f 의 정의역의 임의의 두 원소 xÁ, xª에 대하여 인 경우(❷)에 함수 y= f(x)의 그래프가 각각 다음과 같으므로
f(xÁ)= f(xª)일 때 xÁ=xª이면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다.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따라서 일대일대응도 아니다.
이때, 함수 f 의 치역과 공역이 같지 않으면 함수 f 는 y y y y
❶ ❷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거짓) yy 참고
V
⑤ n(X)=n(Y)이고, (공역)=(치역) yy ㉠
이면 정의역과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같으므로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고, ㉠에 의하여 일대일대응이다. (참) yy TIP
O O x x O O x x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참고

명제 ‘일대일함수이면 일대일대응이다.’는 거짓이고,


그 역인 ‘일대일대응이면 일대일함수이다.’는 참이다. 214 ⑤
즉, 일대일함수는 일대일대응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함수 y=ax+b의 그래프는 a<0이므로 기울기가 음수인 직선이다.
충분조건은 아니다.
함수 f(x)=ax+b가 X에서 Y로의 일대일대응이려면 치역이 공역
일대일함수 (치역) (공역)
Y={y|-6ÉyÉ10}과 같아야 하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10
일대일대응

TIP
5
유한집합 X에 대하여 함수 f `:`X`2Ú`Y의 치역을 Z라 하면 -3 O x
n(Z)Én(X)이다.
이때, 함수 f 가 일대일함수이면 n(Z)=n(X)이다. -6

즉, f(-3)=10, f(5)=-6이어야 되므로


-3a+b=10, 5a+b=-6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 b=4
∴ a+b=-2+4=2

213 ④
215 ⑴ 64 ⑵ 24 ⑶ 4 ⑷ 1 ⑸ 6

함수 f `:`R`2Ú`R가 일대일대응이려면 일대일함수이고 공역과 ⑴ 함수가 되려면 모든 정의역의 원소에 치역의 원소가 하나씩
치역이 같아야 한다. 대응되어야 한다. X의 원소 1, 2, 3에 하나씩 대응될 수 있는
á 2x (x>0) Y의 원소가 각각 4가지이므로
함수 f(x)=Ò 에서
» (aÛ`-5a)x (xÉ0) 구하는 X에서 Y로의 함수의 개수는
x>0일 때, 함수 y=2x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고, 4_4_4=64이다.
xÉ0일 때, 함수 y=(aÛ`-5a)x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다. ⑵ 일대일함수이려면 정의역의 서로 다른 원소에 공역의 서로 다른
y
원소가 대응되어야 하므로
1에 대응될 수 있는 수는 4가지,
2에 대응될 수 있는 수는 1에 대응되는 수를 제외한 3가지,
3에 대응될 수 있는 수는 1, 2에 대응되는 수를 제외한 2가지이다.
O x 따라서 구하는 X에서 Y로의 일대일함수의 개수는
4_3_2=24이다.
⑶ X에서 Y로의 상수함수를 f 라 할 때, 가능한 함수 f 는
이때,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xÉ0에서 직선
f(x)=1 또는 f(x)=2 또는 f(x)=3 또는 f(x)=4로
y=(aÛ`-5a)x의 기울기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yy TIP 4개이다.
aÛ`-5a=a(a-5)>0 ⑷ X에서 X로의 함수 f 가 항등함수일 때, f(x)=x로 함수 f 는
∴ a<0 또는 a>5 1개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45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45 22. 9. 13. 오후 6:58


⑸ X에서 X로의 함수가 일대일대응이려면 정의역의 서로 다른 참고
원소에 공역의 서로 다른 원소가 하나씩 대응되어야 하므로 ❶ 일반적으로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g ç f+ f ç g 이다.
1에 대응될 수 있는 수는 3가지, 즉, 함수의 합성에 대하여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2에 대응될 수 있는 수는 1에 대응되는 수를 제외한 2가지, ❷ 세 함수 f, g, h에 대하여 ( f ç g) ç h= f ç (g ç h)이다.
3에 대응될 수 있는 수는 1, 2에 대응되는 수를 제외한 1가지이다. 즉, 함수의 합성에 대하여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따라서 구하는 X에서 X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f ç g ç h로 나타낼 수 있다.
3_2_1=6이다.

220 ②
216 ②
( f ç g)(x)= f(g(x))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므로 =3(-x+k)+2=-3x+3k+2
정의역의 서로 다른 원소에 공역의 서로 다른 원소가 대응되어야 (g ç f)(x)=g( f(x))
한다. =-(3x+2)+k=-3x-2+k
조건 ㈏에 의하여 f(1)+3, f(3)=2이므로 ( f ç g)(x)=(g ç f)(x)에서
f(1)의 값은 1, 2, 3, 4, 5 중 2, 3을 제외한 3가지, -3x+3k+2=-3x-2+k
f(2)의 값은 1, 2, 3, 4, 5 중 f(1)의 값과 2를 제외한 3가지, 3k+2=-2+k, 2k=-4
f(4)의 값은 1, 2, 3, 4, 5 중 f(1), f(2)의 값과 2를 제외한 2가지 ∴ k=-2
따라서 함수 f의 개수는 3_3_2=18이다.
다른 풀이

f ç g=g ç f이면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217 ③ ( f ç g)(a)=(g ç f)(a)이다.
따라서 a=0일 때, ( f ç g)(0)=(g ç f)(0)임을 이용하면
f(2)=5이고, g(5)=3이므로
( f ç g)(0)= f(g(0))= f(k)=3k+2
(g ç f)(2)=g( f(2))=g(5)=3
(g ç f)(0)=g( f(0))=g(2)=-2+k
g(5)=3이고, f(3)=2이므로
에서 3k+2=-2+k, 2k=-4
( f ç g)(5)= f(g(5))= f(3)=2
∴ k=-2
∴ (g ç f)(2)+( f ç g)(5)=3+2=5

221 ④
218 ②
( f ç g)(5)=8에서 f(g(5))=8
á 2-x (x¾0) 이때,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고, f(6)=8이므로
f(x)=Ò 에서
» xÛ`+1 (x<0) g(5)=6이다. yy TIP
f(4)=2-4=-2, f(-2)=(-2)Û`+1=5,
한편, ( f ç g)(3)= f(g(3))= f(4)=9이다.
f(5)=2-5=-3이므로
∴ f(4)+g(5)=9+6=15
( f ç f ç f)(4)= f( f( f(4)))
= f( f(-2))= f(5)=-3 TIP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면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므로
f(a)= f(b)이면 a=b이다.
219 ⑴ 22 ⑵ 2 ⑶ 10
즉, f(a)=k, f(b)=k이면 a=b이다.
⑴ f(2)=5이고, g(5)=22이므로 따라서 f(g(5))=8, f(6)=8에서 g(5)=6이다.
(g ç f)(2)=g( f(2))=g(5)=22
⑵ g(2)=1이고, f(1)=2이므로
( f ç g)(2)= f(g(2))= f(1)=2 222 ③

⑶ h(-1)=3, g(3)=6, f(6)=17이므로 f(2)=3, g(3)=1을 만족시키는 두 함수 f, g 에 대하여


(( f ç g) ç h)(-1)=( f ç g)(h(-1))= f(g(h(-1))) 함수 f ç g 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f(g(3))= f(6)=17 g f
X X X
h(1)=1, g(1)=-2, f(-2)=-7이므로
( f ç (g ç h))(1)= f((g ç h)(1))= f(g(h(1))) 1 1 1

= f(g(1))= f(-2)=-7 2 2 2
∴ (( f ç g) ç h)(-1)+( f ç (g ç h))(1) 3 3 3
=17+(-7)=10

46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46 22. 9. 13. 오후 6:58


이때, ( f ç g)(1)=1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gÑÚ` ç f ÑÚ`)(4)=gÑÚ`( f ÑÚ`(4))=gÑÚ`(3)이고,
g(1)=1이면 g 가 일대일대응을 만족시키지 않게 되고, g(4)=3에서 gÑÚ`(3)=4이므로
g(1)=2이면 ( f ç g)(1)=3이 되므로 (gÑÚ` ç f ÑÚ`)(4)=4이다.
g(1)=3, f(3)=1이어야 한다. ∴ f ÑÚ`(5)+(gÑÚ` ç f ÑÚ`)(4)=1+4=5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ç g 는 다음과 같다.
TIP
g f
X X X 주어진 두 함수 f, g 는 모두 일대일대응이므로 모두 역함수가 V
1 1 1 존재한다.
함수 f `:`X`2Ú`Y에 대하여 f(a)=b일 때, 역함수
2 2 2
f ÑÚ``:`Y`2Ú`X에서 f ÑÚ`(b)=a이므로 주어진 함수 f에서
3 3 3
화살표를 반대 방향으로 보내면 f ÑÚ`가 된다.
따라서 주어진 함수 f 의 역함수 f ÑÚ`는 다음과 같다.
( f ç g)(2)= f(g(2))= f(2)=3, f(3)=1이므로
f —!
( f ç g)(2)+ f(3)=3+1=4 X Y

1 4

2 5
223 ⑤
3 6
어떤 함수의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그 함수가
일대일대응인 것이다.
ㄱ. f(x)=|x|+1
y

y=f{x}
225 ⑴ 2 ⑵ 4 ⑶ 3 ⑷ 2 ⑸ -8

1 ⑴ f ÑÚ`(4)=a라 하면 f(a)=4에서
O x 3a-2=4, a=2
함수 f(x)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므로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 f ÑÚ`(4)=2
á 1-x (x¾0) ⑵ ( f ÑÚ`)ÑÚ`= f이므로
ㄴ. g(x)=Ò ( f ÑÚ`)ÑÚ`(2)= f(2)=4
» 1-2x (x<0)
y ⑶ f ç f ÑÚ`=I (I는 항등함수)이므로
( f ç f ÑÚ`)(3)=I(3)=3
⑷ ( f ç g)ÑÚ`=gÑÚ` ç f ÑÚ`이므로
( f ç g)ÑÚ`(1)=(gÑÚ` ç f ÑÚ`)(1)
1
x =gÑÚ`( f ÑÚ`(1)) yy ㉠
O
y=g{x} f ÑÚ`(1)=k라 하면 f(k)=1에서
3k-2=1, k=1이므로
함수 g(x)는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에서 gÑÚ`( f ÑÚ`(1))=gÑÚ`(1)=m이라 하면 g(m)=1에서
á 1+x (x>0)
ㄷ. h(x)=Ò -m+3=1, m=2
» 1-xÛ` (xÉ0)
∴ ( f ç g)ÑÚ`(1)=2
y
⑸ ( f ÑÚ` ç g)ÑÚ`=gÑÚ` ç ( f ÑÚ`)ÑÚ`=gÑÚ` ç f이므로
y=h{x}
( f ç ( f ÑÚ` ç g)ÑÚ` ç f ÑÚ`)(5)
1
=( f ç gÑÚ` ç f ç f ÑÚ`)(5)
O x
=( f ç gÑÚ`)(5) (∵ f ç f ÑÚ`=I, I는 항등함수)
= f(gÑÚ`(5)) yy ㉡
함수 h(x)는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gÑÚ`(5)=t라 하면 g(t)=5에서
따라서 역함수가 존재하는 것은 ㄴ, ㄷ이다. -t+3=5, t=-2
㉡에서 f(gÑÚ`(5))= f(-2)=-8
∴ ( f ç ( f ÑÚ` ç g)ÑÚ` ç f ÑÚ`)(5)=-8
224 ①
다른 풀이

f(1)=5이므로 f ÑÚ`(5)=1이다. yy TIP ⑷ ( f ç g)(x)= f(-x+3)


f(3)=4에서 f ÑÚ`(4)=3이므로 =3(-x+3)-2=-3x+7

Ⅴ. 함수와 그래프 47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47 22. 9. 13. 오후 6:58


이므로 ( f ç g)ÑÚ`(1)=k라 하면 ( f ç g)(k)=1에서
-3k+7=1, k=2
228 ③

∴ ( f ç g)ÑÚ`(1)=2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g{x}
TIP
<역함수의 성질> 5
역함수가 존재하는 두 함수 f `:`X`2Ú`Y, g`:`Y`2Ú`Z와
3
두 항등함수 Iþ`:`X`2Ú`X, Iç`:`Y`2Ú`Y에 대하여
❶ ( f ÑÚ`)ÑÚ`= f 3
-
2
❷ f ÑÚ` ç f=Iþ, f ç f ÑÚ`=Iç O 1 x
X=Y이면 f ç f ÑÚ`= f ÑÚ` ç f=Iþ이고, Ú gÑÚ`(2)=k라 하면
X+Y이면 f ç f ÑÚ`+ f ÑÚ` ç f 임에 주의하자.
g(k)=2, k<1이므로 yy TIP
❸ (g ç f)ÑÚ`= f ÑÚ` ç gÑÚ`
1
일반적으로 (g ç f)ÑÚ`+gÑÚ` ç f ÑÚ`임에 주의하자. 2k+3=2, k=-
2
1
f(gÑÚ`(2))= f {- }=7
2
Û f ÑÚ`(g(2))= f ÑÚ`(8)=m이라 하면
226 ④ f(m)=8이므로 -2m+6=8, m=-1
∴ f(gÑÚ`(2))+ f ÑÚ`(g(2))=7+(-1)=6
Ú f ÑÚ`(-2)=k라 하면 f(k)=-2이다.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f(0)=-2이므로 k=0 TIP
∴ f ÑÚ`(-2)=0 함수 y=g(x)의 그래프에서 g(x)É5일 때 xÉ1이고,
Û ( f ç gÑÚ`)ÑÚ`(0)=((gÑÚ`)ÑÚ` ç f ÑÚ`)(0) g(x)>5일 때 x>1이다.
=(g ç f ÑÚ`)(0)
=g( f ÑÚ`(0)) yy ㉠
f ÑÚ`(0)=m이라 하면 f(m)=0이다. 229 7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f(-1)=0이므로 m=-1 f ÑÚ`(5)=k라 하면 f(k)=5


㉠에서 g( f ÑÚ`(0))=g(-1)=1 4x+1
f{ }=-2x+15에서
∴ f ÑÚ`(-2)+( f ç gÑÚ`)ÑÚ`(0)=0+1=1 3
4_5+1
-2x+15=5일 때, x=5이므로 k= =7
3
∴ f ÑÚ`(5)=7
227 ①
다른 풀이
( f ÑÚ` ç g)ÑÚ` ç h= f에서 4x+1 3t-1
=t로 치환하면 x= 이므로
( f ÑÚ` ç g) ç ( f ÑÚ` ç g)ÑÚ` ç h=( f ÑÚ` ç g) ç f 3 4
I ç h= f ÑÚ` ç g ç f (I는 항등함수) 3t-1 3 31
f(t)=-2_ +15=- t+
4 2 2
∴ h= f ÑÚ` ç g ç f
f ÑÚ`(5)=k라 하면 f(k)=5이므로
h(-2)=( f ÑÚ` ç g ç f)(-2)= f ÑÚ`(g( f(-2)))
3 31
= f ÑÚ`(g(5))= f ÑÚ`(11) - k+ =5, k=7
2 2
f ÑÚ`(11)=k라 하면 f(k)=11에서 ∴ f ÑÚ`(5)=7
-2k+1=11, k=-5
∴ h(-2)=-5 230 ⑤
다른 풀이
함수 y=ax+b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f ÑÚ` ç g)ÑÚ` ç h= f에서 y-b
y=ax+b를 x에 대하여 풀면 x= 이고,
(( f ÑÚ` ç g)ÑÚ` ç h)(-2)= f(-2) a
( f ÑÚ` ç g)ÑÚ`(h(-2))=5 x-b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이므로
a
( f ÑÚ` ç g)(5)=h(-2)
x-b
( f ÑÚ` ç g)(5)= f ÑÚ`(g(5))= f ÑÚ`(11) 역함수는 y= 이다.
a
이때, f ÑÚ`(11)=k라 하면 f(k)=11에서 x-5
이 함수가 y= 와 같으므로 a=2, b=5
-2k+1=11, k=-5 2
∴ h(-2)=-5 ∴ ab=2_5=10

48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48 22. 9. 13. 오후 6:58


다른 풀이 1 y=x+4를 x에 대하여 풀면 x=y-4이고,
x-5 x와 y를 서로 바꾸면 y=x-4이므로
함수 y= 의 역함수가 y=ax+b이다.
2 gÑÚ`(x)=x-4이다.
x-5 ∴ hÑÚ`(x)=( f ç gÑÚ`)(x)= f(gÑÚ`(x))
함수 y= 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 = f(x-4)=3(x-4)-1=3x-13
x-5
y=
2
를 x에 대하여 풀면 x=2y+5이고, 다른 풀이 V
x와 y를 서로 바꾸면 y=2x+5이다. g(x)=(h ç f)(x)에서 x+4=h(3x-1)
역함수가 y=2x+5이므로 a=2, b=5 t+1
3x-1=t로 치환하면 x= 이므로
∴ ab=10 3
t+1 t+13
다른 풀이 2 h(t)= +4= 이다.
3 3
x-5 x+13
f(x)= 라 하면 f ÑÚ`(x)=ax+b이다. h(x)= 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 3
f(5)=0, f(1)=-2이므로 f ÑÚ`(0)=5, f ÑÚ`(-2)=1이다. x+13
y= 을 x에 대하여 풀면 x=3y-13이고,
3
f ÑÚ`(0)=b=5, f ÑÚ`(-2)=-2a+b=1에서 a=2
x와 y를 서로 바꾸면 y=3x-13
∴ ab=10
∴ hÑÚ`(x)=3x-13

231 ⑴ h(x)=-2x+5 ⑵ h(x)=-2x+1


233 ②
⑴ ( f ç h)(x)= f(h(x))=-h(x)+2이므로
gÑÚ` ç f ÑÚ`=( f ç g)ÑÚ`이므로 ( f ç g)ÑÚ`(bx-6)=x에서
( f ç h)(x)=g(x)에서
( f ç g)(x)=bx-6이다.
-h(x)+2=2x-3
( f ç g)(x)= f(g(x))= f(-x+2a)
∴ h(x)=-2x+5
=2(-x+2a)-a=-2x+3a
⑵ (h ç f)(x)=h( f(x))=h(-x+2)이므로
이므로 -2x+3a=bx-6
(h ç f)(x)=g(x)에서
따라서 a=-2, b=-2이므로
h(-x+2)=2x-3
a+b=-2+(-2)=-4
-x+2=t라 하면 x=2-t이므로
h(t)=2(2-t)-3=-2t+1
∴ h(x)=-2x+1 234 ③

다른 풀이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함수 f(x)가


함수 f(x)는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f(x)=-x+2의 역함수를 일대일대응이 아니어야 한다.
구하면 다음과 같다. á (k+3)x+3 (x<0)
f(x)=Ò 에서
y=-x+2를 x에 대하여 풀면 x=-y+2 » (2k-7)x+3 (x¾0)
x와 y를 서로 바꾸면 y=-x+2이므로 y=(k+3)x+3은 점 (0, 3)을 지나고 기울기가 k+3인 직선이고,
f ÑÚ`(x)=-x+2 yy ㉠ y=(2k-7)x+3은 점 (0, 3)을 지나고 기울기가 2k-7인
⑴ f ç h=g에서 h= f ÑÚ` ç g 이다. 직선이다.
∴ h(x)=( f ÑÚ` ç g)(x)= f ÑÚ`(g(x))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려면 두 직선의 기울기의 부호가 모두
= f ÑÚ`(2x-3)=-(2x-3)+2 (∵ ㉠) 양수이거나 모두 음수이어야 하므로
=-2x+5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양수이어야 한다.
⑵ h ç f=g에서 h=g ç f ÑÚ`이다. 7
즉, (k+3)(2k-7)>0이므로 k<-3 또는 k>
2
∴ h(x)=(g ç f ÑÚ`)(x)=g( f ÑÚ`(x))
따라서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 아니도록 하는 k의 값의 범위가
=g(-x+2)=2(-x+2)-3 (∵ ㉠)
7
=-2x+1 -3ÉkÉ 이므로 구하는 모든 정수 k의 값의 합은
2
(-3)+(-2)+(-1)+0+1+2+3=0

232 hÑÚ`(x)=3x-13

두 함수 f(x), g(x)는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235 ⑤

g=h ç f 에서 h=g ç f ÑÚ`이고, g= f ÑÚ`이므로


hÑÚ`=(g ç f ÑÚ`)ÑÚ`= f ç gÑÚ`이다. ( f ÑÚ` ç g)(c)+( f ç g)ÑÚ`(b)
함수 g(x)=x+4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f ÑÚ` ç f ÑÚ`)(c)+( f ç f ÑÚ`)ÑÚ`(b)

Ⅴ. 함수와 그래프 49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49 22. 9. 13. 오후 6:58


이때, f ç f ÑÚ`=I (I는 항등함수)이므로
( f ç f ÑÚ`)ÑÚ`(b)=IÑÚ`(b)=I(b)=b이다.
237 ④

한편, 주어진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일차함수 f(x)=ax+b (a, b는 실수)라 하면 함수 y= f(x)의
y y=x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나므로
y=f{x}
f(-2)=1에서 -2a+b=1 yy ㉠
d 함수 y= f ÑÚ`(x)의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나므로
c
f ÑÚ`(-2)=1에서 f(1)=-2이므로 a+b=-2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1이므로
b
a f(x)=-x-1
x ∴ f(3)=-3-1=-4
O a b c d e

다른 풀이
f(d)=c이므로 f ÑÚ`(c)=d이고,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난다.
f(e)=d이므로 f ÑÚ`(d)=e이다.
또한 함수 y= f ÑÚ`(x)의 그래프가 점 (-2, 1)을 지나므로
따라서 ( f ÑÚ` ç f ÑÚ`)(c)= f ÑÚ`( f ÑÚ`(c))= f ÑÚ`(d)=e이다.
이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 y= f(x)의 그래프는
∴ ( f ÑÚ` ç g)(c)+( f ç g)ÑÚ`(b)=e+b
점 (1, -2)를 지난다.
따라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두 점 (-2, 1), (1, -2)를
지나는 직선이다.
236 ④
즉, f(x)=
-2-1
1-(-2)
{x-(-2)}+1=-x-1
3 ∴ f(3)=-4
함수 y= x+4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2
대하여 대칭이고, 이때 두 함수의 교점은 직선 y=x 위에 참고

존재한다. yy 참고 일차함수 y= 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 f ÑÚ`(x)의


3 그래프가 교점 (a, b)를 가지면 그 교점이 직선 y=x 위에
즉, 구하는 교점의 좌표는 직선 y= x+4와 직선 y=x의 교점의
2 존재하거나(a=b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기울기가
3 -1인 직선이다.(a+b일 때)
좌표와 같고, 방정식 x+4=x에서 x=-8이므로 구하는 교점의
2
이 문제에서 교점 (-2, 1)이 직선 y=x 위의 점이 아니므로
좌표는 (-8, -8)이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1인 직선이고, 점 (-2, 1)을
따라서 a=-8, b=-8이므로
지나므로 f(x)=-x-1임을 알 수 있다.
a+b=-8+(-8)=-16

참고

함수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이 항상 직선 y=x 위에 있는


것은 아니다.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인 두 점
(a, b), (b, a)`(a+b)를 지나면 f(a)=b, f(b)=a에서 238 ①
f ÑÚ`(b)=a, f ÑÚ`(a)=b이므로 역함수 y= f ÑÚ`(x)의 그래프도
함수 f(x)의 역함수의 정의역은 함수 f(x)의 치역과 같다.
두 점 (a, b), (b, a)를 지난다.
함수 y=-(x-2)Û`+8`(xÉ0)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으므로
즉, 두 함수 y= f(x), y= f ÑÚ`(x)의 그래프가 직선 y=x 위에
f(x)É4이다.
있지 않은 교점을 갖는다.
y
단, 함수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가 직선 y=x 위에 있지 않은 8
교점을 갖는 경우 함수 y= f(x)가 일대일대응이면서 직선 y=-{x-2}@+8

y=x에 대하여 대칭인 두 점 (a, b), (b, a)(a+b)를 모두


지나므로 함수 f(x)가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이 증가하면 4
이러한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가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도 증가하는
형태이면 그 역함수의 그래프와의 교점은 함수의 그래프와 O 2 x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함수 f(x)의 치역이 {y|yÉ4}이므로 함수 g(x)의 정의역은
하지만 함수의 그래프가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도 증가하는
{x|xÉ4}이다.
형태가 아닐 경우 그 역함수의 그래프와의 교점은 반드시
따라서 함수 g(x)의 정의역의 원소 중 자연수는
직선 y=x 위에만 있다고 할 수 없음에 주의해야 한다.
1, 2, 3, 4로 4개이다.

50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0 22. 9. 13. 오후 6:58


참고

일반적으로 함수의 공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역함수가


241 ⑤

정의되기 위해서는 일대일대응이어야 하므로 치역이 실수 전체의 정의역이 X인 두 함수 f(x)=|4x|, g(x)=xÛ`이 서로 같으려면
집합이 되어야 역함수가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정의역 X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f(x)=g(x)가 성립해야 한다.
하지만 공역은 반드시 실수 전체의 집합이어야 하는 것이 방정식 f(x)=g(x)를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하면
á 4x (x¾0)
아니므로 일대일함수인 경우 공역을 치역과 일치시켜 역함수를 f(x)=|4x|=Ò 이므로 V
정의할 수 있다. » -4x (x<0)
Ú x≥0일 때
4x=xÛ`에서 x=0 또는 x=4
239 ① Û x<0일 때
-4x=xÛ`에서 x=-4
함수 y= 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Ú, Û에 의하여 정의역 X의 원소로 가능한 것은 -4, 0, 4이다.
다음과 같다.
따라서 정의역 X는 집합 {-4, 0, 4}의 부분집합 중 공집합이 아닌
y
y=f{x} 것이므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2Ü`-1=7이다.
y=x

4 y=g{x}
3
242 11

O 3 4 x t에 대한 이차방정식 tÛ`-2t f(x)-3 f(x)=0의 실근이 존재하지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증가하는 형태이므로 역함수 y=g(x)의 않으려면 이차방정식 tÛ`-2t f(x)-3 f(x)=0의 판별식을 D라
그래프와의 교점은 직선 y=x 위에 존재한다. 할 때,
따라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은 함수 D
={- f(x)}Û`+3 f(x)= f(x){ f(x)+3}<0에서
4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3< f(x)<0
xÛ`-6x+12=x에서
주어진 그래프에서 부등식 -3< f(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Û`-7x+12=(x-3)(x-4)=0
0, 2, 4, 5이다.
∴ x=3 또는 x=4
따라서 구하는 합은 0+2+4+5=11이다.
따라서 두 교점의 좌표는 (3, 3), (4, 4)이므로
두 교점 사이의 거리는 ¿¹1Û`+1Û`='2이다.

240 ③ 243 ②

주어진 집합을 X={-2, -1, 0, 1, 2}, 240=2Ý`_3_5=16_15이고,


Y={-3, -2, -1, 0, 1, 2, 3}이라 하자. 조건 ㈎에 의하여 f(2)=2, f(3)=3, f(5)=5이다.
ㄱ. f(-2)= f(2)=0, f(-1)= f(1)=-3, f(0)=-4이다. 조건 ㈏에 의하여
이때, f(0)=-4는 공역의 원소가 아니므로 f(15)= f(3)+ f(5)-1=7
f 는 X에서 Y로의 함수가 아니다. f(4)= f(2)+ f(2)-1=3이므로
ㄴ. g(x)=¿·xÛ`+1=|x|+1이다. f(16)= f(4)+ f(4)-1=5
g(-2)=g(2)=3, g(-1)=g(1)=2, g(0)=1이므로 ∴ f(240)= f(15_16)= f(15)+ f(16)-1
g 는 X에서 Y로의 함수이다. =7+5-1=11
16 다른 풀이
ㄷ. h(-2)=h(2)=[- ]=-4,
5
4 조건 ㈏에 의하여 2 이상의 자연수 aÁ, aª, y, aÇ에 대하여
h(-1)=h(1)=[- ]=-1, h(0)=[0]=0
5 f(aÁ_aª_y_aÇ)
이때, h(-2)=h(2)=-4는 공역의 원소가 아니므로 = f(aÁ_aª_y_aÇÐÁ)+ f(aÇ)-1
h는 X에서 Y로의 함수가 아니다. = f(aÁ_aª_y_aÇЪ)+ f(aÇÐÁ)+ f(aÇ)-2
ㄹ. i(-2)=-3, i(-1)=-1, i(0)=1, i(1)=-3, i(2)=-2 ⋮
이므로 i는 X에서 Y로의 함수이다. = f(aÁ)+ f(aª)+y+ f(aÇ)-(n-1)
ㅁ. j(-2)=3, j(-1)=2, j(0)=1, j(1)=0, j(2)=1이므로 따라서 f(240)= f(2Ý`_3_5)=4_ f(2)+ f(3)+ f(5)-5이고,
j는 X에서 Y로의 함수이다. 조건 ㈎에 의하여 f(2)=2, f(3)=3, f(5)=5이므로
따라서 함수인 것은 ㄴ, ㄹ, ㅁ으로 3개이다. f(240)=4_2+3+5-5=11

Ⅴ. 함수와 그래프 51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1 22. 9. 13. 오후 6:58


f(2)=2를 만족시키는 함수의 집합을 B,
244 ③
f(3)=2를 만족시키는 함수의 집합을 C라 하면
주어진 함수를 범위를 나누어 구하면 다음과 같다.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n(A'B'C)이다.
Ú x<-3일 때 n(A)=n(B)=n(C)=4Ü`
y=-(x-2)-(x+1)-(x+3)=-3x-2 n(A;B)=n(B;C)=n(C;A)=4Û`
Û -3Éx<-1일 때 n(A;B;C)=4이므로
y=-(x-2)-(x+1)+(x+3)=-x+4 n(A'B'C)
Ü -1Éx<2일 때 =n(A)+n(B)+n(C)-n(A;B)-n(B;C)-n(C;A)
y=-(x-2)+(x+1)+(x+3)=x+6 +n(A;B;C)
Ý x¾2일 때 =3_4Ü`-3_4Û`+4=148
y=(x-2)+(x+1)+(x+3)=3x+2
Ú ~ Ý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247 132

f(x-y)= f(x)- f(y) yy ㉠


8 ㉠에 x=0, y=0을 대입하면 f(0)= f(0)- f(0)=0
7
㉠에 x=0, y 대신 -y를 대입하면 f(y)= f(0)- f(-y)에서
5
f(-y)=- f(y)이다. yy ㉡
㉠에 y 대신 -y를 대입하면
f(x+y)= f(x)- f(-y)= f(x)+ f(y) (∵ ㉡)
-3 -1 O 2 x 이므로
따라서 x=-1일 때 최솟값 5를 가지므로 a=-1, b=5 f(2)= f(1+1)= f(1)+ f(1)=2 f(1)
∴ a+b=-1+5=4 f(3)= f(2+1)= f(2)+ f(1)=3 f(1)
f(4)= f(3+1)= f(3)+ f(1)=4 f(1)

245 ⑤ 따라서 f(n)=n f(1)`(n은 자연수)이다.


∴ f(33)=33 f(1)=33_4=132
f(-x)= f(x)를 만족시키려면
f(-2)= f(2), f(-1)= f(1)을 만족시켜야 한다.
f(-2)= f(2), f(-1)= f(1), f(0)이 될 수 있는 값이 각각 248 ②

-2, -1, 0, 1, 2로 5개씩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의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개수는 5_5_5=125이다. 1 1
f(2)+2 f {- }=-12
4 2
1
f(2)+8 f {- }=-48 yy ㉠
2
246 148
1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 을 대입하면
X에서 X로의 모든 함수의 개수는 4Ý`이므로 2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4Ý`에서 1 1
4 f {- }- f(2)=3
2 2
{ f(1)-3}{ f(2)-2}{ f(3)-2}+0을 만족시키는 함수 f의
1
개수를 빼주면 된다. 8 f {- }- f(2)=6 yy ㉡
2
f(1)+3, f(2)+2, f(3)+2인 함수의 개수는 ㉠에서 ㉡의 양변을 각각 빼면 2 f(2)=-54
f(1)로 가능한 값은 1, 2, 4 중 하나이므로 3가지, ∴ f(2)=-27
f(2)로 가능한 값은 1, 3, 4 중 하나이므로 3가지,
다른 풀이
f(3)으로 가능한 값은 1, 3, 4 중 하나이므로 3가지,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 대신 -x를 대입하면
f(4)로 가능한 값은 4가지이므로
1 1
함수의 개수는 4_3Ü`이다. f(x)+x f {- }=-6x
xÛ` x
따라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양변에 xÛ`을 각각 곱하면
4Ý`-4_3Ü`=4(4Ü`-3Ü`)=4_37=148
1
f(x)+xÜ` f {- }=-6xÜ` yy ㉠
다른 풀이 x
1
{ f(1)-3}{ f(2)-2}{ f(3)-2}=0을 만족시키려면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 대신 을 대입하면
x
f(1)=3 또는 f(2)=2 또는 f(3)=2를 만족시켜야 한다. 1 1 6
xÛ` f {- }- f(x)=
f(1)=3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집합을 A, x x x

52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2 22. 9. 13. 오후 6:58


양변에 -x를 각각 곱하면
1
251 ①
f(x)-xÜ` f {- }=-6 yy ㉡
x 조건 ㈎에 의하여 g(x)=x이고, h(x)=k (k<X)이므로 g(3)=3
㉠과 ㉡의 양변을 각각 더하면 조건 ㈏에서 g(2)=2이므로 f(1)=2, h(3)=k=2
2 f(x)=-6xÜ`-6, f(x)=-3xÜ`-3 따라서 h(x)=2이므로 h(6)=3
∴ f(2)=-24-3=-27 조건 ㈐에서 2 f(6)= f(3)이고,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는
V
일대일대응이므로 f(6)=3, f(3)=6이고, f(2)=1이다.
∴ f(2)+g(3)+h(6)=1+3+2=6
249 ②

y=|x+2|+2|x-3|에서 252 ②

Ú xÉ-2일 때 ㄱ. f(x)=5-x라 하면 다음과 같다.


y=-(x+2)-2(x-3)=-3x+4 f
X X
Û -2<xÉ3일 때
y=x+2-2(x-3)=-x+8 1 1

Ü x>3일 때 2 2

y=x+2+2(x-3)=3x-4 3 3
Ú ~ Ü에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4 4
y
따라서 일대일함수이고, 일대일대응이다.
10 ㄴ. g(x)=(x를 5로 나눈 나머지)라 하면 다음과 같다.
8
g
X X
5
1 1

2 2
-2 O 3 x
3 3
치역이 {y|5ÉyÉ13}이므로 정의역에 3이 포함되어야 하고 4 4
a+b의 값이 최소가 되려면 b=3이고, x=a일 때 함숫값이 13이다.
x=-2일 때 y=10이므로 a<-2이다. 따라서 항등함수이고, 일대일함수, 일대일대응이다.
-3a+4=13, 3a=-9에서 a=-3 ㄷ. h(x)=|x|+|x-6|-3이라 하면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3+3=0이다. x<X에 대하여 x>0, x-6<0이므로
y=|x|+|x-6|-3=x-(x-6)-3=3이다.
h
X X
250 5
1 1
조건 ㈎에서 함수 f 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7이므로 집합 X의 원소 2 2
중 치역이 아닌 원소가 1개 존재한다. 즉, 집합 X의 원소 중 6개는
3 3
정의역의 원소와 하나씩 대응하고 1개는 정의역의 원소 2개와
4 4
대응하며 1개는 정의역의 원소와 대응하지 않는다.
공역의 모든 원소의 합은 1+2+3+4+5+6+7+8=36이고 따라서 상수함수이다.
조건 ㈏에서
x-1
f(1)+ f(2)+ f(3)+ f(4)+ f(5)+ f(6)+ f(7)+ f(8)=40 ㄹ. i(x)=[ ]+1이라 하면
4
이므로 공역의 원소 중 정의역의 원소와 대응하지 않는 원소보다 x-1
x<X에 대하여 0É <1이므로
정의역의 원소 2개와 대응하는 원소가 4 더 크다. 4
조건 ㈐에서 함수 f 의 치역의 원소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x-1
y=[ ]+1=0+1=1이다.
4
6이므로 치역의 원소 중 1과 8 중에 하나가 포함되지 않는다. 이때,
i
8이 치역에 포함되지 않으면 조건 ㈏를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치역에 X X

1이 포함되지 않고, 정의역의 원소 2개와 대응하는 원소는 5가 1 1


되어야 한다. 2 2
따라서 f(x)=k를 만족시키는 집합 X의 원소가 2이면 정의역의 3 3
원소 2개와 대응하는 치역의 원소가 k가 되어야 하므로 구하는 값은 4 4
5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53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3 22. 9. 13. 오후 6:58


따라서 상수함수이다. 참고

á x+1 (x는 홀수) 1_ f(x)+2_g(x)


ㅁ. j(x)=Ò 라 하면 다음과 같다. h(x)= 이므로 함수 y=h(x)의 그래프는
2+1
» x (x는 짝수)
j 각각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 위의 점인
X X
P(a, f(a)), Q(a, g(a))에 대하여 선분 PQ를 2`:`1로
1 1 내분하는 점의 자취이다.
2 2

3 3

4 4 255 ④

2x-1¾0일 때, f(x)=(2x-1)-kx+1=(2-k)x
따라서 상수함수, 항등함수, 일대일함수, 일대일대응 어떤
2x-1<0일 때, f(x)=-(2x-1)-kx+1=-(k+2)x+2
것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 1
따라서 <보기> 중에서 (2-k)x {x¾ }
2
상수함수는 ㄷ, ㄹ이므로 p=2, 즉, f(x)={
1
-(k+2)x+2 {x< }
항등함수는 ㄴ이므로 q=1, 9 2
일대일함수는 ㄱ, ㄴ이므로 r=2,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두 직선 y=(2-k)x와
일대일대응은 ㄱ, ㄴ이므로 s=2이다. y=-(k+2)x+2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이거나 모두 음수이어야
∴ p+q+r+s=2+1+2+2=7 하므로 -(2-k)(k+2)>0, (k+2)(k-2)>0
∴ k<-2 또는 k>2

TIP

253 ① 1
x= 일 때, y=(2-k)x와 y=-(k+2)x+2의 함숫값이
2
함수 f(x)=xÜ`-xÛ`-4x-3이 항등함수이려면 집합 X의 각 원소 1
1- k로 서로 같고 두 직선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이거나
x에 대하여 f(x)=x이어야 한다. 2
xÜ`-xÛ`-4x-3=x에서 xÜ`-xÛ`-5x-3=0 모두 음수이면 함수 f(x)의 치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이 되므로
(x+1)Û`(x-3)=0 ∴ x=-1 또는 x=3 함수 f(x)는 일대일대응이 된다.
즉, 정의역 X의 원소로 가능한 것은 -1, 3이다.
따라서 정의역 X는 집합 {-1, 3}의 부분집합 중 공집합이 아닌
것이므로 구하는 집합 X의 개수는 2Û`-1=3이다. 256 ②

á (2a-1)x-b+1 (x¾2)
함수 f(x)=Ò 에서
» xÛ`-4x+3b (x<2)
x<2일 때 포물선 y=xÛ`-4x+3b의 축은 x=2이고, 아래로
254 ②
볼록한 모양이므로
ㄱ. 두 함수 y= f(x)와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를 x<2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a, b)라 하면 f(a)=b, g(a)=b이다.
1 2 b 2b
h(a)= f(a)+ g(a)= + =b이므로 함수 y=h(x)의
3 3 3 3
그래프도 점 (a, b)를 지난다. (참)
ㄴ. 두 함수 y= f(x)와 y=g(x)의 그래프가 모두 y축에 대하여 2 x
대칭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x),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기 위해서 일대일함수이어야 하므로
g(-x)=g(x)가 성립한다. 이때, x¾2에서 직선 y=(2a-1)x-b+1의 기울기는 음수이어야 한다.
1 2 1 2 1
h(-x)= f(-x)+ g(-x)= f(x)+ g(x)=h(x) 2a-1<0에서 a< yy ㉠
3 3 3 3 2
즉, h(-x)=h(x)이므로 함수 y=h(x)의 그래프도 y축에 또한 치역이 공역과 같아야 하므로 치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이 되기
대하여 대칭이다. (참) 위해서 x=2일 때 두 함수 y=xÛ`-4x+3b와
ㄷ. (반례) f(x)=2x, g(x)=-x이면 y= f(x)와 y=g(x)는 y=(2a-1)x-b+1의 함숫값이 같아야 한다.
모두 일대일대응이지만 3
즉, -4+3b=4a-b-1이므로 4a-4b+3=0에서 b=a+
1 2 2x 2x 4
h(x)= f(x)+ g(x)= - =0이므로
3 3 3 3 3 1 3 5
㉠에 의해서 b=a+ < + =
y=h(x)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거짓) 4 2 4 4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1이다.

54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4 22. 9. 13. 오후 6:58


함수의 최솟값이 3이므로 치역은 항상 Y={y|y¾3}의
257 풀이 참조
부분집합이다. 따라서 함수 f `:`X`2Ú`Y는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á xÛ`-ax+b (x¾1) 정의된다.
함수 f(x)=Ò 에서
» ax+2 (x<1) ⑴ 함수 f 가 일대일함수이려면 이차함수 그래프의 축이 x=1이므로
a Û aÛ` k¾1이어야 한다.
x¾1일 때 함수 y=xÛ`-ax+b={x- }`+b- 이
2 4
⑵ kÉ1이면 함수 f의 치역은 {y|y¾3}이다.
일대일함수이기 위해서 꼭짓점의 x좌표는 1보다 작거나 같아야 V
k>1이면 함수 f의 치역은 {y|y¾ f(k)}이고 이때,
a
하므로 É1에서 aÉ2 yy ㉠ f(k)>3이므로 치역이 집합 Y와 같지 않다.
2
따라서 함수 f의 공역과 치역이 같으려면 kÉ1이어야 한다.
이때, x¾1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⑶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려면 ⑴, ⑵를 모두 만족시켜야 하므로
k=1이다.

259 ⑴1 ⑵2
1 x
⑴ 정의역이 X={x|xÉk}인 함수 f(x)=-xÛ`+4x-1이
함수 f(x)가 일대일함수이려면 x<1에서 직선 y=ax+2의
일대일함수이려면 이차함수 y=-xÛ`+4x-1=-(x-2)Û`+3의
기울기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그래프의 축이 x=2이므로 kÉ2이어야 한다. yy ㉠
a>0 yy ㉡
y
또한 치역이 공역과 같아야 하므로 치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이 되기
위해서 x=1일 때 두 함수 y=xÛ`-ax+b와 y=ax+2의 함숫값이 f{k} y=f{x}
같아야 한다.
즉, 1-a+b=a+2이므로 b=2a+1 yy ㉢
㉠, ㉡, ㉢에 의하여 점 (a, b)의 자취의 방정식은 O k 2 x
b=2a+1`(0<aÉ2)이고, 좌표평면 위에 자취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 이때, 치역은 {y|yÉ f(k)}이므로 치역이 공역 Y={y|yÉ2}와
5 같으려면 f(k)=2이어야 한다.
-kÛ`+4k-1=2에서
kÛ`-4k+3=0, (k-1)(k-3)=0
∴ k=1 (∵ ㉠)
1
⑵ 정의역이 X={x|x¾k}인 함수 f(x)=xÛ`+2x-6이
O 2 a
일대일함수이려면 이차함수 y=xÛ`+2x-6=(x+1)Û`-7의
채점 요소 배점 그래프의 축이 x=-1이므로 k¾-1이어야 한다. yy ㉡
y
일대일함수일 조건 구하기 40% y=f{x}
‘(치역)=(공역)’일 조건 구하기 40%
자취의 방정식을 구하고, 자취 나타내기 20% f{k}
-1
O k x

258 ⑴ k¾1 ⑵ kÉ1 ⑶ 1


이때, 치역은 {y|y¾ f(k)}이므로 치역이 공역 X={x|x¾k}와
f(x)=xÛ`-2x+4=(x-1)Û`+3에서 같으려면 f(k)=k이어야 한다.
함수 y=(x-1)Û`+3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kÛ`+2k-6=k에서
y kÛ`+k-6=0, (k-2)(k+3)=0
∴ k=2 (∵ ㉡)

3 260 384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다.
O 1 x 조건 ㈎에서 f(1)+ f(2)+ f(3)이 홀수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Ⅴ. 함수와 그래프 55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5 22. 9. 13. 오후 6:58


Ú f(1), f(2), f(3)이 모두 홀수인 경우 따라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X에서 X로의 함수의 개수에서
f(1)로 가능한 값은 1, 3, 5, 7로 4개이고, X에서 X로의 일대일함수의 개수를 뺀 것과 같다.
f(2)로 가능한 값은 1, 3, 5, 7 중 f(1)을 제외한 3개이고, X에서 X로의 함수의 개수는 4Ý`이고, X에서 X로의 일대일함수의
f(3)으로 가능한 값은 1, 3, 5, 7 중 f(1), f(2)를 제외한 개수는 4_3_2_1이므로
2개이고,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4Ý`-4_3_2_1=232이다.
f(4)로 가능한 값은 1, 2, 3, y, 7 중 f(1), f(2), f(3)을
제외한 4개이므로
함수 f 의 개수는 4_3_2_4=96이다.
Û f(1), f(2), f(3) 중 하나만 홀수인 경우
f(1)이 홀수인 경우를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f(1)로 가능한 값은 1, 3, 5, 7로 4개이고,
263 ①

f(2)로 가능한 값은 2, 4, 6으로 3개이고, 조건 ㈏에서 f(3)=6이다.


f(3)으로 가능한 값은 2, 4, 6 중 f(2)를 제외한 2개이고, f
X Y
f(4)로 가능한 값은 1, 2, 3, y, 7 중 f(1), f(2), f(3)을 1
1
제외한 4개이므로 2
2
함수 f 의 개수는 4_3_2_4=96이다. 3
3
4
f(2), f(3)이 홀수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4
5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96_3이다. 5 6
Ú, Û에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96+96_3=96_4=384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다.
f(4)=1 또는 f(4)=2이면 조건 ㈐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f(4)¾3이고 f(4)+6이므로

261 ② f(4)=3 또는 f(4)=4 또는 f(4)=5이다. yy TIP


f(4)의 값에 따라 함수 f 의 개수를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조건 ㈎에서 x+y에 대하여 f(x)+ f(y)이므로
Ú f(4)=3일 때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다.
f(1)로 가능한 값은 1, 2로 2개
이때, 조건 ㈏를 만족시키는 함수 f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f(2)로 가능한 값은 1, 2 중 f(1)을 제외한 1개
Ú x=0이고, y=1 또는 y=-1일 때
f(5)로 가능한 값은 1, 2, 4, 5 중 f(1), f(2)를 제외한
f(0_y)= f(0) f(y)에서 f(0)= f(0) f(y)
2개이므로
f(0){ f(y)-1}=0이므로
함수 f 의 개수는 2_1_2=4
f(0)=0 또는 f(y)=1이다.
Û f(4)=4일 때
f(0)+0이면 f(1)=1, f(-1)=1이어야 하므로 함수 f 가
f(1)로 가능한 값은 1, 2, 3으로 3개
일대일함수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f(2)로 가능한 값은 1, 2, 3 중 f(1)을 제외한 2개
즉, f(0)=0이다.
f(5)로 가능한 값은 1, 2, 3, 5 중 f(1), f(2)를 제외한
Û x=-1, y=1일 때
2개이므로
f(-1_1)= f(-1) f(1)에서 f(-1)= f(-1) f(1)
함수 f 의 개수는 3_2_2=12
f(-1){ f(1)-1}=0이므로
Ü f(4)=5일 때
f(-1)=0 또는 f(1)=1이다.
f(1)로 가능한 값은 1, 2, 3, 4로 4개
Ú에서 f(0)=0이고, f 가 일대일함수이므로 f(-1)+0이다.
f(2)로 가능한 값은 1, 2, 3, 4 중 f(1)을 제외한 3개
즉, f(1)=1이다.
f(5)로 가능한 값은 1, 2, 3, 4 중 f(1), f(2)를 제외한
Ú, Û에서 f(0)=0, f(1)=1이고,
2개이므로
f(-1)로 가능한 값은 -4, -3, -2, y, 4의 9개 중 0, 1을
함수 f 의 개수는 4_3_2=24
제외한 7개이다.
Ú ~ Ü에 의하여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4+12+24=40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 f 의 개수는 7이다.
TIP
함수 f 가 일대일함수이므로 함숫값이 각각 서로 달라야 한다.
262 ② 조건 ㈐에서 f(1)< f(4), f(2)< f(4)이려면 f(4)의 값보다
작은 서로 다른 두 값 f(1), f(2)가 존재해야 하므로 공역의
명제 ‘a+b인 어떤 a<X, b<X에 대하여 f(a)= f(b)이다.’의
원소 1, 2, 3, 4, 5, 6에서 f(4)의 값은 1과 2는 될 수 없다.
부정 ‘a+b인 모든 a<X, b<X에 대하여 f(a)+ f(b)이다.’를
따라서 f(4)¾3이어야 한다.
만족시키는 함수 f 는 일대일함수이다.

56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6 22. 9. 13. 오후 6:58


f(1)=7, f(2)=9, f(3)=3, f(4)=1, f(5)=7, y이다.
264 ②
9Ç` (n은 자연수)의 일의 자리의 수는 9, 1의 두 수가 차례로
g(x)=-2(x-1)Û`+17이므로 반복되므로
x¾1일 때 f(x)=x-1-1=x-2이고 n이 홀수일 때 g(n)=9이고, n이 짝수일 때 g(n)=1이다.
g( f(x))=-2(x-3)Û`+17 즉, ( f ç g)(25)= f(g(25))= f(9)= f(2_4+1)= f(1)=7
x<1일 때 f(x)=-x+1-1=-x이고 (h ç f)(75)=h( f(75))
V
g( f(x))=-2(x+1)Û`+17 =h( f(4_18+3))=h( f(3))
따라서 함수 (g ç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h(3)
y =(3ß`을 5로 나눈 나머지)+1
17
15 이때, 3Ç` (n은 자연수)의 일의 자리의 수는 3, 9, 7, 1의 네 수가
차례로 반복되므로 3ß`의 일의 자리의 수는 9이다.
따라서 3ß`을 5로 나눈 나머지는 4이므로 yy TIP
9
(h ç f)(75)=4+1=5이다.
∴ ( f ç g)(25)+(h ç f)(75)=7+5=12

O TIP
-2 1 4 x
어떤 자연수를 5로 나누면 십의 자리 이상은 5로
g( f(1))=-2(-2)Û`+17=9,
나누어떨어지므로 어떤 자연수를 5로 나눈 나머지는 일의 자리의
g( f(-2))=g( f(4))=-2(-1)Û`+17=15,
수를 5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
g( f(-1))=g( f(3))=17
이므로 -2ÉxÉ4에서 함수 (g½ f)(x)의 최솟값은 9이고
최댓값은 17이다.
따라서 구하는 합은 9+17=26이다.

265 ① 267 ③

합성함수 f ç g 가 정의되기 위해서 함수 g 의 치역이 함수 f 의 f(1)=(4의 약수의 개수)=3,


정의역의 부분집합이어야 한다. f(2)=1,
g(0)=-2a+b, g(1)=-a이므로 함수 g 의 치역이 함수 f 의 f(3)=(6의 약수의 개수)=4,
정의역 {0, 1}의 부분집합이 되기 위해서 가능한 경우는 다음과 f(4)=(7의 약수의 개수)=2
같다. 이므로 함수 f 는 다음과 같다.
Ú g(0)=g(1)=0일 때 f
X X
-2a+b=0, -a=0에서
1 1
a=0, b=0이므로 a+b=0
2 2
Û g(0)=g(1)=1일 때
3 3
-2a+b=1, -a=1에서
a=-1, b=-1이므로 a+b=-2 4 4

Ü g(0)=0, g(1)=1일 때
Ú g(1)=4이므로 ( f ç g)(1)= f(g(1))= f(4)=2이고,
-2a+b=0, -a=1에서
(g ç f)(1)=g( f(1))=g(3)이다.
a=-1, b=-2이므로 a+b=-3
( f ç g)(1)=(g ç f)(1)이므로 g(3)=2이다.
Ý g(0)=1, g(1)=0일 때
Û g(3)=2이므로 ( f ç g)(3)= f(g(3))= f(2)=1이고,
-2a+b=1, -a=0에서
(g ç f)(3)=g( f(3))=g(4)이다.
a=0, b=1이므로 a+b=1
( f ç g)(3)=(g ç f)(3)이므로 g(4)=1이다.
Ú ~ Ý에서 모든 a+b의 값의 합은
Ü g(4)=1이므로 ( f ç g)(4)= f(g(4))= f(1)=3이고,
0+(-2)+(-3)+1=-4
(g ç f)(4)=g( f(4))=g(2)이다.
( f ç g)(4)=(g ç f)(4)이므로 g(2)=3이다.
Ý g(2)=3이므로 ( f ç g)(2)= f(g(2))= f(3)=4이고,
266 12
(g ç f)(2)=g( f(2))=g(1)이다.
7Ç` (n은 자연수)의 일의 자리의 수는 7, 9, 3, 1의 네 수가 차례로 ( f ç g)(2)=(g ç f)(2)이므로 g(1)=4이다.
반복되므로 Ú ~ Ý에서 함수 g 는 다음과 같다.

Ⅴ. 함수와 그래프 57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7 22. 9. 13. 오후 6:58


g
X X 269 ③
1 1
ㄱ. f(100)= f(10_10+0)= f(10)+0
2 2
= f(10_1+0)= f(1)+0
3 3 = f(10_0+1)
4 4 = f(0)+1=1 (참)
ㄴ. f(999)= f(10_99+9)= f(99)+9
∴ (g ç g)(3)+g(4)=g(2)+1=3+1=4
= f(10_9+9)+9= f(9)+9+9
= f(10_0+9)+9+9= f(0)+9+9+9
=9+9+9=27
268 ②
∴ ( f ç f)(999)= f( f(999))= f(27)
f(1)=3, g(2)=4이므로 다음과 같다. = f(10_2+7)= f(2)+7
f g = f(10_0+2)+7= f(0)+2+7
X X X X
=2+7=9 (참)
1 1 1 1
ㄷ. (반례) n=15일 때,
2 2 2 2
f(15)= f(10_1+5)= f(1)+5
3 3 3 3
= f(10_0+1)+5= f(0)+1+5
4 4 4 4
=1+5=6
이때, f(15)=6은 6의 배수이지만 15는 6의 배수가 아니
이때, ( f ç g)(1)=1, (g ç f)(4)=2를 만족시키는 경우를 f(4)의
다. (거짓)
값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Ú f(4)=1이면
(g ç f)(4)=2에서 g(1)=2이므로 참고
( f ç g)(1)=1에서 f(2)=1이다.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하여
따라서 f(4)=1, f(2)=1이 되어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라는 n=aµ_10µ``+y+aª_10Û`+aÁ_10+a¼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일 때, (a¼, aÁ, y, aµ은 0 또는 한 자리 자연수)
Û f(4)=2이면 f(aµ_10µ``+y+aª_10Û`+aÁ_10+a¼)
(g ç f)(4)=g(2)=4가 되어 (g ç f)(4)=2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 f(aµ_10
m-1
+y+aª_10+aÁ)+a¼
Ü f(4)=3이면 = f(aµ_10
m-2
+y+aª)+aÁ+a¼
f(1)=3이므로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라는 조건을 ⋮
만족시키지 않는다. =aµ+y+aª+aÁ+a¼
Ý f(4)=4이면 ∴ f(n)=aµ+y+aª+aÁ+a¼
(g ç f)(4)=2에서 g(4)=2이다. 따라서 f(n)은 n의 각 자리의 숫자를 모두 더한 값을
f g 함숫값으로 가지는 함수이다.
X X X X

1 1 1 1

2 2 2 2

3 3 3 3

4 4 4 4 270 ②

조건 ㈐에서 집합 Y의 어떤 원소 x에 대하여 g(x)=x이므로


( f ç g)(1)=1에서 g(1)=1이면 ( f ç g)(1)=3이 되어
g(3)=3 또는 g(4)=4이다. 그런데 조건 ㈎에서 g(3)=2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g(1)=3이고, ( f ç g)(1)=1에서
g(4)=4이다.
f(3)=1이다.
조건 ㈏에서
따라서 두 함수 f, g 는 다음과 같다.
f(g( f(1)))=3 yy ㉠
f g
X X X X f(g( f(2)))=4 yy ㉡
1 1 1 1 f(g( f(3)))=5 yy ㉢
2 2 2 2 f(g( f(4)))=6 yy ㉣
3 3 3 3 이고 조건 ㈎에서 f(2)=6이므로 ㉣에서
g( f(4))=2, f(4)=3 (∵ g(3)=2)
4 4 4 4
㉠에서 g( f(1))=4, f(1)=4 (∵ g(4)=4)
∴ g(3)+(g ç f)(2)=1+g(2)=1+4=5 ㉡에서 g( f(2))=1, g(6)=1 (∵ f(2)=6)

58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8 22. 9. 13. 오후 6:58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f(3)=5, g(5)=3이고 두 함수 f, g는
다음과 같다.
272 ③

f g 주어진 함수 y= f(x)의 그래프에서


X Y Y X
( 1
1 3 3 1 2x {0ÉxÉ }
2
2 4 4 2 f(x)={ 이다.
1
3 5 5 3
9
-2x+2 { <xÉ1}
2 V
4 6 6 4
5 5 4
f { }=-2_ +2=
7 7 7
(g½ f½g)(k)=1에서 f(g(k))=6, g(k)=2이므로 k=3이다.
5 4 4 6
f Û` { }= f { }=-2_ +2=
7 7 7 7
5 6 6 2
f Ü` { }= f { }=-2_ +2=
7 7 7 7
5 2 2 4
f Ý` { }= f { }=2_ =
7 7 7 7

271 2
5 4 6 2
이므로 f Ç` { }의 값은 , , 가 차례로 반복된다.
7 7 7 7
f Ú`(1)= f(1)=3,
16=3_5+1이므로
f Û`(1)=( f ç f)(1)= f( f(1))= f(3)=2,
5 5 5 5
f Ü`(1)=( f ç f Û`)(1)= f( f Û`(1))= f(2)=1, f { }+ f Û` { }+ f Ü` { }+y+ f Ú`ß` { }
7 7 7 7
f Ý`(1)=( f ç f Ü`)(1)= f( f Ü`(1))= f(1)=3, y 4 6 2 4 64
=5_{ + + }+ =
따라서 f Ç` (1)의 값은 3, 2, 1의 세 수가 차례로 반복되므로 7 7 7 7 7
3_33+1
f Ú`â` â`(1)= f (1)= f(1)=3이다.
마찬가지 방법에 의하여
f Ú`(3)= f(3)=2,
273 5

f Û`(3)=( f ç f)(3)= f( f(3))= f(2)=1, f(1)=3, f Û`(1)=2, f Ü`(1)=4, f Ý`(1)=1


f Ü`(3)=( f ç f Û`)(3)= f( f Û`(3))= f(1)=3, f(2)=4, f Û`(2)=1, f Ü`(2)=3, f Ý`(2)=2
f Ý`(3)=( f ç f Ü`)(3)= f( f Ü`(3))= f(3)=2, y f(3)=2, f Û`(3)=4, f Ü`(3)=1, f Ý`(3)=3
따라서 f Ç` (3)의 값은 2, 1, 3의 세 수가 차례로 반복되므로 f(4)=1, f Û`(4)=3, f Ü`(4)=2, f Ý`(4)=4
3_66+2
f Û`â` â`(3)= f (3)= f Û`(3)=1이다. 에서 f Ý`=I (I는 항등함수)이다.
4_8+1 4_24+3
∴ f Ú`â` â`(1)- f Û`â` â`(3)=3-1=2 f Ü` Ü`(a)+ f á` á`(b)= f (a)+ f (b)
다른 풀이 = f(a)+ f Ü`(b)
이 값이 최대가 되려면 f(a)= f Ü`(b)=4이어야 하므로
f(1)=3, f Û`(1)=2, f Ü`(1)=1
a=2, b=1 ∴ 2a+b=2_2+1=5
f(2)=1, f Û`(2)=3, f Ü`(2)=2
f(3)=2, f Û`(3)=1, f Ü`(3)=3이므로
f Ü`=I (I는 항등함수)이다. yy TIP 274 ②
3_33+1
f Ú`â` â`(1)= f (1)= f(1)=3 f Ú`(50)=49, f Û`(50)=48, f Ü`(50)=47, y, f Þ` â`(50)=0,
3_66+2
f Û`â` â`(3)= f (3)= f Û`(3)=1 f Þ` Ú`(50)=-1, f Þ` Û`(50)=1, f Þ` Ü`(50)=0, f Þ` Ý`(50)=-1, y
∴ f Ú`â` â`(1)- f Û`â` â`(3)=3-1=2 이므로 f Ç` (50)의 값은 n¾51부터 -1, 1, 0의 세 수가 차례로
TIP 반복된다.
n+1 300=50+250=50+3_83+1이므로
‘f Ú`= f 이고, 자연수 n에 대하여 f = f ç f Ç` 이다.’로 정의된
f Ü` â` â`(50)= f Þ` Ú`(50)=-1
함수 f Ç` 을 포함하는 문제는 합성함수에서 자주 출제된다.
이때, 정의역의 한 원소에서 시작하여 차례로 대응되는 함숫값을
찾으면 반복되는 규칙을 쉽게 찾을 수 있다. 275 ①
이 문제에서 1 → 3 → 2 → 1 → y이므로
ㄱ. Ú x<Q일 때, f(x)='2이고
2 → 1 → 3 → 2 → y, 3 → 2 → 1 → 3 → y임을 알 수 있다.
( f ç f ç f)(x)= f( f( f(x)))= f( f('2))
즉, f Ü`(1)=1, f Ü`(2)=2, f Ü`(3)=3이므로
= f(1)='2
f Ü`=I (I는 항등함수)이다.
Û x²Q일 때, f(x)=1이고
이를 이용하면 IÇ` =I이므로
3_33+1 ( f ç f ç f)(x)= f( f( f(x)))= f( f(1))
f Ú`â` â`= f =( f Ü`)Ü`Ü` ç f=IÜ`Ü` ç f=I ç f= f 임을 알 수 있다.
= f('2)=1

Ⅴ. 함수와 그래프 59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59 22. 9. 13. 오후 6:58


Ú, Û에 의하여 ( f ç f ç f)(x)= f(x)이다. (참) yy 참고
ㄴ. Ú x<Q일 때, f(x)='2이므로
277 풀이 참조

x+ f(x)=x+'2 는 무리수이다. ⑴ f(1)=2, f Û`(1)=1


따라서 f(x+ f(x))=1이다. f(2)=1, f Û`(2)=2이므로
Û x²Q일 때, f(x)=1이므로 x=1 또는 x=2일 때 f Û`(x)=x이다.
x+ f(x)=x+1은 무리수이다. f(3)=4, f Û`(3)=5, f Ü`(3)=3
따라서 f(x+ f(x))=1이다. f(4)=5, f Û`(4)=3, f Ü`(4)=4
Ú, Û에 의하여 모든 x<R에 대하여 f(x+ f(x))=1이므로 f(5)=3, f Û`(5)=4, f Ü`(5)=5이므로
함수 g(x)의 치역은 {1}로 원소의 개수는 1이다. (거짓) x=3 또는 x=4 또는 x=5일 때 f Ü`(x)=x이다.
ㄷ. f(xÁ)+ f(xª)이므로 xÁ, xª 중 하나는 유리수이고, 하나는 따라서 f µ``이 항등함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m의 최솟값은
무리수이다. 2와 3의 최소공배수인 6이다.
이 중 xÁ을 유리수라 할 때, ⑵ f ß`=I`(I는 항등함수)이므로
6_166+4 6_333+2
xÁ+0이면 xÁxª는 무리수이므로 f(xÁxª)=1이지만 f Ú` â` â` â`= f = f Ý`,` f Û` â` â` â`= f = f Û`이고,
xÁ=0이면 xÁxª=0이므로 f(xÁxª)='2이다. (거짓) f Ú` â` â` â`(a)와 f Û` â` â` â`(b)의 값은 모두 공역 X={1, 2, 3, 4, 5}의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원소이므로 합이 4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Ú f Ý`(a)=1, f Û`(b)=3일 때 a=1, b=4
참고
Û f Ý`(a)=2, f Û`(b)=2일 때 a=2, b=2
f ç f ç f= f 라 해서 f ç f=I (I는 항등함수)가 아님에 Ü f Ý`(a)=3, f Û`(b)=1일 때 a=5, b=1
주의하자. Ú ~ Ü에 의하여 구하는 모든 순서쌍 (a, b)는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할 경우 f ç f ç f= f 에서 f ç f=I 가 (1, 4), (2, 2), (5, 1)이다.
성립하지만, 함수 f 의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f ç f=I 라
채점 요소 배점
할 수 없다.
합성함수의 함숫값의 규칙성을 찾아 m의 최솟값 구하기 50%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 모두 구하기 50%

276 풀이 참조
278 ⑤
⑴ x가 유리수일 때, f(x)=x이므로
( f ç f)(x)=x이면 집합 X의 임의의 두 원소 a, b에 대하여
( f ç f)(x)= f(x)=x이다.
f(a)=b일 때 f(b)=a를 만족시켜야 한다.
x가 무리수일 때, f(x)=1-x이고,
즉, f(a)=a이거나 (a=b인 경우)
x가 무리수이면 1-x도 무리수이므로
f(a)=b, f(b)=a이어야 한다. (a+b인 경우) yy TIP
( f ç f)(x)= f(1-x)=1-(1-x)=x이다.
∴ ( f ç f)(x)=x f(5)=6에서 f(6)=5이므로 5, 6에 대한 대응은 생각하지 않고
⑵ ( f ç f)(x)=x에서 f ç f=I (I는 항등함수)이므로 집합 X의 나머지 원소 1, 2, 3, 4에 대해서 이와 같은 조건을
( f ç f ç f)(x)=(I ç f)(x)= f(x)이다. 만족시키는 함수 f의 개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f ç f ç f)(a)+( f ç f)('3a)= f(a)+'3a Ú f(a)=b, f(b)=a`(a+b)를 만족시키는 두 수 a, b가 존재하지
Ú a가 유리수일 때 않는 경우
f(a)+'3a=a+'3a=(1+'3)a이므로 f(1)=1, f(2)=2, f(3)=3, f(4)=4로 함수 f의 개수는
4+'3 1이다.
(1+'3)a=4+'3, a= f
1+'3 X X
이때, a는 유리수가 아니므로 모순이다.
1 1
Û a가 무리수일 때
2 2
f(a)+'3a=1-a+'3a=1+('3-1)a이므로
3 3
1+('3-1)a=4+'3
4 4
'3+3 (3+'3)(1+'3)
a= = =3+2'3
'3-1 2
Û f(a)=b, f(b)=a`(a+b)를 만족시키는 두 수 a, b가 한 쌍
Ú, Û에 의하여 a=3+2'3이다.
존재하는 경우
채점 요소 배점 두 수 a, b가 될 수 있는 값은
x가 각각 유리수, 무리수일 때로 나누어 함수 ( f ç f)(x) 구하기 40% {1, 2}, {1, 3}, {1, 4}, {2, 3}, {2, 4}, {3, 4}로
x가 각각 유리수, 무리수일 때로 나누어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값 구 6가지이고, 이때 나머지 2개의 원소는 모두 자기 자신에게 대응되면
60%
하기 되므로 함수 f 의 개수는 6이다.

60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0 22. 9. 13. 오후 6:58


f f f f(k)=5에서
X X X X X X
k<0일 때, -2k+3=5에서 k=-1
1 1 1 1 1 1
k¾0일 때, kÛ`-4k+3=5에서
2 2 2 2 2 2
kÛ`-4k-2=0, k=2+'6 (∵ k¾0)
3 3 3 3 3 3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합은
4 4 4 4 4 4
(-1)+(2+'6)=1+'6이다.
V
f f f
X X X X X X
1 1 1 1 1 1
280 ③
2 2 2 2 2 2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의 축이 x=-2이므로 그래프가 x축과
3 3 3 3 3 3
만나는 두 점은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다.
4 4 4 4 4 4
따라서 3이 아닌 x절편은 -7이다.
y
Ü f(a)=b, f(b)=a`(a+b)를 만족시키는 두 수 a, b가 두 쌍
6
존재하는 경우
1, 2, 3, 4의 네 수를 두 원소씩 두 쌍으로 묶는 경우는 y=f{x}

{1, 2}, {3, 4} 또는 {1, 3}, {2, 4} 또는 {1, 4}, {2, 3}의
3가지이므로 함수 f 의 개수는 3이다. -7 -2 O 3 x
f f f
X X X X X X
ㄱ. ( f ç g)(x)= f(g(x))=0에서 g(x)=k라 하면
1 1 1 1 1 1
방정식 f(k)=0에서 k=-7 또는 k=3이므로
2 2 2 2 2 2
g(x)=-7 또는 g(x)=3
3 3 3 3 3 3
g(x)가 일차함수이므로 두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실수 x가 각각
4 4 4 4 4 4
하나씩 존재한다.
Ú ~ Ü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1+6+3=10이다. 그러므로 방정식 ( f ç g)(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참)
TIP ㄴ. { f(x)}Û`={g(x)}Û`에서 { f(x)}Û`-{g(x)}Û`=0
( f ç f)(x)=x 를 만족시키는 함수 f 는 정의역의 모든 원소 { f(x)+g(x)}{ f(x)-g(x)}=0이므로
a에 대하여 f(x)=-g(x) 또는 f(x)=g(x)
a는 자기 자신에 대응되거나 ( f(a)=a) 함수 y=-g(x)의 그래프는 함수 y=g(x)의 그래프를 x축에
a가 자기 자신에 대응되지 않을 경우에 b(b+a)로 대응된다고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므로 두 함수 y= f(x), y=g(x)의
하면 b는 a로 대응된다.`( f(a)=b, f(b)=a) 그래프의 교점 또는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은 다음과 같이 세 개 존재한다.
y
279 ④
6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g{x} y=f{x}
y
y=f{x}
-7 -2 O 3 x
3
y=-g{x}
2
O x 그러므로 방정식 { f(x)}Û`={g(x)}Û`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1
3이다. (거짓)
( f ç f)(k)= f( f(k))=8에서 f(k)=t라 하면 f(t)=8 ㄷ. ( f ç f)(x)= f( f(x))=0에서 f(x)=t라 하면
5 방정식 f(t)=0에서 t=-7 또는 t=3이므로
t<0일 때, -2t+3=8에서 t=-
2
f(x)=-7 또는 f(x)=3
t¾0일 때, tÛ`-4t+3=8에서
방정식 f(x)=-7의 두 근의 합이 2_(-2)=-4이고,
tÛ`-4t-5=(t-5)(t+1)=0, t=5 (∵ t¾0)
마찬가지로 방정식 f(x)=3의 두 근의 합이 -4이다.
5 5
즉, t=- 또는 t=5이므로 f(k)=- 또는 f(k)=5이다. 그러므로 방정식 ( f ç f)(x)=0의 모든 실근의 합은
2 2
5 (-4)+(-4)=-8이다. (참)
이때, f(k)=- 를 만족시키는 k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61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1 22. 9. 13. 오후 6:58


참고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방정식 f(t)=4에서
주어진 그래프에서 함수 f(x), g(x)의 식을 모두 구할 수 있다. t=6 또는 t=11 또는 t=15 또는 t=17이므로
6 1 f(x+2)=6 또는 f(x+2)=11 또는 f(x+2)=15 또는
f(x)=- (x+2)Û`+6, g(x)=- x+1
25 3 f(x+2)=17이다.
함수식을 통하여 답을 구할 수도 있으나 식을 직접 구하지 않고 주어진 그래프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É6이므로
본풀이와 같이 답을 구하는 것이 훨씬 편리하다. 방정식 f(x+2)=11 또는 f(x+2)=15 또는 f(x+2)=17의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방정식 f(x+2)=6의 해는 주어진 그래프에서
281 12
f(8)= f(16)=6이므로 x+2=8 또는 x+2=16에서
그림과 같이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x=6 또는 x=14이다.
x좌표를 각각 a, b, c, d`(a<b<c<d)라 하자. 따라서 방정식 f( f(x+2))=4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고,
y y=x
서로 다른 두 실근의 합은
6+14=20이다.
y=d
y=c
ab
Oc d x
y=b
y=a

y=f{x} 283 ②

주어진 함수 f(x)는
( f ç f)(x)= f( f(x))= f(x)에서 f(x)=k라 하면
á x+2 (0ÉxÉ2)
방정식 f(k)=k에서 k=a 또는 k=b 또는 k=c 또는 k=d이므로 f(x)=Ò 이다.
» -2x+8 (2<xÉ4)
f(x)=a 또는 f(x)=b 또는 f(x)=c 또는 f(x)=d이다.
방정식 f( f(x))=5- f(x)에서 f(x)=t라 하면
Ú f(x)=a인 경우
방정식 f(t)=5-t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a가 만나는 점의 개수가
3
4이므로 방정식 f(x)=a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x의 값의 0ÉtÉ2일 때, t+2=5-t이므로 t=
2
개수는 4이다. 2<tÉ4일 때, -2t+8=5-t이므로 t=3
Û f(x)=b인 경우 3 3
즉, t= 또는 t=3이므로 f(x)= 또는 f(x)=3이다.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b가 만나는 점의 개수가 2 2
4이므로 방정식 f(x)=b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x의 값의 3
Ú 방정식 f(x)= 의 해는
개수는 4이다. 2
Ü f(x)=c인 경우 3 13
2<xÉ4일 때, -2x+8= 에서 x=
2 4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c가 만나는 점의 개수가
y
2이므로 방정식 f(x)=c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x의 값의 4
개수는 2이다. y=f{x}

Ý f(x)=d인 경우 2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d가 만나는 점의 개수가 3
2
2이므로 방정식 f(x)=d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x의 값의 O 2 4 x
개수는 2이다.
Û 방정식 f(x)=3의 해는
Ú ~ Ý에서 방정식 ( f ç f)(x)= f(x)를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0ÉxÉ2일 때, x+2=3에서 x=1
x의 값의 개수는 4+4+2+2=12이다.
5
∴ n(X)=12 2<xÉ4일 때, -2x+8=3에서 x=
2
y
282 ① 4 y=f{x}

방정식 f( f(x+2))=4에서 f(x+2)=t라 하면 f(t)=4 3


2
y
6 y=f{x}
O 2 4 x
4
2 Ú, Û에서 구하는 서로 다른 실근의 합은
19
O 2 5 6 8 11 13 15161718 x 13 5 27
+1+ =
4 2 4

62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2 22. 9. 13. 오후 6:58


따라서 함수 y=( f ç g)(x)의 그래프와 x축, y축 및 직선 x=4로
284 ②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1일 때를 기준으로 함수식이 1 1 1 3 15
+ +1+ + = 이다.
1 2 4 2 2 4
바뀌므로 방정식 g(x)=1의 두 근 x= , x=3과 y=g(x)의
2 TIP
함수식이 바뀌는 x=1, x=2, x=3을 기준으로 x의 범위를 나누어 <합성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함수 y=( f ç g)(x)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yy TIP
V
다음 그림과 같이 두 함수 y= f(x)와 y=g(x)의 그래프가
1 주어졌을 때, 합성함수 y=(g ç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Ú 0ÉxÉ 일 때
2 방법으로 빨리 그릴 수 있다.
y y=g{x} y y=f{x} y y={ f`©g}{x} y y=f{x} y y=g{x}
4 4 4
3 3
3 3 3
2 2 2 2 2
1 1 1 1 1

O 11 2 3 4 x O 1 2 3 4 x O 11 2 3 4 x O 1 2 3 x O 1 2 3 x
2 2
❶ y=g(x)의 식이 바뀌는 지점이 x=2이므로 방정식
1
Û <xÉ1일 때 f(x)=2의 해인 x=2를 기준으로 x의 값의 범위를 나눈다.
2
y y=g{x} y y=f{x} y y={ f`©g}{x} ❷ y= f(x)에서 x의 값이 1에서 2로 커짐에 따라 y의 값이
4 4 4
3에서 2로 작아짐을 [그림 1]과 같이 화살표로 표시한다.
3 3 3
2 2 2 ❸ f의 치역이 g의 정의역이 되므로, y=g(x)에서 x의 값이
1 1 1 3에서 2로 작아짐에 따라 g의 함숫값 y가 1에서 3으로
O 11 2 3 4 x O 1 2 3 4 x O 11 2 3 4 x 커짐을 [그림 2]와 같이 화살표로 나타낸다.
2 2
❹ 합성함수 (g ç f)(x)의 정의역은 f(x)의 정의역과 같고,
Ü 1<xÉ2일 때 치역은 g(x)의 치역과 같음을 고려하여 [그림 3]과 같이
y y=g{x} y y=f{x} y y={ f`©g}{x}
4 4 4
[그림 1]의 x축과 [그림 2]의 y축에 표시해 놓은 화살표를
3 3 3 그리면 1ÉxÉ2에서 합성함수 y=(g ç f)(x)의 그래프를
2 2 2 그릴 수 있다.
1 1 1 y y y
y=f{x} y=g{x} y={ g`©f}{x}
O 1 2 3 4 x O 1 2 3 4 x O 11 2 3 4 x 3 3 3
2 2 2 2
Ý 2<xÉ3일 때 1 1 1
y y=g{x} y y=f{x} y y={ f`©g}{x}
4 4 4 O 1 2 3 x O 1 2 3 x O 1 2 3 x
3 3 3 [그림 1] [그림 2] [그림 3]
2 2 2
마찬가지로 2ÉxÉ3일 때, 앞의 ❷, ❸, ❹의 과정을 반복하면
1 1 1
다음과 같다.
O 1 2 3 4 x O 1 2 3 4 x O 11 2 3 4 x y y=f{x} y y=g{x} y y={ g`©f}{x}
2
3 3 3
Þ 3<xÉ4일 때 2 2 2
y y=g{x} y y=f{x} y y={ f`©g}{x}
4 4 4 1 1 1
3 3 3 1 2 3 x 1 2 3 x 1 2 3 x
O O O
2 2 2
1 1 1 따라서 1ÉxÉ3에서 합성함수 y=(g ç f)(x)의 그래프는
O 1 2 3 4 x O 1 2 3 4 x O 11 2 3 4 x 다음과 같다.
2 y y={ g`©f}{x}
3
Ú ~ Þ에 의하여 함수 y=( f ç 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2
y
y={ f`©g}{x} 1
4
3 O 1 2 3 x

2
1

x
285 4
O 1 1 2 3 4
2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Ⅴ. 함수와 그래프 63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3 22. 9. 13. 오후 6:58


y 마찬가지 방법으로 함수 y=( f ç f ç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f{x}
1 y
y={ f©f©f}{x}
1

1
x y=
O 1 1 4
2
O 11315371 x
1 8482848
함수 f(x)에서 x= 일 때를 기준으로 함수식이 바뀌므로 방정식
2
1
1 1 3 방정식 h(x)= 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함수 y=h(x)의 그래프와
f(x)= 의 두 근 x= , x= 과 f(x)의 함수식이 바뀌는 4
2 4 4
1
1 직선 y= 의 교점의 x좌표이고, 함수 y=h(x)의 그래프가
x= 을 기준으로 x의 범위를 나누어 함수 y=( f ç f)(x)의 4
2
1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직선 x=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하는 모든 x의 값의 합은
2
1 1
Ú 0ÉxÉ 일 때 8_ =4이다.
4 2
y y y
y=f{x} y=f{x} y={ f`©f}{x}
1 1 1

1
2

O 1 1 1 x O 1 1 x O 1 x
286 11

4 2 2 4
방정식 2{h(x)}Ü`-11{h(x)}Û`+19h(x)-10=0에서
1 1 {h(x)-1}{h(x)-2}{2h(x)-5}=0이므로
Û <xÉ 일 때
4 2
5
y y y h(x)=1 또는 h(x)=2 또는 h(x)= 이다.
y=f{x} y=f{x} y={ f`©f}{x} 2
1 1 1
y y=|x-1|+1
1 5
5
2 2 y=
2
2 y=2
O 1 1 1 x O 1 1 x O 1 1 x y=1
4 2 2 4 2 1
O 1 x
1 3
Ü <xÉ 일 때
2 4
함수 g(x)=|x-1|+1의 그래프가 위와 같으므로
y y y
y=f{x} y=f{x} y={ f`©f}{x} h(x)=g( f(x))=1일 때, f(x)=1 yy ㉠
1 1 1
h(x)=g( f(x))=2일 때, f(x)=0 또는 f(x)=2 yy ㉡
1
2
5 1 5
h(x)=g( f(x))= 일 때, f(x)=- 또는 f(x)= yy ㉢
2 2 2
O 1 3 1 x O 1 1 x O 1 1 3 x 한편, f(x)=2-|xÛ`-2|에 대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2 4 2 4 2 4
y=|xÛ`-2|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3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Ý <xÉ1일 때
4
y
y y y y=2-|x@-2| 5
y=f{x} y=f{x} y={ f`©f}{x} 5
2 y=
1 1 1 2
2 y=2
1 y=1
2 1
x
O 1
y=-
O 1 3 1 x O 1 1 x O 1 1 3 1 x 1 2
-
2 4 2 4 2 4 2

Ú ~ Ý에 의하여 함수 y=( f ç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에서 방정식 f(x)=1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
y ㉡에서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
y={ f`©f}{x}
1 ㉡에서 방정식 f(x)=2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
1
㉢에서 방정식 f(x)=-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
2
5
㉢에서 방정식 f(x)=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0
1 1 3 1 x 2
O
4 2 4 따라서 구하는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3+2+2=11이다.

64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4 22. 9. 13. 오후 6:58


다른 풀이 이때, f ÑÚ`(2)=-3에서 f(-3)=2 yy ㉡
방정식 2{h(x)}Ü`-11{h(x)}Û`+19h(x)-10=0에서 역함수를 가지는 함수 f 는 일대일대응이므로
{h(x)-1}{h(x)-2}{2h(x)-5}=0이므로 ㉠, ㉡에서 1-k=-3, k=4, 즉 h(4)=2
5 ∴ hÑÚ`(2)=4
h(x)=1 또는 h(x)=2 또는 h(x)= 이다.
2 다른 풀이
h(x)=g( f(x))
y= f(1-x)에서 x에 대하여 정리하면 V
=|2-|xÛ`-2|-1|+1
1-x= f ÑÚ`(y), x=1- f ÑÚ`(y)
=||xÛ`-2|-1|+1
x와 y를 서로 바꾸면 y=1- f ÑÚ`(x)이므로
Ú -'2ÉxÉ'2일 때
h(x)= f(1-x)의 역함수는
h(x)=|(-xÛ`+2)-1|+1=|xÛ`-1|+1
hÑÚ`(x)=1- f ÑÚ`(x)이다.
Û x<-'2 또는 x>'2일 때
∴ hÑÚ`(2)=1- f ÑÚ`(2)
h(x)=|xÛ`-3|+1
=1-(-3)=4
Ú, Û에서 함수 y=h(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참고
5
5
2 y=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
y=2 f(1-x)=h(x)가 성립하므로 함수 h(x)의 역함수도
2
y=1 존재한다.
1

-Â3 -1 O 1 Â3 x

-Â2 Â2

따라서 방정식 h(x)=1의 해의 개수는 4,


방정식 h(x)=2의 해의 개수는 5, 289 풀이 참조
5
방정식 h(x)= 의 해의 개수는 2이므로 함수 y= f(x)의 역함수가 y=g(x)이므로 g(x)= f ÑÚ`(x)이다.
2
구하는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5+2=11이다. 함수 f(2x-5)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y= f(2x-5)를 x에 대하여 풀면
1 5
2x-5= f ÑÚ`(y), x= f ÑÚ`(y)+
2 2
287 풀이 참조 x와 y를 서로 바꾸면
1 5 1 5
f ÑÚ`(4)=-5에서 f(-5)=4이다. y= f ÑÚ`(x)+ , y= g(x)+
2 2 2 2
f(3x-2)=2x+a에서 yy ㉠ 1 5
따라서 f(2x-5)의 역함수는 g(x)+ 이다.
3x-2=-5일 때 x=-1이므로 ㉠에 x=-1을 대입하면 2 2
f(-5)=-2+a=4에서 a=6이다. 채점 요소 배점
따라서 f(3x-2)=2x+6 yy ㉡ y= f(2x-5)를 x에 대하여 풀기 50%
3x-2=10일 때 x=4이므로 ㉡에 x=4를 대입하면 함수 f(2x-5)의 역함수를 g(x)를 이용하여 나타내기 50%
f(10)=14이다.
f ÑÚ`(10)=k라 하면 f(k)=10이고, 다른 풀이
㉡에서 2x+6=10일 때 x=2이므로 ㉡에 x=2를 대입하면 h(x)=2x-5라 하면 yy ㉠
f(4)=10에서 f ÑÚ`(10)=4이다. f(2x-5)=( f ç h)(x)이므로
∴ f(10)+ f ÑÚ`(10)=14+4=18 f(2x-5)의 역함수는 ( f ç h)ÑÚ`(x)이다.
채점 요소 배점 1 5
㉠에서 hÑÚ`(x)= x+ 이고,
2 2
a의 값 구하기 40%
f ÑÚ`(x)=g(x)이므로
f(10)+ f ÑÚ`(10)의 값 구하기 60%
( f ç h)ÑÚ`(x)=(hÑÚ` ç f ÑÚ`)(x)=(hÑÚ` ç g)(x)
1 5
=hÑÚ`(g(x))= g(x)+
2 2
1 5
288 ⑤ 따라서 f(2x-5)의 역함수는
2
g(x)+ 이다.
2

hÑÚ`(2)=k라 하면 h(k)=2이다. yy 참고 채점 요소 배점
함수 f(2x-5)를 합성함수로 나타내어 y=2x-5의 역함수 구하기 50%
f(1-x)=h(x)에서 x=k를 대입하면
f(1-k)=h(k)=2 yy ㉠ 함수 f(2x-5)의 역함수를 g(x)를 이용하여 나타내기 50%

Ⅴ. 함수와 그래프 65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5 22. 9. 13. 오후 6:58


f(1)=3, f Û`(1)=2, f Ü`(1)=1
290 3
f(2)=1, f Û`(2)=3, f Ü`(2)=2
조건 ㈎에서 gÑÚ`( f(2x-1))=5x-3이므로 f(3)=2, f Û`(3)=1, f Ü`(3)=3
g(gÑÚ`( f(2x-1)))=g(5x-3) 이므로 f Ü`=I가 성립한다.
f(2x-1)=g(5x-3) Û f(2)=2, f(3)=1이면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1)=3, f Û`(1)=1, f Ü`(1)=3
f(3)=g(7)=4 (∵ ㈏) 이므로 f Ü`+I가 되어 성립하지 않는다.
∴ f ÑÚ`(4)=3 Ú, Û에서 f(1)=3, f(2)=1, f(3)=2이므로
다른 풀이 g(1)=2, g(2)=3, g(3)=1이고, f Ü`=I에서 g Ü`=( f ÑÚ`)Ü`=I이다.
3_3+1 3_3+2
따라서 g Ú` â`=g =g, g Ú` Ú`=g =g Û`이므로
조건 ㈏에 의하여 gÑÚ`(4)=7이다. yy ㉠
g Ú` â`(2)+g Ú` Ú`(3)=g(2)+g(g(3))
조건 ㈎에서 gÑÚ`( f(2x-1))=5x-3 yy ㉡
=3+g(1)=3+2=5
5x-3=7일 때 x=2이므로 ㉡에 x=2를 대입하면
gÑÚ`( f(3))=7이다. yy ㉢
함수 gÑÚ`가 일대일대응이므로 ㉠, ㉢에서 f(3)=4이다.
∴ f ÑÚ`(4)=3
293 ③

( f ÑÚ` ç f ÑÚ`)(3)=3에서 ( f ç f)ÑÚ`(3)=3이므로


( f ç f)(3)=3이다.
따라서 ( f ç f)(2)=1, ( f ç f)(3)=3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f(2)의
값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생각해 보자.
291 ③
Ú f(2)=1인 경우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f ç f)(2)= f( f(2))= f(1)=1에서
y
f(2)=1, f(1)=1이 되어 f 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므로
7
성립하지 않는다.
Û f(2)=2인 경우
3 y=f{x} ( f ç f)(2)= f( f(2))= f(2)=2+1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Ü f(2)=3인 경우
O 2 x
( f ç f)(2)= f( f(2))= f(3)=1이고,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므로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 f ç f)(3)= f( f(3))= f(1)=3에서
( f ç g)(x)=x일 때, g(x)= f ÑÚ`(x)이다. f(2)=3, f(1)=3이 되어 f 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므로
(g ç g ç g)(5)=g(g(g(5))) yy ㉠ 성립하지 않는다.
g(5)=a라 하면 f(a)=5, a<2이므로 Ý f(2)=4인 경우
-2a+7=5에서 a=1 ( f ç f)(2)= f( f(2))= f(4)=1이다.
㉠에서 g(g(g(5)))=g(g(1)) yy ㉡ 이때, ( f ç f)(3)=3이려면 f(3)=3이 되어야 하므로
g(1)=b라 하면 f(b)=1, b>2이므로 함수 f 는 다음과 같다.
1 f f
- (b-2)Û`+3=1에서 (b-2)Û`=4, b=4 (∵ b>2) X X X
2
㉡에서 g(g(1))=g(4) 1 1 1

g(4)=c라 하면 f(c)=4, c<2이므로 2 2 2


3 3 3 3
-2c+7=4, c=
2
4 4 4
3
∴ (g ç g ç g)(5)=g(g(g(5)))=g(g(1))=g(4)=
2
Ú ~ Ý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는 Ý와 같으므로
f(1)=2, f ÑÚ`(4)=2
∴ 2 f(1)+ f ÑÚ`(4)=2_2+2=6

292 ②

f(1)=3이고,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294 ㄱ, ㄹ, ㅁ

f(2)=1, f(3)=2 또는 f(2)=2, f(3)=1이다. ㄱ. 일대일대응이면 일대일함수이므로 함수 f가 일대일함수인 것은


Ú f(2)=1, f(3)=2이면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참)

66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6 22. 9. 13. 오후 6:58


ㄴ. 함수 f `:`X`2Ú`Y의 역함수가 존재할 때, 4 3
Û 방정식 g(x)= x-1=0의 실근은 x=
함수 f ç f ÑÚ`는 Y에서 Y로의 항등함수이고, 3 4
함수 f ÑÚ` ç f 는 X에서 X로의 항등함수이다. 따라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이때, X+Y이면 f ç f ÑÚ`+ f ÑÚ` ç f 이다. (거짓) 3 1
-1+ =-
4 4
ㄷ. 두 함수 f `:`X`2Ú`Y, g`:`Y`2Ú`Z에 대하여
함수 f ç g`:`Y`2Ú`Y가 정의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참고
V
Z,X이다. (거짓) 4
함수 f(x)는 g(x)= x-1의 역함수이므로
ㄹ. 두 함수 f `:`X`2Ú`Y, g`:`Z`2Ú`W에 대하여 3

Y,Z일 때, 합성함수 g ç f `:`X`2Ú`W가 정의되고, 함수 g ç f의 3


f(x)= (x+1)이다.
4
정의역은 함수 f 의 정의역과 같다. (참)
ㅁ. 두 함수 f `:`X`2Ú`Y, g`:`Y`2Ú`Z에 대하여
g ç f `:`X`2Ú`Z가 항상 정의된다.
두 함수 f, g 의 역함수가 모두 존재하면 두 함수 f, g 는 모두 297 ①

일대일대응이므로 함수 g ç f도 일대일대응이다. f(x)=-xÛ`-6x+b=-(x+3)Û`+b+9이므로


즉, 함수 g ç f의 역함수가 존재한다. (참)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ㄹ, ㅁ이다.

9
295 2
-3 a 1 x
집합 X에서 집합 Y로의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f ÑÚ`(g(1-x))=2x+1에서
함수 f(x)는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g(1-x)= f(2x+1)
정의역이 X={x|aÉxÉ1}인 함수 f(x)가 일대일함수이기
1-x=t라 하면 x=1-t이므로
위해서 a¾-3이어야 하고, yy ㉠
g(t)= f(2(1-t)+1)= f(-2t+3)
치역이 집합 Y={y|-3ÉyÉ12}와 같으려면
=3(-2t+3)-2=-6t+7
aÉxÉ1에서 함숫값이 -3É f(x)É12이어야 하므로
이때, 두 함수 y=3x-2, y=-6x+7의 그래프와 y축으로
f(a)=12, f(1)=-3이다.
둘러싸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f(1)=b-7=-3에서 b=4
y
y=3x-2 f(a)=-(a+3)Û`+13=12에서
7
(a+3)Û`=1, a=-2 (∵ ㉠)
∴ a+b=-2+4=2

1 298 -6
O 1 x
x¾2일 때 함수 y=xÛ`-4x+k=(x-2)Û`+k-4의 그래프의
-2 개형은 다음과 같다.
y=-6x+7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1 9
_{7-(-2)}_1=
2 2

{2,`k-4}
함수의 그래프가 증가하는 형태이므로 함수의 그래프가 역함수의
296 ② 그래프와 만나는 교점은 직선 y=x와의 교점과 같다.
따라서 점 P가 직선 y=x 위에 존재하므로
f(4x-3-2g(x))=x에서 f ÑÚ`(x)=4x-3-2g(x)이고,
OPÓ=6'2일 때, P(6, 6)이다. yy TIP
f ÑÚ`(x)=g(x)이므로 3g(x)=4x-3
4 함수 y=xÛ`-4x+k`(x¾2)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 g(x)= x-1 yy 참고
3 x좌표는 방정식 xÛ`-4x+k=x, 즉 xÛ`-5x+k=0의 해이므로
방정식 f(x)g(x)=0에서 f(x)=0 또는 g(x)=0 x=6이 방정식 xÛ`-5x+k=0의 해이다.
Ú 방정식 f(x)=0의 실근을 a라 하면 36-30+k=0
f(a)=0이므로 g(0)=a에서 a=-1 ∴ k=-6

Ⅴ. 함수와 그래프 67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7 22. 9. 13. 오후 6:58


TIP 다른 풀이

직선 y=x 위의 점 P가 다음과 같으므로 점 P의 좌표는 함수 y= f(x)와 그 역함수 y= f ÑÚ`(x)의 그래프는 서로 직선


(6, 6)이다.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y 11
P g(1)= = f ÑÚ`(5)
2
g(2)=5= f ÑÚ`(4)
6Â2
6 g(3)=3= f ÑÚ`(3)
g(4)=1= f ÑÚ`(2)
O 6 x 1
g(5)= = f ÑÚ`(1)
2
g(6)=0= f ÑÚ`(0)
따라서 등식 f ÑÚ`(a)=g(b)를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5, 1), (4, 2), (3, 3), (2, 4), (1, 5)로 5개이다.

299 ②

방정식 { f ÑÚ`(3x+1)}Û`= f ÑÚ`(3x+1) f(3x+1)에서


f ÑÚ`(3x+1){ f ÑÚ`(3x+1)- f(3x+1)}=0이므로 301 ⑤

f ÑÚ`(3x+1)=0 또는 f ÑÚ`(3x+1)= f(3x+1)이다. 조건 ㈎에서 함수 f 는 일대일대응이고


Ú f ÑÚ`(3x+1)=0에서 f(0)=3x+1이고, 조건 ㈏에서 x=3을 대입하면
주어진 그래프에서 f(0)=2이므로 -1
f( f(3))- f (3)=-6이고
1 -1
f (3)=7, f( f(3))=1이다. yy ㉠
3x+1=2에서 x=
3
즉, f(7)=3이다.
Û f ÑÚ`(3x+1)= f(3x+1)에서
조건 ㈏에서 x=2를 대입하면
3x+1=t라 하면 f ÑÚ`(t)= f(t)이다. -1
f( f(2))- f (2)=-4이고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증가하는 형태이므로 -1
f (2)=6, f( f(2))=2이다. yy ㉡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역함수 y= f ÑÚ`(x)의 그래프와 만나는
즉, f(6)=2이다.
교점은 직선 y=x와의 교점과 같으므로 방정식 f ÑÚ`(t)= f(t)의
또한 f( f(2))=2에서 f(2)=6이다.
해는 방정식 f(t)=t의 해와 같다.
조건 ㈏에서 x=1을 대입하면
주어진 그래프에서 f(-2)=-2, f(5)=5이고, 함수 y= f(x)의 -1
f( f(1))- f (1)=-2이고 ㉠, ㉡이므로
그래프는 직선 y=x와 두 점에서 만나므로 -1
f (1)=5, f( f(1))=3이다.
방정식 f(t)=t의 해는 t=-2 또는 t=5이다.
즉, f(5)=1이다.
3x+1=-2에서 x=-1
또한 f( f(1))=3에서 f(1)=7 (∵ f(7)=3)이고
4
3x+1=5에서 x= f( f(3))=1에서 f(3)=5 (∵ f(5)=1)이다.
3
Ú, Û에서 구하는 모든 실근의 합은 그러므로 f(1)=7, f(2)=6, f(3)=5, f(5)=1, f(6)=2,
1 4 2 f(7)=3이고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f(4)=4이다.
+(-1)+ = -1
3 3 3 ∴ f(1)+2 f (4)+3 f(4)=7+2_4+3_4=27

300 ⑤ 302 100

1
등식 f ÑÚ`(a)=g(b)에서 ( f ç g)(b)=a이므로 함수 f(x)=- x+3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4
11 1
f(g(1))= f { }=5 y=- x+3을 x에 대하여 풀면 x=-4y+12이고,
2 4
f(g(2))= f(5)=4 x와 y를 서로 바꾸면 y=-4x+12이므로
f(g(3))= f(3)=3 -1
f (x)=-4x+12
f(g(4))= f(1)=2 -1
f (x)=g(2x+4)에서 -4x+12=g(2x+4)이고
1 1
f(g(5))= f { }=1 2x+4=t라 하면 x= t-2이므로
2 2
f(g(6))= f(0)=0 1
g(t)=-4_{ t-2}+12=-2t+20
따라서 등식 f ÑÚ`(a)=g(b)를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2
(a, b)는 (5, 1), (4, 2), (3, 3), (2, 4), (1, 5)로 5개이다. x와 t가 모든 실수이므로 g(x)=-2x+20이다.

68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8 22. 9. 13. 오후 6:58


이때, 함수 y=g(x)의 y절편은 20이고 2 f ÑÚ`(1)+ f(1)=1에 대입하면
x절편은 0=-2x+20, x=10이므로 f(1)=1-2 f ÑÚ`(1)=1-2_3=-5에서 f ÑÚ`(-5)=1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다음과 B(-5, 1)이다.
같다. 이때, 두 직선 AC, BD가 직선 y=x에 수직이고, 두 함수 y= f(x),
y y= f ÑÚ`(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므로
두 점 A, B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점이 각각 C, D이다.
20 V
즉, C(1, 3), D(1, -5)이다.
사다리꼴 ACBD에서 ACÓ=2'2, BDÓ=6'2이고, 높이는 선분
AC의 중점 (2, 2)와 선분 BD의 중점 (-2, -2)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4'2이다.
O 10 x
따라서 사다리꼴 ACBD의 넓이는
1
1 _(2'2+6'2)_4'2=32 yy TIP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_10_20=100 2
2
TIP

303 36 직선 AB가 x축에 평행하고, 두 직선 AB와 CD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직선 CD는 y축에 평행하다.
1
x-3¾0, 즉 x¾6일 때 따라서 두 직선 AB, CD가 서로 수직이므로 사각형 ACBD의
2
1 3 1 1
f(x)=x-3+{ x-3}= x-6 넓이는 _ABÓ_CDÓ= _8_8=32로 구할 수도 있다.
2 2 2 2
1 C
x-3<0, 즉 x<6일 때
2
B A
1 1
f(x)=x-3-{ x-3}= x
2 2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D
y y=x

y=g{x}

y=f{x}
305 ④

ㄱ. (반례) A=R인 경우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A이므로


3
함수 f의 치역은 {0}이다. (거짓)
O 6 x ㄴ.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만나는 한 교점은 두 직선 Ú k<A일 때

1 f(k)=0, fA‚` (k)=1이므로


y= x와 y=x의 교점인 (0, 0)이고, f(k)=1- fA‚` (k)=0
2
3 Û k²A일 때
다른 한 교점은 두 직선 y= x-6과 y=x의 교점이므로
2 f(k)=1, fA‚` (k)=0이므로
3 f(k)=1- fA‚` (k)=1
x-6=x에서 x=12, 즉 (12, 12)이다.
2
Ú, Û에서 f(x)=1- fA‚` (x)이다. (참)
두 교점 사이의 거리는 12'2이고,
ㄷ.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6-3| 3'2
점 (6, 3)과 직선 y=x 사이의 거리는 = 이므로 Ú k<A일 때
¿¹1Û`+(-1)Û` 2
k<(A'B)에서 f(k)=0, fA'B(k)=0이므로
직선 y=x와 함수 y= f(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fA'B(k)= f(k)×fõ(k)=0
1 3'2
_12'2_ =18이다. Û k<B일 때
2 2
따라서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k<(A'B)에서 fõ(k)=0, fA'B(k)=0이므로
넓이는 2_18=36이다. fA'B(k)= f(k)×fõ(k)=0
Ü k²(A'B)일 때
f(k)=1, fõ(k)=1, fA'B(k)=1이므로
304 32
fA'B(k)= f(k)×fõ(k)=1
점 A(3, 1)이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Ú ~ Ü에서 fA'B(x)= f(x)×fõ(x)이다. (참)
f(3)=1이고 f ÑÚ`(1)=3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69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69 22. 9. 13. 오후 6:58


y y=x
306 ⑤
1
y=f{x}

ㄱ. f(2n)= f(n)에 의하여


f(100)= f(50)= f(25)
f(2n-1)=(-1)Ç` 에 의하여
f(25)= f(2_13-1)=(-1)Ú` Ü`=-1 (참) O 1 1 3 1 x
ㄴ. f(2n-1)=(-1)Ç` 에서 4 2 4

n=1일 때 f(1)=-1,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은 위와 같이 3개이므로


n=2일 때 f(3)=1, 세 교점의 x좌표를 각각 0, a, b`(0<a<b)라 하면 yy 참고
n=3일 때 f(5)=-1, 방정식 f(t)=t의 해는 t=0 또는 t=a 또는 t=b이므로
n=4일 때 f(7)=1, f(x)=0 또는 f(x)=a 또는 f(x)=b이다.
n=5일 때 f(9)=-1이다. y y=x
y=f{x}
f(2n)= f(n)에 의하여 1

f(2)= f(1)=-1, b y=b


f(4)= f(2)= f(1)=-1, a y=a
f(6)= f(3)=1,
f(8)= f(4)= f(2)= f(1)=-1, O 1 1 3 1 x
f(10)= f(5)=-1 4 2 4

∴ f(1)+ f(2)+ f(3)+y+ f(10)=-4 (참) 따라서 방정식 f(x)=0, f(x)=a, f(x)=b의 근의 개수는 위와 같
ㄷ. n이 홀수이므로 n=2k-1`(k는 자연수)이라 하면 이 각각 5, 4, 4이므로 모든 실근의 개수는
f(n)= f(2k-1)=(-1)û` 5+4+4=13
f(n+8)= f(2k+7) 참고
k+4
= f(2(k+4)-1)=(-1)
두 직선 y=4x-1, y=x의 교점의 x좌표는 4x-1=x에서
이때, k가 홀수이면 k+4가 홀수이므로
1 1
f(n)= f(n+8)=-1 x= 이므로 a= 이고,
3 3
k가 짝수이면 k+4가 짝수이므로 두 직선 y=4x-2, y=x의 교점의 x좌표는 4x-2=x에서
f(n)= f(n+8)=1 2 2
x= 이므로 b= 이다.
∴ f(n)= f(n+8) (참) 3 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307 ④ 308 ④

함수 f(x)는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0ÉxÉ1에서 정의된 함수 f(x)=4x-[4x]는
á 2-x (0ÉxÉ1)
1 \
0Éx< 일 때, [4x]=0이므로 f(x)=4x f(x)=Ò 1 (1<xÉ2)
4
\
1 1 » 3-x (2<xÉ3)
Éx< 일 때, [4x]=1이므로 f(x)=4x-1
4 2 이고 함수 y=(g½ f)(x)는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1 3 á 2x (0ÉxÉ1)
Éx< 일 때, [4x]=2이므로 f(x)=4x-2
2 4 \
(g½ f)(x)=Ò 2 (1<xÉ2)
3 \
Éx<1일 때, [4x]=3이므로 f(x)=4x-3 » 6-2x (2<xÉ3)
4
x=1일 때, f(1)=4-[4]=0 Ú 0ÉxÉ1일 때, 1É f(x)É2이고
즉,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g( f(x))=2x이므로 g(2-x)=2x
y 2-x=t라 하면 x=2-t이다.
y=f{x}
1 즉, g(t)=2(2-t)=4-2t에서
g(x)=4-2x (1ÉxÉ2)이다.
Û 2ÉxÉ3일 때, 0É f(x)É1이고
g( f(x))=6-2x이므로 g(3-x)=6-2x
3-x=t라 하면 x=3-t이다.
O 1 1 3 1 x
4 2 4 즉, g(t)=6-2(3-t)=2t에서
방정식 ( f ç f)(x)= f(x)에서 f(x)=t라 하면 f(t)=t이다. g(x)=2x (0ÉxÉ1)

70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0 22. 9. 13. 오후 6:58


á 2x (0ÉxÉ1) 참고
Ú, Û에 의하여 g(x)=Ò 이고 그래프는 다음과
» 4-2x (1<xÉ2)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f(x))=x를
같다. 만족시키면 f(x)는 일차함수이고, 이때 f(x)= f ÑÚ`(x)이므로
y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y=g{x}
2 따라서 함수 y= f(x)는 y=x 또는 기울기가 -1인 직선이다.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f(x))=x를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V
f(x)는 다음의 2가지뿐이다.
❶ f(x)=x
O 1 2 x
❷ f(x)=-x+k (k는 상수)
이때 방정식 (g½g)(x)=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g½g)(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함수 g(x)에서 x=1일 때를 기준으로 함수식이 바뀌므로 방정식
1 3
310 8

g(x)=1의 두 근 x= , x= 과 g(x)의 함수식이 바뀌는 x=1을


2 2 f(x)=g(x)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은
기준으로 x의 범위를 나누어 함수 y=(g½g)(x)의 그래프를 xÛ`+2x=xÜ`-axÛ`+ax+2a에서
그리면 다음과 같다. xÜ`-(a+1)xÛ`+(a-2)x+2a=0
y y=x (x+1)(x-2)(x-a)=0
y={ g`©`g}{x}
∴ x=-1 또는 x=2 또는 x=a
2
이때, a=-1 또는 a=2일 경우 집합 X가 될 수 있는 집합은
X={-1}, X={2}, X={-1, 2}이므로
각 집합 X의 모든 원소의 합은
O1 1 3 2 x -1+2+(-1+2)=2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 2
따라서 a+-1, a+2이고, 집합 X는 -1, 2, a 중에서 원소를
따라서 방정식 (g½g)(x)=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이다.
갖는 집합이므로 집합 X의 개수는 k=2Ü`-1=7이고, 각 집합은
{-1}, {2}, {a}, {-1, 2}, {-1, a}, {2, a}, {-1, 2, a}
이므로 각 집합의 모든 원소의 합은
4_(-1+2+a)=8에서 a=1
∴ a+k=1+7=8

309 10

다항함수 f(x)가 n차`(n은 자연수)일 때,


nÛ`
311 5
f( f(x))의 최고차항은 (xÇ` )Ç` =x 항이므로 차수가 nÛ`이다.
f(4)=2, g(4)=3에서 g(4)> f(4)이므로 함수 h(x)의 정의에
따라서 조건 ㈎ 를 만족시키려면 nÛ`=1에서 n=1이므로
의하여 h(4)=g(4)=3 yy ㉠
f(x)는 일차함수이다.
함수 h(x)는 일대일대응이므로 h(3)+3이고 g(3)=3이므로
일차함수인 f(x)는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h(3)= f(3)이고 f(3)¾g(3)=3이어야 하므로
f( f(x))=x에서 f(x)= f ÑÚ`(x)이다.
h(3)= f(3)=4 yy ㉡
따라서 조건 ㈏에서 f(-1)=2이면 f ÑÚ`(-1)= f(-1)=2이므로
㉠, ㉡에서 h(1)+3, h(1)+4이고
f(2)=-1이다.
g(1)=2에서 h(1)+1이므로 h(1)=2, h(2)=1
f(x)=ax+b`(a, b는 실수)라 하면
따라서 h(2)=g(2)= f(2)=1이므로
f(-1)=2, f(2)=-1이므로
f(2)+h(3)=1+4=5
-a+b=2, 2a+b=-1에서 a=-1, b=1
∴ f(x)=-x+1 참고1

3 5 á f(x) ( f(x)¾g(x))
g(x)=xÛ`+3x+1={x+ }Û`- 에서 함수 h(x)=Ò 는 f(x), g(x)의 함숫값
2 4 » g(x) (g(x)> f(x))
5 5
g( f(x))={-x+ }Û`- 이므로 중 작지 않은 값을 함숫값으로 갖는 함수이다.
2 4
5 5
함수 (g ç f)(x)는 x= 일 때 최솟값 - 를 가진다. 참고2
2 4
5 5 문제의 조건만으로는 f(1)의 값이 정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m= , n=- 이므로
2 4 즉, 함수 f(x)는 f(1)=1인 경우와 f(1)=2인 경우의 2가지가
5 5 존재한다.
6m+4n=6_ +4_{- }=10
2 4

Ⅴ. 함수와 그래프 71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1 22. 9. 13. 오후 6:59


함수 f ç g의 치역은 {4, 6},
312 ④
k=3, 7, 11, y, 4m-1일 때,
n(A'B)=n(A)+n(B)-n(A;B)이다. 함수 f ç g의 치역은 {8, 4, 2, 6},
Ú n(A)는 f(2)É f(3)을 만족시키는 함수 f 의 개수이다. k=4, 8, 12, y, 4m일 때,
f(2)=1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1, 2, 3, 4, 5로 5개 함수 f ç g의 치역은 {6}이다.
f(2)=2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2, 3, 4, 5로 4개 즉, n({( f ç g)(x)|x는 자연수})=2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f(2)=3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3, 4, 5로 3개 k는 k=4m-2`(m은 자연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20
f(2)=4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4, 5로 2개 이하의 자연수 k는 2, 6, 10, 14, 18이다.
f(2)=5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5로 1개 따라서 구하는 합은 2+6+10+14+18=50이다.
따라서 f(2), f(3)의 값을 정하는 방법의 수는
5+4+3+2+1=15이고,
f(1), f(4)의 값을 정하는 방법의 수가 각각 5이므로
314 ②

n(A)=15_5_5=375 합성함수 h ç g ç f 가 상수함수가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Û n(B)는 일대일함수인 f 의 개수이므로 Ú 함수 h가 상수함수인 경우
n(B)=5_4_3_2=120 f g h
A A A A
Ü n(A;B)는 f(2)É f(3)이면서 일대일함수인 f 의 개수이다.
1 1 1 1
yy TIP
2 2 2 2
f(2)=1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2, 3, 4, 5로 4개
f(2)=2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3, 4, 5로 3개
모든 함수 f, g 에 대하여 h ç g ç f 는 상수함수이다.
f(2)=3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4, 5로 2개
함수 h가 상수함수인 경우는 h(x)=1 또는 h(x)=2의
f(2)=4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5로 1개
2가지이고, 함수 f 와 g의 개수는 각각 2Û`=4이므로
f(2)=5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f(2), f(3)의 값을 정하는 방법의 수는
2_4_4=32
4+3+2+1=10이고,
Û 함수 h가 상수함수가 아닌 경우
f(1)로 가능한 값은 1, 2, 3, 4, 5 중 f(2), f(3)의 값을 제외한
함수 h는 h(1)=1, h(2)=2 또는 h(1)=2, h(2)=1의
3개,
2가지이다.
f(4)로 가능한 값은 1, 2, 3, 4, 5 중 f(1), f(2), f(3)의 값을
( - ①) 함수 g 가 상수함수인 경우
제외한 2개이므로 f g h
n(A;B)=10_3_2=60 A A A A

Ú ~ Ü에서 n(A'B)=375+120-60=435 1 1 1 1

TIP 2 2 2 2

f(2)É f(3)을 만족시키는 함수 f 가 일대일함수이면


모든 함수 f 에 대하여 h ç g ç f 는 상수함수이다.
f(2)+ f(3)이므로 f(2)< f(3)이다.
함수 g 가 상수함수인 경우는 g(x)=1 또는 g(x)=2의
2가지이고, 함수 f의 개수는 2Û`=4이므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2_2_4=16

313 ⑴ 15 ⑵ 50 ( - ②) 함수 g 가 상수함수가 아닌 경우
f g h
A A A A
⑴ 2Å` 의 일의 자리의 수는 네 수 2, 4, 8, 6이 차례로 반복된다.
따라서 함수 (g ç f)(x)의 함숫값은 1 1 1 1
g( f(1))=2k, g( f(2))=4k, g( f(3))=8k, g( f(4))=6k가 2 2 2 2
차례로 반복되므로
함수 g ç f의 치역은 {2k, 4k, 6k, 8k}이고,`(k+0) h ç g ç f 가 상수함수이려면 f 가 상수함수이어야 한다.
치역의 모든 원소의 합은 2k+4k+6k+8k=20k이다. 함수 g가 상수함수가 아닌 경우는
20k=300에서 k=15 g(1)=1, g(2)=2 또는 g(1)=2, g(2)=1의 2가지이고,
⑵ 함수 ( f ç g)(x)=(2û` Å` 의 일의 자리의 수)이므로 함수 f 가 상수함수인 경우는 f(x)=1 또는 f(x)=2의
자연수 m에 대하여 2가지이므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k=1, 5, 9, y, 4m-3일 때, 2_2_2=8
함수 f ç g의 치역은 {2, 4, 8, 6}, Ú, Û에서 구하는 함수의 개수는
k=2, 6, 10, y, 4m-2일 때, 32+16+8=56

72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2 22. 9. 13. 오후 6:59


11 25 조건 ㈏에 의하여
315 4
<a<
8
2015
f(2015)= f {3_ }
함수 f(x)에서 3
x¾1일 때, y=2(x-1)Û`+a-2의 그래프는 꼭짓점의 좌표가 2015 2015
=3 f { }=3 f {3_ }
3 3Û`
(1, a-2)이고 아래로 볼록하고,
2015 2015
x<1일 때, y=-(x-1)Û`+a-2의 그래프는 꼭짓점의 좌표가 =3Û` f { }=3Û` f {3_ }
3Û` 3Ü` V
(1, a-2)이고 위로 볼록하다. ⋮
즉,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2015
=3ß` f { }
y=f{x} 3ß`
2015
이때, 2< É3이므로
3ß`
2015 2015
f(2015)=3ß` f { }=3ß`_{- +3} (∵ ㉠)
{1,`a-2} 3ß` 3ß`
172
=3ß`_ =172
3ß`
방정식 f(x)=g(x)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야 한다.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증가하는 형태이므로 함수의
317 ①

그래프가 역함수의 그래프와 만나는 교점은 직선 y=x와의 교점과 등식 f(2x+y)=4 f(x)+ f(y)+2xy+12의 양변에 y 대신 -x를
같다. 대입하면
즉,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f(x)=4 f(x)+ f(-x)-2xÛ`+12
만나야 한다. 3 f(x)+ f(-x)=2xÛ`-12 yy ㉠
Ú x¾1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x와 접할 때 ㉠의 양변에 x 대신 -x를 대입하면
이차방정식 2xÛ`-4x+a=x, 즉 2xÛ`-5x+a=0의 판별식을 3 f(-x)+ f(x)=2xÛ`-12 yy ㉡
25 ㉠의 양변에 3을 곱한 식에서 ㉡의 양변을 각각 빼면
D라 하면 D=25-8a=0이므로 a=
8 8 f(x)=4xÛ`-24이므로
Û x<1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x와 접할 때 1
f(x)= xÛ`-3
이차방정식 -xÛ`+2x+a-3=x, 즉 xÛ`-x-a+3=0의 2
11 1
판별식을 D라 하면 D=1+4a-12=0이므로 a= ∴ f(4)= _16-3=5
4 2
y 다른 풀이
y=x
25
a=
8 f(2x+y)=4 f(x)+ f(y)+2xy+12 yy ㉢
㉢에 x=0, y=0을 대입하면
11 f(0)=4 f(0)+ f(0)+12에서 f(0)=-3이다.
a=
4
㉢에 y=0을 대입하면
O f(2x)=4 f(x)+9 (∵ f(0)=-3) yy ㉣
x
㉢에 x=1, y=-1을 대입하면
Ú, Û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는 f(1)=4 f(1)+ f(-1)+10
25 11 3 f(1)+ f(-1)+10=0 yy ㉤
a> 또는 a< 일 때 한 점에서 만나고,
8 4
㉢에 x=-1, y=1을 대입하면
25 11
a= 또는 a= 일 때 두 점에서 만나고, f(-1)=4 f(-1)+ f(1)+10
8 4
3 f(-1)+ f(1)+10=0 yy ㉥
11 25
<a< 일 때 세 점에서 만난다. 5
4 8 두 식 ㉤, ㉥을 연립하여 풀면 f(-1)= f(1)=-
2
11 25
따라서 구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 이다. ㉣에 x=1을 대입하면
4 8
f(2)=4 f(1)+9=-1
㉣에 x=2를 대입하면
f(4)=4 f(2)+9=5
316 172

조건 ㈎에 의하여
á x-1 (1ÉxÉ2)
318 ①
f(x)=Ò yy ㉠
» -x+3 (2<xÉ3) f(x+y)= f(x) f(y)- f(x-y)에 x=1, y=0을 대입하면

Ⅴ. 함수와 그래프 73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3 22. 9. 13. 오후 6:59


f(1)= f(1) f(0)- f(1)이고, f(1)=1이므로 f(0)=2이다. 이때, f(1)=2, f Û`(1)=3, f Ü`(1)=1이므로
f(2)= f(1+1)= f(1) f(1)- f(1-1) f Ü`=I`(I는 항등함수)이다.
3_672+2 3_673
= f(1)- f(0)=1-2=-1 즉, f Û` â` Ú`¡`= f = f Û`, f Û` â` Ú`á`= f =I이므로
f(3)= f(2+1)= f(2) f(1)- f(2-1) f Û` â` Ú`¡`(1)+ f Û` â` Ú`á`(2)= f Û`(1)+I(2)=3+2=5를 만족시킨다.
= f(2)- f(1)=-1-1=-2 Û f(1)=3인 경우
f(4)= f(3+1)= f(3) f(1)- f(3-1) f(3)의 값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 f(3)- f(2)=-2-(-1)=-1 ( - ①) f(3)=1인 경우 함수 f 는 다음과 같다.
f(5)= f(4+1)= f(4) f(1)- f(4-1) f
X X
= f(4)- f(3)=-1-(-2)=1
1 1
f(6)= f(5+1)= f(5) f(1)- f(5-1)
= f(5)- f(4)=1-(-1)=2 2 2

f(7)= f(6+1)= f(6) f(1)- f(6-1) 3 3


= f(6)- f(5)=2-1=1
이때, f(1)=3, f Û`(1)=1이고, f(2)=2이므로

f Û` â` Ú`¡`(1)=1, f Û` â` Ú`á`(2)=2에서 f Û`â`Ú` ¡`(1)+ f Û`â`Ú`á`(2)=3이므로
이므로 자연수 n에 대하여 f(n)의 값은 1, -1, -2, -1, 1, 2가
f Û` â` Ú`¡`(1)+ f Û` â` Ú`á`(2)=5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반복된다.
( - ②) f(3)=2인 경우 함수 f는 다음과 같다.
이때, 999=6_166+3이므로
f
f(999)= f(3)=-2 X X
1 1

319 ④ 2 2

f(x+y)= f(x) f(y) yy ㉠ 3 3

ㄱ. ㉠에 x=1, y=0을 대입하면 이때, f(1)=3, f Û`(1)=2, f Ü`(1)=1이므로


f(1)= f(1) f(0)에서 f(1)=2이므로 f Ü`=I (I는 항등함수)이다.
2=2 f(0)에서 f(0)=1이다. (거짓) 즉, f Û` â` Ú`¡`= f
3_672+2
= f Û`, f Û` â` Ú`á`= f
3_673
=I이므로
ㄴ. f(1)=2이므로 f Û` â` Ú`¡`(1)+ f Û` â` Ú`á`(2)= f Û`(1)+I(2)=2+2=4이므로
f(2)= f(1+1)= f(1) f(1)=4 f Û` â` Ú`¡`(1)+ f Û` â` Ú`á`(2)=5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f(3)= f(2+1)= f(2) f(1)=8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 는 Ú과 같다.
f(4)= f(3+1)= f(3) f(1)=16 f Û` â` Û` â`= f
3_673+1
= f, f Û` â` Û` Û`= f
3_674
=I이므로
f(5)= f(4+1)= f(4) f(1)=32 (참) f Û` â` Û` â`(3)+ f Û` â` Û` Û`(1)= f(3)+I(1)=1+1=2
ㄷ. f(x)=a, f(y)=b라 하면
x= f ÑÚ`(a), y= f ÑÚ`(b)이다.
㉠에서 f(x+y)= f(x) f(y)=ab이므로
f ÑÚ`(ab)=x+y= f ÑÚ`(a)+ f ÑÚ`(b)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321 ②

320 2 ㄱ. 집합 A={1, 2, 3}에서 A로의 일대일대응인 함수의 개수는


3_2_1=6이므로 n(S)=6이다. (참)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f Û`â`Ú` ¡`(1)+ f Û`â`Ú`á`(2)=5에서
ㄴ. (SÁ'Sª'S£)‚``=SÁ‚``;Sª‚``;S£‚``이고,
f Û`â`Ú`¡`(1)=2, f Û`â`Ú`á`(2)=3 또는 f Û`â`Ú` ¡`(1)=3, f Û` â` Ú`á`(2)=2이다.
집합 SÁ‚``, Sª‚``, S£‚``은 각각 f(1)=1, f(2)=2, f(3)=3인
이때, f(1)=1이거나 f(3)=3이면 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함수의 집합이다.
f(1)+1, f(3)+3이다.
따라서 집합 SÁ‚``;Sª‚``;S£‚``은 f(1)=1, f(2)=2, f(3)=3을
f(1)의 값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생각하면 다음과 같다.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의 집합이므로 원소는 항등함수뿐이다.
Ú f(1)=2인 경우
즉, f<(SÁ'Sª'S£)‚``이면 f=I이다. (참)
f(3)+3을 만족시키는 함수 f 는 다음과 같다.
ㄷ. A에서 A로의 일대일대응을 모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
X X Ú A A A A A A
ÛA AA A A A Ü
A A A A A A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74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4 22. 9. 13. 오후 6:59


Ý A A A A A A
ÞA AA A A A ß
A A A A A A f(4)=3, f(3)=3일 때 f(2)로 가능한 값은 1, 2, 3, 4, 5로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5개이므로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함수 f의 개수는 5+5=10이다.
Û f(1)=2, f(2)=1인 경우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3
f
X X
일대일대응인 두 함수의 합성함수도 일대일대응이므로
1 1 V
h= f ç g도 A에서 A로의 일대일대응이다.
2 2
h ç h ç h=I를 만족시키는 함수 h를 위의 6개의 일대일대응인 3 3
함수 중에서 찾으면 Ú, Ý, Þ으로 3개이다. 4 4
이때, 함수 h에 대하여 함수 g가 Ú ~ ß의 6개 중의 하나이면 5 5
h= f ç g 를 만족시키는 함수 f 가 유일하게 결정되므로
( f ç f)(4)=3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f(4)+1, f(4)+2이다.
yy TIP
f(4)=3, f(3)=3일 때 1개이므로
구하는 순서쌍 ( f, g)의 개수는 3_6=18이다. (거짓)
함수 f의 개수는 1이다.
yy 참고
Ü f(1)=3, f(3)=1일 때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f
X X
TIP 1 1
함수 g 는 일대일대응이므로 역함수 gÑÚ`가 존재한다. 2 2
따라서 h= f ç g 에서 함수 g 가 Ú ~ ß 중의 하나이면 함수 f는 3 3

f=h ç gÑÚ`로 유일하게 결정된다. 4 4


5 5

참고
( f ç f)(4)=3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f(4)+3이다.
ㄷ에서 f ç g=h가 되는 두 함수 f, g의 순서쌍 ( f, g)를 각각 f(4)=1일 때 f(2)로 가능한 값은 1, 2, 3, 4, 5로 5개이고,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f(4)=2, f(2)=3일 때 1개이므로
f ç g가 Ú이 되는 경우 두 함수 f, g의 순서쌍은 함수 f 의 개수는 5+1=6이다.
( , ), ( , ), ( , ), ( , ), ( , ), ( , )으로 6개이고, Ý f(1)=4, f(4)=1이면 ( f ç f)(4)=4이므로 조건을
f ç g가 Ý가 되는 경우 두 함수 f, g의 순서쌍은 만족시키지 못하고,
( , ), ( , ), ( , ), ( , ), ( , ), ( , )으로 6개이고, f(1)=5이면 f(5)=4에서 ( f ç f)(1)=4이므로 조건을
f ç g가 Þ가 되는 경우 두 함수 f, g의 순서쌍은 만족시키지 못한다.
( , ), ( , ), ( , ), ( , ), ( , ), ( , )으로 6개이다. Ú ~ Ý에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10+1+6=17이다.

322 ③

f(5)=4이므로
㈏에서 ( f ç f ç f)(5)=( f ç f)(4)=3이다. 323 5

이때, f(4)=4 또는 f(4)=5이면 ( f ç f)(4)=4가 되므로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함수 f(x)는 일대일대응이다.
f(4)=1 또는 f(4)=2 또는 f(4)=3이다. 1 1
g(x)=(a+b+2){ + }x, h(x)=-(x-c)Û`+4라
( f ç f)(1)=1이기 위한 조건으로 경우를 나누어 생각하면 다음과 3a 3b+6
같다. 하면 함수 y=g(x)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양수인 직선`
Ú f(1)=1인 경우 (∵ a>0, b>0)이고,
f 1 1
g(3)=(a+b+2){ + }_3
X X 3a 3b+6
1 1 1 1
={a+(b+2)}{ + }
2 2 a b+2
3 3 a b+2
= + +2
b+2 a
4 4
5 5 a b+2
¾2¾Ð + +2=4 yy ㉠
b+2 a
( f ç f)(4)=3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f(4)+1이다. 이므로 x¾3에서 f(x)¾4이다.
f(4)=2, f(2)=3일 때 f(3)으로 가능한 값은 1, 2, 3, 4, 5로 함수 y=h(x)의 그래프는 꼭짓점이 (c, 4)인 위로 볼록한
5개이고, 이차함수의 그래프이므로 h(x)É4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75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5 22. 9. 13. 오후 6:59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Ú~Ü에서 구하는 정수 a의 개수는 1, 2, 3, 4, 5, 6으로 6이다.

{c,`4}
325 4
-1 -1
따라서 함수 f(x)가 일대일함수이고, 치역이 실수 전체의 집합 f(x+y)= f (x)+ f (y) yy ㉠
R이기 위해서 g(3)=h(3)=4이어야 한다. ㄱ. ㉠에 x= f(a), y= f(b)를 대입하면
-1 -1
이때, g(3)=4이면 ㉠에서 등호가 성립하므로 f( f(a)+ f(b))= f ( f(a))+ f ( f(b))=a+b (참)
-1
a b+2 ㄴ. f(1)=1이면 f (1)=1이므로 ㉠에 x=y=1을 대입하면
= 에서 aÛ`=(b+2)Û`
b+2 a -1 -1 -1
f(2)= f (1)+ f (1)=1+1=2이므로 f (2)=2
a=b+2 (∵ a>0, b>0)이므로 a-b=2
㉠에 x=1, y=2를 대입하면
또한 h(3)=4에서 c=3 -1 -1
f(3)= f (1)+ f (2)=1+2=3
∴ a-b+c=2+3=5
㉠에 x=y=2를 대입하면
-1 -1
f(4)= f (2)+ f (2)=2+2=4
∴ f(4)- f(3)=4-3=1 (참)
ㄷ. f(a)=p, f(b)=q (p, q는 실수)라 하면
324 ④ -1
f (p)=a, f (q)=b이다.
-1

f(g(x))= f(x)에서 ㉠에 x=p, y=q를 대입하면


-1 -1
{g(x)}Û`-4{g(x)}-3=xÛ`-4x-3 f(p+q)= f (p)+ f (q)=a+b이므로
-1
{g(x)}Û`-xÛ`-4{g(x)-x}=0 f (a+b)=p+q= f(a)+ f(b)이다. (참)
{g(x)+x}{g(x)-x}-4{g(x)-x}=0 ㄹ. ㉠에 y=-x를 대입하면
-1 -1
{g(x)-x}{g(x)+x-4}=0 f(0)= f (x)+ f (-x) yy ㉡
따라서 g(x)=x 또는 g(x)=-x+4이므로 ㉠에 x=y=0을 대입하면
-1 -1 -1
xÛ`+2x+a=x에서 xÛ`+x+a=0 yy ㉠ f(0)= f (0)+ f (0)=2 f (0) yy ㉢
xÛ`+2x+a=-x+4에서 xÛ`+3x+a-4=0 yy ㉡ ㉡, ㉢에서
-1 -1 -1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Á이라 하면 f (x)+ f (-x)=2 f (0)
-1 -1
DÁ=1-4a f (a)+ f (-a) -1
∴ = f (0) (참)
이차방정식 ㉡의 판별식을 Dª라 하면 2
Dª=3Û`-4(a-4)=25-4a 따라서 옳은 것의 개수는 ㄱ, ㄴ, ㄷ, ㄹ로 4이다.
이때 방정식 f(g(x))= f(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가 2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Ú 방정식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고, 방정식 ㉡은 실근을 갖지
326 ④

않는 경우 g(2+x)=g(2-x)에서 함수 g(x)는 축이 x=2인 이차함수이고


1 최고차항의 계수가 음수이므로 -3<x<1에서 x의 값이 커지면
DÁ>0에서 1-4a>0, a<
4 y의 값도 커진다. 그러므로 함수 h(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25 f(-3)=g(-3), f(1)=g(1) 또는
Dª<0에서 25-4a<0, a>
4
f(-3)=g(1), f(1)=g(-3)이어야 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ㄱ. f(-3)=g(1), f(1)=g(-3)인 경우에는
Û 방정식 ㉠은 실근을 갖지 않고, 방정식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f(-3)=g(-3), f(1)=g(1)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거짓)
갖는 경우
ㄴ. f(-3)=2, f(1)=-6이면 일차함수 f(x)가 x의 값이 커지면
1
DÁ<0에서 1-4a<0, a> y의 값은 작아지므로
4
25 f(-3)=g(1), f(1)=g(-3)인 경우이다.
Dª>0에서 25-4a>0, a<
4 g(x)=a(x-2)Û`+b (a, b는 상수)라 하면
1 25 f(-3)=g(1)에서 2=a(-1)Û`+b, a+b=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
4 4 f(1)=g(-3)에서 -6=a(-5)Û`+b, 25a+b=-6
이다. 1 7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b= 이므로
Ü 두 방정식 ㉠, ㉡이 모두 중근을 갖는 경우 3 3
1 1 7
DÁ=0에서 1-4a=0, a= g(x)=- (x-2)Û`+
4 3 3
25 1 7
Dª=0에서 25-4a=0, a= ∴ h(0)=g(0)=- _(-2)Û`+ =1 (참)
4 3 3

76 수학 <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6 22. 9. 13. 오후 6:59


ㄷ. 함수 g(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면 함수 y=g(x)+a의 그래프는 함수 y=g(x)의 그래프를 y축의
g(x)=-(x-2)Û`+c (c는 상수)이고 g(0)=1이면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1=-(-2)Û`+c에서 c=5 다음과 같이 한 점에서만 만난다. yy TIP
∴ g(x)=-(x-2)Û`+5 y y=h{g{x}}
f(-3)=g(-3), f(1)=g(1)인 경우에는
2a
f(1)=g(1)=4, f(-3)=g(-3)=-20이므로 y=g{h{x}} V
4-(-20)
f(x)-4= (x-1), f(x)=6x-2이고 a
1-(-3)
f(-3)=g(1), f(1)=g(-3)인 경우에는
O a x
f(1)=g(-3)=-20, f(-3)=g(1)=4이므로
-20-4 그러므로 방정식 g(h(x))=h(g(x))의 해의 개수는 1이다.
f(x)-4= (x+3), f(x)=-6x-14이다.
1-(-3)
-1 -1 (거짓)
한편 h (10)=p, h (-26)=q (p, q는 상수)라 하면
ㄷ. h(x)=x+a의 역함수는 hÑÚ`(x)=x-a이므로
h(p)=10, h(q)=-26이고
-1 -1 (h ç g ç hÑÚ`)(x)=(h ç g)(x-a)=h(g(x-a))
h (10)+h (-26)=p+q이다.
=g(x-a)+a
이때 g(1)=4, g(-3)=-20이므로
에서 이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y=g(x)의 그래프를 x축의
h(x)¾4 또는 h(x)É-20일 때 h(x)= f(x)이다.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즉, f(x)=6x-2일 때,
h ç gÑÚ` ç hÑÚ`=h ç (h ç g)ÑÚ`={(h ç g) ç hÑÚ`}ÑÚ`
f(p)=10에서 6p-2=10, p=2이고
에서 함수 y=(h ç gÑÚ` ç hÑÚ`)(x)가 함수 y=(h ç g ç hÑÚ`)(x)의
f(q)=-26에서 6q-2=-26, q=-4이므로
역함수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p+q=2+(-4)=-2
대칭이다.
f(x)=-6x-14일 때,
y
f(p)=10에서 -6p-14=10, p=-4이고 y={h©g—!©h—!}{x}
y=x
f(q)=-26에서 -6q-14=-26, q=2이므로
p+q=(-4)+2=-2
-1 -1 2a y={h©g©h—!}{x}
그러므로 h (10)+h (-26)=-2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O 2a x

그러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h ç g ç hÑÚ`)(x)É(h ç gÑÚ` ç hÑÚ`)(x)이다. (참)
327 ③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점 (a, a)`(a>0)를 지나고 기울기가
TIP
1보다 큰 직선이므로 이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
y= f ÑÚ`(x)의 그래프는 점 (a, a)를 지나고 기울기가 1보다 작은 x<0에서 두 함수 y=h(g(x)), y=g(h(x))의 그래프가
직선이다. 평행하므로 만나지 않는다.
á f(x) (x<a) 0ÉxÉa에서 두 함수 y=h(g(x)), y=g(h(x))의 그래프는
즉, 함수 g(x)=Ò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한 점에서만 만난다.
» f ÑÚ`(x) (x¾a)
y x>a에서 두 함수 y=h(g(x)), y=g(h(x))의 그래프가
y=x
y=g{x} 평행하므로 만나지 않는다.

a
7
328 8
O a x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ㄱ. (h ç hÑÚ`)(x)=x이므로 방정식 g(x)=(h ç hÑÚ`)(x)의 해는 1 1
점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yy ㉠
2 2
함수 y=g(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조건 ㈏의 식에 x=0을 대입하면
두 그래프가 점 (a, a)에서만 만나므로 방정식의 해는
f(0)
x=a 뿐이다. (참) f(0)= 에서 f(0)=0이고, ㉠에 의하여 f(1)=1이다.
2
ㄴ. g(h(x))=g(x+a), h(g(x))=g(x)+a이다. 조건 ㈏의 식에 x=1을 대입하면
함수 y=g(x+a)의 그래프는 함수 y=g(x)의 그래프를 x축의 1 f(1) 1 2 1
f { }= = 이고, ㉠에 의하여 f { }= 이다.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3 2 2 3 2

Ⅴ. 함수와 그래프 77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7 22. 9. 13. 오후 6:59


즉,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1 1 1 1 2 1
세 점 { , }, { , }, { , }을 지나므로
3 2 2 2 3 2
1 2 1
조건 ㈐에 의하여 ÉxÉ 일 때 f(x)= 이다.
3 3 2
y
329 ②

1 x-1 xÜ`+1 x+1


Ö _
x xÛ`-2x xÛ`-3x+2
1
x-1 x(x-2) x+1 1
= _ _ =
2 x (x+1)(xÛ`-x+1) (x-1)(x-2) xÛ`-x+1

O 1
3
1
2
2
3
1 x 330 13

주어진 등식의 좌변의 분모를 같게 하면


1 2 1
이때, 조건 ㈏에 의하여 ÉxÉ 에서 f(x)= 이고, a b a(x+3)+b(x-2)
9 9 4 + =
x-2 x+3 (x-2)(x+3)
1 2 1
다시 조건 ㈏에 의하여 ÉxÉ 에서 f(x)= 이다. (a+b)x+(3a-2b)
27 27 8 =
xÛ`+x-6
y
1 이므로 x에 대한 항등식
(a+b)x+(3a-2b) 5x
=
xÛ`+x-6 xÛ`+x-6
1
2
에서 a+b=5, 3a-2b=0이므로
1 a=2, b=3
1 4
8 ∴ aÛ`+bÛ`=2Û`+3Û`=13
O 1 2 1 1 2 1 x
1 29 9 3 2 3
27 27
331 ②
14 1
조건 ㈎에 의하여 f { }=1- f { }이고, 2x-7 2(x+3)-13 -13
15 15 y= = = +2에서
x+3 x+3 x+3
1 1 2 1 1
É É 이므로 f { }=
27 15 27 15 8 점근선의 방정식은 x=-3, y=2이므로 yy TIP
14 1 7 a=-3, b=2이다.
∴ f{ }=1- =
15 8 8
∴ a+b=-3+2=-1

TIP
rx+s
<유리함수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
px+q
rx+s
유리함수 y= (ps-qr+0, p+0)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px+q
q r
방정식은 x=- , y= 이다.
p p
즉, 점근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x=(분모를 0으로 만드는 x의 값),
y=(분모, 분자의 x항의 계수의 비)
[증명]
r s
x+
rx+s p p
y= = q
px+q
x+
p
r q rq s rq s
x+ }- + - +
p{ p pÛ` p pÛ` p r
= q = q +
p
x+ x+
p p
2x-7
따라서 유리함수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3
x=-3, y=2임을 빠르게 구할 수 있다.

78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8 22. 9. 13. 오후 6:59


주어진 그래프에서 점근선이 x=-1, y=2이므로
332 ③
c=1, a=2이다.
4x+3 4(x+2)-5 -5 2x+b
함수 y= = = +4의 그래프를 x축의 또한 함수 y= 의 그래프가 점 (-3, 0)을 지나므로
x+2 x+2 x+2 x+1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하면 -6+b
=0, b=6
-5 -5 -2
이므로
y=
(x-2)+2
+4-4=
x ∴ a+b+c=2+6+1=9 V
a=2, b=-4, c=-5
∴ a+b+c=2+(-4)+(-5)=-7
335 ④

333 ④
함수 y=
3-2x -2(x+1)+5
x+1
=
x+1
=
5
x+1
-2의 그래프는 다음과
3 3 같다.
함수 y= +1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를 x축의
x-2 x
y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3-2x
3 y= x+1
<보기>의 함수의 그래프 중 평행이동하여 함수 y= 의 그래프와
x
-1 O x
겹쳐지는 것을 찾으면 된다. -2
x-3 3 3
ㄱ. 함수 y= =1-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를
x x x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① 정의역은 {x|x+-1인 모든 실수},
3 치역은 {y|y+-2인 모든 실수}이다. (거짓)
따라서 평행이동만으로 함수 y= 의 그래프와 겹쳐질 수 없다.
x
②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y=-2이다. (거짓)
2x+1 2(x-1)+3 3
ㄴ. 함수 y= = = +2의 그래프는 5
x-1 x-1 x-1 ③ 함수 y= 의 그래프는 점 (0, 0)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x
3
함수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5
x y= -2의 그래프는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다.
x+1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거짓)
6x+3 3(2x-1)+6 6 3
ㄷ. 함수 y= = = +3= +3 ④ 직선 x=-1이 점근선이므로 제 2사분면을 지난다. (참)
2x-1 2x-1 2x-1 1
x-
2 5
⑤ 함수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3 1 x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만큼,
x 2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거짓)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④이다.
3
따라서 평행이동하여 함수 y= +1의 그래프와 겹쳐지는 것은 참고
x-2
ㄴ, ㄷ이다. 점근선이 두 직선 x=-1, y=-2이므로 제 2, 3, 4사분면을
모두 지남을 알 수 있다. 이때, y절편을 구해 보면 x=0일 때
y=3이므로 y절편이 양수이다. 따라서 그래프가 제 1사분면을
334 9
지남을 알 수 있으므로 그래프는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점근선이 두 직선 x=-1, y=2이므로
k
유리함수를 y= +2 (k는 0이 아닌 상수)라 하자.
x+1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3, 0)을 지나므로 336 ②

k kx-2
+2=0, k=4 함수 y=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2 x+1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를 나타내는 유리함수는 x=-1, y=k이다.
4 4+2(x+1) 2x+6 5x+1
y= +2= = 이므로 함수 y= 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x+1 x+1 x+2
a=2, b=6, c=1 x=-2, y=5이다.
∴ a+b+c=2+6+1=9 네 직선 x=-1, x=-2, y=k, y=5로 둘러싸인 부분은 가로의
다른 풀이 길이가 1, 세로의 길이가 |k-5|인 직사각형이고, 이 넓이가 7이므로

ax+b |k-5|=7에서 k=12 또는 k=-2


유리함수 y= 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c, y=a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곱은 -24이다.
x+c

Ⅴ. 함수와 그래프 79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79 22. 9. 13. 오후 6:59


-y-1
337 ② xy+y=3x-1, x(y-3)=-y-1, x=
y-3
이고,

함수 f(x)가 x+-3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1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x-3
f( f(x))=x이므로 f ÑÚ`(x)= f(x)이다.
-x-1
따라서 f(-2)=1이므로 f ÑÚ`(-2)=1, 즉 f(1)=-2이다. 따라서 역함수는 y= 이므로 yy TIP
x-3
a+b a=-1, b=-1, c=-3
f(-2)=-2a+b=1, f(1)= =-2
4
∴ abc=-1_(-1)_(-3)=-3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b=-5이다.
-3x-5 -9-5 7 TIP
따라서 f(x)= 이므로 f(3)= =- 이고,
x+3 3+3 3
rx+s
f(3)= f ÑÚ`(3)이므로 <유리함수 y= 의 역함수>
px+q
7 rx+s
f ÑÚ`(3)=- 유리함수 f(x)= (ps-qr+0, p+0)의
3 px+q
-qx+s
역함수는 f ÑÚ`(x)= 이다.
px-r
338 19
(즉, q와 r의 부호를 바꿔서 서로 자리를 바꾼다.)
조건 ㈏의 두 직선 y=x+10, y=-x+2의 교점의 좌표는 [증명]
x+10=-x+2에서 x=-4, y=6이므로 (-4, 6)이다. rx+s
y= 를 x에 대하여 풀면
px+q
따라서 주어진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점 (-4, 6)에 대하여 대칭이다.
(px+q)y=rx+s, (py-r)x=-qy+s
yy TIP
-qy+s
x= 이고 x와 y를 서로 바꾸면
즉, 점근선의 방정식이 x=-4, y=6이므로 유리함수를 py-r
6x+k -qx+s -qx+s
y= (k는 상수)라 하면 y= 이므로 f ÑÚ`(x)= 이다.
x+4 px-r px-r
조건 ㈎에서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1, 3)을 지나므로 3x-1
이를 이용하여 함수 y= 의 역함수는
6+k x+1
3= ∴ k=9
5 -x-1
y= 임을 빠르게 구할 수 있다.
6x+9 x-3
즉, y= 이므로 p=6, q=9, r=4
x+4
∴ p+q+r=6+9+4=19

TIP
340 ④

3x+1 3(x+1)-2 -2
k f(x)= = = +3
유리함수 y= (k는 상수)의 그래프는 두 직선 x+1 x+1 x+1
x
2
y=x, y=-x에 대하여 대칭이고, 두 점근선의 교점인 0ÉxÉ2에서 함수 y=- +3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x+1
원점 (0, 0)에 대하여 대칭이다. y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면 유리함수의 그래프가
대칭이 되는 두 직선과 두 점근선의 교점도 평행이동되므로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에 대하여 대칭이고, 3
두 점근선의 교점을 지나면서 기울기가 1 또는 -1인 직선에
대해서도 대칭이다.
-1 O 2 x
y=-x y y=x y=-{x-a}+b
y y={x-a}+b
k 따라서 x=0에서 최솟값, x=2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y= x k
y= x-a +b 2 7
x M= f(2)=- +3= ,
O {a,`b} 2+1 3
x
2
O m= f(0)=- +3=1
0+1
7 4
∴ M-m= -1=
3 3

339 ③

3x-1
341 ④

함수 y= 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x+1 2x+k k+6
함수 f(x)= = +2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3x-1 x-3 x-3
y= 을 x에 대하여 풀면
x+1 x=3, y=2이고 정의역이 {x|-1ÉxÉ2}일 때 치역이 집합

80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0 22. 9. 13. 오후 6:59


{y|-4ÉyÉ-2}를 포함하려면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다음과 또는 직선 y=-x의 교점이다.
같다. [증명]
y k
y=2
유리함수 y= (k>0)의 그래프 위의 점 P의 좌표를
x
-1 2
O x k kÛ`
{p, }라 하면 점 P와 원점 사이의 거리는 ¾ÐpÛ`+ 이다.
p pÛ`
V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3
kÛ` kÛ`
x=-1일 때 f(x)가 최대이고, x=2일 때 f(x)가 최소이므로 pÛ`+ ¾2¾Ðp`Û _ =2k (∵ k>0)이고,
pÛ` pÛ`
f(-1)¾-2이고, f(2)É-4를 만족해야 한다. kÛ`
이때 등호는 pÛ`= , 즉 p=Ñ'k일 때 성립하므로 점 P의 좌표는
k-2 pÛ`
f(-1)= ¾-2에서 kÉ10이고
-4
('k, 'k ) 또는 (-'k, -'k )이다.
k+4
f(2)= É-4에서 k¾0이다. k
-1 유리함수 y= (k<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하면
x
따라서 0ÉkÉ10에서 정수 k의 개수는 11이다.
점 P의 좌표는 ('¶-k, -'¶-k ) 또는 (-'¶-k, '¶-k )이다.

342 ② 따라서 함수 y=
k
x
(k+0)의 그래프 위의 점 P와 원점 사이의

8 8 거리가 최소일 때 점 P는 직선 y=x 또는 직선 y=-x 위의


함수 y= 의 그래프 위의 점 P의 좌표를 {a, }이라 하면
x a 점이다.
64 y y=x y=-x y
점 P와 원점 사이의 거리는 ¾ÐaÛ`+ 이다.
aÛ`
k
64 y= {k>0} P
이때, aÛ`>0, >0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x
P x
aÛ` x
O O P
P k
64 64 y= {k<0}
aÛ`+ ¾2¾ÐaÛ`_ =16 x
aÛ` aÛ`
64
(단, 등호는 aÛ`= , 즉 a=Ñ2'2일 때 성립한다.)
aÛ`
64
따라서 aÛ`+ 의 최솟값은 16이므로
aÛ`
64
¾ÐaÛ`+
aÛ`
의 최솟값은 4이다. 343 ①

다른 풀이 3
유리함수 y= -1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a
8
함수 y= 의 그래프 위의 점 P와 원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될 때 x=a, y=-1이다.
x
8 Ú a¾0일 때
점 P는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이다. yy TIP
x 그래프가 다음과 같으므로 항상 제1사분면을 지난다.
y y=x y

8
y=
x x
a
O x O
-1

8 Û a<0일 때
=x에서 xÛ`=8 ∴ x=2'2 또는 x=-2'2
x
그래프가 제1사분면을 지나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즉, 점 P의 좌표가 (2'2, 2'2 ) 또는 (-2'2, -2'2 )일 때, 점 P와
x=0일 때 함숫값이 0 이하이어야 한다.
원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다.
y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¹(2'2 )Û`+(2'2 )Û`=4이다.

TIP a O x
k -1
유리함수 y= (k+0)의 그래프 위의 점 P와 원점 사이의
x
k
거리가 최소일 때 점 P는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x
x

Ⅴ. 함수와 그래프 81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1 22. 9. 13. 오후 6:59


3 3 y
따라서 -1É0, ¾-1 y=Â-3˛xÊ y=Â3xÊ
-a a
y=Â-2˛xÊ y=Â2xÊ
3É-a (∵ a<0) ∴ aÉ-3
y=Â-x˛° y=Âx°
Ú, Û에서 구하는 a의 값의 범위는 aÉ-3이다.

O x
344 ⑤
따라서 선지 중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x x
+
'¶x+9+3 '¶x+9-3
x('¶x+9-3)+x('¶x+9+3)
=
('¶x+9+3)('¶x+9-3)
347 ④

x('¶x+9-3+'¶x+9+3) 2x'¶x+9 y='¶-4x+12+5=2'¶-(x-3)+5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 =
'¶x+9 Û`-3Û` x 함수 y=2'x의 그래프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2'¶x+9 (∵ x+0)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a=3, b=5이므로
a+b=3+5=8
345 ④

1
무리식 '¶3x+6+ 의 값이 실수이려면 근호 안의 식이
'¶2-x 348 ⑤
0 이상이어야 하므로 3x+6¾0, 2-x¾0이다.
함수 y='¶2x+4+3='¶2(x+2)+3의 그래프는
1
이때, 에서 분모가 0이면 안되므로 2-x+0이다. 함수 y='¶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2-x
즉, 3x+6≥0이고, 2-x>0이다.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따라서 -2≤x<2이므로 정수 x는 -2, -1, 0, 1로 4개이다. y

y=Â2xÊ+˛4˛+3

346 ⑤ 3

a의 값의 부호에 따른 무리함수 y='¶ax (a+0)의 그래프는


-2 O x
다음과 같다.
y y ① 정의역은 {x|x¾-2}이다. (거짓)
a<0 a>0 ② 치역은 {y|y¾3}이다. (거짓)
③ x의 값이 커짐에 따라 y의 값은 커진다. (거짓)
④ 제1, 2사분면을 지나고, 제3, 4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거짓)
O x O x ⑤ 함수 y='¶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참)
① a>0이면 정의역과 치역은 0 이상의 모든 실수의 집합이다. (참)
따라서 선지 중 옳은 것은 ⑤이다.
② a<0이면 정의역은 {x|xÉ0}이고 치역은 {y|y¾0}이다. (참)
③ a<0이면 지나는 사분면은 제2사분면뿐이다. (참)
④ 두 함수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면 두 함수는
서로 역함수 관계이다. 즉, 무리함수 y='¶ax의 역함수를 구하면 349 ㄱ, ㄴ, ㄹ, ㅂ, ㅅ

다음과 같다. ㄱ. 함수 y=xÛ` (x¾0)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직선


yÛ`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다.
y='¶ax를 x에 대하여 풀면 yÛ`=ax, x= 이고,
a
ㄴ. 함수 y=1+'¶-x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y축에
xÛ`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이다.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a
xÛ` ㄷ. 함수 y='¶2x-1의 그래프는 함수 y='¶2x의 그래프를 x축의
이때, y='¶ax¾0이므로 y='¶ax의 역함수는 y= `(x¾0)이다.
a 1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x의 그래프를
xÛ` 2
따라서 y='¶ax의 그래프는 y= `(x¾0)의 그래프와
a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하여 겹쳐질 수 없다.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참) ㄹ. 함수 y=-'¶x+4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x축의
⑤ |a|의 값이 커질수록 그래프는 x축에서 멀어지고, y축에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가까워진다. (거짓) 것이다.

82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2 22. 9. 13. 오후 6:59


ㅁ. 함수 y=3'x+1의 그래프는 함수 y=3'x='¶9x의 그래프를 7
∴ ( f ç gÑÚ`)ÑÚ` { }=6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함수 y='x의 6
그래프를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하여 겹쳐질 수 없다.
ㅂ. 함수 y='¶x+5-2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5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352 ③

1 1
ㅅ. 함수 y= '¶4x-1=¾Ðx- 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2 4
ㄱ. 함수 y='¶x+4-2='¶x-(-4)-2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V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1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점 (-4, -2)를 지나면서 오른쪽 위로
4
따라서 겹쳐질 수 있는 그래프의 식은 ㄱ, ㄴ, ㄹ, ㅂ, ㅅ이다. 그려진다.
이때, y절편이 '¶0+4-2=0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제2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350 10 y
y=Âx+˛4˛-2
주어진 그래프에서 정의역은 {x|xÉ4}, 치역은 {y|y¾-2}이므로
-4
y='¶a(x-4)-2 (a<0) yy TIP O x

라 하면 이 함수의 그래프가 점 (3, 0)을 지나므로


{-4,`-2} -2
0='¶a(3-4)-2, 2='¶-a, a=-4
즉, y='¶-4(x-4)-2='¶-4x+16-2 ㄴ. 함수 y='¶-x+3-2='¶-(x-3)-2의 그래프는 함수
이므로 b=16, c=-2 y='¶ -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 a+b+c=-4+16+(-2)=10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점 (3, -2)를 지나면서 왼쪽 위로
그려진다.
TIP 이때, y절편이 '¶-0+3-2<0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함수 y='¶ax+b+c의 정의역이 {x|xÉ4}, 같이 제2사분면을 지난다.
치역이 {y|y¾-2}이므로 정의역이 {x|xÉ0}, y
치역이 {y|y¾0}인 무리함수 y='¶ax (a<0)의 그래프를 y=Â-x˛+˛3˛-2
O 3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x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무리함수의 식을
y='¶a(x-4)-2 (a<0)으로 놓을 수 있다.
-2 {3,`-2}

ㄷ. 함수 y=-'¶2-x+3=-'¶-(x-2)+3의 그래프는
참고
함수 y=-'¶-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양의 실수 a에 대하여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점 (2, 3)을 지나면서
정의역이 {x|x¾0}, 치역이 {y|y¾0}인 무리함수는
왼쪽 아래로 그려진다.
y='¶ax
이때, y절편이 -'¶2-0+3=-'2+3>0이므로 이 함수의
정의역이 {x|xÉ0}, 치역이 {y|y¾0}인 무리함수는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제2사분면을 지난다.
y='¶-ax
y {2,`3}
정의역이 {x|x¾0}, 치역이 {y|yÉ0}인 무리함수는 3
y=-'¶ax
정의역이 {x|xÉ0}, 치역이 {y|yÉ0}인 무리함수는 y=-Â2-˛x˛+3
y=-'¶-ax O 2 x
로 놓을 수 있다.
ㄹ. 함수 y=-'¶x-1+4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점 (1, 4)를 지나면서 오른쪽 아래로 그려진다.
351 ③
따라서 이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제2사분면을 지나지 않
7 7 7 는다.
( f ç gÑÚ`)ÑÚ` { }=(g ç f ÑÚ`) { }=g{ f ÑÚ` { }} yy ㉠
6 6 6 y
7 7 4 {1,`4}
이때, f ÑÚ` { }=k라 하면 f(k)= 이므로
6 6
k+1 7 y=-Âx-˛1˛+4
= 에서 7k-14=6k+6, k=20 x
k-2 6 O 1
7
㉠에서 g{ f ÑÚ` { }}=g(20)='¶2_20-4=6 따라서 그래프가 제2사분면을 지나는 것은 ㄴ, ㄷ이다.
6

Ⅴ. 함수와 그래프 83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3 22. 9. 13. 오후 6:59


⑵ 함수 y='¶x-1+3의 정의역은 {x|x¾1}, 치역은 {y|y¾3}이다.
353 ④
y='¶x-1+3을 x에 대하여 풀면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a<0이고, y-3='¶x-1, (y-3)Û`=x-1
b x=(y-3)Û`+1
축이 y축보다 오른쪽에 있으므로 - >0에서 b>0,
2a
x와 y를 서로 바꾸면 y=(x-3)Û`+1
y절편이 음수이므로 c<0이다.
이때, 역함수의 정의역, 치역은 각각 원래 함수의 치역, 정의역과
한편, 무리함수 y='¶ax-c+b의 그래프는 y='¶ax의 그래프를
같으므로
c
x축의 방향으로 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함수 g(x)의 정의역은 {x|x¾3}, 치역은 {y|y¾1}이다.
a
∴ g(x)=(x-3)Û`+1 (x¾3)
c
이때, a<0이므로 이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점 { , b}를 지나면서 ⑶ y
a y=g{x} y=x
c
왼쪽 위로 그려지고, >0, b>0이므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a
y y=f{x}
y=ÂaxÊ-˛c˛+b

b O x

O c x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증가하는 형태이므로 함수의 그래프가


a
역함수 y=g(x)의 그래프와 만나는 점은 직선 y=x와의 교점과
따라서 구하는 답은 ④이다. 같다.
방정식 '¶x-1+3=x에서 '¶x-1=x-3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x-1=(x-3)Û`, xÛ`-7x+10=0
(x-2)(x-5)=0에서 x=2 또는 x=5
이때, 함수 f(x), g(x)의 정의역의 범위에 의하여 x¾3이므로
354 ④
x=5
함수 y='¶a-x+2='¶-(x-a)+2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는 (5, 5)이다.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채점 요소 배점
것이므로 -5ÉxÉ3에서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무리함수 y= f(x)의 그래프 그리기 30%
무리함수의 역함수와 정의역, 치역 구하기 30%
{a,`2} 함수와 역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 구하기 40%
-5 3 x

따라서 x=3일 때 최솟값 3을 갖고, x=-5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x=3일 때 y='¶a-3+2=3이므로 '¶a-3=1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a-3=1, a=4
따라서 x=-5일 때 y='¶4-(-5)+2=5이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5이다.

355 풀이 참조 356 ⑤

⑴ 함수 f(x)='¶x-1+3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f(x)='¶-2x+a+b라 하면 함수 y= f(x)와 그 역함수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y= f ÑÚ`(x)의 그래프가 모두 점 (1, 3)을 지나므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f(1)=3, f(3)=1이다.
y f(1)='¶a-2+b=3, f(3)='¶a-6+b=1에서
'¶a-2=3-b, '¶a-6=1-b이다. yy ㉠
두 식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3
a-2=bÛ`-6b+9, a-6=bÛ`-2b+1
두 식의 양변을 각각 빼면 4=-4b+8에서 b=1
㉠에 대입하면 a=6
O 1 x
∴ a+b=6+1=7

84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4 22. 9. 13. 오후 6:59


Ú ~ Ü에서 0Ék<3일 때 두 그래프가 만나지 않으므로 구하는
357 ④
정수 k는 0, 1, 2로 3개이다.
함수 y='¶x-1의 그래프와 직선 y=mx가 접하므로 다음과 같이
m>0이고, x에 대한 방정식 '¶x-1=mx의 실근이 오직 하나이다.
y y=mx 359 ③

1
+
2
+
3 V
{a,`b} y=Âx-˛1˛ x(x+1) (x+1)(x+3) (x+3)(x+6)
1 1 2 1 1 3 1 1
={ - }+ { - }+ { - } yy TIP
x x+1 2 x+1 x+3 3 x+3 x+6
O 1 x
1 1 (x+6)-x 6
= - = =
'¶x-1=mx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x-1=mÛ`xÛ`이고, 이차방정식 x x+6 x(x+6) x(x+6)
mÛ`xÛ`-x+1=0 yy ㉠ 6 3
이므로 = 에서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1-4mÛ`=0이어야 하므로 x(x+6) 4
x(x+6)=8, xÛ`+6x-8=0
1 1
(1+2m)(1-2m)=0 ∴ m=- 또는 m= 이 이차방정식은 두 실근을 가지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 2
1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은 -8이다.
이때, m>0이므로 m=
2
1 TIP
㉠에 대입하면 xÛ`-x+1=0
4 <부분분수>
xÛ`-4x+4=0, (x-2)Û`=0 1 1 1 1
= { - } (단, A+B)
즉, x=2에서 접하므로 a=2, b='¶2-1=1 AB B-A A B
1 7 [증명]
∴ m+a+b= +2+1=
2 2 1 1 1 1 B-A 1
{ - }= _ =
B-A A B B-A AB AB

358 ④

함수 y=-'¶3x+6-6=-'¶3(x+2)-6의 그래프는
함수 y=-'¶3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360 ③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x-1 x-1 (x-1)Û`


= =
직선 y=kx는 원점을 지나고 기울기가 k인 직선이고, 이 직선이 2 (x-1)-2 x-3
1-
x-1 x-1
점 (-2, -6)을 지날 때, -6=-2k에서 k=3이다.
Ú k=3일 때, 다음과 같이 두 그래프는 한 점에서 만난다. xÛ`-2x+1 (x-3)(x+1)+4
= =
x-3 x-3
y k=3
4
-2 =x+1+
x x-3
O
이므로 x에 대한 항등식
-6 4 c
x+1+ =ax+b+ 에서
y=-Â3xÊ+˛6˛-6 x-3 x-3
a=1, b=1, c=4
Û 0Ék<3일 때, 다음과 같이 두 그래프는 만나지 않는다. ∴ a+b+c=1+1+4=6
y 0 k<3
-2
O x
361 ③

-6
3aÛ`+5a+2 (a+6)(3a-13)+80
y=-Â3xÊ+˛6˛-6 =
a+6 a+6
80
= +3a-13
Ü k<0 또는 k>3일 때, 다음과 같이 두 그래프는 한 점에서 만난다. a+6
y y 자연수 a에 대하여 이 값이 정수가 되려면 a+6이 80의 약수이어야
k<0 k>3
한다.
-2 O -2 자연수 a에 대하여 a+6>6이고, 6보다 큰 80의 약수 중 최솟값은
x O x
-6 -6
8, 최댓값은 80이므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a+6=8에서 2,
y=-Â3xÊ+˛6˛-6 y=-Â3xÊ+˛6˛-6 최댓값은 a+6=80에서 74이다.
따라서 구하는 합은 2+74=76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85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5 22. 9. 13. 오후 6:59


3k 4k k(3b+4a)
362 :Á4¦: v+võ=
a
+ =20에서
b ab
=20이므로

2b+c a+c a+2b 20ab


= = =k라 하면 k=
a 2b c 4a+3b
( -ak+2b+c=0 따라서 물질 A의 부피는
Ò a-2bk+c=0 yy ㉠ 3k 3 20ab 60b
v= = × =
a a 4a+3b 4a+3b
9 a+2b-ck=0
세 식의 양변을 각각 더하면
(2-k)a+2(2-k)b+(2-k)c=0
(2-k)(a+2b+c)=0이므로 k=2 (∵ a+2b+c+0)
㉠에 대입하여 풀면 a=2b=c이므로 yy TIP1
a`:`b`:`c=2`:`1`:`2
364 ⑤

따라서 a=2t, b=t, c=2t (t+0)라 하면 2x+k k+6


y= = +2 (k>0)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x-3 x-3
aÜ`+bÜ`+cÜ` 8tÜ`+tÜ`+8tÜ` 17
= = y 2x+k
abc 4tÜ` 4 y=
x-3
다른 풀이

a+2b+c+0이므로 2
2b+c a+c a+2b 2(a+2b+c)
= = = =2에서 yy TIP2 O 3 x
a 2b c a+2b+c
k
-
2b+c=2a, a+c=4b, a+2b=2c 3

세 식을 연립하여 풀면 a=2b=c이므로 yy TIP1


ㄱ. 점근선의 방정식이 x=3, y=2이므로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두
a`:`b`:`c=2`:`1`:`2
직선 x=3, y=2와 만나지 않는다. (참)
따라서 a=2t, b=t, c=2t (t+0)라 하면
ㄴ. 두 점근선의 교점이 (3, 2)이므로 이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aÜ`+bÜ`+cÜ` 8tÜ`+tÜ`+8tÜ` 17
= = y=(x-3)+2=x-1과 직선 y=-(x-3)+2=-x+5에
abc 4tÜ` 4
대하여 대칭이다. (참)
TIP1 k
ㄷ. y절편이 - <0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모든 사분면을
2a-2b-c=0 yy ㉠ 3
a-4b+c=0 yy ㉡ 지난다. (참)
a+2b-2c=0 yy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을 하면 3a-6b=0에서 a=2b
㉡-㉢을 하면 -6b+3c=0에서 c=2b
따라서 a=2b=c이다.

TIP2 365 ;10Á01;

a c e 1
= = 일 때, b+d+ f+0이면 fÁ(1)= f(1)=
b d f 2
a c e a+c+e 1
= = = 가 성립한다.
b d f b+d+ f 1 2 1
fª(1)=( f ç fÁ)(1)= f { }= =
2 1 3
+1
2
1
1 3 1
f£(1)=( f ç fª)(1)= f { }= =
3 1 4
+1
3
1
363 ⑤ 1
f¢(1)=( f ç f£)(1)= f { }=
4 1
4
=
1
5
+1
두 물질 A, B의 부피를 각각 v, võ라 하자. 4
두 물질 A, B의 질량을 각각 3k, 4k (k+0)라 하면 ⋮
m m 1
d= 에서 v= 이므로 이므로 fÇ(1)= (n은 자연수)
v d n+1
3k 4k 1
v= , võ= 이다. ∴ fÁ¼¼¼(1)=
a b 1001

86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6 22. 9. 13. 오후 6:59


다른 풀이
367 11
x
fÁ(x)= f(x)= 1
x+1 A{a, } (a>0)이라 하면
a
x
x+1 x k
fª(x)=( f ç fÁ)(x)= = 점 C는 함수 y= 의 그래프 위의 점 중에서 x좌표가 a인 점이므로
x 2x+1 x
+1
x+1
C{a,
k
}이고, V
x a
2x+1 x k 1
f£(x)=( f ç fª)(x)= = 점 B는 함수 y= 의 그래프 위의 점 중에서 y좌표가 인 점이므로
x 3x+1 x a
+1
2x+1
1
⋮ B{ka, }이다.
a
x ABÓ=|ka-a|=|a(k-1)|,
∴ fÇ(x)= (n은 자연수)
nx+1
k 1 k-1
x 1 ACÓ=| - |=| |이므로
따라서 fÁ¼¼¼(x)= 이므로 fÁ¼¼¼(1)= 이다. a a a
1000x+1 1001
1 k-1
삼각형 ABC의 넓이는 _|a(k-1)|_| |=50에서
2 a
(k-1)Û`=100, k-1=Ñ10
366 6
∴ k=11 (∵ k>0)
4 2x-4
f(x)=- +2=
x x
2x-4
2_ -4
x -4
f Û`(x)= f( f(x))= =
2x-4 x-2
x 368 ④

-4 함수 y= f ÑÚ`(x)의 그래프가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f Ü`(x)= f Û`( f(x))= =x
2x-4
-2 A(a, 0), B(0, b)라 할 때, 두 점 (0, a), (b, 0)이 함수
x
이므로 f Ü`=I이다. (I는 항등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f(0)=a, f(b)=0이다.
f Þ`â` â`= f
3_166+2
= f Û`이고, f Ü`= f Û` ç f=I에서 Ú f(0)=a인 a의 값을 구하면
f Û`의 역함수는 f 이므로 g= f이다. x+1
f{ }=2x+1에서
x-1
∴ g(-1)= f(-1)=6
x+1
=0일 때, x=-1이므로
다른 풀이 x-1
f(0)=2_(-1)+1=-1에서 a=-1
g=( f Þ`â` â`)ÑÚ`=( f ÑÚ`)Þ`â` â`이므로 yy TIP
Û f(b)=0인 b의 값을 구하면
g(-1)=( f ÑÚ`)Þ`â` â`(-1)이다.
x+1
4 4 f{ }=2x+1에서
f(x)=- +2=-1에서 x= 이므로 x-1
x 3
1
4 2x+1=0일 때, x=- 이므로
f ÑÚ`(-1)= 2
3
1
4 4 - +1
f(x)=- +2= 에서 x=6이므로 2 1
x 3 b= =-
1 3
- -1
4 2
( f ÑÚ`)Û`(-1)= f ÑÚ` { }=6
3 1
따라서 A(-1, 0), B{0, - }이므로 삼각형 OAB의 넓이는
4 3
f(x)=- +2=6에서 x=-1이므로
x 1 1 1
_1_ = 이다.
( f ÑÚ`)Ü`(-1)= f ÑÚ`(6)=-1 2 3 6
4
따라서 , 6, -1의 세 수가 반복되고, 참고
3
500=3_166+2이므로 x+1 x+1
f{ }=2x+1에서 t= 이라 하자.
x-1 x-1
g(-1)=( f ÑÚ`)Þ`â` â`(-1)=( f ÑÚ`)Û`(-1)=6
t+1
x에 대하여 정리하면 x= 이다.
TIP t-1
t+1 3t+1
( f Þ`â` â`)ÑÚ`=( f ç f ç y ç f)ÑÚ` 즉, f(t)=2_ +1= 이므로
t-1 t-1
= f ÑÚ` ç f ÑÚ`ç y ç f ÑÚ` 3x+1
f(x)= 이다.
=( f ÑÚ`)Þ`â` â` x-1

Ⅴ. 함수와 그래프 87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7 22. 9. 13. 오후 6:59


Û k=0 또는 k=3일 때
369 ③
3x-2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한 점에서 만나므로
4x+13 9 x+1
f(x)= = +4라 하면 점 P(-1, 4)는 함수
x+1 x+1 f(k)=1
y= f(x)의 점근선의 교점이다. Ü 0<k<3 또는 k>3일 때
점 P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은 y-4=x+1, y=x+5이고 3x-2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두 점에서 만나므로
점 P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은 y-4=-(x+1), x+1
y=-x+3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두 직선 y=x+5, f(k)=2
y=-x+3에 대하여 대칭이다. Ú ~ Ü에서 구하는 값은
따라서 점 P를 중심으로 하고 점 Q를 지나는 원의 넓이가 최소일 f(0)+ f(1)+ f(2)+y+ f(10)=1_2+2_9=20
때는 다음과 같이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5의 두
교점이 원의 지름의 양 끝이 될 때이다.
y y=x+5

{-1,`4}
{2,`7}
371 풀이 참조

-2x+k k-6
{-4,`1}
함수 y= = -2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3 x-3
O x
x=3, y=-2이다.
이때, k-6=0, 즉 k=6이면 주어진 함수는 y=-2이므로
4x+13 제1, 2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x+5= 에서 (x+5)(x+1)=4x+13
x+1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k-6+0이다.
xÛ`+2x-8=0, (x+4)(x-2)=0
Ú k-6>0, 즉 k>6일 때
따라서 x=-4 또는 x=2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함수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항상 제1, 3, 4사분면을 지나고,
y=x+5의 두 교점의 좌표는 (-4, 1), (2, 7)이다.
제2사분면은 지나지 않으므로 k>6일 때 항상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때 반지름의 길이는 원의 중심 P(-1, 4)와 점 (2, 7) 사이의
y -2x+k
거리와 같으므로 "Ã{2-(-1)}Û`+(7-4)Û`=3'2 y=
x-3
따라서 원의 넓이의 최솟값은 p_(3'2 )Û`=18p이다. O 3
x
-2

370 20
Û k-6<0, 즉 k<6일 때
3x-2 3x-2 함수의 그래프는 제1, 3, 4사분면을 항상 지나고, 이때
함수 y=| |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에서
x+1 x+1 제2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다음과 같이 y절편이 0보다 작거나
y<0인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이다. 같아야 한다.
3x-2 -5 y
함수 y= = +3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x+1
x=-1, y=3이므로
3x-2 O 3 x
함수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k의 값에 따라
x+1 -2
f(k)의 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y -2x+k
y=
x-3
k
k>3 즉, É0에서 k¾0이다.
-3
3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0Ék<6이다.
k=3
0<k<3
y= |3x-2
x+1 | Ú, Û에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0Ék<6 또는 k>6이다.
k=0 x 채점 요소 배점
-1 O
k<0
k-6+0임을 구하기 20%
Ú k<0일 때
k-6>0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3x-2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만나지 않으므로 k-6<0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30%
x+1
f(k)=0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 구하기 20%

88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8 22. 9. 13. 오후 6:59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k의 값의 합은
372 ②
(-29)+(-28)+(-2)+(-1)=-60이다.
2x+2 4
함수 y= = +2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x-1 x-1
y 2x+2
y=
x-1

1
V
- 3
3
2
O
374 풀이 참조

1 5 x
2x+2 -4
-1 유리함수 y= = +2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3 x+3
x=-3, y=2이다.
2x+2 1
y=-1일 때 =-1에서 2x+2=-x+1, x=- 2x+2 y
x-1 3 y=
x+3
2x+2
y=3일 때 =3에서 2x+2=3x-3, x=5이므로 P R
x-1
1 2
yÉ-1일 때 - Éx<1이고,
3 Q
y¾3일 때 1<xÉ5이다. -3 O x
따라서 치역이 {y|yÉ-1 또는 y¾3}일 때
1
정의역은 [x|- Éx<1 또는 1<xÉ5]이므로 -4
3 P{a, +2}라 하면
a+3
정의역에 속하는 정수는 0, 2, 3, 4, 5로 5개이다.
-4
Q(a, 2), R{-3, +2}이므로
a+3
-4 Û
QRÓ Û`=(a+3)Û`+{
373 -60 a+3
}`이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5x+k k+15
유리함수 y= = +5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4 Û -4 Û
x-3 x-3 (a+3)Û`+{ }`¾2¾Ð(a+3)Û`_{ }`=8
a+3 a+3
x=3, y=5이므로 x<1에서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은
(단, 등호는 (a+3)Û`=4, 즉 a=-5 또는 a=-1일 때 성립한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Ú y y Û y y 따라서 구하는 QRÓ Û`의 최솟값은 8이다.

채점 요소 배점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 구하기 20%
5 5 5 5 두 점 Q, R의 좌표 구하기 30%
QRÓ Û`의 최솟값 구하기 50%

O 1 O3 1 3 x x 1 3 1 3 x x
다른 풀이

Ú k+15<0, 즉 k<-15일 때 2x+2 -4


유리함수 y= = +2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도
x<1에서 치역은 {y|5<y< f(1)}이고, x+3 x+3
4
이때 치역의 원소 중 정수의 개수가 6이려면 정수는 QRÓ Û`의 값은 변하지 않으므로 함수의 그래프를 유리함수 y=- 의
x
6, 7, 8, 9, 10, 11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그래프로 평행이동시키자.
11< f(1)É12이어야 한다.
점 P, Q, R가 이동된 점을 각각 P', Q', R'이라 하면 함수
5+k
11< É12에서 -29Ék<-27이므로 4
-2 y=- 의 그래프 위의 점 P'에서 x축,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이 각각
x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는 -29, -28이다.
Q', R'이고, QRÓ Û`=Q'R'Ó Û`이다.
Û k+15>0, 즉 k>-15일 때
y
x<1에서 치역은 {y| f(1)<y<5}이고,
이때 치역의 원소 중 정수의 개수가 6이려면 정수는
P' R'
4, 3, 2, 1, 0, -1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x
-2É f(1)<-1이어야 한다.
Q' O 4
5+k y=-
-2É <-1에서 -3<kÉ-1이므로 x
-2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k는 -2, -1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89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89 22. 9. 13. 오후 6:59


직사각형 OR'P'Q'에서 Q'R'Ó=OP'Ó이고, 함수 y=-
4
의 그래프와 x=-1 y
x y=mx-2m+1

직선 y=-x의 교점이 P'일 때 OP'Ó이 최소이다.


4 A C y=2
- =-x에서 x=Ñ2이므로
x O {2,`1}
x
P'(2, -2) 또는 P'(-2, 2)일 때 OP'Ó Û`=8로 최소이다. B

따라서 구하는 QRÓ Û`의 최솟값은 8이다.

채점 요소 배점 직선 y=mx-2m+1과 직선 x=-1의 교점은


a B(-1, -3m+1)이고, 직선 y=mx-2m+1과
y= (a는 상수) 꼴로 평행이동시키기 20%
x
직선 y=2의 교점은 mx-2m+1=2에서
a
QRÓ Û`이 최소가 되는 함수 y= 의 그래프 위의 점의 좌표 구하기 40% 2m+1 1 1
x x= = +2이므로 C{ +2, 2}이다.
m m m
QRÓ Û`의 최솟값 구하기 40%
이때, 삼각형 ABC의 넓이는
1 1 1
_ABÓ_ACÓ= _{2-(-3m+1)}_[ +2-(-1)]
2 2 m
1 1
= (3m+1){ +3}
2 m
375 ①
1 1
= {9m+ +6}
2 2 m
함수 y= (x>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x 이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 1 1 1 1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y= +2 (x>1)이므로 {9m+ +6}¾ {2¾Ð9m_ +6}=6
x-1 2 m 2 m
2 1 1
점 P의 좌표를 {a, +2} (a>1)라 하자. (단, 등호는 9m= , 즉 m= 일 때 성립한다.)
a-1 m 3
y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의 최솟값은 6이다.

R { 2
P a, a-1 +2 }
2
y= +2`{x>1}
x-1

O Q x 377 8

직사각형 ROQP의 넓이는 x+-b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f ç f)(x)=x이므로


2 2a 2(a-1)+2 f(x)= f ÑÚ`(x)이고, 두 점근선의 교점이 직선 y=x 위에 존재한다.
a_{ +2}= +2a= +2a
a-1 a-1 a-1 함수 y= f(x)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2 x=-b, y=-2이므로 b=2이다.
= +2a+2
a-1
-2x+a a+4
2 ∴ f(x)= = -2 yy ㉠
= +2(a-1)+4 x+2 x+2
a-1
x=-2 y
이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 의하여
2 2
+2(a-1)+4¾2¾Ð _2(a-1)+4=8 A
a-1 a-1 B
O x
2
(단, 등호는 =2(a-1), 즉 a=2일 때 성립한다.) D C y=-2
a-1
따라서 직사각형 ROQP의 넓이의 최솟값은 8이다.

점 A가 함수 y= f(x)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A(t, f(t))라 하면


1
(삼각형 ABC의 넓이)= _| f(t)+2|_|t+2|=5 yy ㉡
376 6 2
a+4
이때, ㉠에서 f(t)+2=
2x-3 -5 t+2
유리함수 y= = +2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x+1 ( f(t)+2)(t+2)=a+4이므로 ㉡에 대입하면
x=-1, y=2이므로 A(-1, 2)이다. 1
|a+4|=5, a=6 (∵ a>0) yy TIP
직선 y=mx-2m+1=m(x-2)+1은 점 (2, 1)을 지나고, 2
m>0이므로 삼각형 ABC는 다음과 같다. ∴ a+b=6+2=8

90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0 22. 9. 13. 오후 6:59


TIP
k
379 ⑤

유리함수 y= +b (a, b, k는 상수)의 그래프 위의 4(x-4)+16


x-a 4x 16
함수 f(x)= = = +4의 그래프는
점 P에서 두 점근선 x=a, y=b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x-4 x-4 x-4
Q, R라 할 때, 삼각형 PQR의 넓이는 항상 일정하다. 다음과 같다.
y
P(p, q)라 하면 Q(a, q), R(p, b)이므로 y=f{x}
V
PQÓ=|a-p|, PRÓ=|b-q|에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1 1
_PQÓ_PRÓ= |(a-p)(b-q)|이고, yy ㉢ 4
2 2
k O 4 x
이때, 점 P(p, q)가 y= +b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x-a
k
q= +b에서 (q-b)(p-a)=k이다.
p-a ㄱ. 함수 f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 f ç f)(x)=x일
1 필요충분조건은 f(x)= f ÑÚ`(x)이다.
따라서 ㉢에서 삼각형 PQR의 넓이는 |k|로 일정하다.
2
4x 4x
f(x)= 에서 f ÑÚ`(x)= 이므로
x-4 x-4
f(x)= f ÑÚ`(x)이다. 따라서 ( f ç f)(x)=x이다. (참)
ㄴ. 직선 mx-y+4-4m=0은 y=m(x-4)+4이므로
점 (4, 4)를 지나고 기울기가 m인 직선이다.
378 ②
이때, 점 (4, 4)는 함수 y= f(x)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8 교점이므로 m<0일 때 직선과 함수 y= f(x)의 그래프는
ㄱ. (반례) 함수 f(x)= +2의 그래프는 점 (4, 4)를 지나므로
x
만나지 않는다. (참) yy TIP
f(4)= f ÑÚ`(4)=4이지만 b=0, c=2이다.
따라서 b+c+0이다. (거짓) ㄷ. 함수의 그래프가 직선 y=-(x-4)+4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ㄴ. 유리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면 곡선 위의 두 점 A, B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될 때는
두 점근선의 교점 (-b, c)가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점 (4, 4)를 지나고 기울기가 1인 직선 y=x와 곡선이 만나는
두 점이 A, B일 때이다.
c=-b이다. yy TIP
4x
a =x에서 x(x-4)=4x, xÛ`-8x=0, x(x-8)=0
f(0)= +c=0에서 a=-bc=cÛ`이다. (참) x-4
b
∴ x=0 또는 x=8
ㄷ. a>0일 때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A(0, 0), B(8, 8)일 때 ABÓ=8'2로 최소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Q
TIP
y=c
4x
직선 y=m(x-4)+4와 유리함수 y= 의 그래프의 위치
P x-4
관계는 다음과 같다.
x=-b
❶ m<0일 때 ❷ m=0일 때
두 점 P(xÁ, f(xÁ)), Q(xª, f(xª))에 대하여 y y y y
xÁ<-b<xª이면 f(xÁ)< f(xª)이다. (거짓) yy 참고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y y
4 4 4 4

TIP O 4O 4x x O 4O 4x x
4 4
k
<‘유리함수 f(x)= +b가 b=a를 만족시킨다.’의
x-a 4
O 않는다. x x
4 않는다.
O만나지
만나지
y y
다른 표현>
❸ m>0일 때
❶ 두 점근선의 교점 (a, b)가 직선 y=x 위에 있다.
y
❷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4 4

❸ x+a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 ÑÚ`(x)이다. O 4O 4x x


4
❹ x+a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f ç f)(x)=x이다.
O 4 x
참고

xÁ<xª<-b 또는 -b<xÁ<xª이면 f(xÁ)> f(xª)이다.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Ⅴ. 함수와 그래프 91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1 22. 9. 13. 오후 6:59


따라서 A(a, b)라 하면 B(b, a)이고,
380 ⑤
4
두 점이 곡선 y= 위의 점이므로 ab=4이다.
두 집합 A, B에 대하여 A;B+∆이려면 함수 x
-2x-1 OAÓ=OBÓ=¿¹aÛ`+bÛ`이므로 OAÓ_OBÓ=aÛ`+bÛ`=16
y= 의 그래프와 직선 y=kx-k-6이 적어도
x+1
이때, ABÓ=¿¹2(a-b)Û`이고,
한 점에서 만나야 한다.
(a-b)Û`=aÛ`+bÛ`-2ab=16-8=8이므로
-2x-1 1
이때, 함수 y= = -2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ABÓ='¶2_8=4
x+1 x+1
y

O x
-1 -2x-1
y=
x+1 382 36

-2
xy-2x-2y=k를 y에 대하여 정리하면
(x-2)y=2x+k이고,
{1,`-6} 2x+k
x+2일 때 y= 이다. yy TIP
x-2
y=kx-k-6=k(x-1)-6은 기울기가 k이고, 2x+k k+4
유리함수 y= = +2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점 (1, -6)을 지나는 직선이므로 그림과 같이 두 그래프가 x-2 x-2
만나는 교점의 개수는 직선이 곡선에 접할 때를 기준으로 달라진다. x=2, y=2이므로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2x-1 이때, 직선 x+y=8의 기울기가 -1이므로 직선이 유리함수의
곡선 y= 과 직선 y=kx-k-6이 접할 때,
x+1 그래프와 만나는 두 점 P, Q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2x-1 점 P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Q의 좌표는 (b, a)이므로
=kx-k-6에서 kxÛ`-4x-k-5=0이고,
x+1
ab=14이다.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또한 두 점 P, Q가 직선 x+y=8 위의 점이므로 a+b=8이다.
D
=(-2)Û`-k(-k-5)=0이므로
4 OPÓ=OQÓ=¿¹aÛ`+bÛ`이므로
kÛ`+5k+4=0, (k+4)(k+1)=0 ∴ k=-4 또는 k=-1 OPÓ_OQÓ=aÛ`+bÛ`=(a+b)Û`-2ab
따라서 두 그래프가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8Û`-2_14=36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É-4 또는 k¾-1이다. yy TIP
TIP
TIP (x-2)y=2x+k에서 x=2일 때 함숫값이 존재하면
-2x-1 k=-4이다.
곡선 y= 과 직선 y=kx-k-6의 위치 관계는
x+1 이때, (x-2)y=2x-4에서 x=2일 때 항상 등식을 만족시키
다음과 같다. 고, x+2일 때 y=2이므로 이 도형은 두 직선 x=2, y=2를 나
❶ -4<k<-1일 때 만나지 않는다. 타낸다. 이 도형이 직선 x+y=8과 만나는 두 점은 각각 (2, 6),
❷ k=-4 또는 k=-1 또는 k=0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6, 2)이고, 두 점의 x좌표의 곱은 12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❸ k<-4 또는 -1<k<0 또는 k>0일 때 두 점에서 만난다. 않는다.
따라서 k+-4이다.

381 ④

4
함수 y=
x
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383 ④

그래프 위의 두 점 A, B에 대하여 직선 AB의 기울기가 -1일 때, 조건 ㈎에 의하여 점 B(a, b)와 점 C는 직선 y=x에 대하여
두 점 A, B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대칭이므로 C(b, a)이고, 직선 BC는 점 B(a, b)를 지나고
y
y=x
기울기가 -1이므로
A 직선의 방정식은 x+y-a-b=0
한편, 점 A(-2, 2)에서 직선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B BCÓ=¿¹2(a-b)Û`='2(a-b)
|-2+2-a-b| a+b
O x AHÓ= =
¿¹1Û`+1Û` '2

92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2 22. 9. 13. 오후 6:59


조건 ㈏에 의하여 삼각형 ABC의 넓이는 2'3이므로
1 1 a+b
386 ③
_BCÓ_AHÓ= _'2(a-b)_ =2'3에서
2 2 '2 ¿¹nÛ`<¿¹nÛ`+2n<¿¹nÛ`+2n+1이므로
aÛ`-bÛ`=4'3
n<¿¹nÛ`+2n<n+1에서
2 2
또한 점 B는 곡선 y= 위의 점이므로 b= , 즉 ab=2 ¿¹nÛ`+2n의 정수부분은 n이고, yy ㉠
x a
(aÛ`+bÛ`)Û`=(aÛ`-bÛ`)Û`+4aÛ`bÛ` 소수부분은 f(n)=¿¹nÛ`+2n-n이다. V
=(4'3)Û`+4_2Û`=64 2n 2n 2n(¿¹n`Û +2n+n)
= =
∴ aÛ`+bÛ`=8 f(n) ¿¹nÛ`+2n-n (nÛ`+2n)-nÛ`
=¿¹nÛ`+2n+n
384 ②
이므로 ㉠에 의하여
2n
의 정수부분은 2n이다.
f(n)
a a
곡선 y=| f(x-2a)+ |는 곡선 y= f(x-2a)+ 의 x축 아래에
3 3
그려진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것이고, 이 곡선이 y축에
a
대하여 대칭이려면 곡선 y= f(x-2a)+ 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387 12
3
B의 장력을 Tõ, 밀도를 qõ, 주파수를 wõ라 하면
x=0, y=0이 되어야 한다.
y 1 Tõ
wõ= ¾Ð yy ㉠
2L qõ
1
A의 장력은 3Tõ, 밀도는 nqõ, 주파수는 wõ이므로
2
|
y= f{x-2a}+
a
3 | 1 1 3Tõ
wõ= ¾Ð yy ㉡
-6 O x 2 2L nqõ
y=f{x} ㉠을 ㉡으로 양변을 각각 나누면
2b
n n
2=¾Ð , =4
3 3
a ∴ n=12
f(x)= +2b에서
x+6
a a a
f(x-2a)+ = +2b+
3 x-2a+6 3
a
곡선 y= f(x-2a)+ 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388 ②
3
ax+b
a 유리함수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2a-6, y=2b+ 이고 cx+2
3
2 a
이 점근선의 방정식이 x=0, y=0이 되어야 하므로 x=- , y= 이고, 주어진 그래프에 의하여
c c
2a-6=0에서 a=3 2 a
- <0, <0에서 c>0, a<0이다.
a 1 c c
2b+ =0에서 2b+1=0, b=-
3 2 ax+b b
이때, 함수 y= 의 y절편이 음수이므로 <0에서 b<0이다.
3 cx+2 2
따라서 f(x)= -1이므로
x+6 a
한편, 무리함수 y=-'¶a-bx+c=-¾Ð-b{x- }+c의
3 b
f(6ab)= f(-9)= -1=-2
-9+6 a
그래프는 y=-'¶-b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만큼,
b
y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385 ④
a
이때, -b>0, >0, c>0이므로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x='2일 때 x+1>0, x-1>0이므로 b
'¶x+1+'¶x-1 ('¶x+1+'¶x-1)Û` a
= 점 { , c}를 지나면서 오른쪽 아래로 그려진다.
b
'¶x+1-'¶x-1 ('¶x+1-'¶x-1)('¶x+1+'¶x-1)
y
x+1+2¿¹xÛ`-1+x-1 c
=
x+1-(x-1)
2x+2¿¹xÛ`-1 O a x
= =x+¿¹xÛ`-1 b
2
y=-Âa-˛bx˛+c
따라서 x='2를 대입하면 구하는 값은
'2+¿¹'2 Û`-1='2+1이다. 따라서 지나는 사분면은 제1, 4사분면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93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3 22. 9. 13. 오후 6:59


389 ③ 391 7

1 함수 y='¶ax+3a='¶a(x+3)의 그래프는 점 (-3, 0)을 지난다.


함수 y=4-'¶kx+1=-¾Ðk{x+ }+4의 그래프는
k y
함수 y=-'¶kx의 그래프를 {ii}a<0 A

1 D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B
k {i}a>0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C
ㄱ. 4-'¶kx+1É4이므로 k의 값에 관계없이 치역은 -3 O x
{y|yÉ4}이다. (참)
사각형 ABCD와 만나지 않으려면
1
ㄴ. k>0일 때, kx+1¾0에서 x¾- 이므로 정의역은 Ú a>0일 때, 함수 y='¶a(x+3)의 그래프가 점 C(1, 2)보다
k
1 아래에 위치해야 하므로
[x|x¾- ]이다. (거짓)
k f(1)='¶4a<2에서 4a<4, a<1
y 따라서 0<a<1이다.
4 Û a<0일 때, 함수 y='¶a(x+3)의 그래프가 점 B(-5, 4)보다
3
y=4-ÂkxÊ+˛1˛ 아래에 위치해야 하므로
f(-5)='¶-2a<4에서 -2a<16, a>-8
따라서 -8<a<0이다.
1 O x
- Ú, Û에서 -8<a<0 또는 0<a<1이므로
k
정수 a는 -7, -6, -5, -4, -3, -2, -1로 7개이다.
ㄷ. 함수 y=4-'¶kx+1의 그래프의 y절편은 3이고 k<0일 때,
1
- >0이므로 그래프는 제4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참)
k
y

4
y=4-ÂkxÊ+˛1˛ 3 392 ⑤

x 무리함수 y=a'¶bx+c의 치역이 {y|yÉ0}이므로


O -1
k a<0 yy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c
y=a'¶bx+c=a®Éb{x+ }의 그래프는 y=a'¶bx의 그래프를
b
c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므로
b
c c
- >0, 즉 <0
b b
한편, y=a'¶bx의 그래프에서 정의역은 {x|xÉ0}이므로
b<0 yy ㉡
따라서 c>0 yy ㉢
390 ③
유리함수 y=
b
x+a
b
+c의 그래프는 함수 y= 의 그래프를
x
A(a, 0)이므로 B(a, 3'a)이다. x축의 방향으로 -a>0만큼, y축의 방향으로 c>0만큼 평행이동한
점 C의 x좌표를 t라 하면 것이므로
'¶2t=3'a이므로 b
㉠, ㉡, ㉢에 의하여 유리함수 y= +c의 그래프로 알맞은 것은
9 x+a
2t=9a, t= a
2 ⑤이다.
9
따라서 D{ a, 0}이다.
2
9 7
ABÓ=3'a, ADÓ= a-a= a에서
2 2
ABÓ=ADÓ이므로
7
3'a= a, 7a=6'a, 49aÛ`=36a, a(49a-36)=0 393 ④
2
36 점 A의 좌표를 (a, 3'§a ) (a>0)라 하면 C(a, '§a )이고,
∴ a= (∵ a>0) 3'§a='§x 에서 x=9a이므로 B(9a, 3'§a )이다.
49

94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4 22. 9. 13. 오후 6:59


y y=3Âx° y=Âx°

B
395 ②

A 곡선 y=xÛ`과 직선 y=-x+k가 두 점에서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xÛ`=-x+k, 즉 xÛ`+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C 1
D=1+4k>0에서 k>- 이다.
O x 4
y V
직각이등변삼각형 ACB에서 빗변이 아닌 두 변 AB, AC의 길이가 y=x@
y=-x+k A
각각 9a-a=8a, 3'§a-'§a=2'§a 이고
ABÓ=ACÓ이므로 8a=2'§a 에서
(4a)Û`=a, a(16a-1)=0 B
O x
1
∴ a= (∵ a>0)
16
방정식 xÛ`+x-k=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yy ㉠
따라서 삼각형 ACB의 넓이는
두 점 A, B의 좌표가 (a, -a+k), (b, -b+k)이므로
1 1 1 1
_(8a)Û`= _ = 선분 AB의 길이는 ¿¹(a-b)Û`+(-a+b)Û`=¿¹2(a-b)Û` yy ㉡
2 2 4 8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1, ab=-k이므로
(a-b)Û`=(a+b)Û`-4ab=1+4k
394 36
1
㉡에 대입하면 f(k)='¶2(1+4k) {k>- }이고,
두 곡선 y='§x+3, y='Äx-3 이 직선 y=-x+15와 만나는 두 4
점을 각각 A, D라 하고 직선 y=-x+3과 만나는 두 점을 각각 B,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C라 하자. y

'§x+3=-x+15 (xÉ15)에서 y=f{x}


x=(-x+12)Û`, xÛ`-25x+144=0, (x-9)(x-16)=0
따라서 x=9 (∵ xÉ15)이므로 1 O x
-
A(9, 6)이다. 4
'Äx-3=-x+15 (xÉ15)에서 따라서 그래프로 알맞은 것은 ②이다.
x-3=(-x+15)Û`, xÛ`-31x+228=0, (x-12)(x-19)=0
따라서 x=12 (∵ xÉ15)이므로
D(12, 3)이다.
396 ②

이때 두 곡선 y='§x+3, y='Äx-3 및 두 직선 함수 f(x)='¶x+3-1에 대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는


y=-x+3, y=-x+15로 둘러싸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함수 y='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 y=-x+15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y=Âx°+3 정의역이 {x|x>-3}일 때, 치역은 {y|y>-1}이다.
S¡ A
y=Âx°°-Ê3Ê° y
B y=Âx+˛3˛-1
3 D
C S™
O 3 x -3
y=-x+3 O x
이때 곡선 y='§x+3과 직선 AB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Á, -1

곡선 y='Äx-3 과 직선 CD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Sª라 하자. 2x+4 -2


g(x)= = +2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곡선 y='§x+3의 그래프를 x+3 x+3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 다음과 같다.
2x+4 y
곡선 y='Äx-3 과 일치하므로 SÁ=Sª이다. 즉, 둘러싸인 부분의 y=
x+3
넓이는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와 같다.
두 점 B, C의 좌표는 B(0, 3), C(3, 0)이므로
BCÓ="Ã3Û`+3Û`=3'2 2

직선 y=-x+15와 직선 y=-x+3 사이의 거리는


-3 -1 O x
점 (0, 15)에서 직선 x+y-3=0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15-3|
=6'2
"Ã1Û`+1Û` x>-1에서 g(-1)<g(x)<2이고, g(-1)=1이므로 x>-3에서
따라서 ABCD의 넓이는 3'2_6'2=36이다. 정의된 함수 y=(g ç f)(x)의 치역은 {y|1<y<2}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95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5 22. 9. 13. 오후 6:59


Û xÉ3일 때 f(x)='¶-(x-3)+a이므로
397 -9
xÉ3에서 y=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함수 f(x)의 역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y
1 1
y= xÛ`+x+ (xÉ-1)에서 2y=(x+1)Û`
2 2
x+1=-'¶2y (∵ xÉ-1), x=-'¶2y-1 {3,`a}

x와 y를 서로 바꾸면 y=-'¶2x-1 x=3


∴ f ÑÚ`(x)=-'¶2x-1 조건 ㈎에서 함수 f의 치역이 {y|y>2}이어야 하므로
함수 y= f ÑÚ`(x)는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은 작아지므로 Ú, Û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에 의하여
2ÉxÉ8에서 f ÑÚ`(2)¾ f ÑÚ`(x)¾ f ÑÚ`(8) 2<aÉ9이어야 한다.
즉, -5É f ÑÚ`(x)É-3이므로 또한 조건 ㈏에 의하여 함수 f가 일대일함수이어야 하므로
{ f ÑÚ`(x)|2ÉxÉ8}={x|-5ÉxÉ-3} a¾9이어야 한다.
a 따라서 a=9이고 이때,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한편, g(x)= +b에서
x+1
y=f{x} y
Ú a>0이면 1ÉxÉ3에서 g(3)Ég(x)Ég(1)이므로
y=Â3-˛x˛+9
a a {x 3} 9
+bÉg(x)É +b
4 2
2x+3
a a y= x-2 {x>3}
따라서 +b=-5, +b=-3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2
4 2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8, b=-7 x
O 3
Û a<0이면 1ÉxÉ3에서 g(1)Ég(x)Ég(3)이므로
a a f(2)=1+9=10이므로
+bÉg(x)É +b
2 4 f(2) f(k)=40에서 f(k)=4이다.
a a f(k)=4일 때, k>3이므로
따라서 +b=-5, +b=-3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2 4
2k+3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8, b=-1 f(k)= =4에서
k-2
Ü a=0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g(x)=b이므로 11
2k+3=4k-8 ∴ k=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2
Ú ~ Ü에서 a+b의 최솟값은 (-8)+(-1)=-9이고,
a+b의 최댓값은 8+(-7)=1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9)_1=-9이다.
다른 풀이

{ f ÑÚ`(x)|2ÉxÉ8}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ÑÚ`(x)=t라 하면 x= f(t)이므로
{ f ÑÚ`(x)|2ÉxÉ8}={x|2É f(x)É8}이다. 399 2

1 1 무리함수 y= f(x)의 그래프와 역함수 y= f (x)의 그래프의 두


-1
2É xÛ`+x+ É8에서 4ÉxÛ`+2x+1É16
2 2
교점은 무리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두 교점과 같다.
4É(x+1)Û`É16, -4Éx+1É-2 (∵ xÉ-1)
'Ä2x-k+1=x에서
-5ÉxÉ-3
2x-k=(x-1)Û`, xÛ`-4x+k+1=0 yy ㉠
∴ { f ÑÚ`(x)|2ÉxÉ8}={x|-5ÉxÉ-3}
방정식 xÛ`-4x+k+1=0의 두 실근을 a, b라 하면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두 교점의 좌표는
398 ⑤ (a, a), (b, b)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Ã(a-b)Û`+(a-b)Û`="Ã2(a-b)Û`
2x+3 7
Ú x>3일 때 f(x)= = +2이므로 이때 두 점 사이의 거리가 2'2이므로
x-2 x-2
x>3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Ã2(a-b)Û`=2'2, (a-b)Û`=4 yy ㉡
y 이차방정식 ㉠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9 a+b=4, ab=k+1이므로
2x+3 (a-b)Û`=(a+b)Û`-4ab
y= x-2 {x>3}
2
=4Û`-4(k+1)=12-4k yy ㉢
㉡, ㉢에서
O 3 x
12-4k=4 ∴ k=2

96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6 22. 9. 13. 오후 6:59


y
400 ②
y=|x+a|
{i} {ii}
y=´|x¨|¨+¨x¨
5
함수 y=-'¶2x-5-2=-¾Ð2{x- }-2의 그래프는
2
5
함수 y=-'¶2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만큼,
2
-a O x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다. V
y 5
이때, 두 함수 y=|x+a|와 y='¶|x|+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2 경우를 기준으로 교점의 개수가 달라진다.
O x
-2 Ú 두 함수 y='¶|x|+x, y=|x+a|의 그래프가 접할 때
즉, 직선 y=x+a가 곡선 y='¶2x와 접하면
'¶2x=x+a
{i} {ii}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직선 kx+y=0, y=-kx는 기울기가 -k이고 원점을 지나고, 2x=(x+a)Û`
n(A;B)=2이므로 두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이차방정식 xÛ`+2(a-1)x+aÛ`=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때, 두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기준으로 교점의 개수가 달라 D
=(a-1)Û`-aÛ`=0이므로
4
진다.
1
Ú 두 그래프가 접할 때 -2a+1=0 ∴ a=
2
-kx=-'¶2x-5-2에서 '¶2x-5=kx-2
Û 함수 y=|x+a|의 그래프가 점 (0, 0)을 지날 때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a=0
2x-5=(kx-2)Û`
Ú, Û에 의하여 g(a)=3인 a의 값의 범위는
이차방정식 kÛ`xÛ`-2(2k+1)x+9=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
D 0<a< 이다. yy TIP
=(2k+1)Û`-9kÛ`=0이므로 -5kÛ`+4k+1=0 2
4
1 1
(5k+1)(k-1)=0 따라서 m=0, n= 이므로 mÛ`+4nÛ`=0Û`+4_{ }Û`=1
2 2
1
∴ k=- 또는 k=1 TIP
5
이때, 두 그래프가 접할 때 직선의 기울기는 음수이므로 y=|x+a|의 그래프를 이동시켜보면서 y='¶|x|+x의
-k<0 즉, k>0에서 k=1 그래프와 만나는 교점의 개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5 1 1
Û 직선 y=-kx가 점 { , -2}를 지날 때 ❶ a> 일 때 ❷ a= 일 때
2 2 2
5 4 y y y y
-2=- k ∴ k=
2 5 y=|x+a|
y=|x+a| y=|x+a|
y=|x+a|
Ú, Û에서 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이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y y y y
4 y=|x+a| y=´|x¨ |¨+|¨x¨+
y=´|x¨ ¨ ¨xy=|x+a|
¨ y=´|x¨
y=´|x¨ |¨+|¨x¨+
¨ ¨x¨
k의 값의 범위는 Ék<1이다. yy TIP y=|x+a| y=|x+a|
5 -a-aO O x x -a-aO O x x

TIP y=´|x¨
한 점에서 만난다. |¨+|¨x¨+
y=´|x¨ ¨ ¨x¨ 두 점에서 y=´|x¨ |¨+|¨x¨+
y=´|x¨
만난다. ¨ ¨x¨
-a-ayO yO x x yO yO
-a-a x x
곡선 y=-'¶2x-5-2와 직선 kx+y=0의 위치 관계는 1
y=|x+a|
y=|x+a|
❸ 0<a< 일때 ❹ y=|x+a|
y=|x+a|
aÉ0일 때
다음과 같다. 2
y y y y
❶ kÉ0 또는 k>1일 때 만나지 않는다.
y=|x+a| y=´|x¨
y=|x+a| y=´|x¨
|¨+|¨x¨+
¨ ¨x¨ y=|x+a|
y=|x+a| y=´|x¨
y=´|x¨
|¨+|¨x¨+
¨ ¨x¨
4 -a-a
O O x x O -a
O -a x x
❷ 0<k< 또는 k=1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5
y=´|x¨ |¨+|¨x¨+
y=´|x¨ ¨ ¨x¨ y=´|x¨ |¨+|¨x¨+
y=´|x¨ ¨ ¨x¨
4
❸ Ék<1일 때 두 점에서 만난다. -a-a
O O x x O -a
O -a x x
5
세 점에서 만난다. 두 점에서 만난다.

401 ① 402 ⑤

함수 y='¶|x|+x는 x≥0일 때 y='¶2x, x<0일 때 y=0이므로 집합 Aû={x|'¶3|x|+x=2x+k}는 함수 y='¶3|x|+x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그래프와 직선 y=2x+k의 교점의 x좌표를 원소로 하는 집합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97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7 22. 9. 13. 오후 6:59


따라서 n(Aû)=3이면 두 함수의 그래프의 서로 다른 교점의 개수가 y
3이므로 집합 B={k|n(Aû)=3}은 함수 y='¶3|x|+x의 그래프 15
와 직선 y=2x+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모든 k의 8x+15
y=
8 x+1
값의 집합이다.
á 2'x (x¾0)
함수 y='¶3|x|+x=Ò 이므로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1
» '¶-2x (x<0)
15 O x
{i}{ii} -
y 8

y=Â-2˛xÊ y=2Âx° 8x+15


이때, 함수 y= 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1
8x+15 15
0= 에서 x=- 이므로 함수 y='¶x-k의 그래프가
O x x+1 8
8x+15 15
함수 y= 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나려면 k>- yy ㉠
이때, 직선 y=2x+k는 기울기가 2이고, y절편이 k이므로 x+1 8
두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기준으로 교점의 개수가 달라진다. 이어야 한다. yy TIP
Ú 직선 y=2x+k가 함수 y=2'x의 그래프와 접할 때 한편, 함수 y='¶x-k의 그래프와 직선 y=x+2는
2x+k=2'x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다음과 같은 경우를 기준으로 교점의 개수가 달라진다.
(2x+k)Û`=4x y
이차방정식 4xÛ`+2(2k-2)x+kÛ`=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 {ii}
D {i}
=(2k-2)Û`-4kÛ`=0이므로
4
1
-8k+4=0 ∴ k=
2
Û 직선 y=2x+k가 점 (0, 0)을 지날 때 -2 O x
k=0 Ú 함수 y='¶x-k의 그래프가 직선 y=x+2와 접할 때
Ú, Û에 의하여 두 그래프가 세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x+2='¶x-k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x+2)Û`=x-k
1
k의 값의 범위는 0<k< yy TIP 이차방정식 xÛ`+3x+k+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2
7
1 D=9-4(k+4)=0이므로 k=-
B=[k|0<k< ], C={k|a<k<b}이고, 4
2
Û 함수 y='¶x-k의 그래프가 직선 y=x+2가 x축과 만나는
1
이때, B=C이므로 a=0, b= 교점인 점 (-2, 0)을 지날 때
2
1 1 0='¶-2-k ∴ k=-2
∴ a+b=0+ =
2 2 Ú, Û에 의하여 두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TIP 7
k의 값의 범위는 -2Ék<- 이다. yy ㉡
4
곡선 y='¶3|x|+x와 직선 y=2x+k의 위치 관계는 따라서 ㉠, ㉡을 모두 만족시키는 k의 값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15 7 15 7
- <k<- 이므로 m=- , n=-
1 8 4 8 4
❶ k<0 또는 k> 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2 n 7 15 14
∴ =- Ö{- }=
1 m 4 8 15
❷ k=0 또는 k= 일 때 두 점에서 만난다.
2
1 TIP
❸ 0<k< 일 때 세 점에서 만난다.
2 함수 y='¶x-k의 그래프는 x의 값이 커질 때 y의 값이 무한히
8x+15
커지므로 함수 y= 의 그래프와 x>-1에서는 항상 한
x+1
점에서 만난다.
8x+15
이때, 두 함수 y='¶x-k, y= 의 그래프는
x+1
15
❶ kÉ- 일 때, x<-1에서도 한 점에서 만나므로 두 그래
403 ④ 8
프는 두 점에서 만난다.
함수 y='¶x-k의 그래프는 함수 y='x의 그래프를
15
x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❷ k>- 일 때, x<-1에서 만나지 않으므로 두 그래프는 한
8
8x+15 7 점에서 만난다.
함수 y= = +8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x+1 x+1

98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8 22. 9. 13. 오후 6:59


y y=f—!{x}
404 ④
C
y=x

A y=f{x}
함수 y=4'¶x+2+k의 그래프는 함수 y=4'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k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O B x
점 (-2, k)를 지나면서 오른쪽 위로 증가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가 역함수의 그래프와 만나는 교점은 직선
V
y=x와의 교점과 같다.
즉,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y=x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정수 k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이때, 두 그래프는 한편, 삼각형 ABC는 ACÓ=BC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점 C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를 기준으로 교점의 개수가 달라진다.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y y=x {ii}
'2 '2
점 H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H{ , }이다.
2 2
{i}
'2
ABÓ=2, CHÓ='2{2- }=2'2-1이므로
2
1
삼각형 ABC의 넓이는 _2_(2'2-1)=2'2-1이다.
2
{-2,`k} O x

406 ⑤
Ú 직선 y=x가 함수 f(x)=4'¶x+2+k의 그래프와 접할 때
f(x)=-'Äkx+3k+6, g(x)='Ä-kx+3k-6이라 하면
4'¶x+2+k=x에서 4'¶x+2=x-k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f(x)=-"Ãk(x+3)+6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16(x+2)=(x-k)Û`
점 (-3, 6)을 지나고, g(x)="Ã-k(x-3)-6에서 함수 y=g(x)의
이차방정식 xÛ`-2(k+8)x+kÛ`-3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그래프는 점 (3, -6)을 지난다.
D
=(k+8)Û`-(kÛ`-32)=0이므로 이때 k의 값의 범위에 따라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는
4
16k+96=0 ∴ k=-6 다음과 같다.
Û 직선 y=x가 점 (-2, k)를 지날 때 Ú k<0일 때
k=-2 함수 y= f(x)는 xÉ-3에서 정의되고, 함수 y=g(x)는
Ú, Û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x가 서로 다른 x¾3에서 정의되므로 두 곡선 y= f(x), y=g(x)는 만나지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k의 값의 범위는 -6<kÉ-2 않는다.
따라서 구하는 정수 k는 -5, -4, -3, -2로 4개이다. y

6
y=f{x}
3
-3 O x
405 ③
-6
y=g{x}

함수 f(x)='¶x+2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y=Âx+˛2˛ Û k>0일 때
k의 값이 커질수록 곡선 y= f(x)는 직선 y=6과 멀어지고 곡선
Â2 y=g(x)는 직선 y=-6과 멀어진다.
따라서 두 곡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면서 실수 k의 값이
x
최대가 될 때는 다음과 같이 함수 y= f(x)가 함수 y=g(x) 위의
-2 O
점 (3, -6)을 지날 때이다.
x=0일 때 함숫값이 '2이므로 A(0, '2 )이다.
-'¶6k+6=-6에서 '¶6k=12
함수 y= f ÑÚ`(x)의 그래프는 함수 y= f(x)의 그래프와 y=x에
6k=144 ∴ k=24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 ('2, 0)을 지난다. y
즉, B('2, 0)이다.
y=g{x}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증가하는 형태이므로 함수의 그래프가 6

역함수의 그래프와 만나는 교점은 직선 y=x와의 교점과 같다. 3


-3 O x
즉, '¶x+2=x에서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x+2=xÛ`
xÛ`-x-2=0, (x+1)(x-2)=0 -6 y=f{x}
∴ x=-1 또는 x=2
이때, 점 (-1, -1)은 y= f(x)의 그래프 위의 점이 아니므로 Ú, Û에 의하여 두 곡선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C(2, 2)이다. k의 최댓값은 24이다.

Ⅴ. 함수와 그래프 99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99 22. 9. 13. 오후 6:59


121 이때, 직선 AB의 기울기가 -1이므로 각각 두 함수의 그래프 위에
407 16
있는 점 A, B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정사각형 ADBC의 넓이가 최소이려면 대각선 AB의 길이가 따라서 선분 AB의 길이는 점 A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의 2배이
최소이면 된다. 다. yy ㉠
즉, 점 A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면 되므로 그림과 같이 y
y=x@-4
기울기가 1인 직선이 함수 y= f(x)의 그래프에 접할 때의 접점이 y=x
A이면 된다. 2 y=Âx+˛4˛
y A
y=f —!{x}
y=x -4 O 2 x

B D -4 B
y=f{x} y=-x+k

C -4<k<2일 때 직선 y=-x+k와 함수 y='¶x+4의 그래프가


A
O x 만나는 점 A는 제2사분면 위에 존재하고,
점 A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는 기울기가 1인 직선이
기울기가 1인 접선을 y=x+a (a는 상수)라 하면
함수 y='¶x+4의 그래프와 접하는 접점이 A일 때이다.
'¶x-3=x+a에서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기울기가 1인 접선을 y=x+a (a는 상수)라 하면
x-3=(x+a)Û`
'¶x+4=x+a에서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이차방정식 xÛ`+(2a-1)x+aÛ`+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x+4=(x+a)Û`
D=(2a-1)Û`-4(aÛ`+3)=0이므로
이차방정식 xÛ`+(2a-1)x+aÛ`-4=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11
-4a-11=0 ∴ a=- D=(2a-1)Û`-4(aÛ`-4)=0이므로
4
11 11 17
직선 y=x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가 '2이므로 -4a+17=0 ∴ a=
4 8 4
yy TIP 17 17'2
두 직선 y=x+ , y=x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4 8
11 11 17'2 17'2
정사각형 ADBC의 대각선의 길이는 '2_2= '2이다. 구하는 선분 AB의 길이의 최댓값은 _2= 이다.
8 4 8 4
따라서 정사각형 ADBC의 넓이의 최솟값은
다른 풀이 1
1 11 121
_{ '2}Û`= 이다.
2 4 16 ㉠에서 선분 AB의 길이는 점 B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의 2배와
다른 풀이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점 A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점 B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는 기울기가 1인 직선이
y='¶x-3에서 yÛ`=x-3, x=yÛ`+3이므로 함수 y=xÛ`-4 (x¾0)의 그래프와 접하는 접점이 B일 때이다.
점 A의 좌표를 (aÛ`+3, a)(a¾0)라 하면 기울기가 1인 접선을 y=x+b (b는 상수)라 하면
점 A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는 이차방정식 xÛ`-4=x+b, 즉 xÛ`-x-4-b=0의
1 11 판별식을 D라 하면
|{a- }Û`+ |
|aÛ`+3-a| 2 4 D=1-4(-4-b)=0이므로
= 이므로
¿¹1Û`+(-1)Û` '2 17
17+4b=0 ∴ b=-
1 11 11'2 4
a= 일 때 최솟값 = 를 갖는다.
2 4'2 8 17 17'2
두 직선 y=x- 과 y=x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4 8
TIP
17'2
구하는 선분 AB의 길이의 최댓값은 이다.
11 4
y=x- 에서 4x-4y-11=0
4
다른 풀이 2
즉, 직선 y=x 위의 한 점 (0, 0)과 직선 4x-4y-11=0
|-11| 11 ㉠에서 선분 AB의 길이는 점 B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의 2배와
사이의 거리는 = '2
¿¹4Û`+(-4)Û` 8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점 B가 함수 y=xÛ`-4(x¾0)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점 B의 좌표를 (a, aÛ`-4) (a¾0)라 하면
408 ② 점 B와 직선 y=x 사이의 거리는
1 17
두 함수 y='¶x+4, y=xÛ`-4 (x¾0)가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a- }Û`+ |
|a-aÛ`+4| 2 4
= 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¹1Û`+(-1)Û` '2

100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0 22. 9. 13. 오후 6:59


1 17 17'2 1
a= 일 때 최댓값 = 를 갖는다. 직선 AB의 기울기가 - 이므로 직선 AB에 평행하고 곡선
2 4'2 8 2
17'2 1
따라서 구하는 선분 AB의 길이의 최댓값은 이다. y='¶4-x에 접하는 접선을 y=- x+k (k는 상수)라 하자.
4 2
1
409 풀이 참조 '¶4-x=- x+k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2
⑴ 곡선 y='¶4-x가 x축, y축과 만나는 점은 각각 1
4-x={- x+k}Û`
2
V
A(4, 0), B(0, 2)이다.
이차방정식 xÛ`+2(2-2k)x+4kÛ`-16=0 yy ㉢
y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y=Â4-˛x˛ D
B =(2-2k)Û`-(4kÛ`-16)=0이므로
4
P
5
-8k+20=0 ∴ k= yy ㉣
2
O A x 1 5 1
직선 y=- x+ 와 직선 y=- x+2 사이의 거리는
2 2 2
(사각형 OAPB의 넓이)
직선 AB 위의 점 (0, 2)와 직선 x+2y-5=0 사이의
=(삼각형 OAB의 넓이)+(삼각형 PAB의 넓이)
거리와 같으므로
1
이때, 삼각형 OAB의 넓이가 _4_2=4로 일정하므로 삼각형 |0+4-5| 1
2 =
PAB의 넓이가 최대일 때, 사각형 OAPB의 넓이가 최대이다. ¿¹1Û`+2Û` '5
1
삼각형 PAB의 밑변을 선분 AB라 하면 ABÓ=2'5이므로 따라서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은 이다.
'5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삼각형 PAB의 넓이 따라서 삼각형 PAB의 넓이의 최댓값은
가 최대이다. 1 1
_2'5_ =1이므로
x y 2 '5
직선 AB의 방정식은 + =1, x+2y-4=0이고,
4 2 사각형 OAPB의 넓이의 최댓값은 4+1=5이다.
y='¶4-x에서 yÛ`=4-x, x=4-yÛ`이므로 ⑵ 사각형 OAPB의 넓이가 최대일 때,
점 P의 좌표를 P(4-aÛ`, a)라 하면 yy ㉠ 5
㉣에서 k= 이므로 ㉢에 대입하면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는 2
|4-aÛ`+2a-4| |-aÛ`+2a| |-(a-1)Û`+1| xÛ`-6x+9=0, (x-3)Û`=0
= = 이므로
¿¹1Û`+2Û` '5 '5
x=3, y='¶4-3=1에서 점 P의 좌표는 (3, 1)이다.
1
a=1일 때 최대이고, 최댓값 을 갖는다. yy ㉡
'5
따라서 삼각형 PAB의 넓이의 최댓값은
1 1
2
_2'5_ =1이므로
'5 410 ⑤

사각형 OAPB의 넓이의 최댓값은 4+1=5이다.


á 'Ä-x-1-2 (xÉ-1)
⑵ 사각형 OAPB의 넓이가 최대일 때, ㉡에서 a=1이므로 ㉠에서 함수 f(x)=Ò 에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Äx-1-2 (x¾1)
점 P의 좌표는 (3, 1)이다. y
y=f{x}
채점 요소 배점 -1 1
-5 O 5 x
사각형 OAPB의 넓이를 두 삼각형 OAB, PAB의 넓이의 합으로
80% -2
나타내어 최댓값 구하기
사각형 OAPB의 넓이가 최대일 때, 점 P의 좌표 구하기 20% Ú g(-3)에서 f(x)¾-2이므로 f( f(x))=-3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풀이
즉, g(-3)=0이다.
⑴ 점 P와 직선 AB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다음과 같이 직선 Û g(-2)에서 f( f(x))=-2이려면
AB와 평행하고 곡선 y='¶4-x에 접하는 직선과 직선 AB f(x)=1 또는 f(x)=-1이다.
사이의 거리로 구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1의 교점의
y 개수는 2이고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1의 교점의
개수는 2이므로 g(-2)=4이다.
y=Â4-˛x˛ B
y
P y=f{x}
y=1
O x y=-1
O A x

Ⅴ. 함수와 그래프 101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1 22. 9. 13. 오후 6:59


Ü g(1)에서 f( f(x))=1이려면 "Ã| f(x)|-1-2=1, 3x+8
따라서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한 점에서
|f(x)|=10이므로 f(x)=10 또는 f(x)=-10이다. |x+1|-1
다음과 같이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10의 교점의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은 k=-5 또는 -3<kÉ3이므로
개수는 2이고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10은 만나지 정수 k는 -5, -2, -1, 0, 1, 2, 3으로 7개이다.
않으므로 g(1)=2이다. 참고
y
y=f{x} 3x+8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교점의
y=10 |x+1|-1
O
x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y=-10 ❶ k<-5 또는 k>3일 때 두 점에서 만난다.
Ú~Ü에서 구하는 값은 ❷ k=-5 또는 -3<kÉ3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g(-3)+g(-2)+g(1)=0+4+2=6 ❸ -5<kÉ-3일 때 만나지 않는다.

411 ②

3
413 ⑤
함수 y= (x>0)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
x ㄱ. 직선 AB의 방정식은
3 2 2
으로 m만큼 평행이동하면 y= +m (x>4)이다. -
x-4 2 b a 2 2
y- = (x-a), y=- (x-a)+ 이다.
y a b-a ab a
2 2
y=0일 때, (x-a)= 에서 x=a+b이므로
B ab a
A 점 C의 x좌표는 a+b이다. (참)
B
B 2 2
A
-
A
b a 2
ㄴ. 직선 AB의 기울기는 =- 이다.
b-a ab
O x
점 D는 선분 AB의 중점이므로 점 D의 좌표는
1 1 2 2
한편, 직선 y= x+k는 기울기가 인 직선이고, k의 값에 +
2 2 » a+b a b ¼ a+b a+b
, ,즉{ , }
3 2 2 2 ab
관계없이 ABÓ가 일정하려면 함수 y= (x>0)의 그래프 위의
x 직선 OD의 기울기는
점 A를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한 a+b
점이 B가 되어야 한다. ab 2
= 이다.
a+b ab
m 1 2
즉, 직선 AB의 기울기가 = 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m=2이다.
4 2
따라서 두 직선 AB와 OD의 기울기의 합은
이때, ABÓ=¿¹4Û`+mÛ`=¿¹4Û`+2Û`='¶20=2'5이므로 n=2'5
2 2
∴ mn=2_2'5=4'5 - + =0이다. (참)
ab ab
ㄷ. ABÓ=2OAÓ이면 AOÓ=ADÓ이므로
∠AOD=∠ADO이다. yy ㉠
412 ② 또한 ㄴ에서 두 직선 AB, OD의 기울기의 합이 0이므로
∠DOC=∠DCO
3x+8
함수 y= 은 ∠ADO=∠DOC+∠DCO=2∠DOC yy ㉡
|x+1|-1
3x+8 -2 y 2
x<-1일 때, y= = -3 y=
-x-2 x+2 x
A
3x+8 8
x¾-1일 때, y= = +3 D
x x
이므로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B
y O C x

∴ ∠AOC=∠AOD+∠DOC
-1 y=3
1
O x =∠AOD+ ∠ADO (∵ ㉡)
2
y=-3 3
-5 = ∠AOD (∵ ㉠) (참)
2
x=-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102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2 22. 9. 13. 오후 6:59


Ú 직선 y=2x-a가 곡선 y='¶2x+3에 접하는 경우
414 ③
y
y=Â2xÊ+˛3˛
조건 ㈎에 의하여 y=¿¹1-xÛ`에서 y¾0이고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yÛ`=1-xÛ`에서 xÛ`+yÛ`=1이므로 함수 y=¿¹1-xÛ`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이면서 y¾0인 범위
O x
에 그려지는 반원이다.
y
V
1

-1 O 1 x 2x-a='¶2x+3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2x-a)Û`=2x+3
조건 ㈏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 이차방정식 4xÛ`-2(2a+1)x+aÛ`-3=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므로 다음과 같다. D
y
=(2a+1)Û`-4(aÛ`-3)=0이므로
4
1 13
4a+13=0 ∴ a=-
4
-1 O 1 3 x 3
Û 직선 y=2x-a가 점 {- , 0}을 지나는 경우
2
조건 ㈐에서 함수 y= 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
y=Â2xÊ+˛3˛
다음과 같다.
y
3
-
1 2
O x
-3 -1 O 1 3 x

이때 다시 조건 ㈏에 의하여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직선 x=1에


대하여 대칭이고, 이와 같이 그래프를 그려나가면 함수 y= f(x)의
3
그래프는 -1ÉxÉ1에서 f(x)=¿¹1-xÛ`이고 2 간격으로 모양이 0=2_{- }-a에서 a=-3
2
반복된다. Ü 직선 y=a가 점 (0, 0)을 지나는 경우
y y
y=Â2xÊ+˛3˛
1 y=f{x}

O 1 3 5 x
O x
y=kx+1

이때, 직선 y=kx+1은 기울기가 k<0이고 점 (0, 1)을 지나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6개의 점에서 만나려면 그림과
같이 직선 y=kx+1이 점 (5, 0)을 지나야 한다. a=0
1 Ý 점 (a, a)가 곡선 y='¶2x+3 위에 있는 경우
0=5k+1 ∴ k=-
5
y
y=Â2xÊ+˛3˛

13
415 -
4
<aÉ-3 또는 0Éa<3

함수 y=x+|x-a|는 O x

x¾a일 때, y=x+(x-a)=2x-a
x<a일 때, y=x-(x-a)=a
이므로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a='¶2a+3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aÛ`-2a-3=0, (a+1)(a-3)=0
∴ a=-1 또는 a=3
{a,`a}
이때 a>0이므로 a=3
점 (a, a)가 직선 y=x 위의 점이므로 함수 y=x+|x-a|의 Ú ~ Ý에서 두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그래프가 곡선 y='¶2x+3과 만나는 점의 개수는 다음과 같은 13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 <aÉ-3 또는 0Éa<3이다.
경우를 기준으로 달라진다. 4

Ⅴ. 함수와 그래프 103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3 22. 9. 13. 오후 6:59


참고 a>6일 때 다음과 같이 x>-2에서 유한개의 점에서만
두 함수 y=x+|x-a|, y='¶2x+3의 그래프의 위치 관계는 만난다.
다음과 같다. y ax
y=
x+2
13 a
❶ a<- 또는 a>3일 때, 만나지 않는다. y=f{x} 6
4
13
❷ a=- 또는 -3<a<0 또는 a=3일 때,
4 2
한 점에서 만난다. -10 -6 -2 O2 6 10 14 x
13 ( - ②) a=2 또는 a=6일 때
❸- <aÉ-3 또는 0Éa<3일 때, 두 점에서 만난다.
4
a=2일 때 다음과 같이 x<-2에서 무수히 많은 점에
서 만난다.
y ax
y=
x+2
y=f{x}
6

2
-10 -6 -2 O 2 6 10 14 x

a=6일 때 다음과 같이 x>-2에서 무수히 많은 점에


416 ④
서 만난다.
조건 ㈎, ㈏를 만족시키는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ax
y=
y x+2
y=f{x} 6 y=f{x} 6

2
2
-10 -6 -2 O 2 6 10 14 x
-10 -6 -2 O2 6 10 14 x
ax 2a ( - ③) 2<a<6일 때
함수 y= =- +a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x+2 x+2
다음과 같이 무수히 많은 점에서 만난다.
x=-2, y=a이다.
y ax
a의 값에 따라 두 함수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x+2
Ú a<0일 때 y=f{x}
6
다음과 같이 -2<x<0에서 한 점에서 만난다.
a
ax
y y= 2
y=f{x} x+2
-10 -6 -2 O2 6 10 14 x
6

2 2 Ú ~ Ü에서 두 함수의 그래프가 무수히 많은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10 -6 -2 O 6 10 14 x
a의 값의 범위는 2ÉaÉ6이므로 구하는 정수 a의 값의 합은
a
2+3+4+5+6=20이다.

Û a=0일 때

y=
ax
x+2
=0이므로 두 그래프는 만나지 않는다. 417 16

Ü a>0일 때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 ①) 0<a<2 또는 a>6일 때 y

0<a<2일 때 다음과 같이 x<-2에서 유한개의 점에 y=g{x}

서만 만난다.
ax 4
y y= x+2
y=f{x} 6 3

2 O 6 x
a
-10 -6 -2 O2 6 10 14 x x<6일 때 x의 값이 커지면 g(x)의 값도 커지므로
g(t)<g(t+2)이다.

104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4 22. 9. 13. 오후 6:59


㈎에 의하여 t<2일 때 h(t)= f(g(t+2))이고
g(t)ÉxÉg(t+2)이므로 f(x)는 x=g(t+2)에서 최솟값을
419 ②

갖는다. -6 -6
함수 y=| +3|의 그래프는 함수 y= +3의 그래프의
x-1 x-1
따라서 g(t)ÉxÉg(t+2)에서 x의 값이 커지면 f(x)의 값은
x축 아래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그래프이므로 다음과
작아진다.
같다.
2Ét<4일 때 h(t)=8이므로 g(t)ÉxÉg(t+2)에서 f(x)의
y V
최솟값이 8로 일정하다. 함수 y= f(x)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를 y= |x-1
-6
+3|
(a, b)라 하면 a는 2Ét<4인 모든 t에 대하여
g(t)ÉaÉg(t+2)이어야 하므로 a=g(4)이고 b=8이다.
이때, g(4)=6이므로 f(x)=k(x-6)Û`+8 (k는 상수)이라 하면 3

㈏에서 h(-2)=10이므로
O 1 x
h(-2)= f(g(0))=10이고 g(0)=4에서
1 무리함수 y=-'¶k-x+3의 그래프는 점 (k, 3)을 지나면서 왼쪽
f(4)=k(4-6)Û`+8=4k+8=10이므로 k=
2
아래로 그래프가 그려진다.
1
따라서 f(x)= (x-6)Û`+8이므로 y
2 y= |x-1
-6
+3|
1
f(10)= _4Û`+8=16
2
3

y=-Âk-˛x˛+3
O1 23 x

-6
함수 y=| +3|의 그래프가 직선 y=3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x-1
418 -2Ék<-6+4'2 6
x-1
-3=3에서 x=2이다.
2|x|-2 k<2일 때 두 그래프는 서로 만나지 않고, k¾2일 때 두 그래프는
f(x)= (x+1)라 하면
|x-1| 항상 만난다.
-2x-2 2(x-1)+4 4
xÉ0일 때, f(x)= = = +2 ∴ a=2
-(x-1) x-1 x-1
직선 y=m(x-4)-1은 점 (4, -1)을 지나는 직선이다.
2x-2
0<x<1일 때, f(x)= =-2 y
-(x-1)
2x-2
y=m{x-4}-1 |x-1
y=
-6
+3|
x>1일 때, f(x)= =2
x-1
이므로 함수 y= 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3
y=kx y
y=f{x} O 1 4
2 -1 3 x

O 1 -6 -6
x +3=0에서 x=3이므로 함수 y=| +3|의 그래프가
x-1 x-1
-2
x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3, 0)이다.
직선 y=m(x-4)-1이 점 (3, 0)을 지날 때,
이때 직선 y=kx는 원점을 지나고 기울기가 k인 직선이므로 함수 0=-m-1 ∴ m=-1 yy TIP1
y= f(x)의 그래프와 직선 y=kx가 만나지 않으려면 실수 k의 값이 이때, m<-1일 때 두 그래프는 세 점에서 만난다. yy TIP2
x<0에서 직선 y=kx가 곡선 y= f(x)에 접할 때의 k의 값보다는 ∴ b=-1
크고, 점 (1, -2)를 지날 때의 k의 값보다는 작거나 같아야 한다. ∴ a+b=2+(-1)=1
Ú 직선 y=kx가 점 (1, -2)를 지날 때, k=-2
Û x<0에서 직선 y=kx가 곡선 y= f(x)에 접할 때 TIP1
4 직선 y=m(x-4)-1이 점 (3, 0)을 지날 때 m=-1이므로
+2=kx에서 4=(kx-2)(x-1)
x-1 y=-x+3이다.
이차방정식 kxÛ`-(k+2)x-2=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6
이때, 1<x<3에서 곡선 y= -3과 직선 y=-x+3이
D={-(k+2)}Û`-4k_(-2)=0, kÛ`+12k+4=0 x-1
∴ k=-6+"Ã6Û`-4=-6+4'2 (∵ k>-2) 만나는지의 여부에 따라 교점의 개수가 달라지므로 이를 다음과
Ú, Û에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2Ék<-6+4'2 이다. 같이 확인할 수 있다.

Ⅴ. 함수와 그래프 105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5 22. 9. 13. 오후 6:59


6 따라서 PRÓ의 최솟값은 ¿¹(-'3)Û`+'3 Û`='6
방정식 -3=-x+3에서 6=(x-1)(-x+6)
x-1 이때, 삼각형 PQR의 넓이는
xÛ`-7x+12=0, (x-3)(x-4)=0 1 1
_PRÓ Û`= _'6 Û`=3이다.
x=3 또는 x=4이므로 2 2
두 그래프는 1<x<3에서 만나지 않는다.
TIP
-6
따라서 함수 y=| +3|의 그래프와 직선 y=x+2는 기울기가 1이므로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x-1
직선 y=m(x-4)-1은 m=-1일 때 두 점에서 만난다. 각의 크기가 45ù이다.
따라서 ∠PQR=45ù이므로 직각삼각형 PRQ는 PRÓ=QRÓ인
TIP2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6
함수 y=| +3|의 그래프와 직선 y=m(x-4)-1의
x-1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❶ m=0일 때, 만나지 않는다.
❷ m>0 또는 -1<m<0일 때, 한 점에서 만난다.
❸ m=-1일 때, 두 점에서 만난다. 421 13

❹ m<-1일 때, 세 점에서 만난다. 함수 y='¶x-[x]-[x]는


0Éx<1일 때, y='x
1Éx<2일 때, y='¶x-1-1
2Éx<3일 때, y='¶x-2-2
⋮ ⋮

이므로 함수 y= x-[x]-[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420 3 y

삼각형 PQR는 PRÓ=QRÓ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yy TIP 2


1
3 y 1 2 3 4
y=- y=x+2
x+2 O x
-1
P -2 y=´x-¨ù[x]¨ù-[x]
Q
R -3

O x
-2
직선 y=kx+2는 점 (0, 2)를 지나고 기울기가 k인 직선이고,
n(A;B)=2를 만족시키려면 함수 y='¶x-[x]-[x]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따라서 PQÓ='2_PRÓ이므로 PRÓ가 최소일 때, PQÓ도 최소이다.
이를 만족시키려면 직선 y=kx+2의 기울기가 점 (1, -1)을 지날
함수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여도 선분 PR의 길이는 변하지
때보다 크거나 같고, 점 (2, -2)를 지날 때보다는 작아야 한다.
3
않으므로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y=x+2를 x축의 직선 y=kx+2가 점 (1, -1)을 지날 때
x+2
3 -1=k+2에서 k=-3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각각 y=- 과 y=x이다.
x 직선 y=kx+2가 점 (2, -2)를 지날 때
3 -2=2k+2에서 k=-2
이때, PRÓ의 최솟값은 함수 y=- 의 그래프 위의 점에서 직선
x
따라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3Ék<-2이므로
3
y=x까지의 거리의 최솟값과 같다. 이는 함수 y=- 의 그래프와 a=-3, b=-2
x
직선 y=-x의 교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와 같다. ∴ aÛ`+bÛ`=(-3)Û`+(-2)Û`=13
y y=x

x
O 3
y=-
x 422 ①

y=-x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집합 Aû={x| f(x)=k}가


3 n(Aû)=1을 만족시키려면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모든
- =-x에서 xÛ`=3 ∴ x=Ñ'3
x 실수 k에 대하여 직선 y=k와 한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즉, 교점의 좌표는 (-'3, '3 ) 또는 ('3, -'3 )이다. 함수 f(x)는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106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6 22. 9. 13. 오후 6:59


-2x+9 -1
[ 1 ] ax+b<0일 때, 함수 f(x)=
x-5
=
x-5
-2의 423 k>4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3x-5 3x-5


함수 y=| +k|의 그래프는 함수 y= +k의 그래프의
b x-1 x-1
Ú a>0일 때, ax+b<0에서 ax<-b, x<-
a x축 아래 부분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것이다.
b b 3x-5 -2
( -①) - <5일 때 ( -②) - =5일 때 함수 y= +k+3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a a x-1
+k=
x-1 V
y y y y x=1, y=k+3이므로
y y
3x-5
O O 5 5 x x O O 5 5 x x k+3의 값에 따라 x>1에서 함수 y=| +k|의 그래프의
x-1
O-2
-2 5 x -2
O-2 5 x
개형은 다음과 같다.
-2 -2
Ú k+3É0일 때, 즉 kÉ-3일 때
b
( -③) - >5일 때 y y
y y
y
a
O 1 x
y= | 3x-5
x-1
+k|
O O 5 5 x x
O-2
-2 5 x
k+3 -{k+3}
-2
3x-5
y= +k O 1 x
x-1
b 1<xÁ<xª<2인 모든 실수 xÁ, xª에 대하여
Û a<0일 때, ax+b<0에서 ax<-b, x>-
a
f(xÁ)> f(xª)이므로 f(xÁ)<5< f(xª)를 만족시키는
b b
( -①) - >5일 때 ( -②) - =5일 때 xÁ, xª가 존재하지 않는다.
a a
y y y y Û k+3>0일 때, 즉 k>-3일 때
y y
O O 5 5 x x O O 5 5 x x
-2-2 -2-2
k+3 k+3

b
y=
3x-5
x-1
+k y= | 3x-5
x-1
+k|
( -③) - <5일 때 O 1 x
a O 1 x
y y
3x-5
x=2일 때 함수 y= +k의 함숫값이 k+1이므로
O O 5 5 x x x-1
-2-2 3x-5
k+1의 값에 따라 1<x<2에서 함수 y=| +k|의
x-1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 2 ] ax+b¾0일 때, 함수 f(x)='¶ax+b+c의 그래프는 다음과
( -①) k+1É0일 때, 즉 -3<kÉ-1일 때
같다.
y
Ú a>0일 때 Û a<0일 때

{- ab , c}{- ab , c} {- ab , c}{- ab , c}
[ 1 ], [ 2 ]에서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 되는 경우를 찾아보면
O 1 2 x
a>0일 때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 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고,
a<0일 때 함수 f(x)가 일대일대응이 되는 경우는 Û-②의 경우에 1<xÁ<xª<2인 모든 실수 xÁ, xª에 대하여
b f(xÁ)> f(xª)이므로 f(xÁ)<5< f(xª)를 만족시키는
다음과 같이 - =5이고, c=-2가 될 때뿐이다.
a
xÁ, xª가 존재하지 않는다.
y
( -②) k+1>0일 때, 즉 k>-1일 때
y

O 5 x

-2

b O 1 2 x
∴ +c=(-5)+(-2)=-7
a

Ⅴ. 함수와 그래프 107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7 22. 9. 13. 오후 6:59


함수 y= 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을 이때, 함수 y='¶x+36의 그래프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a (1<a<2)라 하면 a<xª<2일 때, x축의 방향으로 36만큼, y축의 방향으로 6만큼 평행이동하면
f(xÁ)<f(xª), xÁ<xª를 만족시키는 xÁ이 항상 존재한다. 함수 y=-'¶x+6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색칠한 두 도형 A와 C가
이때, f(xÁ)<5< f(xª)를 만족시키려면 a<xª<2이고 서로 합동이다.
f(xª)>5인 xª가 존재해야 하므로 f(2)>5이면 된다. y
즉, f(2)=|1+k|=k+1>5에서 k>4이다. 6
y=Âx+˛3˛6˛
A l B m C
Ú, Û에서 구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4이다.
-36 O y=-Âx°+6 36 x

선분 x=0 (0ÉyÉ6)을 l이라 하고, 곡선 y=-'¶x+6 (0ÉxÉ36)


을 m이라 하면 구하는 점의 개수는 x축, y축, x=36, y=6으로 둘
424 ①
러싸인 직사각형의 둘레 및 내부에 포함되는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두 함수 y='¶x+2, y='¶2-x의 그래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정수인 점의 개수에서 선분 l 위에 있는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
y 인 점의 개수를 빼고, 곡선 m 위에 있는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
y=Â2-˛x˛ y=Âx+˛2˛
인 점의 개수를 더한 것과 같다. yy TIP1
Â2
이때, 선분 l 위에 있는 x좌표,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와
곡선 m 위에 있는 x좌표,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가 7로

-2 2 x 서로 같다. yy TIP2
O
즉, 구하는 점의 개수는 x축, y축, x=36, y=6으로 둘러싸인 직사
구하는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를 a`(0<a<'2)라 하면
각형의 둘레 및 내부에 포함되는 x좌표,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yy TIP
개수와 같다.
'¶2-x=a에서 x=2-aÛ`이므로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따라서 0ÉxÉ36에서 정수인 x는 37개, 0ÉyÉ6에서 정수인 y는 7
4-2aÛ`이다. 개이므로 구하는 값은 37_7=259이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1 1
2(4-2aÛ`+a)=-4{aÛ`- a}+8=-4{a- }Û`+
33 TIP1
2 4 4
구하는 점의 개수를 두 도형 A, B의 내부와 경계에 있는 점의
1 33
이므로 a= 일 때, 최댓값 l= 을 갖는다. 개수의 합으로 구할 때, 선분 l 위의 점의 개수를 중복해서 세게
4 4
1 31 된다.
이때,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는 a= , 가로의 길이는 4-2aÛ`=
4 8 또한 도형 A와 도형 C가 합동이므로 두 도형 A, B를 두 도형 B,
1 31 31 C로 바꾸어 생각할 수 있고, 이때 두 도형 B, C의 내부와
이므로 직사각형의 넓이는 S= _ = 이다.
4 8 32
경계에 있는 점의 개수를 B, C를 합친 직사각형의 내부와
31
8_ 경계에 있는 점의 개수로 구할 때, 곡선 m 위의 점의 개수를
8S 32 31
∴ = = 한 번 빼서 세게 된다.
l 33 33
4

TIP TIP2
만약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2k`(0<k<2)라 하면 곡선 y=-'¶x+6 위의 점의 y좌표가 n이면 x좌표는
세로의 길이는 '¶2-k이고 (n-6)Û`이므로 y좌표가 정수일 때 x좌표도 정수이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2(2k+'¶2-k)이다. 곡선 m 위에 있는 x좌표,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이와 같은 무리식이 포함된 식의 최댓값을 구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y좌표가 정수인 점의 개수와 같다. 또한 선분 l 위에 있는
본풀이와 같이 세로의 길이를 기준으로 풀이하는 것이 좋다.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도 y좌표가 정수인 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y좌표의 범위 0ÉyÉ6에서 두 부분 위에 있는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는 7로 같다.

425 259
다른 풀이

두 함수 y='¶x+36, y=-'¶x+6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함수 y='¶x+36, y=-'¶x+6의 그래프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형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y y
6 6
y=Âx+˛3˛6˛ y=Âx+˛3˛6˛
y=n
-36 O y=-Âx°+6 36 x -36 O 36 x
y=-Âx°+6

108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8 22. 9. 13. 오후 6:59


도형의 내부 또는 경계에 포함되는 점 중에서 y좌표가 n인 점의
개수를 f(n)이라 하자. (단, n은 0ÉnÉ6인 정수)
427 9

'¶x+36=n에서 x=nÛ`-36 1 1 -x+3


함수 f(x)는 함수 y= { -1}= (x>2)의
2 x-2 2x-4
-'¶x+6=n에서 x=(n-6)Û`이고, nÛ`-36, (n-6)Û`은 모두
4x+3 1
정수이므로 nÛ`-36ÉxÉ(n-6)Û`인 정수 x의 개수는 역함수이므로 f(x)= {x>- }이다.
2x+1 2
(n-6)Û`-(nÛ`-36)+1=-12n+73에서 f(n)=73-12n이다.
1 3
함수 y= xÛ`+ (x¾0)의 역함수 g(x)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V
따라서 구하는 점의 개수는 2 2
f(0)+ f(1)+ f(2)+y+ f(6) 2y-3=xÛ` (x¾0), x='¶2y-3
=73+(73-12)+(73-24)+(73-36) x와 y를 서로 바꾸면 y='¶2x-3이므로
+(73-48)+(73-60)+(73-72) g(x)='¶2x-3이다.
=73_7-12_(1+2+3+4+5+6)=259 4x+3
h(x)=g( f(x))=g{ }
2x+1
4x+3 2x+3
=¾Ð2_ -3=¾Ð
2x+1 2x+1
∴ h(1)_h(2)_y_h(120)
426 ①
5 7 9
=¾Ð _¾Ð _¾Ð _y_¾Ð
243
3 5 7 241
3x
Ú 1ÉxÉ6일 때 부등식 ax-1É 가 성립하려면 y=ax-1 243
x+2 =¾Ð ='¶81=9
3
3x
의 함숫값이 y= 의 함숫값보다 항상 작거나 같아야 하므로
x+2
3x
1ÉxÉ6에서 직선 y=ax-1이 함수 y= 의 그래프보다
x+2
아래쪽 또는 같게 위치해야 한다.
3x
Û 1ÉxÉ6일 때 부등식 Ébx-1이 성립하려면 y=bx-1의
x+2
3x
함숫값이 y= 의 함숫값보다 항상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x+2
3x
1ÉxÉ6에서 직선 y=bx-1이 함수 y= 의 그래프보다
x+2 428 ④
위쪽 또는 같게 위치해야 한다.
4
3x -6 집합 A^는 유리함수 y= +tÛ`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1ÉxÉ6에서 함수 y= = +3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고, x-t
x+2 x+2
집합 B^는 중심이 (t, t)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2인 원을 나타낸다.
두 직선 y=ax-1, y=bx-1은 y절편이 -1이고, 기울기가 각각 a,
ㄱ. t<0일 때 집합 A^가 나타내는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두
b인 직선이다.
점근선의 교점 (t, tÛ`)이 제2사분면 위에 존재하므로 그래프는
y y=bx-1 다음과 같다.
y=ax-1
y
3
O 1
-2 -1 6 x {t,`t@}

Ú에 의하여 a의 값이 최대이려면 x
O
3x 9
직선 y=ax-1이 함수 y= 의 그래프 위의 점 {6, }를 따라서 제4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거짓)
x+2 4
9 13 4
지나야 하므로 =6a-1에서 a= ㄴ. t=1일 때 집합 A^;B^는 함수 y= +1의 그래프와
4 24 x-1
13 원 (x-1)Û`+(y-1)Û`=8의 교점의 집합이다.
즉, a의 최댓값은 이다.
24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Û에 의하여 b의 값이 최소이려면 4
(x-1)Û`+{ }Û`=8에서
3x x-1
직선 y=bx-1이 함수 y= 의 그래프 위의 점 (1, 1)을
x+2 16
x-1=k로 치환하면 kÛ`+ =8
지나야 하므로 1=b-1에서 b=2 kÛ`
즉, b의 최솟값은 2이다. kÝ`-8kÛ`+16=0, (kÛ`-4)Û`=0에서 k=Ñ2이므로
13 13 x=3 또는 x=-1
따라서 구하는 곱은 _2=
24 12 즉, 두 그래프는 두 점 (-1, -1), (3, 3)에서 만난다.

Ⅴ. 함수와 그래프 109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09 22. 9. 13. 오후 6:59


y 3
430 -3<kÉ-
2
-1
함수 y='Ä6x-3+2의 역함수 f (x)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y-2='Ä6x-3, (y-2)Û`=6x-3 (∵ y¾2)
O 1 x
6x=(y-2)Û`+3
x와 y를 서로 바꾸면 6y=(x-2)Û`+3
1 1 -1 1 1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4'2이다. (참) y= (x-2)Û`+ 이므로 f (x)= (x-2)Û`+ (x¾2)이다.
6 2 6 2
ㄷ. ㄴ에서 유리함수 그래프의 두 점근선의 교점 (t, tÛ`)과 원의 중심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t, t)가 일치할 때, 두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나므로 두 점근선의 y y=f —!{x} y=x
교점과 원의 중심의 위치에 따라 두 그래프의 위치 관계가 다음
과 같다. y=g{x}
y=f{x}
Ú t=tÛ` Û t+tÛ`

2
{t,`t} {t,`t}
O2 x

h(k)=3을 만족시키려면 실수 k의 값이 직선 y=x+k가


{t,`t@} {t,`t@} 1
{t,`t}={t,`t@}
{t,`t}={t,`t@} 점 {2, }을 지날 때의 k의 값보다는 작거나 같고,
2
-1 -1
직선 y=x+k가 f(x)> f (x)일 때 함수 y= f (x)의 그래프에
두 그래프가 항상 두 점에서 만나므로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접할 때의 k의 값보다는 커야 한다.
n(A^;B^)=2이다. (참) y y=f—!{x} {i}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ii}

y=f{x}

2
O x
429 ③ 2

f(x)='¶3+x+'¶3-x라 할 때, 1
Ú 직선 y=x+k가 점 {2, }을 지날 때
2
3+x¾0, 3-x¾0이어야 하므로 -3ÉxÉ3
1 3
이때, f(x)¾0이므로 { f(x)}Û`이 최댓값과 최솟값을 가질 때 =2+k에서 k=- 이다.
2 2
f(x)도 각각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1
Û 직선 y=x+k가 f(x)> f (x)일 때의 함수 y= f (x)의
-1

{ f(x)}Û`=('¶3+x+'¶3-x)Û` 그래프에 접할 때
=6+2'¶(3+x)(3-x) 1 1
(x-2)Û`+ =x+k에서 xÛ`-4x+7=6x+6k
=6+2¿¹9-xÛ` (-3ÉxÉ3) 6 2
-3ÉxÉ3에서 함수 y=9-xÛ`은 x=0일 때 최댓값을 갖고, 이차방정식 xÛ`-10x+7-6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함수 f(x)는 x=0일 때 최댓값 f(0)='3+'3=2'3을 가지므로 D
=(-5)Û`-(7-6k)=0
4
a=2'3
6k=-18 ∴ k=-3
x=-3 또는 x=3일 때 함수 y=9-xÛ`은 최솟값을 갖고,
3
함수 f(x)는 x=-3 또는 x=3일 때 최솟값 f(-3)= f(3)='6을 Ú, Û에서 구하는 k의 값의 범위는 -3<kÉ- 이다.
2
가지므로 b='6
∴ ab=2'3_'6=6'2

참고

함수 y='¶3+x+'¶3-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y
2Â3 y=Â3+˛x˛+Â3-˛x˛
y=Â3-˛x˛
Â3 y=Â3+˛x˛

-3 O 3 x

110 수학<하>

(해001-144)고쟁이수학(하)OK.indb 110 22. 9. 13. 오후 6:5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