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Ⅱ.

벡터
소단원 수준별 평가 문제 ❶ 벡터 1. 벡터의 연산

기본 문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4
한 변의 길이가 인
오른쪽 직사각형 정육각형 AB C DEF
1
AB C D 에서 에서 벡터 
C E의 크
AB   , 
 AD   일 기를 구하시오.
때, 벡터  AC 의 크
기를 구하시오.

오른쪽 그림에서 벡터 
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2
와 크기는 같고 방향이 변의 길이가  인 정육

반대인 벡터를 구하시오. 각형 AB C DEF 에서


AD , 
 BE , 
CF 의 교
점을 O 라고 할 때,

O A   

B F  의

값을 구하시오.

표준 문제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삼
각형 AB C 의 세 변 발전 문제
AB , B C , C A 의 중점
을 각각 D , E , F 라고 오른쪽 그림과 같은 두 정사각
6
하자. 개의 점 A , B , 형 AB EF , B CD E 에서 여섯
C , D , E , F 를 시점과 개의 점 A , B , C , D , E , F
종점으로 하는 벡터 중에서 벡터  AD 와 같은 를 시점과 종점으로 하는 서로
벡터가  개, 벡터 
DF 와 크기는 같고 방향이 다른 벡터의 개수를 구하시오.
반대인 벡터가  개일 때,    의 값을 구하시 (단, 영벡터는 생각하지 않는
오. 다.)

-1-
Ⅱ. 벡터
소단원 수준별 평가 문제 ❷ 벡터의 덧셈과 뺄셈 1. 벡터의 연산

기본 문제 표준 문제

1 세 벡터 
,  , 가 오 4 
B C 
DB 
AB 
C D 를 간단히 하시오.
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
음 벡터를 그리시오.
⑴ 
 
⑵ 
 
 

다음은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네 점 A , B , C , 5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2 |보기|
D 에 대하여 
C D 
AC 
B C 
B D 를 간단히
하는 과정이다. ㈎~㈐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 ㄱ. 
AC   
BC AB 

오. ㄴ. 
AB   
BC AC   
BC CB
ㄷ.   
BC AB   
CA AB 
AC 
BC
  
CD AC  
BC BD

CD   
CA  ㈎
BC
 ㈎   
BC CD 
CA
 
㈏CD 
CA
 ㈐

6 오른쪽 평행사변형
AB C D 에서 
AB 
 ,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

AD  , 
AC  라고 할
행사변형 AB C D 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O 라 때, 
 
  를 간단히 하

시오.
하고   
O A  , 
O B 
라고 할 때, 다음 벡터를 
, 로 나타내시오.
⑴ 
B A
⑵ 
B C

-2-
소단원 수준별 평가 문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7
AB   , 
 AD   인 직 발전 문제
사각형 AB C D 가 있다.
변 AB 위의 점 P 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
10
대하여    
B P B C 의 육각형 AB C DEF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세 대각선 AD , B E ,
C F 의 교점을 O 라고
할 때, 옳은 것만을 |보

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
AB   
ED
ㄴ.   
BC  
ED AF
ㄷ. 
AC   
ED  
AO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 AB C 에서
8 ① ㄱ ② ㄷ ③ ㄱ, ㄴ

AB 
C A   ,  
AB 
AC   일 때, 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의 값은?
  
① 
 ② 
 ③ 
④ 
 ⑤ 

정사각형 AB C D 와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
11
9 
PA 
PB 
PC 
PD   를 만족시키는 점
의 길이가  인 정육각형
P 에 대하여   PA    일 때,
AB C DEF 에서 다음을 구

AB 
AC 
AD 의 값을 구하시오.
하시오.
⑴ 
AB 
C D 
EF
⑵ 
AB 
FE 
FD 

-3-
Ⅱ. 벡터
소단원 수준별 평가 문제 ❸ 벡터의 실수배 1. 벡터의 연산

기본 문제 세 벡터 , ,
 에 대하여
4

 
   , 
 
  ,
1 두 벡터 
  가 오른쪽 그 
   
림과 같을 때, 벡터     일 때, 두 벡터 
 , 
 가 서로 평행하도
를 그리시오. 록 하는 실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두 벡터

, 는
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다.)

5 평면 위의 서로 다른 네 점 O , A , B , C 에
대하여
  
O A  , O B  ,
2 영벡터가 아닌 두 벡터  , 가 서로 평행하지 
O C       
않을 때, 두 벡터  
   ,   
   가 서로 일 때, 세 점 A , B , C 가 한 직선 위에 있도
평행하도록 하는 실수  의 값을 구하시오.
록 하는 실수 의 값은? (단, 두 벡터  , 는
영벡터가 아니고 서로 평행하지 않다.)
①  ②  ③ 
④  ⑤ 

표준 문제
발전 문제

3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벡터
 오른쪽 그림과 같은 정사
 6
를  , 로 나타내시오. 각형 AB C D 에서

AB 
AC 
AD  
일 때, 이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하시오.

-4-
정답 및 풀이

Ⅱ-1-1 벡터 6 정사각형 한 변의 길이를 이라고 하자.


(ⅰ) 크기가  인 서로 다른 벡터는
1.  
 2. 
 3.  4.  
 5. 

AB, 
B A, 
AF, 
FA의 개
6. 
(ⅱ) 크기가  
 인 서로 다른 벡터는

AE , 
EA , 
B F, 
FB 의 개
3 벡터 
AD 와 같은 벡터는 (ⅲ) 크기가  인 서로 다른 벡터는

DB , 
FE 의 개 
AC, C A의  개
벡터 
DF 와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인 벡터는 (ⅳ) 크기가    인 서로 다른 벡터는

FD , 
EB , 
C E 의 개 
AD , DA , 
C F, 
FC의 개
따라서    ,    이므로 이상에서 서로 다른 벡터의 개수는
           

4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 이므로 삼각형


C DE 는 ∠C DE  °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C DE 에서  DE   이므로 선분 C E 의 중
CD 
점을 M 이라고 하면

 
C M cos°  

∴ 
C E  
C E  
C M  

5 세 대각선에 의해 나누어진  개의 삼각형은 모두


합동인 정삼각형이므로

O A  
O A 
또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 이므로 삼각
형 AB F 는 ∠B AF  °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AB F 에서  AF   이므로 선분 B F 의 중
AB  
점을 M 이라고 하면

 
B M cos°  

∴ 
B F   
B F 
B M  

∴ 
O A   

B F       

-5-
Ⅱ-1-2 벡터의 덧셈과 뺄셈   
AB 
AC  
AD

1. 풀이 참조 2. ㈎ DB ㈏  DC ㈐ 
C A

  ×   

3. ⑴    ⑵  
  4. 
AB 5. ㄱ, ㄴ
∴    

6.  
 7.  8. ⑤ 9. ⑴  ⑵   

10. ⑤ 11. 
9 ⑴ 
AD , 
BE , 
C F 의 교점을 O 라고 하면

C D 
B O , 
EF 
O A
1 ⑴ ⑵ ∴  AB C D 
EF 
AB 
B O 
O A
 AO   
O A 
∴  AB   
C D EF  
⑵ 
FE 
B C , 
FD AC 이므로
5 ㄱ. 
AC 
B C 
AB 
AC 
C B 
B A

AB  FE 
FD  AB  B C 
AC
AB 
B A  

 
AC
ㄴ. 
AB 
B C 
AC 
AB 
B C 
C A
이때 AC   
 이므로
 
B C   
C A AB
 AB  FE  
    FD     
AC   

 
B C 
C B
ㄷ. 
B C 
AB   
C A B C   
C A B A
10 ㄱ. 
AB 
ED 
AB 
AB  


B A 
B A   B A
ㄴ. 
B C 
ED 
B C 
DE  
B C 
C O

AB 
AC 
B C 
AB 
AC 
C B
B O 
AF
AB 
AB  AB
ㄷ. 
AC 
ED 
AO 
AC AO 
ED
∴   
B C AB 
C A≠ 
AB 
AC 
B C
O C 
ED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
ED 
ED 

이상에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7   
B P B C   
C P  
CP
선분 C P 의 길이는 점 P 가 점 B 위에 있을 때 최
11 
AB 
AC 
AD
소이므로    
B P B C 의 최솟값은  이다.

PB 
PA 
PC 
PA 
PD 
PA

PB 
PC 
PD 
PA
8   
AB 
C A
   
C A AB   
PA (∵ PB 
PC 
PD 
PA )

 
C B   ∴ AB 
AC 
AD     
PA 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
PA   

AC B,D 
 AB C인
D 점
D 를 잡으면 AB  AC  
   AD
이므로

-6-
Ⅱ-1-3 벡터의 실수배 6 
AB 
AC 
AD  
AB 
AD  
AC
 AC 
AC  
AC
1. 풀이 참조 2.  3.  
  
4.  5. ③ 6.    이므로 
AB AC 
AD   에서

 
AC   ∴ AC  
즉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라고 하면

 ∴     
따라서 정사각형 한 변의 길이는   
 이다.

2 두 벡터    
  
   가 평행하므로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이 아닌 실수  이 존재한다.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   

3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4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이 아닌 실수 이 존재한다.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  
 , 

5 
AB 
O B O A 
   ,

AC 
O C 
O A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이 아닌 실수 이 존재한다.
따라서      ,      이므로
     

-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