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기출문제집

-기하-
(3)공간도형과
공간좌표
LEVEL 3
수능,평가원,교육청
사관학교,경찰대

해설
1) ⑤ 3) 40
점 P에서 직선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점 Q에서 직선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이라 하고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자.

∠PMP′  °이므로
  
PP′ sin°   BP′ 
MP′ cos°  

점 Q′는 선분 CD의 중점이므로  ′ 


QQ′ CQ

   또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sin    cos    tan  
   두 직선 AB GP′은 서로 수직이고

  두 직선 CD HQ′은 서로 수직이다.


AE 
PE 
 cos  

또한   
PG  QH 
 이라 주어졌으므로
  
 sin    
EM  EH 
EMtan 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
 
P′G 
   
 
   
 

EH   
∴cos     
Q′H   
   이다.

PE   
 

2) 7
조건 (나)에서 ∠CED °이므로
두 직선 BC DE는 서로 수직이다.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AH ⊥(평면 BCD 
HE ⊥
BC 이므로  
AE ⊥BC
즉 직선 BC와 평면 AED는 서로 수직이므로 따라서 삼각형 CGH의 넓이는 이다. ⋯ ㉠

두 직선 BC AD도 서로 수직이다. ⋯ ㉠ 한편 점 P에서 선분 QH에 내린 수선의 발을

조건 (가)에서 두 삼각형 AEH DAH는 닮음이므로 I라 하면 직각삼각형 PIQ에서



QI   
  PI GH 
 이므로
∠DAE ∠EAH ∠HAD °

PQ 
    
 
그러므로 두 직선 AD AE는 서로 수직이다. ⋯ ㉡    이다.
㉠ ㉡에서 직선 AD는 평면 ABC와 서로 수직이다.  
또한, CG  에서 
PC 
 이고
 
정삼각형 ABC에서 AE⊥ BC 이므로   
CH 
 에서 CQ  이므로
  
점 E는 선분 BC의 중점이다. 즉 AE  이등변삼각형 PCQ의 넓이는 
 이다. ⋯ ㉡
직각삼각형 AED에서  
㉠ ㉡에 의하여 cos    이다.
 
AD 
 
AE    
DE  

   
∴∠cos   
직각삼각형 AED에서 
AE·
AD 
AH·
DE

 ·  
이므로  AH· 
AH  
 다른풀이
직각삼각형 AHD에서 점 P는 호 AB의 삼등분점이므로 점 P와 직선 AB

DH 
       사이의 거리는 
 이고 점 Q는 호 CD의 이등분점
AD  AH   
  
이므로 점 Q와 직선 CD 사이의 거리는 이다.
 
삼각형 AHD의 넓이는  ·
 ·  
또한 점 P 에서 직선 A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 
두 평면 ABD AHD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점 Q에서 직선 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Q′이라
라 하면  ∠BAE °이므로 구하는 하면 점 P′은 선분 AB를   로 내분하는 점이고

  점 Q′은 선분 CD의 중점이다.


정사영의 넓이는  ·cos°  
  이때, 종이에서 두 선분 AB와 CD를 접는 선으로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하여 두 반원을 접어 올리므로 점 G는 평면 ABCD
에서 점 P ′을 지나고 직선 AB에 수직인 직선 위에

- 1 -
존재하고, 점 H는 평면 ABCD에서 점 Q′을 지나고 평면 PDB 위의 점 P의 평면 CDB 위로의
직선 CD에 수직인 직선 위에 존재한다. 
HN 
 

정사영이 H이므로 cos 

  

따라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P′G  
Q′H  PN  

따라서 cos  

5) 8

이때, 선분 BH를 생각하면 점 G는 선분 BH의

중점이다. 또한     이므로
PG QH
세 점 B P Q는 일직선 위에 존재한다.
따라서 두 평면 PCQ와 ABCD의 교선은 직선
BC이다. 
GG′  
PQ   
 에서 PG′   
 MN  
BD  ·  
 

이므로 cos   이다. ∴∠cos    선분 MN의 중점을 H 선분 AC의 중점을 O라

 
하면 
AH  
AO  ·
  

 
4) 25 이때, 삼각형 AMN의 넓이는

∠BMD  이므로 
BM  
∆AMN  ·
MN ·

AH  ··
  

  
 점 P에서 평면 AMN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BAM  이므로 
AM 


점 P에서 선분 AM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하자.

삼각형 AMH에서 
AH ⊥
MH 이므로
    
AM AH
    MH 
     


삼각형 PAM의 넓이에서
점 P에서 직선 BM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   
  ㉠  ·AP·MP·sin     ·AM·PQ이므로
PH⊥BM⋯   
직선 AB와 평면 ACD가 서로 수직이므로   
  ·
···    · PQ

AB ⊥
CD   

직선 CD는 두 직선 AB BM과 서로 수직이므로  


 
PQ   
 

CD⊥(평면 AMB)
한편, 
HP′  는 양수)라 하면
직선 PH는 평면 AMB에 포함되므로
  
AP
   
AP′  PH

P′H 이므로
  ⋯㉡
PH ⊥CD

㉠ ㉡에 의하여 
 
PH⊥(평면 CDB)   
    
    ∴  


PH⊥(평면 CDB)이고 
PN⊥
BD이므로
삼각형 PP′H에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
HN⊥
BD 
   
 
 
  
PP′ 
   
두 삼각형 DBM과 HBN은 서로 닮은 도형이므로 PH  P′H    

 

MD·
BN

BM   
MD BN NH 에서 
NH    

BM 

    
PP′⊥(평면AMN 
PQ⊥
AM이므로
∠BNH  이므로 
BH  
BN  
NH  


삼수선의 정리에 의해 P 
′Q⊥AM

BH  
MH 
평면 AMN과 평면 PAM의 이면각의 크기를


tan ∠AMB  이므로 
PH 

 
  
  ≤  ≤  라 하면
 

PN      
PH  HN 
PN 

두 평면 PDB, CDB의 교선은 직선 DB이고

- 2 -
        
  A ′B 
A′C 
A′D  ·  ·BC 
QP′     
cos     

PQ  
 
  이고, 
A′M′  
A′B  
 
삼각형 AMN의 평면 PAM 위로의 정사영의
      
A ′P′  A ′C   
A′Q′  
A′D 
     
넓이는 
 ·    

 
삼각형 M′P′Q′의 넓이 S는 세 삼각형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A′M′P′ A′P′Q′ A′Q′M′의 넓이의 합이므로

       


6) 450

     

S  sin   ·    ·    · 
  







8) ③

그림에서 
BR  
BP  
PR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PR 
점 H에서 세 선분 BC BD CD에 내린 수선의

 
 
S   ··     
  
∴S  
발을 각각 E F G라 하면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   
HE  HF HG 로 놓을 수 있다.

7) ② 이때, 정삼각형 BCD의 넓이는



 ··    

이고,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의 넓이는

 ·  
 이므로   
 에서

그림 그림
  

그림과 같이 네 점 A B C D가 한 평면에
한편 점 M은 선분 BD의 중점이므로 점 M과 선분
있도록 전개하면 조건을 만족하는 점 P는 선분
 이고, 
CD사이의 거리는  HG 
 이므로
AC와 선분 MN이 만나는 점이다.
  이다. 따라서 ∆CHM  ∆DHM이므로
HMCD
 
사각형 ABCD는 평행사변형이므로 AB CD이다.
   
따라서 삼각형 AMP와 삼각형 CNP는 닮음이고  ·HM·HG  ·DM·HF
 
   
AM   CN  이므로 점 P는 선분 AC를 
HM·  에서 
  · HM 
 
  으로 내분하는 점이다. 한편 
AH⊥평면BCD 
AQ⊥
CM이므로

같은 방법으로 그림에서 점 Q는 선분 AD를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


HQ⊥
CM
  로 내분하는 점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사각형 HQMF는 직사각형이므로
 
QM HF 

직각삼각형 HQM에서

HQ 
  
HM  
QM  
    
따라서 직각삼각형 AQH에서

AQ  HQ  
  
AH       

네 점 A M P Q의 평면 BCD 위로의 정사영
을 각각 A′ M′ P′ Q′이라 하면 점 M′은 선분
A′B의 중점이고, 점 P′은 선분 A′C를   으로 9) ③
내분하는 점이고, 점 Q′은 선분 A′D를   로  
PH DH  

EH  ∠PHE   이므로

 
내분하는 점이다.

PE 
QE   
  PQ HF 

이때, 점 A′은 정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이므로

- 3 -
선분 PQ의 중점을 T라 하면 10) ①
   
PE  
PT     
TE 이므로 TE  점 O와 점 M의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O′ M′라 하고 점 M의 선분 OO′에 내린 수선의
삼각형 PQE의 넓이는  ·
 ·
  


발을 O″라 하면 그림에서   
O′M′ O′′M
 이고 ∆OO′M이 직각삼각형이므로
OM
″  
OO O″O′ 
OO′ 
OO″     
즉 정육면체의 높이가 이므로 한 모서리의
길이가 이다.
구와 평면의 교점을 원점이라 하고,
O   M   N  
L   H   라 하자.
 이므로 H′  에 대하여
LH

선분 AC의 중점을 M 선분 EG의 중점을 N  


LH LH′ 
PH 
PH′이 성립한다.
선분 NG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S라 하자. 점 O P H′이 일직선에 놓이게 된다.
선분 MN을   로 내분하는 점은 T이고 선분   
OP PH OP  OH′ 
PH′≥      

MG와 선분 TS는 평행하므로 평면 BDG와
따라서 
OP 
PH 의 최솟값은 

평면 PQE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직선 ET
와 직선 TS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같다.
11) 22
∠ETN   ∠STN  라 하고 평면 BDG와
구              을
평면 PQE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라 하면
평면으로 잘라 생기는 원의 방정식은
     
  C               ⋯ ㉠
EN  NS 
tan      tan    

TN  
TN  또한, 주어진 구를 평면으로 잘라 생기는

  원의 방정식은


 
  C               ⋯ ㉡
tan      
  

   ·
 

㉠ ㉡을 연립하면         ±

 이므로 두 원의 교점을 A B라 하면 


AB b
tan  tan    
 이므로 cos  
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

 cos  
 ·   



다른풀이

㉡의 중심을 C  라 하고 점 C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AH 
BH 
CH 

삼각형 ACB는 ∠ACB   인 직각이등변삼각형

이므로 구하는 두 부분의 넓이의 합은
△PQE을 위쪽으로 평행이동하여 PQ와 DE를
일치시킨다. 이때, 두 평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라 하면
한편 주어진 구가 평면과 만나지 않으므로

   

   

 


cos    

· · 
   
  즉   
따라서 가 일 때,  의 값이 최소가 된다.
△PQE의 넓이가 
 이므로 정사영의 넓이는
∴   


 ·cos    
 ·   




- 4 -
12) ③ 한편,   이고 
AD  AC 
 이므로

점 O에서 평면 A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 이다.


직각삼각형 ACD에서 CD
하자. 사면체 ABCD의 부피는



 
  
·∆BCD의 넓이·AA′  ·  ·  ·
CD·BD 
AA′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조건 (가)에서   
OP OQ OR 이므로
세 직각삼각형 OPH OQH ORH는 합동이다.
14) ④
주어진 입체를 옆면 ABFE가 정면에서 보이도록

HP 
HQ 
HR
나타낼 때, 구는 다음 그림과 같이 변 AB AE
또, 
OP⊥
AB   
OQ⊥BC OR ⊥
CA 이므로
BF에 동시에 접하는 원이다.
삼수선의 정리에 의해
  
PH⊥AB QH⊥
BC 
RH⊥
CA
점 H는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중심이고,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하면 직각삼각형
ABC에서
 
 ·    ·   ·· ∴  
 

OP 라 하면 조건 (나)에서 S  S  S  S
이므로
위 그림에서 원의 중심을 C 점 C에서 변 EF에
 
 ··      ·  ·· ∴  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하자.
 
   
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이고 AE  이므로
따라서 점 O와 평면 ABC 사이의 거리는
 
CI 
 이다.
OH  PH  
  
OP       

 이므로 ∠CEI °이다.
직각삼각형 CEI에서 EI
따라서 삼각형 CEF는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
13) 12
이다. S  S 이므로 점 P는 F에서 원에 그은 접선
위에 존재한다.
그런데 점 F에서 선분 CE에 내린 수선의 발은 선분
CE를 수직이등분하므로 점 P는 선분 CE의 중점이
고 P에서 직선 PF와 원이 접한다.

A에서 C를 지나고 직선 에 수직이며 에 포함


되는 직선에 수선의 발을 내리고 그 수선의 발을
A′이라 하면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A에서
평면 에 내린 수선의 발이 A′이 된다.

AB 이고 직선 AB와 평면 가 이루는 각의 점 P에서 선분 EF에 내린 수선의 발을 J라 할 때,
 이다. 구의 중심을 지나며 직육면체의 밑면에
EJ
 
크기가  이므로 ∠ABA′   이고 
A′B 

  평행한 평면으로 주어진 입체를 자른 단면을 라

AA′ 이다. 하자.

또한 와 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 이므로


이면각의 정의에 의하여 ∠ACA′   이다.

  
따라서 CA′ AC 
 임을 알 수 있다.

- 5 -
  
이므로 단면인 원의 넓이는     이다.
   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S 은 위 그림의 어두운 부분에 의해서 평면 PFGQ
다른풀이
에 생기는 그림자의 넓이와 같다.
평면 와 평면 PFGQ가 이루는 각은 °이므로
 
S cos°     
 ∴S   
 

구 T의 중심을 A라 하고, 평면 가 원 C와
만나는 점을 P 구 T와 만나는 점을 Q라 하자.

OA  
OP 이므로 직각삼각형 AOP에서
 
AP 
S 은 위 그림의 어두운 부분에 의해서 평면 EPQH

에 생기는 그림자의 넓이와 같다. ∠OPA  라 하면 cos  


평면 와 평면 EPQH가 이루는 각은 °이므로 두 평면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 
S cos°    
 ∴S     
 ∠OPQ  이므로
 
 
cos  cos     ·     
∴S  

  

 
 
S           
  
직선 PQ가 반구 S와 만나는 점 중에서 점 P가

 
     아닌 점을 R라 하면 선분 PR는 평면 에 의하

 
여 반구 S가 잘려서 생기는 원의 지름이다.
이때, 삼각형 OPR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선분
15) 701 PR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M은 단면인 원의
중심이고,

  
PM 
OP·cos  ·   
 
  
이므로 단면인 원의 넓이는     이다.
   
구 T의 중심을 A라 하고, 평면 가 원 C와 따라서 구하는 정사영의 넓이는

만나는 점을 P 구 T와 만나는 점을 Q라 하자.    


 ·cos   ·    
   

OA  
OP 이므로 직각삼각형 AOP에서
∴      ∴    

AP 
 이고

  에서  
AP·
OH 
OA·OP OH  16) 15


 tan∠AOB tan∠AOC 

∴
OQ 

 
∠AOB  ∠AOC  

△OPQ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맞꼭지각의 성질에 의하여
 

cos    

    
 
 
∠DOE  ∠DOF  

·· 
 
OD OE 
OF 이므로 
DE 
DF 
직선 PQ가 반구 S와 만나는 점 중에서 점 P가
아닌 점을 R라 하면 선분 PR는 평면 에 의하여  
OB OC 이므로 삼각형 OBC와 삼각형
반구 S가 잘려서 생기는 원의 지름이다.  
OEF의 닮음비가   이고 EF 
이때, 삼각형 OPR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선분 선분 EF의 중점을 H라 하자.
PR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M은 단면인 원의 


DH 
OH 
중심이고, 

   그러므로 삼각형 DEF의 넓이 S′은


PM 
OP·cos  ·   
 
   

S′   ·
DH·
EF  ·  ·
 
   

- 6 -
평면 OBC와 평면 OEF는 같은 평면이므로
두 평면 DEF와 OBC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두 평면 DEF와 OEF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같다.
두 평면 DEF와 OEF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
는 두 직선 DH, OH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같다.
   
DH  OH  
OD 
cos    
 
·DH·OH  삼각형 PAC와 삼각형 FAC가 합동이므로
삼각형 DEF의 평면 OBC위로의 정사영의 넓이  
PH⊥ AC 
FH⊥
AC 이다.
 따라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점 G는
S  S′·cos   따라서 S   
 직선 FH 위에 존재한다.
점 P에서 면 PBC와 면 ABC의 교선 BC에 내린
17) 9 수선의 발을 I라 하면 삼각형 PBC와 삼각형 EBC
그림과 같이 원점을 O, 원 C가 평면과 만나는 가 합동이므로  , 
PH⊥BC  이다.
EH⊥BC
다른 한 점을 P′이라 하자. 또, 원점 O에서 선분 따라서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점 G는 직선 EI
PP′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POH   위에 존재한다.
라 하자.


PH  
OP 
 이므로

CF 
CE 이므로 직각삼각형 ABC AFC는
 
sin    cos   합동이다. 따라서 점 F와 점 B에서 선분 AC에

 

린 수선의 발은 일치한다.
선분 PP′의 연장선과 축이 만나는 점을 Q라
따라서 직선 FH는 점 B를 지난다.
하고, ∠OQP  라 하자. 이때, 정사영의 넓이는


  

 

 cos  cos       sin   
  cos∠ACB   이므로

∠ACB  °이고 ∠CBH  °이다.
 sin cos  cos  sin
 
  ∴
FH 
BH sin°  


  
   ·   ·
 
 

 
   cos°  에서 
BG

BG 


 
     
    
HG 
BH 

BG 

∴     

HG  
∴cos      ∵
PH 
FH 
 
PH  
18) ⑤
주어진 전개도로 사면체를 만들 때, 전개도의 점
D E F는 일치한다. 19) 11
사면체에서 이 세 점을 P라 하자. 평면과 평면이 이루는 각을 단면화시켜서 관찰하기

사면체 PABC의 점 P에서 면 APC와 면 ABC의 위하여 우선 도형을 옆에서 관찰하면 다음과 같다.

교선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점 P에서 평면


A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G라 할 때, 이면각의

HG
정의에 의하여 cos  
 이다.
PH

- 7 -
   
S의 중심을 O라 하면 OO OH 이고 삼수선의 정리에 의해 
DH⊥
EF

∴
O H 
 두 평면 AEFD와 EFCB가 이루는 각 는

위에서 이 도형의 이면각 를 표현하기 위해 두 평면의 교선   와 DH


EF에 수직인 BH 가

O  O  O  H를 포함하는 평면으로 자른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다.



DH
단면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cos  

BH
이제 종이를 다시 펼치면 그림과 같다.

 
∆BDA∆BEH이므로 EB HB  
DB AB

 · 
HB    
 
 
이때, sin    
    
   DH DB BH 
   
 
  
cos    sin        
DH  
   ∴ cos     ∴cos  ·   

BH  
도형 D의 단면의 넓이는 이므로 정사영의
 다른풀이
넓이는 ·  이다. ∴    

20) ④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라 하면

AB′ 
 이므로 직각삼각형 BAB′에서

BB′ 
   

C′A 
 이므로 직각삼각형 CAC′에서 
AE 이므로 
BE     
CC′ 
    
 
DE BD   
 이므로     

점 B에서 선분 C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FC 라 하면 
DF   
때,   이므로 직각삼각형 CBH에서
BH B′C′
한편, △BDF, △BCF는 모두 직각삼각형이므로
CH 
     
CC′   이고 
CH HC′ HC 
BB′ 

BF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EF   ··  , △BEF   ··  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 
이때, △BEF의 평면 ABCD 위로의 정사영이
  
        
  
△DEF이므로
위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cos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   22) ②
 

21) 40

정사면체 ABCD의 모서리의 길이를 라 하면,

B에서 
EF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8 -
 BP 
AP        
    
 

BH  
 
삼각형 ABP의 넓이는  이다. ∴tan       

AH   
점 A에서 삼각형 BCD에 내린 수선의 발을 G라 ∴tan  
하면 점 G는 삼각형 BCD의 무게중심이다.
삼각형 BGP의 넓이는 삼각형 BCD의 넓이의
25) 45
 
 이므로 삼각형 BGP 의 넓이는   점 P가 선분 AC를   로 내분하는 점이고,
 
점 C에서 평면 에 이르는 거리가 이므로
 
 cos    ∴cos   점 P에서 평면 에 이르는 거리는 이다.
 
따라서 직선 PB는 평면 와 평행하다.
삼각형 ABC와 평면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23) 20
라고 하자. 평면 에 평행하고 직선 PB를
포함하는 평면을 라고 하면 삼각형 PBC와
평면  가 이루는 각의 크기도  이다.

점 C에서 직선 PB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 하고,


그림에서 평면 가 구       과 만나서 점 C에서 평면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 하자.
생기는 도형의 평면 위로의 정사영 위의 임의의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  이므로
DQ⊥PB

한 점의 좌표를 P    cos 이라 하면 ∠CDQ  이다.

 
   cos   ≤ 이어야 하므로      이므로 
CQ CD 라 하면 sin  


   cos ≤   
이다. 삼각형 ABC의 넓이가 이므로 삼각형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PBC의 넓이는 ·   
  cos      cos  ≥  
  ≤  ≤ 에서 항상 성립해야 하므로  
따라서  ·
PB·  에서  ··   
 
방정식   cos      cos   의
  
 
판별식을 D라 하면

∴sin   ∴cos  

  sin       


D      cos   cos ≤ 
따라서 삼각형 ABC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cos   cos  ≤  넓이 S는
  
∴cos  ≤  ∴M   ․    
S  cos  ·   
   ∴S   

24) 32 26) ⑤
그림의 원판을 태양광선 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
만나게 하면 윗 원판이 아래 원판의 중심을 지난다.

조건 (나)에서 구와 원기둥의 접점 F 원뿔과


원기둥의 접점 D A B는 한 평면 위에 있다.
또, ·  ·  에서 B에서 에 내린 수선의
겹친 원판의 넓이 S는 아래 그림의 빗금 친 부분
발은 원기둥의 밑면 원주 위에 있다.
A B D를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의 넓이를 S 이라 하면 S  ··  S 이다.

그려보면 
S 은 중심각이  인 활꼴이므로

  
cos   이므로 
BC   
 cos        
S   · ·     · ·sin     
     

- 9 -
    29) 8
∴S            
   
그런데 구하는 그림자의 넓이 S′은 평면과 이루는

각이  인 정사영이므로

  

  
 

S′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27) ④

AG    
  AB GB 
 이므로
∆ABG는 직각삼각형이다. F 과 Q는 구 밖의 한 점 P에서 그은 접점이므로

B에서 
AG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
PF
PQ이다.

  
  이므로 마찬가지로   이므로
PF  PR
BH 는  이고 AH 
 

 
 

   
PF  PF
PQ 
PR  
QR 이다.
       이다. ∴  
   
따라서  QR     이므로 
QR 이다.

28) 45
중심에서 평면까지의 거리가 이므로
30) 3
그 평면이 만드는 원의 반지름은 점 A B C를 평면  위로 정사영시킨 점을 각각
A′ B′ C′라 하자.
 
       ∴  

또한 점 A를 선분 BB′ 선분 CC′ 위로 정사영시킨
점을 각각 P R이라 하고, 점 B를 선분 CC′위로
정사영시킨 점을 Q라고 할 때, 세 개의 구가 서로
외접하므로 AB       BC      
CA       이다.

이것은 평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두 평면이 서로를 중심에서 만큼 떨어지
게 남겨두고 자르므로 여기서 왼쪽 부분의 넓이가
두 평면에 의해 잘린 단면의 한 부분이 된다.
이 넓이를 구해서 곱하기 를 하면 된다.

세 구가 평면  위에 있으므로 BP      
OQ       CR      이다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A′B′  AP  
    


B′C′  BQ  
    

 

·          
 C′A′  RA  
    
∴        이다. 코사인법칙에 의해
     
cosB     
·· 
 

   
    
cosB′    
 
· · 


  
∆ABC   ···     
 


- 10 -


∆A′B′C′   ·

 ·  
 
 ·     


34) 54
삼각형의 중점 연결 정리에 의하여 선분 HG와
 
∴cos    
 
 
  EF의 길이는 선분 BC의 길이의  로 같다.

따라서      이므로    이다. 그리고 BCHG BCEF이므로 사각형
EFGH는 평행사변형이다.
31) ⑤ 그리고 BC 위의 한 점 I에서 HG에 수선을

MQ가 최대가 되려면 점 B를 지나야 하므로 내린 점을 J EF에 수선을 내린 점을 K라 하면
 삼수선의 정리에 의하여 BC와 JK는 서로 수직
MB   
(최댓값)     

이므로 JK와 EF는 서로 수직이 된다.

32) 31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cos∠ABC   이므로


∆ABC   
AB ·
BC ·sin∠ABC  


이다. 따라서 ∆ABC의 높이는 
 이다.
삼각형 ABC와 삼각형 DCB는 서로 합동이므로

IJ  IK (삼각형 ABC의 높이)·   


이 되고 두 삼각형이 이루는 각이 °이므로
그림과 같이 세 평면과 두 구의 평면  위로의
IJK는 정삼각형이다.
정사영을 생각하자.
사각형 EFGH는 평행사변형이므로 그 넓이는
위 그림에서 ∠OAD  ∠OBE  °이므로
EF의 길이)·JK  

    
OD   OE  이다. 이 되고 사잇각이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 

    정사영의 넓이는 S  
 ·cos°   
 이다.
따라서 DE BC  이므로 
AB  이다. 
 
  따라서 ∴S  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35) ④
33) ③
ㄱ. 구의 지름 중 구의 중심을 지나고, 교선 과
평행한 지름의 정사영의 길이는 변치 않으므로
그림자와 교선 의 공통부분의 길이는 이다.
(참)
ㄴ. 또, 구의 중심을 교선  위에 오도록 평행이동
하고, 구면 위의 원 중에서 태양광선에 수직인 ㄱ. 직선 AF와 직선 BG는 점 O에서 만난다. (참)
원의 지름을 평면에서 생각하면 그림과 같다 ㄴ.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에 내접하는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 이다. 따라서 정삼각형 ABC
의 한 변의 길이는 
 보다 작다.
그런데, 한 변의 길이가 
 인 정삼각형의 넓이
  
는  ·
  ·sin°   이므로 정삼각형
 

ABC의 넓이는  보다 작다. (참)

이때,  cos    sin  이므로 ㄷ. 그림에서 삼각형 AFC와 삼각형 AGO는
 cos°   sin°에서   
  즉    닮은꼴이다. 그런데 ∠ACF는 정사면체의
(거짓) 이웃한 두 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와 같고,
  ∠ACF  ∠AOG이므로
ㄷ. cos    sin   이므로 sin   cos   
 

cos  cos∠ACF   (참)
     
에 대입하면      즉,    (참)
    

- 11 -
판의 넓이는       이므로
      
   
S   
cos°   
 
∴      ∴       

38) ①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광원에서 땅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
OH 에
다른풀이 수직되게 앞에서 본 단면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
ㄱ. 선분 CD의 중점을 M이라 하면 점 F는 선분
BM 위에 있고 점 G는 선분 AM 위에 있다.
따라서 개의 점 A B F G M은 모두 한
평면 위에 있다.
따라서 직선 AF와 직선 BG는 꼬인 위치에
있지 않다. 담장의 그림자의 넓이는 같은 높이의 광원에 대하여
일정하므로, H를 O에 겹치게 이동하였을 때의 넓이
36) ⑤ 와 같다.
두 구
                    
의 중심을 각각 O   A   라 하면
두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 는
 
  OA         ∴·  ·  m 
이고, 두 구의 반지름의 길이가 각각       

이므로      39) 826


따라서 두 구는 외접한다. (ⅰ) 이 홀수일 때,
조건을 만족하는 점 P의 자취는 선분 OA로부터             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의 자취 즉, 원을 나타낸다. ∴     
(ⅱ) 이 짝수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R 
그림에서      
 이므로
  
    ··
·· PQ에서 
PQ  
 40) 15
  
따라서 점 P의 자취는 반지름의 길이가 반구에 나타나는 단면인 원의 반지름은
 
 인 원이므로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
  

   
    
  



오른쪽 그림에서 어두운 부분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30 단면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의 넓이는
  cos°  
    
∴   

41) ②
(ⅰ) 태양광선과 밑면이 접하는 쪽의 반원의
태양광선이 위의 그림처럼 판에 수직으로 비춰질 
정사영의 넓이는  ·   
때 즉, 지면과 판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면 
그림자의 넓이 S가 최대가 된다. (ⅱ) 태양광선과 구면이 접하는 쪽의 나머지

- 12 -
부분의 정사영의 넓이는 영역에 있다. 따라서 구 C는 ⑤의 영역을 지난다.
 
 ·  ·   
 또, 구의 반지름의 길이 는  
  
 이고,
 cos°
        이므로
(ⅰ), (ⅱ)에서   
     
 
구 C는 평면, 평면, 평면에 의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42) 34 따라서 구 C는 ① ⑦ ⑥의 영역을 지난다.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판이 평면 , 와 맞닿는 한편, 
     이므로 구 C는 축과 서로
점을 각각 A B라 하고, 두 점 A B에서 교선 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따라서 ③의 영역을 지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O라 하고, 점 O 에서 선분
다. 또, 
     이므로 구 C는 축과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주어진 상황의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난다.
단면을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②의 영역을 지난다.

하지만, 
    이므로 구 C는 축과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⑧의 영역을 지나지 않는다.

또, 
       이므로 원점의 구 C의
외부에 있다. 따라서 ④의 영역을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구 C가 지나는 영역은
① ② ③ ⑤ ⑥ ⑦의 개이다.
그림자가 S부분에 해당되는 영역 S′은 원판에서
다음과 같다. 44) 84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을 계산하여 정리하면   
따라서 두 구가 만나는 원은 평면    위에
있다. 구의 방정식 ㉠에   를 대입하면
     ⋯ ㉢
S′    {(⌔PQC의 넓이)(△PQC의 넓이)}
따라서 두 구가 만나서 생기는 원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이 원 위의 점 P  의 평면 위로의
     

정사영은 P′  이고, 두 점 Q R의 좌표는
   

각각       이므로 삼각형 QP′R
S′
이때, S   이므로 의 넓이 S는
cos°

   

S       S   ․
QR ․ 
 
 
  이때, 사면체 PQP′R의 높이는 이므로
∴      ∴    
이 사면체의 부피 V는 V   ․S․ 

그런데,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대소 관계에 의해
43) ③
     ≥ 
   이므로 ≤ 
좌표공간은 평면, 평면, 평면에 의해
∴V  ≤ ․  
다음과 같이 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구하는 사면체의 부피의 최댓값은 이다.
①         인 영역,
②         인 영역,
③         인 영역,
④         인 영역,
⑤         인 영역,
⑥         인 영역,
⑦         인 영역,
⑧         인 영역,
한편, 주어진 구
C              
의 중심은    이므로 구 C의 중심은 ⑤의

- 13 -
- 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