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3 24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12

기출문제집

-기하-
(2)평면벡터
LEVEL 3

수능,평가원,교육청
사관학교,경찰대

해설
1) 12
  
AC  
AD  
AP 
AB

  
AP  
AC  
AD AB


선분 AD의 연장선 위에 한 점을 E라 할 때,

AD 
DE 를 만족하는 점을 E라 하자.

이때,   
AC  
AD AC  
AE  
EC이고


EC 
AB이고   
EC AB이므로 
EC  
AB
        
  AC AD AB    AB AB   AB
  

∴ 
AP AB 점 P의 좌표를 P 라 하면

   
AC  
AD BP
선분 AB의 연장선 위에 점 A에서 거리가 인
에서   
       

점이 P 선분 BC의 길이가 이므로 ∠BAC   
    에서   


AC・  
AQ AP 
AC・  
AQ AC・ 에서
AP

 
AC・  이므로 
AP 
AC・  
AQ  
  에서   

점 Q에서 직선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
 
AC・  
AQ AH·
AC 
 ·
AH 
 
 


즉, P      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
AH 
 세 점 A B P는 한 직선 위에 있고 
BP 이다.

수선 HQ가 대각선 AC를 수직 이등분하고,



HQ
AB
점 B에서 직선 DQ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 할 때,

삼각형 BQI에서 
BI   이므로 
  BQ QI 이

고 
QI 
BP 이므로 ∠APQ   임을 알 수 있다.

얻어진 조건들에 따라 점 P Q의 위치를 잡고
그림을 그려보면 아래 그림과 같다.

또, 점 Q의 좌표를 Q 라 하면


 
AC・  에서
PQ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점 Q는 직선   
   
 위에 있다.
직선 CP와 직선 DQ가 이루는 각을 라 할 때,
동위각이므로 ∠APC  
   
CP  
AP  
AC      


AP 
cos   
CP 
 

   DH
HI  IQ  이므로 
DQ 

∴
CP・  
DQ  ··   



다른풀이
다음 그림과 같이 네 점 A B C D의 좌표가
각각 A 
  B   C  D 

이 되도록 좌표평면을 설정하자.
이때, 삼각형 ABQ에서 ∠PBQ  ∠BAQ  ∠BQA
이므로 ·∠BQA  ∠PBQ를 만족시키려면

- 1 -
∠BAQ  ∠BQA 즉 
AB 
BQ이어야 한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 Q의 좌표는
Q  
 이므로


CP・
DQ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AB 에서
2) ⑤ 
AM  
ME  
EB 
 
OB・  에서 ∠COB  ° ∠AOC  °
OC
 라 하면 
이고, EC ED 
 
OA・  
OC OA·
OC·cos°  
 ·
OC
이때, ∠BED  ∠CEA ∠CDB  ∠CAB이므로
 
OA・  에서 
OC OC 

두 삼각형 EBD와 ECA는 서로 닮은 도형이다.

OP・  
PQ OP・  
OQ OP
따라서   
EB ED EC 
AE 즉       에서
  
OP

OP・ OQ   

OP・   ⋯ ㉠
OQ
  이므로     

OP와 
OC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 하면 
따라서 
CD   

° ≤  ≤ °이고

OP・  
OQ OP・  
OC CQ
다른풀이


OP・  
OC 
OP・ CQ 조건 (가)에서 
AB 이고,

 cos  
  
OP・ CQ ⋯ ㉠ 조건 (나)에서 
AC ⊥
BC 
AD⊥
BD이므로
두 점 C D는 길이가 인 선분 AB를
  °이고 두 벡터  
OP OQ의 방향이 같을 때,
 지름으로 하는 원 위의 점이다.
OP・ OQ의 값이 최대이므로
  
MA MB이므로

OP・
OQ≤ 
 ⋯㉡
  
MD  
MA  
MB MC
  °이고 두 벡터  
OP OQ의 방향이 반대일 때,
    
MA MB   
MB MC
OP・ OQ의 값이 최소이므로
 
 
CB

OP・ 
OQ≥  ⋯㉢
즉,   
MD CB
㉠ ㉡ ㉢에서
 
    ≤ 
OP・  
OQ≤      이때, 
MD 이므로 
CB  
MD 
 
M  
     
따라서 M   
  

3) ③
조건 (가)에서 
AB 이고,

조건 (나)에서   
AC⊥BC  이므로
AD⊥BD
두 점 C D는 길이가 인 선분 AB를 두 직선 BC DM은 서로 평행하므로
지름으로 하는 원 위의 점이다. ∠MCB  라 하면 ∠CMD    
  
MD  
MA  
MB MC에서 이등변삼각형 MBC에서
  
MD  
MC  
MA MB 
BC
 
  ·
       
MA MB이므로   
MD  
MC MB cos      

MC  
  
MD MC  
즉,     MB ⋯ ㉠ 삼각형 MD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 
       ···cos  
CD
따라서 선분 MB를   로 내분하는 점을

E라 하면  

 
MB ME이므로 ㉠에서   


     ·    

 
CD    
  
MC   
MD
 ME 이므로 
  

따라서 점 E는 선분 CD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네 점 A B C D와 점 E의 위치는
그림과 같다.

- 2 -
4) ④  
FQ 
FE 
EQ   

 
OF 
FQ이므로 ∠OQF  그러므로 
DQ 


 
DQ・  
AR  
DQ・  
AE ER  
DQ・  
AE 
DQ・ ER ⋯ ㉠

두 벡터   
DQ AE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

  
AC  
BP A′P     
DQ・ AE  ··cos   

 
A′D 
    

M   두 벡터   
DQ ER의 방향이 같을 때, 
DQ・
ER의
  
    
  

따라서 M   값이 최대이므로  
DQ· ER≤ 
 · 

㉠에 의하여
다른풀이
 
DQ・  
AR 
DQ・  
AE 
DQ・ ER≤ 
  
  

따라서 M 
 이므로 M   

6) ①

A를 좌표평면의 원점, D를 구의 중심이라 하자.


    
AC 
 
BP  
BC  
CD      
DP   
DP 벡터 
OP가 나타내는 도형은 직사각형 OABC이고,
  
AC    
BP   
DP 벡터 
OP는 벡터 
OP와 방향이 같고 크기가 인

이때, 
DP는 크기가 
 이고 방향은 임의이므로 벡터이므로 벡터 
OP가 나타내는 도형은 네 점

  
BP의 M   O  A′  B′  C′ 를 꼭짓점
AC   
    
  

따라서 M   으로 하는 직사각형 OA′B′C′이다.

이때, 벡터  


OP  즉 벡터 
OQ가 나타내는
도형은 직사각형 OA′B′C′을 축의 방향으로
5) 108
 만큼, 축으로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중심을 E라 하자.
        직사각형이고,    가 모두 정수이므로 점 Q가
OC・ OP OC・ OE EP  
OC・  
OE 
OC・ EP
  나타내는 도형과 직사각형 OABC가 겹쳐지는
OC・ OE의 값은 일정하므로
 부분의 넓이가 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OC・
EP의 값이 최대일 때 
OC・
OP의 값이 최대
  인 경우   인 경우가 있다.
이다.
ⅰ   인 경우
두 벡터   
OC EP의 방향이 같을 때, 
OC・
EP의
가능한  의 값은  또는  이므로
값이 최대이다.
   의 값은  또는 이다.
두 벡터   
OC EP의 방향이 같을 때의 점 P가
Q이다.

ⅱ   인 경우

가능한  의 값은  또는  이므로
   의 값은   또는  이다.

선분 QE가 선분 OA와 만나는 점을 F라 하자.



∠EFA   
AE 이므로

    ∴M        


FE   FA 
 


OF 
OA 
FA    7) 255

  
OA    라
OB  하면

- 3 -
・  cos°  ··   
  이때,   이므로   


(ⅱ) 원     에서   일 때,   이므로
삼각형 OA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해
  이다.
   
AB  
OA  
OB  ·
OA·
OB·cos°
(ⅰ), (ⅱ)에 의하여 모든 실수 의 값의 곱은

     ···     
 이다.


AB 이므로 
AB 

이때, 점 P는 선분 AB를   으로 내분하는
9) ①
  
AB    라
AC  하면 점 D는 선분 AB를
  
점이므로 
AP  AB 
  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AD 
점 Q는 선분 AB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
점 E는 선분 DC의 중점이므로
   
BQ  AB 
    
    
 AD AC 
    
따라서 
PQ   BQ
AB  AP  A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 하면 세 점 B E F는
AF
한 직선 위에 있으므로
이므로   
OP   
    
OQ   

 
 
 
     
AE 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실수      이 존재한다.



O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OQ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므로 
OP   
OQ  이고
   
따라서 
AD  ·   
AF  ·  
   ·   ·   ·    
OP・ OQ    
    점 D에서 선분 AF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   sin   
DH 
  
cos      

   

·
   cos   이므로 
AH HF 
AF 
AH 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따라서

  
EF  FD 
FD 
 
ED DH  
HF
8) ③ 
 

     

 
OP OQ≤ 이어야 하므로  
OP QR를
만족시키는 점을 R라 할 때,
 
OP OQ   
QR OQ 
OR≤ 
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때, 점 P는 직선   을 움직이므로 점 R의
좌표 중 좌표가 가장 큰 점은 직선   를
움직인다.
10) ④
그런데 점 Q는 호 AB 위를 움직이므로 최댓값이
점 Q의 좌표를  라 하면
가 되는 경우는 그림과 같이 두 가지 경우이다.
 
OA・ 
PQ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즉 ≤  ≤   ≤  ≤ 
이것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아래 그림과 같다.

(ⅰ) 두 원
             이 서로 내접

하는 경우이므로 
         ∴  

- 4 -
 
OP OQ⊥
AB

  
OP OQ・  
OB OA


OP・  
OB 
OP・  
OA 
OQ・  
OB 
OQ・ OA


OP・  
OB 
OQ・  
OA

∴
OP・  
OB OQ・
OA (참)

ㄴ. 두 벡터   
OA O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 

      이면서 주어진 조건을 그림으로

따라서 구하려는 최솟값은 A 에서 직선 나타내면 그림과 같이 두 점 P Q의 위치

 관계를 P  P  Q  Q 로 나타낼 수 있다.


  에 이르는 거리   

최댓값은 A 에서 Q 의 거리
M  
    


∴M   ·
  



11) 37

이때,  
OP OQ⊥
AB인 경우는 P 과 Q 또는

P 와 Q 인 경우이므로 두 벡터  
OP OQ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  이다. (참)

ㄷ. ⅰ      일 때 ㄱ, ㄴ에서


OP

 
OBcos  ±  
OQ

 
OAcos  ± 

이므로 
OP
OB 
OQ
OA
그림과 같이 
OP 
OQ
  
   라
 놓으면 ∴  
BA BC 
OA  OB

   
BD   
    
BE   
    
BF ⅱ 두 벡터   
OA OB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 
 
 
 


BG는 실수  에 대하여 


      일 때, 주어진 조건을 그림으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타내면 그림과 같이 두 점 P Q의 위치
관계를 P  P  Q  Q 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G   
   
AG  
BG 
BA
   
  

 
 
 

 
AG・ B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OP OQ⊥
AB인 경우는 P 과 Q 또는

       ・
  
 P 와 Q 인 경우이므로 두 벡터  
OP OQ가
 이루는 각의 크기는   이다.
 ・
    

 

따라서 ・   cos      즉, ㄱ에서
  ·  
∴     
OP  
OBcos     
 
OQ  
OAcos   
 
또는
12) ⑤
ㄱ. 
OA⊥ 
OP OB⊥
OQ이므로

OP

 
OBcos      
OQ

 
OAcos    

 이므로 
OP
OB 
OQ
OA
OA・  
OP OB・  
OQ

또한,  
OP OQ⊥
AB이므로

- 5 -
OP 
OQ 위의 그림에서 
  
   
 
 
 이므로
∴  
 OA
 OB

직선 은 벡터 의
 종점 B를 지나고 벡터 
 와


OP 
OQ 평행한 직선이다.
ⅰ ⅱ에 의하여    (참)

OA 
OB 
  
   
 
 
 이므로 벡터 의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종점을 C라 하면 직선 은 점 C를 지나고 벡터

 와
 평행한 직선이다.
13) 20 
 
    
 
  이므로

직선 은 벡터 의
 종점 B를 지나고 벡터  

와 평행한 직선이다.

두 직선  의 교점을 E라 하면 
OA와 직선
이 평행하고, 점 B는 선분 OC의 중점이므로
△AOB  △ABC
 
따라서 △ABE   △ABC   △AOB  
 

참고
변 EF DE의 중점을 각각 M N이라 하면 
  
   에서
 직선 은 두 벡터 
 의
 종점

 
PF PE・  
PD PE   
PM・  
PN A B를 지나는 직선이다.
이므로 점 P는 M N의 중점 O를 중심으로 하고 
  
   
  
   에서 직선 은
반지름이 OM인 반원 위의 점이다.
두 벡터 
 의
 종점 A C를 지나는 직선이다.

FP  
  
OP OF  

OP  

OF  

OP・
OF 
 
    에서
 직선 은 두 벡터
이고 
OP・  
OF OP
OFcos∠POF이므로  
 
 의
 종점 D B를 지나는 직선이다.

∠POF크기가 최소일 때 
FP값이 최소이고,

∠POF크기가 최대일 때 
FP값이 최대이다. 15) 19
즉 
FP값이 최소가 될 때는 선분 FO와 반원의 점 P는 호 AC 위에 존재하고, 점 Q는 호 DC 위에
교점에 점 P가 있을 때이고, 점 P가 변 DE의 존재하므로 C를 지나고 AE에 평행한 직선이 원과
중점 N 에 있을 때 
FP값이 최대이다. 만나는 점을 C′라 하고, 
O Q를 시점을 O 으로 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O에서 선분 DF에 내린 다음과 같다.
수선의 발을 H  점 N에서 선분 DF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 이라 하자.
∠PFH   ∠NFH  이라 하면

OH 
NH
 
tan     tan  
FH 
  
FH 
 

이다.    이므로

O P와 
O Q는 길이가 인 벡터이므로 각이 제일
tan tan
tan  tan  
  tantan 클 때   
O P O Q는 최소가 되고 그 점은 P가
  C이며, Q가 A일 경우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14) 5
   
O Q EO이므로 
EC  이다.

C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HE 라 하면

- 6 -
따라서   
AN  
AB AC이다. (참)

 

ㄷ.   
AB    라
AC  하자.

 
AN・  
BQ

⇔   
AN・  
AQ AB 

⇔ AN・   
AM AB 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AH    
HB   이므로 

    
AB         
 
∴     따라서 
AQ  AM ⇔   
AQ AM이다. (참)

16) ② 18) ④
점 A를 원점, 직선 AD를 축, 직선 AB를 축으로
하면 점 C의 좌표는 C
   이다.

원   

        위의 점 P 에

대하여  
AC・  
AP    

     라 하면  ≤  ≤ 일 때,
직선과 원이 만나므로 의 최댓값은 이다.

19) ⑤
ㄱ.   
CB CP 
PB 
PB 이므로 선분 PB의
네 원 C  C  C  C 의 중심을 각각 O  O  O  길이는 점 P가 점 A와 일치할 때 최소이다.
O 라 하고, 두 원 C , C 의 접점을 B라 하자. ∴최솟값은 
AB 이다.(참)
사각형 O O O O 은 네 변의 길이가 모두 인 ㄴ. △ACD에서  , 
AD  DC 이므로
마름모이고, 두 점 A, B는 각각 변 O O  ∠CAD  °

변 O O 의 중점이다. △EAD가 정삼각형이므로 ∠EAD  °


∴∠EAC  ∠PAC  °
∴
AO 
AO   
AB O O

한편, 벡터 
O Q를 시점이 O 이 되도록 평행

이동하였을 때, 그 종점을 Q′이라 하면


  
O P  
O Q  
O P O Q′이므로
 
AP AQ

 
AO 
O P 
AO 
O Q

 
AO 
AO   
O P O Q

 
O O   
O P O Q′ ∴  
CA⊥ AP

이때, 벡터  
AP AQ의 크기가 최대가 되려면 ∴
CA・ 
CP CA・  
CA AP  
CA・  
CA CA・
AP

O O은 방향과 크기가 일정한 벡터이므로 두  
CA       (참)

벡터   
O P O Q′이 
O O과 방향이 같아야 한다. ㄷ. 점 A를 원점, 직선 AD를 축으로 하는 좌표평면
에 주어진 도형을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  
AP AQ≤ 
O O 

17) ⑤
ㄱ. 
AB 는 원의 지름이고, ∠APB  °이므로
내적은 이다.(참)

ㄴ. ∆ABC에서 
AN 은 ∠CAB의 이등분선이므로

BA 
AC 
BN 
NC   이다.

- 7 -

AD 
DF인 축 위의 점을 F라 하고 직사각형
DCGF를 그리면
  
DA  
CP  
CB  
CP  
GC  
CP GP이므로


GP의 최솟값은 점 G
   에서 직선
AE에 이르는 거리와 같다.
주어진 영역을 관찰하면 결국     인 경우와
직선 AE의 방정식은   
  즉, 
  
    인 경우 사이의 범위임을 알 수 있다.
이므로 구하는 최솟값은
 
    일 때     이므로

 ·      
  (참)
     
  
  ·   
OP  OA  ·
OB  ·
OA′  ·
OB′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   
 
    일 때,      이므로
 
20) ⑤   ·  
OP 
 
  
 
OA   ·
OB

 
  ·
OA″  ·
OB′ 
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두자.
라 두고, B′에서 OA′

ㄱ.   를 이웃하는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


AB AE

ABFE에서 
AF와 
BE 의 교점이 M이므로   
OB OB′  
OA″  
A′A″  
B′H 이고,

  
AM   
AF  
AB AE(참)
구하고자 하는 넓이는 빨간색(굵은선)으로 둘러싸인

 

부분의 넓이이다.
ㄴ. 그림에서 
AD′
ED 
AC′
BC일 때, 두 벡터 
∴∆BA″A′  S   ··   ∴S   
  
BC ED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 하면 두 

벡터   
AC′ AD′이 이루는 각의 크기도 이다.

또, 두 벡터 
AB, 
AE가 이루는 각의 크기는 22) ④
 
°     °  °  즉
ㄱ.   AB AC ∵D는 중점이 아님)
AD≠  
 
AB・  
AE AB
AEcos° 
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ㄴ. A에서 BE
 
AB
AE cos
  
HA    
HB    
HC    
HD    
HE
 
BC
ED cos
라 두면
∵
AB 
BC  
AE ED
    
AB・ AD AC・ AE
  
BC・ ED (참)
 
 ・
  
 ・
 
ㄷ.   
ED  
BC  ․ 
BC・  
ED
  
BC ED
 ・
 
 ・
 
 

BE  
  
AE A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E     
AB
 
AE・ AB
ㄷ.  
AB・  
AC 
AD・ AE
이때, 
BC  
AB  
ED  
AE 이고
   
 
 ・
  
 ・
 

ㄴ에서  
AB・  
AE 
BC・ ED이므로  ・
 
 ・
 
 

  
BC ED  

BE (참)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옳다. 그러므로 ㄴ과 ㄷ이 옳다.

21) 16 23) 15
주어진 연립 부등식의 해를 좌표평면에  
OP OF 에서, FP
 의 중점을 Q라고 하면
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 OF
 OP
  
 

OQ 

한편,   
F′P OQ이므로 
F′P 
PF′ 이다.

PF′ 
PF 이므로, 
PF    ∴  

- 8 -
24) ①

OB는 
OA의 단위벡터이므로 
OB 
따라서 중점 B가 나타내는 도형은 원점에서

     에 그은 두 접선 사이의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호이다.

 
접점 P      이라 하면


  
           ⋯ ㉠


 

㉠에 원점  을 대입하면        

정리하면  ±

 
따라서 접선의 기울기는     ±
 ± 

 
이므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이다.
° 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길이는 ··   
° 

- 9 -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