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0

기초물리학2

Chapter 16 전기에너지와 전기용량_2

대전과학고등학교 물리 한건우
1
16.5 커패시터(축전기)

■ 축전기
전하로 저장
축전기? 분리되어 있는 도체에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

R 전기재한
전기로 모드는그릇
~
~

코일 나

O e
O C 축전기
16.5 커패시터(축전기)

■ 축전기
축전기? 분리되어 있는 도체에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

@
16.5 커패시터(축전기)

■ 축전기
축전기? 분리되어 있는 도체에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
16.5 커패시터(축전기)

■ 충전과 방전
저장 )시키는 현상
충전? 축전기에 전하를 공급하여 ( 저장

S S S
V
Q A
V G A
V
A
+ 4 + ++++

- - - -

U B
전자의디동
w B B

? 언제까지 이동할까? - > 전자의 전하다


같아릴때까지
전압일정

C) 기보전에때문대 I 가 C2 가거로
롯합
16.5 커패시터(축전기)

■ 충전과 방전
방전? 축전기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를 (방전
방출 )하는 현상

S S S
V
A
R
A
R D A
++++ ++++ ++++
- - - - - - - - - - - -

B B
B

복전기가정지역료
16.5 커패시터(축전기)

■ 전기용량
전기용량?

전기량(전하량)을 담을 수 있는 ( 그릇 )의 크기 ( 용량 ]

Capal : CD

y
0
- >
16.5 커패시터(축전기)

■ 전기용량 ~
" U↓ 높이차 전망

전기용량?
V
-
물도 .
e

밑면적 정귀 용량

전하리공

전압 ) 당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


- 단위 ( 전압

전화량 )과 ( 전압
- 축전기의 ( 전하량 전압 )은 비례한다. 이때의 비례 상수
a
G = CL
a [ cN
aa 나
] CF ]CuF
단위:
]
크기 모미야
- 극판의 ( 전압 ) , 극판의 ( 전압 ) , 극판 사이의 ( 거리
전압 ) , 극판 사이에
C

있는 ( 전압
물걸 )의 종류에 의해 결정된다. [1 E- 19

위 d

EA :
991 ①대
AdE C ㅦ

16.5 커패시터(축전기)
■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 용량

1) 평행판 축전기 극판 사이의 전기장?


16.5 커패시터(축전기)
■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 용량

2) 평행판 축전기 극판 사이의 전압?


16.5 커패시터(축전기)
■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 용량

3) 평행판 축전기 극판 사이의 전기용량?

( aiad)
냐타며

a =

lin) 로
9
.

(
CEc
dh 1 며 e- Al
16.5 커패시터(축전기)
■ 고립된 도체구 축전기의 전기용량
DV =
Vlor -
1) 고립된 도체구에 의한 전기장 viy
0
=

f bidr
-

k@
+ 모 =
~

~
+ + R

V = ka " C = R
4
+ + ~

[
= 직 R
k .

+ +
+
16.5 커패시터(축전기)
■ 고립된 도체구 축전기의 전기용량

2) 고립된 도체구 표면의 전압?

+
+ +

+
+

+ +
+
16.5 커패시터(축전기)
■ 고립된 도체구 축전기의 전기용량

3) 고립된 도체구 축전기의 전기용량?

+
+ +

+
+

+ +
+
16.7 커패시터(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oicu= Q
2

20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
= 축전기를 대전시키는 과정에서 ( 필요한 일 )

정지한 전하의 무리는 전기적 퍼텐셜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전하를 ( 화나씩 가져기 위화 ' )한 일의 양만큼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로 저장

V=
f avdE
.

( 전기장 ) 속에 에너지가 저장 ~0
" 측전기망
capac : ta C
에너지가져 장
자기간수 ~⑫ 코일
망 inducta L ?!
거체
self ndnctar
16.7 커패시터(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탄성력 퍼텐셜 에너지 콜 삭펴부자

Fak 가 F =CI (

wriF 그 코 ).
0
16.7 커패시터(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전기력 퍼텐셜 에너지

aav a =

=d
U

% idh
②이를 소다
w=
:
16.7 커패시터(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동일한 전압일 때, 𝑼𝑨 ∶ 𝑼𝑩 를 구하시오. 리

2
F
Eld : 1
*

S S
V V cvx

1

A B
,
V
현 1 :2

~
C가 리

나가 삐
16.7 커패시터(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동일한 전압일 때, 𝑼𝑨 ∶ 𝑼𝑩 를 구하시오.

S S
V V

A B

축전기에 저장되는 에너지와 전기장은 비례한다.


16.7 커패시터(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동일한 전기장일 때, 𝑼𝑨 ∶ 𝑼𝑩 를 구하시오.

S S

A B
16.7 커패시터(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동일한 전기장일 때, 𝑼𝑨 ∶ 𝑼𝑩 를 구하시오.

S S

A B

전기장 속에 에너지가 저장된다고 볼 수 있다.


전기장의 크기가 같을 때, 공간이 넓어지면 더 많은 에너지가
저장된다.
16.7 커패시터(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 축전기가 활용되는 사례

진동편

어 f
고정전국포
w

콘덴서 시트

인화극편의간력변화화
- )소리로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절연체)
ex .
물븐자
1) 극성 분자(영구 전기쌍극자)

분자 속에 동일한 양의 (+)전하와 (-)전하가 있지만,


전하 분포가 비대칭

J (
외부전기잘 발량으로 그은

전기장 속에 놓이면? 쥠 다적며


1

2) 비극성 분자(유도 전기쌍극자)

극성을 지니고 있지 않은 분자

전기장 속에 놓이면?
]총 공후
O 다주고비절화 ,

,래 배리
비전화)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의 역할

1) 두 판이 매우 작은 간격에서 ( 접국 )하지 않도록 한다.

2) ( 전기용장 )을 증가시킨다.

dD
; 기
왜?
유전체가

D :
전해질도
종키지 ?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의 유전율

유전율?

축전기 극판 사이에 넣은 부도체 물질을 유전체라 하며,


이 유전체의 종류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수

1) 진공에서의 유전율 𝜺𝟎 = 𝟖. 𝟖𝟓 × 𝟏𝟎−𝟏𝟐 𝐅/𝐦

2) 유전체의 유전율 𝜺 = 𝚱𝜺𝟎 (𝜿 > 𝟏)

𝑨
𝑪 𝜺𝒅 𝜺
유전상수 𝚱 = = 𝑨 =
𝑪𝟎 𝜺𝟎 𝒅 𝜺𝟎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1. 전하량이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1. 전하량이 일정할 때
a =
cr

+ - + f a - =

+ 쥠 -
C틴
+ -
+ - + -
+ - + C ① -

한쌌*뽐
-

+ - + -
+ - + > -
+ - + e ① -
+ - + > -
+ - + ① IO -
b

치부전기장과 반대업회

삼쇄

P
전전가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1. 전하량이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전기장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1. 전하량이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전위차(전압)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1. 전하량이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전기용량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1. 전하량이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저장 에너지
= 탕

국조 전하돼 R 에
전②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2. 전위차(전압)가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2. 전위차(전압)가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C 는
1) 전기용량
K
:
E
-
*
스 배증가환도
d
c
.

cGlku →
.
>
.
t 녀나 .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2. 전위차(전압)가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 -- 주 입는
+ + --
,

+ - +
- + - + - + --
+ +
+
+ - + -- K 배정가 ,
- + --
+ + - + - +
+ - +
+ -
- + --
+ +
+ -

2) 전하량
.
기킨 R .

GV . ) 지 (.?
7 .
=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유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2. 전위차(전압)가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U 는 K배
+ - + +
+ - + --
- + - + - + -- 중가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저장 에너지

U=
Z . 0. 1

kdc = -
) 냐 .왕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만약에.. 부도체가 아닌 도체를 넣으면 어떻게 될까?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도체를 넣었을 때의 변화

1. 전위차(전압)가 일정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두 극판 사이의 전위차를 𝑽 로 유지한 상태에서 거리를 𝒅′ 으로 넓히는 경우,


전기용량, 전하량, 전기장, 저장된 에너지가 어떻게 변하는지 쓰시오. (단, 극판
사이는 진공이다.)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두 극판 사이의 전위차를 𝑽 로 유지한 상태에서 거리를 𝒅′ 으로 넓히는 경우,


전기용량, 전하량, 전기장, 저장된 에너지가 어떻게 변하는지 쓰시오. (단, 극판
사이는 진공이다.)

감소 감소 감소 감소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두 극판 사이에 전하량 𝑸 로 대전시킨 후 스위치를 연 상태에서 거리를 𝒅′ 으로


넓히는 경우, 전기용량, 전하량, 전기장, 저장된 에너지가 어떻게 변하는지 쓰시오.
(단, 극판 사이는 진공이다.)
16.8 유전체를 가진 커패시터(축전기)

■ 두 극판 사이에 전하량 𝑸 로 대전시킨 후 스위치를 연 상태에서 거리를 𝒅′ 으로


넓히는 경우, 전기용량, 전하량, 전기장, 저장된 에너지가 어떻게 변하는지 쓰시오.
(단, 극판 사이는 진공이다.)

감소 증가 일정 증가
16.6 커패시터(축전기)의 연결
■ 축전기의 연결

1. 직렬 연결 2. 병렬 연결

특징 특징
16.6 커패시터(축전기)의 연결
■ 축전기의 연결

저항의 직렬 연결
𝑰𝟏 𝑰𝟐 𝒊)

𝒊𝒊)

𝑰 𝑽𝟏 𝑽𝟐 𝒊𝒊𝒊)

특징 1) 전체 전류 =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
2) 전체 전압 =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합
16.6 커패시터(축전기)의 연결
■ 축전기의 연결 고뿜

저항의 병렬 연결
𝑽𝟏 𝒊)
𝑰𝟏
𝒊𝒊)
𝑰
𝑰𝟐
𝒊𝒊𝒊)

𝑽𝟐

특징 1) 전체 전압 =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
2) 전체 전류 =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합
16.6 커패시터(축전기)의 연결
■ 축전기의 연결

축전기의 직렬 연결
𝒊)

𝒊𝒊)

𝒊𝒊𝒊)

특징 1) 전체 전하량 = 각 축전기에 충전된 전하량


2) 전체 전압 = 각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의 합
16.6 커패시터(축전기)의 연결
■ 축전기의 연결

축전기의 병렬 연결
𝒊)

𝐕𝟏 𝒊𝒊)

𝒊𝒊𝒊)

𝐕𝟐

특징 1) 전체 전압 = 각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
2) 전체 전하량 = 각 축전기에 충전된 전하량의 합
16.6 커패시터(축전기)의 연결

■ 다음을 구하시오.

1) 합성 전기용량?

60𝝁F 30𝝁F 2) 전기용량이 60𝝁F인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

40𝝁F
3) 전기용량이 30𝝁F인 축전기에 충전된 전하량?

12V
4) 전체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16.6 커패시터(축전기)의 연결

■ 다음을 구하시오.

1) 합성 전기용량?
60𝝁F

60𝝁F 30𝝁F 2) 전기용량이 60𝝁F인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


4V
40𝝁F
3) 전기용량이 30𝝁F인 축전기에 충전된 전하량?
240𝝁C

12V
4) 전체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4320𝝁J
16.6 커패시터(축전기)의 연결

■ 그림 (가)와 같이 진공 상태(𝜺𝟎 )에서 면적이 A이고 간격이 𝒅 만큼 떨어진 평행판


축전기가 있다. 여기에 유전체 (𝟑𝜺𝟎 ) 를 그림 (나), 그림(다)와 같이 채웠다.
그림 (나)와 그림(다)의 합성 전기용량의 비를 구하시오.

d
(가) (나) (다)
16.6 커패시터(축전기)의 연결

■ 그림 (가)와 같이 진공 상태(𝜺𝟎 )에서 면적이 A이고 간격이 𝒅 만큼 떨어진 평행판


축전기가 있다. 여기에 유전체 (𝟑𝜺𝟎 ) 를 그림 (나), 그림(다)와 같이 채웠다.
그림 (나)와 그림(다)의 합성 전기용량의 비를 구하시오.

병렬 연결 직렬 연결

d
(가) (나) (다)
𝑨 𝑨 𝑪 𝑨 𝟑 𝟐𝑨 𝟐𝑨
𝑪 = 𝜺𝟎 𝑪𝟏 = 𝜺𝟎 = , 𝑪 𝟐 = 𝟑𝜺𝟎 = 𝑪 𝑪𝟏 ′ = 𝜺𝟎 = 𝟐𝑪 , 𝑪𝟐 ′ = 𝟑𝜺𝟎 = 𝟔𝑪
𝒅 𝟐𝒅 𝟐 𝟐𝒅 𝟐 𝒅 𝒅

𝑪′ = 𝟐𝑪 ′′
𝟏𝟐 𝟑
𝑪 = 𝑪= 𝑪 ∴ 𝟒∶𝟑
𝟖 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