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제7장 전력 증폭기

* 차례
7-1 A급 증폭기
7-2 B급과 AB급 푸시풀 증폭기
7-3 C급 증폭기
7-4 고장진단
응용연습

․ 전력 증폭기는 부하에 전력을 전달.


․ 대신호: 교류부하선의 한계에 있거나 넘어가는 출력신호.
․ 전력 증폭기는 대신호 증폭기 (전력 증폭).
; 소신호 증폭기 보다, 부하선 상의 더욱 큰 신호동작에서 사용됨.
․ 분류 : 증폭기가 선형 영역에서 동작하기 위한 입력 주기의 비율에 근거.
A급, B급, C급, AB급 등.
․ 스피커 또는 안테나에 신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통신장비의 수신기 또는
송신기의 최종단에 사용.

7-1 A급 증폭기
․ CE, CC, CB 증폭기가 바이어스되었을 때,
입력 주기의 전주기에 대해 선형영역(Active 영역)에서 동작하면,
A급 증폭기; 부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대신호 증폭기.
차단(cut off)영역 or 포화(saturation)영역으로 넘어가지 않음.
→ ∴ 출력 파형의 모양이 입력 파형의 모양과 같다.
․ A급 증폭기는 반전과 비반전이 모두 가능.
․ 그림 9-1. 기본 A급 대신호 증폭기의 동작.
․ 출력 파형은 입력 파형이 복사된 모양으로 증폭.
․ 위상은 입력 위상과 같거나(비반전), 180˚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반전).

그림 7-1
[1] 열 방출 : 내부적으로 만들어진 상당량의 열 방출
이를 위해 컬렉터 단자를 TR 케이스(접촉면적이 큼)에 연결.

- 1 -
[2] 최대 출력 신호를 위하여 Q점은 중앙에 위치

그림 7-2

․ Q점이 교류(ac) 부하선의 중앙에 있을 때 (즉, 포화와 차단 영역의 중간),


최대 A급 신호를 얻을 수 있음 : 그림 7-2 (a)
․ 이상적인 경우, Q값에 따라 컬렉터 전류  는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 위로 포화값   까지, 아래로 차단값 0까지 : 그림 7-2 (b)
; 최대 출력 신호를 위해 Q점이 중앙에 위치.
∴ 컬렉터 전류의 최대값 : 
컬렉터 전압의 최대값 : 
․ 그림 7-2 (b)에서, A급 증폭기에서 얻을 수 있는 최대 신호.
출력 전류의 최대 첨두값 :  
출력 전압의 최대 첨두값 :   
․ if 입력 신호가 너무 크면, 증폭기는 차단 영역과 포화 영역에서 구동

- 2 -
[3] 중앙에서 이탈된 Q점은 출력의 변동을 제한
(1) 차단영역 부근의 Q점
․ Q점이 중앙에서 이탈되면,  는 최대값 이하로 제한.
․ 그림 7-3 ; 차단영역 부근의 Q점.

(a) 차단에 의해 제한된  와  의 크기.


․  는 차단영역에 의해 제한.
 는  아래로 거의 0까지 변동.
 는  위로 차단점    까지 변동.
(b) 입력 신호의 크기 증가로 인한 차단 영역에서의 구동.
․ 입력 신호가 증가하면, 증폭기는 차단 영역에서 구동
→ 첨두점(즉,차단점)에서 파형 절단(클리핑).

(2) 포화영역 부근의 Q점


․ 그림 7-4 포화영역 부근의 Q점
; 중앙에서 포화영역 쪽으로 이동한 Q점을 가지는 부하선.

- 3 -
(a) 포화에 의해 제한된  와  의 크기.
․  는 포화영역에 의해 제한.
 는  위로 거의 포화점   까지 변동.
 는  아래로 0 까지 변동.
(b) 입력 신호의 크기 증가로 인한 포화영역에서의 구동.
․ 입력 신호가 증가하면, 증폭기는 포화영역에서 구동
→ 첨두점(즉,포화점)에서 파형 절단(클리핑).

[참고-1] 대신호 부하선 동작


․ 그림 a : 신호원을 가진 CE 증폭기

(1) 직류 부하선
․ 그림 b : 위 그림 a의 직류 등가회로(a)와 직류 부하선(b).

i)   ≅  (Tr이 ‘on' switch로 대체)일 때 ;    



∴    ≅
  
ii)  ≅  (Tr이 ‘off' switch로 대체)일 때 ;    
 와  에서의 전압강하 ≅  이므로,   ≅ 

- 4 -
(2) 교류 부하선
․ 그림 ; 위 그림 a의 교류등가회로 (a)와 교류부하선 (b)

1) Q점이 중앙에서 포화점으로 이동하면,


i)  는  →  까지 변화. 즉, △  
ii)  는  →   까지 변화.
△ 
∴ △       
 
where    ║ ; 교류 컬렉터 저항.

∴     

2) Q점이 중앙에서 차단점으로 이동하면,
i)  는  →  까지 변화. 즉, △  
ii)  는  →    까지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c : 직류 부하선과 교류 부하선 : 그림 7-2 (a)

- 5 -
[참고예제 1] 교류신호입력을 가질 때, 다음 그림에서 포화점과 차단점에서
의 컬렉터 전류와 C-E 전압을 결정하라.
단,      ≅  으로 가정.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무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 교류 조건 하에서 포화점.
   ≅  

    

    
wher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 교류 조건 하에서 차단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
[참고예제 2] 다음 그림d는 참고예제 1에 대한 교류 부하선이다.
Q점이 중앙에 있지 않음에 유의.
∴ 최대 출력 진폭 ;
△              
△      
Q점이 중앙에 있을 때,  와  에 대한 최대 출력 진폭을 결정하라.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2] 동작점(Q)을 교류 부하선의 중앙에 맞추기


․ 그림 c의 교류 부하선 상에서 Q점을 중앙에 맞추려면,
i)  는 0점과 차단점     의 중간에 놓아야 함.
          
    (A)
 

ii)  는 0점과 포화점   의 중간에 놓아야 함.

 
      
 
   (B)
 
∴ i),ii)로 부터, Q점이 중앙에 있도록 하기 위한 조건;
from (A) ;       
∴    

- 7 -

or, from (B) ;    


∴   ⇒    


․ 부하선의 변화없이 교류 부하선 상의 Q점을 옮기려면,



 ≅    에 의해,

i) 차단점을 향해 이동 시 ;  ↑ →  ↓
ii) 포화점을 향해 이동 시 ;  ↓ →  ↑

[참고예제 3] 참고예제 2의 회로는 Q점이 중앙에 위치해 있지 않다. Q점을


교류 부하선 상의 중앙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 값을 선택하라.
[풀이] 참고예제 2에서 중앙의 Q점을 위한    
참고예제 1에서    ║   이었다.
∴ 중앙의 Q점을 위한        ×       
한편,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3] 전압이득
․ A급 대신호 증폭기의 전압이득은 소신호 증폭기에서의 교류 이미터 저항
공식  ≅  를 제외하면, 소신호 증폭기와 동일하게 결정.


(참고,   for 소신호 증폭기)
 

․ 그림 e. 전달 컨덕턴스(Transconductance) 곡선상의 위치에 따른


 의 변화.

- 8 -
그림 e
△
   이므로,
△
전달 컨덕턴스 곡선 상단에서 보다 하단 부근에서  이 더 크다.
→ ∴  의 변화 때문에, 신호가 전달 컨덕턴스 곡선 상에서
스윙함에 따라 이득 변화.
⇒ ∴  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평균이득 결정.
․ CE 대신호 증폭기가 완전히 바이패스된  를 가지고 있을 때, 전압이득 ;

 
 

[참고예제 4] 그림 f 증폭기의 대신호 전압이득?


단,  은 5 이라고 가정.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
[참고-4] 왜곡(distortion, 일그러짐)
․ 그림 g ; 왜곡의 예

․ 컬렉터 전류의 진폭이 부(-)의 반주기동안 왜곡 발생.


by 전달 컨덕턴스 곡선의 하단부의 심한 비선형성 때문.
․ 전달 컨덕턴스 곡선의 Q점을 조금 더 직선적인 부분  와 가 큰 쪽)
으로 컬렉터 전류를 유지하면 → 왜곡 감소.
․  와 가 큰 쪽으로 Q점을 이동시키려면,
i)  를 증가시키고,
ii) 베이스 인가전압을 증가시켜  에서의 전압강하  를 증가시킴.
△
  
△

[4] 전력 이득

․    (7-1)

여기서  : 전력이득
 : 부하에 전달된 신호전력
   : 증폭기의 입력전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  
  


- 10 -
․ CC 증폭기에서,   ,   이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출력저항에 대한 입력저항의 비.

․ From 제6장 전압분배 증폭기,
    ║║
이때 CE 및 CC 증폭기의 경우,        

[5] 직류 무신호 소비전력(DC Quiescent Power)


․ 입력 신호가 없을 때의 Tr의 소비전력 = Q점에서의 전류와 전압의 곱
   ⋅ (7-3)
․ 직류 무신호 소비전력은 A급 증폭기의 최대 전력.
→ ∴ Tr의 임계(정격) 전력은 이 값보다 커야 함.
즉,  ≥  이어야 한다. → ∴     

[6] 출력 전력
․ 출력신호전력 : 실효부하전압과 실효부하전류의 곱.
․ CE 증폭기의 교류 출력전력은 교류 부하선 상의 Q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  값과    값의 곱.
    ⋅ 
․ Q점 위치에 대한 세 가지 경우의 출력 ; 그림 g

i) 포화영역 근처의 Q점 : 그림 g (a)


 의 최대 진폭 : 

 의 최대 진폭 :


- 11 -
   
  
∴          
⋅    

ii) 차단영역 근처의 Q점 : 그림 g (b)


 의 최대 진폭 :  
 의 최대 진폭 : 

     
∴           
  

iii) 중앙에 위치한 Q점 : 그림 g (c)


 의 최대 진폭 : max    

 의 최대 진폭 : max    

   ⋅
∴           ⋅ (7-4)
  

; A급 증폭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최대 교류 출력 전력.

∙ 무신호 전력의 .

[예제 9-1] 그림 7-5의 A급 전력 증폭기의 전압과 전력 이득을 구하라.


단,     이고,   이다.

[풀이]
∙ 첫째단(Q1) : 이 있는 스왐프된 공통 이미터 회로.

∙ 둘째단(Q2, Q3) : 달링턴 이미터 폴로어


∙ 스피커 : 부하.

- 12 -
1) 첫째단
∙ 첫째단의 교류 컬렉터 저항은 둘째단의 입력저항과 병렬인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Q1의 베이스 전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둘째단을 부하로 갖는 첫째단의 전압이득


 
      
     

여기서 (-)부호는 반전을 나타냄.


∙ 첫째단의 전체 입력저항
   ║║   ′ 
 ║║      
2) 둘째단
∙ 달링턴 이미터 폴로어의 전압이득은 거의 1.
 ≅ 
3) 전체 증폭기
∙ 전체 전압이득 :           
4) 전력이득
∙ From 식(7-2),


   
                
 

- 13 -
[7] 효율(Efficiency) ; 
교류 출력 전력 Pout
․ 증폭기의 효율( ) = =
직류 입력 전력 PDC
where,        
이때 평균 전원 입력전류    이고,
Q점이 중앙에 있을 때 전원 입력전압 :    이므로,
       
∴ 최대 효율  ;
          
 


 

  


   or,  %

; 실제 효율은 약 10% 정도.


→ ∴ A급 증폭기는 아주 작은 부하전력이 요구되는 응용분야에만 사용.
[예제 7-2] 그림 7-5(예제 7-1)의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구하라.
[풀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Q3의 이미터 전압 ≅  by 로딩효과.


→ Q3의 이미터 전류 ≅ 
∴ Tr 및 바이어스 회로에서의 전류를 무시하면, 전체 직류전류 ≅  .
∴         
∴ 효율   :
 
     ≅    ≪ Q점이 중앙에 있을 때의 최대 효율 25%.
 

[8] 최대 부하 전력
∙ A급 증폭기에서 부하 전력은 Q점이 중앙에 있을 때 최대.
∙ 출력측 결합 커패시터의 전압 강하를 무시하면, 최대 부하전압은 
(∵ 이미터는 교류접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때때로 부하전력을 출력전력으로 정의.

- 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