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9

전력공학

(전기공학의 전반적인 공식 수록)


1. 물의 위치수두
(1) 정의

수두를 헤드라고도 한다. 단위는 길이의 차원이나 위치 에너지를 구하는 기본

이 되는 값이며, h는 수면의 높이이다. 즉, 단위 무게 [kg]당의 물이 갖는 에


너지를 말한다.

(2) 공식

위치 수두 = H [m]

2. 물의 압력수두
(1) 정의

수관 속의 유수의 압력은 유속에 따라서 다른 값이 된다. 따라서 압력의 에너

지와 속도의 에너지는 호환성이 있다는 것이 된다.

(2) 공식

p
압력 수두 = [ m]
w
p : 압력의 세기(수압) [㎏/㎡]

w : 물의 단위 부피의 무게 [㎏/㎥]

3. 물의 속도수두
(1) 정의

어느 속도를 가진 유수의 에너지 산정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위치수두와 같

은 취급을 하기 위해 길이의 차원을 가진 단위로 한다.

(2) 공식

v2
속도 수두 = [ m]
2g

v : 유속 [m/s]

g : 중력의 가속도 ( ≒9.8[ m/s 2 ])


4. 연속의 정리
(1) 정의

관로 등의 고체로 둘러싸인 수류에서 도중에 물의 출입이 없는 한 각기 다른

면적 A1 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량과 A2 로부터 유출되는 수량은 같다.


(2) 공식

A 1v 1 = A 2v 2 = Q (일정)

단, A1, A2 : a, b 점의 단면적 [㎡], v 1, v 2 : a, b 점의 유속 [m/s]

5. 베르누이의 정리
(1) 정의

손실이 없는 완전유체 즉, 비압축성 유체에서 운동에너지, 위치에너지 및 압

력의 에너지의 합은 일정하다는 것이 베르누이의 정리이다. 따라서 어떤 유체

의 운동으로 높이가 감소하면 속도가 증가하거나 혹은 속도가 증가할 때 압

력이 감소하거나 한다. 베르누이의 정리에서 에너지의 총합은 일정이라는 대

신에 길이의 단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공식

ⓐ 손실을 무시할 때

p v2
K = H+ +
w 2g
ρv 2
= P+ρ gh+
2

ⓑ 손실 수도 (H12)를 고려할 때

p1 v21 p2 v22
H1+ + = H2+ + +h12
w 2g w 2g

v : 유체의 속도[ m/s], g : 중력 가속도 9.8m/s, h : 높이,

P : 유체의 정압력[㎏/㎠], ρ : 밀도, K : 정수


6. 이론수력과 발전량
(1) 정의

이론수력은 수차와 발전기의 효율이 100%인 이상적인 경우의 출력이다.

수차와 발전기의 종합효율은 출력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80~90이다.


(2) 공식

ⓐ 이론 수력 : P = 9.8QH [kW]

ⓑ 발전소 출력 : P g = 9.8QH η tη g [ kW ]

단, ηt : 수차 효율, ηg : 발전기 효율

Q : 사용 유량 [㎥/s], H : 유효 낙차 [m]

7. 양수 발전기의 출력
(1) 정의

심야의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펌프로 하부저수지의 물을 상부로 양수해서 저

장해 두었다가 첨두 부하시에 이것을 이용하는 발전 방식이다.


(2) 공식

9.8QHu
양수 발전기의 출력 : P = [ kW ]
η ρη m

단, Q : 펌프의 양수량 [㎥/s], Hu : 양정 [m]

η ρ : 펌프의 효율, ηm : 전동기의 효율

8. 조정지의 필요 저수 용량
(1) 정의

계절적인 하천의 유량 변화를 조정할 수 있는 대용량의 저수지를 가진 발전

소로서, 가령 풍수기에 남는 물을 저수하였다가 갈수기에 방출해서 하천 유량


을 장시간 유효하게 사용하는 발전 방식이다.

(2) 공식

V = (Q2 - Q1)T × 3600 [㎡]


단, V : 조정지의 필요 저수 용량 [㎥]

Q1 : 1일의 평균 사용 유량 [㎥]

Q2 : 첨두 부하 때의 사용 유량 [㎥/s]

T : 첨두 부하 계속 시간

9. 연평균 유량

α×10 -3×b×10 6×κ


Q = [㎥/s]
365×24×60×60

≒ 3.17abk × 10 -5 [㎥/s]

단, b : 유역 면적[㎢], k : 유출 계수, a : 연강수량 [mm]

10. 도수 설비
(1) 정의

상수조(조압수조)로부터 발전소의 수차 입구에 이르기까지 도수관을 수압관

(penstock)이라고 부르며 이 수압관을 지지하기 위한 공작물 등과 기타 반면

을 총칭해서 수압관로라고 부른다.

(2) 공식

① 췌지의 유손 공식 : v = C iR [ m/s]

단면적
단, C : 유속 계수, i : 수면 구배, R : 경심 (= 윤변 )
② 수압관의 직경과 유량

π 2
Q= D v [㎥/s]
4
4Q
D= [ m]
πv

단, v : 관내의 평균 유속 [m/s], D : 관의 지름, Q : 사용 유량 [㎥

HD
/s]③ 수압관의 소요 두께 : t = PD = 0.05 0 [㎝]
2σØ σØ

단, P : 두께를 구하는 개소에 가해지는 수압 = 0.1 H0 [㎏/㎠]


H0 : 정수압과 수격압과의 합계를 수두로 나타낸 것 [m]

D : 수압 철관의 지름 [㎝], σ : 강판의 허용 인장 응력 [㎏/㎠]

Ø : 철판의 접합 효율

L v2
④ 수압 관로의 손실 수두 : h = f × [ m]
R 2g

단, f : 손실수두[m], R : 경심 , L : 수압관의 길이[m], v : 유속

[m/s]

11. 물의 이론 분출 속도
(1) 정의

팰톤 수차의 노즐에서 나오는 물의 속도의 개략치를 구하는 식이다.

(2) 공식

v= C 2gH [ m/s]

g : 중력 가속도 9.8m/s,

H : 유효낙차[m], C : 정수, 0.95정도

12. 수차의 특유 속도(比速度)


(1) 정의

수차와 기하학적으로 서로 닮은 수차를 가정하고, 이 수차를 단위 낙차(1[m])

아래에서, 또한 실제와 서로 닮은 운전 상태에서 운전시켜 단위출력(1[ kW])


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1분간의 회전수 Ns를 말한다. 수차의 비교에 쓰인다.

(2) 공식

N P N P
Ns = = [ rpm]
H 5/4 H H
단, Ns : 특유 속도 [rpm], N : 정격 회전수 [rpm]

H : 유효 낙차 [m], P : 수차의 출력 [kW]

(1) 정의
13. 수차발전기의 회전속도
수차직결의 발전기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식이다. 수차의 회전수는 그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수차에 따라 극수를 달리하여야 한다.

(2) 공식

120f
N= [ rpm]
P
단, N : 동기 발전기의 매분 회전수, P : 극수, f : 주파수[㎐]

14. 낙차 변화에 의한 회전수 및 출력 관계


1/2
회전수 :
N2
N1
= ( )
H2
H1
1/2
유 량 :
Q2
Q1
= ( )
H2
H1
3/2
출 력 :
P2
P1
= ( )
H2
H1

단, N1[rpm], Q1 [㎥/s], P1 [kW] 는 각각 낙차 H1 [m]의 회전수, 유량,

출력이고 N2[rpm], Q2 [㎥/s], P2 [kW]는 낙차 H2 [m]일 때의 회전수,

유량, 출력이다.

15. 수차의 속도 변동율

Nm - N 1
△N n = ×100[%]
Nn

단, N : 속도 변동률, N1 : 어느 출력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

Nn : 정격 회전 속도 (보통 N1 = Nn)
Nm : 부하 급변 때의 과도 최대 회전 속도

(1) 정의
16. 수차의 속도 조정률
속도 조정률 ΔN은 2~3%이고, 작을수록 좋으나 수차 발전기의 병렬운전의

경우 각 수차의 속도 조정률이 모두 같아야 한다.

(2) 공식

N 0 - Nl N0 - N
속도 조정률 : δ = ×100 = ×100[%]
N N

단, N : 정격 회전수, N l : 부하시 회전 속도, δ : 속도 조정률

N 0 : 조속기에 제한을 가하지 않고 무부하로 했을 때의 속도

17. 수압 변동율

Pm - P α
△P = ×100[%]
Pa +H

단, P m : 과도 최대 수압, P a : 부하 감소 전의 수압

P a + H : 부하 감소 전의 수차 중심에 있어서의 수압

△P : 수압 변동률

18. 발전소 년간 이용률


(1) 정의

년간 발전량을 최대출력 P[kW]의 8760(365일×24시간)배로 나눈 것이 발전소

년간 이용률이다.
(2) 공식

년간 이용율 =
W
8760×P

P : 최대출력[kW]

W : 년간 발전량[ kWH ]

(1) 정의
19. 급수펌프의 소요동력
보일러 운전 중에 끊임없이 그 증발량에 해당하는 급수를 보일러에 공급하여

드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설비이다.

(2) 공식

QH×10
급수 펌프의 소요 동력 : W = 0.163× [ kW ]
60γη

단, Q : 급수량 [t/h], H : 전압력 [kg/㎠]

γ : 물의 단위 부피의 무게 [kg/ l ], η : 펌프의 효율 축단

20. 발전소 효율
ⓐ 발전소 송전단 열효율

η tg (터빈 발전기의 종합효율을 100[%]로 한 이론출력[ kcal/h ])- AW a


보일러에서 급수에 주어진 열량[ kcal/h ]/η b

ⓑ 발전소 발전단 열효율

η tg (터어빈 발전기의 종합 효율을 100[%]로 한 이론 출력[ kcal/h ]


보일러에서 급수에 주어진 열량[ kcal/h ]/η b

단, η tg : 터빈, 발전기 종합 열효율 = (터빈 효율) × (발전기 효율)

AW a : 보조기기를 운전하는 데 소요된 동력[kcal/h]

ηb : 보일러 효율,

(1) 정의
21. 연선의 저항
연선의 저항 R[Ω]은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저항 r[Ω]과 다음과 같은 관계

가 있다.

(2) 공식

r(1+k)
R= [Ω]
N

단, k : 저항 연입률

N : 소선 총수이고, k 는 2[%] 정도이다.

22. 온도 변화에 따른 전선의 저항


(1) 정의

저항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한다. 온도 계수는 도전률에 의하여

변화한다. 동선의 20[℃]에 대한 온도 계수는 퍼센트 도전률을 C라 하면

C
a 0 = 0.00393×
100

도전률 97[%]인 동선의 20[℃]에 대한 온도 계수는 0.00381, 또 경알미늄선의


20[℃]에 대한 온도 계수는 0.004이다.

(2) 공식

Rt = Rt0{1+a 10(t-t 0 )}[Ω]

단, Rt : t[℃]에서 저항 [Ω]
at0 : 기준 온도 t0[℃]에 대한 정질향 온도 계수(이하 : 온도 계수)

온도 계수는 기준 온도 t0[℃]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변한다.

1
at0 =
1
+( t 0-20)
a20

여기서, a 20 은 20[℃]에 대한 온도 계수이다.

(1) 작용 인덕턴스
23. 인덕턴스
단상 송전선 및 연가가 완전한 3상 송전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된다.

① 단도체인 경우

D
L = 0.4605log 10 +0.05[ mH/㎞]
r
② 복도체인 경우

D 0.05
L n = 0.4605log 10 + [ mH/㎞]
r 1/nd ( n -1)/n n

단, r 은 전선의 반지름[m], D는 단상 선로인 경우의 선간 거리 [m]

3상 선로인 경우에는 동일회선 내 a, b, c 각 상 전선 사이의 기하 평


3
균 거리 : D = D abD bcD ca [ m] a

예) 2도체인 경우

Da
Dc

b
n=2이므로

D
L 2 = 0.4605log 10 +0.025[ mH/㎞]
rd Dbc

(2) 대지를 귀로로 하는 인덕턴스

① 단도체인 경우

1선과 대지로 귀로 회로의 자기 인덕턴스

2He
L e = 0.4605log 10 +0.1[ mH/㎞]
r

단, r : 전선의 반지름 [m]

H e : 상당 대지면의 깊이 [m]

② 복도체인 경우
1선과 대지 귀로 회로의 자기 인덕턴스

2He 0.05( n +1)


L e = 0.4605log 10 + [ mH/㎞]
r d ( n -1)/n
1/n n

[3] 각종 인던턱스 간의 관계

① L, L e, L m 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L = Le-Lm
② 2선 일괄 대지를 귀로로 하는 회로의 1선당 자기 인덕턴스

L e2 = L e +L m

③ 3선 일괄 대지를 귀로로 하는 회로의 1선당 자기 인덕턴스

L e3 = Le +2L m

④ 평행 2회선 6선 일괄 대지를 귀로로 하는 회로의 1선당 자기 인덕턴스

Le6 = Le +2Lm +3Lm'≒Le +5Lm

단, L m : 동일 회선 내의 1선과 대지 귀로 회로간의 상호 인덕턴스

L m' : 다른 회선 간 1선과 대지 귀로 회로의 상호 인덕턴스

24. 정전 용량
(1) 단도체인 경우

① 작용 정전 용량

0.02413
Cw = [μF/㎞]
D
log 10
r
② 대지 정전 용량
○ 지표상 동일 높이에 가선된 단상 1회선인 경우

0.02413 0.02413
Cw = ≒ [μF/㎞]
2
2h 4h +D 2
4h 2
log 10 log 10
rD rD

단, h : 전서의 지표상의 평균 높이

h' : 전선의 지지점 높이[m]

d : 딥(dip)[m]이라 하면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2
h = h' - d [ m]
3

○ 3상 1회선인 경우

0.02413
Cs = [μF/㎞]
8h 3
log 10 2
rD
단, h : 각상 전선의 지표상 평균 높이의 기하 평균값
3
h= h ah bh c [ m]

또한 h a, h b, h c [ m ] : 위의 식에 의하여 구한 a, b, c 각상 전선의

지표상 평균 높이 [m]

(2) 복도체인 경우

앞에 기술한 경우에 단도체인 전선의 반지름 r대신에

r 1/nd ( d - 1)/n [ m] 를 쓴다.


(3) 부분 정전 용량 사이의 관계

① 단상 1회선인 경우

작용 정건 용량 C, 대지 정전 용량 Cs, 전선간의 정전 용량 Cm 사이에

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C = Cs +2Cm

② 3상 1회선인 경우

C = C s +3C m

③ 3상 2회선인 경우

C = Cs +3( Cm+Cm')

단, C m : 동일 회선 내 전선 상호 정전 용량

C m' : 다른 회선간의 상호 정전 용량

25. 코로나
(1) 코로나 임계 전압
공기는 보통 절연물이라고 취급하고 있지만 표준상태 (20[℃], 760[㎜/Hg])에

1
있어서 직류로 약 30[kV/㎝], 교류로는 그 인 약 21.1[kV/㎝]의 전위
2

경도를 가하면 절연이 파괴되는데, 이것을 파열 극한 전위 경도 g 0 라고 한다.

송전선에 g 0 = 21.1[kV/㎝]의 전위 경도가 되었을 때, 코로나가 발생하는

임계 전압 E0는 상전압으로
D
E 0 = 24.3m 0M 1δd log 10 [ kV] 표 11-1
r
단, m 0 : 전선의 표면 상태에 의해서 정해지는 계수(표 참조)

m 1 : 일기에 관한 계수로서 맑은 날은 1.0, 우천시는 0.8

δ : 상대 공기 밀도로서 t[℃]에서의 기압을 b[㎜Hg]로 하면 아래와 같

은 식이 되며, 표준 상태에서는 δ=1이 된다.

b 273+20 0.386b
δ= × =
760 273+t 273+t

전선의 표면상태 m0
잘 다듬어진 단선 1

표면이 거친 단선 0.98~0.93
7개 연선 0.87~0.83

19~61개 연선 0.85~0.80

(2) 코로나 손실

코로나가 발생하면 전력 손실이 따른다. 코로나 손실에 관한 Peek의 실험식

은 다음과 같다.

241 d
Pe = ( f +25) ( E - E0 ) 2×10-5 [ kW/㎞/선]
δ 2D

단, E : 전선의 대지 전압 [kV], E 0 : 코로나 임계 전압 [kV]

f : 주파수 [Hz], d : 전선의 지름 [㎝]

D : 선간 거리 [㎝], δ : 상대 공기 밀도

26. 전선로의 충전 전류 및 충전 용량
(1) 충전전류

I c = 2πfC×V [ A] (단상식)

[ A] (3 상식)
V
I c = 2πfC×
3

(2) 충전 용량
V2
P c = 2πfC× ×10 -3 [ kVA] (단상식)
2

P c = 2πfCV 2×10 -3 [ kVA] (3 상식)

단, c : 전선 1선당 정전 용량 [F], V : 선간 전압 [V], f : 주파수 [Hz]

27. 4단자 정수
(1) 정의

송전 선로는 송전선 자체와 발전기, 변압기, 애자 등의 각종 기계 기구가 연

결되어 있으며, 송전 선로의 전기적 특성을 다루는 데 있어서 이들은 선로 정

수인 저항, 인덕턴스, 정전 용량 및 누설 콘덕턴스로 작용한다. 복잡하게 연

결된 송전선로를 간단히 취급하기 위해서는 4단자 정수 A, B,̇ C,̇ Ḋ 를 이용 ̇


하며, 이들 사이에는 반드시 Ȧ Ḋ - Ḃ Ċ = 1의 관계가 있다.

(2) 공식

4단자 정수를 송전선 자체만 생각할 때는

Ȧ = Ḋ = cos hṙl Ḃ = Z 0̇ sinhṙl

Ċ = sinhṙl Ȧ Ḋ - Ḃ Ċ = 1
Z 0̇
1

단, ṙ : 전파 정수 = Ż․ Ẏ [rad/km]


Z 0̇ : 특성 임피던스 =

[Ω]

Ż = r +jwL [Ω/㎞], Ẏ = g + jwC [℧/㎞]

여기서, r : 저항, L : 작용 인덕턴스, g : 누설 콘덕턴스,

C : 작용 정전 용량, l : 송전선의 긍장

보통 ṙ = j(1.2~1.4)×10-3 [rad], Z 0̇ 는 특성 임피던스로서 400[Ω]전후의 값

을 가진다.
28. 단거리 선로
(1) 정의

배전선이나 단거리 (수십[㎞]) 송전선에서는 선로 정수로서 저항과 리액턴스만

이 한곳에 집중되어 있는 집중 정수 회로로 취급한다.


(2) 공식

Es = ( ER cosθR +IR) 2 +( ER sinθR+IX) 2 [ V]

단, E s,̇ E Ṙ : 송전단 및 수전단 상전압 [V] Is

I ṡ, I Ṙ : 송전단 및 수전단 전류 [A] R X

cosθ s, cosθ R : 송․수전단 역률


Es Er

또는 근사적으로 아래 일반식을 얻는다.

E s ≒ E R + I( Rcosθ R ×Xsinθ R) [V]

3상인 경우 선간 전압으로 표시하면

V s ≒ V R + 3I( Rcosθ R ×Xsinθ R) [V]

전압 강하는

v = Vs - VR = 3I( Rcosθ R +Xsinθ R) [V]

전압 변동률은

VR' -V R
δ = ×100
VR

Vs - V R e
= ×100 = ×100
VR VR

3I
= (Rcosθ R +Xsinθ R)100[%]
VR

E ṡ
İZ İX
E Ṙ
İR
I
29. 중거리 송전선(T형)의 송전단전압
(1) 정의

중거리 송전선에서는 선간 용량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T형 등가회로에서

는 그림과 같이 중앙에 어드미턴스를 놓아 선로임피던스를 두 개로 분리한다.


계산은 복소수를 쓰기 때문에 복 Is Ir

잡해지며 또 전류는 선전류이나 Z/2 Z/2

Es Y Er
전압은 대(對) 중성점의 값이다.

(2) 공식

Eṡ = 1+
( Ż Ẏ
2 )E ̇ + I ̇Ż (1+ Z4̇ Ẏ )
R R

I ṡ = Ẏ EṘ + I Ṙ 1+
Ż Ẏ
( 2 )

30. 중거리 송전선(π형)의 송전단전압


(1) 정의

중거리 송전선에서는 선로의 임피던스를 중앙에 모으고 어드미턴스를 2분해

서 양단에 놓아 π형으로 한 경우의 송전단 전압의 근사식이다.

T형 회로와 마찬가지로 선간 어드 Is Ir

Z
미턴스[대(對) 중성선 환산]를 무시
Y/2 Y/2 Er
할 수 없는 경우에 쓰며 식의 각 Es

요소는 복소수로 나타내어야 한다.

(2) 공식

Eṡ = 1+
( Ẏ Ż
2 )E ̇ + Ż I ̇
R R

Ẏ Ż
I ṡ = Ẏ 1+
( 4 )E +(1+ Y2̇ Ż )I ̇
R R
31. 장거리 송전선로의 송전단전압․전류(일선對중성전선)
(1) 정의

장거리 송전선로의 길이의 정의는 명확하지 않으나 보통 300㎞ 이상은 장거

리 송전선으로 보아도 된다. Z는 한 가닥의 도선의 단위 길이당 저항과 임피


던스로부터 결정하고, Y는 한 가닥의 도선의 대(對)중앙선 용량과 리액턴스로

부터 구한다. 전반(전반)정수 γ가 복소수인 경우는 쌍곡선 함수를 전개해서

값을 구한다.

(2) 공식

Vr
V s = V r coshγl + Z 0I r sinhγl, I s = sinhγl + I r coshγl
Z0

단, V S = 1선대 중성선 전압, I S : 선전류, r : 전반정수 ZY 와 같다.

Z 0 : 특성임피던스, Z/Y 와같다., Z : 단위길이당의 선로임피던스[Ω/㎞]

Y : 단위길이당의 어드미턴스[℧/㎞], l : 선로길이[㎞]

coshγl : 쌍곡여현, sinh γl : 쌍곡정현

32. 전력 원선도
(1) 정의

송전단전압과 수전단전압이 일정하고


lead
임의의 역률일 때의 유효전력이나 무효
전력 등을 구하는 원선도이다. 그림에서
V2 r2 V VS
Z
P r이 유효전력, Q r이 무효전력이고 Z
Vx
OA가 그때의 피상전력이다. 피상전력이
2
Z
Pr
궤적상에 없을 때는 정전압 송전을 할 O

수 없기 때문에 앞서거나 뒤진 전력을 Qr


A
B'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OB의
B
앞선 무효전력을 공급하면 원선도상에
lag
온다.
(2) 공식

전력원선도의 중심좌표 : ( V2r r V2r x


Z2
,
Z2 )
V rV S
원선도의 반경 :
Z

단, V S : 송전단 전압, V r : 수전단 전압

Z : 임피단스의 크기, r 2 + x 2 와 같다.

r : 저항, x : 리액턴스

33. 고유 부하법(송전 용량)


(1) 정의

수전단에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같은 임피던스 부하를 접속하고, 저항이나

리액턴스를 무시하면 선로 각 점의 무효 전력이 0이 되어 이상적인 송전이

된다. 이 부하가 고유 부하이다.

단도체보다 복도체를 사용하면 L은 감소하고 C는 증대하게 되므로, 특성 임

피던스가 작아져서 결과적으로 송전 선로의 고유 송전 용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전압 장거리 송전선에서 복도체 방식을 많이 쓰고 있다.

(2) 공식

V2
P= [ MW]
L
C
단, V : 선간 전압[kV], L : 인덕턴스[H], C : 정전 용량 [F]

34. 송전 용량 계수법
(1) 정의

고유 부하법에서는 선로의 길이에 관계없이 전압의 크기만으로 정해지기 때

문에, 여기에 선로의 길이를 고려한 것이다.


(2) 공식

E2R
수전 전력 : P R = k

단, P R : 수전 전력 [kW]
전압 계급[kV} 송전 용량 계수
E R : 수전단 선간 전압[㎸] 60 600

ℓ : 송전 길이 [㎞] 100 800

k : 송전 용량 계수 140 1200

35. Still의 식
(1) 정의

Still의 식은 중거리 송전 선로에 적합한 경제적인 송전 전압을 결정하는 데


적합하다.

(2) 공식

P
송전전압 [㎸] = 5.5 0.6ℓ+
100

단, ℓ : 송전 거리 [㎞] P : 송전 용량 [㎾]

36. 퍼센트법, 단위법, 오옴법


(1) 정의
선로 임피던스를 취급하는 방법으로 퍼센트법, 단위법(per unit) 및 오옴(ohm)

법 등이 있다. 기준 전압에 대한 임피던스 강하의 백분율이 퍼센트법이고, 기

준전압에 대한 임피던스 강하의 비가 단위법이다.


(2) 공식

① %임피던스와 Ω임피던스와의 관계

ZI n ZI n Vn 2P
%Z = ×100 = = ZI n = [%]
1000V n 10V n 10V2n 10V2n

%Z10V2n
ΩZ = [Ω]
P
단, P : 변압기의 정격 용량[kVA ], V n : 정격 전압
② %임피던스의 집계
%Z를 집계할 때는 먼저 기준 용량을 정하여 환산한다. 즉, [kVA] 용량이

다른 각 부분의 %Z를 그 때 채용한 기준 용량 [kVA]과 실제의 그 기기의

[kVA] 용량과의 비를 곱해 주면 된다.

기준용량[ kVA ]
환산 %임피던스 = %임피던스 ×
기기의 용량[ kVA ]
[kVA B ]
%Z B = %Z ×
[kVA ]

37. 대칭 좌표법
(1) 정의
고장시에는 일반적으로 3상회로는 비대칭으로 되어 계산이 곤란하게 되므로,

이를 영상․역상․정상의 3개 대칭 회로로 분해하여 계산한 다음 그 결과를

합하여 해를 구하는 방법을 대칭 좌표법이라 한다.

정상 상태에서 각 상이 대지에 대하여 전압 V ȧ, V ḃ, V ċ [V], 전류 I ȧ, I ḃ, I ċ

일 때 이들 성분을 다음과 같은 관계에 의하여 V 1̇, V 2̇, V 0̇ [V] 및 I 1̇, I 2̇, I 0̇

[A]인 대칭분 전압, 전류로 변환한다.

(2) 공식

V1̇ = ( Vȧ +aVḃ +a2Vċ ) I 1̇ = ( I ȧ +a2I ḃ +aI ċ )


1 1
3 3

V2̇ = ( Vȧ +a 2Vḃ +aVċ ) I 2̇ = ( I ȧ +a2I ḃ +aI ċ )


1 1
3 3

V0̇ = ( Vȧ + Vḃ + Vċ ) I 0̇ = ( I ȧ + I ḃ + I ċ )


1 1
3 3

단, a = ε j120° = -
1 3 Ia
+j
2 2
1 3
a 2 = ε j240° = - -j
2 2 a=120
3
a = 1

1+a +a 2 = 0 aIa 2
2
a Ia
a=240
로 표시되는 벡터 연산자이며 a는 120°, a 2 은 240°앞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식을 상성분에 대하여 풀면

Vȧ = V0̇ + V1̇ + V2̇ I ȧ = I 0̇ + I 1̇ + I 2̇

Vḃ = V0̇ +a 2V1̇ +aV2̇ I ḃ = I 0̇ +a2I 1̇ +aI 2̇

Vċ = V0̇ +aV1̇ +a 2V2̇ I ċ = I 0̇ +aI 1̇ +a 2I 2̇

또, I 0̇ (영상전류)는 각 상에서 크기가 같고 위상이 같은, 즉 대지를 통해서

중성점으로 돌아오는 단상 교류임을 알 수 있다.

Iȧ +Iḃ +Iċ = 3I0̇ +(1+a+a2)( I1̇ + I2̇ ) = 3I0̇

정상분 I 1 은 정상 회전 방향인 전류 성분이고, 역상분 I 2 는 회전 방향이 반대

이므로 전동기에 역상 전류가 유입하면 반대 방향의 토크가 생겨 제동 작용


을 일으킨다.

38. 3상 교류 발전기의 기본식


(1) 정의

3상 교류발전기에 임의의 불평형 전류가 흐를 경우 그 단자전압과 전류와의


관계를 구한다. 3상 교류발전기의 각상의 유기전압은 3상대칭이므로 무부하시

그 단자전압은 3상평형 상태에 있게된다. 그러나 이 발전기에 불평형 부하를

걸면 불평형 전류에 의한 전기자 권선의 전압강하 때문에 그 단자전압은 비


대칭으로 된다.

(2) 공식

단자 전압 : 각상 전압 강하 :

V ȧ = E ȧ - v ȧ v ȧ = I 0̇ Z 0̇ + I 1̇ Z 1̇ + I 2̇ Z 2̇

V ḃ = E ḃ - v ḃ v ḃ = I 0̇ Z 0̇ +a 2I 1̇ Z 1̇ +aI 2̇ Z 2̇

V ċ = E ċ - v ċ v ċ = I 0̇ Z 0̇ +aI 1̇ Z 1̇ +a 2 I 2̇ Z 2̇

단자 전압의 대칭분 V 0̇, V 1̇, V 2̇ 는


V0̇ = ( Vȧ + Vḃ + Vċ )= { ( Eȧ + Eḃ + Eċ ) -( vȧ + v ḃ + vċ )}
1 1
3 3

V1̇ = ( Vȧ +aVḃ +a 2Vċ )= { ( Eȧ +aEḃ +a 2Eċ )-( vȧ +av ḃ +a 2v ċ )}
1 1
3 3

V2̇ = ( Vȧ +a 2 Vḃ +aVċ )= { ( Eȧ +a 2Eḃ +aEċ )-( vȧ +a 2 vḃ +av ċ )}
1 1
3 3

윗식을 정리하면

V 0̇ = E 0̇ - I -̇ Z 0̇, V 1̇ = E 1̇ - I 1̇Z 1, V 2̇ = E 2̇ - I 2̇ Z 2̇

그런데 E0̇ = 0, E1̇ = Eȧ, E 2 = 0이므로 ̇


otV 0 = - I 0̇ Z 0̇, V 1̇ = E 1̇ - I 1̇ Z 1̇ = E ȧ - I 1̇ Z 1̇, V 2̇ = - I 2̇ Z 2̇

이것이 3상 교류 발전기의 기본식이다.

39. 3상 교류 발전기의 1선 지락 사고
(1) 정의
A상 단자가 직접 접지된 경우의 접지전

류 Ie 건전상 전압 V ḃ, V ċ 및 대칭분


Vc C

Eb Ec

전류 I 0̇, I 1̇, I 2̇ 대칭분전압 V 1̇, V 2̇, V 0̇


Ea
Vb B

는 다음과 같이 된다. Ie A

(2) 공식

Eȧ
I 0̇ = I 1̇ = I 2̇ =
Z0̇ + Z1̇ + Z2̇
Ie
=
3

Z0̇ 3E ȧ
V0̇ = Ė
Z0̇ + Z1̇ + Z2̇ a Z0̇ + Z1̇ + Z 2̇
Ie =

Z0̇ + Z2̇ ( a 2 -1) Z0̇ +( a 2 -a) Z 2̇


V1̇ = Ė Vḃ = Eȧ
Z 0̇ + Z1̇ + Z2̇ a Z 0̇ + Z1̇ + Z 2̇

Z0̇ ( a-1) Z 0̇ +( a -a 2 ) Z2̇


V2̇ = Ė Vċ = Eȧ
Z 0̇ + Z1̇ + Z2̇ a Z0̇ + Z 1̇ + Z 2̇

단, E ȧ 는 A상의 무부하 유도 기전력이다.


40. 3상 교류 발전기의 2선 지락 사고
(1) 정의

B, C 양단자가 직접 접지된 경우의 B, C두 상의 전류 I ḃ, I ċ 건전상 A상의

전압 V ȧ 및 대칭분 전류 I 0̇, I 1̇, I 2̇ , 대칭분 전압 V 0̇, V 1̇, V 2̇ 는 다음과 같

다.

(2) 공식

- Z 2̇

̇
I 0̇ = Ė
Z - 1Z2̇ + Z0̇ ( Z1̇ + Z2̇ ) a A Va

Z0̇ + Z 2̇
I 1̇ = Ė
Eb Ec

Z1̇ Z2̇ + Z0̇ ( Z1̇ + Z2̇ ) a Ea

- Z0̇
B


C
I 2̇ =
Z1̇ Z2̇ + Z0̇ ( Z1̇ + Z2̇ ) a
Ic Ib

Z 0̇ Z 2̇
V 0̇ = V1̇ = V2̇ = Ė
Z 1̇ Z 2̇ + Z 0̇( Z 1̇ + Z 2̇ ) a

( a 2 - a) Z0̇ +( a 2 -1) Z2̇


I ḃ = Eȧ
Z1̇ Z 2̇ + Z0̇( Z1̇ + Z2̇)

( a -a 2 ) Z ȯ +( a -1) Z2̇
I ċ = Eȧ
Z1̇ Z2̇ + Z0̇( Z1̇ + Z2̇ )

3Z0̇ Z2̇
Vȧ = Eȧ
Z1̇ Z2̇ + Z 0̇( Z1̇ + Z 2̇)

41. 3상 교류 발전기의 단상, 3상 단락 사고


(1) 정의

B, C두 상이 단락된 경우 B, C각 상의 전류 I ḃ, I ċ , 각 상 전압 V a,̇ V b,̇ V ċ

및 대칭분 전류 I 0̇, I 1̇, I 2̇ 대칭분 전압 V 0̇, V 1̇, V 2̇ 는 다음과 같다.

(2) 공식
① 단상단락사고

I 0̇ = 0

I 1̇ = - I 2̇ = Eȧ
Z 1̇ + Z 2̇
1
A
Va

V 0̇ = 0
Eb Ec

Z 2̇
V 1̇ = V2̇ = Ė
Ea
B

Z 1̇ + Z 2̇ a
Ib
Vb
C
Ic

I ḃ = - I ċ = Ė
Z 1̇ + Z2̇ a
( a 2 - a)

2 Z 2̇
V ȧ = Ė
Z 1̇ + Z 2̇ a

- Z 2̇
V ḃ = Vċ = Ė
Z 1̇ + Z 2̇ a

② 3상 단락 사고

E ȧ
I ȧ = V ȧ = V ḃ = V ċ = 0
Z 1̇

42. 3상 단락 전류와 단락용량


3상 단락 전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Z를 알아야 한다.

IZ %ZE
%Z = ×100에서 Z =
E 100I

이므로, 3상 단락 전류는

E E 100
Is= = = I [ A]
Z %ZE/100I %Z
단락용량은

100
Ps = P [kVA]
[%]Z n

단, P n : 기준 용량 [kVA]

a상에 지락이 발생했을 경우 고장 전류는 I ġ 는


43. 비접지방식

Eȧ + Eṅ
I ġ =
Ea
= ---①
R 1
R+
j3ωCs

R = 0 이면 I ġ = j3ωCsEȧ --------②

여기서, C s : 대지 정전 용량

식 ② 의 I ġ 는 대지 충전 전류이므 b

로 선로의 길이가 짧다는 그 값도


a c
적고 계통에 주는 영향도 적으며, 과

또한, I ġ 가 작으
R Ig Cs Cs Cs
도 안정도도 좋다.

므로 유도 장해도 적어진다.

그러나, 만약 선로의 길이가 길어지면 C s 가 증가하므로 충전 전류의 값도 커

진다. 따라서 이 방식은 저전압, 단거리 선로에만 적용되어 3.3[kV] 나 6.6

[kV] 계통에 쓰인다.

44. 직접 접지 방식
(1) 정의

보통 유효접지방식이라 하며, 이 계통에서는 건전상의 고장 지점의 대지 전압

이 상전압의 1.3배 이상 되지 않기 때문에 선간 전압의 75[%]에 머물게 된다.


(2) 공식

362
345[kV] 계통에서는 1.3× =271 [kV]
3

161
154[kV] 계통에서는 1.3× =121 [kV]
3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다음 조건이 성립될 때 충족되는 것을 고장점에

서 보아 유효 접지의 조건이라고 한다.

R0 ≦ X 1, X 0 ≦ 3 X 1
여기서, R 0 : 영상 저항, X 0 : 영상 리액턴스, X 1 : 정상 리액턴스

45. 저항 접지 방식
이 방식은 직접 접지 방식의 큰 고장 전류를 제한하여, 통신선 유도 장해 저

감 및 과도 안정도 증진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저항값이 높아지면 비접지


경향이 나타나고, 낮아지면 직접 경향이 나타난다.

우리 나라에서는 채용하고 있지 않으나, 일본에서는 200[kV] 계통에 저저항

(30[Ω] 정도)을 154[kV]와 110[kV] 계통에는 고저항 (400~900[Ω])을 66[kV]


계통에는 200~400[Ω]을 사용하며, 지락 전류의 값을 100~250 [A] 정도로 제

한하고 있다.

또한, 중성점을 저저항 (200 [kV] 계통에서는 30[Ω] 정도)을 통해서 접지시키

는 방식과 중성점을 고저항 (100~1000 [Ω] 정도)을 통해서 접지시키는 방식

이 있는데, 1선 지락 전류는 100~300 [A] 정도가 많다.

보통 140[kV]급 송전선에서는 400~900[Ω], 60[kV]급에서 100~400[Ω]이 사

용되고 있으며, 지락 전류가 접지 개소에 분산되어 흐르기 때문에 통신선에

유기되는 전자 유도 전압이 경감되며, 그 회로도는 그림과 같다.

전전 부부

46.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
[1] 소호 조건

그림에서 소호 리액터의 인덕턴스를 L, 각 상 대지 정전 용량을 C라고 하면,

소호 리액턴스 X와 대지 정전 용량의 리액턴스 x c 는

1
X =ωL, x c =
ωC

등가 회로에서는 I ġ 는
Eċ a

I ġ =
(
R + X+ )- x3 xt
3
c
Xt

{ x3 -X- x3 )
c t
b
x
그러므로, 윗 식에서는 c
Ix Ig c c c

xc xt
-X- =0 Ig
3 3
Xt Ec Xc

1 xc
xt xt
∴X =ωL = - = = [Ω]
3 3 3ωC 3
x R

또, L =
1 xt Ix
Ic

2 =
3ω C 3ω

[2] 소호 리액터의 용량

정격전압 =
V
[V]
3

정격전류 = 전대지 충전 전류 = ․2πf․3C [A]


V
3

정격 용량 = ․ ․2πf․3C×10 -3
V V
3 3

= 2πfCV 2×10 -3[ kVA]

[3] 소호 리액터의 합조도

소호 리액터의 탭이 공진점을 벗어난 정도를 합조도 한다.

소호 리액터 사용 탭 전류를 I, 전대지 충전 전류를 Ic라고 하면

합조도 P =
I-Ic
×100[%]
Ic

1
여기서, I>I c 즉 ωL< : 과보상, 합조도는 [+]
3ωC

1
I = I c 즉 ωL = : 완전 공진, 합조도는 [0]
3ωC

1
I< I c 즉 ωL> : 부족 보상, 합조도는 [-]
3ωC

(1) 정의
47. 중성점의 잔류 전압
비접지 3상 송전선의 각상 대지 어드미턴스(admittance)가 접지 않으면 변압

기 중성점에 전압이 나타난다. 이것을 잔류 전압이라고 하며, 중성점을 접지

시켰을 때 영상 전류가 흐르는 원인이 된다.

Ea
a

En n

Eb
Ec b
c
Ya Yb Yc

(2) 공식

그림에서와 같이, 각 상 대지 어드미턴스를 Y ȧ, Y ḃ, Y ċ 라 하고 a상의 기전력

을 기준 벡터로 하면, 잔류 전압 E ṅ 은 다음과 같다.

Y ȧ + a 2Y ḃ +aY ċ
E ṅ = E ȧ [V]
Y ȧ + Y ḃ + Yċ

단, E ȧ 는 a상의 기본식

1 1 3 3
a =- - +j , a 2 =- j 이다.
2 2 2 2

이때, 각 상의 전위는

Vȧ = E ṅ + Eȧ [ V]

Vḃ = Eṅ +a 2Eȧ [ V]

Vċ = E ṅ +aEȧ [ V]

만약, 대지 어드미턴스로 대지 정전 용량만을 고려한 것으로 하여 그 값을

C a, C b, C c 라 하면, 이때의 잔류 전압 E ṅ 은 다음과 같다.

E ṅ =
(2C a - C b - C c )- j 3( C b - C c )
Ea
2( C a +C b +C c )

또, 잔류 전압의 크기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C a( C a - C b)+C b( C b - C c)+C c( C c - C a)
En = Ea
C a +Cb +C c

48. 정전 유도
(1) 단선식인 경우

단선식 전력선과 단선식 통신선이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 양선간의 정전 용량

을 C m , 통신선의 대지 정전 용량을 C 0 라 하면, 전선의 전위가 E 1̇ 일 때 통

신선의 정전 유도 전압 E 0̇ 는 다음과 같다.

E0̇ =
Cm+C 0 1̇
Cm
E

이 식은 통신선의 절연이 완전할 경우이나, 그림에서와 같이 누설 저항 R 0 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전전전
Cm

통통전

E1
Co Ro
Eo

E 1̇ R0
E0 = ×
1 R0 1+jωC0R0
+

jωCmR 0E1̇
jωCm 1+jωC0R0

=
1 + jω( C
m+C 0)R 0

ωCmR0E1̇
| E0̇| =
1 + ω2(Cm+C0) 2R2-

(2) 3상 3선식
3상 3선식 전력선과 단선식 통신선의 경우 각 선간의 정전 용량과 전류를 그

림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정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i a = jωCa( Eȧ - E0̇ ) Ea

i b = jωCb( Eḃ - E0̇ )


Ia

Eb Ca
Ib
Cb

i c = jωCc( Eċ - E0̇ )


Ec Ic Cc
Eo

i a +i b +i c = I 0̇ = jωC0E0̇
Co

̇
3Io

∴jω{ CaEȧ +CbEḃ +CcEċ -( Ca +Cb +Cc ) E0 }

= jωC0E0̇

따라서, 위 식으로부터 통신선에 유도되는 대지 전위 E 0̇ 는

C0Eȧ +CbEḃ +CcEċ


E0̇ = 가 된다.
Ca+Cb+Cc+C0

위의 식에 E ȧ = V/ 3, E ḃ = a 2․V 3, E ċ = a ․V 3을 대입하면

E0̇ =
Ca +a2 Cb +aCc V
×
Ca+Cb+Cc+C0 3

| E0̇|를
1 1
위식에 a =- +j 3/2, a 2 =- -j 3/2을 다시 대입하여 구하면
2 2

| E0̇ |=
Ca(Ca )+Cb(Cb -Cc)+Cc(Cc -Ca)
Cb V
×
C a + C b + C c +C 0 3

또, 누설저항 R 0 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다.

| E 0̇| =ωR 0
Ca(C a-C b)+Cb(C b-C c)+Cc(Cc-C a) V
1+ω ․( C a +C b +Cc +C0) R
2 2 2
×
0
3

앞의 식들로부터 C a, C b, C c 가 같지 않으면 Ea
Ia

Eb Ca
통신선에 정전 유도 전압이 생기며 상시 통 Ib

Cb
신 장해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력선과 Ec Ic Cc Eo

통신선의 정전 용량의 값이 균일하게 되도록 Co Ro

연가하면 유도 전압은 감소한다.

또, 전력선의 대지정전용량이 같지 않기 때문에 중성점에 잔류전압 E ṅ 이 생


겼다면 C a = C b = C c 이더라도 E 0̇ = × E ṅ 의 유도전압이 생긴다.
3C a
3C a +C 0

49. 전자 유도 전압
(1) 정의

전자 유도는 전력선과 통신선의 상호 인덕턴스 때문에 전력선의 기유도 전류


에 의하여 통신선에 전압이 유기되는 현상이다.

(2) 공식

전력선에 전류 I ȧ, I ḃ, I ċ 가 흐르고 통신선과 각상 M[H/㎞]인 상호 인덕턴스

를 가지며, 병행 길이가 l [㎞]라면, 전자 유도 전압 E m [V]는 ̇


E ṁ = jωMlI ȧ +jωMlI ḃ +jωM; I ċ
Ia
a
Ib 전전전

= Jωml( I ȧ + I ḃ + I ċ)
b
Ic
c

= jωMl×3 I 0̇
통 통전

Em

3I 0 를 기유도 전류라 한다.

50. 카슨 - 플라체크의 식
(1) 정의

통신선과 각상의 상호 인덕턴스 M[H/㎞] 값은, 전류의 귀로인 대지의 도전


률이 균일한 경우에는 카슨-폴라체크(Carson Pollaczek)의 식으로 계산한다.

(2) 공식

2 π
M = 0.2 log e +0.1-j [mH/km]
γd 4πωσ 20

단, γ : 1.7811 (Bessel 정수)

σ : 대지의 도전율 = ( 1ρ ×10 )10


5 -14
[cgs․emu]

ω : 2πf , ρ : 대지의 고유 저항 [Ω-cm]

d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거리 [㎝]


(1) 정의
51. 전자 유도 전압 실험식
전력선과 통신선이 평행이 아닌 경우에, 실용적으로는 다음 실험식을 쓴다.

(2) 공식

전력선의 영상 전류 1[A]당 전자 유도 전압 e m [V/A]는

{
e m = kf ∑
1
2
1 12
( b 1+b 2)
+∑

100 } [ V/A]

∴E m = e m×3I 0[V]

단, f : 주파수 [Hz]

b 1, b 2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수평 거리 [m]

ℓ : 근접 각 구간의 전력선의 긍장 [m]

k : 지질 계수 : 이 값은 실측에 의해서 결정한다.


윗 식에서의 괄호 내 계산은 5만분의 1지도상에 전력선과 통신선을 그리고,

전력선을 기준으로 해서 제 1항은 100~5000[m]의 근접 부분에 대해, 제 2항

은 100[m]이내의 근접 부분에 대해서 계산하며, 5000[m] 이상은 생략한다.

52. 정태 안정도
(1) 정의

송전 계통이 불변 부하 또는 극히 서서히 증가하는 부하에 대하여 계속적으

로 송전할 수 있는 능력을 정태 안정도라고 하고, 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극한의 송전 전력을 정태 안정 극한 전력이라 한다.

(2) 공식 P

① 전력 상차각 곡선 Pm

선로의 어드미턴스와 저항분을 무시하면

V SV R
P= sinδ ………………… ①
X
0 90 180
로 표시된다. 이러한 관계를 그림과 같이

도시하여 전력 상차각 곡선이라 하며, δ=90°일 때 최대 전력 P m 으로 된


다.

V SV R
즉, P m =
X

또, X, V s 및 V R 은 일정하므로 송전 전력은 상차각 δ에만 관계된다.

② 정태 안정도의 해석

정확한 계산은 원선도에 의해야 하나, 일반적으로 식①에서 δ의 증가에

dP
대해서 P가 증가하는 범위, 즉 >0의 범위안 δ=90°까지는 안정 범위

이고, 그 이후는 불안정 범위이다. 저항을 고려하면 물론 δ=90°보다 작아

져서 δ=75°~85°정도가 된다.

또, 바그너(Wagner)의 식은 안정도의 한계를 결정한다.

M G + Mm
tanδ = tanβ …………………………………… ②
M+G-Mm

단, M G : 발전기의 관성 정수

M m : 전동기의 관성 정수

β : 송․수전단의 동기기의 내부 임피던스를 포함한

송전 계통 전임피던스의 위상차각
식 ②에서

ⓐ M G = M m (송․수전 양단의 계통이 거의 같은 경우)

tan δ = ∞ 즉, δ = 90°가 극한 위상각으로 된다.

ⓑ M G>M m (송전단축 계통이 충분히 큰 경우)

δ = β가 극한 위상각으로 된다.

ⓒ M G<M m (수전단축 계통이 충분히 큰 경우)

δ = 180°- β가 극한 위상각으로 된다.

β의 값은 180°부근일 경우가 많으므로 개략적으로는 δ=β가

극한 위상각이라고 보아도 좋다.

(1) 정의
53. 과도 안정도
계통에 갑자기 고장 사고와 같은 급격한 외란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탈조하지

않고 새로운 평행 상태를 회복하여 송전을 계속할 수 있는 능력을 과도 안정

도라 하고, 이 경우의 극한 전력을 과도 안정 극한 전력이라고 한다.


(2) 공식

① 고장시의 전력 계산시

고장 계산은 대칭 좌표법을 사용하며 불평형 고장에 대하여 역상분, 역상

분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으므로, 정상분 회로에 대한 전력만을 생각하면

된다.

ⓐ 1선 접지 :

Eȧ
I 0̇ = I 1̇ = I 2̇ =
Z 0̇ + Z1̇ + Z 2̇

즉, 1선 접지시의 정상 회로의 임피던스는 Z0̇ + Z2̇ 를 Z 1̇ 과 직렬로 한 것

의 등가이다. 또, Z 0̇, Z 1̇, Z 2̇ 는 각각 고장점에서 본 송․수전 양단의 임피

던스를 병렬로 한 것이므로, 정상 회로에 대하여 생각하면 Z ẋ = Z 0̇ + Z 2̇ 인

임피던스가 고장점과 가상 중성선간에 삽입된 회로와 등가이다.

ⓑ 2선 접지 :

( Z0̇ + Z2̇ ) Zȧ Eȧ


I 0̇ =
Z0̇( Z1̇ + Z2̇)+ Z1̇ Z2̇ Z ̇Z ̇
Z1̇ + 0 2
=

Z0̇ + Z2̇
Z0̇ Z2̇
Zẋ =
Z0̇ + Z2̇

ⓒ 선간 단락 :

E ȧ
I 1̇ = , Z ẋ = Z 2̇
Z 1̇ + Z 2̇

대칭 좌표법에 따라 고장점에서 본 영상, 역상 임피던스에 대하여 고장 전

류의 종류별로 정상 임피던스 Z ẋ 를 고장점과 직렬 또는 병렬로 넣고, 평

형 정상 회로로 생각해서 송전전력을 계산하면 된다.


② 동요 방정식

과도 안정도는 회전체의 운동 에너지의 수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회전체

운동 에너지는

(
1 2 1 GR 2
)( 2π60N )
2
W = Iω = [㎏- m]
2 2 g

= 5.48GR 2N 2×10 -6 [ kW- s ]

단, G : 회전체의 중량 [㎏]
I : 관성 모멘트 [㎏․㎡]

R : 회전체의 회전 반경 [m]

ω : 각속도 [rad/s]
N : 매분 회전수 [rpm]

1[㎏-m] = 9.8 [W-s]

회전체의 관성 능률을 표시하는 데에는 과도 안정도에서 단위 관성 정수


를 사용한다. 단위 관성 정수는 다음과 같다.
2

Iω 2 10.96GR 2 ( 1000
N
)
기준 정격 출력 [ kW ] 기준 정격 출력[ kW ]
H = = [ kW - s/kW ]

보통 이 값은 수차 발전기에서 6~8, 증기 터빈 발전기에서 4~5정도로서

거의 일정한 값을 가진다.

54. 캘빈의 법칙
(1) 정의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를 정한다.

(2) 공식

전선의 연경비 : P 1 =
P
WSM
100

단, W : 전선의 간격 [원/㎏], M : 전선의 중량 [㎏/㎟/㎞]


S : 전선의 단면적 [㎟]

P : (이자+감가 상각비)의 전선비에 대한 비율[%]


I 2ρN
또, 손실 전력량의 가격 : P 2 = ×10 -3×24×365
S
단, N : 전력의 간격 [원/kWh]

ρ : 저항률 [Ω․㎟/m]

켈빈의 법칙에서 P 1 = P 2

℘M
∴전류 밀도 σ=
1
= [ A/㎟]
S 876ρN

대략 최대 송전 전력에 대한 전류 밀도는 (2~1.4)δ정도이다.

대체로 전선은 경동선과 ACSR이고, 해안 지방에서는 부식 때문에 경동선이

사용된다.

55. 전선의 이도
(1) 전선의 이도에서의 기호

D : 이도 [m], w : 전선 1[m]의 중량 [㎏], S : 경간 [m]


T0 : 전선의 수평 장력 [㎏], Tm : 전선의 지지점에서 최대 장력 [㎏]

L : 전선의 실제 길이 [m], L1 : 가선시의 전선 길이 [m]

L2 : t [deg] 온도 변화 후의 전선 길이 [m]

t : 온도 [deg] ([+]는 온도 상승, [­]는 온도 강하)

α : 전선의 선팽창 계수 [deg-1], D1 : 가선시의 이도 [m]

D2 : t[deg] 온도 변화 후의 전선 길이 [m]

(2) 이도와 전선의 길이

① 지지점의 높이가 같은 경우 S
A B
wS 2 D
D= [ m]
8T 0 To Tm

8D 2 B
L = S+ [ m]
3S
A
T m ≒ T 0 + wD [㎏] D A'

S1 S2=S-S1

S
② 지지점의 높이가 다를 경우
2
S1 =
S
2
-
T 0h
wS
[ m], D =
w
8T 0
2T
wS (
S- 0 h ) [ m]

w 2S 2 h 2
L = S+ + [ m]
24T 0 2S

(3) 온도와 전선의 길이 이도

온도와 전선의 길이와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 2 = L1(1±αt)

각종 전선의 선팽창 계수의 대략값은 다음과 같다.


-5, -5
경동선 : 1.7×10 칠선 : 1.2×10
-5, -5
경알루미늄 : 2.3×10 강심 알루미늄 연선용 강선 : 1.15×10

3
D2≒ D21 + atS2
8

56. 전선의 무게
(1) 정의

이도 계산에서는 전선의 무게 w c [㎞/m]만을 생각하였으나, 풍압 w w 과 빙설

w t 도 각각 고려되어야 한다. 풍압에는 갑, 을 및 병종의 3종류가 있고, 갑이

1
76[㎏/㎡], 병이 그 , 을은 전선 주위의 두께 6[㎜], 비중 0.9인 빙설이 부
2

착한 상태에서 38[㎏/㎡]로 본다(전기 설비 기술 기준령 제64조 참조). 따라

서 을종인 경우의 합성 하중은 다음과 같다.


(2) 공식

wt = [ 4π (d+2+6) - 4π d ]×0.9×10
2 2 -3
6 d 6

= 5.4π( d+6)×10-3 [㎏/m]


Wn

ww = 38( d+2×6)×10-3 [㎏/m]

w = ( wc +wt) 2 +w2w [㎏/m]


W
Wc + Wi

(1) 정의
57. 보통 지선의 장력

목주를 수평 장력 T로서 당기고 있을 때 지선의 장력 T0[㎏]를 구할 수 있다.

(2) 공식

a
T = T 0cosθ= T 0 [㎏]
H +a 2
2

지금, 지선에 4[㎜]의 아연 도금 철선을 n조로 쓰고 그 인장 강도를 36[㎏/

㎟], 안전율이 3이면, 지선에 작용한 응력 T0 [㎏]


R
35 π
T0 = × ×4 2n = 146n [㎏] To
3 4 R
T

T T H 2 + A2
∴n = = ×
146cosθ 146 a To H

또, R = tanθ = T×
H
[㎏]
a
단, R : 전주의 항장력 [㎏] a

58. 경사 전주 지선의 장력
(1) 정의

경사 전주의 지선의 장력을 구한다.


(2) 공식
R
T 0 = T․
H2 +b 2 전전
[㎏]
a+b T
H To

R = T․
2 2 지전
H +a
[㎏]
a+b
a b

59. 수평 지선의 장력
(1) 정의

수평 지선의 장력을 구한다.

(2) 공식
T2 = T․
H( L -a)+ah
× ( a +b -L) 2 +H2 [㎏]
bhL

Q = T․
bhL -( a +b±L) { H( L -a)+ah} ( L- b) 2 +h2
× [㎏]
bhL -bL

T
R
T1

H 전전 3

지전 T2
L h
2

a b

60. 전력 케이블의 작용 정전 용량의 관계


(1) 정의

3심 케이블의 각 정전 용량의 관계는 그림에 나타낸 것과 같으며, 여기서 Cs

는 대지 정전 용량, Cm은 상호 정전 용량을 표시한다. 그림 (b)처럼 1심과 다

른 2심 연파와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Ca라 하고, 그림 (c)처럼 2심을 일괄한

것과 다른 1심 연파와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Cb라 하면, Ca, Cb의 축정치에서

Cs, Cm 및 작용 정전 용량 Cw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2) 공식

Ca = Cs +2Cm, Cb = 2( Cs +Cm)

Cb
Cs = Cb -Ca, Cm = Ca -
2

Cb
Cw = Cs +3Cm = 2Ca -
2

Cs Cs
Cs
Cm Cm Cm
Ca
Cb

(a) (b) (c)


(1) 정의
61. 부하 중심점(Load Center)
부하 중심점을 구하는 방법을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2) 공식

① 분산 부하인 경우

1
x= ( i 1 x1 +i 2x2 +…+i nxn)
∑i Y
P4(X4,Y4)
n P3(X3,Y3) Pd(Xd,Yd)
∑ix
1
= n
Pn(Xn,Yn)
∑i
1

1 P1(X1,X2)
y= ( i 1 y1 +i 2y2 +…+i nyn) P2(X2,Y2)
∑i
X
0
n
∑iy (a) 분 분부부
1
= n
∑i
1

단, x, y : 구하는 부하 중심점의 좌표

② 직선상 부하인 경우 A i1 i2 i3 i4
B

n l1
i 1l 1 +i 2l 2 +i 2l 3 +I 4l 4 ∑il l2
1
l= = n l3
i 1+i 2+i 3+i 4
∑i l4
1

(b) 직전직 부부
단, l : 그림 (b)에서 1단 A에서 부하

중심점까지의 거리

62. 전선의 굵기
(1) 송수전단 전압이 주어진 경우

선로의 리액턴스를 무시한 1선의 허용 저항 r 는

Vs -Vr
직류, 단상 2선식 r = [Ω]
2I

Vs - Vr
3상 3선식 r= [Ω]
3I
ρL ρL
저항 r = 에 의해, 전선의 굵기 S = 여기서, L은 선로의 긍장[m], ρ
S r
는 전선의 저항률 [Ω㎟/m]이고, ρ의 값을 표시하면

{도전율 100%의 연동선} =


1
58
{도전율 96%의 연동선} =
1
56
{도전율 61%의 연동선} =
1
35

따라서, 전선의 단면적 S는

2ρLI
직류, 단상 2선식 S = [㎟]
Vs -Vr

3ρLI
3상 3선식 S= [㎟]
Vs -Vr

(2) 전압 변동률이 주어진 경우

선로의 리액턴스를 무시한 1선의 허용 저항 r 는

V r %[ Reg]
직류, 단상 2선식 r = × [Ω]
2I 100[Ω]

Vr %[ Reg]
3상 3선식 r= ×
3I 100[Ω]

따라서, 전선의 면적 S는

2ρLI 100
직류, 단상 2선식 S = × [㎟]
Vr %[ Reg]

3ρLI 100
3상 3선식 S= × [㎟]
Vr %[ Reg]

※ %Reg(전압 변동률) = ( V V'-V ×100[%])는 배전선과 같이 저전압 단거리


r
r
r

의 선로에서는 일반적으로 대지 정전 용량에 의한 충전 전류가 무시되므로

Vs는 V r' 와 같고, 따라서 전압 강하율 = ( V V-V ×100[%])와 같게 된다.


s
r
r

(3) 백분률손이 주어진 경우

1선의 허용 저항 r 는
Vr q
직류 2선식 r = × p [Ω]
2I 100

V r cosθ q
단상 2선식 r = × p [Ω]
2I 100

Vr cosθ q
3상 3선식 r = × p [Ω]
3I 100

다음에, 전선의 단면적 S는

2ρLI 100
직류 2선식 S = × [㎟]
Vr qp

2ρLI 100
단상 2선식 S = × [㎟]
V r cosθ qp

3ρLI 100
3상 3선식 S = × [㎟]
V r cosθ qp

p
※ 백분률손 q p = ×100 [%]
w2

여기서, p : 선로손, w 2 : 부하 전력

63. 역률 개선용 콘덴서 용량 계산


(1) 정의

E r 를 부하의 선형 전압[V], I L 을 부하 전류[A], cosθ를 부하 역률이라 하

고, 콘덴서를 설치해서 역률을 cosθ로부터 cosφ로 개선하는 데에 요하는 무

효전력을 구하는 식이다.

(2) 공식

필요한 콘덴서 전류를 I c [A], 합성 선로 전류를 I[A]라고 하면

I Lcosθ = I cosφ

I c = I Lsinθ- I sinφ = I L( sinθ-cosθ․tanφ)

단, θ, φ는 절대값을 취한다.

3상 콘덴서 용량 Q[kVA]는
Q = 3E rI c×10 -3 0 Er

= 3E rI L( sinθ-cosθ․tanφ)×10 -3

= ( kVA부하)×( sinθ-cosθ․tanφ)

= ( kW 부하)×( tanθ- tnaφ) [ kVA]

윗식을 변형하면

Q = 부하 전력[ kW ]× { } [kVA]
1 1
-1 - -1
cos 2θ cos 2φ

64. 직류 배전선의 전압 강하
(1) 일간에서 급전하는 경우

전류 I = ∑i 가 일단에서 유입하는 경우 전압 강하 e 는 다음과 같이 된다.

P1 P2 P3 P4
A B
r1 r2 r3 r4 rn

i1 i2 i3 i4 in
e = (i 1+i2+i3+…+in)r1+(i2+i3+…+i n)r2+…+inrn

= i1r1+i2(r1+r2)+…+in(r1+r2+r3+…+rn)

단, r 1r 2…r n 각 구간의 왕복선의 저항

(2) 말단 집중 부하의 경우

2IR
전압 변동률 [%] Reg = ×100 [%]
Vr

송수전단 전압의 관계 Vs = V r +2IR [ V]

2
선로손 P c = 2I 2R = 2× ( 1000W
Vr ) R [W ]
VrI V rI
송전 효율 η = ×100 = ×100[%]
V sI VrI + I 2R

1
단, W : 부하 전력 [kW], R = (r +r +r +……+rn)
2 1 2 3

(3) 양단에서 급전, 1점 부하의 경우, 양급전 전압이 같을 경우


P점의 전류를 i , A와 B에서 유입하는 전류를 i 1 , i 2 라면

r2
i 1 = i×
r1+r2 i1 P i2
A B
r r1 r2
i 2 = i× 1
r1+r2
i
(4) 양급전 전압이 다를 경우

A 및 B의 선간 전압을 V a, V b 라면

r2 Va - V b
i 1 = i× +
r1+r 2 r 1+r2
r V -V
i 2 = i× 1 + b a
r1+r 2 r1+r 2

P점의 선간 전압 V p = V a - i 1r 1 = V b - i 2r 2

Var2 +Vbr 1 rr
= -i× 1 2
r1+r2 r1+r2

(5) 양단에서의 급전, 다점 부하의 경우


4점 부하의 경우에 대해 급전점 A 및 B에서 유입하는 전류를 구한다.

P1 P2 P3 P4
A v1 v2 v3 v4 v5 B
r1 r2 r3 r4 r5

i1 i2 i3 i4

① 양급전 전압이 다를 경우

r2+r3+r4+r5 r3+r4+r5
Ia = i1× +i ×
r1+r2+r3+r4+r5 2 r1+r2+r3+r4+r5

r4+r5 r5
+i3× +i4×
r1+r2+r3+r4+r5 r1+r2+r3+r4+r5

r1 r1+r2
Ib = i1× +i ×
r1+r2+r3+r4+r5 2 r1+r2+r3+r4+r5

r1+r2+r3 r +r +r +r
+i3× +i × 1 2 3 4
r1+r2+r3+r4+r5 4 r1+r2+r3+r4+r5

② 양급전 전압이 다를 경우
r2+r3+r4+r5 r3+r4+r5
Ia = i1× +i ×
r1+r2+r3+r4+r5 2 r1+r2+r3+r4+r5

r4+r5 r4+r5
+i2× +i3×
r1+r2+r3+r4+r5 r1+r2+r3+r4+r5

r5 Va-Vb
+i4× +
r1+r2+r3+r4+r5 r1+r2+r3+r4+r5

r1 r1+r2
Ib = i1× +i ×
r1+r2+r3+r4+r5 2 r1+r2+r3+r4+r5

r1+r2+r3 r1+r2+r3+r4
+i3× +i4×
r1+r2+r3+r4+r5 r1+r2+r3+r4+r5

Vb-Va
+
r1+r2+r3+r4+r5

위의 식에 의해 I a, I b 의 값이 구해지면 각 구간에서의 전류와 저항치에 의하

여 각 구간간의 전압 강하를 구할 수 있다.

(6) 환상식 간선의 경우


그림(a)와 같은 1점 급전의 환상식 배전선은 급전점 F에서 회로를 개방한 그

림(b)와 같은 양단 급전의 회로가 되므로, F에 의해 A 및 C에 흐르는 전류

I a 및 I c 를 구할 수 있다.

i 1(r2+r3+r4)+i2(r3+r4)+i3r4
Ia =
r-1+r2+r3+r4

i 1r1+i 2(r1+r2)+i3(r1+r2+r3)
Ic =
r1+r2+r3+r4

i1

r1 A r2
Ia Ia Ic
F B F F'
i2 r1 r2 r3 r4
Ic
r3 C r4
i1 i2 i3

i3

(a) (b)

(1) 백분율 선로손과 전압 변동률과의 관계식


65. 교류 배전선의 전압 강하

I( r cosθ-x sinθ) ErI cosθ


δ
P
=
Er
×
I 2r
x
r(
= cos 2θ 1- tanθ )
I 2r I 2r
백분율 선로손 p = ×100 = ×100 [%]
Pr E rI cosθ

E r' - Er I(r cosθ- x sinθ)


전압 변동률 δ = ×100 = ×100[%]
Er Er

단, E s = E r' (배전선에서 정전 용량을 무시할 경우)

(2) 교류 배전선의 전압 강하의 기호

V s, E s : 송전단의 선간 전압[V], 상전압[V]

V r, E r : 수전단의 선간 전압[V], 상전압 [V]

I : 선전류 [A]

E r' E r : 무부하시, 전부하시의 수전단 상전압

cosθ : 부하 역률, 또 역률각 θ는 앞선 역률일 때 정(正)

뒤진 역률일 때 부(負)이다.

66. 선로 손실
(1) 송수전단 전압의 관계

■ 단상 2선식 Vs = ( Vr cosθ+2I r) 2×(-Vr sinθ+2I x) 2

또는 Vs = ( Vr +2Ir cosθ-2Ixsinθ) 2 +(2Ix cosθ+2Ir sinθ) 2

약산식 Vs≒Vr +2I( r cosθ+x sinθ) 2

■ 3상 3선식 Vs = ( Vr cosθ+ 3Ir) 2 +(-Vr sinθ+ 3Ix) 2

또는 Vs = ( V r + 3Ir cosθ- 3Ir sinθ) 2

+ 3Ix cosθ+ 3Ir sinθ) 2

약산식 Vs ≒ Vr + 3I( r cosθ+xsinθ)


Vs Vs

2Ix 2Ix

2Ir
Vr

Vr dE
0 0
I
2Ir

(a) (b)
위의 식은 벡터도에서 쉽게 유도된다. 따라서 그림 (a)와 같이 I를 기준으로 하

면 처음의 식이 얻어진다. 또한, 그림 (b)와 같이 V r 을 기준으로 하면 나중의

식이 얻어진다.

(2) 일반 배전선에서의 전압 강하

그림과 같이 분기 부하의 어떤 일반 Es I E3 E2 E1
S
r3x3 r2x2 r1x1
배전선의 경우에는 각 분기점에서의

전압 상호간의 위상차는 실제상 무

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적으므로 앞의
I1 I2 I3
약산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점 1의 성형 전압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E1 = Es-( I 1 cosθ1 +I 2cosθ2 +I 3cosθ3)r3

-( I 1 sinθ1+I 2sinθ2+I 3sinθ3)x3

-( I 1 cosθ1+I 2cosθ2)r 2-( I 1 sinθ1+I 2sinθ2)x2

-I 1 cosθ1×r 1-I 1sinθ1×x1

(3) 전압 강하율 및 전압 변동률

Es -Er
전압 강하율 = ×100 [%]
Er

E r' - E r
전압 변동률 = ×100 [%]
Er
2
직류, 단상 2선식 P l = 2I 2r =2 ( V cosθ ) r [W ]
r
Pr
( )r
2
Pr
3상 3선식 P l = 3I 2r =3 [W ]
3V r cosθ

단, 직류의 경우는 cosθ = 1 이라 한다. (아래에서도 같다)


백분율 선로손 Pr (선로손의 수전단 전력에 대한 백분율)는 다음과 같이 표시

된다.

2I 2r 2Ir
직류 단상 2선식 P r = ×100= ×100 [%]
V rI cosθ V r cosθ

3I 2r 3I r
3상 3선식 P r = ×100= ×100 [%]
3V r cosθ V r cosθ

(4) 기호

r : 전선 1조의 저항[Ω], x : 전선 1조의 리액턴스 [Ω]

P s : 송전단 전력 [W] (1상당 P s = E - sI cosθ s )

P r : 1회선의 수전단 전력 [W] (1상당 P r = E rI cosθ, 부하 전력)

P L : 1회선의 선로 손실 [W] (1상당 P L = P S - P r = E sI cosθ= I 2R )

67. 송전 효율
(1) 정의

수전단 전력의 송전단 전력에 대한 백분율을 송전 효율 η라 한다.

(2) 공식

직류․단상 2선식 η =
V rI cosθ r
×100
V sI cosθ s

V ri cosθ r
= ×100 [%]
V rI cosθ r +2I 2r

3V rI cosθ r
3상 3선식 η = ×100
3V sI cosθ s

3V rI cosθ r
= ×100 [%]
3V rI cosθ r +3I 2r

단, cosθr : 수전단의 역률, cosθ s : 송전단의 역률


68. 수전 전력
(1) 송수전단 전압이 주어진 경우

직류․단상 2선식 P r = V rI cosθ=


( Vs - V r)V r cosθ
[W ]
2( r cosθ- x sinθ)

( V s - V r)V r cosθ
3상 3선식 P r = 3 V rI cosθ= [W ]
r cosθ- x sinθ
(2) 전압 변동률이 주어진 경우

직류․단상 2선식

V2r cosθ [%] Reg


P r = V rI cosθ= × [W ]
2( r cosθ- x sinθ) 100

3상 3선식

V2r cosθ [%]Reg


Pr = 3 V rI cosθ= × [W ]
r cosθ- x sinθ 100

(3) 백분률손이 주어진 경우

직류․단상 2선식 : P r =
V2rcos 2θ Pr
× [W ]
2r 100

V2r cos 2θ Pr
3상 3선식 : P r = × [W ]
r 100

69. 부하 관계 용어

평균 수용 전력
부하율 =
최대 수용 전력
×100 [%]

최대 수용 전력
수용률 =
설비 용량
×100 [%]

부하 각각의 최대 수용 전력의 합
부동률 =
합성 최대 수용 전력

평균 발전 또는 수전 전력
설비 이용률 =
발전소또는변전소의 설비용량
×100 [%]

1일 중의 공급 전력량
전일 효율 =
1일 중의 공급 전력량 + 1일 중의 손실 전력량
×100 [%]
제6절 전기응용
1. 시감도와 비시감도
(1) 정의

최대 시감도는 680[lm/W]이고, 이 때의 파장은 555[nm]=5550[Å]이다.

(2) 공식
시감도 :


Kλ = [ lm/W ]
Φλ

단, F λ : 눈에 직감되는 광속[ lm ], Φ λ : 어떤 파장 λ의 복사속

비시감도 :

시감도 Sλ
550[ mμ]에 대한 시감도
Vλ = =
Km

2. 광도
(1) 정의
광원에서 어떤 방향에 대한 단위 입체각당 광속이다. 즉, 빛의 세기를 나타낸

다.

(2) 공식

dF
광도 : I = [ cd, lm/sterad, candela ]

단, dω : 미소 입체각(sterad), dF : dω 내의 광속

3. 광속
(1) 정의

복사속을 시감도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단위는 [lumen, lm]을 사용한다. 따

라서 광속 F는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2) 공식

F= ⌠ ⌠ ⌠
⌡K λP λd λ = ⌡K mV λP λd λ[ lm] = ⌡Idω[ lm]

단, Pλ : 분광 복사속[W․μ ],
-1
Kλ : 시감도 [lm/W], λ : 파장[μ]
Km : 최대 시감도 680[lm/W], V λ : 비시감도

① 구광원 : F = 4πI[ lm]


② 평면판 광원 : F = πI 0[ lm]

③ 원통 광원 : F = π 2I 0 ≒ 9.87I 0[ lm]

4. 조도
(1) 정의
단위 면적당 입사광속이다. 즉, 어떤 면위의 한점의 밝기를 나타낸다. 조도의

단위는 [lux ,lx]=[lm/㎡], [phot=ph]=[lm/㎠]이다.

(2) 공식

dF
① E = [ lx]
dA
단, dA : 미소 면적[㎡], dF : dA에 입사하는 광속 [lm]
F0 4πI 0 I
② 조도에 관한 거리의 역제곱의 법칙 : E = = = 02 [ lx]
S 0 4πR 2
R

Fcosθ
③ 입사각의 여현(코사인)의 법칙 : E θ = = E n cosθ[ lx]
A

dE⋅dA [ lx ]
1 ⌠
④ 평균 조도 : E n =
A ⌡s
⑤ 점광원에 의한 조도 : 그림에서 점 P인 법선 조도 En은

I S
En =
r2
점 P에서의 수평면 조도 En는
1
h
I R
Eh = 2 cosθ = Encosθ Eh
r En

또, 수직면 조도 Ev는
I
Ev = sinθ = En sinθ
r2 0 Ev
P
X
2

Ev

5. 휘도
(1) 정의
발광면의 어떤 방향에서 본 단위 투영 면적당 그 방향의 광도로서 광원의 빛

나는 정도를 말한다. 즉, 광원의 눈부심의 정도이다.

휘도의 단위는 [cd/㎡ = nit], [cd/㎠ = stilb] 이다.

(2) 공식


Bθ = [ cd/㎡]

단, I θ : 어느 방향의 광도, S θ : 어느 방향에서 본 겉보기 면적

6. 광속 발산도
(1) 정의

발광면의 단위 면적당 발산 광속이다.

단위는 [lm/㎡=radlux], [lm/㎠=Lambert] 이다.

(2) 공식

dF
① R = [ rlx]
dA
단, dA : 미소 면적 [㎡], dF : dA에 발산하는 광속 [lm]
② 완전 확산면의 휘도와 광속 발산도 : R = πB[ rlx ]

7. 반사율과 투과율 및 흡수율


(1) 정의

물체에 F[lm]의 광속이 입사하여 그중 일부 F ρ 이 반사되고, 다른 F τ 이 투과

하면, 물체에 흡수된 광속 F α 라고 하고, 이때 반사율을 ρ, 투과율을 τ, 흡수

율을 α라고 한면, ρ+τ+α = 1 또는 F = Fρ+Fτ+Fα이다.

(2) 공식

반사광속 F
입사광속
① 반사율 : ρ = ×100 = ρ ×100
F

투과광속 F
입사광속
② 투과율 : τ = ×100 = τ ×100
F
흡수광속 F
입사광속
③ 흡수율 : α = ×100 = α ×100
F

8. 발광 효율 및 전등 효율
(1) 정의

복사속에 대한 광속의 비율을 그 광원의 발광 효율이라 하고, 전소비력 P에


대한 전발광 광속 F의 비율을 전등 효율이라 한다.

(2) 공식

F
① 발광효율 : ε = [ lm/W ]
Φ

단, F : 광속[lm], Φ : 복가속[W]

F
② 전등효율 : η = [ lm/W ]
P

9. 루소 선도(Rousseau diagram)
(1) 정의

수직면의 배광 곡선의 하나로서 그 곡선의 면적이 전광속에 비례하도록 한

직각 좌표 곡선을 루소 선도라고 한다. 광속 F는 루소 선도의 면적 S에 비례

하고, 이 면적을 구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q q'
x
F = 2π ⌠
⌡0 I θ sinθ⋅dθ Q
룻소도의 면적 S는 0 N n
x x
P
S= ⌠ ⌠ M
⌡0 I θ dx = ⌡0 I θR sinθ⋅dθ
m
c
A BC b
a
S p p'
∴F = 2π
R
광원이 구면 광원, 평면판 광원, 원주 광원일 경우 룻소 선도법에 의하여 광
속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2) 공식

ⓐ 구면 광원 : 루소 선도의 면적 S는
S = 2RI

전광속 F는
2R

⋅2RI = 4πI
2π 2π
F= S=
R R
ⓑ 평면판 광원 : 루소 선도의 면적 S는

1
S= RI
2 0

전광속 F는 2R

I
2π 2π 1
F= S= × RI
R R 2 0 Io

= πI 0
ⓒ 원주 광원 : 루소 선도의 면적 S는

1 1
S= πab = πRI 0 I
2 2 Io
그러므로 전광속 F는
2π 2π 1
F= S= × πRI 0
R R 2 Io
2R I Rcos
= π 2I 0

10. 온도 복사에 의한 법칙
(1) 정의

물체를 가열하여 온도를 높이면 백열 상태가 되어 그 표면에서 여러 가지 파

장의 전자파가 복사된다. 이것을 온도복사라고 한다.

(2) 공식

ⓐ 스테판 - 볼쯔만(Stefan-Boltzmann)의 법칙 : 온도 T[。K]의 흑체 단위 표

면적으로부터 복사되는 전복사 에너지 W는 그 절대온도 T의 4제곱에 비례한

다.

W =αT 4 [ W/㎡]
[W․cm °K
-12 -2 -4
단, σ : 시테판-볼쯔만 상수 (=5.6724×10 ]
ⓑ 비인(Wien)의 변위 법칙 : 흑체에서 최대 분광 복사가 일어나는 파장 λ m
은 절대온도에 반비례한다.

b
λm = [μ]
T

단,λm : 최대 복사 에너지의 파장, b : 2896[μ。K]


ⓒ 플랑크(Planck)의 식 : 임의의 온도에 있어서 어느 물체가 방사하는 복사속

의 파장마다의 에너지, 즉 분광 복사속 발산도는 다음과 같다.


C1 1
Pλ = -1[ W / cm 2 μ]
λ 5 e C₂/λT
단, P λ : 임의 파장 λ[μ]의 스펙트럼 복사 발산도, λ : 파장 [μ]

C 1 : 플랑크의 제 1상수 (3735[W․cm-2․μ4 ]


C 2 : 플랑크의 제 2상수(14380 [μ․。K]), e : 자연대수 2.71828

11. 백열 전구의 전압 특성
(1) 정의
백열전구는 전압이 변하면 필라멘트의 온도가 변화하고 저항, 전류, 전력, 광속,

효율, 수면 등이 변화한다. 이들 변수 사이의 관계를 전구의 특성이라 한다.

(2) 공식

전류 :
0.6
I
I0
= ( VV )
0

전력 : , 광속 :
1.6 3.6
= (
V ) ( VV )
W V F
=
W0 0 F0 0

효율 : , 수명 :
2 -13
η
η0
= ( )
V
V0
L
L0
= ( ) V
V0

12. 광원의 간격
(1) 정의

광원 상호간의 간격을 S라 하고, 벽과 광원의 사이의 간격을 S0 라하고, 작업

면상에서 등기구 까지의 높이를 H라 하면, 다음과 같다.


(2) 공식

S≦1.5H
S0 ≦ H/2(벽측에 사용하지 않을 때)

S0 ≦ H/3(벽측에 사용할 때)

13. 실지수의 결정
(1) 정의

천장과 바닥면이 직사각형인 방은 X, Y 두변의 조화 평균을 한 변으로 하는

정방형의 방과 동일한 수치라는 이론에 따라 방의 형태에 대한 계수, 즉 실지

수를 다음과 같이 정한다.

(2) 공식

X⋅Y
실지수 =
H ( X + Y)

14. 광속 및 광원의 크기 결정
(1) 정의

전반설계조명은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응용한 광속법을 이용한 것으로서 방 전

체의 균일한 조도를 얻기 위한 것이며 조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조명률을


사용하면 쉽게 얻어진다.

(2) 공식

① 실내조명설계

EAD EA
F= = [ lm]
UN UNM
단, N : 광원의 수, E : 작업면상의 평균 조도 [lm]
F : 광원 1개당의 초기광속 [lm], A : 피조면 면적 [㎡]
D : 감광 보상률, U : 조명률, M : 유지율
② 도로조명설계

EBSD
F= [ lm]
NU
단, F : 광원 1개당의 광속[lm], S : 기구의 간격[m], B : 도로의 폭[m]
E : 노면의 평균 조도 [lx], U : 조명률, D : 감광 보상률
15. 광원의 수명 기간 중의 점등비
(1) 정의

광원 1개가 그의 수명 L[h] 중에, 점등에 소요되는 조명비를 나타낸다.

(2) 공식
y = p + qWL × 10-3 (원)

단, p : 광원의 가격 (원)
q : 1[kWh]당 전력 요금(원)
W : 광원의 평균 소비 전력[w]
L : 광원의 수명[h]
y : 조명비(원)

16. 광원의 lumen-hour 당의 점등비


(1) 정의

광원의 평균 광속 F[lm]이라고 하면 광원 lumen-hour의 광량을 발산하는데

소요되는 점등비(원)는 다음과 같다.

(2) 공식

[원/lm ⋅h]
p + qWL×10 -3(원)
r=
FL

17. 전동기의 용량산정


(1) 펌프용 전동기

kQH
P= [ kW]
6.12η

단, P : 전동기 용량[ kW], Q : 양수량[㎥/min], H : 전양정[ m]

η : 펌프효율, k : 계수(1.1~1.2)
(2) 송풍기용 전동기
kQHW
P= [ kW]
6.12η

단, P : 전동기 용량[ kW], Q : 풍량[㎥/min], H : 풍압[ mmHg]

η : 송풍기 효율, k : 계수(1.1~1.5), W : 기계의밀도[ kg/㎥]


(3) 권상기용 전동기

WV
P= [ kW]
6.12η

단, P : 전동기 용량[ kW] W : 권상하중[ t ]

V : 권상속도[ m/ min ] η : 권상기 효율


(4) 엘리베이터용 전동기

LVβ
P= ×0.746 [ kW]
4500η

단, P : 전동기 용량[ kW], W : 권상하중[ kg], V : 속도[ m/ min ]

β : 평형추 계수(보통승용 0.6, 화물용 0.5)

η : 권상기 효율 (기어리스 0.85~0.8, 기어 0.55~0.4)

18. 전동기의 온도 상승
(1) 정의

전동기의 최종 상승 온도를 구한다.

(2) 공식

P L = hST[ W]

PL
T= [℃]
hS

단, T : 최종 상승 온도, P L : 손실[W]
h : 방열계수[W/㎡․deg], S : 방열면적[㎡]

19. 전열기의 소요 용량
(1) 정의
비열이 c인 V(ℓ)의 물을 H 시간 동안에 온도 θ1[℃]에서 θ2[℃]까지 상승

시키는 데 요하는 열량 Q[kcal]과 전열기의 소요 용량 P[kW]을 구한다.

(2) 공식

① 소요 열량 : Q = Vc (θ2 - θ1) [kcal]

② 소요 전력량 : PH = Vc(θ 2 -θ 1)/860η[ kWh]

단, η : 전열기의 효율
PH Vc(θ2 -θ1)
③ 전열기의 소요 용량 : P = = [ kW ]
H 860ηH

단, 공기 1[㎥]의 중량 = 1.23[㎏], 공기의 비열 = 0.24

20. 저항 가열
(1) 정의

전류에 의한 오옴 손을 이용한 것이며 직접식과 간접식이 있다. 저항 가열에

서 저항 R[Ω]에 전류 I[A]가 흐를 때 매초 발생하는 열량 Q[kcal/s]는 다음과


같다.

(2) 공식

1[ kcal]
860[ W ⋅s]
Q[ kcal /S] = I 2R[ W ]× = 0.24I 2R×10 -3[ kcal /s]

21. 아크 가열
(1) 정의

아크열을 이용한 것이고 직접식과 간접식이 있다. 아크열에서 아크 전극간의

전위차 E[V], 아크의 전류 I[A], 매초 발생하는 열량 Q[kcal/s]는


(2) 공식

Q[ kcal] = 0.24EI × 10 -3 [ kcal /s]


단, E : 아아크 전극간의 전위차, I : 아아크 전류
22. 유전 가열
(1) 정의

교번 전계 중에서 절연성 피열물에 생기는 유전체 손실에 의한 가열이고 직

접식 뿐이다.
(2) 공식

그림에서 유전체손 P는 I

P = VI R = VI c tanδ[ W] S

I c = 2πfCV
d V
∴ P = 2πfCV 2 tanδ

평균 전극의 정전용량 C는

ε 0ε sS
C=
d

∴ P = 2πf․ ․V 2 tanδ
ε 0ε sS
d jV
I
단위 체적당 유전체손 P 0 는 전계강도 Ic

V
E= 라고 하면,
d
0
P 5 IR V
P= = fε E 2 tanδ⋅10 -10[ W /㎥]
Sd 9 s
제7절 제어공학
1.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1) 정의

제어계 회로에 V i ( j ω)의 입력신호전압을 가했을 때 출력측에 V o ( j ω)의 출력

신호 전압이 나타나 이것이 입력신호에 비해서 크기 및 위상이 공히 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 공식

V i (j ω) = A i ∠Φ i A i ∠Φ i 제어회로 A o ∠Φ o

V o ( jω) = A o ∠Φ o

V i : 입력신호전압벡터, V o : 출력신호전압벡터,

A i : 입력전압의 진폭, A o : 출력전압의 진폭

Φ i : 입력신호전압의 위상, Φ o : 출력신호전압의 위상

2.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1) 정의

전달함수란 입력 신호로 출력 신호를 나눈 것이며 크기와 위상을 가지고 있


다. 라플라스 변환시킨 것은 계산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이다.

(2)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라플라스 변환시킨 출력
전달 함수 =
라플라스 변환시킨압력

전달 함수 G( s) =
V 0 ( s)
V i ( s)

주파수 전달 함수 G( jw) =
V 0( jw)
V i ( jw)

V 0( jw) : 출력 신호 전압, V i( jw) : 입력 신호 전압

V 0( s), V i( s) : 각각 라플라스 변환시킨 출력 전압과 입력 전압

S : 라플라스 연산자
3. 실용 라플라스 변환

함 수 명 f( t ) F(s)

1 단위 임펄스 함수 δ( t ) 1
1
2 단위 계단 함수 u( t )
s
1
3 단위 램프 함수 t
s2
2
4 포물선 함수 t2
s3
n!
5 n차 램프 함수 tn
s n +1
1
6 지수 감쇠 함수 e - at s+a
1
7 지수 감쇠 램프 함수 te - at
(s+a)2
2
8 지수 감쇠 포물선 함수 t 2e - at
(s+a)3
n!
9 지수 감쇠 n차 램프 함수 t ne - at
(s+a)n+1
w
10 정현파 함수 sin wt
s 2 +w2
s
11 여현파 함수 cos wt
s 2 +w2
w
12 지수 감쇠 정현파 함수 e - at sin wt
(s+a) 2+w2
s+a
13 지수 감쇠 여현파 함수 e - at cos wt
(s+a) 2+w2
a
14 쌍곡 정현파 함수 sinh at
s2-a2
s
15 쌍곡 여현파 함수 cosh at
s2-a2

t>0으로 정의된 시간 t의 함수 f( t)에 대해서 다음 식에 따라 정의되는 함수

F(s)를 함수 f( t)의 라플라스 변환 [ f( t)를 라플라스 변환시킨 것]이라고 한

⌡0 e f(t)dt = ℒ{ f( t)}

다. F( s) = ⌠ - st

이 식에서 f( t)를 t함수, F( s)를 s함수라고 한다.


4. 라플라스 변환의 기본 정리

① 선형 정리 : L[ af 1(t)+bf 2(t)]= aF1(s)+bF2( s)

② 상이 정리 : L f( [ t
a ]
) = aF( as)

③ 시간 추이 정리 : L[ f ( t - a)]= e - asF( s)

④ 복소 추이 정리 : L[ e- at f(t)]= F( s +a)

⑤ 실미분 정리 : L( f ' ( t)]= sF( s)-f(0)


n
L[ f n (t)]= s nF(s)- ∑ s n - kf k -1(0)
k =1

t
1 1 -1
⑥ 실적분 정리 : L[ ⌠
⌡-∞f(t)]= s F( s)+ s f (0)

dF( s)
⑦ 복소 미분 정리 : L[ tf( t)]=-
ds

dn
L[ t n f(t)]=(-1) n F(s)
ds n

f( t )
⑧ 복소 적분 정리 : L[ ]= ⌠
⌡ F(s)ds
t 0

⑨ 초기값 정리 : limf( t)= lim sF( s)


t→0 s→∞

⑩ 최종값 정리 : lim f( t)= lim sF( s)


t→∞ s→0

t
⑪ 상승 정리 : L[ ⌠
⌡0 f 1(t-τ)f 2(τ) dτ]= F 1(s) F 2( s)

r + f∞1
1 ⌠
⑫ 복소 상승 정리 : L[ f 1 (t) f 2(t)]= (s-λ) F 2(λ) dλ
2πj ⌡r-f∞

5. RC 회로의 전달함수
(1) 정의

시상수 T 는 RC에 같게 패러데이[F]와 옴[Ω]의 곱으로 나타낸다. 라플라스

변환시킨 식은 역변환식으로 크기와 위상각이 구해진다.


(2) 공식

1
G( jw) =
1+jwT

1
G( s) = V i ( j ω) V0(j ω)
1+Ts

G( jw) : 주파수 전달 함수, G( s) : 전달 함수

T : 시상수(초), w : 각주파수, s : 라플라스 연산자

6. RL 회로의 전달함수
(1) 정의

임의의 각 주파수의 전압 V를 가했을 때의 입력 전압과 L의 출력 전압을 복

소수로 구해서, 그 비율로 G( jw)를 구한다. 또 jw 를 라플라스 연산자 s로

바꾼 것이 전달함수 G( s)이다.

(2) 공식

jwT
G( jw) = V i ( j ω) V 0( j ω)
1+jwT

Ts
G( s) =
1+Ts

G( jw ) : 주파수 전달 함수, G( s) : 전달 함수

T : 시상수, w : 각주파수, s : 라플라스 연산자

7. G( jw) = 1+jwT 의 주파수 응답

1+jwT형의 전달 함수가 각주파수 ω의


A

변화에 대해서 나타나는 궤적이 주파수 ω

응답이다. 이것은 그림과 같이 반직선으로 G ( jw )

된다. ω의 변화에 대한 출력 전압도 같은

궤적으로 된다. θ
0 1
OA : 각주파수 ω일 때의 G( jw)의 크기

θ : 각주파수 ω일 때의 위상각, tan-1 (ωT)와 같다.

1
8. G(jw) =
1+jwT
의 주파수응답
1
G(jw) =
1+jwT
의 궤적이 반직선이므로 그 역수는 당연히 반원으로 된다. 이

와 같이 전달 함수를 갖는 자동 제어계의 출력신호 주파수 응답도 당연히 반

원인 궤적을 그리게 된다.


OA : 각주파수 ω일 때의 전달 함수 벡터
0 B

θ : 각주파수 θ일 때의 G ( jw)의 위상각 ∞ ω=0


A

9. 주파수 전달 함수의 직렬 접속
(1) 정의

두 요소의 직렬 접속의 합성 전달 함수는 두 전달 함수의 곱으로 된다.

(2) 공식

G 1 ( jw)와 G 2( jw)의 직렬 G( jw) = G 1( jw) G2( jw)

V1 V2 V3
G 1( jw) G 2( jw)


V1 V3
G 1 ( jw) G 2( jw)

10. 주파수 전달 함수의 병렬 접속


(1) 정의
두 요소의 병렬 접속에서는 양쪽 주파수 전달 함수의 합이 합성 전달 함수로

된다.

(2) 공식

G 1 ( jw)와 G 2( jw)의 병렬 G( jw) = G1(jw)+G2(jw)


G 1 ( jw)

V1 V2

G 2 ( jw)


V1 V3
G 1 ( jw) + G 2( jw)

11. 궤한 제어(feedback control)회로의 주파수 전달 함수


(1) 정의

G( jw) H(jw)를 일순(一巡) 전달 함수라고 한다.


(2) 공식

G( jw)
Gr( jw) = G( jw)
1+G( jw)H( jw)

Gr( jw) : 종합 주파수 전달 함수

G( jw) : 앞 방향의 주파수 전달 함수 H( jw)

H( jw) : 피드백 요소의 주파수 전달 함수

12. 부동 시간 요소(dead time element)의 주파수 응답


(1) 정의

부동 시간 요소인 경우에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부동 시간 τ만큼 차가

있어서 같은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를 말한다.

(2) 공식

(jw)
V0 ( jw) = ε - jwr = 1/- wτ
Vi

V 0( jw) : 출력 신호, V i ( jw) : 입력 신호

τ : 부동 시간, ω : 신호파의 각 주파수


13. RLC 회로의 전압 방정식의 라플라스 변환
(1) 정의

식은 각주파수의 ω의 사인파 교류 회로의 전압 방정식이다.

(2) 공식

1
복소수의 식 : RI +jwLI + I = V( jw)
jwC
라플라스 식 :

V( jw) : 각주파수의 ω의 전압

s : 라플라스 연산자, jw 와 같다.

14. 메이슨(Mason)의 정리

1
(1) 정의 RI +LsI + I = V( s)
Cs
출력과 입력과의 비, 즉 계통의 전달 함수를 구하는데 있어 신호 흐름 선도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메이슨의 정리(Mason's theorem)가 쓰이고 있다.

(2) 공식

∑ K GK ∆ K
G=

단, △=1-∑ Ln1 +∑ Ln2 -∑ Ln3 + ⋯+(-1) n ∑ Lnn


n n n

L n1 : 개개의 폐 루프의 이득의 곱의 합

L n2 : 2개의 서로 접하지 않은 루프의 가능한 모든 조합의 이득의 곱의 합

L n3 : 3개의 서로 접하지 않은 루프의 가능한 모든 조합의 이득의 곱의 합

L nn : n개의 서로 접하지 않은 루프의 가능한 모든 조합의 이득의 곱의 합

G K : K번째의 전향 경로(forward path)의 이득

△ K : K번째의 전향 경로와 접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의 값


15. 과도 응답 특성

C(t)
오오오오오
단단 단단 단전

1.0
0.9
정직오정

0.5

0.1
0
Td Tmax Ts 상상
직상상상 Tr

[단위 입력에 대한 시간 응답]

① 오버슈우트(overshoot) : 응답 중에 생기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최대편차량

최대 오우버슈우트
백분율 오우버슈우트 =
A
최종 목표값
= ×100
B
② 지연 시간(time delay, Td) : 지연시간 Td는 응답이 최초로 목표값의50%

진행되는데 요하는 시간

③ 감쇠비(decay ratio) : 감쇠비는 과도 응답의 소멸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서 최대 오버슈트와의 비로 정의한다.

제 2 오버슈우트
감쇠비 =
최대 오버슈우트

④ 상승시간(rise time, Tr) : 응답이 최종 희망값의 10%로부터 90%까지 도달

하는데 요하는 시간

⑤ 응답시간(정정시간:respond time or setting time, Ts)


응답이 요구하는 오차 이내로 정차되는데 요하는 시간으로 보통 목표값의

±2% 이내의 오차 내에 정착되는 시간이다.

그러므로 Ts = 4τ(τ는 시정수)이다.


16. 제어계의 정상 특성
(1) 정의

자동제어계의 목표값을 입력, 오차(편차)를 출력으로 했을 때 이 오차(편차)의

정성값의 것을 잔류 편차라고 한다.

어느 자동 제어계의 잔류 편차를 e ss , 일순 전달 함수를 G( s) , 입력 신호를

sP(s)
P(s)로 하면, 잔류 편차는 e ss = lim 이다.
s→0 1+G( s)

(2) 공식

① 단위 계단 입력에 대한 정상 상태 편차 ( G( s) = 1/S )

s(1/s) 1
ess = lim =
s→0 1+G( s) 1+Kp

단, K p : 위치 편차 상수

② 단위 램프 입력에 대한 정상 상태 편차 ( G(s) = 1/S 2 )

s(1/s 2) 1 1
e ss = lim = =
s→0 1+G( s) lim s 2G( s) Kv
s→0

단, K v : 속도 편차 상수

③ 단위 포물선형 입력에 대한 정상 상태 편차 ( G(s) = 1/S 3 )

s(1/s 3) 1 1
e ss = lim = =
s→0 1+G( s) lim s 2G(s) Ka
s→0

단, K a : 가속도 편차 상수

17. 특성 방정식

제어계의 일순 전달 함수가 G( s)일 때

1 + G( s ) = 0

을 그 제어계의 특성 방정식이라고 한다.


18. 루우드-후르비쯔의 안정도 판별법
(1) 정의

루우드-후르비쯔(Routh-Horwitz) 안정도 판별법은 계의 특성 방정식 중에 양

의 실수부를 갖는 근이 몇 개의 있는가 판정하는 방법이다.


① 특성 방정식의 계수의 부호가 단 1개라도 틀리는 것이 있으면 이 계는 불

안정하다.

② 차수 s n, s n -1,… 중에 단 1개라도 빠진 것이 있으면 이 계는 불안정하다.

③ 계수의 부호가 모두 같고 차수가 모두 있을 때 다음과 같은 루우드 수열


을 만들어 안정도를 판별한다.

(2) 공식

특성 방정식

Ts = 1+G( s) = 1+G0(s)H0(s)

= a0sn +a1sn -1 +a0sn -1 +a2sn -2 +a3sn -3 +……+an -1s+an =0

․ 이 식의 계수를 이용해서 풀비츠의 행렬식을 표현하면

sn a0 a2 a4 a6 ⋯⋯
sn-1 a1 a3 a5 a7 ⋯⋯
sn-2 b1 b3 b 5 ⋯⋯⋯⋯⋯⋯⋯⋯⋯
⋮ c1 c3 c 5 ⋯⋯⋯⋯⋯⋯⋯⋯⋯
⋮ d1 d 3 ⋯⋯⋯⋯⋯⋯⋯⋯⋯⋯⋯⋯⋯
⋮ e1 e 3 ⋯⋯⋯⋯⋯⋯⋯⋯⋯⋯⋯⋯⋯
⋮ ⋮ ⋮
⋮ ⋮ ⋮

단, b 1 =
a1a2 - a0a3 a1a4 - a0a5 a1a6 - a0a7
, b3 = , b5 =
a1 a-1 a1
b 1a3 - a1b3 b 1a5 -a1b5 b 1a7 - a1b 7
c1 = , c3 = , c5 =
b1 b1 b1
c1b 3 -b 1c3 c1b 5 - b 1c5 c1b 7 -b 1c7
d1 = , d3 = , d5 =
c1 c1 c1

루우드 판별법이란 이 수열의 제 1열의 모든 요소가 같은 부호를 가지고 있


으면 특성 방정식의 근들은 모두 음의 실수부를 갖고 있어서 이 계통의 안정

하다는 것이다. 만일 제1열 요소의 부호 변화가 있으면 특성 방정식은 그 부

호 변화수에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양의 실수부를 갖는 근이 있어 그 계통은


불안정하게 된다.
19. 나이퀴스트 선도에 의한 안정도 판별법

개 루우프 전달 함수가 GH( jw)인 폐 루우프 제어계는 다음 조건이 성립되는

경우에만 안정하다.

N = P0

단, P 0 : s 평면 우반부에 있는 GH 의 극의 수

N : w 를 -∞에서 +∞까지 변화시킬 때 (-1, +j0)점에서 그 궤적상

의 한 점에 이르는 벡터, 즉 [1+ GH ( jw ) ] 벡터가 반시계 방

향으 로 회전하는 회전수

20. 이득과 위상
(1) 정의
dB 단위의 이득은 출력과 입력의 비율인 상용 대수의 20배이다. 위상차는

출력과 입력 위상각의 차(差)이다.

(2) 공식
① 이득 여유

GM = 20log 10∣G( jw)∣ = 20log 10 [ VV ((jwjw)) ]


0

i
1
∣GH( jwπ)∣
= 20 log 10 [ dB]

② 위상 여유

ØPM = ∠G( jw) = -180〫 +θ〫 = [-180+ArgGH( jw1)] [〫 ]

단, wπ : 위상각 교차 주파수, G( jw) : 주파수 전달 함수

V 0( jw) : 출력 전압, V i ( jw) :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위상차

21. 보도 선도(bode diagram)


(1) 정의

보드 선도란 이득 선도와 위상 선도를 한 조를 한 것이다. 이득 선도는 이득


특성 곡선이라고도 한다. 각주파수 ω를 여러 가지로 바뀌었을 때의 이득과

의 관계 곡선이다. 위상 선도는 ω를 여러 가지 값으로 했을 때의 위상차와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2) 예제

1
G( jw) = 에서 T = 0.2초일 때 ω = 0.1, 1, 3, 10, 30, 100의 여섯
1+jwT

가지 값에 대해서 이득을 구하시오.

(풀이) ∣ ∣=
1 1
1+jwT 1+w2T 2

그러므로 이득은
1
-
g = 20log(1+w2T2) 2
= -10log(1+w2 T2)

이 식에서 T = 0.2와 ω의 각 값을 대입하면

T = 0.2, ω = 0.1 일 때 g = -10 log (1+0.0004) = 0.0017[dB]

T = 0.2, ω = 1.0 일 때 g = -10 log (1+0.04) = 0.17[dB]

T = 0.2, ω = 3.0 일 때 g = -10 log (1+0.36) = 1.34[dB]

T = 0.2, ω = 10 일 때 g = -10 log (1+4) = 6.99 [dB]

T = 0.2, ω = 30일 때 g = -10 log (1+36) = 15.68 [dB]

T = 0.2, ω = 100일 때 g = -10 log (1+400) = 26.03 [dB]


로 된다. 이들은 편대수 그래프로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w
0.1 1 10 100
g[DB]

-5
-10
-15
-20
-25
-30
-35

[이득선도]
22. 1차 지연 전달 함수의 보드 선도 구하는 법

1 1
G( s) = 에서 절점 각주파수는 ws =
1+Ts T
점근선의 기울기 g = -20 log ωT
그림에서 가로축에 대수 눈금을

정하고 절점 각주파수 ω s 의
G1
이득 g1과 10 ω s 의 음(-)주파수 0.5 1 2 5 10 20 30

이득 g2를 비교하면 G3 G2

g = -20 log ωT에서

g1 = -20 log ω s T[dB}

g2 = -20 log 10 ω s T [1차 전달 함수의 이득선도]```

= -20 -20 log ω s T

= -20 + g1

으로 되어 g1과 20[dB]의 차이가 있다. 근사선을 구하는 법은 절점 각주파수

ω s 를 구하고 10 ω s 에서 20[dB]내려가기 때문에 10ωs에서 20[dB] 내린 점

과 ω s 의 점을 연결하는 것이 기울기로 된다. 이 기울기에서 가까운 곡선을

그리면 보드 선도가 된다.

23. 1차 지연 요소의 스텝 응답

V0(s) 1
G( s) = = 인 스텝 응답
Vi(s) 1+Ts

V i( s) : 입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

V 0(s) : 출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

V 1 : t = 0에서 가해진 스텝 전압(일정)

T : 시상수

V 1 = 1인 경우를 특히 인디셜 응답(inditial response)이라고 한다.


24. 2차 지연 요소의 전달 함수
(1) 정의

2차 지연 요소의 스텝 응답은 ζ의 값에 따라 모양이 변해 간다.

ζ<1인 경우에 응답 파형은 진동하고 ζ>1인 경우에는 완만하게 스텝값에 가


까워져, 어느 경우도 지나치면 안되므로 보통 ζ=0.3~1인 값일 때 적당하다.

(2) 공식

ω2n
일반형 G(s) =
s2+2ξns+ω2n

ω n : 2차계의 고유진동수, ζ : 감쇄 상수

25. 2차 지연 요소의 스텝 응답

1
G( s) = 일 때
(1+T1s )(1+T2s )

[ ]
t t
T1 -
T T2 -
T
v(s) = (1-ε )-
1
(1-ε ) V1
2

T 1 -T 2 T 1 -T 2

2차 지연요소의 2차식을 1차식의 곱형으로 해서 T1과 T2의 시상수 구하면 좋

다.

26. 조절기의 제어 동작
① 비례 동작(P 동작) : 조작량 y가 제어 편차 x에 비례하는 것이고 그 전달

함수는 G(s) = K p 이며 K P 를 비례 이득, 1/ K P 을 비례대하고 한다.

② 적분 동작(Ⅰ동작) : y가 x의 적분값에 비례하고 것이고, 그 전달 함수는

KI
G( s ) = 로 되어 1형이 되므로 정상 위치 편차를 없앨 수 있다.
s
③ 비례 + 적분 동작(PI 동작)

K1 1
G( s) = KP + = KP[1+ ]인 전달 관계로 표현된다.
s T 1s
여기서 T1 는 I 동작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적분 시간 또는 reset

시간이라 하며 이 PI 동작은 지상 요소에 대응되며 정상 특성을 개선하는 데

쓰여진다.

④ 비례 + 미분 동작 (PD 동작)

G( s) = KP +KDS = KP(1+TDS )

로 TD를 미분시간 또는 rate 시간이라 하며, PD 동작은 진상 요소에 대응되


므로 응답 속응성의 개선에 쓰여진다.

⑤ 비례 + 적분 + 미분 동작 [PID 동작]

1
G( s) = KD [1+ +TDS]
TIS

로 이 PID 동작은 정상 특성과 응답 속응성을 동시에 개선하는 데 쓰인다.

27. 표준전지의
26. 조절기의 제어
기전력
동작
(1) 정의

F.A wolff의 식이라고도 하며 웨스톤 표준전지의 기전력을 구하는 식이다. 표

준전지는 20℃ 가까운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이 비람직하며 공식은 3승의 항


을 생략하고 있다.

(2) 공식

V t = V O -4.06×10 - 5 ( t -20) - 0.95×10 - 6 ( t -20) 2

V t : t [℃]에서의 표준전지의 기전력


V O : 20[℃]에서의 표준전지의 기전력 1.0864V

28. 백분율의 오차
(1) 정의

오차의 반대를 보정이라 하고 α= T-M으로 구한다. 또(α/M)×100%를 보정

오차라 한다.
(2) 공식
백분율 오차=
ε
×100[%]
T
T : 참값, ε : T - M 다만 M은 측정치

29. 분류기의
26. 조절기의 배율
제어 동작
(1) 정의

소형계기는 분류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분류기를 2개 이상 내장하여 단자로

전환하는 multi-range의 전류계가 있다.

(2) 공식

{
M= 1+
ra
R }, R=
ra
M-1
A ra

단, M : 분류기의 배율 i

r a : 전류계 본체의 저항 I R

R : 분류기의 저항

30. 분압기의 배율
(1) 정의

전압계의 배율기에는 보통 1V에 대하여 100Ω 정도의 망간선을 쓴다.

(2) 공식
Vv

밀리 볼트계 : (
M= 1+
R
ra ) mV
R ra

정전 전압계 : (
M= 1+
Cv
Cm ) V

단, M : 분압기의 배율

r v : 전압계 본체의 저항

R : 배율기의 저항
Vv

C m : 배율기의 콘덴서 용량 Cm Cv

C v : 정전전압계의 용량 V
31. 단상전력의 측정(3전압계법)
(1) 정의

부하에 직렬로 저항을 접속해서 3개의 전압계를 접속하여 각 전압계의 눈금

을 측정한다. 이 때 저항 R의 전압 RI는 전류와 동상이다.


(2) 공식
V2
1
V2 - V2 - V2
2R ( 3 2 1)
P= I

R
V23 - V22 - V21
cosθ= 부
2V1V 2 V3 V1 부

32. 단상전력의 측정(3상 전류계법)


(1) 정의

3전류계법은 부하에 병렬로 저항을 접속해서 각 전류계의 값을 읽고 계산한

다. 또 AB간의 전압 I 2R 과 부하의 단자전압 V는 동상이다.

(2) 공식 I3 I1
A1 A3
R
P=
2 ( I23 - I22 - I21) I2

I23 - I22 - I 21 A2

cosθ=
2I 1I 2
R

33. 블론델의 법칙
(1) 정의
n상 교류의 전전력은 (n-1)개의 전력계의 대수합이다.

(2) 공식

n상 교류의 부하가 Y결선으로 되어 있을 때 각 상전력의 순시값의 합은 다


음과 같다.

p=v 1i 1 +v 2i 2 +v 3i 3 + ⋯⋯ vni n
또 전류의 합은 0이므로

i 2+i 3+ ⋯⋯ i n = 0

i n =-( i 1+i 2 +i 3 + ⋯⋯ i n -1)


이것을 전력의 식에 대입해서

p=(v 1 -vn)i 1 +( v 2 -vn)i 2 +( v3 -v n)i 3 + ⋯⋯ ( vn -vn)i n


이 되어서 (n-1)개의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전전력을 측정 할 수 있다.

34. 2상 전력계에 의한 3상전력의 측정


(1) 정의
2전력계법은 평형부하인 경우 Δ결선에서도 쓸 수 있다.

(2) 공식

P 1 = V 12I 1 cos(θ+30) P 2 = V 32I 2 cos(θ+30)

∴ P 1 + P 2 = 3VI cosθ

단, P 1, P 2 : 2전력계의 지시, V : 각 상의 Y형 전압

I : 선전류, cosθ : 부하역률

P1 I1 V32
V1
V12 V3
V12
I3

P2 I3
I1
V3 V2
V2
V32

[2 전력계법]

(1) 정의
35. 휘스톤브리지의 평형조건

비례변의 저항은 1, 10, 100, 1000, 10000과 같이 10nΩ의 값을 가졌으며,

R은 1Ω 간격의 값을 갖고 있다.

(2) 공식

P Q
= P
X R X
P
X= R G
Q
단, X : 미지저항
R
P, Q : 비례변의 저항
Q

R : 가변저항

36. 더블 브리지의 평형 조건
(1) 정의

더블 브리지의 특징은 접촉저항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데에 있다.

(2) 공식 M N
G
N
X = R
M m n
n
= R R X
m
단, N/M = n/m

37. 접지저항의 측정
(1) 정의

G 1 이 측정 해야할 접지판, G 2, G 3 는 보조 접지판이고 G 1,G 2, G 3 는 거의 전

삼각형의 정점에 있도록 배치하여 두 개의 전극판간의 코울라브리지로 측정


한다.

(2) 공식
R 12 - R 23 + R 31
RX =
2 R31
R12
R 12 : G 1, G 2간의 저항 G1

R 23 : G 2, G 3간의 저항
R23
R 31 : G 3, G 1간의 저항 G2 G3

38. 전지의 내부 저항의 측정(맨스 법)


(1) 정의

K 1 를 닫아서 전류를 조정하여 다시 K 2 를 닫아도 G의 전류가 변하지 않을

때 전지의 매부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c
(2) 공식 r
P
P
r= R
Q
단, r : 전지의내부저항,
a b
K1

P, Q : 비례변의 저항,
Q R

R : 가변저항
d

K2

39. 전지의 내부 저항의 측정(전압계법)


(1) 정의
간편한 내부저항 측정법이며 내부저항이 큰 전압계를 쓴다.

(2) 공식
r K

(V
r = 0 -1 R s
V1 ) V

단, r : 전지의 내부저항
E
Rs

R s : 병렬저항

V 0 : K를 열었을 때의 전압, V 1 : K를 닫았을 때의 전압

(1) 정의
40. 교류 브리지의 평형 조건
수화구 D의 소리가 최소일 때의 조건식에서 구하는 각 임피던스는 복소수로
c
계산한다.

(2) 공식 Z1 Z2

미지 임피던스 Z1 = r + jx 일 때
a D b

Z = R + jX의 조건에서
Z4
Z3 2 Z4 Z3

r=R x =X d

단, Z 2, Z 3, Z 4 : 기지 임피던스

41. 고저항의 측정

(1) 정의
전압계는 가급적 저항이 큰 것을 쓴다.

(2) 공식

V 0 -V Vo
X= r v [Ω]
V
단, X : 고저항 측정치, V 0 : 전원전압
Vo - V V

V : 전압계의 지시, r v : 전압계의 저항


X

42. 맥스웰 브리지에 의한 L의 측정


(1) 정의

표준 자기인덕턴스와 표준저항이 있는 경우의 L의 측정법인데 측정이 간단하


기 때문에 잘 쓰인다.

(2) 공식
P c
Lx= L
Q s
RxLx P
P
Rx= Rx
Q

단, L x : 피측정코일의 임피던스
a D b

R x : 피측정코일의 저항 RsLs Q

L s : 표준코일의 인덕턴스 d

R s : 표준 저항

P, Q : 무유도 코일의 저항

43. 쉘링 브리지에 의한 C의 측정
(1) 정의

고압측정회로를 사용한다. 미소용량을 측정 할 수 있는데 각 변은 shield 할


필요가 있다.

(2) 공식
c
S
Cx = C Q
Q s RxCx

C
rx= QR δ x ≒ S ωC
Cs a D b
C

단, C x : 피측정콘덴서의 용량
Cs S

r x : 피측정콘덴서의 등가저항 d

C s : 표준콘덴서의 용량

Q, S : 가변 저항, δ x : 콘덴서 유전물질의 손실각

44. 케리포스터 브리지에 의한 M의 측정


(1) 정의
M과 L의 측정을 할 수 있다.
(2) 공식 c

M = CQR P=0 Q

S
L = M (1+ )
Q a D b

조건 L > | M |
C
L
M
S
단, R, S, Q : 가변저항, C :가변용량
R
d

45. 캠벨브리지에 의한 주파수의 측정


(1) 정의

상호유도인덕턴스 M을 조절해서 수화기 D의 소리가 최저 일 때에 구할 수


있는 조건식이다. 이 회로는 1kHZ 이하의 주파수 측정에 쓴다.

(2) 공식 M

1
fx = π MC [㎐]
2

단, M : 가변상호인덕턴스 fx D

C : 용량[ F ] C

46. 윈브리지에 의한 주파수의 측정


(1) 정의

수화구 D의 소리가 최소일 때의 식에서 구한 것이다. 가청주파까지의 광범위

한 주파수의 측정을 할 수 있으나, C 1R 1 회로 대신에 콘덴서를 넣으면 용량의


c
손실각을 구할 수 있다.
C1
R1 R2C2
(2) 공식
a D b
1
fx = π C 1 C 2 C 3 [㎐]
2
R4 R3

단, C 1, C 2 : 가변용량[ F ] d

R 1, R 2 : 가변저항[Ω] fx
47. Q 미터에 의한 Q의 측정
(1) 정의

콘덴서 C를 가감해서 V 2 의 전압이 최대가 되도록 하고 이 때의 전압을 V 2

로 하면 V 2 최대에서 공진이 일어나고 있다.

(2) 공식

V2 ωL x
Q= =
V1 rx
Lx rx
단, Q : 피측정코일의 Q,
a b

V 1 : 전원의 가청주파전압
c V2
V1 R C

V 2 : 동조콘덴서의 단자전압
d

L x, r x : 피측정코일의 인덕턴스와 저항

48. Q 미터에 의한 L의 측정
(1) 정의

콘덴서 C를 가감해서 V 2 의 지시를 보는데 지침이 최대를 가리키고 있을 때

공진이 일어난다.

(2) 공식
L
C
L x = L s ss [ H] a b
Cs

단, L x : 피측정코일의 인덕턴스 V1 c
V2
R Cx
L s : 표준인덕턴스
C d

C s : 피측정코일 때 공진하는 C의 값

C ss : 표준 측정코일 때 공진하는 C의 값
49. Q 미터에 의한 C의 측정
(1) 정의

보조코일 L은 일정한 것을 쓴다. 서 C 를 가감해서 V 2 의 지시를 보는데 지침

이 최대를 가리키고 있을 때 공진이 일어난다. 피측 콘덴서 C x 를 접속하지

않았을 때의 공진시의 C 의 값을 구한다.

(2) 공식

Cx = C1 -C2

단, C x : 피측콘덴서의 용량, C 1 : L과 공진하는C의 용량

C 2 : C에 C x를 접속하여 L과 공진할 때의 C의 용량

50. 각종 유량계의 측정
(1) 차압식 유량계

조리개 전후에 유량의 제곱에 비례한 압력차가 발생한다(베르누이의 정리).

Q= K P1 -P2

단, Q : 유량, P 1- P 2 : 차압, K : 정수
(2) 면적식 유량계

통과 면적을 바꾸어 차압을 일정하게 한다 (베르누이의 정리).

Q = K․A

A = K․H

단, A : 통과 단면적, H : float 위치
(2) 면적식 유량계
통과 면적을 바꾸어 차압을 일정하게 한다 (베르누이의 정리).

Q = K․A

A = K․H

단, A : 통과 단면적, H : float 위치
(3) 용적식 유량계

계량실의 회전수를 계측한다.

Q = K․N

단, N = 계량실의 회전수
(4) 임펠러(Turbine) 유량계

임펠러의 회전수를 계측한다.

Q = K․W

N = 임펠러의 회전수
(5) 전자식 유량계
페러디의 법칙을 이용한다.

Q = K․
De
B

단, D : 내경, e : 발생전압, B : 자속밀도


(6) 초음파식 유량계
초음파의 전달속도를 계측하여 유량을 측정한다.

Q = K․Δt

단, Δt : 전달시간차
(7) 동압식(피토관) 유량계

동압과 정압을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한다 (베르누이의 정리).

Q = KAV

단, A : 단면적, V : 속도( 2gH)


(8) 격막식 유량계

베르누이의 정리

Q = KAH n

단, H : 수위

n : 차단판(벽)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