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발전기 단독운전계통의 부하 모델에 따른 주파수 및 전압 영향

System Frequency and Voltage Results


Affected by the Load Modeling in Island Power System

강인수*

ABSTRACT
Large industrial plants have on-site generators operated parallel with the power grid to supply power to
essential process units. If the grid is disconnected, the on-site generators are islanded with their essential
facilities. After disturbance, active and reactive power imbalances between loads and generated power in
island power system can cause the variation of system operating frequency and voltage. This paper discusses
the frequency and voltage results affected by the load modeling method to simulate and determine a plant’s
load-shedding logic.

KEY WORDS
Island Power System(단독운전계통), Constant VA Load(정전력 부하), Exponential Type Load(
지수함수형 부하), Inertia Constant(관성정수), Damping Effect(제동효과)

1. 서 론 1 d ω̇r d ω r d 2 δ
= = 2 --- (1)
ω0 dt dt dt
대규모 플랜트는 자가 발전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송전계통과 분리 후 자가발전기 2 H ∙ d ω̇ r 2 H d 2 δ
= =Ṫ m− Ṫ e =Ṫ a --- (2)
출력과 부하량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dt ω0 d t 2
주파수와 전압이 변동된다. 이때 주파수와
df f0
전압은 발전기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공급 =Ṫ a --- (3)
능력에 따라 결정되나, 부하가 소모하는 유효 dt 2H
및 무효전력량 또한 전압과 주파수 변동에
영향을 받게 되며 이는 전력계통의 전압 및 전동기와 같은 회전기기는 전원 주파수가
주파수 변화에 대해 제동력으로서 작용을 감소하면 부하의 관성 또한 감소하여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기 단독운전 소모하는 유효전력이 감소한다. 즉, 전원
계통의 부하차단량 결정을 위한 주파수 주파수 변화에 따라 부하의 유효전력(또는
해석에 부하 모델이 미치는 영향을 소개한다. 토크) 특성 또한 변화하므로 주파수 변화율
계산을 위해 부하에 의한 제동(Damping) 특성
2. 전원 주파수 변화 개요 KD 를 수식 (2)에 반영하면 수식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제동 특성의 포함은
전원계통 주파수의 변동은 발전기의
전원계통 외란 후 계통 주파수의 하락이나
기계적 토크와 부하에 의한 전기적 토크로서
상승을 완화시킨다.
표현되며, 주파수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K D dδ
2 H d2 δ
= Ṫ m − Ṫ e − --- (4)
ω0 d t 2 ω 0 dt

* 전기기술그룹 전력계통안정도분석분야 스페셜리스트, **


**
1
이때의 주파수 계산 결과를 예로 들어 정전력 부하로 표현한다. 특히 대규모
비교하면 그림 1 과 같다. 전력계통의 모델링시 계통 내의 개별 부하를
모두 구현할 수 없으므로 단일등가부하로서
정전력 부하 모델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전력조류와 같은 정상상태
분석결과 측면에서 보수적 방식에 해당된다.
또한 정전력 부하 모델은 전원 주파수
변동에 대한 제동효과를 구현하지 않으므로
즉, 유효전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전원계통
저주파수 또는 과주파수 조건에서도
보수적인 주파수 특성을 도출한다.

3) 지수함수형 부하 모델
그림 1. 제동특성 유무에 따른 주파수 변화
지수함수형 부하는 전압 및 주파수에
대한 부하의 유효 및 무효전력 변화를
3. 동특성 해석을 위한 부하 모델
전압에 대한 지수와 주파수 계수로 표현한다.
전력계통 과도상태의 주파수 및 전압
변화는 부하 구성에 따라 달라지므로, 주파수 P=P 0 ¿ --- (5)
해석 및 부하 차단량 결정에는 검토 대상
계통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적정 부하
Q=Q 0 ¿ --- (6)
모델 선정이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전력계통 V
V̇ = --- (7)
해석용 프로그램인 ETAP 을 기준으로 적용 V0
가능 부하 모델을 소개하며, 타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유사 부하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식 (5)와 (6)의 a, b 는 운전전압 단위
(p.u.) 값에 대한 무효 및 유효전력 지수로
1) 전동기 부하 모델
예를 들어 a 가 0.0 이면 운전전압 변동에
산업 플랜트 내 부하의 대부분은
무관하게 일정한 유효전력을 가지는 부하를
유도전동기로 구성된다. 유도전동기의
의미한다. 이에 비해 KPf 와 KQf 는 주파수
등가회로 및 부하토크 모델은 전원 주파수
변동에 따른 유효 및 무효전력 변동에 대한
변동에 따른 전동기 부하의 유효전력 및
계수로 주파수 변화량 단위(p.u.) 값이 부(-)를
속도 변화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가지면 부하 유효전력은 해당 계수에
해석시에도 유도전동기 동특성 해석 모델을
비례하여 감소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현 후 분석하는 것이 추천된다. 하지만
지수함수형 부하는 전원계통 전압 및 주파수
대규모 계통 해석시 계통 내 모든
변동에 따른 부하 운전특성을 반영할 수
유도전동기의 동특성 모델 구현은
있으나, 전압 지수 및 주파수 계수는 각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계통
플랜트 부하 구성에 따라 상이하므로 해당
규모에 따라 고압 대용량 전동기만 개별
값을 선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부하 주파수
부하로 구현하고 나머지는 단일등가부하로
계수를 예로 들면, 해당 플랜트 단독운전사고
표현하거나 또는 모선 또는 공장 단위의
조건의 주파수 실측 자료나 발전기 부하수용
단일등가부하로 표현할 수 있다.
(Load acceptance) 시험 결과가 가용하다면
이를 참조하여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한
2) 정전력 부하 모델
해석을 통해 KPf 와 KQf 를 결정할 수 있다.
정전력 부하(Constant VA)는 운전전압
또는 기술 논문 (1) 등에서 제시하는 각 설비
변동에도 일정한 부하량을 가지며,
특성별 일반 값을 사용하는 방법을 선택할
일반적으로 정상상태 분석시 전동기 부하를 수 있다.

2
별로 상이하지만, 관성에 따른 주파수 영향을
4. 검토대상 및 부하모델 선정 파악하기 위해 분석 조건 별로 1 초에서 4
초까지 각 전동기에 동일한 관성정수를
4.1 검토대상 계통
부여하였다.
부하 모델에 따른 해석 결과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그림 2 와 같은 간단한 계통을
구성하였다. 단지 내 자가발전기는 정격출력
15MW 를 가지며, 154kV 전원 상실시에는
발전기 단독운전으로 계통 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한다. 소외계통과 분리 전 발전기 출력은
12MW, 전체 부하는 22.5MW 로 가정하였다.
이를 고려하여 계통 분리 즉시 7.9MW 의
부하를 차단하며(Contingency based load 그림 3. 전동기 토크 및 펌프부하 토크 사례
shedding), 이때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참조로 자가발전기 관성정수는 3.3 4.3 정전력 부하 모델 계통
초, 여자기는 ETAP 에서 제공하는 IEEE Type 유도전동기 등가회로 계통과 동일한
AC4 모델, 그리고 조속기는 GT 모델의 일반 운전전압에서 동일한 유효 및 무효전력을
값을 적용하였다. 가지도록 그림 2 의 계통을 정전력 부하
모델을 이용하여 등가화하였으며, 따라서 본
부하 계통은 3 항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동특성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

4.4 지수함수형 부하 모델 계통
지수함수형 부하 모델은 정전력 모델에
전압 및 주파수에 대한 지수 및 계수를
정의하여 계통을 구성한다. 본 고에서는 표 1
(1)
의 자료 중 산업 설비를 기준으로
적용하였으나, 기술한 바와 같이 외란 조건의
그림 2. 부하차단 해석 대상 계통 실 계통 자료가 가용한 경우 이를 참조하여
해당 값의 보정이 추천된다. 참조로 a 및 b
4.2 유도전동기 부하 모델 계통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전동기 부하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그림 2의 각 고압 유도전동기
등가회로는 ETAP 의 Single cage with deep-bars
표 1. 지수함수형 부하 모델 일반 값 사례 [1]
타입으로 제작사 자료를 참조하여
구 분 a b KPf KQf
구현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결과의
Industrial 0.1 0.6 2.6 1.6
일반화를 위해 모든 전동기에 대해 Power plant 0.1 1.6 2.9 1.8
기동전류를 600%로 가정하였으며, 고압
전동기 기동전류는 구매시 일정 범위 이내로
제한하므로 이는 무리없는 가정으로
판단된다. 전동기 부하 토크 타입은 플랜트 5. 부하모델 별 해석결과 비교
부하의 다수를 차지하는 펌프 타입을
선정하였으며, 일반 플랜트 내의 고압 부하 - 비전기적 고장 조건
특성을 고려하여 정토크 부하는 무시하였다. 발전기 단독운전 계통의 과도 주파수 및
전동기 및 부하의 관성정수 H(초)는 전동기 전압은 소외계통과 분리시 전기적 고장의
3
유무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구분하여
검토한다. 전기적 고장 없이 소외전원과
분리된 발전기 단독운전 계통의 특성은
아래와 같으며, 부하차단 시점은 계통분리
(t=0.2 초) 0.25 초 후인 0.45 초로 선택하였다.

5.1 전동기 관성에 따른 주파수 영향


전동기 관성에 따른 주파수 비교 결과는
그림 4 와 같이 관성이 낮을수록 주파수 그림 5. 정전력, 지수함수형, 전동기 부하 계통의
저하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부하차단 주파수 비교-비전기적 고장 조건
후 정격 주파수 회복 시간은 관성정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5.3 부하모델 별 전압 영향 비교
전기적 고장 없이 소외계통과 분리된
발전기 단독운전 계통은 그림 6 과 같이 모선
전압강하 폭이 크지 않으며, 발전기 여자기에
의해 단시간에 전압을 회복하므로 상세
검토는 불필요하다. 이때에도 전동기
관성정수가 작을수록 전압 변동폭이 커지나,
비전동기 모델 계통이 전동기 모델 계통의
모선 전압 보다 보수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림 4. 전동기 관성별 계통 주파수-


비전기적 고장 조건

5.2 정전력, 지수함수형 계통과 주파수 비교


정전력 및 지수함수형 부하 모델(
비전동기 부하 모델), 그리고 주파수 측면에서
보수적인 결과를 보인 관성정수 1 초 조건의
전동기 모델 계통의 주파수를 비교하면 그림
5 와 같다. 산업 플랜트 고압 계통을 기준으로 그림 6. 정전력, 지수함수형, 전동기 부하 계통의
전동기 등가 관성정수 1 초는 비교적 관성이 전압 비교-비전기적 고장 조건
크지 않은 계통에 해당되며, 4.4 항에서
선정한 지수함수형 모델 계통은 전동기 6. 부하모델 별 해석결과 비교
관성정수 1 초 계통과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 전기적 고장 조건
이 중 정전력 모델 계통의 주파수는 가장
보수적인 해석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6.1
비전기적 고장에 의한 전원계통 분리시 전기적 고장에 의한 소외전원 상실 및
지수함수형 모델은 비교적 낮은 관성을 발전기 단독운전 계통의 특성 검토를 위해
가지는 부하 계통도 적절히 표현하는 것으로 그림 2 의 154kV 모선의 3 상단락(t=0.1 초)과
판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조건의 특징으로 고장제거시간 0.1 초(t=0.2 초) 및 이와 동시에
부하차단 전까지는 3 개 모델 계통의 주파수 발전기 계통의 단독운전을 가정하며,
하락율이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부하차단은 0.45 초에 완료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4
6.1 전동기 관성에 따른 주파수 영향 주파수가 유사하며, 지수함수형 부하 모델
계통의 주파수는 고관성 전동기(H: 4 초)
계통 분리의 원인으로 전기적 고장을
가정하면, 전동기 관성 별 주파수 결과는 계통보다 빠르게 회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전기적 고장 조건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가진다. 그림 5 와 비교했을 때 그림 7 의
결과는 부하차단 전까지 주파수 하락은 크지
않으나, 오히려 부하차단 후(t=0.45 초)
주파수의 추가 하락을 보여주며, 이는
부하차단에 따른 모선 전압 회복과 유효전력
변화에 기인한다.

그림 8. 정전력, 지수함수형, 전동기 부하 계통의


주파수 비교-전기적 고장 조건

특히 부하차단 후 저관성 전동기(H: 1.5 초)


계통 주파수가 타 모델 계통에 비해 가장
낮고 주파수 추가 하락이 두드러지며, 이의
원인은 전동기 재가속 전류에 의한
그림 7. 전동기 관성별 계통 주파수-
전압강하와 발전기 인가 유효전력의 변화,
전기적 고장 조건
터빈/조속기의 응답특성에 있다. 그림 9
전동기 관성정수 1초 계통은 발전기 에서는 정전력 부하와 전동기 관성정수 1.5
여자계통 및 변압기 용량 제약에 의해 초 및 4 초 계통의 발전기 유효전력을
전동기 재가속에 요구되는 전압을 회복하지 비교하였다.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그림 7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 경우 주파수는 큰
하락없이 정상상태로 빠르게 회복하는
특성을 보였으나, 사실상 모선의 저전압
지속으로 모든 전동기의 트립이 예상되며,
따라서 부하관성이 낮은 계통은 발전기
단독운전 발생시 일부 전동기에 대한 저전압
부하차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건에서도 부하차단 후 정격 주파수 회복
시간은 관성정수 차이에 큰 영향을 받지 그림 9. 정전력, 지수함수형, 전동기 부하 계통의
않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발전기 유효전력 비교-전기적 고장 조건

6.2 정전력 및 지수함수형 모델과의 비교 주파수 해석 결과에 기반한 부하차단량


결정에 있어 저관성 전동기 모델 계통이
그림 7 의 결과를 정전력 및 지수함수형
최저 주파수를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초기
부하 모델 계통의 해석결과와 비교하면 그림
주파수 하락율이 완만한 것과 부하의 추가
8 과 같다. 부하차단(t=0.45 초) 전까지는 전기적
차단없이 정격 주파수를 회복한 점을 고려할
고장을 수반하여도 비전동기 부하 모델
때 정전력 부하 모델 계통보다 보수적인
계통의 주파수 하락율이 보수적이나,
것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저관성
부하차단 후에는 관성정수 3 초인 전동기
계통에 정전력 부하 모델을 사용하여
모델 계통과 정전력 부하 모델 계통의

5
해석하면 부하차단 후 추가 주파수 하락을 6.4 저관성 계통에 대한 고려
예측할 수 없으므로 주파수 단계 별
전기적 고장에 따른 계통 단독운전
부하차단 협조에 있어 저주파계전기의
조건에서 전동기 관성정수 1.5 초와 1 초
부적절한 동작 가능성 문제가 제기된다. 또한
조건의 계통 주파수와 모선 전압을 비교하면
비교적 높은 관성을 가지는 계통이라도
그림 12~그림 14 와 같다. 해석 결과는 발전기
지수함수형 부하의 일반 값을 적용하여
운전 대수 및 발전기 관성, 여자계통 성능,
전기적 고장 후의 발전기 단독운전계통을
발전기와 부하 모선간 임피던스 등에도
해석하면 실 주파수에 비해 낙관적인 결과가
영향을 받지만, 저관성 부하 계통에서는
나올 수 있다(이 경우 해당 부하 모델의 KPf
전동기 재가속에 필요한 전압 회복에 문제가
와 KQf 의 보정 필요).
생길 수 있으므로 정전력 또는 지수함수형
모델 적용에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6.3 부하모델 별 전압 영향 비교
전기적 고장 제거와 함께 소외계통과
분리된 발전기 단독운전 계통의 전압은
전동기 관성에 따라 큰 차이를 가진다.
이때의 소규모 발전기 단독운전 계통의 전압
회복 특성은 유효전력과 주파수에도 영향을
주므로 모선 전압의 확인이 필요하다. 그림
10 과 그림 11 에서는 정전력 및 지수함수형
부하, 전동기 관성정수 1.5 초 및 4 초 부하
모델 계통의 모선 전압과 발전기 무효전력을 그림 12. 저관성 전동기 계통 주파수 비교
비교하였다.

그림 13. 저관성 전동기 계통 모선 전압 비교


그림 10. 부하타입 별 모선 전압 비교

그림 14. 저관성 전동기 계통의 발전기 유효전력


그림 11. 부하타입 별 발전기 무효 비교
상기와 같은 계통에서는 전동기 동특성
모델을 이용한 해석이 추천되며, 단독운전
계통의 운전성 확보를 위해 저주파 외에

6
저전압 부하차단 로직을 고려해야 될 것으로 그림 15. 전동기 모델(전기적 고장 조건) 및
판단된다. 비전동기 모델(비전기적 고장 조건) 계통의 주파수

7. 부하모델의 선정 8. 결론
7.1 및 결론
5 및 6 항에서 발전기 단독운전 계통의 본 논문에서는 소외전원과 분리된 직후의
주파수 및 전압을 비교한 결과, 비전기적 발전기 단독운전 계통의 주파수 안정화를
고장 조건에서는 지수함수형 부하 모델 위한 부하차단 해석시, 부하 모델의 선정에
계통이 전동기 모델 계통보다 보수적인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상세히
주파수를 가지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나, 기술하였다. 다만 실 계통 분석시 다루는
전기적 고장 제거 후의 발전기 주파수 단계 별 연속적인 부하차단 조건의
단독계통에서는 저관성 전동기 부하 계통의 주파수 및 전압 분석 결과와 발전기 정격 및
경우 부하차단 후 더 큰 폭의 주파수의 추가 발전기 제어기 특성에 따른 영향 등은
하락이 관찰되었다. 그림 15 에서는 비전기적 다루지 못했으나, 전기적 고장의 수반 여부에
고장 조건의 정전력 및 지수함수형 부하 따른 발전기 단독계통의 부하 모델 별 해석
계통 모델의 주파수 결과와 전기적 결과는 일반적으로 소개되지 않는
고장조건의 전동기 부하 계통 모델의 주파수 내용이므로 본 자료는 관련 실무수행에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림과 같이 계통분리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직후 부하차단 대상의 결정에 있어 비전동기
부하 계통의 주파수 하락이 급격하며 따라서
REFERENCES
보수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후
1. IEEE Task Force on Load Representation for
주파수 회복은 정전력 부하 모델 계통과
Dynamic Performance, “Load Representation
관성정수 2 초인 전동기 부하계통의 특성이
for Dynamic Performance Analysis,” IEEE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동기 동특성
Trans. Power Systems, V.8, N.2, May 1993,
모델 구현이 관련 자료 부족이나 계통 pp. 472-482
규모상 어렵다면, 지수함수형 보다 정전력 2. GET-6449, “Load Shedding, Load Restoration
부하 모델을 이용하여 비전기적 고장에 의한 and Generator Protection Using Solid-state and
계통 분리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주파수 Electromechanical Underfrequency Relays,”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설계 여유 확보에 GE Power Management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로 저관성 3. P. Kundur, “Power System Stability and
전동기 계통의 경우에는 주파수 외에도 Control,” McGraw-Hill, Inc, 1994
전기적 고장의 영향에 따른 전동기 재가속 4. ETAP 12.6 User Guide, Operation Technology,
및 전압 회복 추이를 추가 검토하여야 Inc.
하므로 전동기 모델을 사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