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자가용 전기설비 本 記事는 日本 OHM社가 發行하는 「OHM」誌와의 著作權協約에 依據하여 提供받은 資料입니다.

柴崎 誠(시바사키 마고토)
츄부전력(주)

Q uestion
전력계통 내에서의 무효전력 제어에 관한 다음의 질문에 답하시오.
(1) 무효전력은 전력계통 가운데 어떤 움직임을 하고 있습니까? 무효전력의 발생량과 소비량에
언밸런스가 생길 경우를 예로 설명하시오.
(2) 송전선로의 전압강하값을 제로로 하기 위해서는 수전단의 부하역률을 약간 증가시키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현상적인 전압, 무효전력 제어의 해설에 나오는「V, Q 평면도」에 대한 실례를 들어서 알기 쉽
게 설명하시오.

한편 무효전력은 전동기에 회전력을 주거나 조명기구에서


무효전력은 비타민 전력이다

A
광속을 방사하는 등의 에너지원은 아니지만, 적정한 전압

nswer 우리들이 매일 섭취하는 영양소로는 값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 불가결한 전력이다. 즉, 비타민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그룹과 비타민 나 미네랄과 같이 필요 불가결한 것으로서 무효전력은 비
이나 미네랄 그룹이 있다. 이중에서 전자 타민 전력과 마찬가지이다.
에 속하는 그룹은 몸을 움직이는 에너지원이 된다. 한편, 우리들은 보통 부족한 것은 좋지 않다고 알고 있다. 한
후자 그룹은 몸을 움직이는 에너지원은 아니지만, 몸을 편, 속담 중에는「더한 것이 덜하느니만 못하다」
`라는 것이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영양소 있다. 즉「과하지도 않고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
`가 가장 좋
이다. 은 상태이고 이것은 전력계통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즉, 유
교류의 피상전력은 벡터량이기 때문에 복소수로 표현하 효전력의 소비(수요)에 대한 발생(공급)이 부족하면 계통
며, 전압과 동위상 성분을 유효전력, 위상이 90도 다른 성 주파수가 저하되어 버린다. 반대로 발생이 과잉되면 계통
분을 무효전력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유효전력은 전동기 주파수는 상승한다. 그리고 전력계통 내의 전기사업용의
에 회전력을 주거나 조명기구에서 광속을 방사하며, 영양 발전기는 풍력발전 등에 이용하는 수백[kW] 정도의 소용
소 가운데 탄수화물 등과 같은 에너지원으로서 움직인다. 량기로 제거한다. 다른 모든 것은 동기발전기이기 때문에

86
표 1. 유효전력, 무효전력의 수급불균형에 따른 전력계통에 나타 송전선 전류
나는 현상

수요›공급 수요‹공급 현상이 나타난


이 된 경우 이 된 경우 범위 송전단 수전단
수전단
상전압 부 상전압
상전압

원 하
연계하는 모든 계
유효전력이 수급 계통주파수가 계통주파수가 통에 같은 주파수
불균형이 된 경우 저하한다 상승한다 변화가 되어 나타
난다.

지상무효전력이 수전단의 전압 수급불균형을 일


수전단의 전압
수급불균형이 된 이 상승한다(페 으킨 부근에 국소 그림 1. 송전선 전류와 송수전단 전압
경우 이 저하한다 란티) 적으로 나타난다

연계하는 전력계통 내의 모든 발전기가「동기화력에 의해


서로 강하고 견고하게 연결되어 동기하면서 회전하고 있
기」때문에 서로 같은 주파수로 운전하고 있다. 즉 츄부전
력이 60.01Hz로 운전할 때는 큐슈전력도 같은 60.01Hz
(a) 선로전류가 늦은 위상의 경우
로 운전하고 있는 것이다.
무효전력은 과하지도 않고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 즉 발
생과 소비의 밸런스가 보장되어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지상무효전력의 발생이 부족한 상태이면 수전단의 전압이
하강하고, 반대로 과잉상태이면 상승한다.
그러나 유효전력의 수급불균형에 의한 주파수 변화현상 (b) 선로전류가 같은 위상의 경우

과는 다르며, 무효전력의 수급불균형에 의한 전압변화는


전력계통 전역에 발생되지 않고 수급불균형이 나타난 수전
단 부근에 국소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에 대해서도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표1은 앞에서 논한 수급불균형에 의한 현상을 정리한 것 (c) 선로전류가 진행하는 위상의 경우

이다. 그림 2. 수전단의 송전압ER에 대한 선로전류 I의 위상변화와 전압


하강값의 변화

선로에 흐르는 무효전력과 전압하강값


내고 있다.
다음은 수전단의 무효전력 소비량과 전압강하량의 관계 그림 2의 3가지 그림은 수전단 전압 ER에 대하여 선로전
에 대해서 논하겠다. 그림 1은 전력계통의 송전단과 수전 류 I의 위상성분을 같은 길이로 그린 것이기 때문에 수전단
단 사이의 송전선에 전류 I가 흐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에서 소비하는 유효전력은 3케이스도 같은 크기이다. 무효
다. 66kV 이상의 송전선은 저항분에 비교하여 유도저항분 전력의 소비량만이 다르다. 이 그림의 선로 유도저항의 전
이 크기 때문에 이 그림에 나타난 것처럼 유도저항분의 jX 압 벡터jX I가 전압하강값은 아니다. 송전단전압 벡터 ES에
만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대한 선로전류 I의 위상, 즉 수전단에서 소비하는 무효전력
그림 2는 수전단의 상전압 ER을 기준으로 한 송전선 유 의 진상, 지상에 따라 전압강하값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
도저항 jX에 흐르는 전류 I의 위상을 나타내며, 이 그림(a) 수 있다.
는 늦은 위상의 경우이며, 그림(b)는 100% 역률로 같은 그런데 그림 2는 많은 참고서와 동일하게 수전단 전압
위상의 경우를 말하고, 그림(c)는 진행 위상의 경우를 나타 벡터 ER을 기준 벡터로 하여 ER을 일정값으로 그리고 있다.

월간 전기기술 2001・11 87
자가용 전기설비

벡터 Ia, Ib, Ic는 위상성분이 같은 크기이기 때문에 수전단에


서 소비하는 유효전력은 3개 케이스가 모두 같은 크기이
며, 무효전력 소비의 크기만 다르게 된다.
앞에서 논했듯이 수전단에서 소비하는 무효전력의 지
상, 진상 구별과 그 크기에 의한 송전선로의 전압하강값이
크게 변화하며, 그 결과 수전단 전압값이 크게 변화한다.
이 그림 3의 현상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 다음에 나타낸
그림 4이다.
그림 3. 송전단 전압 벡터를 일정값으로 나타내는 선로 이 그림 4의 (a)는 평일 주간대의 상황을 나타냈으며,
전류의 위상과 수전단 전압과의 관계
그림 (b)는 평일의 심야 주조대와 휴일의 마지막 날의 상황
을 나타냈다. 선로 유도저항 X에 전류 I가 흐르면 3I2X의 늦
수 전 단 전 압 은 무효전력의 송전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림 4는 선로
의 중앙지점에서 계량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모식도이기 때문에 상당히 간략하게 적혀 있다.
지상무효전력의 발생요소
지상무효전력의 소비요소
발전기의 지상운전 그림 (a)에 나타낸 천칭의 좌측은 지상무효전력의 소비요
FC 무효전력 소비
선로의 정전용량
소, 즉 진상무효전력의 발생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을
송전선, 변압기의 손실
전력용 콘덴서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는 부하가 소비되는 지상무효전력과
부하의 지상무효전력 소비
송전선로나 변압기의 유도저항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나타
나는 지상무효전력의 송전손실, 주파수 변환소의 사이리스
터 위상제어에 나타나는 지상무효전력의 소비 등이다. 한
(a) 평일 주간대의 무효전력 상황
편, 그림(a)의 천칭의 우측은「지상무효전력의 발생요소」
,
수 전 단 전 압
즉「진상무효전력의 소비요소」
`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한
요소는 전력회사의 변전소 및 수요가에 시설되어 있는 전

진상무효전력의 발생요소
력용 콘덴서(SC: Static Condenser), 송전선로의 정상
FC 무효전력 소비 진상무효전력의 소비요소 정전용량 등이다. 이 밖의 요소로는 그 양은 적지만 동기발
FC 교류 필터
발전기의 진상운전 전기의 지상운전도 지상무효전력 발생요소이다. 초보자는
선로의 정전용량
분로 리액터 잘 틀리는 경향이 있지만, 동기조상기나 동기전동기의 계
CB 없는 전력용 콘덴서
자전류를 강화시켜 진상운전을 한 경우는 진상무효전력의
소비이기 때문에 진상무효전력의 발생과 같은 가치가 있으

(b) 평일 야간 및 아침시간대와 휴일의 무효전력 상황


며, 천평뿐인 우측 요소이다. (이처럼 단순하게 무효전력
의 발생이라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으며 지상무효전력의 발
그림 4. 무효전력의 밸런스와 수전단 전압 변화의 모식도
생, 또는 진상무효전력의 소비라는 것처럼 반드시 지상, 또
는 진상별이라고 소비, 또는 발생별을 부가해야만 한다.)
그러나 전력계통의 실제 전압운영방법은 다음에 자세히 기 그림 4의 (a)에 나타난 예에서는 지상무효전력의 소비
술한 것처럼 송전단 전압 ES를 일정한 범위 내에 모으도록 량이 점점 커져서 공칭전압 77kV에 대한 수전단 전압값이
제어하고 있다. 이 실정에 맞춰서 수전단 전압 ER의 변화를 약간 저하되는 경향이 있지만, 지상무효전력의 발생량과
그리면 그림 3과 같이 나타낼 수가 있다. 소비량이 일정하도록 전력용 콘덴서의 접속량을 조정한다.
그림 3도 수전단 전압 벡터 ERa, ERb, ERc에 대한 선로전류 그림에서 천칭인 좌우 양측의 무게로 중심을 잡고 더하지

88
선로전류
일정값
ES에 대한 늦은θ

수전단
전원 상전압
일정값

ER에 대한 늦은θ

(a) 수전단에 전력용 콘덴서 SC를 접속한다 (b) 전압 벡터의 ΔSOR을 이등변 삼각형으로 만든다

그림 5. 전압하강값을 제로로 하여 수전단 전압ER을 일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류 벡터의 제어방법

도 않고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일 경우, 수전단의 전압값은 나 위상이 변화하면, 우선 그림 3에서 나타낸 선로의 유도
공칭전압값 부근이 되며 전력계통의 운영에 가장 좋은 전 저항인 전압 벡터 jX I의 크기나 위상이 변화하여 수전단의
압값이 된다. 전압값 ER이 변화해 버린다. 그러나 전력계통은 일정전압
다음으로 그림 4의 (b)는 평일의 야간 및 아침시간대와 운영이 이상적이기 때문에 jX I의 요소가 변화해도 수전단
휴일 마지막 날의 무효전력 상황을 나타내고 있으며 천칭 전압값 ER이 일정값을 가진 운영방법이 이상적이기 때문에
인 우측은 지상무효전력의 소비요소, 즉 지상무효전력의 이 제어방법을 그림 5에서 해설하겠다.
발생요소이다. 이 우측 요소의 최대는 고압수요가의 전력 이 그림 5의 (a)에 나타낸 것처럼 평일의 중간대는 수전
용 콘덴서 가운데 차단기의 설비가 없고 무부하시나 경부 단에 전력용 콘덴서(SC)를 접속한다. 그림 (b)에 나타낸
하시에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좌측의 최대요소와 균 것처럼 수전단 전압 ER에 대해 선로전류 벡터 I가 각도θ만
형이 맞도록 좌측의 천칭이 방대한 양의 분리 리액터(ShR: 큼 진행 위치가 된다. 즉 그림 (b)에 나타낸 것처럼 수전단
Shunt Reactor)를 접속하지 않으면 안되는 실정이다. 에 전력용 콘덴서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송전단 전압 벡터
동기발전기의 계자전류를 약화시켜 진상운전을 한 경우는 ES, 수전단 전압 벡터 ER, 선로 유효저항 전압 벡터 jX I 3개
진상무효전력의 발생이기 때문에 이 그림의 좌측요소이다. 로 구성되는 삼각형 SOR이 이등변 삼각형이 되도록 운영
그러나 진상운전은 동기발전기의 동기화력을 약하게 하여 한다. 이때의 선로전류 벡터 I의 위치는 송전단 전압 벡터
전력계통의 안정도가 나빠지고, 전력동요가 생기는 원인이 ES와 수전단 전압 벡터 ER의 중간 위치이기 때문에 송전단
되기 때문에 천칭만인 우측요소가 극단으로 적어지는 정 은 늦은 역률, 수전단은 진행 역률, 선로의 중간점에서 역
월, 골든위크 이외에는 별로 실시하지 않는다. 률 100%가 된다. 송전단과 수전단과의 무효전력량의 차
(b)에서는 진상무효전력의 소비량이 점점 커지고 수전 이가 선로 유효저항에 의한 무효전력의 송전손실(펄로스)
단 전압값이 조금 높아지지만, 이 경우도 동일하게 전력회 이며 이 양은 3I2X로 구해진다.
사 변전소의 분리 리액터의 접속량을 조정한다. 천칭만인 그림 4에서「무효전력의 발생량과 소비량이 균형이 되면
좌우 양측의 진상무효전력의 발생량과 소비량이 일정하도 수전단 전압을 공칭전압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라고 설명
록 제어하여「과하지도 않고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
`가 됨으 했지만, 이것은 선로 유효저항의 중앙지점에서 무효전력을
로써 수전단 전압은 가장 적당한 값이 된다. 계량했다고 가정하여 그 지점에서 무효전력의 수급이 일정
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균형상태는 수전단에서 보면 역
률이 약간 진행하는 상태로 보이기 때문이다.
전압하강값을 제로로 하기 위해서는 수전단 역률을
이처럼 그림 5의 전압 벡터의 3각형 SOR이 이등변 삼
진행시킨다
각형 상태를 유지하는 한 수전단 전압의 절대값 ER은 송전
전력계통의 실제 전압운영은 송전단에 상당하는 전원변 단 전압의 절대값 ES와 동등하며 일정 전압운영의 이상적
전소의 모선전압값을 목표값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자동 인 상태가 된다.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선로를 통과하는 전력조류의 크기 조상설비의 실제 운영방법은 송전단의 전압정보를 수전

월간 전기기술 2001・11 89
자가용 전기설비

단에 전송하여 그림 5의 이등변 삼각형을 연산하여 제어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송전단과 수전단의 전압값이 같아
지도록 조상설비를 제어하면 그 결과로서 그림 5와 같이
이등변삼각형 관계가 된다」
`라는 설명도이다. 실제의 운영
방법은 나중에 제5장에서 해설하겠지만, 어떤 일차 변전
소와 인접한 일차 변전소와의 중간에 위치하는「중간 변전
소」
`의 모선 전압값을 전압계 전기로 자동감시하여 저하되
면 전력용 콘덴서 SC를 접속하고 상승하면 분리된 조작을
그림 6. 선로전류가 변해도 수전단 전압값을 일정하게 제
자동적으로 하고 있다. 어하는 방법
그림 5에서는 선로전류 벡터 I를 일정값으로 표했지만, 전
력계통의 실제 선로전류값은 부하곡선에 따라서 증가하거나 각형을 형성하도록 수전단의 전력용 콘덴서의 접속용량을
감소하는 변화를 하고 있다. 제어하면 수전단 전압값 ER1, ER2, ER3은 일정값을 유지할
따라서 그림 6에 나타낸 것처럼 선로전류값이 I1, I2, I3인 수가 있다. 전력용 콘덴서를 많이 접속하여 진행 역률해서
것처럼 증가할 경우 수전단 전압 벡터에 대한 선로전류 벡터 는 안된다고 오해하는 기술자가 의외로 많은 것이 실정이
의 진행 위상각을 θ1, θ2, θ3처럼 조금씩 커지도록 제어한다. 기 때문에 이상적인 일정전압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수전단
송전단 전압 벡터 ES와 수전단 전압 벡터 ER1, ER2, ER3, 여기 에서 99%~98% 정도 약간의 진행 역률이 좋다는 것을 이
에 선로 유도저항 전압 벡터, jX I2, jX I3, 3자가 이등변 삼 번 기회에 밝혀두겠다.

찬 서리
나무 끝을 나는 까치를 위해
홍시 하나 남겨둘 줄 아는
조선의 마음이여

— 김남주 시『옛 마을을 지나며』

찬서리는 내리고 집 한쪽 감나무 끝엔 까치밥만이 남아 홀로 외로운 때가 입동이다. 바야흐로 겨울의 시작이다. 일순간 몰아치는 바람은 짧
았던 가을의 끝임을 알리고 벌써 긴 겨울이 시작됨을 고한다. 이때쯤이면 가을걷이도 어느덧 끝나고 바쁜 일손을 털고 한숨 돌리는 시기이
다. 농부들은 예이 자연의 변화를 직감하고 기나긴 겨울 채비에 들어간다. 입동은 겨울을 앞두고 한 해의 마무리를 준비하는 시점이다. 농
가에서는 서리 피해를 막고 알이 꽉 찬 배추를 얻기 위해 배추 묶기에 들어가고, 서리에 약한 무는 뽑아 구덩이를 파고 저장하게 된다.
『회남자(淮南子)』
천문훈(天文訓)에“추분에서 46일이면 입동(立冬)인데, 초목이 다 죽는다.”
`고 하였다.
바야흐로 겨울의 문턱이요, 시작이다.
월동동물들은 동면에 들 준비를 하고, 푸르게 자라나던 풀이며 무성하던 나무들은 왕성한 자람을 멈추고 잎을 떨군채 겨울의 채비에 들어
가는 것이다. 나무들이 잎을 떨구는 것은 긴 겨울을 대비해 영양분의 소모를 적게 하기 위함이다. 이맘때면 수확을 끝낸 들판에선 소들의
중요한 겨울먹이인 볏짚을 모은다. 모든 볏짚은 농가 마당에 보기 좋게 쌓아 두기도 하고 논배미에 단촐히 모아두기도 한다. 농가의 큰 일
꾼이자 초식동물인 소에게 볏짚같은 풀사료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먹이인 것이다. 입동은 천지만물이 양에서 음으로 변하는 시기이다. 이
제 길고 고통스러운 겨울의 시작인 셈이다.

「꾼-지킴이, 알림이, 만듬이」


`를 참조했습니다.

9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