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7-2 B급과 AB급 푸시풀 증폭기

․ 입력주기의 반주기(180°)에 대하여 선형영역에서 동작하고,


나머지 반주기(180°)에 대하여 차단되도록 바이어스되면 ⇒ B급 증폭기.
․ 입력주기의 반주기(180°)보다 조금 많은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바이어스되면 ⇒ AB급 증폭기.
․ (잇점) ∙ A급 증폭기보다 더 효율적.
→ ∴ 입력 전력의 크기보다 더 큰 출력전력을 얻을 수 있다.
․ (단점) ∙ 입력 파형의 충실한 재현을 위한 회로 구성이 조금 더 어려움.

[1] B급 동작
․ 그림 7-6 : 기본 B급 동작(비반전)의 시간 t에 따른 입․출력 관계.

(1) 차단 영역에서의 Q점
․ B급 증폭기는 차단점 즉,          )에 바이어스되어 있다.
․ 입력신호가 Tr을 on 시킬 때, 증폭기는 차단영역 위의 선형영역에서 동작.
․ 그림 7-7 ; CC B급 증폭기 (Emitter Follower)
; 출력은 입력의 완벽한 재현이 아님.
→ ∴ ‘푸시풀(Push-Pull)'로 알려진 2개의 Tr 구조가 필요.

- 15 -
[2] B급 푸시풀 동작
․ 그림 7-7과 같이 B급 증폭기는 양(+)의 반주기 동안만 동작
→ ∴ 전주기를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나머지 음(-)의 반주기에도 동작하는
B급 증폭기가 필요.
⇒ 푸시풀(push-pull) 동작.

(1) 변압기 결합 : 그림 7-8 변압기 결합 푸시풀 회로

․ 입력 변압기의 둘째단 : 센터탭(가운데가 접지) 형태


: 한쪽에 대해 다른쪽이 위상반전.
∴ 입력신호가 두개의 반전신호로 변환.
→ Q1 : 양(+)의 반주기 동안만 동작.
Q2 : 음(-)의 반주기 동안만 동작.
․출력 변압기는 양쪽 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하여 신호를 결합.

(2) 상보형 트랜지스터


* 그림 7-9 ; 2개의 EF를 사용한 B급 푸시풀 증폭기 (상보형 증폭기).

- 16 -
․ npn Tr과 pnp Tr을 사용한 EF로서,
각 Tr이 입력 주기의 교번에 따라 반대로 도통 (상보형).
․ 직류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이 없음 (즉,    ).
→ ∴ 오직 신호전압에 의해서만 Tr이 도통.
  입력주기의 정(+)의 반주기 동안 on.
  입력주기의 부(-)의 반주기 동안 on.

(3) 교차 왜곡(Crossover distortion)


․ 직류 베이스 전압이 0일 때 (즉,    ),
Tr이 on이 되려면, 입력 신호전압이  보다 커야한다.
→ ∴ 어떤 Tr도 동작하지 않는 입력신호의 (+),(-)교번 기간이 존재.
즉,       사이 구간 : 그림 7-10
→ 그 결과로 인한 출력파형의 왜곡을 ‘교차 왜곡’.

[3] AB급 동작을 위한 푸시풀 증폭기의 바이어스


․ 교차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신호가 없을 때도 두 Tr이 차단영역보다
조금 위의 도통 상태로 되어 있어야 함. ⇒ AB급.
․ 그림 7-11; 교차왜곡을 줄이기 위한 AB급 동작의 푸시풀 증폭기 바이어스

- 17 -
a) 전압 분배 바이어스
․  가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안정된 바이어스 점 유지 곤란.
b) 열적 안정화를 위한 다이오드 바이어스
․  과  의 다이오드 특성이 Tr의 B-E 전달컨덕턴스 특성과 거의 일치
할 때, 온도에 상관없이 안정된 바이어스 유지.
→ 이때 다이오드 전류와 Tr 전류가 같게 된다 : “전류미러”

․ 그림 ; 푸시풀 증폭기의 직류 등가회로


where    , ⇒ ∴ A점의 전압 

․ 두 다이오드와 두 Tr의 특성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 의 전압 강하   의 
 의 전압 강하   의 
․ 또 두 Tr이 차단영역 근처에 바이어스 되어 있으므로,
  
   ≅ 


. ⇒ ∴ 이미터측 전압 


⇒ ∴    

⇒ ∴ 교차 왜곡 문제 해결.

- 18 -
․ 그림 7-12 변압기 결합 푸시풀 증폭기에서의 교차 왜곡 제거.

- 입력변압기의 둘째단에 1개의 다이오드(0.7V 전압강하) 연결.


- 다이오드는 B-E 전압을 보상하고, AB급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

교류(AC) 동작
․ 그림 7-13 상보형 대칭 푸시풀 증폭기의 부하선

* 최대 동작 조건 하에서, AB급 증폭기의 Tr  과 는 차단점 부근부터


포화점 부근까지 교번 동작.

그림 7-14

- 19 -
i) 입력신호의 정(+)의 반주기 동안,    : 그림 7-14 (a)

∙  의 이미터는 Q점 값 에서부터  부근까지 구동.

→ ∴ 정(+)의 첨두값 ≅ 
∙  의 전류는 거의 0에서부터 포화값 부근까지의 진폭을 가짐.
ii) 입력신호의 부(-)의 반주기 동안,    : 그림 7-14 (b)

∙  의 이미터는 Q점 값 에서부터 거의 0으로 구동.

→ ∴ 부(-)의 첨두값 ≅ 
∙  의 전류는 거의 0에서부터, 포화값 부근까지의 진폭을 가짐.

iii) 교류 부하선 동작에서 두 Tr의  는   에서부터 거의 0까지

변동.
또한  는 0에서부터   까지 변동 : 그림 7-14 (c)
∙ 각 Tr 양단의 첨두값  
 
∙ 교류 포화 전류     ≅  (7-5)
   

* 출력전류는 이미터 전류이므로  ≅  에 의해,


 
출력전류의 첨두값      ≅ 
 
[참고] A급 동작 : Q점은 중앙에 위치하였고, 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도
전류 흐름.
B급 동작 : 신호가 없을 때에는 TR에는 아주 작은 전류만 흐름.
→ ∴ 전력소모가 거의 없다.
→ ∴ B급 증폭기의 효율 (약 79% 정도) ≫ A급 증폭기의 효율
[예제 7-3] 그림 7-15에 나타낸 회로에 대해 최대 피크 출력전압과 전류를
구하라.

- 20 -
[풀이] ∙ 이상적인 최대 피크 전압 :  ≅  ≅   
 
∙ 이상적인 최대 피크 전류 :  ≅  ≅     
 

[4] 단전원 푸시풀 증폭기


∙ 두 개의 전원 사용 시 : 출력은  .

단전원 사용 시 : 출력은 

→ 회로 동작은 동일.
∙ 단전원 사용 시 출력이  가 아니므로, 입력과 출력에서 커패시터 결합을
통해 소스와 부하 저항으로부터의 바이어스 전압을 제거해야 함.
∙ 그림 7-16 단전원 푸시풀 증폭기

[예제 7-4] 그림 7-17에 나타낸 회로에 대해 최대 피크 출력전압과 전류값


을 구하라.

- 21 -
 
[풀이] ∙ 최대 피크 출력 전압 :  ≅  ≅     
 
 
∙ 최대 피크 출력 전류 :  ≅  ≅     
  

[5] B/AB급 전력

(1) 최대 출력전력
* 출력전류의 최대 첨두값   ≅  
* 출력전압의 최대 첨두값   ≅ 
∴ 출력전력의 최대 평균값 ;     ⋅  
  
wher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or,   이므로,

       (7-6)

(2) 직류 입력 전력
* 입력전력은 전원  로부터 얻어지며,
   
* 각 Tr은 반주기에 대하여 전류를 흘리므로,
그 전류는 평균값을 갖는 반파신호.

즉,    

  
∴  

(3) 효율 ( )
* A급 증폭기에 비해 B급, AB급 증폭기의 가장 큰 장점
: 효율이 매우 높다.

* 효율   


- 22 -
B급 증폭기의 최대 효율 :
     
      ≅   or, 79% (7-7)
  ⋅ 

≫ A급 증폭기의 효율 0.25 or, 25%

* AB급은 B급 보다 효율이 조금 낮음.

(4) 입력저항
* 상보형 증폭기는 사실상 2개의 이미터 폴로어.
제6장 이미터 폴로어 식으로 부터,
      
이때    이므로,
       (7-8)

[예제 7-5] 그림 7-18에서 증폭기의 최대 교류 출력전력과 최대 직류 입력


전력을 구하라. 또한    ,    이라고 가정할 때, 입력
저항을 구하라.

 
[풀이] ∙ 최대 피크 출력 전압 :  ≅       
 
 
∙ 최대 피크 출력 전류 :  ≅  ≅     
  

∙ 교류 출력 전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류 입력 전력 :       
 
∴ 입력저항               

- 23 -
[6] 달링턴 AB급 증폭기
* 푸시풀 증폭기의 부하 저항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많은 응용에 사용.
ex) AB급 푸시풀 증폭기에 대해 8 스피커는 공통 부하.

* 부하 저항이 작으므로, 푸시풀 증폭기는 이를 구동시키는 선행 증폭기에


대해 매우 낮은 입력저항을 나타냄.

* 낮은 푸시풀 입력저항은 선행 증폭기의 출력저항에 심대한 영향을 미쳐


전압이득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음.

ex) 상보형 푸시풀 Tr의    이고, 부하저항  일 때


   이라 가정 ,
∙ 입력 저항               
∙ 구동 증폭기의 출력저항이  이라면, 푸시풀 증폭기의 입력저항은
구동 증폭기(CE라 가정)의 실제 컬렉터 저항을
   ║  ║  
으로 줄이게 되어

→ 구동 증폭기의 전압이득    를 감소시킴.
 

* 저저항 부하를 가진 응용에 있어서, 달링턴 Tr 구조의 푸시풀 증폭기는


구동 증폭기에 대한 입력저항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어
→ 심각한 전압이득의 감소를 줄일 수 있다.
∙ 달링턴 쌍의 교류    in general.
ex) 앞의 경우처럼 각 달링턴 Tr의    이라면,
전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7-19 ; AB급 달링턴 푸시풀 증폭기


2개의 달링턴 쌍의 B-E junction의 정합(match)을 위해
바이어스 회로에 4개의 다이오드가 필요.

- 24 -
[참고] A급 구동기를 가진 푸시풀 증폭기
* B급, AB급 푸시풀 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신호는
입력 신호원으로부터 2개의 Tr에 각각 커패시터로 결합.
* 또 다른 방법 : 아래그림. A급 증폭단을 구동기로 사용하는 방식.
where 구동기는 전압 분배 바이어스 증폭기.

∙ 푸시풀 증폭기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은


구동기 Tr  의 직류 컬렉터 전류에 의해 결정.
∙ 입력신호가  의 베이스에 결합되면,
 의 교류 컬렉터 전류는  과  의 베이스에서 신호전압 생성.
→ 바이어스 다이오드들의 동저항에 걸리는 교류전압강하는 무시 가능.
→ ∴  과  의 베이스 신호는 같게 됨.
∙ 다이오드의 동저항 ≪  이므로, 모든 다이오드는 교류 신호에 대해
short circuit으로 간주.
∙ 이러한 구동기는 선행하는 전치 증폭기와 푸시풀 증폭기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킴.

- 25 -
[참고] MOSFET 푸시풀 증폭기
∙ BJT에 대한 MOSFET의 장점 :
1) 바이어스 회로가 단순.
2) 구동 조건이 단순.
3) 추가되는 구동에 대해 병렬로 연결 가능.
4) 온도에 대해 안정 등.
∙ 아래그림. MOSFET 푸시풀 증폭기

∙ 그림 (a) MOSFET B급 푸시풀 증폭기


Q1 : NMOS : 신호의 양(+)의 주기에 동작.
Q2 : PMOS : 신호의 음(-)의 주기에 동작.
∙ 그림 (b) AB급 푸시풀 증폭기
BJT CE 단 : 입력신호를 증폭하고, 그 신호를 Q2-Q3로 구성된 푸시
풀단의 게이트에 인가.
: 와 병렬 연결: 동일한 교류신호가 푸시풀 단에 인가되도록 하기 위함.
또한, Q2와 Q3의 문턱전압의 바이어스 값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
→ 교차 왜곡 최소화.
: 입력신호가 없을 때, 출력 직류 전압이 0이 되도록 하는 데 사용.

[참고예제] 다음 그림 과 같이 n채널 E-MOSFET의 문턱전압은 2.0V이고,


p채널 E-MOSFET의 문턱전압은 -2.0V이다. 를 어떻게 조절
하면 증폭기가 AB급으로 동작할 수 있겠는가? 이때 입력신호가
100㎷라면 부하에 전달되는 전력은 얼마가 되는가? 이때
  이라 가정한다.

- 26 -
[풀이] ∙ CE 증폭기에 대한 직류 파라미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B급 동작에 의해 출력전압이 MOSFET의 입력을 반복.
∙ CE 증폭기의 이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OSFET의 내부 전압강하가 없다고 가정하면, 출력전압
        

  
∴ 출력전력     
 
 

- 27 -
7-3 C급 증폭기
* 입력 주기의 반주기 (180°) 미만에 대하여 선형영역에서 동작하고,
나머지 주기에 대하여는 차단되도록 바이어스되면 ⇒ C급 증폭기.
* (장점) ∙ B급 푸시풀, AB급 푸시풀 증폭기보다 고효율.
→ ∴ C급 동작으로부터 더욱 큰 출력 전력을 얻을 수 있다.
* (단점) ⋅ 출력 파형이 심하게 왜곡.
→ 무선주파(고주파) 동조 증폭기 등에만 제한적으로 응용.
[1] 기본 C급 증폭기의 동작
* 그림 7-21 기본 C급 증폭기의 동작 (비반전)

* 그림 7-22 기본 C급 동작

그림 (a) : 기본 CE C급 증폭기 with 저항성부하  .


∙ (-) 전원에 의해 차단점 이하로 바이어스.
∙ 그림 (a)의 베이스 회로를 다시 그리면
  
∴    
∴     일 때만 Tr이 on.
→ 그림 (b) : 입력 주기의 정(+)의 첨두값 근처의 짧은 기간 동안만
Tr이 on.

- 28 -
* 교류 부하선을 사용 : 그림 (c)
이상적인 최대 컬렉터 전류    
이상적인 최소 컬렉터 전압  ≅    ≅  .

[2] 전력 손실
* C급 증폭기의 Tr은 입력 주기의 짧은 기간 동안만 on.
→ ∴ 전력 손실이 적음.
* 그림 7-23 C급 파형

* 그림 (a) ; 컬렉터 전류 펄스
펄스 사이의 시간 = 교류 입력 전압의 주기(T)
→ 이상적인 펄스로 근사화 : 그림(b)
∙ 출력 진폭이 전체 부하선에 걸치면, Tr이 on인 동안
전류의 크기=  ,
전압의 크기=   이 됨.
∴ on인 동안 전력손실 :        
* Tr은 짧은 시간( )동안만 on, 입력 주기의 남은 기간에는 off.
∴ 전체 주기에 대한 평균 전력손실
 
            
 

[예제 7-7] 200㎑ 신호에 의해 C급 증폭기가 구동.


Tr은 1 s 동안 on, 증폭기는 전체 부하선에 대해 동작.
만일     ,      라면, 평균 전력손실     ?
[풀이]

∙ 신호의 주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
[3] 동조 동작
* 저항성 부하를 가진 C급 증폭기는 컬렉터 전압(즉, 출력파형)이 입력파형
과 매우 다름.
→ ∴ 선형적 응용에서는 무용.
→ 그림 7-24 병렬 공진회로(Tank)로 동조된 C급 증폭기.

∙ Tank 회로의 공진주파수 :   



∙ 정현 출력전압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입력주기마다 컬렉터 전류의 짧은 펄스를 만들고,
Tank 회로의 진동을 유지시켜야 함 ; 그림(b)
* 그림 7-25 공진회로 동작

- 30 -
a) Tr이 on되는 동안,  의 전류 펄스는 커패시터 C를 + 까지 충전.
b) 펄스이후(즉, Tr이 off), 커패시터는 급속히 방전 → 인덕터 충전
⇒     → 
c) 커패시터가 완전히 방전된 후 인덕터의 자장은 없어지고
:       
다시 C를 이전의 충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급속히 재충전
:  ≅  →  
⇒ b) c)에 의해 진동의 첫번째 반주기 형성.
d) 커패시터 C는 재방전 → 인덕터의 충전 ⇒     → 
e) 인덕터는 권선저항에 의한 에너지 손실 때문에 이전의 첨두값보다
작은 (+)의 첨두값으로 커패시터를 재충전 :    →  
⇒ d) e)에 의해 진동의 두번째 반주기 형성.
⇒ 첨두간(peak-to-peak) 출력전압은 약 2 .
* 그림 7-26 탱크 회로의 연속적인 진동

(a) 하나의 펄스에 대한 출력전압은 탱크회로의 저항으로 인해


진폭이 점점 작아져서 결국에는 사라지게 됨.
(b) 컬렉터 전류 펄스를 규칙적으로 반복.
→ 공진 회로에 다시 에너지 주입 → 일정한 진폭을 갖는 진동 유지.
∙ 탱크회로가 입력신호의 기본 주파수에 동조되었을 때,
탱크전압  의 각 주기에서 에너지 재주입 : 그림 7-26 (b)
∙ 탱크회로가 입력신호의 두번째 고조파(harmonic)에 동조되었을 때,
교섭주기에서 에너지 재주입 → 주파수 곱셈기(x2)로 동작
: 그림 7-26 (c)
∙ 더 높은 고조파(harmonic)로 동조시키면,
공진 탱크 회로는 더 높은 주파수 곱셈기로 동작.

- 31 -
[4] 최대 출력전력
* 탱크 회로 양단의 첨두 전압 ≅ 2 ,

    
     
∴ 최대 출력전압 :      (7-9)
    
where  : 탱크회로의 컬렉터 코일 저항과 부하 저항의 병렬합성저항.
코일 저항이 작으므로  는 대체로 작은 값.
∴ 총전력       

 
∴ 효율    (7-10)
     
if  ≫    ,  ≅     에 근접.

[예제 7-8] 예제 7-7의 C급 증폭기가    ,    일 때 효율?


[풀이] 예제 7-7에서     

       
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C급 증폭기를 위한 클램퍼 바이어스


* 그림 7-27 베이스 바이어스 클램핑 회로를 가진 C급 동조 증폭기
where BE junction은 하나의 다이오드 역할을 함.

- 32 -
그림 7-28 클램퍼 바이어스 동작

∙ 입력 신호가 (+)가 되면 커패시터  은       로 충전.


∴  의 평균전압은        가 됨 ; 그림 (a)
∙ 입력이 (+)첨두값에 이르는 동안 (즉,  ∼  동안),
커패시터는 BE 다이오드를 통해     까지 충전 ; 그림 (b)
∙ 다음  ∼  동안, 시정수 RC가 매우 크므로
커패시터는 거의 방전하지 않음.
→ ∴ 커패시터는      보다 약간 작은 평균 충전값 유지 ; 그림 (c)
∙ 입력 신호의 직류값이 0 이므로 ( 의 (+)쪽), 베이스의 직류 전압
( 의 (-)쪽)은 -(   )보다 약간 더 큰 전압 : 그림 (d)
∙ 교류 입력 신호는 커패시터를 통해 베이스에 결합되므로,  는
-(   )보다 약간 더 큰 직류레벨에 교류신호가 실림 : 그림 (e)
∙ 입력 전압의 (+)첨두 부근에서  는 0.7V보다 약간 크게 되어
그 짧은 기간 동안 Tr이 on : 그림 (f)

- 33 -
9-4 고장진단, 응용연습 : 생략

요약, 주요용어, 주요공식, 회로동작퀴즈, 자습문제 : Self-Study


Report : 문제 : 1, 5, 7, 11, 15, 21 (6 문제)

- 34 -

You might also like